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4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터널설계사업 계획 수립 터널설계사업 계획 수립

터널설계 터널설계 현황 조사 터널설계 현황 조사

교량설계 터널설계 기본 계획 수립 터널설계 기본 계획 수립

항만(해양)설계 일반 터널설계 일반 터널설계

상하수도 설계 부문별 터널설계 부문별 터널설계

하천(댐)설계 TBM 터널설계 TBM 터널설계

지반설계 터널설계도면 작성 터널설계도면 작성

단지설계 터널설계시방서 작성 터널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터널설계사업비 산정 터널설계사업비 산정


토목건설사업
터널설계계산서 작성
관리
터널설계보고서 작성
터널설계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

1-1.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 검토 3

• 교수・학습 방법 12

• 평가 13

학습 2. 관련 계획 검토하기

2-1. 관련 계획 자료 검토 15

• 교수・학습 방법 20

• 평가 21

학습 3.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

3-1. 업무분장 23

• 교수・학습 방법 31

• 평가 32

학습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

4-1. 리스크 분석 34

• 교수・학습 방법 45

• 평가 46

학습 5.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

5-1. 사업 추진절차 계획 48

• 교수・학습 방법 56

• 평가 57

참고 자료 59
터널설계사업 계획 수립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신규 터널개발사업 또는 발주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관련 계획 검토, 타 분야와


업무분장, 사업 리스크 분석 및 설계 추진절차 검토를 수행하여 원활한 터널설계 진행을 시작
하게 할 수 있다.

선수학습
터널설계 현황 조사(LM1402010302_14v2), 터널설계 기본 계획 수립(LM1402010303_14v2), 일반 터널
설계(LM1402010304_14v2), TBM 터널설계(LM1402010306_14v2), 부분별 터널설계(LM1402010305_14
v2), 터널설계사업비 산정(LM1402010309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사업수행계획서 1-1.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 사업수행계획서


1402010301_14v2.1
작성하기 검토 작성하기

관련 계획
2. 관련 계획 검토하기 2-1. 관련 계획 자료 검토 1402010301_14v2.2
검토하기

3. 타 분야와 타 분야와
3-1. 업무분장 1402010301_14v2.3
업무분장하기 업무분장하기

사업 리스크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 4-1. 리스크 분석 1402010301_14v2.4
분석하기

5. 사업 추진절차 검토 사업 추진절차
5-1. 사업 추진절차 계획 1402010301_14v2.5
하기 검토하기

핵심 용어

사업수행계획서,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발


주처,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도로정비 기본계획, 업무분장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
학습 1
(LM14020103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2)
학습 3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LM1402010301_14v2.3)
학습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LM1402010301_14v2.4)
학습 5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5)

1-1.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 검토

• 터널 관련 신규사업 개발 시 사업의 목적, 범위, 개발 효과, 수행 방법, 순서, 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 터널사업의 실현 여건에 대한 사업재원 조달 가능성, 발주처의 신용도, 사업 실현 가
능성 분석, 사업 수주 가능성, 사업 내역의 합리성, 예산의 적정성을 분석할 수 있다.
• 발주사업인 경우,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등에 제시된 사업의 배경, 필요성,
목적 등을 검토하여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발주처의 요구사항이 사업의 목적과 범위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내용과 상이
하거나 부당한 특약을 요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별 중요도를 파악하여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우선순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사업의 수행 방법, 순서, 기간 등
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사업수행계획서를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터널사업 개발에 관한 개념
터널사업 개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터널 건설의 목적, 분류 및 다양한 적용사례 분석
을 검토하여 터널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킨다.

1. 지하공간과 터널
터널이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구조물임을 인식하고 지하공간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대해 분
석하고 터널사업과 연관 지어 본다.

(1) 지하공간의 특징
지하공간은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밀집된 지상 공간의 낮은 활용도에 대응하여 중요한
사회기반시설물 혹은 사회구성원들이 기피하는 공익시설물 등을 지상 공간의 영향을

3
최소화하면서 설치할 수 있고 비교적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한다. 또 지하공간은 항온,
항습 등 천연의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고 오염물질 등을 저장함으로써 지상 공간의 환
경 개선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며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된다.

(가) 토지 활용도 증진 및 시설물 설치 위치 제약 극복


지하 주차장, 지하 도서관, 지하 박물관 등의 계획으로 부족한 지상 공간 문제를
해소하고, 지하철역 및 지하철 노선 연결 계획 등으로 복잡한 교통체계를 개선하고
주요 시설물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나) 격리 및 보호 기능 활용
혹독한 지상의 기후환경 및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에너지 사용
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오염물질이나 특정한 위험으로부터 격리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 환경보존
지하공간을 활용한 시설물 설치 계획은 지상 공간의 미적 가치 유지, 식생환경 및
동물의 서식환경 등 자연의 생태환경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라) 지형적 제약조건 극복


산이나 강 또는 바다 등을 연결하는 교통시설을 계획할 때, 터널구조물은 경제성
및 환경 보존적 측면에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마) 사회적 편익 개선
지하공간을 활용한 주요 기반시설물의 설치 계획은 토지 비용, 유지관리 비용 및
에너지 절감 비용 등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편익 이외에도 환경 훼손을 최소
화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평가되는 사회적 이익을 제공한다.

2. 터널의 종류와 특징
터널은 사용 목적, 시공법 등에 따라 구조나 형태가 다양하지만 개략적으로 분류하면 다
음과 같다.

(1)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교통용 터널(철도터널, 지하철터널, 도로터널, 보도터널), 수송용 터널(상수도터널, 하수
도터널, 발전용 수로터널), 저장용 터널(핵폐기물 저장 공간, 유류저장소) 등이 있다.

(2) 시공 방법에 따른 분류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터널, 개착(Open cut tunnel)터널, 기계굴착터널,
침매터널 등

(3) 단면 크기에 따른 분류
초대단면 터널, 대단면 터널, 중단면 터널, 소단면 터널, 극소단면 터널

4
(4) 기타 기준에 따른 분류
터널단면 형태(마제형, 원형, 사각형, 난형), 지질 상태(경암, 연암, 토사), 연장(단터널,
보통터널, 장대터널, 초장대터널)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터널 계획 수립
터널 계획은 터널 건설의 목적 및 기능의 적합성, 공사의 안전성 및 시공성, 시공 방법의
적정성을 우선하여 수립하되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 등을 포함하여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
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터널 계획은 지역 여건, 지형 상태, 토지 이용 현황
및 장래개발 계획 및 전망, 지반조건 등 사전조사 성과를 기초로 수립한다. 터널의 계획이
라 하면 평면 선형, 종단선형, 내공단면의 구성, 시공 방법, 방・배수 형식, 부속설비 및 계
측 계획 등의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1) 개략 노선 선정
경제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갱구부 및 터널 위치의 지형 및 지질이 양호한 지점을
선정하며 터널 시공 중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단층이나 용수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선형을 선정한다. 노선 선정 단계에서는 비교 노선의 검토 이외에 일반적으로 개
략적인 지형, 지질, 환경 등 설계에 필요한 개략적인 정보를 얻게 된다.

(2) 선형 계획
선형 계획이라 하면 보통 평면 선형과 종단 계획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계획을 수립하
는 부서(도로, 철도 등의 PM 부서)에서 수행한다. 이때 터널 기술자는 해당 선형별로
경제성, 시공성 및 안정성 등에 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전체 노선의 타당성을 상호
협의하여 최적의 노선을 결정하게 된다. 평면 선형은 가능한 한 직선으로 계획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불가피하게 곡선 터널로 계획되는 경우에도 터널 이용객들의 안정성,
이용 편의성 및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큰 곡선 반경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종단 선형
계획은 가능한 완만한 구배를 채택한다. 종단구배는 시공 중 터널에서 발생하는 물(지
하수, 작업수 등)의 배수에 영향을 미치며 터널 시공 완료 후에도 유지관리 비용 및
차량이나 열차의 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 한 수평에 가깝게 계획하
는 것이 좋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원활한 종방향 배수를 위하여 최소한의 경사는 필요
하다.

(3) 단면 계획
터널의 내공단면은 사업 목적에 따라 필요한 건축한계(부대시설 및 방재설비 포함)에
시공 중 또는 운영 시의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거기에 시공오차 등
을 감안한 여유 공간을 더하여 결정한다. 또 단면 계획 시에는 지중응력에 대한 안정
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단면을 결정하여야 한다.

5
󰊳 사업수행계획서의 정의
사업수행계획서는 진행하고자 하는 특정의 사업(과업)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계획을 수립
하여 관련 사항을 일목요연하게 작성한 문서를 말한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함으로써 후속
업무의 체계적인 진행이 가능하며, 일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 사업 발주자에게 보고하
거나 투자자들의 투자 유치를 위한 설명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작성한다. 사업계획서를
검토하는 사람이 사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관심 있는 핵
심사항을 중심으로 간단명료하게 작성한다.

󰊴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 검토
개념적으로 터널사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들을 검토하
여 사업수행계획서 작성에 활용한다.

1. 사업수행계획서 주요사항
터널구조물을 계획하여 개발하는 사업의 목적, 지역적・정책적 범위, 사회경제적 개발 효
과, 사업 발주부터 설계 또는 시공 완료까지 각 단계별 수행 방법, 각 설계 단계별 순서
및 단계별 소요 기간과 비용 등을 검토하여 사업수행계획서에 반영한다.

2. 사업 실현 가능성 판단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단계에서 수행되는 주요 검토사항들은 사업 실현 가능성에 대한 분
석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사업재원 조달 가능성, 발주처의 신용도, 사업 실현 가능성, 사
업 수주 가능성, 사업 내역의 합리성, 예산의 적정성 등을 각 검토 항목과 연계하여 분석
한다. 특히, 발주처와 관련된 사항은 사업의 성공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발주처 요구사항 등은 특히 주의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여 반영한다.

수행 내용 / 사업수행 계획 관련 주요사항 검토하기

재료·자료

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발주처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 자료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유사 터널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관련 법규들에 대한 자료(건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 도출된 계획안, 사업
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협의를 위한 보조자료(요약보고서, 프리젠테이션 자료)

6
기기(장비·공구)


전산장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공학용 계산기, 복사기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캐드 등 전산 프로그램,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

안전·유의 사항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결과로부터 터널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지질, 지형, 지반조건, 지장물 및 접근성 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
조사하고 분석한다.


사업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려중인 터널개발사업의 관련 법규 위반 여부, 유관기관 정책과의
충돌 여부 등 행정적・정책적 관련 사항을 정확히 분석한다.

수행 순서

󰊱 터널 건설에 불리한 지반조건 및 위치를 파악한다.


