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8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 ․ 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건설사업관리계획검토 건설사업관리계획검토

터널설계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 수립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 수립

교량설계 설계도서 검토 설계도서 검토

항만(해양)설계 시공관리 시공관리

상하수도 설계 자원관리 자원관리

하천(댐)설계 품질관리 품질관리

지반설계 공정관리 공정관리

단지설계 안전·위험 관리 안전·위험 관리

철도설계 환경관리 환경관리

토목건설사업관리 준공검사·인수인계 준공검사·인수인계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1-1. 공정관리계획 검토 3

• 교수・학습 방법 20

• 평가 22

학습 2.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

2-1. 예정공정표 검토 확인 25

2-2. 공정계획 대비 실적 분석 33

• 교수・학습 방법 43

• 평가 44

학습 3. 부진공정 만회대핵 검토하기

3-1. 공기지연 분석 46

3-2. 공기 만회대책 검토 50

• 교수・학습 방법 59

• 평가 60

학습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

4-1. 공기연장 검토 62

• 교수・학습 방법 69

• 평가 70
학습 5. 각종 현황 관리하기

5-1. 공정관리 현황 관리 72

• 교수・학습 방법 81

• 평가 82

참고 자료 84
공정관리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공정계획을 검토하고 공사 진도를 파악하여 계획공정 대비 실적공정이 적정하게 수행되고 있는 지를


평가·분석하여 부진공정 만회대책 수립 등 공사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선수학습

건설사업관리계획검토(1402011101_14v2), 건설사업관리업무수행계획 수립(1402011102-14v2), 시공관리


(1402011104-14v2), 자원관리(1402011105-14v2), 품질관리(1402011106_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
1-1. 공정관리계획 검토 1402011107_14v2.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하기

2-1. 예정공정표 검토 확인
2. 예정·실제공정 비 예정·실제공정
1402011107_14v2.2
교·검토하기 비교·검토하기
2-2. 공정 계획 대비 실적 분석

3-1. 공기지연 분석
3. 부진공정 만회대책 부진공정 만회대책
1402011107_14v2.3
검토하기 검토하기
3-2. 공기 만회대책 검토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공사기간변경


4-1. 공기연장 검토 1402011107_14v2.4
검토·확인하기 타당성검토·확인하기

5. 각종 현황 관리하기 5-1. 공정관리 현황 관리 1402011107_14v2.5 각종 현황 관리하기

핵심 용어

공정관리계획서, CPM, PDM, 공정원가통합관리, EVMS, 예정공정표, 공기지연, 부진공정 만회대책, 공


사기간 변경, 공정 현황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학습 1
(LM1402011107_14v2.1)
학습 2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LM1402011107_14v2.2)
학습 3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LM1402011107_14v2.3)
학습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LM1402011107_14v2.4)
학습 5 각종 현황 관리하기(LM1402011107_14v2.5)

1-1. 공정관리계획 검토
• 공정관리 기법이 공사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지 여부를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내
에 제출받아 14일 이내에 검토·승인하고 발주자(처)에게 제출할 수 있다.
• 시공계획, 예산범위에 따라(일일, 주간, 월별, 분기별, 연도별) 공정계획 수립을 검
토·확인할 수 있다.
• 공사규모·공사특성·공정관리프로그램 선정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규격의
적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네트워크 공정표(CPM/PDM)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를 이해하고 공정계획수립 및 자원
투입 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 주 공정(Critical Path) 관리계획을 검토하여 중점관리대상 공종을 선정할 수 있다.
• 공사의 규모, 공종 등 제반여건을 감안하여 적정한 공정관리 조직을 갖추도록 검
토·확인할 수 있다.
• 일정관리, 원가관리, 진도관리가 병행될 수 있는 종합관리 공정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공정관리계획의 검토사항

1. 공정관리계획서의 검토
공사 계약자인 시공자는 당해 사업의 현장관리 및 공사관리 등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
종합적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며, 사업수행계획에는 현장관리계획과 함께
품질, 안전, 하도급, 장비/자재 그리고 공정에 대한 관리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3호」의
시공단계 공정관리 업무에 대한 내용에 따르면,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안에 시공자로부터 공정관리계획서를 제출받아 제출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검토
하여 공사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시공자가 작성한 공정관리계획서에 대한 건설사업
관리자의 검토사항은 다음과 같다.

3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94조(공정관리)

②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안에 시공자로부터 공정관리계획서를 제출


받아 제출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검토하여 승인하고 이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하며 다
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확인하여야 한다.
1. 시공자의 공정관리 기법이 공사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지 여부
2. 계약서, 시방서 등에 공정관리 기법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명시된 공정관리 기법으로
시행되도록 조치
3. 계약서, 시방서 등에 공정관리 기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단순한 공종 및 보통의
공종 공사인 경우 공사조건에 적합한 공정관리 기법을 적용토록 하고, 복잡한 공종의 공사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PERT/CPM 이론을 기본으로 한 공정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PERT/CPM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를 적용토록 조치
4. 발주청의 특수한 현장여건(돌관공사 등)으로 전산공정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발주청에 별도의 공정관리를 시행하도록 건의할 수 있음
5. 일정관리와 원가관리, 진도관리가 병행될 수 있는 종합관리형태의 공정관리가 되도록 조치
③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의 규모, 공종 등 제반여건을 감안하여 시공자가 공정관리 업무
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정관리 조직을 갖추도록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확인하
여야 한다.
1. 공정관리 요원 자격 및 그 요원수 적합 여부
2. 소프트웨어(Software)와 하드웨어(Hardware) 규격 및 그 수량 적합 여부
3. 보고체계의 적합성 여부
4. 계약공기 준수 여부
5. 각 작업(Activity) 공기에 품질, 안전관리가 고려되었는지 여부
6. 지정휴일, 천후조건 감안 여부
7. 자원조달에 무리가 없는지 여부
8. 주 공정의 적합 여부
9. 공사주변 여건, 법적 제약조건 감안 여부
10. 동원 가능한 장비, 그 밖에 부대설비 및 그 성능 감안 여부
11. 특수장비 동원을 위한 준비기간의 반영 여부
12. 동원 가능한 작업인원과 작업자의 숙련도 감안 여부

2. 공정관리 기법의 선정과 적정성


공사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한 공정관리 기법을 선정 적용하여야 한다. 건설공사의 공
정관리 기법으로는 바 차트(bar chart), CPM, LOB(Line of Balan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계약서에 공정관리기법이 명기되지 않으면, 단순 공종 공사의 경우는 바 차트, 복합적이고 복잡한
공종 공사의 경우는 CPM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통적인 공정관리 기법

1. 바 차트(bar chat)
건설공사의 공정관리에 사용되는 기법들 중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이라 가장 많이 쓰이

4
는 기법이 바 차트이다. 바 차트는 [그림 1-1]과 같이, 수직축은 프로젝트에 요구되는 작
업들 목록(activity list), 수평축은 시간(time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작업들의 시작(start)
과 완료(finish), 그리고 작업기간(duration)이 바(bar)로 표현된다.

[그림 1-1] 바 차트

바 차트는 작성과 사용이 편하고 이해가 쉬워 별도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 없으며, 사업의
진행 상황을 명확하고 빠르게 표현하며,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상황을 전달하기 좋은 방법
이다. 규모가 작고 비교적 단순한 공사의 공정관리에 보다 적합하다.
바 차트의 단점은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와 선·후행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해서 한 작업의 지연 또는 단축이 후속 작업들과 전체 프로젝트의 완료 일정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어렵다. 결국, 바 차트는 사업 규모가 크고 복잡할수록 공정계획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보여주고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선진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및 조정에는 적합하지 않고 부족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바 차트는 1916년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인 헨리 간트(Henry L. Gantt)가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간트 차트(Gantt Chart)라고도 불리지만, 사실은 그 이전에 유럽의 영국
이나 독일에서 이미 사용되었다는 자료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2. 타임 스케일드 로직 다이어그램(time scaled logic diagram)


타임 스케일드 로직 다이어그램은 바 차트의 형식(format)을 유지하면서 작업들 간의
선·후행 관계를 표현하는 화살표를 추가한 기법이다. 이 기법은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와
선·후행 관계가 표현되지 않는 바 차트의 치명적인 단점을 보완한 방법으로, 작업들 간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화살표의 머리는 선행(predecessor), 꼬리는 후행(successor)을 표
현한다.
결국, 타임 스케일드 로직 다이어그램은 바 차트와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의 중간 정도 형
태라고 이해할 수 있다.

5
[그림 1-2] 타임 스케일드 로직 다이어그램(time scaled logic diagram)

네트워크 공정표(CPM/PDM) 기법
건설공사의 가장 대표적인 네트워크 공정관리 기법은 CPM(Critical Path Method)이다. CPM
기법은 ADM(Arrow Diagramming Method)과 PDM(Precedence Diagramming Method)으로 구
분한다. 최근 들어 건설공사의 공정계획 및 관리에 ADM이 적용된 경우는 거의 없이 주로
PDM이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발주기관들이 PDM의 사용을 명시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1. CPM(PDM) 기법의 종류
CPM은 1956년 Du Pont 사(社)의 Morgan Walker와 Remington Rand 사(社)의 James E.
Kelly, Jr.에 의해 개발되었다. 현재 세계에서 건설공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공
정관리(network-based scheduling) 기법으로, 작업들 간의 상호관계(interrelationship 또는
interdependencies)를 표현하며, 작업기간(activity duration)을 단일한 고정 값으로 추정(one
point estimate)하는 확정적 접근(deterministic approach)을 취하고 있다.
CPM기법은 작업(activity)과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relationship)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ADM과 PDM으로 구분하고 있다.

(1) ADM(Arrow Diagramming Method)


ADM은 AOA(Activity on Arrow) 또는 i-j method라고도 불리는 기법이다. ADM 네트워
크 공정표는 작업(activity)과 화살표의 양 끝에 위치하는 이벤트(event)로 구성되며, 작
업은 화살표(arrow) 이벤트는 원(circle) 또는 노드(node)로 표시한다.

[그림 1-3] ADM의 표현

6
작업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시작에 위치한 노드(node)를 “i”, 끝에 위치한 노드를
“j”라 하며, i node는 activity의 시작 event 그리고 j node는 activity의 완료 event를
표현한다. Logic diagram이 작성되면, 각 이벤트 node에 번호를 부여하는데, 시간의 진
행에 따라 증가하도록 번호(i < j)를 부여하며, 나중에 있을 수 있는 작업의 추가를 고
려하여 숫자는 여유 간격을 두고 부여한다. ADM에서 각 작업들은 고유한 node 번호
“i”와 “j”에 의해서 식별 가능하게 된다.
화살표(arrow)의 시점과 종점은 해당 작업의 시작(start)과 완료(finish) 시점을 표현한
다. 그리고 이벤트는 선행하는 모든 작업들(activities)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이 있은 후에 후행 작업들(activities)이 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
로, 전체 프로젝트 network에는 시작과 끝을 나타나내는 각 하나의 이벤트(node)가 존
재하게 구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2) PDM(Precedence Diagramming Method)


PDM은, ADM과는 반대로, 작업(activity)를 노드(node) 또는 상자(box)로 표현하고, 각
activities들의 수행순서(logical dependencies 또는 relationships)는 화살표(arrow)로 연결
하여 나타낸다. 그러므로 PDM은 AON(Activity on Node)이라 불리기도 한다.

(가)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activity relationships)


PDM에서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의 4개 유형이 가능하다.
1) 완료 후 시작 : Finish to Start(FS)
작업 A의 완료 후 작업 B가 시작하는 관계로 가장 흔하고 일반적인 관계이다.

[그림 1-4] 완료 후 시작 관계

2) 시작 후 시작 : Start to Start(SS)
작업 A의 시작 후에 작업 B가 시작하는 관계이다.

작업 A 작업 B

SS

[그림 1-5] 시작 후 시작 관계

3) 완료 후 완료 : Finish to Finish(FF)
작업 A의 완료 후에 작업 B가 완료하는 관계이다.

7
[그림 1-6] 완료 후 완료 관계

4) 시작 후 완료 : Start to Finish(SF)
작업 A의 시작 후 작업 B가 완료하는 관계이다. 이 관계는 건설공사에서 일반
적이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림 1-7] 시작 후 완료 관계

(나) 작업간 지연기간(Lag 또는 Delay)


Lag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선행 작업(preceding activity)과 후행작업(succeeding activity)의
시작 또는 완료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차이(delay)를 나타내며, 자원(resource)은 사용되
지 않지만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activity)을 표현할 수 있다.
양수(+) 값으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elay는 자원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의 경과를
표현하며, 실제 작업을 대체할 수는 없다.

FS + 5일
도면 준비 부품 제작

도면 검토
도면 준비 부품 제작
(5일)

[그림 1-8] lag의 사용

Lag는 양수(+) 값으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PDM에서 병행 수행되는 작업들


의 SS 및 FF 수행관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8
[그림 1-9] Lag를 이용한 Fast-tracking

2. CPM 계산
CPM 계산은 전진계산(forward pass calculation)과 후진계산(backward pass calculation)으로
수행된다. CPM 계산을 통해 얻게 되는 결과로 각 작업들의 시작 및 완료시점, 여유시간,
그리고 주 공정(critical path)과 주요작업들(critical activities)을 파악하게 된다.

(1) 전진계산과 후진계산

(가) 전진계산
∙ 모든 작업이 시작될 수 있는 가능한 가장 빠른 시점에 시작하고 완료된다는 가
정을 전제하는 계산이다.
∙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종료의 방향, 즉 네트워크 공정표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을 진행한다.
∙ 전진계산의 결과로 각 작업들의 빠른시작(ES)과 빠른완료(EF)를 계산한다.
∙ 작업의 빠른시작(ES)은 선행 작업의 빠른 완료시점을 적용하며, 만약 2개 이상의
선행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빠른 완료들 중 가장 큰 값을 적용한다.

(나) 후진계산
∙ 모든 작업들이 프로젝트 예정완료일에 영향 없는 범위에서 최대한 늦은 시점에
시작하고 완료된다는 가정의 계산이다. 이때 프로젝트 예정완료일은 전진계산으
로 산출된 프로젝트 완료시점 또는 계약종료 시점을 적용한다.
∙ 프로젝트 진행의 역순, 즉 종료부터 시작 방향인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계산을 진
행한다.
∙ 각 작업들의 늦은시작(LS)과 늦은완료(LF)를 계산한다.
∙ 작업의 늦은완료는 모든 후행작업들의 늦은시작 중 가장 작은 값을 적용한다.

(2) 작업들의 시작시점과 완료시점


CPM 계산의 결과로 각 작업들의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작업의 시작
시점은 빠른시작(ES)과 늦은시작(LS), 완료시점은 빠른완료(EF)와 늦은완료(LF)를 각각
파악한다.

