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7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상하수도설계 사업계획
공항설계
수립 상하수도설계 사업타당성
상하수도설계 사업타당성 검토
터널설계
검토
상하수도설계 기본계획 상하수도설계 기본계획
교량설계
수립 수립

항만(해양)설계 상하수도설계 현황조사 상하수도설계 현황조사

상하수도설계 상하수도설계 기본설계 상하수도설계 기본설계

하천(댐)설계 상하수도설계 실시설계 상하수도설계 실시설계

지반설계 상하수도설계 계산서 작성 상하수도설계 계산서 작성

단지설계 상하수도설계 도면 작성 상하수도설계 도면 작성


상하수도설계 유지관리계획 상하수도설계 유지관리계획
철도설계
수립 수립
토목건설사업
상하수도설계 시방서 작성 상하수도설계 시방서 작성
관리
상하수도설계 사업비 산정 상하수도설계 사업비 산정

상하수도설계 보고서 작성
상하수도설계 성과품 작성
상하수도설계 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1-1.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 3

1-2.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서 작성 12

• 교수・학습 방법 22

• 평가 23

학습 2. 지형 측량하기

2-1. 지형 측량서 작성 25

• 교수・학습 방법 35

• 평가 36

학습 3. 토질 조사하기

3-1. 토질 조사서 확인 38

3-2. 지하수위 영향분석 51

• 교수・학습 방법 58

• 평가 59

학습 4. 수질유량 조사하기

4-1. 수질 및 유량 조사서 작성 61

• 교수・학습 방법 70

• 평가 71

참고 자료 73
상하수도설계 현황조사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지형 및 지반 조사, 측량조사, 상하수도 시설물 현황조사, 지상 및 지중 지장물 현황조사, 수질유량조사, 기타
지역특성 조사 등으로 상하수도설계의 기초자료를 조사할 수 있다.

선수학습

토목공학 개론, 상하수도 공학, 토질 및 기초 공학, 측량학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 1402010604_14v2.1 지형자료 조사하기

1. 지형자료 및 시설물,
1402010604_14v2.2 시설물 현황 조사하기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1-2.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서 작성
1402010604_14v2.3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2. 지형 측량하기 2-1. 지형 측량서 작성 1402010604_14v2.4 지형 측량하기

3-1. 토질 조사서 확인
3. 토질 조사하기 1402010604_14v2.5 토질 조사하기
3-2. 지하수위 영향분석

4. 수질유량 조사하기 4-1. 수질 및 유량 조사서 작성 1402010604_14v2.6 수질유량 조사하기

핵심 용어

지형, 토질, 수질, 유량, 상하수도시설물, 측량, 지장물, 현황측량, 지반특성, 지반조사, 배수처리

1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
학습 1 조사하기
(LM1402010604_14v2.1,2,3)
학습 2 지형 측량하기(LM1402010604_14v2.4)
학습 3 토질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5)
학습 4 수질유량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6)

1-1.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


• 상·하수도시설 계획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자료 조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지형자료 조사계획을 통하여 지형 조사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지형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상·하수도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기상 조사

1. 조사 항목
자연환경 현황조사를 위해 계획구역에 대한 기온, 강수량, 적설량, 일사량, 풍향 및 풍속
을 비롯하여 과거 태풍 및 폭풍 발생빈도 등을 조사한다. 또한 과거 침수 및 안전사고 경
험이 있는 지역은 안전사고 및 침수 피해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2. 조사 방법
중앙기상청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기후표, 기상월보 및 기상연보 등의 자료조사를 바탕으
로 한다. 그러나 자료가 부족하거나 신빙성이 없을 경우 현장조사를 통해 문헌조사 기록
을 수정, 보완한다. 현지조사는 중앙기상청에서 발행한 지상관측지침을 참고로 조사한다.

 지형·지질 조사

1. 조사 항목
계획구역의 지형형상, 지질상황, 토질성상 및 토지의 안전성 등을 조사하여 상하수도시설
의 입지선정 및 배치계획 시 참고한다.

(1) 지형형상
지형분류, 경사분포, 표고분석, 특이 지형형상 등

3
(2) 지질상황
지질학적 특성, 지진 발생빈도, 지진강도 등

(3) 토질성상
압밀침하, 지반침하 등

(4) 토지의 안전성


지반변형, 사면의 안정성, 토사의 유출, 수계의 변화 등

2. 조사 방법
지형 및 지질현황 조사방법은 다음과 같이 자료조사와 현지조사로 나눌 수 있다.

(1) 지형·지질상황, 토질성상

(가) 자료조사
지질도, 항공사진, 기존 지형 및 지질조사 관계자료 등

(나) 현지조사
측량, 시추조사, 사진촬영, 시료채취 및 분석, 기타 필요한 조사

(2) 지반변형 안정성

(가) 자료조사
지형도, 표층지질도, 토지이용현황도 등

(나) 현지조사
지반침하량조사, 지반 및 근접구조물의 계측기에 의한 변형조사 및 기타 필요한 조사

(3) 사면의 안정성

(가) 자료조사
지형도, 토지분류도, 지질도, 지반도, 항공사진, 지하수 관련자료, 사면붕괴기록, 풍
수해 기록, 기상관측자료 등

(나) 현지조사
붕괴층의 추정조사, 사면상의 측량, 지층구조 조사, 붕락 규모의 추정(물리탐사), 지
하수 조사(지하수위 관측, 용수량 조사, 지하수 추적조사, 수질조사, 지하수 검층,
양수시험), 토질시험, 탄성파시험, 암반시험 및 기타 필요한 조사

(4) 토사유출

(가) 자료조사
지형도, 표층지질도, 경사구분도 등

(나) 현지조사
지형지질조사, 지질구조 조사 및 기타 필요한 조사

4
(5) 수계변화

(가) 자료조사
지형도, 기복량도, 수계분포도, 항공사진 등

(나) 현지조사
지형・지질조사 및 기타 필요한 조사

 유역 및 하천수계 조사

1. 유역의 일반현황
하천의 상류부터 하구까지의 유로, 지리적 위치(위도・경도), 유역 면적, 유역의 형상, 유역
의 지형 및 지질, 임상 등에 관한 사항과 유역 내 행정구역 및 인구, 토지이용상황, 오염
부하량, 하상 구성물질 그리고 인문・경제 상황과 장래 전망에 관한 사항 등을 조사한다.

2. 하천수계 조사
하천구간에 유입되는 하천수계를『한국하천일람』및『우리 가람 길라잡이』를 이용하여
본류와 지류(제1~6지류)로 구분한다. 하천별로 기점과 종점의 위치 및 유역 면적과 유로연
장을 조사한다.

<표 1-1> 하천현황 표시방법 예

하 천 하천의 구간 유역 유로 과업
하천
제1 제2 제3 면적 연장 연장
본류 등급 시점 종점
지류 지류 지류 (㎢) (㎞) (㎞)
00시 00동 000 00시 00동 000
00강 00천 00천 00천 지방 9.08 7.25 5.85
(전)번 지선 (전)번 합류점
00시 00동 000 00시 00동 000
00강 00천 00천 00천 지방 12.34 9.47 8.38
(전)번 지선 (전)번 합류점

출처: 경상북도(2012), 『개운천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제3장 유역 및 하천 특성조사, p3-3

 문화재 조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제6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의 요건을 갖추
고 지표 또는 수중에 노출된 유물이나 유적의 분포 여부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문화재 조
사 전문기관이 수행하여야 한다.

1. 문화재 잔존 시 발굴조사
현지 지표조사 수행 중 유적 등 문화재가 잔존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시굴 또는 발굴 조

5
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지체 없이 중간성과를 보고하여야 한다.

2. 문화재 현황 표시방법
문화재의 행정구역별 지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보 또는 보물과 조사구역 내의 문화재는
지정별 구분, 종별, 지정번호, 시대, 지정명칭, 지정년월일, 소재지 등을 표로 작성하여 수
록한다. 문화재의 현황은 문화재청의『문화유산정보』및 각 지자체별로 작성된『문화재
분포지도』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한다.

수행 내용 /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0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서, 하천정비보고서

기기(장비·공구)

Ÿ 거리측정기

Ÿ 지형현황 측량 장비(GPS, 광파기 등)

Ÿ 유량 및 수위 측정기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유의 사항

6
Ÿ 현지답사를 통해 지형조건에 계획시설물이 적합한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Ÿ 지형, 지질, 하천 등의 자연 상황, 주변 도로, 용지조건 등을 상세히 파악하여 공사용 도로, 공사부
지, 작업장 등의 확보가능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Ÿ 문화재와 같은 관리보호를 요하는 시설 또는 혐오시설, 지장건축물 등 개발에 지장이 있는 시설들


에 대하여는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그 보호 및 처리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Ÿ 최근 이상기후에 의한 자연재해 및 지진 발생 등의 천재지변에 대비하여 계획시설물에 영향이


없도록 대책이 검토되어야 한다.

Ÿ 최대한 관련 자료를 확보하여 면밀히 분석한 후 지형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확인 및


부족한 부분을 추가 조사한다.

수행 순서

 자연적 조건에 관한 조사를 한다.(한국상하수도협회(2014).『상수도시설기준』을 참조


하여 작성함)

1. 지형, 지질 등에 관한 조사를 한다.

(1) 상하수도시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로, 구릉지, 호소 및 하천 등의 위치,


지반의 고저차 및 주요 수준점 등이 조사되어야 한다.

(2) 시설의 위치, 구조 및 공사의 난이도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지반, 토질 및 지하


수위뿐만 아니라 지진대책을 검토할 때에 기초 자료로 사용되는 단층의 유무 등
도 조사되어야 한다.

[그림 1-1] 지형 및 지세 조사결과 예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2장 기초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p2-2

2. 기상개황 및 재해현황을 조사한다.


시설예정지에 대하여 과거에 발생하였던 지진, 풍수해 등에 의한 재해에 대하여 그
규모와 피해 상황이 조사되어야 한다.

(1) 강우, 침수의 기록 및 침수피해 상황을 조사한다.


우수배제계획에 필요한 계획우수량의 산정을 위한 강우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7
필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가능한 한 장기간(적어도 20년 이상)에 걸쳐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빈도 등의 강우특성이나 강우강도별 침수상황 및 피해 등에
관하여 조사한다.

[그림 1-2] 기상현황 조사결과 예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2장 기초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p2-6

(2) 기온현황을 조사한다.


시설 및 설비의 계획에 있어서 하수의 수온은 중요한 설계인자가 되기 때문에 기
온 변동 및 인근 지역의 수온자료를 수집한다. 또 관로의 동결이 예상되는 지역에
서는 적설량 등의 자료를 수집한다.

(3) 지진발생 현황을 조사한다.


상하수도시설도 사회기반시설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진 등에 대
한 대책이 필요하디. 따라서 해당지역의 지진 발생횟수, 규모 등 현황을 조사한다.

[그림 1-3] 지진발생 현황 예


출처: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2009), 『난지물재생센터 실시설계 보고서, 제2장 기초
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pⅠ-7

 하천 및 수계현황을 조사한다.

1. 조사지역내 수역의 유량 및 수위 등의 현황을 조사한다.

8
하천에서는 홍수위, 평수위, 저수위, 홍수량 및 저수량, 호소에서는 홍수위, 평수위 및
저수위, 해역에서는 과거의 최고조위, 연간 최고조위, 삭망평균 만조위, 삭망평균 간
조위, 소조평균 만조위 및 소조평균 간조위 등을 수집하여 정리한다.

2. 하천 및 기존배수로의 상황을 조사한다.


하수배제의 역할로서 하천 및 기존 배수로의 유효 이용을 위하여 배수계통, 배수능력,
구조 및 배수상황 등에 관하여 조사한다.

3. 호소, 해역 등 수저의 지형, 이용 상황, 유량 등을 조사한다.


펌프장과 처리장에서의 방류위치, 방류관로의 형식 결정 및 방류수가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펌프장 및 처리장의 예정위치 부근에 호소, 해역 등의 수저
지형, 어업 및 항로 등의 이용 상황이나 호수 및 해수의 유속과 유황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그림 1-4] 수계 현황 예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2장 기초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p2-3

9
[그림 1-5] 수계 모식도 예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
서』, 제2장 기초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p2-3

 토지이용계획 등에 관한 조사를 한다.(한국상하수도협회(2014),『상수도 시설기준』을


참조하여 작성함)

1. 지역지정 등에 관한 조사를 한다.

(1) 시설 예정지 및 그 주변 지역의 규제 사항을 조사한다.


(가) 도시지역(「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계획구역)
(나) 농업지역(「농어촌 정비법」: 농업진흥지역)
(다) 산림지역(「산림기본법」,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산림기본계
획, 국유림, 도시림, 생활림 등)
(라) 자연공원지역(「자연공원법」: 특별지역, 특별보호지역, 보통지역)
(마) 자연보전지역(「자연환경보전법」: 원생자연환경 보전지역, 자연환경 보전지역)

(2) 시설예정지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정한 중요문화재를 조사 한다.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등 또는 이미 확인된 매장문화재(고분, 주거 유적 등)가
존재하는지 조사되어야 한다. 또한 관계 지역에 관한 역사서적, 향토지 등을 참고
하여 미확인된 매장문화재의 존재 여부에 관한 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
는 경우도 있다.

