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4

연 구 비

연구보고서

장비 적정수명 결정요인 선정 및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2019. 07. 01.

의 뢰 기 관 :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


수 행 기 관 : 강원대학교
경 고

1. 이 연구보고서는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의 연구


위탁을 받아 강원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한 연구 결과보고
서로 해군 군수발전업무 외 타목적에 사용을 금함.

2. 이 보고서를 외부에 대여, 열람 및 복사하는 것을 금하며,


필요시는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의 허가를 득할
것.
* 연구 보고서 내용 문의 시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로 문의 할 것.

3. 이 보고서의 사용이 불필요할 때에는 반드시 파기 처리할 것.


제 출 문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 귀하

본 보고서를 “장비 적정수명 결정요인 선정 및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9. 07. 01.

연구 의뢰 기관 : 해군본부 군수참모부 장비과


과 제 담 당 : 정) 중령 박 정 훈
부) 소령 유 윤 진

연구 수행 기관 : 강원대학교
연 구 책 임 자 : 전 태 보
참 여 연 구 원 : 박 창 호, 박 헌 제
목 차

요 약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목적 1
제2절 연구배경 1
제3절 연구내용 및 진행방법 2
1. 연구내용 2
2. 연구진행방법 3
제4절 기대효과 및 연구결과 활용방안 3
1. 기대효과 3
2. 연구결과 활용방안 4

제 2 장 장비수명 결정 방법의 고찰 5
제1절 대상장비의 개요 5
제2절 수명결정에 대한 국내·외 현황 6
1. 장비수명 결정 유형 6
2. 선진국의 장비수명관리 현황 10
3. 한국의 장비수명 현황 20
제3절 장비수명 결정 방법론 23
1. 유효성 기반의 접근 24
2. 경제성 기반의 접근 24
제4절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 31

제 3 장 장비수명 결정 모델 개발 35
제1절 장비수명 결정 요소들의 선정 35
제2절 모형 수립을 위한 고려 39

- i -
제3절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수립 41
1. 수행평가 기준의 정의 41
2. 장비수명 예측 모형의 도출 44
3. 장비수명 모형 및 수명 결정 54
제4절 제시된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특성 58

제 4 장 장비 운용수명 판단 조정 및 장비도태 판단 61


제1절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 정립 61
제2절 장비 운용수명 조정을 위한 장비수명평가표의 작성 62
제3절 장비 수명평가위원회 운영 개선 방안 67
1.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 67
2. 장비수명 관련 국가기관 역량 활용 69
제4절 장비도태 판단 방안 74
1. 장비도태 업무 형황 74
2. 장비도태 판단 방안 76

제 5 장 장비 운용수명 평가 사례 79
제1절 대상 장비 선정 79
제2절 선정 장비(들)에 대한 수명결정 사례 80
1. 고속단정 특수전용 81
2. 디젤엔진 MTU 12V 956 86
제3절 결언 99

제 6 장 결론 101
제 1절 연구의 주요 결과 101
제 2절 향후를 위한 제언 102

부 록 103
참고문헌 105

- ii -
<표 목 차>

<표 2.1> 장비의 종별 세부 분류 5


<표 2.2> 관문(gate)별 총 소유비용 관련 보고 요구사항 요약 12
<표 2.3> 독일의 수명주기관리 업무분장 19
<표 2.4> 장비수명 평가실무위원회 22
<표 3.1> 주요 고려요소들의 분류 35
<표 3.2> 장비수명 관련 주요 요소 38
<표 3.3> 운용기간에 따른 성능들의 비교 46
<표 3.4> 장비 경제수명 관련 연구들의 비교 58
<표 4.1> 장비수명평가표의 고려 요소 64
<표 4.2> 장비수명평가위원회의 판단을 위한 장비수명평가표 66
<표 4.3> 장비수명 판단에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 및 수행업무 70
<표 4.4> 장비수명 판단의 국가기관별 활용 가능 분야 72
<표 5.1>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입력데이터 양식 82
<표 5.2> 고속단정에 대한 입력데이터 83
<표 5.3> 고속단정에 대한 수명평가 결과 84
<표 5.4> 디젤엔진에 대한 입력데이터 86
<표 5.5>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88
<표 5.6> 장비수명평가표에 의한 평가 결과 90
<표 5.7> 창정비 주기별 수명평가를 위한 입력데이터 양식 92
<표 5.8> 디젤엔진의 첫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93
<표 5.9>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1) 94
<표 5.10> 디젤엔진의 둘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95
<표 5.11>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2) 95
<표 5.12> 디젤엔진의 셋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96
<표 5.13>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3) 97

- iii -
<표 5.14> 디젤엔진의 넷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97
<표 5.15>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4) 98
<표 5.16> 디젤엔진 수명분석 종합 98

- iv -
<그림 목차>

<그림 1.1> 연구진행 절차 3


<그림 2.1> 장비수명 결정 유형 7
<그림 2.2>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장비수명 단축 8
<그림 2.3>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장비수명 연장 8
<그림 2.4> 미 해군 요구사항/획득 Two-Pass/Six-Gate Process 11
<그림 2.5> 변화분석 연구 지침 13
<그림 2.6> MFOM 입력 및 출력 14
<그림 2.7> MFOM 상태화면 14
<그림 2.8> MFOM-DRRS 연결도 15
<그림 2.9> OPTEMPO 방법론 16
<그림 2.10> OPTEMPO 방법론 적용 사례 16
<그림 2.11> 총수명능력관리(TLCM) 경과 17
<그림 2.12> 프랑스 획득프로세스 19
<그림 2.13> 해군 장비수명 관리(결정) 절차 20
<그림 2.14> 운용단계 장비수명의 개념 21
<그림 2.15> 해군 장비수명 수정(최신화) 절차 21
<그림 2.16> 경제성 모델상의 최적 장비수명 26
<그림 2.17>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 32
<그림 3.1> 장비 운용과 신뢰도 37
<그림 3.2> 장비의 성능 변화 42
<그림 3.3> 장비 수명기간의 신뢰도 및 제 비용 43
<그림 3.4> 운용기간에 따른 성능들의 비교 46
<그림 3.5> 창정비 주기 중심의 제비용 (창정비 주기: 일정) 48
<그림 3.6> 형상모수(  )에 따른 확률밀도함수 형태 (    ) 52
<그림 3.7> 척도모수(  )에 따른 확률밀도함수 형태 (    ) 52
<그림 3.8> 형상모수에 따른 h(t) 형태 (  ≦  ) 53

- v -
<그림 3.9> 형상모수에 따른 h(t) 형태 ( >1) 53
<그림 3.10> 장비수명 결정 로직 56
<그림 4.1>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에 관한 업무 프로세스(안) 61
<그림 4.2>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안) 68
<그림 4.3> 해군의 장비수명 판단을 위한 국가기관 활용 업무 프로세스(안) 73
<그림 4.4> 장비의 수명, 도태 및 불용결정에 관한 업무 절차 75
<그림 4.5> 장비도태 심의위원회 개선(안) 77
<그림 5.1> 고속단정을 통한 해상 작전 79
<그림 5.2> 디젤엔진 MTU 12V 956 80
<그림 5.3> 고속단정에 대한 연도별 평균성능 85
<그림 5.4> 고속단정에 대한 연도별 연간등가 및 총효과 85
<그림 5.5> MTU 12V 956의 평균성능(1회 수명검토 경우) 89
<그림 5.6> MTU 12V 956의 총효과와 연간등가(1회 수명검토 경우) 89
<그림 5.7> 디젤엔진 수명분석 종합 도시 99

- vi -
요 약 문

1. 과제명
“장비 적정수명 결정요인 선정 및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군 장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체계적인 교체계획 수립을 위해 장
비도입부터 도태시까지의 적정수명 결정요소 선정 및 결정방법을 개발하여 총 수
명주기를 고려한 장비별 적정 수명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실무적·이
론적 방법론들의 검토, 이를 통한 적정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제시, 그리고 적정
수명결정 및 수명조정을 위한 적절한 프로세스를 정립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3. 연구의 필요성
가. 장비들의 수명결정 및 조정을 위한 절차의 정립 요구
장비 적정수명 결정은 장비 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해군의
장비(전력지원체계)는 그 종류와 수가 매우 많으며 이들 모두를 대상으로 고려
하지는 못하더라도 주요 제작장비들을 대상으로 한 수명결정 및 조정을 위한 절
차의 정립이 요구된다.
나. 수명결정 요소의 규명 및 신뢰성 있는 수명 결정 모형의 개발 요구
현재 해군에서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명모형이 부재하며 적절한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군에서 운용되고 있는 다수의 장비가 수명(내구연한)을 초
과하여 운영중이며,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심각한 기계적 이상없이 지속적으로 사
용되고 있는 등 현 장비수명 결정 방법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 해군 장비수명 결정 개념 및 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토
대로 적정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요소들을 선정하여 결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 장비수명 판단 및 조정을 위한 수명평가위원회의 및 운영 방안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과 관련한 수명평가위원회의 구성, 역할 등의 정립으로
해군 장비들에 대한 적절한 장비수명평가표의 제시 및 이를 통한 의사결정으로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의 정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요약 i -
4. 연구결과
가. 제 2 장에서는 장비 수명결정과 관련하여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의 현황, 한
국군의 현황, 그리고 이론적인 차원에서의 장비수명 결정 방법론들에 대한 포괄
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군의 장비수명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업
무 프로세스(안)을 제시하였다.
나. 제 3 장에서는 제 2 장의 검토를 바탕으로 장비 수명결정과 관련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중 정량적인 모형에 통합할 수 있는 계량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수명결정을 위한 수리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은 단순한 비
용보다는 군의 전투준비도와 직결되는 장비 성능을 명시적으로 비용과 통합한
새로운 평가지표를 통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장비들의 수명이 창정비
주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창정비 주기가 있는 장비는 수명 후기 1회 또는
창정비 주기별 단계별로 수명을 평가하는 2가지 접근을 모형화 한 점이 모형의
또 다른 특징이다. 수립된 모형을 통하여 실제로 최적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모형과 기존 모형들의 특성들을 대비
하며 본 모형의 장점을 고찰하였다.
다. 제 4 장에서는 제 2 장에서 제시된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안)을 기반으로
실제로 운영할 수명평가위원회의 구성, 역할, 업무절차 등을 포함하는 개선된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수명평가위원회의 장비수명 판단 및 조정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장비수명평가표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 평가표는
제 3 장에서 제시된 모형을 통하여 장비수명 산출 후 장비수명 조정의 판단을
위해 사용되며 정량적인 요소들과 달리 정성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 설문형
태의 평가틀을 가진다. 일차로 수명이 산출된 장비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보조
및 검증 역할차원에서 활용 가능하다. 추가로, 장비수명과 관련한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ADD, 한국국방연구원 등 수많은 역량있는 기관들과의 협조 및
연계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라.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과 프로세스의 실무 적용성 검토를
위해 실제의 장비들에 대하여 사례를 제시하였다. 사례 제시를 위하여 고속단정
과 디젤엔진이 선정되었으며 각각 10년 및 30년의 설계수명을 가진다. 전자는
창정비 주기가 없는 장비이며 현업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명 후기 실
제로 수명을 평가하는 사례를 마련하였다. 디젤엔진에 대해서는 창정비 주기를

- 요약 ii -
가지되 수명 후기의 1회 평가 및 매 창정비 주기별 평가 등 2가지 경우의 수명
평가를 수행하였다. 전자의 경우 모형을 통한 평가에서 수명이 거의 도래하였다
는 판단에 따라 수명평가위원회의를 통하여 장비수명평가표를 이용한 추가의 평
가를 수행하였다. 다행히 수년간 추가의 운용이 가능하다는 최종 결론이다. 디
젤엔진은 창정비 주기를 가지므로 수명 후기가 아닌 매 창정비 주기별로 수명을
평가해가는 사례를 추가로 작성하였다. 창정비 주기 단계별 수명평가를 수행하
며 현시점에서 수명을 조정할지 아니면 다음 창정비 시점까지 추가로 운용할 지
를 검토해가는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4번째의 창정비 시점
에 이르러 더 이상의 운용이 권장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다.

5. 연구결과 활용방안
- 해군 장비에 대한 체계적 수명관리 절차 정립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 해군 장비에 대한 원활한 수명 예측을 수행한다.
- 장비수명 예측을 통한 기초자료의 정의 및 수집 방법의 정착화를 마련한다.
- 장비관리 체계 정립으로 한국 해군의 과학화 목표 설정에 활용 가능하다.
- 해군 정비 조직과 제도 정비에 활용 가능하다.
- 해군 장비수명 관리를 위한 군·산·학·연 간 협력체계 구축에 활용
가능하다.

6. 기대효과
- 장비수명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다.
- 과학적, 객관적 모형 개발 및 활용을 통하여 장비수명 예측에 대한 신뢰성
제고가 기대된다.
- 다양한 장비 등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으로 향상된 전투태세
준비에 기여가 가능하다.
- 효율적 장비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으로 효율적인 국방예산의 관리가 가능하다.
- 수명평가위원회의 명시적인 역할 및 장비수명 조정 및 도태 결정의 체계 수립이
기대된다.
-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KIDA, ADD 등 권위있는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 구축을 통한 연계기능 구축이 가능하다.

- 요약 iii -
제 1 장 서 론

본 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배경, 연구의 진행방법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1절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해군 장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체계적인 교체계획 수립을 위해 장비도입


부터 도태시까지의 적정수명 결정요인 선정 및 결정방법을 개발하여 총 수명주기를 고려한 장
비별 적정 수명을 설정함에 있다. 궁극적으로, 실무적·이론적 방법들의 검토, 이를 통한 적
정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제시, 그리고 적정 수명결정 및 수명조정을 위한 적절한 프로세스를
정립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제2절 연구배경

장비획득 후의 군 장비에 대한 적정한 관리체계 구축은 군의 전투준비도 제고 뿐 아니라 총


수명주기비용 중 60% 이상을 차지하는 운영유지비용의 효율적 집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첫째, 장비 적정수명 결정은 장비 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해군의 장비


(전력지원체계)는 그 종류와 수가 매우 많으며 이들 모두를 대상으로 고려하지는 못하더라도
주요 제작장비들을 대상으로 한 수명결정 및 조정을 위한 절차의 정립이 요구된다. 현재 해군
에서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명모형이 부재하며 적절한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현재 군에서 운용되고 있는 다수의 장비가 수명(내구연한)을 초과하여 운영중이며, 이러
한 가운데에서도 심각한 기계적 이상없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등 현 장비수명 결정 방법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실정이다.
셋째,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 해군 장비수명 결정 개념 및 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정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요인 선정 및 결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과 관련한 적절한 의사결정 수행을 위한 모형의 개발


과 표준화 된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으로 보다 효율적인 장비수명 관리를 위한 기반 마련에 기
여하고자 한다.

- 1 -
제3절 연구내용 및 진행방법

상술한 연구 목적 및 배경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할 주요 내용과 연구수행 절차는 다


음과 같다.

1.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 수행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현재의 장비수명 결정 방법 분석 및 수명관리 프로세스의 정립


- 외국의 장비수명 결정 방법에 대한 검토
- 현재 해군의 장비도입시 수명결정을 위한 법령/절차 등을 검토, 분석
- 이를 기반으로 전반적인 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

(2) 과학적 장비수명 결정 방법의 제시


- 이론적·실무적 장비수명 결정 방법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반 요소들에 대한 정립
- 수반 요소들 중 정량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장비수명 예측의 과학적·객관적 모형
제시

(3) 장비 운용수명의 조정을 위한 수명평가위원회의 평가


- 장비의 수명조정 판단을 위한 수평평가표의 제시
- 장비수명(운용수명) 조정, 장비 도태 결정을 위한 구체적인 수명평가위원회의의
구성, 역할, 기준 등의 제안

(4) 권위있는 국가기관의 역량 활용 방안


- 방위사업청, 국방연구원, ADD 등 권위있는 기관 간 역량 접목 방안 마련
- 기타 세미나/위원회 등을 통한 주요기관을 참여시킬 수 있는 방안 제시 등

(5) 제시된 장비수명 결정 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장비에 대한 적정수명 판단 사례


- 선정된 장비의 수명결정 및 운영상의 수명조정 판단에 대한 사례 도출

- 2 -
2. 연구진행방법
본 연구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그림 1.1> 연구진행 절차

제4절 기대효과 및 연구결과 활용방안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대되는 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기대효과
- 장비수명 관리에 대한 체계적 업무 프로세스 정립
- 과학적, 객관적 모형 개발 및 활용을 통하여 장비수명 예측에 대한 신뢰성 제고

- 다양한 장비 등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으로 향상된 전투태세 준비에

기여

- 3 -
- 효율적 장비관리 및 교체계획 수립으로 효율적인 국방예산의 관리가 가능

- 수명평가위원회의 명시적인 역할 및 장비수명 조정 및 도태 결정의 체계 수립


-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KIDA, ADD 등 권위있는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

구축을 통한 연계기능 구축 가능

2. 연구결과 활용방안
- 해군의 장비의 체계적 수명관리 절차 정립을 위한 기초 마련

- 해군의 장비에 대한 원활한 수명 예측


- 장비수명 예측을 통한 기초자료의 정의 및 수집 방법의 정착
- 장비관리 체계 정립으로 한국 해군의 과학화 목표 설정에 활용 가능

- 해군 정비 조직과 제도 정립에 활용 가능
- 해군 장비수명 관리를 위한 군·산·학·연 간 협력체계 구축에 활용 가능

- 4 -
제 2 장 장비 수명결정 방법의 고찰

본 장에서는 장비수명 결정 방법들에 대하여 고찰하며, 대상 장비의 개요, 수명결정에 대한


국내외 실무, 이론적 수명결정 방법 및 사례를 고찰한 후 바람직한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프
로세스를 제시한다.

제1절 대상 장비 개요

본 연구 수행에 있어 대상 장비와 관련한 전반적인 고려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장비는 군수품관리훈령1)에 의거 군에 보급되는 총 10종의 군수품 중


제 7종의 차량, 총, 포, 기계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7종의 장비들은 종별 기준에 의거 <표
2.1>과 같이 분류된다.

<표 2.1> 장비의 종별 세부 분류


* 출처: 군수품관리훈령(2018)

분 류 상세 장비
화 력 소․중화기, 공용화기, 화포, 자주포 등

특 수 무 기 방공무기, 유도무기, 방공 통제장비, 유도탄 발사장비 등


전차, 장갑차, 각종 전술용 차량, 급유 및 급수차량,
기 동
승용차, 버스, 오토바이 등
항 공 항공기(고정익, 회전익), 항공기 지원장비, 정비지원장비 등
전투함, 전투지원함, 잠수함(정), 선박 및 바지, 기타 지원장비
함 정

통 신 전 자 유․무선, 레이다, 전자전 장비, 전산장비, 지휘통제장비 등

일 반 장 비 건설장비, 발전기, 도하장비, 방독면, 화생방 장비, 급수장비 등

정 밀 측 정 각종 측정계기(전압계, 전류계 등), 방사능 측정기, 시험기 등

1) http://www.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21202

- 5 -
종별 분류외에도 기능별 분류가 가능하며 이러한 기준에 의한 장비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수량 또한 방대하다. 방대한 장비들을 상세히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수명예측 모
형을 개발함은 본 연구수준을 넘어선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장비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에 의거한 모형의 제시에 초점을 둔다. 즉, 장비란 주요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
는 완제품으로서 하부의 구성품들의 구조를 가진다. 장비는 독립품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보
다 더 큰 체계의 일부일 수 도 있다.
둘째, 수명주기 단계상의 고려이다. 장비는 크게 소요제기, 획득, 운영, 폐기 등 수명주기
상의 단계들을 거치며, 장비수명은 이들 모든 단계에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주요 대상 기간은 운용단계이다. 즉, 소요제기 및 획득단계의 절차를 거쳐 신규 도입된 장비
를 대상으로 운영상의 수명결정, 수명조정 및 도태 문제를 다룬다.
셋째, 용어상의 문제이다. 획득된 장비는 정해진 수명을 가지며 운영된다. 장비수명과 관련
하여서는 다양한 용어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요구수명, 설계수명, 내구년수, (법정)내용년수
(durable life), 서비스수명, 운용수명, 잔존수명 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에 대한 정의는
검토하지 않으며 본 연구는 운용단계에서의 수명을 다루므로 운용수명으로 명명하기로 하며,
대상장비들은 수명 차원에서 상용장비와 제작장비들로 고려 가능하다. 상용장비는 기 정해진
사양을 중심으로 반복하여 구입, 운영되는 장비로 기 고시된 기간이 준용되며 별도의 수명이
고려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작장비는 상용장비와 달리 특정 목적으로 고려되는 관계로 비
록 비슷한 기능이나 사양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요구부서 고유의 사양이나 기능이 추가된다.
이러한 장비는 유사장비의 지식이나 과거의 운용/경험을 기반으로 근사 모델이나 해군본부 사
업주관부서 등의 토의를 거쳐 수명을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장비를 주 연구대상으로
하나 상용장비와 구별없이 포괄적인 접근을 택한다.

제2절 수명결정에 대한 국내 외 현황

민수분야의 장비수명은 제조 및 장치설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나 대부분의 경우 수명이 이미


설정되어 있어 별도의 수명예측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군사분야의 장비수명
현황의 고찰로서 장비수명 결정 유형, 선진국의 장비수명관리 현황, 그리고 한국의 장비수명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장비수명 결정 유형
장비를 군에서 운용할 경우 장비수명(운용수명)을 조정하기 위한 장비수명 결정 유형은 전
력관점, 물리적관점, 그리고 경제적관점으로 구분되며 이를 전체적으로 도시하면 다음 <그림

- 6 -
2.1>과 같다2).

* 출처 :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2018),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참고 작성


<그림 2.1> 장비수명 결정 유형

1.1 전력 관점의 장비수명


장비를 장기간 운용함에 따라 경제적, 물리적으로 한계 상황이라 할지라도 방위 충분성 전
력지수를 고려하여 일정 수준의 전력을 유지해야 하므로 해당 장비에 대한 대체수단 등을 고
려하여야 한다. 주로 항공기와 함정 등의 전략무기나 고가의 장비를 대상으로 하며, 수명결정
시 고려할 요소로는 경제성보다 대체무기 개발계획, 국방과학기술 발전방향 등이 있다. 다음
의 <그림 2.2>와 같이 신기술 발전으로 대체장비 개발이 가능해질 경우나 전략적인 환경변화
에 의해 장비를 조기 도태할 경우 결정된 수명은 최초 수명보다 짧아진다.

2)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 pp. 22~26, 2018.6.27.

- 7 -
* 출처: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2018)
<그림 2.2>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장비수명 단축

또한 다음 <그림 2.3>과 같이 교체예산이 너무 커서 대체장비 개발까지 수명을 연장할 경우


결정되는 수명은 최초 수명보다 길어진다.

