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2013.11.

25

최계영
I

II

III

IV
I 환경변화와 ICT 역할
환경 변화

① 경제 ② 사회/문화
저성장과 일자리 문제 봉착 고령화의 진전과 저출산
창의적 자산·지적재산 중요성 확대 계층간·세대간 갈등
혁신의 성격 변화 개인화의 진전과 다양성 확산
세계화와 일자리 창출 경쟁 창의성의 사회적·문화적 중요성 확대

③ 정치 ④ 환경/기술
정치의 개방성 확대 환경문제 대두
열린 행정으로의 공공서비스 변화 기술/산업간 융복합화
다양성 있는 공급을 위한 제조업의 변화

4
ICT 산업∙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SW Eats Everything, Everything Eats SW

의료 금융 교육 조선 가전 기계 건설

ICT 생태계

수직적 서비스 구분

통신 방송 서적 음악 지도 위치 통신
5
ICT의 역할 변화
과거 ICT는 ICT 산업 자체로서의 의미가 중요
- 빠른 네트워크, 고성능의 ICT HW 등 ICT 산업 자체의 발전이 우선시됨

앞으로의 ICT는 모든 것의 플랫폼으로서의 역할


- 스마트카, 스마트 농업, 웨어러블 디바이스, u-Health, e-Learning 등 국민경제 전반에 ICT가 확산
- ICT에서의 혁신이 타산업으로 확산, 산업 자체의 경쟁력 제고 -> 경제 성장에 기여
- ICT 활용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이용자 편익 증대

ICT의 활용
ICT의 보편화에 따른
정책의 전략적 패러다임
지속적 성장 행복한 삶
경제전반의
활력제고 으로 달성
변화가 요구
일자리 창출

6
ICT의 역할
① 경제와 ICT ② 사회/문화와 ICT

ICT로 기존 산업의 혁신과 새로운 산업을 창출 ICT를 통한 초연결사회의 구축


지식재산의 활용도를 높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사회 구성원들의 연결성으로 더 나은 사회 시스템
개인의 창의를 필요로 하는 산업구조로의 이행과 개선에 활용
양질의 일자리 창출 디지털 문화의 확산과 개인의 창의력에 기반한
소비문화 활동 증가

ICT로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등


ICT로 개인간 네트워킹을 통해 사회적 자본 증진 친환경 기술의 발전
공공부문의 투명성 제고와 국민 참여 증진으로 3D프린터, 디지털제조, 메이커 스페이스 등
대국민 서비스 향상 개인화된 맞춤생산 충족

③ 정치변화와 ICT ④ 환경/기술과 ICT 7


미래상

ICT의 진흥과 활용을 통해


창조와 혁신의 대한민국 건설

글로벌
환경에서 혁신이 국민
아이디어와 창의성을 행복으로
창의적 인재가
기반으로 연결되는 국가
혁신을 주도
경제부흥 선도
창조자산/
지적재산국가 혁신과 국민행복
반듯한 일자리

8
II 그 간의 정책의 성과와 한계
ICT 정책의 흐름

ICT 기반 구축 ICT 고도화 ICT 확산/융합


~’92 문민정부(‘93~’97) 국민의정부(‘98~’02) 참여정부(‘03~’07) 이명박정부(‘08~’12)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국가기간 전산망
행정전산화 기본계획 정보화촉진 New IT전략
기본계획 (II) u-Korea 기본계획
전자공업 진흥계획 기본계획 IT Korea 미래전략
정보화 촉진 IT839전략
반도체종합 육성대책 - Cyber Korea 21 IT 융합 확산 전략
기본계획
SW 강국 도약 전략

작은 정부 구현 정보화 기반을 구축 지식사회 강조


국민 생활 관련
국민편의 관련업무 IT 활용에 중점
전자부품 국산대체 중점 추진 타산업과 융합에 중점
행정 및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
경제 활력 제고
수출원가 절감 대 중소기업 동반성장
성장 잠재력 제고
새로운 비즈니스
전문 기술인력 양성 전산망의 안전운영 생활밀착형 IT 서비스
개척을 통한
정보의 공동 활용 촉진 안전, 보건, 생활편의
신규 일자리 창출
전자 수출 다변화 IT 신성장동력 육성 소프트웨어 강조

정부주도의 ICT정책은 단기간에 우리나라를 ICT강국 반열에 올렸으나,


개인의 상상력과 창의력이 중요한 창조경제로의 이행에는 부적합
10
ICT 정책의 성과와 한계
경제성장 기여도가 높고 세계 수준의 네트워크보급률과 제조업

