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0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터널설계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교량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현황조사

항만(해양)설계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상하수도설계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하천(댐)설계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교량설계 도면 작성 교량설계 도면 작성

단지설계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토목건설사업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관리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교량 상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


1-1. 설계기준 및 구조 해석방법 결정 3

1-2. 하중산정 및 단면검토 11

1-3. 사용성 검토와 일치성 확인 22

• 교수・학습 방법 26

• 평가 27

학습 2. 교량 내진 계산서 작성하기
2-1. 지진하중 규모 및 지진해석 방법 결정 29

2-2. 지진력 저감방안 및 구조단면 해석 40

• 교수・학습 방법 45

• 평가 46

학습 3. 교량 하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


3-1. 설계기준 및 구조 해석방법 결정 48

3-2. 하중산정 및 단면검토 54

• 교수・학습 방법 66

• 평가 67

학습 4. 교량 부대시설 계산서 작성하기


4-1. 부대시설 설계 69

4-2. 부대시설 규격 및 배치 산정 77

• 교수・학습 방법 83

• 평가 84
참고 자료 86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각종 설계기준에 부합되고, 시공 및 공용시 안전성 확보와 구조물의 내구연한 조건에 적합하도


록 교량설계 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선수학습

구조역학, 철근 콘크리트 공학, 강구조 공학, 재료역학, 교량공학, 도로교 설계기준, 내진설계 편
람,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1402010405_14v2)

학습모듈의 내용 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 방법


결정 교량 상부구조
1. 교량 상부구조
1901050314_14v2.1 계산서
계산서 작성하기 1-2. 하중산정 및 단면 검토
작성하기
1-3. 사용성 검토와 일치성 확인

2-1. 지진하중 규모 및 지진해석


2. 교량 내진 계산서 방법 결정 교량 내진 계산서
1901050314_14v2.2
작성하기 2-2. 지진력 저감방안 및 구조 작성하기
단면 해석

3-1.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 방법


3. 교량 하부구조 결정 교량 하부구조
1901050314_14v2.2
계산서 작성하기 계산서 작성하기
3-2. 하중산정 및 단면 검토

4. 교량 부대시설 4-1. 부대시설 설계 교량 부대시설


1901050314_14v2.2
계산서 작성하기 4-2. 부대시설 규격 및 배치산정 계산서 작성하기

핵심 용어

설계하중, 하중조합, 허용응력, 단면검토, 사용성 검토, 지진하중, 안정검토, 지지력 검토

1
교량 상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
학습 1
(LM1402010406_14v2.1)

학습 2 교량 내진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2)
학습 3 교량 하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3)
학습 4 교량 부대시설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4)

1-1.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 방법 결정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학습목표 검토할 수 있다.
• 교량의 형식별 특성과 가설공법을 고려한 구조해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상부구조 해석의 기본개념

1. 교량설계란 주어진 하중에 대하여 교량이 파괴되지 않도록 재료, 구조 등을 결정하는


것이며, 적절히 가정한 설계하중에 대하여 교량의 거동을 해석하는 것이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2. 최근에 와서 교량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복잡한 계산을 수행 할 수 있는 컴퓨터


및 응용 프로그램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교량의 구조거동 해석에 여러 가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특히,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교량 해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한 공식에서


유한 요소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석법이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있으며 설계자는 구
조해석을 위하여 해석프로그램의 충분한 숙지가 필요하다.

 상부 구조해석 흐름도

1. 아래의 흐름도는 상부구조 해석을 위한 설계 흐름도이며 설계조건, 단면가정. 구조해석


및 단면검토 등을 통하여 구조계산서를 작성하게 된다.

3
[그림 1-1] 콘크리트 라멘교의 주설계 흐름도

4
수행 내용 /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해석방법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교통부)

Ÿ 도로교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Ÿ ACI (American Concrete Institution)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캐드 S/W,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상부구조의 설계방법의 종류와 기본개념을 검토한다.

1. 설계방법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1) 과거의 설계방법 및 절차는 하중에 의한 작용력의 해석과 재료의 강도에 대한 기술


자의 확신에 기초하였으나, 해석기술이 향상되고 재료의 품질관리가 향상됨에 따라
많은 변화를 거치며 발전해 왔다.

(2) 종래에는 허용응력설계법이 유일한 설계법이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부분에서 사용


되고 있다.

(3) 1960년대 초반부터 강재에는 소성설계법이, 콘크리트에는 강도설계법이 선진국의


시방서에 채택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는 구조신뢰성 이론에 기초한 하중저항
계수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이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의 설계방법으로 일
반화되고 향후 이 설계법으로 설계기준을 통일하려는 움직임이 국제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4) 우리나라도 1983년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강도설계법을 채택하고, 1996년 발행

5
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와 1999년 개정된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서부터는 허용
응력 설계법을 별도설계법으로 칭하였다

(5) 최근에 와서는 선진국의 설계방법인 한계상태설계법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구조물


에 적용될 전망이므로 실무설계 기술자들의 관심과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2. 허용응력 설계법(ASD : Allowable Stress Design)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1) 재료가 공칭항복응력에 도달하면 파손이 일어난다고 하는 기준과 이상적인 Hooke의


법칙, 즉 선형탄성 거동에 의한 구조물내의 응력이 허용응력을 넘을 수 없다는 가
정에 기초를 두고 있어 일명 탄성설계법(elastic design)이라고 한다.

(2) 허용응력 설계법의 기본가정(탄성이론)

(가) 변형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나)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일정하다.

(다) 콘크리트의 휨인장 응력은 무시한다.

(3) 허용응력 설계법의 기본개념


대부분의 기준은 항복점의 응력을 적당한 안전율로 나누어 줌으로써 최대 허용응력을
결정하고 있는데, 이 때의 안전율은 아래식과 같이 규정함으로써 얻어진다.

= ( R) = σy =n
( Q) y/n
저항
안전율
하중 효과 σ

설계기준이 이와 같이 안전율 n(≥1)만큼 허용되는 응력의 한계를 설정했기 때문에


허용응력 설계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4) 허용응력 설계법의 적용 구조물

(가) 강재를 주구조로 하는 부재 : 강합성형교, STEEL PLATE교, 강상판형교

(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 사용하중 재하시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검토

(다) 구조물 사용성 검토 : 균열, 처짐, 피로검토

3. 강도 설계법(USD : Ultimate Strength Design)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1) 부재의 파괴 상태 또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에 기초한다. 따라서, 구조 부재의 가장


중요한 성질은 그 부재의 실제 강도이다.

(2) 그러나 설계시 사용하는 공칭강도는 이러한 실제 강도와 다를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실제 시공된 구조물과 실재료 강도의 불가피한 변동성과 기타의 여러 가지 이유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작용하는 하중 역시 어떤 범위의 오차를 가지고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을 뿐이지 작용하중의 실제 크기는 알지 못한다.

(3) 따라서, 구조부재가 안전하기 위해서는 공칭강도 Sn은 예상되는 강도의 결함을 고

6
려하여 강도감소계수 φ에 의하여 감소시켜야 하고, 설계기준에 규정된 설계하중 L
은 있을 수 있는 초과하중을 고려하여 하중계수γ에 의하여 증가시켜야 한다.

(4) 강도 설계법의 기본개념

(
소요강도 하중계수 ×사용하중 )≤ 설계강도( 강도감소계수 ×공칭강도) ---- 식 1.2
(5) 강도설계법에 의해 설계된 휨부재는 그 강도 외에 반드시 사용성 검토를 수행하여
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휨부재는 사용하중 작용시 처짐과 하중
의 반복 작용에 따른 철근의 피로 응력한계, 또는 휨균열을 조절하기 위한 철근의
배근조건도 충족되어야 한다.

(6) 강도 설계법의 적용 구조물

(가) 철근콘크리트 부재 : 슬래브교, 라멘교, PSC 거더교의 휨강도 및 전단강도 검토

(나) 콘크리트 바닥판, 교대, 교각, 기초 등의 단면검토

4. 한계상태 설계법(LSD : Limit State Design)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1) 구조물 또는 부재가 파괴 또는 파괴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그 기능을 완전히 상실


한 상태를 극한한계상태라 하고, 처짐, 균열, 진동 등이 과대하게 발생하여 정상적
인 사용상태의 필요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 상태를 사용한계상태라 한다.

(2) 이러한 한계상태로 되는 확률이 구조물의 모든 부재가 동일한 한계상태 파괴모드에


대하여 일정한 값이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다.

(3) 이 설계법은 사용하중과 재료강도에 대한 충분하고 합리적인 통계자료를 통하여 최


적의 확률모형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충분치 않는 자료로 인해 하중과 재료
에 대해 각각 부분 안전계수를 적용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

(4) 하중저항 계수 설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거치게 된다.

(가) 구조물에 발생 가능한 모든 한계상태 관련 파괴(파손)모드의 확인

(나) 각 한계 상태에 적정한 안전 수준의 결정

(다) 설계자에 의한 지배적이고 주요한 한계 상태

 상부구조 해석에 필요한 설계기준을 검토한다.

1. 국내에서는 건설교통부를 비롯한 정부기관의 주관으로 공공단체나 학회 등의 관련 관리


주체가 설정되어 구조물 설계 및 시공시 적용할 각종 설계기준 및 지침 등과 건설공사
기준을 제정하고 있다.

2. 구조물의 설계자는 대상구조물에 따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법규와 시방서 및 관련기


준 등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게 된다.

7
3. 아래 표 1-1와 표1-2은 교량의 설계 및 시공과 관련된 건설공사 기준과 설계와 관련하
여 활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하위기술기준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표 1-1> 건설공사기준 종류별 관리주체 및 소관부서

관리주체 시공기준 설계기준 소관부서


대한토목학회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 - 기술안전정책관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표준시방서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기술안전정책관
한국지반공학회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기술안전정책관
도로공사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도로교설계기준 도로정책관
도로교표준시방서
한국강구조학회 - 강구조설계기준 기술안전정책관
한국지진공학회 - 내진설계기준 기술안전정책관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 - 도로정책관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 등에 관한 운영규정(국토해양부, 2008]

<표 1-2> 교량관련 설계기준 분류

발행 또는
분류 해 당 기 준 제정기관
최근개정연도
⦁도로교설계기준 국토해양부 2008
⦁도로교표준시방서(부록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건설교통부 1996
기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007
⦁구조물기초 설계기준 국토해양부 개정 중
⦁하천설계기준・해설 건설교통부 2005

⦁도로교표준시방서 건설해양부 2005


⦁콘크리트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2003
시방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 대한토목학회 2005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한국도로공사 2005
⦁도로공사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2003

⦁강도로교 상세부설계지침
건설교통부 2006
⦁유지관리를 고려한 교량의 설계 및 시공지침
건설교통부 2001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
지침 대한토목학회 2006
⦁고속도로 교량의 내진설계지침
한국도로공사 1997
⦁콘크리트교량 가설 특수공법 설계·시공·유지관리
건설교통부 1994
지침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국토해양부 2008


편람 ⦁강구조 설계편람 한국강구조학회 1998
⦁고속도로 교량의 내진설계 편람 한국도로공사 2000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개정 중
요령 ⦁강도로교 시공·검사 실무요령 건설교통부 1995
⦁교좌장치의 종류 및 관리요령 건설교통부 1995

 상부구조 해석에 적용되는 설계하중을 검토한다.

1. 교량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하중은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에 응력이나 변형


을 발생하게 하는 모든 외력과 내력으로, 시공 중에 작용하는 하중과 완성 후에 작용하

8
는 모든 하중이다. 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부재의 응력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함은 물론
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정확한 하중의 산정이다.

2.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일반적으로 관련 설계기준에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기준은 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지침만을 제공할 뿐이며 올바른 설계를 위한 하중의
산정은 설계자의 올바른 판단과 경험이 필요하다.

3. 이러한 하중들 중에서 교량설계에 적용하는 하중은 교량의 형식이나 교량 가설지점의


조건에 따라 하중의 종류 및 하중조합 조건이 적절히 결정되어야 하며, 하중의 특성,
작용빈도, 교량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주하중, 부하중, 특수하중 등으로 분류한다.

4. 교량의 주요부분 설계시 항상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하중을 주하중이라 하고, 항


상 작용한다고 볼 수 없으나 때때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하중 조합시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하중을 부하중이라 한다.

5.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일반적으로 관련 설계기준에 명시되어 있으며 주요 하중은


아래의 <표 1-3>과 같다.
<표 1-3> 하중의 종류

하중의 종류 하중의 종류

주하중(P) 12. 지진의 영향(E)

1. 고정하중(D) 주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P)

2. 활하중(L) 13. 설하중(SW)

3. 충격(I) 14. 지반변동의 영향(GD)

4. 프리스트레스(PS) 15. 지점이동의 영향(SD)

5. 콘크리트 크리프의 영향(CR) 16. 파압(WP)

6. 콘크리트 건조수축의 영향(SH) 17. 원심하중(CF)

7. 토압(H) 부하중에 상당하는 특수하중(PA)

8. 수압(F) 18. 제동하중(BK)

9. 부력 또는 양압력(B) 19. 가설시 하중(ER)

부하중(S) 20. 충돌하중(CO)

10. 풍하중(W) 21. 기타

11. 온도변화의 영향(T)

 상부 구조해석을 위한 해석프로그램의 종류를 검토한다.