9
<표 1-1> CPM 계산을 통해 얻는 작업의 시작 및 완료시점
시점 정의

빠른 시작 선행 작업이 완료된 후, 해당 작업이 시작될 수 있는 가능한 가장 빠


Early Start(ES) 른 날짜

작업이 완료될 수 있는 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


빠른 완료
해당 작업이 ES에 시작되고 예정된 작업기간이 소요됐을 경우
Early Finish(EF)
EF = ES + 작업기간
예정된 사업완료 시점을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해당 작업을 시작할
늦은 시작
수 있는 가장 늦은 시간
Late Start(LS)
LS = LF – 작업기간

늦은 완료 예정된 사업 완료시점을 지연시키지 않으면서, 해당 작업을 완료해도


Late Finish(LF) 되는 가장 늦은 시간

(3) 여유시간(float)
CPM 계산을 통해 파악하는 작업의 여유시간은 총여유시간(TF; Total Float)과 자유여
유시간(FF; Free Float)이 대표적이다.

(가) 총여유시간(TF; Total Float)


∙ 프로젝트의 완료 시점에 영향 없이 해당 작업을 지연할 수 있는 시간
∙ 총여유시간(TF) = 늦은시작(LS) - 빠른시작(ES) 또는
= 늦은완료(LF) - 빠른완료(EF)

나) 자유여유시간(FF; Free Float)


∙ 후행 작업의 빠른시작(ES)에 영향 없이 해당 작업의 완료를 지연할 수 있는 시간
∙ 자유여유시간(FF) = 후행 작업의 빠른시작(ES) - 해당 작업의 빠른완료(EF)
∙ 작업의 자유여유시간은 항상 총여유시간보다 같거나 작다(FF ≦ TF).

3. 주 공정 및 중점관리대상 공종

(1) 주 공정(critical path)


∙ 주 공정이란 사업의 시작부터 완료를 표현하는 네트워크의 여러 경로들 중에서 가
장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 즉 가장 긴 경로(the longest path)를 의미한다.
∙ 주 공정은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주 공정은 공사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2) 중점관리대상 공종
∙ 주 공정(critical path) 상에 위치한 작업이며, 주요 작업(critical activity)의 지연은 전
체 공사 완료시점의 지연으로 이어진다.

10
준주 공정(Near Critical Path)

준주 공정은 주 공정(Critical Path)은 아니지만 차이가 많지 않아, 여유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공정(path)을 말하며, 공사 진행 등의 상황 변동에 따라 주 공정이 될 가능성이 높은 공정을
의미한다. 공사가 진행되면서 주 공정 작업의 단축이나 주 공정이 아닌 작업에 지연이 발생할
경우 주 공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준주 공정은 주 공정과 함께 중점 관리해야 할 대상
이 된다.

공정관리 조직
건설공사의 공정관리 업무는 공사의 종류, 규모, 환경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규모의
조직 구성과 적절한 업무 분담을 통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공정관리 조직에 대한 몇 가지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프로젝트의 특성에 적합한 현장 공정관리담당자의 지정은 현장의 공정관리 체계 구축
에 있어 매우 중요하므로 유사 공사 수행 경험, 해당 공정관리 전산시스템 활용 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공사 규모에 따라 공정 전담조직을 구성하거나 공정전담자가 지정되어야 한다.
• 공정관리 업무 책임자는 현장대리인(현장소장) 직할로 운영되어야 한다.
• 현장 공정관리 담당자의 지정은 현장소장이 주관한다.
• 공정관리 업무 담당자는 공정관리 소프트웨어 등의 전산시스템 운용 능력과 관리업무
경험이 풍부한 기술자를 선임한다.
• 공정관리 용역계약으로 업무가 처리되는 경우, 이를 관리 지원하는 직원이 공정 담당
자로 지정되어야 한다.

1. 공정관리 업무 책임자

(1) 자격
∙ 토목공사 및 해당 시설물 건설기술에 대한 풍부한 지식 및 경험
∙ 공정관리기법(Bar chart 및 CPM) 이론 숙지 및 실무운영 경험
∙ 공무업무 능력(계약서, 설계서, 도면, 내역서, 수량산출서, 단가산출서)
∙ 공정관리 Software 숙지 및 운용
∙ 전산 관련 지식

(2) 세부 추진 업무
∙ 계획 수립단계 업무
- 공정계획 수립 및 Network 공정표 작성
∙ 세부작업 계획서 작성
∙ 공사 장애 요소의 사전검토

11
- 자재, 인력, 장비의 소요계획 작성
∙ 운영 업무
- 부진공정관리 기준설정 및 최신현황유지(Update) : 일정, 진도, 자원 등
- 변화사항에 대한 대책수립(과진, 지연)
- 설계변경에 따른 Network 변경 작성
- 공기단축 및 공기연장자료 수집, 검토, 실적자료 축적
- 정기적인 공정 보고 자료 작성 및 현장심사
-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 파악하여 공기에 대한 대책수립

2. 시공사 본사 공정관리팀
각 Project별 공정계획 수립에 대한 자료 및 공정관리 전산 Program의 운영 등 현장의 전
반적인 업무수행 사항을 지원한다.
∙ 초기공정계획 수립 시 현장 공정관리팀과 협조하여 착공관련 자료제공을 지원
∙ 현장에서 요청하는 각 Project별 자료발취 및 제공 지원
∙ 공정표 자료의 유지관리 지원
∙ 일정관리에 따른 장비, 인원, 자재 등 투입시기, 통제 등의 업무 지침
∙ 공사 진행 시 공기에 대한 문제점 및 대책 방안 제시 검토 지원

사례: 고속국도 제00호선 00~00간 건설공사(제0공구) 공정관리 운영조직

12
사례: 00 도시철도 00공구 건설공사 공정관리계획서 중 현장공정 운영계획

1) 공정관리 조직 구성 및 공정보고체계

2) 조직도

3) 업무분장 및 조직간 업무흐름도

13
공정원가 통합관리(EVMS) 개념과 도입

1. 공정과 비용 통합 관리의 개념
공정/원가 통합관리 개념이 개발 적용되기 전의 프로젝트의 성과에 대한 측정은 비용
(cost) 측면의 계획과 실적의 단순 비교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원래 계획된 작업(work)과
실제 수행된 작업에 대한 고려가 없는 특정 시점의 비용 계획과 실적의 비교는 사업의 실
제 성과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없다.
공정원가통합관리(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는 사업비용과 일정의 “계획
대비 실적”을 통합된 기준으로 관리하며, 이를 통하여 현재 상황의 분석, 만회대책의 수
립, 그리고 향후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관리기법이다.

[그림 1-10] 작업(work)에 대한 고려 없는 비용 계획과 실적의 단순 비교

2. 공정과 비용 통합 관리의 도입
사업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인” 사업관리를 위한 주요 관심사는 일정(time)과 비용(cost)
의 통합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그 이유는, 비용관리와 일정관리는 다른 업무기능들에
비해서 발생되는 자료의 활용빈도가 높고, 각 업무를 위한 자료의 종류, 내용 그리고 활용
시기 등 그 업무 내용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아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에 통합관리를 통해 효율성 향상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일정과 비용의
관리는 또 다른 중요한 성과관리 요소인 품질(quality)보다 비교적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평
가가 가능하다는 측면도 고려되었다.
공정원가통합관리의 가장 핵심이 되는 달성가치(earned value)의 측정이라는 개념은 1963
년 미 국방성(Department of Defense, DoD)의 ‘DoD and NASA Guide to PERT/Cost’에
서 처음 소개되었고, 1967년 공식 발표된 “Cost/Schedule Control Systems Criteria
(C/SCSC)”로 1990년 중반까지 미국의 다양한 발주기관들에 약 30년간 적용되었다.

14
C/SCSC는 1995년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로 변경되어 지금까지 전 세계
각국에서 적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발표된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에 공정/공사비 성과
측정 및 관리도구로서 EVMS의 적용이 포함되었고, 2000년 3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개
정으로 도입되었다. 건설기술관리법은 현재 건설기술진흥법으로 전면 개정되었으며, 해당
조항은 다음과 같다.

법령: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77조(공사의 관리)

② 발주청은 총공사비가 500억 원 이상인 건설공사의 시공자로 하여금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른 세부 공종이 완료될 때마다 투입된 비용과 기간 등에 관
한 실적을 제73조에 따른 실시설계와 비교하여 관리하게 할 수 있다.

EVMS에 의한 관리

1. EVMS에 의한 관리 프로세스
EVMS에 의한 관리 절차는 프로젝트에 따라 다소 다르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 프로젝트 업무 정의, 2) 프로젝트 일정 계획, 3) 프로젝트 예산 편성, 4) 기준 진도 작
성, 5) 진행 관리, 그리고 6) 프로젝트 성과 예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Fleming, Koppleman,
1996).

(1) 프로젝트 업무 정의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를 사용하여 사업범위((Project Scope)와
관리계정(CA; Control Accounts)을 정의한다. 관리계정은 WBS 작성을 통해 분할된 최
소 단위이며, 이는 EVMS에서 비용 및 일정의 관리 및 성과측정의 기준단위가 된다.
관리계정의 상세도(level of detail)는 EVMS에 의한 성과 측정 및 관리의 업무 부담과
효율성을 결정한다.

(2) 프로젝트 일정 계획
EVMS는 공정관리 활용이 필수이며, CPM 기법의 활용이 명시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CA(Control Account)는 작업(activity)과 일대일로 연계되며, 경우에 따라서
는 일대다로 연계될 수 있다.

(3) 프로젝트 예산 편성
사업 예산을 관리계정(CA)에 기준하여 편성한다. 참고로, 국내의 내역서에 의한 관리와
EVMS의 관리계정(CA)에 의한 관리는 체계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4) 기준진도(baseline)의 작성
업무 정의, 일정계획, 예산을 바탕으로 기준진도를 수립한다. 수립된 기준진도는 EVMS
성과측정 요소의 하나인 “BCWS”가 된다.

15
(가) BCWS(Budgeted Cost for Work Scheduled)
·계획된 공정의 진행에 따른 작업의 계획 진도 달성량을 물량 또는 금액의 형태
로 표현한 것으로, 공사초기계획의 수립과 함께 결정됨
·EVMS에서 계획 대비 실적의 비교 기준이 되는 값
·BCWS 곡선(curve)은 전통적인 S-curve 형태를 가짐
·BCWS의 계산은 각 작업의 진행에 따라 성취되는 작업진도계획의 수립이 선행되
어야 하나, 건설공사착수 초기에 작업형태분석을 통한 정밀한 진도계획을 세우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5) 진행관리
EVMS에서 진행관리는 BCWS에 추가로 BCWP와 ACWP를 파악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비용차이(CV; Cost Variance)와 일정차이(SV; Schedule Variance) 또는 비용지수(CPI)와
일정지수(SPI)를 계산하여 이를 통해 진행상황을 파악 분석한다.

(가) BCWP(Budgeted Cost for Work Performed) = EV(Earned Value)


·실제 수행된 작업의 실행예산 상의 가치, 달성가치 또는 실적진도

(나) ACWP(Actual Cost of Work Performed)


·실제 수행된 작업에 투입/발생된 비용

(다) Cost Variance(CV) = BCWP - ACWP


·건설공사의 특정 측정시점에서의 달성가치와 실제 투입비용의 차이
·CV값이 음수(-) 값이면 실제비용이 달성가치를 초과(cost overrun)한 것이며, 양
수(+) 값이면 실제비용이 달성가치보다 낮게 발생하였음(cost underrun)을 의미함

(라) Schedule Variance(SV) = BCWP - BCWS


·건설공사의 특정 측정 시점에서의 실적진도(EV)와 계획(예정)진도와의 차이
·SV값이 음수(-) 값이면 실적진도가 계획진도보다 늦은 공정지연(behind schedule)
상황을 나타내며 양수(+) 값이면 실적진도가 계획진도를 앞서가는 상황(ahead of
schedule)을 의미함

(마) CPI(Cost Performance Index) = BCWP / ACWP


·건설공사의 특정 측정시점에서의 달성가치와 실제 투입비용의 비율
·CPI < 1이면 실제 비용이 달성가치를 초과(cost overrun)한 것이며, CPI > 1이면
실제비용이 달성가치보다 낮게 발생하였음(cost underrun)을 의미함

(바)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 = BCWP / BCWS


·건설공사의 특정 측정 시점에서의 실적진도(EV)와 계획(예정)진도와의 비율
·SPI < 1이면 실적진도가 계획진도보다 늦은 공정지연(behind schedule), SPI > 1이
면 실적진도가 계획진도를 앞서가는 상황(ahead of schedule)을 의미함

16
(6) 프로젝트 성과 예측

(가) EAC(Estimate at Completion)


·총 예상비용(EAC; Estimate at Completion)은 아래와 같이 계산함.
   
⇒ EAC =     
 
여기서 BAC는 총 사업예산(Budget at Completion)을 의미함.

(나) ACV(At Completion Variance)


· 총 비용 차이(ACV; At Completion Variance)는 아래와 같이 계산함.
⇒ ACV(At Completion Variance) = BAC - EAC

(다) Percent Complete


·진도율(% complete)은 아래와 같이 계산함.

⇒ Percent Complete = 


[그림 1-11] EVMS에 의한 성과측정 요소들

17
수행 내용 /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재료·자료

 공정관리계획서 양식 및 샘플 사례

 예정공정표 샘플 사례

 공정관리 프로그램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대상 건설사업의 목적, 대상 시설물, 기간, 비용 등의 개요와 특성을 파악한다.


공정관리계획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공사 개요와 특성을 파악한다.

공정관리 기법 및 예정공정표의 구성, 형식, 내용, 포함사항 등을 검토 확인하다.


공사 특성에 적합한 공정관리 기법의 적정성을 파악하고, 예정공정표에 포함된 항목들의
형식과 내용들에 대해서 적합성과 적정성을 검토한다.

주 공정의 적정성과 관리계획을 검토한다.


주 공정(critical path)이 주요공종 중심으로 구성되었는지 등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중점관
리대상공종에 대한 관리계획을 검토한다.

18
공정관리 운영 조직 구성, 책임자 및 역할분담, 업무 흐름도 등을 파악하고 검토한다.
해당 공사의 특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공정관리 조직의 적정성을 검토 확인한다.

공정원가 통합관리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해당 공사의 특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공정관리 조직의 적정성을 검토 확인한다.

19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정관리계획서 및 예정공정표의 사례를 보여주며 학생들에게 공정관리계획서와 예정공정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들과 내용들을 소개한다.

• 바 차트와 네트워크 공정관리 기법의 특성을 장점과 단점 중심으로 설명한다.

• CPM의 ADM 및 PDM 기법의 특성을 설명한다.

- 간단한 예제를 들어 ADM과 PDM이 가지는 표현의 차이점과 기본 개념의 공통점을 설명하고,
건설사업 공정관리에 ADM보다 PDM이 주로 사용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 CPM 계산과 이를 통해 얻는 정보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기간 내 완료(timely completion)라는 공정관리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진계산과


후진계산을 실시한다는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전진 및 후진계산을 통해서 얻게 되는 작업들의
빠르고 늦은 시작과 완료 시점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를 통한 여유시간(float)의 개념도 인식시킨
다. 그리고 주 공정(critical path)과 주 공정 작업들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공정원가통합관리의 개념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예제를 통해 공정원가통합관리 프로세스와


BCWS, BCWP, ACWP 그리고 CV, SV, CPI, SPI, EAC 등 성과측정 요소들의 개념들을 소개한다.
특히, 내역서 중심의 비용관리가 이루어지는 국내 업무 관행과 공정원가통합관리에 필요한 기본
체계의 차이점을 설명한 후에, 이를 극복하고 공정원가통합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CPM에
의한 공정관리가 필수적임을 설명하고, 이에 필요한 절차와 노력들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공정관리계획서 및 예정공정표의 사례를 보며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들과 내용들을 이해한다.

