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05

도로공사표준시방서

-제1장총 칙-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1장 총 칙 제1장 총 칙
1-1 공사일반 1-1 공사일반
1-2 공사계획 및 관리 1-2 공사계획 및 관리
1-2-1 공사계획 1-2-1 공사계획
1-2-2 공사 관리 1-2-2 공사관리
1-2-3 공사량 측정 1-2-3 공사량 측정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5 검 사 1-2-5 검 사
1-3 자재관리 1-3 자재관리
1-4 품질관리 1-4 품질관리
1-5 안전관리 1-5 안전관리
1-6 인계․인수 1-6 인계・인수
[별 표] 1-46 [별표] 1-5, [별지 서식 1-34]

제1장 총 칙 제1장 총 칙

1-1 공사일반 1-1 공사일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적용대상 1.1.1 적용대상
이 시방서는 도로법 제8조에 규정된 도로(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이 시방서는 건설기술진흥법 제44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65조 제5항에 따라 시설물 [수정] 표준시방서 작성과 관련된 법적 근거와 표준시방서의 적용대
지방도, 시 ‧ 군도, 구도)에 적용한다. 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물별로 정한 표준적인 상에 대한 언급 필요
시공기준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도로공사 표준시방서로서 도로법에서 정한 도로공사 근거 : 건설기술진흥법 및 동법 시행령
에 대하여 적용하며, 필요할 경우 이에 준하는 도로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수정] 자문의견 반영
1.1.2 적용순서 1.1.2 적용순서
(1) 설계도서 간에 상호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아래 순서에 따라 적용한다. (1) 설계도서 간에 상호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아래 순서에 따라 적용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적용순서 변경
① 계약서 ① 계약서 ① 계약서
② 공사계약 일반조건 및 특수조건 ② 공사입찰유의서 ② 공사입찰유의서 (추가)
③ 공사시방서 ③ 공사계약 특수조건 ③ 공사계약 특수조건
④ 설계도면 ④ 공사계약 일반조건 ④ 공사계약 일반조건
⑤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 ⑤ 공사시방서 ⑤ 공사시방서
⑥ 입찰내역서 ⑥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 ⑥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 (순서변경)
⑦ 설계도면 ⑦ 설계도면 (순서변경)
⑧ 입찰내역서 ⑧ 입찰내역서
(2) 이 시방서의 총칙과 총칙 이외의 시방서 내용 간에 상호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총칙 (2) 이 시방서의 총칙과 총칙 이외의 시방서 내용 간에 상호 모순이 있을 경우에는 총칙
이외의 시방서에 명시된 내용을 우선 적용한다. 이외의 시방서에 명시된 내용을 우선 적용한다.

1.1.3 법규 우선 준수 1.1.3 법규 우선 준수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를 포함한 설계도서의 내용이 관련법규의 규정과 상호 상이할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를 포함한 설계도서의 내용이 관련법규의 규정과 상호 상이할

1 -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경우(건설공사 중에 관련법규가 변경되고 변경된 규정에 따라야 할 경우를 포함한다)는 경우(건설공사 중에 관련법규가 변경되고 변경된 규정에 따라야 할 경우를 포함한다)
관련법규의 규정을 우선 준수하여야 한다. 는 관련법규의 규정을 우선 준수하여야 한다.
1.1.4 적용상의 주의 1.1.4 적용상의 주의
이 시방서의 적용에 있어서 자구(字句)의 해석이 모호한 경우는 당해 공사의 자연조건, 이 시방서의 적용은 자구(字句)에 구애됨이 없이 이 시방서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 [수정] 시방서 적용상 주의사항을 좀 더 보충하여 주체를 명확하게
교통조건, 시공조건 및 공용 후 유지보수의 난이 등 시방서에서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 게 파악하고 해당 공사의 교통조건·자연조건·시공조건 및 공용 후 유지보수의 난이 설명할 필요가 있음.
게 파악하여 불합리한 공법이 선정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등을 감안하여야 하며, 계약상대자 및 현장대리인 등은 불합리한 건설이 되지 않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의 내용을 인용하여 적용함
도록 공법을 선정해서 시행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수정(관계기관의견 반영)

1.2 용어의 정의 1.2 용어의 정의


1.2.1 “감독자”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제 35조”의 규정에 의하여 발주청장이 임명한 감독자를 1.2.1 “감독자”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제49조”의 규정에 의하여 발주청장이 임명한 건설공사 [수정] 관련 법률 및 지침, 토목용어집에 근거한 용어 정의로 수정
말한다. 다만 건설기술관리법 제27조의 규정에 의하여 책임 감리를 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의 감독자를 말한다. 다만 건설기술 진흥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기술용역업자로 [수정]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2014.5.23.)에 따른 법조항 수정(제49
당해 공사의 감리를 수행하는 감리원을 말한다. 하여금 건설사업관리를 하게 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당해 공사의 감리를 수행하는 책임건 조, 39조)
1.2.2 “감리원”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제28조”의 규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감리원으 설사업관리기술자를 말한다. [추가] 건설산업기본법 및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2014.5.23.)에 따른
로 등록한 자로서 일정한 자격을 갖추고 감리전문회사에 종사하면서 책임감리 업무 1.2.2 “건설기술용역업자”라 함은 “건설기술 진흥법 제2조”에 따른 건설기술용역(다른 사람 관련 용어 추가
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의 위탁을 받아 건설기술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건설공사의 시공 및 시설 건설기술 진흥법(2014.5.23.) 제2조 인용
물의 보수·철거업무는 제외)을 영업의 수단으로 하려는 자로서 동법 제26조에 따라
등록한 자를 말한다.
1.2.3 “건설사업관리”라 함은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의 규정에 따라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타 건설기술 진흥법(2014.5.23.) 제2조 인용
당성 조사, 분석, 설계, 조달, 계약, 시공관리, 감리, 평가 또는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
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1.2.4 “건설사업관리기술자”란 “건설기술 진흥법 제26조”에 따른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에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업무
소속되어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04호)” 제4조 인용
1.2.5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란 발주청과 체결된 건설사업관리 용역계약에 의하여 건설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업무
사업관리용역업자를 대표하며 해당공사의 현장에 상주하면서 해당공사의 건설사업관 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04호)” 제4조 인용
리업무를 총괄하는 자를 말한다.
1.2.3 “계약상대자”라 함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조의 계약상대자를 말한다. 1.2.6 “계약상대자”라 함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조의 2호 규정에 의한 정부와 공사계약 [수정]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2조의 2호의 용어 정의 직접 인용
1.2.4 “보증인”이라 함은 계약상대자의 책임을 보증하는 계약상대자 이외의 자를 말한다. 을 체결한 자연인 또는 법인을 말한다. [수정]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2012.10.26.)으로 연대보증인제 삭제
1.2.5 “현장요원”이라 함은 당해 공사에 상당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자로서 계약상대자가 1.2.7 “현장요원”이라 함은 해당 공사에 상당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자로서 계약상대자가
지정 또는 고용하여 현장 시공을 담당하게 한 건설 기술자를 말한다. 지정 또는 고용하여 현장시공을 담당하게 한 건설기술자를 말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 현장 시공 ⇒ 현장시공, 건설 기술자 ⇒ 건설기술자
1.2.6 “전문기술자”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조”의 특급기술자를 말한다. 1.2.8 “전문기술자”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4조”의 특급기술자를 말한다.
1.2.7 “현장대리인”이라 함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4조의 공사현장대리인을 말하며, 공사 1.2.9 “현장대리인”이라 함은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4조”의 공사현장대리인을 말하며, 공사
현장에서 공사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 및 공사업무를 책임있게 시행할 수 있는 권한 현장에서 공사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 및 공사업무를 책임있게 시행할 수 있는 권한
을 가진 건설 기술자를 말한다. 을 가진 건설기술자를 말한다.
1.2.8 “하도급인”이라 함은 계약상대자로부터 건설공사를 하도급 받은 자를 말한다. 1.2.10 “하수급인”이라 함은 수급인(계약상대자)으로부터 건설공사를 하도급 받은 자를 말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하수급인
한다.
1.2.9 “표준시방서”라 함은 정부가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 1.2.11 “표준시방서”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65조 제5항”에 따라 정부가 시설물의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여 시설물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물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 해당 조항 수정
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 으로서, 발주청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할 때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준을 말한다.
1.2.10 “전문시방서”라 함은 발주기관이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 1.2.12 “전문시방서”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65조 제6항”에 따라 발주기관이 시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 해당 조항 수정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
1.2.11 “공사시방서”라 함은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1.2.13 “공사시방서”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40조 제1항”에 따라 표준시방서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공사의 특수성․지역여건․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도면에 구체적 및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한 것으로서, 공사의 특수성 ․ 지역여건 ․ 공사방 해당 조항 수정
으로 표시할 수 없는 내용과 공사수행을 위한 시공방법, 자재의 성능․규격 및 공법, 법 등을 고려하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도면에 구체적으로 표시할 수 없는 내용과

1 -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 건설공사 계약도서에 포함 공사수행을 위한 시공방법, 자재의 성능 ․ 규격 및 공법,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
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 건설공사 계약도서에 포함된 시공기준을 말한다.
1.2.12 “설계도서”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2 제3항”에 따라 발주청 또는 1.2.14 “설계도서”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라 발주청 또는 발주청
발주청이 발주한 건설공사의 설계 등 용역업자가 작성한 기본설계․실시설계도면․설계 이 발주한 건설공사의 건설기술용역업자가 작성한 설계도면 ․ 설계명세서 ․ 공사시방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내역서․구조계산서․공사시방서․발주청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요구한 부대도면 서 ․ 발주청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요구한 부대도면과 그 밖의 관련서류를 말 해당 조항 수정
및 기타 관련서류를 말한다. 한다. [자문] 구조계산서 삭제 : 구조계산서는 설계도서로 규정되어 있지 않음
1.2.13 “시공 상세도면”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4”에 따라 공사의 진 1.2.15 “시공상세도면”이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42조”에 의거 공사시방서에
행단계별로 작성하여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 및 기술직원이 불명확하게 되어 있는 명시된 목록대로 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하여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 및 기술직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공시의 유의사항 등을 표기한 도면을 말한다. 원이 불명확하게 되어 있는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공할 때의 유의사항 해당 조항 수정
등을 표기한 도면을 말한다. 한글로 순화 : 시공시의 ⇒ 시공할 때의
1.2.14 “입찰내역서”라 함은 제시된 공종 및 공사물량에 대하여 입찰단가를 기입하여 제출 1.2.16 “입찰내역서”라 함은 제시된 공종 및 공사물량에 대하여 입찰단가를 기입하여 제출
하는 입찰서류를 말한다. 하는 입찰서류를 말한다.
1.2.15 “승인”이라 함은 계약상대자로부터 제출, 계출 등의 방법으로 요청 받은 어떤 사항에 대 1.2.17 “승인”이라 함은 계약상대자로부터 제출, 계출 등의 방법으로 요청 받은 어떤 사항에 대
하여 감독자가 그 권한범위 내에서 서면으로 동의한 것을 말한다. 하여 감독자가 그 권한범위 내에서 서면으로 동의한 것을 말한다.
1.2.16 “지시”라 함은 감독자가 계약상대자에 대하여 그 권한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사항 1.2.18 “지시”라 함은 감독자가 계약상대자에 대하여 그 권한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사항
을 지시하여 실시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을 지시하여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1.2.17 “검사”라 함은 공사계약 문서에 나타난 시공 등의 단계 및 납품된 공사재료에 대해서 완성 1.2.19 “검사”라 함은 공사계약 문서에 나타난 시공 등의 단계 및 납품된 공사재료에 대해서 완 [수정] 실시토록→실시하도록 줄임말 수정
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계약상대자의 확인검사에 근거하여 검사 자가 기성부분 또는 성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계약상대자의 확인검사에 근거하여 검사자가 기성부분
완성품의 품질, 규격, 수량 등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완성품의 품질, 규격, 수량 등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수정] 위해→위하여 줄임말 수정
1.2.18 “확인”이라 함은 공사를 공사계약문서 대로 실시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지시, 조정, 1.2.20 “확인”이라 함은 공사를 공사계약문서 대로 실시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지시, 조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검사 자가 ⇒ 검사자가, 자문위원 추가 지적
승인, 검사 이후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가 원래의 의도와 규정대로 시행되었 정, 승인, 검사 이후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가 원래의 의도와 규정대로 시행
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1.2.19 “품질검사전문기관”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제25조에 따라 국 ‧ 공립 시험기관 또 1.2.21 “품질검사전문기관”이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제60조”에 따라 국립 ‧ 공립 시험기관
는 국토해양부 장관에게 등록한 자를 말한다. 또는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등록한 자를 말한다.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1.2.20 “품질관리비”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9조에 따른 품질보증계획 또는 1.2.22 “품질관리비”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53조”에 따른 품질관리계획 또는 해당 조항 수정
품질시험계획에 의한 품질관리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품질시험계획에 의한 품질관리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1.2.21 “안전관리비”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21조 4에 따른 안전관리 계획의 1.2.23 “안전관리비”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60조”에 따른 안전관리계획의 작 해당 조항 수정
작성비용, 발파, 굴착 등의 건설공사로 인하여 주변 건축물 등에 대한 피해방지대책 성 및 검토 비용,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0조제1항제1호 및 제3호에 따른 안전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비용, 공사장 주변의 안전통행 관리대책을 위한 비용을 말한다. 점검 비용, 발파 · 굴착 등의 건설공사로 인한 주변 건축물 등의 피해방지대책 비용, 해당 조항 수정
공사장 주변의 통행안전관리대책 비용을 말한다.
1.2.22 “환경관리비용”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28조 2에 따른 (1) 건설공사 1.2.24 “환경관리비”라 함은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61조 제1항”에 따른 (1) 건설공사
현장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설계에 반영된 환경관련 시설의 설치 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 (2) 건설공사현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2) 건설공사현장에 설치하는 환경오염 방지시설의 설치 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에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해당 조항 수정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3)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 환경관리비용 ⇀ 환경관리비
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1.3 용어의 해석
1.3.1 이 표준시방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아래 순위에 따라, 그에 명시된 용어의 정의 또는
사용된 의미에 준하여 해석한다.
(1) 계약문서
(2) 건설기술진흥법, 동법 시행령 및 동법 시행규칙, 기타 건설관련 법규
(3) 한국산업표준(KS) [자문] 기타 건설관련법규가 한국산업표준보다 우선
[신설] 시방서에 사용되는 용어의 해석이 모호하여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경우 그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음.
1.3 계약문서 및 설계변경 1.4 계약문서 및 설계변경

1 -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1 계약문서 1.4.1 계약문서
(1) 공사이행에 관하여 계약당사자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서면화된 계약문서는 계 (1) 공사이행에 관하여 계약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서면화된 계약문서는 계
약서, 설계서, 공사입찰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입찰내역서 약서, 설계도서, 공사입찰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산출내 [수정]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3조 내용 수정 입찰내역서 ⇒ 산출내역서
로 구성되며 상호보완의 효력을 갖는다. 역서로 구성되며, 상호보완의 효력을 가진다. [수정]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자문위원 추가 지적
(2) 전문 및 공사시방서에 명기된 내용 이외에 정밀공사 및 품질확보를 위하여 필요한 (2) 전문시방서 및 공사시방서에 명기된 내용 이외에 정밀공사 및 품질확보를 위하여 [수정] 시방서명을 명확하게 표현
사항은 발주청과 협의하여 작성한다. 필요한 사항은 발주청과 협의하여 작성한다.
1.3.2 설계변경 1.4.2 설계변경
(1) 작업의 추가, 삭제 및 변경 (1) 작업의 추가, 삭제 및 변경
발주청은 공사 진행 중 현장여건에 따라 공사의 세부사항변경, 물량의 증가, 감소 등 발주청은 공사진행 중 현장여건에 따라 공사의 세부사항 변경, 물량의 증・감 등을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진행 ⇒ 공사진행,
을 조절하는 권리를 갖는다. 계약상대자는 이와 같은 물량의 증가, 감소 등 의 변경 조절하는 권리를 갖는다. 계약상대자는 이와 같은 물량의 증・감 등의 변경사유로 그 세부사항변경 ⇒ 세부사항 변경
사유로 그 계약을 무효화하거나 보증을 해지 할 수 없으며 원계약서와 동일조건으로 계약을 무효화 할 수 없으며, 원계약서와 동일조건으로 변경한 공사를 완료하여야 [자문] 자구수정 : 물량의 증가, 감소 ⇒ 물량의 증・감
변경한 공사를 완료하여야 한다. 한다. [자문] ‘하거나 보증을 해지’ 삭제,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으로 연대
(2) 현장조건의 차이 및 물량변동에 따른 변경 (2) 현장조건의 차이 및 물량 변동에 따른 변경 보증 폐지
① 계약상대자는 계약체결 후 공사 착수 전에 설계 도서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사 ① 계약상대자는 계약체결 후 공사착수 전에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사유 [수정] 설계서→설계도서
유가 있을 때는 그 내용을 발주청에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가 있을 때는 그 내용을 발주청에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법률에 근거(건설기술진흥법,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가)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 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을 (가) 설계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 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착수 ⇒ 공사착수
때 을 때
(나)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때 (나) 지질, 용수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도서와 다를 때 [수정]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자문위원 추가 지적
(다) 기타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계약금액의 조정이 필요한 때 (다) 기타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계약금액의 조정이 필요한 때
② 발주청은 계약상대자 의 보고가 있을 때는 ①항의 상태를 즉시 조사하여 계약상대 ② 발주청은 계약상대자의 보고가 있을 때는 ①항의 상태를 즉시 조사하여 계약상대
자의 보고가 정당하고, 이로 인하여 계약금액과 계약기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자의 보고가 정당하고, 이로 인하여 계약금액과 계약기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자발생 시 이에 인정될 때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자가 발생되었 [수정] 한글로 순화 : 하자발생 시 ⇒ 하자가 발생되었을 때
따른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구조변경 등 안전과 관련 있는 설계변경을 을 때 이에 따른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구조변경 등 안전과 관련 있는
할 때에는 당초 설계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설계변경을 할 때에는 최초 설계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수정] 당초의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1.4 감독자의 업무 1.5 감독자의 업무


1.4.1 감독자는 계약된 공사의 수행과 품질의 확보 및 향상을 위하여 계약상대자, 현장대 1.5.1 감독자는 계약된 공사의 수행과 품질의 확보 및 향상을 위하여 계약상대자, 현장대
리인, 현장요원, 계약상대자가 당해 공사를 위하여 지정하거나 고용한 자 및 계약상 리인, 현장요원, 계약상대자가 해당 공사를 위하여 지정하거나 고용한 자 및 계약상
대자와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자에 대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제35조”에 따라 공사 시행 대자와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자에 대하여 “건설기술진흥법 제49조”에 따라 공사 시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에 필요한 지시, 확인, 검토 및 검사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행에 필요한 지시, 확인, 검토 및 검사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해당 조항 수정

1.4.2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 대하여 시행하는 지시, 승인 및 확인 등은 서면으로 하여야 1.5.2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 대하여 시행하는 지시, 승인 및 확인 등은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문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시정지시 및 이행촉구 등은 구두 한다. 다만, 계약문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시정지시 및 이행촉구 등은 구
로 할 수 있다. 두로 할 수 있다.
1.4.3 감독자는 “건설기술관리법 제28조의4”에 따라 계약상대자가 건설공사의 설계도서․시방서 1.5.3 감독자는 “건설기술진흥법 제40조”에 따라 계약상대자가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 시방서, 그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기타 관계서류의 내용과 적합하지 아니하게 해당 건설공사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재시공․공 밖의 관계 서류의 내용과 적합하지 아니하게 해당 건설공사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재시공 ․ 해당 조항 수정
사 중지명령 등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공사중지명령이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수정] 문구수정 : 기타 관련 ⇒ 그 밖의 관계, 서류 등 기타 ⇒ 그 밖에
1.4.4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게 재시공․공사 중지명령 등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한 경우에는 1.5.4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게 재시공 ․ 공사중지명령 등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한 경우에는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중지명령 ⇒ 공사중지명령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시정여부를 확인하여 공사재개 지시 등 필요한 조치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시정여부를 확인하여 공사재개 지시 등 필요한 조치
를 하여야 한다. 를 하여야 한다.

1.6 공사수행 [신설] 공사수행에 필요한 일반내용 추가


1.6.1 계약상대자는 계약문서에 위배됨이 없이 공사를 수행하여야 하며, 계약문서에 근거한 발 [수정] 자구수정 : 정하여진 것에 대하여는⇒정하여진 것에 대해서는
주청의 시정요구 또는 이행 촉구지시가 있을 때에는 즉시 이에 따라야 한다. 또, 계약문 (관계기관의견 반영)
서에 정하여진 것에 대해서는 발주청의 승인, 검사 또는 확인 등을 받아야 한다.

1 -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6.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이라도 현장 마무리, 맞춤 등의 관계로 구
조상 또는 외관상 당연히 시공을 요하는 부분은 반드시 이를 수행하여야 하며, 설계변경
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와 협의하고,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요청하여야 한다.
1.6.3 발주청은 관련법규 및 계약문서에 의하여 자재 등의 품질 및 시공이 적정하지 못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재시공 등의 지시를 할 수 있으며, 이때는 반드시 서면으로 하며 계약
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1.6.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정부 또는 발주청이 시행하는 감사, 검사, 수검 및
이에 따른 시정 지시를 지체 없이 이행하여야 한다.
1.6.5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의 이용효율 및 작업효율 증대, 품질향상, 안전사고 방지 및 환경
공해 예방, 보건 · 위생 등을 위하여 공사용 자재, 기계기구, 잔재 및 굴착토사의 정리 ·
정돈 · 점검 · 정비 · 청소 등을 실시하여 현장 내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1.6.6 계약상대자는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47조 제1항”에 따라 공사를 일시 정지한 경우 또는
“동절기”에 공사를 중단한 경우에는 공사중단으로 인하여 공사목적물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공사중단 부분의 공사물 및 가설재 등을 보호하거나 정비하여야 한다.
1.6.7 건설 목적물인 모든 구조물과 시설물은 사용자, 특히 아동 또는 노약자가 사용하거나 활
동 중에 찔림, 긁힘, 눌림, 찢김, 베임, 꺾임, 미끄러짐, 떨어짐 및 끼임 등의 안전사고 [자문] 의미 전달 명확화 : 위해 ⇒ 안전사고
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1.5 계약상대자의 책무 1.7 계약상대자의 책무


1.5.1 설계도서 검토 1.7.1 설계도서 검토
(1)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설계도서의 오류, 누락 (1)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설계도서의 오류 · 누락 [수정]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자문위원 추가 지적
등으로 공사가 잘못되거나 공기가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등으로 공사가 잘못되거나 공기가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가운데 점 사용 : 동격의 용어
(2)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으면 현장대리인은 검토의견서를 첨부 (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을 때에는 현장대리인의
하여 발주청에 통지하고 발주청의 해석 또는 지시를 받은 후에 공사를 시행하여야 명의로 검토의견서를 작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고 발주청의 해석 또는 지시를 받은 [수정] 발주청에 통지하고 → 발주청에 제출하고
한다. 후에 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① 설계변경사유가 있는 경우 ① 설계변경사유가 있는 경우
② 협의 및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② 협의 및 조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③ 설계도서대로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③ 설계도서대로 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④ 공사기한 연기가 필요한 경우 ④ 공사기한 연기가 필요한 경우
⑤ 기타 하자 발생이 우려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 ⑤ 기타 하자 발생이 우려되는 사항이 있는 경우
(3) 계약상대자가 발주청에 통지하지 아니하거나 발주청의 해석 또는 지시를 내리기 전 (3) 계약상대자가 검토의견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발주청의 해석 또는 지 [수정] 발주청에 통지하지 → 발주청에 제출하지
에 임의로 수행한 공사에 대하여는 공사 기성량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계약상 시를 내리기 전에 임의로 수행한 공사에 대하여는 공사 기성량으로 인정하지 않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목적어(검토의견서를) 추가
대자가 임의로 시행한 공사에 대하여 감독자의 원상복구나 시정지시가 있는 경우 계 다. 또한 계약상대자가 임의로 시행한 공사에 대하여 감독자의 원상복구나 시정지
약상대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즉시 이를 시정하여야 한다. 시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즉시 이를 시정하여야 한다.
1.5.2 책임 한계 1.7.2 책임 한계
(1) 계약상대자는 현장대리인 등 계약상대자가 당해 공사를 위하여 임명·지정·고용한 자 및 (1) 계약상대자는 현장대리인 등 계약상대자가 해당 공사를 위하여 임명·지정 · 고용한 자
계약상대자와 납품계약 또는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자의 해당 공사와 관련한 행위 및 결 및 계약상대자와 납품계약 또는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자의 해당 공사와 관련한 행위 및
과에 대한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결과에 대한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서면으로 공사를 인수하기 전까지 공사구간을 보호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서면으로 공사를 인수하기 전까지 공사구간을 보호하여야
또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또는 공사 중이 아닐지라도 재해 또는 기타 원인에 의해 그 한다. 또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또는 공사 중이 아닐지라도 재해 또는 기타 원인에
공사의 모든 부분에 손상이 없도록 필요한 예방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의하여 그 공사의 모든 부분에 손상이 없도록 필요한 예방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그 공사에서 발생한 모든 손상과 피해를 준공검사 이전에 복구, 보수 (3) 계약상대자는 그 공사에서 발생한 모든 손상과 피해를 준공검사 이전에 복구, 보수
완료하여야 하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약상대자의 태만이나 과실이 없는 경우 완료하여야 하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약상대자의 태만이나 과실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지진, 해일, 태풍이나 기타 천재지변과 같이 예견하거나 대처할 수 없는 (예를 들어 지진, 해일, 태풍이나 기타 천재지변과 같이 예견하거나 대처할 수 없
불가항력적인 경우나 전쟁이나 적에 의한 경우 또는 발주청의 귀책사유에 의한 경 는 불가항력적인 경우나 전쟁이나 적에 의한 경우 또는 발주청의 귀책사유에 의한

1 -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공기가 연장되는 경우에도 공사구간을 관리할 책임이 있으며, 적절한 (4) 계약상대자는 공기가 연장되는 경우에도 공사구간을 관리할 책임이 있으며, 적절한
배수처리 등 공사구간에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한 예방조치를 강구하여야 배수처리 등 공사구간에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한 예방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한다.
(5) 계약상대자는 공사기간이 연장된 동안 계약에 따라 조성한 수림, 묘포 장 및 잔디밭에 (5) 계약상대자는 공사기간이 연장된 동안 계약에 따라 조성한 수림, 묘포장 및 잔디밭
서 모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항상 적절한 여건을 조성하여야 하며, 새로 이식된 수 에서 모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항상 적절한 여건을 조성하여야 하며, 새로 이식
목이나 초목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된 수목이나 초목이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6) 발주청의 장이 임명한 검사자가 검사를 완료하였어도 계약요건에 따라 공사를 수행 (6) 발주청의 장이 임명한 검사자가 검사를 완료하였어도 계약요건에 따라 공사를 수행
하여야하는 계약상대자의 책임은 하자보증기간까지 연장된다. 하여야하는 계약상대자의 책임은 하자보증기간까지 연장된다.
(7) 공사목적물을 발주청에 인도하기 전에 발생한 공사목적물의 파손, 오염, 분실, 변형 (7) 공사목적물을 발주청에 인도하기 전에 발생한 공사목적물의 파손, 오염, 분실, 변형
등으로 인한 피해나 현장대리인 등이 제3자에게 끼친 손해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가 등으로 인한 피해나 현장대리인 등이 제3자에게 끼친 손해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
교체, 원상복구, 손해배상 등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가 교체, 원상복구, 손해배상 등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8) 감독자가 발행한 업무지시서는 문서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8) 감독자가 발행한 업무지시서는 문서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9) 감독자가 발행한 업무지시서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가 이를 조치하고 그 결과를 서 (9) 감독자가 발행한 업무지시서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가 이를 조치하고 그 결과를 서
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조치결과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필요한 추가조 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조치결과가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필요한 추가조
치를 취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치를 취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10) 계약상대자가 발주청에 제출하는 보고, 통지, 요청, 문제점 또는 이의 제기는 서면 (10) 계약상대자가 발주청에 제출하는 보고, 통지, 요청, 문제점 또는 이의 제기는 서면
으로 하여야 그 효력이 발생한다. 으로 하여야 그 효력이 발생한다.
1.5.3 공사구간의 임시개통 1.7.3 공사구간의 임시 개통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임시개통⇒임시 개통
(1) 발주청이 공사의 완전 준공 이전에 공사구간을 일반에게 임시 개통하는 것은 교통서 (1) 발주청이 공사의 완전 준공 이전에 공사구간을 일반에게 임시 개통하는 것은 교통서
비스 측면에서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당초 공사계약 조건 또는 계약상대자의 공정 비스 측면에서 권장하고 있으며, 이는 최초 공사계약 조건 또는 계약상대자의 공정 [수정]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계획의 변경에 따라 상호 협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사구간의 일부 계획의 변경에 따라 상호 협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사구간의 일
개통으로 해당 공사에 대한 공사의 준공사유나 계약조건의 규제가 면제되는 것은 부 개통으로 해당 공사에 대한 공사의 준공사유나 계약조건의 규제가 면제되는 것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일부개통⇒일부 개통
아니다. 은 아니다.
(2)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완전 준공 이전에 임시 개통된 구간에서 계약상대자가 잔여공사를 (2)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완전 준공 이전에 임시 개통된 구간에서 계약상대자가 잔여공사를
수행할 경우에는 일반차량의 통행편의를 최대한 보장하여야 한다. 수행할 경우에는 일반차량의 통행편의를 최대한 보장하여야 한다.
(3) 임시 개통된 공사구간에서의 도로 손상원인이 차량통행 및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적 (3) 임시 개통된 공사구간에서의 도로 손상원인이 차량통행 및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적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손상부분을 보수하여야 한다.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손상부분을 보수하여야 한다.
1.5.4 응급조치 1.7.4 응급조치
(1) 계약상대자는 시공기간 중 재해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사전에 감 (1) 계약상대자는 시공기간 중 재해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사전에 감
독자의 의견을 들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독자의 의견을 들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 감독자는 재해방지 또는 기타 시공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 또는 연대보증 (2) 감독자는 재해방지 또는 기타 시공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에게 필요한 응 [수정] ‘또는 연대보증인’ 삭제,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2010.7.26.)
인에게 필요한 응급조치를 강구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계약상대 급조치를 강구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계약상대자는 즉시 이에 연대보증인 제도 폐지 : 계약체결 계약보증금과 함께 인적보
자는 즉시 이에 따라야 하며 계약상대자 또는 연대 보증인이 요구에 따르지 아니할 따라야 하며, 계약상대자가 요구에 따르지 아니할 때에는 발주청은 일방적으로 계 증 제도인 연대보증인 제도를 허용함에 따라 연대보증인에게
때에는 발주청은 일방적으로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제3자로 하여금 응급조치하게 할 약상대자 부담으로 제3자로 하여금 응급조치하게 할 수 있다. 연쇄 부도가 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 이러한 부작용
수 있다. 을 막기 위하여 연대보증인 보증 제도를 폐지함.
(3) (1)항 및 (2)항의 조치에 소요된 경비에 대하여는 발주청이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3) (1)항 및 (2)항의 조치에 소요된 경비에 대하여는 발주청이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관련법규에 준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관련법규에 준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4) 하자보수 기간 중에 발생하는 하자에 대하여 발주청으로부터 보수 또는 수리의 요구 (4) 하자보수 기간 중에 발생하는 하자에 대하여 발주청으로부터 보수 또는 수리의 요
가 있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또는 보증인은 지체없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만약, 구가 있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또는 보증인은 지체없이 그 요구에 따라야 한다. 만
계약상대자 또는 보증인이 그 요구에 따르지 아니할 때에는 발주청은 계약상대자 약, 계약상대자 또는 보증인이 그 요구에 따르지 아니할 때에는 발주청은 계약상대
부담으로 제3자에게 일방적으로 보수 또는 수리시킬 수 있다. 자 부담으로 제3자에게 일방적으로 보수 또는 수리시킬 수 있다.
1.5.5 현장대리인 등의 현장상주
(1) 계약상대자가 임명한 현장대리인은 현장에 상주하여야 한다.
(2) 공사의 전부 또는 일부의 착공지연기간 동안의 인원의 현장상주 여부에 대하여는 발

1 -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주청과 협의하여 정한다.

1.8 동절기 및 혹서기 공사 [신설] 공사의 시급성을 요하는 경우 동절기 및 혹서기 공사 필요하
1.8.1 동절기 및 혹서기 공사 중 물을 사용하는 공사와 기온상승 및 저하로 인하여 시공품질 확보 며 이에 따른 책임한계 명문화 필요
가 어려운 공사는 중단하여야 한다. 다만, 아래의 1.8.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8.2 계약상대자가 부득이한 사유가 있어 공사를 계속하여야 할 경우에는 동절기 공사로 인
하여 시공품질의 저하 및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동절기 공사 시행방안
을 수립하여 발주청의 승인을 받은 후에 공사를 계속하여야 한다. 이 때 계약상대자는
추가되는 비용을 발주청에게 청구할 수 없으며, 이 기간 동안의 공사시행이 원인이 되어 발
생하는 공사물의 잘못, 재시공 및 하자보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1.6 공공에 대한 책임 및 의무 1.9 공공에 대한 책임 및 의무


1.6.1 인허가 및 협의조정 1.9.1 인 · 허가 및 협의 조정
(1) 계약상대자는 공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아래사항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 (1) 계약상대자는 공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아래사항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
다. 다.
① 공사시공과 관련된 각종 인․허가 사항 ① 공사시공과 관련된 각종 인 ․ 허가 사항
② 특허권의 사용 ② 특허권, 신기술 및 신공법의 사용 [수정] ② 특허권의 사용 ⇒ ② 특허권, 신기술, 신공법의 사용
③ 위생, 보건 및 안전의 준수 ③ 위생, 보건 및 안전의 준수 신기술 지정시 일정기간동안 보호기간을 부여받고 사용한 자에
④ 철도와 관련된 공사 ④ 철도와 관련된 공사 게 기술사용로 청구가 가능(건설기술진흥법 제14조)하며, 시공
⑤ 수로와 관련된 공사 ⑤ 수로와 관련된 공사 전 신기술 및 시공법에 대한 숙지가 필요함
⑥ 폭발물의 사용 ⑥ 폭발물의 사용 [수정] ② 특허권, 신기술, 신공법의 ⇒ 특허권, 신기술 및 신공법의
⑦ 재산의 보호와 복구의무 ⑦ 재산의 보호와 복구의무 (관계기관의견 반영)
⑧ 산림, 공원 및 공공용지의 보호 ⑧ 산림, 공원 및 공공용지의 보호
⑨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책임 ⑨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책임
⑩ 발굴물의 처리 및 문화재의 보호 ⑩ 발굴물의 처리 및 문화재의 보호
⑪ 채권양도의 금지 등 ⑪ 채권양도의 금지 등
⑫ 사후 환경영향평가 대상공사는 환경평가계획서 준수 ⑫ 사후 환경영향평가 대상공사는 환경평가계획서 준수
(2) 계약상대자는 자신이나 그의 고용인이 상기의 규약을 위반함으로써 민원이나 책임문제 (2) 계약상대자는 자신이나 그의 고용인이 상기의 규약을 위반함으로써 민원이나 책임문
가 야기되었을 경우에는 일체의 책임을 져야 진다. 제가 야기되었을 경우에는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수정] 오타 수정 : 진다 ⇒ 한다.

1.7 공사기한 연기 1.10 공사기한 연기


1.7.1 연기 요청일수 1.10.1 연기 요청일수
계약상대자는 계약기간(공사기한) 연장을 발주청에 요청할 수 있다. 그 일수는 이 시방 계약상대자는 계약기간(공사기한) 연장을 발주청에 요청할 수 있다. 그 일수는 이 시
서 1-2-2절 1.1.5의 공정계획변경에 의한 연기사유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지연된 일수 방서 1-2-2절 1.1.5의 공정계획변경에 의한 연기사유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지연된
를 초과할 수 없으며, 교통 개시일을 감안하여 발주청과 협의하여 정한다. 일수를 초과할 수 없으며, 공용 개시일을 감안하여 발주청과 협의하여 정한다. [자문] 의미 전달 명확화 : 교통 ⇒ 공용
1.7.2 제 출 1.10.2 제 출
공사기한 연기 요청시의 제출서류, 부수 및 시기 등은 이 시방서 1-2-4절 1.12.2에 공사기한 연기 요청할 때의 제출서류, 부수 및 시기 등은 이 시방서 1-2-4절 [수정] 한글로 순화 : 요청시의 ⇒ 요청할 때의
따른다. 1.13.2에 따른다.

1.8 공사계약외의 분쟁 1.11 공사계약외의 분쟁


1.8.1 당해 계약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관한 분쟁은 계약당사자간 쌍방의 협의에 의하 1.11.1 해당 계약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관한 분쟁은 계약당사자 간 협의에 의하여 해 [수정] 띄어쓰기 수정
여 해결한다. 결한다. [자문] ‘쌍방의’ 삭제, 불필요한 문구 삭제
1.8.2 1.8.1의 합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때에는 당사자가 관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 1.11.2 1.11.1의 합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때에는 당사자가 관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1.12.1 ⇒ 1.11.1
된 조정위원회 등의 조정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에 의하여 해결할 수 치된 분쟁조정위원회 등의 조정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에 의하여 해 [수정] 자구수정 : 조정위원회⇒ 분쟁조정위원회
있다. 결할 수 있다. 건설산업기본법 제69조는 건설분쟁조정위원회

1 -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국가계약법 제29조는 국가계약분쟁조정위원회로 적용힘
1.9 하도급 1.12 하도급
1.9.1 하도급인의 선정 1.12.1 하수급인의 선정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계약상대자가 공사일부를 하도급 하는 경우에는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의 규정에 계약상대자가 공사일부를 하도급 하는 경우에는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의 규정에
따라 공사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기술 및 능력을 가진 자를 하도급 인으로 선정하여야 따라 공사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기술 및 능력을 가진 자를 하수급인으로 선정하여
한다. 야 한다.
1.9.2 하도급인에의 주지 1.12.2 하수급인에의 주지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계약상대자 또는 현장대리인은 발주청 또는 감독자의 지시, 승인, 협의로 결정된 사 계약상대자 또는 현장대리인은 발주청 또는 감독자의 지시, 승인, 협의로 결정된
항 및 안전의 확보에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하수급인에게 철저히 주지시켜야 한다. 사항 및 안전의 확보에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하수급인에게 철저히 주지시켜야 한
다.
1.9.3 하도급 시행계획서 등 1.12.3 하도급 시행계획서 등
(1) 계약상대자는 하도급을 시행하기 전에 시행계획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 계약상대자는 하도급을 시행하기 전에 시행계획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하도급 시행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시켜야 한다. (2) 하도급 시행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시켜야 한다.
① 하도급 예정업종 ① 하도급 예정업종
② 하도급 계약예정일 ② 하도급 계약예정일
③ 하도급 계약금액 ③ 하도급 계약금액
(3) 하도급에 대한 관련서류, 부수 및 시기 등은 1-2-4의 1.14 하도급 관련서류에 따 (3) 하도급에 대한 관련서류, 부수 및 시기 등은 1-2-4의 1.15 하도급 관련서류에 따른 [수정] 오타수정 : 1-2-4의 1.14 ⇒ 1-2-4의 1.15
른다. 다.
1.12.4 불공정 건설행위 신고센터 안내판 설치 [신설] 건설산업기본법 제38조와 관련하여 불공정거래를 방지 필요
계약상대자는 계약상대자 및 감독자 사무실 입구에불공정 건설행위 신고센터 안내
를 알리는 안내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1.10 지중 발굴 물 등 1.13 지중 발굴물 등 [수정] 띄어쓰기 수정


1.10.1 공사현장에서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이 발견한 모든 가치 있는 화석, 금전, 1.13.1 공사 현장에서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이 발견한 모든 가치 있는 화석, 금전,
보물, 기타 지질학 및 고고학상의 유물 또는 물품은 발주청의 위촉에 의하여 발견한 보물, 기타 지질학 및 고고학상의 유물 또는 물품은 발주청의 위촉에 의하여 발견
것으로 간주하여 물품의 값을 지불하지 않으며, 발주청이 당해 매장물의 발견자로서 한 것으로 간주하여 물품의 값을 지불하지 않으며, 발주청이 해당 매장물의 발견자
권리를 보유하고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처리한다. 로서 권리를 보유하고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처리한다.
1.10.2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은 발견한 물품이나 유품을 감독자에게 통보하여 그의 1.13.2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은 발견한 물품이나 유품을 감독자에게 통보하여 그
지시에 따라야 하며, 이를 취급할 때에는 파손이 없도록 적절한 예방조치를 하여야 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이를 취급할 때에는 파손이 없도록 적절한 예방조치를 하
한다. 여야 한다.
1.10.3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문화재 보호에 주의하고, 공사 중 문화재를 발견하였을 때에 1.13.3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문화재 보호에 주의하고, 공사 중 문화재를 발견하였을 때에
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1.10.4 문화재 조사를 위하여 공사가 지연되었을 때에는 발굴에 필요한 공사기간 연장을 1.13.4 문화재 조사를 위하여 공사가 지연되었을 때에는 발굴에 필요한 공사기간 연장을
인정하며, 계약상대자는 발굴에 따른 진입로 개설 및 수목 제거 등에 협조하여야 한 인정하며, 계약상대자는 발굴에 따른 진입로 개설 및 수목제거 등에 협조하여야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수목 제거 ⇒ 수목제거
다. 한다.

1.11 관련 규준 등의 비치 1.14 관련 규준 등의 비치
계약상대자는 공사를 원활하고 신속히 추진하고 적정한 품질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현 계약상대자는 공사를 원활하고 신속히 추진하고 적정한 품질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정] ‘상시’를 삭제하여도 상시 비치하여야 하는 조건에 대한 의미
장사무실 또는 현장시험실에 아래의 관련 규준 등을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현장사무실 또는 현장시험실에 아래의 관련 규준 등을 비치하여야 한다. 전달 가능
1.11.1 공사와 관련된 계약문서 사본 일체 1.14.1 공사와 관련된 계약문서 사본 일체
1.11.2 공사와 관련된 시방서 1.14.2 공사와 관련된 시방서
1.11.3 계약 및 건설 관련 법규 및 조례 1.14.3 계약 및 건설 관련 법규 및 조례
1.11.4 관련 한국 산업규격 (KS) 1.14.4 관련 한국산업표준(KS) [수정] 용어수정 : 한국산업규격 ⇒ 한국산업표준
1.11.5 기타 이 시방서 1-2-4절에 명시되어 있는 서류 1.14.5 기타 이 시방서 1-2-4절에 명시되어 있는 서류

1 -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2 공사계획 및 관리 1-2 공사계획 및 관리

1-2-1 공사계획 1-2-1 공사계획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시공계획서 제출 1.1 시공계획서 제출
1.1.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1-2-4 절 1.3에 의거한 시공계획서를 작성․제출하여 감독 1.1.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1-2-4절 1.4에 의거한 시공계획서를 작성 ․ 제출하여 감독 [수정] 띄어쓰기 수정 : 1-2-4 절 ⇒ 1-2-4절
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1.1.2 시공계획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공사의 진도에 맞추어 분할할 수도 있다. 1.1.2 시공계획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공사의 진도에 맞추어 분할할 수도 있다.
1.1.3 시공계획서가 변경될 때에는 변경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1.1.3 시공계획서가 변경될 때에는 변경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다. 한다.

1.2 현장 확인 및 설계도서의 검토 1.2 현장 확인 및 설계도서의 검토

1 -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공과 동시에 설계도서의 내용과 현장을 확인하고 이상 유무를 즉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착공과 동시에 설계도서의 내용과 현장을 확인하고 이상 유무를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착공 ⇒ 공사착공
시 발주청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특히 주요 구조물(교량)의 공법, 구조해석, 철근배 즉시 발주청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특히 주요 구조물(교량)의 공법, 구조해석, [자문] 철근배근 및 기초정착 심도 삭제, 철근 배근은 시공상세도에
근 및 수량, 기초정착 심도 등을 검토하여 설계상의 누락, 오류, 구조적 안전성 등의 이 등을 검토하여 설계상의 누락, 오류, 구조적 안전성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그 서 검토할 사항이며, 기초 정착은 기초 지반의 확인 지질조사
상 유무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3개월 이내에 발주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결과를 3개월 이내에 발주청에 보고하여야 한다. (보링)결과에 따라 정착심도가 정해져야 할 사항

1.3 착수 전 합동조사 1.3 착수 전 합동조사


1.3.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 및 부대시설 등 해당 공종의 공사착수 전에 관계기관(행정 및 1.3.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 및 부대시설 등 해당 공종의 공사착수 전에 관계기관(행정 및
유관기관) 및 지역 주민대표, 감독자와 합동으로 설계도서상의 내용과 현장의 적합여 유관기관) 및 지역 주민대표, 감독자와 합동으로 설계도서상의 내용과 현장의 적합
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여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1.3.2 계약상대자는 조사결과에 따라 변경될 사항에 대하여 사유, 변경방안, 변경내용 등 1.3.2 계약상대자는 조사결과에 따라 변경될 사항에 대하여 사유, 변경방안, 변경내용 등
을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감독자는 조사결과에 따라 구조물 및 부대 을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감독자는 조사결과에 따라 구조물 및 부
시설의 위치, 규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변경과 추가설치의 필요성이 인정될 경 대시설의 위치, 규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변경과 추가설치의 필요성이 인정
우 설계변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될 경우 설계변경에 반영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1.4 시설물 및 지장 물 철거 1.4 시설물 및 지장물 철거


도로부지로부터 철거하여 다른 장소로 이전될 모든 건물, 시설물, 기타 지장물은 설계도서에 도로부지로부터 철거하여 다른 장소로 이전될 모든 건물, 시설물, 기타 지장물은 설계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계약상대자가 철거하여야 한다. 도서에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계약상대자가 철거하여야 한
다.

1.5 공사협의 및 조정 1.5 공사협의 및 조정


1.5.1 협의 및 조정 1.5.1 협의 및 조정
계약상대자는 당해 공사와 관련된 다른 공사의 계약상대자들과 상호간의 마찰을 방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와 관련된 다른 공사의 계약상대자들과 상호간의 마찰을 방
지하고, 전체 공사가 계획대로 완성될 수 있도록 관련공사와의 접속부위의 적합성, 지하고, 전체 공사가 계획대로 완성될 수 있도록 관련 공사와의 접속부위의 적합
공사 시공한계, 시공순서, 공사 착수시기, 공사 진행속도, 공사 준비, 공사 물 보호 성, 공사 시공한계, 시공순서, 공사 착수시기, 공사 진행속도, 공사준비, 공사물 보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준비 ⇒ 공사준비, 가설 시설→가설시설
및 가설 시설 등의 적합성에 대하여 모든 공사의 관련자들과 면밀히 협의·조정하여 호 및 가설시설 등의 적합성에 대하여 모든 공사의 관련자들과 면밀히 협의·조정하
공사전체의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협력하고 최선의 방안을 도출한 후에 공사를 시 여 공사전체의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협력하고 최선의 방안을 도출한 후에 공사를
행하여야 한다. 시행하여야 한다.
1.5.2 발주청은 공사의 안전 및 일반인에 대한 보호와 2인 이상의 계약상대자가 관련된 공사 1.5.2 발주청은 공사의 안전 및 일반인에 대한 보호와 2인 이상의 계약상대자가 관련된
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당해 건설공사의 일부분을 조속히 완공하거나 연기를 요구 공사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건설공사의 일부분을 조속히 완공하거나 연기
할 수 있다. 계약상대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 를 요구할 수 있다. 계약상대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
1.5.3 협의 및 조정에 따른 설계변경 1.5.3 협의 및 조정에 따른 설계변경
계약상대자는 당해 공사와 연관된 다른 공사의 상호간 마찰방지를 위한 협의 및 조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와 연관된 다른 공사의 상호간 마찰방지를 위한 협의 및 조
정 결과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정 결과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1) 지하구조물 공사의 우선순위상 불가피한 선후시공에 따라 기초저면의 안전성 저하 (1) 지하구조물 공사의 우선순위상 불가피한 선・후시공에 따라 기초저면의 안전성 저하 [수정] 가운데 점 추가 : 선후시공 ⇒ 선・후시공
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띄어쓰기 수정 : 전선 관로 ⇒ 전선관로
(2) 광통신관로, 공동구, 전화 및 전선 관로, 배수관, 급수관 등이 교차되어 매설심도가 (2) 광통신관로, 공동구, 전화 및 전선관로, 배수관, 급수관 등이 교차되어 매설심도가
변경되어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변경되어 설계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3) 지질상태, 지하수위 등 지반상태가 설계도서와 다른 때 (3) 지질상태, 지하수위 등 지반상태가 설계도서와 다른 때
(4)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 (4)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
1.5.4 계약상대자의 책임 1.5.4 계약상대자의 책임
계약상대자는 공사 상호간의 협의 및 조정을 소홀히 함으로써 발생한 재시공 또는 계약상대자는 공사 상호간의 협의 및 조정을 소홀히 함으로써 발생한 재시공 또는
수정·보완 공사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수정 · 보완 공사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1.5.5 종합공정관리에의 협조 1.5.5 종합 공정관리에의 협조
계약상대자는 착공부터 준공까지 토목, 건축, 전기, 통신, 조경 공사는 물론 타 행 계약상대자는 착공부터 준공까지 토목, 건축, 전기, 통신, 조경 공사는 물론 타 행

1 -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정기관 등과의 협조 및 관련 공사 전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감독자가 요구하는 정기관 등과의 협조 및 관련 공사 전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감독자가 요구하는
종합공정관리계획 및 운영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종합 공정관리계획 및 운영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1.5.6 시공 전 협의 1.5.6 시공 전 협의
(1) 공사 합동회의 (1) 공사 합동회의
감독자는 공사착수일로부터 1 개월 이내에 최초 전체 진행 회의를 개최하여야하며, 감독자는 공사 착수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최초 공사 관련자 합동회의를 개최하여야 하 [수정]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서(국토교통부고사 제2014-304호) 제6조
이 회의에서는 각각의 책임한계를 검토하고 필요한 회의별로 장소, 일시, 참석범위, 며, 이 회의에서는 각각의 책임한계를 검토하고, 필요한 회의별로 장소 · 일시 · 참석범 전체 진행회의 → 공사 관련자 합동회의
월 개최회수 등을 정 하여야한다. 위 · 월 개최 횟수 등을 정한다.
(2) 공사 추진회의 (2) 공사추진 합동회의
감독자는 각공사의 특수사항 및 사전협의 사항 등을 협의 및 조정하기위하여 공사 감독자는 각 공사의 특수사항 및 사전 협의사항 등 업무를 조정하기 위하여 공사추진 [수정] 공사추진회의 → 공사추진 합동회의
전체 진행 회의를 개최하여야한다. 합동회의를 개최하여야 한다.

1.6 개선제안공법의 사용 1.6 개선제안공법의 사용


1.6.1 개선제안공법은 국내·외에서 새로이 개발되었거나 개량된 기술, 공법, 기자재 등을 포함한 1.6.1 개선제안공법은 국내·외에서 새로이 개발되었거나 개량된 기술, 공법, 기자재 등을 포함
기술적인 개선제안사항으로 계약상대자가 이를 사용함으로써 발주청의 설계와 동등 이상 한 기술적인 개선제안사항으로 계약상대자가 이를 사용함으로써 발주청의 설계와 동등
의 기능과 효과로 공사비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가 있어 계약상대자가 개선 이상의 기능과 효과로 공사비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가 있어 계약상대자가
제안내용을 서면 신청한 경우에 적용한다. 개선제안내용을 서면 신청한 경우에 적용한다.
1.6.2 개선제안내용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의 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1.6.2 개선제안내용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의 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1) 전체공사 개요, 당초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을 비교한 장․단점 (1) 전체 공사개요, 최초 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을 비교한 장 ․ 단점 [수정]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당초→최초
(2) 개선제안내용 사용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검토서, 세부시공계획, 세부공정계획, 품질 (2) 개선제안내용 사용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검토서, 세부시공계획,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개요 ⇒ 공사개요
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 자재사용계획 세부공정계획, 품질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 자재사용계획
(3) 당초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의 세부공사비 내역 비교 (3) 최초 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의 세부공사비 내역 비교 [수정]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당초→최초
(4)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으로 인한 공사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 등에 미치는 영향의 예 (4)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으로 인한 공사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 등에 미치는 영향의
측 예측
(5) 기타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자료 등 (5) 기타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자료 등
1.6.3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제안내용 사용신청서는 제출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발주청의 1.6.3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제안내용 사용신청서는 제출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발주청
장이 제안내용의 사용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계약상대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단, 계 의 장이 제안내용의 사용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계약상대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약상대자에게 서류를 보완하게 하거나 관계 담당자로 하여금 현장조사를 하게 할 경 단, 계약상대자에게 서류를 보완하게 하거나 관계 담당자로 하여금 현장조사를 하
우에는 이에 소요된 기간을 위에서 정한 통보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게 할 경우에는 이에 소요된 기간을 위에서 정한 통보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1.6.4 발주청의 장이 개선제안 내용의 범위와 한계에 관하여 판단이 곤란한 경우에는 즉시 1.6.4 발주청의 장이 개선제안 내용의 범위와 한계에 관하여 판단이 곤란한 경우에는 즉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 요청(자체적으로 설계자문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시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 요청(자체적으로 설계자문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는 경
설계자문위원회에 요청)하여야 하며, 심의를 요청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계약상대자 우는 설계자문위원회에 요청)하여야 하며, 심의를 요청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계
에게 심의를 요청한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의 심 약상대자에게 심의를 요청한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이 경우 중앙건설기술심의위
의에 소요되는 기간은 1.6.3에서 정한 통보기간에 삽입하지 아니한다. 원회의 심의에 소요되는 기간은 1.6.3에서 정한 통보기간에 삽입하지 아니한다.
1.6.5 계약상대자는 개선 제안공법 사용의 승인여부에 대해 발주청에 이의가 있을 경우에 1.6.5 계약상대자는 개선제안공법 사용의 승인여부에 대하여 발주청에 이의가 있을 경우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개선 제안공법 ⇒ 개선제안공법
는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발주청의 장이 중앙건설 에는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발주청의 장이 중앙 [수정] 줄임말 수정 대해→대하여
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요청하여 심의를 거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건설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요청하여 심의를 거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6.6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이 승인되면 계약상대자는 이러한 개선제안내용을 충분히 이용 1.6.6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이 승인되면 계약상대자는 이러한 개선제안내용을 이용할 수 [수정] 원문의 “충분히” 삭제하여도 의미전달 가능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를 복사 또는 공포할 수 있는 권리를 발주청에 인정하여야 있도록 필요한 자료를 복사 또는 공포할 수 있는 권리를 발주청에 인정하여야 하
하며, 제3자에게도 승낙하여야 한다. 며, 제3자에게도 승낙하여야 한다.
1.6.7 개선제안내용의 채택에 따라 공사비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으로 설계 변경할 때의 1.6.7 개선제안내용의 채택에 따라 공사비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으로 설계 변경할 때
계약금액의 조정은 당해 계약문서에 따라 결정한다. 의 계약금액의 조정은 해당 계약문서에 따라 결정한다.

1.7 신 자재․신공법의 시험시공 1.7 신자재 (신기술)·신공법의 시험시공 및 활용 [수정] 1.7 과 1.8 통합
1.7.1 계약상대자는 발주청이 신자재․신공법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지시하는 시험시공을 1.7.1 계약상대자는 발주청이 신자재 ․ 신공법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지시하는 시험시공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시험시공 시 신기술․신공법 보유자를 참여토록 하여야 하며, 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시험시공을 할 때에는 신기술 ․ 신공법 보유자를 참여하도 [수정] 한글로 순화 : 시험시공 시 ⇒ 시험시공을 할 때에는

1 -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험시공에 관한 공사 진행과정, 소요 인력 품 및 성과를 기록․비치하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하며, 시험시공에 관한 공사 진행과정, 소요 인력 품 및 성과를 기록 ․ 비 줄임말 수정
1.7.2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과 관련하여 발주청의 직원이 시행하는 현장교육 및 기술지도 치하여야 한다.
와 사후관리 점검에 협조하여야 한다. 1.7.2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과 관련하여 발주청의 직원이 시행하는 현장교육 및 기술지
도와 사후관리 점검에 협조하여야 한다.
1.8 신기술․신공법의 활용 1.7.3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34조에 의거 신기술로 지정 고시된 신기술을 활용한 경우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1.8.1 건설 기술 관리법 시행령 제33조에 의거 신기술로 지정 고시된 신기술을 활용한 경 에는 발주청의 장에게 신기술 활용실적을 제출하여야 한다. 해당 조항 수정
우에는 발주청의 장에게 신기술 활용실적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2-2 공사 관리 1-2-2 공사 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공정관리 1.1 공정관리
1.1.1 계약상대자는 예정공정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1.1 계약상대자는 예정공정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1.2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1-2-4절 1.9에 의거한 공사일지를 감독자에게 익일 1.1.2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1-2-4절 1.10에 의거한 공사일지를 감독자에게 ‘건설공사 [수정] 특정 시간대 삭제
18:00까지 정기적으로 제출하여야 하며, 감독자는 예정공정과 실시공정을 확인하 감독자 업무지침(2014.5.23.)에 따라 익일까지 정기적으로 제출하여야 하며, 감독자 익일 18:00까지 정기적으로 ⇒ ‘건설공사 감독자 업무지침(2014.5.23.)에 따
여 공사의 부진 여부를 검토하여야한다. 는 예정공정과 실시공정을 확인하여 공사의 부진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라 익일까지 정기적으로 제출
1.1.3 감독자는 현장여건, 기상조건, 지장물 이설 등에 따른 관계기관과의 협의사항이 정상 1.1.3 감독자는 현장여건, 기상조건, 지장물 이설 등에 따른 관계기관과의 협의사항이 정
적으로 추진되는지를 계약상대자와 상호 협의하여 검토․확인한다. 상적으로 추진되는지를 계약상대자와 상호 협의하여 검토 ․ 확인한다.
1.1.4 필요시 감독자는 현장대리인을 포함한 관계직원 합동으로 진행 작업에 대한 실적을 1.1.4 필요할 때 감독자는 현장대리인을 포함한 관계직원 합동으로 진행 작업에 대한 실 [수정] 한글로 순화 : 필요시 ⇒ 필요할 때
분석, 평가하여 공사추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 잘못 시공된 부분의 지적 및 재 적을 분석, 평가하여 공사추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 잘못 시공된 부분의 지
시공 등의 지시와 재발방지 대책, 공정진도의 평가, 기타 공사추진 상 필요한 내용의 적 및 재시공 등의 지시와 재발방지 대책, 공정진도의 평가, 기타 공사추진 상 필
협의를 위한 공사추진회의를 실시하고 그 회의록을 작성․유지하여야 한다. 요한 내용의 협의를 위한 공사추진회의를 실시하고 그 회의록을 작성 및 유지하여 [수정] 자구수정: 작성・보존하여야 한다. ⇒ 작성 및 유지하여야 한다.

1 -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추가 : 증감 ⇒ 증・감
1.1.5 감독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인한 물동량의 증감, 공법의 변경, 공사 중의 재해, 천재 1.1.5 감독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인한 물량의 증・감, 공법의 변경, 공사 중의 재해, 천재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중지 ⇒ 공사중지, 공사 진척 ⇒ 공사진척
지변 등 불가항력에 의한 공사 중지, 지급자재 공급지연, 공사용지 제공의 지연, 문화 지변 등 불가항력에 의한 공사중지, 지급자재 공급지연, 공사용지 제공의 지연, 문 [자문] 의미 전달 명확화 : 물동량 ⇒ 물량
재 발굴 및 조사 등의 현장실정 또는 계약상대자의 사정 등으로 인하여 공사 진척이 화재 발굴 및 조사 등의 현장실정 또는 계약상대자의 사정 등으로 인하여 공사진척 [수정] 줄임말 수정
부진할 경우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공정계획을 재검토하여 공정계획(변경)을 수립토록 이 부진할 경우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공정계획을 재검토하여 공정계획(변경)을 수
하여야 한다. 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1.1.6 1.1.5항에 따라 감독자는 계약상대자로부터 공정계획(변경)을 제출받아 검토하고 승 1.1.6 1.1.5항에 따라 감독자는 계약상대자로부터 공정계획(변경)을 제출받아 검토하고 승
인하여야 한다. 인하여야 한다.
1.1.7 감독자는 1.1.5 항에 따른 변경 예정준공일이 당초 계약 준공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1.1.7 감독자는 1.1.5 항에 따른 변경 예정준공일이 최초 계약 준공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정]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 준공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변경 공정계획과 함께 공사기한 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 준공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변경 공정계획과 함께 공사기 [수정] 쉼표 추가
연기요청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한 연기요청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2 현장요원 관리 1.2 현장요원 관리


1.2.1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현장대리인을 지정 발주청에 통지하여야 하며, 현장대리 1.2.1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현장대리인을 지정 발주청에 통지하여야 하며, 현장대리
인은 공사현장에 상주하여 계약문서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공사에 관한 모든 사 인은 공사현장에 상주하여 계약문서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공사에 관한 모든 사
항을 처리하여야 한다. 항을 처리하여야 한다.
1.2.2 계약상대자는 당해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가진 근로 1.2.2 계약상대자는 해당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가진 근로
자를 채용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자를 채용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1.2.3 계약상대자는 현장 근로자에 대하여 감독자가 당해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상 1.2.3 계약상대자는 현장 근로자에 대하여 감독자가 해당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상
적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이의 교체를 요구한 때에는 즉시 교체하여야 하며, 적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이의 교체를 요구한 때에는 지체 없이 교체하여야 [수정] 자구수정(한글순화) : 즉시 ⇒ 지체 없이
감독자의 승인 없이는 교체된 근로자를 당해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를 위하여 하며, 감독자의 승인 없이는 교체된 근로자를 해당 계약 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를
다시 채용할 수 없다. 위하여 다시 채용할 수 없다.

