You are on page 1of 126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2016. 1
제출문

경기도지사 귀하
본 보고서를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
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년 1월
2016

전자부품연구원 원장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요약
1. 국내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현황과 문제점 분석
□ (주요 현황) 스마트공장의 진화 수준을 미적용 기초 중간 고도 ICT , , ,

화 수준으로 구분하였을 때 국내 대기업의 차 협력사는 중간 이상 , 1

수준이지만 대다수 중소기업은 수작업 혹은 의 제한적 활용에 그


, ICT

치는 상황
□ (국내 기술 수준과 국외 선도기업과의 차이 발생) 국내의 경우 PLM,

CAD, 로봇 컨트롤러 기술은 선도 기술국 대비 에 못 미침


, 40%

□ (국내 산업 및 생태계의 문제점)


·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필수적인 신기술 및 핵심기술 역량 부족
· 호환성 신뢰도 등의 사유로 국내 중소기업들의 신규 진입 난해
·

· 공장 스마트화 추진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위험에 대한 큰 부담


· 과거 노동집약적 생산방식 고수하여 저임금 노동력 확보에 집중
·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준 플랫폼 부재
· 공장 스마트화를 위한 전문 인력 부족
□ (해결 방안)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의 실효성 확보하고 지역 제조 산 · ,

업의 스마트화를 위해 지역중심의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이


필요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는 시생산을 위한 시험 환경 장비 제공 ,

및 컨설팅 기술교육을 통한 기업 지원 지역 내 수요공급 기업 간


/ ,

의 긴밀한 생태계 구축 지원
2.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사업의 경기도 유치 타당성 분석
□ (스마트공장 수요 분석) 경기도 소재 제조기업 근로자 명에 대해 1,856

스마트공장 수요에 대한 설문 조사 실시
· (기술보유 및 운영 현황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를 운영하는 업
)

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는 각각 로 비슷 단 기업규모가 49.7%, 50.3% ,

인 미만으로 작은 경우 이상이 품질관리 개선 활동 저조


30 80% /

· (생산자동화 현황 생산자동화가 구축되어있다는 응답이


) 자동 81.6%,

화 구축 평균비용은 억원 소요 단 구축되지 않은 업체의 경우도


2.8 , ,

가 구축 계획이 있다고 응답
53.5%

· (자동화 애로사항 다품종소량생산 생산위주의 작업 합리적 체계화


) , ,

의 어려움
· (요청되는 지원방향 자금지원확대 생산공정 자동화 구축지원이 가
) ,

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 기술개발지원 전


, 10 ,

문가 자문과 같은 무형자원의 지원이 필요


□ (광역자치단체 현황 비교분석) 주요 광역지자체별 기초통계자료를 활
용하여 제조업집중도 연관산업집중도 뿌리산업집중도를 수요 공급
, , ,

적 측면에서 분석
· (제조기업집중도 제조업 분야 중 스마트공장과 연관성이 있는 업종
)

에 대해 지역별 분포도 분석 결과 전국대비 로 위 , 42% 1

· (연관산업집중도 스마트 보급 확산에 있어 중요한 연관산업인


) · ICT,

산업용로봇산업의 가 경기도에 위치 인프라 집적도 서울에


40% , ICT

이어 위 이상의 로봇산업 위치
2 , 60%

· (뿌리산업집중도 수도권에 개사 전국대비


) 위치 14,145 ( 54.4%)

□ 경기도 강점 분석 결과 경기도는 뿌리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 모


( )

델을 구체화할 수 있는 국내 최적의 테스트베드로서 최적의 입지여건


보유
3.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우수 입지 도출 방안 제시
□ (우수입지 분석방법)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의 입지선정을 위한 1

차 평가와 전문가 검토 및 의견 수렴을 위한 차 평가 과정을 통해 2

최적의 입지 후보를 도출
□ (1차 평가) 최적의 입지 후보군을 선정하기 위한 절차로서 개의 기 31

초 지자체를 기준으로 계층분석과정을 활용하여 현실성 필요성 연계 , ,

성 확장성 환경성 가지 항목에 대해 상세 입지 평가 수행


, , 5

① 현실성 부지활용가능성 건축가능성 현금출연가능성


: , ,

② 필요성 기업수요 스마트공장 관련 수요자의 응답률


( ):

③ 연계성 제조업 분포 뿌리기업 분포 클러스터화 고용창출기여도


: , , ,

④ 확장성 연관산업 기업 및 기관 입주 가능성


:

⑤ 환경성 산업단지 분포
:

□ (2차 평가) 차 평가를 통해 도출된 입지 후보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


1

및 최신 통계자료를 통한 데이터 재검토 후 향후 기반 구축 사업에 ,

대한 지자체의 상세 참여의사를 반영하여 우선 투자지역 선정


4. 경제성 및 지역파급 효과
□ (경제적효과) 스마트공장 표준 참조모델 구축을 통한 생산 프로세스
효율성 증대 상호운용성 검증 산업용 에너지소비 절감
, ,
□ (기술적효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스마트 로봇 등 기
· · ·

반 기술의 동시다발적 발전 및 유관 산업의 동반성장 계기마련


□ (사회적효과) 연관 산업의 간접고용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고용창출 기
여 제조업 경쟁력 및 기술의 성공적 융합을 통해 국가 경쟁력
, ICT

강화
5. 결론 및 향후계획
□ 스마트공장의 효율적인 보급 확산을 위해 지자체 참여형 통합 지원
·

인프라로써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이 필요


□ 경기도 지자체는 스마트공장 통합 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최적의 환
경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자체 중심의 지원센터 구축
, ,

시 향후 국내 최대 스마트공장 확산 클러스터로써의 역할 기대
목차
제1장 서론 ································································································· 1
1. 스마트공장의 개념 ······················································································· 1

2.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 3

제2장 국내외 스마트 제조공정 기술 및 지원정책 동향 ·············2 1


제 절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 12

국외 기술개발 동향
1. ················································································· 12

국내 기술개발 동향
2. ················································································· 15

국내 기술개발 수준 및 문제점 진단
3. ····················································· 17

제 절 국내외 스마트공장 기술수준 분석 및 주요 이슈


2 ···························· 21

국내외 기업 규모 및 업종 별 수준 분석
1. ··········································· 21

국내외 스마트공장 주요 이슈
2. ································································· 26

제 절 국내외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3 ·············································· 29

국내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1. ················································· 29

국내 스마트공장 인증제도 현황
2. ··························································· 30

국외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3. ················································· 33

제3장 경기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정 구축 사례 및 수요 조사 8· 3


1. 경기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 분석 ········································· 38

2. 경기도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 우수 사례 ····································· 41

3. 경기도 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요 분석 ··················································· 43

제4장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사업의 경기도 유치 타당성


분석 ··········································································································· 58
제 절 경기도 유치타당성 조사
1 ·········································································· 58

스마트공장 기반구축 사업 현황
1. ··························································· 58

타당성 조사의 범위 및 방법
2. ··································································· 62

제 절 경기도 유치 타당성 분석
2 ········································································ 64

제조기업 집중도
1. ························································································· 64

연관산업 집중도
2. ························································································· 66

- 1 -
3. 뿌리산업 집중도 ························································································· 70

4.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지역 혁신자원 분석 ······································· 73

5. 경기도 유치타당성 분석 결과 요약 ······················································· 75

제5장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우수입지 후보 도출 방안 ·······6 7


제 절 우수 입지 도출을 위한 방법론
1 ······························································ 76

계층화분석기법 도입 배경 및 필요성
1. ··················································· 76

계층화분석기법의 개요
2. ············································································· 77

계층화분석기법의 분석 과정
3. ··································································· 80

제 절 계층화분석기법을 통한 우수입지 도출 방안
2 ······································ 82

우수입지 도출 방법
1. ··················································································· 82

우수입지 검토 조건
2. ················································································· 83

기초지자체별 입지분석 방안
3. ··································································· 87

우수입지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정 방안


4. ············································· 90

제6장 경제성 및 지역파급 효과 ·························································19


1. 경제적 효과 분석 ······················································································· 91

2. 기술적 효과 분석 ····················································································· 92

3. 사회적 효과 분석 ····················································································· 94

제7장 스마트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육성정책 ·······························59


제 절 공급 수요 니즈를 반영한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전략
1 - · ··················· 95

대기업 협력사 연계 전략
1. - ······································································· 95

가치사슬형 연계 업종별 전략
2. ································································· 96

산단 지자체 중심의 전략
3. / ······································································ 98

제 절 스마트공장 지원 생태계 구축 전략
2 ·················································· 99

제8장 결론 및 향후계획 ····································································· 107


제9장 참고문헌 ····················································································· 111

- 2 -
< 표 목차>
표 1. 스마트공장의 제조 단계별 모습 ···································································· 1

표 2. 스마트공장 참조모델 수준 총괄 표 ······························································ 3

표 3. 스마트공장 디바이스의 종류 ·········································································· 8

표 4. 스마트공장의 가치사슬 주요 주체 ······························································ 13

표 5. 국내 스마트공장 주요 구축 사례 ······························································ 22

표 6. TTA PG 609 스마트공장 관련 표준화 현황 ············································· 32

표 7. BMWi( 경제통상부 자료 종합 ) ······································································ 34

표 8. PCAST 의 가지 정책 권고
16 ········································································· 35

표 9. 2020 년 기준으로 달성해야 할 정량적 정성적 평가 항목과 목표 · ········· 36

표 10. 전국 대비 경기도 제조업 기업 규모 별 업체 수 및 종업원 수 ········ 38

표 11. 경기도 제조업 사업체 기업 규모 별 기본 정보 비교 ·························· 39

표 12. 경기도 제조업 업종 별 사업체 수 및 기본 정보 ·································· 40

표 13. 수요조사 설계 ································································································ 44

표 14. 기업체 일반 현황 ·························································································· 44

표 15. 주력사업에 대한 산업분류 ········································································ 46

표 16. 스마트공장 기반구축사업 분야 및 내용 ·················································· 59

표 17. 광역자치단체 현황 총 개 ( 17 ) ········································································ 63

표 18. 광역자치단체별 제조기업 현황 년 기준 (2013 ) ·········································· 63

표 19.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2013) ···················································· 64

표 20.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종사자 지역분포도 (2013) ······································ 65

표 21. 스마트공장 연관 분야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ICT (2013) ························· 66

표 22. ICT 산업의 집적도 인프라 표준점수 (ICT ) ·················································· 67

표 23.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 68

표 24. 지역별 업종별 사업체 수 단위 개


․ ( : , %) ·············································· 71

표 25. 지역별 뿌리산업 입지현황 ·········································································· 71

표 26. 경기도 뿌리산업 현황 ·················································································· 72

표 27.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R-COSTII) ···················································· 74

표 28. 경기도 연구기관 유형별 분포현황 ···························································· 74

표 29. 계층화 분석기법의 장점 ·············································································· 78

표 30. 기초지자체별 입지 평가기준 ······································································ 84

표 31. 기초지자체별 입지 세부 평가항목 안 ( ) ······················································ 85

표 32. 기초지자체 입지 평가 항목별 측정요소 안 ( ) ············································ 86

- 3 -
표 33. 환경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 87

표 34. 필요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 87

표 35. 연계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 88

표 36. 현실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 89

표 37. 확장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 89

표 38. 평가기준 별 가중치 예 ( ) ················································································ 90

표 39. 6 대 산업별 보급 확산 단기과제


· ································································· 97

표 40. 업종별 스마트공장 구축 협력 사례 ·························································· 97

표 41. 모델공장 개방형 테스트베드 구분


vs. ··················································· 100

표 42. 독일 사례
Smart Factory Test-Bed ························································· 100

표 43. 모델공장의 운영 절차 ················································································ 101

표 44. 스마트공장 지원단 주요 기능 ·································································· 101

표 45. 사업 운영 절차 ···························································································· 102

표 46. 표준체계 구축 절차 ···················································································· 102

표 47. 분야별 검토 내용 ···················································································· 103

표 48. 스마트공장 유형별 보안대책 예시 ( ) ·························································· 104

표 49. 대상별 교육프로그램 예시 ( ) ········································································ 105

- 4 -
< 그림 목차>
그림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1. ···················································································· 4

그림 의 개념도
2. MES ································································································ 5

그림 의 개념도
3. ERP ································································································· 5

그림 의 개념도
4. PLM ······························································································ 6

그림 의 개념도
5. SCM ································································································ 7

그림 센서의 예
6. ······································································································ 9

그림 의예
7. PLC ········································································································· 9

그림 의예
8. HMI ······································································································ 10

그림 의예
9. SCADA ································································································ 10

그림 제조용 로봇의 예
10. ···················································································· 11

그림 표준 규격
11. OPC ·························································································· 15

그림 국내 스마트제조 표준화 현황
12. ································································ 17

그림 스마트 산업혁명에 필수요소 기술들의 국내 현황


13. ·························· 18

그림 신규 도입 기피 악순환 구조
14. ICT ························································ 20

그림 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수준
15. ․ ······························································ 24

그림 업종별 수준 분석
16. ······················································································ 26

그림 주요 핵심제품의 기술수준
17. ···································································· 27

그림 품질관리를 위한 기술 현황 및 스마트공장 수요 현황
18. ···················· 43

그림 근로자 수
19. ···································································································· 45

그림 매출액
20. ·········································································································· 45

그림 주력사업에 대한 산업분류 업종
21. ( ) ···························································· 46

그림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 운영여부


22. ·················································· 47

그림 종사자규모에 따른 품질관리부서 운영여부


23. ········································ 47

그림 매출규모에 따른 품질관리부서 운영여부


24. ············································ 48

그림 인프라 도입여부
25. ······················································································ 48

그림 인프라 운영계획 여부
26. ············································································ 49

그림 생산현장 자동화 구성여부


27. ···································································· 49

그림 생산현장 자동화 구성 계획여부


28. ···························································· 50

그림 생산현장 자동화 구축비용


29. ···································································· 50

그림 작업공정 표준화 애로사항


30. ······································································ 51

그림 기업성장 및 발전을 위한 지원책


31. ·························································· 52

그림 생산공정 혁신을 위한 지원정책


32. ·························································· 52

- 5 -
그림 미래에 투자하고 싶은 분야
33. ···································································· 53

그림 스마트공장 구축시 생산공정 환경의 필수 장비예시


34. ······················ 53

그림 스마트공장 구축시 생산공정 환경 필수 장비


35. ···································· 54

그림 생산공정 환경 필수 장비별 우선순위


36. ·················································· 54

그림 미래에 투자하고 싶은 분야
37. ···································································· 55

그림 현재 국내 제조업 혁신도 및 인식 현황
38. ············································ 60

그림 스마트공장 지원센터의 기능
39. ·································································· 61

그림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40. (2013) ················································ 65

그림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종사자 지역분포도


41. (2013) ·································· 65

그림 정보통신방송기기 분야 지역 분포도
42. ···················································· 66

그림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 분야 지역 분포도


43. ································ 67

그림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44. ···································································· 68

그림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45. ···································································· 69

그림 지역별 로봇매출
46. ························································································ 69

그림 지역별 뿌리산업 현황
47. ············································································ 72

그림 우수입지도출 과정
48 ····················································································· 83

그림 평가항목 계층 구조
49 ··················································································· 84

그림 스마트공장 표준 포럼 구성 안
50. ( ) ······························································ 91

그림 증강현실 활용 미숙련 교육
51. ·································································· 105

그림 러닝 활용한 원격교육
52. e- ········································································· 105

- 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1장 서론

1. 스마트공장의 개념
□ 스마트공장은 제품기획·설계, 생산, 판매, 유통 등 전 과정을 정보통신
기술과 자동화 기술로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생산최적화·지능화를 구현
한 공장을 의미
○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인간중심의 작업환경이 구현되고 개인맞
, , ,

춤형 제조 융합 등 새로운 제조환경에 능동적 대응 가능


,

○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요소들이 통합되어 제조 산업현장


에 제공
□ 스마트공장은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기업의 현실
에 맞게 단계적으로 공장의 스마트化 추진하며, 공장의 IT기술 활용정
도 및 역량에 따라 기초․중간(1·2 세분가능)․고도화의 4단계로 크게
구분

표 스마트공장의 제조 단계별 모습
1.

제품기획․설계 가상공간에서 제품성능을 제작 전에 시뮬레이션 하여 제작기간 단


축 및 소비자 요구에 맞춤형 제품 개발
생산 설비-자재-관리 시스템 간 실시간 정보교환으로 1개 공장에서 다양
한 제품생산 및 에너지·설비효율 제고
유통․판매 생산 현황에 맞춘 실시간 자동 수발주로 재고비용이 획기적으로 감
소하고 물류 등 全분야 협력 가능

□ 수준별 구축 단계
○ 기초 단계
기초적인 를 활용하여 생산일부 분야의 정보를 수집 활용하고
- ICT ,

- 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모기업 인프라를 활용하여 자사의 정보시스템을 구축


- 생산실적 정보 자동집계 → 자재흐름 실시간 파악 , Lot-tracking

- 부분적 관리 시스템 운영 설계 영업 재고 회계 등
( , , , )

○ 중간수준 단계
1

- 설비 정보를 최대한 자동으로 획득하고 기업 운영의 자동화를 지향


- 실시간 공장 운영 모니터링 품질분석 ,

-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간 부분적 연계


○ 중간수준 단계
2

- 모기업과 공급사슬 관련 정보 및 엔지니어링 정보를 공유하며 수급 ,

및 공급 계획 최적화와 제어자동화를 기반으로 실시간 회사운영이


가능
- 관리 시스템을 통한 설비 자동 제어 → 실시간 생산 최적화
-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간 실시간 연동 개발 ↔ 생산 ↔ 자원관리
( )

○ 고도화 단계
- 사물인터넷 기반의 가상물리시스템 화를 통해 사이버 공간
(IoT) (CPS)

에서 사업 제반 활동을 실현하는 궁극적인 수준


- 스스로 판단하는 지능형 설비 시스템을 통한 자율적 공장운영
,

- 全제조 과정의 통합 운영

- 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스마트공장 참조모델 수준 총괄 표
2.

구분 현장자동화 공장운영 기업자원 관리 제품개발 공급사술관리


IoT/IoS기반의 CPS화
빅데이터/ 인터넷 공간
고도화 IoT/IoS화 IoT/IoS(모듈)화 빅데이터 설계·개발
가상시뮬
상의 비즈니스
CPS 네트워크
기반의 진단 및 운영 레이션/3D 협업
프린팅
기준정보/
중간수준2 설비제어 실시간 공장운영 기술정보 다품종 개발
자동화 공장제어 통합 생성 연결
및 협업
자동화
기준정보/
중간수준1 설비데이터
자동집계
실시간
의사결정
기능 간 기술정보
통합 개발 운영
다품종 생산
협업
기초수준 실적집계 공정물류관리 관리 기능 CAD 사용 단일 모기업
자동화 (POP) 중심 기능 프로젝트
개별 운영 관리 의존
ICT 전화와 이메일
미적용 수작업 수작업 수작업 수작업 협업
※출처: 전자부품연구원, 산업혁신 3.0 스마트공장 로드맵 연구, 2015년

2.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 스마트공장 요소기술은 크게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디바이스로 구분 되
며 이들 기술의 정의와 응용 분야는 아래와 같이 분류
□ 어플리케이션
○ 스마트공장에서 정보 제공 분석 및 제조 실행 등을 수행하는 최상위
·

시스템을 의미
○ 플랫폼과 연결되어 스마트공장 내에서 수집된 산업용 디바이스의 정
보 및 생산 부품조달 구매 보관 물류 운송 판매 및 유통 상황을
, , , , , ,

사용자에게 가시화하고 정보 분석을 통해 빠른 의사 결정 및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

- 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공장 매쉬업 엔진

표준 공통데이터교환미들웨어
(UA: Unified Architecture)
Protocol
Adaptation
M ES/ERP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제공 공장 운영 모니터링
기계 및 설비

PLC
디바이스 에뮬레이터
..

Gateway 자동 분석 및 알람 기능

SCADA 또는 디바이스간 자율협업 지원

IoT Hubs

디바이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그림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1.