성과 * 국내 ICT 산업의 GDP 비중은 2002~2012년 6.4% → 12.3%로 약 2배 증가


* 전자교환기(TDX-1) 국산화, 반도체기술개발(4/16/64 D램), CDMA 세계 최초 상용화,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1위
*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TV 등 제조업에서 삼성전자, LG전자가 글로벌 강자로 부상

제조업 중심의 발전 모형이 한계에 도달(고용 없는 성장 및 성장 둔화)


칸막이 규제로 ICT 내, ICT-타산업 간 융합 발전 저해
한계 ※ 주로 철강(64.6%), 항공(59.5%), 에너지(54.0%), 농업(51.7%) 분야에서
ICT 융합 수준 낮음(IT융합 생태계 조사, 2010)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간 불균형으로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 미흡

<주요 국가 지식재산권(IP) 로열티 수령액(2011년)> <ICT 품목별 수출 비중(2012년)>


1,500 단위 : 억$ , %
1,208
(50.3%)
290
(12.1%) 157 148
(6.5%) (6.2%) 141
(5.9%)

43
(1.8%) 7
50
(0.3%)

USA Japan France Germany UK Korea China


주: ( )는 비중
*자료 : World Bank(2013) 자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1
III 주요 이슈 및 정책 방향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소프트웨어

문제점
기존 SW 정책은 SW 인력양성, 제조업 등 SW 활용 확산, SI 해외진출 등에 초점
- SW 인력 수급의 불균형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으며, SW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현실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
- ICT 벤처에서도 핵심 분야인 SW 벤처육성이 기존 SW 정책에서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지 못함
- SW부문에서 데이터의 축적․처리․분석 관련 기반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이 중요해지고 있는 현실의 미반영
- 오픈소스 SW에 대한 정책 미비

13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소프트웨어

정책방향

클라우드로의 SW 부문 전환에 적극 대응 필요
- 클라우드 기술력에 기반한 플랫폼 제공기업 및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 SW
벤처 적극 육성

데이터 관련 SW 역량 강화 필요
- ICT 신산업인 빅데이터 부문의 발전은 관련 SW 기술력에 의존
-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 기술의 확보, 빅데이터 마켓플레이스 인프라 구축 등으
로 관련 SW 분야 발전에의 기반 구축

SW 인적 경쟁력 확보 필요
- SW의 초중등 교과 반영 확대 및 영재 교육 강화
- 대학 SW 교육, 글로벌 인재교류 등 고급인재 양성기반 강화
- 기업 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 지원 프로그램 확충으로 수급 불균형 완화

14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콘텐츠
현황
디지털, 웹(모바일)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음 <우리나라 콘텐츠산업 규모(억원)>
- 콘텐츠 가격하락, 불법복제 등으로 인해 콘텐츠 산업 전반의 1,000,000
수익이 감소될 것이라는 우려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 800,000
는 기대가 동시에 존재
600,000

웹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로 새로운 성장 기회 제공 400,000


- (소비자)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때에, 어디에서나 이용
200,000
- (생산자) 더 많은 콘텐츠 제작자들의 소비자에의 노출이 가능
- 내수시장 규모의 제약 극복, 콘텐츠 저장공간의 제약 극복뿐 0
아니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가능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자료: 콘텐츠산업진흥원(2012)

문제점
(시장 측면) 콘텐츠로 가치를 창출하기 힘든 시장 구조
- 매출 10억 미만이 94%로 기업 규모 영세, 콘텐츠 기업의 0.4%가 전체 매출의 35.2%를 차지
- 오프라인 콘텐츠 유통 뿐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경쟁이 비활성화
- 소비자의 콘텐츠에 대한 지불의사액이 낮고, 지불절차도 복잡
(정책 측면)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의 괴리
- 콘텐츠‧미디어 산업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오프라인 위주의 진흥정책이 추진
- 콘텐츠 장르별 지원과 디지털, 융합/차세대/스마트 콘텐츠 등을 별도 지원함으로써 소프트웨어화되고 있는
콘텐츠 속성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
- 콘텐츠가 ICT 생태계로 편입, 그러나 경직된 규제(동일한 콘텐츠의 상이한 규제, 칸막이식 규제 등)
15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콘텐츠

정책방향

정부“주도”의 성장 정책은 한계, 자생력 있는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조력자 역할 필요