10
2. 개발계획 등에 관한 조사를 한다.
시설의 위치를 결정할 때 그 예정지 및 주변 지역이 각종 개발사업(토지구획 정리사
업, 신주택 시가지 개발사업, 산업단지 조성사업, 시가지 재개발사업 등), 가로 및 도
로계획, 토지개량 사업계획 등의 대상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조사되어야 한다.

[그림 1-6] 토지이용 계획서 예


출처: 서울특별시(2011), 도심속 물길 중학천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제2장
기초자료조사, p.21

수행 tip

Ÿ 기상청의 기상데이터 및 토지이용계획, 도시개발계


획 등 해당 지역의 자연, 인문자료를 충분히 확보하여
검토한 후 지형자료 조사를 실시한다.

11
1-2.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서 작성
• 상·하수도시설 계획 대상지역에 대한 시설물 자료를 조사할 수 있다.
• 상·하수도시설물의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 이미 수립된 계획시설 대상 부지의 적정성을 결정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처리시설, 하수관로,
학습목표
맹암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부지와 관련된 상·하수도시설물의 안전성을 검토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장물을 파악할
수 있다.
• 공사 예정지에 설치된 토목, 수도, 가스, 전기 등 관련 지장물을 조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수시설물 조사

1. 침사지
침사지의 규모, 침사지 설치 필요 여부, 개·보수 필요성, 적정 기능 확보 여부 등 조사

2. 하수관거
통수능 부족, 역경사, 역단차, 신설 여부, 내부 불량 상태, 구조적 안전 여부, 악취 발생
여부, 준설 빈도 등 조사

3. 맨홀
인버트(Invert) 여부, 내부 불량 상태, 구조적 안전 여부, 악취 발생 여부, 강우 시 맨홀 뚜
껑 부상, 점검사다리 여부 등 조사

4. 빗물받이
측구의 경사 적정 여부, 빗물받이 이토실 적정 여부, 내부 불량 상태, 구조적 안전 여부,
도로 경사에 따른 설치 간격 적정 여부, 배수설비 연결 여부, 인도에 설치된 경우 차도 측
으로 설치위치 변경가능 여부, 악취 발생 여부, 횡단보도 및 보도 턱 낮춤 구간 설치 여부
등 조사

5. 펌프장
오수 및 하수 중계 펌프장의 적정 여부, 추가 신설 여부, 설치 가능 부지와 빗물펌프장의
월류턱 지반고, 배제능력 등 조사

6. 저류조
기능 상태, 강우 시 제어능력, 하수관거에 미치는 영향, 추가설치 가능 장소 등 조사

12
7. 우수토실
차집관로 전반 우수토실의 형식 및 규격, 월류량, CSOs 조사

 지장물 조사

1. 계획구역 내 각종 지하 매설물 및 지상 시설물이 관로 기초조사에서 시행한 지하 매설


물 조서에 포함됐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2. 이설이 필요한 지장물(상수도관, 하수도관, 가스관, 전신주, 가로등, 맨홀, 통신 케이블,


고압 케이블 등)을 관로 기초조사에서의 결과를 활용하여 사전에 해당기관과 협의하여
야 한다.

3. 공사 시 터파기 등으로 인해 보호공이 필요한 시설 등에 대하여는 해당기관과 상의하여


적절한 보호방안을 수립하여 공사 중에 파손이 없도록 한다.

4. 조사된 지장물은 공사계획 현황도에 정확히 표기되어 있어야 한다.

 탐사의 정확도

1. 지하 시설물의 평면 및 깊이를 탐사하는 경우 상대오차가 허용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2. 현장 확인 시 오차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지하 시설물에 대한 재조사를 실시하고, 임


의 지점을 선정하여 재검측을 받도록 한다.

3. 작업 조서에는 작업일자, 투입장비, 작업방법, 작업자의 이름을 기록하고 성명을 날인한다.

4. 탐사장비로 탐사가 불가능한 경우 불가능한 사유를 명시하고 탐사할 수 있는 대안을 제


시한다. 이러한 지역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 시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별도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표 1-2> 관로탐사의 정확도

오차범위
대 상 물 비 고
평면위치 깊 이

±20cm ±30cm 깊이 3.0m 이내


금속 관로
±20cm 또는 ±30cm 또는
깊이 3.0m 이상
매설깊이의 20% 이내 매설깊이의 20% 이내
비금속 관로 ±20cm ±40cm 깊이 3.0m 이내
(관경 100m/m 이
±20cm 또는 ±40cm 또는
상) 깊이 3.0m 이상
매설깊이의 20%이 내 매설깊이의 20% 이내
출처: 안산시(2016), 안산시 수도관 GIS DB 구축 용역 과업지시서, 3-4. 지하 시설물 조사/탐사, p13

13
 지하시설물 불탐 사유

1. 인접한 위치에 타 시설물이 매설되어 전기적 저항의 자장 장애, 지하 및 지상 장애물


등 기술적인 문제 및 탐사장비 성능의 문제로 탐사가 어렵다.

2.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의 관리 미흡 및 시설 관망도 등 자료가 부실하다.

3. 탐사자가 시설물에 대한 시공, 운영 등 사전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오직 장비의 기능


과 운용법에만 의존하여 탐사작업에 한계가 있다.

4. 비금속 관로에 대한 탐사장비는 금속관 탐사장비와 운용 및 분석방법이 다르고, 소구경


인 관로가 많아 탐사 시 고난도의 탐사기법 및 분석이 요구되고 있어 비금속관에 대한
탐사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5. 관리기관의 지하시설물 탐사 의지가 부족하고 탐사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정이 없


다.

수행 내용 /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 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0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 평가서, 하천정비 보고서

기기(장비·공구)

Ÿ 금속 탐지기, 비금속 탐지기, 맨홀 탐지기

Ÿ 터파기 장비

14
Ÿ 성과품 작성 용지, 토너 등 각종 소모품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유의 사항

Ÿ 지하 시설물에 대해 조사할 경우에는 안전계획서에 의하여 작업하고, 특히 안전사고에 주의하여


야 하며, 필요시 관계기관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Ÿ 조사된 지하 매설물 성과를 평면도, 종단도 및 횡단도상에 표시하고 매설물의 안전에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Ÿ 지장물 조사 등의 현장작업 시 차량통행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교통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관할 경찰서에 신고한 후 협조를 받도록 한다.

Ÿ 지장물 조사는 사업구역 내 시설물을 현장조사를 통해 정확하게 하여야 하며, 지장물 중 이설이
필요한 시설은 조사 후 지장물 현황도에 정확히 표기한다.

수행 순서

 지상 시설물을 조사한다.

1. 지역 및 시설물 특성을 고려한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지상시설물 현지조사를 하기 이전에 사전답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조사지역을 사전
답사하여 지역 및 시설물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안전계획서에 의하여 작업을 한다.


지상시설물을 조사할 경우에는 특히 안전사고에 주의하여야 하며, 안전계획서에 의하
여 작업해야 하고 필요 시 관계기관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3. 지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의 명칭 및 속성자료를 조사한다.


작업수행자는 지하시설물을 조사하기에 앞서 출력된 도면을 이용하여 지상에 노출된
지하시설물과 공간자료의 명칭 및 속성자료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4. 현지조사를 한다.

(1) 현지조사의 기준은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하시설물도의 입력기준에 정한

15
모든 사항을 조사하여야 한다.

(2) 지하시설물 관련 지상시설물을 현지 조사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이용하


여 조사하여야 한다.

(가) 1/500 축척으로 출력된 지형도

(나) 기 제작된 지하시설물 관련 각종 도면 및 기타 작업에 필요한 자료

(다) 측량 및 조사, 탐사에 필요한 안전장비

(라) 기준점 성과 등의 측량 성과

(마) 토지 및 건물 출입증

(3) 지하시설물을 조사할 때에는 관련 맨홀 등은 개폐하고 속성자료를 조사 및 확인


하여야 한다.

 지하 시설물을 조사한다.

1. 작업계획을 수립한다.

(1) 세부 공정계획의 수립

(2) 인원 및 장비의 투입계획 수립

(3) 지하시설물 조사, 탐사 시의 안전계획 수립

(4) 관련 자료의 보안계획 수립

(5) 과업수행에 따른 각종 측량 및 현지조사 계획 수립

(6) 기초 자료의 현황

2. 원시자료를 수집한다.

(1)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정보 또는 기 구축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관련기관 또는


부서에 협조 요청하여야 한다.

(2)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자료가 필요할 경우에도 관련기관에 협조를 요청하여 충분


한 자료 수집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조사용 도면을 출력한다.

(1) 지하시설물도 작성을 위한 수치지도의 축척은 1/1,000을 기준으로 하며, 수치지


도 작성 작업규칙에 의하여 제작된 수치지도이어야 한다.

(2) 지하시설물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도를 제작


할 경우에는 지표면상에 나타나 있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별도로 측량하여 입
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16
4. 지하시설물 탐사 안전대책을 수립한다.
지하시설물도 작성 세부지침에 의하여 관로조사 등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를 시행
하여야 한다. 현지 지하시설물 조사, 탐사 작업 시 반드시 사전에 충분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5. 탐사방법 및 장비의 사용계획을 수립한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탐사는 사전 수집된 자료 및 탐사용 도면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종류 및 재질에 따라 금속관로, 비금속관로로 분류하여 탐사방법 및 탐사장비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탐사하여야 한다.

6. 현장 상황에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탐사를 한다.


지하시설물 탐사는 금속관로 탐지기, 비금속관로 탐지기 및 맨홀 탐지기 등 전문장비
를 이용하고, 시설물의 종류 및 특징과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탐
사하여야 한다.

7. 지하시설물의 매설위치 및 매설심도 탐사는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관


련 속성자료를 수집 또는 확인하여야 한다.

8. 지하시설물의 평면위치는 관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탐사하여야 한다.

9. 지하시설물 탐사 시 주요지점에 대하여 횡단탐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1) 2개 이상의 상하수관의 합류 교차 및 분기 교차하는 지역

(2) 타 시설물에 의한 위치 변화 지역

(3) 심도 변화가 큰 지역

10. 지하시설물의 다음과 같은 지점에는 필히 탐사하여야 한다.

(1) 관로의 직경이나 재질이 변경되는 위치

(2) 관로가 분기되거나 상태가 변경되는 위치

(3) 각종 제어장치 또는 밸브가 위치한 위치

(4) 도로의 곡선 부분

(5) 시설물의 교차점 또는 분기점

17
(6) 지하시설물의 현황이 편집도와 현저하게 차이가 나타날 경우

(7)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11. 지하시설물 탐사의 범위는 시설물의 종류, 관경, 평면위치, 매설깊이로 구분하여
탐사한다.

 지하시설물을 굴착 조사한다.

1. 굴착을 준비한다.

(1) 도면 및 유관기관 확인
가스, 상하수도, 전력 케이블, 통신 등 지하 매설물의 도면 및 관계기관에 매설 유
무를 확인한다.

(2) 안전시설 및 보호구 준비


안내표지판, 경광등, 신호봉, 반사조끼 등 안전시설 및 보호구를 준비한다.

2. 지장물을 조사한다.

(1) 현장 확인
유관기관 입회하에 지하시설물 매설위치를 확인한다.

(2) 지중 탐사법에 의한 조사

3. 줄파기를 한다.

(1) 아스팔트 커팅
도로 점령 작업 시 교통 안내표지판 설치 및 신호수를 배치하고, 아스팔트 커팅
작업 시에는 아스콘 비산방지 및 보안경을 착용한다.

[그림 1-7] 안전표지판 설치 [그림 1-8] 아스팔트 커팅작업

(2) 장비굴착

(가) 유관기관 및 안전담당자가 상주하여야 하며, 장비유도수를 배치하여야 한다.

18
(나) 과다굴착 및 브레이커 작업으로 지장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지장물 매설 심도 부근은 인력굴착을 원칙으로 한다.

(3) 인력굴착

(가) 지장물 주변 1m 이내 부터는 인력 굴착을 실시한다.

(나) 굴착 심도가 깊을 시에는 반드시 보호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굴착 사면


안식각을 유지하고 관리자가 상주하여야 한다.

[그림 1-9] 지장물 장비굴착 [그림 1-10] 지장물 인력굴착

4. 되메우기 및 정리를 한다.

(1) 장비유도원 배치 후 작업 반경 내 접근을 통제한다.

(2) 지반의 침하로 지하매설물에 영향이 없도록 다짐을 철저히 실시하거나 침하가
적은 모래 등으로 치환을 한다.

