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4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공항설계 현황조사


공항설계 현황조사, 설계기준
공항설계 설계기준 수립 수립 및 시설규모 산정
터널설계
공항설계 수요 예측 및 시설
규모 결정
교량설계 공항설계 수요 예측 및 경제성
공항설계 경제성 분석 분석
항만설계
공항설계 입지 분석 공항설계 입지 분석

상하수도설계 공항설계 평면 배치 공항설계 평면 배치

하천(댐)설계 공항설계 토공, 배수, 구조설계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 공항설계 포장설계


지반설계
공항설계 부대시설설계
단지설계
공항설계 계산서 작성
철도설계
공항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 공항설계 도면, 계산서,
관리 보고서 작성 및 사업비 산정
공항설계 보고서 작성

공항설계 사업비 산정

공항설계 시방서 작성 공항설계 시방서 작성

공항설계 유지관리계획 수립
공항설계 유지관리계획 및
인·허가 서류 작성
공항설계 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현장조사하기

1-1. 과업수행계획서 작성 3

1-2.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 14

• 교수・학습 방법 37

• 평가 38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

2-1. 설계기준 수립 42

• 교수・학습 방법 62

• 평가 63

학습 3. 시설규모 결정하기

3-1. 용량분석 및 시설규모 결정 66

• 교수・학습 방법 99

• 평가 100

참고 자료 102

활용 서식 103

부 록 104
공항설계 현황조사, 설계기준 수립 및 시설규모 산정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과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를 정리·분석하며, 공항시설에


대한 국내·외 관련법령 및 규정을 검토하여 공항규모별 소요시설에 대한 설계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공항의 시설용량을 분석하여 공항 소요시설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선수학습

통계학, 도로공학, 교통공학, 토목시공학, 측량학, 토질 및 기초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과업수행계획서 작성 1402010201_14v2.1 과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

1402010201_14v2.2 기초자료조사 및 분석하기


1. 현장조사하기
1-2.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 1402010201_14v2.3 현장조사하기

1402010201_14v2.4 조사결과 정리 및 분석하기

1402010202_14v2.1 관련 법규 검토하기

2. 설계기준 수립하기 2-1. 설계기준 수립 1402010202_14v2.2 국내·외 관련규정 검토하기

1402010202_14v2.3 설계기준 수립하기

1402010203_14v2.2 수요 및 용량 분석하기
3-1. 용량분석 및 시설
3. 시설규모 결정하기
규모 결정
1402010203_14v2.3 시설규모 결정하기

핵심 용어

항공법, ICAO, IATA, FAA, UFC, 설계항공기, 항공수요, 시설소요, 시설용량, 첨두시, AIP

1
현장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201_14v2.1,2,3,4)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LM1402010202_14v2.1,2,3)
학습 3 시설규모 결정하기(LM1402010203-1_14v2.2,3)

1-1. 과업수행계획서 작성

• 계약서 내에 과업과 관련된 특별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 과업지시서에 제시된 과업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등을 검토하여 과업내용을 파악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각 분야별로 진행되는 작업의 특성과 필요기간을 파악하고 소요인원 및 소요비용을
파악하여 설계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다.
• 과업지시서에 제시된 과업 내용에 대하여 과업수행 방법, 순서 및 기간 등을 고려하
여 합리적인 과업수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공항공사 설계용역 성과품 작성기준

1. 업무의 구분
설계용역은 타당성 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며, 공사
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타당성 조사용역의 시행 없이 타당성 조사와 기본설계 또는 기본
설계와 실시설계가 동시에 시행될 수 있다.

(1)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


건설공사에 대한 사업비의 기본구상을 토대로 경제적 타당성, 투자우선순위평가, 재무
적 타당성, 기술적 타당성, 사회 및 환경적 타당성을 사전에 종합적으로 판단하며, 목
적 시설물의 실현방법에 있어 여러 대안을 비교·검토 최적 안을 선정, 그에 대한 사
업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본설계 용역에 기본이 되는 기술자료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2) 기본설계(preliminary design)


타당성 조사를 토대로 목적 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공사방법 및 기간, 소요비용
등에 있어 일반적인 조사 및 분석, 비교·검토를 거쳐 최적 안을 선정하고 주요시설물
의 형식, 지반 및 토질, 개략적인 공사비 산출을 위한 예비설계를 수행하며, 설계기준
및 조건 등 실시설계용역에 필요한 기술자료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3
(3) 실시설계(detailed design)
기본설계를 토대로 목적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공사방법 및 기간, 소요비용, 유지
관리 등에 관하여 세부조사 및 분석, 비교·검토를 통하여 최적 안을 선정하고 상세설
계를 수행하며 시공발주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자료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2. 업무의 내용
설계용역의 수행을 위한 각 단계별 업무는 조사업무, 계획업무, 설계업무로 구분할 수 있
으며 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표 1-1> 설계용역의 수행을 위한 각 단계별 업무
구 분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 비고
1. 관련계획 조사 및 검토 ○ △ △
2. 현지조사/답사 ○ ○ ○
3. 교통량 및 항공수요조사 ○ △
4. 수리·수문 조사 ○ △
조사 5. 환경영향 조사(소음, 진동 등) △ ○
업무 6. 측량 ○ ○
7. 지반조사 ○ △
8. 지장물, 구조물 조사 ○ △
9. 토취장, 골재원, 사토장 조사 ○ △
10. 용지조사 △ ○
1. 전단계 성과검토 ○ ○
2. 항공수요 추정 ○ △
3. 공항 입지계획, 입지선정 ○ △
4. 공항 진입도로 계획 ○ △
5. 경제성·재무분석 ○ △
6. 항공수요 분석 및 평가 △ ○
계획
7. 교통영향 검토 및 평가 ○ △
업무
8. 환경영향 검토 및 평가 △ ○ △
9. 수리·수문 검토 △ ○
10. 구조물 계획 ○ ○
11. 시설규모 결정 및 단계별 확장계획 △ ○
12. 설계기준 작성 ○
13. 관계기관 협의 ○ △
개략설계 ○
설계
예비설계 ○
업무
상세설계 ○
주: ○: 수행하는 업무 △: 필요시 수행하는 업무
출처: 국토교통부(2013).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개정) p.5-2.

4
󰊲 과업지시서 내용 이해

1. 과업지시서의 정의
“과업지시서”란 타당성 조사, 기본 설계 또는 실시 설계 등 설계도서를 작성하기 위한
조사, 계획, 설계 등 과업 단계별로 과업의 범위 및 업무수행절차에 관한 세부사항을 정한
것으로, 용역 계약서에 첨부된다.’라고 정의한다. (국토교통부 기술기준과 보도자료, 「건
설기술용역 표준과업지시서 제정·보급 추진」, 2012. 10. 31)

2. 과업지시서의 구성
과업지시서는 크게 일반사항과 설계 단계별 과업지시서로 구분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는 기지요구조건과 같은 특별과업지시서가 첨부되는 경우가 있다. 특별과업지시서는 과업
을 수행함에 있어 과업지시서에 포함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일반사항

(2) 조사업무

(3) 계획업무

(4) 설계업무

(5) 성과품 작성 및 납품

(6) 기타 관련서류

3. 과업지시서의 상세 내용

(1) 일반사항
일반사항에는 과업명, 과업의 목적, 과업의 공간적·시간적·내용적 범위를 포함하여
과업을 하게 된 이유를 기록해 놓은 서류이다. 국토교통부에서 공개한 건설공사 설계
도서 작성기준의 일반사항에 포함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과업명: 과업명 명기

(나) 과업의 목적: 용역과업의 사업목적 명기

(다) 과업대상지역: 과업위치를 정확히 명기

(라) 과업 개요: 발주자가 결정한 사업개요 작성

(마) 과업수행기간: 과업수행기간을 ○○개월(○○일간)로 표기

(바) 설계변경조건

(사) 과업수행 및 공정보고: 착수보고서, 과업수행계획서, 월간진도보고서, 중간보고 등

(2) 조사업무

(가) 타당성 조사
관련계획 조사 및 검토, 수치지도 확보, 현지답사, 교통량 및 항공수요 조사, 수

5
리·수문조사

(나) 기본설계
현지조사 및 답사, 수치지도 확보, 환경영향조사, 측량, 지반조사, 지장물 및 구조물
조사, 토취장, 골재원, 사토장 조사

(다) 실시설계
현지조사 및 답사, 측량, 용지조사

(3) 계획업무

(가) 타당성 조사
항공수요 추정, 공항입지(후보지)계획, 입지선정(바람분석, 비행공역 및 장애물 검
토, 소음영향 검토 등), 공항진입도로 노선계획, 경제성·재무분석

(나) 기본설계
전 단계 성과검토, 항공수요 분석 및 평가, 교통영향 검토 및 평가, 환경영향 검토
및 평가, 수리·수문검토, 주요 구조물 계획, 시설규모 결정 및 단계별 확장계획,
설계기준 작성 및 기타, 관계기관 협의

(다) 실시설계
전 단계 성과검토, 구조물 형식 및 공법 검토

(4) 설계업무

(가) 타당성 조사
설계기준, 공항평면계획, 설계도

(나) 기본설계
설계조건, 공항평면배치계획, 비행장 시설, 용·배수 설계, 주요 구조물 설계, 기타

(다) 실시설계
설계조건, 토공설계, 용·배수공 설계, 구조물공 설계, 포장공 설계, 공항진입도로
설계, 부대시설 설계, 토석정보공유시스템(EIS)의 활용

(5) 성과품 작성 및 납품
작성되는 최종 성과품은 각 설계 단계별로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가) 타당성 조사
1) 타당성조사보고서
2) 타당성조사보고서 별책부록(교통분석, 경제성 및 재무분석, 추정수량 및 추정공
사비산출서 등)
3) 개략설계도면

6
(나) 기본설계
1) 기본설계보고서
2) 기본설계도면
3) 주요 구조물의 개략 구조 및 수리계산
4) 지반 및 지질조사 보고서와 측량 성과품
5) 기본설계예산서(기본설계설명서, 기본설계내역서, 단가산출서, 수량산출서)

(다) 실시설계
1) 실시설계보고서
2) 지질 및 지반조사보고서
3) 구조 및 수리계산서
4) 설계도면
5) 설계예산서(설계설명서, 설계내역서, 수량산출서, 단가산출서)
6) 공사시방서
7) 측량 성과품
8) 지장물 도면 및 조서
9) 기타(용지도 및 용지조서, 보상대상 및 지장물 조서, 인허가 도서)

7
수행 내용 / 과업수행계획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
건설공사 설계도서 작성기준


계약서, 과업지시서, 설계예정공정표


건설관련법, 시행령, 시행규칙


사업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
과업에 포함되는 세부항목


대상과업과 유사한 사례에 관한 자료 및 서류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문서작서용 S/W

안전·유의 사항


과업지시서에서 명시한 내용은 반드시 세부과업수행계획에 포함해야 한다.


반드시 해당 설계에 참여하는 인원으로 참여기술자를 구성해야 한다.

수행 순서

󰊱 과업지시서 분석하기

1. 과업내용 분석
계약서 내에 과업과 관련된 특별 조건이 있을 경우 해당 내용을 과업지시서에 포함되도록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과업수행계획서에 포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세부공정계획서

(2) 과업의 단계별 성과품 제출계획서

(3) 과업수행조직 및 인력(장비)투입계획서

(4) 참여기술자 인적사항, 참여과업내용 및 참여예상기간

(5) 참여기술자의 보안각서(발주처 요청시)

2. 일반 개요 작성
과업의 목적을 파악하고 과업의 범위 및 내용을 분석한다.

8
(1) 과업의 목적
과업지시서에서 제시한 목적 또는 목표를 바탕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목적
을 설정 제시한다.
예시“본 과업은 제주공항 항공수요 급증으로 현재의 증가추세 유지 시‘17년 활주로
처리능력에 근접됨에 따른 혼잡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주국
제공항 Airside 인프라 확충”과 관련하여 항공법 및 비행장설치기준 등 관련법규에
충족하고, 효율적인 시설물 배치·설계를 통한 적정 공사비 산출 등 효과적인 사업수
행을 위해 제주국제공항 Airside 인프라 확충 기본 및 설계용역을 시행하는 데 그 목
적이 있음”(제주공항 Airside 인프라 확충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과업수행계획서, 한
국공항공사, 2015)

(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과업의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에 대해 그림이나 표로 요약해서 작성
한다.

(가) 공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는 해당 과업을 통해 목적물이 건설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주소 또는
지도상에 위치를 표기한 삽도를 만든다.

(나) 시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는 과업의 계약일, 착수일 및 준공예정일 등 과업기간을 표기하며, 마
스터플랜 용역과 같은 과업의 경우 사업의 목표 연도를 표기한다.

(다) 내용적 범위
내용적 범위는 과업지시서에서 요구하는 세부과업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표 형
식으로 작성한다. 필요 시 평면계획도를 첨부한다.

󰊲 세부공정계획서 작성하기

1. 세부공정계획 수립
과업수행 흐름도에서 작성된 단계별 수행내용을 표 형태로(또는 엑셀) 월간(또는 주간, 일
간), 항목별로 구분하여 해당 기간에 대해 PERT CPM 작성을 원칙으로 한다. 각종 보고단
계, 자문일정, 보고서 제출 일정 등 주요 이벤트에 대해 별도로 표기하여 작성한다. 필요
시 공정 관리를 위해 공정률을 기입하여 과업 진행상황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9
[그림 1-1] 세부공정계획 수립 예시

󰊳 과업의 단계별 성과품 제출계획서 작성하기

1. 과업수행 흐름도
세부과업내용을 근간으로 과업수행 흐름을 단계별로 구분 후 각 단계별 과업수행내용을
작성한다.

(1) 단계별 계획
“과업착수단계 → 조사단계 → 적용기준 및 설계기준 검토단계 → 기본설계 → 실시
설계 → 최종보고 및 성과물 제출”의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세부수행내용을 기
술한다.

(2) 세부수행내용

(가) 과업착수단계
과업지시서의 내용 검토 및 분석, 분야별 업무분담 및 추진계획 수립, 과업수행계
획서 제출 등의 업무를 하는 단계이다.

(나) 조사단계
선행용역자료, 지장물도 등 기초자료 수집 및 조사, 현장조사, 기상자료 조사, 운영
현황 조사, 측량조사 및 지반조사 등의 업무를 하는 단계이다.

(다) 적용기준 및 설계기준 검토단계


공항시설 설계에 대한 국내·외 관련법령 및 규정을 검토하여 설계기준을 수립하
는 단계이다.

10
(라) 기본설계 단계
기본방향 설정, 각종 설계기준 검토, 평면배치계획 및 기하구조 검토 단계이며 각
공종별 설계를 통해 개략 사업비가 산출되는 단계이다.

(마) 실시설계 단계
기본설계 검토, 각 공종별 세부설계 및 발주를 위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바) 최종보고 및 성과물 제출


실시설계수립 및 관계기관 협의를 위한 각종 인·허가 협의서류 작성, 각종 성과물
(설계보고서, 설계도면, 수량산출서, 단가산출서, 설계서, 내역서, 각종 계산서, 공사
시방서) 및 비행장 고시자료 등을 작성 제출하는 단계이다.
과업지시서에 명시한 성과품에 대해 세부공정계획 시 수립된 일정에 맞게 성과품
종류, 부수 및 납품일을 명시한다.
납품일은 해당 감독자가 성과물을 검토 후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종료일 15~30
일 이전에 제출하도록 한다.
모든 성과품은 전산자료를 포함해서 제출하고 저장매체 및 소프트웨어는 감독자와
별도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

󰊴 과업수행조직 및 인력(장비)투입계획서 작성하기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 분야별 전문인력을 구성하여 조직도를 작성하고 구성된 조직에
대해 인력투입계획을 Bar Chart 형태로 작성한다.

1. 과업수행조직도 작성
사업책임기술자(PM), 분야별 책임기술자 및 참여기술자에 대해 아래와 같은 형태로 조직
도를 구성한다.

사업책임기술자
도로 및 공항기술사 대표사: OOO
OO O
전문분야

도로 및 OO OO OO OO OO
공항분야 분야 분야 분야 분야 분야
도로 및 공항
OO기술사 OO기술사 OO기술자 OO기술자 OO기술자
기술사
O OO OO O OO O O O O OO O OO O

O OO OO O OO O O O O OO O OO O
O OO OO O OO O O O O OO O OO O
O OO OO O OO O O O O OO O OO O
∶ ∶ ∶ ∶ ∶ ∶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그림 1-2] 과업수행조직도 작성 예시

11
과업수행조직도 작성 시 각 인원에 대해 과업 참여 여부를 확인하고 과업 진행 시 인원
변경이 최소화되도록 조직을 구성하여야 한다. 과업 종료 후 투입된 인원에 대해 과업참
여 확인을 통한 실적증명원을 받아야 하므로 반드시 과업에 참여하는 인원으로 조직을 구
성하여야 한다.

2. 인력투입계획서 작성
구성된 조직에 대해 세부공정계획 수립과 같이 과업기간 동안 투입기간을 Bar Chart 또는
M/M(man month) 기입 형태로 작성한다. 투입된 인력에 대해 다른 과업과 중복이 되지 않
도록 인력투입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0000년 0000년 투입
투입인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M/M

사업책임기술자 OOO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8.0

OO분야 OOO 0.5 1.0 1.0 1.0 1.0 1.0 1.0 1.0 1.0 8.5

OO분야 OOO 0.5 0.5 1.0 1.0 1.0 1.0 5.0

OO분야 OOO 1.0 1.0 1.0 1.0 1.0 1.0 1.0 0.5 0.5 8.0

OO분야 OOO 0.5 1.0 1.0 1.0 1.0 4.5

∶ ∶ ∶

∶ ∶ ∶

합계 00.0
[그림 1-3] 인력투입계획서 작성 예시

󰊵 참여기술자 인적사항, 참여과업내용 및 참여예상기간 작성하기


구성된 참여기술자에 대해 인적사항(성명, 주민번호 앞자리) 및 개략적인 참여과업내용, 참
여예상기간을 인력투입계획에 맞게 작성한다. 참여기술자의 재직증명서를 요청하는 경우
원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참여기술자의 보안각서 작성하기(발주처 요청시)

1. 보안대책 수립
공항은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어 있어 과업수행 시 보안업무와 관련된 관련법령 및 규칙
등을 숙지하도록 한다. 공항별 해당 내규를 파악하여 도면관리, 보호구역 출입, 보안성 검
토 및 보안측정 등의 보안대책을 수립한다.

2. 보안각서
보안각서 양식은 과업지시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양식에 따라 자필로 일자, 용역명, 소
속, 직위, 성명 및 서명을 기재하여 원본을 제출한다.

12
3. 기타 첨부자료
필요 시 신원보증서, 신원진술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등을 요청할 경우 양식에 맞게 작
성 후 회사 직인, 참여기술자 서명을 포함하여 원본을 제출한다.

수행 tip

• 과업지시서에 작성해야 할 과업수행계획 자료가 포


함되어 있어 과업지시서를 우선 숙지한다.
• 조직도, 투입인력계획표 등은 잘 만들어진 양식으로
지속적 활용이 가능하다.

13
1-2.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

• 사전에 사업계획과 관련된 법규와 각 지방 자치법규 등을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과업과 관련된 환경, 교통, 재해 영향 검토 등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위치, 사회 및 경제, 지형 및 지세, 지질, 문화재, 기상조건 등과 같은 환
경조건을 조사할 수 있다.
• 사업과 관련된 상위계획 및 연관된 개발계획을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항공 운항과 공항이용실적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기존 시설물 및 주변 여건에 대한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 항공기 운항 관련 특성 및 이용자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측량을 통하여 시설물 위치, 지형현황, 배수시설 및 지장물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 지반조사, 실내외 시험의 종류와 방법을 선정하고 조사할 수 있다.
• 본 공사에 소요되는 공사용 재료의 공급계획에 따라 인근 지역에 재료원 위치를 선
정할 수 있다.
• 조사결과의 정확성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정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자료 수취인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수집·정리한 자료를 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다.
• 팀 회의 또는 자문단 회의 등을 실시하여 조사결과의 정확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정리된 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문헌 및 기초자료 조사항목

1. 문헌 조사항목
공항설계를 위한 문헌 조사항목으로는 각종 법규 및 기준, 국토개발계획 등 상위계획, 각
종 영향평가 등이 포함된다.

(1) 각종 관련 법규 리스트

(가) 항공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나)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다) 건설기술관리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라) 폐기물관리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마) 자연재해대책법 및 시행규칙

(바) 환경영향평가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14
(아)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현 법률

(자)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2) 국토개발계획 등 상위계획


공항개발은 국가기간산업으로 국토종합계획, 국가기간 교통망계획, 항공정책기본계획
등의 상위계획을 조사하여 해당 사업의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한다. 공항사업 관련
상위계획은 아래와 같다.
<표 1-2> 공항사업 관련 상위계획
상위계획 개요 근거법률
국토기본법에 의거하여 수립되는 국토의 이용·개발
및 보전에 관한 최상위 계획이며, 군사에 관한 계획
국토종합계획 국토기본법
을 제외하고 다른 법령에 의해 수립되는 국토에 관
한 계획에 우선하며 그 기본이 되는 계획이다.
본 계획은 육상, 해상, 항공, 도로, 철도, 공항, 항만 국가통합교통
국가기간
등 교통시설 확충 등 교통 관련 계획에 관한 최상위 체계효율화법
교통망계획
계획이며 그 기본이 된다. 제4조
항공정책 항공정책기본계획은 항공분야 각 분야를 포괄하는 항공법
기본계획 법정 기본계획이다. 제2조 5
항공법 제89조에 의해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계획으
로서 개별공항의 개발사업들을 체계적으로 추진하
고, 사회·경제적 변화를 적기에 반영함으로써, 효
공항개발 중장기 율적인 공항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음. 또한
항공법 제89조
종합계획 항공운송 환경변화와 국민의 항공 이용 욕구 증대에
따른 새로운 공항정책을 마련하고, 항공정책기본계
획, 도로망, 철도망 계획 등 상위·연관계획과 연계
한 공항개발계획을 수립한다.
철도건설법에 따라 10년간의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을 발표하여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 지역거점 간 고
국가철도망 구축 속 이동서비스 제공, 대도시권 교통난 해소, 철도 물
철도건설법
계획 류 활성화 및 통일 대비 등을 고려한 전국철도망 계
획이다.(현재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으로 2016~2025
년까지 계획 발표)
도로정비기본계획은 지방도 등 하위계획 수립의 기
교통시설계획 본 10년단위 계획수립(현재 2차 도로정비계획으로 도로법
2011~2020년까지 계획 발표)
공항 개발 또는 공항 인근의 광역시·도, 시/군에서 자체적으로 계 국토기본법, 국
인근 지차체 획하는 종합개발계획으로 도종합계획, 광역도시계획, 토의 계획 및 이
종합발전계획 도시/군 기본계획 등이 있다. 용에 관한 법률

15
(3) 제영향평가 관련
공항사업의 경우 사업계획/실시계획 승인을 위해 각종 영향평가 등의 대상 사업 여부
를 판단하기 위한 사업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며, 관련 제 영향평가는 아래 표와 같다.
<표 1-3> 공항사업 관련 제 영향평가 목록
구분 대상사업 검토 관련법규 비고
환경영향평가법 제4조 8. 공항의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대상 환경부
건설사업
사전재해영향성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자연재해대책법 제5조 4. 교통시설 소방
검토 협의 대상 의 건설, 7. 산지개발 및 골재채취 방재청
환경정책기본법 제25조의 2
사전환경성검토 사전환경성 검토대상 환경영향평가법 제4조 8. 공항의 환경부
건설사업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제15조 7. 공
교통영향분석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항의 건설 국토
및 개선대책 의 수립대상 지역 및 사업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 제13 교통부
조의 2, 7. 운수시설
에너지이용 에너지이용계획의 협의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령 제20 지식
계획서 / 제출 조 6. 공항건설사업 경제부
문화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문화재 지표조사의 대상 문화재청
지표조사 법률 시행령 제4조

2. 기초자료 조사항목
공항설계를 위한 기초 조사항목으로는 일반현황, 자연현황, 사회경제현황 및 환경 관련 현
황 등이 포함된다.