○ 스마트공장의 생산 활동에 관한 다양한 정보 제공을 통해 합리적인


계획 및 관리 통제가 가능
○ 스마트공장 요소기술 중 어플리케이션 종류에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생산관리시스템System: ), ERP(Enterprise Resource

기업자원 관리
Planning: 제 ),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품수명주기관리 공급망관리 등이
), SCM(Supply Chain Management: )

있음
○ 생산관리시스템 은 생산 활동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
MES( )

자에게 제공하여 생산 관리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 자재소요 생산 분석 설비 정보 등을 수집하여 생산 활동의 효율성
, , ,

가용성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빠른 변


,

화 환경에서도 공급 기한 품질 가격 등을 효과적으로 대응 , ,

- 빅데이터를 통한 미래 예측 방안 및 비즈니스 분석 시스템도 도입


하는 추세

- 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2. MES 의 개념도
※출처: http://www.sstj.co.in, 2015년

○ 기업자원관리 는 기업의 경영 및 관리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경


ERP( )

영 관리 어플리케이션
-생산 판매 자재 인사 회계 등 업무를 통합하고 재구축하여 실시
, , , ,

간으로 기업의 경영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업 가치 ,

극대화를 위한 계획 운영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


,

-제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관리 통제를 위해 적용이 가능


한 통합 정보 시스템으로 변화

그림 의 개념도
3. ERP

※출처: http://www.kalawatechnology.com, 2015년

- 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제품수명주기관리 은 제품 수명 전 기간에 걸쳐 제품에 관련된


PLM( )

정보와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제품의 개념 정의 개발 생산 유통 서비스 운용 및 유지보수 폐
, , , , , ,

기 및 재활용까지 제품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반영하는 제품 중심


의 연구 개발 지원 시스템
-제품의 수명주기 관리를 통하여 제품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
키고 이를 제품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기업 활동의 영속성 및 성장
가능성 확보

그림 4. PLM 의 개념도
※출처: http://www.visual-2000.com, 2015년

○ 은 자재 제공업자부터 생산자 유통자 최종 소비자까지 이르는


SCM , ,

물류의 흐름을 하나의 가치사슬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통해 생산 유통 판매를 위한 정보가 신속하게 제공되기 때
- SCM , ,

문에 재고 감소 업무절차 간소화로 인한 업무 효율성 증가 자금


, ,

흐름 개선 및 안정된 상품 공급을 수행

- 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5. SCM 의 개념도
※출처: www.cgnglobal.com, 2015년

□ 플랫폼
○ 스마트공장의 상위 어플리케이션 과 하위 디
(MES, ERP, PLM, SCM)

바이스 제조용 로봇 자동화기기 센서 를 연동하고 정보 전달을 수행


( , , )

하는 중간 시스템을 의미
○ 제조 공정의 센싱 및 제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 기반
으로 상호 연동과 자율 협업 제조가 가능하도록 매쉬업 서비스를 지

- 이기종 공정 기기간의 연결을 위한 통신 표준 규격 변환 및 통합
지원을 통해 다양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연결된 디바이스 간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스마트공장의 디바이스는 분산 자동 디
Discrete Automation Device(

바이스 와 ) 프로세스 자동 디바이스 로 구


Process Automation Device( )

분 정의하고 각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는 오픈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

모듈 제공 역할을 수행

- 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스마트공장 디바이스의 종류
3.

Discrete Automation Device Process Automation Device


PLCs Machine Vision Sensors DCS Systems Process I/O
GMC Machine Vision Cameras SCADA RTUs Oil & Gas Digital Control Valve Positioners
Servo/Stepper Drives Machine Vision Systems SCADA Electric Power Intelligent Electric Actuators
CNCs Safety PLCs SCADA RTUs Water & Waste Process Safety Systems
HP AC Drives w/out MR 3D Laser Scanners Single and Multiloop Controllers Smart Toxic Gas Detectors
LP AC Drives w/ M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Smart Pressure/Flow Transmit ers Intelligent Pumps
Industrial PCs Discrete I/O Smart Temperature Transmit ers Other
Operator Interface Panels Autonomous Mobile Robots Electronic Flowmeters exc. DP
Industrial UPS Wind Turbine Control Systems Level Transmitters
※출처: ARC, Total Available Market for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2014년

□ 디바이스
○ 스마트공장 내에서 다양한 정보 수집 센싱 컨트롤 등을 수행하는 , ,

하드웨어를 의미
○ 디바이스는 크게 센서 자동화기기 등 제조용 , (PLC, HMI, SCADA ),

로봇 등으로 구분
○ 센서는 기술을 이용하여 초소형 초정밀 초전력 특성을 갖도
MEMS , ,

록 제작
휴대가 적합하도록 크기가 작고 사용이 간단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

정보를 수집하는데 핵심이 되는 디바이스


초소형 센서 모듈은 제어 통신 단말에 연결 또는
- 하여 embedded

센서 노드로서 기능을 수행
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공정상의 특이점을 추출하고 이를 신호처
-

리 패턴인식 알고리즘 인공지능 공학


, 기술을 활용하여 판단
, , , S/W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

- 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센서의 예
6.

※출처: https://josenieves.wordpress.com, 2015년

○ 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맞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범용 제어 장치 프로그램


-시퀀스 제어뿐만 아니라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데이터 처리를 수행
, ,

하며 내부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도 가능
-공정 제어기기를 포함한 자동화 시스템에 폭넓게 사용됨

그림 7. PLC 의예
※출처: https://www.contec.com, 2015년

○ 는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시각 청각
HMI (Human-Machine Interface) ,

등의 인지 정보와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공장 내에서 등을 적용하여 현장 생산라인에 있는 다
Touch Screen

- 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양한 생산 설비의 상태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필요시 사용자 ,

가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그림 8. HMI 의예
※출처 : http://www.aispro.com, 2015년

○ 는 원격 장치의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집 기록 표시하여 중앙 제어 시스템을 통해


, ,

감시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공장 자동화 시설 발전 송배전시설 제철공정 시설 등 다양한 분야
, · ,

에서 활용

그림 9. SCADA 의예
※출처 : http://www.scadasoftware.net, 2015년

○ 제조용 로봇은 생산 라인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조립 제어 , ,

이송 등을 수행하며 산업 자동화를 도와주는 전자 기계적 디바이스 ·

- 1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제조용 로봇은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을 중심으로 용접


, , ,

핸들링 이적재 조립공정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금속


, , , ,

플라스틱 화학 식음료 등으로 적용분야가 확대되는 추세


,

- 생산 라인에서의 제조용 로봇을 사용하면 노동비용을 줄이고 인간 ,

이 수행할 수 없는 다양한 일들을 수행

그림 10. 제조용 로봇의 예


※출처: http://www.economyinsight.co.kr, 2015년

- 1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2장 국내외 스마트 제조공정 기술 및 지원정책

동향

제1절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국외 기술개발 동향
□ 독일, 일본, 미국 등 소수의 국가에서 생산설비, 센서, 기반SW에 대한
솔루션 대부분을 보유하고 기술을 선도
○ 스마트 제조 공장 시장점유율 을 보면 지멘스 독일
(2013) 로크 , ( , 15%),

웰 미국
( 스위스
, 11%), ABB(에머슨 미국
, 11%), 미츠비시 일본 ( , 9%), ( ,

가 대부분을 차지
7%)

○ 제조어플리케이션 공급 기업들은 자사 솔루션의 영향력을 늘리기 위


해서 각자의 독립된 플랫폼만을 제공하고 기존의 엔지니어링 소프트 ,

웨어 공급 기업들과 비즈니스 솔루션 공급 기업들도 서비스하던 솔


루션의 영역을 넓히며 통합하는 추세
○ 제조와 가 융합된 형태의 플랫폼 개발 및 상품화 산업용 제조디
ICT

바이스 업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빅데이터와 같은 플랫폼


IIoT,

전문기업들이 제조업 지원 솔루션 개발을 진행 중


○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지능화된 산업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공급하
고 단순 자동화에서 벗어나 센서를 통해 다양한 기기의 상태 정보를
,

전송하고 피드백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출시가 가속화

- 1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스마트공장의 가치사슬 주요 주체
4.

구분 유형 주요업체
Rockwell, GE, PTC, CDS, Siemens PLM (미
설비센서 국), ABB(스위스), Siemens(독일), Schneider
액추에이터 (프랑스), Invensys(영국), SAP(독일), Dessault
디바이스 Systems(프랑스), Mitsubishi (일본)
통신모듈 퀄컴, TI, 인피니온, GE, IBM, 브로드컴, 미디
송수신 센서, 어텍, ARM, 삼성, Cinterion, Telit, Sierra,
단말기 SIMcom, E-divie, Teluar
Microsoft, google, SAP, jasper, Axeda, Aeris,
SW플랫폼 솔루션 Pachube, Omnilink, Data Technology Service,
Cisco, Siemens, Bosch
어플리케이션 Verizon, Sprint, AT&T, Vodafone, T-mobile,
및 플랫폼 통신사업 NTT 토코모, SKT
서비스사업 Cross
KORE 등
Bridge, Numerex, NTT, T-Mobile,

※출처: 산업연구원, KATS 스마트공장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스마트공장은 공장 내·외부의 다양한 기기 및 사물들의 연결, 다양한


솔루션 및 기업 간 네트워킹과 통합을 위해 IEC SG8, ISO TC 184,
oneM2M, IEEE P2413 등에서 공통의 표준화 활동 진행

○ IEC SG8

-현재 미국 독일 스웨덴 일본 중국 프랑스 영국 브라질 한국 등


, , , , , , , ,

의 개 제조업 강국들이 참여하며 원료 공급 에너지 공급 제조 생


9 , , ,

산 비즈니스 시스템 제품 출하 및 소비자 관리를 포함하는 제조


, ,

산업 생태계를 정의
의 주요 활동 내용
- IEC SG 8

스마트제조 분야의 시장 및 산업 발전 분석
·

· 내 스마트제조 관련
IEC 및 TC(Technical Committee) SC

확인
(Semitechnical Committee)

- 1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스마트제조 관련 위 현재 활동 상황과 미래 활동계획 분석


TC/SC

· 필요한 경우 스마트제조 관련 간의 상호 협력 체계 구축
TC/SC

· TC/SC간의 도메인 영역 중복 또는 잠재된 문제점 모니터링


· 기능별 도메인 정의 및 도메인 내에서 기능별 도출 Use case

에 해당하는 확인
· Use case TC

· 해당 에서 개발 또는 개발 중인 표준 확인
TC /

와 표준에 대한 차이 분석 및 향후 표준 개발 방향 제시
· Use case

○ IEC TC65

는 공장 제어 및 자동화 설비에서 디바이스와 통신망 그


- IEC TC65

리고 시스템과 관련된 모든 표준을 다루고 있으며 크게 개의 등으 4

로 분류
주요 활동 내용
- IEC TC 65

산하에
· TC65 가 있고 그 산하에 다양한 이 만
SC65A, B, C, E WG

들어져 표준화 작업을 진행


는 산업 프로세스 측정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포괄
· IEC SC65A

적인 측면에 대한 표준
는 산업 프로세스 측정 및 제어를 위한 장치의 특정
· IEC SC65B

측면에 대한 표준 예 측정 장치 분석기기
( : ,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는 산업 공정 측정 및 제어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 통


· IEC SC65C

신에 대한 표준
는 디바이스의 특성 및 기능 방법 응용 프로그램의
· IEC SC65E , ,

디지털 표현을 지정하는 표준


에서
· WG16 에 대한 규격이 논의 되고 있고 현재
Digital Factory ,

단계 진행
IS(International Standard)

주요 표준 규격
- IEC

· Functional Safety, Functional Safety Network

- 1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IEC 62439 는 네트워크의 고가용성에 대한 표준


· Real Time Network

· OPC UA (OLE for Process Control Unified Architecture

Specification)

그림 표준 규격 11. OPC

- OPC-UA 표준 규격
· OPC 는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이 여러 종류의 프로세스 컨트롤 장
비 등 들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DCS, PLC )

인터페이스를 의미
· OS 및 플랫폼에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가 개발되어 OPC UA ,

스마트제조 분야에서 의 적용을 위해 관련 표준을 제정


OPC UA

하고 있는 추세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 국내 스마트공장의 핵심 요소기술인 생산설비(PLC), 센서, 기반
SW(ERP, MES, CAD) 등의 솔루션은 대부분 글로벌 기업의 기술에 종

속, 컨트롤러, 서보모터/드라이브 등 핵심부품, High-End의 장비, 유연


생산 운용솔루션 등 스마트공장의 핵심 요소 대부분은 독일, 일본, 미국
- 1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으로부터 수입
○ PLC제품은 산전과 같은 전문기업의 활동으로 약 의 국내 시
LS 33%

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나 의 시장 점유율은 외산의 공


, High-end

격적 시장 전략으로 인해 낮은 수준
○ 등의 솔루션은 삼성
MES, ERP 와 같은 국
SDS, LG CNS, SK C&C

내 업체들의 활동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다른 요소기술에


SI

비해 많이 뒤처지지 않는 수준 다만 로크웰 지멘스 . GE, , , Applied

등의 해외 기업들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강세


Materials

○ 이미지센싱 등의 솔루션 또한 전량 지멘스와 로크웰


CAD, SCADA,

과 같은 해외 제품 솔루션에 의존
·

□ 국내에서는 IEC에서 국제적인 호환성을 보장하는 스마트공장의 표준화


전략과 로드맵 등을 마련할 예정이며,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표준화 지원책 및 스마트공장 표준기술연구회를 구성
○ 산업계는 스마트공장 관련 국제 표준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국표준협회 주관으로 스마트공장 표준자료집을 개발하여 배포할 예

○ 민간 중심의 표준화 포럼의 운영을 지원하여 국내 제조업 환경을 반
영한 스마트공장 개념을 정립할 것이며 스마트공장의 진단 분야와 ,

분야별 진단 항목을 정의한 인증모델 개발이 완료 월 (15.11.11), 15.12

말 시범 인증에 대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고 이후 규격화 및 인 KS

증 제도를 운영할 계획
○ 산업계의 자발적인 표준 개발 및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월 스마 15.8

트제조산업협회가 설립되었으며 에서는 산하, 에서


TTA TC6 PG609

스마트공장 관련 표준화 활동을 진행 중 는 관련 표준을 . PG609 CPS

개발하며 공장에서의 기반 기계 지능화에 대한 표준을 개발 중


ICT

- 1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12. 국내 스마트제조 표준화 현황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공장 R&D로드맵 소개

3. 국내 기술개발 수준 및 문제점 진단
□ 국내 기술 개발 수준
○ 국외 대표적인 스마트공장 선도 기업인 등은 GE, Siemens, Toyota

선제적으로 스마트공장을 도입하였고 최근 중견 중소기업으로 확산 ·

하는 추세임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전기 전자 자동차 기계


. , , · , ,

내구재 등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년대 초부터 공장의 스마트 2010

화를 추진하였으며 최근에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에 힘입어 중견


, ·

중소기업의 참여가 강세
○ 반면 국내의 경우 스마트공장 관련 핵심 기술의 수준이 선도 기술국
,

에 비해 낮은 편임 로봇 컨트롤러 기술은 선도 기술국


. PLM, CAD, ,

대비 40%

○ 스마트공장의 진화 수준을 미적용 기초 중간 고도화 수준으로


ICT , , ,

- 1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구분하였을 때 국내 대기업의 차 협력사는 중간 이상 수준이지만


, 1 ,

대다수 중소기업은 수작업 혹은 의 제한적 활용에 그치는 상황 ICT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센서 CPS IoT 빅데이터 PLM CAD MES SRM/SCM 로봇 컨트롤러 PLC

그림 13. 스마트 산업혁명에 필수요소 기술들의 국내 현황


※출처: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2015년

□ 국내 기술개발 문제점 진단
○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필수적인 신기술 및 핵심기술 역량 부족
스마트공장의 핵심기술인 와 전량을 해외 제품에 의존하는
- PLC

그리고 인더스트리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


SCADA, 4.0

해 와 빅데이터의 신기술의 경쟁력이 부족


IoT

년도 국내 스마트공장 시범사업 추진에서 공급기술의 국산화율은


- 14

였으나 대부분이 중저가 장비 및 부품이며 고부가가치의 제품


34.1%

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
○ 호환성 신뢰도 등의 사유로 국내 중소기업들의 신규 진입 난해
·

국내 중소기업 제품의 경우 호환성 업그레이드 및 유지 보수가 보


- , ·

장되지 않는다는 인식 등으로 수요기업들이 도입을 주저


높은 품질의 국내 제품인 경우에도 막연한 신뢰부족으로 수요기업
-

- 1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들은 해외 유명 제품을 선호
- 특정 기능만을 제공하고 기업이 영세하여 지속적 성능향상 지원이
부족하며 서비스 전문 인력에 취약한 국내 제품 도입을 주저
○ 공장 스마트화 추진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위험에 대한 큰 부담
- 초기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천천히 발생하므로 투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공장 스마트화 투자를 주저
- 업종별 개별 공장별 적합 솔루션 탐색 최적화를 위한 시행착오 기
, ,

간 및 추가 비용발생 문제 발생을 우려
- 특히 뿌리산업의 경우 투자여력이 부족하고 구축규모가 작아 수익
성이 보장되지 않는 이유로 공급기업들이 참여에 소극적
○ 과거 노동집약적 생산방식 고수하여 저임금 노동력 확보에 집중
- 뿌리산업의 경우 숙련공 감소 고령화 등으로 품질유지 불안정성이
,

커지고 있음에도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을 통해 단기 대응하는 경



- 뿌리산업 기업의 인력 부족율은 로 일반중소기업의 배 이상
8.76% 2

이며 전체인력 중
, 세가 를 차지
40~50 63%

○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준 플랫폼 부재


-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표준 플랫폼의 부재는 수요기업의 기반 ICT

고도화 추진 시 추가투자 저해 요인으로 작용


- 제품 업그레이드 및 다른 시스템으로 교체가 어려워 효용 가치가
저하되고 방치 폐기되고 추가도입을 기피하는 악순환 발생
·

○ 공장 스마트화를 위한 전문 인력 부족
-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수요 공급 기업의 경쟁력이 동반하여 약화될
·

가능성
- 공장 스마트화를 위한 별도의 재직 인력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대학
원 연구실이 감소되었고 재직자 교육과정 부족 및 대학원 연구실
,

감소 등으로 전문 운용 인력 수요기업 및 우수 개발인력 공급기업


( ) ( )

- 1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확보가 어려움

그림 14. ICT 신규 도입 기피 악순환 구조

- 2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2절 국내외 스마트공장 기술수준 분석 및 주요 이슈

1. 국내외 기업 규모 및 업종 별 수준 분석
□ 대기업 현황(자동화, ICT 관련)
○ 산전 청주공장
LS ( )

현장자동화 실시간 운영현황 분석 제어 공장운영정보 실시간 관리


- , / ,

및 의사결정 공금 사슬 관리 등 ,

○ 포스코 ICT

제품불량 예측 빅데이터 분석 통합 모니터링 및 제어 업무환경 전


- ( ), ( ,

력 안전 등 무인로봇 활용 가상공장을 활용한 사전 검증 및 교육


, ), ,


○ 삼성전자 경북창조센터 ( )

에나인더스트리 사출작업 자동화


- ( 社)

○ 현대자동차 광주창조센터 ( )

개사 기반 공정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 20 ICT

○ 한화
우리 생산 판매 관리 전산화 등
- ( 社) / /

○ KT

다산정보통신 설비자동화 생산작업 화


- ( 社) , DB

○ 라이쏠
생산 공정에 바코드시스템 도입
-

○ 새한진공 열처리
활용 자동화 설비 도입 열처리 작업결과 빅데이터 구축
- IT ,

○ 재영솔루텍
설계 생산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 /

○ 삼일금속
공정자동화 공정변수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구축
- ,

- 2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혜성 ENG

생산 품질 종합관리정보시스템 구축
- /

표 국내 스마트공장 주요 구축 사례
5.