* 출처 :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2018)
<그림 2.3>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장비수명 연장

1.2 물리적 관점의 장비수명


장비 운용 간 누적된 피로도 등의 관련 기술 자료는 군수계통 지원부대 등을 통해 관리 유
지하고 있으며, 해당 장비의 수명 연장에 대한 물리적 한계 등에 따른 안전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부품 및 구성품의 물리적 관점에서의 장비수명 결정방법으로는 기계적 구조물의 수명에
의한 장비수명 결정, 주요 핵심 구성품 및 부품의 수명에 의한 장비수명 결정, 부품 고장률을
기반으로 한 장비수명 결정방법, 손상허용해석에 의한 장비수명 결정방법 등이 있다.

1.2.1 기계적 구조물의 수명에 의한 장비수명 결정


장비의 기본 골격인 프레임, 케이스 등의 내구성(고장률)을 통하여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으
로 경제적 활용가치(경제성)보다는 장비의 보존, 운용에 중점을 두는 장비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며, 장비 생산업체의 생산중단으로 획득이 곤란하거나 대체장비가 없어 운용
중인 장비를 계속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기구물의 수명 확인을 위해 구조물
을 제작하거나 취약부위의 시료를 제작, 시험을 수행하여 수명을 판정할 수 있으며, 수명시험
시 기간의 부족이나 시험비용의 부족으로 시간을 단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가속수
명시험을 실시하거나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조물의 수명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다.

- 8 -
이 방법은 장비의 구성품으로 포함된 기계적 구조물이 수명을 경과한 경우 구조물을 교체하
거나 장비의 기본 골격인 프레임 등의 내구성 조사결과 수리가 곤란한 헬기 또는 함정 등과
같은 장비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1.2.2 주요 핵심 구성품 및 부품의 수명에 의한 장비수명 결정


장비 내의 주요 구성품 및 핵심 부품의 구성 비율이 높은 제품 또는 구성품의 가격이 장비
가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제품의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에 주로 적용되는데, 이 방법은 주
요 구성품의 내구도가 장비의 수명이 된다. 차량의 경우 엔진, 변속기, 제동장치, 기어상자
등은 주요 구성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이들 구성품이 전체 장비가격의 상당부분을 차지함으
로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동전화기의 액정화면 고장 시 액정화면을 교체하지 않고 전화기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는
1개의 구성품이 전체 시스템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여 고장난 구성품의 교체가치가 신규장비
의 획득가치보다 낮기 때문이다.

1.2.3 부품 고장률을 기반으로 한 장비수명 결정


누적정비비용을 기준으로 한 장비수명의 결정은 총 누적부품 교체비용이 장비 획득가의 일
정 비율 이상이 되는(예: 100%) 기간을 장비수명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부품이나
구성품의 고장률에 따라 교체시기가 결정되며, 총 부품의 누적 교체비용이 장비가격의 일정
비율에 이를 때 장비수명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부품 및 구성품의 가격, 교체기간 등이 중
요하다. 적용 가능한 장비로는 각 부품의 고장률을 산출할 수 있는 장비가 될 수 있으며, 개
발 시 설정된 수명을 운용제원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누적비용의 비율을 보정(부족한 부분을
보태어 바로잡음)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은 장비의 부품에 대한 고장률과 가격을 기준으로 교체 가능한 조립품 및 부품들의
고장률을 반영하여 수명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수명 결정 시 부품가격과 고장률을 곱한 값들
을 더하여 부품가격의 총합과 비교하거나 획득 가격과 비교하여 수명을 결정한다.

1.2.4 손상허용해석에 의한 장비수명 연장 및 결정


안전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계적 구조물, 수리가 가능한 기계적 구조물 및 시험시 접근
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장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물의 손상정도를 확인한
후 손상의 허용이 불가능 한 기간을 예측하여 수명으로 결정한다. 또한 예산의 절감을 위해
수명 도래 시 손상을 해석하여 허용정도에 따라 구조물의 보완 등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여 사
용한다. 손상허용해석은 기계적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품에 대해 모든 제품이 결함(crack)을

- 9 -
가지고 있으며, 제품의 기능에 따라 장비의 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함의 크기가 결정
된다는 것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명확한 손상허용 기준의 판단이 가능하고 기계적 구조물이 장비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함정, 항공기 등과 같은 장비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여러 국가에서 손상허용해석을
통해 장비 수명을 관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미 해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20종의 고정
익)와 공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40종의 고정익), 그리고 캐나다에서 사용하는 항공기(12종의
고정익) 등을 들 수 있다. 한국 해군의 경우에도 함정에 대한 손상허용해석을 부분적으로 적
용하고 있다.

1.3 경제적 관점의 장비수명


장비를 장기간 운용하며 누적 관리되고 있는 후속군수지원 분야의 비용을 고려할 경우 해당
장비의 지속 운용 시 소요되는 비용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비수명의 조정을 고려
할 수 있다.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수명 판단방법으로는 5가지 종류로 분류가 가능하며, 여기
에는 평균시스템 비용법(ASC: Average System Cost), 누적유지비에 의한 방법, 연간등가 비용
법(EAC: Equivalent Annual Cost), Greenfield and Persselin의 결정론적 모델, 그리고
Keating and Dixon 모델이 해당되며, 세부내용은 본장 3절의 이론적 수명결정 방법에서 기술
하기로 한다.

2. 선진국의 장비수명관리 현황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은 명칭은 일부 상이할 수는 있으나, ‘총수명주기체계
관리(TLCSM : 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라는 골격을 유지하면서 장비의 수명을
관리하고 있다.

2.1 미국

2.1.1 총수명주기체계관리(TLCSM) 제도
미 국방부는 장비수명 관리를 위해 2002년 1월 총수명주기체계관리(TLCSM : Total Life
Cycle System Management) 제도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총수명주기체계관리 제도는 운
용유지 비용을 줄이면서 효과적인 성과 및 최적의 준비태세 달성을 목표로 하며 특성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된다3). 첫째, 총수명주기체계관리 제도는 능력에 기초한 접근법과 진화적 획득전
략을 중심으로 하는 군수지원제도이다. 둘째, 무기체계 전 수명주기단계의 일관성 있는 관리

3)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 pp. 51~52, 2018.6.27.

- 10 -
로 비용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합참에서 소요결정 시 무기체계 지속성(sustainment)을 작전
운용성능(ROC :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과 동일한 비중으로 고려하고 있다. 셋
째, 국방부(합참) 주관 하 Top-Down식의 일관성 있는 사업추진을 위해 사업관리자에게 단일책
임을 부여하여 사업계획 수립, 초도 양산, 시스템 및 하위체계, 구성품, 수리부속 및 용역의
조달 등 사업계획 수립부터 도태까지 수명주기 관리의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미 해군은 장비수명을 총 소유비용(TOC : Total Ownership Cost) 차원에서 접근하여 무기
체계 획득 전반에 걸쳐서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미 해군의 획득 과정은 다음 <그림 2.4>
와 같이 도시된다4).

* 출처 : Department of the Navy(2014)


<그림 2,4> 미 해군 요구사항/획득 Two-Pass/Six-Gate Process

다음 <표 2.2>는 <그림 2.4>의 다양한 단계 관문(gate) 검토(review)에서 제시되는 총 소유


비용과 관련된 계획, 산출물 및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5). 이처럼 미 해군은 소요기획, 획득,
운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서 총 소유비용의 관점 차원에서 장비를 관리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4) Department of the Navy, Total Ownership Cost(TOC) Guidebook, pp.12~13, JUNE 2014.
5) Department of the Navy, Total Ownership Cost(TOC) Guidebook, pp.14~15, JUNE 2014.

- 11 -
<표 2.2> 관문(gate)별 총 소유비용 관련 보고 요구사항 요약
* 출처 : Department of the Navy(2014)

다음 <그림 2.5>는 제안된 변화분석(AoA : Analysis of Alternatives) 연구 지침 슬라이드


로서 변화 분석 연구 중에 수행해야 내용들 중 포괄적인 총 소유비용 추정이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6).

6) Department of the Navy, Total Ownership Cost(TOC) Guidebook, p. 16, JUNE 2014.

- 12 -
* 출처 : Department of the Navy (2014)
<그림 2.5> 변화분석 연구 지침

2.1.2 성능지수유지관리체계(MFOM : Maintenance Figure of Merit System)


MFOM은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기존 출처로부터 유지관리 자료를 입력하고 전문가들이
개발한 모델을 사용하여 함대준비태세에 대한 결과 예측을 수행하며, 2000년대 초반부터 수상
전투함정에 적용되었고 가장 최근 버전은 2011년형이다7). MFOM은 3가지 중요한 수단 제공을
하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문서화 된 조건에 따라 함정 장비와 시스템의 준비태세 비율
을 계산하고 보고한다. 둘째, 장비운용능력 및 시스템 영향에 근거한 수치 값을 각 유지보수
작업에 제공한다. 셋째, 문서화 된 조건에 따라 일정 수준의 준비태세에 도달하기 위한 자금
소요를 식별해 준다8).
다음 <그림 2.6>은 MFOM의 입력과 출력을 보여주고 있다. MFOM은 취역중인 함정의 가용성
(availability) 계획을 중점적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수명주기 비용을 포함한 산출물은 현실
적인 비용평가와 함께 가용성에 있어서의 수리에 대한 권장사항을 제공해준다9).

7) Bradley Martin․Roland J. Yardley․Phillip Pardue․Brynn Tannehill․Emma Westerman․Jessica Duke, An


Approach to Life-Cycle Management of Shipboard Equipment,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Calif, p.55,
2018.
8) Dale Hirschman, Ship Material Condition Metrics Model: Maintenance Figure Of Merit(MFOM) 2.0,
Fleet Forces Command, 4 April 2007.

- 13 -
* 출처 : Bradley Martin et al.(2018)
<그림 2.6> MFOM 입력 및 출력

다음 <그림 2.7>은 MFOM의 상태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 출처 : Dale Hirschman(2007)10)
<그림 2.7> MFOM 상태화면

9) Bradley Martin․Roland J. Yardley․Phillip Pardue․Brynn Tannehill․Emma Westerman․Jessica Duke, 「An


Approach to Life-Cycle Management of Shipboard Equipment」,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Calif,
p.56, 2018.
10) Dale Hirschman(2007), Ship Material Condition Metrics Model: Maintenance Figure Of Merit(MFOM) 2.0.

- 14 -
다음 <그림 2.8>은 MFOM의 출력 산출물들이 해군방위준비태세보고체계(DRRS-N : Defense
Readiness Reporting System-NAVY)를 경유하여 국방준비태세보고체계11)로의 연결을 도시하고
있으며, 수상함과 잠수함에 MFOM이 적용되고 있다. MFOM의 함상 적용은 MRAS(Mission
Readiness Assessment System)로도 알려져 있다.

* 출처 : Dale Hirschman(2007)
<그림 2.8> MFOM-DRRS 연결도

2.1.3 OPTEMPO(Operational Tempo) 방법론12)


OPTEMPO 방법론은 손실(loss), 사용(usage) 및 피로도(fatigue)에 근거하여 수명을 결정하
는 공식으로, 군사장비 프로그램의 교체(replacement) 또는 자본재투입(recapitalization) 계
획을 시작할 시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방법론의 산출물은 프로그램 수명 동안 소비된 능

11) 전 세계의 경찰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의 입장에서 지역적인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분쟁
을 해결하기 위해 투입 가능한 부대들을 판단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체계로서 임무시나리오 기반으
로 부대들의 능력을 제시해 주며, 여기에는 인원(P : Personnel), 장비(E : Equipment), 보급(S :
Supply), 교육훈련(T : Training), 무장(O : Ordnance) 자원 등이 해당한다.
12)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Acquisition, Technology and Logistics), Property and
Equipment Policy Office and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Comptroller), Accounting and
Finance Policy Office,「Military Equipment Useful Life Study - Phase II Final Report」, May 30, 2008.

- 15 -
력(capability)의 추정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의사결정자들이 향후 조달 조치의 계획을
알려준다. OPTEMPO 방법론의 공식은 다음 <그림 2.9>와 같이 도시된다.

* 출처 :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2008)13)


<그림 2.9> OPTEMPO 방법론

이 방법론에 대한 입력 자료는 표준화되어 있으나 프로그램별 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국방부는 군사장비의 서비스 수명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내 활동을 가장 적절하게 포착하는
데이터 지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그림 2.10>은 F/A-18 프로그램에 OPTEMPO 방법론의 공식을 적용한 사례이다.

* 출처 :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2008)


<그림 2.10> OPTEMPO 방법론 적용 사례

2.2 영국
영국은 다음 <그림 2.11>과 같이, 1998년 2월 스마트 획득(Smart Acquisition)을 채택하여
수명주기 전 기간을 고려한 사업관리로 전환하고 이에 맞춰 획득조직을 개편 및 통합하여 운

13) Office of the Under Secretary of Defense(2008), Military Equipment Useful Life Study.

- 16 -
영해 왔다. 그 중 하나가 기존 조달조직을 통합해 무기가 야전에 배치되기 이전까지를 담당했
던 국방조달본부(DPA : Defense Procurement Agency, 1996~2006)이고, 또 하나는 각군 군수사
령부를 통합해 무기가 야전에 배치된 이후를 지원했던 국방군수본부(DLO : Defense Logistics
Agency, 2000~2006)이다. 그러나 이렇게 이원화된 조직을 운영한 결과 생산단계에서 통합사업
팀(IPT : Integrated Project Team)이 DLO로 전환됨에도 불구하고 획득과 운영유지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예산 운영에 있어 상당한 비효율성이 초래되었다. 문제점 대두에
따라 2006년부터 획득변화 촉진팀(EACT : Enabling Acquisition Change Team)을 구성하여 획
득과 유지를 단일조직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획득초기에 수명주기 비용을 정확히 파악하
며, 효율적 재원배분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획득전략인 총수명능력관리(TLCM :
Through-Life Capability Management)로 2007년 4월 7일 전환하였다.

* 출처 : https://www.slideshare.net/pauldavis/dublin-38405478
<그림 2.11> 총수명능력관리(TLCM) 경과

- 17 -
총수명주기관리계획서(TLMP : Through Life Management Plan)는 국방능력에 관련된 모든 기
관(획득, 운영, 폐기 등의 업무 관련기관)들의 국방능력 확보를 위한 계획으로 통합사업팀이
신규장비 획득 및 실전 배치와 폐기까지의 모든 업무에 대해 총괄적 책임을 지고 계획을 수립
하고 있다. 총수명주기관리계획서는 개념단계에서 작성되어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 개선,
보완되며 최종 사업 승인을 위한 검토자료로 활용되고, 생산단계에서는 시험평가를 실시하고
실전배치를 결정하는데 활용된다. 이와 같이 총수명능력관리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모든 국방
수명관리요소(DLD: Defence Lines of Development)를 고려하여, 신규 및 기본 군사능력의 모
든 측면을 일관성 있게 계획 및 관리되도록 능력을 획득하고 운용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다14).

2.3 독일15)
독일은 1998년부터 국방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시작하여 2000년부터 본격적인 국방
개혁 추진에 나섰으며, 국방개혁의 주요 내용은 3군 체제에서 신속대응 및 효과중심의 신속대
응군(35,000명),안정화군(70,000명), 지원군(147,500명)으로의 전환, 중앙통제를 강화한 통합
지원체계 구축, 국방운영분야의 혁신, 첨단무기체계의 확보이다.
이러한 개혁의 주요과제로 독일은 이전까지는 4개의 단일 군수지원체계(육․해․공군 군수지원
체계, 국방부군수지원체계)를 2000년 10월 통합적 군수지원체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즉, 단일
지원으로 통합되지 못했던 군수를 변혁하여 핵심능력에 초점을 맞춰 연방차원의 통합지원체제
로 전환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합동지원군 예하에 연방군수센터(BLC : Bundeswehr Logistics
Center)를 창설하여 전․평시 합동군수물자에 대한 통합군수지원을 조정통제하고, 군수산업체와
의 업무협조 및 의사전달 역할을 하며 전투부대와 군수지원부대에 대한 연결통로 역할을 하도
록 하는 등 모든 종합군수지원업무의 조정통제 및 민간과의 협조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또한, 독일은 다음 <표 2.3>과 같이 2001년부터 국방부 군비총국 조종통제 아래 합참 4국
즉, 군수국에서 장비소요를 결정하고 국방기술조달청에서 획득업무를 수행하며, 군수센터에서
장비를 운용한다. 다시 말해 군수에서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운영유지 및 폐기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소요결정부터 전체 무기체계 획득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합동지원본부
통제 아래 운용책임관(In-Service Manager)이 수명주기간 모든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수명
주기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즉 운용책임관이 소요결정단계부터 획득, 운용유지단계까지
참여하여 실질적인 총수명주기 체계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독일은 군수중심의 장비
수명주기 관리정책은 변함이 없었으며, 방법만 통합적 군수지원체제로 변화했다.

14)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 pp.52~53, 2018.6.27.


내용 발췌 정리
15) 한국국방발전연구원, 무기체계의 수명주기지속계획서 적용방안 연구보고서, pp.36~38, 2012.5. 내
용 발췌 정리

- 18 -
<표 2.3> 독일의 수명주기관리 업무분장
* 출처 : 한국국방발전연구원(2012)16)

분석단계 위험감소단계 도입단계 운용단계


단계
(소요결정) (획득) (운용)

합참 4국 군수센터
책임부서 국방기술조달청(PM)
(군수국) (운용책임관)

2.4 프랑스17)
프랑스의 무기체계 수명주기는 다음 <그림 2.12>와 같이 준비(Preparation), 설계(Design),
실현(Realization), 사용(In-Service) 및 폐기 (Break)단계로 나뉜다.

* 출처 : 국방대학교(2010)
<그림 2.12> 프랑스 획득프로세스

준비단계에서는 운영소요를 통한 개념연구단계로 운영개념, 기술적 대안분석 및 예비적 목


표비용 등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설계단계에서는 국방부장관이 사업추진을 결정하며, 이때 장
비에 대한 비용의 80%가 결정되고 나머지 비용 20%는 실현단계에서 결정된다. 실현단계에서는
무기체계 양산업체를 결정하고 생산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획득체계에 대한 상세설계, 조정,
평가, 검증 및 시험평가가 수행된다. 사용단계에서는 무기체계가 소요군에 배치되어 운용되는
단계로, 이때 형상관리, 성능개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폐기단계로 장비의
폐기는 군 참모총장이 결정하게 된다.

16) 한국국방발전연구원(2012), 무기체계의 수명주기지속계획서 적용방안 연구보고서.


17) 국방대학교, 총수명주기체계관리(TLCSM) 집행통합 구축 방안, pp.48~51, 2010.1. 내용 발췌 정리

- 19 -
이와 같이, 프랑스는 무기체계 획득에 따른 책임과 권한을 국방부 예하의 병기본부에 집중
시킴으로써 사업추진 소요기간을 단축하고, 관련 연구조직에 대한 조정, 통제도 일원화함으로
써 국방예산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다.

3. 한국의 장비수명관리 현황
국방부는 효율적인 장비관리를 위해 장비획득 과정에서 수명을 결정하고 장비 운용간 수명
조정을 위한 절차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비 수명관리 지침을 작성하여 예하에 시달하였으며,
장비수명에 대한 용어를 소요기획 단계, 획득 단계, 그리고 운용 단계로 구분하여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운용수명으로 명시하였고, 국방부(본부), 합동참모본부,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 각 군 본부 및 예하부대를 적용범위로 설정하였다18).

3.1 해군
해군은 국방부의 장비 수명관리 지침에 의거하여 장비수명을 다음 <그림 2.13>과 같이 소요
기획단계(요구수명), 획득단계(설계수명), 그리고 운용단계(운용수명)로 구분하고 있다. 첫
째, 소요기획단계에서는 내구도, 유사장비 수명, 의도하는 사용기간 등을 기초로 요구수명을
제기하고 결정한다. 둘째, 획득단계에서는 무기체계나 구성품을 설계, 제작한 후 운용환경 조
건을 적용하여 통계적으로 예측한 기간이 요구수명을 충족하기 위한 설계목표로 삼는 설계수
명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운용단계에서는 무기체계나 구성품을 최초에 작동한 시점부터 최
종 폐기할 때까지 성능이 유지되는 기간을 주요 무기체계 등 전략적 목적에 의해 운용수명을
결정하고 운용제원을 기초로 하여 운용수명에 대한 수정을 한다19).

<그림 2.13> 해군 장비수명 관리(결정) 절차

또한, 실무적인 관점에서 본 연구의 주된 관심분야는 운용단계에서의 장비수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운용단계 장비수명에 대한 개념을 도시하면 다음 <그림 2.14>와 같이 장비수명 → 운

18) 국방부, 장비 수명관리 지침, p.1, 2016.11.16.


19)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244호, 해군 장비관리 규정, 제2조, p.9, 2017.4.17.

- 20 -
용수명 → 경제수명으로 진행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림 2.14> 운용단계 장비수명의 개념

해군 장비수명 수정(최신화) 절차는 다음 <그림 2.15>와 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20), 최초 장


비획득 시에는 설계수명을 기준으로 국방장비목록관리체계에 장비수명을 등재하고 장비를 운
용하면서 경제수명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축척 및 관리하며,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수명평
가 실무위원회를 통해서 경제수명21)을 결정하고 장비수명을 수정(최신화)하도록 규정하고 있
다.