터널은 원지반이 가장 중요한 지보재이므로 원지반조건에 따라 터널사업의 성패가 좌우된
다. 따라서 계획 수립 단계에서 터널이 위치하는 대상 지반이 대규모 단층대, 연약층 등의
지반 불량 구간과 평행하게 통과하는 경우, 갱구부가 대규모 붕적토에 위치하는 경우, 대규
모 공동 예상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및 저토피 지형조건의 경우에는 안전한 터널 건설을 위
해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므로 가능한 한 이러한 조건은 피해서 터널 계획을 수립한다.

󰊲 유사 터널개발사업을 조사・분석한다.
터널은 특성상 지중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지반 특성, 지하수 등의 조건이 불확실하므
로 대상 지반에 대한 상세 지반조사 결과를 가지고 실제 설계를 하지 않고서는 구조물 건
설비용, 안정성, 공사기간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지반구조물의
특성상 과거에 수행한 유사 개발 사업에 관한 설계 및 시공 자료가 가장 중요한 판단 근
거자료가 된다.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터널개발사업 실현 가능성을 개념적으로 판단한다.

1. 지반조건이 유사한 사업 분석하기


터널사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받는 사항은 터널이 건설되는 대상 지반이다. 대
상 지반의 공학적 특성에 따라 터널 건설비용, 안정성 등이 크게 좌우되므로 시행하고자
하는 대상 터널사업의 대표 지반조건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행된 과거 터널 사례를 분석하
여 사업계획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7
2. 터널 규모가 유사한 사업 분석하기
터널의 규모(연장, 크기, 방재등급 등)에 따라서 건설비용이나 터널 건설 시 발생하는 위
험요소가 다르게 발생한다. 터널의 건설비용, 시공 방법, 안전성 판단기준 등이 터널의 규
모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터널의 규모에 따라 적용되는 시공공법, 방재
시설, 보조공법 및 적용 장비 종류 등이 상이하므로 사업계획서 수립 시 가능한 터널 규
모가 비슷한 사례를 찾아서 실제적인 정보를 얻어야 한다.

3. 설계 후 성공적으로 시공이 완료된 사업 분석하기


과거의 유사사업에 관한 사업계획서 또는 설계 자료라 하더라도 아직 성공적으로 시공까지
완료되지 않은 사업의 자료보다는 시공까지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검증된 사업의 자료를 참고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완공된 사업 자료의 경우 처음 설계 시 계획했던 사항들
이 실제 시공 중 현장의 여러 가지 조건이나 이유 때문에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다른 종류의 구조물과는 다르게 터널은 주변 지반을 주요 지보재로 지지하므로 터널의 안정
은 주변 지반의 공학적인 특성, 주변 환경 및 입지조건에 따라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현저하
게 상이하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터널 계획에 따른 실제 시공 결과가 검증된 이미 완공된 사
업의 시공 결과를 사용하는 것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 사업수행계획서의 세부사항을 작성한다.


터널사업 수행계획서는 계획하는 터널사업이 어떤 사업이며,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것인가를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자료이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투자
가들에게는 정보를 제공해서 투자를 유도하고, 협력업체들에게는 중요한 신뢰의 근거가
될 수 있다. 또 작성하는 사람은 관련 사업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지 가이
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업계획서는 기본적으로 중요한 모든 문제들을 포함하여야 하며,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발주자)의 궁금한 사항을 해결시켜 주고 사업수행계획서대로 진행
이 되면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겠다는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업수행계획서는 개요, 과업명, 과업기간, 과업 수행 범위, 수행 절차, 발주처
요구사항, 인력투입 계획, 예정공정표 등의 내용을 포함하며, 작성하고자 하는 사업계획서
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식과 구성으로 작성할 수 있다.

1. 개요 작성하기
수행하고자 하는 터널사업수행계획서의 정확한 명칭과 과업의 목적 등을 작성한다.

2. 과업기간 작성하기
계획하는 사업의 과업기간, 발주 예정일, 추진 일정 등의 개략 일정을 명시한다. 사업기간
에 따라 주요 일정 및 인원투입 계획 등이 결정되므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3. 과업 수행 범위 작성하기
사업 수행 대상 터널이 위치하는 행정구역상의 위치와 시행되는 사업의 구체적인 범위,

8
규모 등을 입찰안내서나 사업 관련 서류 등을 통하여 정확하게 작성한다.

4. 과업 수행 절차 작성하기
관련 사업의 현재까지 추진사항, 향후 주요 일정 및 절차 등을 수록하여 향후 진행사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5. 발주처 요구사항 작성하기


금번 사업 실행 시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주요사항, 적용 설계기준, 입찰안내서의 주요 쟁
점사항, 발주처에서 금번 사업을 발주하는 이유 및 발주처 실무진의 요구사항 등의 발주
처 요구사항을 수록한다.

6. 설계 개선사항(risk 분석) 작성하기


터널 계획 시 과거 유사사례와 비교하여 일부 조건을 개선하거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향
상시킬 수 있는 사항으로 계획하는 터널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요 개선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한다.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발주자 등)에게 사업 성공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는 중요사항이므로 항목별로 중요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사
업계획서 작성 단계에서 고려되는 개선사항(risk)들은 아직 상세한 검토 이전의 제안사항
이므로 경력이 많은 기술자가 과거 유사사례의 경험을 이용하여 가능성이나 개략적인 효
과 등을 평가하여 수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7. 경제성 분석 작성하기
사업의 효과나 성공에 대한 가능성 평가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이 경제성 부분이므로, 계획
하는 터널의 지반 및 지형 조건 등을 가능한 상세하게 분석하여 경제성(공사비 절감)에
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8. 인력투입 계획 작성하기
경제성이 있는 사업이라도 사업의 추진은 실질적으로 사람(기술자)들이 수행하게 되므로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들에게 주요 기술자의 학력, 자격사항, 유사사업 수행 경력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 몇 명의 인원을 언제 투입하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
에 대한 구체적인 인력투입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9. 예정공정표 작성하기
사업 진행 시 주요사항의 일정을 수립하고 타 분야와 연관된 작업들의 일정을 미리 확인하
여 일정대로 사업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간계획서이다. 예정공정표에 따라
사업의 주요 일정이 진행되므로 사업계획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일정은 투입되는 인
원에 따라 기간이 달라지기도 하므로 인원투입 계획과 외부 인력 투입 일정이 고려되어야
하며, 사업기간 내에 진행되는 단위업무 중 외국사와의 협의, 자문 등의 경우와 같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위업무의 경우에는 특별히 일정을 여유 있게 수립하여야 한다.

9
[그림 1-1] 터널과업수행계획서 목차(예)

10. 기타 사항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시에는 정보전달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하
지만 보는 사람에게 신뢰성을 주기 위해서 작성 양식이나 겉표지 등의 시각적인 요소도
매우 중요한 첫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깔끔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문서 양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획하는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관련 자료, 참여 기술진의
이력서, 주요 참여 프로젝트 현황, 참여사의 신용도를 표현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 등을
첨부하여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에게 반드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줄 수 있
는 기타의 자료를 정리하여 부록이나 첨부 자료로 수록한다. 보통의 경우 사업수행계획서
의 요약본을 추가하기도 하는데, 사업수행계획서의 주요 내용을 한 페이지 정도로 요약하
여 관심 있는 사람에게 빠르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작성하기도 한다. 또 사업수행계획서의 목적에 따라 외부발표용으로 편집하여 발표하기
쉽게 발표 자료로 작성하기도 한다.

10
수행 tip

•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시, 유사한 지반조건, 규모, 연


장의 과거 유사사례를 분석하여 터널개발사업의 특
성을 파악하여 활용한다.
• 사업수행계획서는 보는 사람에게 계획서대로 사업
추진 시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확신을 주기 위
한 중요한 자료이므로 간결하고 신뢰성이 확보되도
록 작성한다.

11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터널사업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특징에 대해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지도한다. 특히, 터널 건설이


어려운 지반조건(지반 불량 구간, 저토피, 팽창성 지반, 공동 예상구간 등)에 대한 상세 조건을
설명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제반 법규, 정책 및 관련 계획 조사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설명


한다.

• 조사・분석된 결과물을 고려하여 특정 목적과 기능의 터널사업 개발 계획으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지도한다.

• 사업수행계획서 작성안을 평가하고 사업 실현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에 대하여


지도한다.

학습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터널사업의 특징을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특징에 대해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특히, 터널 건설이 어려운 지반조건
에 대하여 이해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제반 법규, 정책 및 관련 계획 조사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 조사・분석된 결과물을 고려하여 터널사업 개발 계획으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이해한다.

• 가상의 사업수행계획서 사례를 작성하고 사업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여 사업수행 계획서의 구조


및 형식을 이해한다.

12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관련 신규사업 개발 시 사업의 목적, 범위, 개발 효


과, 수행 방법, 순서, 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사업수
행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 터널사업의 실현 여건에 대한 사업재원 조달 가능성, 발주


처의 신용도, 사업 실현 가능성 분석, 사업 수주 가능성,
사업 내역의 합리성, 예산의 적정성을 분석할 수 있다.

- 발주사업인 경우,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등에


제시된 사업의 배경, 필요성, 목적 등을 검토하여 발주
처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사업수행 계획 관련
- 발주처의 요구사항이 사업의 목적과 범위에 부합되는지
주요사항 검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


한 법률에 규정된 내용과 상이하거나 부당한 특약을 요
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별 중요도를 파악하여 사업의 우선순


위를 결정할 수 있다.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우선순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사


업의 수행 방법, 순서, 기간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사
업수행계획서를 수립할 수 있다.

13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사업의 개념이 명확히 정립된 사업개발 계획 수립
사업수행 계획 관련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개발 계획 수립
주요사항 검토 - 제반 법규 및 기존 정책에 부합하며, 실현 가능성을 향
상시킨 사업개발 계획 수립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사업의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기 위한 기존 터널사
사업수행 계획 관련 업의 목적・용도・규모 등 체계적 분석
주요사항 검토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유사 터널 개발사
업 조사 및 분석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수행계획서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표자료 작성
사업수행 계획 관련
- 사업수행계획서 분석 내용의 명확한 전달
주요사항 검토
- 사업 실현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프리젠테이션 방법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사업수행계획서의 주요 고려사항과 연계된 사업 실현 가능성 분석 방법의 적정성에 대
해 설명하고 이해가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설명한다.

2. 사례연구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방법과 대상 사업 선정의 오류에 대해 설명한다.

3. 구두발표
- 사업수행계획서의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여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설
명한다.