기업명 구축 내용 주요 성과
현장자동화, 실시간운영현황 분 기존 대비 생산성 3.3배(38기종)
LS산전 석/제어, 공장운영정보 실시간 에너지사용률 60%절감
(청주공장) 관리 및 의사결정, 공금사슬 관 불량 발생률 0.01%이하 달성
리등
대기업 제품불량 예측(빅데이터 분석), 운전인력 58% 감소
통합모니터링 및 제어(업무환 생산성 27% 향상
포스코ICT 경, 전력, 안전 등), 무인로봇 제품품질 21% 향상
활용, 가상공장을 활용한 사전 에너지효율 34% 향상
검증 및 교육 등
삼성전자 (에나인더스트리社)사출작업 자
공정시간 획기적 감소
(경북창조센 동화 불량률 감소(12 -> 1.8%)
터)
현대자동차
대기업 (광주창조센 20개사에 ICT 기반 공정품질 공정불량률 감소, 생산성 향상, 품
협력사 터) 관리 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질비용개선

등 60.3% 개선성과 달
(연계) (우리社) 생산/판매/관리 전산화 제조 리드타임 단축(163 -> 119일)
한화 등
KT (다산정보통신社) 설비자동화, 설비가동률 70% 개선(40 -> 68%)
생산 작업DB화
생산 공정에 바코드시스템 도 생산성 향상(서류/작업준비 시간
라이쏠 입 단축)
원가절감(재고량 15% 감소)
새한진공 IT활용
열처리
자동화 설비 도입
작업결과 빅데이터 구 불량률 70% 개선(3 -> 1% 미만)
열처리 축 원가절감(전기요금 30% 감소)
중소기
업 재영솔루텍 설계-생산정보 공유시스템 구 작업시간 30~50% 단축, 설계정보
축 입력 오류발생 50% 감소
삼일금속 공정자동화, 공정변수 모니터링 작업자 유해환경 노축 감소
및 제어시스템 구축 품질향상 및 생산성 개선
혜성ENG 생산/품질
구축
종합관리정보시스템 공정불량률 44.8% 개선
작업효율 21.3% 향상
※출처: 산업연구원, 미래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의 이슈와 과제, 2015년

- 2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중견, 중소기업 현황(자동화, ICT 관련)


○ 나전

- 품질검사 데이터의 기록 관리를 스마트 패드 스마트 센서 등 , ICT

기기를 적용 검사 시스템을 자동화하여 작업성 및 품질향상을 도모


,

-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초중종물 관리로 생산현장의 품질의식 고



○ 동양금속

시스템을 개선하여 생산최적조건 이탈 시 설비가 자


- FOOL-PROOF

동으로 정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불량률 최소화


○ 신소재산업 ㈜

- 롯트 추적관리시스템 창고관리 프로그램 및 바코드 시스템 관리 도


,

입을 통한 실시간 수불관리 강화
○ 세연테크놀로지
- 고속바코드는 국내 기술수준 부족 모두 외산 ,

기술이 낮아 해외 기술 적용 리더기와 안테나 미들웨어


- RFID Tag , ,

는 우수함
- 이미지센싱 는 해외의존도가 높으며
H/W 능력은 우수함 S/W

○ 한영럭스
- 센서는 국산은 센싱감도 재현성이 취약하여 저가제품 위주로 구성
,

- 디지털 인디케이터는 계전기 계측기 분야는 경쟁력 있음


,

- 모터는 일본기업이 강자이나 범용모터의 경우 경쟁력 있음


○ 로보스타
- 핵심 컨트롤러는 외산에 의존하며 기술력이 필요한 직각좌표 로봇
등은 주로 일본업체 제품을 사용

- 2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15. 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수준



※출처: 전자부품연구원, 산업혁신 3.0 스마트공장 로드맵 연구, 2015년

□ 자동차 업종 현황
○ 자동화된 자재 또는 수동 를 이용하여 부품을 인식하도
Rack Scanner

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운영 중인 설비의 상태정보 및 생산 실적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기능 구축
○ 설비의 상태는 으로 구별되어 서로 다른 색으로
RUN, IDLE, DOWN

표시되며 생산라인에 메인설비를 지정하여 라인의 상태를 모니터링


,


○ 자동차 공장의 현장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알람 를 TAG

에 계층화 구조로 등록하고 주요 에 대하여는 별도의


Database , TAG

주요 알람 로 관리가 가능
TAG

□ 디스플레이 업종 현황
○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에 를 구축하
ROS (Remote Operating System)

여 사람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킴


○ 작업자가 제조 현장이 아닌 원격지역에서 작업함으로써 업무환경 개

○ 단위 생산 설비의 공정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각종 제어 및 Device

- 2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각Module을 통합 연계 제어하여 대 면적 를 통합 운용 LCD Loader

함으로써 동선이 달라지거나 생산 공정의 시나리오가 달라지는 경우


에도 쉽게 대응가능
□ 조선 업종 현황
○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선소 내부 통합시스템과 조선소와
외부 연관 기업 및 조직과의 협업을 증진시켜주는 외부 연계시스템
을 구축
○ 시스템을 이용해 물량정보 설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계일정 및 정보 선박사후관리 등 선박제조의 효율성을 높임


,

□ 제약 업종 현황
○ 물류 최적화를 고려하고 완전 자동화 동선을 설계하여 개선 Layout

○ 개별 시스템을 중앙통제 시스템으로 일원화하여 물동량 처리를 극대


화하고 설비상태 상시 감시 체제 원부자재 추적성을 확보하였으며
, / ,

원부자재에 대해 유통일자 고려하여 작업 배분 운영


○ 창고 의 업무
Zone 를 기준으로 재정리 항온 항습
Process 美 FDA , /

상시 유지와 시 자동 보정장치 가동으로 품질을 유지


Spec Out

□ 물류 업종 현황
○ 패킷 구분기 개조 및 공급 컨베이어 설계 제작
○ 모션 및 제어 부품의 국산화와 제어 및 운영시스템의 신규 개발
I/O

○ 정확한 실적 수집이 가능하도록 정보 계 표준화


Data

□ 대기업은 “중간”단계 이상의 스마트화 수준을 달성중이나 대다수 중소


기업의 스마트화 수준이 “기초”단계 이하에 있기 때문에 스마트공장 수
요도 “기초”, “중간1”단계를 희망
□ 수요-공급기업 간 연계가 강하거나(자동차, 전자), 자동화 설비 작업비중
이 높은 연속공정 업종(화학大)은 스마트화가 높은 편이고, 자동화 구현
이 어려운 주문생산 방식 업종(기계), 전반적인 기업규모가 영세한 업종
(제약 , 화학中小 ) 등은 스마트화가 미흡한 편임 . 뿌리업종도 영세기업의

- 2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수작업 중심의 공정(용접) 등이 존재하여 타


업종에 비해 스마트화가 미흡

그림 16. 업종별 수준 분석
※출처: 전자부품연구원, 산업혁신 3.0 스마트공장 로드맵 연구, 2015년

2. 국내외 스마트공장 주요 이슈
□ 세계적으로 독일 지멘스(PLC, CAD 등), 스위스 ABB(센서 등), 미국
SAP(솔루션 등 ) 등의 회사가 글로벌 시장을 장악

○ 공장 구성요소 간 기기 솔루션 등 표준 통신방식 등의 연결성 및


( , ) ,

호환성 문제로 소수 기업들의 승자독식 경향 (All or Nothing)

○ 국내 중소기업 제품의 경우 호환성 업그레이드 및 유지 보수가 보장


, ·

되지 않는다는 인식 등으로 수요기업들이 도입을 주저


○ 높은 품질의 국내 제품인 경우에도 막연한 신뢰부족으로 수요기업들
,

은 해외 유명 제품을 선호

- 2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17. 주요 핵심제품의 기술수준


※출처: 전자부품연구원, 산업혁신 3.0 스마트공장 로드맵 연구, 2015년

□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준 플랫폼 부재로, 수요기업의 ICT 기반 고도화


추진 시 추가투자 저해요인으로 작용
○ 제품 업그레이드 및 시스템으로 교체가 어려워 효용가치가 저하
他 ,

되고 방치 및 폐기되어 추가도입을 기피하는 악순환 발생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기초 부품·컴포넌트 연구나 IT 원
천기술 개발은 취약한 상황
○ 통신망과 같은 인프라를 서비스 하는 기업을 제외하고 플랫폼 서비
스 측면에서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핵심기술이 상대적으로 취약
○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디바이스 개발 위주로 역량이
편중되어 있음
□ 공장 스마트화 추진 시 소요되는 비용 및 위험부담은 스마트공장 활성
화에 애로요인으로 작용하고, 설비 및 기기, 솔루션, 인력 등 공장 스마
트화 지원 사업들 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개별 시행되고 있어 지원효과
저하
○ 단기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천천히 발생하므로 투자 ,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공장 스마트화 투자를 주저


○ 업종별 개별 공장별 적합 솔루션 탐색 최적화
, 를 위한
, (Customizing)

시행착오 기간 및 추가 비용발생 문제 발생
(trial & error)

○ 특히 뿌리산업의 경우 투자여력이 부족하고 구축규모가 작아 수익성


- 2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이 보장되지 않는 이유로 공급기업들이 참여에 소극적


○ 보급사업의 경우 운용 인력 전문교육 등과 연계되지 못하여 활
ERP

용가치 저하
□ 공장 스마트화를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수요·공급 기업의 경쟁력
동반 약화 우려 증가
○ 재직자 교육과정 부족 및 대학원 연구실 감소 등으로 전문 운용 인
력 수요기업 및 우수 개발인력 공급기업 확보에 애로
( ) ( )

□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기보다 과거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을 고수하여,


저임금 노동력 확보에 집중
○ 뿌리산업의 경우 숙련공 감소 고령화 등으로 품질유지 불안정성이
,

커지고 있음에도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을 통해 단기 대응


,

○ 뿌리산업 기업의 인력 부족율은 로 일반중소기업의 배 이상이


8.76% 2

며 전체인력 중
, 가 차지
40~50代 63%

- 2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3절 국내외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1. 국내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 정부 및 대기업 동반성장 사업을 통한 컨설팅, 구축비용 지원 및 산업
은행 자금을 활용한 자동화 설비 투자융자 지원
○ 산업혁신 운동 대한상공회의소 ( )

대기업 동반성장 기금을 활용하여 차 협력사에 제조 단계를


- 2·3 全

대상으로 솔루션 구축 지원
IT

제품개발
- 생산관리
(PLM), 자원관리 공급망관리 (MES), (ERP), (SCM)

등을 지원
자금 규모는 억 원 이상 기업 당 천만 원 내외 지원
- 80 , 4

○ 생산현장 디지털화 사업 중소기업청 ( )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생산 분야 솔루션


- 구축 및 업그레이 IT (MES)

드 지원
자금 규모는 억원 기업당 총사업비의
- 80 최대 천만원 지원
, 50%, 6

○ 스마트공장 온렌딩 산업은행 ( )

시중은행이 산업은행 자금을 활용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자


-

동화 설비투자 융자 온렌딩 지원 ( )

자금 규모는 억 원
- 500

○ 융합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지원 사업 산업통상자원부
ICT · ( )

제조 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 ·

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

제조 자동화 관련 장비 제어기 센서 등 구입 지원 ( , )

현장자동화 및 생산운영관리시스템
- 에너지관리시스템 (MES), (FEMS),

제품개발지원시스템 공급망관리시스템 기업자원관리시


(PLM), (SCM),

스템 등을 지원
(ERP)

- 2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자금 규모는 총 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예산 억 원 삼성전자


- 150 ( 75 ,

출연 억 원 기업 당 총 사업비의
75 ), 최대 천만 원 지원 50%, 5

□ 광역지자체가 지역별 특성에 맞게 선정한 지역의 대표산업 육성사업과


생산현장 스마트화 지원을 연계 추진
○ 협력업체 네트워킹 생산기능 전략컨설팅 자가 공장 설립 등을 통해
, ,

실시간 정보교환 생산협업 자동화 등 스마트화 지원


,

○ 매년 마련하는 광역지자체의 지역산업진흥계획에 지역별 특화된 스


마트생산 방식 확산 내용을 포함하여 클러스터링 촉진
기 구축된 여개 산학연
- 70 협력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스마트 R&D

기술 애로 해결
□ 지역별 특화된 스마트화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 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하여 지역 제조업의 창의성과 새로운 시장창출
역량을 강화하는 창의융합형 추진 R&D

융합과제 수요조사 후보과제 선정 등 공동실시


- ,

○ 시 도 경계를 넘어 산업가치사슬이 형성된 산업에 대해서는 기업군


·

별 통합 패키지 . 추진 R&D

□ 기술지원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들이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술


지원 수요를 한 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추진
□ 현재 연구기관, 대학, 시험인증기관 등이 전국에 산재되어, 개별적으로
중소기업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

2. 국내 스마트공장 인증제도 현황
□ KS 규격화된 종합평가체계(시스템 구축 여부, 생산성 등의 성과 측면
포괄)를 대기업 등 민간인증과 연계하여 마련
○ 자동차 현대 스타 전자 삼성
: 5 /SQ, : SQA, LG SQ-audit

□ 단기적으로 기존 SW·HW간 호환성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제조 패


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표준체계 구축 및 국제표준 대응

- 3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영역별 표준 현황조사 민관 협의체를 통한 공통표준 합의 채택 및


,

신규 개발
○ 스마트공장 표준화 로드맵 수립 스마트공장 표준포럼 구성 ,

□ 제조-IT 융합 보안원칙 마련, 스마트공장 특화 보안솔루션 개발·보급


및 제조분야 긴급 보안위협 대응체계 구성
○ 정보보호 로드맵 미래부 의 제조분야 정보보호 원칙 수립과
IoT ( ) IoT

연계 추진
○ 스마트공장 침해사고 복구지원 정보보안 교육 긴급 대응 매뉴얼 개
, ,

발 보급 등
·

□ TTA에서는 TC 6(소프트웨어/콘텐츠기술위원회) 산하 PG 609(CPS PG


: Cyber Physical Systems Project Group)에서 스마트공장 관련 표준

화 활동을 진행
○ PG 609 는 사이버물리시스템 관련 표준
(CPS, Cyber-Physical System)

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실 세계의 기계 시스템과 기술과의 융합


, ICT

을 다루고 있어 공장에서의 기반 기계 지능화에 대한 표준을 개


ICT

- 3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6. TTA PG 609 스마트공장 관련 표준화 현황


과제번호 표준명 주요내용 제정
예정
스마트팩토리를 생산현장의 생산자원 4M1E(Man, Machine,
2015 위한 생산 Material, Method, Energy or Environment) 정보통
- 현장의 스마트 합화를 통하여 스마트팩토리를 구현 가능하도록 2016
220 화 요구사항 서비스 및 기능 필요 사항을 요구사항으로서 서

2015 자동차 부품산 자동차 부품산업의 제조공정 및 참조 아키텍처


- 업의 제조 공정 모델을 추진하는 데 있어 적용해야 하는 As-Is 2016
221 및 참조 아키텍 model과 To-Be model에 서비스 측면과 기능 측
처 모델 면에서 서술

제조업 생태계를 모델링하여 공통적 비즈니스


역할, 기능 구성요소, 정보 인터페이스 관계를
2015 스 마 트 팩 토 리 제시하는 일반적 참조 구성을 기능적 관점에서
- 참조 모델 보여 주는 것이며, 매우 다양한 산업 공정에 대 2016
222 해 스마트팩토리가 ICT 기술을 통해 어떤 지능
적 형태로 구성 및 운영되는지 개념적 기능 모
델을 제공

전기전자 부품 전기전자 부품 업종의 제조 환경에 대한 개요를


2015 업종 스마트팩 설명하고, 스마트팩토리 관련 표준들을 전기전자
- 토리 적용 지침 업종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을 설명하고, 이어서 2016
223 및 시나리오 스마트 제조가 실현되는 활용 사례 시나리오를
설명

자동차 부품 업 자동차 부품 업종의 제조 환경에 대한 개요를


2015 종 스마트팩토 설명하고, 스마트팩토리 관련 표준들을 자동차
- 리 적용 지침 부품 업종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을 설명하고, 이 2016
224 및 시나리오 어서 스마트 제조가 실현되는 활용 사례 시나리
오를 설명

※출처: KATS, 기술보고서 제78호

- 3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3. 국외 스마트공장 기업지원 정책 현황
□ 독일
○ 세계 위 제조 강국 독일은 첨단기술전략 에 포함된 인더스트리
2 2020

으로 민 관 학 프로젝트 추진
4.0 / /

정책초기에는 독일연방정부 교육연구부에서 수행했으며 년부터


- , 2012

년까지 억 유로의 정부예산을 투자 핵심 동력은 정보통신기술


2015 2 .

이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 간 자율적으로 공동 작업하는


, M2M,

네트워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생산부문과 개발 판 , -

매 등의 업무시스템과의 연계
-ERP-SCM-PLM

초기 인더스트리 전략이 사물인터넷 사이버물리시스템 등 스마


- 4.0 ,

트공장과 관련된 기술표준의 개발 지연과 데이터 보안문제 미해결


로 실용화가 멀어졌다는 지적에 따라 그간 성과를 분석하여 개선작
업을 진행
인더스트리 의 초기 접근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제조공정 디지털
- 4.0

화 전략 개선 표준화 데이터 보안 제도정비 및 인력 육성을 새로


, , ,

운 과제로 재설정하는 플랫폼 인더스트리 으로 전환 4.0

□ 미국
○ 첨단 제조 전략 발족
미국은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
- 의 권고로 첨단 제조 파 (PCAST)

트너십 프로그램을 발족 월 미국 정부는 향후 억 달러


(AMP) (11.6 ). 5

이상 투자를 약속하며 미 연방정부에 의해 추진될 핵심 단계 , (Key

를 발표 하여 국가 안보 및 산업에 관련한 제조 역량을 강화


Step)

하고 첨단 물질의 개발과 상용화 시간을 단축


, .

공장 근로자 의료인 군인 등 인간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차세대


- , ,

로봇을 개발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제조 공정을 개발


○ 첨단 제조업 육성
미국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
- 에 의해 채택된 것으로 첨 (PCAST)

- 3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단 제조업 파트너십 운영위원회가 건의 미국 대통령에게 첨


(AMP)

단 제조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가지 정책 권고 및 조속한 시행을 16

요청 월 하고 기존 도출된 초기 연구결과와 관심을 고조시키


(2012.7 ) ,

고자 첨단 제조업 파트너십 으로 보완 월 (AMP2.0) (’14.10 )

표 7. BMWi( 경제통상부 자료 종합 )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주체 산업협회 경제에너지부와 교육연구부
(BITKOM,VDMA, ZVEI)
연구 어젠다 중심. 독일의 국 정부기관 책임 하에 산업, 노
형태 가 차원의 미래첨단기술전략 조, 연구 기관이 함께 참여하
10개 핵심 주제에 포함 는 현 정부 핵심 추진 과제
기존 인더스트리 4.0의 적용전
략 제안을 바탕으로 5개 핵심
분야로 세분화, 각 분야별 실
제 적용 가능한 결과물 도출
핵심 추진 인더스트리 4.0 개발/발전 및 - Reference architecture 및
과제 적용 전략 도출 표준
- 연구 및 혁신
-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보안
- 법적, 정책적 조건
- 인력 육성, 교육
각 핵심 분야에서 손에 잡히는
목표 인더스트리 4.0 실행 기획안 결과물 도출
결과물 2015년 4월 적용전략 제안문 2015년 11월 19일 정부주최의
서 발표 IT 최고정책회의(IT Gipfel)에서
1차 결과물 발표
※출처: 포스코경영연구원,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4.0

- 3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8. PCAST 의 가지 정책 권고
16

범주 추천 사항
1. 범국가적 첨단 제조 전략의 수립
2. 최상위 분야 기술의 R&D 자금 지원 확대
혁신의 실현 3. 범국가적 제조 혁신 기관 간 네트워크 수립
4. 첨단 제조 연구의 산학 협업 활동 강화
5. 첨단 제조 기술의 상업화를 위한 주변 여건 조성
6. 범국가적 첨단 제조 포털 구축
7. 제조에 대한 일반인의 오해 수정
8. 재향군인을 위한 인재 풀 마련
재능의 9. 지역 대학 단위의 교육 투자
숙련화 10. 제조 숙련도 증명 및 승인을 위한 파트너십 개발
11. 첨단 제조 관련 대학 프로그램의 확대
12. 범국가적 제조 펠로우쉽 및 인턴쉽 창설
13. 세재 개혁
비즈니스 14. 첨단 제조 관련 법률 규제의 유연성 확보
환경 개선 15. 통상 정책의 향상
16. 에너지 정책 개선
※출처: PCAST, Report to the President on capturing domestic advantage in advanced
manufacturing

-스마트제조 선도 기업 연합에서는 관련 연구를 통하여 아래 표와


같은 년 기준으로 달성해야 할 정량적 정성적 평가 항목과 목
2020 ·

표를 제시
□ 일본
○ 산업재흥플랜
-디플레이션 탈피와 경제 재건을 위해 아베노믹스 대 전략의 하나 3

로서 산업재흥플랜
“ 에 기반을 둔 과학기술혁신 정책을 전
“(2013.6)

- 3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9. 2020 년 기준으로 달성해야 할 정량적 정성적 평가 항목과 목표 ·

평가항목 정량적·정성적 목표
제품 사이클 단축 제품의 시장 진입 사이클의 10배 가속화
스마트제조용 모델 및 현 벤치마킹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대비 80~90% 수준
툴의 비용절약 의 구현 비용 감소
스마트제조 컨셉의 전 제조 기업 내 공장 운영 75% 수준에 대한 공장 자산
사적 구현 (장비 및 시스템) 90% 수준의 모델링화 및 구현
- 운영 효율성 20% 증가 및 운영비용 30% 감소
수요기반의 자원효율 -- 안전사고 25% 감소
에너지 효율성 25% 증가
성 - 제조 소요시간 40%까지 단축
- 공급사슬망에서의 제품 추적성 확보
제품 지속가능성의 공 - 제품 지속성을 위한 데이터 및 모델링 프레임 워크
통 이해 창출 개발
- 신산업 발굴을 통한 25% 수익 증가
현 산업 기반 유지 및 -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통한 25% 수익 증가
성장 - 중소기업의 역량 두 배 강화
- 고숙련을 요구하고 안정적인 일자리 증가

기존에 발표된 신성장전략


- 일본재생전략 등과 달리 문 (2010), (2012)

제점 해결을 위한 세부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


첨단설비투자 촉진과 과학기술혁신 추진을 핵심과제로 선정하고 제
-

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비투자지원 도전적 투자 강화 등 , R&D

을 통해 향후 년 이내에 기술력 순위를 위 현재 위 로 하는 목표


5 1 ( 5 )

를 제시 엔화 약세 정책과 더불어 산업재흥플랜기반의 산업구조 혁


.

