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0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터널설계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교량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현황조사

항만(해양)설계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상하수도설계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하천(댐)설계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교량설계 도면 작성 교량설계 도면 작성

단지설계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토목건설사업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관리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

1-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 3

1-2. 교량시공의 특수사항 명시 23

• 교수・학습 방법 30

• 평가 31

학습 2.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2-1.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 34

2-2.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검증 작성 57

• 교수・학습 방법 65

• 평가 66

학습 3. 교량설계 가설공법 작성하기


3-1. 가설공법 중점 관리항목 작성 68

3-2. 가설공법의 안전관리·공사관리 방안 작성 74

• 교수・학습 방법 88

• 평가 89

학습 4.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작성하기


4-1. 지역조건을 고려한 대책 작성 91

4-2. 지장물 안전조치 작성 97

• 교수・학습 방법 103

• 평가 104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교량시공 시 자재 및 시공에 대한 관리계획과 특수한 공법 및 현장조건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


의 성능확보, 품질관리 및 안전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공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선수학습

구조역학, 교량공학,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1402010404_14v2),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1402010406_14v2), 교량설계 도면 작성(1402010407_14v2)

학습모듈의 내용 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


1. 교량시공의 일반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1402010408_14v2.1
사항 명시하기 명시하기
1-2. 교량시공의 특수사항 명시

2-1.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2. 교량 주요자재의 작성 교량 주요자재의
1402010408_14v2.2
품질기준 작성하기 2-2.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검증 품질기준 작성하기
작성

3-1. 가설공법 중점관리항목 작성


3. 교량설계 가설공 교량설계 가설공법
1402010408_14v2.3
법 작성하기 3-2. 가설공법의 안전관리·공사 작성하기
관리방안 작성

4-1. 지역조건을 고려한 대책 작성


4. 특수공종 특별시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1402010408_14v2.4
방서 작성하기 작성하기
4-2. 지장물 안전조치 작성

핵심 용어

가설공법, 교량 주요자재, 품질관리, 안전관리, 공사관리, 장비 반입, 표준시방서

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
학습 1
(LM1402010408_14v2.1)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학습 2
(LM1402010408_14v2.2)
학습 3 교량설계 가설공법 선정하기(LM1402010408_14v2.3)
학습 4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4)

1-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


• 교량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여 작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교량설계 공종별 공사범위와 자재 등과 같은 공사비와 관련된 사항들을 작성할 수 있다.
• 교량시공 시 요구되는 구조물의 품질 및 안전관리 지침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시방서의 적용범위
국내의 일반적인 조건에서 도로법에 규정하는 도로상에 건설하는 교량에 적용함을 원칙으
로 한다.

1. 용어의 정의

(1) 감독자:“건설기술진흥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하여 발주기관장이 임명한 감독자를


말한다. 다만, “건설기술관리법 제41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사업관리를 하는 공
사에 있어서는 당해 공사관리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용역업자를 말한다.

(2) 감리원:“건설기술진흥법 제41조”의 규정에 의한 건설사업관리의 건설기술용역기


술자로 등록한 자로서 일정한 자격을 갖추고 건설관리전문회사에 종사하면서 책임
건설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3) 납품자: 공사에 사용할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로서 납품업자와 공급업자를 말한다.

(4) 발주자: 해당공사의 시행주체로서 계약대상자에 대한 계약당사자이며, 시공주라고도


한다.

(5) 설계도: 과업계획에 의해 요구되는 구조물의 형상과 규격 등을 표현하기 위하여 설


계자에 의하여 작성된 도면을 말한다.

(6) 시공상세도: 계약상대자가 현장에서 공사를 충실하게 진행시키기 위하여 작성하는

3
도면, 계산서, 서류 및 카탈로그 등의 일체의 문건을 말하며 시공순서, 가시설 등
시공과 관련된 설치도와 공장제작을 위한 제작도로 분류할 수 있다.

(7) 계약상대자: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아 공사를 실시하는 시공자이며 수급인이


라고도 한다.

(8) 제작자: 공사에 사용할 제품을 제조 또는 제작하여 공급하는 제조업체 또는 제작업


체를 말한다.

2. 설계도서의 검토 및 상세도 작성

(1) 계약 상대자는 설계도에 제시된 구조물을 완벽하게 축조하기 위하여 시공장소의 개


별적인 현장조건과 동원 가능한 인력, 자재, 장비 및 기계기구 등을 종합적으로 검
토하고 각종 계산서와 설계도의 오류를 점검한 후 현장상황에 가장 적합한 시공상
세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감독자의 승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시공의 안전, 재료나 구조물의 강도 및 세부치
수 등에 대한 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3) 신기술, 신공법을 활용할 경우에는 주관부서에게 신기술 활용실적을 제출하여야 한다.

3. 공정표 및 시공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정표 및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시공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시공계획서에는 다음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1) 강교

(가) 재료 및 부품 조달계획

(나) 제작계획(현도, 가공도, 용접)

(다) 가조립계획

(라) 공장도장

(마) 수송계획

(바) 가설계획

(사) 바닥판 공사 계획

(아) 현장도장

(자) 검사계획

(차) 기타 필요한 사항

(2) 콘크리트교

(가) 재료 및 부품 조달계획

(나) 철근 및 강선의 가공계획 및 조립계획

4
(다) 부재제작계획

(라) 수송계획

(마) 가설계획

(바) 상부슬래브 공사계획

(사) 인력 및 장비동원계획

(아) 기타 필요한 사항

(3) 하부구조

(가) 시공관리상 필요한 토질 및 주변조사

(나) 재료 및 부품 조달계획

(다) 시공공법 및 가설설비

(라) 동원기계기구 및 가설설비 배치계획

(마) 시공기록 및 작성계획

(바) 기타 필요한 사항

(4) 부대시설

(가) 교량받침 설치계획

(나) 신축이음 및 교면방수 공법 및 설치

(다) 방호책 및 난간 시공계획

수행 내용 /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5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필요한 각 공종의 내용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1. 교량설계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1) 교량설계에 고려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가) 구조물 계획과 결정된 설계기준을 토대로 주요 구조물의 형식을 결정한다. 과


업수행방법은 기존 설계자료 및 관련 기술자료를 참조하고 필요시 주요 부재의
구조계산을 통하여 계획된 교량형식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나)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내구성, 친환경성,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사용재료를


선정하고 경간구성을 결정한다.

(다) 도로, 철도, 항로 등의 통과와 계획홍수위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다리밑공간을


결정하고 구조물 설계에 반영한다.

6
(2) 교량 설계 시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표 1-1> 교량공 설계검토 점검표(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구분 검토내용 비고

1. 도로선형은 교량계획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는가?


2. 교량의 좌표는 도로선형과 일치하는가?
3. 토공과 교량과의 경제성은 비교, 분석하였는가?
4. 경제적인 교량형식 선정을 검토하였는가?
5. 미관을 고려한 교량설계를 고려하였는가?
6. 교대설치위치는 지형, 지질조건 등을 고려하였으며 시공성은 적절한가?
7. 관계기관과 사전에 협의하였는가?
8. 하천개수계획,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및 교량 설치위치의 적정성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9. 수심, 유속, 유수방향에 대하여 충분히 조사하였는가?
10. 기초지반조건, 기초공사비, 상부공사비를 연계하여 검토하였는가?
11. 교각이 유수흐름에 적절히 정렬되어 치수상 문제가 없도록 계획되었
는가?
12. 세굴방지를 위한 공법검토 및 설계반영은 적절하였는가?
13. 교차하는 도로나 철도의 장래 확장계획을 고려하였는가?
14. 다리밑공간은 충분히 확보하였는가?
15. 기초의 위치 결정 시 지하 매설물 현황을 조사하였는가?
16. 시공 중 교통처리는 가능한가?
17. 장래 도로확장계획은 고려하였는가?
18. 도로의 시거확보 및 미관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19. 교량의 설계등급은 적절한가?
20. 횡단육교 접속도로의 확장계획을 고려하였는가?
21. 기초형식 선정과정은 적절한가?
22. 하천의 경우, 시공방법, 시공가능기간, 수질오염방지 대책 등에 대하
여 검토하였는가?
23. 파일의 규격, 재질, 간격 및 개수는 적절한가?
24. 시공 시 소음, 진동 등의 환경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25. 하부구조설계
① 인접구조물에 대한 악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7
구분 검토내용 비고
② 기초의 세굴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③ 가시설은 충분히 반영되었는가?
④ 기초의 깊이는 보링 조사결과에 맞도록 계획하였는가?
⑤ 연약지반 구간에서 교대 수평변위에 대한 대책은 검토되었는가?
⑥ 기초침하에 대한 안전은 검토하였는가?
⑦ 하부구조 형식은 교량의 전체적인 미관과 조화되는가?
⑧ 가설공법 선정과정은 적절한가?
⑨ 가시설은 충분히 반영되었는가?
⑩ 교각 보호시설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⑪ 교각형식과 시거에 대하여 검토하였는가?
26. 상부구조설계
① 하부공사비와 연계하여 경제성을 검토하였는가?
② 시공성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하였는가?
③ 국내설계기술 수준과 시공 기술 수준은 충분한가?
④ 설계기간은 충분한가?
⑤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구조형식인가?
27. 상세설계단계
① 설계방법선택은 적절한가?
② 사용재료 및 물리상수는 기준과 일치하는가?
③ 전산입력자료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하였는가?
④ 전산출력 결과는 적절한가?
⑤ 하중 조건은 충분히 고려하였는가?
⑥ 교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는 계산값과 비교하여 적절한가?
⑦ 우각부 보강철근의 배치는 적절한가?
⑧ ILM으로 시공되는 PSC박스거더 교량에서 수평력에 대한 검토되었는가?
⑨ 고정단의 위치설정은 적절한가?
⑩ 해사사용 시 사용가능 여부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하였는가?
⑪ 교량 배수구 간격 및 규격은 차로수와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계획
하였는가?
28. 설계상세도의 작성
① 교량 받침의 이동량 및 내하력을 검토 후 도면에 표기하였는가?
② 설계방법을 구조물 도면 우측 상단에 표기하였는가?
③ 연속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공순서 및 시공법 등을 도면상에 명기하
였는가?
④ 시공이음, 신·수축이음부의 위치, 간격, 설치방법 및 사용재료(채움
재) 등에 대한 상세설계도면과 시공법을 작성, 표기하였는가?
⑤ 철근 겹이음길이는 철근 콘크리트 시방규정에 따라 충분한 이음 길이
를 두었으며 동일단면에 집중되지 않도록 겹이음 길이, 겹이음 위치
등의 도면을 작성하였는가?
⑥ 철근의 이음부는 구조상 약점이 되는 곳이므로 최대 응력이 작용하는
곳에 이음이 되지 않도록 하였는가?
⑦ 철근 배근도에는 정·부 철근 등의 유효 간격유지 및 철근 피복두께
유지용 스페이서 및 체어바의 위치, 설치방법, 재료 및 가공을 위한
상세도면을 작성하였는가?

8
2. 교량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한다.

(1) 시공일반 내용을 확인한다.

(가) 공사착수 전에 설계도서와의 일치 여부 및 확인방법 등의 계획을 미리 세워야 한다.

(나) 작업 전에 기계, 기구 등의 철저한 점검을 행하여야 한다.

(다) 작업장 내 지장물 제거 및 작업지반의 보강 등으로 작업환경의 정리를 하여야 한다.

(라) 작업원 또는 외부인의 작업장 내로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락방지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마) 화약류를 부득이 사용할 경우에는 기초본체 인접구조물 주변지반 등 주위에 악


영향을 미치지 않게 소규모로 한정 발파하여야 한다.

(2) 교량시공 시 하천부에 놓일 경우에는 세굴방지 대책을 확인한다.

(가) 구조물이 하천부에 놓일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설계유


량을 고려한 세굴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나) 유량, 유속 등은 검토 시 가정 값과 실제 발생 값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공사기


간뿐만 아니라 공용기간 중에도 견딜 수 있는 영구적인 세굴방지대책이 필요하
고 공사기간 중에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이상 발견 시 적절한 조치 후
설계변경을 하여야 한다.

(3) 교량시공을 기존구조물에 근접시공 할 경우에는 대책기준을 확인한다.

(가) 기존 구조물에 근접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기존 기초에 영향을 주지 않


도록 검토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얻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기존 구조물의 근접 시공 전에 기존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고


시공 중 변위가 생기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변위 발견 시 대책을 강
구하고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근접시공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면에 별도의 조치가 없더라도


지반 강도 개량이나 기존 구조물을 보강하는 등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원의 승
인을 받고 시행하여야 한다.

(4) 교량시공 중에 기초공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가) 직접기초 시공 준비와 안전한 시공검토를 확인한다.


지하 매설물의 유무 및 지상의 장애가 되는 시설물을 사전에 조사하여 처리계획서
를 감독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지반조사를 하고, 지반이 설계된 시공
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기초시공을 실시하기 전에 모든 지중 시설물의 위치와 깊이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9
지중시설물 근처에서는 주의하여 굴착하여야 한다. 설계도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용
중인 지중시설물이 발견되면 즉시 감독원에게 보고하고, 지중시설물의 관리청과 협
의하여 적법한 절차에 의해 이설하여야 한다.

(나) 말뚝기초 시공 준비와 안전한 시공검토를 확인한다.


시공현장의 주변에 말뚝항타로 인한 지반진동이나 소음 등으로 민원발생 가능성을
조사하여야 한다. 민원 발생가능성이 있는 주변 여건일 경우 진동 및 소음저감대책
을 수립하거나 저진동 및 저소음 말뚝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시공현장의 주변 여건상 항타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말뚝이 소정의 지내
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지층까지 항타관입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시공현장의 지반조건상 중간조밀층 하부에 하중지지에 적합한 지층이 존재하지만
항타공법으로 중간조밀층을 관통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선굴착 또는 내부굴착
공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시공현장의 지반조건상 기성말뚝을 조밀하게 시공할 경우 말뚝의 휨이나 솟아오름
이 예상되면 매입말뚝공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가장 바깥쪽에 있는 말뚝의 중심과 확대기초의 가장자리에서의 거리는 타입말뚝,
내부속파기 강관말뚝, 그리고 프리보링말뚝의 경우 말뚝지름의 1.25배 이상, 현장타
설말뚝과 강관쏘일시멘트말뚝의 경우 1.0배 이상으로 하는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림 1-1] 말뚝의 최소 중심간격

(다) 경사지반에 대한 기초에 대해서 안전한 시공검토를 확인한다.


경사지반에 직접기초가 시공되는 경우 실제 지지지반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기초단
면의 변경이 예상될 경우에는 전문기술자의 검토서를 첨부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해야 한다. 이때, 부등침하 및 기초이동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히 조치를 하여
야 한다.

10
(5) 교량시공 중에 철근콘크리트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받침위치 부근, PS 강재 정착구 부근, 지간 중앙단면의 부재하연, 연속지점단면의 부
재상연 등 구조상으로 중요한 곳이나 철근 혹은 덕트의 배치가 복잡하기 때문에 콘크
리트를 타설하기가 곤란한 곳은 밀실한 콘크리트가 되도록 주의 깊게 타설하여야 한다.

(6) 교량시공의 준공준비와 교통개방원칙을 확인한다.

(가) 교량시공의 준공준비의 일반내용을 확인한다.


계약상대자는 공사 종료 후 준공검사를 신청하기 전에 구조물의 노출 철선, 이물질
등을 완전 제거하고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여야 하며, 손상된 공공 및 사유물을 원
상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교량대장과 구조물 준공도를 작성하여 준비하여야 하며 준공공준비 완료 확인 즉
시 감독원은 준공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나) 교량시공 후 교통개방의 일반내용을 확인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후에 교통개방을 원칙을 한다. 특별한
경우 28일 이전에도 교통을 개방할 수 있으나 이때는 통과차량 중량을 고려한 전
문기술자의 구조검토 확인을 거쳐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교량설계 공종별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를 확인한다.

1. 기초공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1) 직접기초

(가) 양질의 지지층이 지표면 가까운 곳에 존재하여 얕은기초 형식으로 지지층에 직


접 지지되는 교량 기초공사에 적용한다.

(나) 지층 아래 압축성이 큰 토층이 존재하지 않아서 침하량이 허용치를 초과할 가


능성이 없을 때 적용한다.

(다) 지지층 아래 압축성이 큰 토층이 있다면 깊은기초를 선택하거나 지반개량을 전


제로 한 얕은기초를 고려하여야 한다.

(라) 기초형식적용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초지반이 전단파괴에 대해 안전


하고 전체 및 부등침하가 허용범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마) 재료는 일반콘크리트와 철근공 해당요건에 따른다.

(2) 기성말뚝
구조물 및 교량기초로 사용하는 기성말뚝에 적용한다.

(가) 구조물 및 교량기초로 사용하는 기성말뚝에 적용하고 말뚝기초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시험말뚝을 포함한 모든 말뚝의 박기, 말뚝의 이음 및 품질관리사항, 운

11
반 및 저장관리, 그리고 이들 사항들을 행하는 데 필요한 부속자재와 장비의
공급을 포함한다.

(나) 강재말뚝의 재료는 KS F 4602 및 KS F 4603에 따르고, 콘크리트말뚝 중에 PSC


말뚝은 KS F 4303, PHC 말뚝은 KS F 4306에 따른다.

(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기초

(가) 지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 속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넣어 지중에서 양생 제작


하는 말뚝으로 시공법에 따라 올케이싱공법(All Casing Method)과 RCD공법(Reverse
Circulation Drill Method), 어스드릴공법(Earth Drill Method)을 기본으로 한다.

(나) 소음 및 진동문제로 인해 항타말뚝으로 시공하기 어렵거나 상부구조물의 대형화


에 따라 대구경 또는 대심도 말뚝이 필요할 때 적용한다.

(다) 재료 중에 콘크리트는 일반콘크리트를 적용하고 영구케이싱의 강관은 KS F 4602


를 적용하고 명기된 지름과 두께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라) 굴착장비는 토사 및 암반의 지반조건과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4) 케이슨기초

(가) 케이슨기초는 공기케이슨(pneumatic caisson)과 오픈케이슨(open caisson)으로 대


별되는데 도로교의 기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2종의 케이슨에 대하
여 규정한다.

(나) 공기케이슨 기초공법은 지상작업과 함께 압축공기 상태에 있는 작업실 내에서


건조(dry)상태로 굴착을 하며, 오픈케이슨공법은 지상에서 수중굴착을 주 작업으
로 하는 것으로 이 두 공법 모두 공종은 본체의 구축, 굴착 침설의 반복작업으로
동일하다.

(다) 재료는 일반콘크리트와 철근공 해당요건에 따른다.

2. 토공 및 구조물공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1) 축도 및 가도
공사목적물 축조를 위해 수중이나 육상부에 흙을 쌓는 작업의 시공에 적용한다.

(2) 가설흙막이
교량기초나 지하구조물에 대한 터파기를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흙막이
공법중 H형강과 목재토류판을 사용한 흙막이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버팀보공법 그라운드앵커공법 록볼트공법

[그림 1-2] 가설 흙막이 공법

(3) 동바리와 거푸집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위한 거푸집 및 동바리와 비계의 설계, 재료공급, 제작, 설치 및
해체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4) 슬립 폼
슬립폼으로 시공하는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3. 콘크리트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1) 일반콘크리트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 비비기, 운반, 타설, 양생, 이음 및
마무리, 레디믹스트콘크리트 그리고 유동화 콘크리트의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한 것이다.

(가) 레디믹스트콘크리트의 종류는 보통 콘크리트, 경량골재콘크리트, 고강도콘크리트


로 하며 구입자는 굵은 공재의 최대치수, 슬럼프 또는 슬럼프 플로 및 호칭강도
를 조합한 표에 표시한 ○표를 한 범위 내에서 종류를 지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 1-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

굵은골재 강도 MPa(=N/㎟)
콘크리트 슬럼프 또는 슬럼프
최대치수(
의 종류 플로(mm) 18 21 24 27 30 35 40 45 50 60
mm)
80,120,150,180 ○ ○ ○ ○ ○ ○ - - - -
보통 20,25 210 - ○ ○ ○ ○ ○ - - - -
콘크리트 500,600 - ○ ○ ○ ○ ○ - - - -
40 50,80,120,150 ○ ○ ○ ○ ○ - - - - -
경량골재
15,20 80,120,150,180,210 ○ ○ ○ ○ ○ ○ ○ - - -
콘크리트
고강도 80 - - - - - ○ - - - -
20,25 120,150,180,210 - - - - - ○ ○ ○ - -
콘크리트 500,600,700 - - - - - ○ ○ ○ ○ ○

13
(2) 팽창콘크리트
수축보상용 콘크리트 및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하는 팽창콘크
리트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3) 매스콘크리트

(가)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및 온도응력을 비


롯하여 매스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나)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구조형식, 사용재료, 시공


조건에 따라 각각 달라서 일률적으로 정하기 어렵지만 대체적인 표준으로서 넓
이가 넓은 슬래브에서는 두께 0.8m 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에서는 0.5m 이상으
로 한다.