<그림 2.15> 해군 장비수명 수정(최신화) 절차

20)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244호 「해군 장비관리 규정」제15조2, p.19, 2017.4.17. 내용 참고 재구성
21) 장비의 기능에 대한 군의 요구를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기간을 말하며, 연간평균 총 소
요비용이 장비기능 발휘를 이한 경제적 수리한계를 초과하는 평균 지점을 말하며, 이 수명은 국방
장비목록관리체계의 장비수명으로 최신화 한다.(출처 : 해군 장비관리 규정)

- 21 -
하지만 장비수명 수정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수명결정 요인은 선정되어 있지 않았고 수
명결정 방법도 정립되어 있지 않은 현실로 인해 실무상의 장비수명 수정은 대단히 힘든 분야
로 여겨지고 있다.
해군 장비수명 평가실무위원회의 주요내용은 다음 <표 2.5>와 같이 정리되며22), 아쉽게도
현재까지의 개최 실적은 없는 실정으로 장비수명 평가실무위원회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
련이 요구된다.
<표 2.4> 장비수명 평가실무위원회
* 출처 : 해군본부(2017)

구 분 주 요 내 용
• 해군 소요결정대상 장비에 대한 장비수명 결정
역할
• 장비 운용간 경제수명 결정
• 위원장 : 장비주관부서장 또는 사업주관부서장
• 위원 : 관련 부서장 및 부서원,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기타
구성
심의에 필요한 외부전문가 등 위원 6인(2/3 이상 참석)
• 간사 : 장비주관부서 또는 사업주관 부서 담당
• 경제수명 산출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확인
심의내용 • 산출된 경제수명에 대한 결정
• 전략적 측면을 고려한 운용수명 결정
• 전력지원체계와 국방부 주요통제장비는 국방부(군수관리관실) 장비수명
비고
평가위원회에서 결정

3.2 육군
육군은 장비 수명관리에 있어서, 국방부에서 제시한 요구수명(소요기획단계), 설계수명(획
득단계), 그리고 운용수명(운용단계)에 대한 개념을 활용하고 있으나, 적용은 아직까지 현실
화되지 않고 있다.
육군은 장비수명을 수명과 경제적 수리한계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다.23) 첫째, 수명은 장
비획득 시 내구도, 유사장비 수명 등을 기초로 하여 수명소요를 제기하여 결정한 장비의 수명
연한으로 장비운영 간 야전운용 제원을 적용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수
명은 요구수명(소요기획단계), 설계수명(획득단계), 그리고 운용수명(운용단계)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경제적 수리한계는 정비 또는 재생에 소요되는 비용과 정비 또는
재생 후 활용가치를 비교하여 정비 또는 재생비용이 어떤 한계 금액을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라
고 판단하는 한계점을 말하며 경제적 수리한계 비율은 정비 후 잔여수명 또는 재생장비24) 평

22)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244호, 해군 장비관리 규정, 제15조2, pp.19~20, 2017.4.17.


23) 육군본부, 육군규정 471, 장비관리 규정, 제2조14, 2016. 4.18.

- 22 -
균수명을 신품장비 평균수명을 나눈 값으로 규정하고 있고, 경제적 수리한계에 의해 장비의
정비 및 폐처리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육군은 장비수명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미흡하여 정비현장에서는 정비작업자
혹은 관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정비여부가 결정되고 있으며, 이는 비효율적인 정비 운용
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25).

3.3 공군
공군은 장비 수명관리에 있어서, 국방부에서 제시한 요구수명(소요기획단계), 설계수명(획
득단계), 그리고 운용수명(운용단계)을 적용하고 있으나, 추가로 내구수명과 경제수명으로 구
분하고 있으며26),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운용수명은 3.1절의 해군에서 제시한 내용과
동일하다. 내구수명과 경제수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내구수명(내용연수)
은 최초 장비운용부터 장비기능이 더 이상 경제적으로 회복할 수 없게 될 때까지의 수명을 말
하며 상용장비에 적용하고 있고, 둘째, 경제수명은 장비의 기능에 대한 군의 요구를 경제적으
로 충족시킬 수 있는 수명을 말하며 연간 평균 총 소요비용이 장비 기능 발휘를 위한 경제적
수리한계를 초과하는 평균 지점을 경제수명으로 결정하고 있다.
반면, 상술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공군은 장비수명을 제작사에서 제시하는 수명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공군의 주요 무기체계인 전투기는 대부분 국외구매를 통해 획
득중이고, 국내연구개발을 통하여 획득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기 때문이다. 공군은 국외 제작
사에서 제시하는 수명을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운용수명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보아도
큰 무리가 없는 것이다.
공군의 경우에도 장비수명 타당성 확인을 위한 명확한 기준과 지침은 부재하고, 실무에서의
장비수명 조정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제3절 장비수명 결정 방법론

장비수명을 결정하는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방법들이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연구, 적용되
어 왔다. 군 장비의 수명 결정에 있어 대표적인 모형은 크게 유효성(effectiveness)과 경제성
(economic) 기반의 접근으로 대별된다.

24) 창정비를 수행하는 장비를 재생대상 장비라 하고, 야전정비로 종결하는 장비를 비재생대상 장비라
한다.
25) 이은아, 권남연(2017), 군 표준차량의 사례 분석을 통한 군용장비의 경제적 수리한계 분석 방안 연
구,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3호․2017년 가을(통권 제117호), p. 198.
26)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 p.15, 2018.6.27.

- 23 -
1. 유효성 기반의 접근
유효성이란 비용적인 요소보다는 장비에 요구된 기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하는가를 중점적
으로 고려하는 경우로 이 경우의 장비수명은 보통 유효수명이라 명명된다. 즉, 유효수명이란 장비의
운용 특성상 장비의 기능/성능이(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고) 군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
기간이라 할 수 있다. 비록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함이 있다 하더라도 유효성 차원에서 그 장비를 계
속 운용하는 것이 군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경우 적용된다. 유효성 기반 장비 수명
결정에의 주된 고려사항은 신뢰도, (운용)가용도, 임무효과도 등으로 이들의 함수를 주요 수행평가
기준으로 삼아 수명을 산출한다.
하형호(2003)27)는 K-511 차량을 대상으로 가용도 요구수준을 중심으로 한 최대유효수명 산
출 모형을 제시하였다. 강호신(2005)28)은 장비의 최적 교체시점 설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Barlow와 Hunter(1960)의 고장시간 기반의 예방정비모델(TBM)29)과 Park(1979)30)과
Nakagawa(1981)31)의 고장횟수 기반의 예방정비모델(TNBM)을 함께 고려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효성 기반의 수명 결정은 수명을 대변할 적절한 수행평가기준의 설정에 있어 객관적인 타당성
을 갖도록 적절하게 수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다음에 고찰할 경제적 기
반의 접근보다는 적용이 제한적이다.

2. 경제성 기반의 접근
경제성 기반의 접근은 장비의 수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제반 비용 요소들을 고려하며 총 비용을
중심으로 적정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기반한 수명을 경제수명이라 부르며 장비의 성능에
대한 군의 요구를 가장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기간으로 정의된다. 즉, 경제수명을 초과
하는 운영은 고장의 증가 등으로 인한 유지비의 증가로 비 경제적이라는 판단이다. 경제적 기반의
접근은 유효성 기반의 접근과 비교하여 목적함수 자체가 직관적이며 실용적이어 더 많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목적함수는 총 비용의 최소화이며 필요시 적절한 제약조건(constraint)을 함께 설정하
여 모형을 수립할 수 있다. 비용함수의 수립에 있어 고려하는 방법에 따라 많은 접근이 가능하나 앞

27) 하형호(2003), 군 기동장비 가용도 분석을 통한 장비 교체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28) 강호신(2005), 고유가용도 및 수리비용을 고려한 최적 교체시점 설정, 한국방위산업학회지, 제12권
2호.
29) Barlow, R. E. & Hunter L. C.(1960), Optimum Preventive Maintenance Policies, Operations
Research, Vol. 8, No. 1.
30) Park, K. S.(1979), Optimal Number of Minimal Repairs before Replacement, IEEE Transaction on
Reliability, Vol. 28, No. 2.
31) Nakagawa, T.(1981), Generalized Models for Determining Optimal Number of Minimal Repairs
before Replacement,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 24, No. 4.

- 24 -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의 큰 범주와 내용으로 설명된다32).

2.1 평균시스템 비용법 (ASC, Average System Cost)


장비에 대한 초기 획득비를 사용 기간으로 나눈 연간 평균투자비와 사용 중 발생한 총 유지비를
기간으로 나눈 유지비의 합인 연 평균시스템 비용(ASC)을 최소화하는 기간을 장비의 경제수명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       
 
 (2-1)

단, P0 – 초기 장비의 획득비
Ct – 시점 t의 운영비
n – 장비 사용기간

이 식에서 ASC는 할인율을 고려하지 않는 단순 평균비용을 의미한다. 이 모형상의 주된 개념은


초기 획득비(설치비)의 연 평균치는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나 연간 평균 유지비(운영비)
는 사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장비의 고장, 노후 등으로 점차 증가하는 속성으로 이들의 합인 총비용
이 최소가 되는 시점을 수명으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다음 <그림 2.16>이 이를 도시한다.

32) 이상진, 이해영(2018), 장비 경제수명 결정 모델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지, 제25권, 제1호, pp.


32-46.

- 25 -
<그림 2.16> 경제성 모델상의 최적 장비수명

2.2 누적유지비에 의한 방법
장비사용 기간 발생한 총 누적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총 누적비용(TC: Total Cost)은 다음
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     (2-2)

단, S – 수명 후 처분시의 장비 잔존가치(salvage value)


Ax – 주행거리(x)에 비례하는 유류비
Bx2 – 수리부속비, 주행거리당 평균유지비(Bx)는 주행거리(x)의
선형함수를 가정

이 모형의 특징은 비용을 주행거리의 누적함수로 표현한 점이며 장비의 경제수명이 초기 획득비
와 장비에 사용된 수리부속비가 같아지는 시점이 된다는 것이다. 즉, 단위거리당 총 비용이 최소가
되는 x의 값으로 식의 양변을 x로 나눈 뒤 미분하여 0으로 놓고 풀면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    (2-3)

- 26 -
경제수명은 잔존가치가 0(불용폐기 등)일 경우 장비의 최초투자비가 수리부속비와 같아지는
시점이 된다.

2.3 연간등가 비용법 (EAC, Equivalent Annual Cost)


다음 수식과 같이 장비획득을 위한 초기 투자비의 연간 회수비(CR, capital recovery)와 매년의
유지비를 현가로 환산한 뒤 사용기간 동안의 연간등가비용(EC, Equivalent Cost)으로 환산하여
이들의 합을 최소화하는 시점을 경제수명으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즉,

EAC = CR + EC (2-4)
단, CR – 자본회수비(Capital Recovery with Return)
EC - 등가유지비(Equivalent Cost)

매년 이자율을 고려하여 위의 식을 재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i – 이자율
    - 자본회수계수

이 식의 연간등가 비용을 최소화하는 n의 값이 장비의 경제수명이 된다. 이는 앞의 평균시스템


비용 (ASC)과 같되 이자율을 고려한 점이 다르다. 이 모형에서는 잔존가치를 0으로 고려하였으나
이를 명시적으로 고려할 수도 있다.

2.4 Greenfield and Persselin의 결정론적 모델33)


Greenfield and Persselin은 美 공군 항공기 대상의 수명 연구를 통하여 항공기 최적 교체시기를
산출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일 경제학자 Matin Faustmann이 1849년 숲을 벌목하는
시기를 사례로 소득과 현재가치의 상관관계에 대한 식을 이용하였으며 Faustmann의 연속복리 개념
을 적용하였다. 모형 수립을 위한 주요 가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즉,

33) Greenfield, V. A. and Persselin, D. M.(2002), An Economic Framework for Evaluating Military
Aircraft Replacement, RAND Project AIR FORCE.

- 27 -
- 교체 장비의 획득비용과 운영유지비가 현재 운용되는 장비와 동일하다.
- 장비 구매 및 도태되는 일련의 행위는 무한히 반복된다.

이 모형의 최적 장비수명(교체시기)은 획득비용과 Faustmann 공식을 적용한 운영비용의 현재가


치 환산비용을 합한 다음 식으로 표현되는 총 비용을 최소가 되는 시점으로 결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2-6)

단, i – 장비교체세대

이 식에서 P0는 획득비이며 m(t)는 시점t에서의 운영비이다. 동일한 운용비용의 장비교체가 무한


히 반복된다는 가정을 적용하면 이 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2-7)
   

최종적으로, 이 식을 최소로하는 t가 수명이며 m(t)는 운영유지비로 문제에 따라 적절한 함


수형태로 정의된다.

2.5 Keating and Dixon34) 모델


Keating and Dixon은 기존의 무한 연속적 개념이 아닌 어느 한 시점의 비용과 가용도를 고려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의사결정 시점을 기준으로 현 노후장비를 대체할 장비의 비용(x)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Exp
  
     

(2-8)

단, x - 대체 항공기 운영기간이 무한하다 가정할 때


획득비 및 운영비 총합을 실질이자율 반영하여 할인한 합
Expend – 비용
Rt - 교체장비의 운영기간
Discount - 할인율

34) Keating, E. G. and Dixon, M.(2003), Investigating Optimal Replacement of Aging Air Force
Systems, RAND Project AIR FORCE, pp. 3-7.

- 28 -
같은 방법으로 실질이자율로 할인한 총 가용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
 
   
  

(2-9)

단, y - 대체 장비의 운영기간 동안 운영가능일수

장비의 적정수명은 현 장비를 1년 더 사용할 경우의 비용이 지금 교체하는 비용보다 적을 때


1년 연장해 사용하게 되고, 반대 경우에는 교체하는 증분(incremental) 방법으로 결정한다. 이는
총 비용 및 가용도를 고려한 모형이라는 점외에 현재 운용장비의 운용비를 가용도 (운영가능일수)로
나누어 운영가용일당 평균비용으로 해석한 점이 특징이다.
이상의 5가지 접근은 비록 최종 (목적)함수형태가 서로 다르거나 이자율의 고려 또는 미고려의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수명주기 동안 발생할 총 비용을 연간등가비용 (Annual Equivalent Cost)
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같은 방법이라 하겠다. 동시에, 공통적으로 동일한 장비가 무한히 반복 교
체된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모형 수립상의 가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대하여는 다음
장의 모형 수립부분에서 다시 자세히 논의한다.

이들과는 별도로 장윤제(2008)은 민수분야의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수명결정 모델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그는 경제성 측면에서 연평균선박운영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즉,

 
              (2-10)
 
단, n - 년도
P – 선박 구입비
C0 – 첫해의 운영비
Cn – 년도 n 에서의 운영비
Q – 연평균 선박비 증가분
M – 연평균 운영비 증가분

최적 수명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  


(2-11)

- 29 -
특별히, 수반된 파라메터들이 상수가 아닌 불확실성이 내포된 값이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Fuzzy함수를 적용하였다. 민수분야의 장비수명 결정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있으나 개념적으로
비슷하게 초기획득비, 운영비, 처분비를 중심으로 한 연간등가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한다.

실제로 경제성 기반의 모형은 비용요소들에 추가로 신뢰성 등의 유효성을 함께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김증기(2010)35)는 K1전차에 대한 연구에서 수명주기를 경제성과 유효성을 고려하여 예
측하고 이에 따라 도입~폐기까지의 차수별 창정비 유효주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특히, 경제
성의 고려에 의한 창정비 주기 및 수명주기는 연등가비용법(EACM: Equivalent Annual Cost
Method)을 이용하여 최소가 되는 시기로 결정하였다. 유효성 측면의 창정비 주기 및 수명주기
예측은 RAM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K1전차
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체계에 대해 신뢰도, 정비도, 가용도를 계산한다. 유
사장비의 정비비용을 통한 추세 및 고장률발생 추이를 종합한 1, 2차 창정비 주기 산정과 추
세식을 통하여 예측한 창정비 비용과 재생비 및 재생 후 활용가치36)를 고려하여 최적 시기를
구하였다. 전태보(2013)37)는 무기체계의 최적성능개량 시점의 결정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
다. 특별히, 현재 운용중인 체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체계가 무한히 반복교체된다는 가정보다
현 체계만을 대상으로 분석모델을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동시에, 기존의 단순한 비용최소화
보다는 단위성능 유지당 기대비용의 최소화 또는 단위 비용당 기대성능의 최대화하는 모형을
수립하였다. 김시연 등 (2016)38)은 공군 항공기 지원을 위한 지상지원장비(GSE : Ground
Support Equipment) 대상으로 제작사의 경제수명과 실제 동작환경하에서 운영된 수명의 차이
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진 등 (2018)39)은 무기체계 도입 및 도태 결정에 있어 최적
경제수명을 결정할 수 있는 모델로 경제성과 유효성을 고려한 경제적수명 결정 모델을 제시하
였다.

이들 외에도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비용 및 유효성 기반의 접근이며 이


과정에서 적절한 가정과 목적함수의 설정이 중요한 부분이다.

35) 김증기(2010), K1전차 수명주기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26권 제2호.


36) 국방부, 『국방 전력발전 규정』(서울 : 국방부, 2006), 국방부, 『군수품 불용결정 및 처리에 관
한 규정(국방부훈령 제832호)』(서울 : 1980)에서 설정되어있는 기준에 따라 산정
37) 전태보(2013), 한국군 무기체계 성능개량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KIDA, 국방정책연구, 제29
권, 제3호, pp. 89-117.
38) 김시연(2016), 항공기 지원장비 경제수명 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39) 이상진, 이해원(2018), 장비 경제수명 결정 모델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지, pp. 32-46.

- 30 -
제4절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의 대상 장비 및 수명, 국내 외의 실무적 장비 수명 결정 프로세스,


그리고 이론적 연구 및 실무적 사례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비수
명 설정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방법들이 존재하나 객관적으로 수용되는 방법이나 절
차가 없으며, 바람직한 장비수명 결정 방법과 및 관리상의 적절한 프로세스의 정립이 필요함
이 이해되었다.

장비수명과 관련한 실무상의 경험을 통하여 우리는 예측 모델을 통한 수명의 단일 예측치로


는 장기간 운용되는 장비수명의 대표치로 계속 적용함에는 정확성 측면에서 무리가 따르며 군
의 전투준비도나 큰 비용을 수반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이라는 면에서 위험이 따른다. 수립될
모형에는 많은 파라메터들이 수반되며 이들에 대한 정확한 입력치가 보다 현실적이고 의미있
는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정립하고자 하는 프로세스는 단일치의 예측이 아
니라 단일치의 예측에 실무상의 실적치를 적용, 필요시 개선함으로써 보다 정확성을 높여가는
프로세스를 정립함이 필요하다.
참고로, 미 공군의 전투기 예비엔진소요량 산출 시스템인 PRS(Propulsion Requirement
System)이 좋은 참고가 된다. 전투기 엔진은 대당 수십억 원에 이르는 큰 비용을 수반한다.
30~40년의 장기간 유지되는 다량의 전투기 획득시 장착엔진에 추가로 예비엔진 적정수량이 중
요한 의사결정 사항이다. 엔진고장 및 수리 기간 동안의 전투기 대기는 가용도 측면에서 바람
직하지 않으며 예비엔진의 보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예비엔진은 매우 큰 비용을 차지하기
때문에 미 공군에서는 획득시 제조사와의 협조 토의를 바탕으로 초기 예비엔진 소요를 산출하
고 이를 기반으로 획득, 운용하되 매년 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PRS를 적용하여 적정 예비엔
진 소요를 재산출하고 적정성을 검토한다. 가용도 등 특정 지표를 기준으로 검토하되 일정 수
준에 이르지 못할 때 추가의 예비엔진을 구입하여 지표를 높이는 방법으로 정확성 및 지표 효
율성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전 운영주기동안 적용한다. 불행히도, 우리 군에서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며 획득시 1회의 구입으로 전 수명주가 동안 운영한다. 초기
예측치가 실제와 다를 경우 전투력 상의 큰 공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으며 보완을 위한 절차
가 미흡하다.

- 31 -
본 연구의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을 위한 바람직한 프로세스 측면에서의 요구 사항은 다음
과 같다.
- 장비의 운용수명 결정에는 정확한 필드데이터의 적용이 필요
- 보다 정확한 장비수명 예측에는 일회성 결정보다는 피드백을 통한 개선 체제가 필요하며
이에 기반한 업무 절차가 필요
- 장비수명 조정 및 도태 결정을 위한 판단(의사결정)에는 별도의 평가표가 필요
- 역량있는 유관기관들과의 유기체제 구축이 필요
-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규정, 절차에 대한 일관성 검토 및 정립 필요

이상의 개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하고자 하는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


스는 다음 그림과 같이 도시된다.

<그림 2.17> 장비수명 결정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

그림의 도시를 기반으로 제 3 장에서는 장비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
며, 이를 중심으로 적정수명 결정을 위한 정량적인 모형을 수립한다. 제 4 장에서는 장비수명 조정

- 32 -
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설 경우 수명평가위원회의 평가를 지원할 장비수명평가표를 제시한다. 그리고
보다 합리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위해 관련되는 여러 기관들과의 유기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제
5 장에서는 이상의 절차를 통한 장비 수명결정 및 판단에 대한 사례를 제시한다.

- 33 -
제 3 장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개발

본 장에서는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모형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명 결정상 수반


되는 많은 요소들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리적인 모형을 제시한다.

제1절 장비수명 결정 요소들의 선정

장비수명의 결정에는 매우 다양한 정량적, 정성적 요소들이 관련된다. 본 절에서는 이들의 검토


를 바탕으로 수명결정과 관련한 요소들을 선별한다. 이중 정량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적정 수명
을 결정하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량적인 평가가 어려운 정성적인 요소들 중 중요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수명평가 및 조정 판단을 위한 장비수명평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앞 장에서의 고찰과 같이 장비수명에는 전력관점, 물리적관점, 그리고 경제적관점에 이르기


까지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매우 많다. 본 연구에서 정량적 모형개발 측면에서의 고려여부를
정리하면 <표 3.1>과 같다.