1. 상부 구조해석 프로그램은 해석방법, 요소, 구조물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

9
이 사용되며 구조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숙지가 필요하며 표 1-4
는 해석 프로그램의 종류와 주요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표 1-4> 해석프로그램의 종류

프로그램 주 요 기 능 비고

⦁선형·비선형 정적 해석, 동적해석


범용
ABAQUS ⦁Transient 비선형 동적해석
설계지원
⦁크리프와 건조수축 해석, 구조진동해석, Fracture Mechanics

⦁2차원, 3차원 선형, 비선형 해석, 접촉문제 해석, 좌굴해석


⦁균열 진행을 수반한 파괴해석
ADINA 범용
⦁Small & Large Deformation, Large Strain
⦁온도를 고려한 탄․소성 및 크리프 해석

⦁콘크리트 재료 및 요소의 비선형 해석 범용


ANSYS
⦁동적해석, 좌굴해석 및 최적설계 모듈 포함 설계지원

⦁콘크리트 및 암반의 균열해석, RC 및 PSC 구조물의 파괴거동 해석


⦁장대교량의 동적 비선형 해석, 교량의 시공단계별 해석
범용
DIANA ⦁항만구조물의 내진 해석
설계지원
⦁콘크리트 수화열에 의한 온도 및 균열분포 해석
⦁크리프 및 건조수축 해석, 부착 거동을 고려한 철근 및 텐던모델링

⦁선형 동적해석, 비선형 정적해석


GT-STRUDL 범용
⦁콘크리트 구조설계(부재 최적설계, 물량산출)

⦁선형, 비선형 해석
LUSAS ⦁시간에 따른 응력 및 변위해석, 비선형-동적해석 범용
⦁고유치 해석(좌굴해석, 내진․내풍해석), 피로해석(S-N Curve)

⦁비선형 접촉해석, Material Library(소성재료, 비금속재료, polymer 등)


MARC 범용
⦁열응력해석, 진동해석, 콘크리트의 균열해석

⦁정‧동적해석, P-Delta 해석 범용
MIDAS
⦁한국강주고 기준과 AISC(ASD, LRFD)기준에 대한 설계가능 설계지원

⦁선형 정적해석, 진동해석, 비선형 해석


⦁공탄성해석(Static Aeroelastic, Dynamic Aeroelastic, Flutter 해석) 범용
NASTRAN
⦁Adaptive 해석, 설계최적화 설계지원
⦁대형구조물 해석

⦁선형․비선형 정적 해석, 동적해석 범용


NISA
⦁구조최적설계 설계지원

⦁PSC-BOX교량(FCM, MSS, ILM, FSM공법 등)해석


⦁장대교량 해석 및 Steel box 교량 해석, 시공 단계별 해석 교량전용
RM
⦁단면 물성치 자동계산, 크리프와 건조수축 해석 설계지원
⦁동적해석, 좌굴해석

⦁하중조합, 이동하중(DB, DL 철도)에 의한 교량해석


범용
SAP2000 ⦁비선형 해석(Isolator, Damper, Gap, Hook요소)
설계지원
⦁미국, 영국, 캐나다, 유럽기준에 따른 RC 및 철골부재 설계

SFRAME ⦁시공단계별 PSC segment 해석 교량전용

⦁강교량, 콘크리트교량, 강합성교, 사장교 해석


TANGO 교량전용
⦁AASHTO, OHBDC 이동하중 산정, ACI-209, CEB-FIP 기준고려

10
1-2. 하중산정 및 단면검토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가설하중, 제약조건 등과 같
학습목표 은 특별 고려사항을 검토하여 각각의 세부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교량 상부구조의 부재력을 산정하고 단면을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강도설계법에 의한 휨설계 개념

b εc = 0.003 0.85f ck

a/2
a = β 1c
c

z=d-
d

ε s > εy

[그림 1-2] 부재의 휨응력 상태

1. 공칭 강도

(1) 총 압축력 : C = 0.85 ・ fck ・ b ・ a

(2) 총 인장력 : T = As ・ fy

(3) 평형 조건 :
  
    ; C = T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철근비     철근지수)
 

(4) 공칭 휨강도


      여기서        모멘트 팔길이 


        

(5) 설계 휨강도
            

11
2. 균형보

(1) 콘크리트가 극한 변형률 0.003에 도달하는 동시에 철근도 항복변형률    에
 
도달한다.
(2) 중립축의 거리 ( ) ;          

(3) 평형조건식 ;    ; C = T

  


   →      
    
  
(4) 균형철근비       
    
3. 철근비 제한
(1) 최대 철근비
(가)   ≤ max  
(나) 과소철근으로 연성파괴 유도하기 위해 균형철근비의 75% 상한 규정
(2) 최소 철근비
  
(가)   ≥  min   max     
 
(나) 과소 철근으로 인한 취성 파괴 방지

 강도설계법에 의한 전단설계 개념

1.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 (  )



   
  여기서   복부의폭

2. 전단철근이 부담하는 전단강도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스터럽 개수     스터럽 단면적
  
3. 전단철근 설계

(1)  ≤  : 전단 철근 필요 (     )


(2)   ≺  ≤  : 최소 전단철근 필요


(3)  ≤   : 전단철근 불필요

4. 전단철근의 간격제한
(1) 수직 스터럽의 간격은 0.5d 이하, 60cm 이하여야 한다.

12


(2) 다만,  ≻   인 경우 (1)의 간격을 절반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수행 내용 / 상부구조 해석을 위한 하중 산정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교통부)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Ÿ 도로교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Ÿ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한국강구조학회)

Ÿ ACI (American Concrete Institution)

Ÿ AASHTO LRFD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상부구조 해석에 필요한 하중를 검토한다.

1. 고정하중을 산정한다.
고정하중을 산출할 때는 <표 1-5>에 나타낸 단위중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 1-5> 재료의 단위중량 (kg/m3)

13
재 료 단 위 중 량 재 료 단 위 중 량
강재, 주강, 단강 7,850 무근 콘크리트 2,350
주 철 7,250 시멘트 모르터 2,150
알 미 늄 2,800 목 재 800
철근 콘크리트 2,500 역청재(방수용) 1,100
프리스트레스트
2,500 아스팔트 포장 2,300
콘크리트

2. 활하중을 산정한다.
활하중은 자동차하중, 즉 표준트럭하중(DB하중) 또는 차로하중(DL하중), 보도 등의 등분포
하중 및 궤도의 차량하중이다

(1) 바닥판과 바닥틀을 설계하는 경우의 활하중

(가) 차도부분에는 DB하중을 재하한다. DB하중은 한 개의 교량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차로당 1대를 원칙으로 하고, 횡방향으로는 재하 가능한 대수를 재하하되 설계부
재에 최대응력이 일어나도록 재하한다.

(나) 보도 등에는 5 x 10-3MPa의 등분포하중을 재하한다.


<표 1-6> DB 하중

중량 총중량 전륜하중 후륜하중


교량등급 하중등급
W(kN) 1.8W(kN) 0.1W(kN) 0.4W(kN)

1등교 DB-24 240 432 24 96

2등교 DB-18 180 324 18 72

3등교 DB-13.5 135 243 13.5 54

[그림 1-3] DB 및 DL 하중

14
(다) 궤도에는 궤도의 차량하중과 DB하중 가운데 설계부재에 불리한 응력을 주는
것을 재하한다.

(2) 주거더를 설계하는 경우의 활하중

(가) 차도부분에는 교축방향으로 차로당 1대의 DB하중 또는 1차로분의 DL하중 가운


데 설계부재에 불리한 응력을 주는 것을 재하한다.

(나) DB하중이나 DL하중의 점유폭은 3m로 보고, 원칙적으로 표준차로폭은 3.6m 안


에 두어야 한다.

(다) 설계 차로 수(N)은 연석간 교폭(Wc)을 표준 차로폭인 3.6m로 나눈 후 정수만


취하여 결정한다.
N ≥ Wc / 3.6m

3. 충격 하중을 산정한다.

(1) 활하중은 충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보도 등에 재하되는 등분포하중, 현


수교의 주 케이블 및 보강거더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대해서는 충격을 고려하지 아
니한다.

(2) 상부구조의 충격계수는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하며 0.3을 초과할 수 없다.



   ≤ , L : 활하중이 재하된 지간부분의 길이(m)
  

4. 프리스트레스 힘을 산정한다.

(1) 설계시에 고려하여야 할 프리스트레스 힘은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 힘


과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이다. 또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하여 부정정력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스 힘의 감소는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 변형만을 고려하여야 하고,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 PS
강재와 쉬스의 마찰, 정착장치 및 정착부 내부의 마찰, 정착장치에서의 활동량을 고
려하여야 한다.

(3)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은 (2)항의 규정으로 산출한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프리스트레


스힘에 다음의 영향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가) 콘크리트의 크리프

(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다) PS강재의 릴랙세이션

15
5.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 계수를 산정한다.

(1)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률은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한다.



   
 

(2) 프리스트레스 힘의 감소량 및 부정정력을 산출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크리프 계수


는 <표 1-7>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표 1-7> 콘크리트의 크리프계수

콘크리트의 재령일 4~7 14 28 90 365


조강시멘트 3.8 3.2 2.8 2.0 1.1
크리프계수
보통시멘트 4.0 3.4 3.0 2.2 1.3

(3) 프리스트레스힘의 감소량을 산출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률은 <표 1-8>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표 1-8>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률

콘크리트의 재
4~7 28 90 365
령일
건조수축률 27 x 10-5 20 x 10-5 14 x 10-5 7 x 10-5

6. 풍하중을 산정한다.

(1) 구조물의 정적설계를 위한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풍하중 p(MPa)는 설계기준 풍속


Vd(m/s), 공기밀도 ρ(=1.225kg/m3) 항력계수 Cd 및 거스트 응답계수 G를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 구한다.

   ×         

(2) 일반적인 중소지간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

(가) 일반적인 중소지간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교축에 직각으로 작


용하는 수평하중으로 하고, 고려하고 있는 부재에 가장 불리한 응력을 발생시
키도록 재하한다.

(나) 플레이트 거더교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교량 하나의 교축방향 길이 1m당 <표


1-9>에 나타낸 값으로 한다.
<표 1-9> 플레이트 거더교의 풍하중(kN/m)

단면 형상 풍 하 중
1 ≤B / D < 8 (4.0 - 0.2 B / D) x D ≥ 6.0
8 ≤B / D 2.4 D ≥ 6.0

16
여기서, B : 교량 총폭(m), D : 교량 총높이(m)

7. 온도 하중을 산정한다.

(1) 강교에서 온도변화의 승강은 가설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고, 온도변화의


범위는 -10℃에서 +50℃를 표준으로 한다. 특히 추운 지방에서는 -30℃에서 +50℃
까지로 한다. 콘크리트교의 온도 승강은 각각 15℃로 하고 부재의 최소 치수가
700mm이상이면 10℃를 적용한다.

(2) 강재의 선팽창계수는 1.2×10-5, 콘크리트는 1.0×10-5을 적용한다.

(3) 수중 또는 지중에 있는 구조물에 대해서는 온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 범용해석 프로그램의 방법을 결정하고 모델링상에 하중을 재하한다.

1. 상부구조 해석방법은 교량형식, 평면형태, 지지형식 등에 따라 여러 해석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모든 형식의 해석방법을 논하기에는 지문의 한계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가
장 쉽게 다룰수 있는 콘크리트 라멘교에 대해서 논하기로 한다.

2. 단경간 라멘교의 단면력은 원칙적으로 판이론에 의한 실용적 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


해석을 실시하여 계산한다. 단 연속 라멘교와 같이 지지조건이 복잡한 경우 또는 곡선
교와 사교 같은 경우에는 격자이론과 유한요소법 등에 의하여 해석하여도 좋다.

3. 프레임 해석에 의한 모델링 구성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1) 횡방향 단위폭당 모델링

(가) 라멘교를 횡방향 단위폭당 모델링하여 단위폭당의 단면력을 계산한다.

(나) 2차원 모델링으로 해석이 간단하지만 사각에 의한 예각부와 둔각부의 지점반력


차이, 캔틸레버부가 있는 경우의 해석, 그리고 지점의 위치에 따른 영향을 고려
한 해석이 곤란하다.

(2) 고정하중

(가) SAP에 의한 모델링의 경우 고정하중은 SAP의 자체하중으로 계산하고, 방호벽,


중분대, 포장하중은 별도로 계산하여 부재하중으로 적용한다.

(나) 슬래브, 방호벽, 중분대, 포장 등의 하중을 자중으로 처리하지 않고 부재하중이


나 절점하중으로 고정 하중을 계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단면별로 단위길이
당 하중으로 환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3) 활하중

(가) 바닥판과 바닥틀을 설계하는 경우의 앞에서 제시한 활하중 값을 재하한다.

(나) 프레임에 의한 설계에서는 횡방향에 대하여 단위폭(1m)당 하중을 계산한다.

17
(4) 온도하중 및 지점이동의 영향

(가) 슬래브 상면과 하면의 온도차는 5。C로 한다.

(나) 부정정 구조물에서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지점의 이동및 회전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경우에는 최종 이동량을 추정하여 단면력을 산정하여야 한다.
P1 P1

P2 P1=4.9kN/m 2 P2
2
Pr=96.0kN P2=13.2kN/m
P3=21.5kN/m2
Pf=24.0kN P3 P3
P4=29.8kN/m2

P4 P4

[그림 1-4] 활하중 재하도(예시) [그림 1-5] 토압 재하도(예시)

 산출된 하중을 설계법에 따라 조합한다.

1. 부재단면 검토시에는 강도설계법에 따라 있을 수 있는 초과하중을 고려하여 하중계수에


의하여 하중을 증가시켜 단면을 검토하는 방식이고 콘크리트 단면의 사용성 검토시에
는 하중계수의 증가 없이 사용하중으로 검토해야 한다.

2. 콘크리트 단면 검토시에 적용할 하중조합은 아래와 같다.

(1) <표 1-10>의 조합에 의해 산출된 부재력으로 휨강도 및 전단강도 설계를 한다.
<표 1-10> 하중계수 조합(계수하중 조합시)

하중
온도하중 온도하중
고정하중 활하중 전토압 건조수축 지점침하 비 고
(⊿T) (-⊿T)
하중조합
Comb 1 1.3 1.7
Comb 2 1.3 0.65
Comb 3 1.3 2.15 1.7
Comb 4 1.3 2.15 0.65
Comb 5 1.3 1.3 1.7 1.3 1.3
Comb 6 1.3 1.3 1.7 1.3 1.3 1.3
Comb 7 1.3 1.3 0.65 1.3 1.3
Comb 8 1.3 1.3 0.65 1.3 1.3 1.3
Comb 9 1.25 1.65 1.25 1.25
Comb 10 1.25 1.65 1.25 1.25 1.25
Comb 11 1.25 0.65 1.25 1.25
Comb 12 1.25 0.65 1.25 1.25 1.25

3. 콘크리트 단면의 사용성 검토시에 적용할 하중조합은 아래와 같다

(1) <표 1-11>의 조합에 의해 산출된 부재력으로 슬래브의 처짐제한, 균열, 피로 검토


등을 수행한다.

18
<표 1-11> 하중계수 조합(사용하중 조합시)

하중
온도하중 온도하중
고정하중 활하중 전토압 건조수축 지점침하 비 고
(⊿T) (-⊿T)
하중조합
Comb 13 1.0 1.0 1.0

Comb 14 1.0 1.0 0.5

Comb 15 1.0 1.0 1.0 1.0 1.0

Comb 16 1.0 1.0 1.0 1.0 1.0 1.0

Comb 17 1.0 1.0 0.5 1.0 1.0

Comb 18 1.0 1.0 0.5 1.0 1.0 1.0

Comb 19 1.0 1.0 1.0

Comb 20 1.0 0.5 1.0

 구조해석을 통해 산출된 부재력의 종류 및 특성을 이해한다.

1. 범용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부구조 형식에 부합되게 모델링을 구성한 후 산정된


하중을 재하하고 계수하중과 사용하중을 조합한다.

2. 위에서와 같이 작성된 구조해석 INPUT DATA를 해석프로그램 모듈을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하고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재에 작용하는 휨모멘트, 전단력, 축력, 비틀림력 등
을 산출 할 수 있다.

3. 다음은 콘크리트 라멘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해석을 수행한 후의 부재에 작용하는 부


재력의 결과값을 모식화한 것이다.

(1) 휨모멘트

휨모멘트란 상부에 재하되는 하중에 의하여 부재가 휘어지는 정도를 말하며 기호는
일반적으로 M으로 표기하며 정모멘트(+)는 부재가 오목하게 변형하고 부모멘트(-)는
볼록하게 형상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림 1-6] 휨모멘트도(B.M.D) 예시

19
(2) 전단력
전단력이란 부재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그 면에 따라서 부재를 절단
하려고 하는 힘을 말하며 기호는 일반적으로 V로 표기한다.

[그림 1-7] 전단력도(S.F.D) 예시

 산정된 부재력에 대해 단면을 검토한다.

1. 휨모멘트에 대한 단면을 검토한다.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롸 단면에 철근을 배근한 설계 휨 강도를 비교
하여 단면의 구조안전성을 확보한다.
ΦMn > Mu
여기서, ΦMn : 설계 휨 강도= Φ·fy·As·(d - a / 2)
Mu : 단면의 계수 휨 모멘트

2. 전단력에 대한 단면을 검토한다.