14
학습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LM1402010301_14v2.1)

관련 계획 검토하기
학습 2
(LM1402010301_14v2.2)
학습 3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LM1402010301_14v2.3)
학습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LM1402010301_14v2.4)
학습 5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5)

2-1. 관련 계획 자료 검토

• 터널 계획과 관련된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도로정비 기본계획 등과


같은 상위 계획을 조사, 분석하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 터널 설치 지역과 연관된 택지개발사업, 교통시설 계획과 같은 지역개발 계획을 조
사, 분석하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당해 터널설계와 관련되는 각종 법규와 각 지방자치 조례를 대상으로 기본 계획, 실
시 계획에 적용 가능한 항목을 발췌하여 자료로 정리할 수 있다.
• 발주처의 터널설계와 관련되는 법체계와 세부 법령 등을 검토하여 활용할 수 있다.
• 부분적인 터널설계 변경이나 재시공의 경우, 설계 또는 건설 당시의 법규 상황과 현
시점의 법규 적용 상황을 파악하여 적법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국토개발 상위 계획
국토의 개발과 이용에 대한 최상위 기본 계획 중 터널개발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기 위
하여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도로정비 기본계획 등의 상위 개발 계획을
분석하여 개략적인 정부의 국토개발에 관한 정책 방향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로,
철도, 상하수도 시설 및 공동구 등의 인프라 시설 개발 시 발생하는 터널 계획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1. 국토종합계획
제4차 국토종합계획은 2011~2020년의 기간 동안 국토기본법에 의거하여 수립되는 국토의
이용・개발 및 보전에 관한 최상위 계획으로, 군사에 관한 계획을 제외하고 다른 법령에
의해 수립되는 국토에 관한 계획에 우선하며 그 기본이 된다.

15
국토종합계획에는 계획 수립의 배경, 계획의 기본 방향, 전략별 추진 계획, 집행 및 관리,
권역별 발전 방향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정부에서 추진하는 개략적인 국토의 개발
추진방향을 알 수 있다.

2.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은 교통체계효율화법 제3조에 의거해서 수립하는 육상, 해상, 항공
등 종합교통정책과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시설 투자에 관한 20년 단위의 최상위
장기 종합교통계획으로 대상 시설은 다음과 같다.
- 도로: 고속국도, 일반국도, 국도 대체 우회도로, 국가 지원 지방도
- 철도(도시철도 제외): 고속・일반・광역철도
- 항공: 공항 개발 중장기 계획 대상 시설
- 항만: 항만법의 규정에 의한 지정 항만 중 무역항
- 물류: 복합 화물 터미널 등

3. 도로정비 기본 계획
도로정비 기본 계획은 도로법에 의한 국가 법정 계획으로서 국토종합계획을 실현하는 도로부
분의 중장기 계획으로 10년 단위로 수립한다. 제2차 도로정비 기본 계획은 2011~2020년의
고속국도, 일반국도, 국도 대체 우회도로, 국가 지원 지방도 등 국토해양부 장관이 관리하
는 간선도로의 계획을 포함한다.

4. 기타 지역 관련 계획
해당 시군구의 도시 계획, 기타 지역과 관련된 개발 계획 등을 검토한다. 또 교통시설 관
련 계획인 전국 도로망 체계 정비 계획, 도시 내 국도정비 기본 계획 및 읍면급 도시
내 우회도로 기본 계획, 관련도 및 광역시 도로, 전철 교통망 장기 개발 계획 등의 기
타 관련 교통시설 계획을 검토한다.

󰊲 터널 관련 참조 법규 및 관련 기준
터널 계획 시 관련하는 법규 및 기준은 터널설계기준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1.2.1 터널 건설 시 준수하여야 하는 관련 법규 및 기준을 모두 검토하여 해당 내용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조사대상이 되는 주된 법규 및 관련 지침 등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오염방지 및 환경보전 관계: 대기환경보전법, 자연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산림법, 조
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 소음·진동규제법, 수질환경보전법, 해양오염방지법, 수도법,
하수도법, 광업법, 지하수법, 철도건설법, 폐기물관리법, 토양환경보전법, 환경정책기본법,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 등
(2) 재해방지 관계: 사방사업법, 택지개발촉진법, 농어업재해대책법, 자연재해대책법 등
(3) 국토개발 관계: 국토기본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4) 하천 관계: 하천법, 공유수면관리법, 지하수법, 온천법 등
(5) 도시계획 관계: 도시계획법, 도시공원법 등
(6) 도로 및 교통 관계: 도로법, 철도건설법, 도시철도법 등

16
(7) 군사 관계: 군사기밀보호법, 군사시설보호법 등
(8) 문화재 관계: 문화재보호법 등
(9) 안전 관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철도안전법 등
(10)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등
(11) 관련 기준 및 지침: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및 유지관리지침, 도로설계기준, 도로안전시
설 설치 및 관리지침, 도로포장설계 시공지침,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지침, 도로터널 조명
시설 설계기준, 도시철도 건설규칙, 시설물 유지관리지침, 철도 건설규칙, 철도 설계기준,
고속철도 설계기준, 철도시설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철도시설 안전 세부기준, 콘크리트 구
조 설계 기준, 토목공사 설계기준, 도로의 구조·시설에 관한 규칙 등
(12) 관련 시방서: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건설공사 비탈면 표준시방서,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
서,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도시철도(지하철)공사 표준시방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등
출처: 건설교통부(2007). 󰡔터널설계기준󰡕. 건설교통부. pp.1-2.

수행 내용 / 관련 계획 검토하기

재료·자료

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유사 터널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발주처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 자료


관련 법규들에 대한 자료(건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


도출된 계획안, 사업 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
협의를 위한 보조자료(요약보고서, 프리젠테이션 자료)

기기(장비·공구)


전산장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공학용 계산기, 복사기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캐드 등 전산 프로그램,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


필기도구 등 기타 사무용품

17
안전·유의 사항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결과로부터 터널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지질, 지형, 지반조건, 지장물 및 접근성 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
조사하고 분석한다.


사업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려중인 터널개발사업의 관련 법규 위반 여부, 유관기관 정책과의
충돌 여부 등 행정적・정책적 관련 사항을 정확히 분석한다.

수행 순서

󰊱 터널 개발과 관련성이 높은 개발 계획을 검토한다.

1. 관련 계획 검토 배경 검토하기
관련 계획 검토의 목적은 과업노선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되는 각종 개발 계획의 내용
및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분석하여 해당 사업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사업의 합리성
제고 및 관련 계획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한다. 관련 계획은 국가 차원의 계획인 상
위 계획과 과업노선의 경유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개발 계획이 있다. 때문에 관련 계획
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상호 유기적인 활동 형태를 예측, 분석하여 교통 수요 예측, 노선
선정 등 과업의 주요 단계에서 공신력을 확인하여 활용한다.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 계획(국토포털 누리집 참조) 등에 수록되어 있는 장기 개발계획
서, 국가 철도망 건설 계획, 간선도로망 구축 계획, 국토균형개발 계획이나 도시개발 계획
등의 자료를 향후에 공동구(전력구 등), 수로터널 등의 터널이 계획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활용하도록 한다.

2. 관련 계획의 활용 계획 수립하기

(1) 상위 계획
- 국토 개발 방향 기본 목표에 부합 여부
- 국토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교통망 형성
- 지역경제 활성화 및 발전에 기여하는 노선 계획
- 대규모 교통 유발 시설 계획의 반영
- 교통 수요 추정 및 출입시설과 연계 검토

(2) 지역 관련 계획
- 지역 관련 및 토지 이용 계획에 부합되는 노선 선정
- 장래 교통 수요에 영향 있는 각종 지표 활용

(3) 교통시설 관련 계획
- 간선도로망 계획과 정비 계획 검토

18
- 주변 간선도로망 개통시기와 연계한 교통 수요 변화 전망 및 적정 시설 규모 제시
- 주변 도로망과 효과적인 교통량 배분 및 출입시설 위치와 연계 검토
- 교통난 완화대책 검토 및 연계 도로망 확충 계획의 필요성

󰊲 관련 법규의 적용 방법을 확인한다.


터널 건설 시 상기한 필요지식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관련 법규의 규제를 받으므로 해당
하는 법규 및 기준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며, 사전에 허가나 승인을 얻어야
하므로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가지고 해당 기관과 협의를 진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터널 계획 시 적용하는 관련 법규는 발주시점에 적용되고 있는 현재의 법규나
규칙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설계 완료 또는 시공 중인 경우에 혹시 법규나
규칙이 일부 개정되는 경우 대부분 개정된 사항은 소급하여 적용하지 않으나 특별히 중요
한 사항에 대하여 설계 완료 또는 시공 중인 경우에도 부득이하게 소급하여 개정사항의
적용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수행 tip

• 국토포털(www.land.go.kr)을 방문하면 국토종합계획과


도 종합계획, 광역권계획 등의 각종 개발 계획 관련
자료를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를 방문하면 터널
건설과 관련된 법령, 행정규칙 및 기타 법규를 검색
하여 이용할 수 있다.

19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터널사업과 연관된 상위 계획, 지역개발 계획, 관련 법규


등의 연관된 사항을 조사하여 학생들에게 설명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제반 법규, 정책 및 관련 계획 조사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설명한다.

• 국토포털(www.land.go.kr)에서 국토종합계획 등의 개발 계획을 활용하여 터널 계획 수립에 관한


수업에 활용한다.

학습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터널사업과 연관된 상위 계획, 지역개발 계획, 관련 법규


등 연관된 사항을 조사하고 이해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제반 법규, 정책 및 관련 계획 조사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과거 사례를


이용하여 직접 수행한다.

• 정부, 지방정부 등 관련 기관에서 발표하는 장기 개발 계획 등을 참조하여 향후 발주 가능한


노선에서 터널 예상구간을 예측한다.

20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계획과 관련된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 교통망 계


획, 도로정비 기본계획 등과 같은 상위 계획을 조사, 분
석하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 터널 설치 지역과 연관된 택지개발사업, 교통시설 계획


과 같은 지역개발 계획을 조사, 분석하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관련 계획 - 당해 터널설계와 관련되는 각종 법규와 각 지방자치 조


자료 검토 례를 대상으로 기본 계획, 실시 계획에 적용 가능한 항
목을 발췌하여 자료로 정리할 수 있다.

- 발주처의 터널설계와 관련되는 법체계와 세부 법령 등


을 검토하여 활용할 수 있다.

- 부분적인 터널설계 변경이나 재시공의 경우, 설계 또는


건설 당시의 법규 상황과 현 시점의 법규 적용 상황을
파악하여 적법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계획과 관련된 상위 계획을 이해하고 분석 여부


관련 계획
- 터널사업 계획과 관련된 지역개발 이해하고 분석 여부
자료 검토
- 터널과 관련된 법규, 조례 등을 확인

21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 계획과 관련된 상위 계획을 이해하고 분석 여부


관련 계획
- 터널사업 계획과 관련된 지역개발 이해하고 분석 여부
자료 검토
- 터널과 관련된 법규, 조례 등을 확인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사업수행계획서의 주요 고려사항과 연계된 상위 계획, 지역개발 계획, 지방자치 조례
및 법규, 규칙 등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해가 부족한 부분은 추가적인 설명을
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2. 사례연구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방법과 대상 사업 선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해 설명한다.