(4) 해양콘크리트
해중이나 해상, 해안에 위치하여 해수, 파랑, 물보라, 조풍 등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
트 교량의 시공에서 특히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하는 것이다.

(5) 수중콘크리트
수중콘크리트,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에 사용하는 수중콘크
리트의 시공에서 특히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하는 것이다.

4. 철근공사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철근의 공급, 가
공, 이음 및 조립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철근은 깨끗하여야 하며 들뜬 녹 등의 유해한 부식, 더러움, 흠, 변형 등이 없는 것


이어야 한다.

(2)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시험하여 설계강
도 및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3) 에폭시 피복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하여야 하고, 에폭시 피복 분체도료의 품질검


사는 KS M 6070에 따른다.

5.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PS강재를 사용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
한 것이다.

6. 강구조물공 공사범위 및 사용재료 확인하기


도로교 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한 강도로교 및 강과 콘크리트의 합성 도로교의 제작 및 가
설에 적용한다.

(1) 강재

14
(가) 강교 제작에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와 규격, 운반 및 저장관리업무에 적용한다.

(나) 강재는 구조용 강판, 강관, 형강, 선재, 봉강, 볼트 및 연결재, 정착재, 주조품
등과 이들의 부속재료를 포함한다.

<표 1-3> 강재 사용 규격

규 격 종 류 기 호 두께 t(mm)
KS D 3503 SS400 - 8 ≤ t ≤ 100
A 8 ≤ t ≤ 32
SM400 B 8 < t ≤ 40
C 8 < t ≤ 100
A 8 < t ≤ 25
SM490 B 8 ≤ t ≤ 40
KS D 3515 C, C-TMC 8 < t ≤ 100
A 8 ≤ t ≤ 16
SM490Y
B 8 ≤ t ≤ 40
B 8 ≤ t ≤ 40
SM520
C, C-TMC 8 ≤ t ≤ 100
SM570 TMC 8 ≤ t ≤ 100
A 8 ≤ t ≤ 25
SMA400 B 8 < t ≤ 40
C 8 < t ≤ 100
KS D 3529 A 8 ≤ t ≤ 16
SMA490 B 8 < t ≤ 40
C 8 < t ≤ 100
SM570 8 ≤ t ≤ 100
L
HSB500 8 ≤ t ≤ 100
W
L
KS D 3868 HSB600 8 ≤ t ≤ 100
W
L
HSB800 8 ≤ t ≤ 80
W

※ 교량용 주부재는 8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만, I


형강 및 ㄷ형강의 웨브는 7.5mm 이상의 두께사용을 권장하며 플레이트거더 및
박스형 거더의 리브 보강재는 부식환경이 좋거나 또는 부식을 고려할 경우
6mm 이상을 사용해도 좋다.

(2) 제작

(가) 강교 제작에 필요한 가공, 용접, 가조립 공사 및 운송에 적용한다.

(나) 가공은 현도, 마킹, 절단 및 개선가공, 구멍뚫기, 굽힘가공, 지압면, 마찰면, 및


도장면 그리고 결합 등의 표면가공, 재편조립 및 단품제작검사를 포함한다.

(다) 가조립 및 운송은 공장 제작을 위한 조립 가붙임용접 및 공장 내 가조립 방법


과 검사기준 그리고 공장 제작품의 운송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15
(3) 용접
필요한 이음성능을 만족하도록 하며 강재의 종류와 특성, 용접방법, 홈형상 및 용접
재료의 종류와 특성, 조립되는 재편의 가공, 용접재료의 건조상태, 용접조건과 용접순
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4) 볼트접합

(가) 강교제작 및 조립시공에 필요한 볼트 및 연결재 시공에 적용한다.

(나) 볼트접합 시공에는 고장력 볼트, 토크-전단형 고장력볼트(T/S볼트), 용융아연도


금 고장력 볼트, 핀 및 롤러 등을 포함한다.

7. 교량가설공 공사범위 확인하기

(1) 교량상부에 설치하는 바닥판 공사

(2) R.C 및 P.C 중공슬래브 교량공사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공사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PSC 박스거더를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공법으


로 시공하는 교량공사

(5) 이동식 작업차(Form Traveller)를 이용한 현장치기 캔틸레버공법으로(Free Cantilever


Method)으로 PSC 박스거더를 설치하는 교량공사

(6) 동바리 공법(Full Staging Method)을 이용한 PSC 박스거더 교량공사

(7) 이동식 지보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을 이용한 현장치기로 PSC 박스거더 교


량공사

(8) PSM(Precast Segmental Method)중 숏(Short)방식(Old Segment + New Segment)으로


세그먼트를 제작하여 한 경간씩 설치하는 교량공사

(9) 사장교의 콘크리트주탑, 강상판형 보강거더, 케이블, 정착구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튜브의 제작·시험 및 가설공사

(10) 현수교의 콘크리트 주탑, 보강거더트러스, 주케이블, 행거로프 및 가설로프의 제


작·시험 및 가설공사

8. 교량부대시설공 공사범위 확인하기

(1) 신축이음

(가) 교량 신축이음부의 품질관리 및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

(나) 신축이음은 개방형 신축이음, 밀폐형 또는 방수형 신축이음, 봉함재형 신축이음


등을 포함한다.
※ 신축이음 장치: 온도변화, 하중 크리프, 건조수축 등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량을
수용하고 이음부의 평탄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교량의 연결부에 설치하는 장치

16
※ 봉함재(Sealant): 노면으로부터 우수 또는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로 유입되지 않
도록 신축이음장치 사이에 삽입하는 고무 또는 기타 탄성재

(2) 받침

(가) 교량 받침의 품질관리 및 시공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에 적용한다.

(나) 적용되는 받침 형식으로는 탄성받침, 로커받침, 롤러받침, 포트받침, 스페이컬


받침, 디스크 받침, 지진격리받침 등이 있다.
※ 포트받침: 강재 용기 내에 고무판과 불소수지 미끄럼판으로 이루어진 교량받침
※ 지진격리받침: 지진하중 작용 시 미끄럼판이나 감쇠장치에 의해 구조물의 고유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지진하중을 감쇠시켜 지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복원력
확보가 가능한 교량 받침

 교량설계 공종별 품질·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한다.

1. 기초공 품질, 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하기

(1) 직접기초

(가) 공사착수 전에 관련되는 모든 기존시설에 대한 설치깊이와 규모를 확인하여 토


공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나) 직접기초는 그 지지기구로 보아 측면마찰에 의하여 연직하중을 지지하는 것은


거의 기대할 수 없으므로 양질의 지지층에 설치해야 한다.

(다) 사질토 및 자갈모래층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점성토에서는 압밀의 우려가 없는


양질의 층을 각각 필요로 한다.

(라) 지하수로 포화된 느슨한 사질토에서는 충격하중으로 인해 액상화를 일으켜서


급격하게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액상화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다짐 등
을 실시하여 액상화를 방지하거나 그 층 아래에서 지지층을 구해야만 한다.

(2) 기성말뚝기초

(가) 항타말뚝은 말뚝종류에 따른 제한 총 타격횟수 및 박기 종료 시의 1타격당 박


힘량은 말뚝과 해머의 손상이 없는 범위에서 설정하여야 한다.

(나) 내부굴착말뚝은 말뚝중공 내부를 굴착하면서 말뚝을 침설함에 있어서는 토질의


변화나 말뚝의 침설상황을 충분히 관찰하여 말뚝선단부 및 말뚝둘레의 지반이
교란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소정의 깊이까지 침설하여야 한다.

(다) 선굴착말뚝에서 말뚝삽입용 굴착공의 직경은 말뚝직경보다 100mm 이상 크게


하고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굴착 시 공벽의 붕괴 우려가 있거나 붕괴되는
토질에서는 케이싱을 사용한다.

17
(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기초

(가) 작업장은 기계의 조립, 시공, 기자재 하치장 등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
며, 기계의 이동, 콘크리트 운반차 등의 진입에 지장이 없도록 장애 진입로 및
지반을 정비하여야 한다.

(나) 굴착은 항상 연직을 유지하고 지질에 적합한 속도로 굴착해야 한다. 또한 인접한
구조물이나 이미 시공 완료한 말뚝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 굴착 시에 공벽의 붕괴방지를 위해서는 굴착기계의 종류, 지반조건 및 시공내


용에 따라 공 전체에 케이싱을 박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케이싱을 뽑아내는
올케이싱공법이나, 공속에 니수를 넣어 수압에 의해 공벽을 보호하고 지표면
근처에는 케이싱을 박는 슬러리공법 등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4) 케이슨기초

(가) 케이슨 기초는 저면 치수가 크기 때문에 말뚝 기초에 비해 케이슨기초주면의


저항보다는 저면지지에 의한 저항이 훨씬 크다. 따라서 지지력을 유지하고 경
제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발휘하려면 양질의 지지층에 도달시키는 것이 말뚝기
초 때보다 더욱 필요하다.

(나) 케이슨의 근입깊이를 결정할 때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야 하지만 일반적으


로 지지층에 충분히 관입시켜야 한다.

우물통 기초 돌출식 현장타설말뚝 직접 기초

[그림 1-3] 지지층(기반암)에 관입한 기초형식

(5) 말뚝재하시험

(가) 현장조건이 재하시험을 위한 발판 및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나) 시험장비를 위한 안정된 작업표고를 설정해야 한다.

(다) 시험위치에 대하여 정밀한 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라) 반력말뚝을 이용하여 재하시험을 하는 경우 설계도서에 지정된 위치나 본말뚝


에 실시하여도 된다. 단, 본말뚝에서는 설계하중의 2.0배까지 재하하는 것으로
한다.

18
(마) 손상을 입지 않은 상태로 3mm 이상 상향 이동되지 않았다면 재하시험에 합격
한 시험말뚝은 본말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 손상된 시험말뚝과 반력말뚝은 뽑아내어 제거하거나 기초하단에서 1.0m 아랫부


분까지 절단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제거된 구멍에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로 채
워야 한다.

(사) 말뚝재하시험장치, 하중재하 및 변위량 측정, 표준측정절차 등은 감독원이 확인


한 것이어야 한다.

(아) 본말뚝이 되는 반력 말뚝은 소요지지력의 70%보다 큰 인발하중을 받지 않게


하여야 한다.

(6) 평판재하시험
구조물 기초지반의 지내력을 측정하는 평판재하시험에 적용한다.

(가) 평판재하시험방법은 근입깊이와 정해진 하중 재하판에 대하여 현장하중 조건하


에서 흙의 지내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나) 흙의 지내력은 단순한 흙의 강도매개변수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하중의


크기와 분포, 제원, 그리고 재하판의 기하학적 형상과 근입깊이(또는 시험높이)
에 의존하며 이 지내력은 지반조사와 기초설계에 사용할 수 있다.

(다) 기초설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종류에 따른 기초의 크기효과를 반드시 적


용해야 한다.

2. 가시설공 품질, 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하기

(1) 축도 및 가도

(가) 계약상대자는 축도 및 가도 설치계획을 작성하여 관련기관 및 하천(항만)관리


자 등의 승인을 받은 후 감독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나) 유수에 접하는 가도 및 축도의 외측면 피복공은 유속 또는 파랑에 대하여 안전


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다) 흙쌓기 또는 원상복구 시 지하수와 해수, 토양 등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2) 가설흙막이

(가)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 및 현장의 각종 상황(매설물, 도로구조물, 지반 등)을 고


려한 흙막이벽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나) 흙막이공사 주변의 건물 및 시설물에 피해가 예상되면 주변건물의 기초와 건물


밑의 지질을 조사하여 안전 여부를 검토하고, 흙막이 공사로 인한 지반의 이완
이 우려되고 지하수위의 저하로 침하가 우려되면 그라우팅 공법 등 적절한 공
법으로 건물의 균열이나 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강조치를 하여야 한다.

19
(3) 동바리와 거푸집

(가) 담당 작업반이 콘크리트 보강철근, 매설품목, 슬리브 및 덕트 등을 정확하게 설치


할 수 있도록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 중간에 충분한 시간을 두어야 한다.

(나) 거푸집은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한다.

(다) 거푸집은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안전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하여야 하며, 거푸집


판 또는 패널의 이음은 부재축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하고, 모르타르가 새어나
오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4) 슬립 폼

(가) 슬립폼에 사용되는 모든 구조용 자재는 콘크리트 압력, 형틀 전체의 자중 및


제반작업 하중에 의한 휨 및 좌굴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두께를 가
져야 한다.

(나) 슬립 폼은 콘크리트 측압에 견디고 모르타르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


며,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면에서 슬라이딩이 잘 되어야 하고 강판은 0.8mm 이
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공사 품질, 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하기

(1) 팽창콘크리트
팽창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워커빌리티를 만족하도록 정하는
동시에 건조수축 보상에 의한 균열감소 혹은 화학적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인
장 또는 휨내력의 증가, 충전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등 그 목적에 따라 필요한 팽창성
능을 갖도록 정하여야 한다.

(2) 해양콘크리트
해안선으로부터 250m 내외의 육상지역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은 염해를 받기 쉬우
므로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해상부에는 해중, 간만대, 물
보라지역, 해상 대기 중으로 구분하여 내구성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공사 품질, 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하기

(1) 콘크리트

(가)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교량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높은 프리스트레스레스


응력을 받을 수 있도록 안정된 품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PS강재, 쉬스, 철


근, 정착장치 등의 주위에 콘크리트가 잘 채워질 수 있도록 정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

(가) PS강선 및 PS 강연선은 KS D 7002에 적합하고 PS강봉은 KS D 3505에 적합한

20
것이어야 한다.

(나) PS강재는 깨끗하여야 하며 유해한 녹, 더러움, 흠 등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다) 쉬스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이음부에서


시멘트풀이 유입되지 말아야 한다.

(라) 정착장치와 접속장치는 PS강재의 규격에 정해진 인장강도 값의 95%에 이르기


전에 유해한 변형이나 파단이 생기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5. 강구조물공 공사 품질, 안전관리 지침을 확인하기

(1) 강재
용접보수는 강재의 종류에 따라 보수방법을 선정하되 강판에 용접할 경우에는 언더컷
이나 겹침이 없어야 하고 덧살 용접은 압연 면에서 적어도 1.5mm 이상으로 하고 이것
을 그라인더로 마무리하여 동일높이로 한다.
<표 1-4> 강재 결함의 보수방법

홈 보 수 방 법
깊이 0.1mm ~ 1mm 그라인더로 갈아서 균일하게 한다.
덧살용접 후 그라인더로 다듬질하고, 비파괴 검사를 실시
깊이 1mm 이상
하여 건전성을 보장한다.

(2) 제작

(가) 강교의 부재 제작 시 제작온도 기준에 대하여 별도로 명기한 것이 없으면 제작


기준온도를 10℃로 하여 구조물의 팽창이음에 대하여 제작에 반영하여야 한다.

(나) 볼트구멍 중심에서의 연단까지의 최소거리는 설계도에 특별히 지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표 1-4>에 따른다.
<표 1-5> 볼트 구멍중심에서 연단까지의 최소거리

구멍중심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볼트의 호칭 자동가스 전단연,
전단연 연단거리
압연연 및 다듬질한 연
M8 18 15
M10 20 17
M12 22 19
M16 27 23
M20 32 28
M22 37 32
M24 42 37
M27 50 45
M30 55 50

21
(3) 용접
응력을 전달하는 용접부의 유효두께는 그 용접의 이론상의 목두께로 한다.

(가) 전단면 용입 홈용접의 목두께는 비드(Bead)에 관계없이 규정에서 정한대로 모


재의 두께로 하며, 두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얇은 부재의 두께로 한다.

(나) 부분 용입 홈용접의 목두께는 용입깊이로 한다.

(다) 필렛용접의 목두께는 이음의 루트(Root)를 꼭지점으로 하는 2등변 삼각형의 높


이로 한다.
<표 1-6> 용접부의 유효두께

구분 용접부의 유효두께( a: 목두께 )

전단면
a a a
용입 홈용접

부분
용입 홈용접

필렛용접 S
S
S
a

a
a

S S S

(4) 볼트접합

(가) 볼트는 나사를 손상하지 않고 정확하게 구멍 속에 끼워 넣어야 하며 볼트 끼우


기 중 나사부분과 볼트머리는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야 한다. 모든 볼트머리
와 너트 밑에는 와셔를 끼우고 볼트머리와 너트에 평행하게 놓는다. 다만, T/S
볼트는 너트 측에만 1개의 와셔를 사용한다.

(나) 볼트가 볼트 축에 직각인 평면과 1/20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표면이나, 원형


면위에 사용될 경우에는 볼트머리와 너트가 완전히 지지되도록 경사진 와셔나
원형 와셔를 사용한다.

22
1-2. 교량시공의 특수사항 명시
• 교량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에 대한 처리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교량도서 상호 간에 모순점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안에 대하여 기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시공에서의 불가피한 상황

1. 교량시공의 불가피한 상황은 천재지변에 의한 지형의 변경 및 발주처의 교량형식 변경


을 의미한다.

(1) 천재지변의 천재는 폭풍·태풍, 지진·낙뢰·홍수 등 자연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


는 재해이며 이로 인한 지형의 변경이 생긴 것을 말한다.

(2) 발주처의 교량형식 변경은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한 설계변경을 포함한다.

 교량도서 상호 간의 모순점 알아보기

1. 교량도서 모순점의 경우를 확인한다.


계약상대자는 다음과 같은 교량도서 상호 간의 모순점이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는 신속히
발주처에게 통지하고 그 처리방법에 대해 협의하고 결정에 따른다. 발주처에게 사전에 문
서로 통지하지 않고 시공 완료한 경우에는 임의시공으로 간주한다.

(1) 설계도면과 시방서의 내용이 상이하거나 관련공사와 부합되지 아니할 때

(2) 설계도서에 누락, 오류 등의 모순점이 있을 경우

(3) 관련 설계도서간의 내용이 다르거나 명기가 없을 때

(4) 설계도서의 내용이 명확하지 아니하거나, 내용에 의문이 생긴 경우, 설계도서와 현


장의 조건이 일치하지 아니한 경우

(5) 예상하지 못한 특별한 사정이 생겨 설계도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

2. 설계도서에 누락된 사항의 대처방법 확인하기


설계도면 및 시방서, 내역서 등의 설계도서에 누락된 사항일지라도 계약목적물을 달성하
기 위하여 구조상, 기능상, 외관상 당연히 시공하여야 하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대해 아무
런 이의를 제기할 수 없으며, 공사계약 절차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23
3. 발주처지시 및 결정에 대한 이의사항 확인하기
계약상대자는 발주처의 지시 혹은 결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에는 기한 이내에 계약담당자
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제한 기한 내에 계약담당자에게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결정 및
지시 등이 확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4. 주요 지시사항 정리하기
공사 중 발생하는 모든 사항의 주요 지시 및 결정사항은 서면으로 하여야 하며 구두에 의
한 사항은 조치 후라도 서면으로 정리되어야 한다.

수행 내용 / 교량시공의 특수사항 명시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공사계약일반조건(기획재정부)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24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이란 천재지변에 의한 지형의 변경, 발주처에 의한 교량형식변경 등을


의미한다.

수행 순서

 교량시공의 불가피한 상황을 확인한다.

1. 교량시공의 설계변경 사유를 확인한다.

(1) 설계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으면 교량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2)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도서와 다르면 교량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3) 새로운 기술·공법사용으로 공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가 현저하


면 교량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4) 기타 발주기관이 설계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경우 등은 교량 설계를 변


경할 수 있다.

(5) (1)~(5)에 의한 설계변경은 그 설계변경이 필요한 부분의 시공 전에 완료하여야 한


다. 다만, 발주자는 공사 진행의 지연으로 교량 구조물의 품질저하가 우려되는 등
긴급하게 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설계변경의 시
기 등을 명확히 정하고, 설계변경을 완료하기 전에 우선시공을 하게 할 수 있다.