- 창의, 혁신 DNA 배양을 위한 교육시스템 구축 및 창․제작자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 인터넷을 통한 글로벌 경쟁환경 고려, 생태계 내 공정경쟁 환경 구축
- 콘텐츠 유통 실태 조사 -> 상생의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해 공정거래 환경 조성

창의적 아이디어가 혁신적 콘텐츠 서비스로 창출될 수 있도록 네거티브 규제 지향


- 규제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 시장에서의 불확실성 감소

콘텐츠 정책의 외연 확대 필요
- 위치기반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빅데이터 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타부처와의 협력이
필요
- ICT 기술 기반의 콘텐츠 창업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벤처, SW 정책과의 연결도 중요

콘텐츠 해외 시장 진출 확대 필요
- 만화, 게임 등 한류 콘텐츠 산업 육성
- 중남미, 중동 등 거점 지역별 맞춤형 진출 전략 수립 필요

16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ICT하드웨어
현황
하드웨어 산업의 발전은 수출주도형 경제발전모형의 성과
- 세계 1위 제품으로 글로벌 ICT시장 선도
※ 우리나라 전세계 점유율(2013. 2Q): 스마트폰(37.6%),
메모리반도체 (58.6%),
LCD디스플레이(대형 48.3%, 중소형 42.1%)

문제점
중국은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한 우리나라의 주력분야를 빠른 속도로 추격 중
국내 부품소재, ICT 장비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이 낮아 해외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정책방향
하드웨어 산업의 고도화를 통하여 후발국가들에 대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타산업 분야와의 균형성장을 달성하
여 시너지효과 창출
유망 반도체 기술의 전략적 개발, 선순환 산업생태계 조성, 차세대 전략 품목을 위한 소재 개발
경쟁력 있는 국산 장비개발 및 공공장비 시장의 수요확대를 통한 장비시장 창출
17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ICT 융합

2013년

문제점
ICT중심의 융ㆍ복합 역량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일부 분야는 관련 기술
수준이 낮고, 상용화를 위한 기반이 부족하여 글로벌 진출에 한계

ICT융합 노력과 산업 혁신적 노력이나 R&D, 그리고 벤처 활성화 등과 직접적 연계 미흡


- 특히 ICT융합 아이디어를 산업화 하는 과정이 벤처 활성화임에도 대기업 중심의 추진에 의존

원격 의료 등 일부 분야는 법제도의 뒷받침이 없어 추진에 한계

18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ICT 융합

정책방향

ICT의 기술중심적인 시각에서 ICT융합 추진을 지양하고 해당 산업분야의 주도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 정책 필요

범부처적으로 ICT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 • 운영 필요


-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주도로 ICT 융합정책 조율
※ 특히 각 부처 R&D 전담기관은 수행하고 있는 R&D에 대한 정보공유, 공동 수요조사 등을 통해 부처간 융합연구 연계 강화

융합을 저해하는 법제도를 발굴하여 지속적 발굴, 개선


※ 원격진료(u-Health), 스마트카 등 ICT 신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과 활성화가 법제도 미비, 이해관계자 조정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지연

비타민 프로젝트 등의 부처간 협업 과제 지속적 발굴, 추진


- ICT와 과학기술을 사회전반에 접목시켜 기존 산업의 고도화, 신시장 창출, 국민행복증진 기여

디지털 페브리케이션, 제조자 운동을 광의의 ICT 융합정책에 포괄하여 활성화 도모

19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인력

현황 문제점

ICT인력은 2012년에 전년 대비 1.2% 성장 인력 수급 불일치


-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4% 수준 ※ 연구개발인력의 대기업 선호, 중소기업 기피

우수 인력의 ICT 전공 기피로 인재 부족 심화


<우리나라 ICT 인력의 비중 추이>
<숙련 엔지니어 가용성>

Finland Israel Korea


10.0

8.0

6.0

4.0

2.0

0.0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자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2012. 12; 2013. 2),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주: 숙련 엔지니어 가용성에 대한 질문응답임(10점만점)
(KEA, 2013. 5; 2013. 6), 통계청(2012. 12) 자료: IMD(2013)

20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인력

정책방향
ICT 산업은 물론, 전산업의 ICT 인력 수급 예측에 따른 정책 수립 필요

미래 ICT 산업 발전 및 사회 수요에 대응한 교육제도의 선제적 재편 필요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및 사이버 보안 전문 인력양성

글로벌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 필요
※ 글로벌 취업 및 창업확대, 해외 우수 인재의 활용 강화

