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1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터널설계 철도설계 현황조사 철도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항만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상하수도설계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

하천(댐)설계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철도설계도면 작성 철도설계도면 작성

단지설계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개발계획 조사하기

1-1.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 3

1-2. 지역현황 조사 14

1-3. 관련 계획 조사 18

• 교수・학습 방법 25

• 평가 26

학습 2. 현황측량 지반조사, 지장물 조사하기

2-1. 현황측량 28

2-2. 지질 및 지반조사 37

2-3. 지장물 조사 46

• 교수・학습 방법 49

• 평가 50

학습 3.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

3-1. 수리・수문조사 52

3-2. 기상・기후조사 63

• 교수・학습 방법 68

• 평가 69
학습 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

4-1. 문화재지표조사 반영 71

• 교수・학습 방법 77

• 평가 78

학습 5.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조사하기

5-1. 토취장 조사 80

5-2. 사토장 조사 86

5-3. 재료원 조사 90

• 교수・학습 방법 94

• 평가 95

참고 자료 97
철도설계 현황조사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연계철도망·교통망, 각종 개발계획 검토를 통한 최적노선·정거장·차량기지위치 선정과 상세


설계·시공·유지관리를 위한 측량조사, 지반조사, 수리·수문조사, 문화재지표조사, 그리고 원
활한 시공계획 수립을 위한 토취장, 사토장, 각종 재료원 조사를 할 수 있다.

선수학습

철도공학, 수리학, 지반공학, 측량학, 토질역학, 토목재료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철도망, 도로망, 각종
1-2. 지역현황 조사 1402011002_14v2.1
개발계획 조사하기 개발계획 조사하기
1-3. 관련 계획 조사

2-1. 현황측량
2. 현황측량 지반조사, 현황측량 지반조사,
2-2. 지질 및 지반조사 1402011002_14v2.2
지장물 조사하기 지장물 조사하기
2-3. 지장물 조사

3. 수리·수문조사, 3-1. 수리·수문조사 수리·수문조사,


1402011002_14v2.3
기상·기후 조사하기 3-2. 기상·기후조사 기상·기후조사하기

4. 문화재지표조사 4-1. 문화재지표조사


1402011002_14v2.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
반영하기 반영

5-1. 토취장 조사
5. 토취장, 사토장,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5-2. 사토장 조사 1402011002_14v2.5
재료원 조사하기 조사하기
5-3. 재료원 조사

핵심 용어

현황조사, 철도망, 도로망, 현황측량, 지반조사, 지장물조사, 수리·수문조사,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개발계획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1002_14v2.1)
학습 2 현황측량 지질, 지반, 지장물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2)
학습 3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3)
학습 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LM1402011002_14v2.4)
학습 5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5)

1-1.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

학습 목표 • 상위계획, 관련 계획을 조사·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설계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의 기본 방향


1. 사업대상 지역의 관련 계획 등을 사전에 철저히 조사하여 설계의 내실화를 도모한다.
2. 기존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개발계획의 사전 검토를 통해 원활한 사업 추진을
도모한다.
3. 관련 기관과의 협의, 예상되는 민원파악 등 현장 중심적인 조사 시행으로 지역상호 연
계성을 확보한다.
4. 상위계획을 바탕으로 철도설계 과업노선 주변의 직접 영향권 내 관련 계획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대책을 수립한다.

 상위계획, 관련 계획의 의미

1. 국토종합계획
상위계획, 관련계획에 대한 조사·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토기본법에 정해진 국토종합계
획의 분석이 필요하다. 국토종합계획은 국토를 이용·개발·보전함에 있어서 미래의 경제
적·사회적 변동에 대응하여 국토가 지향하여야 할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은 사회적·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정비하게 되어 있는바 현재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6~2020)
과 수정계획(2011~2020)에 의한 조사·분석이 필요하다.(국토기본법 제6조 및 19조)

3
2. 제4차 국토종합계획
철도 설계를 하고자 하는 해당 지역에 대한 국토종합계획의 수립 현황, 시기, 규모, 관련
내용 등을 파악하여 철도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 국가기간교통망계획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의 수립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4조에 의하여 국가의 효율적인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은 20년 단위로 국가기간교통망에 관한 계획
을 수립하고 5년마다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은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시설별로 상
호연관성 없이 단편적으로 확충됨에 따른 국가정책목표 달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통시설
확충과 병행하여 교통체계의 운영개선 등 효율적인 국가종합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
립되는 20년 단위 종합교통계획이다.

1.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정부에서는 철도건설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법정계획으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하였는데 이 계획은 국가기간교통망계획, 교통시설투자계획 및 대도시권광역교통계획
과 연계되는 계획철도투자를 효율적·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장기(10년 단위) 국가
철도망구축계획으로 현재 2016~2025년까지 10년을 범위로 하는 고속철도, 일반철도, 광역
철도 건설계획이다.

2. 도로정비기본계획
정부의 도로정책 및 간선도로 정비에 관한 도로정비기본계획은 지방도 등 하위도로 계획
수립의 기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도로법에 의한 국가 법정계획, 국토종합계획을 실현하는
도로부문의 중·장기계획으로 도로법 제22조에 의거 소관도로에 대한 장기적인 정비방향
이 될 도로정비기본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도록 하여 현재 2011~2020년을 범위로 고속
국도, 일반국도, 국도대체우회도로, 국가지원지방도 등 국토교통부장관이 관리하는 간선도
로 정비계획이다.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하천법에 따라 수립되는 수자원 관련 국가 최상위 계획으로 수자원
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효율적인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위해 20년 단위로 수립하고
수립된 날부터 5년마다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그 계획을 변경, 2006
년에 제4차 계획을 1차로 수정하여 기후변화, 사회·경제·환경적 여건변화, 물 관련 정책
변화, 최근의 물 현안 등을 반영하고 현재 2차 수정계획으로 2011~2020년 전국, 수자원단
위지도를 기초로 21개의 대권역 및 제주도를 포함한 117개 중권역과 기타·도서지역의 하
천관리계획이다.

4
 도시시설 및 개발계획 조사
철도설계 대상지역의 도시시설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개발계획 등이 필요하다.

 도면수집
상기에서 열거한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에 의한 철도망도, 도로망도, 지형도, 노선도, 도시
계획도 등 필요한 도면을 말한다.

 인문사회, 교통, 산업, 교육자료 수집 분석


지리적 위치, 면적, 자연환경, 인구 및 가구현황, 교통시설현황 등의 자료를 말한다.

5
수행 내용 /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하기

재료·자료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문화재보호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Ÿ 하천법 등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인터넷 환경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6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조사계획 수립 및 분석 방향 설정하기
철도설계를 위한 조사 및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아래 표와 같이 분야, 내용, 방향 등을 설
정해야 한다.

구 분 주요 조사 내용 검 토 방 향

∙ 고속철도본선 노선 및 차량기지 시설배치


각종 ∙ 사업지역 구간별 현황
계획 반영
현황조사 ∙ 대상지 인문사회 특성
∙ 문화재 및 자연환경보호

∙ 각종 상위계획 ∙ 관련 계획의 연계성 및 영향 분석


관련 계획
∙ 철도 관련 계획 ∙ 선구의 계획 일관성·연속성 확보
조사
∙ 지역 관련 계획 ∙ 장래 지역발전을 감안한 노선 및 시설계획

∙ 노선측량(실측) ∙ 측량결과를 설계기본자료로 활용


∙ 용지 및 각종 지장물 ∙ 공사 시 저촉시설 파악 후 이설 및 보호대책
측량재료원
조사 수립
지장물조사
∙ 지반조사(탐사, 시추, 시 ∙ 지반조사 결과를 설계기초자료로 활용
지반조사
험해석) ∙ 공사 시 사용재료의 원활한 공급계획, 사용
∙ 골재원 및 재료원조사 적합성 판단

∙ 하천, 저수지 현황 및 특성 ∙ 수위 저하 방지 및 배수구조물 개천내기 설계


수리·수문 ∙ 환경특성, 환경현황, 기상 ∙ 대상지역 환경영향 검토 및 저감대책 수립
사전환경영향 특성 ∙ 공사 중 작업불능일수 산정 후 공정계획에
교통영향조사 ∙ 기존 교통체계 및 교통량 반영
조사 ∙ 공사용 도로 개설 및 교통처리계획 수립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그림 1-1] 조사의 개요

 상위 및 관련 계획 분석하기

1.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6~2020)과 수정계획(2011~2020)에 의한 조사·분석

(1)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을


검색한다.

7
(2) 상기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의 내용 중 해당 지역의 철도, 도로 등 국가
상위계획의 관련성을 세밀하게 조사·분석한다.

 국가기간교통망 분석하기
국가기간교통망은 철도, 도로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한다.

1.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1)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설계시점에서 적용되고 있는 국가철


도망구축계획을 검색한다.

(2) 설계대상 지역을 포함한 국가 철도망 계획과의 관련성을 면밀히 조사·분석하여 설


계에 반영한다. [그림 1-2]는 국가철도망구축 계획도이다.

2. 도로정비 기본계획

(1)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설계시점에서 적용되고 있는 도로정


비기본계획을 검색한다.

(2) 설계대상 지역을 포함한 도로정비기본계획과의 관련성을 면밀히 조사·분석하여 설


계에 반영한다. [그림 1-3]은 국가간선도로망계획도이다.

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반영하기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등 인터넷에 접속하여 설계시점에서 적용되고 있는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을 검색하고, 설계대상 지역을 포함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과의 관련성을 면밀히 조
사·분석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도시시설 및 개발계획 조사하기


설계대상 행정구역의 광역자치단체 또는 기초자치단체에 현재 시설되어 있는 각종 사회간
접자본과 향후의 개발계획 등을 현지 방문 및 인터넷사이트를 통하여 면밀히 조사·분석
한다. [그림 1-4]는 특정광역자치단체의 종합발전계획이다.

8
출처: 국토교통부(http://www.molit.go.kr). 2016. 09. 18 검색.
[그림 1-2] 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계획도

9
출처: 국토교통부(http://www.molit.go.kr). 2016. 07. 23 검색.
[그림 1-3] 제2차도로정비기본계획 계획도

10
출처: 강원도청 홈페이지(www.provin.gangwon.kr). 2016. 07. 23 검색.
[그림 1-4] 강원도 종합발전계획

 각종 도면수집하기
현황조사에 필요한 각종 도면은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gii.go.kr)에 접속
하면 수치지형도 등 46종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1.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 접속한다.(http://www.ngii.go.k)

출처: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gii.go.kr). 2016. 09. 18 스크린샷.


[그림 1-5]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메인 화면

11
2. 지리정보를 클릭한다.

출처: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gii.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1-6] 지리정보 클릭방법

3. 지도서비스를 클릭한다.

출처: 국토정보플랫홈(http://www.ngii.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1-7] 지도서비스 클릭방법

12
4. 원하는 유형의 지도를 선택하여 내려받기 또는 인쇄한다.
상기 지도에서는 통계지도를 클릭하면 인구, 건물, 토지현황조사도 가능하다.

 사회경제지표, 교통, 인구, 고용, 산업, 교육자료 수집·분석하기


설계대상지역의 사회경제적 지표, 교통, 고용, 산업현황, 교육에 관한 인문·사회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해당 지역의 지자체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13
1-2. 지역현황 조사

• 현황 조사를 위해 다양한 도면을 수집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사회·경제지표, 교통 자료 분석, 직접·간접 대상지역의 인구, 고용, 산업, 교육
자료를 수집·분석할 수 있다.

필요지식 /

 도면의 수집
설계대상 지역의 지역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계대상 위치도, 지형도, 도로망도,
지장물 현황도 등을 관계기관 및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하여 수집한다.

 통계연보
설계대상 지역의 사회·경제지표, 교통 자료, 직접·간접 대상지역의 인구, 고용, 산업, 교
육 자료를 수집·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련 광역자치단체 및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를 활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사회경제지표
설계대상 지역의 사회경제 지표는 인구수, 가구 수, 산업/경제, 교육, 주택/건축물, 토지이용,
자족성지수, 자동차등록대수 등 통계자료를 이용한다.

14
수행 내용 / 지역현황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문화재보호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하천법 등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15
수행 순서

 도면 수집하기
국토지리정보원(http://map.ngii.go.kr)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지도의 유형을
선택하여 철도설계 현황조사 지도로 활용한다. 아래 그림은 특정 지역의 인구수 조사현황
을 나타낸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수치지도, 지형도 등 다양한 도면을 수집·조사할 수 있다.

출처: 국토지리정보원(http://map.ngii.go.kr). 2016. 09. 11. 스크린샷


[그림 1-8]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를 통한 도면 수집

 설계 대상지역의 통계연보 활용하기


철도설계대상 지역의 광역자치단체나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회·경제지
표, 교통 자료, 직접·간접 대상지역의 인구, 고용, 산업, 교육 자료를 수집한다. <표 1-1>
는 광주광역시 소재 철도역의 여객 수송 현황을 보인 것이다. 통계연보를 활용하면 면적
및 인구, 고용, 산업, 교육현황, 기후 등 인문·사회학적 분야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16
출처: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http://www.gwangju.go.kr). 2016. 09. 11. 스크린샷
[그림 1-9]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통계연보

<표 1-1> 2011년 광주광역시 철도여객수송현황


월별 승차인원(명) 강차인원(명) 여객수입(천 원)
서광주역(서구) 22,984 21,960 243,901
효천역(남구) 15,563 13,438 153,210
광주역(북구) 1,005,672 953,287 24,548,990
송정리역(광산구) 875,411 917,388 16,198,258
극락강역(광산구) 13,850 12,284 150,375
하남역(광산구) 0 0 0
임곡역(광산구) 0 0 0
출처: 광주광역시(http://www.gwangju.go.kr). 2016. 09. 11 검색

17
1-3. 관련 계획 조사

• 노선경유지의 철도, 도로, 하천, 기존 도시 시설현황과 각종 개발계획을 조사할 수


학습 목표
있다.

