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8

발간등록번호 71-7530000-000143-14

시 설 과
머리말
PREFACE

인공지능과 가상현실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 됨에 따라 학교시설은

미래교육 환경에 대응 가능한 공간으로의 변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경기도교육

청에서는 미래지향적 교육 하드웨어를 완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회 환경과 교육 여건의 변화로 학교시설공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학교시설 공사와 관련한 해설집 이나 업무 처리에 참고할 만한 지침서가 없어 일선 현장

에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소규모 학교시설 공사 업무는 전문적인 건설 영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접근이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업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소규모 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 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소규모 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 은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사례 위주로 구성하여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편찬 과정에 학교

관계자 들을 참여시키고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시설공사 기본교육” 을 실시하여 이

과정에서 나타난 보완사항과 건의 사항도 모두 반영하였습니다.

그 동안 “소규모 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 제작을 위해 애써주신 T/F팀원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본 업무편람이 학교시설공사 관계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 널리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2018. 12.
CONTENTS
2018
소규모 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

Ⅰ. 개요[소규모 학교공사 일반사항] 12

1.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절차 12
2. 학교와 교육청의 관계 12
3. 학교시설공사 PROCESS 12
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유지관리 단계 13

Ⅱ. 예산수립단계 15

제1장 일반사항 16
1.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절차 16
2. 교육환경개선사업 예산지원 및 사업추진 절차 16
3. 교육환경개선사업 예산 목별 사업 흐름도 17
4. 예산이월의 유형 17

제2장 특별교부금(지역교육현안수요 중심) 18


1. 특별교부금의 종류 18
2. 특별교부금 교부기준ㆍ교부대상ㆍ신청방법ㆍ교부방법 18
3. 사후 관리 19
[별지] 특별교부금 신청 시 유의(참고)사항 모음 20

제3장 사업신청 29
1. 개요 29
2. 관련법규(규정) 29
3. 시설공사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29
4. 공문서 작성 (예시) 30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30
[참고] 2018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31

Ⅲ. 설계단계 33

제1장 설계용역 34
1. 설계용역-일반사항 34
가. 개요 34
나. 관련법규(규정) 34
다. 단계별 설계용역의 종류 35
라. 설계용역 업무수행 범위 36
마. 대가산정 기준 36
바. 공사유형에 따른 대가방식 적용기준 36
질문과 답변[Q&A] 38
2. 설계용역-시행 39
가. 개요 39
나. 사례 따라하기 39
3. 설계용역-착수 44
가. 착수계[예시] 44
나. 설계용역 중 설계검토 45
4. 설계용역-검수 46
가. 완료계 제출 - 설계사무실 공문 외 [예시] 46
나. 설계용역 검수조서 48

제2장 사례따라하기[도장공사] 49
1. 기본설계단계 49
2. 실시설계단계 50
가. 상세도면 검토 50
나. 색채도면 검토 51
다. 수량 및 내역검토 53

Ⅳ. 시공단계-용역관련 65

제1장 감리용역 66
1. 감리용역-일반사항 66
가. 개요 66
나. 관련법규(규정) 66
다. 감리용역 업무수행 범위 [소규모 공사의 경우] 66
라. 대가산정 기준 67
마. 공사유형에 따른 대가방식 적용방식 67
질문과 답변[Q&A] 68
2. 감리용역-시행 69
가. 개요 69
나. 사례 따라하기 69
3. 감리용역-검수 72

제2장 건설폐기물처리용역 73
1. 처리절차 및 방법 73
2. 관련법규(규정) 74
3. 준공시 시공사 제출서류[예시] 74

제3장 지정폐기물처리용역 78
1. 처리절차 및 방법 78
2. 지정폐기물 용역 완료시 제출서류 78
Ⅴ. 시공단계-공사관련 79

제1장 공사발주 80
1. 개요 80
2. 관련법규(규정) 80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80
[참고] 공사 구분 및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81
4. 품의하기 85
5. 공문서 작성 (예시) 85
6. 공사집행계획서 (예시) 86
7. 설계도서 87
8. 견적에 의한 공사발주 (수의계약) 90

제2장 공사계약1[계약의 일반사항] 91


1. 사업 진행 절차 91
2. 공사계약 절차 91
3. 공사계약 요약표 91
4. 입찰과 전자견적의 차이점(공사) 92
5. 인지세(인지세법 제3조, 동법 시행령 제2조) 92

제3장 공사계약2[공고문 작성 시 유의사항] 93


1. 공고기간의 산정 방법 93
2. 추정금액이란? 93
3. 면허 선택 방법 94

제4장 공사계약3[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94


1. 「공사근로자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관련 유의사항 94

제5장 공사계약4[선금 신청, 지급 및 정산] 96


1. 선금지급의 범위 96
2. 선금지급의 예외 96
3. 선금 지급이 불가한 경우 96
4. 선금보증서 제출 96
5. 선금의 사용 97
6. 선금의 반환 사유 97
7. 선금의 정산 97

제6장 공사계약5[계약의 이행보증 및 하자보증] 98


1. 계약의 이행보증 98
2. 하자보증(하자보증률 및 보증기간) 98
[참고] 관련 서식 99

제7장 공사추진1[착공] 111


1. 착공서류 확인 111
2. 착공서류 (예시) 112
제8장 공사추진2[공사감독] 114
1. 공사감독 114
2. 불법하도급 여부 확인 116
[참고] 학교시설공사 안전관리 개선 대책 이행 요령 117

제9장 공사추진3[설계변경 및 공기연장] 118


1. 설계변경 절차 118
2. 관련법규(규정) 119
3. 설계변경 유의사항 119
4. 공기연장 120
5. 관련법규(규정) 120
6. 업무처리방법 121

제10장 공사추진4[준공] 122


1. 준공서류 검토 122
2. 각종 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등 정산 방법 124
3. 공사용 공공요금 징수 131

Ⅵ. 유지관리단계 133

제1장 하자보수관리 134


1. 하자보수처리 요약도 134
2. 관련법규(규정) 134
3. 하자보수처리 순서도 135
4. 하자관리 유의사항 137
5.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요령 137
6. 하자검사 요령 138
7. 하자보수보증금 부과 138
[참고] 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 139
8. 하자보수관리-사례따라하기 140

제2장 학교시설물 안전 및 유지 관리 142


1. 관련법규(규정) 142
2. 안전관리 144
3. 유지관리 144
4. 각종 법정 정기점검 종류 145

Ⅶ.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147

제1장 보고문서 일반사항 148


1. 보고문서의 목적 148
2. 건축물대장 148
3. 건축물대장 용어 149
4. 건축 기본 용어 153
제2장 자재 종류 157
1. 건축자재 157
2. 토목자재 163
3. 설비(기계) 170
4. 전기 176

제3장 인허가 절차 179


1. 건축허가 179
2. 건축신고 179
3. 건축인허가 절차 179
4. 건축물 멸실신고 절차 180

제4장 공사용어 일반 181


1. 자주! 아직도! 잘 못 사용하는! 공사 용어(청산해야할 일제 잔재 외) 181
2. 자주! 아직도! 잘 못 사용하는! 공사 용어(그림자료) 182
3. 도장공사 용어 설명 185

Ⅷ. 시설감사의 이해 186

제1장 시설공사 관련 감사지적 사례 186

Ⅸ.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16

제1장 학교건축의 연혁 216


1.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16
2. 해방이후의 회복기 216
3. 표준설계도를 이용한 양적 확보시기 218
4. 새로운 모습의 학교출현 220
5. 학교건축의 질적 성장 221
6. 다양한 교육환경 모색 223
7. 우수학교 현황 226

Ⅹ.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포장개선사업] 229

제1장 사업신청 230


1. 개요 230
2. 관련법규(규정) 230
3. 포장개선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230
4. 공문서 작성 [예시] 231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231
[참고] 2017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232

제2장 설계용역 233


1. 개요 233
2. 관련법규(설계용역·설계서·예정가격) 233
3. 설계용역 업무수행 범위 234
4. 대가산정 기준 234
5. 설계용역 검토사항 234

제3장 공사발주 235


1. 개요 235
2. 관련법규(규정) 235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235
[참고] 공사 구분 및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236
[참고]학교시설공사 면허 선택 Tip 237
4. 품의하기 238
5. 공문서 작성 (예시) 238
6. 공사집행계획서 (예시) 239
7. 설계도서 240

제4장 공사추진(공사감독) 242


1. 착공서류 확인 242
2. 공사감독 243
3. 불법하도급 여부 확인 243
4. 설계변경 유의사항 244

제5장 공사준공 245


1. 준공서류 검토 245
2. 각종 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등 정산 방법 246

XI.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냉난방개선사업] 249

제1장 사업신청 250


1. 개요 250
2. 관련법규(규정) 250
3. 냉난방개선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250
4. 공문서 작성 [예시] 251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251

제2장 설계용역 252


1. 검토사항 252

제3장 공사발주 253


1. 개요 253
2. 관련법규(규정) 253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253
4. 품의하기 255
5. 공문서 작성 [예시] 255
6. 공사집행계획서 [예시] 256
7. 설계도서 257

제4장 공사감독 [착공~준공] 260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261

제1장 학교시설공사 PROCESS 개요 262


1. 학교시설공사 PROCESS [건축공사와 동일] 262
2. 예산 수립단계 262
3. 각 단계별 주요 업무 262

제2장 사업신청 (전기분야-소요예산 추정) 263


1. 교육환경개선공사 단위사업별 전기공사 소요예산 추정금액 263
2. 각 공사별 추정 소요 예산 비용(예시-신축, 증축, 리모델링) 263
3. 각 분야별 추정 소요 예산 비용(예시-신축) 263
[알아두기] 건설업종의 분류/법규체계(1) 264
[알아두기] 건설업종의 분류/법규체계(2) 265

제3장 설계용역 266


1. 개요 266
2. 설계용역 대가산출 관련법규 및 규정 266
3. 전기, 통신, 소방 공사별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업 면허 필요여부 판단 266
[알아두기] 전기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 제외 범위 267
[알아두기] 정보통신 설계용역 대상및 공사 제외 범위 268
[알아두기] 소방설비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 제한 269
4. 설계용역 산출서 작성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 270
5. 설계용역 산출서 하기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270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271
7.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내역서)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276
[알아두기] 전기공사 배선방법의 종류 278
[알아두기] 전기공사 시설장소와 배선방법 279
[알아두기] 전기공사 배관배선 자재 280
[알아두기] 전기공사 용어 281

제4장 공사발주(발주) 282


1. 개요 282
2. 관련법규(규정) 282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282
4. 계약방법 결정 283
5. 공사감독 방법(공사감독 시, 준공시 유의사항) 283
6. 하자담보 책임기간(교육연구시설) 284
[별표] 292
1.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292
2. 환경보전비 산출기준 295
3. 환경보전비 적용 대상ㆍ비대상 비교자료 297
4. 어린이활동공간 관리기준 299
5.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 300
6. 특정소방대상물에 갖추어야할 소방시설 종류 305
7. 면적에 따른 주요 법적 검토사항(설계) Ⅰ, Ⅱ 306

개요
[소규모 학교공사 일반사항]

1. 학교시설공사 전체 흐름도
2. 학교와 교육청의 관계
3. 학교시설공사 PROCESS
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유지관리 단계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Ⅰ 개요[소규모 학교공사 일반사항]


1.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절차

설계

사업신청 시공 학교시설 유지관리

감리

2. 학교와 교육청의 관계

학교

학교시설
컨설팅 공사 및
유지관리

교육청

3. 학교시설공사 PROCESS
STEP_ 1▲ STEP_ 2▲ STEP_ 3▲ STEP_ 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핵심 프로세스 핵심 프로세스 핵심 프로세스 핵심 프로세스


· 예산 수립을 위한 사업 · 설계용역 시행 · 공사 시행 · 준공계 제출
계획서 제출 · 설계도서 작성 및 검토 · 감리용역 시행 · 준공검사
· 사업예산 확정통보 · 설계용역 검수 · 착공계 제출 및 시공 · 유지관리 단계
총 사업기간 00일

1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개요
단계별 업무내용 업무처리주제 처리내용 세부자료

예산수립 학교 예산지원부서 - 사업계획서 제출

예산 예산수립 예산지원부서 시공자 - 현지확인

수립
단계 예산지원부서 - 지원내역 심사 및 확정

예산지원부서 학교 - 사업예산확정통보

설계용역 학교 - 설계용역 시행(대가요율 등 참조)

- 사업범위, 예산의 적정성 검토


기본 및 실시 학교 계약상대자 - 현지확인 및 기본계획안검토
- 설계도서작성(사용자의견반영확인)

- 설계도서검토(사용자의견반영확인)
학교
- 설계도서의 적정여부검토

- 협의내용 설계작업
설계 계약상대자
- 설계도서작성(각종계산서 포함)
단계
- 설계내역서의 적정여부 검토
학교
- 집행계획의 적정성(예산초과여부)

학교 교육지원청 - 설계내역서의 적정여부 검토요청 (요청시)

- 설계도서 납품
계약상대자 학교 - 납품설계도서 검수 및 대금지급
(사업범위, 사업목적, 예산집행의 적정여부확인)

- 공사계약업무 추진
공사계약 학교 시공사
* 수의계약, 입찰공고등 * 낙찰자 결정

시공 공사
시공사 학교
- 공사관련 착공신고서 제출
착공신고서 제출 - 지방자치단체 공사계약일반조건
단계
- 감리용역 시행
공사감리 학교
* 감리대가요율 등 참조

시공자
준공검사 - 준공검사 신청
(감리자경유)

- 준공확인
준공확인요청 학교 교육지원청 (요청시)
- 미비사항 개선요구

준공 - 준공확인(미비사항포함)/감리자입회
학교
단계 - 준공검사조서 작성

- 준공확인 결과 보완사항 이행
준공검사 교육지원청
- 준공확인 결과 보완 결과보고

학교 시공사 - 준공금 지급

13
단계별 업무내용 업무처리주제 처리내용 세부자료

- 하자검사 년2회 실시
하자검사 학교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법률 시행령」 제61조
- 하자검사조서 작성

- 하자발생 시 하자보수 요구
학교 시공자
· 하자내용/하자증빙서류(사진 등)

- 하자보수 미이행 시 하자보수이행보증금 청구


· 하자보수 미이행 증빙서류
학교 학교
(시공사 요구공문 등)
· 하자내용/하자증빙서류(사진 등)

유지
관리 학교
- 하자보수 이행(보증금 사용)
· 하자보수 공사 집행
단계

- 정기안전점검 실시(반기1회)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및 동법시행령 제6조
교육지원청
안전점검 · 중점관리시설(C등급)은 수시점검
및 학교
- 긴급점검
· 관리주체의 필요에 따라 수시

- 정기안전점검결과보고
관리주체 · 안전점검실시결과서
교육지원청
(학교) - 수시보고
· 재난위험시설 발생 시

14

예산수립단계
제1장 일반사항
제2장 특별교부금(지역교육현안수요 중심)
제3장 사업신청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Ⅱ 예산수립단계
제1장 일반사항

1.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절차
❶ ❷ ❸ ❹ ❺ ❻
본예산(추경) 기초자료 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본예산(추경)
예산 편성을 제출 및 교육위원회 예산결산 본회의 에듀파인
위한 에듀파인 예산심의 특별위원회 예산안 시스템 확정
기초자료 시스템 입력 예산심의 의결 및 예산배정
제출 알림
알림

본청(정책기획관) → 교육지원청, (경기도도의회 (경기도도의회 (경기도도의회 본청(정책기획관) →


교육지원청, 직속기관, 본청 예산심의) 예산심의) 예산심의) 교육지원청,
직속기관, 본청 각 부서 각 부서 → 직속기관, 본청 각 부서
본청(정책기획관)

2. 교육환경개선사업 예산지원 및 사업추진 절차

❶ ❷ ❸ ❹ ❺ ❻ ❼ ❽
예산지원 세부 지역별 예산지원 지역별 시설사업 조기집행 사업
및 관리 사업별 실무협의 대상학교 학교별 추진일정 계획수립 집행
계획통보 예산집행 선정심의 확정보고 예산 협의 및 요청
지침 시행 재배정 확정

본청 → 본청 →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학교 & 교육지원청 학교 &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 본청 (본청)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 학교

❾ ❿ ⓫ ⓬ ⓭ ⓮ ⓯ ⓰
세부 설계용역 공사용 일상감사 학교별 시설공사 1차 최종
사업별 사용자 자재 및 시설공사 사용자 사업비 사업비
설계용역 의견수렴 직접구매 계약심사 발주 의견수렴 정산 정산
및 집행 선정심의 및 집행 (수시)

교육지원청 학교 &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학교 → 학교 →


교육지원청 → 본청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 본청 → 본청

용어설명

본예산 : 지방자치단체가 회계 연도마다 예산안을 회계연도 개시40일전까지 의회에 제출하여 심의·의결하여 성립된 당초의 예산
추경예산 : 추가경전예산의 준말로 본예산의 성립된 예산에 변경을 내용을 추가하거나 일부를 변경하여 의회의 의결을 얻어 사용하는 예산
예산액 : 당해연도에 편성한 예산
예산현액 : 예산액+전년도이월액(명시, 사고, 계속비이월)+예비비 지출액+이·전용 등 예산증감액을 포함한 예산
결산액
- 세입결산액 : 징수결정액 중에서 실제로 회계로 수납된 금액
- 세출결산액 : 예산현액 중에서 실제로 지출된 금액
불용액 : 예산현액에서 지출액과 다음연도 이월액을 제외한 잔액인 순세계잉여금

1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 교육환경개선사업 예산 목별 사업 흐름도

본청 본청
[건설비(420)] [학교회계전출금(620)]

□ □-①
재배정 재배정


교육지원청 교육지원청 교부

예산수립단계
[건설비(420)]는 공사 일정을 학교와 협 □-②
의하여 교육지원청에서 진행하고 학교 교부
로 예산 교부하지는 않음

학교

[학교회계전출금(620)]은 본청에서 교육
지원청으로 재배정 후 학교로 교부하는 방
법과 본청에서 바로 학교로 교부하는 2가
지 방식이 있음

4. 예산 이월의 유형
구분 명시이월 사고이월 계속비이월

세출예산 중 경비의 성질상 당해 연도내 세출예산중 당해 연도내에 지출원인행위 수년에 걸쳐 시행하는 경비에 대하여 일
에 그 지출을 끝내지 못할 것이 예상되어 를 하고, 불가피한 사유로 그 연도내에 지 괄하여 의결을 얻은 예산
그 취지를 세입세출예산에 명시하여 미리 출하지 못한 경비와 지출원인행위를 하지 (계속비로 지출할 수 있는 연한은 당해연
개념
지방의회의 의결을 얻어 다음연도에 이월 아니한 그 부대경비를 다음 연도에 이월 도로부터 5년 이내로 한다. 다만 필요하
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함 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함 다고 인정될 때에는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 다시 그 연한을 연장할 수 있음)

의회 승인 필요 불필요 필요

명시이월은 불가, 명시이월은 불가,


재이월 재사고이월 불가
사고이월은 가능 최종연도에 사고이월 가능

용어설명

목 건설비(420) 학교회계전출금(620) 재배정 : 본청에서 배정 받은 예산을 다시 지출원이 있는 지역교육청


세목 시설비(420-03) 학교환경개선사업비(620-04) 에 예산권을 이양하는 것 [본청 → 교육지원청]
원가통계목명 건물시설비(420-0301) 학교환경개선사업비(620-0401) 교부 : 서로 다른 회계 간
자산의 변동을 가져오는 건축물시설 자산의 변동을 가져오는 건축물시설
설 정(설명)
비(대규모수선유지비 포함) 비(대규모수선유지비 포함)
[교육비특별회계 → 학교회계]
사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 사업일정 상 당해 연도에 계약체결 예산을 이양하는 것
특징
적으로 본예산에 편성 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편성 [본청(교육지원청) → 학교]

1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2장 특별교부금(지역교육현안수요 중심)

1. 특별교부금의 종류
국가시책사업수요
- 지방재정법 제58조에 따라 전국에 걸쳐 시행하는 교육 관련 국가시책사업
(특별교부금의 60%) ☞ ex)학교시설통합정보시스템사업
지역교육현안수요
- 기준재정수요액의 산정방법으로 포착할 수 없는 특별한 지역교육 현안수요가 있는 때(특별교부금의 30%)
☞ ex)학교시설환경개선사업(체육관 신·증축 및 개보수사업 등)
재해대책수요
- 보통교부금의 산정기일 후에 발생한 재해로 인하여 특별한 재정 수요가 생기거나 재정수입이 감소하였을 때 또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특별한 재정수요가 있는 때(특별교부금의 10%) ☞ ex) 세월호 참사 수습운영비 지원 및
교육과정 정상화 지원사업

2. 특별교부금 교부기준·교부대상·신청방법·교부방법
교부기준
-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최근 3년 이내에 지원1) 학교는 원칙적으로 교부대상에서 제외
▶ 단, 3년 이내에 교부된 사업이 교육부 시책2) 따라 일괄적으로 지원된 경우는 교부할 수 있음
- 총사업비가 소액(1억 미만)인 교육환경개선, 내·외부 도색, 비품구입비 : 교부 제외(원칙)
- 적정규모학교 육성을 감안, 소규모 학교에 기숙사, 강당(체육관) 등 대규모 재원이 소요되는 신·증축사업은 원칙
적으로 교부 대상에서 제외
- 강당, 체육관(다목적실 포함) : 대응투자를 하는 조건으로 지원 가능
지방자치단체 단독으로 대응투자를 하는 경우, 재정자립도에 따른 대응투자 비율* 적용 ☞ 세부내역 <별지1> 참조
교부대상
- 학교 교육시설 신·증축 사업 : 강당·체육관(다목적교실 포함), 도서관, 특별교실 등
- 학교교육시설 개선사업 : 바닥 및 천정 교체, 창호 및 출입문 교체, 외벽보수 등
- 교육행정기관 및 교육지원기관 시설 관련 사업 : 교육청, 연수원, 수련원 등의 시설 신·증축 및 보수사업
- 시·도교육감이 지역별·학교별 특색을 반영하여 제안한 지역 특색 교육프로그램 사업
- 그 밖에 교육부장관이 시·도교육청 지역교육현안사업으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신청방법
☞ [별지2] 신청 시 유의사항 참조(서식은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 참조)
- 시·도교육감은 지역교육현안수요가 발생할 경우, 사업의 필요성 및 시급성, 투자효과 등을 검토하여 교육부에 연
중 수시 신청
☞ 실질적으로 경기도교육청 자체 추진 계획에 따라 진행

각주 설명 실수요가 반영되어 교부된 사업

1) 동일 지역(시·도)에 소재한 동일 법인 소속의 학교 지원을 포함 1) 자체예산으로 집행 가능한 사업(보통교부금 교육환경개선 산정 사업 포함)


2) 전국적인 수요조사 후 실시한 유해 인조잔디 교체 사업(‘15), 통합관사 에 대한 특별교부금 신청 지양
신축(‘17년), 특수학교 안전 및 편의시설 사업(‘17), 간이실내체육시설 (ex. 노후텍스(석면), 조명, 창호, 출입문, 냉난방, 화장실 등)
(30백만원), Wee클래스 설치 지원 등

1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 보통교부금의 교육환경개선비 사업으로 실수요가 반영되어 교부된 사업1)은 중복 신청 불가


- 투자심사, 공유재산심의, 각종 인허가 등 사전이행 절차 확인 후 신청
교부방법
- 사업의 타당성 및 시급성, 규모의 적정성, 지역 간 형평성 및 재정여건과 사업의 기대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여 교육부장관이 결정·교부
- 재정여건을 고려, 적정한 범위 내에서 신청액을 조정하여 총액으로 교부(용도를 제한하거나 조건을 붙여 교부 가능)

3. 사후 관리


특별교부금의 집행·관리
- 대응투자를 필수요건으로 교부된 사업(ex. 체육관 증축사업 등)은 집행잔액 발생 시 대응투자비율 만큼 집행 잔

예산수립단계
액으로 처리 (집행잔액 반납 시 대응투자비율에 맞게 반납)
- 매년 특별교부금 예산·집행 등 관리현황을 서면·현정점검 실시하여 사후 관리
- 대응투자 조건으로 지원받은 사업이 사업계획 변경으로 총사업비의 변경(증감)이 있는 경우, 교부당시 총 사업비
대비 대응투자 비율만큼 대응투자 이행여부를 확인한 후 교부
- 교부조건이나 용도를 위반하여 사용하거나 2년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교부되는 특별교부금에
서 감액 교부
- 특별한 사유에 따라 2년 이내에 집행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사업기간 연장계획을 승인 받은 후 사용
- ★용도(사업) 변경 승인 관련 ☞ [별지3]서식 참조
▶ 교부사업 이외의 다른 사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도변경 승인을 받은 후 사용
▶ 사업 확정 이후 설계 또는 공사과정에서 규모와 물량 등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사업계획변경 승인을 받은
후 사용 2)
- 교부액이 신청액에 미달되는 사업은 부족재원을 자체재원으로 확보 충당하는 등 필요한 조치 강구
- 집행 잔액 사용 승인
▶ 사업별 집행잔액이 1억원 이상 발생한 경우, 사업종료일(준공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집행잔액의 사용계획을 승인
받은 후 사용
▶ 사업별 집행잔액이 1억원 미만인 경우, 당초 교부목적에 부합 하도록 시·도교육감이 자체계획을 수립하여 집행

사업계획변경승인

2) 단, 규모와 물량 등의 변경이 10% 이하로 경미한 경우와 신청한 물량을 초과하여 자체 집행한 경우에는 교육부 승인절차 없이 진행하되 자체계획을 수립하여
집행(정기 집행결과 보고시 내용 보고)하고, 사업의 규모 및 물량의 감소에 따라 감교부가 필요한 경우, 다음 지역교육현안 교부시 반영 예정

1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별지1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 기준 및 검색방법


● 시·군·구별 강당·체육관 사업 대응투자 비율
구분 대응투자 비율 시·군·구 재정자립도 기준

1 30% 이상 재정자립도 40% 이상

2 20% 이상 재정자립도 20% 이상 ~ 40% 미만

3 10% 이상 재정자립도 20% 미만

4 대응투자 자율 보조사업 제한을 받는 시·군·구

※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하는 전년도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 기준 적용

● 소관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 검색 방법
● 사이트명 : 지방재정365(링크)
● 조회경로 : 사이트 화면 하단 자치단체(구분-경기) 선택 후 조회
● 사이트 화면

2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별지2

특별교부금 신청서 작성 예시
● 00고등학교 체육관 증축사업 예시 - [별지2-예시3]과 연계
사업명
경기도교육청(고·특수), ○○교육지원청(초·중)

소 속 직 책 성 명 연락처
담당자 행정실장 000 031-000-0000
학교명


담당자 000 031-000-0000

1. 필요성 ∼ 2. 일반현황, 5. 특별교부금 신청 사유(구체적 기술) ∼ 10. 시도교육청 종합의견

예산수립단계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 <작성요령> 참조
3. 사업계획(전체)
가. 규모 : 1,127㎡

<참고> 체육관 기준 면적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2018.4.24.시행) <별표1> 참조


구분 18학급 이하 19-36학급 36학급 이상
초등학교 800㎡ 880㎡ 967㎡
중학교 860㎡ 920㎡ 967㎡
고등학교 880㎡ 967㎡ 1,127㎡

나. 총사업비 : 3,023백만원
다. 산출내역
- 교육지원청 시설담당자와 협의 후 작성
(사업물량 산출 부적정, 부적정 단가 적용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사전 예방)
- ★세부 작성 Tip ☞ [별지2-예시3] 참조
라. 사업규모(㎡)당 금액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 <작성요령> 참조
마. 사업기간 ☞ 사업계획서 상 사업기간 작성
바. 재원 확보계획(재원별로 기재, 구체적 기술)
- 대응투자비율 고려하여 작성
- ★지방자치단체별 재정자립도 기준에 따른 대응투자 비율 ☞ [별지1] 참조
(단위 : 백만원)

재원별
총사업비 비고
특별교부금 교육청(교특) 학교법인 지자체* 기타
3,023 2,116 907 대응투자비율30%
※ 강당, 체육관 신·증축 사업은 비고란에 재정자립도에 따른 의무 대응투자 비율기재

4. (★중요) 특별교부금 신청액 : 2,116백만원(㎡ 당 단가 : 1,764천원)


● [별지2-예시3] 특별교부금(지역교육현안수요) 신청서 작성 Tip!(사례별) 참조하여 작성

☞ 특별교부금 교부금액 산출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니 작성에 신중을 요함.


11. 현황 사진 및 증빙 자료 ☞ 현장사진, 도면(있을 때), 배치도 등
● [별지2-예시1, 2] 현황사진 및 증빙자료, 대응투자 확약 증빙서 참조

2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별지2-예시1

현황사진 및 증빙자료 예시
(예시1) 체육관 증축 예정부지 - 항공사진 (예시3) 배치도 - 계획(안)

(예시2) 전경사진 (예시4) 평면도 - 계획(안)

별지2-예시2

대응투자 확약 증빙서

(예시5) 대응투자 증빙서 ☞ 공문 (예시6) 대응투자 증빙서 ☞ 확약서

2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별지2-예시3

특별교부금(지역교육현안수요)신청서 작성 Tip!(사례별)

특별교부금 시설비 기준단가 포함 항목을 누락 신청 ☞ 사업비 부족


사례1
<○○고 다목적체육관 증축사업>

● 실제 신청 내역
※실제 신청 사례이므로, 변경 전(2018.1월 기준) 시설비 기준단가로 작성하였음에 유의!


특별교부금 신청 내역 특별교부금 교부 내역
산출내역(전체)
(단위 : 천원) (단위 : 천원)

예산수립단계
구분 수량 단위 단가 금액 구분
필로티 1,074 ㎡ 502 539,148 지자체
1층 화장실 33 ㎡ 2,195 72,435 지자체 계단실 계단실
20㎡*1,157=23,140 20㎡*1,157=23,140
계단실 20 ㎡ 1,157 23,140 특교
체육관 강당
공사비 다목적 체육관 1,127 ㎡ 1,764 1,988,028 특교
2층 1,127㎡*1,764=1,988,028 1,127㎡*1,764*70%=1,391,619
연결통로 15 m 6,937 104,055 특교
연결통로 연결복도
부대 옹벽 설치 23 m 4,171 95,933 지자체
15㎡*6,937=104,055 15m*6,937=104,055
공사 승강기 설치 1 식 100,000 100,000 지자체 합계 : 2,115백만원 합계 : 1,518백만원(△597)
설계비 설계용역비 1 식 100,000 100,000 지자체
총소요액 ≒ 3,023,000

● 특별교부금 최대 확보 방법
특별교부금 특별교부금 (예상)
산출내역(전체)(단위 : 천원)
신청 내역(단위 : 천원) 교부 내역(단위 : 천원)

필로티 필로티
사업항목 물량 단가 신청예산 비고
1,074㎡*502=539,148 1,074㎡*502=539,148
필로티 1,074㎡ 502 539,148
화장실 화장실
화장실 33㎡ 2,195 72,435 33㎡*2,195=72,435 33㎡*2,195=72,435
계단실 20㎡ 1,157 23,140 계단실 계단실
체육관 1,127㎡ 1,764 1,391,619 대응70%적용 20㎡*1,157=23,140 20㎡*1,157=23,140
체육관 체육관
연결통로 15m 6,937 104,055
1,127㎡*1,764 1,127㎡*1,764
옹 벽 23m 2,024 46,552 *70%=1,391,619 *70%=1,391,619
특별교부금 소계(70%) 2,176,949 연결통로 연결통로
승강기 1식 100,000 100,000 15m*6,937=104,055 15m*6,937=104,055
옹벽 옹벽
설계용역 1식 100,000 100,000
23m*2,024=46,552 23m*2,024=46,552
감리용역 1식 30,000 30,000
합계 : 2,176,949천원 합계 : 2,176,949천원
부대토목 1식 □ □
□ □ □ □ ※ 옹벽의 경우, 높이에 따른 실제 교부금액 대비
교육경비지원금 소계(30%) 932,980 기준단가가 상이하므로 약 658백만원
신청서 상에 반드시 추가 확보 가능
총사업비(100%) ≒ 3,109,930
높이를 기재

※ 사업계획서 상 교육경비지원금 932,980천원에 내역을 맞출 수 없을 경우, 대응투자비율을 고려하여 특별교부금 신청 내역을 교육경비지원금으
로 조정하여 신청 ☞ 특별교부금 교부금액 소액 감소될 수 있음

2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특별교부금) 시설비 기준단가 미준수


사례2
< ○○고 체육관 냉난방개선 >

● 신청·교부내역 및 유의사항
특별교부금 신청 내역 특별교부금 교부 내역 유의사항

냉난방개선 15실*8,500천원 요구액 조정 127→88 ‘냉난방개선’은 특별교부금 시설비 기


합계 : 127백만원 - 냉난방 개선 15실*5,888천원 준단가에 포함된 항목이므로 해당 단
합계 : 88백만원 가(5,888천원)로 교부됨.
(경기도교육청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특별교부금 시설비 기준단가 5,888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개정
기준단가(GHP) 8,500천원으로 신청함) 천원으로 교부됨) (2018.4.24.)으로 ‘냉난방개선’ 기준
단가 5,506천원으로 변경됨.

기준단가 적용 시 유의사항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2018.4)』 “<별표1> 시설비 등 기준 단가” 포함 항목은 해당 단가 및 단위
로 산출하여 신청해야함 ☞ 23개 항목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2018.4)』 “<별표1> 시설비 등 기준 단가” 미포함 항목은 자체 단가를 적
용·산출하여 신청할 수 있음(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견적단가 등)

교육경비지원(대응투자) 상한금 존재
사례3
< ○○중 다목적체육관 증축 >

● 현황
- 총사업비 25억원에 대한 사업계획을 수립하였으나, 대응투자 확약서 상 교육경비 지원 상한금 존재(6억원)
(ex. 안산시, 시흥시 : 6억원, 수원시 : 8억원 등)
- 대응투자비율(30%)을 맞추기 위하여 특별교부금을 14억으로 신청(총사업비 20억원)
☞ 부족액 5억원은 기타재원(도비or교특회계 등)으로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증빙서류 無)
- 특별교부금이 14억원으로 교부되고, 여러 사정에 의하여 부족액 5억원에 대한 확보 가능성이 희박해
짐에 따라 사업 추진에 곤란을 겪음.

● 사업 추진 방향
- 특별교부금 신청 전 증축규모(면적), 재원확보 등에 대한 명확한 사업계획 수립 후 예산 신청
☞ 체육관 증축사업은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이므로(대응투자 전제) 사전에 명확한 사업 계획이
수립된 상태에서 예산 신청. 그렇지 않을 시 사업 추진 곤란 혹은 무산 가능성 있음

2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별지2

특별교부금 사업변경 승인 신청서 작성 예시


● 특별교부금 사업변경 승인 신청서
(당초) 사업명

경기도교육청(고·특수), ○○교육지원청(초·중)
소 속 직 책 성 명 연락처
담당자 행정실장 000 031-000-0000
학교명


담당자 000 031-000-0000

1. 사업개요 ∼ 4. 사업 변경 및 중단의 구체적 사유 (증거 서류 첨부)

예산수립단계
● 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 참조
5. 변경 요청 내역(물량 소수점 이하 절사, 단가 천원단위)

구분 당초 계획 변경 내용

예시) 예시)
- (강당) 사업물량 변경 내역
750㎡×1,764×70%= 926백만원 - (강당)
- (필로티) 800㎡×1,764×70%=987,840(▽61,740)
사업내역 750㎡×502= 376백만원 - (필로티)
750㎡×502=376,500
- (연결복도)
20m×6,937=138,740
→ 총 1,503,080천원(총201,080천원 증가)

특교 지자체 교특 특교 지자체 교특
소요재원
1,302,000 396,000 - 1,302,000 396,000 201,080

유의사항
- 물량(면적)증가에 따른 추가 소요예산은 특별교부금을 제외한 기타 재원확보계획 수립 후 신청
☞ 물량(면적) 증가가 있더라도 특별교부금은 추가 교부되지 않음
☞ 추가 예산 소요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재원확보 계획이 없으면 사업계획 변경 미승인 가능성 有
- 사례별 사업 변경 승인 신청 내역 : [별지3-예시1]참조(사례별)

2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별지3

사업계획변경에 따른 예산 감액 사례

사례1-1 ○고 다목적체육관 증축사업 ☞ 특별교부금 예산 감액 “92백만원”


● 사업계획 변경 승인 신청 및 승인통보 내역 (단위 : 천원)
사업계획변경 승인 신청 내역
사업계획 승인 통보내역
변경 전(=교부내역) 변경 후(=변경 신청내역)
당초 체육관 1,127㎡*1,764*70% 체육관 972㎡*1,764*70%(조정) 체육관 972㎡*1,764*70%
- 1층 필로티, 2층 체육관 계단실 20㎡*1,157 화장실 40㎡*2,195(추가) 화장실 40㎡*2,195
연결복도 15m*6,937 연결복도 20m*6,937(조정) 연결복도 20m*6,937
변경 기타(부대토목, 전력간선, 신재생에너지, 기타(부대토목, 전력간선, 신재생에너
- 단층(1층)으로 증축 설계비, 감리비) 1식*227,148(추가) 지, 설계비, 감리비) 1식*227,000
합계 : 1,518백만원 합계 : 1,518백만원 합계 : 1,426백만원

사례1-2 ○초 다목적체육관 증축사업 ☞ 특별교부금 예산 감액 “330백만원”


● 사업계획 변경 승인 신청 및 승인통보 내역 (단위 : 천원)
사업계획변경 승인 신청 내역
사업계획 승인 통보내역
변경 전(=교부내역) 변경 후(=변경 신청내역)
당초 체육관 750㎡*1,764*80% 체육관 632㎡*1,764*80%(조정) 체육관 632㎡*1,764*80%
- 1층 필로티, 2층 체육관 필로티 750㎡*502 필로티 750㎡*502(삭제) 화장실 41㎡*2,195
화장실 41㎡*2,195(추가) 냉난방개선 6실*5,888
변경 냉난방개선 6실*5,888(추가) 철거 673㎡130
- 단측(1층)으로 증축 철거 673㎡130(추가) 부대토목 1식*107,000
부대토목 1식*107,000(추가)
합계 : 1,434백만원 합계 : 1,434백만원 합계 : 1,104백만원

유의사항
- (사례1-1)특별교부금 교부·운용기준 상 시설비 기준단가 미포함 항목은 교부되지 않음.
- 물량(면적, 내역) 변경에 따른 사업비 교부(일반적)
· 물량(면적, 내역) 축소 : 축소된 물량(면적,내역)만큼의 특별교부금 삭감
· 물량(면적, 내역) 증가 : 인정되지 않음[단, 기교부된 특별교부금 범위 내라면 인정. (사례2) 참조

사례1-3 ○○고 특별교실 및 화장실 증축사업 ☞ 예산 감액 “0원”


● 사업계획 변경 승인 신청 및 승인통보 내역
사업계획변경 승인 신청 내역
사업계획 승인 통보내역
변경 전(=교부내역) 변경 후(=변경 신청내역)
당초 특별교실 433㎡*1,319천원 특별교실 547.52㎡*1,319(조정) 특별교실 547.52㎡*1,319천원
- 본관동∼관리동 연결 필로티 설치 연결통로 10m*6,937천원 계단실 149.40㎡*1,157(추가) 계단실 149.40㎡*1,157천원
후 2, 3층 증축 화장실 87㎡*2,195천원 연결통로 10m*6,937천원(삭제)
변경 필로티 130㎡*502천원 화장실 87㎡*2,195천원(삭제)
- 본관동 특수반옆 증축 필로티 130㎡*502천원(삭제)
- 화장실 설치계획 취소 후 특별교실 합계 : 895백만원 합계 : 895백만원 합계 : 895백만원
로 용도 변경

유의사항
- 사업내역 및 물량(면적) 변경이 있지만, 변경계획(내역)을 시설비 기준단가 포함 항목으로 변경하고 산출금액이 변동이 없어(총사업비 범위 내) 신청금액 그대로 교부
- 만약, 단순 물량(면적)만을 변경(축소)하거나, 시설비 기준단가 미포함 항목(내역)(ex.부대토목, 설계비 등)으로 변경 신청했을 시, 사업비 감소는 불가피

2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별지4

특별교부금 교부·운용 기준 <별표1> 시설비 기준단가 개정 전·후 비교표

● 개정 전(2018. 02.)

교부단가
구분 단위 비고
(단위 : 천원)

특별교실 ㎡ 1,319 공사집행 실적기준

급식소 ㎡ 1,653 공사집행 실적기준


체육관 ㎡ 1,764 공사집행 실적기준

예산수립단계
신증축 도서관 ㎡ 1,369 공사집행 실적기준

기숙사 ㎡ 1,638 공사집행 실적기준

청 사 ㎡ 2,048 전년단가×물가인상

연수원 ㎡ 1,947 전년단가×물가인상

화장실 ㎡ 2,195 교육청 예산편성 단가

계단실 ㎡ 1,157 교육청 예산편성 단가

부대시설 연결복도 m 6,937 산출단가

필로티 ㎡ 502 산출단가

철거공사 ㎡ 130 산출단가

옥상방수 ㎡ 104 산출단가

H:2m m 514 산출단가

옹벽 H:4m m 2,024 산출단가

H:6m m 4,171 산출단가

천장교체 ㎡ 138 산출단가


보수
바닥교체 ㎡ 128 산출단가

창호교체 실 12,304 산출단가

외벽보수 실 9,993 산출단가

냉난방개선 실 5,888 산출단가

화장실보수 ㎡ 1,638 교육청 예산편성 단가

2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특별교부금 교부·운용 기준 <별표1> 시설비 기준단가 개정 전·후 비교표

● 개정 후(2018. 04. 24.) ┃현재기준┃

교부단가
구분 단위 비 고① 비 고②
(단위 : 천원)
특별교실 ㎡ 1,432 증액
급식소 ㎡ 1,880 증액
신증축 체육관 ㎡ 1,950 무대, 창고, 화장실 등 포함 증액
도서관 ㎡ 1,461 증액
기숙사 ㎡ 1,770 증액
화장실 ㎡ 2,744 증액
계단실 ㎡ 1,237 증액
연결복도 m 7,495 폭 3.3m 기준 증액
부대시설
필로티 ㎡ 606 층고 3.6m 기준 증액
철거공사 ㎡ 150 철근콘크리트라멘조 기준 증액
승강기 개소 196,239 장애인용(15인승) 기준 항목추가
옥상방수 ㎡ 137 복합방수(노출) 기준 증액
H:2m m 606 L형 옹벽 적용 증액
옹벽 H:4m m 1,863 L형 옹벽 적용 감액
H:6m m 4,171 L형 옹벽 적용 동일
㎡ 96 LED포함(석면철거제외) 세분화
천장교체
㎡ 71 LED별도(석면철거제외) 세분화
바닥교체 ㎡ 142 목재후로링 현가식 기준 증액
창호교체 실 15,554 AL단열이중창+24MM 복층유리 증액
보수 알루미늄시트판넬+
외벽보수 실 10,905 외벽단열마감(적용비율 7:3) 증액
내부도장 ㎡ 11.7 친환경수성페인트 2회 항목추가
외부도장 ㎡ 10.9 수성페인트 2회 항목추가
냉난방개선 실 5,506 EHP: 장비전원 전기간선 포함 감액
화장실보수 ㎡ 2,118 장애인화장실 포함 증액
조명(LED)개선 실 3,598 LED는 관급자재 구매 항목추가
㎡ 65 마 사 토 → 친환경마사토 항목추가
운동장 조성
㎡ 75 인조잔디 → 친환경마사토 항목추가

2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3장 사업신청

1. 개요

사업신청
공문

교육청 제출 사업 예산신청


사업신청서

예산수립단계
현황사진
사업범위 도면

2. 관련법규(규정)
『예산편성 기본지침』대상사업 선정, 시설단가 적용 관련
『공동주택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건물수선주기 관련
『지방계약법 시행규칙 제69조』하자담보책임기간 관련

3. 시설공사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사업계획 관리
- 학교시설공사는 종합계획에 의한 연차적 사업계획으로 추진
- 학교시설물이력관리부, 교육환경개선사업 우선순위부 등 확인
- 사업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준공 후 다른 목적 사용 방지)
※ 사업신청 전 장기계획, 타예산 중복여부 등 교육지원청에 사전 확인

최근 보수이력 검토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 하자보수 관리부(대장)에 따라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 여부 확인
-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기간 내에 예산투자 금지
(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책임의무 이행-계약사항 임)
- 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의무의 부당한 경감 방지
※ 하자보수 관리부(관리대장)는 사업발주기관에 따라 별도 관리하고 있으므로 학교 또는 해당교육지원청에서 확인

Tip
사업신청 전 장기계획, 타예산 중복여부 등 교육지원청에 사전 확인
하자담보책임기간 중 동일부위 동일사업 시행 금지

용어설명

수선주기 : 건물을 구성하는 요소별 내구연한에 따라 부위별 수선 또는 교체할 시기


내구연한(사용수명) : 원래(시공당시)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
하자담보책임기간 : 공사 완성일로부터 시작하여 시공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시공자가 보수의 책임을 부담하는 기간

2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공문서 작성 (예시)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기본 현황 작성(시설현황, BTL여부 등 포함), BTL 학교인 경우 재무모델의 운영비 포함 여부 확인
해당 사업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상세히 서술
- 노후 시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학부모 민원 접수 등의 현안문제 내용 포함
신청액 및 산출기초
- 특별교부금 및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활용(시설과 자료실 탑재)
- 기준단가 없는 사업일 경우 동일조건의 비교견적(2인 이상)후 최저가 적용
최근 5년간 같은 사업 또는 유사사업 집행실적 작성
- 예산 중복투자 방지 등
현황사진
- 노후 시설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전경사진, 확대사진) 다수 첨부
현황도면
- 학교 실별 배치도(단선도면) 혹은 준공도면을 활용
- 사업범위 및 물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해당 도면에 표기

1. 사업계획의 즉흥적·편법적 추진여부 2. 중복투자 여부 3. 예산낭비 여부


감사방향 - 준공 후 사업목적 외 사용 등

Tip
현황사진 현황도면

용어설명

준공도면 : 공사 완료된(설계변경 등 내용 포함) 시설물의 형태, 구조를 나타낸 도면

3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참고1 2018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단가
구분 단위사업 사업내용 단위 비 고(단가 산정기준)
(천원)
★ ㎡당 104천원, 실당 102㎡ 기준
옥상A(노출형복합방수) 실 10,608
- 옥상B + 실외기(전기선로) 이설 및 재설치 + 가스충전 포함
- 실당 102㎡ 기준
옥상B(노출형복합방수) 실 8,997
- 옥상C + 난간벽 및 두겁 포함
방수
- 실당 102㎡ 기준
옥상C(노출형복합방수) 실 6,427
- 철거 및 바탕정리 포함, 치켜올림(H=0.3)
- 실당 외벽면적 50㎡ 기준
외벽 (침투성도막방수) 실 2,000
- 바탕정리, 고소작업대 포함
전면 개보수 ㎡ 2,118 - 특별교부금 교부단가 적용
화장실개선


증축 ㎡ 2,744 - 특별교부금 교부단가 적용
이중창설치 이중창설치 실 16,442 - 3.6m*2.1m*4개소(복도포함,석면제외)
- 1실(앞뒤 2개소),석면해체제외

예산수립단계
교실출입문교체 목재창,문,틀 교체 실 7,650
건축 - 조적 칸막이 철거 후 재설치
외벽교체 외벽교체 실 11,906 - ㎡당 단가 256천원(벽면적46.5㎡)
- 복도포함, 실당102㎡ 기준
내부도색A 실 1,770 - 기존 벽체 페인트 긁어내기, 내부비품 이전 포함
건물내부도장 - 수성P(낙서방지P)+계단실등(무늬코트,본타일)가능
- 복도포함, 실당102㎡ 기준
내부도색B 실 985
- 친환경수성P 2회기준
건물외부도장 외부도색 실 648 - 친환경수성P 2회기준
★ ㎡당 128천원, 실당 66㎡ 기준
교실(목재후로링) 실 9,372
- 내부비품 이전 및 재배치 비용 별도
교실바닥교체
- 1실(66㎡ 기준)
교실(비닐타일) 실 3,319
- 내부비품 이전 및 재배치 비용 미포함
체육관바닥교체 바닥교체(목재후로링) ㎡ 260 - 층간소음, 방음, 차음 별도
- 전기(1,544), 석면(317), 기타(561)포함
전기천장형(멀티형) 실 7,300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미포함
도시가스 개별냉,난방 실 6,562
- 전기(1,544),석면(317), 기타(561) 포함
전기천장형(싱글형) 실 5,506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미포함
기계 냉난방개선
- 전기(952), 석면(317), 기타(561) 포함
가스(GHP) 천장형(멀티형) 실 9,400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가스배관공사(실비) 미포함
중앙냉난방개선 식 실소요액
대공간 냉난방개선
㎡ 166 - 옥외 전기 간설비 제외
(제트공조기+공기순환휀설치)
LED조명-교사동 LED조명기구-교실 실 4,300 - 1실(66㎡ 기준)
전기 LED조명-체육관 자동승강용 개소 2,500
LED조명-보안등 LED조명-보안등 개 1,200
소형고압블럭(U형, T=80mm), 경계석 蕪 ㎡ 46
소형고압블럭(U형, T=80mm) ㎡ 53
토목 포장
콘크리트(T=200mm기준) ㎡ 59
점토바닥블럭(차도용, T=75mm기준) ㎡ 94

Tip
교육환경개선 단위사업별 기준실수에 대한 면적기준 다름에 유의
(※기준단가표 비고란 확인)
예1) 바닥교체 1실 : 교실 = 66㎡
예2) 방수, 도장공사 1실 : 교실+복도 = 102㎡

한셀파일 연동
1. 2018년 교육환경개선기준단가

31

설계단계
제1장 설계용역
제2장 사례따라하기[도장공사]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Ⅲ 설계단계
제1장 설계용역

1. 설계용역-일반사항

가. 개요
설계용역이란?
건축, 토목, 전기, 기계 공사 목적에 따라 실제적인 계획을 세워 도면 등으로 명시하는 일
건축사가 자기 책임하에(보조자의 조력을 받는 경우 포함) 건축물의 건축·대수선, 건축설비의 설치 또
는 공작물의 축조를 위한 도면·구조계획서, 공사시방서, 건축설계비계산 관계 서류, 토질 및 지질관계
서류, 그 밖에 공사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고 그 설계도서에서 의도한 바를 해설하며 지도·자문하는
행위(건축사법 제2조제3호 및 시행규칙 제3조)

나. 관련법규(규정)
※ 법령은 수시로 변경되므로 적용시점에 반드시 최신 법령을 확인하여아 함[이하 동일]
건축사법[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11호, 제2015-762호, 제2016-1025]
- 제19조의 3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 제20조 (설계·건설사업관리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 업무요령)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166호]
전력기술관리법 운영요령[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106호]

업무내용 관계 법령 및 규정 주요 참고사항
예산편성 기본지침 설계비 단가, 등급 적용
건축법 제23조 설계용역(건축사 작성)
설계용역 건축사법 제4조 설계용역(설계자 자격)
국토해양부고시 제2015-911호 건축사 업무범위, 대가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4장 설계용역계약

Tip

사업비 예산배정 후 설계용역 계약 설계도서란?


건축물의 건축등에 관한 공사용 도면, 내역
세부업무명 사업확정 설계용역 시행 건축승인
서, 시방서, 구조계산서, 그 밖에 국토교통부
령으로 정하는 공사에 필요한 서류-건축법
공사착공
준공검사 감리용역시행 공사시행 제1조 14호
감리용역 착수

한셀파일 연동 1. 건축사법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11호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62호

3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업무내용 관계 법령 및 규정 주요 참고사항
지방계약법시행령 제15조제1항 입찰에 관한 서류(설계도면 등 작성)
설계서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3장 계약문서
작성
제2절 “ 2-나-4”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2장제5절 공사원가계산


일위대가표, 자재단가표 공사원가 및 견적가격 검토
교육청 공사원가제비율표 - 재료비, 노무비, 경비
(시설과 자료실) - 자재단가 비교·검토
대한건설협회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보고서 공사원가 제비율 검토
(연2회 발표)
예정가격 (고용노동부) 4대 사회보험 민원서류 접수 등에 시중노임단가 검토
결정 관한 고시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 사회보험료 적용 기준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8호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제61조, 별표8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계상 및 사용기준
환경보전비 계상 및 산출기준

다. 단계별 설계용역의 종류
[건축설계 : 계획설계·중간설계 및 실시설계의 단계로 구분]
※ 각 단계별 설계도서의 작성 내용은 별표2에 따라 다름


기획설계 : 발주자로부터 제공된 자료와 기획업무 내용을 참작하여 건축물의 규모, 예산, 기능, 질, 미
관적 측면에서 설계목표를 정하고 가능한 해법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디자인 개념의 설정 및 연관분

설계단계
야(구조, 기계, 전기, 토목, 조경 등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기본시스템이 검토된 계획안을 발주자에게
제안하여 승인을 받는 단계

중간설계 : 계획설계 내용을 구체화하여 발전된 안을 정하고, 실시설계 단계에서의 변경 가능성을 최


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검토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연관분야의 시스템 확정에 따른 각종 자재, 장
비의 규모, 용량이 구체화된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발주자로부터 승인을 받는 단계

실시설계 : 중간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입찰, 계약 및 공사에 필요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단계로서, 공


사의 범위, 양, 질, 치수, 위치, 재질, 질감, 색상 등을 결정하여 설계도서를 작성하며, 시공 중 조정에
대해서는 사후설계관리업무 단계

Tip
용어설명
소규모 학교공사 관련 설계의 단계는?
대부분 실시설계단계임 건축사 : 국토교통부장관의 면허를 받아 건축물의 설계와 공사감리 업무
를 수행하는 자
설계도서의 종류
설계 : 자기 책임 아래 건축물의 건축, 대수선, 용도변경, 리모델링, 건축
- 도면 :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
설비의 설치 또는 공작물의 축조를 위한 행위
- 시방서 : 일반시방, 특기시방
- 조사 및 기획하는 행위
- 내역서 : 원가계산서, 세부내역서, 일위대가, 수량산출서, 견적서 등
-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행위
- 계산서 : 구조계산서, 설비부하계산서
- 설계도서에서 의도한 바를 해설·조언하는 행위

3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건축법 제11조에 따른 건축허가 또는 동법 제14조에 따른 건축신고만으로 건축이 가능한 건축물의 각 단계별


업무비율]
발주자의 요구에 따른
구 분 일괄수행 시 업무비율(%)
분리수행 시 업무비율(%)
계획설계 20 25
중간설계 30 35
실시설계 50 60
계 100 120

직선보간법 : 공사비가 요율표의 중간에 있을 때 특정 요율을 찾기 위한 공식(설계용역비 산출, 감리원수


산출 등에 적용)

라. 설계용역 업무수행 범위
1) 설계서는 시방서, 도면, 내역서 및 현장설명서 등을 포함하며 수량산출조서도 첨부시켜야 함.
2) 설계도는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소방, 정보통신 등 상호 관련된 내용으로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함.
3) 설계도 작성시 건축법, 소방법,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처리에관한법률 등 관계법규에 저촉되는 일이
없도록 함.
4) 설계도면 작성시 시공에 지장이 없도록 각 부분의 세부 상세도를 첨부

마. 대가산정 기준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제3장 제8조 대가산출의 원칙에 의거 공사비요
율 또는 실비정액가산식 적용

바. 공사유형에 따른 대가방식 적용기준


1) 입찰 : 설계용역비 산출은 공사비요율 또는 실비정액가산식 적용함(별첨 참조)

설비정액가산방식 공사비요율방식

★보수공사 ★보수공사 ★신·증축공사 ★보수공사


오천만원 이하로 단순공정이 반복되어
신축신설학교증축 화장실보수공사,
공사비는 적으나 공사를 위한 도면의
체육관, 급식소, 교실 등 급식소보수공사,
최소한의 공사를 양은 적으나, 물량이
위한 도면이 필요한 많아 공사비가 많은 외벽교체공사,
공사 공사 외부창호교체공사,
옥상방수공사,
후로링바닥교체공사,
단순 리모델링공사, 도장공사, 교실출입문교체공사,
트렌치보수공사, 비닐타일바닥교체공사
석면텍스교체공사 등
00전원공급공사 등

Tip
간혹, 예산 신청 소요금액을 위해 설계용역을 주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불필요한 작업임. (교특 신증축 및 환경개선사업 단가
적용하여 예산 신청 가능)

3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 수의 : 업체에서 2인이상 견적받아 최저가 계약


※ 공사비 요율에 따른 설계대가 산정 기준[경기도교육청 시설과-8276(2016.08.30.)