2. 설계도서의 불분명·누락·오류 및 설계도서간의 상호모순 등에 의한 설계변경을 확인


한다.

(1) 계약상대자는 공사계약의 이행 중에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설계서에 누


락·오류 및 설계서 간에 상호모순 등의 사실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설계변경이 필
요한 부분의 시공 전에 해당사항을 분명히 한 서류를 작성하여 발주자와 공사감독
관에게 동시에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

(2) 발주자는 (1)에 의한 통지를 받은 즉시 공사가 적절히 이행될 수 있도록 다음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설계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가)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설계서만으로는 시공방법, 시공투입자재 등을

25
확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설계자의 의견 및 발주자가 작성한 단가산출서 또는
수량산출서 등의 검토를 통하여 당초 설계도서에 의한 시공방법·투입자재 등
을 확인한 후에 확인된 사항대로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설계도서를 보완하
되 에 의한 계약금액조정은 하지 아니하며, 확인된 사항과 다르게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설계서를 보완하고 에 의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한다.

(나) 설계도서에 누락·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그 사실을 조사 확인하고 계약목적물


의 기능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서를 보완하여야 한다.

(다)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는 서로 일치하나 물량내역서와 상이한 경우에는 설계도


면 및 공사시방서에 물량내역서를 일치시켜야 한다.

(라)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가 상이한 경우로서 물량내역서가 설계도면과 상이하거


나 공사시방서와 상이한 경우에는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 중 최선의 공사시공
을 위하여 우선되어야 할 내용으로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를 확정한 후 그
확정된 내용에 따라 물량내역서를 일치시켜야 한다.

3. 교량시공 현장상태와 설계도서의 상이로 인한 설계변경을 확인한다.

(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이행 중에 지질, 용수, 지하매설물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


서와 다른 사실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설계서에 명시된 현장상태와 상이
하게 나타난 현장상태를 기재한 서류를 작성하여 발주자와 공사감독관에게 동시에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

(2) 발주자는 (1)에 의한 통지를 받은 즉시 현장을 확인하고 현장상태에 따라 설계서를


변경하여야 한다.

4. 신기술 및 신공법에 의한 설계변경를 확인한다.

(1) 계약상대자는 새로운 기술·공법(발주자의 설계와 동등이상의 기능·효과를 가진


기술·공법 및 기자재 등을 포함한다)을 사용함으로써 공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
의 단축 등에 효과가 현저할 것으로 인정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서류를 첨부하여 공
사감독관을 경유하여 계약담당공무원에게 서면으로 설계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가) 설계변경 제안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서

(나) 설계변경 제안사항에 대한 산출내역서

(다) 원설계의 공사예정공정표 대한 수정공사예정표

(라) 공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의 단축효과

(마) 기타 참고사항

(2) 발주자 및 계약담당공무원은 (1)항에 의하여 설계변경을 요청받은 경우에는 이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계약상대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계약담당공무원은

26
설계변경 요청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기술자문위원회에 청구하여 심의를 받
아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1)항에 의한 요청이 승인되었을 경우에는 지체 없이 새로운 기술·


공법으로 수행할 공사에 대한 시공 상세도면을 공사감독관을 경유하여 계약담당공
무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2)항에 의한 심의를 거친 계약담당공무원의 결정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수 없으며, 또한 새로운 기술·공법의 개발에 소요된 비용 및 새로운 기
술·공법에 의한 설계변경 후에 해당 기술·공법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시공에 소요된 비용을 발주기관에 청구할 수 없다.

5. 발주자의 필요에 의한 설계변경을 확인한다.

(1) 계약담당공무원은 다음의 어느 하나의 사유로 인하여 설계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고 인정할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서면으로 통보할 수 있다.

(가) 해당공사의 일부변경이 수반되는 추가공사의 발생

(나) 특정 공종의 삭제

(다) 공정계획의 변경

(라) 시공방법의 변경

(마) 기타 공사의 적정한 이행을 위한 변경

(2) 계약담당공무원은 (1)항에 의한 설계변경을 통보할 경우에는 다음의 서류를 첨부하


여야 한다. 다만, 발주기관이 설계서를 변경 작성할 수 없을 때에는 설계변경 개요
서만을 첨부하여 설계변경을 통보할 수 있다.

(가) 설계변경개요서

(나) 수정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

(다) 기타 필요한 서류

(3) 계약상대자는 (1)항에 의한 통보를 받은 즉시 공사이행상황 및 자재수급 상황 등을


검토하여 설계변경 통보내용의 이행가능 여부(이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는 그 사유와 근거자료를 첨부)를 계약담당공무원과 공사감독관에게 동시에 이를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 설계변경으로 인한 계약금액을 조정한다.

1. 계약담당공무원은 설계변경으로 시공방법의 변경, 투입자재의 변경 등 공사량의 증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어느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한다.

27
(1) 증감된 공사량의 단가는 계약단가로 한다. 다만 계약단가가 예정가격단가보다 높은
경우로서 물량이 증가하게 되면 그 증가된 물량에 대한 적용단가는 예정가격단가로
한다.

(2) 산출내역서에 없는 품목 또는 비목(동일한 품목이라도 성능, 규격 등이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신규비목”이라 한다)의 단가는 설계변경당시(설계도면의 변경을
요하는 경우에는 변경도면을 발주기관이 확정한 때, 설계도면의 변경을 요하지 않
는 경우에는 계약당사자 간에 문서에 의하여 설계변경을 합의한 때를 말한다. 이하
같다)를 기준으로 산정한 단가에 낙찰률(예정가격에 대한 낙찰금액 또는 계약금액
의 비율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2. 발주자가 설계변경을 요구한 경우(계약상대자의 책임없는 사유로 인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증가된 물량 또는 신규비목의 단가는 설계변경당시
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단가와 동 단가에 낙찰률을 곱한 금액의 범위 안에서 발주기
관과 계약상대자가 서로 주장하는 각각의 단가기준에 대한 근거자료 제시 등을 통하여
성실히 협의(이하 “협의”라 한다) 하여 결정한다. 다만, 계약당사자 간에 협의가 이루
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설계변경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단가와 동 단가에 낙
찰률을 곱한 금액을 합한 금액의 100분의 50으로 한다.

3. 제2항에도 불구하고 표준시장단가가 적용된 공사의 경우에는 다음의 어느 하나의 기준


에 의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한다.

(1) 증가된 공사량의 단가는 예정가격 산정 시 표준시장단가가 적용된 경우에 설계변경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표준시장단가로 한다.

(2) 신규비목의 단가는 표준시장단가를 기준으로 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계변경 당


시를 기준으로 산정한 표준시장단가로 한다.

4. 신기술 및 신공법에 의한 설계변경의 경우에는 해당 절감액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감액한다.

5. 1항 및 2항에 의한 계약금액의 증감분에 대한 간접노무비, 산재보험료 및 산업안전보건


관리비 등의 승율비용과 일반관리비 및 이윤은 산출내역서상의 간접노무비율, 산재보험
료율 및 산업안전보건관리비율 등의 승율비용과 일반관리비율 및 이윤율에 의하되 설
계변경당시의 관계법령 및 기획재정부장관 등이 정한 율을 초과할 수 없다.

6. 계약담당공무원은 예정가격의 100분의 86미만으로 낙찰된 공사계약의 계약금액을 1항


에 따라 증액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로서 해당 증액조정금액(2차 이후의 계약금액 조
정에 있어서는 그 전에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감액 또는 증액조정된 금액과 증액조정하
려는 금액을 모두 합한 금액을 말한다)이 당초 계약서의 계약금액의 100분의 10 이상인
경우에는 예산집행심의회 또는 기술자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8
7. 일부 공종의 단가가 세부공종별로 분류되어 작성되지 아니하고 총계방식으로 작성(이하
“1식단가”라 한다)되어 있는 경우에도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가 변경되어 1식단가의
구성내용이 변경되는 때에는 제1항 내지 제5항에 의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한다.

8. 발주기관은 제1항 내지 제7항에 의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계


약금액조정 청구를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예산배정의 지연 등 불가피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그 조정기한을 연장할
수 있으며,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는 예산이 없는 때에는 공사량 등을 조정하여 그
대가를 지급할 수 있다.

9. 계약담당공무원은 제8항에 의한 계약상대자의 계약금액조정 청구 내용이 부당함을 발견


한 때에는 지체 없이 필요한 보완요구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수행 tip

Ÿ 교량설계의 대상과업과 유사한 공사시방서를 활용하


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기존 작성된 교량 시공사진을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교량 시공된 현장답사를 통하여 사례를 보면서 확인
한다.
Ÿ 교량공법 및 공종별로 작성된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
여 검토하고 실습을 수행한다.

29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시방서에서 제시하는 설계도서에 대한 종류, 범위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 교량설계 시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


의 공종을 이해한다.

• 교량시공 시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


의 시공 준비과정을 이해한다.

• 교량 공종별 공사범위 및 재료에 대해서 이해하고 공종별 개략적인 시공방법을 학습한다.

• 개략적인 공종별 시공방법을 학습한 후 현장 여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학습하고


교량가설공법, 가설순서 등의 지식을 통해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교량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불가피한 상황을 이해하고 발주처와의 처리과정을 학습한다.

• 교량도서 상호 간의 모순점 발생 시에 법령기준을 통해 발주처와의 계약관계를 학습한다.

학습 방법

• 법규, 지침, 표준시방서등의 폭넓은 해석능력을 확인하도록 교량설계 및 시공에 대한 점검표


작성을 실습에 활용한다.

• 교량의 각 공종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시공상의 품질관리 및 안전관리에 대한 기본내용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 가설 공법별 특성을 이해하고 공사현장 여건에 맞는 공법적용능력을 키운다.

• 교량시공 시 발생하는 불가피한 상황 및 설계도서의 모순점 발생 시에 대한 처리방안을 이해하고


추후 논란이 없도록 시방서를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30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


들을 정리하여 작성할 수 있다.

교량시공의 - 교량설계 공종별 공사범위와 자재 등과 같은 공사비와


일반사항 명시 관련된 사항들을 작성할 수 있다.

- 교량시공 시 요구되는 구조물의 품질 및 안전관리 지


침을 수립할 수 있다.

- 교량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에 대한 처리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교량시공의
특수사항 명시
- 설계도서 상호 간에 모순점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안
에 대하여 기술할 수 있다.

31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설계 시 고려 및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


인 내용을 분석

- 교량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분석

교량시공의 - 교량설계 시 공종별 공사범위를 확인하고 사용재료에


일반사항 명시 대해서 내용분석

- 교량가설 및 부대시설에 대한 공사범위 보고서 작성

- 교량설계 공종별 품질·안전관리 지침을 이해하고 개


략적인 비교표를 작성

- 교량시공의 불가피한 상황 및 설계도서 상호 간의 모


순점 발생 시 등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설계변경과
교량시공의
정보고서작성
특수사항 명시
- 설계변경 시 계약금액 조정 보고서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설계 시 고려 및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


인 내용을 분석

- 교량시공에 관련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분석

교량시공의 - 교량설계 시 공종별 공사범위를 확인하고 사용재료에


일반사항 명시 대해서 내용분석

- 교량가설 및 부대시설에 대한 공사범위 보고서 작성

- 교량설계 공종별 품질·안전관리 지침을 이해하고 개


략적인 비교표를 작성

- 교량시공의 불가피한 상황 및 설계도서 상호 간의 모


순점 발생 시 등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설계변경과
교량시공의
정보고서작성
특수사항 명시

- 설계변경 시 계약금액 조정 보고서

32
피드백

1. 사례연구 평가
- 교량설계 시 고려 및 점검해야 할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 공종별 공사범위를 확인하
고 사용재료, 품질·안전관리 지침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교량설계사례 등
을 수집하여 정리하게 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이러닝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설계 및 교량시공 예를 통
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평가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 및 능력단위 요소를
바탕으로 비교적 간단한 교량 시공 예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공법예 및 사례를 중심으로
엔지니어링과 응용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33
학습 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LM1402010408_14v2.1)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학습 2
(LM1402010408_14v2.2)
학습 3 교량설계 가설공법 선정하기(LM1402010408_14v2.3)
학습 4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4)

2-1.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


• 각종 교량 자재의 성능기준, 시험 및 시공방법 등을 표기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 자재의 품질, 성능 및 기타 필요사항들을 시방서에 표현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각종 교량 자재 알아보기

1.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물·시멘트비(W/C)에 따라 변한다. 내구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값
이하로 물·시멘트비를 제한하기 위하여 이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콘크리트 설계기준강
도의 최저값을 교량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표 2-1> 콘크리트의 최저 설계기준강도(MPa)

부재의 종류 최저설계 기준강도


무근콘크리트 부재 18
철근콘크리트 부재 21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텐션 35
콘크리트 부재 포스트텐션 30

2. 철근
철근은 설계에 정해진 원칙에 의해 그려진 철근 상세도에 따라 재질을 해치지 않는 적절
한 방법으로 정확한 치수 및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하고 이것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심한 부식 환경지역에 설치되는 주요 구조물에 철근의 부식문

34
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 에폭시 수지 등으로 도막 처리된 철근
을 사용할 수 있다.

3. 강재
강교제작에 종래 사용되어 왔던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와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를 규정한 것이다. JIS(일본), ASTM(미국), EN(유럽)
등의 규정에 따라 생산된 강재는 한국산업규격(KS)의 요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사용
할 수 있다.

4. 교량받침
교량받침은 하부구조 거더좌면에 설치하여 상부구조인 거더를 지지하며 상부구조에서 전
달하는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고 지진, 풍압, 온도변화 등에 안전하게 적용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변화 등 신축을 흡수하여 교량의 변위를 교대나 교각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교
량받침에서 완충역할을 하여 교량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수명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5. 신축이음
교량에는 온도변화 등에 의한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을 설
치하게 되며 신축이음 선정 시에는 교량 형식별 필요 신축량을 기준으로 하여 내구성 및
평탄성, 배수성, 수밀성, 시공성, 유지보수, 경제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신축유간 부위는
콘크리트 부식을 막고 교면수 및 오물이 흘러들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고 교량
특성상 강한 진동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6. 거푸집 및 동바리

(1) 거푸집(Formwork, Form, Mold)


콘크리트 구조물이 필요한 강도를 발현할 수 있을 때까지 구조물을 지지하여 구조물
의 형상과 치수를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내용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가설구조물의 총칭
이다.

(2) 동바리, 받침기둥(Support, Shore or Staging)


거푸집 및 콘크리트의 무게와 시공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재 또는 작업
장소가 높은 경우 발판, 재료운반이나 위험물 낙하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임시 지지대
를 말한다.

(3) 솟음(Camber)
보, 슬래브 및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처짐을 고려하여
상향으로 들어 올리는 것 또는 들어 올린 크기를 말한다.

35
동바리

거푸집

[그림 2-1] 동바리와 거푸집

7. 교면방수
산성비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유기물로부터 콘크리트 풍화방지 및 화학작용에 의한 콘크리
트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을 방수하는 작업을 말한다.

36
수행 내용 / 교량시공의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필요한 각 공종의 내용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37
수행 순서

 각종 교량자재의 성능기준을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교량 설계에 적용하는 주요 자재는 철근, 콘크리트, 강재, 교량받침, 신축이음,
동바리 및 거푸집, 교면방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철근의 재료기준 확인한다.

(1)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철근 콘크리트용 재생 봉강은 KS D 352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시험하여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3) KS D 3504 및 KS D 3527에 적합하지 않은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


하여 설계기준항복강도 및 사용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4) 용접철망은 KS D 701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5) 에폭시를 도막할 철근은 KS D 3504에 적합하여야 하고, 에폭시도막 부체도료의 품


질 검사는 KS M 5250에 따른다.
* KS D 3504: KS는 한국산업규격, D는 금속부분, 35는 세부부분 강재, 04는 철근콘크
리트용 봉강을 나타낸다.
<표 2-2> 이형봉강 KS D 3504의 성질

항복점 또는
종류기호 용도 인장강도(N/㎟)
항복강도(N/㎟)
SD300 300~420 항복강도의 1.15배 이상
SD400 400~520 항복강도의 1.15배 이상
SD500 일반용 500~650 항복강도의 1.08배 이상
SD600 600~780 항복강도의 1.08배 이상
SD700 700~910 항복강도의 1.08배 이상
SD400W 400~520 항복강도의 1.15배 이상
용접용
SD500W 500~650 항복강도의 1.15배 이상
SD400S 400~520 항복강도의 1.25배 이상
SD500S 특수내진용 500~620 항복강도의 1.25배 이상
SD600S 600~720 항복강도의 1.25배 이상

* 항복강도는 재료가 탄성변형이 일어났을 때의 한계응력이고 인장강도는 재료가 파


단할 때의 최대인장응력을 말한다.

2. 콘크리트의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1) 시멘트 재료를 확인한다.

38
(가)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트 시멘트,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저열
포틀랜트 시멘트, 내황산염 포틀랜트 시멘트는 KS L 5201, 고로슬래그 시멘트
는 KS L 5210, 플라이 애쉬 시멘트는 KS L 5211, 포틀랜트 포졸란 시멘트는
KS L 5401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나) 상기 (나) 이외의 시멘트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하


여야 한다.

(2) 물 재료 확인하기

(가) 물은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유해량 이상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나) 물은 KS F 4009 부속서2의 기준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다) 물은 콘크리트의 응결경화, 강도의 발현, 체적변화, 워커빌리티 등의 품질에 나


쁜 영향을 미치거나 강재를 녹슬게 하는 물질을 허용함유량 이상 포함하지 않
아야 한다.

(라) 해수는 강재를 부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철근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


리트, 강콘크리트 합성구조 및 철근이 배치된 무근 콘크리트에서는 혼합수를
사용할 수 없다.

(3) 잔골재 재료를 확인한다.

(가) 잔골재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1) 잔골재나 잔골재용 원석의 강조는 단단하고 강한 것이어야 한다.
2) 잔골재는 유해량 이상의 염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고, 진흙이나 유기 불순물
등의 유해물이 유해량 허용한도 이내여야 한다.
3) 잔골재로 콘크리트용 잔골재는 KS F 2526, 부순 골재는 KS F 2527, 순환 잔골
재는 KS F 2573, 고로 슬래그 잔골재는 KS F 2544 표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
한다. 단,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KS F 2526의 품질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잔골재 물리적 품질을 확인한다.


1) 잔골재의 절대건조 밀도는 0.0025 g/㎣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2) 잔골재의 흡수율은 3.0% 이하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단, 고로 슬래그 잔골재
의 흡수율은 3.5% 이하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다) 잔골재 입도를 확인한다.

39
<표 2-3> 잔골재의 표준입도

체의호칭 체를 통과한 것의 질량 백분율(%)


(mm) 천연 잔골재 부순 모래
10 100 100
5 95~100 90~100
2.5 80~100 80~100
1.2 50~85 50~90
0.6 25~60 25~65
0.3 10~30 10~35
0.15 2~10 2~15

1) 잔골재는 대소의 알갱이가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도는 <표


2-3>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 <표 2-3>의 입도 범위 내의 잔골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입도가 이 범위를 벗
어난 잔골재를 쓰는 경우에는 두 종류 이상의 잔골재를 혼합하여 입도를 조
정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혼합 잔골재의 경우 천연골재의 입도규정에 준한다.
또한 <표 2-3>에 표시된 두 개의 체 사이를 통과하는 양의 백분율이 45%를
넘지 않아야 한다.
3) 잔골재의 조립률이 콘크리트 배합을 정할 때 가정한 잔골재의 조립률에 비하
여 ±0.20 이상의 변화를 나타내었을 때는 배합을 변경하여야 한다.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입도변화의 허용값을 앞의 값보다 작게 규정하
는 것이 좋다.
4) 공기량이 3% 이상이고, 단위 시멘트량이 250kg/㎥ 이상인 공기연행 콘크리트
나 단위 시멘트량이 300kg/㎥ 이상인 콘크리트 또는 0.3mm체와 0.15mm체를
통과한 골재의 부족량을 양질의 광물질 분말로 보충한 콘크리트는 0.3mm체와
0.15mm체 통과 질량 백분율의 최소량을 각각 5% 및 0%로 감소시킬 수 있다.

(라) 잔골재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를 확인한다.