신 및 설계생산기술 투자를 강화 R&D

□ 중국
○ 중국제조 2025

제조업의 특정분야가 아닌 제조업 전체를 아우르고 년 단위로 수


- 5

립된 과거의 규획들과 달리 년 앞을 내다본 중국제조 규획 10 ‘ 2025’

을 제정 앞으로 년 ∼ 년 안에 전 세계 제조업 부 리그
. 10 (2015 2025 ) ‘2 ’

- 3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에 들어가고 그 다음 년 ∼ 년 엔 부 리그 진입 뒤 세
, 10 (2025 2035 ) ‘1 ’

번째 년 기간 ∼ 년 에 부 리그의 선두로 발돋움하겠다는


10 (2035 2045 ) 1

전략을 제시
- 제조업 전반에 대해 톱다운 방식의 전략적 대응과 상황변화에 유연
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전략과 함께 차세대 기술 첨단 공 IT , CNC

작기계 및 로봇 등의 대 육성 전략을 세움 10

- 제 차 개년 계획 생산 장비 고도화 및 정보 통신진흥계획을
12 5 內

수립하고 제조업 미래 투자를 본격화하였으며 제조업 개조 및 고도 ,

화 전략적 신성장 산업 육성 등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최우선 정책


,

방향으로 제시

- 3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3장 경기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정 구축 사례 및

수요 조사

1. 경기도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준 분석


□ 기업 규모 별 수준 분석
○ 경기도 제조업의 기업 규모 별 등록 현황
경기도는 제조업에서 전국 개 시 도 중
- 17 35.8% 를 차지하는 독보적
으로 제조업이 집적
표 10. 전국 대비 경기도 제조업 기업 규모 별 업체 수 및 종업원 수
구분 업체수 계종업원수 대기업
업체수 종업원수
중기업
업체수 종업원수
소기업
업체수 종업원수
60,174 1,082,134
경기도 (35.8%) 198 208,683 2,656 251,272 57,320 622,179
(30.7%) (19.0%) (25.1%) (28.8%) (28.4%) (36.3%) (34.5%)
전국 168,126 3,523,380 1,041 832,839 9,235 886,102 157,850 1,804,439
※제조업 기준: 대기업(자본금 80억원, 종업원 300인 이상), 중기업(50인 이상),
소기업(49인 이하)
※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2014년

○ 경기도 제조업의 기업 규모 별 비교 및 스마트공장 수준


- 제조업의 규모별 사업체수는 중소기업이 이며 대기업이 99.4% 0.6%

이다 특히 인의 사업체는
. , 5-9 인의 사업체는 45.5%, 10-19 27.5%,

인의 사업체는
20-49 로 대부분 스마트공장을 전혀 도입하지
18.5%

않은 소기업이 를 차지 사업체수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생


91.5% .

산액은 중소기업이 이며 대기업이 를 차지 이러한 결과


47.6% 52.4% .

를 보이는 이유 중 하나는 공장의 스마트 수준 중소기업 중에서도 .

종업원 수가 인 미만인 소기업의 스마트화가 중요


50

- 3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11. 경기도 제조업 사업체 기업 규모 별 기본 정보 비교


(단위 : 개사, 명, 억원)
구분 사업체수 종사자수 생산액 부가가치
중소기업 117,969 99.4% 2,418,584 77.8% 7,398,594 47.6% 2,235,637 46.8%
대기업 630 0.6% 687,549 22.2% 8,139,750 52.4% 2,531,657 53.2%
계 118,599 100% 3,106,133 100% 15,538,344 100% 4,767,294 100%
※출처: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조사통계시스템, 중소기업 제조업 기준

- 하지만 현재까지 정량적 정성적 자료를 확인 할 수는 없음 스마트 .

공장에 대한 인증모델은 발표됨 이후 규격화 및 인증


15.11.11 . KS

제도를 운영할 계획 점 만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추후에는 모


. 1000

든 제조업 기업체의 스마트공장 수준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고 조사


기관을 통해 다양한 분류 별로 통계가 나올 예정 통계자료를 이용 .

하여 지속적인 스마트공장의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연구로 제조업


의 개발과 성장을 이어가야 할 것
□ 업종 별 수준 분석
○ 경기도 제조업의 업종 별 비교 및 스마트공장 수준
경기도 제조업은 전자부품을 중심으로 기계 금속 화학 등의 업종
- , ,

에 큰 비중을 차지 전자부품은 경기도 제조업 업체 수 중 로


. 7.7%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의 종사자를 차지 이를 통해 22.1% .

대부분이 대기업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음 생산액은 경기도 제 .

조업 내에서 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비중


31.8%

수요 공급기업 간 연계가 강한 자동차 전자 업종이나 자동화 설비


- - ,

작업비중이 높은 연속공정 업종인 화학 분야 대기업은 스마트화가


높은 편 하지만 자동화 구현이 어려운 주문생산 방식 업종인 기계
. ,

와 금속 등의 업종과 전반적인 기업규모가 영세한 업종인 제약 화 ,

학 분야 중소기업 등은 스마트화가 미흡

- 3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12. 경기도 제조업 업종 별 사업체 수 및 기본 정보


(단위 : 개, 명, 억원)
업종 사업체수 종사자수 생산액 출하액 부가가치
식료품 1,710 46,058 152,466 152,096 54,699
음료 76 2,860 27,487 27,503 14,306
담배 - - - - -
섬유제품 2,028 34,593 64,751 64,642 23,713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823 11,660 15,548 15,457 6,446
모피제품
가죽, 가방 및 신발 502 8,167 24,696 24,359 6,896
목재 및 나무제품 646 7,113 13,044 12,965 4,93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1,485 26,890 80,945 81,052 26,36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 936 15,611 23,671 23,704 11,096
코크스, 연탄 및 28 578 3,004 2,981 801
석유정제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624 34,726 166,333 165,719 60,60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246 14,080 67,859 67,556 37,546
고무제품 및 4,415 82,760 201,366 200,434 67,477
플라스틱제품
비금속광물제품 1,130 20,778 71,643 71,592 25,991
1차 금속 1,212 25,937 149,700 149,197 33,104
금속가공제품 6,794 96,287 211,311 211,063 79,268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3,228 213,086 1,089,959 1,079,437 538,853
음향 및 통신장비
의료, 정밀, 1,638 35,439 82,399 81,831 36,045
광학기기 및 시계
전기 장비 3,328 64,416 187,539 186,925 59,170
기타 기계 및 장비 6,075 115,089 294,477 294,367 113,783
자동차 및 트레일러 1,164 70,886 430,963 430,692 142,120
기타 운송장비 104 1,813 3,765 3,730 1,491
가구 1,698 21,442 40,456 40,268 15,671
기타 제품 979 13,268 21,834 21,775 9,170
전체 41,869 963,538 3,425,216 3,409,345 1,369,552
※출처 : 통계청, 광업 제조업조사, 2012년

- 4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2. 경기도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 우수 사례
□ 에이스기계
○ 기업현황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 :

직원 수 여 명
- : 50

매출액 억 원
- : 155

업종 제조
- :

생산품목 종이포장기계
- :

○ 기존 시스템
약- 여개 부품의 수작업 관리에 따라 적재 공간 낭비 및 부품
20,000

활용 시 과다한 시간 및 노력 투입 등 비효율 발생
재고관리시스템 부재로 적정재고 확보 미흡 및 관리시스템 부재
- AS

로 고객 요구에 적절한 대응 지연 품질관리 미흡 ,

○ 스마트화 구축
재고관리시스템 및 자동창고시스템 도입을 통한 부품 실시간 모니
-

터링
공간 활용도 개선 및 작업자 동선 최적화로 업무효율 극대화
-

관리시스템 구축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품질 개선 및 성능향상


- AS

○ 개선 효과
생산성 향상 설비 가동률 증가 납기 단축
- : 45% , 20%

비용 절감 원가 절감
- : 15%

□ 에이엔텍
○ 기업현황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 :

직원 수 여 명
- : 40

매출액 억 원
- : 80

업종 주조
- :

- 4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생산품목 세라믹 산업용 도자기 등 : ( )

○ 기존 시스템
-작업지시 생산실적 관리 등의 수작업 처리
,

-설비가동률 및 불량률 등 핵심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 불가


○ 스마트화 구축
시스템 도입을 통해 생산 정보 수집 분석 활용 및 생산관리
- MES , ,

자동화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닝
○ 개선 효과
-원가 절감 15%

-불량률 이상 절감 10%

-장비가동률 증가 75%

-납기 단축 20%

□ ㈜새한진공열처리
○ 기업 현황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

-직원 수 명 : 32

-매출액 억 원 : 40

-업종 금속제품 연마 및 열처리


:

○ 기존 시스템
-직관 경험에 의존한 의사결정
,

일 시간 공장을 가동하고 노동 강도가 높고 수익 저조


- 365 24

-전기요금 및 인건비 과다 발생
-불량원인 파악 곤란 분석 데이터 및 수단 부재 ( )

○ 스마트화 구축
-설비 운전 정보 디지털화 및 네트워킹
-문서 생성 자동화

- 4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스마트기기를 통한 영업정보 실시간 집계


추적 및 공정 품질 분석
- Lot ,

○ 개선 효과
- 생산계획 수립률 개선 → : 5% 80%

- 불량률 개선 → 미만
70% : 3% 1%

- 원가절감 전기요금 (감소 월평균 만원 → ) 30% : 2,500 1800 만원


- 매출액 증가 억 → 억 예상 : 40 60 ( )

3. 경기도 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요 분석


□ 수요조사 목적
○ 경기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성장 잠재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내
제조기업의 수요 기반 스마트공정 모델 개발 확산 필요에 따라 본 /

조사는 경기도내 중소 제조기업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술 현황 및 애


로사항 스마트공장 수요를 객관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향후 스마트
, · ,

공장 모델 개발 및 확산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


를 제공함에 목적

그림 18. 품질관리를 위한 기술 현황 및 스마트공장 수요 현황

- 4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수요조사 설계
표 13. 수요조사 설계
구분 내용
조사대상 경기도 소재 제조기업(중소기업 위주)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On-line Survey) - 팩스, 이메일 조사
등 병행
조사지역 경기도
표본 수 및 표본오차 전체 모집단 : 1,856명/총 580 표본 95% 신뢰구간
±3.37%
표집방법 리스트를 활용한 표본조사
조사기간 2015년 9월 24일 ~ 11월 26일

□ 기업체 일반 현황
○ 근로자 수 기업체 일반현황을 살펴보면 인 미만인 기업이
: , “10 ”

로 조사 참여 기업 중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남


57.2%

○ 매출액 연간 매출액은 억 원 미만 인 업체가


: “20 로 가장 많았 ” 59.8%

으며 억 원이 넘는 업체는 전체의
, 100 로 나타남 11.6%

표 14. 기업체 일반 현황
구분 사례수 비율 (%)
전체 580 100%
10인 미만 332 57.2 %
10인~30인 미만 139 24.0 %
근로자 수 30인~100인 미만 89 15.3 %
100인~300인 미만 19 3.3 %
300인 이상 1 0.2 %
20억원 미만 347 59.8 %
20억원 ~ 50억원 미만 101 17.4 %
50억원 ~ 100억원 미만 65 11.2 %
매출액 100억원 ~ 300억원 미만 48 8.3 %
300억원 ~ 700억원 미만 15 2.6 %
700억원 ~ 1,000억원 미만 3 0.5 %
1,000억원 이상 1 0.2 %

- 4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근로자 수 19.

(Base =전체 단위 (n=580), = %)

그림 20. 매출액
(Base = 전체 (n=580), 단위 = %)

○ 주력사업에 대한 산업분류 업종 ( )

- 기업의 주력사업 산업분류를 살펴보면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 “ , , ,

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이 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 제품 제조


” 18.6% “

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3%), “ 순으로 나타남 ”(14.8%)

- “담배 제조업 과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은 한 곳도


” ” , ”

조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4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21. 주력사업에 대한 산업분류 업종


( )

표 15. 주력사업에 대한 산업분류


구분 사례수 비율 (%)
전체 (580) 100%
식료품 제조업 11 1.9
음료 제조업 2 0.3
담배 제조업 0 0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 12 2.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0.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 0.5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 제외) 5 0.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0.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0.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0 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29 5
업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 0.7
(KSIC)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9 6.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 1.4
1차 금속 제조업 16 2.8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45 7.8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108 18.6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36 6.2
전기 장비 제조업 44 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6 14.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6 2.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0.3
가구 제조업 2 0.3
기타 제품 제조업 106 18.3
※표본이 30개 이상인 지역과 전체적인 분포 비율이 7%미만인 산업 업종은 제외

- 4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기업체 운영 현황
○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 운영 여부
-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를 운영여부에서는 운영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가 각각 와 로 유사한 비율을 나타냄
49.7% 50.3%

그림 22.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


운영여부
(Base = 전체 단위
(n=580), = %)

- 근로자 수나 매출액이 많을수록 품질관리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거


,

나 생산현장 자동화를 구성하여 전담부서를 운영하는 비율이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3. 종사자규모에 따른 품질관리부서 운영여부


전체
(Base = 단위
(n=580), = %)

- 4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24. 매출규모에 따른 품질관리부서


운영여부
(Base = 전체 단위 (n=580), = %)

○ 품질관리 인프라 장비 도입 및 운영 현황 및 계획
- 품질관리 인프라 장비도입 및 운영 현황을 보면 인프라를 도입 및
운영하지 않는 업체가 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66.2%

- 품질관리 인프라 미 운영 기업 중에서 향후 인프라 도입 및 운영


(未)

의향을 물어본 결과 가 도입 및 운영 계획이 있다고 응답


, 56.0%

- 특히 근로자 수가 많을수록 매출액이 높을수록 품질 관련 전담부


,

서나 생산현장 자동화 시설이 있는 기업의 경우 품질관리 인프라를


도입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25.인프라 도입여부
(Base = 전체 단위
(n=580), = %)

- 4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26.인프라 운영계획 여부
(Base = 전체 단위
(n=384), = %)

○ 생산현장 자동화 구성 현황 및 구축비용


- 생산현장의 자동화 구축 현황을 살펴보면 자동화 구축이 안되어 있 ,

는 응답이 로 월등히 높게 차지함


81.6%

- 근로자수가 인 미만일 경우가 인 이상일 경우 보다 자동화를


100 100

상대적으로 더 많이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생산현장의 자동화가 구축되어 있는 업체들의 경우 자동화 구축비
용으로 평균 억원을 사용하였으며 억 억미만 은
2.8 가구 , “1 ~5 ” 46.2%

축비용으로 사용한 업체로는 나타남

그림 27. 생산현장 자동화 구성여부


(Base = 전체 단위
(n=580), = %)

- 4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28. 생산현장 자동화 구성 계획여부


(Base = 전체 단위 (n=473), = %)

- 특히 자동화 구축비용으로 억 이상 을 지출한 개 기업의 경우


, “20 “ 16

근로자수가 인 이상 100 과 매출액 억 이상 이 가장


(50.0%) 300 (71.4%)

많음
- 근로자 수 및 매출액 규모별로 생산현장 자동화 구축의 평균 비용
을 살펴보면 근로자 수 인 이상 인 기업체 억 원 와 매출액
“100 ” (3.8 )

억 원 이상 억 원 인 기업체에서 가장 많은 비용을 사용한


“300 ”(4.0 )

것으로 조사

그림 29. 생산현장 자동화 구축비용


(Base = 전체 단위
(n=107), = %)

- 5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기업체 지원방향
○ 작업공정 표준화 애로사항
- 작업공정 표준화에 있어 애로사항으로는 순위 다품종 소량생산 1 “ ”

이 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생산위주의 작업
58.4% 과 , “ ”(12.6%)

표준화 비용 부담
“ 순으로 나타남 ”(12.1%)

- 반면 중복응답 결과에서는 표준화 비용 부담 이 생산위주 작업


, “ “ ” “

보다 근소한 차이를 나타냄

그림 30. 작업공정 표준화 애로사항


(Base = 전체 단위
(n=580), = %)

○ 기업의 성장 및 발전을 위한 지원책


-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는 자금 지원 확대 “

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 개발 지원
“(47.6%) 공정 , “ “(26.9%), “

설비 자동화 지원 순으로 나타남


“(12.4%)

- 한편 근로자 인 이상인 업체와 매출액 억원 이상인 기업규모


100 300

가 큰 업체에서 기술 개발 지원 이 이상 응답을 하여 영세한


“ ” 50%

업체들과는 경영 환경에 큰 차이를 보임

- 5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31. 기업성장 및 발전을 위한 지원책


(Base = 전체 단위
(n=580), = %)

○ 생산공정 혁신을 위한 지원정책


- 생산공정 혁신을 위해 요청되는 지원책으로는 생산공정 자동화 구 “

축 지원 이
” 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을 활용한 생산공정 관
42.2% , “IT

리 지원 전문가에 의한 공정 자문 지원
”(19.7), “ 순으로 나타 ”(16.6%)


- 근로자 수가 인 이상 매출액이 억 이상 일 경우 생산공정 자
30 , 100 “

동화 구축지원 이 이상 높게 나타남
“ 50%

- 전문가에 의한 공정자문 지원 근로자 수 인 미만 과 매출액 “10 ” “20

억 미만 인 소기업에서 지원 요청이 높게 나타나 생산공정 자동화


” ,

구축에 따른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그림 32. 생산공정 혁신을 위한 지원정책


(Base = 전체 단위
(n=580), = %)

- 5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기업 성장 동력으로서 투자 희망분야
- 기업 성장 동력으로 향후 투자를 희망하는 분야로는 신기술 개 “

발 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공정설비 개선


”(62.1%) , 순으 “ ”(16.9%)

로 나타남

그림 33. 미래에 투자하고 싶은 분야


(Base = 전체 단위
(n=580), = %)

□ 스마트공장 수요 분석 결과

그림 34. 스마트공장 구축시 생산공정 환경의 필수 장비예시


○ 스마트공장 구축시 생산공정 환경의 필수 장비

- 5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가장 필요한 장비로는 를 “MES”(19.9%)

비롯하여 등 다양한 장비를 꼽았으며


“ERP”(17.3%), “PLM”(12.2%)

각 장비 간 큰 편차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기업의 산업분포를 고려할 때 각 업종별 생산공정에 필요한 장비들
이 상이하게 나타남

그림 35. 스마트공장 구축시 생산공정 환경 필수 장비


전체
(Base = 단위 (n=580), = %)

○ 생산공정 환경의 필수 장비 별 우선순위


- 스마트공장 구축시 요구되는 장비들의 우선순위를 보면 가장 필요 ,

한 장비의 응답결과와 유사하게 로 순위로 응답되었 “MES”(26.2%) 1

으며 그 다음으로
, 순으로 나타남
“ERP“(23.4%),”PLM“(16.9%)

그림 36. 생산공정 환경 필수 장비별 우선순위


(Base = 전체 단위
(n=407), = %)

- 5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설문 종합결과 및 제언
○ 기술현황 보유 및 운영현황
-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를 운영하는 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는
각각 와 로 비슷하게 나타남
49.7% 50.3%

- 기업규모가 인 미만인 기업이 가 넘는 것을 고려할 때 글로


30 80%

벌 기술보유 와 국제규격 획득
(20.3%)이 낮게 나타나는 이유 (25.4%)

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인프라 및 네트워크의 비활성화가 원인인 것


으로 판단

그림 37. 미래에 투자하고 싶은 분야


(Base = 전체 단위 (n=407), = %)

- 특히 품질관리 개선 전담부서 품질관리 인프라 생산현장 자동화


, / , ,

구성이 되어있는 업체에서 품질개선활동 품질관련인증 분야에 , 60%

이상 인증을 보유하고 있고 나머지 국내품질인증 기술개발제품 국 , , ,

제규격 글로벌기술 분야에서는 미만으로 저조하게 인증을 보유


, 40%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기업체 규모별로 살펴보면 매출규모가 높을수록 종사자 수가 많을, ,

수록 품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 각각의 품질관련 인증의 비율이 ,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품질관련인프라 도입 생산현장의 자동화 구


, ,

성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 5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생산현장 자동화 구축 현황
- 생산현장의 자동화가 구축되어 있다는 응답은 로 나타나며 81.6%

자동화 구축비용으로 평균 억원 소요됨 2.8

- 생산현장의 자동화가 구축되지 않은 업체에게 향후 생산현장 자동


화 구축 의향을 물어 본 결과 가 구축하겠다고 응답함 53.5%

- 현재 품질관리 인프라의 도입 및 운영하지 않는 업체가 이나 66.2%

앞으로 도입 및 운영 계획을 갖고 있는 기업은


, 로 나타남 56.0%

○ 작업공정 표준화 주력생산품 및 양산기술 자동화의 애로사항


/

- 각 항목 작업공정표준화와 주력생산품 및 양산기술 자동화 의 애로


( )

사항으로 다품종 소량생산과 생산위주의 작업 표준화 비용부담이 ,

동일하게 나타남 이는 소규모 기업경우 주문에 의한 생산체계의 전


.