(1) 일반현황

(가) 위치 및 행정구역

(나) 토지이용현황

(2) 자연현황

(가) 지형 및 지질

(나) 생태계

(다) 기상(강우, 강설, 안개, 바람, 태풍, 지진)

(라) 해상현황(도서지역 또는 해안 인접한 공항의 경우)

(3) 사회경제현황

(가) 인구

(나) 산업

16
(다) 교통

(라) 주요 SOC(도로, 철도, 항만)

(마) 관광

(바) 문화재

(4) 환경 관련 현황

(가) 환경 관련 지구·지역 지정현황

(나) 생태자연도

(다) 환경 관련 시설

3. 운영 및 실적 자료
공항설계를 위한 운영 및 실적 자료 조사항목으로는 연간운항실적, 시간당 운항횟수, 결항
및 지연현황 등이 포함된다.

(1) 연간운영실적

(가) 연간 항공기 운항실적(민항, 군용, 화물 각각)

(나) 연간 여객수(O-D여객, 환승여객, 국제·국내 구분)

(다) 연간 화물처리실적

(2) 시간당 운항횟수

첨두시 운영실적(민항, 군용, 화물 각각)

(3) 결항 및 지연 현황

(가) 항공기 결항현황 및 원인

(나) 항공기 지연현황 및 원인

󰊲 현장조사 항목

1. 기존시설 및 운영현황
기존시설 현황조사는 기존 활주로, 유도로 및 계류장 Airside 시설 현황조사, 항공등화 및
항행안전시설 현황조사, 지원시설 현황조사, 급유 등 기타 관련시설 조사, 주변 도로 및
철도 등 접근시설 현황조사, 확장지역 시설 및 지장물 현황조사 등을 포함한다.
운영현황조사는 항공정보간행물(AIP), 운항 항공기종 및 운항횟수 조사, 항공운영 현황조
사, 운영자 의견수렴 조사 등을 말한다. 또한 확장지역 현황조사는 확장부지 사용문제점
조사, 확장지역 주변 관련 개발계획 조사, 확장지역 토지이용현황 조사, 환경 관련 문제점
조사, 접근 관련 문제점 조사, 주변지역 비행안전구역 검토 등을 말한다.

17
(1) 공항시설현황

(가) Airside 시설(활주로, 유도로 및 계류장)

(나) Landside 시설(터미널, 접근시설, 주차장 및 커브사이드)

(다) 유지보수 현황

(2) 항공기 운영현황 특성 및 이용자 의견수렴

2. 측량조사
공항의 설계에 필요한 측량은 항공사진측량, 골조측량, 노선측량 등의 현황측량 및 지하매
설물, 용지 및 지장물 조사를 포함한다. 측량조사를 하기 앞서 과업지역의 수치지도를 우
선 확보한다.

(1) 골조측량
측량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서 골조측량의 성과 정도에 따라 전체 측량성과에 상당한 영향
을 미친다. 따라서 이 골조측량은 최신장비(GPS 및 광파측정기 등)를 이용하여 가급적 정밀
도를 높이도록 시행하며 골조측량은 삼각측량, 도근측량, 수준측량을 포함한다.

(가) 삼각측량

(나) 도근측량

(다) 수준측량

(2) 지형현황측량
지형현황측량은 지구표면상 상호적 위치를 측정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측량으로 과
업구간의 지형측량은 설계 시 필요한 제반사항을 얻기 위한 작업이다. 공항은 광범위
한 구역을 포함하므로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현황측량을 이용한다.

(3) 노선측량
노선측량은 중심선 좌표측량과 계획된 선형의 중심선을 따라 20m마다 측점을 설치하
는 중심선 측량, 매 측점마다 표고를 측정하는 종단측량 및 중심선의 직각방향으로 지
형을 측량하는 횡단측량으로 구분된다.

(가) 중심선 측량

(나) 종단측량

(다) 횡단측량

(라) 수심측량

(4) 지하매설물, 용지 및 지장물 조사

(가) 지하매설물 조사
공사지역에서 지장을 줄 수 있는 지하매설물은(상·하수도, 송유관, 가스, 통신 및
전기케이블 등)과 관련 기관의 도면을 참조하여 현지 확인을 한 후, 지하시설물 위

18
치도면을 작성하며, 지상의 장애물(전주, 케이블, 고압선 등) 및 항공법에 저촉되는
지장물은 장애높이를 정확히 측정하고 기타 공사에 장애가 되는 사항과 위험부담
이 되는 장애물도 조사한다.

(나) 주변배수로 조사
하천, 소하천, 관개시설, 구조물표면수, 지하배수와 같은 제반사항에 대한 위치 및
최고·최저 홍수위 등 필요한 자료를 조사한다.

(다) 용지 및 지장물 조사
사업지역에 편입되어 손실보상의 대상이 되는 용지, 지장물건 및 기타사항을 정확
히 조사하여 현황조서를 작성함으로써 적정한 손실보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한다.
1) 토지조사
토지조사는 지적도에 의거 지번을 추출하여 토지대장(임야대장), 등기부등본 및
지적도(임야도)를 발급받아 공부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현장조사를 실시
하여 토지에 대한 일반사항(면적, 지목 등) 및 권리관계(소유자 및 관계인)를 조
사한다.
2) 지장물조사
사업지역에 편입되어 조사를 요하는 지장물은 건물, 수목, 분묘, 농작물, 전주,
지하매설물, 축산, 영업권 및 기타권리, 거주자(세입자) 등이 있으며, 대상 지장
물에 대한 공부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3. 지반조사

(1) 지반조사 위치측량

(2) 시추조사

(3) 지하수위 측정

(4)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5) 자연시료(undisturbed sample, 이하 U/D) 채취

(6) 현장 베인시험

(7) 현장 투수시험

(8) 공내 수평재하시험

(9) 공내 탄성파 검층

(10) 실내시험

(가) 흙의 입도시험 (KSF-2302)

(나) 흙의 액성한계시험 (KSF-2303)

19
(다) 흙의 소성한계시험 (KSF-2304)

(라) 흙의 함수량시험 (KSF-2306)

(마) 흙의 비중시험 (KSF-2308)

(바) 흙의 직접전단시험 (KSF-2343)

(사) 흙의 일축압축시험 (KSF-2314)

(아) 흙의 삼축압축시험 (UU,CU,CD,KSF-2346)

(자) 흙의 압밀시험 (KSF-2316)

(차) 암코아 일축압축시험(KSF-2319)

(카) 흙의 염화물함량시험

(타) 흙의 황화물함량시험

(파) 흙의 pH시험

(하) 지하수 수질분석

(거) 공진주시험 또는 진동삼축시험(ASTM D4015-92)

(11) Piezocone 시험

(12) Rowe cell 압밀시험

4. 토취장, 골재원 및 주요자재 조사

(1) 골재원 현황
대규모로 소요되는 주요골재에 대하여는 골재의 규격, 종류, 골재원, 수급동향 및 생산
방안을 조사·분석한다.

(2) 토취장 현황
토취장 및 사토장의 위치, 규모 등을 조사 및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부지매립에 필요
한 토취원을 조사하되, 공항건설에 필요한 토량을 우선 유용할 수 있도록 검토 계획
한다.

(3) 레미콘 및 아스콘 업체 현황


공항건설에 대규모로 소요되는 레미콘 및 아스콘, 골재 등 주요자재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 방안을 검토한다.

(4) 폐기물 처리장 현황

20
󰊳 조사결과 정리 및 분석

1. 조사 범위 및 내용 설정
과업 성격에 맞는 조사의 범위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 1-4> 설계용역의 수행을 위한 각 단계별 업무
구 분 타당성조사 기본설계 실시설계 비고
1. 관련계획 조사 및 검토 ○ △ △
2. 현지조사/답사 ○ ○ ○
3. 교통량 및 항공수요 조사 ○ △
4. 수리·수문 조사 ○ △

조사 5. 환경영향조사(소음, 진동 등) △ ○
업무 6. 측량 ○ ○
7. 지반조사 ○ △
8. 지장물·구조물 조사 ○ △
9. 토취장·골재원·사토장 조사 ○ △
10. 용지조사 △ ○
주: ○: 수행하는 업무 △: 필요 시 수행하는 업무
출처: 국토교통부(2013),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개정) p.5-2.

2. 현황조사 및 분석
현황조사 및 분석은 기초가 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단계로, 사업 대상지가 지니는
가치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현황조사는 내용 면에서 크게 자연환경조사,
인문·사회환경조사, 경관조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계별로는 조사 준비, 기초조사,
본조사, 정리·분석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1) 조사 준비
조사를 위한 기본도를 준비하고, 답사와 별도의 측량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2) 기초조사
부지에 적용할 구체적인 용도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대상지 자체를 관찰하며, 흥미
있는 특징이나 단서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는 조사단계이다.

(3) 본조사
항목별 점검표를 만들고, 조사 방법과 과정 등을 계획하여 구체적인 조사와 분석을 실
시하는 단계로, 대상지의 성격·조망·접근 문제·잠재력 등을 분석한다.

(4) 정리·분석
수집된 정보를 간결하고 이용하기 쉬운 형태로 정리하고, 공항계획과 설계의 의사결정
에 긴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또, 대상지의 성격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또는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정리한다. 기본적인 잠재력과 가치뿐만 아니라 개선해야 할 문

21
제들과 제약 조건들도 파악한다.

(5) 계획·설계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거나 수집되어야 할 경우 추가적인
조사·분석을 수행한다.

3. 공항운영 및 실적자료 조사 / 분석
공항운영 및 실적자료는 기존 공항의 tower log 데이터를 기본으로 수집·분석한다.

(1) 항공기 운항일지(tower log 자료)


공항의 운항실적 자료는 항공기 혼합률 등 운항횟수 산출에 필요한 기본자료로서 공
항운영기관에서 기록하고 있는 항공기 운항일지(tower-log) 자료를 이용하도록 한다.
항공기 운항일지(tower-log)란 각 공항별로 실제 항공기가 출발 도착한 시각, 스케줄상
에 예정되어 있던 시각, 출발 도착 항공기 구분, 소속 항공사, 편명, 기종, 공급좌석
수, 탑승여객 수, 항공화물량 등 항공기에 관한 기본정보가 날짜와 시간 순으로 기록
된 자료를 의미한다.

(2) tower log 데이터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가) FIMS(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운항정보관리시스템

(나) AOMS(airport operation management system) 공항운영관리시스템

(다) ASDE(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 공항지상감시레이더

(라) ARTS(automatic radar terminal system) 자동레이더터미널시스템

22
수행 내용 /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하기

재료·자료


건설관련법, 시행령, 시행규칙


국토개발계획, 국가기간망계획, 지역개발계획

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


사업계획 수립에 관련된 각종 공문


대상과업과 유사한 사례에 관한 자료 및 서류


문화재 지표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교통영향평가 보고서


일반 통계, 항공 통계, 기상 통계 자료


공항 AIP(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
측량보고서


지반조사보고서, 지질시험결과보고서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문서작성용 S/W, 인터넷, 공학용 계산기, 드론(drone), 카메라 및 음성녹음기
등 기록장치

안전·유의 사항


가장 최근에 개정된 법규 및 규정을 조사하여야 한다.


과업 목적 및 성격에 맞는 기초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
조사자료 수집 시 해당 기관에 명확한 요청 자료목록을 제시하여 한 번에 자료가 수집되도록
한다.


드론(drone)으로 항공촬영 시 비행금지구역, 관제권(공항 주변), 비행제한구역, 군작전구역, 훈련
구역 등을 숙지하여 촬영하며, 조종 시 충분한 사전 훈련을 통해 추락 등의 안전에 유의한다.

23
수행 순서

󰊱 관련 법규 및 관련계획 조사하기
공항건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법규 각종 법규 및 기준, 국토개발계획 등 상위계획,
각종 영향평가자료를 수집한다.

1. 공항 건설에 관련된 법규를 조사한다.


공항건설에 필요한 관련 법규를 조사하고 과업과 관련된 법규에 대해서는 법제처 홈페이
지(www.law.go.kr)를 통해 내용을 확인한다. 공항건설에 필요한 관련 법규는 아래와 같다.

(1) 항공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2) 토지이용규제기본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3) 건설기술관리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4) 폐기물관리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5) 자연재해대책법 및 시행규칙

(6) 환경영향평가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6)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7)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8)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및 동시행령/시행규칙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2016. 07. 22. 스크린샷


[그림 1-4] 법제처 홈페이지 관련법규 검색 예시

조사된 법률에 대한 적용 여부는 발주처와 협의한다.

24
2. 국토개발계획 등 상위계획
공항건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항 당국, 항공사의 공항 관련 정
책을 검토 수집한다. 조사 시 주요 관련 계획정보제공 홈페이지를 통해 검색하거나 관련
계획을 수립한 업체 또는 발주처를 통해 정보 공개를 요청한다. 수집된 상위계획 중 해당
사업과 관련된 내용을 요약하여 보고서에 수록한다.
상위계획 검토는 타당성 조사의 실효성을 부여하는 데 근거가 되며,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관련계획을 파악한다. 또한 사업의 범위 및 내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제반 기존 계획 및 현재 추진 중인 사업들을 면밀히 파악한다.

(1) 국토종합계획

(2) 국가기간교통망계획

(3) 항공정책 기본계획

(4)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5)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6) 도로정비 기본계획

(7) 공항 개발 또는 인근 지역 발전종합계획

(8) 지자체 종합발전계획

3. 제 영향평가 수행 여부를 검토
공항사업의 경우 사업계획/실시계획 승인을 위해 각종 영향평가 등의 대상 사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업 타당성 검토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해당 관청(환경부, 소방방재청, 국토교통부, 지식경제
부, 문화재청 및 지방자치단체)에 서면으로 제 영향평가 여부를 질의 회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출처: 국방부(2014.8), 해군 00기지 28방향 활주로 재포장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그림 1-5] 제 영향평가 관련 질의회신 문서 예시

25
󰊲 공항계획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하기
기초자료에 해당되는 일반현황, 자연현황, 사회경제현황 및 환경 관련 현황 등을 각종 인
터넷 통계자료를 통해 수집한다.

1. 통계자료를 통해 일반현황을 조사한다.


일반현황에 포함되는 위치 및 행정구역, 토지이용현황 등의 통계자료는 해당 지자체의 통
계연보 또는 통계청(http:/www.kosis.kr)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1) 위치는 아래와 같이 전체 지도에 해당 위치를 확대 표시하여 정확한 위치를 그림으


로 표현한다.

[그림 1-6] 위치도 작성 예시

(2) 행정구역은 해당 지역의 통계연보를 활용해 해당 지자체의 면적, 세부 지자체 개소


(읍, 면, 리, 반), 인구수(남, 녀) 등을 간단하게 표로 정리한다. 자세하게 표현된 행
정구역도가 있으면 첨부한다.

(3) 토지이용현황은 통계연보를 활용해 지목별, 용도별로 정리한다.

2. 기초 자연현황을 조사한다.
기초 자연환경에 해당되는 지형 및 지질, 생태계, 기상 및 해상현황은 공항기상대 등 공공
기관에서 발행한 자료 토대로 조사 및 분석한다.

(1) 한국지질자원연구원(http://www.kigam.re.kr/)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지역의 지형 및


지질 현황을 조사한다.

(2) 생태계는 육상식물상, 육상동물상, 해상 동·식물상 등의 기초자료를 조사한다.

(3) 기상은 기상청 또는 해당 공항기상대로부터 최근 10년간의 현상일수 및 기온, 강우,


강설, 안개, 바람, 태풍, 지진 현황을 조사한다. 도서지역 또는 해안에 인접한 공항
의 경우 조석, 조류, 해류 등의 해상현황도 조사한다.

26
3. 기초사회경제현황을 조사한다.
기초사회경제현황에 해당되는 인구, 산업, 교통, 주요 SOC, 관광 및 문화재는 통계청, 각
지자체 통계연보 및 문화재청 홈페이지(www.cha.go.kr)를 통해 조사 및 분석한다.

4. 운영 및 실적자료
항공통계자료는 공항에서 제공하는 항공기운항일지(tower log 데이터) 또는 공항통계연보
를 통해 연간운항실적, 시간당 운항횟수, 결항 및 지연현황 등을 조사한다.

(1) 항공통계자료
일반적인 통계자료는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http://www.airport.co.kr/), 인천국제공항
홈페이지(http://www.airport.kr/) 또는 한국항공진흥협회의 항공정보포털시스템 홈페이
지(http://www.airportal.co.kr)를 통해 조사한다.

(A) 한국공항공사 홈페이지 (B) 인천국제공항공사 홈페이지

(C) 한국공항진흥협회 홈페이지


출처: (A) 한국공항공사(http://www.airport.co.kr/). 2016. 07. 25. 스크린샷.
(B) 인천국제공항공사(http://www.airport.kr/). 2016. 07. 25. 스크린샷.
(C) 한국공항진흥협회(http://www.airportal.co.kr/). 2016. 08. 15. 스크린샷.
[그림 1-7] 운영 및 실적자료 검색 예시

(2) 항공기운항일지(tower log 자료)


공항의 운항실적자료는 항공기 혼합률 등 운항횟수 산출에 필요한 기본자료로서 공항
운영기관에서 기록하고 있는 항공기운항일지(tower-log) 자료를 이용하도록 한다. 항공
기운항일지(tower-log)란 각 공항별로 실제 항공기가 출발 도착한 시각, 스케줄상에 예
정되어 있던 시각, 출발 도착 항공기 구분, 소속 항공사, 편명, 기종, 공급좌석 수, 탑
승여객 수, 항공화물량 등 항공기에 관한 기본정보가 날짜와 시간 순으로 기록된 자료
를 의미한다.

27
항공기운항일지(Tower-log) 자료는 공항운영기관인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
에서 기록하고 있으며, 사업수행을 위해 해당 자료를 구득해야 하며, 보안에 유의하도
록 한다.
<표 1-5> 항공기 운항일지(Tower Log 자료 예시)
날짜 실시각 예정시각 출/도착 활주로 주기장 항공사 편명
20160101 0600 0610 도착 36L 7 KAL KE000
20160101 0610 0619 출발 36L 610 AAR OZ111
20160101 0627 0630 출발 36L 102 HVN VN222
… …
등록번호 기종 목적지 용도 공급좌석수 국내/국제 항공화물량 탑승객
HL0000 B739 HKG 여객 188 국제 0 142
HL1110 A320 HND 화물 - 국제 500 -
VN2221 A321 HAN 여객 183 국제 0 159
… …

항공기운항일지(tower-log)로 분석할 수 있는 사항들은 다양하나 항공수요 추정을 위해


서는 우선적으로 연간 항공기 운항횟수 산출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도록 한다. 연간
항공기 운항횟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자료는 다음 표와 같다.
<표 1-6> 항공기 운항일지(tower log)로부터 추출하는 자료
구분 항목 비고
평균 탑승률, 첨두시간 탑승률, 평균적재량,
여객/화물 필요에 따라 국제선/국내선,
시간대별 분포 비율
출발/도착으로 개별 분석
항공기 항공기 혼합률, 평균 공급좌석 수

󰊳 현장조사하기

1. 신공항 후보지 조사
공항개발 입지영향 인자에 관련된 기초자료로 현황을 조사·수집하고, 직접 현장조사를
통해 산악 등 지형 장애물과 철탑 등 인공 구조장애물의 파악한다. 이때 현장 조사에 드
론을 활용하면 접근이 어려운 현장 및 광범위한 후보지를 단기간에 조사할 수 있다.

(A) 현장조사 시 드론 활용 (B) 드론으로 촬영한 항공사진


[그림 1-8] 드론을 활용한 공항후보지 조사

28
2. 기존시설 및 운영현황
기존 공항 조사의 경우 직접 공항을 방문하거나 항공정보간행물(AIP)를 통해 시설현황을
조사한다. 필요 시 공항 당국 또는 발주처에 자료를 요청한다.

(1) 공항시설현황 조사

(가) airside 시설
1) 활주로
활주로 길이, 활주로 폭, 활주로 방향, 활주로 운영등급, turning pad, 이륙대기
구역, 착륙대 폭
2) 유도로
평행유도로, 직각유도로, 고속탈출유도로 시설현황, 유도로 폭
3) 계류장
- 여객계류장: 접현 게이트 수, 리모트 게이트 수, 항공기 등급별 게이트 수
- 화물계류장: 게이트 수, 항공기 등급별 게이트 수
4) 기타
제방빙 주기장, 런업장, 정비계류장, 격리주기장, 소방훈련장, GSE 도로, GSE 장
비정치장, 후폭풍 방지시설 등

(A) 활주로 현장조사 사진 (B) 유도로 현장조사 사진


[그림 1-9] airside 시설 현장조사 - 활주로 및 유도로

(A) 여객계류장 현장조사 사진 (B) 화물계류장 현장조사 사진


[그림 1-10] airside 시설 현장조사 - 계류장

29
(A) 정비계류장 현장조사 사진 (B) 제빙계류장 현장조사 사진
[그림 1-11] airside 시설 현장조사 - 기타계류장

(나) landside 시설
1) 도로
접근도로, 터미널 전면도로, 구내도로의 차로폭, 차로수
2) 주차장
단기주차장, 장기주차장, 종사자 주차장, 렌트카, 택시 및 버스 주차장 수, 주차
타워 여부
3) 커브사이드
출발·도착 커브사이드 길이, 폭, 수
4) 기타
각종 표지시설

(A) 커브사이드 시설 현장조사 사진 (B) 주차장 시설 현장조사 사진


[그림 1-12] landside 시설 현장조사

30
(다) 유지보수현황
활주로 및 유도로 유지보수 현황(전면 재포장, 부분 유지보수 포함)을 조사한다.