22
학습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LM14020103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2)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
학습 3
(LM1402010301_14v2.3)
학습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LM1402010301_14v2.4)
학습 5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5)

3-1. 업무분장

• 합리적인 업무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타 분야의 업무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수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분야별로 업무를 분장할
학습 목표
수 있다.
• 업무분장 시 분야 간 이해관계가 발생할 경우, 세부적으로 업무를 조정할 수 있다.
• 업무량을 고려한 인력투입 계획 수립으로 업무를 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터널 계획 시 협업
터널은 건설 목적에 따라 철도, 도로, 보도, 운하, 지하철 및 지하저장고 등으로 다양하다. 이에
따라 터널 기술자는 관련 목적을 계획하는 총괄분야(PM)와 터널 시공 시 협업이 필요한 전기,
기계, 건축, 계측 및 다양한 분야의 기술자들과 합리적인 업무분장이 필요하다. 사업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아래의 예와 같이 다양한 분야의 협업이 필요하다.

[그림 3-1] 도로 터널사업 수행 시 관련 분야(예)

23
󰊲 인원 계획
사업계획서 작성 시 인원 계획은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실제 사업을 진행할 때 사업에 참여하
는 기술자를 수록하여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이 될 수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도록 작성하여야 한다. 특히, 진행하고자 하는 사업 규모와 특성이 유
사한 사업경력, 자격이 풍부한 능력 있는 기술자의 인원수와 투입일정을 강조하여 수록한다.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시행령에 정의하고 있는 기술자의 종류와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시행령
의 적용 시점에 따라 상세한 분류기준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2013년 이후의 분류기준은 다음
과 같다.

1. 기술계 엔지니어링 기술자


<표 3-1> 기술계 기술자
구분
국가기술 자격자 학력자
기술등급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술사 자격을 가
기술사
진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사 자격을 가
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10년 이상 수행한 사람
특급 기술자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13년 이상 수행한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사 자격을 가
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7년 이상 수행한 사람
고급 기술자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10년 이상 수행한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사 자격을 가
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4년 이상 수행한 사람
중급 기술자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7년 이상 수행한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석사학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사 자격을 가 위를 가진 사람
진 사람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학사학
초급 기술자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위를 가진 사람
을 가진 사람으로서 해당 전문분야의 3)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전문대학을
관련 업무를 2년 이상 수행한 사람 졸업한 사람으로서 3년 이상 해당 전
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출처: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시행령(2016. 5. 31. 대통령령 제27205호). 제4조 별표.

24
2. 숙련기술계 엔지니어링 기술자
<표 3-2> 숙련기술계 기술자
구분
국가기술 자격자 학력자
기술등급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장 자격을
가진 사람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4년 이상 해당 기
능분야의 관련업무를 수행한 사람
고급
3)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 자격을
숙련 기술자
가진 사람으로서 7년 이상 해당 전문
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4)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보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10년 이상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산업기사 자격
을 가진 사람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 자격을
중급 가진 사람으로서 3년 이상 해당 전문
숙련 기술자 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3)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보 자격
을 가진 사람으로서 5년 이상 해당 전
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1)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 자격을
가진 사람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으로서
초급
2)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기능사보 자격 1년 이상 해당 전문분야의 관련
숙련 기술자
을 가진 사람으로서 2년 이상 해당 전 업무를 수행한 사람
문분야의 관련 업무를 수행한 사람
출처: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시행령(2016. 5. 31. 대통령령 제27205호). 제4조 별표.

25
수행 내용 / 업무분장하기

재료·자료

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유사 터널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발주처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 자료


관련 법규들에 대한 자료(건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


도출된 계획안, 사업 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
협의를 위한 보조자료(요약보고서, 프리젠테이션 자료)

기기(장비·공구)


전산장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공학용 계산기, 복사기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캐드 등 전산 프로그램,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

안전·유의 사항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결과로부터 터널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지질, 지형, 지반조건, 지장물 및 접근성 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
조사하고 분석한다.


사업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려중인 터널개발사업의 관련 법규 위반 여부, 유관기관 정책과의
충돌 여부 등 행정적・정책적 관련 사항을 정확히 분석한다.

수행 순서

󰊱 분야별 업무분장의 기준을 마련한다.


터널사업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협업이 필요하다. 도로, 철도, 상하수도터
널, 공동구 등의 터널 계획 시 해당 프로젝트별로 협업이 필요한 분야의 종류는 서로 상
이하며, 구조물의 조건에 따라 해당 분야의 기술자들과 협업이 필요하다.
본 교재에서는 도로터널을 계획하는 경우에 대표적인 업무분장을 예로 설명한다. 상세한
업무내용은 상호 협의를 통하여 조정한다. 다양한 분야의 기술자들이 협업을 통하여 사업

26
을 진행하게 되므로 서로 연관되는 부분과 일정을 협의하여 원활한 사업수행이 가능하도
록 사업 계획 시 업무분장을 작성하여야 한다.

1. 과업 총괄 업무분장 작성하기
설계 총괄을 담당하고 관계기관과 업무 협의

2. 터널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터널 계획, 환기 및 방재 계획, 본선 터널설계, 터널 부대설계

3. 도로 분야 (선형계획분야)
선형 검토 및 최적노선 선정, 교차로 계획, 토공, 배수, 포장, 부대공 설계, 인허가 협의
및 서류 작성

4. 토질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비탈면 설계, 지반조사, 지반 특성치 산정, 가시설 설계, 구조물 기초 설계

5. 구조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교량, 개착구조물 및 가시설 설계, BOX 및 소형 구조물 설계

6. 환경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주변 환경영향 검토, 환경영향 조사 및 평가

7. 도시계획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관련 개발 계획 검토, 과업구간 도시계획설계

8. 교통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교통량 조사 및 장래수요 예측, 도로교통 운영 및 경제성 분석

9. 경관・조경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과업구간 내의 경관 설계, 터널 시종점부 조경 설계

10. 수자원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수리・수문 분석 및 소하천 변경 인허가

11. 기계설비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공사 중 환기시설 및 규모 산정, 운영 중 터널 환기(제트팬) 및 방재시설 설계

12. 전기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공사 중 및 운영 시 터널 전기설비 설계, 가로등 설계

13. 건축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터널 관리사무소, 전기실 등

14. 기타 분야 업무분장 작성하기


VE/LCC, 직광영향 분석, 조형 계획, 공사관리 등

27
󰊲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위한 인원 계획을 수립한다.
사업계획서에서 인원 계획 부분은 어떠한 기술자가 사업을 진행하는지를 기술하는 곳이다. 이때
사업계획서를 읽는 사람들에게 사업이 성공할 것이라는 확신을 주도록 사업을 수행하는 주요
기술자들의 학력, 외국어 능력(해외사업의 경우), 경력, 인원투입 계획, 회사의 실적 등의 사항을
명확하게 기술하여야 하며, 인력별로 사업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
여야 한다. 또 현재의 인력으로 사업수행 시 인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인력보강 계획이나 투입
계획을 언급하여 발주자에게 사업 성공의 확신이 들도록 한다. 만약 진행하고자 하는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외전문가나 특수한 기술을 보유한 단체로부터 기술지원이 필요한 경우에
는 해당되는 업체와 체결한 기술지원 계획 또는 사업양해각서 등을 사업수행계획서에 포함한다
면 사업계획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 3-3> 인력투입 계획 양식(예)
참여 기술자
구분
업무 내용 참여기간 성명 경력(년) 실적(건) 자격
총괄 책임자 총 괄
사업관리 및 업무 총괄
지원 (0명) 포장 계획
업무 총괄
도로 계획
선형 분야
선형 및 토공 계획
(0명)
배수 계획
도면 작성
업무 총괄
실무 총괄
터널 계획
터널 계획/관리
터널 계획
공법 검토
공법 검토
터널 분야 공법 검토
(00명) 수치 해석
수치 해석
수치 해석
도면 작성
도면 작성
수량 및 내역
수량 및 내역
수량 및 내역

28
󰊳 분야별 업무 흐름도를 작성한다.
도로 건설 시 발생하는 터널사업(대안)의 경우 진행되는 일반적인 업무 흐름은 다음과 같다.
과 업 착 수 단 계
입찰안내서
·입찰안내서 내용 검토 및 분석
내용 질의
·분야별 업무분담 및 추진 계획 수립

현장조사 및 설계 관련 자료 수집 / 실시설계 분석 검토

관 련 계 획 조 사 지형 및 지질조사 현 장 조 사

·국가상위 계획 ·현황 조사 ·기존 도로 및 구조물 현황 조사


·교통 관련 계획 ·하천 및 수문 조사 ·지상 및 지하 매설물, 문화재, 하천,
·지역 관련 계획 ·골재원 조사 광업권 등 조사
·관련 기관 의견 조사 ·환경 현황 조사 ·지역주민 민원 조사
·과업노선 전·후구간 설계 현황 ·사토장 조사

예 비 검 토

측량, 토질 조사 및
설계기준 검토 도 로 계 획 구 조 계 획 터 널 계 획
시험

·설계기준 검토 ·선형 검토 ·구조물 위치 및 ·비탈면 설계 ·현황 측량


·설계 착안사항 ·구조물 위치 적정성 형식 검토 ·지반조사 및 성과 분석 ·종단 측량
·적용 가능한 신기술 ·출입시설 위치 및 ·시공성 검토 ·터널 설계를 위한 ·횡단 측량
신공법 검토 기준 적정성 검토 지반정수 산정 ·갱구 비탈면 지반조사
·설계기준 개선사항 ·터널구간 지반조사

대안 계획 적정성
관 련 기 관 협 의
검토⋅검증

대 안 설 계

터 널 분 야 도 로 분 야 토 질 분 야 구 조 분 야 기 타 분 야

·터널단면 설계 ·토공 설계 ·터널구간 지반조사 및 ·구조물 구간 형식 ·전기설계 ·공사관리


·굴착공법 및 지보패턴 ·암거 및 배수 설계 성과 분석 검토 및 상세설계 ·건축설계 ·각종
설계 ·포장 설계 ·터널 및 가시설설계를 ·최적 가시설 공법 검토 ·기계설계 인·허가
·발파 설계 ·부대 설계 위한 지반정수 산정 ·설계 착안사항 검토 ·경관설계 ·기타 관련
·갱문 설계 ·출입시설 설계 및 설계 반영 ·환경설계 사항
·환기 및 방재 설계

입 찰 성 과 품 작 성
검토 및 보완
성 과 품 인 쇄

성 과 품 제 출
[그림 3-2] 과업수행 흐름도(예)

29
수행 tip

• 인원 계획 시 주요 기술자의 경우에는 경력, 학력


등의 주요사항이 수록된 이력서를 첨부하여 신뢰성
을 향상시킨다.
• 다양한 분야의 기술자가 참여하여 터널이 계획되므
로 사업계획서 수립 시 모든 분야 또는 주요 분야가
참여하는 정기적인 회의를 계획하여 상호 업무에 관
한 협의 또는 공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30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기수행한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터널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종류 및 개략업무
범위를 설명한다.