형적인 방식으로 작업의 합리적인 체계화가 어렵고 작업 계획이나


작업 통제도 번거로운 상황이기 때문으로 판단됨 또한 자동화를 적 .

용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 아니라는 의견도 를 차지해 기업을 21.9%

지원할 때 자동화를 적용시킬 수 있는 아이템을 생산하는 사업장인


지 고려 필요
- 작업공정 표준화에 있어 애로사항으로는 다품종 소량 생산 이 “ ”

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생산위주의 작업
58.4% 과 표 , “ ”(12.6%) “

준화 비용 부담 순으로 나타남
”(12.1%)

- 주력 생산품 및 양산기술의 자동화 애로사항으로는 작업공정의 표


준화 애로사항과 동일하게 다품종 소량 생산 이 “ 가장 많이 ” 52.9%

응답한 반면 자동화를 적용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 아니라는 의견도


를 차지함
21.9%

○ 기업성장발전 및 생산공정혁신을 위해 요청되는 지원책


- 기업 성장발전 및 생산공정혁신을 위해 요청되는 지원책으로는 자 “

금지원 확대 및 생산공정 자동화 구축지원 이 가장 높게 나타났


” “ ”

으나 미만 영세기업의 경우 기술개발 지원 및 전문가에 의한


, 10 “ ” “

- 5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자문 지원 또한 높게 나타나 자금 및 시설 등 물적 지원과 더불어


인력지원과 같은 무형자원의 지원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보임


-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원책으로 자금 지원 확 “

대 가 가장 높으며 기술 개발 지원
”(47.6%) , “ 공정설비 자 ”(26.9%), “

동화 지원 순으로 나타남
”(12.4%)

- 생산공정 혁신을 위해 요청되는 지원책으로는 생산공정 자동화 구 “

축 지원 이” 로 가장 많았으며 기술을 활용한 생산공정 관


42.2% “IT

리 지원 전문가에 의한 공정 자문 지원
”(19.7), “ 순으로 나타 ”(1.6%)


- 기업 성장 동력으로 향후 투자를 희망하는 분야로는 신기술 개 “

발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이어 공정설비 개선


”(62.1%) , “ ”(16.9%)

순으로 나타남

- 5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4장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사업의

경기도 유치 타당성 분석

제1절 경기도 유치타당성 조사

1. 스마트공장 기반구축 사업 현황
□ 스마트공장은 국가 제조업 혁신 3.0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과제로서
전국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추진
○ 스마트공장 기반구축사업은 중소ㆍ중견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
현장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내 현실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
트공장 도입을 지원해 주는 사업을 의미
현재 산업부(스마트공장 추진단)과 미래부(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스
-

마트공장 지원 사업을 추진
스마트공장 확산 전략으로써 매년 2천억 원 이상 투자, 연 1500개
-

이상 구축, 관련 표준 인증 등의 기반 구축을 통해 2020년까지 약 1


만개의 스마트공장을 확산시키는 목표 수립
○ 스마트공장 기반구축사업 지원 조건 및 내용
생산공정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

제조 자동화 관련 장비(제어기, 센서 등) 구입 지원 등
현장자동화 및 생산운영관리시스템(MES),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

제품개발지원시스템(PLM), 공급사슬관리시스템(SCM), 기업자원관리


시스템(ERP) 등

- 5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16. 스마트공장 기반구축사업 분야 및 내용


분야 내용
- 바코드 활용 실적 집계, 데이터 모니터링 등 제조현장 정보화
공장 운영 기반 마련
시스템 - 생산운영관리(MES), 에너지관리(FEMS), 제품개발지원(PLM),
공급망관리(SCM), 기업자원관리(ERP) 등
제조 자동화 - 저비용 고효율 제조 로봇(무인운반차 등) 개발 보급
- IoT센서, 로봇 등을 접목하여 생산성과 품질 경쟁력 향상
공정 - 공장 제품설계 등을 사전 검증을 통한 시행착오 예방
시뮬레이션 - 공장 및 공정 레이아웃 시뮬레이션 분석, 데이터 해석을 통한
품질 확보
- 금속 소재의 정밀설계, 가공, 조립을 위한 솔루션 제공
초정밀 금형 - 도장, 코팅, 연마 등 공정 개선을 통한 외관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지원
※출처: 2016년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사업 공고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실효성 확보하고 지역 뿌리 산업의 스마


트화를 위해 지역중심의 지원 전략 필요
○ 특히나 산업의 기초인 뿌리업종은 영세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
고 가 중소기업) 용접과 같은 수작업 중심의 공정 등이 존재하
(99.6% ,

여 타 업종에 비해 스마트화가 미흡함


○ 국내 중견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 가 생산 현장에 를 66.7% ICT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고 응답 1)

업종별로는 산업의 기초이자 중소기업 중심(99.6%) 업종인 뿌리산업


-

의 스마트화 수준이 특히 낮아 시급한 혁신 요구

1) 75개 중견·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14.3), “국내 스마트공장 공급 산업 및


수요산업의 연계 및 발전방안”

- 5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38. 현재 국내 제조업 혁신도 및 인식 현황


○ 대기업 협력사간 연계도가 높은 자동차 및 전자 연속공정의 비중이
· ,

높은 화학 업종의 스마트화 수준이 높은 편 2)

ICT의 제조 현장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스마트공장 도입 효과


-

가 높은 업종 중심의 스마트공장의 우선 적용이 검토


○ 스마트공장 사업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천천히 발생하므로 투자여력이 부족한 제조 중소기업들은 공장 스마
트화 투자를 주저
○ 제조 공장 설비 및 기기 솔루션 인력 등 공장 스마트화 지원 사업
, ,

들 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지원효과가 저



○ 년까지 전국적으로 만여 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추진
2020 1

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 중견 제조업체의 경우 자동화와 정보화


,

수준이 낮고 제조현장에서 기술의 활용도가 떨어져 지역 제조업ICT

체들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지 의문


□ 스마트공장과 관련된 최초의 기반구축사업은 그 효과가 높고 수요가 큰
광역자치단체 중심의 지원센터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
○ 위와 같이 범정부 사업으로 스마트공장이 추진되고 있으나 스마트공
2) 관계부처 합동(’15.3), “제조업 혁신 3.0 전략 실행대책”

- 6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장과 관련된 최초의 기반구축사업은 그 효과가 높고 수요가 큰 광역


자치단체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
- 효과적인 타당성 검토를 위해 스마트공장의 최대 수요대상인 제조
업과 특히 뿌리산업 업종이 많이 위치해 있는 광역자치단체 조사
- 스마트공장 산업의 공급측면에서 핵심 산업인 ICT와 로봇산업의 집
중도와 잠재력을 조사
- 광역자치단체별 지역혁신자원 조사 분석을 통한 유치여건 분석
○ 기술지원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스마트공장 기술관련 부품 및 장치
,

를 공급해주는 기업군들이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술 지원


수요를 한 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생태계 클러스터 역할을 수행하
는 센터 구축이 필요
○ 스마트공장 통합 지원 센터는 모델 공장 구축을 통한 실체화된 모델
제시 시제품 시험 인증 지원 정보 및 인프라 지원 전문 컨설팅
, , IT , ,

전문 인력 양성 등 개별 제조 기업의 스마트화 확산을 위한 중점적


역할을 수행

그림 39. 스마트공장 지원센터의 기능

- 6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개념 및 기능


○ 스마트공장 지원 센터는 모델 공장 구축을 통한 실체화된 모델 제시 ,

시제품 시험 인증 지원 정보 및 인프라 지원 전문 컨설팅 전문 인


, IT , ,

력 양성 등 개별 제조 기업의 스마트화 확산을 위한 과정을 지원하는


센터를 의미
○ 주요 기능
- 기술 개발 결과물 및 센서 등 시제품을 시험 및 검증할 수 있는
, SW

장비와 시설 인증프로세스 지원
,

- 지역 제조혁신 추진 시 신속한 제품 서비스 공급과 개선 및 실행 협


·

력을 가능하게 할 제조혁신 관련 지역생태계 구축 지원


- 기술지원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스마트공장 기술관련 부품 및 장치
,

를 공급해주는 기업군들이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술 지원


수요를 한 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생태계 클러스터 역할을 수행

2. 타당성 조사의 범위 및 방법
□ 주요 광역지자체별 제조기업집중도, 스마트공장 연관산업집중도, 뿌리산
업집중도, 혁신자원 등에 대한 최근 현황 및 동향 조사
○ 통계자료 : 통계청 년 전국제조기업현황 한국산업단지공단 공장설
(2013 ), (

립온라인지원시스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산업통계 한국로


(FEMIS)), ( ),

봇산업진흥원 로봇산업통계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산업통계 등


( ), (ICT )

- 6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주요 광역자치단체 현황
표 광역자치단체 현황 총 개
17. ( 17 )

구분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개수 1 6 1 8 1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남,
행정구역 서울 대전, 광주, 울산 세종 충북, 전남, 전북, 제주
경남, 경북
표 18. 광역자치단체별 제조기업 현황 (2013 년 기준)

전산업 현황 제조업 현황
순위 행정구역 사업체수 비율 순위 행정구역 사업체수 비율
  전 국 3,676,876 100%   전 국 370,616 100%
1 서 울 785,094 21% 1 경 기 106,817 29%
2 경 기 773,216 21% 2 서 울 58,551 16%
3 부 산 271,983 7% 3 경 남 30,922 8%
4 경 남 248,913 7% 4 부 산 27,751 7%
5 경 북 205,734 6% 5 대 구 25,426 7%
6 대 구 195,717 5% 6 경 북 22,842 6%
7 인 천 177,990 5% 7 인 천 22,175 6%
8 충 남 145,998 4% 8 충 남 13,452 4%
9 전 북 139,656 4% 9 전 남 10,995 3%
10 전 남 136,889 4% 10 충 북 10,599 3%
11 강 원 129,403 4% 11 전 북 10,471 3%
12 충 북 115,611 3% 12 광 주 7,816 2%
13 광 주 108,808 3% 13 대 전 7,085 2%
14 대 전 105,676 3% 14 강 원 6,804 2%
15 울 산 76,993 2% 15 울 산 6,096 2%
16 제 주 51,727 1% 16 제 주 2,053 1%
17 세 종 7,468 0% 17 세 종 761 0%

□ 수도권 및 산업 기반을 갖추며 수요가 있는 주요 광역단체를 기준으로


비교분석 추진
○ 효과적인 비교분석을 위해 수도권 및 산업기반 제조업 규모 등 이 상 ( )

대적으로 빈약한 자치단체 배제


○ 기반구축사업에 관심을 표명한 광역자치단체 위주로 비교분석 실시
○ 타 광역자치단체 대비 경기도가 강점 및 취약점을 바탕으로 비교 분
석 및 대안 제시

- 6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2절 경기도 유치 타당성 분석


1. 제조기업 집중도
스마트공장은 제조 집중도가 높은 지역에 우선 적용됨으로써
수요기업 확보 및 고용창출 효과 극대화 가능
□ 제조업 세부업종별 분석
○ 제조업 분야 중 스마트공장과 연관성이 있는 금속가공제품 전자부 ,

품 컴퓨터 통신장비 의료 정밀 광학기기 전기장비의 지역별 분포


· , , , ,

도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가 절대 우위
표 19의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지역분포도에서 보면 스마트공장과 연
-

관되는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의


료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전기장비 분야에서 기업체와 더불어 연관
종사자 역시 경기도가 절대우위
○ 초기 스마트공장지원을 위한 수요기업 발굴과 공급기업 확보 가능

표 19.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2013)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속가공제품 513 1,429 1,602 1,886 356 158 345 13 6,793 107 445 599 327 326 1,047 2,223 26
전자부품,컴퓨터,영상,686 120 113 826 80 138 12 8 3,197 15 181 186 46 10 470 178 1
음향 및통신장비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 689 170 278 221 86 162 43 8 1,660 75 75 110 31 26 123 203 5
전기장비 630 459 264 651 230 96 121 20 3,312 72 243 249 114 86 292 524 27

- 6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40.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2013)

표 20.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종사자 지역분포도 (2013)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속가공제품 4,949 22,32822,72326,581 5,053 1,916 8,191 263 94,594 1,489 8,943 14,345 7,060 6,893 20,86747,813 177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12,802 3,063 4,244 19,231 2,516 3,965 834 629 85,233 351 9,617 9,788 2,448 496 17,232 5,498 ×
통신장비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10,104 3,699 4,030 3,894 1,198 3,792 628 576 33,983 2,228 2,731 3,441 517 296 3,965 4,730 67
전기장비 8,761 9,367 4,317 11,867 4,381 1,732 4,122 708 58,844 1,233 7,917 7,994 2,922 1,887 10,31713,484 209

그림 41. 세부업종별 제조기업 종사자 지역분포도 (2013)

- 6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2. 연관산업 집중도
스마트공장은 기존의 제조 공정에 사물인터넷(ICT)과 설비
자동화(산업용로봇)의 결합을 통해 투입·산출·공급의 최적화 달성
□ 지역별 ICT 산업군 현황
○ 스마트공장의 보급 확산에 가장 중요한 연관 산업 산업용로봇 · (ICT,

등 의 주축을 이루는 업종에 대한 집중도 분석


)

○ 정보통신 방송기기업체가 전국대비 인 개가 위치해 있으며


· 40% 4,533

디지털콘텐츠는 서울에 이어
SW· 인 개가 위치 14.6% 1,506

표 21. 스마트공장 연관 분야 제조기업 지역분포도


ICT (2013)

구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정보통신 781 261 2237 915 197 198 65 4,533
방송기기 (7%) (2%) (20%) (8%) (2%) (2%) (1%) (40%)
소프트웨 6,273 338 294 205 188 425 70 1,506
어 및
디지털
콘텐츠 (60.7%) (3.3%) (2.8%) (2.0%) (1.8%) (4.1%) (0.7%) (14.6%)
구분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정보통신 68 352 397 101 48 613 486 4
방송기기 (1%) (3%) (4%) (1%) (0.4%) (5%) (4%) 0.
소프트웨 115 126 119 151 116 123 210 80
어 및
디지털
콘텐츠 (1.1%) (1.2%) (1.2%) (1.5%) (1.1%) (1.2%) (2.0%) (0.8%)

그림 42. 정보통신방송기기 분야 지역 분포도

- 6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43.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콘텐츠 분야 지역 분포도

○ 산업연구원에서 년 지역별 창조경제 역량분석 및 강화방안에 대


2014

한 조사연구용역에 따르면 창조경제 역량지표에 따른 인프라 집 ICT

적도 분석에서 서울에 이어 경기도가 위를 차지 2

인프라 집적도 분석의 변수로는 산업의 집적도 고속통신망


- ICT ICT ,

가입자 수 인터넷사용자수를 변수로 구성


,

표 22. ICT 산업의 집적도 인프라 표준점수


(ICT )

ICT인프라-ICT산업의 집적도
지역 표준화점수 지역 표준화점수
서울 1.00 강원 0.12
부산 0.08 충북 0.59
대구 0.15 충남 0.57
인천 0.28 전북 0.08
광주 0.25 전남 0.01
대전 0.31 경북 0.70
울산 0.00 경남 0.04
경기 0.81 제주 0.14
※ ICT인프라 집집적도 1위인 서울을 1로 하였을 경우에 따른 지역별 표준점수를 나타냄

□ 지역별 로봇기업 산업군 현황


○ 선진국가의 제조업 혁신정책을 벤치마킹하여 제조업혁신을 준비하고
있으며 융합형 신 제조업 창출 제조혁신 기반 고도화가 주요 내용
,

- 6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44.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출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4년

표 23.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지역 사업체 수 구성비(%)
소계 302 60.5
수도권 서울 98 19.6
인천 37 7.4
경기 167 33.5
소계 69 13.8
대경권 경북 21 4.2
대구 48 9.6
소계 57 11.4
동남권 부산 23 4.6
울산 8 1.6
경남 26 5.2
소계 45 9.0
충청권 대전 33 6.6
충청 12 2.4
소계 25 5.0
호남권 광주 19 3.8
전라 6 1.2
강원권 1 0.2
총계 499 100.0
※ ㈜ 지역은 본사 기준임. 제주권은 조사 진행된 사업체가 없어 표 및 그래프에서 제외
※출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4년

- 6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전국에서 수도권이 인 개의 로봇기업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60.5% 302

중에 경기도가 개로 서울 인천보다 많은 로봇기업이 영위


167 ,

그림 45. 로봇기업 지역별 사업체 수


※출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4년
○ 산업용로봇으로 활용되는 제조업용 로봇과 로봇부품들의 대부분이
수도권에서 제작 생산되고 있으며 이를 생산현장에 접목시키기 위한
·

새로운 시도가 필요

그림 46. 지역별 로봇매출


※출처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2014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4년

- 6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국내 로봇산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스마트 제조공정혁신을 위한 보급의 거점으로서 가장 적합한
지역
○ 제조기술 혁신을 위한 산업용로봇의 활성화 역시 스마트공장을 위한
주요 목표
○ 미국의 경우 프린팅 등 첨단 제조기술 혁신 산업용로봇 활성화를
3D ,

목표로 하는 를 년부터 추진
Remaking America 2009 3)

○ 와 로봇산업의 지역별 현황분석을 종합해보면 국가주도의 스마트


ICT

공장화를 위한 공급기지로서 수도권 경기 이 최적화 ( )

3. 뿌리산업 집중도
뿌리산업은 제조업의 근간으로 가장 중추적인 산업으로 향후
스마트공장 보급을 통한 최대 수혜분야로 논의
○ 전국현황 지역별 뿌리산업 입지현황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54,855개
( )

의 제조업 기업 중 뿌리산업이 전체 제조업의 40%를 차지하고 있었


으며 그중에서 3,586개인 38%가 산단에 입주
○ 규모별 분포 경기도 뿌리산업 현황을 보면 주조, 금형, 용접, 소성
( )

가공, 표면처리, 열처리 등 6개 뿌리산업 분야 15,319개의 업체가 있


으며 총 185,437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지역별 분포)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전체 뿌리기업의 54.4%
(14,145개사), 다음으로 동남권(울산․부산․경남)에 22.3%(5,789개사)가
소재
○ 경기도는 뿌리산업 전 분야에 있어 공정개선 및 시스템 자동화를 통
하여 제조공정혁신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이뤄내 최대수요처

3) 산업통상자원부(‘15. 3), 현대경제연구원(’14. 7) 등을 참고

- 7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24. 지역별 업종별 사업체 수 단위 개


․ ( : , %)

구분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합계


전체 1,283 6,279 5,286 5,581 6,663 916 26,008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수도권 630 3,859 2,936 2,509 3,780 431 14,145
(49.1) (61.5) (55.5) (45.0) (56.7) (47.1) (54.4)
동남권 301 1,243 955 1,598 1,408 284 5,789
(23.5) (19.8) (18.1) (28.6) (21.1) (31.0) (22.3)
대경권 202 732 860 476 853 145 3,268
(15.7) (11.7) (16.3) (8.5) (12.8) (15.8) (12.6)
충청권 93 208 277 531 357 33 1,499
(7.2) (3.3) (5.2) (9.5) (5.4) (3.6) (5.8)
호남권 53 231 246 439 246 21 1,236
(4.1) (3.7) (4.7) (7.9) (3.7) (2.3) (4.8)
강원권 4 6 12 28 19 2 71
(0.3) (0.1) (0.2) (0.5) (0.3) (0.2) (0.3)
* 수도권은 서울․경기․인천, 동남권은 울산․부산․경남, 대경권은 대구․경북,
충청권은 대전․세종․충남․충북, 호남권은 광주․전남․전북에 해당
* 제주 지역은 권역별 사업체 수 산출에서 제외
표 25. 지역별 뿌리산업 입지현황
제조업 뿌리산업 산단입주
지역 (A) 비중 (B) 비중 (B/ A) (C) 비중 (C/
B)
서울 10,685 6.9 719 3.5 6.7 185 2.0 25.7
부산 8,937 5.8 1,433 7.0 16.0 569 6.1 39.7
인천 9,669 6.3 2,318 11.4 24.0 1,499 16.0 64.7
대구 6,932 4.5 981 4.8 14.2 542 5.8 55.2
광주 3,447 2.2 478 2.3 13.9 410 4.4 85.8
대전 2,249 1.5 325 1.6 14.5 218 2.3 67.1
울산 2,272 1.5 352 1.7 15.5 191 2.0 54.3
세종 626 0.4 52 0.3 8.3 14 0.1 26.9
경기 54,855 35.6 8,205 40.2 15.0 3,586 38.3 43.7
강원 2,943 1.9 89 0.4 3.0 58 0.6 65.2
충북 6,040 3.9 536 2.6 8.9 142 1.5 26.5
충남 7,325 4.8 695 3.4 9.5 212 2.3 30.5
전북 4,913 3.2 254 1.2 5.2 176 1.9 69.3
전남 5,364 3.5 251 1.2 4.7 134 1.4 53.4
경북 11,406 7.4 1,304 6.4 11.4 659 7.0 50.5
경남 15,620 10.1 2,404 11.8 15.4 763 8.2 31.7
제주 658 0.4 13 0.1 2.0 2 0.0 15.4
합계 100.
153,942 100.0 20,409 0 13.3 9,360 100.
0 45.9
※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공장설립온라인지원시스템(FEMIS)