학교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의 조정 개선(안)


(대가산출의 원칙) 공사비요율 적용(추가업무비용은 별도의 실비로 계상)
(대가의 조정) 공사비요율 대비 설계업무범위 조정이 필요할 경우 실비정액가산식 적용

설계단계별 업무비율 기준[종별 : 제2종(보통), 도서의양 : 중급]

설계단계별 업무비율
실비정액가산식
사업구분
적용기준[설계금액(α)]
계획 중간 실시 계

신축 20% 30% 50% 100% -

별동 10% 20% 50% 80%



수평 10% 15% 50% 75% α ≤ 5,000천원

수직 5% 15% 50% 70%

화장실·급식실 - - 60% 60% α ≤ 4,000천원

외벽보수 - - 50% 50% α ≤ 3,000천원



수 천장·바닥·방수·


- - 40% 40% α ≤ 2,000천원
창호·기타단순공사

도장 - - - - 실비정액가산식

설계단계
화장실·급식실 업무비율 60%는 전면개보수 업무비율로 단일공정 등 단순 공사시 기타단순공사 업무비율
40%를 적용
기존 도면파일이 없을 경우 실시업무비율에 +(2% ~ 5%) 적용
-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 등 도서의양에 따라 적용비율 변경
증축·보수의 설계단계별 업무비율은 현장여건 및 도서의양 등을 검토하여 하양 조정이 필요할 경우 조정 가능
실비정액가산식 적용시 설계지침서에 도서작성목록 기재

용어설명

설계서 : 설계한 내용을 써 놓은 문서로 「건축법「계약법」에서의 정의가 조금은 상이하여 업무내용에 따라 적용이 요구됨
※ 건축법: 설계용역(건축사 설계도서 작성), 공사감독 등
- 공사용도면, 공사설계설명서(시방서), 구조계산서, 건축설비계산 관련 서류, 토질 및 지질조사 관련 서류, 기타 공사에 필요한 서류
※ 계약법: 계약문서(계약내용 이행여부 확인), 설계변경, 공사감독 등
- 설계도면, 공사설계설명서(시방서), 현장설명서, 물량내역서(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
공사설계설명서(시방서) : 그림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설계도면에 대한 설명이나 기술적인 사항을 글로서 표시해 놓은 도서 ※ 내용: 공사에 쓰이는 재료, 설비, 시공
체계, 시공(기준 및 기술)설명 등
설계도면 : 공사목적물의 내용을 구체적인 그림으로 표시해 놓은 도서
※ 설계자의 의사나 계획을 그림으로 표현(건축제도 통칙 KS F1501)

3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질문과 답변

Q 설계용역은 왜? 주는지? 어떤 사업일 경우라도 줄수 있는지?


A 사업추진을 위해 물품 구입이 아닌 공사를 위한 설계서가 필요한 경우 모두 줄 수 있음.
1. 공사견적을 위한 기초도면작성을 위해(선택)
2. 견적 등의 수의계약으로 공사가 가능하지 않고 입찰공고를 해야 할 경우 설계서 작성을 위해(권장)
3. 학교시설사업촉진법에 의거 인허가를 위해(의무)

Q 법적의무가 아닌 권장인 시설공사계약을 위한 설계도서는 왜 작성하는지?

A 1. 설계도서를 갖추는 목적은 기록유지와 검증을 위한 것임


2. 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내역서) 없이 견적서에 의한 공사를 집행하면 시공사의 재량이 너무 많아
갈등과 오해가 생김
3. 공사감독 및 집행이 불가능하고 내역서의 물량 확인이 어려움
4. 정형화된 도면이 아니어도 위치, 범위, 수치와 규격을 정확히 기재한 도면을 갖추어야 함

Q 수의대상인 설계용역비 견적을 받아보기 위한 설계사무실은 어떻게 알아보는지?

A 학교현장조사, 사용자협의(학교장, 행정실장, 학부모 등) 등을 위한 직접 경비등을 고려하면 주로 지역


업체가 유리하므로 관내 등록된 업체리스트를 건축사협회 또는 지역교육청 계약부서에 문의하여, 2개
업체 이상 견적받아 최저가 계약

Q 설계협의 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A 설계용역에 대한 계약행위는 학교에서 하나, 설계에 대한 학교(사용자)의견을 청취한 뒤 도면 및 내역
에 대한 설계도서가 작성이 이루어지고 나면 교육청 담당자에게 기술검토 요청 가능함.

Q 설계가 완료되고 나면 어떤 도서를 납품 받아야 되는지?

A 설계계약을 추진할 시 제시된 과업지시서에 납품도서 목록이 있으므로, 종류 및 수량에 맞게 납품 받


으면 되며, 과업지시서는 붙임참고자료로 제공

Tip
설계서 작성은 왜?
설계서는 계약담당자가 입찰이나 수의계약 등에 부칠 사항에 대하여 예정가격 작성을 위한 공사비 산출의 기준 및 근거가 되고, 계약을 맺은 이
후에는 공사감독과 검사과정에서 계약대로 이행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공사금액과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공사에 대하여 설계서
(설계도면, 설계설명서)를 작성하여야 함.

설계서 작성은 G2B, S2B 이용시 건축사(설계용역)가 작성 1인 견적에 의한 수의계약시는 계약상대가 작성하도록 요구

용어설명

견적서 : 시설공사나 물품 공급 등에 있어 공급자가 발주자에게 공급 가능한 내용 및 제반 비용을 적산(積算)형태로 기술하여 제출하는 문서


※ 견적서 종류 : 1) 단위대가 견적서(가장 일반적 형태- 품목, 단위, 규격, 수량, 단가, 금액), 2) 일위대가 견적서(원가계산 방식- 건설, 시설, 인테리어공사 등),
3) 품목대가 견적서(물품공급 명세서)

3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 설계용역-시행
가. 개요

설계용역 시행
설계용역비
과업지시서 [예듀파인
산출서
품의하기]

나. 사례 따라하기

★ 품의하기-공문서 작성
★ (붙임1) 설계용역비 산출서
★ [붙임2) 과업지침서 작성

① 품의하기
조회방법 : 에듀파인 > 지출관리 > 지출처리 > 품의작성
작업순서 : ①지출관리 → ②품의작성 → ③입력 → ④예산선택 → ⑤산출 내역 선택 → ⑥확인 →
⑦행추가 → ⑧저장 →⑨결재요청 / 승인


설계단계

Tip
설계용역비도 학교회계 지출(에듀파인) 유형의 일부이므로 세부적인 품의부터 지출까지의 절차는 어서와~교행은 처음이지 참고바람
학교시설공사 집행 중점사항 2. 설계
1. 설계전 가. 현장조사 : 현황파악, 각종 자료의 수집, 기본 설계도면 및 시공기록
가. 공사의 필요성 여부 검토(학교 구성원의 의견 수렴) ※ 학교시설물의 설계도면의 보존기간 : 30년 내지 영구보존
나. 공사의 범위 및 규모 산정 나. 설계도면 작성 :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 부분상세도
다. 공사의 사업예산 확보(자체예산, 외부재원, 보조사업 신청 등) 다. 공종별 수량 산출서 작성
라. 공사의 시기 및 기간 산정 라. 내역서 작성 : 노무비, 재료비, 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등
마. 설계 방법 및 일정 검토 마. 시방서 작성 : 표준시방서, 특기시방서
바. 예산과 설계 내역의 적정성 검토

3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② 공문서 작성 [예시]

용역금액 및 용역기간 명시

Tip
설계용역기간 한글파일 연동
☞ 사업기간에 따라 조정가능 1. 설계용역 시행
(원하는 착공시기에 맞춰 역으로 공사입찰기간, 설계용역기간을 산출하여 최소 설계용역 착수기간 확인) 공문서 작성 양식

4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③ 설계용역비 산출서
※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제18조(실비정액가산식에 따른 대가산정)
사업명 : 00초 내부도장공사 설계용역
가. 직접인건비
구 분 직 종 인 단가 금 액 산출근거 (일)
건축사보(중급) 0.00 198,567 0
기존 현황도면 작성
기계설비(중급) 0.00 210,081 0
건축사보(중급) 2.98 198,567 591,730 2.98인
일반도면 및 상세도면 작성
기계설비(중급) 0.00 210,081 0
색채계획서 작성 건축사보(중급) 0.00 198,567 0
시방서 작성 건축사보(중급) 0.50 198,567 99,284 0.5인
기타 납품도서 작성 건축사보(중급) 0.50 198,567 99,284 0.5인
계 3.98 790,297

나. 직접경비
구 분 직 종 인 단가 금 액 산출근거(일)
건축사 0.50 363,289 181,645 0.5인
현장조사건축사보(중급) 0.00 198,567 0
기계설비(중급) 0.00 210,081 0
건축사 0.50 363,289 181,645 0.5인*1회
직접경비 사용자 의견수렴
건축사보(중급) 0.00 198,567 0
건축사 0.25 363,289 90,822 0.25*1회
교육청 협의 및 검토
건축사보(중급) 0.25 198,567 49,642 0.25*1회
소 계 1.50 503,753


건축공사 1식 700,000 700,000 견적금액(1교)
공사원가계산
위탁비 기계설비공사 300,000 0

설계단계
소 계 700,000
계 1,203,753

다. 제 경 비 790,297 * 110% 869,326 (110% 적용)


라. 창작 및 기술료 1,659,623 * ~120% 331,925 (20% 적용)
마. 총 액 20% ~40% 3,195,301
아. 손해배상 공제료 19,000 (실시설계→교육연구시설)
바. 부가가치세 0.692% 321,430
사. 합 계 3,535,731
자. 설계용역비 ≒ 3,535,000
작성자 : 직)

Tip
2018년도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 건축사 : 기술사에 해당 한셀파일 연동
구분 건설 기계/설비 건축사보 : 중급기술자에 해당 1. 설계용역비 산출서
기술사 363,289 370,786
※ 기술사 : 기술사자격 취득자 (실비정액가산방식)
특급기술자 276,720 317,111
※ 특급기술자 : (산업)기사자격 취득후 전문분야 10(13)년 이상 2. 설계용역비 산출서
고급기술자 224,307 261,966
중급기술자 198,567 ※ 고급기술자 : (산업)기사자격 취득후 전문분야 7(10)년 이상
210,081
(공사비요율에 따른 방식)
초급기술자 156,448 ※ 중급기술자 : (산업)기사자격 취득후 전문분야 4(7)년 이상
179,361
※ 초급기술자 : (산업)기사자격을 취득한 자
학교 여건별 필요 도면에 따라 값이 달라짐

용어설명

손해배상 보험료 계상 : 건축사의 손해배상 보험 또는 공제 가입비용 계상


※ 설계ㆍ감리 등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업무요령[국토해양부 고시 2009-385호]

4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④ 설계용역비 산출근거
설계도서 작성업무 요율 : 간단1, 보통 1.5, 복잡 2.0
현장 점검 및 실측 요율 : 100M2당 10분~20분 적용

설계비 산정
업무 시간(H) 비고
구분 도서작성목록 단위 수량
난이도 (1인=8H)
(L) 현장점검 도면작성 계

표지 식 1 1.00 0.00 0.00 0.00


도면목록표 식 1 1.00 0.00 0.50 0.50
현장점검
배치도 식 1 1.00 0.00 0.50 0.50
건축물대장확인

일반 설계개요 식 1 1.00 0.00 0.50 0.50 건축물대장검토


도면 현장점검
재료마감표 식 1 1.00 0.00 0.50 0.50
작성 사용자협의
각층평면도 층 5 1.00 1.00 1.00 10.00 5층 : 5*2 = 10/8인
입면도 EA 0 1.00 0.00 0.00 0.00 전·후면, 좌·우측면
단면도 EA 0 1.00 0.00 0.00 0.00 평, 입단면
계 1.00 3.00 12.00 12/8인
일반교실 평면도,
EA 1 1.00 0.20 2.00 2.20
전개도
특별교실 평면도,
상세 EA 2 1.00 0.30 2.00 4.60 - 확대평면도
전개도
도면 - 전개도4면작성
복도평면도, 전개도 EA 1 1.00 0.50 2.00 2.50
작성
계단실 평면도,
EA 1 1.00 0.50 2.00 2.50
전개도
계 1.50 8.00 11.80 11.8/8인
합 계 2.98
내역서 견적서(2개소 이상)
외주비 기계설비 견적서(2개소 이상)
기타 견적서(2개소 이상)
일반 공사전사진
사항 공사시방서 일반·특기시방서

Tip
학교에서 주로 계약하는 설계용역은? 한셀파일 연동
주로 소규모공사에 대하여 추진하는 설계용역은추정가격 1천만 원 이하 로 1인 견적서 1. 설계산출서(실비정액가산방식에
수의계약 가능 의거한 설계도서량에 따른 산출근거
따라서 책자에서 설명하는 설계용역비 산출서는 설계사무실에서 제출한 견적금액이 적정한
범위에 들어오는지 판단하는 정도만으로 참고

용어설명

공사설계설명서(시방서) : 그림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설계도면에 대한 설명이나 기술적인 사항을 글로서 표시해 놓은 도서
※ 내용: 공사에 쓰이는 재료, 설비, 시공체계, 시공(기준 및 기술)설명 등

4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⑤ 설계도서작성지침서

제 1 장 설계개요

설계도서작성지침서 1. 사 업 명: 00초 내부도장공사 설계용역

2. 사업개요
가. 대지위치 : 00초등학교내
나. 사업규모 : 내부도장공사 1식

용 역 명: 00초 내부도장공사 설계용역 3. 사용자의견수렴


용역자는 현장조사 및 기본설계(안) 작성 시 사용자를 대
상으로 의견 수렴회를 실시하여야 하며, 사용자등의 의견
을 취합하여 설계 반영 여부를 교육지원청과 협의하고 결
2018. 00
과를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00초등학교 4. 용역수행내용

중략

가. 설계 개요 및 법령 등 제기준의 검토

사업기간에 따라 조정가능 납품시 받아야 할 도서목록

7. 용역 시행기간 6. 설계도서 납품 내용


가. 본 용역설계의 시행기간은 착수일로부터 ( 60 )일로 한다. 가) 실시설계도서
나. 기초설계( 20 )일, 최종설계( 40 )일이며 설계과정은 1) 설계도서 원본 A3 각 1부, 백상지 A3 반책 6부
다음과 같다. 2) 색채계획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설계단계
3) 공통 및 특기시방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구분 세부사항 일수 비고
1. 현장조사 및 사용자의견 조사 2 4) 설계 내역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2. 사용자 시설요구수준 대상학교 사례조사 및 타당성 검토 2 5) 수량 산출서, 일위대가표, 자재 단가산출표 원본 1
3. 기초 실시설계도서 1차 협의 3
실시 4. 기초 실시설계도서 2차 협의 부 및 사본 2부
3
설계 6) 설계도서 원본 CD 2매(도면(한글Font 및 Plot
(기초) 5. 기초 실시설계도서 3차 협의 4
6. 사용자 참여 협의회 개최 및 기초 실시설계(안) 확정 3 Style포함), 시방서, 내역서류)
7. 기초 실시설계도서 최종 수정 3
소 계 20
8. 본 실시설계도서 작성 7 나) 본 공사의 시공 중 불합리 또는 계획변경에 따른 설계
9. 본 실시설계도서 1차 협의 5 변경 시는 다음 내용을 제출하여야 한다.
10. 본 실시설계도서 2차 협의 5
실시 11. 본 실시설계도서 3차 협의 - 설계변경 도면 원본 및 청사진 5부 (A3 반책 5부)
6
설계 - 설계변경내역서 및 수량 산출서 각2부
(본) 12. 개략공사비 산정 7
13. 납품도서 중간검토 및 보완제출 6 - 특기시방서 2부
14. 최종납품도서 제출 4
소 계 40
총 계 60

Tip
본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설계도서 과업지침서는 모든 종류의 설계용역 지침서 제공에 한글파일 연동
한계가 있으므르, 각 학교별 특색, 공사 종류에 따라 일부 수정 후 반영 바람 1. 설계도서작성지침서

용어설명

과업지시서 : 용역 업무 전반의 구체적 내용을 규정한 문서로서, 용역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용역과업지시서에는 용역명 및 용역 금액을 비롯하여 과업의 목적과 범위를 정확하게 명시해야 한다. 또 업무 처리의 원칙과 업무 자세, 단계별 업무 내용 등을 상세
하게 기재하도록 한다. 기타 용역과업지시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 또는 계약문서 규정에 따라 처리하도록 한다.

4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3. 설계용역-착수
가. 착수계[예시]

착 수 계

1. 용역명 : 00초 00공사 설계용역


2. 계약금액 : 일금 삼백이십만원정(\3,200,000)
3. 도급자 : 00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사 000
4. 계약년월일 : 2018년 1월 1일
5. 착수년월일 : 2018년 1월 7일
6. 납품예정일 : 2018년 3월 6일 (용역기간 : 60일)

위와 같이 착수계를 제출합니다.

2018년 1월 7일

계약상대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00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0 0 0 (인)

00학교학교장 귀하

Tip
착수계 서류
1. 착수계 제출 6. 설계용역보안각서
2. 설계용역비 과업내역서 7. 사업자등록증
3. 설계용역 예정공정표 8. 건축사업무신고필증
4. 책임기술자선임계 9. 건축사면허증
5. 참여기술자명단 10. 건축사면허수첩

용어설명

용역착수계 : 용역 계약 체결 후 계약 이행의 시작을 알리는 내용의 문서를 말한다.


용역착수계에는 용역 사업명과 계약금액, 계약 수행 기간 등을 구체적으로 기재해야 한다. 또 계약서 및 과업지시에 따라 용역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자
착수계를 제출한다는 내용을 명시해야 한다.
그 밖에 필요에 따라 용역책임자계, 사업수행 계획서 등의 서류를 첨부하여 함께 제출하도록 한다.
도급자 : 일정한 기간에 완성해야 할 일의 양을 도거리로 맡기는 업자.

4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나. 설계용역 중 설계검토
설계검토시 중점 체크사항
구분 확인결과
목적에 맞는 사업인지 여부
건축법 등 관계법령 위배 여부
예산내역 물량 확보 여부
설계도면 및 시방서의 적정성
내역서 및 일위대가표의 작성 적정성
전문가격 조사기관, 표준품셈, 국토부 실적단가 등
친환경자재 설계적용 여부
예산액 대비 설계금액 과부족 확인
예산 초과금액에 대한 확보 방안 확인
설계도서 건축사의 확인여부
원가계산작성시 학교시설 공사비 제잡비율 확인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 적용 : 『학교안전사고예방및보상에관한법률』제7조1항 동법시행령 제10조, [서
식26]
기타사항 검토

지역교육청 설계검토 요청-예시


OOOO학교
수신자 00교육지원청(교육시설과장)
(경유)
제목 0000 공사 설계 도서 검토 요청


1. 관련 :

설계단계
2. 2018년도 시설사업계획에 의하여 추진중인 본교 “0000 공사”의 설계도서에 대한 검토를 요청합니다.

붙임 1. 사업계획서 1부.
2. 설계도서 각 1부. 끝.

OOOO학교장
수신자

협조자

시행 접수
우 /
전화 전송 / / 공개

Tip
한글파일 연동
1. 설계용역 도서 검토 요청 공문

용어설명

공종 : 공사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작업 단계(가설공사, 기초공사 등)


※ 각각의 공종별로 공종내의 세부비목(작업단계)으로 구성(기초공사 : 기초파기, 되메우기, 잔토운반 등)
표준품셈 : 정부에서 제정한 원가계산의 비용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건설공사의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공법 및 공종을 기준으로 단위
수량의 시공에 소요되는 재료량, 노무량, 장비사용시간(기계경비) 등을 수치로 표시한 적산기준
일위대가 : 해당공사의 공종별 단위당 소요되는 재료비와 노무비를 산출하기 위하여 품셈기준에 정해진 재료량 및 노무량에 각각의 단가를 곱
하여 산출한 단위당 공사비

4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설계용역-검수
가. 완료계제출-설계사무실 공문 외
① 설계사무실 공문[예시]

00종합건축사사무소

우 : 16282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TEL : (031)123-4567 Fax : (031)123-5678

문서번호 : 12345_00초
선결
일시 : 2018.01.01.
수신 : 한국초등학교 결재
접수일시 번호 ·
참조 : 담당자 공람
제목 : 00초 00공사
처리과
설계용역 완료계 제출 건

1. 귀 교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00초 00공사 설계용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완료계 관련서류를 제출합니다.

※ 첨부서류 ※
용역완료 관계서류 1식. 끝.

00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사 0 0 0 (인)

Tip
납품예정일보다 설계기간이 늦어질 경우 타당한 사유가 있을 지연배상금(지체상환금)
경우 납품 예정일 연장 가능 관련법규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30조, 동
☞ 용역 변경 계약할 것 법 시행령 제90조, 동법 시행규칙 제75조
EX) 발주자(학교)측의 의견 추가 반영 등의 소요시간으로 인한 연장 등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계약담당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의 이행을
지체한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지연배상금을 내도록 하여야 한다.]
☞ 공사 : 1000분의 0.5
☞ 용역 : 1000분의 1.3

용어설명

완료계 : 완료계 또는 용역완료보고서는 용역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이 완료됨에 따라 용역 업체에서 해당 업체에 이에 관한 내용을 알리기 위해 제시하는
문서이다. 주로 용역명, 계약번호, 계약자, 계약연월일, 계약금액, 용역수행기간, 완료연월일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4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② 완료계 [예시] ③ 납품검사원[예시]

완 료 계 납품검사원

1. 용역명 : 00초 00공사 설계용역 1. 용역명 : 00초 00공사 설계용역


2. 계약금액 : 일금 삼백이십만원정(\3,200,000) 2. 계약금액 : 일금 삼백이십만원정(\3,200,000)
3. 도급자 : 00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사 000 3. 도급자:00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사 000
4. 계약년월일 : 2018년 1월 1일 4. 계약년월일 : 2018년 1월 1일
5. 착수년월일 : 2018년 1월 7일 5. 착수년월일 : 2018년 1월 7일
6. 납품예정일 : 2018년 3월 6일 6. 납품예정일 : 2018년 3월 6일
7. 납품일 : 2018년 3월 6일 7. 납품일 : 2018년 3월 6일
[납품예정일보다 늦을 경우 지연배상금(지체상환금) 발생] 위 설계용역에 대한 납품검사원을 제출합니다.
위 같이 완료계를 제출합니다.
2018년 3월 6일
2018년 3월 6일

계약상대자 : 계약상대자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00종합건축사사무소 00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0 0 0 (인) 대표 0 0 0 (인)

00학교학교장 귀하 00학교학교장 귀하


④ 납품서[예시] ⑤ 설계도서 납품목록[예시]

설계단계
납 품 서 설계도서 납품 목록
[00초 00공사 설계용역]
1. 용역명 : 00초 00공사 설계용역
2. 계약금액 : 일금 삼백이십만원정(\3,200,000)
1. 설계도서 원본 A3 각 1부, 백상지 A3반책 6부
3. 도급자:00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사 000
2. 공통시방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4. 계약년월일 : 2018년 1월 1일
3. 특기시방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5. 착수년월일 : 2018년 1월 7일
4. 설계내역서 원본 1부 및 사본 2부
6. 납품예정일 : 2018년 3월 6일
5. 수량산출서, 일워대가표, 자재 단가산출표 원본 1부 및 사본
7. 납품일 : 2018년 3월 6일
2부
6. 설계도서 원본 CD 2매
상기 설계용역 업무에 대하여 붙임 납품 목록과 같이 완료 (도면, 한글 FONT 및 PLOT STYLE포함, 시방서, 내역서류 파일 일체)
하였기에 납품서를 제출합니다. TIP!! 설계도서 작성지침에 있는 납품도서 목록과 일치하는지 확인 필요

붙임 : 납품목록 1부. 끝. 2018년 3월 6일

2018년 3월 6일
계약상대자 :
계약상대자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조원로 000
00종합건축사사무소
00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0 0 0 (인)
대표 0 0 0 (인)
00학교학교장 귀하 00학교학교장 귀하

4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나. 설계용역 검수조서

설 계 용역 검 수 조 서
용 역 명 00초 내부도장공사 설계용역

계 약 자 00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0 0 0

계약금액 금 원(금 원)

계 약 일 년 월 일 용역기한 년 월 일

착 수 일 년 월 일 완료일 년 월 일

검 수 일 년 월 일

비 고
날짜일치

위와 같이 검수 하였음.

년 월 일

결 담당자 행정실장 학교장

검수자 소속) 행정실장 직) 성명) (인)

입회자 소속) 담당자 직) 성명) (인)

Tip
검수자가 입회자보다 직급이 높은 순으로 지정 한글파일 연동
EX) 입회자 : 계약담당자 EX) 입회자 : 행정실장 1. 설계용역 검수조서
☞ 검수자 : 행정실장 ☞ 검수자 : 학교장

4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2장 사례따라하기[도장공사]

기본설계단계
실시설계단계

1. 기본설계단계
기본 전체평면도 검토

도장공사할 실 층별 표현
: 실제 도장공사할 실이 층별로 표현되어 있는지 확인
(도장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음. EX:수성, 낙방, 무늬코트 등)
(예시)전체평면도


설계단계
(예시)전체평면도
페인트종류에 대한 범례표(색상)으로
실별공사범위확인

협의한 실별 페인트 종류가 맞는 확인

Tip
도장 사진
수성페인트(창상부) 유성페인트
세라민페인트(걸레받이P) 무늬코트 본타일
낙서방지페인트(창하부) (적색-녹막이P,흰색-조합P)

4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기본설계단계
실시설계단계

2. 실시설계단계
가. 상세도면 검토

도장공사할 실별 단위확대평면도 및 전개도


: 일반교실, 특별교실, 복도, 계단실 등

(예시) 단위확대평면도 및 전개도

용어설명

전개도 : 입체도형을 펼쳐서 평면에 나타낸 그림, 건축공사에서는 교실 등 4벽면을 나누어 도식화한 도면
도장방법

붓칠 로울러칠 뿜칠

5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실시설계 체크리스트
구분 확인결과

일반교실, 특별교실, 관리실, 복도, 계단실 등 실에 따른 페인트 종류, 도장횟수, 도장방법 결정

기존 페인트면 긁어내기(바탕정리) 등 신설 도장대비 물량 범위 결정

미장균열(크랙) 심한 부위에 대한 보완 반영(V커팅 등)

공간의 기능을 고려한 개별 색채계획 필요-연령별 선호 색상 고려

사용되는 자재(페인트)는 친환경인증 자재만 사용 가능하며, 특히 걸레받이에 사용하는 페인트 유의


(어린이 활동공간 빈번 지적사항-초, 유 해당)

층별 숫자 표시에 대한 도안 및 대가 반영

특수 도안에 대한 디자인 비용 및 대가 반영

내외부 각실별 색채 및 디자인 계획서

나. 색채도면 검토

실내색채 선정 및 Palette 구성


유치원·초등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고등학교

설계단계
저학년 Saturation ★★★★ 고학년 Saturation ★★★☆ 전학년 Saturation ★★☆☆
Lightness ★★★★ Lightness ★★☆☆ Lightness ★★☆☆

고채도를 사용 고채도/파스텔톤의 색을 사용 무채색과 파스텔톤을 사용


학교에 대한 호기심과 학교에 대한 친 고채도의 색과 더블어 파스텔톤을 사 학습 능률의 향상을 위해 차분한 배색
근감을 준다 용하여 저학년과의 차별 을 기본으로 한다

Tip
페인트 종류별 특성
1. 수성페인트 2. 낙서방지페인트 3. 세라민페인트
- Water based paint - 수성타입 광택도료로 낙서방지 - 여러 용도 있지만, 학교는 걸레
-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페인트 기능이 첨가 받이용 페인트를 지칭함
특수 에멀젼 수성
장점 장점
냄새가 적고, 빠르게 마름 내수성, 내후성이 높음, 장점
다양한 곳에 사용가능 내오염성
내수성, 내알칼리성이 높음
단점 단점
단점
강도(화학적 결합력)가 유성에 강도(화학적 결합력)가 유성에
강도(화학적 결합력)가 유성에
비해 약함 비해 약함
비해 약함
용도 용도
용도

외부용(에멀젼)-건물외벽 등 복도, 실내 하부
걸레받이
●내부용(에멀젼)-실내 (창대 아래부분)

광택(아크릴)-복도

5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Emotion Type soft

dynamic calm

hard

TIP 초등학교 색채 디자인 사례

TIP 디자인 사례

Color
Point

밝고 깔끔한 White컬러를 기조색으로 하며, 일관성 있게 저채도의 Wam한 컬러를 보조색으로 활용함.
계획특징
고채도의 포인트 컬러를 조닝컬러로 활용하여 정보요소로서의 일관된 전달은 물론 공간에 경쾌한 생기를 더함.

Color
Point

중고명도의 N계열 주·보조색과 원색보다는 중 고채도의 여러 포인트 컬러를 활용하여 다양한 활력이 느껴
계획특징
지면서도 차분한 느낌을 주는 공간으로 연출함.
5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도면
(전개도)

도면
(전개도)

다. 수량 및 내역검토

① 적산의 개념
: 설계도 및 공사현장 조건에 따라 공사에 요하는 모든 비용 산출
☞ 수량산출 → 내역서작성 → 간접비(원가계산서) 작성

내역서작성


간접비
검토 (원가계산서)

설계단계
작성
수량산출

② 수량산출의 기본개념
산출단위 : ㎡(페인트물량), M(걸레받이물량)
물량은 페인트 종류별로 정미면적으로 산출
시공순서대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층별로! 산출
도장면적(A) = 한 면의 벽체면적(가로*세로)-공제면적(창호, 칠판, 게시판 등의 각종 부착물)+돌출면
적(기둥 등)

용어설명

정미면적 : 면적 산출시 사용되는 용어로 여유 없는 실면적(안목치수로 산출한 실 소요 면적)


정미량 : 정미면적으로 산출한 물량
소요량 : 정미량에 할증을 곱한 물량
(건축자재)할증 : 모든 자재는 시공할 때 손실(LOSS)가 발생하기에 이를 보존하주기 위한 재료별 비율
EX : 시멘트벽돌 5%, 붉은벽돌 3%, 도료 2%, 타일 3%, (이형)철근 3%, 레미콘 1% 등
안목치수 : 기둥, 벽체 등 중심선이 아닌 벽체 안쪽면을 기준으로 한 간격
중심선치수 : 기둥, 벽체 등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 간격

5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③ 수량산출방법
필요도면

(예시) 확대전개도

구분 품명 위치
친환경수성페인트 내벽상부
낙서방지페인트 내벽하부
세라민페인트 걸레받이

수량산출 예시

구분 위치

{9M*2M}+{(0.25+0.25)M*2M}
-{(4M*2M)*2개소)}=3㎡
친환경수성페인트
(교실한면길이)(친환경수성페인트높이)(돌출기둥 길이)
(창호면적공제)

{9M*(1-0.1)M}+{(0.25+0.25)M*(1-0.1)M}=8.55㎡
낙서방지페인트
(교실한면길이)(낙서방지페인트높이)(돌출기둥 길이)

{9M*0.1M}+{(0.25+0.25)M*0.1M}=0.95㎡
세라민페인트
(교실한면길이)(걸레받이높이)(돌출기둥 길이)

용어설명

걸레받이 : 벽면의 맨 아래 부분에서 바닥과 벽의 마감을 위해 부착한 수평 부재

5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내부산출서 샘플

(예시) 내부산출서 -일반교실


실명 : 일반교실<x9 x17/y1 y17> 개소: 5
[비 고] ■벽 계
((9+7)*2)*2-(2*2*2)<출
입문>-(2*2*2)<내부창
수성페인트 내부, 2회, 재도장면,
벽 M2 호>-(4*2*2)<외부창호 21
(롤러칠) 친환경페인트
>-(6*1)<게시판>-(5*1)<칠
판>
((9+7)*2)*0.9-(2*0.9*2)<
9M 낙서방지용 롤러 2회 칠, 재도장 출입문>-(2*0.9*2)<신발장
M2 M2 16.1
페인트 면, 친환경페인트 >-(6*0.5<게시판>)-(5*0.5<
칠판>)
7M
걸레 걸레받이용
붓칠, 2회 ((9+7)*2)*0.1 3.2
받이 페인트
[비 고] ■ 기둥 계
수성페인트 내부, 2회, 재도장면,
벽 M2 (0.25*2*2)*(3-1) 2
(롤러칠) 친환경페인트
낙서방지용 롤러 2회 칠, 재도장
벽 M2 (0.25*2*2)*0.9 0.9
페인트 면, 친환경페인트
걸레 걸레받이용
붓칠, 2회 M2 (0.25*2*2)*0.1 0.1
받이 페인트
[비 고] ■ 창주위 계
수성페인트 내부, 2회, 재도장면,


벽 M2 (2*2)*0.1 0.4
(롤러칠) 친환경페인트
[비 고] ■ 기타 계

설계단계
건축물현장정리 수선 M2 (9*7)*0.15<15%> 9.45

공종별 집계표 샘플

(예시)내부산출서 -일반교실
내역서상의 물량과 일치하는지 확인
코드 품명 규격 단위 물 량 할증(%) 물량(할증포함)
02 가설공사
AAD160600001 건축물현장정리 수선 M2 677 0.0 677
16 칠공사
ANB316102000 걸레받이용 페인트 붓칠, 2회 M2 485 0.0 485
내부, 2회, 재도장면,
ANC133621201 수성페인트(롤러칠) M2 1,490 0.0 1,490
친환경페인트
내부 천장, 2회, 재도
ANC133681201 수성페인트(롤러칠) M2 807 0.0 807
장면, 친환경페인트
롤러 2회 칠, 재도장
ANO000130011 낙서방지용 페인트 M2 4,382 0.0 4,382
면, 친환경페인트

용어설명

산출내역서 : 발주기관이 교부한 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서에 입찰자나 계약상대자가 단가를 적어서 제출한 내역서
※ 수의계약으로 체결한 공사는 착공신고서 제출시 까지 제출한 내역서

5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④ 수량산출방법
내역서 작성의 기본 개념
- 재료비 : 공표된 단가나 견적가, 거래실래가격 등을 비교·검토하여 적은 값 적용
- 노무비 : 정부가 인정하는 기관에서 발표한 시중 노임단가, 실적단가 등을 비교·검토하여 적은 값 적용
- 내역서 작성 = 재료비, 노무비, 경비 단가 * 수량(㎡, M 등)
내역서 체크리스트
구분 확인결과
수량산출서의 규격별 수량 합계와 내역서상의 수량일치여부 확인
공사시행 시점의 단가 확인(상반기, 하반기)
시공시 존치물(비품 등)의 보양 필요여부와 현장정리 등 학교별 필요상황을 판단하여 실비에 근접한 금
액 반영 확인

내역서 예시
재 료 비 노 무 비 경 비 합 계
품 명 규 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0101가설
공사
건축물현장
정리/내부 M2 677 769 520,613 769 520,613
도장
집기류
M2 677 769 520,613 769 520,613
재배치
[합계] 1,041,226 1,041,226
0102도장
공사
걸레받이용
붓칠, 2회 M2 485 1,514 734,290 10,625 5,153,125 12,139 5,887,415
페인트
내부, 2회,
수성페인트
친환경페인트 M2 1490 1,165 1,735,850 3,811 5,678,390 4,976 7,414,240
(롤러칠)
(진품)
내부 천장, 2회,
수성페인트
친환경페인트 M2 807 1,165 940,155 4,574 3,691,218 5,739 4,631,373
(롤러칠)
(진품)
낙서방지용
M2 4382 1,231 5,394,242 5,112 22,400,784 6,343 27,795,026
페인트
계단사인
숫자+F+↑ EA 15 369 5,535 1,533 22,995 1,902 28,530
도장
페인트면
벽 M2 876 110 96,360 3,692 3,234,192 3,802 3,330,552
긁어내기
페인트면
천정 M2 80 110 8,800 3,692 295,360 3,802 304,160
긁어내기
[합계] 8,915,232 40,476,064 49,391,296

용어설명

거래실례가격 : 조달청장이 조사한 가격(가격정보) 및 기획재정부에 등록한 전문조사기관이 조사한 가격(거래가격-대한건설협회, 물가자료-한국물가협
회, 유통물가-한국응용통계연구원, 물가정보-한국물가협회, 물가시세-한국유통경제연구원), 계약담당자가 2인 이상의 사업자(당해물품을 직접 제조 생
산 또는 판매)에 대하여 당해물품의 거래실례를 직접 조사하여 확인한 가격
※ 교육청은 위 거래실례가격 3-4개를 비교하여 가장 저렴한 가격을 학교시설공사에 적용할 “자재단가”로 결정하고 있음
시중노임단가 : 대한건설협회에서 매년 2회(1월1일, 9월1일)조사 발표
※ 노임적용 기간 : 발표일로부터 다음 발표일 전일까지 ※ 공사부분 : 대한건설협회 발표자료
※ 엔지니어링사업부분 : 엔지니어링진흥협회 발표자료 ※ 제조부분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발표자료

Tip
내역서 작성시 주의 사항
☞ 1식 내역서 작성시 시공할 범위, 물량, 금액 등 파악 할 수 없고, 공사감독 수행이 어렵우며, 공사비 부풀려 질 우려가 큼

5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공사비 중복ㆍ과다 계상 주의
- 자재단가 적용시 공사비 중복계상 우려 주요 자재명

구분 자재명 적용시 주의사항

마감재 인테리어필름지, 친환경불연내장마감재

천장재 열경화성수지천장재, 알미늄천장재

칸막이 내화경량칸막이
자재단가에 시공비가
외장패널 단열경량칸막이 포함된 가격임
(주로 “시공도”로 표기)
지붕재 아스팔트슁글(표준, 이중)

창호재 알미늄창호, 플라스틱창호, 방충망(AL, PVC, 롤)

도어 강화유리도어, 장애자용도어(자동, 반자동), 홀딩도어, 스테인리스후레임 등

※ 시공도로 명기된 자재는 노무비(시공비)를 별도 계상하면 공사비가 중복 계상됨.


- 일위대가 적용시 공사비 중복ㆍ과다계상 주의 주요 공종

각 공종별 유의사항
- 건축물 현장정리 : 준공시 청소 및 뒷정리까지 포함된 것
☞ 준공청소비 별도 계상은 공사비 중복계상에 해당됨


- 유리 끼우기(주위) 코킹 시공시 노무비 계상 주의 : 유리 끼우기 품

설계단계
(유리공)에 코킹재 설치 및 실링재 도포 및 마무리 작업까지 포함되어 있음
☞ 유리주위 코킹 시공시 노무비 별도계상은 공사비 중복계상에 해당됨
- 도장공사 바탕 만들기 수량산출 주의
: 바탕 만들기는 사전에 도장면의 균열 메우기 및 요철 부위 보수 등을 하는 것으로 필요면적을 실측
하여 수량을 산출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실적으로 수량산출에 어려움이 있어 교육청에서는 통상적
으로 도장 전체면적의 30%내외를 바탕 만들기 면적으로 적용하고 있음
☞ 바탕 만들기는 모든 도장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에만 적용, 교육청 적용기준 고려하
여 공사비가 과다계상 되지 않게 주의 요함

Tip
공사시행전 최종 확인할 사항 - 예산액 대비 설계금액 과부족 확인
- 목적에 맞는 사업인지 여부 - 예산 초과금액에 대한 확보 방안 확인
- 건축법 등 관계법령 위배 여부 - 설계도서 건축사의 확인여부
- 예산내역 물량 확보 여부 - 원가계산작성시 학교시설 공사비 제잡비율 확인
- 설계도면 및 시방서의 적정성 -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 적용 :『학교안전사고예방및보상에관한법률』제7조1항
- 내역서 및 일위대가표의 작성 적정성 동법시행령 제10조
전문가격 조사기관, 표준품셈, 국토부 실적단가 등
- 친환경자재 설계적용 여부

5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⑤ 원가계산서 작성
공사원가계산서의 기본개념
예정가격 결정을 위한 공사비 조사금액 작성 기준
- 관련규정 : 지방계약법, 행정안전부예규 제1호 참조
- 활용자료 : 공사원가계산 제비율 표, 표준품셈, 일위대가, 노임단가, 자재가격 등
■ 표준품셈을 제외한 위 모든 자료는 노임단가(대한건설협회), 자재가격(조달청 및 전문조사기관의 가격책자)활용
■ 표준품셈은 도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서 활용
공사원가의 구성과 체계
- 구성 : 공사원가계산서 + 기초계산서(내역서)
- 체계 : 재료비, 노무비, 경비 중 일부를 일반관리비나 이윤 다음비목으로 반영해서는 아니 됨.
간접비의 계산(원가계산서)

직접재료비 : 목적물 설치 물품대


재료비 간접재료비 : 보조물품대
순공사 작업설, 부산품
공사 원 가
원가 직접노무비 : 직접작업종사자의 인건비
노무비
간접노무비 : 보조작업자와 현장감독자의 인건비

전력비 등 26비목 중 기타경비 등


경 비
총 10종(제경비율)


일반관리비 순공사원가*일반관리비율

이 윤 (노무비+경비+일반관리비)*이윤율

공사손해보험료 공사총원가*공사손해보험료율

※ 예정가격: 총원가 + 부가가치세

5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간접비의 계산(원가계산서)
비목 구분 금액(원) 구성비 비고
직접재료비 산출금액 기초계산서 합계액 ⑤ 입력

간접재료비

작업설, 부산물 등(△)

소계

노 직접노무비 산출금액 기초계산서 합계액 ⑥ 입력
무 간접노무비 기준요율 직접노무비×요율( %)
공 비 소계
산 출 경 비 산출금액 기초계산서 합계액 ⑦ 입력
산재보험료 법정요율 노무비×요율( %) 무면허 업자 주의
사 고용보험료 법정요율 노무비×요율( %) 무면허 업자 주의
경 건강보험료 법정요율 직접노무비×요율( %) 공사기간1개월 이상
연금보험료 법정요율 직접노무비×요율( %) 공사기간1개월 이상
원 노인장기요양보험료 법정요율 건강보험료×요율( %) 공사기간1개월 이상
퇴직공제부금비 법정요율 직접노무비×요율( %) 3억 원 이상
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법정요율 [재료비+직접노무비+관급(도급)]×요율( %) 4천만 원 이상
가 환경관리(보전)비 법정요율 (재료비+직접노무비+산출경비)×요율( %)
기 타 경 비 기준요율 (재료비+노무비)×요율( %)
소계

일반관리비 기준요율 (재료비+노무비+경비)×요율( %)
이 윤 기준요율 (노무비+경비+일반관리비)×요율( %) 재료비 제외 주의
총 원 가 재료비+노무비+경비+일반관리비+이윤
폐기물 처리 비 산출금액 기초계산서(내역서) 산출금액 입력
부가가치세 법정요율 총원가×요율(10%) 부가기치세법


합 계 총원가+부가가치세 예정가격

구성비에 대한 작성요령

설계단계
- 작성 시기 : 기초계산서(내역서) 작성 후, 비목별 금액(재료비→직접재료비, 노무비→직접노무비, 경비→산
출경비, 폐기물처리비) 입력
- 요율적용 기준 : 경기도교육청시설공사원가계산제비율적용기준에 준함(해마다 요율이 변하므로 확인 필요)
※ [공사원가계산제비율적용기준-경기도교육청 시설과 과자료실 매년 탑재]

Tip

한글파일 연동 1. 2018년 원가계산세비율 적용기준

5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원가요율
- 법정요율: 기준요율 의무적용(임의 조정 불가), 도급자 산출 내역서도 동일 적용
■ 대상 : 보험료(산재, 고용, 국민건강, 국민연금, 노인장기 요양), 퇴직공제부금비, 안전관리비, 환경관리비,
부가가치세
- 기타요율 : 기준요율 초과 적용 금지(공사비 과다계상에 해당됨), 기준요율보다 낮추어 적용할 때에는
예정가격 결정조서에 사유 기재(고의 수의계약 여부 판단)
■ 대상 : 간접노무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등
재료비
- 직접재료비 : 공사목적물의 실체 형성, 예)벽돌, 창호자재 등 기초계산서(내역서) 재료비 합계액을 입력
- 간접재료비 : 공사목적물의 실체를 형성하지 않고 공사에 보조적으로 소비되는 자재
예) 유류, 장갑, 용접가스 등
별도 금액계상 없음
- 작업설·부산물 등(△) : 철근 및 철골자재의 할증에 따른 작업설과 철거로 발생하는 고철(콘크리트 철거
시 철근, 창호·천정틀 철거시 알루미늄 재 등) 등 산출합계액 감
노무비
- 직접노무비 : 기초계산서(내역서) 노무비 합계액을 입력
- 간접노무비 : 직접노무비 × 요율(공사규모 별로 요율 적용)
경비
- 산출경비 : 기초계산서(내역서) 경비 합계액을 입력

⑥ 구성비(경비)에 대한 검토
산재보험료 및 고용보험료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6-57호,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781호)

적용대상공사

● 모든공사
산재고용료 ● 다만, 총 공사금액[(도급금액+관급재료)에서 부가세 제외]
및 2천만원 미만의 건설공사를 건설업자가 아닌 자가 시공 시 적용 제외
고용보험료
정산방법
● 착공계 제출시 해당 공사명으로 기입한 가입증명서 및 준공계 제출시 납입증명서

Tip
모든 공사란?
면허가 필요한 모든 공사(공사예정금액기준 종합공사 5천만 원 이상, 전문공사 1천5백만 원 이상의 공사, 기타 개별법령에 의해 면허가 필요한
공사)

준공 시 공사용 공공요금 징수 철저(2008. 12. 29. 교육감님 결재 및 시행)


- 별도 계량기 설치를 원칙으로 함
- 사용량 비교(계량기 설치 불가 시) : 전년 및 전월 비교 징수
☞ 참고 : 2007년도 신설교 분석결과 공사비 대비 0.11~0.14% 사용(평균 0.127%)
- 공공요금 대체시설 요구행위 금지

6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건강, 연금, 노인장기 요양보험료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781호)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26조의2(보험료 등의 비용 명시 및 정산)


근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9절(공사의 보험료 사후정산 등)
거 ● 지방자치단체 공사입찰유의서 제4조의2(국민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 사후정산 등에 관한 규정의 숙지 등)
● 지방자치단체 공사계약일반조건(Ⅸ-11. 국민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보험료의 사후정산)

적용대상공사

● 공사기간이 1개월 이상인 모든 공사

정산방법
● 일용근로자
건강, 연금, - 당해 공사명으로 가입된 가입증명서 및 납입확인서제출
노인장기 - 사업주 및 개인 부담금을 포함하여 납부한 금액 중 사업주부담금(전체납입액의 1/2)을 확인하여
요양보험료 정산함
● 상용근로자(현장대리인 포함)
- 소속회사에서 가입한 가입증명서, 납입확인서, 현장작업일지, 감독관 근무일지, 입금대장, 출근부 증
증빙서류를 첨부하여 공사기간 대비 당해 사업장에 실제 투입 된 일자를 계산하여 일할 정산함

● 소규모 공사는(거의) 시공사에서 사용않으므로 정산필요.


Tip
● 정산시 근로자의 실 근무여부, 시간확인필요.


산업안전관리비

설계단계
적용대상공사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공사 중 총공사금액 4천만원 이상인 공사

Tip ● 시공자와 가장 많은 이견 발생하므로, 착공시 안내 필수

산업안전 정산방법
관리비 ● 착공계 제출 시 사용계획서제출
● 공사 완료 후 사용내역서 제출(거래명세표, 세금계산서, 사진 등)

- 사진 : 현장에서 착용하면서 일하는 사진 및 전체 개수 확인 가능한 사진


● 정산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계약금액에서 감액하여 정산처리 함
● (현장내) 물품별 사진수량과 거래명세서 수량 일치여부 확인
Tip
● 항목에서 : 안전화, 안전모, 방진마스크 등

■ 다른 목적 사용 또는 미사용 금액에 대하여는 정산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제8조(목적 외 사용금액에 대한 감액 등), 발주자는 수급인이 법
제30조제2항에 위반하여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안전관리비에 대하여 이를 계약금액에서
감액조정하거나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 붙임 [안전관리비 사용불가 내역] 참조

6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환경보전비

적용대상공사

● 계약목적물의 시공을 위해 제반환경오염 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에 비용이 소요될 경우


● 적용제외 : 전기, 통신, 소방, 문화재수리공사

정산방법
환경보전비
● 공사완료후 사용내역서 제출(거래명세표, 세금계산서, 사진 등)
● 정산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계약금액에서 감액하여 정산처리 함

● 항목예시 : 방진덮개웅 부직포, 이동식간이화장실 등


Tip
● 미적용 항목예시 : 쓰레기봉투, 마대자루 등

※ 붙임 [국토해양부 질의회신] 참조

■ 건설공사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환경보전비)은 내역서에


표준품셈 등 원가계산에 따라 반영된 비용을 포함하여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제61조 3항 [별표8]
환경관리비 산출기준 제1호 가목에 해당하는 요율(상기 해당 요율)을 적용하여 계상

사 ① 비산먼지방지시설 : 살수시설, 간이칸막이, 집진시설, 진공청소기 등



가 ② 소음ㆍ진동방지시설 : 방음벽, 방음덮개, 제진시설 등
능 ③ 폐기물방지시설 : 쓰레기슈트, 폐자재 수거박스 등
내 ④ 수질오염방지시설 : 절성토면 비닐덮개, 이동식 간이화장실 등

폐기물처리비
※ 별도 설명

적용대상공사

● 계약목적물의 시공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오품, 잔재물, 폐유, 폐알칼리, 폐고무, 폐합성수지 등 공해
유발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비용이 소요될 경우
● 공사원가 계산시 폐기물처리비는 일반관리비와 이윤이 적용되진 않음→부가세만 적용

● 공사 현장에서 발생되는 5톤 이상의 폐기물은 해당시, 구청에 신고하여 폐기물 위탁처리 확인

Tip ● 착공서류에 시청공문, 신고필증 포함여부 확인할 것


폐기물
처리비
정산방법
● 공사 완료 후 폐기물처리 내역서 제출
● 올바로시스템 관련 서류 일체 제출

● 계약물량 대비 처리물량이 적은 경우 감액하여 정산처리 함

● 확인서류 : 처리업체신고서, 계약서, (올바로)폐기물인계서, 폐기물처리확인서, 폐기물 계량증,


Tip
상차사진 등

6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퇴직공제부금비
직접노무비 × 요율
공사예정금액 3억 원 이상 건설공사

■ 건설근로자퇴직근로자공제회에 납부한 확인서의 제출을 요구


■ 퇴직공제부금비의 미사용 또는 목적 외 사용 감액조치

근 ● 건설산업기본법 제87조(건설근로자퇴직공제제도의 시행)


거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83조(건설근로자퇴직공제 가입대상 공사)

하도급대금지급보증

■ 원도급자가 하도급자를 선정한 후 하도급대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보증서를 발부받는 사항으로


▶ 하도급을 주지 않았다면 계약내역 원가계산에 반영되어 있는 ‘하도급대금지급보증발급수수료’는 정산하여야함

근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34조의3(하도급대금지급보증서 발급금액의 명시)


[예시] 간접비의 계산(원가계산서)


구성비는 공사의 규모,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짐.

설계단계
비 목 금 액 구 성 비 비고
직 접 재 료 비 8,915,232

간 접 재 료 비

작업설, 부산물(△)

[소 계] 8,915,232
노 직 접 노 무 비 41,517,290
무 간 접 노 무 비 4,027,177 직접노무비 * 9.7%
순 비 [소 계] 45,544,467

산 출 경 비 0

산 재 보 험 료 1,776,234 노무비 * 3.9%

가 고 용 보 험 료 396,236 노무비 * 0.87%
산업안전보건관리비 1,477,672 (재료비+직노) * 2.93%

환 경 보 전 비 151,297 (재료비+직노+기계경비) * 0.3%

기 타 경 비 2,614,065 (재료비+노무비) * 4.8%
하도급지급보증수수료 40,850 (재료비+직노+기계경비)*0.081%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 247,119 (재료비+직노+기계경비)*0.49%
[소 계] 6,703,473
계 61,163,172
일 반 관 리 비 3,669,790 계 * 6%
이 윤 8,387,038 (노무비+경비+일반관리비)*15%
공 급 가 액 73,220,000
부 가 가 치 세 7,322,000 공급가액 * 10%
설 계 금 액 80,542,000

6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 공사비의 적정성 확보
- 교육청 공사비 산출 기준자료(일위대가, 자재단가, 공사원가 제비율 기준 등)의 적용 확인
- 자재단가 적용시 노무비 중복계상 여부
- 공사비 과다계상(품 과다 적용, 물량 과다산출 등)
- 공사원가계산 경비비목의 요율과 적용대상 적정 여부
2. 견적서 검토능력 제고
감사방향 - 견적가격 적정 여부(교육청 공사비 산출 기준자료와 비교 검토 여부)
- 견적서 작성 내용 적정성 등(1식 작성 여부 등)
3. 설계도서 작성의 적정성 확보
- 설계서(도면, 설명서, 내역서 또는 견적서) 작성 여부
- 설계용역비 산출의 적정 여부(공사복잡도에 따른 공종 구분과 도서의 양에 따른 요율등급 적용의
적정성 등)

공사발주 후 계약서와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


1. 발주 내역서의 수량과 내용이 시공사가 제출한 내역서와 일치하는지 여부
2. 발주 내역서의 수량과 규격이 시공사가 제출한 내역과 상이한 것은 없는지 여부.
3. 폐기물처리 확인서 및 물량

64

시공단계-용역관련
제1장 감리용역
제2장 건설폐기물처리용역
제3장 지정폐기물처리용역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Ⅳ 시공단계 - 용역관련
제1장 감리용역

1. 감리용역 일반사항

가. 개요
감리용역이란?
공사현장에서 설계도면대로 제대로 시공되고 있는지 수행하는 일
자기 책임하에(보조자의 조력을 받는 경우 포함) 건축법에 따라 건축물·건축설비 또는 공작물이 설계도서
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확인하고 품질관리·공사관리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하여 지도·감독하는 행위(건
축사법 제2조제4호)

나. 관련법규(규정)
건축법 제25조
건축법 시행령 제19조
건축법 시행규칙 제19조
건축사법[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11호, 제2015-762호]
건설기술진흥법
엔지니어링사업[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166호]
전력기술관리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106호]

다. 감리용역 업무수행 범위 [소규모 공사의 경우]


1) 공사시공자가 설계도서에 따라 적합하게 시공하는지 여부의 확인
2) 공사시공자가 사용하는 건축자재가 관계 법령에 따른 기준에 적합한 건축자재인지 여부의 확인
3) 시공계획 및 공사관리의 적정여부의 확인
4) 공사현장에서의 안전관리의 지도
5) 공정표의 검토
6) 상세시공도면의 검토·확인
7) 설계변경의 적정여부의 검토·확인
8) 기타 공사감리계약으로 정하는 사항

Tip

감리용역은 언제?
공사시행 후 착공전 감리용역 계약

세부업무명 사업확정 설계용역 시행 건축승인 공사시행 감리용역 시행

공사착공
준공검사 공사감독
감리용역 착수

6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라. 대가산정 기준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제3장 제14조 공사감리업무의 대가산정에 의거 건축공
사감리 대가요율 또는 실비정액가산식 적용

마. 공사유형에 따른 대가방식 적용방식


1) 입찰 : 설계용역비 산출은 공사비요율 또는 실비정액가산식 적용함(별첨 참조)

실비정액가산방식 공사비요율방식

★신축공사 ★증축공사 ★증축공사 ★보수공사


건설사업관리용역 건축사상주감리용역 건축사비상주감리용역 건축사비상주감리용역

신설학교 1,000㎡이상 증축공사 1,000㎡미만 증축공사 소규모 보수공사

2) 수의 : 업체에서 2인이상 견적받아 최저가 계약

용Ⅳ
시공단계
- 역관련

6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질문과 답변

Q 감리용역은 왜? 주는지? 어떤 사업일 경우라도 줄수 있는지??