1)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한도는 <표 2-4>의 값으로 하여야 한다. <표
2-4>에 지시하지 않은 종류의 유해물에 관해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를 받아
야 한다.
<표 2-4>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한도(질량 백분율)

종 류 최 대 값
점토덩어리 1.0*
0.8mm체 통과량
콘크리트의 표면이 마모작용을 받는 경우 3.0
기타의 경우 5.0
석탄, 갈탄 등으로 밀도 0.002g/㎣의 액체에 뜨는 것
콘크리트의 외관이 중요한 경우 0.5
기타의 경우 1.0
염화물(NaCl 환산량) 0.04

40
* 시료는 KS F 2511에 의한 0.08mm체 통과량 시험을 실시한 후에 체에 남는 것
2) 점토덩어리 시험은 KS F 2512, 0.08mm체 통과량 시험은 KS F 2511, 석탄, 갈
탄 등 밀도 0.002 g/㎣의 액체에 뜨는 것에 대한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또 염화물 함유량의 시험은 KS F 2515에 따른다.
3) 잔골재에 함유되는 유기불순물은 KS F 2510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이때
잔골재 위에 있는 용액의 색깔은 표준색보다 엷어야 한다.
4) 부순 골재 및 순환 잔골재의 경우, 씻기 시험에서 0.08mm체의 통과량은 7%
이하이어야 하며, 마모작용을 받는 경우 5% 이하로 하여야 한다.

(마) 잔골재의 내구성을 확인한다.


1) 잔골재의 안정성은 KS F 2507에 따라 시험하며, 내동해성은 KS F 2456에 따
라 시험한다.
2) 잔골재의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으로 평가하며, 이 손실질량은
1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손실질량이 10%를 넘는 잔골재는 이를 사용한 콘
크리트가 유사한 기상 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내동해성이 얻어진 실례가
있거나 시험 결과가 있을 경우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3) 동결융해 작용을 거의 받지 않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잔골재는 상기
의 1) 및 2)항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4)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안정한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사용실적이 있
거나 사용조건에 대하여 화학적 혹은 물리적 안정성에 관한 시험 결과 유해
한 영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4) 굵은 골재 재료를 확인한다.

(가) 굵은 골재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1) 굵은 골재나 굵은 골재용 원석의 강도는 단단하고 강한 것이어야 한다.
2) 굵은 골재는 유해량 이상의 염분을 포함하지 말아야 하고, 진흙이나 유기 불
순물 등의 유해물의 유해량 허용 한도 이내여야 한다.
3)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KS F 2526, 부순 굵은 골재는 KS F 2527, 고로 슬래
그 굵은 골재는 KS F 2544, 순환굵은골재는 KS F 2573의 규정에 적합한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KS F 2526의 품
질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굵은 골재 물리적 품질을 확인한다.


1) 굵은 골재로서 사용할 자갈의 절대건조밀도는 0.0025g/㎣ 이상의 값을 표준으
로 한다. 다만,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의 경우 A급, B급은 각각 0.0022g/㎣ 및
0.0024g/㎣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순환굵은골재의 경우는 0.0025g/㎣ 이상의 값
을 표준으로 한다.

41
2) 순환굵은골재의 흡수율도 3.0% 이하로 한다. 다만,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의
경우 A급 및 B급은 각각 4.0% 및 6.0%를 상한값으로 한다.

(다) 굵은 골재 입도를 확인한다.


1) 굵은 골재는 대소의 알갱이가 알맞게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그 입도는 <표
2-5>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표 2-5> 굵은 골재의 표준 입도

체의 호칭 체를 통과하는 것의 질량 백분율(%)
골재 치수(mm)
번호 체의 치수 100 90 75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mm)
1 90~40 100 90~100 - 25~60 - 0~15 - 0~5 - - - - -
2 65~40 - - 100 90~100 35~70 0~15 - 0~5 - - - - -
3 50~25 - - - 100 90~100 35~70 0~15 - 0~5 - - - -
357 50~5 - - - 100 95~100 - 35~70 - 10~30 - 0~5 - -
4 40~20 - - - - 100 90~100 20~55 0~15 - 0~5 - - -
467 40~5 - - - - 100 95~100 - 35~70 - 10~30 0~5 - -
57 25~5 - - - - - 100 95~100 - 25~60 - 0~10 0~5 -
67 20~5 - - - - - - 100 90~100 - 20~55 0~10 0~5 -
7 13~5 - - - - - - - 100 90~100 40~70 0~15 0~5 -
8 10~2.5 - - - - - - - - 100 85~100 10~30 0~10 0~5

(라) 굵은 골재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를 확인한다.


1)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는 <표 2-6>의 값으로 한다. <표 2-6>에 제
시하지 않은 유해물에 관해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표 2-6>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한도(질량 백분율)

종 류 최 대 값
점토덩어리 0.25*
연한 석편 5.0
0.8mm체 통과량 1.0
석탄, 갈탄 등으로 밀도 0.002 g/㎣의 액체에 뜨는 것
콘크리트의 외관이 중요한 경우 0.5
기타의 경우 1.0

* 시료는 KS F 2511에 의한 0.08mm체 통과량의 시험을 실시한 후에 체에 남는 것


2) 점토덩어리 시험은 KS F 2512, 연한 석편의 시험은 KS F 2516, 0.08mm체 통
과량의 시험은 KS F 2511, 석탄 및 갈탄 등 밀도 0.002 g/㎣인 액체에서 뜨는
것에 대한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3) 점토덩어리 함유량은 0.25%, 연한 석편은 5.0% 이하이어야 하며, 그 합은 5%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순환골재의 점토덩어리 함유량은 0.2% 이하
로 한다. 그러나 무근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4) 부순 굵은 골재 및 순환굵은골재의 0.08mm체 통과량은 1.0% 이하로 한다.

42
(마) 굵은 골재 내구성을 확인한다.
1) 굵은 골재의 안정성은 KS F 2507에 따라 시험하며, 내동해성은 KS F 2456에
따라 시험하여야 한다.
2) 굵은 골재로서 사용할 굵은 골재의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하여 평
가하는데, 그 손실질량은 12%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손실질량이 12%를 넘는
굵은 골재는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유사한 기상 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내동해성이 얻어진 실례가 있거나 시험결과가 있을 경우 책임기술자의 승인
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3) 내동해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굵은 골재는 상기의 1)
및 2) 항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4)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안정한 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사용실적이 있
거나 사용조건에 대하여 화학적 혹은 물리적 안정성에 관한 시험 결과 유해
한 영향이 없다고 인정되면 사용할 수 있다.

(5) 혼화 재료를 확인한다.

(가) 혼화 재료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1) 혼화 재료는 품질이 확인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혼화 재료 중에서 사용실
적이 적거나 KS등에도 품질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은 기존의 사용 예에
서 효과를 조사하는 등의 시험을 하여 그 품질을 충분히 확인한 후 사용하여
야 한다.
2) 혼화 재료는 용도에 따라 적당히 사용할 경우 양질의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
으므로 그의 사용을 적극 검토하여야 한다.

(나) 혼화재를 확인한다.


1) 혼화재로 사용할 플라이 애쉬는 KS L 5405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2) 혼화재로 사용할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3) 혼화재로 사용할 고로 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4) 혼화재로 사용할 실리카 퓸은 KS F 2567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5) 상기 1), 2), 3), 4) 이외의 혼화재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 방법을 충분
히 검토하여야 한다. 즉, 이들 혼화재는 품질, 성능, 사용실적, 균등성 등을 사
전에 조사하여야 하며,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수밀성, 체적변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 경제성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여야 한다.

(다) 혼화제를 확인한다.


1) 혼화제로 사용할 공기연행제, 감수제, 공기연행감수제 및 고성능 공기연행감
수제는 KS F 2560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혼화제로 사용할 유동화제는 KCI-AD1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43
3) 혼화제로 사용할 수중불분리성혼화제는 KCI-AD102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4) 혼화제로 사용할 철근콘크리트용 방청제는 KS F 256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5) 상기 1), 2), 3), 4) 이외의 혼화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 방법을 충분
히 검토하여야 한다. 즉, 이들 혼화제는 품질, 성능, 사용실적, 균등성 등을 사
전에 조사하여야 하며,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수밀성, 체적변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 경제성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여야 한다.

3. 강재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1) 사용강재를 확인한다.

(가) 구조용 강재는 <표 2-7>에 나타낸 한국산업규격(KS)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표 2-7> 주요 구조용 강재의 규격 및 기호

규 격 강 재 기 호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M400A, B, C
SM490A, B, C, TMC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400YA, YB
SM520B, C, TMC
SM570, TMC
SMA400AW, BW, CW
SMA490AP, BP, CP
용접구조용 내후성
KS D 3529 SMA490AW, BW, CW
열간압연강재
SMA490AP, BP, CP
SMA570W, P
HSB500, L, W
KS D 3868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HSB600, L, W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TK400, STK490, STK500

KS D 4108 용접구조용 원심력 주강관 SCW490-CF

KS F 4602 강관말뚝 SKK400, SKK490

KS F 4605 강관시트파일 SKY400, SKY490

KS D 3530 일반구조용 경량형강 SSC400

(나) 표면처리제품, 주단조품, 선재 및 선재2차재품은 <표 2-8>에 나타낸 KS에 적합


한 것을 사용한다.

44
<표 2-8> 주요 구조용 강재의 규격 및 기호

강재의 종류 규격 강 재 기 호
SGH400, SGH440, SGH490, SGH540
표면처리제품 KS D 3506 용융아연도금 강판
SGC400, SGC440, SGC490, SGC570
KS D 3752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SM35C, SM45C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SF490A, SF540A
주단조품
KS D 4106 용접구조용 주강품 SCW410, SCW480
KS D 4118 도로구조용 단강품 SCHB1, SCHB2, SCHB3
PC 강선 및 PC SWPC1, SWPD1, SWPC2,
KS D 7002
선재 및 강연선 SWPD3, SWPC7, SWPC19
선재2차제품 SBPR 785/1030, SBPR 930/1080
KS D 3505 PC 강봉
SBPR 930/1180

(다) 교량용 강판의 경우 강종은 판의 두께에 따라서 <표 2-9>를 기준으로 하여 선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 2-9> 판두께에 따른 강재종류 선정기준(교량용 강판)
판두께(mm)
강종 6 8 16 25 32 40 50 100
일반구조용
SS400
압연강재
SM400A
SM400B
SM400C
SM490A
SM490B
SM490C
용접구조용 SM490C-TMC
압연강재
SM490YA
SM490YB
SM520B
SM520C
SM520C-TMC
SM570
SM570-TMC
SMA400A
SMA400B
용접구조용 SMA400C
내후성열간 SMA490A
SMA490B
압연강재
SMA490C
SMA570
HSB500
HSB500L
교량구조용 HSB500W
압연강재 HSB600
HSB600L
HSB600W

45
(2) 접합재료 강재를 확인한다

(가) 볼트, 고장력볼트, 기초볼트와 턴버클 등은 <표 2-10>에 나타낸 한국산업규격


(KS)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표 2-10> 주요 구조용 강재의 규격 및 기호

번 호 명 칭 종 류
KS B 1002 육각볼트 보통형
F8T, F10(F8), F35,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볼트,
KS B 1010 F10T, F10, F35,
육각너트, 평와셔의 세트
F13T, F10, F35
KS B 1012 육각너트 보통형
KS B 1016 기초볼트 J형, L형
KS B 1324 스프링 와셔
KS B 1326 평와셔

(나) 용접재료는 <표 2-11>에 나타낸 KS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모재의 재질 및 용
접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한다.
<표 2-11> 용접재료

번 호 종 류
KS D 3508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재
KS D 3550 피복아크 용접봉 심선
KS D 7004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KS D 7005 연강용 가스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KS D 7101 내후성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KS D 7102 탄소강 및 저합금강용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플럭스
KS D 7103 탄소강 및 저합금강용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와이어
KS D 7104 연강, 고장력강 및 저온용 강용 아크용접 플럭스 코아선

4. 신축이음장치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1) 신축이음장치는 차륜이 직접 접촉되므로 미끄럼방지 표면을 가져야 하며, 모든 부


품은 마모와 차량의 충격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융빙재에 노출되는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고장력볼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장


처리를 실시하거나 스테인리스 강재 등 내부식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3) 신축이음장치는 설계도서에 제시된 신축량 및 유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규격


의 제품이어야 하며 당해제품의 제품자료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제품이
어야 한다.

(4) 신축이음장치의 형식, 치수 및 신축량 등은 설계도에 나타나거나 감독자에 의해 지


시된 것과 같아야 한다.

(5) 신축이음장치에 사용하는 강재는 해당규정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6) 신축이음장치에 들어가는 고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를 사용하며 고무의 경도, 인

46
장, 노화 등의 물리시험은 KS M 6518에 따라야 한다.

(7) 신축이음장치의 봉함용 고무는 양질의 흑색 프로필렌계 고무를 성형한 것으로 <표
2-12>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2-12> 봉함용 고무재 품질 기준

시험항목 단위 규격 시험방법
인장강도 MPa 15.0 이상 KS M 6518
연신율 % 300 이상 KS M 6518
경도시험 경도 45~60 KS M 6518
가열 인장강도 MPa 13.0 이상 KS M 6518
노화 연신율 % 250 이상 KS M 6518
시험 경도변화 경도 10 이하 KS M 6518
압축영구변형 % 25 이하 KS M 6518

(8) 봉함재(Sealant)는 실리콘계, 에폭시고무계 또는 부틸고무계가 있으며, 바닥판 또는


포장과 밀착이 잘 되고 신축에 잘 견디는 고내후성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9) 신축이음장치에 사용하는 알루미늄합금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야 하며, 재료


는 <표 2-13>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2-13> 알루미늄 합금 신축이음장치의 품질기준

인장강도 항복점 화학적 성분(%)


연신율 경 도
(MPa) (MPa) Si Fe Cu Mn Mg Ti

260 260 2% 6.50 ~ 0.20 0.10 0.10 0.45 ~ 0.08 ~


90이상
이상 이상 이상 7.50 이하 이하 이하 0.70 0.25

5. 거푸집과 동바리의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거푸집 및 동바리에 사용하는 재료는 강도, 강성, 내구성, 작업성,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
한 영향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 거푸집의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가) 거푸집널로 사용하는 합판은 KS F 3110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흠집 및 옹이가 많은 거푸집과 합판의 접착부분이 떨어져 구조적으로 약한 것


은 사용할 수 없다.

(다) 거푸집의 띠장은 부러지거나 균열이 있는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라) 제물치장(Facing) 콘크리트용 거푸집널에 사용하는 합판은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재료로 표면처리된 것이어야 한다.

(마) 금속제 거푸집널은 KS F 8006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바) 형상이 찌그러지거나 비틀림 등 변형이 있는 것은 교정한 다음 사용하여야 한다.

(사) 금속제 거푸집의 표면에 녹이 많이 발생한 경우에는 쇠솔 또는 샌드페이퍼 등

47
으로 제거하고 박리제를 엷게 칠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아) 거푸집널을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면을 깨끗이 청소하고 볼


트용 구멍 또는 파손부위를 수선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자) 목재 거푸집널은 콘크리트의 경화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사광선에 노출되


지 않도록 씌우개로 덮어두어야 한다.

(2) 동바리의 재료기준을 확인한다.

(가) 강관 동바리는 KS F 8001, KS F 8002, KS F 8003, KS F 8021, KS F 8022의 규


정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험기관의 내력시험 등에 의하여
허용하중을 표시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원형 강관은 KS D 3566, 각형 강관은 KS D 3568, 경량형강은 KS D 3530의 규


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다) 현저한 손상, 변형, 부식이 있는 것은 사용할 수 없다.

(라) 굽어져 있는 강관동바리는 사용할 수 없다.

 각종 교량자재의 시험방법 및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1. 철근의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1) 철근의 가공방법을 확인한다.

(가) 철근은 설계도에 따라 작성된 철근가공 조립도에 표시된 형상과 치수에 일치하
도록 재질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가공하여야 한다.

(나) 철근 가공 조립도에 철근의 구부리는 반지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도로교 설계기준”의 관련규정에 의하여 철근을 가공하여야 한다.

(다) 철근은 재질을 손상하지 않도록 상온에서 가공하여야 하며, 한 번 구부린 철근


은 다시 가공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철근의 조립방법을 확인한다.

(가) 철근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저해하는 흙, 기름 또는 이물


질 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한다.

(나) 철근은 <표 2-14>에 규정하는 시공 허용오차를 만족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48
<표 2-14> 철근 가공치수의 허용오차

부호 허용오차
철근의 종류
(그림참조) (mm)

스터럽, 띠철근,
a, b ±5
나선철근

D25이하의
a, b ±15
이형철근
그밖의
철근 D29이상,
D32이하의 a, b ±20
이형철근

가공후의 전길이 L ±20

(다) 철근은 바른 위치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조립용 강재를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이 바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결속선 또는 적절한
클립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라)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간격재 및 고임재


를 배치하여야 한다. 거푸집에 접하는 간격재 및 고임재는 콘크리트제 혹은 모
르타르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마) 철근조립 후 유의 사항
1) 철근은 조립이 끝난 후 철근상세도에 맞게 조립되어 있는지 검사하여야 한다.
2) 철근을 조립한 다음 장기간 경과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다시
조립검사를 하고 청소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콘크리트의 시공에서는 운반방법, 운반로, 타설방법, 타설순서, 1회 타설량, 시공이음의 위
치 등에 대하여 미리 충분한 계획을 세워 놓아야 한다.

(1) 콘크리트의 운반

(가) 운반용 자동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리는 작업이 쉬워야 하며, 교반기, 보온
덮개 등의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버킷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장소로 최종 운반하는 경우에는 배출 시에


재료분리가 없고 배출이 신속 용이하여야 한다.

(다)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 타설장소, 1회 타설량 등


을 고려하여 적절한 콘크리트 펌프의 기종을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압송 가능
성 평가는 수평배관시험 또는 콘크리트 재료의 레올로지 특성을 통해 평가 가

49
능하며, 레올로지 평가 방법은 콘크리트학회 규준 KCI-CT 104(콘크리트 레올로
지 측정방법)에 따른다. 수송관의 배치에 있어서는 철근, 거푸집 및 동바리에
유해한 진동이나 변형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타설

(가)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을 할 때는 철근 및 강재의 배치나 거푸집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나) 타설한 콘크리트는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아야 하며 한 구획


내의 콘크리트는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다) 타설 도중에 심한 재료분리가 생겼을 때에는 재료분리를 방지할 방법을 강구하


여야 한다.

(라) 콘크리트는 그 표면이 한 구획 내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타설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마)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상층의 콘크리트는 원칙적으로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어지기 전에 타설하여야 하며 상층과 하층이 일체가 되도
록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콜드조인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나의 시공구획의
면적, 콘크리트의 공급능력, 이어치기 허용시간 간격 등을 정하여야 하며, 이어
치기 허용시간 간격은 외기온 25℃ 초과에 2.0시간, 25℃ 이하에는 2.5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바)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의 철근 또는 거


푸집에 콘크리트가 부착하여 경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푸집에 투입구를
설치하거나, 연직슈트 또는 펌프배관의 배출구를 타설면 가까운 곳까지 내려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사) 콘크리트 타설 도중 표면에 떠올라 고인 블리딩수가 있을 경우에는 적당한 방


법으로 이 물을 제거한 후가 아니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서는 안 된다.

(아) 벽 또는 기둥과 같이 높이가 높은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타설할 경우에는 타설


및 다질 때 재료분리가 가능한 적게 되도록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및 타설속도
를 조정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양생

(가) 습윤 양생
1)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를 시작할 때까지 직사광선이나 바람에 의해 수분
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지하여야 하며, 거푸집판이 건조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살수하여야 한다.

50
2) 콘크리트의 표면을 해치지 않고 작업이 될 수 있을 정도로 경화하면 콘크리트
의 노출면은 양생용 매트, 모포 등을 적셔서 덮거나 또는 살수를 하여 습윤
상태로 보호하여야 한다. 습윤 상태로 보호하는 기간은 <표 2-15>를 표준으로
한다.
<표 2-15> 습윤 양생 기간의 표준

고로슬래그시멘트
일평균기온 보통포틀랜트시멘트 조강포틀랜트시멘트
플라이애쉬시멘트 2종
15 ℃ 이상 5일 7일 3 일
10 ℃ 이상 7일 9일 4 일
5 ℃ 이상 9일 12 일 5 일

(나) 온도제어 양생
1) 콘크리트는 경화가 충분히 진행될 때까지 경화에 필요한 온도조건을 유지하여
저온, 고온, 급격한 온도변화 등에 의한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양생하여
야 한다.
(2) 온도제어 양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온도제어 방법 및 양생일수록 콘크리트의
종류, 형상 및 치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해야 하고 콘크리트에 국부적으
로 온도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의 시공이음

(가) 시공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전단력이 작은 위치에 설치하고, 부재의 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나) 부득이 전단이 큰 위치에 시공이음을 설치할 경우에는 시공이음에 요철 또는


홈을 만들거나 적절한 강재를 배치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다) 시공이음을 계획할 때 온도,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 발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라) 외부의 염분에 의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구조물에 있어서 시공이음부를


되도록 두지 않는 것이 좋다. 부득이 시공이음부를 설치할 경우에는 최고조위
로부터 위로 0.6m와 최저조위로부터 아래로 0.6m 사이인 감조부 부분을 피해야
한다.