필요지식 /

 학습내용 1-1의 필요지식  ~  참조

18
수행 내용 / 관련 계획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문화재보호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Ÿ 하천법 등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19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주요 관련 계획 조사·분석하기

1. 상위계획
제4차 국토종합계획수정계획, 국가기간 교통망계획, 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1차
국가균형 발전 5개년 계획 등 중앙행정기관이 주축이 되어 수립된 최상위 계획을 조사·
분석한다.

2. 철도 및 지역관련 계획
제3차 ○○종합개발계획(2001∼2020), ○○·□□권 광역개발계획(1996∼2011), ○○광역시
도로정비 기본계획(2000), 2020년 ○○도시기본계획 등 지역과 관련된 개발계획을 조사한다.

3. 관광 및 지역개발계획
○○시 □□택지개발계획, ▢▢산업단지 계획, ▢▢권 내륙화물기지 계획 등 세부 개발계획
등을 조사한다.

 상위 관련 계획 조사하기

1. 제4차 국토종합계획(2006~2020)과 수정계획(2011∼2020)에 의한 조사·분석

(1)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을


검색한다.

(2) 상기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의 내용 중 해당 지역의 철도, 도로 등 국가


상위계획의 관련성을 세밀하게 조사·분석한다.

(3) 기본방향
합리적 수송 분담 및 연계를 통한 통합교통체계 형성, 전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
하는 기간교통망 건설, 동북아 관문 역할 수행을 위한 물적 교통 인프라의 확보, 인간
을 존중하며 환경을 중시하는 교통정책 구축, 투자효율성 제고를 위한 비용절감형 교
통체계 확립을 목표로 수립한다.

2. 국가기간교통망 분석하기(2000~2019년)(국토교통부, 1999년)

(1) 계획의 목표
21세기 무한경쟁시대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교통기반시설의 확보, 비용
절감형 물류체계와 고효율 복합수송체계의 구축, 신속·안전·편리하고 환경 친화적인
교통체계의 실현, 남북통일에 대비한 한반도 교통망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20
<표 1-2> 국가기간 교통망 계획 목표의 예
구분 1997년 2004년 2009년 2014년 2019년
고속도로(km) 1,889 3,700 4,336 4,975 5,642
도 로
국 도(km) 12,459 12,733 13,083 13,430 14,000
영업거리(km) 3,118 3,472 3,700 4,194 4,908
철 도 복선화율(%) 28.9 38.1 51.4 73.7 80.0
전철화율(%) 21.2 39.2 61.9 74.4 82.0
여객(천 인/년) 42,800 64,000 72,040 112,000 128,400
공 항
화물(천 톤/년) 2,020 3,570 4,630 6,800 9,290
항 만 시설능력(백만 톤/년) 295 598 801 1,040 1,288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2) 격자형 간선도로망 구축


장기적으로 전국을 포괄하는 남북 7개, 동서 9개 축의 간선도로망을 구축할 계획을 수
립 중이다.
<표 1-3> 광역 도로망 현황
구 분 남북 7개 축 동서 9개 축
1. 강 화 - 목 포 1. 인 천 - 간 성
2. 문 산 - 완 도 2. 인 천 - 속 초
3. 동두천 - 충 무 3. 시 흥 - 강 릉
4. 포 천 - 마 산 4. 안 중 - 삼 척
구간 5. 철 원 - 김 해 5. 당 진 - 울 진
6. 양 구 - 부 산 6. 서 천 - 영 덕
7. 간 성 - 부 산 7. 군 산 - 포 항
8. 영 광 - 대 구
9. 목 포 - 부 산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3) 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철도건설법 제4조 규정에 의한 10년 단위 법정계획으로 5년마다 타당성을 검토하여
변경 가능한 계획이다. 주요 추진과제로 전국 주요 거점을 고속 KTX 망으로 연결, 대
도시권 30분대 광역·급행 철도망 구축, 녹색 철도물류체계 구축, 편리한 철도 이용환
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4) 대량·대중수송기능의 간선철도망 구축


수도권과 주요 권역을 연결하는 X자형 한반도종단 고속철도망을 구축하고 주요 간선
철도는 고속철도 신선과 연결하여 고속철도 차량을 직접 운행할 수 있도록 선로개량
및 시속 180㎞ 수준대의 고속전철화를 추진하는 계획이다.
호남고속철도는 경부축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축인 서해안축 개발에 따른 수송 수요

21
물동량 및 교통량에 대처하고 지역균형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서울~목포 간 고속철
도 건설을 추진하는 계획으로 관련 계획에 반영한다.
호남선 정비, 전라선 정비, 산업철도 정비 등 설계대상 지역의 주요 철도노선의 개발
계획을 면밀히 조사한다.(선구엔지니어링(2014).『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 지역 관련 계획 분석 및 조사하기

1. 광역자치단체 종합계획(2000~2020년)
설계대상지역의 광역자치단체 종합계획을 조사하여 도로, 철도 등의 광역계획을 분석한다.
[그림 1-10]은 전라남도의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을 보인 것이다.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그림 1-10] 전라남도 광역철도망 구축계획 예시

2. 광역교통망의 확충방향
<표 1-4> 및 <표 1-5>는 광주권 광역철도망과 간선도로망의 확충계획, [그림 1-11]은 도로
기능분류 대안도를 보인 것이다.
설계대상지역의 광역자치단체 종합계획 등을 조사하여 철도 설계에 반영한다.

22
<표 1-4> 광주권 광역철도망 계획
사업개요 사업비
사업명 비고
구간 연장(km) 사업내용 (억 원)

호남선 복선전철화 백양사~무안 78.2 복선 전철화 및 고속화 4,134 2004년 완공


도시철도 건설 부분개통
광주도시철도 1호선 용산~옥동간 20.1 9,454
19개 정거장 공사 중
광주도시철도 2호선 효천~백운광장 27.4 경전철 도입건설 13,375
백운광장~첨단
광주도시철도 3호선 20.3 경전철 도입건설 10,593
과학산업단지
경전선 직복선화 효천~화순 15.0 선형 개량 및 복선전철화 4,125
호남선 학교~
무안공항철도 15.8 철도 신설 3,512
무안공항
광주도시철도 1호선 무등중
10.0 도시철도 연장노선 3,771
1호선 연장 학교역~화순
186.8 48,964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표 1-5> 광주권 광역간선도로망 계획


사 업 개 요 사업비
노 선 명 비 고
구간 차로 수 연장(㎞) (억 원)

서해안 고속도로 무안~영광 4 34.6 996 추진 중


호남고속도로 우회노선 장성~담양 4 27.3 5,417 추진 중
고창∼장성 간 고속도로 고창~장성 4 17.2 6,116 추진 중
동서 고속화도로 하남 60호 광장~상무지구 6~10 6.8 1,884 -
남북 고속화도로 태목 IC~상무지구 8~10 11.5 3,739 -
제2순환도로 효덕~마륵~동광주 IC 6 18.9 4,621 추진 중
광주∼무안 간 고속도로 송정 IC~망운 4 43.0 10,860 -
국지도 49호선 나주 금천~장성 4 41.7 5,549 추진 중
광주외곽순환 고속도로 횡계 IC~양촌 IC 4 70.6 31,548 -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 광주~영암 4 32.0 5,566 -
- - - 303.6 76,296 -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23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그림 1-11] 광주권 도로기능분류 총괄 예시

수행 tip

• 관련 계획조사는 최근의 국가 기본 개발계획과 해당


자치단체의 도시개발계획 등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계획 수립 이후 상황 변동에 따라 변경 여부를 파악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철도설계 계획조사는 국가철도망을 포함하여 지방자
치단체의 철도망 건설계획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24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정부에서 계획하는 국토 전반에 관한 종합개발계획에 대한 의미. 절차, 효력 등의 자료를 시청각


자료로 제시한다.

• 국가기간철도망 계획에 관하여 시간적·공간적 의미와 설계에 반영하는 현황조사 요령을 설명한다.

• 전국도로망 계획도에 관하여 시간적·공간적 의미와 설계에 반영하는 현황조사 요령을 설명한다.

• 수자원종합계획, 지자체 시설물 현황 및 도시개발계획 등을 특정 도시를 대상으로 지도한다.

•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필요한 지도입수방법 등을 시연한다.

•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사회·인문학적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등을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정부에서 계획하는 국토 전반에 관한 종합개발계획에 대한 의미, 절차, 효력 등의 자료를 시청각


자료로 확인한다.

• 국가기간철도망 계획에 관하여 시간적·공간적 의미와 설계에 반영하는 현황조사 요령을 익힌다.

• 전국도로망 계획도에 관하여 시간적·공간적 의미와 설계에 반영하는 현황조사 요령을 학습한다.

• 수자원종합계획, 지자체 시설물 현황 및 도시개발계획 등을 특정도시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필요한 지도입수방법 등을 익히고 출력한다.

• 특정 지역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회 인문학적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등을 실습한다.

25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조사계획 수립 - 철도설계와 관련한 상위계획, 관련 계획 등 현황에 대하


및 분석 여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다.

- 현황조사를 위해 다양한 도면을 수집할 수 있다.

지역현황조사
- 사회·경제지표, 교통자료 분석, 직접·간접 대상지역
의 인구, 고용, 산업, 교육 자료를 수집·분석할 수 있다.

- 노선경유지의 도로, 하천, 기존 도시시설현황과 개발계


관련 계획 조사
획을 조사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조사계획 수립 - 철도설계와 관련한 상위계획, 관련 계획 등 현황에 대한


및 분석 이해 및 파악 여부

- 현황조사를 위한 다양한 도면 수집 여부

지역현황조사
- 사회·경제지표, 교통자료 분석, 직접·간접 대상지역의
인구, 고용, 산업, 교육 자료의 수집·분석능력

- 노선경유지의 도로, 하천, 기존 도시시설현황과 개발계획


관련 계획 조사
조사 여부

26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조사계획수립 및 - 철도설계와 관련한 상위계획, 관련 계획 등 현황에 대한


분석 이해 및 파악 여부

- 현황조사를 위한 다양한 도면 수집 여부

지역현황조사
- 사회·경제지표, 교통자료 분석, 직접·간접 대상지역의
인구, 고용, 산업, 교육 자료의 수집·분석능력

- 노선경유지의 도로 ,하천, 기존 도시시설현황과 개발계획


관련 계획 조사
조사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철도설계 현황 파악에 관한 내용에 대하여 보충하여 안내한다.
2. 사례연구
- 도출된 안에 대하여 결정과정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안내한다.
- 누락된 현황자료는 없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27
학습 1 철도망, 도로망, 각종개발계획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1)
현황측량, 지반조사, 지장물 조사하기
학습 2
(LM1402011002_14v2.2)
학습 3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3)
학습 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LM1402011002_14v2.4)
학습 5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5)

2-1. 현황측량

• 현황측량, 항공측량, 용지측량, 중심선측량을 이해하고 그 성과를 설계에 활용할 수


학습 목표
있다.

필요 지식 /

 용어의 정의
측량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일정한 점들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도면 및
수치로 표현하거나 도면상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하며, 측량용 사진촬영, 지도
제작 및 각종 건설사업에서 요구하는 도면 작성 등을 포함한다.

1. 현황측량
현재 지상에 있는 구조물이나 건물 등의 위치를 정확히 측량하여 지적도나 임야도면에 표시
하는 측량이다. 지상구조물이나 지형지물이 점유하는 위치현황을 실측하여 철도 건설 예정
지역의 지적도 또는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와 대비하여 표시할 때 실시하는 측량이다.

2. 항공측량
항공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여러 가지 관측을 하여 토지, 자원 및 지형도 작성
및 판독에 이용하는 측량으로 대공표지 설치, 항공사진 촬영, 지상기준점측량, 사진기준점
측량, 세부도화 등을 포함한 수치지형도 제작용 도화원도 및 도화파일 제작 등의 작업을
말한다.

3. 용지측량
철도건설에 필요한 토지 및 경계 등에 대하여 조사하고, 용지 취득 등에 필요한 자료 및
용지도 등을 작성하는 작업

28
4. 중심선측량
철도선로의 주요점 및 궤도중심점을 현지에 설치하고, 선형지형도를 작성하는 측량

5. 기타 용어

(1) 답사
도상계획에서 선정된 비교노선을 따라 노선 및 정거장 입지 등이 실현 가능하고 철도
건설목적에 부합되는지에 대한 현장상황을 확인하는 작업

(2) 예측
답사 결과를 토대로 유력한 2~3개의 노선이 결정되면 이들 비교노선이 통과하는 지역
을 따라 임시 절선으로 중심선을 설정하고 건설비를 계산하여 비교노선의 우열을 판
정하는 일련의 작업

(3) 실측
예측으로 확정된 노선의 중심선을 현장에 설치하고, 종·횡단측량 등을 실시하여 철도
설계에 필요한 지형공간정보, 공사비, 공사량을 산출하는 일련의 작업

(4) 철도기준점측량
철도의 설계, 건설, 유지관리의 위치기준이 되는 철도기준점을 현지에 설치하고 그 성
과를 획득하기 위한 측량

(5) 종단측량
선로의 중심말뚝 등의 표고를 측정하고, 종단면도를 작성하는 작업

(6) 횡단측량
선로의 중심말뚝 등을 기준으로 중심선의 직각방향 단면상 지형변화점 등의 위치를
측정하고, 횡단면도를 작성하는 작업

(7) 배치측량
철도건설 구간 내의 건물, 전주, 수목 등 지장물 및 주변 지세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

(8) 시공측량
철도건설 또는 개량사업 등의 시공에 관계되는 측량

(9) 중간점(TP)
측량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철도기준점 사이 구간에 설치하는
측량지점으로서, 측량의 목적에 따라 기지점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수치지형도 제작
축척 1/1,000의 수치 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한 항공사진측량 및 수치지도 제작과 관련된 관
련 규정을 준수하여 지도를 제작한다.