<표 3.1> 주요 고려요소들의 분류

구분 주요고려 대상장비 또는 접근 비고

전장환경, 국방전략 및 - 전투기, 함정, 잠수함, 전략 - 연구에서 제외


전력관점
전술, 기술의 발전 미사일 등    (부분적인 포함)

기계적 구조물 - 유한요소해석 등 구조 분석 - 연구에서 제외


구성품 및 부품 수명 - 핵심구성품중심의 수명 분석 - 연구에서 제외
물리적관점
부품 고장률 - RAM 등 신뢰성 분석 - 연구에 포함
손상허용 해석 - 함정/탱크 피해 평가 등 - 연구에서 제외

- 획득비, 운영비, 잔존가치


경제적관점 다양한 비용 요소 - 할인율의 고려 (이자율, 인 - 연구에 포함
플레이션 등)

첫째, 전력관점은 우주 및 사이버 전 등 전장환경의 변화, 대한민국 및 해군의 전략/전술의


변화, 기타 주요 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 측면에서 고려되는 사항이다. 이는 경제적 측면 보다

- 35 -
는 국방전략 등 보다 큰 틀에서 고려된다는 면에서 본 연구에서의 정량적, 최적화 모형 측면
에서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전략적 의사결정형 모형 수립 등 별도의 연구를 통하여 구
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장비수명의 결정 보다는 다음 장의 장비 도태 여부 등 수명조정
판단을 위해 부분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둘째, 물리적관점의 범주는 기계적 구조물, 구성품 수명, 부품 고장률, 손상허용해석 등을
포함한다. 기계적 구조물은 장비의 기계적 구조물을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기반의 강도(strength) 및 부하(stress)를 중심으로 구조물의 피로도, 내구도 등의
분석을 통한 적정 내구년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순수 기계 토목 공학적인 구조 분석을 수
반하는 내용으로 본 연구 범위를 벗어난 별도의 연구가 요구된다. 구성품 및 부품 수명은 장
비의 수명이 일부 핵심 구성품이나 부품들에 종속이라는 관점에서 전체 장비보다는 이들 구성
품/부품들을 중심으로 수명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장비수명과 직결시키는 접근이다. 이
는 복잡한 구조의 장비 수명 예측을 위한 중요한 접근중 하나로 본 연구와 깊은 관련성을 갖
는다. 그러나, 전체 구성품/부품이 아닌 장비의 수명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일부 구성품/부품
만을 대상으로 고려한다는 점과 장비별로 수명상의 핵심 구성품/부품들을 선정하기 어렵다는
점 뿐 아니라 비록 적절히 선정하였다 하더라도 각각의 고장률 특성에 대한 어려운 분석이 요
구되어 본 연구의 특성과 맞지 않는다. 다음의 구성품/부품 고장률을 통한 수명 예측은 모든
구성품과 부품들을 대상으로 하되 장비고장 측면에서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고 필요시 장비수
리 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중요하다. 여기서, 장비수
리는 고장발생 이전의 예방정비도 포함한다. 즉, RAM(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범주의 요소들로 고장발생 및 수리, 유지보수성, 가용도 등 신뢰성 관련 개
념들을 포함한다. 이 범주 중 비용을 제외한 수명분석은 유효성(effectiveness) 기반의 수명
예측으로 분류되며 여러 연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렇듯, 신뢰성/유효성 기반의 고려사항
들은 장비 수명이 운용상의 신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음 그림에서 보듯이 초기 획득한
장비의 신뢰도는 1 (100%)로 간주되며 사용과 함께 점차 감소한다. 이 과정에서 감소되는 일
부 신뢰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예방정비(부대 및 창)가 수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비는 예상치 못한 고장 또한 발생하며 수리를 통하여 장비를 복구한다. 이러한 장비의 예방
및 수리정비에는 행정비, 인건비, 교체부품비 등이 발생한다. 신뢰성/유효성은 본 연구에서
중요하며 다음의 경제적관점의 범주내에서 통합하여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손상허용 해석은
함정, 전투기, 탱크 등 주요장비가 적의 미사일이나 함포 등에 의해 피격을 당할 경우 발생될
피해의 정도를 중심으로 장비의 파괴 여부를 평가하는 분야이다. 이 역시 장비 수명과 관련이
있겠으나 전시를 기준으로 고려되며 포탄의 피격강도, 장비의 내구도, 그리고 CAD 등 깊은 공
학적분석을 수반하며 본 연구 범위를 벗어난다.

- 36 -
<그림 3.1> 장비 운용과 신뢰도

셋째, 경제적관점은 장비수명주기 동안 발생되는 제반 비용들을 추정/산출한 뒤 어느 기간


동안 장비를 유지함이 가장 효율적인가를 찾고자 하는 접근이다. 수반되는 주요 비용들은 장
비의 획득비, 운영유지비, 그리고 처분비(잔존가치, salvage value) 등이다. 장비 획득비는 초기의
구입비, 연구개발비, 개량/개조비 등이 해당하며 획득 시점에 1회성으로 발생하는 비용이다. 많은
경우 외국군사구매(FMS, Foreign Military Sales) 가격을 적용한다. 운영유지비는 장비 수명기간 사
용중 발생하는 제반 경비들을 말한다. 이중, 인건비는 장비 유지관리에 필요한 일반행정 및 창고/재
고관리 등과 관련한 비용, 그리고 장비의 수리 및 계획정비를 담당하는 현역군인과 군무원의 급여
등이 고려된다. 이들의 급여가 매년 변하지만 할인율을 고려할 때 거의 고정적이라 할 수 있다40).
또한 일반 유지관리비는 매년 적정 기동 및 훈련 등에 수반되는 비용이다. 이들 또한 전쟁이나 긴
급사태 등 군내 외의 큰 변화가 없는 한 매년 유사한 수준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 인건
비 및 운영비는 비록 매년 다르겠으나 일정하게 취급되며 년 평균비용에 기반을 두는 적정 장비수명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다만, 계획정비 및 고장수리는 매년 일정치 않고 불규칙하
게 발생하므로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불규칙한 고장발생 뿐 아니라 종종 고장수리나 계획정비시 부
품단종 문제로 정상적인 경우보다 훨씬 큰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장비
수명과 관련하여 운영비는 고장수리비, 부대/야전 및 창의 예방/계획정비비 중심으로 고려한다. 마
지막으로, 장비 처분비는 현재 운용중인 장비가 수명을 다하여 도태시 처분에 따른 회수비용(수익)
을 말한다. 장비 처분시 1회 발생하며 보통 감가상각에 의한 장부가격(book value)이 기준이 될 수
있다.

40) 하형호(2003), 군 기동장비 가용도 분석을 통한 장비 교체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 37 -
본 연구에서의 장비수명 결정 모형은 경제성을 기반으로 한 모형의 제시에 초점을 두되 실
무에서 보다 적절하다 판단되는 수행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신뢰성, 유효
성, 비용 등을 포함하는 모형을 지향한다. 즉, 개발상의 주요 범주는 i) 정량적 수명결정 모
형과 ii) 정성적 요소들 중심의 수명조정 판단을 위한 수명평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범주 중심의 다양한 요소들을 정량적 모형과 수명평가표 측면에서 정리하면 <표 3.2>와 같이
요약된다.

<표 3.2> 장비수명 관련 주요 요소


정량적 정성적
구분 주요 개념 수반 요소
모형 모형
전투환경 변화에 따른 중요도
전장환경,
전략/전술적 요소
전력관점 전략/전술, 기술발전 △ ○
임무의 중요성/긴요도

기술발전 추이 및 성능/기능

구조물 내구도
구조물 핵심 구성품 및 부품
핵심부품 주요구조물의 손상 정도
물리적
손상허용해석 장비 고장률 및 장비 가용도 △ △
관점
장비고장 운영 및 부품지원(부품단종 등)
유지보수성/운용성 정비자원의 보유
외주정비의 문제

장비 획득비
예방정비비(부대/야전, 창)
경제적
비용 고장수리비 ○ △
관점
장비 처분가치
기타 운영비
대체장비의 유무
예산의 제약
기타 기타요소 및 제약 가용도 제약 - △
인원의 안전도
기타 요소 및 제약

* ○ – 포괄적 고려, △ - 부분적 고려

- 38 -
표의 내용을 통하여 이해되듯이 다양한 요소들이 장비수명과 관련되며 이들은 정량적 및 비
정량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력관점으로 분류한 전투환경 변화에 따른 중요도,
전략/전술적 요소, 정책적 요소, 임무의 중요성/긴요도 등은 정량화가 어려운 요소들이다. 반
면, 신뢰성 및 비용 관련 요소들은 많은 부분 정량화가 가능하다. 이상의 고려를 바탕으로 본
장의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모형은 정량화가 가능한 획득비, 야전/창 계획정비비, 고장수리비, 장비
처분가치 등의 비용들과 장비 고장 및 정비관련 신뢰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고려한다. 기타 정량화가
어려운 다양한 정성적 요소들은 제 5 장의 장비도태 등 수명조정 판단을 위한 수명평가표 제시 부분
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고려한다.

제2절 모형 수립을 위한 고려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모델링 접근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모형 구축상 특별히 기


존의 연구와 차별하여 고려하고자 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기준에 대한 고려이다. 본 연구에서 수립하고자 하는 경제수명(economic


life)에 대하여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2011)에서는 “장비의 기능에 대한 군의 요구를 가장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 기간 및 거리를 말하며, 연간 평균 시스템 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경제 수명으로 결정할 수 있음”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의상 ‘기능을 경제적으
로’라 표현하고 있으나 해석은 다소 자의적 일 수 있다. 미래에는 새로운 기능(function)이
추가될 수 있으며 군의 특성상 요구된 기능은 수행 가능하더라도 효율성/효과성 측면에서 장
비도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단순 비용 뿐 아니라 성능상의 수행도가 중요한 장비 유지의
요구사항 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성능(performance)을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모형을 수
립하고자 한다.
둘째, 고려 기간에 대한 문제이다. 대부분의 제시된 모형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장비가 무
한히 반복 교체된다는 가정하에 장비 운용에 요구되는 연등가 비용을 최소화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장비는 급격한 전장환경의 변화, 전략의 변화, 기술적 향상 등으로 새
로운 기능의 추가 및 성능향상 뿐 아니라 수명주기 또한 짧아지는 경향이며 획득비와 운영비
또한 큰 차이를 가진다. 기능이나 성능상 장비의 비 동일성 및 짧아지는 수명주기 측면에서
무한한 단순반복/교체를 가정함은 한계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무한 반복보다는 유한의 1
회 수명주기 동안의 연 평균비용을 기준으로 고려한다.
셋째, 할인율에 대한 고려이다. 장기간 운용되는 장비의 제 비용이 매우 주요하며 동일한
금액도 발생 시점에 따라 가치가 다르다.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을 포함하는 할인율이 중요한

- 39 -
요소이며 민수 분야의 자산과 같이 할인율을 고려하는 의사결정 체제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돈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모형을 수립한다.
넷째, 장비의 창정비 주기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장비는 창정비 주기를 갖는 경
우가 많다. 그간의 연구 및 실무 경험을 통하여 장비의 수명은 창정비 주기와 매우 밀접한 관
계를 가진다. 즉, 창정비에는 매우 큰 시간과 비용이 수반되는 관계로 장비도태 시기를 창정
비 주기와 맞추는 것이 권장된다. 반면, 많은 장비는 창정비 주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정비 주기를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 양자를 고려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
다.
창정비 주기와 관련하여 장비의 수명 검토의 시점 또한 실무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다. 대
상 장비의 수명 예측은 획득초기, 운용중, 운용말기 등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
비의 다양성 및 수량의 방대함에 매년 수명을 검토함은 거의 불가능하며 다음 기준에 근거한
경우별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창정비 주기가 없는 장비
- 설계수명 도래 특정시점(예, -5년)에 본 연구의 모형을 통하여 수명을 산출하며 산출
결과에 따라 적절한 대처를 한다.

2) 창정비 주기가 있는 장비
- 장비의 창정비 주기는 수명주기 동안 일정하거나 또는 변화한다. 이들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하며 장비의 수명 검토 시기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① 장비획득 이후 매 창정비 시점마다 수명 검토를 수행할 경우
- 매 창정비시 마다 본 연구의 모형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며 수명을 검토한다.
② 수명도래 가까운 시점에서 수명을 검토하고자 할 경우
- 매 창정비 주기가 아닌 수명도래에 가까운 특정 시점에 (예, 4번째 창정비시점)에
수명을 검토하고자 할 경우

참고로, 다음 절에서의 모형은 창정비 주기가 있는 장비 중 2)①의 경우를 중심으로 제시하고


1)과 2)②의 경우는 뒷 부분에 함께 설명한다.

- 40 -
제3절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수립

앞 절에서의 다양한 요소들 중 비용 및 다양한 기타 요소들을 바탕으로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정량적 모형을 수립한다.

1. 수행평가 기준의 정의
근래의 급속한 기술 발전은 군 무기체계 뿐 아니라 전력지원체계의 향상된 변화를 가져오며 높
은 수준의 성능은 군의 전투준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술발전으로 대상 장비의 미래 새로운
기능 추가 및 성능의 향상이 기대되는 반면, 현재 운용중인 장비는 점차 노후화로 인해 최대 현 기
능의 유지 및 성능상의 저하가 예상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간의 격차는 벌어질 것이며 점차
효율성 저하로 인한 높은 성능의 새로운 장비가 선호/추구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라
향상된 수준의 성능을 그 시점의 장비요구성능 그리고 현 운용중인 장비의 변화되는 성능을 장비실
제성능이라 명명한다. 이러한 개념의 성능과 비용을 통합한 지표를 기준으로 무기체계의 적절한 성
능개량 시점을 결정하는 연구가 전태보(2013)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의 접근을 따
르기로 한다.

다음 그림의 도시와 같이 장비의 요구성능과 실제성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준상의 격차가


커질 것이다. 특정 시점(t)에 있어서 이들의 비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로 한다.

요구성능
성능비       (3-1)
실제성능

시간별 변화하는 성능비를 고려되는 기간 동안의 평균치로 환산한 값을 평균성능비라 정의한다.

- 41 -
<그림 3.2> 장비의 성능 변화

장비는 그 수와 종류가 매우 많고 다양하며 이들의 분류 및 상세분석을 기반으로 각각의 특


성을 명시적으로 반영하는 모형을 개발함은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수행평가기준
으로 고려하는 장비의 성능 발전 및 진부화 측면에서 비교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기계류 장비,
전기 전자류 장비, 기타 장비 등으로 분류한다. 이중, 기계류 중심의 장비(예, 추진기)는 타 분
야에 비하여 그 발전이나 변화 속도가 안정적이며 느리다는 판단이고, 전기 전자 중심의 장비는 반
도체 등의 급격한 발전으로 발전 속도 및 진부화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기타 장비들은 이들의 중간
정도에 속함으로 분류한다. 불행히도, 현재 분류별 기술/성능 발전 추이에 대한 명시적인 모형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부분적으로 성능의 감소율과 관련한 다음의 추정식41) 등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술발전 추이에 대한 직관적 해석이 용이한 간단한 수식을 적용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설명한다. 향후 성능/기술발전 추이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통하여 장
비를 분류하고 분류별 특성들을 분석한 뒤 적절한 모형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   
단, a – 첫 단위 시간치
 log감소율
 
log

이제, 장비를 n년 동안 운용한다 할 때 수명주기 동안 예상되는 총 비용(total cost)은 획득비,


운영유지비, 그리고 처분가치들의 합으로 정의된다. 다음 그림은 장비운용 기간 발생되는 제 비용

41) 국방대학원, 미래 예측가 판단 총 비의 비용분석 기법 개발(1999)

- 42 -
및 신뢰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중, 획득비와 처분가치는 1회성 비용/가치이나 운영유지비는
매년 다르게 발생하며 계획정비비(부대, 야전, 창)와 고장수리비로 구성된다. 계획 및 고장 정비비
는 장비 신뢰성과 갚은 연관을 가지며 그림 상부는 정비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회복되는 신뢰도의
도시이다.

<그림 3.3> 장비 수명기간의 신뢰도 및 제 비용

총 비용을 연간 비용으로 환산한 것을 연평균비용(annual equivalent cost)라 할 때 연평균비용


은 총 비용을 단순히 총 기간(n)으로 나눈 값이 아닌 할인율(discounted rate)에 의거 연간 비용으
로 환산한 값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구하고자 하는 장비수명은 단순한 비용보다는 성능과 비용을 통합하며 최종 수행평


가기준(TE, Total Effect)은 특정 기간 장비를 운용하되 장비수명기간 예상되는 “평균성능비 * 연
평균비용”로 정의하고 이를 최소로하는 시점을 장비수명으로 한다. 즉,

       평균성능비 × 연평균비용 (3-2)

- 43 -
2. 장비수명 예측 모형의 도출
먼저,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모형 수립을 위한 주요 가정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장비의 획득비, 수리 및 정비비, 처분가치 등 비용요소들은 모두 알려져 있다.


- 장비에 대한 부대, 야전 및 창정비 등은 기 설정되어 있으며 불가능한 정비는 없다.
- 고장수리는 사용 중 장비의 예상치 못한 고장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불규칙한 고장은 운용기
간이 지남에 따라 장비 노후화로 인해 일정 또는 증가형태를 갖는다.
- 창정비 주기를 갖는 장비의 수명은 창정비 시점과 일치한다. 즉, 창정비시점에서는 장비도태
또는 다음 창정비까지 장비운용의 결정을 내린다.
- 장비의 창정비 주기는 수명주기 동안 일정 또는 변화한다.

모형에는 많은 비용 및 신뢰도 관련 파라메터들이 내포된다. 장비수명 결정상 이들이 알려


져 있음이 전제이며 필요시 적당한 방법들을 통하여 추정되어야 한다. 또한, 장비의 고장수리
및 계획정비에 있어 종종 교체에 필요한 부품의 단종이나 해외 구매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
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비록 오랜 기간이나 큰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부
품확보 및 장비수리가 가능함을 가정한다. 마지막의 일정한 창정비 주기 부분에 있어 현실적
으로 창정비 주기는 장비의 노후화로 정비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 짧아짐이 권장된다는 결
과가 제기되었다.

2.1 장비 평균성능비의 도출
장비수명 예측 모형의 수립에 있어 먼저 고려할 사항은 시간에 따른 성능의 변화이다. 장비획득
시점에서의 요구성능과 실제성능은 동일하다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 장비별 성능 발전
및 감소 추이를 정량적으로 도출함은 어려우며 여기서는 앞에서의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적절한 예
측 값을 정의하도록 한다. 즉, 기술발전으로 인한 해당 장비의 성능수준은 매년 의 비율로 증가

하되, 운용중인 장비의 성능은 매년  비율로 감소함을 가정한다. 그러면 시점 t에서의 성능비

(PR, performance ratio)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 
            (3-3)
  
단,  - 전년대비 기술수준의 발달로 인한 요구수준의 증가율

 - 운용중의 장비성능수준의 전년대비 감소율

- 44 -
따라서, 장비를 n년 동안 유지한다고 할 때 기대되는 평균성능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3-4)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그리고

   i f     

이 식에서 기술발전 추이가 클수록 PR값은 클 것이며 오랜 기간의 장비운용이 불리하게 작용될
것이다. 반대로, 기술발전 속도가 다소 느리거나 안정적일수록 PR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며
오랜 기간의 유지에 덜 불리할 것이다. 다음 <표 3.3>과 <그림 3.4>는 어느 장비의 성능발전 추이
가 매년 5%씩 증가하며 반대로 보유중인 장비는 매년 2%씩 성능의 감소가 예상된다 할 때 최대 20
년간 장비를 유지한다 가정하고 연도별 요구성능, 실제성능, 그리고 평균성능비를 도시한 것이다.
평균성능비는 단순히 해당년도의 비가 아닌 해당년도까지의 누적 평균성능비임을 주지하자. 결과에
서 보듯이 운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요구성능과 실제성능의 격차로 인하여 평균성능비가 증가하며 낡
은 장비보유로 인한 불리함을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성능의 발전/감소 추이 정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성능발전 및 진부화가 없거나 고려하지 않을 경우      를 적용하며 이 경우

평균성능비는 일정한 값, 1을 가질 것이다.

- 45 -
<표 3.3> 운용기간에 따른 성능들의 비교
     

t 요구성능 실제성능 평균성능비


1 1.0500 0.9800 1.07
2 1.1025 0.9604 1.11
3 1.1576 0.9412 1.15
4 1.2155 0.9224 1.19
5 1.2763 0.9039 1.24
6 1.3401 0.8858 1.28
7 1.4071 0.8681 1.33
8 1.4775 0.8508 1.38
9 1.5513 0.8337 1.43
10 1.6289 0.8171 1.49
11 1.7103 0.8007 1.55
12 1.7959 0.7847 1.61
13 1.8856 0.7690 1.68
14 1.9799 0.7536 1.74
15 2.0789 0.7386 1.81
16 2.1829 0.7238 1.89
17 2.2920 0.7093 1.97
18 2.4066 0.6951 2.05
19 2.5270 0.6812 2.14
20 2.6533 0.6676 2.23

<그림 3.4> 운용기간에 따른 성능들의 비교

- 46 -
2.2 비용 함수의 도출
다음은 수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비용들에 대한 고려이다. 모형 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이 주요
기호들을 정의한다.

P – 초기 장비획득비 (구입, 개발, 개량/개조 등) (Purchasing Cost)


S – 장비도태시의 잔존/처분 가치 (Salvage Value)
 – 창정비 주기(년)
   - 시점 t에서의 창정비비용 (t=1,2,...)
   - 시점 t에서의 부대 정비비용 (t=1,2,...)
   - 시점 t에서의 건당 고장수리비용 (t=1,2,...)

비용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의 추가적인 고려는 돈의 시간적 가치이다. 매회 발생하는 정비/수


리 비용은 돈의 시간적 가치로 인하여 동일한 금액도 다른 가치 크기를 가진다. 돈의 시간적 가치
에는 이자율(interest rat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본 연구에서는 돈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모형을 수립한다. 다만, 순수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고
이들을 복합한 실질이자율(actual interest rate)로 고려한다.
장비 운용중의 주요 비용요소는 획득비(P, Purchasing Cost), 운영유지비 그리고 잔존/처분가치
(S, Salvage Value)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비와 잔존/처분가치는 각각 장비의 초기 획득시와
처분시의 1회성 비용/가치이다. 획득비는 초년도에 1회 발생하며 이에는 구입비, 개발비, 개량/개
조비 등을 포함하되 대외군사판매를 기준으로 하며 군에서 제공 가능하다. 잔존가치(S)는 장비 도
태시 처분을 통해 얻어지는 수익으로 처분 시점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는다. 일반 자산의 경우 감
가상각을 고려하여 적정 감가상각률에 의거 연도별 장부가치(book value)로 잔존가치를 대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작장비의 경우 적정한 감가상각률이 제시되지 않거나 적용이 어렵다. 게다가, 대
부분의 군 장비는 오랜 기간의 운용 후 도태시 잔존가치가 없어 고철로 처리되거나, 외국이나 다른
기관에 무상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에서 잔존가치를 0으로 가정함 또한 타당하다. 그러
나, 본 연구에서는 잔존가치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모형을 수립하고자 한다. 다만 회계적인
관점에서는 자산가치 산정을 위하여 매년의 잔존가치를 인정하되 실제의 장비 처분은 수명말기에
수행되므로 수명 초기나 중기 등 이른 시점에서의 가치는 없다고 가정한다. 매년 실제로 수익을 창
출하며 임의 시점에 장비를 처분하여 잔존가치를 그대로 회수할 수 있는 민수분야 자산의 경우는
고려 가능하나 비용만을 고려하는 군장비에 있어 매년의 잔존가치를 인정할 경우 실제 수명초기에
장비를 처분함이 경제적이라는 오류에 빠지게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대부분의 모형에서는 잔존가치
를 인정하지 않는다.

- 47 -
획득비와 처분가치와 달리, 운영유지비는 매년 그리고 다르게 발생한다. 운영유지비의 주요 구
성은 계획정비비(부대/야전, 창)와 고장에 대한 수리비이다. 다음 그림은 매년 발생할 비용 요소들
을 창정비 주기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박스 부분은 k(=1,2,...)번째 창정비 주기를 반영
한다. k번째 창정비 시점(   )에 다다르면 필요한 야전정비는 수행되되 현재의 창정비를 수행

하지 않고 도태를 결정함이 타당할 지 아니면 창정비 수행과 함께 다음  기간 추가로 유지함이

적절할지를 판단한다. 양자의 비교를 통하여 유리한 쪽을 선택한다. 추가의 년간 장비를 운영할

경우는 장비 평균성능비 및 연간운영비 등이 재 산출된다. 동시에, 어느 경우가 효율적이라 판단되


건 예상치 못한 고장들에 대한 수리는 모든 기간 동안 수행된다.