• 바 차트와 네트워크 공정관리 기법 중에서 공사의 규모, 복잡도 등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기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 ADM과 PDM으로 간단한 공정표를 작성해 봄으로서 각 기법들의 특성과 공정표 작성방법에
있어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한다.

• CPM 계산과 이를 통해 얻는 정보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CPM 계산 예제를 수행한다.

20
CPM 계산 예제를 통해, 작업의 빠르고 늦은 시작과 완료(ES, EF, LS, LF), 여유시간(TF, FF)
등을 계산해 보고, 주 공정과 주 공정작업들도 파악해 봄으로서 CPM의 개념과 이론을 이해한다.

• 내역서 중심의 비용관리가 이루어지는 국내 업무 관행과 공정원가통합관리에 필요한 기본체계의


차이점을 통해서 공정원가통합관리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공정원가통합관리 프
로세스와 BCWS, BCWP, ACWP 그리고 CV, SV, CPI, SPI, EAC 등 성과측정 요소들의 개념들을
예제를 통해서 명확하게 숙지한다.

21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관리 기법이 공사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지 여부


를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내에 제출받아 14일 이내
에 검토·승인하고 발주자(처)에게 제출할 수 있다.

- 시공계획, 예산범위에 따라(일일, 주간, 월별, 분기별,


연도별) 공정계획 수립을 검토·확인할 수 있다.

- 공사규모·공사특성·공정관리프로그램 선정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규격의 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네트워크 공정표(CPM/PDM)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를


공정관리계획 검토
이해하고 공정계획수립 및 자원투입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 주 공정(Critical Path) 관리계획을 검토하여 중점관리대


상 공종을 선정할 수 있다.

- 공사의 규모, 공종 등 제반여건을 감안하여 적정한 공


정관리 조직을 갖추도록 검토·확인할 수 있다.

- 일정관리, 원가관리, 진도관리가 병행될 수 있는 종합


관리 공정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22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관리 기법들의 특성과 적합성에 대한 이해도

- 공정관리계획서의 구성 내용 등에 대한 이해도

-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한 이해도

공정관리계획 검토 - CPM/PDM 기법에 대한 이해도

- 주공정 선정의 기준과 적합성에 대한 이해도

- 공정관리 조직 구성과 업무에 대한 이해도

- 공정원가 통합관리 개념과 기법에 대한 이해도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관리 기법들의 특성과 장단점 등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정관리계획서의 검토 사항 및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규격과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CPM/PDM 기법의 특성과 공정표 작성 방법에 대한 숙


공정관리계획 검토
지 여부

- 주공정(Critical Path) 및 중점관리대상 공종의 선정 기


준과 개념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정관리 조직의 구성 기준과 업무 책임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정원가 통합관리의 개념, 측정 및 평가요소 등 기법


전반에 대한 숙지 여부

23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서술형 시험 결과로 학생들의 이해도가 낮은 부분을 점검하고 추가 설명한다.

2. 평가자 질문
-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간략하게 추가 설명을 하고, 일부 내용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경우 추가 학습을 수행 후 결과를 제출하게 한다.

24
학습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LM1402011107_14v2.1)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
학습 2
(LM1402011107_14v2.2)
학습 3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LM1402011107_14v2.3)
학습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LM1402011107_14v2.4)
학습 5 각종 현황 관리하기(LM1402011107_14v2.5)

2-1. 예정공정표 검토 확인
• 공정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라 공정관리 운영에 관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 계약공정표 및 공사기간에 따라 예정공정표를 검토·확인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주 공정에 의해 마스터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 예정공정표에 따라 공종별 업무분장 및 인력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공정표의 체계와 유형
건설공사의 예정공정표(baseline schedule)는 약속된 계약 기간 내에 공사를 완료한다는 공
정관리의 기본 목표를 실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관리 도구이며, 공사 수행 중의 작업
진척에 따른 성과(performance)를 측정 판단하는 기준(baseline)이 된다.

1. 공정표의 체계
건설공사의 공정관리를 위해서는 하나의 공정표가 개발 사용되는 경우도 있겠지만, 공정
표의 사용 주체와 대상, 사용목적 그리고 상세수준(level of details) 등에 따라 사업 규모
가 크고 복잡한 시설공사의 경우에는 여러 개의 공정표가 개발 사용되기도 한다. 다양한
수준의 상세도와 범위를 가진 공정표 체계와 형식에 대한 건설 산업의 합의된 통일적인
분류와 기준은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구분하는 분류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레벨 1 공정표(Level 1 Schedule)


레벨 1 공정표는 마스터 스케줄(Project Master Schedule)이라 불리며, 전체 사업의 총
괄 요약 공정표(Executive Summary schedule)로서 공정표 위계체계(Schedule hierarchy)
중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공정표이다. 전체 프로젝트의 주요 마일스톤들과 주요 산출
물(major deliverables) 등을 표현하며 전체 사업 일정을 1페이지 정도로 요약하여 바
차트(bar chart)로 표현한다.

25
(2) 레벨 2 공정표(Level 2 Schedule)
레벨 2 공정표는 사업의 전체 범위를 모두 포괄하며, 영역별 주요 구성물(major
components)로 분류한 공정표이며, 레벨 1 공정표보다 좀 더 상세하며, 레벨 3 공정표
를 요약하여 작성 운용 관리된다. 대부분의 경우 바 차트로 표현하며, 상위 관리자에
게 보고하는데 사용되는 상위 수준의 공정표로 관리 요약 공정표(Management
Summary schedule) 또는 요약 마스터 스케줄(SMS; Summary Master Schedule)이라고도
불린다.

(3) 레벨 3 공정표(Level 3 Schedule)


레벨 3 공정표는 사업 초기 계획 단계에서 전체 사업범위를 대상으로 개발된 공정계
획이며, CPM 기반으로 작성된 공정표이다. 사업 수행의 조정,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공
정표(Project Coordination Schedule)이다. 사업 진행 과정 중에는 하위 수준인 레벨 4
공정표들을 통합한 요약 공정표로 운영되며 관리기준공정표(IPS; Integrated Project
schedule)라고도 불리며, 발주자 및 상위직급 관리자에게 월간 단위 공정 진행상황을
보고할 때도 활용된다.

(4) 레벨 4 공정표(Level 1 Schedule)


레벨 4 공정표는 레벨3 공정표를 영역/단계/계약 등의 기준으로 분할하고, 이들을 작업
인력들에 의해 실제 수행될 작업들(activities) 수준으로 표현한 CPM 기반의 상세 공정
표(Project Working Level Schedule)이며, 작업 수행을 위한 실행공정표(execution
schedule)이다. 각각의 영역/단계/계약별로 구분 분할된 레벨 4 공정표들은 전체 통합
공정(IPS; Integrated Project Schedule)의 틀 안에서 연계 운용 관리된다.

(5) 레벨 1 공정표(Level 1 Schedule)


레벨 4 공정표의 작업들을 좀 더 상세하게 구분(breakdown)한 상세작업공정표(detailed
work schedules)이며, 매일같이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의 계획과 진도 측정 및 관
리, 보고 등에 사용된다.

Level 1
M ASTER SCHEDULE

Level 2 SUM M ARY M ANAGEM ENT SCHEDULE

Level 3 PROJECT COORDINATION SCHEDULE

Level 4 EXECUTION SCHEDULE

Level 5 DETAILED W ORK SCHEDULE

[그림 2-1] 공정표 유형과 위계 체계

26
사례: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의 공정표 체계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 공정관리의 기준이 되는 공정표는 공정표의 사용주체 및 운영목적


에 따라 레벨별로 구분하여 [그림 2-2]와 같은 상 하위 체계를 가지고 운영되었다.

사용주체 운영 목적

공사 경영진 주요 사업별
Level 1 기본공정표 대외기관 일정관리

인천공항공사
계약단위별
Level 2 종합공정표 중간관리층
일정관리

계약단위별
Level 3 관리기준공정표 공정관리자 주요공종별
일정관리
계약자

상세설계/
Level 4 계약자 공정표 계약자 제작/시공
일정관리

출처: 인천국제공항건설 1단계 사업관리최종보고서 (2001) pp. 3-7


[그림 2-2] 공정표 관리체계

(1) 기본공정표 - 기본공정표는 인천국제공항건설사업의 최상위 공정표로 사업 전체에 대한


주요 사업계획 및 주요일정을 위주로 표기하되 주 공정선(Critical Path)을 표시하여 사업
추진의 개괄적 현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2) 종합공정표 - 종합공정표는 시공/구매 분야에 한정해서 관리기준공정표의 일정을 토대
로 계약 패키지별 계획일정과 실적일정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작성 운영하였다.
(3) 관리기준공정표 - 관리기준공정표는 공사(발주자)가 작성 운영하는 최하위 공정표로 공
사가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을 관리하는 기준으로 건설단계, 시운전단계 및 개항준비단
계로 구분하여 작성 운영하였다. 이들 모두는 상호 보완적 연계성과 시간적 중복을 가
지고 운영하였으며 종합 진도율 산정체계와 직접적인 연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관리기준공정표의 일정계획은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에서 계약을 할 때 계약공기의 기
준이 되었고 이를 준수하는 것을 계약 시 의무부과사항으로 하였다.
(4) 계약자 공정표/공정체계 -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의 계약자 공정관리체계는 기본적으로
인천국제공항 관리기준공정표를 상위 레벨로 하여 계약단위별 계약기간을 근거로 하여
작성 운영되는 것으로 해당 사업의 공정관리 기준이 되는 계약자 예정공정표에 근거하
여 공정관리체계를 구축 운영하였다. 공사가 제시한 계약자 공정표 체계는 [그림 2-3]과
같다.
사용주체 운영 목적
감리책임자 계약단위별
공사

Level 1 관리기준공정 표 사업책임자 주공정별


공정책임자 일정관리
감리책임자
대표공종별
Level 2 계약자 예정공정표 사업책임자
진도율관리
공정책임자
계약자

감리담당자
시공구매관련
Level 3 상세공정표( C PM ) 공사책임자
상세일정관리
공정관리자

공정관리자 시공단위별
분야별 기간별 공사담당자 중단기별
Level 4
상세시행공정표 감리담당자 상세일정관리

출처: 인천국제공항건설 1단계 사업관리최종보고서 (2001) pp. 3-12.


[그림 2-3] 계약자 공정표 체계

27
2. 기타 유형의 공정표들

(1) 3개월 단위 상세공정표


초기 공정계획(예정공정표)을 기준으로 각종 조달계획을 포함하여 단기간(예를 들면, 3
개월)을 대상 범위로 하여 작성된 상세공정표이다. 3개월 단위 상세공정표는 공정계획
을 차질 없이 달성하기 위해 현장의 모든 관리자들이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지를
표시한 사전 체크리스트로 활용한다.

예정공정표의 검토확인 사항들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건설공사가 착공된 경우, 시공자가 제출한 착공신고서에 포함되어
제출된 건설공사 예정공정표를 검토하여 7일 이내에 발주청에 보고하여야 하며, 일반적으
로 예정공정표에서 중점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은 아래의 내용들을 포함한다.

1. 사업 범위(project scope)
계약자가 제출한 예정공정표에는 공사 계약 범위에 설정되어 있는 계약자가 수행하여야
할 모든 과업의 내용들이 작업으로 정의되어 포함되어야 한다.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WBS에 포함된 모든 산출물들을 위한 과업들
(works)이 공정표의 작업들(activities)로 정의되어야 하며, 정의된 모든 작업은 WBS의 단일
항목에 연계되어야 한다. 다년도 공사계약의 경우, 연차별 과업 범위와 이에 대한 계획의
포함 여부도 검토되어야 한다.

2. 공정표의 상세도(level of detail) 및 작업들의 개수


건설사업관리자는 예정공정표의 상세도가 적정한지 검토한다. 공정표의 상세도는 작업의
개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업의 규모와 복잡도, 공정관리의 수준과 목적 등을 고려
하여, 관리하기에 가장 적당한 규모 및 개수로 너무 적거나 많지 않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3. 주요 마일스톤들(milestones)
공사 착공 및 준공을 포함한 사업 진행상의 주요한 일정들은 마일스톤으로 표현되었는지
검토 확인하여야 한다. 다년도 공사계약의 경우, 각 연차별 계약 시작과 종료 또한 마일스
톤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4. 주 공정 및 작업들(critical path & critical activities)


주 공정은 가장 긴 경로(longest path)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 공정(critical path)
과 주 공정 작업들(critical activities)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5. 캘린더(calendar):
공정표의 캘린더는 공사일정에 적용되는 작업일(workday)과 비 작업일(non-workday)을 구
분하는 기준이 되며, 작업일과 주말 및 휴일 등의 비 작업일이 제대로 설정되어야 하며,
기후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작업들에 대해서는 동절기, 우기 및 강우량, 강설량 등의

28
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등이 제대로 반영되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캘린더가 적용되는
경우, 주 공정(critical path)이나 여유시간(float) 산정 등이 매우 복잡해지므로 이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한다.

6. 작업의 정의와 명칭
건설공사의 예정공정표를 구성하는 작업이란 인력, 자재, 장비 등의 자원(resource)을 필요
로 하며, 일의 내용과 범위가 명확하고, 수행의 책임을 지는 주체가 단일하며, 시작과 종
료가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과업들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의 명칭(activity name
또는 activity description)은 중복 혼선이 없도록 명확하게 구분되어야 하고, 작업 내용
(scope)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7. 작업 코드(activity codes)
발주자의 지침 및 규정에 작업 코드의 정의에 대한 기준과 요구 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작업 코드 체계(activity coding structure)의 정의와 부여(assignment)가 제대로 이루
어졌는지 검토한다. 또한, 모든 작업들에게 부여하여야 하는 코드(예를 들면, phase of
work & bid item code 등)와 특정 작업에만 부여하는 코드 등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8. 공정 기준일(data date)
공정표에는 기준일이 표기되어야 하며, 착공 이전에는 착공예정일을 공정기준일로 설정하
고, 착공 이후는 진도를 측정 파악한 기준시점을 공정기준일로 설정하고 표기하여야 한다.

9. 작업 기간(activity duration)
작업기간은 시공자가 산정하고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진도 관
리 및 성과 측정을 위해서는 너무 짧거나 길지 않은 적정한 기간이 부여되어야 한다. 공
정관리 절차서나 시방서 등의 발주자의 지침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준수 여부도 검
토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미국 UFGS(Unified Facilities Guide Specifications)에서는 구매/
조달(procurement)을 제외한 대부분의 작업들에 대해서 작업기간이 20 작업일(work day)
또는 30 달력일(calendar day)을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공자가 제출하는 예정공정
표에는 각 작업단위의 작업시간 산출근거가 첨부되도록 한다.