[그림 1-11] 되메우기 다짐 [그림 1-12] 모래 치환

 지하시설물의 원도를 작성한다.

현지조사 및 각종자료와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원도 작성요령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


으로써, 편집된 원도를 지하시설물 원도라 한다.

1. 지하시설물도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작성한다.

19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자료 및 현지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지하시설물도의 입력이 용
이하도록 지하시설물 원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2. 정확도를 가진 수치지도를 이용한다.


지하시설물 원도 작성을 위한 수치지도는 수치지도 작업기준에 의하여 제작된 일정
기준 이상의 정확도를 가진 수치지도를 이용하여야 한다.

3. 작업조서를 작성한다.

(1) 작업일자, 작업내용, 사용장비, 작업방법, 작업자의 인적사항을 작성한다.

(2) 탐지기의 탐사능력의 범위를 초과하는 등 지하시설물을 탐사하는 것이 기술적으


로 곤란한 경우에는 그 지역의 위치와 사유를 기록하여 별도 대장을 작성한다.

 하수관로의 내부를 조사한다.

1. 기 수행된 자료를 충분히 활용한다.


기 수행된 관거 내부조사 자료를 충분히 활용, 조사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 경제적
이고 능률적인 관거 내부조사를 시행한다.

2. 전문조사 인력을 투입하여 신뢰성 있는 조사를 한다.


관로 내부조사는 현장에서의 판독 결과에 따라 관로 상태, 개⦁보수 판정, 공법 선정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조사 인력을 투입하여 조사를 시행한다.

3. 조사된 자료는 D/B화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관로 내부조사가 필요한 관로에 대해서는 인력 또는 CCTV로 조사한 기본자료를 관
로 보수 기본계획 및 장래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D/B화하여 기초 자
료로 활용토록 한다.

4. 관로 내부조사는 다음의 내용을 조사한다.


관 내부 부식 및 크랙 여부, 연결관 돌출 여부, 본관 및 연결관 접속부위 파손 여부,
관연결부 단차 여부, 토사퇴적, 타관통과, 오접 등을 조사한다.

5. 연결부위는 360°회전하여 촬영한다.


관로내부 CCTV 조사는 관로 및 배수설비 연결부위는 해당부위의 연결 상태를 확인
하기 위하여 360°회전하여 촬영하여야 한다.

20
6. 토사퇴적구간은 퇴적원인을 분석한다.
관로 내부조사 결과 토사 퇴적구간에 대해서는 퇴적량과 퇴적원인을 분석하여 보고
서에 수록한다.

수행 tip

Ÿ 지자체의 지하시설물 정보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기관별 지하매설물을 파악한 후 자세
한 정보는 해당 기관에 자료를 요청한다.

21
학습 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지형자료 조사서를 작성하기 위한 조사계획 수립 시 필요한 자연적, 인문적 환경의 내용을 설명한
다.

• 계획 시설의 목적에 맞도록 지형, 지질조사를 위한 조사항목 및 방법을 설명한다.

• 유적 및 문화재가 존재할 경우 시굴 및 발굴을 위한 절차와 조사방법을 설명한다.

• 지하시설물 굴착조사 시 관련기관과 협의 사항 및 지장물 조사 방법, 인력굴착 작업 시 유의사항


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에 필요한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의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을 숙지한다.

• 지상 및 지하 시설물 조사의 작업계획 수립을 위한 고려사항 및 현장조사 기준, 지하시설물


탐사 방법을 숙지한다.

• 지하시설물 굴착 조사를 위한 굴착준비, 조사방법, 굴착장비, 인력굴착 방법을 숙지하고 작업


시 안전관리 내용을 정리한다.

22
학습 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상·하수도시설 계획 대상지역에 대한 지형자료 조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지형자료 조사서
- 지형자료 조사계획을 통하여 지형조사서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

- 지형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형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상·하수도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다.

- 상·하수도시설 계획 대상지역에 대한 시설물 자료를 조사


할 수 있다.

- 상·하수도시설물의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 기 수립된 계획시설 대상 부지의 적정성을 결정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 설계에 영향을


시설물, 지장물 줄 수 있는 처리시설, 하수관로, 맹암거 등을 파악할 수 있
현황 조사서 작성 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부지와 관련된 상·하수도시설


물의 안전성을 검토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장물을 파악할 수 있다.

- 공사 예정지에 설치된 토목, 수도, 가스, 전기 등 관련 지장


물을 조사할 수 있다.

23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상하수도시설 계획 지형자료 조사계획 수립 방법


지형자료 조사서
작성 - 지형조사서 내용과 지형을 분석하여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상하수도시설 계획에 대한 시설물 자료 조사 방법

- 기 수립된 계획시설 대상 부지의 적정성 결정


시설물, 지장물 -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황 조사서 작성 지장물 파악 방법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부지와 관련된 상하수도시설물


의 안전성 검토

• 작업장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형자료 조사서
- 지형자료 조사계획으로 지형조사서 작성
작성

- 상하수도시설물 현황 조사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부지와 관련된 시설물의 안전


시설물, 지장물
검토
현황 조사서 작성

- 공사 예정지에 설치된 수도, 가스, 전기 등 지장물 조사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조사 계획수립 및 조사서 작성방법을 평가한 후 틀린
문항에 대해 설명하고 일정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보충학습 후 재평가한다.

2. 작업장 평가
- 상하수도시설물 현황조사 및 지장물 조사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평가하고 잘못된
내용은 반복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한다.

24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604_14v2.1, 2, 3)

지형 측량하기
학습 2
(LM1402010604_14v2.4)
학습 3 토질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5)
학습 4 수질유량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6)

2-1. 지형 측량서 작성
• 공사시방서에 따라 측량 기준점 확인 및 기존 시설물 측량을 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차량 진⦁출입을 위한 공사현장 진입로 입지를 조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측량 기준점

1. 측량 기준점(구미서관(2016),『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을 참조하여 작성함)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 지점을『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
에 관한 법률』제6조에 따른 측량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좌표 등으로 표시하여 측량 시에
기준으로 사용되는 점을 말한다.

[그림 2-1] 측량 기준점

2. 기준점의 종류(구미서관(2016),『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을 참조하여 작성함.)

(1) 삼각점(Triangulation point)


삼각측량을 통해 이미 위치를 알고 있는 국가 기준점으로 토지의 형상, 경계, 면적 등
의 정확한 위치결정과 각종 시설물의 설계와 시공에 관련된 기준을 제공하는 공공측량

25
의 기지점(좌표를 이미 알고 있는 점)으로 사용된다. 또 삼각점은 전국에 일정한 분포로
등급별 삼각망을 구성하고 그 지점에 화강암으로 된 측량표지를 매설하여 경도와 위도,
높이, 평면직각좌표, 방향각 등의 성과를 제공함으로써 지도 제작이나 각종 공사용 도면
작성, 지적측량 등 모든 측량의 평면위치결정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GPS 측량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삼각점은 전국
에 약 2.5㎞ ~ 20㎞ 간격으로 대부분 산 정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정확도에 따라서 등
급이 구분되어 있다.

(2) 수준점(Bench Mark)


수준점(BM; Bench Mark)이란 수준원점으로부터 표고를 정밀 측정하여 영구적인 말뚝
을 설치하고, 차후 부근의 수준측량에 이용할 수 있도록 그 표고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측량 성과표에 등록해 놓은 기준점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준점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
로 인천시 남구 용현동에 수준원점을 측설하고 그 표고를 정밀하게 결정해 놓았는데,
이 수준원점의 표고값은 26.6871m이다. 아울러 주로 국도 주변에 수준점을 설치하여
놓았는데, 1등 수준점은 약 4㎞, 2등 수준점은 약 2㎞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3) 통합기준점(Unified Control Points)


통합기준점이란 평탄지에 설치·운용하여 측지, 지적, 수준, 중력 등 다양한 측량분야
에 통합 활용할 수 있는 다차원·다기능 기준점을 말한다. 경위도(수평위치), 높이(수직
위치), 중력 등을 통합 관리 및 제공, 영상기준점 역할을 한다.

3. 기준점 측량(Control Surveys)


기준점(reference monument)의 정밀한 관측을 위한 수평 및 수직 측량을 말한다.

(1) 수평측량: 기준점의 측지 경위도값 측정 측량


삼각·삼변·다각측량, 천문측량, GPS 등 이용

(2) 수직측량: 고저기준점(benchmark)의 표고값 측정 측량


직접고저측량, 위성측량, 관성측량 등 이용

4. 기준점 측량 성과
국립지리원에서 기본측량을 하여 국가기준점(삼각점, 다각점, 고저기준점)의 경위도 및 표
고를 결정한다.

(1) 경위도원점(국립지리원내 위치)


경도 127°03'05”.1451 E 위도 37°16'31”.9034 N
방위각 170°58'18”.190

26
(2) 고저원점(인하대 구내)
인천만의 평균해면(26.6871m)

[그림 2-2] 수준원점(인천시 남구 용현동 253 소재)

 지형측량
지표면상의 자연지물 및 인공지물의 평면위치와 수직위치를 결정하여 표현하는 측
량을 말한다.

1. 지상측량(일반측량)
소규모 면적의 지형측량으로 주로 토털스테이션과 GPS를 이용하여 측량한다.

[그림 2-3] 지하매설물 GPS측량 [그림 2-4] 지형 GPS측량

2. 항공 사진측량
대규모 면적의 지형측량으로 항공기에 탑재된 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량한다.

 노선측량
도로, 철도, 운하 등의 교통로의 측량, 상하수도의 관 매설에 따른 측량 등 폭이 좁고 길
이가 긴 구역의 측량을 총칭하여 노선측량(Route Surveying)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
하고 있는 순서나 방법은 각종 노선의 특성 및 규격, 측량기계의 종류 및 성능에 따라 달
라질 수 있다.

27
 수준측량
지상 여러 점의 고저의 차이나 표고를 측정하기 위한 측량이다. 일반적으로 망원경과 수
준기를 조합한 레벨(level)과 표척을 이용해서 측점의 높이를 결정한다.

1. 수직위치 결정
기준면에 대한 한 점의 높이(표고) 결정 및 한 점에 대한 다른 점의 수직위치를 결정한다.

(1) 지표상 위치
평균해수면으로 이루어지는 중력 등포텐셜면(Equipotential Surface)을 기준으로 한다.

(2) 지표하 위치
터널, 지하매설물 등을 측량하며 지상 기준점으로부터 깊이를 관측한다.

(3) 수심측량
기준은 최저수위선이며 평균해수면의 결정과 각종 수위선을 결정한다.

2. 수직위치의 기준

(1) 평균해수면과 일치하는 등포텐셜면인 지오이드(Geoid)가 기준이다.

(2) 해상수심은 최저수위선이다.

3. 수준측량의 분류

(1) 직접수준측량(Direct Leveling)


레벨을 사용하여 직접 표척의 읽음 차로 두 점 간의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이다.

(2) 간접수준측량(Indirect Leveling)


간편하고 신속하게 표고를 구하려는 경우, 산악 지형이나 시설물의 높이 등 직접 수준
측량이 불가능할 경우 레벨 이외의 기구로 고저차를 결정한다. 삼각수준측량, 시거수
준측량, 기압수준측량, 항공사진측량 등을 이용한 높이 측량이다.

(3) 교호수준측량(Reciprocal Leveling)


하천 또는 강 사이의 두 점 간의 표고차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구하는 방법이다.

(4) 약수준측량(Approximate Leveling)


간단한 레벨로서 정밀을 요하지 않는 측점의 고저차를 결정한다. 핸드레벨(Hand
Level), 고도부 핸드레벨(Clinometer) 등을 이용한다.

28
수행 내용 / 지형측량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서, 하천정비보고서

기기(장비·공구)

Ÿ 측량장비, 거리측정기

Ÿ 성과품 작성 용지, 토너 등 각종 소모품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유의 사항

Ÿ 현황측량에 의해 작성된 현황측량도상 지장물에 대해 현장조사 및 건축물대장, 등기부등


본을 열람하여 용도 및 면적, 소유자, 권리관계 등을 조사한다.

Ÿ 지형, 지질, 주변도로, 용지조건 등을 상세히 파악하여 공사용 도로, 공사부지, 작업장 등의 확보가
능 여부를 검토한다.

Ÿ 기준점 측량을 실시 전 설계수행자와 함께 현장 노선답사를 실시하여, 현장답사를 통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기준점을 선점한다.

Ÿ 측량도중 또는 측량결과가 결측, 오측으로 인하여 측량 조사의 정확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재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며, 기본 및 실시 설계를 위한 세부 설계에 필요한 제반조사가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29
수행 순서

 지형현황 측량을 한다.

Ÿ 목적물 설치부지에 대해 지형현황 측량을 실시하며, 설계수행자가 지형현황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종·횡단도 등 관련 조사를 상세하게 수행한다.