1.3 하도급 관리 1.3 하도급 관리


1.3.1 계약상대자는 계약된 공사의 일부를 제3자에게 하도급 하고자 할 때에는 발주청의 1.3.1 계약상대자는 계약된 공사의 일부를 제3자에게 하도급 하고자 할 때에는 발주청의
서면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2항”에 의하여 전문공사 서면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전문공사를 해당 전문공사업자에게 하도급 하는 경 [수정] 제29조 제2항 → 제29조 제4항 (개정 2011.5.24.)
를 당해 전문공사업자에게 하도급 하는 경우에는 발주청에 통지하여야 한다. 우에는 “건설산업기본법 제29조 제4항”에 의하여 발주청에 통지하여야 한다. [수정] 의미 명확화를 위한 문장순서 조정
1.3.2 1.3.1항의 규정에 의하여 하도급 한 경우에도 계약상의 계약상대자의 책임과 의무가 1.3.2 1.3.1항의 규정에 의하여 하도급 한 경우에도 계약상의 계약상대자의 책임과 의무
면제되지는 아니하며, 계약상대자는 하수급인․하수급인의 대리인․하수급인이 채용한 가 면제되지는 아니하며, 계약상대자는 하수급인·하수급인의 대리인·하수급인이 채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근로자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 용한 근로자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 [삭제] 중심위 의견 반영 : 수정 사유 삭제
1.3.3 1.3.1항에 의하여 계약상대자로부터 하도급계약에 대한 승인신청 또는 통지를 받은 1.3.3 1.3.1항에 의하여 계약상대자로부터 하도급계약에 대한 승인신청 또는 통지를 받은
때 감독자는 하도급 관련서류를 검토하고 하도급 율이 82% 미만인 경우에는 하도급 때 감독자는 하도급 관련서류를 검토하고 하도급율이 82 % 미만인 경우에는 하도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의 적정성 여부에 대하여 심사하여 당해 공사의 적정한 이행이 되지 아니할 우려가 급의 적정성 여부에 대하여 심사하여 해당 공사의 적정한 이행이 되지 아니할 우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계약상대자에게 하도급 계약내용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으 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계약상대자에게 하도급 계약내용의 변경을 요구할
며, 그 결과를 계약상대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계약상대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1.4 공사장 관리 1.4 공사장 관리


1.4.1 차량통행을 위한 도로의 유지관리 1.4.1 차량통행을 위한 도로의 유지관리
(1) 기존도로를 개량할 경우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계약상대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 (1) 기존도로를 개량할 경우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계약상대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
도록 도로를 개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도록 도로를 개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우회도로를 개설하거나 일부 확폭하여 차량을 통행시킬 수 있다. 얻은 경우에는 우회도로를 개설하거나 일부 확폭하여 차량을 통행시킬 수 있다.
(2) 계약상대자는 차량통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방호울타리, 경고표지, (2) 계약상대자는 차량통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방호울타리 ․ 경고표지 ․
시선유도표지, 신호수 또는 싸인 보드카 등을 설치 운용하여 공사작업장의 시설을 시선유도표지 ․ 신호수 또는 싸인 보드카 등을 설치 운용하여 공사작업장의 시설을 [수정] 관리대상에 대한 명확한 표현
보호하고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보호하고, 운전자 ․ 보행자 ․ 작업자 등 모두의 안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이용자의 → 운전자, 보행자, 작업자 모두의
(3) 통행이 금지된 도로에는 필요한 차단시설 및 야간용 조명시설 등을 설치하여야 한 (3) 통행이 금지된 도로에는 필요한 차단시설 및 야간용 조명시설 등을 설치하여야 한 적어도 두 개 → 최소한 두 개

1 -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다.
(4) 계약상대자는 작업이 통행차량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그 작업지점의 (4) 계약상대자는 작업이 통행차량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그 작업지점의
전방에 경고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공사장이 기존 도로와 교차할 경우에는 교 전방에 경고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공사장이 기존 도로와 교차할 경우에는 교
차로 사이의 공사도로상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고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차로 사이의 공사도로상에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경고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적어도 ⇒ 최소한
(5) 안전운행을 위하여 가도나 횡단보도 또는 평면교차로를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5) 안전운행을 위하여 가도나 횡단보도 또는 평면교차로를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하여야 하며, 또한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하며, 또한 비산 · 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 상기 사항은 전 계약기간동안에 걸쳐 적용되며,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상대 (6) 상기 사항은 전 계약기간동안에 걸쳐 적용되며,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계약상대
자 부담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자 부담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7) 입찰 내역서에 “우회도로의 유지관리” 또는 “기존 구조물의 철거와 교통소통”에 관한 (7) 입찰 내역서에 “우회도로의 유지관리” 또는 “기존 구조물의 철거와 교통소통”에 관
공종이 있을 경우에는 우회도로의 축조와 유지관리가 포함되며, 가설교량과 진입로 한 공종이 있을 경우에는 우회도로의 축조와 유지관리가 포함되며, 가설교량과 진
의 축조와 철거 및 우회도로의 철거까지를 포함한다. 입로의 축조와 철거 및 우회도로의 철거까지를 포함한다.
(8) 계약상대자는 동절기 공사 등으로 공사가 중지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안전통행을 (8) 계약상대자는 동절기 공사 등으로 공사가 중지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안전통행을
위하여 도로여건에 따른 가설물 및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위하여 도로여건에 따른 가설물 및 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9) 도로법 제8조에 따른 도로(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등)를 이용하는 사토 또는 [수정] 건설현장 축중기 설치지침(국토해양부훈령 제325호,
순쌓기 운반량이 10,000 ㎥ 이상인 건설공사(진행 중인 공사는 잔량이 10,000 ㎥ 2009.8.7.) 제3조, 제4조에 따라 내용 추가
이상인 경우) 현장에는 의무적으로 10 ton 이상의 중량을 측정 할 수 있는 축중기
를 설치하여야 한다.
(10)공사용 차량 등(건설기계포함)이 도로법 제8조 규정에 의한 도로(고속도로, 일반국 [추가] 건설공사 차량 과적 방지지침(국토교통부, 2006.2.23.) 인용
도, 지방도 등)로 토석 등 화물을 운반하는 모든 공공건설공사 현장에서 「건설공
사 차량 과적 방지지침」(국토교통부)에 따라 총 사업비 100억원 이상인 현장은
‘과적방지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총사업비 100억원 미만인 현장은 ‘차량적재중량관리
요령’에 따라 과적을 방지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과적방지를 관리하여야 한다.
⇒ 과적을 방지하여야 한다.(문장 수정)
1.4.2 도로 및 구조물 유지관리의 태만 1.4.2 도로 및 구조물 유지관리의 태만
(1) 계약상대자가 규정에 따라 공사구간 도로의 유지관리를 적절히 이행하지 않으면 감독 (1) 계약상대자가 규정에 따라 공사구간 도로의 유지관리를 적절히 이행하지 않으면 감독
자는 즉시 계약상대자에게 시정토록 통보하여야 한다. 자는 즉시 계약상대자에게 시정하도록 통보하여야 한다. [수정] 약어 수정 : 시정토록 ⇒ 시정하도록
(2) 계약상대자가 통보를 받은 후 신속히 시정하지 않으면 감독자는 즉시 유지관리를 대 (2) 계약상대자가 통보를 받은 후 신속히 시정하지 아니하면 감독자는 즉시 유지관리를 [수정] 약어 수정 않으면→아니하면
행시킬 수 있으며, 모든 비용은 계약금액에서 공제한다. 대행시킬 수 있으며, 모든 비용은 계약금액에서 공제한다.
1.4.3 공사장 정리 1.4.3 공사장 정리
계약상대자는 공사시행을 위하여 점유했던 전 지역과 도로, 토취장 및 골재원 등에서 쓰레기 계약상대자는 공사시행을 위하여 점유했던 전 지역과 도로, 토취장 및 골재원 등에서 쓰레기
잔류물, 가설물, 장비 등을 공사 준공 인계 전에 철거하고,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 잔류물, 가설물, 장비 등을 공사 준공 인계 전에 철거하고,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
업은 계약이행에 포함되는 작업으로 간주하며,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직접비로서 별도 계상 업은 계약이행에 포함되는 작업으로 간주하며,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직접비로서 별도 계상
하지 않으며, 건설폐기물의 처리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하지 않으며, 건설폐기물의 처리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1.5 공사착공 1.5 공사착공


1.5.1 착공계 제출 1.5.1 착공계 제출
(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계약체결일로부터 5일 이내에 (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는 계약체결일로부터 5일 이내에
착공하고 착공계를 제출하여야 한다. 착공하고 착공계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착공계의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8에 따른다. (2) 착공계의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9에 따른다.
1.5.2 착공업무보고 1.5.2 착공업무보고 [수정] 업무보고 시에는 ⇒ 업무보고를 할 때에는 (한글로 순화)
공사착공에 따른 업무보고 시에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보고하여야 한다. 공사착공에 따른 업무보고를 할 때에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수정 : 포함하여 보고하여야 한다. ⇒ 포함하여야 한다.
(1) 공사개요 (1) 공사개요 (중복표현 삭제)
(2) 공정관리계획 (2) 공정관리계획(건설공사 예정공정표 포함) [수정] 자구 수정 : 인원투입 및 장비투입계획 ⇒ 인원투입, 장비투입계획
(3) 인원 및 자재관리계획 (3) 인원투입, 장비투입계획 및 자재관리계획 [수정]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04호) 제48
(4) 품질관리계획 (4)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조3항 내용 추가

1 -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안전관리계획 (5) 안전관리계획
(6) 환경관리계획 (6) 환경관리계획
(7) 하도급 시행계획 (7) 하도급 시행계획
(8) 현장여건 조사결과 및 설계도서 검토의견 (8) 현장여건 조사결과 및 설계도서 검토의견
(9) 기타 (9)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현장관리조직, 현장대리인, 안전관리자, 품질관리자, 환경관
리자)
(10) 현장기술자 경력사항 확인서 및 자격증 사본
(11) 착공 전 사진
(12) 기타 발주청이 지정한 사항

1.6 공사이행 1.6 공사이행


1.6.1 계약상대자는 하도급인, 자재 납품 자가 참여하는 관련 공종별 공사를 위한 사전준 1.6.1 계약상대자는 하수급인, 자재 납품 자가 참여하는 관련 공종별 공사를 위한 사전준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비, 공사 진행방법 등에 대하여 상호 협의․조정하여야 한다. 비, 공사 진행방법 등에 대하여 상호 협의 ․ 조정하여야 한다.
1.6.2 계약상대자는 계약문서에 위배됨이 없이 공사를 이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발주청 1.6.2 계약상대자는 계약문서에 위배됨이 없이 공사를 이행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발주
의 시정 요구 또는 이행 촉구 지시가 있을 때에는 즉시 이에 따라야 한다. 또한, 계 청의 시정 요구 또는 이행 촉구 지시가 있을 때에는 즉시 이에 따라야 한다. 또한,
약문서에 정해진 것에 대하여는 발주청의 승인, 검사 또는 확인 등을 받아야 하며, 계약문서에 표기된 것에 대하여는 발주청의 승인, 검사 또는 확인 등을 받아야 하 [수정] 정해진 → 표기된
발주청의 승인을 받은 문서는 계약문서와 동등한 효력을 가진다. 며, 발주청의 승인을 받은 문서는 계약문서와 동등한 효력을 가진다.
1.6.3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구조상 또는 외관상 당연히 시 1.6.3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구조상 또는 외관상 당연히 시
공을 요하는 부분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반드시 이를 이행하여야 한다. 공을 요하는 부분은 발주청과 협의하여 반드시 이를 이행하여야 한다.
1.6.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정부 또는 발주청이 시행하는 감사, 검사의 수감 1.6.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정부 또는 발주청이 시행하는 감사, 검사의 수
및 이에 따른 시정 지시를 즉시 이행하여야 하며, 발주청의 과실이 없는 한 이를 이 감 및 이에 따른 시정 지시를 즉시 이행하여야 하며, 발주청의 과실이 없는 한 이
유로 공사기한 연기 또는 추가 공사비를 요구할 수 없다. 를 이유로 공사기한 연기 또는 추가 공사비를 요구할 수 없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3 공사량 측정 1-2-3 공사량 측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측정방법 1.1 측정방법
1.1.1 계약에 따라 완성된 모든 공사의 수량은 미터법에 따라 감독자가 측정한다. 1.1.1 계약에 따라 완성된 모든 공사의 수량은 미터법에 따라 감독자가 측정한다.
1.1.2 면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종단 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때에는 이 절 또는 설계도서 1.1.2 면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종단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때에는 이 절 또는 설계도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종단 방향 ⇒ 종단방향
에서 별도 규정이 없는 한 수평면에서의 길이로 측정하며 1㎡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에서 별도 규정이 없는 한 수평면에서의 길이로 측정하며 1 ㎡ 이상의 면적을 가지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공종은 수량산출에 반영한다. 는 공종은 수량산출에 반영한다.
1.1.3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 횡단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때에는 준공(기성)도면에 표시된 1.1.3 면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횡단방향으로 길이를 측정할 때에는 준공(기성)도면에 표 [수정] 줄임말 수정
수치 또는 감독자가 서면으로 표시한 치수에 의해 검측한다. 시된 수치 또는 감독자가 서면으로 표시한 치수에 의하여 검측한다.
1.1.4 중량으로 측정할 때에는 감독자가 인정하는 계중기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히 실 1.1.4 중량으로 측정할 때에는 감독자가 인정하는 측정기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정확히 실 [수정] 줄임말 수정
시하여야 한다. 만일 자재를 차량으로 운반할 경우 자재의 순 중량을 확인할 수 있는 시하여야 한다. 만일, 자재를 차량으로 운반할 경우 자재의 순 중량을 확인할 수 [수정] 자구수정(비표준어 변경) : 계중기 ⇒ 측정기, 계중 ⇒ 측정
방법이 제시되면 차량에 적재된 상태로 계중할 수 있다. 있는 방법이 제시되면 차량에 적재된 상태로 측정할 수 있다. [수정] 쉼표 추가 : 만일⇒만일,
1.1.5 체적으로 측정하여 지불하는 경우에는 소정규격의 차량에 적재된 상태로 그 체적을 1.1.5 체적으로 측정하여 지불하는 경우에는 소정규격의 차량에 적재된 상태로 그 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할 수 있다.
1.1.6 역청재료는 계약당시 표시한 바에 따라 리터() 또는 톤(ton)으로 그 중량을 측정한다. 1.1.6 역청재료는 계약당시 표시한 바에 따라 리터() 또는 톤(ton)으로 그 중량을 측정한다.
역청재료의 체적은 상온(15℃)에서 측정하여야 하며, 상온에서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역청재료의 체적은 상온(15 ℃)에서 측정하여야 하며, 상온에서 측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보정방식에 의거 15℃에서의 체적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보정방식에 의거 15 ℃에서의 체적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1.1.7 시멘트의 중량은 톤 또는 포대단위로 측정한다. 포대는 40㎏ 시멘트를 말한다. 1.1.7 시멘트의 중량은 톤 또는 포대단위로 측정한다. 포대는 40㎏ 시멘트를 말한다. [수정] 표현을 명확하게
포대는 40kg 시멘트를 말한다 → 시멘트 1포대의 중량은 40kg
을 기준으로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개정 전 문구로
1.1.8 면적, 중량, 체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공사량에 대하여는 개, 조, 식 등으로 측정한 1.1.8 면적, 중량, 체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공사량에 대하여는 개, 조, 식 등으로 측정한 수정
다. 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비치 및 제출 [신설] 원활한 업무추진을 위해 관련서류는 현장사무소 등에 비치될
1.1.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공무행정에 관한 서류를 사실과 그 증빙자료에 의 필요가 있으며 발주청에 제출을 요하는 서류는 제때 제출 필
거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요 근거 :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국토교통부 고시 제
1.1.2 계약상대자는 공무행정서류 중 늘 비치하여야 하는 서류는 건설공사 중에 발주청이 수시로 2014-304호)
열람할 수 있도록 현장사무소 또는 현장시험실에 비치하여야 한다.
1.1.3 계약상대자는 공무행정서류 중 제출을 요하는 서류를 지정된 제출시기에 지정된 부수를 발
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1 제출절차 등 1.2 제출절차 등


1.1.1 협의 및 확인 1.2.1 협의 및 확인
(1) 계약상대자가 제출하는 각 제출물은 설계서의 내용 및 현정조건에 대한 검토결과를 (1) 계약상대자가 제출하는 각 제출물은 설계도서의 내용 및 현장조건에 대하여 검토한 결 [수정]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반영 작성하여야 하며, 또 타 계약상대자, 자재납품업자, 작업자, 관련기관과의 협의 과를 반영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또 타 계약상대자 · 자재납품업자(지급자재 납품자를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 40조 참고)
조정한 내용도 포함시켜 작성하여야 한다. 포함한다) · 작업자 · 관련기관과 협의, 조정한 내용을 포함 작성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각 제출물에 대하여 계약문서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제출물에 서 (2) 계약상대자는 각 제출물에 대하여 계약문서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제출물에 서명
명 또는 날인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또는 날인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제출물의 작성 및 제출에 소요되는 비용(작성을 위한 자료수집·정리 (3)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는 제출물의 작성 및 제출에 소요되는 비용(작성
및 전문가에 대한 자문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 을 위한 자료 수집 · 정리 및 전문가에 대한 자문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은
다.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1.1.2 규격 등 1.2.2 규격 등
(1) 서류의 규격은 정부 또는 발주청의 지정양식을 제외하고는 계약상대자가 내용의 성 (1) 서류의 규격은 정부 또는 발주청의 지정양식을 사용하고, 기타 서류는 계약상대자가 내
격에 따라 정하여 작성하되, 표지는 A4 용지에 세로로 작성하고 내용물은 A4 크기 용의 성격에 따라 임의로 정하여 작성하되, 표지는 A4 용지에 세로로 작성하고 내용물
로 정리, 상철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은 A4 크기로 정리, 좌철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제출서류는 건별로 제출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명기하며, 비치서류는 건별로 (2) 제출서류는 건별로 제출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명기하며, 비치서류는 건별
작성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여야 한다. 로 작성일자 및 각 면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여야 한다.
1.1.3 추가요구 및 변경 1.2.3 추가요구 및 변경
감독자는 공사의 원활한 진행 등을 위하여 제출물의 제출 부수의 추가, 제출시기의 변경 감독자는 공사의 원활한 진행 등을 위하여 제출물의 제출부수 추가, 제출시기의 변경
또는 이 시방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제출물의 제출과 기록유지를 요구할 수 있으며, 계 또는 이 시방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제출물의 제출과 기록유지를 요구할 수 있으며, 계
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1.1.4 내용변경 1.2.4 내용 변경
계약상대자는 모든 제출물에 대하여 그것이 주요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는 사유가 계약상대자는 모든 제출물에 대하여 그것의 주요한 내용의 변경을 수반하는 사유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관련제출물을 재작성하여 제출하여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관련 제출물을 재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1.5 미제출시의 제한 1.2.5 제출하지 않았을 때의 제한 [수정] 한글로 순화 : 미제출 시의 ⇒ 제출하지 않았을 때의
이 시방서가 정한 제출물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지 않고서는 감독자의 승인 또는 확인을 받을 이 시방서가 정한 제출물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지 않고서는 감독자의 승인 또는 확인을 받
수 없으며, 해당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을 수 없으며, 해당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1.2 공사예정공정표 1.3 공사예정공정표


1.2.1 공사예정공정표는 PERT/CPM, GANTT CHART 등에 의한 공정계획서로 작성 제출 1.3.1 공사예정공정표는 PERT/CPM, Gantt Chart 등에 의한 공정계획서로 작성 제출하 [수정] 대문자 표현 ⇒ 소문자 표현
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1.2.2 공사예정공정표에는 다음 사항이 명시되거나 첨부되어야 한다. 1.3.2 공사예정공정표에는 다음 사항이 명시되거나 첨부되어야 한다.
(1)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착수시점, 완료시점 (1)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착수시점, 완료시점
(2)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선․후․동시 시행 등의 연관관계 (2)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선 ․ 후 ․ 동시 시행 등의 연관관계

1 -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주공정선(critical path) 또는 주 공정 공사의 목록 (3) 주공정선(Critical Path) 또는 주 공정 공사의 목록 [수정] 용어표현 수정 첫글자 대문자
(4) 주요 제출물의 제출 일정계획 : 공종별 공사 시공계획서, 시공 상세도 및 견본확인을 받은 (4) 주요 제출물의 제출 일정계획 : 공종별 공사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및 견본확인을 받은 critical path ⇒ Critical Path
시공 상세도면은 이 시방서 1-6절 1.2에 따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시공상세도면은 이 시방서 1-6절 1.2에 따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3 시공계획서 1.4 시공계획서


1.3.1 시공계획서 제출 1.4.1 시공계획서 제출
계약상대자는 각 절(section)의 공사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작성․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계약상대자는 각 절(section)의 공사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후에 착공하여야 한다. 받은 후에 공사를 착수하여야 한다.
1.3.2 작성방법 1.4.2 작성방법 [수정] 시공계획서 필요 항목(현장조직표, 시공일정, 주요자재, 투입계
계약 상대자는 시공계획서에 아래 사항을 포함시켜 작성하여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시공계획서에 아래 사항을 포함시켜 작성하여야 한다. 획 등) 추가
(1) 공사개요 (1) 공사개요
(2) 세부공정표(자재, 인력 및 장비계획을 포함한다) (2) 현장조직표
(3) 공종별 공정계획 (3) 세부공정표
(4) 품질관리계획(품질관리조직, 관리목표 및 실시방법, 목표미달 시 조치방안 등) (4) 주요공정의 시공절차 및 방법
(5) 안전관리계획 및 환경관리계획 (5) 시공일정
(6) 타 공사 및 타 공종과의 협의 및 조정이 필요한 사항 (6) 주요 장비투입계획
(7) 설계도서의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한 사항 (7) 인력투입 및 주요자재 투입계획 [수정] 자구수정(표현순화) : 동원계획 ⇒ 투입계획
(8) 기타사항 (8) 주요 설비사양 및 반입계획
(9) 품질관리대책(품질관리조직, 관리목표 및 실시방법, 목표에 미달하였을 때 조치방안 등) [수정] 한글로 순화 : 목표미달 시 ⇒ 목표에 미달하였을 때
(10) 안전대책 및 환경대책 등
(11) 지장물처리계획 및 교통처리대책
(12) 기타사항

1.4 시공 상세도면의 작성 1.5 시공상세도 [수정]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국토해양부, 2010.6) 근거
1.4.1 제출 및 확인 1.5.1 제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공 상세도 ⇒ 시공상세도
계약상대자는 공사여건과 계약문서의 조건 및 설계도서와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고 공사 수 (1) 계약상대자(하수급인, 자재나 제품제조자를 포함한다)는 설계도서 및 현장조건과의 (관계기관의견수렴)
행상의 잘못 또는 부분공사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 상세도면을 작성하여 제출하고,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여 공사 수행상의 잘못 또는 부분공사의 누락을 예방하고, 타 공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공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감독자의 야 한다. 사 계약상대자 · 지급자재 납품자 · 관련 기관 및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과의 마찰로 인
한 공사의 지연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작성한 시공상세도면에 대하여 작성자의 실명을 기입하고 서명 또는 날
인을 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해당 공사에 이용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에 의거한 시공상세도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4) 시공상세도가 변경된 때에는 변경 시공상세도를 작성하여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확 [협회] 용어 수정 : 감리원 ⇒ 감독자
인을 받아야 한다. [재수정] 감독자 ⇒ 건설사업관리기술자
1.4.2 작성방법 1.5.2 작성방법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국토해양부, 2010.6)에 변경시공
(1) 시공 상세도면은 설계도서의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작성하고,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시공상세도는 다음과 같은 작성규칙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상세도에 대해 ‘감리원’이 확인토록 규정되어 있으며 건설기술진흥법
또는 설치 및 마감상태를 명확히 표기하여야 하며, 정확한 치수 및 축척을 명시하 (1)「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에 제시된 “시공상세도의 구성 및 작성의 일반원칙” 개정(2014.5.23.)에 따라 ‘감리원’을 ‘건설사업관리기술자’로 수정
여야 한다. 또 설계도서대로 시공하기 위해 조정하여야 할 조건이 있을 경우에는 에 준하여 작성한다. [수정]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국토해양부, 2010.6) 근거
이를 명시하여야 한다. (2) 주요 작업부위에 대하여 공사수행을 하기에 적합한 축척으로 작성한다. [수정] 자구 수정 : 충분한 ⇒ 적합한
(2) 건설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하는 시공 상세도면의 목록은 [별표 1]을 참고로 한다. (3) 정확한 치수 및 축척이 명시되어야 한다.
(4) 현장에서 시공 또는 구입 가능한 크기, 길이의 자재를 사용한다.
(5) 시공상세도에는 조립도, 설치도면, 기타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표와 그림을 모두 포함
한다.

1 -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 시방서의 요구사항이 종합적으로 반영되도록 작성하여야 하며,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
는 설치 및 마감상태를 명확히 표기하여야 한다.
(7) 설계도면에 제시되지 않는 내용 중에서 필요한 부분은 본 지침에 제시한 작성목록에
준하여 시공상세도를 작성한다.
(8) 건설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하는 시공상세도는 이 시방서의 [별표 1]을 참고로 하
여 작성하여야 한다.
(9) 감독자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승인했다고 하여 계약상대자의 책임이 면제되는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업무
것은 아니다. 지침” 제4조 인용, 감리원⇒건설사업관리기술자
1.5.3 제출 대상
시공상세도면을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 및 그것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건설공사 시 [신설]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국토해양부, 2010.6) 근거
공상세도 작성지침」 및 이 시방서 각 절에 따른다.
1.5.4 제출시기 및 부수
(1) 제출시기 : 시공자는 각 공종 및 동일 공종에 대하여 시공 순서 및 규모에 따라 구분하 [신설]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국토해양부, 2010.6) 근거
여 해당 공사착수 15일 전(단, 기술검토 등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사항은 7일 전이며,
휴일 및 공휴일은 제외)까지 시공상세도를 제출 하여야 한다.
(2)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확인기간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업무
① 기술검토 등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사항은 접수일로부터 7일 이내(휴일 및 공휴일 제외) 지침” 제4조 인용, 감리원⇒건설사업관리기술자
검토 ・ 확인한다.
② 그 외의 사항(전문기술사의 검토 등)은 14일 이내(휴일 및 공휴일 제외) 검토 ・ 확인한다.
③ 기일 내에 검토 ・ 확인이 불가능할 경우 사유와 처리계획을 명시하여 시공자에게 통보
하며, 통보사항이 없을 때에는 승인한 것으로 간주한다.
(3) 제출부수 : 2부

1.5 공급원 승인요청 1.6 공급원 승인요청


1.5.1 승인요청 1.6.1 승인요청
공사용 자재(재료, 부재, 제품 및 설비 기기를 포함한다.)의 사용 또는 설치 전에 설 공사용 자재(재료, 부재, 제품 및 설비 기기를 포함한다.)의 사용 또는 설치 전에
계도서의 요구조건 및 품질기준과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자재선정을 위한 검토나 자 설계도서의 요구조건 및 품질기준과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자재 선정을 위한 검토
재의 품질보증을 위하여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나 자재의 품질확인를 위하여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수정] 용어 수정(근거 : 건설기술진흥법 제 57조 참조)
사용 또는 설치하여야 한다. 받은 후 사용 또는 설치하여야 한다. 품질보증 → 품질확인
1.5.2 대상자재 1.6.2 대상자재
대상자재의 종류는 해당 공사에 사용할 주요자재 및 재료로서 [별표 2]에 따른다. 다 대상자재의 종류는 해당 공사에 사용할 주요 자재 및 재료로서 이 시방서 [별표 2]
만, [별표 2]에 포함되지 않은 자재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한다. 에 따른다. 다만, [별표 2]에 포함되지 않은 자재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수정] 띄어쓰기 수정 : 따라야한다. ⇒ 따라야 한다.
야 한다.
1.5.3 작성방법 1.6.3 작성방법
(1)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는 발주청의 품질문서에 따라 제출서류를 준비하여야 한다. 다 (1)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는 발주청의 품질문서에 따라 제출서류를 준비하여야 한다.
만, 제품의 선정을 위하여 필요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생략 다만, 제품의 선정을 위하여 필요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할 수 있다. 생략할 수 있다.
(2)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의 설치 등을 (2)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의 조정 요구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위하여 필요한 설계도서 및 현장 여건의 조정 요구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3) 기타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을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3) 기타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을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5.4 제출시기 및 부수 1.6.4 제출시기 및 부수
자재의 사용 또는 설치 15일 전까지 2부를 제출한다. 다만, 해당 공사의 착공 전에 자재의 사용 또는 설치 15일 전까지 2부를 제출한다. 다만, 해당 공사의 착공 전에
품질시험․검사가 필요하다고 이 시방서 절(section)별 일반사항에 명시되어 있는 경우 품질시험 ․ 검사가 필요하다고 이 시방서 절(section)별 일반사항에 명시되어 있는 경
에는 그 시험․검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우에는 그 시험 ․ 검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 -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5 증빙서류 사본 1.6.5 증빙서류 사본
이 절 1.5.3 (1)의 증빙서류가 사본일 경우는 현장대리인의 원본대조필 서명․날인이 이 절 1.6.3 (1)의 증빙서류가 사본일 경우는 현장대리인의 원본대조필 서명 ․ 날인
있어야 한다. 이 있어야 한다.

1.6 공사 사진 1.7 공사 사진
1.6.1 비치 및 제출 1.7.1 비치 및 제출 [수정] 준공 후 절차이므로 ‘1-6 인계・인수’를 따르는 것이 타당함
계약상대자는 공사 시공 중 되메우기, 마감재 사용 등으로 육안검사가 불가능하게 계약상대자는 공사 시공 중 되메우기, 마감재 사용 등으로 육안검사가 불가능하게 1-2-4에 따라 → 1-6 인계・인수에 의거
되는 부분 또는 준공 후 해체되는 가설물 등에 대하여는 수시로 부분 또는 전경이 되는 부분 또는 준공 후 해체되는 가설물 등에 대하여는 수시로 부분 또는 전경이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천연색으로 촬영한 사진을 사진첩 또는 디지털사진을 파일로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천연색으로 촬영한 사진을 사진첩 또는 디지털사진을 파일로
작성하여 현장에 비치하여야 하며, 준공이 되면 이시방서 1-2-4에 따라 발주청에 작성하여 현장에 비치하여야 하며, 준공이 되면 이 시방서 1-6 (인계 ・ 인수)에 의거
제출하여야 한다.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6.2 촬영방법 1.7.2 촬영방법
계약상대자는 각 공종의 주요 부위에 대하여 기술적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약상대자는 각 공종의 주요 부위에 대하여 기술적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공 상태가 분명히 나타나도록 주요부위의 상세와 주변을 포함한 전경을 시공상태 시공 상태가 분명히 나타나도록 주요 부위의 상세와 주변을 포함한 전경을 시공 상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공상태 ⇒ 시공 상태
와 촬영일자가 뚜렷이 보이게 촬영하여야 한다. 태와 촬영일자가 뚜렷이 보이게 촬영하여야 한다.

1.7 신고 및 인·허가 신청서류 1.8 신고 및 인 · 허가 신청서류


1.7.1 계약상대자는 계약 이행을 위하여 관계기관에의 신고, 인·허가에 관련한 설계도서의 1.8.1 계약상대자는 계약 이행을 위하여 관계기관에의 신고, 인 · 허가에 관련한 설계도서
작성, 신청 서류의 제출, 관계기관과의 협의 및 착공·준공에 필요한 행정업무는 발 의 작성, 신청 서류의 제출, 관계기관과의 협의 및 착공 · 준공에 필요한 행정업무
주청을 대신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는 발주청을 대신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1.7.2 신청서에 계약상대자 또는 설치자 란이 있을 경우에는 시공회사 대표가 기록 날인하 1.8.2 신청서에 계약상대자 또는 설치자 란이 있을 경우에는 시공회사 대표가 기록 날인
여야 하며, 신청인이 발주청인 경우에는 발주청의 장의 직인 날인을 받은 후 관계기 하여야 하며, 신청인이 발주청인 경우에는 발주청의 장의 직인 날인을 받은 후 관
관에 신청하고, 신고 및 인․허가필증을 교부받아 준공 시 준공서류로 발주청에 제출 계기관에 신청하고, 신고 및 인 ․ 허가필증을 교부받아 준공할 때 준공서류로 발주 [수정] 한글로 순화 : 준공 시 ⇒ 준공할 때
하여야 한다. 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8 착공서류 1.9 착공서류


1.8.1 착공계 : “별지 제1호 서식” 참조 1.9.1 착공계 : “별지 제1호 서식” 참조
1.8.2 도급내역서 1.9.2 도급내역서
1.8.3 현장대리인계(이력서, 기술자 면허수첩 사본 첨부) 1.9.3 현장대리인계(이력서, 기술자 경력확인서 원본 첨부) [수정] 기술자 면허수첩 사본 → 기술자 경력확인서 원본
1.8.4 안전관리자선임계(이력서, 기술자 면허수첩 사본 첨부) 1.9.4 안전관리자선임계(이력서, 기술자 경력확인서 원본 첨부) [수정] 기술자 면허수첩 사본 → 기술자 경력확인서 원본
1.8.5 예정공정표 1.9.5 예정공정표 [자문] 기술자 경력확인서 원본에는 해당 기술자의 이력사항 위주
1.8.6 기타 공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참고 자료 1.9.6 기타 공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참고 자료 로 정리가 되므로 이력서 불필요
(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서 (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서 (미반영) 이력서는 기술자에 대한 경력 요약본으로 사용될 수 있음으
(2) 주요 사급자재 수급계획서 (2) 주요 사급자재 수급계획서 로 필요함
(3) 지급자재 수급 계획 요청서 (3) 지급자재 수급 계획 요청서
(4) 공종별 인력 및 장비 투입 계획서 (4) 공종별 인력 및 장비 투입계획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투입 계획서 ⇒ 투입계획서
(5) 안전관리 계획서 (5) 안전관리 계획서(필요할 때 유해·위험계획서가 포함된 통합계획서) [수정]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1조 내용 추가 언급
(6) 현장기술자 조직표 등 (6) 현장기술자 조직표 등

1.9 공사일지 1.10 공사일지


1.9.1 공사일지 : “별지 제2호 서식” 참조 1.10.1 공사일지 : “별지 제2호 서식” 참조

1.10 현황보고 1.11 현황보고


1.10.1 일일공정현황 : “별지 제3호 서식” 참조 1.11.1 일일공정현황 : “별지 제3호 서식” 참조
1.10.2 주간공정현황 : “별지 제4호 서식” 참조 1.11.2 주간공정현황 : “별지 제4호 서식” 참조

1 -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0.3 월간공정현황 : “별지 제5호 서식” 참조 1.11.3 월간공정현황 : “별지 제5호 서식” 참조
1.11.4 부진공정 만회대책
계약상대자는 공사 진도율이 계획공정대비 월간공사실적의 10 % 이상 지연되거나 [신설] 원활한 공사진도관리를 위해 부진공정에 대한 관리가 필요
누계공정실적의 5 % 이상 지연될 때에는 만회대책 및 만회공정표를 수립하여 감독 [수정]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304호)
자에게 보고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제 60조(공정관리) 참조

1.11 기성검사원 및 준공검사원 1.12 기성검사원 및 준공검사원


1.11.1 기성검사원 제출서류 1.12.1 기성검사원 제출서류
(1) 기성검사원 : “별지 제6호 서식” 참조 (1) 기성검사원 : “별지 제6호 서식” 참조
(2) 내 역 서 : “별지 제7호 서식” 참조 (2) 내 역 서 : “별지 제7호 서식” 참조
(3) 명 세 서 : “별지 제8호 서식” 참조 (3) 명 세 서 : “별지 제8호 서식” 참조
(4) 공사일지 : 기성검사원 제출일의 공사일지 (4) 공사일지 : 기성검사원 제출일의 공사일지
(5) 감독자 의견서 (5) 감독자 의견서
1.11.2 기성검사원 제출 시 계약상대자가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1.12.2 기성검사원을 제출할 때 계약상대자가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수정] 한글로 순화 : 제출 시 ⇒ 제출할 때
(1)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1)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2) 공사일지 (2) 공사일지
(3)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3)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4)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4)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5) 관련 공무행정서류 기록 및 비치에 관한 사항 (5) 관련 공무행정서류 기록 및 비치에 관한 사항
1.11.3 준공 계 제출서류 1.12.3 준공계 제출서류
(1) 준 공 계 : “별지 제9호 서식” 참조 (1) 준 공 계 : “별지 제9호 서식” 참조
(2) 내 역 서 : “별지 제7호 서식” 참조 (2) 내 역 서 : “별지 제7호 서식” 참조
(3) 시험 성과표 : “별지 제10호 서식” 참조 (3) 시험 성과표 : “별지 제10호 서식” 참조
(4) 준공 사진첩 (4) 준공 사진첩
1.11.4 준공계 제출 시 계약상대자가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1.12.4 준공계를 제출할 때 계약상대자가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사항 [수정] 한글로 순화 : 제출 시 ⇒ 제출할 때
(1)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1)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2) 공사일지 (2) 공사일지
(3)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3) 시공확인 결과에 관한 기록
(4)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4) 현장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5) 준공 예비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5) 준공 예비점검 지적사항 조치완료 여부

1.12 설계변경 여건보고 서류 1.13 설계변경 여건보고 서류


1.12.1 설계변경 여건보고 1.13.1 설계변경 여건보고
(1) 제출서류 (1) 제출서류
① 설계변경 여건보고 공문 ① 설계변경 여건보고 공문
② 설계변경 사유서 ② 설계변경 사유서
③ 설계변경 내역서, 명세서 및 산출근거 ③ 설계변경 내역서, 명세서 및 산출근거
④ 설계변경 도면 ④ 설계변경 도면
⑤ 계산서(구조, 설비, 토질) 및 공사시방서(공법개선 또는 신규공종이 추가되는 경우 ⑤ 계산서(구조, 설비, 토질) 및 공사시방서(공법 개선 또는 신규 공종이 추가되는
에 한함) 경우에 한함)
⑥ 기타 관련증빙자료(관련사진 등) ⑥ 기타 관련증빙자료(관련 사진 등)
(2) 제출 부수 (2) 제출 부수
설계변경 여건보고 시에 각 3부 제출 설계변경 여건보고를 할 때 각 3부 제출 [수정] 한글로 순화 : 여건보고 시에 ⇒ 여건보고를 할 때
1.12.2 준공기한 연기원 1.13.2 준공기한 연기원
(1) 제출서류 (1) 제출서류

1 -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① 준공기한 연기원 : “별지 제11호 서식” 참조 ① 준공기한 연기원 : “별지 제11호 서식” 참조
② 연기 사유서 ② 연기 사유서
(2) 제출 부수 (2) 제출 부수
준공기한 연기원 각 2부 제출 준공기한 연기원 각 2부 제출

1.13 품질시험․검사 및 자재 관련서류 1.14 품질시험․검사 및 자재 관련서류


1.13.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1.14.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5조 2”의 규정에 따른다.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의 규정에 따른다.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1.13.2 사급자재 관련서류 1.14.2 사급자재 관련서류 해당 조항 수정
(1) 사급자재 수급계획서 (1) 사급자재 수급계획서
(2) 공급원 승인 요청서 : “별지 제12호 서식” 참조 (2) 공급원 승인 요청서 : “별지 제12호 서식” 참조
(3) 품질시험․검사대장 : “별지 제13호 서식” 참조 (3) 품질시험 ․ 검사대장 : “별지 제13호 서식” 참조
(4) 품질시험 성과 총괄표 : “별지 제14호 서식‘ 참조 (4) 품질시험・검사성과 총괄표 : “별지 제14호 서식‘ 참조 [자문] 별지 서식과 일치하는 용어 사용
(5) 품질시험검사 의뢰서 : 별지 제15호 서식 참조 (5) 품질시험・검사 의뢰서 : 별지 제15호 서식 참조 (4) 품질시험 성과 총괄표 ⇒ 품질시험・검사성과 총괄표
(6) 품질시험검사 성적서 : 별지 제16호 서식 참조 (6) 품질시험・검사 성적서 : 별지 제16호 서식 참조 (5) 품질시험검사 의뢰서 ⇒ 품질시험・검사 의뢰서
(7) 자재 검수부 : “별지 제17호 서식” 참조 (7) 자재 검수부 : “별지 제17호 서식” 참조 (6) 품질시험검사 성적서 ⇒ 품질시험・검사 성적서
1.13.3 지급자재 관련서류 1.14.3 지급자재 관련서류
지급자재 관리부 : “별지 제18호 서식” 참조 지급자재 관리부 : “별지 제18호 서식” 참조

1.14 하도급 관련서류 1.15 하도급 관련서류


1.14.1 하도급 승인신청 및 통지서류 1.15.1 하도급 승인신청 및 통지서류
(1) 하도급 승인신청 공문(하도급 승인 요청 시) (1) 하도급 승인신청 공문(하도급 승인 요청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2) 하도급계약 통지 공문(하도급 통지 시) (2) 하도급계약 통지 공문(하도급 통지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3) 하도급 계약서 (3) 하도급 계약서
(4) 공사내역서 (4) 공사내역서
(5) 예정공정표 (5) 예정공정표
(6) 하도급 대금지급보증서 사본 (6) 하도급 대금지급보증서 사본
(7) 하도급 이행(계약) 보증서 사본 (7) 하도급 이행(계약) 보증서 사본
(8) 하도급인의 건설기술자 자격증 사본 또는 경력수첩 사본 (8) 하수급인의 건설기술자 자격증 사본, 경력증명서(건설기술인수정 발급) 또는 경력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9) 하도급인의 건설기술자 경력증명서(건설기술인수정 발급) 수첩 사본 [수정] (8) (9)항을 통합
(10) 하도급인의 면허증 및 면허수첩 사본 (9) 하수급인의 면허증 사본 [수정] “및 면허수첩” 삭제
(11) 도수급인의 관련공사 시공실적 (10) 도·수급인의 관련공사 시공실적 [수정] 의미 명확화 도수급인 ⇒도․수급인
1.14.2 시 기 1.15.2 시 기
(1) 승인신청시기 : 공사의 일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기 전 (1) 승인신청시기 : 공사의 일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기 전
(2) 통지시기 : 전문공사의 하도급계약 체결, 변경 또는 해제한 날부터 30일 이내 (2) 통지시기 : 전문공사의 하도급계약 체결, 변경 또는 해제한 날부터 30일 이내
1.14.3 하도급 관리대장 : “별지 제19호 서식” 참조 1.15.3 하도급 관리대장 : “별지 제19호 서식” 참조

1.15 안전관리서류 1.16 안전관리서류


1.15.1 안전관리계획서 1.16.1 안전관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의 작성기준은 이 시방서 1-5절에 따른다. 안전관리계획서의 작성기준은 이 시방서 1-5절에 따른다.
다만,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98조 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 [추가] 통합계획서 작성 내용 추가
설공사가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른 유해 · 위험방지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두 계획을 통합하여 작성 할 수 있으며, 이때는 “유
해 · 위험방지 계획서 및 안전관리계획서 통합작성지침서”에 따라 작성한다.
1.15.2 안전일지 1.16.2 안전일지

1 -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안전점검, 안전진단, 건설재해전문기관의 지도, 안전검사, 안전보건교육, 안전의 날 안전점검, 안전진단, 건설재해전문기관의 지도, 안전검사, 안전보건교육, 안전의 날
행사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여 비치하여야 한다. 행사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여 비치하여야 한다.
1.15.3 정기안전점검 결과 1.16.3 정기안전점검 결과
계약상대자가 안전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정기안전점검을 시행하였을 경우에는 점검결 계약상대자가 안전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정기안전점검을 시행하였을 경우에는 점검
과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결과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1.15.4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1.16.4 안전관리비 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계약상대자는 안전관리비 항목별 세부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사본을 기성검사원 및 계약상대자는 안전관리비 항목별 세부사용내역 및 집행영수증 사본을 기성검사원
준공검사원 제출 시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및 준공검사원 제출할 때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 제출 시 ⇒ 제출할 때
1.15.5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 1.16.5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준공한 때에는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를 작성하여 이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준공한 때에는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보고서를 작성하여
시방서 1-5절에 따라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1-5절에 따라 제출하여야 한다.

1.16 환경관리 서류 1.17 환경관리 서류


1.16.1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 계획서 1.17.1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 계획서
계약상대자는 환경영향 평가서를 검토하여 “별지 제27호 서식”에 의거 환경영향평가 계약상대자는 환경영향평가서를 검토하여 “별지 제27호 서식”에 의거 환경영향평
협의내용 이행 계획서를 수립하여야 한다. 가 협의내용 이행 계획서를 수립하여야 한다.
1.16.2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관리대장 1.17.2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관리대장
협의내용 관리 책임자는 협의내용 이행여부를 수시로 점검하고 사후 환경영향조사를 협의내용 관리책임자는 협의내용 이행여부를 수시로 점검하고 사후 환경영향조사 [수정] 띄어쓰기 : 협의내용 관리 책임자 ⇒ 협의내용 관리책임자
실시하여 “별지 제28호 서식”에 의거 협의내용 이행현황을 기록․정리하여야 한다. 를 실시하여 “별지 제28호 서식”에 의거 협의내용 이행현황을 기록 ․ 정리하여야 한
다.
1.16.3 환경피해보고서 1.17.3 환경피해보고서
계약상대자는 환경피해 발생시 “별지 제29호 서식”에 의거 환경피해보고서를 작성하 계약상대자는 환경피해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별지 제29호 서식”에 의거 환경피해 [수정] 한글로 순화
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보고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16.4 폐공처리현황 및 실적 보고서 1.17.4 폐공처리현황 및 실적 보고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에서 발생한 폐공에 대하여는 환경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폐공을 계약상대자는 공사에서 발생한 폐공에 대하여는 환경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폐공
처리하고 “별지 제30호 서식”에 의거 그 처리현황을 매년(12월말까지) 감독자에게 을 처리하고 “별지 제30호 서식”에 의거 그 처리현황을 매년(12월 말까지) 감독자 [수정] 띄어쓰기
보고하여야 한다. 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1.16.5 건설 폐재 재활용 계획 및 실적 1.17.5 건설 폐재 재활용 계획 및 실적
계약상대자는 건설 폐재를 재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별지 제31호 서식”에 의거 건설 계약상대자는 건설 폐재를 재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별지 제31호 서식”에 의거 건
폐재 재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건설 폐재 배출사업자의 재활용 지침에 의거하여 조치 설 폐재 재활용 계획을 수립하여 건설 폐재 배출사업자의 재활용 지침에 의거하여
하고, 매 분기별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조치하고, 매 분기별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5 검 사 1-2-5 검 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검사의 종류 1.1 검사의 종류
1.1.1 기성부분검사 1.1.1 기성부분검사
공사 준공 이전에 계약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공사 준공 이전에 계약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1.1.2 예비준공검사 1.1.2 예비준공검사
공사 준공 이전에 전 부분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공사 준공 이전에 전 부분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1.1.3 준공검사 1.1.3 준공검사
공사가 완공되었을 때 전 부분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공사가 완공되었을 때 전 부분에 대하여 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1.2 검사원 제출 1.2 검사원 제출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비를 청구하기 위하여 해당 공사의 기성부분 또는 준공검사를 받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비를 청구하기 위하여 해당 공사의 기성부분 또는 준공검사를 받
고자 할 때에는 이 시방서 1-2-4절 1.11에 의한 기성검사원 또는 준공 계를 발주청 고자 할 때에는 이 시방서 1-2-4절 1.12에 의한 기성검사원 또는 준공계를 발주청
에 제출하여야 한다. 에 제출하여야 한다.

1.3 검사원의 임무 1.3 검사자의 임무


1.3.1 검사원은 당해 공사의 감독자 또는 현장대리인 등을 입회케 하여 계약문서, 설계도 1.3.1 검사자는 해당 공사의 감독자 또는 현장대리인 등을 입회하게 하여 계약문서, 설계 [수정]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14-304호) 참조
서, 기타 발주청의 규정에 따라 다음 각 항을 검사하여야 한다. 도서, 기타 발주청의 규정에 따라 다음 각 항을 검사하여야 한다. 검사원⇀검사자로 변경 (감사원은 관련서류를 지칭하고 있음)
(1) 기성부분검사 (1) 기성부분검사 [수정] 줄임말 수정
① 품질시험 및 검사성과의 총괄표 ① 품질시험, 검사성과 총괄표
② 설계도서와 시설물과의 일치여부 ② 설계도서와 시설물과의 일치 여부
③ 지급자재의 사용 ③ 지급자재의 적정사용 여부
④ 지하 또는 기초 등 확인이 불가한 부분의 시공기록 ④ 지하 또는 기초 등 확인이 불가능한 부분의 시공기록 [수정] 자구 수정 : 불가한 ⇒ 불가능한
(사진, 비디오, 기타 확인자료) (사진, 비디오, 기타 확인자료)
가. 기성부분검사원 내역서 ⑤ 기성부분검사원 내역서 [수정] 기성부분검사항목의 명확화를 위한 번호 수정
나. 안전관리비 집행내역서 ⑥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내역서
⑤ 기타 기성부분을 입증하는 사항 ⑦ 기타 기성부분을 입증하는 사항
(2) 예비준공검사 (2) 예비준공검사
① 준공내역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었는지의 여부 ① 준공내역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었는지의 여부
② 설계도서에 의거한 공종별 또는 구간별 공사이행에 관한 사항 ② 설계도서에 의거한 공종별 또는 구간별 공사이행에 관한 사항
(3) 준공검사 (3) 준공검사
① 제(1)항 각호에 관한 사항 ① 제(1)항 각호에 관한 사항
가. 준공검사원 내역서 가. 준공검사원 내역서
② 공사시공 당시 감독자의 제 기록 ② 공사시공 당시 감독자의 제 기록
③ 발생품의 유무 및 처리 ③ 발생품의 유무 및 처리
④ 지급자재의 사용과 잔량 처리여부 ④ 지급자재의 사용과 잔량 처리여부
⑤ 회수자재, 대여기재 및 기구의 정비, 보관 및 반납 조치 ⑤ 회수자재, 대여기재 및 기구의 정비, 보관 및 반납 조치
⑥ 현장관리용 가시설물의 제거와 현장 정리 상태 ⑥ 현장관리용 가시설물의 제거와 현장 정리 상태
⑦ 기타 준공을 입증하는 사항(예비준공검사 지적사항 및 조치내용 포함) ⑦ 예비준공검사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여부 [수정] 준공검사항목 추가로 준공검사 강화 및 명확화를 위한 내용 추가
⑧ 인허가사항으로 임시 설치된 시설물의 원상복구 여부
⑨ 준공도면 설계변경 사항 수정 여부
⑩ 구조물 외관 조사망도 완료 여부(필요할 때) [수정] 문구 추가 : 외관조사망도 및 내하력평가가 필수 수행사항이 아닌
⑪ 구조물 내하력 평가 완료 여부(필요할 때) 공사의 경우 부적절, 필요한 경우에 적용하도록 수정

1 -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⑫ 유지관리시스템으로 이관하여야 할 데이터의 입력 여부 및 정확성
⑬ 단계별 시공완료상태 점검 완료 여부
⑭ 기타 준공을 입증하는 사항(예비준공검사 지적사항 및 조치내용 포함)

1.4 검사조서 1.4 검사조서


검사원이 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검사부분의 수량 확인 등을 검토한 후 다음 각 호에 검사자가 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검사부분의 수량 확인 등을 검토한 후 다음 각 호에 [수정] 검사원⇀검사자로 변경
서 정한 서류를 작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서 정한 서류를 작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4.1 기성부분검사 1.4.1 기성부분검사
(1) 기성부분검사조서 (1) 기성부분검사조서
(2) 기성부분내역서 (2) 기성부분내역서
(3) 기성부분명세서 (3) 기성부분명세서
(4) 시험 성과표 (4) 시험성과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험 성과표 ⇒ 시험성과표
(5) 하도급 현황 (5) 하도급 현황
(6) 기타 참고자료 (6) 기타 참고자료
1.4.2 준공검사 1.4.2 준공검사
(1) 준공검사조서 (1) 준공검사조서
(2) 준공내역서 (2) 준공내역서
(3) 지급자재사용조서 (3) 지급자재사용조서
(4) 시험 성과표 (4) 시험성과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험 성과표 ⇒ 시험성과표
(5) 하도급현황 (5) 하도급현황
(6) 사진첩 (6) 사진첩
(7) 기타 참고자료 (7) 기타 참고자료

1.5 검사 불합격 1.5 검사 불합격


1.5.1 검사원은 준공검사결과 불합격으로 판정될 때에는 그 지적사항을 상세히 조서로 작 1.5.1 검사자는 준공검사결과 불합격으로 판정될 때에는 그 지적사항을 상세히 조서로 작 [수정] 검사원⇀검사자로 변경
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5.2 발주청은 검사결과 불합격내역을 계약상대자에게 통보하여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재 1.5.2 발주청은 검사결과 불합격내역을 계약상대자에게 통보하여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재
시공하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시공하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1.5.3 1.5.2항에 의하여 계약상대자는 재시공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재검사원을 제출하 1.5.3 1.5.2항에 의하여 계약상대자는 재시공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재검사원을 제출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재시공후 ⇒ 재시공 후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1.5.4 재시공에 소요된 기간은 계약상대자의 귀책사유로 간주한다. 1.5.4 재시공에 소요된 기간은 계약상대자의 귀책사유로 간주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 자재관리 1-3 자재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공급원과 품질요건 1.1 공급원과 품질요건
1.1.1 계약상대자가 공급하는 모든 공사용 자재는 계약 및 시방의 품질 조건에 적합하여야 1.1.1 계약상대자가 공급하는 모든 공사용 자재는 계약 및 시방서의 품질 조건에 적합하 [수정] 자구수정(내용 명확화) : 시방의 ⇒ 시방서의
한다. 여야 한다.
1.1.2 계약상대자는 어떤 경우이든 자재를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공급원 승인신청서류를 1.1.2 계약상대자는 어떤 경우이든 자재를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공급원 승인신청서류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공급원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한다.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공급원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한다.
1.1.3 원자재가 수입물품인 경우에는 원산지 증명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1.1.3 원자재가 수입물품인 경우에는 원산지 증명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1.1.4 이미 승인 받은 공사용 자재의 공급원이 생산을 중지되었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는 1.1.4 이미 승인 받은 공사용 자재의 공급원이 생산을 중지되었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승인한 다른 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다. 감독자가 승인한 다른 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다.
1.1.5 계약상대자는 자재공급원 승인요청 시 2개 이상의 공급원을 제출 및 승인 받아 제품 1.1.5 계약상대자는 자재공급원 승인요청을 할 때 2개 이상의 공급원을 제출 및 승인 받 [수정] 한글로 순화 : 승인요청 시 ⇒ 승인요청을 할 때
의 생산중지 등 부득이한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아 제품의 생산중지 등 부득이한 경우에도 예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
다.

1.2 자재의 선정 1.2 자재의 선정


1.2.1 공사용 자재를 선정할 때에는 이 시방서와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품 1.2.1 공사용 자재를 선정할 때에는 이 시방서와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품
목의 경우 그 품질기준에 적합한 신품(가설시설물용 자재는 제외한다.)을 사용하여야 목의 경우 그 품질기준에 적합한 신품(가설시설물용 자재는 제외한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품목에 대하여는 다음 한다. 다만, 해당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품목에 대하여는 다음 각
각 호에 따라 적합한 자재를 우선 사용하여야 한다. 호에 따라 적합한 자재를 우선 사용하여야 한다.
(1)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 품(이하 "KS 표시 품"이라 한다) (1)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표준 표시 품(이하 "KS 표시 품"이라 한다) [수정] 용어수정 : 한국산업규격 ⇒ 한국산업표준
(2) “건설기술관리법 제25조”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건축, 토목, 기계설비, 조경의 경 (2) “건설기술진흥법 제60조”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건축, 토목, 기계설비, 조경의
우)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전기설비, 통신설비의 경우)에서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경우)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전기설비, 통신설비의 경우)에서 “산업표준화법”에 의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KS 표시 품과 동등한 성능이 있다고 확 한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KS 표시 품과 동등한 성능이 있다고 [수정] 용어수정 : 한국산업규격 ⇒ 한국산업표준
인된 것 확인된 것
(3) (1)호 및 (2)호에 적합한 자재 중 환경부하가 적은 환경표지(마크), GR마크, 저탄 [신설] 친환경 자재 및 제품 우선 적용 내용 추가
소인증자재 등 정부가 정한 기준에 의하여 인증 받은 친환경 자재 및 제품을 우선
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2.2 가설시설물 공사용 자재가 신품일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안전인증) 및 [신설] 적정가설기자재의 품질을 위해 가설기자재의 자재 선정에 대한 내용
제35조(자율안전확인의 신고)에 따른 가설기자재 안전인증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추가 (관계기관 의견 반영)
재사용품의 경우에는 재사용 가설기자재 자율등록제 관리기준(고용노동부 지침)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2.2 전기설비,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자재로서 1.2.1에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전 1.2.3 전기설비,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자재로서 1.2.1에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전 [수정] 전기용품 기술기준 ⇒ 전기용품안전기준
기용품 기술기준”에 의한 형식 승인 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기용품안전기준”에 의한 형식 승인 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2.3 1.2.1의 (1) 및 (2)에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품질 및 성 1.2.4 1.2.1의 (1) 및 (2)에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품질 및
능이 우수한 제품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성능이 우수한 제품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1.3 사용제한 1.3 사용제한


1.3.1 품질시험․검사시험 결과 불합격률이 높다고 인정되는 생산업체의 자재에 대하여 발주 1.3.1 품질시험 ․ 검사시험 결과 불합격률이 높다고 인정되는 생산업체의 자재에 대하여 발
청은 계약상대자에게 사용제한을 지시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 주청은 계약상대자에게 사용제한을 지시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다. 한다.

1 -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2 이 공사 목적물에 쓰이는 모든 자재는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의 검사·시험을 1.3.2 이 공사 목적물에 쓰이는 모든 자재는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의 검사 · 시험
거쳐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 없이 검사·시험하지 않은 자재 및 제품을 사용하여 공 을 거쳐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 없이 검사 · 시험하지 않은 자재 및 제품을 사용하
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여 공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1.3.3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자재(지급자재 제외)에 대하여 설계서와의 적합성을 확 1.3.3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자재(지급자재 제외)에 대하여 설계도서와의 적합성을 [수정]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자문위원 추가 지적
인한 후 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확인한 후 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1.3.4 계약상대자는 하자 발생 시 등을 고려하여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규격의 자재를 1.3.4 계약상대자는 하자 발생 등을 고려하여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규격의 자재를 사 [수정] 발생 시 ⇒ 발생
사용하여야 한다. 용하여야 한다.

1.4 사급자재 1.4 사급자재


1.4.1 자재수급계획서 1.4.1 자재수급계획서
해당 공사의 공정계획에 맞추어 사급자재 수급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해당 공사의 공정계획에 맞추어 사급자재 수급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1.4.2 반입시기 1.4.2 반입시기
(1) 모든 자재는 사용예정일 7일 전까지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다만, 선정시험이 필요 (1) 공사에 필요한 자재는 사용예정일 7일 전까지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다만, 선정 [수정] 자구수정 : 모든 ⇒ 공사에 필요한 (현장 작업여건 고려)
한 자재는 선정시험 소요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반입하여야 한다. 시험이 필요한 자재는 선정시험 소요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반입하여야 한다.
(2) 자재파동이 예상되는 자재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사전에 구매하여 비축하여야 한 (2) 자재파동이 예상되는 자재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사전에 구매하여 비축하여야 한
다. 다.
1.4.3 품질보증대상 건설자재․부재 등(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의 2) 1.4.3 건설자재 · 부재의 품질확보 [수정] 부실시공 방지를 위해 건설자재·부재에 대한 품질기준 구체화,
계약상대자는 다음 각 호 의 1에 해당하는 건설자재․부재에 대하여는 국․공립시험기관, (1) 품질확보를 위한 특별 관리대상 자재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바 순환골재 내용 추가, 근거 : 건설기술진흥법 제57조(건설자재·
품질검사전문기관이 작성한 시험성적서 등 품질보증에 관한 자료를 제출하거나 품 닷 모래, 부순 골재, 철근, 에이치(H)형강 및 두께 6 mm 이상의 건설용 강판, 양생 부재의 품질 확보 등),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질시험 또는 검사 등에 의한 확인을 받아야 한다. 제, 혼화재료(혼화재, 혼화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순환골 순환골재 품질인증 및 관리에 관한 규칙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재를 말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 바다 모래 ⇒ 바닷 모래,
(2) 아스팔트 콘크리트 (2) 계약상대자는 특별 관리대상 자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다음 각 호의 하나에 적합한 재재추가에 해당하는 문구 추가
(3) 바다 모래 건설자재 부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철근 ①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 표시인증을 받은 건설자재・부재
(5) H 형강 ② 국・공립시험기관 또는 품질검사 전문기관에 품질시험・검사를 의뢰하여 시험을 실
(6) 부순 돌 시한 결과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한 기준과 동등 이상이거나 해당 공사의 시방규정
(7) 당해 건설공사의 계약에 품질보증의 이행이 명시되어 있는 자재 에 적합한 건설 자재・부재
③ 해당 공사의 감리 또는 감독자가 입회하여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산업
표준에서 정한 기준과 동등 이상이거나 해당 공사의 시방규정에 적합한 건설 자
재・부재
④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순환골재 품질인증 및 관리에
관한 규칙에 따른 품질기준에 적합하고 품질검사를 통한 품질인증이 확인된 순환
골재
1.5 지급자재 1.5 지급자재
1.5.1 지급자재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장소에서 계약상대자에게 인도되거나 공급되며, 계약상 1.5.1 지급자재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장소에서 계약상대자에게 인도되거나 공급되며, 계약
대자에게 인도된 후의 지급자재에 대한 관리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상대자에게 인도된 후의 지급자재에 대한 관리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1.5.2 지급자재의 공급이 지체되어 공사가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 계약상대자는 발주청의 서면승인 1.5.2 지급자재의 공급이 지체되어 공사가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 계약상대자는 발주청의 서면 승
을 얻어 계약상대자가 보유한 자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을 얻어 계약상대자가 보유한 자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1.5.3 발주청은 1.5.2에 의하여 대체 사용한 자재를 현품으로 반환하거나 또는 대체사용 1.5.3 발주청은 1.5.2에 의하여 대체 사용한 자재를 현품으로 반환하거나 또는 대체 사용
당시의 가격에 의하여 그 대가를 준공금 지급 시까지 계약상대자에게 지급할 수 있 당시의 가격에 의하여 그 대가를 준공금 지급할 때까지 계약상대자에게 지급할 수 [수정] 자구수정 지급 시까지⇒지급할 때까지 (한글로 순화)
다. 있다.
1.5.4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별지 제20호 서식”에 의거 지급자재의 수량, 품질, 1.5.4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별지 제20호 서식”에 의거 지급자재의 수량, 품 [수정] 자구수정(한글순화) :
규격, 인도시기, 인도 장소를 변경․요청할 수 있다. 질, 규격, 받을 시기, 받을 장소 등을 변경・요청할 수 있다. 인도시기, 인도 장소를 ⇒ 받을 시기, 받을 장소 등을
1.5.5 잔량 및 부족수량 1.5.5 잔량 및 부족 수량
지급자재 중 공사에 사용하고 남은 잔량은 발주청이 지정하는 장소에 계약상대자의 지급자재 중 공사에 사용하고 남은 잔량은 발주청이 지정하는 장소에 계약상대자의

1 -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부담으로 수송하여 전환하고, 부족수량이 있을 경우에는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요청한 부담으로 수송하여 전환하고, 부족 수량이 있을 경우에는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요
다. 다만, 부족수량은 파손 및 분실된 것을 제외한 절대 부족량에 한한다. 청한다. 다만, 부족 수량은 파손, 분실 및 계약상대자의 시공오류분을 제외한 절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문장 수정 : 계약상대자의 시공오류분을
부족량에 한한다. 추가하여 명기
1.5.6 전환된 자재의 수령 1.5.6 전환된 자재의 수령
계약상대자는 다른 곳에서 전환된 지급자재에 대하여 품질상의 특별한 하자가 없는 계약상대자는 다른 곳에서 전환된 지급자재에 대하여 품질상의 특별한 하자가 없는
한 이를 수령하여야 한다. 한 이를 수령하여야 한다.

1.6 자재의 보관, 운반, 취급 1.6 자재의 보관, 운반, 취급


1.6.1 자재의 보관 부지 1.6.1 자재의 보관 부지
(1) 계약상대자는 자재의 보관을 위한 부지를 준비하여야 하며, 부지의 위치를 감독자에 (1) 계약상대자는 자재의 보관을 위한 부지를 준비하여야 하며, 부지의 위치를 감독자
통지하여야 한다. 에 통지하여야 한다.
(2) 보관 장소가 사유재산일 경우에는 소유자 또는 임대인의 서면 승인 없이 보관 장소 (2) 보관 장소가 사유재산일 경우에는 소유자 또는 임대인의 서면 승인 없이 보관 장소
로 사용할 수 없으며 감독자가 요구하면 서면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보관 로 사용할 수 없으며, 감독자가 요구하면 서면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보
장소의 사용이 끝나면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관 장소의 사용이 끝나면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1.6.2 품질변화방지 1.6.2 품질변화 방지 [수정] 띄어쓰기 수정 : 품질변화방지 ⇒ 품질변화 방지
(1) 반입자재는 그 품질과 공사의 적합성이 보장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자재 (1) 반입자재는 그 품질과 공사의 적합성이 보장되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자재
를 보관하거나 반출할 때는 자재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를 보관하거나 반출할 때는 자재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물질이 혼입되거나
자재가 뒤섞이지 않는 방법과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자재가 뒤섞이지 않는 방법과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보관된 자재는 보관 전에 승인을 받았을지라도 공사 투입 전에 다시 검사할 수 있는 (2) 보관된 자재는 보관 전에 승인을 받았을지라도 공사 투입 전에 다시 검사할 수 있
위치에 보관하여야 한다. 는 위치에 보관하여야 한다.
(3) 자재는 준공 전후를 막론하고 변질, 손상, 오염, 뒤틀림, 변색 등 품질에 영향을 주 (3) 자재는 준공 전후를 막론하고 변질, 손상, 오염, 뒤틀림, 변색 등 품질에 영향을 주
는 일체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보관, 운반, 취급하여야 한다. 는 일체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보관, 운반, 취급하여야 한다.
1.6.3 화기위험자재의 분리보관 1.6.3 화기위험자재의 분리보관
계약상대자는 화기위험이 있는 자재는 다른 자재와 분리하여 보관하고 화재 예방대 계약상대자는 화기위험이 있는 자재는 다른 자재와 분리하여 보관하고 화재 예방대
책을 수립하여 취급하여야 한다. 책을 수립하여 취급하여야 한다.
1.6.4 관리시험자재의 분리보관 1.6.4 관리시험자재의 분리보관
현장 반입 후 관리시험을 시행하여야 할 자재는 시험이 종료될 때까지 기존에 반입된 현장 반입 후 관리시험을 시행하여야 할 자재는 시험이 종료될 때까지 기존에 반입된
자재와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자재와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1.6.5 지급자재의 관리 책임 1.6.5 지급자재의 관리 책임
계약상대자는 지급자재의 인수, 출고 및 재고상태를 지급자재관리부에 기록하고 상 계약상대자는 지급자재의 인수, 출고 및 재고상태를 지급자재관리부에 기록하고 [삭제] 상시 삭제 : 삭제하여도 상시 비치하여야 하는 조건에 대한 의
시 비치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보관 및 관리의 책임을 져야 한다. 비치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보관 및 관리의 책임을 져야 한다. 미 전달 가능

1.7 골재원, 토취장, 사토장 1.7 골재원, 토취장, 사토장


1.7.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골재원(토취장, 석산, 하천골재 등)을 선정함에 있어 공 1.7.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골재원(토취장, 석산, 하천골재 등)을 선정함에 있어
사 착수 전에 관할 허가관서로부터 골재원에 대한 채취 허가를 받아야 한다. 공사착수 전에 관할 허가관서로부터 골재원에 대한 채취 허가를 받아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착수 ⇒ 공사착수
1.7.2 공사 목적으로 사용할 골재 채취량은 설계도서에 따라 산출한 양을 기준으로 한다. 1.7.2 공사목적으로 사용할 골재 채취량은 설계도서에 따라 산출한 양을 기준으로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 공사 목적 ⇒ 공사목적
1.7.3 계약상대자는 공사목적으로 사용한 토취장, 사토장 또는 석산을 깨끗이 정리하여야 1.7.3 계약상대자는 공사목적으로 사용한 토취장, 사토장 또는 석산을 깨끗이 정리하여야
한다. 한다.
1.7.4 계약상대자는 인․허가 관련기관의 원상복구 규정에 부합되도록 조경을 겸한 떼 붙임 1.7.4 계약상대자는 인・허가 관련기관의 원상복구 규정에 부합되도록 조경을 겸한 떼 붙
과 식재 및 필요한 배수시설을 하여야 한다. 임과 식재 및 필요한 배수시설을 하여야 한다.

1.8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자재의 사용과 권리 1.8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자재의 사용과 권리
1.8.1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 내의 굴착작업 시 발생되는 암석, 자갈, 모래 또는 기타 발생 1.8.1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 내의 굴착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암석, 자갈, 모래 또는 기 [수정] 한글로 순화
재료가 공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 타 발생재료가 공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공사에 사용할
1.8.2 계약상대자는 국유지에서 공사에 필요한 양 이상으로 재료를 생산 또는 채취했을 경 수 있다.

1 -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우 발주청은 계약상대자에게 생산비를 보상하지 않고 초과분을 소유할 수 있으며, 1.8.2 계약상대자는 국유지에서 공사에 필요한 양 이상으로 재료를 생산 또는 채취했을
또는 계약상대자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초과분을 제거하고 국유지 관리기관의 경우 발주청은 계약상대자에게 생산비를 보상하지 않고 초과분을 소유할 수 있으
관리규정에 의거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며, 또는 계약상대자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초과분을 제거하고 국유지 관리기관
의 관리규정에 의거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4 품질관리 1-4 품질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품질관리계획 1.1 품질관리계획
1.1.1 계획수립 및 제출 1.1.1 계획수립 및 제출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5조의 2 (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50조”에 해당 조항 수정
(별표9)”에 따라 품질시험계획을 작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한다. 의거 품질 및 공정 관리 등건설공사의 품질관리계획 또는 시험 시설 및 인력의 확 [수정] ‘품질시험계획’ 내용에 대해 본 시방서 [별표3]과 연계표시
보 등 건설공사의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발주청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 1항 내용 인용
아야 한다.
(2) 발주청은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1)의 계획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보완하여야 할 사 (2) 발주청은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1)의 계획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보완하여야 할
항이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보완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사항이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보완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
이에 따라야 한다. 는 이에 따라야 한다.
1.1.2 계획수립대상공사의 범위 1.1.2 계획수립대상공사의 범위
(1)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 (1)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
① 전면책임 감리대상인 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가 500억 원 이상인 건설공사(관급자 ① 감독 권한대행 등 건설사업관리 대상인 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가(관급자재비를 [수정] 전면책임 감리대상인 ⇒ 감독 권한대행 등 건설사업관리 대상인
재비를 포함하되 토지 등의 취득 사용에 따른 보상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포함하되 토지 등의 취득 사용에 따른 보상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500억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9조 근거)
원 이상인 건설공사
② 다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이 3만㎡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② 다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이 30,000 ㎡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3만 ⇒ 30,000
③ 당해 건설공사의 설계에 품질관리계획의 수립이 명시되어있는 건설공사 ③ 해당 건설공사의 설계에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있는 건설공사
(2) 제(1)항외의 건설공사로서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는 국토해양 (2) 제(1)항외의 건설공사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 [수정] 자구수정 : 1 ⇒ 어느 하나
부령이 정하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한다. 는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9조 제2항 근거)
① 총공사비 5억 원 이상인 토목공사 ① 총공사비 5억 원 이상인 토목공사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수립하여야한다 ⇒ 수립하여야 한다
② 연면적 660㎡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② 연면적 660 ㎡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1 -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③ 총공사비가 2억 원 이상인 전문공사 ③ 총공사비가 2억 원 이상인 전문공사
(3)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공사는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만 (3)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공사는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 [수정] 쉼표 추가 : 다만 ⇒ 다만,
설계도서에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있는 경우에는 그러 만, 설계도서에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있는 경우에는
하지 아니하다. 그러하지 아니하다.
① 조경 식재공사 ① 조경 식재공사
② 가설물설치공사 ② 가설물설치공사
③ 철거공사 ③ 철거공사
1.1.3 계획의 내용 1.1.3 계획의 내용
(1) 품질관리계획은 KS A 9001에 따른다. 다만, 발주청이 필요하지 않다고 별도로 통보 (1) 품질관리계획은 KS Q ISO 9001 등에 따른다. 다만, 발주청이 필요하지 않다고 별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한 사항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도로 통보한 사항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해당 조항(시행령 제89조제4항) 수정
(2) 품질시험계획은 이 절 1.2에 적합하게 작성하여야 한다. (2) 품질시험계획은 이 절 1.2에 적합하게 작성하여야 한다. KS A ISO 9001 ⇒ KS Q ISO 9001
1.1.4 계획이행 확인 1.1.4 계획이행 확인
(1)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를 이행 (1)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를 이행
하여야 하며, 발주청 직원은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품질관리업무의 적정성 확인 하여야 하며, 발주청 직원은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품질관리업무의 적정성 확
을 연 1회 이상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에 입회하 인을 연 1회 이상 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에 입
여야 한다. 회하여야 한다.
(2) 발주청은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결과 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계약상 (2) 발주청은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결과 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계약상
대자에게 이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시정을 요구받은 계약상대자는 지체없이 대자에게 이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시정을 요구받은 계약상대자는 지체없이
이를 시정한 후 그 결과를 발주청에 통보하여야 한다. 이를 시정한 후 그 결과를 발주청에 통보하여야 한다.
1.1.5 품질관리비 산출 및 사용기준 1.1.5 품질관리비 산출 및 사용기준
(1) 계약상대자는 건설기술 관리법 시행규칙 제19조 별표 13에 따라 산출하여 공사금액에 계 (1) 계약상대자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53조 별표 6에 따라 산출하여 공사금액에 계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상한 품질 관리비는 당해 목적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상한 품질관리비는 해당 목적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해당 조항 수정
(2) 발주청은 품질관리비의 사용에 대하여 지도․감독할 수 있다. (2) 발주청은 품질관리비의 사용에 대하여 지도․감독할 수 있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 품질 관리비 ⇒ 품질관리비

1.2 품질시험․검사 1.2 품질시험․검사


1.2.1 품질시험기준 1.2.1 품질시험기준
(1) 계약상대자는 시공목적물 및 건설공사용 자재의 규격 및 품질 등이 설계도서에 명시 (1) 계약상대자는 시공목적물 및 건설공사용 자재의 규격 및 품질 등이 설계도서에 명
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시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품질시험 및 시험의 종별, 시험 종목, 시험방법 및 시험빈도 등 품질시험기준은 국 (2) 품질시험 및 시험의 종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및 시험빈도 등 품질시험기준은 국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험 종목 ⇒ 시험종목
토해양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른다. 토교통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른다.
(3) (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 중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자재에 대하여는 품질시 (3) (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것 중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자재에 대하여는 품질
험 또는 검사를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이 시방서 1-3절 1.2.1 (1)항에 대 시험 또는 검사를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이 시방서 1-3절 1.2.1 (1)항에
한 자재에 대하여는 이 시방서 각 절(section)별 재료 또는 시공에 별도로 명시하였 대한 자재에 대하여는 이 시방서 각 절(section)별 재료 또는 시공에 별도로 명시
거나 발주청의 별도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하였거나 발주청의 별도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①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가 있는 자재 ①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가 있는 자재
②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 품 ②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표준(KS) 인증제품 [수정] KS 표기 수정
③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질검사를 받았거나 품질을 인증 받은 자재 ③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질검사를 받았거나 품질을 인증 받은 자재
(4) 구조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험 종목에 대하여는 감독자 입회하에 품질 (4) 구조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험종목에 대하여는 감독자 입회하에 품질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험 종목 ⇒ 시험종목
시험 및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시험 및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5) 설계변경 등에 따라 품질시험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자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5) 설계변경 등에 따라 품질시험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자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시험을 추가로 시행하여 변경설계도서에 규정된 품질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시험을 추가로 시행하여 변경설계도서에 규정된 품질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6) 국내에 관련 기준이나 품질검사전문기관이 없는 외산 기자재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 (6) 국내에 관련 기준이나 품질검사전문기관이 없는 외산 기자재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
아 국제규격을 이용한 품질을 확인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아 국제규격을 이용한 품질을 확인한 후 사용할 수 있다.
1.2.2 시험장소 1.2.2 시험장소
(1) 건설공사 현장에서 실시함이 적절한 품질시험은 현장에서 품질시험을 실시하여야 (1) 건설공사 현장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 품질시험은 현장에서 품질시험을 실시하 [수정] 자구수정 : 실시함이 ⇒ 실시하는 것이

1 -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여야 한다.
(2) 현장시험실에서 시행할 수 없는 자재의 품질시험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품 (2) 현장시험실에서 시행할 수 없는 자재의 품질시험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질시험을 하여야 한다. 품질시험을 하여야 한다.
(3) 현장시험실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시험하는 것이 부적합한 자재는 제조 (3) 현장시험실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시험하는 것이 부적합한 자재는 제
공장에서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감독자가 입회하여 직접 확 조공장에서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감독자가 입회하여 직
인하여야 한다. 접 확인하여야 한다.
(4) 감독자가 공장에서 검사할 경우 계약상대자와 생산자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협조하 (4) 감독자가 공장에서 검사할 경우 계약상대자와 생산자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협조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① 감독자는 제작 및 생산부서에 언제라도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① 감독자는 제작 및 생산부서에 언제라도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 특별히 규정하고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공장에 가까운 장소에 감독자의 사무실 ② 특별히 규정하고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공장에 가까운 장소에 감독자의 사무 [수정] 문장삭제 : 자문위원 추가 지적, 사무실 제공(뇌물 공여)
을 제공하여야 한다. 실을 제공하여야 한다. [원문 유지] : 업무수행상 예산 반영됨.

1.2.3 결과기록 1.2.3 결과기록


(1)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검사대장 및 품목별시험․검사작업일지에 품질시험․검사의 결과 (1)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검사대장 및 품목별시험・검사작업일지에 품질시험・검사의
를 기재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결과를 기재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또는 검사를 완료한 때에는 시험성과표를 작성하고, 당해 건설공사에 (2)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또는 검사를 완료한 때에는 시험성과표를 작성하고, 해당 건설공사
대한 기성 검사원, 준공계 제출 시 발주청에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 에 대한 기성 검사원, 준공계를 제출할 때 발주청에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2.4 불합격 자재의 장외반출 1.2.4 불합격 자재의 장외반출
(1)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및 검사결과가 설계도서의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이하 이 시방서에 (1)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및 검사결과가 설계도서의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이하 이 시방서
서 “불합격”이라 한다)에는 시험작업일지에 그 내용을 기재한 후 즉시 감독자에 보고하고, 에서 “불합격”이라 한다)에는 시험작업일지에 그 내용을 기재한 후 즉시 감독자에 보고하
불합격된 자재는 지체없이 장외로 반출하여야 한다. 고, 불합격된 자재는 지체없이 장외로 반출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불합격되어 장외 반출된 자재에 대하여는 불합격내용을 기록 보관하 (2) 계약상대자는 불합격되어 장외 반출된 자재에 대하여는 불합격 내용을 기록 보관하 [자문] 띄어쓰기 수정 : 불합격내용 ⇒ 불합격 내용
여야 한다. 여야 한다.
1.2.5 공급원 승인 및 자재시험 1.2.5 공급원 승인 및 자재시험
(1) 계약상대자는 공사용 주요자재 및 재료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감독자에게 받아야 (1) 계약상대자는 공사용 주요자재 및 재료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감독자에게 받아야
한다. 한다.
(2) (1)항에 의해 공급원이 승인된 자재 및 제품이 공사 중에 이상이 발견되거나 품질변 (2) (1)항에 의하여 공급원이 승인된 자재 및 제품이 공사 중에 이상이 발견되거나 품 [수정] 줄임말 수정
동이 의심될 경우에는 감독자와 계약상대자가 합동으로 품질시험 및 검사를 하여야 질변동이 의심될 경우에는 감독자와 계약상대자가 합동으로 품질시험 및 검사를
한다. 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가 사용할 자재가 품질시험 및 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시험결과의 확 (3) 계약상대자가 사용할 자재가 품질시험 및 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시험결과의 확
인 등을 이유로 동일자재에 대하여 반복하여 시험을 요구할 수 없다. 인 등을 이유로 동일자재에 대하여 반복하여 시험을 요구할 수 없다.
(4) 품질시험 및 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가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하며, 이에 (4) 품질시험 및 검사에 불합격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가 재시험을 시행하여야 하며, 이
따른 추가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에 따른 추가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1.3 현장시험실 1.3 현장시험실


1.3.1 인력․장비기준 1.3.1 인력・장비기준
이 절 1.2의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 이 절 1.2의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 [수정] 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기술진흥법(2014. 05. 23),
칙 제15조의4 제2항 별표11”에 따라 시험․검사 장비 시험실, 품질관리자를 배치하여야 규칙 제50조 제4항”에 의거 이 시방서 [별표 4]에 따라 시험・검사 장비, 시험실, 건설 해당 조항 수정
한다. 다만,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지 아니한 때에는 발주청의 별 기술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지 아 [수정] 본 시방서의 [별표4]와 연계 표시
도 지시에 따른다. 니한 때에는 발주청의 별도 지시에 따른다.
1.3.2 비치서류 1.3.2 비치서류
현장시험실에는 아래 서류를 비치하고 기록․유지하여야 한다. 현장시험실에는 아래 서류를 비치하고 기록 및 유지하여야 한다. [수정] 기록・유지하여야 한다. ⇒ 기록 및 유지하여야 한다.
(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1)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현장실험실에 해당서류를 비치하고 기록하고 그것을 유지해야
(2) 품질시험․검사 대장 (2) 품질시험・검사 대장 한다는 의미로 기록과 유지 동등의미가 아니라 기록하고 유지
(3) 시험 성과표 (3) 시험 성과표 한다는 의미에서 가운데 점(․)을 ‘및’으로 수정함

1 -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지급자재 검수부 (4) 지급자재 검수부
(5) 품질 검사 전문시험기관 의뢰시험대장 (5) 품질 검사 전문시험기관 의뢰시험대장
(6) 불합격자재조치표 (6) 불합격자재조치표
(7) 구조물 부위별 관리대장 (7) 구조물 부위별 관리대장
(8) 시험기기 검․교정대장 (8) 시험기기 검・교정대장
(9) 구조물 균열 관리대장 (9) 구조물 균열 관리대장
(10) 품질시험검사 성과 총괄표 (10) 품질시험검사 성과 총괄표
(11) 품질시험 검사 실적보고서 (11) 품질시험 검사 실적보고서
(12) 상시검측 관리대장 (12) 상시검측 관리대장

1.4 품질시험․검사 의뢰 1.4 품질시험・검사 의뢰


1.4.1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검사를 의뢰하는 시료는 감독자 입회하에 계약상대자가 채 1.4.1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검사를 의뢰하는 시료는 감독자 입회하에 계약상대자가
취하고, 시험의뢰서 및 시료봉인 부위에 시료채취 입회자 전원이 인감을 날인 하여 채취하고, 시험의뢰서 및 시료봉인 부위에 시료채취 입회자 전원이 서명 또는 날인 [수정] 자구수정 : 인감을 날인 ⇒ 서명 또는 날인
야 한다. 하여야 한다.
1.4.2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을 의뢰할 경우에는 감독자가 계약상대자와 동행하여야 한 1.4.2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을 의뢰할 경우에는 감독자가 계약상대자와 동행하여야 한
다. 다.
1.4.3 현장여건 및 시료의 변질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시료채취 후 15일 이내에 시험을 의 1.4.3 현장 여건 및 시료의 변질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시료채취 후 15일 이내에 시험을
뢰하여야 한다. 의뢰하여야 한다.