10. 작업들의 수행순서(logic) 및 상관관계(logical relationship)


작업들 간의 상관관계 설정에 따라 작업들의 수행시점과 전체 공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공정표 상의 작업들 간의 관계 설정이 실제 작업들 간의 관계와 수행순서를 제대로 표현
하고 있는지 검토하여야 한다.
건설공사 작업들의 수행순서(logic)를 결정짓는 작업들 간의 관계(logical relationship)는 선
행(preceding), 후행(succeeding) 그리고 다른 작업의 시작/완료와 무관한 동시/독립적
(concurrent/independent)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공정표 상에는 모든 작업들 간의 관계가

29
다 표현될 필요는 없으며, 불필요한 관계(redundant relationship)를 제외한 직접적인 관계
(immediate relationship)만 적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공정표 상에 존재하는 모든 작업들은 최소 1개 이상의 선행과 후행관계를 가져야 하며,
선행이 없는 유일한 작업은 시작 마일스톤(Project Start Milestone), 후행이 없는 유일한
작업은 완료 마일스톤(Project Finish milestone)이 예외로 인정된다.

11. 작업 간 지연기간(lag 또는 delay)


작업 간 지연기간(lag)은 선행하는 작업과 후행 작업 사이에 존재하는 지연(delay)을 표현
한다. 예정공정표 상의 작업들 간에 부여된 지연기간이 실제 존재하는 지연기간(lag)인지,
너무 과다하게 책정되지는 않은지, 음수(-) 값인지 등을 검토한다. 참고로, 미국
UFGS(United Facilities Guide Specifications)에서는 음수 값을 지정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
으며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12. 여유시간(float)
사업 초기의 예정공정표(baseline schedule)의 모든 작업들은 0 또는 양수 값의 여유시간을
가져야 하며, 음수(-) 값의 총 여유시간(negative total float)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zero total float”, “zero free float”, “as late as possible” 등 인위적으로 여유시간
을 설정하는 제한조건(constraints)이 설정되지는 않았는지 검토하고 확인하다.
건설공사 예정공정표의 검토사항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발주기관과 공정관리 업무지침서
등에서 제시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건설감리협회(2011)의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지
침」과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감리분야 품질관리계획서 SQMP-15.2 공정 및 사업비 관리에
서 제시하고 있는 예정공정표의 검토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례: 공사예정공정표 검토사항(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지침, 2011)

(3) 감리자의 공사예정공정표 검토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공정(Logic) 검토
가. 설계단계 또는 입찰단계에 작성된 전체공정계획 대비 공종별 공사 순서(Logic)의 검토
ㄱ. 진입시설 등의 접근성(Accessability) 관련공종 우선
ㄴ. 가설시설 관련공종 우선
ㄷ. 하부시설(Infra-Structure) 관련공종 우선
ㄹ. 주 공정(C.P) 관련구간의 우선 착수
ㅁ. 골조공사 우선
나. 공종별 공사순서와 품질관리의 용이성 검토
다. 공종별 공사순서와 환경보전의 용이성 검토
라. 공종별 공사순서와 안전관리의 용이성 검토
마. 공종별 공사순서와 타공사와의 관계 검토
② 생산성(Productivity) 검토
가. 현장조건 대비 공종별 소요 작업시간의 타당성 검토
나. 여유일수(기상조건, 법정공휴)의 적정성

30
다. 시공자 계획 대비 이행 가능 정도
③ 일정(Time Schedule) 검토
가. 계약공기 대비 계획의 부합 정도
나. 용지매수 계획 대비 공사 일정
다. 지급자재 구매계획 대비 공사 일정
④ 간섭관계(Interface) 검토
가. 공종간의 방해 또는 중복작업 검토
나. 타 공사와의 간섭관계 검토

사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공정계획서 및 공정표 검토사항

총괄 및 공정관리 감리자는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안에 시공자로부터 공정관리계획서 및 공


정표(CWS)를 제출 받아 다음의 각 호를 검토·승인하고 이를 공단에 제출한다.
1) 시공사의 공정관리 기법이 공사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지 여부
2) 계약서, 시방서 등에 공정관리기법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명시된 공정관리 기법으로 시
행 여부
3) 감리자는 필히 PERT/CPM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를 적용토록 조치
4) 감리자는 전산공정관리 등이 시행되도록 조치
5) 일정관리와 원가관리, 진도관리가 병행될 수 있는 종합관리형태의 공정관리가 되도록 조치
6) 공정관리 요원 자격 및 그 요원 수 적합 여부
7) Software와 Hardware 규격 및 그 수량 적합 여부
8) 보고체계의 적합성 여부
9) 계약공기 준수 여부
10) 각 작업 공기에 품질, 안전관리가 고려되었는지 여부
11) 지정휴일, 천후조건 감안 여부
12) 자원조달에 무리가 없는지 여부
13) 주 공정의 적합 여부
14) 공사주변 여건, 법적 제약조건 감안 여부
15) 동원 가능한 장비, 기타 부대설비 및 그 성능 감안 여부
16) 특수장비 동원을 위한 준비기간의 반영 여부
17) 동원 가능한 작업인원과 작업자의 숙련도 감안 여부
18) 기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감리자는 예정공정표가 총체공정표와 차수별공정표로 구분되었는지 다음 각 호를 확인한다.


1) 계약범위
2) 관리기준공정표의 주요일정과 계약상의 주요 일정을 준수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계획
3) 공사 진도계획
4) 액티비티명, 조기/만기 일정, 여유일수 등
5) 선행공정에서 인수받을 공종의 일정
6) 구간별/단계별 시공 일정
7) 구간별/단계별로 후행공정으로 인계가 가능한 일정
8) 부대공사 완료 등 계약 완료일정

31
수행 내용 / 예정공정표 검토하기

재료·자료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4 - 859호. 2014.12.12)

 예정공정표

 공정관리 프로그램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예정공정표의 상세 수준과 범위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공사 규모와 특성, 공정관리의 수준과 목적, 공정표의 사용 대상과 목적 등을 고려하여 예
정공정표의 수준과 범위가 적정한지 검토한다.

예정공정표와 관련한 발주자의 규정과 지침, 시방서 등에 대한 부합성 여부를 검토한다.


발주자가 공정표의 내용과 형식 등에 있어서 작성의 기준과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계약자가 제출한 예정공정표가 이를 만족하고 있는지를 검토 확인한다.

예정공정표의 검토사항들을 확인한다.


공정표의 범위, 주요 마일스톤, 주 공정 및 작업들, 캘린더, 작업수행 순서(logics), 여유시
간, 공정기준일(data date) 등에 대해서 적정성을 검토한다.

32
2-2. 공정계획 대비 실적 분석
• 공사 추진 계획과 실적을 정기 건설사업관리보고서에 포함하여 발주자(처)에게 보고
학습 목표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공정표의 업데이팅
건설사업에 있어서 공사가 진행되는 실제 진행과정과 상황이 공사 시작 전에 작성된 계획
과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은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 대
한 예측과 추정에 기반 한다는 특성이 가장 기본적인 이유가 될 것이다. 또한, 계획 및 설
계의 변경, 계획 당시 실수 및 누락, 악천후, 불가항력적이고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의 발
생 등 너무나도 다양한 데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목표하는 일정 내에 사업을 완료한다는 공정관리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
사 수행 과정 중에 완료일정의 예측과 점검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는 지속적인 사업진행 상황에 대한 파악과 분석 등을 통한 주기적인 진행 관리가 필수적
이다. 공정의 진행 관리는 공정표의 갱신(updating)을 통해 이루어진다.

1. 업데이팅의 주기
공사 수행 과정 중에 수행된 작업과 진행 상황에 대한 파악, 분석, 보고는 일일(daily), 주
간(weekly), 월간(monthly)의 주기(cycle)로 공사 시작 시점부터 준공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수행된 작업들의 실적과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공정표의 갱신 작
업과 진행 상황을 예정공정표 상의 계획과 비교하여 성과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행위는 사
전에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공정표에 실적을 기록하고 예정공정표의 계획과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는 시점과 빈도는
발주자가 보유한 공정관리 지침, 매뉴얼, 시방서(specifications) 등의 관련 조항에 미리 명
시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업 참여자들의 협의에 의해 결정 및 조정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 진행 실적의 파악, 분석, 보고의 주기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결정
한다.

■ 사업 규모 및 복잡도 등의 공사 특성을 고려한다.


■ 공정 실적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등의 작업 업무량을 고려한다.
■ 정기적인 공정 보고 및 점검회의 주기를 고려한다.
■ 공정 실적진도가 기성 산정의 근거로 활용될 경우는, 기성 지급 주기를 고려한다.

33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정 분석 및 보고 외에도, 예상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공정의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도, 공정표의 갱신 및 분석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란 돌관공사 등 공기단축(acceleration) 또는 중대 지연(major delay) 사항의 발생,
사업범위의 추가 등 변경사항 발생 등이 있을 수 있다.

2. 업데이팅의 내용
공사 진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정표에 다음과 같은 실제 작업 진행 상황과 내용
을 기록하는 갱신(updating)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 각 작업들의 실제시작시점(AS; Actual start) 및 실제완료시점(AF; Actual Finish)
■ 각 작업들의 진도율(% completion)
■ 진행 중인 작업들의 잔여작업기간(Remaining Duration)
■ 작업의 변경 : 작업기간 조정 등
■ 새로운 작업의 추가 또는 작업의 삭제
■ 최근 변경 계획이나 설계변경으로 인한 Logic의 변화를 공정표에 반영

(1) 바 차트 공정표의 업데이팅


바 차트에서 실제 진행상황을 기록하고 이를 계획과 비교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각각을 별도의 바로 표현해서 비교하는 방법으로, [그림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
각적 효과는 매우 즉각적이고 표현과 전달이 효과적이다. 다만, 진행상황을 기록한 바
차트는 작업의 실제 시작 및 완료 시점과 진행 기록을 보여는 주지만, 지연된 원인과
그 지연이 후속 작업이나 전체 공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지는 못한다는 한
계점은 여전히 갖고 있다.

2016.03
Mar 2003 2016.04
Apr 2003 2016.05
M ay 2003 2016.06
Jun 2003 2016.07
Jul 2003
ID Activity
Activity
3-2 3-9 3-16 3-23 3-30 4-6 4-13 4-20 4-27 5-4 5-11 5-18 5-25 6-1 6-8 6-15 6-22 6-29 7-6 7-13 7-20

1 Activity
작업 AA

2 Activity
작업 B B

3 Activity
작업 C C

4 Activity
작업 D D

5 Activity
작업 EE

6 Activity
작업 FF

7 Activity
작업 GG

8 Activity
작업 HH

9 Activity
작업 I Activity I

계획 (Planned)
실제 (Actual) 공정기준일
Data Date
잔여 (Remaining) (Data Date)

[그림 2-4] 업데이트된 공정표 : 바 차트

34
(2) CPM 공정표의 업데이팅
CPM 공정표의 업데이팅은 [그림 2-5]에서와 같이, 특정 기준시점(DD; Data Date)에서
의 완료 및 진행 중인 작업들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미 완료된 작업은 실제 시작과 완료 시점(AS와 AF)이 기록되고, 시작은 했지만 진행
중인 작업들은 실제 시작과 함께 진도율(% complete)과 잔여작업기간(RD)이 새롭게 산
출된다. 아직 시작하지 않은 작업들은 현재 기준시점까지의 진행상황을 반영한 시작과
완료시점이 계산된다. 일반적으로 완료된 작업은 엑스(X), 진행 중인 작업은 사선으로
표시하여 아직 시작되지 않은 작업들과 공정표 상에 구분 표기한다. 그 외에도 작업들
간의 순서나 관계의 변경(changes in logic)이 반영되고 표기된다.

[그림 2-5] 업데이트 된 공정표 : CPM

3. 업데이팅의 주요 사항들

(1) 작업 진도율(% complete)


작업들의 진도율을 측정하고 결정하는 방법들은 매우 다양하며, 작업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몇 가지 방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5
(가) 작업 완료 물량에 의한 방법(Units completed)
전체 작업수량 대비 실제 작업 물량(quantity)의 비율로 작업 진도율을 계산하는 방
법이다. 예를 들면, 전체 수량 1,000㎥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 중 300㎥의 타
설을 완료했을 경우, 작업진도율은 30%로 산정한다.

(나) 작업 진행 단계에 의한 방법(Incremental milestone)


작업의 수행 과정이 몇 가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 각 중간 단계별로 진도
율을 사전에 지정하여 진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가장 단순하게는, 작업기간이 상
대적으로 짧은 작업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작업이 일단 시작하면 20∼30%의
진도율을 부여하고, 완료되면 100%를 부여하기도 한다.

(다)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법(supervisor opinion)


공사 감독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의해 작업의 진도율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다른 진도 측정방법들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방
법이다.

(라) 금액/시간 비중에 의한 방법(cost ratio 또는 level of effort)


금액(cost) 또는 시간(work-hour)을 기준으로 진도율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비용 기
준은 전체 예산 비용 대비 기준 시점까지 실제 비용의 비율로 진도율을 계산하고,
시간 기준은 전체 예상 기간 대비 기간의 경과에 따라 진도율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 이 방법은 현장관리비 등의 간접비용에 진도율을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2) 작업의 추가, 삭제, 변경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 중에 초기 공정계획이나 공정표 상에 없었던 새로운 작업의 추
가나 일부 작업의 삭제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의 추가 또는 삭
제는 계약자 임의대로 이루어지면 안 되며, 건설사업관리자와 발주자의 검토와 승인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작업의 ID 및 명칭/설명, 그리고 작업기간을 계약자 임
의대로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면 안 되며, 건설사업관리자의 검토와 발주자의 승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3) 순서 불일치 진행(out-of-sequence progress)


‘순서와 다른 진행’ 또는 ‘순서 불일치 진행’(out-of-sequence progress)이란 공정
표 상에 설정된 순서 또는 관계와 다르게 작업들의 실제 진행이 이루어진 상황을 말
한다. 예를 들면, 완료 후 시작(FS) 관계를 가진 두 작업들에 있어서, 후행 작업이 선
행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시작된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 기준은
‘진행 우선(progress over-ride)’과 ‘관계 유지(retained logic)’가 있다. 두 가지 기
준에 대한 설명과 이들을 적용할 경우를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진행 우선(progress over-ride) 기준


“진행 우선(progress over-ride)”기준은 해당 작업들에 설정된 기존의 관계나 순

36
서를 무시하고 실제 진행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나) 관계 우선(retained over-ride) 기준


“관계 유지(retained logic)”기준은 해당 작업들의 잔여 작업기간(RD: Remaining
Duration)에 대해서 기존의 설정된 관계를 그대로 유지 적용하는 방법이다.

(다) 예제: 순서 불일치 진행(out of sequence progress)


원래 계획된 작업들의 순서는 완료 후 시작 관계로 [그림 2-6]과 같다.
드라이 월 (Dry wall): 10일

페인트: 5일

15일

[그림 2-6] 순서불일치 진행 예제 : Original Logic

실제 작업이 시작되고 5일이 경과한 후 진행 상황은 다음과 같다.