Ÿ 지형, 지질, 주변도로, 용지조건 등을 상세히 파악하여 공사용 도로, 공사부지, 작업


장 등의 확보가능 여부를 검토한다.

Ÿ 기준점, 주요구조물의 위치점과 기본측량의 삼각점 간의 위치관계를 명확히 하며,


직각 좌표를 표시하고, 향후 공사시행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준점에 대한 표석을 설
치한다.

1. 종⦁횡단 측량을 한다.

(1)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따라 종단도, 횡단도를 작성한다.


공공측량 작업규정을 준수하고 삼각점 및 수준점은 국립지리원에서 설치한 것을
사용한다. 종단도는 1/600, 횡단도는 1/100 축척으로 하고, 지하 매설물 등 기타
필요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표시한다.

<표 2-1> 삼각점 성과표 예

직각좌표(m)
점 번 호 위 치 표고(m) 비 고
종좌표(X) 횡좌표(Y)
안 양
536,517,607 188,256,288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220,224
2 2
안 양
534,592,757 190,057,261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78,763
3 1 6

안 양
536,628,959 190,163,394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137,080
4 1 5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3장 현지조사, p3-1

(2) 수준점 성과를 평면도에 표시한다.


설계에 필요한 측량수준점과 IP 및 기타 인조점, 구조물 시⦁종점의 표시말뚝은 훼
손되지 않도록 현장에 콘크리트 또는 석재로 설치하고 수준점 성과는 평면도에
표시한다.

30
<표 2-2> 수준점 성과표 예

직각좌표(m)
점 번 호 위 치 표고(m) 비 고
종좌표(X) 횡좌표(Y)
안 양
536,517,607 188,256,288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220,224
2 2
출처 :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3장 현지조사, p3-1

2. 기준점을 선점한다.

(1) 현장답사 자료로 기준점 선점을 한다.


기준점 측량을 실시 전 설계수행자와 함께 현장 노선답사를 실시하여, 현장답사를
통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기준점을 선점한다.

(2) 측점을 선점한다.


측량의 능률, 정확도의 확보, 측표의 유지관리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
치에 측점을 선점한다.

(3) 측점간 거리는 균등하게 배치한다.


측점간의 거리는 가급적 균등하게 배치하고 측점 상호간에는 시준이 잘 될 수 있
도록 선점한다.

<표 2-3> 기준점 성과표 예

기 준 점 성 과 표

도면 경 위 도 직 각 좌 표 타원 매설
구분 점번호 표 고 비고
명칭 위 도 경 도 X(N) Y(E) 원점 체고 년도

37° 24’ 126° 53’


수준점 12-12-29-01 용인 - - 23.6140m 2004.07
10.6000” 46.5000”
37° 25’ 126° 52’
삼각점 용인22 용인 536517.6040m 188256.2880m 중부 220.2240m 243.32m 1997.02
40.6779” 41.3455”

출처: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3장 현지조사, p3-2

3. 표고기준점을 설치한다.

(1) 현장 내 표고기준점을 설치한다.


노선의 시작과 끝 등에 대해 현장 내 표고 기준점을 최소 2지점에 설치한다.

(2) 표고기준점 측량은 국가수준점에 폐합 또는 결합하게 한다.


표고기준점의 측량방법은 왕복 또는 결합 수준측량을 하여, 공사 현장으로부터 가

31
장 가까운 국가 수준점에서 출발하여 같은 국가 수준점에 폐합하거나 또는 다른
국가수준점에 결합하게 한다.

4. 평면기준점을 설치한다.

(1) 노선의 시작과 끝 부분에 평면기준점을 설치한다.


노선의 시작과 끝 부분에 각각 2점 이상의 평면 기준점을 설치하며, 노선이 긴 경
우에는 약 10km의 간격으로 추가설치를 한다.

(2) 2점 이상의 국가 기준점을 사용하여 측량한다.


2점 이상의 국가 기준점을 사용하되 GPS 측량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으로 실
시하며, 구체적인 측량방법 및 정밀도는 국가 3, 4등 삼각점에 준한다.

(3) 설치위치는 공사시행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가급적 견고한 지반을
선정한다.

(4) 측량기준점 중 신설기준점의 표기는 동판 또는 표지못을 사용하여 매설한다.

(5) 기준점측량은 세계측지계 GRS80으로 실시한다.

 지상 측량을 한다.

1. 측량목적, 축척 등을 고려하여 측량기기 및 방법을 결정한다.

2. 도상계획 및 답사를 통하여 알맞은 도근점을 선점한다.

3. 기준점 측량을 한다.

(1) 평면위치 기준점 측량을 한다.


기설 기준점을 근거로 도근점의 평면위치를 결정하며, 삼각측량, 트래버스 측량,
삼변측량 등을 이용한다.

(2) 표고 기준점 측량을 한다.


기설 수준점에 결합시키는 직접 수준측량이며, 때로는 도근점이 수준점 겸용, 때
로는 간접수준측량(삼각수준측량, 시거측량)을 실시한다.
4. 세부측량을 한다.
도근점을 중심으로 지형지물의 세부 측정을 하며, 일정한 축척과 도식으로 표현한다.

(1) 지물측량을 한다.


지상구조물(큰 건물, 도로 등)을 측정한 후, 주요점과 선으로 표현한다.

(2) 지형측량을 한다.


먼저 지성선(능선, 계곡선, 경사변환선 등)을 측정하고, 기타 세부점들을 측정한
후, 점과 선으로 표현한다.

32
 노선 측량을 한다.

1. 도상계획 및 답사를 한다.

(1) 측량지역의 지형도나 항공사진을 이용한다.

(2) 노선의 목적, 경제성 및 시공 기술면 등을 고려한다.

(3) 몇 개의 노선을 기입하여 현지답사를 실시하고 사전계획을 세운다.

(4)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최소가 되도록 가급적 직선이며 평탄하고 공사가 용이


한 여러 개의 노선을 선정하다.

2. 예측 및 도상선정을 한다.

(1) 답사에 의한 유망 노선에 보다 상세한 조사를 하며 공사비를 산정한다.

(2) 답사에 의한 노선의 중심선을 따라 예측한다.

(3) 도상 선정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직선이고 경사가 완만한 곳

(나) 토공량이 적고 절토, 성토가 균형 있는 곳

(다) 절토, 성토의 운반거리가 짧은 곳

(라) 배수가 잘 되는 곳

3. 현장실측을 한다.

(1) 도상선정에 의해서 정해진 노선 또는 예측의 결과로 선정된 노선을 지상에 측설


하는 것이다.

(2) 실측작업을 한다.


중심선 설치, 수준측량, 지형측량, 지물조사, 용지측량, 설계·제도측량, 공사시공
측량 등의 실측작업을 한다.

4. 공사측량을 한다.
용지측량과 시공측량으로 나누어 측량한다.

 관로 노선측량을 한다.

1. 중심선 측량을 한다.

(1) 선정된 노선에 따라 평면선형이 변화하는 지점마다 측점을 설치한다.

(2) 측점간격은 40m로 하고 구조물 설치위치 및 지형이 급변하는 지점에 추가 측점

33
을 설치한다.

(3) 축척은 1/600 또는 그에 준하게 측량을 실시한다.

2. 종단측량을 한다.

(1) BM(Bench Mark, 수준점) 성과 및 TBM(Temporary Bench Mark, 가수준점) 성과를


이용하여 왕복측정을 시행한다.

(2) 허용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측량을 시행한다.

3. 횡단측량을 한다.

(1) 중심측점 및 중간점에서 직각 방향으로 좌우 각각 15m 이상, 간격은 40m로 실시


한다.

(2) 지형의 기복 및 구조물은 중간측점을 설치하여 설계반영 시 물량산출에 이상이


없도록 실시한다.

4. 연결관 및 배수관 측량을 한다.


연결관 및 배수관 측량은 각 가정 내 또는 개별 건물 내에 설치된 배수설비현황을
직접 측량 또는 조사하여 정리⦁분석하여야 한다.

수행 tip

Ÿ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및 공공측량 작


업규정을 참고하여 지형측량 계획을 수립한다.

34
학습 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및 공공측량 작업규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 측량기준점의 종류를 설명하고, 기준점 측량 성과를 설명한다.

• 지형현황 측량에서 종·횡단 측량, 기준점 선점, 표고기준점 설치, 평면 기준점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현장 실습을 통하여 측량법을 지도한다.

• 관로 노선측량의 방법 및 측량 순서를 설명하고 현장 실습을 통하여 측량법을 지도한다.

• 지형현황 측량을 통하여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의 특성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측량기준점의 종류를 이해하고 기준점의 측량 성과를 숙지한다.

• 측량의 종류 및 방법을 알고 지형측량 방법 및 측량 순서의 숙지와 실습을 통하여 측량법을


익힌다.

• 관로 노선측량의 방법 및 측량 순서를 알고 실습을 통하여 노선측량법을 익힌다.

• 측량결과를 통하여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 요인을 이해하고 지형의 특성을 알아본다.

35
학습 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사시방서에 따라 측량 기준점 확인 및 기존 시설물 측량


을 할 수 있다.

- 설계도서에 따라 차량 진⦁출입을 위한 공사현장 진입로 입


지형 측량서 작성
지를 조사할 수 있다.

-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도서에 따라 차량 진·출입로 입지조사 능력


지형 측량서 작성
- 현장조사 및 문헌을 통해 설계 영향 지형 파악 능력

• 작업장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형 측량서 작성 - 측량 기준점 확인 및 기존 시설물 측량 능력

36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지형측량 및 현장조사 및 문헌 등을 통해 상하수도시설물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의 특
성을 파악하여 지형측량서 작성을 평가한 후 틀린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일정수준 이하
일 경우에는 보충학습 후 재평가한다.

2. 작업장 평가
- 측량점 확인 및 기존 시설물 측량방법 및 실습을 통하여 평가하고 잘못된 내용은 반복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

37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604_14v2.1, 2, 3)
학습 2 지형 측량하기(LM1402010604_14v2.4)

토질 조사하기
학습 3
(LM1402010604_14v2.5)
학습 4 수질유량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6)

3-1. 토질 조사서 확인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토질의 특성 및 지반의 분포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 분석하여 기초구조 형식, 슬래브 형식 등을 조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토질조사의 주요 용어

1. 상대밀도
사질토의 조밀한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액상화 발생 여부 추정 및 내부마찰각의 추
정이 가능하다.
∙ 액상화 발생 가능성의 판단
∙ 사질토 지반의 얕은 기초지지층 판단
∙ 내부마찰각의 추정
∙ 사질토의 다짐 정도 판단

<표 3-1> N치와 상대밀도의 관계

상대밀도(Dr) (%) 흙의 상태 N치

0~15 매우 느슨 0~4
15~35 느슨 4~10
35~65 보통 10~30
65~85 조밀 30~50
85~100 매우 조밀 50 이상
출처: 정인준(1991).『토질공학원론』. 구미서당. p40.

38
2. 용적변화(Dilatancy)
사질토에 전단응력이 발생할 경우의 체적변화를 용적변화라 한다.

(1) 조밀한 모래의 경우


∙ (+)Dilatancy 발생: 체적 증가
∙ 비배수 전단의 경우는 간극수압이 감소한다.

(2) 느슨한 모래의 경우


∙ (-)Dilatancy 발생: 체적 감소
∙ 비배수 전단의 경우는 간극수압이 증가한다.

[그림 3-1] 다이레이턴시

3. 액상화 현상(한국해양학회(2005),『해양과학용어사전』아카데미서적을 참조하여 작성함)

포화된 느슨한 모래가 진동이나 지진 등의 충격을 받으면 입자들이 재배열되어 약간


수축하며 큰 과잉 간극수압을 유발하게 되고, 그 결과로 유효응력과 전단강도가 크게
감소되어 모래가 유체처럼 거동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1) 분사 현상(Quick Sand)


한계동수 구배에 도달되면 유효응력이 0이 되어 점착력이 없는 모래지반은 전단강도
를 가질 수 없으므로 흙 입자가 원위치를 이탈하여 분출하는 현상이다.

(2) 보일링 현상(Boiling)


분사현상에 의하여 흙 입자 구조 골격이 흐트러져서 붕괴상태가 되면 흙 입자가 지하
수와 더불어 분출하는 모습이 마치 물이 끓는 모습과 같은 현상이다.

(3) 파이핑 현상(Piping)


분사 현상으로 흙 입자가 이탈된 위치에 유량이 집중되어 흙 입자 이탈이 더욱 가속
화되므로 끝내는 파이프와 같은 공동이 형성되는 현상이다.

39
[그림 3-2] 보일링 현상 [그림 3-3] 파이핑 현상

4. 예민비(Sensitivity)
동일한 점성토 시료의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할 경우 교란된 시료는 불교란 시료에 비하여
일축압축강도가 감소한다. 이때 교란된 시료와 불교란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의 비를 예민
비라 한다.
∙ 예민비로 점성토의 연약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예민비가 클수록 공학적 성질이 나쁘다.
∙ 예민비가 클수록 설계 시 안전율을 크게 한다.
∙ 점성토 다짐 시 진동 다짐을 하지 않는다.
∙ 교란된 점성토의 전단강도 감소는 흙 입자의 구조변화에 인한 영향이다.