3. 강재의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1) 강재의 용접시공

(가) 용접순서 및 방향은 가능한 한 용접에 의한 변형이 적고, 잔류응력이 적게 발


생하도록 하고 용접이 교차하는 부분이나 폐합된 부분은 용접이 안 되는 부분
이 없도록 용접순서에 대하여 특별히 고려하여야 한다.

(나) 용접부에서 수축에 대응하는 과도한 구속은 피하고 용접작업은 조립하는 날에


용접을 완료하여 도중에 중지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51
(다) 항상 용접열의 분포가 균등하도록 조치하고 일시에 다량의 열이 한 곳에 집중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라) 완전용입 용접을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의 뒷면은 건전한 용입부까지 가우징
(Gouging)한 후 용접을 실시하여야 한다.

(마) 용접자세는 가능한 한 회전지그를 이용하여 아래보기 또는 수평자세로 한다.

(2) 강재의 볼트접합시공

(가) 볼트는 나사를 손상하지 않고 정확하게 구멍 속에 끼워 넣어야 하며 볼트 끼우


기 중 나사부분과 볼트머리는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야 한다. 모든 볼트머리
와 너트 밑에는 와셔를 끼우고 와셔는 볼트머리와 너트에 평행하게 놓는다. 다
만, T/S볼트는 너트 측에만 1개의 와셔를 사용한다.

(나) 볼트가 볼트 축에 직각인 평면과 1/20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표면(傾斜表面)


이나 원형면(圓形面) 위에 사용될 경우에는 볼트머리나 너트가 완전히 지지되
도록 경사진 와셔나 원형 와셔를 사용한다.

(다) 볼트의 나사부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연결되는 부재 안쪽에 남아있도록 한다.

(라) 그룹볼트의 조임은 중앙의 볼트에서 단부의 볼트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며, 1


차 예비조임과 본조임으로 나누어 2회 시행한다. 1차조임은 소요 토크값의
60% 정도로 전체 볼트를 조인다.

(3) 강재의 설치조립

(가) 부재의 설치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 설정된 기선과 표고에 맞추어 정확하게 설
치하여야 한다. 부재의 조립은 조립기호, 소정의 조립순서, 솟음 등에 따라 정
확하게 시행하고 조립 중 부재는 신중하게 취급하여 손상이 없도록 한다.

(나) 부재의 현장조립


1) 부재를 사용 장비 및 시공계획에 따라 몇 개를 지상에서 조립하여 일체로 가
설하고자 할 때는 현장조립을 위한 받침대 및 비계는 부재의 휨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2) 강교의 조립에는 소요리벳 또는 고장력 볼트수의 1/2 이상의 가조임볼트 및
드리프트 핀을 사용하고 볼트구멍을 잘 맞추어 볼트조임을 하여야 한다.
3) 강구조물에 부득이 구멍을 뚫어야 할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현장 조립품을 일체로 운반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조립부재의 길이, 중량 및
형상을 고려하여 장비의 종류와 소요대수를 계획해야 하며 부재의 변형이 발
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4.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및 시험방법을 확인한다.

(1) 신축이음 시공을 위한 기본요건

52
(가) 현장에 보관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재료와 조립품들은 원래의 형상과 배열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신축이음은 설계도에 따라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다) 바닥판 신축이음은 평탄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라) 바닥판 신축이음을 시공한 후, 바닥판을 최종적으로 정리할 때까지 신축이음부


는 보호장치로 덮어주어야 한다.

(마) 설치 후 그리고 최종 승인 전에 감독자의 입회하에 신축이음부의 누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할 때는 필요한 측량(수준측량, 종·횡방향 경사측량 등)을


실시하여 신축이음부 전후의 노면과 연속되도록 평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2) 신축이음 누수시험

(가) 신축이음장치가 완전히 설치된 후 최소한 5일 이내에 방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서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시험하여야 한다.

(나) 신축이음장치 전 구간에 대해서 깊이 25mm 이상 정도의 물을 흐르게 하거나


고이게 하여 15분 이상 차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물이 공급되는 15분 동안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콘크리트면에 대해서 누수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며, 물
공급이 끝난 후 45분 동안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습윤상태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여야 한다.

(다) 신축이음부 아래의 콘크리트면에 물방울이 맺혀 떨어지지 않는 경우 누수가 없


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라) 신축이음부 시공 후 누수시험 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한 경우 누수가 발생하는


위치를 찾아서 누수를 차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누수시험을 재
실시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바닥판에 매입되는 앵커는 견고하게 설치하고, 신축이음장치 아래에 공동


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수축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채워야 한다.

(4) 노면수가 하부구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필요 시 신축이음 단부를 적절한 높이까지


연장하거나 신축이음 단부에 배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 자재의 품질, 성능 및 기타 필요사항들을 정리한다.

1. 도면에 표현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한다.

(1) 강교용 중방식 도료를 확인한다.

(가) 부식은 크게 나누어 건식(Dry Corrosion)과 습식(Wet Corrosion)으로 나눌 수 있

53
으며 건식은 금속 표면에 액체인 물의 작용이 없이 발생하는 부식이며, 습식은
액체인 물 또는 전해질 용액에 접하여 발생하는 부식으로 우리 주변에서 경험
하는 대부분의 부식이다. 부식은 물과 산소의 존재 하에 철이 산화철로 변화하
는 과정이다.

(나) 중방식 도료로서의 방청효과는 부식의 원인을 억제시키거나 근본적으로 역행시


킴으로써 얻어진다. 도장으로 얻어지는 방청은 부식의 원인이 되는 물 및 공기
의 침투를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차단효과는 도료 중에 차단효과가 큰 전색제
(예: 화학반응 경화형인 에폭시 또는 우레탄수지) 및 안료(알루미늄 또는 M.I.O
안료)의 선택에 따른 경우, 광명단과 같은 방청안료를 사용하여 철 표면이 알
칼리성이 되도록 하여 부동태화되는 경우 및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안료(아
연말)를 사용하여 금속아연이 전지의 양극화가 되어 철이 이온화하는 것을 막
아주는 방법이 있다.

(다) 중방식 도료의 특징


1) 내수성, 내습성이 좋아야 한다.
2) 내이온 투과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3)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야 한다.
4)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5) 보수도장성, 도장작업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6) 금속면이나 상도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7) 1회에 두꺼운 도막으로 도장이 가능하여야 한다.

(2) 프리캐스트 부재의 접합재료를 확인한다.

(가) 프리캐스트 부재 접합부의 채움재로 사용되는 그라우트 재료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적용 부위의 변형 및 거동, 수축 등에 저항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야 한다.

(나) 프리캐스트 부재의 균열이나 쪼개짐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보강 재료를 사용할


때에는 사전에 배합시험을 통해 충분한 보강성능 및 시공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3) 가설 및 시공오차 일반사항을 확인한다.

(가) 가설계획
1) 가설에 있어서는 부재 및 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가설설비 및 가설작
업에 대한 계획을 검토하여 안전하게 이룰 수 있어야 한다.
2) 설계 시에 고려한 가설방법과 다르게 가설하는 경우에는 미리 가설 시의 응력
과 변형에 대해 검토하여야 한다.

54
(나) 가설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 및 변형에 대해 검토하
고 안전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다) 강재의 배치 및 부재치수는 소정의 시공 허용오차 이내에 들도록 정밀도를 확


보하여야 한다.

2. 도면에 표현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기타 필요사항을 확인한다.

(1) 도장 특성을 확인한다.

(가) 도장작업 시의 기후조건


1) 일반적인 도장작업은 대기온도가 5℃ 이상, 상대습도 85% 이하인 조건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2)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 건조가 비정상으로 빨라지고 가사시간이 짧아지므로
제조사의 안내서를 참조하고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는 43℃ 이상에서는 작
업하지 않는다.
3) 소지 표면온도는 이슬점 온도보다 3℃ 이상 높아야 한다.
4) 옥외에서 시공 시 비, 눈, 이슬이 내리는 환경에서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5) 강풍(풍속이 평균 8m/sec, 단 작업높이가 5m 이상이면 5m/sec 이상)이 부는
환경에서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나) 용접부 및 볼트체결 부위의 도장


1) 용접부는 일반 부위에 비해 도막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조기에 발청하기 쉬운
부분이므로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도장하여야 한다. 도막의 성능 및 내구력을
높이기 위해서 하도를 1회 추가 도장하고 도장사양에 따라 작업하여야 한다.
2) 부재를 고장력볼트로 접합하는 연결판 부위는 볼트를 체결한 후 연결팜 및 볼
트를 표면처리 후 도장하여야 한다. 하도가 무기질 아연말 도료로 설계된 경
우는 연결판이 부착될 면에 규정된 표면처리를 한 후에 무기질 아연말 도료
를 도장할 수 있다.
3) 볼트체결부위 도장은 작은 붓을 이용하여 세밀한 부분까지 충분히 도장하여야
하며, 도막의 성능 및 내구력을 높이기 위해서 하도를 1회 추가 도장하여 보
완하는 것이 좋다.

(2) 프리캐스트 부재의 시공을 확인한다.

(가)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


1) 부재의 제작대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형상, 치수가 <표 2-16>에서 허용하는 시
공 정밀도를 만족함과 동시에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부재변형을 고려한 것이
어야 한다.

55
<표 2-16> 부재치수의 시공 허용오차

항 목 시공 허용 오차
수직부재의 길이치수 설계치수의 ±1% 또는 ±30mm 중에서 작은 값
수평부재의 길이치수 설계치수의 ±1% 또는 ±30mm 중에서 작은 값
기둥 및 보의 단면치수 설계치수의 ±2% 또는 ±20mm 중에서 작은 값
바닥판의 치수 +20mm ~ -10mm

2) 프리캐스트 블록공법에 있어서 블록의 형상치수, 접합면에서의 쉬스 및 전단


키 등의 위치와 치수는 부재의 접합, 조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나) 프리캐스트 블록의 접합면은 느슨하게 붙어 있는 골재 알, 품질이 나쁜 콘크리


트, 레이턴스, 진흙, 기름 등 부착을 해칠 만한 것을 완전히 제거하고 보수를
하여 건전하고 깨끗한 상태로 하여야 한다.

(다) 프리캐스트 블록의 접합


1) 프리캐스트 블록의 접합에 사용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는 블록 콘크리트
와 동등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2) 블록의 접합에 쓰이는 접착제는 적절한 온도에서 접합면을 충분히 건조시킨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3) 접합할 때에는 부재의 위치, 형상 및 덕트가 잘 일치하도록 부재를 설치하고 접
합작업 및 프리스트레싱 중에 어긋나거나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가설 및 시공오차에 대한 기준을 확인한다.

(가) 철근 배치의 시공허용오차는 <표 2-17>의 값으로 하여야 한다.


<표 2-17> 철근 배치에 관한 시공 허용오차

항 목 시공 허용 오차
- 설계치수의 ±3% 또는 ±30mm 중에서 작은 값. 다만 최소 피복두께는 확보하여
유효 높이 야 한다.
- 바닥판의 경우 설계치수의 ±10mm로 하고 소요 피복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나) PS강재 배치에 관한 시공 허용오차는 <표 2-18>의 값으로 하여야 한다.

<표 2-18> PS강재 배치에 관한 시공 허용오차

항 목 시공 허용 오차
주요한 설계단면의 양측
PS강재 중심과  설계치수의 ±5% 또는 ±5mm 중에서 작은 값.
 의 범위 (  :지간 )
부재연단과의 
거리 설계치수의 ±5% 또는 ±30mm 중에서 작은 값.
기타의 범위
다만, 최소 피복두께는 확보하여야 한다.

(다) 부재치수의 시공허용오차는 <표 2-16>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56
2-2. 교량주요자재의 품질검증 작성

학습 목표 • 구조나 성능확보를 위한 교량 자재의 품질을 검증할 수 있도록 검증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요령

1. 교량시공의 품질관리를 위한 점검개요


점검개요에 포함할 내용은 공사명, 발주자, 시공자, 공사위치 및 금액, 공사감독자 및 감
리자, 공사개요와 현장대리인인 입회자와 품질점검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2. 품질관리계획에 대한 점검사항

(1) 건설공사 정보
발주자 요구사항의 결정 및 충족 여부를 확인한다.

(2) 현장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가) 현장품질방침의 수립 여부 확인

(나) 현장 품질목표 설정, 추진계획의 수립 및 실행 여부 확인

(다) 품질관리계획 실행과 관련하여 시공자의 참여를 위한 동기부여 확인

(3) 책임 및 권한

(가) 조직편성 및 적정인력 배치 여부 확인

(나) 각 조직인원의 업무분장 실시 여부 확인

(4) 문서관리, 기록관리 및 자원관리

(가) 품질관리계획을 운영하는 방식의 적절성 확인

(나) 품질기록의 보관 및 보호상태를 확인

(다) 품질관리(검사, 시험 등) 업무 수행자의 적격인력배치 여부

(라) 품질관리에 필요한 자원(시설, 장비, 인력 등)의 적정 확보 및 유지 여부를 확인

(5) 설계관리

(가) 설계계획의 수립 여부 및 적절성 확인

(나) 설계입력 기준의 적절성과 설계출력물의 관리 여부를 확인

(다) 설계검토, 설계검증 및 설계타당성 확인의 실시 여부 및 방법의 적절성을 확인

57
(6) 건설공사 수행준비로서 설계도서, 법규 및 KS 규격 등의 시공 전 검토 여부 확인

(7) 계약변경(설계변경 포함) 관리의 적절성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종사자의 교육훈련 실시 여부를 확인

(8) 품질관리계획의 이행과 건설공사 운영을 위한 내·외부 의사소통의 적절성과 민원,


발주자(감리자) 불만에 대한 처리 여부를 확인

(9) 공사관리

(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종의 파악, 관리계획의 수립 및 이행 여부를 확인

(나) 안전관리 및 환경관리 여부를 확인

(다) 시공상세도, 준공도의 관리 여부를 확인

(10) 중점품질관리 대상의 관리 여부를 확인

(11) 검사 및 시험계획에 대한 항목, 합격판정기준, 빈도 등의 적절성과 자재 공정검사


의 적기 실시 여부와 검사 및 시험결과에 대한 기록의 적절성 확인

(12) 불일치 공사(자재포함), 하자 발생에 대한 발주자(감리자)와의 처리방법 협의 및 이


행의 적정성 확인

(13) 품질관리계획의 적합성, 효과성, 이행성 등에 대한 자체 품질점검을 실시하고 부적


할 경우 필요한 조치의 실행 여부를 확인

(14) 공사준공 및 인계관리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

3. 품질시험계획에 대한 점검사항

(1) 품질시험·검사에 필요한 관련자료의 구비·활용 여부를 확인

(2) 품질시험계획 내용의 적정성 여부

(가) 주요 자재의 검사포함 여부를 확인

(나) 주요 공정의 검사포함 여부를 확인

(3) 품질관리 관련 법령·규정, 품질시험계획에 필요한 품질관리자, 시설 및 장비 등의


적정성 확보 여부를 확인

(4) 품질시험계획에 따른 품질시험·검사의 적기, 적정빈도 실시 여부를 확인

58
수행 내용 /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검증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공사계약일반조건(기획재정부)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교량자재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강재 자재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강재 자재의 품질관리시험이 필요한 경우에 계약상대자는 KS에 등재되지 않은 재


료나 규격증명서와 제품의 대조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추가시험이 필요할 시에는

59
자재품질관리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품질검사 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가 제출된 자재, KS표시품,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


질검사를 받았거나 품질을 인증 받은 자재에 대해서는 품질시험 또는 검사를 실시
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강재의 자재품질관리 시험 중 일반시험은 다음에 준하되 해당강재에 적합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이 시험 이외의 추가시험이 필요할 시에는 해당강재 규격이
정한 제 시험 기준에 따른다.
<표 2-19> 강재의 일반시험 기준

시험 항목 시험 기준
금속재료 인장 시험방법 KS B 8082
금속재료 굽힘 시험방법 KS B 0804
브리넬 경도 시험방법 KS B 0805
로크웰 경도 시험방법 KS B 0806
금속재료 충격 시험방법 KS B 0810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지시모양의 분류 KS B 0816

* 시료의 시험면에 강구로 움푹 패인 오목부를 만드는 데 필요한 하중(kg)을 영구


오목부 표면적(㎟)으로 나눈 값을 브리넬 경도라 하며, 강구압자로 시료표면에 정하
중을 가하여 하중을 제거한 후에 남는 압입자국의 표면적으로 하중을 나눈 값을 로
크웰 경도라 한다.

2. 용접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용접봉 및 플럭스

(가) 구조용 강판, 형강, 관, 단관 및 강봉에 사용할 용접봉은 해당 KS에 합치해야


하며, 실제 사용할 위치와 기타조건에 대하여 제작자가 추천하는 크기와 분류
번호를 가진 피복된 용접봉이나 철선이어야 한다.

(나) 용착금속은 해당 KS의 요건에 합치하여야 한다.

(다) 모재의 종류와 용접방법에 따라 사용할 용접봉은 해당사용 규격별 용접시험 결


과와 성적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라) 용접봉은 제조연월일, 공급시기 등이 가급적 동일한 제품으로 한다. 다만, 용접


용강 와이어 감기모양, 감기치수 및 무게는 KS B 0952기준에 따른다.

(마)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플럭스와 용접와이어에 대해서는 두 재료의


조합시험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보호가스

(가) 피복아크용접 및 플럭스코어드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보호가스나 보호가스 혼합


물은 이슬점이 –40℃ 이하인 용접등급을 가져야 한다.

60
(나) 제작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가스 및 가스혼합물이 사용기준에 적합해야 하며 이
슬점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가스제조업자의 인증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스터드

(가) 제작자는 스터드 제품의 품질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나) 현장품질관리를 위하여 스터드의 추가 인장시험이 필요한 경우, KS B 0801의


표준시편 4호를 기준으로 KS B 0802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3. 교량 조립 및 설치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강재 및 제작품은 강재의 해당요건에 따른다.

(2) 측량, 계측 및 검사

(가) 시공측량은 부재의 조립설치 시 본조임 전후에 실시하여 시공상태를 확인하여


야 한다.

(나) 주요부재는 시공 시 설치공법에 따른 변형과 응력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


한 곳에 소정의 계측장비를 설치하여 시공상태를 확인 점검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재료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가)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관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표 2-20>의 값


으로 하여야 한다.
<표 2-20>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 개시 및 워커빌리티가 좋고, 품질이
외관관찰
콘크리트의 상태 타설 중 수시 균질하며 안정할 것
30㎜ 이상 80㎜ 미만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 허용오차 ±15㎜
슬럼프 KS F 2402 채취 시 및 타설 중 품
80㎜ 이상 180㎜ 미만
질 변화가 인정될 때
: 허용오차 ±25㎜
KS F 2409
공기량 KS F 2421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허용오차: ±1.5%
KS F 2449 채취 시 및 타설 중 품
온도 온도 측정 질 변화가 인정될 때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단위질량 KS F 2409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바닥 잔골재를 사용할
KS F 4009
염소이온량 경우 2회/일, 원칙적으로 0.3kg/㎥
부속서 1의 방법
그 밖의 경우 1회/주

(나) 워커빌리티의 검사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 및 슬럼프가 설정치를 만족하는지 그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재료분리 저항성을 외관관찰에 의해 확인하여야 한다.

61
(다) 강도검사는 콘크리트의 배합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배합검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 2-21>에 따라 압축강도 시험에 의한 검사를 실시한다.
이 검사에서 불합격된 경우에는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의 강도검사를 실시하
여야 한다.

(라) 내구성 검사는 공기량, 염소이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내구성으로부터 정


한 물-결합재비는 배합검사를 실시하거나 강도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마) 검사결과 불합격으로 판정된 콘크리트는 사용할 수 없다.

(2)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

(가)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검사는 <표 2-21>에 따른다.