21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R&D

현황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추이>

R&D투자의 양적 성장
- 2011년 총연구개발비 50조원, GDP 대비 4%
- 총연구개발비 규모 세계6위권, GDP 대비 연구개
발비 비중 세계2위권
- 연구개발인력 53만명
- 인구1인당 연구개발비 ($904)및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156천)지속적 증가

자료: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2), 201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문제점
공공 R&D 투자는 질적 성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단기 성과 위주
- 특허수 증가에도 불구, 기술수지 적자(△15억달러(’06)→△33억달러(11))
개발분야에 투자 집중, 상대적으로 기초 및 응용분야에서 기술수준 정체 양상

22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R&D

정책방향

기업이 수행하기 어려운 기초/원천연구와 공공연구에 정책 역량 집중 필요


- 대학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R&D 평가 시스템을 도입

Big Science, Mega Project(우주항공) 등의 핵심기초과학 R&D와 중소기업 지원 R&D로


이분화 필요

대학, 출연(연), 기업의 산학연 연계를 통한 공동연구개발 추진으로 실질적인 R&D 성과 창출


(예: 중소기업 지원, 연구개발 수행주체인 대학과 출연(연)에 보조금)

R&D 체계(사업선정, 평가, 활용)의 이원화를 통해 국가 R&D의 시장 실패 보완 기능 강화 필요


- 高위험군 R&D는 미래선도기술 선점을 위한 과제 대형화와 장기화를 추진, IPR 활용과 연계한
민간 참여 유도 병행
- 공공성 R&D는 대학, 출연(연), 중소기업의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기술 개발에 초점

23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ICT 벤처

현황 문제점

벤처캐피탈 투자규모는 크게 증가 공공부문 의존도가 크고, 투자자금의 회수가


창조형 신생/벤처기업 육성 위한 창업기반 및 어려워 민간 투자유인 적음
성장환경 조성 노력 지속 열악한 벤처 생태계
*벤처캐피탈 가용성 (110위), 창업소요절차(30위), 창업소요기간
(25위) (WEF, 2013)
<벤처캐피탈 투자금액 추이> <주요 국가 창업비용 비교>
(단위: 천억원)
한국 싱가 미국 영국 일본
14.0 12.6 12.3 50.0%
46.2% (24) 포르 (13) (19) (114)
12.0 10.9 (4)
45.6%
39.7% 9.9 40.0%
10.0
37.0% 8.7 절차(건) 5 3 6 6 6
7.6 7.3 7.2 30.0%
8.0 6.3 6.0 31.6% 시간(일) 7 3 6 13 23
6.0 29.0% 27.0%28.5%20.0%
27.1%
22.7% 소득대비비용(%)* 14.6 0.6 1.4 0.7 7.5
4.0
10.0% 주: *는 창업시 소요되는 법적인 절차 비용이 1인당 국민 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
2.0 자료 : World Bank(2013)
- 0.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창업 초기 기업보다는 후기 기업에 대한
신규투자금액 ICT산업 신규 투자금액 비중
투자 집중(특히 ICT 서비스 기업에게 불리)
기술보증 70% 이상, 벤처캐피털 및 엔젤투자
자료 : 한국벤처캐피털협회 벤처투자정보센터 비활성화
생계형 창업 위주

24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ICT 벤처

정책방향

혁신적 기업의 창업을 용이하게 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 구축 필요


- 무분별한 자금 투입을 지양하고 정부주도가 아닌 시장주도의 생태계 형성

생태계 선순환을 위한 조력자로서의 역할 필요


-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전문성 제고, 액셀러레이터 육성, 재창업 기회 제공 등

벤처기업이 창업 초기부터 세계를 지향하도록 지원하는 제도 필요


- 금융, 행정절차, 문화 등 글로벌 창업에 필요한 환경 지원

25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통신

현황
국내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인터넷 트래


픽 이용 국가
※’12년 기준 모바일 이용자당 월 평균 모바일 트래픽
발생량은 일본 952MB, 한국 748MB, 미국 617MB,
호주 403MB, 독일 162MB, 러시아 77MB,
중국 54MB (자료 : Cisco VNI forecast highlights, 2013)

자료: 미래창조과학부(2013)