29
출처: 함께 서울 지도(http://gis.seoul.go.kr/GisWebDataStore/Gis_Edu) 2016. 9. 11. 스크린샷.
[그림 2-1] 수치지도 제작절차

디지탈항공사진 카메라를 장착한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 지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영


상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비행, 카메라의 작동 촬영기술, 영상 제작까지 세밀한 계획 수
립 후 시행해야 한다.
<표 2-1> 항공사진 촬영 예
구분 장비명 수량 종류 비고
- 항속거리 1,680km
항공기 1 Cessna 208
- 최대속도 186KIAS
항공사진
- 이미지센싱 프레임 방식
제작 디지털카메라 1 UltraCamX(Vexcel)
- Pixel Size 7.2
GPS/INS 1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4).『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선구엔지니어링. 321

 지상기준점측량
사진기준점측량 및 수치지도화 작업에 필요한 기준점 성과를 얻기 위한 현지 지상 기준점
설치측량을 국가기준점과 연계된 TP점을 기준으로 사진상에서 판독이 용이한 지점을 선정
후 시행한다.

 중심선측량
항공측량으로 기 설치한 기준점과 결정된 중심선형의 성과를 기준으로 20m 간격으로 기
준점을 설치하는 측량으로 지형의 변화지점이나 추가 지형의 발생지점, 구조물과 지장물
의 위치 등에는 별도의 추가 측점을 설치한다.

30
1. 종단측량
중심선형 주변에 기 설치된 철도기준점을 활용하여 각 측점의 표고를 레벨측량기로 측정
하고 주요한 구조물 및 종단 변화 구간에는 추가 측점을 설치한다.

2. 횡단측량
기 설치된 중심측점 각각에 대하여 중심선 직각방향으로 지형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지반고를 측량한다. 횡단측량은 각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측 50m 이상씩
실측하며 정거장 구내, 역광장, 장대사면 구간은 충분한 폭으로 실측한다.

 공공측량 성과 심사
완성된 측량성과품은 공공측량 성과심사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 성과에 대한 정확도 향상
및 품질확보를 위하여 측량성과심사를 받아야 한다. 대한측량협회에서는 공공측량 성과가
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여 그 결과를 심사 요청한 기관이나 단체에 이를 통보하고 공공
측량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 게재된다.
<표 2-2> 공공측량 성과심사 세부항목 및 판정기준
검사 항목 검사 기준 판정 기준 판정
공공측량 작업계획서 검토
1. 공공측량 명칭
내용과 일치 여부 확인
가. 시행자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나. 수행자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다. 용역수행 대리인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라. 용역기간(측량부분) . . ∼ . .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마. 용역금액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바. 사 업 량 면적: ㎢, 노선의 길이: ㎞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2. 목 적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3. 작 업 지 역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4. 측 량 기 준
경·위도 좌표계, 평면직각좌표,
가. 좌표계 규정과 일치 여부
지심좌표계
나. 좌 표 φ, λ, h N(X), E(Y), H, X, Y, Z 규정과 일치 여부
다. 단위계 SI 규정과 일치 여부
라. 투영법 횡 메르카토르 도법(T.M 도법) 규정과 일치 여부
마. 투영원점 규정과 일치 여부
5. 측량기기
가. 사용 측량기기 명칭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나. 성능검사 여부 측량기기 성능검사서 확인 작업계획서 일치 여부

31
<표 2-2> 공공측량 성과심사 세부항목 및 판정기준 (계속)
검사 항목 검사 기준 판정 기준 판정
6. 사용성과
가. 인정된 사용성과의 종류 규정과 일치 여부
국토지리정보원 성과 발급 여부 확인,
나. 사용성과의 적합성 규정과 일치 여부
고시안 참고
7. 측량방법 규정과 일치 여부
8. 성과의 종류(중간성과물 포함) 규정과 일치 여부
매설점 조사에 의한 유무 확인
9. 측량표 설치 유무 (공공삼각점, 공공수준점 분리 표기 매설 유무
요망)
10. 특기사항 작업상의 문제점 및 특이사항을 기록 해당 사항 유무
출처: 국가법령센터(http://law.go.kr). 공공측량 성과심사규정. 2016. 07. 23 검색

32
수행 내용 / 현황측량, 항공측량, 용지측량, 중심선측량 이해 및 성과 활용하기

재료·자료

Ÿ 공공측량 성과심사 규정

Ÿ 철도건설측량지침

Ÿ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Ÿ 해당 용역 측량과업지침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측량법 및 시행령

Ÿ 문화재보호법

Ÿ 하천법 등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Ÿ 재료·자료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33
수행 순서

 기준점 측량하기
과업구간 서해선(홍성~송산) 제8공구의 기준점 측량은 과업구간의 인근에 위치한 통합기준
점을 연결하여 과업구간 내에 신규 설치한 철도기준점 수 개소에 대하여 2주파 GPS를 사
용하여 1급 공공기준점 측량을 실시한 후 전 공구 통합 삼각망 및 통합 기선 해석을 통한
공구별 오차를 소거하여 G.R.S80 좌표를 산출, 철도기준점을 신설한다.

1. 기준점 측량 성과의 예
다음 <표 2-3>은 기준점 측량을 하기 위한 국가기준점의 예시이다.
<표 2-3> 국가기준점
점의 고시된 성과(GRS80) 타원
H 비고
번호 위도 경도 X Y 체고
국토지리
남양
36°58′47.4536″ 126°55′12.4562″486779.544 192888.465 40.46 16.9847 정보원
U0367
기준점성과
남양
37°10′33.1515″ 126°56′9.2768″ 508533.408 194308.433 67.88 44.3746 〃
U0288
남양
37°5′0526″ 126°54′0.1459″ 499438.903 191113.395 35.17 11.7325 〃
U0289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4).『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선구엔지니어링. 324

2. 국가지리정보원의 자료 활용하기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gii.go.kr) 국토정보플랫폼의 국기기준점을 이용하여 설계대상
지역의 기준점 측량에 활용한다.

출처: 국토지리정보원(http://www.ngii.go.kr). 2016. 09.11 스크린샷


[그림 2-2]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기준점 측량 예시

34
 수준점 측량하기

1. 수준점측량 개요

(1) 수준점 측량은 과업구간의 시·종점부 인근에 위치한 수 개소의 국가수준점을 연결하여
신규로 설치한 철도수준점에 대하여 1급 디지털 전자레벨을 사용하여 정밀측량을 실시한다.

(2) 측량에 사용되는 모든 표고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성과에 (+)100.00m를 하여 작성한다.

2. 수준점측량 성과

(1) 사용한 국가수준점 성과


<표 2-4> 국가수준점 성과
번 호 표 고 (H) 위 치 비 고
국토지리정보원
12-07-18-01 36.5010 경기도 평택시 안중면 용성리 산44-4번지
고시성과
12-07-18-02 8.2957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현곡리 293-4 〃
12-08-19-01 9.8840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제암리 448-16 〃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4).『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선구엔지니어링. 324

(2) 신규설치 수준점 성과표 작성하기


국가기준점을 기준하여 신규로 설치한 수준점 성과표를 작성한다.
<표 2-5> 국가수준점 성과
G.R.S-80 표 고
점의번호 비 고
X Y (철도성과)
8-1 495,053.838 196,538.742 113.562 고시성과(+)100.00m
8-2 495,335.360 196,465.578 113.266 〃
8-3 496,254.702 196,558.716 116.644 〃
8-4 496,919.180 196,373.457 128.171 〃
8-5 497,287.538 196,185.163 125.955 〃
8-6 497,482.855 196,076.626 129.326 〃
8-7 498,645.421 195,801.783 150.436 〃
8-8 498,813.594 195,760.982 141.129 〃
8-9 499,907.829 195,738.999 145.198 〃
8-10 499,785.997 195,435.398 132.108 〃
8-11 500,647.527 195,378.829 140.460 〃
8-12 501,007.855 195,287.627 136.342 〃
8-13 501,491.742 195,025.565 134.942 〃
8-14 501,787.548 194,665.739 143.197 〃
8-15 502,025.080 194,174.031 157.720 〃
8-16 501,959.624 193,580.872 144.322 〃
8-17 502,302.561 193,261.252 135.376 〃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4).『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선구엔지니어링

35
 중심선측량하기

1. 중심선측량 개요

(1) 중심선측량은 설계구간에 기 설치한 평면기준점의 성과와 결정된 중심선형의 좌표


성과를 기준으로 하여, 20m 간격의 중심측점을 설치한다.

(2) 중심측점의 설치는 규정된 측량용 말목에 측점을 표기한 후 설치함을 기본으로 하
며, 도로 및 구조물 등의 통과구간에는 스프레이 페인트로 표시한다.

(3) 지형의 변화지점 및 추가지형의 발생지점 등은 별도의 추가측점을 실시한다.

2. 종단측량
중심선형 주변에 기 설치된 철도기준점을 활용하여 각 측점의 표고를 레벨측량기로 측정
하고 주요한 구조물 및 종단 변화 구간에는 추가 측점을 설치한다.

3. 횡단측량
기 설치된 중심측점 각각에 대하여 중심선 직각방향으로 지형에 대한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및 지반고를 측량한다. 횡단측량은 각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측 50m 이상씩
실측하며 정거장 구내, 역광장, 장대사면 구간은 충분한 폭으로 실측한다.

 공공측량 성과심사하기
완성된 측량성과품은 공공측량 성과심사 규정에 따라 공공측량 성과에 대한 정확도 향상
및 품질 확보를 위하여 측량성과심사를 받아야 한다. 대한측량협회에서는 공공측량 성과
가 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여 그 결과를 심사요청한 기관이나 단체에 이를 통보하고 공
공측량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에 게재된다.

36
2-2. 지질 및 지반조사
•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탄성파조사, 전기비저항탐사, 지반조사결과를 활용하여
학습 목표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어 정의

1. 기초지반
구조물이 축조되고 그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표면 아래의 지반

2. 다짐도
실내다짐시험으로 얻은 최대 건조밀도에 대한 현장 건조밀도의 비

3. 딜라토미터(dilatometer) 시험
지반의 전단강도와 변형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납작한 판형 시험 기구를 지중에 삽입하
고 시험기구 속으로 압력을 가하여 강막(steelmembrane)을 팽창시켜 지반의 공학적 특성
을 측정하는 시험

4. 배수강도정수
과잉간극수압이 0(Zero)인 상태를 유지하며 지반이나 시험편을 압축, 인장 및 전단하였을
때 얻어지는 강도정수

5. 배수조건
지반의 응력이 변화할 때 지반의 투수성과 응력변화 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지반 내부의
지하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면 비배수조건, 과잉간극수압이 발
생하지 않으면 배수조건으로 구분

6. 불연속면
절리(joint), 벽개(cleavage), 엽리(foliation), 층리(bedding), 단층(fault), 파쇄대(fracture zone)
등 암반 내에 특정한 기하학적 특징을 갖고 발달한 면구조(surface structure)

7. 비배수전단강도
투수성이 낮은 지반에 재하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을 배수를 통하여 저감시
키지 않는 상태에서의 지반의 전단강도

8. 상대밀도
사질토의 다짐 정도를 나타내는 값

37
9. 실내시험
원지반에서 채취한 불교란 혹은 교란시료에 대해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시험

10. 압밀
점성토 지반의 간극수가 장기간에 걸쳐 배수되면서 점진적인 체적변화로 압축되는 현상

11. 액상화
포화된 느슨한 모래나 실트층이 충격이나 진동을 받아 순간적으로 발생한 과잉간극수압에
의해 전단강도를 잃고 액체처럼 거동하는 현상

12. 오거보링
주로 토사 지반에서 오거를 이용하여 시추하는 방법

13. 일축압축강도
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공시체의 최대 압축저항력을 말하며 포화점토에서는 비배수전단강
도의 2배가 됨

14. 절리
열, 외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암반 내 발생하는 불연속면으로 단층과 달리 그 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변위가 없음

15. 지구물리탐사(물리탐사)
탄성파 탐사, 전기 탐사, 중력 탐사, 자기 탐사, 방사능 탐사 등 지반의 물리적 특성을 측
정함으로써 지반의 층상 구조 및 각 지층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

16. 지반조사
지반상에 건설되는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지반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지표조사, 시추, 관입저항측정시험, 시료 채취, 원위치시험, 실내시험, 물리탐사 등을 총칭

17. 투수계수(수리전도도)
흙, 암반 또는 기타의 다공성 매체에 대한 물의 투과 특성을 속도의 단위로 표시한 값

18. 팽창(팽윤)
점토광물의 결정 층 사이로 물이 침투되어 체적이 증가하는 현상

19. 표준관입시험(SPT)
무게 623N(63.5kgf)의 해머로 자유낙하고 760mm에서 외경 51mm, 내경 35mm, 길이 810mm의
분리형 샘플러를 타격하여 300mm를 관입하는 데 소요되는 타격횟수(N값)를 구하는 시험

20. 현장시험
현장지반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대상 지반을 상대로 시행하는 시험

38
 시추조사
시추조사란 공사예정 지역의 지하 토층에 대하여 토질역학적 파라미터를 조사하는 공정으
로, 설치할 구조물의 종류와 조사해야 할 내용을 고려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1. 시추조사
지반의 시추는 현장에서 지반조사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으로, 시추
방법, 시추계획 및 시추심도는 아래 사항을 참고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가) 현장에 적합한 시추방법의 결정은 기술적 적용성을 참고로 하여 결정한다.