<그림 3.5> 창정비 주기 중심의 제비용 (창정비 주기: 일정)

창정비 주기를 갖는 장비의 경우 수명과 창정비 주기가 밀접한 관계를 가짐을 설명하였다. 이러
한 창정비시점을 중심으로 장비의 유지 도태 결정을 반복 진행되도록 한다. 즉, 창정비시점에 도달
하면 장비수명 검토를 통하여 그 시점에서 도태 결정을 내리던가 다음 창정비 시점까지 장비 운용
을 결정한다. 따라서, 창정비 주기 단위의 비용을 중심으로 유지비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다음 창정
비 주기 동안의 추가 유지가 비효율적이라 판단되면 도태를 결정한다. 물론 추가의 장비유지가 비
효율적이라 판단되어도 직접적인 도태 결정보다는 다음 장에서 고려할 추가적인 수명평가위원회 평
가 과정을 거친다.

결론적으로, 창정비 주기의 유무 및 일정/변화에 따라 검토 방법이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


자 모두를 고려한 모형을 수립하되 편의상 창정비 주기가 있는 장비의 정비주기별 수명 검토 방법

- 48 -
위주로 모형을 수립하고, 창정비 주기가 없거나 있더라도 수명 후기 1회의 수명검토를 수행하는 경
우에 대해서는 후반부에 별도로 설명한다.

(1) 획득비 및 처분가치


장비 획득비와 처분가치는 각각 수명주기 동안 1회씩 발생하므로 특정 창정비 시점에 있어 이들
의 연간등가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k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3-5)

단   현 수명평가시점 일정 창 정비주기의 경우    

    장비의 획득비 처분가치 년간이자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식에서 (P∣F, i, t)는 시점 t 에서의 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한 기호이며, (A∣P, i,


t)는 현재가치를 다시 미래 t년간의 연간등가로 환산하는 기호이다. 창정비 주기가 변하는 경우 

는 일정하지 않은 평가시점에서의 주기를 나타낸다.

(k+1)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3-6)

단   현 수명평가 시점에서의 창정비주기


일정 주기의 경우        

이들 식에서 획득비(P)는 어느 경우나 일정하나 처분가치(S)는 처분 시점에 따라 다르다는 점에 주


의하자.

- 49 -
(2) 부대/야전 및 창 계획정비비
계획 정비비는 매년 단위로 발생하되 동일하지 않을 수 있고 k(=1,2,...)번째 창정비 직전 및
(k+1)번째 창정비직전까지 운영시의 연간등가비용은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k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  (3-7)

단         시점 에서의 부대야전 및 창 계획정비비

     

이 식에서    는 매년의 부대 및 야전정비비이고,    는 창정비비로 창정비가 수행된 시점

에서만 값을 갖되      이다.

(k+1)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3-8)

×    


단         ∙
 
  

이 식에서         는 t년도의 야전 및 창정비비이며, (A)는 식을 단순화하기 위한 표현으로

의 일부를 도입한 기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간 이자율(i)은 순수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을


합산한 실질 이자율이다.

(3) 고장수리비
고장수리비 역시 계획정비와 같이 매년 다르게 발생하나 불규칙한 예상밖의 고장에 기인하는 관
계로 계획정비와 다른 특성을 가진다. 매년의 고장 및 수리비용을 직접 입력하거나 고장 및 수리데
이터를 통한 고장 특성을 추정을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장비의 고장률의 변화에 따라 매년
다르며 시점 t의 고장수리비는 그 기간의 (추정된) 고장발생횟수와 일회 당 수리비를 곱한 뒤 이를

- 50 -
현가로 환산한 뒤 모든 년도에 대하여 합산하면 총 고장수리비가 된다. 여기서는 추정하여 입력하
는 방법을 설명한다.

장비는 사용 기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될 것이며 이로 인해 단위 시간당 고장발생 횟수


역시 일정하지 않고 증가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장비의 고장률 또는 고장시간간격은 모수  , 의
와이블(Weibull) 분포 특성을 가짐을 가정한다. 고장시간간격(T)이 형상모수(shape parameter) 
와 척도모수(scale parameter)  로 정의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와이블 분포 W( , ) 확률밀도함
수(pd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는 다음으로 정의된다. 즉,
 
   
           ≧  (3-9)
 
단,  - 형상모수(shape parameter)
 - 척도모수(scale parameter)

본 연구에서 중요한 와이블 분포의 고장률 함수(failure rate function), h(t)는 다음과 같
다.
 
       (3-10)
 

<그림 3.6>~<그림 3.9>는 T~W( , )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와 고장률함수를 도시한다. 확률밀도


함수의 경우 <그림 3.6>~<그림 3.7>과 같이 모수 값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고장률함수 형태 역시 <그림 3.8>~<그림 3.7>의 도시와 같이 감소(  <1), 일정( =1), 또는
증가(  >1)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이렇듯, 와이블 분포는 다양한 수명 및 고장
률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의 장비 마모를 반영하는 증가고장률 특성에
적용 가능하다.

- 51 -
<그림 3.6> 형상모수(  )에 따른 확률밀도함수 형태 (    )

<그림 3.7> 척도모수(  )에 따른 확률밀도함수 형태 (    )

- 52 -
<그림 3.8> 형상모수에 따른 h(t) 형태 (  ≦  )

<그림 3.9> 형상모수에 따른 h(t) 형태 (  >1)

이를 이용하여 특정 년도(t), [t-1, t) 동안에 발생되는 고장 횟수,   는 다음과 같이 예상

된다. 즉,

 
   

   

      (3-11)

- 53 -
최종적으로, k(=1,2,3,...)번째 창정비 직전 및 이후 다음 주기(년) 동안 발생하는 고장수리비

(Failure Repair Cost)는 다음의 계산을 통하여 연간등가 가치로 각각 환산된다.

k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3-1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시점 에서의 건당 고장수리비

(k+1)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3)

이상의 고장확률함수를 이용한 고장관련 정보는 고장 운영데이터를 통하여 추정되며 향후의 고


장횟수를 예측 및 총 수리비용의 산출에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 식이 아닌 실제의 고장횟수
및 비용들이 주어질 경우 실제값들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점 t의 수리비는 위 식들의

     
[ ∙    ] 부분을 해당 년도의 고장수리비로 대체하면 된다.

3. 장비수명 모형 및 수명 결정

3.1 창정비 주기가 있는 경우의 주기별 수명 평가


상기 유도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인 장비수명 결정 모형은 연간등가비용(AE, Annual Equivalent
Cost)과 평균성능을 통합한 총 효과(TE, Total Effect) 개념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      ×       (3-14)

- 54 -
이 식은 장비를 n년간 유지시 예상되는 평균성능비(PR)와 연간총 운영유지비(AE)를 곱한 결과로 이
를 최소화하는 기간이 장비수명이다.   은 각각 앞에서 제시한 획득비 및 처분비, 계

획정비비, 그리고 고장수리비를 나타낸다.

실제로 장비 수명 결정을 위해서는 현 장비를 특정 차수의 창정비 직전 시점까지 운영한 뒤 도


태시킬 경우와 그 다음 창정비 직전 시점까지 운용하는 경우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 성능 및 비
용의 통합지표 차원에서 검토 비교함을 의미한다. 종합하여, 초기 장비획득 후 창정비시점()까지

장비를 운영한 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을 통하여 현시점 또는 다음 창정비 시점까지 운용중 어
느 것이 효율적인지 다음의 식들을 통하여 산출한 뒤 비교한다.

k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3-15)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는 식          로 주어진다

(k+1)번째 창정비 직전까지 운영할 경우

   ×       (3-16)

  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는 식          으로 주어진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장비수명은 창정비 주기 횟수인 k(=1,2,3,...) 값을 증가시켜가며


과  를 산출하고 비교해가며 궁극적으로 TE가 최소가 되는 주기를 구하면 된다. 즉, 어느
창정비 시점에서   일 경우 최종적인 장비수명은  또는  (창정비 주기가 일정할

경우)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k값을 증가시키고 다시 과  를 산출 비교하는 방법으로 진행

한다.

- 55 -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최종적인 수명결정 과정은 다음 그림과 같이 도시된다.

<그림 3.10> 장비수명 결정 로직

그림에서 보듯이 장비수명의 결정에는 초기의 입력 파라메터들 뿐 아니라 매년 계획정비비, 고


장횟수, 매회 수리비 등에 대한 결과나 미래의 예측치들을 계속 저장해야 한다. 특히, 장비의 고장
발생시 발생시점, 수리소요시간, 소요비용 등에 대한 값들의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된다. 이들 데이
터는 매우 중요하며 신뢰성있는 결과를 위해 정확한 운영데이터 유지 및 통계치 추정 모듈이 필수
적이다. 이들로부터 고장률과 관련한 모수들의 추정이 수반되며 장기간의 충분한 데이터가 존재하
지 않을 경우 과거 경험을 통한 추정 값들을 적용해야 한다.

- 56 -
3.2 창정비 주기가 없거나 수명 후반부의 평가
이제는 창정비 주기가 없거나 있더라도 장비를 충분한 기간 운용한 뒤에 수명을 평가하고자
할 경우에 대한 모형을 수립한다. 이 모형은 장비 획득초기에 특별히 수명을 추정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용 가능할 것이다. 다만, 획득초기의 수명 예측을 위해서는 모든 비용 및 파라메
터들에 대한 추정 값들이 이용됨을 주지하자.

획득한 장비를 n년간 운용할 경우 본 연구에서의 총 효과는 이 기간 동안의 평균성능비와


연간 비용의 곱이다. 먼저, n년간의 평균성능비는 식 (3-4)에서 유도한 결과와 동일하다. 다
음으로, 획득비 및 처분가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     ∙      ∙      (3-17)


     
단             
         

계획정비에 있어 부대/야전 정비는 앞에서와 동일하며 창정비의 경우도 정비가 발생된 년도들
의 값들만 입력하면 된다. 이를 고려한 계획정비의 연간등가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3-18)

고장수리비에 대한 연간등가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3-19)

최종적으로, 장비수명은 다음 식을 최소화하는 n의 값이다. 즉,

    ×       (3-20)

     
단    ×     
       

이 식은 수명 후기(예, 설계수명 –5년)에 장비수명을 추정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수명평가회의를 통하여 수명조정이 가능하다.

- 57 -
제4절 제시된 장비수명 결정 모형의 특성

이상으로 장비수명을 결정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고려 가능한 경우를 세분함으로 모형이


다소 복잡하지만 비용에 대한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 현실적인 모형일 뿐 아니라 장비수명을 창정비
주기와 일치시켜 매우 큰 비용이 수반되는 창정비의 수행여부와 연결한 점이 군의 특성과 잘 연결
된다.

제시된 모형은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고유한 특성들을 가진다. 다음 표에 본 연구와 기존의
모형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표의 첫째 행 번호는 제 2 장에서 고려한 5가지 경제적 모
형들의 번호를 나타낸다.

<표 3.4> 장비 경제수명 관련 연구들의 비교


모형
본 연구 [1] [2] [3] [4] [5]
구분
대상장비 - - - - 항공기 항공기
성능과비용
수행평기기준 비용 비용 비용 비용 가용도당 비용
통합
동일장비 동일장비 동일장비 동일장비 동일장비 대체 항공기
가정
반복 미고려 무한반복 무한반복 무한반복 무한반복 사용이 무한대

획득비 획득비 획득비 획득비 획득비 운영비


고려요소 운영유지비 운영유지비 운영유지비 운영유지비 운영유지비 가용도
잔존가치 - 잔존가치 - -
비용, 가용도
연속복리
이자율 고려 미고려 미고려 고려 모두에 할인율
고려
고려
획득비 획득비+ 운용가용일 당
수명결정 및 1회성 및 총비용/n
=수리부속비 1회성 운영비 평균비용
방법 창 주기별 1회성
1회성 1회성 1회성
적용 유연성 O X X X X X

첫째, 모형에 고려된 수행평기가준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장비수명을 단순비용 최소화 측면의
모형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표의 [5]의 경우‘단위가용도당 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 연
구에서는 매우 고가인 항공기의 비가용 상태가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용도당 비용을 고려하
였다는 판단이나, 연도별 발생하는 비용과 가용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할인율을 적용한 점에는 비판

- 58 -
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항공기는 중요한 전략적 장비로 단순
한 비용 요소만으로 수명을 결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표의 [4][5]는 본 연구 초점
과 다소 거리가 있다. 수행평가기준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순 비용보다는 군의 전투준비도나
전투력우위 차원에서 가용도 외에 성능이 중요하므로 해당 장비의 기술/성능의 발전 및 진부화 특
성을 비용과 함께 명시적이며 통합적으로 반영한 기준을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기존의 장비수명에
대한 정의를 보다 적절히 반영하는 모형이라 하겠다.
둘째, 대부분의 수명관련 연구 및 모형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장비가 무한히 반복 교체된다는
가정에 근간을 두고 있다. 그러나, 매번 교체되는 장비는 획득비, 성능 기타 운영비 측면에서 매회
다르며 동일 또는 유사함과는 거리가 있다. 수명 또한 매회 동일하다 가정함은 비현실적이다. 동일
한 두 장비 또한 제조결과 및 운용환경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매회의 장비 특
성(수명, 비용, 성능 등)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근거하여 단일 기간만을 고려한 점이 또한 특색이
다.
셋째, 군내 수많은 장비를 매년 단위로 수명을 검토함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정비 주기 시점을 중심으로 수명을 재검토하는 개념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즉, 단순 1회성 수명
예측/추정외에 창정비 주기를 기준으로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 검토하며 조정해가는 feedback 특
성을 추가한 점이 기존의 방법보다 보다 현실적이다.
넷째, 제시된 모형은 유연성을 가지고 적용이 가능하다. i) 본 모형에서는 기술발전에 의한
성능 향상이나 현 장비운용에 따른 성능 저하/진부화를 고려하도록 하였으나 성능상의 변화가
없거나 비용만으로 고려하고자 할 경우 모형에서  또는/와  에 0의 값을 부여하면 된다. 또

한, ii) 모형에서는 창정비가 있는 장비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창정비가 없는 장비 또한 적용


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iii) 돈의 시간가치를 고려한 할인율을 적용하여 모형에
현실성을 반영하였다. 이는 여타 일부 모형에서도 고려되었으며,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고자
할 경우 역시 이자율(i=0)을 적용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이들 모형외에 미 해군의 장비수명과 관련한 OPTEMPO를 설명하였으며, 다음 식은


제 2 장의 OPTEMPO 그림을 재 작성한 것이다. 즉,

소모장비 수  전투손실 수  비전투손실 수

 기동가능 장비 수 ∙
기 기동시간   
   ∙    

총 가용시간 기동 가능 장비수

- 59 -
본 공식과 주어진 예제 데이터를 통하여 이해되듯이 OPTEMPO에서는 다량의 동일 장비에 대
하여 실제로 발생한 전투 손실 수, 비전투 손실 수, 그리고 (현재 기동 가능한 장비의 수)*
(장비들의 총 기동소진비율)*(추가의 항)의 곱을 합한 방법으로 산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공식의 최종 결과는 예상되는 손실된 장비의 수이며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장비의 수명과는
거리가 있다. 본 공식을 활용한 장비수명 예측을 위해서는 다소의 연구를 통한 적절한 접목방
법을 찾아야 할 것이며 공식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검토 시점의 기동장비수, 보유 장비들의 총
운용(기동) 시간 및 실제 기동완료 시간들을 정확히 기록 및 저장해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모형의 특성을 기존 모형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향


후의 접근을 위한 가정에 다소의 확장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성능의 발전이나 운용중인 장비의 실제 성능을 각각 간단한 비율의 함수로
정의하였다. 명시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함수들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비
들의 종류가 너무 많고 이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함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의 가정 함수로도 근사한
성능변화를 묘사할 수 있다. 또한, 통합평가기준의 정의에서 단순평균성능을 곱하는 방법을 택하였
으나 성능 차이에 따라 다른 크기의 가중치를 두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둘째, 장비수명 모형을 통하여 도태 결정이 필요할 경우 단순 도태 보다는 보다 심도있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정량적인 모형의 결과 이외에 전략/전술적 검토, 대안 장비의 부재로 인한 현 장
비의 추가 운용 등 현실적인 측면에서 고려사항이 많을 수 있다. 다양한 평가 요소 중 본 장에서
고려하지 못한 정성적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는 수명평가표에 의한 최종 결정이 필요하다. 다음 장
에서는 정성적인 요소들 중심의 평가표를 제시한다.
셋째, 본 모형에서는 제시된 목적함수(TE)를 최소화하는 기간을 수명으로 정의하였다. 이론
적으로는 매우 긴 기간 이를 최소화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목적함수외에
제약조건이 부과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고려되는 사항이 (운용)가용도(availability)이다.
군의 전투준비도 차원에서 특정 수준 이하의 가용도를 갖는 장비는 보유 장비로서 역할이 부
족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장비 가용도를 산출하며 이 값이 특정 설정된 수준
이하가 될 때 도태 대상 장비후보로 간주함이다. 장비 가용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매 장비수
리 및 정비시의 시작점과 종료 시점에 대한 데이터를 명확히 수집하고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연간 고려될 수 있는 예산의 한계 등이 추가적인 제약이 될 수 있다.

- 60 -
제 4 장 장비 운용수명 판단․조정 및 장비도태 판단 방안

본 장은 장비 운영수명 판단․조정 및 도태 결정 방안을 제시하는 장으로서 장비수명평가표,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 방안, 그리고 장비도태 판단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1절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 업무 프로세스 정립

앞의 제 2 장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해군은 최초 장비획득 시에는 설계수명을 기준으로 국


방장비목록관리체계에 장비수명을 등재하고 장비를 운용하면서 경제수명을 판단할 수 있는 자
료를 축척 및 관리하며,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수명평가 실무위원회를 통해서 경제수명을 결
정하고 장비수명을 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수명평가 실무위원회의 개최 실적은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 2 장에서 전체적인 장비수명 판단 및 조
정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안)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도시하면 <그림 4.1>과 같다.

<그림 4.1>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에 관한 업무 프로세스(안)

- 61 -
그림에서 제시한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에 관한 업무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1단계에서는 최초 장비획득이 이루어진 후 설계수명을 기준으로 국방장비목록관리체
계에 장비수명을 등재한다.
둘째, 2단계에서는 장비를 운용하면서 운용수명 판단과 관련되는 제반 비용 및 신뢰성 관련
장비운용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운용데이터들은 제 3 장에서 제시한 장비수명 결정 모
델에의 적용대상으로 장비수명 결정 요인들이다. 데이터의 누적에 따라 정비비의 경향이나 신
뢰성관련 주요 파라메터들을 추정한다. 이 단계에서 정비 및 수리 등 신뢰성관련 데이터는 매
우 중요하며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또한 주요 파라메터들의 추정을 위해 데이터의 가공이
용이하도록 수집 항목을 잘 정의하여야 한다.
셋째, 3단계에서는 운용수명 조정을 위한 대상 장비를 검토하며, 장비주관부서는 장비수명
후기 특정 시점 또는 창정비 주기에 도달한 수명 검토 대상 장비들에 대하여 제 3 장에서 제
시한 장비수명 결정 모델을 이용하여 장비 운용수명 조정이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를 검토한
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수명 도래 5년 전 또는 창정비 도래 시점 등을 주요 검토시점으로 제
시하나 실무차원에서 이와 다른 적당한 시점을 선정할 수 있다.
넷째, 4단계에서는 제 3 장의 모델을 통하여 장비의 수명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장비
수명 평가위원회를 실시하며, 운용수명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장비를 대상으로 다음 절에
서 제시하는 장비수명평가표를 활용하여 운용수명의 조정 필요성을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5단계에서는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이 이루어진다. 장비주관부서는 장비
수명 평가위원회의 결정을 토대로 해군 소요결정대상 장비에 대해 장비수명을 조정하고, 함
정, 항공기 등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에 대해서는 국방부에 운용수명 조정을 건의한다.

제시한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에 관한 업무 프로세스는 해군의 운용 장비에 대한 수명


최신화 관리에 적용이 가능하겠다.

제2절 장비 운용수명 조정을 위한 장비수명평가표의 작성

장비운용을 통한 필드데이터 및 제 3 장에서의 모델을 통하여 산출된 장비수명이 본래 설정


된 (설계)수명과 비슷하거나 더 양호하다는 판단일 경우, 즉, 장비도태 등 시급한 장비수명
조정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계속하여 현 장비를 추가 운용한다는 결정을 하게된다. 반대로,
산출된 수명 결과치가 초기 예측수명에 근접하거나 오히려 지났다는 결과가 도출될 경우는 대

- 62 -
상 장비에 대한 수명 조정을 검토하게 된다. 이 경우 장비 수명평가위원회 회의 개최 및 장비
수명에 대한 심의를 바탕으로 조정 여부를 판단한다.
수명평가위원회의의 심의 및 결정은 장비의 추가 기간에 대한 명확한 수치보다는 도태 또는
추가 운용 등 양자택일의 성격을 갖는다. 도태의 판단이 설 경우 필요한 후속 건의나 절차를
따르게 되며, 추가 운용의 판단이 설 경우 대략 어느 정도 추가로 운용할 지의 결정 등 정성
적 평가 성격을 띄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수명평가위원회의 판단을 도울 수 있는 장비수명
평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체계적인 장비수명평가표의 수립을 위해서는 다양한 의사결정모형
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 기법으로 다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TOPSIS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문제
는 주어진 설계수명하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운용중인 장비에 대하여 제 3 장에 제시된 모형
을 통하여 이미 정량적인 평가를 마친 상태하에서의 추가적 운용 또는 도태에 대한 판단을 돕
기 위한 보조적인 평가이므로 이에 직관적으로 부합되는 접근을 택하기로 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택하되 특별히, 앞 장에서 분류한 주된 범주인
전력관점, 물리적관점, 경제적관점, 그리고 기타 관점에서의 다양한 요소들 중 정량적 모형에
서 명시적으로 고려하지 않거나 현 단계의 의사결정상 필요하다 판단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고려한다. 이들 요소들을 장비가 수명을 다하여 도태를 지지하는 관점과 해군의 업무상 추가
적인 운용을 지지하는 관점 등 크게 2가지 관점에서 고려한다. 각 관점하의 수반 요소들을 중
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며 이들의 평가를 통하여 최종인 판단을 돕도록 한다. 중요한 것은 장
비의 수명조정이나 도태의 결정을 본 모형을 통하여 수행하기 보다는 담당자들이나 실무자들
의 장비에 대한 그간의 경험이나 운용데이터를 통하여 이미 어느 정도 판단이 선 것에 대한
보조적 평가표라는 점이다.