계수하중에 의한 단면에 발생하는 전단력과 단면에 철근을 배근한 설계 전단강도를 비교
하여 단면의 구조안전성을 확보한다.
Φv·Vc > Vu
여기서, Φv·Vc :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력 = 0.75·1/6 ·√fck·b·d / 1,000
Vu : 단면의 계수 전단력

3. 부재 설계에 대한 해석 절차는 아래의 흐름도와 같다.

20
[그림 1-8] 부재단면 검토에 대한 해석 절차

21
1-3. 사용성 검토와 일치성 확인
• 결정된 단면에 대해 처짐 및 균열 등 교량 상부구조의 사용성 검토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목표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과의 일치성을 확인하여 상이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용성 검토의 개념

1. 구조물 또는 부재가 사용기간 중 충분한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중을 받


을 때 사용성과 내구성을 확보를 위하여 균열, 처짐 및 피로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 교량 설계의 성과품

1. 교량설계시 성과품은 구조계산서, 수량산출서, 도면 등이 주를 이루며 이 세가지 항목


의 일치성 여부는 매우 중요하여 설계, 시공 및 감리 등의 단계를 거치는 면밀한 검토
가 필요하며 불일치시 교량의 구조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없으므로 설계 완료 후 CHECK
LIST 등을 활용하여 일치성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표 1-12>는 일반적인 도로교의 설계 성과품 예시이다


<표 1-12> 설계 성과품(예시)

수량
성과품 종류 비고
책자 및 도면 CD
설계기준
기본 및 실시설계 종합보고서 10부 5부
기본 및 실시설계 요약보고서 10부 5부
지반조사 보고서 10부 5부
설계내역서 10부 5부
공사시방서 10부 5부
구조 및 수리계산서 10부 5부
축소도면(A3) 10부 5부
설계예산서
설계검토도면 10부 5부
용지도(지장물도 포함) 용지도(축소) 5부 5조(CAD FILE)
지장물조서 5부 5부
측량원도 및 야장 1식
기타 발주기관이 요구하는 자료 1식

22
수행 내용 / 사용성 검토 및 일치성 확인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교통부)

Ÿ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한국강구조학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균열해석 기준을 검토한다.

1. 부재는 하중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철근 등을 배근하여 허용균열폭을 만


족하도록 하여야 하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제
어하기 위하여 보강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표 1-13>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허용균열폭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


강재의
종류
건조 환경 습윤 환경 부식성 환경 고부식성 환경

0.4 mm와 0.006tc 0.3 mm와 0.005tc 0.3 mm와 0.004tc 0.3 mm와 0.0035tc
철근
중 큰 값 중 큰 값 중 큰 값 중큰 값

0.2 mm와 0.005tc 0.2 mm와 0.004tc


긴장재 - -
중 큰 값 중 큰 값

여기서, tc 는 최외단 주철근의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최소 피복 두께(mm)

23
 처짐해석 기준을 검토한다.

1. 교량구조물의 휨부재는 사용하중과 충격으로 구조물의 강도나 실제 사용에 해로운 영향


을 주는 처짐 또는 그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게 설계하여야 한다.

2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처짐 계산 및 제어를 위한 허용처짐 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14> 강교의 허용처짐

교 량 형 식 최 대 처 짐(m)
단순지지거더 및 게르버거더의
종 류 지 간
연속거더 캔틸레버부
L ≤ 10m L / 2,000 L / 1,200
플레이트 철근콘크리트
L L
거더형식 슬래브가 10 < L ≤ 40m
20,000 / L 12,000 / L
있는 플레이트거더
L > 40m L / 500 L / 300
기타의 슬래브가 있는 플레이트거더 L / 500 L / 300
현 수 교형 식 L / 350
사 장 교형 식 L / 400
기타 형 식 L / 600 L / 400

 예제를 활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휨균열 검토한다.



           , 환경조건 : 습윤환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철근수   ×  ×   


       
균열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습윤환경     ∴ 

 구조계산과 도면의 일치여부을 확인하는 방법을 검토한다.

1. 구조계산과 도면의 일치 여부 확인전에 먼저 구조계산서의 오류 여부를 검토 한 후 구


조계산서에 적용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도면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4
2. 교량의 폭원, 연장 등 기본적인 것 이외에 교량의 등급, 사용재료, 단면의 치수, 사용
철근 등 구조계산서에 명기된 모든 사항들이 설계도와 일치하여야 한다.

 일치성을 확인하기 위해 CHECK LIST을 활용한다.

1. 구조계산서와 설계도의 일치성 여부 확인은 기본적인 교량제원부터 단면에 배치하는 사


용철근의 제원까지 전반적인 확인이 필요하며 아래의 예시는 그 일부이다

<표 1-15> 설계 CHECK LIST

구 분 CHECK LIST
・ 주형의 간격이 적정히 배치되어 주형의 수를 최적화하였는지
거더간격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단면가정
・ 경간규모 대비 거더의 단면가정이 적절히 계획되었는지 여부는
단 면
확인하였는가?
하중산출 ・ 하중산출근거가 정확히 제시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교량의 등급에 부합되게 활하중이 올바로 제시되었는지 여부는
교량등급
확인하였는가?
・ 활하중 재하시 하중감소율을 3차로 90%, 4차로이상 75%로
올바르게 적용하였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활하중
하중계산 ・ 활하중에 대한 충격계수 적용을 적절히 하였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풍하중 계산을 위한 교량의 높이 산정시 울타리의 강성을
풍하중
반영하여 적절히 계획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주요 CASE별 하중조합이 설계기준에 부합되게 적용하였는지
하중조합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경험적설계법 조건에 부합될 경우 경험적설계법으로
설계법
계획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바닥판은 설계기준에 의거 최소두께 이상으로 계획되었는지
최소두께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바닥판 ・ 캔틸레버 구간 바닥판두께 및 철근량이 응력대비 최적화하여
설계 계획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철근검토
・ 강도설계법인 경우 주철근량을 기준으로 배력철근 소요량을
산출하였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처짐계산을 하지 않는 부재의 최소두께 초과시 처짐검토를
사용성
수행하였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총단면, 순단면, PC환산단면 및 슬래브 환산단면이 제대로
단면정수
산출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단면계수 산정을 위한 플랜지 유효폭이 설계기준에 의거
단면정수
적정하게 산정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주형설계 ・ PC강연선 정착후 정착부에서의 응력 및 손실이 일어난 후
응력검토 사용하중에서 PC강연선이 허용응력 이내인지 여부는
확인하였는가?
・ 정착부 단부보강 철근량이 적정하게 계획되었는지 여부는
정착부
확인하였는가?

25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상부 구조해석의 기본개념과 전반적인 설계의 절차를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하여 해석의


기본적인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의 형식별 특성과 가설공법을 고려한 설계방법 및 구조해석 방법의 기본개념을 이해시키
고 세부 수행방법을 학습한다.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가설하중, 제약조건 등을 이해시키


고 실 예제를 통하여 하중을 직접 산출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산정된 하중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구조의 부재력을 산정 및 단면 검토에 대해 예제를 통하여


직접 산출하도록 학습한다

• 상부구조 해석시 수행하는 사용성 검토의 개념과 그 종류를 이해시키고 그 세부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상부 구조계산서와 도면의 일치성 검토의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실제 설계도서를 이용하여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학습 방법

• 해당 전산 프로그램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숙지하고 전산해석시


적절한 구조모델링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상부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면검토 및 사용성 검토를 수행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 구조해석 수행을 위한 전반을 이해하고 타 설계도서와 일치성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26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
설계기준 및
준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검토할 수 있다.
구조해석 방법
- 교량의 형식별 특성과 가설공법을 고려한 구조해석 방
결정
법을 결정할 수 있다.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
과 가설하중, 제약조건 등과 같은 특별 고려사항을 검토
하중산정 및
하여 각각의 세부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단면검토
-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교량 상부구조의 부재력을 산정하
고 단면을 검토할 수 있다.
- 결정된 단면에 대해 처짐 및 균열 등 교량 상부구조의
사용성 검토와 사용성 검토를 수행할 수 있다.
일치성 확인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과의 일치성을 확인하여 상이
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설계기준 및 - 상부구조 해석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도


구조해석 방법
결정 - 상부구조 해석에 필요한 설계기준에 대한 이해도

하중산정 및 - 상부구조 해석을 위한 각종 하중산정 능력


단면검토 - 단면검토에 대한 절차와 부재력의 종류 및 특성 이해도

사용성 검토와 - 사용성 검토의 개념 이해도와 사용성 검토 수행 능력


일치성 확인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과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능력

27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설계기준 및 - 상부구조 해석에 필요한 단계별 절차를 숙지하였는가?


구조해석 방법
- 상부구조 해석에 적용되는 설계하중의 종류를
결정
숙지하였는가?

- 강도설계법에 의한 휨 및 전단설계 기본개념을 올바르게


하중산정 및 이해하였는가?
단면검토
- 예제를 통한 부재단면 검토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가?

- 예제를 통한 사용성 검토를 올바르게 수행하였는가?


사용성 검토와
일치성 확인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의 주철근 조립도와의 일치여
부를 올바르게 확인하였는가?

피드백

1.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평가자 질문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8
학습 1 교량 상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1)

교량 내진 계산서 작성하기
학습 2
(LM1402010406_14v2.2)
학습 3 교량 하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3)
학습 4 교량 부대시설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4)

2-1. 지진하중 규모 및 지진해석 방법 결정


• 설계기준에 따른 지역별 지진하중의 규모를 기초로 하여 해당 교량에 적용할 지진하중의
규모와 설계 지진력을 산정할 수 있다.
학습목표
• 지진 발생시의 교량 동적거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지진력과 교량의 특성에 맞는
지진 해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내진설계 기본개념

1. 지진에 대비하여 안전하게 교량을 설계하고, 지진 발생시 교량이 받을 수 있는 피해의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2. 기본개념

(1) 내진설계의 설계수준 개념은 기능수행 수준과 붕괴방지 수준이 있으며, 도로교 설
계기준의 내진 1등급은 붕괴방지수준 재현주기 1,000년, 내진 2등급은 붕괴방지수
준 재현주기 500년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2) 기능수행 수준

(가) 지진 발생 후에도 도로기능 수행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수준으로 긴급차량 통


행이 가능해야 한다.

(나) 차량과 도로구조물의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 지진으로 인해 도로기능에 장애를 주지 않을 정도의 탄성변형 및 과하지 않은


소성변형이 허용되는 수준이다.

29
(3) 붕괴방지 수준

(가) 도로의 전체 또는 일부가 붕괴되지 않아야 하는 수준으로 단기간에 보수가 가능해야


한다.

(나) 설계지진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다) 도로구조물의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하나 전체적인 붕괴는 불허한다.

(라) 소성변형은 허용하나 취성파괴는 불허한다.

 내진설계 절차

1. 내진설계 흐름도

[그림 2-1] 내진설계 흐름도

30
수행 내용 / 지진하중 규모 산정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국토교통부)

Ÿ 내진설계편람 (한국도로공사)

Ÿ 도로설계편람 (국토교통부)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 (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 (스프레드시트, 아래한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Ÿ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교량의 구조계획 및 내진기준을 검토한다.

1. 지진하중의 규모를 산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행절차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량 형식과


지간 구성, 교각의 형태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좀 더 이해가 용이하도록
수행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2. 교량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계획을 결정한다.

(1) 교량형식 : 강상자형교

(2) 교량 연장 : L = 40 + 50 +40 = 130m

(3) 교각 형상 : T형 교각

3. 내진해석에 필요한 기본적인 계수값을 결정한다.

(1) 가속도 계수

(가) 교량이 위치할 부지에 대한 지진지반 운동의 가속도계수 A는 내진 등급별 설

31
계 지진의 재현주기에 해당되는 위험도 계수를 지진구역에 따른 지진구역 계수
에 곱하여 계산한다.
A=Ⅰ・Z 여기서, Ⅰ : 위험도 계수, Z : 지진구역계수

(나) 위험도 계수 (I) : 평균재현 주기별 최대유효지반 가속도의 비


<표 2-1> 위험도 계수

재현주기 (년) 500 1,000


위험도 계수 (Ⅰ) 10 14

(다) 지진구역 계수 (Z) : 재현주기 500년에 해당


<표 2-2> 지진구역 계수

지 진 지진구역
행 정 구 역
구 역 계수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Ⅰ 0.11
경기도, 강원도남부,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

Ⅱ 도 강원도 북부, 전라남도 남서부, 제주특별자치도 0.07

(2) 내진등급과 설계지진수준

(가) 교량의 내진등급은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서 내진Ⅰ등급과 내진Ⅱ등급으로 분류


한다. 단, 교량의 관할기관에서 교량의 내진등급을 별도로 정할 수 있다.

(나) 교량은 내진등급별로 규정된 평균재현 주기를 갖는 설계지진에 대하여 설계되


어야 한다.

(다) 도로교의 내진등급과 설계지진


<표 2-3> 내진등급 및 설계지진수준

설계지진의
내진등급 교 량
평균재현 주기

-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특별시도, 광역시도 또는


일반 국도상의 교량
- 지방도, 시도 및 군도 중지역의 방재 계획상 필요한
내진Ⅰ등급교 1000년
도로에 건설된 교량, 해당 도로의 일일계획교통량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중요한 교량
- 내진Ⅰ등급교가 건설되는 도로 위를 넘어가는 고가교량

내진Ⅱ등급교 - 내진Ⅰ등급교에 속하지 않는 교량 500년

32
(3) 지반의 분류

(가) 지반의 영향은 교량의 지진 하중을 결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한다.

(나) 지반계수 (S)


<표 2-4> 지반계수

지반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지반계수

Ⅰ 경암지반, 보통암지반 1.0

Ⅱ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1.2

Ⅲ 단단한 토사지반 1.5

Ⅳ 연약한 토사지반 2.0

Ⅴ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다) 지반 종류Ⅴ는 부지의 특성 조사가 요구되는 다음 경우에 속하는 지반으로서,


전문가가 작성한 부지종속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하여야 한다.
1) 액상화가 일어날 수 있는 흙, 퀵클레이와 매우 민감한 점토, 붕괴될 정도로 결합력
이 약한 붕괴성 흙과 같이 지진 하중 작용시 잠재적인 파괴나 붕괴에 취약한 지반
2) 이탄 또는 유기성이 매우 높은 점토 지반
3) 매우 높은 소성을 갖은 점토 지반
4) 층이 매우 두꺼우며 연약하거나 중간 정도로 단단한 점토

(4) 응답 수정 계수

(가) 응답수정계수(R)는 하부구조의 연성능력과 여용력을 고려하여 기둥 또는 교각


에 설계지진력에 의한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으로 탄성해석에 의한
설계 단면력과 소성해석에 의한 설계 단면력의 비를 가정한 것이다.

(나) 응답수정계수(R)은 하부구조의 양 직교축방향에 대해 모두 적용한다.

(다) 응답수정계수 (R)


<표 2-5> 응답수정계수

하부구조 R 연결부분 R
벽식교각 2 상부구조와 교대 0.8
철근 콘크리트 말뚝 가구(Bent)
상부구조의 한 지간내의
1. 수직말뚝만 사용한 경우 3 0.8
신축이음
2. 한 개 이상의 경사말뚝을 사용한 경우 2
기둥, 교각 또는 말뚝
단일 기둥 3 1.0
가구와 캡빔 또는 상부구조
강재 또는 합성강재와 콘크리트 말뚝가구
1. 수직말뚝만 사용한 경우 5
기둥 또는 교각과 기초 1.0
2. 한 개 이상의 경사말뚝을 사용한 경우 3
다주 가구 5

33
4. 설계단면을 결정한다.