[그림 3-4] 예민비

5. 딕소트로피(Thixotropy) 현상
흐트러진 점성토 시료를 함수비의 변화 없이 그대로 두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도가 회복
되는 현상이다.

40
[그림 3-5] 딕소트로피현상

6. 동상 현상(Frost Heave)
0°C 이하의 저온이 지속되는 경우 모세관 상승작용으로 동결선 위로 상승한 간극수가
결빙하여 Ice Lens를 형성하면서 지표면이 융기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림 3-6] 동상 현상

 토질의 특성

1. 사질토, 점성토의 특성

(1) 사질토
∙ 흙쌓기 재료로서 사질토는 압축력이 작용할 때 탄성적 거동을 나타낸다.
∙ 느슨한 모래를 제외한 경우 지지력이 크고 침하가 작으며 즉시 침하가 발생한다.
∙ 내부마찰각이 큰 모래입자에 진동을 가하면 모가 난 부분이 서로 맞추어져서 압축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 크고 작은 입자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사질토는 간극이 적어서 위에서 누를 때
꺼지지 않는 전단강도가 발휘된다.
∙ 사질토의 압축강도 요소는 모래입자의 내부마찰각이다.
∙ 전단강도가 크고 다지기 쉬우며 동결피해가 적다.

41
∙ 배수가 용이하고 횡토압이 작으며 일반적인 성토재료로 적합하다.
∙ Dam, 제방 등의 성토 재료로서는 투수성이 크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2) 점성토
∙ 점성토는 사질토보다 미세한 입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흙이다.
∙ 입자가 미세하므로 물을 가하면 입자간 표면장력으로 점성이 발휘되어 점착력이 높
아진다.
∙ 점성토의 압축강도 요소는 점착력과 함수량이다.
∙ 점성토는 점착력이 클수록 함수량이 적을수록 전단강도가 높아진다.
∙ 수분을 함유한 점성토를 다지면 다질수록 전단강도는 작아진다.
∙ 장기간의 하중하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며, 습윤 시 팽창하고 건조 시 수축한다.
∙ 횡토압이 크고 일반적인 성토재료로서는 부적합하다.
∙ 투수계수가 작고 모세관 상승고가 높으며 동결피해를 입기 쉽다.

2. 암반의 분류(서울특별시(1996),『지반조사 편람』을 참조하여 작성함)

(1) 풍화암층
심한 풍화로 암석 자체의 색조가 변색되었으며 충진물이 채워지거나 열린 절리가 많
고, 가벼운 망치 타격에 쉽게 부수어지며 칼로 흠집을 낼 수 있다. 절리 간격은 좁음
이하이며, 시추 시 암편만 회수되는 지반이다.

(2) 연암층
절리면 주변의 조암광물은 중간 정도 풍화되어 변색되었으나 암석 내부는 부분적으로
약한 풍화가 진행 중이며 망치 타격에 둔탁한 소리가 나면서 파괴되고, 일부 열린 절
리가 있으며 절리간격은 중간 정도인 지반이다.

(3) 보통암층
절리면에서 약한 풍화가 진행되어 일부 변색되었으나 암석은 강한 망치 타격에 다소
맑은 소리가 나면서 깨어지고, 절리면의 대부분이 밀착되어 있고 절리간격이 넓다.

(4) 경암층
조암광물의 대부분이 거의 신선하며 암석은 강한 망치 타격에 맑은 소리를 내며 깨어
지고, 절리면은 잘 밀착되어 있고 절리간격이 매우 넓다.

(5) 극경암층
거의 완전하게 신선한 암으로서 절리면은 잘 밀착되어 있고, 강한 망치 타격에 맑은
소리가 나며 잘 깨어지지 않으며 절리간격이 극히 넓다.

42
 지반조사
지반조사는 계획구조물 및 주변지반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사내용은 지반의 성상
과 기반암의 위치파악, 원위치 시험에 의한 토질의 물리, 역학적 특성평가 및 지하수위 측
정 등이 있다. 예비조사, 현장조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특수시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지반조사의 목적

(1) 연약지반 특성분석 및 개량공법 선정

(2) 상부구조물에 적합한 기초형식 선정 및 지지층 선정, 기초설계

(3) 옹벽,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수평토압 산정 및 안정검토

(4)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책 검토

(5) 내진안정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2. 지반조사 내용

<표 3-2> 지반조사 착안사항

조사대상 조사 착안사항

구조물 기초 지지층 판단, 지지력, 침하검토, 지하수위, 공동유무, 기초형식, 지반반


(건축물, 옹벽) 력계수, 말뚝의 경우 부마찰력

토류벽 형식, 차수계획, 토압계산, 수압분포, 파이핑 및 히빙 검토, 지


지하토류벽
하수 유입 및 배수

연약층 두께 및 범위, 연약정도, 압밀침하 및 침하소요시간, 단계성토


연약 지반
고, 사면안정, 지반처리계획, 장비의 진입성, 압밀이력상태, 강도증가율

액상화 지반 액상화 발생가능 지반판단, 지하수위, 액상화 안전율, 액상화 대책검토

43
수행 내용 / 토질 조사서 확인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0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서, 하천정비보고서

기기(장비·공구)

Ÿ 보링기 등 지반조사 장비

Ÿ 백호우 등 굴착장비

Ÿ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균열측정계 등 측정 장비

Ÿ 성과품 작성 용지, 토너 등 각종 소모품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유의 사항

Ÿ 지하수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에 대해서 지하수이용의 위치, 개소, 양수수량, 수질, 용도 등에


관한 조사를 하는 것을 포함한다.

Ÿ 토질 조사서란 토질의 특성, 지반의 분포상태, 지하수위를 의미한다.

Ÿ 지반조사는 공사비 증가나 공기의 지연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공사의 완벽성을 기하기 위하여
충실한 조사가 요구된다.

Ÿ 지반조사는 해당 지자체의 승인을 득한 후에 실시하며, 조사가 끝난 후 반드시 폐공 처리를


하여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막는다.

44
수행 순서

 지질 및 토질조사를 한다.(한국수자원공사(2012),『한강하류3차 급수체계 조정사업 예


비타당성조사 과업지시서』를 참조하여 작성함)

1. 기존자료의 수집 및 검토를 한다.


사업계획 지점 일원에 대한 다음의 기존 지질 및 지하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하고, 이
를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하여야 한다.

(1) 사업계획 지점의 기존 지질 및 지하수 조사 자료의 수집 및 분석

(2) 지질분포 및 지질구조에 관한 사항

(3) 기 시행된 시추조사 및 물리탐사 자료

(4) 사업지역의 지체구조와 지진역사에 대한 자료(지진통계, 지진 발생주기, 지진 위


험도 등)

2. 지표 지질을 조사한다.
대규모 개착과 굴착비탈면이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지표 지질조사를 수행하여,
지역의 지질 분포상태와 지질구조 및 지반의 안정성 검토에 필요한 제반 지질 자료
등이 수록된 응용지질도와 지질단면도를 작성하여야 하고, 이를 토대로 굴착의 난이
도 및 굴착비탈면의 안정성 여부를 분석, 추정하여야 한다.

(1) 지질관련 제반사항 조사


주요 구조물 지점, 관로노선 등에 대한 토양, 암석 및 지층분포, 지질구조, 산사태
의 유무, 식생 및 수계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물리탐사 및 시추계획 수립


지질구조, 지층경계, 피복상태, 풍화정도,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특성, 지하수 부존
성, 비탈면의 안정성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3. 탄성파 탐사를 한다.

(1) 탄성파 탐사는 주요 구조물 계획지점, 관로 계획지점과 시추조사가 불가능한 지


역 및 단층대 예상구간 등에 실시하여야 한다.

(2) 탄성파 탐사는 굴절법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하천 수로구간 등 수침부분에 대해


서도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수진점 간격은 5m를 원칙으로 하되, 지층상태 및 현장조건에 따라 협의에 의하


여 조정할 수 있다.

(4) 발파모형은 4발파 전개법으로 하여야 하며, 원거리 발파 시에 발파지점은 측점의

45
양끝에서 조사 목적 심도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5) 탄성파 탐사의 해석은 반드시 시추조사 성과와 연관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탄성파 속도분포 단면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6) 각 지층의 대표적인 탄성파 속도군을 결정하여야 하고, 단층대 및 파쇄대 등과


같은 저속도 분포가 확인된 지점에 대해서는 시추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7) 탄성파 탐사 보고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 측선위치도

(나) 주시곡선도

(다) 속도단면도

(라) 속도층 분포 곡선도

(마) 시추 및 기 조사자료 속도층과의 대비 기준표(단층, 파쇄대 존재 유무 포함)

(바) 토질 및 암질의 평가

(사) 지질구조 분포도

4. 전기 비저항 탐사를 한다.

(1) 기존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야 하고 현장답사 성과에 의하여 적합한 탐사방법,


탐사위치, 측선의 배열방법과 방향 등을 제시한다.

(2) 탐사심도는 100m를 원칙으로 하되 조사대상 매질의 종류와 현장여건에 따라 협


의하여 결정한다.

(3) 탐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극봉을 최소한 30cm 이상 지표면 하에 고정


시켜야 하며, 지표부근이 건조하여 접지가 불량할 경우에는 물이나 전해액을 주
위에 부어 정상적인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분극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4) 탐사가 완료되는 즉시 그 결과를 해석하여 측점별 비저항 곡선도, 지층별 비저항
단면도, 비저항 이상대 분포도 등을 작성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누수 현
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지하유로 및 공동의 규모, 연장범위 등을 합리적으로
분석, 추정하는 한편, 이의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의 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5. 시추조사를 한다.

(1) 조사 착수 전 현지답사 등을 통해 세부조사계획을 수립하여 최종 조사지점 위치


와 개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2) 천공 시 순환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전 승인되지 않은 화공 약품


을 첨가하지 않아야 한다.

(3) 시추공의 경사도 유지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46
(4) 시추조사의 빈도는 관로시설의 경우 1.0㎞마다 1공, 단, 연약지반의 경우 0.3㎞마
다 1공으로 하고 설비시설은 편입면적 10천㎡까지 4공, 초과 시 5천㎡마다 1공씩
추가로 시행한다. 관로추진구간의 경우 시·종점부 중 최소 1개소를 시행하여야
하며, 협의를 통해 개소를 조정할 수 있다.

(5) 시추조사 심도의 기준은 설비장소는 계획굴착고 이하까지로 하되, 지지층이 기초


바닥 보다 깊을 경우 기반암층 이하 1.0m까지 실시한다. 관로는 일반구간의 경우
계획관저고 이하 2.0m까지, 연약지반의 경우 최대 10m 또는 N값 30/30 이상까지
실시한다. 터널은 터널바닥면까지를 원칙으로 하되 지층의 상태 및 하천, 연약지
반 등은 현장여건에 따라 승인을 받아 별도 수행할 수 있다.

(6) 시추조사가 완료되는 즉시 시추공의 보호시설을 설치하여 시추공이 훼손되지 않


도록 하여야 하며, 지하수위 관측 등과 같은 장기적인 관측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에 대해서는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폐공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7) 시료는 물리시험과 역학시험 자료를 얻기에 적합한 방법으로 채취하여야 한다.
채취된 코어는 심도를 정확하게 표시하여야 하고, 시료는 관련규정에서 정한 용
기에 심도별로 배열·보관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물리시험 및 역학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가) 물리시험: 함수량, 비중, 액성한계, 소성한계, 입도

(나) 역학시험: 일축압축시험, 탄성파속도

(8) 완료된 시추공에 대하여 시추공의 좌표와 표고를 정확하게 표시한 도면을 작성
하여야 하고 현장명, 공번호, 표고, 좌표, 굴착방법, 심도, 지층의 분포, 공내 지
하수위, 코어 회수율, RQD, 절리 및 균열 등 불연속면의 발달상태, 지층의
Graphic Symbol, 충진물, 지하수 흔적 및 현장시험 성과 등 제반 지질공학적 사항
을 수록한 지질주상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6. 현장 시험을 한다.

(1) 표준관입시험
표준관입시험은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비고결층(표토, 모래, 자갈)에 대하여 매
1.5m 및 지층변화 시마다 K.S.F 2318 규정에 따라 실시하되 풍화암층 이하에 대하
여는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2) 수압시험

(가)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암반층에 대하여 Lugeon Test를 실시하여야 한다.

(나) 시험은 감독원의 별도 지시가 없는 한 5m마다 Packer System을 사용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다) 주입압력은 5단계로 상향식과 하향식을 병용하여 평균 Lugeon치를 측정하여

47
야 한다.