■ 드라이월은 시작 후 5일이 진행되었고 5일 간의 잔여작업이 남은 상황이다.
■ 페인팅 작업은 드라이월 시작 4일째에 시작하였고, 잔여작업기간은 3일이다.
이와 같은 ‘순서 불일치 진행(out of sequence progress)’ 상황에서 ‘진행 우선
(progress over-ride)’ 및 ‘관계 유지(retained logic)’를 선택하였을 경우 공정표
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그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관계 유지(retained logic)’ 기준을 적용할 경우
드라이 월 (Dry wall): 잔여작업기간 5일

페인팅: 잔여작업기간 3일

13일

[그림 2-7] 순서불일치 진행 예제 : retained logic

■ ‘진행 우선(progress over-ride)’ 기준을 적용할 경우

드라이 월 (Dry w all): 잔여작업기간 5일

페인팅: 잔여작업기간 3일

10 일

[그림 2-8] 순서불일치 진행 예제 : progress over-ride

37
이와 같은 순서불일치 진행(out-of-sequence progress)이 발생한 상황에서, 작업들
간의 실질적 관계를 제대로 표현하여 로직을 수정하면 [그림 2-9]와 같다.
드라이 월 (Dry w all): 잔여작업기간 5일
FF + 3일

13일

[그림 2-9] 순서불일치 진행 예제: modified logic

예제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진행 우선(progress over-ride)' 기준의 적용은 주의


가 필요하며, 가능하면 ‘관계 유지(retained logic)'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미국 UFGS는 ‘관계 유지' 기준의 적용을 명시하고 있다.

공사 진행 관리를 위한 공정 회의
공사 진도 관리를 위한 업무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정기적인 회의, 즉 월간/주간 공정
회의를 들 수 있다.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한국건설감리협회, 2011) 공정
진척도 관리 과업수행지침(p.125–127)에서는 월간/주간 공정회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규
정하고 있다.

1. 공사진도관리를 위하여 매주 주간공정회의를 소집, 주관하며 매월 중 1주는 월간공정회


의로 대체한다.

2. 주간공정회의는 회의소집통보를 회의 2일 전까지 구두 또는 서면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통보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회의일시 : 매주 적정한 요일을 택하여 시행
(2) 참석범위 : 책임감리원, 시공자 현장대리인, 하도급사(필요시)
(3) 회의자료 : 시공자 준비
① 현장작업현황
② 작업변경사항
③ 회의자료 : 시공자 준비
가. 현장작업 현황
나. 작업 변경사항
다. 장비, 인력 동원현황
라. 다음 주 작업 계획

38
3. 감리자는 주간 공정회의를 통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 조치토록 요청한다.
(1) 시공계획 대비 작업 방법 비교 검토 및 보완 요청
(2) 예정 작업진도 대비 현재진도 비교 검토 및 독려
(3) 품질관리시방 대비 진행사항 비교 검토 및 수정 지시
(4) 안전, 환경보전 등 민원사항 통보 및 조치 요청
(5) 기타 발주청 요청 전달사항 등

4. 월간 공정회의는 회의소집 7일 전까지 서면으로 통보하도록 하며 회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회의일시 : 매월 적정한 주의 주간공정회의 소집요일을 택하여 시행
(2) 참석범위
① 감리자 : 책임감리원, 감리단의 공사관리담당책임자, 감리단의 기술관리담당 책임자,
기술지원 감리원
② 시공자 : 시공자 담당임원, 시공자 현장대리인, 시공자 공무담당, 시공자 공사담당
(3) 회의자료 : 시공자 준비
① 상세공정표 대비 실적현황
② 장비, 인력, 자재 투입현황
③ 금월 시공기록 사진 및 Video(제출용)
④ 다음 달 예정 공사 추진계획
⑤ 다음 달 예정 소요자재 견본
⑥ 기타 문제점 또는 요청사항 등

5. 감리자는 월간 공정회의를 통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 통보한다.


(1) 공정계획 변경(일정변경 등) 사항
(2) 감리자 제기 문제점에 대한 조치계획
(3) 진행 중인 설계변경에 대한 전망
(4) 시공자 요청사항에 대한 조정 계획
(5) 다음 달 예정 공정에 대한 시공자 조치사항 통보

6. 감리자는 월간/주간 공정회의를 주관하는 동안 회의록을 작성하여야 하며 회의록의 작


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회의참석자의 서명
(2) 회의일시 및 장소 표기
(3) 회의내용은 토의내용 또는 자료를 요약하여 작성

7. 감리자는 회의록을 작성한 후 회의자료를 첨부하여 다음과 같이 배포한다.


(1) 발주청의 장(공사관리관)

39
(2) 시공자 현장대리인
(3) 하도급사(필요시)

8. 감리자는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년 간 4회의 분기별 공정회의를 소집, 주관할 수 있


으며 시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회의일시 : 분기별로 월간 공정회의일을 선정하여 시행
(2) 참석범위
① 설계자 : 설계 책임기술자
② 감리자 : 책임감리원, 기술지원감리원, 공사관리담당, 기술관리담당
③ 시공자 : 시공자임원, 현장대리인, 공무담당, 공사담당
(3) 회의자료 : 시공자 준비
① 상세공정표 대비 실적현황
② 장비, 인력, 자재 투입현황
③ 다음분기 예정 공사추진계획
④ 시공자 민원(Claim)사항

9. 감리자는 분기별 공정회의를 통하여 다음 사항을 협의한다.


(1) 설계 질의 및 검토의견 제시
(2) 시공자 민원(Claim) 접수
(3) 예상되는 시공자 민원 해소를 위한 설계변경협의 등

40
수행 내용 / 공정표 업데이팅 확인하기

재료·자료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4 - 859호. 2014.12.12)

 예정공정표(baseline schedule)

 업데이트 공정표(updated schedule)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실제 진행 상황이 공정표에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검토 확인한다.


∙ 작업들의 실제시작(AS; Actual start) 및 실제완료(AF; Actual Finish)
∙ 각 작업들의 진도율(% completion)
∙ 진행 중인 작업들의 잔여 작업기간(Remaining Duration)

공정표의 변경사항들에 대해 적절성 및 발주자 승인 여부를 검토 확인한다.


∙ 작업의 변경 : 작업기간 조정사항
∙ 새로운 작업의 추가 또는 작업의 삭제
∙ 최근 변경 계획이나 설계변경으로 인한 Logic 변화
∙ 작업들의 진행상황 기록 반영의 적정성

진행 정도에 따른 잔여 공사일정을 검토한다.

41
∙ 기준시점(data date)까지의 진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작업들의 수행 및 공사완료
일정을 검토한다.
∙ 주 공정(critical path) 및 주요 작업들(critical activities)의 영향 및 변경 여부를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관리계획을 검토 확인한다.

42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정표의 체계를 공정표의 유형(바차트, CPM), 사용 대상/용도, 상세수준을 연계하여 설명한다.

• 예정공정표의 검토사항들에 대해서 각 항목별로 사례 또는 예제와 함께 내용을 살펴보고, 업무수


행지침이나 발주기관의 기준 등과 함께 설명한다.

• 공정표 업데이팅의 필요성, 주기, 내용들에 대해서 설명하고, CPM의 경우는 예제를 통해 보여준다.

• 작업들의 진도율 측정방법의 특성을 방법별 작업들의 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 업데이팅 사항들 중 순서불일치 진행(out-of-sequence progress)과 처리기준에 대해서는 예제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학습 방법

• 공정표의 체계와 유형별 특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인천국제공항 건설사업의 공정표 체계


사례를 통해서 이해한다.

• 예정공정표의 검토사항들에 대해서는 각 항목별 사례 또는 예제를 통해 간략하게 체험해보고,


업무수행지침이나 발주기관의 기준 등과 함께 기본 개념과 내용을 숙지한다.

• 공정표 업데이팅의 필요성, 주기, 내용들에 대해서 숙지하고, CPM의 경우는 예제를 수행하며
간략하게 체험해본다.

• 작업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진도율 측정방법을 사례를 통해서 이해한다.

• 업데이팅 사항들 중 순서불일치 진행(out-of-sequence progress)과 처리기준의 적용에 대해서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서 체험해본다.

43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라 공정관리 운영에 관한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설계도서, 계약공정표 및 공사기간에 따라 예정공정표


예정공정표 검토 를 검토·확인할 수 있다.
확인
- 주 공정에 의해 마스터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 예정공정표에 따라 공종별 업무분장 및 인력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공정계획 대비 실적 - 공사추진계획과 실적을 정기 건설사업관리보고서에


분석 포함하여 발주자(처)에게 보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표 운영 체계에 대한 이해도

- 예정공정표의 검토·확인 사항들에 대한 이해도


예정공정표 검토
확인
- 주공정 개념과 공정표 위계체계에 대한 이해도

- 예정공정표에 따른 업무분장 및 인력배치의 연계에


대한 이해도
- 작업진도율 산정방법과 공정표 갱신(updating)에 대한
공정계획 대비 실적
이해도
분석
- 주간/월간 공정 회의 준비 및 진행에 대한 이해도

44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표 유형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는 운영 체계 특성
에 대한 숙지 여부

- 예정공정표의 검토·확인 사항별 개념과 적정성 판단


예정공정표 검토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확인 - 주공정의 적합성 및 공정표 위계체계에 따른 마스터
스케쥴의 적정성 판단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예정공정표와 연계한 공종별 업무분장과 인력배치의


적정성 판단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작업진도율 산정방법의 특성에 대한 숙지여부
- 진행상황에 따른 공정표 갱신(updating) 사항들과 반
공정계획 대비 실적
영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분석
- 주간/월간 공정회의 참석자, 준비자료 및 협의사항들
에 대한 숙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서술형 시험 결과로 학생들의 이해도가 낮은 부분을 점검하고 추가 설명한다.

2. 평가자 질문
-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간략하게 추가 설명을 하고, 일부 내용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경우 추가 학습을 수행 후 결과를 제출하게 한다.

45
학습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LM1402011107_14v2.1)
학습 2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LM1402011107_14v2.2)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


학습 3
(LM1402011107_14v2.3)
학습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LM1402011107_14v2.4)
학습 5 각종 현황 관리하기(LM1402011107_14v2.5)

3-1. 공기지연 분석
• 공정진도관리에 따라 계약공기 준수 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 민원처리, 공법적용, 현장여건변화 및 자원배분에 따라 공기지연사유를 검토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공사추진 협의를 위한 주간 및 월간 공사추진 회의를 주관하여 실시하고 회의록을
유지할 수 있다.
• 공정율 산정방식에 따라 계획공정과 실적공정을 비교분석하여 지연공정과 앞선 공
종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사업의 진도율과 S-curve


S-curve는 작업들의 진도율을 합산한 누적진도율(cumulative % completion)로 전체 사업의
계획 및 실적 진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바 차트와 함께 표현하기도 한다.
A ctivity % Pro jec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1 1 2 3 3 3 1
작업 A 14
100%
1
작업 B 1
90%
1 1 2 2 1
작업 C 7
80%
1 2 2 1
작업 D 6
70%
1 1 1 2 2 1
작업 E 8
60%
1 1 1 2
작업 F 5
50%
1 2 2 2 2 2 2 1
작업 G 14
40%
1 2 2 2 2 2 2 2 2 2
작업 H 19
30%
1 1 1 1 1 1
작업 I 6
20%
1 1 1 2 2 3 3 3 1
작업 J 17
10%
1 2
작업 K 3
0%
당일 % 3 3 6 7 8 8 7 8 6 6 5 5 4 4 5 2 3 3 3 2 2
계획
누계 % 100 3 6 12 19 27 35 42 50 56 62 67 72 76 80 85 87 90 93 96 98 100
당일 %
실적
누계 %

[그림 3-1] S-커브와 바 차트

46
사업의 계획진도곡선(s-curve)과 진도율(% completion)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산정될 수 있
으며, 보통 각 작업들의 금전적 가치(비용, cost)를 적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구성 작
업들의 특성에 따라 man-hour(또는 man-day)를 적용하기도 한다.
사업의 누적진도율과 계획진도곡선(s-curve)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전체 사업에서 각 작업이 차지하는 비중(proportion)을 결정한다.
∙ 작업의 비중은 비용(cost)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우에 따라서
man-hours 또는 man-days를 적용할 수도 있다:
② 결정된 각 작업의 비중을 해당 작업의 작업기간(duration)에 걸쳐서 배분한다.
∙ 대부분의 경우는, 진도율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작업기간에 걸쳐서 균등한 비중
의 분포를 가정하고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③ 각 단위기간(period)의 진도율(%)과 누적비율(cumulative %)을 계산한다.
④ 누적비율을 이용하여 전체 사업기간에 걸친 계획진도(S-curve)를 작성한다.
∙ S-curve를 이용하여 계획 대비 실제 진도를 동시에 표시하며 비교도 가능하다.

공기지연의 사유들
건설공사의 공기지연은 그 발생 원인을 제공한 주체별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
이며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제3자에 의한 귀책사유로 구분한다. 각 책임주체별로 대표적
인 귀책사유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발주자 귀책사유(Owner-caused Delay)


∙ 현장 부지의 인계 지연
∙ 공사 착공지시의 지연
∙ 인허가의 지연
∙ 자금 조달의 실패
∙ 발주자 지급자재 공급의 지연
∙ 잦은 설계 변경
∙ 잦은 공사 중지 명령
∙ 타 작업자와의 간섭
∙ 공사 목적물의 인수 지연
∙ 의사결정의 지연
∙ 비정상적이고 무리한 일정계획 수행의 지시

2. 설계자 귀책사유(Architect/Engineer-caused delay)


∙ 결함이 있는 도면과 시방서의 제공
∙ 설계도면의 적기 공급 지연
∙ 시공상세도 및 샘플자재의 승인 지연

47
∙ 설계변경에 대한 처리 지연
∙ 의사결정의 지연

3. 시공자 귀책사유(Contractor-caused delay)


∙ Mobilization의 지연
∙ 기능공 공급의 지연
∙ 장비 조달의 지연
∙ 자재 공급의 지연
∙ 시공상세도 및 샘플자재의 제출 지연
∙ 기능공의 자질(수준) 문제
∙ 조정 및 관리 능력의 부족
∙ 잦은 안전사고
∙ 저가 하도급 또는 저가 수주

4. 제3자 귀책사유
∙ 불가항력(Act of God) : 지진, 집중호우, 홍수, 태풍
∙ 적대국의 행동
∙ 정부의 행동
∙ 화재
∙ 전염병
∙ 파업

수행 내용 / 공사계획진도곡선 작성하기

재료·자료

 예정공정표

 공사 내역서 / 작업분류체계(WBS)

 공정관리 프로그램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48
수행 순서

전체 사업에서 각 작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한다.


작업의 비중은 비용(cost)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
man-hours 또는 man-days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전체 사업비를 100으로 환산하여 작업들
의 비중(%)을 구한다.

각 작업의 비중을 해당 작업의 작업기간(duration)에 걸쳐서 배분한다.


대부분의 경우는, 진도율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작업기간에 걸쳐서 균등한 비중의 분
포를 가정하고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 단위기간(period)의 진도율(%)과 누적비율(cumulative %)을 계산한다.