• 각 분야별로 수행하는 업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 터널사업 수행 시 여러 분야가 협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설명하고, 각 분야가 유기적으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이해하도록 업무분장을 설명한다.

• 기존의 터널사업계획서에서 인력투입계획서를 몇 가지 발췌하여 설명하고 인력투입계획서를


예제로 작성한다.

학습 방법

• 기 수행된 다양한 터널사업수행계획서를 조사 분석하여 터널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협업과정


을 이해한다.

• 각 협업의 분야별로 수행하는 업무를 파악하여 원만한 업무 협의 및 분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이해한다.

• 터널사업 시 여러 분야가 협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한다.

• 기존의 터널사업계획서에서 인력투입계획서에 관한 몇 가지 사례를 조사하여 작성하고자 하는


터널사업수행계획서의 목적에 적합한 인력투입계획서를 작성한다.

31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합리적인 업무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타 분


야의 업무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수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


록 분야별로 업무를 분장할 수 있다.
업무분장
- 업무분장 시 분야 간 이해관계가 발생할 경우, 세부적으
로 업무를 조정할 수 있다.

- 업무량을 고려한 인력투입 계획 수립으로 업무를 조정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과 협업하는 분야의 업무특성 파악 여부

- 효과적인 업무분장의 수립 여부
업무분장
- 분야 간 이해관계 발생 시 업무 조정능력

- 인력투입 계획 수립의 적정성

32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터널과 협업하는 분야의 업무특성 파악 여부

- 효과적인 업무분장의 수립 여부
업무분장
- 분야 간 이해관계 발생 시 업무 조정능력

- 인력투입 계획 수립의 적정성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터널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업무특성, 업무분장 및 인원투입 계획에 대한 이해도를
점검하고 필요시 부족한 부분은 추가로 설명을 한다.

2. 사례연구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을 분석하여 터널과 협업을 수행한 분야, 업무 종류 등을 조사하
고 터널사업계획서 수립 시 계획하는 터널에 적합한 협업 분야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33
학습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LM14020103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2)
학습 3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LM1402010301_14v2.3)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
학습 4
(LM1402010301_14v2.4)
학습 5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5)

4-1. 리스크 분석

• 해당 터널 특성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제시할 수 있다.


• 사업추진 성격, 업무 범위, 발주처 소속국가의 동향 신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리스크 사건에 대한 발생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을 통해 리스크 별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다.
• 예상되는 리스크에 대해 저감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터널사업의 위험도
터널사업의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는 계획 단계에서 발주조건, 대상 지반의 현황, 지반조건,
지형, 지장물, 공사기간, 경제성 확보 등의 다양한 위험요인이 있다. 사업계획서 작성 시에는
발주자가 이러한 사전 위험성(문제점)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인지하고, 사업수행 시 과업에 참여
하는 기술진들이 사전에 발생 가능한 주요 위험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개략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사업수행계획서 상에 사업 추진 시 성공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터널은 지하구조물이므로 지반의 다양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터널 시공단계에서
위험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터널사업 계획 시 터널 안정성, 경제성 및 환경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중요하다.

󰊲 위험도 분석
위험성 분석이란 노출된 위험이나 잠재된 위험에 대하여 위험요인을 미리 제거하거나 관
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험도 분석기법은 위험도를 구체적으로 평
가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본 교재에서는 개략적인 방법만 소개하고 아래에 소개된 분석기법에 대한 자세
한 사항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평가기법과 관련된 전문도서를 참조한다.

34
1. 정성적 평가(Hazard identification method)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위험요인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하거나 시행한다.
- 체크리스트 평가(Check list)
- 사고 예상질문 분석(What-if 분석)
- 상대 위험순위(Dow and mond indices)
- 위험과 운전 분석(HAZOP: HAZard & OPerability studies)
- 이상과 위험도 분석(Failure modes effects & criticality analysis)

2. 정량적 평가(Risk assessment)


위험요인별 사고로 발전할 수 있는 확률과 사고피해 크기를 정량적으로 계산한다.
- 결함수 분석(FTA: Fault Tree Analysis)
- 사건수 분석(ETA: Event Tree Analysis)
- 원인-결과 분석(CCA: Cause-Consequence Analysis)

󰊳 리스크 관리
추진하려고 하는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리스크를 얼마나
잘 관리할 수 있는가에 성패가 달려 있다.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것의 의미는 리스크를 최
소화하고 리스크를 처리하며 분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스크 관리의 본질은 리
스크가 발생했을 때의 처리 방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예상되는 모든 리스크 요소를 조
기에 식별하여 가급적 피해가거나 경감시키는 예방관리가 중요하다.

1. 리스크의 정의
리스크에 대한 정의는 한 가지로 정의되지 않고 다양한 정의가 가능하다. 주어진 상황에
상존하고 있으며 가능한 결과를 가져오는 데 역할을 하는 모든 변화요소를 의미한다.

2. 리스크 관리의 정의
리스크 관리는 사업 내외부에 존재하는 리스크를 줄이고 기회를 택하여 사업의 목표를 달
성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3.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의 범위


프로젝트의 리스크는 프로젝트가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그 관리 범위
가 결정된다.

4. 프로젝트 관리와 리스크 관리의 연계성


리스크 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에 필수적인 다른 7가지 기능인 cost, time, quality, scope,
contract/procurement, human resource 및 information/communication management와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특히 리스크는 프로젝트의 cost, time, quality 및 scope에는 필연적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35
󰊴 건설 공사 리스크의 세분화된 형태

리스크는 모든 건설 환경 및 관련 업무에 존재하고 있으며 주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현장 위치와 관련된 리스크
2. 날씨와 관련된 리스크
3. 천재지변과 관련된 리스크
4. 물량 변화와 관련된 리스크
5. 업체 능력과 관련된 리스크
6. 결함설계와 관련된 리스크
7. 하도자 결함 관련 리스크
8. 시공작업 결함 관련 리스크
9. 사고와 관련된 리스크
10. 재정 실패와 관련된 리스크
11. 인플레이션에 의한 리스크
12. 노동자, 자재, 장비 관련 리스크
출처: 권오성(2000). 『CM 이야기』. 도서출판 건설도서. pp.128-132.

󰊵 리스크의 최소화 및 손실의 경감

다음의 원칙들은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 계획에 필연적인 사항들이다.


1. 엔지니어링을 통하여 충분한 사전 계획에 의한 지연의 최소화 추구
2. 설계 및 시공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적절한 지하탐사의 시행 및 데이터의 정확
한 해석
3. 발주자 및 설계자에게 유효한 모든 정보를 시공자에게도 제공 및 정보를 공유
4. 발주자에 의한 사전 허가 획득
5. 모든 조직(계약자)에 의한 강력한 관리 능력 보유 및 시행
6. 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현장에서의 결정 능력 보유
7. 공사 진행에 따라 분쟁을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절차 설정
8. 모든 조직(계약자)의 충분한 재정적 보증
9. 설계 단계에서의 시공자 참여 또는 공공기관과의 계약에서 계약서에 시공자의 VE 조항 및
VE 결과에 대한 배분 조항을 삽입
10.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인력 및 하도급 관련 계약 조건의 설정
출처: 권오성(2000). 『CM 이야기』. 도서출판 건설도서. p.142.

36
수행 내용 / 리스크 분석하기

재료·자료

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발주처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 자료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유사 터널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대상 사업 유사사례에 대한 자료와 서류


관련 법규들에 대한 자료(건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


도출된 계획안, 사업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
협의를 위한 보조자료(요약보고서, 프리젠테이션 자료)

기기(장비·공구)


전산장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공학용 계산기, 복사기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캐드 등 전산 프로그램,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

안전·유의 사항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결과로부터 터널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지질, 지형, 지반조건, 지장물 및 접근성 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
조사하고 분석한다.


사업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려중인 터널개발사업의 관련 법규 위반 여부, 유관기관 정책과의
충돌 여부 등 행정적・정책적 관련 사항을 정확히 분석한다.

수행 순서

󰊱 기존 자료 분석을 통한 위험도를 분석한다.


입찰안내서, 타당성 보고서, 기본 계획 등 사업 계획 수립 대상의 사업 관련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정보를 최대한 수집한 후 현재의 설계 조건, 발주 조건,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상세히
분석한다.

1. 선형 계획 분석하기
입찰안내서 혹은 발주자와 협의를 통하여 터널이 계획된 노선의 평면 선형 및 종단 선형
계획이 수정 가능하다면 경제성, 시공성, 유지관리 비용, 안정성 및 민원 등의 사항을 고
려하여 최적의 노선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7
2. 단면 계획 분석하기
설계기준, 터널 연장, 시설 규모, 종단 경사, 배수 계획, 방재 계획, 안정성, 경제성 및 시
공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터널단면 계획을 수립한다. 예를 들어 연장이 짧은 터널이 연
속된 경우에는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거푸집 및 여러 가지 부대설비 등을 호환할
수 있도록 동일한 단면을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표 4-1> 터널 내공단면 변경 비교(예)
중점 - 일반적으로 중심각 120도를 갖는 3심원 작도법으로 내공단면 구성
검토방향 - 내공 중심각 및 제트팬과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굴착 단면적 최소화 검토

계획안

- 내공단면 작도 시 중심각 110도를 갖는 3심원 작도법 적용


- 시설한계와 제트팬과의 이격거리는 당초 28.2cm에서 20cm로 8.2cm 축소
- 내공단면 작도법 변경 시 다음과 같은 효과 기대
기대 효과 ・ 터널 굴착 단면적: 85.4m2 ➜ 83.6m2로 감소
・ 지보량 및 콘크리트 라이닝 수량 감소

3. 터널 갱구 위치 분석하기
NATM의 시종점 위치를 토피가 충분히 확보되는 지점에 선정하면 대개 암반 조건은 양호
해지고 터널 천단부의 토피도 높아지므로 안정성은 확보되는 반면, 갱구부의 원지형을 훼
손하는 면적이 커지고 개착터널이 더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원지반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추세이므로 NATM의 위치를 최대한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계획한다. 이로 인
하여 NATM 터널 위치의 지반조건이 불량해져서 보조 공법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으나
갱구부에 사면 발생(원지반 훼손)면적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성, 안정성, 환
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한 갱구부의 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4. 터널 이격거리 분석하기
선형 계획 시 토지 보상비를 절감하거나 터널과 인접하여 중요 시설물이 위치하여 부득이
하게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2-Arch 터널이나 근접한 터널(병렬터널의 경우
상호 영향을 주는 범위 내에 터널 위치)로 계획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반
조건, 근접도 등을 고려하여 굴착방법, 굴착 순서, 보조 공법 등에 대한 적합한 계획을 수
립하여야 한다.