(3) 공내 재하시험

(가) 공내 재하시험은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나) 시험대상 구간, 시험방법, 시험절차, 시험기기 등에 대한 세부계획을 수립하


여야 한다.

(다) 공내 재하시험에서 제시되어야 할 성과는 응력-변형 곡선, 변형 계수 등이다.

(라) 조사지역에서 각 구조물 설계에 적용할 정적 탄성계수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4) 수압파쇄시험
시추공 내 팩커로 밀봉된 구간을 설정하여야 하고 수압을 가하여 공벽에 인공 균
열을 발생시키면서 수압과 가압시간과의 관계로부터 초기지압(3차원)의 크기를 결
정하여야 한다. 압인 팩커로 균열방향을 측정하여 초기지압의 방향성을 결정하여
야 한다.

(5) 정적콘 관입시험


성토 예정 지역 중 연약 표토층이 분포하는 지역에 대하여 핸드 오거보링(Hand
Auger Boring)과 병행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7. 실내 시험을 한다.

(1) 비중 및 흡수 시험, 일축압축강도 시험, 인장강도, 탄성계수, 포아송비(Poisson's


ratio), 삼축압축 시험 등

(2) 기타 점하중 강도시험, 팽창성 시험 등 추가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8. 시험굴 조사를 한다.

(1) 시험굴 심도 1.0 ~ 2.0m 굴착하여야 하고, 현장밀도 시험 실시 및 자연 상태의


단위중량을 측정하여야 한다.

(2) 굴착된 흙을 60㎏ 정도 채취하여 다짐시험, 직접전단시험, 실내 CBR시험 등을 실


시하여 절토예정지역의 지반상태, 성토재료로서의 적합성 및 다짐 특성을 파악하
여야 한다.

(3) 핸드 오거보링
성토예정지에 대해 지표면 아래 1.5 ~ 3.0m 굴진, 채취시료는 시험실에서 토성실
험을 실시하여 지층의 구성 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9. 재료원 조사를 한다.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원은 반드시 경제성 및 각각의 재료별 소요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0. 성과를 작성한다.

48
(1) 주요구조물 기초지반의 지질공학적 분류 및 안정성 검토

(2) 기초 굴착심도 및 기초처리 설계조건

(3) 굴착비탈면의 안정성 예측 및 처리방안 검토

(4) 터널 구간의 지질공학적 분류, 입·출구 형성 및 지보공 설계


11. 지질 및 토질조사 성과보고서를 작성한다.

(1) 조사위치도

(2) 지질도 및 지질단면도

(3) 시추공 좌표 및 표고 일람표

(4) 시추 주상도 및 암반등고선도

(5) 시추단면도 및 각종 토질단면도

(6) 현장 시험 성과표

(7) 전기비저항 탐사 분석도

(8) 실내시험 성과표

(9) 재료원 조사 성과

(10) 탄성파 탐사 보고서

(11) 지하수위 및 수질분포 등 기타 필요한 사항

 기초 구조 형식을 조사한다.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는 얕은기초(Shallow foundation)과 깊은기초(Deep foundation)로


구분된다. 얕은기초는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시키는 형식의 기초이며,
깊은기초는 말뚝이나 케이슨 등을 통해 상부하중이 지중으로 전달되게 하는 기초이다.

1. 기초구조의 형식을 선정한다.

(1) 기초의 형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지지층의 선정 및 지지층의 심도이


다. 일반적으로 5m 이내에 양호한 지지층이 있는 경우 직접기초를 적용하고 있
으며, 심도가 깊은 경우 기초침하 및 터파기 과다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말뚝기
초를 적용하고 있다.

(2) 기초형식의 선정은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상부 구조물의 하중조건, 지층조건,


현장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시공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직접
기초 적용성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며, 직접기초 적용이 어려운 경우 말뚝기초 적
용성을 검토하도록 한다.

49
2. 기초의 안정성을 판단한다.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상부반력 이상으로 안정되어야 하며, 상부하중에 따른 기초지반
침하검토를 실시하여 침하량이 허용침하량(일반적으로 25mm) 이내이고, 부등침하 우
려가 없는 구조물이어야 한다.
3. 기초 설계를 한다.

(1) 직접기초

(가) 확대기초는 기둥이나 벽의 하단을 확대하여 지지력을 만족시킨다.

(나) 전면기초는 벽이나 기둥 전부를 하나의 큰 슬래브로 지지한다.

(2) 깊은기초

(가) 말뚝기초, 피어기초, 케이슨기초로 분류하고, 기초심도는 5m 이상을 원칙으


로 한다.

(나) 말뚝기초는 그 재료에 따라 강관말뚝, PHC말뚝, 현장타설말뚝으로 구분하고,


하중조건과 지층조건, 현장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하여
야 한다.

(다) 말뚝기초 설계의 개념은 주면마찰력, 선단지지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적으로는 변위 1cm까지는 주면마찰력이 발휘되며, 선단지지력은 항타말뚝의
경우 10%D, 매입말뚝의 경우 30%D의 변위에서 지지력이 발휘한다.
4. 기초의 지지력을 검증한다.
기초 설계 시 지지력의 검증을 위해서는 재하시험을 실시한다.

(1) 직접기초는 평판재하 시험,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다.

(2) 말뚝기초는 동재하 시험, 정재하 시험(중량물 재하, 반력말뚝, 앵커말뚝), 수평재
하 시험, 인발시험을 실시한다.

수행 tip

• 각종 공사의 토질 및 지질조사 성과보고서를 참고


하여 양식 및 내용을 작성하도록 한다.

50
3-2. 지하수위 영향분석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하수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상하수도시설물에 미치는 영향
학습 목표 을 조사할 수 있다.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하수위에 따른 구조형식, 배근 방법을 조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하수위 주요 용어

1. 부력(Buoyancy)
어떤 물체가 수중에 있을 때 그 물체는 물속에 잠긴 물체부피의 물 무게만큼 가벼워지며,
이때 가벼워지는 힘을 부력이라 한다.

[그림 3-7] 부력>자중+마찰력 [그림 3-8] 부력모멘트>저항모멘트 [그림 3-9] 기둥 간격이 큼

2. 양압력(Up lift)
어떤 물체가 수중에 있을 때 그 물체는 수압이 작용하며 이런 수압 중 상향으로 작용하는
수압을 양압력이라 한다.

51
[그림 3-10] 양압력

 지하수위 조사

1. 지하수위 조사 영역

(1) 지하수위는 지하수가 변동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고 추정된 지하수위 결과는 실제
값과 많은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하수는 공사대상 영역 내에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넓은 주변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따라서 조사 및 설계 등의 대상영역
을 통상 공사부지 내로 한정할 수는 없다.

(2) 가변성을 갖는 지하수위를 지반조사 시 작성한 지질조사서를 토대로 설계수위를 가


정하여 지하구조물 설계를 진행하게 될 경우 여름철 집중호우 등 예상치 못한 지하
수위의 상승으로 외벽, 바닥내수판 등 구조체의 내력 부족 및 부력으로 인한 건물
의 부상 또는 구조부재의 균열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2. 지하수위 측정 방법
조사지역 내 지하수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조사를 완료하고 지하수위계를 설치하
여 각 시추공에서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이때 시추조사 시 슬라임(slime) 제거 및 시추공
벽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추공 내에 순환시킨 이수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고, 지하수
위가 안정된 것으로 판단되는 시추 종료 후에 시추공에서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 국가지하수 관측망
국토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지하수법 제17조 및 동법시행령 제27조에 의거, 전국적
으로 지역 및 유역별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의 변동 상황을 지속적
으로 관측하기 위하여 지하수 관측소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국내 지하수 자원의 보전관리
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52
1. 국가지하수 관측망 설치 목적
∙ 지하수 관리를 위한 기초 수문자료 획득 및 국가 정책자료 제공
∙ 지하수 고갈 및 오염 등 장해발생을 사전에 인지하여 대처
∙ 전국 지하수 상황을 파악하는 Key station 역할

2. 국가지하수 관측망의 설치 지점
∙ 광역적 수문 특성 파악을 위한 주요 지하수 함양/배출 지역
∙ 지역별 및 수문지질단위별 대표성을 지닌 지역
∙ 지하수 이용량이 과다한 지하수 고갈 우려 지역

[그림 3-11] 국가지하수 관측소 [그림 3-12] 지하수위 측정

53
수행 내용 / 지하수위 영향 분석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0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서, 하천정비보고서

기기(장비 ・ 공구)

Ÿ 시설물 성능평가 진단 및 수질 조사 시 실험분석 시약

Ÿ 성과품 작성 용지, 토너 등 각종 소모품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지하수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에 대해서 지하수 이용의 위치, 개소, 양수수량, 수질, 용도 등에
관한 조사를 하는 것을 포함한다.

Ÿ 지하수위는 여름철의 집중호우,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한 수위 상승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부재손


상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Ÿ 부력의 검토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은 설계 시 완성된 구조물에 대해 검토를 하고 대책이 강구


되어야 한다.

54
수행 순서

 지하수위 측정 계획을 수립한다.

1. 정확한 지질조사를 한다.


부정확한 지하수위로 설계되는 구조물은 시공 시뿐만 아니라 시공 완료 후에도 부력
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지하수위 조사를 위해 지질조사가 제대로 이루
어져야 한다.

2. 최소 지질조사 개수, 위치를 선정한다.


전 구조물 면적에 대한 정확한 지하수위 및 최대 지하수위의 예측은 불가능하므로
구조물 면적 및 지반종류에 따른 최소 지질조사 개수 및 위치를 정하여 안전율을 적
용한다.

3. 배수, 양수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구조물의 중량이 양압에 비해 현저히 작은 경우가 많으므로 배수, 양수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위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1. 수압 및 유효상재하중을 고려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지하수위 상승은 원지반의 이완으로 인하여 지지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고 설계·시
공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공사의 안정성과 경제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수압 및 유효상재하중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2. 장기간 안정된 지하수위를 관찰한다.


조사 지역에 대한 지하수위 측정은 시추작업이 완료된 후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안정된 지하수위를 얻을 수 있도록 관찰하여야 한다. 측정된 지하수위는 조사지역의
지하수위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한다.

3. 계절 및 기상현상을 추정한다.
지하수위는 계절 및 기상현상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4.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조사지역 내의 지하수위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모든 시추공 내의 안정 지하수위

55
를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 시추작업 완료 직후 1차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2)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면까지의 심도를 측정한다.

(3) 안정된 지하수위를 얻을 수 있도록 시추 완료 후 48시간, 72시간 경과 후 측정한


다.

(4) 각 시추공별 측정된 지하수위는 조사결과 및 시추주상도에 기록한다.

 부력과 양압력 방지 대책을 수립한다.(해피캠퍼스(2000),『부력에 의한 구조물 부상방


지 대책』을 참조하여 작성함)

지하수위 상승에 대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력에 대한 안정성


및 측벽의 수압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1. 현장에서 구조물의 부력 및 양압력에 대한 검토를 한다.

(1) 현장에서 지반조사 주상도나 주변 지하수위를 파악하여 시공단계 및 완성 구조


물의 부력에 대해 사전에 검토한다.

(2) 지하수위에 의해 작용하는 양압력에 대해 바닥 Slab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2. 호우 시 지표수의 유입에 의해 급격히 지하수가 상승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한다.

(1) 저수조의 경우 저수조 내부에 물을 채운다.

(2) 공사 현장의 지표면 정리 및 가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표수를 원활히 배제하여 굴


착구내로 지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3) 필요 시 지하수 및 지표수 배제용 Pump를 준비한다.

(4) 계곡부의 지표수가 공사부지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5) 구조물 주변에 맹암거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저지대로 배제하여 지하수 상승을
방지한다.

(6) 저수조의 경우 바닥 Slab에 hole을 설치하여 지하수 상승 시 구조물 내로 지하수


가 유입되도록 조치한다.

3. 부력방지 공법을 시공한다.

(1) 사하중에 의한 방법으로 시공한다.

(가) 구조물의 순수자중과 건물외벽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양압력보다 크게 하며,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켜 강성을 증가시킨다.

56
(나) 사하중에 의한 지하수압에 대한 저항성 증대는 지하수위가 낮고, 얕은 굴착
을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2) 영구앵커에 의한 방법으로 시공한다.

(가) 구조물의 순수자중과 구조물외벽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양압력보다 작은 경


우에 그 차이만큼의 양압력을 기초바닥 아래 암반층에 스트랜드(strand) 강
선을 설치하여 저항하는 방법이다.

(나) 영구 앵커 설치를 위한 장비동원이 용이하지 않고, 공사비의 부담이 크며,


벽체의 수압에 대하여는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림 3-13] 부력방지 공법 설치 예

(3) 배수에 의한 방법으로 시공한다.

(가) 외부배수시스템
지하벽체 외부에서 소정의 심도에 배수층을 만들어 유공관을 통하여 집수정
으로 지하수를 모은 후 펌핑 처리하여 지하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지하벽체에
작용하는 수압을 감소시킨다.