- 7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26. 경기도 뿌리산업 현황


구분 업체 종사자수 종사자성별 사업체
(개) (명) 남자 여자 개인 법인
주조 464 5,127 4,339 788 309 155
금 형 3,163 22,005 18,969 3,036 2,735 428
용 접 4,415 84,574 67,926 16,648 2,610 1,800
소성가공 2,209 20,454 15,799 4,655 1,731 478
표면처리 4,599 49,301 37,699 11,602 3,336 1,262
열 처 리 469 3,976 3,400 576 324 145
계 15,319 185,437 148,132 37,305 11,045 4,268
※출처 : 생산기술연구원 안산본부, 2013년

경기

그림 47. 지역별 뿌리산업 현황

- 7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4. 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지역 혁신자원 분석
지역 내 연구 인프라 및 인력, 지원 서비스 등과 같은
연구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스마트 제조혁신 가속화
□ 광역자치단체별 혁신 인프라 집적 및 연구개발 현황 분석
○ 지역혁신자원 분석을 통하여 광역자치단체별 스마트 제조공정 혁신
을 위한 인프라 집적 및 연구개발 역량 우위 분석
○ 2014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조사한 지역과학기술혁신 역량
조사결과 반영
○ 2009년 국가과학기술역량지수 모형(COSTII)을 응용하여 지역별 평가
지표 및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R-COSTII※) 모형 개발
* R-COSTII : Regional COmposite Science and Innovation Index
○ 해당 자료는 지역별 과학기술혁신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강약점을 파
악하여 지역 역량강화를 위한 정보제공이 목적으로서 지역 지역제조
혁신자원 현황 분석 자료로서 적용이 적절
- 자원지표 산학연 연구주체 인력 지원서비스산업 지적자산
: , R&D , ,

□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R-COSTII) 분석
○ 2014년 우리나라 16개 지역 중 최상위를 나타낸 서울을 100으로 했
을 경우 상대수준은, 경기(98.9), 대전(79.0), 경북(58.9), 충남(50.2) 순
으로 나타남
○ 위 상위 5개 외의 지역은 서울 과학기술혁신역량 수준의 절반 이하
로 나타남

- 7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27.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R-COSTII)

지역 ‘10 R-COSTII(점) 상대수준(%)


‘11 ‘12 ‘13 ‘14 ‘10 ‘11 ‘12 ‘13 ‘14 ‘10 ‘11 ‘12 ‘13 ‘14
순위
서울 17.143 17.569 16.863 16.381 16.711 100.0 100.0 100.0 99.1 100.0 1 1 1 2 1
경기 15.348 16.111 16.067 16.525 16.526 89.5 91.7 95.3 100.0 98.9 2 2 2 1 2
대전 13.999 15.487 15.662 13.437 13.198 81.7 88.2 92.9 81.3 79.0 3 3 3 3 3
경북 9.801 9.853 9.379 9.735 9.846 57.2 56.1 55.6 58.9 58.9 4 4 4 4 4
충남 6.006 7.476 7.354 8.417 8.394 35.0 42.6 43.6 50.9 50.2 12 8 7 5 5
울산 6.468 6.351 7.213 7.620 8.054 37.7 36.1 42.8 46.1 48.2 10 13 8 6 6
광주 8.491 7.896 7.896 7.579 7.475 49.5 47.9 46.8 45.9 44.7 5 5 6 7 7
인천 6.646 8.356 8.356 7.362 7.113 38.8 46.8 49.6 44.5 42.6 9 6 5 8 8
전북 6.769 7.191 7.191 7.181 7.093 39.5 41.4 42.6 43.5 42.4 7 9 9 9 9
부산 6.726 6.722 6.722 6.837 7.033 39.2 42.6 39.9 41.4 42.1 8 7 11 11 10
대구 6.091 7.218 7.052 7.114 6.931 35.5 41.1 41.8 43.0 41.5 11 11 10 10 11
충북 5.613 5.963 5.554 6.047 6.236 32.7 33.9 32.9 36.6 37.3 15 14 14 14 12
강원 5.767 6.596 6.666 6.515 5.968 33.6 37.5 39.5 39.4 35.7 13 12 12 13 13
제주 5.627 3.541 4.038 4.643 5.895 32.8 20.2 23.9 28.1 35.3 14 16 16 16 14
경남 7.383 7.228 6.217 6.709 5.737 43.1 41.1 36.9 40.6 34.3 6 10 13 12 15
전남 5.394 5.268 5.428 4.742 4.569 31.5 30.0 32.2 28.7 27.3 16 15 15 15 16
평균 8.330 8.753 8.604 8.553 8.549 48.6 49.8 51.0 51.8 51.2
○ 경기도 內 연구개발조직은 4,957개로 전국의 30.05%를 차지하고 있으
며, 이를 집적화하고 특화시키기 위한 정부지원 정책은 매우 미미한
실정
표 28. 경기도 연구기관 유형별 분포현황
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체
R&D 연구 R&D 연구 R&D 연구
기관수 투자 개발 기관수 투자 개발 기관수 투자 개발
인력 인력 인력
47 669 5,597 65 370 16,528 3,992 12,511 100,132
(14.6) (14.4) (18.6) (17.3) (9.6) (9.9) (30.1) (48.1) (42.0)
* 공공연구기관: 국․공립연구기관, 정부출연(연), 지방자치단체출연(연), 의료기관,
기타비영리기관
* 대 학: 국․공립대학, 사립대학
* 기업체: 정부(재)투자기관, 민간기업체
※출처 : 교육과학기술부, 2009 지방과학기술연감, 2009년

- 7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5. 경기도 유치타당성 분석 결과 요약
□ 수도권은 뿌리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 모델을 구체화할 국내 최적의
테스트베드 4)

○ 우리나라 인 이상 제조기업 만 개사 중 이상이 수도권에 위


10 6 55%


○ ICT, 산업용로봇, 자동차, 기계, IT산업 등이 공존하는 산업벨트의 중
심에 위치하여 국가주력산업의 부품소재의 최대 공급기지로서 스마트
공장 육성을 위한 최적의 입지여건 보유
국내 최대
- 산업 연계거점 파주 시흥 안산 시흥 수원 화
IT, LCD ( , , ( ), ,

성 아산, )

-국내 최대 자동차 기계 전자부품 소재 거점 인천 광명 안산 시


․ ․ ( , , (

흥 화성 평택 당진
), , , )

□ 국내 최대 전방산업인 다수의 대기업(삼성, LG, LS 산전 등)이 근거리


위치, 뿌리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을 통한 최대의 파급효과 기대
○ 수도권과 지방을 연결하는 편리한 교통망과 산학연관을 유기적
Networking 할 수 있는 스마트 제조혁신 종합정책거점 활용성 극대화

□ 경기도는 2013년 경기도 뿌리산업육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근


거로 하여 스마트공장 1단계인 뿌리기업 IT공정혁신을 위한 지원 사업
지속적으로 추진
○ 전문적이고 표준화된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스마트공
장 2단계 이상으로 진입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전략이 요구

4) 경기도(2013), 경기도 뿌리산업 진흥 및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보고서 지구성

- 7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5장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우수입지 후보 도출

방안

제1절 우수 입지 도출을 위한 방법론

1. 계층화분석기법 도입 배경 및 필요성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조성을 위하여 지원센터의 목표 및 기능에
따라 우수 입지 선정을 위하여 계층화 분석기법(Analystic Hierarchy
Process: AHP) 도입

□ 단 상세 입지 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아래와 같은 애로사항 존재


○ 정량적 분석 결과와 정성적 분석결과를 통합해야하는 어려움
-예를 들어 제조업 분포 및 뿌리기업 분포 등은 각각 통계자료를 통
,

해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반면 현실성 환경성과 같은 평가항


, ,

목은 계량화가 어려워 분석결과를 통합하기 어려움


○ 분석 결과를 정량화한 경우에도 각 항목별로 상이한 척도를 갖는 평
가 항목을 통합하는 어려움
-예를 들어 입주기업 규모 및 면적이 상위권에 속하는 반면 도내 제
,

조업 비율은 중위권에 속할 경우 두 항목을 어떠한 기준에 의해 입


지선정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 발생
○ 입지선정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어려움
-여려 명의 의사결정자가 참여하는 집단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다보면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으로 인해 판단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기
어려우며 연구자에 따라 판단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 발생
,

□ 애로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속성이나 다수의 목적함수를 포함하


는 의사결정을 최적화하는 기법인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

- 7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s)5) 방법론으로 계층화분석 기법 채택 가능

2. 계층화분석기법의 개요
□ 계층화분석기법의 특성
○ 계층화분석기법은 의사결정의 목표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상호배반적인 대단들의 체계적인 평가를 지원하는 의사결정지


원기법의 하나
○ 복잡한 문제를 계층화하여 주요 요인과 세부 요인들로 나누고 이러
한 요인들에 대한 쌍대비교 을 통해 중요도를
(Pairwise Comparison)

도출
○ 인간의 사고와 유사한 방법으로 문제를 분석 분해하여 구조화할 수 ,

있다는 점과 모형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 또는 선호도를 체계적


으로 비율척도화 하여 정량적인 형태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 척도선정 가중치선정 민감도 분석 등에 사용되는 각종 기법이 실증
, ,

분석과 엄밀한 수리적 검증과정을 거쳐 채택된 방법들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높게 평가
연 단위로 계획수립과 관련된 중요 위험요소에 대한 측정 평가
· ,

계층구조과정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위험요소들에 대한 평가


·

○ 전략 계획 수립
조직의 목표 강점 및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들의 구조화 및 체계화
- , ,

등을 통하여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상호작용과정을


제안 가능
적용 범위
-

조직의 미션과 비전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 실행도구로 변환


·

조직의 계획 구조화 및 측정
·

전략적 우선순위 결정
·

5) 한국개발연구원, [도로부분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 3판)], 2001.12

- 7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 증대


·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 작성 및 시장 지배를 위한 최적 전략 수립
표 계층화 분석기법의 장점
29.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 일반적인 의사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계량화가 가능한 정량적 요소(예: 거리)의
반응은 가능하나 정성적 요소(예: 기존계획
과의 부합성)의 반영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정량적 요소와 는 사실임
정성적 요소의 · 의사결정 문제와 상황에 따라 정성적 요소
통합 가 더 중요한 의사결정요인인 경우에 존재

· 계층화분석기법은 정성적 요소를 합리적으
로 반영하고 정량적 요소와의 중요도 비교
를 설득력 있게 도출할 수 있음
· 계량화가 가능한 정량적 요소라 하더라도
척도(Scale)가 다른 요소(예: 거리와 무게)들
상이한 척도를 의 합리적 비교와 통합이 이루어져야 하는
가진 요소들의 경우가 존재함
비교, 통합 · 계층화분석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다른 척도
를 가지고 있는 요소간의 비교와 통합을 보
계층화 다 수월하면서도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수
행할 수 있음
분석기법 · 계층화분석기법은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에
의 장점 서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의 유지여부
를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님
평가의 일관성 · 중요도 및 가중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
파악 및 개선 연적으로 비일관성지수(Inconsistency Index)
가 산출되며 이를 통하여 의사결정자의 논
리적 일관성 유지여부와 개선을 위한 기준
을 제시함
· 통상적인 의사결정의 경우 의사결정참여자
의 다수 의견을 취하거나 평균을 내어 집단
의 의서결정으로 삼는 것이 대부분이나 이
의사결정 러한 방법을 취할 경우 소수의 의견이 완전
참여자의 의견 히 무시되거나 의사결정참여자의 정확한 요
통합 및 소별 또는 대안별 선호도 차이의 반영이 불
집단의사결정 가능하게 됨
도출 · 계층화분석기법은 의사결정참여자 모두의
의견을 반영시킬 뿐만 아니라 각자의 요소
별, 대안별 선호도의 차이를 100% 반영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합리적인 집단의사결정
의 결과가 도출됨

- 7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최적의 평가단 선택
- 의사결정과정에서 모든 개인적인 의제들을 도출하며 그 과정을 통
해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의사결정자의 논쟁을 통한 의사결정과는
달리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정보와 판단에 의한 의사결정이 가능
,

- 적용 범위
과업의 우선순위에 대한 합의 도출 가능
·

다른 관점을 가진 평가단들 간의 도출 및 의사결정 모형 완성 가능


·

평가단들의 항의에 대한 완벽한 정량적 정성적 합리적 반박 근거


· ,

확보
○ 최적의 예산 배정
- 구조화된 모형을 통하여 보다 쉽게 목표와 대한들을 설정하고 이를
의사결정자들에게 전달하도록 지원
-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무형의 측정치를 계량화할 수 있게 하고 관계
되는 모든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합의를 도출 집단사고나 타성에 의
,

존하지 않는 타당한 결정을 도출


- 적용 범위
구조화된 예산과정을 설정 목표 명확화
· ,

사업의 우선순위에 대한 합의 도출
·

기금 활동의 조적에 대한 유용성 평가


·

우선순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의사결정과정의 효율성 증대


·

고위 경영층에 판단을 협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지식과 함께


·

고려
조직의 목표를 가장 잘 달성할 수 있도록 실행계획들을 입안
·

○ 인적 자원 관리
- 최적의 인사 관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방법 과정 및 지식을
,

제공함으로써 지원자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

- 7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적용 범위
·직무에 요구되는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직원 채용 가능
·직원의 역량과 개선의 여지를 결정할 수 있는 차이분석 수행
·회사의 기대수준에 맞도록 직원 훈련 프로그램 최적화
·지속적인 조직의 발전을 위한 완벽한 직무수행 평가 수행

3. 계층화분석기법의 분석 과정
□ 브레인스토밍
○ 계층구조를 설정하기 위하여 평가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평가에 중
요한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여러 사람이 참석하여 마음에 떠오르
는 모든 관련된 항목과 대안을 열거하는 과정
□ 계층구조 설정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요소를 동질적인 집합으로 군집화 하고 이
집합을 상이한 계층에 배열하는 작업
○ 각 평가항목은 상위 수준에서 식별된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설명하게 되는데 주로 기준이나 하위기준에 대한 정의 및 설명이 추

○ 문제의 속성을 최종목표와 최종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세분화하여 계층을 구성 최상위 수준은 문제의 궁극적인
,

목표를 나타내고 제 수준은 최종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기준을


1

의미
□ 가중치 산정 및 일관성 검증
○ 동일한 계층을 구성하는 두 개의 평가항목을 선택하여 응답자들에게
평가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 또는 선호도 를 비교하는 질문을 반복 수
( )

행하는 쌍대비교 과정
○ 쌍대비교를 통한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신뢰할만한 평가척도가 필요
하며 사용되는 척도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차이를 최대한 반영할
,

- 8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수 있는 범위로 설정
○ 쌍대비교를 통해 두 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의 측정결과를 종합하여
요소들간 상대적 가중치를 추정
□ 평점
○ 각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대안에 대한 선호도나 중요도를 점수로 부
여하는 과정으로써 평가요소별 평점결과를 평가요소에 대한 가중치
에 곱하여 더한 값이 대안별 종합평점으로 산출
○ 의사결정자는 높은 종합평점을 받은 대안을 우선순위가 높은 대안으
로 선택
□ 환류과정
○ 계층화분석기법의 유용성을 높이는 또 하나의 특성으로 응답자에게
비일관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다시 수행하도록 함으
로써 의사결정의 비일관성을 줄이는 방법
,

○ 불일치정도가 크고 검토과정에서도 일관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평가


항목들의 계층적 구조를 다시 구성하거나 수준과 요소의 개념을 수
정 후 재설문 수행

- 8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2절 계층화분석기법을 통한 우수입지 도출 방안

1. 우수입지 도출 방법
□ 우수입지선정을 위한 1차 평가와 전문가 검토 및 의견 수렴을 위한 2차
평가 과정을 통해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최적의 입지
를 선정
□ 1차 평가
○ 우수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로서 개의 기초 지자체를 기준으
31

로 계층분석과정을 활용하여 현실성 필요성 연계성 확장성 환경성


, , , ,

대 분류 항목으로 구분하고 대분류 항목별 상세 소분류 항목을 구


5

성하여 상세 입지 평가 수행
□ 2차 평가
○ 전문가 및 해당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각 항목별 평가항목의 의견
수렴 최신 통계자료를 통한 데이터 재검토 및 항목별 가중치를 반영
,

하여 우선 투자지역을 선정

- 8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우수입지도출 과정
48

2. 우수입지 검토 조건
□ 평가 계층구조 작성
○ 경기도 내 개 기초 지자체에 대해 표 와 같은 평가 기준을 수립
31 30

하였으며 상세 입지 평가 수행 후 우선 투자지역을 선정하는 방안을


,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 우수한 입지선정 분석을 위한 기준은 기초지자체 입지 평가 계획에
서 제시된 평가기준을 근간으로 하고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의
,

주요 기능에 부합하는 기준들을 선별 하여 대분류 항목 소분류 5 , 10

항목으로 계층화 하여 입지평가 기준을 세부화

- 8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그림 평가항목 계층 구조
49

표 기초지자체별 입지 평가기준
30.

평가기준 비 고
환경성 ◦ 화)
스마트팩토리 관련 수혜 및 연관산업의 파급성(산업단지 집적
필요성 ◦ 동 기반구축사업의 수요자(제조기업 및 연관 산업) 니즈 분석
(기업수요)
◦ 수요자인 제조기업의 관련 기반구축시설의 활용성
연계성 ◦ 수요자인 제조기업의 관련 고용창출 기여도
◦ 스마트공장 관련 공동R&D, 인력양성, 시험평가, 기업확산 등
의 주체간의 연계성 및 클러스터화 유무
◦ 산업부 산기반사업의 기반구축 기간(2016년 추진)에 따른 부
현실성 ◦ 지활용 및 개발 가능성
해당 기초지자체의 정부출연금에 대한 사업비/토지/건물 매칭
가능성
확장성 ◦ 외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를 활용할 연관산업 기업 및 국내
기관의 공동 입주 가능여부

- 8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31. 기초지자체별 입지 세부 평가항목 안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환경성 산업단지 분포 수요기업의 집적화된 산업단지내의 파급성
필요성 제조기업의 수요 스마트공장 관련 수요자(제조기업)의 응답률
(기업수요)
제조업 분포 수요자인 제조업의 집중도
뿌리기업 분포 핵심 수요자인 뿌리기업의 집중도
연계성 창업보육기능, 대학의 교육기능, 국책연구기관
클러스터화 의 연구기능 등 동 분야의 혁신 클러스터 잠
재성
고용창출 기여도 수요자인 제조업의 종사자 수
부지활용 가능성 2016년 토지매입 가능성
현실성 건축 가능성 2017년 말 경 건물 건축 가능성
현금출연 가능성 해당 기초지자체의 대규모 사업비 매칭 가능

확장성 연관산업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건축될 건물 내에 연관 산업 기업 입주 가능

□ 평가기준별 측정 기준
○ 측정 기준 원칙( )

- 동 연구용역 목적에 부합되는 측정요소를 도출 및 점수화


- 점수는 각 항목별로 입지를 평가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
치는 아니며 비교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
, /

- 항목별 점수는 항목별 적합한 배점 기준에 따라 평가하며 일부 항 ,

목의 경우 표준 편차를 이용한 정규분포화 점수로 평가 가능

○ 애로사항
- 확장성의 경우 해당 입지 부지 의 물리적 현황에 대한 정확한 조사
( )

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 자금이 필요


, ,

- 아울러 명확한 입주분석을 위해서는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기


, (

- 8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반구축사업 유치를 희망하는 시군의 유치부지 지역 에 대한 명확한


) ( )

자료 제시가 요구됨

○ 항목별 측정요소

표 32. 기초지자체 입지 평가 항목별 측정요소 안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1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5000천㎡/4천개 미만)
환경성 산업단지 2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분포 (5000천㎡/3천개 이상)
3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10000천㎡/8천개 이상)
필요성 제조기업 1 : 수요기업의 응답률 5% 이하(전체 응답률 비례)
(기업수요) 수요 2 : 수요기업의 응답률 6%~14% (전체 응답률 비례)
3 : 수요기업의 응답률 15% 이상(전체 응답률 비례)
1 : 제조기업 수 적음(도내 제조업 비율 15~31위 이하)
제조업 분포 2 : 제조기업 수 보통(도내 제조업 비율 6~14위)
3 : 제조기업 수 많음(도내 제조업 비율 1~5위)
뿌리기업 각 기초 지자체내의 뿌리 기업 수에 대한 평가
연계성 분포 - 평균 뿌리기업 수 기준 점수화
1 : 클러스터화 없음
클러스터화 2 : 기업+국책연구기관 인근 분포
3 : 기업+국책연구기관+대학+기타기관 등 클러스터 구축
고용창출 각 기초 지자체의 종사자관련 자료에 대한 평가
기여도
부지활용 1 : 부지 활용 가능성 적음
가능성 2 : 부지 활용 가능성 보통
3 : 부지 활용 가능성 많음
1 : 계획일정과 불일치(5년 이상 경과 후 가능)
현실성 건축 가능성 2 : 계획일정 조정 가능(3년 이내 가능)
3 : 계획일정에 부합(2017년 말경 가능)
1 : 현금출연 가능성 적음(10억 이내 출연 가능)
현금출연 2 : 현금출연 가능성 보통(50~100억 이내 출연 가능)
가능성 3 : 현금출연 가능성 많음(150억 이상 출연 가능)
* 해당 지자체별 재정자립도 고려
1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적음 (추가 건축 불가)
연관산업 2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보통 (추가 건축면적 규모 50%
확장성 기업/기관 이내)
입주가능성 3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많음 (추가 건축면적 규모
100% 이상)