(1) 상부 횡단면도 및 하부 일반도를 계획한다.

(2) 하부구조(교각)의 단면계수를 산정한다.

(가) 코핑 상부, 코핑 하부, 기둥별로 단면적(A), 단면2차 모멘트(Iz, Iy)를 산출한다.

(3) 상부하중을 산정한다.

(가) 슬래브, 방호벽, 포장 등의 모든 중량을 산정한다.

(나) 강재주형의 하중은 보강재 등을 고려하여 표준단면의 중량에 25%를 할증한다.

(다) Cross Beam의 하중은 전체 횡 빔 중량에 교량연장을 나누어 단위길이당 중량


으로 산출한다.

(4) 하부(교각) 하중을 산정한다.

(가) 코핑부, 기둥부 중량을 산출한다.

(나) 지진거동에 영향을 주는 연직중량 = 상부중량 + 코핑중량 + 1/2 기둥중량

 개략적 해석을 통하여 예비내진 설계를 수행한다.

[그림 2-2] 이상화된 단자유 운동

1. 교각의 강성을 산정한다.

(1) 코핑 강성

K 1 = 3 ․ Eh 1․3 I 1
여기서, I1 : 코핑의 단면2차모멘트, h1 : 코핑의 높이

(2) 기둥 강성

K 2 = 3 ․ Eh 2․3 I 2
여기서, I2 : 기둥의 단면2차모멘트,

h2 : 기둥의 높이 (코핑 + 기둥 + 기초높이)

34
(3) 교각 강성

K total = KK 11 ․+ KK 22
2. 교각의 주기을 산정한다.

T = 2π gW․TK
여기서, WT : 교량의 전체중량, g : 중력 가속도

3. 탄성지진 응답계수(CS)을 산정한다.

(1) 탄성지진 응답계수란 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에서 등가정적 지진하중을 구하기 위한


무차원량을 말한다.

(2) 탄성지진 응답계수

C sm = 1.2T A2/3 S ≺2.5 A


여기서, A : 가속도 계수, S : 지반 계수

4. 교각에 작용하는 하중을 산정한다.

(1) 교각 상단 수평력

VPIER = 1m당 교량의 평균하중 x 교량전체 길이 x 탄성지진응답계수

(2) 교각 받침의 수평력

VSHOE = 교각 상단 수평력 / 받침 갯수

(3) 교각 하단의 모멘트

MPIER = 교각 상단 수평력 x 기둥 길이 (코핑 + 기둥)

(4) 지진시 교축방향 변위

δ = V KPIER
5. 예비설계 및 해석방법을 검토한다.

(1) 예비설계 결과 기둥 단면 및 교좌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면


변화없이 상세설계를 수행한다.

(2) 고정점의 위치는 온도 신축에 의한 2차 부재력 발생의 최소화를 위하여 질량 중심


점 중앙부와 인접한 교각에 고정점을 계획한다.

(3) 교량의 경간비가 대칭이고 교각이 높지 않으면 단일모드 응답스펙트럼으로 수행한다.

35
 내진해석 방법 결정과 내진해석을 수행한다.

1. 내진해석 방법을 결정한다.

(1) 교량의 지진해석방법은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정밀한 해석을 요한다고 판단되는 교량에 대해서는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법 또는
공인된 엄밀한 해석법을 사용할 수 있다

(3) 내진해석 방법의 종류

<표 2-6> 내진해석 방법의 종류

해석방법 주 요 특 성

구조물의 형상이 단순하여 기본모드가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대표할 수 있

단 는 경우
일 교량의 기본 주기로부터 탄성지진력 및 변위를 예측
모 쉽게 적용 가능한 간략한 해석법이며 수계산이 가능
응 드 형상이 단순한 단순교나 연속교에 적용 가능
답 일반적으로 다른 해석법에 비해 응답값이 크게 산정됨


트 기본모드 이외의 모드들이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대한 기여도가 큰 경우에

사용

석 다 여러개의 진동모드가 구조물 전체의 거동에 기여
법 중 선형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
모 시간이력해석법에 비해 시간과 노력을 적게 들이고도 정밀한 해석 결과를 얻을
드 수 있음
기하학적인 형상이 복잡하여 직교좌표축으로 모드를 분리하기 힘든 교량
에 대해서는 적절한 응답값을 기대하기 어려움

하중의 지속기간이 짧을 경우
모드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Coupling 모드가 나타나기 쉬운 경우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어 비선형 해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
시간
입력데이터로 실측된 지진파형이나 인공파형이 필요
이력
선형 혹은 비선형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
해석법
예상되는 지반운동을 정확히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지진기록이
나 합성된 지진기록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해석 및 결과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

36
2. 구조물의 모델링을 계획한다.

(1) 상부 주형의 개수만큼을 보요소로 모델링하고 집중질량의 관성효과를 적절하게 분


배시키기 위해 횡빔이 위치하는 부분에도 절점을 분할하여 모델링한다.

(2) 상부구조의 도심과 주형하단까지는 강절(Rigid)요소로, 교량받침은 배치상태를 고려


한 자유도를 설정하여 모델링한다.

(3) 코핑은 실제 단면과 동일하게 변단면으로 모델링하여 코핑의 강성도 고려한 모델링
을 한다.

[그림 2-3] 전체 모델링 (예시)

3. 단일모드 스펙트럼으로 해석한다.

(1) 상부 슬래브에 단위 길이당 1tonf/m의 등분포 하중을 재하하여 변위를 구한다.

(2) 위에서 구한 변위를 이용하여 탄성지진력을 산출한다.

(3) 하부 교각의 질량에 의한 지진력은 코핑 상단에 집중질량으로 재하한다.

(4) 탄성 지진력 산정

(가) 단위하중에 의한 정적 처짐 υs(x) 계산


υs(x) = P0 x L / K교각
여기서, K교각의 강성 = 3EI / H3, P0 = 1.0t/m, L = 교량연장
(나) α, β, γ의 계산
α= ∫υs(x) dx = υs(x) x L
β= ∫ω(x) ․ υs(x) dx = ω(x) x υs(x) x L
γ= ∫ω(x) ․ υs(x)2 dx = ω(x) x υs(x)2 x L
여기서, ω(x) = 상부구조 1m당 중량(t/m)
(다) 교량의 주기 계산
T = 2πx √( γ/ P0 ․ g ․ α)

37
여기서, g : 중력가속도, 9.81 m/sec2 ,
P0 : 단위하중(힘/단위길이)
(5) 탄성지진응답계수 Cs 계산
Cs = 1.2 ․ A ․ S / T2/3 ≤ 2.5A
여기서, A : 가속도계수, S : 지반계수
(6) 등가 정적지진하중 Pe 계산
Pe = β․ Cs ․ ω(x) ․ υs(x) / γ

 직교 지진력을 조합한다

1. 교량의 모든 부재는 자중 및 부속시설물을 고려한 연직방향 고정하중과 수평방향 지진


력이 조합된 설계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2. 부재의 각각의 주축에 대한 설계 지진력은 다음과 같이 조합하여 사용한다

(1) 하중 경우 1 : 종방향축의 해석으로부터 탄성지진력에 횡방향축의 해석으로부터 구


한 탄성지진력(절대값)의 30%를 합한 경우

- 1.0 x |종방향 해석에 의한 단면력| + 0.3 x |횡방향 해석에 의한 단면력|

(2) 하중 경우 2 : 횡방향축의 해석으로부터 탄성지진력에 종방향축의 해석으로부터 구


한 탄성지진력(절대값)의 30%를 합한 경우

- 0.3 x |종방향 해석에 의한 단면력| + 1.0 x |횡방향 해석에 의한 단면력|

 구조부재 및 연결부의 설계지진력을 산정한다

1. 적용대상 부재을 결정한다.

(1) 상부구조, 상부구조의 신축이음 및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상단 사이의 연결부

(2) 하부구조 상단으로부터 기둥이나 교각의 하단부까지

(3) 상부구조와 교대의 연결요소

2. 위의 대상으로 한 부재의 설계 지진력은  직교 지진력의 조합에서 구한 탄성지진력


을 응답수정계수 R로 나눈 값으로 한다.
- 설계 지진력 = 탄성지진력 / R (응답수정계수)

3. 설계 지진력이 포함된 하중조합은 전체 하중조합과 함께 사용해야 하며 각 요소에 대한


최대하중은 아래의 식으로부터 구한다.
- 최대하중 : 1.0 (D + B + F + H + EF)

여기서, D=고정하중, B=부력, F=유체압, H=횡토압, EF=설계 지진력

38
4. 허용응력 설계법을 사용할 경우 강구조물은 1.5,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1.33의 허용응
력 증가계수를 사용할 수 있다.

 기초부의 설계지진력을 산정한다

1. 확대기초, 말뚝머리 및 말뚝을 포함하는 기초의 설계지진력은 직교 지진력의 조합에서


구한 탄성 지진력을 응답수정계수 R의 1/2로 나눈 값으로 한다.

(1) 설계 지진력 = 탄성지진력 / (0.5R)

2. 단, 말뚝가구인 경우에는 탄성지진력에 응답수정계수 R로 나눈 값으로 한다.

3. 설계 지진력이 포함된 하중조합은 전체 하중조합과 함께 사용해야 하며 각 요소에 대한


최대하중은 아래의 식으로부터 구한다.
- 최대하중 : 1.0 (D + B + F + H + EF)

여기서, D=고정하중, B=부력, F=유체압, H=횡토압, EF=설계 지진력

 설계지진력에 의한 발생변위를 검토한다

1. 최소받침 지지길이는 모든 거더의 단부에서 확보하여야 한다.

2. 낙교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받침 지지길이의 확보가 어렵거나 낙교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서는 변위 구속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9
2-2 지진력 저감방안 및 구조단면 해석
• 지진 발생 시 교량 하부구조에 가해지는 지진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지진력 저감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학습목표
• 설계지진력에 대해 교량의 안전을 보장하는 구조형식으로 단면이 적정하게 설계되어 있
는지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진력 저감방안의 기본개념

1. 교량의 내진설계는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대하여 각 구조부재가 저항하여 전체적인 교량


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으로 크게 두 가지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고유주기의 변화에 의한 방법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길어지게 하는 방법은 응답변위(Displacement Response)를 증가
시키는 대신에 응답가속도(Acceleration Response)를 현저히 감소시켜 지진력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 있으며, 이 경우 과도한 변위에 의한 사용성 확보 및 낙교나 이탈방지
를 위한 대비가 강구되어야 한다.

(2) 인위적인 감쇠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구조물의 감쇠율을 증가시켜 응답변위와 응답가속도(Acceleration Response)를 동시에
감쇠시켜 지진력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으로 감쇠장치(Damper)의 효과가 구조해석에
의해 확실히 검증되는 경우에 적용되며 감쇠 장치 자체의 사용성, 내구성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수행 내용 / 지진력 저감 및 안정성 확보방안 수립하기

재료·자료

Ÿ 내진설계편람 (한국도로공사)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한국지반공학회)

40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Ÿ 학회 논문 및 기술검토자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 (프린터,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 (스프레드시트, 아래한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고정단 사용방식에 따른 내진성능 확보 방안을 검토한다.

1. 1점 고정단 사용시 특성을 이해한다.

(1) 교량상에 고정단을 1개의 교각에만 두는 경우이다.

(2) 교량이 긴 경우에는 지진에 의한 수평력이 고정단 교각 1개소에 집중되므로 교각


및 기초가 비대해져 공사비 증가의 요인이 된다.

(3) 연장이 짧은 교량에 적용성이 우수하다.

(4) 고정단 교량받침으로 지진에 의한 수평력을 지지하지 못할 경우 전단키(Shear Key)


를 설치하여 수평력을 지지할 수 있다.

2. 다점 고정단 사용시 특성을 이해한다.

(1) 고정단 1개소로 지진수평력을 저항하지 못하는 경우 다점 고정단을 적용할 수 있다.

(2) 다점고정인 경우는 고정점간에 온도, 크리프나 건조수축의 영향으로 수평력이 발생


하는데 이때 교각의 높이가 작으면 교각기둥 하단에 큰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3) 이와같은 이유로 다점 고정단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강성을 갖는 장대교각에서 주로


적용이 된다.

3. 평상시는 1점 고정단, 지진시는 다점 고정단 사용시 특성을 이해한다.

(1) 이를 위해서는 온도나 크리프, 건조수축 등의 천천히 발생하는 변위에는 저항하지


않지만 지진같은 충격에는 고정단 역할을 하는 충격전달장치 (STU, Shock
Transmission Units)를 적용할 수 있다.

(2) 기본적으로 지진시에는 개수가 많아져 주기가 짧아지므로 1점 고정단 지지보다 전


체 지진력은 커지므로 지진력 분산의 효율성은 경제성과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41
4. 상부와 교각을 일체로 계획시 특성을 이해한다.

(1) 다점고정단을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 개념으로서 높이가 높은 장대교각에서 주로


적용 가능하며 교량의 시공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주기나 감쇠조절방안에 따른 지진력 저감방안을 검토한다.

1. 지진격리받침 사용시 특성을 이해한다.

(1) 기초로부터 전달되는 지진력을 상부까지의 전달 경로를 분리하는 받침으로 받침의


고유기능에 주로 이력감쇠(Hysteresis Damping)나 마찰감쇠(Frictional Damping) 기능이
추가된 받침이다.

(2) 대표적인 받침으로는 탄성고무받침, 납삽입 고무받침, 고감쇠 고무받침, 기타 마찰


판을 이용한 받침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외부 감쇠장치(Damper)의 종류를 검토한다.

(1) 구조물의 진동응답을 줄이기 위해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에 들어오는 에너지를 흡수


하는 장치로 받침과 별도로 설치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가) 이력 감쇠기(Hysteresis Damper)

(나) 점성 감쇠기(Viscous Damper)

(다) 마찰 감쇠기(Frictional Damper) 또는 동조질량 감쇠장치(Tuned Mass Damper)

(라) 동조액체 감쇠장치(Tuned Liquid Damper)

(마) 능동질량 감쇠장치(Active Mass Damper)

(바) Hybrid 감쇠기(HMD = TMD + AMD)

 낙교방지를 위한 교대부 최소받침 지지길이를 검토한다.

1. 교량의 단부 부분에 있어서 지진시의 낙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진설계시 최소 받침지


지길이 N(mm)은 다음 값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N = ( 200 + 167 x L + 666 x H ) x ( 1 + 0000125 x θ2 ) (mm)
여기서, L : 인접 신축이음부까지 또는 교량단부까지의 거리(m)
H : 다음 각 경우의 평균높이(m)
교대 - 인접신축이음부의 교량상부를 지지하는 기둥의 평균높이
기둥 또는 교각 - 기둥 또는 교각의 평균높이
지간 내의 힌지 - 인접하는 양측 기둥 또는 교각의 평균높이

42
θ: 받침선과 교축직각방향의 사이각(도)

[그림 2-4] 최소받침 지지길이 규정에 관한 치수

 상부구조의 여유간격을 검토한다.