(A) 유도로 overlay 현황 (B) 활주로 재포장 현황


[그림 1-13] 유지보수현황 조사

(2) 항공기 운영현황 특성 및 이용자 의견 수렴


항공기 운영현황 특성은 문헌 및 통계자료외에 공항 설계 시 필요한 데이터를 구분하
여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조사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A) 관제탑 ASDE를 통한 운영현황 조사 (B) 관제탑 방문 조사 및 운영자 면담


[그림 1-14] 항공기 운영현황 조사

31
<표 1-7> 항목별 공항 운영특성조사방법 및 적용내용
조사내용 조사방법 적용
활주로 용량,
활주로 말단 진입부터 항공기가 활주
활주로 점유시간 고속탈출유도로
로를 벗어나는 시간(초 단위)
설계
항공기
착륙하는 항공기 메인기어가 최초 접하 고속탈출유도로
airside touch down
는 위치(활주로 말단에서부터 거리) 설계
시설 위치
항공기별 이용하는 유도로(고속탈출 고속탈출유도로
유도로 이용
유도로, 직각유도로) 번호 및 횟수 설계
고속탈출유도로 고속탈출유도로
지상감시레이더를 이용 탈출속도 조사
탈출 속도 설계
교통수단 분담률
계산, 접근도로,
차량 통행 수요 각 교통별 이용횟수 조사
주차장, 커브사이드
규모 산정
접근도로, 주차장,
landside
평균재차인원 교통수단별 재차인원 조사 커브사이드 규모
시설
산정
이용자 접근도로, 주차장
공항이용객, 환송객, 종사자, 승무원
특성 조사 규모 산정
커브사이드 커브사이드 규모
교통수단별 평균 정차시간 조사
정차시간 산정

3. 측량조사
측량조사를 하기에 앞서 발주처와 협의하여 정확한 측량 범위와 방법을 결정한다. 측량
전문업체를 통해 측량을 수행한다. 세부적인 측량 방법은 NCS 14. 건설, 02. 토목 03. 측
량·지리정보개발을 참고한다.

4. 지반조사
지반조사를 하기 앞서 발주처와 협의하여 정확한 지반조사 범위, 공수, 방법을 결정한다.
지반조사 전문업체를 통해 지반조사를 수행한다. 세부적인 측량방법은 NCS 14. 건설, 02.
토목 01. 토목설계·감리 08. 지반설계 편을 참고한다.

󰊴 조사결과 정리 및 분석하기

1. 현황조사 및 분석
현황조사 및 분석은 기초가 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단계로, 사업 대상지가 지니는
가치와 문제점을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현황조사는 내용 면에서 크게 자연환경 조사,
인문·사회환경 조사, 경관조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단계별로는 조사 준비, 기
초조사, 본조사, 정리·분석, 계획·설계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32
(1) 조사 준비
조사를 위한 기본도를 준비하고, 답사와 별도의 측량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2) 기초조사
부지에 적용할 구체적인 용도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대상지 자체를 관찰하며, 흥미
있는 특징이나 단서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는 조사 단계이다.

(3) 본조사
항목별 점검표를 만들고, 조사 방법과 과정 등을 계획하여 구체적인 조사와 분석을 실
시하는 단계로, 대상지의 성격·조망·접근 문제·잠재력 등을 분석한다.

(4) 정리·분석
수집된 정보를 간결하고 이용하기 쉬운 형태로 정리하고, 공항계획과 설계의 의사결정에
긴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이다. 또, 대상지의 성격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또는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정리한다. 기본적인 잠재력과 가치뿐만 아니라 개선해야 할 문제들과 제약
조건들도 파악한다. 신공항 개발의 경우 기상자료(기온, 강수량, 시정, 운고, 바람) 분석을
통하여 공항운영에 지장이 없는 곳을 선정하여야 하며 기상 조건에 적합한 공항배치, 즉
활주로 길이와 형태, 터미널 지역 등의 요건을 만족하는 위치로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시정은
중요한 요소로서 안개에 대하여는 장시간(5~10년) 상세히 검토되어야 하며 활주로 방향
선정을 위하여 풍향과 풍속을 검토하고 바람장미를 작성하여 풍극 범위가 95% 이상 되는
방향을 선택하도록 한다. 자세한 분석은 공항설계 입지분석의 학습모듈을 참고한다.

(5) 계획·설계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거나 수집되어야 할 경우 추가적인
조사·분석을 수행한다.

3. 공항운영 및 실적자료 조사 / 분석
공항운영 및 실적자료는 기존 공항의 tower log 데이터를 기본으로 수집·분석한다.

(1) tower log 데이터


tower log 데이터는 공항 자체 전산시스템을 통해 모든 정보가 수집되며, 항공기의
이·착륙시간, 항공기 종류(여객, 화물, 국내, 국제, 군용), 이용활주로 및 유도로 번호,
할당 게이트 번호, 게이트 점유시간, 탑승객 수 등의 자료가 포함된다.

(2) tower log 데이터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가) FIMS(fligh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운항정보관리시스템

(나) AOMS(airport operation management system) 공항운영관리시스템

(다) ASDE(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 공항지상감시레이더

(라) ARTS(automatic radar terminal system) 자동레이더터미널시스템

33
4. 현장조사 및 분석
공항시설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접 공항을 방문해서 전수조사를 수행하거나, 공항
홈페이지 또는 항공정보간행물을 활용한다.

(1) 항공정보간행물 AIP(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국제민간항공(ICAO) 협약 제15부속서의 규정에 의거, 각 가맹국의 주관청(우리나라는
국토교통부)이 각국 공역에서의 비행장 및 지상원조시설, 항공통신, 항공기상, 항공교
통규칙, 수색구조 및 항공로 등 안전하고 능률적인 운항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록한
간행물로 승무원에게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공항별 AIP자료는 국토
교통부 항공정보서비스(http://ais.casa.go.kr/)에서 검색을 통해 수집한다.

(가) AIP 수록 내용
1) GENERAL
2) ENROUTE
3) AERODROME
4) AIP AMDT, SUP
5) AIRAC AIP AMDP / SUP
6) AIC

출처: aeronautical information services(http://ais.casa.go.kr/). 2016. 07. 26. 스크린샷.


[그림 1-15] 항공정보간행물(AIP) 검색 예시

(2) 측량 및 지반조사
공항의 설계 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조사로 시설계획 전반에 대해 시행한다. 기본설
계 시 측량 및 지반조사를 수행하고,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기본설계 단계에서 측량한
기준점 및 주요측점에 대해 확인측량을 시행하고, 일부 계획이 변경된 경우 추가 측량
및 지반조사를 수행한다.

34
(가) 측량결과
1) 골조측량: X,Y,Z 좌표로 표기되며, m단위로 표기(정확도 0.001)
2) 지형현황측량: 항공측량 1/1,000~1/1,200 지형·지적도
3) 노선측량: 중심선 간격 20m, 종단도면(1/1,200), 횡단도면(H:1/600, V:1/200)
4) 지하매설물, 용지 및 지장물 조사: 지하매설물도, 용지도(1/1,200, 1/5,000)

(나) 지반조사 결과
현장조사, 원위치시험 및 실내시험이 완료된 후 그 성과에 대한 분석 및 공법 검토
등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보고서에 수록한다.
1) 각종 조사위치 평면도
2)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3) 지질도
4) 지층단면도 및 시추주상도
5) 기초형식 및 기초공법
6) 굴착 및 흙막이공법
7) 지진에 의한 액상화 및 구조물 시공 시 부력에 의한 영향
8) 기존 구조물이 인근에 있는 경우 기초, 굴착, 부등침하, 소음, 진동 등의 검토
및 대책
9) 연약지반처리대책 수립
10) 흙막이공법(가시설)에 대한 계측계획 수립
11) 구조물 되메우기 및 흙막이공 뒤채움 등의 검토
12) 깊은기초 공법 선정 시 시험 항타 및 정·동재하시험 계획
13) 소음·진동 영향 평가
14) 기타 설계에 필요한 사항

(3) 토취장, 골재원 및 주요자재


골재의 경우 운반거리에 따른 자재단가 차이가 크므로 사업부지 인근의 토취장, 골재
원 및 사토장의 경우 운반거리 산출을 위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인근 도로망과
연계한 이동거리를 파악한다.

(가) 골재원 및 사토장


공항건설에 필요한 골재원으로는 조골재, 세골재 및 혼합골재가 있으며, 토취원은
토석정보공유시스템(http://www.tocycle.com/)을 활용하여 과업지역 인근 공사현장의
토량유용계획을 확인한다.

35
출처: 토석정보공유시스템(http://www.tocycle.com/). 2016. 07. 26. 스크린샷.
[그림 1-16] 토취원 확인을 위한 토석정보공유시스템 검색 예시

(나) 주요자재(재료원) 조사
공항건설에 필요한 주요자재인 아스콘, 레미콘의 업체는 토석정보공유시스템을 통
해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방문조사 후 생산량 등을 확인한다. 조사 시 위치 및 운
반거리를 확인한다.
1) 골재원 현황
2) 토취장 현황
3) 아스콘 업체 현황
4) 레미콘업체 현황
5) 폐기물처리장 현황
6) 모래 현황

(A) 골재원 현황 조사 (B) 레미콘업체 현황 조사


[그림 1-17] 주요자재(재료원) 조사

36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항설계 과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 후 과업수행계획서 작성방법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설명한다.

• 과업지시서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 작성된 과업지시서를 참고자료로하여 과업지시서에 포함되는


내용에 대한 분석 방법을 지도한다.

• 과업수행계획서 작성의 선행사례나 과업수행계획서에 포함된 각종 첨부자료를 PPT나 시각적


자료로 제시한 후 작성방법을 지도한다.

• 공항설계와 관련된 법규, 관련 상위계획을 설명하고 조사방법을 지도한다.

• 필요한 기초자료목록을 설명하고 각 자료에 대한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을 지도한다.

• 기상자료(기온, 강수량, 시정, 운고, 바람, 안개) 분석방법을 지도한다.

• 공항시설현황 및 운영현황 조사의 대상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분석방법을 지도한다.

• 측량 및 지반조사에 대한 종류, 조사방법 및 시험종류 등을 설명하고 각 성과물에 대한 분석방법


을 지도한다.

• 잘 정리된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보고서를 예시로 제시한다.

학습 방법

• 공항설계 과정의 순서, 개념, 포함 내용 등 기초 지식을 사전에 충분히 학습한다.

• 예시로 제시된 과업지시서의 구성 내용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작성된 과업수행계획서를 비교하


여 작성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 기초자료 조사 시 필요한 인터넷 사이트를 확인 후 해당 사이트의 사용방법을 숙지한다.

• 공항 설계에 필요한 시설현황 및 운영현황 조사목록을 작성한다.

• 측량 및 지반조사의 종류, 조사방법 및 시험종류를 파악한다.

37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계약서 내에 과업과 관련된 특별 조건을 파악할 수 있다.

- 과업지시서에 제시된 과업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등을


검토하여 과업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과업수행계획서 - 분야별로 진행되는 작업의 특성과 필요기간을 파악하고


작성 소요인원 및 소요비용을 파악하여 설계예정공정표를 작
성할 수 있다.

- 과업지시서에 제시된 과업 내용에 대하여 과업수행 방


법, 순서 및 기간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과업수행 계
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사전에 사업계획과 관련된 법규와 각 지방 자치법규 등


을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과업과 관련된 환경, 교통, 재해 영향 검토 등에 대한 자


료를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위치, 사회 및 경제, 지형 및 지세, 지질, 문


화재, 기상조건 등과 같은 환경조건을 조사할 수 있다.
기초자료
- 사업과 관련된 상위계획 및 연관된 개발계획을 조사하
조사 및 분석
여 수집할 수 있다.

- 항공운항과 공항이용실적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수집할


수 있다.

- 기존 시설물 및 주변 여건에 대한 현황을 조사할 수 있다.

- 항공기 운항 관련 특성 및 이용자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38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측량을 통하여 시설물 위치, 지형현황, 배수시설 및 지


장물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 지반조사, 실내외 시험의 종류와 방법을 선정하고 조사


할 수 있다.

- 본 공사에 소요되는 공사용 재료의 공급계획에 따라 인


근 지역에 재료원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기초자료 - 조사결과의 정확성과 중요도를 파악하여 정리의 우선


조사 및 분석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자료 수취인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수집, 정리한 자


료를 분야별로 분류할 수 있다.

- 팀 회의 또는 자문단 회의 등을 실시하여 조사결과의 정


확성을 파악할 수 있다.

- 정리된 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각 분야별 담당자가 적절하게 배치된 과업수행조직도


작성 여부

과업수행계획서 - 주요업무내용이 제대로 포함되고 과업기간에 맞는 세부


작성 공정계획도 작성 여부

- 세부공정계획도 및 과업수행조직도와 일치된 인력투입


계획도 작성 여부

- 기본적인 기초자료 조사항목의 누락 여부

- 정리된 관련법규 및 상위계획 중 필수조사 리스트 누락


기초자료
여부
조사 및 분석
- 고시된 통계자료와 정리된 기초자료 분석 내용과 일치
여부

39
•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과업내용서에 포함된 특별 조건 파악 여부
과업수행계획서
- 작성된 세부공정계획에 맞게 인력투입계획 작성 여부
작성
- 인력투입계획에 적용된 m/m와 전체 m/m의 일치 여부

- 정리된 관련법규 및 상위계획의 해당 사업 연관 여부

- 타당성 검토 시 필요한 제 영향평가 항목 파악 여부

기초자료
- 기상자료 (기온, 강수량, 시정, 운고, 바람, 안개)를 제대
조사 및 분석
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는지 여부

- 항공기 운영현황 조사 시 조사내용과 적용방법 파악


여부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엑셀 또는 파워포인트를 통한 세부공정계획, 과업수행


과업수행계획서 조직도 및 인력투입계획의 작성기술
작성
- 과업지시서에서 제시한 내용을 모두 취합 작성했는지 여부

- 기초자료 조사 시 통계자료 분석기술

- 현장 조사 시 사전 체크리스트 작성 여부
기초자료
조사 및 분석
- 인터넷을 통한 자료조사 시 해당 사이트의 검색 기술

- 측량 및 지반조사 결과 보고서의 분석기술

40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과업수행조직도, 인력투입계획도, 세부공정계획도 작성
능력을 파악하고 시각적 전달이 명확한지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기초자료 조사 후 조사결과를 분석해서 제대로 정리되었는지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보완하도록 한다.
2. 체크리스트
- 과제로 제시된 과업지시서의 목적 및 특성에 맞는 과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였는지 평
가하고 잘된 점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보완하도록 한다.
- 제시된 과업에 대해 제 영향평가 시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관련법규를 제대로 숙지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보완하도록 한다.
3. 작업장 평가
- 수행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여 다음 작업 수행 시에는 보완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 조언하고 설명해준다.

41
학습 1 현장조사하기(LM1402010201_14v2.1,2,3,4)

설계기준 수립하기
학습 2
(LM1402010202_14v2.1,2,3)
학습 3 시설규모 결정하기(LM1402010203-1_14v2.2,3)

2-1. 설계기준 수립

• 국내공항 관련 계획 및 항공 관련 법규를 검토하여 이해할 수 있다.


• 항공법, 동법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에 검토하여 이해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비행장시설 설치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항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발췌
하고 정리할 수 있다.
•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을 검토하여 각 공항의 현 시설과 중장기 개발계획 및 신규 공
항 개발 소요를 파악할 수 있다.
• 국내·외 관련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비행장시설 설치 설계 매뉴얼 및 공항공사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
항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발췌하고 정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ICAO, FAA, UFC 등 국외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항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발췌
하고 정리할 수 있다.
• 국내·외 공항 관련 설계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공항 계획 수립에 필요한 내용을 발
췌하고 정리하여 상이한 내용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 해당 공항의 장·단기적인 기능을 결정하여 기능에 부합되는 설계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 항공 수요 및 운항 항공기, 운영방법에 따라 활주로의 등급을 설정하고 공항시설의
적정한 설계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 안전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airside와 landside의 시설물별 세부설계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공항 및 항공분야의 용어와 개념
항공법 제75조제3항 및 제111조, 같은 법 시행령 제16조제2항 및 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222조 각 호의 규정에 따라 육상비행장, 수상비행장 및 헬기장 시설 설치에 필요한 공
항 및 항공분야의 용어와 개념은 비행장 시설 설치기준에 정립되어 있으며, 세부적인 용
어 정리는 ‘부록: 공항 및 항공분야의 용어와 개념’을 참조한다.

42
󰊲 공항설계 관련 법규 및 기준
공항설계에 필요한 법규 및 기준은 항공 관련 조직체계에 따라 구분된다.

1. 국내 및 국제 설계기준

(1) 항공법과 국토교통부가 발간한 비행장 시설 설치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2-1> 비행장 시설 설치 관련 국내기준
구분 시설 설치기준
∙ 공항운영검사 등에 관한 규정
∙ 공항수화물처리시설 관리운영지침
∙ 공항 지하관로시설의 관리 및 운영에
∙ 공항승강기시설 관리운영지침
관한 지침
훈령 ∙ 공항탑승교시설 관리운영지침
∙ 공항운영증명 업무처리지침
∙ 인천국제공항 자동여객수송시설 안
∙ 항공등화시설 등의 관리운영 및 점검
전관리 운영지침
지침
∙ 레이저 광선 운영기준
∙ 조류 및 야생동물 충돌위험 감소에
∙ 공항안전운영기준 관한 기준
∙ 비행장 시설 설치기준 ∙ 항공등화 설치 및 기술기준
∙ 수상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항공등화시설 그림기호에 관한 기준
∙ 헬기장 시설 설치기준 ∙ 공항환경관리기준
고시
∙ 공항 이동지역 통제규정 ∙ 공항 소음대책지역의 방음시설 설치
∙ 비행장 및 항공등화시설 관리검사 규정 기준
∙ 항공학적 검토 및 위험평가 규정 ∙ 항공장애표시등과 항공장애 주간표
∙ 비행장 시설 관리 및 운영규정 지의 설치 및 관리기준
∙ 소음대책지역 주거용 시설에 대한
냉방시설 설치기준
∙ 비행장 포장설계 매뉴얼 ∙ 비행장시설(유도로, 계류장등) 설계
∙ 포장면 상태관리업무 매뉴얼 매뉴얼
∙ 지상이동안내 및 통제시스템 매뉴얼 ∙ 비행장(활주로) 설계매뉴얼
∙ 공항비상계획 업무매뉴얼 ∙ 공항안전관리체계 매뉴얼
∙ 공항운영 업무매뉴얼 ∙ 공항내 위험물 취급 업무매뉴얼
예규
∙ 기동불능 항공기 처리업무 매뉴얼 ∙ 공항안전 자체점검 업무매뉴얼
∙ 공항에서의 구조 및 소방업무 매뉴얼 ∙ 항행안전시설 보호 업무매뉴얼
∙ 장애물 관리업무 매뉴얼 ∙ 공항시설 유지보수 업무매뉴얼
∙ 공항포장 강도결정보고 매뉴얼 ∙ 항공기 소음측정 업무지침
∙ 공항포장 과하중 운영 매뉴얼 ∙ 공항기계시설 관리운영 매뉴얼
국방부 ∙ 국방시설 설계기준

43
(2) 국제기준들은 공항시설 및 기타 지원시설의 계획 및 설계를 위한 ICAO, FAA, IATA,
UFC 기준들이며, 추가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서적, 매뉴얼 등을 이용한다.
<표 2-2> 비행장 시설 설치 관련 해외기준
구분 기준 및 매뉴얼
∙ Annex 3 Meteorological Service for International Air Navigations
∙ Annex 9 Facilitations
∙ Annex 10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s
∙ Annex 11 Air Traffic Services
∙ Annex 14 Aerodromes Volume I Aerodrome Design and Operations
∙ Annex 16 Environmental Protection Volume I Aircraft Noise
∙ Annex 17 Security
∙ Doc. 4444 Procedures for Air Navigation Services(Air Traffic Management)
∙ Doc. 8168-OPS/611 Procedures for Air Navigation Services Aircraft Operations
Volume I Flight Procedures
∙ Doc. 8168-OPS/611 Procedures for Air Navigation Services Aircraft Operations
Volume I Construction of Visual and Instrument Flight Procedures
ICAO ∙ Doc. 8991 Manual on Air Traffic Forecasting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1: Runways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2: Taxiways, Aprons and Holding Bays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3: Pavements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4: Visual Aids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5: Electrical Systems
∙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5: Frangibility
∙ Doc. 9184 Airport Planning Manual Part 1: Master Planning
∙ Doc. 9184 Airport Planning Manual Part 2: Land Use and Environmental Control
∙ Doc. 9184 Airport Planning Manual Part 3: Guidelines for Consultant/Construction
Services
∙ Doc. 9137 Airport Service Manual Part 2: Pavement Surface Conditions
∙ Doc. 9137 Airport Service Manual Part 6: Control of Obstacles
∙ AC 150/5020-1 Noise Control and Compatibility Planning for Airports
∙ AC 150/5060-5 Airport Capacity and Delay
∙ AC 150/5070-3 Planning the Airport Industrial Park
∙ AC 150/5070-6 Airport Master Plans
FAA ∙ AC 150/5070-7 The Airport System Planning Process
∙ AC 150/5100-14B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Planning Consultant Services for
Airport Grant Projects
∙ AC 150/5190-1 Minimum Standards for Commercial Aeronautical Activities on Public
Airports

44
<표 2-2> 비행장 시설 설치 관련 해외기준 (계속)
구분 기준 및 매뉴얼
∙ AC 150/5190-7 Minimum Standards for Commercial Aeronautical Activities
∙ AC 150/5210-5 Painting, Marking, and lighting of Vehicles used on and Airports
∙ AC 150/5210-13 Water Rescue Plans, Facilities and Equipment
∙ AC 150/5210-15 Airport Rescue and Firefighting Station Building Design
∙ AC 150/5210-20 Ground Vehicle Operations on Airports
∙ AC 150/5210-22 Airport Certification Manual (ACM)
∙ AC 150/5220-4 Water Supply Systems for Aircraft Fire and Rescue Protection
∙ AC 150/5220-16C Automated Weather Observing Systems (AWOS) for Non Federal
FAA Applications
∙ AC 150/5230-4A Aircraft Fuel Storage, Handling, and Dispensing on Airports
∙ AC 150/5300-13 Airport Design
∙ AC 150/5320-5C Airport Drainage
∙ AC 150/5320-6E Airport Pavement Design and Evaluation
∙ AC 150/5325-4B Ruway Length Requirements for Airport Design
∙ AC 150/5340-1J Standard for Airport Markings
∙ AC 150/5340-5B Standard for Airport Sign System
∙ AC 150/5370-10A Standards for Specifying Construction of Airport
IATA ∙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
UFC ∙ Airfield and Heliport Planning and Design

2. 비행장 분류체계

(1) 비행장 설계 시에는 해당 비행장에서 운항할 항공기에 적합한 비행장 시설을 제공


하기 위하여 비행장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한다.

(2) 비행장 평면배치 설계기준과 관련된 분류체계는 항공기의 제원 및 운항특성을 고려


하여 기하구조 기준을 선정할 수 있도록 분류번호(Code Number) 또는 분류문자
(Code Letter)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3) 비행장 분류기준은 다음의 표와 같이 해당 비행장을 이용하는 항공기 성능 및 제원


을 기준으로 한다.