(나) 예비시추 및 최종시추의 시추계획은 구조물의 종류와 조사하여야 할 내용을 고


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철도설계기준과 국토교통부 제정 각종 설계기준을 준
수하여야 한다. 또한 제 설계기준은 최소한의 준수요건이므로 지반상태와 조사
목적에 적합하도록 시추간격과 시추심도를 조정하여야 한다. 또한, 시추계획에
있어서 지층단면과 중요지층 등 현장 지질상태도 반영하여야 한다.

(다) 시추심도는 철도설계기준과 국토교통부 제정 각종 설계기준을 준수하되 지층재


료의 특성이나 연속성, 구조물의 형태와 크기를 고려하여 최종 결정하여야 한다.

 지표지질조사
지표지질조사는 대상 지반의 지질구조를 파악하여 계획노선 위치에 존재하는 파쇄대, 절
리, 단층 등의 불연속면에 대한 정량적·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하여 터널 구간의 지보패턴
선정, 깎기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 평가, 불연속 지질구조의 터널, 땅깎기 비탈면, 교량 기
초부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을 구조물 설계에 반영한다.

1. 광역지표지질조사
광역지표지질조사는 인공위성 사진, 음영기복도, 항공사진 등을 활용하여 선구조 분석, 계획
노선의 불연속면 특성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지역의 노두를 관찰하는 것으로, 암반 불연
속면의 방향성, 거칠기, 강도 등을 파악하여 암종 분포와 노두의 풍화상태를 조사한다.

2. 상세지표지질조사
상세지표지질조사는 지질공학적 불연속면의 특성을 파악, 조사하는 것이다.

 탄성파조사
탄성파탐사는 지표 부근에서 발파 등으로 탄성파(P파, S파)를 발생시켜 속도가 다른 지층
경계에서 굴절되어 돌아오는 굴절파를 지표에 설치한 측정장치로 기록하여 지하의 속도구
조를 알아내는 탐사법이다.

1. 탐사 방법
P파 초동을 이용한 측정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토질지반을 대상으로 비교적 천부
의 속도구조를 구하는 경우 S파 분석 방법이 일부 사용된다.

39
2. 탐사 심도
발생원으로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100∼200m, 비폭약 발생원을 사용하는 경우
수 m∼30m이다.

3. 탐사 결과
지반의 속도분포를 분석하고, 획득된 속도 분포와 시추 결과 및 기존의 지질 자료 등을
서로 대비시켜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1) 지층 분포 특성

(2) 단층 파쇄대 등 지질이상대 파악

(3) 탄성파 속도를 이용한 굴착난이도 산정

4. 탐사 적용 시 유의사항

(1) 탄성파탐사는 심부로 갈수록 탄성파 속도가 커진다는 층서구조를 가정하여 탄성파
속도가 역전된 지층에 대해서는 해석이 어렵다.

(2) 하부로 갈수록 탄성파 속도가 증가하는 층서구조인 경우에도 하부가 얇은 층(thin
layer)인 경우에는 숨은 층(blind layer)이 되어 굴절파가 초동으로 나타나지 않음으로
써 얇은 층이 규명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측선에 평행 또는 예각으로 고속도층이 분포하는 경우 측선에 직교하는 측선을 추


가하여 해석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전기비저항 탐사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하에 전류를 흘려보낸 후 지형에 따라 분포하는 전위를 분석하여 지
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파악하는 탐사법이다.

1. 탐사 방법
1차원 탐사, 2차원 탐사, 3차원 탐사로 구분되며 이들 탐사 방법은 조사장소의 상황이나
조사 목적에 따라서 달리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2차원 탐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1차원 탐사(수직 및 수평탐사): 지하의 수직 및 수평의 층서구조 파악

(2) 2차원 탐사: 측선 하부의 2차원적 영상을 획득

(3) 3차원 탐사: 탐사지역 하부 지반의 3차원적 영상을 획득

2. 탐사 심도
전극 간격 및 측선 길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탐사기기의 성능과 지층의 전기비저항
값에도 좌우되지만 일반적인 탐사심도는 다음과 같다.

(1) 1차원 탐사: 평탄한 지대에서는 200∼300m 정도까지는 가능하며 이 경우 최대 전극


간격은 400∼600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100m 이내의 얕은 곳을 대상으로 한다.

40
(2) 2차원, 3차원 탐사: 지하 하부 300m 정도까지 탐사가 가능하나 탐사 심도가 깊어지
면 분해능이나 해석 정밀도가 떨어진다. 탐사 심도가 이보다 큰 경우에는 전자탐사
등 다른 탐사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 탐사 결과
대수층이나 지층의 분포, 단층 파쇄대, 열수 변질대나 풍화대의 분포 파악에 활용되며, 2차원
탐사에서는 저비저항대의 경사로부터 단층 파쇄대나 열수 변질대의 경사를 추정할 수 있다.

4. 탐사 적용 시 유의사항

(1) 1차원 및 2차원 탐사는 지형·지하구조가 측선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변화가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측선 방향으로 지형·지하구조가 현저하게 변하는 경우에는 보
조 측선을 설정하여 양자의 결과를 비교⋅검토하거나 3차원 탐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2) 측선 가까이 송전선, 철도, 철강 구조물 등이 있으면 잡음이나 이상 측정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들과 근접하지 않도록 측선을 계획한다.

(3) 2차원 탐사에서는 해석 단면의 밑부분, 측선의 양 끝부분에서는 해석 정밀도가 저


하되므로 탐사 범위를 목적 대상보다 넓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 지반조사
철도설계와 시공을 보다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토질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현장에서 시추조사 등 각종 시험을 실시하여 현 지반의 제반 토질공학적인 기초자
료를 수집하여 설계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조사위치 선정
지반조사를 위한 위치 선정은 축척 1 : 1,200의 노선도 및 현황측량도에서 도상 선정 후 현
장을 답사한 다음 발주처와 협의하여 조사종류와 조사방법, 조사 횟수 등을 합리적으로
계획하여 선정, 시행한다.
또한 각 시추지점에 대해서는 인지된 측량기준점을 이용해 시추위치 및 수준측량을 실시한다.
<표 2-6> 지반조사항목 및 활용도
조사항목 조사목적 설계활용도
표준관입시험 지지력 측정 토질역학적 특성 파악
공내재하시험 지반의 변형계수 측정 지반정수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수압시험 지반의 투수계수 측정 지반의 수리특성 분석에 활용
지하수위 측정 지반의 포화도 파악 지반의 수리특성 분석에 활용
토질실험 흙의 물리적 특성 파악 지반정수 산정에 활용
지반정수 산정에 활용,
암석시험 암석의 물리적·역학적 특성 파악
안정성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4).『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선구엔지니어링

41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탄성파조사, 전기비저항탐사,
수행 내용 /
지반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설계에 반영하기

재료·자료

Ÿ 공공측량 성과심사 규정

Ÿ 철도건설측량지침

Ÿ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Ÿ 해당 용역 측량과업지침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측량법 및 시행령

Ÿ 문화재보호법

Ÿ 하천법 등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42
수행 순서

 지반조사하기
지반조사는 통상 설계용역과는 별도로 발주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많고 별도 발주를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지반조사 전문 업체에서 별도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는 것
이 일반적이다.

1. 조사항목
철도설계를 하기 위한 지반조사는 예비조사, 상세조사로 나누어 실시한다.

(1) 예비조사
기초기준 준수, 구조물 계획 및 지반 특성을 반영한 조사수량 및 항목의 탄력적 적용
등 단계별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지반정보의 효과적 분석이 필요하다. 기존 자료 검토
와 광역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2) 상세조사

(가) 현장조사
지층 및 구조물 특성에 따른 현장조사 및 각종 시험을 수행하고, 지층 특성과 연약
지반 점성토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 설계에 반영한다.

(나) 물리탐사 및 공내검층


단층파쇄대, 암종경계, 관입경계 등 이상대의 영향범위 및 상대적 특성값을 파악,
주요 구조물 하부통과 구간의 상세 지반상태 파악 결과를 반영한다.

(다) 현장시험
원위치 현장시험을 수행하여 강도 및 변형 특성, 수리 특성, 지지력 등의 지반정보
획득

(라) 실내시험
토사 및 암석의 물리적·역학적 특성 파악, 설계지반정수 산정 시 활용

43
2. 조사 수행과정
지반조사의 흐름은 아래와 같다.

현장답사 및
지표지질조사 ∙ 지형: 지형구분, 비탈면 형상, 하천 등
∙ 지질: 지질구성, 단층, 풍화상태 등
∙ 지하수: 인근 저수지 현황 파악
∙ 민가, 축사, 전답현황 파악 후 시추
가능 여부 판단

<시추조사> 시추조사 위치 선정
∙ 교대 및 교각
∙ 차량기지구간 <현장시험-물리탐사-물리검층>
∙ 토공구간 ∙ 현장시험: 표준관입, 투수, 재하, 전
∙ 기타 구조물 구간 단, 양수시험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
∙ 물리탐사: 전기비저항, GPR, MASW
∙ 물리검층: DHT, 밀도검층
∙ 특수시험: 진동대모형시험
<실내시험>
∙ 토질시험: 기본물성/역학시험
∙ 암석시험: 기본물성/역학시험

성과분석

지반의 물리적·공학적
특성 결정 ∙ 토질 및 암반공학적 특성 파악
∙ 흙쌓기재료의 재료 특성 파악
∙ 설계물성값 결정

종합 검토
∙ 토질 및 지질 특성
∙ 지반 특성 평가
∙ 구조물, 토공안정성 검토
∙ 대책방안 선정

구조물기초 검토 연약지반 설계
∙ 기초형식 검토 ∙침하량 산정
∙ 지지층 결정 ∙보조공법 선정
∙ 지지력 산정 ∙지지력 산정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1).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그림 2-3] 지반조사의 흐름 및 내용

44
 지반조사결과 설계에 반영하기
시추조사 결과로부터 연약지반 등의 두께 및 분포범위를 확인하고 현장조사와 실내시험을
통한 물리적·역학적 특성 분석 및 설계지반정수 등을 결정하는 데 반영한다.
<표 2-7> 판정기준검토 및 적용의 예
구 분 층 두 께 일축강도(kPa) 콘지수(kPa) N 값

점성토/ 10m 미만 58.8 78.5 4 이하


도로설계편람
유기질토 10m 이상 98.1 117.7 6 이하
(2001)
사질토 - - 392.3 10 이하

고속철도 설계기준 점성토 - - - 4 이하


(노반편, 2005) 사질토 - - - 10 이하

이탄질/ 10m 미만 60 이하 - 4 이하
호남고속철도 설계
점성토 10m 이상 100 이하 - 6 이하
지침(노반편, 2007)
사질토 - - - 10 이하
10m 미만의 분포심도를 고려하여 표준관입시험값(N값) 4를
설계적용기준
기준으로 하여 적용함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1).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 지반정수 산정 결과 반영하기
연속체 및 쌓기재, 연약지반, 수리해석, 내진설계 등 설계에 필요한 각 조건별 지반 정수
를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반영한다. <표 2-8>는 연속체 및 쌓기재 설계지반정수 반영의
한 예이다.
<표 2-8> 연속체 및 쌓기재 설계지반정수의 예
단위중량 점착력 내부마찰각 변형계수 푸아송비
구 분
(kN/m3) (kPa) (゚) (MPa) (υ)

전답, 점성토 17.5 35 0 3 0.40


매립층 사질토 18.0 5 23 6 0.35
점성토(N≤4) 17.5 30 0 3 0.40
붕적,
점성토(N>4) 17.5 35 0 6 0.40
퇴적층
사질토 18.0 5 23 6 0.35
풍 화 토(N<30) 19.0 20 25 17 0.33
풍 화 토(N≥30) 19.5 25 27 50 0.31
풍화암 21.0 32 33 200 0.30
연 암 23.0 1,000 35 1,500 0.28
쌓기재 19.0 15 25 - -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1).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45
2-3. 지장물 조사

• 설계 및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하매설물과 지상시설물, 장애물을 확인하고


학습 목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장물 조사의 목적
철도건설 예정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과업대상 지역의 지형형태 및 지장물 현황
을 작성하여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1. 조사 내용
지상 및 지하매설물의 조사범위, 대상물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사업비 산출에 문제가 없도
록 관계기관의 협조를 받아 자료를 입수하여 활용한다.

2. 주요 지장물 조사 항목

(1) 도로구조물: 차도, 폭원구조, 포장별, 석축 등

(2) 도로점용물: 각종 맨홀, 전주, 통신주, 배전탑 등 노상에 노출된 점용물

(3) 겸용공작물: 제방, 건널목 등

(4) 농업용구조물: 농로, 농업용 용·배수로 등

(5) 지하시설물: 상·하수도, 도시가스, 통신 및 전력케이블, 지역난방, 공동구 등

3. 참고 사항
지장물조사 성과는 각 관계기관 및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더라도 도면의
비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시공 시 상세조사를 다시 시행한 후 지장물의 위치 확인이 필요
하다.