단위 기간이 일(day)/주(week)/월(month)인 경우, 진행 작업들의 해당 일/주/월의 비중을 모
두 합산하면 당일/또는 당월의 진도율이 되며, 해당 단위기간까지의 진도율의 누적 값을
구하면 누적진도율이 된다.

누적비율을 이용하여 전체 사업기간에 걸친 계획진도(S-curve)를 작성한다.


누적진도율을 그래프로 표현하면 S자 모양의 곡선(S-curve)인 공사의 계획진도곡선이 작성된다.

수행 tip

• 공정계획에 따른 작업들의 진도율을 바탕으로 계획


진도곡선(s-curve)를 표현하듯이, 동일한 방법으로
실제 작업들의 당해 기간 또는 누적 진척상황을 파
악하면 실적진도곡선을 작성할 수 있다.
• 계획진도곡선과 실적진도곡선을 동시에 표현하면,
공사 진행 정도에 대한 시각적인 비교도 가능하다.

49
3-2. 공기 만회대책 검토
• 계획 대비 지연공정의 지연 사유 분석, 만회대책 및 만회공정표 수립을 지시·검토
학습 목표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공정지연의 발생
공사의 진행 정도가 계획보다 늦고 부진한 정도가 크다고 판단될 경우, 시공자는 만회대
책을 수립해야 하며, 건설사업관리자는 이를 검토 확인하고 그 시행을 점검 조치하며 정
상 진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부진 공정의 만회대책에 대한 「건설공사 사업
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3호」(2015. 6. 30)의 관련
조항은 다음과 같다.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145조(부진공정 만회대책)

① 공사감독자는 공사 진도율이 계획공정 대비 월간 공정실적이 10% 이상 지연(계획공정 대


비 누계공정실적이 100% 이상일 경우는 제외)되거나 누계공정 실적이 5% 이상 지연될 때는
시공자로 하여금 부진사유 분석, 근로자 안전 확보를 고려한 부진공정 만회대책 및 만회공
정표 수립을 지시하여야 한다.
② 공사감독자는 시공자가 제출한 부진공정 만회대책을 검토·확인하고 그 이행상태를 점검
하여야 하며 공사추진회의 등을 통하여 미 조치 내용에 대한 필요대책 등을 수립하여 정상
공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사례: 공사진도율에 따른 부진공정의 판단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제145조에 따르면, 부진공정은 계획 공


정 대비 실적공정의 비교를 통하여 판단하고 있다.
■ 예를 들면, 당월의 계획공정율이 5%인데 실적공정률이 4%인 경우, 공사진도율은 80%(=
4% / 5%)로서 20% 지연된 상황이기 때문에, 시공자로 하여금 부진공정 만회대책 및 만회
공정표 수립을 지시하여야 한다.
■ 누계 공정의 예를 들면, 당월까지 계획된 누계 공정율이 60%이고, 누계 공정실적이 56%
인 경우, 공사진도율은 93.3%(= 56% / 60%)로서 6.7% 지연된 상황이기 때문에, 시공자로
하여금 부진공정 만회대책 및 만회공정표 수립을 지시하여야 한다.

공기 만회대책이 필요한 공정의 부진 상황에 대한 기준은 발주자의 지침과 사업별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참고로, 한국도로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부진
공정과 만회대책 수립에 관한 지침을 보면 다음과 같다.

50
한국도로공사 관리계획서 작성지침 中 다. 공정지연의 만회대책(p. 154)

계약상대자는 승인된 세부공정계획이 지연되거나 누계공정실적이 10% 이상 지연될 경우 부


진원인을 분석하고 아래 공정만회대책을 수립하며, 조정사항을 반영한 수정 Network
Diagram을 작성하여 공사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시행하여야 한다.
(1) 공정만회기법
∙ Activity별 공기추진 재검토
∙ Critical path 활동의 병행 공사
∙ Critical Path 활동의 세분화
∙ 계획공정 Logic의 변경

한국철도시설공단 감리분야 품질관리계획서 15.2 공정 및 사업비 관리


공사진도관리 中 2. 부진공정 만회대책

2.1 감리자는 월간진도 분석결과 단위공정 95% 미만의 추진실적에 대하여 시공사로 하여금
부진사유 분석, 만회대책 및 만회공정표 수립을 지시한다.
2.2 시공사가 제출한 부진공정 만회대책을 검토·확인하고, 그 이행상태에 대한 주간 단위로
점검·평가하고 공사추진회의 등을 통하여 미 조치 내용에 대한 필요대책 등을 수립하여 조
치한다.
2.3 감리자는 검토·확인 후 부진공정 만회대책과 그 이행상태를 확인하고 공단에 보고한다.

공기 단축기법들
계획 대비 진행이 늦어지는 부진 공정 상황이라 판단이 되면 공기 만회대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다양한 종류의 공기 단축기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공기 단축기법의 적용을 위해서
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기 단축일수가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공정의 부진
정도와 함께 필요한 자원의 추가 투입 가능 여부 등 공사 진행 촉진(acceleration)에 필요
한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기 단축기법을 선정하여 적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1. 작업기간(activty duration)의 단축
전체사업 공기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주 공정 작업들(critical activities)을 대상으로,
추가 자원의 투입이나 비용의 발생 없이 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작업들이 존재하는지 검토
하는 방법이다. 작업기간이 비교적 여유 있게 설정되어 있는 작업들을 찾아내는 것이므로,
주 공정 작업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작업기간이 긴 작업들부터 검토를 시작하는 것이 일
반적이다.
많은 일수의 공기단축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추가적인 자원의 투입이나 비용 발생
을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공기 단축기법들 중에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51
2. 작업들의 병행수행(Fast-Tracking)
이 방법은 패스트트랙킹(Fast-Tracking)이라 불리며, 완료 후 시작(FS; Finish to Start)의
관계로 설정된 작업들의 로직(logic)을 시작 후 시작(SS; Start to Start)으로 변경하여 부분
적 또는 전체적으로 병행 수행함으로써 전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킨다.
주 공정 작업들(critical activities)이 적용 대상이며, 부분 혹은 전체 병행 수행될 작업들의
수행 관계(logical relationship)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지만, 추가 자원의 투입이나 추가 비
용의 발생 없이 상당 기간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크래슁(crashing)
이 비해서 선호된다.

FF 2
작업 A
10일
작업 A 작업 B
10일 10일

SS 2
작업 B
10일

[그림 3-2] 패스트 트랙킹(Fast-Tracking)

3. 작업의 세분화(activity splitting)


주 공정 작업들을 대상으로, 작업기간이 긴 작업을 짧은 기간을 가진 여러 개의 작업들로
세분화하여 공정 로직을 다시 수립하는 방법이다. 작업의 세분화는 주로 작업들 간의 상
관관계를 명확히 하거나 제한된 자원의 효과적 배분(assignment)과 활용(utilization)을 목적
으로 이루어지지만, 추가적인 비용 및 자원의 투입 없이 공기단축 효과를 기대하여 수행
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특정한 작업들이 반복적이고 순차적으로 상당 기간에 걸쳐서 수행되는 공종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패스트 트랙킹보다 적용이 가능한 상황이 많지 않아 자주 사용
될 수 있는 방법은 아닐 수 있다. 작업 세분화를 파이프라인 공사의 작업들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파이프라인 공사 작업들의 구성
- 작업 및 작업기간 : 트렌치작업(DT; Dig Trench) 30일
파이프 설치(LP; Lay Pipe) 15일
파이프 연결(WP: Weld Pipe) 30일
압력 테스트(PT; Pressure Test) 12일
되메우기(BF; Backfilling) 15일

52
■ 작업 순서와 로직 : 작업 세분화 이전

[그림 3-3] 파이프라인 공사 사례 : 작업 세분화(activity splitting) 이전

■ 작업 세분화 이후
- 파이프라인 공사를 3개 구간(section)으로 구분
- 모든 작업들을 각각 3개 단위작업으로 분리(split)
section A

DT_1 DT_2 DT_3 section


10 10 10 B

LP_1 LP_2 LP_3


section C
5 5 5

WP_1 WP_2 WP_3


10 10 10

PT_1 PT_2 PT_3


4 4 4

BF_1 BF_2 BF_3


5 5 5

[그림 3-4] 파이프라인 공사 사례 : 작업 세분화(activity splitting) 이후

작업 세분화를 통한 또 다른 공기단축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3-5] 작업의 세분화(activity splitting) : 기둥 사례

4. 크래슁(crashing)
CPM(Critical Path Method)은 원래 작업 시간과 비용의 관계(time-cost relationship)를 이용
하여 사업기간과 사업비용이 최적의 조합을 이루는 공정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개발되었던 방법론이었으며, 이러한 작업의 시간과 비용의 관계는 최소한의 추가
비용으로 전체 사업기간(project duration)을 단축하는 공정계획 대안을 찾아내는데도 이용이 된다.

53
이 방법은 주 공정 작업들의 작업기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사업 기간을 하루 단축시킬
때마다 주 공정에 해당되지 않는 작업들(non-critical path activities)은 그만큼의 여유시간
(float)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기에, 타임-코스트 트레이드 오프(time-cost trade off), 크
래슁(crashing), 최소비용공정계획법(least cost scheduling), 최소비용촉진기법(MCX;
Minimum Cost Expediting Method)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앞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는 다르게, 추가 비용의 발생을 감수하면서 공기를 단축시킨다.

(1) 시간과 비용의 상관관계(time-cost relationship)


건설사업 비용은 직접비용(direct costs)과 간접비용(indirect costs)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설공사의 직접비용은 주로 작업 수행과 직접 관련되어 투입되는 자재,
인력, 장비 등의 자원과 하도급(subcontract) 비용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자재 및 하도
급 비용은 기간에 크게 상관없이 고정되며 변동 가능성이 그리 크지 않으나, 기간의
단축과 관련하여 가장 변동성을 가진 것은 인력과 장비의 비용이다.
건설공사의 간접비용은 일반적으로 직접적 생산 활동의 발생 또는 생산 작업
(productive activity)의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발생된다. 사업이 수행되는 진행기간에 걸
쳐서 균일한 분포로 발생하며 보통은 사업기간이 길어지면 간접비용도 증가하는 시간
의 함수적인 특성을 가진다. 기업의 운영을 위한 일반(본사)관리비와 현장 사무실, 공
공요금, 보험 등 현장관리비가 해당된다.
사업 기간과 사업비용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하면 [그림 3-6]과 같다.

Project
사업 비용 Cost
Total Project Cost
총 사업 비용

최소 min.
비용 total cost
Total Direct Cost
총 직접비용

사업 간접비용

Project Indirect Cost

min.사업기간
최소 duration 최적 기간 Project Duration 사업 기간

[그림 3-6] 사업 기간과 사업비용의 관계

(2) 비용곡선(Cost Slope)


비용곡선은 공기 단축을 목적으로 time cost trade-off 또는 crashing을 수행할 때 가장
경제적인 비용으로 기간을 단축할 작업을 선정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이며, 아래와 같
이 계산한다.

54
 cos   cos
cost slope =
    
여기서
∙ normal time : 일반적 작업조건(노동력, 장비)에서의 작업 기간
∙ normal cost : 일반적 작업 조건 및 기간에서의 작업 비용
∙ crash time : 추가 투입(돌관공사, 교대작업, 추가 장비투입 등)을 통해 가능한
가장 짧은 작업 기간
∙ crash cost : crash time에서의 작업비용(= 보통비용+추가비용)

비용곡선(cost slope)은 모든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는 관


계를 가짐을 전제로 하며, 이러한 시간-비용의 상관관계(time-cost relationship)를 선형
관계로 단순 가정(linear approximation)하여 적용한다.

Activity
작업 비용
Cost

poor assumption
Poor A pproximation

close approximation
Close Approximation

Activity
Duration
작업 기간

[그림 3-7] 작업 기간-비용의 선형관계 가정(linear approximation)

Activity
작업 비용
Cost
비용곡선
실제(actual)
actual
Crashed
Crashed
Cost
Cost

비용곡선
assumed
가정(assumed)

Normal
Normal
Cost
Cost

Activity
Crashed
Crashed Normal
Normal Duration
작업 기간
Duration
Duration Duration
Duration

[그림 3-8] 작업의 비용곡선(Cost slope)

55
Time-cost trade off 또는 Crashing의 공기 단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작업들을 대상으로 시간-비용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crash cost와 비용곡선
(cost slope)을 계산한다.
2. 주 공정(critical path) 상의 작업들 중에서 단축비용(cost slope)이 가장 작은 작업의
작업기간을 하루 단축한다.
3. 주 공정(critical path)을 다시 계산한다.
4. 새롭게 계산된 주 공정 상의 작업들 중에서 단축비용이 가장 적은 작업/작업들을
하루 단축한다.
5. 위의 3∼5단계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필요한 기간만큼 단축이 완료되거나 또는
더 이상 단축이 불가능할 때까지 수행한다.

공사지연에 대한 조치 업무 흐름도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한국건설감리협회, 2011년)는 공기지연에 대한 조치
업무 흐름을 도식화하여 [그림 3-9]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출처: 한국건설감리협회(2011).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 p.129.


[그림 3-9] 공기지연에 대한 조치 업무 흐름도

56
수행 내용 /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

재료·자료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4 - 859호. 2014.12.22)

 예정공정표

 부진공정 만회대책 및 수정(updated) 공정표

 당월/누적 계획진도율 및 당월/누적 실적진도율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해당 시점의 공정의 진도율 및 부진 정도를 파악한다.


당월 및 누진 계획공정 대비 실적공정의 비교를 통해 공사지연 정도(%)와 지연일수를 파
악하고, 부진공정 만회대책 수립이 필요한 정도의 지연 여부를 판단한다.

부진공정의 사유와 분석 그리고 만회대책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계약자가 제시한 부진공정 만회대책을 다음에 제시된 측면들을 고려하여 적정성과 실효성
에 대해서 검토한다.
∙ 관련 공법, 자원(인력, 장비) 및 현장 여건 등에 대한 고려
∙ 공종별 중요도를 고려한 적정성 검토
∙ 작업상 통제 능력의 확보 여부
∙ 원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57
∙ 품질 확보에 대한 검토
참고로,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한국건설감리협회, 2011)에서는 만회대책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검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1. 변경작업방법의 생산성 검토
① 투입인원 및 장비의 규격 검토 : 작업량 대비 단위시간당 장비능력 및 투입인력
② 현장조건 대비 인원, 장비의 효율 검토 : 작업장 면적, 작업시간, 기타 현장조건 대비
실작업시간
③ 작업방법 검토 : 장비 및 인력의 동선, 자재수급방법 등

2. 작업장 수의 증면 또는 확대 검토
① 각 작업장의 동시수행 가능성 검토 : 작업별 인력, 장비의 동선 간섭
② 작업장별 공정(Logic) 순서 검토 : 동시 수행되는 각 작업간의 순서 통제(Control) 대책
③ 현장조건 대비 작업장 증가영향 검토 : 환경, 안전측면에서의 작업장 확대와 관련법규,
현장주변 민원 등 영향 검토

3. 돌관 작업(Crashing) 검토
① 효율성 검토 : 현장조건 대비 시공자 계획의 효율성(작업가능시간 등)
② 안전 및 환경보전 검토 : 관련법규, 현장 주위의 민원 등을 감안한 심야작업, 대규모
소음, 분진, 진동 등에 대한 대책

수정공정표의 적정성과 관리계획을 검토한다.