(나) 기초바닥 영구배수시스템


기초슬래브 아래에 인위적으로 배수층을 만들고 유공관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모아 펌프에 의한 강제 배수처리함으로써 양압력 및 수압을 감소시
킨다.

수행 tip

• 지하수위 측정은 공사장 인근의 국가지하수 관측망


데이터를 확인하여 장기간의 지하수위 변동을 검토
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57
학습 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토질조사를 하기 위해 토질의 주요 용어와 기준을 설명한다.

• 건설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 사질토와 점성토의 특징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하도록


설명한다.

• 암의 분류 기준요소를 이해하고 암의 풍화 정도로 암을 분류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설명한다.

• 지반조사의 목적과 조사 방법을 설명하고 성과보고서 작성 내용을 설명한다.

• 지하수위의 변화에 따라 구조물의 형식과 철근배근 방법 등을 이해시키고 설계에 반영하도록


한다.

• 토질 조사서를 분석하여 지하수위를 파악하고 상하수도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토질조사를 하기 위하여 토질의 주요 용어를 숙지하고 기준을 알아본다.

• 토질기초 공학의 내용 중 흙과 암반의 분류 기준을 알고 공학적 특징을 숙지한다.

• 토질 및 지질조사의 세부 조사 방법을 숙지하고 조사보고서 작성방법을 숙지한다.

• 기존의 지질 및 지하수 자료를 조사하기 위하여 항목을 이해하고 정리분석 방법을 숙지한다.

• 지하수위의 변동으로 구조물의 거동 및 부력의 발생으로 인한 영향을 숙지하고 방지 방법을


알아본다.

• 토질의 상태에 따라 지하구조물의 기초형식 및 슬래브 형식을 알아본다.

58
학습 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토질의 특성 및 지반의 분포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토질 조사서 확인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 분석하여 기초구조 형식, 슬래브
형식 등을 조사할 수 있다.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하수위를 파악하고 분석하
지하수위 영향 분 여 상하수도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
석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하수위에 따른 구조 형식,
배근 방법을 조사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질 조사서 내용을 분석하여 기초구조 형식, 슬래브 형식


토질 조사서 확인
선정

- 지하수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 조사


지하수위 영향 분
석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지하수위에 따른 구조 형식,
배근 방법 조사

• 작업장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하수위 영향 분 - 토질 조사서 내용을 확인하여 토질의 특성 및 지반의 분포


석 상태 조사 능력

59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토질 조사서 작성 및 내용을 확인하고 토질의 특성 지반의 분포상태 분석 사항을 평가
한 후 틀린 문항에 대해 설명하고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보충 학습 후 재평가를
실시한다.
- 지하수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 사항을 평가하고 필요시 보충 학
습 및 재평가를 실시한다.

2. 작업장 평가
- 토질의 특성과 지반의 분포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평가하고 잘못된
내용은 반복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

60
지형자료 및 시설물, 지장물 현황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604_14v2.1, 2, 3)
학습 2 지형 측량하기(LM1402010604_14v2.4)
학습 3 토질 조사하기(LM1402010604_14v2.5)

수질유량 조사하기
학습 4
(LM1402010604_14v2.6)

4-1. 수질 및 유량 조사서 작성
• 현장 수질유량을 조사하여 상하수도 계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계획 급배수구역 및 처리구역 등의 수질유량을 조사할 수 있다.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하여 수립된 계획수량에 대하여 현장 유량 조사 자료와 비교 검토
학습 목표
할 수 있다.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하여 수립된 계획수질에 대하여 현장 수질 조사 자료와 비교 검토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수도 유량 및 수질조사
• 관로 침입수(Infiltration) 및 유입수(Inflow) 조사는 합류식 하수도에서는 1개의 관로에 오
수와 우수가 함께 배제되므로 강우 시에는 유입수를 측정하고, 청천 시에는 침입수를
측정한다.
• 조사 시행 전에 하수배제방식, 조사지점, 조사방법, 계측장치 종류, 조사 분석 기법 등
조사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여 합리적인 조사가 시행되도록 필요한 사항에 대해 세부
시행계획서를 작성한다.

1. 자연적 조건에 관한 조사

(1) 하천 및 수계현황

(가) 계획구역 내, 그 인근의 수계현황과 주요 배수로의 현황을 포함한다.

(나) 하천 및 호소 현황을 조사한다.


1) 조사지역 내 하천, 호소 등의 유량⦁수위의 현황을 조사한다.
2) 하천 및 수로의 종⦁횡단면도, 계획구역 내 하천의 하상계수를 조사한다.

(다) 공공수역을 조사한다.


1) 갈수위(하천)나 저수위(호소)때가 한계 수질 상태가 되므로 평수위와 평수량을

61
포함하여 하천이나 호소의 유량이 최저일 때를 조사한다.
2) 하천정비 기본계획상의 유량 및 수위를 조사한다.
3) 하천의 갈수상황(국토해양부 자료 활용)을 조사한다.

(2) 기상개황 및 재해현황

(가) 강설, 강우, 침수의 기록 및 침수피해상황, 국지성 호우, 태풍 등을 조사한다.

(나) 펌프장, 처리시설 및 처리시설 예정위치 부근의 주요풍향 등을 조사한다.

(다) 도시 내 침수 시 현장 방문 등을 통하여 침수지역 및 침수원인을 분석한다.

(라) 침수원인을 분류하고 자연재해발생 현황을 분석한다.


1) 도시 내수침수
① 노면수의 하수관로 유입 지연
② 하수관로의 병목현상 발생
③ 하수관로의 이송능력 부족
④ 하수관로의 역류현상
⑤ 외수위 상승에 따른 배수위 발생
⑥ 빗물펌프장 용량부족 또는 부적정 가동
2) 외수침수
① 하천범람 및 하천의 통수능 부족
② 제방붕괴 및 제방고 부족 등

(마) 지역별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강우강도식을 제시하며, 강우강도식 도출을 위한


강우자료 해석 시에는 최소한 과거 20년 이상의 자료를 수집, 활용한다.

2. 관련계획에 대한 조사

(1) 장기 및 상위 계획을 조사한다.

(가) 국토계획, 도시 기본계획, 댐건설 기본계획, 도 종합계획, 시⦁군 종합계획, 지


역계획, 국가 상하수도 종합계획

(나)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환경보전 장기종합계획

(다) 인구, 산업배치 등 계획지역에 관련된 각종 장기계획

(라) 도시계획(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


1) 도시지역, 도로계획, 주택단지 및 산업단지 개발계획, 도시개발 및 재개발 사업
계획, 토지구획 정리계획
2) 인구밀도계획, 주거환경계획(주택밀도계획 등) 반영

(2) 오염총량관리계획 및 수계 환경관리계획을 조사한다.

(가)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시행지역 자료 활용)

62
(나) 해당수계의 오염총량관리제가 수립된 지역에 한하여 추진현황 및 계획

(다) 수계영향권별 환경관리계획(물관리 종합대책, 중소권역 물환경 관리계획 등)

(라) 하천정비 기본계획 및 하천환경 정비사업계획


1) 계획홍수위 및 홍수량, 계획저수위 및 계획저수량, 유황개선계획
2) 이수, 치수, 환경을 종합한 하천환경 정비사업 및 하천생태계 복원사업 계획

(3) 자연재해대책 계획 및 물 수요관리종합계획을 조사한다.

(가) 댐 및 식수전용저수지 계획

(나) 도시관리 계획구역 내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종합적 치수계획 및 강우 유출수


관리계획

(다) 수도정비 기본계획 및 유수율 제고계획

(라) 수돗물의 공급과 이용에 있어 수요관리를 위한 물수요 관리 목표 및 물수요 관


리 종합계획

 상수도 유량 및 수질조사

1. 수질조사 항목

(1) 수질을 파악하기 위한 수질조사 항목으로서는 원수수질이 가장 악화되는 홍수 시와


갈수 시 등을 포함하여 적어도 월 1회의 비율로 1년 동안‘먹는 물 수질기준’의
전 항목을 조사한다. 필요에 따라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
량(COD), 부유물질(SS), 침식성 유리탄산, 총유기탄소(TOC), 총질소, 총인, 트리할로
메탄전구물질, 농약 등에 대하여 조사한다.

(2) 수질조사는 여러 곳의 상수원에 대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2. 수질자료의 해석(환경부(2014),『상수도 시설기준』을 참조하여 작성함)

(1) 정수시설은 원수수질이 나쁠 때에라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2) 원수 수질은 동일 하천에서도 취수지점과 시기에 따라 다르고 특히 홍수기, 갈수기,


해빙기 등에는 탁도, 알칼리도, pH, 암모니아성질소, 과망강산칼륨소비량, 세균수 등
이 심하게 변동한다.

(3) 하천표류수나 지표수는 수질변동이 심하고 탁도는 평균치에 비하여 최대치가 수십


배가 되기도 하며, 호소수나 댐호에서는 계절에 따라 부영양화가 진행됨에 따라 조
류가 증식된다.

(4) 변동하는 수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계처리가 유효한 수단이며, 연평균치의


75% 값이나 95% 값과 같은 대표치에 의하여 장기 변동을 해석하며 유량과 수온

63
등의 계절적인 변화가 원인으로 되어 발생하는 변동을 시계열적으로 처리하고 해석
해야 할 경우도 있다.

(5) 수원의 수질특성을 파악하고 수질자료와 유역환경, 홍수, 갈수, 해빙, 기온 등의 관


계에 대하여 규명한다. 특히, 갈수기로 하천유량이 감소하거나 호소나 댐의 수위가
이상 저하되었을 때에는 수질이 심하게 악화되므로, 이 시기의 자료는 통계적 해석
에서 특이치로 취급한다.

3. 장래의 수질예측(환경부(2014),『상수도 시설기준』을 참조하여 작성함)


하천수, 댐물, 호소수가 상수원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원수가 장기적으로는 유역개발 등
으로 오염되거나 부영양화 될 것으로 예측한다.
예측방법으로는 추세(trend)에 의한 방법 또는 오염부하량을 발생원별로 해석하여 예측하
는 방법, 댐물이나 호소수의 수질예측에 적용하는 유사댐 비교법, 모델법 등이 알려져 있
으며 상세한 사항은 관련 문헌을 참고한다.

(1) 추세에 의한 방법
유역 내의 자연적 및 사회적인 조건변화가 단순한 경우에 과거의 수질변동추세를 파
악하고, 그 추세에 최적 추세 추정식을 사용하여 장래의 원수수질 동향을 예측한다.

(2) 오염부하량에 의한 예측법


오염부하원을 각각 설정한 다음 각 요인마다 오염부하량을 분석하고, 장래의 지역개발
이나 하수도 정비계획 등에 근거하여 오염부하량의 변화를 추정하고 장래의 수질을
예측한다.

(3) 유사댐 비교법


총저수량, 수심, 체류일수 등이 유사한 댐이나 저수지에 대한 과거의 수질변화에 근거
하여 해당 댐이나 저수지의 장래 수질을 예측한다.

(4) 모델법
호소 등 유역 내에서의 오염부하량과 호소수질과의 관계를 모델로 작성한 다음 장래
오염부하량의 변화를 추정하고 해당 모델을 사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장래의 수질을 예
측하는 방법이다.

64
수행 내용 / 수질 및 유량 조사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자의 자체 설계기준

Ÿ 해당 지자체의 상하수도시설에 대한 타당성조사 보고서

Ÿ 해당 지자체의 수도정비 기본계획,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Ÿ 기상연보(기상청), 해당 기관의 지하매설물도

Ÿ 상수도설계기준(2010)(환경부), 하수도설계기준(2011)(환경부)

Ÿ 하수관로공사 표준시방서(2010)(환경부), 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20104)(환경부)

Ÿ 해당 지자체의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 환경영향평가서, 하천정비보고서

기기(장비 ・ 공구)

Ÿ 유량계, 수질 측정기

Ÿ 성과품 작성 용지, 토너 등 각종 소모품

Ÿ 각종 장비 및 도구 운영 소모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수질채수 및 유량 조사 수행 시 안전교육을 현장 작업 담당직원들에게 실시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Ÿ 작업별 안전수칙 항목은 현장조사 시, 유량계 설치 시, 유량계 유지관리 시, 수질 채수 시, 장비철


수 시 등 5가지로 구분하여 수립한다.

Ÿ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는 실측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실측조사가 곤란한 경우에는 정부,


관련 시⦁군 및 한강유역환경청 기존 자료와 본 용역과 관련된 기 시행 사업성과품 등을 충분히
수집 검증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Ÿ 시·군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의 내용을 종합하여 유역 내 현황자료를 검토 분석하되 공공수역의


수질, 유량조사는 유역하수도 정비계획 수립대상 유역의 현황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여
실측조사를 실시한다.

Ÿ 자료 신뢰도, 정확도 등을 확보하기 위한 측정⦁분석 장비는 법적 정도관리기관에 의해 승인된


측정 장비를 사용한다.