A 업추진을 위해 물품 구입이 아닌 공사를 위해 필요한 경우 모두 줄 수 있음.


1. 건축허가대상건축물(의무)
2. 건축물을 대수선하는 경우(의무)
3. 소규모 공사 감리자 지정 가능(선택)
[학교시설공사 집행방법 개선방안-관련 : 시설과-10980(2017. 10. 11.)]
기술력보완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소규모 공사 시행 시에도 감리자 지정가능

Q 수의대상인 감리용역비 견적을 받아보기 위한 감리사무실은 어떻게 알아보는지?

A 소규모 공사를 위한 건축사감리는 설계용역과 같은 절차로 가능

Q 감리는 한마디로 어떤 업무를 하는지?

A 공사시공자가 설계도서대로 적합하게 시공하고 있는지를 발주처 대신 확인하여 주므로, 공사전반에 대한 기술


적인 부분을 대행하여 지도·감독

Q 공사가 완료되고 나면 감리업체에도 납품 받아야 하는 도서가 있는지?

A 감리계약을 추진할 시 제시된 과업지시서에 납품도서 목록이 있으므로, 종류 및 수량에 맞게 납품 받으면


되며, 과업지시서는 붙임참고자료로 제공

Q 감리는 어떤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지?


A 건축감리 : 주로 건축사사무소, 감리전문회사(건설기술자 보유)
소방감리 : 소방용역업체(소방시설등록증을 보유한 업체)

Q 수의대상인 감리용역비 견적을 받아보기 위한 감리사무실은 어떻게 알아보는지?


A 소규모 공사를 위한 수의대상인 건축사감리 및 소방감리는 설계용역과 같은 절차로 가능

6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 감리용역-시행
가. 개요

감리용역 시행
감리용역비
과업지시서 [예듀파인
산출서
품의하기]

나. 사례 따라하기
★ 품의하기-공문서 작성
★ (붙임1) 설계용역비 산출서
★ (붙임2) 과업지침서 작성

① 품의하기
조회방법 : 에듀파인 > 지출관리 > 지출처리 > 품의작성
작업순서 : ① 지출관리 → ② 품의작성 → ③ 입력 → ④ 예산선택 → ⑤ 산출 내역 선택 → ⑥ 확인 →
⑦ 행추가 → ⑧ 저장 →⑨ 결재요청 / 승인

용Ⅳ
시공단계
- 역관련

Tip
감리용역 기간은 왜 공사준공일보다 14일 더 길게 주는 이유는?
시공사가 제출한 준공서류 검토 및 준공검사 시 보완사항 재확인 필요

6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② 공문서 작성 [예시]

용역금액 및 용역기간 명시
(감리용역기간은 본 공사 기한변경 시 감리용역 기한도 변경)

③ 감리용역비 산출서
1. 용역명 : 00초 내부도장공사 건축사감리용역
2. 감리수행규모 : 80실 내부도장
3. 용역대상금액 (건축)
공종 설계금액 관급액 계 계약추정액 부가세별도금액 비고
건축 80,000,000 0 80,000,000 70,196,000 63,814,545
계 80,000,000 0 80,000,000 70,196,000 63,814,545

4. 적용요율
"2018 경기도교육비 특별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 " 건축공사 감리대가 요율적용
종별 설계요율 비고
0.5 억일때 2.24 % 50,000,000
1 억일때 2.11 % 100,000,000
2종
차율 0.13 % 13,814,545
교육연구시설
직선보간율=(차율*기본초과액)/요율차액 = 0.04
∴기본설계요=(기본요율-직선보간율) = 2,20

5. 용역비산출금액
★ 총감리비 = 2.20 × 63,814,545 = 1,406,473 원
★ 손해배상보험공제료 = 7,273 원
소 계 1,413,745 원
★ 부가세 = 10% = 140,647 원
결정금액 ≒ 1,554,000 원
특이사항

Tip
용어설명
건축사감리적용요율 한글파일 연동
구분 감리비 1. 감리용역비 산출서 직선보간율
5천만원 2.24 손해배상보험공제료
1억 2.11
2억 1.68
3억 1.54
5억 1.43
10억 1.23
20억 1.13
20억 1.13
30억 1.09

7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④ 감리용역 수행지침서

감리용역지침서

감리용역수행지침서 1. 용 역 명 : 00초 내부도장공사 건축사감리용역

2. 용역기간 : 본 공사의 착수일로부터 공사 준공일후 14일까지


(단, 본 공사 기한변경 시 이에 따라 감리용역 기한도 변경)

공기연장에 따라 연장가능
용 역 명 : 00초 내부도장공사 감리용역
3. 공사감리의 목적
2018. 00 공사감리 계약자에게 공사감리에 필요한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
여 공사과정에서 야기 될 수 있는 행정과 기술상의 문제를 사전에
통제하고 학교공사의 품질확보와 향상을 위함에 있다.
00초등학교
4. 관련근거
o 건축법 제2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9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9조의 2

중략

8. 업무 및 작업보고
납품시 받아야 할 도서목록
감리자는 그 업무수행에 따라 발생한 상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보고를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착수시 제출서류 4) 수시보고
가. 제출시기 : 착수시
발주관서의 장 또는 감독의 별도 지시가 있을 경우에는
나. 제출서류
① 착수계 즉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② 감리업무 수행계획서 - 매주 월요일 주간공정보고(작업내용, 사진 및 문제점등
2) 공사감리정기보고서 보고) 간략히 할 것
가. 제출시기 : 매월 말
5) 공사감리완료보고서
나. 제출서류 (실적 및 계획 포함)
① 실시공정표 가. 제출시기 : 공사준공시
② 감리업무 수행사항 나. 제출서류
③ 현장회의록
① 공사감리완료보고서
④ 설계변경사항
⑤ 감독관의 지시사항 ② 공사감리보고서
⑥ 재해예방 및 안전관련 서류(월별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포함) ③ 공사감리기록대장
⑦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된 사항 ④ 품질시험성과 총괄표
3) 공사감리중간보고서
⑤ KS자재 및 건설교통부장관 인정자재 사용 총괄표
가. 제출시기
① 기초공사시 철근배치를 완료할 때 ⑥ 공사현황 사진
② 지붕슬래브 배근을 완료한 때 ⑦ 공사감리일지
나. 제출서류 ⑧ 준공시 도면제출(각층 평면도, 급ㆍ배수관등) cd제작
① 공사감리중간보고서

② 공사감리기록대장 및 A4 반책 1부
③ 공사현황 사진 ⑨ 기타 각종 증빙기록관리 자료
④ 기타 공사감리자가 필요시 별지로 의견 첨부
시공단계

다. 보고시 정기보고와 제출시기가 동일할 경우 통합하여 보고 중략

Tip

감리완료보고서 한글파일 연동
- 역관련

정해진 형식 및 규격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보관 등을 고려하여 A4사이즈 제본 1. 감리용역 수행지침서(도장공사)


[예시] [예시]

7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3. 감리용역-검수
감리용역 검수조서

감 리용역 검 수 조 서
용 역 명 00초 내부도장공사 감리용역

계 약 자 00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0 0 0

계약금액 금 원(금 원)

계 약 일 년 월 일 용역기한 년 월 일

착 수 일 년 월 일 완료일 년 월 일

검 수 일 년 월 일

비 고
날짜일치

위와 같이 검수 하였음.

년 월 일

결 담당자 행정실장 학교장

검수자 소속) 행정실장 직) 성명) (인)

입회자 소속) 담당자 직) 성명) (인)

Tip
한글파일 연동
1. 감리용역 검수조서

용어설명

검수자 : 검수가 필요한 물량의 품질이나 개수 등을 파악하는 사람


입회자 : 어떠한 사실이 발생하거나 존재하는 현장에 함께 참석하여 지켜보는 사람

7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2장 건설폐기물처리용역

1. 처리절차 및 방법

분리발주 여부 판단 ● 당해 공사와 관련하여 폐기물이 100톤 이상이면 분리발주 하여야 함

【처리업체】 ● 5톤이상이면 폐기물처리업체는 폐기물처리 관련 사항을 구청에 신고한 후 →「건설


구청신고 폐기물처리계획 신고필증」을 교부받아야 함

● 10톤 이상의 건설폐기물을 배출하는자는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올바로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함
● 배출자 : 폐기물 톤수에 상관없이 폐기물을 별도로 분리하여 계약하면 학교가 배출

올바로시스템 자가 됨
입력 ● 올바로시스템(www.allbaro.or.kr) 관련

* 먼저 회원가입 → 인증서 발급요청 → 인증서 승인 후 사용


1) 인증서 등록 : 한국자원공사(02-3153-0514, 1644-0007)
2) 올바로시스템 사용방법 등 문의 : ☎ 1644-0007

【처리업체】 ● 관련법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하여야 함


폐기물 처리

● 준공시 관련서류를 받아야 함


- 건설폐기물처리계획신고필증
【 학교 】
-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처리) 확인서
폐기물처리비
- 계량증명서
정산
- 올바로시스템에서 출력한 『배출자 보관용 인계내역』
● 실제 처리한 물량이 계약물량과 다르면 정산하여야 함

Tip
시공단계

폐기물처리용역 종류
건설폐기물처리용역
지정폐기물처리용역
유의사항
- 설계된 폐기물 물량보다, 실제 공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물량이 적을 경우 정산

- 역관련

→ 폐기물이 발생하였음에도 공사기간이 촉박하여 적법처리를 위한 기간이 절대부족하다는 이유로 폐기물을 적법하게 처리하지 않고 폐기물
처리비를 정산하는 것은 절대 안됨.
- 폐기물용역비는 원가계산서에서 부가세만 줌.

용어설명

올바로 시스템 : 폐기물 처리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7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관련법규(규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8조(건설폐기물의 인계ㆍ인수 등)
① 건설폐기물을 배출, 수집ㆍ운반 또는 처리를 하는 자는 건설폐기물을 배출, 수집ㆍ운반 또는 처리를 할 때
마다 건설폐기물의 인계ㆍ인수에 관한 내용을 제19조제1항에 따른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에 입력하여야
한다. 다만, 소량의 건설폐기물을 배출하는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건설폐기물 간이인계서의
작성으로 갈음할 수 있다.
② 제1항 단서에 따라 건설폐기물 간이인계서를 작성한 자는 건설폐기물 간이인계서를 작성한 날부터 3년
간 이를 보관하여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른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 입력내용ㆍ방법ㆍ시기 및 건설폐기물 간이인계서의 작성방법ㆍ시기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3. 준공시 시공사 제출서류[예시]


① 총괄표 예시

폐기물처리비

공 사 명 : ○○초등학교 화장실 보수공사

붙임 1. 폐기물 배출신고필증 1부.(폐기물5톤이상 해당)


2. 폐기물 처리확인서 1부.(폐기물5톤이상 해당)
3. 사업장폐기물 관리대장 1부.(폐기물5톤이상 해당)
4. 폐기물 인계서 1부.
5. 계량증명서 1부.
6. 세금계산서 1부.
7. 폐기물 수집운반/처리 사업자등록증 1부.

2018년 월 일

△△건설㈜

Tip
학교에서 주로 발주하는 소규모공사는 보통 100톤 미만이므로 공사에 포함되어 발주되므로 시공사 준공서류에 아래 폐기물용역 완료
시 제출서류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필요
건설폐기물처리 용역 완료시 제출서류
1. 신고필증-사본(행정시(군)청 공문사본 포함)
2. 건설폐기물 관리대장-사본
3. 인계서-사본(파란색지 : 원본/분홍색지 : 사본제출)
4. 계량증명서-사본
5.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 및 처리확인서
6. 건설폐기물 배출 및 처리실적 보고서(배출자신고용)

7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② 폐기물 신고필증 예시

③ 폐기물처리확인서 관련

용Ⅳ
시공단계
- 역관련

Tip
유의사항
- 폐기물처분부담금 제도:폐기물을 소각 또는 매립의 방법으로 처분하는 경우 폐기물처분부담금을 부과·징수(2018.1.1.시행)
- 소각 또는 매립으로 바로 계약되는 건만 해당으로 중간처리업으로 계약되면 중간처리업자가 납부대상자가 됨

7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② 폐기물 신고필증 예시

7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용Ⅳ
시공단계
- 역관련

7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3장 지정폐기물처리용역

1. 처리절차 및 방법
[학교] ● 당해 공사와 관련하여 석면폐기물을 처리하여야 하면 분리발주하여야 함
지정폐기물처리용역 시행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8조의2(지정폐기물 처리계획의 확인) 관련】

● 석면폐기물 처리업체는 관할구청(청소행정과)에 지정폐기물운반, 처리업체 처리계획


[처리업체]
확인 및 폐기물 배출자 신고
관할구청 신고 ● 지정폐기물배출 신고필증을 교부받아야 함

● 석면폐기물을 배출하는 자는 전자정보처리프로그램(올바로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함


● 석면폐기물은 분리발주하여야 하므로 학교가 배출자가 됨
● 올바로시스템(www.allbaro.or.kr) 관련
[학교] * 먼저 회원가입 → 인증서 발급요청 → 인증서 승인 후 사용
올바로시스템 1) 인증서 등록 : 한국자원공사(02-3153-0514, 1644-0007)
입력 2) 올바로시스템 사용방법 등 문의 : ☎ 1644-0007
● 구청에 석면폐기물 신고필증을 받은 후 석면폐기물 인계전에 올바로시스템에 배출자
인계서를 작성하여야 함
● 인계일 이후 이틀 이내로 확정등록을 하여야 함

[처리업체] 폐기물 처리 ● 관련법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하여야 함

● 준공시 관련서류를 받아야 함


- 건설폐기물처리계획신고필증
[학교]
-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처리) 확인서
폐기물처리비 - 계량증명서
정산 - 올바로시스템에서 출력한 『배출자 보관용 인계내역』
● 실제 처리한 물량이 계약물량과 다르면 정산하여야 함

2. 지정폐기물 용역 완료시 제출서류


신고필증-사본(행정시(군)청 공문사본 포함)
폐기물 관리대장-사본
인계서-사본
계량증명서-사본
폐기물 수집ㆍ운반 및 처리확인서
폐기물 배출 및 처리실적 보고서(배출자신고용)

Tip
감사지적사항
학교시설물 관리책임자는「석면안전관리법」 제23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1조제2항에 따라 석면건축물안전관리인의 지정 및 신고하
고 변경사유가 발생 될 경우에는 10일 이내에 변경 지정 및 변경신고를 하여야 한다.
유의사항
설계된 폐기물 물량보다, 실제 공사과정에서 발생된 폐기물 물량이 적을 경우 정산
→ 폐기물이 발생하였음에도 공사기간이 촉박하여 적법처리를 위한 기간이 절대부족하다는 이유로 폐기물을 적법하게 처리하지 않고 폐기물
처리비를 정산하는 것은 절대 안됨

78

시공단계-공사관련
제1장 공사발주
제2장 공사계약1[계약의 일반사항]
제3장 공사계약2[공고문 작성 시 유의사항]
제4장 공사계약3[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제5장 공사계약4[선금 신청, 지급 및 정산]
제6장 공사계약5[계약의 이행보증 및 하자보증]
제7장 공사추진1[착공]
제8장 공사추진2[공사감독]
제9장 공사추진3[설계변경 및 공기연장]
제10장 공사추진4[준공]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Ⅴ 시공단계-공사관련
제1장 공사발주

1. 개요
“ 공사 발주 ”

1 2 3 4 5
공사 시행공문 공사 집행계획서 설계도면 설계내역서 공사시방서

2. 관련법규(규정)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77조』공사의 분할계약 금지 관련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동일구조물공사 및 단일공사 관련
『건설산업기본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8조』시공가격 및 경미한공사 관련
『전기공사업법 제11조,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5조,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1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5조, 폐기물관리법』분리발주 관련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7.7.9.)호]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공사 분리발주 여부 확인
- 동일구조물공사, 단일공사를 수의계약 또는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기위한 목적으로 시기적으로 분할하거나 공사
량을 구조별ㆍ공종별로 분할하여 계약할 수 없음(분할계약 금지 규정)
- 동일구조물공사 : 기능의 상호연결성 및 형태적 일체성을 기준으로 판단
ㆍ기능이 상호 연계되고 일체식인 구조물
ㆍ동일인이 계속 시공함이 적정한 시설물(하자책임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포함)
- 단일공사 : 예산편성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
ㆍ관련 법령에 따라 분리 발주하는 경우에는 공사 각각을 단일공사로 봄

금액기준별 제한 기준(건설산업기본법)
계약상 제한 기준 비고
ㆍ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 1천5백만 원 초과
등록업체와 계약
ㆍ종합공사 : 공사예정금액 5천만 원 초과

- 건설공사 기준금액 초과 공사는 무면허업체와 계약금지


(공사업종에 맞는 자격자를 계약상대자로 선정)

용어설명

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이 3억원 미만으로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된 공사의 금액이 전체금액의 1/2이상인 공사
공사예정금액 : 1건 공사기준, 부가가치세와 관급자재 포함 금액

8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참고1 공사 구분 및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시공단계 공
공사구분별 면허 및 관련법
구분 종류 및 관련법
종합공사 건축, 토목, 조경, 건축설비

-사관련
실내건축공사, 미장ㆍ방수ㆍ조적공사, 도장공사, 포장공사, 금속구조물ㆍ창호공사,
건설
전문공사 지붕ㆍ판금건축물조립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조경식재공사, 석공사, 시설물유지관
공사
리 등 29개
건설업의 업종별 업무내용(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7조)
전기공사 전기공사업법
소액이더라도 다른 공사와
정보통신공사 정보통신공사업법
분리 발주
소방시설공사 소방시설공사업법
물품제조ㆍ구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① 기술용역 : 건축설계ㆍ감리업(건축사법), 감리전문업(건설기술진흥법)
용역
② 일반용역 : 학술연구, 청소, 시설관리, 소프트웨어개발, 숙박, 전세버스, 항공위탁 등

주요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업종 면허종별 공사내용 비고
시설물유지관리업 급식실보수, 화장실보수 등 전문건설업종 2종이상 필요한 공사
실내건축공사업 실내인테리어, 목창호, 후로링, 비닐타일, 천정공사 등
미장ㆍ방수ㆍ조적공사업 창호코킹보수, 타일보수, 방수공사 등
금속구조물ㆍ창호공사업 창호(금속,PVC), 금속난간, 자동문, 커튼월설치 등
도장공사업 도장공사
석공사업 석재보수, 석재포장 등
포장공사업 일반포장공사
전문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파고라, 조경석, 놀이기구, 인조잔디설치 공사 등
기계설비공사업 배관보수, 위생기구교체공사 등
(일반)소방시설공사업 1만㎡미만의 모든 (기계,전기)소방공사
가스시설공사업(1종) 도시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관련 공사
난방시공업(제1종) 보일러, 온돌설치공사(2천만원이하) 등
전기공사업 전기승압, 전기배선, 냉난방전기공사 등
정보통신공사업 통신망 교체공사 등

용어설명

1. 건설공사(건설산업기본법령)
건설산업기본법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7조에 따라 종합적인 계획·관리 및 조정에 따라 실시되는 5종의 종합공사와 시설물의 일부 또는 전문분야에 관한 25종
의 전문공사로 구분(가스시설시공업 1, 2, 3종, 난방시공업 1, 2, 3종)
(구분의 기본원칙은 종합적인 계획·관리·조정의 필요 여부임, 전문공사는 종합공사를 구성하는 일부 공종임)
가. 종합건설공사
토목공사 : 토목공작물을 설치하거나 토지를 조성·개량하는 공사(도로·항만·철도·공항·관개수로·댐·하천 등의 건설, 택지조성 등 부지조성공사, 간척·매립공사)
건축공사 :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또는 벽)이 있는 것과 이에 부수되는 시설물을 건설하는 공사(원칙적으로 모든 건축공사의 시공이 가능함)
토목·건축공사 : 토목공사와 건축공사의 업무내용에 속한 공사
산업·환경설비 : 제철·석유화학공장 등 산업생산시설, 소각장·오수처리설비 등 환경시설공사, 발전소 설비공사 등

8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 전문공사의 판단기준
① 종합적인 계획-관리 및 조정의 역할이 필요하지 아니한 여러개의 전문업종이 단순히 복합된 공사는 종합공사
가 아닌 전문공사임(법 제2조제5호 및 제6호)
-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시공시 단순-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사는 종합적인 계획-관리-조
정의 역할이 필요치 아니한 전문공사 임
- 종합적인 계획-관리 및 조정(법 시행령 제31조제2항) : 공사현장에서 인력-자재-장비-자금 등의 관리, 시공관
리-품질관리-안전관리 등을 수행하고 이를 위한 조직체계 등을 갖추고 있는 경우를 말함
②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된 공사에 수반되는 필수적인 공종들은 종된공사이므로 복합공사
가 아닌 전문공사 임(법 제16조제3항제2호 및 시행령 제21조제1항 제1호)
- 종된공사(국토부 예규 제2009-91호) : 주된 공사 업종의 업무내용에 속하지 아니한 공사로서 시공 과정상 필
수적으로 수반되는 공사
③ 공사예정금액이 3억원 미만으로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된공사의 공사예정금액이 전체
공사예정금액의 1/2이상인 경우 복합공사가 아닌 전문공사 임(법 제16조제3항제2호 및 시행령 제21조제1항
제2호)

<종합공사업 또는 타 전문공사업과 혼동하기 쉬운 일부 전문공사 업무내용>

■ 실내건축공사와 시설물유지관리 공사
● 실내건축공사(전문건설공사업 : 실내건축공사업)
- 건축물의 내부를 용도와 기능에 맞게 건설하는 실내건축공사 및 실내공간의 마감을 위하여 구조체·
집기 등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공사
[실내건축공사(석공사, 도장공사만으로 행하여지는 공사는 제외), 실내공간의 구조체제작 및 마감공사,
그 밖에 집기 등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공사 등]
● 시설물유지관리공사(전문건설공사업 : 시설물유지관리업)
- 시설물의 완공 이후 그 기능을 보전하고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에 대하여 일
상적으로 점검·정비하고 개량·보수·보강하는 공사
[내진보강공사, 시설물의 개량·보수·보강공사, 운동장 및 체육시설 보수·보강공사, 학교화장실 등 보수공
사, 2종 이상의 전문공종 복합된 시설물의 개량·보수·보강공사]

용어설명

조경공사 : 수목원·공원·녹지의 조성 등 경관 및 환경을 조성하는 공사


(수목원·공원·숲 등의 조성공사)
나. 전문건설공사
실내건축공사, 토공사, 미장·방수·조적공사, 석공사, 도장공사, 비계·구조물해체공사, 금속구조물·창호공사, 지붕판금·건축물조립공사, 철근·콘크리트
공사, 기계설비공사, 상·하수도 설비공사, 보링·그라우팅공사, 철도·궤도공사, 포장공사, 수중공사, 조경식재공사, 조경시설물 설치공사, 강구조물공사,
철강재설치공사, 삭도설치공사, 준설공사, 승강기설치공사, 가스시설공사, 난방공사, 시설물유지관리 등 25종의 공사

8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참고2 학교시설공사 면허 선택 Tip

시공단계 공
(예시1) 공사명 : ○○초 포장 보수공사
<공종별집계표> (=총괄내역서)

품명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사관련
00초 포장 보수공사 4,033,578 6,489,108 1,261,724 11,784,410①
철거공사 793,460 1,980,500 408,940 3,182,900
소형고압블록포장 2,755,652 4,123,408 846,440 7,725,500②

보차도경계석설치 16,250 63,900 6,210 86,360

배수로 설치 468,216 321,300 134 789,650

- 공사명에서 1차로 면허 추정됨


- 직접공사비 : 11,784,410원(=순공사비,①)
- 소형고압블록포장: 7,725,500원(②) ☞ 직접공사비의 1/2 초과
- 공사면허 : 『포장공사업 면허』선택

(예시2) 공사명 : ○○중 옥상 방수공사


<공종별집계표> (=총괄내역서)

품명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00중 옥상 방수공사 7,990,720 11,086,428 45,052 19,122,200①
가설공사 185,234 185,234
방수공사 7,519,168 7,867,468 42,308 15,428,944②
금속공사 468,216 321,300 134 789,650
기타공사 146 48,208 48,354
철거공사 3,190 2,664,218 2,610 2,670,018

- 공사명에서 1차로 면허 추정됨


- 직접공사비: 19,122,200원(=순공사비,①)
- 방수공사: 15,428,944원(②) ☞ 직접공사비의 1/2 초과
- 공사면허: 『미장·방수·조적공사업 면허』선택

※ 최종면허 선책은 공사내역의 주된 공종 여부, 공사의 실질적인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후 이루어져야함


(선택이 어려울 시, 교육지원청 담당자(계약, 시설) 협의 후 선택)

8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계약방법 결정

수의계약 입찰
구분
1인 견적제출 2인이상 견적제출 제한입찰(지역) 일반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2억원 초과
종합 2천만원 이하 100억 이상
가격 ~ 2억원 이하 ~ 100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내역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1억원 초과
전문 2천만원 이하 7억 이상
가격 ~ 1억원 이하 ~ 7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전기 추정 2천만원 초과 8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5억 이상
통신 가격 ~ 8천만원 이하 ~ 5억 미만
소방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공사
추정 2천만원 초과
물품 2천만원 이하 3.3억 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제조
낙찰하한율 87.745% 구매:최저가, 제조:적격심사 적격심사
구매 방법 단일견적
* 2천만원 이하 90% (2.1억 미만) (2.1억 이상)
5천만원 초과~ 3.3억 미만
추정 2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건설기술용역 2.1억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용역 안전진단용역 1.5억미만)
낙찰하한율 87.745%
방법 단일견적 적격심사
* 2천만원 이하 90%

-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2.7.9.)호]


- 상기 규정에도 불구하고 교육지원청별 지침 준용(지역별로 상이함)

1. 부당한 수의계약 고착화 방지


- 교육청 지침 준수 여부 및 S2B, G2B 이용 확인
- 규정에 없는 공사분할 여부(고의 수의계약 여부)
- 공사원가계산 경비비목의 요율과 적용대상 적정 여부
2. 자격자에 의한 학교공사 시공 도모
감사방향 - 계약상대자 선정의 적정성 여부
- 공사내용에 맞는 업종과 면허등록자와 계약 여부 등
3. 수의계약의 적정성 확보
- 동일구조물공사 또는 단일공사 집행의 적정성 여부
- 수의계약 대상공사의 평가 적정성 여부

용어설명

추정가격 : 국제입찰 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위하여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부가가치세, 관급금액 제외)
추정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관급금액
기초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입찰, 예정가격의 기초)
예정가격 : 입찰 또는 계약 체결 전에 낙찰자 및 계약 금액의 결정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미리 작성, 비치하여 두는 가액

8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4. 품의하기

시공단계 공
조회방법 : 에듀파인 > 지출관리 > 지출처리 > 품의작성
작업순서 : ① 지출관리 → ② 품의작성 → ③ 입력 → ④ 예산선택 → ⑤ 산출내역 선택 → ⑥ 확인 → ⑦ 행추가
→ ⑧ 저장 →⑨ 결재요청 / 승인

-사관련
5. 공문서 작성(예시)

Tip
공사발주 서류 한글파일 연동
1. (발주)공문 1. (발주)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8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6. 공사집행계획서 (예시)

작성방법
- 공사명 : 주요 공사내용을 공사명에서 추정할 수 있도록 선정
- 사업량(물량) : 기준단가표에 나온 사업내용별 단위 사용(예 : 도장→실)
- 공사기간 : 방학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정기간 산정

※ 소규모 공사의 표준 공사기간(공기) 산정 방법은 따로 없으나,


ㆍ공기 짧을 경우 : 부실공사 우려, 무리한 공사추진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
ㆍ공기 길 경우: 현장관리 부실, 방학기간 초과에 따른 학생 안전사고 위험 및 민원 발생
⇒ 1) 소규모공사 등은 보통 한달 미만(29일 정도) 산정
(∵ 방학기간 고려, 30일 미만 시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 계상)
2) 복합공사, 특이공사의 경우 교육지원청 시설담당에게 문의 필요

- 설계금액 : 설계용역 완료 후 최종 계상된 금액(공급가액+부가가치세)


- 추정 계약금액 : 설계금액의 88%(낙찰율 고려)
추정금액의 합계가 예산범위내 들어와야 함
- 조달수수료 : 시설공사 5천만원~2억미만, 20,000원
※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누락되는 품목(설계비, 관급자재비, 각종인입비 등) 없도록 작성하며, 전체 예산
액 대비 부족액 없는지 최종 확인 필요[예산카운트]

Tip
공사발주 서류 조달수수료
1. (발주)공문 구분 금액기준 수수료(원)
2. 공사집행계획서 2천미만 10,000
물품구매
2천 ~ 5천미만 20,000
3. 설계도서 일반용역
5천이상 30,000
5천미만 10,000
시설공사
5천 ~ 2억미만 20,000
기술용역
2억이상 30,000

8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7. 설계도서

시공단계 공
설계도면 (예시)

-사관련
① ②
③ ④

- 도장공사 설계도면 구성
① 전체평면도 : (마감별)사업구역표기
② 확대평면도 : 실별 마감상세(범례) 및 도장 제외 부위 표기(창호, 가구 등)
③ 전개도 : 타입별 도장부위(면적) 표기
④ (계단실)단면도 : 계단실 도장부위(면적) 표기

- 일반적 도면 구성
ㆍ 설계개요(증축내용, 사업범위 포함), 배치도, 평명도, 입면도, 단면도, 각종 상세도면, 구조도 등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라. 기타

8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내역서[갑지] (예시)

- 발주 전 각종 요율 재확인
※ 설계용역 부분(59 page) 참조
ㆍ 건강·연금·노인장기요양보험료 : 1개월 미만 제외
ㆍ 퇴직공제부금비 : 3억 미만 제외
ㆍ 건설기계대여대금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전문건설업종별 수수료 확인)
예) 시설물유지관리, 도장, 상하수도설비공사 : 0.49%

- 산식오류 검토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 갑지+을지+일위대가+ 단가대비표+수량산출서 등 다. 시방서 라. 기타

8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공사시방서 (예시)

시공단계 공
-사관련
-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고시) 준용
- 시방서 주요내용 : 공사개요, 일반사항(총괄), 공종별 내용 등
- 공사내용에 따라 특기시방서 필요
ㆍ표준시방서 : 중앙정부에서 기존 시방서, 각종 시공서적, 시공사례, 연구성과 등을 포함하여 만든 공통된 일반
시방서
(특기시방서의 근거가 됨)
ㆍ특기시방서 : 특정 공사, 업체, 재료 등의 품질유지를 위하여 적용된 시방서
(표준시방서에 우선함)

※ 설계도서 적용의 우선순위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자지시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공사(특기)시방서 > 설계도면 > 일반ㆍ표준시방서 > 산출내역서 > 승인된 상세 시공도면 > 관계법령의 유권해석
> 감리자의 지시사항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라. 기타

용어설명

시방서 : 시공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적인 사항을 설명한 문서로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재료의 품질, 작업순서, 마무리 정도 등 도면상 기재가 곤란한 기술
적 사항을 표시해 놓은 문서

8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8. 견적에 의한 공사발주(수의계약)
견적서
- 정의 : 공급자가 발주자에게 공급 가능한 내용 및 제반 비용을 적산형태로 기술하여 제출한 문서
- 원칙 : 2인 이상으로부터 제출 받음
(단, 교육지원청 지침에 의해 추정가격 1천만원 이하는 1인견적 가능 함)
- 구성 : 공급가액 산출내역서 + (간이)도면 + 설명서(시방서)

※ 설계서는 모든 공사의 예정가격 작성을 위한 공사비 산출의 기준 및 근거이며, 공사감독과 검사과정에서 계약대
로 이행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됨
ㆍG2B, S2B 이용시 건축사(설계용역)가 작성
ㆍ1인 견적에 의한 수의계약시는 계약상대자가 작성하도록 요구

- 작성예시

ㆍ 공사내용 확인 및 계약 후 계약사항 이행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품목별, 규격별로 구분하여 작성


ㆍ (간이)도면과 설명서의 규격, 수량과 일치여부 확인
ㆍ 단가는 ‘일위대가’,‘자재단가’,‘노임단가’검토
(적정 품명, 규격 작성시 교육지원청 시설담당 검토 요청 가능함)
ㆍ 1식 견적서 금지(적정 가격 판단 불가, 계약사항 이행 여부 확인 및 공사감독 불가)

9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2장 공사계약1[계약의 일반사항]

시공단계 공
1. 사업 진행 절차
사업 진행 절차

-사관련
사업부서 계약부서 사업부서 계약부서
· 사업계획수립 · 계약방법결정 · 준공계 접수 · 준공확인서 접수
· 발주 및 품의1) · 견적서 징구 · 검수 후 준공확인서 · 하자보수보증서 징구
- 내역서 또는 입찰공고 작성·제출 · 대금지급
- 시방서 · 계약체결 (계약부서)
· 착공계 접수

1) 예산이 학교회계전출금으로 편성된 경우, 에듀파인 품의 없이 업무관리시스템으로 발주

2. 공사계약 절차
사업계획수립 품의 계약방법결정 입찰공고 개찰

설계변경 및
선금지급
계약금액 조정 착공계 접수 계약체결 낙찰자결정
(신청시)
(상황 발생시)

준공정산 전기, 수도료 징수 지연배상금


준공계 접수 준공검사
(해당시) (해당시) (해당시)

하자보증서
하자검사 대가지급
징 구

3. 공사계약방법 요약표
수의계약 입찰
구분
1인견적제출 2인이상 견적제출 제한입찰(지역) 일반입찰
종합 추정가격 2천만원 이하 2천만원 초과~2억원 이하 2억원 초과 ~100억 미만 100억 이상
공사 방 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내역입찰
전문 추정가격 2천만원 이하 2천만원 초과~1억원 이하 1억원 초과~7억 미만 7억 이상
공사 방 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용 적격심사
전기통신 추정가격 2천만원 이하 2천만원 초과~8천만원 이하 8천만원 초과~5억 미만 5억 이상
소방공사 방 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용 적격심사

적격심사 기준금액 경기도교육청 계약심사 금액기준

종합공사 → 추정가격 2억원 초과 공사 : 추정금액 3억원 이상


전문공사 → 추정가격 1억원 초과 용역 : 추정금액 7천만원 이상
전기·통신·소방공사 → 추정가격 8천만원 초과 물품 : 추정금액 2천만원 이상
제외 : 제3자단가, 급식식재료

9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입찰과 전자견적의 차이점(공사)


구분 입찰 수의계약
적격심사여부 ○ ⅹ
· 전자공개수의 : 2인이상
유효한 성립요건 반드시 2인 이상
· 수의계약 : 1인
지역제한 방법 광역 시도단위 제한 시군단위 제한 가능1)
지정정보처리장치 공고 반드시 이용 예외사항 존재
공고기간 일반 : 7일, 긴급 : 5일 3일 이상
입찰보증금
환수 납부대상이 아님
환수여부
낙찰 후 정당한
제재대상이 아님
이유없이 부정당업자 제재 제재 후 재공고
(단 3개월간 수의계약 배제) 2)
계약 미체결시
계약 상대자가
새로운 입찰에 붙임 차순위부터 결격사유 검토 후 낙찰
부적격자인 경우

5. 인지세(인지세법 제3조, 동법 시행령 제2조)


과세문서 금액별 구간 세액
계약금액 1천만원 초과 3천만원 이하 2만원
계약금액 3천만원 초과 5천만원 이하 4만원
도급 또는 위임에 관한 증서 중
법률에 따라 작성하는 문서로서 계약금액 5천만원 초과 1억원 이하 7만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계약금액 1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15만원
계약금액 10억원 초과 35만원

※ 인지세 납부정보 조회 : 나라장터 수요기관업무 ⇒ 공통 ⇒ 인지세납부정보조회

권역별 지역제한 현황 수의계약 배제 절차

1) 재무과-16984(2007.10.04.) 2) 수의계약배제 제재 절차
「소액수의 시설공사 권역별 공개 견적입찰 기준 재조정 사항 알림」
계약체결 요구 계약체결 촉구
권역 지 역 →계약 미체결 발생 →업체에 2∼3차례 공문 발송
수원권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용인시
성남권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 수의계약 결격업체 등록 요청 제재 사유 발생
부천권 부천시, 광명시, 김포시 →업체명, 대표자, 사유 등 명시 →계약 미체결(계약포기)
평택권 평택시, 안성시
이천권 이천시, 여주군, 양평군 수의계약 결격업체 공개
수의계약 결격업체 제재
안양권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
효력 발생
안산권 안산시, 시흥시 →통합자료실-재무담당관

9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3장 공사계약2[공고문 작성 시 유의사항]

시공단계 공
1. 공고기간의 산정 방법

-사관련
2인이상 견적 제출 : 3일 이상(※토요일, 공휴일 제외)
- ex) 공고일(1일) + 공고일(3일) + 개찰(1일)
입찰 : 7일(긴급 : 5일(※토요일, 공휴일 포함)
- (일반)제출마감일의 전날부터 기산하여 7일 전 공고
- (긴급)제출마감일의 전날부터 기산하여 5일 전 공고
- ex)공고일(1일) + 공고일[(7일,(긴급 : 5일)] + 개찰(1일)

※ 예시-소액수의 견적입찰
공고기간 : 3일 이상(※토요일, 공유일 제외)

6.21(목) 6.22(금) 6.23(토) 6.24(일) 6.25(월) 6.26(화) 6.27(수)

ⓐ 공고일 : 2018.6.21.(목)
ⓑ 공고일 : 2018.6.22.(금)<1일>, 6.23(토), 6.24(일), 6.25(월)<2일>, 6.26(화)<3일>
ⓒ 개찰일 : 2018.6.27.(수)

2. 추정금액이란?
추정금액

추정가격 부가가치세 관급액(도급자설치)

도급액=기초금액
ⓐ 추정가격 : 국제입찰대상 기준, 계약방법결정 기준
ⓑ 기초금액 : 추정가격에 부가가치세를 더한 금액
ⓒ 관급액(도급자설치) : 발주기관이 직접 구입하여 계약상대자에게 지급하는 자재
(계약상대자가 설치 또는 시공, ex.레미콘, 시멘트, 철근 등)
☞ 추정금액에 포함
ⓓ 관급액(관급자설치) : 발주기관이 직접 구입하여 설치 또는 시공하는 자재
(ex. 방송장비, 무대장치, 냉난방기 등)
☞ 추정금액에 미포함

입찰공고문 적용의 우선순위

지방계약법 시행규칙 제36조


☞ 입찰공고문과 전자조달시스템이 상충할 경우
→ 입찰공고문 우선
☞ 다만, 지정정보처리장치 게시일과 입찰공고문에 적힌 입찰공고일이 다른 경우
→ 게시한 날이 우선

학교에서 주로 시행하는 공사 면허(예시)

화장실 보수공사 ☞ 시설물유지관리업 면허


교실 리모델링공사, 교실 바닥교체공사 등 ☞ 실내건축공사업 면허
위 면허 예시는 일반적인 상황에 맞는 것으로, 최종 면허 선택은 공사내역의 주된공종, 공사의 실질적인 목적 등을 검토 후 선택해야함.
☞ 선택이 어려울 시, 교육지원청 담당부서(시설,계약) 담당자와 협의 후 선택

9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3. 면허 선택 방법
근거 및 내용 ☞ Ⅴ.시공단계 제1장 공사발주-[참고1] 참조 (P.80)
- 건설산업기본법 제8조(건설업의 종류)
ㆍ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7조(건설업의 업종 및 업무내용 등)
- 면허선택 Tip(예시) ☞ Ⅴ.시공단계 제1장 공사발주-[참고2] 참조 (P.81)
ㆍ (예시1) 포장공사업 면허
ㆍ (예시2) 미장·방수·조적공사업 면허
※ 『건설업면허 없이 가능한 경미한 공사』기준
- 공사예정금액 5천만원 미만 공사(종합공사), 1천 5백만원 미만 공사(전문공사)
(※공사예정금액 : 추정가격 + 부가가치세 + 도급자설치 관급자재(발주자))

제4장 공사계약3[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1. 「공사근로자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관련 유의사항


① 관련 : 재무담당관-13058(2012.5.29.)호
『공사근로자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실무요령 알림』
② 개념 : ‘건설근로자 임금보호 강화방안’의 일환
- 발주기관,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이 노무비를 노무비 이외의 대가와 구분하여 관리하고 근로자 개인계좌로 입금
☞ 구분관리제
- 발주기관에서 매월 근로자별 노무비 지급여부 확인 ☞ 지급확인제
③ 대상공사 : 2012.4.2.이후 입찰공고(수의계약의 경우 수의계약 체결일, 안내 공고하는 경우는 안내공고일 기준)하는 공사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적용 제외 공사>


노무비 구분관리제 적용 제외(※단, 지급확인제는 적용)
계약기간이 1개월(30일 기준) 미만인 공사(단, 1개월 이상으로 계약기간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적용)
☞ 학교의 경우, 소액공사가 많으므로 적용 제외 가능성 高
(先 지급) 노무비 청구기일 전에 근로자 전원에게 노무비를 지급한 경우
(단, 미지급자가 1인이라도 있을 경우에는 적용)
(현금지급) 개좌개설 불가 등의 사유로 계좌입금 대신 현금 지급하는 경우
노무비 구분관리제 및 지급확인제 적용 제외 공사*
직접노무비 지급대상 전원이 계약상대자의 상용근로자만으로 구성된 공사
객관적으로 해당 제도를 적용할 수 없다고 발주기관이 인정하는 경우
☞ 발주기관은 매월 노무비를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의 통장으로 입금

사전 준비사항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합의서 체결(P.109) 동 제도 적용 불가한 경우 착공계 제출 시 해당 사유서를 첨부, 발주기관의 승인을 요청하여야함
노무비 지급용 전용통장 개설 - 노무비 구분관리제 적용 제외 신청(P.99)
- 개설 후 통장사본 제출 - 노무비 구분관리제 및 지급확인제 적용 제외 신청 (P.100)
- 공사비 관리통장과 구분

9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④ 지급 범위
- 표준·일반 근로계약서 등을 통해 계약되고 사용된 모든 근로자(직접노무비 대상에 한하며, 하수급인이 고용한 근

시공단계 공
로자를 포함)의 임금(장비, 자재대금은 적용 제외)
⑤ 노무비 청구 및 지급(※ 기간산정 시 토요일·공휴일 제외)

-사관련
<계약상대자(하수급인)>
노무비
① ‘월’단위 청구(하수급인이 있을 경우, 하수급인 근로자의 노무비 포함·청구)
청구
- 전월 지급내역 및 당월 청구내역을 함께 제출(하수급인은 계약상대자에게 제출)

<발주기관>
② (기성 감안, 청구내역의 적정성 검토 후) 청구일로부터 5일이내에 계약상대자
노무비 전용계좌로 입금(부적정 시 보완 요구)
☞ 하도급 직불합의 시 하수급인 전용계좌로 직접 입금
<계약상대자>
노무비 ③ 노무비 지급받은날로부터 2일 이내 근로자 개인계좌로 입금
지급 ☞ 하수급인 근로자 노무비는 하수급인 노무비 전용계좌로 입금
<하수급인>
④ 하수급인은 노무비 지급받은날로부터 2일 이내 근로자 개인계좌로 입금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
⑤ 노무비 지급일로부터 5일 이내에 노무비 지급결과 보고

노무비 청구 시 구비서류

노무비 청구내역서(당월)(서식3) (P.102)


노무비 지급내역서(전월)(서식4) (P.103)
노무비 기성내역서(양식×)
(청구금액의 기성대비 적정여부 확인용)
(근로자)신분증
(근로자)통장사본
(대리인 수령시)위임장(양식×)

9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5장 공사계약4[선금 신청, 지급 및 정산]

■ 근거 : 행정안전부 예규「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6장 선금·대가 지급요령


■ 내용 : 계약상대자의 계약이행 전 또는 기성대가 지급 전에 미리 그 대금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

(기성금 지급 이후 선금 지급 불가→예외 有)

1. 선금지급의 범위

계약금액의 7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약금액 규모에 따라 선금지급의무률 이상으로 지급. 다만, 계약상대
자가 선금의무지급률 이하로 신청하는 경우는 신청한 바에 따라 지급한다.

2. 선금지급의 예외
해당 기관의 자금사정으로 자금배정이 지연될 경우(단, 자금배정 시 즉시 지급)
계약체결 후 불가피한 사유로 이행착수가 상당기간 지연될 것이 명백한 경우
(단, 그 사유 해소 시 즉시 지급)
계약상대자로부터 선금지급 요청이 없을 경우(=신청이 없는 경우 미지급)

3. 선금 지급이 불가한 경우(지급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공사의 잔여 이행기간이 선금지급 신청일 기준 30일을 초과하지 아니한 경우 선금 지급 불가
수학여행, 긴급을 요하는 재난복구공사, 선금 지급을 아니하고는 계약이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예외)

4. 선금보증서 제출 ☞ 건설공제조합, 서울보증보험 등에서 발급(서식4 참조)( P.105)


보증금액 : 청구액 + 보증기간에 해당하는 약정이자상당액
보증기간 : 보험기간의 개시일은 선금지급일 이전, 종료일은 이행기간의 종료일로부터 60일 이상 확보
☞ 이행기간 연장 시 보증기간 연장된 보증서 추가 징구

선금 신청 서류(참고)

선금급신청서(서식1)(P.104) 선금급사용각서(서식3)(P.106)
- 공사명, 계약금액, 선금신청액, 계약기간 등을 명시 세금계산서
선금 지급 조건 승낙(서식2)(P.105) 국세(지방세)완납증명서, 국민연금·건강보험 납부(완납)증명서
- 선금지급에 대한 조건 명시(용도, 사용처, 하수급자에 대한 지급, 반환조건 등) 선금급보증서(서식4)(P.107)

9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5. 선금의 사용

시공단계 공
공사의 경우, 통상적으로 자재구매 등의 용도로 사용(노임은 해당 공사의 원가계산서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원도급자는 하수급자에게 선금 수령사실을 5일 이내에 서면통지
계약담당자는 선금지급일로부터 15일 이내에 하수급자에게 현금으로 지급하게 하고, 선금 배분 여부 확인

-사관련
6. 선금의 반환 사유
계약을 해제·해지하는 경우
선금지급조건을 위배한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선금 수령일로부터 15일 이내에 하수급자에게 선금을 배분하지 않은 경우
계약변경으로 인해 계약금액이 감액되었을 경우

7. 선금의 정산
기성 대가지급시마다 아래 식에 따라 산출한 선금정산액 이상 정산해야함.

※ 선금정산액 = 선금액 x 기성 기납 부분의 대가상당액


계약금액
※ 예시

현 황 처리내용

· 총계약금액 1,000원 · 선금정산액 : 400원


· 선금 500원 지급 (500원×(800원/1,000원)
· 기성부분 대가상당액 800원 · 기성대가지급액 : 400원

계약금액 기준별 선금의무 지급률 선금의 정산서류(참고)

계약금액 기준 선금 선금사용내역(서식5)(P.108)
(공사) 의무지급률 - 사용세부내역서
- 세금계산서
100억원이상 30%
- 거래명세서
100억원미만 40% - 입금증
- 사진
20억원이상 50%
- 선금수령확인서(하도급)

9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6장 공사계약5[계약의 이행보증 및 하자보증]

1. 계약의 이행보증
근거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1조 제1항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53조 제1항
- 내용 : 계약보증금 납부(현금 또는 계약보증서)
보증금액(공사) : 계약금액의 15% 이상
☞ 단, 계약금액이 5천만원 이하인 경우 지급확약서 징구로 갈음
(※물품, 용역 : 계약금액의 10% 이상 ☞ 계약상대자와 합의한 경우 15%도 가능)
보증기간 : 계약체결일 ∼ 준공예정일
☞ 추가 보증서 발급 要[공사기간 연장 시, 설계변경 시(계약금액 증액)]
보증기관(공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현재 보증기관은 약 16개가 있음)

종합공사 : 건설공제조합(서울보증보험 등도 가능)


전문공사 : 전문건설공제조합(대한설비건설공제조합, 서울보증보험 등도 가능)
전기·소방·통신공사 : 전기공사공제조합, 정보통신공제조합, 소방산업공제조합 등)

2. 하자보증(하자보증률 및 보증기간)
보증기간 ☞ 보증기간 시작일은 준공검사 완료일부터(준공일×)
공사 종류 관련근거 보증기간
조경공사 5%
공사별 종류별 구분에 따라 상이
일반건축공사 3%
★(개정)지방계약법 시행규칙(2018.7.3.)
전기, 소방공사, 정보통신공사 2%

Tip
관련법(링크)
- 지방계약법
- 지방계약법 시행령
- 지방계약법 시행규칙

9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1


시공단계 공
노무비 구분관리제 적용제외 신청서

-사관련
1. 공 사 명:

2. 계약금액:

2-1. 직접노무비 :

3. 계약년월일 :

4. 착공년월일 :

5. 준공년월일 :

위 공사 건은 30일 이상공사로써 노무비 구분 관리 및 지급확인제 적용 대상 공사이나, 공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매월 말일 노무자 전원에게 노무비를 先지급하고 지급내역서를 익월 일까지 제출코
자 노무비 구분관리제 적용 예외를 신청하오니 승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추후 당해 공사와 관련한 임금체불 등으로 민원이 발생치 않도록 할 것을 확약하며, 임금 미변제
에 대한 일체의 민·형사상 책임은 계약상대자 있음을 확약합니다.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00학교장 귀하

9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서식2-1

노무비 구분관리제 및 지급확인제 적용제외 신청서

1. 공 사 명:

2. 계약금액:

2-1. 직접노무비 :

3. 계약년월일 :

4. 착공년월일 :

5. 준공년월일 :

위 공사 건은 직접노무비 지급대상 전원이 당사의 상용근로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행정자치부예규) 제6장 선금·대가지급요령 제3절 규정에 의거 노무비 구분관리제 및 지
급확인제 적용 예외를 신청합니다.

붙 임 : 1. 상용근로자 인적사항표 1부
2. 4대보험 가입확인서(4대보험 포털사이트 출력용) 1부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00학교장 귀하

10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2-2


시공단계 공
상용근로자 인적사항표

연번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비고

-사관련

위 사항이 틀림없음을 확인합니다.

201 년 월 일

- 작성자 : 현장대리인 (인)

10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서식3

공사근로자 노무비 청구 내역서


● 공사명 :
계좌번호
계약상대자 해당 월 근로자 성명 청구액 휴대전화번호
(은행명)

소계

계좌번호
하도급사1 해당 월 근로자 성명 청구액 휴대전화번호
(은행명)

소계

계좌번호
하도급사2 해당 월 근로자 성명 청구액 휴대전화번호
(은행명)

소계

합계

- 작성자 : 현장대리인 (인)

10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4


시공단계 공
공사근로자 노무비 지급 내역서
● 공사명 :

-사관련
해당 근로자 계좌번호 휴대전화 지급
계약상대자 구분 주민등록번호 지급액 서명
월 성명 (은행명) 번호 일자

소계
해당 근로자 계좌번호 휴대전화 지급
하도급사1 구분 주민등록번호 지급액 서명
월 성명 (은행명) 번호 일자

소계
해당 근로자 계좌번호 휴대전화 지급
하도급사2 구분 주민등록번호 지급액 서명
월 성명 (은행명) 번호 일자

소계

합계

※ 1. 구분 : 계좌입금, 현금지급 구분
2. 현금지급은 근로자 서명 날인, 계좌입금은 서명 생략(은행 이체증명 등 증빙자
료 첨부)
- 작성자 : 현장대리인 (인)

10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서식1

선금급신청서

1. 공 사 명

2. 계약금액 금 원(₩ )

3. 계약년월일 년 월 일

4. 착공년월일 년 월 일

5. 준공기한 년 월 일

6. 변경 준공기한 년 월 일

7. 선금급신청금액 금 원(₩ )

위와 같이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18조, 같은법 시행령 제67조 및 행정행정


부 예규 제21호(2018.1.10.)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6장(선금 및 대가지급요령)에 의거
선금급을 신청합니다.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00학교장 귀하

10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2


시공단계 공
선금지급조건승낙서

-사관련
1. 공 사 명 :

2. 선금지급액 :

00학교에서 정한 다음의 선금 지급조건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는 이를 승낙함.

가. 수령한 선금을 당해 공사의 자재확보 등 당해 계약목적달성을 위한 용도로 사용


나. 공동수급체 및 하수급업체에 선금 수령사실을 5일이내에 서면통지하고, 하도급부분에 대해서는 법이
정한 일정비율의 금액을 선금 수령 즉시 지급
다. 계약상대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선금을 반환하는 경우에는 당해 선금잔액에 대한 약정이자 가산액을
가산하여 반환하여야 하며, 이자상당액의 계산방법은 매일의 선금잔액에 대한 일변계산에 의하며 계산
기간은 반환시기까지로 함.
라. 기성고 신청 및 선금전액 사용시에는 관련증빙자료를 첨부하여 사용내역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선금
을 전액 정산하기 이전에는 계약에 의하여 발생한 권리의무를 제3자에게 양도할수 없음.
마. 다음 선금 지급 반환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의없이 반환(선금지급반환확약서 제출)
1) 공사가 공기 내에 완공할 수 없다고 우리학교가 판단할 경우
2) 계약상대자의 귀책사유로 보증시공(완공)등이 이루어질 경우
3) 계약을 해제 또는 해지하는 경우
4) 사고이월 등으로 반환이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5) 정당한 사유없이 선금수령일로부터 15일이내에 공동수급체 구성원 또는 하수급업자에게 선금을 배부하
지 않은 경우
6) 선금사용목적에 위배하여 사용한 경우
7) 노임등의 미지급으로 민원이 야기되는 경우
8) 기타 불가피한 사정으로 환수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00학교장 귀하

10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서식3

선금급사용각서

1. 공 사 명

2. 계약금액 금 원(₩ )

3. 계약년월일 년 월 일

4. 착공년월일 년 월 일

5. 준공기한 년 월 일

6. 변경 준공기한 년 월 일

7. 선금급신청금액 금 원(₩ )

위 계약에 의한 귀청의 선금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는 조건의 이행은 물론 다음 사항을 준수하고 귀청의
어떠한 결정이나 청구에도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순응하겠음을 이에 각서를 제출합니다.

1. 선금을 계약특수조건에 명시된 사용목적 외에 사용하지 아니하겠음(사용목적 : 재료비)


2. 본인의 귀책사유 또는 귀청의 사정에 의하여 선금 잔액(전액)을 반환하는 경우에는 귀교의 반
환청구에 지체없이 순응하겠음.
3. 준공연장의 경우 귀교의 결정에 따라 지급보증기간을 연장하겠음.
4. 기타 선금에 대한 귀교의 결정 또는 요구에 순응하겠음.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00학교장 귀하

10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4


시공단계 공
선금급보증서

-사관련

10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서식5

선금급 사용내역서

1. 공 사 명 :

2. 계약금액 : 금 원(₩ )

3. 선금금액 : 금 원(₩ )

선금청산액
구 분 선금수령액 비고
1차 2차 3차
재 료 비
노 무 비
원도급
경 비 붙임 1,2,3,5 제출
(직영)
부가가치세
소 계
재 료 비
노 무 비
붙임 1,2,3,4,5 제출
하도급 경 비
하도급 공사명 기재
부가가치세
소 계
합 계

위 사용내역과 같이 선금을 청산 합니다.