1. 지진시에 교량과 교대 혹은 인접하는 교량간의 충돌에 의한 주요구조 부재의 손상을 방


지하고, 설계시 고려된 내진성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량의 단부
에는 [그림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유간격을 설치한다.

2. 교량의 여유간격은 아래의 값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Δli = d + Δls + Δlc + 0.4Δlt


여기서, Δli : 교량의 여유간격 (mm)
d : 지반에 대한 상부구조의 총변위(di + dsub) (mm)
Δls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이동량(mm)
Δlc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이동량(mm)
Δlt : 온도변화로 인한 이동량 (mm)

[그림 2-5] 교량의 여유간격

 신축이음부 유간을 검토한다.

1. 교대의 흉벽전면과 주형단부 사이의 유간은 상시의 신축이동량을 고려하여 유간을 검토한다.

2. 지진시에는 신축이음장치가 파괴되어도 인명 피해의 영향이 적고 보수가 가능하므로 파


괴를 허용하는 것으로 본다.

3. 신축이음부 유간은 지진시의 최대 탄성변위 또는 독립식 교대의 예상 변위(250A mm)


이상으로 설계한다.

43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축방향 철근에 관한 규정을 검토한다.

1. 소성힌지에서의 심부구속 횡방향 철근 배치를 검토한다.

(1) 원형기둥의 나선 철근비

 Ag  f
Ÿ s   ·    · 
ck
------------------------------ A
 Ac  fy

f ck
Ÿ s   ·  -------------------------------------- B
fy

(2) 사각기둥의 띠철근량

f  Ag 
Ÿ A sh   · a · h c ·      -------------------------- A
ck
f y  Ac 

ckf
Ÿ A sh   · a · h c ·  --------------------------------- B
fy
A, B 중 큰 값으로 한다
여기서 , a : 띠철근의 수직간격, 최대 150mm
Ac : 기둥 심부의 면적(㎟)
Ag : 기둥의 총단면적(㎟)
Ash : 수직간격이 a 이고, 심부의 단면치수가 hc인 단면을 가로지르는 보강띠
철근(cross ties)을 포함하는 횡방향 철근의 총 단면적(㎟)
hc : 띠철근 기둥의 고려하는 방향으로 심부의 단면 치수(mm)
ρs : 콘크리트 심부 전체의 부피에 대한 나선철근의 부피의 비

2. 횡방향 철근의 배근범위를 검토한다.

(1) 심부구속을 위한 횡방향 철근은 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며 설치구간은 기둥의
최대 단면치수, 기둥 순높이의 1/6, 450mm 중 가장 큰 값 이상이어야 한다.

(2) 횡방향 철근은 인접부재와의 연결면으로부터 기둥 치수의 0.5배까지 연장해서 설치


해야 하나 그 길이가 380mm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3) 철근의 최대 중심 간격은 부재 최소 단면치수의 1/4 또는 축방향 철근지름의 6배


중 작은 값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44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내진설계의 기본개념과 전반적인 내진설계의 절차를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높인다

•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지진피해 사례를 예를 들어 내진설계의 중요도와 지진시 구조물의


붕괴방지 수준을 설명하고 학습자에게 내진설계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

• 교량이 위치할 지역에 따른 각종 계수를 결정하고 내진등급과 설계지진수준을 이해시켜 지진하


중 규모를 적정하게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 교량의 형상에 따른 지진해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여러종류의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해시켜
효율적인 내진해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지진발생시 교량의 동적거동을 이해하고 교량의 특성에 따른 지진력 저감방안 및 내진성능


확보방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설계 지진력에 대한 각종 부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세부규정을 숙지하고 구조단면이 적정하


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각종 설계 기준 및 내진설계와 관련된 지침 등을 이해하고 교량 형식별로 내진설계 예제집을


제시하여 전반적인 내진해석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행당 전산 프로그램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숙지하고 전산해석시 적절한


구조모델링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내진해석 결과를 상, 하부 구조계산시에 적용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 내진해석과 밀접한 상, 하부 구조의 연결장치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구조단면 해석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45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에 따른 지역별 지진하중의 규모를 기초로 하


여 해당 교량에 적용할 지진하중의 규모와 설계 지진
지진하중 규모 력을 산정할 수 있다.
및 지진해석
방법 결정 - 지진 발생 시의 교량 동적거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 설계지진력과 교량의 특성에 맞는 지진 해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지진 발생 시 교량 하부구조에 가해지는 지진력이 최


지진력 저감방안 소화 될 수 있는 지진력 저감방안을 작성할 수 있다.
및 구조단면
해석 - 설계지진력에 대해 교량의 안전을 보장하는 구조형식으
로 단면이 적정하게 설계되어 있는지 검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진하중 규모 - 지진관련 계수 및 지진하중 규모 산출 능력


및 지진해석
방법 결정 - 교각의 강성과 주기를 이용한 설계지진력 산출 능력

- 교량의 내진성능 확보 방안에 대한 이해도


지진력 저감방안
및 구조단면 - 교량의 지진력 저감방안에 대한 이해도
해석
- 교각기둥의 축방향 철근에 관한 규정 이해도

46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진하중 규모 및 - 내진 해석에 필요한 단계별 절차에 대한 이해도


지진해석 방법
결정 - 내진해석의 종류와 해석방법에 대한 이해도

지진력 저감방안 - 교대부 최소받침 지지길이 산정방법에 대한 이해도


및 구조단면
해석 - 교량의 여유간격 산정방법에 대한 이해도

피드백

1.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평가자 질문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47
학습 1 교량 상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1)
학습 2 교량 내진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2)

교량 하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


학습 3
(LM1402010406_14v2.3)

학습 4 교량 부대시설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4)

3-1. 설계기준 및 구조 해석방법 결정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학습목표 검토할 수 있다.
• 교량 하부구조의 형식별 특성과 가설공법을 고려한 구조해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부구조 해석의 기본개념

1. 교량의 하부구조는 일반적으로 시・종점부의 교대와 중앙부의 교각으로 이루어진다.

2. 상부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을 통하여 하부에 전달되며 최근에는 다


양한 교량 받침이 개발되어 하부구조의 최적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설계자는
교량받침의 특징 및 적용성에 대하여 숙지하여야 한다.

 하부구조 각부 명칭

[그림 3-1] 교대의 각부 명칭 [그림 3-2] 교각의 각부 명칭

48
1. 교대의 각부 명칭

(1) 흉벽부 : 교좌부 위쪽의 배면 토압과 표면 재하중을 지지하는 부분

(2) 교좌부 : 상부의 하중을 받는 교좌장치가 놓이는 부분

(3) 구체부 : 교대의 구체로서 상부하중과 배면 토압을 지지하는 부분

(4) 기초부 : 교대가 받는 모든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는 부분

(5) 날개벽 : 토압과 재하하중을 지지하는 부분

2. 교각의 각부 명칭

(1) 코핑부 : 상부의 하중을 받는 교좌장치가 놓이는 부분

(2) 기둥부 : 상부하중을 기초부로 전달하는 부분

(3) 기초부 : 교각이 받는 모든 하중을 기초에 전달하는 부분

 교량 하부구조 해석흐름도

1. 아래의 흐름도는 일반적인 교대와 교각의 해석을 위한 설계 흐름도이며 단면가정, 설계


조건, 단면검토 등을 통하여 구조해석을 완료하게 된다.

2. 하부구조 해석 흐름도

[그림 3-3] 교대설계 흐름도 [그림 3-4] 교각설계 흐름도

49
수행 내용 /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 방법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교통부)

Ÿ 도로교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캐드 S/W,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하부구조의 사용재료 및 강도를 결정한다.

1. 콘크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는 [도로교 설계기준 2.3.2.2]의 규정을 만족해야 하며, 설


계 및 시공의 경험상 하부 구조의 경우 다음 값을 표준으로 한다.

(1) 단위 중량 : γc = 2.5 ton/m3, 압축 강도 : fck = 270 kgf/cm2

2. 철 근 (SD 40)

(1) 항복 강도 : fy = 4,000 kgf/cm2

 지반의 조건을 결정한다.

1. 뒷채움재의 조건(교대인 경우)을 결정한다.

(1) 교대의 뒷채움 흙의 경우 양질의 채움재로 채운 후 다짐을 원칙으로 하며, 흙의 단


위 중량은 성토시 모래 및 자갈 지반의 경우로 할 수 있다.

(2) 뒷채움재의 단위 중량 : γt = 2.0 ton/m3 (흙의 종류에 따라 변동 가능)

(3) 뒷채움재의 전단 저항각 : Φ = 35° (흙의 종류에 따라 변동 가능)

50
2. 기초 저면의 조건(활동의 조건)을 결정한다.

(1) 기초 저면에 있어서 토압에 의하여 기초 저면에 전단력이 발생한다.

(2) 기초 저면에 발생하는 허용 전단력은 기초가 수평으로 활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


평력을 지반에 전달하도록 충분히 지지지반에 관입시켜야 한다.

(3) 기초저면과 지반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저항력(tonf)


Hu = CbA ' + V tanΦb
여기서, Cb : 기초저면과 지반과의 부착력( tonf/m2)
Φb : 기초저면과 지반과의 마찰각(degree)
A' : 기초저면의 유효 재하면적(m2)
V : 기초저면에 작용하는 연직하중(tonf), 다만 부력을 뺀 값으로 한다.
<표 3-1> 마찰각과 부착력

조 건 마 찰 각 Φb 부 착 력
흙과 콘크리트 Φb = (2/3) Φ Cb = 0
흙과 콘크리트 사이에
율석을 부설하는 경우 tanΦb = 0.6, Φb = Φ 중 작은값 Cb = 0

암과 콘크리트 tanΦb = 0.6 Cb = 0


흙과 흙 또는 암과 암 Φb = Φ Cb = C

3. 근입지반의 조건(지지력의 조건)을 결정한다.

(1) 지반의 허용연직 지지력은 하중의 편심, 경사, 지반조건, 지층조건 및 기초의 침하
량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2) 직접기초의 지지력은 [도로교 설계기준 5.6.4]의 규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3) 지반의 극한지지력에 대해 안전율은 평상시 3과 지진시 2를 확보하야야 한다.

 지진시 교대에 발생하는 토압을 구하기 위한 지진계수를 산정한다.

1. 독립식 교대가 예상 변위의 허용 변위량을 확보하고 교대가 영구 변위를 허용한 경우의


진도 계수는 다음과 같다.

2. 변위를 허용한 교대(250Amm)일 때 Kh = A/2 이다.

3. 타이백이나 경사 말뚝에 의해 수평이동이 구속된 교대에서는 흙의 강도를 발휘하기 위


해 충분히 변위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뒷채움 흙의 관성력으로 인한 수평토압이
Mononobe-Okabe 공식에 의한 값보다 크므로 최대지반 가속도(A)와 함께 안전율 1.5를
사용하여 Kh = 1.5A를 사용 한다.

51
 교대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구하기 위해 토압계수를 산정 한다.

1. 토압계수는 평상시 Coulomb의 토압계수를 적용하고 지진시의 토압계수는 Mono-nobe-


Okabe의 토압공식을 사용 한다.

(1) Coulomb의 토압계수(평상시)

cos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sin   · sin  
cos      · cos     

(2) Mono-nobe- Okabe의 토압공식(지진시)

cos        
   
sin    · sin      
cos · cos   · cos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 교각설계에 필요한 해석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1. 해석 모델링 및 하중을 재하한다.

(1) 교각계산 수행을 위해서는 먼저 모델링을 하여야 한다

(2) 해석모델의 절점은 단면력을 정리해야 하는 위치와 단면상수가 변화되는 곳, 그리


고 하중재하 위치를 적절히 나누어야 한다.

(3) 하중의 재하는 하중의 특성에 따라 집중하중 및 분포하중으로 재하한다. 또한, 기둥


과 보의 지점부에 특히 큰 헌치가 있는 경우나 보 부재 또는 기둥 부재의 부재두께
가 매우 큰 경우에는 강역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2. 단면력을 조합한다.

(1) 교각의 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하중조합은 다음과 같다.

(가) 고정하중 + 활하중

(나) 고정하중 + 풍하중

(다) 고정하중 + 활하중 + 온도변화의 영향, 건조수축, 크리프 영향, 프리스트레스의


영향

(라) 고정하중 + 지진의 영향

(2) 교각의 설계에서 작용하는 하중은 고정하중, 활하중, 풍하중, 수압, 지진하중, 온도
하중 등 여러 가지 하중이 있을 수 있으며, 교각지점의 상황에 따라서 각 하중을
시방규정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52
 하부설계에 필요한 기타 설계기준을 숙지한다.

1. 상부구조 반력을 재하한다.

(1) 상부해석을 수행하여 교좌면에 발생하는 상부하중을 하부구조에 적용하여 계산하여


야 한다.

(2) 교대의 경우에는 토압 등 교대의 전폭에 걸쳐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단위 m당 하중


을 산정하므로 받침에 작용하는 상부반력을 고정하중과 활하중으로 구분하여 단위
폭으로 환산하여 작용시킨다.

(3) 교각의 경우는 모델링상에 받침 위치에 해당하는 절점에 상부하중을 재하하여 해석


을 수행한다.
2. 교좌 받침부를 설계한다.

(1) 교좌받침부에 작용하는 마찰계수

(가) 상부하중의 관성력 및 가동받침의 수평력을 산정할 때 가동받침의 마찰계수를


사용하도록 한다.

(나) 고무받침 계열의 받침은 전단변형에 대하여 수평저항을 하지만 겉보기의 정지


마찰계수는 0.15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받침의 수평력은 원칙적으로 고정하중에 정지마찰계


수를 곱한 것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과대한 값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
여야 한다.
<표 3-2> 가동받침의 마찰계수

마찰기구 받침의 종류 마찰 계수

회전 마찰 롤러(roller) 및 로커(rocker)받침 0.05

불소수지 받침판받침 0.10

고력 황동주물받침 0.15
활동 마찰
주철의 선받침 0.20

강재의 선받침 0.25

(2) 교좌장치부 거더 및 공간 확보

(가) 교좌장치의 유지관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교좌장치에 대한 접근관찰의 용


이성 확보와 교좌장치 교체를 위하여 교좌장치부 거더밑 공간을 40cm 확보하
여야 한다.

53
3-2 하중산정 및 단면검토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가설하중, 제약조건 등과 같
은 특별 고려사항을 검토하여 각각의 세부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목표 • 시공 및 공용중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내구수명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교량 하부구조의 각
부재의 단면을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과의 일치성을 확인하여 상이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대의 기본개념

1. 교대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고 도로 성토사면의 토압을 받는 토류 구조물로서 작


용하중은 상부반력과 토압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충분한 구조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2. 교대의 단면 가정 중 교량 기능상 결정되는 교좌면 길이는 설계기준에 의해 결정되고,


흉벽의 높이는 교량의 상부구조와 교량 받침의 높이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최소여유높
이(400mm)에 의해 결정된다.