문제점
스마트 기기 확산에 따른 데이터 폭증으로 네트워크 투자비 분담 이슈 발생(망중립성)
통신서비스 이용 패턴의 변화에 맞지 않는 요금체계

정책방향
네트워크사업자, 인터넷서비스사업자, 플랫폼사업자간 상생협력으로 통한 개방적 인터넷 환경 조성
통신시장 경쟁 촉진 및 이용자 선택권 강화

26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방송
현황
새로운 매체도입과 함께 방송산업의 진화 발전
※ PP의 프로그램 판매수익 86%, 방송사업수익 43% 증가(`09-`11)
방송산업이 인터넷을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 활용
※ 웹을 통해 VoD 서비스 제공, 앱 통해 실시간 채널 서비스 제공하며 온라인 영역 진출
최근 5년간 방송산업 평균 10% 성장, 케이블TV, IPTV 등 뉴미디어가 방송산업 발전 주도
※ 지상파 3% 성장, 유료방송 15% 성장(`09-`11)

문제점
유료방송별 규제기준이 상이하고, 엄격한 점유율 규제로 인해 사업자 간 규제 형평성 저해로
투자 유치에 걸림돌
경직적인 기술방식별 규제로 인해 기술혁신을 통한 다양한 융합서비스가 등장할 수 없는 구조

정책방향
국민 편익과 시장 자율을 우선가치로 하는 규제 정비 필요
스마트 광고산업 육성 등 방송산업 생태계 개선
유료방송플랫폼, PP 등 방송사업자에 대한 소유·겸영 규제 검토 필요
기술선택의 자율성 확대 및 서비스 특성에 따른 규제 검토 필요
27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정보보안•문화
현황
전세계적으로 전방위적인 사이버 위협이 증가
※ 사이버공격 목적 변화 : 호기심,자기과시 ⇒ 금품갈취 ⇒ 사회혼란
국내 사이버 침해사고 피해규모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최근 5년간 국내 피해규모는 37억달러(GDP의 0.4%)로 이미 자연재해 피해액(15억달러)의 2배를 상회(’11년, 소방방재청)
사이버 공간에서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 악성댓글 등 사이버 폭력 심화
※ 10대들의 허위사실 유포경험 74%, 사이버폭력 가해경험 76%, 악성댓글 작성경험 48% 기록(인터넷윤리문화실태조사,’11.12)

문제점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범정부적 대응체계 미흡(부처별 전문영역 분담하여 관리)
글로벌 보안 기업에 비해 국내 보안 기업 규모는 열위하고, 대부분 내수 시장에 의존
전국민 대상 사이버폭력 예방 인식 제고 활동 부족

정책방향
정보보호산업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는 발상의 전환 필요
체계적인 정보보호전문인력 양성 필요
국민의 사이버 윤리 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노력 필요
28
주요 이슈 및 정책방향
공공정보의 개방•공유•소통•협업 강화

자료: 안전행정부

정책방향
공공 데이터의 개방과 이에 따른 관련 생태계 발전 및 국민 편익 증대가 창조경제의 주요 아
젠다 가운데 하나
- 공공기관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정, 공공데이터 개방 로드맵 수립, 국민전문가 참여 온라인 플랫폼 구축,
통합전산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등 다양한 정책이 기획․추진중
⇒ 기 수립된 정책과 관련하여, 향후 다음의 사안에도 주안점을 둘 필요
- 복수의 공공DB를 속성중심으로 변환하고 통합관리하여 데이터 활용성 극대화
- 대국민 창구를 모바일로 확대하여 정부 3.0의 효과 극대화 도모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행정서비스의 지속적 고도화 및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
29
IV ICT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방향
비전 및 전략

정보통신과의 융합을 통해 전통산업의 국민 누구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신성장동력 발굴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
• 국민 모두가 차별 없는 의료 서비스 혜택을
•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
누릴 수 있는 사회 실현
• 스마트 서비스 구현
• 지역과 소득수준에 관계 없이 고품질의 교육을
• 농수산업의 고도화
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
• 안심할 수 있는 사회 실현
• 국민과 소통하는 정부

강건한 정보통신 생태계 구축으로 정보통신 및 융합 활성화를 위한


국가경쟁력 제고 기반 구축
•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를 통한 ICT산업 체질 개선
• 법, 제도적 기반 조성
• 국민의 창의성이 극대화 될 수 있는 콘텐츠 생태
• 기술혁신 및 지식재산 강국 실현을 위한 기반조성
계 조성
• R&D 관리 체계 선진화
• 세계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환경 구축 및 생태계
• 자생력 있는 벤처생태계 구축으로 혁신동력 확보
조화를 위한 기반 조성
• 창의 인재 양성
• 정보통신 하드웨어 산업 고도화
31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