46
수행 내용 / 지장물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Ÿ 상수 관망도

Ÿ 하수관망도

Ÿ 매설관망도

기기(장비·공구)

Ÿ 전산장비(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카메라, 공학용 계산기)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지장물의 대상 및 내용 파악하기
지장물은 지상 및 지하 시설물과 지하 매설물로 대별되며 지장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유지
주택, 건물, 공장 및 문화재 기타 시설

47
2. 지상 및 지하 시설물
∙ 지상 시설물: 하천, 도로, 체신주, 전력주 및 분묘
∙ 지하 시설물: 전력구, 통신구, 하수 BOX 등

3. 지하 매설물
상수도망, 하수도망, 가스망, 오수도망, 통신망, 전력망

4. 사유지 통과부
현장조사 및 관계기관 등을 방문하여 시설의 종류, 구조재료, 노후도, 형식 및 규모, 중요
도, 매설심도 등을 조사한다.

 지장물조사 및 대책 수립하기
철도설계 대상 지역의 여러 가지 형태의 지장물을 아래 표와 같이 조사하여 설계도면의
지장물 도면 및 이설대책 수립에 반영한다.
<표 2-9> 주요 지장물조사 및 대책 수립의 사례
관 련 기 관 요 청 자 료 입 수 자 료 설 계 반 영 비고
상수도 관망도(전산파일) 상수 관망도 입수
○○시 상수도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수도정비 기본계획 변경 보고서 보고서 입수
하수도 관망도(전산파일) 하수 관망도 입수
○○시 하수도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하수정비 기본계획 변경 보고서 보고서 입수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보
선형
○○시 도시과 고서 보고서 입수 노선계획 시 반영
변경
장기발전 계획 보고서
한국수자원 광업상수도
광역 상수관 관망도(전산파일)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공사 관망도 입수
○○도시가스
고압도시가스 관망도(전산파일)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주식회사
한전 지중 관망도 및 송·변전
한국전력공사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설비위치도
LG텔레콤(무선) LG텔레콤(무선) 매설 관망도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LG텔레콤(유선) LG텔레콤(유선) 매설 관망도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 매설 관망도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KT한국통신 매설 관망도 및
KT한국통신 매설 관망도 입수 지장물 도면 반영 이설
지상 가선도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1).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수행 tip

• 지장물 조사를 사전에 철저히 하려면 관계기관의 정


확한 자료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
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48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측량의 정의 및 설계목적에 부합하는 측량 결과의 활용에 대해 실무자료를 통해 습득케 한다.

• 중심선 측량(종단측량, 횡단측량 포함) 등 노선 측량에 대한 개념과 결과물의 활용방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습득하게 한다.

• 여러 가지 지반조사 결과를 토질역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설계에 반영 및 활용하는 방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습득하게 한다.

• 지하 매설물 및 지상 시설물, 장애물을 여러 가지 도면을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과 이들 지장물의


보호대책, 이전 및 협의 방법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측량의 정의 및 설계목적에 부합하는 측량 결과의 활용에 대해 실무자료를 통해 습득한다.

• 중심선측량(종단측량, 횡단측량 포함) 등 노선측량에 대한 개념과 결과물의 활용방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습득한다.

• 여러 가지 지반조사 결과를 토질역학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고 설계에 반영 및 활용하


는 방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익힌다.

• 지하 매설물 및 지상 시설물, 장애물을 여러 가지 도면을 이용해 확인하고 이들 지장물의 보호대


책, 이전 및 협의 방법에 대해 사례를 중심으로 익힌다.

49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현황측량, 항공측량, 용지측량, 중심선측량을 이해하고


현황측량
그 성과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탄성파조사, 전기비저항탐사,


지질 및 지반조사
지반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설계 및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하매설물과 지상


지장물조사
시설물, 장애물을 확인하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현황측량, 항공측량, 용지측량, 중심선측량의 이해 및


현황측량
그 성과의 활용 여부

-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탄성파조사, 전기비저항탐사,


지질 및 지반조사
지반조사 결과의 활용 및 설계에 반영 여부

- 설계 및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하매설물과 지상


지장물조사
시설물, 장애물 확인방법 및 대책 수립 여부

50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현황측량, 항공측량, 용지측량, 중심선측량의 이해 및


현황측량
그 성과의 활용 여부

- 시추조사, 지표지질조사, 탄성파조사, 전기비저항탐사,


지질 및 지반조사
지반조사 결과의 활용 및 설계에 반영 여부

- 설계 및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하매설물과 지상


지장물조사
시설물, 장애물 확인방법 및 대책 수립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현황조사 업무의 흐름 및 지반조사 결과의 토질역학적 특성, 지장물 이전 및 보호방법
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2. 사례연구
- 현황조사 업무의 흐름 및 측량결과의 활용 여부, 지반조사 결과의 토질역학적 특성,
지장물 이전 및 보호방법에 대한 관련 기관 간 협의방법을 알아야 한다.

51
학습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개발계획 조사하기 (LM1402011002_14v2.1)
학습 2 현황측량 지질, 지반, 지장물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2)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


학습 3
(LM1402011002_14v2.3)
학습 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LM1402011002_14v2.4)
학습 5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5)

3-1. 수리·수문조사

• 하천법, 하천설계기준 관련 법령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신설교량 설치에 따른 수리영향검토 결과를 이해하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세굴검토 결과를 이해하고 및 세굴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어 정의(국토해양부 훈령 제427호)

1. “유역”이라 함은 하천의 어느 일정 지점을 동일한 유출점으로 갖는 지표면의 범위를


말한다.

2. “수계”라 함은 하구(바다와 만나는 본류하천의 종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류하천


의 유역에 속하는 하천의 총칭을 말하며, 그 명칭은 본류하천의 명칭을 따른다.

3. “관측소”라 함은 하천유역의 강수량, 하천의 수위·유량·유사량 등의 관측을 정상적


으로 계속하여 실시하기 위한 시설물 또는 관측지점을 말한다.

4. “강수량”이라 함은 일정한 시간 동안에 내린 수량(비, 우박, 서리, 눈 등)을 단위면적


당의 깊이로 표시한 것을 말하며, 크게 강우량과 강설량(적설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한
우량)으로 나눈다.

5. “적설량”이라 함은 일정한 시간 동안에 내린 눈의 깊이를 말한다.

6. “강우강도”라 함은 단위시간 동안에 내린 비의 양을 말한다.

7. “증발량”이라 함은 공기 중에 설치된 표준증발접시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에 증발한


물의 깊이를 말한다.

8. “수위”라 함은 일정한 기준면으로부터 하천의 수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52
9. “최고수위”라 함은 일정한 기간을 통하여 구한 최고의 수위를 말한다.

10. “최저수위”라 함은 일정한 기간을 통하여 구한 최저의 수위를 말한다.

11. “평수위”라 함은 1년을 통하여 18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수위를 말한다.

12. “저수위”라 함은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수위를 말한다.

13. “갈수위”라 함은 1년을 통하여 35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수위를 말한다.

14. “일평균수위”라 함은 1일을 통하여 1시부터 24시까지 매시 수위의 합을 24로 나눈


수위를 말한다.

15. “연평균수위”라 함은 1년을 통하여 일평균수위의 합을 당해 연도의 일수로 나눈 수


위를 말한다.

16. “유량”이라 함은 하천의 횡단면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물의 부피를 말한다.

17. “최대유량”이라 함은 일정한 기간을 통하여 구한 최대의 유량을 말한다.

18. “최소유량”이라 함은 일정한 기간을 통하여 구한 최소의 유량을 말한다.

19. “평균유량”이라 함은 1년을 통하여 18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유량을 말한다.

20. “저수유량”이라 함은 1년을 통하여 27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유량을 말한다.

21. “갈수량”이라 함은 1년을 통하여 355일은 이보다 저하하지 않는 유량을 말한다.

22. “일평균유량”이라 함은 1일을 통하여 1시부터 24시까지 매시 수위에 대응하는 유량의


합을 24로 나눈 유량을 말한다.

23. “연평균유량”이라 함은 1년을 통하여 일평균유량의 합을 당해 연도의 일수로 나눈


유량을 말한다.

24. “유사(流砂)”라 함은 하천의 흐름에 의해서 이송되는 토사를 말하며, 이송형태에 따


라 소류사(掃流砂)와 부유사(浮遊砂)로 나눈다.

25. “수질”이라 함은 일정한 시점의 물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제 성질을 말한다.

 관련 법령
철도설계의 과업 수행 중 선형 및 교량 신설계획으로 일부 구간의 하천 횡단 교량의 설치
등 해당 구역의 수리·수문 현황을 조사하여야 한다. 하천의 수리영향 변화 및 배수구조
물의 통수능력을 검토하여 적절한 대책 수립 및 최적의 구조물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야 한다.

53
1. 하천법[시행 2016.7.20.] [법률 제13808호, 2016.1.19.]
하천법은 하천 사용의 이익을 증진하고 하천을 자연친화적으로 정비·보전하며 하천의 유
수(流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하천의 지정·관리·사용 및 보전 등에 관한 사
항을 규정함으로써 하천을 적정하게 관리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
는 법으로 시행령, 시행규칙이 있다(국가법령센터, 2016)

(1) 하천법의 법령체계


하천법의 법령체계는 아래 그림과 같다. 해당 법령의 내용 중 수리·수문조사 부분에
대하여 충분히 내용을 파악한 후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출처: 국가법령센터(http://www.law.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3-1] 하천법의 법령체계

(2) 수리·수문조사
“하천유역의 물 순환 구조의 파악, 하천시설의 설치, 각종 구조물의 설계, 하천 주변
지역의 이용 및 관리 등을 위하여 하천의 수위·유량·유사량(流砂量) 및 하천유역의
강수량·증발산량과 하천유역의 토양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관
찰·측정 및 조사하여야 한다.”라고 정해져 있다.(하천법 제17조)

54
<표 3-1> 수리·수문 분석절차
구 분 주 요 조 사 내 용 검 토 방 향
하천 및 수로 노선의 주변 하천 및 수로현황 횡단, 간섭 하천 및 수로 내 구조물
현황조사 파악 설치의 적정성 검토
하천관련 상위계획
관련 계획
- 하천기본계획 수리·수문사항 검토
조사
- 소하천정비종합계획
∙ 설계기준 검토 ∙ 설계기준 검토 후 기준에 부합하는
계획구조물
∙ 구조물 설치지점의 하천 현황 설계
능력 검토
및 하천 부속물 현황 파악 ∙ 기초자료 제공
∙ 하천횡단 교량의 설치로 인한 수류
변화 검토
수리영향 ∙ 하천횡단 교량계획 현황 조사
∙ 유수에 의한 하천 내 설치 구조물의
검토 ∙ 하천횡단 교량 세굴검토
안정성 검토
∙ 가도(교) 설치에 따른 수류 변화 검토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4). 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보고서.
p.235

 세굴
세굴현상은 하천에서 흐르는 유체의 힘에 의해서 수로 바닥을 구성하고 있는 하상재료나
제방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이동 제거로 인해 수로 단면이 확대되는 현상이다.

1. 장기하상변동
장기하상변동은 하천에 놓여 있는 교량으로 인해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침식작용
과 퇴적작용을 뜻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토사의 침식, 운반, 퇴적되는 과정으로 장기적
으로 하상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2. 수축세굴
수축세굴은 교량 설치에 따른 통수단면 축소로 인하여 발생하며 하천 단면의 축소, 식생
의 성장, 유송 잡물의 퇴적 및 만곡 정도 등에 의하여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수축세굴은
교량 직상류단면의 평균유속이 평균입경의 하상재료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세굴한계유
속보다 작을 경우에는 정적 세굴, 클 경우에는 동적 세굴로 구분된다.

3. 국부세굴
국부세굴은 주로 교각, 교대, 돌출부와 제방 주위에서 흐름의 가속과 방해로 인한 와류의
발달에 의해 발생한다.

55
수행 내용 / 수리·수문조사하기

재료·자료

Ÿ 하천법, 하천법 시행령, 하천법 시행규칙

Ÿ 하천설계기준(2009)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56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관계법령 조사하기
하천법, 하천법 시행령, 하천법 시행규칙, 하천설계기준 등 관계법령에서 설계에 반영해야
하는 해당 조항 등을 조사한다.

1. 하천법 조사하기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law.go.kr)에 접속 후 하천법을 검색하여 해당 조문
및 법령체계를 참고하여 하위 시행령 및 시행규칙도 확인한다.
하천법 등의 법령에서는 주로 수리·수문분석에 관한 내용을 확인한다.

출처: 국가법령센터(http://www.law.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3-2]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하천법 조문 확인

57
2. 하천설계기준 조사하기
국가건설기준센터 홈페이지(http://www.kcsc.re.kr)를 방문하여 건설공사기준의 설계기준을
클릭하면 각종 설계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국가법령센터(http://www.law.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3-3]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를 통한 각종 설계기준 확인

58
3. 하천정비기본계획 조사하기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http://www.river.go.kr)를 방문한 후 하천정보 및 보고서
를 다운로드하여 설계에 필요한 해당 기준 등을 조사한다.

출처: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http://www.river.go.kr). 2016. 07.23 스크린샷.