201 년 월 일

상 호:

주 소:

대표자:

(인)

붙임 1. 선금 사용 세부내역서 1부
2. 입금증 1부
3. 세금계산서(거래명세서 포함) 사본 1부
4. (하도급의 경우)선금수령 사실 확인서(해당시) 1부
5. 사진 1부

00학교장 귀하

10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서식6


시공단계 공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합의서

-사관련
공사명

상호

대표자
계약상대자
사업자등록번호

영업소 소재지(전화번호)

계약금액
계약내용 계약상의 직접노무비
또는 노무비

위 시설공사의 계약에 대하여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 운영을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다음 사항


에 대하여 합의하고, 합의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확약 합니다.

청구일 지급기일 은행명 계좌번호 비고

매월 일 매월 일

제1조(근거) 본 합의서는 행정안전부 예규 제2호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 제6장 「선금·


대가 지급요령」 제3절의 “4”(노무비의 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의 규정에 근거한 ‘노무비 구분관리 및 지급
확인제’(이하 ‘노무비 구분 관리제’라 합니다.) 세부추진 사항을 합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제2조(정의) ‘노무비 구분관리제’란 발주기관, 계약상대자가 노무비를 노무비 이외의 대가와 구분하여,
발주기관이 계약상대자에게 노무비를 매월 지급하고 근로자에게 대금이 지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제3조(대상공사 및 지급범위) 2012년 4월 2일 이후 입찰공고된 공사의 공사현장에서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직접 노무비 대상, 자재·장비 대금 제외)에게 지급합니다.

제4조(업무처리절차) 지방계약예규 및 발주처 세부계획에 따르며, 이 외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지방계약법 등에 따라 양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정합니다.

제5조(노무비 전용통장) 계약상대자는 노무비 전용통장을 계약상대자 명의로 개설 하고 전용통장의


변경시 발주기관의 승인을 득하여야 합니다.

10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6조(선금지급) 선급금에서 노무비는 제외되므로 선급금 신청금액은 발주기관과 협의하여 신청하도록


합니다.

제7조(지급상한) 노무비 청구액은 잔여 기성액을 초과하여 청구할 수 없으며, 계약액을 초과한 노무비에
대해서는 계약상대자가 지급하여야 합니다.

제8조(지급방법의 예외) 근로자가 계좌를 개설할 수 없거나 다른 방식으로 지급을 원하는 경우는 계약
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합니다. 계약상대자의 경영상태 악화 등의 사유로 노임 구분관리제 실시가 어렵다
고 판단될 경우 계약상대자의 요청(동의)시에 발주기관이 계약상대자의 근로자에게 노무비를 직접 지급
할 수 있습니다.

제9조(성실의무) 계약상대자는 노무비 청구내역의 누락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무비 구분관리제를


성실하게 수행해야 합니다. 노무비 체불, 허위 청구 및 유용의 사례가 확인될 경우 발주기관은 처분청 통보
및 형사고발 등의 행정조치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계약상대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제10조 이 합의서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발주기관과 계약상대자가 협의하여 정할 수


있습니다.

년 월 일

발주기관 : 학교 (분임)재무관 (인)

계약대상자 : 대 표 (인)

11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7장 공사추진1[착공]

시공단계 공
1. 착공서류 확인

-사관련
착공서류
계약보증보험증권 (법인)인감증명서 사용인감계 법인등기부등본
계약서
사업자등록증 공사면허증,면허수첩 수의계약각서 청렴계약이행서약서
착공신고서 계약내역서 공사예정공정표 현장대리인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안전관리계획서 품질관리계획서 환경관리계획서
착공계 사용계획서
공정별 인력 및
착공전 사진 직접시공계획서 산재·고용보험가입신고서
장비투입계획서

- 계약보증보험증권: 원본, G2B로 전자 송부한 경우 제출 생략


- 사업자등록증, 공사면허증, 면허수첩: 사본, 사용인감 날인
- 수의계약각서, 청렴계약이행서약서: 전자계약서 첨부파일 송신으로 갈음
- 현장대리인계: 재직증명서, 기술자수첩(사본) 첨부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사용계획서: 4천만원 이상 공사
- 품질관리계획서: 연면적 660㎡이상인 건축공사, 총공사비 2억원이상 전문공사, 총공사비 5억원이상 토목공사
- 직접시공계획서: 50억원 미만 공사
(단, 1건 공사의 도급금액이 4천만원 미만, 공사기간 30일 이내일 경우 생략 가능)
· 직접시공비율: 3억원 미만의 경우 100분의 50(그외는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참조)
- 산재·고영보험가입신고서: 착공 후 14일 이내 제출

※ 청렴 서류[공사 관리·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방안, 시설과-6046(2016.7.1.)호]


- 청렴이행공동서약서 및 청념이행 실천 행동수칙, 청렴서한문, 하도급실태확인서, 공사업무 절차 및 구비서류 안내문

※ 체크사항
1. 모든 계약사항은 문서로 보완되어야 효력이 발생하며, 계약문서는 공문서로 공문서의 접수·처리 규정에 맞게
처리해야함
2. 계약문서 상 계약사항(계약일자, 준공(예정)일자 등) 누락 주의
3. 계약내역서는 (갑지)사용인감 날인, (을지)간인 필히 받음

Tip
한글파일 연동
청렴관련 서류 일체

용어설명

갑지 : 설계내역서의 첫번째 장, 공사원가계산서


을지 : 공종별 세부내역서

11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착공서류 (예시)

착공계(착공신고서) 및 현장대리인계

- 공사명, 계약금액, (계약일, 착공일, 준공예정일)날짜 확인


- 현장대리인 자격: 기술자수첩과 건설기술자경력증명서 확인

자격기준(30억원 미만)[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5. 건설기술자 배치기준]


ㆍ산업기사이상으로 해당 직무분야 3년이상 실무 종사자
ㆍ중급기술자 이상 혹은 초급기술자로서 해당공사와 같은 종류 공사현장에 3년이상 종사자

용어설명

기술자수첩 건설기술자경력증명서

11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계약내역서

시공단계 공
-사관련

계약내역서 작성 방법(예시)
- 계약당사자가 설계도서를 기준으로 계약내역 작성 후 발주처 검토·승인
- 갑지 요율조정(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등) 단, 보험료 요율 변경 금지
- 을지상 금액 조정 시 전체 순공사비 일정비율(낙찰율) 일괄 조정
※ 상기 방법은 내역서 작성 방법의 일반적인 예시로 계약 당사자간의 협의를 통해 변경될 수 있음

11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8장 공사추진2[공사감독]

1. 공사감독
품질관리
- 시공자(감리자)로부터 검측 결과를 제출 받고, 그 내용을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다음 공정을 착
수하게 함
- 시공 후 매몰되거나 사후 검사가 곤란한 구조물은 현장에 입회하여 지도 감독하고, 증빙할 수 있는 기록(사진, 동영
상 등)을 남김
- 도장공사 검측체크리스트 (예시)

검사결과 조치
세부공종 검사항목 검사기준
합격 불합격 사항
바탕면 청소상태 이물질 제거 여부
바탕처리
사용자재 준비상태 자재공급원 승인서
승인자재 사용여부 자재공급원 승인서
초벌완료 도막두께 시방서
재벌완료
도장결함 여부 시방서
정벌완료
(단계별) 도장상태의 적정성
기타

- (일반사항, 자재관리, 공종별)검측체크리스트의 검사항목 확인 및 검사


공정관리
- 착공시 제출한 공정표를 확인하고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파악함
- 계획보다 지연 시 시공자로부터 원인과 대책을 제출 받아 검토 및 지시함
안전관리
-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 규정에 의거 안전관리 철저
- 착공시 제출한 안전관리계획서 준수 여부
- 위험물 저장소, 화기 취급 장소 등의 보안 설비
- 반입자재의 정리 상태
- 가설용 장비의 보전 상태
- 낙하방지, 안전망 등의 안전 여부 및 보전 상태
환경관리
- 공사로 인한 대기 및 수질 오염, 악취, 분진, 소음 또는 진동 등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도 철저

Tip
도장공사 감독 Tip! ② 바탕만들기 면적 확인
① 수성페인트칠 내벽○회 - 바탕처리 면적 실측 후 수량산출이 원칙이나, 현실적으로 어렵기에 통상적으로 칠면적의
- 재도장 시 3회(칠) 안함 30%이내 적용함
일반적으로 2회 반영 - 해당 작업사진(면처리, 퍼티작업 등) 첨부 필

용어설명

바탕만들기 : 균열메우기 및 요철부위 보수 등을 통한 도장면 사전 처리작업

11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관리
- 공사현장에 반입된 검수자재 또는 시험 합격재료는 공사현장 밖으로 반출하지 못하도록 함

시공단계 공
- 관급자재에 대하여는 시공자로 하여금 적정하게 보관 및 사용하게 하고, 그 내용을 관급자재 수불부에 기록하도록 함
- 주요자재별 KS인증, 친환경(환경표지인증,HB마크) 여부, 시험성적서 등을 포함한 자재 공급원 승인서 제출받음
· 각종 인증서의 인증(유효)기간 확인

-사관련
※ 유치원, 초등학교는 어린이활동공간검사 대상 시설로 친환경자재 사용여부 확인을 위하여 필히 해당 자재의 현장
납품확인서를 제출 받아야 함

- 인증서 (예시)

- 환경마크 (좌: 환경표지인증 / 우: HB마크)

Tip
모든 공사는 착공전, 시공중, 완공으로 구분하여 사진을 촬영하여야 함.
시공 후 매몰되거나 사후검사가 곤란한 구조물은 시공 상태를 증빙 할 수 있는 사진과 상세한 기록 보존.

용어설명

자재 공급원 승인서
- 회사소개
- 등록증사본
- 품질시스템인증서
- 도장사양서
- 납품실적서 등 포함

11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불법하도급 여부 확인

불법하도급 유형
- 일괄하도급
ㆍ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주요공사의 대부분을 다른 건설업자에게 하도급
- 동일업종간 하도급
ㆍ수급인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일부를 동일한 업종의 건설업자에게 하도급
[발주자→수급인(토공) →하수급인(토공)]
- 재하도급 제한
ㆍ하수급인은 하도급 받은 건설공사의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 다시 하도급
[발주자→수급인(종합)→하수급인(토공) →재하수급인(철콘)]
불법하도급 의심 사례
- 착공계의 현장대리인과 동일 인물이 현장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 공사 내용 및 공사 금액에 대하여 계속되는 시비가 있는 경우
- 공사 추진이 부진하며 부실하게 하는 경우
- 일용근로자 임금체불, 식당 대금 지급이 지연되는 경우
불법하도급 대응 방안
- 하도급 실태 확인서 접수
[공사 관리·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방안, 시설과-6046(2016.7.1.)호]
- 현장대리인 현장 상주 여부 수시 확인
- 현장대리인 외 이사 등 업체 관계자 방문 협의 시
→ 관계자 경력증명서, 건강보험납부증명서 등 제출 요구
→ 현장대리인 상주 혹은 변경 지시
- 공사자재의 원도급자 구입 여부 확인(거래명세표, 세금계산서 요구)

※ 불법하도급이 확인되면 법적 조치 필요
▶ 경찰청 건설현장 불법행위 신고센터(112 혹은 경찰서 지능수사팀 등)
▶ 국토교통부 건설경제과 또는 지방자치단체 건설과
▶ 대한건설협회 건설업등록 불법대여 신고센터(02-3485-8371)
▶ 경기도교육청 부조리 신고(031-249-0999)

Tip
기타사항
공사 시행 전 충분히 검토하여 설계 변경 최소화
- 설계변경 시 신규 품목 : 반드시 낙찰률 적용한 단가 산정
(예 : 87.745% 낙찰된 공사의 신규 품목 100원 단가, 87.745원)
- 부득이 변경 사항 발생시 : 설계변경 또는 준공정산을 통해 계약 금액 조정
공사외 사업을 추가로 시공사 요구 중지
- 시공사 목적은 영리추구로 설계도서외 추가 공사 요구시 본래의 공사가 부실해 질 수 있음
준공시 내역서 수량과 실제 시공 물량 확인 필요
- 설계도서 참고, 변경이 있을시 계약금액 조정
장비 : 규격 · 용량 일치 여부 확인 (보일러, 온수기 등)

11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참고 학교시설공사 안전관리 개선 대책 이행 요령

시공단계 공
각 공정별 계약상대자가 착공신고서 제출시 발주청은 계약현황 및 현장대리인 현황을 학교장에게 의무적
으로 통보하고, 학교장은 학교 소속 직원 중에서 공사관리 담당자를 지정 및 시공사와 협력하여 학교 실정
에 맞는 『학교안전관리계획서』가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시공사에 협조.

-사관련
시공사가 학교장과 협의하여 착공 후 7일 이내에 공사관계자의 상호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아래 내용을 착
공시 제출하는 안전관리계획서[붙임-2]에 보완하여『학교안전관리계획서』를 추가 제출하도록 지도관리

학교장과 주공정 계약자가 안전관리 협의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약자별 안전관리조직 구성을
『주공정 공사현장대리인(건축) > 부공정 공사현장대리인(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 > 협력업체별 현장
대리인』 등의 위계 순으로 구성

총괄 안전관리조직 외에 『통행안전시설 설치 및 교통소통계획』차원의 학교안전관리조직을 『학교 공사


관리 담당자 > 주공정 공사현장대리인(건축) > 부공정 공사현장대리인(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 > 협력
업체별 현장대리인』 등의 위계 순으로 별도 구성하여 운영

각 시공사는 작업일보 계획을 1일 전에 학교장에게 의무적으로 제출하고, 학교 공사관리 담당자가 학교


안전관리에 공사일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

시공사는 학교 일과 중 공사차량 통행시 공사장 입구 및 학교 출입구 등에 2인 이상의 신호수를 의무적


으로 배치하고, 감리원 및 학교 공사관리 담당자는 이행여부 관리

통학로 피크타임 시간대 공사차량의 통행은 전면 차단하고, 공사차량 통행이 불가피한 경우, 학교장과
협의하여 학교 공사관리 담당자 및 신호수를 2중 배치하여 추진.

학교안전관리를 위한 학교장과 공사관계자의 상호협력에 관한 기타사항

안전관리계획서 이행여부에 대해 관리감독을 강화하여 안전관리비 사용내역서 준공정산시 확인 철저

Tip
공사감독 예시

공사장주변 가설울타리, 방수공사 후 담수시험을 실시하여 강화유리 복층유리 등의


안전띠 등 설치확인 누수여부 확인 KS표시품 확인

11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9장 공사추진3[설계변경 및 공기연장]

1. 설계변경 절차

1)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을 경우


설계변경사항 2)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발생 3) 새로운 기술·공법사용으로 공사비의 절감 및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가 현저할 경우
4) 그 밖에 발주기관이 설계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경우 등

1) 설계변경 해야 할 사유
【 시공사 】
2) 설계변경 내역서
설계변경요구
3) 설계변경 도면

【학 교】 ■ 설계자나 감리자에게 설계변경 검토의견 제출 요구


설계변경여부 - 설계 잘못으로 인한 변경은 설계자에게 요구 : 시공불가, 물량누락
판단 - 발주기관이 필요하여 변경을 할 때는 감리자에게 요구

[당사자간] ■ 신규비목에 대한 단가 결정
신규단가결정 - 서로 합의하여 결정

【학 교】 ■ 설계변경보고서를 작성하여 결제
변경보고결제 - 시공자의 동의를 받은 설계변경합의서 첨부

[당사자간] ■ 당사자간 설계변경 계약


설계변경계약 - 설계변경내역서, 설계변경도면(공사이행보증서 등)

【학 교】 ■ 학교에서 시공자에게 설계변경 승인 통보(또는 설계변경 지시)


변경승인통보 - 설계변경내역서, 설계변경도면(공사이행보증서 등)

11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 관련법규(규정)

시공단계 공
「공사계약 일반조건」
1) 제6절 공사 설계의 변경
2) 제7절 계약금액의 조정

-사관련
구 분 적용단가
■ 계약단가 적용
계약단가
시공사 - 다만, 계약단가가 예정가격단가보다 높은 경우로서 물량이 증가하는 경우 : 증가된 물량은 예정
있는것
요 구 가격단가 적용
없는것(신규) ■ 설계변경 당시를 기준으로 산정한 단가에 낙찰률을 곱한 금액 【 신규단가 × 낙찰율 】
증가된 물량 ■ 설계변경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단가와 동 단가에 낙찰률을 곱한 금액의 범위 안에서 협의
발주기관 하여 결정
요 구 신규 비목 【 신규단가 또는 (신규단가 × 낙찰율) 】
- 협의가 안되면, 〔산정단가 + (산정단가×낙찰율) 〕/ 2

3. 설계변경 유의사항

설계변경
- 정의 : 공사의 시공 도중 예기치 못했던 사태의 발생이나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당초 계약내용을
변경 시키는 행위
- 사유 : 당초 계약된 설계서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 설계서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오류 또는 상호 모순
·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 새로운 기술·공법 사용으로 공사비 절감과 시공기간 단축이 현저한 경우
· 기타 발주기관이 설계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경우 등
- 시기 : 설계변경이 필요한 부분의 시공 전

※ 공사지연에 따른 품질저하 우려 등 긴급하게 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와 설계변경


시기를 확정하고 설계변경 완료 전에 우선 시공 가능함
⇒ 일반적으로 설계변경시 내역조정 및 변경계약이 동반되어 공사 지연 우려가 있기에 출장복명을 통한 변경내
용 및 변경시기를 확정(결재) 후 우선 시공함

계약금액 조정
- 설계변경, 물가변동(ES), 기타 계약내용 변경의 사유에 의해서만 조정
계약기간 연장
- 연장 사유 발생하면 계약상대자의 요청을 접수 후 계약기간 종료 전에 조정
- 사유(계약상대자 책임 사유는 연장 불가)
· 천재지변(불가항력적 사유)
· 동절기(12월말~익년 2월중순경, 당해연도 기상상황에 따라 다름) 물공사 추진
· 우기(폭우시) 외부 공사 추진

용어설명

물가변동

11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공기연장
계약상대자가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 안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할 사유가 발생했을 때 공사연장을 할 수 있음.

5. 관련법규(규정)
「공사계약 일반조건」
가. 계약상대자는 “1-다”의 어느 하나의 사유가 계약 기간내에 발생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제5절 “5-가-2)”에 대한 수정
공정표를 첨부하여 공사감독관을 경유하여 계약담당자에게 서면으로 계약기간의 연장을 청구하여야 한다. 다만, 연장
사유가 계약기간 내에 발생하여 계약기간 경과 후 종료된 경우에는 동 사유가 종료된 후 즉시 계약기간의 연장을 청구
하여야 한다.
※ 다. 계약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공사가 지체되었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 해당일수를 “가”의 지체
일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1) 제9절 “10”에서 규정한 불가항력의 사유에 따른 경우
2) 계약상대자가 대체 사용할 수 없는 중요 관급자재 등의 공급이 지연되어 공사의 진행이 불가능한 경우
3) 발주기관의 책임으로 착공이 지연되거나 시공이 중단된 경우
4) 계약상대자의 부도 등으로 보증기관이 보증이행업체를 지정하여 보증 시공할 경우
5) 제6절 “1”에 따른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준공기한 안에 계약을 이행할 수 없을 경우
6) 원자재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하여 해당 관급자재의 조달 지연이나 사급자재(관급자재에서 전환된 사급자재를 포함
한다)의 구입곤란 등 그 밖에 계약상대자의 책임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유로 인하여 지체된 경우
나. 계약담당자는 “가”의 규정에 의한 계약기간연장 신청이 접수된 때에는 즉시 그 사실을 조사 확인하고 공사가 적절히
이행될 수 있도록 계약기간의 연장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 계약담당자는 “가”에서 규정한 연장청구를 승인하였을 경우 동 연장기간에 대하여는 “1”의 규정에 의한 지연배상금을
부과하여서는 아니된다.
라. “나”의 규정에 의하여 계약기간을 연장한 경우에는 제7절의 “4”의 규정에 의하여 그 변경된 내용에 따라 실비를 초과
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 계약금액을 조정한다. 다만, “1-다-5)”의 사유에 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마. 계약담당자는 “가” 내지 “라”의 규정에 불구하고 계약상대자의 의무불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지연배상금이 시행령
제51조의 규정에 의한 계약보증금상당액에 달한 경우로서 계약목적물이 국가정책사업 대상이거나 계약의 이행이 노
사분규 등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지연된 때에는 계약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바. “마”의 규정에 의한 계약기간의 연장은 지연배상금이 계약보증금상당액에 달한 때에 하여야 하며, 연장된 계약기간에
대하여는 “1”의 규정에 불구하고 지연배상금을 부과하여서는 아니된다.

Tip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 안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체일수를 산정하여 산출된 금액(지
연배상금)을 현금으로 납부하게 하여야함.(지급될 대가와 상계 가능)

용어설명

지연배상금 :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 안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 이행지체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예정성격으로 징수
한 금액
※ 금액산출: 지체일수 × 지연배상금률(계약서에 정함)× 계약금액
※ 산출된 금액을 현금으로 납부하게 한다.(지급될 대가와 상계 가능)
※ 국가계약법: 지체상금으로 호칭
준공기한 : 계약서상 준공신고서 제출 기일을 말함.
※ 계약서상 준공기한의 말일이 공휴일(발주기관 휴무일 포함)인 경우 준공신고서 제출 기일은 공휴일의 다음날이 된다.
지체일수 : 준공기한 다음날부터 기산한다.
※ 지체일수 산정 주의(준공기한 말일이 금요일인 경우, 공휴일과 착오 주의)

12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6. 업무처리방법

시공단계 공
계약기간의 연장

만약 계약기간을 연장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했다면 공기연장을 하여야 추후 준공시 문제 상황이 발생되지 않음


▶ 비나 눈이 많이 와서 공사를 하지 못한 경우

-사관련
▶ 학교측의 사정으로 시공자가 공사를 하지 못한 경우

▶ 공사 물량이 증가된 경우

▶ 설계도면대로 시공이 불가하여 설계변경을 하였는데, 그 공사가 주 공정이면 설계변경을 하는데 소요된 기간 등

지연배상금(지체상금)
- 지방계약법 제30조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3장 제8절

시공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공사가 계약기간내에 완료되지 못했을 때에는 학교는 시공사로부터 지체상금을 받아야 함
공사 추진상황을 수시로 확인하여 공사가 제때 추진되지 않으면, 담당 감독은 수시로 시공사에 독촉을 하고, 공문으
로 독촉해야함(공사조속 추진을 촉구하고 계약기간 미완료 시 까지는 지연배상금 부과하겠다는 내용으로 보내야 함)
▶ 공사 지체로 인하여 학교운영에 많은 지장이 초래되었다면 손해배상 청구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음

공사는 다 되었음에도 공사 서류가 미비하다는 이유로 지연배상금을 부과하겠다는 판단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 공사가 모두 완료되고 준공계를 접수하였다면 접수한날이 준공일로 보는 것이 타당함

(※ 다만, 각종 법정검사 미비는 예외임)


지체상금 납부방법
▶ 원칙적으로 현금으로 납부

▶ 계약상대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대가에서 상계가 가능

1. 준공검사 실시 적정성 확보
- 지연검사 여부, 검사조서 작성 여부 등
- 준공확인 사항 누락 여부 등
2. 사후정산 실시 규정 준수 이행
- 정산요령 습득 여부
- 근거자료 확보 및 사용실적 인정의 타당성 등
감사방향 - 정산 누락여부 및 정산방법의 타당성 여부
- 정산금액 산출 적정성 등(일반관리비, 이윤, 부가가치세 합산 등)
3. 지체상금(지연배상금) 부과 적정성 확보
- 지체일수 산정의 적정여부
- 공휴일과 평일의 준공기한 말일 설정 적정여부(준공신고서 제출기한, 지체일수 기산 일 등)
- 공사 지체 묵인 여부 등

용어설명

계약기간 연장 : 계약기간 안에 불가항력적 사유 등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에 의하여 공사의 이행이 지연된 경우에 필요일수 만큼 당초 계약기간을
연장하는 행위
※ 계약상대자의 요구에 의해 계약기간 연장
불가항력적 사유 : 계약당사자 누구의 책임도 아닌 사유로 공사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경우를 말함.
※ 불가항력(태풍·홍수, 그밖에 악천 후, 전쟁 또는 사변, 지진, 화재, 전염병, 폭동, 계약상대자의 통제범위를 초월하는 사태 발생 등)
※ 불가항력적 사유가 대한민국 국내에서 발생한 경우에만 인정
기상증명원 : 기상상태에 따라 공사에 영향을 받은 경우에 계약상대자가 공사기간을 연장 받기위하여 근거자료로 제출하는 문서
※ 일자별 기온, 강수량, 바람세기 등이 표시됨. 발급기관 기상청
※ 주로 우천일수 산정 근거로 활용

12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10장 공사추진4[준공]

1. 준공서류 검토
준공서류

준공계 준공계 준공검사원 준공내역서 준공정산사유서


건강ㆍ연금ㆍ
보험등 산재ㆍ고용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정산
서류 하도급지급보증 건설기계대여금지급
퇴직공제부금비 폐기물처리
발급수수료 보증서발급수수료

기타 준공사진 각종필증 전기ㆍ수도사용요금 (준공도면)


서류 공사진행사진 공사(작업)일보 자재승인서 외

청구 준공금청구서 하도급지급확인서 선금정산서 세금계산서


서류 입금계좌지정서 납세증명서 하자보수보증금납부서

※ : 준공검사 후
: 1부만 제출, 해당 항목외 2부 제출(시공사)

준공 관리
- 시공사로부터 준공서류를 서면으로 통지 받으면 즉시 전자문서(문서등록대장) 등록(준공일자 확정)
- 원칙적으로 준공 당일 또는 다음날 준공검사 실시 (다만, 발주처(학교)의 사정으로 준공검사를 바로 실시하지 못
하는 경우에는 통지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실시 하여야 함)
- 계약금액에 상관없이 계약상대자 입회와 협력을 받아 모든 공사에 대하여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하여야 함
ㆍ계약상대가 입회 및 협력 거부로 발생하는 지체는 지체상금 부과
ㆍ계약금액 3천만원 미만은 준공검사조서 생략이 가능하나, 책임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가급적 작성
하는게 바람직함
- 준공서류 검토 확인 철저
ㆍ기재사항 누락 주의(실지 준공일자, 제출일자 누락 등)
ㆍ상기 해당 준공서류 제출여부 확인

Tip
한글파일 연동
0. 준공검사조서

12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시공사 공문, 준공계, (예시)

시공단계 공
-사관련
- 준공서류 서면 통지일에 전자문서(문서등록대장) 접수
- (예시) 준공예정일 : 2017.8.16., 실제준공일: 2017.8.4.
※ 준공예정일 이후 준공계 접수 시 공사 지체로 처리(지체상금 부과)
- 도급액 : 계약금액 (준공정산금액 아님)
- 기재사항 누락, 오기 필히 확인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각종 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등 정산 방법


산재ㆍ고용 보험료 (대상 : 모든 건설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정산규정 없고, 근로복지공단에서 일괄 징수
산재보험료 내역서 - 확인사항 : 보험료 납부 여부
안함
고용보험료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보험개시 통지서’혹은‘완납증명원’

- 산재·고용보험료 완납 증명원 (예시)

- (좌) 가입증명원(신고서) : 착공 후 14일 이내 제출(착공서류)


- (우) 완납 증명원 : 준공서류 내 첨부시 계상된 보험료 전체 인정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 보험료 (대상 : 공사기간 1개월(30일)이상 모든공사)

시공단계 공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정산대상
ㆍ일용직근로자 : 동일현장에서 1월 평균 20일 이상 작업한 근로자
(직접노무비 해당자)

-사관련
ㆍ상용근로자 : 직접노무비에 해당하는 현장대리인
(계약목적물을 직접시공 한 경우)
- 정산방법
ㆍ일용직근로자 : 해당 사업장의 보험료 납부확인서 납임금액 중 사용자
국민건강보험료 부담금(50%)만 인정
국민연금보험료 내역서 ㆍ현장대리인 : 소속회사에서 납부한 납부확인서에 의해 해당 사업장에
실시
노인장기 계상된 금액 실제로 투입된 일자를 계산하여 일할 정산
요양보험료 (단, 현장대리인이 해당 사업장 단위로 보험료를 별도 분리 납부시 일
용근로자와 동일방식 정산)
- 근거자료
ㆍ일용직근로자 : 해당 사업장 보험료 납부확인서
ㆍ현장대리인
1) 직접시공 확인 자료
(현장작업일지, 감독관 근무일지, 임금대장, 출근부 등)
2) 보험료 납부확인서(소속회사 또는 개인)

- 건강·연금·노인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예시)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산재ㆍ고용 보험료 (대상 : 모든 건설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내역서 - 확인사항 : 퇴직공제부금비 납입 여부
퇴직공제부금비 실시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 납부확인서

- 공제부금 납부확인서 (예시)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대상 : 총 공사금액 4천만원 이상 건설공사)

시공단계 공
정산비목
- 산재·고용보험료 완납한도액
증명원 (예시)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확인사항 :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기준에 맞게 사용 여부
산업안전보건 내역서 ※ 안전관리비 사용불가 내역 참조
실시
관리비 계상된 금액 - 정산방법 : 사용내역서와 근거자료 비교검토

-사관련
- 근거자료 : 사용내역서,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현장착용)사진 등

- 안전관리비 정산 서류 (예시1)

· (사용내역서) 항목별 내용 및 금액 확인
※ (예시)계상된 금액(1,477,672원) 보다 실제 사용을 많이 하여도 계상된 안전관리비보다 증액 불가
· (세부내역)(거래명세서) 구입 물량 및 품목당 적정단가 확인
· (세금계산서) 금액 확인 ※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인지 확인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 안전관리비 정산 서류 (예시2)

· (사진대지) 사용내역서, 거래명세서의 수량과 일치 여부 확인


※ 상기 1, 2번 사진처럼 바닥만 나오게 촬영시 타현장과 구분이 어렵기에 반영 어려움, (대상학교를 알 수 있는)현
장에서 착용한 사진 필요함
· (지급확인서) 안전용품 개인별, 품목별 수량 확인

※ 안전관리비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필히 확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7-8호, 별표2]
ㆍ교통통제, 학생 등ㆍ하교 안전 지원 등을 위한 신호수 인건비
ㆍ외부인 출입금지(안내ㆍ주의ㆍ경고) 표지,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울타리 등
ㆍ근로자 보호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작업복, 면장갑 등의 보호구
ㆍ사회통념상 과도하게 지급되는 의식 행사비, 무재해 기원과 관계없는 행사비 등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 및 안전을 위하여 계상된 비용으로 단순 작업구역 설
정, 학생 안전 등을 위하여 사용불가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환경보전비

시공단계 공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확인사항 :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인지
내역서 여부 확인
환경보전비 실시
계상된 금액 - 정산방법 : 사용계획서 및 사용내역 확인

-사관련
- 근거자료 : 사용내역서, 영수증, 사진 등

- 환경보전비 정산
ㆍ안전관리비와 동일한 방식(사용내역과 영수증, 사진 등 확인)으로 정산
- 환경보전비 적용 (대상ㆍ비대상) 비교 자료

적용대상 비적용대상
1. 환경보전시설 설치 및 운영비용(임대료) - 단순 청소용 도구(빗자루, 쓰레받이, 삽, 집게, 쓰레기
- 살수차량 혹은 살수 물탱크 봉투, 마대, 마스크, 장갑 등) 구입비
- 비산먼지방지 분진막 - 진공청소기 구입비
- 이동식 간이화장실 - 현장청소 인건비
- 집진시설 - 순환골재
- 가설방음벽 - (추락방지용)EGI휀스
- 세륜시설, 고압분무기 및 고압살수시설 - (일반용)부직포
- 가설사무소용 오수정화시설 - 가설사무소 청소인건비
- (방진덮개용)부직포 - 폐기물처리비
2. 환경계측비용 (참고)환경관리비
3. 환경관련 인건비 = 환경보전비 + 폐기물처리비
4. 환경교육에 필요한 비용

- 적용대상 사진 (예시)

Tip
공사준공 서류 한글파일 연동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1. 환경보전비 적용(대상ㆍ비대상)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비교자료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2. 국토해양부 질의 회신내용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2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하도급지급보증 내역서 - 확인사항 :


실시
발급수수료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 납입확인서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건설기계대여금 내역서 - 확인사항 :


실시
지급보증서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 납입확인서

폐기물처리비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폐기물 반출확인증 및 신고접수증 확인


증액가능
폐기물처리비 실시 - 폐기물 반출물량 확인(산출내역서 물량과 비교)
(설계변경)
- 올바로시스템 출력물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13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 공사용 공공요금 징수

시공단계 공
시공회사는 공사에 필요한 수도 및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수도 및 전기시설을 별도로 인입하거나 별도로 임시
계량기를 설치한 후 사용요금을 납부해야 함 → 만약 부득이하게 학교 전기나 수도를 사용하였다면 사용요금을
정산한 후 학교에 납부하여야 함

-사관련
가. 수도료 및 전기료를 받아야하는 이유

기타경비에 전력비 및 수도광열비 포함되어 있음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2장  예정가격  작성요령: 공사원가의  체계상 ‘경비’는  공사  시공
을 위하여 소요되는 순공사원가 중 재료비, 노무비를 제외한 원가를 말함 (전력비, 수도광열비를  포함) 
☞ 공사 예정가격 작성 시 경비가 포함되어 있다면, 공사금액과 상관없이 전기료 및 수도료를 받아야 함
※ 내역(용접 작업 등)에도 전기료 및 수도료가 계상되어 있을 수 있음
★ 단, 시공자가 학교 전기나 수도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예외임

나. 학교시설사업 시행에따른 공공요금 부과기준

☞ 2008년 국정감사 시 박영아 의원 지적, 교육감님 결재 시행


(2008.12.29.)
전기 및 수도 사용량 측정

1) 시공자가 외부에서 전기 및 수도를 인입하여 사용(최우선 기준)


2) 학교시설공사 시 불가피하게 공사용 전기 및 수도를 사용할 경우 별도 계량기 설치를 원칙으로 함
☞ 사용자와 제공자 간의 논란방지 및 투명성 제고
3) 1항과 2항이 안될시 ⇒ 사용량 비교 소규모 및 별도의 계량기를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전월 또는 전년도
사용량 비교 요금 징수
☞ 참고 : 신설학교 15개교에 대한 전기 및 수도 사용료를 분석한 결과 공사금액 대비
0.11 ~ 0.14% 사용[평균 0.127%]
4) 관급자재인 경우 : 수도 및 전기 사용하였다면 적정하게 징수

13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다. 대체시설 요구행위 금지

학교 시설공사 시 사용한 전기 및 수도료에 상응하는 대체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객관적 근거 및 투명성


미확보 등으로 대체시설 요구 행위 금지

라. 준공 시 공사용 공공요금 징수 철저

마. 공사용 공공요금 징수 예시

"준공서류에 포함"

전기·수도요금 납부

공사명 : ○○초등학교
내부도장공사

붙임 사용요금 납부 이체확인서 1부.

2018년 월 일

△△건설㈜

132

유지관리단계
제1장 하자보수관리
제2장 학교시설물 안전 및 유지 관리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Ⅵ 유지관리단계
제1장 하자보수관리

1. 하자보수처리 요약도

하자보수 관리 ● 하자보수관리부 작성

● 정기검사 : 연2회
하자검사 ● 수시검사 : 필요시
● 최종검사 : 하자담보책임 기간이 만료되기 직전

하자발생 통보 및
● 하자내용, 하자보수 요청기간
보수요청
● 하자보증서 사본
● 처리절차명시

● 시공사 불응 및 능력이 없을 시
직접하자보수
● 하자보증기관의 하자보증금 직접 사용

하자보수 이행
● 착공계, 현장대리인계, 공정표, 착공 전 사진
(시공사)

하자보수 준공 ● 중공계, 준공 사진

2. 관련법규(규정)
업무내용 관계 법령 및 규정 주요 참고사항
하자담보 ㆍ지방계약법시행령 제69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8조 별표1 ㆍ하자담보책임기간 및 최초시작일 설정 등
책임기간 ㆍ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3장 제10절 1 ㆍ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ㆍ지방계약법시행령 제70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69조 ㆍ정기하자검사, 최종(만료)검사 등


하자검사
ㆍ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3장 제10절 3 ㆍ하자검사 관련

하자보수 ㆍ지방계약법시행령 제71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70조 ㆍ하자보수보증금 납부


보증금 부과 ㆍ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3장 제10절 2 ㆍ하자보수보증금 납부

용어설명

하자담보책임기간 : 공사의 완성일로부터 시작하여 시공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보수의 책임을 부담하는 기간. 즉 시공자의 하자보수에 관
한 법적 책임의 발생과 종료까지의 기간을 의미
※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하자보수보증금 : 공사의 하자보수를 보증하기 위하여 계약서에서 하자보수보증금율을 계약금액에 곱하여 산출한 금액
※ 조경공사는 계약금액에 관계없이 하자보수보증금 납부
※ 최종검사 후 하자보수완료확인서 발급일이 지난기전에 계약상대자에게 반환
하자검사(정기) : 하자담보책임기간 중 연2회 이상 정기적으로 하자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행위
최종검사(만료) : 하자담보책임기간의 만료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실시

13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 하자보수처리 순서도

세부업무명
관련법규
1. 하자보수관리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69조 제4항

주요내용


① 하자보수관리부 작성

유지관리단계
세부업무명
관련법규
2. 하자검사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0조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69조 제1항

주요내용

① 종류 및 횟수
정기검사 : 하자담보 책임기간 중 연 2회 이상

수시검사 : 필요시

● 최종검사 : 안전행정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지체없이 검사 실시

② 검사완료 후 하자검사조서에 따라 보고
(계약금액 3천만원 이하인 경우 생략가능)

세부업무명
관련법규
3. 하자발생통보 및 보수요청
(하자발생시) ●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69조 제3항

주요내용

① 하자발생시 : 하자발생통보 및 보수요청


② 통보사항
● 하자내용, 하자보수요청기간
● 하자보수보증서 사본 첨부
● 처리절차 명시

13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세부업무명
관련법규
4. 직접하자보수
(하자발생시) ● 시행령 제72조, 시행규칙 제71조

주요내용

① 시공사의 하자보수 불응 및 능력이 없을 경우 학교에서 직접 별도 계약, 보수함


② 하자보증기관이 있는 경우 하자보증금의 직접 사용을 통지한 후 하자 처리
③ 하자 처리 후 보증금의 직접 사용
(보증기관의 경우 보증채무 이행 청구)

세부업무명
주요내용
5. 하자보수이행(시공사)
① 시공사 준비 사항
: 착공계, 현장대리인계, 공정표, 착공전사진

세부업무명
주요내용
6. 하자보수 준공
① 시공사 준비 사항 : 준공계, 준공사진
② 하자보수가 완료되면 하자검사조서에 따라 검사 후 하자보수 준공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 하자보수 관리부에 따라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 여부 확인
-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기간 내에 예산투자 금지(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책임의무 이행-계약사항 임)
- 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의무의 부당한 경감 방지
※ 하자보수 관리부(관리대장)는 사업발주기관에 따라 별도 관리하고 있으므로 학교 또는 해당 교육지원청에서
확인

13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4. 하자관리 유의사항
계약상대자에게 하자보수 의무이행을 강제하기 위해서는 필히 도급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을 설정
하여야 함.
- 계약서 작성을 생략(계약금액5천만 원 이하)한 경우에도 공사승낙사항에 하자담보책임의 존속기간을 설정.
※ 도급계약서 또는 공사승낙사항에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을 하지 않고 대가지급시 받은 하자보수보증금지급
(이행) 각서로는 계약사항이 아니 여서 이행을 강제할 수가 없음.
※ 학교 공사는 하자관리가 필요하므로 가급적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이 바람직
조경공사는 하자보수보증금 납부면제 대상(계약금액3천만 원이하)에서 제외(감사 지적사항)
하자보수 관리부 작성 및 기록유지 철저


※ 발주기관별로 해당 발주공사에 대해서만 작성 및 기록유지
※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설정된 모든 공사(계약금액 3천만 원 이하 공사의 검사조서 작성 생략과는 무관함)

유지관리단계
※ 감사에 다수 지적됨(하자보수관리부 미 작성 등)
하자검사 실시 철저
※ 발주기관별로 해당 발주공사에 대하여 실시(학교, 기관, 교육지원청별로)
※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설정된 모든 공사(검사조서 작성 생략과 무관하게)
※ 감사에 다수 지적됨(하자검사 미실시)

5.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요령
하자담보책임기간 최초 시작일 설정 주의(감사에 다수 지적사항)
- 준공검사를 완료한 날
※ 예시) 준공일 : 2018. 11. 24.
준공검사일(완료일) : 2018. 11. 28.
하자담보책임기간 : 2년(계약서 상)
하자담보책임기간 : 2018. 11. 28.(최초시작일)
~ 2020. 11. 27.

Tip
한글파일 연동
공사의 공종별 담보책임의 존속기간

13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6. 하자검사 요령
정기하자검사 : 하자담보책임기간 내에 년2회 실시(3월, 11월)
- 최종하자검사(만료) : 하자담보책임기간 만료일로부터 14일 이내
※ 최종검사는 반드시 공문으로 하자검사 실시통보(계약 상대자 입회 요구)

7. 하자보수보증금 부과
공종별 보증금율 보증기간
조경공사 5%
공사 일반건축공사 3%
소방, 전기,정보통신 2% 1년
~
물품의제조 3% 10년
물품
수리·가공·구매 2%
용역 2%

※ 하자보험증권(계약)보험기간 = 책임기간

1. 기준에 맞는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 최초시작일 설정 기준 여부(준공검사를 완료한 날)
- 조경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누락 여부 등
-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여부 등
감사방향 2. 하자검사 실시 규정 준수 이행
- 정기검사 및 최종검사 실시 여부
- 하자보수 관리부 작성 및 관리현황 등
3. 하자보수보증금 적정 부과
- 조경공사 면제 여부 등

Tip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존속중인 시설물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하자보수를 실시 하여야하는 의무가 있음으로 예산투자 금지

13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참고 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

관련법령 : 「건설산업기본법」 제28조제1항 같은법 시행령 제30조〔별표 4〕


학교공사에서 많이 적용하는 공사별 세부 공종별 책임기간[발췌]

공사별 세부공종별 책임기간


토목 조경시설물 및 조경식재 2년
그 밖의 토목공사 1년
① 대형공공성 건축물(공동주택·종합병원·관광숙박시설·관람집회시설·대규모소매점과 16층 이상 기타 용
10년
도의 건축물)의 기둥 및 내력벽
건축
② 대형공공성 건축물 중 기둥 및 내력벽 외의 구조상
5년
주요부분과 ① 외의 건축물 중 구조상 주요부분


③ 건축물 중 1) 및 2)와 거목의 전문공사를 제외한 그 밖의 부분 1년
① 실내의장 1년

유지관리단계
② 토공 2년
③ 미장·타일 1년
④ 방수 3년
⑤ 도장 1년
⑥ 석공사·조적 2년
⑦ 창호설치 1년
⑧ 지붕 3년
전문
⑨ 판금 1년
공사
⑩ 철물(제1호 내지 제14호에 해당하는 철골을 제외한다) 2년
⑪ 철근콘크리트(제1호부터 제14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철근콘크리트는 제외한다) 및 콘크리트 포장 3년
⑫ 급배수·공동구·지하저수조·냉난방·환기·공기조화·자동제어·가스·배연설비 2년
⑬ 승강기 및 인양기기 설비 3년
⑭ 보일러 설치 1년
⑮ ⑫·⑭ 외의 건물내 설비 2년
아스팔트 포장, 온실설치 2년
보링, 건축물조립(건축물의 기둥 및 내력벽의 조립을 제외하며, 이는 제14호에 따른다) 1년
전기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전기공사 중 사. 그 밖의 전기 설비공사 1년
정보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1년
통신 다. 가목 및 나목의 공사 외의 공사
가. 피난기구, 유도등, 유도표지, 비상경보설비, 비상조명등, 비상방송설비 및 무선통신보조설비 2년
소방 나. 자동식소화기,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소화설비, 옥외소화전
3년
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및 소화활동설비(무선통신보조설비는 제외한다)
비고 : 위 표 중 2 이상의 공종이 복합된 공사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은 하자책임을 구분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세부
공종별 하자담보책임기간으로 한다.

Tip
시설공사 준공 후 하자보수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하자 발생 시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음 한글파일 연동
하자검사조서

용어설명

하자보수완료확인서 : 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최종검사 완료 후 발급하는 문서


※ 하자보수완료확인서 발급 날부터 계약상대자의 책임과 의무는 소멸된다.
하자보수관리부(관리대장) : 하자검사 및 보수사항을 일정한 양식에 따라 문서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는 문서
※ 시설사업 계획을 수립할 때에 주요 근거자료 임(하자보수책임기간 내 예산투자 방지)
※ 주요 기록·유지 및 관리사항
- 공사명 및 계약금액 - 하자발생내용 및 처리사항
- 계약상대자 - 그 밖의 참고사항
- 준공년월일 및 하자담보책임기간

13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8. 하자보수관리-사례따라하기

가. 공문요청 [예시]

건설회사

OOOO학교

수신자 000건설
(경유)
제목 0000 공사 하자보수 요청

1. 본교가 귀사와 0000년 00월 00일 계약체결하고 동년 00월 00일 착공하여 동년 00월 00일 준공한 0000
공사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하자가 발생하여 하자보수 요청하니,
2. 0000년 00월 00일까지 하자보수 착공계(예정공정표,현장대리인계 첨부)를 제출하여 주시고, 보수 완료후
하자보수 준공계(공사 전.중.후 사진첨부)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라며,
3. 즉시 하자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을시는『건설산업기본법 제 81조 3호, 동법 제82조 1항 1호 및 4호, 동법시
행령 제80조 1항』에 의거 처리되오니, 귀사에서는 불이익이 없도록 조속히 하자보수 조치하여 주시기 바랍
니다.

붙임 1. 하자발생내역 1부.
2. 현황사진 1부. 끝.

OOOO학교장

수신자

협조자 접수
시행
우 경기도 /
전화 전송 / / 공개

14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00조합, 00협회

OOOO학교

수신자 000조합, 000협회


(경유)
제목 0000 공사 하자보수 요청 및 보증금 청구

유지관리단계
1. 본교가 00건설 대표:000과 00년 00월 00일 계약체결하고 동년 00월 00일 착공하여 동년 00월 00일 준
공한 0000공사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하자가 발생하여 수차례에 걸쳐 하자보수 요청하였으나,
2. 현재까지 하자보수가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아 학생교육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어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56조』에 의거 귀 조합에 하자보수를 요청하오니 조속히 처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하자발생내역 1부.
2. 현황사진 1부. 끝.

OOOO학교장

수신자

협조자 접수
시행
우 경기도 /
전화 전송 / / 공개

14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제2장 학교시설물 안전 및 유지 관리

1. 관련법규(규정)

업무내용 관계 법령 및 규정 주요 참고사항

ㆍ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7조, 같은 법 시행 ㆍ학교시설 안전 설계 및 안전관리기준 등


안전관리 령 제10조 제1항
ㆍ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6조 ㆍ학교시설 안전점검

ㆍ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5조 ㆍ학교장 유지관리 책무


유지관리 ㆍ건축법 제35조 ㆍ유지관리 사항
ㆍ학교보건법시행규칙 제3조 ㆍ교사 안의 공기질 관리

ㆍ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8조


안전교육· ㆍ교직원 및 학생 안전사고예방교육
ㆍ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의3, 같은 법 시행령 제73조의
행사 ㆍ안전점검의 날(매월4일), 방재의 날(매년5월 25일)
4

ㆍ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6조 ㆍ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안전점검
- 도교육청, 교육지원청

ㆍ학교시설사업촉진법 제5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8조 ㆍ학교시설의 건축 등


학교시설
ㆍ학교시설사업촉진법 시행령 제8조 및 제9조 ㆍ승인 및 신고대상 관련
행정절차
ㆍ건축법 제83조 ㆍ공작물 신고 대상 관련
(인허가)
ㆍ건축법 제20조, 같은 법 시행령 제15조 및 제15조의2 ㆍ가설건축물 관리 관련

놀이시설 ㆍ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법 제11조 ㆍ놀이시설 설치 기준


관리 ㆍ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법 제12조 ㆍ설치검사, 정기시설검사, 설치검사의 표시 등

1. 안전관리의 적정성 확보
- 안전설계기준 적용, 안전점검의 날 행사 등
감사방향 - 위험시설 관리, 행정절차 이행, 소방 및 전기시설 관리 등
2. 유지관리의 적정성 확보
- 유지관리 점검사항 이행 여부 등

용어설명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 : 학교시설 등을 설치·유지 또는 관리하는데 준수해야할 사항


※ 분야별로 구분(건축물, 전기, 소방, 가스, 실험실습실 등)
※ 근거「학교안전사고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학교시설 유지관리 : 학교시설물이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상 점검하여 손상된 부분은 보수·보강하는 행위
학교시설 안전관리 : 학교시설물을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하여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행위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검사 :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성 유지를 위하여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놀이시설 설치 후 받아야하는 검사
※ 관리주체는 설치검사 합격여부를 놀이시설 내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
※ 관리주체는 설치검사 후 안전검사기관으로부터 2년에 1회 이상 정기시설검사를 받아야함.

14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링크

업무명 학교시설관리

ㆍ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ㆍ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ㆍ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ㆍ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ㆍ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ㆍ 전기사업법


ㆍ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
ㆍ 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유지관리단계
관련법규
ㆍ 도시가스사업법
ㆍ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ㆍ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ㆍ 자연재해대책법
ㆍ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ㆍ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ㆍ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시행령
ㆍ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ㆍ학교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설물에 대한 일상적인 점검,
업무개요
복구, 개량활동

단위업무 시기

1. 학교시설 유지점검 연간계획에 따름

2. 시설물 관리위탁·정기검사 연중

주요내용 3. 방화(소방)시설 관리 연중

4. 하자보수관리 시설물 하자보증 기간 내

5. 재난관리 연중

6. 어린이 놀이시설 관리 연중

ㆍ전기관련 자료 : 한국전기안전공사(http://www.kesco.or.kr)
ㆍ승강기관련 자료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http://www.kesi.or.kr)
참고자료 ㆍ가스관련 자료 : 한국가스안전공사(http://www.kgs.or.kr)
ㆍ소방관련 자료 : 한국소방안전협회(http://www.kfsa.or.kr)
ㆍ교육시설 재난관리 자료 : 교육시설 재난공제회(http://www.edufa.or.kr)

14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안전관리
정의
- 안전은 「사고가 없거나 재난이 없는 상태」이며, 안전관리는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안
전사고를 사전에 제거하거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제반활동」이라 할 수 있음
관련법
- 시설물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 재난및 안전관리기본법,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점검방법 및 시기
- 일상점검 : 매월 4일은 안전점검의 날
- 정기점검 : 해빙기(3~4월), 동절기(10~11월) - 연2회
- 긴급점검 : 위험사항 발견 후 필요시
안전관리 점검사항
- 안전점검의 날(매월4일) 및 방재의 날(매년5월 25일) 시행여부
- 무허가건물 존치 및 안전시설(안전난간대 등) 미설치 건물 여부
- 화재예방관리 적정여부
· 자체소방계획서 수립, 소방훈련 및 교육실시 사항
· 소방시설 점검사항(정밀종합검사 년1회, 통상점검 매월1회)
- 전기시설 관리 적정여부(매월2회 검사 - 안전관리자)
- 어린이놀이시설 관리 적정여부(설치검사, 정기검사 등)
안전관리절차
구분 참여주체 방 법
1차 학교등 기관의 시설물관리자 건축, 토목, 전기, 가스, 기계, 소방 등 분야별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검
2차 해당기관 시설담당자 1차 점검에 의한 위험요인 발견시 육안 및 간단한 장비에 의한 점검
3차 정밀안전 진단업체 2차 점검에 의한 구조적인 문제가 발견시 외부전문기관에 용역에 의한 점검의뢰
정밀 안전진단 기관의 보고서에 의한 심의를 통하여 시설물에 대한 개축, 보수, 보강 등의 최종
4차 교육시설물 개축심의위원회
적인 결정

3. 유지관리
정의
- 학교시설의 유지관리는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
으로 점검, 정비하고 손상된 부분을 원상복구하며 경과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보수·보강에 필요
한 제반활동을 말한다.
목적
- 모든 시설물의 관리는 이용과정에서 발생될 부위를 사전에 발견하고 대처하여 발생 원인을 명확히 규명한 후
적절한 자재와 적합한 방법으로 적시에 보수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 기능의 유지와 내구성 향상(기능)
· 주택 또는 집무 등의 환경을 보존(환경, 위생)
· 재해 시에 최소의 피해, 또는 재해를 미연방지(방재)
· 일상 또는 정기점검, 수리 등에 따라서 대수선을 미연에 방지하고 경제성 향상(보존, 경제)
· 건설비, 보전비를 포함한 시설 이용 현황(효율)
· 에너지 절약, 자원 절약(절약)

14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관리방법
- 시설물의 유지관리는 초기에 변형이나 결함을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므로 결함의
예측, 점검, 평가 및 판정, 대책, 기록 등을 합리적으로 조합시켜 순서에 따라 대처하여야 한다.