평가표 수립을 위하여 고려한 내용은 <표 4.1>의 도시와 같다. 표의 도시와 같이 고려된 요
소들은 장비의 운용수명 결정 범주별 중요한 내용들을 포함하며 제 3 장의 모형에서 명시적으
로 고려하지 못하거나 고려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중심으로 포함하였다.

- 63 -
<표 4.1> 장비수명평가표의 고려 요소

구 분 요 소 내 용
전장환경의 변화 최근 전장환경 차원에서 본 장비의 부합 및 요구
국방 전략/전술 국방 및 해군의 전략/전술상 본 장비의 부합 및 요구
임무 적응성 해군의 수행임무 대비 본 장비의 긴요도/중요도
전력관점
기술 발전 및 성능
해당 장비관련 기술발전 차원에서 장비의 성능충족도
충족도
기능 충족도 의도된 기능의 요구대비 충족도

구조물 내구도 구조적 측면에서 핵심/주요 구조물의 내구도 정도

핵심부품 및 내구도 핵심 구성품/부품들의 유무 및 내구도 및 조달 정도

주요 구조물의 손상/crack 등 정도 (위의 구조물 부분


손상허용해석
에서 중복으로 고려될 경우 제외)
물리적관점 고장빈도 및 가용도 상의 문제 정도
정비/수리 자원의 확보 정도 (장비, 전문인력 등)
장비고장 및
부품 조달상의 문제(시간, 비용)의 정도(부품단종 등)
유지보수/운용성
외주정비의 빈도 및 문제점 정도 (난이도, 정비기간,
비용 등)

정비, 고장수리, 부대/야전/창정비비의 계획대비 적정성


경제적관점 외주정비 비용상의 고장수리비용의 계획대비 적정성
문제 외주정비 등 정비비용상의 문제 정도

대체장비 유무 대체장비의 유무 및 획득/예산확보의 어려움


장비운용상의 문제 예산이외의 운용상 문제 정도
기타관점 안전성 현 장비의 추가 운용을 통한 사병/하사관/장교/군무원
/기타 인원의 안전상의 문제 정도
기타 기타 요인(들)로 인한 문제 정도

- 64 -
이제 각 요소별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지는 <표 4.2>와 같다. 각 설문은
5점의 점수를 기반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합산 결과를 통하여 최종적인 판단을 하게된다.
설문별 너무 상세한 점수 배점은 판단을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있으므로 5점으로 하였다. 해
당 장비의 성격상 특정 설문이 관련이 적다 판단될 경우는‘해당없음’에 표시하여 점수산정
에서 제외하도록 하였다.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평가를 위해 요소들의 계층화 및 계층별 가중
치가 고려될 수 있겠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적 의사결정 절차라는 점에서 고려하지 않는
다.
표의 도시와 같이 각 설문에 대한 답은 특성에 따라 다르겠으나 점수가 높을수록 추가운용
을 지지하고, 반대로 낮을수록 조정/도태의 판단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설문이
해당 장비 성격이나 운용상 관련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없음’에 표시하고 도태 쪽을 지지하
는 입장이면 작은 값(예, 1, 2 등)의 답변, 추가운용을 지지하는 의견이면 큰 값(예, 4, 5
등)의 답변에 표시하면 된다. 최종 점수산정은 설문들 중‘해당없음’을 제외한 총 체크항목
수*5를 총점으로 산정하며 체크된 답변에 따라 총점대비 비율 값을 최종점수로 한다.
최종적인 추가운용 및 도태 판단과 관련하여 절대적인 점수 기준은 제시하기 어려우며 해당
장비에 대한 실무상의 경험이나 데이터를 통하여 수명평가위원회의 토의를 거쳐 판단해야 할
것이다.

- 65 -
<표 4.2> 장비수명평가위원회의 판단을 위한 장비수명평가표
구분 번호 평 가 항 목
최근 전장환경에서 본 장비의 부합 및 요구는 어느 정도인가?
1
(미미/ 약간부합 / 보통 / 제법부합 / 매우 부합)
국방 및 해군의 전략/전술 측면에서 본 장비의 부합도 및 운용 요구는 어느
2
정도인가? (미미/ 약간요구/보통(요구)/ 제법요구 / 매우요구)

전력관점 해군 수행임무 측면에서 본 장비의 긴요도/중요도는 어느 정도인가?


3
(미미/ 약간중요 / 보통 / 제법중요 / 매우 중요)
해당 장비와 관련한 세계적 기술발전 추이 측면에서 본 장비의 성능상의
4 충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매우부족/ 약간충족 / 보통충족 / 제법충족 / 매우충족)
의도된 다양한 전술/모의 훈련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의 충족도는 요구대비
5
어느 정도인가? (미미한 충족/ 약간충족 / 보통충족 / 제법충족 / 매우충족)
장비의 구조적 측면에서 핵심/주요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의 현재 내구도는
6
어느 정도인가? (매우 취약/ 약간취약 / 보통 / 제법강함 / 매우강함)
장비수명과 관련한 핵심 구성품이나 부품들의 존재하며 존재할 경우 이(들)의
7 내구도/조달도는 어느 정도인가?
(매우 취약/ 약간취약 / 보통 / 제법강함 / 매우강함)
주요 구조물의 손상/crack 등은 어느 정도인가?
물리적 8 (위의 구조물 부분과 중복으로 고려될 경우 '해당없음' 처리)
(손상정도 큼/ 약간손상 / 보통 / 미미한 손상 / 손상거의없음)
관점
본 장비의 고장빈도상의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9
(매우잦은고장/ 제법잦은고장 / 보통 / 별로고장없음 / 고장거의없음)
본 정비/수리상 자체 확보 자원은 충분한가? (장비, 전문인력 등)
10
(매우부족/ 약간부족/ 보통/ 제법충분/ 매우충분)
본 장비관련 부품 조달상의 문제(시간, 비용 등) 정도는? (부품단종 등)
11
(매우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외주정비의 빈도 및 문제점 정도 (난이도, 정비기간, 비용 등)
12
(매우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예방정비 (부대/야전/창)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획 대비 어느 정도인가?
13
(매우초과/ 제법초과/ 약간초과 / 초과미미 / 초과전혀없음 )
고장 발생빈도/수리비용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은 어느 정도인가?
경제적 14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관점
본 장비운용 전반에 있어 예산상의 제약이나 초과 정도에 대환 심각성?
15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전반적인 장비의 전투준비도 상의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16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대체장비의 유무/확보상의 문제점 (예산 및 기타)은 어느 정도인가?
17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본 장비운용상의 예산이외의 전반적인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18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기타관점
현 장비의 운용을 통한 사병/하사관/장교/군무원/기타 인원의 안전상 문제
19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상술한 요인들 외의 요인(들)로 인한 문제점은 어느 정도인가?
20
(매우문제/ 제법문제/ 보통/ 문제작음/ 문제없음)

- 66 -
제3절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 방안

본 절에서는 해군이 획득하여 운용하는 장비의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 방안으로서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과 장비수명 관련 국가기관 역량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
장비 수명관리에 대해서는 국방부 지침42)과 해군규정43)에서 소요단계, 획득단계, 그리고
운용단계로 구분하여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운용수명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관심분야인 운용수명 관리는 장비수명 평가위원회를 통해서 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에 대한 국방부 지침과 해군규정을 비교분석한 후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의 오류 보완 및 실무적인 운용효율성 증대의 관점에서 위원회의의
명칭, 역할, 구성, 개최시기, 심의대상, 그리고 심의내용 등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도출하였
으며, 이를 정리하여 다음 <그림 4.2>와 같이 제시한다.

<그림 4.2>에서 제시한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원회 명칭의 명확화이다. 해군은 장비수명 조정과 관련하여 단일 위원회만을 운영
하고 있으나 위원회 명칭을 평가실무위원회라고 함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
으로 실무위원회가 있으면 상위의 위원회가 존재해야 하나, 해군의 경우 실무위원회가 최종위
원회이다. 따라서 위원회 명칭은 현재의 장비수명 평가실무위원회에서 장비수명 평가위원회로
개선함이 타당하다.
둘째, 위원회 역할의 구체화이다. 위원회의 역할을 보다 상세히 명시하면 장비수명 관련 업
무담당자의 업무수행에 있어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원회 역할은 ① 국방부 수명
조정 대상 장비를 제외한 장비 중 수명조정이 필요한 장비에 대한 운용수명 조정 결정, ② 함
정, 항공기 등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에 대한 운용수명 조정 건의 결정, ③ 운용장비에 대한
수명 최신화 관리로 함이 바람직하다.
셋째, 상위지침에 근거한 위원회 구성이다. 현재의 위원회 구성에 대한 규정은 상위지침인
국방부 장비 수명관리 지침에서 명시하고 있는 각 군(기관) 수명평가위원회 구성과 상이한 부
분이 있고, 여기에는 3군 공통장비 심의시 타군 인원을 반드시 포함하는 내용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상위지침을 준수하면서 해군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위원회 구성으로의 개선이 필요

42) 국방부, 장비 수명관리 지침, 2016.11.16


43)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244호, 해군 장비관리 규정, 제15조2, pp.19~20, 2017.4.17

- 67 -
하다.

<그림 4.2>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영 개선(안)

넷째, 위원회 개최에 대한 반영이다. 현 규정에는 위원회 개최에 대한 강제성이 없다고 봄


이 타당하다. 따라서, 장비수명 조정에 대한 업무수행을 위해, 연 1회 또는 소요 발생시(수
시)로 하면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용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위원회 심의대상에 대한 반영이다. 현재의 규정에는 위원회 심의대상에 대한 명시
가 없는 실정으로 심의대상에 대한 구체화가 필요하며, 심의대상은 수명조정이 필요한 모든
장비로 하되 이하 내용으로 ① 설계수명 도래 최소 5년 전, ② 창정비 도래 시점(또는 1년전)
을 명시하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매년 단위로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모든 장비에
대한 운용수명의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명조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68 -
마지막으로, 위원회 심의내용에 대한 구체화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심의내용으로는 ① 경
제수명 산출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평가, ② 전략적 측면에서 경제수명 산출결과가 미
치는 영향 평가(대체장비 개발계획, 국방과학기술 발전방향 등 고려), ③ 물리적 측면에서 경
제수명 산출경과가 미치는 영향 평가(장비의 물리적 한계 등에 따른 안전사항 고려) ④ 필요
시 장비수명 평가표 활용으로의 개선을 권장한다.

2. 장비수명 관련 국가기관 역량 활용
해군은 장비수명과 관련하여 국방부 소속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일부 기관
을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장비수명과 관련하여 해군이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을 전반적으로 식별한 후 해군의 장비수명 판단을 위한 국가기관 활용 업무 프로세스
(안)를 제시하기로 한다.

2.1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


해군이 장비수명과 관련된 판단 업무를 수행할 때 활용이 가능한 국가기관들과 이들 국가기
관들이 수행하는 업무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 <표 4.3>과 같다.

- 69 -
<표 4.3> 장비수명 판단에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 및 수행업무

구분 기관명 수행업무
방위사업청
• 방위력 개선 사업, 군수품 조달, 방위산업 육성 사업 등
(DAPA44))
국방과학연구소 • 국방에 필요한 무기 및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기술적
(ADD45)) 조사, 연구, 개발 및 시험 등
국방부
국방기술품질원
• 국방기술기획 및 국방품질관리 등을 담당
(DTaQ46))

한국국방연구원 • 국방 전반에 관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KIDA47)) 합리적인 국방정책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 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국가측정표준 확립,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 측정표준


(KRISS48)) 보급 및 서비스 등
국가참조표준센터
• 국가참조표준의 제정 및 보급 등
(NCSRD49))
과학기술
한국기계연구원 • 기계분야의 연구개발, 신뢰성 및 시험평가, 기술이전 및
정보통신부
(KIMM50)) 지원 등

• 정보사회의 기반 구축을 위해 반도체, 통신, 컴퓨터 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야의 핵심기술 연구개발, 통신기술 정책수립 지원 및 기
(ETRI51))
술정보 수집․제공, 통신방식에 대한 표준화 연구 등

• 범부처 국가표준(KS) 관리, 공산품․전기용품 등 안전관


리, 시험․검사기관 및 제품인증기관 등 인정(KOLAS․KAS),
산업통산 국가기술표준원
기술제품에 대한 평가인증(NEP․NET․GR), 법정계량제도 정
자원부 (KATS52))
책 수립 및 시행, 각종 기술규제 대응 및 무역기술장벽
협정 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해양과학기술 및 해양산업 발전에 필요한 원천 연구,
(KIOST53)) 응용 및 실용화 연구 등
해양수산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선박해양플랜트 분야 원천기술개발, 응용 및 실용화
(KRISO54)) 연구 등

44) DAPA :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45) ADD :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46) DTaQ :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47) KIDA :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48) KRISS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49) NCSRD : National Center for Standard Reference Data
50) KIMM : Korea Instutute of Machinery & Materials
51) ETR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52) KATS :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53) KIOST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70 -
이 표에서 제시한 장비수명 판단에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은 국방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산자원부, 그리고 해양수산부에 소속되어 있다.
첫째, 국방부 소속의 국가기관으로는 방위사업청(DAPA),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기술품
질원(DTaQ), 그리고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해당된다. 방위사업청은 방위력 개선 사업, 군수
품 조달, 방위산업 육성 사업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획득단계 설계수명과 관련이 있
다. 국방과학연구소는 국방에 필요한 무기 및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기술적 조사, 연구, 개발
및 시험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소요단계 요구수명 및 획득단계 설계수명과 관련이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은 국방기술기획 및 국방품질관리 등을 당당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획득
단계 설계수명과 관련이 있다. 한국국방연구원은 국방 전반에 관한 문제를 전문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합리적인 국방정책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소요단계
요구수명, 획득단계 설계수명, 그리고 운용단계 운용수명(경제수명)과 관련이 있다.
둘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기관으로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국가참조표
준센터(NCSRD), 한국기계연구원(KIMM), 그리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해당된다. 한국표
준과학연구원은 국가측정표준 확립,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 측정표준 보급 및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경제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립에 활용이 가능하다. 국가참조표준센터는 국가참조표준의 제정 및 보급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요구수명, 설계수명, 그리고 경제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표준 정립에 활용이 가능하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기계분야의 연구개발, 신뢰성 및 시험
평가, 기술이전 및 지원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기계류 장비의 수명 판단에 활용이 가능하
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정보사회의 기반 구축을 위해 반도체, 통신, 컴퓨터 분야의 핵심기
술 연구개발, 통신기술 정책수립 지원 및 기술정보 수집․제공, 통신방식에 대한 표준화 연구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전자통신 장비의 수명 판단에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산업통산자원부 소속의 국가기관인 국가기술표준원(KATS)은 범부처 국가표준(KS55))
관리, 공산품․전기용품 등 안전관리, 시험․검사기관 및 제품인증기관 등 인정(KOLAS56)․KAS57)),
기술제품에 대한 평가인증(NEP58)․NET59)․GR60)), 법정계량제도 정책 수립 및 시행, 각종 기술규
제 대응 및 무역기술장벽 협정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수명의 측정 단
위 판단에 활용이 가능하다.

54) KRISO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55) KS : Korean Industrial Standards
56) KOLAS :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한국교정 시험기관 인정기구
57) KAS : Korea Accreditation System, 한국제품인정기구
58) NEP : New Excellent Product, 신제품 인증
59) NET : New Excellent Technology, 신기술 인증
60) GR : Good Recycled Certification, 재활용 제품의 품질 인증

- 71 -
마지막으로, 해양수산부 소속의 국가기관으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와 선박해양플랜
트연구소(KRISO)가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해양과학기술 및 해양산업 발전에 필요한 원
천 연구, 응용 및 실용화 연구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해양관련 장비의 수명 판단에 활용이
가능하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선박해양플랜트 분야 원천기술개발, 응용 및 실용화 연구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수중 장비의 수명 판단에 활용이 가능하겠다.
이상에서 기술한 장비수명 판단의 국가기관별 활용 가능 분야를 다음 <표 4.4>와 같이 정리
하여 제시한다.

<표 4.4> 장비수명 판단의 국가기관별 활용 가능 분야

구분 기관명 활용가능 분야
방위사업청(DAPA) • 장비의 요구수명 및 설계수명 판단
국방과학연구소(ADD) • 장비의 요구수명 및 설계수명 판단
국방부 국방기술품질원(DTaQ) • 장비의 설계수명 판단
• 장비의 요구수명, 설계수명 및 운용수명(경제수
한국국방연구원(KIDA)
명) 판단
•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요구수명, 설계수명 및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운용수명(경제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립
과학기술 •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요구수명, 설계수명 및
국가참조표준센터(NCSRD)
정보통신부 운용수명(경제수명)을 판단하기 위한 표준 정립
한국기계연구원(KIMM) • 기계류 장비의 수명 판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전자통신 장비의 수명 판단
산업통산
국가기술표준원(KATS) • 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수명의 측정 단위 판단
자원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 해양관련 장비의 수명 판단
해양수산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 수중 장비의 수명 판단

따라서, 해군(장비주관부서 또는 군수참모부)은 <표 4.3><표 4.4>에 제시한 국가기관의 전


문분야를 감안하여 해군 장비수명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해군 장비수명 자문위원회를 구성하
면, 장비수명 관련 업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2 국가기관 활용 업무 프로세스(안)


앞의 <표 4.3>에서 제시한 장비수명 관련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해군 장비수명 자문위원)들
을 해군의 장비관리 업무와 연계하여 장비수명 판단을 위한 국가기관을 활용한 업무 프로세스

- 72 -
(안)를 다음 <그림 4.3>과 같이 제시한다.

<그림 4.3> 해군의 장비수명 판단을 위한 국가기관 활용 업무 프로세스(안)

위의 그림에서 제시한 내용을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기체계의 경우,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해군 장비수명 자문위원)들은 첫째, 소요기획단계에
서 해군의 요구수명 제기 과정에 참여가 가능하고 둘째, 운용단계에서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
원회 참여를 통한 장비의 운용수명 조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전력지원체계의 경우, 활용 가능한 국가기관(해군 장비수명 자문위원)들은 첫째, 소요기획
단계에서 해군의 요구수명 결정 과정에 참여가 가능하고 둘째, 획득단계에서 설계수명 결정에
참여가 가능하며 마지막으로, 운용단계에서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참여를 통한 장비의 운
용수명 조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해군은 장비수명 발전 협의체, 해군 장비수명 발전 세미나 등 다양한 형태로 장비
수명 업무에 활용이 가능한 국가기관들과 협력이 가능하다.

- 73 -
제4절 장비도태 판단 방안

본 절에서는 해군이 획득하여 운용하는 장비의 도태와 관련된 업무 현황을 검토한 후 장비


도태 판단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장비도태 업무 현황
도태 및 불용결정이란 사용의 필요성이 없어진 군수품(불요품 또는 잉여품) 또는 예측할 수
있는 장래의 수요를 초과하는 재고가 있는 군수품(초과품) 중 관리전환에 의하여 적절한 처분
을 할 수 없는 군수품이 있을 때 또는 사용할 수 없거나 수리의 가치가 없는 군수품(사용 불
능품)이 있을 때 행하여지는 결정으로서 이른바 분류목적에 따른 사용과 처분의 적격성을 영
원히 재제하는 조치를 말한다.61)
해군의 장비도태에 관한 업무절차는 수명, 도태, 그리고 불용결정과 연계하여 이해함이 필
요하나, 아쉽게도 이들을 연계성 있게 명시하고 있는 규정은 없다. 장비수명에 관하여는 해군
장비관리 규정에서 명시하고 있고, 장비도태에 관하여는 해군전력발전업무규정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장비 불용결정에 관해서는 해군 군수품 처리 규정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해의 편리를 위해 국방부 훈령(군수품관리훈령62), 장비 수명관리 지침)과 해군규정(해군
장비관리 규정, 해군전력발전업무규정63), 해군 군수품 처리 규정)을 토대로 해군의 장비에 대
한 수명, 도태, 그리고 불용결정에 관한 업무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 <그림 4.4>와 같다.

61)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306호, 해군 군수품 처리 규정, 제2조17, p.5, 2017.12.12


62) 국방부, 국방부 훈령 제2148호, 군수품관리훈령, 2018. 4. 9
63)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358호, 군전력발전업무규정, 2018.10.23

- 74 -
<그림 4.4> 장비의 수명, 도태 및 불용결정에 관한 업무 절차

<그림 4.4>의 업무 절차는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함정, 항공기 등)와 통제장비를 제외한 장


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의 경우 ①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
원회에서 운용수명 조정 결정 또는 도래한 장비에 대하여 국방부에 운용수명 조정 건의 ② 국
방부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에서 운용수명 조정 결정 및 해군에 결과 통보 ③ 해군 장비도태 심
의위원회에서 장비도태 심의 및 합참에 장비도태 건의 ④ 합참 장비도태 심의위원회에서 장비
도태 결정 및 해군에 결과 통보 ⑤ 해군 불용결정 심의위원회에서 불용결정 심의 및 국방부에
불용결정 승인 건의 ⑥ 국방부에서 불용결정 승인 및 해군에 결과 통보 순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를 제외한 장비의 경우 ①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에서 운용수
명 조정 결정 또는 도래한 장비에 대하여 해군 불용결정 심의위원회에 불용결정 심의 의뢰 ②
해군 불용결정 심의위원회에서 불용결정 심의 및 국방부에 불용결정 승인 건의 ③ 국방부에서
불용결정 승인 및 해군에 결과 통보 순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한국군은 장비를 통제장비와 통제장비를 제외한 장비로 구분하여 관
리하고 있다. 특별히 국방부 주요 통제장비의 경우 국방부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와 합참의 장
비도태 심의운영위원회에서 반드시 심의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장비 중요도에
따른 조치로서 상당부분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 75 -
2. 장비도태 판단 방안
앞의 <그림 4.4>를 통해 장비도태에 대한 심의 대상은 국방부 주요통제장비인 함대세력표에
등재된 함정, 항공기 및 유도무기가 해당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해군은 장비도태 심의위원회
를 통해서 장비도태에 대한 심의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장비도태 심의위원회에 대
한 국방부 훈령, 지침 및 해군 규정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 현재 해군전력발
전업무규정에 명시하고 있는 장비도태 심의위원회 내용에는 특별한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
단하였다. 하지만 제 2 장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해군 장비수명 평가위원회의 경우, 장비수명
수정을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수명결정 요인과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개최 실적이 없
는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장비도태 심의위원회의 경우에도 규정상 명시된 도태연장 가능성,
경제적 수리한계 등을 판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장비도태 심의위원회의 이전 과정인 장비수명 평가위원회를 운영함에
있어서, 앞서 제시한 <그림 4.1> 장비 운용수명 판단 및 조정에 관한 업무 프로세스(안), <그
림 4.2>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운용 개선(안)을 업무수행에 충실히 반영되면, 현재의 장비도태
심의위원회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는 결론이다. 다만, 심의의제에 있어서
장비수명 평가위원회 결과에 대한 참고가 필요하며, 개최 시기가 누락되어 있음으로 이에 대
한 반영이 요구되며, 해군 장비도태 심의위원회 개선(안)을 다음 <그림 4.5>와 같이 제시한
다.