(4) 항공법 기준
항공법에서는 활주로 또는 착륙대의 길이를 기준으로 착륙대 등급을 분류하고 있으며
ICAO의 기준을 따라 분류번호와 분류문자에 의한 분류체계도 병용하고 있다.

45
<표 2-3> 비행장의 착륙대 등급 분류기준(시행규칙 제221조 관련)
비행장의 착륙대의
활주로 또는 착륙대의 길이 비고
종류 등급
A 2,550미터 이상
B 2,150미터 이상 2,550미터 미만
활주로 또는 착륙대의
C 1,800미터 이상 2,150미터 미만
길이를 적용함에 있어
D 1,500미터 이상 1,800미터 미만 서는 육상비행장의 경
육상비행장 E 1,280미터 이상 1,500미터 미만 우에는 활주로의 길이
F 1,080미터 이상 1,280미터 미만 를, 수상비행장의 경우
에는 착륙대의 길이를
G 900미터 이상 1,080미터 미만
기준으로 함
H 500미터 이상 900미터 미만
J 100미터 이상 500미터 미만

<표 2-4> 육상비행장의 분류기준


분류요소 1 분류요소 2
분류 분류
항공기의 최소 이륙활주거리 항공기 주날개의 폭 항공기 외측 주기어 간격
번호 문자
1 800m 미만 A 15m 미만 4.5m 미만
2 800m 이상 1,200m 미만 B 15m 이상 24m 미만 4.5m 이상 6m 미만
3 1,200m 이상 1,800m 미만 C 24m 이상 36m 미만 6m 이상 9m 미만
4 1,800m 이상 D 36m 이상 52m 미만 9m 이상 14m 미만
E 52m 이상 65m 미만 9m 이상 14m 미만
F 65m 이상 80m 미만 14m 이상 16m 미만

3. 항공기 분류체계
공항의 에어사이드 시설은 크기와 무게 및 배치 특성이 다른 일련의 항공기를 수용하여야
하며, 수용하는 항공기의 이동이 에어사이드와 계류장 전체에 걸쳐 안전하도록 설계하여
야 한다. 공항시설에 대한 적절한 설계기준을 규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설을 이용하는
항공기의 분류를 하여야 한다.
ICAO 방법은 항공기 기준 활주로 길이(aircraft reference field length)와 항공기 날개 폭
및 외측 주기어 바퀴 간격의 2가지 요소로 구분하며 FAA 방법은 항공기 진입 속도와 날
개 폭에 따른 항공기 설계 그룹(Design Group)의 2가지 요소로 구분한다.

(1) 항공기 크기별 분류


ICAO에서는 이러한 분류체계를 aerodrome reference code라 하고 우선, 활주로(stopway
및 clearway 포함)의 길이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1에서 4의 번호를 부여하고, 항공기의
제원에 따라 A에서 F까지 6개의 그룹으로 각각 나누고 있다.

46
[그림 2-1] 항공기 제원의 명칭(E급 예시)

<표 2-5> ICAO aerodrome reference code


분류번호 활주로길이(m) 분류문자 익 폭(m) 외측 차륜 폭(m)
1 <800 A <15 <4.5
2 800 ~ <1,200 B 15 ~ <24 4.5 ~ <6
3 1,200 ~ <1,800 C 24 ~ <36 6 ~ <9
4 ≥1,800 D 36 ~ <52 9 ~ <14
E 52 ~ <65 9 ~ <14
F 65 ~ <80 14 ~ <16

<표 2-6> FAA 항공기 설계그룹 (Airplane Design Groups)


설계그룹 꼬리날개 높이(m) 날개폭(m)
I 6.1 미만 15 미만
II 6.1 이상∼ 9.1 미만 15 이상∼24 미만
III 9.1 이상∼13.7 미만 24 이상∼36 미만
IV 13.7 이상∼18.3 미만 36 이상∼52 미만
V 18.3 이상∼20.1 미만 52 이상∼65 미만
VI 20.1 이상∼24.4 미만 65 이상∼80 미만

(2) 착륙속도별 분류
활주로항공기의 진입 카테고리 운항특성은 각 절차를 위하여 소요되는 착륙 및 이륙
최소기준과 적당한 장애물 이격거리를 산출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선회 반경의 최소기
준과 선회 및 실제 진입을 위한 장애물 이격거리 지역을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유도

47
로 체계에서 고속탈출 유도로의 적정위치를 산출하는 데 이용한다.
<표 2-7> 항공기 착륙 진입속도별 분류
진입 카테고리 착륙(진입) 속도 해당 기종
A 169km/h(91노트)미만 Convair240, DC-3, DHC-7
B 169km/h(91노트) ~ 222km/h(120노트) Convair600, DC-6, F27, Viscount800
C 224km/h(121노트) ~ 259km/h(140노트) B-707, B-727, DC-8, Trident
B-747, DC-10, IL62M, L-1011,
D 261km/h(141노트) ~ 306km/h(165노트)
TU-154
E 166노트 이상 A380, B747-8F

(3) 후풍와류 및 중량별 분류


동일 항로상에서 항공기 간의 이격거리 또는 동일방향에서 항공기 간의 수평분리간격
설정기준이 되는 항공기 등급은 다음과 같으며, 후풍와류 분리간격의 최소 기준을 목
적으로 항공관제기준에서 항공기를 최대인가 이륙중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heavy,
large 및 small로 분류한다.
<표 2-8> 후풍와류 및 중량별 분류
항공기 등급(Class) 최대인가 이륙중량(lbs) 엔진 수 후풍와류 분류
A 단발
12,500 이하 small
B 다발
C 12,500 ~ 300,000 다발 large
D 300,000 초과 다발 heavy

󰊳 공항설계기준
시설평면 배치기준은 ICAO 기준 및 국토교통부에서 개발한 공항설계 및 운영지침을 기본
으로 적용하며, ICAO에 명시되지 않은 기준은 기타 국외기준 및 국내기준을 적용한다.

1. 공항운영등급 설정

(1) 활주로 설계 시 적용등급

(가) CAT-Ⅰ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Ⅰ)

(나) CAT-Ⅱ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Ⅱ)

(다) CAT-Ⅲ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Ⅲ)

48
(2) 활주로 등급별 지상시설장비 기준
<표 2-9> 카테고리별(category) 지상시설장비 비교
카테고리별 구분 CAT Ⅰ CAT Ⅱ CAT Ⅲ
형식 ALSF Ⅰ형 ALSF Ⅱ형
진입 등 열 (燈列) 30 열 30 열
등화 거 리 900m 900m CAT Ⅱ와 동일
시설 G.S. Angle 2.75 º 이상 720m 720m
G.S. Angle 2.75 º 이하 900m 900m
방위각 장비 O O O
활공각 장비 O O O
내방 마킹장비 - O O
계기 중방 마킹장비 O O O
착륙 외방 마킹장비 O O O
시설 원격지점 모니터 - O O
제어 및 감시장치 - O O
중장파 NDB O O O
성능 CAT Ⅰ성능 CAT Ⅱ 성능 CAT Ⅲ 성능
시정계(RVR) 1조 2조 3조
활주로등 60m 60m 60m
활주로등 중심선등 - 30m 15m
접지대등 - 30 / 60m 30m
유도로등 O 60m 60m
유도로등
중심선등 - 15 / 30m 15m
진입각 지시등 O CAT Ⅰ과 동일 CAT Ⅱ와 동일
공항 감시 레이다
O O O
/2차 감시 레이다
전방향 무선 표지시설
O O O
/거리측정장치
연간운항횟수
공항 지상감시 레이다 180,000회 이상 CAT Ⅰ과 동일 필수
일 때 소요
조명 15초 조명 1.15초
전원공급여건 CAT Ⅱ와 동일
ILS 10초 ILS 0, 1, 10초
착륙대 – over run 착륙대 – I/M
진입체계 동일 경사 동일 경사 CAT Ⅱ와 동일
지반조성
또는 수평 또는 수평
R/W 중심선 - G.S 75m 이상 120m 이상 CAT Ⅱ와 동일

49
2. 장애물 제한표면
공항은 이·착륙 시 또는 항공기가 공항 주변을 선회할 때 위험을 줄 수 있는 장애로부터
그 공역이 영향을 받지 않는 지역에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항공기가 장애물로부터 방해
를 받지 않고 공역을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공항 사용이 불가할 수도 있
는 공역 내의 장애물의 개발이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공항 부근
의 공역 보호에 관한 가상(假想)의 제한표면을 장애물 제한표면(obstacle limitation surface)
이라 하며 국제표준인 ICAO Annex14에 그 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ICAO 기준
을 근거로 하여 국내실정에 맞도록 다소 수정된 각종 제한표면을 항공법 제2조와 시행규
칙 제4조 이하에서 정의하고 있다. 한편 기타 규정으로는 FAA 규정인 FAR 77장에서도
유사한 기준이 있다.

(1) 국·내외 적용기준 비교


<표 2-10> 장애물 제한표면기준 비교
구분 항공법 ICAO FAA
폭 300m 좌동 좌동
길이 활주로단+60m 좌동 좌동
1. 기본표면
가장 가까운 R/W 중심선 높이와
높이 좌동 좌동
같다.
∙ 내측 폭 300m 좌동 좌동
∙ R/W 끝에서 거리 60m 좌동 좌동
∙ 확산(양쪽) 15% 좌동 좌동
길이 3,000m 좌동 좌동
∙ 제1구역 경사 1/50 좌동 좌동
외측 폭 1,200m 좌동 좌동
2.
진 길이 12,000m 3,600m 12,000m
입 경사 1/40 좌동 좌동
∙ 제2구역
표 내측 폭 1,200m 좌동 좌동

외측 폭 4,800m 2,280m 4,800m
길이 - 8,400m -
∙ 수평구간 내측 폭 - 2,280m -
외측 폭 - 4,800m -
∙ 최종폭 4,800m 좌동 좌동
∙ 최종길이 15,000m 좌동 좌동

50
<표 2-10> 장애물 제한표면 기준 비교 (계속)
구분 항공법 ICAO FAA
경사도 1/7 좌동 좌동
① 기본표면 측변 및 진입표면의 경사변에서 수평표
3. 전이표면 면 및 원추표면까지(항공법, ICAO)
위치
② 위의 ①항에 추가하여 진입표면 경사변에서 폭
1,500m까지(FAA)
기본표면 최고높이+45m (FAA), 활주로기준점의 높이
높이
+45m(ICAO), 기본표면의 양단 높이 중 높은점+45m(항공법)
4. 수평표면
기본표면 양단중심점에서 반경 (FAA: 3,000m, 항공법:
반경
4,000m, ICAO: 4,000m)
경사도 1/20 좌동 좌동
5. 원추표면 폭 1,100m 2,000m 1,200m
최고높이 45+55=100m 45+100=145m 45+60=105m
내측폭 - 180m -
R/W 끝에서 거리 - 60m -

6. 이륙상승 확산 - 1/8 -
표면 최종폭 - 1,200m -
길이 - 15,000m -
경사도 - 1/50 -

[그림 2-2] 장애물 제한표면 입체도(항공법 기준)

51
3. 시설 평면배치 기준
시설 평면배치 기준은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대기지역, 제·방빙시설 및 비행장 표지
시설로 구분된다. 평면배치를 위한 국·내외 설계기준은 아래와 같다.

(1) 관련기준
- ICAO: Annex 14, Areodromes, Volume 1 Aerodrome Design and Operations
- ICAO: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1 Runways, Part 2 Taxiways, Aprons and
Holding Bays
- FAA: AC 150/5300-13 Airport Design, AC 150/5325-4 Runway Length Requirements
for Airport Design
- IATA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
- UFC: Airfield and Heliport Planning and Design
-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 공항종합계획 매뉴얼
- 비행장시설[활주로] 설계 매뉴얼
- 비행장시설[유도로, 계류장 등] 설계 매뉴얼
- 국방시설설계기준 제10장 비행장시설

(2) 세부적용기준

(가) 활주로
1) 활주로의 수 및 방향(number and orientation of runways)
2) 최대 허용 측풍분력의 선정(choice of maximum permissible cross-wind components)
3) 활주로 시단의 위치(location of runway threshold)
4) 활주로 길이 산정(actual length of runways)
5) 활주로의 폭(width of runways)
6) 평행활주로의 최소이격거리(minimum distance between parallel runways)
7) 활주로의 경사도(slopes of runways)
8) 활주로 강도(strength of runways)
9) 활주로 표면(surface of runways)
10) 활주로 갓길(runway shoulder)
11) 활주로 회전패드(runway turn pads)
12) 착륙대의 규모(runway strip)
13) 착륙대 내의 물체(objects on runway strip)
14) 착륙대의 정지(grading of runway strips)
15) 착륙대의 경사도(slopes on runway strips)
16)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설치(runway end safety area)

52
17)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크기(dimensions of runway end safety areas)
18)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내의 물체(objects on runway end safety areas)
19)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경사도(slopes on runway end safety areas)
20)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강도(strength of runway end safety areas)
21) 개방구역(clearway)
22) 정지로(stopway)
23) 전파고도계 운용구역(radio altimeter operating area)
24) 활주로 보호구역(runway protection zone: rpz)

(나) 유도로
1) 유도로의 설치(taxiways)
2) 유도로의 폭(width of taxiways)
3) 유도로 곡선부(taxiway curves)
4) 유도로의 접합점과 교차점(taxiway junction and intersections)
5) 유도로 최소 이격거리(taxiway minimum separation distances)
6) 유도로의 경사도(slopes on taxiways)
7) 유도로의 강도 및 표면(strength and surface of taxiways)
8) 고속탈출 유도로(rapid exit taxiways)
9) 유도로 교량(taxiways on bridges)
10) 유도로 갓길(taxiway shoulders)
11) 유도로대(taxiway strips)

(다) 계류장
1) 계류장의 설치(aprons)
2) 항공기 주기장 이격거리(clearance distances on aircraft stands)
3) 격리주기장의 설치(isolated aircraft parking position)

(라) 대기지역, 제·방빙 시설 등


1) 대기지역 등의 설치(holding bays)
2) 대기지역 등의 크기 및 위치(size and position of holding bay)
3) 제·방빙시설의 설치(de-icing/anti-icing facilities)
4) 제·방빙장의 크기와 수(size and number of de-icing/anti-icing pads)
5) 제·방빙장의 경사도(slopes on de-icing/anti-icing pads)
6) 제·방빙장의 강도(strength of de-icing/anti-icing pads)
7) 제·방빙장의 이격거리(clearance distances on a de-icing/anti-icing pad)
8) 제·방빙 물질의 처리(handling for de-icing/anti-icing)

53
(마) 비행장 표지
1) 활주로상의 표지(runway markings)
2) 유도로상의 표지(taxiway markings)
3) 명령 표지(mandatory markings)
4) 정보 표지(information markings)

󰊴 토목설계기준
공항은 모든 시설이 통합된 종합시설이므로 도로, 단지, 구조 등 국내 토목설계 관련 설계
기준을 적용한다. 관련기준은 아래와 같다.

1. 토목설계 관련 국내기준

(1) 콘크리트구조기준(한국콘크리트학회)

(2) 강구조설계기준(한국강구조학회)

(3) 강구조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 한국강구조학회)

(4)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

(5) 건설공사비탈면설계기준(한국시설안전공단)

(6) 공동구설계기준(한국시설안전공단)

(7) 조경설계기준(한국조경학회)

(8) 도로설계기준(한국도로교통협회)

(9) 도로교설계기준(한국도로교통협회)

(1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한국도로교통협회)

(11) 터널설계기준(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12) 하천설계기준(한국수자원학회)

(13) 상수도시설기준(한국상하수도협회)

(14) 하수도시설기준(한국상하수도협회)

(15) 한국토지주택공사 토목설계기준(한국토지주택공사)

54
수행 내용 / 설계기준 수립하기

재료·자료


항공 관련 국내·외 법규 및 설계기준


도로, 단지, 구조 등 국내 토목설계 관련 설계기준


유사 프로젝트 설계도서 및 참고자료


토목, 교통 등의 학회에서 발간된 논문집 및 기술검토자료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문서작성용 S/W, 인터넷, 공학용 계산기, 설계용 CAD S/W

안전·유의 사항


국·내외 기준 적용 시 최신 기준을 적용하도록 한다.


설계기준 선정 시 발주처와 협의하여 적용기준을 수립한다.

수행 순서

󰊱 적용 설계기준 선정하기
관련 법규 및 기준을 검토하여 해당사업에 적용가능 여부를 파악한다. 특히, 민·군 혼용
으로 사용하는 공항의 경우 항공법, ICAO, FAA 기준, 국방시설설계기준 및 UFC 기준을
모두 검토하여 안전하고, 지연 없이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경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기준을 수립한다.

󰊲 비행장 분류기준 검토하기


설계기준 수립 시 가장 기본이 되는 비행장 분류기준을 우선 검토한다. 공항의 에어사이
드 시설은 크기와 무게 및 배치 특성이 다른 일련의 항공기를 수용하여야 하며, 수용하는
항공기의 이동이 에어사이드와 계류장 전체에 걸쳐 안전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공항 시
설에 대한 적절한 설계기준을 규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설을 이용하는 항공기의 분류를
하여야 한다.

1. 비행장 분류기준
비행장 분류기준은 항공법에 따른 착륙대 등급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A에서 D의
번호를 부여하며, ICAO 및 FAA 기준에 따른 활주로(stopway 및 clearway 포함) 길이에 따
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1에서 4의 번호를 부여하고, 항공기 제원에 따라 A에서 F까지

55
6개 그룹으로 각각 나누고 있다.
공항 기준 코드(Airport Reference Code: ARC)는 다음의 두 가지 요소로 되어 있다.

(1) 요소 1 - 항공기 기준 활주로 길이(Airplane Reference Field Length)로 표시되는 항


공기 성능 특성에 관련된 것

(2) 요소 2 - 항공기의 익폭과 외측 주기어의 윤거와 관련된 것

2. 활주로 길이에 따른 분류번호


<표 2-11> 활주로 길이에 따른 분류번호 구분
분류번호 항공법 항공기의 최소이륙거리(m) ICAO 활주로 길이(m)
1 800 <800
2 800 이상∼1,200 미만 800 ~ <1,200
3 1,200 이상∼1,800 미만 1,200 ~ <1,800
4 1,800 이상 ≥1,800

해당 분류번호는 평행활주로의 최소이격거리 기준, 활주로의 경사도, 착륙대 규모, 착륙대


내의 장애물체 제한기준, 착륙대 정지구역 설치기준, 착륙대의 경사도, 활주로 종단안전구
역의 설치, 활주로 종단안전구역의 크기, 고속탈출유도로 설계기준, 대기지역 등의 설계기
준 적용 시 사용한다.

3. 항공기 제원에 따른 분류번호


<표 2-12> 항공기 제원에 따른 분류기준 비교
항공법 ICAO FAA
항공기 항공기
분류 분류 외측 차륜 설계 꼬리날개
주날개의 외측주기어 익 폭(m) 날개폭(m)
문자 문자 폭(m) 그룹 높이(m)
폭 간격
A 15m 미만 4.5m 미만 A <15 <4.5 I 6.1 미만 15 미만
15m 이상 4.5m 이상 6.1 이상∼ 15 이상∼
B B 15 ~ <24 4.5 ~ <6 II
24m 미만 6m 미만 9.1 미만 24 미만
24m 이상 6m 이상 9.1 이상∼ 24 이상∼
C C 24 ~ <36 6 ~ <9 III
36m 미만 9m 미만 13.7 미만 36 미만
36m 이상 9m 이상 13.7 이상∼ 36 이상∼
D D 36 ~ <52 9 ~ <14 IV
52m 미만 14m 미만 18.3 미만 52 미만
52m 이상 9m 이상 18.3 이상∼ 52 이상∼
E E 52 ~ <65 9 ~ <14 V
65m 미만 14m 미만 20.1 미만 65 미만
65m 이상 14m 이상 20.1 이상∼ 65 이상∼
F F 65 ~ <80 14 ~ <16 VI
80m 미만 16m 미만 24.4 미만 80 미만

해당 분류번호는 활주로의 폭, 활주로 시야 확보범위, 활주로의 최대 횡단 경사도, 활주로


회전패드 가장자리 최소간격, 유도로 및 계류장 등의 기하구조 설계기준 적용시 사용한다.

56
󰊳 검토 대상 항공기 선정하기
시설평면배치를 위한 비행장 기하구조뿐만 아니라 포장설계, 구조물 설계를 위해 설계 항
공기를 선정한다.

1. 시설평면배치
사업대상 공항에서 현재 운영 중인 항공기 또는 취항 예정 중인 항공기를 조사하여 가장
큰 항공기를 설계 항공기로 선정한다. 공항의 기하구조 설계시 F급(VI)이 가장 큰 적용기준
이지만 계류장의 경우 항공기의 기장에 따라 주기 깊이가 결정되므로 해당 공항에 취항
또는 개발예정 중인 항공기 중 기장이 가장 긴 항공기의 길이를 주기장 배치 시 반영한다.
<표 2-13> 항공기 기하구조 비교 예시
여객기 화물기
777-9X
구분 A350-1000
(개발 A380-800 B747-8I B747-400F A380-800F B747-8F
(개발 중)
예정)
주날개폭 74.1m 79.8m 68.5m 64m 64.9m 79.8m 68.5m
전장 76.48m 72.7m 76.3m 74m 69.8m 72.7m 76.3m
높이 - 24.5m 19.4m 17.1m 19.5m 24.5m 19.4m
설계 등급 F급 F급 F급 E급 E급 F급 F급

(1) 시설별 계획기준


<표 2-14> ICAO, FAA 시설별 계획기준(단위: m)
ICAO 기준 FAA 기준
구 분
C급 D급 E급 F급 Ⅲ Ⅳ Ⅴ Ⅵ
유도로에서 활주로(instrument) 168 176 182.5 190 120 120 150 180
유도로에서 활주로(non-instrument) 93 101 107.5 115 - - - -
유도로에서 평행 유도로(계류장 내부) 44 66.5 80 97.5 46.5 65.5 81 99
유도로에서 장애물 26 40.5 47.5 57.5 28.5 39.5 48.5 59
유도선(taxilane)에서 장애물 24.5 36 42.5 50.5 24.5 34 42 51
계류장 주기 항공기 wing-tip 4.5 7.5 7.5 7.5 6.5 8 9.5 11
활주로 폭 30 45 45 60 45 45 45 60
활주로와 갓길의 합계 폭 - 60 60 75 60 60 66 84
유도로 폭 18 23 23 25 15 23 23 25
유도로와 갓길의 합계 폭 25 38 44 60 27 38 44 49
유도로대의 정지 폭 25 38 44 60 36 52 65 80

57
<표 2-14> ICAO, FAA 시설별 계획기준(단위: m) (계속)
ICAO 기준 FAA 기준
구 분
C급 D급 E급 F급 Ⅲ Ⅳ Ⅴ Ⅵ
활주로길이에 따른 분류 1 2 3 4 Ⅲ Ⅳ Ⅴ Ⅵ
활주로 착륙대 폭 150 150 300 300 150 150 150 150
활주로 착륙대 길이(말단) 30 60 60 60 60 60 120 120
활주로 종단 안전지역 길이 120 120 240 240 300 300 300 300
활주로 종단 안전지역 폭 - 120 120 150 - - - -

2. 포장설계
공항포장에 대한 설계방법은 FAA airport pavement design and evaluation으로 과거에는
MTOW가 가장 큰 항공기를 설계기종으로 고려하여 포장설계를 실시하였으나, 최근 개정
된 기준에 따라 대표 항공기종의 설계차트를 이용하지 않고 포장두께 산출 프로그램
(FAARFIELD)을 이용하여 운항 예상되는 모든 항공기를 적용하므로 과거 포장설계를 위한 대
표 설계항공기 개념은 없어지게 되었으며 모든 운항예상 항공기를 설계항공기로 적용한다.