1.5 시공 허용오차 1.5 시공 허용오차


1.5.1 시공오차 측정 1.5.1 시공오차 측정
(1)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공사 목적물이 품질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1)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공사 목적물이 품질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공사 진행 단계마다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실시하고 시공확인을 감 (2) 계약상대자는 공사 진행 단계마다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실시하고 시공 확인을
독자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감독자에게 의뢰하여야 한다.
1.5.2 시공 허용오차기준 1.5.2 시공 허용오차기준
부위별 시공 허용오차는 이 시방서 해당 절(section)별 기준에 따른다. 부위별 시공 허용오차는 이 시방서 해당 절(section)별 기준에 따른다.
1.5.3 공사 진행 1.5.3 공사 진행
(1) 시공오차 측정결과가 시공 허용오차 기준을 벗어나는 부위는 반드시 계약상대자 부담으 (1) 시공오차 측정결과가 시공 허용오차 기준을 벗어나는 부위는 반드시 계약상대자 부담
로 재시공 또는 보완 후 후속공사를 진행하여야 한다. 으로 재시공 또는 보완 후 후속공사를 진행하여야 한다.
(2) 허용오차 기준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범위를 규정한 것이므로 이 시 (2) 허용오차 기준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범위를 규정한 것이므로 이 시
방서 해당 절별 허용오차 기준보다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이 더 강화되어 있을 경 방서 해당 절별 허용오차 기준보다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이 더 강화되어 있을 경
우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에 적합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 우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에 적합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
다. 다.
(3) 시공 상태가 허용오차 범위 내일지라도 외관상 또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 (3) 시공상태가 허용오차 범위 내일지라도 외관상 또는 구조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시공 상태 ⇒ 시공상태
다고 판단될 때는 이를 시정하여야 한다. 다고 판단될 때는 이를 시정하여야 한다.

1.6 시공확인 및 점검 등 1.6 시공확인 및 점검 등


1.6.1 시공확인 1.6.1 시공확인
(1)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전담자(이하 “전담자”라고 한다)로 하여금 매 공정단계마다 다 (1)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전담자(이하 “전담자”라고 한다)로 하여금 매 공정단계마다
음 절차에 따라 현장 시공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확 다음 절차에 따라 현장 시공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내용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
인을 받은 후(감독자 또는 감독자 직상급자의 확인)에 후속공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사・확인을 받은 후(감독자 또는 감독자 직상급자의 확인)에 후속공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① 계약상대자는 시공확인을 위하여 시공확인(검측)서류를 준비한다. ① 계약상대자는 시공확인을 위하여 시공확인(검측)서류를 준비한다.
② 전담자는 각 공종별 단계별로 주요검사항목에 따라 시공확인을 실시하고 검사결과 부적합 ② 전담자는 각 공종별 단계별로 주요 검사항목에 따라 시공확인을 실시하고 검사결과 부적합

1 -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란에 부적합한 내용을 기재한다. 한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란에 부적합한 내용을 기재한다.
③ 전담자는 부적합한 사항에 대한 시정조치를 완료한 후, 감독자에게 시공확인(검측) ③ 전담자는 부적합한 사항에 대한 시정조치를 완료한 후, 감독자에게 시공확인(검
서류를 제출하고 검사를 요청한다. 측)서류를 제출하고 검사를 요청한다.
④ 시공확인 요청을 받은 감독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지체없이 시공과정, 완료 상태, 자 ④ 시공확인 요청을 받은 감독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지체없이 시공과정, 완료 상태,
재의 품질규격 등이 설계도서의 규정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결 자재의 품질규격 등이 설계도서의 규정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과 부적합한 사항에 대하여는 시공확인서류에 기재하여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시정 완료한 결과 부적합한 사항에 대하여는 시공확인서류에 기재하여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시정 완
후에 재확인을 받도록 지시할 수 있다. 료한 후에 재확인을 받도록 지시할 수 있다.
⑤ 감독자는 공사착공 초기에 공사의 규모, 난이도, 예상되는 기능공의 수준 등을 감 ⑤ 감독자는 공사착공 초기에 공사의 규모, 난이도, 예상되는 기능공의 수준 등을 감
안하여 시공확인 시점, 검사의 범위 및 주요검사항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시공확 안하여 시공확인 시점, 검사의 범위 및 주요검사항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시공 [수정] 한글로 순화
인 시 주요검사항목 이외의 부적합사항에 대해서도 시공확인서류에 기재하거나 구 확인을 할 때 주요 검사항목 이외의 부적합사항에 대해서도 시공확인서류에 기재
두로 시정지시를 할 수 있다. 하거나 구두로 시정지시를 할 수 있다.
⑥ 감독자는 현장대리인 또는 전담자가 동일 유형의 지적사항을 반복하거나 감독자의 ⑥ 감독자는 현장대리인 또는 전담자가 동일 유형의 지적사항을 반복하거나 감독자의
지시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등 업무를 태만히 할 경우 계약상대자에게 현장대리인 지시사항을 이행하지 않는 등 업무를 태만히 할 경우 계약상대자에게 현장대리인
또는 전담자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상대자는 이 또는 전담자의 교체를 요구할 수 있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약상대자는 이
에 따라야 한다. 에 따라야 한다.
1.6.2 현장지도점검 1.6.2 현장지도점검
(1) 발주청의 직원은 건설공사가 계약문서의 요구조건에 맞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 (1) 발주청의 직원은 건설공사가 계약문서의 요구조건에 맞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
기 위하여 현장지도점검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년도 현장지도점검계획(공사, 하기 위하여 현장지도점검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년도 현장지도점검계획
품질, 안전 등)에 따른다. (공사, 품질, 안전 등)에 따른다.
(2) 현장지도 점검에 따른 점검결과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는 “별지 제21호 서식”에 의거 (2) 현장지도 점검에 따른 점검결과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는 “별지 제21호 서식”에 의거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현장지도 점검 시 지적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시정 전, 시정 (3) 계약상대자는 현장지도 점검을 받을 때 지적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이에 대한 시정 [수정] 한글로 순화
후의 천연색 사진을 포함하여 조치한 결과를 “별지 제22호 서식”에 따라 작성하여 전, 시정 후의 천연색 사진을 포함하여 조치한 결과를 “별지 제22호 서식”에 따라
발주청에 제출하고 그 결과를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작성하여 발주청에 제출하고 그 결과를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4) 지적사항에 대하여 시정조치가 완료되기 전까지 계약상대자는 기성검사원 또는 준공 (4) 지적사항에 대하여 시정조치가 완료되기 전까지 계약상대자는 기성검사원 또는 준
계를 제출할 수 없다. 공계를 제출할 수 없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안전관리 1-5 안전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장은 도로건설 시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산업안전보건법 및 건설기술관리법의 이 장은 도로공사를 할 때 「건설기술 진흥법」 제62조 따른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 [수정] 불필요한 용어정의를 삭제하고 건설기술진흥법 내용 및 산업안전보건
관계조항을 근거로 일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규정한다. 여야 하는 건설공사와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른 유해․위험 방지 계획을 수립 법 내용으로 별도 자문회의를 거쳐 「1-5 안전관리」편을 모두 변경
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함.

1 -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용어의 정의
1.2.1 “안전관리”라 함은 생산성의 향상과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비능률적인 요소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제반
활동을 말한다.
1.2.2 “안전관리계획서”라 함은 건설업자가 착공에서 준공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제반 기술적 안전관리 활동계획을 명시한 사전안전성 평가
자료를 말한다.
1.2.3 “안전관리 관계자”라 함은 건설공사의 착공에서 준공에 이르기까지 현장에서 건설기
술관리법에 의한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 또는 관리․감독하는 자로서 안전관리 총괄책
임자, 분야별 책임자, 담당자, 하도급업체 협의회 등으로 원칙적으로 당해 건설공사
의 공사 관리 조직에 소속되어 있는 자를 말한다.
1.2.4 “안전관리 총괄책임자”라 함은 당해 건설공사의 현장대리인으로서 제반 안전관리 업
무를 총괄 관리하는 자를 말한다.
1.2.5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라 함은 공사의 각 분야별 시공안전관리를 위하여 지휘 감독
하는 자를 말한다.
1.2.6 “안전관리 담당자”라 함은 공사현장 최 일선에서 시공․안전관리를 담당하는 기술자를
말한다.
1.2.7 “안전점검”이라 함은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6조의4에 의한 자체안전점검, 정기
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의 통칭을 말한다.

1.2.8 “자체안전점검”라 함은 건설공사의 공사기간동안 공사목적물의 안정성 및 공사장 주변


의 안전성 등을 조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공사목적물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매
일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말한다.
1.2.9 “정기안전점검”이라 함은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동안 안전관리계획 및 안전점검계획
에서 정한 실시시기와 회수에 따라 발주자와 미리 협의하여 건설기술 관리법이 정하
는 안전점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말한다.
1.2.10 “정밀안전점검”이라 함은 정기안전점검 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기능적 결함 등이 있
을 경우 보수․보강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발주자와 미리 협의하여 건설안전
점검기관에 의뢰하여 실시하는 안전점검을 말한다.
1.2.11 “안전교육”이라 함은 시공 중인 구축물의 안전시공을 위한 공법의 이해, 세부시공순서 및
안전시공절차 등 안전 확보를 위하여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
1.2.12 “안전사고”라 함은 건설공사에 관련된 인적, 물적 환경요소의 불균형에 의해 인명이
나 재산의 손실을 가져오는 사고를 말한다.
1.2.13 “실착공일”이라 함은 안전관리계획수립 대상 건설공사에서 자재․장비동원, 측량 등
공사 준비작업 을 제외한 당해 공사 목적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사를 개시한 날을
말한다.
1.2.14 “산업재해(산업안전보건법 제2조)”라 함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1.2.15 “업무상 재해”라 함은 해당 근로자의 근로 계약 취지에 따라 계약자의 관리 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업무수행성),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한 인과 관계가 있는(업무기
인성)재해를 말한다.
1.2.16 “중대재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법상의

(1) 사망자가 1인 이상 발생한 재해

1 -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3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2인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 자가 동시에 10인 이상 발생한 재해

1.2.17 “안전보건관리책임자(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라 함은 사업장에서 사업주를 대신하


여 사업장 내의 안전 보건 문제를 책임지고 추진하는 자를 말한다.
1.2.18 “안전보건총괄책임자(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라 함은 동일한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의 일부를 도급을 주어 행하는 경우, 계약자와 하도급자의 근로자가 동일한 장
소에서 작업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업무를 총괄 관리하도록
지정된 자로서 통상 계약자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가 이를 수행한다.
1.2.19 “관리감독자(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라 함은 경영조직에서 공사와 관련된 당해 업
무와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부서의 장이나 그 직위를 담당하는 자로서 이
들은 당해 직무와 관련된 안전보건상의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위험방지가 특히
필요한 작업에 있어서는 당해 작업의 관리감독자를 안전담당자로 지정하여 안전업
무를 수행 하는 자를 말한다.
1.2.20 “안전관리자(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라 함은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 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보좌하고, 관리감독자 및 안전담당자에 대하여
이에 대한 지도 조언을 하기 위하여 배치하여야 하는 법정 유자격자를 말한다.
1.2.21 “산업안전보건관리비”라 함은 건설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하여 법
령에 규정된 사항의 이행에 필요한 비용을 말한다.

1.2.22 “산업안전보건관리비 대상 액(이하 “대상 액”)”이라 함은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재정경제원 회계예규) 별표2의 공사원가 계산서에서 정하는 재료비와 직접
노무비를 합한 금액을 말한다.(발주자가 재료를 제공할 경우에는 당해 비용을 포함
한 금액)
1.2.23 “기술지도”라 함은 공사금액이 3억 원 이상 120억 원(건설 산업 기본법 시행령 별
표 1의 토목공사는 150억 원) 미만인 건설공사를 행하는 사업주에게 건설재해예방전
문기관이 표준안전관리비의 사용방법 및 재해예방조치 등에 관하여 재해예방 전문
지도기관의 지도를 받는 것을 말한다.

1.3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1.2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계획수립 등


1.3.1 안전관리 계획서 1.2.1 안전관리 계획
(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안전관리 조직 등 건설공사 (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 조직 등 건설
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한다. 또한 계약상대 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을 미리 공사감독자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검토·확인을
자가 고용하고 있는 안전점검요원은 안전관리 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그 업무를 수 받아 수립하고 건설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발주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
행하여야 한다. 다. 안전관리계획의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2) 안전관리계획을 제출받은 발주자는 15일 이내에 안전관리계획의 심사 결과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판정한 후 제1호 및 제2호의 경우에는 승인서(제2호의 경우에는
보완이 필요한 사유를 포함하여야 한다)를 계약상대자에게 발급하여야 하며, 부적
정 판정을 받은 경우에는 안전관리계획의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① 적정: 안전에 필요한 조치가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계획되어 건설공사의 시공상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고 인정될 때
② 조건부 적정: 안전성 확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아니하지만 일부 보완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③ 부적정: 시공 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계획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
고 인정될 때

1 -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계약상대자는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며, 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는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였던 건설공사를 준공하였을 때에는 안전점검
에 관한 종합보고서를 작성하여 발주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종합보고서를 제출받
은 발주자는 준공 후 3개월 이내에 종합보고서(「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
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1종시설물 및 2종시설물에 대한 종합보고서로
한정한다)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3.2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 1.2.2 안전관리 계획의 수립하여야할 건설공사 범위


(1) 대상공사 (1) 대상공사
①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상 1종 및 2종 시설물 ①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건설공사
가. 1종 시설물 가. 1종 시설물
㈎ 교량 : 특수교량(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최대 경간 장 50m 이상의 교량) 연장 ㈎ 도로교량
500m 이상의 교량 ·상부구조형식이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트러스트교인 교량
㈏ 터널 : 연장 1,000m 이상의 터널 3차로 이상의 터널 ·최대 경간장 50 m 이상의 교량(한 경간 교량은 제외한다)
㈐ 지하차도 : 복개구간의 연장이 500m 이상의 지하차도 ·연장 500 m 이상의 교량
㈑ 복개구조물 : 폭 6m 이상으로서 연장 500m 이상인 복개구조물 ·폭 12 m 이상으로 연장 500 m 이상인 복개구조물
㈏ 도로터널
·연장 1,000 m 이상 터널
·3차로 이상의 터널
·터널구간의 연장이 500 m 이상인 지하차도
나. 2종 시설물 나. 2종 시설물
㈎ 교량 : 연장 100m 이상의 교량으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교량 ㈎ 도로교량
㈏ 터널 :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의 터널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하 ·최대 경간장 50 m 이상인 한경간 교량
지 아니하는 터널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연장 100 m 이상의 교량
연장 500m 이상의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의 터널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복개구조물로서 폭 6 m 이상이고, 연장 100 m
㈐ 지하차도 : 복개구간의 연장이 100m 이상의 지하차도로서 1종 이상인 복개구조물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지하차도 ㈏ 도로터널
㈑ 복개구조물 : 폭 6m 이상이고 연장 100 m 이상인 복개구조물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터널로서 고속국도, 일반국도 및 특별시도, 광역시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복개구조물 도의 터널
㈒ 옹벽 :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m 이상으로서 연장 100m 이상의 옹벽 ·연장 500 m 이상의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의 터널
㈓ 사면 : 연직높이 50m 이상(옹벽이 있는 경우 옹벽상단으로 부터의 높이)을 포함한 절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지하차도로서 터널구간의 100 m 이상인 지하차도
토부로서 단일 수평연장 200m 이상인 절토사면 ㈐ 도로의 부대시설로서 옹벽 및 땅깎기 비탈면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 m 이상인 부분의 합이 100 m 이상의 옹벽
·연직높이(옹벽이 있는 경우 옹벽상단으로 부터의 높이를 말한다) 50 m이상을 포함
한 땅깎기부로서 단일 수평연장 200 m 이상인 땅깎기 비탈면
다. 건설기술관리법 상 시설물공사 ②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른 건설공사
㈎ 폭발물을 사용하는 공사로서 20m 안에 시설물이 있거나 100m 안에 양육하는 가축이 가. 지하 10 m 이상을 굴착하는 건설공사(굴착깊이 산정할 때 집수정, 엘리베이터 피
있어서 영향이 예상되는 건설공사 트 및 정화조 등의 굴착부분은 제외)
나. 폭발물을 사용하는 도로건설공사로서 20 m 안에 시설물이 있거나 100 m 안에
㈏ 발주자가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설공사 사육하는 가축이 있어 해당 건설공사로 인한 영향을 받을 것이 예상되는 건설
㈐ 인가 허가 승인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설공사 공사
다. 「건설기계관리법」 제3조에 따라 등록된 건설기계 중 항타 및 항발기가 사용되는
건설공사

1 -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라. 가.부터 다.까지 도로건설공사 외에 발주자가 특히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
는 건설공사
③ 「산업안전 보건법」에 따른 건설공사
가. 최대지간 길이가 50 m 이상인 교량 건설공사
나. 터널 건설 등의 공사
다. 깊이 10 m 이상인 굴착공사
④ 기타 화재우려가 되는 공종(용접공 등) 및 가설공사시 추락사고, 익사사고, 건설
기계 주변 부주위로 인한 압사사고 등 발주자가 특히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인
정하는 도로건설공사

1.2.3 안전관리계획의 수립
(1) 안전관리계획의 수립기준
① 건설공사의 개요 및 안전관리조직
② 공정별 안전점검계획
③ 공사장 주변의 안전관리대책(건설공사 중 발파·진동·소음이나 지하수 차단 등으로
인한 주변지역의 피해방지대책을 포함한다)
④ 통행안전시설의 설치 및 교통 소통에 관한 계획
⑤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⑥ 안전교육 및 비상시 긴급조치계획
⑦ 공종별 안전관리계획(대상 시설물별 건설공법 및 시공절차를 포함한다)
(2) 안전관리계획 세부내용
1.3.3 안전관리 계획서 작성기준 ① 건설공사의 개요
(1) 공사개요 공사 전반에 대한 개략을 파악하기 위한 위치도, 공사개요, 전체 공정표 및 설계
위치도, 공사개요, 전체공정표, 설계도서, 인허가 승인 기관 등 도서(해당 공사를 인가ㆍ허가 또는 승인한 행정기관 등에 이미 제출된 경우는 제
외한다)
(2) 안전관리조직 ② 안전관리조직
시공안전, 공사장주변 안전에 대한 점검 확인 등을 위한 조직 공사관리조직 및 임무에 관한 사항으로서 시설물의 시공안전 및 공사장 주변안전
에 대한 점검ㆍ확인 등을 위한 관리조직표
(3) 공정별 안전점검 계획 ③ 공정별 안전점검계획
자체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 시기 내용 안전점검표 등 자체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의 시기ㆍ내용, 안전점검 공정표 등 실시계획 등에
관한 사항
(4) 공사장주변 안전관리 계획 ④ 공사장 주변 안전관리대책
공사장주변 방호, 안전시설물의 보호 공사 중 지하매설물의 방호, 인접 시설물의 보호 등 공사장 및 공사현장 주변에
대한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5) 통행안전시설 및 교통소통계획 ⑤ 통행안전시설의 설치 및 교통소통계획
교통소통, 교통안전시설, 교통사고 예방 등 공사장 주변의 교통소통대책, 교통안전시설물, 교통사고예방대책 등 교통안전관
리에 관한 사항
(6)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⑥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계상액, 산정내역, 사용 계획 등 안전관리비의 계상액, 산정명세, 사용계획 등에 관한 사항
(7) 안전교육계획 ⑦ 안전교육계획
교육의 종류, 내용 및 교육관리 안전교육계획표, 교육의 종류ㆍ내용 및 교육관리에 관한 사항
(8) 비상시 긴급조치 계획 ⑧ 비상시 긴급조치계획
비상연락망, 비상동원조직, 정보체제, 응급조치, 복구 등 공사현장에서의 비상사태에 대비한 비상연락망, 비상동원조직, 경보체제, 응급조
치 및 복구 등에 관한 사항
1.3.4 대상시설물별 세부안전 계획 (3) 대상 시설물별 세부 안전관리계획(해당 공종 착공 전에 제출 가능)

1 -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가설공사 ① 가설공사
① 구조물 설치 개요, 시공 상세도면 1) 가설구조물의 설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③ 점검계획 및 점검표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④ 가설물 안전성 계산서 4) 가설물 안전성 계산서
5) 추락방지, 화재예방 등 안전대책
(2) 굴착공사, 발파공사 ② 굴착공사 및 발파공사
① 굴착 흙막이 발파 항타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1) 굴착, 흙막이, 발파, 항타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③ 안전점검 안전점검표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④ 굴착 비탈면 흙막이 등의 안전성계산서 4) 굴착 비탈면, 흙막이 등 안전성 계산서
(3) 콘크리트공사 ③ 콘크리트공사
① 거푸집 동바리 철근 콘크리트 등의 공사개요 시공 상세도 1) 거푸집, 동바리, 철근, 콘크리트 등 공사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③ 안전점검 및 안전점검표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④ 굴착 비탈면 흙막이 등의 안전성 계산서 4) 동바리 등 안전성 계산서
(4) 강 구조물공사 ④ 강구조물공사
① 자재 장비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1) 자재ㆍ장비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③ 안전점검 및 안전점검표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④ 강구조물의 안전성 계산서 4) 강구조물의 안전성 계산서
(5) 성토 및 절토공사 ⑤ 흙쌓기, 땅깎기 및 포장 공사
① 자재 장비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1) 자재ㆍ장비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안전시공절차 및 주의사항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③ 안전점검 및 안전점검표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④ 안전성 계산서 4) 안전성 계산서
(6) 해체공사 ⑥ 해체공사
① 구조물 해체의 대상 공법 등의 개요 시공 상세도 1) 구조물해체의 대상ㆍ공법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② 해체순서 안전시설 및 안전조치 등의 계획 2) 해체순서, 안전시설 및 안전조치 등에 대한 계획
⑦ 건축설비공사
1) 자재ㆍ장비 등의 개요 및 시공상세도면
2)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3) 안전점검계획표 및 안전점검표
4) 안전성 계산서
(4) 그 밖에 건설공사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안전관리계획에 포함하여야 하는 세부 사
항에 대하여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지침’에 따른다.
1.2.5 유해·위험 방지계획
1.3.5 유해 위험 방지계획 (1) 계약상대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라 별지 23-ⓛ호 서식에 의거 유해·위험
(1) 계약상대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라 별지 23-ⓛ호 서식에 의거 유해 위험 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방지계획을 작성하여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노동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한다.
(2) 건설업 중 노동부령이 정하는 규모의 사업을 착공하려고 하는 사업주는 노동부령이
정하는 자격을 갖춘 자의 의견을 들은 후 유해 위험 방지계획을 작성하여 노동부장
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유해 위험 방지계획서를 제출한 사업주는 노동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노동부장관
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한다.

1 -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해당 사업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① 최대지간 길이가 50m 이상인 교량 건설공사
② 터널 건설 등의 공사
③ 제방높이 20m 이상인 댐 건설공사
④ 게이지 압력이 0.13 ㎫ 이상의 잠함공사
⑤ 깊이 10.5m 이상인 굴착공사
⑥ 기타 건설설비, 크레인 등을 사용하는 공사 또는 유해, 위험방지 작업 등 노동부 장
관이 정하는 공사
(5) 첨부서류 (2) 첨부서류는 다음과 같으며 각 항에 포함되는 상세 서류는 별지 23-②호 서식에 따
① 공사현장의 주변상황 및 주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른다.
② 건설물 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① 공사개요
③ 공사용 기계, 설비, 건설물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② 안전보건관리계획
④ 공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자료, 도면 및 서류 ③ 작업 공사 종류별 유해·위험 방지계획
⑤ 공정표 ④ 작업환경 조성계획
⑥ 표준안전관리비 사용 계획서
⑦ 기타 유해, 위험방지에 대해 정해진 도면 및 서류

1.4 안전관리조직 1.3 안전관리조직


1.4.1 건설기술관리법(법 제26조의 3)에 의한 안전관리 조직 1.3.1 도로건설공사의 안전관리 조직
(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다음 각 호로 구성된 안전관리 조직을
구성하여야한다.
① 당해 건설공사의 시공 및 안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는 안전총괄 책임자 (1) 해당 건설공사의 시공 및 안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는 안전총괄책임자
② 안전관리를 지휘할 분야별 안전관리 책임자 (2) 토목, 건축, 전기, 기계, 설비 등 건설공사의 각 분야별 시공 및 안전관리를 지휘하는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
(3) 건설공사 현장에서 직접 시공 및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담당자
③ 직접 시공 및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담당자
(4)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구성원
④ 계약 상대자 및 하도급 인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구성원
(2) 제 1항의 규정에 의한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 및 직무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
으로 정한다.

1.4.2 안전관리 조직의 직무 1.3.2 안전관리 조직의 직무


(1) 안전총괄 책임자의 직무 및 범위 (1) 안전총괄책임자의 직무 및 범위
① 안전관리계회서의 작성 및 제출 ① 안전관리계획서의 작성 및 제출
② 안전관리 관계자의 업무분담 및 직무감독 ② 안전관리 관계자의 업무분담 및 직무감독
③ 안전사고발생 우려가 있거나 안전사고 발생 시 비상동원 및 응급조치 ③ 안전사고발생 우려가 있거나 안전사고 발생되었을 때 비상동원 및 응급조치
④ 안전관리비의 집행 및 확인
④ 안전관리비의 집행 및 확인
⑤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운영
⑤ 계약 상대자 및 하수급인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운영
⑥ 안전관리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 등의 지원
⑥ 안전관리에 필요한 시설 및 장비 등의 지원
⑦ 안전교육의 지휘 감독 ⑦ 자체 안전점검의 실시 및 점검결과의 조치에 대한 지휘 감독
⑧ 자체안전점검의 실시 및 점검결과의 조치에 대한 지휘감독 ⑧ 안전교육의 지휘 감독
(2)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의 직무 (2) 공사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의 직무
① 분야별 안전관리 및 안전관리 계획서의 검토이행 ① 공사분야별 안전관리 및 안전관리계획서의 검토 이행
② 각종 자재 등의 적격품 사용여부확인 ② 각종 자재 등의 적격품 사용여부 확인
③ 자체안전 점검실시의 확인 및 점검결과의 조치 ③ 자체 안전점검실시의 확인 및 점검결과의 조치
④ 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보고 ④ 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보고
⑤ 안전교육의 실시 ⑤ 안전교육의 실시

1 -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⑥ 작업진행상황의 관찰 및 지도 ⑥ 작업진행상황의 관찰 및 지도
(3) 안전관리담당자의 직무 (3) 안전관리담당자의 직무
① 분야별 안전관리자의 직무보조 ① 분야별 안전관리자의 직무보조
② 자체안전점검의 실시 ② 자체 안전점검의 실시
③ 안전교육의 실시 ③ 안전교육의 실시
(4) 협의체 (4) 협의체
① 협의체는 계약상대자 및 하수급인으로 구성하고 매월 1회 이상 회의를 개최하여야 ① 협의체는 매월 1회 이상 회의를 개최하여야 한다.
한다.
② 협의체는 안전관리계획의 이행에 관한 사항과 안전사고 발생 시 대책 등에 관한 ② 협의체는 안전관리계획의 이행에 관한 사항과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을 때의 대책
사항을 협의 한다 등에 관한 사항을 협의한다.
(5) 안전관리 관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 (5) 안전관리 관계자의 선임에 관한 서류
① 안전 관리자 선임계 ① 안전관리자 선임계
② 재직증명서 ② 재직증명서
③ 자격증사본 또는 경력증명서 ③ 자격증사본 또는 경력증명서
1.4.3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 조직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 건설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법령에 따라 안전
관리조직을 구성, 운영하여야 한다.
(1)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총 공사금액(지급자재비 포함)이 20억 원 이상인 건설업 공사를 수행하는 계약상대
자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하고 이를 선임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지방
노동청사무소에 보고하여야 하며,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
다.
① 산업재해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②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에 관한 사항
③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④ 작업환경의 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⑤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⑥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에 관한 사항
⑦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유지에 관한 사항
⑧ 안전보건에 관련되는 안전장치 보호구 구입 시의 적격품 여부확인에 관한 사항
⑨ 기타 근로자의 유해, 위험예방 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항
(2) 안전 관리자
계약상대자는 표 1-1의 기준에 따라 안전관리 자를 선임하고 이를 선임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해당지방노동청 사무소에 보고하여야 한다.
안전관리자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① 당해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직무
② 방호장치, 기계, 기구 및 설비 또는 보호구 중 안전에 관련되는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
③ 당해 사업장 안전교육 계획의 수립 및 실시
④ 사업장 순회점검 지도 및 조치의 건의
⑤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
⑥ 법 또는 법에 의한 명령이나 안전보건 관리규정 및 취업규정 중 안전에 관한 사항
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⑦ 기타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1 -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1 안전 관리자 선임기준

구 분 인 원 수 자 격

1. 산업안전지도사
공사비 800억원 이상 2. 산업안전기사
2명
또는 상시 근로자가 3. 산업안전산업기사
(건설안전
600인 이상인 현장 4. 건설안전기사
기사 1명
(700억원 또는 300인 5. 건설안전산업기사
포함)
추가 시마다 1인 추가) 6. 전문대학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교에서
산업안전 관련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한 자
7. 이공계 전문대학(4년제 대학)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교를 졸업하고 실무경력 3년
(1년) 이상인자로서 노동부 장관이 지정하는
공사비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고 소정의 시험
120억원(건설산업기본 에 합격한 자(건설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법 시행령 별표 1의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의 사업장)
토목공사업에 속하는 1명 8. 공업계 고등학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공사는 150억원) 이상 (전담) 학교를 졸업하고 시공실무 경력 5년 이상
800억원 미만 또는 인 자로서 노동부장관 지정하는 기관에서
상시 근로자가 300인 실시하는 교육을 받고 소정의 시험에 합격
이상 600인 미만 한 자(건설업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시근
로자 50인 이상 1000인 미만인 사업장)

(3) 안전보건 협의체


① 당해 공사의 총 공사금액이 20억 원 이상인 건설업 중 동일한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의 일부를 도급에 의하여 행하는 사업의 계약상대자는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와
동일한 장소에서 작업할 때 생기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조치를 하여
야 한다.
가. 안전보건에 관한 사업주간 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나. 작업장 순회점검 등의 안전보건 관리
다. 하수급인이 행하는 근로자의 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지도와 지원
라. 기타 노동부 장관이 산업재해예방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지정하는 사항
② 협의체는 계약상대자(공동도급인 경우 각 회사별 시공책임자를 포함) 및 하수급인
전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③ 협의체는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한다.

1.5 안전점검 등의 확인
1.5.1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
(1) 계약상대자는 하수급인과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
관리비를 공사금액에 계상하여야 한다.
(2) 발주청은 계약상대자와 하수급인이 안전관리비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
지 아니한 금액에 대하여 계약금액에서 감액 조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안전관리비의
목적 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3) 계약상대자는 공사계약을 체결할 때 계상된 금액 이상을 안전관리비로 사용하여야

1 -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4) 계약상대자가 공사의 일부를 하도급 시행할 때에는 계상된 안전관리비의 범위 안에
서 하수급인에게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안전관리비를 지급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5)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실행예산을 작성할 때 당해 공사에 사용하여야 할 안전관리비
의 실행예산을 별도로 작성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안전관리비를 사용하고 그 내역
서를 당해 공사현장 내에 비치하여야 한다.
(6)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와 하수급인의 안전관리비 사용 및 관리에 대하여 공사도중 또
는 종료 후 안전관리비 사용내역서(별지 제23호, 제24호 서식)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와 하수급인은 이에 따라야 한다.
(7) 산업안전관리비의 항목별 사용기준은 노동부고시 제2008-67호 건설업 산업안전관리
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른다.
1.5.2 기술지도
(1) 공사금액 3억 원 이상 120억 원(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1에 속하는 공사는 150
억 원) 미만인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계약상대자가 표준안전관리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 4항”의 규정에 의한 건설재해예방전문기관의 지도
를 받아야한다.
(2) 공사금액에 따른 기술지도 횟수는 노동부고시에 따라 공사금액이 40억 원 이상인 경
우 산업안전 지도사(건설 분야) 또는 건설안전기술사가 기술지도 횟수 4회에 1회 이
상 방문지도를 받아야 한다.
(3) 건설재해예방전문기관의 기술지도를 받아야하는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공 후 14일 이
내에 건설재해예방전문기관과 기술지도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고 기술지도계약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공사 종료 시에는 건설재해예방전문기관의 기술지도를
받았음을 증빙할 수 있는 기술지도 완료증명서(별지 제25호 서식)를 감독자에게 제
출하여야 한다.
(4) 발주청은 노동부 고시에 의거 기술지도 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계약상대자에 대하
여 계상된 안전관리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지 않거나 환수할 수 있다.
1.5.3 안전교육
(1) 계약상대자는 당해 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하여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표
1-2와 같이 교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별지 제26호 서식)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표 1-2 안전교육 내용

1 -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교육과정 교육대상 교육시간

생산직종사 근로 자 매월 2시간 이상
사무직종사 근로자 매월 1시간 이상
가. 정기 교육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자 반기 8시간이상 또는
연간 16시간이상

나. 채용 시 교육 당해근로자로서 건설업 종사자 1시간 이상

당해근로자로서 건설업 종사
다.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1시간 이상
근로자
1.4 안전점검의 시기․방법 등
안전 관리 자를 지정하여야 할 1.4.1 안전점검 실시
라. 특별 교육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로서 2시간 이상 (1) 계약상대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건설업 종사자 ① 건설공사의 공사기간 동안 매일 자체 안전점검을 할 것
② 건설공사의 종류 및 규모 등을 고려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시기와 횟수
마. 일일 교육 에 따라 정기안전점검을 할 것
③ 정기안전점검 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기능적 결함 등이 발견되어 보수·보강 등의
조치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정밀안전점검을 할 것
(2) 일일 교육
④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1종시설물 및
① 당일공사 작업자에 대한 교육을 매일 공사 착수 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2종시설물의 건설공사(같은 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유지관리를 위한 건설공사는
② 당일작업의 공법 이해, 시공 상세도면에 의한 세부 시공순서 및 시공기술상의 주의
제외한다)에 대해서는 그 건설공사를 준공(임시 사용을 포함한다)하기 직전에 제2
사항 등을 포함시켜야 한다.
호에 따른 정기안전점검 수준 이상의 안전점검을 할 것
③ 계약상대자는 안전교육내용을 기록 관리하여야 하며, 공사 준공 후 관계서류와 함
⑤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1종시설물 및
께 제출하여야 한다.
2종시설물의 건설공사(같은 법 제2조제12호에 따른 유지관리를 위한 건설공사는
1.5.4 안전 점검
제외한다)가 시행도중에 중단되어 1년 이상 방치된 시설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1) 계약상대자는 다음 각 호 의 구분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공사를 다시 시작하기 전에 그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할 것
① 공사기간동안 매일 자체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은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이 실시하도록
② 국토해양부 장관이 정하는 시기와 횟수에 따라 정기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①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안전진단전문기관
③ 정기안전점검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 기능적 결함 등이 발견되어 보수 보강의 조치를
② 한국시설안전공단
취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안전점검의 대가는 다음 각 호의 비용을 합계금으로 한다.
④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6조의2 제1항 1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
① 직접인건비: 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의 급료·수당 등
여는 당해 건설공사를 준공하기 직전에 제2호의 규정에 의한 정기안전점검 수준
② 직접경비: 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여비, 차량운행비 등
이상의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③ 간접비: 직접인건비 및 직접경비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각종 경비
④ 기술료
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46조의2 제1항 1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를 시행
⑤ 그 밖에 각종 조사․시험비 등 안전점검에 필요한 비용
하는 도중 그 공사의 중단으로 1년 이상 방치된 시설물이 있는 경우 그 공사를 재
⑥ 세부산출기준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것에 따른다.
개하기 전에 그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한다
1.4.2 정기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점검의 점검사항
(1) 공사목적물의 안전시공을 위한 임시시설 및 가설공법의 안전성
(2)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은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이 실시하도록
(2) 공사 목적물의 품질, 시공상태 등의 적정성
하여야 한다.
(3) 인접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안정성 등 공사장 주변 안전조치의 적정성
①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안전진단전문기관
(4) 정밀안전점검에서는 시설물의 물리적·기능적 결함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및 결함의
② 한국시설안전공단
원인 등을 조사·측정·평가하여 보수·보강 등의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3) 안전점검의 대가는 다음 비용의 합계금으로 한다.
(5)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것에 따른다.

1 -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① 직접인건비
② 직접경비
③ 간접비 2. 재 료
④ 기술료
⑤ 기타 조사시험비 등 해당사항 없음
⑥ 세부산출기준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1-273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6 인계․인수 1-6 인계・인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예비준공검사 [수정] 예비준공검사에 관한 내용 추가
1.1.1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현장에 주요공사가 완료되고 현장이 정리단계에 있을 때에는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국토교통부, 2014.5.23.) 내용 인용
시공자로 하여금 준공 2개월 전에 예비준공검사원을 제출토록 하고 이를 검토하여 발주
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단순 소규모공사일 경우에는 발주청과 협의한 후 생략할
수 있다.
1.1.2 발주청은 건설사업관리기술자로부터 예비준공검사 요청이 있을 때에는 소속직원 중 2인
이상의 검사자를 임명하여 검사토록 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시설물유지관리기관의
직원 또는 기술지원기술자를 입회하도록 하여야 한다.
1.1.3 예비준공검사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확인한 정산설계도서 등에 따라 검사하여야 하
며, 그 검사 내용은 준공검사에 준하여 철저히 시행하여야 한다.
1.1.4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예비준공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시공자가 제출한 품질시험․검사 총
괄표를 검토한 후 검토서를 첨부하여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1.1.5 발주청은 검사를 시행한 후 보완사항에 대하여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에게 보완지시하고
준공검사자가 검사시에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 대표자에게 검사
결과를 통보하여야 하며, 시공자는 예비준공검사의 지적사항 등을 완전히 보완한 후 책
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확인을 받은 후 준공검사원을 제출하여야 한다.

1 -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시설물 인계․인수 1.2 시설물 인계・인수
1.1.1 계약상대자는 당해 공사의 예비 준공검사(부분준공, 발주청의 필요에 의한 기성부분 1.2.1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예비준공검사(부분준공, 발주청의 필요에 의한 기성부분
포함)를 실시한 후 시설물의 인계․인수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 포함)를 실시한 후 시설물의 인계・인수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1.1.2 계약상대자가 준공시설물을 인계하기 위하여 제출한 인계․인수서는 감독자가 이를 검 1.2.2 계약상대자가 준공시설물을 인계하기 위하여 제출한 인계・인수서는 감독자가 이를
토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검토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1.1.3 발주청과 계약상대자와의 시설물 인계․인수를 위하여 감독자는 입회인이 된다. 1.2.3 발주청과 계약상대자와의 시설물 인계・인수를 위하여 감독자는 입회인이 된다.
1.1.4 감독자는 시설물 인계․인수에 대한 발주청의 지시사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현황파 1.2.4 감독자는 시설물 인계・인수에 대한 발주청의 지시사항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현황
악 및 필요대책 등 의견을 제시하여 계약상대자가 이를 수행하도록 조치하여야 한 파악 및 필요대책 등 의견을 제시하여 계약상대자가 이를 수행하도록 조치하여야
다. 한다.
1.1.5 인계․인수서는 준공검사 결과를 포함시켜야 한다. 1.2.5 인계・인수서는 준공검사 결과를 포함시켜야 한다.

1.2 현장문서 인계․인수 1.3 현장문서 인계․인수


1.2.1 당해 공사와 관련한 공사기록 서류 중 발주청에 인계할 문서는 해당 유지관리 기관의 1.3.1 해당 공사와 관련한 공사기록 서류 중 발주청에 인계할 문서는 해당 유지관리 기관
장과 감독자, 계약상대자가 협의하여 작성한다. 의 장과 감독자, 계약상대자가 협의하여 작성한다.
1.2.2 인계할 문서의 목록 작성에는 아래 항목을 포함시켜야 한다. 1.3.2 인계할 문서의 목록 작성에는 아래 항목을 포함시켜야 한다.
(1) 공사계약에 명시되어 있는 설계도면 (1) 공사계약에 명시되어 있는 설계도면
① 당해 공사의 준공부분에 대한 설계도면(준공도면) ① 해당 공사의 준공부분에 대한 설계도면(준공도면)
② 공사현장에서 설계변경한 부분의 설계도면 원도 ② 공사현장에서 설계변경한 부분의 설계도면 원도
(2) 이 시방서 1-2-4절 1.4의 시공 상세도면 (2) 이 시방서 1-2-4절 1.5의 시공상세도면
(3) 이 시방서 1-2-4절 1.6의 공사사진첩 (3) 이 시방서 1-2-4절 1.7의 공사사진첩
(4) 이 시방서 1-2-4절 1.7에 의하여 발급 받은 신고 및 인․허가필증 원본 (4) 이 시방서 1-2-4절 1.8에 의하여 발급 받은 신고 및 인・허가필증 원본
(5) 하도급인의 목록(상호, 소재지, 대표자, 전화번호, 공사범위, 공사기간 등) (5) 하수급인의 목록(상호, 소재지, 대표자, 전화번호, 공사범위, 공사기간 등) [수정] 건설산업기본법 제2조에 의거 하도급인 ⇒ 하수급인
(6) 측정, 시험 및 검사보고서 (6) 측정, 시험 및 검사보고서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된 사항(파일 항 타 기록부, 말뚝 박기 보고서[별지 제33호 이 시방서 각 절에 명시된 사항(파일 항타 기록부, 말뚝 박기 보고서[별지 제33호
서식] 등) 서식] 등)
(7) 시설물 유지관리 지침(필요 시) (7) 시설물 유지관리 지침(필요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① 설비 기기 목록 ① 설비 기기 목록
② 설비 기기 제조자 및 설치자, 주소, 전화번호 ② 설비 기기 제조자 및 설치자, 주소, 전화번호
③ 사용설명서, 운전 및 유지관리지침 ③ 사용설명서, 운전 및 유지관리지침
④ 설비 기기 보증서 ④ 설비 기기 보증서

1.3 보수예비품 1.4 보수예비품


1.3.1 계약상대자는 하자발생 시 사용할 보수예비품을 발주청에 제공할 수 있다. 1.4.1 계약상대자는 하자가 발생되었을 때 사용할 보수예비품을 발주청에 제공할 수 있 [수정] 한글로 순화
다.
1.3.2 보수예비품이 필요한 경우에는 설계 시 공사시방서 각 절에 품목 및 수량을 명시할 1.4.2 보수예비품이 필요한 경우에는 설계를 할 때 공사시방서 각 절에 품목 및 수량을 [수정] 한글로 순화
수 있으며, 공사의 시공제품과 품명, 모델번호, 제조자가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명시할 수 있으며, 공사의 시공제품과 품명, 모델번호, 제조자가 동일한 것이어야
1.3.3 계약상대자는 하자보수책임기간이 만료되면 발주청에 보수예비품 잔여량의 반환요청 한다.
을 할 수 있다. 다만, 보수예비품에 대한 비용은 추가로 청구할 수 없다. 1.4.3 계약상대자는 하자보수책임기간이 만료되면 발주청에 보수예비품 잔여량의 반환요
청을 할 수 있다. 다만, 보수예비품에 대한 비용은 추가로 청구할 수 없다.

1.4 준공도서 사본 작성 및 제출 1.5 준공도서 사본 작성 및 제출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 3호의 1종 및 2종 시설물에 해당되는 시설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항의 1종 및 2종 시설물에 해당되는 시설물 [수정]
물을 시공하는 계약상대자는 아래의 준공도서 사본을 국토해양부 및 한국시설안전공단이 을 시공하는 계약상대자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7조 제1항에 따라 설계 [자문] 문장수정: ‘설계도서 등의 사본작성 및 관리지침’ 내용 반영

1 -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시한 “준공도서 사본작성·관리지침”에 따라 마이크로필름과 CD-ROM으로 각각 2세트를 도서 등 관련 서류를 발주청과 한국시설안전공단에 제출하여야 하며, 아래의 준공도서 [수정] 시특법 제17조 제1항, 시특법 시행규칙 제20조 제1항 별표·별지
작성하여 준공 후 3개월 이내에 발주청 및 한국시설안전공단에 각각 1세트씩을 제출하여 사본을 준공 또는 사용승인을 신청할 때에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시스템을 통하여 온라 서식 별표 6(개정 2014.2.7.), 시특법 시행규칙 제20조 제2항,
야 한다. 인으로 제출하고, 발주청에는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컴팩트디스크(CD)로 제작하여 1 설계도서 등의 사본작성 및 관리지침 제6조 2항, 시설물정보관
1.4.1 준공도면 세트를 제출하여야 한다. 리종합시스템 운영규정 제23조 1항 내용 반영
1.4.2 준공내역서 및 유지관리지침서(필요 시) 1.5.1 준공도면 준공내역서 및 유지관리지침서 ⇒ 준공내역서 및 시방서
1.4.3 구조계산서 1.5.2 준공내역서 및 시방서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 보고서 ⇒ 삭제
1.4.4 안전점검에 관한 종합 보고서 1.5.3 구조계산서 [관계기관의견 반영]
1.4.5 기타 시공 상 특기한 사항에 대한 보고서 등 1.5.4 그 밖에 시공상 특기한 사항에 관한 보고서 등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 - 46
별표 및 서식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표 1] [수정] 시공상세도 작성지침 개정(2010.7.1.)으로 내용 수정

시공 상세도면 작성 목록
시공상세도면 작성 목록
[별표 1] 1. 공통사항
공 종 항 목 세 부내 용 비 고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 소단폭원, 절취고 및 경사(깎기부 개소당 대표
∙ 깎기
단면) 가. 부재별 철근 배근 전개도
- 쌓기 최종 마무리 면별 길어깨 나. 겹이음 위치 및 길이, 기계적 연결 또는 용접이음의 위치
토 공 ① 배근상세도 검토 후 길이별 반입철근 계획수립(8,9,10,11,12 m)
- 본선 및 중앙분리대 표준횡단계획도
∙ 쌓기 ② 구조상 안전위치 선정, 겹이음 위치와 길이 등을 고려 자투리
(쌓기부 개소당 대표단면)
- 토사 측구 설치 계획도 철 철근 최소화 (구조물, 암거표준도, 옹벽표준도의 이음부 확인 후 결정)
③ 정․부철근의 유효간격 및 철근덮개 유지용 간격재(spacer) 및
- 확인심도 확인계획도(종단·횡단 방향)
∙ 지층조사 근 고임재의 위치, 설치방법 및 가공을 위한 상세도면 복잡
→ 심도별, 이정별 연결도
④ 특수 구조물의 수직철근 조립방법 및 작업 중 전도방지 계획도
∙ PE, - 쌓기 폭원을 고려한 위치별 Mat의 공장제작 계획도
공 ⑤ 철근 구부리기 상세, 철근재료표 (철근개수, 형상과 규격, 길이,
PET MAT - 현장 및 공장 봉합방법
중량포함), 철근의 위치
지 반 ∙ 연약 지반 상 [수정] 한글로 순화
⑥ 기계적 이음을 할 때의 커플러 규격
개량공 배 수 구 조 물 - 치환 폭, 깊이
⑦ 용접이음시 용접방법(용접자세) 및 목 두께
기초치환
⑧ 시공이음을 고려한 철근겹이음 위치
∙ 연직배수공 - 배수계획도
- 설치위치 변경 및 깊이(길이)
∙ 계측기기 2. 토공
- 계측기기 보호시설
∙ 공통사항 - 타 시설물과의 연결부 접속처리도 공종 세 부 사 항 난이도
∙ L형 측구 - 형식 변경부 접속처리와 무늬거푸집 설치도
가. 땅깎기 (절토)
∙ U형 측구 ① 소단 폭원, 절취고 및 경사 (절토부 군데마다 대표단면) 단순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 배수경사
(용수로포함) ② 소단, 산마루, 측구, 도수로, 개천내기 위치 검토 후 결정 필요
∙ V형 측구 - 배수경사 나. 흙쌓기 (성토)
- 확장공사 시 가시설 설치도 ① 흙쌓기 최종 마무리면별 길어깨
- 지형여건을 고려한 연장, 규격, skew, 피토고, 경사 ② 본선 및 중분대 표준횡단계획도 (성토부 군데마다 대표단면) 단순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 설계 E.L이 암거 중심 기준이므로 암거길이방향 ③ 토사 측구 설치 계획도
으로 최대 피토고 위치에서의 단면검토와 시공 시 ④ 암쌓기를 할 때의 쌓기비탈면 시공계획도
암거상면이 포장층 내에 위치할 경우 보강슬래브 [수정] 한글로 순화
배수공 다. 다 짐
또는 접속슬래브 설치도 [수정] 자구수정(한글순화) : 암성토 ⇒ 암쌓기, 성토법면 ⇒ 쌓기비탈면,
∙ 암거 ① 노체 노상의 토사 다짐 흙쌓기 두께 및 종류 단순
- 통로암거 무늬거푸집 설치도(피복두께 확보방안
포함) 토 ② 토사 다짐순서도
- 암거와 인접한 암거, 배수관, 측구용 배수로 간 공 라. 비탈면 보강 및 비탈덮기
날개벽 연결부 처리도 ① 비탈면 보강 및 비탈덮기 계획도, 시공순서도, 호안전개도
- 분할 시공 시 시공 이음 부 처리도 ② 보강공법 및 비탈덮기 공법에 따른 사용재료의 제원 및 상세 단순
- 신축이음 및 수축이음의 위치가 포함된 설치도 ③ 매트리스형 돌망태 설치상세도 등
- 맹암거 설치계획도 ④ 비탈면보강용 록앵커, 록볼트, 식생 및 그물망설치 상세도
∙ 기타 - 깎기․쌓기부 법면 녹화계획도 마. 토공 구조물 접속부
단순
- I.C 및 JCT 구간 내 녹지대 배수계획도 ① 어프로치 블록 ② 강화노상
바. 한쪽깎기, 한쪽쌓기 구간
단순 [수정] 오타수정 : 한쪽깍기 ⇒ 한쪽깎기
① 배수처리 ② 층따기 및 다짐순서도
사. 흙깎기, 흙쌓기 경계부
단순
① 층따기 및 다짐순서도

1 -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공 종 항 목 세 부 내 용 비 고 3. 불량토 치환공
- 겹이음 위치도와 길이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 참고사항 :
1. 배근상세도 검토 후 길이별 반입철근 계획수립 불 가. 지층조사
(8, 10, 12m) 량 ① 지층별심도, 확인계획도 (종단, 횡단방향) 보 통
2. 구조상 안전위치 선정, 겹이음 위치와 길이 토
- 심도별, 이정별 연결도
∙ 철근 등을 고려 자투리 철근 최소화 (구조물도, 암거 치
구조물공 표준도, 옹벽 표준도의 이음부 확인 후 결정) 환 나. 불량토 치환 계획도
복 잡
공통사항 - 철근피복 확보를 위한 받침(chair) 및 간격 유지재 공 ① 치환 공법개요, 사용재료, 치환폭, 깊이
(spacer)배치도
- 특수 구조물의 수직철근 조립방법 및 작업 중
전도 방지 계획도 4. 지반개량공
- 모따기 위치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 거푸집 - 무늬거푸집 설치도 및 철근 피복표시도
- 시공 이음부 처리도 가. 지층조사
보 통
∙ 기초 - 가시설이 필요한 터파기에서의 가시설도 ① 지층별심도 확인계획도(종단, 횡단방향): 심도별, 이정별 연결도
- 시공 이음부 처리도 나. PP, PET 매트
- 교좌면 : 받침(bearing) 두께별 교좌면 시공계획도 ① 쌓기 폭원을 고려한 위치별 매트의 공장제작 계획도 [수정] 자구수정(한글순화) : 성토 ⇒ 쌓기
(E.L 표기) 복 잡
∙ 교대 · 교각 ② 현장 및 공장 봉합방법
- 받침 유간설치 계산서(대기온도, 건조수축, 크리 [수정] 한글로 순화
연 ③ 단계쌓기를 할 때의 PP, PET 매트 단부 처리방안
이프 등 고려)
약 다. 연약지반상 배수구조물 기초 치환
- 확장 공사 시 가시설 설치도 복 잡
- 최소 연단거리 고려 앵커 설치도 (코핑 철근에 지 ① 치환폭, 깊이, 길이
고정 또는 후시공시 Block Out 규격, 재료, 깊이 반 라. 연직배수공
복 잡
∙ 교량받침 등을 명기) ① 배수계획도
- Bearing plate Upper bearing 연결도(용접, 볼트 개 ② 시공순서도 보 통
이음, 쐐기형 처리 등) 량 마. 계측 기기
- 신축이음장치 설치도(슬라브 철근 조립 전 제출)
공 ① 설치위치 평면도 ② 설치방법
⋅선정제품의 폭, 두께와 상부형식에 따른 신축 복 잡
③ 설치위치 변경 및 깊이(길이) ④ 계측 기기 보호시설
교 량 이음장치 설치 부 교량 슬라브 단부조정 등을
명기 ⑤ 계측빈도
∙ 신축이음
⋅신축이음장치 설치규격에 상응한 Block Out 바. 지반보강 계획도
장 치
폭, 두께 ① 사용재료, 주입범위, 깊이, 교반범위 등 복 잡
⋅앙카 철근 용접 시 대기온도에 따른 신축이음 ② 지반고 표기, 배수처리계획도
장치 setting폭 계산서
- 슬라브 양측 난간 누수방지를 위한 물막이 처리도
- 강교 제작현도
- 가설계획도(가벤트 설치도, 부재 체결순서도, 투입
장지 배치도, bolting체결 순서도)
∙ 강교
- Deck plate 설치도(재질, 규격, 형상, 부착방법)
- 강교부재 운반계획서(중량, 폭, 길이, 높이검토)
- 공장 및 현장 도장 계획서
- 전도방지 시설도
∙ PC빔교
- Skew 종단, 편경사 구간 설치계획도

1 -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공 종 항 목 세 부내 용 비고 5. 구조물공 공통사항

- 배수구 설치계획도(특히 girder교의 경우 보 및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로보 위치에 배수구멍 설치가 곤란하므로 적 가. 일반 구조물
정한 간격 및 위치조정이 필요하며, 교량하부 ① 단면변화부
조건에 따른 배수관 길이 및 집수구 설치위치) ② 파일 매몰부 보강상세도
- 배수구멍 주변 철근보강 ③ 구조물 개구부 보강 (후속공정을 고려한 개구부 위치)
교 량 ∙ 슬래브 - 물끊기 위치 및 재료, 규격 ④ 콘크리트 타설이음 (시공이음)
-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Deck finisher 설치도 ⑤ 콘크리트 타설계획서 (콘크리트 타설순서도 포함)
- 가로등 설치구간 및 광통신 Line 설치구간 세부 구 복 잡
⑥ 강연선 인장장비 배치, 순서, 방법
계획도 조 ⑦ 콘크리트투입구 위치, 수량, 규격
- 난간 방호벽 광통신 파이프 배치 및 철근배근도 물 ⑧ 지수판 상세도
- 접속슬래브 상세도 공 ⑨ 신축이음 및 기타 상세도
- 구간별 전개도(시공이음, 개구부 위치) ⑩ 차수벽 상세도
공 ⑪ 어도블럭 상세도
- 날개벽과의 연결부 처리도(교량 및 암거, 배수관)

- 배수구멍 위치도
∙ 옹벽 사 ⑫ 시공순서도 보 통
- 옹벽 위 표지판 등 설치구간 단면 보강도
항 ⑬ 방수 상세도
옹벽 및 - 집수정과의 연결도
- 다이크와 연결부 처리도 나. 거푸집
기타
① 모따기 위치도
- 양생, 보온 세부사항 보 통
② 문양거푸집 등을 사용할 때의 설치계획도 및 철근 덮개 표시도 [수정] 한글로 순화
- I.L.M, P.S.M, F.C.M, 사장교 등 특수교량의 ③ 시공 이음부 처리도
∙ 기타
경우 시방 및 특수성에 기인한 부위별 시공 상세도
- 각 교량별 유지관리 점검시설의 필요한 부분상세도 ④ 동바리 설치도 복 잡

- 굴착순서 및 단면도
∙ 굴착 - 발파계획도(천공깊이, 방향 및 위치)
- 터널 입․출구부 절취 계획도

- 계측기기 설치위치도
∙ 계측
- 계측기기 보호시설도

- 시공 중 배수처리 계획도
∙ 배수구 및
- 공동구와 집수정과의 배수관 연결
터 널 공동구
- 포장 E.L과 비교 공동구 상단 E.L

- 거푸집 도면(콘크리트 투입구 및 검사구, 단부


마감)
∙ 라이닝 - 수축 및 팽창 줄눈 설치도
- 라이닝과 갱구부 철근연결 및 시공 이음부 처리도
- 철제 동바리

∙ 타일 - 배치도, 수축 및 팽창줄눈 설치도

1 -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공 종 항 목 세 부내 용 비고 6. 배수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 시멘트 콘크
- Sensor line 설치계획도(위치, 간격) 가. 공통 사항
리트 및 아스
포장공 - 교량 접속슬래브의 종단경사, 편경사를 고려한 ① 타 시설물과의 연결부 및 연장 끝부분 처리도 단 순
팔트 콘크리트 ② 신축, 수축 및 시공이음 위치도
세부계획도
포장
나. L형 측구
단 순
- 신축이음장치 설치부 처리도(지주간격, 방음판 ① 형식변경부 접속처리와 문양거푸집 사용할 때의 설치계획도
[수정] 한글로 순화
길이)
다. U형 측구 (용수로, 개천내기 포함)
- 방음벽용 옹벽과 가드레일 또는 L형 측구, V형 단 순
① 배수종단도
측구 등과의 접속부 처리도
∙ 방음벽
- 종단경사가 급한 곳의 방음벽 옹벽 처리도 라. V형 측구
부 대 공 - 방음벽 출입시설 설치 위치도 및 상세도 ① 배수종단도 ② 선형 단 순
- 방음벽용 옹벽과 교량부 방호난간, 가드레일 또는 ③ L형측구 또는 U형측구와 접속연결부 처리도
L형 측구, V형 측구 등과의 접속부 처리도 마. 산마루 측구
단 순
① 선형 ② L형측구 또는 U형측구와 접속연결부 처리도
- 토공부와 교량부의 접속부 처리도(교량 신축 이음부)
∙ 중앙분리대
- 기초 및 구체 기계시공 시 Sensor line 설치계획도 바. 암거, 취․배수관(문)
① 확장공사를 할 때의 가시설 설치도 [수정] 한글로 순화
교통안전 - 표지판 설치계획도 ② 지형여건을 고려한 연장, 규격, 사각(skew), 피토고, 경사
∙ 표지판
시 설 - 지주 또는 트러스와 결속부 처리도 ③ 설계 표고가 암거 중심 기준이므로 암거길이 방향으로 최대 피토고
취 위치에서의 단면검토와 시공할 때 암거 상면이 포장층 내에 위 [수정] 한글로 순화
- 연장, 폭원, 통과높이, H-pile의 근입 깊이, 강재 치할 경우 보강슬래브 또는 접속슬래브 설치도

규격, 난간설치 방법, 포장단면, 연결가도 테이퍼 ④ 통로암거 특수거푸집 설치계획도 (덮개 확보방안 포함) 복 잡
∙ 가교 배
및 연장, 기타사항 ⑤ 인접한 암거, 취․배수관, 측구용 배수로 간 날개벽 연결부처리도
- 이음부 용접 및 볼트 체결도 수 ⑥ 분할 시공을 할 때의 시공이음부 처리도 [수정] 한글로 순화
⑦ 날개벽과 도수로 연결상세도
- H-pile : 위치별 규격 및 근입 길이, 간격, 횡 ⑧ 문양거푸집 시공상세도

토압 지지방법(H-pile 또는 어스앵커 사용 등) ⑨ 기존암거를 확장할 때의 신구조인트 처리방법도
- 토류판 : 재질, 폭, 두께, 길이 [수정] 한글로 순화
∙ 가시설 ⑩ 단부, 조작대 및 도교기둥 상세도
- 어스앵커 : 근입 길이, 종, 횡방향 간격, 정착
가시설물 사. 옹벽
Head 크기 및 방법
① 취․배수구멍 위치도 및 잡석채움 시공도
- 안전시설, 안전도색
② 문양거푸집 설치도
복 잡
- 연장, 폭원 ③ 조립 철근 설치상세도
∙ 가도 - 접속처리도(본선, 가교 접속부, 테이퍼 등) ④ 시공이음 위치 및 상세도 (water stop etc.)
⑤ 옹벽배면 배수시설등 상세도
- 배수시설도
아. 배관구, 용수로
- 구조물(암거, 교량, 배수관) 시공 전 가배수 시설
① 배관구, 용수로 설치상세도 보 통
∙ 기타 - 가도, 가교 및 가시설 설치에 따른 길어깨 안전 ② 출입구․용수로 뚜껑 및 그레이팅(grating) 설치상세도
시설
자. 기 타
① 맹암거 설치계획도
② 땅깎기 ․ 흙쌓기 경사면 녹화계획도 단 순
③ IC 및 JCT 구간 내 녹지대 배수계획도
④ 깎기・쌓기 비탈면보호를 위한 소단 및 비탈면배수(도수) 계획도

⑤ 문비, 문틀, 권양기 상세도 복 잡

1 - 52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7. 포장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시멘트콘크리트포장 및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수정] 용어 수정 : ⇒“포장” 추가


포 ① 센서라인 설치계획도 (위치, 간격)
장 ② 교량 접속슬래브의 종단경사, 편경사를 고려한 세부계획도 보 통
공 ③ 도로 및 갈매기차로 포장상세도
④ 경계석, 분리석 등 상세도

8. 교량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기 초
① 가시설이 필요한 터파기 에서의 가시설도
② 말뚝기초를 적용할 때 공법에 따른 설치계획도, 말뚝 부재 운반 계 복 잡 [수정] 한글로 순화
획도, 시험항타계획도, 두부 정리 상세도, 이음상세도 및 재하
시험 계획도 등
③ 세굴방지공 상세도 보 통
나. 교대, 교각
① 시공이음부 처리도
② 교량 받침면 : 받침(bearing)별 받침면 시공계획도 (표고표기)
③ 대기온도, 건조수축, 크리이프 등을 고려한 받침(bearing)의 유간
④ 확장공사를 할 때의 가시설 설치도 복 잡
[수정] 한글로 순화
⑤ 슬래브 배수처리 위한 교대주변 배수 처리도
⑥ 철근상세도 (교각 띠철근 설치 상세도 및 커플러 설치 위치도 포
함)
교 ⑦ 거푸집 상세도 (구조계산서 포함)
⑧ 교량받침 교체위한 잭업(jack-up)설치도
량 ⑨ 교대배면 뒤채움 처리도 및 교대 보호 블록
보 통
⑩ 교량받침면내 배수처리를 위한 물빼기홈 설치도

⑪ 교각 접지 상세도
다. 교량받침
① 교량받침 설치계획도
② 앵커설치 시공상세도
단 순
- 교량받침, 앵커크기 및 위치를 확인하여 코핑의 철근배근도에 반영
③ 솔플레이트와 교량받침 상부플레이트 연결도 (용접, 볼트이음,
쐐기형 처리 등)
라. 신축이음장치
① 신축이음장치 설치도 (슬래브 철근 조립전 제출)
- 선정제품의 폭, 두께와 상부형식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설치부의
교량슬래브 단부조정 등을 명기 단 순
- 신축이음장치 설치규격에 상응한 블럭아웃(block out)폭, 두께
- 앵커철근을 용접할 때 대기온도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설치폭 [수정] 한글로 순화
② 슬래브 양측난간 누수방지를 위한 물막이 처리도

1 - 53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마. 강 교
① 강교 제작계획도 (각 부재의 절단 가공, 용접 검사 현도)
② 가설계획도 (가벤트 설치도, 부재 체결순서도, 투입장비 배치도,
볼트체결 순서도)
③ 바닥판 거푸집 상세도 (재질, 규격, 형상, 부착방법) 복 잡
④ 강교부재 운반계획도 (중량, 폭, 길이, 높이검토)
⑤ 공장 및 현장 도장 계획도
⑥ 강교부재 인양계획도 (인양위치, 인양러그(lug)상세, 인양장비,
가이드 프레임 등)
바. PSC Beam교
① PSC Beam 상세도 및 강재거푸집 상세도
② 사각(Skew) 종단, 편경사구간 설치계획도
③ 전도방지 시설도 보 통
④ 제작장 평면계획(Beam 배치) 및 바닥 조성(다짐, 배수) 계획도
⑤ 강연선지지철근 상세도
⑥ 가설계획도 (장비용량 및 투입배치도)
사. PSC 콘크리트 박스거더교
① 공통사항
- 강연선배치 상세도, 각종 정착부 상세도 및 인장 후 마감처리 상세도
- 유지보수용 강연선 배치 세부상세도
복 잡
- 철근배근상세도
- 캠버관리도

- 상판가설장비(FSM, MSS, ILM, FCM) 설치계획도, 가설장비
재료, 규격, 형상, 가설장비 운영(작동)

- 시공순서도 보 통
② FSM
공 - 동바리 시공도면, 강재 거푸집 상세도
③ ILM
- 시공이음부 배근상세도, 제작장 일반도 및 구조도, 추진코
(nose부), Lateral Guide 상세도, 브라켓 및 임시슬라이딩패드 복 잡
(PTFE판), 임시교각(bent)상세도
④ FCM
- Key-seg 상세도, 가설강봉 설치계획도, Form Traveller
상세도, 주두부가시설 상세도, 인장순서도
- Key-seg 시공순서도 보 통
⑤ MSS
복 잡
- 시공이음부 상세도, 이동식거푸집 상세도, 교각 브라켓 상세도
아. 바닥판
① 배수구 설치계획도
(특히 거더교의 경우 보 및 가로보 위치에 배수구 설치가 곤란
하므로 적정한 간격 및 위치조정이 필요하며 교량하부 조건에
따른 배수관 길이 및 집수구 설치위치)
② 배수구 주변 철근보강 보 통
③ 물끊기 위치 및 재료, 규격
④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데크피니셔 설치도
⑤ 가로등 설치구간 및 광통신 라인 설치구간 세부계획도
⑥ 난간 방호벽 광통신 파이프 배치 및 철근 배근도
⑦ 표지판 및 방음벽 설치구간의 세부시공상세도

1 - 54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9. 터널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굴 착
① 단면도
② 발파계획도 (천공깊이, 방향 및 위치)
③ 터널 입·출구부 절취 계획도 (갱구부 보강상세도 포함)
④ 시ㆍ종점부의 중심좌표 및 표고 확인 복 잡
⑤ 천공패턴
⑥ 천공배열도 및 기폭배열도
⑦ 발파용 매트나 덮개 표준도
➇ 상세도, 보강단면도

⑨ 굴착순서도 및 시공순서도 보 통

나. 계 측
① 계측 기기 설치위치도 ② 계측 기기 보호시설도 복 잡
③ 계측기 상세도 및 계측빈도

터 다. 배수구 및 공동구
① 시공 중 배수처리 계획도 ② 공동구와 집수정과의 배수관 연결 보 통
널 ③ 포장 표고와 비교 공동구 상단 표고

공 라. 콘크리트라이닝 [수정] 자구수정 : 라이닝⇒ 콘크리트라이닝


① 거푸집 도면(콘크리트 투입구 및 검사구, 단부마감), 강재거푸집 터널공에서 라이닝은 1차라이닝(숏크리트) 및 2차라이닝(콘크리트라이
상세도 닝, 세그먼트라이닝 등)을 의미하므로 제7장 터널공사에서 사용하는
복 잡
② 수축 및 팽창줄눈 설치도 용어인 콘크리트라이닝으로 통일 필요하다는 의견반영
③ 콘크리트라이닝과 개구부 철근연결 및 시공이음부 처리도
④ 철재 동바리

마. 타 일
보 통
① 배치도, 수축 및 팽창줄눈 설치도

바. 방수
보 통
① 갱구부 방수시트 부착 계획도

사. 지보공
① 과다여굴 부위 보강계획도 ② 강지보재 부위 숏크리트
보 통
③ 와이어매쉬 설치도 ④ 와이어매쉬 겹침 상세도
⑤ 용수처리 계획도

1 - 55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10. 부대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방 음 벽
① 신축이음장치 설치부 처리도 (지주간격, 방음판, 길이)
② 방음벽용 옹벽과 교량부 방호난간, 가드레일 또는 L형 측구,
보 통
V형 측구 등과의 접속부 처리도
③ 종단경사가 급한 곳의 방음벽 옹벽 처리도
④ 방음벽 출입시설 설치 위치도 및 상세도

나. 중앙분리대
① 토공부와 교량부의 접속부 처리도 (교량 신축이음부) 보 통
② 기초 및 구체 기계 시공을 할 때의 센서라인 설치계획도 [수정] 한글로 순화