점 검 이상 및 결함 발견조사 보수필요 보수공법의 검토

보수공사 (보수 또는 보강) 보수완료

유지관리 점검사항
- 에어컨필터 청소, 공기질 관리상태, 옥상청소 여부 등


- 배수로 청소, 정화조 관리 등
- 수목관리 등

유지관리단계
4. 각종 법정 정기점검 종류

점검 명칭 점검 대상 점검 횟수 관련 근거 비고
ㆍ4월~9월
교사,강당, - 1회/2개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51
방역소독
식생활관 ㆍ10월~3월 조 및 동법 시행령 제24조
- 1회/3개월
물탱크청소 물탱크 연 2회(3월, 7월) 수도법 시행규칙 제22조의 3
ㆍ전기설비용량 : 1KW ~ 300KW
- 매월 1회 이상
ㆍ전기설비용량 : 301KW ~ 500KW
전기사업법 제73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전기안전관리 - 매월 2회 이상
전기시설 제44조의 2
대행 ㆍ전기설비용량 : 501KW ~ 700KW
[전기안전관리자]
- 매월 3회 이상
ㆍ전기설비용량 : 701KW ~ 1,500KW
- 매월 4회 이상
승강기 월 1회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승강기 시설
덤웨이터 연1회 정기검사 법률 제29조
FRP 오수
오수처리시설 4회/매월
처리시설 하수도법 제39조 및 제53조
유지관리 (주점검 1회, 보조점검 3회)
(합병 정화조)

· 전기관련 자료 : 한국전기안전공사(http://www.kesco.or.kr)
· 승강기관련 자료 :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http://www.kesi.or.kr)
· 가스관련 자료 : 한국가스안전공사(http://www.kgs.or.kr)
· 소방관련 자료 : 한국소방안전협회(http://www.kfsa.or.kr)
· 교육시설 재난관리 자료 : 교육시설 재난공제회(http://www.edufa.or.kr)

Tip
한글파일 연동
승강기유지관리계약특수조건(예시)

145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제1장 공문 보고문서 일반사항
제2장 자재 종류
제3장 인허가 절차
제4장 공사용어 일반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Ⅶ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제1장 보고문서 일반사항

1. 보고문서의 목적
“ 시설관련 보 고문서의 목 적에 대해 서 판단 ”

1 2 3
예산 관련 감사 관련 현황 관련

총 소요예산 파악 세부감사를 위한 사업계획 및 정책수립


사업별 시급성, 목록 및 사전 조사 사회적 이슈에
지역별 분배방법 결정 감사 방향 결정 대한 현황조사
(ex 드라이비트 등)

2. 건축물대장
예시 참고

[일반사항] [증축현황]

Tip
건축용어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캐스트 >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 글·그림 : 이재인[명지대 건축대학교수]

교육시설과 보고문서에서 요구하는 건물의 일반사항은 (총괄)건축물대장(갑)을 참조하되 건축물대장에 누락된 항목은 토지이용계획
확인서, 설계도서(설계개요) 등을 토대로 추가적으로 확인 가능
예시) 지역, 지구, 대지면적, 건폐율, 용적율 등

14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 건축물대장 용어

1) 대지면적 3) 건축면적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 또는 기둥의 중심선으로
각 필지로 나눈 토지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 대지면적 : 대지의 수평투영면적

┃대지 산정의 기준 ⓒ이재인 ┃건축면적 산정의 기준 ⓒ이재인


2) 지번 : 대지 지번주소, 여러 개의 필지가 존재할 경우 대표 지번표기 후 2쪽 관련주소(지번)에 나머지 지번 표기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5) 연면적 8) 층수
건물 각 층(지상, 지하)의 바닥면적을 합한 전체 면적 지표면을 기준한 구조체 바닥의 수
- 바닥면적 :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 - 층의 구분이 불명확시 높이 4m마다 하나의 층으로
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 산정
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 건축물의 부분에 따라 층수가 다른 경우 가장 많은
층수를 해당 건축물의 층수로 함
- 옥탑등 수평투영면적 합계가 해당 건축물 건축면적
의 1/8이하인 것은 층수에 미산입

┃연면적 산정의 기준 ⓒ이재인 ┃층수 산정의 기준 ⓒ이재인

6) 주구조 : 철큰콘크리트조, 철골조, 경량철골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조적조, 기타 등


7) 건축물의 용도 : 건축물의 종류를 유사한 구조, 이용 목적 및 형태별로 묶어 분류한 것
(예 : 교육연구시설)

14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지역, 지구, 구역
경관 보존
미관 시설보호
용도지역 고도 취락
용도지구
(모든 토지에 적용) 방화 개발진흥
토지의 경제적·효율적 이용과 방재 특정용도제한
공공복리의 증진 도모 개발제한 시가화조정
용도구역
도시자연공원 수산자원보호
입지규제최소

자연환경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보적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전용 일반 준 중심 일반 근린 유통 전용 일반 준 보전 생산 지연
1종 2종 1종 2종 3종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


- 건축물대장 및 토지이용계획확인서에서 해당 지번별 지역,지구 확인 가능
- 경기도부동산포털(http://gris.gg.go.kr/),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http://luris.molit.go.kr/)
: 각종 토지 정보 열람 가능

토지이용계획확인서(참고)

15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0) 용적률 11) 건축물의 높이


대지면적에 대한 용적률산정용연면적의 비율
지상층연면적÷대지면적×100
- 지자체 도시계획조례(용도지역 안에서의 건폐율, 용
지표면으로부터 그 건축물의 상단까지의 높이
적률)에서 법정 기준 확인 가능
- 용적률 산정용 지상층 연면적 : (지하층면적, 지상층
의 주차장 면적 등)제외한 연면적

- 옥탑 등의 수평투영면적 합계가 해당 건축물의 건


축면적의 1/8이하인 경우로서 그부분의 높이가
12m를 넘는 경우에는 그 넘는 부분만 해당 건축
물의 높이에 산입)

┃용적률 산정시 제외되는 부분 ⓒ이재인 ┃건축물의 높이 산정의 기준 ⓒ이재인


9)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건축면적÷대지면적×100)
12) 지붕 : 지붕구조 형식(예: 평슬라브, 경사지붕 등)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13) 부속건축물 : 같은 대지에서 주된 건축물과 분리된 부속용도의 건축물
14) 조경면적 : 대지 내 조경 면적 합계
- 지자체 건축 조례(대지의 조경) 확인 (예 : 연면적의 합계가 2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대지면적의 15% 이상)
15) 주차장 : 주차장 대수 표기
· 주차대수 : 장애인 주차대수를 포함한 총 주차대수
- 주차장법
- 지자체 주차장 조례(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 확인 (예: 시설면적 200㎡당 1대)
16) 승강기 : 승강기 대수 표기
17) 하수처리시설 : 형식, 용량 표기
- 개인하수처리시설
· 단독정화조 : 공공하수관로에 연결되어 종말처리장에서 처리
· 오수처리시설 : 공공하수관로가 없어 하수를 정화하여 방류하는 시설

15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8) 에너지효율등급

건축물에너지 효율
1+++등급, 1++등급, 1+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7등급
등급 구분

※ 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의 유효기간은 10년


19) 에너지성능인증(EPI) 점수
20) 녹색건축인증

녹색건축인증
최우수(그린 1등급), 우수(그린 2등급), 우량(그린 3등급), 일반(그린 4등급)
등급 구분

21) 지능형건축물
· 각종 인증 내용
- 녹색건축물 인증 : 연면적 합계 3,000㎡이상 공공기관, 국·공립학교[우량(그린3등급) 이상 취득]
- 건축물의에너지효율등급 인증 : 연면적 3,000㎡이상 신축, 별동 증축[1등급 이상 취득]
- 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 : 연면적 500㎡ 이상 공공기관이 신축 또는 별동 증축[EPI 74점 이상]
※ 에너지절약계획서는 유효기간 없음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 : 신축, 증축, 개축 연면적 1,000㎡이상(2017년 21%, 2018년 24%, 2019년
27%, 2020년 이후 30%)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 공공기관이 신축하는 공공건축물

BF 인증
최우수, 우수, 일반
등급 구분

※ BF인증의 유효기간은 5년19) 에너지성능인증(EPI) 점수


22) 내진설계
- 대상(2015년 개정)
· 3층 이상, 500㎡ 이상인 모든 건축물 대상(창고, 축사, 작물재배사 등 제외)
· 높이 13m이상, 처마높이 9m이상
· 기둥과 기둥사이 거리 10m이상 등
23) 지하수위 : 지면에서 지하 수면까지의 깊이
24) 기초형식 : 직접기초, 말뚝기초
25) 설계지내력 : 지반이 구조물을 지지해 견디는 힘, 설계 당시 지반조사를 통해 산정한 값
26) 구조설계해석법 : 구조물의 지진 해석 방법(예: 등가정적해석법, 동적해석법)

15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4. 건축 기본 용어

대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필지로 나눈 토지

┃용적률 산정시 제외되는 부분 ⓒ이재인

건축


건축물을 신축·증축·개축·재축, 이전하는 것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대수선
건축물의 기둥, 보, 내력벽, 주계단 등의 구조나 외부 형태를 수선·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것

- 내력벽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그 벽면적을 30㎡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 기둥/보/지붕틀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3개 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 방화벽 또는 방화구획을 위한 바닥 또는 벽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 주계단·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을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
-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하는 마감재료를 증설 또는 해체하거나 벽면적 30㎡이상 수선 또는 변경하는 것(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제외)의 교육연구시설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 이상인 건축물)

건축물 리모델링
건축물의 노후화 억제 및 기능향상 위해 대수선하거나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것
일부 증축하는 행위

┃「건축법」에서 정의하는 건축물 ⓒ이재인 ┃리모델링의 개념 ⓒ이재인

15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신축 증축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
건축물이 없는 대지에 새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
적, 층수, 높이를 늘리는 것

┃신축 ⓒ이재인 ┃증축 ⓒ이재인

개축 재축
기존 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내력벽·기둥·보·지붕틀 중
건축물이 천재지변이나 그 밖의 재해로 멸실된 경우 그
셋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를 철거하고 그 대지에 종전과
대지에 종전 규모 이하로 다시 축조하는 것
같은 규모의 범위에서 건축물을 다시 축조하는 것

┃개축 ⓒ이재인 ┃재축 ⓒ이재인

● 베란다 : 위층보다 아래층 면적이 더 넓을 때, 아래층


의 지붕부분을 활용한 공간
● 발코니 : 내부공간을 연장하기 위해 건물외부에 부가
적으로 설치한 공간,전망,휴식 목적
● 테라스 : 지표면과 만나는 부분에 성토된(땅을 돋운)
부분, 흙을 밟지 않도록 마감
● 데크 : 과거 배의 갑판처럼 나무로 구성된 바닥 혹은
상부가 지표면에 들어올려 있지만 그 윗부분에 건축물
이 없고 사람들이 보행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평
평한 구조물의 통칭 ┃노대 등 ⓒ이재인

15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반자높이(천장고, 천정고) 층고
방의 바닥구조체 윗면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윗면
거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반자(천장)까지의 높이
까지의 높이

┃반자의 개념 ⓒ이재인 ┃층고의 개념 ⓒ이재인

처마높이 방화구획
지표면으로부터 건축물의 지붕틀 또는 이와 비슷한 수평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또
재를 지지하는 벽,깔도리 또는 기둥의 상단까지 높이 는 갑종방화문(방화셔터 포함)으로 구획하는 것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철근콘크리트구조 방식 건축물의 처마높이 ⓒ이재인 ┃방화구획의 개념 ⓒ이재인

● 내화구조 :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 건축물의 구조부가 화재 시 일정시간 동안 구조적으로
유해한 변형없이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예:
철근콘크리트조)
● 방화구조 :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 갑종방화문 : 비차열 1시간 이상, 차열 30분 이상의
성능
- 을종방화문 : 비차열 30분 이상의 성능
- 비차열 : 화재로 인한 열은 막지 못하지만 화염은 막음
- 차열 : 화재로 인한 열 막음 ┃노대 등 ⓒ이재인

15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 불연재료(난연1급) : 불에 타지 않는 재료(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철망, 알루미늄, 유리)


● 준불연재료(난연2급) : 불연재료에 준하는 방화성능을 가진 재료, 10분간 가열후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함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 난연재료(난연3급) : 불에 잘 타지 않는 재료, 5분간 가열후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함(난연합판, 난연플라
스틱판, 불에타는 재료에 불에강한 약품을 가공 처리한 것)
-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료
● 대상 : 교육연구시설 중 초등학교만 해당
● 지상층 거실 :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
● 피난동선 공간(통로, 복도, 계단 등) 및 지하층 거실 : 불연, 준불연재료만 사용(난연재료 금지)
- 건축물의 외부 마감재료
● 대상: 상업지역(근린상업 제외)의 교육연구시설
● 불연, 준불연재료만 사용(난연재료 금지)
● 배연설비 :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건축물 밖으로 배출하는 시설
● 제연설비 :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배출하고, 유입된 매연을 희석시키는 등의 제어방식을
통해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켜 피난상의 안전을 도모하는 소방시설
- 학교는 의무 설치대상 아님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제한 ⓒ이재인

15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2장 자재종류

1. 건축자재

외벽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규격 : 단열재+유리섬유+시멘트+도장
드라이비트 - 단열재가 포함된 외벽 마감재로 공사비는 저렴한
편이나 화재에 취약

페인트 - 규격 : 미장면위 수성페인트 도장

- 규격 : 190*90*57(일반)
치장벽돌
- 점토를 고온으로 구워 제작하며 내구성이 양호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25~30mm
석재/판석
- 자연 석재를 가공, 내구성이 우수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3~4mm
금속패널
- 금속판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 조립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30 ~60mm
베이스패널
- 시멘트를 주원료로 압출 성형

- 별도의 마감재를 시공하지 않고 콘크리트 물성을


노출콘크리트
그대로 드러나게 마감

15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내벽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수성페인트 - 벽면 미장후 페인트 시공

- 벽 표면에 요철 상부 도장 마감
본타일
- 하도(프라이머)+중도(본타일)+상도(페인트)

- 벽면에 작은 문양(칩-무늬페인트)
무늬코트
- 하도(페인트)+중도(무늬페인트)+상도(코팅)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15 ~50mm
흡음재
- PE흡음재, 목모흡음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음

벽지 - 벽면 미장후 벽지 시공

- 일반적으로 바닥은 자기질타일, 벽체는 도기질타


타일
일 시공

15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방수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2~3mm
우레탄방수 - 지붕층 구배모르타르(구체) 위
하도+중도+상도 마감

시트방수 - 지붕층 구배모르타르(구체) 위 쉬트+ 우레탄 마감

액체방수 - 지붕층 구체 상부 액체방수 후 보호모르타르 시공


천장재의 종류(예시)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6, 9.5, 12, 15mm


텍스
- 경량철골천장틀 하부에 텍스 설치

열경화성 - 규격 : 일반적으로 두께 1.2, 1.5mm


수지천장재 - 준불연재, 난연재 등이 있음

금속천장재 - 캐노피에 흔이 쓰는 종류
(스팬드럴) - 외관상 길쭉한 형태로 보이는 알루미늄 천정재

15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바닥재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규격 : 두께 3~5mm
러버타일
- 표면에 원형의 엠보싱이 있으면 내구성이 뛰어나
(고무계)
고 논슬립 기능이 있음

- 규격 : 두께 7~25mm
목재후로링
- 원목을 가공 후 도장(코팅)

- 규격 : 두께 3~5mm, 정사각형
비닐계타일
- 비닐계 재질로 내구성, 내오염성 있음

비닐계시트 - 규격 : 두께 2~5mm, 쉬트형


(장판류) - 비닐계 제질로 내구성, 내오염성 있음

액세스 - 바닥 배선 설치에 필요한 높이 확보


후로어 - 종류는 우드판넬(목질), 스틸판넬, 알루미늄판넬

인조석 - 황동줄눈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후 자갈, 시


(물갈기) 멘트, 모래등을 섞어 굳힌 후 물갈기 (현장시공)

- 두께 25~40mm
테라조타일 - 대리석, 화강암 등의 부순 골재, 안료, 시멘트 등
을 성형하여 경화, 연마

16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도장의 종류(예시)

수성페인트 본타일 흡음재

벽지 타일 적벽돌

외부창호/실내창호/복도측창호의 종류(예시)


AL(알루미늄) PL(플라스틱)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W(목재) SSW(스테인리스)

16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출입문의 종류(예시)

AD(알루미늄) PD(플라스틱)

WD(목재) SSD(스테인리스)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스크린(예시)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스크린

승강기, 덤웨이터(예시)

승강기 덤웨이터

16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 토목자재

담장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비고

담장
(메시형휀스)

담장
(창살형)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담장
(벽돌+철재)

담장
(주물형)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6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자재명 사진 비고

담장
(스텐)

담장
(벽돌, 블럭)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배수로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비고

배수로

우오수관
(흄관,PE관)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6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옹벽의 종류(예시)

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 석축 돌망태(개비온)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조경석 쌓기(예시)

조경석 쌓기

16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포장의 종류(예시)

자재명 사진 비고

포장
(소형고압
블록)

포장
(인조화강
블록)

포장
(경계석)

포장
(아스팔트)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6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명 사진 비고

빗물받이
(PE)

빗물받이
(콘크리트)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스틸그레이팅

콘크리트뚜껑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6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오수정화조의 종류(예시)

FRP 콘크리트

급수관의 종류(예시)

강관 스테인레스 동관 폴리에틸렌

오수관로의 종류(예시)

흄관 이중벽 PE관 삼중벽 PE관

수지파형강관 고강성 PVC 이중벽관 기타

16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대운동장 및 트랙의 재료(예시)

마사토 인조잔디

천연잔디 우레탄

기타운동장 재료(예시)

인조잔디 천연잔디 우레탄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보차도 분리(예시)

보차도 분리 보차도 미분리

※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로가 따로 설치된 경우에는 “보차도 분리” 된 것

16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3. 설비(기계)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전기히트펌프
- 냉난방 주동력 : 전기
(EHP)
- 실외기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교환 작용으로 냉난
(Electric Heat
방을 공급하는 에너지 절약형 냉난방 방식
Pump)

가스히트펌프 - 냉난방 주동력 : 가스


(GHP) - 실외기에 가스를 공급하여 가스엔진 동력 구동으
(Gas Heat 로 냉난방을 공급하는 에너지 절약형 냉난방 방식
Pump) - 주기적인 엔진오일 교체 및 관리 필요

- 지중열교환기(루프) 및 히트펌프 등으로 냉난방시


지열(GEO)
스템 구성
(Geothermy
- 학교는 주로 수직밀폐형 시스템으로 지열공 굴착
Heat Pump)
깊이는 약 150~200m정도

- 냉난방열원 : (도시)가스
흡수식냉온수기 - 냉매는 물, 흡습제로 리듐 브로마이드(Li-br) 수
용액을 이용하는 냉난방시스템

- 냉난방열원 : 스팀
흡수식냉동기 - 지역난방과 수용가(흡수식냉동기)의 열교환으로
냉난방시스템 구성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냉열원 기기와 펌프류를 중앙 기계실에 설치하고 냉열원기기


팬코일유닛 이것으로 각 실내에 설치한 팬코일유니트 사이에 :
(FCU) 냉온수 배관을 하고, 유니트에 의하여 소정온도의 보일러,
(Fan Coil Unit) 공기 송풍 냉온수기,
- 보통은 바닥상치형과 천장형이 있음 냉동기 등

- 히트펌프용 실내기로 사용 1WAY,


- 교실 1.0실 이하 : 1WAY, 2WAY 적용 2WAY,
천장형냉난방기 - 교실 1.0실 이상 : 4WAY 적용 4WAY :
- 토출방향에 소방감지기가 직접 면하여 설치되지 냉난방
않도록 : 동절기 오동작 원인 토출구수

- 히트펌프용 실내기로 사용
천장형냉난방기
- 덕트 및 디퓨져와 연결하여 사용
(매립덕트형)
- 학교 식당 및 조리실 등에 사용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 히트펌프용 실내기로 사용
직립형냉난방기 - 층고가 높은 강당, 체육관 등에서
기류유도휀과 함께 사용

-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


-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나
공기청정기 쁜 냄새를 제거
- 천장형과 직립형이 있어 냉난방기와의 구별이 요
구됨

- 실내외 급배기 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열교환


전열교환기 으로 에너지 절약에 일조
- 감열과 잠열 양방향 열교환 가능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저수조와 각종 수전(水栓)류 배관사이에 설치되어


부스타펌프 유체 흐름의 가압용으로 사용
- 펌프, 제어판넬, 팽창탱크 등 세트 구성

- 원심펌프 일종으로 안내날개가 없는 펌프


볼류트펌프
- 소방용, 난방용, 급탕용 등으로 사용

- 회전마찰 펌프
웨스코펌프
- 소방용 보조펌프로 사용

배수펌프 - 집수정 등 배수펌프로 사용


(수중형) - 펌프 몸체가 집수정 내 수중에 설치됨

- 집수정 등 배수펌프로 사용
배수펌프(입형)
- 펌프 몸체가 집수정 상부에 설치됨

- 보일러·칠러 등 액체의 순환계에서 액체 온도에


의해 계 전체의 체적이 팽창과 수축의 변화가 발
팽창탱크
생. 이 변화량을 흡수하고 오버플로(월류)나 공기
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계 내에 설치

- 중앙급탕방식에 있어 다량의 온수 필요 개소에 있


온수저장탱크
어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Fiber Reinforced Plastics


- 유리섬유를 강화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F.R.P 저수조
매트릭스 강화복합재료 이용
- 위생용, 소화용수 등의 저수용 탱크

- polyethylene
PE 저수조 - 에틸렌 중합으로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 위생용, 소화용수 등의 저수용 탱크

- Sheet Molding Compound 현재) SMC


-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에 보강재 및 충진재, 이 및 STS
S.M.C 저수조 형제, 안료, 촉매 등을 함침 후 화학적으로 점도를 저수조를
증가시킨 가압성형재료 이용 주로 사용
- 위생용, 소화용수 등의 저수용 탱크 KC인증필요

- 급식소 급식기구(증기용) 등 증기공급용


관류보일러 - 인정검사대상기기 조종자 교육 필요


(증기보일러) (관련기준: 에너지이용합리화법시행규칙 제31조
의 6 [별표3의9] 참조)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간접가열보일러
- (대형)급탕 및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
(진공온수보일러)

중형보일러 - (중소형)급탕 및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

- (소형)급탕 및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
벽걸이형보일러 - 벽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다른 보일러에 비해
작은 공간 내 설치 가능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시로코휀 - 다량의 공기 또는 가스 취급시설에 사용


(SIROCCO - 다익 송풍기로 앞으로 향한 다수의 날개에 의해
FAN) 급배기용으로 사용

덕트인라인휀
(DUCT IN LINE - 급배기용 덕트 중간에 설치되어 사용
FAN)

루프휀 - 체육관 등 주로 지붕 상단부에 직결되어 환풍기로


(ROOF FAN) 사용

공기순환휀 - 체육관 등 대공간 내 냉난방 공조시설의 기류 유


(대공간유도휀) 도휀으로 사용

공기순환휀 - 체육관 등 대공간 내 냉난방 공조시설의 기류 유


(대공간유도휀) 도휀으로 사용

- 벽체 또는 창호 등에 부착되는 환기시설
벽부형환풍기 - 사용처 벽체 또는 창호 등이 건물외부와 직접 맞
닿는 장소에 주로 이용

- 천장면에 부착되는 환기시설


- 사용처 벽체 또는 창호 등이 건물외부와
천장형환풍기 직접 맞닿지 않는 장소에 주로 사용
- 하나의 급배기 배관에 한 대 이상 연결되는 경우
역류방지댐퍼 설치 고려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배관용 탄소강관
(SPP) - 사용압력이 비교적 낮은 유체용(물, 공기 등) 배관
- KSD 3507 -

압력배관용 탄소 - 350℃ 미만 온도에서 사용하는 압력배관


강관(SPPS) - 주로 용접식 이음방식 적용으로 배관 선정 시 용접
- KSD 3562 - 가능한 적정 두께 선정

일반배관용스테 - 옥내 및 상수도용(K-TYPE)
인리스관 - 급수, 개별급탕 등의 배관에 이용
- KSD 3595 - - 배관접합: 주로 압착 이음

공업배관용스테 - 옥내 및 상수도용(K-TYPE)
인리스관 - 중앙급탕 또는 스팀 등의 배관에 적용
- KSD 3576 - - 배관접합 : 주로 용접, 플랜지 이음


- LPG/LNG 등 가스배관용
가스용백강관
- 배관 부식 방지를 위해 광명단 등 부식 처리 후 다른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SPPG)
배관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주로 노란색 페인트칠
- KSD 3631 -
- 노란색 페인트칠 상부 가스공급압 표기

배수용 주철관 - 오배수 배관용


- KSD 4307 - - 주철로 만들어져 내식성 우수

동파이프 - 냉간 인발 등으로 생산, 이음매 없는 관


- KSD 5301 - - 열, 전기 전도율 우수, 굽힘 가공 용이

관경 100mm
- PVC 주원료로 경량이며 작업성이 우수 기준 VG1,
PVC 파이프
- 오배수용으로 VG1, VG2를 많이 사용 VG2 두께
(경질염화
일반적으로 VG1은 옥내 및 노출배관, VG2는 옥 VG1 :
비닐관)
외매립배관 6.6mm
VG2 : 3.1mm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전기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전기를 받고 분배하는 함
- 고압의 전력을 받아 저압으로 변환하여 전기설비
(수)배전반
계통으로 배전하기위한 함
(switchboard)
- 배전반에는 안전장치, 계기, 계전기, 개폐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

분전반
-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전기계통의 회로를
(panel board)
개폐하여 각종 기기 등으로 배전하는 장치
(distribution
- 분기 개폐기, 차단기류를 통합해서 부착한 함
board)

배전용차단기
- 과부차, 단락보호 차단기
(MCCB, NFB)
- 정상 회로 상태시 수동으로 회로 개폐, 과부하, 단
(molded case
락 고장 등 이상 상태가 되면 회로를 자동 차단
circuit breaker)

누전차단기
- 과전류, 단락, 누전보호 차단기
(ELB)
- 전기가 전선 밖으로 새어 흐를때 자동으로 회로를
(earth leakage
차단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위험을 방지
breaker)

-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선


전선
(예 : 나선, 절연전선)
(wire)
- 옥내배선 절연전선 : IV, HIV, HFIX 등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여러가닥의 꼬아 만든 선 또는 한 선으로 된 도체
케이블
를 보호용 피복(절연체 외피)으로 감싼 전선
(cable)
- 주로 간선에 포설(F-CV)

접지선 - 접지용 비닐전선 (GV)

LED 조명기구
(light emitting -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여 만든 조명기구
diode)

형광등기구(FL) - 유리관 속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안쪽 벽에 형


(fluorescent 광물질을 도포하여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
lighting) 을 가시광선으로 바꾸어 조명하는 등기구

다운라이트(DL)
- 천장에 매립하는 소형 조명기구


(down light)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자샌호를 직접수
신하거나 중계기를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화재수신반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
- 숙직실이나 관리실에 배치

감지기
- 차동식 열감지기
(차동식
- 설치위치 : 교실, 관리실 등 실내에 설치
열감지기)

감지기
- 정온식 열감지기
(정온식
- 설치위치 : 보일러실, 주방 등
열감지기)

감지기 - 연기감지기
(연기감지기) - 설치위치 : 복도, 계단 등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 불꽃감지기
불꽃감지기
- 설치위치 : 다목적강당 등 고천장에 설치

발신기 -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

- 옥내 소화설비
옥내소화전 - 함 내부에는 불을 끌수 있는 호스, 노즐, 개폐(앵
글)밸브로 구성되어 있음

스프링클러설비 - 학교에서는 주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사용


(헤드부) - 4층이상의 층으로 바닥면적 1천㎡이상인 층

※ 주기 : 상기 제조사 로고 또는 특정 상표는 시설자재 설명을 위한 단순 참고 사진임

17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3장 인허가 절차

1. 건축허가
[건축법]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대수선하려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함
[학교시설사업촉진법] 건축법에도 불구하고 감독청(교육청)의 승인을 받거나 신고하여야 함, 감독청은 이에
관한 사항을 시장·군수·구청장에게 통보하여야 함

2. 건축신고
허가 대상 건축물 중 아래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봄
① 연면적 100㎡이하 신축 ② 관리지역·농림지역 또는 자연보전지역에서 연면적 200㎡미만, 3층미만 건축물의
건축 ③ 바닥면적 합계 85㎡이내의 증축·개축·재축 ④ 건축물의 높이를 3m이하에서 증축 ⑤ 산업단지에서 2층이
하, 연면적 500㎡이하의 공장 신축 ⑥ 읍·면지역에서 건축하는 연면적 200㎡이하의 창고, 연면적 400㎡미만의
축사, 작물재배사, 온실 ⑦ 주요구조부의 해체가 없는 대수선 ⑧ 연면적 200㎡미만, 3층미만 건축물의 대수선

3. 건축인허가 절차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구분 내용 담당기관

설계용역 - 용역추진 학교(교육청), 설계사무소

[학교시설사업촉진법] 제5조의2 1항
- 학교시설의 건축 등을 하고자 할 때 감독층의 승인을 얻거나 감독청에 신고하여야 함
- 학교시설건축·축조승인신청서 [붙임0] 설계사무소(작성)
건축 축조·승인 신청
- 설계도서(건축법 시행규칙 별표2 참조) →교육청(내부결재)
- (필요시)지적도 및 토지이용계획확인서
※ 공사착공 전 승인해야 함

[학교시설사업촉진법] 제5조의2 2항 교육청→


건축 축조·승인 알림
-감독청 승인 내용, 신고 받은 내용 지자체 통보 시·군·구청장

- 공사추진
시설공사 교육청(학교), 시공사
- 준공처리, 사용승인(준공검사, 준공인가 등 포함)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 제12조


- 건축물의 사용승인 완료 후 교육청→
건축물대장 생성신청
- 건축물대장생성신청서 시·군·구청장
- 건축물현황도, (필요시)현황측량성과도

17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건축물대장 생성 - 사용승인 건축물에 대한 건축물대장 기재, 변경 등 시·군·구청장

[건축법]제39조
유초중학교(고등)→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제26조
등기촉탁 신청 교육지원청(도교육청)→
- 사용승인 받은 건축물로서 면적·구조·용도·층수가 변경된 경우
등기소
- 건축물대장 등본, 등기촉탁서

건축물대장 생성 - 사용승인 건축물에 대한 건축물대장 기재, 변경 등 시·군·구청장

4. 건축물 멸실신고 절차

구분 내용 담당기관

[건축법 시행규칙] 제24조


- 철거예정 7일전까지 신고서 제출
건축물 학교→(교육청)→
- 건축물철거·멸실신고서
철거·멸실 신고 시·군·구청장
- 해체공사계획서(해체방법 및 순서, 폐기물처리계획, 안전조치 계획 등)
- 석면 함유시 [산업안전보건법] 준용

시·군·구청장→
신고필증 교부 -건축물철거·멸실신고 필증
(교육청)→학교

철거공사 - 철거 전·중·후 사진 촬영 학교

[건축물대장의 기재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칙] 제22조


- 건축물대장 말소 신청서
학교→(교육청)→
건축물대장 말소 신청 - 철거 전·중·후 사진
시·군·구청장
※ 말소신청서 작성 시 등기촉탁 희망 여부란 “희망함”으로 기재하면 관할시·군·구청장이
무료로 등기촉탁 대행

철거공사 - 철거 전·중·후 사진 촬영 학교

철거공사 - 철거 전·중·후 사진 촬영 학교

시·군·구청장→
신고필증 교부 -건축물철거·멸실신고 필증
(교육청)→학교

18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4장 공사용어 일반

1. 자주! 아직도! 잘 못 사용하는! 공사 용어(청산해야할 일제 잔재 외)


현장용어 순화용어 현장용어 순화용어
가꾸목 각목 베니이다(베니야) 합판
가네 직각, 선 맞춤 빠데 퍼티
가다 틀, 본, 꼴 빠루 쇠지레
가다와꾸 거푸집 뻬빠 사포, 연마지
가라 무늬, 거짓 뿌레카 함마드릴
가베 벽 사비(도메) 녹(막이)
가빠 덮개 사시낑 삽입근
곰방 (수직)운반 샤꾸리 홈파기
공구리 콘크리트 써쓰 SUS,스테인리스
구리스 윤활제 소재 청소
구배 물매, 경사 쇼트 합선
게다 보, 도리 스미끼리 모따기
기스 홈, 상처 스페아 예비
기레빠시 균열, 조각 시다 보조원
나라시 면고르기 시마이 마감, 끝맺음
노리비끼 시멘트풀칠 아루 곡선, 원형


다루끼 서까래 혹은 각재 아시바 비계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다시방 앞서랍 안쓰라 안 치수
다이 받침대 야스리 줄
단도리 채비, 준비 오도리바 계단참
데꼬보꼬 요철, 올록볼록 오비끼 멍에
데나오시 재손질, 처음부터 다시 오사마리 마감
데마 품 오야(오야가다) 우두머리
데마찌 대기, 기다림 와꾸 틀, 울거미
데모도 조공, 조수 우마 발판, 안마
덴바 상당, 윗면 유도리 여유
덴쵸오(덴죠) 천장 육가 드레인
도끼다시 갈기, 갈아내기 와리 나누기
도란스 변압기 젠다이 선반, 난간등의 턱
라쓰 철망 쭈꾸미_잡다 몰탈바닥_수평작업
람마(창) 문위 남는공간(상부창) 하리 보, 대들보
루베 세제곱미터(m³) 하바끼 걸레받이
메지 줄눈 하이바 헬멧
미즈끼리 물끊기 한바(함바) 공사현장식당
미다시 견출마감 하스리(할석) 거푸집 해체후 면잡기
바라시 해체 헤라 주걱
반생 얇은 철선 헤베 제곱미터(㎡)
방통 방바닥 통미장 후끼 뿜칠, 스프레이

18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 자주! 아직도! 잘 못 사용하는! 공사 용어(그림자료)


가꾸목 → 각진 나무(각 목)

1) 다루끼 : 30*30*3600 2) 투바이 : 30(51)*69(81)*3600 3) 산승각(오비끼) : 81*81*3600

참고) 원산지별 구분 참고) 플로어링보드 장선식틀 구성

1) 멍에 : 후로링 마루틀 중 장선을 받치


- 소송 : 러시아산 소나무, 인테리어, 펄프 등 기 위한 부재
- 미송 : 미국산 소나무, 일반건축용, 가구 * 오비끼를 멍에용으로 자주 사용하여 오
재, 내외장 기초목재 비끼=멍에로 통용됨
- 뉴송 : 뉴질랜드산 소나무, 외부구조용, 2) 장선 : 바닥널(합판 등) 받침 부재
팔레트용 3) 합판
4) 플로어링보드(후로링)

참고) 판재

1) 합판 : 원목 얇게, 여러층 적층 내구성 2) PB(파티클보드) : 목재 조각을 고온, 고 3) MDF : 톱밥의 섬유질을 쪄서 가공한 판
강하고 자연스러움 압으로 압착 가공한 판재 재, 저렴하나 강도약함

가다와꾸 → 거푸집 아시바 → 비계 서포트, 동바리

- 가다 → 틀, 본, 꼴 / 와꾸 → 틀

18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도끼다시 → (인조석)물갈기 (참고) 테라죠타일 (참고) 화강석 붙임

- 구 교사동 - 복도 주요마감재(일반) - 복도 중 1층 및 홀부분(고급)

반생 → 얇은철선 (#:굵기) 라쓰 → 철망 메지 → 줄눈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빠데 → 퍼티 빠루 → 쇠지레 뿌레카 → 함마드릴

야스리 → 줄 육가 → 드레인, 배수구 헤라 → 주걱

18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미즈끼리 → 물끊기 샤꾸리 → 홈파기 스미끼리 → 모따기

미다시 → 견출마감 노리비끼 → 시멘트풀칠 (참고) 미장

- 갈기, 홈메우기 등 콘크리트 표면처리 - 몰탈, 콘크리트 바탕면에 부착력 증진 - 회반죽, 몰탈 등을 벽, 천정 등에 바름

젠다이 → 선반, 난간턱 (참고) 화강석 종류 사시낑 → 삽입(철)근

하바끼 → 걸레받이 하이바 → 헬멧, 안전모 후끼 → 스프레이, 뿜칠

18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 도장공사 용어 설명

가. 페인트 종류

종류 설명 장점 단점 용도
● 외부용(에멀젼)-건물외
Water based paint
냄새가 적고, 빠르게 마름 강도(화학적 결합력)가 유 벽등
수성페인트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곳에 사용가능 성에 비해 약함 ● 내부용(에멀젼)-실내
페인트
● 광택(아크릴)-복도

수성타입 광택도료로 내수성, 내후성이 높음, 내 복도, 실내 하부(창대 아래


낙서방지페인트 -
낙서방지 기능이 첨가 오염성 부분)

여러 용도 있지만, 학교는
세라민페인트 걸레받이용 페인트를 지칭함 내수성, 내알카리성 높음 - 걸레받이
특수 에멀젼 수성

● 에나멜P-철재, 문, 몰딩
등, 내부용
● 조합P-철재구조물, 외

부용
Oil based paint
접착력, 강도 높음(수성보 ● 락카-에나멜과 비슷, 투
유성페인트 제품별 신나로 희석하여 냄새가 심함


다 오래 지속) 명제품 있어 코팅제로도
사용하는 페인트
사용
● 에폭시-바닥도장용

공문 보고문서의 이해
● 우레탄-가구용(원목을

제외한 대부분), 방수용

밝은 색 페인트면에 2~3가
지 색상이 혼합된 점무늬 미려함, 내수성, 내후성,
무늬코트 부분 보수 어려움 가격이
(알갱이)를 흩뿌리는 도색 은폐력, 내오염성 높음 복도, 계단실
(다채무늬도료) 다소 높음
방법(수성페이트칠→무늬 색상, 무늬 다양함
뿜칠→코팅)

● 수성본타일(인코트)-내
부계단실, 소무늬
입체무늬 모양(엠보)을 내
시공 난이도 높음, 부분 ● 아크릴계, 에폭시계 본
는 뿜칠용 페인트(프라이 내수성, 내후성, 은폐력,
본타일 보수 어려움, 가격이 다소 타일-외부콘크리트면,
머칠→본타일뿜칠→엠보 내오염성 등 높음
높음 소·대무늬
크기 조정(눌러줌)→코팅)
● 탄성본타일-경량기포콘
크리트 외부 마감

① 친환경페인트 : 휘발성유기화합물(VOC) 같은 유해물질이 기준치 이하로 발생하는 페인트


② 천연페인트 : 자연 분해되는 천연원료(예 : 광물-규조토)로 만든 페인트로 어느 정도의 항균, 탈취, 습도조절, 유해성분 분해
기능을 갖춘 페인트
cf) 추가용어
- 프라이머 : 페인트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페인트-상도, 프라이머-하도)
- 젯소 : 페인트가 고착되지 않는 부위(유리,필름 등)에 페인트칠이 가능토록 하는 역할
- 바니쉬(니스) : 페인트의 오염, 탈락 방지를 위한 코팅 역할
- (오일)스테인 : 목재에 스며들어 착색 혹은 염색되는 역할(목재를 보호하는 역할)

18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Ⅷ 시설감사의 이해
제1장 시설공사 관련 감사지적 사례

01
연차별 시설사업계획 검토 없이 사업추진

시설사업은 필요시설 및 소요시설을 조사ㆍ분석하여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학교건물배치 및 연차별 투자계획


을 포함한 장기종합계획에 따라 예산의 낭비가 없도록 추진하여야 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급식소 개축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6. 0. 00. ㈜△△건설 대표 ○○○와 계약(380,494천원)하고 같은 해 0. 00. 준공을 하였다.

- 한편 종합계획으로 급식소 건물과 연계하여 다목적 강당을 수직 및 일부 수평증축을 차후 계획으로


수립하고서도.

- 학교장의 요구와 급식소 주변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사유로 급식소 출입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한 부분만
이 아닌 차후 다목적강당의 수평증축 부분까지 포장(소형고압블록)을 하였다.

- 그 결과 다목적강당 건물을 증축할 때에는 불가피하게 포장시설을 철거하여야 하는 등 예산낭비


가 발생하였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연차별 투자계획사업은 금차 공사와 차후공사와의 연관성을 검토하여 사업범위 확정으로 예산낭비요인 제거
건물의 이용 및 관리상 필요한 일시적인 시설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범위로 시설

18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02
장기종합계획 수립 없이 시설사업 추진

학교 내에서 많은 예산이 투자되는 독립적인 건물을 신축할 때에는 교육과정의 변화, 토지이용계획, 기존건물
과의 연계성 등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학교시설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장기종합계획에 반영하여 시설사
업을 추진함으로서 예산낭비와 계획착오를 방지할 수가 있음.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정보도서관 신축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6. 00. 00. ㈜△△종합건설 대표 ○○○와 계약(849,800천원)하고 0000. 00. 00. 준공을 하였
다.

- 당초, 신축공사 예정지를 운동장 동편으로 하여 설계용역을 완료하고 위 ㈜△△종합건설 대표자와


공사계약을 체결하였다.

- 그러나 공사착공 단계에서 신축위치가 불합리하다는 사유로 본관동 서편의 여유 공간으로 위치를
변경하고 재설계를 하였다.

- 그 결과 공사기간 장기화에 따른 소음 등에 의한 학생수업 피해와 건물사용의 지체로 예산투자의 효


과성을 기대할 수 없게 하였다. Ⅷ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시설사업계획은 사전에 충분한 제반여건에 대한 자료조사와 분석을 실시하고, 의사결정 과정 등 종합적인 계
획을 수립하여 추진

18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03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존속중인 건물에 예산 투자

기존건물에 대한 수선 등 예산투자는 건물의 보수이력,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존속여부, 건물주선주기 등을


반영한 중장기투자계획을 수립하여야 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할 수가 있음.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본관교사 외벽 돌 붙임공사 외 기타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3년도 본관건물 외벽누수 사유로 건물외벽 방수공사(금137,105천원)를 실시하였고, 하자담보책


임기간이 2016 만료예정 이였다.

- 그런데도 2년 뒤인 2015년도에 기투자한 건물외벽 방수공사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존속 중인데도


건물을 현대적 외관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본관교사 외벽 리모델링공사 외 기타공사(1,011,980천원)
를 실시하였다.

- 그 결과 중복투자에 의한 예산낭비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기존 건물에 대한 수선 사업은 건물의 수선주기를 고려한 연차별투자계획에 따라 사업 추진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존속중인 시설물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하자보수를 실시 하여야하는 의무가 있음으로
예산투자 금지
학교주변 환경 변화를 고려한 시설사업 계획

18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04
공사원가계산 공사비 과다(중복) 계상 -1

공사원가계산의 각 비목(재료비, 노무비, 경비)별 기초계산서(내역서) 작성은 산출된 각 비목 물량에 일위대


가 및 자재결정단가를 적용하여야 하고, 재료비의 경우 특이사항에 시공도로 표시된 가격은 노무비를 계상하
면 공사비 중복계상에 해당됨.

지적내용

□□중학교는 음악실 현대화사업 리모델링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7. 12. 1. ㈜ ○○대표 ○○○와 계약(9,3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12. 10. 준공을 하였다.

- 전문가격조사기관의 책자에는 원재료인 인테리어필름지의 단위당 가격에는 시공비와 부자재가가 포함


된 가격으로 비고 및 특이사항에 기재되어 있다.

- 그런데도 기초계산서(내역서)를 작성하면서 인테리어필름지의 단위당 가격에 별도로 노무비(㎡당


9,000원)를 계상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 중복계상으로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자재단가를 적용할 때에는 비고 및 특이사항의 적용기준(시공도 등)을 검토하여 공사비가 중복하여 계상되지
않게 주의

18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05
공사원가계산 공사비 과다(중복) 계상 -2

공사원가계산의 각 비목(재료비, 노무비, 경비)별 기초계산서(내역서) 작성은 산출된 각 비목 물량에 일위대


가 및 자재결정단가를 적용하여야 하고, 재료비의 경우 특이사항에 시공도로 표시된 가격은 노무비를 계상하
면 공사비 중복계상에 해당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동남쪽 화장실 출입구 수선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7. 11. 8. (유)△△건설 대표 ○○○와 계약(9,8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11. 11. 준공을 하였다.

- 전문가격조사기관의 책자에는 원재료인 강화유리도어의 단위당 가격에는 시공비와 부자재가가 포함


된 가격으로 비고 및 특이사항에 기재되어 있다.

- 그런데도 기초계산서(내역서)를 작성하면서 강화유리도어(손 보호용)의 단위당 가격에 별도로 노무비


(개당 36,000원)를 계상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 중복계상으로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자재단가를 적용할 때에는 비고 및 특이사항의 적용기준(시공도 등)을 검토하여 공사비가 중복하여 계상되
지 않게 주의

19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06
공사원가계산 공사비 과다산출 계상 -3

공사원가계산의 각 비목(재료비, 노무비, 경비)별 기초계산서(내역서) 작성은 산출된 각 비목 물량에 일위대


가 및 자재결정단가를 적용하여야 하고, 재료비의 경우 특이사항에 시공도로 표시된 가격은 노무비를 계상하
면 공사비 중복계상에 해당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이중창 교체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5. 07. 22. △△건설 대표 ○○○와 계약(79,813천원)을 맺고 같은 해 09. 01. 준공을 하였다.

- 공사금액 산정의 기초가 되는 수량 산출은 정미수량으로 정확하게 산출 하여야 한다.

- 그런데 유리면적 및 유리 끼우기 닦기 수량을 정미수량으로 산출하지 않고 창호의 틀 면적을 포함하


여 산출하여 계상하고, 그대로 준공정산 없이 부적정하게 집행한 사실이 있다.

- 그 결과 공사비 과다설계로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관급자재 창호는 회사별로 바 규격이 서로 상이 함으로 설계산출시 검토하여 공사비가 과다설계 되지 않게 주의

19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07
견적물량 검토 잘못으로 공사비 과다 계상

예정가격 또는 공사예정금액이 1인 수의계약 기준(교육청, 추정가격 1천만 원 이하)에 부합되는 공사일 경우


수의계약으로 체결할 수 있고, 견적가격은 공사비가 과다하게 산정되지 않게 공사의 특성 및 내용에 맞는 공
법 선택과 계약물량 등을 검토하여 가장 경제적인 가격으로 최종 계약금액을 결정 하여야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교실 내부 도장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6. 1. 8. (유)△△건설 대표 ○○○와 계약(11,0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1. 17. 준공을 하였다.

- 도장공사의 바탕 만들기는 사전에 도장면의 균열 메우기 및 요철부위 보수 등을 하는 것으로 필요면


적을 실측하여 수량을 산출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통상적으로 칠 전체면적의
30%를 적용하고 있고, 도장면의 바탕 상태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적용하고 있다.

- 그런데도 위 계약자 1인으로부터 제출받은 견적가격에 바탕 만들기 수량이 칠 전체면적(100%)으로


과다하게 산출 되었는데도 수량조정 등의 조치를 하지 않고 그대로 예정가격을 결정하였다.

- 그 결과 공사물량 과다 산출에 따라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견적서 제출자에게 공사물량, 단가 산출근거 제출을 요구하여 검토

19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08
일위대가 공종 중복 적용으로 공사비 과다 계상

공사원가계산에 의한 비용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정부에서는 건설공사표준품셈을 제정 및 운영하고 있고,


교육청에서는 위 표준품셈에 근거하여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비목단가를 결정하여 학교시설공사의 공사비
산출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사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을 작성할 때와 견적가격을 비교ㆍ검토하는 경
우에는 일위대가 및 표준품셈의 적용기준에 주의하여야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영어체험교실 구축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6. 6. 23. △△△경기총판 대표 ○○○와 계약(9,0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9. 18. 준공을 하였


다.

- 교육청 일위대가는 건설표준품셈에서 정한 공종의 단위당 재료량 및 노무량에 의해서 공사원가의


비목별(재료비, 노무비, 경비) 단가를 결정하고 있는바, 표준품셈의 현장정리 품(노무비)에는 공사 중
옥ㆍ내외의 청소와 준공청소 및 뒷정리까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장정리 비를 계상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준공청소비를 계상해서는 아니 된다.

- 그런데도 기초계산서(내역서)를 작성하면서 현장정리비와 준공청소비를 별도의 공종으로 계상하여


공사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금액에 따라 예정가격을 결정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 중복계상에 따라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일위대가(표준품셈)를 적용할 때에는 적용기준(주의사항)에 주의

19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09
공사원가 제비율 기준초과 적용(공사비 과다 지급)

계약담당자는 견적가격을 예정가격으로 결정할 때에는 제출된 견적가격이 적정한 가격인지 교육청 적용기준
(공사원가계산 제비율 적용기준, 일위대가 등)과 비교ㆍ검토하여 가장 경제적인 가격으로 최종 계약금액을 결
정 하여야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놀이터 확장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12. 26. (유)△△건설 대표 ○○○와 계약(6,500천원)을 맺고 이듬 해 2015. 1. 20. 준공


을 하였다.

- 교육청에서는 매년 학교시설사업의 공사비 산출에 적용할 일위대가와 공사원가 제비율 적용기준을


홈페이지(시설과 자료실)에 공개하고 있고, 같은 제비율 적용기준에 따르면 간접노무비(8.9%), 기타경
비(5.4%), 일반관리비(6.0%)의 기준요율과 보험료 등의 법정요율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다.

- 그러나 위 계약자 1인으로부터 제출받은 견적가격에 교육청 기준 요율과 다르게[간접노무비(11.0%),


기타경비(6.0%), 일반관리비(7.0%)] 적용 하였는데도 요율조정 등의 조치를 하지 않고 그대로 예정가
격을 결정하였다.

- 그 결과 공사원가 제비율의 교육청 기준 요율을 초과 적용으로 공사비◇◇◇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된


결과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원가계산 제비율 초과 적용 금지(우리교육청 기준은 요율의 상한선임)
4대사회 보험료 등은 법정요율로 의무적으로 제시 요율을 지켜야 함

19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0
1식 견적서 제출 받음

계약담당자는 견적가격을 예정가격으로 결정할 때에는 제출된 견적가격이 적정한 가격인지 교육청 적용기준
(공사원가계산 제비율 적용기준, 일위대가 등)과 거래실례가격 및 전문조사기관의 조사가격 등과 비교·검토가
가능하게 작성을 요구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위클래스 조성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2. 17. (주)△△아이디 대표 ○○○와 계약(8,210천원)을 맺고 같은 해 4. 20. 준공을 하였다.

- 견적서는 계약상대자가 발주자에게 공급가능 한 내용을 적산형태로 기술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공사


의 각 공종별로 품명과 규격, 수량, 단가, 금액, 제반경비와 이윤을 기재하고 설계도면, 공사설명서를
첨부물로 같이 제출하여 계약담당자가 제출된 견적가격이 적정한 가격인지 비교ㆍ검토가 가능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 그러나 위 계약자 외 1인으로부터 계약상대자의 공급 가능한 내용 및 제반비용의 적산 없이 1식으


로 작성된 견적서를 제출받았다.

- 그 결과 제출된 가격에 대하여 비교ㆍ검토가 불가능하여 가장 경제적인 가격인지 알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을 맺는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견적서는 최소한 각 공종별로 품명과 규격, 수량, 단가, 금액, 제반경비와 이윤이 적산형태로 기술 되도록 작성
요구
설계도면(간이설계 가능), 공사설명서 작성하여 제출요구(1인 견적시)

19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1
설계서(설계도면, 공사설명서) 작성 안함

설계서는 계약담당자가 입찰이나 수의계약 등에 부칠 사항에 대하여 예정가격 작성을 위한 공사비 산출의 기
준 및 근거가 되고, 계약을 맺은 이후에는 공사감독과 검사과정에서 계약대로 이행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
는 기준으로 공사금액과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공사에 대하여 설계서(설계도면, 설계설명서)를 작성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학교관사 리모델링공사외 3건의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3. 23. (유)△△건설 대표 ○○○와 계약(8,940천원)을 맺고 같은 해 5. 26. 준공을 하였다.

- 설계서는 적정한 공사비의 산출 근거가 되고, 계약을 맺은 후에는 공사과정에서 사용자재의 품질과 규
격 등의 일치여부 확인 등 공사감독을 가능하게 하고 검사에서 계약위반 및 부당시공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요한 계약문서이기 때문에 모든 공사는 설계서를 작성 하여야한다.

- 그런데도 □□고등학교에서는 학교관사 리모델링공사외 3건의 공사를 집행하면서 설계서를 작성 하


지 않고 계약을 맺었다.

- 그 결과 공사감독을 어렵게 하였고, 계약사항에 대한 이행여부의 확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


사를 완성한 결과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설계서 작성은 G2B, S2B 이용시 건축사(설계용역)가 작성
1인 견적에 의한 수의계약시는 계약상대가 작성하도록 요구

19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2
설계용역비 산출 대상금액 및 등급적용 잘못함

설계용역은 「건축사용역범위와 대가기준」에 따라 적정한 용역비를 산출하고 공사의 복잡성과 도서의 양에 맞


는 용역기간을 부여하여 사업목적과 기능 등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설계 성과품을 납품 하도록 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복도 설치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7. 20. △△△건축사사무소 대표 ○○○와 계약(5,633천원)을 맺고 같은 해 8. 18. 설계용역을 완


성 하였다.

- 설계용역비 산출의 적용대상 공사비는 예산액에서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하게 되어 있고,


공사의 복잡성(단순, 보통, 복잡)과 작성하는 설계도서의 양(신설학교, 전면개축, 수선공종의 수)에
따라 적용등급을 달리하고 있다.

- 그러나 설계용역비를 산출하면서 복도는 1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공사이므로 제1종(단
순)의 기본요율에 도서의 양에 따른 등급적용(실시30%)이 타당한데도 (계획+중간+실시 100%)로
잘못 적용하였고, 적용대상공사비도 부가가치세를 제외하지 않고 예산액(101,734천원)을 적용 하였
다. Ⅷ

- 그 결과 공사복잡 도에 따른 설계용역 요율적용 잘못과 설계용역 대상공사비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


어 설계용역비를 과다하게 지급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설계용역비 산출은 현장별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용역 요율 등에 따라 적용하는 등급에 주의하여 산출

19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3
동일구조물공사와 단일공사 수의계약 체결

시설공사 계약방법은 일반입찰에 부쳐 계약을 맺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공사의 규모(금액) 등 수의계약이 필


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수의계약을 허용하고 있고, 고의적인 수의계약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
약상 금지사항으로 동일구조물 공사와 단일공사는 공사분할을 금지하고 있다.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본관옥상 지붕 설치와 실외놀이시설 설치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3년도에 본관옥상 지붕 설치공사를 2건(계약금액 각각6,050천원) 집행 하였고, 2014년에도 유치


원 실외놀이시설 설치관련 공사를 2건(계약금액 10,900천원, 10,720천원) 집행 하였다.

- 집행당시 교육청 지침에 추정가격 1천만 원 이상은 G2B를 이용 다수인이 참여하는 공개견적으로 하도
록 되어 있고, 관련 규정에 고의 수의계약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구조물공사와 단일공사는 공사분
할을 금지하고 있다.

- 그러나 2013년 학교회계에 단일예산으로 편성된 지붕설치공사를 같은 해 4. 24.과 5. 30. 동일 업체


에 2건으로 분할하여 수의계약을 맺었고, 다음 해 2014년도에는 기능의 상호 연결성 및 형태적 일체성
으로 동일구조물공사인 유치원 실외 놀이시설 설치공사를 같은 해 8. 5.과 8. 20. 동일 업체에 2건으
로 분할하여 수의계약 하였다.

- 그 결과 계약업무 처리에 있어 교육청 지침과 관련 규정을 위반하였고, 특정업체에 대한 특혜로 예산


이 낭비된 결과를 가져왔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지침 및 관련규정의 준수와 특정업체와의 계약 의도 근절

19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4
전기공사 분리발주 안함

학교공사는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공사의 종합공사와 전문공사로 대별되고 「전기공사업법」,「정보통


신공사업법」,「소방공사업법」등 개별법에 의한 전기공사, 통신공사, 소방공사로 구분된다. 그리고 해당 업종에
등록한자만이 그 업종의 공사를 할 수가 있으므로 공사를 분리하여 발주하여야 함.

지적내용

□□중학교는 강당수선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10. 21. (유)△△△건설 대표 ○○○와 계약(167,589천원)을 맺고 같은 해 11. 23. 준공을 하였


다.

- 공사는 업종별로 업무내용과 적용 규정이 다르고 시공자 자격이 상이하므로「전기공사업법」등 개별법


에 의한 전기공사, 통신공사, 소방공사는 해당 업종에 등록한자가 시공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와 분리
하여 발주 하여야 한다. 한편,「전기공사업법」제3조 및 제11조 규정에 따르면 전기공사 업에 등록한자
가 아니면 전기공사를 도급 받거나 시공을 할 수 없게 규정되어 있다.

- 그런데도 위 공사를 발주하면서 전기공사(6,204천원)를 분리하여 발주하지 않고 전문공사인 실내건


축공사 업으로 일괄하여 발주하였다.

- 그 결과 무자격자인 전문건설업자가 전기공사를 시공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개별법령에 분리발주가 규정되어 있는 공사는 해당업종에 맞는 공사로 분리하여 발주

19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5
준공신고서 접수 누락 및 검사 지연처리

준공신고서는 공사를 완료한 경우에 제출하는 것으로, 계약담당자는 준공신고서가 제출되면 계약상대자의
입회 및 협력을 받아 계약사항의 이행여부를 확인하는 준공검사를 실시하여야 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돌봄 교실 개선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6. 7. △△ 대표 ○○○와 계약(9,5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6. 25. 공사를 준공 하였다.

- 계약담당자는 계약상대자로부터 준공신고서 등이 제출되면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제18조에 따라 문서로 접수 처리하여 준공검사 실시 근거를 마련하고, 준공검사는 준공신고서를
제출(접수)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하도록 되어있다.