<표 2-21>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 품질검사

시험·검사 판정기준
종 류 항 목 시기 및 횟수
방법   ≤35MPa   > 35MPa

·연속 3회 시험값
·연속 3회 시험값
의 평균이 설계
설계기준 의 평균이 설계기
1회/일, 또는 기준 압축강도
압축강도로부터 준 압축강도 이상
구조물의중요도 이상
배합을 정한 압축강도 ·1회 시험값이(설
KS F 와 공사의 ·1회 시험값이설
경우 (일반적인 계기준 압축강도
2405의 규모에 따라 계기준 압축강도
경우 재령 -3.5MPa) 이상
방법* 100㎥마다 1회, 의 90% 이상
28일)
배합이 변경될
때 마다 압축강도의 평균값이 소요의
그 밖의 경우 물-결합재비에 대응하는 압축강도
이상일 것

* 1회의 시험값은 공시체 3개의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값

(나)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일반적인 경우 조기재령의 압축강도에


의한다. 이 경우 공시체는 구조물의 콘크리트를 대표하도록 채취하여야 한다.

5. 신축이음 재료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신축이음의 고무는 인장시험, 경도시험, 인열시험, 가열노화시험, 압축영구줄음률


시험, 오존균열시험을 실시하고 강재는 항복점(또는 내력), 인장강도, 연신율, 굽힘
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시험하여야 한다.

(2) 신축이음의 제품시험은 수축신장시험과 피로반복시험을 실시한다. 시험방법은 KS F


4425의 “교량 신축이음장치 시험방법”에 따른다.

62
6. 교량받침 재료의 품질관리를 확인한다.

(1) 탄성받침의 성능시험을 확인한다.


탄성받침의 성능시험은 KS F 4420에 규정된 완제품 성능시험 규정 및 시험방법에 따
라 시험하며 그 기준을 요약하면 <표 2-22>와 같다.
<표 2-22> 탄성받침 성능규정

시 험 항 목 품 질 기 준 비 고

(Gk) kgf/㎠
7.14(0.7) 9.18(0.9) 11.73(1.15) 23℃ ± 2℃
(MPa)
전단 -25℃±2℃에서 7일간
계수 저온 G(저온) ≤ 3Gk
냉각

노후화 G(노후화) ≤ Gk + 1.53kgf/㎠(0.15MPa) 70℃에서 3일간

대기온도 최대변형률에서 고무의 균열이 없어야 한다. 23℃ ± 5℃


전단
부착
노후화 최대변형률에서 고무의 균열이 없어야 한다. 70℃에서 3일간

·최대하중에서 고무에 균열이 없어야 하고 보


강 강판의 배치가 정확하여야 한다.
압축강도 23℃ ± 2℃
·정적압축 탄성계수(Ecs)는 최대하중 30~100%
사이에 결정한다.

시험반복횟수:
압축반복 재하 ·압축계수 증가율이 피로시험전의 12% 이내 2,000,000회,주파수<3Hz
(피로시험) ·부착결함, 균열이 없어야 한다. 응력변화는 7.5MPa ~
25MPa 이내
편심 재하시험 편심이 가해진 상태에서 최대회전각의 검증 23℃ ± 2℃

23℃ ± 2℃
정적
복원모멘트 압축하중 7MPa로
회전 설계값 이내
(Me) 회전 0.03Hz 이하
주파수로 10회반복재하

압축응력 1.3 G·SF,


오존저항시험 균열이나 부착결함이 없어야 한다. 전단변형률 Vx=0.7·T0,
23℃±5℃에서 72시간

(2) 포트받침의 성능시험을 확인한다.

(가) 포트받침의 성능시험은 KS F 4424(교량 지지용 포트받침)에 따라 실시한다.

(나) 디스크받침의 성능시험은 1시간 동안 설계용량의 150%까지의 하중과 0.02rad의


회전량과 설계회전량 중에서 큰 회전을 함께 가해서 실시한다.

63
(다) 받침은 시험동안 그리고 시험 후에 분해하여 육안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돌출
되거나 변형된 폴리에테르 우레탄 또는 PTFE, 손상된 구속링 또는 균열이 발생
한 강재 등과 같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결함은 불합격의 원인이 된다. 시험하는
동안에 폴리에테르 우레탄 디스크와 받침판 사이에서 그리고 상부 미끄럼 강판
과 상부 받침판 사이에서 연속적이고 균일한 접촉이 유지되어야 한다. 들뜬 것
이 발견되면, 이것은 해당 로트의 불합격요인이 된다.

수행 tip

Ÿ 교량설계의 대상과업과 유사한 공사시방서를 활용하


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교량자재의 카탈로그 사진을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현장답사를 통하여 주요자재의 시공사례를 보면서 확
인한다.
Ÿ 재료에 따른 성능분석 및 구조적인 장·단점을 검토
하여 실습을 수행한다.

64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시공을 위한 각종 교량 자재의 성능기준과 재료기준을 제시하고 설명한다.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학습한다.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시험방법에 대해서 전반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험방법을 학습한다.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고 가설 및 시공오차에 대한 일반사


항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기타 필요사항을 확인하여 교량시공단계에서 합리적인


시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교량설계 및 시공 시에 확인해야 할 교량자재의 품질관리기준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발주처와의


승인과정을 학습한다.

• 품질검사의 판정기준에 대해서 설명하고 교량자재의 성능시험 확인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학습 방법

• 교량설계에서 적용하는 주요자재인 철근, 콘크리트, 강재, 교량받침, 신축이음, 동바리 및 거푸집,
교면방수 등의 성능기준을 학습한다.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시공방법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품질 및 성능을 학습하고 가설 및 시공오차에 대한 일반사


항을 숙지하여 실무에서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교량설계 및 시공 시에 확인해야 할 교량자재의 품질관리기준을 학습하고 발주처와 협의해야


할 내용을 숙지하여 추후 논란이 없도록 시방서를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65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각종 교량 자재의 성능기준, 시험 및 시공방법 등을


표기할 수 있다.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 자재의 품질, 성능 및
기타 필요사항들을 시방서에 표현할 수 있다.

교량 주요자재의 - 구조나 성능확보를 위한 교량 자재의 품질을 검증할


품질검증 작성 수 있도록 검증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시공을 위한 각종 교량 자재의 성능기준과 재료기
준을 분석

- 교량자재의 시공방법의 기본적인 내용분석

교량 주요자재의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시험방법에 대한


품질기준 작성 분석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분석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기타 필요사항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분석

교량 주요자재의 - 교량자재의 품질관리기준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분석


품질검증 작성 - 교량자재의 성능시험기준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분석

66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시공을 위한 각종 교량 자재의 성능기준과 재료기


준을 작성

- 교량자재의 시공방법의 기본적인 내용작성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시험방법에 대한


교량 주요자재의
내용작성
품질기준 작성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품질 및 성능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작성

- 도면에서 표현이 불가능한 교량자재의 기타 필요사항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작성

- 교량자재의 품질관리기준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작성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검증 작성
- 교량자재의 성능시험기준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내용작성

피드백

1. 사례연구 평가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교량자재의 성능기준과 재료기준을 확인하고 자재의 시공방법
과 시험방법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교량설계사례 등을 수집하여 정리하게
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이러닝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설계 및 교량시공 예를 통
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평가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 및 능력단위 요소를
바탕으로 비교적 간단한 교량 시공 예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공법예 및 사례를 중심으로
엔지니어링과 응용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67
학습 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LM1402010408_14v2.1)
학습 2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2)

교량설계 가설공법 작성하기


학습 3
(LM1402010408_14v2.3)
학습 4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4)

3-1. 가설공법 중점관리항목 작성

• 구조물의 운송계획 및 조립, 가설에 대한 시공방법을 파악하여 교량가설 시의 제작 및 시


학습 목표
공관리를 위한 중점관리항목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구조물 운송 및 보관

1. 구조물 운송조건을 확인한다.

(1) 시공자(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이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구조물의 규모, 중량,


및 형상과 교량가설지점까지 운반로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운송방법을 계획하
여야 한다.

(2) 도로 운송 시 국토해양부에서 정한 운행제한 차량 등 법령에 의한 차량제한 규정을


검토하여 운송방법을 결정한다.

(3) 철도운송은 철도 노선별 최소곡선반경, 터널크기, 전철, 건축한계 제한구간, 교량


현장 근접역 하역 또는 하역조건 등을 검토하여 운송방법을 결정한다.

(4) 구조물 운송 절차 및 방법에 대해서는 감독자를 포함한 현장 관계자와 협의하여 결


정한다.

(5) 현장 반입 시 구조물은 가급적 현장 내에서 2차 운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립장까


지 운송한다. 부득이 2차 운송이 필요한 경우는 안전하게 운송되도록 이에 대한 계
획을 수립한다.

68
(6) 시공자는 최종검사가 끝난 구조물을 운송 중에 변형, 파손, 분실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현장 설치 작업순서에 따라 포장 목록표를
작성한다.

(7) 중량이 50kN 이상의 부재는 그 중량 및 중심위치를 눈에 잘 띄는 곳에 표시한다.


중량물의 경우 리프팅 러그를 무게중심 또는 취급하기 편리한 위치에 견고하게 부
착한다.

2. 구조물 보관방법을 확인한다.


구조물의 보관은 받침목 또는 지지목을 설치하여 구조물의 변형 또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
도록 한다. 구조물을 겹쳐서 적치하는 것은 가능한 피하며, 조립에 편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수행 내용 / 교량시공의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69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필요한 각 공종의 내용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 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항목을 확인한다.

1. 교량 바닥판공 타설준비를 확인한다.

(1) 교량 바닥판은 차량하중과 온도의 영향을 직접 받고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영


향을 크게 받는 부재이므로 설계도서를 충분히 검토하여 시공계획을 수립하고 시공
에 임하여야 한다.

(2)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전 기능공을 모아놓고 각자 임무를 부여한 후 면마무리, 바이


브레이터 사용 등의 작업에 대한 사항과 교량 난간에서의 추락 등의 안전에 대한
교육을 사전에 실시하도록 한다.

(3) 펌프카 고장 발생 시 대비책을 사전에 강구하여야 한다.

(4) 우기를 대비하여 비닐을 준비한다.

(5) 양생제 살포 후 마대를 덮고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6) 연약지반상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바닥판을 타설하는 교량은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


록 사전에 조치한 후 감독원의 승인하에 시공한다.

(7) 상부 바닥판 타설 전 교량받침 고정을 철저히 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교량받침 위


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교량받침의 임시 잠금장치는 바닥판 타설 후 제거토록
한다.

2. 중공 슬래브교 시공준비를 확인한다.


타설 시의 콘크리트는 거의 유체와 같으므로 중공관에 의해 공제된 부피만큼의 부력이 발
생한다. 따라서 부력에 의해중공관이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70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PSC) 시공준비를 확인한다.

(1) 제작장을 선정한다.

(가) 거더 제작과 야적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나) 제작 중 지반의 부등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 제작된 거더의 반출이 용이한 곳이어야 한다.

(라) 홍수위(H.W.L) 이상의 안전한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2) PSC 거더 제작대를 설치한다.

(가) 제작대는 빔 제작, 인장, 보관 시 지반침하(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지지력과 평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나) 제작대는 지반면보다 높게 하여 작업 중 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배수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 제작대의 횡방향 간격은 작업자가 충분히 통행할 수 있고 거푸집 조립 및 해체


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넓어야 하며, 불의의 사고로 거더가 전도하더라
도 인근거더가 연속적인 피해를 입지 않도록 충분히 넓은 간격과 수평을 유지
하여야 한다.

(라) 거더의 정방향은 인장 및 그라우팅 장비가 충분히 작업할 수 있는 간격을 유지


하여야 한다.

(마) 제작된 순서대로 거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운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바) PS강재의 인장작업 시에 침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반과 거푸집 지지대를


견고히 하여야 하며, 보의 자중과 철제 거푸집의 중량으로 인한 변형이 일어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시공계획서 항목을 확인한다.

(1) 표준작업순서 및 1세그먼트 압출까지 소요일수

(2) 몰드장 건설 및 몰드 및 노즈 제작·운반, 노즈 거치

(3) 거푸집 및 동바리설치, 압출작업대 및 비계설치

(4) 철근가공조립, 강연선배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5) 가설용 강연선의 긴장 및 그라우팅, 거푸집(몰드)제거, 압출작업

(6) 완성용 강연선의 긴장 및 그라우팅, 교량받침설치 및 임시지지판 제거

5. F.C.M(Free Cantilever Method) 시공검토 항목을 확인한다.

(1) 주두부에 대한 솟음검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2) 시공이음부 처리 및 세그먼트 제작, 가설하중

71
(3) 키 세그먼트 접합 및 처짐관리, 가고정 설비

6. F.S.M(Full Staging Method) 시공검토 항목을 확인한다.

(1) PSC 박스 거더용 거푸집과 가설공정 키(Key)

(2) 지보공 및 지보공의 기초

(3)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방법, PSC 박스 거더 인장작업을 위한 작업대

7. M.S.S(Movablel Scaffolding System) 시공준비를 확인한다.


M.S.S는 크게 3개 부문, 즉 교각에 지지대로 사용하는 Pier Bracket, 주거더(Main Girder),
거푸집(Formwork)으로 구성된다. 추진코(Nose)는 추진(Launching) 시 캔틸레버의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며, 이동식 비계의 캔틸레버 처짐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8. P.S.M(Precast Segmental Method) 상부구조 가설순서를 확인한다.

(1) 가설 트러스 정치 후에 세그먼트 베어링은 트러스 후반부로 전부 이동한다.

(2) 세그먼트 거치과정을 확인한다.

(가) 제작장에서 제작된 세그먼트를 운반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하고, 세그먼트는 정


치된 트러스 위에 거치한다.

(나) 거치된 세그먼트는 윈치(Winch)를 이용하여 정위치로 이동한다.

(다) 첫 번째 세그먼트와 두 번째 세그먼트는 300mm의 간격을 유지한다.

(라) 그 이후의 세그먼트는 35mm의 간격을 유지하며 거치한다.

(3) 세그먼트 거치가 완료되면 계산된 종단 및 평면의 선형에 따라 세그먼트를 조정한다.

(4) 세그먼트 조립과정을 확인한다.

(가) 첫 번째 세그먼트는 윈치를 이용하여 기 시공된 지점부 세그먼트와의 사이에 쐐


기판(Shim Plate)을 설치하고 150mm의 간격을 유지한 후 P/T강봉으로 인장한다.

(나) 두 번째 세그먼트는 접착 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첫 번째 세그먼트와 정착시킨


후 강봉으로 인장한다.

(다) 같은 방법으로 표준 세그먼트의 조립이 끝난 후 표준 세그먼트와 지점부 세그


먼트사이에 쐐기판(Shim Plate)을 설치하고 150mm의 간격을 유지한 후 P/T강봉
으로 인장한다.

(5) 세그먼트 조립이 완료된 후 현장마감(Closure Joint)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


트를 치고 양생한다.

(6) 종방향 및 횡방향 인장

(가)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강도가 21MPa 이상이 되었을 때 종방향 인장을 실시한다.

72
(나) 표준 세그먼트는 제작장에서 100% 횡방향인장 후 가설하고 지점부 세그먼트는
제작장에서 2개, 가설트러스 제거 후 현장에서 1개(총 3개)를 횡방향 인장한다.
신축이음부 세그먼트는 제작장에서 2개, 가설 트러스 제거 후 현장에서 2개(총
4개)를 횡방향 인장한다.

(7) 가설트러스를 이동한다.

9. 사장교는 주탑, 보강거더, 케이블의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10. 현수교는 주탑, 보강거더, 케이블의 시공방법을 확인한다.

73
3-2. 가설공법의 안전관리·공사관리방안 작성
• 가설 시의 중점관리 항목별로 품질 및 안전관리를 위한 대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가설 시의 중점관리 항목에 대해 시공단계별로 공사관리 계획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어 정리

1. 안전관리의 정의
건설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의 착공에서 준공에 이르기까지 공사현장에
서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실시하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제반활동을 말한다.

2. 안전관리계획서의 정의
건설공사의 착공에서 준공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제반 기
술적 안전관리 활동계획을 명시한 자료를 말한다.

3. 안전관리자의 정의

(1) 안전총괄책임자는 건설공사의 현장대리인으로서 제반 안전관리 업무를 총괄 관리하


는 자를 말한다.

(2)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는 토목, 건축, 전기, 기계, 설비 등 공사 각 분야별 시공·


안전관리를 지휘하는 자를 말한다.

(3) 안전관리 담당자는 공사현장 최일선에서 시공·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기술자를 말한다.

4. 안전점검의 분류
건설기술 관리법 시행령 제 95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업자나 주택건설등록업자가 실시하
는 점검을 말한다.

(1) 정기안전점검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항 제2호에 의하여 건설업자나


주택건설등록업자가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동안 안전관리계획서 또는 통합계획서의
안전점검계획에서 정한 실시 시기와 횟수에 따라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말한다.

(2) 정밀안전점검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95조 제1항 제3호의 규정에 의하


여 정기안전점검 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기능적 결함 등이 있을 경우 보수·보강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건설안전점검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는 안전점
검을 말한다.

(3) 건설공사를 준공하기 직전에 실시하는 안전점검(초기점검)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

74
법 시행령 제93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 건설공사를
준공하기 직전에 제 95조 제1항 제4호의 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정기안전점검 수
준 이상의 안전점검을 말한다.

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1. 안전관리계획서

(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 조직 등 건설


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안전관리계획을 작성한 때에는 감독원 또는 감리원의 검토·확인을


받아 건설공사를 착공(건설공사 현장의 부지정리 및 가설사무소의 설치 등의 공사
준비 행위는 착공으로 보지 않는다)하기 전에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안전관리계획을 제출받은 발주자나 행정기관의 장은 15일 이내에 안전관리계획의


내용을 심사하여 계약상대자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여야 한다.

2. 안전관리계획의 수립하기

(1)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1종 시설교량은 특수교량(현수교, 사장교, 아치


교, 트러스교), 최대경간장 50m 이상의 교량(한 경간교량은 제외), 연장 500m 이상
의 교량을 말한다.

(2)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2종 시설교량은 연장 100m 이상의 교량으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교량, 경간장 50m 이상의 한 경간 교량을 말한다.

3. 안전관리 계획서 작성기준 확인하기

(1) 공사개요에는 위치도, 전체공정표, 설계도서를 포함한다.

(2) 시공안전, 공사장 주변 안전에 대한 점검확인 등을 위한 안전관리조직을 포함한다.

(3) 자체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 시기, 내용, 안전점검표 등의 공정별 안전점검계획을


포함한다.

(4) 공사 중 지하매설물의 방호, 인접시설물의 보호 등 공사장 및 공사현장 주변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다.

(5) 교통소통, 교통안전시설, 교통사고예방 등을 포함한다.

4. 대상시설물별 세부 안전계획 확인하기

(1) 가설공사

(가) 구조물 설치 개요, 시공 상세도면, 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점검계획 및 점검표,


가설물 안정성계산서

75
(2) 굴착 및 발파공사

(가) 굴착, 흙막이 발파, 항타 등의 개요, 시공상세도

(나)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다) 안전점검계획 및 안전점검표

(라) 굴착, 비탈면, 흙막이 등의 안전성 계산서


<표 3-1> 흙막이작업 공정흐름

강재반입 파일천공·근입 흙막이설치 자재반출

흙막이
해체

(3) 콘크리트 공사

(가) 거푸집, 동바리, 철근 콘크리트의 공사개요, 시공상세도

(나)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다) 안전점검 및 안전점검표

(라) 동바리 등의 안전성계산서

(4) 강 구조물 공사

(가) 자재 장비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나)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다) 안전점검계획 및 안전점검표

(라) 안전성 계산서

(5) 흙쌓기 및 땅깍기 공사

(가) 자재 장비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나)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다) 안전점검계획 및 안전점검표

(라) 안전성 계산서

76
수행 내용 / 교량시공의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필요한 각 공종의 내용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77
수행 순서

 교량 가설공사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 대책을 확인한다.