38
<표 4-2> 터널 이격거리 변경 비교(예)
- 상・하행 터널의 순 이격거리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1.0D까지 축소 가능
중점
- 터널 간 이격거리를 축소하면 터널 내부의 연결통로 연장 축소, 갱구부 절토량,
검토방향
갱구부 용지보상비 절감 효과

기본 계획

- 병설터널의 터널 간 이격거리는 1.4D인 18m로 계획

계획안

- 병설터널의 터널 간 이격거리를 1.0D인 13.2m로 축소


- 터널 간 이격거리가 4.8m 감소함에 따라 총공사비 절감
기대 효과 - 갱구부 깎기에 의한 훼손면적 감소
- 갱구부 용지보상비 감소

5. 예정 공사기간 분석하기
예정된 사업기간 내에 터널의 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장대터널이나 터
널의 착공이 다른 공정과 연계되어 늦어지는 경우, 단층대, 대규모 용수, 지반조건이 불량
한 경우 등 불확실성이 많은 터널사업의 경우 터널의 공사기간이 예정보다 늦어질 가능성
이 매우 크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여 예정 사업기간 내에
터널이 완공될 수 있도록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지반 특성 분석을 통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다.


보통의 경우 사업계획 수립시기에는 대상 노선에 대하여 다양하고 정확한 지반 관련 정보
가 거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터널은 지중에 건설되는 특성상 터널이 계획된 위
치의 지반조건에 따라 시공 속도, 안정성, 경제성이 매우 상이하게 된다. 또 주변 지반의
상태에 따라 지보패턴의 적용 비율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업계획 수립 시 가능한 많은 지반정보를 가지고 계획에 반영하면 더 현실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사업계획 수립 시점에는 시간적・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지반
특성 파악이 곤란하지만 경험이 많은 기술자의 현장 답사, 고지형도, 지형도, 위성사진, 항
공사진, 지질도 등을 조사 분석하고 인근의 터널 관련 시공기록이나 조사결과 등을 최대
한 수집하여 터널사업 계획 수립에 반영하여야 한다.

39
1. 지반 불확실성 분석하기
터널이 위치하는 지역의 암종 특성, 불연속면(단층), 지하수 등 터널 굴착 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가능한 터널 계획 시 유리한 암반 조건에 위치하도
록 선형을 조정한다. 만약 조정이 불가능하다면 터널 대상 지반에 대한 다양한 지반조사
계획을 사업수행계획서에 반영하여 설계에 반영되도록 한다. 특히, 특수한 지반조건(예를
들면 공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석회암 지반)에 터널을 계획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지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조사 항목을 추가로 계획하여야 한다.

2. 지하수 조건 분석하기
터널 상부 또는 주변에 하천, 저수지, 소류지 등이 위치하는 경우 터널 굴착에 따른 누수
의 발생 가능성을 반드시 검토하여야 한다. 또 최근에는 하저 또는 해저 터널을 빈번하게
계획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터널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압을 어떻게 고려할지 또는
시공 중 대규모 누수 발생 여부 등에 대한 대책을 사전에 수립하여야 한다.

3. 굴착공법 분석하기
터널 대상 구간의 암반 특성, 암반 종류 및 풍화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발파공법, 기계 굴
착, 분할굴착 여부 및 굴진장 선정 등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따라 경제성과 공사기간, 안전성 등이 현저하게 달라지므로 계획서 수립 시 특수
한 지반조건의 유무를 확인하고 유사지반조건의 터널사업 시행 결과를 사전에 분석하여
굴착 시공 중 특이사항의 유무를 확인하여 사업계획서에 반영한다.

4. 보조공법 분석하기
보조공법은 주로 토피가 낮거나 편토압지대, 단층대 혹은 지질이상대, 용수구간등의 취약
부에 적용하게 되므로 계획 시 고려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불안전 요소를 확인하
고 대상 지반조건에 가장 적합한 보조공법의 종류와 적용범위 등을 가능한 사업계획서에
반영한다.

󰊳 지형 특성 분석을 통한 위험도를 분석한다.


사업 계획 수립 시에 터널 노선이 결정되면 위치별로 터널 계획고로부터 토피고와 상부 지형
을 도면에서 파악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형 정보를 통하여 터널 시종점부의 위치와 저토피 또
는 대심도 구간 혹은 애추지형 등의 유무에 대해 사전에 확인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1. 터널 토피 분석하기
사업계획서 상의 터널 노선 중 토피가 너무 깊거나 얕은 경우에는 굴착 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대심도 터널의 경우에는 터널 주변 암반에 과도한 지압이 작용할 수 있으며, 토피
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지반조건이 불량하거나 발파가 곤란한 경우도 있으므로 개착터널로
진행할지 또는 보조공법을 적용하고 기계 굴착을 할지 등에 대하여 사업계획서 상에서 현장
조건을 개략적으로 분석하여 위험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구간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40
2. 편토압 분석하기
터널의 상부 지형 조건의 좌우 지표면의 표고가 과도하게 차이 나는 편토압 구간의 경우에는
하부에서 터널 굴착 시 횡방향으로 사면파괴가 발생할 수도 있고 보통의 구간에 비하여 하부
터널에 작용하는 토압도 중력 방향이 아닌 상부 지형의 영향이 반영된 지압이 터널에 작용하
게 되어 편평한 지형 하부에 위치하는 터널과는 작용하는 지중응력이 상이하게 되므로 이러
한 지형 조건에 터널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설계 시 굴착 순서, 방법, 보조공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사업계획서 수립 시 편토압 구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장비 진입도로 분석하기
최근에 신설하는 도로의 경우에는 계획고가 지표면에서 상당히 높게 계획되어 교량과 터
널이 연속되어 구성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터널 갱구부까지 건설장비의
진출입로를 확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 터널 굴착 시 발생하는 버력의
처리비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다른 구
조물(교량)과 연계하여 경제성과 시공기간을 고려한 공사계획을 수립하여 시공 순서를 조
정하거나 공사용 사갱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 민원 발생 사례를 통한 위험도를 분석한다.


계획된 터널 주변에 민가, 학교, 축사, 문화재 등의 지장물이 위치하고 있다면, 굴착 시 발
생하는 진동이나 소음, 오염물질 확산 여부 등을 고려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구체
적인 설계 시에는 정밀한 분석을 통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겠지만 터널사업계획서
작성 시에도 개략적인 터널 시종점부를 알 수 있으므로 민원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장물
이 주변에 있는지 유무를 개략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시공 시 민원이 발생하면 공기가
지연되고 원활한 공사의 진행이 곤란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1. 터널에 근접한 지장물 분석하기


터널 굴착 시 발파공법이 경제적이고 시공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
는데 필연적으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터널 굴착 시 굴착 영향 범위 내에 지장물(지
장물별로 허용되는 진동, 소음 허용치가 상이하여 굴착 영향 범위가 상이함)이 있는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분할 굴착, 진동소음 저감대책 수립, 기계 굴착 등의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2. 도심지 공사 분석하기
터널의 수요가 많아지면서 도심지 하부에도 터널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또 지하철 등
지하공간 계획 시 이용객의 접근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얕은 심도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터널 굴착에 따른 영향범위가 지표면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얕은 터널이 된다. 얕은 터널의 경우 굴착 시 영향 범위 내에 건물, 지하구조물, 기
존 터널, 상하수도관, 가스관 등 많은 기존 시설물이 위치한 지반의 주변을 굴착하게 되므
로 터널 계획 시 기존 지장물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1
󰊵 경제성 분석을 통한 위험도를 평가한다.
사업 계획 수립 시 경제성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항목 중 하나이
다. 따라서 사업계획서를 보는 사람을 합리적으로 설득하기 위해서 차별화된 경제성 확보
방안이 첨부된다면 경쟁력 있는 사업계획서가 될 수 있다.
터널 계획 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터널의 여러 가지 조건을 자세
하게 분석하여 소정의 품질을 확보한 상태로 공사기간 내에 시공이 가능하고 안전성을 담
보하며 경제적이라면 사업계획서에 반영이 가능하다. 다만, 사전에 검증된 효과적인 공법
을 적용하는 것이 위험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유사 조건의 기존 사례나 문헌 조사를 통하
여 많은 자료를 검토한 후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대
표적인 몇 가지 사례를 언급하였으나 대상 터널의 조건을 면밀히 검토한 후 적합한 방법
을 선정하여야 한다.

1. 설계 조건을 변경하는 방안 평가하기


입찰안내서나 설계기준을 자세하게 검토하여 구조성능기준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터널단면
축소, 배수 시스템 개선, 종평면 계획을 수정하여 터널 연장 단축, 불확실한 지반조건을
자세하게 조사하여 지보패턴 비율 조정 등을 평가한다.

2. 시공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안 평가하기


암반 조건이 좋은 경우 적용하는 장공발파, 장대터널의 경우 발파와 거푸집을 동시 시공,
상하반 동시 시공, 라이닝 타설 거푸집 연장 증대 등을 평가한다.
<표 4-3> 라이닝 타설 거푸집 연장 증대 (예)
중 점
- 라이닝 1회 타설 연장은 통상 9m 적용하나 10m 적용 시 공기 및 공사비 절감
검토방향

계획안

- 라이닝 1회 타설 연장 9m 적용 - 라이닝 1회 타설 연장 10m 적용


기대 효과 - 라이닝 1회 타설 길이를 9m에서 10m로 증대 시 전체 공기 3개월 단축 가능

42
3. 신기술 적용 평가하기
새로 개발된 새로운 공법이나 장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
법이다. 다만 적용 시 과거 적용사례를 명확하게 조사 및 분석하고 대상 조건에 적용 가
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적용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표 4-4> 분할 굴착시 하반 천공 방법 변경 (예)
- 상・하반으로 분할굴착 시 벤치 길이와 관계없이 상반과 동일한 수평천공 후
중점
발파에 의한 굴착으로 계획
검토방향
- 하반은 노천발파와 같이 연직 하향 천공 후 발파에 의한 굴착 적용성 검토

기본계획

- 하반 굴착 시 상반과 동일한 수평천공 후 발파 굴착으로 계획

계획안

- 패턴 4, 5 구간의 하반 굴착 시 연직 하향 천공 후 발파 적용
기대효과 - 수평천공 후 발파에 비해 작업속도가 빠르고 장약량을 절감

󰊶 기타 사항과 관련된 위험도를 분석한다.


최근에는 터널계획 시 안전성, 편리성, 시인성 및 환경성 등의 다양한 요구조건이 제시되
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터널 입출구부 또는 내부에 많은 시설과 설비
등이 추가되고 있다. 터널 계획 시 다양한 시설과 장비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터널의 규모
나 갱문 형식 등이 변경되기도 한다.

1. 방재시설 분석하기
터널 내부 화재 시 방재설비(제연팬, 피난연결통로, 비상주차대 등), 소화시설, 입출구부
조도순응시설, 진입방지 설비, 포장면 결빙방지 장치 등의 적용 유무

2. 환경오염 저감대책 분석하기


터널 내에 발생하는 공사 중(장비로 인한 오탁수, 발파 후 가스 등) 또는 운영 중의 오염
물질 처리방안(분진 확산, 터널 내 청소수 처리방안 등) 수립 및 갱구부 사면 발생을 최소
화하는 방안

43
3. 시인성 증대 분석하기
터널 갱구부 형식을 구조적 기능 외에 조형미를 가미하여 랜드마크의 역할을 기대하거나
이용객의 시선을 집중시켜 사고를 예방한다. 또 터널 내부에 조명이나 타일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문양이나 경관조명을 통하여 장대터널을 이용하는 이용객에게 피로감을 줄여서
사고 발생 가능성을 경감시키는 방안을 적용하기도 한다.