- 그런데도 계약상대자로부터 제출받은 준공신고서를 문서로 접수 처리도 하지 않았고, 준공검사도


특별한 사유 없이 검사기한(준공신고서 제출일 재 산정함)을 4일 초과한 2010. 7. 12. 검사를 실시
하였다.

- 그 결과 계약기간 내 공사 완공여부와 관련하여 공사 지체의 묵인에 의구심이 가도록 준공처리를 잘


못 하였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준공신고서는 공사 완공여부를 확인하고 제출을 받아야함
준공신고서가 제출되면 바로 문서로 접수처리(공사 지체여부 판단 근거)
준공검사 기한이 규정상 14일 이내이지만 가급적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경우에는 접수받은 당일 또는 다음 일에
검사 실시

20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6
공사감독 소홀

계약담당자 및 공사감독관으로 임명되어 공사의 감독과 각종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시공내용이 계약서,


설계서, 그 밖의 관련서류에 따라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이행되도록 조치를 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주차장 포장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9. 28. ㈜△△종합건설 대표 ○○○와 계약(74,407천원)을 맺고 같은 해 11. 26. 공사를 준공


하였다.

- 계약담당자 또는 공사감독관으로 임명된 자는 구「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현 건설기술 진흥법) 제105조


에 규정된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공사가 계약 내용대로 이행되게 하여야 하고, 공사감독 및 각종
검사에 있어 계약이행(공사시공) 내용이 계약에 위반되거나 부당함을 발견한 때에는 필요한 시정조치
를 하여야 한다.

- 한편, 이 공사는 경계석 기초콘크리트는 양면에 거푸집(유로폼)을 설치한 후 타설하게 설계도면에 표


시되어 있다.

- 그런데도 시공(준공)사진을 확인한 결과 한 면에만 거푸집을 설치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계약상대


자 또한 이 사실을 인정하였다.

- 그 결과 거푸집 부족시공에 따른 공사비 ◇◇◇◇천원이 과다하게 지급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각 공정마다 단계별로 시공내용 설계서와 비교하여 확인(특히 매설부위)
부당한 시공은 설계변경(계약금액 조정) 또는 재시공 조치

20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7
건설공사 감독자 업무지침 미준수

계약담당자 및 공사감독관으로 임명되어 공사의 감독과 각종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건설공사 사업관리


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3호, 2015.6.30.) 제120조(근무요령), 지침
제72조(기성·준공검사자 임명 및 검사기간)에 따라 이행 하여야 함.

지적내용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시설공사를 추진하면서

- 공사감독자는『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3호,


2015.6.30.) 제120조(근무요령)에 따라 당일 공사 추진 상황 및 감독 업무 수행 내용을 공사 감독일지
에 기록하여 비치하고, 시공자가 작성한 공사 작업일지를 확인한 후 그 사본을 공사 감독일지에 첨부
하여야 하며, 같은 지침 제72조(기성·준공검사자 임명 및 검사기간)에 따라 발주청은 기성부분검사
원 또는 준공검사원을 접수하였을 때에는 소속 직원 중 2인 이상의 검사자를 임명하여 기성 및 준공
검사를 하여야 한다.

- 기성부분검사원 또는 준공검사원을 접수하였을 때에는 소속 직원 중 2인 이상의 검사자를 임명하


여 기성 및 준공 검사를 하여야 하는데도 공사감독자로서 업무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3호, 2015.6.30.) 제120
조(근무요령), 지침 제72조(기성·준공검사자 임명 및 검사기간)에 따라 이행 하여야 함.

20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8
공사관리, 감독분야 반부패 청렴업무 소홀

계약담당자 및 공사감독관으로 임명되어 공사의 감독과 각종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자는 『경기도교육청 시설


과-6046, 2016.7.1.』 2016년 공사 관리·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 방안, 2016.7.1.이후 공사는 청렴정책
설명회, 청렴 공동 서약서, 하도급 실태 확인서 작성, 청렴서한문, 공사 관련안내문 발송, 청렴교육실시 등을
하여야 한다.

지적내용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시설공사를 추진하면서

- 『경기도교육청 시설과-6046, 2016.7.1.』2016년 공사 관리·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 방안에 따라


공사감독자는 경기도교육청 반부패 청렴의지 확산 및 공사현장의 청렴의식 제고를 위하여 계약금
액 5억이상일 때 반부패 청렴현수막 설치, 공사대금 지급 예고제 안내판 설치, 청렴 현장회의(현장의견
청취)를 하여야 한다.

또한 2016.7.1.이후 공사는 청렴정책 설명회, 청렴 공동 서약서, 하도급 실태 확인서 작성, 청렴서한


문, 공사 관련안내문 발송, 청렴교육실시 등을 하여야 한다.

- ‘공사관리 ·감독분야 반부패 청렴’업무를 소홀히 한 사실이 있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경기도교육청 반부패 청렴의지 확산 및 공사현장의 청렴의식 제고를 위하여 공사 관리·감독분야 반부패 청렴
업무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20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19
준공검사 조서작성 안함

학교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학교에서 집행한 시설공사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로부터 계약의 전부 혹은 일


부의 이행을 끝내면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검사하거나 소속 공무원에게 위임하여 검사하게 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조회대 설치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7. 5. (유)△△ 대표자○○○와 계약(38,043천원)을 맺고 같은 해 8. 27. 공사를 준공 하였다.

- 계약담당자 또는 검사자로 임명된 담당공무원은 계약상대자의 입회 및 협력을 받아 검사를 실시하


고 「지방계약법」제17조제2항(현 제3항)에 따라 검사조서를 작성해야 한다.

- 그리고 위 같은 법 시행령 제65조에 따르면 계약금액 3천만 원 미만의 공사에 대한 준공검사는 검사조
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 그러나 이 공사는 계약금액이 3천만 원 이상으로 준공검사조서 작성 대상인데도 검사조서를 작성하


지 않았다.

- 그 결과 관련 규정을 위반 하였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각종 검사조서 작성대상 확인 철저

20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0
설계변경 미이행 후 준공정산 처리

계약담당공무원은 공사 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설계변경을 해야 하며, 설계변경은 그 설계변경이


필요한 부분의 시공 전에 완료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
74조에 따라 공사계약에서 설계 변경으로 인하여 공사량의 증·감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계약금액을 조정하
도록 되어있다.

지적내용

□□교육지원청에서는 학교시설공사를 추진하면서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13장 공사계약 일반조건에 따라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


나 누락·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을 경우와 공사 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설계변
경을 해야 하며, 설계변경은 그 설계변경이 필요한 부분의 시공 전에 완료해야 한다. 다만, 공정 이행
의 지연으로 품질 저하가 우려되는 등 긴급하게 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설계변경 시기 등을 명확히 정하고, 설계변경을 완료하기 전에 우선시공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4조에 따라 공사계약에서 설계


변경으로 인하여 공사량의 증·감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계약금액을 조정하도록 되어있다.

- 그러나 공사중 현장의 상태가 설계도서와 다른 내용을 알고 있었음에도 시설공사 총 440건 중 123
건의 공사에 대하여 설계변경 절차 없이 준공 정산하여 공사를 완료한 사실이 있다. Ⅷ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학교시설공사를 추진하면서 현장여건 변경 등 공사량의 증·감이 발생하였을 경우 설계변경을 통한 계약금액
을 조정하여 관계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공사를 추진

20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1
사회보험료 사용실적 확인 및 사후정산 안함

「건설산업기본법」제22조 제5항(현행 제7항), 같은 법 시행령 제26조의2 제1항에 따르면 건설공사 도급계약의


당사자는 의무적으로 부담하여야 하는 사회보험료의 비용을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공사기간 1개월 이상 모든 공사에 도급금액 산출내역서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고, 반영된 금액보다 적게 사용한
경우에는 정산을 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00학교증축 전기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7. 20. ㈜△△전력 대표자○○○와 계약(16,367천원)을 맺고 같은 해 11. 27. 공사를 준공 하였


다.

-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제26조의2 제2항 및 제3항과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 집행기준」제1장


제8절의 규정에 따르면 계상된 보험료(국민건강, 국민연금, 노인장기요양)는 사후정산 하는 것으로
입찰공고 등에 명시하여 입찰에 참가하려는 자가 미리 열람할 수 있게 되어있다.

- 그리고 2014. 7. 16. 이 공사 입찰공고문에 공사의 보험료를 사후정산 한다는 내용을 명기 하였다.

- 따라서 준공대가를 지급할 때에는 계약상대자에게 관련공단의 최종 보험료 납입확인서 제출을 요


구하여 사용금액(사업주 부담금)을 확인하고 사용실적에 따라 정산을 하여야 했었다.

- 그러나 2014. 11. 27. 준공검사를 완료하고 2014. 12. 3. 대가를 지급하면서 계약상대자의 보험료
사용실적이 없는데도 정산을 하지 않고 계약금액 전액을 지급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천원이 과다 지급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보험료 납입확인서 제출받아 사업주 부담금만 사용실적으로 인정
산출내역서에 계상된 금액보다 적게 사용한 경우에만 정산(증액불가)

20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2
환경보전비 정산 잘못함

환경보전비는 건설공사 현장의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건설기술 진


흥법」(구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라 모든 건설공사에 비용을 계상하고 같은 법 시행규칙 제53조 제2항에 근거
하여 사용실적에 따라 정산을 하여야 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교사 개선공사 외 1건의 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12. 29. (유)△△장식 대표자○○○와 계약(19,719천원)을 맺고 다음 해 2015. 1. 27. 공사를 준


공 하였다.

- 구「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현행, 건설기술 진흥법) 제53조 제2항에 따르면 건설업자는 계상된 환


경보전비의 사용계획을 발주자에게 제출하고, 발주자 또는 감리원이 사용실적을 확인하여 정산하도
록 되어있다. 그리고 위의 같은 시행규칙 제53조 제2항의 별표16 제1항 다목에서 정한 시설에 한
하여 사용할 수 있게 규정되어 있다.

- 그러므로 계약상대자가 환경보전비 사용내역을 제출하면 공사현장의 환경오염방지 시설의 설치 및 운


영 목적에 맞게 사용되었는지 확인을 하여야 했었다.

- 그런데도 준공대가를 지급하면서 제출된 환경보전비 사용내역에 목적과 다르게 사용된 청소성격의

도구(마대, 빗자루 등)구입과 사용근거가 없는 고압세척기 구입비용을 감액 또는 반환 조치를 하지


않고 전액을 사용실적으로 인정하였다.
시설감사의 이해

- 그 결과 공사비◇◇◇◇천원이 과다 지급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환경보전비 사용내역 검토 철저(목적 외 사용은 실적으로 인정 금지)
산출내역서에 계상된 금액보다 적게 사용한 경우에만 정산(증액불가)

20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정산 잘못함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건설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관련 법령에 규정된 사항의 이행에 소요되는 비
용으로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라 계상 및 정산을 하여야 하고, 공사금액(관급자
재 포함) 4천만 원 이상인 건설공사가 적용대상임.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기숙사 전기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12. 3. △△건설(주) 대표자○○○와 계약(63,493천원)을 맺고 다음 해 2015. 2. 18. 공사를 준


공 하였다.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준공대가를 지급할 때에 계약상대자로부터 사용내역을 제출받아 다른 목적


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금액에 대하여는 감액조정하거나 반환조치 등 사용실적에 따라 정
산을 하여야 한다.

- 또한 정산을 할 때에는 제출된 사용내역서와 사용 근거 자료인 공사 진행사진, 개인별 지급대장, 구입


영수증, 사용사진 등과 상호 비교를 통하여 실지사용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그러나 제출된 안전관리비 사용내역서의 사용항목 중 안정장구 구입비용(공사 진행사진을 확인한 결


과 근로자 착용안함)과 안전시설 설치비용(설치사진 공사시기와 계절이 다름)은 사용하지 않은 금
액이 확실한데도 감액 또는 반환 조치를 하지 않고 전액을 사용실적으로 인정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천원이 과다 지급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근거자료 확인 철저(특히 공사 진행과정에서 실지 사용여부 확인)
산출내역서에 계상된 금액보다 적게 사용한 경우에만 정산(증액불가)

20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4
지연배상금(지체상금) 징수 안함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 안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 이행지체에 대한 손


해배상액의 예정성격의 금액으로 산출된 금액을 현금으로 납부하게 하여야함.(지급될 대가와 상계 가능)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조회대 설치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7. 5. (유)△△ 대표자○○○와 계약(38,043천원)을 맺고 같은 해 8. 27. 공사를 준공 하였다.

- 계약담당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준공기한(계약서상 준공신고서 제출기일)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아니


한 때에는 관련 규정에 따라 지연일수를 산정하여 매 지연일수 마다 계약서에 정한 지연배상금률을
계약금액에 곱하여 산출한 금액(지연배상금)을 현금으로 납부하게 하여야 한다.

- 그러나 이 공사는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2014. 8. 18.(수)]을 경과하


여 2014. 8. 27.(금) 준공신고서가 제출(접수) 되었는데도 지연배상금을 징수하지 않았다.

- 그 결과 공사비◇◇◇◇천원이 과다 지급되었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계약상대의 책임에 의한 사유로 공사가 지체되면 지연배상금 징수

20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5
공사지체일 수 산정을 잘못함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 안에 공사를 완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체일수를 산정


하여 산출된 금액(지연배상금)을 현금으로 납부하게 하여야함.(지급될 대가와 상계 가능)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강당화장실 수선 및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10. 8. (유)△△건설 대표자○○○와 계약(66,696천원)을 맺고 같은 해 12. 09. 공사를 준공 하였


다.

- 계약담당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준공기한(계약서에서 정한 준공신고서 제출기한)내에 공사를 완성하


지 아니한 때에 산출하는 지체일은 준공기한 다음날부터 준공검사를 완료한날까지를 지체일수로 산
정하여야 한다.

- 한편, 이 공사는 계약상대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서에 정한 준공기한2014. 12. 5.(금)을 경과


2014. 12. 6(토) 공사를 완료하고 2012. 12. 8.(월) 준공신고서가 제출(접수) 되었으며, 2012. 12.
9.(화) 준공검사를 완료 하였다.

- 그런데도 공사를 완료한날까지만 공사지체일수로 산정 하였다.

- 그 결과 공사비◇◇◇천원이 과다 지급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지체일수 산정 주의(준공검사를 완료한날, 최종검사에 합격한날 등)

21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6
하자담보책임기간 최초 시작일 설정을 잘못함

하자관리는 시설물의 내구연한 연장과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사의 성질상 하자보수
가 필요한 경우 그 담보책임을 강제할 수 있도록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설정 하여야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기계과 실습실 환경개선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9. 26. (유)△△건설 대표자○○○와 계약(45,906천원)을 맺고 같은 해 11. 3. 공사를 준공 하


였다.

- 하자담보책임기간은 「지방계약법 시행령」제69조 제1항에 따르면 전체목적물을 인수한 날과 준공검


사를 완료한 날 중에서 먼저 도래한 날을 최초 시작일로 하여 계약서에 정한 기간으로 설정 하여야
한다.

- 그런데도 이 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하면서 최초 시작 일을 준공검사를 완료한 날(11.9.)이 아


닌 공사를 준공한 날로 설정 하였다.

- 그 결과 하자보수책임기간이 6일 부족하게 설정 되었다. Ⅷ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누락 주의(계약서작성 생략의 경우에도 공사승낙사항에 설정)
하자책임기간 최초 시작일 설정 주의(준공검사를 완료한 날부터 시작)
조경공사 하자담보책임기간 설정 주의
계약서에 설정 누락 없도록, 하자보수보증금 면제대상 아님

21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7
하자검사 실시 안함

하자검사는 하자담보책임기간 내에 발생된 하자부분을 계약상의 하자보수의무자인 계약상대자에게 보수를 이


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하자보수 관리부는 하자담보책임기간 내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것으
로 적정하게 기록하고 관리를 하여야함.

지적내용

□□초등학교는 학교 시설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건의 공사를 집행하였고, 이중◆◆건의 공사에 대하여 하자담보책임기간


을 계약서에 정하였다.

- 계약담당자는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설정된 공사는 그 담보기간 내에는 매년 2회 이상 정기하


자 검사와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존속기간 만료일로부터 14일 이내에 따로 최종검사를 실시하여야 한
다. 그리고 검사 사항을 하자보수 관리부에 기록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 그런데도 하자검사 실적이 전무하고 하자보수 관리부도 작성하지 않았다.

- 그 결과 하자발생에 대하여 하자보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존속여부도 파


악하지 못하는 등 하자관리가 소홀하게 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정기하자검사 2회실시(3월, 11월), 최종검사(만료14일 이내에 실시)

21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8
조경공사 하자보수보증금 징수 안함

하자보수보증금은 계약서에 하자담보책임기간을 정한 경우에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그 계약의 하자보수를 보


증하기 위하여 납부하게 하는 것으로 계약금액 3천만 원이 초과하지 않은 공사 등은 하자보수보증금의 납부
면제가 가능하지만 조경공사는 면제 대상에서 제외 됨.

지적내용

□□중학교는 조경 수목 납품 및 식재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4. 4. 18. (유)△△정원 대표자○○○와 계약(15,000천원)을 맺고 같은 해 4. 20. 공사를 준공 하였


다.

- 「지방계약법 시행규칙」제70조 제2항에 따르면 계약금액이 3천만 원을 초과하지 아니한 공사 등


은 하자보수보증금을 납부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조경공사는 공사금액에 관계없
이 준공검사 완료일로부터 하자보수보증기간을 2년으로 설정하여 계약금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
는 금액을 하자보수보증금으로 준공대가 지급전까지 납부 받도록 되어있다.

- 그런데도 하자보수보증기간(2년)을 설정하고서도 하자보수보증금을 계약상대자로부터 납부 받지 않았


다.

- 그 결과 하자발생시 하자보수 이행을 보증할 수가 없게 되었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조경공사는 하자보수보증금 납부면제(지급각서) 대상이 아님에 주의

21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9
학교시설 행정절차 이행 안함

학교시설의 행정절차는 대지와 구조, 설비기준 및 용도 등을 정하여 학교시설의 안전과 기능, 환경 및 미관을
향상시켜 학교교육환경개선과 교육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학교 내에서 축조하고자 하는 모든 시설물
의 경우에는 감독청의 승인 및 신고를 받아야함.

지적내용

□□고등학교는 천문관측 대 설치공사를 추진하면서

- 2011. 2. 24. △△건설(주) 대표자○○○와 계약(25,965천원)을 맺고 같은 해 3. 15. 공사를 준공 하였


다.

- 학교 내에서 건축 등의 행위를 할 때에는 사업시행 전에 「학교시설사업 촉진법」제5조의2와 같은 법


시행령 제8조의 규정에 따라 감독청의 승인을 받아야하고 사업을 완료한 때에는 감독청에 완료에 관
한 신고를 하여 준공검사 또는 사용승인을 받도록 되어있다.

- 그리고 감독청의 완료필증(준공검사, 사용승인 등)이 교부되면 지체 없이 해당 시장ㆍ군수에게 건축


물대장 생성신청을 하는 등 행정절차를 이행한 후에 시설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 그런데도 감독청의 건축승인과 완공 후 완료신고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

- 그 결과 무허가 상태로 이 건물을 사용하게 되었다.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학교 내 모든 건축행위는 사전 감독청의 승인 및 신고를 받아야함

21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30
학교시설 안전관리 소홀

학교시설물 관리책임자는 모든 학교시설물이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상 점검하여 손상된 부분은 보


수ㆍ보강하여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고, 학생ㆍ교직원ㆍ교육활동참여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지
속적으로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을 위하여 관리하고 노력 하여야 함.

지적내용

□□중학교는 학교시설물 유지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면서

- 「학교안전사고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제5조 및 제6조에 따라 연2회 이상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


다.

- 「건축법」제35조, 같은 법 시행령 제23조, 「시설물유지관리지침」과 「학교안전사고예방 및 보상에 관


한 법률」제5조와 제6조 등의 규정에 따라 모든 시설물이 항상 제 기능을 유지하게 관리하고, 학교시
설물이 교수·학습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시설여건 조성을 학교시설물 관리책임자의
책무로 하고 있다.

- 그러므로 「학교안전사고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제10조 제1항의 별표1 “학교시설안전기준”에 따


라 2층부터는 학생들의 안전을 위하여 외부창호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 그러나 지상5층인 본관동 건물은 2층부터 안전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고 있었다.

- 그 결과 휴식시간 및 점심시간에 학생들이 위험에 노출되어 안전사고가 우려 되었다.


시설감사의 이해

업무처리시 고려 사항
모든 학교시설물은 위 안전관리 기준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강되어야함.

21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Ⅸ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제1장 학교건축의 연혁

1.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Steps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1 2 3 4 5
해방이전의 양적 팽창의 새로운 모습의 학교 학교건축의 질적 다양한 교육환경
학교 시기 건축 출현시기 성장시기 모색의 시기

2. 해방이후의 회복기
STEP_ 1 해방이후 회복기(해방이후~1961)
해방이후~1961 1. 특징
- 획일적인 학교건축의 모습이 많이 나타남
STEP_ 2 - 일반적으로 대지으 남측부에 운동장을 배치하고 교사동을 북쪽으로 배치
1962~1990 하여 각교실이 남향 재치가 되독록 함
-건물의 형태는 일자혀이며, 편복도형으로 폭 10m내외를 유지
STEP_ 3

1991~1997 경복고 강당(1955) 무학여중(1958)

STEP_ 4

1998~2005

STEP_ 5

2006~현재

21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1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3. 표준설계도를 이용한 양적 확보시기


STEP_ 1 표준설계도를 이용한 양적 확보시기(1962~1990)
해방이후~1961 1. 특징
- 과밀학급 해소, 과대학교의 방지에 목표
STEP_ 2 - 편복도(한쪽에 복도, 한쪽에 교실)구성, 색채 : 60년대-황토색 페인트, 70
1962~1990 년대-회색
- 80년대는 지역, 주변환경에 관계없이 동일한 표준설계도에 의해 부족한 교
STEP_ 3 실만을 증축

1991~1997 성내중(1980) 해당초(1961~1980)

STEP_ 4

1998~2005

STEP_ 5

2006~현재

218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19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4. 새로운 모습의 학교출현


STEP_ 1 새로운 모습의 학교출현(1991~1997)
해방이후~1961 1. 특징
- [초등학교 건축의 현대화 시설 모형 연구]에 의거 표준설계도에 의한 획일
STEP_ 2 적 형태의 학교에서 탈피하기 시작
1962~1990 - 1992년 표준설계도 폐지, 1997년 제7차 교육과정 고시
- 연구결과에 희한 시범학교
STEP_ 3
금호초(1997)
1991~1997 불암초(1993~1998)
최초의 복합화 학교시도

STEP_ 4

1998~2005

STEP_ 5

2006~현재

220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5. 학교건축의 질적 성장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STEP_ 1 학교건축의 질적 성장(1998~2005)
해방이후~1961 1. 특징
- 2000년부터 7차 교육과정 실시에 따른 교육공간의 변화 고려
STEP_ 2 - 친환경, 에너지절약형 학교건축 시도, 안전·내진 등 연구, 학교설계·시공·유
1962~1990 지관리 BTL 민자사업 등장
- 학교의 현황과 학교급, 학교규모 등 학교의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배치형태
STEP_ 3 의 학교가 등장함

1991~1997
효문고(친환경) 상암고(에너지 절약)

STEP_ 4

1998~2005

STEP_ 5

2006~현재

221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22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6. 다양한 교육환경 모색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STEP_ 1 다양한 교육환경 모색(2006~현재)
해방이후~1961 1. 특징
- 기존학교에 대한 내진보강사업 추진
STEP_ 2 - 친환경학교 인증사례가 급중하여 지속가능한 성장과 학생교육, 지역사회에의
1962~1990 홍보 등에 기여
- 학교시설의 리모델링, 시설안전, 바람직한 계획설계방향 등에 대한 지속적인
STEP_ 3 연구 추진

1991~1997
2006~현재 일반학교 배치

STEP_ 4

1998~2005

STEP_ 5

2006~현재

223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24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25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7. 우수학교 현황

226
준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문보고서의 목적 감사지적 사례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학교시설의 발달과정

227
개요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228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포장개선사업]

제1장 사업신청
제2장 설계용역
제3장 공사발주
제4장 공사추진(공사감독)
제5장 공사준공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Ⅹ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포장개선사업]
제1장 사업신청

1. 개요
사업신청
공문

교육청 제출 사업 예산신청

사업신청서

현황사진
사업범위 도면

2. 관련법규(규정)
『예산편성 기본지침』대상사업 선정, 시설단가 적용 관련
『공동주택관리법 』건물수선주기 관련
『지방계약법 시행규칙 제69조』 하자담보책임기간 관련

3. 포장개선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사업계획 관리
- 포장공사는 종합계획(시급성)에 따라 전체 또는 부분 사업계획으로 추진
- 학교시설물이력관리부, 교육환경개선사업 우선순위부 등 확인
- 사업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준공 후 다른 목적 사용 방지)
※ 사업신청 전 장기계획, 타예산 중복여부 등 교육지원청에 사전 확인

수선주기 검토
- 장기수선계획의 수립기준에 따른 수선주기 검토
※ 공동주택관리법 시행규칙 제7조제1항 및 제9조 별표1

공사종별 수선방법 수선주기(년) 수선율(%) 비고


부분수리 10 50
아스팔트포장
전면수리 15 100
부분수리 5 10
보도블록
전면교체 15 100

- 현장 여건과 상태에 따라 수선주기 조정

Tip 용어설명
수선주기 : 건물을 구성하는 요소별 내구연한에 따라 부위별 수선 또는 교체할 시기
한글파일 연동
1. 사업신청서 공문서(안) 샘플 내구연한(사용수명) : 원래(시공당시)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기간
하자담보책임기간 : 공사 완성일로부터 시작하여 시공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시공
자가 보수의 책임을 부담하는 기간

23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 하자보수 관리부(대장)에 따라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 여부 확인
-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기간 내에 예산투자 금지(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책임의무 이행-계약사항 임)

4. 공문서 작성(예시)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기본 현황 작성(시설현황, BTL여부 등 포함)
해당 사업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상세히 서술
- 노후 시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학부모 민원 접수 등의 현안문제 내용 포함
신청액 및 산출기초
- 특별교부금 및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활용(시설과 자료실 탑재)
- 기준단가 없는 사업일 경우 동일조건의 비교견적(2인 이상)후 최저가 적용
최근 5년간 같은 사업 또는 유사사업 집행실적 작성
- 예산 중복투자 방지 등
현황사진
- 노후 시설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전경사진, 확대사진) 다수 첨부
현황도면
- 학교 실별 배치도(단선도면) 혹은 준공도면을 활용
- 사업범위 및 물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해당 도면에 표기

Tip
현황사진 현황도면

용어설명

준공도면 : 공사 완료된(설계변경 등 내용 포함) 시설물의 형태, 구조를 나타낸 도면

231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참고 2017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단가
CODE 단위사업 사업내용 단위 비고(단가 산정기준)
(천원)
★ ㎡당 93천원, 실당 66㎡ 기준
S3#06 석면교체 석면텍스교체 실 6,072 - 천장부착물(전기, 통신, 소방) 임시철거 및
재설치 비용 포함
★ ㎡당 104천원, 실당 102㎡ 기준
옥상A(노출형복합방수) 실 10,608 - 옥상B + 실외기(전기선로) 이설 및 재설치
+ 가스충전 포함
- 실당 102㎡ 기준
옥상B(노출형복합방수) 실 8,997
03#01 방수 - 옥상C + 난간벽 및 두겁 포함
- 실당 102㎡ 기준
옥상C(노출형복합방수) 실 6,427
- 철거 및 바탕정리 포함, 치켜올림(H=0.3)
- 실당 외벽면적 50㎡ 기준
외벽 (침투성도막방수) 실 2,000
- 바탕정리, 고소작업대 포함
도시가스 개별냉,난방 실 6,562
전기천장형(싱글형) 실 5,130 - 전기 800천원, 석면 포함
전기천장형(멀티형) 실 7,958
03#02 냉난방개선 가스(GHP)천장형(멀티형) 실 8,500 - 가스 1,000천원, 전기 800천원, 석면 포함
중앙냉난방개선 식 실소요액
대공간 냉난방개선
㎡ 166 - 옥외 전기 간설비 제외
(제트공조+공기순환휀)
03#03 화장실 개선 전면 개보수 ㎡ 1,638
03#04 이중창설치 이중창설치 실 15,037 - 3.6m*2.1m*4개소(복도포함)
- 친환경수성P
03#05 건물내부도장 내부도색 실 985
- 내부비품 이전 및 재배치 비용 별도
03#06 건물외부도장 외부도색 실 613 - 수성P2회
03#08 LED조명-교사동 LED조명기구-교실 실 4,754
03#09 LED조명-체육관 자동승강용 개소 2,500
#09-1 LED조명-보안등 LED조명-보안등 개 1,200
★ ㎡당 128천원, 실당 66㎡ 기준
교실(목재후로링) 실 8,448
- 내부비품 이전 및 재배치 비용 별도
03#10 교실바닥교체
- 1실(66㎡ 기준)
교실(비닐타일) 실 3,319
- 내부비품 이전 및 재배치 비용 미포함
- 1실(앞뒤 2개소)
03#12 교실출입문교체 목재창,문,틀 교체 실 7,650
- 조적 칸막이 철거 후 재설치
03#13 외벽교체 외벽교체 실 9,993
03#15 급배수관교체 m 254 - 옥외 포장철거후 복구 포함
승압(500~600KVA) 식 130,000 - 저압에서 고압으로 전환(전기실 신설)
03#16 전기용량증설
증설(300~400KVA) 식 100,000 - 기존 고압에서 용량증설(변압기 교체)
03#17 노후전기 보수 식 실소요액
소형고압블럭(U형, T=80mm),
㎡ 46
경계석 蕪
03#18 포장 소형고압블럭(U형, T=80mm) ㎡ 53
콘크리트(T=200mm기준) ㎡ 59 - 시도교육청 기준단가 평균 적용
점토바닥블럭(차도용, T=75mm기준) ㎡ 94 - 시도교육청 기준단가 평균 적용
U형 m 211
03#19 배수로설치
플륨관 m 47
03#22 급수배관 교체 실내 SST관 Φ50mm m 145 - 보온, 천정재 철거후재설치 포함

Tip
포장공사 사업예산 산출 주의사항
1) 우수시설 검토 반영
2) 기존 포장 철거비용과 폐기물처리비용 반영

23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2장 설계용역

1. 개요

설계용역이란?
건축, 토목, 전기, 기계 공사 목적에 따라 실제적인 계획을 세워 도면 등으로 명시하는 일


2. 관련법규(설계용역·설계서·예정가격)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 법령은 수시로 변경되므로 적용시점에 반드시 최신 법령을 확인하여아 함[이하 동일]
건축사법[국토교통부고시 제2015-911호, 제2015-762호]
- 제19조의 3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 제20조 (설계·건설사업관리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 업무요령)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4-166호]

업무내용 수선방법 비고

▶ 예산편성 기본지침 ▶ 설계비 단가, 등급 적용


▶ 건축법 제23조 ▶ 설계용역(건축사 작성)
설계용역 ▶ 건축사법 제4조 ▶ 설계용역(설계자 자격)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5-911호 ▶ 건축사 업무범위, 대가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14장 ▶ 설계용역계약

▶ 지방계약법시행령 제15조제1항 ▶ 입찰에 관한 서류(설계도면 등 작성)


설계서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 계약문서
작성
제13장제2절 “2-나-4”

▶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 제2장제5절 ▶ 공사원가계산


▶ 일위대가표, 자재단가표 ▶ 공사원가 및 견적가격 검토
▶ 교육청 공사원가제비율표 - 재료비, 노무비, 경비
(시설과 자료실) - 자재단가 비교ㆍ검토
▶ 대한건설협회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보고서 ▶ 공사원가 제비율 검토

(연2회 발표)
예정가격 결정 ▶ (고용노동부) 4대 사회보험 민원서류 접수 등에 ▶ 시중노임단가 검토
관한 고시
▶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 ▶ 사회보험료 적용 기준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8호

▶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제61조, 별표8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 계상 및 사용기준
▶ 환경보전비 계상 및 산출기준

23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3. 설계용역 업무수행 범위
1) 설계서는 시방서, 도면, 내역서 및 현장설명서 등을 포함하며 수량산출서도 첨부시켜야 함.
2) 설계도는 토목, 건축, 기계, 전기, 소방, 정보통신 등 상호 관련된 내용으로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함.
3) 설계도 작성시 건축법, 소방법, 하수도법 등 관계법규에 저촉되는 일이 없도록 함.
4) 설계도면 작성시 시공에 지장이 없도록 각 부분의 세부 상세도를 첨부.

4. 대가산정 기준
1) 대가산출의 원칙 : 엔지니어링대가의 기준 공사비요율(건설부문요율)적용
2) 업무단계반영비율

구분 기본 실시 비고
토목 0% 100%

3) 대가의 조정 : 공사비 요율 대비 설계업무범위 조정이 필요한 경우


- 엔지니어링대가의 기준 실비정액가산방식 저용

4) 현황측량 : 엔지니어링대가의 기준 실비정액가산방식 적용


- 건설표준품셈 [“측량” 지형현황측량]부분 적정인원 적용

5. 설계용역 검토사항
1) 포장은 환경친화적(투수성 고려), 내구성을 비교 검토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공법을 적용.
2) 투수콘크리트포장, 점토블록포장, 소형고압블록포장, 칼라콘크리트포장, 아스콘포장 등 주 이용자와 공간적 특
성에 적합한 공법 선택.
3) 주차공간, 차량 출입구, 비상동선 등의 차량통행구간은 차량하중을 감안한 공법으로 계획.
4) 경계석은 화강석(보차도경계석 180X200, 도로경계석 150X150)을 사용하고 직각 및 예각으로 만나는 경계석
은 곡선경계석으로 계획.
5) 보행공간과 주차공간 및 차량이 통행하는 공간을 분리하여 계획하며, 보행공간에는 장애인 편의시설(점자블록
등)을 계획.
6) 원활한 우수처리를 위해 포장면의 우수가 모이기 쉬운 곳과 건물 홈통하단에 빗물받이, 배수로 등 우수시설을
계획.
7) 빗물받이 배수로 등 우수시설의 본체재질은 고강도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로 하고, 뚜껑재질은 칼라주물뚜껑,
스틸그레이팅 등 학교실정에 맞는 자재를 선정하여 계획.

Tip
건설부분요율

23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3장 공사발주

1. 개요

“ 공사 발주 ”

1 2 3 4 5


공사 시행공문 공사 집행계획서 설계도면 설계내역서 공사시방서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2. 관련법규(규정)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77조』공사의 분할계약 금지 관련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동일구조물공사 및 단일공사 관련
『건설산업기본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8조』시공가격 및 경미한공사 관련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5조, 폐기물관리법』분리발주 관련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7.7.9.)호]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공사 분리발주 여부 확인
- 동일구조물공사, 단일공사를 수의계약 또는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기위한 목적으로 시기적으로 분할하거나 공사
량을 구조별ㆍ공종별로 분할하여 계약할 수 없음(분할계약 금지 규정)
- 동일구조물공사 : 기능의 상호연결성 및 형태적 일체성을 기준으로 판단
ㆍ기능이 상호 연계되고 일체식인 구조물
ㆍ동일인이 계속 시공함이 적정한 시설물(하자책임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포함)
- 단일공사 : 예산편성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
ㆍ관련 법령에 따라 분리 발주하는 경우에는 공사 각각을 단일공사로 봄
금액기준별 제한 기준(건설산업기본법)

계약상 제한 기준 비고
ㆍ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 1천5백만 원 초과
등록업체와 계약
ㆍ종합공사 : 공사예정금액 5천만 원 초과

- 건설공사 기준금액 초과 공사는 무면허업체와 계약금지


(공사업종에 맞는 자격자를 계약상대자로 선정)

용어설명

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이 3억원 미만으로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된 공사의 금액이 전체금액의 1/2이상인 공사

23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사업시행시기 점검
- 학사일정과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학기 중 공사 진행 또는 방학기간 중 진행 검토
- 공사 관련 인허가 행정사항은 공사 개시 이전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검토.
- 기존 시설 철거로 인해 소음과 통학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을 계획하고, 사전에 학생 및 학부모에게 관
계사업 일정 등을 안내

참고1 공사 구분 및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공사구분별 면허 및 관련법

구분 종류 및 관련법
종합공사 토목, 건축, 토목건축, 조경, 산업환경설비

실내건축공사, 미장ㆍ방수ㆍ조적공사, 도장공사, 포장공사, 금속구조물ㆍ창호공사, 지


건설
전문공사 붕ㆍ판금건축물조립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 조경식재공사, 석공사, 시설물유지관리
공사
등 29개

건설업의 업종별 업무내용(건설산업기본법시행령 제7조)

전기공사 전기공사업법
소액이더라도 다른 공사와
정보통신공사 정보통신공사업법
분리 발주
소방시설공사 소방시설공사업법

물품제조ㆍ구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① 기술용역 : 건축설계ㆍ감리업(건축사법), 감리전문업(건설기술진흥법)


용역
② 일반용역 : 학술연구, 청소, 시설관리, 소프트웨어개발, 숙박, 전세버스, 항공위탁 등

주요 학교시설공사 관련 면허

업종 면허종별 공사내용 비고
시설물유지관리업 급식실보수, 화장실보수 등 전문건설업종 2종이상 필요한 공사
실내건축공사업 실내인테리어, 목창호, 후로링, 비닐타일, 천정공사 등
미장ㆍ방수ㆍ조적공사업 창호코킹보수, 타일보수, 방수공사 등
금속구조물ㆍ창호공사업 창호(금속,PVC), 금속난간, 자동문, 커튼월설치 등
도장공사업 도장공사
석공사업 석재보수, 석재포장 등
포장공사업 일반포장공사
전문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파고라, 조경석, 놀이기구, 인조잔디설치 공사 등
기계설비공사업 배관보수, 위생기구교체공사 등
(일반)소방시설공사업 1만㎡미만의 모든 (기계,전기)소방공사
가스시설공사업(1종) 도시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관련 공사
난방시공업(제1종) 보일러, 온돌설치공사(2천만원이하) 등
전기공사업 전기승압, 전기배선, 냉난방전기공사 등
정보통신공사업 통신망 교체공사 등

23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참고2 학교시설공사 면허 선택 Tip


공사구분별 면허 및 관련법(예시1) 공사명 : ○○초 포장 보수공사
<공종별집계표> (=총괄내역서)
품명 재료비 노무비 경비 합계
00초 포장 보수공사 4,033,578 6,489,108 1,261,724 11,784,410①
철거공사 793,460 1,980,500 408,940 3,182,900
소형고압블록포장 2,755,652 4,123,408 846,440 7,725,500②
보차도경계석설치 16,250 63,900 6,210 86,360


배수로 설치 468,216 321,300 134 789,650

- 공사명에서 1차로 면허 추정됨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 직접공사비 : 11,784,410원(=순공사비,①)
- 소형고압블록포장: 7,725,500원(②) ☞ 직접공사비의 1/2 초과
- 공사면허 : 『포장공사업 면허』선택
※ 최종면허 선택은 공사내역의 주된 공종 여부, 공사의 실질적인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후 이루어져야함
(선택이 어려울 시, 교육지원청 담당자(계약, 시설) 협의 후 선택)
계약방법 결정
수의계약 입찰
구분
1인 견적제출 2인이상 견적제출 제한입찰(지역) 일반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2억원 초과
종합 2천만원 이하 100억 이상
가격 ~ 2억원 이하 ~ 100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내역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1억원 초과
전문 2천만원 이하 7억 이상
가격 ~ 1억원 이하 ~ 7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전기 추정 2천만원 초과 8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5억 이상
통신 가격 ~ 8천만원 이하 ~ 5억 미만
소방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공사
추정 2천만원 초과
물품 2천만원 이하 3.3억 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제조
낙찰하한율 87.745% 구매:최저가, 제조:적격심사 적격심사
구매 방법 단일견적
* 2천만원 이하 90% (2.1억 미만) (2.1억 이상)
5천만원 초과~ 3.3억 미만
추정 2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건설기술용역 2.1억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용역 안전진단용역 1.5억미만)
낙찰하한율 87.745%
방법 단일견적 적격심사
* 2천만원 이하 90%

-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2.7.9.)호]


- 상기 규정에도 불구하고 교육지원청별 지침 준용(지역별로 상이함)

용어설명

추정가격 : 국제입찰 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위하여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부가가치세, 관급금액 제외)
추정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관급금액
기초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 (입찰,예정가격의 기초)
예정가격 : 입찰 또는 계약 체결 전에 낙찰자 및 계약 금액의 결정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미리 작성, 비치하여 두는 가액

23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품의하기
조회방법 : 에듀파인 > 지출관리 > 지출처리 > 품의작성
작업순서 : ① 지출관리 → ② 품의작성 → ③ 입력 → ④ 예산선택 → ⑤ 산출내역 선택 → ⑥ 확인 → ⑦ 행추가
→ ⑧ 저장 → ⑨ 결재요청 / 승인

5. 공문서 작성(예시)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238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공사집행계획서(예시)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작성방법
- 공사명 : 주요 공사내용을 공사명에서 추정할 수 있도록 선정
- 사업량(물량) : 기준단가표에 나온 사업내용별 단위 사용(예:포장→㎡)
- 공사기간 : 학사일정, 방학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정기간 산정

※ 소규모 공사의 표준 공사기간(공기) 산정 방법은 따로 없으나,


ㆍ공기 짧을 경우 : 부실공사 우려, 무리한 공사추진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
ㆍ공기 길 경우: 현장관리 부실, 방학기간 초과에 따른 학생 안전사고 위험 및 민원 발생
⇒ 1) 소규모포장공사 등은 보통 한달 미만(29일 정도) 산정
(∵ 방학기간 고려, 30일 미만 시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 계상)
2) 복합공사, 특이공사의 경우 교육지원청 시설담당에게 문의 필요

- 설계금액 : 설계용역 완료 후 최종 계상된 금액(공급가액+부가가치세)


- 추정 계약금액
⇒ 공사 : 설계금액의 88%(낙찰율 고려)
⇒ 건설폐기물처리용역 : 설계금액의 90%(낙찰율 고려)
(추정금액의 합계가 예산범위내 들어와야 함)
- 조달수수료 : 시설공사 5천만원~2억미만, 20,000원
※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누락되는 품목(설계비, 관급자재비, 각종인입비 등) 없도록 작성하며, 전체 예산액 대비
부족액 없는지 최종 확인 필요[예산카운트]
Tip
공사발주 서류 조달수수료
1. (발주)공문 구분 금액기준 수수료(원)
2. 공사집행계획서 2천미만 10,000
물품구매
2천 ~ 5천미만 20,000
3. 설계도서 일반용역
5천이상 30,000
5천미만 10,000
시설공사
5천 ~ 2억미만 20,000
기술용역
2억이상 30,000

239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7. 설계도서
설계도면 (예시)

① ②
③ ④

- 포장공사 설계도면 구성
① 현황도 : 사업구간 현황 표기
② 철거계획평면도 : 사업구간의 기존물 철거 표기
③ 포장계획명면도 : 사업구간의 위치, 물량 등 표기
④ 포장상세도 : 포장구조물에 대한 세부 상세
- 일반적 도면 구성
ㆍ 현황도, 철거계획평면도, 구조물계획평면도 우수계획평면도, 오수계획평면도, 포장계획평면도, 각종 상세도, 등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24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내역서[원가계산서] (예시)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 공사시행 전 각종 요율 재확인
ㆍ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보험료 : 1개월 미만 공사는 제외
ㆍ퇴직공제부금비 : 3억 미만 공사는 제외
ㆍ건설기계대여대금지급보증서발급수수료(전문건설업종별 수수료 확인)
예) 포장, 시설물유지관리, 상하수도설비공사 : 0.49%
공사시방서(예시)
-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고시) 준용
- 시방서 주요내용 : 공사개요, 일반사항(총괄), 공종별 내용 등
- 공사내용에 따라 특기시방서 필요
ㆍ표준시방서 : 중앙정부에서 기존 시방서, 각종 시공서적, 시공사례, 연구성과 등을 포함하여 만든 공통된 일반 시방서
(특기시방서의 근거가 됨)
ㆍ특기시방서 : 특정 공사, 업체, 재료 등의 품질유지를 위하여 적용된 시방서
(표준시방서에 우선함)

※ 설계도서 적용의 우선순위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자지시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공사(특기)시방서 > 설계도면 > 일반ㆍ표준시방서 > 산출내역서 > 승인된 상세 시공도면 > 관계법령의 유권해석
> 감리자의 지시사항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 갑지+을지+일위대가+ 단가대비표+수량산출서 등 다. 시방서

용어설명

시방서 : 시공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적인 사항을 설명한 문서로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재료의 품질, 작업순서, 마무리 정도 등 도면상 기재가 곤란한 기술적
사항을 표시해 놓은 문서

241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4장 공사추진(공사감독)

1. 착공서류 확인

착공서류

계약보증보험증권 (법인)인감증명서 사용인감계 법인등기부등본


계약서
사업자등록증 공사면허증,면허수첩 수의계약각서 청렴계약이행서약서

착공신고서 계약내역서 공사예정공정표 현장대리인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안전관리계획서 품질관리계획서 환경관리계획서
착공계 사용계획서
공정별 인력 및 산재ㆍ고용보험가입
착공전 사진 직접시공계획서
장비투입계획서 신고서

- 계약보증보험증권 : 원본, G2B로 전자 송부한 경우 제출 생략


- 사업자등록증, 공사면허증, 면허수첩 : 사본, 사용인감 날인
- 수의계약각서, 청렴계약이행서약서 : 전자계약서 첨부파일 송신으로 갈음
- 현장대리인계: 재직증명서, 기술자수첩(사본) 첨부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사용계획서 : 4천만원 이상 공사
- 품질관리계획서 : 연면적 660㎡이상인 건축공사, 총공사비 2억원이상 전문공사, 총공사비 5억원이상 토목공사
- 직접시공계획서 : 50억원 미만 공사
(단, 1건 공사의 도급금액이 4천만원 미만, 공사기간 30일 이내일 경우 생략 가능)
ㆍ직접시공비율 : 3억원 미만의 경우 100분의 50(그외는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참조)
- 산재ㆍ고영보험가입신고서 : 착공 후 14일 이내 제출
※ 청렴 서류[공사 관리ㆍ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방안, 시설과-6046(2016.7.1.)호]
- 청렴이행공동서약서 및 청념이행 실천 행동수칙, 청렴서한문, 하도급실태확인서, 공사업무 절차 및 구비서류 안내문

※ 체크사항
1. 모든 계약사항은 문서로 보완되어야 효력이 발생하며, 계약문서는 공문서로 공문서의 접수ㆍ처리 규정에
맞게 처리해야함
2. 계약문서 상 계약사항(계약일자, 준공(예정)일자 등) 누락 주의
3. 계약내역서는 (갑지)사용인감 날인, (을지)간인 필히 받음

Tip

한글파일 연동 ㆍ청렴관련 서류 일체

용어설명

갑지 : 설계내역서의 첫번째 장, 공사원가계산서


을지 : 공종별 세부내역서

24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2. 공사감독
품질관리
- 시공자(감리자)로부터 검측 결과를 제출 받고, 그 내용을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다음 공정을 착
수하게 함
- 시공 후 매몰되거나 사후 검사가 곤란한 구조물은 현장에 입회하여 지도 감독하고, 증빙할 수 있는 기록(사진, 동
영상 등)을 남김
- (일반사항, 자재관리, 공종별)검측체크리스트의 검사항목 확인 및 검사
공정관리
- 착공시 제출한 공정표를 확인하고 계획대로 진행되는지 파악함


- 계획보다 지연 시 시공자로부터 원인과 대책을 제출 받아 검토 및 지시함
안전관리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 규정에 의거 안전관리 철저
- 착공시 제출한 안전관리계획서 준수 여부
- 위험물 저장소, 화기 취급 장소 등의 보안 설비
- 반입자재의 정리 상태
- 가설용 장비의 보전 상태
- 낙하방지, 안전망 등의 안전 여부 및 보전 상태
환경관리
- 공사로 인한 대기 및 수질 오염, 악취, 분진, 소음 또는 진동 등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도 철저
자재관리
- 공사현장에 반입된 검수자재 또는 시험 합격재료는 공사현장 밖으로 반출하지 못하도록 함
- 관급자재에 대하여는 시공자로 하여금 적정하게 보관 및 사용하게 하고, 그 내용을 관급자재 수불부에 기록하도록 함
- 주요자재별 KS인증, 친환경(환경표지인증,HB마크) 여부, 시험성적서 등을 포함한 자재 공급원 승인서 제출받음
ㆍ각종 인증서의 인증(유효)기간 확인

3. 불법하도급 여부 확인
불법하도급 유형
- 일괄하도급
ㆍ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전부 또는 주요공사의 대부분을 다른 건설업자에게 하도급
- 동일업종간 하도급
ㆍ수급인은 도급받은 건설공사의 일부를 동일한 업종의 건설업자에게 하도급
[발주자→수급인(토공) →하수급인(토공)]
- 재하도급 제한
ㆍ하수급인은 하도급 받은 건설공사의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 다시 하도급
[발주자→수급인(종합)→하수급인(토공) →재하수급인(철콘)]
불법하도급 의심 사례
- 착공계의 현장대리인과 동일 인물이 현장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 공사 내용 및 공사 금액에 대하여 계속되는 시비가 있는 경우
- 공사 추진이 부진하며 부실하게 하는 경우
- 일용근로자 임금체불, 식당 대금 지급이 지연되는 경우

24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불법하도급 대응 방안
- 하도급 실태 확인서 접수
[공사 관리ㆍ감독분야 반부패 청렴개선방안, 시설과-6046(2016.7.1.)호]
- 현장대리인 현장 상주 여부 수시 확인
- 현장대리인 외 이사 등 업체 관계자 방문 협의 시
→ 관계자 경력증명서, 건강보험납부증명서 등 제출 요구
→ 현장대리인 상주 혹은 변경 지시
- 공사자재의 원도급자 구입 여부 확인(거래명세표, 세금계산서 요구)

※ 불법하도급이 확인되면 법적 조치 필요
▶ 경찰청 건설현장 불법행위 신고센터(112 혹은 경찰서 지능수사팀 등)
▶ 국토교통부 건설경제과 또는 지방자치단체 건설과
▶ 대한건설협회 건설업등록 불법대여 신고센터(02-3485-8371)
▶ 경기도교육청 부조리 신고(031-249-0999)

4. 설계변경 유의사항
설계변경
- 정의 : 공사의 시공 도중 예기치 못했던 사태의 발생이나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당초 계약내용을
변경 시키는 행위
- 사유 : 당초 계약된 설계서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ㆍ설계서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ㆍ오류 또는 상호 모순
ㆍ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경우
ㆍ새로운 기술ㆍ공법 사용으로 공사비 절감과 시공기간 단축이 현저한 경우
ㆍ기타 발주기관이 설계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경우 등
- 시기 : 설계변경이 필요한 부분의 시공 전

※ 공사지연에 따른 품질저하 우려 등 긴급하게 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와 설계변경


시기를 확정하고 설계변경 완료 전에 우선 시공 가능함
⇒ 일반적으로 설계변경시 내역조정 및 변경계약이 동반되어 공사 지연 우려가 있기에 출장복명을 통한 변
경내용 및 변경시기를 확정(결재) 후 우선 시공함

계약금액 조정
- 설계변경, 물가변동(ES), 기타 계약내용 변경의 사유에 의해서만 조정
계약기간 연장
- 연장 사유 발생하면 계약상대자의 요청을 접수 후 계약기간 종료 전에 조정
- 사유(계약상대자 책임 사유는 연장 불가)
ㆍ천재지변(불가항력적 사유)
ㆍ동절기(12월말~익년 2월중순경, 당해연도 기상상황에 따라 다름) 물공사 추진
ㆍ우기(폭우시) 외부 공사 추진

24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5장 공사준공

1. 준공서류 검토

준공서류
준공계 준공계 준공검사원 준공내역서 준공정산사유서
건강ㆍ연금ㆍ
보험등 산재ㆍ고용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정산
하도급지급보증 건설기계대여금지급


서류 퇴직공제부금비 폐기물처리
발급수수료 보증서발급수수료

기타 준공사진 각종필증 전기ㆍ수도사용요금 (준공도면)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서류 공사진행사진 공사(작업)일보 자재승인서 외

청구 준공금청구서 하도급지급확인서 선금정산서 세금계산서


서류 입금계좌지정서 납세증명서 하자보수보증금납부서

※ : 준공검사 후
: 1부만 제출, 해당 항목외 2부 제출(시공사)

준공 관리
- 시공사로부터 준공서류를 서면으로 통지 받으면 즉시 전자문서(문서등록대장) 등록(준공일자 확정)
- 원칙적으로 준공 당일 또는 다음날 준공검사 실시(다만, 발주처(학교)의 사정으로 준공검사를 바로 실시하지 못
하는 경우에는 통지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실시 하여야 함)
- 계약금액에 상관없이 계약상대자 입회와 협력을 받아 모든 공사에 대하여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하여야 함
ㆍ계약상대가 입회 및 협력 거부로 발생하는 지체는 지체상금 부과
ㆍ계약금액 3천만원 미만은 준공검사조서 생략이 가능하나, 책임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가급적 작성
하는게 바람직함
- 준공서류 검토 확인 철저
ㆍ기재사항 누락 주의(실지 준공일자, 제출일자 누락 등)
ㆍ상기 해당 준공서류 제출여부 확인
시공사 공문, 준공계
- 준공서류 서면 통지일에 전자문서(문서등록대장) 접수
※ 준공예정일 이후 준공계 접수 시 공사 지체로 처리(지체상금 부과)
- 도급액 : 계약금액(준공정산금액 아님)
- 기재사항 누락, 오기 필히 확인

Tip
공사준공 서류
- 준공계, 준공검사원 - 환경보전비서류 - 전기ㆍ수도사용요금
- 준공내역서, 정산사유서 -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 공사진행사진
- 산재ㆍ고용보험서류 -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 공사일보
-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서류 - 폐기물처리 - 자재승인서
- 퇴직공제부금비서류 - 준공사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서류 - 각종필증

24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2. 각종 보험료,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환경보전비 등 정산 방법


산재ㆍ고용 보험료(대상 : 모든 건설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정산규정 없고, 근로복지공단에서 일괄 징수
산재보험료 내역서 - 확인사항 : 보험료 납부 여부
안함
고용보험료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보험개시 통지서’혹은‘완납증명원’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 보험료(대상 : 공사기간 1개월(30일)이상 모든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정산대상
ㆍ일용직근로자 : 동일현장에서 1월 평균 20일 이상 작업한 근로자
(직접노무비 해당자)
ㆍ상용근로자 : 직접노무비에 해당하는 현장대리인
(계약목적물을 직접시공 한 경우)
- 정산방법
ㆍ일용직근로자 : 해당 사업장의 보험료 납부확인서 납임금액 중
국민건강보험료 사용자부담금(50%)만 인정
국민연금보험료 내역서 ㆍ현장대리인 : 소속회사에서 납부한 납부확인서에 의해 해당 사업장
실시
노인장기 계상된 금액 에 실제로 투입된 일자를 계산하여 일할 정산
요양보험료 (단, 현장대리인이 해당 사업장 단위로 보험료를 별도 분리 납부시
일용근로자와 동일방식 정산)
- 근거자료
ㆍ일용직근로자 : 해당 사업장 보험료 납부확인서
ㆍ현장대리인
1) 직접시공 확인 자료
(현장작업일지, 감독관 근무일지, 임금대장, 출근부 등)
2) 보험료 납부확인서(소속회사 또는 개인)