3. 구조물 설계
구조물의 설계 항공기는 운항예정인 항공기의 타이어 배치, 단차륜 하중, 타이어 접지압,
접지면적 및 토피고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에 가장 영향을 주는 항공기를 설계항공기로 선
정한다.

(1) 항공기 노면 활화중의 선정(항공기 기종별 하중)

(2) 항공기 기종별 영향바퀴 수 및 영향각 수


영향바퀴 수는 각 기어별 바퀴의 접지면적을 토피별 지중구조에 투영하였을 때 중첩
되는 바퀴 수를 의미하며, 영향각 수는 각 기어의 바퀴 접지면적들을 하나의 각으로
보았을 때 토피별 지중구조물에 투영하여 중첩되는 각 수를 말한다.

(3) 포장체별 적용하중조건


연성포장은 포장체가 강성이 없으므로 바퀴별 윤하중이 구조물에 전달되며 강성포장
은 포장체의 강성으로 인해 각 바퀴의 영향을 각하중 형태로 구조물에 전달한다. 따라
서, 구조물 연성포장 하부에 위치한 구조물은 윤하중에 의한 항공기 하중을 적용하고
강성포장 하부에 위치한 구조물은 각하중에 의한 항공기 하중을 적용한다.

4. 연약지반처리 설계

(1) 항공기 축하중 비교 및 지중응력 검토


항공기의 축(gear)은 일반적으로 4개이며, 축에 분산되어 작용하는 항공기 중량은 장방
형인 바퀴면적에 등분포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등분포하중으로 지중이 전달
되는 항공기 하중을 검토하는 것이 정확한 수치이나 축하중을 집중하중으로 가정하여

58
계산된 지중응력이 크게 나타난다. 검토이론별로 등분포하중을 통한 지중응력을 검토
하여 하중이 큰 항공기의 하중을 적용한다.

󰊴 설계기준 수립하기
선정된 비행장 분류기준 및 설계항공기를 기준으로 공종별 설계기준을 수립한다. 기준 수
립 시 국·내외 기준을 비교 검토하여 최적의 설계기준을 수립한다.

1. 세부 기하구조 기준

(1) 이격거리 기준
<표 2-15> 설계기준 적용 예시
비행장시설 적용 설계기준
구분 ICAO(F급) FAA(VI)
설치기준(F급) (F급)
유도로 평행유도로 97.5m 97.5m 99m 97.5m
유도로-유도로
97.5m 97.5m 99m 97.5m
(계류장 내부)
유도로-장애물 57.5m 57.5m 59m 57.5m
계류장유도로-장애물 57.5m 57.5m 59m 57.5m
유도선-장애물 50.5m 50.5m 51m 50.5m
유도로-유도선 97.5m 97.5m 99m 97.5m
유도선-유도선 97.5m 97.5m 91m 97.5m
활주로중심선-대기지역 107.5m 107.5m - 107.5m

(2) 유도로
<표 2-16> 유도로 기하구조 적용 예시
비행장시설 적용 설계기준
구분 ICAO(F급) FAA(VI)
설치기준(F급) (F급)
유도로 폭 25m 25m 25m 25m
유도로+갓길폭 유도로+갓길폭
갓길폭 12m 17.5m
: 60m : 60m
종단구배 1.5% 1.5% 1.5% 1.5%
최대곡면 변화율 30m당 1%
1.5% 1 ~ 1.5% 1.5%
(최소곡선반경) (3,000m)
횡단구배 1.5% 1.5% 1 ~ 1.5% 1.5%
고속탈출유도로
550m 550m 408m 550m
회전 곡선반경
고속탈출유도로
93km/h 93km/h - 93km/h
탈출 가능속도

59
<표 2-16> 유도로 기하구조 적용 예시 (계속)
비행장시설 적용 설계기준
구분 ICAO(F급) FAA(VI)
설치기준(F급) (F급)
필렛
∙ R: 52m ∙ 16㎞/h-R:15m ∙ R: 51m ∙ R: 51m
∙ L: 77m ∙ 32㎞/h-R:60m ∙ L: 75m ∙ L: 75m
∙ F: 26m ∙ 48㎞/h-R:135m ∙ F: 25.5~33m ∙ F: 25.5~33m

유도로대 폭 57.5m 57.5m 40m 57.5m

(3) 계류장
<표 2-17> 계류장 기하구조 적용 예시
비행장시설 ICAO FAA IATA 적용
구분
설치기준(F급) (F급) (VI) (F급) 설계기준(F급)
경사도 1% 이하 1% 이하 1% 이하 - 1% 이하
최소 이격거리 7.5m 7.5m 7.5m 7.5m 7.5m
전면 GSE도로 - - - 10~12m 10m
후면 GSE도로 7.5m - - - 7.5m
계류장 Critical Aircraft Critical Aircraft
- - -
주기 깊이 길이 적용 길이 적용
개념 언급
MARS - - - (기하구조는 적용
ICAO 적용)
36m(nose
화물계류장
- - - loading 있을 20.0m
전면 조업구간
경우 52m)

2. 공종별 설계기준 수립

(1) 토공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의 토공설계하기(LM1402010207_14v2.1)의 1-1 토공설계기준
수립을 참조한다.

(2) 포장공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의 포장설계하기(LM1402010207_14v2.2)의 1-1 포장설계 개념
및 설계항공기 선정을 참조한다.

(3) 배수공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의 배수설계하기(LM1402010207_14v2.3)의 2-1 배수설계기준
수립을 참조한다.

60
(4) 구조물공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의 구조설계하기(LM1402010207_14v2.4)의 3-1 구조 시설계획
및 설계를 참조한다.

(4) 부대공
공항설계 공종별 세부설계의 부대시설세부설계(LM1402010207_14v2.5)의 5-1 보안시설
설계, 5-2 마킹시설 설계, 5-3 상수, 오수관로 설계, 5-4 기타 부대시설 설계를 참조한
다.

수행 tip

• 항공기별 분류문자(Code A~F)를 사전 숙지하고 항공


기 제작사별 항공기를 쉽게 분류할 수 있도록 데이
터화한다.
• 설계기준은 항상 최신 기준을 데이터화하여 유지하
고 필요 시 보관 자료를 활용한다.
• 공항은 모든 공종을 집합한 종합 시설로서 각 공종
의 설계기준을 파악하고 공종별로 취합하도록 한다.

61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항설계에 필요한 용어와 개념을 사전에 설명하여 공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되도록
지도한다.

• 항공 관련 조직체계, 규정체계에 대해 사전 설명하여 적용 가능한 국내·외 기준을 파악하도록


유도한다.

• 비행장 분류체계, 항공기 분류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각 기준별 적용방법에 대해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항공법 및 비행장 설치기준에서 정의된 용어 및 개념을 충분히 숙지한다.

• 국내·외 기준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고 적용방법에 대해 파악한다.

• 공항설계를 위한 airside 및 landside 설계기준을 숙지한다.

• 공항설계를 위한 기타 공종에 대한 기준을 파악한다.

62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국내 공항 관련 계획 및 항공 관련 법규를 검토하여 이
해할 수 있다.

- 항공법, 동법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에 검토하여 이해


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비행장시설 설치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항


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발췌하고 정리할 수 있다.

- 공항개발 중장기 계획을 검토하여 각 공항의 현 시설과


중장기 개발계획 및 신규 공항 개발 소요를 파악할 수
있다.

- 국내·외 관련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검토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비행장시설 설치 설계 매뉴얼 및 공항공사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항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설계기준 수립
발췌하고 정리할 수 있다.

- ICAO, FAA, UFC 등 국외 설계 기준을 검토하여 해당 공


항의 계획을 위한 내용을 발췌하고 정리할 수 있다.

- 국내·외 공항 관련 설계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공항 계


획수립에 필요한 내용을 발췌하고 정리하여 상이한 내
용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 해당 공항의 장·단기적인 기능을 결정하여 기능에 부


합되는 설계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 항공 수요 및 운항 항공기, 운영방법에 따라 활주로의


등급을 설정하고 공항 시설의 적정한 설계기준을 수립
할 수 있다.

- 안전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airside와 landside의


시설물별 세부설계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63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항설계와 관련된 국내·외 기준의 적용 누락 여부

- 설계항공기, 공항운영 등급 등을 고려한 설계기준 수립


설계기준 수립 여부

- 검토대상 항공기 선정 시 현재 운항 중인 항공기 및 취


항 예정항공기 적용 여부

•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 수립 시 참고한 각종 규정 및 지침에 대한 숙


지여부

- 설계기준에 적용되는 용어, 개념 등 숙지 여부


설계기준 수립 - 비행장 분류기준, 항공기 제원에 따른 분류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하는지 여부

- 항공기 등급별 적용기준 수립 시 등급별 기하구조 기준


의 적용 여부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항공기, 공항운영등급 등을 고려한 구조 설계기준


수립 여부

- 관련 기준 적용시 시설별 적절한 기준 사용 여부


설계기준 수립 - 국외 설계기준(ICAO, FAA, IATA)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적용하는지 여부

- 타 학습에서 제시한 공종별 설계기준을 이해하고 통합


설계기준 작성 시 제대로 적용하는지 여부

64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작성된 설계기준에 공항 설계기준에 맞게 적용되었는지 검토하고 누락되거나 미비한
기준은 설명 후 보완하도록 한다.
2. 체크리스트
- 적절한 설계기준 수립을 위해 필요한 각 기준의 이해 여부를 평가하고 잘된 점과 부족
한 부분에 대해 제시하여 보완하도록 한다.
3. 작업장 평가
- 수행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여 다음 작업 수행 시에는 보완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자료
수집능력 향상을 위해 조언하고 설명해준다.
- 부족하거나 미진한 사항에 대해서 추가적인 지도를 시행한다.

65
학습 1 현장조사하기(LM1402010201_14v2.1,2,3,4)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LM1402010202_14v2.1,2,3)

시설규모 결정하기
학습 3
(LM1402010203-1_14v2.2,3)

3-1. 용량분석 및 시설규모 결정


• 기존 airside 시설 및 landside 시설의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 기존 접근교통시설의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 수요예측 결과와 기존시설의 용량 및 확장 용량을 고려한 수요/용량 분석을 할 수 있다.
• 공항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요/용량 분석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항공수요 예측결과와 공항시설용량을 고려하여 공항시설(airside, landside) 규모를 산
정할 수 있다.
• 지상 교통수요 예측결과와 지상교통시설 용량을 고려하여 커브사이드, 주차장, 진입
도로 등의 시설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 공항시설별 수요/용량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단계별 시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공항계획
공항의 계획 절차는 크게 현황조사 분석, 항공수요 추정, 시설의 소요용량 판단, 소요시설
의 결정 순서로 수행된다.

[그림 3-1] 공항 시설규모 결정 프로세스

66
1. 현황조사
기존 공항 확장의 경우 기존 시설 현황, 처리능력, 한계연도 등을 조사하고 신공항 건설의
경우 후보지 조사를 수행한다.

2. 수요추정
항공수요에는 크게 여객수요와 화물수요가 있다. 여객의 경우 국제/국내로 구분하며, 이는
다시 업무여행/비업무여행으로 구분한다. 개별 공항의 업무 여행과 비업무 여행의 실적자
료가 미비하여 별도의 수요추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총량을 추정한 후 전국 비율에 따라
구분한다.

(1) 항공수요 추정항목


<표 3-1> 항공수요 추정항목
구분 연간 수요 첨두시간 수요 평균일 수요
∙ 국제 출발승객 수
∙ 국내 출발승객 수 ∙ 국제 출발승객 수 ∙ 시간대별 출발승객 수
여객
(업무/비업무승객 구분) ∙ 국내 출발승객 수 ∙ 시간대별 도착승객 수
∙ 환승승객 수
화물 ∙ 국제 출발/도착 화물 ∙ 국제 출발/도착 화물 -
∙ 시간대별 기종별
운항횟수 ∙ 이착륙 횟수 ∙ 이착륙 횟수
이착륙 횟수
주기장 수요 - ∙ 주기장 수요 ∙ 시간대별 주기장 수요
전환 수요 ∙ 연간 전환여객 수 - -
방문객 수 ∙ 방문객 수 ∙ 방문객 수 ∙ 시간대별 방문객 수
∙ 수단별 교통량
∙ 일 교통량
차량수 (승용차, 버스, 지하철, ∙ 수단별 교통량
∙ 시간대별 교통량
트럭)
주차수요 - ∙ 주차수요 ∙ 시간대별 주차수요
출처: 국토교통부(2016), 건설공사 타당성조사 지침(개정) p.176.

항공화물 수요의 경우 국내 항공화물 수요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미량이고


항공운항 수요에 영향을 거의 주지 못하므로 국제공항에서의 국제항공화물에 대해서
만 추정한다.
공항은 여객이나 화물이 교통수단을 전환하는 시설이므로 공항 내에서는 여객이나 화
물의 이동 외에도 항공기의 이동, 지상차량의 이동 및 정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항
공수요항목에는 여객수, 화물량 외에 운항수, 지상차량 교통량, 주기수요, 주차수요를
포함한다.

67
(2) 수요예측방법
<표 3-2> 항공수요 예측방법
구분 정성적 방법 정량적 방법
최근의 수용동향, 경제적·사회적 여
과거자료를 바탕으로 수학적(통계적)
특징 건 변화 등에 근거하여 주관적인 사
기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산출
고를 바탕으로 수요를 예상
∙ 최근의 동향이나 변화를 민첩하게
반영
수학적 근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외
장점 ∙ 데이터로 표현할 수 없는 사실까지
부의 이해와 동의를 얻기 용이
활용 가능
∙ 상대적으로 신속한 예측 가능
∙ 데이터가 불완전할 경우 결과의 왜
∙ 과학적 근거의 결여
곡 가능성
단점 ∙ 상세하고 장기적인 문제에 관한
∙ 정책변수나 사회적 여건의 변화 반
예측 곤란
영 미흡
∙ 경영자의 판단 ∙ 시계열 분석(선형추세모형, 비선형 추
대표적
∙ 시장분석법 세모형)
분석기법
∙ 델파이 기법 ∙ 인과분석법(회귀분석, 중력모형)

3. 시설용량 분석
계획된 공항후보지와 기존 시설에 추가해야 할 단계별 개발방안을 바탕으로 수요-시설 용
량분석에 의거 여러 개발대안을 검토할 수 있다. 분석은 개략적이면서도 예비적 시설규모
를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아래 분야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1) 공항 용량과 추정된 운항횟수의 비교

(2) 항공 관제시설과 추정된 운항횟수의 비교

(3) 비행장 시설용량과 추정된 운항횟수의 비교

(4) 여객터미널 수용능력과 추정된 여객수요의 비교

(5) 화물터미널 수용능력과 추정된 화물수요의 비교

(6) 접근시설 수용능력과 추정된 접근교통량의 비교

4. 시설용량 평가
공항의 수요, 용량 및 지연은 이들이 공항의 시설 및 항공기 운항의 수준과 특성에 관계
되므로, 이 3가지 변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계량화한다.
공항에서 활주로는 가장 자본 투자가 많은 것 중의 하나이므로, 공항시설을 계획하고 설
계할 때는 용량과 지연의 확실한 예측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평가하여야 한다.
용량과 지연의 숫자는 종종 시간 단위로 계산하며 이는 설계 시간으로 나타낸다. 때로는
1년간 지연 수와 같은 장기간의 예측도 필요하다. 이러한 3가지 변수 사이의 관계는 직선

68
형이 아니며, 또한 수요는 시간별, 날짜별 및 계절별로 첨두(peak)를 이루고, 지연은 때로
몇 개의 대표적인 기간에 대하여 계산한다. 이러한 자료는 각기 대표적인 상황이 일어나
는 백분율(percentage)과 조합하여 장기간의 지연을 계산하는 데 이용한다.

󰊲 시설별 규모 결정(airside 시설)


공항에서 발생되는 항공교통량을 수용하기 위한 공항의 수용능력은 모든 계획단계에 있어
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공항시설은 많은 양의 토지를 요구하며 공항의 평면배치는 국
제적 기준에 맞아야 하며 외부로부터의 침입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하고 항공교통 통제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공항의 배치는 공항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결정사
항으로 특히 공항의 평면배치형태에 따른 용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항 용량
에는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수요가 있을 때 이를 최대한 처리할 수 있는 시간당 최대처리
용량인 포화용량(saturation capacity) 또는 극한용량(ultimate capacity)의 개념과 이와는 별
도로 허용지연시간 또는 서비스 수준 하에서 적용되는 실용용량(practical capacity)의 개념
이 있다. 이중 실용용량의 척도가 되는 허용지연시간 또는 서비스 수준은 정량적으로 설
명이 불가능한 요소가 내재되어 있어 주관적인 포화용량분석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
며, 또한 공항별, 분석기관별 각각 다른 서비스 수준을 설정하게 됨으로써 공항별로 객관
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수
용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설명하기 위해서 포화용량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일반
적이다. 공역, 활주로/유도로 체계 및 계류장 시설별로 각각 포화용량을 산출하여 시설들
중 용량이 가장 적은 시설의 용량을 Airside 입지적 한계용량으로 결정한다.

1. 활주로 및 유도로 시스템 용량


일반적으로 활주로 및 유도로 시스템 용량(이하 활주로 용량)은 FAA의 용량산정기준에
의한 산출방식과 분석적 모델이 적용되어 왔으며, 분석적 모델은 수학적 모델이라 부르기
도 한다.
활주로 2개 이상의 복잡한 공항에서는 수학적 모델의 사용이 거의 무의미하여 이런 경우
『FAA AC 150/5060-5 공항용량 및 지연』에 의한 연간용량(practical annual capacity,
PANCAP), 시간당 용량(practical hourly capacity, PHOCAP) 산정방식을 적용하여 간단한
수용능력 평가를 시행해오고 있다.
공항운영에 대한 분석적 모델은 공항운영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의 이해와 시스템 내의
상호관계를 조사하는 수단으로서 비교적 접근절차기준이 단순하고 활주로가 단일 또는 근
접평행활주로와 같이 간단하게 배치되었을 경우 간단한 수학적 계산으로 산출한다.

(1) 활주로 용량 결정 요소
일반적으로 활주로 용량은 비행장의 구성, 항공기의 운영환경, 항행보조시설의 이용
여부 및 정밀성, 항공교통 관제시설 및 절차 등에 의해 결정되며 구체적인 요소는 다
음과 같다.

69
(가) 활주로 체계
<표 3-3> 활주로 형태별 용량
Mix index 시간당 용량 연간
활주로
활주로 배치 다이어그램 Percent 서비스
배치형태 VFR IFR
(C + 3D) 용량
0-20 98 59 230,000
21-50 74 57 195,000
A
51-80 63 56 205,000
단일활주로
81-120 55 53 210,000
121-180 51 50 240,000
0-20 197 59 355,000
B 21-50 145 57 275,000
근접평행 51-80 121 56 260,000
활주로 81-120 105 59 285,000
121-180 94 60 340,000
0-20 197 119 370,000
C 21-50 149 114 320,000
독립평행 51-80 126 111 305,000
활주로 81-120 111 105 315,000
121-180 103 99 370,000
0-20 197 62 355,000
D
21-50 149 63 285,000
평행활주로
51-80 126 65 275,000
+ Crosswind
81-120 111 70 300,000
활주로
121-180 103 75 365,000
0-20 394 119 715,000
E 21-50 290 114 550,000
2근접 2독립 51-80 242 111 515,000
활주로 81-120 210 117 565,000
121-180 189 120 675,000
0-20 150 59 270,000
F 21-50 108 57 225,000
오픈 V형 51-80 85 56 220,000
활주로 81-120 77 59 225,000
121-180 73 60 265,000
0-20 295 59 385,000
G
21-50 210 57 305,000
평행활주로
51-80 164 56 275,000
+ Crosswind
81-120 146 59 300,000
활주로
121-180 129 60 355,000

70
(나) 유도로 체계(수, 간격, 설치위치, 고속탈출유도로 유무 등)
적정한 위치에서 활주로 출구 유도로의 이용 가능성은 착륙항공기가 활주로를 신
속히 비워줄 수 있게 해주며, 특히 출구 유도로의 평면배치가 최소속도 이상의 유
도속도를 허용한다면 더더욱 그러하다.
항공기 착륙중량에 따라 선호하는 출구위치가 달라 각 착륙 방향에는 활주로 점유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출구가 필요하다.
아래 그림은 단일 활주로에서의 유도로 배치에 따른 시간당 처리가능한 운항횟수
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3-2] 유도로 시스템별 시간당 용량

(다) 도착 항공기의 활주로 점유시간(runway occupancy time, ROT)


단일 활주로의 경우 도착하는 항공기와 연이어 출발하는 항공기 간의 시간간격을
결정하는 요소가 활주로 점유시간으로 도착하는 항공기가 활주로를 탈출하여야만
출발 항공기의 이륙이 가능하다.

(라) 취항 항공기종 및 혼합률


항공수요 예측에 따른 항공기 혼합률은 도착하는 항공기간 이격거리, ROT 및 고속
탈출 유도로 이용율 등에 영향을 미친다.
항공기 용량에 관련되는 항공기 혼합률은 첨두시 혼합률이며, 이는 연간 항공기 혼
합률과 일치한다.

71
(마) 시간당 도착 항공기 비율

(바) 선행 항공기와 후행 항공기의 이격거리


대형 항공기(heavy aircraft)는 날개끝 회전와류를 만들어내는데, 후속항공기가 소형
항공기일수록 영향을 크게 받으며 위험하다. 따라서 선행-후행 항공기의 조합에 따
라 분리간격이 안전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ICAO의 최대이륙중량에 따른 항공기 등급에 의해 이격거리가 구분
되며, 최소 이격거리는 다음 표와 같다.
<표 3-4> 도착 항공기 간 최소 이격거리
(단위: NM)
선행 항공기
후행 항공기
H M L
H 4 3 3
M 5 3 3
L 6 4 3
출처: ICAO PANS-ATM Doc 4444(1996), p.6-12

(사) 기상조건 및 운영등급


활주로 용량은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소형 항공기일수록 시계기상조건(visual
meteorological condition, VMC)하의 용량이 계기기상조건(instrument meteorological
condition, IMC)일 때보다 매우 높게 산출된다.

(2) 활주로 용량산정


용량은 대체적으로 시간과 연간단위로 표현되며 마스터플랜과 같은 장기적인 계획을
위해서는 연간운항횟수 또는 연간서비스용량(ASV)이 현재 또는 미래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공항의 능력을 예측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시간당 용량은 첨두시 발생
하게 될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분석되고 있다.