수행 tip

• 터널사업 계획 수립 시 작성하는 위험성 분석은 고


도의 경험과 지식이 필요한 부분이므로 과거에 작성
한 유사한 지반조건, 터널 조건의 사업계획서를 참
조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 터널사업계획서 중 위험성 분석 부분은 발주자에게
본 사업계획서를 통하여 어떻게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지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므로 책임기술
자들과 협의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4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통해 리스크 사건의 종류를 조사하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터널과 관련된 다양한 리스크 사건에 관한 사례를 설명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리스크 사건의 중요도(안전성, 경제성, 민원처리 등)에 따라 설명한다.

• 리스크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방법을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설명한다.

학습 방법

• 다양한 터널사업 사례를 통해 리스크 사건의 종류를 조사하고 이해한다.

• 터널과 관련된 다양한 리스크 사건의 사례를 조사한다.

• 터널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리스크 사례를 조사하고, 설계 및 시공에서 반영한 결과를 확인한다.

• 리스크 저감대책 수립 방법을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이해한다.

45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 터널 특성과 관련하여 발생 가능한 리스크 사건을


제시할 수 있다.

- 사업추진 성격, 업무 범위, 발주처 소속 국가의 동향 신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리스크 분석
- 리스크 사건에 대한 발생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

-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을 통해 리스크별 중요도를 평가


할 수 있다.

- 예상되는 리스크에 대해 저감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 터널의 중요 특성 파악

- 해당 조건과 관계된 리스크 사건의 List up


리스크 분석
- 리스크 사건의 중요도 평가

- 예상되는 리스크 사건의 저감대책 수립

46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 터널의 중요 특성 파악

- 해당 조건과 관계된 리스크 사건의 List up


리스크 분석
- 리스크 사건의 중요도 평가

- 예상되는 리스크 사건의 저감대책 수립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기 수행한 사업수행계획서의 리스크 사건을 조사하고 저감대책 수립 결과, 중요도 평
가한 결과를 조사 분석하여 리스크 사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는 추가적인 설명을 통해 이해도를 높인다.

2. 사례연구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을 통해 터널과 관련된 리스크 사건을 정리하여 향후 터널사업
계획 수립 시에 적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47
학습 1 사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LM1402010301_14v2.1)
학습 2 관련 계획 검토하기(LM1402010301_14v2.2)
학습 3 타 분야와 업무분장하기(LM1402010301_14v2.3)
학습 4 사업 리스크 분석하기(LM1402010301_14v2.4)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
학습 5
(LM1402010301_14v2.5)

5-1. 사업 추진절차 계획
• 사업 개발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 단계별로 사업 추진절차를 계획할 수 있다.
• 사업진행을 위한 단계별, 분야별, 공정별 특성을 고려하여 소요 기간, 인원과 비용을
계획할 수 있다.
• 각 공정별로 요구되는 선행 작업과 후행작업의 관계를 고려하여 사업 추진절차를
학습 목표
계획할 수 있다.
• 추진 일정을 단계별, 공정별로 명확하게 파악 가능한 예정공정표로 작성할 수 있다.
• 사업 추진계획과 실제 시행 결과에 따라 지연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공정 만회대책
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업 단계별 수행 내용
<표 5-1> 사업 단계별 수행 내용
사업 단계 내 용
- 건설사업 목표 구체화: 사업 계획 수립
기획, 계획 단계 - 사업 계획 분석: 타당성 분석, 평가, 대안 제시, 투자 의사결정, 최적 설계를
위한 기획 및 자문
- 발주자 및 설계자에게 기술적·경영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 단계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조정 또는 자문 - VE 적용 개선 및 대안 제시
- 설계안에 대한 개략 사업비 산출 - 시공 계획에 대한 사전 검토
- 발주자와 도급자 사이에 합리적인 계약의 체결을 조언, 시행
입찰 단계 - 입찰자격 사전 검사 - 입찰서 검토 및 분석
- 낙찰과 관련된 업무 - 공사 추진 방식 검토 및 자문
- 공사계획서 검토 - 기술 협의, 지도
시공 단계
- 공정, 품질, 안전, 원가, 노무, 자재관리에 대한 조정통제 업무와 감리 업무
준공, 인도 단계 - 평가 및 사후관리 방안 검토
출처: 남기천 외 5인(2005). 『현장실무자를 위한 토목시공학』. 한솔아카데미. p.5.

48
󰊲 공사 계획

공사 계획 과정에서 다음의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한 계획과 대책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장기 구매품목: 자재의 품귀, 공장 품질관리에 소요되는 기간 및 제작기간, 기타 예상되는
지연 사유 등으로 현장에 투입되어야 할 시기보다 훨씬 오래전에 발주를 하여야 할 자재
또는 장비가 있는지 확인한다.
2. 공익 설비의 공급: 물, 전기, 가스 공사 중 프로젝트 준공과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할 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있다면 관련 사항의 공급 책임자나 기관을 접촉하여 공급
이 가능한 시점 또는 공급이 중단되어야 할 기간이 최대한 얼마나 소요되는지를 파악한다.
3. 공사용 가설 설비 공급: 건설 현장을 우회하여 설치가 요구되는 공사용 설비 공사(물, 전기,
가스 등)가 필요한지의 여부 및 공사용 우회 도로가 필요한지를 파악한다.
4. 공사용 가설 설비 공급의 주체: 공사용 가설 설비를 공급하는 주체가 누구이며 어느 곳에서
부터 연결하여 공사를 수행하여야 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5. 기능 인력(노동자) 문제: 여러 분야에서 공사에 참여하는 기능 인력의 책임자가 해당 지역의
근로 조건 및 법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있는지, 해당 지역에서의 노조 활동 등과 연관된
사항을 사전에 파악한다.
6. 작업 준비사항: 시공자가 작업을 착수하고 자재 등을 보관할 장소 등과 설비가 준비되어 있
는지 확인한다.
7. 교통 요구사항: 현지 교통 규제 및 규정에 대하여 조사가 되었는지, 공사용 장비가 공공 도
로에서 운행할 수 있는지, 작업을 위해 도로를 폐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작업 장소 주위에
서 교통 정리를 위하여 신호수 또는 특별한 교통관리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8. 진입로 등 설치: 공사기간 동안에 공사장 인근에 위치한 사무실 및 주거 지역에 사람들이
출입하기 위한 가설 도로(진입로) 또는 가설 교량 등의 설치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9. 타 시공자와의 간섭사항: 동일 장소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다른 시공자가 있는지, 있다면
예정된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해서 그들과 공정 계획 조정 등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10. 선후행 작업의 충돌 현상: 프로젝트 수행과 연관하여 해당 작업을 착수하기 위해서는 타 시
공자나 하도업체의 완료가 필요한지, 또 설비(물, 전기 등)가 공급되어야 하는 사항이 있는
지 확인한다.
11. 환경관리: 산업 폐기물 처리 등 환경관리와 관련된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사항이 있는지,
있다면 그 사항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12. 특별한 규정 또는 규제: 공사 일정과 시공기간에 제한 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별한 규
정 또는 규제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13. 특수 건설 장비의 필요: 공사를 위하여 특수한 장비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만약 필요하다
면, 공공 도로로 운행이 가능한지 아니면 특별한 운반 도로가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허용 하
중 그리고 교량 등의 여유 폭 등을 확인한다.
14. 공사 시기: 프로젝트를 완료하기에 허용된 기간이 공사 위치 및 계절적 시기와 적절한지를 확
인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력의 증가 또는 돌관작업 등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출처: 권오성(2000). 『CM 이야기』. 도서출판 건설도서. pp.168-169.

49
󰊳 공정관리

공정관리란 발주자가 요구하는 공기 내에 설계도서의 결과물(구조물)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소


정의 예산과 기간 내에서 공사를 완성하기 위해 계획, 관리, 통제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1. Gantt Chart(Bar Chart): 1930년대에 미국의 H. L. Gantt가 고안하였으며 도표상에 횡방향의 막
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나타내고 시각적으로 분명하여 전체적인 공사
일정의 파악이 용이하나 작업의 연결관계가 불분명하여 주공정선의 파악이 곤란하다.
바 차트는 공기와 각 작업의 소요 일수가 명확하고 공정표의 작성이 용이하여 소규모 건설
공사의 공정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사선식(기성고) 공정표: 작업의 관련성을 나타낼 수는 없으나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 데
편리한 공정표로서 세로에 공사량, 총인부 등을 표시하고, 가로에는 월, 일수 등을 취하여 일
정한 사선 절선을 가지고 공사의 진행 상태(기성고)를 수량적으로 나타낸다.
각 부분 공사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공정표에 적합하고 전체 경향과 시공 속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예정과 실적의 차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개개 작업의 조정을 할 수가 없으므
로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한다.
3. 진도관리 곡선(바나나 곡선): 공사 일정의 예정과 실시 상태를 그래프에 대비하여 공정 진도
를 파악하는 진도관리 곡선은 먼저 예정 진도 곡선을 그리고 상부 허용한계와 하부 허용한
계를 설정한다.
4. Net Work 공정표: 각 작업의 상호관계를 네트워크(net work)로 표현하는 수법으로 CPM(critical
path method)법과 PERT(program evaluction & review technique) 기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 공정표는 공사 계획의 전모와 공사 전체의 파악이 용이하고 각 작업이 흐름을 분
해하여 작업의 상호관계가 명확하게 표시되어 공사의 진행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출처: 남기천 외 5인(2005). 『현장실무자를 위한 토목시공학』. 한솔아카데미. pp.13-14.

수행 내용 / 사업 추진절차 검토하기

재료·자료


계약서, 사업지시서, 입찰안내서


사업개발 대상 지역의 정치・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
유사 터널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 자료, 발주처 및 유관기관들의 정책 자료


관련 법규들에 대한 자료(건설 관련 법, 시행령, 시행규칙)


도출된 계획안, 사업 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협의를 위한 보조자료(요약보고서, 프리젠테
이션 자료)

50
기기(장비·공구)


전산장비: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플로터 등), 공학용 계산기, 복사기

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캐드 등 전산 프로그램,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


필기도구 등 기타 사무용품

안전·유의 사항


유사 터널개발사업 분석 결과로부터 터널사업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한다.


사업개발 대상 지역 특성(지질, 지형, 지반조건, 지장물 및 접근성 등)을 현지에서 직접 확인
조사하고 분석한다.