다. 울타리

① 기둥과의 접속부 처리도
대 단 순
② Y형 앵글 설치계획도

③ 울타리 설치계획도

라. 콘크리트 블록포장
① 기 시설물 접속부 처리도 단 순
② 안전층(sandcushion) 상세도

마. 기 타
① 영업소 시설 상세도 ② 노면 표지 상세도
③ 안전시설(시선유도표지) 상세도
보 통
④ 점검로, 난간, 전기설비 상세도
⑤ 전철주 상세도 ⑥ 낙석방지책
⑦ 철도교 공동관로 상세도(신호, 통신, 전력)

1 - 56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11. 가시설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흙막이 가시설공
① H-Pile, Sheet-Pile : 위치별 규격 및 근입길이, 간격, 이음부
연결상세(필요할 때), 횡토압 지지방법 (H-Pile 또는 어스앵커 [수정] 한글로 순화
사용 등)
② 흙막이 공법 표기
③ 토류판 : 재질, 폭, 두께, 길이
④ 어스앵커 : 근입길이, 종, 횡방향 간격, 정착 헤드 크기 및 방법,
그라우팅 제원 및 상세, 인장상세도
⑤ 형태별 단면도
⑥ 가시설 상세도, 수직 피스 제작, 코너 피스 제작도

- 주형보 받침 및 연결 - 제작 복공 설치도
- 보강재(stiffener) 설치 - 장비통로 및 작업구 버팀보
- 띠장 우각부 연결 보강
- 띠장 연결 - 작업구 안전 울타리 복 잡
- 파일 연결 - 주형보 X-Bracing

-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 보조파일

설 - 중간파일 보강용 브레이싱 - 사보강재
공 및 ㄷ형강 설치 - 화타쐐기
- 주형보 브레이싱 - 중간말뚝 방수처리
- 피스 브라켓 제작 - H-파일 개구부 마감
- 토류용 앵글설치 - 보걸이
- 버팀보 제작 - 진입부 상세
- 띠장 설치 - U볼트
- 잭(Jack) 설치 - 작업계단 및 점검통로
- 수직 피스제작 - 버팀보 연결

⑦ Tie Cable : 종, 횡방향 간격, 강연선 및 정착구 상세도


➇ 인접구조물․지장물의 위치, 규격 및 종류

➈ 설치순서도 및 해체순서도 작성 (필요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⑩ 시공순서도
⑪ 가시설 계측 보 통
- 계측기기 설치위치도 및 보호시설도
- 계측기 상세도 및 계측빈도

1 - 57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나. 가 교
① 연장, 폭원, 통과높이, H-파일의 근입 깊이, 강재 규격, 난간설치
복 잡
방법 및 상세도, 포장단면, 연결가도 테이퍼 및 연장, 기타사항
② 이음부 용접 및 볼트 체결도

다. 동바리
① 종단면도, 횡단면도
- 수평, 수직, 사재설치상세도
② 수직재 최상단 및 최하단 수평재 배치 상세도 복 잡
③ 동바리의 상부 U-헤드 상세도
가 ④ 하부기초 상세도
시 ⑤ 강관비계 연결 이음쇄 상세도

라. 가시설

① 안전시설, 안전 도색 단 순
② 가설건물 배치현황

마. 가도 및 가물막이
① 연장, 폭원
보 통
② 접속처리도 (본선, 가교 접속부, 테이퍼 등)
③ 배수시설도

바. 기 타
① 구조물(암거, 교량, 배수관) 시공 전 가배수 시설도 단 순
② 가도, 가교 및 가시설 설치에 따른 길어깨 안전시설 설치도

12. 상하수도공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공통사항
보 통 [수정] 띄어쓰기 수정
① 타 시설물과의 연결부 접속처리도, 계획평면도

나. 관접합부설

① 밸브실 및 유량계실 설치위치도 및 배관상세도
수 보 통
② 수평, 수직곡관 위치도

③ 지형여건을 고려한 관로 연잔, 규격, 토피, 경사

다. 기타
보 통
① 곡관보호공 상세도

1 - 58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13. 옹벽 및 기타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옹 벽
① 구간별 전개도 (시공이음, 개구부 위치)
② 날개벽과의 연결부 처리도 (교량 및 암거, 배수관)
옹 ③ 배수구 위치도
벽 ④ 옹벽 위 표지판 등 설치구간 단면 보강도 보 통
⑤ 집수정과의 연결도
및 ⑥ 다이크와 연결부 처리도
⑦ 조립 철근 상세도

⑧ 구조물과 보강토옹벽의 접속부에 대한 시공상세도

나. 기 타
① 양생, 보온 세부사항 단 순
② 각 옹벽별 유지관리 점검시설의 필요한 부분 상세도

14.교통안전시설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가. 표지판
교 ① 표지판 설치계획도 (종․횡단상 위치, 매설 깊이)
단 순
통 ② 지주 또는 트러스와 결속부 처리도
안 ③ 앵커볼트 시공계획도

시 나. 교통처리계획
설 ① 단계별 교통처리계획도 보 통
② 차선변경에 따른 단계별 복공계획도

15. 기 타
공종 세부사항 난이도

① 기타 규격, 치수, 연장 등이 불명확하여 시공에 어려움이 예상


되는 부위의 각종 상세도면

② 특수공종 및 기타, 세부상세도면이 필요할 때 감리원와 협의하
보 통 [수정] 한글로 순화
여 시행

③ 공사용 진입로, 세륜세차 시설, 유지관리도로, 방재구난구역
진입로 및 기타 상세도

1 - 59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표 2] [별표 2]

공급원 승인요청 자재명 공급원 승인요청 자재명

구 분 자 재 명 구 분 자 재 명

공 통 시멘트, 철근, 레미콘 등 공 통 시멘트, 철근, 레미콘 등

혼화제 (AE제, 감수제, AE감수제, 유동화제 등), 혼화제 (AE제, 감수제, AE감수제, 급결제, 무수축제, 유동화제 등), [수정]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9)를 근거로 내용 수정
혼화재료 혼화재료 혼화제와 혼화재 구분
혼화재 (플라이 애시, 실리카흄, 급결재, 무수축재, 팽창재 등) 혼화재 (플라이 애시, 실리카흄, 고로슬래그, 팽창재 등)
오타수정 방수재→방수재료, 양생재→양생제, 법면→비탈면

토 공 용 부직포 (토공용, 연약지반용), 보강토 전면판 및 보강재료 토 공 용 부직포 (토공용, 연약지반용), 보강토 전면판 및 보강재료

부직포 (맹암거용), 유공관, 흄관, 반월관, 플륨관, 철선, 부직포 (맹암거용), 유공관, 흄관, 반월관, 플륨관, 철선,
배 수 용 배 수 용
그레이팅커버, 지수판 등 그레이팅커버, 지수판 등

RC말뚝, PSC말뚝, 강관말뚝, PS강선, PS강봉, PSC콘 (wedge), RC말뚝, PSC말뚝, 강관말뚝, PS강선, PS강봉, PSC콘 (wedge),
교 량 용 쉬스관, 정착구, 강재, 강교용 페인트, 고장력 볼트, 교 량 용 쉬스관, 정착구, 강재, 강교용 페인트, 고장력 볼트,
신구콘크리트 접착제, 방수재, 교좌장치, 신축이음장치 등 신구콘크리트 접착제, 방수재료, 교좌장치, 신축이음장치 등

와이어 메쉬, 록볼트, 스틸리브, 부직포 (터널용), 방수쉬트, 와이어 메쉬, 록볼트, 스틸리브, 부직포 (터널용), 방수쉬트,
터 널 용 터 널 용
타일 등 타일 등

비닐, 다웰바, 프라이머, 주입줄눈재, 아스팔트(AP,MC,RC 등) 석분, 비닐, 다웰바, 프라이머, 주입줄눈재, 아스팔트(AP, MC, RC 등)
포 장 용 포 장 용
아스콘, 양생재, 차선페인트, 그라스비드 등 석분, 아스콘, 양생제, 차선페인트, 그라스비드 등

표지판, 방음판, 방현망, 가드레일, 가드펜스, 데리네이타, 표지판, 방음판, 방현망, 가드레일, 가드펜스, 데리네이타,
낙석방책, 법면보호블록, 호안블록, 보도블록, 경계블록, 벽돌, 낙석방책, 비탈면보호블록, 호안블록, 보도블록, 경계블록, 벽돌,
부대시설용 부대시설용
Gabion옹벽, 전기자재류, 톨부스, 페인트류, 반사지류, Gabion옹벽, 전기자재류, 톨부스, 페인트류, 반사지류,
기타 건축용 자재 등 기타 건축용 자재 등

기 타 기타 도로 건설시 기능 및 품질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자재 기 타 기타 도로를 건설할 때 기능 및 품질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자재


[수정] 한글로 순화

1 - 60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표 3] [별표 3]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89조 제2항 [별표 9]

품질시험계획(제14조2의관련) 품 질 시 험 계 획

1. 개요 1. 개요
가. 공사명 가. 공사명
나. 시공자 나. 시공자
다. 현장대리인 다. 현장 대리인
2. 시험계획횟수 2. 시험계획
가. 공종 가. 공종
나. 시험종목 나. 시험 종목
다. 시험계획물량 다. 시험 계획물량
라. 시험빈도 라. 시험 빈도
마. 계획시험횟수 마. 시험 횟수
바. 기타 바. 그 밖의 사항
3. 시험시설 3. 시험시설
가. 장비명 가. 장비명
나. 규격 나. 규격
다. 단위 다. 단위
라. 수량 라. 수량
마. 시험실배치평면도 마. 시험실 배치 평면도
바. 기타 바. 그 밖의 사항
4. 품질관리자 배치계획 4.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건설기술자 배치계획
가. 성명 가. 성명
나. 등급 나. 등급
다. 건설공사업무수행기간 다. 품질관리 업무 수행기간
라. 기술자자격 및 학력·경력사항 라. 기술자 자격 및 학력·경력사항
마. 기타 마. 그 밖의 사항

1 - 61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표 4] <개정 2008.3.14> [별표 4]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50조제4항 관련 법 조항 변경 및 표기
수정

건설공사 품질관리를 위한 시설 및 건설공사 품질관리를 위한 시설 및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제15조의4제2항관련) 건설기술자 배치기준

1. 시험·검사장비 및 인력기준
대상공사 시험실 대상공사 시험실
공사규모 시험·검사장비 품질관리자 공사규모 시험·검사장비 건설기술자
구분 규모 구분 규모
영 제41제1항제1호 및 제 영 제89조제1항제1호 및 제
2호의 규정에 의하여 품질 영 제42조제2항의 1. 특급품질관리원 2호에 따라 품질관리계획을 영 제91조제1항에
특급품질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설 규정에 의한 품질 100 1인 이상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 따른 품질시험 및 가. 특급기술자
특급
관리대상 공사로서 총공사비가 1000 시험 및 검사를 제곱미터 2. 중급품질관리원 로서 총공사비가 1,000억 검사를 실시하는 100 ㎡ 1명 이상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품질관리
공사 억원 이상인 건설공사 또는 실시하는데 필요한 이상 이상의 품질관리자 원 이상인 건설공사 또는 데에 필요한 시험 이상 나. 중급기술자
대상공사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인 시험·검사장비 1인 이상 연면적 5만 ㎡ 이상인 다 ㆍ검사장비 2명 이상
다중이용건축물의 건설공사 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
1. 고급품질관리원 사
영 제41제1항제1호 및 제 영 제42조제2항의
이상의 품질관리자
고급품질 2호의 규정에 의하여 품질 규정에 의한 품질 50 영 제89조제1항제1호 및 제 영 제91조제1항에
1인 이상 가. 고급기술자
관리대상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설 시험 및 검사를 제곱미터 고급 2호에 따라 품질관리계획을 따른 품질시험 및
2. 중급품질관리원 50 ㎡ 1명 이상
공사 공사로서 특급품질관리대상 실시하는데 필요한 이상 품질관리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 검사를 실시하는
이상의 품질관리자 이상 나. 중급기술자
공사가 아닌 건설공사 시험·검사장비 대상공사 로서 특급품질관리 대상 데에 필요한 시험
1인 이상 2명 이상
공사가 아닌 건설공사 ㆍ검사장비
총공사비가 100억원 이상인 1. 중급품질관리원
영 제42조제2항의
건설공사 또는 연면적 이상의 품질관리자 총공사비가 100억 원 이상
중급품질 규정에 의한 품질 30
5,000제곱미터 이상인 다중 1인 이상 인 건설공사 또는 연면 영 제91조제1항에
관리대상 시험 및 검사를 제곱미터 가. 중급기술자
이용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2. 초급품질관리원 중급 적 5,000 ㎡ 이상인 다중 따른 품질시험 및
공사 실시하는데 필요한 이상 30 ㎡ 1명 이상
특급 및 고급품질관리대상 이상의 품질관리자 품질관리 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 검사를 실시하는
시험·검사장비 이상 나. 초급기술자
공사가 아닌 건설공사 1인 이상 대상공사 로서 특급 및 고급품질관 데에 필요한 시험
1명 이상
영 제41조제2항의 규정에 영 제42조제2항의 리 대상 공사가 아닌 건설 ㆍ검사장비
초급품질 의하여 품질시험계획을 수립 규정에 의한 품질 발주자와 1. 초급품질관리원 공사
관리대상 하여야 하는 건설공사로서 시험 및 검사를 계약한 이상의 품질관리자 영 제89조제2항에 따라 영 제91조제1항에
공사 중급품질관리대상공사가 실시하는데 필요한 면적 1인 이상 초급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 따른 품질시험 및
20 ㎡ 초급기술자
아닌 건설공사 시험·검사장비 품질관리 하는 건설공사로서 중급 검사를 실시하는
이상 1명 이상
비 고 : 발주청 또는 건설공사의 허가·인가·승인 등을 한 행정기관의 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대상공사 품질관리 대상 공사가 아닌 데에 필요한 시험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사종류·규모 및 현지실정과 법 제25조의 규정에 의한 국·공립 건설공사 ㆍ검사장비
시험기관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검사대행의 정도 등을 감안하여 시험실 비고
규모 또는 품질관리 인력을 조정할 수 있다. 1. 건설기술자는 법 제21제1항에 따른 신고를 마치고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
하며, 건설기술자란의 각각의 등급은 영 별표 1에 따라 산정된 등급을 말한다.
2. 발주청 또는 인·허가기관의 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사의 종류·규모
및 현지 실정과 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국립·공립 시험기관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시험·검사대행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시험실 규모 또는 품질관리 인력을 조정할 수 있
다.

1 - 62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2. 품질관리자의 자격인정범위 1. 건설기술자의 인정범위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별표 1(제4조 관련) 내용 수정 반영
가. 「국가기술자격법」, 「건축사법」 등에 따른 건설 관련 국가자격을
등급 학력·경력자 기술자격자
취득한 사람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사람
나.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학력 등을 갖춘 사람
∙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3년 ∙ 기술사
1) 「초ㆍ중등교육법」 또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과의 과정으로서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10년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학과의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한 사람
∙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9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2) 그 밖의 관계 법령에 따라 국내 또는 외국에서 1)과 같은 수준 이상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12년 13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3)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교육기관에서 건설기술관련 교육과정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건설재료시험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1년 이상 이수한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5년 자로서 8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1. 특급품질 다. 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국립ㆍ공립 시험기관 또는 품질검사를 대행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수행한 자
관리원 하는 건설기술용역업자에 소속되어 품질시험 또는 검사 업무를 수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18년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의 자격을
행한 사람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취득한 자로서 11년 이상 건설공사
2. 건설기술자의 등급
∙ 영 제4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업무를 수행한 자
가. 국토교통부장관은 건설공사의 적절한 시행과 품질을 높이고 안전을
국·공립시험기관 또는 법 제25조 ∙ 건설재료시험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확보하기 위하여 건설기술자의 경력, 학력 또는 자격을 다음의 구분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품질검사 자로서 13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에 따른 점수범위에서 종합평가한 결과(이하 "건설기술자 역량지수"
전문기관에서 10년 이상 품질 수행한 자
라 한다)에 따라 등급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별표 3에 따른 기
관리업무를 담당한 자
본교육 및 전문교육을 이수하였을 때에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 산정
시 3점 범위 내에서 가산점을 줄 수 있다.
∙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1년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7년
1) 경력: 40점 이내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2) 학력: 20점 이내
∙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6년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3) 자격: 40점 이내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10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나. 건설기술자의 등급은 건설기술자 역량지수에 따라 특급ㆍ고급ㆍ중급
∙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9년 ∙ 건설재료시험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ㆍ초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자로서 5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3. 건설기술자의 직무분야 및 전문분야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2년 수행한 자
2. 고급품질 직무분야 전문분야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의 자격을 1) 공조냉동 및 설비 2) 건설기계
관리원 가. 기계 3) 용 접 4) 승강기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15년 취득한 자로서 8년 이상 건설공사
5) 일반기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업무를 수행한 자 1) 철도신호 2) 건축전기설비
나. 전기ᆞ전자
∙ 영 제4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 건설재료시험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3) 산업계측제어
1) 토질ᆞ지질 2) 토목구조
국·공립시험기관 또는 법 제25조 자로서 10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3) 항만 및 해안 4) 도로 및 공항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품질검사 수행한 자 5) 철도ᆞ삭도 6) 수자원개발
다. 토목
7) 상하수도 8) 농어업토목
전문기관에서 7년 이상 품질관리 9) 토목시공 10) 토목품질관리
11)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12) 지적
업무를 담당한 자
1) 건축구조 2) 건축기계설비
라. 건축 3) 건축시공 4) 실내건축
5) 건축품질관리 6) 건축계획ᆞ설계
마. 광업 1) 화약류관리 2) 광산보안
바. 도시ᆞ교통 1) 도시계획 2) 교통
사. 조경 1) 조경계획 2) 조경시공관리
1) 건설안전 2) 소방
아. 안전관리
3) 가스 4) 비파괴검사
1) 대기관리 2) 수질관리
자. 환경 3) 소음진동 4) 폐기물처리
5) 자연ᆞ토양환경 6) 해양
1) 건설금융ᆞ재무 2) 건설기획
차. 건설지원
3) 건설마케팅 4) 건설정보처리

4. 외국인인 건설기술자의 인정범위 및 등급


외국인인 건설기술자는 해당 외국인의 국가와 우리나라 간 상호인정 협

1 - 63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등급 학력·경력자 기술자격자 정 등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정하되, 그 인정방법 및 등급에 관하여는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4년 제1호 및 제2호를 준용한다.
∙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3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5. 그 밖에 직무ᆞ전문분야별 국가자격ᆞ학력 및 경력의 인정 등 건설기술
∙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6년
7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자 역량지수 산정에 관한 방법과 절차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9년 다.
∙ 건설재료시험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3. 중급품질 자로서 2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12년
관리원 수행한 자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의 자격을
∙ 영 제4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취득한 자로서 5년 이상 건설공사
국·공립시험기관 또는 법 제25조
업무를 수행한 자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품질검사
∙ 건설재료시험기능사의 자격을 취득한
전문기관에서 5년 이상 품질관리
자로서 7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업무를 담당한 자
수행한 자
∙ 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1년
∙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1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년
1년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 고등학교를 졸업한 자로서 3년
4. 초급품질 ∙ 건설재료시험기사·건설재료시험
이상 건설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관리원 산업기사·건설재료시험기능사의
∙ 영 제4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자격을 가진 자
국·공립시험기관 또는 법 제25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품질검사
전문기관에서 2년 이상 품질관리
업무를 담당한 자

비고 : 학력·경력자 및 기술자격자에 대한 해당 전공학과의 범위, 경력인정방법 등은


영 제4조 및 별표 1의 규정에 의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별표 5] [추가] 1-6 환경관리 1.2.3의 (3) 관련한 토양오염우려기준 추가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조의 5 관련 [별표3]

토양오염우려기준(제1조의5 관련)
(단위: ㎎/㎏)
물질 1지역 2지역 3지역
카드뮴 4 10 60
구리 150 500 2,000
비소 25 50 200
수은 4 10 20
납 200 400 700
6가크롬 5 15 40
아연 300 600 2,000
니켈 100 200 500
불소 400 400 800
유기인화합물 10 10 30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1 4 12
시안 2 2 120

1 - 64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페놀 4 4 20
벤젠 1 1 3
톨루엔 20 20 60
에틸벤젠 50 50 340
크실렌 15 15 45
석유계총탄화수소(TPH) 500 800 2,000
트리클로로에틸렌(TCE) 8 8 40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4 4 25
벤조(a)피렌 0.7 2 7
※ 비고
1. 1지역: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전ㆍ답ㆍ
과수원ㆍ목장용지ㆍ광천지ㆍ대(「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
행령」 제58조제8호가목 중 주거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지만 해당한다)ㆍ
학교용지ㆍ구거(溝渠)ㆍ양어장ㆍ공원ㆍ사적지ㆍ묘지인 지역과 「어린이놀
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실외에 설치된
경우에만 적용한다) 부지
2. 2지역: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임야ㆍ염
전ㆍ대(1지역에 해당하는 부지 외의 모든 대를 말한다)ㆍ창고용지ㆍ하천
ㆍ유지ㆍ수도용지ㆍ체육용지ㆍ유원지ㆍ종교용지 및 잡종지(「측량ㆍ수로
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제28호가목 또는 다목에 해당하
는 부지만 해당한다)인 지역
3. 3지역: 「측량ㆍ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공장용지
ㆍ주차장ㆍ주유소용지ㆍ도로ㆍ철도용지ㆍ제방ㆍ잡종지(2지역에 해당하는
부지 외의 모든 잡종지를 말한다)인 지역과 「국방ㆍ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서 규정한 국방ㆍ군사시설 부지
4.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8조에 따라
취득한 토지를 반환하거나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
법」 제12조에 따라 반환공여구역의 토양 오염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해
당 토지의 반환 후 용도에 따른 지역 기준을 적용한다.
5. 벤조(a)피렌 항목은 유독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과 폐침목을 사용한 지역
(예: 철도용지, 공원, 공장용지 및 하천 등)에만 적용한다.

1 - 65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호 서식] [별지 제1호 서식]

착 공 계 착 공 계
공사감독자 경유 공사감독자 경유
일 자 일 자
확 인 확 인
공 사 명 : 공 사 명:
계 약 금액 : 계 약 금액 :
계약년월일 : 계약년월일 :
착공년월일 : 착공년월일 :
준공예정일 : 준공예정일 :

위와 같이 착공하였기 이에 제출합니다. 위와 같이 착공하였기 이에 제출합니다.

첨부 1.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 첨부 1. 현장기술자 지정신고서


2. 경력증명서 및 자격증사본 2. 경력증명서 및 자격증사본
3. 내역서 3. 내역서
4. 착공전 사진 4. 착공전 사진
5. 공사계획서 5. 공사계획서

20 년 월 일 20 년 월 일

계약상대자 (인) 계약상대자 (인)

발주 청 장 귀하 발 주 청장 귀하

1 - 66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호 서식] [별지 제2호 서식]

공 사 일 지 공 사 일 지
1. 공정현황 1. 공정현황
보 할(%) 실 시 보 할(%) 실 시
구 분 계 획 대비(%) 구 분 계 획 대비(%)
전 체 공종별 금 일 누 계 전 체 공종별 금 일 누 계
종 합 종 합
토 공 토 공

2. 출력현황 2. 출력현황
구 분 전일누계 금 일 투 입 누 계 비 고 구 분 전일누계 금 일투 입 누 계 비 고
계 계
직 원 직 원

3. 기상현황 3. 기상현황
날 씨 날 씨
최고 강우량 ㎜ 최 고 강우량 ㎜
기 온 기 온
최저 강설량 ㎜ 최 저 강설량 ㎜

4. 주요작업내용 4. 주요작업내용
금 일 작 업 내 용 명 일 작 업 내 용 금 일 작 업 내 용 명 일 작 업 내 용

5. 장비현황 5. 장비현황
장 비 명 전일누계 금일사용 누계사용 비 고 장 비 명 전일누계 금일사용 누계사용 비 고

6. 주요자재현황 6. 주요자재현황
품 명 단 위 설계량 금일반입량 누계반입량 금일사용량 누계사용량 잔 량 품 명 단 위 설계량 금일반입량 누계반입량 금일사용량 누계사용량 잔 량

7. 공정별 작업현황 7. 공정별 작업현황


공 종 단 위 설계량 비율 금일작업량누계작업량 공종별 금일 종합 공 종 단위 설계량 비율 금일작업량누계작업량 공종별 금일 종합

1 - 67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3호 서식] [별지 제3호 서식]

일 일 공 정 현 황 일 일 공 정 현 황
공사명 : 년 월 일 공사명 : 년 월 일

공사비 (억원) 진도(‘02/누계(%)) 작성자 확인자 공사비 (억원) 진도(‘02/누계(%)) 작성자 확인자

계 전년까지 당해년도 이후 계획 실시 대비 현장대리인 공사감독 계 전년까지 해당년도 이후 계획 실시 대비 현장대리인 공사감독

공 종 전 일 실 적 금 일 실 적 공 종 전 일 실 적 금 일 실 적

특기사항 전일날씨 강수량(㎜) 장비투입(대) 인원투입(명) 특기사항 전일날씨 강수량(㎜) 장비투입(대) 인원투입(명)

계 : 계 :
평균 평균
비 고 온도 오전 : 비 고 온도 오전 :
최저 최저
(℃) 오후 : (℃) 오후 :
최고 최고

 

[별지 제4호 서식] [별지 제4호 서식]

주 간 공 정 현 황 주 간 공 정 현 황

토목공사비 당해년도 전체누계공정 토목공사비 해당년도 전체누계공정


공구 보할 전년도 공구 보할 전년도
노선 비고 노선 비고
(연장) ’당해 (%) 까지 (연장) ’해당 (%) 까지
계 계획 실시 대비 목표 계획 실시 대비 계 계획 실시 대비 목표 계획 실시 대비
년도 년도

1 - 68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5호 서식] [별지 제5호 서식]

월 간 공 정 현 황 월 간 공 정 현 황

공사비 공 정 (%) 공사비 공 정 (%)


(백만원) 보할 전년도 당 해 년 도 전체누계 (백만원) 보할 전년도 당 해 년 도 전체누계
노선 공구 시공사 비고 노선 공구 시공사 비고
(%) 까지 (%) 까지
당해 당해 해당 해당
전체 계획 실시 대비 계획 실시 대비 전체 계획 실시 대비 계획 실시 대비
년도 년도 년도 년도

 

[수정] 책임감리현장참여자업무지침서(별지 제37호 서식) 근거


[별지 제6호 서식] [별지 제6호 서식]

공사 기성부분 검사원 (제 회) 공사 기성부분 검사원 (제 회)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
발주자 대리인 : (인) 발주자 대리인(건설사업관리기술자 경유) : (인)
제4조 인용 감리원 ⇒ 건설사업관리기술자

1. 공 사 명 : 1. 공 사 명 :
2. 위 치 : 2. 위 치 :
3. 계 약 금 액 : 일금 원 3. 계 약 금 액 : 일금 원
4. 계약연월일 : 20 년 월 일 4. 계약연월일 : 20 년 월 일
5. 착공연월일 : 20 년 월 일 5. 착공연월일 : 20 년 월 일
6. 준 공 기 한 : 20 년 월 일 6. 준 공 기 한 : 20 년 월 일
7. 현 재 공 정 : 20 년 월 일 현재 % 7. 현 재 공 정 : 20 년 월 일 현재 %
8. 첨 부 서 류 : 기성공정내역서, 기성부분사진 8. 첨 부 서 류 : 기성공정내역서, 기성부분사진

위 공사의 도급시행함에 있어서 공사전반에 걸쳐 공사설계도서, 품질관리 위 공사의 도급시행함에 있어서 공사전반에 걸쳐 공사설계도서, 품질관리
기준 및 기타 약정대로 어김없이 기성되었음을 확인하오며 만약 공사의 시공, 기준 및 기타 약정대로 어김없이 기성되었음을 확인하오며 만약 공사의 시공,
감리 및 검사에 관하여 하자가 발견될 시는 즉시 변상 또는 재시공할 것을 감리 및 검사에 관하여 하자가 발견될 시는 즉시 변상 또는 재시공할 것을
서약하고 이에 기성검사원을 제출하오니 검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약하고 이에 기성검사원을 제출하오니 검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 년 월 일 20 년 월 일

계약상대자 (인) 계약상대자(주소, 상호, 성명) (인)

발 주 청 장 귀 하 발 주 청 장 귀 하

1 - 69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7호 서식] [별지 제7호 서식]

내 역 서 내 역 서
도 급 액 : 일금 원정 도 급 액 : 일금 원정
기 성 부 분 액 : 일금 원정 기 성 부 분 액 : 일금 원정
준 공 금 액 : 일금 원정 준 공 금 액 : 일금 원정

1. 공종별 준공내역 1. 공종별 준공내역


기 성 부 분 액 기 성율 기 성 부 분 액 기 성 율
공 종 도급 액 비 고 공 종 도 급액 비 고
전 회 금 회 누 계 (%) 전 회 금 회 누 계 (%)

2. 노선 및 예산과목 구분 2. 노선 및 예산과목 구분

구 분 기 성 부 분액 구 분 기 성부 분 액
도 급 액 비 고 도 급 액 비 고
예산과목 노선 전 회 금 회 누 계 예산과목 노선 전 회 금 회 누 계

 

[별지 제8호 서식] [별지 제8호 서식]

명 세 서 명 세 서

공 종 규 단 단 도 급 기 성 부 분 전회기성 금회기성 비 공 종 규 단 단 도 급 기 성 부 분 전회기성 금회기성 비


종 별 격 위 가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기성율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고 종 별 격 위 가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기성율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고

1 - 70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9호 서식] [별지 제9호 서식]

준 공 계 준 공 계

일자 일자
경유 경유
◦◦◦ ◦◦◦
일자 일자
확인 확인
감독자 감독자
1. 공 사 명 : 1. 공 사 명 :
2. 도 급 액 : 2. 도 급 액 :
3. 계약년월일 : 3. 계약년월일 :
4. 착공년월일 : 4. 착공년월일 :
5. 예정준공년월일 : 5. 예정준공년월일 :
6. 실준공년월일 : 6. 실준공년월일 :

위와 같이 준공되었기 준공계를 제출하오니 검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준공되었기 준공계를 제출하오니 검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 년 월 일 20 년 월 일

첨 부 : 내 역 서 첨 부 : 내 역 서
시험성과표 시험성과표
도 면 도 면
사 진 첩 사 진 첩

계약상대자 (인) 계약상대자 (인)

발주 청 장 귀하 발 주 청장 귀 하

1 - 71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0호 서식] [별지 제10호 서식] [수정] 용어의 통일
‘감독원→감독자’로 수정

시 험 성 과 표 시 험 성 과 표

공 사 명 : (공사기간 . . ∼ . . 공정 %) 공 사 명 : (공사기간 . . ∼ . . 공정 %)

시 험 횟 수 시 험 횟 수
공 종 시 험 종 류 비 고 공 종 시 험 종 류 비 고
계 획 실 시 합 격 불합격 재시험 계 획 실 시 합 격 불합격 재시험

작성일자 : 년 월 일 작성일자 : 년 월 일

작 성 자 : 현장대리인 (인) 작 성 자 : 현장대리인 (인)

확 인자 : 감 독원 (인) 확인 자 : 감 독 자 (인)

1 - 72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1호 서식] [별지 제11호 서식]

준 공 기 한 연 기 원 준 공 기 한 연 기 원

감 독 자 경유 감 독 자 경유
경유일자 날 인 경유일자 날 인

공 사 명 : 공 사 명 :

도 급 금 액 : 일금 원 도 급 금 액 : 일금 원

계 약 년 월 일 : 년 월 일 계 약 년 월 일 : 년 월 일

계 약 상 착 공 일 : 년 월 일 계 약 상 착 공 일 : 년 월 일

준 공 예 정 일 : 년 월 일 준 공 예 정 일 : 년 월 일

연 기 요 청 일 : 년 월 일 연 기 요 청 일 : 년 월 일

첨 부 : 공사기간 조정 산출내역 첨 부 : 공사기간 조정 산출내역

상기와 같이 준공기한 연기원을 제출합니다.

년 월 일

년 월 일

계약상대자 (인)

계약상대자 (인)

발 주 청 장 귀 하

발 주 청 장 귀 하

1 - 73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2호 서식] [별지 제12호 서식] [수정] 용어 수정
‘K.S여부 → KS 여부’로 수정

공 급 원 승 인 요 청 서 공 급 원 승 인 요 청 서

문서번호 : 호 문서번호 : 호

품 명 규 격 설계수량 제조회사명 K.S여부 비 고 품 명 규 격 설계수량 제조회사명 KS 여부 비 고

첨부 : 제품자료 및 견본 첨부 : 제품자료 및 견본

위 자재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요청합니다. 위 자재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요청합니다.

20 . . . 20 . . .

공 사 명 : 공 사 명 :
현장대리인 : (인) 현장대리인 : (인)

 

승 인 서 승 인 서
1. 문서번호 : 1. 문서번호 :
2. 품 목 : 2. 품 목 :
3. 승인사항 : 3. 승인사항 :

자재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통보합니다. 자재에 대하여 공급원 승인을 통보합니다.

20 . . . 20 . . .

감독자 : (인) 감독자 : (인)

1 - 74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3호 서식] [별지 제13호 서식]

품 질 시 험 ․ 검 사 대 장 품 질 시 험 ․ 검 사 대 장
시험 시험 건설사업
시험 시험․검사자 감리원 확인 시험 시험․검사자 관리기술자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
일련 ․ 시험․검사 시험 시험 일련 ․ 시험․검사 시험 시험 확인
연․월․일 재료 결과 비고 연․월․일 재료 결과 비고 제4조 인용 감리원 ⇒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번호 검사 항 목 기준 결과 번호 검사 항 목 기준 결과
판정 성명 서명 성명 서명 판정 성명 서명 성명 서명
구분 구분

1 - 75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4호 서식] [별지 제14호 서식]

품질시험·검사성과총괄표 품질시험·검사성과총괄표

공사명 : 공사시간 : . . . ∼ . . . 공정 : % 공사명 : 공사시간 : . . . ∼ . . . 공정 : %

시험·검사횟수 시험·검사횟수
공종 시험·검사종류(재료) 비고 공종 시험·검사종류(재료) 비고
계획 실시 합격 불합격 재시험 계획 실시 합격 불합격 재시험

작성일시 : 년 월 일 작성일시 : 년 월 일
작성자 : 소속 : 직위 : 작성자 : 소속 : 직위 :
성명 : (서명 또는 인) 성명 : (서명 또는 인)

1 - 76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5호 서식] [별지 제15호 서식]

품질시험·검사의뢰서 품질시험·검사의뢰서
① 시험·검사종목 (* ) ① 시험·검사종목 (* )

② 시료 명 ② 시 료 명

③ 시료 량 (④ 채취일: . . . ) ③ 시 료 량 (④ 채취일: . . . )

⑤ 시료 채취장소 (회사명: ) ⑤ 시료 채취장소 (회사명: )

⑥ 시료 채취자 소속 담당업무 성명 인 ⑥ 시료 채취자 소속 담당업무 성명 인

⑦ 입회 자 소속 담당업무 성명 인 ⑦ 입 회 자 소속 담당업무 성명 인

⑧ 시험 및 시방기준 ⑧ 시험 및 시방기준

⑨ 성과 이용목적 ⑨ 성과 이용목적

⑩ 공사 명 ⑩ 공 사 명

⑪ 발주 자 ⑪ 발 주 자

⑫ 시공 자 ⑫ 시 공 자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26조제1항에 따라 품질시험·검사를 의뢰합니다. 「건설기술진흥법」 제60조제1항에 따라 품질시험·검사를 의뢰합니다.

년 월 일 년 월 일

의뢰인 성 명 : (인) (전화: ) 의뢰인 성 명 : (인) (전화: )


주 소: 주 소 :

절 취 선 절 취 선

접 수 증 접 수 증

① 접수일 : ① 접수일 :
② 의뢰시험·검사종목 : ② 의뢰시험·검사종목 :
③ 시료명 및 시료량 : ③ 시료명 및 시료량 :
귀하께서 의뢰한 시험·검사 요청 건은 접수일부터 약 ( )일이 소요될 귀하께서 의뢰한 시험·검사 요청 건은 접수일부터 약 ( )일이 소요될
예정임을 알려드리며 이 접수증을 교부합니다. 예정임을 알려드리며 이 접수증을 교부합니다.

년 월 일 년 월 일

접수자 : ○ ○ ○ 품질검사전문기관 접수자 : ○ ○ ○ 품질검사전문기관


성 명: (인) 성 명 : (인)

1 - 77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6호 서식] [별지 제16호 서식]

품질시험·검사성적서 품질시험·검사성적서
①시 료 명: ① 시 료 명 :

② 시료채취장소 : ② 시료채취장소 :

③ 성과이용목적 : ③ 성과이용목적 :

④공 사 명: ④ 공 사 명 :

⑤발 주 자: ⑤ 발 주 자 :

⑥시 공 자: ⑥ 시 공 자 :

⑦의 뢰 인 주 소: ⑦ 의 뢰 인 주 소 :
성 명: 성 명 :

귀하가 품질시험․검사 의뢰한 위 시료에 대하여는 아래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 귀하가 품질시험․검사 의뢰한 위 시료에 대하여는 아래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
검사한 성과를 다음과 같이 회신합니다. 검사한 성과를 다음과 같이 회신합니다.

성 과결 과 성 과 결 과

책 임 기술 자 책임 기 술 자
시험․검사 시험․검사 시험․검사 시험․검사 시험․검사 시험․검사
연번 자격종목 및 연 번 자격종목 및
종 목 방법 결 과 성 명 서명 종목 방 법 결과 성 명 서 명
자격증번호 자격증번호

이 시험․검사결과는 당초 의뢰시 제출된 시료에 대한 결과이므로 다른 목적으로 이 시험․검사결과는 최초 의뢰할 때 제출된 시료에 대한 결과이므로 다른 목적 [수정] 어원 : 일본어, 한글로 순화
이용을 금지합니다. 으로 이용을 금지합니다.

년 월 일 년 월 일

○ ○ 품질검사전문기관 대표 : ○ ○ ○ (인) ○ ○ 품질검사전문기관 대표 : ○ ○ ○ (인)


주소 : (전화번호 : ) 주소 : (전화번호 : )

유의사항 : 책임기술자의 성명과 서명이 기재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성과에 대한 보증을 유의사항 : 책임기술자의 성명과 서명이 기재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성과에 대한 보증을
할 수 없습니다. 할 수 없습니다.

1 - 78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7호 서식] [별지 제17호 서식]

자 재 검 수 부 자 재 검 수 부
품질 품질
생산 품질 생산 품질
년월일 품명 규격 단위 설계량 반입량 불합격량 확인 검수자 비고 년월일 품명 규격 단위 설계량 반입량 불합격량 확인 검수자 비고
업체 기준 업체 기준
내용 내용

 

[별지 제18호 서식] [별지 제18호 서식]

지 급 자 재 관 리 부 지 급 자 재 관 리 부
일 자 확 인 일 자 확 인
적요 반입량 불출량 재고량 비 고 적요 반입량 불출량 재고량 비 고
월 일 현장대리인 감독자 월 일 현장대리인 감독자

1 - 79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19호 서식] [별지 제19호 서식]

하 도 급 건 설 공 사 대 장 하 도 급 건 설 공 사 대 장
1. 공 사 개 요 1. 공 사 개 요

공사명 공사명
(원 공사명: ) (원 공사명: )

① 공종 공종: 세부공종: 현장소재지 ① 공종 공종: 세부공종: 현장소재지

□공공 □공공
구분 기관명 구분 기관명
□민간 (□법인 □개인) □민간 (□법인 □개인)
발 발
주 법인(주민) 주 법인(주민)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자 등록번호 자 등록번호

주소 대표자 주소 대표자

상호 상호

수 수
법인(주민) 법인(주민)
급 사업자등록번호 급 사업자등록번호
등록번호 등록번호
인 인

주소 대표자 주소 대표자

수급인협력업자 협력업자 수급인협력업자 협력업자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등록여부 등록년월일 등록여부 등록년월일

-가입여부: □ 예 -가입여부: □ 예 -가입여부: □ 예 -가입여부: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③ 건설근로자 ③ 건설근로자
② 산재보험 -사업장관리번호: -공제가입번호: ② 산재보험 -사업장관리번호: -공제가입번호:
퇴직공제회 퇴직공제회
-사업개시번호: -가입날짜: -사업개시번호: -가입날짜:
-가입날짜: -가입날짜:

□ 단독도급 □ 단독도급
도급방법 도급방법
□ 공동도급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관리방식) □ 공동도급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관리방식)

계약방법 □ 제한경쟁 □ 일반경쟁 □ 지명경쟁 □ 수의 □ 기타 계약방법 □ 제한경쟁 □ 일반경쟁 □ 지명경쟁 □ 수의 □ 기타

1 - 80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① 공종: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재합니다. ① 공종: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재합니다.

공종 토 목 건 축 산업·환경설비 조경공사 공종 토 목 건 축 산업·환경설비 조경공사

일반도로 단독주택 및 연립주택 제철소 및 석유화학공장 수목원 일반도로 단독주택 및 연립주택 제철소 및 석유화학공장 수목원
고속화도로 저층아파트(5층 이하) 등 산업 생산시설 공원의 조성공사 고속화도로 저층아파트(5층 이하) 등 산업 생산시설 공원의 조성공사
고속도로 고층아파트(6∼15층 이하) 원자력발전소 그 밖의 조경 고속도로 고층아파트(6∼15층 이하) 원자력발전소 그 밖의 조경
도로교량 초고층아파트(16층 이상) 화력발전소 도로교량 초고층아파트(16층 이상) 화력발전소
철도교량 주거․사무실겸용 건물 열병합발전소 철도교량 주거․사무실겸용 건물 열병합발전소
댐 상가․백화점․쇼핑센타 수력발전소 댐 상가․백화점․쇼핑센타 수력발전소
항만 사무실빌딩 집단에너지공급시설공사 항만 사무실빌딩 집단에너지공급시설공사
공항 오피스텔 쓰레기소각장 설치공사 공항 오피스텔 쓰레기소각장 설치공사
일반철도 인텔리젼트빌딩 하수종말처리장 일반철도 인텔리젼트빌딩 하수종말처리장
세 세
고속철도 호텔․숙박시설 폐수종말처리장 고속철도 호텔․숙박시설 폐수종말처리장
지하철 관공서건물(11층 이하) 그 밖의 산업·환경설비 지하철 관공서건물(11층 이하) 그 밖의 산업·환경설비
부 부
도로터널 관공서건물(12층 이상) 도로터널 관공서건물(12층 이상)
철도터널 학교 철도터널 학교
공 공
간척 병원 간척 병원
치산․치수 및 사방하천 전통양식건축 치산․치수 및 사방하천 전통양식건축
종 종
관개수로 및 농지정리 교회․사찰 등 종교용 건물 관개수로 및 농지정리 교회․사찰 등 종교용 건물
상수도 1,000㎜ 이상 그 밖의 문화재, 유적건물 상수도 1,000 ㎜ 이상 그 밖의 문화재, 유적건물
상수도 1,000㎜ 이하 경기장․운동장 상수도 1,000 ㎜ 이하 경기장․운동장
정수장 전시(展示)시설 정수장 전시(展示)시설
하수도 창고, 차고, 터미널건물 하수도 창고, 차고, 터미널건물
택지조성 공장, 작업장용 건물 택지조성 공장, 작업장용 건물
공업용지조성 기계기구 설치(플랜트 제외) 공업용지조성 기계기구 설치(플랜트 제외)
그 밖의 토목시설 위험물저장소 그 밖의 토목시설 위험물저장소
그 밖의 건축물 그 밖의 건축물

② 산재보험: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의 가입정보를 기재합니다. ② 산재보험: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의 가입정보를 기재합니다.
③ 건설근로자퇴직공제회: 건설근로자퇴직공제회의 공제가입정보를 기재합니다. ③ 건설근로자퇴직공제회: 건설근로자퇴직공제회의 공제가입정보를 기재합니다.

1 - 81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0호 서식] [별지 제20호 서식]

지급자재 수급계획 변경요청서 지급자재 수급계획 변경요청서


공사명 : 공사명 :

수 급계 획 변 경 수 급 계 획 변 경
품 명 규 격 단 위 변 경 사 유 품 명 규 격 단 위 변 경 사 유
수량 납 기 수 량 납 기 수 량 납 기 수 량 납 기

20 . . . 20 . . .

계약상대자 업체명 : 계약상대자 업체명 :


현장대리인 : (인) 현장대리인 : (인)

 

[별지 제21호 서식] [별지 제21호 서식]

현 장 지 도 점 검 대 장 현 장 지 도 점 검 대 장
공사명 : 시공회사명 : 공사명 : 시공회사명 :

점검자 지적사항 시정완료확인 점검자 지적사항 시정완료확인


비 비
점검일 (소속,직급, 시정 조치 현장 조치 공사 현장 차기 고 점검일 (소속,직급, 시정 조치 현장 조치 공사 현장 차기 고
성명) 위치 내 용 성명) 위치 내 용
구분 기한 대리인 완료일 감독자 소장 점검자 구분 기한 대리인 완료일 감독자 소장 점검자

1 - 82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2호 서식] [별지 제22호 서식]

지 적 사 항 조 치 결 과 지 적 사 항 조 치 결 과

공사명 : 시공회사명 : 공사명 : 시공회사명 :

지적부위 지적부위

지적사항 지적사항

시정 전 시 정 전

조치내용 조치내용

시정 후 시 정 후

첨 부 : 사진대지 첨 부 : 사진대지

20 . . . 20 . . .

현장대리인 : (인) 현장대리인 : (인)

발 주 청 장 귀 하 발 주 청 장 귀 하

1 - 83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3-①호 서식] [별지 제23-①호 서식] [수정] 현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26호 서식 개정(2011.3.3.)에
[산업안전보건법 별지26호 서식] 따른 수정된 양식사용

건설공사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처리기간
건설공사유해·위험방지 계획서 접수번호 접수일자 처리일자 처리기간 15일
15일

① 공사종류 공사종류

대상공사
② 대상공사
발주청 공사도급 금액
③ 발주처 ④ 공사도급금액
계획서 공사착공 예정일 공사준공 예정일
⑤ 공사착공예정일 ⑥ 공사준공예정일 내용 등
공사개요

⑦ 공사개요 본사소재지

⑧ 계획서작성자 ⑨ 작성자주요경력 예정 총동원 근로자수 참여 예정 협력업체 수 참여 예정 협력업체 근로자 수

⑩ 계획서검토자 (서명 또는 인) ⑪ 검토자주요경력 성명


계획서
작성자 작성자 주요경력
⑫ 본사소재지

⑮ 참여예정 성명
⑬ 예정총동원 ⑭ 참여예정 계획서 (서명 또는 인)
협력업체
근로자수 협력업체수 검토자 검토자 주요경력
근로자수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21조 제2항에 따라 건설


공사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1조의 규정에 의하여 건설공사 유해․위험방지 년 월 일장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제출자(사업주 또는 대표자) (서명 또는 인)

년 월 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이사장 귀하

제출자(사업주 또는 대표자) (서명 또는 인) 수수료


첨부서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별표 15에 따른 서류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한국산업안전공단이사장 귀하 수수료 참조

공지사항
본 민원의 처리결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및 관련 제도 개선에 필요한 의견 조사를 위해
귀하의 전화번호(휴대전화)로 전화조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
처리절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지역본부, 지도원)]
첨부서류 : 별표 15의 규정에 의한 서류 노동부장관이
계획서 제출 ‣ 접수 ‣ 검토 ㆍ 확인 ‣ 결재 ‣ 결과 통지
정하는 수수료
문서접수 유해ㆍ위험방지계획서 문서발송
제출자 지역본부ㆍ지도원장
담당부서 업무 담당부서 담당부서

210mm×297mm[일반용지 60g/㎡(재활용품)]

1 - 84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3-②호 서식] [별지 제23-②호 서식] [수정] 현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2011.3.)에 따른 일부 수정내용 적용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첨부서류(제121조제2항 관련) [수정] 오타수정 : 제1항⇒제2항

첨부서류(제121조제1항관련) 1. 공사개요
가. 공사 개요서(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 제45호 서식)
나. 공사현장의 주변 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1. 공사개요 (매설물 현황을 포함한다)
가. 공사개요서(별지 제45호서식) 다. 건설물, 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나. 공사현장의 주변현황 및 주변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매설물 현황 라. 전체 공정표
포함) 마. 「건설기술진흥법」 제14조에 따라 신기술로 지정ㆍ고시된 신기술의
다. 건설물·공사용 기계설비 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서류 사용 또는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하는 신공법이 있는 경우 그 현황.
라. 전체공정표 다만, 신소재 사용 등 자재변경 신기술은 제외한다.

2. 안전보건관리계획 2. 안전보건관리계획
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별지 제46호서식) 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계획(별지 제46호서식)
※ 각 항목별 세부사용계획 내역을 작성하여야 한다. ※ 각 항목별 세부사용계획 내역을 작성하여야 한다.
나. 안전관리조직표·안전보건교육계획 나. 안전관리조직표·안전보건교육계획
다. 개인보호구 지급계획(별지 제47호서식) 다. 개인보호구 지급계획(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 제47호서식)
라. 재해발생 위험시 연락 및 대피방법 라. 재해발생 위험시 연락 및 대피방법

3. 작업공종별 유해위험방지계획 3. 작업공종별 유해위험방지계획

대상공사 작업공종 첨부서류 대상공사 작업공종 첨부서류

가. 가설공사 가. 가설공사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120조 제2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120조 제4항
다. 구조물공사 가. 작업개요 제1호에 따른 다. 구조물공사 가. 작업개요
제1호에 따른
라. 강 구조물공사 나. 해당 작업공종별 유해위험요인 건축물, 라. 강 구조물공사 나. 해당 작업공종별 유해위험요인
건축물, 공작물 [수정] 자구수정 : 등의 건설 등⇒ 건설 등의 공사
마. 마감공사 및 재해예방계획 인공구조물 건설 마. 마감공사 및 재해예방계획
등의 건설 등
바. 전기 및 기계설비공사 등의 공사 바. 전기 및 기계설비공사
사. 기타공사(해체공사 등) 사. 기타공사(해체공사 등)

1 - 85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대상공사 작업공종 첨부서류 대상공사 작업공종 첨부서류

가. 가설공사 가. 가설공사
제120조 제4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120조 제2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2호에 따른 다. 하부공공사 제3호에 따른 다. 하부공공사
교량건설 등의 라. 상부공공사 다리 건설등의 라. 상부공공사
공사 마. 포장공사 공사 마. 포장공사
바. 기타공사 바. 그 밖의 공사

제120조 제4항 가. 가설공사 제120조 제2항 가. 가설공사


제3호에 따른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4호에 따른 나. 굴착 및 발파공사
터널건설 등의 다. 구조물공사 터널건설 등의 다. 구조물공사
공사 라. 기타공사 공사 라. 그 밖의 공사

가. 가설공사 가. 가설공사
제120조 제4항 제120조 제2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4호에 따른 제5호에 따른
다. 댐축조공사 다. 댐 축조공사
댐건설 등의 댐건설 등의
라. 전기 및 기계설비공사 라. 전기 및 기계설비공사
공사 공사
마. 기타공사 마. 그 밖의 공사

가. 가설공사 가. 가설공사
제120조 제4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120조 제2항 나. 굴착 및 발파공사
제6호에 따른 다. 흙막이지보공 공사 제6호에 따른 다. 흙막이지보공(支保工) 공사
굴착공사 라. 되메움공사 굴착공사 라. 되메움공사
마. 기타공사 마. 그 밖의 공사

4. 작업환경 조성계획 4. 작업환경 조성계획


※ 작업공종별 유해위험방지계획과 분리하여 별도 작성 ※ 작업공종별 유해위험방지계획과 분리하여 별도 작성
가. 분진 및 소음발생공종에 대한 방호대책 가. 분진 및 소음발생공종에 대한 방호대책
나. 위생시설물 설치 및 관리대책 (식당, 화장실, 세면장 등) 나. 위생시설물 설치 및 관리대책 (식당, 화장실, 세면장 등)
다.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계획 다.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계획
라. 조명시설물 설치계획 라. 조명시설물 설치계획
마. 환기설비 설치계획 마. 환기설비 설치계획
바. 위험물질의 종류별 사용량과 저장·보관 및 사용 시 안전작업계 바. 위험물질의 종류별 사용량과 저장·보관 및 사용 시 안전작업계획

1 - 86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4호 서식] [별지 제24호 서식]
[노동부고시 제2007-4호 별지 제1호 서식] (앞쪽) (앞쪽)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내역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내역서

건설업체명 공 사 명 건설업체명 공 사 명

소 재 지 대 표 자 소 재 지 대 표 자

공사금액 원 공사기간 ∼ 공사금액 원 공사기간 ∼

발 주 자 누계공정율 % 발 주 자 누계공정율 %

계 상 된 계 상 된
원 원
안전관리비 안전관리비

사 용 금 액 사 용 금 액

항 목 ( )월사용금액 누계사용금액 항 목 ( )월사용금액 누계사용금액

계 계

1. 안전관리자 등 인건비 및 각종 업무수당 등 1. 안전관리자 등 인건비 및 각종 업무수당 등

2. 안전시설비 등 2. 안전시설비 등

3. 개인보호구 및 안전장구 구입비 등 3. 개인보호구 및 안전장구 구입비 등

4. 안전진단비 등 4. 안전진단비 등

5. 안전보건교육비 및 행사비 등 5. 안전보건교육비 및 행사비 등

6. 근로자 건강관리비 등 6. 근로자 건강관리비 등

7. 건설재해예방 기술지도비 7. 건설재해예방 기술지도비

8. 본사사용비 8. 본사사용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제10조제1항의 규정에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제1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위와 같이 사용내역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의하여 위와 같이 사용내역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년 월 일 년 월 일

작 성 자 직책 성명 (서명 또는 인) 작 성 자 직책 성명 (서명 또는 인)
확 인 자 직책 성명 (서명 또는 인) 확 인 자 직책 성명 (서명 또는 인)

1 - 87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뒤쪽) (뒤쪽)

항 목 별 사 용 내 역 항 목 별 사 용 내 역

항 목 사용일자 사 용 내 역 금 액 항 목 사용일자 사 용 내 역 금 액

1. 안전관리자 등 1. 안전관리자 등
인건비 및 각종 인건비 및 각종
업무수당 등 업무수당 등

2. 안전시설비 등 2. 안전시설비 등

3. 개인보호구 및 3. 개인보호구 및
안전장구 구입비 등 안전장구 구입비 등

4. 안전진단비 등 4. 안전진단비 등

5. 안전보건교육비 및 5. 안전보건교육비 및
행사비 등 행사비 등

6. 근로자 건강관리비 6. 근로자 건강관리비


등 등

7. 건설재해예방 7. 건설재해예방
기술지도비 기술지도비

8. 본사 사용비 8. 본사 사용비

※ 주 : 사용내역은 항목별 사용일자가 빠른 순서로 작성 ※ 주 : 사용내역은 항목별 사용일자가 빠른 순서로 작성

1 - 88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5호 서식] [별지 제25호 서식]

기 술 지 도 완 료 증 명 서 기 술 지 도 완 료 증 명 서

① 건설업체명 ② 대 표자 ① 건설업체명 ②대 표 자

② 공 사 명 ④ 공사금액 ②공 사 명 ④ 공사금액

⑤ 소 재 지 ⑤소 재 지

⑥ 공사기간 ⑥ 공사기간

⑦ 발 주 자 ⑦발 주 자

⑧ 계 약체 결 ⑨ 기술지도 ⑧계 약 체 결 ⑨ 기술지도
일 자 완료일자 일 자 완료일자

상기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6의3의 규정에 의하여 재해예방 상기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6의3의 규정에 의하여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으로부터 기술지도를 받았음을 증명합니다. 전문지도기관으로부터 기술지도를 받았음을 증명합니다.

20 년 월 일 20 년 월 일

재해예방전문 명 칭 재해예방전문 명 칭
지 도기 관 지 도 기관

대 표 자 (인) 대 표 자 (인)

1 - 89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6호 서식] [별지 제26호 서식]

안전교육실시 결과보고서 안전교육실시 결과보고서

1. 신규 채용자 교육 ( ) 2.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 ) 1. 신규 채용자 교육 ( ) 2.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 )


교육구분 2. 안전보건특별교육 ( ) 4. 일 반 교 육 ( ) 교육구분 3. 안전보건특별교육 ( ) 4. 일 반 교 육 ( )
5. 관리감독자 교육 ( ) 6. 기 타 ( ) 5. 관리감독자 교육 ( ) 6. 기 타 ( )

구 분 계 남 여 교육대상 공종(협력업체) 구 분 계 남 여 교육대상 공종(협력업체)

교육인원 교육대상 근로자수 교육인원 교육대상 근로자수


교육실시 근로자수 교육실시 근로자수
교육미실시 근로자수 교육미실시 근로자수

과목 또는 사항 교육방법 교육내용의 개요 교육시간 사용교재 등 과목 또는 사항 교육방법 교육내용의 개요 교육시간 사용교재 등

교육내용 교육내용

직위(직책) 성 명 교 육 장소 비 고 직위(직책) 성 명 교육 장 소 비 고

교육강사 교육강사
및 장소 및 장소

1 - 90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7호 서식 : B4횡] [별지 제27호 서식 : B4횡]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

1.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내용
가. 사업명 : ○○○○도로 건설공사 가. 사업명 : ○○○○도로 건설공사
나. 사업장위치 - 시점 : ○○ 나. 사업장위치 - 시점 : ○○
- 종점 : ○○ - 종점 : ○○
- 연장 : ○○㎞ - 연장 : ○○ ㎞
다. 사업시행자 : 다. 사업시행자 :
라. 착공일 (준공예정일) : ○○○○ ∼ ○○○○ 라. 착공일 (준공예정일) : ○○○○ ∼ ○○○○
마. 사업개요 - 공사비 : ○○억 원 마. 사업개요 - 공사비 : ○○억 원
- 토공량(흙쌓기량, 땅깎기량) - 토공량(흙쌓기량, 땅깎기량)
- 교량(연장) : ○○개소 ( ㎞) - 교량(연장) : ○○군데 ( ㎞)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 터널(연장) : ○○개소 ( ㎞) - 터널(연장) : ○○군데 ( ㎞)

2. 환경관련 사업계획 협의내용 2. 환경관련 사업계획 협의내용

사업 계 획 승인 내 용 사 업 계획 승 인내 용
구 분 협 의 내용 비 고 구 분 협의 내 용 비 고
시행주체 시행방법 시행시기 시행주체 시행방법 시행시기

※ 공구노선도 첨부 ※ 공구노선도 첨부

1 - 91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8호 서식 : B4횡] [별지 제28호 서식 : B4횡]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관리대장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관리대장


1. 사업개요 1. 사업개요

사 업 명 사 업 자 사 업 명 사 업 자

사업승인기관 사업승인일 사업승인기관 사업승인일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협의기관 협의일 협의기관 협의일

사업착공(예정)일 사업준공(예정)일 사업착공(예정)일 사업준공(예정)일

협의내용 협의내용
직책 성 명 직책 성 명
관리책임자 관리책임자

사업규모 사업규모

사업내용 사업내용

2. 협의내용 이행계획 2. 협의내용 이행계획


이 행 계 획 이 행 계 획
구 분 협의내용 구 분 협의내용
이행방법 이행주체 이행시기 이행방법 이행주체 이행시기

3. 협의내용 이행현황 3. 협의내용 이행현황


미이행사항 및 미이행사항 및
연 월 일 공정율(%) 협의내용 이행내역 연 월일 공정율(%) 협의내용 이행내역
사후대책 사후대책

1 - 92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29호 서식] [별지 제29호 서식]

환경피해보고서 환경피해보고서

공사명 : 소속기관명 : 공사명 : 소속기관명 :


1. 사고일시 1. 사고일시
2. 사고장소 2. 사고장소
3. 사고종류 대기,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 기타 3. 사고종류 대기,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 기타
4. 관계법규위반내용 4. 관계법규위반내용
5. 피해정도 5. 피해정도
6. 사고경위 6. 사고경위
7. 사고원인 7. 사고원인
8. 대책 8. 대책
9. 기타 9. 기타
첨 부 : 1. 사고발생 상황도 2. 현장사진 첨 부 : 1. 사고발생 상황도 2. 현장사진

 

[별지 제30호 서식] [별지 제30호 서식]

폐공처리현황 및 실적보고서 폐공처리현황 및 실적보고서

1. 폐공발생위치(위치도 첨부) : 1. 폐공발생위치(위치도 첨부) :


2. 폐공종류(관정, 시추공 등) : 2. 폐공종류(관정, 시추공 등) :
3. 폐공처리업체명 : 3. 폐공처리업체명 :
4. 폐공처리일자 : 4. 폐공처리일자 :
5. 폐공처리사유 : 5. 폐공처리사유 :
6. 폐공처리한 관정의 구조 6. 폐공처리한 관정의 구조

폐 공 캐 이 싱 지표면에서 특기사항 폐 공 캐 이 싱 지표면에서 특기사항


직경(m) 심도(m) 직경(m) 심도(m) 지하수위까지(m) (토질 및 암질 상태) 직경(m) 심도(m) 직경(m) 심도(m) 지하수위까지(m) (토질 및 암질 상태)

7. 폐공처리 절차(작업내용기술) 7. 폐공처리 절차(작업내용기술)


8. 공매재료(메움재)의 사용량 및 혼합재(화공약액 또는 첨가제) 8. 공매재료(메움재)의 사용량 및 혼합재(화공약액 또는 첨가제)

1 - 93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31호 서식] [별지 제31호 서식]

건설폐재 재활용계획 및 실적 건설폐재 재활용계획 및 실적

1.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내용
가. 사업명 : 가. 사업명 :
나. 사업기간 : 나. 사업기간 :
다. 공사비 : 다. 공사비 :
라. 사업시행자 : 라. 사업시행자 :
마. 발생신고기관(일자) : 마. 발생신고기관(일자) :

2. 재활용실적 2. 재활용실적

재 활 용 실 적 재 활 용 실 적
문제점 및 문제점 및
구 분 재활용 재활용 재활용 구 분 재활용 재활용 재활용
재활용량 재활용률 사후대책 재활용량 재활용률 사후대책
용도 위치 시기 용도 위치 시기

토 사 토 사
콘크리트덩이 콘크리트덩이
아스팔트콘크리트덩이 아스팔트콘크리트덩이

3. 재활용계획 3. 재활용계획

재 활 용 계 획 재 활 용 계 획
구 분 발생량 구 분 발생량
재활용용도 재활용량 재활용률 재활용시기 재활용용도 재활용량 재활용률 재활용시기

토 사 토 사
콘크리트덩이 콘크리트덩이
아스팔트콘크리트덩이 아스팔트콘크리트덩이

1 - 94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32호 서식] [별지 제32호 서식]

신 기 술 활 용 실 적 보 고 서 신 기 술 활 용 실 적 보 고 서

신기술 기술 신기술 기술
(지정 제 호) (지정 제 호)
명 칭 분야 명 칭 분야

상 호 대 표 자 상 호 대 표 자

주민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주 소 (전화 : ) 주 소 (전화 : )
(법인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공사금액(백만원) 공사금액(백만 원)
계약 계약
시공년도 공사명 발주자 건설실적 비고 시공년도 공사명 발주자 건설실적 비고
신기술공종 형태 신기술공종 형태
총공사비 총공사비
공사비 공사비

※ 작성방법 ※ 작성방법
1. 건설실적은 각각 해당되는 물량을 기재합니다. 1. 건설실적은 각각 해당되는 물량을 기재합니다.
2. 자체 건설실적이 있는 경우에는 건설실적란 및 공사금액란에 ( )로 표시 2. 자체 건설실적이 있는 경우에는 건설실적란 및 공사금액란에 ( )로 표시
합니다 합니다.
3. 공사금액은 제반경비를 포함한 계약금액으로 합니다. 3. 공사금액은 제반경비를 포함한 계약금액으로 합니다.
4. 계약형태는 수의 또는 경쟁으로 구분합니다. 4. 계약형태는 수의 또는 경쟁으로 구분합니다.
5. 비고란에 도급, 하도급 등 특기사항을 기재합니다. 5. 비고란에 도급, 하도급 등 특기사항을 기재합니다.
6. 신기술공종의 공사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해당부분 설계내역서 또는 계약서 6. 신기술공종의 공사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해당부분 설계내역서 또는 계약서
사본 등의 증빙서류를 첨부합니다. 사본 등의 증빙서류를 첨부합니다.