[그림 3-4]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한 하천정보 및 보고서 검색

 수리영향 검토하기
수리영향 검토는 철도건설 예정 지역의 해당 하천에 대하여 범용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이 필요하다. 신설 교량의 교대 및 교각이 하천을 점용하지 않으면 신설교량에 의한 수리
조건 변화가 없지만 만약 그렇지 않을 때는 교각의 수리적 안정성 및 적정성을 철도설계
기준 및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검토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1. 상류경계 조건 검토하기
설계대상 지역의 하천을 대상으로 기 수립되어 있는 『○○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13. 05, ○○
북도) 』, 『○○시 소하천종합정비계획(2002, ○○시)』에서 적용된 50년 빈도 계획홍수량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2. 하류경계 조건 검토하기
설계대상지역 하천 검토구간의 기점홍수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 수립되어 있는 『○○천 하천
정비기본계획(2013. 05, ○○북도) 』, 『○○시 소하천종합정비계획(2002, ○○시)』상의 빈도
별 기점홍수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59
3. 교량 설치에 따른 수위 검토하기
교량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위 상승 여부와 제방 여유고를 검토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4. 하천 내 교량 설치기준 검토하기
여유고 기준 검토, 하천설계기준 해설(2005, 한국수자원학회), 철도설계기준(철도교편), 경
간장 검토기준, 교각 이격거리 검토기준 등을 확인하여 하천 내의 교량 설치기준을 만족
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5. 제방여유고 검토하기
다음 표는 교량을 설치한 경우 수위 상승 여부를 확인하여 제방 여유고를 검토한 결과의
예시이다.
<표 3-2> 교량설치 후 제방여유고 검토결과 예시

누 가 계 획 계 획 교량 설치 기설제방고 기 준 ②-①
측 점 검 토
거 리 홍수량 홍수위 후 홍수위 (EL.m) ② 여유고 (m) 비 고
(No.) 결 과
(m) (㎥/sec) (EL.m) (EL.m) ① 좌안 우안 (m) 좌안 우안
12 2400 600 53.97 53.97 53.71 52.74 1.00 -0.26 -1.23 부족
13 2600 600 54.19 54.19 55.57 53.45 1.00 1.38 -0.74 부족
+180 2780 600 54.48 54.48 56.81 56.81 1.00 2.33 2.33 만족 (구)하교
14 2800 600 54.50 54.43 56.83 56.83 1.00 2.40 2.40 만족
+80 2880 600 54.75 54.71 56.19 56.19 1.00 1.48 1.48 만족 철교설치지점
15 3000 600 54.84 54.81 59.03 59.03 1.00 4.22 4.22 만족 (신)하교
16 3200 600 55.23 54.97 57.45 57.19 1.00 2.48 2.22 만족
17 3400 600 55.71 55.67 57.29 57.41 1.00 1.62 1.74 만족
18 3600 600 56.08 56.07 54.71 57.20 1.00 -1.36 1.13 부족
+117 3717 600 56.65 56.64 57.00 56.65 1.00 0.36 0.01 부족 새마을협동교
19 3800 600 56.87 56.86 58.56 57.50 1.00 1.70 0.64 부족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보고서.

6. 교량 형하여유고 검토하기
하천 횡단 철도교량은 중요한 국가기간 시설물로서 교량의 형하여유고를 검토한다.
교량여유고는 100~200년 빈도 홍수량을 적용하도록 하천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다.

7. 경간장 검토하기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계획홍수량에 대한 경간장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 세굴 방지대책 수립하기
교각 주변의 세굴방호공법에는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 중 세굴유발인자 억제는 기존 교각에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므로 신설교량에 적합한 방법은 안전기초법과 하상보강법이다.

60
1. 안전기초법
교각기초를 예상최대 세굴심보다 깊게 또는 암반에 관입하고 신설 및 교체 교량에 적용가
능한 공법이다. 연암 위에 기초를 설치한다.

2. 하상보강법
세굴공 형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상을 보호하는 공법으로 사석방호공, 돌망태공, 콘크리
트 블록공으로 선택이 가능하다.

(1) 사석방호공(riprap)
접근수로에 사구 등이 발생되는 경우에 적합하고 부설시 작은 사석으로도 부설 가능한 경제
적 공법이다. 사석공의 상단표고는 하상과 같은 높이로 결정하여야 하며, 사석밑의 하상토가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기 위해 여과천(filter cloth) 또는 토공섬유(geotextile)와 같은 필터층을
먼저 설치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콘크리트 블록공


콘크리트 블록공의 종류로 육각블록, 십자블록, 격자블록, 기어형 블록 등을 사용하며,
육상 작업 시 유심구간이나 유속이 빠른 지점의 세굴에 적합한 공법이다. 콘크리트 블
록공의 하부는 바닥물질이 유실되지 않도록 여과천(filter mat)을 부설해야 하며, 콘크
리트 블록공의 상단 표고는 하상과 같은 높이로 결정해야 한다.

(3) 돌망태공
돌망태의 단면은 상자형 돌망태틀(gabion)로 사용하며 돌망태의 최소길이는 1.0m 이상
적용하여야 한다. 돌망태의 하부에는 바닥물질이 유실되지 않도록 여과천(filter mat)을
깔고 부설하며 돌망태공의 상단 표고는 하상과 같은 높이로 결정해야 한다.

(4) 세굴방호공법별 비교
<표 3-3> 세굴방호공법별 비교표

구분 콘크리트블록공 사석방호공 돌망태공



∙ 블록 저면에 토공섬유 설치 ∙ 부설 전 바닥에 부직포와 ∙ 아연도금철선 또는 피복


∙ 연결고리 또는 u볼트로 같은 여과막 설치 철선 등으로 망태를 짜서
공 연결된 콘크리트 블록을 ∙ 사석포설(다짐 및 강봉 설치 석재를 채우는 공법
법 매트 형태로 설치 시 효과 증대) ∙ 전석 등이 굴러와 철선이
∙ 연결재는 부식 방지를 위해 ∙ 부설면 가장자리는 하상 절단될 우려가 있음
아연도금 사용 보다 약간 낮게 시공

61
<표 3-3> 세굴방호공법별 비교표 (계속)

구분 콘크리트블록공 사석방호공 돌망태공

∙ 육안으로 시공성 확인 가능 ∙ 굴요성이 좋음 ∙ 응급공사 시 적당


시 ∙ 육상에서 매트를 조립하여 ∙ 사석 크기가 균일하지 못함 ∙ 호박돌 채움시간이 많이
공 수중으로 설치하므로 확실 ∙ 수중 투하 시 수중사석 소요
성 한 연결성과 시공성 확보 고르기의 시공성 불확실
∙ 시공장비(크레인) 필요
∙ 저중심 평면형이며 상하좌 ∙ 홍수시 전도유실 내포 ∙ 시공 초기 상호연결로
안 우 연결되어 전도, 유실 없음 ∙ 부설면 가장자리로부터 세굴 방지효과 우수
정 ∙ 블록 사이에 골재 등이 전도, 유실이 진행됨에 따라 ∙ 철선의 부식으로 유실될
성 끼어 장갑화로 세굴방지 국부적인 세굴 가능성이 염려가 있음
기반이 구축됨 있음
유 ∙ 사석, 돌망태공에 비해 ∙ 시공 후 매년 사석의 변동 ∙ 시공 후 돌망태공의 철선
지 유실 가능성 적음 상태 파악 필요 부식으로 유실 가능
관 ∙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 유실된 사석을 지속적으로 ∙ 오물이 철선에 걸려 미관
리 포설면적 조정이 용이 보충 불량 및 오염 확대
출처: 선구엔지니어링(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보고서.

(5) 세굴방호공법의 결정
세굴반경은 물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세굴심이 평면적으로 발생하는 범위이다. 신설
교량의 세굴심을 산정하고 암반까지의 깊이를 비교하여 교각의 설치심도를 결정하였
으므로 세굴에 의한 교각의 전도 위험성은 없으나 교량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각 교각
에 대해서 보호공 설치를 계획하는 경우 필요한 보호공의 범위를 산정하고, 이는 보호
공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그림 3-5]는 세굴보호공 설치 개념도이다.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그림 3-5] 세굴보호공 설치 개념도

수행 tip

• 수리·수문분석에서는 설계대상 지역의 조건에 부합하


는 교량구조물의 설계와 세굴 방지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62
3-2. 기상·기후조사

학습 목표 • 과업구간의 기상·기후 재해현황조사 관련 계획을 검토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기상 ·기후조사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에는 해당 지역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
온(℃), 강수량(mm), 평균증발량(mm), 평균풍속(m/s), 평균습도 등의 평년값(30년)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홍수 통제소에서는 하천이나 댐 등 수리시설의 수위를 관측하여 국가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http://www.wamis.go.kr)으로 관리하고 있다. 해당 설계대상지역의
최근 수위관측소로부터 해당 하천의 수위자료를 조사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1. 기상특성조사
철도설계 계획 노선 인근의 우량관측소를 조사하여 최근 10개년의 연평균기온, 강수량, 상
대습도, 일조시간, 풍속 등을 조사한다. 이때 가까운 곳에 관측소가 있다 하더라도 실제
설계 대상지역에 미치는 기상학적 상관성이 높은지 확인하여야 한다.

 재해현황조사
철도건설의 재해영향성 검토는 개발사업에 속하므로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하여 검토하여
야 한다.

1. 공통사항

(1) 지형조건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재해위험요인

(2) 주변지역이나 시설에 미치는 재해영향 및 예방에 관한 사항

(3) 자연재해위험지구 현황조사 및 대상지역과의 관련성

(4) 침수재해 발생 가능성

(5)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개발계획 현황조사 및 대상지역과의 관련성

(6) 재해 저감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이나 시설물의 배치

(7) 과도한 지형 변형으로 인한 재해 발생

(8) 대상지역 내 하천, 소하천의 존재 여부와 정비계획 수립의 관련성

(9) 대상지역 내 우수유출저감대책(저류시설, 침투시설)에 관한 사항

(10) 대상지역 내 토사유출저감시설 설치계획

63
(11) 자연재해저감시설 현황 및 재해예방에 관한 사항

(12) 저감시설의 설치기준, 안정성 및 개발 후 관리대책

(13) 대상지역 내 지진재해 발생 가능성 및 저감대책

(14) 사면 및 지반재해 발생 가능성과 저감대책

(15) 배수시설의 적정성 및 주변지역 배수체계와의 연계

(16) 토석 및 유송잡물 방지시설의 설치계획

(17) 대상지역 내 낙뢰 방지대책 수립

2. 하천·호소지역

(1) 저지대 및 지내력이 적은 지역에는 범람 및 내수 침수 방지를 위한 배수처리 방안


검토 여부

(2) 침수위험지역에 인구 및 시설이 밀집되지 않도록 토지이용계획 수립 여부

(3) 월류위험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재해예방대책 수립 여부

(4) 교량 등 하천횡단구조물 공사 계획 시 홍수류의 수리학적 특성 고려 여부

(5) 하천변 양안 완충지나 습지대 등에 대한 매립계획 지양 여부

(6) 하천환경관리계획 및 저류지 계획과 관련하여 폐천부지 및 고수부지 활용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고려 여부

(7) 증가되는 강수량의 추세를 감안하여 하천 계획홍수량, 홍수위, 계획하폭 등이 적절


히 결정되었는지 검토 여부

(8) 하천의 급경사, 만곡부, 협소해지는 하폭, 부속시설물 등으로 인한 피해 방지대책


수립 여부

(9) 하상 변동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재해요인 및 저감방안 검토 여부

(10) 댐(저수지) 건설로 인한 상류하천의 배수위 영향 및 안전성 분석 여부

(11) 댐 붕괴 등 대규모 재해 발생에 대비한 비상대처계획 수립 여부

(12) 하천 제방 단면 및 주변시설물 변화로 인한 침투수, 사면활동, 침하 등 지반공학적


안정성 검토 여부

64
수행 내용 / 기상·기후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하천법, 하천법 시행령, 하천법 시행규칙

Ÿ 하천설계기준(2009)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Ÿ 각종 지도 등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65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에 접속하여 기후자료를 클릭한다.

출처: 기상청(http://www.kma.go.kr). 2016. 07.25 스크린샷.


[그림 3-6] 기상청 홈페이지를 활용한 기후자료 탐색 방법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 후 설계에 필요한 각종 기상자료를 조사하여 해당 지역의 철도설


계 자료에 반영한다.

66
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http://www.wamis.go.kr)에 접속한다.

출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http://www.wamis.go.kr). 2016. 07.25 스크린샷.


[그림 3-7]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자료조사 방법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 후 설계에 필요한 각종 수문기상자료 및 자연재해 등을 조사하여


해당 지역의 철도설계자료에 반영한다.

67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현행 하천법, 하천 설계기준 등 관계법령을 조사하는 요령에


대하여 시연하며 지도한다.

• 상기 해당 법령 등 기준에서 당해 학습 및 설계대상 지역 하천의 수리·수문분석에 필요한


부분을 조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지도한다.

• 수리영향 분석을 위한 범용프로그램 사용법과 그 결과에 대한 이해와 대책 수립 방법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설명한다.

• 하천 내 교량 설치 기준의 빈도, 여유고, 경간장, 교각이격거리, 제방 여유고 등의 결정방법에


대하여 발표하게 한다.

• 세굴의 정의 및 원인, 및 세굴 방지대책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상황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설계대상지역의 기상·기후 자료를 기상청 홈페이지로부터 얻는 방법을 시연하여 지도한다.

학습 방법

• 국가법령센터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현행 하천법, 하천 설계기준 등 관계법령을 조사한다.

• 상기 해당 법령 등 기준에서 당해 학습 및 설계 대상지역 하천의 수리·수문분석에 필요한


부분을 조사하여 설계반영 자료를 작성한다.

• 수리영향분석을 위한 범용프로그램을 사용해 보고 그 결과를 이해한 후 대책수립 방법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작성한다.

• 하천 내 교량설치 기준의 빈도, 여유고, 경간장, 교각이격거리, 제방 여유고 등의 결정방법에


대하여 발표한다.

• 세굴의 정의 및 원인, 및 세굴 방지대책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조사하여 익힌다.