퇴직공제부금비(대상 : 추정금액 3억원 이상 건설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내역서 - 확인사항 : 퇴직공제부금비 납입 여부
퇴직공제부금비 실시
계상된 금액 - 근거자료 : 납부확인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대상 : 총 공사금액 4천만원 이상 건설공사)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확인사항 :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기준에 맞게 사용 여부
산업안전보건 내역서 ※ 안전관리비 사용불가 내역 참조
실시
관리비 계상된 금액 - 정산방법 : 사용내역서와 근거자료 비교검토
- 근거자료 : 사용내역서,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현장착용)사진 등

Tip
한글파일 연동
ㆍ안전관리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용노동부 고시]

24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ㆍ(사용내역서) 항목별 내용 및 금액 확인
※ 계상된 금액 보다 실제 사용을 많이 하여도 계상된 안전관리비보다 증액 불가
ㆍ(세부내역)(거래명세서) 구입 물량 및 품목당 적정단가 확인
ㆍ(세금계산서) 금액 확인 ※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인지 확인
ㆍ(사진대지) 사용내역서, 거래명세서의 수량과 일치 여부 확인
※ 대상학교를 알 수 있는 현장에서 착용한 사진 필요함
ㆍ(지급확인서) 안전용품 개인별, 품목별 수량 확인

※ 안전관리비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필히 확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7-8호, 별표2]


ㆍ교통통제, 학생 등ㆍ하교 안전 지원 등을 위한 신호수 인건비
ㆍ외부인 출입금지(안내ㆍ주의ㆍ경고) 표지,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울타리 등
ㆍ근로자 보호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작업복, 면장갑 등의 보호구

토목분야 사례따라하기
ㆍ사회통념상 과도하게 지급되는 의식 행사비, 무재해 기원과 관계없는 행사비 등
⇒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 고취 및 안전을 위하여 계상된 비용으로 단순 작업구역 설정,
학생 안전 등을 위하여 사용불가

환경보전비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확인사항 :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인지
내역서 여부 확인
환경보전비 실시
계상된 금액 - 정산방법 : 사용계획서 및 사용내역 확인
- 근거자료 : 사용내역서, 영수증, 사진 등

- 환경보전비 정산
ㆍ안전관리비와 동일한 방식(사용내역과 영수증, 사진 등 확인)으로 정산
- 환경보전비 적용 (대상ㆍ비대상) 비교 자료

적용대상 비적용대상
1. 환경보전시설 설치 및 운영비용(임대료) - 단순 청소용 도구(빗자루, 쓰레받이, 삽, 집게, 쓰레기
- 살수차량 혹은 살수 물탱크 봉투, 마대, 마스크, 장갑 등) 구입비
- 비산먼지방지 분진막 - 진공청소기 구입비
- 이동식 간이화장실 - 현장청소 인건비
- 집진시설 - 순환골재
- 가설방음벽 - (추락방지용)EGI휀스
- 세륜시설, 고압분무기 및 고압살수시설 - (일반용)부직포
- 가설사무소용 오수정화시설 - 가설사무소 청소인건비
- (방진덮개용)부직포 - 폐기물처리비
2. 환경계측비용 (참고)환경관리비
3. 환경관련 인건비 = 환경보전비 + 폐기물처리비
4. 환경교육에 필요한 비용

Tip
한글파일 연동
1. 환경보전비 적용 (대상ㆍ비대상) 비교자료 2. 국토해양부 질의 회신내용

24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하도급지급보증발급수수료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하도급지급보증 내역서
실시 - 근거자료 : 납입확인서’
발급수수료 계상된 금액

건설기계대여금지급보증서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건설기계대여금 내역서
실시 - 근거자료 : 납입확인서’
지급보증서 계상된 금액

폐기물처리비

정산비목 한도액 정산여부 확인사항(정산방법)

- 폐기물 반출확인증 및 신고접수증 확인


증액가능
폐기물처리비 실시 - 폐기물 반출물량 확인(산출내역서 물량과 비교)
(설계변경)
- 올바로시스템 출력물

248
ⅩⅠ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냉난방개선사업]

제1장 사업신청
제2장 설계용역
제3장 공사발주
제4장 공사감독[착공~준공]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XI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냉난방개선사업]
제1장 사업신청

1. 개요
사업신청
공문

교육청 제출 사업 예산신청

사업신청서

현황사진
사업범위 도면

2. 관련법규(규정)
『예산편성 기본지침』대상사업 선정, 시설단가 적용 관련
『물품관리법 제16조의 2』물품의 내용연수
→ 『내용연수』(조달청고시 제2016-40호, 2016.12.13.)
→ 『(지침)재산업무 길라잡이』(재무담당관 2018.01.)
『석면안전관리법 제21조』건축물석면조사
『공공기관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제10조』에너지 수급안정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전력수요관리시설 설치

3. 냉난방개선 사업신청 전 확인사항


사업계획 관리
- 냉난방개선사업은 연차적 종합계획에 의거 추진(내용연수 등 검토)
- 철거 예정인 기존 물품에 대한 처리계획 검토(물품관리법 등 참조)
- 해당 건축물의 철저한 석면조사 등을 통하여 석면관련 기준 준수

냉난방 내용연수 검토 : 조달청 고시 [별표1] 내용연수표 참조

일련번호 물품분류번호 품명 내용연수 일련번호 물품분류번호 품명 내용연수


358 40101701 냉방기 10 368 40101806 열펌프 9
366 40101787 냉난방기 9 373 40101866 온풍난방기 10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 하자보수 관리부(대장)에 따라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 여부 확인
- 하자담보책임기간 존속기간 내에 예산투자 금지
(계약상대자의 하자보수 책임의무 이행-계약사항 임)

Tip 용어설명
내용연수 :고정자산의 경제적 사용가능 년수
한글파일 연동
하자담보책임기간 : 물품납품완료일로부터 시작하여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될 경우 시공자가
1. 사업신청서 공문서(안) 샘플
보수 책임을 부담하는 기간

25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공문서 작성(예시)

5. 사업신청서 주요내용
기본 현황 작성(시설현황, BTL여부 등 포함), BTL 학교인 경우 재무모델의 운영비 포함 여부 확인
해당 사업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상세히 서술
- 노후 시설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학부모 민원 접수 등의 현안문제 내용 포함

신청액 및 산출기초
- 특별교부금 및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활용(시설과 자료실 탑재)
- 기준단가 없는 사업일 경우 동일조건의 비교견적(2인 이상)후 최저가 적용
XI
최근 5년간 같은 사업 또는 유사사업 집행실적 작성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 예산 중복투자 방지 등

현황사진
- 노후 시설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전경사진, 확대사진) 다수 첨부

현황도면
- 학교 실별 배치도(단선도면) 혹은 준공도면을 활용
- 사업범위 및 물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해당 도면에 표기

1. 사업계획의 즉흥적·편법적 추진여부 2. 중복투자 여부 3. 예산낭비 여부


감사방향 - 준공 후 사업목적 외 사용 등

Tip
현황사진 현황도면

용어설명

준공도면 : 공사 완료된(설계변경 등 내용 포함) 시설물의 형태, 구조를 나타낸 도면

251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참고 2018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단위사업 사업내용 단위 단가(천원) 비 고(단가 산정기준)
- 전기(1,544), 석면(317), 기타(561) 포함
전기천장형(멀티형) 실 7,300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미포함
도시가스 개별냉,난방 실 6,562
- 전기(1,544), 석면(317), 기타(561) 포함
전기천장형(싱글형) 실 5,506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미포함
냉난방
개선 가스(GHP)천장형 - 전기(952), 석면(317), 기타(561) 포함
실 9,400
(멀티형) - 석면청소 및 집기류 이동경비, 가스배관공사(실비) 미포함
중앙냉난방개선 식 실소요액
대공간 냉난방개선
(제트공조기 ㎡ 166 - 옥외 전기 간설비 제외
+공기순환휀설치)

제2장 설계용역

1. 검토사항
기존 냉난방기가 멀티형냉난방기인 경우 교체하려는 냉난방 실내기와 연결된 다른 교실 실내기 및 실외기가 일괄 교
체 될 수 있도록 설계 반영
가스열원 냉난방기를 전기열원 냉난방기로 교체할 경우 한전계약용량 및 기존 가스배관 처리 등 설계 반영
가스(냉)온풍기 철거 시 기존 연도 및 기타 부분에 대한 처리 관계 설계 반영
옥상 실외기 설치 시 기존 스라브 바닥면은 가능한 훼손하지 말고, 최상층 측벽 타공하여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 반영(교실 누수 방지)
실외기 설치 장소는 사업진행 시 장비반입 및 크레인 등 접근이 가능하고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소를 선
택하여 설계 반영
옥상 실외기 기초 등 반영하여 설치 후 진동에 따른 소음발생 최소화 되도록 설계 반영
층고 낮은 교실에 천장형냉난방기 계획 시 각종 배관류 노출 등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설계 반영
천장형냉난방기 설치 시 미세먼지 감축 등에 따른 공기청정키트 등 설계 반영
냉난방기 일부 교체 시 기존 중앙냉난방 제어시스템과의 연계성 검토하여 설계 반영
냉난방개선사업에 따른 전기공사 및 석면처리용역 등에 대해서는 별도 공정으로 계획하여 설계 반영
옥상방수사업과 함께 진행되는 경우 옥상방수사업이 선행 된 이후 냉난방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일정 검토
기타 관계 법령 준수하여 설계 반영

Tip
냉난방 산출 1) 보통교실 1실 : 2) 특별교실 1.5실 : ※ 예산신청시는 냉난방기 대수 아닌 교실수로 신청
- 교실 = 66㎡ - 교실 = 99㎡ 예) 특별교실 1.5실
(※기준단가표 비고란 확인) - 실내기 4.0HP - 실내기 3.0HP x 2대 → 냉난방기 1대가 아닌 교실 1.5실로 신청

용어설명

멀티형냉난방기 : 하나의 실외기에 두 개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된 냉난방기


(냉동기 등 중앙식냉난방 시스템과 혼돈하지 말 것)

[중앙식냉난방(냉동기)]

25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3장 공사발주

1. 개요

“ 공사 발주 ”

1 2 3 4 5
공사 시행공문 공사 집행계획서 설계도면 설계내역서 공사시방서

2. 관련법규(규정)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77조』공사의 분할계약 금지 관련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동일구조물공사 및 단일공사 관련
『전기공사업법 제11조,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5조,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1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5조, 폐기물관리법』분리발주 관련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7.7.9.)호]

XI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공사 분리발주 여부 확인
- 동일구조물공사, 단일공사를 수의계약 또는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기위한 목적으로 시기적으로 분할하거나 공사
량을 구조별ㆍ공종별로 분할하여 계약할 수 없음(분할계약 금지 규정)
- 동일구조물공사 : 기능의 상호연결성 및 형태적 일체성을 기준으로 판단
ㆍ기능이 상호 연계되고 일체식인 구조물
ㆍ동일인이 계속 시공함이 적정한 시설물(하자책임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포함)
- 단일공사 : 예산편성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
ㆍ관련 법령에 따라 분리 발주하는 경우에는 공사 각각을 단일공사로 봄
금액기준별 제한 기준(건설산업기본법)

계약상 제한 기준 비고
ㆍ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 1천5백만 원 초과
등록업체와 계약 가스공사 : 1종
ㆍ종합공사 : 공사예정금액 5천만 원 초과

- 건설공사 기준금액 초과 공사는 무면허업체와 계약금지


(공사업종에 맞는 자격자를 계약상대자로 선정)

용어설명

전문공사 : 공사예정금액이 3억원 미만으로 2개 이상의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된 공사의 금액이 전체금액의 1/2이상인 공사

25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사업시행시기 점검
- 설계용역은 학기 중 진행하여 입찰 및 계약일정 등이 방학개시 시점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본 사업은 방학
기간 중 진행 할 수 있도록 검토
- 사업대상 교실이 석면텍스인 경우 석면처리에 따른 인허가 행정사항이 본 사업 개시 이전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검토
- 기존 냉난방기 철거로 인하여 학기 중 냉난방 가동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냉난방개선사업 일정을 계획하고,
불가피한 경우 사전에 학생 및 학부모에게 관계사업 일정 등에 대하여 안내문 배포
계약방법 결정

수의계약 입찰
구분
1인 견적제출 2인이상 견적제출 제한입찰(지역) 일반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2억원 초과
종합 2천만원 이하 100억 이상
가격 ~ 2억원 이하 ~ 100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내역입찰
추정 2천만원 초과 1억원 초과
전문 2천만원 이하 7억 이상
가격 ~ 1억원 이하 ~ 7억 미만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전기 추정 2천만원 초과 8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5억 이상
통신 가격 ~ 8천만원 이하 ~ 5억 미만
소방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공사
추정 2천만원 초과
물품 2천만원 이하 3.3억 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제조
낙찰하한율 87.745% 구매:최저가, 제조:적격심사 적격심사
구매 방법 단일견적
* 2천만원 이하 90% (2.1억 미만) (2.1억 이상)
5천만원 초과~ 3.3억 미만
추정 2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건설기술용역 2.1억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용역 안전진단용역 1.5억미만)
낙찰하한율 87.745%
방법 단일견적 적격심사
* 2천만원 이하 90%

- 학교시설공사 관련 주요 계약방법 기준[재무과-16701(2012.7.9.)호]


- 상기 규정에도 불구하고 교육지원청별 지침 준용(지역별로 상이함)

1. 부당한 수의계약 고착화 방지


- 교육청 지침 준수 여부 및 S2B, G2B 이용 확인
- 규정에 없는 공사분할 여부(고의 수의계약 여부)
2. 자격자에 의한 학교공사 시공 도모
감사방향 - 계약상대자 선정의 적정성 여부
- 공사내용에 맞는 업종과 면허등록자와 계약 여부 등
3. 수의계약의 적정성 확보
- 동일구조물공사 또는 단일공사 집행의 적정성 여부
- 수의계약 대상공사의 평가 적정성 여부

용어설명

추정가격 : 국제입찰 대상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위하여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부가가치세,관급금액 제외)
추정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관급금액
기초금액 : 추정가격+부가가치세 (입찰,예정가격의 기초)
예정가격 : 입찰 또는 계약 체결 전에 낙찰자 및 계약 금액의 결정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미리 작성, 비치하여 두는 가액

25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품의하기
조회방법 : 에듀파인 > 지출관리 > 지출처리 > 품의작성
작업순서 : ① 지출관리 → ② 품의작성 → ③ 입력 → ④ 예산선택 → ⑤ 산출내역 선택 → ⑥ 확인 → ⑦ 행추가
→ ⑧ 저장 → ⑨ 결재요청 / 승인

5. 공문서 작성(예시)

XI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직접구매자재 구매·설치 시행 시 검토사항


- 나라장터를 이용한 직접구매자재 구매·설치 시 자재선정위원회 개최 및 일정금액 이상인 경우 MAS(다수공급
자)계약 진행
[참조]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경쟁 업무처리기준」(조달청고시 2017-17호)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25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공사집행계획서 (예시)

작성방법
- 공사명 : 주요 공사내용을 공사명에서 추정할 수 있도록 선정
- 사업량(물량) : 기준단가표에 나온 사업내용별 단위 사용(예:냉난방→대)
- 공사기간 : 방학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정기간 산정

※ 소규모 공사의 표준 공사기간(공기) 산정 방법은 따로 없으나,


ㆍ공기 짧을 경우 : 부실공사 우려, 무리한 공사추진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
ㆍ공기 길 경우: 현장관리 부실, 방학기간 초과에 따른 학생 안전사고 위험 및 민원 발생
⇒ 1) 나라장터를 이용한 냉난방기 구매 납품 기한(최소 60일 이내)
(∵ 방학기간 고려, 30일 미만 시 건강ㆍ연금ㆍ노인장기요양보험료 미 계상)
2) 복합공사, 특이공사의 경우 교육지원청 시설담당에게 문의 필요

- 설계금액 : 설계용역 완료 후 최종 계상된 금액(공급가액+부가가치세)


- 추정 계약금액 : 설계금액의 88%(낙찰율 고려)
추정금액의 합계가 예산범위내 들어와야 함
- 조달수수료 : 시설공사 5천만원~2억미만, 20,000원
※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누락되는 품목(설계비, 관급자재비, 각종인입비 등) 없도록 작성하며, 전체 예산액
대비 부족액 없는지 최종 확인 필요[예산카운트]
Tip
공사발주 서류 조달수수료
1. (발주)공문 구분 금액기준 수수료(원)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2천미만 10,000
물품구매 2천 ~ 5천미만 20,000
3. 설계도서(붙임2) 일반용역 5천이상 30,000
나라장터 품대의 0.54%
5천미만 10,000
시설공사
5천 ~ 2억미만 20,000
기술용역
2억이상 30,000

25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7. 설계도서
설계도면 (예시)

① ②
③ ④

XI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 냉난방개선공사 설계도면 구성
① 냉매배관 계통도: 실내기, 실외기, 냉매배관의 구성 및 계통 표기
② 냉매배관평면도: 층별, 실별 냉매배관 설치도 표기
③ 자동제어 계통도: 실내기, 실외기, 자동제어 구성 및 계통 표기
④ 자동제어 평면도: 층별, 실별 자동제어 설치도 표기
- 일반적 도면 구성
ㆍ장비일람표, 계통도, 평면도, 각종 상세도면 등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라. 기타

용어설명

계통도 : 공기 조화·냉난방·급배수·급탕·전기·가스 등의 설비에 있어 그 작동 계통이 표시되어 있는 도면으로, 보통 단선으로 배관을 표시하고 관련기기
는 기호로 표시하여 계획도 및 설명도로 사용한다.

25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내역서 (직접구매자재-예시)

구성
- 장 비 : 실외기 및 실내기로 구성(금액 5천만원 이상 시 MAS대상)
- 옵 션 : 냉매 및 배수배관, 자동제어, 기타 마감에 필요한 설치품목
- 수수료 : 조달수수료 관급액의 0.54%
내역서 (기타 공사-예시) : 건축공사 참조

Tip
공사발주 서류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라. 기타

용어설명

MAS(Multiple Award Schedule) = 다수공급자계약제도 : 기존의 최저가 1인 낙찰자 선정 방식으로는 다양성 부족과 품질 저하의 문제점이 지속적으
로 지적됨에 따라 다수의 공급자를 선정, 선의의 가격,품질경쟁을 유도하는 동시에 수요기관의 선택권을 제고하는 제도로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및 인
터넷 확산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대에 적합하여, 이미 미국, 캐나다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제도임

258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공사시방서
- 나라장터 종합쇼핑물에 등재되어 있는 냉난방기설치시방서 외 기타 규정 참조
- 냉난방개선 건축, 기계, 전기 분야별 표준시방서 준용
- 시방서 주요내용 : 공사개요, 일반사항(총괄), 공종별 내용 등
- 공사내용에 따라 특기시방서 필요
ㆍ표준시방서 : 중앙정부에서 기존 시방서, 각종 시공서적, 시공사례, 연구성과 등을 포함하여 만든 공통된 일반 시방서
(특기시방서의 근거가 됨)
ㆍ특기시방서 : 특정 공사, 업체, 재료 등의 품질유지를 위하여 적용된 시방서(표준시방서에 우선함)

※ 설계도서 적용의 우선순위


(설계도서, 법령해석, 감리자지시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공사(특기)시방서 > 설계도면 > 일반ㆍ표준시방서 > 산출내역서
> 승인된 상세 시공도면 > 관계법령의 유권해석 > 감리자의 지시사항

견적서[냉난방개선에 따른 견적을 요하는 기타공사]


- 정의 : 공급자가 발주자에게 공급 가능한 내용 및 제반 비용을 적산형태로 기술하여 제출한 문서
- 원칙 : 2인 이상으로부터 제출 받음
(단, 교육지원청 지침에 의해 추정가격 1천만원 이하는 1인견적 가능 함)
- 구성 : 공급가액 산출내역서 + (간이)도면 + 설명서(시방서)

※ 설계서는 모든 공사의 예정가격 작성을 위한 공사비 산출의 기준 및 근거이며, 공사감독과 검사과정에서


계약대로 이행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됨
ㆍG2B, S2B 이용시 건축사(설계용역)가 작성
ㆍ1인 견적에 의한 수의계약시는 계약상대자가 작성하도록 요구
XI

기계분야 사례따라하기

Tip
공사발주 서류 공사계약
1. (발주)공문 3. 설계도서(붙임2) “공사계약”은 건축공사 참조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가. 설계도면 나. 내역서 다. 시방서 라. 기타

용어설명

시방서 : 시공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술적인 사항을 설명한 문서로서 구체적으로 사용할 재료의 품질, 작업순서, 마무리 정도 등 도면상 기재가 곤란한
기술적 사항을 표시해 놓은 문서

259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ㆍ공사내용 확인 및 계약 후 계약사항 이행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품목별, 규격별로 구분하여 작성


ㆍ(간이)도면과 설명서의 규격, 수량과 일치여부 확인
ㆍ단가는 ‘일위대가’ , ‘자재단가’ , ‘노임단가’ 검토
(적정 품명, 규격 작성시 교육지원청 시설담당 검토 요청 가능함)
ㆍ1식 견적서 금지(적정 가격 판단 불가)

제4장 공사감독(착공~준공)

냉난방개선 기타 공사(건축, 기계, 전기 등) 공사감독은 건축공사 참조


냉난방 배관 및 장비설치 시 유의사항
- 학교 내 냉난방장비 및 배관자재 반입 시는 가능한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을 피하여 교통안전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하여야 한다.
- 크레인을 이용한 옥상 실외기 인양 시는 다음 순서에 따른다.
· 크레인 작업동선 반경에는 공사관계자 외 출입을 금한다.(안전관리자 배치)
· 교체 될 기존 실외기를 먼저 해체·철거하여 지상으로 반출시킨 후 신규 실외기를 옥상 반입토록 한다.
(실외기 중량으로 인한 건축물 구조가 받는 부하량(負荷量)을 최소화)
· 크레인 동선 및 정착부위 등에 있어 크레인 통행이 가능한지(협소성)? 정착부위의 안정성은 확보되었는지(지반
의 경고성)? 등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 외벽 코어공사 시에는 반드시 코어공사에 해당하는 지상층에 신호수를 배치하여 공사관계자 외 접근을 방지하
고, 주차된 자량은 다른 곳으로 이동주차 할 수 있도록 학교관계자와 협의·처리 하여야 한다.
(코어시편 등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미연에 방지)
- 옥상에서 배관 및 기타 공사 시에는 옥상난간에 공구류 등을 올려놓는 일이 없도록 사전 지도·감독하여야 한다.
(낙하물 안전관리 철저)
- 배관 및 배선 작업 시는 설계도면과의 일치성을 반드시 확인하여, 준공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 교실 내 공사 시는 공사관계자가 임의적으로 석면텍스 등을 훼손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사전에 교실 내 존재하
는 파손되기 쉬운 물품, 귀중품 등은 다른 곳으로 이동보관토록 한다.
- 본 공사 진행 전 전기공종과 냉난방기 설치자로 하여금 상호 설계도서 및 현장 내 반입될 냉난방기 전기 특성 등
에 대하여 검토하여 이상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후속조치를 하여야 한다.
- 본 공사 완료 후 냉난방 시험가동 시에는 반드시 냉난방 설치자와 전기공사자가 함께 입회하여 시험가동토록 한
다.(전기결선 오류 등으로 인한 2차사고 방지)
- 냉난방 시험가동 시에는 일시에 전체 냉난방을 가동하여 최대전력이 상향하지 않도록 층별 또는 구획(Zoning)
별로 시험가동 하여야한다.

용어설명

최대전력 : 1년 혹은 하루 동안 어떤 일정 기간 내에서 가장 많은 전력 부하를 최대전력이라고 하며 kW로 표시한다.

260
ⅩⅡ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제1장 학교시설공사 PROCESS 개요
제2장 사업신청(전기분야-소요예산 추정)
제3장 설계용역
제4장 공사발주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제1장 학교시설공사 PROCESS(건축공사와 동일)

1. 학교시설공사 PROCESS[건축공사와 동일]


STEP_ 1▲ STEP_ 2▲ STEP_ 3▲ STEP_ 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2. 예산 수립단계

사업신청
공문

교육청 제출 사업 예산신청

사업신청서

현황사진
사업범위 도면

3. 각 단계별 주요 업무
구분 주요 업무 내용
■ 소규모 교육환경개선 신청서
사업신청단계 ■ 현황사진 및 사업범위/물량 도면
■ 추정 소요액(교육환경개선단가 활용 또는 견적서)

■ 과업 설명(지시)서 작성

■ 예정 가격 작성
설계준비단계
- (계약 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 제5절 기타용역의 원가계산,
-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 공사 설명서 작성

■ 공사 시방서 작성
시공준비단계 ■ 예정 가격 작성

- (계약 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 제3절 공사원가계산


■ 과업 설명(지시)서 작성

■ 예정 가격 작성

감리준비단계 - (계약 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 제5절 기타용역의 원가계산,


-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 정보통신설비 감리대가 표준품셈

Tip
학교시설공사 주요진행 순서는 건축공사와 동일

26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2장 사업신청(전기 분야-소요예산 추정)

1. 교육환경개선공사 단위사업별 전기공사 소요예산 추정금액


2018년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참조
단위사업 사업내용 단위 단가(천원) 비고
LED조명(교사동) LED조명기구-교실 실 4,300 1실=66㎡
LED조명(체육관) 자동승강용 개소 2,500
LED조명(보안등) LED보안등(외등) 개소 1,200
전기용량증설 승압
kW 280 인입CNCV, 한전불입금포함
(수배전반 신설) (저압에서고압으로 전환)
전기용량증설 증설
kW 229 간선 및 철거비 제외
(수배전반 교체) (기존 고압에서 용량증설)
노후 전기보수 공사 식 실소요액

2. 각 공사별 추정 소요 예산 비용(예시-신축, 증축, 리모델링)

공사별 비율(%) 비고
건축공사 61%
토목공사(조경포함) 6% 토목(75%, 조경(25%)
기계공사(기계소방포함) 15% 기계(82%, 기계소방18%)
전기공사(정보통신,전기소방포함) 15~25% 전기(70%), 정보통신(24%), 전기소방(6%)
소계 100%

※ 신축공사, 택지조성기구, 관급자재 포함, 각 공정 인입 및 부담비 포함


※ 대략 추정 비율로 현장여건별로 상이함(±5%)

3. 각 분야별 추정 소요 예산 비용(예시-신축)
XII
구분 구성비율 비고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설계비 3.7% 건축, 토목, 기계, 전기, 정보통신, 소방


감리비 3.8% - 상동 -
공사비 92.5% - 상동 -
소 계 100%

※ 신축공사, 택지조성기구, 관급자재 포함, 각 공정 인입 및 부담비 포함


※ 대략 추정 비율로 현장여건별로 상이함(±2%)

Tip
사업신청 방법은 건축공사와 동일

26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건설업종의 분류/법규체계 (1)

관련 법체계(업종 중심의 분류)


토목, 건축,
종합건설업 토목건축 등 5종 건설산업기본법

건설업 전문건설업 의장, 도장 등 29종 건설산업기본법

환경오염방지,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특별법상의건설업 주택건설, 해외건설 등 주택법, 해외건설촉진법 등해외건설 등

전 기 전기공사업법

정보통신 보통신공사업법

공사업 개별공사업법
소방설비 소방시설공사업법

문화재수리 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

엔니지어링활동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건축사법, 전력기술관리법,
설 계
정보통신공사업법
조사, 설계, 감리,
용역법
사업관리, 유지관리
감리, 감리전문 건설기술진흥법, 전력기술관리법, 정보통
신공사업법

안전진단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분리발주제도 관계법령
구분 관련근거
전기공사 전기공사업법 제11조
정보통신공사 정보통신공사업법 제3조 및 제25조
소방시설공사 관계법 없음[법개정추진 중]

Tip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소방시설공사는 건설공사에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공사발주(시행) 시 반드시 분리 발주할 것.

26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건설업종의 분류/법규체계 (2)

건설업종의 분류 및 유관 법규체계
구분 건설 전기 정보통신 소방

건설기술진흥법
용역 전력기술관리법
건축사법, 주택법
법령 정보통신공사업법 소방시설공사업법

시공 건설산업기본법 전기공사업법

소관부처 국토교통부 산업통산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민안전처

건설기술인협회
용역 건설기술관리협회 전기기술인협회 - -
건축사협회
법정
단체
건설협회
시공 전문건설협회 전기공사협회 정보통신공사협회 소방시설협회
기계설비협회

건설용역업 용역업자
※ 설계: 엔지니어링 설계업자, ※ 설계: 엔지니어링 설계업자,
용역업분류
활동 주체 또는 감리업자 활동 주체 또는 감리업자
기술사사무소 기술사사무소

전력기술인 정보통신기술자, 소방기술자,


기술자분류 건설기술자
설계사, 감리원 감리원 감리원

건설업의 정의 [관련법 :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정의)]

“건설업”이란 건설공사를 하는 업을 말함
“건설공사”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그 밖에 명칭에 관계없이 시설물을 설
XII
치ㆍ유지ㆍ보수하는공사(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조성공사를 포함한다) 및 기계설비나 그 밖의 구조물의 설치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및 해체공사 등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가.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전기공사
나.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통신공사
다.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소방시설공사
라. 「문화재 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문화재 수리공사

26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3장 설계용역

1. 개요
설계용역이란?
전기, 정보통신, 소방설비공사 목적에 따라 실제적인 계획을 세워 도면 등으로 명시하는 일

2. 설계용역 대가산출 관련법규 및 규정

구분 관계 법령 및 규정

전기 전력기술관리법 제11조,제14조 및 전력기술관리법 운영요령 제18조

정보통신 정보통신공사업법 제7조 및 시행령 제6조,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

소방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1조,제25조 및 시행규칙 제21조,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

3. 전기, 통신, 소방 공사별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업 면허 필요여부 판단

구분 설계용역 및 공사업 면허 대상

전기공사에서 제외되는 대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공사를 제외한 모든 전력시설물의 설치·


부수공사
전기
- 전기설계업, 전기공사업 등록업체가 설계·시공하여야 함
(설계용역 대상-전기공사 참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정보통신공사, 긴급복구공사, 기존설비를 대·개체하는 공사


로 설계도면이 불필요한 공사를 제외한 공사 일 경우
정보통신
- 정보통신설계용역,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업체가 설계·시공하여야 함
(설계용역 대상-정보통신공사 참조)

소방시설 건축허가 등의 동의대상물 및 소방시설공사 착공대상일 경우


소방
- 소방시설설계업, 소방시설공사업 등록업체가 설계·시공하여야 함

Tip
학기중 진행 방학 중 진행
- 설계용역 - 공사 및 준공검사
- 입찰
- 시공사 선정 및 계약

26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전기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 제외 범위

전기설비(전력시설물)
1. 전기사업용전기설비 :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2. 일반용전기설비 : 소규모의 전기설비로서 한정된 구역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하는 전기설비

일반용전기설비의 범위 ☞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


① 일반용전기설비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로 한다.
-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75kW 미만의 전력을 타인으로부터 수전하여 그 수전장소에서 그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kW 이하인 발전설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전기설비는 일반용전기설비로 보지 아니한다.
-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자가 그 자가용전기설비의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킬로와트 이상의 전기설비

3. 자가용전기설비 : 전기사업용전기설비 및 일반용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

전기공사 설계용역 대상
관계법령 : 전력기술관리법 제11조(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의 작성 등)에 따라
-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는 전기 분야 기술사가 작성하여야 한다.
- 일반용전기설비의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와 자가용전기설비 중 용량 증설이 수반되지 아니하는 보수공사에
필요한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는 설계사 면허를 받은 사람이 작성할 수 있다.
- 전력시설물의 설계 용역은 설계업자에게 발주하여야 한다.

전기공사에서 제외되는 공사(경미한공사)의 범위


관계법령 : 전기공사업법 제3조 및 시행령 제5조
- 전기공사는 공사업자가 아니면 도급 받거나 시공할 수 없음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전기공사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대통령이 정하는 경미한 공사 XII


1. 꽂음접속기, 소켓, 로제트, 실링블록, 접속기, 전구류, 나이프스위치, 그 밖에 개폐기의 보수 및 교환에 관한 공사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2. 벨, 인터폰, 장식전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에 사용되는 소형변압기(2차측 전압 36볼트 이하의 것으로 한정한다)의
설치 및 그 2차측 공사
3. 전력량계 또는 퓨즈를 부착하거나 떼어내는 공사
4.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전기용품 중 꽂음접속기를 이용하여 사용하거나 전기기계ㆍ기구(배선기구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 단자에 전선(코드, 캡타이어케이블 및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부착하는 공사
5. 전압이 600볼트 이하이고, 전기시설 용량이 5킬로와트 이하인 단독주택 전기시설의 개선 및 보수 공사. 다만, 전기공
사기술자가 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용어설명

전기설비(전력시설물) : 발전ㆍ송전ㆍ변전ㆍ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설치하는 기계ㆍ기구ㆍ전선로ㆍ보안통신선로 및 그 밖의 설비로서 다음 각 목을 말함


- 전기사업용전기설비 - 일반용전기설비 - 자가용전기설비

26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정보통신 설계용역 대상 및 공사 제외 범위

정보통신공사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공사와 이에 따르는 부대공사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사를 말한다
정보통신공사의 범위
- 전기통신관계법령 및 전파관계법령에 따른 통신설비공사
- 「방송법」 등 방송관계법령에 따른 방송설비공사
- 정보통신관계법령에 따라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 수전설비를 제외한 정보통신전용 전기시설설비공사 등 그 밖의 설비공사
-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공사의 부대공사
-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공사의 유지·보수공사
공사의 종류 : 통신설비/방송설비/정보설비/기타설비

정보통신공사 설계용역 대상
관계법령 : 정보통신공사업법 제7조 및 시행령 제6조(설계대상인 공사의 범위)
발주자는 용역업자에게 공사의 설계를 발주하여야 한다.
다만, 아래의 공사는 예외로 함
① 경미한 공사 ② 긴급복구공사 ③ 통신구설비공사
④ 기존 설비를 대·개체하는 공사로서 설계도면의 새로운 작성이 불필요한 공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정보통신공사


1. 간이무선국ㆍ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무선설비설치공사
2. 연면적 1,000㎡ 이하의 건축물의 자가유선방송설비ㆍ구내방송설비 및 폐쇄회로텔레비젼의 설비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4. 라우터 또는 허브의 증설을 수반하지 아니하는 5회선 이하의 근거리통신망(LAN)선로의 증설공사
5. 다음 각 목의 공사로서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만 참여하는 공사
[6회선 이상의 근거리통신망(LAN)선로설비공사는 제외]
- 서버ㆍ백업장비ㆍ주변기기 등 전산장비의 설치공사 및 유지보수
- 전산장비의 대ㆍ개체공사
- 주전산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주변기기의 설치공사
- 연면적 1,000㎡ 이하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공사로서 구내통신선로설비ㆍ방송설비ㆍ경비보안설비와 연계되지
아니하는 정보시스템 구축공사
- 하드웨어구입비를 제외한 소프트웨어관련비의 비중이 80퍼센트 이상인 정보시스템 구축공사
6. 군 및 경찰의 긴급작전을 위한 공사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는 공사
7. 다음 각 목의 공사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공사
- 정보통신설비의 단말기, 차량용 전화 등의 설치 또는 증설공사
- 무선통신설비의 이전ㆍ변경ㆍ증설 또는 대체 등의 공사
- 자기의 정보통신설비의 유지ㆍ보수공사

정보통신공사에서 제외되는 공사(경미한 공사)의 범위


관계법령 : 정보통신공사업법 제3조 및 시행령 제4조
정보통신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자가 아니면 도급을 받거나 시공할수 없음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정보통신공사의 경우 정보통신공사업자 이외의 자도 공사를 시공할 수 있음

268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소방설비 설계용역대상 및 공사 제한

소방시설 건축허가등의 동의대상물의 범위


[관련법 :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7조 및 시행령 제12조]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


1. 연면적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학교시설사업 촉진법」 제5조의2제1항에 따라 건축등을 하려는 학교시설: 100제곱미터
3. 노유자시설(老幼者施設) 및 수련시설: 200제곱미터

건축허가등의 동의대상에서 제외
1.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의 다음 설비의 설치 또는 유지·관리 시 소화기구, 누전경보
기, 피난기구, 방열복ㆍ방화복ㆍ공기호흡기 및 인공소생기, 유도등 또는 유도표지
2. 건축물의 증축 또는 용도변경으로 인하여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추가로 소방시설이 설치되지 아니하는 경우
그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공사의 제한
[관련법 :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3조 및 시행령 제4조]

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 대상
공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방시설공사를 하려면 그 공사의 내용, 시공 장소,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소방
본부장이나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방시설공사”
1. 신축, 증축, 개축, 재축(再築), 대수선(大修繕) 또는 구조변경·용도변경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아래에 해당하는
설비를 신설하는 공사
- 소방(기계분야) :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 및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포소화설비·이산화탄소소화설비·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청정소화약제소
화설비·미분무소화설비·강화액소화설비 및 분말소화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제연설비, 소화용
수설비 또는 연소방지설비
- 소방(전기분야) :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또는 무선통신보조설비
2. 증축, 개축, 재축, 대수선 또는 구조변경·용도변경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아래에 해당하는 설비 또는 구역 등을
증설하는 공사
- 옥내·옥외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방호구역,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제 XII
연설비의 제연구역, 연결살수설비의 살수구역, 연결송수관설비의 송수구역,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용회로, 연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소방지설비의 살수구역
3.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등을 구성하는 다음에 해당하는 것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설, 이전 또는
정비하는 공사. 다만, 고장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하여 작동시킬 수 없는 소방시설을 긴급히 교체하거나 보수
하는 경우에는 신고하지 않을 수 있음
가. 수신반(受信盤) 나. 소화펌프 다. 동력(감시)제어반

용어설명

노유자시설 아동관련시설 기숙사와 합숙소


1. 노인관련시설 4. 정신질환자관련시설 1. 「아동복지법」에 따른 아동복지시설 ㆍ취사가능 : 합숙소
2. 아동관련시설 5. 노숙인관련 시설 2. 「영유화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ㆍ취사불가 : 기숙사
3. 장애인관련시설 6. 사회복지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3.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
(학교 교사내 병설유치원 포함)

269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설계용역 산출서 작성[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사업 신청금액 또는 학교시설 환경개선사업 기준단가 적용금액
공사비 추정 방법 : 6실 x 4,300천원 = 25,800천원 [단위: 천원]

구분 추정금액 비고
설계비 2,600
공사비 23,200 관급자재포함(등기구)
소 계 25,800

5. 설계용역 산출서 하기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설계용역비 산출내역서
■ 사 업 명 : 000학교 LED 교체 공사 작성자 : 지방교육행정주사보 000 (印)
전기공사 추정액 23,200,000 부가세10% 21,090,000원
(설계요율) 21,090,000원
0.2 억일때 11.38% 20,000,000원
0.3 억일때 9.19% 30,000,000원
실시설계 차 율 2.19% 1,090,000원
직선보간율=(차율×기본초과액)÷요율차액 0.23871%
∴ 실시설계요율=(기본요율-직선보간율) 11.14129%
♣ 실시설계비=(요율×공사비) 2,349,690원
(설계비) 2,349,690원
손배보험및공제(설계비 합계×율(0.433%)) 12,000원

설계용역비 손배보험료 도급자 자부담(손배보험및공제×율(1.0%)) 120원


총금액 손배보험 및 공제 11,880원
부가가치세 10% 236,150원
[총 계] 一金 貳百伍拾九萬七阡圓 整 (₩2,597,000)
- 전력기술관리법 제11조, 제14조 제5항 및 전력기술관리법 운영요령 제18조 제2항에 의한 전력시설물공사 설계 및 설계
감리요율를 적용함(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7-21호(2017.2.9))
- 정보통신공사업법 제7조 및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3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대가 기준을 적용함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7-067호(2017.5.15))
추가사항 -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1조, 제25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조에 따라 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 제3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엔지니어링사업대가 기준을 적용함(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7-067호(2017.5.15))
- 2017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 요율를 적용함
- 한국전기기술인협회(2016.1.1.개정 손해공제+요율) 손배보험료 적용
[신축 : 건축물등의전기설비, 기타 : 관람집회시설]

Tip
설계용역 품의하기 및 공문서, 검수조서 작성은 건축공정과 동일
알아두기
「LED 조명기구 교체 전기공사」 설계용역은 정보통신공사가 경미한 공사에 해당되고 소방설비공사가 건축허가등의 미 동의대상 및 미 착공
신고대상으로 전기공사 총 추정금액으로 산출

27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주기사항 및 범례 확인하기
: 도면에는 등기구, 분전반, 스위치 등이 심볼(기호)로 표현되어 있어 심벌내용 및 주기사항를 먼저 확인

(예시)범례 및 주기사항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Tip
석면철거 및 LED 조명교체
석면 텍스를 철거하려면 기존 천장에 부착되어 있는 등기구, 스피커, 감지기, 선풍기, 빔프로젝터 등을 먼저 철거하고 신설 천장 마감후 재
부착하여야 함에 유의 할 것

271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설치 상세도 확인
: 도면 전체에 표현하지 못하는 세부 설치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 타입을 확인

조명기구 상세도

조명기구 설치 상세도

27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설치 상세도 확인
: 도면 전체에 표현하지 못하는 세부 설치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전기 철거(변경전) 도면

전기 신설(변경후) 도면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27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설치 상세도 확인
: 도면 전체에 표현하지 못하는 세부 설치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상세도

통신설비 변경 전·후 도면

Tip

27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설치 상세도 확인
: 도면 전체에 표현하지 못하는 세부 설치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상세도

통신설비 변경 전·후 도면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Tip

27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7.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 (내역서)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물량 확인
: 교체되는 전등기구 및 교체(탈부착)되는 배선기구 수량확인

공사원가계산서

총괄 내역서(갑지)

Tip
LED조명기구교체공사의 경우 정보통신공사는 “경미한 정보통신공사(스피커 교체)”에 해당하며, 소방설비공사 또한 소방동의대상(착
공신고대상)이 아니므로 전기공사에 포함하여 시행 가능함.

27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7. 설계용역 설계도서 검토 (내역서) [예시 : LED교체 전기공사(6실)]


물량 확인
: 교체되는 전등기구 및 교체(탈부착)되는 배선기구 수량확인

전기공사 내역서(을지)

통신 및 소방공사 내역서(을지)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27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전기공사 배선방법의 종류

전기 배선방법의 종류(학교에 주로 적용되는 배선방법)


가. 합성수지몰드배선
나. 합성수지관배선
종류 : PVC관(경질비닐전선관), CD관, PF관, ELP관(파상형 폴리에틸렌 전선관) 등
장·단점

장점 단점

내부식성, 절연성이 우수, 열에 약하고


재료가 가볍고 시공이 용이 충격 및 압력 강도 떨어짐
절단이 용이하다 중량물의 압력 또는 심한 기계적 충격을 받는 장소에서
접지가 불필요 시설해서는 안됨

다. 금속관배선
종류 : 강제전선관(후강전선관), 알루미늄전선관

장점 단점

압력강도 우수
단락사고, 접지사고 등에 있어 화재의 우려가 작음 재료가 무겁다
전선교환이 용이 가공 및 작업이 어렵다
전선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아연으로 도금 합성수지관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되어 있어 옥외 노출된 곳에서도 폭넓게 사용됨

라. 금속관몰드배선
마. 가요전선관배선

장점 단점

자유롭게 굽힐수 있어 시공 편리
굴곡이 자유롭고 길이가 길어 부속물의 종류가 적게 열에 약하고 충격 및 압력 강도 떨어짐
들고 시공용이

바. 금속덕트배선
사. 케이블트레이배선 등

278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전기공사 시설장소와 배선방법

시설장소와 배선방법(학교에 주로 적용되는 배선방법)


[내선규정 표 2210-1, 일부발췌]]
옥내
옥측
은폐장소
노출장소 옥외
점검가능 점검 불가능
배선 방법 습기가 습기가 습기가
건조한 많은 장소 건조한 많은 장소 건조한 많은 장소
우선 내 우선 외
장소 또는 물기가 장소 또는 물기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 있는 장소 있는 장소
애자사용 배선 ○ ○ ○ ○ × × ① ①
금속관 배선 ○ ○ ○ ○ ○ ○ ○ ○
합성 합성수지관
○ ○ ○ ○ ○ ○ ○ ○
수지관 (CD관 제외)
배선 CD관 ② ② ② ② ② ② ② ②
1종
가요 ○ × ○ × × × × ×
가요전선관
전선관
배선 비닐피복1종
○ ○ ○ ○ × × × ×
가요전선관
금속몰드배선 ○ × ○ × × × × ×
합성수지몰드 배선 ○ × ○ × × × × ×
금속덕트 배선 ○ × ○ × × × × ×
케이블 트레이 배선 ○ ○ ○ ○ ○ ○ ○ ○
【비고】 기호의 뜻은 다음과 같다.
○ : 시설할 수 있다. × : 시설할 수 없다.
CD관 : 내연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① : 노출장소 및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에 한아여 시설할 수 있다.
② : 직접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용의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는 경우에 한하여 시설할 수 있다.

전선 및 전력간선 케이블
구분 전선 및 케이블 사용 용도
HFIX 옥내배선용 내열비닐절연전선
F-CV, HFCO, 전력간선용케이블
전기 및 F-GV 접지선 XII
소방(전기) 22.9kV F-CN/CV 22.9kV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FR-8 소방용내화케이블(소방전원용)
FR-3 소방용내열케이블(소방신호/제어용)
5C, 7C-HFBT TV용 동축케이블
정보통신 UTP CAT5E,6 UTP 통신 케이블(LAN)
F-CVVS 통신제어용 케이블

용어설명

우선 내 우선 외
: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 옥측에서 우선 내 이외의 부분
45˚각도로 그은선 내의 옥측부분으로서, 통상 강우상태에서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

279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전기 공사용 배관배선 자재

자재명 사진 특성 비고

전선 - 옥내배선 비닐 절연전선
(wire) IV, HIV, HFIX 등

1종금속제
옥내 배선 공사시
가요전선관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적합
일반형(EF)

1종금속제
인장력, 압축강도가 우수하며 강도가
가요전선관
요구되는 옥내 배관에 적합
고장력(SF)

1종금속제
가요전선관
외장에 특수 연한 PVC 코팅
표준형 방수
(GW)

1종금속제
SF가요관에 특수 염화비닐 수지를 코팅한
가요전선관
방수형 후렉시
고장력 방수(SW)

주로 외부 노출 시공에 사용하며
강제전선관
외부압력과 기계적 충격이 우려되는 장소에 사용

재료가 가볍고 시공이 용이함


경질비닐전선관
노출, 콘크리트매입용 등 두루 사용가능
(HI-PVC)
중량물의 압력 또는 기계적 충격이 없는 장소에 사용

합성수지제 주로 콘크리트 매설용으로 주로 사용하며 이중천장


가요전선관 내 배관(난연)으로도 사용 가능,
(난연 CD관) 중량물의 압력 또는 기계적 충격이 없는 장소에 사용

파상형
폴리에틸렌
지중 매설관
전선관
(ELP 전선관)

아우트렛박스
(8각, 4각)

스위치박스 배선기구(스위치) 취부용 박스

28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알아두기 전기공사 용어

교육환경개선 단위사업별 용어
공사명 공사내용

전기용량증설 기존 고압에서 용량증설(변압기 교체)

전기승압 저압에서 고압으로 전환(전기실 신설)

수배전반이나 메인분전반에서 각 분기분전반을 가는 전선로


전력간선 교체
또는 수배전반에서 메인분전으로 가는 전선로

조도개선 실내 적정조도가 되도록 개선

연도별 보급목표에 따라 2020년까지 LED 조명으로 100% 교체 또는 설치


LED조명교체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분전반에서 각각의 전기기기나 설비로 가는 전원선


동력설비
(예: 모터류, 기계, 펌프 등 직접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로 가는 동력선)

00전원공급 회로 증설공사

전기 용어
구분 내용

전력(W) 단위 시간당 전달되는 전기에너지

소비전력(kW) 전기기기가 사용하는 전력

최대수요전력(kW) 최대수요전력을 계량할 수 있는 전력량계에 의하여 15분 단위로 누적 계산되는 전력

요금적용전력(kW) 기본요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전력

- 사용한 전기량,
전력량(kWh) - 전기 공급자가 수용가에 전기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단위로 kWh를 사용
예) 1(kW)의 전력을 1시간 사용할 때의 전력량은 1(kWh)

-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도, 단위 룩스(lux)


조도(lx) - 인공조명에 의한 교실, 사무실 등 각 실의 조도기준은 XII
KS A 3011(한국표준협회)에 따름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 저압 : 직류는 750V 이하, 교류는 600V 이하의 전압


전압구분 - 고압 : 직류는 750V 초과, 교류는 600V 초과 ~ 7,000V 이하의 전압
- 특고압(특별고압) : 7,000V 초과하는 전압

Tip
전기기기 및 전력시설물 <내용연수>
품명 내용연수 품명 내용연수
형광등기구 5 배전반 10
투광조명 9 분전반 10
전력용변압기 10 비상조명장치 8

281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제4장 공사시행(발주)

1. 개요

“ 공사 발주 ”

1 2 3 4 5
공사 시행공문 공사 집행계획서 설계도면 설계내역서 공사시방서

2. 관련법규(규정)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77조』공사의 분할계약 금지 관련


『지방자치단체 입찰 및 계약집행기준』동일구조물공사 및 단일공사 관련
『전기공사업법 제11조, 정보통신공사업법 제25조,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1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5조, 폐기물관리법』분리발주 관련

3. 공사 발주 전 확인사항
공사 분리발주 여부 확인
- 동일구조물공사, 단일공사를 수의계약 또는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기위한 목적으로 시기적으로 분할하거나 공사
량을 구조별ㆍ공종별로 분할하여 계약할 수 없음(분할계약 금지 규정)
- 동일구조물공사 : 기능의 상호연결성 및 형태적 일체성을 기준으로 판단
ㆍ기능이 상호 연계되고 일체식인 구조물
ㆍ동일인이 계속 시공함이 적정한 시설물(하자책임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포함)
- 단일공사 : 예산편성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
ㆍ관련 법령에 따라 분리 발주하는 경우에는 공사 각각을 단일공사로 봄
- 전기, 정보통신, 소방공사는 건설공사에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별도 발주

Tip
공사발주(시행) 서류
1. (공사시행) 공문 2. 공사집행계획서(붙임1)
3. 설계도서(붙임2) - 설계도면 - 내역서 - 공사시방서

알아두기
「LED 조명기구 교체 전기공사」 는 정보통신공사가 경미한 공사에 해당되고 소방설비공사가 건축허가등의 미 동의대상 및 미 착공 신고대
상으로 전기공사에 포함하여 공사시행 가능.

282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계약방법 결정[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 통합자료실/ 업무메뉴얼/행 정업무/13.계약) 참조]


수의계약 입찰
구분
1인 견적제출 2인이상 견적제출 제한입찰(지역) 일반입찰
전기 추정 2천만원 초과 8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5억 이상
통신 가격 ~ 8천만원 이하 ~ 5억 미만
소방
공사 방법 단일견적 낙찰하한율 87.745% 적격심사

추정 2천만원 초과
물품 2천만원 이하 3.3억 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제조
구매 낙찰하한율 87.745% 구매:최저가, 제조:적격심사 적격심사
방법 단일견적
* 2천만원 이하 90% (2.1억 미만) (2.1억 이상)

5천만원 초과~ 3.3억 미만


추정 2천만원 초과
2천만원 이하 (건설기술용역 2.1억미만 3.3억 이상
가격 ~ 5천만원 이하
용역 안전진단용역 1.5억미만)

낙찰하한율 87.745%
방법 단일견적 적격심사
* 2천만원 이하 90%

5. 공사감독 방법
공사감독 시 유의사항
- 학교 내 공사 자재류 및 관급자재 반입 시에는 가능한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을 피하여 안전사고 방지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지도·감독하여야 한다.
- 감전사고 방지 및 원할한 공사를 위하여 전기실 및 분전반의 위치를 알려준다.
- 설계도서의 공사 범위 외 직위를 이용한 추가 공사를 시켜서는 안된다.(경기도교육청 학교시설공사 청렴도 하락의 원인)
- 설계도서와 공사의 범위가 변동되는 경우 및 시공 방법이 변경되는 경우 설계변경을 하여야 함(예산 범위 내)
- 설계변경은 준공 전 처리하여 함.
- 배관 및 배선 작업 시는 설계도면과의 일치성을 반드시 확인하여, 준공 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 공사 사전에 교내에 출입하는 작업자 명단을 제출토록 하며, 각 실내 존재하는 파손되기 쉬운 물품, 귀중품 등은 다른 곳
으로 이동보관토록 한다.
- 중간 중간 공사 예정공정표를 확인하여 방학 중 공사가 끝내 수 있도록 공정을 체크한다.
준공시 유의사항
- 공사가 완료되면 기기의 작동 시험을 하도록 하며, 준공 검사는 가급적 개학 전 이루어지도록 하여 개학 시 학생들의 시 XII
설물 사용이 원활하게 한다. (필증이 교부되는 공사일 경우 필증교부 전 사용불가)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 공사원가 계산서 상에 계상되어 있는 근로자를 위한 4대 보험료는 미납부 시 정산하며 및 안전관리비는 계상된 금액을
미 사용 시 미 사용된 금액을 반드시 정산하여야 한다.
※ 4대 보험
1. 산재보험료 2. 고용보험료
3. 건강보험료 4. 연금보험료, 노인장기보험료

Tip
준공사 유의사항 안전관리비
- 4대 보험 납입 확인 - 총 공사금액 4천만원 이상 시
- 정산방법은 건축공사 참조 ※ 총공사금액 : 도급금액+도급자관급금액

283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6. 하자담보책임기간(교육연구시설)
- 전기공사업법 시행령 별표3의2 “그 밖의 전기설비공사”
-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제37조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제6조

구분 기간

전기공사 1년

정보통신공사 1년

피난기구,유도등,유도표지,비상경보설비,비상조명등,비상방송설비 및 무
2년
선통신보조설비
소방설비공사 자동소화장치,옥내소화전설비,스프링클러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물분
두등소화설비,옥외소화전설비,자동화재탐시설비,상수도소화용수설비 및 3년
소화활동설비(무선통신보조설비는 제외)

284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감리용역 전기

1. 감리원의 업무 범위
관계법령 : 전력기술관리법 제23조 및 시행규칙 제22조,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1) 공사계획의 검토
2) 공정표의 검토
3) 발주자·공사업자 및 제조자가 작성한 시공설계도서의 검토·확인
4) 공사가 설계도서의 내용에 적합하게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5) 전력시설물의 규격에 관한 검토·확인
6) 사용자재의 규격 및 적합성에 관한 검토·확인
7) 전력시설물의 자재 등에 대한 시험성과에 대한 검토·확인
8) 재해예방대책 및 안전관리의 확인
9) 설계 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확인
10) 공사 진행 부분에 대한 조사 및 검사
11) 준공도서의 검토 및 준공검사
12) 하도급의 타당성 검토
13) 설계도서와 시공도면의 내용이 현장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와 시공 가능성 등에 관한 사전 검토
14) 그 밖에 공사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2. 감리용역 대상
관계법령 : 전력기술관리법 제12조 및 동법 시행령 제20조
1. 「전기사업법」 제61조 및 제62조에 따른 공사계획의 인가 또는 신고 대상인 보수 공사
2. 총 공사비 5천만원 이상인 전력시설물의 보수공사와 함께 시행되는 보수공사(의무)
3. 전기수용설비의 증설 또는 변경공사로서 총공사비 5천만원 이상(의무)
4.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설치·변경공사로서 총공사비 1억원 이상(의무)
기술력보완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소규모 공사 시행 시에도 감리자 지정가능
[학교시설공사 집행방법 개선방안- 관련 : 시설과-10980(2017.10.11.)]