1 - 95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33호 서식] [별지 제33호 서식]

말 뚝 박 기 보 고 서 말 뚝 박 기 보 고 서

공 사 명 : 공 사 명 :
제 호 : 제 호 :
수 신 : 수 신 :
제 목 : 말뚝박기 보고 제 목 : 말뚝박기 보고

년 월 일 날씨 : 기온 : 오전 : 정오 : 오후 : 년 월 일 날씨 : 기온 : 오전 : 정오 : 오후 :

말뚝의 말뚝의
말뚝 두부절단 말 뚝 매 분 간 평 균 최 종 말뚝 두부절단 말 뚝 매 분간 평 균 최 종
규 격 낙하고 지지력 및 비고 규 격 낙하고 지지력 및 비고
번호 길 이 길 이 낙하횟수 침하도 침하도 번호 길 이 길 이 낙하횟수 침하도 침하도
해머중량 해머중량

1 - 96
현행(2009) 개정 안(2015) 검토내용 Check List
[별지 제34호 서식] [추가] 1-6 환경관리 부분추가로 인해 첨부된 별지서식임

방 음 시 설 성 능 평 가 서

평가항목 검토항목 세 부검 토 항목

1. 방음시설설계자(건설사업관리기술자) 인적사항
[수정]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제59조제4항에 따라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
- 음향 및 구조
제4조 인용 감리원 ⇒ 건설사업관리기술자
- 예술분야
일 반사 항
2. 부지도면(수음점과 소음원과의 위치관계)
3. 방음시설 설치지점의 지반상태
4. 도로상황 및 교통량(대/hr)

5. 방음시설의 높이, 설치길이


음향 설계서 6. 방음시설설치에 따른 차음효과(고층일 경우 층별
음향설계 계산) 사용된 소음도 예측식 및 계산과정

7. 동일수음점‧동일조건에서의 설치전후 소음도


성 능 평가
dB(A)

투 과 손실
8. 시험성적서 및 검토자료
방 음판 흡 음 률

기 타 9. 재질, 충격강도, 빛의 반사도 등

구 조 구조 설계서 10. 풍하중, 기초공법, 통로설치 여부 등

시 공 시 공 도 면 11. 시공계획서

설치시 투시도 12. 색체 및 형태


미 관
예술적 고려 13. 방음벽 전‧후면에 대한 색체 및 형태

안 전성 안전 설계서 14. 방호시설 설치여부 등

1 - 97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2 장 토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2장 토 공 사 제2장 토 공 사
2-1 준 비 공 2-1 준비공
2-2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2-2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2-3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2-3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2-4 땅 깎 기 2-4 땅깎기
2-4-1 도로 땅깎기 2-4-1 도로 땅깎기
2-4-2 토취장 땅깎기 2-4-2 토취장 땅깎기
2-4-3 암깎기 2-4-3 암깎기
2-4-4 암발파 2-4-4 암발파
2-4-5 사 토 2-4-5 사 토
2-5 흙 쌓 기 2-5 흙쌓기
2-6 다 짐 2-6 다 짐
2-7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 2-7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
2-8 토공의 마무리 2-8 토공의 마무리
2-9 기 초 재 2-9 기초재
제2장 토 공 사 제2장 토 공 사
2-1 준 비 공 2-1 준비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땅깎기, 흙쌓기, 구조물 터파기 작업 등을 위하여 규준틀 설 이 시방은 땅깎기, 흙쌓기, 구조물 터파기 작업 등을 위하여 규준틀 설치 [수정]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전체 통일
치와 준비 배수공사에 적용한다. 와 준비배수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참조규격 ⇒ 참조표준, 시방서 전체 통일, 이하표기 생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수직 규준틀 설치 3.1 수직 규준틀 설치

3.1.1 규준틀은 비탈면의 위치와 기울기, 도로의 폭 등을 나타내는 토공의 기 3.1.1 수직 규준틀은 비탈면의 위치와 기울기, 도로의 폭 등을 나타내는 토공 [수정] : 용어 설명 내용
준이 되므로 정확하고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의 기준이 되므로 정확하고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 규준틀 → 수직 규준틀로 명시함
3.1.2 수직 규준틀의 설치간격은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표 2-1을 표준으로 3.1.2 수직 규준틀의 설치간격은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표 2-1-1을 표준으 [수정] : 표3-1-1을 해당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3.1.2로 위치
한다. 다만 직선부 또는 동일 곡선 반경의 곡선부가 100 m 이상 연속될 로 한다. 다만, 직선부 또는 동일한 곡선반지름의 곡선부가 100 m 이상 이동하고 의미전달을 명확히 함, 용어수정(한글화)
경우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60m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연속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설치간격을 60 m 이상으로 조정 - 60m 이상 → 설치간격을 60 m 이상
할 수 있다. - 100m 이상 ⇒ 100 m 이상
표 2-1 규준틀의 표준 설치간격

설치장소의 조건 설 치 간 격(m) 비 고 표 2-1-1 수직 규준틀의 표준 설치간격

직 선 부 20 설치장소의 조건 설 치 간 격(m) 비 고
곡선반경 300 m 이상 20 직 선 부 20
곡선반경 300 m 미만 10 평면곡선반지름 300 m 이상 20
지형이 복잡한 장소 10 이하 평면곡선반지름 300 m 미만 10
지형이 복잡한 장소 10 이하
3.1.3 수직 규준틀은 각 소단마다 설치하며, 땅깎기부는 비탈면 상단에 설치하 3.1.3 수직 규준틀은 각 소단마다 설치하며, 설치위치는 땅깎기부에서는 비탈 [자문] :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수정
고 흙쌓기부는 비탈면 하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면 상단에 설치하고, 흙쌓기부에서는 비탈면 하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3.1.4 시공 중 손상되거나 망실된 규준틀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신속하게 재 3.1.4 시공 중 손상되거나 망실된 수직 규준틀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신속하 [수정] : 내용에 맞는 용어선택
설치하여야 한다. 게 재설치하여야 한다. - 규준틀 ⇒ 수직 규준틀로 명시함
3.2 수평 규준틀 설치 3.2 수평 규준틀 설치

3.2.1 계약상대자는 노체, 노상 및 포장층의 높이와 시공 위치를 파악할 수 3.2.1 계약상대자는 노체, 노상 및 포장층의 높이와 시공위치를 파악할 수 있 [수정] 가운데 점, 쉼표 추가
있도록 흙쌓기 구간마다 수평 규준틀을 설치 운영하고 시공 중 망실되 도록 흙쌓기 구간마다 수평 규준틀을 설치 운영하고, 시공 중 망실되지
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2.2 땅깎기 구간에도 시공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평 규준틀을 설치하여 3.2.2 땅깎기의 공사구간에도 시공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평 규준틀을 설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야 한다. 치하여야 한다. - 땅깎기 구간에도 ⇒ 땅깎기의 공사구간에도
3.2.3 땅깎기 및 흙쌓기 구간 경계지점에도 수평 규준틀을 설치하여 지형이 3.2.3 땅깎기 및 흙쌓기 구간 경계지점에도 수평 규준틀을 설치하여 지형이 [수정] : 문맥에 맞도록 용어 수정
교차하는 부분의 도로 시공위치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교차하는 부분의 도로계획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도로 시공위치를 ⇒ 도로계획을
3.2.4 수평 규준틀은 토공구간에 100 m 간격으로 설치한다. [신설] : 수평 규준틀 설치간격 시방기준 누락으로 내용 추가함

2 -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 준비배수 3.3 준비배수

3.3.1 땅깎기할 장소에는 도랑 등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지표수를 유도하고 3.3.1 땅깎기할 장소에는 측구 등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표면수와 용출수를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지하수위를 저하시켜 흙쌓기 재료의 함수비를 낮추어야 한다. 유도하고, 지하수위를 저하시켜 흙쌓기 재료의 함수비를 낮추어야 한다. - 도랑 등의 ⇒ 측구 등의, - 지표수 ⇒ 표면수와 용출수
특히, 폭우가 내릴 때 토사유실로 인해 주변시설물에 피해가 발생하거나 [수정] : 폭우로 인한 조치사항 추가
기존 배수시설이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필요할 때 가배수로나 침사지 등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문구 수정, “......인한 주변시설물(농경지, 가옥, 공장,
을 설치하여야 한다. 축사 등)이나” ⇒ “인해 주변시설물에 피해가 발생하거나”

3.3.2 흙쌓기 기초지반의 표면이 논, 저습지 등 함수비가 높은 연약지반일 경 3.3.2 흙쌓기 기초지반의 표면이 논, 저습지 등 함수비가 높은 연약지반일 경
우에는 배수로를 굴착하여 기초지반의 함수비를 저하시킨 후에 흙쌓기 우에는 배수로를 굴착하여 기초지반의 함수비를 저하시킨 후에 흙쌓기
를 하여야 한다. 다만, 연약지반 처리공법이 설계되어 있는 구간은 설계 를 하여야 한다. 다만, 연약지반 처리공법이 설계되어 있는 구간은 설계
도서에 따라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실시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도서에 따라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실시한 후 배수로를 굴착하고, 노체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조정함. 연약지반개량시 배출되는 지하
및 노상부의 흙쌓기를 하여야 한다. 수를 유도처리하기 위한 배수로 선시공후 흙쌓기 실시함
3.3.3 땅깎기 비탈면 상부에 산마루측구를 설치할 경우에는 빗물 등이 침투하 3.3.3 땅깎기 비탈면 상부에 산마루 측구를 설치할 경우에는 빗물 등이 침투
여 비탈면이 붕괴되는 일이 없도록 틈새가 없게 시공하여야 한다. 하여 비탈면이 붕괴되는 일이 없도록 틈새가 없게 시공하여야 한다.
3.3.4 흙쌓기 높이가 낮은 구간에는 물의 모관상승에 의해 함수비가 높아져 3.3.4 흙쌓기 높이가 낮은 구간에는 물의 모관상승에 의하여 함수비가 높아져 [수정] : 줄임말 수정
연약해지는 일이 없도록 배수처리를 하고, 배수가 용이한 잡석 자갈 연약해지는 일이 없도록 배수처리를 하고, 배수가 용이한 재료(잡석, 자 - 의해 ⇒ 의하여
등을 이용하여 흙쌓기를 하여야 한다. 갈, 모래, 순환골재 등)를 이용하여 흙쌓기를 하여야 한다. - 배수가 용이한 재료 : 잡석, 자갈, 모래, 순환골재
[자문] 문구수정
(잡석,...순환골재) 등을 => (잡석,...순환골재 등)를

2 -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2-2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초목, 그루터기, 덤불, 나무뿌리, 유기질 표토 등 시공에 유해 이 시방은 초목, 그루터기, 덤불, 나무뿌리, 유기질 표토 등 시공에 유해한
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제거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제거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를 최소화하기 위함.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벌개제근의 범위는 설계도서에 명시되어 있거나 감독자가 특별히 지시 3.1.1 벌개제근의 범위는 설계도서에 명기되어 있거나 감독자가 특별히 지시 [수정] - 사전적 의미에 따라 수정 : 명시되어 ⇒ 명기되어
하는 구간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땅깎기 비탈면의 어깨나 흙쌓기 비탈 하는 구간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산림지역 땅깎기 비탈면의 어깨나 흙쌓 - 벌개제근의 범위를 명기함, 땅깎기중 벌개제근이 있는 지역 표현,
면의 기슭에서 1 m 떨어진 선 이내의 폭과 산림지역 공사구간의 연장 기 비탈면의 기슭에서 1 m 떨어진 선 이내의 폭과 산림지역 공사구간의 - 단위 띄어쓰기 수정
으로 한다. 연장으로 한다.
3.1.2 흙쌓기 높이가 1.5 m 이상인 구간에 있는 수목이나 그루터기는 지표면 3.1.2 흙쌓기 높이가 1.5 m 이상인 구간에 있는 수목이나 그루터기는 지표면
에 바짝 붙도록 잘라 잔존 높이가 지표면에서 150㎜ 이하가 되도록 하 에 바짝 붙도록 절단하여 잔존 높이가 지표면에서 150 mm 이하가 되도 [수정] - 의미전달을 명확히 하는 표현 : 잘라 ⇒ 절단하여
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한다.
3.1.3 흙쌓기 높이가 1.5 m 미만인 구간에 있는 수목이나 그루터기, 뿌리, 덤 3.1.3 흙쌓기 높이가 1.5 m 미만인 구간에 있는 수목이나 그루터기, 뿌리, 덤
불 등은 지표면에서 200㎜ 깊이까지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불 등은 지표면에서 200 mm 깊이까지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3.1.4 흙쌓기 구간에서 유해물질이나 오염원 또는 유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 3.1.4 흙쌓기 구간에서 유해물질이나 오염원 또는 유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

2 -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는 표토는 감독자의 지시 및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제거하여 처리하고 는 표토는 감독자의 지시 및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제거하여 처리하고
확인을 받아야 한다. 확인을 받아야 한다.
3.1.5 계약상대자는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감독자의 확인을 3.1.5 계약상대자는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땅깎기 및 흙쌓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땅깎기 구 받은 후에 땅깎기 및 흙쌓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간에 있는 그루터기는 토공작업 중에 제거하여도 된다. 다만, 땅깎기 구간에 있는 그루터기는 토공작업 중에 제거하여도 된다.
3.1.6 벌개제근 작업으로 제거된 모든 물질은 공공이나 개인 소유권자의 요구 3.1.6 벌개제근 작업으로 제거된 모든 물질은 공공이나 개인 소유권자의 요구
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사장 밖으로 반출하여 위탁처리하거나 소 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사장 밖으로 반출하여 위탁처리하거나 매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구를 수정하였고, 환경을 고려 하
각, 매립, 분쇄 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법한 방법으로 처분하여야 한 립, 분쇄 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보호길어깨의 잡초제거, 성토비탈면 여 현장에서 소각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아 삭제하였음
다. 침식방지, 화단 등 친환경적 재활용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수정] 문장 수정
3.1.7 제거된 물질을 소각할 경우에는 관련법규를 준수하고 주변의 초목이나 [삭제] : 3.1.6에서 소각내용을 삭제하였으므로 3.1.7항목을
인접한 구조물 등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삭제함
3.1.8 소각이 안 되고 썩기 쉬운 물질은 지정된 장소에 처분하여야 한다. 처 3.1.7 벌개제근 작업으로 제거된 모든 물질 중 썩기 쉬운 물질은 지정된 장소 [수정] : 소각내용을 삭제하고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표현
분방법이 매립일 경우에는 매립물질이 층을 이루도록 고르게 펴서 흙으 에 처분하여야 한다. 처분 방법이 매립일 경우에는 매립물질이 층을 이
로 덮거나, 흙과 함께 혼합시켜 공극이 메워지도록 하여야 한다. 매립물 루도록 고르게 펴서 흙으로 덮거나 흙과 함께 혼합시켜 간극이 메워지 [관계기관의견 반영] : 용어 통일 공극 ⇒ 간극
질의 마지막 층은 최소 300 ㎜두께의 흙이나 기타 승인된 재료로 덮어 도록 하여야 한다. 매립물질의 마지막 층은 최소 300 mm 두께의 흙이
정지한 후 다져야 한다. 나 기타 승인된 재료로 덮어 정지한 후 다져야 한다.
3.1.9 보존이나 이식토록 지시된 수목이나 식물에 대해서는 작업 중 손상을 3.1.8 보존 또는 이식하도록 지시된 수목이나 식물은 작업 중 손상을 입히지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표현
입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10 표토제거는 산림지역을 제외한 답(沓)구간, 답외(沓外)구간에서 설계도서 3.1.9 표토제거는 산림지역을 제외한 답(沓)구간, 답외(沓外)구간에서 설계도서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표현 수정
에 따라 적용하며, 흙쌓기 높이(노상완성면)가 H=1.5 m 미만의 경우에 에 따라 적용하며, 흙쌓기 높이(노상 완성면)가 1.5 m 미만의 경우에 한
한하며 지표면으로부터 두께 200㎜를 제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거된 하여 지표면으로부터 200 mm 깊이로 제거한다. 또한, 제거된 표토를
표토를 비탈면 등에 유용할 경우에는 나무뿌리, 돌 등의 유해물질이 함유 비탈면 등에 유용할 경우에는 나무뿌리 돌 등의 유해물질이 함유되지
되지 않도록 하여 지정된 장소에 유실되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않도록 하며, 유용하기 전까지는 지정된 장소에 유실되지 않도록 보관하
여야 한다. 이때 가배수로 및 비닐덮개 등을 설치하여 우수에 의한 침식 [수정] : 방법제시 및 함수비 증가 억제로 유용성 확보위한 문구 추가
이나 유실을 방지하고, 함수비 증가를 억제하여야 한다.
3.1.11 원지반이 연약하여 초벌 쌓기(두께 300㎜)가 불가한 지반의 경우 감 3.1.10 원지반이 연약하여 초벌 쌓기(두께 300 mm)가 불가능한 지반의 경우 [수정] : 성토부 지반으로 노체에 해당하는 품질기준 및 연약지반에 대한 침
독자와 협의하여 다짐이 가능한 두께로 조정하여 초벌 쌓기를 할 수 감독자와 협의하여 노체 재료의 품질기준 및 침하에 대한 검토 후 흙 하 등을 검토하고 흙쌓기를 시행하도록 문구 수정
있다. 쌓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2 -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2-3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당해 공사에 장애가 되는 구조물 및 지장물의 일부 또는 전 이 시방은 해당 공사에 장애가 되는 구조물 및 지장물의 일부 또는 전부 [수정] : 문구수정 (당해 공사 → 해당 공사)
부를 제거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를 제거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구조물 및 지장물의 제거작업을 수행하 3.1.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구조물 및 지장물의 제거작업을 수행하
여야 하며, 보존하도록 지정된 것은 유해한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 여야 하며, 보존하도록 지정된 것은 유해한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
하여 설계도서에서 지시하는 장소까지 옮겨야 한다. 또한 제거된 물질 하여 설계도서에 지정된 장소 또는 감독자가 지시하는 장소까지 옮겨야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조정함.
중 흙쌓기용 재료로 유용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한 한 유용하도록 하고 한다. 또한, 제거된 물질 중 흙쌓기용 재료로 유용할 수 있는 것은 가능
불량재료는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처리하여야 한다. 한 한 유용하도록 하고, 불량재료는 폐기물관리법에 의거하여 처리하여
야 한다.
3.1.2 사용 중인 교량, 암거 및 기타 배수시설은 현장에 적합한 대체시설을 3.1.2 사용 중인 교량, 암거 및 기타 배수시설은 현장에 적합한 대체시설을 설
설치하여 통행 및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조치한 후에 철거하여야 한다. 치하여 통행 및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조치한 후에 철거하여야 한다.
3.1.3 구조물 하부구조의 유수부는 하상면까지 제거하여야 하며, 지표면에서 3.1.3 구조물 하부구조의 유수부는 하상면까지 제거하여야 하며, 지표면에서는
는 최소 300 ㎜ 깊이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최소 300 mm 깊이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2 -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제거작업에 발파가 필요할 때에는 발파영향권 내에 신설구조물을 설치 3.1.4 제거작업에 발파가 필요할 때에는 발파 영향권 내에 신설 구조물을 설
하기 전에 발파작업을 완료하여야 한다. 치하기 전에 발파작업을 완료하여야 한다.
3.1.5 제거작업으로 발생하는 웅덩이, 구멍, 도랑 등은 이 시방서 2-5절 및 3.1.5 제거작업으로 발생하는 웅덩이, 구멍, 도랑 등은 이 시방서 2-5절(흙쌓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2-6절의 규정에 따라 주변지반 높이까지 되메운 후 다짐을 하여야 한 기) 및 2-6절(다짐)의 규정에 따라 주변 지반높이까지 되메운 후 다짐을 최소화하기 위함.
다. 하여야 한다.
3.1.6 도로 완성면에서 최소 1 m 깊이까지 모든 구조물을 제거하되 포장층의 [신설] : 도로 완성면 및 포장층에서의 구조물 제거 두께규정을 추가함.
두께가 1 m를 넘는 경우에는 포장층 내의 모든 구조물을 제거하여야 한
다. 다만,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은 감독자의 확인 후 현지여건을 감안하
여 제거할 수 있다.
3.2 제거된 물질의 활용

3.2.1 폐콘크리트를 흙쌓기 재료로 유용할 경우는 최대입경 100 mm 이하로 [신설] : 폐콘크리트, 폐아스콘의 재활용 방침 내용 추가
파쇄하여 보조기층 재료로 유용하되 부체도로에 우선 적용하고, 뒤채움 ※「건설 폐자재 재활용 도로 포장지침(건교부, 2005.1)」
재료가 보조기층 재료로 설계된 경우 뒤채움 재료로 유용하여야 한다.
다만, 보조기층재로 유용할 경우 이 시방서 8-2장(보조기층)의 보조기층
재 품질기준에 적합하고, 유기 이물질 함량이 부피기준으로 1 % 이하이 [수정] 용어 수정 : 이물질 ⇒ 유기 이물질
어야 한다.
3.2.2 폐아스콘은 재생아스콘 생산업체에 위탁․재생하여 활용하도록 한다. 다
만, 폐아스콘의 발생량이 적은 경우나 재생아스콘 생산시설이 없는 경우
일정크기 이하로 파쇄하여 보조기층재로 유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시
방서 8-2장(보조기층)의 보조기층재 품질기준에 적합하고, 유기 이물질 [수정] 용어 수정 : 이물질 ⇒ 유기 이물질
함량이 부피기준으로 1 % 이하이어야 한다.

2 -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 땅 깎 기 2-4 땅깎기

2-4-1 도로 땅깎기 2-4-1 도로 땅깎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에 의해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나 시방서의 규정에 이 시방은 설계도서에 의하여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를 기준으로 땅을 [수정] : 불필요한 문장 삭제, 줄임말 수정
부합되도록 땅을 깎는 공사에 적용한다. 깎는 공사에 적용한다.
1.1.1 도로 땅깎기는 도로, 주차장, 교차시설, 진입로, 수로, 측구의 땅깎기와 1.1.1 도로 땅깎기는 도로, 주차장, 교차시설, 진입로, 수로, 측구의 땅깎기와
비탈면 고르기 및 비탈면 끝의 곡선처리, 비탈면의 소단형성, 땅깎기 구 비탈면 고르기 및 비탈면 끝의 곡선처리, 비탈면의 소단형성, 땅깎기 구
간의 노상부나 흙쌓기 구간 원지반의 부적합재료의 제거 및 추후 타 목 간의 노상부나 흙쌓기 구간 원지반의 부적합재료의 제거와 추후 타 목
적에 사용하도록 감독자가 지시한 재료의 깎기를 말한다. 도로 땅깎기 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감독자가 지시한 재료의 깎기를 말한다. 도로 땅깎 [수정] :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한 문구조정
의 토질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기의 지층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토 사 : 땅깎기에 있어서 불도저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1) 토 사 : 땅깎기를 할 때 불도저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흙,
흙, 모래, 자갈 및 호박돌이 섞인 토질 모래, 자갈 및 호박돌이 섞인 지층
(2) 리핑암 : 땅깎기에 있어서 불도저에 장착한 유압식 리퍼(hydraulic (2) 리핑암 : 땅깎기를 할 때 불도저에 장착한 유압식 리퍼(hydraulic ripper)가
ripper)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고 정도의 풍화가 상당히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풍화가 상당히 진행된 지층
진행된 지층
(3) 발파암 : 땅깎기에 있어서 발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지층 (3) 발파암 : 땅깎기를 할 때 발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지층
(2-4-4 암깎기 참조)
1.1.2 땅깎기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1.1.2 땅깎기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 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수정] : 띄어쓰기 수정
요청을 하고 발주처의 장이 임명한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 결과에 의하 요청을 하고, 발주청의 장이 임명한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 결과에 의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야 한다. 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야 한다.
1.1.3 제출자료 및 육안확인으로 판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유압식 리퍼(암굴착 1.1.3 제출자료 및 육안 확인으로 지층경계선 판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유압식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추가
량이 25,000㎥ 이상인 경우에는 30ton급, 25,000㎥ 미만에는 20ton급 유압 리퍼(암 굴착량이 25,000 ㎥ 이상인 경우에는 30 t 급, 25,000 ㎥ 미만에 - ton → t
식리퍼 사용)에 의한 시험시공을 실시하거나 전문기술자의 검토의견서를 는 20 t 급 유압식 리퍼 사용)에 의한 시험시공을 실시하거나 전문기술
참조할 수 있다. 자의 검토의견서를 참조할 수 있다.
1.1.4 땅깎기 작업으로 형성된 깎기 비탈면은 녹화되기 전에 비탈면 지반상태 [신설] : 절토사면 현황도 작성 방침 내용 추가, [수정] 중심위 의견 : 군데별

2 -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기록(face mapping)하여 깎기 비탈면 현황도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삭제
향후 깎기비탈면 유지관리를 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절토사면 현황도 작성(국토부, 2005. 2. 24)」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땅깎기 구간의 노상 마무리면 토질이 노상재료로 부적합한 경우 토질조 최소화하기 위함.
(1) 땅깎기 구간의 노상 마무리면 토질이 노상재료로 부적합할 때 토질조 사 및 시험성과표
사 및 시험 성과표 (2) 인접 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가축, 양어장 등의 피해가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수정
(2) 인접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가축, 양어장 등의 피해가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진동 및 소음피해방지계획서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을 때 진동 및 소음피해방지계획서 (3) 비탈면의 기울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비탈면 안정 및 대책 검토서
(3) 비탈면의 기울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비탈면 안정분석 및 대책 검토서 (4) 시험발파계획서
(4) 시험발파계획서 (5) 공사 중 배수처리 계획서
(5) 공사 중 배수처리계획서 (6) 깎기비탈면 현황도
[신설] : 깎기비탈면 현황도 작성방침 내용 추가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땅깎기 구간 등에서 설계도서에 명기된 확인시추구간은 공사 전 확인시
3.1.1 땅깎기 구간 등에서 시공을 위하여 설계도서에 확인시추를 명시한 구간 추와 필요할 때에는 원위치시험 및 역학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며, 비탈면
에 대하여 공사 전 확인시추와 필요시 원위치시험 및 역학시험을 실시 안정성 분석결과 설계도서에 제시된 땅깎기 비탈면 경사의 적용이 곤란 [수정] : 사전적 의미에 따라 수정
하여야 하며, 비탈면의 설계경사와 용지구입 등을 비교․검토한 후 땅 한 경우에는 비탈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공사비와 비탈면 기울기 [수정] : 땅깎기 비탈면구간의 용지편입 등의 비교·검토 대상구간을 설계도서
깎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완화공법 적용을 위한 용지의 추가 구입 등을 비교·검토한 후 감독자의 에 제시된 땅깎기 비탈면 경사의 적용이 곤란한 경우로 제한하는

2 -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승인을 받아 땅깎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내용을 포함한 문장으로 표현
3.1.2 땅깎기 작업은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기존 구조물 및 지장물의 철거,
3.1.2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기존구조물 및 지장물의 철거, 규준틀 설치, 외 규준틀 설치, 외부 유입수 차단 등이 이루어진 후에 시행하여야 하며,
부 유입수 차단 등이 이루어진 후에 땅깎기 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며, 땅깎기 작업 및 흙 운반은 타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장으로 수정
땅깎기 작업 및 흙 운반은 타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
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 은 후 시행하여야 한다.
은 후 시행하여야 한다. 3.1.3 땅깎기하는 장소에는 표면수 및 용출수가 고이지 않도록 적절한 방법으
3.1.3 땅깎기하는 장소에는 지표수 및 용출수가 고이지 않도록 적절한 방법으 로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노상 마무리 작업을 할 때에는 빗물이
로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특히 노상 마무리 작업 시에는 빗물이나 나 지하수가 노상부에 침투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측구 [수정] : “지표수”를 “표면수”로 용어변경
지하수가 노상부에 침투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측구 등 등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1.4 계약상대자는 땅깎기 작업을 할 때 비탈면의 기울기를 설계도서에 따라
3.1.4 계약상대자는 땅깎기 작업 시 비탈면의 기울기를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 시공하여야 한다.
하여야 하며, 효율적인 비탈면 관리를 위한 현황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3.1.5 땅깎기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설계할 때 예상하지 못한 지층의 변 [수정] 한글로 순화
다만, 땅깎기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설계 시 예상하지 못한 지층의 화와 절리, 단층 등의 불연속면 발달, 지하수의 용출 등이 확인되어 비
변화와 절리, 단층 등의 불연속면 발달, 지하수의 용출 등이 확인되어 탈면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깎기 비탈면 현황도를 작성하고, 비탈면 안정 [수정] : 항목분리 후 상세한 비탈면처리방안을 기술함
비탈면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비탈면 안정분석 및 대책 검토서를 제출하 분석 및 대책 검토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비탈면 기울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조정하여야 한다. 기 조정 및 비탈면 보강 등을 할 수 있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추가
3.2 재료의 활용

3.2 재료의 활용 3.2.1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는 현장 토질시험 성과에 의거하여 사용가능 여
3.2.1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는 현장 토질시험 성과에 의거 사용가능 여부를 부를 판단하여야 하며, 흙쌓기 또는 기타 설계도서에 명기된 목적에 따
판단하여야 하며, 흙쌓기나 기타 설계도서에 명기된 목적에 최대한 활 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로 수정
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3.2.2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 중에서 감독자가 노상이나 비탈면 보호공 및
3.2.2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 중에서 노상이나 비탈면 보호공 및 기타 목적 기타 목적에 적합하다고 결정한 것은 지정된 장소에 저장하거나 직접 사
에 적합하다고 감독자가 결정한 것은 지정된 장소에 저장하거나 직접 용할 장소에 운반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로 수정
사용할 장소에 운반해 활용하여야 한다. 3.2.3 땅깎기에서 발생한 암 중에서 쇄석골재의 원석으로 활용할 견고한 암석
은 토사나 풍화암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보존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3.2.3 땅깎기에서 발생한 발파암중 쇄석골재의 원석으로 활용할 견고한 암석
은 토사나 풍화암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보존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3.3 여 굴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로 수정
3.3 여 굴 계약상대자의 관리소홀로 인하여 설계도서에서 지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2 -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계약상대자의 관리소홀로 인하여 설계도서에서 지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여굴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땅깎기 부위에 대하여 계약상대자의 부담으
여굴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땅깎기 부위에 대하여 계약상대자의 부담으 로 여굴 된 곳을 승인된 재료로 되메우고 다짐을 하거나 보강하여야 하며,
로 여굴 된 곳을 승인된 재료로 되메우고 다짐을 하거나, 보강 또는 비탈 비탈면의 경우는 유지관리 및 안정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면의 유지관리 및 안정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4 불량재료의 처리 및 치환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로 수정
3.4 불량재료의 처리 및 치환
3.4.1 땅깎기 구간에서 발생되는 재료가 흙쌓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때에
3.4.1 땅깎기 구간에서 발생되는 재료가 흙쌓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때에 는 지반조사 및 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는 토질조사 및 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야 한다. 다만, 순성토 구간의 경우 땅깎기 발생토가 흙쌓기 재료로 부
야 한다. 적합하더라도 유기질토가 아닌 경우에는 사토 전에 유용 여부를 검토하
여야 한다. [수정] : 순성토 구간일 경우 땅깎기 발생토에 대한 내용 추가 기술
3.4.2 3.4.1의 경우로 인하여 치환이 필요할 때에는 이 시방서 2-5절(흙쌓기) [자문] 순성토 ⇒ 쌓기 (미반영) 외부에서 흙을 반입하는 순성토 구간
3.4.2 3.4.1의 경우로 인하여 치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시방서 2-5절 2.1의 2.1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로 치환하여 이 시방서 2-8절(토공의 마무 일 경우에만 유용여부 검토하라는 의미임.
품질기준에 적합한 재료로 치환하여 이 시방서 2-8절에 규정된 제 항목 리)에 규정된 제 항목을 만족하여야 한다. [수정] : 참조하는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
을 만족하도록 하여야 한다. 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
3.5 측구 터파기
3.5 측구 터파기
3.5.1 측구, 수로 및 각종 배수시설의 터파기에서 발생한 재료는 이 절 3.2에
3.5.1 측구, 수로 및 각종 배수시설의 터파기에서 발생한 재료는 이 절 3.2에 따라 활용하여야 한다.
따라 활용하여야 한다. 3.5.2 측구는 설계도서에 표기된 위치와 규격에 일치하도록 굴착하여야 하며,
3.5.2 측구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와 규격에 일치하도록 굴착하여야 하며, 단면 내에 나무뿌리나 암의 돌출이 없어야 한다.
단면 내에 나무뿌리나 암의 돌출이 없어야 한다. 3.5.3 계약상대자는 측구 터파기 후 측구의 시공을 완료할 때까지 굴착면이 [자문] 사전적 의미에 따라 수정
3.5.3 계약상대자는 준공검사 시까지 모든 측구의 기능이 완전히 발휘되도록 유지되도록 관리할 책임이 있다.
유지 관리할 책임이 있다.
3.6 땅깎기 구간의 노상 [수정] : 터파기와 관련 없는 내용 삭제 후 굴착면 관리 내용 추가함
3.6 깎기 구간의 노상
3.6.1 암깎기 구간의 굴착을 할 때 발생된 요철은 150 mm 이하이어야 하며,
3.6.1 암깎기 구간의 굴착 시 발생된 요철은 150 ㎜ 이하이어야 하며, 오목하 오목하게 들어간 곳(凹)에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하여야 하 [수정] : 깍기 → 땅깍기
게 들어간 곳(凹)에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하여야 하며, 감 며,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재료로 되메우고 다짐을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독자의 확인을 받은 재료로 되메움하고 다짐을 하여야 한다. 3.6.2 토사깎기 구간의 노상부는 침투수가 집중되어 연약해지기 쉬우므로 배
3.6.2 토사 땅깎기 구간의 노상부는 침투수가 집중되어 연약해지기 쉬우므로 수처리를 철저히 하여야 하며, 설계도서에 명기되어 있는 배수시설에 보 [수정] 자구 수정
배수처리를 철저히 하여야 하며, 설계도서에 명시되어 있는 배수시설에 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른다. [수정] 자구 수정 : 토사 땅깎기 ⇒ 토사깎기
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른다.

2 -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3 토사 땅깎기 구간의 마무리 면에 나타나는 재료가 노상재료로 적합할 3.6.3 토사깎기 구간의 마무리 면에 나타나는 재료가 노상재료로 적합할 경우 [수정] : 사전적 의미에 따라 수정
경우에는 상부 200 ㎜ 깊이의 재료를 긁어 일으켜 최적함수상태로 수분 에는 상부 200 mm 깊이의 재료를 긁어 일으켜 최적함수상태로 수분을
을 조절한 후에 소정의 다짐을 하며, 노상재료로 부적합 할 경우에는 조절한 후에 노상기준에 맞는 다짐을 하며, 노상재료로 부적합 할 경우 [수정] 자구 수정 : 토사 땅깎기 ⇒ 토사깎기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른다. 에는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른다.
[수정] : 모호한 표현을 명확한 의미 전달되도록 함.
3.7 마무리 3.7 마무리

3.7.1 땅깎기의 토공 마무리면 및 비탈면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선형과 기울기 3.7.1 땅깎기의 토공 마무리면 및 비탈면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선형과 기울기
에 적합하도록 정돈하여야 하며, 기준선 이하에 있는 재료는 이완시키 에 적합하도록 정돈하여야 하며, 기준선 이하에 있는 재료를 이완시키지
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7.2 발파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완된 상태의 모암에 붙어 있는 뜬 돌 3.7.2 발파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완된 상태의 불안정한 돌은 인력 또 [수정] 조사 수정 : 재료는 ⇒ 재료를
은 인력 또는 장비를 동원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는 장비를 동원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3.7.3 토사 땅깎기 구간의 비탈면은 자연비탈면과의 경계부에 곡선처리을 하 3.7.3 토사 땅깎기 구간의 비탈면과 자연 비탈면과의 경계부는 곡선처리 [수정] : 불필요한 문구 삭제, 용어 수정 : 뜬 돌 ⇒ 불안정한 돌
여야 하며, 땅깎기 구간에 흙쌓기 구간이 교차하는 지점의 비탈면은 그 를 하여야 하며, 땅깎기 구간에 흙쌓기 구간이 교차하는 지점의 비탈면
기울기를 조정하여 서로 겹치게 하거나 자연지반에 완만히 붙게 함으로 은 그 기울기를 조정하여 서로 겹치게 하거나 자연지반에 완만히 붙게 [수정] : 조사 수정 : 비탈면은 ⇒ 비탈면과, 경계부에 ⇒ 경계부는
써 뚜렷한 꺾임부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함으로써 뚜렷한 꺾임부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7.4 땅깎기부의 노상은 흙쌓기부의 노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루프 롤링 3.7.4 땅깎기부의 노상은 흙쌓기부의 노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루프 롤링
(proof rolling)시험을 하여야 한다. 검사기준은 이 시방서 2-6절 3.4 다
(proof rolling)시험을 하여야 한다. 검사기준은 이 시방서 3-6절(다짐)
짐의 기준에 따라 적용한다. 3.4 다짐의 기준에 따라 적용한다.
3.7.5 핵석 발달지역의 땅깎기에서 핵석 깎기는 비탈면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3.7.5 핵석 발달지역의 땅깎기는 비탈면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승인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조정한다. 을 받은 후 기울기 등을 조정한다.
[수정] 주어 변경 : 핵석 깎기는 ⇒ 땅깎기는, “핵석 깎기”는 삭제
3.7.6 땅깎기 허용오차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3.7.6 땅깎기 허용오차의 범위 목적어(기울기 등을) 새로 추가
-노 상 : 토사인 경우 ±30 ㎜ (1) 노 상 : 토사인 경우 ±30 mm
암반인 경우 +30 ㎜, -150 ㎜ 암반인 경우 +30 mm, -150 mm
- 토 사 비탈면 : ±100 ㎜ (2) 토 사 비탈면 : ±100 mm
- 풍화암 비탈면 : ±200 ㎜ (3) 리핑암 비탈면 : ±200 mm
- 발파암 비탈면 : ±300 ㎜ (4) 발파암 비탈면 : ±300 mm
(단, 지표지질조사결과를 토대로 절리 등 균열발달이 심하지 않은 암반 (단, 지표지질조사 결과를 토대로 절리 등 균열 발달이 심하지 않은 암
깎기 중 돌출부 깎기를 하지 않아도 사면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깎기 중 돌출부 깎기를 하지 않아도 비탈면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범위 내 허용기준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조정한다.) 않는 범위의 허용기준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조정한다.)

2 -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 용어 수정
3.8 시공 중 표면수, 용수처리 및 노면보호 3.8 시공 중 표면수, 용출수 처리 및 노면 보호

3.8.1 시공 중 표면수나 용수에 의해 비탈면이 세굴 또는 붕괴될 우려가 있는 3.8.1 시공 중 표면수나 용출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 또는 붕괴될 우려가 [수정] : 용어 수정
경우에는 비탈면의 배수시설을 땅깎기 작업 진행과 동시에 설치하거나 있는 경우에는 비탈면의 배수시설을 땅깎기 작업 진행과 동시에 설치하
가배수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거나 가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 용어 수정, 줄임말 수정
3.8.2 공사기간 중에는 항상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면을 유지 관리 3.8.2 공사기간 중에는 항상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노면을 유지관리
하여야 하며, 땅깎기 구간과 흙쌓기 구간의 경계부에는 측구나 도수로를 하여야 하며, 땅깎기 구간과 흙쌓기 구간의 경계부에는 측구나 도수로를
설치하여 세굴을 방지하여야 한다. 설치하여 세굴을 방지하여야 한다.
3.8.3 땅깎기 마무리 면이 토사인 경우에는 우기 및 동절기에 차량통행을 제 3.8.3 땅깎기 마무리 면이 토사인 경우에는 우기 및 동절기에 차량통행을 제
한하거나 일정구간으로 유도하여 노면의 훼손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한하거나 일정구간으로 유도하여 마무리 면의 훼손을 최소화하여야 한
다. [수정] : 문구(용어) 조정
3.8.4 땅깎기 비탈면이 노출로 인하여 풍화가 급속히 진전될 우려가 있는 구
간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녹화 등의 비탈면 보호를 우선 시행하여야 한
다. [신설] : 풍화우려가 있는 비탈면에 대한 대책방안 제시
3.9 절개 비탈면 보호 3.9 땅깎기 비탈면 보호

절개 비탈면 보호는 이 시방서 제3장에 따른다. 땅깎기 비탈면 보호는 이 시방서 제3장 비탈면 안정공사에 따른다.
[수정] : 장의 명칭을 추가, 용어 변경

2 -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2 토취장 땅깎기 2-4-2 토취장 땅깎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토취장의 땅깎기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토취장의 땅깎기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토취장 사용신청서 (1) 토취장 사용신청서
(2) 토취장 토지소유권자의 서면동의서 (2) 토취장 토지소유권자의 서면동의서
(3) 토취장, 운반로 등 관리청이 요구하는 의무사항(복구, 보수 등) 완료 (3) 토취장, 운반로 등 발주청이 요구하는 의무사항(복구, 보수 등) 완료 증 [수정] 관리청 ⇒ 발주처,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통일 : 발주처 ⇒ 발주청
증명서 명서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내의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 중 유용 가능한 재 3.1.1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내의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 중 유용 가능한 재
료의 양이 흙쌓기 및 기타 공사를 완성하는데 불충분하거나, 그 재료의 료의 양이 흙쌓기 및 기타 공사를 완성하는데 불충분하거나 그 재료의
성질이 공사의 요구조건에 부합되지 않을 때에는 다른 장소를 선정하여 성질이 공사의 요구조건에 부합되지 않을 때에는 토취장을 선정하여 공 [수정] : 문구(용어) 조정
공사를 완성하는데 충분하고도 적합한 재료를 획득하여야 한다. 사를 완성하는데 충분하고도 적합한 재료를 획득하여야 한다. 다른 장소를 ⇒ 토취장을

2 -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2 계약상대자는 토취장을 사용하기 전에 토취장 사용신청서를 감독자에게 3.1.2 계약상대자는 토취장을 사용하기 전에 토취장 사용신청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하며, 토취장 사용신청서에는 토취장의 제출하여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하며, 토취장 사용신청서에는 토취장의 위
위치, 제거하여야 할 표토의 두께, 사용할 재료의 종류, 토질조사 및 시 치· 제거하여야 할 표토의 두께· 사용할 재료의 종류· 토질조사 및 시험
험성과, 흙쌓기 할 장소까지의 평균운반거리 등을 기재하여야 한다. 성과, 흙쌓기 할 장소까지의 평균운반거리 등을 기재하여야 한다.
3.1.3 계약상대자는 승인된 토취장이라도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땅깎기 하 3.1.3 계약상대자는 승인된 토취장이라도 지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땅깎기 하
여서는 안 되며, 원지반의 종․횡단 측량을 실시하고 그 성과를 감독자 여서는 안 되며, 원지반의 종· 횡단 측량을 실시하고 그 성과를 감독자
에게 제출하여 검측을 받은 후에 땅깎기를 하여야 한다. 에게 제출하여 검측을 받은 후에 땅깎기를 하여야 한다.
3.1.4 토취장은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주변 3.1.4 토취장은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주
지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울기로 땅깎기를 하여야 한다. 땅깎기 변 지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울기로 땅깎기를 하여야 한다. 계약상 [수정] : 문장 수정
작업이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정확한 수량측량이 가능하도록 바닥과 비탈 대자는 땅깎기 작업이 완료되면 정확한 수량측량이 가능하도록 바닥과
면을 다듬고 정리하여야 한다. 비탈면을 다듬고 정리하여야 한다.
3.1.5 토취장이나 채석장의 사용이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토취장이나 채석장 3.1.5 계약상대자는 토취장이나 채석장의 사용이 완료되면 토취장이나 채석장
뿐만 아니라 공사 중 점유하였던 주변시설까지도 깨끗이 정리하여야 한 뿐만 아니라 공사 중 점유하였던 주변시설까지도 깨끗이 정리하여야 한
다. 또한 토취장이나 채석장의 개발허가 관청에서 지시한 원상복구 및 다. 또한 토취장이나 채석장의 개발허가관청에서 지시한 원상복구 및 조
조경 등의 의무나, 토취장 땅깎기로 조성된 비탈면의 안정, 운반로로 이 경 등의 의무나, 토취장 땅깎기로 조성된 비탈면의 안정, 운반로로 이용
용한 도로의 보수 및 정비의무 등을 충실히 이행하여 사후 분쟁의 요인 한 도로의 보수 및 정비의무 등을 충실히 이행하여 사후 분쟁의 요인을
을 제거하여야 한다. 최종작업의 완료 후에는 이러한 의무사항을 완료 제거하여야 한다. 최종작업의 완료 후에는 이러한 의무사항을 완료하였
하였다는 증명서를 허가관청에서 발급받아 그 사본을 감독자에게 제출 다는 증명서를 허가관청에서 발급 받아 그 사본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하여야 한다. 야 한다.
3.1.6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가 흙쌓기에 적합하여도 토취장에서 운반하는 3.1.6 현장 내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가 흙쌓기에 적합하여도 토취장에서 운 [수정] : 문구(용어) 조정
것이 경제적 측면이나 시공성 등에서 흙쌓기 작업에 유익하다고 판단되 반하는 것이 경제성이나 시공성 등에서 흙쌓기 작업에 유리하다고 판단
어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되어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절개비탈면 보호 3.2 땅깎기 비탈면 보호

절개비탈면 보호는 이 시방서 제3장에 따른다. 땅깎기 비탈면 보호는 이 시방서 제3장 비탈면 안정공사에 따른다. [수정] : 용어 변경, 장의 명칭을 추가

2 -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3 암깎기 2-4-3 암깎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에 의해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와 시방서 규정에 1.1.1 이 시방은 설계도서에 의하여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와 시방서 규정에 [수정] : 문장조정, 줄임말 수정
부합되도록 암절취공사에 적용한다. 부합되도록 암을 깎는 공사에 적용한다.
1.1.2 암깎기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1.1.2 암깎기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수정] : 용어 변경 및 문구 조정, 띄어쓰기 수정,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 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요청을 하고 발주처의 장이 임명한 자들로 구성된 암판정위원회(이하 요청을 하고 발주청의 장이 임명한 암판정위원회의 공동조사 결과에 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 결과에 의하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야 한다. 하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공사 시행 시 암질 및 절리특성에 따른 공법선정계획서 (1) 공사를 시행할 때 암질 및 불연속면 특성에 따른 공법선정계획서 [수정] 한글로 순화, [자문] 절리특성 ⇒ 불연속면 특성
(2) 작업장에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가축, (2) 작업장에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가축,
양어장 등 피해가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을 때는 진동 및 소 양어장등 피해가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을 때는 진동 및 소음
음 피해방지 계획서 피해 방지 계획서
(3) 비탈면 안정분석 및 대책 검토서 (3) 비탈면 안정 검토서 및 비탈면이 불안정할 때의 대책 검토서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수정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2 -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건설공사의 암깎기는 공법에 따라 파쇄원이 소음, 진동, 비석 등의 환경 3.1.1 건설공사의 암깎기 공법은 파쇄원 영향으로 소음·진동· 비석 등의 환경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수정
공해 및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법 공해 및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공법
을 적용하고 시공 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조정하여 시행할 수 있다. 을 적용하고, 시공을 할 때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조정하여 시행할 수 [수정] 한글로 순화
있다.
3.1.2 비탈면 또는 비탈어깨 부근의 느슨한 암과 나무뿌리, 뜬 흙덩어리 등을 3.1.2 비탈면 또는 비탈면 어깨 부근의 느슨한 암, 나무뿌리, 불안정한 흙덩어 [수정] 자구 수정 : 뜬 ⇒ 불안정한,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리 등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조사 수정
3.1.3 발파를 할 때에는 외부인이나 현장작업원의 안전을 위하여 비산거리 밖 [신설] : 안전사고 대비시설 설치 내용 추가
의 접근로에 경고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2 브레이커공법 3.2 브레이커 공법

3.2.1 브레이커에 의한 파쇄공법은 발파진동이나 비석에 의하여 안전저해가 3.2.1 브레이커에 의한 파쇄공법은 발파진동이나 비석에 의하여 안전이 우려 [수정] : 문구 수정
우려되는 지역, 기존구조물 제거, 소량의 발파암 절취 등에 활용하며, 되는 지역, 기존구조물 제거, 소량의 발파암 절취 등에 활용하며, 시공범
시공범위와 장비의 규격, 사양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위와 장비의 규격· 사양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2.2 브레이커에 의한 파쇄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국내 관련 법규상 3.2.2 브레이커에 의한 파쇄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은 국내 관련 [수정] : 조사 수정, 한글로 순화
규제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법규상의 규제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2.3 기존 도로의 확장 또는 보수공사인 경우에는 브레이커 파쇄에 의해 암 3.2.3 기존 도로의 확장 또는 보수공사인 경우에는 브레이커 파쇄에 의하여 [수정] : 문구 수정
편이 비산되거나, 파쇄된 암석이 굴러 떨어져 차량의 통행에 위험이 있 암편이 비산되거나, 파쇄된 암석이 굴러 떨어져 차량의 통행에 위험을
으므로 안전보호시설 등을 설치한 후 파쇄작업을 하여야 한다. 줄 수 있으므로 안전보호시설 등을 설치한 후 파쇄작업을 하여야 한다.

2-4-4 암발파 2-4-4 암발파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에 의해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와 시방서 규정에 1.1.1 이 시방은 설계도서에 의하여 확정된 선형, 경사, 치수를 기준으로 암을 [수정] : 불필요한 문구 삭제 및 문장 조정

2 -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부합되도록 암발파 공사에 적용한다. 발파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1.2 암발파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1.1.2 암발파 작업 중 또는 완료 후에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지층을 분류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 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필요가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관련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 [수정] : 띄어쓰기 수정
요청을 하고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 결과에 의하여 지층경계선을 확정 요청을 하고, 발주청의 장이 임명한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 결과에 의하 [수정] : 문구(용어) 조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하여야 한다. 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야 한다.
1.1.3 암발파공법은 미진동 굴착공법, 정밀진동제어발파, 진동제어발파, 일반 1.1.3 암발파공법은 미진동굴착공법 정밀진동제어발파 진동제어발파 일반
발파, 대규모 발파로 구분되며, 설계도서에 따라 발파패턴 기준을 정하 발파 대규모발파로 구분되며, 설계도서에 따라 발파패턴 기준을 정하
고, 시험발파를 통하여 적정 발파패턴을 수정․보완․도출한 후 감독자 고, 시험발파를 하여 적정 발파패턴을 수정·보완·도출한 후 감독자의 승 [수정] 자구수정 : 통하여 ⇒ 하여, 한글로 순화
의 승인을 득한 후 공사시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인을 받아 공사시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를 최소화하기 위함.
1.3.2 암발파 적용 시에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암발파를 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 공사시행 시 암발파 패턴에 대한 공법선정과 시험발파 계획서 (1) 공사시행할 때 암발파 패턴에 대한 선정공법과 시험발파 계획서 [수정] : (1)∼(5)를 업무 진행 순서로 나열 순서 변경함, 문구 수정(선정공법)
(2) 발파원으로부터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2) 발파영향권 내의 시설물 사전조사 결과보고서 [수정] 사전조사 계획서 ⇒ 결과보고서
가축, 양어장 등 피해가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을 때는 진동 (3) 발파원으로부터 인접되어 있는 구조물(가옥, 건축물) 및 시설물, 주민,
및 소음피해방지계획서 가축, 양어장 등 피해가 예상되거나 감독자의 요구가 있을 때는 진동
(3) 비탈면 안정분석 검토서 및 소음피해 방지 계획서를 제출
(4) 발파영향권 내의 시설물 사전 조사계획서 (4) 비탈면 안정 검토서 [수정] : 용어수정(비탈면 안정해석 검토서 → 비탈면 안정 검토서)
(5) 발파진동 및 소음 계측계획서 (5) 발파진동 및 소음 계측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2 -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건설공사의 암발파 작업은 파쇄원 영향으로 소음, 진동, 비석 등의 환경 3.1.1 건설공사의 암발파 작업은 파쇄원 영향으로 소음·진동· 비석 등의 환경
공해 및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법 공해 및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공법
을 적용하고 시공 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을 적용하고, 시공할 때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조정하여 시행할 수 있 [수정] :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다.
3.1.2 비탈면 또는 비탈어깨 부근의 느슨한 암과 나무뿌리, 뜬 흙덩어리 등을 3.1.2 비탈면 또는 비탈면 어깨 부근의 느슨한 암과 나무뿌리, 불안정한 흙덩 [수정] 자구 수정 : 뜬 ⇒ 불안정한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어리 등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 조사 수정
3.2 사전조사
[신설] : 발파시 사전조사 실시내용 추가
3.2.1 계약상대자는 설명회 개최가 필요할 때에는 주민들에 대한 홍보를 실시 ※ 노천발파 설계시공지침(건교부, 2006. 12)」(p11)
하고, 발파진동에 따른 피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민들과 충분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설명회 개최 등 ⇒ 설명회 개최가 필요할 때에는
대화를 바탕으로 주민, 시설물 소유자, 감독자 입회하에 사전조사를 실
시하여야 한다.
3.2.2 발파 착수 전 주변 보안물건에 대하여 건물현황과 균열상황을 파악하여
발파진동이 미칠 수 있는 현황을 조사하고, 발파영향권 내에 있는 모든
시설물의 균열상태를 카메라와 비디오로 촬영하여 추후 민원이 발
생하였을 때 피해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확보하여야 한다.
3.2 발파계획 3.3 발파계획

3.2.1 굴착에 앞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현장의 여건에 부합되는 천공장, 천 3.3.1 발파작업에 앞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현장의 여건에 부합되는 천공장, [수정] 한글로 순화
공배치, 화약의 종류, 지발당 허용 장약량 등의 발파패턴과 발파계획을 천공배치, 화약의 종류, 지발당 허용 장약량 등의 발파패턴과 발파계획
세워 정밀한 시공관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을 세워 정밀한 시공관리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2.2 발파작업에 있어서는 암종, 암질, 및 절리의 발달 정도 등에 따라 천공 3.3.2 발파작업에 있어서는 지질, 암의 경연 정도 등 현장의 암반특성과 보안 [자문] : 잘못 표기된 문구 조정
간격, 천공장, 장약량 등의 발파패턴을 조정 검토하여야 하며, 표준발파 물건의 특성에 따라 천공간격, 천공장, 장약량 등의 발파패턴을 조정·
공법 분류는 표 2-2와 같다. 검토하여야 하며, 표준 발파공법 분류는 표 2-4-1과 같다. [수정] : 번호 수정
표 2-2 표준 발파공법 분류 표 2-4-1 표준 발파공법 분류

2 -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TYPE Ⅰ TYPE Ⅱ 진동제어발파 TYPE Ⅴ TYPE Ⅵ TYPE Ⅰ TYPE Ⅱ 진동제어발파 TYPE Ⅴ TYPE Ⅵ
구분 미진동 정밀진동 TYPE Ⅲ TYPE Ⅳ 구분 미진동 정밀진동 TYPE Ⅲ TYPE Ⅳ
굴착공법 제어발파 소규모 중규모 일반발파 대규모발파 굴착공법 제어발파 소규모 중규모 일반발파 대규모발파
공법 개요 보안물건 소량의 폭약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 1공당 최대 발파영향권 공법 개요 보안물건 소량의 폭약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 1공마다 최 발파영향권
주변에서 으로 암반에 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장약량이 내에 보안 주변에서 으로 암반에 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대 장약량이 내에 보안
TYPEⅡ 공법 균열을 발생 “시험발파” 결과에 발파 규제기 물건이 전혀 TYPEⅡ 공법 균열을 발생 “시험발파” 결과에 발파 규제기 물건이 전혀
이내 수준으로 시킨 후, 대형 의해 발파설계를 실시 준을 충족시 존 재 하 지 이내 수준으로 시킨 후, 대형 의하여 발파설계를 실 준을 충족시 존 재 하 지
진동을 저감 브레이커에 하여 규제기준을 준수 킬 수 있을 않는 산간 진동을 저감 브레이커에 시하여 규제기준을 준 킬 수 있을 않는 산간
시킬 수 있는 의한 2차 할 수 있는 공법 만큼 보안물 오지 등에서 시킬 수 있는 의한 2차 파 수할 수 있는 공법 만큼 보안물 오지 등에서
공법으로서 파쇄를 실시 건과 이격된 발파효율 공법으로서 쇄를 실시하 건과 이격된 발파효율
대형 브레이 하는 공법 영역에 대해 만을 고려 대형 브레이 는 공법 영역에 대하 만을 고려
커로 2차 적용하는 하는 공법 커로 2차 파 여 적용하는 하는 공법
파쇄를 실시 공법 쇄를 실시하 공법
하는 공법 는 공법
주 사용 최소단위미만 에멀젼 계열 에멀젼 계 에멀젼 계 에멀젼 계열 주폭약 : 주 사용 최소단위미만 에멀젼 계열 에멀젼 계 에멀젼 계 에멀젼 계열 주폭약 :
폭약 또는 폭약 폭약 열 폭약 열 폭약 폭약 초유 폭약 폭약 또는 폭약 폭약 열 폭약 열 폭약 폭약 초유 폭약
화공품 미진동파쇄기 기폭약 : 화공품 미진동파쇄기 기폭약 :
미진동파쇄약 에멀젼 미진동파쇄약 에멀젼
혼합화약류등 혼합화약류등
지발당 폭약기준 0.125 이상 0.5 이상 1.6 이상 5.0 이상 지발당 폭약기준 0.125 이상 0.5 이상 1.6 이상 5.0 이상
장약량 0.125 미만 0.5 미만 1.6 미만 5.0 미만 15.0 미만 15.0 이상 장약량 0.125 미만 0.5 미만 1.6 미만 5.0 미만 15.0 미만 15.0 이상
범위 범위
천공깊이1) 1.5 2.0 2.7 3.4 5.7 8.7 천공깊이1) 1.5 2.0 2.7 3.4 5.7 8.7
(m) (m)
발파 발파
보호공 필 수 필 수 필 수 불 필 요 불 필 요 불 필 요 보호공 필 수 필 수 필 수 불 필 요 불 필 요 불 필 요
2차파쇄 대형브레이커
적용
대형브레이커 -
적용 - - - 2차파쇄 대형브레이커
적용
대형브레이커 -
적용 - - -
주 1) 천공깊이는 평균적으로 제시한 수치이며, 공사시행 전에는 시험발파에 따라 현장별로 검 주 1) 천공깊이는 평균적으로 제시한 수치이며, 공사시행 전에는 시험발파에 따라 현장별
토․적용 로 검토․적용

3.2.3 발파계획에 있어서는 주변의 환경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고 필요한 경우 3.3.3 발파계획에 있어서는 주변의 환경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 : 절 번호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장 조정함.
에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에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2.4 발파로 인해 노상면의 재료가 이완되었을 때는 승인된 재료로 치환한 후 3.3.4 발파로 인하여 노상면의 재료가 이완되었을 때에는 승인된 재료로 치환
기준에 맞는 다짐을 실시하여야 하며, 허용치를 벗어난 비탈면의 요철은 한 후 기준에 맞는 다짐을 실시하여야 하며, 허용치를 벗어난 비탈면의
발주청과 협의하여 조정․적용한다. 요철은 발주청과 협의한 후 조정하여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 협의하여 ⇒ 협의한 후, 가운데 점 생략
3.2.5 발파는 보안물건별 진동속도 설계적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시행하여 3.3.5 발파는 표 2-4-2의 보안물건별 진동속도 설계적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재수정 [수정] : 표 번호추가
야 한다. 단, 발파소음에 민감한 가축사육시설, 요양원 또는 종교시설 록 시행하여야 한다. 단, 발파소음에 민감한 가축사육시설, 요양원 또는

2 -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등 현장조사결과 설계적용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별도의 설 종교시설 등 현장조사결과 설계적용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계기준을 적용한다. 별도의 진동기준을 적용한다.
표 2-3 보안물건별 진동속도 설계적용기준 표 2-4-2 보안물건별 진동속도 설계적용기준 [수정] : 표 번호를 절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문화재 및 가 옥 가 옥 공업용 철 골 문화재 및 가 옥 가 옥 공업용 철 골
구 분 가축류 등 진동예민 (조적) (RC조) 건 물 구 조 구 분 가축류 등 진동예민 (조적) (RC조) 건 물 구 조
구조물 구조물
발파진동속도 0.1 0.2∼0.3 0.3 0.5 1.0 5.0 발파진동속도 0.1 0.2∼0.3 0.3 0.5 1.0 5.0
(PPV, ㎝/s) (PPV, ㎝/s)
3.3 천공 및 장약 3.4 천공 및 장약

3.3.1 천공과 장약은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발파패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 3.4.1 천공과 장약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발파패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 [수정] 한글로 순화
게 시공하여야 한다. 게 시공하여야 한다.
3.3.2 천공 시에는 폭발된 폭약 유무에 주의하여야 하며, 전회 발파공을 이용 3.4.2 천공을 할 때에는 불발된 잔류 폭약 유무에 주의하여야 하며, 전회 발파 [수정] : 절 번호 수정, 한글로 순화
하여 다시 천공하거나 장전해서는 안 된다. 공을 이용하여 재천공하거나 재장전하여서는 안 된다.
3.4 발 파 3.5 발 파 [수정] : 절 번호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수정, 한글로 순화
3.4.1 발파작업은 발파책임자의 지휘 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발파책임자는 작 3.5.1 발파작업은 발파책임자의 지휘를 받아 시행한다. 발파책임자는 작업원의 [수정] : 절 번호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업원의 대피 및 안전을 확인한 후에 발파하여야 하며, 필요 시 방호대 대피 및 안전을 확인한 후에 발파하여야 하며, 방호대책을 강구하여야 한글로 순화 : 지휘 하에 ⇒ 지휘를 받아
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한다.
3.4.2 발파 후는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발파장소에 접근하여야 한다. 3.5.2 발파 후에는 안전이 확보되는 시간이 경과한 후 발파장소에 접근하여야 [수정] : 절 번호 수정, 모호한 표현 내용 수정
한다.
3.4.3 불발된 잔류폭약의 유무는 필히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 3.5.3 불발된 잔류 폭약의 유무는 반드시 점검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수정] : 절 번호 수정, 우리말로 표현
다. 한다.
3.4.4 매 발파 시에는 발파진동속도에 대한 계측 및 기록이 가능한 측정계기 3.5.4 발파를 할 때 발파진동속도에 대한 계측 및 기록이 가능한 측정계기를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구 수정
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3.4.5 발파장소가 주거지 밀집지역이거나, 기존 구조물, 공공시설물, 도로 등과 3.5.5 발파장소가 주거지 밀집지역이거나 기존 구조물, 공공시설물, 도로 등과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구 수정
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비산에 대한 방호는 물론 기존 구조물 등에 대 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비산에 대한 방호는 물론 기존 구조물 등에 대
한 사전조사를 하여 방호조치를 수립하고 발파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한 사전조사를 하여 방호조치를 한 후 발파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3.4.6 발파로 인하여 인근의 기존 시설물 또는 주민들에게 진동 또는 소음으 3.5.6 발파로 인하여 인근의 기존 시설물 또는 주민들에게 진동 또는 소음으 [수정] : 절 번호 수정, 진동· 소음 감소공법을 시험발파를 통해 선정하도록
로 인한 피해와 이로 인한 민원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진동 로 인한 피해와 이로 인한 민원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시험발파를 명시,

2 -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소음 감소공법을 적용하도록 검토하여 발주청의 승인을 얻은 후 시험발 하여 적절한 진동 소음 감소공법을 검토하고, 발주청의 승인을 받은 후 [수정] 자구 수정 : 얻은 후 ⇒ 받은 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파를 통해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설계 변경하여야 한다.
3.4.7 발파기의 최대전류는 발파 뇌관수에 충분토록 하고 사전 점검을 하여야 3.5.7 발파기의 최대전류는 발파 뇌관 수에 맞게 적합하여야 하고, 사전 점검 [수정]: 절 번호 수정, 정확한 의미전달위한 문구 조정,
한다. 을 하여야 한다. 충분의 의미 불명확, 문구 수정
3.4.8 용수발생 구간의 발파에는 화약류에 대한 방수조치를 하고 누전으로 인 3.5.8 용수발생 구간의 발파에는 화약류에 대한 방수조치를 하고 누전으로 인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구 조정, 줄임말 수정
해 불발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하여 불발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발파하여야 한다.
3.4.9 강우, 낙뢰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전기 뇌관에 의한 작업을 중지하고 3.5.9 강우, 낙뢰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전기뇌관에 의한 작업을 중지하고, 이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장 조정, 띄어쓰기 수정
이미 설치된 장약은 즉시 발파하고 나머지 화약류는 관할 경찰관청의 미 설치된 장약은 즉시 발파하여야 한다. 나머지 화약류는 관할 경찰관청
보고 및 지시에 따라 화약취급소에 안전하게 입고시켜야 한다. 의 지시에 따라 화약취급소에 안전하게 입고시켜야 한다.
3.5 발파영향 규제 및 계측관리 3.6 발파영향 규제 및 계측관리

3.5.1 발파는 인접구조물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각 보 3.6.1 발파를 할 때에는 인접 구조물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수정] 절 번호 수정, 문맥에 맞도록 문장 수정, 한글로 순화
안물건의 발파진동과 폭발음의 허용기준은 설계 적용기준에 의거 설정 한다. 각 보안물건의 발파진동과 폭발음의 허용기준은 설계 적용기준에
하여야 하며, 시공 시에 규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의거 설정하여야 하며, 발파를 할 때 규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5.2 발파소음 및 진동의 계측관리 3.6.2 발파소음 및 진동의 계측관리
(1) 발파원 주변의 지장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계측관리를 하고자 할 때 (1) 발파원 주변의 지장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계측관리를 하고자 할 때
에는 동일 지발당 허용 장약량이라 하더라도 작업조건에 따라 자유면 에는 동일 지발당 허용 장약량이라 하더라도 작업조건에 따라 자유면의
의 수, 천공 및 장약의 정확성, 발파패턴 등에 따라 진동치는 큰 폭으로 수, 천공 및 장약의 정확성, 발파패턴 등에 따라 진동치는 큰 폭으로 증
증감되므로 세심하게 발파작업을 시행하도록 관리를 철저히 시행하여 감되므로 세심하게 발파작업을 시행하도록 관리를 철저히 시행하여야
야 한다. 한다.
(2) 진동 및 소음의 계측은 매 발파 시 마다 실시하도록 하고, 발파음은 (2) 진동 및 소음의 계측은 발파를 할 때마다 실시하도록 하고, 발파음은 [수정] : 한글로 순화, 기호표기 수정
가급적 음압레벨(dBL)과 소음레벨(dBA)을 함께 측정하도록 한다. 가급적 음압레벨{dB(L)}과 소음레벨{dB(A)}을 함께 측정하도록 한다.
(3) 발파로 인한 소음으로 민원이 예상되는 지역은 소음 저감시설을 설치 (3) 발파로 인한 소음으로 민원이 예상되는 지역은 소음저감시설을 설치하
하여 소음의 수준을 경감시킨다. 여 소음의 수준을 경감시킨다.
(4) 발파음은 발파진동과는 달리 지형, 풍향, 기온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4) 발파음은 발파진동과는 달리 지형 풍향 기온 등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
반응하므로 사전에 충분히 고려하여 계측작업을 실시하고, 측정된 계측 응하므로 사전에 고려하여 계측작업을 실시하고, 측정된 계측자료는 발 [수정] 충분의 의미 불명확, 삭제하여도 의미전달 가능
자료는 발파횟수별 발파시간과 일자별로 기록․정리하여 보관한다. 파횟수별 발파시간과 일자별로 기록 정리하여 보관한다.
(5) 발파를 할 때 진동 속도 및 소음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안물건에 [신설] : 필요시 발파 진동 및 소음에 대한 계측시행 내용 추가
서 계측을 수행하여야 한다.

2 -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 시험발파 시행방법
3.7 시험발파 시행방법

3.6.1 시험발파의 목적은 발파에 의해 발생되는 지반진동의 수준은 지질 및 3.7.1 시험발파의 목적은 발파에 의하여 발생되는 지반진동의 수준이 지질 및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구 수정, 줄임말 수정
암반의 강도, 발파방법, 화약의 종류, 기폭방법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 암반의 강도, 발파방법, 화약의 종류, 기폭방법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므
므로 암깎기부의 현지 암반을 대상으로 장약량과 천공규모를 달리하여 로 암깎기부의 현지 암반을 대상으로 장약량과 천공규모를 다르게 하여
발파를 시행함으로써 파쇄효과 및 공해발생정도(지반진동, 소음, 비산 시험발파를 시행함으로써 파쇄효과 및 공해발생정도(지반진동, 소음, 비
등)를 분석하여 안전한 발파패턴을 계획하는데 있다. 산 등)를 분석하여 안전한 발파패턴을 계획하는데 있다.
3.6.2 시험발파는 발파공사에 대한 중요도 및 위험요인을 감안하여 엔지니어 3.7.2 시험발파는 발파공사의 중요도 및 위험요인을 감안하여 엔지니어링 기
링 기술진흥법에 의한 용역업체(화약류관리) 또는 기술사법에 의한 화 술진흥법에 의한 용역업체 또는 기술사법에 의한 화약류관리 기술사사 [수정] : 용역업체(화약류관리)→용역업체
약류관리 기술사사무소에 의뢰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무소에 의뢰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6.3 시험발파 적용 발파패턴은 천공 및 장약량을 각기 달리하여 다양하게 3.7.3 시험발파 적용 발파패턴은 천공 및 장약량을 각기 다르게 하여 다양하 [수정] : 절 번호 수정, 문구 수정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단일 발파패턴을 적용할 경우에는 계측거 게 실시하는 것으로 하되, 단일 발파패턴을 적용할 경우에는 계측거리를
리를 달리하여 다양한 “환산거리(scaled distance)"를 획득할 수 있도록 다르게 하여 다양한 “환산거리(scaled distance)”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고
고려하여야 한다. 려하여야 한다.
3.6.4 시험발파 시에는 최소한 30측점 이상의 계측자료를 획득할 수 있도록 3.7.4 시험발파를 할 때에는 최소한 30측점 이상의 계측자료를 확보할 수 있 [수정] 한글화, 문구 수정
발파회수 및 계측기 동원 대수를 사전에 고려하여야 한다. 도록 발파횟수 및 계측기의 동원 대수를 사전에 고려하여야 한다.
3.6.5 계측된 자료는 “회귀분석”기법에 의해 통계처리를 하여야 하며, 이때 3.7.5 계측된 자료는 “회귀분석”기법에 의하여 통계처리를 하여야 하며, 이때 [수정] 줄임말 수정
입력되는 자료는 “각 성분의 최대진동속도(P.P.V: peak particle 입력되는 자료는 “각 성분의 최대진동속도(PPV:peak particle velocity)”
velocity)”를 기준으로 한다. 를 기준으로 한다.
3.6.6 시험발파 시 계측결과가 허용 진동치를 상회할 때에는 발파진동 경감을 3.7.6 시험발파를 할 때 계측결과가 허용 진동치를 상회할 때에는 발파진동 [수정] 한글로 순화, 줄임말, 용어 수정
위해 별도의 저감대책을 수립하여 발주청에 서면으로 제출한 후 감독자 경감을 위하여 별도의 대책을 수립하여 발주청에 서면으로 제출한 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발주청으로 재수정
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3.6.7 계측결과 추정식의 상관계수가 0.7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험발파 3.7.7 계측결과 추정식의 상관계수가 0.7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험발파
를 다시 실시하여야 한다. 를 다시 실시하여야 한다.
3.6.8 경감대책으로 천공장, 천공간격, 공당장약량 및 지발당 장약량 등의 발 3.7.8 경감대책으로 천공장, 천공간격, 공당 장약량 및 지발당 장약량 등의 발
파방법 변경 및 진동 전파경로의 차단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진동치가 파방법 변경이나 진동 전파경로의 차단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진동치가
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6.9 시험발파 시의 결과분석은 진동 및 소음의 측정뿐만 아니라 파쇄암의 3.7.9 시험발파를 할 때의 결과분석은 진동 및 소음의 측정뿐만 아니라 파쇄 [수정] 한글로 순화
집적상태 및 크기, 비산석 상황, 굴착률, 대괴 발생량 등을 면밀히 관찰 암의 집적상태 및 크기 비산석 상황 굴착률 대괴 발생량 등을 면밀히

2 -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및 기록하여 발주청에 보고하되 필요 시 보완 및 개선사항에 대한 대책 관찰 및 기록하여 발주청에 보고하되, 필요할 때에는 보완 및 개선사항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재수정
을 강구하여 시험발파 결과보고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 시험발파 결과보고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3.6.10 시험발파결과보고서에는 현장의 발파진동 추정식과 보안물건과의 이격 3.7.10 시험발파 결과보고서에는 현장의 발파진동 추정식과 보안물건과의 이격
거리별 발파적용 패턴 및 기술시방 사항이 명시되어야 한다. 거리별 발파적용 패턴 및 기술시방 사항이 명시되어야 한다.
3.7 미진동 굴착공법 3.8 미진동 굴착공법

3.7.1 미진동 굴착공법은 보안물건 주변에서 TYPE Ⅱ 공법 이내 수준으로 진 3.8.1 미진동 굴착공법은 보안물건 주변에서 TypeⅡ 공법 이내 수준으로 진동 [수정] : 대문자 ⇒ 소문자
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법들을 통칭하는 공법이다. 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법들을 통칭하는 공법이다.
3.7.2 최소단위미만의 폭약이나 미진동파쇄기 또는 미진동파쇄약, 혼합화약류 3.8.2 최소단위미만의 폭약이나 미진동파쇄기 또는 미진동 파쇄약, 혼합 화약
등을 사용하는 발파공법과 대형 브레이커, 유압식 할암공법 또는 비폭 류 등을 사용하는 발파공법과 대형 브레이커, 유압식 할암공법 또는 비
성 파쇄제 등의 굴착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폭성 파쇄제 등의 굴착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3.7.3 미진동 굴착공법은 천공장, 최소저항선, 공간격, 장약량을 설계도서에 3.8.3 미진동 굴착공법은 천공장, 최소저항선, 공간격, 장약량을 설계도서에 준
준하여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택하여 발 하여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가장 합리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여 발 [수정] 자구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재수정
주청의 승인을 받아서 시행하여야 한다. 주청의 승인을 받아서 시행하여야 한다.
3.7.4 미진동 굴착공법은 일반 발파와는 진동의 발생 기구가 다르므로 진동수 3.8.4 미진동 굴착공법은 일반 발파와는 진동의 발생기구가 다르므로 진동수 [수정] : 띄어쓰기 수정
준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한 시험 발파가 수행되어야 하고 계측관리가 준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한 시험발파가 수행되어야 하고 계측관리가 [수정] : 띄어쓰기 수정
필수적이고, 천공장이 짧아서 폭음이나 공발현상도 우려되므로 발파덮 필수적이며, 천공장이 짧아서 폭음이나 공발현상도 우려되므로 발파덮개
개 등의 보호공이 필수적이다. 등의 보호공이 필수적이다.
3.8 정밀진동제어 발파공법 3.9 정밀진동제어발파공법

3.8.1 정밀진동제어발파는 최소포장단위 이상 0.5 ㎏ 미만의 소량의 폭약으로 3.9.1 정밀진동제어발파는 최소포장단위 이상 0.5 ㎏ 미만의 소량의 폭약으로
발파하여 암반에 균열을 발생시킨 후, 대형 브레이커로 2차 파쇄를 실 발파하여 암반에 균열을 발생시킨 후, 대형 브레이커로 2차 파쇄를 실시
시하는 공법으로 암반굴착지역이 주택지 등 보안물건이 근접하여 있는 하는 공법으로 암반굴착지역이 주택지 등 보안물건이 근접하여 있는 경
경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3.8.2 정밀진동제어발파는 대형브레이커를 적용하며, 이 때 화약에 의한 1차 3.9.2 정밀진동제어발파는 대형브레이커를 적용하며, 이 때 화약에 의한 1차
파쇄 및 균열 발생과 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쇄 작업을 70: 30으로 적 파쇄 및 균열발생과 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쇄 작업을 70 :30으로 적용 [수정] : 띄어쓰기 수정
용한다. 한다.
3.8.3 정밀진동제어발파는 화약류의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조절하여 3.9.3 정밀진동제어발파는 약장약에 의한 폭음의 발생이 우려되며, 또한 불완 [수정] : 절 번호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비장약량이 0.3 ㎏/㎥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발파 에너지의 대부분이 전 발파로 인하여 예기하지 못한 진동의 발생도 가능하므로 계측과 발

2 -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파쇄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약장약에 의한 폭음의 발생이 우려된다. 또 파 보호공이 필수적이다.
불완전발파로서 예기하지 못한 진동의 발생도 가능하므로 계측과 발파
보호공이 필수적이다.
3.9 진동제어 발파공법 3.10 진동제어발파공법 [수정] : 절 번호 수정
3.9.1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시험발파 결과에 의해 발파 3.10.1 진동제어발파는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물건이 존재하는 경우 시험발파 [수정] 주어 추가, 줄임말 수정
설계를 실시하여 규제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공법이며, 소규모 진동제 결과에 의하여 발파설계를 실시하여 규제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공법
어발파는 0.5 ㎏ 이상 1.6㎏ 미만의 폭약을 사용하고, 중규모 진동제어 이며, 소규모 진동제어발파는 0.5 ㎏ 이상 1.6 ㎏ 미만의 폭약을 사용하
발파는 1.6 ㎏ 이상 5 ㎏ 미만의 폭약을 사용한다. 고, 중규모 진동제어발파는 1.6 ㎏ 이상 5 ㎏ 미만의 폭약을 사용한다.
3.9.2 공기 압축기식 또는 유압식 크롤러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는데 직경 3.10.2 공기 압축기식 또는 유압식 크롤러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할 때에는 직 [수정] 단위 표기방법 수정, 자구 수정 : 천공하는데⇒ 천공할 때에는
51∼76㎜공을 표준으로 적용한다. 경 51 mm ∼ 76 mm 공을 표준으로 적용한다.
3.9.3 진동제어 발파는 폭약에 의한 파쇄와 균열의 발생을 유도하는 공법으로 3.10.3 진동제어 발파는 폭약에 의한 파쇄와 균열의 발생을 유도하는 공법으
계측관리와 발파 보호공도 필수적이며, 대형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쇄 로 계측관리와 발파 보호공도 필수적이며, 대형 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
는 필요하지 않다. 쇄는 필요하지 않다.
3.10 일반 발파 3.11 일반발파공법 [수정] : 절 제목, 번호 수정
3.10.1 일반발파 적용범위는 보안물건에 대한 소음․진동 기준치, 이격거리 3.11.1 일반발파 적용범위는 보안물건에 대한 소음 진동 기준치, 이격거리 기
기준에 따라서 적용한다. 준에 따라서 적용한다.
3.10.2 공당 최대 장약량이 발파 규제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보안물건 3.11.2 공당 최대 장약량이 발파규제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보안물건
과 이격된 영역에 대해 적용하는 공법이며, 화약류에 의한 발파 파쇄 과 이격된 영역에 대하여 적용하는 공법이며, 화약류에 의한 발파 파쇄
의 효과가 충실히 나타나는 효율적인 발파공법이다. 의 효과가 충실히 나타나는 발파공법이다. [수정] 자구 삭제
3.10.3 설계는 에멀젼 계열 폭약을 기준으로 하며 장약량의 범위는 5㎏ 이상 3.11.3 설계는 에멀젼 계열 폭약을 기준으로 하며, 장약량의 범위는 5 ㎏ 이상
15㎏ 미만이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감안하여 표준패턴 장약량은 7.5 15 ㎏ 미만이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감안하여 표준패턴 장약량은 7.5
㎏이다. ㎏이다.
3.10.4 계측은 선택적이나 가급적 실시하는 것이 유익하고, 계단고가 높아서 3.11.4 계측은 선택적이나 가급적 실시하는 것이 유익하고, 벤치고가 높아서 [수정] : 절 번호 수정, 용어 수정 - 3.12.3과 용어 통일
발파보호공은 실시하기가 어려우나, 공발현상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발파보호공은 실시하기가 어려우나 공발현상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덮개를 실시할 수 있다. 덮개를 실시할 수 있다.
3.11 대규모 발파 3.12 대규모 발파

2 -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1.1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물건이 존재하지 않는 산간 오지나 토취장 등에 3.12.1 발파영향권 내에 보안물건이 존재하지 않는 산간 오지나 토취장 등에
서 발파효율 만을 고려하는 공법이며, 초유폭약(ANFO)을 주 폭약으 서 발파효율만을 고려하는 공법이며, 초유 폭약(ANFO)을 주폭약으로
로 하고 기폭약은 에멀젼 폭약을 기준폭약으로 하나, 용수개소에서는 하고, 기폭약은 에멀젼 폭약을 기준폭약으로 하나, 용수가 발생하는 곳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곳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수 있다. 에서는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수 있다.
3.11.2 초유폭약은 저 비중 폭약이므로 공경은 큰 쪽이 유리하므로 ϕ76 ㎜ 이 3.12.2 초유 폭약은 저 비중 폭약이므로 공경을 ϕ76 mm 이상으로 한다. [수정] : 절 번호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상으로 한다.
3.11.3 대규모 발파는 비교적 전색장이 길어 파쇄와 함께 대괴의 발생 가능성 3.12.3 대규모 발파는 비교적 전색장이 길어 파쇄와 함께 대괴의 발생 가능성
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 계측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며, 벤 이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 계측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며, 벤
치고가 높아서 발파보호공도 적용할 수 없다. 치고가 높아서 발파보호공도 적용할 수 없다.