- 8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3. 기초지자체별 입지분석 방안
□ 환경성
○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우수 인프라(인력/장비)의 활용성 증가
를 위해서는 인근 산업단지 및 입주기업 분포 조사 필요
○ 조사내용의 예: 산업단지 활성화 및 단지 내 입주기업의 규모에 대한
비교분석 수행 등
○ 주요 평가기준
표 환경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33.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1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5000천㎡/4천개 미만)
환경성 산업단지 2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분포 (5000천㎡/3천개 이상)
3 : 산업단지(조성/완료) 및 입주기업 규모
(10000천㎡/8천개 이상)

□ 필요성
○ 경기도내 소재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수요 파악을 위해 자체적인
수요조사 실시 필요
○ 조사내용의 예 스마트공장 보급률 자동화율 스마트공장 자동화 도
: ( ), ( )

입 장애요인 스마트공장 자동화 도입 의사 필요성 스마트공장 자동


, ( ) ( ), (

화 도입 시 기대효과 등
)

○ 주요 평가기준
표 필요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34.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필요성 제조기업 수요 12 :: 수요기업의 응답률 5% 이하(전체 응답률 비례)
수요기업의 응답률 6%~14% (전체 응답률 비례)
(기업수요) 3 : 수요기업의 응답률 15% 이상(전체 응답률 비례)

- 8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연계성
○ 스마트공장의 가장 큰 수요자인 제조기업 및 뿌리기업에 대한 집중
도 조사 필요
○ 조사내용의 예 스마트공장 관련 공동
: 인력양성 시험평가 기 R&D, , ,

업확산 등의 주체 간 연계성이 가능한 클러스터 구축 여부 등


○ 주요 평가기준
표 연계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35.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1 : 제조기업수 적음(도내 제조업 비율 15~31위 이하)
제조업 분포 2 : 제조기업수 보통(도내 제조업 비율 6~14위)
3 : 제조기업수 많음(도내 제조업 비율 1~5위)
기 900 899 799 699 599 499 399 299 199 99
뿌리기업 업 이상 ~ ~ ~ ~ ~ ~ ~ ~ 이하
분포 수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배점 10 9 8 7 6 5 4 3 2 1
연계성 1 : 클러스터화 없음
클러스터화 2 : 기업+국책연구기관 인근 분포
3 : 기업+국책연구기관+대학+기타기관 등 클러스터
구축
기업 14000 13999
~
10999 7999 4999 1999
~ ~ ~ 이하
고용창출 수 이상 11000 8000 5000 2000
기여도
배점 10 8 6 4 2 0

□ 현실성
○ 산업통상자원부 기반구축사업 기본요건에 대한 검토 필요
-산업부는 장비구축비를 지원하고 장비가 구축될 센터 건물 및 부지
는 통상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하는 것을 원칙
,

-사업기간이 년부터 년까지 총 년으로 잡을 경우 고가의


2016 2020 5 ,

장비 구매 및 설치가 진행되는 년에 관련 장비 시설 설치가 추


2018 /

진되기 위해서는 건축완공이 년 말에서 년 중순까지 완료 2017 2018

- 8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필요
○ 조사내용의 예 토지 매입 및 건축 또는 건축물 임대 가능성 사업비
: ,

매칭 가능성 지방재정자립도 등
,

○ 주요 평가기준
표 현실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36.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부지활용 가능성 2016년 토지매입 가능성
현실성 건축 가능성 2017년 말경 건물 건축 가능성
현금출연 가능성 해당 기초지자체의 대규모 사업비 매칭 가능성

□ 확장성
○ 스마트공장 관련 수요기업 및 연관 산업군의 입주를 통한 시너지 효
과가 발생가능한지 검토 필요
○ 조사내용의 예: 국내외 스마트공장 관련 연구기관의 유치 및 기반구
축센터의 확장성 가능 여부 등
○ 주요 평가기준

표 37. 확장성에 대한 주요 평가기준 예 ( )

평가기준 평가항목 비 고
1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적음(추가 건축 불가)
연관산업 2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보통(추가 건축면적
확장성 기업/기관 규모 50% 이내)
입주가능성 3 : 기업/기관 입주가능성 많음(추가 건축면적
규모 100% 이상)

- 8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4. 우수입지 도출을 위한 가중치 산정 방안


□ 평가기준별 가중치 산정 방안
○ 가중치를 산정을 위한 전문가 설문 조사 필요하며 1:1 인터뷰 방식
또는 전화, 이메일 설문 조사로 진행하되 각 요소의 상대 비교는 난
이도가 있으므로 응답 종료 시까지 각 항목별 상세 내용을 설명하는
안내문을 제시하거나 예시를 설명하는 등의 신뢰성 있는 사전 면담
이 필요
○ 설문 대상자는 관련 업체 담당자, 담당 공무원, 관련 분야 교수 등으
로 10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 가중치 산정을 위해서 전체 평가 항목간의 상대비교는 대분류 항목
간의 상대 비교를 실시하고 이후 각 대분류 항목 내의 소분류 항목
에 대한 상대 비교를 실시하여 항목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

○ 단, 본 평가기준 별 가중치는 입지 여건, 시기, 환경에 따라서 상대적
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에 대해 수정하여 반영 가능

표 38. 평가기준 별 가중치 예


( )

평가기준 대항목 가중치 평가항목 소항목 가중치


환경성 0.25 산업단지 분포 0.25
필요성 0.25 제조기업의 수요 0.25
제조업 분포 0.1
연계성 0.25 뿌리기업 분포 0.1
클러스터화 0.03
고용창출 기여도 0.02
부지활용 가능성 0.1
현실성 0.125 건축 가능성 0.015
현금출연 가능성 0.01
확장성 0.125 연관산업 기업/기관 0.125
입주가능성

- 9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6장 경제성 및 지역파급 효과

1. 경제적 효과 분석
□ 스마트공장 표준 참조모델 구축을 통한 검증 및 통합 테스트베드 구축
에 기여
○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인증 기준을 마련 설비 시스템 간 호환성을 , ·

제고하고 인증제 도입을 통한 자율적 확산을 촉진 기업의 스마트공 ,

장 인증 및 컨설팅 지원 인증 인력 교육 인증 개선 , ,

○ 연구소 학계 기업 기업 등 범국가적 주체가 참여하여 스마트공


, , SI , IT

장 표준개발 및 채택 국제 표준화 대응 ,

그림 50. 스마트공장 표준 포럼 구성 안 ( )

□ 스마트공장 참조모델 구축을 통한 생산 프로세스의 효율성 증대


○ 제품 설비 관리시스템 간 실시간 정보 공유로 효율적인 생산 관리
, ,

강화 가능
상 하위 레벨 공장 제조라인 간 소재 재고 물량 관리 및 설비 가
- · ( ) , ,

동률 증가
○ 표준 참조모델을 통한 근로 환경 개선 및 경영자들의 의사 결정이
- 9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쉬워져 생산 효율성이 증대
○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바일 등 최신 기술들이 중
ㆍ ㆍ ㆍ ICT

복 적용되지 않도록 참조 모델 제시
□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요소 기술과 제품들의 정보 기술 아키텍처 및
상호운용성 검증
○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투입되는 제품 및 솔루
션에 대한 호환성 검증을 통한 국내 시장 구조개선 유지보수 비용 ·

절감 미래 확장성 확보
·

□ 스마트공장 에너지 최적화 기술 공유를 통한 산업용 에너지소비 절감


○ 생산 공정 에너지 효율향상 및 최적 분배를 통한 산업용 에너지소비
량 절감 기대
○ 에너지 최적 관리기술 미활용 에너지 활용기술 에너지 저장기술 등
, ,

제조업 전반 보급 확대

2. 기술적 효과 분석
□ 사물인터넷·빅데이터·클라우드컴퓨팅·스마트 로봇 등 기반 기술의 동시
다발적 발전에 기여
○ 의 발전은 산업 공정에서 완전한 자동생산 체계와 지능형 시스템
ICT

구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마트한 생산과 함께 제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
○ 사물인터넷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클라우드로 정보를 더하고 빅데이
터로 상황을 분석하며 시뮬레이션을 가동하는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

로봇은 사람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가능


□ 제조산업, 전산업 및 유관 산업의 동반성장 계기 마련
○ 제조 시스템을 포함하여 센서 및 자동화기기와 같은 관련 산업 전
분야에 대한 산업이 동시에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관련 기술인 ,

력 및 인프라 구축으로 유관산업 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

- 9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열악한 작업환경이 자동화 디지털화된 생산라인 구축을 통해 쾌적하


·

고 안전한 작업장으로 변모시킬 수 있으며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노 , ·

동력 감소를 제조업의 활용 증대로 청년일자리 창출 및 지능형


SW

연장으로 개선
○ 국내 제조업의 생산 시스템 혁신 및 해외 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생
산 장비의 수입 대체 해외 플랜트 수출에 기술개발 결과를 적극 활
,

용하게 되어 연평균, 성장하여 년


7.3% 억 달러 규모로 예2017 $2,523

상되는 세계 스마트공장 관련 시장 선점 효과 예측
□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향상과 데이터 과학 기술 선도
○ 인프라 체계 서비스 모델 확립
IoT , 서비스 플랫폼이 종합 연, H/W,

동되는 융합 기술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여 산업혁신 플랫폼을 활 3.0

용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킴


○ 디지털 가상공장과 실제공장을 상호 연동시키는 CPS(Cyber Physical

기술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새로운 스마트공장들로부터 생성되


System)

는 다량의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게 될 것,

○ 축적된 비정형 데이터를 정보화함으로써 데이터 과학 기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기술에 대해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으며 소프트 ,

웨어 기술인 데이터 마이닝 기법 기계학습 사례기반추론 등으로 데


, ,

이터 누적 량에 따라 성능이 진화하며 실증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는


데이터 과학 자체를 진보시킬 수 있음

- 9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3. 사회적 효과 분석
□ 연관 산업의 간접고용을 증가시키는 형대로 고용창출 기여
○ 미국의 년 제조업 평균 간접고용은 제조업 종업원 명당 명
2009 1 0.58

으로 낮은 수준이나 스마트공장이 확산됨에 따라 간접고용이 급증하


,

면서 제조공장의 고용창출 지속 전망
○ 또한 스마트공장은 고숙련 고임금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여 해외이전 ,

제조공장의 회귀를 가능하게하며 이를 통해 대규모 일자리 창출이 ,

가능할 것으로 예상
보스턴컨설팅그룹 은 제조공장이 미국으로 회귀하면서 발생한
- (BCG)

약 만명의 제조업 종사자가 약 만명의 간접고용을 창출할 것


80 240

으로 전망
□ 제조업 경쟁력 및 ICT 기술의 성공적 융합을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
추진
○ 관련 산업 육성 스마트공장 핵심 요소제품의 기술 수준 향상 및 스
( )

마트공장 구축 수요 증대로 관련 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선도함


○ 각 센터는 산업계 스타트업부터 중소기업 대기업 학계와 파트너쉽을
( · ),

구축하여 스마트공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과 최첨단 제조기술 융 ICT

합을 촉진함
○ 센터 인프라를 통해 지역별 산업 및 연구개발의 강점을 보유한 특성
있는 기업과 파트너쉽을 형성하고 컨설팅 비용보조 등을 통하여 설 ,

계 생산 유통 협업 시스템을 제공함
, ,

○ 일정기간 후 각 센터는 산업계 학계 지역기관의 필요한 기술 분야에 · ·

매우 중요한 리더쉽을 제공함


○ 또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지식재산권 계약 조사 성과 측정 등과 , ,

같은 사안을 공유하면서 민간 파트너쉽의 능력과 장점을 보완함

- 9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7장 스마트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육성정책

제1절 공급-수요 니즈를 반영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전략

1. 대기업-협력사 연계 전략
□ 업종별 대기업 중심으로 협력사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컨설팅 비용보조 등을 통하여 설계 생산 유통 협업 시스템 등 구축
, , ,

전자분야 기업에는 협력사 맞춤형 생산관리 시스템 및 염가형 자동


-

화 로봇 도입 최적 공정 구성을 위한 시뮬레이션 지원 삼성
, ( , LG)

자동화분야 기업에는 무결점 부품 생산을 위하여 모기업 협력사간


- -

품질정보 실시간 공유 제품 이력추적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현대


, , ( )

중공업분야 기업에는
- 등의 엔지니어링 정보의 모기업
CAD/CAM -

협력사간 공유 시스템 개발 전자계측기를 통한 품질검사 시스템 구


,

축 두산 효성
( , )

패션분야 기업에는 협력사의 패션의류 공정별 진행관리 및 소재 납


-

품관리 등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 및 기술컨설팅 지원 제일모직


IT ( )

통신분야 기업에는 협력사의 경영관리 능력향상을 위하여 클라우드


-

방식의 등 경영 고객관리 시스템 구축 지원


SCM · (SKT)

제약분야 기업에는
- 등을 활용하여 제약사 유통사 의약품 이력
RFID -

관리 정보공유 및 실시간 제품 유통경로 추적 시스템 구축 한미약 (

품 )

철강분야 기업에는 협력사의 작업 효율 및 생산 관리 강화를 위하


-

여 자재 운송 수리 계획 등 정보를 협력사와 실시간 공유 포스코 ( )

전기분야 기업에는 자동화 기술을 반영한 생산관리 시스템 및 모기


-

업 협력사간 실시간 생산 품질 정보 공유 산전
- (LS )

- 9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창조경제혁신센터·산단 등 연계 지역기업 지원
○ 공정설계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 구축 컨설팅 중소기업형 생산관리 ,

시스템 보급 초정밀금형 등 첨단 노하우 전수 등 경북센터 삼성전자


, ( - )

○ 스마트공장 구축 컨설팅 신규 구축 비용 및 기존 스마트공장의 업그


,

레이드 비용 보조 등 추진 광주센터 현대자동차 ( - )

□ 대기업 연계가 미약한 뿌리기업 등 개별공장 지원


○ 대기업 동반성장 활동 정부 사업 등을 통한 컨설팅 설비 솔루션 지
, , ,


○ 확산 사업과 연계한 관리자 실무자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운영 ·

□ 스마트공장 현장·전문 인력양성 교육 자료 공유


○ 스마트공장 기술 및 자원 공정 및 설비 관리시스템 (등의 ), (ERP, MES)

운영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및 자료 공유 ·

제조혁신 이론 및 기법 스마트공장 운영 및 관리 등 관련 기
- , , IoT

술교육으로 구성

2. 가치사슬형 연계 업종별 전략
□ 가치사슬 협력의 파급효과가 높은 6대 업종을 선정·우선 시행
○ 대 업종 자동차 전자 조선 통신 철강 제약 대표 대기업들과 중
6 ( , , , , , )

소기업 간 가치사슬 내 생산 유통 물류 분야 협업 시스템 등 , · (SCM )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
대기업 중심의 가치사슬이 발달하지 않은 업종은 최종재를 생산하
-

고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스마트화 지원


·

가치사슬 협력 필요성이 높은 업종은 자동차와 전자이며 업계수요


-

가 높은 업종은 조선 제약 철강 통신으로 향후 현황조사를 통해


, , , ,

대상 업종을 추가 발굴하고 확대 추진

- 9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39. 6 대 산업별 보급 확산 단기과제


·

업종 주요 내용
자동차 ▪(목적) 완성차-협력사 협업을 통한 품질 제고
▪(내용) 완성차-협력사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지원
전자 ▪(목적) 휴대폰 중소 금형공장의 생산성 제고
▪(내용) 보급형 제조자동화 솔루션 제공
조선 ▪(목적) 중소조선사 생산관리 강화
▪(내용) 차세대 제조시스템(야드전자도면․블록위치측정 등) 보급
통신 ▪(목적) 협력사의 경영관리 능력향상
▪(내용) 협력사에 클라우드방식의 SCM, ERP 보급
▪(목적) 안전한 산업환경 구축 및 품질 향상
철강 ▪(내용) 철강분야 테스트베드, 품질예지보전 시스템, 웨어러블 기기활용
점검, 철강분야 Virtual Factory
제약 ▪(목적) 제약사-유통사 의약품 이력관리 정보유통
▪(내용) RFID 등을 활용한 실시간 관리시스템 구축

- 업종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모기업협력사 네트워크를 활용


하여 추진하고 정부는 이를 간접 지원하는 형태로 지원
,

표 40. 업종별 스마트공장 구축 협력 사례


업종 주요 내용
전자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스마트공장 구축비용 융자(‘1
(삼성전자) 5~’20, 2,000억원) 및 구축 컨설팅(공정 재설계 시뮬레이션 등)
* 매년 20개사 이상 지원
자동차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스마트공장 구축 업그레이드
(현대차) 비용 보조 및 컨설팅 지원(‘15~’20)
* 매년 40개사 지원
제약 주요 제약기업, 전품연, 생기원, LS산전 등이 협력하여 제약기업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SW HW 개발 등 협력(MOU채결, 15.1월)

- 9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3. 산단/지자체 중심의 전략
□ 지자체를 중심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 추진
○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기업 업종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추진
정부는 해당 지역에 관련 인프라 구축 솔루션 개발 등을 지원하고
- , ,

필요시 지자체 자금에 매칭하여 구축비용 지원 검토하여 협력업체 ,

네트워킹 생산기능 전략컨설팅 자가 공장 설립 등을 통해 실시간


, ,

정보교환 생산협업 자동화 등 스마트화 지원


,

매년 마련하는 광역지자체의 지역산업진흥계획에 지역별 특화된 스


-

마트생산 방식 확산 내용을 포함하여 촉진 Clustering

□ 지역별 특화된 스마트화 촉진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 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하여 지역 제조업의 창의성과 새로운 시장 창출
역량을 강화하는 창의융합형 추진 “ R&D”

융합과제 수요조사 후보과제 선정 등 공동실시 시 도별 주력산업


- , ( ․ ,

협력 산업별 개 산업 개 창의과제 추진 창의성 지표 평가 강화


1 1 , )

시 도 경계를 넘어 산업가치사슬
- ․ 이 형성된 산업에 (Supply-Chain)

대해서는 기업군별 통합 패키지 추진 ․ R&D

□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술 지원 수요 해결을 위한 플랫폼 구축


○ 기술지원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들이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
술 지원 수요를 한 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플랫폼 구축 추진
○ 산 학 연을 중심으로 가칭 생산기술혁신 연구조합 을 구성하여 통
· · “( ) ”

합 지원서비스 제공
독일의 프라운호퍼 지원방식을 벤치마킹하여 민간수탁을 활성화하
-

고 기술 개발 인력양성 시험 인증 시제품 제작 등 산 학 연
, , , ․ , ․ ․

융합모델 제시
글로벌시장 진출과 관련된 기술 장벽을 적기 해소하기 위해 민
- 中企

간주도 방식 사업기간 사업비용 등 으로 수시 지원


( , )

- 9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2절 스마트공장 지원 생태계 구축 전략


□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기반기술 및 솔루션 공급 역량 강화,
공급산업 육성 전략
○ 모델공장 구축
- 스마트공장 관련기술 구축방식 등을 실제 공장에 적용하여 스마트
,

공장을 구축해 업계에 확산을 유도


-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결과를 모델공장에 적용하여 모델공장 수준의
지속적 향상 및 개발기술의 신속한 확산 촉진
- 스마트공장 표준 및 인증 개발 후에는 모델공장 구축 시 반영하여
표준화된 스마트공장의 확산 촉진
- 구축 후에 구축기법 적용기술 등을 체계화하여 전파하고 구축 기
, ,

업에 대한 견학 및 홍보 사례집 제작 등 등 추진
( )

○ 개방형 테스트베드 구축
- 기술개발 결과물 및 센서 등 시제품을 시험 검증할 수 있는 민
, SW ·

관 합동 개방형 테스트베드 구축
- 개발 추진 시 실증과정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성과 평가 시에도 ,

현장 적용 가능성 고려하여 기술개발 결과를 실증


- 개발된 기술은 원칙적으로 개발 즉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기업 등 민간으로 이양
SI

- 기술개발에 참여한 기업 및 연구소는 모델공장 구축 스마트공장


SI ,

구축 지원 사업 등에 참여시 우대 검토

- 9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41. 모델공장 vs. 개방형 테스트베드 구분