- 76 -
<그림 4.5> 장비도태 심의위원회 개선(안)

- 77 -
제 5 장 장비 운용수명 평가 사례

본 장은 제 3, 4장을 통하여 제시된 모형들을 통하여 실제로 선정된 장비를 대상으로 수명


을 결정하는 사례를 다룬다.

제1절 대상 장비 선정

사례를 위하여 해군의 운용중인 고속단정과 디젤엔진 등 두 종류의 장비가 선정되었다. 특


수전용 고속단정(RIB/RHIB, Rigid-hulled Inflatable Boat)은 '리브 보트' 또는 '레스큐 보트
'라고 불리우며 선체 상부는 하이파론 튜브(팽창식), 하부는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 덕분에 가볍고 견고하며, 튜브가 높은 부력을 유지함으로써 일반 소형 선박과는 달
리 파도가 거친 파도 2-3m 정도에서도 작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해군, 해양경찰, 해병대, 특수
부대 등에서 사용중이다. 주 용도는 상륙기습작전, 해난구출, 기타 해상에서의 긴급한 대민지
원수송 등이다. 모델에 따라 다르나 보통 높은 출력의 워터제트 엔진을 여러 대 장착해서 최
대 35~40노트 (시속 65~75km)까지 낼 수 있다64).

* 출처: https://namu.wiki/w/%EA%B3%A0%EC%86%8D%EB%8B%A8%EC%A0%95
<그림 5.1> 고속단정을 통한 해상 작전

64) https://namu.wiki/w/%EA%B3%A0%EC%86%8D%EB%8B%A8%EC%A0%95

- 79 -
두 번째의 장비는 디젤엔진 MTU 12V 956으로 다양한 함정에 장착되는 독일 MTU사 엔진이다.

출처: https://www.google.com/search?q=image+MTU+12V+956&tbm=isch&
source=iu&ictx=1&fir=szwRgg-GY__PxM%253A%252CiBu4ICB-h8KWhM%252C_&
vet=1&usg=AI4_-kTy7DvU4vg-tZ8DwSvXRWRA6dctCg&sa=X&ved=2ahUKEwjY97z
qk8fiAhVxw4sBHXanB-kQ9QEwAHoECAAQBA#imgrc=tndDzqCalV7BfM:&vet=1&sp
f=1559353357622
<그림 5.2> 디젤엔진 MTU 12V 956

제2절 선정 장비(들)에 대한 수명결정 사례

장비수명 결정을 위하여 제 3 장에서 제시된 모형을 실제로 적용하되 실무자들이 직접 복잡


한 계산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고려하여 주요 입력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엑셀을 통한 결과산
출의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완전한 수명 결정 및 조정을 위해서는 다
양한 입력데이터 및 운용상의 통계치들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야하나 이는 차후의 과제로 남
기고 여기서는 엑셀을 이용하여 간단히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함께, 선정된
두 장비에 대한 수명결정 사례 제시를 위하여 해군 실무자들로부터 현 운용중의 데이터를 요
청하여 수령하였다.
먼저, 대상 장비들에 대한 수명결정은 크게 주기적인 창정비가 없는 장비와 주기적인 창정
비가 있는 장비로 구분하였다. 주기적인 창정비가 없는 장비는 최초 설정된 설계수명 시점 도

- 80 -
래 –X년차에 제 3 장의 모형을 통하여 수명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수명
조정 여부를 가린다. 반면, 주기적인 창정비가 있는 장비는 매 창정비 주기 시점에 모형을 통
하여 수명을 검토하며 결과에 따라 창정비 수행 후 다음 창정비 시점까지 추가로 운용할지,
아니면 현 시점에서 창정비 수행없이 수명 조정을 수행할지 결정한다. 선정된 장비들 중 고속
단정은 설계수명이 10년이며 창정비가 없는 장비이고, 디젤엔진은 설계수명이 30년이며 창정
비 주기가 있다. 편의상 디젤엔진에 대해서는 설계수명의 도래가 가까운 시점에서 수명을 검
토하는 경우와 매 창정비 주기별 수명을 검토하는 2가지 경우를 가정하여 사례를 작성하도록
한다.

1. 고속단정 특수전용
선정된 고속단정은 2011년 도입되었으며 설계수명이 10년으로 창정비 주기는 없다. 본 장비
수명결정을 위해 제 3 장의 수리적모형을 적용하되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엑셀 양식을 <표
5.1>과 같이 정의하였다. 이 표의 상부좌측에는 장비에 대한 기본정보로 장비명, 장비번호,
획득비, 설계수명, 감가상각률 등을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우측에는 본 장비관련 기술발전으
로 인한 성능의 발전 및 진부화율, 년 이자율, 그리고 장비고장과 관련한 와이블분포 기반의
모수들(   )을 입력하도록 설계하였다. 감가상각률은 장비의 잔존가치 산정을 위해 필요하며
정률법에 기반한 적절한 감가상각률을 입력하며, 기술발전 및 진부화율은 해당 장비의 핵심
특성에 따라 제 3 장에서의 정의와 같이 적절히 입력한다. 고속단정의 특성이 추진기 중심의
기계적 성능이 주가 된다는 판단하에 작은 값인 0.02 및 0.01을 각각 정의하였다. 이는 기술
향상 및 진부화 상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가정한 것으로 전기·전자장비의 경우 이들 보다 큰
값을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간 이자율은 정부고시 평균이자율을 입력하면 되며 여기서는
연간 2.5%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장비고장과 관련하여 운용중의 고장에 대한 실제수리
및 관련비용을 입력하나 고장발생 빈도 데이터를 중심으로 고장시간 간격에 대한 모수들을 추
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경우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즉, 고장시간 간격 데이
터들을 중심으로 신뢰성기법을 통하여 모수들(  )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간 고장수리
비는 제 3 장에서 주어진 연간 장비 고장횟수( )와 1회당 평균수리비의 곱으로 계산된다.

표의 하부에는 운용데이터를 통하여 연도별 결과된 부대/야전정비비, 창정비비, 그리고 고


장수리비 등을 입력한다. 이들에 대한 결과치가 없거나 미래의 값을 추정해야 할 경우는 과거
경험을 통한 비용을 기준으로 적절히 추정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특별히, 장비 획득초기 장비
의 수명을 산출하고자 할 경우는 예상되는 미래 운용기간 동안의 고장률 및 정비/수리관련 비
용을 모두 추정하여 준비하여야 한다. 본 장비의 경우 부대/야전 정비비, 창정비비, 그리고
고장시간 간격 및 수리비용에 대한 정보는 현업으로부터 주어진 값을 이용하되 일부 제공되지

- 81 -
못한 부분은 적절히 가정하여 적용하기로 한다.

<표 5.1> 장비수명 결정을 위한 입력데이터 양식

장비명 성능발전률/년
장비번호 성능진부화율/년
획득년도 이자율/년
획득비 장비고장   
설계수명 (와이블분포)   
감가상각율

고장수리비
년도 부대/야전 창
정비비 정비비 고장 건당 고장
횟수 수리비 수리비

본 장비운용을 통하여 과거의 입력 값들을 획득하였고 미래의 값들은 적절히 추정하였으며,


전체적인 입력 결과는 <표 5.2>와 같다. 본 장비는 2011년 획득하여 현재 제 8년차 운영중이
며 7년차까지의 운용데이터가 존재한다. 표에서 보듯이 제 7년차까지는 장비의 운용중 발생된
값들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음영으로 처리된 제 8년차 이후는 개략 추정치들이다.

- 82 -
<표 5.2> 고속단정에 대한 입력데이터

장비명 고속단정 성능발전률/년 0.02


장비번호 40380601 성능진부화율/년 0.01
획득년도 2011 이자율/년 0.025
획득비 784,000,000 장비고장   
설계수명 10 (와이블분포)   
감가상각율 0.2

고장수리비
년도 부대/야전 창
정비비 정비비 고장 건당 고장
횟수 수리비 수리비
1 200,000     1,545,000 0
2 560,000   4 1,591,350 6,365,400
3 1,600,000   2 1,639,091 3,278,181
4 6,200,000 15,000,000 5 1,688,263 8,441,316
5 6,500,000   2 1,738,911 3,477,822
6 13,310,000   4 1,791,078 7,164,314
7 2,400,000   3 1,844,811 5,534,432
8 18,000,000 45,000,000 2 1,900,155 3,800,310
9 580,000   4 1,957,160 7,828,639
10 2,400,000   3 2,015,875 6,047,624
11 21,200,000   6 2,076,351 12,458,105
12 890,000   2 2,138,641 4,277,283
13 41,100,000 60,000,000 4 2,202,801 8,811,202
14 35,200,000   7 2,268,885 15,882,192
15 35,500,000   7 2,336,951 16,358,658

이상의 입력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 보유기간별 예상되는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5.3>과 같이 요약된다. 표의 결과는 앞 장에 제시된 모형 및 방법론에 근거하였으며 총 15년
의 보유기간을 고려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비용(표의 우측)만을 고려한 결과와 성능을 통합한
총 효과(표의 좌측) 등 2가지 측면에서 산출하였다. 즉, 표의 결과는 장비를 주어진 기간 운
용할 경우 예상되는 연간등가비용과 총 효과이다.

- 83 -
먼저, 표의 중앙은 비용에 대한 내용으로 위에서 주어진 획득비, 정비비(부대/야전/창), 고
장수리비 등을 기반으로 산출한 연간등가이다. 등가비율은 장비를 1년간 보유시의 연간등가를
기준으로 각 연도별로 비율을 산출한 것이다. 표의 우측은 2번째 열의 평균성능과 연간등가를
통한 통합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평균성능은 장비의 보유 기간별 예상되는 성능비의 평균치이
다. 총 효과는 평균성능과 연간등가를 곱한 값이며, 효과비율은 비용과 같은 방법으로 1년치
의 총 효과를 기준으로 비율 값으로 산출한 결과이다. <그림 5.3>과 <그림 5.4>는 이상의 결
과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으로 연도별 평균성능비와 비용 및 총 효과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중 <그림 5.4>의 그래프에서 연도별 총 효과비율은 윗부분에 연간등가비율은 아랫부분에 표
현하였다.

<표 5.3> 고속단정에 대한 수명평가 결과

비용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1 1.0303 803,800,000 1.000 1.000
2 1.0459 410,281,679 0.510 0.518
3 1.0618 278,469,934 0.346 0.357
4 1.0781 218,547,554 0.272 0.285
5 1.0947 178,867,818 0.223 0.236
6 1.1116 154,071,319 0.192 0.207
7 1.1288 134,708,850 0.168 0.184
8 1.1465 102,481,586 0.127 0.142
9 1.1644 96,786,961 0.120 0.136
10 1.1828 91,738,352 0.114 0.131
11 1.2015 89,249,534 0.111 0.129
12 1.2206 84,818,921 0.106 0.125
13 1.2401 87,765,192 0.109 0.131
14 1.2600 86,548,725 0.108 0.132
15 1.2803 85,400,490 0.106 0.132

- 84 -
<그림 5.3> 고속단정에 대한 연도별 평균성능

<그림 5.4> 고속단정에 대한 운용기간별 연간등가 및 총 효과

결과를 통하여, 평균성능의 경우 성능상의 발전이나 진부화율을 작은 값들로 가정하였기에


약간의 상향 증가형태를 가지며 총 효과비율과 등가비율상의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장비의 경우 현재 8년차에 있으며 향후 수년간을 고려할 경우 12년차에 총 효과가 1년간
운용시의 총 효과 대비 0.125로 최소이므로 최적의 운용기간은 12년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85 -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1차년도의 비용대비 0.106으로 최소이며 추가 운용의 경우 15년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본래의 수명 또는 그 이상의 운용을 하여도 무방하다는 결론이다.
즉, 미래 성능상의 큰 변화가 예상되지 않으며 정비비나 고장으로 인한 수리비가 크지 않은
관계로 해군의 운용환경상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주어진 설계수명 보다 긴 기간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러한 이유로 수명조정을 위한 수명평가회의를 개최할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통합효과를 평가지표로 제시하였으나 종종 비용만으로 판단
을 하고자 할 수 있으므로 표와 그래프의 비용 부분 위주로 검토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본 연
구의 특징이다.

2. 디젤엔진 MTU 12V 956


추가로 선정된 정비는 디젤엔진 MTU 12V 956으로 사례로 삼은 장비는 1989년 도입되어 현재
까지 운용중이다. 본 장비의 획득비는 1,135,134,000원이고 창정비 주기는 초기 20년까지는
매 7년, 20년 이후는 매 5년으로 가정하였다. 즉, 창정비시기는 7, 14, 21, 26, 31, 36년차에
수행됨을 가정한다. 편의상, 수명 후기의 1회성 수명검토와 창정비 주기별 수명 검토 등 2가
지 방법을 보인다.

2.1 수명 후기의 수명검토 경우


수명주기가 있는 경우라도 수명 후기에 1회성의 수명 검토를 수행하는 경우는 <표 5.1>과
동일한 양식을 적용한다. 현업으로부터의 운용자료를 기반으로 작성 및 가정된 입력데이터는
<표 5.4>와 같다. 본 장비의 경우 창정비를 가지나 주기별 특별한 고려는 없으며 청정비주기
가 없는 경우의 데이터 입력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 획득이후 현재 30년차 운용중이며 현재
까지의 운용을 통한 데이터와 아랫부분 음영으로 처리된 미래 수년간의 예측데이터를 함께 보
인다.

<표 5.4> 디젤엔진에 대한 입력데이터

장비명 디젤엔진 MTU 성능발전률/년 0.02


12V
장비번호 41110102 성능진부화율/년 0.01
획득년도 1989 이자율/년 0.025
획득비 1,135,134,000 장비고장   
설계수명 30 (와이블분포)   
감가상각율 0.3

- 86 -
<표 5.4> 디젤엔진에 대한 입력데이터 (- 계속)

고장수리비
부대/야전 창
년도 정비비 정비비 고장 건당 고장
횟수 수리비 수리비
1 10,000,000   0
2 10,000,000   0
3 10,000,000   0
4 10,000,000   0
5 10,000,000 1,548,380 0
6 9,936,000   0
7 9,882,000 50,000,000 0
8 10,512,000   0
9 3,087,000   0
10 38,038,000   0
11 8,282,000   0
12 4,415,000 103,580 0
13 5,248,026   0
14 116,018,000 60,000,000 0
15 49,000,000 1,548,300 0
16 1,932,000   0
17 8,800,000   0
18 21,000,000   0
19 7,500,000   0
20 11,000,000   0
21 3,200,000 80,000,000 447,000
22 1,400,000   0
23 100,000   0
24 58,000,000   0
25 102,000   0
26 59,300,000   13,764,000
27 92,412 90,000,000 0
28 4,999,500 517,900,000 0
29 15,400,000   20,900,000
30 40,564,000   20,000,000
31 484,000 90,000,000 20,000,000
32 20,000,000   20,000,000
33 25,000,000   20,000,000
34 25,000,000   20,000,000
35 25,000,000   20,000,000

- 87 -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 3 장의 모형을 이용하여 장비 보유기간별 연간등가 및 총 효과
를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5.5> 및 <그림 5.5><그림 5.6>과 같이 요약된다.

<표 5.5>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비용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1 1.0303 1,173,512,350 1.000 1.000
2 1.0459 598,938,350 0.510 0.518
3 1.0618 407,452,603 0.347 0.358
4 1.0781 311,738,911 0.266 0.278
5 1.0947 254,628,605 0.217 0.231
6 1.1116 216,321,984 0.184 0.199
7 1.1288 195,594,402 0.167 0.183
8 1.1465 174,408,510 0.149 0.165
9 1.1644 157,198,084 0.134 0.151
10 1.1828 146,562,002 0.125 0.143
11 1.2015 135,484,951 0.115 0.135
12 1.2206 125,991,575 0.107 0.127
13 1.2401 118,016,672 0.101 0.121
14 1.2600 121,527,871 0.104 0.127
15 1.2803 117,569,592 0.100 0.124
16 1.3011 111,602,809 0.095 0.120
17 1.3223 106,675,700 0.091 0.117
18 1.3439 102,848,559 0.088 0.114
19 1.3660 98,866,745 0.084 0.112
20 1.3885 95,427,014 0.081 0.110
21 1.4115 94,993,659 0.081 0.111
22 1.4350 91,750,956 0.078 0.109
23 1.4590 88,744,144 0.076 0.107
24 1.4835 87,796,877 0.075 0.108
25 1.5086 85,231,598 0.073 0.106
26 1.5341 84,895,093 0.072 0.108
27 1.5602 85,033,095 0.072 0.110
28 1.5869 96,018,866 0.082 0.126
29 1.6141 94,592,512 0.081 0.126
30 1.6419 93,817,694 0.080 0.127
31 1.6704 94,180,183 0.080 0.130
32 1.6994 93,055,073 0.079 0.131
33 1.7291 92,100,810 0.078 0.132
34 1.7594 91,205,631 0.078 0.133
35 1.7903 90,364,467 0.077 0.134

- 88 -
<그림 5.5> MTU 12V 956의 평균성능 (1회 수명검토 경우)

<그림 5.6> MTU 12V 956의 총 효과와 연간등가 (1회 수명검토 경우)

표 및 그림의 결과를 통하여 장비수명은 총 효과 기준으로 25년에 최소의 비율(0.106)을 가


지며 창정비 주기를 고려할 경우 26년의 운용이 적절하다. 그러나, 비용만을 고려할 경우 26
년 또는 27년차까지의 운용이 최적이라는 판단이며 약 35년까지 큰 차이가 없어 문제없이 사
용 가능하다는 결과이다. 이는 주어진 데이터를 통하여 장비고장이 적고 수리비가 적으며 정
비 및 수리를 통한 장비의 가용성 역시 안정적으로 제공된다는 판단이기 때문이다.

- 89 -
본 연구의 총 효과를 중심으로 판단시 25년 또는 26년의 운용이 최적이므로 수명 조정대상
으로 분류되어 수명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치기로 한다. 심의를 위하여 수명평가위원회가 개
최되었으며 장비수명평가표가 수명평가위원회와 실무담당자들과의 회의 및 논의를 거쳐 작성
되었고 최종 평가는 <표 5.6>과 같이 결과되었다 가정한다.

<표 5.6> 장비수명평가표에 의한 평가 결과

항 설 문 0 1 2 3 4 5

1 최근 전장환경에서 본장비의 부합 및 요구는 어느 정도인가? O          


(미미/약간부합/보통/제법부합/매우부합)
국방 및 해군의 전략/전술 측면에서 본 장비의 부합도 및
2 운용요구는 어느 정도인가? O          
(미미/ 약간요구/보통(요구)/ 제법요구 / 매우요구)

3 해군 수행임무 측면에서 본 장비의 긴요도/중요도는 어느   O       


정도인가? (미미/ 약간중요 / 보통 / 제법중요 / 매우 중요)
해당 장비와 관련한 세계적 기술발전 추이 측면에서 본장비의
4 성능상의 충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O   
(매우부족/ 약간충족 / 보통충족 / 제법충족 / 매우충족)
의도된 다양한 전술/모의훈련을 지원할수 있는 기능의 충족도는
5 요구대비 어느 정도인가?         O  
(미미한 충족/ 약간충족 / 보통충족 / 제법충족 / 매우충족)
장비의 구조적 측면에서 핵심/주요 구조물이 존재하며 이의 현재
6 내구도는 어느 정도인가?         O  
(매우취약/약간취약/보통/제법강함/매우강함)
장비수명과 관련한 핵심 구성품이나 부품들이 존재하며 존재할
7 경우 이(들)의 내구도/조달도는 어느 정도인가?           O
(매우취약/약간취약/보통/제법강함/매우강함)
주요 구조물의 손상/crack 등은 어느 정도인가?
8 (위의구조물부분과중복으로고려될경우'해당없음'처리) O          
(손상정도큼/약간손상/보통/미미한손상/손상거의없음)
본장비의 고장빈도상의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9         O  
(매우잦은고장/제법잦은고장/보통/별로고장없음/고장거의없음)

10 본정비/수리상 자체 확보자원은 충분한가?(장비,전문인력등)         O  


(매우부족/약간부족/보통/제법충분/매우충분)

11 본장비 관련 부품조달상의 문제(시간,비용등)정도는?(부품단종등)         O  


(매우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외주정비의 빈도 및 문제점은 어느 정도인가? (난이도,정비기간
12 등) (매우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O  

예방정비(부대/야전/창)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획대비 어느


13 정도인가?         O  
(매우초과/ 제법초과/ 약간초과 / 초과미미 / 초과전혀없음 )

14 고장발생빈도/수리비용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은 어느 정도인가?     O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15 본 장비운용 전반에 있어 예산상의 제약이나 초과 정도에 대한           O 


심각성은?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 90 -
<표 5.6> 장비수명평가표에 의한 평가 결과 (- 계속)

항 설 문 0 1 2 3 4 5

전반적인 장비의 전투준비도상의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16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O   

17 대체장비의 유무/확보상의 문제점 (예산및기타)은 어느 정도인가?         O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18 본 장비 운용상의 예산 이외의 전반적인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O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현장비의 운용을 통한 사병/하사관/장교/군무원/기타 인원의
19 안전상 문제는 어느 정도인가?           O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20 상술한 요인들외의 요인(들)로 인한 문제점은 어느 정도인가?          


(매우문제/제법문제/보통/문제작음/문제없음) O
답변의 수: 3 0 1 1 11 4

합 계 : 81.2

표의 결과를 통하여 총 20개중 17개가 해당 있다는 답변이므로 17*5=85를 총점으로 한 상대


적인 비율 값이다. 점수는 81.2로 얻어졌으며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이는 비록 수명에 대한 정
량적 평가를 통해 25, 26년이 최적운용기간으로 산출되었으나 여러 여건상 수년간 추가로 현
장비를 운용함에 큰 무리가 없음을 반영하는 수치이다. 이를 바탕으로 수명평가회의의 심의를
통한 최종 판단은 비록 현재의 장비가 최적 주기는 아니나 당분간 추가로 운용함이 좋다는 결
론을 내린다.