• 기상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설계대상지역의 기상·기후 자료를 취득한다.

68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하천법, 하천설계기준 관련 법령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


영할 수 있다.

- 신설교량 설치에 따른 수리영향검토 결과를 이해하고


수리·수문조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세굴검토 결과를 이해하고 및 세굴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과업구간 기상·기후 재해현황조사 관련 계획을 검토하


기상·기후조사
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하천법, 하천설계기준 관련 법령의 이해 및 설계에 반영


여부

수리·수문조사 - 신설교량 설치에 따른 수리영향검토 결과의 이해 및


대책 수립 여부

- 세굴검토 결과의 이해 및 세굴 방지대책의 수립 여부

- 과업구간 기상·기후 재해현황조사 관련 계획의 검토


기상·기후조사
및 설계에 반영 여부

69
• 사례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하천법, 하천설계기준 관련 법령 이해 및 설계에 반영


여부

수리·수문조사 - 신설교량 설치에 따른 수리영향검토 결과의 이해 및


대책의 수립 여부

- 세굴검토 결과의 이해 및 세굴 방지대책의 수립 여부

- 과업구간 기상·기후 재해현황조사 관련 계획의 검토


기상·기후조사
및 설계에 반영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2. 사례발표
- 수리영향 검토결과와 세굴 방지대책의 적용 상관성에 대해 보충 설명한다.

70
학습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개발계획 조사하기 (LM1402011002_14v2.1)
학습 2 현황측량 지질, 지반, 지장물 조사하기 (LM1402011002_14v2.2)
학습 3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3)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
학습 4
(LM1402011002_14v2.4)
학습 5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조사하기(LM1402011002_14v2.5)

4-1. 문화재지표조사 반영

• 문화재지표조사방법, 절차에 관한 규정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를 이해하고 처리대책을 계획할 수 있다.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를 이행하고 시·발굴조사비를 공사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어의 정의

1. 문화재지표조사
문화재지표조사라 함은 「문화재보호법」제62조 및 제91조에 따라 특정 지역 안에서의 건
설공사의 시행에 앞서 지표 또는 수중에 노출된 유물이나 유적의 분포 여부를 있는 그대
로 조사하는 것을 말하며 역사, 민속, 지질 및 자연환경에 관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내용
을 포함한다.

2. 문화재지표조사기관
문화재지표조사기관이라 함은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제80조의 기준에 따른 요건을 갖
추고 육상 또는 수중에서 유물이나 유적의 분포 여부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기관을 말한다.

3.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라 함은 제2호의 규정에 의한 기관이 특정 지역의 유물이나 유적의
분포 여부와 각종 사업 시행으로 인하여 당해 문화재의 보존환경에 변화를 가져오는 영향
요소 등을 조사·분석하고 그 관련대책을 체계적으로 작성·수록한 것을 말한다.

4. 문화재 보존대책
문화재 보존대책이라 함은 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합리적 방

71
안으로서 입지, 규모, 토지이용계획, 기타의 저감방안 등 조건이 다른 여러 가지 안을 말한
다.

5. 사업계획
사업계획이라 함은 「문화재보호법 시행령」제53조에 따른 각종 건설공사를 위해 당해 사업
시행자가 수립하는 기본계획을 말한다.

 지표조사 방법 및 절차

1. 지표조사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 내용은 문화재지표조사 절차 및 방법에 정


하는 바에 따른다. 다만, 수중지표조사 중 정밀조사를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조사기관
이 작성한 정밀조사 사유서를 첨부하여 사전에 문화재청과 협의하여야 한다.

2. 육상지표조사 중 지질, 동굴 등에 관한 자연과학적 조사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선별


적으로 실시한다.

3. 수중 지표조사는 사업대상 지역의 여건 및 특성 등에 따라 조사절차 및 방법(탐사장비


운용 등)을 선택적 또는 신축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조사자료, 사업시행자가 제
공하는 자료로 조사자료를 대체할 수 있다.

4. 문화재지표조사의 대상: 문화재보호법 제74조의2의 시행일(1999.7.1.) 이후 시행하는 사


업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건설공사

출처: 한국문화재연구원(http://www.koreacpk.or.kr). 2016. 09.16 검색


[그림 4-1] 문화재지표조사 업무처리철자

72
 문화재위원회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다음 사항을 조사·심의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에 설치된 위원회이다.

1. 문화재기본계획에 관한 사항

2.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과 그 해제에 관한 사항

3. 국가지정문화재의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 지정과 그 해제에 관한 사항

4. 국가지정문화재의 현상 변경에 관한 사항

5. 국가지정문화재의 국외 반출에 관한 사항

6. 국가지정문화재의 역사문화환경 보호에 관한 사항

7. 문화재의 등록 및 등록 말소에 관한 사항

8. 매장문화재 발굴 및 평가에 관한 사항

9. 국가지정문화재의 보존·관리에 관한 전문적 또는 기술적 사항으로서 중요하다고 인정


되는 사항

10. 그 밖에 문화재의 보존·관리 및 활용 등에 관하여 문화재청장이 심의에 부치는 사항

 시·발굴 조사비
매장문화재 조사용역 대가의 기준에 따라 시·발굴 조사비를 산출한다.

73
수행 내용 /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

재료·자료

Ÿ 문화재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Ÿ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규정

Ÿ 문화재위원회 규정

Ÿ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자연재해대책법

Ÿ 산업안전보건법

Ÿ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Ÿ 도로법

Ÿ 하천법 등

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문서 작성용 S/W

74
Ÿ 디지털 카메라, Video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문화재에 대한 문헌조사하기

1. 문헌조사
시(市)·군지(郡誌)와 지명지 등 문헌자료와 각종 지표·발굴조사 등을 검토하여 지표조사
대상지역과 주변지역들의 문화유적을 파악한다.
문헌조사에서 이루어진 조사지역 및 주변의 문화재 현황과 함께 현장조사를 통해서 확인
된 고고·역사유적의 조사내용을 작성한다.

2. 현장조사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공사계획노선을 중심으로 주변 100m 지역을 조사한다. 현장조사에
서 확인된 유물·유적에 관한 내용은 1/5,000 지형도에 분포범위를 표시하고 사진촬영을
통하여 자료화한다.

3. 육안조사
지형의 기복을 확인하기 어렵고 경지 정리로 인해 수습 유물이 잘 확인되지 않는 충적평
야지역의 경우 축척 1/20,000 항공사진을 반사식 실체경으로 관찰하여 지형분류를 하고
그 중에서 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점(자연제방, 선상지, 단구)을 선정하여
지형분류도를 작성한다.

4. 문화유적
확인된 문화유적 중 철도노선과 중복되어 있거나 노선에서 50m 이내에 위치하며 공사에
의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처리방안을
수록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 조사결과 설계에 반영하기

1. 공사영향 유적 확인하기
노선에 대한 현장조사, 문헌조사, 지형분석 등을 통한 고고·역사분야의 유적 분포 중 노
선에 자리 잡고 있거나 노선과 인접하여 공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는 유적을 확
인한다.

2. 표본시굴 조사하기
확인된 유적에 대하여는 공사 시행 전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유물과 관련된 매장유구 존재

75
의 유무 및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본)시굴조사를 실시한다.

3. 관계기관 협의
공사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훼손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간접적인 영향이 따
를 수 있는 유적에 대해서는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공사를 진행한다.

4. 국가문화재
국보, 보물, 천연기념물, 사정, 명승 등에 영향을 줄 때에는 노선 변경을 적극 검토하고
공사 시행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문화재청 등 관련 기관의 협의를 거쳐 노
선을 결정해야 한다.

 지표조사보고서 제출하기
지표조사를 의뢰 받은 전문조사기관은 조사가 완료 되는대로 지체 없이 조사보고서를 사업
시행자에게 제출하고 관계기관(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의견 및 보완사항을 요청하여 광
역자치단체 및 문화재청에 제출한다.

 시·발굴조사비 반영하기

1. 문화재 보존대책 수립·통보·이행


지표조사보고서를 제출받은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현지조사 등 필요한 절차
에 따라 사업예정지 및 주변의 문화재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이에 필요한 조치사항을 명시
하여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장과 기초자치단체의 장에게 통보하고 기초자치단체의 장은 사업
시행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이행토록 조치한다.

2. 문화재지표조사 비용을 설계서에 반영


기초자치단체의 장으로부터 문화재보존을 위한 조치사항을 통보받은 사업 시행자는 이를
설계에 반영하여 이행한다.

수행 tip

• 문화재지표조사는 조사전문기관에서 시행하므로 점


문기관의 의견 및 문화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이
전, 보호 등 합리적인 대책 수립이 관건이다.

76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문화재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및 절차에 관한 규정 등에 대하여


조사하게 하고 설명한다.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에 대하여 조사하고 위원회 결정의 효력 등 설계에 반영할 사항을 선택하
여 처리하며 설계에 반영하는 방법을 지도한다.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에 대하여 매장문화재 조사용역 대가의 기준에 따라 시·발굴 조사비


를 산출하는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지도한다.

학습 방법

• 문화재보호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및 절차에 관한 규정 등에 대하여


국가법령센터 등을 통하여 조사하고 학습한다.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에 대하여 조사하고 위원회 결정의 효력 등 설계에 반영할 사항을 선택하
여 처리하며 이전대책, 보호대책 등 설계에 반영하는 방법을 익힌다.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에 대하여 매장문화재 조사용역 대가의 기준에 따라 시·발굴 조사비


를 산출하는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학습하고 실습한다.

77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절차에 관한 규정에 대하여 이해


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문화재지표조사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를 이해하고 처리대책


반영 을 계획할 수 있다.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를 이행하고 시·발굴 조사비


를 공사비에 반영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절차에 관한 규정에 대한 이해 및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 여부

문화재지표조사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의 이해 및 처리대책의


반영 수립 여부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의 이행 및 시·발굴 조사비


를 공사비에 반영 여부

78
• 사례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문화재지표조사 방법, 절차에 관한규정에 대한 이해 및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 여부

문화재지표조사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의 이해 및 처리대책의


반영 수립 여부

- 문화재지표조사, 협의결과의 이행 및 시·발굴 조사비


를 공사비에 반영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문화재지표조사의 방법 및 절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 사례발표
- 문화재 시·발굴 조사비의 설계반영방법에 대해 사례연구토록 한다.

79
학습 1 철도망, 도로망, 각종 개발계획 조사하기 (LM1402011002_14v2.1)
학습 2 현황측량 지질, 지반, 지장물 조사하기 (LM1402011002_14v2.2)
학습 3 수리·수문조사, 기상·기후 조사하기(LM1402011002_14v2.3)
학습 4 문화재지표조사 반영하기(LM1402011002_14v2.4)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조사하기


학습 5
(LM1402011002_14v2.5)

5-1. 토취장 조사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토취장을 선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국토교통부의 토석정보시스템의 활용과 지역 내 공사현장의 토석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토취장의 정의
토취장이란 공사에 필요한 흙을 채취하는 장소를 말하며, 충분한 토량과 토질이 공사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
공사의 설계부터 시공/준공까지의 사토·순성토의 발생정보를 발주자 및 민간사업자가 정보
시스템을 통해 입력하고, 토석자원이 필요한 발주자, 설계자, 시공사는 조회시스템을 이용
하여 조회하고 토석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TOCYCLE)이다.

80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2016. 05. 27 검색
[그림 5-1] 국토교통부 소속기관 예시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2016. 05. 27 검색


[그림 5-2] 국토교통부 산하기관 예시

81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2016. 05. 27 검색
[그림 5-3] 전체 공사 모니터링 예시

82
수행 내용 / 토취장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철도건설법

Ÿ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Ÿ 토지이용규제기본법

Ÿ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이용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Ÿ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Ÿ 건설기술 진흥법

Ÿ 건축법

Ÿ 환경영향평가법

Ÿ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Ÿ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이용요령

Ÿ 콘크리트 시방서 등

기기(장비·공구)

Ÿ 전산장비(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카메라, 공학용 계산기)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토공설계현황 파악하기
설계대상 인접구간의 발생토, 순성토량 등을 파악하여 조사 및 선정해야 하는 토취장의
규모를 결정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접속하기
토석정보공유시스템(https://www.tocycle.com)에 접속하여 설계지역의 토석정보를 확인한다.

83
1. 토석정보조사하기
설계대상 공사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약 30km 이내의 건설공사 현장에 대한 토석정보공유
시스템(Tocycle)을 활용하여 조사한다.

출처: 토석정보공유시스템(https://www.tocycle). 2016. 09. 17 스크린샷


[그림 5-4]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을 활용한 정보조사 예시

2. 발주기관 반입토 협의하기


토석정보 조사에서 공사목적에 부합하는 발생토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공사대상 지역의 광
역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순성토 반입 협의를 한다.

3. 발생토 반입 검토하기
토석 종류, 예상토석량, 반출 가능시기 등 발생토 반입 협의를 하고 예상되는 발생토 반출
입시기 분석, 임시적치장 입지 검토 등 문제점을 분석한다.

4. 토취장 예정부지 조사하기


발생토 반입계획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면 공사대상 노선 중심 반경 10km 이내의 토취장
후보지를 선정하여 토취장 활용 가능성을 조사한다. 토취장을 선정할 때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1) 성토장소 방향으로 내리막 경사가 1/50~1/100 정도면 흙의 채취 작업은 물론 복구


(조경) 작업도 상당히 유리하다.