(가) 산출방법
일반적으로 용량계산 방법은 상기에서 언급한 FAA의 공항용량과 지연 매뉴얼(FAA
AC 150/5060-5)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공항용량을 결정하는 두 가지 일반
적인 개념에 의존하고 있다.
1) 활주로의 시간당 용량
한 시간 동안 공항 활주로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항공기 운항횟수
2) 연간서비스용량(annual service volume, ASV)
합리적으로 계산된 공항에서 수용할 수 있는 연간 항공기 운항횟수

72
(3) 활주로 길이

(가) 활주로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취항하고자 하는 항공기의 성능 및 운항중량
2) 기후조건, 특히 지상풍과 기온
3) 경사도 및 표면조건 등과 같은 활주로 특성
4) 비행장 위치 요인(예: 기압 및 지형적인 장애에 영향을 주는 비행장 표고 등)

(나) 각 요인별 활주로 길이에 미치는 개략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소요되는 활주로 길이는 정풍이 클수록 짧아지고,
배풍이 클수록 길어진다.
2) 고온에서는 공기밀도가 낮아서 엔진의 추진력이 감소됨에 따라 상승력도 감소
되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하다.
3) 상향경사에서는 수평 또는 하향경사에서보다 소요 이륙길이가 길어지며, 그
정도는 비행장의 고도 및 온도에 좌우된다.
4) 다른 요인이 모두 같다면 비행장의 표고가 높을수록 대기압이 낮아져서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하다.
5) 비행장에 설치할 활주로의 길이는 부지 경계선 또는 산, 바다, 계곡 등 지형
적 문제로 제약될 수도 있다.

(다) 활주로 실제길이(actual length of runways)


<주 활주로(primary runways) 길이>
1) 활주로가 정지로 및 개방구역과 관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 활주로용으로
사용될 활주로의 실제길이는 항공기의 운영요건에 부합되도록 적절하여야 하
고, 지역적 조건이 운영 및 항공기 성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보정
된 최대 길이보다 짧지 않아야 한다.
2) 활주로 길이와 양방향 운영필요성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이륙 및 착륙 요건 모
두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려할 필요가 있는 지역적 조건에는 활주로의 표
고, 온도, 경사도, 습도 및 표면 특성 등이 포함된다.
3) 활주로를 이용할 항공기의 성능자료가 없는 경우에 주 활주로의 실제길이는
고도, 온도 및 경사도에 따른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보조 활주로(secondary runways) 길이>


4) 보조 활주로의 길이는 최소한 95%의 이용률에 부합시키기 위하여 보조 활주
로의 이용이 요구되는 항공기에 적합하여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 활주
로와 유사하게 결정한다.
5) 대부분의 항공기는 공항계획을 위한 항공기 특성자료(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를 가지고 있으며, 이 자료에는 활주로 계획에 필요한 항

73
공기 성능곡선과 도표가 개발되어 있다.

(라) 정지로 및 개방구역을 갖춘 활주로


1) 하나의 활주로가 정지로 또는 개방구역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위의 (다)항 1),
2)를 적용하여 구한 활주로 길이보다 활주로 본포장의 길이는 짧아도 되지만,
이러한 경우 활주로, 정지로, 개방구역의 조합은 그 활주로를 이용할 항공기
의 이착륙 요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2) 활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대안으로 정지로 및 개방구역을 설치하는 결정은
활주로 시단을 넘어선 지역의 물리적 특성과 운항 예정인 항공기의 성능요건
에 좌우된다. 설치할 활주로, 정지로 및 개방구역의 길이는 항공기의 이륙성
능으로 결정되지만 착륙에 적절한 활주로 길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착륙거
리에 대하여도 확인하여야 한다. 개방구역의 길이는 이륙활주가용거리(TORA)
의 절반을 초과할 수 없다.

(마) 공시거리의 계산
정지로, 개방구역 및 시단의 이설에 따라 항공기의 이·착륙에 사용 가능하고 적절
한 여러 가지 물리적 거리에 대하여 고시할 정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
한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공시거리에는 다음 4가지가 있다.
1) 이륙활주가용거리(TORA: take-off run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지상 활주를 목
적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의 길이
2) 이륙가용거리(TODA: take-off distance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
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
로 길이로서, 이륙활주가용거리에 이륙방향의 개방구역을 더한 길이
3) 가속정지가용거리(ASDA: accelerate stop distance available): 이륙항공기가 이륙
을 포기하는 경우에 항공기가 정지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 길이로
서, 이용되는 이륙활주가용거리에 정지로를 더한 길이
4) 착륙가용거리(LDA: landing distance available): 착륙항공기가 지상 활주를 목적
으로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의 길이
ICAO 부속서 14(Annex 14, Volume Ⅰ)에서는 국제상업운송용으로 사용되는 활
주로에 대하여 공시거리의 계산을 요구하고 있으며, ICAO 부속서 15(Annex 15)
에서는 활주로의 각 방향별 공시거리를 항공정보간행물(AIP)에 게재하도록 요구
하고 있다.

74
[그림 3-3] 공시거리 개념도

[그림 3-4] 공시거리 계산 예시

2. 계류장 용량
Gate의 수용능력은 주기할 항공기의 수요가 계속적으로 있는 경우에 주기시킬 수 있는
항공기의 최대수를 의미하며, 주기할 항공기의 평균 주기시간에 의해 산출된다. gate의 수
용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75
(1) 항공기를 주기할 수 있는 gate의 type 및 수

(2) 계류장에 주기할 항공기의 종류 및 항공기별 gate 점유시간

(3) 항공기의 gate 출입 및 지연시간과 서비스 수준을 감안한 gate의 실제 이용시간 비율

(4) 일부 또는 전체 gate를 이용함에 따른 제한사항


gate의 type은 대형기, 중형기 또는 소형기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에 관계된다. 일반적
으로 gate는 대형기, 소형기 및 commuter 기로 지정된다.
항공기 타입별로 gate의 크기와 점유시간이 달라지며, gate에서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
한 조작시간이 필요하므로 gate는 시간의 1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항공기 점유시간에 gate에서의 항공기 조작시간뿐 아니라, 여객의 탑승 및 하기에 소
요되는 시간 / 항공기 급유 및 검사시간 / 청소, 급수, 냉난방, 기내식 공급 등의 서비
스 시간이 포함되었다면 이용률은 100%에 가깝게 된다. 또한 대형 공항에서는 주차장
에서와 같이 비어있는 gate의 수가 적으면 서비스 수준이 떨어지므로 이점도 고려되어
야 한다.

󰊳 시설별 규모 결정(landside 시설)

1. 공항 지상접근체계
공항으로의 진출입은 공항 접근도로 및 철도 또는 지하철과 같은 지상접근체계에 의해 이
루어지며 공항으로의 지상접근체계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공항접근도로
공항접근도로는 외부 주요 간선도로 및 기타 도로와 공항지역을 연결하는 도로이다.
이러한 도로는 간선기능을 담당하며 인근 토지이용계획이나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교
통흐름의 차단이 없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공항접근도로에서의 차량속도는 60-80km/h이고 대략 1개 차로당 1,200-1,600대/시간의
처리용량을 갖게 되며 차로폭은 약 3.25m로서 최소한 양방향 각각 2개 차로의 도로가
요구된다.

(2) 터미널 접속도로 및 구내도로


터미널 접속도로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공항 접근도로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이동하는 터미널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시스템이다. 이러한 도로는 일반적으로 일방향
통행차로로 구성되며 지역별로 속도의 제한을 받게 되며 지역 간 연결을 위한 많은
지선을 가지게 된다.
터미널 접속도로는 차로당 900-1,000대/시간의 처리용량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최소한 3.25m 폭의 2개 차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터미널 전면도로


터미널 전면도로는 공항 구내의 터미널 접속도로를 이용하여 터미널로 진입한 여객,

76
환영·환송객 및 방문객의 승하차 및 이에 따른 (수)화물의 하역 또는 적재가 이루어
지는 공간이며 또한, 터미널 전면을 이용한 차량이 통과하는 도로이다. 운영의 특성상
저속으로 운영되며 일방향 통행을 유지한다.
터미널 전면도로의 통과차로와 대기차로 간에 교통 진출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브
에 인접한 대기차로는 적어도 2개의 차로로 구성되어야 한다. 터미널 쪽 차로폭은
2.0m 이상으로 차량대기 기능을 하고 바깥쪽 차로는 3.0m 이상의 폭으로 교통의 통과
기능과 대기차량의 기동지역으로 이용된다. 차로의 계획용량은 바깥쪽 차로를 300대/
시간으로 계획하며 안쪽 차로에서는 통과교통의 용량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교통량이 많은 공항에서 차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3.25m 폭에 600대/시간의 용량으로
차로를 계획한다. 중복 주차로 인한 커브사이드에서의 교통 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터
미널 전면도로는 적어도 4개의 차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주차장
공항 주차장은 크게 여객 관련, 화물 관련, 종사원 관련 및 기타 목적 등으로 나눌 수 있
다. 이러한 기능별 주차장은 공항시설물의 배치와 연관이 있으며 가능한 한 여객과 화물,
종사원의 주차는 분리하여 배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1) 여객 관련
- 공용주차장(일반 승용차, 택시, 리무진 및 전세버스)
- 장단기 주차장
- 렌탈카 주차장

(2) 화물 관련
- 화물차량 주차장
- 일반차량 주차장

(3) 종사원 관련
종사원 주차장

(4) 기타 목적
- 의전(VIP) 주차장
- 특수차량 주차장

3. 커브사이드
커브(curb) 또는 커브사이드(curbside)는 공항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여겨진다. 커브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커브사이드 주요 구성요소

(가) 터미널 전면도로(terminal frontage road)


- 차량 이동차로(vehicular traffic lanes)

77
- 통과차로(through lanes)
- 추월차로(bypass lanes)
- 대기차로(curb/maneuvering lanes)

(나) 보도 및 승강장(sidewalk platform)

(다) 표지(방향과 구역 표시)

(라) 건물 출입구

(마) 횡단보도

(바) 커브사이드 체크인(curbside check-in) 시설

(2) 커브사이드 소요길이 및 차로수


터미널 커브의 소요길이 및 차로수는 터미널의 형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여객터
미널에서의 차량 커브지역은 도착·출발여객의 짐을 승하차시키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대기차로의 길이 및 폭원은 설계목표연도의 첨두기간 동안 발생되는 교통량이 지체됨
이 없이 처리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커브/대기차로에서는 차량의 승하차만이 이루어져야 하며 차량의 대기 또는 임시 주차
공간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커브/대기차로에서의 차량의 점유시간은 일상적인 차
량의 하역작업 등에 필요한 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지속적인 관측을 통하여 각 공
항마다 여객 및 수하물 특성에 맞는 점유시간을 공항의 혼잡도와 연계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대기차로에서 차량이 머무는 시간을 “점유시간(차량당)"이라고 정의한다.
차량의 점유시간은 차량의 종류, 차량당 여객의 수 및 여객의 수하물량에 따라 달라진
다. 출발 및 도착여객을 위한 점유시간 예는 아래 표에 나타내었으며, 일반적으로 출
발여객의 커브사이드 점유시간이 도착여객을 위한 경우보다 짧다.
<표 3-5> 차량종류별 점유시간 및 커브길이
평균 점유시간(분)7)
구분 차량 점유길이(m)
출발 도착
승용차 1∼3 2∼4 7.5
렌탈카 1∼3 2∼4 7.5
택시 1∼2 1∼3 6.0
리무진 2∼4 2∼5 10.5
버스 2∼5 5∼10 15.0

󰊵 시뮬레이션 분석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실제 공항운영 상황에 근접한 여러 조건을 조사 입력하여 시뮬레이
션을 시행하고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공항 건설 및 운영 시 각 대상 시설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데 있다.

78
1. 시뮬레이션 모형의 기본 개념
시뮬레이션 모형은 공항 기본계획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에어사이드와
랜드사이드 시설배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 거시적 수준: 대규모와 복잡한 개발을 필요로 하는 공항의 계획과 설계단계에서 효과적
인 수단
- 미시적 수준: 공항의 기존 운영을 토대로 잠재적 운영상황을 고려한 시설개선이 필요한
건설 및 운영단계에서 사용
시뮬레이션 모형의 기초가 되는 기본개념에는 수요, 서비스수준 및 용량이 있다.

(1) 수요
수요는 공항에서 처리되는 활동의 정도이다. 좀 더 상세히 하자면, 공항에서 서비스를
받는 여객 수, 항공기 운항 수 또는 화물톤 수이다.
특정 공항에서의 항공수요는 기본적으로 다음 요소에 달려 있다.

(가) 공항이 담당하는 지역 내의 잠재적인 여객 수(통행인구)

(나) 항공 여객의 목적과 필요

(다) 지역내의 잠재적 승객의 재정적 자금(고용, 수입, 지역 및 국가적 경제조건)

(라) 항공서비스의 이용가능성과 관련 항공운임 및 항공사 수익

(마) 대체 교통수단의 이용가능성


공항 기본계획의 항공수요 예측은 전형적으로 다음 요소의 분석에 근거한다.

(바) 여객 수요: 기종점 승객 및 환승 승객

(사) 항공기 운항: 운항종류 - 일반 항공기, 근거리용, 소형 항공기, 군용


항공기 혼합률 – 소형, 중형, 대형 항공기
여객 대 화물 운항

(2) 서비스 수준(LOS)


서비스 수준은 어떻게 수요가 처리되느냐를 측정하는 단위이고 어떤 시설에서 경험하
게 되는 서비스의 질과 조건으로 정의된다.

(가) 에어사이드: 일반적으로 공역, 공항 또는 탑승구에서 경험하는 지연으로 표현

(나) 터미널 건물: 여객 불편도(대기시간, 놓친 운항 수) 또는 여객을 처리하는 시설


의 공간, 규모, 수(여객당 평방미터 단위의 터미널 지역, 여객당 직선으로 매표
소 길이)를 측정하여 표현

(다) 지상교통시설: 도로용량편람에서 설정된 서비스 수준 A에서 F까지로 측정

(3) 용량
가장 많이 쓰이는 공항 용량의 개념은 다음의 2가지이다.

79
(가) 서비스 용량(실용용량): 일정 시간 동안 시설물에서 설정된 서비스 수준이나 지
연 정도로 처리되는 최대 항공기 운항수로 각 시설(발권소 또는 활주로) 또는
시설군(터미널 건물 전체 또는 비행장 전체)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나) 최대처리용량(포화용량): 포화상태(연속적인 수요가 있을 때)에서 일정 시간 동


안 시설물에서 처리되는 최대 항공기 운항수. 일반적으로 보안 검색소 또는 활
주로와 같이 개별 공항시설에 대해 정의되며, 터미널 건물이나 공항 전체처럼
시설군에 대해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4) 수요, 용량 및 서비스 수준 간의 관계


수요가 용량을 초과하면 기대하는 것보다 낮은 서비스 수준이 되며, 수요는 최소한 단
시간 동안 용량을 초과하며 긴 대기열과 지연의 형태로 혼잡과 승객의 불편을 초래하
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서비스 수준을 가져온다. 공항관리는 용량을 초과하는 수요
로부터 파생되는 낮은 서비스 수준에 대응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터미널이 수요를 안
전하고 부당한 제한 없이 처리하기 위해 수요관리 형태를 취한다.

(가) 항공기 승객이 아닌 사람이 탑승동으로 접근하거나 대용량 차량이 아닌 차량이


커브사이드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

(나) 탑승구를 모든 항공사가 이용하는 공용으로 전환하는 것과 같은 탑승구 이용에


대한 정책 또는 “사용-양보” 제한

(다) 공용 또는 “사용-양보” 제한과 같은 항공사에 배정된 터미널 공간에 대한 정책

(라) 공공의 안전과 복지를 위해 또는 건축과 소방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타 조치

2. Airside 시뮬레이션 분석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T 프로그램, S 프로그램, A 프로그램 등이 있으
며 각 프로그램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표 3-6> 주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비교
소프트웨어명 T 프로그램 S 프로그램 A 프로그램
사용범위 Airspace to Gate Airspace to Gate Airspace to Gate
∙ 공역-공항-터미널을 ∙ 가격경쟁력이 높음 ∙ 필요한 Pre-processor
연결하는 공항종합 시 ∙ 사용자가 광범위함 가 포함되어 있어 스
뮬레이션이 가능 ∙ 개발 후 계속적인 케줄 생성, 게이트 할
∙ 소음분석 프로그램 등 업데이트로 문제보완 당등이 용이
과의 연계 편리 ∙ 데이터 저장·관리 간편 ∙ 공역-공항-터미널을
장점 ∙ Simmod 와 완벽한 호환 ∙ 개방형 구조 연결하는 공항종합 시
∙ S/W 숙련도가 높아 뮬레이션이 가능
즉시 사용가능 ∙ 구동 시 결과로 일정
형식의 보고서, 동영
상, 그래프 작성 가능
∙ CAD 파일과 호환 용이

80
<표 3-6> 주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비교 (계속)
소프트웨어명 T 프로그램 S 프로그램 A 프로그램
∙ towing과 같은 독립적 ∙2D 구조로 융통성 결여 ∙ S 프로그램보다 비싼
지상이동 항공기 구현 ∙ 기타 Pre-processor 가격대임
불가 필요(gate requirement ∙ airside, landside, 터미
∙2000년대 초반 이후 업 analyzer, gate control 널 등 각 분야로 나누
데이트가 없어 사양 프 system, link modifier, 어져 있어 공역, 터미
단점
로그램으로 분류됨 schedule to events 널, Airside 등을 포괄하
converter 등) 는 종합적인 시뮬레이
∙ towing과 같은 독립적 션을 위해선 모든 분야
지상이동 항공기 구현 필요
불가
∙ HKG, CDG, DXB, FRA, ∙ 인천국제공항 종합 시 ∙ 뉴욕, LA, 홍콩, 북경,
LHR, GTW, YUL 등의 뮬레이션 용역을 비롯 시드니 등의 80여 개
적용사례 공항에서 시뮬레이션 하여 전세계 80여 개 공항에서 시뮬레이션
및 현황 분석에 사용되었음 User들에 의해 세계 각 분석으로 사용되고 있
∙ 최근 각 공항에서 국의 공항에 적용되고 으며 편리한 사용성으
거의 사용되지 않음 있음 로 인정받고 있음

(A) 활주로 접근 및 공역 지연 검토 (B) 게이트 할당 및 유도로 이동 검토


[그림 3-5] A 프로그램을 활용한 Airside 시뮬레이션 분석 예시

81
수행 내용 / 용량분석 및 시설규모 결정하기

재료·자료


항공법

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등의 관련 기준(국토교통부)


ICAO ANNEX 14, Design Manual 및 Service Manual


FAA Airport Design 및 Advisory Circular


UFC Airfield and Heliport Planning and Design


도로용량편람


유사 프로젝트 설계도서 및 참고자료


토목, 교통 등의 학회에서 발간된 논문집 및 기술검토자료


시뮬레이션용 S/W 사용자 매뉴얼 등


설계용 S/W 사용자 매뉴얼 등

기기(장비·공구)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문서작성용 S/W, 시뮬레이션용 S/W, 공학용 계산기, 설계용 CAD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사항 없음

수행 순서

󰊱 현황조사하기
현지조사 및 답사는 계획을 기입한 답사도를 작성하여 현장조사를 통해 현지 여건을 파악
한다. 교통현황 조사는 사업대상 지역의 교통현황 및 주요 교통시설물에 대해서 자세한
현황을 검토한다. 도서지역 공항건설사업과 같은 경우 현재 교통시설 현황과 현재의 통행
패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기술한다.

82
󰊲 항공수요 추정하기

1. 여객 및 화물의 첨두시간 및 시간대별 수요 추정

(1) 전반적인 공항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간 항공수요(여객, 화물 및 운항


수)의 규모, 첨두시간 수요 및 평균 일시간대별 수요를 추정한다.

(2) 목표연도의 첨두시간 여객 수 또는 화물량은 연간수요 추정량에 기준연도의 ‘첨두


시간수요/연간수요’ 비율인 집중률을 곱하여 산출하는데, 집중률은 연간 운영시간
중 30번째로 바쁜 시간대를 기준으로 선정한다.

(3) Peak Profile Hour는 표준집중률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며, 이를 계산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 첨두월을 선택한다.

(나) 선택한 첨두월의 매 시간대별 평균 탑승객 수를 평균한다. 즉 6:00 시간대, 7:00


시간대 등 시간대별로 첨두월 하루하루의 탑승객 수 자료(30개 데이터)를 평균
하여 시간대별 평균 탑승객 수를 구한다.

(다) 시간대별 평균 탑승객 중에서 가장 큰 수가 첨두시간 탑승객 수가 되며, 이를


연간 탑승객 수로 나누면 첨두시간 집중률이 된다.

(라) 평균일의 시간대별 여객/화물 수요는 평균일의 여객/화물 수요 추정치를 평균


일의 이착륙 횟수의 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구한다.

(마) 미국 연방항공청이 미국 내 공항의 자료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전형적 첨두시간


집중률은 다음과 같다.
<표 3-7> 전형적인 첨두시간 집중률
연간승객 수 전형적 첨두시간 집중률(%)
2천만 명 이상 0.030
1천만~2천만 명 0.035
1백만~1천만 명 0.040
5십만~1백만 명 0.050
1십만~5십만 명 0.065
1십만 명 이하 0.120

2. 연간, 첨두시간, 시간대별 이착륙 횟수 추정

(1) 연간 운항횟수는 추정기법을 활용하여 추정한 여객 및 화물 수요량을 토대로 취항


항공기 기종별 구성비율, 용량, 평균 적재율을 감안하여 추정한다.

(2) 항공기 이착륙 지체의 감소를 추구하는 공항투자사업이라면 편익을 추정하기 위하여
첨두시간 이착륙 횟수 또는 평균일의 시간대별 이착륙 횟수를 파악해야 할 경우가 있다.

83
(3) 이때 연간 이착륙 횟수, 집중률 및 시간대별 수요분포를 고려하여 목표 연도의 첨
두시간 이착륙 횟수 및 평균일의 시간대별 이착륙 횟수 분포를 추정한다.

(4) 첨두시간 운항횟수는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 연간 운항횟수에 ‘첨두시간 운항횟수/연간 운항횟수’ 비율(연집중률)을 곱하


여 첨두시간 운항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나) 첨두시간 여객 수와 첨두시간 탑승률(load factor)을 감안하여 계산할 수 있다.

(5) 평균일의 시간대별 운항횟수도 여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준연도의 연간 운항횟


수 대비 평균일 운항횟수’ 비율 및 시간대별 운항횟수 분포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6) 첨두시간 운항횟수 및 시간대별 운항횟수 계산 시 첨두시간 이착륙횟수가 해당 공항


의 목표연도 이착륙 실용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시간대별 최대 이착륙횟수는 실용용량
이 되며, 또 실용용량을 초과하는 이착륙 수요는 전·후 시간대로 배분해야 한다.

(7) 또한 이 경우 전·후 시간대로 전이되는 이착륙횟수의 비율에 맞추어 시간대별 승


객 수요도 유사한 패턴으로 조정한다.