3. 흉벽의 두께는 신축이음의 형식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와 외부하중(토압, 윤하중 등)에


의해 결정하고 벽체 두께는 배면의 토압과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4. 교대의 구성은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교좌부, 상부거더 설치를 위한 흉벽부와 벽체 및 날


개벽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부재별 작용하중과 설계기준을 만족하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5. 교대부 검토 항목

(1) 교좌부 검토

(가) 받침 검토 : 용량 검토

(나) 연단거리 검토

(다) 받침지지길이 검토

(2) 흉벽 검토 : 토압, 윤하중 고려

(3) 벽체 검토 : 토압 고려

(4) 기초(전도, 활동, 지지력) 검토

[그림 3-5] 교대부 검토 항목 (5) 날개벽 검토 : 토압 고려

(6) 접속슬래브 검토 : 활하중 고려

54
 교각의 기본개념

1. 교각는 2경간 이상의 교량에 설치되며 주하중으로는 상부반력과, 풍하중 등이 있으며


내진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2. 교각은 코핑, 기둥 및 기초의 단면 검토를 수행하여야 하며 코핑과 기둥은 교량의 폭원


및 상부 하중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검토가 가능하며 기초는 교량전체 하중을 기반
에 전달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3. 교각부 검토 항목

(1) 교좌부 검토

(가) 받침 검토 : 용량 검토

(나) 연단거리 검토

(다) 받침지지길이 검토

(2) 코핑 검토 : 코벨 혹은 Deep Beam 검토

(3) 기둥 검토 : 소성 및 탄성설계
[그림 3-6] 교각부 검토 항목 (4) 기초 검토 : 지지력 및 단면 검토

수행 내용1 / 교대 하중산정 및 단면 검토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Ÿ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한국강구조학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55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캐드 S/W,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교대에 작용하는 설계력을 산정한다.

1. 교대 구체와 뒷채움 자중 및 관성력을 산정한다.

(1) 교대 구체와 뒷채움의 자중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구하며, 단위면적당 하중을 산정


하기 때문에 각각의 면적에 구체는 콘크리트 단위중량, 뒤채움은 흙의 단위중량을
곱하여 산정한다.

(2) 지진시에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관성력은 교대구체 및 뒷채움 자중에 지진계수(Kh)


를 곱하여 산정한다.

2. 고정단 및 가동단의 상부하중에 대한 관성력을 산정한다.

(1) 고정단 및 가동단의 상부하중에 대한 관성력은 교대의 경사를 고려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그림 3-7] 경사교대의 지진시 수평력

(2) 고정단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수평력

FF = Wd ・ Kh - ∑FM1

(3) 가동단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수평력

FM = FM1 + FM2

여기서, FM1 = R ・ Kh ・ cos2θ

FM2 = R ・ Kh ・ cos2θ ( Kh ・ sinθ ≤ fs 일때)

= R ・ fs ・ sin2θ ( Kh ・ sinθ > fs 일때)

56
3. 상시, 지진시의 토압을 계산한다.

(1) 상시 토압은 삼각형 분포로 교대 밑면으로부터 H/3 위치에 작용한다.

(2) 지진시 토압의 경우 상시 토압의 분력은 교대 밑면으로부터 H/3에 작용하고 추가적


인 동적 영향이 0.6H의 높이에 작용한다고 가정하여 토압의 분력 위치를 구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토압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고 그 높이는 H/2로 가정한다.

(3) 토압의 작용면은 다음 규정에 의한다.

(가) 뒷굽의 내민 길이가 20~30cm 이하로 짧은 반중력식 또는 중력식 교대는 구체


콘크리트 배면으로 한다.

(나) 역T형과 부벽식 교대의 경우 벽의 단면 계산에서는 구체콘크리트 배면 안정계


산에서는 뒤쪽 연단에서 연직인 가상배면으로 한다.

[그림 3-8] 단면검토시 교대에 작용하는 토압

4. 상부반력에 의한 설계력을 산정한다.

(1) 상부구조에서 계산된 반력값을 교대면 교좌받침상에 연직하중, 수평하중, 모멘트 하


중을 구분하여 재하한다.

 하중집계 및 하중을 조합한다.

1. 에서 구한 하중을 특성별로 하중계수를 곱하여 조합한다.

2. 단면검토시 필요한 하중을 조합한다.

(1) U = 1.3 D + 2.15 (L + i) + 1.7 H + 1.3 Q

(2) U = 1.0 D + 1.0 H + 1.0 Q + 1.0 E

3. 안정검토시 필요한 하중을 조합한다.

(1) U = 1.0 D + 1.0 (L + i) + 1.0 H + 1.0 Q

(2) U = 1.0 D + 1.0 H + 1.0 Q + 1.0 E


여기서, D : 고정하중, L : 활하중, I : 충격계수, H : 토압, Q : 수압, E : 지진하중

57
 교대에 대한 안정검토를 수행한다.

1. 전도에 대한 안정검토를 수행한다.

(1) 기초저면에 대한 하중의 작용위치는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평상시에 대해서는 저


면 폭의 1/6, 지진시에 대해서는 1/3보다 내측에 있어야 한다.

      
   단      
 
여기서, V : 기초저면에 작용하는 전연직력 (tonf)
Mr : 원전 O를 중심으로 하는 전저항 모멘트 (tonf・m)
Mo : 원전 O를 중심으로 하는 전도 모멘트 (tonf・m)

(2) 검토 기준

(가) 평상시 : Xo ≥ B / 3 또는 e ≤ B / 6

(나) 지진시 : Xo ≥ B / 6 또는 e ≤ B / 3

(3) 원점 O를 중심으로 할 때 전도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Mr > Mo 이어야


하며 평상시의 안전율은 2.0배 이상이고 지진시는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안전율 S.F = Mr / Mo ≥ 2.0 (지진시 1.5)

2. 활동에 대한 안정검토를 수행한다.

(1) 직접기초의 전단저항력은 기초 저면과 지반 사이의 점착력 및 마찰력에 의하여 결


정된다.

Hu = CbA ' + V tanΦb

(2) 기초저면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해서, 지반저면에 대한 허용 전단저항력은 평상


시 1.5배이상, 지진시 1.2배 이상의 안전율을 가져야 한다.

안전율 S.F = Hr / Ho ≥ 1.5 (지진시 1.2)

3. 지지력에 대한 안정검토를 수행한다.

(1) 확대기초는 부재로서 필요한 두께를 확보함과 동시에 강체로 취급되는 두께를 원칙
으로 한다. 이 때, 확대기초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될 경우 강체로 하여 지반의 반력
을 구할 수 있다.

(2) 하중의 작용위치가 저면 핵 내에 있는 경우 (사다리꼴 분포)

    ±  
 m ax  m in   ±       단    
     

(3) 하중의 작용위치가 저면 핵 외에 있는 경우 (삼각형 분포)

58
 
 m ax   단, 저면의 작용폭        
 
여기서, V : 기초저면에 작용하는 전연직력 (tonf)
M : 기초저면 도심에 작용하는 모멘트 (tonf・m)
e : 하중의 편심거리 (m), M = V ・ e
B : 기초폭 (m), L : 기초의 길이 (m)

[그림 3-9] 기초저면의 반력도

 각 부재의 단면을 검토한다.

1. 벽체 단면을 검토한다.

(1) 벽체의 단면계산에서는 지진시의 토압을 구체콘크리트 배면에 직접 작용시키고, 뒷


굽의 재하토사의 관성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벽의 확대기초와의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한 캔틸레버보로서 설계한다.

(3) 벽의 하단의 두께는 단면에 작용하는 축력, 휨모멘트 및 전단력으로 정한다

(4) 수평철근 산정

(가) 교대 벽체의 최소 수평철근은 [콘크리트 설계기준 11.3]의 규정에 따른다.


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이상으로서 D16 이하의 이형철근 ------- 0.0020
➁ 기타 이형철근 ------------------------------------------------ 0.0025
➂ 지름 16mm 이하의 용접철망 ------------------------------------ 0.0020

(나) 최소 철근비 규정은 온도 및 건조수축의 최소철근량이 아닌 벽체 평면내에서


수평전단력을 받는 벽체의 최소 전단철근비의 개념으로 교대벽체도 일반벽체와
동일하게 최소전단철근비를 적용한다.

2. 흉벽 단면을 검토한다.

(1) 교대의 흉벽은 윤하중의 충격이나 교대 배변에 작용하는 윤하중 및 토압에 대하여
안전하여야 한다.

59
(2) 교대의 활동, 지진시 경사 들보의 거동 등과 같은 예측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하여야 하며 검토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a
Mp = 11.46Ka ・ ( h - 0.36 )
Sp = 11.46Ka
Ph = 1/2 ・ Ka ・ γ・ h2 ・ cosδ

h
Me = 1/3 ・ Ph ・ h

h/3
여기서, Px: 길이 x에서 윤하중 강도(tonf/m2)
Mp: 윤하중에 의한 휨모멘트(tonf・m/m)
Sp: 윤하중에 의한 전단력(tonf/m)
Ph : 토압(tonf/m) [그림 3-10] 흉벽 하중재하도

γ : 흙의 단위중량(tonf/m2)
δ : 벽배면과 흙 사이의 벽면 마찰각
Ka : Coulomb의 토압에 의한 주동토압계수
h : 흉벽의 높이(m)

3. 기초부 단면을 검토한다.

(1) 기초부의 휨 부재의 최소철근량은 [콘크리트 설계기준 6.3.2(4)]의 규정에 따른다.

(2) 앞굽판의 단면검토 위치

(가) 휨모멘트의 위험단면은 벽체 전면으로 한다.

(나) 전단력의 위험단면은 벽체 전면에서 d 위치한 곳으로 검토한다.

(3) 뒷굽판의 단면검토 위치

(가) 휨모멘트의 위험단면 및 전단력의 위험단면은 벽체 전면으로 한다.

(나) 뒷굽판의 경우 앞굽과는 반대로 뒷굽의 상면에서 인장력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전단의 위험단면은 벽체와의 접합부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4. 날개벽 단면을 검토한다.

(1) 날개벽의 경우 주하중은 토압이며 교대 앞벽과 날개벽이 U자 형상으로 내부를 채운


흙이 활하중에 의해 끊임없이 전압되어 날개벽 접속부에 균열이 발생한 예가 대단
히 많다.

(2) 따라서 날개벽의 토압은 정지토압 이상의 토압발생 가능성이 있어 적어도 정지토압
으로 설계하며 교량 계획에 따라 형상은 아래와 같다.

60
45° 45°

[그림 3-11] 날개벽의 형상

5. 접속슬래브 단면을 검토한다.

(1) 접속슬래브는 차량 주행시 토공구간과 교량구간 이음부의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설


치하며 접속슬래브 길이(교축방향)의 70%를 지간으로 한 단순보로 계산한다.

(2) 접속슬래브의 하중은 고정하중과 윤하중으로 하며 충격계수는 0.3으로 한다.

수행 내용2 / 교각 하중산정 및 단면 검토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Ÿ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한국강구조학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캐드 S/W, 공학용 계산기 등

61
수행 순서

 교각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을 산정한다.

1. 고정하중은 상부 구조로부터의 고정하중 반력과 교각 자중이 있다.

2. 하부 구조의 설계에 사용되는 활하중은 상부 구조로부터의 활하중 반력을 이용하되 구


조물에 가장 불리한 영향을 주도록 재하하여야 한다.

3. 풍하중을 산정한다.

(1)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

(가) 판형교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교량 하나의 교축방향길이 1 m 당 아래표에 표기


한 값으로 한다.
<표 3.-3> 플레이트 거더교의 풍하중(kN/m)

단면 형상 풍 하 중
1 ≤B / D < 8 (4.0 - 0.2 B / D) x D ≥ 6.0
8 ≤B / D 2.4 D ≥ 6.0

여기서, B : 교량 총폭(m), D : 교량 총높이(m)

(2)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

(가) 하부구조에 직접 작용하는 풍하중은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으로 한다. 풍하중의 크기는 풍향방향의 유효연직투영면적에대하여 아래표
의 값으로 한다.
<표 3-4>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풍하중(MPa)

구체의 단면형상 풍 하 중(MPa)


활하중 재하시 0.75 x 103
원형 및 트랙형
활하중 비재하시 1.50 x 103
활하중 재하시 1.50 x 103
각형
활하중 비재하시 3.00 x 103

(3) 활하중에 대한 풍하중

(가) 활하중이 재하 될 때에는 교면상 1.5 m의 위치에서 1,500 N/m의 풍하중이 활하


중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4. 온도하중을 산정한다.

(1) 상부구조의 온도에 의한 변형을 교각 상단에 가했을 때의 교각 변위에 의한 등가하


중과 상부자중에대한 받침의 마찰력 중 작은 값을 사용한다.

5. 수압을 산정한다.

(1) 정수압

62
Ph = 1 x 10-3 ωo ・ h

(2) 유수압
유수방향에 대한 교각의 연직투영 면적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으로 하고 다음 식에 의
하여 산출한다.
<표 3-5> 교각형상 계수

P = K ・ V2 ・ A
여기서, P : 유수압(tonf)
K : 교각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는
계수
V : 최대 유속(m/s)
A : 교각의 연직투영면적(m2)

6. 충돌하중을 산정한다.

(1) 차량충돌

(가) 교각에 대한 방호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노면 위 1,800 mm에서 수평


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각주를 설계한다.

➀ 차도방향에 대해서 : 1,000 kN

➁ 차도직각방향에 대해서 : 500 kN

(2) 유목 등의 충돌

(가) 유목 및 기타의 유송잡물이 충돌할 우려가 있는경우에는 다음 식에 의해 충돌


력을 산출하고 그 작용 높이는 수면으로 한다.

P = 0.1 W
여기서, P : 충돌력 (kN), W : 유송잡물의 중량 (kN), v : 표면유속 (m/s)

7. 원심하중을 산정한다.

(1) 교량의 곡선부는 모든 설계차로에 재하된 DB하중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다음과


같은 원심하중에 의해 설계하여야 한다.


     

여기서, CF : 원심하중으로서 충격을 포함하지 않는 활하중의 백분율
V : 설계 속도 (km/hr), R : 곡선반경 (m)

63
 교각 부재에 대해 설계한다.

1. 캔틸레버부 검토단면을 선정한다.

(1) 캔틸레버부는 전단 경간에 대한 깊이의 비가 1.0 이하인 경우에 대해서는 코벨로서


검토하고, 1.0 이상인 경우는 일반보로서 검토한다.

(2) 가급적 일반보가 되도록 단면을 선정하는 것으로 하여 수평철근 과다배치로 인한


시공성 저하를 예방토록 한다.

(3) 캔틸레버부 철근량 계산은 [콘크리트 설계기준 제6장, 제7장]을 참조하여 평상시 및
지진시에 대한 교량받침에 작용하는 수직력 및 수평력과 코핑의 관성력을 산출하여
이에 견딜 수 있게 주철근 및 수평방향 저항철근을 적절히 배근하여야 한다.

2. 일반보 및 높이가 큰 보인지 검토한다.

(1) 중앙부는 전단경간에 대한 깊이의 비가 5보다 큰 경우는 일반보로서 검토하고, 5보


다 작은 경우는 높이가 큰 보로서 검토한다.

(2) 높이가 큰 보의 경우 최소수평 전단철근의 배근으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일반보가 되도록 단면을 선정하는 것으로 한다.

3. 기둥을 검토한다.