(2) 운반거리가 근거리이며 장애물이 적고 토량이 충분한 곳일 것

(3) 싣기에 편리한 지형일 것

84
(4) 산 붕괴의 우려가 없고 배수가 양호한 지형일 것

(5) 장비의 사용이 용이한 곳일 것

(6) 토지소유주의 용지 매매나 보상비가 싸고 사용 협의가 가능한 곳일 것

(7) 환경 훼손이 적고 주거지로부터 충분한 이격 거리가 확보되는 곳일 것

 토취장 개발계획에 따른 고려사항 검토하기


토취장을 선정, 개발할 때에는 진출입도로 검토, 절취 및 굴착공법 적용방안, 발파피해 및
소음, 비탈면 배수처리계획, 침사지계획, 토사 운반 등 민원 방지를 위한 부대시설계획과
조경 등 토취장 복구계획을 수립한다.

85
5-2. 사토장 조사

학습 목표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사토장을 선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토장의 정의
사토장이란 공사 시행 중 발생한 여분의 흙을 처리하는 곳으로 해당 공사장의 토공사 내용을
파악하여 필요한 규모의 사토장을 선정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학습 5-1 참조)


공사의 설계부터 시공/준공까지의 사토·순성토의 발생정보를 발주자 및 민간사업자가 정보
시스템을 통해 입력하고, 토석자원이 필요한 발주자, 설계자, 시공사는 조회시스템을 이용
하여 조회하고 토석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TOCYCLE)이다.
1개 이상의 공구가 동시에 시행하는 공사의 경우에는 인접공구 및 다른 공구와의 토공균
형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사토장 계획

1. 사토장은 사토 가능량, 방재대책, 법적 규제, 운반로, 현지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한 후 계획한다.

2. 잔토 및 불량토를 사토하는 경우에는 사토 가능량, 토사 유출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재대책, 법적 규제, 흙 운반로, 토지 이용계획, 용지 보상, 문화재, 환경 등을 고려하
여 후보지 여러 곳을 선정, 비교한 후 가장 유리한 사토장을 선정한다.

3. 사토장 선정 시 고려사항

(1) 사토장은 장소에 따라 법적 규제를 받기 때문에 관련 공공기관과 충분히 협의하고,


해제 절차를 수립한다.

(2) 사토장은 강우에 의하여 토사 유출 또는 붕괴 위험이 있으므로 사전에 배수 및 기


존 수로의 교체, 옹벽에 의한 토류공 및 비탈면 보호계획, 계획적인 매립과 배수경
사 등의 확보, 이토의 침전지 등의 계획을 수립한다.

(3) 흙 운반로는 운반거리·연도상황·교통량 및 보도 등을 고려하고, 폭·포장의 상


황·개량상황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86
(4) 사토장은 토량변화율, 토질 및 암질의 변화에 의한 땅깎기 및 흙쌓기량, 사토량의
변화, 차량 소통을 위하여 반입되는 모래, 자갈 등의 토량을 고려하여 여유 있게 설
계한다.

87
수행 내용 / 사토장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학습 5-1의 재료·자료 참조

기기(장비·공구)

Ÿ 전산장비(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카메라, 공학용 계산기)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학습내용 5-1의 ,  참조

 토공균형 확인하기
설계대상지역 내에서 연약지반 처리 등으로 발생한 사토의 효율적인 처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토공균형계획과 운반거리 최소화로 공사비를 절감하는 등 및 최적설계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최대한 사업부지 내 유용토(조경토)로 활용하도록 계획하는 등 최단거리에 사
토장을 선정하여 최소의 사토를 설계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한다.

 사토장 선정방법하기
토공유용 결과 순성토 발생이 많은 구간과 용지 매입 및 형질변경 보상, 인허가 가능지역
여부, 사용조건 및 법규 규제 지역 여부 등을 확인하고 사토작업 및 운반과정 중의 민원
발생 여부, 사토 발생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88
출처: 토석정보공유시스템(https://www.tocycle). 2016. 09. 17, 검색
[그림 5-5] 사토장 선정을 위한 토석정보검색 예시

 사토장 용지 매입하기
기존에 운영 중인 사토장이 없는 경우에는 사토장 예정부지의 토지소유자현황을 조사하여
사토 처리 후 지주의 토지소유 문제 등을 결정한다.

 발생토 처리계획하기
터널공사 등에서 발생하는 버럭 등 양질의 암석은 재활용 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잔량은
설계대상 구간 인근의 골재회사와 협의하여 처리하는 등의 협의가 필요하며, 처리와 관련
된 비용은 차후 사업 시행 시 도급시공사와 상호 협의하여 처리하도록 설계에 반영한다.
사토장 선정 및 암버럭 유용 등 골재회사와의 협의가 완료된 때에는 쌍방 간 사토반입 동
의서, 암버럭 유용 동의서 등을 작성하여 둔다.

89
5-3. 재료원 조사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재료원을 선정할 수 있다.


• 골재 종류별로 매장량, 생산가능성, 향후 여건 변화 등 소정공사 기간 중 공급이 가능
학습 목표
한지를 검토 후 선정할 수 있다.
•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의 운반거리와 운반방법을 조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재료원의 정의
재료원이란 공사 시공 시 필요한 각종 재료의 원활한 조달계획 수립으로 설계노선 주변의
골재원 및 기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한다.

1. 재료원의 조사목적

(1) 건설공사에 소요되는 콘크리트용 골재(하천골재, 석산 등)의 분포상태를 파악하여


품질이 양호한 재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2) 골재원 및 기타 재료원으로 부터 공사구간까지의 운반거리를 산정하여 시공상의 문


제점을 도출하고 제반 문제를 설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
학습내용 5-1의 필요지식  참조

 재료의 품질기준

1. 골재원 적정성 검토
실내시험, 품질보증서 입수, KS 규격 확인 등의 입도시험과 운반거리 비교, 시공계획 검토,
단가비교 검토 등을 통해 경제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2. 골재시험
각 재료원에 대하여 재료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하여 각종 공사용 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한국공업규격(KSF)에 의거 다음과 같은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보조기층 재료의 품질규정


<표 5-1>은 보조기층 재료의 품질기준을 보인 것이다.

90
<표 5-1> 보조기층 재료의 품질기준
구 분 시 험 방 법 기 준
액 성 한 계(%) KSF - 2303 25 이하
마 모 감 량(%) KSF - 2308 50 이하
액 성 지 수(%) KSF - 2304 6 이상
수 정 C. B. R(%) KSF - 2320 30 이상
모 래 당 량(%) KSF - 2340 25 이상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보고서

(나) 선택층 재료의 품질규정


<표 5-2>는 선택층 재료의 품질기준을 보인 것이다.
<표 5-2> 선택층 재료의 품질기준
구 분 시 험 방 법 기 준
액 성 지 수 KSF - 2304 10 이하
모 래 당 량(%) KSF - 2340 15 이상
수 정 C. B. R(%) KSF - 2320 10 이상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보고서

(다) 골재의 규격기준


<표 5-3>은 골재의 구격기준을 보인 것이다.
<표 5-3> 골재의 구격기준
골재 품 질 기 준
시험종목 시험규정 단 위 비 고
구분 콘크리트용 포장용
KSF - 2503 조골재 2.5 이상 2.5 이상
비 중 %
KSF - 2504 세골재 2.5 이상 -
KSF - 2503 조골재 3.0 이상 3.0 이하
흡 수 율 %
KSF - 2504 세골재 3.0 이하 -
40.0 이하
조골재 35.0 이하 기층표층
마 모 율 KSF - 2508 % 25.0 이하
(콘크리트 포장용)
세골재 - -
10.0 이하 12.0 이하 황산나트륨 사용
조골재
15.0 이하 18.0 이하 황산마그네슘 사용
안 정 성 KSF - 2507 %
10.0 이상 황산나트륨 사용
세골재 -
15.0 이하 황산마그네슘 사용
점토 조골재 0.5 이상 2.5 이하
KSF - 2512 %
덩어리 세골재 1.0 이하 -
조골재 5.0 이하 5.0 이하
연 경 도 KSF - 2516 %
세골재 - -
조골재 1.0 이상 1.0 이하
No.200
KSF - 2511 % 3.0 이하 표면이 마모작용을
통과율 세골재 -
5.0 이하 받는 경우, 기타의 경우
조골재 6.0~6.8 -
조 립 률 KSF - 2502
세골재 2.3~3.1 -
출처: 선구엔지니어링(주)(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보고서

91
수행 내용 / 재료원 조사하기

재료·자료

Ÿ 학습 5-1의 재료·자료 참조

Ÿ 콘크리트표준시방서

Ÿ 콘크리트품질관리기준

기기(장비·공구)

Ÿ 전산장비(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카메라, 공학용 계산기)

안전·유의 사항

Ÿ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학습내용 5-1의 ,  참조

 재료원 조사하기

1. 설계대상 지역의 관할 지방자치단체(시·군·구)의 담당부서를 방문하여 골재 등 재료


원의 자료를 입수한다.

2. 조사 당시의 재료 채취 허가를 받은 하천 골재원이나 석산 등의 자료 수집 및 현장을


조사하여 최단거리(가급적 25km 이내)의 재료원에 대한 위치, 전화번호, 생산량, 운반거
리 등을 조사한다.

3. 레미콘(Remicon) 및 아스콘 공장 등을 방문하여 생산능력, 차량보유 현황, 품질관리 및


보증 여부 등을 상세히 조사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재료원의 품질평가하기

1. 공사현장에 사용할 각종 재료는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여야 하며 설계기준에 적합한 품


질을 확보하고 있는지 콘크리트시방서의 품질기준을 적용하여 확인한다.

2. 하상골재의 경우 품질시험 결과가 콘크리트용 세골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3. 석산골재는 조사된 골재원에서 시험성적서를 발부받아 콘크리트 품질관리기준과 비교


검토하여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92
 재료원의 위치조사하기
설계 대상지역 주변을 조사대상 지역으로 하여 재료원 분포현황을 조사하고 재료의 종류별
로, 즉 석산골재원, 하상골재원, 레미콘, 아스콘 등의 분포현황을 설계에 반영한다.
필요지식에서 제시한 품질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 확인은 반드시 필요하다.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 선구엔지니어링(2014).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보고서』.


[그림 5-6] 재료원의 위치조사 예시

수행 tip

• 인접공구와의 토공균형을 확인한 후 토취장을 조사,


선정할 경우 별도의 토취장을 선정하지 않아도 된다.

93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에 대한 정의를 조사하고 필요한 이유를 교수한다.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의 선정 및 조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교수 설명한다.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선정 시 적용되는 법령 등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시연한다.

• 공사현장에서 사용 예정인 재료들에 대한 품질기준 및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제 조사하게


한다.

학습 방법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에 대한 정의를 익히고 필요한 이유를 학습한다.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의 선정 및 조사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사례를 통하여 익히도록 한다.

• 토취장, 사토장, 재료원 선정 시 적용되는 법령 등을 국가법령센터 등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실행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사례를 들어 시연한다.

• 공사현장에서 사용 예정인 재료들에 대한 품질기준을 조사하고 학습한다.

94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토취장을 선정할 수


있다.
토취장조사
- 국토교통부의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의 활용과 지역 내 공
사현장의 토석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사토장을 선정할 수


사토장조사
있다.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재료원을 선정할 수


있다.

- 골재종류별로 매장량, 생산가능성 향후 여건변화 등 소


재료원조사 정공사 기간 중 공급이 가능한지를 검토 후 선정할 수
있다.

-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의 운반거리와 운반방법을 조사


할 수 있다.

95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한 토취장 선정 여부


토취장조사 - 국토교통부의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의 활용과 지역 내 공사
현장의 토석정보 조사능력 여부

사토장조사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한 사토장 선정 여부

- 골재 종류별 매장량, 생산가능성, 향후 여건변화 등 소


정공사 기간 중 공급 가능 여부 판단 능력
재료원조사
-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의 운반거리와 운반방법 조사
여부

• 사례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한 토취장 선정 여부


토취장조사 - 국토교통부의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의 활용과 지역 내 공
사현장의 토석정보 조사능력 여부

사토장조사 - 공사 시행성과 경제성을 감안한 사토장 선정 여부

- 골재 종류별 매장량, 생산가능성, 향후 여건변화 등 소


정공사 기간 중 공급 가능 여부 판단 능력
재료원조사
-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의 운반거리와 운반방법 조사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토취장, 사토장 선정이 공사의 시공성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의 활용도 향상에 대하여 논의한다.
2. 사례발표
- 선정 위치에 따라 공사기간 및 공사금액에 대한 변화에 대해 비교 분석하게 한다.

96
∙ 국토교통부(2014).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6).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 국토교통부

∙ 철도시설공단(2012). 철도건설 및 개량계획, 한국철도시설공단

∙ (주)유신 외 3개사 (2014). 『원주~강릉 철도건설 제11-2공구 노반 신설 기타공사 실시설계 보고


서』. 한국철도시설공단

∙ ㈜선구 외 2개사 (2012). 『서해선 홍성~송산 복선전철 제8공구 노반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


서』. 한국철도시설공단

∙ ㈜동일기술공사 (2011). 『호남고속철도 광주차량기지 건설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한국철도


시설공단

∙ ㈜선구 외 1개사 (2010).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2공구 노반 실시설계 보고서』.


한국철도시설공단

∙ 이승언(2009). 『살아있는 토목시공학』. 구미서관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오순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록(송원대학교)* 권오규((주)동성엔지니어링)
김종석((주)이산)* 김재철(철도기술연구원)
박근태(극동엔지니어링) 성덕룡(대원대학교)
배을호(케이블텍(주)) 이용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한철(서현기술단) 장원섭((주)건화)
이기승((주)케이알티씨)
이동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영민((주)유신)
이종태(도화엔지니어링)
이현주((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9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