스마트공장 모델공장 vs. 개방형 테스트베드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하여 운영목적 제품 기술 검증을 위한 Track
실체화된 모델 제시 Record 확보 및 상용화 지원
실제 가동중인 개별 공장 적용대상 별도로 구축하는 프로토타입 공장
검증완료되어 보급․확산가능 적용기술 신규 개발 또는 未검증 상태 기술
기술
개별기업 운영 정부․대기업 합동

표 42. 독일 Smart Factory Test-Bed 사례


< 독일 Smart Factory Test-Bed 사례 >
ㅇ‘05년부터 DFKI(인공지능연구센터)에 3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계속 확대)하여 공정형태별
파일럿 공장 구축
ㅇ특정 제조사에 전속되지 않고, 개별 분야별
참여 공급사가 상호운영성이 보장되는
통합기술 개발
○ 개별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확산
- 全 제조기업 대상으로 제품 기획 설계 생산 등 제조단계 중 기업별 · ,

핵심적인 영역에 수준별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자발적 구축을 촉진하되 산업의 저변을 이루면서 스마트화 수준이 ,

낮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뿌리기업 및


, , , , ,

차 협력사 등은 중점 지원
2·3

- 모델공장 참고 후 현장진단을 통하여 스마트공장 구축계획을 수립


,

하고 설비투자 및 를 설치하여 구축 SW·HW

- 10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43. 모델공장의 운영 절차
모델공장 현장진단 맞춤형 구축(패키지 지원)
구축효과, 스마트공장 자동화 스마트기기 솔루션 운용역량
운영방식 ⇨ 구축계획 ⇨ 설비교체 자 - 센서 RFID 적용 운용자 교육
참조 수립 동화 + - 관리 SW 설치 등 +
⇧ ⇧ ⇧ ⇧
상의 등 IT 전문가
생산관리 융자 中企 자체자금 교육프로그램
(산업은행 등) + 정부 대기업 지원 (산단공 등)

○ 정보 인프라 제공
·IT

- 스마트공장 지원단을 혁신산단 내 설치하여 스마트공장 추진 기업


의 계획 수립에서 유지 보수까지 과정을 밀착 지원 · 全

- 산단공 지역본부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컨설턴트 스마트공장 유지 , ,

보수 지원 인력 등은 지역 업체 등이 지원 SI

표 44. 스마트공장 지원단 주요 기능


착수 전 본격 착수 중 설치 완료 후
입주기업 스마트공장 ⇨ 솔루션 공급기업 연결 ⇨ 유지보수, 우수 사례
수요조사, 구축 계획수립 및 컨설팅 홍보, 운영자 교육 등
지원

○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산단 내 기업이 공통 사용 가능한 관리 SW

는 기업 내 설치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


- 클라우드 방식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산단 내 기업의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를 집적 공동 관리하는 미니 구축 · IDC

- 수요가 높은 산단에 민간 사업자를 유치하여 미니 를 운영하 IDC IDC

고 산단공은 수요발굴 입지 장소의 저가 제공 등 지원


, , IDC

- 10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표 45. 사업 운영 절차
수요 발굴(산단공) 사업자 선정(산단공) 서비스 제공(사업자)
산단내 기업의 클라우드 ⇨ 운영하는 민간 사업자 ⇨ 서버임대기업을
산단내 IDC를 구축 산단내 대상으로
관리 등 서비스
서비스 이용 수요 조사 공모 제공

○ 표준체계 구축
- 영역별 기술표준 현황을 조사 표준 라이브러리 하여 유관기관 및 기 ( )

업 협의체 표준 포럼 에서 공통표준 합의 채택 및 신규 개발
( ) ·

- 합의가 용이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제어명령 포맷 등에 대해 ·

우선채택한 후 스마트공장 기술영역 전반으로 확대


,

- 공통표준 합의 및 표준개발 방안을 담은 스마트공장 표준 로드맵 “ ”

수립
표 46. 표준체계 구축 절차
표준 ①표준화 필요영역 발굴 선정 ⇨ 공통표준 합의(표준 난립 영역)
현황 ②영역별 표준 조사
조사 ③중점 대응 영역 선정 ⇨ 신규 표준개발(표준 미존재 영역)

- 新 제조방식에 대한 장기 비전을 기반으로 새로운 표준체계 구축계


획 표준화 프레임워크 수립 및 활동
( )

- 일부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진행되는 국제 표준 활동에서 국가기 ”

술표준원 중심으로 정부차원의 체계적 대응체계 마련


- 국가기술표준원 내 국제 표준 활동에 참여하는 전문가를 포함한


스마트공장 표준 연구회 약 인 규모 를 기표원내 상시 운영
“ ”( 20 )

- “스마트공장 표준 포럼 을 구성하여 관련 기업 및 기관 간 표준 합 ”

의 채택 표준개발 등 추진
· ,

○ 스마트공장 인증제도 도입
- 스마트공장 설비 및 시스템 등의 구축 여부뿐만 아니라 생산성 등

- 102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성과 측면까지 포괄하는 종합평가체계 마련


- 기술발전 글로벌 트렌드를 저해하지 않고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
,

도록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충분한 의견 수렴 및 지속적 개선 추



- 현재 운영 중인 대기업 인증 법정 인증 등과 상호 시너지 효과를 ,

창출 현대 스타 삼성
( : 5 /SQ, : SQA, LG : SQ-audit)

- 모델공장 참조 매뉴얼 표준 등과 연계하여 기업이 인증을 성장 로


, ,

드맵으로 활용하도록 체계 구성
- 수준향상을 위한 모델 모델공장 및 참조 매뉴얼 을 제시하고 표준
( ) ,

화를 통하여 인증 달성기업은 다음 수준으로 고도화가 용이하도록


구성
- 추진 가능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후 의견 수렴을 거쳐 도입
- 인증의 형태 평가 범위 인증 방식 등에 대한 연구 및 관련 업계
, ,

의견 수렴을 통한 인증개발 후 시범 적용을 거쳐 인증제 도입

표 47. 분야별 검토 내용
검토 분야 검토
인증 형태 인증의 법적 근거 설정 여부, 인증 기준 표준화 방안 등
대상 분야 성능(불량률, 생산시간 등 스마트공장의 생산성 측면), 시스템(구
축된 시스템의 기능, 프로세스 등) 등
인증 방식 단일 인증, 수준별 인증, 제조단계별(기획-생산,-품질-공급망) 인
증등

-인증 기업에 대한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 검토 스마트공장 인증 시 (

관련 인증 자동 획득 정부 사업 참여 우대 등
, )

○ 스마트공장 정보보안 이슈 대응
-스마트공장 구축 및 운영 시 필수 요구사항 보안위협 단위별 및 유 ,

형별 대처 방안 등을 담은 제조 융합 보안원칙 마련 -ICT

-보안 원칙 및 국제보안표준을 반영하여 스마트공장 기술표준화 추

- 103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진시 정보보안 표준도 포함
등 데이터 보안 등에 관한 요구조건 제시
- JTC1, ITU-T, IETF

표 48. 스마트공장 유형별 보안대책 예시 ( )

보안취약 유형 내용 대응방안
전송정보 절취 데이터 전송단계시 무단 도청 정보 암호화 솔루션 보급
기업정보 유출 생산데이터 및 기업정보 유출 사용자인증, 방화벽,
정보 변경 데이터 변경으로 제어오류 야기 Anti-Virus
비정상 프로그램 정보유출, 생산설비 오작동 야기 침입탐지시스템
서비스과부하 DoS 등 특정설비에 과부하 공격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등

년 구축 예정인
- 16 사이버위협 종합대응체계 미래 “IoT (IoT-CERT)”(

부 와 연계하여 제조분야 긴급 보안위협 대응 체계 마련


)

- 스마트공장의 침해 사고 복구 지원 중소기업 정보보안 교육 실시 , ,

긴급 대응 매뉴얼 개발 및 보급 등 추진
- 스마트공장 특화 보안솔루션 개발 및 보급 민 관 공동 추진 ( · R&D )

데이터 교환 분야 데이터 암호화 솔루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


( : ,

술 등 생산 제어 분야 비인가 접근 차단 설비 자동 정지 및 복구
, : ,

기술 등 시스템 보호 분야 과부하 공격 방어
, 시스템 : , Anti-Virus,

복구 프로그램 등 )

○ 스마트공장 현장 전문 인력양성 ·

- 스마트공장 재직자 관리자 및 실무자 학생 컨설턴트 대상 맞춤형 ( ), ,

교육실시 및 인턴십 실습 등 산학협력형 교육 실시 ·

- 중소기업 관리자 및 실무인력에 대한 계층별 제조혁신 역량


CEO,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기업의 스마트화 촉진 사업주 직업능력 개발 (

훈련지원 사업 고용부 산업혁신 교육 프로그램 등


- , 3.0 )

- 전문 컨설턴트 스마트공장 코디네이터 를 대상으로 표준도구 및 방


( )

법론에 대한 교육 실시

- 104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스마트공장 추진 중소기업과 관련 마이스터고 재학생간 현장실습 ,

인턴쉽 취업연계 지원,

표 49. 대상별 교육프로그램 예시 ( )

대상 교육내용 지원내용
CEO & 스마트공장의 이해 및 생산성본부 등
재직자 관리자 도입전략
생산관리 솔루션
(1일과정, 연간 12회×100명)
생산성본부 등
실무자 (MES, ERP 등) (3일과정, 연간12회×100명)
미래 방통대
스마트인력 생산관리 교육과정 강화 및
국가기간전략직종 선정 등 프라임칼리지(첨단공학부),
(일반 학생) 폴리텍대학, 특성화고 등
정보시스템 활용과정,
분야별 전문가 자동화설비운전과정, Big 교육 및 자격증 신설
Data분석 및 IoT 설계과정 등

- 가상 증강현실 활용 스마트공장 유지보수교육 실시 및 사이버대


·

학 러닝 기관연계 온라인 과정 운영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원격교


·e- (

육 및 보수가 가능한 환경구축 및 숙련공의 기술을 동영상으로 만


들어 클라우드 컴퓨터로 저장하여 활용 )

그림 51. 증강현실 활용 미숙련 그림 52. e-러닝 활용한


교육 원격교육
- 스마트공장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장 확대 다수의 서비스 기관을 (

- 105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확보하여 기관간 경쟁을 통해 저렴하고 우수한 서비스 제공 성공사


,

례 발굴 및 홍보 등을 통해 활용 유도 전문 인력 고용을 권장하는
,

제도 마련 관련 자격증 신설 등 제도마련으로 시장형성 간접지원


, )

- 106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8장 결론 및 향후계획

국내의 스마트공장의 효율적인 보급·확산을 위해 지자체


1.
참여형 통합 지원 인프라 구축이 필요
□ 국내외 선진 대기업과 비교하여 국내 중소중견 제조업체의 스마트화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
○ 국내 제조산업의 경우 기업의 수요 공급기업 간 연계가 강하거나 자 - (

동차 전자 자동화 설비 작업비중이 높은 연속공정 업종 화학 은


, ), ( 大)

스마트화가 높은 편이나 자동화 구현이 어려운 주문생산 방식 업종


,

기계 전반적인 기업규모가 영세한 업종 제약 화학 등은 스마


( ), ( , 中小)

트화가 미흡한 편
○ 특히나 산업의 기초인 뿌리업종은 영세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
고 가 중소기업) 용접과 같은 수작업 중심의 공정 등이 존재하
(99.6% ,

여 타 업종에 비해 스마트화가 미흡한 편


○ 년까지 전국적으로 만여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목표로 추진하
2020 1

고 있으나 대다수의 중소, 중견 제조업체의 경우 자동화와 정보화


,

수준이 낮고 제조현장에서 기술의 활용도가 떨어져 지역 제조업


ICT

체들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지 의문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실효성 확보하고 지역 뿌리 산업의 스마
트화를 위해 지역중심의 지원 전략 필요
○ 스마트공장 사업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 대비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천천히 발생하므로 투자여력이 부족한 제조 중소기업들은 공장 스마
트화 투자를 주저
○ 제조 공장 설비 및 기기 솔루션 인력 등 공장 스마트화 지원사업들
, ,

간 연계성이 부족하고 개별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지원효과가 저하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제조 뿌리산업의 스

- 107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마트화를 위해 지역 업종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체 친화적


스마트공장 지원 전략 마련이 필요
□ 지역 업체의 특성 및 현장 수요를 반영한 스마트공장 통합 지원센터 구
축이 필요
○ 지역 제조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제조혁신 추진 시
신속한 제품 서비스 공급과 개선 및 실행 협력을 가능하게 할 제조
·

혁신 관련 지역생태계 구축이 필요
○ 기술지원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스마트공장 기술관련 부품 및 장치
,

를 공급해주는 기업군들이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다양한 기술 지원


수요를 한번에 해결해 줄 수 있는 생태계 클러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센터 구축이 필요
○ 스마트공장 통합 지원센터는 모델 공장 구축을 통한 실체화된 모델
제시 시험 인증 지원 정보 및 인프라 지원 전문 컨설팅 인력 양
, , IT , ,

성 등 개별 제조기업의 스마트화 확산을 위한 중점적 역할을 수행

경기도는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최적의


2.
환경,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
□ 경기도는 상당수의 기업들이 생산 품질관리 효율화,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스마트공장의 도입을 희망
○ 경기도 소재 제조기업 근로자 명에 대해 스마트공장 수요에 대
1,856

한 설문 조사 실시한 결과 퓸질관리 및 개선 전담부서를 운영하는


,

업체가 이나 기업규모가 인 미만으로 작은 경우


50% 30 이상이 80%

품질관리 개선 활동 저조
/

○ 생산자동화가 구축되어있다는 응답이 자동화 구축 평균비용은 81.6%,

억원 소요 단 현재 구축되지 않은 업체의 경우도


2.8 , 가 구축 53.5%

계획이 있다고 응답
○ 스마트공장 도입 시 애로사항으로는 다품종소량생산 표준화부재 도 , ,

- 108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입비용 등을 응답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금지원확대 생산공정 자동


, ,

화 구축지원 기술개발지원 전문가자문 신기술개발 투자가 필요하다


, , ,

고 응답
□ 경기도는 뿌리기업과 대기업의 동반성장 모델을 구체화할 국내 최적의
테스트베드 입지 여건 보유
○ 효과적인 타당성 검토를 위해 스마트공장의 최대 수요대상인 제조업
과 특히 뿌리산업 업종이 많이 위치해 있는 5대 광역자치단체(경기,
경남, 부산, 대구, 경북)를 기준으로 제조업집중도, 연관산업집중도,
뿌리산업집중도를 비교 분석
○ 경기도는 전국 대비 42%의 제조업집중도, 40%의 연관산업(ICT, 산업
용 로봇, 자동차, 기계, IT산업)집중도, 40%의 뿌리산업집중도를 가져
5대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우위를 차지
○ 경기도는 또한 산업벨트의 중심에 위치하여 국가주력산업의 부품소재
의 최대 공급기지로서 스마트공장 육성을 위한 최적의 입지여건을 보
유하여 스마트 제조혁신 종합정책거점 활용성 극대화 가능
□ 경기도 내 주요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철저한 입지조건 분석 후 우선
투자지역 선정 필요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의 목표 및 기능에 따라 우수입지선정을
위한 차 평가와 전문가 검토 및 의견 수렴을 위한 차 평가 과정을
1 2

통해 최적의 후보군을 도출
○ 차 평가에서는 경기도 내 개의 기초 지자체를 기준으로 계층분석
1 31

과정을 활용하여 현실성 필요성 연계성 확장성 환경성 가지 항목


, , , , 5

에 대해 상세 입지 평가 수행
- 현실성 부지활용가능성 건축가능성 현금출연가능성
: , ,

- 필요성 기업수요 스마트공장 관련 수요자의 응답률


( ):

- 연계성 제조업 분포 뿌리기업 분포 클러스터화 고용창출기여도


: , , ,

- 확장성 연관산업 기업 및 기관 입주 가능성


:

- 109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 환경성 산업단지 분포
:

○ 차 평가에서는 차 평가를 통해 도출된 입지 후보군을 대상으로 전


2 1

문과 의견 수렴과 최신 통계자료를 통한 데이터 재검토 수행


○ 향후 기반 구축 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상세 참여의사를 반영하여 우
선 투자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

경기도 스마트공장 통합 지원 센터를 거점으로 국내 최대


3.
스마트공장 확산 클러스터의 역할 기대
□ 경기 지역 제조산업 단지와 밀착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원 센터
역할 기대
○ 전국 최대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제조공정 혁신을 밀착지원하고 우 ,

수 스마트공장 전문기업의 유입을 도모하기 위해서 스마트공장 지원


센터 구축 및 관련 기업의 집적을 위한 건물의 신축이 필요
○ 스마트공장 지원센터 구축을 통한 공장자동화 보급 확산을 위해 혁 ·

신기관을 거점으로 관련 산학연을 한 곳에 집적시키고 클러스터 시 ,

너지 효과 극대화 추진
○ 장기적으로 분야별 스마트공장 모듈 개발에서 조달 생산 유통 마케 , , ,

팅 서비스까지 네트워크로 연계되어 관련 산업과 기술의 군집을 형


,

성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경쟁력을 강화


,

□ 스마트공장 테스트베드 운영, 기술 컨설팅, 시제품 시험 검인증, 인력


양성과 같은 필수 기능을 제공하는 맞춤형 지원 센터 모델 제시
○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결과를 시험 검증 할 수 있는 개방형 테스트베
드를 구축함으로써 제조 공장 수준의 지속적 향상 및 개발기술의 신
속한 확산 촉진
○ 스마트공장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 제조기업이 체험할 수 있는 통합
운영 환경 조성 실질적 보급 확산 게기 마련 하고 스마트공장 보급
( / ) ·

확산에 필요한 기술 지원 시험 인증 서비스를 제공


,

- 110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제9장 참고문헌

1) 한국표준협회 스마트공장의 글로벌 추진동향과 한국의 표준화 대응전략


, ,

년 월
2015 7

2) 한국표준협회 스마트공장 표준화 동향 세미나 년 월


, , 2015 5

3) 2015 년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기술표준원 스마트공장 관련 보도자료 등


4) 제 차 무역투자진흥회의 제조업 혁신 전략 실행대책
7 , " 3.0 "

5) 국가기술표준원 기술보고서 스마트공장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KATS ,

6)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 전략 스마트 공장 분야


, 년 R&BD ( ), 2015

7) KDB 산업은행 국내 제조업 고도화 방안으로서의 스마트공장의 가능성


, ,


2015

8) ARC White Paper, Process Automation and the IoT: Yokogawa’s

VigilantPlant Approach to the Connected Industrial Enterprise, 02.2015

9) 산업연구원 산업경제정보 미래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의


e-KEIT ,

이슈와 과제 년 월 , 2015 11

10) 전자부품연구원 산업혁신 스마트 공장 로드맵 연구 년


, 3.0 , 2015

11) 교육과학기술부 지방과학기술연감 년 , , 2009

12) 통계청 년 전국제조기업현황 년


, 2013 , 2013

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산업통계 년 , , 2013

14)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산업통계 년 , ICT , 2013

15) 한국산업단지공단 공장설립온라인지원시스템 , 년 (FEMIS), 2013

16)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년 , , 2014

17) 중소기업청 중소기업 조사통계시스템 중소기업 제조업 기준 년 , , 2014

18) 포스코경영연구원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년 월


, 4.0, 2015 6

19) 산업연구원 미래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의 이슈와 과제 년


, , 2015

20) PCAST, Report to the President on capturing domestic advantage in

advanced manufacturing, 07.2012

- 111 -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21)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 혁신 구현을 위한 스마트공장확산 추진계획


, 3.0 ,

2015.04.24.

22) LS 산전 산업용 통신 기술 현황
, , 2015.06.03.

23) Fraunhofer IOSB, Report to the President on capturing domestic

advantage in advanced manufacturing, 03.2014

24) 한국표준협회 스마트공장의 글로벌 추진동향과 한국의 표준화 대응전략


, ,

년 월
KSA Policy Study 012, 2015 7

2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제조업 대국에서 강국으로 중국제조


, , 「 2025」

산업기술정책포커스 년 , 2015

2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가 제시하는 년 대 혁신기술 년 월


, MIT 2015 10 , 2015 8

27)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요국 차세대 제조기술 연구개발 정책동향


, ,


2015-11 산업기술정책 브리프 년
, KIAT , 2015

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산업클러스터 정책의 최근 동향 및 이슈


, ,


2012

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추진전략 안 및 구축사례


, ( ) ,

년 월
2015 11

30) OPCA Foundation, OPC Unified Architecture (Interoperability for

Industrie 4.0 and the Internet of Things), 2015

- 112 -
주 의

1. 본 보고서는 경기도에서 시행한 연구용역 보고서입니다.


2. 이 보고서의 내용을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경기도에서 시행한 연구결과
임을 밝혀야 합니다.
스마트 제조공정 지원센터 타당성 조사
2016년 1월
경기도
16444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1 (매산로3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