2-4-5 사 토 2-4-5 사토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공사장내의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를 흙쌓기 및 기타 공사 이 시방은 공사장 내의 땅깎기에서 발생한 재료를 흙쌓기 및 기타 공사에
에 사용하고도 남거나 그 재료의 성질이 흙쌓기 및 기타 공사에 부적합할 사용하고도 남거나 그 재료의 성질이 흙쌓기 및 기타 공사에 부적합할 경
경우 일정한 장소에 사토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우 일정한 장소에 사토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2 -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사토장 토지소유권자의 서면동의서 (1) 사토장 토지소유권자의 서면동의서
(2) 사토장, 운반로 등에 대한 발주처가 요구하는 의무사항(복구, 보수 등) (2) 사토장, 운반로 등에 대한 발주청이 요구하는 의무사항(복구, 보수 등)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완료 증명서 완료 증명서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땅깎기 작업에서 발생한 재료 중 흙쌓기에 부적합하거나 유용하고 남은 3.1.1 땅깎기 작업에서 발생한 재료 중 흙쌓기에 부적합하거나 유용하고 남은
재료는 설계도서에 따라 사토 처리하여야 한다. 재료는 설계도서에 따라 사토 처리하거나 발생한 토석현황을 토석정보 [수정] : 토석정보공유시스템 활용 방침 반영
공유시스템에 입력하여 토석자원이 인근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운영요령 통보(국토부, 2005.5.11)」
야 한다. [관계기관의견 반영] 토석 자원 ⇒ 토석자원, 띄어쓰기 수정
3.1.2 지정된 사토장의 위치를 변경코자 할 때에는 사토운반 시작 전에 발주 3.1.2 사토장은 설계된 위치로 선정하여야 하며, 지정된 사토장의 위치를 변경 [수정] : 문장 조정
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고자 할 때에는 사토운반 시작 전에 발주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3.1.3 사토작업 중은 물론 사토작업 완료 후에도 항상 작업장내의 배수가 원 3.1.3 사토작업 중은 물론 사토작업 완료 후에도 항상 작업장 내의 배수가 원
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잘 정리하여야 한다. 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잘 정리하여야 한다.
3.1.4 사토작업이 완료된 구간의 비탈면은 잘 다듬고 적절한 보호공을 설치하 3.1.4 사토작업이 완료된 구간의 비탈면은 잘 다듬고, 적절한 보호공을 설치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3.1.5 사토장의 토사 유출, 붕괴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상의 피해 3.1.5 사토장의 토사 유출, 붕괴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환경 [수정] : 자구 추가 - “사회환경상의”
를 초래하였을 경우에는 계약당사자의 부담으로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상의 피해를 초래하였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원상 복구하
여야 한다.

2 -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 흙 쌓 기 2-5 흙쌓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 땅깎기, 토취장 깎기, 구조물 터파기, 터널굴착 등에서 이 시방은 도로 땅깎기, 토취장 땅깎기, 구조물 터파기, 터널 굴착 등에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문구 수정
발생한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선형, 기울기, 높이에 일치되도 발생한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도서에 제시된 선형, 기울기, 높이에 일치되
록 노체부와 노상부를 완성시키기 위하여 흙쌓기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도록 노체부와 노상부를 완성시키기 위하여 흙쌓기 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 참조 필요한 시험방법 추가(KS F 2311, KS F 2502, KS F 2503,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01 흙의 입도 시험 및 물리 시험용 시료 조제 방법 KS F 2504)
KS F 2301 흙의 입도 시험 및 물리 시험용 시료 조제 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 한계·소성 한계 시험 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 한계․소성 한계 시험 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KS F 2308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08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09 흙의 씻기 시험 방법
KS F 2309 흙의 씻기 시험 방법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KS F 2324 흙의 공학적 분류 방법 KS F 2324 흙의 공학적 분류 방법
KS F 2502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KS F 2503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KS F 2504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를 최소화하기 위함.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토공 다짐 시험 계획서 (1) 토공 다짐 시험 계획서

2 -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 품질기준 2.1 재료 품질기준

2.1.1 흙쌓기 재료의 품질기준은 표2-2와 같다. 2.1.1 흙쌓기 재료의 품질기준은 표 2-5-1과 같다. [수정] 표 번호를 절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2.1.2 흙쌓기 재료에는 초목, 그루터기, 덤불, 나무뿌리, 쓰레기, 유기질토 등 2.1.2 흙쌓기 재료에는 초목, 그루터기, 덤불, 나무뿌리, 쓰레기, 유기질토 등의 [수정] : 불필요하게 중복된 내용 삭제
의 유해물질이 함유되지 않아야 하며, 2.1.1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유해물질이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2.1.3 액성한계 50 % 이상 되는 재료, 건조밀도 1.5t/㎥ 이하인 재료, 간극율 2.1.3 액성한계 50 % 이상 되는 재료, 건조밀도 14.71 kN/㎥ 이하인 재료, 간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이 42%이상 소성한계가 25 % 이상인 흙은 쌓기 재료로 사용할 수 없 극률이 42 % 이상, 소성한계가 25 % 이상인 흙은 흙쌓기 재료로 사용 [수정] : SI 단위계로 변경,
다. 할 수 없다.
2.1.4 암버력을 흙쌓기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노체 완성면 600 ㎜이하 부분 2.1.4 암버력을 흙쌓기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노체 완성면 600 mm 이하 부 [수정] : 문구 수정,
에서만 사용하여야 한다. 분 하부까지 사용 가능하며, 양호한 입도분포(well graded)상태를 가져
야 한다.
2.1.5 풍화암이나 이암, 셰일, 사암, 천매암, 편암 등 암석의 역학적 특성에 의 [이동] : 3.9.2 내용이 재료에 관련된 내용이므로 2.1.5로 이동시킴
하여 쉽게 부서지거나 수침이 반복될 때 연약해지는 암버력의 최대 치
수는 300 mm 이하로 한다.
2.1.5 동결된 재료는 흙쌓기에 사용할 수 없다. 2.1.6 동결된 재료는 흙쌓기에 사용할 수 없다.
[수정] - 표 번호에 절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표 2-4 흙쌓기 재료의 품질기준 표 2-5-1 흙쌓기 재료의 품질기준 - 다짐 후의 건조밀도는 2.1.3과 중복되므로 삭제함
공 종 노 체 노 상 비 고 공종 노 체 노 상 비 고
규격기준 규격기준
최 대 치 수 (㎜) 300 이하 100 이하 - 최 대 치 수 (mm) 300 이하 100 이하 -
수정 CBR (시방다짐) 2.5 이상 10 이상 KS F 2320 수정 CBR (시방다짐) 2.5 이상 10 이상 KS F 2320
5 ㎜ 체 통과율 (%) - 25 ∼ 100 KS F 2302 5 mm체 통과율 (%) - 25 ∼ 100 KS F 2302
0.08 ㎜체 통과율(%) - 0 ∼ 25 KS F 2302, KS F 2309 0.08 mm체 통과율(%) - 0 ∼ 25 KS F 2302, KS F 2309
소 성 지 수 - 10 이하 KS F 2303 소 성 지 수 - 10 이하 KS F 2303
다짐 후의 건조밀도 1.5t/㎥이상 - KS F 2312
비고) 노체부분의 최대치수가 150 ㎜이상인 암버력을 흙쌓기할 경우에는“3.9 암쌓기”에 따
[삭제] 표 비고 내용 근거 불분명
른다.

2 -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흙쌓기 구간에 대한 수직규준틀, 수평규준틀, 준비배수, 벌개제근, 표토 3.1.1 흙쌓기 작업은 흙쌓기 구간에 대한 규준틀, 준비배수, 벌개제근, 표토제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장 조정
제거, 구조물 및 지장물 철거 등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흙쌓기 작업 거, 구조물 및 지장물 철거 등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시행하여야 한
을 하여야 한다. 다.
3.1.2 수중이나 저습지 등 불안정한 지반에 흙쌓기를 할 경우 연약지반 처리 3.1.2 수중이나 저습지 등 불안정한 지반에 흙쌓기를 할 경우 연약지반 처리공
공법이 설계되어 있는 구간은 설계도서 기준에 따라 연약지반 개량공사 법이 설계되어 있는 구간은 설계도서 기준에 따라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를 실시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연약지반 처리공법이 설계되어 있지 않 실시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연약지반 처리공법이 설계되어 있지 않은
은 깊이가 얕은 저습지의 경우에는 고수위까지 치환 또는 입상재료나 깊이가 얕은 저습지의 경우에는 습지 내 최고수위까지 치환하거나 입상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조정함.
대소입자가 골고루 혼합된 암버력 등을 사용하여 유실, 장기적인 침하, 재료 또는 대소입자가 골고루 혼합된 암버력 등을 사용하여 유실, 장기
모관상승 방지 및 지반안정이 가능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적인 침하, 모관상승 방지 및 지반안정이 가능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1.3 흙쌓기할 원지반은 최소 150 ㎜ 깊이까지 흙을 긁어 일으킨 후 소요밀 3.1.3 흙쌓기 할 원지반은 최소 150 mm 깊이까지 흙을 긁어 일으킨 후 적정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조정함.
도를 얻을 때까지 다짐을 하여야 한다. 다짐밀도를 얻을 때까지 다짐을 하여야 한다.
3.1.4 동결된 원지반 위에 흙쌓기를 할 수 없다. 다만, 동결깊이가 75㎜ 이내 3.1.4 동결된 원지반 위에는 흙쌓기를 할 수 없다. 다만, 동결깊이가 75 mm
인 경우에는 동결층을 완전히 제거한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시공하 이내인 경우에는 동결층을 완전히 제거한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시
여야 한다. 공할 수 있다.
3.1.5 모든 평면곡선부는 설계도서에 따라 편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3.1.5 모든 평면곡선부는 설계도서에 따라 편경사를 설치하여야 한다.
3.2 층 따 기 3.2 층따기

3.2.1 비탈면의 기울기가 1:4 보다 급한 기울기를 가진 지반 위에 흙쌓기를 3.2.1 비탈면의 기울기가 1: 4 보다 급한 기울기를 가진 지반 위에 흙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원지반 표면에 층따기를 실시하여 흙쌓기부와 원지반의 하는 경우에는 원지반 표면에 층따기를 실시하여 흙쌓기부와 원지반사
밀착을 도모하고 지반의 변형과 활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의 밀착을 도모하고 지반의 변형과 활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3.2.2 기존도로의 확장을 위하여 기존도로에 접속시키는 흙쌓기를 하는 경우 3.2.2 기존도로의 확장을 위하여 기존도로에 접속시키는 흙쌓기를 하는 경우
에는 층따기를 하여야 한다. 에도 층따기를 하여야 한다.
3.2.3 비탈면 위에 흙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물이 흙쌓기부와 기초지반 사이를 3.2.3 비탈면 위에 흙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물이 흙쌓기부와 기초지반 사이를
침투하여 활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층 또는 배수구를 침투하여 활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층 또는 배수구를
설치하며, 기초지반에 용수가 있는 경우 또는 시공 중 용수는 없으나 설치하며, 기초지반에 용수가 있는 경우 또는 시공 중 용수는 없으나 우 [수정] 자구 수정

2 -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우기 시 용수발생이 예상되는 부위에는 원지반과 접한 흙쌓기 부분에 기에 용수발생이 예상되는 부위에는 원지반과 접한 흙쌓기 부분에 배수
배수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층을 설치하여야 한다.
3.2.4 층따기는 설계도서에 명시되어 있는 높이와 폭으로 하고 현지 지형에 3.2.4 층따기는 설계도서에 명기되어 있는 높이와 폭으로 하고, 현지 지형에 [수정] : 사전적 의미에 따라 수정
맞게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맞게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3.3 횡방향의 흙쌓기 땅깎기 접속부 (편절․편성부) 3.3 횡방향의 흙쌓기 땅깎기 접속부 (한쪽깎기 한쪽쌓기) [수정] : 용어 수정 (편절·편성부)→(한쪽깎기․한쪽쌓기)
3.3.1 동일한 횡단면도 내에서 한쪽은 흙쌓기, 한쪽은 땅깎기를 하여야 할 경 3.3.1 동일한 횡단면 내에서 한쪽은 흙쌓기, 한쪽은 땅깎기를 하여야 할 경우
우에는 양측의 지지력 차이로 인해 부등침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에는 양측의 지내력 차이로 인하여 부등침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수정] : 용어 수정
접속부는 이 절 3.2에 의한 층따기를 실시하고, 흙쌓기 노체 마무리 면 횡방향의 접속부는 이 절 3.2에 의한 층따기를 실시하고, 흙쌓기 노체 - 내용상 지지력→지내력, 접속부→횡방향 접속부
과 땅깎기부에 접하는 내측으로 노상 마무리면 까지 1:4 정도의 기울기 마무리 면과 땅깎기부에 접하는 내측으로 노상 마무리 면까지 1: 4 정도
로 완화구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의 기울기로 완화구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3.3.2 땅깎기부에서 용출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흙쌓기부의 접착이 불충분하 3.3.2 접속부의 땅깎기부에서 용출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흙쌓기부의 접착이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 위하여 자구 수정
기 쉬우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배수층 또는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불량하게 되기 쉬우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배수층 또는 배수구를 설치하
여야 한다.
3.3.3 경계구간의 접속부는 암버력 쌓기를 해서는 안 된다. 3.3.3 횡방향의 접속부는 암버력 쌓기를 해서는 안 된다.
3.4 종방향의 흙쌓기․땅깎기 접속부 (절․성 경계부) 3.4 종방향의 흙쌓기 땅깎기 접속부(쌓기 깎기 경계부) [수정] : 용어 수정 (절·성 경계부)→(쌓기․깎기 경계부)
3.4.1 횡방향의 접속부와 마찬가지로 절․성 경계부에는 부등침하가 발생하기 3.4.1 횡방향의 접속부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의 접속부에는 부등침하가 발생하
쉬우므로 땅깎기 끝부분에는 흙쌓기부 노상저면까지 깎기하여 완만한 기 쉬우므로 땅깎기 끝부분에는 흙쌓기부 노상 저면까지 땅깎기를 하여 [수정] : 용어 수정, 깎기 ⇒ 땅깎기로 수정
기울기로 땅깎기부 노상저면에 접속시켜야 한다. 이때 접속 구간장은 완만한 기울기로 땅깎기부 노상 마무리면에 접속시켜야 한다. 이 때 접
설계도서에 따르며, 땅깎기부는 흙쌓기부의 노상과 같은 재료로 되메우 속 구간장은 설계도서에 따르며, 땅깎기부는 흙쌓기부의 노상과 같은 재
고 소정의 다짐도로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료로 되메우고, 규정된 다짐도로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소정의 ⇒ 규정된
3.4.2 종방향의 접속부는 지표수, 침투수 등이 집중하기 쉽고 기초지반과 흙 3.4.2 종방향의 접속부는 지표수 침투수 등이 집중되기 쉽고, 기초지반과 흙쌓 [수정] 자구 수정 : 집중하기 ⇒ 집중되기, 동격내용 가운데 점 사용
쌓기부의 접착이 불충분하게 되기 쉬우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층따기를 기부의 접착이 불량하게 되기 쉬우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층따기를 하여
하여야 한다. 야 한다.
3.4.3 경계구간 접속부는 암버력 쌓기를 하여서는 안 된다. 3.4.3 종방향 접속부는 암버력 쌓기를 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위한 문구 수정

3.5 펴 깔 기 3.5 펴 깔 기

2 -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1 흙쌓기 재료의 1층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표 2-5와 같이 시공될 수 있 3.5.1 흙쌓기 재료의 1층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표 2-5-2와 같이 시공될 수
도록 펴 깔은 후 다짐을 하여야 한다. 1층 펴 깔기 두께는 시험시공을 있도록 펴 깔은 후 다짐을 하여야 한다. 1층 펴 깔기 두께는 시험시공을
통해 결정한다. 하여 결정한다. [수정] 자구수정 : 통하여 ⇒ 하여
표 2-5 다짐완료 후 1층 두께 표 2-5-2 다짐 완료 후 1층 두께 - 표 번호를 절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구 분 노 체 노상 비 고 구 분 노 체 노 상 비 고
다짐 후 1층 두께(㎜) 300 200 다짐 후 1층 두께(mm) 300 200
3.5.2 흙쌓기 작업에 사용하는 장비들은 공사착공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3.5.2 흙쌓기 작업에 사용하는 장비는 공사착공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후 사용하여야 한다.
3.5.3 흙쌓기 작업 시에는 다짐이 용이하도록 흙을 평평하게 펴 고르기를 하 3.5.3 흙쌓기 작업을 할 때에는 다짐이 용이하도록 흙을 평평하고 넓게 펴 고 [수정] :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여야 한다. 르기를 하여야 한다.
3.5.4 흙쌓기 작업 시에는 1층에 종류가 다른 재료를 무계획적으로 펴 까는 3.5.4 흙쌓기 작업을 할 때에는 1층에 종류가 다른 재료를 무계획적으로 펴 [수정] :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혼합재료를 펴 깔 때는 이 절 3.11에 따른다. 까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혼합재료를 펴 깔 때는 이 절 3.11에 따
른다.

3.6 시공 중 배수 3.6 시공 중 배수

3.6.1 흙쌓기 작업 중 계약상대자는 항상 배수에 유의하여 표면에 물이 고이 3.6.1 흙쌓기 작업 중 계약상대자는 항상 배수에 유의하여 표면에 물이 고이
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흙쌓기 내부로 유입하는 외부 유입수에 대해서 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외부 표면수와 용출수가 흙쌓기 내부로 유입되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장 및 용어 조정함.
는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3.6.2 일일 작업 종료시 또는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흙쌓기 다짐면을 4 3.6.2 일일 작업을 종료할 때 또는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흙쌓기 다짐면 [수정] 한글로 순화, 단위 띄어쓰기 수정, “평탄하게” : 기울기가 없는
% 이상의 횡단 기울기로 평탄하게 마무리하고 다짐을 하여 지표수가 을 4 % 이상의 횡단 기울기로 평평하게 마무리하고 다짐을 하여 지표 상태를 의미하므로 “평평하게”(고르고 판판하게)로 수정
고이지 않고 배수가 잘되도록 하여야 한다. 수가 고이지 않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야 한다.
3.6.3 비가 멎은 후 즉시 작업을 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비가 오기 전에 3.6.3 비가 멎은 후 즉시 작업을 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비가 오기 전에
미리 폴리에틸렌 등으로 시공면을 덮어서 빗물의 침입을 막아야 한다. 미리 폴리에틸렌 등의 방수성 재료로 시공면을 덮어서 빗물의 침투를 [수정] : 용어 수정
막아야 한다.
3.6.4 땅깎기부의 용수 또는 강우에 의하여 유출되는 표면수는 흙쌓기 비탈면 3.6.4 땅깎기부의 용수 또는 강우에 의한 표면수는 흙쌓기부 비탈면을 세굴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장 및 용어 조정함
을 세굴 또는 붕괴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흙쌓기 가장자리에 가 배수시 또는 붕괴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흙쌓기부 가장자리에 가배수시설을 설
설을 설치하고, 외부로 유출시키기에 적당한 장소 또는 설계도서에 명 치하고, 외부로 유출시키기에 적당한 장소 또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흙쌓
시된 흙쌓기부 도수로 지점에 가마니 또는 마대, 비닐 등으로 가도수로 기부 도수로 설치지점에 가마니 또는 마대, 비닐 등으로 임시 도수로를 [수정] 문구 수정

2 -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만들어 유출하여야 한다. 만들어 유출시켜야 한다.
3.7 공사용 장비의 통행 3.7 공사용 장비의 통행

운반장비나 포설장비의 통행은 흙쌓기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통행토록 운반장비나 포설장비는 흙쌓기 상부면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통행하도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자구 수정
하여 이로 인한 다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록 하여 이로 인한 다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8 구조물 주변 흙쌓기 3.8 구조물 주변 흙쌓기

구조물 교대의 뒷면, 통로․수로박스의 양 측면 등은 이 시방서 2-7절에 따 구조물 교대의 뒷면, 통로·수로박스 양 측면 등의 흙쌓기는 이 시방서 2-7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
라 시공하여야 한다. 절(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를 최소화하기 위함.
3.9 암 쌓 기 3.9 암 쌓 기

3.9.1 암 굴착 시에는 전체 발생암에서 부순 골재로의 유용부분을 고려하고, 3.9.1 암을 굴착할 때에는 전체 발생암에서 부순골재의 유용부분을 고려하고, [수정] : 띄어쓰기 수정
남은 잔량을 암쌓기로 활용할 수 있다. 남은 잔량을 암쌓기로 활용할 수 있다.
3.9.2 암쌓기는 노체 완성면 600 ㎜하부에만 허용될 수 있으며, 암 덩어리의 3.9.2 암쌓기는 노체 완성면 600 mm 이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암 덩어리의 [자문] 문장의 의미는 통하나, 문장을 수정했으면 함.
최대치수는 600㎜를 초과할 수 없다. 다만, 풍화암이나 이암, 셰일, 실 최대치수는 600 mm를 초과할 수 없다.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위한 문구 수정, 3-5의 2.1.4와 기준 통일
트스톤, 천매암, 편암 등 암석의 역학적 특성에 의해 쉽게 부서지거나 [이동] : 내용이 재료에 관련된 내용이므로 2.1.5로 이동
수침 반복 시 연약해지는 암버력의 최대치수는 300 ㎜이하로 한다.

3.9.3 암쌓기 시에는 간극이 충분히 메워질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하여 깔기 후 3.9.3 암쌓기를 할 때에는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여 포설 [수정] : 용어 수정, 한글로 순화
다짐을 하여야 한다. 후 다짐을 하여야 한다. [수정] 불충분의 의미 불명확, 문구 수정
3.9.4 다른 재료로 시공된 부분 위에 암쌓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 시공된 3.9.4 다른 재료로 시공된 부분 위에 암쌓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 시공된
표면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1: 12 정도의 경사를 형성토록 하여 다짐을 표면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1 : 12 정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하여 다짐을 [수정] 줄임말 수정
하고 배수가 원활히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고, 배수가 원활히 되도록 하여야 한다.
3.9.5 암쌓기 1층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600 ㎜ 이하로 한다. 3.9.5 암쌓기 1층 다짐 완료 후의 두께는 600 mm 이하로 한다.
3.9.6 전부 암으로만 시공하는 흙쌓기부는 암의 대소치수가 고르게 섞이도록 3.9.6 전부 암으로만 시공하는 흙쌓기부는 큰 입경의 암편이 고르게 분산되도 [자문] 문장 수정
하고, 큰 덩이가 고르게 분산 되도록 하여 간극을 충분히 메워야 한다. 록 하고, 대· 소 입경의 암이 고르게 섞여 간극이 충분히 메워질 수 있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암의 대· 소 입경이 ⇒ 대· 소 입경의 암이 고르
도록 하여야 한다. 게 섞여

3.9.7 암버력에 의한 흙쌓기 경우에는 석축 쌓는 부분을 제외하고 흙쌓기 비 3.9.7 암버력에 의한 흙쌓기 경우에는 석축 쌓는 부분을 제외하고 흙쌓기부

2 -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탈면이 암 버력이 노출되지 않도록 양질의 토사를 1 m 이상 덮어 식생 비탈면에 암버력이 노출되지 않도록 양질의 토사를 1 m 이상 덮어 식
이 가능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비탈면 다짐을 실시하여야 한다. 생이 가능하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비탈면 다짐을 실시하여야 한다.
3.9.8 말뚝박기를 할 지점이나 편절․편성부, 절․성 경계부, 향 후 건축물 설 3.9.8 말뚝박기를 할 지점이나 한쪽깎기· 한쪽쌓기부, 깎기· 쌓기 경계부, 향후 [수정] 용어 수정
치부는 암쌓기를 해서는 안 된다. 건축물 설치부는 암쌓기를 하여서는 안 된다.
3.9.9 암거, 종․횡배수관 및 구조물 상부 600㎜ 이내에서는 암쌓기를 해서는 3.9.9 암거, 종 횡배수관 및 구조물 상부 600 mm 이내에서는 암쌓기를 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안 된다. 서는 안 된다.
3.9.10 노체 마무리 면까지 암쌓기 시 가드레일 설치부는 지주매입을 고려하 3.9.10 노체 마무리 면까지 암쌓기를 할 때 가드레일의 설치부는 지주매입을 [수정] 한글로 순화, 조사(의) 추가,
여 노체면 최종 검측을 철저히 한다. 고려하여 노체면 최종검측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9.11 암쌓기 시에는 암쌓기 재료를 고르게 포설한 후 규격 이상의 암괴는 3.9.11 암쌓기를 할 때에는 암쌓기 재료를 고르게 포설한 후 규격 이상의 암 [수정] 한글로 순화, 줄임말 수정, 띄어쓰기 수정
규정에 맞게 파쇄하고 다짐효과 및 암파쇄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대 괴는 규정에 맞게 파쇄하고, 다짐효과 및 암파쇄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
형 진동다짐 장비(탬핑 로울러 등)를 이용하여 다짐한다. 여 대형 진동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한다. [자문] 탬핑로울러는 진동다짐장비가 아님, 삭제
3.9.12 암쌓기 작업 시 다짐에 대한 검사는 KS F 2310에 의해 지지력계수 3.9.12 암쌓기 작업을 할 때 다짐에 대한 검사는 KS F 2310(평판재하시험)에 [수정] : SI단위계로 수정
(K30)가 침하량 1.25 ㎜일 때 196.1 MN/㎥(20㎏f/㎤) 이상으로 관리하 의하여 지지력계수(K30)가 침하량 1.25 mm일 때 196.1 MN/㎥ 이상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KS표기, 용어 추가
여야 하고, 평판재하시험에 사용되는 재하판 규격의 선택은 현장 흙쌓 로 관리하여야 하고, 평판재하시험에 사용되는 재하판 규격의 선택은
기 재료의 최대치수 이상의 지름을 갖는 규격으로 사용하고 지지력 계 현장 흙쌓기 재료의 최대치수 이상의 지름을 갖는 규격으로 사용하고,
수값은 300 ㎜ 표준치에 대한 환산치로 관리한다. 지지력 계수값은 재하판 300 mm 표준치에 대한 환산치로 관리한다.
3.9.13 암쌓기 재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연속적으로 평평하게 깔아야 하고, [신설] : 암쌓기 재료의 펴깔기 내용 추가
재료의 입도분포를 최대한 잘 되도록 하며, 재료분리(segregation)를 최소
화 한다.
3.10 동 결 토 3.10 동 결 토

재료가 동결하였거나 기 시공한 면이 동결되었을 경우에는 동결된 부분을 재료가 동결되었거나 이미 시공한 면이 동결되었을 경우에는 동결된 부분 [수정] 한글로 순화
제거한 후 흙쌓기 작업을 시행하고, 기 시공한 면이 눈으로 덮혀 있을 경 을 제거한 후 흙쌓기 작업을 시행하고, 이미 시공한 면이 눈으로 덮혀 있
우에는 눈이 녹아 없어지기 전에 흙쌓기 작업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을 경우에는 눈이 녹아 없어지기 전에 흙쌓기 작업을 시행하여서는 안 된
다.
3.11 혼합재료 3.11 혼합재료

점토, 백토, 모래와 같이 그 특성이 다른 재료를 각기 다른 공급원에서 반 점토, 백토, 모래와 같이 그 특성이 다른 재료를 각기 다른 공급원에서 반
입할 경우에는 도로 전폭에 걸쳐 교대로 층을 이루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입할 경우에는 도로 전폭에 걸쳐 교대로 층을 이루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다만, 감독자가 작업에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혼합해서 사용토록 다만, 감독자가 작업에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혼합해서 사용하도록 [수정] 줄임말 수정

2 -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지시할 수 있다. 지시할 수 있다.
3.12 안 정 성 3.12 안 정 성

3.12.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 한 모든 부분의 안정성에 관한 책임을 진다. 천 3.12.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 한 모든 부분의 안정성에 관한 책임을 진다. 천재
재지변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타의 사유로 기인한 파손이나 변형 지변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타의 사유로 기인한 파손이나 변형된
된 부분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복구하여야 한다. 부분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복구하여야 한다.
3.12.2 계약상대자는 흙쌓기에 부적합한 재료를 포설했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3.12.2 계약상대자는 흙쌓기에 부적합한 재료를 포설했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의 부담으로 제거하고 적합한 재료로 다시 포설하여야 한다. 의 부담으로 제거하고 적합한 재료로 다시 포설하여야 한다.
3.13 흙쌓기(노상)부의 보호 3.13 흙쌓기(노상)부의 보호

3.13.1 흙쌓기 완료 후 감독자의 검측․승인을 받은 노상부는 파손되지 않도 3.13.1 흙쌓기 완료 후 감독자의 검측 승인을 받은 노상부는 파손되지 않도록
록 보호하고,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 보호하고,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로 인
로 인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완성된 노상면에 장비 또는 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완성된 노상면에 장비 또는 재료
재료를 적치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를 적치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3.13.2 완성 노상면의 보호 의무를 소홀히 하여 파손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 3.13.2 완성 노상면의 보호의무를 소홀히 하여 파손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 부
부담으로 파손 또는 변형부위를 복구하여야 한다. 담으로 파손 또는 변형부위를 복구하여야 한다.
3.14 흙쌓기 비탈면 3.14 흙쌓기 비탈면

3.14.1 흙쌓기 비탈면은 차도부와 같은 다짐도를 갖도록 하여야 하며, 이 시 3.14.1 흙쌓기 비탈면은 차도부와 같은 다짐도를 갖도록 하여야 하며, 이 시방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
방서 2-6절 3.4에 적합하도록 다짐을 시행하여야 한다. 서 2-6절(다짐) 3.4에 적합하도록 다짐을 시행하여야 한다. 를 최소화하기 위함.
3.14.2 비탈면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소단과 기울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3.14.2 흙쌓기 비탈면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소단과 기울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수정] : 문구 수정

2 -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6 다 짐 2-6 다짐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부의 노체와 노상 다짐공사에서 적정 다짐밀도를 얻을 이 시방은 도로부의 노체와 노상 다짐공사에서 적정 다짐밀도를 얻을 때
때까지 다짐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까지 다짐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 참조 KS F 2311 시험 방법 명칭 수정, KS F 2324 추가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 단위중량 ⇒ 밀도로 수정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KS F 2306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0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 시험 방법 KS F 2311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KS F 2320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KS F 2324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수정] : KS F 2324 추가
KS F 2345 비점성토의 상대 밀도 시험 방법 KS F 2345비점성토의 상대 밀도 시험 방법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시험 방법 벤켈만빔(Benkelman beam)에 의한 변형량시험 방법 [자문] 소형충격재하시험 등 다짐기준 추가에 따른 참조표준 추가
AASHTO. T 224-86 현장밀도시험 조립자 보정 시험 방법 ASTM E 2583-07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Deflections with
AASHTO. T 224-86 현장밀도시험 조립자 보정 시험 방법 a Light Weight Deflectometer (LWD)
ASTM D 6951-03 Standard Test Method for Use of the Dynamic Cone
1.3 제 출 물 Penetrometer in Shallow Pavement Applications
1.3 제 출 물
(미반영) ASTM의 KS F화 및 기자재 보급, 시험방법의 보편화 등을 고려하여 추후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반영함이 타당함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1.3.2 토공다짐에 대한 시험시공계획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토공다짐에 대한 시험시공계획서 [수정] : 표기 방법 변경(한줄로 문장 수정)

2. 재 료 2. 재 료 [수정] : 장 절 일치되게
이 시방서 2-5절 2.1에 따른다. 이 시방서 2-5절(흙쌓기) 2.1에 따른다.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

2 -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균일하고 효율적인 다짐을 위해 그레이더 등으로 면 고르 3.1.1 계약상대자는 균일하고 효율적인 다짐을 위하여 그레이더 등으로 면 고 [수정] 줄임말 수정
기를 하여야 하며, 흙의 함수비를 실내다짐시험의 최적함수비 허용범위 르기를 하여야 하며, 흙의 함수비를 실내다짐시험의 최적함수비 허용범
이내로 조절한 후 다져야 한다. 위 이내로 조절한 후 다져야 한다.
3.1.2 계약상대자는 공정계획에 따라 다짐작업을 할 장비의 종류, 대수, 장비 3.1.2 계약상대자는 공정계획에 따라 다짐작업을 할 장비의 종류, 대수, 장비
조합 등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작 조합 등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작
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3.1.3 강우 등으로 인하여 함수비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결빙이 되는 동절기 3.1.3 강우나 강설 등으로 인하여 함수비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결빙이 발생하 [수정] 자구 수정
에는 다짐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는 동절기에는 다짐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3.2 다짐의 범위 3.2 다짐의 범위

3.2.1 흙쌓기 공사를 할 경우 다짐의 범위는 차도부, 길어깨 및 비탈면이 포 3.2.1 흙쌓기 공사를 할 경우 다짐의 범위는 차도부, 길어깨 및 비탈면이 포함
함되며, 이 절 3.4에 의한 다짐도에 도달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 한다. 되며, 이 절 3.4에 의한 다짐도에 도달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 한다.
3.2.2 땅깎기부의 노상, 횡방향 흙쌓기․땅깎기의 접속부(편절․편성부)와 종 3.2.2 땅깎기부의 노상, 횡방향 흙쌓기·땅깎기 접속부(한쪽쌓기․한쪽깎기부) [수정] : 용어 수정
방향 흙쌓기․땅깎기의 접속부(절․성경계부) 등도 이 절 3.4에 의한 와 종방향 흙쌓기․땅깎기 접속부(깎기․쌓기경계부) 등도 이 절 3.4에
다짐도에 도달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 한다. 의한 다짐도에 도달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 한다.
3.3 장 비 3.3 장 비

3.3.1 흙쌓기 다짐장비는 전 구간에 걸쳐 시험시공 시와 동일한 수준의 다짐 3.3.1 흙쌓기 다짐장비는 전 구간에 걸쳐 시험시공을 할 때와 동일한 수준의 [수정] 자구 수정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다짐 장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험시 다짐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다짐장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험
공을 재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시공을 재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3.2 구조물에 인접한 부분과 같이 좁은 면적 또는 구조물에 과도한 압력을 3.3.2 구조물에 인접한 부분과 같이 좁은 면적 또는 구조물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가하여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소형 다짐 장비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소형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3.3.3 흙쌓기 비탈면은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다짐 장비를 사용하여 다져야 3.3.3 흙쌓기 비탈면은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다짐장비를 사용하여 다져야 한
한다. 다.

2 -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4 암쌓기 다짐장비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서, 다짐로울러의 폭은 [신설] : 암쌓기 다짐장비관련 내용 추가
1.8 m 이상이어야 하며, 정적인 상태에서의 무게는(static weight) 10 t
이상이어야 한다.
3.4 다짐의 기준 3.4 다짐의 기준

3.4.1 노 체 3.4.1 노 체
흙쌓기 노체부의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는 300 ㎜ 이하이어야 하며, 각 흙쌓기 노체부의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는 300 mm 이하이어야 하며,
층마다 KS F 2312의 A 또는 B방법에 의하여 정해진 최대건조밀도의 각 층마다 KS F 2312의A또는B방법에 의하여 정하여진 최대건 [수정] 줄임말 수정
90%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평판재하시험을 실 조밀도의 90 %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평판재하
시한 경우에는 표 2-4에 따른다. 시험을 실시한 경우에는 표 2-6-1에 따른다. [수정] : 표 번호를 절 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3.4.2 노 상 3.4.2 노 상
흙쌓기 노상부의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는 200 ㎜ 이하이어야 하며, 각 흙쌓기 노상부의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는 200 mm 이하이어야 하며,
층마다 KS F 2312의 C, D 또는 E 방법에 의하여 정해진 최대건조밀도 각 층마다 KS F 2312의 C, D 또는 E 방법에 의하여 정하여진 최대건조
의 95%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평판재하시험을 밀도의 95 %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평판재하시
실시한 경우에는 표 2-6에 따른다. 험을 실시한 경우에는 표 2-6-1에 따른다. [수정] : 표 번호를 절 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표 2-6 다짐의 판정기준 표 2-6-1 다짐시험의 판정기준
노 체 구 분 노 체
구 분 암쌓기 일반쌓기 노 상 비 고 암쌓기 일반쌓기 노 상 비 고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 (㎜) 600 300 200 1층 다짐 완료 후의 두께 (mm) 600 300 200
KS F 2311 KS F 2311
다 짐 도 (%) - 90 이상 95 이상 KSASSHTO. F 2312 다 짐 도 (%) - 90 이상 95 이상 KS F 2312
T 224-86 ASSHTO T 224-86
다 짐 방 법 - A, B C, D, E KS F 2312 다 짐 방 법 - A, B C, D, E KS F 2312
아스팔트 침지지력 하 량 (㎜) 1.25 2.5 2.5
계수 196.1(20) 147.1(15) 196.1(20) KS F 2310
아스팔트 침하량 (mm)
지지력 계수
1.25 2.5 2.5
평판 포 장 {K30 : MN/㎥(㎏f/㎤)} 평판 콘크리트 196.1 147.1 196.1 KS F 2310 [수정] : 표기방법 수정 (K30 → K30), 용어 수정
재하 재하 포시 멘 장트 (K30 :MN/㎥)
시험 시 멘 트 침지지력 하 량 (㎜) 1.25 1.25 1.25
계수 196.1(20) 98.1(10) 147.1(15) KS F 2310 시험 콘크리트 침하량 (mm)
지지력 계수
1.25 1.25 1.25
포 장 {K30 : MN/㎥(㎏f/㎤)} 포 장 (K30 : MN/㎥) 196.1 98.1 147.1 KS F 2310

2 -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다짐도 검사 3.5 다짐도 검사

3.5.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의 각 단계마다 재료의 품질 및 다짐도를 이 절 3.5.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의 각 단계마다 재료의 품질 및 다짐도를 이 절 3.4
3.4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다음단계의 작 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다음 단계의 작업
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을 수행하여야 한다.
3.5.2 흙쌓기 시 충격다짐으로 정확한 함수비-밀도곡선과 최대건조밀도를 구 3.5.2 흙쌓기를 할 때 충격다짐을 하여 정확한 함수비-밀도 곡선과 최대건조 [수정] 한글로 순화, 문구 수정, 띄어쓰기 수정
할 수 없거나, 점성이 없고 배수가 잘 되는 흙의 밀도를 결정하기 위해 밀도를 구할 수 없거나 점성이 없고 배수가 잘 되는 흙의 밀도를 결정
서는 KS F 2345 에 따르며, 이 때에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하기 위해서는 KS F 2345에 따르며, 이때에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5.3 현장다짐도 및 함수량 시험 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 장비 3.5.3 현장다짐도 및 함수량 시험을 할 때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장
(RI)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현장에서 측정한 비교 시험 데이터 비(RI)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현장에서 측정한 비교 시험 데이
(data)와 함께 원자력법 및 방사선피폭관리 업무규정에 적합한 인원 및 터와 함께 원자력법 및 방사선피폭관리 업무규정에 적합한 인원 및 시
시설에 관련하여 적법하게 처리한 서류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설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한 서류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후 사용하여야 한다.
3.5.4 현장 여건상 표 2-6-1의 방법에 의한 다짐도 확인이 어려운 경우 노상 [신설] 다짐기준 추가(도로포장통합지침, 국토해양부 2011)
의 다짐도 검사를 위하여 동적콘관입시험(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DCPT) 또는 소형충격재하시험(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LFWD)을 실시할수 있다. 이 경우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은 도로포장통합지침(국토교통부)을 참조한다.
3.5.4 다짐도 시험에 필요한 함수량 시험방법은 KS F 2306에 따르며, 급속함 3.5.5 다짐도 시험에 필요한 함수량 시험방법은 KS F 2306에 따르며, 급속함
수량시험, 적외선 수분계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 장비 수량시험, 적외선 수분계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 장비(RI)
(RI)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시험방법에 따른 보정 값에 대하여 감독자 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시험방법에 따른 보정 값에 대하여 감독자의 확
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3.6 구조물의 보호 3.6 구조물의 보호

3.6.1 편측 흙쌓기를 하는 구조물인 경우에는 구조물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 3.6.1 편측 흙쌓기를 하는 구조물인 경우에는 구조물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6.2 양측 흙쌓기를 하는 암거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양측의 흙쌓기 높이가 3.6.2 양측 흙쌓기를 하는 암거형 구조물인 경우에는 양측의 흙쌓기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2 -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3 구조물에 인접한 부분을 다짐할 때에는 구조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3.6.3 구조물에 인접한 부분을 다짐할 때에는 구조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소형 다짐장비로 다짐을 하여야 한 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소형 다짐장비로 다짐을 하여야 한
다. 다.
3.7 시험시공 3.7 시험시공

3.7.1 계약상대자는 다짐작업에 앞서 흙쌓기 재료별로 사용할 다짐장비, 다짐 3.7.1 계약상대자는 다짐작업에 앞서 흙쌓기 재료별로 사용할 다짐장비, 다짐
방법, 시공관리체계 등에 대한 시험시공계획서를 제출하고 감독자의 입 방법, 시공관리체계 등에 대한 시험시공계획서를 제출하고, 감독자의 입
회 하에 다짐시험을 하여야 한다. 회하에 다짐시험을 하여야 한다.
3.7.2 다짐작업의 시험시공은 도로의 흙쌓기 구간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규모 3.7.2 다짐작업의 시험시공은 도로의 흙쌓기 구간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규모
는 400㎡를 표준으로 한다. 는 400 ㎡를 표준으로 한다.
3.7.3 시험시공 당시와 현장토질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3.7.3 시험시공 당시의 토질과 실제 현장의 토질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고 [수정] 문구 수정
재시험시공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판단될 경우에는 재시험시공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3.7.4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을 통해 흙 펴고르기 두께, 다짐 함수비 범위, 다 3.7.4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을 하여 흙 펴고르기 두께, 다짐 함수비 범위, 다 [수정] 자구수정 : 통하여 ⇒ 하여
짐장비별 다짐횟수 및 다짐 시공관리체계 등을 결정하여 감독자의 확인 짐장비별 다짐횟수 및 다짐 시공관리체계 등을 결정하여 감독자의 확인
을 받아야 하며, 현장의 다짐시공 관리는 그 결과에 따른다. 을 받아야 하며, 현장의 다짐시공 관리는 그 결과에 따른다.
3.7.5 다짐작업의 시험시공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은 해당 공종의 계약단가에 3.7.5 다짐작업의 시험시공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은 해당 공종의 계약단가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한다. 포함된 것으로 해석한다.

2 -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7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 2-7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 암거, 배수관, 옹벽 및 기타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는 이 시방은 교량, 암거, 배수관, 옹벽 및 기타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는데
데 필요한 터파기와 구조물이 완성된 후 터파기 자리의 되메우기 및 뒤채 필요한 터파기와 구조물이 완성된 후 터파기 자리의 되메우기 및 뒤채움
움 공사에 적용한다.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0 도로의 평판 재하 시험 방법
KS F 2311 현장에서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수정] : KS F 2311 시험 방법 명칭 수정, 단위중량 ⇒ 밀도로 수정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KS F 2320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KS F 2345 비점성토의 상대 밀도 시험 방법 KS F 2345비점성토의 상대 밀도 시험 방법
KS F 2444 확대기초에서 정적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방법 KS F 2444확대기초에서 정적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방법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시험 방법 벤켈만빔(Benkelman beam)에 의한 변형량 시험 방법
AASHTO. T 224-86 : 현장밀도시험 조립자 보정 시험방법 AASHTO. T 224-86 현장밀도시험 조립자 보정 시험 방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교량 및 암거구조물의 기초 시공 보고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표기 방법 변경(한 줄로 문장 수정)
(1) 교량 및 암거구조물의 기초 시공 보고서
2. 재 료 2. 재 료
2.1 되메우기용 재료 2.1 되메우기용 재료

2 -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되메우기 재료는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기 위하여 터파기한 재료 또는 되메우기 재료는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기 위하여 터파기한 재료 또는 [수정] : 장 절 일치
땅깎기의 재료를 말하며 이 시방서 2-5절 2.1에 적합하여야 한다. 땅깎기의 재료를 말하며, 이 시방서 2-5절(흙쌓기) 2.1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
2.2 뒤채움용 재료 2.2 뒤채움용 재료

2.2.1 뒤채움 재료는 압축성이 적고 물의 침입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지 않아 2.2.1 뒤채움 재료는 압축성이 적고, 물의 침입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되지 않
야 하며, 다지기 쉽고 동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 아야 하며, 다지기 쉽고 동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를 선별하여 사용하 [수정] : 뒤채움 재료 사용시 선별적으로 사용토록 문구 조정
다. 여야 한다.
2.2.2 뒤채움 시공에 사용하는 재료는 다음 표를 따른다. 양질토사는 기초지 2.2.2 뒤채움 시공에 사용되는 재료는 표 2-7-1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 [수정] : 불필요한 문장 삭제 : 표 3-7-1의 품질기준에 피토고 3.5m 미만과
반의 지지력이 충분하고 암거상의 피토고가 충분히 높아 교통하중의 영 다. 이상으로 적용대상을 구분하였으므로 설명 불필요
향이 크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 표 번호를 절번호를 넣어 표기하는 방법으로 수정
표 2-7 뒤채움 재료의 품질기준 표 2-7-1 뒤채움용 재료의 품질기준 [수정] : 항목별 기준값을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표 작성양식 변경
재료 선택층재료 양질의 토사 ※ 2012년도 도로설계기준
규격기준 입상재료 양질토사 비고(KS) 구 분 피토고1) 피토고 비 고
(3.5m 미만) (3.5m 이상)
최대치수 (mm) 이 시방서 100 이하
최대치수 이 시방서 100 이하 - 5 mm 통과량 제8장 표 8-2-1, 25 ∼ 100
수정CBR 8-2절 10 이상 KS F 2320 표 8-2-2 노상기준
50 ㎜ 통과 보조기층재료와 25-100 KS F 2302 0.08 mm통과량 (%) 보조기층재료와 15 이하 :25 % 이하
0.08㎜ 통과 동등한 15 이하 KS F 2302, 2209 동등한
소성지수 기준의 재료 10 이하 KS F 2303 소성지수 (PI) 10 이하
수정 CBR (%) 기준의 재료 10 이상
주 1) 피토고 산정기준은 암거 중심선의 상단에서 길어깨부를 제외한 도로 유효폭원까
지의 최소높이를 말한다.

2.2.3 뒤채움 재료로 상기 재료와 동등이상의 품질을 갖는 다른 대체 재료도 [신설] : 뒤채움 재료를 다른 대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조항 추가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검토를 거쳐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2.4 뒤채움 대체 재료의 사용부위는 암거 상부의 피토고가 높아서 공용 중 [신설] : 뒤채움 대체 재료의 사용부위 및 하중영향, 지반조건, 지지력 등 기
차량 등에 의한 충격하중의 영향이 적고, 암거가 설치되는 지반의 조건이 본조건과 지하수 유입시 대책에 대한 내용 추가
양호하여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곳 등에 사용하여야 한다. 우
수나 지하수의 유입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뒤채움 시공 전에 맹암거 설치
등으로 유수의 유입을 방지하여야 한다.

2 -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구조물 기초 터파기 작업은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폭과 기울기, 깊이에 3.1.1 구조물 기초 터파기 작업은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폭과 기울기, 깊이에
적합하도록 터파기하여야 하며, 교량 및 옹벽기초 등 주요 구조물의 기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교량 및 옹벽기초 등 주요 구조물의 기초 터파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 위해 문구 수정
초 터파기가 감독자의 검측 없이 초과된 경우에는 기초 바닥 계획고까 기가 감독자의 검측 없이 초과 굴착된 경우에는 기초 바닥 계획고까지
지 콘크리트로 되메우기를 하거나, 구조 검토 후 기초 근입 깊이를 조 콘크리트로 되메우기를 하거나 구조 검토 후 기초 근입깊이를 조정하여
정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다만, 측구, 집수정 등 지반 지지력에 크게 영 시공하여야 한다. 다만, 측구 집수정 등 지반 지지력에 크게 영향을 미
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물의 터파기인 경우에는 양질의 사질토로 기초 치지 않는 구조물의 터파기인 경우에는 양질의 사질토로 기초 바닥 계
바닥 계획고까지 되메운 후 다짐을 하여 지지력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 획고까지 되메운 후 다짐을 하여 지지력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야 한다. 이때 추가되는 모든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이 때 추가되는 모든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3.1.2 계약상대자는 교량 및 암거구조물의 기초 터파기 시 바닥과 4개의 측면 3.1.2 계약상대자는 교량 및 암거구조물의 기초 터파기를 할 때 바닥과 4개의 [수정] 한글로 순화
에 대한 지층 구성 상태와 지하수를 확인하여 시공도면을 작성하고, 설 측면에 대한 지층구성 상태와 지하수를 확인하여 시공도면을 작성하고,
계조건과 비교분석한 시공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설계조건과 비교 분석한 시공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3.1.3 기초 터파기가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고 3.1.3 기초 터파기가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고
터파기의 깊이, 기초 지반의 지층 특성, 기초 터파기면의 정리 상태 등 터파기의 깊이, 기초 지반의 지층 특성, 기초 터파기면의 정리상태 등에
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측을 받은 후에 기초공사를 하여야 한다. 대하여 감독자의 검측을 받은 후에 기초공사를 하여야 한다.
3.1.4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토질상태와 터파기에 의하여 노출된 3.1.4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토질상태와 터파기에 의하여 노출된
토질상태가 상이하여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지반조사 및 토질상태가 상이하여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지반조사 및
분석성과와 대책을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분석성과와 대책을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기초의 크기나 계획고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기초의 크기나 계획고 등을 변경할 수 있다.

2 -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 기초터파기 작업계획 3.2 기초 터파기 작업계획

3.2.1 구조물 기초 터파기의 완성면이 토사 또는 풍화암인 경우 계약상대자는 3.2.1 구조물 기초 터파기의 완성면이 토사 또는 풍화암인 경우, 계약상대자는
굴착바닥 지반면의 교란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야 하며, 굴착 후 감독자 굴착 바닥 지반면의 교란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야 하며, 굴착 후 감독자
의 검측을 받은 즉시 린 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하도록 사전 준 의 검측을 받은 즉시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 및 [자문] 범용적인 문구로 수정
비 및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2.2 계약상대자는 도로 땅깎기 작업과 흙쌓기 작업 및 배수공 작업이 상호 3.2.2 계약상대자는 도로 땅깎기 작업과 흙쌓기 작업 및 배수공 작업이 상호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계획을 세워야 한다. 유기적으로 진행되도록 계획을 세워야 한다.
3.2.3 토공 작업이 배수공 작업 보다 앞질러 진행되어 축조된 도로가 수로의 3.2.3 토공작업이 배수공작업 보다 먼저 진행되어 축조된 도로가 수로의 흐름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조정
흐름을 가로막는 제방구실을 하게 될 때에는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게 을 가로막는 제방역할을 하게 될 때에는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게 배수
배수구조물이 놓일 장소의 도로를 횡단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수로를 구조물이 놓일 장소의 도로를 횡단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수로를 시
형성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공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3.2.4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지시에 반하여 수로를 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3.2.4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수로를 시공함으로써 발생 [수정] : 공사비 추가지불과 관련된 내용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복구 한다”
어떤 형태의 도로 유실도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복구하여야 하며, 이 규 하는 모든 형태의 토공부 유실에 대해서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복구하 는 내용과 중복되므로 삭제함
정의 준수를 이유로 추가 공사비의 지불을 요구할 근거는 되지 않는다. 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반하여 ⇒ 지시를 따르지 않고,
어떤 형태의 ⇒ 모든 형태의
도로 ⇒ 토공부, 유실도 ⇒ 유실에 대해서는
3.3 암반기초 터파기 3.3 암반기초 터파기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서 지정한 면까지 터파기 하여야 하며, 암반이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기초의 바닥면까지 터파기하여야 하며, [수정] 문구 수정 : 지정한 면까지 ⇒ 3.5 말뚝기초 터파기와 동일하게
나 단단한 기초 재료의 느슨한 부분은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암반이나 단단한 기초지반의 불안정한 부분은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자구 수정 : 느슨한 ⇒ 불안정한

3.3.2 터파기한 표면이 1 : 4 이상의 비탈면일 경우에는 계단, 톱니형상 또는 3.3.2 터파기한 표면의 기울기가 1: 4 이상일 경우에는 계단, 톱니형상 또는 [수정] 주어를 기울기로 변경
요철처리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요철처리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3.3 기초터파기 작업 중 발파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주변 및 기초지반의 3.3.3 기초터파기 작업 중 발파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주변 및 기초지반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3.4 터파기 계획고에 큰 규모의 단층 등 지질구조선 발달 시에는 대상 구조 3.3.4 터파기 계획고에 큰 규모의 단층 등 지질구조선이 발달되었을 때에는 [수정] 한글로 순화, 용어 변경 : 감독관 ⇒ 감독자
물의 종류에 따라 단층 처리, 보강방안 등을 감독관과 협의하여 처리하 대상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단층 처리, 보강방안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
여야 한다. 여 처리하여야 한다.

2 -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 토사기초 터파기 3.4 토사기초 터파기

3.4.1 토사기초 터파기 부위의 지지력 및 침하량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허용지 3.4.1 토사기초 터파기 부위의 지지력 및 침하량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허용
지력 및 허용침하량을 만족하여야 한다.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은 KS 지지력 및 허용 침하량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기초지반의 허용 지지 [수정] 문구수정
F 2444의 시험방법에 의해 확인하여야 한다. 력은 KS F 2444의 시험방법에 의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3.4.2 토사기초 지반의 토질이 설계도서와 상이하거나 연약한 지반이 분포할 3.4.2 토사기초 지반의 토질이 설계도서와 상이하거나 연약한 지반이 분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시추조사 등의 방법으로 지층분포상태와 허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시추조사 등의 방법으로 지층분포상태와 허
용지지력 및 기초형식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용지지력 및 기초형식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다. 다.
3.4.3 토사기초 지반에서는 터파기 후 지하수와 주변 유입수를 차단하거나 또 3.4.3 토사기초 지반에서는 터파기 후 지하수와 주변 유입수를 차단하거나 타
는 타 부위로 유도 배수하여 지반의 이완, 변형 및 연약화가 되지 않도 부위로 유도 배수하여 지반의 이완, 변형 및 연약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수정] 문구 수정
록 조치하여야 한다. 조치하여야 한다.
3.5 말뚝기초 터파기 3.5 말뚝기초 터파기

계약상대자는 말뚝박기 공사 전 설계도서에 표시된 기초의 바닥면까지 터 계약상대자는 말뚝박기 공사 전 설계도서에 표시된 기초의 바닥면까지 터
파기를 하여야 하며, 말뚝박기 공사로 인하여 기초의 바닥면이 융기하거 파기를 하여야 하며, 말뚝박기 공사로 인하여 기초의 바닥면이 융기하거나
나 침하가 발생하면 추가 터파기 또는 적합한 재료로 되메우기를 하여야 침하가 발생하면 추가 터파기 또는 적합한 재료로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
한다. 다만, 말뚝기초의 적합여부 또는 말뚝의 전석층 관통여부를 확인하 다. [수정] : 부적절한 내용 삭제
기 위하여 항타를 실시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원지반에서 말
뚝박기를 할 수 있다.
3.6 물 막 이 3.6 물 막 이

3.6.1 계약상대자는 터파기 작업 중 대수층을 만나면 물막이를 설치하여야 한 3.6.1 계약상대자는 터파기 작업 중 대수층을 만나면 물막이를 설치하여야 한
다. 차수벽체는 기초바닥보다 1m 이상 깊게 박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다. 차수벽체는 기초바닥보다 1 m 이상 깊게 박아야 하며, 물이 새지 않 [수정] :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문구 조정함.
물이 새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6.2 물막이의 내부치수는 거푸집의 설치와 검측에 필요한 여유 폭이 있어야 3.6.2 물막이의 내부치수는 거푸집의 설치와 검측에 필요한 여유폭이 있어야
한다. 한다.
3.6.3 계약상대자는 물막이 공사로 인하여 급격한 수위의 상승과 아직 굳지 3.6.3 계약상대자는 물막이 공사로 인한 급격한 수위의 상승과 굳지 않은 콘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않는 콘크리트가 손상 및 세굴로 기초를 약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세심 크리트의 손상 및 세굴로 인하여 기초를 약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세심
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2 -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4 하부구조에는 지지목 등의 목재가 콘크리트 속에 그대로 남아있지 않도 3.6.4 하부구조에는 지지목 등의 목재가 콘크리트 속에 그대로 남아있지 않도
록 하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한다.
3.7 물 푸 기 3.7 물 푸 기

3.7.1 물막이내의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재료가 손실되지 않도록 시행하여 3.7.1 물막이 내의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재료가 손실되지 않도록 시행하여
야 한다. 야 한다.
3.7.2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은 물론이고, 타설작업 후 최소 24 3.7.2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은 물론이고 타설작업 후 최소 24 [수정] 중복 (물푸기) 삭제
시간 동안은 계속 물푸기를 하여야 한다. 시간 동안은 계속 하여야 한다.
3.7.3 콘크리트 거푸집의 적당한 지점에 웅덩이를 만들어 물푸기 작업을 하여 3.7.3 콘크리트 거푸집의 적당한 지점에 웅덩이를 만들어 물푸기 작업을 하여
야 한다. 야 한다.
3.8 되메우기 3.8 되메우기

3.8.1 구조물 시공 완료 후에는 구조물을 제외한 기초 터파기 부분을 원지반 3.8.1 구조물 시공 완료 후에는 구조물을 제외한 기초 터파기 부분을 원지반
표면까지 되메우고 펴 고르기를 하여 다짐하는 작업을 한다. 다만, 되메 표면까지 되메우고 펴 고르기를 하여 다짐하는 작업을 한다. 다만, 되메
우기 부위가 도로에 위치하여 교통하중의 영향이 미치는 경우에는 뒤채 우기 부위가 도로에 위치하여 교통하중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뒤채움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수정
움과 동등한 수준으로 다짐 시공하여야 한다. 과 동등한 수준으로 다짐 시공하여야 한다.
3.8.2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의 인접부위에 되메우기를 한 후 다짐이 필요한 경 3.8.2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에 손상이 없도록 다짐장비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 [수정] 3.8.1과 반복되는 내용 삭제, 용어 수정(장비 ⇒ 다짐장비)
우에는 구조물에 손상이 되지 않도록 장비 및 시공방법을 결정하고, 구 고, 구조물 주위를 다짐하여야 한다.
조물 주위를 다짐하여야 한다.
3.9 뒤 채 움
3.9 뒤 채 움

3.9.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의 시공 완료 후 구조물의 기초 저면부터 노상 저 3.9.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의 시공 완료 후 구조물의 기초저면부터 노상저면
면까지의 뒤채움 작업을 하여야 한다. 까지 규정된 품질확보를 위한 뒤채움 작업을 하여야 하며, 뒤채움 부위 [수정] : 뒤채움 관리도 기록, 유지 내용 추가, 소정의 ⇒ 규정된
는 별도의 관리도를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3.9.2 뒤채움 재료는 시공 전에 사용재료의 품질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출 3.9.2 뒤채움재료는 시공 전에 사용재료의 품질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
하여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재료를 포설하기 전 구조 여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재료를 포설하기 전 구조물
물의 벽면에 200 ㎜마다 층두께를 표시하여 층다짐 완성 후 1층의 두께 의 벽면에 200 mm 마다 층두께를 표시하여 층다짐 상태를 확인할 수 [수정] : 정확한 의미전달 및 문맥에 맞는 문구로 수정
가 200㎜이내가 되도록 층다짐을 실시한다. 있도록 하고, 다짐 완성 후 1층의 두께가 200 mm 이내가 되도록 층다
짐을 실시한다.

2 - 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9.3 진동로울러를 사용하는 뒤채움부는 박스 구체에서 1 m 정도 떨어져서 3.9.3 진동로울러를 사용하는 뒤채움부는 구조물 구체에서 1 m 정도 떨어져서
중량 10 t 이상의 대형 진동 다짐로울러를 강진(2,400 r.p.m 정도)으로 중량 10 t 이상의 대형 진동 다짐로울러를 사용하되, 진동에너지를 크게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하여 다짐에너지를 크게 작용시키도록 한다. 진동로울러로 다짐을 할 하여 다짐 효율이 커지도록 하여야 한다. 진동로울러로 다짐을 할 수 없
수 없는 날개벽 등 구조물이 접하는 부위는 마이티 팩(mighty pac) 및 는 날개벽 등 구조물이 접하는 부위는 마이티팩(mighty pac) 및 소형
소형 램머(rammer)등을 사용하여 다짐을 실시한다. 램머(rammer) 등을 사용하여 규정된 밀도를 얻을 때 까지 다짐을 실시
한다.
3.9.4 뒤채움과 접하는 후면 비탈면의 느슨한 부분은 뒤채움부 다짐 시 동시 3.9.4 뒤채움과 접하는 후면 비탈면의 느슨한 부분은 뒤채움부 다짐을 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에 진동로울러로 강하게 다져 다짐밀도를 뒤채움부와 맞추어야 한다. 진동로울러로 강하게 다져 다짐밀도를 뒤채움부와 맞추어야 한다.
3.9.5 콘크리트 암거는 구조물의 양면이 동시에 같은 높이가 되도록 뒤채움울 3.9.5 암거는 편토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뒤채움부 양면이 동시에 같은 높이가 [수정] : 암거 양면을 동시에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하는 이유를 추가
실시하고, 현장여건상 동시 시공이 어려운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되도록 뒤채움을 실시하고, 현장여건상 동시 시공이 어려운 경우 감독자 [수정] 암거의 재료제한(콘크리트) 용어 삭제,
양측 최고 단차가 1.0 m이하가 되도록 시공한다. 의 승인을 받아 양측 최고 단차가 1.0 m 이하가 되도록 시공한다.
3.9.6 암버력 쌓기 다짐 시 구조물 뒤채움부 진동 다짐 시에는 구조물의 진동 3.9.6 암버력 쌓기를 한 구조물 뒤채움부를 진동다짐 할 때에는 과도한 진동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조정
에 의한 피해를 주의하여야 한다. 으로 인한 구조물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9.7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득이하게 뒤채움을 실시 3.9.7 콘크리트가 규정대로 양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득이하게 뒤채움을 실 [수정] “충분히”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하는 경우에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구조물 균열 또는 손상이 발생하 시하는 경우에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구조물 균열 또는 손상이 발생
지 않도록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의 80 % 이상이 확보된 후 또는 14일 하지 않도록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의 80 % 이상이 확보된 후 또는 14
이상 양생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고 뒤채움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 일 이상 양생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고 뒤채움작업을 실시하여야 한 [수정] 자구수정
한 한쪽부위가 반대쪽보다 높게 뒤채움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다. 또한, 한쪽 부위가 반대쪽보다 높게 뒤채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나, 석축 구조물을 뒤채움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경우나 석축 구조물을 뒤채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3.9.8 함수비는 최적함수비의 허용범위 이내이어야 하고, 함수비가 높아 소요 3.9.8 뒤채움 재료의 함수비는 최적함수비의 허용범위 이내이어야 하고, 함수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추가
다짐률 및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재료를 건조시켜 재 다 비가 높아 규정된 다짐률 및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재료
짐하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다른 노상토급의 재료를 사용하여 시 를 건조시켜 재다짐하거나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다른 노상토급의 재료
공하여야 한다. 를 사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9.9 구조물보다 흙쌓기를 선 시공하는 곳은 대형장비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3.9.9 구조물보다 흙쌓기를 먼저 시공하는 곳은 대형장비의 작업이 가능하도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구조물 부위 전후 10 m이상 구간의 흙쌓기를 유보하고 뒤채움 시공 시 록 구조물 부위 전후 10 m 이상 구간의 흙쌓기를 유보하고, 뒤채움 시 [수정] : 문맥에 맞도록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병행 흙쌓기한다. 공을 할 때 흙쌓기를 병행한다.
3.9.10 콘크리트의 복개형 터널 암거와 라멘 교량에 뒤채움을 할 경우, 계약 3.9.10 복개형 터널의 콘크리트 암거와 라멘 교량에 뒤채움을 할 경우, 계약상 [수정] 용어 수정
상대자는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설계기준강도의 80 대자는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설계기준강도의 80 %
% 이상을 확보한 후 뒤채움을 하여야 한다. 이상을 확보한 후 뒤채움을 하여야 한다.

2 - 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9.11 뒤채움 재료의 중량이 구조물에 쐐기형의 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을 3.9.11 뒤채움 재료의 중량이 구조물에 쐐기형의 집중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뒤채움과 접하는 후면 흙쌓기 면은 계단식이나 톱날 방지하기 위하여 뒤채움부와 접하는 후면 흙쌓기 면은 계단식이나 톱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 위해 자구 수정
식으로 형성한다. 날식으로 형성한다.
3.9.12 구조물 뒤채움부는 타 공종보다 조기에 시공함으로써 작업용 차량통행 3.9.12 구조물 뒤채움부는 타 공종보다 조기에 시공함으로써 작업용 차량통행
및 자연다짐을 유도하여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작업계획을 및 자연다짐을 유도하여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작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수립하여야 한다.
3.9.13 계곡부 수로 암거의 기초 또는 뒤채움 부위의 전석은 제거하고, 승인 3.9.13 계곡부 수로 암거의 기초 또는 뒤채움 부위의 전석은 제거하고, 승인된
된 뒤채움 재료로 치환 후 다짐을 시행하여 복류수에 의한 토립자의 뒤채움 재료로 치환한 후 다짐을 시행하여 복류수에 의한 토립자의 유 [수정] 자구 수정
유실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유입수에 대한 배수대책을 강구하여야 실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유입수에 대한 배수대책을 강구하여야 한
한다. 다.
3.9.14 뒤채움의 1층 다짐 완료후 두께는 200㎜이하이어야 하며, 3층마다 KS 3.9.14 뒤채움의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200 mm 이하이어야 하며, 각층마 [수정] : 뒤채움 다짐시 각 층마다 균일한 다짐을 시행토록 문구 수정
F 2312 D, E방법에 의해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 이상의 밀도로 다 KS F 2312 C, D 또는 E 방법에 의하여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 - 3층마다 → 각층마다, ※ 2012년도 도로설계기준
균일하게 다짐을 하여야 한다. 이상의 밀도로 균일하게 다짐을 하여야 한다.
3.9.15 계약상대자는 현장밀도에 의한 다짐관리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3.9.15 계약상대자는 현장밀도에 의한 다짐관리가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
에는 KS F 2310 에 따라 다짐관리를 하여야 하며, 상부 포장형식에 에는 KS F 2310에 따라 다짐관리를 하여야 하며, 상부 포장형식에 관
관계없이 지지력계수(K30)는 침하량 2.5 ㎜에서 294.2 MN/㎥(30㎏f/ 계없이 지지력계수(K30)는 침하량 2.5 mm에서 294.2 MN/㎥(30 ㎏f/㎤) [수정] : 표기방법 수정 (K30 → K30)
㎤) 이상이어야 한다. 이상이어야 한다.
3.9.16 뒤채움 부위와 암거의 균열은 뒤채움 관리쉬트를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3.9.16 뒤채움 부위와 암거의 균열은 뒤채움 관리쉬트를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한다.