2.2 창정비 주기별 수명 결정


앞의 경우와 달리 장비를 창정비 주기를 기준으로 운용하되 매 창정비 주기에 다다르면 현
재의 창정비를 수행하지 않고 수명 조정/도태를 결정할지 아니면 다음의 창정비 주기까지 추
가로 운용할지를 판단한다. 중요한 점은 현 검토시점에서 과거의 모든 파라메터 및 비용들은
현업의 운용데이터를 입력하되, 다음 창정비 주기까지 추가의 운용검토를 위해서는 미래 1회
창정비 주기 동안의 부대/야전/창정비비 및 고장수리비는 예측 값을 입력한다. 본 장비의 창
정비 주기는 20년까지는 매 7년 그리고 20년 이후는 매 5년을 가정하였으므로 창정비 시점은
7/14/21/26/31/36년 등이다.
창정비 주기별 수명을 검토하는 경우는 입력 및 결과 산출을 위한 양식의 변경이 필요하다.
입력부분의 장비 기본정보에 대한 부분은 변화가 없되 나머지 연도별 데이터 입력부분에 변화
가 필요하다. 즉, 창정비 주기별 과거 운용데이터 및 미래 창주기 동안의 예측 데이터이다.
<표 5.7>은 디젤엔진의 경우를 고려한 양식을 도시한다. 표의 도시와 같이 제 7년차에는 창정

- 91 -
비가 예정되어 있으며 창정비 주기를 중심으로 창정비 이전의 운용데이터와 창정비 이후 다음
창정비 직전까지의 예측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설계하였다.
결과 산출은 제 7년의 창정비 직전까지 운용하는 경우의 총 효과와 창정비 수행후 14년차
창정비 직전까지의 총 효과를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창정비 주기
까지 진행할지 멈출지를 결정하게 된다. 다음 창정비 주기까지 진행 할 경우의 비교는 1~14년
까지의 운용데이터를 통한 총 효과와 1~21년의 데이터를 이용하되 후자의 경우 14년차의 창정
비비와 15~21년의 예측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효과를 산출하여 이들 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되 편의상 이에 대한 양식은 생략하고 실제의 예제를 통하
여 보이기로 한다.

<표 5.7> 창정비 주기별 수명 평가를 위한 입력데이터 양식

구분 년도 부대/야전 창정비비 고장수리비


정비비
1
2
3
실측
데이터 4
5
6
7
7 - -
8
9
예측 10
데이터 11
12
13
14

이제, 창정비 주기별로 수명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앞 절에서 보인바와 같이 이 장


비는 이미 오랜 기간의 운용을 통한 데이터가 주어졌으나 획득초기부터 주기별로 운용 및 수
명검토를 수행함을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상 앞의 예제보다 큰 비용들을 임의로 가정한다.

- 92 -
k=1 (첫 번째 창정비 주기, t=7년)
획득된 장비를 첫 번째 창정비 주기인 7년간 운영하고 그간 현업에서 결과된 부대/야전/창
등의 정비비 및 고장수리비 등을 직접 주어진 양식에 입력한다. 7년차에 아직 창정비는 수행
하지 않았으며 0을 입력한다. 동시에 이 장비를 추가로 7년간 (총 14년) 운용한다 할 경우 7
년차의 창정비비, 8~14년 동안 예상되는 부대/야전 정비비와 고장수라비 등을 예측하여 <표
5.8>과 같이 입력한다. 표의 상부는 실측데이터로 운용을 통하여 얻은 비용인 반면 표의 하부
는 예측비용들이다.

<표 5.8> 디젤엔진의 첫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구분 년 부대/야전 창 고장
도 정비비 정비비 수리비

1 10,000,000    
2 10,000,000   1,200,000
3 10,000,000   2,100,000
실측
4 10,000,000   880,000
데이터
5 10,000,000 1,548,000 765,000
6 9,936,000   1,350,000
7 9,882,000   1,800,000
7 - 50,000,000 -
8 10,000,000   1,500,000
9 12,000,000   1,500,000
예측 10 12,000,000   2,000,000
데이터 11 15,000,000   2,000,000
12 15,000,000   3,000,000
13 18,000,000   3,000,000
14 18,000,000   3,000,000

앞 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7년간 장비를 운용할 경우 예상되는 연간등가 및 비율, 총 효과


및 비율 등을 산출한다. 첫 7년 동안의 계산과 같이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제는 1~14년
동안의 연간등가(비율) 및 총 효과(비율)을 산출한다. 이들에 대한 산출 결과는 <표 5.9>와
같다.

- 93 -
<표 5.9>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1)

비용
구분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1 1.0303 1,035,000,000 1.000 1.000
2 1.0459 529,419,753 0.512 0.519
3 1.0618 361,219,874 0.349 0.360
실측
4 1.0781 276,851,769 0.267 0.280
데이터
5 1.0947 226,524,099 0.219 0.233
6 1.1116 192,828,581 0.186 0.201
7 1.1288 168,827,487 0.163 0.179
7 1.1288 175,452,258 0.170 0.186
8 1.1465 156,685,078 0.151 0.168
9 1.1644 142,301,151 0.137 0.155
예측 10 1.1828 130,849,149 0.126 0.145
데이터 11 1.2015 121,729,154 0.118 0.137
12 1.2206 114,210,125 0.110 0.131
13 1.2401 108,053,758 0.104 0.126
14 1.2600 102,783,826 0.099 0.121

최종적으로, <표 5.9>의 결과를 통하여 첫 7년의 운용 경우 총 효과비율 및 연간등가비율이


각각 0.179와 0.163인 반면 14년간 운용할 경우 총 효과비율 및 연간등가비율은 각각 0.121과
0.099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하여 다음 창정비 주기인 제14년차까지 운용
함이 경제적으로 향후 7년간 장비를 추가 운용하기로 결정한다.

- 94 -
k=2 (두 번째 창정비 주기, t=14년)
앞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 입력을 통한 계산을 수행하되 1~14년은 실제의 운용데이
터 (특히, 7~14년은 위의 예측데이터가 아닌) 값을 입력하고, 다음의 창정비 주기인 14~21년
의 비용들을 예측값을 입력한다. 입력된 결과는 <표 5.10>과 같다.

<표 5.10> 디젤엔진의 둘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부대/야전 창 고장
구분 년도 정비비 정비비 수리비

7 - 55,000,000  - 
8 10,512,000 1,200,000
9 3,087,000   1,500,000
실측 10 18,038,000   1,360,000
데이터 11 8,282,000   980,000
12 4,415,000 104,000 1,200,000
13 5,248,026   1,500,000
14 26,018,000   1,900,000
14 - 70,000,000 -
15 20,000,000   1,500,000
16 20,000,000   1,500,000
예측
17 25,000,000   1,500,000
데이터 18 25,000,000   2,000,000
19 25,000,000   2,000,000
21 25,000,000   2,000,000

제 14년차의 창정비비와, 15~21년 동안의 예상되는 부대/야전 정비비와 고장수라비 등의 값


을 통하여 기간 1~14년과 기간 1~21년 동안의 총 효과(비율) 및 연간등가(비율) <표 5.11>과
같이 산출한다. 계산에 대한 상세한 결과는 생략하고 14년과 21년의 경우만 결과를 보인다.

<표 5.11>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2)

비용
구분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실측 14 1.2600 101,157,660 0.098 0.120
예측 21 1.4115 83,144,939 0.080 0.110

- 95 -
결과를 통하여 총 효과는 제 14년차 운영을 통하여 0.12로 결과된 반면 21년차까지 운용할
경우 0.110 으로 감소가 예상된다. 이 결과를 통하여 21년의 운용이 바람직하며 추가의 7년간
인 21년까지 장비운용을 결정한다.

k=3 (세 번째 창정비 주기, t=21년)


동일한 방법으로 운용데이터와 예측데이터를 입력한다. 이제, 21년과 다음 창정비 시점인
26년까지의 운용에 대한 검토 및 비교를 수행한다. <표 5.12>와 <표 5.13>은 입력데이터와 양
자에 대하여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한 결과이다. 표에서 4번째 창정비시점은 3
번째 창정비 5년 후인 제 26년째 임을 주지하자. 역시, t=21 보다는 t=26에서 총 효과 및 비
용차원에서 작은 값을 가지며 추가로 한 주기 운용함을 결정한다.

<표 5.12> 디젤엔진의 셋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구분 년도 부대/야전 창 고장
정비비 정비비 수리비

14 60,000,000
15 49,000,000 2,400,000
16 1,932,000 2,510,000
실측 17 18,800,000 1,900,000
데이터 18 21,000,000 2,500,000
19 7,500,000 3,100,000
20 11,000,000 1,800,000
21 13,200,000 2,200,000
21 - 75,000,000 -
22 20,000,000 2,000,000
예측 23 20,000,000 2,000,000
데이터 24 20,000,000 2,000,000
25 20,000,000 2,000,000
26 20,000,000 2,000,000

- 96 -
<표 5.13>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3)

비용
구분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실측 14 1.4115 81,303,069 0.079 0.108
총예측 21 1.6704 75,003,049 0.072 0.108

k=4 (네 번째 창정비 주기, t=26년)


제 26년차의 4번째 창정비 주기까지 운용을 통한 실제데이터와 26년째의 창정비비 및 27~31
년의 정비비, 고장수리비 등을 예측하여 입력하고 양자에 대한 총 효과를 산출 비교한다. 이
결과는 <표 5.14> <표 5.15>와 같다. 결과를 통하여 26의 운용이 31년까지의 운용보다 총 효
과 측면에서 유리하며 적정 수명은 26년으로 결정한다.

<표 5.14> 디젤엔진의 넷째 창정비 주기 동안의 비용

구분 년도 부대/야전 창 고장
정비비 정비비 수리비

21 75,000,000
22 11,400,000 3,100,000
실측 23 8,100,000 3,200,000

데이터 24 18,000,000 2,600,000


25 9,102,000 6,200,000
26 19,300,000 4,376,000
26 - 100,000,000 -
27 40,000,000 6,000,000
예측 28 50,000,000 6,000,000
데이터 29 60,000,000 7,000,000
30 80,000,000 100,000,000
31 80,000,000 100,000,000

- 97 -
<표 5.15> 디젤엔진에 대한 수명분석 결과 (k=4)

비용
구분 년도 평균성능 총 효과비율
연간등가 등가비율
실측 26 1.5341 74,268,243 0.072 0.107
총예측 31 1.6704 80,110,590 0.077 0.12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장비의 운용은 4번째 창정비 주기까지인 26년간의 운용이 적정하다는
결론이다. 다음 표와 그림은 이상의 결과를 종합 도시한 것이다. 도시와 같이 4번째 창정비
주기까지인 26년도까지 장비운용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비를 현시점에서
도태시킴을 검토할 필요성을 가진다. <표 5.16>과 <그림 5.7>은 이상의 과정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이다. 이들은 각 정비단계별 당년도까지의 장비운용과 차기 창정비 주기까지 운용시의
총 효과를 보여준다. 예들 들어, 1차 창정비 직전 7년간 운용시의 총 효과(그림 상부의 작은
원)와 14년 창정비직전까지의 총 효과(하부의 4각점)를 대비한다. 나머지 점들도 같은 방법으
로 해석하며 4번째 창정비 주기(26년차)에서는 추가의 창정비 기간 동안 운용이 비경제적임을
보이므로 과정을 종료한다. 최종적인, 장비의 도태 또는 수명 조정에 관한 검토는 수명평가위
원회를 통하여 수행되며 앞에서의 수명평가표를 이용한 평가로 대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제의 경우 설명의 편의상 임의의 비용들을 가정했음을 밝힌다.

<표 5.16> 디젤엔진 수명분석 종합


정비차수
실측데이터 예측데이터
(년도)
1 (7) 0.179 0.121
2 (14) 0.120 0.110
3 (21) 0.108 0.108
4 (26) 0.107 0.125

- 98 -
<그림 5.7> 디젤엔진 수명분석 종합 도시

제3절 결언

이상으로 두개의 선정된 장비에 대하여 제 3 장의 모형을 통한 수명평가 및 제 5 장의 수명


평가위원회의 수명평가표를 이용한 심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창정비가 없는 장비
및 창정비를 가지는 장비 양자에 대한 1회성의 평가 및 창정비 주기 단계별 수명평가 방법을
고찰하였다. 매년이 아닌 창정비 주기별 수명평가가 효율적이기는 하나 수많은 장비를 대상으
로 창정비 주기별로 검토함에도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몇 차례의 창정비 이후 수
명 후반부의 특정 창정비 주기 부터 적용함도 한 방법이다.
본 장에서 제시된 사례는 비록 현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일부 데이터는 가정하
였으며 최종결과 역시 현업의 입장과는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는 실제의 결과보다는 의사결
정을 수행하는 체계적이고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의사결정 방법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명 평가모형 및 조정을 위한 프로세스가 기존의 단순한 모형
에 의한 평가보다 체계적이며 신뢰성 또한 높다는 판단이다.

- 99 -
- 100 -
제 6 장 결 론

본 연구는 해군의 장비수명 판단 및 조정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내용 및 향후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제1절 연구의 주요 결과

본 연구는 해군 장비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체계적인 교체 계획 수립을 위해 실무적


측면에서 장비들에 대한 수명결정모형의 개발 및 필요시 수명 조정을 위한 적절한 프로세스를
정립함을 주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 2 장에서는 장비수명과 관련한 선진국 및 국내의 실무적 절차, 관련규정, 그리고 학문적
인 관점의 수명결정 방법론들을 종합 검토하였다. 이들 검토를 통하여 해군내 장비 수명관리
절차에 대한 합리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수명결정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장비수명과 관련한 다양한 요소들을 수집
하고 정리하였으며 특별히 제 2 장에서 정립된 업무 프로세스에 의거 계량적인 요소들 중심의
정량적인 장비수명결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립된 모형은 기존의 모형들에서 고려하지 않은
새로운 수행형가기준으로 성능을 비용과 함께 명시적으로 통합하는 함수를 정의하였으며, 신
뢰성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립되었다. 특별히, 기존의 일회성 수명 예측/추정에
추가로 장비수명이 창정비 시점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판단하에 창정비 주기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수명을 검토해가는 방법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이 기존의 모형들과
비교하여 실무에 근접하며 적용성 또한 높였다.
제 4 장에서는 제시된 수명관리 업무 프로세스에 있어 수명후기 또는 말기에 도달된 장비에
대한 수명평가위원회의 역할 및 수명조정 판단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 3 장의 모형을
통하여 수명 말기에 도달하거나 이미 지났다는 판단일 경우 수명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평가
회의를 통하여 도태 또는 조정을 판단하게 된다. 수명평가위원회의의 평가를 위하여 정략적인
모형에 추가로 활용 가능한 장비수명평가표를 제시하였으며 보조적인 평가표로서의 역할을 한
다. 이 평가표의 결과를 통하여 최종적인 수명조정 또는 장비도태의 판단을 수행한다. 아울
러, 향후 해군의 합리적인 수명평가 및 조정 판단을 위하여 기존의 수명평가회의에 대한 구
성, 역할, 그리고 업무수행에 대한 절차 차원에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역량있는 기관들인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연구소, 국방연구원 등을 포함하는
많은 기관들의 협력적 유기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101 -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량적, 정성적 모형을 직접 적용하는 사례를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고속단정과 디젤엔진이 선정되었으며 운용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데이터의 완전
성 차원에서 부족할 수 있으나 일부 가정을 통한 데이터를 적용하였고 본 연구에서의 모형을
통한 수명 결정과정을 이해함에는 무리가 없다는 판단이다. 특별히, 창정비 주기가 없는 장비
및 창정비 주기를 갖는 장비 양자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1회성의 수명결정 뿐 아니라 창정비
주기별 수명을 검토해가는 방법을 사례부분에 추가로 제시하였다.

제2절 향후를 위한 제언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해군의 장비수명 관리 업무에 보다 체계적이며 신뢰성있는 절차가


정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완벽한 절차의 확립을 위하여 추진되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한다.

첫째, 신뢰성있는 수명의 추정을 위해서는 많은 데이터들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


하여 제시된 모형의 적용에는 정확한 데이터들이 요구되지만 실무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
가 다소 미비한 상태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모형이 기존의 모형보다 체계적이며 신뢰성이 높다는 판단이나 실제업
무상 장비의 수가 많은 관계로 의사결정상의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이들에 대한 체계
적인 검토로 모형을 보다 완전하게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장비들의 큰 틀에서의 분류 및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모형
- 창정비 주기가 단순 기간이 아닌 주행거리/사용시간 등으로 정의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모형 확장 등
셋째, 수많은 비용 및 신뢰성 관련 데이터의 보존 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예측이나 추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음을 포함하는 수명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다양한 데이터들의 처리 및 가공 모듈
- 처리 및 가공된 데이터들의 관리 및 저장
- 다양한 신뢰성 관련 데이터들의 체계적 분류 및 획득
- 주요 핵심 파라메터들의 추정
- 수명모형의 적용을 통한 적정수명 추정
- 수명평가 대상 장비의 선정 및 평가결과의 적용 자동화

- 102 -
부 록

ADD :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OA : Analysis of Alternatives
ASR : Alternative System Review
CBA : Capabilities-Based Assessment
CDD : Capability Development Document
CDR : Critical Design Review
CONOPS : Concept of Operations
CSB : Configuration Steering Board
DAPA :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ON : Department of the Navy
DTaQ :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ETR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CA : Functional Configuration Audit
FRP DR : Full-Rate Production Decision Review
FOC : Full Operational Capability
IBR : Integrated Baseline Review
ICD : Initial Capabilities Document
ILA : Independent Logistics Assessment
IOC : Initial Operational Capability
ISR : In-Service Review
KATS :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IDA :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KIMM : Korea Instutute of Machinery & Materials
KIOST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103 -
KRISO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KRISS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LRIP : Low-Rate Initial Production
MFOM : Maintenance Figure Of Merit
NCSRD : National Center for Standard Reference Data
OTRR : Operational Test Readiness Review
PCA : Physical Configuration Audit
PDM : Program Decision Meeting
PDR : Preliminary Design Review
PRR : Production Readiness Review
RFP : Request for Proposal
SDS : System Design Specification
SFR : System Functional Review
SRR : System Requirements Review
SVR : System Verification Review
TD : Technology Development
TOC : Total Ownership Cost
TRR : Test Readiness Review

- 104 -
참고문헌

가. 국 문

1. 강종구(2005), 성능개량 무기체계 획득방법 선정에 관한 연구 : 전자전체계를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인호(2001), 획득사업의 의사결정 평가요소 및 기준정립 방안, KIDA, 2,
p.49.
3. 강호신(2005), 고유가용도 및 수리비용을 고려한 최적 교체시점 설정,
한국방위산업학회지, 제12권 2호.
4. 김시연(2016), 항공기 지원장비 경제수명 결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5. 김시연, 최봉완, 오현승(2014), 항공기 지원장비 경제수명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시스템공학학회지,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vol. 37, no. 4, pp.
193-201.
6. 김증기(2010), K1 전차 수명주기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26권, 제 2호, pp.
239-274.
7. 국방부, 국방부 훈령 제2148호, 군수품관리훈령, 2018. 4. 9
8. 국방부, 장비 수명관리 지침, 2016.11.16.
9. 김성배, 이주형(1993), 전술기 성능개량사업의 경제적 판단 방법론 연구,
국방논집 제24호.
10. 미래안보산업전략연구원, 무기체계별 적정수명 및 도태 후 활용방안 연구,
2018.6.27.
11. 박성준(2014), 연구개발의 불확실성 하에서 실물옵션을 이용한 연구장비의 경
제수명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2. 이상진, 이해원(2018), 장비 경제수명 결정 모델 연구, 한국방위산업학회지,
제25권 제1호, pp. 32-46.

- 105 -
13. 이은아, 권남연(2017), 군 표준차량의 사례 분석을 통한 군용장비의 경제적 수
리한계 분석 방안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33권 제3호․2017년 가을(통권 제117
호), p.198.
14. 장운재(2008), 국제물류의 주요모드인 컨테이너선의 경제적 교체시기 결정, 한
국항해항만학회지, 제 32권, 제 3호, pp. 167-172.
15. 전태보(2013), 한국군 무기체계 성능개량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KIDA,
국방정책연구, 제29권, 제3호, pp. 89-117.
16. 추맹철(2013), 군용 항공기 경제수명 결정 방법론 연구, 군사과학연구, 제6권,
제1호, 2013, p. 53.
17. 최은성(2000), 자주포 경제수명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제3권, 제1호, p. 27.
18. 하형호(2003), 군 기동장비 가용도 분석을 통한 장비 교체시기 결정에 관한 연
구,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19. 하형호, 강성진(2003), 군용 기동장비의 가용도 분석을 통한 교체시기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제29권, 제2호, p.82.
20. 한광희, 김형수, 이주영, 류승기(2009), ITS 현장장비의 적정 내구연한 산정방
법 한국ITS학회 학술대회, Vol. 2009 No. 1.
21. 한국국방발전연구원, 무기체계의 수명주기지속계획서 적용방안 연구보고서,
pp.36~38, 2012.5.
22.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244호, 해군 장비관리 규정, 제15조2, 2017. 4.17.
23.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306호, 해군 군수품 처리 규정, 제2조17, 2017.12.12.
24. 해군본부, 해군규정 제2358호, 해군전력발전업무훈령, 2018.10.23

나. 영 문

1. Barlow, R. E. & Hunter L. C.(1960), Optimum Preventive Maintenance


Policies, Operations Research, Vol. 8, No. 1.
2. Bradley Martin․Roland J. Yardley․Phillip Pardue․Brynn Tannehill․Emma
Westerman․Jessica Duke, An Approach to Life-Cycle Management of Shipboard
Equipment,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Calif, 2018.

- 106 -
3 Department of the Navy, Total Ownership Cost(TOC) Guidebook, pp.12~13, JUNE
2014.
4. Erumban, A. A.(2008), Lifetimes of machinery and Equipment: Evidence from
Dutch Manufactur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Income and
Wealth Wealth Series 54, Number 2, Published by Blackwell Publishing,
5. Greenfield, V. A. and Persselin, D. M.(2002), An Economic Framework for
Evaluating Military Aircraft Replacement, RAND Project AIR FORCE.
6. Hiller, C. C.(2000), Determining Equipment Service Life, ASHRAE Journal,
August, pp. 48-53.
7. Hirschman, D. (2007), Ship Material Condition Metrics Model: Maintenance
Figure Of Merit(MFOM) 2.0, Fleet Forces Command, 4 April 2007.
8. Keating, E. G. and Dixon, M.(2003), Investigating Optimal Replacement of
Aging Air Force Systems, RAND Project AIR FORCE, pp. 3-7.
9. Nakagawa, T.(1981), Generalized Models for Determining Optimal Number of
Minimal Repairs before Replacement,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
24, No. 4.
10. Park, K. S.(1979), Optimal Number of Minimal Repairs before Replacement,
IEEE Transaction on Reliability, Vol. 28, No. 2.
11.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 Hill co, p.19-20.
12. Spacey, J. (2017), Design Life vs Service Life, posted by John Spacey,
May 28.

- 10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