1. 교량 바닥판공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거푸집, 동바리, 비계에 대한 품질 및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가) 거푸집
1) 거푸집 표면상태 및 박리제 도포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2) 가로 버팀대 및 세로 버팀대의 간격이 바닥판 콘크리트의 중량에 대해서 적절
히 되어 있는가 확인하여야 한다.
3) 폼 타이(Form-Tie) 혹은 타이볼트(Tie-Bolt)의 간격이 적절히 배치되었고 종·횡
방향으로 열이 맞는가 확인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타설 전 조임장치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5) 거푸집의 제거시기를 결정할 때는 구조물의 특성, 위치, 기후와 콘크리트의
경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나) 동바리
1) 동바리 및 비계는 면밀히 검토한 후 시공한다. 특히, 교량 상부공사 중의 사고
(침하, 전도, 붕괴, 추락 등)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공 전에 현장 여건을
고려한 구조검토를 수행하고 시공 시 시방에 의한 관리를 철저히 한다.
2) 일반적으로 동바리는 목재 및 강재로 설계되지만 현장 여건에 따라 감독원의
승인을 득한 후 그 공법을 달리할 수 있다.
3) 동바리를 받칠 원지반이 견고한가를 조사하고 견고하지 않을 경우 바닥을 다
져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한 후 콘크리트를 치거나 H-Beam 등을 설치하여 원
지반을 보강한다.
4) 고정하중 및 작업하중을 고려한 동바리의 안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5) 콘크리트 타설 도중 동바리에 변형이 오면 즉시 타설을 중지하고, 변형원인을
규명하여 더 이상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다) 비계
1) 비계는 안전을 고려한 도면을 작성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얻은 후 설치한다.
2) 직접기초 위에 비계를 지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 바닥을
충분히 다져 지지력을 확보한 후 콘크리트를 치거나 H-Beam 등을 설치하여
원지반을 보강한다.

(2) 바닥판 타설에 대한 품질 및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가) 바닥판의 거푸집 바닥은 가로보(Cross Beam)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야 하


며, 거푸집 조립 후 모르타르가 새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틈을 철저히 조사하여

78
틈 발생부위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나) 데크피니셔 레일 설치는 편경사에 맞추어 배수처리에 이상이 없도록 하고, 바


닥판 콘크리트 타설 전 데크피니셔 [약 29.4kN(약 3tonf)]를 가동하여 침하량을
측정하고 침하량을 보정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다) 데크피니셔의 가동은 종단경사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실시하고 동일 종단


의 경우 데크피니셔 드럼의 가동은 편경사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실시한다.

(3) 바닥판의 양생관리를 확인한다.

(가) 양생 시 외부온도변화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양생방법과 순서 및 이에 소모


되는 자재, 장비에 관하여 사전에 감독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나) 양생 후 발견된 균열에 대해서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하며, 추후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발생위치·규모·원인·발전과정·보수공법 등을
기록한 보고서를 준공 시 설계도서에 포함하여 별도 제출하여야 한다.

2. 중공슬래브교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콘크리트 타설 중 콜드조인트(Cold Joint)가 생기지 않도록 콘크리트 타설계획을 수


립하여 감독원의 확인을 받은 후 시행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타설은 전 경간의 중앙부터 300mm 두께 이하로 타설하며, 동바리에 균등


한 하중이 재하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중공관 부상방지용 간격재는 500mm 간격으로 느슨하지 않도록 묶고 정위치에서 이


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PSC)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덕트 및 강선배치를 확인한다.

(가) PS 강재 및 덕트는 긴장재에 인장력을 줄 때 지장이 없도록 콘크리트 블록, 강


재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콘크리트를 칠 때 거푸집과의 상대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PS 강재(프리텐션) 및 덕트(포스트텐션)의 배치가 끝나면 손상 및 위치의 정확


성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손상된 PS 강재나 덕트가 있으면 교체하여야 하고
부정확한 위치는 수정하여야 한다.

(다) PS 강재 및 덕트 배치의 허용오차는 부재치수가 1m 미만인 경우에는 5mm를


넘지 않아야 하고 1m 이상인 경우에는 부재치수의 1/200을 넘지 않아야 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10mm를 넘지 않아야 한다.

(2) 정착 및 접속장치의 조립배치를 확인한다.

79
(가) 정착장치의 지압면은 PS강재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나) PS강재를 이어대는 경우 접속장치는 강재에 인장력을 줄 때 인장측으로 충분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의 배치가 끝나면 반드시 검측을 하고 파손된 것은 보수


하거나 재설치하여야 한다.

(3) 거푸집 설치 및 검사를 확인한다.

(가) 거푸집판의 모든 이음부는 모르타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폴리스틸렌(Polystyrene)


수지 또는 기타 승인된 재료를 이용하여 얇은 띠로 밀봉하여야 한다.

(나) 포스트텐션 부재의 거푸집은 부재의 수축에 대한 저항을 최소로 하는 (수축할


때는 저항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 거푸집은 공사 중에 받는 연직방향 하중, 횡방향 하중, 및 콘크리트의 측압 등


을 고려하여 유해한 변형 및 침하를 일으키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 시공하
여야 한다.

(4) 강선 인장작업을 확인한다.

(가)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시기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구조계산서의 프리스트레스 도


입 시 강도(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해 정착부의 일반영역에 발생하는 최대 압
축응력의 1.7배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부재의 양생
조건과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시킨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프리텐션 부재에서는
30MPa, 포스트텐션 부재에서는 28MPa이 될 때까지 콘크리트에 힘을 가하지 않
아야 한다.

(나) 강선 인장 작업에서 실측된 신장량과 이론적 계산치 사이의 차이는 이론적 계


산치의 ±5% 이내로 관리되어야 한다.

4.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


를 확인한다.

(1) 몰드장 및 노즈 제작설치를 확인한다.

(가) 몰드장 기초는 교량상부 추진 시 침하가 발생하지 않을 만큼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나) 노즈는 조립 거치 시 노즈의 하단과 박스의 하단이 동일 평면에 있어야 한다.

(2) 받침 및 슬라이딩 패드를 확인한다.

(가) 가설받침의 표면은 매우 매끈하여야 하며 각 점간의 평원도는 0.2mm보다 커서


는 안 된다.

(나) 가설 받침 표면의 스테인리스 강판은 인장력을 받았을 때 최대 평원정도가

80
0.003mm 이내이어야 한다.

(다) PSC BOX(지점부)의 매립 플레이트 주변 콘크리트는 압출 또는 공용 중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로 제시된 보강 방안을 현장 여건에 따라 적용하여야 한다.
1) 매립 플레이트 단부 콘크리트 블록아웃
2) 매립 플레이트 단부 라운드 처리 및 스터드 형식의 전단연결재 사용
3) 매립플레이트는 횡방향으로 PSC BOX단부까지 연장하여 설치
4) 매립 플레이트와 주철근 사이의 순 피복 확보

(3) 압출작업을 확인한다.

(가) 압출장치는 거더를 지지하고 원활하게 압출하며 지진에 의한 수평력이 작용할


때 거더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나) 압출장치는 압출 시의 계산 외에 비틀림 및 휨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도록 압출


시의 받침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 압출 노즈는 압출 노즈에 작용하는 최대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휨모멘트, 전


단력, 지압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는 단면을 가진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5. F.C.M(Free Cantilever Method)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


인한다.

(1) 주두부 시공을 확인한다.

(가) 가시설의 계획 및 구조계산서에는 주두부 분할시공에 따른 단계별 솟음의 변화


와 최초 설치시의 표고를 표시하여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나) 동바리는 마지막 상부 슬래브면의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철


거해서는 안 된다.

(다) 주두부 및 슬래브 면은 숙련된 기능공에 의하여 평탄하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라) 거푸집 설치 후 검측을 받고 철근 및 PS강재설치를 하여야 한다.

(2) 시공 이음부 처리를 확인한다.

(가) 이미 양생된 콘크리트 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나) 세그먼트 사이의 시공이음부는 표면처리를 철저히 하여 접착강도가 충분히 발


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전단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세그먼트 제작을 확인한다.

(가) 솟음관리표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한 후 어떠한 자재도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점 기준값에서 검측을 받아야 하며, 내공단면도 콘크리트 타설 전·후에 확
인하여야 한다.

(나) 콘크리트 타설순서는 세그먼트의 중앙부에서 양단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정착

81
기구가 콘크리트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진동기는 2대 이상을 가동시켜야 한다.

(다) 피막양생을 하여야 하며, 하절기에는 콘크리트 타설 마감과 동시에 비닐로 밀


착시키고 양생포를 덮어 비닐 밑으로 살포하여 습윤양생을 하여야 하고, 동절
기에는 강도발현이 지연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통풍을 억제하기 위해 슬래브
및 입구를 천막으로 막고 박스 내부에 보온시설을 하여야 한다.

(4) 가설하중을 확인한다.


상부공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판에 적재되는 장비 및 적재 등의 가설하중은 제한
하여야 한다.

(5) 키 세그먼트 접합을 확인한다.

(가) 단차의 수정 시공방법 등을 포함한 시공계획 및 아래에 제시된 사항에 대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1) 교축방향의 일치 및 수직방향의 상대변위 방지대책
2) 교축 직각방향의 상대변위 방지대책
3)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회전방지 및 시공 완료 후의 처짐변
위 방지대책
4) 키 세그먼트 콘크리트 친 후 기 완성된 F.C.M구간의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응
력에 의한 균열방지대책

(나) 중앙 키 세그먼트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이동식 거푸집차에 의하여 캔틸레버 단부의 상대변위 및 단차를 조정한다.
2) 수평버팀대(H형강)를 복부헌치에 설치 고정한다.
3) 외측 바닥판과 거푸집을 설치한다.
4) 철근 및 덕트를 조립한다.
5) 내측 거푸집을 설치한다.
6)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한다.
7) 설계도서 순서대로 중앙연결 텐던을 긴장한다.

(6) 처짐관리를 확인한다.


F.C.M의 처짐관리는 계획 종단선형과 키 세그먼트의 접합 등 종합적인 시공상황을 고
려하여 정밀하고 철저한 관리를 하여야 한다.

6. F.S.M(Full Staging Method)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가설고정 키(Key)를 확인한다.


가설고정 키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PS 강선의 긴장에 의한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따른 전단력에 견딜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가설고정 키 제거 후 제거부분은 무
수축 모르타르로 채워야 한다.

82
(2) 지보공 및 지보공의 기초를 확인한다.

(가) 지보공은 철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지보공은 설치 전에 지보공에 대한 구조계


산서 및 시공상세도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나) 지보공에 대한 높이를 결정할 때는 다음의 변위에 대한 솟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콘크리트 타설 시 지보공의 기초침하, 지보공 부재의 탄성변형, 지보공 부재
접합부의 변위
2) 콘크리트 타설 후 구조물의 탄성변위, 콘크리트 크리프 등의 소성변형

(3) 지보공 조립 및 해체시 유의 사항을 확인한다.

(가) 지보공의 기초는 공사 중 안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지반이 양호하더


라도 지반과 기초의 접촉부의 시공이 나쁘면 침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특별히 시공에 유의하여야 한다.

(나) 지보공 주변에 측구 등을 설치하여 배수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 가새 등으로 수평력을 지지할 경우에는 특정 기둥만으로 수평력을 전달시킨다.

(라) 지보공의 해체는 콘크리트 강도가 충분한지 프리스트레스가 충분히 도입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실시하여야 한다.

7.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M.S.S 장비를 확인한다.

(가) M.S.S공법은 타 공법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기는 하나 대부분 장경간 교량에


도입되는 형식으로 공기가 긴 경우가 많으므로 장비의 도장에 대해 사전 검토
하여 적정한 형식의 도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M.S.S장비는 여러 가지의 유압장비(Jack 등)로 구성되어 운영하므로 시공 전에


점검을 실시하여 유압이 동시에 고르게 작용하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2) 덕트의 설치를 확인한다.

(가) 덕트설치 전 반드시 Profile Marking 작업을 시행하여 시공 중 오차를 최소화하


여야 한다.

(나) 덕트는 소정의 위치 및 방향이 정확하게 배치하여야 하며, 간격재나 철근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배치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 덕트 설치 시 최대허용오차는 ±10mm 이내이어야 한다.

(3) Grouting Vent의 설치를 확인한다.

(가) Tendon profile상 최상단부와 최하단부에 Vent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설치할 곳의 덕트에 20mm 내외의 구멍을 내고 Vent Cap을 씌워 덕트구멍과

83
일치시켜 결속선으로 묶어 Taping을 하고, 그 안에 벤트 호스(Vent Hose)를 끼
워 결속선으로 묶어 Taping하여 밀봉하면 벤트 호스를 구조물 철근에 묶어 이
탈을 방지하여야 한다.

(4) 공종별 검측내용을 확인한다.

(가) M.S.S 받침대 설치


1) 하중지지기능(M.S.S 자중 및 상부공 하중)
2) 설치 위치(설계 계획고)

(나) M.S.S 위치고정 및 이동에 대한 준비 및 진행사항

(다) 교량받침 기초설치(교각 상단블록아웃)와 기능(규격 및 설치온도에 대한 이동)

(라) 거푸집 설치
1) 설계도면 준수 여부
2) 처짐에 대한 위치
3) 콘크리트 타설과의 관계

(마) 철근 및 덕트 설치
1) 사용재료의 적정 여부
2) 배치의 설계도면 준수 여부
3) 배치 후 변형 여부 상태

(바) 정착구 설치

(사) 강연선(Strand) 삽입
1) 사용재료의 적정 여부
2) 긴장작업을 위한 준비상태

(아) 콘크리트 타설
1) 사용 콘크리트의 적정 여부
2) 타설순서 및 다짐상태
3) 면관리 및 양생관리

(자) 긴장 작업
1) 긴장 관리의 적정 여부
2) 주입의 확실성 여부

8. P.S.M(Precast Segment Method)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세그먼트 거푸집 제작을 확인한다.

(가) 매치캐스팅(신·구 세그먼트의 완벽한 결합)이 가능하여야 한다.

84
(나) 거푸집은 개구부, 돌출부에 적용할 수 있고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다) 거푸집 설계는 선행된 세그먼트와의 이음에 있어 조밀하고 방수가 되어야 하


며, 측대(Bulkhead)는 덕트의 위치가 유지되고 그라우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
법으로 덕트의 연결이 가능하여야 한다.

(2) 세그먼트 제작을 확인한다.

(가) 각 조의 첫 세그먼트가 제작된 후 다음에 이어 생산되는 모든 세그먼트는 모든


접합면의 방향과 선형이 일치될 수 있도록 앞서 제작한 세그먼트에 이어 연속
제작을 하여야 한다.

(나) 정착구는 세그먼트 가설 후 강연선이 정착구 부재 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다) 강연선의 결속이 50% 이상 어떤 한 구간에서 집중되어서는 안 된다.

(라) 슬래브 콘크리트 표면은 숙련된 기능공에 의하여 평탄하게 마무리하고, 3m직선
자로 요철을 측량하여 ±5mm 이내이어야 한다.

(3) 가설순서를 확인한다.

(가) 가설트러스 정치 후 세그먼트 베어링은 트러스 후반부로 전부 이동한다.

(나) 제작장에서 제작된 세그먼트를 운반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하고 세그먼트는 정치


된 트러스 위에 거치한다. 거치된 세그먼트는 윈치(Winch)를 이용하여 정위치로
이동하고 첫 번째 세그먼트와 두 번째 세그먼트는 300mm의 간격을 유지한다.

(다) 세그먼트 거치가 완료되면 계산된 종단 및 평면의 선형에 따라 세그먼트를 조


정한다.

(라) 첫 번째 세그먼트는 윈치를 이용하여 기 시공된 지점부 세그먼트와의 사이에


쐐기판(Shim Plate)을 설치하고 150mm의 간격을 유지한 후 P/T 강봉으로 인장
한다.

(마) 종방향 및 횡방향 인장 후에 가설트러스를 이동한다.

(4) 이음부 처리를 확인한다.

(가) 콘크리트 타설 후 설계순서에 따라 인장력을 도입해야 하며, 단계별로 인장 전


에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시기의 강도를 확인해야 한다.

(나) 세그먼트 이음부는 전단 및 인장강도가 각 세그먼트 간에 확실히 전달될 수 있


도록 접착제로 조인트접착을 하여야 한다.

(5) 처짐관리를 확인한다.


고정하중 및 긴장력에 의한 연직방향의 변위가 매우 미소하므로 세그먼트 자체의 수
직 솟음은 두지 않으며 세그먼트 가설 시 가설 트러스 위에서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
하여야 한다.

85
8. 사장교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주탑 시공을 확인한다.

(가) 주탑 세그먼트의 형상관리에 따라 매 세그먼트별 정밀측량에 의하여 형상점검


을 시행하여 점검결과를 감독원에게 제출해야 한다.

(나) 주탑 시공 중 콘크리트의 특성상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이 발견되면 전문가


의 평가를 통해 계측관리 또는 보수·보강 대책을 강구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한 후 시행하도록 한다.

(다) 주탑 가로보를 시공하기 위한 강재동바리, 또는 기타 가시설에 대하여는 계약상


대자가 가시설계획 및 구조검토서를 감독원에게 제출·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라) 강풍으로 주탑 진동이 콘크리트에 악영향의 우려가 예상될 때에는 콘크리트를


칠 수 없다.

(2) 보강거더 시공을 확인한다.

(가) 보강거더 가설에 따라 사장재 케이블, 주탑, 보강거더에 큰 변형과 응력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계약상대자 또는 하수급인은 가설 시작 전에 시공순서에 따른
구조계산을 시행하여 가설 시의 구조물의 안전성을 조사하여 감독원에게 보고
하여야 한다.

(나) 가설 시의 구조계산에는 가설장비의 배치, 중량, 수량 등을 상세히 계획하여 계


산에 반영하여야 하며, 가설계산을 할 때에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1) 보강거더의 변형과 이에 따른 각 부재와의 간섭
2) 사장재 케이블 인입 시 장력 및 정착 웨지 풀림 또는 과긴장에 따른 손상 발
생 여부
3) 주탑 및 보강거더의 강도에 대한 구조검토
4) 가조립의 순서
5) 바람에 의한 면외 단면력과 보강거더의 강성
6) 보강거더 가설 시 변형에 의한 가설비, 기계 등의 영향

(3) 케이블 시공을 확인한다.

(가) 케이블의 가설 및 정착에 관한 사항은 시공상세도에 따르며, 주탑과 보강거더에


설치하는 정착구는 설계도서에 따라 위치 및 각도를 정확하게 시공해야 한다.

(나) 장력조정 시에는 장력 및 상부구조의 처짐을 단계별로 측정하여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9. 현수교의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를 확인한다.

(1) 주탑 시공을 확인한다.

86
(가) 주탑의 가설 후 주탑 탑정의 중심변위는 허용오차 이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나) 주탑가설 완료 후에는 탑의 높이, 탑의 연직도, 탑주 지간장, 수평재의 캠버 등


에 대해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보강거더 시공을 확인한다.

(가) 현수교의 보강거더의 운송 및 보관, 가설 및 가시설에 관한 사항은 설계도서에


상세하게 기술하여야 한다.

(나) 블록을 가설할 경우에는 기준점과 기준선을 설정하여 정밀하게 형상관리를 하


여야 한다.

(3) 케이블 시공을 확인한다.

(가) 케이블을 정착할 경우에는 시공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장력


조정 시에는 장력을 수시로 측정하여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나) 케이블 밴드의 가설 시에는 케이블 밴드의 교축 및 케이블 방향의 설치 시에


정밀도 관리를 하여야 하며 케이블 밴드 축력도 관리하여야 한다.

(다) 행거로프의 보강거더 인입에 대한 가설방법 및 형상관리는 사전에 감독원의 승


인을 받아야 한다.

수행 tip

Ÿ 교량설계의 대상과업과 유사한 공사시방서를 활용하


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교량자재의 카탈로그 사진을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현장답사를 통하여 주요자재의 시공사례를 보면서 확
인한다.
Ÿ 재료에 따른 성능분석 및 구조적인 장·단점을 검토
하여 실습을 수행한다.

87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시공을 위한 구조물의 운송조건 및 보관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한다.

• 교량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 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학습한다.

•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분류의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방법을


학습한다.

• 교량가설공사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 대책을 가설공법에 따른 기본적


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교량시공을 위한 구조물의 운송조건 및 보관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 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분류의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방법을 작성하
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가설공사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시공관리 대책을 가설공법에 따른 기본적


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88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구조물의 운송계획 및 조립, 가설에 대한 시공방법을 파


가설공법 중점
악하여 교량가설 시의 제작 및 시공관리를 위한 중점관
관리항목 작성
리항목을 작성할 수 있다.