(1) 기둥 단면을 지나치게 크게 설계하면 미관에 불리하고 필요철근보다 최소철근에 의


해 설계되어 비경제적이고, 반대로 작게 할 경우 철근에 의한 강도가 향상되지 않
아 하중을 견디어 낼 수 없으므로 최적 단면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2) 확대모멘트의 계산

(가) 횡방향 상대변위가 방지되어 있지 않는 일반적인 기둥은 k lu / r 의 값이 22를


초과할 경우 확대모멘트를 계산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k : 압:축부재의 유효길이 계수,
lu : 압축부재의 비지지장, r : 회전반지름

(나) 장주효과를 고려해야 하는 압축부재의 기준 및 설계 확대모멘트의 산정시[도로


교 설계기준 P262]를 참조한다.

(3) 소성힌지 검토

(가) 기둥은 지진시 소성여부를 판단하여 소성힌지부 계산을 하여야 한다.

(나) 소성여부 판단은 응답수정계수가 고려되지 않은 지진력을 P-M 상관도로 검토


하여 ψMn 이내일 경우 탄성거동을 하는 것으로 보아 심부구속철근을 배근하
지 않고 이상일 경우는 시방조건에 의해 소성힌지부 설계를 수행한다.

64
(4) 심부구속 철근 및 띠철근량 산정

(가) 원형띠철근은 용접 또는 기계적 정착장치 등으로 정착 및 이음에 대한 거동이


확보된 경우, 나선철근과 동일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원형 띠철근량 계
산은 나선철근량 계산식에 의한다. 나선 또는 원형띠철근을 사용한 경우, 결속
철근은 심부구속철근으로 계산하여서는 안된다.

(나) 띠철근에 대한 심부구속 철근량 계산식은 원래 원형나선철근에서 유도된 식으


로 사각기둥에서만 규정하므로 나선철근의 규정식에 대한 띠철근의 안전율 비
를 고려하여 횡방향 철근의 총단면적 Ash을 구한다.

(다) 심부철근의 최소설치 구간은 기둥 최대단면치수, 기둥 순높이의 1/6 또는 45cm


이상으로 기둥에 배근하여야 하며, 기초에서는 기둥 치수의 0.5배 이상 , 38cm
이상 연장 배근하며 일반 띠철근량은 전단검토를 통하여 산정한다.

4. 기초를 검토한다.

(1) 기초 두께의 가정

(가) 확대기초는 부재로서 필요한 두께를 확보함과 동시에 강체로서 취급되는 두께


를 가져야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휨모멘트의 계산

(가) 설계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 또는 벽 모양의 경우 전면으로 하고, 원형단


면 기둥의 경우는 기둥 외면에서 기둥 지름의 1/10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연직단면으로 한다.

(3) 전단력의 계산

(가) 확대기초에 생기는 콘크리트의 평균전단응력 검토 단면은 아래의 그림과 같으


며 발생응력에 상응한 철근량을 배치하도록 한다

[그림 3-12] 기초부 검토단면

65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부 구조해석의 기본개념과 전반적인 설계의 절차를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하여 해석의 기본적
인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대 및 교각의 형식별 특성 고려한 설계방법 및 구조해석 방법의 기본개념을 이해시키고 세부


수행방법을 학습한다.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제약조건 등을 이해시키고 실 예제를


통하여 하중을 직접 산출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산정된 하중을 이용하여 교량 하부구조의 부재력을 산정 및 단면 검토에 대해 예제를 통하여


직접 산출하도록 학습한다.

• 하부구조 해석시 수행하는 사용성 검토의 개념과 그 종류를 이해시키고 그 세부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하부 구조계산서와 도면의 상호 일치성을 검토의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실제 설계도서를 이용하


여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학습 방법

• 하부 구조해석을 위하여 각종 설계 기준을 이해하고 하부 형식별 예제집을 제시하여 전반적인


하부 설계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해당 전산 프로그램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에 대해 숙지하고 전산해석시 적절한


구조모델링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하부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단면검토 및 사용성 검토를 수행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 구조해석 수행을 위한 전반을 이해하고 타 설계도서와 일치성 여부를 확인 할수 있도록 한다.

66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구조계산서의 기본 설정내용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


설계기준 및 에 따라 세부구조의 적용기준을 검토할 수 있다.
구조해석 방법
결정 - 교량 하부구조의 종류, 형식별 특성을 이해하고 구조해석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 설계기준에 따라 교량의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


과 가설하중, 제약조건 등과 같은 특별 고려사항을 검토
하여 각각의 세부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하중산정 및 - 시공 및 공용중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내구 수명이 유지


단면검토 될 수 있도록 교량 하부구조의 각 부재의 단면을 상세하
게 설정할 수 있다.

- 구조계산서의 결과와 도면과의 일치성을 확인하여 상이


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히부구조 해석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도


설계기준 및
구조해석 방법
- 하부구조의 해석에 필요한 설계기준 및 해석방법에
결정
대한 이해도

- 하부구조 해석을 위한 각종 하중산정 능력


하중산정 및
- 하부구조 안정검토에 대한 이해도와 해석 능력
단면검토
- 하부구조 각 부재에 대한 개념 이해도와 단면검토 능력

67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설계기준 및 - 하부구조 해석을 위한 단계별 절차에 대한 이해도


구조해석 방법
결정 - 하부구조 해석에 필요한 각종 계수 산출에 대한 이해도

- 하부구조의 부재별 검토항목과 검토방법에 대한 이해도

하중산정 및
- 교대 안정검토을 위한 단계별 설계절차에 대한 이해도
단면검토

- 교각 부재 설계에 대한 이해도

피드백

1.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평가자 질문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68
학습 1 교량 상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1)
학습 2 교량 내진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2)
학습 3 교량 하부구조 계산서 작성하기(LM1402010406_14v2.3)

교량 부대시설 계산서 작성하기


학습 4
(LM1402010406_14v2.4)

4-1. 부대시설 설계

• 설계기준에 따른 각종 하중에 대하여 교량받침, 신축이음장치, 가시설 등 부대시설을 계


학습목표
산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받침

1. 개념

(1) 교량 받침은 상부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 구조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기계


장치로서 교량의 내구성, 안정성에 관련된 중요한 구조 요소이다.

(2) 고정하중, 활하중 등에 의해서 상부구조에 발생되는 변위 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


및 크리프에 의해서도 교량의 변위, 변형이 발생하므로 상 ․ 하부 구조를 별개로 한
경우 이들의 접점에 있는 받침은 그 변위를 흡수하는 구조로하거나 변위에 의해 발
생되는 하중에 저항 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2. 종류

(1) 기능상의 분류

(가) 고정 받침 : 수직, 수평 반력은 전달하고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롭다.

(나) 가동 받침 : 수직반력만을 전달하며 수평 및 회전에 대해서는 자유롭다.

(2) 구조상의 분류

(가) 포트 받침 : 현재 강교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 교량받침으로 원형의 밀폐용


기에 고무를 넣고 그 위에 받침판을 얹어 회전 기능과 미끄럼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이다.

69
(나) 탄성 받침 : 고무를 주자재로 사용한 받침으로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재질
로 하여 별도의 다른 부품이 필요없이 설치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형식으로
설치높이가 낮고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설계가 매우 간단하다.
탄성받침은 현재 거의 모든 PSC BEAM 교량에 사용되고 있으며, 내진설계시 지진
력분담 기능으로 최근에는 일반 강교에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다) 스페리칼 받침 : 스페리칼 받침은 수평력이 크게 작용하는 철도교에 주로 많이


적용되는 받침으로 모든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며 수직하중은 필요에 따라
설계가 가능하다.

 신축 이음

1. 개 념

(1) 신축이음 장치는 상부구조의 신축 또는 이동량을 흡수하고 교면 평탄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주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구조에 설치하는 기계적 신축이음(조인트)와
연결장치로 구성된다.

(2) 신축이음은 교축방향으로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 수축에 의한 이


동량과 교량의 회전 변위 및 처짐량, 그리고 구조적으로 필요한 여유량 등을 만족
할 수 있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3) 이에 따라 적합한 신축이음의 종류가 결정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교통량 증가에 따


른 교량 신축 이음부의 내구성, 주행성, 유지관리 편의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2. 종 류

(1) 맞댐식 조인트

(가) 맹 조인트 : 맹 조인트, 절삭 조인트

(나) 맞댐 시공 조인트 : 줄눈판 조인트, 앵글 보강 조인트, 보강 강재 조인트

(다) 맞댐 후시공 조인트 : Cut-Off 조인트, Coupling 조인트, Mono Cell 조인트

Rubber Top 조인트, Gai Top 조인트

(2) 지지식 조인트

(가) 고무 조인트 : 샌드위치 조인트, Transflex 조인트, NB 조인트

(나) 강재 조인트 : 강 핑거 조인트, 강 겹침 조인트, 레일 조인트

(다) 특수 조인트 : 롤러셧터 조인트

70
수행 내용 / 교량받침 및 신축이음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교통부)

Ÿ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Ÿ 도로교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Ÿ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한국강구조학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Ÿ 교량설계용 구조해석 S/W 및 공학용 계산기 등

수행 순서

 교량형식에 따른 교량받침을 선정한다.

1. 교량 형식에 따른 적용받침에 대해 검토한다.

(1) 강교

(가) 강박스거더교 : 포트 받침, 고력황동 받침판받침, 롤러 받침

(나) 플레이트거더교 : 롤러 받침, 포트 받침, 탄성 받침

(다) 프리플렉스거더교 : 탄성 받침

(2) 콘크리트교

(가) PSC 합성거더교 : 탄성 받침, 고력황동 받침판 받침

(나) PSC 박스거더교 : 포트 받침

(다) 슬래브교 : 탄성 받침

71
2. 교량받침 선정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1) 수직 하중, 수평하중, 이동량 및 방향, 회전량 및 방향, 마찰 계수

(2) 상․하부 구조의 형식과 치수, 지점에서의 소요 받침 수

(3) 지반 조건 및 침하 가능성(하부구조), 교량의 총 연장

(4) 받침의 상․하부 구조의 접속부의 보강, 유지 관리

 교량받침의 설계 용량을 검토한다.

1. 교량받침의 설계하중은 지점반력 및 조합 중에서 가장 불리하게 되는 값을 사용하며,


그 외에 특별히 유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수직 반력
동일 선상에 배치된 각 받침의 수직반력은 시공오차와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강성평
가 등 해석상의 오차 등을 고려해서 최소 수직반력은 ΣR / n (ΣR : 동일선상의 각
받침의 수직반력의 합계, n : 받침의 수) 이상으로 한다.

(2) 수평 반력
수직반력과 같은 이유로 해서 지진시 최소 수평반력은 ΣH / n (ΣH : 동일선상의 전
수평반력) 이상으로 한다.

 교량받침의 설계 이동량을 산정한다.

1. 가동 받침은 상부 구조의 온도 변화, 처짐,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 수축, 프리스트


레싱에 의한 부재의 탄성 변형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이동량에 대해서 여유 있는 구조로
해야 한다.

(1) 설계 이동량 = 계산 이동량 + 설치 여유량(±10mm) + 부가 여유량(±20mm)

(2) 계산 이동량 (ΔL) = 온도변화 (ΔLt) + 건조수축 (ΔLs) + 크리프 (ΔLc)

+ 보의 처짐 (ΔLr)

(3)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량

ΔLt = ΔT⋅α⋅ L
여기서, ΔT = 온도변화, α = 선팽창 계수(1.0x10-5), L = 교량의 지간(m)

(4) 건조수축에 의한 이동량

ΔLS = -20 ⋅α⋅ L⋅ β


여기서, β = 건조수축 , 크리프의 저감계수 (0.5)

72
(5) 크리프에 의한 이동량

ΔLC = - Pi / (Ec ⋅ Ac) ⋅ Φ⋅ L⋅β


여기서, Pi =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PS 강재에 작용하는 인장력
Ec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Ac = 콘크리트의 단면적

(6) 활하중에 의한 보의 처짐에 의한 이동량

ΔLr = ∑( hi ⋅ θi )

 상부 형상을 고려하여 교량받침을 배치한다.

1. 받침의 배치는 상부구조물의 재료적 성질이나 교량구조물에 작용되는 다양한 외력들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하중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2. 따라서, 교량 상 ․ 하부구조의 형식이나 치수 등을 고려해서 상부 구조의 하중이 하부


구조로 무리 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 신축이음 선정시 고려사항을 숙지한다

1. 교량형식에 따른 신축이음 종류를 숙지한다.

(1) 같은 종류의 신축 이음이라도 강교에 설치하는 경우와 콘크리트교에 사용하는 경우


에 설치방법에 차이가 있다.

(2) 특히, PSC 합성 거더교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바닥판을 충분히 절단하고 후타설부분
을 두텁게 하여 강결하게 정착해야 한다.

2. 이동량은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며 필요에 따라 활하중, 사


각, 교대의 활동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 내구성 및 주행성 인자에 대해 숙지한다.

(1) 일반적으로 신축이음 장치의 파손은 중차량의 통과 횟수에 좌우되며, 전체 교통량


에 의존하지 않는다.

(2) 따라서, 중차량의 교통량이 많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및 주요 지방도에는 내구성이


큰 신축이음 장치를 선택 할 필요가 있다.

(3) 신축이음 본체의 단차 발생에 의해 주행 성능을 현저하게 떨어뜨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축이음의 내구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4) 특히 강핑거 조인트의 경우, 용접부 용접불량, 정착불량,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거더의회전, 하부구조 침하 등의 원인으로 강판이 위로 솟아올라 차량의 주행

73
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4. 배수성 및 수밀성 인자에 대해 숙지한다.

(1) 배수성 및 수밀성 역시 내구성의 일종으로 생각될 수 있다.

(2) 낙수가 문제가 되는 경우와 신축이음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교량받침에 부식이 문제


가 되는 경우가 있다.

5. 경제성 인자에 대해 숙지한다.

(1) 경제성은 각 신축이음의 제품단가만으로 비교할 수 없다.

(2) 신축이음 장치의 수명은 포장의 수명 정도만 유지하고 일종의 소모품으로 취급 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명과 유지 보수비, 도로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
하여야 한다.

6. 신축이음 이동량 산출 기준 및 종류별 이동량을 숙지한다.


<표 4-1> 상부구조 이동량 산출기준 검토

구 분 도로교설계기준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설계지침

⦁신축장 100 m 이하
기 본 온도신축+건조수축+ 온도신축+건조수축 : 도로설계요령과 동일
이동량 크리프+빔의 회전 +크리프 ⦁신축장 100 m 이상
: 도로교설계기준과 동일
⦁신축장 100 m 이하
설치여유량 : ±10 mm 기본이동량의 20% : 도로설계요령과 동일
여유량
부가여유량 : ±20 mm + 10 mm ⦁신축장 100 m 이상
: 여유량만으로 규정

⦁신축장 100 m 이하
⦁여유량이 정률(20%)
: 도로설계요령과 보통지방기준
⦁빔의 회전고려 과 정량(10 mm)
⦁신축장 100 m 이상
특 징 ⦁여유량이 정량 ⦁보통지방과 한랭지
: 도로교설계기준과 동일하나
(±30 mm) 망
여유량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으로 구분
않음

 신축이음의 신축량을 산정한다.

1. 신축이음장치의 선정과 설계의 기준이 되는 신축량의 계산은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


리프와 건조수축, 교통하중에 의한 지점의 회전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2. 신축량을 계산한다.

74
(1) ΔL = ΔLt + ΔLs + ΔLc + ΔLr + 여유량
여기서, ΔL : 총 신축량
ΔLt :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량
ΔLs : 건조수축에 의한 신축량
ΔLc : 크리프에 의한 신축량
ΔLr : 처짐에 의한 신축량

(2)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량

(가)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량은 최저온도와 최고온도의 차이로부터 게산한다.