계약자가 부진공정 만회대책을 반영하여 제출한 수정공정표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 수정공정표의 주 공정(critical path)에 대한 검토
∙ 부진공정 만회대책의 공정표 반영여부 및 적정성 검토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의견서를 작성한다.


∙ 만회대책 검토결과(본 절차서 4.3항)
∙ 시공자 휴일근로 및 야간근로 계획 검토(정부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8조)
∙ 공사기간의 변경여부에 대한 전망

58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예정공정표를 이용해 S-curve 작성방법을 설명한다.

• 책임주체별 공기지연 사유들의 특성을 설명한다.

• 공정률에 의한 부진공정 상황의 판단 기준에 대해서 설명한다.

• 추가 비용 발생이 없는 공기단축 기법들의 개념과 적용방법에 대해서 예제를 들어 설명한다.

• 추가 비용 발생을 수반하는 크래슁 공기단축기법의 개념과 적용방법을 예제를 들어 설명한다.

학습 방법

• 공사계획진도곡선 예제를 통해 s-curve 작성법을 간략하게 체험해본다.

• 책임주체별 공기지연 사유들의 특성을 간략하게 체험해본다.

• 예제를 통해 부진공정 상황의 판단 기준을 체험하고 만회대책 수립 필요여부를 판단해본다.

• 작업기간 단축, 패스트트랙킹, 작업세분화 방법에 대해서 예제를 통해 개념과 적용을 간략하게
체험한다.

• 크래슁 공기단축기법에 대해서 예제를 통해 개념과 적용을 간략하게 체험한다.

59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진도관리에 따라 계약공기 준수여부를 검토할 수


있다.

- 민원처리, 공법적용, 현장여건변화 및 자원배분에 따


라 공기지연 사유를 검토할 수 있다.
공기지연 분석
- 공사추진 협의를 위한 주간 및 월간 공사추진 회의를
주관하여 실시하고 회의록을 유지할 수 있다.

- 공정율 산정방식에 따라 계획공정과 실적공정을 비교


분석하여 지연공정과 앞선 공종을 확인할 수 있다.

- 계획 대비 지연공정의 지연 사유 분석, 만회대책 및


공기 만회대책 검토
만회공정표 수립을 지시·검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정진도 및 계약공기 준수여부에 대한 판단 능력

- 공기지연 사유들에 대한 이해도


공기지연 분석
- 주간/월간 공정 회의에 대한 이해도

- 공정률(진도율) 산정과 계획 대비 실적 공정의 비교에


대한 이해도

공기 만회대책 검토 - 공기단축 기법들의 개념과 효과에 대한 이해도

60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부진공정 판단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공기지연 사유들에 대한 참여주체별 책임 판단기준에


대한 숙지여부
공기지연 분석
- 주간/월간 공정회의 자료 유형 및 내용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사계획진도 작성과 진도율 산정 기준에 대한 숙지
여부
- 공기단축기법 적용의 조건, 장단점 및 효과에 대한 숙
공기 만회대책 검토 지 여부와 이에 따른 공기만회대책의 적정성 검토 기
준에 대한 이해도,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서술형 시험 결과로 학생들의 이해도가 낮은 부분을 점검하고 추가 설명한다.

2. 평가자 질문
-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간략하게 추가 설명을 하고, 일부 내용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경우 추가 학습을 수행 후 결과를 제출하게 한다.

61
학습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LM1402011107_14v2.1)
학습 2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LM1402011107_14v2.2)
학습 3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LM1402011107_14v2.3)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


학습 4
(LM1402011107_14v2.4)
학습 5 각종 현황 관리하기(LM1402011107_14v2.5)

4-1. 공기연장 검토
• 변경설계도서, 계약변경요인, 천재지변 사유에 따라 시공사의 준공기한 연기의 타당
학습 목표 성을 검토할 수 있다.
• 준공기한 연기에 따라 공기연장에 대한 계약금액을 조정·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공기연장이 허용되는 사유들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6조에 따르면, 공기연장이 허용되는 사유가 발생하면 시공계약자는
계약기간 종료 전에 수정공정표를 첨부하여 계약기간 연장을 신청하여야 한다. 공기연장
이 허용되는 사유로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3조 제3항에 명시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불가항력의 사유에 의한 경우
참고로, 공사계약일반조건 제32조에서는 불가항력을 "태풍·홍수 기타 악천후, 전쟁 또는
사변, 지진, 화재, 전염병, 폭동 기타 계약당사자의 통제범위를 벗어난 사태의 발생 등의
사유(이하 ‘불가항력의 사유’라 한다)로 인하여 계약당사자 누구의 책임에도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
■ 계약상대자가 대체 사용할 수 없는 중요 관급자재 등의 공급이 지연되어 공사의 진행이
불가능하였을 경우
■ 발주기관의 책임으로 착공이 지연되거나 시공이 중단되었을 경우
■ 계약상대자의 부도 등으로 보증기관이 보증이행업체를 지정하여 보증 시공할 경우
■ 계약자의 책임 없는 사유에 의한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준공기한 내에 계약을 이행할 수
없을 경우
■ 원자재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관급자재의 조달지연 또는 사급자재의 구입곤란 등 기타
계약상대자의 책임에 속하지 않는 사유로 인하여 지체된 경우

62
공기지연의 유형들
실제 건설공사를 수행하다 보면, 앞에서 설명된 공사계약일반조건에 명시된 공기연장이
허용되는 사유들 외에도 다양한 원인과 사건들이 공기의 지연(delay) 상황을 발생시키게
된다. 공기지연이 발생한 경우, 계약기간 연장과 추가 발생 비용의 보상 여부는 해당 공기
지연의 유형(delay types)의 일반적인 분류기준에 따라 판단하고 책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의 공기지연은 공기연장 여부에 따라서 공기연장이 가능한 excusable delay와
공기연장이 불가능한 non-excusable delay, 그리고 공기연장 여부가 복합적인 동시발생지연
(concurrent delay)으로 구분된다. 또한 공기연장이 가능한 excusable delay는 다시 금전적 보상여
부에 따라 금전적인 보상이 가능한 compensable Delay, 금전적인 보상이 불가능한
non-compensable delay로 구분된다.

[그림 4-1] 건설공사 공기지연의 유형들

1. Excusable & Non-Excusable Delay

(1) Excusable Delay


Excusable Delay는 공기지연에 대한 귀책사유가 발주자 또는 제3자(불가항력 포함)에게
있는 공기지연이며, 이 경우 시공계약자는 지연된 공기에 대한 책임이 없으므로 지체
상금(liquidated damage)의 적용 없이 공기연장이 가능하다. Excusable delay의 예를 몇
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 설계의 문제
∙ 발주자에 의한 변경사항
∙ 불가항력(Acts of God) : 홍수, 화재, 지진, 태풍 등
∙ 이상기후(unusual severe weather). 참고로, 이상(unusual)여부는 해당 지역의 과거
기후 특성과 기록(예, 과거 10년간 공식 기후기록)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 노동 쟁의, 파업 등 노동 불안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

(2) Non-excusable Delay


Non-excusable Delay는 공기지연에 대한 귀책사유가 시공자에 있는 공기지연을 말하

63
며, 이 경우 시공자는 지연에 대한 책임이 있으므로 발주자에게 지체 상금을 지불하여
야 한다. Non-excusable delay의 예를 몇 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 자금 부족 및 공사수행에 요구되는 자금 부족 및 조달 실패
∙ 적정한 장비 및 노동력 확보/공급의 실패
∙ 필요 자재의 적기 공급 실패
∙ 하도급(subcontract) 공사의 조정 및 관리 부실
∙ 정상적인 기상/기후 조건에서의 delay
∙ 공사 현장(project site) 상황 및 조건의 검사/평가 부재
∙ nonconforming work에 대한 제거 및 재작업

(3) “예측가능성(foreseeability)”에 따른 Excusable delay와 Non-Excusable delay의 판단


Excusable과 non-excusable delay의 유형과 내용은 계약조건에 명시되는 것이 일반적
이다. 하지만, 만약, excusable delay와 non-excusable delay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여
분쟁이 발생하고 판단이 필요한 경우, 그 판정 기준은 “예측가능성(foreseeability)”
여부이다. 외국의 경우, excusable delay의 조건으로 다음의 두 가지 상황을 예측불가
능으로 인정하고 있다.
∙ 계약자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경우(Events beyond the contractor's control)
∙ 계약자의 과실 또는 부주의가 아닌 경우(Events occurring without fault or
negligence by the contractor)
하지만, delay 발생 원인의 예측가능(foreseeability) 여부에 대한 판단은 같은 원인이라
하더라도 발생한 상황과 경우에 따라 판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 Compensable & Non-Compensable Delay

(1) Compensable Delay


Compensable Delay는 지체상금의 적용 없이 공기연장이 가능한 excusable delay 중 공
기지연에 대한 귀책사유가 발주자에게 있는 공기지연을 말한다. 이 경우 시공계약자는
공기연장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추가공사비(직접비+간접비)를 보상 받을 수 있다.

(2) Non-Compensable Delay


Non-compensable Delay는 지체상금의 적용 없이 공기연장이 가능한 excusable delay
중 공기지연에 대한 귀책사유가 불가항력 등의 제3자에 있는 공기지연을 말한다. 이
경우 시공자는 공기연장과 이에 따른 추가 간접공사비를 보상 받을 수 있다.

3. Concurrent Delay
동시발생 지연(Concurrent Delay)은 지연에 대한 책임과 귀책사유가 시공계약자와 발주자
모두에게 있는 복합적인 사유에 의한 공기지연을 말한다. 실제 건설공사의 지연은 복합적
인 사유들에 의해 발생한 경우가 많으므로, 대부분의 건설공사 공기지연 상황은 동시발생
지연(concurrent delay)에 해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64
동시발생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CPM에 기반을 둔 공기지연 분석(CPM Schedule Analysis)
을 통해서 공기가 지연된 귀책사유가 누구에게 어느 정도의 책임이 있는지 규명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기연장과 금전적 보상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면, 공기지연 분석 결과 발주자와 계약자에 의한 동시발생 사유로 완공이 지연된
경우, 전체 지연 기간 중에서 발주자가 concurrent하게 프로젝트를 지체한 기간에 대해서
는 계약자에게 공기연장을 허용해야 하고 지체상금도 부과할 수 없다. 또한, 계약자는 발
주자에 의해 발생된 delay 부분의 피해에 대해서만 금전적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공사 기간 연장 업무 흐름도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한국건설감리협회, 2011년)는 공사기간 연장업무흐
름을 도식화하여 [그림 4-2]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출처: 한국건설감리협회(2011)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 p. 135.


[그림 4-2] 공사기간 연장 업무흐름도

65
수행 내용 / 공사기간 연장 검토하기

재료·자료

 예정공정표(baseline schedule)

 업데이트 공정표(updated schedule)

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 수행절차서」 (한국건설기술관리협회, 2014.12.12.)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프린터

 공정관리 프로그램

안전 ・ 유의 사항

 건설공사 계약은 시공자의 책임이 있는 사유로 공사가 지연되어 준공기일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 지체상금(liquidated damage)을 물게 하고 있다. 건설공사 계약의 지체상금의 의미는
계약조건의 위반에 대한 벌금이 아니며, 준공 지연으로 인한 발주자의 손실에 대한 보상의 개념
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준공일자 내에 준공 가능여부를 검토하고 계약기간 연장 신청을 조치한다.


예정공정표와 공사 진행 상황을 분석하여 공사계약에 명시된 준공일자에 준공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발주자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시공자에게는 계약기간 종료 전에 계약기간 연장
을 서면으로 신청하도록 서면으로 요청한다. 공사기간 연장과 관련하여 발주자의 지침/규
정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따른 절차를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시공자의 준공기한 연기원은
아래의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 준공연기원
∙ 준공기한 연기 사유
∙ 수정 공정계획표

66
시공자가 제출한 준공기한 연기원을 검토한다.

1. 준공 기한 연기 사유를 검토한다.

(1) 발주자 귀책사유에 의한 공기연장 적정성을 검토한다.


∙ 용지매수 지연
∙ 관급자재의 공급 지연
∙ 설계변경 승인 지연
∙ 발주자 작업 일시중지 지시에 의한 공사 중지 일수
∙ 교통/환경 등 민원에 의한 작업시간 제한 일수와 공기연장 일수
∙ 기타 발주자에 의한 지연 사유와 일수

(2) 설계변경으로 인한 공기연장 적정성을 검토한다.


∙ 현장조건 변경으로 인한 공사량 변경(증가)
∙ 공법변경으로 인한 작업일수 증가
∙ 설계변경으로 인한 추가공사

(3) 불가항력 및 제3자 귀책사유에 의한 공기연장 적정성을 검토한다.


∙ 지진, 수해, 화재 등으로 인한 피해 복구 등의 기간 소요
∙ 노사분규 등으로 인한 작업 중단
∙ 기타 불가항력적 및 제3자에 의한 지연 사유로 인한 일수
∙ 제 3자의 공사중지 가처분, 계약상대자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연대 보증인 시공 등
법률적 공사 중지 사안의 적정성

2. 수정공정계획표를 검토한다.
수정공정표 상의 작업들, 작업기간, 작업 일정, 작업 순서와 로직 등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필요 시, 준공과 관련하여 시설물의 부분적 조기 사용을 검토한다.

준공기한 연기신청에 대한 검토의견서를 작성한다.


시공자가 제출한 준공기한 연기신청을 검토한 결과를 문서(준공기한 연기신청 검토의견서)
로 작성하여 발주자에게 보고하고, 발주자가 공사기한 연장 또는 지체상금 부과 등의 결
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준공기한 연기에 따라 공기연장에 대한 계약금액 조정을 검토한다.


시공자의 공기연장 사유가 타당한 경우, 시공자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6조 제4항에 의
거, 실비범위 내의 계약금액 조정을 요청하였을 때는 실비의 산출근거가 타당한지 검토한
다(기획재정부계약예규 제280호, 2016.1.1,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 제14장 실비의 산정 참조).