65
수행 순서

 하수도의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한다.

1. 유량 측정을 한다.

(1) 청천 시와 우기 시 측정 기준

(가) 강우 시는 선행 청천일수를 고려하여 시행하되 합류식 관로와 분류식의 오


수 관로는 청천 시와 강우 시 모두 측정한다.

(나) 분류식 관로의 우수 관로는 청천 시 유량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측정하여


침입수를 산정하되, 강우 시에는 월류수 실측조사 기준에 따른다.

(2) 유량 측정방법
야간 최저유량에서 강우 시 최대유량까지 측정이 가능한 방법으로 수행하여야 하
며, 홍수 시 등에 대한 대책을 수립한다.

(3) 유량 조사기간 및 횟수

(가) 측정 지점당 청천 시와 강우 시를 포함하여 두 계절 이상 ○○분 간격으로


계절당 ○○일 연속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나) 강우 시 강우 초반부는 가능한 조밀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초기강우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결정하되 강우사상 및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시행한다.

(4) 유량 측정자료 분석
측정자료는 누적하여 시간별, 일별, 요일(주중 및 주말)별 하수량의 변동 부하 특
성을 분석하여야 한다. 그 결과를 이용하여 침입수, 유입수량 및 누수의 발생 특
성을 도출한다.
<표 4-1> 유량조사 결과표 예시

현장조사(평균)
분류식1(주거지역) 분류식1(상업지역) 합류식
구분
주중(㎥/ 주말(㎥/ 주중(㎥/
주말(㎥/일) 주중(㎥/일) 주말(㎥/일)
일) 일) 일)
0시 1,121 1,110 368 425 343 425
1시 729 803 307 345 257 345
2시 413 448 259 284 241 284
3시 260 292 233 258 221 258
4시 163 222 208 238 194 238
5시 250 272 202 227 245 227
6시 589 534 303 349 360 349
7시 1,552 1,318 399 408 549 408
8시 2,099 2,032 510 462 706 462
9시 1,800 1,980 561 463 520 463
10시 1,677 1,905 593 436 509 436
11시 1,519 1,703 512 447 551 447
12시 1,349 1,568 504 442 406 442
출처 :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3장 현지조사, p3-2

66
2. 수질조사를 한다.

(1) 수질조사 목적
침입수, 유입수 및 누수 조사, 초기강우 오염부하 비교평가, 오염원 단위 평가에
활용한다.

(2) 조사횟수 및 방법

(가) 유량측정과 동일지점, 동일 기간 내에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나) 조사 횟수는 BOD5, CODMn, SS, PH, DO, 수온 항목은 계절별 0일, T-N,
T-P 항목은 계절별 0일, 0회를 기준으로 시료를 채취하되 관로 침입수, 유
입수 및 하수의 누수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측정간격을 탄력적으로 조정한
다.

(다) 채취된 시료는 냉장 보관하고 지정된 시간 이내에 운반 및 분석을 시행한다.

(3) 수질 항목별 분석
수질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을 기준으로 수행하고, 강우자료는 현장 측정 또는
인근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한다.

<표 4-2> 수질조사 결과표 예시


알칼리 총대장
BOD COD SS T-N T-P VS NO3-N
구분 ph 도 균군
(mg/L) (mg/L) (mg/L) (mg/L) (mg/L) (mg/L) (mg/L)
(mg/L) (개/mL)
12-10-25 15:00 6.8 377.5 79.8 124 39.525 4..327 160 78.8 1.469 23,600
12-10-25 17:00 7.0 384.4 81.3 136.3 43.435 4.755 172.9 86.6 1.569 28,002
12-10-25 19:00 7.1 410.2 96.2 150.3 44.902 4.916 173.9 105.5 1.943 29,778
분류식 12-10-25 21:00 6.9 422.2 89.2 138.7 44.205 4.839 178.9 88.1 2.117 27,480
1 12-10-25 23:00 6.4 365.4 77.2 120.0 38.258 3.188 154.9 76.3 1.294 23,783
(주거지역) 12-10-26 01:00 6.8 312.6 66.1 102.7 37.730 4.130 132.5 65.3 1.529 22,347
12-10-26 03:00 6.8 265.4 61.1 94.9 30.264 3.31 132.5 67.3 1.845 18,814
12-10-26 05:00 6.6 325.8 68.9 107.0 34.112 3.734 138.1 68.0 1.720 21,206
12-10-26 07:00 7.1 334.5 70.7 117.9 39.573 3.832 141.8 74.9 1.846 23,357
출처 : 한국환경공단(2013), 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하화 사업 보고서, 제3장 현지조사, p3-12

3. 초기강우 오염도를 조사한다.

(1) 실측 지역 선정 및 조사 시기

(가)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I/I 측정의 강우 시와 동시에 측정하여야 하며,


2계절 이상(계절별 0회)으로 한다.

(나) 조사 시기는 선행 건기일수를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조사 시행 전에 조


사지점, 조사방법, 조사 분석기법 등 조사에 필요한 사항을 검토하여 합리적
인 조사 시행한다.

67
(2) 조사지점 선정
합류식 지역은 최하류 우수토실, 분류식인 경우 우수관로 토구를 기준으로 하되
기초 침입수, 유입수 지점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3) 유량 및 수질 측정

(가) BOD, COD, SS, T-N, T-P, PH, DO, 수온 항목은 0회/일 측정을 기본으로 한
다.

(나) 월류수 및 분류식 우수 유출수는 월류 또는 유출 시작부터 종료까지 측정한


다. 월류 또는 유출 초반부에 0회를 실시하고 후반에 0회를 측정 시행하되,
강우사항 및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시행한다.

(다) TS, VS, Cl, 중금속(Fe, Cu, As, Zn, Cr, Pb)과 일반세균, 대장균, 오일류, 내
분기계, 장애물질 측정은 0회/일로 하여 월류 중 또는 유출 초반에 0회를 실
시하고 후반에 0회 측정한다.

 상수원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한다.(환경부(2014),『상수도 시설기준』을 참조하여 작성


함)

1. 하천표류수의 유량과 수질을 조사한다.

(1) 시험지점, 항목, 빈도 결정


하천표류수의 수질은 기온, 유량, 유역의 지질, 폐수 등이 자연환경이나 사회환경
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그 영향의 정도는 지역이나 시기에 따라 다르므로 수질조
사 항목은 각 상수원의 상황에 따라 시험지점, 시험항목 및 시험빈도 등을 적절히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 홍수 시 조사
홍수 시에는 특히 탁도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시간변동까지 상세히 조
사한다.

(3) 갈수기 시 조사
갈수기일 때에는 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용해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며, 수질은
유입되는 폐수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암모니아성질소(NH3N), 과망간산칼륨
(KMnO4) 소비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음이온 계면활성제, 페놀 등에 대하
여 특히 주의하여 조사한다.

2. 댐·호소수의 유량과 수질을 조사한다.

(1) 기존의 댐·호소로부터 취수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총질소(TN)와 총인(TP)은 여과장애 및 맛과 냄새 등의 문

68
제를 일으키는 플랑크톤(plankton) 조류 등의 생물에 대해서 조사한다. 생물은 댐⦁
호소의 성층기나 순환기 등에 따라 변동하므로 연간을 통하여 그 종류와 개체 수,
클로로필-a, 냄새 등을 조사한다.

(2) 댐·호소의 저층부 취수


용존산소가 저하됨에 따라 철이나 망간이 용출되므로 깊이별로 수온, 용존산소
(DO), 철, 망간 등을 조사한다. 신설된 댐으로부터 취수할 경우에는 유사한 댐에
대하여 조사하여 참고한다.

3. 지하수의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한다.

(1) 천층수, 심층수로부터 취수


수질이 양호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천층지하수는 지표수의 영향을 받기 쉽고 심층
지하수는 대수층 주위의 지질에 따른 고유의 특징이 있다.

(2) 수질조사 항목

(가) 수온, pH, 색도, 침식성 유리탄산, 암모니아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질산성질


소, 철, 망간, 철박테리아, 세균 등의 조사가 필요하다.

(나) 유기용제에 의한 오염사례가 많으므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트리클로로에탄(trichloroethane) 등
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4. 복류수(subsoil water)의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한다.

(가) 복류수는 하천수가 투수성이 좋은 지층으로 흐르는 상태이므로 하천 표류수


에서 탁질 등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탁도가 낮고 수온도 비교적 안정되어 있
다.

(나) 수질적으로는 복류수가 지표수와 지하수의 중간 성질을 가지며, 시험 항목은


하천수와 지하수에 준하여 시행한다.

수행 tip

• 수질검사는「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2015.02.03)」의 내용에 따라 실시한다.

69
학습 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수도의 유량 및 수질조사의 세부시행계획서 작성 방법과 현장의 수질, 유량과 계획 수질,


유량을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상수도의 수질조사 항목과 수질자료 해석 방법을 설명하고, 현장의 수질, 유량과 계획 수질,
유량을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하천 표류수, 댐·호소수, 지하수, 복류수 등 상수원별 수질 조사 방법과 항목을 설명한다.

• 수질 채수 및 유량 조사 수행 시 안전교육에 대하여 설명하고 작업 시 유의사항 등을 주지시킨다.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의 상하수도 수질검사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고 먹는


물 관리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하수도 유량 및 수질조사 항목 및 방법을 숙지한다.

• 상수도 및 상수원 유량 및 수질조사 항목과 그 방법을 숙지한다.

• 현장에서 수질 채수 및 유량조사 시 안전사항을 숙지하고 작업 시 유의사항을 파악한다.

• 먹는 물 관리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법의 내용을 파악하고 조사에 임한다.

70
학습 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현장 수질유량 조사하여 상하수도 계획수량을 산정할 수 있
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계획 급배수구역 및 처리구역 등의 수질유량을 조사할 수
수질 및 유량 조 있다.
사서 작성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하여 수립된 계획수량에 대하여
현장 유량 조사 자료와 비교 검토할 수 있다.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하여 수립된 계획수질에 대하여
현장 수질 조사 자료와 비교 검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한 계획수량에 대하여 현장 유량


수질 및 유량 조 조사 자료와 비교 검토 능력
사서 작성 - 수립된 계획수질에 대하여 현장 수질 조사 자료와 비교 검
토 능력

• 작업장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계획 구역의 수질 및 유량 조사 능력
수질 및 유량 조
사서 작성 - 현장 수질 및 유량으로 상하수도 계획수량 산정 및 기초자
료 조사 능력

71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계획지표 및 계획기준에 의하여 수립된 계획 수질 및 유량에 대하여 현장 수질과 유량 조사 자
료와 비교검토 평가서를 작성하게 한 후 틀린 문항에 대해 설명한다.

2. 작업장 평가
- 계획 급배수구역 및 하수처리시설 구역의 수질 및 유량조사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평
가하고 잘못된 내용은 반복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

72
∙ 문화재청(2015).『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 이강원, 손호웅(2016).『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구미서관.

∙ 정인준(1991),『토질공학원론』. 구미서당.

∙ 한국상하수도협회(2006).『하수도공사 시공관리요령』. 한국상하수도협회.

∙ 한국상하수도협회(2010).『상수도 시설기준』. 도서출판 건설도서.

∙ 한국상하수도협회(2010).『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 도서출판 건설도서.

∙ 한국상하수도협회(2011).『하수도 시설기준』. 도서출판 건설도서.

∙ 한국상하수도협회(2014).『상수도공사 표준시방서』. 도서출판 건설도서

∙ 한국수자원공사(2012),『한강하류3차 급수체계 조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과업지시서』. 한국수


자원공사.

∙ 한국해양학회(2005).『해양과학용어사전』. 아카데미서적.

∙ 한국환경공단(2013).『안양시 박달하수처리장 지화화 사업 설계도서』. 한국환경공단.

∙ 한국환경공단(2013).『울진 하수관로정비 및 오산 농어촌마을하수도 설치사업 측량조사 용역


과업내용서』. 한국환경공단.

∙ 해피캠퍼스 『부력에 의한 구조물 부상방지 대책』. http://www.happycampus.com/doc/1010505


에서 2016년 9월 10일 인출.

∙ 환경부(2015).『수도법』.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 환경부(2015).『하수도법』.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 환경부(2015).『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73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도중호(한국종합기술)* 곽필재(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영란(서울연구원)*
김두일(단국대학교) 류성호((주)뉴엔텍)
김성표(고려대학교) 박철휘(서울시립대)*
김성홍(조선대학교) 이현동(KICT/UST)*
김용주(한국환경공단)* 서요한(군산간호대학교)
나득주(선진엔지니어링)
박기영(건국대학교)
박상봉((주)특수건설)*
양승경(수자원공사)
위미경(한국상하수도협회)
이은정(한국상하수도협회)
이호식(한국교통대)
정창화((주)태성종합기술)*
(연구기관)
문한나(한국직업능력개발원)
황규희(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다교(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충희(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진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74
7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