사업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고려중인 터널개발사업의 관련 법규 위반 여부, 유관기관 정책과의
충돌 여부 등 행정적・정책적 관련 사항을 정확히 분석한다.

수행 순서

󰊱 사업 추진절차를 작성한다.
사업계획서에 포함되는 사업 추진절차는 입찰안내서에서 제시되어 있는 과업수행 일정을
확인하여 현재부터 향후 추진해야 하는 주요사항의 목록을 나열한 후 자료 입수, 조사, 기
존 사례 분석 및 실시 설계 일정을 순차적으로 전후관계를 고려하여 일정을 계획한다.
이때 주요 일정을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인원투입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
다. 현재 계획된 인원으로 추진이 곤란한 경우에는 소요 인원을 산정하여 인원충원 계획
또는 업무를 분담하는 계획을 수립한다. 주요 일정을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
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과거 과업수행계획서나 기수행한 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소
요 인원과 업무량을 확인하여 일정과 인원 계획 수립 시에 반영하면 더 정확한 계획을 수
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51
과업수행 추진절차 업무수행 계획

사전검토

여러 분야의 협업을 위해 합동사무실 개설 여부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기설계 도서 검토)

현장조사·답사/해외설계·시공사례 조사 및 분석

각종 조사 및 예비검토 착수 / 국내 및 해외자문

설계 기본방향 설정

입찰공고

기존 설계 재검토 및 문제점 분석

특화사항 검토 및 분석(Risk, 경제성, 안정성)

현장설명

발주처 협의 및 질의(발주처 의도 파악)

각종 조사, 실험 등 외주항목 설계적용 검토

실 시 설계

설계보고서 작성

공사비 내역 작성

각종 설계도서 작성

설계 설명자료 준비

성과품 인쇄

입찰도서 제출

설계 심의 / 예상 질의 작성

프리젠테이션

심의 내용 분석 및 질의 응답 대비

심의 및 평가

[그림 5-1] 과업수행 추진절차 및 업무수행 계획(예)

52
󰊲 공정표를 작성한다.
공정표의 작성은 경제적 공정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으로 작업 가능일수의 산정, 평균 시
공속도에 의한 1일 표준시공량의 산정, 소요 일수의 산정, 시공 순서의 결정, 최적공기의
결정 등을 거쳐 공정표를 작성한 다음 이를 시공과 관리용으로 사용한다.
공정표는 기본 공정표와 부분 공정표 및 세부 공정표로 구분한다. 기본 공정표는 공사를
주요한 공정별로 구분하고 시공 순서를 조합시켜 전체적으로 공기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작성한 것이다. 부분 공정표와 세부 공정표는 기본 공정표에 의거하여 각 공정을 좀 더
상세하게 조립한 것이며 시간 단위도 월에서 일로 세분된다.
공정관리는 계약 공기 내에 소정의 설계도 및 설계서에 상응하는 구체적 성과품을 창출하
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리 대상인 공정의 계획과 통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단위
조작을 조합하여 단위 공정을 구성하고 이를 유기적인 종합 공정으로 조립하여 전체 공정
을 계획한 후 이에 따라 재료, 노무, 건설기계 및 예산을 순서 있게 수배 운영하여 소정의
공기 내에 완성되도록 진척상황을 파악하고, 계획과 실시를 대조하여 필요한 경우 계획의
수정 등을 행하는 관리이다.

<표 5-2> 세부 공정 계획(예)


구분 보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공정 (%) 30일 60일 90일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300일 330일 360일

3.0 3.0
1. 준비 및 노선 선정 6.0

1.0
1) 과업지시서 검토 1.0

2) 과업범위 설정 및 1.0
1.0
구분

1.0
3) 관련 계획 검토 1.0

4) 관련 시설 계획 1.5
1.5
검토

5) 교통권역의 설정 1.5
1.5
및 개발방향 설정

2.5 2.0 4.0 4.3 5.0 8.2


2. 현지조사 및 측량 26.0

1) 주변 토지이용 1.5 0.5 1.0 1.5


4.5
조사

1.0 1.0 1.0 1.5


2) 도로 현황 조사 4.5

3) 하천 현황 조사 0.2 1.0 0.5 1.0 1.8


4.5
및 수문 조사

53
<표 5-2> 세부 공정 계획(예) (계속)
구분 보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공정 (%) 30일 60일 90일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300일 330일 360일

4) 통행실태 조사 및 0.3 1.0 0.5 1.0 1.7


4.5
분석

0.3 3.0 4.7


5) 측 량 8.0

1.0 1.0 6.0 6.0


3. 지질조사 및 시험 14.0

1.0 0.5 4.0 3.5


1) 조사 및 시추 9.0

0.5 1.5 2.0


2) 시 험 4.0

3) 검토 및 보고서 0.5 0.5


1.0
작성

2.0 5.0 7.0 1.5 3.3 5.8 5.0 7.0 5.9 6.5
4. 기본 설계 49.0

1) 사회경제 현황 0.5 0.5


1.0
조사

1.0 0.5
2) 대안 노선 선정 1.5

1.0 0.5
3) 최적 노선 선정 1.5

0.5 0.5 1.0 0.5 1.0 1.5


4) 교통조사 및 분석 5.0

1.0 0.2 0.8 1.0


5) 선형 설계 3.0

0.3 0.7 1.0 1.1 0.8 1.1


6) 도로시설 설계 5.0

0.2 0.7 1.0 1.0 0.9 1.2


7) 구조물 설계 5.0

0.2 0.7 1.1 1.0 0.8 1.2


8) 터널 설계 5.0

0.5 0.5 0.5 0.5


9) 부대시설 설계 2.0

1.5 1.5
10) 문화재 지표조사 3.0

1.0 1.5 1.0 0.1 0.4


11) 사전환경성 검토 4.0

12) 사전재해 영향성 0.1 0.2 0.6 1.1 3.0


5.0
검토

13) 내역서 및 보고 2.5 2.5


5.0
서 작성

54
<표 5-2> 세부 공정 계획(예)
구분 보할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공정 (%) 30일 60일 90일 120일 150일 180일 210일 240일 270일 300일 330일 360일

1.0 0.1 0.2 0.6 0.3 0.4 0.4


14) 경제성 검토 3.0

0.2 0.2 4.1 0.5


5. 설계 심의 및 기타 5.0

3.0
1) 설계도서 작성 3.0

2) 준공검사 및 1.0
1.0
보완

0.5
3) 성과품 인쇄 0.5

0.2 0.2 0.1


4) 설계 심의 및 보완 0.5

소 계 100 3.0 5.5 4.0 9.0 11.5 7.5 12.5 12.0 11.0 7.0 10.0 7.0

누 계 3.0 8.5 12.5 21.5 33.0 40.5 53.0 65.0 76.0 83.0 93.0 100.0

수행 tip

• 건설교통전자정보관(www.codil.or.kr)을 방문하면 공정
관리계획서 샘플을 참조할 수 있다.

55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사업의 개발 단계별로 각각의 사업 추진절차를 과거 사례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 과거 수행된 사례를 이용하여 공정별로 인원과 소요 기간 등을 설명한다.

• 터널사업 수행 계획 시 필요한 공정표를 설명하기 위하여 건설 시공학의 건설관리 분야에 수록된


선행 작업, 후행작업 관계를 설명한다.

• 간단한 공정 몇 가지를 가지고 예정 공정표를 작성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 사업이 예정기간보다 지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과거 사례 중 공정 만회대책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사업의 개발 단계별로 각각의 사업 추진절차를 이해한다.

• 과거 사례를 조사하여 각 공정별로 인원과 소요 기간 등을 조사 분석한다.

• 선행 작업, 후행작업 관계와 간단한 공정표를 작성하는 기법을 이해한다.

• 간단한 사례를 통하여 예정 공정표를 작성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공정을 만회하기 위한 과거 사례를 조사한다.

56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 개발 단계, 설계 단계, 시공 단계, 유지관리 단계별


로 사업 추진절차를 계획할 수 있다.

- 사업 진행을 위한 단계별, 분야별, 공정별 특성을 고려


하여 소요 기간, 인원과 비용을 계획할 수 있다.

사업 추진절차 - 각 공정별로 요구되는 선행 작업과 후행작업의 관계를


계획하기 고려하여 사업 추진절차를 계획할 수 있다.

- 추진 일정을 단계별, 공정별로 명확하게 파악 가능한 예


정 공정표로 작성할 수 있다.

- 사업 추진 계획과 실제 시행 결과에 따라 지연되는 경우


를 대비하여 공정 만회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단계별 사업 추진절차 계획의 적정성

- 공정별 소요 기간, 인원 및 비용 계획의 적정성


사업 추진절차
- 선후 공정을 이해하고 사업 추진절차 계획
계획하기
- 예정 공정표 작성 여부

- 공정 만회대책 수립 여부

57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단계별 사업 추진절차 계획의 적정성

- 공정별 소요 기간, 인원 및 비용 계획의 적정성


사업 추진절차
- 선후 공정을 이해하고 사업 추진절차 계획
계획하기
- 예정 공정표 작성 여부

- 공정 만회대책 수립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단계별 사업 추진절차 이해 여부, 인원 계획, 예정 공정표 작성 및 관리, 공정 만회대
책 등에 대하여 평가한 후 필요시 추가 설명을 실시한다.

2. 사례연구
- 유사 터널개발사업의 분석 방법과 단계별 사업 추진절차, 예정 공정표, 공정 만회대책
등을 조사하여 향후 터널사업계획서 작성 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58
∙ 건설교통부(2007). 『터널설계기준』. 건설교통부. 1-2.

∙ 국토해양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국토해양부.

∙ 권오성(2000). 『CM 이야기』. 건설도서. 128-169.

∙ 남기천 외 5(2005). 『현장실무자를 위한 토목시공학』. 한솔아카데미. 5., 13-14.

∙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2016.1.27. 법률 제13852호).

∙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시행령제4조 별표(2016. 5. 31. 대통령령 제27205호).

∙ 이상덕 외 2(1994). 『안정된 지하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 새론.

∙ 한국교통연구원 외 2(2007).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한국교통연구원.

∙ 한국터널공학회(2003). 『터널의 이론과 실무』. 구미서관.

∙ 문상조・정형식・김동규・김양균・신영완・장석부・장건웅 외 12(2011). 『Green with Tunnel』. 한국


터널지하공간학회.(2011).

59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문상조((주)유신코퍼레이션) 강세구((주)대경컨설턴트 신영완((주)하경엔지니어링
고성일((주)단우기술단) 이석원(건국대학교)
김재영((주)KOTEM)* 유한규(한양대학교)
문훈기((주)다산컨설턴트) 장석부((주)삼성물산)
박치면((주)에스코컨설턴트) 장수호(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종호(건국대학교)*
유광호(수원대학교)
전기찬((주)대한건설이엔지)*
정재호((주)유신코퍼레이션)
정혁상(동양대학교)
최항석(고려대학교)*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초롱(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6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