(나) ΔLt = (Tmax - Tmin)⋅α⋅ L = ΔT⋅α⋅ L


여기서, ΔT = 온도변화, α = 선팽창 계수(1.0x10-5), L = 교량의 지간(m)
<표 4-2> 온도변화의 범위 및 선팽창계수

온도변화의 범위(℃) 선팽창계수


교 량 형 식
보통 지방 한랭 지방 ⍺(/℃)

상로교 -10 ~ +40 -20 ~ +40 1.2×10-5


강교 하로교
-10 ~ +50 -20 ~ +40 1.2×10-5
강바닥판교

RC, PSC 교 -5 ~ +35 -15 ~ +35 1.0×10-5

대전,구미,대구,부산,강릉, 인천,수원,천안,영동,
지 역 논산,전주,광주,순천,진주, 이천,원주,대관령, -
마산,창령,고령,동서울 경안,진천

( =20×10-5 또는 20℃의 온도하강)

(3) 건조수축에 의한 신축량

(가)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부터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될 때까지를 고려한다.

(나) ΔLS = -εs ⋅ β ⋅ L


여기서, β = 건조수축 , 크리프의 저감계수
εs = 극한 건조수축 변형도
<표 4-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대한 저감계수 (β)

콘크리트의 재령(월) 0.25 0.5 1 3 6 12 24


저감계수(β) 0.8 0.7 0.6 0.4 0.3 0.2 0.1

(4) 크리프에 의한 신축량

(가) 프리스트레스 긴장력이 도입될 때부터의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라 <표 4-3>의


저감계수 β를 사용한다.

(나) ΔLC = - Pi / (Ec ⋅ Ac) ⋅ Φ⋅ L⋅β

75
여기서, Pi =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PS 강재에 작용하는 인장력
Φ = 크리프 계수 ( = 2.0 )
Ec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Ac = 콘크리트의 단면적

(5) 지점의 회전변위에 의한 신축량

(가) 지점의 회전변위 θe에 의한 단부의 수평 이동량 ΔLr과 수직 이동량 Δv는 각


각 아래의 식과 같이 계산한다.

(나) 연속보의 중간지점에서는 그 영향이 적으므로 무시해도 좋다.

(다) 단순보의 경우에는 가동받침에 고정단에서의 회전의 영향이 가산되어 2배가 되


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라) 일반적으로 θe는 강교에서는 1/150, 콘크리트에서는 1/300을 고려하면 된다.

(마) 수평 이동량 : ΔLr = - h ⋅ θe

(바) 수직 이동량 : Δv = a ⋅ θe
여기서, a = 받침의 중심에서 단부가지의 수평 거리
h = 보 높이의 2/3

(사) 지점의 회전변위는 최대 처짐에 대한 지간의 비로 표시되는 교량의 강성(l/δ)


으로부터 <표 4-4>의 값을 사용하여 근사적으로 구할 수 있다.
<표 4-4> 교량의 강성에 따른 지점의 회전각

l /δ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500 2,000

θe (rad) 1/100 1/125 1/150 1/175 1/200 1/225 1/250 1/375 1/500

(6) 설계 신축량

(가) 설계 신축량 = 기본 신축량 + 설치 여유량 + 부가 여유량

(나) 여기서, 기본 신축량은 앞에서 계산되어진 연중 온도변화 및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과 크리프에 의한 신축량의 합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되는 신축량이다.

(다) 설치 여유량 : ± 10mm

(라) 부가 여유량 : ± 20mm, 또는 기본 신축량의 20%

76
4-2. 부대시설의 규격 및 배치산정

• 관련법규에 의해 결정되는 방호울타리, 방음벽, 배수시설 등 부대시설의 해당 규격과 배


학습목표
치를 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방호울타리 설치의 기본개념

1. 방호 울타리는 차량이 충돌했을 때 탑승자를 보호하여야 하며 차량이 방호울타리 밖으


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켜
야 한다.

2. 일반구간에는 방호울타리의 높이는 1.0m 이내로 한다.

3. 추락으로 인한 중대한 2차사고가 우려되는 특수 구간에서는 방호울타리 형태에 따라 높


이를 상향 조정하는 것으로 한다.

 교량점검시설의 기본개념

1. 개념 및 목적

(1) 교량은 건설 후 교량의 기능, 노후도, 결함 등 구조물 상태의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교량의 가설위치, 교차조건, 형하고, 하부지지 조건 등 제
조건을 감안하여 교통제한 없이 상시 확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교량점검 시설을 설
치한다.

(2) 따라서, 교량점검시설은 교량 점검자가 안전하고 불안감 없이 교량을 효율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교량이 가설되어 있는 주변의 지형 또는 공간적 여건 등으로 인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는 접근이 어려운 주요 교량부재를 선택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점검시설을 설
치하여야 한다.

2. 점검시설 설치시 고려사항

(1) 점검과 보수가 필요한 부위 및 부재에 근접할 수 있어야 한다.

(2) 점검과 보수가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77
(3) 점검 및 보수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시설 자체의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 없고,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5) 부속장치가 있는 경우 조작이 간단하고 고장이 적어야 한다.

(6) 재질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설치 후 미관이 양호하여야 한다.

(7) 굴절식 점검차 사용 등 교량점검 시 해당 교량에 교통통제가 이루어져도 인근에 우


회할 수 있는 도로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식 점검시설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 방음시설의 기본개념

1. 개념

(1) 방음시설은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충분한 소리의 흡음 또는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


도록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2) 주로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그 소음을 듣는 사람이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하


며, 도로 옆에 설치하는 대형 방음벽이 대표적이다.

(3) 환경부에서 고시한 기준에 따라 제작・설치하며,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미관이


나 안전의 측면도 고려하여 디지안해야 한다.

2. 구성 및 원리

(1) 방음벽의 기본구조는 상단부(Top), 중앙부(Middle), 기초부(Base)로 나눌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배경에 윤곽을 나타내주는 상단과 지지구조체나 기초부와 만나는
하단으로 구성된다.

(2) 방음벽은 벽면 또는 벽 상단의 음향특성 및 소음 저감의 원리에 따라 반사형, 흡음


형, 간섭형, 공명형으로 구분된다.

[그림 4-1] 방음벽의 기본구조

78
수행 내용 / 부대시설의 규격 및 배치를 산정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교 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Ÿ 콘크리트 구조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Ÿ 도로교 표준시방서 (한국도로교통협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스프레드시트, 글, 워드프로세서, 프리젠테이션 S/W)

수행 순서

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설치기준을 결정한다.

1. 방호울타리 일반사항을 숙지한다.

(1)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난간, 차량방호울타리 및 난간겸용 차량


방호울타리로 구분된다.

(2)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능, 경제성, 시공조건, 미관 및 유지관리 등을 충분히 감안


하여 설치목적 및 설치장소에 부합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방호울타리 설치 기준를 숙지한다.

(1) 보차도의 구별이 있는 경우

(가) 보차도의 경계부 연석 위에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하고, 교량의 최외측 단부


연석 위에는 난간을 각각 설치하도록 한다.

(나) 단, 기존의 교량에 보도 폭이 좁아서 보차도 경계부에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


시 보행자 통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최외측 단부 연석에 난간겸용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2) 보차도 구별이 없는 경우

(가) 교량의 최외측 단부에 반드시 차량방호 울타리 또는 난간 겸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도록 한다.

79
3. 난간 설치 기준를 숙지한다.

(1) 난간은 보도 등의 노면으로부터 1.1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난간 측면에 도심도로상에는 3.75kN/m, 일반도로상에는 2.5kN/m의 수평력이 직각으


로 상단부에 작용하는 것으로 설계한다.

(3) 난간 정상부 윗면에는 수직력 1.0kN/m가 작용하는 것으로 설계한다.

(4) 난간의 부재는 유아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4. 방호울타리의 등급별 기준를 숙지한다.


<표 4-5> 방호울타리 등급별 기준

등 급 SB1 SB2 SB3 SB4 SB5 SB6 SB7


기준 충격도(KJ) 60 90 130 160 230 420 600
⦁저속구간 (설계속도 60km/시 미만인 집산
◎ ○
도로, 국지도로)
- 기본 등급 ◎ ○
⦁일반구간 - 중앙분리대, 교량 구간 및 노측
적 ◎ ○
(60km/h 위험도가 큰 구간

~ - 도로가 타 도로와 교차되는 등

80km/h) 특수구간 ◎ ○

-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 기본 등급 ◎ ○

분 - 중앙분리대, 교량 구간 및 노측
⦁고속구간 ◎ ○
위험도가 큰 구간
(100km/h
- 도로가 타 도로와 교차되는 등
이상)
특수구간 ◎ ○
- 특수 중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
주) 1. ◎표시는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등급
2. ○표시는 도로여건이나 시설물 개발 수준에 따라 사용이 권장되는 등급
출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교량배수시설의 재료 및 배치를 결정한다.

1. 적용가능한 재료를 검토한다.

(1) 배수구의 재질은 스텐레스 PLATE로 한다.

(2) 배수관은 내식성을 고려하여 스텐레스 강관을 원칙적으로 사용한다.

2. 배수구의 배치를 검토한다.

(1) 배수구의 간격은 집수구 통수능력에 따른 수리검토를 실시하여 간격을 결정하여야


하며 원칙적으로 20m 이하로 한다.

(2) 종단곡선이 오목하게 된 경우 중앙에 반드시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완화곡선구간 및 배향곡선구간의 변곡점 부근에 생기는 횡단경사가 수평 또는 수평


에 가까운 곳에도 차도 양측에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80
(4) 교량 신축장치의 상류측에는 반드시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수관의 형상 및 치수를 검토한다.

(1) 배수관의 단면은 원칙적으로 원형으로 하고, 내경은 150mm 이상, 계획우량의 3배
를 유하시킬 수 있는 단면으로 한다.

(2) 배수관의 굴곡부 개수는 될 수 있는대로 적게 하고 굴곡부에 뚜껑 붙인 청소공을


설치하도록 한다.

 교량점검시설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1. 점검계단 적용기준을 검토한다.

(1) 점검계단은 교량 상부(노면)에서 교대 앞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단, 현장 여건상 교량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는 것이 교량 상
부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용이한 경우에는 교량 하부에서 교대 앞까지 접근할 수 있
도록 설치한다.

(2) 점검계단의 수량은 교대 1개소 당 점검계단 1기를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마주보는 교대에 대하여 엇갈리는 방향으로 설치한다. 단, 도로구조, 지형적인 여
건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교대 1개소 당 점검계단 2기를 설
치할 수 있다.

(3) 점검계단의 설치 개념도

점검계단
1.0M
1:
1.
5
1.0M
1.5M 정도

추가쌓기
도로 교량 도로 1:1
.5

점검로 1:1
. 8
지반고

[그림 4-2] 점검계단 설치개념도 [그림 4-3] 점검계단 측면도

2. 상부구조 점검통로 기준을 검토한다.

(1) 강교량 및 특수교량의 상부구조의 주요부재에 근접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 할 수 있


도록 통로식 접근시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상부구조 점검통로
를 설치한다.

(가) 현수교, 사장교, 강아치교, 트러스교 등과 같은 특수교량 중에서 교량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동식 접근장비로는 상부구조의 주요부재를 점검할 수 없는 교량

81
(나) 수시로 점검이 필요한 교량 중에서 이동식 접근장비 사용 시 교통혼잡 등으로
상부구조 점검통로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량

(2) 상부구조(보강형 등)에 교축방향으로 점검통로를 설치하며, 설치수량은 상부구조 당


1열로 하되, 상․하행선이 분리된 교량은 각 1열씩 설치할 수 있다.

(3) 설치 개념도

[그림 4-4] 트러스교 점검통로 설치도 [그림 4-5] 강형교 점검통로 설치도

3. 하부구조 점검통로 기준을 검토한다.

(1) 하부구조 점검통로는 교량하부 구조·받침·신축이음에 근접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


를 할 수 있도록 통로식 접근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점검통로를 설치할 경우에는 교량의 형하고, 상・하부시설, 교통량 등의 조건을 고려


하여 설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3) 다음과 같은 경우는 설치 예외로 할 수 있다.

(가) 교량 미관이 현저히 저해하는 경우

(나) 점검통로 설치 시 차량 등의 원활한 통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다) 홍수 시 통수를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유송잡물 등이 걸려 교량안전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경우

(4) 설치 개념도
1.5M

1.5M

[그림 4-6] 점검통로 교대 설치도 [그림 4-7] 점검통로 교각 설치도

82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받침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받침의 설계용량 및 설계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실예제를 통하여 지도한다.

•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신축장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신축이음


의 신축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실예제를 통하여 지도한다.

• 부대시설 종류별 규격 및 배치에 관한 사항을 이해하고, 관련 설계 기준에 따라 세부 적용기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배수시설의 재료 선정 및 배치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교량받침의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하고 받침의 종류와 설계이동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실예제를 통하여 학습한다.

• 신축이음장치의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하고 신축장치의 종류와 신축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실예제를 통하여 학습한다.

• 방호울타리 및 난간의 설치기준을 이해하고 방호울타리의 등급별 기준을 이해하고 세부사항을


학습한다.

• 교량점검시설의 종류와 종류별 적용기준을 이해하고 세부사항을 학습한다.

83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부대시설 - 설계기준에 따른 각종 하중에 대하여 교량받침, 신축이


설계 음장치, 가시설 등 부대시설을 계산할 수 있다

부대시설의
- 관련법규에 의해 결정되는 방호울타리, 방음벽, 배수시
규격 및 배치
설 등 부대시설의 해당 규격과 배치를 산정할 수 있다
산정

평가 방법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부대시설의 종류와 각종 기준에 대한 이해도

부대시설
- 교량받침의 종류와 설계용량 및 이동량 산출 능력
설계

- 신축이음장치의 종류와 이동량 산출 능력

- 각종 부대시설물 기본개념 이해도


부대시설의
규격 및 배치 - 교량용 방호울타리 설치기준에 대한 이해도
산정
- 교량점검 시설 설치기준에 대한 이해도

84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내용 평가항목
상 중 하

- 교량받침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이해도


부대시설
설계
- 신축이음장치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이해도

- 방호울타리의 설치기준에 대한 이해도


부대시설의
규격 및 배치 - 교량배수시설의 배수구 위치선정에 대한 이해도
산정
- 교량점검시설의 위치에 대한 이해도

피드백

1.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평가자 질문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못할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
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하는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85
∙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건설정보사.

∙ 한국도로교통협회(2008). 도로교설계기준.

∙ 한국도로공사(2000). 고속도로 교량의 내진설계편람.

∙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 변동규, 신현묵, 문제길(2001). 철근 콘크리트. 동명사.

86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윤영만(수원과학대학교) 이완훈(청운대학교) 양주경(청운대학교)
신재철((주)동성엔지니어링) 김제인((주)일승하이텍)
신영각((주)한맥기술)* 배을호(케이블텍(주))
서동권((주)건화)* 김량균(케이블텍(주))
김인철((주)동일기술공사) 손석호((주)수성엔지니어링)
이석종((주)비아이티솔루션)*
장유식((주)미호이엔씨)
이승재(한국시설안전공단)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오찬호(수원과학대학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상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문한나(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대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류현경(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