3. 전환수요

(1) 국내 공항사업의 경우 타 교통수단에서 항공교통수단으로 옮겨오는 전환수요의 통


행시간 절감이 중요한 편익항목이므로 전환수요량을 추정해야 한다.

(2) 통계적인 실험계획법을 통해 가상적인 모형을 구축하고 그 가상적인 모형을 개인에


게 제공하여 개인의 선호를 찾는 기법인 SP(stated preference)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 시설규모의 적정성 검토하기

1. 수요와 용량의 분석은 개략적이면서도 예비적 시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을 정도로 다음


사항을 충분히 검토한다.

(1) 공항 용량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2) 항공 관제시설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3) 비행장 시설용량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4) 여객터미널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5) 화물터미널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6) 접근시설과 추정하는 운항횟수의 비교

84
2. Airside 검토

(1) 활주로·유도로·계류장 형태에 따른 용량 분석

(2) 활주로 개수, 활주로 간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활주로 체계 및 소요규모 산정

(3) 직각유도로 및 고속탈출유도로의 개수 및 위치 등 유도로의 체계를 고려한 용량분


석 및 시설소요 산정

(4) 계류장 운영에 따른 용량분석

(5) Horonjeff 모형에 따른 스탠드 소요규모 산출

3. 여객 및 화물 터미널 검토

(1) 여객(국제, 국내)·화물 등을 항공수요와 배치계획에 따라 소요 검토

(2) IATA, ICAO, FAA와 타 공항에 사용한 원단위 적용

(3) 여객 및 화물 첨두시 수요를 고려한 포화용량 검토

(4) 여객처리시설(체크인 카운터, 보안검색, 출입국심사대, 출발·도착 수하물시스템 등)


의 서비스 수준을 고려하여 규모 산정

(5) 상업시설을 고려한 여객터미널 규모 산정

(6) 적용할 서비스 수준(LOS) 결정(여객처리율, 혼잡도 및 공항특성 고려)

(7) 첨두시 여객수요 산정

(8) 첨두시 수요가 취항기종 좌석보다 적을 경우 항공기 좌석 수 기준

(9) 여객처리시설과 여객이 직접 경험하지 않는 여객처리 관련시설의 적정규모 검토

(10) 화물터미널의 화물 원단위 산정을 통한 화물터미널 용량 검토

4. 랜드사이드 검토

(1) 주차장 및 커브사이드의 경우 도로교통용량편람 등에 따른 용량분석

(2) 여객 및 상주직원을 구분하며, 차종별로 구분하여 주차장 용량 및 소요규모 검토

(3) 교통량 발생이 유사한 국내 공항의 접근도로체계를 비교·검토

(4) 지상수요 산출에 따른 접근도로의 차선 수 검토

󰊴 airside 용량 분석 및 시설규모 결정하기

1. 활주로 및 유도로

(1) 시간당 용량산출


시간당 용량은 FAA 공항용량과 지연 매뉴얼에 따라 산정한다. 시간당 용량산출은 아
래의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85
[그림 3-6] 시간당 용량산출 수행절차

<표 3-8> FAA 활주로 배치에 따른 용량산출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 번호
활주로 간격
활주로 배치 다이어그램 번호 용량 지연
(단위:피트)
VFR IFR VFR IFR

1 - 3-3 3-43 3-71 3-90

s 2 700 피트 이상 3-4 3-44 3-72 3-91

[그림 3-7] 활주로 배치별 시간당 용량 결정방법

86
(2) 연간서비스용량(ASV) 산출
연간서비스용량 ASV = Cw × D × H 로 산출한다.
여기서, Cw: 시간당 용량
D: 연간 운항횟수 ÷ 첨두월 평균일 운항횟수
H: 일평균 실적 ÷ SBR(연간 30번째 첨두시) 실적
(3) 용량에 따른 시설규모 결정
산출된 연간용량을 바탕으로 아래의 표에 따라 활주로 수 및 형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유도로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표 3-9> 활주로 배치별 용량
시간당 용량
번호 활주로 배치별 운영 연간서비스용량
VFR IFR

1 51-98 50-59 195,000-240,000

2 94-197 56-60 260,000-355,000

3 103-197 62-75 275,000-365,000

4 103-197 99-119 305,000-370,000

5 72-98 56-60 200,000-265,000

6 73-150 56-60 220,000-270,000

7 73-132 56-60 215,000-265,000

87
아래 그림은 항공기 운항횟수에 따른 유도로 개발계획이며, 시설규모 결정 시 참고자
료로 활용한다.

[그림 3-8] 항공기 연간 운항횟수별 유로도 배치계획

(4) 활주로 길이산정


활주로 규모가 결정되면 해당 공항에서 운영 또는 취항 예정 항공기 중 가장 긴 활주
길이를 요하는 항공기를 선정 후 아래 절차에 따라 활주로 길이를 산정한다.

주) 착륙거리는 표고보정만 수행
[그림 3-9] 활주로 길이 산정 절차도

88
(가) 고도, 온도 및 경사도에 대한 활주로 길이 보정
우선 취항 항공기의 운항요건에 맞는 활주로 기본 길이를 선정하고, 그 지역의 특
성에 맞는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기본 길이를 보정함으로써 실제로 필요한 활주로
길이 즉 활주로 실제 길이를 산출한다.
1) 활주로 기본 길이는 활주로의 표고가 평균해수면보다 300m 상승할 때마다
7%의 비율로 증가되어야 한다.
2) 1)에서 결정된 길이는 비행장 표준온도(airdrome reference temperature)가 그
비행장의 표고에서 표준대기상태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1℃ 상승할 때마다
1%의 비율로 증가되어야 한다.
3) 이륙요건에 의하여 활주로 기본 길이가 900m 이상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2)에
서 결정된 길이에 활주로 종단경사도 1%마다 10%의 비율로 더 증가되어야
한다.
4) 온도와 습도가 높은 비행장에서는 상기 3)에서 결정된 활주로 길이를 다소 증
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나) 활주로 길이보정 절차의 예


아래에 제시된 활주로 길이보정 절차에 대한 예를 참고한다.
1) 참고자료
① 표준대기상태의 해수면 높이에서 착륙에 소요되는 활주로 길이: 2,100m
② 표준대기상태의 해수면 높이에서 이륙에 소요되는 활주로 길이: 2,500m
③ 비행장 표고: 150m
④ 비행장표준온도: 24℃
⑤ 표고 150m에서 표준대기온도: 14.025℃
⑥ 활주로 종단경사도: 0.5%
2) 활주로 이륙길이에 대한 보정
① 표고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2,500 × 0.07 × 150 ÷ 300) + 2,500 = 2,588m
② 표고 및 온도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2,587 × (24-14,025) × 0.01] + 2,588 = 2,846m
③ 표고, 온도 및 경사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이륙길이
(2,846 × 0.5 × 0.10) + 2,846 = 2,988 - ㉠
3) 활주로 착륙길이에 대한 보정
표고에 대하여 보정된 활주로 착륙길이
(2,100 × 0.07 × 150 ÷ 300) + 2,100 = 2,174m - ㉡
4) 활주로 실제 길이(㉠, ㉡ 중 큰 것) = 2,988m

89
2. 계류장 용량산정

(1) gate 수
계류장에 대한 최대수용능력을 산출하기 위해서 계류장 시설소요 산출식을 적용한다.
gate 소요 산출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Horonjeff 모형을 이용한다.

G=V×T/U
여기서, G: 탑승구의 수(개소)
V: 첨두시간 도착항공기의 운항횟수(회/시간)
T: 항공기 평균주기시간(시간)
U: 탑승구 가동률

(1) 첨두시간 도착항공기 운항횟수


첨두시간 도착항공기 운항횟수(V), 즉 중방향 계수는 해당 공항의 실적을 분석하여 적
용하지만 일반적으로 60~65%의 값을 사용한다.

(2) 항공기 평균주기시간


항공기 평균주기시간(T)은 국내선, 국제선, 화물기 및 기종별로 구분되며, 이는 공항별,
항공사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계획하는 공항의 평균 주기시간을 조사
하여 적용한다.

(3) 게이트 가동률


gate 가동률(U)은 설계연도의 피크시간에 항공기가 점유하고 있는 gate 수를 전체 gate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gate를 여러 종류의 항공기가 혼용하면 0.6~0.8, 한 기종이
독립적으로 이용하면 0.5~0.7을 적용한다.
<표 3-10> 주기 Gate 가동률
구분 국내선 여객기 국제선 여객기 화물기
가동률 U 0.6 0.7 0.8

90
󰊵 landside 용량 분석 및 시설규모 결정하기
landside 시설 용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항공 관련 지상접근 발생교통수요를 산출한다.
일반적인 업무흐름은 아래와 같다.

1) 여객수요(고성장, 중성장) - 국내선/국제선


1단계 ⇒ 항공수요 예측 ⇒
2) 화물수요(고성장, 중성장)

설계일 공항이용 1) 설계일 여객수요(인)


2단계 ⇒ ⇒
수요 산정 ☞ 연간여객수요 ÷ 365일/년 × 설계일 계수

2) 설계일 방문객수요(인)
☞ 설계일여객수요 × 방문객 발생원단위

3) 설계일 승무원수요(인)
☞ 연간승무원수 × 교대율 × 첨두율 계수

4) 설계일 종사원수요(인)
☞ 설계일수요(여객/화물/항공기운항횟수) × 종사원 발생원단위

5) 설계일 화물수요(톤)
☞ 연간화물수요 × 원단위

6) 설계일 공항이용수요(인, 톤)
☞ 여객, 방문객, 승무원, 종사원 및 화물수요 집계

1) 수단분담별 차량통행수요 산정(인, 톤)


☞ 설계일 공항이용수요(인, 톤)
3단계 ⇒ 지상교통수요 산정 ⇒ - 여객 관련(국내, 국제)/ 승무원&종사원 관련/ 화물 관련
☞ 수단분담(승용차, 택시, 버스, 지하철, 화물차)
- 수단분담별 차량통행수요=설계일 공항이용수요× 수단분담

2) 수단별 지상교통량 산정(대)


☞ 여객 관련(국내, 국제)/ 승무원&종사원 관련/ 화물 관련
☞ 수단별 차량통행수요 × 수단별 공차율 ÷ 평균재차 or
평균적재톤수

3) 공항 관련 1일 유출입 지상교통량 산정(대)


☞ 각 시설별 & 수단별 지상교통량 산정결과 집계
- 시설별: 국내선여객/국제선여객/승무원&종사원/화물
- 수단별: 승용차/택시/버스/화물차

[그림 3-10] 지상교통수요 산정 흐름도

1. 항공 관련 지상접근 발생교통수요

(1) 설계일 공항이용수요


공항을 이용하는 수요는 여객 이외에도 방문객, 승무원 및 종사원 그리고 화물로 구성
되며 이들에 의하여 차량 교통수요가 발생한다.

91
(가) 설계일 여객수요
여객에 의한 지상교통수요는 일부 환승여객에서도 발생하지만 대부분 기종점수요
가 차지하므로 일반적으로 기·종점 여객수요만을 대상으로 설계일 여객수요를 산
정한다.

(나) 설계일 방문객수요


일반적으로 공항지역의 방문객은 환영객, 환송객 및 일반 방문객(공항 업무)으로 구
성되며, 설계일 방문객 수요는 기종점 여객수요 1인당의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여 산
출한다.

(다) 설계일 승무원 수요


연간 승무원 수요는 일반적으로 연간 운항회수에 승무원 계수를 곱하여 산정되며,
이때 운항되는 항공기 기종별 승무원 원단위 및 교대율, 첨두일 등의 계수(factor)
등을 충분히 고려한다.

(라) 설계일 종사원 수요


항공여객 관련 종사원의 규모는 여객 1천인당 종사원 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출하며,
화물 관련 종사원의 경우도 화물 1천톤당 종사원 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출한다.

(마) 설계일 화물 수요
중량으로 표시되는 화물수요의 경우는 수하물을 제외한 연간화물수요에 설계일 계
수를 곱하여 설계일 화물수요를 산정한다.

(2) 차량통행수요
산정된 설계일 수요에 교통수단 분담률과 평균재차인원 또는 평균적재하중을 적용하
여 공항을 유출입하는 차량통행수요를 산정한다.

(3) 용량분석 및 차로수 검토


용량 및 시설규모 검토는 「도로용량편람」(2013,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
라 적용하며, 교통량 및 교통특성에 도로 기하구조, 설계속도 및 설계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는 차로수를 결정하기 위해 계획분석에서는 다음의 분석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가) 용량 및 차로수 선정 과정
1) 설계속도, 차로폭, 측방여유폭, 차로수, 지형 구분 또는 특정 경사를 포함한
예상 도로 조건을 명시한다.
2)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DDHV) 이외에 차량구성비율(%), 첨두시간계수(PHF),속
도를 포함한 예상 교통 조건을 명시하고, 수요교통량(PDDHV)을 산출한다.
  ×  × 
    
 
여기서, PDDHV: 첨두 설계시간 교통량(vph)
DDHV: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vph)

92
AADT: 계획 목표연도의 연평균 일교통량(대/일, vph)
K: 설계시간 계수
D: 중방향 계수
PHF: 첨두시간계수

K값과 D값은 해당 지역의 교통수요 패턴에 따라 변하는데, 매년 발간되는 교통


량 상시조사 자료(국토교통부, 도로교통량 통계 연보, 각 연도)를 활용하여 해당
사업에 맞게 도출하여 적용한다.
적정 값을 구할 수 없는 경우 아래 표의 값을 참고한다.
<표 3-11> 설계시간 계수(K)
지역구분
도로구분
도시지역도로 지방지역도로 관광지역도로
0.12* 0.16 0.23
2차로
(0.10~0.14)** (0.13~0.20) (0.18~0.28)
일반국도
0.10 0.12 0.14
4차로 이상
(0.07~0.12) (0.09~0.15) (0.12~0.17)
0.10 0.14
고속국도(4차로 이상)
(0.07~0.13) (0.09~0.19)
주) *설계시간 계수 적용범위 중 상한값과 하한값의 산술평균
** 설계시간 계수의 적용범위
출처: 국토교통부(2013), 도로용량편람, p.6

<표 3-12> 지역에 따른 중방향 계수(D)


구분 도시지역 지방지역
중방향 계수(D) 0.60(0.55~0.65) 0.65(0.60~0.70)
출처: 국토교통부(2013), 도로용량편람, p.31

3) 주어진 도로 및 교통 조건에 대해 관련 보정계수(  ,    )를 산출한다.


①   = 차로폭 및 측방여유폭 보정계수
②    = 중차량 보정계수(다음 식을 이용)
▪ 일반지형일 경우

   (평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릉지, 산지)
         

▪ 특정경사구간일 경우

   
         

4) 공급 서비스 교통량( )을 계산한다.


   ×   ×   

93
5) 소요 차로수(N)를 계산한다.
수요 교통량 
   
서비스 교통량 

계산된 N은 대부분 소수로 표시되는데, 여건에 따라 이 소수보다 크거나 작은


정수를 택할 수 있다.
고속도로 구간별 차로수의 결정은 분석 대상 도로 전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균형 있게 결정한다. 특정 구간의 차로 감소 또는 증가는 주 교통 흐름과 차로
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선에서 적절하게 결정한다.

2. 주차장

(1) 주차수요
주차수요는 해당 주차장의 이용 특성, 차량 특성, 요금체계 등을 고려하여 수요를 산정
하여야 한다. 주차수요 분석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식을 사용한다. 사용될 각종 변
수는 해당 공항에 대한 교통 특성조사를 통하여 현실에 맞는 계수를 적용하여야 한다.
주차수요 = 유입교통량(대/일) × 첨두시 집중률 × 이용률(할증)
공항에서의 주차수요를 개략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표 3-13> 주차수요 예측을 위한 방법 및 특징
예측방법 특징
∙ 개략적인 주차수요 추정에 적합한 방법
∙ 적용이 편리한 반면 너무 개괄적이므로 신뢰성 부족
과거추세연장법 ∙ 안정된 성장률을 보이는 도시나 사회경제적 여건이 급격히 변하지 않
는 도시지역에서 개략적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방법
    ×   
∙ 도심지나 중심업무지구와 같이 비교적 넓은 지역의 주차수요를 추정
하는 데 사용
∙ 인간활동을 중심으로 통행발생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른 교통수단별 분
P-요소법
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승용차 도착통행량을 기초로 주차수요를 예측
Tr × g × r × h × P r ×  
 
 × e
∙ 분석대상지역, 지구 또는 건물에 대하여 매우 이른 아침부터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들의 대수를 시간대별로 예측하여 최대주차가 예상되는
첨두주차시간의 차량대수를 주차수요로 산정하는 방법
∙ 분석대상지역이 넓거나 토지이용이 다양하면 이 방법을 사용하기 어
누적주차법 려움
∙ 매우 미시적인 추정방법으로 유사한 주차특성을 나타내는 용도의 건
물로 지구의 주차수요를 추정하는 데 사용하기 적합
 
    
 

 

94
<표 3-13> 주차수요 예측을 위한 방법 및 특징 (계속)
예측방법 특징
∙ 적용변수가 간단하며, 교통패턴이 크게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기적
주차수요 예측에 비교적 신뢰성이 높음
∙ 개별건물의 장래 주차수요를 간편하게 추정하는 데 적합
∙ 정확한 주차이용효율을 산출하기 어렵고, 장래 주차발생 원단위가 변
하는 경우에는 신뢰성이 떨어짐
원단위법
∙ 유사시설에 대한 건물 연면적당 주차발생 대수를 경험적으로 산출해
장래 용도별 건물 연면적당 주차발생률을 산출하고, 장래 건축물 연면
적을 적용해 주차수요를 산출
 ×

 × 

(가) P요소법(person trip-parking space factor)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항공수요에 따라 적정한 주차 소요대수의 산정은
사람통행과 1일 차량교통량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며,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Tr × g × r × h × P r ×  
P
 × e
여기서, P: 주차소요대수
Tr: 1일 승용차 유입대수
r: 피크 시 주차집중률(%)
g: 계절보정계수
h: 요일보정계수
Pr: 주차차량비율(%)
Pd: 평균주차시간(분)
e: 주차이용효율(%)

(2) 주차규모
주차면의 표준규격은 여러 기준이 있으나 최근 차량의 대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다음
과 같이 면당 규모를 산출한다.

(가) 소형차량: 2.5m 이상 × 5.0m 이상

(나) 대형차량: 3.5m 이상 × 14.0m 이상

(다) 기본계획 단계에서 시설규모 산정 시에는 주차 1면당 35㎡를(차량 이동로 포함)


적용한다.

3. 커브사이드

(1) 길이산정 방법
커브사이드 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이용한다.
커브사이드의 배치 및 소요길이는 여객터미널의 형태 및 운영계획을 고려하여 검토하

95
는 것이 필요하며, 커브사이드 소요길이 산출 시 기존공항의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공
항별 특성을 고려하되 이용객의 편의를 제고하도록 여유있게 적용한다.

(가) 미국 TRB 방법
특정 공항의 운항특성과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적절히 보정된 커브길이를 산출하
기 위하여 교통량과 서비스 수준을 적용한, 맨들(mandle)에 의해 개발된 간단한 계
획 모델이 이용된다. 서비스 수준은 TRB의 고속도로 용량규정(highway capacity
manual)에 정의된 내용과 같다. 항공수요 결과에 따른 첨두 출발, 도착여객을 이용
하여 서비스 수준에 따른 커브사이드 길이를 산정한다.

(나) FAA 방법
1) 커브 소요길이를 산정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인자는 다음과 같으며, 고려 대
상 공항마다 관측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 도착 및 출발여객 교통량에 대한 설계시간의 선정
- 총여객에 대한 환승/통과여객의 비율 결정
- 차량수단별 분담률
- 커브 및 전면도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주차장을 이용하는 여객의 비율
- 여객에 대한 방문객(환영/환송/일반방문) 비율과 여객 및 방문객이 개인 승용
차를 사용하는 비율
- 차량형태별 재차인원 및 커브에서의 점유시간
2) 커브의 길이산정을 위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시간당 커브 1개소(one curb slot)에 수용될 수 있는 종류별 차량대수
분
  차량대수slot시간
차량종류별 점유시간
- 차량종류별 첨두시간대 필요한 slot의 수
커브도착여객수시간
 차량별 소요 slot수
재차인원 × 시간당 단위slot에서의 차량수
- 차량별 소요되는 커브의 길이
slot의 규격 × 차량별 소요 slot 수 = 차량별 커브 소요길이

(다) IATA 방법
커브 소요길이 산출식
a * p * l * t
+ 10%
60n
여기서, a: 첨두 시 출발여객
p: 커브사이드 이용 교통수단별 비율
n: 교통수단별 승차인원수
l: 교통수단별 평균 커브 소요길이(m)
t: 평균 커브 점유시간(분)

96
󰊶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하기
시뮬레이션을 통한 용량/지연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 절차는 아래와 같이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 준비단계: 자료검토, 시뮬레이션 입력자료 작성 및 네트워크 구성
- 예비단계: 예비시뮬레이션 및 모델검증
- 시뮬레이션 단계: 변수의 적정성 검토 및 시나리오에 의한 시뮬레이션
- 분석단계: 출력된 결과를 검토

1. 시뮬레이션 분석 절차

[그림 3-11] 공항 시뮬레이션 수행 흐름도

(1) 자료수집 및 설계기준검토


시뮬레이션 분석을 위한 과업초기 단계로 입력자료 작성을 위한 자료수집 및 검토를
실시한다. 적용될 자료는 관련 용역결과(종합시뮬레이션 용역결과), 운영자료(ICAO 및
FAA의 운영절차, 해당 공항 실적자료 등) 및 유사 용역결과(홍콩 신공항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등이 있다. 설계기준은 운항스케쥴, 지상 네트워크, 공역네트워크 작성과 관
련한 각종 특성자료를 포함하여 작성한다.

97
(2) 시뮬레이션 모델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내장된 tool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적용한다.

(3) 예비시뮬레이션, 모델 calibration 및 validation


예비시뮬레이션(pilot simulation run)은 모델링된 네크워크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기 위
하여 예비로 시뮬레이션하여 각종 에러를 체크하고 이러한 에러사항이 네트워크의 오
류인지 시뮬레이션 제어의 오류인지를 파악하며 각종 입력자료를 수정한다. 일반적으
로 작은 수의 항공기 운항스케쥴 및 Multi arr/dep을 사용한 인공적인 운항스케쥴을 사
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데, 애니메이션 등을 통하여 항공기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오류를 보정한다.

(4) 민감도 분석 및 시뮬레이션 분석


검증된 시뮬레이션 모델을 사용하여 본격적인 분석을 시작하게 되는데, 분석과 함께
주요 고려대상이 되는 운영상황의 변화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
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민감도 분석이라 한다. 이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고
자 하는 사항에 대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 및 변수의 변위폭을 찾을 수
있고(결정인자) 이러한 변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시뮬레이션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5) 결과분석
출력된 각종 통계자료,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결과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는 시간당 활주로 처리량, 항공기당 평균 지상 및 공역 운항
시간, 항공기당 평균 지상 및 공역 지연시간, 항공기 대기열(airport queunig area) 분
석자료, 게이트 활용빈도, 점유시간 및 지연시간 분석 등을 통하여 수요와 지연시간
관계, 처리능력 등을 검토한다.