2 - 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8 토공의 마무리 2-8 토공의 마무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선형, 경사, 횡단면에 따라 균일한 형상이 되도록 토공부를 이 시방은 선형, 경사, 횡단면에 따라 균일한 형상이 되도록 토공부를 다
다듬고 정리하는 마무리 공사에 적용한다. 듬고 정리하는 마무리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벤켈만빔(Benkelman beam)에 의한 변형량 시험 방법 [수정] : 표기 방법 변경(한줄로 문장 수정)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시험 방법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노상면 준비 3.1 노상면 준비

3.1.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른 높이와 폭 등이 횡단면에 일치하고, 각 3.1.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른 노상면의 높이와 폭 등이 횡단면에 일치 [수정] : 문구 수정, 자구 수정 : 이르도록 ⇒ 적합하도록
마무리 층의 다짐도가 품질기준에 이르도록 시공한 후 감독자의 검사를 하도록 하고, 각 마무리 층의 다짐도가 품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시공한
받아야 한다. 후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1.2 노상면은 도로 완성면과 평형을 이루어야 하고 노상면의 어느 점을 선 3.1.2 노상면은 도로 완성면과 평형을 이루어야 하며, 노상면의 어떤 점을 선
택해서 측정하더라도 노상면의 계획고보다 30㎜이상 높아서는 안 되고 택해서 측정하더라도 계획고와 30 mm 이상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되고, [수정] : 중복된 문구(노상면의) 삭제, 문구 수정
3 m의 직선자로 검사하였을 때 10㎜이상의 요철이 있어서도 안 된다. 3 m의 직선자로 검사하였을 때 10 mm 이상의 요철이 있어서도 안 된
다.
3.1.3 노상 마무리 면에 대한 최종 점검 후 보조기층 재료를 깔기 전에 우천 3.1.3 노상 마무리 면에 대한 최종 점검 후 보조기층 재료를 깔기 전에 우천

2 -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등으로 노면 손상이 있는 경우와 동절기를 경과한 경우 또는 3개월 이 등으로 노면 손상이 있는 경우와 동절기를 경과한 경우 또는 3개월 이
상 방치한 경우에는 노상면 마무리 다짐 및 점검을 재 실시하여야 한다. 상 방치한 경우에는 노상면 마무리 다짐 및 점검을 재 실시하여야 한다.
3.1.4 노상면에 맹암거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노상 마무리면 3.1.4 노상면에 맹암거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노상 마무리면
검사시 감독자에게 시공 완료된 노상면과 동일한 검사를 받도록 하여야 검사를 받을 때 감독자에게 시공 완료된 노상면과 동일한 검사를 받아 [수정] 한글로 순화, 문장 단순화
한다. 야 한다.
3.2 프루프 롤링 (proof rolling) 3.2 프루프 로울링 (proof rolling)

3.2.1 계약상대자는 노상 최종 마무리면의 표면 전체에 대하여 감독자의 변형 3.2.1 계약상대자는 노상 최종 마무리면의 표면 전체에 대하여 감독자의 확인 [수정] 문구 수정
량 확인을 위한 타이어 로울러 또는 하중을 만재한 15ton 덤프트럭으로 을 위한 타이어 로울러 또는 하중을 만재한 15 t 덤프트럭으로 프루프
프루프 롤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로울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3.2.2 프루프 롤링에 사용되는 타이어 로울러의 복륜하중은 5ton이상, 타이어 3.2.2 프루프 로울링에 사용되는 타이어 로울러의 복륜하중은 5 t 이상, 타이 [수정] : SI 단위계 적용, 단위 변경 (ton→t)
접지압은 0.55㎫(5.6㎏f/㎠) 이상이어야 한다. 어 접지압은 0.55 MPa이상이어야 한다.
3.2.3 프루프 롤링 결과 노상면의 변형량은 5 ㎜이상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3.2.3 프루프 로울링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벤켈만빔 [수정] 적정 위치로 변경(3.2.5 ⇒ 3.2.3), 전문용어 영문표기 추가
3.2.4 계약상대자는 타이어 로울러 또는 덤프트럭을 주행시켜 육안으로 노상 (Benkelman beam)에 의한 변형량 시험방법을 이용한다.
면의 변형이 확인되는 곳을 표시하여 다짐이 부족한 부위에는 재다짐을 3.2.4 프루프 로울링 결과 노상면의 변형량은 5 mm 이상 발생하여서는 안 된
실시하고, 함수비가 높은 부위에는 함수량을 조절한 후에 재다짐을 실시 다.
하며, 재료가 불량한 부위에는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여 재시공을 하여 3.2.5 계약상대자는 육안으로 노상면의 변형이 확인되는 곳을 표시하여 다짐
야 한다. 이 부족한 부위에는 재다짐을 실시하고, 함수비가 높은 부위에는 함수량
3.2.5 프루프 롤링 시 변형량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벤켈만빔에 의한 변 을 조절한 후에 재다짐을 실시하며, 재료가 불량한 부위에는 양질의 재료
형량 시험방법을 이용한다. 로 치환하여 재시공을 하여야 한다.

3.3 비탈면 면고르기 3.3 비탈면 면고르기

3.3.1 흙쌓기부, 땅깎기부, 진입도로, 측구, 수로, 토취장, 사토장 등의 모든 비 3.3.1 흙쌓기부, 땅깎기부, 진입도로, 측구, 수로, 토취장, 사토장 등의 모든 비
탈면은 설계도서에 따라 선형이나 경사에 일치하도록 마무리하여야 한 탈면은 설계도서에 따라 선형이나 경사에 일치하도록 마무리하여야 한
다. 다.
3.3.2 비탈면에 떼를 심거나 수목식재를 할 경우에는 돌덩어리의 최대크기가 3.3.2 비탈면에 떼를 심거나 수목 식재를 할 경우에는 최대치수가 60 mm 이 [수정] : 중복된 용어(돌덩어리) 삭제
60 ㎜ 이상의 돌덩어리 및 기타 폐기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상의 돌덩어리 및 기타 폐기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 완성면의 보호 3.4 완성면의 보호

3.4.1 도로에 연해 설치된 각종 배수시설은 효과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 3.4.1 토공부에 연하여 설치된 각종 배수시설은 효과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수정] 용어 수정 : 도로 ⇒ 토공부
며, 항상 그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며, 항상 그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4.2 완성된 노상면에 자재를 적치해서는 안 되며, 돌 부스러기나 이물질은 3.4.2 완성된 노상면에는 자재를 적치해서는 안 되며, 돌 부스러기나 이물질은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3.4.3 검사가 완료된 노상 마무리면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자재를 적치한 3.4.3 검사가 완료된 노상 마무리 면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자재를 적치한
경우에는 자재제거 후 재 검측을 받아야 하며, 자재적치가 필요한 부분 경우에는 자재 제거 후 재검측을 받아야 하며, 자재 적치가 필요한 부분
의 최종 마무리면의 검측은 가급적 자재를 완전 제거한 후에 실시하여 의 최종 마무리 면에 대한 검측은 가급적 자재를 완전 제거한 후에 실
야 한다. 시하여야 한다.
3.4.4 노상면이 기후조건으로 불안정할 경우에는 차량이나 장비의 운행을 금 3.4.4 노상면이 기후조건으로 불안정할 경우에는 차량이나 장비의 운행을 금
지하여야 한다. 지하여야 한다.

2 -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9 기 초 재 2-9 기초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소구조물 등이 설치 될 지반에 조약돌, 쇄석 또는 이 시방은 콘크리트 소구조물 등이 설치 될 지반에 조약돌, 쇄석 또는 모
모래 등을 부설하여 안정된 지반을 형성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래 등을 부설하여 안정된 지반을 형성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적용시 오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최소화하기 위함.
2. 재 료 2. 재 료
2.1 공통재료

2.1 기초용 재료는 직경 100∼150 ㎜ 정도의 자연석 또는 쇄석으로 세장․평 2.1.1 기초용 재료는 직경 100 mm ∼ 150 mm 정도의 자연석 또는 쇄석으로 [수정] 단위표기 수정
편하거나 연약한 돌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편장석이나 연약한 돌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수정] : 정확한 용어로 변경 (편장석)
2.2 기초용 모래는 강모래, 바다모래 또는 부순 모래로서 점토, 실트 및 기타 2.1.2 기초용 모래는 강모래, 바다모래 또는 부순 모래로서 점토, 실트 및 기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서 10 ㎜체를 전부 통과하고 0.08 ㎜ 타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서 10 mm체를 전부 통과하고 0.08
(No.200)체 통과량이 10% 이하이어야 한다. mm(No.200)체 통과량이 10 % 이하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기초재 부설 시에는 잡석채움 등으로 공극을 메우고 소형로울러 또는 램머 기초재를 부설할 때에는 잡석채움 등으로 간극을 메우고 소형로울러 또는 [수정] 한글로 순화
등으로 충분히 다짐을 한 후 설계두께로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램머 등으로 규정대로 다짐을 한 후 설계두께로 마무리 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관계기관] : 용어통일 공극 ⇒ 간극

2 - 52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3 장 비탈면 안정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 3 장 비탈면 안정공사 제 3 장 비탈면 안정공사
3-1 비탈면 녹화 3-1 비탈면 녹화
3-2 격자블록 공법 3-2 격자블록 및 돌(블록) 붙이기 [수정] 제목수정
3-3 숏크리트 3-3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수정] 한글화된 용어수정
3-4 낙석 방지망 3-4 낙석 방지망
3-5 비탈면 보강용 록앵커 3-5 앵커
3-6 비탈면 보강용 록볼트 3-6 록볼트 [수정] 3장 제목이 비탈면 안정공사이므로 의미전달상 제목 수정
3-7 네일 3-7 네일 [수정] 3장 제목이 비탈면 안정공사이므로 의미전달상 제목 수정
3-8 비탈면 보강용 돌망태 옹벽 3-8 돌망태 옹벽
3-9 돌쌓기 3-9 돌쌓기 옹벽 [수정] 3장 제목이 비탈면 안정공사이므로 의미전달상 제목 수정
3-10 돌망태 3-10 돌망태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내용에 따라 제목 수정
3-11 피암터널 3-11 피암터널 [관계기관의견 반영] 3-11 표층개량공 삭제
3-12 기대기 옹벽 3-12 기대기 옹벽
3-13 사태물질 방지공법 3-13 토석류 대책시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내용에 따라 제목 수정

제 3 장 비탈면 안정공사 제 3 장 비탈면 안정공사


3-1 비탈면 녹화 3-1 비탈면 녹화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깎기 및 쌓기 등에 의한 인공비탈면이나 침식 등에 의한 자연비 1.1.1 이 시방은 깎기 및 쌓기 등에 의한 인공비탈면을 형성할 때 인공재료나 식물 [수정] 비탈면 녹화에 의한 안정공사는 인공비탈면에 적용되므로
탈면에 대하여 인공재료나 식물재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의 안정과 식물군락의 재료를 이용하여 표면을 풍화로부터 보호하고 친환경적으로 복원시켜 지표면
자연비탈면에 대한 문구 및 내용삭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문장 추가
조성 및 경관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비탈면의 녹화공사 일반에 적용한다. 의 안정과 식물군락의 조성 및 경관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비탈면의 녹화공사
일반에 적용한다.

1.1.2 비탈면 녹화공사는 원칙적으로 안정한 경사로 시공한 비탈면에 실시하며, 녹 1.1.2 비탈면 녹화공사는 원칙적으로 안정한 경사로 시공한 비탈면에 실시하며, 녹
화공사로 인해 비탈면 안정성이 저해되지 말아야 한다. 화공사로 인하여 비탈면 안정성이 저해되지 않아야 한다. [수정] 문구수정
1.1.3 비탈면 공사작업 중 또는 완료 후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설계내용과 다른 경 1.1.3 깎기비탈면의 경우 깎기공사작업 중 현장여건이 설계 또는 기본계획과 상이할 [관계기관의견 반영]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장 수정
우 계약상대자는 관련 자료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확인요청을 하고 발주기관 경우 암판정위원회 조사결과에 의하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 비탈면 녹화공
장이 임명한 암판정위원회 공동조사결과에 의하여 지층경계선을 확정하여 비 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탈면 녹화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1.1.4 비탈면 녹화공법은 설계도서에 의한 토질 및 토양조건, 지역조건, 기상조건, 1.1.4 비탈면 녹화공법은 설계도서에 의한 토질 및 토양조건, 지역조건, 기상조건,

3-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비탈면 경사와 높이, 재료의 품질, 종자 등을 비탈면 녹화공법의 기준에 맞게 비탈면 경사와 높이, 재료의 품질, 종자 등을 비탈면 녹화공법의 기준에 맞게
정하고, 자연생태복원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시험시공을 통하여 감독자 승인을 정하고, 지반분야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 및 조경분야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감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에 따라 내용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경분야전문가 참여 위하여 내용 수정
득한 후 공사 시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승인을 받은 후 공사 시행이 되도록 하여야 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다.

1.1.5 비탈면 녹화는 시험시공 및 그 지역에 기시공된 공법 등을 상세 조사하여 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추가


반과 기후특성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1.1.5 비탈면 표면에서 온도나 습도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1.1.6 비탈면 표면에서 온도나 습도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14 와이어 로프 KS D 3514 와이어 로프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KS D 7018 체인링크 철망 KS D 7018 체인링크 철망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KS D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수정] KS 표기 오류 수정
KS D 2324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KS F 2324 흙의 공학적 분류방법
농촌진흥청 비료공정규격
농약관리법 제3조 제 1항 영업의 등록
농림축산식품부 비료공정규격
[관계기관의견 반영] 관할 소관부처 수정
농약관리법 제3조(영업의 등록 등)
[수정] 조항 표기방법 수정
1.3 시공 전 검토사항
1.3 시공전 검토사항
[수정] 띄어쓰기
1.3.1 녹화계획의 수립 1.3.1 녹화계획의 수립
토공계획 초기단계부터 비탈면의 안정을 전제로 비탈조형과 녹화계획을 수립 토공계획 초기단계부터 비탈면의 안정을 전제로 비탈조형과 녹화계획을 수립
하여 경관이 뛰어나고 지속 가능하며, 유지관리가 쉬운 녹화계획을 수립한다. 하여 경관이 뛰어나고 지속 가능하며, 유지관리가 쉬운 녹화계획을 수립한다.

1.3.2 복원녹화목표 설정 1.3.2 복원녹화목표 설정


(1) 비탈면의 침식과 세굴을 방지하여 비탈면의 안정과 보호를 도모하고, 야생동 (1) 비탈면의 침식과 세굴을 방지하여 비탈면의 안정과 보호를 도모하고, 야생동
물의 먹이와 은신처 제공 및 경관 향상을 목표로 한다. 물의 먹이와 은신처 제공 및 경관 향상을 목표로 한다.
(2) 자연과 조화되는 생태적 천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생태계 회복에 유효하고 (2) 자연과 조화되는 생태적 천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생태계 회복에 유효하고
주변 식생과 조화되는 식물군락의 조성을 목표로 한다. 주변 식생과 조화되는 식물군락의 조성을 목표로 한다.
(3) 주변의 토지이용과 산림구조, 비탈면의 토질, 경사, 주향 등을 고려하여 키 큰 (3) 주변의 토지이용과 산림구조, 비탈면의 토질, 경사, 주향 등을 고려하여 키 큰

3-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림형, 키 낮은 수림형, 키 낮은 수림형과 초본주도형의 혼합형, 초본주도형 수림형, 키 낮은 수림형과 초본주도형 군락 중 하나를 목표로 하되, 해당 지역
군락 중 하나를 목표로 하되, 해당 지역에 적합한 자생식물을 적극 활용하도록 에 적합한 자생식물을 적극 활용하도록 한다.
[수정] 의미전달상 반복적인 문구 삭제
한다.

1.3.3 비탈면의 생육기반안정 1.3.3 비탈면의 생육기반안정


(1) 비탈의 토질, 토양, 경사 등이 복원녹화의 목표로 설정된 식물군락의 생육에 (1) 비탈의 토질, 토양, 경사 등이 복원녹화의 목표로 설정된 식물군락의 생육에
적합하지 못하면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키거나 생육기반의 안정이 선행되 적합하지 못하면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키거나 생육기반의 안정이 선행되
어야 한다. 어야 한다.
(2) 표면수 또는 용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되거나 붕괴될 우려가 있는 곳은 (2) 표면수 또는 용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되거나 붕괴될 우려가 있는 곳은
어깨 배수구, 소단 배수구, 종 배수구, 비탈면 밑 배수구, 암거, 유공관 등의 어깨 배수구, 소단 배수구, 종 배수구, 비탈면 밑 배수구, 암거, 유공관 등의
배수시설을 계획하여야 한다. 배수시설을 계획하여야 한다.

1.3.4 자재의 보관 1.3.4 자재의 보관


종자, 비료 등은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비탈면 보조자재와 종자, 비료 등은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여야 하며, 비탈면 보조자재와
보호철물류 및 기타 식생자재는 통풍이 잘되고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는 곳에 보호철물류 및 기타 식생자재는 통풍이 잘되고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는 곳에
자재별로 구분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자재별로 구분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1.4 유지관리 일반 1.4 유지관리 일반

1.4.1 비탈면의 유지관리는 인위적으로 녹화시키는 곳에만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1.4.1 비탈면의 유지관리는 인위적으로 녹화시키는 곳에만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1.4.2 비탈면의 녹화는 주변에서의 식물천이를 통한 안정적인 식물사회의 조성을 기 1.4.2 비탈면의 녹화는 주변에서의 식물천이를 통한 안정적인 식물사회의 조성을 기
본목표로 추구한다. 본목표로 추구한다.

1.4.3 본 항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관련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와 “건설공사 비 1.4.3 본 항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관련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와 “건설공사 비
탈면 표준시방서”를 참고하여 유지관리를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시험 탈면 표준시방서”를 참고하여 유지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시험시공할
시공 시의 유지관리도 이에 준하여 시행한다. 때의 유지관리도 이에 준하여 시행한다. [수정] 원칙으로 삭제
2. 재 료 2. 재 료
2.1 도입식물의 선정 2.1 도입식물의 선정

2.1.1 도입식물의 선정은 식물의 생육특성과 복원녹화의 목표, 비탈면의 토질과 경 2.1.1 도입식물의 선정은 식물의 생육특성과 복원녹화의 목표, 비탈면의 토질과 경
사 등 입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척박지에 잘 자라며 발아가 빠르고 뿌 사 등 입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척박지에 잘 자라며 발아가 빠르고 뿌
리 발달이 좋은 것으로 종자의 대량 구득이 용이하여야 한다. 리 발달이 좋은 것으로 종자의 대량 구득이 용이하여야 한다.

2.1.2 공법별 적용식물은 녹화복원 목표에 적합하여야 하며, 되도록 외래종자를 피 2.1.2 공법별 적용식물은 녹화복원 목표에 적합하여야 하며, 외래종자와 재래종자를

3-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고 재래종자 또는 토착화가 진행된 외래종자를 사용하고, 부득이한 경우에 적정비율로 혼합하되 서로 경합하거나 피압되지 않는 종자배합으로 한다. [수정] 건설공사비탈면 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문장 수정
는 외래종자와 재래종자를 적정비율로 혼합하되 서로 경합하거나 피압되지 않
(불필요한 문장 삭제)
는 종자배합으로 한다.
2.1.3 식물군락을 파종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외래종자와 재래 목․초본 종자의
2.1.3 식물군락을 파종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외래종자와 재래 목․초본 종자의
파종량은 환경녹화지역과 복원목표에 따라 달리 정하되,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파종량은 환경녹화지역과 복원목표에 따라 달리 정하되,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종자 배합계획서에 따라 조정하도록 한다. 종자 배합계획서에 따라 조정하도록 한다.

2.2 식생재료 2.2 식생재료

2.2.1 식재용 식물 2.2.1 식재용 식물

(1) 식물재료의 명칭은 우리말 관용명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학명을 병기한다. (1) 식물재료의 명칭은 우리말 관용명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학명을 병기한다.

(2) 지정된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서 발육이 양호하고 지엽이 치밀하며, 수종별로 (2) 지정된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서 발육이 양호하고 지엽이 치밀하며, 수종별로

고유의 수형을 유지하며, 가급적 대기 중 공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수목을 고유의 수형을 유지하며, 가급적 대기 중 공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수목을

우선으로 한다. 우선으로 한다.

(3) 병충해의 피해나 손상이 없고 건전한 생육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병 (3) 병충해의 피해나 손상이 없고 건전한 생육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병

충해의 감염정도가 미미하고 심각한 확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구 충해의 감염정도가 미미하고 심각한 확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구

제조치를 전제로 채택할 수 있다. 제조치를 전제로 채택할 수 있다.

(4) 활착이 용이하도록 미리 이식 또는 단근작업과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4) 활착이 용이하도록 미리 이식 또는 단근작업과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발달한 재배품이어야 한다. 포트, 콘테이너 등의 용기 재배품인 경우에는 지 발달한 재배품이어야 한다. 포트, 콘테이너 등의 용기 재배품인 경우에는 지

정규격에서 10 % 범위까지를 기준으로 채택할 수 있다. 정규격에서 10 % 범위까지를 기준으로 채택할 수 있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5) 자연산 굴취수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뿌리분을 갖추고 수형, 지엽, (5) 자연산 굴취수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뿌리분을 갖추고 수형, 지엽,

등이 표준이상으로 우량하며, 지정된 분의 크기 이상에 한하여 감독자의 승 등이 표준이상으로 우량하며, 지정된 분의 크기 이상에 한하여 감독자의 승

인을 얻어 채택할 수 있다. 인을 얻어 채택할 수 있다.

(6) 검사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와 지정장소 반입 후 검사로 구분하여 시행한 (6) 검사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와 지정장소 반입 후 검사로 구분하여 시행한

다. 사전검사에 합격해도 굴취, 운반 등의 취급이 나쁘거나 굴취 후 장기간이 다. 사전검사에 합격하여도 굴취, 운반 등의 취급이 나쁘거나 굴취 후 장기간

경과한 것은 지정장소 검사에서 합격품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다만 경우에 이 경과한 것은 지정장소 검사에서 합격품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다만 경
우에 따라서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야생수목은 굴취
따라서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야생수목은 굴취 시에
할 때에 검사하여 사전검사로 대신할 수 있다.
[수정] 한글화
검사하여 사전검사로 대신할 수 있다.

2.2.2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2.2.2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1) 지피류 및 초화류 소재는 종자 및 1년생, 2년생, 숙근류, 구근류 등으로 구분 (1) 지피류 및 초화류 소재는 종자 및 1년생, 2년생, 숙근류, 구근류 등으로 구분

한다. 한다.

(2) 종자의 규격은 중량단위의 수량과 순량률 및 발아율로, 초화류의 규격은 분 (2) 종자의 규격은 중량단위의 수량과 순량률 및 발아율로, 초화류의 규격은 분

얼, 포기 등으로 표시한다. 얼, 포기 등으로 표시한다.

3-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종자는 신선하고 병충해가 없으며 잡초의 종자가 혼합되지 않고 발아율이 양 (3) 종자는 신선하고 병충해가 없으며 잡초의 종자가 혼합되지 않고 발아율이 양
호한 것이어야 한다. 호한 것이어야 한다.
(4) 지피류 및 초화류는 지정된 규격에 맞아야 하고 줄기, 잎, 꽃눈의 발달이 양호 (4) 지피류 및 초화류는 지정된 규격에 맞아야 하고 줄기, 잎, 꽃눈의 발달이 양호
하며, 병충의 피해가 없고 뿌리가 충실하여 흙이 충분히 붙어 있어야 한다. 하며, 병충의 피해가 없고 뿌리가 충실하여 흙이 충분히 붙어 있어야 한다.
(5) 지피류, 초화류, 야생초화류 및 습생초화류는 포트로 재배한 것을 사용하여야 (5) 지피류, 초화류, 야생초화류 및 습생초화류는 포트로 재배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야생채취가 허용된 경우에는 재배품 이상의 품질을 지녀야 한다. 하며 야생채취가 허용된 경우에는 재배품 이상의 품질을 지녀야 한다.
(6) 분얼규격은 지정 수치의 분얼을 가져야 하며, 발육상태는 균일하여야 하고 분 (6) 분얼규격은 지정 수치의 분얼을 가져야 하며, 발육상태는 균일하여야 하고 분
얼되어 일정기간 성장한 것이어야 한다. 얼되어 일정기간 성장한 것이어야 한다.

2.2.3 잔디 및 잔디종자 2.2.3 잔디 및 잔디종자


(1) 잔디 (1) 잔디
① 잔디는 일반잔디와 롤형 잔디로 구분된다. 일반잔디는 자연산 또는 재배잔 ① 잔디는 일반잔디와 롤형 잔디로 구분된다. 일반잔디는 자연산 또는 재배잔
디로 규격은 가로 0.3 m, 세로 0.3 m, 두께 30 ㎜ 의 것을 기준으로 하되, 반 디로 규격은 가로 0.3 m, 세로 0.3 m, 두께 30 mm 의 것을 기준으로 하되,
입잔디가 소규격인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공한다. 롤형 잔디는 난지형 반입잔디가 소규격인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공한다. 롤형 잔디는 난지
잔디 또는 한지형 잔디를 재배한 것으로서 잔디수확기로 떼어내어 롤형태로 형 잔디 또는 한지형 잔디를 재배한 것으로서 잔디수확기로 떼어내어 롤형
말은 잔디로서 규격은 1 ㎡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태로 말은 잔디로서 규격은 1 ㎡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② 잔디의 품질은 재배품이거나 자연잔디를 채취한 것으로 구비조건은 다음과 ② 잔디의 품질은 재배품이거나 자연잔디를 채취한 것으로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같다.
가. 잡초가 없고 지하경이 치밀하게 발달한 것이어야 한다. 가. 잡초가 없고 지하경이 치밀하게 발달한 것이어야 한다.
나. 잎이 불규칙하거나 잎 끝이 찢어지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나. 잎이 불규칙하거나 잎 끝이 찢어지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다. 잡초가 섞이지 않고 병충해의 피해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다. 잡초가 섞이지 않고 병충해의 피해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라. 두께 및 크기가 균일하게 굴취된 것이어야 한다. 라. 두께 및 크기가 균일하게 굴취된 것이어야 한다.
마. 장기간 적재에 의해 부패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마. 장기간 적재에 의하여 부패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③ 현장에 도착된 잔디는 1일 이내에 식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③ 현장에 도착된 잔디는 1일 이내에 식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잔디종자 (2) 잔디종자
① 자생잔디는 국내 자생종 Zoysia 계통과 Poa의 잔디종자 사용이 가능하며, ① 자생잔디는 국내 자생종 Zoysia 계통과 Poa의 잔디종자 사용이 가능하며,
하되 감독자(또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종을 선택한다. 잔디종자는 2년 이내 하되 감독자(또는 감리자)와 협의하여 종을 선택한다. 잔디종자는 2년 이내
에 채취된 것으로 발아촉진 처리된 것이어야 하며, 발아율 60 % 이상, 순량 에 채취된 것으로 발아촉진 처리된 것이어야 하며, 발아율 60 % 이상, 순량
률 98 % 이상이어야 한다. 률 98 % 이상이어야 한다.
② 도입잔디는 현지의 제반 여건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하여 종자를 선정하며, ② 도입잔디는 현지의 제반 여건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하여 종자를 선정하며,
발아율 80 % 이상, 순량률 98 % 이상이어야 한다. 혼합종자를 사용할 경우 발아율 80 % 이상, 순량률 98 % 이상이어야 한다. 혼합종자를 사용할 경우
에는 자재조달 계획서를 제출할 때 원산지증명과 품질보증서가 첨부되어야 에는 자재조달 계획서를 제출할 때 원산지증명과 품질보증서가 첨부되어야

3-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고 혼합률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고 혼합률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③ 포복경 또는 지하경 ③ 포복경 또는 지하경

잔디에서 흙을 털어낸 포복경 또는 지하경을 50 100 ㎜로 자른 것을 사용 잔디에서 흙을 털어낸 포복경 또는 지하경을 50 mm ∼ 100 mm로 자른 것 [수정] 단위표기 수정
하되 마르거나 썩지 아니한 것을 사용한다. 을 사용하되 마르거나 썩지 아니한 것을 사용한다.

2.2.4 초본류 종자 중 재래초종 2.2.4 초본류 종자 중 재래초종


정상적인 현장조건에서 발아율 30 % 이상, 순량률 60 % 이상이어야 한다. 발아율 30 % 이상, 순량률 60 %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의미전달이 불명확한 문구 삭제하고 최소 치 이상을 제시
2.2.5 목본류 종자 2.2.5 목본류 종자
정상적인 현장조건에서 발아율 20 % 이상, 순량률 50 % 이상이어야 한다. 발아율 20 % 이상, 순량률 50 %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의미전달이 불명확한 문구삭제하고 최소 치 이상을 제시
2.2.6 비 료 2.2.6 비 료
(1) 복합비료 (1) 복합비료
농촌진흥청 비료공정규격품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되, 사용종류는 감 농림축산식품부 비료공정규격품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되, 사용종류 [수정] 소관부처 수정
독자의 지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는 감독자의 지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 유기질비료 (2) 유기질비료
조경용 유기질 비료는 퇴비, 부엽토, 부숙왕겨 또는 톱밥 등의 부산물을 완전 조경용 유기질 비료는 퇴비, 부엽토, 부숙왕겨 또는 톱밥 등의 부산물을 완전
히 부숙한 부산물 비료로, 악취를 방지하거나 물리적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 히 부숙한 부산물 비료로, 악취를 방지하거나 물리적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
하여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기물 함량이 25 % 이상, 유기 하여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기물 함량이 25 % 이상, 유기
물 대 질소의 비가 50 이하가 되어야 한다. 물 대 질소의 비가 50 이하가 되어야 한다.

2.2.7 생육기반재 2.2.7 생육기반재


유기물 함량이 건물당 중량비로 5 % 이상, 토양경도가 24 ㎜ 이하, 공극률이 60 유기물 함량이 건물당 중량비로 5 % 이상, 토양경도가 24 mm 이하, 공극률
% 이상이어야 한다. 이 60 % 이상이어야 한다.

2.2.8 식생기반재 2.2.8 식생기반재


혼합종자와 비료를 포함하는 유기질 또는 무기질 토양개량재와 흙 또는 유기 혼합종자와 비료를 포함하는 유기질 또는 무기질 토양개량재와 흙 또는 유기
·
질이 많은 대용토를 적절히 혼합하여 만든 유기혼합토로 동 식물에 무해하고 ·
질이 많은 대용토를 적절히 혼합하여 만든 유기혼합토로 동 식물에 무해하고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그 성분배합은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른다.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시간경과 후에도 기반재가 탈리되지 않는 재 [자문] 문장 수정
2.2.9 농 약 료를 사용하여야 하고 그 성분배합은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른다.

농약은 농약관리법 제3조 제1항에 따라 등록된 제조업자의 제조품목 중 병충해 2.2.9 농 약


의 증상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며, 관련 부서와 협의하여 변경 사용할 수 있다. 농약은 농약관리법 제3조 제1항에 따라 등록된 제조업자의 제조품목 중 병충해

2.2.10 살충제 의 증상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며, 관련 부서와 협의하여 변경 사용할 수 있다.

살충제는 광범위 살충제인 디프수화제를 기본 사용약제로 한다. 2.2.10 살충제


살충제는 광범위 살충제인 디프수화제를 기본 사용약제로 한다.

3-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11 차폐수벽공사용 수목 2.2.11 차폐수벽공사용 수목
교목성으로 차폐특성을 갖춘 수종으로 한다. 교목성으로 차폐특성을 갖춘 수종으로 한다.

2.2.12 식생혈공사 2.2.12 식생혈공사


소규모 식생분을 사용할 때나 식생혈공사 시 수목을 사용할 때에는 2년 이상 소규모 식생분을 사용할 때나 식생혈공사 때 수목을 사용할 때에는 2년 이상 [수정] 한글화
강건하게 육묘된 것을 사용한다. 강건하게 육묘된 것을 사용한다.

2.2.13 덮기(멀칭)재 2.2.13 덮기(멀칭)재


설계도서 및 감독자(또는 감리자)의 지시에 의한 품질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설계도서 및 감독자(또는 감리자)의 지시에 의한 품질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2.2.14 식생상 2.2.14 식생상


인조목, 통나무, 철근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되, 각각 한국산업규격 인조목, 통나무, 철근콘크리트,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되, 각각 한국산업표준 [수정] 용어 수정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하고, 식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배수를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하고, 식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배수를
고려하여 견고하게 제작한다. 고려하여 견고하게 제작한다.

2.2.15 각종 자재 2.2.15 각종 자재
동․식물에 무해하고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제조업체의 제품시방 동․식물에 무해하고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제조업체의 제품시방
서에 따른다. 서에 따른다.

2.2.16 침식방지망 2.2.16 침식방지망


보습․보온 효과가 있고 인장강도가 높아야 하며, 종자발아에 유해 되는 물 보습․보온 효과가 있고 인장강도가 높아야 하며, 종자발아에 유해 되는 물
질이나 병충해에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 질이나 병충해에 감염되지 않아야 한다.

2.2.17 격자틀 및 블록제품 2.2.17 격자틀 및 블록제품


접합부가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며, 도입식물에 따른 생존조건 이 접합부가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하며, 도입식물에 따른 생존조건 이
상의 토심깊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상의 토심깊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2.2.18 낙석방지망 2.2.18 낙석방지망


내부식성이 있고 조립이 용이하며, 비탈면에서 낙석되는 것을 견딜 수 있도 내부식성이 있고 조립이 용이하며, 비탈면에서 낙석되는 것을 견딜 수 있도
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2.2.19 새집붙이기 재료 2.2.19 새집붙이기 재료


가능한 자연석 및 돌 등을 사용한다. 가능한 자연석 및 돌 등을 사용한다.

2.2.20 물 2.2.20 물
깨끗한 시냇물이나 상수도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오염되거나 식물생육에 유 깨끗한 시냇물이나 상수도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오염되거나 식물생육에 유
해한 물질이 섞여 있는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해한 물질이 섞여 있는 물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2.21 기타재료의 품질 2.2.21 기타재료의 품질

3-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이를 변경․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감독자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이를 변경․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감독자
(또는 감리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한다. (또는 감리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한다.

2.3 유지관리용 재료 2.3 유지관리용 재료

2.3.1 녹화공법의 식생기반재료는 제품 및 환경기준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되 시공전 2.3.1 녹화공법의 식생기반재료는 시공 후 서로 떨어지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자문] 내용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문구 수정
후에 총 2 회에 걸쳐 제품의 품질분석을 의뢰한 결과를 감독자가 보유하고 있 하고, 제품 및 환경기준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되 시공 전후에 총 2 회에 걸쳐 탈리가 발생되지 않는 ⇒ 서로 떨어지지 않는
어야 한다. 제품의 품질분석을 의뢰한 결과를 감독자가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2.3.2 화이버, 섬유제품 등의 멀칭(mulching) 자재는 유기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 2.3.2 화이버, 섬유제품 등의 멀칭(mulching) 자재는 유기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하고 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장해가 없는 제품이어야 한다. 칙으로 하고 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장해가 없는 제품이어야 한다.

2.3.3 부착망은 체인링크철선과 염화비닐피복철선의 기준에 합당한 부착망을 시공하 2.3.3 부착망은 체인링크철선과 염화비닐피복철선의 기준에 합당한 부착망을 시공하
여야 하며, 시공 후에도 감독자는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야 하며, 시공 후에도 감독자는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3.4 앙카핀 및 착지핀의 경우는 설계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였는지 확인하고 감독 2.3.4 앵커핀 및 착지핀의 경우는 설계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였는지 확인하고 감독 [관계기관의견 반영] 용어수정
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분석한 앙카핀 및 착지핀의 규격을 보관하고 있어 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분석한 앵커핀 및 착지핀의 규격을 보관하고 있어
야 한다. 야 한다.

2.3.5 식물재료에 대해서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발아율시험을 한 성적서를 감독자 2.3.5 식물재료에 대해서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발아율시험을 한 성적서를 감독자
는 가지고 있어야 하고 시공 후에도 향 후 시공사에서 조사 분석한 발아 및 는 가지고 있어야 하고, 시공 후에도 향 후 시공사에서 조사 분석한 발아 및
생육 성적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생육 성적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2.3.6 비탈면의 시공 후의 추적 식생조사는 초기조사(시공 후 1, 2개월), 중장기조사 2.3.6 비탈면의 시공 후의 추적 식생조사는 초기조사(시공 후 1개월, 2개월), 중장

(6개월 1년 이상)로 나누어 수행하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식생사회조성이 안 ∼
기조사(6개월 1년 이상)로 나누어 수행하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식생사회조성
되고 전체 피복도가 60 % 이하일 때는 재시공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안되고 전체 피복도가 60 % 이하일 때는 재시공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
다.

3. 시공 3. 시공
3.1 시공 일반 3.1 시공 일반

녹화공법의 안정성 및 경제성은 물론 선정된 녹화식물의 생육과 식물군락 형성 녹화공법의 안정성 및 경제성은 물론 선정된 녹화식물의 생육과 식물군락 형성

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되, 동일 비탈면에는 동일 공법의 적용을 원칙으 에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되, 동일 비탈면에는 동일 공법의 적용을 원칙으

로 한다. 로 한다.
(1) 풍화침식으로 지반면과 분리되어 흘러내리거나 소단부에 퇴적된 토사와 얕게 [자문]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박히거나 걸친 돌 등을 제거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유리⇒분리, 소단분⇒소단부

3-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기초공사를 필요로 하는 비탈면은 지표면을 잘 정리하여 기초보호재료의 부
착을 용이하게 한다.
(3) 비탈면 상․하단부는 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와 동결 및 침식의 방지를 위하
여 예각을 피하여 자연스러운 형태로 마무리 한다. 단, 우수한 기존식생이 존 [자문] 오타 수정 : 자연스러눈 ⇒ 자연스러운
재할 때에는 재검토하여 고르기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시공된 면이 우수로 인한 침식, 붕괴 등 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관계기관의견 반영] 시공 후 초본류의 발아·정착전에 붕괴 및 유실
이 예상되는 경우 표면보호에 대한 내용을 추가함.
비닐 등 덮개로 덮어서 보호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 등으로⇒등 덮개로
3.2 시공적기 및 부적기 3.2 시공 적기 및 부적기 [수정] 띄어쓰기
(1) 일평균 기온이 10 25∼ ℃ 일 때는 식생공사를 위한 최적기이므로 어떤 종류도 (1) 일평균 기온이 10 ℃∼25 ℃ 일 때는 식생공사를 위한 최적기이므로 어떤 종 [수정] 단위표기 수정
가능하다. 류도 가능하다.
(2) 25 ℃ 이상일 때에는 고온 건조하여 해를 받기 쉬우므로 여름철 시공은 피하 (2) 25 ℃ 이상일 때에는 고온 건조하여 해를 받기 쉬우므로 여름철 시공은 피하
도록 한다. 그러나 공기의 형편에 따라 부득이 시공할 경우에는, 건조의 해를 도록 한다. 그러나 공기의 형편에 따라 부득이 시공할 경우에는, 건조의 해를
잘 받지 않는 종류가 바람직하다. 즉, 흙쌓기 비탈면에는 줄떼공사, 식생줄떼 잘 받지 않는 종류가 바람직하다. 즉, 흙쌓기 비탈면에는 줄떼공사, 식생줄떼
공사, 식생매트공사가 가능하며, 땅깎기 비탈면에 대해서는 식생대공사, 부분 공사, 식생매트공사가 가능하며, 땅깎기 비탈면에 대해서는 식생대공사, 부분
객토식생공사, 식생매트공사가 사용될 수 있다. 객토식생공사, 식생매트공사가 사용될 수 있다.
(3) 10 ℃ 이하에서는 동상에 의한 건조의 위험과 붕락 등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3) 10 ℃ 이하에서는 동상에 의한 건조의 위험과 붕락 등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동절기의 시공은 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기의 형편상 부득이 시공할 경우 동절기의 시공은 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기의 형편상 부득이 시공할 경우
에는 씨앗의 탈락이 적은 식생매트공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는 씨앗의 탈락이 적은 식생매트공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4) 떼붙이기공사의 시공시기는 동절기(12 2월)를 제외하고 연중 가능하며, 3 4∼ (4) 떼붙이기공사의 시공시기는 동절기(12월 ∼ 2월)를 제외하고 연중 가능하며, [자문] 건설공사 비탈면 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 ∼ ∼
월 및 10 11월이 적기이다. 씨앗파종은 봄철(3 5월)이 적기이나 6 9월까지 3월 ∼ 4월 및 10월 ∼ 11월이 적기이다. 씨앗파종은 봄철(5월 ∼ 6월)이 적
는 가능하다. 기이나 4월 ∼ 9월까지는 가능하다.
3.3 생육기반 조성 3.3 생육기반 조성

3.3.1 면정리 및 고르기 3.3.1 면정리 및 고르기


(1) 토사비탈면의 면정리 및 고르기 (1) 토사비탈면의 면정리 및 고르기
① 풍화침식으로 비탈면과 유리되어 흘러내리거나, 소단부에 퇴적된 토사와 얕 ① 풍화침식으로 비탈면과 유리되어 흘러내리거나, 소단부에 퇴적된 토사와 얕
게 박히거나 걸친 돌 등을 제거한다. 게 박히거나 걸친 돌 등을 제거한다.
② 기초공사를 필요로 하는 비탈면은 지표면을 잘 정리하여 기초보호재료의 부 ② 기초공사를 필요로 하는 비탈면은 지표면을 잘 정리하여 기초보호재료의 부
착을 용이하게 한다. 착을 용이하게 한다.
③ 비탈면 상․하 단부는 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와 동결 및 침식의 방지를 위 ③ 비탈면 상․하 단부는 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와 동결 및 침식의 방지를 위
하여 예각을 피해 자연스러운 형태로 마무리한다. 단, 우수한 기존식생이 존 하여 예각을 피하여 자연스러운 형태로 마무리한다. 단, 우수한 기존식생이

3-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재할 때에는 재검토하여 고르기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존재할 때에는 재검토하여 고르기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④ 시공된 면이 우수로 인한 침식, 붕괴 등 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경우에 ④ 시공된 면이 우수로 인한 침식, 붕괴 등 손실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경우에
는 비닐 등으로 덮어서 보호한다. 는 비닐 등으로 덮어서 보호한다.
(2) 암반의 면정리 및 고르기 (2) 암반의 면정리 및 고르기
① 면정리 및 고르기는 토목시공면을 고려하되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녹화 ① 면정리 및 고르기는 시공면을 고려하되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녹화를 [수정] 용어 수정
를 위하여 매끈하게 정리하지 않고 굴곡있는 암반을 조성한다. 위하여 매끈하게 정리하지 않고 굴곡 있는 암반을 조성한다.
② 절취, 발파 등에 의한 뜬 돌 등을 제거한다. 단, 여러 규격의 파쇄된 돌들이 ② 절취, 발파 등에 의한 뜬 돌 등을 제거한다. 단, 여러 규격의 파쇄된 돌들이
자연스럽게 쌓여서 안정되어 있을 때에는 예외로 한다. 자연스럽게 쌓여서 안정되어 있을 때에는 예외로 한다.

3.3.2 비탈면 배수공사 3.3.2 비탈면 배수공사


(1) 표면수 또는 용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되어 유출되거나 붕괴의 우려가 있 (1) 표면수 또는 용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되어 유출되거나 붕괴의 우려가 있
는 곳에서는 비탈면어깨배수구, 소단배수구, 종배수구, 비탈면 밑 배수구, 암 는 곳에서는 비탈면어깨배수구, 소단배수구, 종배수구, 비탈면 밑 배수구, 암
거 유공관, 배수판설치 등의 배수시설을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한다. 거 유공관, 배수판설치 등의 배수시설을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한다.
(2) 소단부는 암반비탈면이라도 생육기반재가 침식되지 않도록 횡단기울기를 두 (2) 소단부는 암반비탈면이라도 생육기반재가 침식되지 않도록 횡단경사를 두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기울기 ⇒ 경사
거나 배수구를 설치하여 어떤 경우에라도 소단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나 배수구를 설치한다. [수정] 애매한 내용을 명확하게 내용수정
(3) 습한 상태의 비탈면은 생육기반이 항상 흡수 포화되어 병충해 발생이 우려되 (3) 습한 상태의 비탈면은 생육기반이 항상 흡수 포화되어 병충해 발생이 우려되
고, 식물생육이 곤란하므로 종․횡단 배수구 및 배수매트, 배수망, 배수판 등 고, 식물생육이 곤란하므로 종․횡단 배수구 및 배수매트, 배수망, 배수판 등
을 설치하여 집수처리한다. 을 설치하여 집수 처리한다.
(4) 용수의 처리는 설계도서에 의해 지상집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하며, 비탈면녹화 (4) 용수의 처리는 설계도서에 의하여 지상집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하며, 비탈면녹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생육기반과 분리된 배수층을 조성한다. 화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생육기반과 분리된 배수층을 조성한다.
(5) 배수시설의 설치는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해당 항목 및 공사시방서에 따 (5) 배수시설의 설치는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해당 항목 및 공사시방서에 따
른다. 른다.
(6) 상부지반의 표면수가 비탈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산마루 측구의 형상과 위 [삭제] 비탈면 녹화내용과 무관한 내용으로 삭제
치를 정한다.

3.3.3 비탈면녹화 기초 3.3.3 비탈면녹화 기초


(1) 훼손된 비탈면의 생태적, 경관적 복원 및 보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식물생육 (1) 훼손된 비탈면의 생태적, 경관적 복원 및 보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식물생육
이 건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정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이 건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정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2) 비탈면 보강용 심박기 (2) 비탈면 보강용 심박기
① 비탈면에 생육기반재의 안정된 부착을 도모하기 위해 말뚝, 철근 등의 비탈 ① 비탈면에 생육기반재의 안정된 부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말뚝, 철근 등의 비

심을 3 4 개/㎡ 정도로 비탈면에 연직방향으로 충분히 깊이 박아야 한다. 탈심을 3개/㎡ ∼ 4개/㎡ 정도로 비탈면에 연직방향으로 충분히 깊이 박아 [수정] 단위표기 수정
야 한다.
② 비탈면에 암반이 있을 경우 암반의 절리방향 및 경사를 조사한 후 심박기 ② 비탈면에 암반이 있을 경우 암반의 절리방향 및 경사를 조사한 후 심박기

3-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비탈면 침식방지망 (3) 비탈면 침식방지망
① 침식방지망을 사용하여 비탈면의 지표면침식방지와 종자유실방지를 통해, ① 침식방지망을 사용하여 비탈면의 지표면침식방지와 종자유실방지를 통하여
발아촉진과 활착이 되도록 시공한다. 발아촉진과 활착이 되도록 시공한다.
② 종자 뿜어붙이기를 시공한 뒤에 시공 비탈면 위에서 아래로 굴려 비탈면모 ② 종자 뿜어붙이기를 시공한 뒤에 시공 비탈면 위에서 아래로 굴려 비탈면모
양대로 자연스럽게 펼치도록 하고, 방지망이 팽팽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양대로 자연스럽게 펼치도록 하고, 방지망이 팽팽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지표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방지망은 100 200 ㎜ 정도 겹치게 지표면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방지망은 100 mm ∼ 200 mm 정 [수정] 단위표기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기 수정
[수정] 의미전달의 명확성을 위해 문구수정
설치하며, 비탈면에 X자 형태로 고정 줄을 설치하고, 1 ㎡당 1개 이상의 고 도 겹치게 설치하며, 횡으로 고정 줄을 설치하고, 1㎡마다 1개 이상의 고정 [관계기관의견 반영] 문구 추가
정핀을 박아서 고정한다. 핀을 박아서 고정한다.

(4) 비탈면보호용 격자블록 (4) 비탈면보호용 격자블록


① 소형의 수로를 격자상으로 구획하여 지표수를 분산집배수함으로써 지표면 ① 소형의 수로를 격자상으로 구획하여 지표수를 분산집배수함으로써 지표면
침식을 억제하고 공사 전 채집된 표토 및 생육기반재를 채워 녹화되도록 침식을 억제하고 공사 전 채집된 표토 및 생육기반재를 채워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시공한다.
② 격자블록을 설치할 때에는 비탈면을 평활하게 고른 다음 격자블록을 올바르 ② 격자블록을 설치할 때에는 비탈면을 평활하게 고른 다음 격자블록을 올바르
게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올려 붙여야한다. 게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올려 붙여야한다.
③ 격자의 교점부분에 활동막이를 사용할 때에는 활동막이가 격자와 충분히 고 ③ 격자의 교점부분에 활동막이를 사용할 때에는 활동막이가 격자와 충분히 고
정되도록 한다. 정되도록 한다.
④ 격자 내에 식재하기 위해서는 도입식물의 원활한 생육을 위하여 채집표토를 ④ 격자 내에 식재하기 위해서는 도입식물의 원활한 생육을 위하여 채집표토를
채워서 충분히 다진 후 식재하며, 채집표토가 없을 때에는 생육기반재를 채 채워서 충분히 다진 후 식재하며, 채집표토가 없을 때에는 생육기반재를 채
우도록 한다. 우도록 한다.
(5) 낙석방지망덮기 (5) 낙석방지망덮기
① 비탈면에 불안정한 암괴나 돌 등이 낙석이 되어도 비탈면과 망사이로 미끄러 ① 비탈면에 불안정한 암괴나 돌 등이 낙석이 되어도 비탈면과 망사이로 미끄러
지도록 하거나, 뜬 돌을 눌러주어 식물의 생육기반이 보전되도록 시공한다. 지도록 하거나, 뜬 돌을 눌러주어 식물의 생육기반이 보전되도록 시공한다.
② 암반비탈면의 굴곡부에 가능한 한 밀착시켜 침식층의 퇴적이 이루어지도록 ② 암반비탈면의 굴곡부에 가능한 한 밀착시켜 침식층의 퇴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다.
③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와 병행할 때에는 기반재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③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와 병행할 때에는 기반재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깊이로 앵커링을 박아야 한다. 깊이로 고정핀 등을 박아야 한다. [수정] 의미전달이 불문명한 외래어에 대한 용어수정
④ 고정핀과 종․횡의 고정줄은 충분히 설치하고 고정한다. ④ 고정핀과 종․횡의 고정줄은 충분히 설치하고 고정한다.
(6) 편책 (6) 편책
① 암반비탈면 소단부 등에 수목의 원활한 생육이 가능한 선상의 편책을 설치 ① 암반비탈면 소단부 등에 수목의 원활한 생육이 가능한 선상의 편책을 설치
하고, 표토 및 생육기반재를 채워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하고, 표토 및 생육기반재를 채워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3-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토양수분의 충분한 저장 및 배수가 용이하도록 설치한다. ② 토양수분의 충분한 저장 및 배수가 용이하도록 설치한다.
(7) 콘크리트 힘줄박기 (7) 콘크리트 힘줄박기
① 현장타설 콘크리트격자를 만들어 급경사 비탈면의 표층부 붕락을 방지하고 ① 현장타설 콘크리트격자를 만들어 급경사 비탈면의 표층부 붕락을 방지하고
식물의 생육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식물의 생육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② 비탈면의 조건에 따라 생육기반재의 채움깊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도입식물 ② 비탈면의 조건에 따라 생육기반재의 채움깊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도입식물
에 의해 콘크리트 면이 은폐되도록 시공한다. 에 의하여 콘크리트 면이 은폐되도록 시공한다.
(8) 돌망태 (8) 돌망태
① 돌망태에 사용하는 철선은 아연도금철선, 합성수지피복철선 및 알루미늄 도 ① 돌망태에 사용하는 철선은 아연도금철선, 합성수지피복철선 및 알루미늄 도
금철선이 있다. 금철선이 있다.
② 돌망태 채움재는 지름이 망눈의 최대지수보다 크고 250 ㎜ 보다 작은 돌로 ② 돌망태 채움재는 지름이 망눈의 최대지수보다 크고 250 mm 보다 작은 돌
서 입도가 양호하고 견고하며, 내구성이 좋아야한다. 로서 입도가 양호하고 견고하며, 내구성이 좋아야한다.
③ 기초지반을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경사 및 선형에 맞추어 정리하고 다짐하여 ③ 기초지반을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경사 및 선형에 맞추어 정리하고 다짐하여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공한다.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공한다.
[삭제]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삭제
④ 돌망태의 하단부는 표토로부터 500 ㎜ 하부에 설치하여 유실을 방지한다.
(9) 기타 비탈면보호공 (9) 기타 비탈면보호공
① 비탈면의 지표면안정 및 보호가 되도록 시공하되 경관적 관점에서 조형적으 ① 비탈면의 지표면안정 및 보호가 되도록 시공하되 경관적 관점에서 조형적으
로 시공하여야 한다. 로 시공하여야 한다.
② 인조암붙이기는 각 기본단위가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며, 원지반에도 견고히 ② 인조암붙이기는 각 기본단위가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며, 원지반에도 견고히
지지하고, 조립이음부분은 제품의 바위색과 동일한 색상재료로 빠짐없이 채 지지하고, 조립이음부분은 제품의 바위색과 동일한 색상재료로 빠짐없이 채
워 방수를 도모한다. 워 방수를 도모한다.
③ 모르타르 및 숏크리트를 이용한 보호공에는 시공면에 요철을 주어 자연미가 ③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를 이용한 보호공에는 시공면에 요철을
살아나도록하며, 10 ㎡ 당 1개소 이상의 식생혈이 가능하도록 한다. 주어 자연미가 살아나도록하며, 10 ㎡마다 1군데 이상의 식생혈이 가능하도
록 한다.
④ 새집붙이기 등의 식재공을 병용하기 위해서 충분한 깊이의 식혈을 확보하 ④ 새집붙이기 등의 식재공을 병용하기 위하여서 충분한 깊이의 식혈을 확보하
고, 양질의 생육기반재를 투입하여 식생의 활착을 도모한다. 고, 양질의 생육기반재를 투입하여 식생의 활착을 도모한다.
⑤ 이암 등 불량한 비탈면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식생 및 구조물을 [삭제]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삭제
보호하고 암석풍화를 저감시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한다.

3.4 비탈면 녹화 3.4 비탈면 녹화

3.4.1 비탈면 잔디식재 3.4.1 비탈면 잔디식재


(1) 잔디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비탈면경사가 1 : 1 보다 완만할 때에는 비탈면을 (1) 잔디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비탈면경사가 1 : 1 보다 완만할 때에는 비탈면을

3-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일시에 녹화하기 위해서 흙이 붙어 있는 재배된 잔디를 사용하여 붙인다. 일시에 녹화하기 위하여서 흙이 붙어 있는 재배된 잔디를 사용하여 붙인다.
(2) 비탈면 전면(평떼) 붙이기는 줄눈을 틈새 없이 붙이고 십자줄이 형성되지 않 (2) 비탈면 전면(평떼) 붙이기는 줄눈을 틈새 없이 붙이고 십자줄이 형성되지 않
도록 어긋나게 붙이며, 잔디 소요면적은 비탈면 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록 어긋나게 붙이며, 잔디 소요면적은 비탈면 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3) 비탈면 줄떼다지기는 잔디폭이 100 ㎜ 이상 되도록 하고, 비탈면에 100 ㎜ 이내 (3) 비탈면 줄떼다지기는 잔디폭이 100 mm 이상 되도록 하고, 비탈면에 100 mm
간격으로 수평골을 파서 수평으로 심고 다짐을 철저히 한다. 이내 간격으로 수평골을 파서 수평으로 심고 다짐을 철저히 한다.
(4) 선떼붙이기는 비탈면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단끊기 후 되메우기 한 앞면 (4) 선떼붙이기는 비탈면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단끊기 후 되메우기 한 앞면
에 떼를 세워 붙이되 흙층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달구판으로 다지기를 잘하고 에 떼를 세워 붙이되 흙층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달구판으로 다지기를 잘하고
줄눈이 수평이 되도록 시공하며 침하율을 감안하여 계획높이보다 덧쌓기를 줄눈이 수평이 되도록 시공하며 침하율을 감안하여 계획높이보다 덧쌓기를
하고, 부위별 떼의 규격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한다. 하고, 부위별 떼의 규격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한다.
(5) 잔디고정은 떼꽂이를 사용하여 잔디 1매당 2개 이상 견실하게 고정하며, 시공 (5) 잔디고정은 떼꽂이를 사용하여 잔디 1매마다 2개 이상 견실하게 고정하며, 시 [수정] 한글화
후에는 모래나 흙으로 잔디붙임면을 얇게 덮은 후 달구판으로 고루 두들겨 공 후에는 모래나 흙으로 잔디붙임면을 얇게 덮은 후 달구판으로 고루 두들
다져준다. 겨 다져준다.
(6) 잔디판 붙이기는 비탈면의 침식방지 및 활착이 용이하도록 잔디판을 비탈면 (6) 잔디판 붙이기는 비탈면의 침식방지 및 활착이 용이하도록 잔디판을 비탈면
에 밀착․고정한다. 에 밀착․고정한다.

3.4.2 비탈면 수목식재 3.4.2 비탈면 수목식재


(1) 비탈면의 안정적이고 생태적인 녹화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수 (1) 비탈면의 안정적이고 생태적인 녹화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수
목을 도입하여 식재․시공한다. 목을 도입하여 식재․시공한다.
(2) 새집붙이기 (2) 새집붙이기
① 암석을 채굴하고 깎아낸 요철이 많은 암반비탈면에 점적녹화를 목적으로 시 ① 암석을 채굴하고 깎아낸 요철이 많은 암반비탈면에 점적녹화를 목적으로 시
공한다. 공한다.
② 수목생육에 충분한 깊이로 표토나 생육기반재를 채운다. ② 수목생육에 충분한 깊이로 표토나 생육기반재를 채운다.
(3) 차폐수벽 (3) 차폐수벽
① 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반비탈면 및 채석장 등은 수목으로 차폐한다. ① 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반비탈면 및 채석장 등은 수목으로 차폐한다.
② 비탈면 하단부나 소단, 옹벽 등에 생육기반을 조성한 후에 2열 이상으로 식 ② 비탈면 하단부나 소단, 옹벽 등에 생육기반을 조성한 후에 2열 이상으로 식
재한다. 재한다.
(4) 덩굴식재 (4) 덩굴식재
① 일반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깎기 비탈면을 덩굴식물에 의한 차폐와 녹화 ① 일반식생의 도입이 불가능한 암깎기 비탈면을 덩굴식물에 의한 차폐와 녹화
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공한다. 단, 비탈면의 규모가 작아 덩굴식물이 주변산 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공한다. 단, 비탈면의 규모가 작아 덩굴식물이 주변산
림으로 확산하여 수목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곳은 시공을 피하고 비탈면 림으로 확산하여 수목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곳은 시공을 피하고 비탈면
좌․우 시작점에서 10 m 이상 충분히 떨어진 곳에 식재한다. 좌․우 시작점에서 30 m 이상 충분히 떨어진 곳에 식재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② 붕락의 위험이 없는 양호한 암반비탈면에 덩굴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경관을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3-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암반비탈면 맨 아랫단에 제한적인 범위에서 식재한
다.
② 비탈면의 상단부, 소단부, 하단부에 생육기반을 조성․식재하여 상향식 및 ③ 비탈면의 상단부, 소단부, 하단부에 생육기반을 조성․식재하여 상향식 및
[수정] 이하 번호 수정
하향식 녹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향식 녹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③ 주변 임상과 조화되는 덩굴식물을 선정하여 식재한다. ④ 주변 임상과 조화되는 덩굴식물을 선정하여 식재한다.
④ 식혈의 크기는 직경 0.3 m, 깊이 0.3 m이상으로 한다. ⑤ 식혈의 크기는 직경 0.3 m, 깊이 0.3 m 이상으로 한다.

⑤ 비탈면 하단부에 식재하는 등나무는 포트(pot) 재배한 1 2년 생 수목을 사 ⑥ 비탈면 하단부에 식재하는 등나무는 포트(pot) 재배한 1년생 ∼ 2년생 수목
용하며 상부유인용 지주목은 결속된 상태로 식재하며, 식재지역의 비탈면에 을 사용하며 상부유인용 지주목은 결속된 상태로 식재하며, 식재지역의 비
는 유인용 철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목의 규격은 근경 10 ㎜ 이상의 묘를 탈면에는 유인용 철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목의 규격은 근경 10 mm ∼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사용하며, 2 m 간격으로 식혈당 1주를 식재한다. 15 mm 이상의 묘를 사용하며, 2 m 간격으로 식혈마다 1주를 식재한다.
⑥ 깎기부 하단에 식재하는 담쟁이덩굴은 포트에 재배한 묘목으로 포트에 식재 ⑦ 깎기부 하단에 식재하는 담쟁이덩굴은 포트에 재배한 묘목으로 포트에 식재

된 것을 사용한다. 식재간격은 1 2 m 간격으로 하며, 담쟁이 덩굴의 규격은 된 것을 사용한다. 식재간격은 1 m ∼ 2 m 간격으로 하며, 담쟁이 덩굴의

1 2년생 묘목으로 덩굴길이 0.3 m 이상 묘목을 사용한다. 규격은 1년생 ∼ 2년생 묘목으로 덩굴길이 0.3 m 이상 묘목을 사용한다.
⑦ 포트재배묘 식재 시에는 포트를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⑧ 포트재배묘를 식재할 때에는 포트를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수정] 한글화
⑧ 포트재배묘는 지표면에서 20 ㎜ 정도 깊게 식재하고 관수 후 복토 한다. ⑨ 포트재배묘는 지표면에서 20 mm 정도 깊게 식재하고 관수 후 복토 한다.
⑨ 식재지반은 충분한 객토를 시행하고 다음 표의 유기질비료를 시비기준에 의 ⑩ 식재지반은 충분한 객토를 시행하고, 다음 표의 유기질비료를 시비기준에
거 시비한다. 의거 시비한다.

표 3-1 덩굴식물 유기질비료 시비기준 표 3-1-1 덩굴식물 유기질비료 시비기준

수종 규격 시비량(㎏/주) 수종 규격 시비량(㎏/주)
등나무 ∼
1 2년생 묘목 4 등나무 1년생 ∼ 2년생 묘목 4
담쟁이덩굴 ∼
1 2년생 묘목(L=0.3 m) 1 담쟁이덩굴 1년생 ∼ 2년생 묘목(L = 0.3 m) 1

(5) 식생상(식생분) (5) 식생상(식생분)


① 암석을 채굴하여 요철이 많은 비탈면에 점적 녹화 및 부분 녹화로 경관향상 ① 암석을 채굴하여 요철이 많은 비탈면에 점적 녹화 및 부분 녹화로 경관향상
을 도모한다. 을 도모한다.
② 식생상은 비탈면의 경관을 고려하여 고르게 설치한다. ② 식생상은 비탈면의 경관을 고려하여 고르게 설치한다.
③ 비탈면의 적소에 설치하며 단단히 고정한다. ③ 비탈면의 적소에 설치하며 단단히 고정한다.
④ 식생상 안의 식물은 주변 임상과 조화되도록 생태적으로 적절히 배합하여 ④ 식생상 안의 식물은 주변 임상과 조화되도록 생태적으로 적절히 배합하여
식재한다. 식재한다.

3.4.3 종자뿜어붙이기 3.4.3 종자뿜어붙이기


(1) 종자뿜어붙이기의 적용범위는 토사구간으로 하며, 리핑암구간 일부에도 비탈 (1) 종자뿜어붙이기의 적용범위는 토사구간으로 하며, 리핑암구간 일부에도 비탈

3-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용한다.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용한다.
∼ ∼
(2) 시공시기는 동절기(11 2월)를 제외하고 연중시행 가능하나 보통 3 6월, 8 ∼ (2) 시공시기는 동절기(11월 ∼ 2월)를 제외하고 연중시행 가능하나 보통 3월 ∼ [수정] 단위표기 수정
10월에 시행한다. 6월, 8월 ∼ 10월에 시행한다.
(3) 종자뿜어붙이기를 적용할 비탈면은 표면의 잡석을 제거하고 면정리를 하여야 한다. (3) 종자뿜어붙이기를 적용할 비탈면은 표면의 잡석을 제거하고 면정리를 하여야 한다.
(4) 파종면이 건조한 경우에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분사물의 침투를 용이하 (4) 파종면이 건조한 경우에는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고 분사물의 침투를 용이하
∼ ℓ/㎡의 물을 미리 살포한다. ℓ/㎡ ∼ 3 ℓ/㎡의 물을 미리 살포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게 하기 위하여 1 3 게 하기 위하여 1 [수정] 한글화
(5) 1㎡당 소요되는 자재(초본류의 종자, 복합비료, 펄프 또는 화이버, 합성접착제, (5) 1 ㎡마다 소요되는 자재(초본류의 종자, 복합비료, 펄프 또는 화이버, 합성접
색소 등)를 4 ℓ의 물에 혼합하여 살포기계를 이용, 뿜어붙이는 것을 표준으 착제, 색소 등)를 4 ℓ의 물에 혼합하여 살포기계를 이용, 뿜어붙이는 것을
로 하며, 뿜어붙이기 후 섬유류(펄프 또는 화이버)가 비탈면 전체에 골고루 표준으로 하며, 뿜어붙이기 후 섬유류(펄프 또는 화이버)가 비탈면 전체에 골
피복되어 있어야한다. 고루 피복되어 있어야 한다.
(6) 종자착지가 어려운 부분은 감독자(또는 감리자)의 지시에 따라 적정간격으로 (6) 종자착지가 어려운 부분은 감독자(또는 감리자)의 지시에 따라 적정 간격으로
수평 또는 경사지게 골을 파고 시공한다. 수평 또는 경사지게 골을 파고 시공한다.
(7) 종자가 비탈면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종자살포기 탱크안의 종자를 잘 섞어 (7) 종자가 비탈면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종자살포기 탱크 안의 종자를 잘 섞 [수정] 띄어쓰기 수정
서 균일하게 분사한다. 어서 균일하게 분사한다.
(8) 파종 후 침식이 우려될 때에는 비닐 등 피복재를 전면에 덮도록 하여 바람에 (8) 파종 후 침식이 우려될 때에는 비닐 등 피복재를 전면에 덮도록 하여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날리지 않도록 잘 고정한다.
(9) 시공 후 1개월 이내에 골고루 발아가 되지 않거나, 전면에 균일하게 발아되지 (9) 파종 3개월 이내에 60 % 이상 발아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발아되었을 때에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않고 일부만 발아되었을 때에는 처음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파종하여야 한 는 재파종한다. 단, 10월 이후 시공할 때에는 익년 6월 초순 이전에 재파종을
다. 단, 추계파종은 익년 춘계 발아 시 하자여부를 판정한 후 보수한다. 결정한다.

3.4.4 식생혈(종자혈) 3.4.4 식생혈(종자혈)


(1)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식생을 도입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1) 비탈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파고 식생을 도입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구멍의 밑바 에 완숙된 퇴비나 복합비료를 넣어야 하고, 그 위에 생육기반재 닥
(2) 구멍의 밑바 에 완숙된 퇴비나 복합비료를 넣어야 하고, 그 위에 생육기반재
를 충진하며 구멍의 상부에 종자를 넣고 복토한다. 를 충진하며 구멍의 상부에 종자를 넣고 복토한다.
(3) 식혈지는 선정된 수목의 생육에 적합한 깊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3) 식혈지는 선정된 수목의 생육에 적합한 깊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3.4.5 식생판(식생반, 종자판) 3.4.5 식생판(식생반, 종자판)


(1) 생육기반재를 판상으로 만들어 표면에 종자를 붙여 놓고 비탈면의 수평구 속 (1) 생육기반재를 판상으로 만들어 표면에 종자를 붙여 놓고 비탈면의 수평구 속
에 깔아 붙여 일시에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에 깔아 붙여 일시에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식생판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떼꽂이 2개 이상을 사용하고, 필요시 새 끼 (2) 식생판을 지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떼꽂이 2개 이상을 사용하고, 필요할 때 새
[수정] 한글화
등을 띄워 고정한다. 끼 등을 띄워 고정한다.
(3) 비탈면의 상부부터 순차적으로 하향하여 수평구에 배열한다. (3) 비탈면의 상부부터 순차적으로 하향하여 수평구에 배열한다.
[수정] 한글화
(4) 식생판 부착 시 지반과 틈이 생기지 않도록 생육기반재를 채워서 밀착시 다. 킨 (4) 식생판을 부착할 때 지반과 틈이 생기지 않도록 생육기반재를 채워서 밀착시

3-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킨다.
3.4.6 식생대(종자대) 3.4.6 식생대(종자대)
(1) 띠모양의 일정규격 식생대에 종자와 비료 등을 부착시켜 비탈면에 일정한 간 (1) 띠모양의 일정규격 식생대에 종자와 비료 등을 부착시켜 비탈면에 일정한 간
격으로 설치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격으로 설치하여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식생기지가 지표면보다 약간 나오도록 하고, 종자가 표면의 내측에 위치하도 (2) 식생기지가 지표면보다 약간 나오도록 하고, 종자가 표면의 내측에 위치하도
록 놓는다. 록 놓는다.
3.4.7 식생자루(종자자루) 3.4.7 식생자루(종자자루)
(1) 생육기반 및 종자를 자루에 담아 비탈면에 판 수평구속에 넣어 붙여 일시적 (1) 생육기반 및 종자를 자루에 담아 비탈면에 판 수평구속에 넣어 붙여 일시적
으로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으로 녹화되도록 시공한다.
(2) 자루를 넣을 구멍은 규정된 깊이로 파고, 얕아서 자루가 떠오르지 않도록 하 (2) 자루를 넣을 구멍은 규정된 깊이로 파고, 얕아서 자루가 떠오르지 않도록 하
며, 틈 사이는 흙으로 채우고 자루 밑에 고형비료를 시비한다. 며, 틈 사이는 흙으로 채우고 자루 밑에 고형비료를 시비한다.
(3) 자루의 고정을 위해 경질제, 염화비닐 U 철선(길이 250 ㎜) 등의 떼꽂이, 혹은 맹 (3) 자루의 고정을 위하여 경질제, 염화비닐 U 철선(길이 250 mm) 등의 떼꽂이, 혹
아력, 발근력이 좋은 목본류의 가지로 된 떼꽂이를 1자루에 1∼2본을 사용한다. 은 맹아력, 발근력이 좋은 목본류의 가지로 된 떼꽂이를 1자루에 1본 ∼ 2본을
사용한다.

3.4.8 식생매트(종자매트) 3.4.8 식생매트(종자매트)


(1) 면상의 매트에 종자를 붙여 비탈면에 포설, 부착하여 일시적인 조기녹화를 도 (1) 면상의 매트에 종자를 붙여 비탈면에 포설, 부착하여 일시적인 조기녹화를 도
모하도록 시공한다. 모하도록 시공한다.
(2) 비탈면을 평평하게 끝손질한 후 떼꽂이 등을 꽂아 주어 떠오르거나 바람에 (2) 비탈면을 평평하게 끝손질한 후 떼꽂이 등을 꽂아 주어 떠오르거나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밀착한다. 날리지 않도록 밀착한다.
(3) 비탈면 상부 0.2 m 이상을 흙으로 덮고 단부를 흙 속에 묻어 넣어 비탈면 어 (3) 비탈면 상부 0.2 m 이상을 흙으로 덮고 단부를 흙 속에 묻어 넣어 비탈면 어
깨로부터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깨로부터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4) 긴 매트류로 시공할 때에는 비탈면의 위에서 아래로 길게 세로로 깔고, 흙쌓기 (4) 긴 매트류로 시공할 때에는 비탈면의 위에서 아래로 길게 세로로 깔고, 흙쌓기
비탈면을 다지고 붙일 때에는 수평으로 깔며, 양단을 50 ㎜ 이상 중첩한다. 비탈면을 다지고 붙일 때에는 수평으로 깔며, 양단을 50 mm 이상 중첩한다.

3.4.9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종비토 뿜어붙이기) 3.4.9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종비토 뿜어붙이기)


(1) 식물의 자연생육이 곤란한 비탈면에 일정한 품질로 제조된 생육기반재에 종자 (1) 식물의 자연생육이 곤란한 비탈면에 일정한 품질로 제조된 생육기반재에 종자
를 섞어 조기에 경관적인 녹화와 생태적 복원 및 보전을 도모하도록 시공한다. 를 섞어 조기에 경관적인 녹화와 생태적 복원 및 보전을 도모하도록 시공한다.
(2) 비탈면이 특히 건조하거나 이물질이 붙어 있을 때에는 살수를 시행한 후 시 (2) 비탈면이 특히 건조하거나 이물질이 붙어 있을 때에는 살수를 시행한 후 시
공한다. 공한다.
(3) 분사붙이기를 할 때에는 설계도서에 의해 시공 전 재료배합관리실험을 반 드 (3) 분사붙이기를 할 때에는 설계도서에 의하여 시공 전 재료배합관리실험을 반
시 실시한다. 드시 실시한다.