- 가설 시의 중점관리 항목별로 품질 및 안전관리를 위한


가설공법의 안 대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전관리·공사
관리 방안 작성 - 가설 시의 중점관리 항목에 대해 시공단계별로 공사관
리 계획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구조물의 운송조건 및 보관방법에 대한 분석


가설공법 중점
관리항목 작성 - 교량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 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분석

-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분류의 기본적인 내용분석


가설공법의 안
전관리·공사
- 교량가설공사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관리 방안 작성
시공관리 대책을 가설공법에 따른 기본적인 내용분석

89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구조물의 운송조건 및 보관방법에 대한 내용 작성


가설공법 중점
관리항목 작성 - 교량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 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작성

-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 분류의 기본적인 내용작성


가설공법의 안
전관리·공사
- 교량가설공사 중점관리항목에 대한 품질 및 안전관리,
관리 방안 작성
시공관리 대책을 가설공법에 따른 기본적인 내용작성

피드백

1. 사례연구 평가
- 교량설계 시 고려해야 할 가설공법에 대한 공사종류별 중점관리항목을 확인하고 각 관리
항목에 대한 안전관리, 시공관리 대책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교량설계사례
등을 수집하여 정리하게 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이러닝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설계 및 교량시공 예를 통
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평가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 및 능력단위 요소를
바탕으로 비교적 간단한 교량 시공 예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공법 예 및 사례를 중심으
로 엔지니어링과 응용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90
학습 1 교량시공의 일반사항 명시하기(LM1402010408_14v2.1)
학습 2 교량 주요자재의 품질기준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2)
학습 3 교량 설계 가설공법 작성하기(LM1402010408_14v2.3)

특수공종 특별시방서 작성하기


학습 4
(LM1402010408_14v2.4)

4-1. 지역조건을 고려한 대책작성


• 교량가설 지역조건 상의 가설장비의 반입 제한 규정을 검토하여 장비반입시의 처리방안을
학습 목표 특별시방서에 작성할 수 있다.
• 해상 또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장비 반입시기와 관리대책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공사용 장비 용어의 정리

1. 크레인 장비를 확인한다.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2. 건설작업용 리프트를 확인한다.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설비로서 가이드레일
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또는 이
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가진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소작업대를 확인한다.
작업자가 탈수 있는 작업대를 승강시켜 높이가 2m 이상인 장소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사
용하는 것으로 작업대가 상승, 하강하는 설비를 가진 작업차량을 말한다.

 공사용 장비별로 주의해야 할 내용을 정리한다.

1. 크레인장비 작업 시 검토해야 할 내용을 확인한다.

(1) 정해진 능력 이상의 작업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91
(2) 초속 10m 이상의 강풍일 때에는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책임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크레인은 굴착된 가장자리 근처 혹은 강우와 하천의 유량증가 등에 의해서 위험 또


는 불안정한 장소에 방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건설공사용 리프트장비 작업 시 검토해야 할 내용을 확인한다.

(1) 기초와 마스트는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2) 마스트 지지는 최하층은 6m 이내에 설치하고 중간층은 18m 이내마다 설치하며, 최
상부층은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3) 지상 방호울은 1.8m 높이까지 설치하여야 한다.

(4) 접지를 확실하게 하여야 한다.

3. 고소작업대장비 작업 시 검토해야 할 내용을 확인한다.

수행 내용 / 지역조건을 고려한 대책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92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필요한 각 공종의 내용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수행 순서

 해상교량에 대한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1. 해상교량의 가설에 대한 기본방향을 확인한다.

(1) 구조물의 중량에 부합하는 장비선정 및 작업공간, 작업동선을 고려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2) 공사장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장비의 인양 작업공간 확보와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3) 구조물 인양 내용의 종합적 검토를 통하여 공사기간, 공사비용, 작업의 효율적 제고
및 지속적 피드백(Feed Back)을 위해 시공자는 실시하고 보완한다.

2. 해상교량의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1) 육상부와 해상부의 가설계획을 <표 4-1>의 예로 확인한다.


<표 4-1> 해상교량의 가설계획(예)

시점부 접속교 종점부 접속교


구간 주경간교
육상부 해상부 해상부 육상부

∙사용가도 및 도
∙공사용 가도 설 ∙공사 중 작업선박의 해상 항로확보가 필요함.
시공여건 로 확장하여 장비
치 후 상부 가설 ∙상시 해상작업이 가능함.
이동

상부 ∙Launching 가설 ∙Launching 가설 ∙F/T + 현장타설 ∙Launching 가설 ∙Launching 가설


시공
방법 ∙Floating Crane
하부 ∙ Crawler Crane ∙Crawler Crane ∙Floating Crane ∙Crawler Crane
∙Crawler Crane

* Floating Crane: 부선 크레인으로 해상교량공사 및 항만공사에서 케이슨의 건설작업


등에서 사용하는 기중기로 통상 100톤 이상이다.

93
* Crawler Crane: 하부가 무한궤도로 탱크바퀴 같이 카터필러바퀴에 Boom을 장착하여
붐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고 기동성이 좋아 건설현장에서 사용한다.
* Hydraulic Crane: 트럭위에 Boom을 장착하여 붐조절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고 기동
성이 좋아 건설현장에서 사용한다.

<표 4-2> 가설 크레인

구분 Hydraulic Crane Crawler Crane

가설장비

(2) 육상부와 해상부의 세부가설계획을 <표 4-3>, <표 4-4>, <표 4-5>의 예로 확인한다.

(가) 기초공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표 4-3> 교량기초공사 가설계획(예)

철근망 및 강관을 육상 운반한다. 철근망과 강관을 거치한다.

∙육상: 전용 트레일러 사용 ∙해상: 바지선+크레인(150ton) 운영


∙해상: 500ton급 바지선 사용

해상교량 기초거푸집을 운반 및 거치한다. 해상시공을 고려한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한다.

∙해상크레인 250ton을 이용하여 운반 및 거치 ∙해상: 바지선+크레인(150ton) 운영

94
(나) 주경간교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표 4-4> 해상 주경간 교량 가설계획(예)

타워크레인을 이용한다. Form Traveller를 이용한다.

∙타워크레인 장비를 운영 ∙철근 및 기타자재를 인양한다.


∙바지선 + 크레인 운영 ∙바지선 + 크레인 운영

(다) 접속교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표 4-5> 해상 접속교량 가설계획(예)

접속교량 상부를 런칭(Launching) 가설한다.

∙ 접속교의 상부구조를 시점부에서 런칭(Launching) 가설 후에 장비 해체 및 이동, 재조립하여 접속교


종점부까지 상부구조를 가설한다.

 육상교량에 대한 가설계획을 확인한다.

1. 육상교량의 가설 후 연속화 시공을 확인한다.

(1) 다경간 연속교량의 경우는 제작장에서 제작된 거더를 단순경간으로 가설 후에 주행


성 개선을 위해 중간지점부의 연속화처리가 필요하다.

(2) 거더 연속지점 거더와 거더간 철근연결 및 2차 강연선을 긴장한다.

95
<표 4-6> PSC거더의 연속화 시공(예)

PSC 거더 연속화

2. 육상교량의 가설 시 중점검토 사항을 확인한다.

(1) 제작장은 다짐도가 일정하고 부등침하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다짐 후에 수평으로


면고르기 시행을 해야 장비의 전도 등의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다.

(2) 거더의 거치를 위해서 거더의 자중을 고려하여 크레인장비를 조합하여 적용한다.

(3) 거더거치 및 전도방지쐐기와 와이어(턴버클 포함)접속하여 가설 시 전도가 방생하


지않도록 한다.

(4) 교량거더의 전도방지 등을 위해서 솔플레이트(Sole Plate)의 수평유지 및 받침의 기


능확보를 위한 종단경사를 고려한 솔플레이트 시공을 확인한다.

96
4-2. 지장물 안전조치작성

학습 목표 • 교량시공 시 고압선 및 광케이블 등 주요 지장물에 대한 안전조치 사항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시공 시 검토할 지장물의 보호 관리방안 수립하기

1. 싱수도관 안전 조치하기

(1) 상수도는 가시설의 주형보에 연결하여 매달지하지 않고 별도로 보강하여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누수가 우려되는 상수도관의 접합부는 특수접합용 칼라로 보강하여야 하며, 주철관
등의 곡관부에는 수압작용을 고려하여 추가로 보강한다.

(3) 상수도 제수변의 위치, 개폐방향등의 현황과 제수변 키를 현장사무실에 비치하고,


비상시를 위하여 작업책임자를 지정하여 수시로 훈련하도록 한다.

(4) 토류판 배면에 매설된 상수도관의 변형여부,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보강조치를
한다.

(5) 부득이 가시설의 주형보등에 매어단 상수도관은 주형보의 처짐에 의한 접합부위의


파손이 없도록 브레이싱 등으로 주형보를 보강하도록 한다.

(6) 동절기의 동파에 대비하여 상수도 보온시설을 한다.

(7) 공사 중 돌발사고로 상수도관의 누수발생 시 관할 관리자에게 신속히 연락하여 복


구작업에 임하도록 한다.

2. 하수도관 안전 조치하기

(1) 누수의 우려가 있는 관로 및 맨홀의 부분은 굴착 전에 보강 조치를 한다.

(2) 누수되는 하수관은 지수조치 외에 누수원인을 제거토록 한다.

(3) 이설 및 신설하수관은 폭우와 주변도로 침하를 대비하여 충분한 단면을 확보하고,


기존 하수관에 매달은 하수관의 연결을 철저히 한다.

(4) 하수도 복구 및 신설 시는 관련기관과 사전 협의한다.

3. 전력선의 관로 안전 조치하기

(1) 콘크리트관로는 하자가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며 손상이 생긴 부위는 수리한다.

(2) 맨홀 내 및 관로의 케이블은 보호해야 하며 케이블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시공한다.

97
(3) 전력선, 교통신호, 화재경보기 등의 지지공은 표준설계도면에 따라 시공한다.

4. 도시가스관 안전 조치하기

(1) 도시가스관은 가시설의 주형보에 연결하여 지지하지 말고 별도로 보호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2) 도시가스관의 지지보호는 설계대로 시공되어야 하고, 어떠한 충격도 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관의 접합부, 곡관부에는 반드시 추가로 보강하고, 조절변위 위 및 관리상태 현황을


현장사무실에 비치하고 비상시의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훈련한다.

(4) 교량공사 전에 가스안전 영향평가를 시행한다.

(5) 가시설 등에 점검통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점검한다.

수행 내용 / 지장물 안전조치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한국도로교통협회)

Ÿ 하천공사 표준시방서(한국수자원학회)

Ÿ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Ÿ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Ÿ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한국강구조학회)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Ÿ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한국철도시설공단)

Ÿ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교통부)

Ÿ 가설계획도, 예정공정표, 교량 설계도면 및 현황도

98
Ÿ 품질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 공사관리계획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Ÿ 스프레드시트, 캐드 S/W,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공학용 계산기 등

고려 사항

Ÿ 교량공사 시 검토해야 할 지장물을 누락하지 않아야 한다.

수행 순서

 지장물에 대한 안전조치사항을 작성한다.

1. 시공 전 지장물 확인 및 지장물에 대한 방호 조치 확인한다.

(1) 사전조사 및 작업준비

(가) 지장물별로 관리자가 보관하고 있는 대장을 열람하여 전력선, 전화선,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공동구 등의 시설에 대해 평면 및 종단위치, 구조, 규격, 수량,
상태 등을 관계자와 협의·확인하여 상세히 조사했는지 확인한다.

(나) 도면에 표시된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다) 지장물의 종류 및 규격의 표시 여부를 확인한다.

(라) 지장물 중 불명확한 관의 처리 및 대책이 양호한지 판단한다.

(마) 지장물 또는 가공공작물에 대한 방호, 이설계획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바) 지장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파악한 이후에는 날카로운 침봉을 이용하여 정확


히 위치나 깊이를 확인 후에 작업을 개시한다.

(사) 지장물이 노출되면 반드시 소유자나 관리자에게 확인시키고 상호 협조하여 동


바리와 같은 보호공을 이용하여 방호조치를 취한다.

(아) 노출된 지장물은 최소 1일 1회 이상 순회점검을 하여야 하며, 특히 접합부분을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자) 노출된 지장물은 재매립할 경우는 지장물의 관리자와 협의하여 설치된 방호책

99
을 제거하고 서서히 매립을 진행시킨다.

(2) 관계기관과의 협의

(가) 지장물 근접 시공 시 지장물 관계자의 입회하에 시공 여부를 판단한다.

(나) 지장물 관계기관과 협의한다.

(3) 줄파기 시공

(가) 지장물 근접굴착 시 지장물 탐지기로 매설위치 탐지 여부 및 지장물 노출시까


지 인력굴착시행 여부를 판단한다(장비굴착을 금지함).

(나) 지장물 확인 시 지장물 종류 및 위험방지 조치사항을 기입한 표지판 설치 여부


를 판단한다.

(다) 지장물의 되메우기 시 각종 지장물에 피해를 주는 방법으로 시공하는지의 여부


를 확인한다.

(4) 지장물 보호조치

(가) 설계도서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

(나) 지장물 또는 가공공작물에 대한 방호, 이설계획은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 가시설(토류벽 등) 배면에 인접한 가스관에 대한 보호조치의 적정성(이설, 매달


기, 그라우팅 등)을 판단한다.

(5) 유지관리 및 매달기 작업

(가) 지장물의 정기적 점검실시 여부를 확인한다.

(나) 지장물의 방호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시공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 지장물의 종류, 가스등의 이동방향, 위치, 위험표시 등을 표시하고 있는지 확인


한다.

(라) 지장물 피부손상과 외부충격에 대한 보호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마) 매달기용 로우프의 규격 및 간격 턴버클의 설치상태를 확인한다.

(바) 가스관, 상수관로상 비상용 차단밸브의 위치 및 밸브 조작키의 보관위치를 확


인한다.

(사) 노출된 상하수도, 가스관의 접합부 및 곡관부의 보강상태를 확인한다.

(6) 가스폭발위험작업의 안전조치

(가) 가스누출 또는 체류가 우려되는 지하작업장의 안전조치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나) 가스누출 측정담당자의 지정 여부를 확인한다.

(다) 가스 등 가연성 물질 수송관 부근에서 특별한 조치 없이 환기 사용 작업을 시


행하는지 확인한다.

100
(7) 비상연락 및 긴급조치

(가) 광케이블관, 가스관, 통신관로, 상수관 등의 파손, 절단사고 시 긴급조치 및 비


상연락 체제 구축을 확인한다.

2. 교량시공현장과 인접한 기존구조물 확인하기

(1) 기존구조물의 기초상태를 조사하고 충분한 대책을 수립하여 작업한다.

(2) 기존 구조물의 간격이 거의 없거나 기존 구조물의 하부를 시공하여야 할 경우는 기


존구조물의 크기, 높이, 하중 등을 충분히 조사하여 진동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서
충분한 안전검토를 수행한다.

(3) 옹벽 및 블록벽 등이 있는 겨우는 철거 또는 보강 후 굴착 작업에 임한다.

3. 고압선 접근작업 방호대책


고압선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크레인, 항타기, 펌프카 등은 <그림 4-1>과 같이 접근한계거
리를 유지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출처: 한국산업안전공단(2001). 정전작업 및 활선작업등에 관한기술지침


[그림 4-1] 작업크레인의 고압선 접근한계거리

(1) 이동식 크레인(카고 크레인 포함), 항타기, 펌프카 등의 가공전선에 접촉 또는 접근


시 안전조치 유무를 확인한다.

(2) 작업자 주위의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설치 유무를 확인한다.

(3) 접촉사고 발생위험이 있는 저압 및 고압 활선에 방호관 설치 유무를 확인한다.

(4) 접촉사고 발생위험이 있는 특별고압 이설 유무를 확인한다.

(5) 활선작업기 감시인 유무를 확인한다.

101
(6) 가공전선로 부근에서의 안전작업을 확인한다.

(가) 감전방지를 위한 작업방법 및 순서를 숙지한다.

(나) 정전 작업 시 작업자와 작업책임자 간의 연락이 확실히 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다)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울타리를 설치한다.

(라) 작업자에게 감전사고의 심각성과 이의 방지에 대한 교육·지도를 철저히 한다.

(마) 가공전선로에 대한 안전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방호장치를 설치한다.

수행 tip

Ÿ 교량설계의 대상과업과 유사한 공사시방서를 활용하


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교량자재의 카탈로그 사진을 확인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Ÿ 현장답사를 통하여 주요자재의 시공사례를 보면서 확
인한다.
Ÿ 재료에 따른 성능분석 및 구조적인 장·단점을 검토
하여 실습을 수행한다.

102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시공을 위한 공사용 가설 장비 및 장비별로 주의해야 할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한다.

• 해상교량의 가설기본방향과 가설계획을 육상부와 해상부로 구분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학습한다.

• 육상교량의 연속화가설과 중점고려사항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방법을 학습한다.

• 교량 시공 시 검토해야 할 지장물의 보호 관리 방안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 교량 시공 중 고압선에 접근작업 시 방호대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교량시공을 위한 공사용 가설 장비 및 장비별로 주의해야 할 내용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해상교량의 가설기본방향과 가설계획을 육상부와 해상부로 구분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육상교량의 연속화가설과 중점고려사항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방법을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 시공 시 검토해야 할 지장물의 보호 관리 방안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 시공 중 고압선에 접근작업 시 방호대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여 합리적인 설계를


작성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103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가설 지역조건상의 가설장비의 반입 제한규정을 검


토하여 장비반입시의 처리방안을 특별시방서에 작성할
지역조건을
수 있다.
고려한 대책
작성
- 해상 또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장비 반입시기와
관리 대책을 작성할 수 있다.

지장물 안전 - 교량시공 시 고압선 및 광케이블 등 주요 지장물에 대


조치 작성 한 안전조치 사항을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시공을 위한 공사용 가설 장비 및 장비별로 주의해


야 할 내용분석

지역조건을 - 해상교량의 가설기본방향과 가설계획을 육상부와 해상


고려한 대책 부로 구분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
작성 방법분석

- 육상교량의 연속화가설과 중점고려사항에 대한 기본적


인 내용분석

- 교량 시공 시 검토해야 할 지장물의 보호 관리 방안에


지장물 안전 대한 기본적인 내용분석
조치 작성 - 교량 시공 중 고압선에 접근작업 시 방호대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분석

104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시공을 위한 공사용 가설 장비 및 장비별로 주의해


야 할 내용작성

지역조건을 - 해상교량의 가설기본방향과 가설계획을 육상부와 해상


고려한 대책 부로 구분하여 시방서에서 검토해야 할 구조물의 시공
작성 방법작성

- 육상교량의 연속화가설과 중점고려사항에 대한 기본적


인 내용작성

- 교량 시공 시 검토해야 할 지장물의 보호 관리 방안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작성
지장물 안전
조치 작성
- 교량 시공 중 고압선에 접근작업 시 방호대책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성

피드백

1. 사례연구 평가
- 교량설계 시 지역조건상의 가설계획 및 장비적용에 대한 중점관리항목을 확인하고 공사
중 고려해야 할 지장물과 고압선 근접시공 시의 안전대책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
는 경우 교량설계사례 등을 수집하여 정리하게 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이러닝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설계 및 교량시공 예를 통
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평가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 및 능력단위 요소를
바탕으로 비교적 간단한 교량 시공 예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교량공법 예 및 사례를 중심으
로 엔지니어링과 응용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105
∙ 한국도로공사(2012).“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 교통해양부(2010).“도로교 설계기준”

∙ 국토해양부(2008).“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건설정보사.

∙ 국토해양부(2013).“도로교 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2012).“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

∙ 국토해양부(2014).“가설공사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2012).“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2009).“콘크리트 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2012).“콘크리트 구조기준”

∙ 건설교통부(2012).“구조물기초설계기준”

∙ 노동부. 한국산업안전공단(2007). “교량 건설공사 안전작업 편람”

∙ 한국수자원학회(2012).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 국토해양부. 한국시설안전공단(2012).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세부지침해설서[교량]”

∙ 한국철도시설공단(2012). “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토목편)”

106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윤영만(수원과학대학교) 이완훈(청운대학교) 양주경(청운대학교)
신재철((주)동성엔지니어링) 김제인((주)일승하이텍)
신영각((주)한맥기술)* 배을호(케이블텍(주))
서동권((주)건화)* 김량균(케이블텍(주))
김인철((주)동일기술공사) 손석호((주)수성엔지니어링)
이석종((주)비아이티솔루션)*
장유식((주)미호이엔씨)
이승재(한국시설안전공단)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오찬호(수원과학대학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상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문한나(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대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류현경(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