수행 tip

• 활주로 길이 검토 시 계산식을 엑셀을 이용해 프로


그램화해서 사용한다.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대부분 고가인 점을 고려해
서 구매보다는 전문기관에 의뢰해서 작업한다.

98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항공수요 추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 공항 배치에 따른 기본적인 용량 분석을 위한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적용 방법을 지도한다.

• 기존 용량 분석을 위해 산출된 수요예측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시설규모 결정에 필요한 각종 계산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예시를 통해 계산방법을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항공수요 추정 시 필요한 절차, 수행방법 및 도출 결과를 파악하고 숙지한다.

• 국내·외 공항 사례를 조사하여, 시설현황과 용량의 관계를 충분히 파악한다.

• 시설규모 결정에 필요한 계산식을 이해하고 다양한 예시를 통해 적용방법을 충분히 연습한다.

99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기존 airside 시설 및 landside 시설의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 기존 접근교통시설의 용량을 분석할 수 있다.

- 수요예측 결과와 기존시설의 용량 및 확장 용량을 고려


한 수요/용량 분석을 할 수 있다.

- 공항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요/용량 분석


용량분석 및 시설 결과를 검증할 수 있다.
규모 결정
- 항공수요 예측결과와 공항시설용량을 고려하여 공항시
설(airside, landside) 규모를 산정할 수 있다.

- 지상 교통수요 예측결과와 지상교통시설 용량을 고려하


여 커브사이드, 주차장, 진입도로 등의 시설 규모를 결
정할 수 있다.

- 공항시설별 수요/용량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단계별 시


설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용량 산출 시 필요한 항공수요 factor 값을 파악하고 적


용하였는지 여부

용량분석 및 시설 - 시설규모 산정 시 필요한 각종 계산식을 제대로 적용하


규모 결정 고 계산하였는지 여부

- airside와 landside 시설에 대한 시설 구분을 이해하고 용


량을 평가하였는지 여부

100
• 작업장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활주로 및 유도로 배치별 용량 평가를 제대로 수행하는


지 여부

- 활주로 용량 산정 시 연간서비스용량에 대한 개념을 이


해하고 계산하는지 여부
용량분석 및 시설
규모 결정 - 활주로 길이 산정 시 순서에 맞게 적용 계산하는지 여부

- 각종 용량 계산 시 계산 값이 제대로 산출되었는지 여부

- 시뮬레이션 분석 시 입력값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여부

피드백

1. 체크리스트
- 각 항목별 이해 여부를 평가하고 잘된 점과 부족한 부분에 대해 제시하여 보완하도록 한다.
2. 작업장 평가
- 수행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여 다음 작업 수행 시에는 보완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 조언하고 설명해준다.
- 부족하거나 미진한 사항에 대해서 추가적인 지도를 시행한다.

101
∙ 국방부(2008), 국방시설설계기준

∙ 국방부(2014.8), 해군 00기지 28방향 활주로 재포장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 국토해양부(2009), 공항종합계획 매뉴얼

∙ 국토해양부 기술기준과 보도자료, 「건설기술용역 표준과업지시서 제정·보급 추진」, 2012.


10. 31)

∙ 국토해양부(2013) 건설공사 설계도서 작성기준(개정)

∙ 국토해양부(2013), 도로용량편람

∙ 국토교통부(2014), 비행장시설설치기준

∙ 국토교통부(2014), 비행장시설[활주로] 설계 매뉴얼

∙ 국토교통부(2014), 비행장시설[유도로, 계류장 등] 설계 매뉴얼

∙ 국토교통부(2016), 건설공사 타당성조사 지침(개정)

∙ 한국개발연구원(2014), 공항부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연구(제3판)

∙ 한국공항공사(2015), 제주공항 Airside 인프라 확충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과업수행계획서

∙ FAA AC 150/5060-5 Airport Capacity and Delay

∙ FAA AC 150/5070-6B Airport Master Plans

∙ FAA AC 150/5300-13 Airport Design

∙ FAA AC 150/5325-4B Ruway Length Requirements for Airport Design

∙ IATA Airport Development Reference Manual

∙ ICAO Annex 14 Aerodromes VolumeI Aerodrome Design and Operations

∙ ICAO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1

∙ ICAO Doc. 9157 Aerodrome Design Manual Part 2: Taxiways, Aprons and Holding Bays

∙ ICAO Doc. 9184 Airport Planning Manual Part 1: Master Planning

∙ ICAO Doc. 9137 Airport Service Manual Part 6: Control of Obstacles

∙ UFC Airfield and Heliport Planning and Design

102
과업수행 조직도

사업책임기술자
도로및공항기술사 대표사: OOO
O O O
전문분야

도로 및 OO OO OO OO OO
공항분야 분야 분야 분야 분야 분야
도로및공항
OO기술사 OO기술사 OO기술자 OO기술자 OO기술자
기술사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 ∶ ∶ ∶ ∶ ∶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계: 00명

인력투입계획

0000년 0000년
투입인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투입 M/M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사업책임기술자 OOO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8.0

OO분야 OOO 0.5 1.0 1.0 1.0 1.0 1.0 1.0 1.0 1.0 8.5

OO분야 OOO 0.5 0.5 1.0 1.0 1.0 1.0 5.0

OO분야 OOO 1.0 1.0 1.0 1.0 1.0 1.0 1.0 0.5 0.5 8.0

OO분야 OOO 0.5 1.0 1.0 1.0 1.0 4.5

∶ ∶ ∶

∶ ∶ ∶

합계 00.0

103
비행장시설 설치기준에 따른 공항 및 항공분야 용어 정리

1. “강착장치(Undercarriage)”란 회전익항공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필요한 장치로서


바퀴 또는 스키드(Skid) 형태의 완충장치를 말한다.

2. “개방구역(Clearway)”이란 육상비행장의 경우 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활주로 종단(終端) 이후에 설정된 장방형의 구
역을 말하며, 헬기장은 회전익항공기가 이륙하여 특정고도(「회전익항공기의 비행규정」
(HFM, helicopter flight manual)에 따른 고도를 말한다)까지 상승하기 위해 설정된 지면
또는 수면 위의 구역을 말한다.

3. “격납고”란 항공기를 육지에 수용·격납하기 위한 시설로서 항공기를 바람 또는 강우


로부터 보호하거나 정비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4. “견인구역(Winching area)”이란 회전익항공기가 선박에 착륙하지 않고 선박 내의 인원


또는 물품 등을 옮기기 위해 지정된 선박 내의 구역을 말한다.

5. “경사대”란 수상항공기를 수면에서 육지로 끌어 올리거나 육지에서 수면으로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경사진 시설물을 말한다.

6. “계기활주로(instrument runway)”란 계기접근절차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운항을 목적으


로 운용되는 활주로를 말하며 다음 각 목의 형태의 활주로를 포함한다.

(1) 비정밀접근활주로(Non-precision approach runway): 시각보조시설과 직진입에 적


합한 방향정보를 제공해 주는 항행안전무선시설로 운용되는 계기 활주로

(2) CAT-Ⅰ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Ⅰ): 결심고도 60m


이상이고, 시정이 800m 이상이거나 활주로 가시범위가 550m 이상 조건으로 운
용되며, CAT-Ⅰ정밀접근을 지원하는 지상항행 안전무선시설 및 시각보조시설을
갖춘 계기활주로

(3) CAT-Ⅱ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Ⅱ): 결심고도 30m 이상


60m 미만이고, 활주로 가시범위가 300m 이상의 조건으로 운용되며 CAT-Ⅱ정밀접근
을 지원하는 지상항행안전무선시설 및 시각보조시설을 갖춘 계기활주로

(4) CAT-Ⅲ정밀접근활주로(Precision approach runway, Category Ⅲ): 활주로 표면에


CAT-Ⅲ정밀접근을 지원하는 지상항행안전무선시설과 시각보조시설을 갖춘 계기
활주로를 말하며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104
(가) CAT-Ⅲa - 결심고도 30m 미만 또는 결심고도 없이 활주로 가시범위 175m 이
상에서 운용 가능한 계기활주로

(나) CAT-Ⅲb - 결심고도 15m 미만 또는 결심고도 없이 활주로 가시범위 175m 미


만에서 50m까지 운용 가능한 계기활주로

(다) CAT-Ⅲc - 결심고도와 활주로 가시범위의 한계가 없이 운용되는 계기활주로

7. “계류장(apron)”이란 비행장 내에서 여객의 승하기, 화물·우편물의 적재 및 적하, 급


유, 주기, 제·방빙 또는 정비 등의 목적으로 항공기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구역
을 말한다.

8. “견인구역(winching area)”이란 회전익항공기가 선박에 착륙하지 않고 선박 내의 인원


또는 물품 등을 옮기기 위해 지정된 선박 내의 구역을 말한다.

9. “그루빙(grooving)”이란 활주로상의 배수 또는 마찰계수의 향상을 위하여 활주로 표면


을 잘라서 만든 홈 또는 그러한 행위를 말한다.

10. “기동지역(manoeuvring area)”이란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상주행을 위하여 사용되


는 비행장의 일부분으로서 계류장을 제외한 지역을 말한다.

11. “대기지역(holding bay)”이란 항공기의 지상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항공기를


대기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지정지역을 말한다.

12. “독립평행진입(independent parallel approaches)”이란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계기


활주로에 동시 진입하는 항공기간의 레이더 분리 최소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진
입을 말한다.

13. “독립평행출발(independent parallel departures)”이란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계기활


주로에서의 동시 출발을 말한다.

14. “동적하중 지지표면(dynamic load-bearing surface)”이란 회전익항공기가 이륙·착륙


하거나 비상착륙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표면을 말한다.

15. “무장애구역(OFZ: obstacle free zone)”이란 비행장의 내부진입표면, 내부전이표면, 착


륙복행표면으로 둘러싸인 구역으로서 항공기의 항행상 필요한 경량의 부서지기 쉬운
물체를 제외하고 고정장애물이 돌출되지 않아야 하는 구역을 말한다.

16. “보호구역(protection area)”이란 회전익항공기가 활주로, 주기장 및 유도경로에서 안


전하게 기동하기 위해 물체로부터 떨어져야 하는 구역을 말한다.

17. “부표”란 착륙대, 유도수로, 선회수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수면 위에 띄우는


부력표지를 말한다.

105
18. “분리평행운영(segregated parallel operations)”이란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계기활
주로에서 1개 활주로는 항공기 진입을 위하여, 다른 활주로는 출발을 위하여 분리 동
시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19. “비독립평행진입(dependent parallel approaches)”이란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계기


활주로에서 동시 진입하는 항공기 간의 레이더 분리 최소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진입
을 말한다.

20. “비행장분류기준(aerodrome reference code)”이란 비행장시설을 사용 예정 항공기에


적합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비행장 특성에 관련된 여러 사양의 상호 적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정한 부호를 말한다.

21. “비행장운항밀도(aerodrome traffic density)”란 활주로당 1일 피크시간 운항횟수의 연


평균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저밀도: 활주로당 항공기 운항횟수가 15회 이하이거나 비행장 전체 운항횟수의


합이 19회 이하인 경우

(2) 중밀도: 활주로당 항공기 운항횟수가 16회 이상, 25회 이하이거나 비행장 전체
운항횟수의 합이 20회 이상, 35회 이하인 경우

(3) 고밀도: 활주로당 항공기 운항횟수가 26회 이상이거나 비행장 전체 운항횟수의


합이 36회 이상인 경우

주) 이륙이나 착륙이 1회의 운항횟수가 됨

22. “비행장표고(aerodrome elevation)”란 착륙구역에서의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를 말한다.

23. “비행장표점(aerodrome reference point)”이란 비행장의 대표적인 지리적 위치를 나타


내는 지점을 말한다.

24. “선상헬기장(shipboard heliport)”이란 선박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주용도 선상헬


기장은 특별히 회전익항공기의 운항을 위해 설치한 헬기장이며, 다용도 선상헬기장은
회전익항공기의 운항을 위해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익항공기의 이륙·착륙이 가능
하도록 선박의 일부 구역을 사용하는 헬기장을 말한다.

25. “선회수역”이란 수상구역 내에서 수상항공기가 이수, 정박 등을 위해 안전하게 방향


을 전환할 수 있도록 착륙대의 끝 부분에 위치한 일정 수역을 말한다.

26. “수상구역”이란 수상항공기의 이수, 착수, 이동, 정박 등을 위하여 수면에 설정된 구


역으로서 수상비행장 내의 착륙대, 유도수로, 선회수역, 정박장 등을 포함한다.

27. “수상비행장등대”란 불빛을 통하여 조종사 등에게 수상비행장의 위치를 알려주는 시


각보조시설을 말한다.

106
28. “수상항공기”란 수면 위에서 이수(離水) 및 착수(着水)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항공기를
말한다.

29. “수상헬기장(water heliport)”이란 해당 회전익항공기의 비행규정(hfm)에 따라 특수부


양장치를 장착하고 수면에서 이륙·착륙이 수행되는 수면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30. “시각주기유도시스템(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 vdgs)”이란 항공기의 정확한 주


기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주기장에 설치하는 등화를 말한다.

31. “옥상헬기장(elevated heliport)”이란 건축물 또는 구조물 위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32. “유도경로(taxi route)”란 회전익항공기가 헬기장 내 각 지점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


정된 경로를 말한다.

33. “유도로(taxiway)”란 항공기의 지상주행 및 비행장의 각 지점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


정된 항공기 이동로를 말하며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1) 항공기주기장유도선(aircraft stand taxilane) - 유도로로 지정된 계류장의 일부로


서 항공기 주기장 진·출입만을 목적으로 설치된 것

(2) 계류장유도로(apron taxiway) - 계류장에 위치하는 유도로체계의 일부로서 항공


기가 계류장을 횡단하는 유도경로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된 것

(3) 고속탈출유도로(rapid exit taxiway) - 착륙 항공기가 다른 유도로로 보다 빠르게


활주로를 빠져나가도록 설계하여 활주로 점유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유도로

(4) 회전익항공기의 경우 바퀴형태의 강착장치 회전익항공기가 지상이동을 하기 위


한 유도로를 말한다.

34. “유도로교차점(taxiway intersection)”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유도로가 교차하는 부분


을 말한다.

35. “유도로대(taxiway strip)”란 유도로 상에 주행하는 항공기를 보호하고 항공기가 유도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손상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유도로를 포함하여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36. “유도수로”란 항공법 시행규칙 별표 3에 따라 수면에 설정한 일정 수역으로서, 수상


항공기의 수상활주·정박 등을 위한 이동 경로를 말한다.

37. “육상헬기장(surface-level heliport)”이란 지면 또는 수면 위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38. “이동지역(movement area)”이란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상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비


행장의 일부분으로서 기동지역 및 계류장으로 구성되는 지역을 말한다.

39. “이륙포기구역(RTO, rejected take-off area)”이란 회전익항공기의 비행규정(HFM)에 따


라 이륙포기구역이 필요한 경우 회전익항공기가 이륙포기를 수행하는 데 적합하도록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107
40. “이륙활주로(take-off runway)”이란 이륙용으로만 사용하는 활주로를 말한다.

41. “이용률(usability factor)”이란 활주로의 전체 이용시간 중 측풍분력의 영향을 받지 않


고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의 백분율(%)을 말한다.

42. “인양선대”란 경사대의 일종으로서 수면과 접한 육지의 경사가 가파른 경우에 수상


항공기를 수면에서 육지로 인양하기 위하여 육지에서 수면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한
지지구조물 위에 레일 등의 인양장치를 부착시킨 시설물을 말한다.

43. “장애물(obstacle)”이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이동성을 띠는 다


음 각 목의 물체를 말한다.

(1) 회전익항공기의 지상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물체

(2) 비행 중인 회전익항공기 보호를 목적으로 지정된 표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물체

(3) 가목과 나목의 외부에 위치하지만 공중 항행에 장애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물체

44. “장애물제한표면(obstacle limitation surfaces)”이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비행


장 주변에 장애물(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저해하는 지형·지물 등을 말한다.)의 설치 등
이 제한되는 표면으로서 수평표면, 원추표면, 진입표면, 내부진입표면, 전이표면, 내부
전이표면 및 착륙복행표면을 말한다.

45. “장애물회피고도/높이(obstacle clearance altitude/height: OCA/H)”란 활주로 시단의 표


고 또는 비행장 표고에 장애물 회피에 필요한 고도 또는 높이를 더한 최저고도 또는
높이를 말한다.

46. “전파고도계운용구역(radio altimeter operating area)”이란 항공기의 자동진입이나 자


동착륙을 위한 고도정보 제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정밀접근활주로 시단 이전에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47. “정박장”이란 수상항공기에 승객이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하여 수상


항공기를 접안하고, 수상항공기를 상당기간 동안 정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정박시설
(docks, 잔교 등)과 정박수역을 말하며, 고정정박장과 부유정박장으로 구분한다.

48. “정적하중 지지표면(static load-bearing surface)”이란 회전익항공기가 정지상태에 있


을 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표면을 말한다.

49. “전파보호임계지역(critical area)”이란 방위각 제공시설(Localizer) 및 활공각 제공시설


(glide path: GP) 안테나 주변에 설정되어 ILS가 운영되는 동안 항공기 및 차량의 접근
이 금지되는 구역을 말한다.

50. “정지로(stopway)”란 이륙항공기가 이륙을 포기하는 경우에 항공기가 정지(停止)하는


데 적합하도록 설치된 구역으로서 이륙활주 가용거리(TORA)의 끝에 위치한 장방형의
지상구역을 말한다.

108
51. “제·방빙시설(De/Anti-icing facility)”이란 항공기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
하여 서리, 얼음, 눈을 제거하고 발생을 방지하는 시설과 제·방빙 작업 후 발생되는
폐액을 수거, 보관,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52. “제·방빙장(De/Anti-icing pad)”이란 항공기 제·방빙 작업을 위하여 항공기 주기 등


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역을 말한다.

53. “주기장”이란 항공기를 육지에 체류시키기 위하여 지정한 구역을 말하며, 회전익항
공기의 경우 회전익항공기가 착륙하거나 공중유도를 위해 부양하거나 지상이동이 완
료되는 구역으로서 회전익항공기의 주기를 위해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54. “주륜외곽의 폭(outer main gear span)”이란 <그림 1-1>에서와 같이 항공기 좌우 주


기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측정한 직선거리를 말한다.

55. “지면효과(ground effect)”란 회전익항공기의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하강기류에 의


해 회전익항공기가 지면 또는 표면 위를 부양하거나 비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56. “착륙구역(landing area)”이란 항공기의 착륙 또는 이륙을 목적으로 하는 이동지역의


일부를 말하며, 헬기장의 착륙구역(TLOF: touchdown and lift-off area)"은 회전익항공기
가 지면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접지 또는 부양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57. “착륙대(runway strip)”란 활주로와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는 경우에 항공기와 탑


승자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전지대를 말하며, 헬기장
의 "착륙대(safety area)"는 활주로를 이탈하는 회전익항공기의 손상 위험을 줄이기 위
해 활주로 주변에 일정한 크기로 설치하는 구역으로서 항행목적을 위한 시설 이외의
어떠한 장애물도 없어야 하는 구역을 말한다.

58. “축간거리(wheel base)”란 3차륜식 항공기의 앞바퀴에서 주기어 중심축까지의 직선


거리를 말하며 아래 그림과 같이 주기어의 중심선 또는 다수의 바퀴일 경우 그 중심
위치에서부터 측정한다.

59. “측풍분력(cross wind component)”이란 활주로 중심선과 직각으로 부는 지상풍에 대


한 분력을 말한다.

60. “탑승로”란 승객 등이 육지로부터 수상항공기가 접안하는 정박장까지 이동할 수 있


도록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61. “평행에 가까운 활주로(near-parallel runway)”란 교차하지 않는 활주로의 확장된 중


심선이 15〫 또는 그 이하의 집중/확산각을 갖고 있는 활주로를 말한다.

62. “표지(marking)”란 항공정보를 전달할 목적으로 이동지역의 표면에 표시되는 기호 또


는 문자를 말한다.

109
63. “항공기주기장(aircraft stand)”이란 항공기의 주기를 위하여 계류장 내에 지정된 구역
을 말한다.

64. “해상구조물 헬기장(helideck)”이란 유전 또는 가스전 개발을 위한 탐사 또는 시추선


과 같은 해상 구조물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65. “헬기장(heliport)”이란 회전익항공기의 도착, 출발 또는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비행


장 또는 구조물 위에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66. “헬기장표고(heliport elevation)”란 평균해수면으로부터 측정된 활주로의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를 말한다.

67. “헬리콥터 주기장(helicopter stand)”이란 회전익항공기가 착륙하거나 공중유도를 위


해 부양하거나 지상이동이 완료되는 구역으로서 회전익항공기의 주기를 위해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68. “헬리콥터 지상 유도로(helicopter ground taxiway)”란 바퀴형태의 강착장치 회전익항


공기가 지상이동을 하기 위한 유도로를 말한다.

69. “활주로(runway)”란 항공기 착륙과 이륙을 위해 육상 비행장에 설정된 장방형의 구


역을 말하며, 헬기장의 “활주로(FATO, final approach and take off area)”는 회전익항
공기가 제자리비행(hover)을 위해 착륙 접근조작의 마지막 단계가 완료되는 지역 또는
이륙기동이 시작되는 지역을 말하며 이륙포기구역을 포함한다.

70. “활주로시단(Runway threshold)”이란 항공기 착륙에 사용가능한 활주로 부분의 기점


을 말한다.

71. “활주로보호구역(runway protection zone: RPZ)”이란 지상의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하


여 활주로 종단에 설치된 구역을 말한다.

72. “활주로종단안전구역(runway end safety area)”이란 접근활주로의 시단 앞쪽에 착륙


하거나 종단을 지나쳐 버린 항공기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활주로 중심선의 연장선
에 대칭으로 착륙대 종단 이후에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73. “활주로 회전패드(runway turn pad)”란 육상비행장 활주로에서 항공기 180°회전이


가능하도록 활주로에 접하여 설정된 구역을 말한다.

74. “해상구조물 헬기장(helideck)”이란 유전 또는 가스전 개발을 위한 탐사 또는 시추선


과 같은 해상 구조물에 위치한 헬기장을 말한다.

75. “회전익 항공기 크기”란 해당 헬기장에 사용 예정인 가장 큰 회전익 항공기의 주 회


전날개를 포함한 전체 길이와 폭 중 큰 값을 말한다.

※ 국토해양부의 ‘비행장시설(유도로, 계류장 등) 설계 매뉴얼’을 참고함

110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유승권((주)유신)* 권수안(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웅이(한서대학교)
권재원(한국공항공사)* 김한용(한솔엔지니어링)
김동조((주)유신) 손윤호(한국종합기술)
김병종(항공대학교)*
문형철((주)로드텍)*
박성원((주)유신)
오성열(한국교통연구원)*
윤한주((주)유신)*
정승균((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초롱(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1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