Tip
“전기설비”의 종류 -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 일반용 전기설비 - 자가용 전기설비 XII
“전기사업용전기설비”란 전기설비 중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에 사용하는 전기설비를 말함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일반용전기설비”란 소규모의 전기설비로서 한정된 구역에서전기를 사용하기위해 설치하는 전기설비


“자가용전기설비”란 전기사업용전기설비 및 일반용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를 말함

용어설명

일반용전기설비의 범위[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


① 일반용전기설비
1.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75kW 미만의 전력을 수전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2.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kW 이하인 발전설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의 전기설비는 일반용전기설비로 보지 아니함
1.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자가 그 자가용전기설비의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2.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3.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285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3. 감리 제외대상
관계법령 : 전력기술관리법 제12조
1.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관 또는 단체가 시행하는 전력시설물 공사로서
그 소속 직원 중 감리원 수첩을 발급받은 사람에게 감리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공사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규모 또는 특수시설물 공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규모 또는 특수시설물 공사


1. 일반용전기설비의 전력시설물공사
2. 임시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력시설물공사
3. 군사시설 내의 전력시설물공사
4. 「소방시설공사업법」에 따른 비상전원ㆍ비상조명등 및 비상콘센트설비 공사
5. 전기사업용전기설비 중 인입선 및 저압배전설비 공사
6. 전기사업자가 시행하는 전력시설물공사로서 그 소속 직원 중 감리원 수첩을 발급받은 사람에게 법 제12조의2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감리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공사
7. 전기안전관리자에게 감리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공사
가.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설치ㆍ변경 공사로서 총공사비가 1억원 미만인 공사
나. 전기수용설비의 증설 또는 변경 공사로서 총공사비가 5천만원 미만인 공사
8. 전기사업자가 시행하는 총도급공사비 5천만원 미만인 전력시설물공사로서 소속 전력 기술인에게 공사감리업무
를 수행하게 하는 공사
9. 전력시설물 중 토목ㆍ건축 및 기계 부문의 설비 공사
10. 발전기 또는 전압 600볼트 이상의 변압기ㆍ차단기ㆍ전선로의 용량 변경을 가져오지 아니하는 전력시설물의 보수 공사.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보수 공사는 제외한다.
가. 「전기사업법」 제61조 및 제62조에 따른 공사계획의 인가 또는 신고 대상인 보수 공사
나. 전압 600볼트 미만인 전력시설물의 보수 공사로서 「전기사업법」에 따른 자가용전기설비 중 총공사비 5천
만원 이상인 전력시설물의 보수 공사와 함께 시행되는 보수 공사

4. 대가산정
관계법령 : 전력기술관리법 제12조의2 및 전력기술관리법 운영요령 제24조, 제25조에 의한 전력시설물
공사 감리원 배치기준 적용

Tip
“전기설비”의 종류 -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 일반용 전기설비 - 자가용 전기설비
“전기사업용전기설비”란 전기설비 중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에 사용하는 전기설비를 말함
“일반용전기설비”란 소규모의 전기설비로서 한정된 구역에서전기를 사용하기위해 설치하는 전기설비
“자가용전기설비”란 전기사업용전기설비 및 일반용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를 말함

용어설명

일반용전기설비의 범위[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


① 일반용전기설비
1.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75kW 미만의 전력을 수전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2.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kW 이하인 발전설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의 전기설비는 일반용전기설비로 보지 아니함
1.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자가 그 자가용전기설비의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설비
2.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3.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kW 이상의 전기설비

286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감리용역 소방

1. 감리용역 업무수행 범위
관계법령 : 전전력기술관리법 제23조 및 시행규칙 제22조,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1) 소방시설등의 설치계획표의 적법성 검토
2) 소방시설등 설계도서의 적합성 검토
3) 소방시설등 설계 변경 사항의 적합성 검토
4) 소방용품의 위치·규격 및 사용 자재의 적합성 검토
5) 공사업자가 한 소방시설등의 시공이 설계도서와 화재아넌기준에 맞는지에 대한 지도·감독
6) 완공된 소방시설등의 성능시험
7)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 상세 도면의 적합성 검토
8)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적법성 검토
9) 실내장식물의 불연화와 방염 물품의 적법성 검토

2. 감리용역 대상
관계법령 :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7조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하여 “자동화재탐지설비, 옥내소


화전설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방시설을 시공할 때”에는 감리 배치(의무)
[자동화자탐지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소방시설을 시공할 때]
1. 옥내소화전설비를 신설ㆍ개설 또는 증설할 때
2. 스프링클러설비등(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제외한다)을 신설ㆍ개설하거나 방호ㆍ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3.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 방식의 소화설비는 제외한다)를 신설ㆍ개설하거나 방호ㆍ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4. 옥외소화전설비를 신설ㆍ개설 또는 증설할 때
5.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경계구역을 증설할 때
6. 통합감시시설을 신설 또는 개설할 때
7. 소화용수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8. 다음 각 목에 따른 소화활동설비에 대하여 각 목에 따른 시공을 할 때
가. 제연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제연구역을 증설할 때
나. 연결송수관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다. 연결살수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송수구역을 증설할 때 XII
라. 비상콘센트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전용회로를 증설할 때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마.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신설 또는 개설할 때
바. 연소방지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살수구역을 증설할 때

용어설명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 : 수신반, 중계기, 발신기, 감지기, 경보장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함
경계구역 기준
ㆍ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ㆍ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500㎡ 이하의 범위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ㆍ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ㆍ계단·경사로·엘리베이터 승강로·린넨슈트·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되,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지하1층 제외)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하여야 한다.

287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3. 대가산정 기준

가. 배치기준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7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제9조(소방공사감리의종류와 방법및대상) 및 별표[3]
[소방공사감리의 종류, 방법및대상]

종류 대상 방법

1. 연면적 3만㎡ 이상
상주 공사감리 상주
2. 16층 이상 500세대이상 아파트

일반 공사감리 상주 공사감리 대상 외 주 1회 이상

ㆍ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제11조(소방공사감리원의 배치기준) 및 별표[4]


[소방공사 감리원의 배치기준]

감리원 배치기준 시방시설공사 현장의 기준

중급감리원 이상 소방공사 감리원 연면적 5천㎡ 이상 3만㎡ 미만

초급감리원 이상 소방공사 감리원 연면적 5천㎡ 미만

나. 대가적용 기준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5조(소방기술용역의 대가 기준)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제21조(소방기술용역의 대가 기준 산정방식)
- 엔지니어링사업의 대가기준에 의한 실비정액 가산방식으로 산정

질문
Q 장애인승강기 증축 시 소방감리를 왜 주는지? 공사비보다 감리비가 더 많이 나와요?
A 승강기 증축 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이 증설되므로 감리가 선정되어야 함

288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4. 감리용역 산출서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Tip

감리용역 품의하기 및 공문서, 검수조서 작성은 건축공정과 동일

289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감리용역 정보통신

1. 감리용역 업무수행 범위
1)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
2)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사세도면의 검토·확인
4) 공사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에 적합하게 행하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
5) 공사 진척부분에 대한 조사 및 검사
6) 사용자재의 규격 및 적합성에 관한 검토·확인
7) 재해예방대책 및 안전관리의 확인
8)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확인
9) 하도급에 대한 타당성 검토
10) 준공도서의 검토 및 준공확인

2. 감리대상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제8조]


발주자는 용역업자에게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함
다만, 아래의 공사는 예외함
- 전기통신사업자가 역무를 제공하기 위한 공사로서 총 공사금액 1억원 미만공사
- 철도,도로,항만등 설비의 정보제어, 안전,재해예방 및 운용·관리를 위한공사로서 총 공사금액이 1억원 미만 공사
- 6층 미만으로서 연면적 5,000㎡ 미만 건축물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설비 설치공사

3. 감리 배치 및 대가기준 [정보통신공사업법 제8조 및 시행령 제11조]

가. 배치기준
감리업무 총괄자 현장 상주 배치(공사중단 기간은 제외)
공사규모별 감리원 배치

구분 5억원 미만 5~30억원 30~70억원 70~100억원 100억원 이상

기술자 등급 초급 중급 고급 특급 기술사

나. 대가적용 기준
엔지니어링사업의 대가기준에 의한 실비정액가산방식/공사비요율 산정

용어설명

감리란? 공사에 대하여 발주자의 위탁을 받은 용역업자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의 감독, 품질관리·시공관리 및 안전관리
에 대한 지도 등에 관한 발주자의 권한을 대행하는 것

290
예산수립단계 설계단계 시공단계 준공단계

정보통신공사(사용전검사제도)

1. 사용전검사제도

가. 제도개요
사전용검사는 공사완공 이후 구내통신선로설비 등의 공사가 관련기술기준 등에 적합하게 설치 되었는
지를 검사하는 제도
검사권자 : 시장, 군수, 구청장

나. 사용전검사 범위 및 기준 [정보통신공사업법 제 36조 및 시행령 제35조]


대상공사 : 구내통신선로설비, 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 방송공동수신설비
※ 방송공동수신설비 : 종합유선방송구내전송선로설비+방송공동수신안테나시설
사용전검사대상에서 제외되는 공사
- 감리를 실시한 공사
- 연면적 150㎡ 이하인 건축물
- 건축법 제14조에 따라 신고대상 건축물에 설치되는 공사
검사기준
-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
- 단말장치 기술기준
- 접지설비·구내통신설비·선로설비 및 통신공동구 등에 대한 기술기준
- 유선방송국설비 등에 관한 기술기준
- 방송공동수신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고시

2. 하자담보책임기간
터널식 또는 개착식등의 통신구 공사 : 5년
전기통신기본법 제2조제4호의 규정에 의한 사업용전기통신설비중 케이블 설치공사 (구내에서 시공되
는 공사 제외), 관로공사, 철탑공사, 교환기설치공사, 전송설비공사, 위성통신설비공사 : 3년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기타공사 : 1년

291
별표1 [시행 2012.2.8]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23호, 2012.2.8, 일부개정]

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 불가내역

항목 사용불가내역

1. 안전관리자 등의 가. 안전ㆍ보건관리자의 인건비 등


인건비 및 각종 1) 안전ㆍ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전담하지 않는 경우
업무 수당 등 2)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선임 신고하지 아니한 경우
(제7조제1항제 3) 영 제14조 또는 제18조의 자격을 갖추지 아니한 경우
1호 관련) ※ 선임의무가 없는 경우에도 실제 선임ㆍ신고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음(법상 의무
선임자 수를 초과하여 선임ㆍ신고한 경우, 도급인이 선임하였으나 하도급 업체에
서 추가 선임ㆍ신고한 경우, 재해예방전문기관의 기술지도를 받고 있으면서 추가
선임ㆍ신고한 경우를 포함한다)
나. 유도자 또는 신호자의 인건비
1) 시공, 민원, 교통, 환경관리 등 다른 목적을 포함하는 등 아래 세목의 인건비
가) 공사 도급내역서에 유도자 또는 신호자 인건비가 반영된 경우
나) 타워크레인 등 양중기를 사용할 경우 자재운반을 위한 유도 또는 신호의 경우
다)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하여 사업장 주변 교통정리, 민원 및 환경 관리 등의 목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 도로 확ㆍ포장 공사 등에서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유도자 또는 신호자, 공사현
장 진ㆍ출입로 등에서 차량의 원활한 흐름 또는 교통 통제를 위한 교통정리 신호수 등
다. 안전ㆍ보건보조원의 인건비
1) 전담 안전ㆍ보건관리자가 선임되지 아니한 현장의 경우
2) 보조원이 안전ㆍ보건관리업무 외의 업무를 겸임하는 경우
3) 경비원, 청소원, 폐자재 처리원 등 산업안전ㆍ보건과 무관하거나 사무보조원(안전보
건관리자의 사무를 보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인건비

2. 안전시설비 등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해 공사현장에 설치하는 시설물, 장치, 자재, 안내ㆍ주의ㆍ경고 표지


(제7조제1항 등과 공사 수행 도구ㆍ시설이 안전장치와 일체형인 경우 등에 해당하는 경우 그에 소요되는
제2호 관련) 구입ㆍ수리 및 설치ㆍ해체 비용 등
가. 원활한 공사수행을 위한 가설시설, 장치, 도구, 자재 등
1) 외부인 출입금지,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울타리
2) 각종 비계, 작업발판, 가설계단ㆍ통로, 사다리 등
※ 안전발판, 안전통로, 안전계단 등과 같이 명칭에 관계없이 공사 수행에 필요한 가시
설들은 사용 불가
- 다만, 비계ㆍ통로ㆍ계단에 추가 설치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난간, 사다리 전도방지
장치, 틀비계에 별도로 설치하는 안전난간ㆍ사다리, 통로의 낙하물방호선반 등은
사용 가능함
3) 절토부 및 성토부 등의 토사유실 방지를 위한 설비
4) 작업장 간 상호 연락, 작업 상황 파악 등 통신수단으로 활용되는 통신시설ㆍ설비
5) 공사 목적물의 품질 확보 또는 건설장비 자체의 운행 감시, 공사 진척상황 확인, 방법
등의 목적을 가진 CCTV 등 감시용 장비
나. 소음ㆍ환경관련 민원예방, 교통통제 등을 위한 각종 시설물, 표지
1) 건설현장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시설, 분진망 등 먼지ㆍ분진 비산 방지시설 등
2) 도로 확ㆍ포장공사, 관로공사, 도심지 공사 등에서 공사차량 외의 차량유도, 안내ㆍ주
의ㆍ경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교통안전시설물
※ 공사안내ㆍ경고 표지판, 차량유도등ㆍ점멸등, 라바콘, 현장경계휀스, PE드럼 등

292
항목 사용불가내역

2. 안전시설비 등 다. 기계ㆍ기구 등과 일체형 안전장치의 구입비용


(제7조제1항 ※ 기성제품에 부착된 안전장치 고장 시 수리 및 교체비용은 사용 가능.
제2호 관련) 1) 기성제품에 부착된 안전장치
※ 톱날과 일체식으로 제작된 목재가공용 둥근톱의 톱날접촉예방장치, 플러그와 접지
시설이 일체식으로 제작된 접지형플러그 등
2) 공사수행용 시설과 일체형인 안전시설
라. 동일 시공업체 소속의 타 현장에서 사용한 안전시설물을 전용하여 사용할 때의 자재비
(운반비는 안전관리비로 사용할 수 있다)

3. 개인보호구 및 안 근로자 재해나 건강장해 예방 목적이 아닌 근로자 식별, 복리ㆍ후생적 근무여건 개선ㆍ향
전장구 구입비 등 상, 사기 진작, 원활한 공사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다음 장구의 구입ㆍ수리ㆍ관리 등에 소요
(제7조제1항 되는 비용
제3호 관련) 가. 안전ㆍ보건관리자가 선임되지 않은 현장에서 안전ㆍ보건업무를 담당하는 현장관계자용
무전기, 카메라, 컴퓨터, 프린터 등 업무용 기기
나. 근로자 보호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피복, 장구, 용품 등
1) 작업복, 방한복, 면장갑, 코팅장갑 등
2)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보냉ㆍ보온장구(핫팩, 장갑, 아이스조끼, 아이스팩
등을 말한다) 구입비
※ 다만, 혹한ㆍ혹서에 장기간 노출로 인해 건강장해는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경우 특정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기능성 보호 장구는 사용 가능함
3) 감리원이나 외부에서 방문하는 인사에게 지급하는 보호구

4. 사업장의 다른 법 적용사항이거나 건축물 등의 구조안전, 품질관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등의 다음과


안전진단비 같은 점검 등에 소요되는 비용
(제7조제1항 가.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른 안전점검 및 검사, 차량계 건설기계의 신규등록ㆍ정기ㆍ구조변
제4호 관련) 경ㆍ수시ㆍ확인검사 등
나.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안전대행 등
다. 「환경법」에 따른 외부 환경 소음 및 분진 측정 등
라. 민원 처리 목적의 소음 및 분진 측정 등 소요비용
마. 매설물 탐지, 계측, 지하수 개발, 지질조사, 구조안전검토 비용 등 공사 수행 또는 건축물
등의 안전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경우
바. 공사도급내역서에 포함된 진단비용
사. 안전순찰차량(자전거, 오토바이를 포함한다) 구입ㆍ임차 비용
※ 안전ㆍ보건관리자를 선임ㆍ신고하지 않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안전순찰차량의 유류 XII
비, 수리비, 보험료 또한 사용할 수 없음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5. 안전보건교육비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보건교육,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행사와 무관한 다음과 같은


및 행사비 등 항목에 소요되는 비용
(제7조제1항 가. 해당 현장과 별개 지역의 장소에 설치하는 교육장의 설치ㆍ해체ㆍ운영비용
제5호 관련) ※ 다만, 교육장소 부족, 교육환경 열악 등의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현장 내에 교육장 설
치 등이 곤란하여 현장 인근지역의 교육장 설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용 가능
나. 교육장 대지 구입비용
다. 교육장 운영과 관련이 없는 태극기, 회사기, 전화기, 냉장고 등 비품 구입비

293
항목 사용불가내역

5. 안전보건교육비 라. 안전관리 활동 기여도와 관계없이 지급하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품)


및 행사비 등 1) 일정 인원에 대한 할당 또는 순번제 방식으로 지급하는 경우
(제7조제1항 2) 단순히 근로자가 일정기간 사고를 당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지급하는 경우
제5호 관련) 3) 무재해 달성만을 이유로 전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경우
4) 안전관리 활동 기여도와 무관하게 관리사원 등 특정 근로자, 직원에게만 지급하는 경우
마. 근로자 재해예방 등과 직접 관련이 없는 안전정보 교류 및 자료수집 등에 소요되는 비용
1) 신문 구독 비용
※ 다만, 안전보건 등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전문적, 기술적 정보를 60% 이상 제공하
는 간행물 구독에 소요되는 비용은 사용 가능
2) 안전관리 활동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비용
3) 정보교류를 위한 모임의 참가회비가 적립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
바. 사회통념에 맞지 않는 안전보건 행사비, 안전기원제 행사비
1) 현장 외부에서 진행하는 안전기원제
2) 사회통념상 과도하게 지급되는 의식 행사비(기도비용 등을 말한다)
3) 준공식 등 무재해 기원과 관계없는 행사
4) 산업안전보건의식 고취와 무관한 회식비
사.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보건교육 강사 자격을 갖추지 않은 자가 실시한 산업안전
보건 교육비용

6. 근로자의 근무여건 개선, 복리ㆍ후생 증진 등의 목적을 가지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소요되는 비용


건강관리비 등 가. 복리후생 등 목적의 시설ㆍ기구ㆍ약품 등
(제7조제1항 1) 간식ㆍ중식 등 휴식 시간에 사용하는 휴게시설, 탈의실, 이동식 화장실, 세면ㆍ샤워시설
제6호 관련)
※ 분진ㆍ유해물질사용ㆍ석면해체제거 작업장에 설치하는 탈의실, 세면ㆍ샤워시설 설
치비용은 사용 가능
2) 근로자를 위한 급수시설, 정수기ㆍ제빙기, 자외선차단용품(로션, 토시 등을 말한다)
※ 작업장 방역 및 소독비, 방충비 및 근로자 탈수방지를 위한 소금정제 비용은 사용 가능
3) 혹서ㆍ혹한기에 근로자 건강 증진을 위한 보양식ㆍ보약 구입비용
※ 작업 중 혹한ㆍ혹서 등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간이 휴게시설 설치ㆍ해
체ㆍ유지비용은 사용 가능
4) 체력단련을 위한 시설 및 운동 기구 등
5) 병ㆍ의원 등에 지불하는 진료비, 암 검사비, 국민건강보험 제공비용 등
※ 다만, 해열제, 소화제 등 구급약품 및 구급용구 등의 구입비용은 사용 가능
나. 파상풍, 독감 등 예방을 위한 접종 및 약품(신종플루 예방접종 비용을 포함한다)
다. 기숙사 또는 현장사무실 내의 휴게시설 설치ㆍ해체ㆍ유지비, 기숙사 방역 및 소독ㆍ방
충비용
라. 다른 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실시해야하는 건강검진 비용 등

8. 본사 사용비 가. 본사에 제7조제4항의 기준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만을 전담하는 부서가 조직되어 있지 않


(제7조제1항 은 경우
제6호 관련) 나. 전담부서에 소속된 직원이 안전보건관리 외의 다른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

294
별표2 (건설산업기본법 시행규칙 별표 16)

환경보전비 산출기준

환경보전비 산출기준(제53조제3항 관련)

1. 환경보전비의 산출기준
가. 건설공사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드는 비용(이하 “환경보전비”라 한다)은 표준품셈
등 원가계산에 따라 산출하여 해당 건설공사의 명세서에 각 항목별로 명시한다.
1) 환경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손료(損料)는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하되, 산출방식을 별도로 정
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방식에 따른다.
(상각률+수리율)×설비가격
×설비가동시간
연간표준설비가동시간×내용연수
※ 상각률, 수리율은 표준품셈에 따르되, 표준품셈에 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주자가 해당 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한다.
※ 설비가격은 구입 가격을 말한다.
※ 연간표준설비가동시간은 표준품셈에 따르되, 그 밖의 경우 1천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 내용연수는 기계류는 5년, 유리류 및 금속류는 3년으로 한다.
2) 재료비는 정부가 공인한 물가조사기관에서 조사ㆍ공표한 가격을 적용하고, 노무비는 「통계법」 제3조에 따라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가 조사ㆍ공표하는 노임단가를 적용하며, 전력, 상수도 등 공공요금
은 정부가 고시하는 금액을 적용한다.
3) 환경관리와 관련한 시험검사비, 교육훈련비, 홍보물제작비 등 환경보전비를 항목별로 명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의 1), 2)의 합계액의 12% 상당액을 기타 환경보전비로 계상할 수 있다.

나. 환경보전비를 표준품셈 등 원가계산에 따라 산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직접공사비에 다음의 요율을 적용하
여 계상할 수 있다.
1) 도로 : 0.9% 이상
2) 플랜트 : 0.4% 이상
3) 지하철 : 0.5% 이상
4) 철도 : 1.5% 이상
5) 상하수도 : 0.5% 이상
6) 항만 : 0.8% 이상 또는 1.8% 이상(오탁방지막 또는 준설토 방지막을 설치하는 경우) XII
7) 댐 : 1.1% 이상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8) 택지개발 : 0.6% 이상
9) 주택(재개발 및 재건축) : 0.7% 이상
10) 주택(신축) : 0.3% 이상
11) 9), 10) 외 건축 : 0.5% 이상

다. 건설공사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방지시설은 다음의 시설과 그 밖에 환경 관련 법령에 규정된 시설을 말한다.


1) 비산먼지 : 세륜시설, 살수시설, 살수차량, 방진덮개, 방진벽, 방진망(막), 진공청소기, 간이칸막이, 이송설비 분
진억제시설, 집진시설(이동식, 분무식), 기계식 청소장비

295
2) 소음ㆍ진동: 방음벽, 방음막, 소음기, 방음덮개, 방음터널, 방음림, 방음언덕, 흡음장치 및 시설, 탄성지지시설,
제진시설, 방진구시설, 방진고무, 배관진동절연장치 및 시설
3) 폐기물 : 소각시설, 쓰레기슈트, 폐자재 수거박스, 폐기물 보관시설(덮개, 배수로), 건설오니 처리시설, 브레이
커, 폐기물 선별기
4) 수질오염 : 오폐수처리시설, 가배수로, 임시용 측구, 절성토면 비닐덮개, 침사 및 응집시설, 오탁방지막, 오일펜
스, 유화제, 흡착포, 단독정화조, 이동식 간이화장실

2.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비의 산출기준


가. 건설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에 드는 비용(이하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비”라 한다)은 폐
기물의 예상발생량을 실측하여 산출하거나 표준품셈에 따라 산출할 수 있으며, 폐기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다음
비용 중 필요한 비용을 반영하여야 한다.
1) 수집ㆍ운반비
폐기물의 분리수거, 중간처리 또는 최종처리를 위하여 수집ㆍ운반하는 데에 드는 비용으로서 표준품셈에 따라
산출한다.
2) 중간처리비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분리ㆍ선별ㆍ파쇄ㆍ압축ㆍ중화ㆍ탈수ㆍ고형화 등의 처리를 하는 데에 드는 비용
으로서 원가계산 또는 표준품셈에 따라 산출한다.
3) 최종처리비
폐기물을 직접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중간처리 후 잔여폐기물을 매립ㆍ소각 등 최종처리하는 데에 드는 비용(운
반비는 제외한다)으로서 매립의 경우에는 지역별 매립지 반입단가를 적용하여 산출한다. 이 경우 잔여폐기물
발생량은 건설공사현장의 여건과 폐기물의 성상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나. 위의 방법으로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비를 산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운반거리, 폐기물의 성질ㆍ상태, 지역


여건 및 정부가 공인한 물가조사기관에서 조사ㆍ공표한 가격 등을 고려하여 발주청이 고시한 기준에 따라 그 비
용을 산출한다.

3. 그 밖의 사항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는 건설공사현장의 환경보전에 필요한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추가로 설치한 경우
에는 감리원 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그 비용의 추가 계상을 발주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주자는 그
내용을 확인하고 설계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96
별표3

환경보전비 적용 대상·비대상 비교자료

적용대상 비적용대상

■ 환경보전시설 설치 및 운영비용 ● 청소도구 구입


·살수차량이나 물탱크 구입비 및 임대료 - 빗자루, 쓰리받이, 삽 등
·비상먼지방지 분진막 설치비 및 임대료 ● 쓰레기 봉투
·이동식 간이화장실 설치비 및 임대료 ● 마대(단순 쓰레기 처리용)
·집진시설 설치비 및 임대료
● 진공청소기 구입비(단순 청소용)
·가설방음벽 설치비 및 임대료
·세륜시설 설치비 및 임대료
● 순환골재

·고압분무기 및 고압살수시설 ● 폐기물 처리비


·가설사무소용 오수정화시설 ● EGI 휀스(추락방지용)
·부직포(방진덮개용) ● 부직포(일반용)
※ 환경오염방지시설은 환경관련법령에 규정된 시설
● 가설사무실 청소인건비
● 준공청소 및 현장관리 청소 인건비

■ 환경계측비용
● 마스크, 장갑(단순 청소용)
·환경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위탁측정비용 ※ 폐기물처리비 및 환경보전비는 엄격히 분리되어 있음
※ 공사현장에 적치된 폐기물 관리에 필요한 시설은 환
경보전비 적용 가능
■ 환경자료 및 홍보물 구입비용
·환경법규 및 홍보자료 구입비용 및 환경홍보용 게시
물 및 플래카드 설치비용 증빙서류

1) 각 지출금액의 세금계산서 사본, 무통장 입금증 사본,


■ 환경관련 인건비
영수증 사본, 증빙사진
·살수차량등 환경보전시설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인건비

2) 인건비의 경우 지급명세서 사본, 신분증 사본, 증빙사진


■ 환경교육에 필요한 비용
·환경관리인 교육 및 현장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 XII
교육 비용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3) 교육의 경우 교육사진

4) 교육훈련비용의 경우 교육수료증 사본

※ 건설기술관리법 제26조의5제3항, 동법시행규칙 제28조의2제1항제2호


및 동법시행규칙 별표 16을 근거로 국토해양부 질의회신을 참고하여 작성한 자료임

297
국토해양부 질의 회신 요약

적용
질의내용 국토해양부 회신내용
여부
쓰레기봉투, 빗자루, 진공청소기
환경관련 법령에 규정된 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
등 청소에 필요한 도구 구입비용 ▶ X
는 비용으로 볼 수 없음
적용가능 여부

현장주변 청소와 관련된 청소 인 환경관련 법령에 규정된 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요되


▶ X
건비의 환경보전비 적용가능 여부 는 비용으로 볼 수 없음

현장에서 환경관리 전담인력 배


환경관리자는 법령에 의한 의무배치 인원이 아니며, 현
치하여 전검 모니터링, 교육 폐기
▶ 장의 환경관리에 필요한 인건비는 간접노무비에 계상된 X
물 저감활동 등 업무를수행한 경
것으로 판단
우 적용가능 여부

환경보전비를 폐기물처리비로 사 건설공사 원가계산시 폐기물처리비와 환경보전비는 별


▶ X
용가능 여부 도비목으로 계상토록 되어 있음

간이화장실의 환경보전비 적용가 환경오염(수질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소용되


▶ ○
능 여부 는 비용으로 볼 수 있음

건설기술 관리법 시행규칙(별표16)에 의한 손료 산출


건설공사 현장에서 환경오염 방
방식에 의한 정산 가능
지시설 설치시 구매 또는 임대료 ▶ ○
※손료산출 = (상각률+수리율)×구입가격×설비가동시간
의 적용가능 여부
÷(연간표준설비가동시간×내용연수)

환경오염 방지시설 설치 위치가


환경오염 방지시설의 설치목적이 당해공사로 인하여 설
공사장 부지 경계를 넘어선 경우 ▶ ○
치되었을 경우 정산 가능
적용가능 여부

환경보전비 정산시 계약내역서에 계약서류(입찰유의서, 공사시방서, 계약일반 및 특수조


반영된 금액보다 클 경우 설계변 ▶ 건)에 의하여 정산하고 비용의 추가계상 등이 필요할 때 ○
경 가능 여부 설계변경 증액 가능

환경보전비를 직접공사비에 대한
요율로 산출 계약된 공사로, 계약 공사착공후 계약된 환경보전비 사용계획(오염방지시설
상 명시되지 않은 오염방지시설 ▶ 의 종류,규격,물량,사용기간,정산방법 등)을 제출하여 ○
설치시 환경보전비로 정산가능 승인 받은 후 설치하고 사용실적에 따라 정산가능
여부

단순 부직포 사용은 적용 불가 X
부직포를 비산먼지 방지시설로 비산먼지 방지시설 중 부직포는 명시되어 었지 않지만

적용 가능여부 방진덮개는 명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부직포가 방진덮개 ○
의 대용으로 사용된 경우 적용 가능

단순 EGI휀스 사용은 적용 불가(추락방지용) X


EGI휀스를 환경보전비로 적용 가
▶ 환경오염 방지시설 중 EGI휀스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
능여부 ○
만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 가능

298
별표4

어린이활동공간 관리기준

1. 목적
● 「환경보건법」제23조('09.3.22 시행)에 따라 어린이 활동공간의 위해성 관리업무 신설
● 동법 시행령 제22조에 따라 교육감에게 권한 위임된 어린이활동공간 시설의 개선 또는 환경안전관리기준의 준수
명령 등 관련 업무수행에 필요한 방법과 절차를 정하여 행정업무의 효율화 도모

2. 관련근거
● 관련법령 : 「환경보건법 제23조 및 동법시행령 제15조, 제16조」
● 「환경보건법 시행령」 제15조 : 위해성 관리 대상 어린이 활동공간의 범위
※ 어린이 활동공간 : 어린이 놀이시설, 유치원의 교실, 초등학교의 교실, 특수학교의 교실 중 어린이가 사용하는 교실
● 「환경보건법 시행령」 제16조 : 어린이활동공간 시설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가 지켜야 할 ‘환경안전관리기준’

3. 지도점검 항목 및 내용
● 환경관리기준의 점검항목 및 주요내용(시행령 제16조 제1항(별표2))

① 사용재료(활동공간의 고정시설 및 바닥, 벽체, 천정 등에 사용하는 재료)


표면이 부식·노화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거나, 유해물질이 일정 함량 이하인 도료·마감재료를 사용하여 부
식·노화되지 않도록 관리
② 도료 및 마감재
납, 수은, 카드뮴 및 6가크롬 등 유해물질이 일정 함량 이하(0.05%)인 제품 및 실내공기 오염물질 방출량이
일정 기준에 적합한 제품
③ 목재 방부제
크레오소트유, 비소, 6가크롬 등 유해물질 함유 방부처리 목재 사용금지
④ 합성고무 바닥재
납, 카드뮴, 수은 및 6가크롬이 일정 함량(0.1%) 이하인 표면재료 사용
⑤ 바닥재료 사용하는 모래 등 토양
납, 카드뮴, 6가크롬, 수은, 비소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도록 관리
⑥ 시설 및 바닥재
해충이나 미생물이 서식하지 않도록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바에 따라 위생적으로 관리

XII
4. 시설소유자 업무절차 및 추진사항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 환경안전기준 준수여부에 대해『환경보건법』 제23조의2 규정에 따라 지정된 시험검사기관(국립환경과학원장이


공고한 시험ㆍ검사기관)에 의뢰하여 지도 점검표를 작성ㆍ비치
● 현장에서 시료채취가 가능한 경우 채취한 시료와 함께 시험ㆍ분석 의뢰
● 현장에서 시료채취가 곤란하거나 시험ㆍ분석기관의 현장 확인이 필요한 사항은 시료채취 및 현장확인 등 의뢰
● 시험·검사기관으로부터 결과를 통보받아 적합여부 확인
● 확인결과 적합한 경우에는 기준적합으로 종료
● 확인결과 부적합한 경우 행정명령 미준수로 환경보건법 제31조에 따라 조치하고 환경안전관리기준 준수를 재명령

299
별표5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법률 제7조제1항 및 동법시행령 제10조제1항 관련)

학교시설안전관리기준

분야 안전기준

건축물 1. 건축물 주변 : 학생들의 등·하교 길에 안전한 보행과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


여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차량이 통행하는 교문 및 도로에는 보행로와 차도를 구분한다.
나.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경계 턱이나 가드레일(guardrail) 등을 설치한다.

2. 교실바닥
가. 교실바닥은 튀어나온 부분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나. 환기구, 시스템박스 등을 설치할 경우 주변 바닥과 같은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3. 교실벽
가. 칠판을 설치하는 벽면은 칠판이 떨어지거나 엎어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나. 석고보드 등의 건식 벽체, 이동식 벽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칠판 등의 부착물을 붙일 수 있
도록 보강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
다. 교실에 노출되는 벽 모서리나 기둥 모서리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한다.
라. 경계벽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붕 밑 또는 바로 상부 층의 바닥판까지 닿게 하여야 한다.

4. 교실문
가. 교실문은 될 수 있는 대로 미닫이 구조로 하여야 하며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교실문의 유효 폭은 90㎝ 이상으로 한다.
2) 미닫이 구조로 할 경우에는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3) 미닫이 구조 문의 바닥 레일 부분은 튀어나오지 아니하도록 한다.
나. 교실문을 여닫이 구조로 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반대편이 보일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고정된 유리창을 설치한다.
2) 도어체크(문이 자동으로 천천히 닫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문이 닫
히는 시간을 여유 있게 한다.
3) 피난 방향으로 열려야 한다.
다. 피난로에 있는 모든 문은 열었을 때 피난에 장애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5. 교실 창호
가. 내부 창호를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창호의 틀 두께는 벽체의 두께와 같거나 더 얇게 한다.
2) 유리는 강도가 충분한 것을 사용한다.
나. 외부 창호를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창호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2) 외부 창호가 바닥보다 아래에 설치되거나 커튼월(칸막이 구실만 하고 하중을 지지하지 아니하
는 바깥벽을 말한다)로서 바닥까지 유리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안전시설을 설치한다.

6. 특별교실
가. 화학약품을 사용하거나 인화성 물질을 사용하는 특별교실은 바닥 표면을 내화학성(耐化學
性)을 지닌 제품이나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난연재료(難燃材料) 이상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나. 특별교실과 준비실 사이에는 교사가 관리할 수 있도록 창을 두어야 하며 위험성이 있는 실험
재료나 기구 등은 준비실에 교사가 관리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300
분야 안전기준

7. 복도
가. 복도와 교실(특별교실을 포함한다) 등의 바닥은 높이 차이를 두지 말아야 한다. 다만, 부득이
한 사정으로 높이 차이를 두는 경우에는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하며 교실 등의 내부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한다.
나. 복도 벽에 대하여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복도에 노출되는 벽 모서리나 기둥 모서리는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한다.
2) 복도의 바닥면은 튀어나온 부분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3) 복도에 독립 기둥이 설치된 경우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성을 확보한다.

8. 계단
가. 계단을 설치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계단 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왼쪽 회전 계단 형태로 한다.
2) 계단을 갈음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표면은 거친 면으로 하거나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재
료로 마감한다.
나. 계단 단 높이에 대하여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챌판(계단 한 단의 수직면을 말한다)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철골조의 경우 계단에는 챌면을 반드시 설치한다.
다. 계단 단 너비에 대하여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초·중등학교의 단 너비는 충분히 확보한다.
2) 디딤판의 너비와 챌면의 높이는 고르게 한다.
라. 계단참의 너비는 최소 15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마. 계단 난간에 대하여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높이가 1m를 넘는 계단 및 계단참의 양 옆에는 난간을 설치한다.
2) 너비가 3m를 넘는 계단에는 계단의 중간에 너비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한다.
3) 계단이 끝나는 수평 부분에서의 손잡이는 바깥쪽으로 나오도록 설치한다.
4) 계단 난간의 높이는 계단으로부터의 높이에 85㎝ 이상이 되도록 한다.
5) 계단 난간의 난간살은 난간이 수직재인 경우에는 디딤판 한 단에 2개 이상으로 하고, 수평
재인 경우에는 15㎝ 이하로 한다(난간의 흔들림이 5㎜ 이내가 되도록 한다).
6) 손잡이는 벽으로부터 5㎝ 이상 떨어져 설치한다.

9. 화장실 : 화장실 바닥에 대하여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바닥표면은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재질로 마감한다.
나. 배수는 항상 잘 되는 구조로 하여 바닥이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 난방기기는 통행에 방해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받침대를 만들어 설치한다.

10. 그 밖의 사항
XII
가. 현관 출입문(유리문)은 손이 끼이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하며 유리문은 파손이 어려운 강화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유리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천창(天窓)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빗물이 새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하며 유리는 단열 기


능이 있고 파손이 어려운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기시설 1. 수변전설비(受變電設備)
가. 수변전설비를 옥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기기 주위에는 유지관리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2) 변압기의 발열 등으로 실온이 상승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환기구멍이나 환기장치 등을
설치한다.

301
분야 안전기준

3) 습기나 이슬 맺힘 등에 의한 절연 저하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책을 마련한다.


나. 수변전설비를 옥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1) 지반이 주위보다 높고, 배수가 잘 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2) 전기실에 위험 표시를 하고 일반 사람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며, 특히 학생들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한다.
2. 분전반 : 분전반(分電盤)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구조가 튼튼하고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 한다.
나. 분전반은 기판(基板)에 과전류차단기·개폐기 등을 배치하고 견고하게 붙여 보호판 등에 의
하여 조작하기에 안전한 구조로 한다.
다. 분전반 상자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견고하게 조립한다.
라. 분전반에 시설하는 기구와 전선은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3. 전기배선 : 전기배선 시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벗겨진 것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나. 배선에 사용되는 절연 전선·케이블 및 캡타이어 케이블은 시설 장소에 적합한 거죽을 씌운다.
다. 전선의 접속은 전선로의 자기저항·절연저항·인장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시행한다.
라. 전선과 기구 단자와의 접속, 전기기계 기구 단자와의 접속은 접촉이 완전하여 헐거워질 우려
가 없도록 한다.

4. 조명설비 : 조명설비 시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등(燈)기구의 설치는 전구의 교체 등 유지관리가 쉽고, 등 기구 몸체의 교체와 철거가 쉽도
록 설치한다.
나. 소켓은 규격에 맞고 진동·충격 등에 의하여 등의 탈락이나 파손 등이 생기지 아니하는 것으로 한다.
다. 옥외에 시설하는 전구는 빗방울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갓이나 글로브 등
을 사용하여야 하며, 먼지·벌레·물방울 등이 등 기구 내부로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한다.
라. 조명설비는 건축구조물에 견고하게 붙인다.
마. 화장실이나 식당 등 습기가 많은 곳에 사용하는 기구는 될 수 있는 대로 방수형으로 한다.

5. 전열설비 : 콘센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기둥이나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축물의 구조적 문제, 벽의 두께, 교구(敎具) 배치, 칸막
이 등을 고려한다.
나. 바닥에 콘센트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교구의 배치, 예상 통로 등을 고려하며, 물기가 많은 장
소에 설치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다. 콘센트 설치의 일반적인 높이는 벽인 경우에는 바닥 위 300㎜, 작업대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대 위 100 ~ 300㎜ 정도로 하고, 기계실·전기실·주차장의 경우는 바닥 위 500 ~
1,000㎜ 정도로 한다.
라. 한 개의 전용회로에 연결되는 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한다.
마. 전기 용량이 30 ~ 50A 이상인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는 전용회로로 구성한다.

설비시설 1. 냉난방설비
가. 교실의 실내 온도 및 습도는 교육활동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도록 일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
여야 한다.
나. 난방 기구의 표면 온도가 높아 학생들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302
분야 안전기준

2. 환기시설
가. 환기용 창 등을 수시로 개방하거나 기계 환기 설비를 수시로 가동하여 교육활동에 지장이 없
도록 하여야 한다.
나. 실험실 후드 등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재순환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 실험실 후드나 국소 배기설비의 덕트는 불연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라. 실험실 배기설비의 덕트 속도는 배기설비 내에서 물질의 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충분히
빨라야 한다.
마. 후드·후드 배기설비·국소 배기설비는 매년 1회 이상 점검·시험하여야 한다.
3. 급배수설비 등
가. 급수시설·설비는 항상 위생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물탱크는 매월 1회 이상 정기점검과 연
2회 이상 청소를 실시하여야 한다.
나. 지하수 등을 먹는 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수의 수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야 하며,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 급탕(給湯)의 경우 학생 및 교사의 화상 사고를 고려하여 용도별로 적정한 급탕 온도를 유지
하도록 한다.
라. 모든 위생 기구는 적당한 수량으로 사용 목적에 적합한 합리적인 간격과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소방시설 1. 자동화재탐지설비 등
가. 자동화재탐지설비와 비상경보설비의 작동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나. 감지기는 벽이나 보(洑)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 실내에는 그 용도(교실·합숙소·급식실 등)에 적합한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옥내소화전설비 등
가. 소화기는 교실에 한 군데 이상, 복도 및 계단에는 보행거리 20m 마다 1개소 이상을 설치하
여야 한다.
나. 급식실·보일러실 등 발화위험성이 높은 실내에는 자동확산소화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옥내소화전설비는 각 부분으로부터 방수구까지의 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하고, 호스는
각 부분을 유효하게 방수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피난설비
가. 유도등 전원배선을 전용으로 하고, 비상전원(축전지)은 유도등을 최소 20분간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한다.
나. 비상구 유도등을 바닥으로부터 1.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고, 30m 거리에서 문자와 색채
를 쉽게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다. 통로 유도등은 바닥으로부터 1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며, 통로 유도등은 바로 아래에서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0.5m 떨어진 지점에서 1럭스(Lux)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가스시설 1. 저장시설 : 액화석유가스 저장설비를 설치할 경우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용기 보관실은 통풍이 잘 되게 한다.
나. 용기 보관실 주위에서는 화기(火器) 취급을 금지한다.
다. 경계 표지는 출입구 등이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한다.
라. 용기 보관실 바닥은 지면보다 높게 하여 빗물 등이 고이지 아니하도록 한다.

2. 배관 : 가스배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건축물 내의 배관은 단독 피트 내에 시공하거나 노출하여 시공한다.

303
분야 안전기준

나. 건축물 벽을 관통하는 부분의 배관에는 보호관 및 부식 방지 피복 조치를 한다.


다. 배관용 호스와 중간밸브 및 연소기와의 접속 부분은 호스밴드 등으로 견고하게 한다.

3. 가스 기기 : 가스 기기를 설치할 경우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한다.


가. 가스온수기나 가스보일러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 설치한다.
나. 배기통의 재료는 불연성 재료로 하고, 배기통이 가연성 물질로 된 벽 또는 천장 등을 통과할
때에는 금속 외의 불연성 재료로 단열조치를 한다.
다. 자연배기식 반밀폐형 및 밀폐형 연소기의 배기통 끝은 배기가 방해되지 아니하는 구조이고,
장애물이나 바깥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기가 방해 받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라. 가스 기기가 설치된 공간에는 환풍기나 환기구를 설치한다.

실험 1. 실험실습 설비 및 비품
실습 시설 가. 취급주의를 요하는 실험기구·전기기기·화공약품 등에 대하여는 반드시 취급주의 안전표시
를 붙여야 한다.
나. 실험실습대와 실험공구는 외관이나 기능이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다. 인화성 물질(알코올·가스 등)을 사용하는 실험실은 환풍이 잘 되어야 하고, 항상 소화기와
모래주머니를 비치하여야 한다.
라. 비상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통로·비상문 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들 설비는 정기적으로 점
검하여야 한다.
마. 실험실습 시 안전관리를 위하여 준수하여야 하는 사항을 내용으로 하는 안전수칙을 학생과
교사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제작·비치하여야 한다.

2. 약품보관설비
가. 유해·위험한 물질의 보관설비는 환기기능이 달린 구조로 하는 등 그 물질의 누출 등을 확인
하기 쉬운 구조이어야 한다.
나. 발화점이 낮은 물질(인·황 등)을 보관하는 설비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잠금장치가 있어야 한다.
다. 화공약품 등 실험약품은 반드시 라벨을 붙이고, 실험 후 남은 시약(試藥) 등 폐시약은 지정
된 용기에 분리하여 폐기물 전문가에 의해 배출될 때까지 별도 설비에 보관하여야 한다.

304
별표6

특정소방대상물에 갖추어야할 소방시설 종류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관련 [별표5]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대통령령 제28518호,시행 2017.12.29]
[기준: 2018.05.01]
특정소방대상물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기숙사 합숙소 수련시설
소방시설
소화기구 ▶ 수동식 소화기 : 연면적 33㎡이상 ▶ 자동확산소화기 : 보일러실ㆍ건조실ㆍ세탁소 및 음식점의 주방, EPS실 ▶ 투척용소화기 가능
▶ 연면적3천㎡ 이상이거나 ▶ 연면적 1천500㎡ 이상
지하층ㆍ무창층 또는 층 이거나 지하층ㆍ무창층
옥내 ▶ 연면적3천㎡ 이상이거나 지하층ㆍ무창층 또는 층수가 4층 이상인 것 중 바닥면적
수가 4층 이상인 것 중 또는 4층이상인 층 중
소화전 600㎡ 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바닥면적 600㎡ 이상인 바닥면적 300㎡이상인
층이 있는 것은 모든 층 층 전층
소 ▶ 지상 1층과 2층 바닥면적 합계 9천㎡이상
화 옥외
※ 연소우려가 있는구조(동일구내에 2이상 건축물이 있는 경우 외벽으로부터 수평거리가 1층 6m이하ㆍ2층이상의 층 10m이하로 개구
설 소화전 부가 다른 건축물을 향해 설치된 경우 하나의 대상물임
비 ▶ 지하층ㆍ무창층 또는 4 ▶ 바닥면적의 합계 600㎡
▶ 바닥면적의 합계 600㎡ ▶ 연면적 5천㎡ 이상인 경
스프링클러 층 이상의 층으로 바닥 ▶ 연면적 100㎡ 이상인 것 이상 전층(숙박이 가능
이상 전층 우 전층
면적 1천㎡ 이상 한 수련시설일 경우)
▶ 노유자 생활시설
간이 SP ▶ 연면적 100㎡ 이상인 것
(2015.1.6)
물분무등 ▶ 전기실ㆍ발전실ㆍ변전실ㆍ축전지실ㆍ통신기기실ㆍ전산실등 바닥면적 300㎡ 이상
▶ 연면적 2천㎡ 이상
자동화재 ▶ 노유자 생활시설
▶ 연면적 2천㎡ 이상 ▶ 숙박시설이 있는 수련시설
탐지 (2015.1.6)
로서 수용인원 100명 이상
비상경보 ▶ 연면적 400㎡ 이상 (터널 및 동식물관련시설은 제외) ▶ 지하층ㆍ무창층의 바닥면적 150㎡ 이상 (공연장인 경우 100㎡ 이상)
▶ 연면적 3,500㎡ 이상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
비상방송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 ※가스시설ㆍ동식물관련시설ㆍ터널ㆍ축사ㆍ지하구는 제외

경 ▶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
보 자동화재 는 건축물만 해당)로서
▶ 노유자 생활시설
설 속보 바닥면적 500㎡ 이상인
비 층이 있는 것
▶연면적 : 400㎡ 미만의 ▶
연면적 1천㎡ 미만의 기숙사
단독 유치원(병설유치원 포함) ▶
교육연구시설 또는 수련시설 내에 있는 합숙소 또는 기숙사로서 연면적 2천㎡ 미
감지기 →기존시설 (2018.12.29

까지 설치완료)
시각경보기 ▶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교육연구시설(도서관)
가스경보기 ▶ 노유자 시설 ▶ 수련시설
▶ 피난층ㆍ지상1층ㆍ지상2층 및 11층 이상의 층을 제외한 모든층
피난기구
(미끄럼대, 피난교, 피난용트랩, 간이완강기, 공기안전매트,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피난기 등)
피난
설비 피난유도등 ▶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유도표지 : 모든 소방대상물 ▶ 객석유도등 : 문화 및 집회시설
비상조명등 ▶ 5층(지하층 포함) 이상으로서 연면적 3천㎡ 이상 ▶ 지하층, 무창층 등의 바닥면적이 450㎡ 이상인 경우 당해층
소화 상수도 ▶ 연면적 5천㎡ 이상(가스시설, 지하가중 터널 또는 지하구 제외)

용수 소화용수 ※ 대지경계선으로부터 180m 이내에 구경 75㎜이상인 상수도용 배수관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소화수조 설치. XII
▶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제연설비 치된 노유자시설로서 바
소 닥면적 1천㎡ 이상인 층
화 연결송수관 ▶ 5층 이상으로 연면적 6천㎡ 이상 ▶ 7층(지하층포함)이상 ▶ 지하층수가 3개층 이상으로 바닥면적의 합계 1천㎡ 이상

연결살수 ▶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 150㎡ 이상 ▶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지하층인 경우 700㎡ 이상

설 비상콘센트 ▶ 11층 이상의 층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바닥면적의 합계 1천㎡ 이상인 경우 지하층
비 ▶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 3천㎡ 이상 ▶ 지하층의 층수가 3개층 이상이고 바닥면적의 합계 1천㎡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무선통신 ▶ 터널 길이500m 이상 ▶ 지하구로서 공동구
보조 ▶ 층수가 30층 이상인 것으로서 16층 이상인 부분

ㆍ노유자시설 : 1. 노인 관련 시설 2. 아동 관련 시설 3. 장애인 관련 시설 4. 정신질환자관련 시설 5. 노숙인 관련 시설 6. 사회복지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ㆍ노유지시설(간이스프링클러 및 자탐) 착공신고 대상
ㆍ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부등 소화설비 : 감리자의 감리보고서와 별도 소방관서 현장확인(2중 검증)

305
별표7

면적에 따른 주요 법적 검토사항Ⅰ(설계)

구분 관련법규 건축 면적별 대상 비고

건축물에너지관리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2017.1.1. 이후


신축 연면적 10,000 이상
시스템(BEMS) 추진에 관한 규정 제6조 4항 건축허가 신청건물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의 [신축·증축·대수선시]


장애인 없는 2015.7.29.부터 시행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공공기관이 신축하는
생활환경 인증(BF) (건축 협의 개시 기준)
법10조의2 공공건축물은 인증 의무화

연면적 합계 3,000㎡이상
인증 취득(의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16조/
녹색건축물인증 공공기관, 국·공립 학교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13조
공공업무시설 : 우수(그린2등급)
이상 취득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17조/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시행령12조 연면적 3,000㎡이상 신축, 별동
등급 인증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증축 경우 1등급이상 취득 의무
추진에 관한 규정 제6조

범죄예방 설계 가이드 교육연구시설 2015.4.1.시행


건축심의 대상 건축물
(쎕티드) (건축허가 신청 기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신축·증축 또는
신재생에너지설비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18년 24% 이상
개축 연면적 1,000㎡ 이상
제15조

냉난방설비
신축·증축, 전면 교체시
(전기사용 외
연면적 1,000 이상
냉난방식 적용)

● 연면적 500㎡이상 건축물


● 공공기관이 신축 또는 별동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증축 건축물 :에너지성능지
에너지절약 14조/시행령 10조
표 74점 이상 적합 60% 이상 적용
계획서 제출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 증축이나 용도변경, 건축물
15조
대장의 기재내용을 변경하
는 경우 해당 부분에만 적용

306
면적에 따른 주요 법적 검토사항Ⅱ(설계)

구분 관련법규 건축 면적별 대상 비고

어린이 활동공간 ※수선 : 도료나 마


● 대상 : 어린이높이시설,어린이집 등 영·
확인검사 감재료, 합성고무
환경보건법 제23조 제6항/ 유아 보육시설, 유치원, 초등학교 등
(건축자재 및 바닥재를 사용하
시행규칙 제11조의2 제2항 ● 대상 : 신축, 증축(연면적 33㎡ 이
마감재료의 유해중금 여 바닥, 벽면, 천
상), 수선(70㎡ 이상)
속 검출 기준 적합성) 장 등 개보수
● 6층 이상이면서 연면적 2,000㎡의
건축물 의무 적용
(단, 각층 거실의 바닥면적 300㎡ 이내
건축법 제64조/ 마다 1개소 이상 직통계단 설치시 면제)
승용승강기 시행령 제89조 -6층 이상의 연면적 합계(A)가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 3,000㎡이하시: 1대
-6층 이상의 연면적 합계(A))
가 3,000㎡ 초과시:[A-3,000
㎡]/3,000㎡] + 1대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
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 이
하인 건축물 : 1대 이상
건축법 제64조/
비상용 승강기 ●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시행령 제90조
최대 바닥면적이 1,500㎡를 넘는 건
축물 : 1대에 1,500㎡를 넘는 3,000
㎡ 이내마다 1대씩 더한 대수 이상

신축·증축·개축 시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공공기관 에너지
LED 조명기구 실내 조명기기의 ‘17년 80%,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이용 합리화 규정
’20년 100% 이상 LED 설치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대기전력차단장치 신축·증축·개축 시
추진에 관한 규정/
(대기전력콘센트) 전체 콘센트의 30% 이상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신규 구입 및 교체 시
전관방송장비 자동절전제어장치 또는
에너지절약 마크 표시된 제품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피뢰설비 높이 20m 이상 건축물, 공작물
규칙 20조 XII
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분야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연면적 150㎡ 이하 공사를 제외한


통신설비
제35조 모든공사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건축허가 동의 대상물 학교시설물
소방설비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7조/
100㎡ 이상
시행령 제12조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물분무등
소방시설 내진설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시행령
소화설비
제15조의2

307
2018
소규모 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

┃면책사항 및 저작권
본 업무편람은 경기도교육청에서 제작한 소규모학교시설공사 업무편람으로 학교시설사업 전반
의 세부 업무 내용을 집약하여 발간하였습니다.
소규모 학교시설사업별 단계에 따른 업무 내용을 통해 학교시설사업의 표준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업무흐름 및 확인 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본 업무편람은 소규모 학교시설사업에 대한 보편적인 방향에서 서술되어 있으므로 행정기관
(교육청 및 학교)의 학교시설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정보 제공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업무편람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법률적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만든이
임 경 순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임 대 성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설 우 선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정 성 락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장 근 호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조 정 택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이 철 호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신 봉 근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최 영 숙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김 영 락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발간회 TF
송 미 자 (경기도교육연수원) 임 채 규 (화성오산교육지원청 교육시설과)
이 혜 정 (광주초등학교) 김 대 호 (화성오산교육지원청 교육시설과)
김 현 수 (시흥신천초등학교) 하 수 용 (경기도교육청 총무과)
이 광 언 (옥산산길초등학교) 공 진 욱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이 병 호 (양지고등학교) 유 관 욱 (수원교육지원청 교육시설과)
황 수 현 (오포초등학교) 정 재 홍 (평택교육지원청 경영지원과)
이 철 우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조 철 한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오 병 혁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발 행 일┃ 2018년 12월
발 행 인┃ 이재정
발 행 처┃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인 쇄┃ Design 세창 1544-1466

발간등록번호 71-7530000-000143-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