67
계약예규: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 제14장 실비의 산정

제73조(공사이행기간의 변경에 따른 실비산정) ① 간접노무비는 연장 또는 단축된 기간 중 해


당현장에서 계약예규 「예정가격 작성기준」 제10조제2항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자가 수행
하여야 할 노무량을 산출하고, 동 노무량에 급여 연말정산서, 임금지급대장 및 공사감독의
현장확인복명서 등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지급이 확인된 임금을 곱하여 산정하되, 정상적
인 공사기간 중에 실제 지급된 임금수준을 초과할 수 없다.
② 제1항에 따라 노무량을 산출하는 경우 계약담당공무원은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공사이행
기간의 변경사유가 발생하는 즉시 현장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인력투입계획을 제출하도록
하고, 공사의 규모, 내용, 기간 등을 고려하여 해당 인력투입계획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에게 이의 조정을 요구하여야 한다. <신설 2010.11.30.>
③ 경비 중 지급임차료, 보관비, 가설비, 유휴장비비 등 직접계상이 가능한 비목의 실비는
계약상대자로부터 제출받은 경비지출관련 계약서, 요금고지서, 영수증 등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확인된 금액을 기준으로 변경되는 공사기간에 상당하는 금액을 산출하며, 수도광열
비,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여비·교통비·통신비, 세금과공과, 도서인쇄비, 지급수수료(7개
항목을 “기타경비”라 한다)와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등은 그 기준이 되는 비목의 합계
액에 계약상대자의 산출내역서상 해당 비목의 비율을 곱하여 산출된 금액과 당초 산출내역
서상의 금액과의 차액으로 한다.
④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공사기간이 연장되어 당초 제출한 계약보증서·공사이행
보증서·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 및 공사손해보험 등의 보증기간을 연장함에 따라 소요되는
추가비용은 계약상대자로부터 제출받은 보증수수료의 영수증 등 객관적인 자료에 의하여 확
인된 금액을 기준으로 금액을 산출한다.
⑤ 계약상대자는 건설장비의 유휴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즉시 발생사유 등 사실관계를 계약
담당공무원과 공사감독관에게 통지하여야 하며, 계약담당공무원은 장비의 유휴가 계약의 이
행 여건상 타당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유휴비용을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계산한다.
1. 임대장비 : 유휴 기간 중 실제로 부담한 장비임대료
2. 보유장비 : (장비가격×시간당 장비손료계수) × (연간표준가동기간÷365일) × (유휴일
수) × 1/2

68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6조의 공기연장이 허용되는 사유들을 설명한다.

• 공기지연의 유형과 개념을 사례와 함께 설명한다. 특히, 공기지연 상황의 두 가지 핵심 이슈인


‘공기연장 여부’와 ‘추가 발생 비용의 보상’ 관점에서의 공기지연 유형 분류에 대한 개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 공기지연 사유의 예측가능성(foreseeability)에 따른 공기연장 허용 여부 판단에 대해서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동시발생지연(concurrent delay)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귀책사유에 따라 공기연장 및 비용


보상에 대한 책임 분담이 이루어짐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공사계약일반조건 제26조의 공기연장이 허용되는 사유들을 읽고 이해한다.

• 공기지연 상황의 핵심 이슈가 공기연장과 비용 보상임을 이해한다. 그리고 지연 유형별 귀책사유


들을 노트에 정리해 본다.

• 예측가능성(foreseeability)의 판단에 따라 동일 지연사유도 공기연장 허용 여부가 달라짐을 이해


한다.

• 동시발생지연(concurrent delay)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귀책사유에 따라 공기연장 및 비용


보상에 대한 책임 분담이 이루어짐을 이해한다.

69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변경설계도서, 계약변경요인, 천재지변 사유에 따라
시공사의 준공기한 연기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다.
공기연장 검토
- 준공기한 연기에 따라 공기연장에 대한 계약금액을
조정·검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준공기한 연기 가능/불가능 공기지연 유형에 대한 이
해도
공기연장 검토
- 공기연장에 대한 계약금액을 조정의 이해도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준공기한 연기 허용 가능한 공기지연 유형들과 적용


원칙에 대한 숙지 여부
공기연장 검토
-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의 적정성 검토사항에
대한 숙지 여부

70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서술형 시험 결과로 학생들의 이해도가 낮은 부분을 점검하고 추가 설명한다.

2. 평가자 질문
-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간략하게 추가 설명을 하고, 일부 내용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경우 추가 학습을 수행 후 결과를 제출하게 한다.

71
학습 1 공정관리계획서 검토하기 (LM1402011107_14v2.1)
학습 2 예정·실제공정 비교·검토하기(LM1402011107_14v2.2)
학습 3 부진공정 만회대책 검토하기(LM1402011107_14v2.3)
학습 4 공사기간변경 타당성 검토·확인하기(LM1402011107_14v2.4)

각종 현황 관리하기
학습 5
(LM1402011107_14v2.5)

5-1. 공정관리 현황 관리
• 계획적인 상황실 운영으로 현장진행에 맞는 현황을 유지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현황유지와 비상처리 대책에 따라 부착물 및 상황실 비품을 보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 공정현황자료 조사·수집·분석에 의해 상황실 현황보고를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상황실 운영 및 현황 유지
상황실은 해당 건설공사의 모든 참여 및 관련 주체들에게 공식적인 공사 현황 및 자료를
기록,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정계획, 공사진척도, 공사비 집행현황 및 소요자원
의 투입현황 등은 최신의 자료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고 효과적으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한
다. 상황실의 모든 자료와 현황 전달 매체(도표 등)는 이해가 쉽고 시각적 효과가 큰 형태
로 제작, 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계획적인 상황실 운영 및 현황 유지
■ 공사 수행 시 발주자는 계약 당사자인 시공사에 상황실 설치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공사감독실에 설치 또는 별도의 상황실 설치를 요구하기도 한다.
현장 상황실에 전시되는 공사 현황 정보 및 자료는, 공사 특성과 현장 사정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가능하다.
∙ 공사 개요 : 공사명, 공사 범위, 공사비, 연차별 투입계획 등
∙ 공정계획(예정공정표) 및 진척 현황:
공정계획은 최종 승인된 공정계획표(수정 공정계획표)를 기준
공정실적(진도)은 최종 주간공정회의에 제출된 시공자 공정실적을 기준
∙ 연간, 월간, 주간, 일간 작업현황판
∙ 주요 공종의 공정 모식도

72
∙ 주요 지급자재 현황
∙ 인원투입 상황판
∙ 현장 조직도 및 비상시 운영조직도(안전관리)
■ 발주처 보고 및 유관기관 보고를 위한 상황실 내에는 관련 비품을 구비하여야 한다.
■ 일반적으로 상황실을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공사 현황판을 반드시 설치
하고 공정회의, 주민 설명회 및 각종 공사 관련 대회의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2.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
■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은 발주기관마다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공사특성을 고려하여 공
사현황과 비상상황을 대비하여 비품목록을 선정 비치한다.
■ 집기류 목록
① 상황판 및 커튼
상황판은 사업조감도, 예정공정표, 공사 진척도표, 작업현황판, 인원 투입 현황판, 비
상시 운영 조직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조감도만 설치된 경우 나머지 관련
상황판은 감독관실(감리단) 및 시공사 현장 사무실 내 반드시 비치하여야 한다.
② 지휘봉
③ 카메라(디지털 카메라)
④ 비디오 촬영기
⑤ 녹화 및 재생기
⑥ 회의용 탁자
⑦ 회의용 의자
■ 상황실 규모는 현장 여건 및 공사규모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100㎡ 이상을 확보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3. 발주기관의 관련 지침과 기준
■ 상황실 규모 및 비품 관련해서 발주기관들이 갖고 있는 지침들의 몇 가지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73
∙ 경기도 발주공사 상황실 관련 집기목록

출처: 별내선(암사~별내) 4공구 복선전철 건설공사 입찰안내서(경기도 2015. 2).)


[그림 5-1] 경기도 발주공사 상황실 관련 집기목록

74
∙ 한국도로공사 상황실 관련 기준

출처: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 제10~14공구 입찰안내서(한국도로공사 2016. 3)


[그림 5-2] 한국도로공사 상황실 관련 기준

75
∙ 한국철도시설공단 상황실 관련

출처: 김포도시철도 제2공구 노반건설공사 입찰안내서(김포지하철건설사업단 2013. 8)


[그림 5-3] 한국철도시설공단 상황실 관련 기준

76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부대시설 관련 규모

출처: 행정도시~대덕테크노밸리 도로건설공사(2구간) 입찰안내서(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1. 4)


[그림 5-4] 행복청 사무소 및 부대시설 관련 규모

77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상황실 관련 집기 규모

출처: 행정도시~대덕테크노밸리 도로건설공사(2구간) 입찰안내서(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1. 4)


[그림 5-5] 행복청 상황실 관련 집기 목록

78
4. 공정현황자료 조사·수집·분석에 의해 상황실 현황보고 한다.
■ 최근 공정현황자료 조사, 수집, 분석은 서면자료를 통한 보고를 지양하고 발주처(청)에
구비한 사업관리시스템(PMIS)을 활용하고 있다.
■ 계약상대자는 발주기관이 운영하는 PMIS 운영을 위한 계약자용 장비를 설치하여, 발주
기관의 원거리 통신망(인터넷 및 내부 통신망)에 연결하여야 한다.
■ 계약상대자는 발주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지침서를 숙지하여 일반사항, 공정관리, 공
사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구매(자재)관리, 보상관리 등 PMIS시스템과 관련한 제반 업
무를 일일, 주간, 월간, 수시로 자료를 입력하여야 하며, 일정/진도 정보, 공정관리 내역
정보 등은 매월 1일 및 15일에 PMIS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공정 자료
전산 파일을 작성/전송 및 보관/유지관리 하여야 한다.
■ 일반사항, 공정관리, 공사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구매(자재)관리, 보상관리 등 상호관
련 항목은 데이터의 호환 및 접속기능 유지를 위하여 발주기관이 제공하는 통일된 표준
분류체계로 입력하여야 한다.
■ 발주기관이 제시한 표준분류체계가 없는 공종이 발생하면 발주기관과 협의한 후 부여받
는다.
■ Network 작성 시는 발주기관의 표준분류체계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 계약상대자는 PMIS 운영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PMIS의 구체적인 세부운영방법 및 운
영 시점에 대하여는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 사업관리정보시스템에 의한 상황실 현황보고를 통하여 공정계획의 합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79
수행 내용 / 공정관리 현황 관리하기

재료·자료

 공사 개요 및 정보

 예정공정표, 업데이트 공정표, 공사 진행 현황 자료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프린터

 사업관리시스템(PMIS)

안전 ・ 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상황실의 공정관리 관련 상황판과 게시 정보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1. 상황실에 설치된 예정공정표, 공사 진척 상황 및 작업 현황 등의 공정관리 현황이 담긴
상황판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2. 예정공정표 등의 상황판에 최신 공사 현황 정보 및 자료 및 정보가 게시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조치한다.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 현황을 검토하고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조치한다.
3. 상황실 공정관리 현황 정보 게시 관련해서 발주자 지침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
고 부합되도록 조치한다.

사업관리시스템(PMIS)의 공정 관련 현황 자료 등을 검토 확인하다.
1. 사업관리시스템이 운영되는 경우, 시스템에 계약상대자인 시공사의 공정 관련 일일, 주
간, 월간, 수시 자료 입력을 확인한다.
2. 공사 일정 및 진도 관련 정보 등 공정 자료 전산 파일의 작성/제출/전송/보관/유지관리
를 확인한다.
3. 사업관리정보시스템에 의한 상황실 현황보고를 통하여 공정계획의 합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80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공사 현장 상황실의 각종 상황판의 유형들과 게시 정보, 용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사진 자료를


보여주며 이해를 유도한다.

• 공사 현장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 다양한 발주기관들의 상황실 관련 규정에 대해 살펴본다.

• 인근 건설현장 방문을 계획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실제 현장 사무실/상황실에 게재되는


공정 현황 정보의 내용과 형식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공사 현장 상황실의 각종 상황판의 유형들과 게시 정보, 용도 등에 대해 이해하고, 인터넷이나


방문 조사를 통해 사진 등의 자료를 조사·수집한다.

• 공사 현장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 유형에 대해 이해한다.

• 다양한 발주기관들의 상황실 관련 규정을 이해한다.

• 인근 건설현장 방문을 통해 실제 현장 사무실상황실에


/ 게재되는 공정 현황 정보의 내용과 형식을
관찰하고 조사한다.

81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계획적인 상황실 운영으로 현장진행에 맞는 현황유지
할 수 있다.
- 현황유지와 비상처리 대책에 따라 부착물 및 상황실
공정관리 현황 관리
비품을 보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 공정현황자료 조사·수집·분석에 의해 상황실 현황
보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상황실/상황판 유형과 공정관리 현황정보 게시에 대한
이해도

공정관리 현황 관리 -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에 대한 이해도

- 공정현황자료의 상황실 현황보고에 대한 이해도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상황실/상황판 유형과 공정관리 현황 게시 정보 유형
에 대한 숙지 여부

공정관리 현황 관리 - 상황실 부착물 및 비품 유형들에 대한 숙지 여부

- 공정현황자료의 상황실 현황 사항과 보고 방법 및 유


형에 대한 숙지 여부

82
피드백

1. 서술형시험
- 서술형 시험 결과로 학생들의 이해도가 낮은 부분을 점검하고 추가 설명한다.

2. 평가자 질문
-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간략하게 추가 설명을 하고, 일부 내용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경우 추가 학습을 수행 후 결과를 제출하게 한다.

83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4 – 859호, 2014.12.22.).

∙ 김포도시철도 제2공구 노반건설공사 입찰안내서(김포지하철건설사업단 2013.8).

∙ 김포지하철건설사업단(2013). 김포도시철도 제2공구 노반건설공사 입찰안내서.

∙별내선(암사~별내) 4공구 복선전철 건설공사 입찰안내서(경기도 2015.2).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 제10~14공구 입찰안내서(한국도로공사 2016.3).

∙ 인천국제공항공사(2001). 인천국제공항건설 1단계 사업관리 최종보고서. 인천국제공항공사·한


국전력기술(주)·Parsons Overseas Co.·Int'l Computers & Telecom, Inc.

∙ 한국건설감리협회(2011). 공공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 한국건설기술관리협회.

∙ 한국도로공사(2016).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 제10~14공구 입찰안내서.

∙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 철도 건설 공사용 표준 품질관리 계획서 (품질, 환경, 안전관리 시스템)


감리사용.

∙행정도시~대덕테크노밸리 도로건설공사(2구간) 입찰안내서(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1.4).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2011). 행정도시~대덕테크노밸리 도로건설공사(2구간) 입찰안내서.

∙ Fleming, Q. W. & Koppleman, J. M. (1996). Earned Value Project Management,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Upper Darby, PA, USA.

∙ Popescu, C. M. & Charoenngam C. (1995). Project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 in Construc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 USACE / NAVFAC / AFCESA / NASA (2015), UFGS(Unified Facilities Guide Specifications) -


01 32 01.00 10 Project Schedule(February 2015).

∙ 한국CM협회 (www.cmak.or.kr)에서 2016. 10월 2일 검색.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우성권(인하대학교) 권석현((주)도명이앤씨) 유용흠(아키게이트)
김두연(경일대학교) 유인창((주)휴앤시스)
김상범(동국대학교) 정상필(CITTA)
남명중((주)다린이앤씨)* 정은길((주)아키페이스)
박만우(명지대학교) 조일규((주)제이에스기술)
원유진((주)한국건설관리공사)*
임동현(한국도로공사)
정재연(광희개발전문자기관리부동
산투자회사(주))*
지석호(서울대학교)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진욱(대한건축학회)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상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인엽(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방미현(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소연(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 ( 제 8 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 ) 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8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