3-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암반비탈면을 시공할 때에는 전면피복녹화를 지양하고 균열과 요철에 따른 (4) 암반비탈면을 시공할 때에는 전면피복녹화를 지양하고 균열과 요철에 따른
자연스 런 부분녹화를 시행하여 주변 식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자연스 런 부분녹화를 시행하여 주변 식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5) 암의 균열간격이 클수록 시공두께를 두껍게 조절한다. (5) 암의 균열간격이 클수록 시공두께를 두껍게 조절한다.
(6) 암의 돌출부 및 수직, 역경사 비탈면은 녹화시공을 지양하고 움푹 파인 곳을 (6) 암의 돌출부 및 수직, 역경사 비탈면은 녹화시공을 지양하고 움푹 파인 곳을
집중적으로 시공한다. 집중적으로 시공한다.
(7) 식생기반재의 뿜어붙이기 두께는 얇은 식생기반재와 두 운 식생기반재 뿜어 꺼 꺼
(7) 식생기반재의 뿜어붙이기 두께는 얇은 식생기반재와 두 운 식생기반재 뿜어
붙이기로 구분한다. 식생기반재의 뿜어붙이기 두께는 일반적으로 암반깎기면 붙이기로 구분한다. 식생기반재의 뿜어붙이기 두께는 일반적으로 암반깎기면
의 경사 및 배양토 성질에 따라 상이하나 건식에 의한 두 운 식생기반재를 꺼 의 경사 및 배양토 성질에 따라 상이하나 건식에 의한 두 운 식생기반재를 꺼

뿜어붙이는 경우 보통 1:0.5 전후하여 두께는 0.1 0.15 m를 기준으로 하되, 뿜어붙이는 경우 보통 1 : 0.5 전후하여 두께는 0.1 m ∼ 0.15 m를 기준으로 [수정] 단위표기 수정
암질 및 발파면의 절리방향 등에 따라 증감하여 설계, 시공할 수 있다. 하되, 암질 및 발파면의 절리방향 등에 따라 증감하여 설계, 시공할 수 있다.
(8) 건식식 생기반재 뿜어붙이기를 할 때는 뿜어붙이기면과 노즐을 1 m 이상 떨 (8) 건식식 생기반재 뿜어붙이기를 할 때는 뿜어붙이기면과 노즐을 1 m 이상 떨
어진 곳에서 뿜어붙이기를 하고, 비탈며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여야 하며, 어진 곳에서 뿜어붙이기를 하고, 비탈며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여야 하며,
뿜어붙이기 최소 두께는 기준치의 80 % 이상이어야 한다. 뿜어붙이기 최소 두께는 기준치의 80 % 이상이어야 한다.
(9) 면 정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부착망은 낙석을 방지하고, 특수배양토의 부착을 (9) 면 정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부착망은 낙석을 방지하고, 특수배양토의 부착을
용이하도록 설치하되 앵커핀, 철망, 철선, 착지핀 등을 이용하여 결속 작업을 용이하도록 설치하되 앵커핀, 철망, 철선, 착지핀 등을 이용하여 결속 작업을
견고하게 하여야 한다. 견고하게 하여야 한다.
(10) 시공 후 검사는 100 ㎡당 10개소를 지정하여 검측하고, 측정이 곤란할 경우 (10) 시공 후 검사는 100 ㎡마다 10군데를 지정하여 검측하고, 측정이 곤란할 경
[수정] 한글로 순화
에는 시공투입량으로 대신할 수 있다. 우에는 시공투입량으로 대신할 수 있다.
(11) 생육판정은 피복율, 목본성립본수 및 출현종수로 하되, 각 항목에 대한 판정 (11) 생육판정은 피복률과 성립본수로 하되 피복률은 경사도 및 종자배합에 따라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
기준은 표 3 2에 따른다. °
조정하여야 하며, 55 이상은 60 % 이상, 45 ° ∼ 55°는 80 % 이상, 45° 미만
은 100 %로 하고, 목본류를 배합할 때에는 각 기준에 70 %를 적용한다. 또
표 3-2 식생생육판정 기준표
한, 성립본수는 초본류만 배합할 때에는 300 본/㎡ 이상으로 하며, 목본류를

출현종수 배합할 때에는 초본류와 목본류의 합계가 200 본/㎡ 이상으로 한다.
구분 피복율(%) 목본성립본수
초본 목본

초본위주형 70~80이상 1본/㎡이상 3종/㎡이상 1종/㎡이상

30~50 7본/㎡이상 2종/㎡이상 2~3종/㎡이상


목본위주형
50~70이상 4본/㎡이상 2종/㎡이상 2~3종/㎡이상

30~50 7본/㎡이상 4종/㎡이상 3~4종/㎡이상


생물종다양성복원형
50~70이상 4본/㎡이상 4종/㎡이상 3~4종/㎡이상

(12) 생육판정시기는 시공 후 6개월 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목 (12) 생육판정시기는 시공 후 180일 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목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본종 위주로 녹화한 경우 잠재발아를 고려하여 기준의 70 % 를 적용하여 판 본종 위주로 녹화한 경우 잠재발아를 고려하여 기준의 70 %를 적용하여 판
단한다. 단하고, 10월 이후에 시공할 때에는 익년 6월 ∼ 7월 초순으로 한다.

3.4.10 거적덮기공법 3.4.10 거적덮기공법


(1) 비탈면 표면의 잡석을 제거하고 면정리를 한다. (1) 비탈면 표면의 잡석을 제거하고 면정리를 한다.
(2) 종자뿜어붙이기를 실시 후 그 위에 볏짚으로 짠 거적을 비탈면 전체에 균일 (2) 종자뿜어붙이기를 실시 후 그 위에 볏짚으로 짠 거적을 비탈면 전체에 균일
하게 덮는 공법과 식생용지에 종자와 비료를 접착시킨 후 볏짚을 입힌 제품 하게 덮는 공법과 식생용지에 종자와 비료를 접착시킨 후 볏짚을 입힌 제품
을 비탈면 전체에 덮는 공법이 있다. 을 비탈면 전체에 덮는 공법이 있다.
(3) 볏짚 거적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설계도서에 의거 적 (3) 볏짚 거적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설계도서에 의거 적
용한다. 용한다.
(4) 거적을 엮고 연결에 사용하는 줄은 3∼5년 내에 부식이 되는 환경친화적인 (4) 볏짚 거적을 시공할 때에는 비탈면의 위에서 아래로 길게 세로로 깔면서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한다. 양단이 50 mm 이상 중첩되게 한다.
3.5 시험시공 계획수립 및 시행방법 3.5 시험시공 계획수립 및 시행방법

3.5.1 시험시공 계획수립 3.5.1 시험시공 계획수립


(1) 시험시공의 기본계획은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감독자, 자연생태복원전문가 (1) 시험시공의 기본계획은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등의 자문을 통해 정하도록 하며, 실시계획은 공법선정 후 발주처와 협의하 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문가 등의 자문을 통하여 정하도록
여 최종 선정하도록 한다. 하며, 실시계획은 공법선정 후 시공사와 협의하여 최종 선정하도록 한다.
(2) 시험시공은 도로건설구간의 연장이 1개 공구, 10 ㎞ 내외 범위의 비탈면에 1개 (2) 녹화공법이 검증된 경우 혹은 공사일정상 시험시공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소를 적용하되 감독자와 자연생태복원전문가와 협의하여 인접공구가 연계하여 등에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

한 장소의 동일비탈면에 공법별로 면적 100 200 ㎡를 시험시공 할 수 있다. 문가등의 자문을 받아 시험시공을 생략할 수 있다.
(3) 시험시공은 식생의 발아와 생육이 좋은 3월∼5월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3) 시험시공은 식생의 발아와 생육이 좋은 3월 ∼ 5월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
하되 감독자와 자연생태복원전문가 자문 등의 절차를 걸쳐 다른 시기에도 실 로 하되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시할 수 있다. 문가 자문 등의 절차를 걸쳐 다른 시기에도 실시할 수 있다.
(4) 시험시공 계획 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조사하여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4) 시험시공을 계획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조사하여 계획을 수립하도록
[수정] 한글화
한다.
① 지형, 토질, 지질(암질) 조사 및 주변환경조사 ① 지형, 토질, 지질(암질) 조사 및 주변환경조사
가. 비탈면 녹화 대상지역의 지형 및 지질자료는 토질조사보고서, 지질 및 가. 비탈면 녹화 대상지역의 지형 및 지질자료는 토질조사보고서, 지반전문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암반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녹화공법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가의 자문을 거쳐 녹화공법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나. 상기 토질조사보고서를 바 으로 하여 감독자와 자연생태복원전문가는 탕
나. 상기 토질조사보고서를 바 으로 하여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대상 비탈면 주변의 산지, 지형, 계곡상태, 생태환경 등에 대한 현장조사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문가와 함께 대상 비탈면 주변의 산
를 실시한다. 지, 지형, 계곡상태, 생태환경 등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삭제]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삭제

3-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지질조사결과를 토대로 이암지역 등을 검토한 후, 이암 등에 의한 식생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 후 시공한다.
② 주변 식생 환경 조사 항목은 환경영향평가자료를 참조하여 적용한다. ② 주변 식생 환경 조사 항목은 환경영향평가자료를 참조하여 적용한다.
③ 기후환경 조사 ③ 기후환경 조사
가. 기후환경은 대상지역의 가까운 거리의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되 가. 기후환경은 대상지역의 가까운 거리의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되
최근 10년간의 강우량, 온도, 습도 등을 평균산출하여 이용한다. 최근 10년간의 강우량, 온도, 습도 등을 평균산출하여 이용한다.
(5) 시험시공에 소요되는 종자의 종류, 혼합비율, 사용량은 발주기관, 감독자, 자 (5) 시험시공에 소요되는 종자의 종류, 혼합비율, 사용량은 발주기관, 감독자(또는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연생태복원전문가와 협의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건설기술용역업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문가와 협의하여 결정
하도록 한다.
(6) 샘플 제공 : 시험시공에서 사용한 동일한 종자를 각 5 g씩, 그리고 혼합된 종 (6) 샘플 제공 : 시험시공에서 사용한 동일한 종자를 각 5 g씩, 그리고 혼합된 종
자를 10 g씩 제출하도록 하며, 종자와 함께 시공에 사용된 개별 재료, 혼합 자를 10 g씩 제출하도록 하며, 종자와 함께 시공에 사용된 개별 재료, 혼합
재료 샘플을 제출하도록 한다. 재료 샘플을 제출하도록 한다.

3.5.2 시험시공의 수행 3.5.2 시험시공의 수행


(1) 각 공법별 설계기준에 의거하여 시험시공을 수행한다. (1) 각 공법별 설계기준에 의거하여 시험시공을 수행한다.
(2) 시험시공 시 시방서에 제시된 종자 및 재료의 정량을 사용하도록 한다. (2) 시험시공을 할 때에는 시방서에 제시된 종자 및 재료의 정량을 사용하도록 [수정] 한글화
한다.
(3) 시험시공은 가급적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수행이 되도록 한다. (3) 시험시공은 가급적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 수행이 되도록 한다.
(4) 발주기관 및 감독자가 입회한 자리에서 종자 및 재료 혼합을 실시하도록 한다. (4) 발주기관 및 감독자가 입회한 자리에서 종자 및 재료 혼합을 실시하도록 한다.

3.5.3 시험시공의 검측 3.5.3 시험시공의 검측


(1) 취부두께 검측은 감독자 또는 자연생태복원전문가 등이 측정용 기구를 이용 (1) 붙임두께 검측은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하여 100 ㎡ 당 10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 산술한 값으로 확인한다. 총 검측개 면녹화전문가 등이 측정용 기구를 이용하여 100 ㎡마다 10회 이상 측정하여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 한글화(취부 ⇒ 붙임)

소의 평균두께 은 설계두께 이상이 되어야 하며, 각 지점에 대한 측정치의 평균 산술한 값으로 확인한다. 최소 붙임두께는 설계두께의 60 % 이상이 되
최소허용치는 설계두께의 80 % 이상이어야 한다. 단, 시공 상단부, 돌출부, 어야 하며, 평균 붙임두께는 설계두께의 75 %를 넘어야 한다. 단, 시공 상단
역경사 지역 등 특수한 개소는 예외로 한다. 부, 돌출부, 역경사 지역 등 특수한 개소는 예외로 한다.
(2) 시공면적은 시공이 완료된 후 현지측량을 실시하여 설계도서와 비교검토 확 (2) 시공면적은 시공이 완료된 후 현지측량을 실시하여 설계도서와 비교검토 확
인한다. 인한다.
(3) 시험시공 직후 식생생육기반재 샘플을 채취하여 식생생육기반재의 토양산도, (3) 시험시공 직후 식생생육기반재 샘플을 채취하여 식생생육기반재의 토양산도,
전기전도도, 염기치환용량, 전질소량, 염분농도, 유기물함량 등 토양이화학성 전기전도도, 염기치환용량, 전질소량, 염분농도, 유기물함량 등 토양이화학성
등을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하도록 하며, 그 결과가 기준치 이내 등을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하도록 하며, 그 결과가 기준치 이내
이어야 한다. 이어야 한다.

3-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표 내용 수정
표 3-3 토양의 화학적 특성 평가항목과 평가기준 표 3-1-2 토양의 화학적 특성 평가항목과 평가기준

평가항목 평가기준 평가항목 평가기준


항목 단위 항목 단위
토양산도 - 6.0∼8.0 토양산도 - 5.5 ∼ 8.0
전기전도도 (EC) dS/m 1.5 미만 전기전도도 (EC) dS/m 1.0 미만
염기치환용량 (CEC) cmol/㎏ 6 이상 염기치환용량 (CEC) cmol/㎏ 6 이상
전질소량(T-N) % 0.06 이상 전질소량(T-N) % 0.06 이상
염분농도 % 0.5 미만 염분농도 % 0.5 미만
유기물함량 % 3.0 이상 유기물함량 % 3.0 이상

(4) 녹화공법의 식생기반재료는 제품 및 환경기준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되 시공


전후에 총 2회에 걸쳐 제품의 품질분석을 의뢰한 결과를 감독자(또는 건설기
술용역업자)가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5) 화이버, 섬유제품 등의 멀칭(mulching)자재는 유기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고 종자의 발아 및 생육에 장해가 없는 제품이어야 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6) 부착망은 체인링크철선과 염화비닐피복철선의 기준에 합당한 부착망을 시공
하여야 하며, 시공 후에도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는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7) 앵커핀 및 착지핀의 경우는 설계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였는지 확인하고 감독
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는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분석한 앵커핀 및 착지핀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의 규격을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8) 식물재료에 대해서는 공인된 시험기관에서 발아율시험을 한 성적서를 감독자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는 가지고 있어야 하고 시공 후에도 향후 시공사에
서 조사 분석한 발아 및 생육 성적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9) 비탈면의 시공 후의 추적 식생조사는 초기조사(시공 후 1, 2개월), 중장기조사
로 나누어 수행하고, 최소 2가지 이상의 식생사회조성이 안 되고, 전체 피복
도가 60 % 이하일 때는 재시공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3.5.4 생육판정 기준 3.5.4 생육판정 기준
(1) 고정조사구 설치 (1) 고정조사구 설치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식물조사방법은 주로 q dr
방형구법( ua at e d
벨트트랜섹트법(belt
m tho )과 식물조사방법은 주로 q dr
방형구법( ua at e d
m tho )과 벨트트랜섹트법(belt
transect)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방형구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공면에 1 m × r e
t ans ct)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방형구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공면에 1 m

3-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m의 임의 조사구를 3개소 이상 설치한다. 임의 조사구는 시공면을 대표할 × 1 m의 임의 조사구를 3군데 이상 설치한다. 임의 조사구는 시공면을 대표
수 있는 지점으로서 랜덤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 불규칙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2) 측정 항목 (2) 측정 항목
생육조사는 고정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모든 수종 및 초종에 대해서 발아율, 생육조사는 고정 조사구 내에 출현하는 모든 수종 및 초종에 대하여서 발아
발아본수, 생육높이, 식생피복도, 우점종, 식생생육량 등을 별첨된 야장에 의 율, 발아본수, 생육높이, 식생피복도, 우점종, 식생생육량 등을 별첨된 야장에 [수정] 한글로 순화
거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또한 생육특성 외에 시공면의 탈락 및 붕락상 의거하여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또한 생육특성 외에 시공면의 탈락 및 붕락 [수정] 한글로 순화
태 등을 함께 조사한다. 상태 등을 함께 조사한다.
(3) 측정시기 (3) 측정시기 [수정] 띄어쓰기 수정

시험시공은 3월 5월에 하고 판정은 당해 연도 가을에 하는 것을 원칙으로 시공 후 측정은 1개월 ∼ 2개월 간격으로 6개월간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하고, 여름철(6월∼8월)과 가을철(9월∼11월) 시험시공은 다음해 가을에 판정
한다. 측정은 2∼3개월 간격으로 실시한다.

3.5.5 생육판정 방법 3.5.5 생육판정 방법


(1) 식생피복율 (1) 식생피복율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
방형구(1 ㎡)내에서 피복도 측정용 격자틀(200 ㎜ 200 ㎜)을 이용하여 3회 이 방형구(1 ㎡) 내에서 피복도 측정용 격자틀(200 mm × 200 mm)을 이용하여
상 측정 후 산술평균하여 전체피복도로 환산하거나 현장에서 육안으로 실측 3회 이상 측정 후 산술평균하여 전체피복도로 환산하거나 현장에서 육안으로

또는 사진 영 후 실내에서 피복율을 계산한다. 촬
실측 또는 사진 영 후 실내에서 피복율을 계산한다.
(2) 목본성립본수 (2) 목본성립본수
×
목본성립본수의 판정은 방형구(1 ㎡)내에서 측정용 격자틀(200 ㎜ 200 ㎜)을 목본성립본수의 판정은 방형구(1 ㎡) 내에서 측정용 격자틀(200 mm × 200 [수정] 단위표기 수정
이용하여 10회 이상 측정 후 1 ㎡의 성립본수로 환산한다. mm)을 이용하여 10회 이상 측정 후 1 ㎡의 성립본수로 환산한다.
(3) 출현종수 (3) 출현종수
출현종수의 판정은 방형구(1㎡)내에서 측정용 격자틀(1 m × 1 m)을 이용하여 출현종수의 판정은 방형구(1 ㎡) 내에서 측정용 격자틀(1 m × 1 m)을 이용
출현한 목본 및 초종을 모두 조사한다. 하여 출현한 목본 및 초종을 모두 조사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4) 식생생육량 (4) 식생생육량
식생생육량의 판정은 방형구(1㎡)내에 출현한 목본 및 초종의 샘플을 채취하 식생생육량의 판정은 방형구(1 ㎡) 내에 출현한 목본 및 초종의 샘플을 채취
여 생육량을 조사한다. 하여 생육량을 조사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5) 수고 및 초장 (5) 수고 및 초장
수고 및 초장의 판정은 방형구(1㎡)내에 출현한 수종 및 초종의 지면으로부 수고 및 초장의 판정은 방형구(1 ㎡) 내에 출현한 수종 및 초종의 지면으로
터의 높이를 측정한다. 부터의 높이를 측정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6) 병충해 (6) 병충해
시험 시공 후 생육판정시기까지 수시로 파종 식물에 병충해 발생 유무를 동 시험 시공 후 생육판정시기까지 수시로 파종 식물에 병충해 발생 유무를 동
정한다. 정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3-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7) 최종 생육판정시기 (7) 최종 생육판정시기
시공시기에 따라 식물의 생육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춘기, 하기, 추기 및 동기 시공시기에 따라 식물의 생육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춘기, 하기, 추기 및 동기
의 시공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춘기 시공일 경우에는 시공 6개월(180일) 후 의 시공에 큰 차이가 발생한다. 춘기 시공일 경우에는 시공 6개월(180일) 후
에 최종 판정하며, 시공시기가 다를 경우에는 감독자와 자연생태복원전문가가 에 최종 판정하며, 시공시기가 다를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을 따른다.
협의하여 판정시기를 다음년도에 실시하거나 판정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표 3-1-3 최종 생육판정시기
(기준 : 중부지방)
시공시기 기 간 판 정 시 기 비 고
춘 기 3월 ∼ 5월 시공 후 180일 이후
6월 ∼ 11월
하기, 추기 익년 8월 이후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동 기 12월 ∼ 2월 익년 8월 이후 시공 부적기

표 3-1-4 비탈면 녹화 평가요소 및 평가지표

3-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평가요소 평가 평가
구분 평가 평가기준 및 방법
(항목) 기준 빈도
정 식생기반재 샘플을 1 ㎏ ~ 2 ㎏ 채취하여
절대
재료 량 재료품질 토양의 이화학성을 분석 후 기준항목 합격 1회
적 평가
여부 판단
식생
절대 시공 후 공법별 식생피복율을 1 m × 1 m 주기
피복율
평가 방형구를 설치하여 3회 반복 조사 후 평균 조사
(전체)
식생 격자틀(0.20 m × 0.20 m)또는 1 m × 1
식 피복율 절대 m 방향구를 설치하여 한지형잔디(외래종)만 계절별
물 (한지형 평가 의 피복율을 3회 반복 조사하여 평균 피복 1회
생 초종) 율에서 외래도입초종만의 점유율을 평가
육 식생생육량 한지형 초종을 제외한 식생을 채취하여 생
상대 계절별
(한지형 초종 물중량(생체중)을 전자저울 등을 이용하여
평가 1회
제외) 실측
상대 생육판정시기까지 계절별로 병충해, 여름철 계절별
병충해
평가 하고 현상 등을 조사 1회
1 m × 1 m 방향구를 설치하고 목본의 성
목본 립본수를 10회 조사하여 본수/2 m로 평균
절대 계절별
정 성립 하여 합격 목표치에 따른 달성도를 측정.
평가 1회
본수 목본의 수고가 1 m ~ 6 m인 경우에는 방
품 형구를 2 m × 2 m로 확대
량 출 1 m × 1 m 방향구를 설치하여 초본 및 목
본의 출현종수를 조사하여 종수/㎡로 환산

초본 및 평균하여 합격 목표치에 따른 달성도를 측
종 절대 계절별
적 수 목본의 정. 이때 초본 및 목본 출현종수 비율을 각
평가 1회
출현종수 각 평가한 후 이를 평균으로 환산함. 목본
질 의 수고가 1 m ~ 6 m인 경우에는 방형구
를 2 m × 2 m로 확대
위해종 침입 위해종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과 교란
상대 수시
및 시험지의 종인 환삼덩굴, 칡 등에 의한 교란정도를
평가 평가
교란정도 측정
식생기반재의 토양경도는 양호(11 mm ~
23 mm), 보통(23 mm ~ 27 mm). 불량(11
1회
식생기반재 절대 mm 미만, 27 mm 초과)분류하고 토양습도
이상
물리적 특성 평가 는 양호(0.5 % ~ 5 %), 보통(5 % ~ 8
조사
%), 불량(0.5 % 미만, 8 % 초과)로 분류
(간이측정기기를 이용 현장 측정 가능)
탈락 및 상대 시험시공면적마다 탈락 및 붕괴 지점 수를
계절별
붕괴지점 평가 조사 1회
정 녹화 지속성 및 상대 3년 ~ 5년 정도 지난 기존 시공지에서의
1회
성 식생침입 가능성 평가 녹화 지속성 및 천이여부 평가 이상
주변 환경과의 상대 수시
적 주변 환경과의 생태적 경관 조화성을 평가
유사도 평가 평가
경 정 최종
상대 시험시공 참여업체의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
제 량 시공단가 평가
평가 대평가
성 적 때

3.5.6 기타항목 판정 방법
(1) 토양산도 : 토양산도는 시료를 채취 후 p 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간

3-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6 기타항목 판정 방법 이 토양산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e er
(1) 토양산도 : 토양산도는 시료를 채취 후 ㏗ m t 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간 (2) 토양습도 :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의 함유량은 시료를 채취하여 건조시

이 토양산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거나 간이 토양습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2) 토양습도 :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의 함유량은 시료를 채취하여 건조시 (3) 토양경도

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거나 간이 토양습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토양경도는 산중식 토양경도계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며, 총 10곳의 위치에

(3) 토양경도 서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토양경도는 산중식 토양경도계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며, 총 10곳의 위치에 표 3-1-5 토양 경도별 식물생육상태
서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토양경도 (mm) 식물생육상태
표 3-4 토양 경도별 식물생육상태 18 이하 식물의 생육은 양호하지만 비탈면이 무너질 위험성이 있음

토양경도 (㎜) 식물생육상태 18 ∼ 23 식물의 근계생장에 가장 적당

18 ㎜ 이하 식물의 생육은 양호하지만 비탈면이 무너질 위험성이 있음 23 ∼ 27 식물의 생육은 양호하지만 생육활성이 그다지 좋지 않음


18 ㎜ 23 ㎜ 식물의 근계생장에 가장 적당 27 ∼ 30 흙이 너무 단단하여서 식물의 생육이 곤란함

23 ㎜∼27 ㎜ 식물의 생육은 양호하지만 생육활성이 그다지 좋지 않음 30 이상 식물의 근계의 침입이 곤란함

27 ㎜∼30 ㎜ 흙이 너무 단단해서 식물의 생육이 곤란함

30 ㎜ 이상 식물의 근계의 침입이 곤란함


(4) 탈락 및 붕괴지점 : 식생기반재의 탈락 및 붕괴지점이 있는가를 수시로 조사
한다. 시공면에서 탈락이 고르게 발생한 경우에는 설치된 조사구에서 탈락

(4) 탈락 및 붕괴지점 : 식생기반재의 탈락 및 붕괴지점이 있는가를 수시로 조사 및 붕괴상태를 조사하며, 조사구 내에서 탈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

한다. 시공면에서 탈락이 고르게 발생한 경우에는 설치된 조사구에서 탈락 체 시공지에서 측정한 수치를 10 ㎡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및 붕괴상태를 조사하며, 조사구 내에서 탈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 (5) 녹화 지속성 및 천이여부 : 실질적으로 훼손지 비탈면이 생태복원이 되어가는

체 시공지에서 측정한 수치를 10 ㎡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평가시기의 제한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

(5) 녹화 지속성 및 천이여부 : 실질적으로 훼손지 비탈면이 생태복원이 되어가는 례


련자료 검토 및 해당 공법이 적용된 외부 현장을 사 조사 하여 실질적인 생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평가시기의 제한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 태복원 과정 및 효과를 검정한다. 평가방법은 공법별로 기 시공된 현장(시험


련자료 검토 및 해당 공법이 적용된 외부 현장을 사 조사 하여 실질적인 생 시공지에서 가까우며 유사한 비탈면 조건을 가진 3년 이상 경과된 현장)을

태복원 과정 및 효과를 검정한다. 평가방법은 공법별로 기 시공된 현장(시험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지반분야 특급기술자, 비탈면녹화전문가와

시공지에서 가까우며 유사한 비탈면 조건을 가진 3년 이상 경과된 현장)을 함께 방문하여 평가한다.

감독자와 자연생태복원전문가가 함께 방문하여 평가한다. (6) 시공효율성 : 시공효율성은 시공 후 유지관리의 요구정도와 시공할 때의 작업
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정한다.

(6) 시공효율성 : 시공효율성은 시공 후 유지관리의 요구정도와 시공 시의 작업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정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 유지관리 일반


3.6.1 시공 시에는 반 시 감독자의 입회하에 시공을 시작하고 중간검사, 완료검사
등의 절차로 감독자가 2회 이상 입회함을 원칙으로 한다.

3.6.2 비탈면의 녹화공사 시에는 비탈면의 환경특성, 지역, 기후특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삭제
감독자의 지시에 의해 토양재료, 멀칭재료, 관수, 시비 등의 유지관리사업을
준공시점까지 시행하여야 한다.

3.7 수목유지관리

3.7.1 전 정
활착 촉진을 위하여 가지치기를 할 경우 수형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실시하여야하고, 전정은 연간 1회를 실시하되, 5 6월에는 춘기개화 화목류,
상록수, 생울타리 위주로 가지 줄이기, 솎기, 다듬기 등을 실시하고, 10∼11월
에는 춘기개화 화목류를 제외한 전체 수종의 가지 줄이기, 솎기, 다듬기 등을
시행하며, 전정대상은 마른 가지, 병충해 피해 가지, 꺾이거나 손상된 가지, 밀
생하여 채광이나 통풍에 장해가 되는 가지, 가로수나 독립수의 주간에서 나온
맹아지 또는 밑둥에서 나온 곁순, 통행에 지장을 주는 가지, 역지, 교차지, 도
장지 등 수형 형성 및 생육에 장애가 되는 가지로 한다. 전정은 수종의 특성
에 따른 생육도모와 식재목적에 맞는 형태가 되도록 하며, 조형수목, 생울타
옥향 등 일정한 형태와 무늬를 유지하기 위하여 식재부위 전체를
리, 회양목,
지속적으로 다듬어야하는 수종을 우선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1) 조형수목은 목적하는 수형으로 가지치기를 행한다.
(2) 자연수형유지 수목은 가지솎기를 하되 과도한 가지 자르기를 하지 않는다.
(3) 화목류는 화아분화시기를 감안하여 춘기개화 수종은 낙화 직후에 가지 솎기,
가지줄이기 등을 시행하고, 하절기 개화수종은 일반전정을 할 때 시행한다.
(4) 관목류는 수목의 특성에 따라 가지 줄이기, 가지 솎기 등을 시행한다.
백 궁 쥐똥나무 등 생울타리용 나무를 심은 뒤 윗면
(5) 생울타리는 서양측 , 무 화,

을 가지 히 전정하며, 유지관리 할 때 불필요한 가지나 도장지 등을 정리하
되, 목적하는 울타리 높이와 폭의 양면을 가지 히 런 베어낸다.

3-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7.2 하자수목의 교체
수목이 가지 끝에서부터 말라 죽어 뿌리만 남거나 수관의 2/3이상이 고사하는
경우 하자수목으로 간주하며, 하자수목에 대하여는 즉시 제거하고 계절적 조
건이 허용하는 대로 준공 당시의 수목규격과 동일한 수목으로 교체하여야 한
다.

3.7.3 지주해체
수목의 유지관리공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지주를 해체하여야 한다.

3.8 잔디유지관리

3.8.1 잔디시비
(1) 잔디시비는 관리기간 중 연간 1회 실시한다.
(2) 비료는 질소, 인산, 칼리의 성분비율이 21-17-17인 복합비료를 사용하며, 1회
에 ㎡ 당 30 g 씩 살포한다.
(3) 제초작업을 실시한 뒤에 시비하며, 가급적 비가 오기 전에 실시하고, 비가 온

직후 또는 이 이 마르기 전의 오전 중에 시비하면 비료의 피해를 입을 우려
가 있으므로 삼가 한다.
(4) 잔디 위에 비료를 고루 뿌 린 뒤 잔디 잎에 묻은 비료를 비로 털어 준다.
3.8.2 잔디제초

(1) 잔디제초는 관리기간 중 연간 2회 실시하되, 5 10월 중에 시행한다.

(2) 제초는 인 으로 하며, 잡초의 뿌리 및 지하경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고, 제
거된 잡초를 잔디 위에 방치할 경우 햇빛을 가려 잔디의 생육에 지장을 주므
로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

3.8.3 잔디깎기

(1) 잔디깎기는 관리기간 중 연간 2회 실시하되, 6 10월 중에 실시하며, 잔디유
지관리 최종작업은 잔디깎기로 마감되어야 한다.
(2) 잔디 밭 안에 있는 수목, 초화류, 시설 등이 손상되지 않게 주의하여 균일하게
베어내며, 잔디상태에 따라 깎는 높이를 조절한다.
(3) 토양에 습기가 있어 젖어 있을 경우는 깎기를 중단한다.
(4) 깎여진 잔디는 잔디밭에 남겨 두지 말고 비나 레이크 등으로 모아서 버린다.

3.8.4 병충해 방제

3-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희석액은 지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혼합하고, 지정량을 균일하게 뿌린다.
(2) 살포일은 바람, 일조, 강우 등의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정한다.
(3) 잔디 밭 안의 관목, 초화 등과 인접한 땅으로 날아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살
포 한다.
(4) 한국 들잔디는 병충해 피해가 적으므로 피해지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방제
하도록 하고, 피해지구는 설계변경 한다.

3-2 격자블록 공법 3-2 격자블록 및 돌(블록)붙이기 [수정] 항목을 추가하여 시방서를 작성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의 보호를 위한 현장치기 콘크리트 격자블록, 프리 스트 콘 캐
이 시방은 비탈면의 보호를 위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격자블록, 프리 스트 콘크 [자문] 용어정리
크리트 격자블록, 수지제품의 격자블록, 교대 보호블록 및 호안블록 공사에 적용 리트 격자블록, 수지제품의 격자블록, 교대 보호블록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삭제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수정] 참조표준 내용 추가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관계기관의견 반영] 표준 추가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F 2530 석재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1) 시공상세설계도서 [수정] 내용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제품자료
[수정] 제품자료에 대한 내용추가
비탈면보호 격자블록의 재질, 치수, 중량, 압축강도특성 등 제반사항과 자체
생산현황, 기술자료, 설치지침서, 시공실적자료 등을 포함한 제품자료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3-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격자블록

2.1 콘크리트 격자블록


2.1.1 콘크리트 격자블록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재료는 이 시방서 15 4절에 따른 -
다. 블록의 치수 및 표준중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1.1 콘크리트 격자블록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재료는 이 시방서 15 4절에 따른 - 2.1.2 재료의 치수, 중량, 모양, 압축강도(또는 휨강도)는 명기된 설계도서에 따르
다. 블록의 치수 및 표준중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며,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가 승인한 것이라야 한다. [수정] 재료에 대한 상세내용 추가

2.1.3 시 트는 KS L 5201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40 mm 이하이고 공장제품 최소두께의 2/5 이하이


며 강재의 최소 수평간격의 4/5를 넘어서는 안 된다.

2.1.5 철근은 KS D 3504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6 혼화재는 사용방법과 효과를 충분히 조사하여 품질이 시험에 의하여 확인된
것이라야 한다.

2.2 수지류 격자블록

2.2 수지류 격자블록 2.2.1 수지류 격자블록에 사용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품질기준은 압축강도가 30 MPa
(300 ㎏f/㎠) 이상, 휨강도가 0.8 MPa(8 ㎏f/㎠) 이상이어야 한다.
2.2.1 수지류 격자블록에 사용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품질기준은 압축강도가 30 ㎫
(300 ㎏f/㎠) 이상, 휨강도가 0.8 ㎫(8 ㎏f/㎠) 이상이어야 한다. 2.2.2 블록의 치수 및 모양은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별도의 표시가 없는 경우 감
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2.2.2 블록의 치수 및 모양은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별도의 표시가 없는 경우 감
2.2.3 화재의 위험이 적은 곳에 설치한다.
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2.2.3 화재의 위험이 적은 곳에 설치한다. 2.3 콘크리트 비탈면 보호블록(프리캐스트블록)


[관계기관의견 반영] 재료 항목에 대한 내용 추가
2.3.1 휨강도 : 5 MPa 이상
WB
2.3.2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 / ) : 40 % 이하(제조할 때)

2.3.3 허용치수

(1) 폭, 두께 : 설계도서치수 ±2 mm
(2) 길이 : 설계도서치수 ±4 mm

3-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겉모양
2.3.4

그 질이 치밀하여 해로운 흠이 없고, 면은 평평하며 외관이 좋아야 한다.


2.3.5 이음구조

블록 이음부분에서 앵커철근의 시공이 가능하고, 그 공극을 모르타르로 채워 지


반의 활동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2.3.6 고정핀

KS D 3504의 규정에 합격한 길이 0.4 m ∼ 1 m, D16의 이형철근으로서, 지반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끝을 뾰족하게 가공한 철봉이어야 한다.
2.3.7 모르타르

포틀랜드 시멘트와 입경이 1 mm 보다 잔 모래의 용적배합비는 1 : 3이어야 한


다.
2.3.8 시멘트

시멘트는 KS L 5201를 따르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9 골재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 mm 이하이고 공장제품 최소두께의 2/5 이하이며 강


재의 최소수평간격의 4/5를 넘어서는 안 된다.
2.3.10 철근

철근은 KS D 3504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4 돌블록

2.4.1 돌블록의 재질은 KS F 2530 또는 동등이상의 제품이라야 하며, 연마하지 않


[관계기관의견 반영] 내용 추가
은 사각형의 깬잡석이므로 치수는 300 mm ∼ 700 mm, 폭 250 mm ∼ 350
mm, 두께 100 mm ∼ 150 mm로 한다.

2.5 비탈면 보호블록 기초재료


[관계기관의견 반영] 내용 추가
2.5.1 콘크리트 강도는 설계에서 요구하는 강도 이상이어야 하고 공기량은 4.5 % ±
1.5 % 이내, 슬럼프는 85 % ± 2.5 % 이내, 최대골재치수는 40 mm 이하로 한

3-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3. 시 공
3. 시 공 3.1 비탈면 보호블록(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수정] 공법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기술
3.1.1 면고르기

3.1 시공일반 (1) 비탈면 또는 비탈어깨 부근의 느슨한 암과 나무뿌리, 기타 불안정한 흙덩어
리 등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3.1.1 블록의 설치 면은 비탈면 고르기 등으로 격자블록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정리
를 하여야 한다. 끔 돈
(2) 비탈면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선과 경사로 말 히 정 하여야 하며, 완성된
구간은 규준틀과 규준계를 설치하여 감독자가 검측할 수 있게 하며 시공을
3.1.2 비탈면은 규준틀 및 규준계를 설치하여 확인하여야 하며, 규준틀 등은 시공완
완료할 때 까지 유지하여야 한다.
료시까지 유지하여야 한다.

노출부위 등의 깨어진 암석을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3) 비탈면의 표면을 마무리할 때에는 암 노출부위 등의 깨어진 암석을 모두 제거하
3.1.3 비탈면의 정리 시에는 암
여야 한다. 암반인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비탈면 보호용 격자블록을 [관계기관의견 반영] 불필요한 문장 삭제 - 단단한 암반인 경우 격
3.1.4 격자블록의 설치는 비탈끝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시공하게 되므로 격자블 설치할 수 있다.
자블록 미설치
록의 속채움 흙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1.2 터파기 및 되메우기
3.1.5 비탈면에 용수가 있을 때에는 배수로공을 설치하고 격자블록 배면으로 물이 드
(1) 비탈면 보호블록은 반 시 터파기를 하고 설치하여야 하며, 비탈면 위에 블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록을 설치한 후, 그 위에 흙을 덮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3.1.6 비탈면의 붕괴 등이 예상되거나 비탈면에 있는 입목을 보호하여야 할 경우에 력
(2) 보호블록 설치 후, 터파기한 주변은 인 으로 밀실하게 다져야 하며, 특히 상
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붕괴방지시설 또는 입목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부부재 아래쪽은 흙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다져야 한다.
한다. 3.1.3 설치순서
3.1.7 격자블록의 연결 및 조립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라 보호블록을 접합시 킨 다음 비탈면 보호블록은 소단 배수구나 옹벽 또는 별도의 기초가 완성된 후에 흘러내
앵커봉을 비탈면에 설계깊이까지 고정시켜야 한다. 리지 않도록 아래에서부터 위로 쌓아올려야 하며, 위에서부터 아래로 시공하여서
3.1.8 앵커봉을 비탈면에 박을 때에는 연결판(조립판)이 파손되지 않도록 지면에 직 는 안 된다. 또, 격자블록의 속채움 흙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확보하
각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여야 한다.
3.1.9 종․횡 방향으로 격자블록의 완전조립 배열이 끝나면 보호블록 내면에 복토를 3.1.4 조립 및 설치


시행하여야 한다. 이 때에는 잔디의 발육을 위하여 부식된 비 한 흙을 비탈 (1) 비탈면 보호블록은 각 부재가 올바르게 맞물리도록 조심스럽게 설치하고, 격
면 보호블록 내에 가득히 채우고 나무방망이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다짐을 하 자의 교점에 앵커철근을 지면에 직각으로 고정시 킨 후, 그 공극을 모르타르
여야 한다. 로 밀실하게 채워서 원지반과의 밀착을 도모하고 활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3.1.10 떼붙임 공사는 풍화암 및 화강풍화토(마사토) 지역인 경우 흙이 많이 붙은 (2) 비탈면의 붕괴 등이 예상되거나 비탈면에 있는 입목을 보호하여야 할 경우에
평떼로 블록 내 전체를 조밀하게 식재하여야 한다. 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와 협의하여 붕괴방지시설 또는 입목보호

3.1.11 흙을 다질 때에는 약간 젖은 상태로 다져야 하며, 나무 조각이나 큰 암석 기 를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타 불순물을 골라내며 다져야 한다. (3) 보호블록의 연결 및 조립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라 보호블록을 접합시 킨 다음
3.1.12 보호블록의 설치위치 및 형태는 현장여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나, 공사착 앵커봉을 비탈면에 설계깊이까지 고정시켜야 한다.
수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종 횡 방향으로 격자블록의 완전조립 배열이 끝나면 보호블록 내면에 복토를

시행하여야 한다. 이때, 식물의 발육을 위하여 부식된 비 한 흙을 비탈면
보호블록 내에 가득히 채우고, 나무방망이를 사용하여 균등하게 다짐을 하여
야 한다.

(5) 떼붙임 공사는 풍화암 및 화강풍화토 지역인 경우에 흙이 많이 붙은 평떼로


블록 내 전체를 조밀하게 식재하여야 한다.

(6) 흙을 다질 때에는 약간 젖은 상태로 다져야 하며, 나무조각이나 큰 암석 기


타 불순물을 골라내며 다져야 한다.

(7) 보호블록의 설치위치 및 형태는 현장여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나, 공사착


수 전에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8) 검사결과, 공사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는 계약상대자의 비용으로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에 따라 재시공 또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2 격자블록

3.2.1 콘크리트 격자블록을 설치할 때는 명기된 설계도서에 따라 비탈면을 평활


하게 고른 다음, 격자블록을 올바르게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미끄러져 내리
지 않도록 쌓아올려야 한다.

3.2.2 격자블록을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비탈면 길이는 10 m 미만으로 제한한다.


만약 격자블록의 연장이 10 m 이상 되는 경우는 1 m 이상 폭을 가진 소단
을 설치하여 연속 시공되는 길이가 10 m 미만이 되도록 한다. 현장타설 격
자블록의 연속적인 시공길이는 20 m 까지로 한다.

3.2.3 격자의 고정부분에 유동막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동막이와 격자가 충분


히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3.2.4 격자블록 내부는 비탈면의 상태에 따라 뿜어붙이기, 잔디식재, 돌채움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채움을 할 수 있다.

3.2.5 격자 내에 잔디식재 등을 하는 경우에는 뗏밥용 흙을 채워 넣어 충분히 다


져야 한다.

3-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6 합성수지 제품은 격자와 격자사이의 이음을 핀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고 비
탈면에 정착시켜야 한다.

3.2.7 소단이 있는 구간의 격자공을 시공할 때 마감블록과 소단부의 단부가 접속


되는 부위는 표면수의 침투 및 단부의 세굴로 블록 기초지반이 연약화 되
어 블록의 붕괴 또는 탈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블록의 마감부와 소단이 일
체가 되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3.2.8 표면수 또는 용출수에 의하여 비탈면이 세굴되어 유출되 가 붕괴될 우려 던


가 있는 곳에서는 배수시설을 설계도서에 명기된 대로 또는 감독자(또는 건
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3.2.9 비탈면은 마무리된 표면에서 ±50 mm 범위, 바닥면은 ±25 mm 범위로 시공


하여야 한다.
3.3 돌붙이기


3.3.1 비탈면이 돌붙이기에 적합하고 바 면 경사와 표고가 정확한지 확인한다.

닥 닥
3.3.2 돌은 현장조건에 따라 모래바 면과 모르타르 바 면에 밀착되게 시공한다.

3.3.3 필요할 때에는 틈새에 작은 돌조각을 끼우고 줄눈은 표면까지 모르타르나


그라우트를 채워야 한다.
3.4 블록붙이기


3.4.1 블록은 두께가 0.5 m 이상인 모래바 재료 위에 줄눈의 폭이 25 mm 이하

로 되게 정 하여 붙여야 한다.

3.4.2 블록은 단단하게 붙이고 줄눈에는 표면까지 모르타르로 채워야 하며, 모르


타르 줄눈의 깊이는 50 mm이어야 한다.


3.4.3 완성된 표면은 덮어서 5일 이상 습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4. 현장품질관리
4.1 시공허용오차
[수정] 품질관리에 대한 시방규정 추가
비탈면 보호블록의 시공허용오차는 마무리된 표면에서 ±50 mm 이내로 시행하여
야 한다.
4.2 시험빈도

3-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콘크리트 비탈면 보호블록의 휨강도 시험(KS F 2408)은 250개마다 실시한다.
4.3 콘크리트 공장제품(콘크리트블록, 콘크리트격자블록 등)

4.3.1 제품에는 제조공장 명 또는 그 약호 및 제조 년, 월, 일을 표시하여야 한다.

4.3.2 제품의 겉모양 검사는 전수검사로 하여야 한다.


4.3.3 제품의 검사 및 시험은 무작위로 발췌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결과는 감독
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긴 것, 공극이 있는 것, 변색된 것 또는 눈으로 확인할


4.3.4 부서진 것, 균열이 생
수 있는 결함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4.3.5 콘크리트 제품의 강도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며, 시험 도는 200개마다
실시하여야 한다.

(1) 공시체는 공장제품과 동등한 다지기, 양생조건에 따라 3개의 시료를 제조한


다.

(2) 공시체는 지름 100 mm, 높이 0.2 m를 표준으로 한다.

(3)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준한다.


(4) 시험한 공시체 중에서 1개가 평균 보다 10 % 이상의 차이가 있을 때는 그

공시체의 측정 은 압축강도 계산에 넣지 않는다. 3개 중 2개가 평균값과
10 % 이상의 차이가 있을 때는 불합격으로 처리한다.

4.3.6 강도시험에서 파괴된 공장제품을 이용하여 배근상태, 철근덮개 등을 검사하


여야 한다.

4.3.7 시험한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제조업자가 제출한 제품자료에서 정한 값이


상이어야 한다.

4.3.8 강도시험에서 파괴된 공장제품을 이용하여 배근상태, 철근덮개 등을 검사하


여야 한다.
4.4 합성수지 격자블록의 시험

합성수지 격자블록의 시험은 제작자의 제품자료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자문] 제작자의 제품자료로 시험결과를 대체할 경우, 신빙성이 떨
어질 것 같으므로 현장에서 간단한 실험을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요망.
(미반영)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내용을 준수하여 작성된 사안
으로 건설공사비탈면 개정작업시 연동해서 개정할 필요가

3-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있음.
3-3 숏크리트 3-3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수정] 한글화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의 안정을 위하여 시공하는 숏크리트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비탈면의 안정을 위하여 시공하는 뿜어붙이기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용어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M 3404 일반용 경질염화비닐관 KS M 3404 일반용 경질염화비닐관
KS D 7017 용접 철망 KS D 7017 용접 철망
KS F 2577 뿜어붙이기용 재료 [수정] 내용 추가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강도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1.3.1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내용 수정 및 추가
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 뿜어붙이기용 혼화재 시험성적서

(2) 뿜어붙이기용 품질관리 시험결과

(3) 뿜어붙이기 시공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2.1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재료 [수정] 제목, 내용 수정
- - -
이 시방서 15 1절, 15 3절 및 15 10절에 따른다. 뿜어붙이기용 콘크리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지만 빠른 시간 내
에 강도를 원할 때는 혼화재를 사용한다.
2.2 모르타르 뿜어붙이기 재료 [수정] 내용 추가
KS L 5201을 만족하는 포틀랜드 시멘트와 잔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로서 석

3-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회를 첨가하면 안 되며, 설계에서 요구하는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2.3 배수용 파이프
2.2 배수용 파이프
배수 파이프는 KS M 3404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배수 파이프는 KS M 3404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4 보강용 철망
2.3 보강용 철망
보강용 철망은 KS D 7017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보강용 철망은 KS D 7017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5 재료 품질관리 [수정] 품질관리 내용 추가


2.5.1 뿜어붙이기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과 함께 강재를 보호하는 성질을 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타 수정
지고 품질의 변동이 적은 것이어야 한다. [자문] 오타 수정
2.5.2 뿜어붙이기의 배합강도는 구조물이 필요로 하는 강도, 설계기준강도 및 현장
에서의 콘크리트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2.5.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하여


실시한다.

2.5.4 모르타르 뿜어붙이기에 사용하는 보강용 철근과 고정핀은 KS D 3504에 따르



며, 시험 도는 제조회사, 제품규격마다 해당요건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2.5.5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장기강도

① 일반 콘크리트 뿜어붙이기의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재 령 28일로 설정하며 [자문] 강도기준 추가


그값은 18 MPa 이상으로 한다. 단 지보재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 [관계기관의견 반영] 수정 요망 : ① 일반 콘크리트 뿜어붙이기의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재령 28일로 설정하며 그 값은 18 MPa
리트 뿜어붙이기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24 MPa 이상으로 한다. 이상으로 한다.
② 구조적인 안정성과 박락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암반 및 콘크리트 ⇒ 부분수정(유지관리차원에서 급경사지에 기대기식 옹벽 개념으
로 사용하기도 하므로 내용을 그대로 두는 것이 바람직함) :
뿜어붙이기 각 층간의 부착강도를 높여야 한다.“
고강도 콘크리트 뿜어붙이기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24MPa 이상
[자문]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장기강도에서 고강도콘크리트 뿜어붙
이기 시공 30MPa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비탈면 콘크리
트 뿜어붙이기 기준강도 24MPa와 차이를 보임. - 통일 시
킬 필요가 있음(도로공사 24MPa)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조건의 확인

3-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1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시공측량을 통하여 측량기준점 및 시공기면, 규준틀
[수정] 내용 추가
이 명기된 것과 같은지 확인하여야 한다.

3.1.2 명기된 경계선, 표고, 등고선 및 기준면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3.1 시공일반 3.2 시공일반

3.2.1 계약상대자는 뿜어붙이기 공사를 하기 전에 혼합방법, 사용기계, 시공방법, 양


3.1.1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 공사를 하기 전에 혼합방법, 사용기계, 시공방법, 양생
생 등에 관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협의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등에 관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협의하여야 한다.


3.1.2 비탈면에 숏크리트 공사를 하기 전에 압 수 또는 압축공기로 먼지, 이토 및 력
3.2.2 비탈면에 뿜어붙이기 공사를 하기 전에 압 수 또는 압축공기로 먼지, 이토 [수정] 용어 수정
부석 등 부착에 지장을 주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및 부석 등 부착에 지장을 주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3.1.3 뿜어 붙이는 콘 리트의 양생은 타설후 최소 3일간 10 ℃ 이상의 기온을 유지 코
3.2.3 뿜어 붙이는 콘 리트의 양생은 타설 후 최소 3일간 10 ℃ 이상의 기온을 유
하여야 하며, 강풍 및 강우 등 일기가 좋지 못한 기상조건에서는 시공을 금지 지하여야 하며, 강풍 및 강우 등 일기가 좋지 못한 기상조건에서는 시공을 금

하여야 한다. 지하여야 한다. 굴착면이나 이미 타설한 뿜어붙이기면에 용수가 있을 경우


[수정] 내용 추가
에는 적절한 용수대책을 강구한 후 뿜어붙이기를 타설하여야 한다. 용수대

책으로는 배수관을 통한 배수, 시 트량이나 급결제량의 증가, 사용수량의
감소대책 등이 있다.

3.1.4 비탈면의 배수공은 용수가 발생되는 지점에 설치하며 배수관은 비탈면에 관입 3.2.4 배수공의 관경, 재질 및 설치 개소수는 명기된 설계도서를 따르며 내경 50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mm 이상의 경질염화비닐관을 비탈면의 용수상태에 따라 적정량을 설치하
며, 암반의 균열부나 흙 비탈면에서는 0.25 m 이상 천공하여 관입시켜야 한
다. 원지반에서 물이 안 나오는 곳에는 표면배수만 할 수 있도록 한다.

3.1.5 보강용 철망은 비탈면 요철에 따라 설치하고 팽팽하게 당겨 뿜어 붙인 콘크리


3.2.5 고정핀의 설치깊이 및 간격은 설계도서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D16 ~ D22,
트 두께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앵커에 고정하여 비탈면으로부터 15 ㎜, 마무리
길이 0.4 m ~ 0.6 m인 철근을 0.3개/㎡ ~ 2개/㎡로 설치하지만 비탈면의
상태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비탈면에 요철 등으로 인하여 충분히 고정시
면으로부터 20 ㎜ 사이에 설치하여야 하며, 보강용 철망 대신에 강섬유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는 제7장 터 공사 3.2 숏크리트공을 따라야 한다.
키기 어려운 부분에는 추가적으로 고정핀을 설치하며 D9 ~ D13, 길이 0.15
m~ 0.3 m인 철근을 1개/㎡ ~ 3개/㎡로 설치한다. 비탈면이 비교적 평활
하고 넓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수축줄눈을 설치하고 줄눈재를 충전시켜
3.1.6 앵커의 설치간격은 1m 를 표준으로 하여 기초기반에 고정시켜야 한다. 비탈면
이 비교적 평활하고 넓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수축줄눈을 설치하고 줄눈재 야 한다.
를 충전시켜야 한다.
3.2.6 암질이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비탈면 경사가 1:0.5 이하의 급경사인 경우, 표
면보호 콘크리트의 역할을 구조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할 경우에 보
강철근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보강철근망은 비탈면의 상태에 따라
D16 ~ D22의 철근을 0.5 m ~ 1 m의 간격으로 격자모양으로 놓는다.
3.1.7 숏크리트의 두께 측정용 봉은 가로, 세로 5 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뿜어 3.2.7 뿜어붙이기의 두께 측정용 봉은 가로, 세로 5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수정] 용어 수정 및 추가
붙인 후에는 임의의 위치에 검측공을 뚫어 뿜어 붙인 콘크리트 두께를 검사할 뿜어붙이기 후에는 임의의 위치에 검측공을 뚫어 뿜어붙이기 두께를 검사

3-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두께검사의 최소두께는 설계두께의 75 % 이상이어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뿜어붙이기 두께검사의 최소두께는 설계두께의
하며, 검측 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와 같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 75% 이상이어야 하며, 검측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와 같거나 그 이상이어
야 하고, 합격률은 80 % 이상이어야 한다.

3.1.8 숏크리트를 칠 경우에는 비탈면과 노즐이 약 1 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비탈면에 3.2.8 뿜어붙이기를 칠 경우에는 비탈면과 노즐이 약 1 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비
직각이 되도록 하여 시공하여야 하며, 비탈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여야 한 탈면에 직각이 되도록 하여 시공하여야 하며, 비탈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진
다. 어떤 경우라도 비탈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시공해서는 안 된다. 행하여야 한다. 어떤 경우라도 비탈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뿜어붙이기를 시
공하여서는 안 된다.

3.1.9 숏크리트를 2층 이상 칠 경우에는 1층을 치고 다음 층은 1시간 정도 지난 후 3.2.9 뿜어붙이기를 2층 이상 타설할 경우에는 1층을 타설하고, 다음 층은 1시간
시공하여야 한다. 꺼
정도 지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뿜어붙이기 두께가 두 운 경우에는 적절한
두께로 여러 층으로 나누어 타설하고, 뿜어붙이기가 지반과 밀착 과 동시 됨
에, 뿜어붙이기 각층 상호간도 밀착되어야 하며, 반발된 뿜어붙이기가 혼합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특히, 상반 작업을 할 때 바 에 닥
떨어진 뿜어붙이기는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3.2.10 비탈면은 마무리된 표면에서 ±50 mm 범위, 바닥면은 ±25 mm 범위로 시


공하여야 한다.

3.3 현장품질관리
[수정] 품질관리 내용 삽입
품질관리의 해당요건에 따른 검사결과가 공사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면 계
약상대자의 부담으로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에 따라 재시공 또
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4 낙석 방지망 3-4 낙석 방지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에서 풍화로 인하여 낙석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시방은 비탈면에서 풍화로 인하여 낙석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
시공하는 낙석방지망 설치 공사에 적용한다. 공하는 낙석방지망 설치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3-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B 1012 육각 너트 KS D 3514 와이어로프
KS D 2330 주물용 알루미늄합금 잉곳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수정] 최근 공법에서 요구하는 표준에 맞게 내용 수정
KS D 3514 와이어 로프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7018 체인링크 철망 KS D 7018 체인링크 철망
ISO 4017B 볼 트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1.3 제출물
1.3 시공 전 검토사항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수정] 최근 공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맞게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1.3.1 이 시방서 규정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 계획서를 작성
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자재 제품자료

① 제조업자의 제품자료 및 설치지침서

② 사용 원재료의 재질 및 규격이 명기된 납품서 및 품질시험 성과표


1.3.3 시공 상세도면

① 낙석방지망의 설치 위치 등을 표시한 평면도 및 시공전개도

② 지주설치 상세도

1.3.4 흡수가능 에너지의 확인

시공 전에 현장 비탈면의 낙석규모(낙석의 중량, 형태, 낙하높이, 비탈면의 경사,


암질, 비탈면의 상태 등)가 설계할 때와 다른 조건인 경우 낙석에너지를 검토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에 따른 ⇒ 가 설계할 때
여 그 낙석에너지를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의 낙석방지망을 설치하여야 와 다른 조건인 경우
하며, 필요한 흡수가능 에너지가 커서 표준형의 낙석방지망으로는 낙석을 방호할
수 없을 경우에는 에너지를 추가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완충구 등
을 부착한 형태의 고에너지 흡수형 낙석방지망 형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재질이나 형태를 가진 낙석방지망을 설계하거나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새로운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타 수정
형식의 낙석방지망이 어느 정도까지의 에너지를 흡수 가능한지 평가하여야 한다.
1.3.5 재료의 품질확인

낙석방지망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설치 전에 부속 재료별로 발주기


관의 사전공급원 승인을 받은 제품을 사용, 시공하여야 하며, 필요할 때에 그 성
능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을 실시하여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와이어 로프 2.1 와이어 로프

2.1.1 와이어 로프의 구조는 직경 16 ㎜로서 강연선수가 6개, 1개 강연선의 소선수는 2.1.1 와이어로프는 KS D 3514(와이어로프)에 적합하여야 한다. 로프는 지름 16
[수정] 최근 공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맞게 수정

24가 으로 보통 Z형 꼬임(ψ16×6×24)이어야 하며, 1개의 소선은 지름 0.8∼1.0 닥
mm 이상을 사용하며, 강연선의 소선구는 6가 으로 보통 Z형 꼬임( φ16이
㎜ 이하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상 × 6 × 24)이어야 한다.
2.1.2 아연 부착량은 소선에 대해 85 g/㎡이어야 한다. 2.1.2 낙석방지망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는 파단하중에 따른 종류 중 G종과 A
종을 사용한다. G종의 경우, 로프 지름이 16 mm일 때 117 kN 이상, 20
mm일 때 183 kN 이상의 파단하중을 견뎌야 하며 A종의 경우, 로프 지름
이 16 mm일때 126 kN 이상, 20 mm일 때 197 kN 이상의 파단하중을 견뎌
야 한다. 소선 지름은 0.88 mm 이며, 아연 부착량은 G종의 경우 85 gf/㎡
이상, A종의 경우 70 gf/㎡ 이상이어야 한다.

2.2 앵커볼트 및 너트 2.2 앵커볼트 및 너트


앵커 트는 S I O 4017B, 너트는 KS B 1012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볼
앵커 트는 S I O 4017B, 너트는 KS B 1012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2.3 조립구
2.3 조립구
[수정] 최근 공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맞게 수정
조립구는 KS D 2330 AC4C.2에 적합한 재질로서 인장하중 100 kN(10 tonf) 이상, 조립구의 재질은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강재는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
압축하중 47.1 kN(4,800 ㎏f) 이상이어야 한다. 강재)에 제시된 종류 중 SS400을 사용한다. 이때, 조립구와 와이어로프 사이
의 인장력은 24.44 kN(2,500 kgf) 이상이 되어야 한다.
2.4 철 망 2.4 철 망
[수정] 최근 공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맞게 수정
V종 규격(심선지름 ψ3.2 ㎜, 비닐 최소피막 두께 0.3 ㎜)
2.4.1 철망은 KS D 7018의 2.4.1 KS D 7036(염화비닐 피복 철선)과 KS D 7018(체인링크 철망)에 적합하여
에 적합하여야 하며, 코팅한 외경은 4.0±0.2 ㎜ 이상이어야 한다. 야 한다.
2.4.2 철망은 내부식성 소재를 사용하거나 내부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2.4.2 철망 심선의 지름은 3.2 mm ~ 4 mm로 아연도금 후 PVC 코팅된 선지름
이 4 mm ~ 5 mm, 망눈의 치수가 50 mm × 50 mm 이상의 것을 사용한
다.
2.4.3 아연 부착량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WMV-GS2종을 기준으로
할 때 심선지름 3.2 mm는 30 gf/㎡, 심선지름 4.0 mm는 35 gf/㎡ 이상이어

3-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한다.
2.4.4 PVC 코팅망은 KS D 3552 규격에 적합한 경질염화비닐(0.3 mm)을 피복한
철망제품으로 KS D 7018의 V-G1에 적합한 제품이라야 한다.

2.5 수 지(resin)

록앵커 볼트에 충전 및 선단용으로 사용되는 수지는 양생 이후 낙석하중에 충분 [삭제]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삭제
히 견딜 수 있는 부착강도가 확보되는 것이어야 한다.
2.5 결속선

결속선은 철망의 강도 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수정] 시방내용 추가


2.6 지주

2.6.1 H형강을 지주로 사용할 경우,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에 제시된 [수정] 시방내용 추가
종류 중 SS400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질의 인장강도는 400 MPa ~ 510
MPa, 항복점은 245 MPa 이상이어야 하며, 연신율은 17 % 이상이어야 한
다.

2.6.2 강재를 지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재료는 KS D 3504(철근 콘크리트


용 봉강)의 SD300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질의 인장강도는 440 N/㎟ ∼ 598
N/㎟, 항복점은 300 N/㎟ 이상이어야 한다.

2.7 재료의 품질관리 [수정] 품질관리 시방내용 추가


일반적인 낙석방지망에 사용되는 재료 이외의 것을 사용하여 낙석방지망을 구성하 [자문] 오타 수정 : 낙석방 ⇒ 낙석방지망

는 경우, 사용되는 재료는 낙석방지망의 성능을 발 할 수 있도록 각 구성재료가
강도 및 허용변형 값을 만족하여야 하며, 각 재료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정의되어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충분히, 충분한 삭제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낙석 방지망 설치시에는 법면의 상단부에서 1 2 m 까지 벌목을 시행하고, 낙 3.1.1 낙석방지망을 설치할 때에는 법면의 상단부에서 1 m ~ 2 m 까지 벌목을 [수정] 한글화, 단위표기 수정

3-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석방지망은 암반과 밀착시 킨 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시행하고, 깎기면에 있는 뜬돌이나 이완이 심한 암반을 먼저 제거한 후 낙 [수정] 상세내용 추가
석방지망을 암반과 밀착시 킨 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2 앵커 트는 암반의 절리를 점검하여 천공깊이와 간격을 결정한 후 천공구멍 3.1.2 깎기면의 하단부에 낙석방지울타리가 설치된 경우에는 낙석방지망의 하단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내 앵커 트를 삽입한 후 선단 및 충전용 수지를 주입하여야 하며, 수지 주입 부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한다. 이때, 낙석방지망의 하단부 높이는 낙석방지
후 24시간 이상 양생한 다음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때 천공 구멍 내 잔류 분 울타리의 높이까지로 한다. 낙석방지울타리가 없는 곳은 지면에서 1 m 정

진은 앵커 트와 수지 간 부착에 영향이 없도록 에어를 사용하여 청소하여야 도 띄어 설치한다.
한다.
3.1.3 낙석방지망 상단부의 지반이 경암으로 구성된 경우, 깎기가 끝난 지점으로

3.1.3 선단 및 충전용 수지 주입 후 앵커 트와 암반이 일체가 되도록 시공한 후 조 부터 2 m 이상, 토사나 풍화암으로 지반이 약한 곳은 5 m 이상 되는 지점
립구와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여야 한다. 킨
에 D25 이상, 연장 1.5 m 이상의 고정핀을 사용하여 고정시 다. 고정핀에
3.1.4 와이어 로프는 팽팽하게 당겨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드
주입재를 주입할 때에는 반 시 강제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충진시켜야 한


3.1.5 계약상대자는 반 시 낙석 방지망의 설치 위치와 범위를 현장실정에 적합하도
다.

록 검토하여 감독자와 사전 협의를 거친 후 낙석 방지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켓


3.1.4 비포 식 낙석방지망은 교차점마다 정착장치를 사용하여 깎기면에 고정핀
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고정핀을 시공하여야 하는 깎기면 내 위치의
3.1.6 낙석 방지망은 보호시설로서 낙석의 위치에너지에 필요한 힘을 견딜 수 있어
야 한다.
암질이 불량하거나 파쇄대가 발달하여 고정핀이 기능을 발 할 수 없을 것 휘
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정핀의 위치를 약 1 m 이내로 이동하거나 고정핀 길
3.1.7 계약상대자는 작업 전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안전에 이상이 없도록 조치를 취
이를 늘여서 설치하여야 한다.
한 후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켓 드
3.1.5 비포 식 낙석방지망의 상부와 좌 우측은 반 시 모두 주고정핀을 이용하
여 깎기면에 고정시켜야 한다. 고정핀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D25 이상,
연장 1.5 m 이상의 고정핀을 사용한다.


3.1.6 포 식 방지망의 좌 우측은 D25 이상, 연장 1.5 m 이상의 주고정핀을 이용

하여 깎기면에 부착하여야 한다. 포 식 낙석방지망은 방지망이 연결되는
부분이나 일정 간격(약 60 ㎡ 이내)으로 D16 이상, 연장 0.5 m 이상의 보조
고정핀을 사용하여 깎기면에 고정한다. 깎기면의 연장이 길어 낙석방지망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반 시 0.5 m 이상 겹쳐야 하며 중앙부에 결속선을 이
용하여 깎기면의 상부에서 하단부까지 전구간에 걸쳐 연결하여야 하며 보
조고정핀을 사용하여 깎기면에 부착시 다. 킨
3.1.7 낙석방지망의 설치 위치와 범위를 현장실정에 적합하도록 검토하여 감독자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와 사전 협의를 거친 후 낙석방지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3.1.8 낙석방지망은 낙석의 규모(낙석의 중량, 형태, 낙하높이, 비탈면의 경사, 암

3-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질, 비탈면의 상태 등)에 따른 낙석에너지를 검토하여 그 낙석에너지를 안
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의 낙석방지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3.1.9 작업 전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안전에 이상이 없도록 조치를 취한 후, 작업


에 임하여야 한다.

3.2 고정핀 [수정] 각 부문별 시방내용 추가


3.2.1 고정핀은 주고정핀과 보조고정핀으로 구별되는데, 주고정핀은 와이어로프의
끝부분을 암반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보조고정핀은 로프가 교차하는 지
점의 조립구나 인근 부분에 설치한다.

3.2.2 고정핀의 시공은 고정핀의 지름보다 큰 D35 내외로 천공하고 고정핀을 심


은 후 주입재(모르타르, 에폭시 등을 사용)를 주입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모

르타르를 주입재로 사용할 경우 시 트 : 모래 : 물의 배합비는 1 : 1 : 1 로 한
다.

3.2.3 주고정핀의 규격은 D25 이상, 길이 1.5 m 이상이며, 보조고정핀의 경우


D16 이상, 길이 0.5 m 이상의 형식을 갖는다. 깎기면의 상부와 좌 우측의
고정핀은 와이어로프에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표면에 직각
으로부터 15 〫정도 경사지도록 시공한다.

3.3 지주 [수정] 지주 시방내용 추가



3.3.1 지주는 포 식 낙석방지망의 상단부에 낙석입구를 설치할 경우, 종로프를

깎기면 상단에 고정시켜 깎기면 하단으로 늘어 리는 역할을 한다. 지주는
예상 낙석의 규모에 따라 낙석 규격이 클 경우에는 H150 × 75 mm × 5
mm × 7 mm 규격인 H형강을 높이 1.5 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낙석 규
격이 작을 경우에는 지름 25 mm 이상, 길이 2 m 이상의 강봉을 깊이 1 m
의 깎기면 지반 중에 매설, 정착시키고 지면 위로는 1 m 이상 띄어 설치한
다.

3.3.2 지주는 하단으로 떨어지는 로프와 깎기면 상단의 후방 2 m ~ 3 m에서


D22 이상, 연장 1.5 m 이상의 철근에 고정되는 로프가 연결되어 낙석이 종
로프와 충돌할 경우 로프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낙석입구

3-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 필요 없는 곳은 상단부 지면에서 고정핀을 사용하여 낙석방지망을 깎기

면에 부착시 다. 이때, 보조고정핀을 사용하기도 한다.

3.4 결속선 [수정] 결속선 시방내용 추가


3.4.1 결속선은 망과 망이 겹치는 부위와 망과 와이어로프가 겹치는 부위를 접합
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망의 강도 이상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풀리
지 않도록 0.6 m 이상 연속하여서 망눈에 맞추어 망눈 마다 감아주어야 한
다. 망과 망이 겹치는 부위는 0.5 m 이상 겹쳐야 하며 포개진 구간의 중앙
부에 깎기면 상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전 구간에 걸쳐 연결하여야 한다.


3.4.2 망과 와이어로프가 겹치는 부분의 경우 비포 식 낙석방지망은 조립구와

조립구 사이의 중앙부에 0.6 m 연속으로 결속하며 포 식 낙석방지망은 횡
방향과 종방향 모두 와이어로프를 따라가며 경간 길이의 20 % 만 큼 고르게
망눈 마다 결속하여야 한다.

3.4 조립구 [수정] 조립구 시방내용 추가


포켓식의 경우에 에폭시 등을 주입하여 와이어로프의 이완을 없애도록 한 조립
구를 사용하며 비포켓식 낙석방지망은 조립구와 고정핀으로 고정하며 조립구와
와이어로프 사이의 인장력은 24.44 kN 이상이 되어야 한다.
3-5 비탈면 보강용 록앵커 3-5 앵커 [수정] 록앵커와 어스앵커를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암 비탈면의 안정을 위한 비탈면 보강용 록앵커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비탈면 보강을 위한 앵커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내용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5 PC 강봉 [수정] 내용 추가, 불필요한 문장 삭제


C C
KS D 7002 P 강선 및 P 강연선 KS D 7002 PC 강선 및 강연선
KS D 3505 PC강봉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3-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414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방법
KS F 2433 블리딩 및 팽창률 시험
KS F 2426 주입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32 주입 모르타르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1.3.1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시공계획서에는 지반앵커를 시공할 때 지반종류에 따른 천공기계의 선정,


가설비와 설치구조, 인장 및 인발시험에 관한 방법 및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수정] 최근 공법에 따라 내용 수정
2.1 콘크리트
2.1 긴장재
- -
이 시방서 15 1절 및 15 3절에 따른다.
긴장재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것으로 PS 강선, PS 강연선, 이형 PS 강
2.2 PC 강선 및 PC 강봉
연선은 KS D 7002에, PS 강봉, 이형 PS 강봉은 KS D 3505에 각각 적합한
품질을 갖는 것으로 유해한 흠이 없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2.2.1 PC 강선은 KS D 7002의 SWPC7B 규격에 따른다.
2.2.2 PC 강봉은 KS D 3505에 따른다.

2.3 그라우트 2.2 그라우트

-
이 시방서 6 4절에 따른다. 2.2.1 그라우트는 KS L 5201에 규정된 보통 포틀 랜드 시멘트 또는 조강시멘트를
2.4 철근 멘
사용하고, 그 이외의 시 트를 사용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
이 시방서 15 10절에 따른다.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2 혼화재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것으로 하고, 그 이외의 혼화재를 사용


2.5 주름관 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내식성, 내압성, 부착 , 만곡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그라우트에 사용하는 물은 기름, 산, 염류, 유기물, 기타 그라우트, 긴장재와

3-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앵커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의 유해량이 0.1 % 이상 포함되어서는 안 된
2.6 웨지(wedge) 및 나사 다.
웨지 및 나사는 핵심소재로서 품질확인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4 그라우트는 부피가 감소하지 않으며 침식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2.7 그라우트의 블리딩


유기질을 포함하지 않은 재료이어야 하며 중 력 또는 압력으로 채운다.
2.2.5 그라우트의 28일 압축강도는 인장 전, 시공 중에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선

그라우트의 블리 은 최대 4 % 이내, 24시간 후에는 2 % 이내를 사용하고, 그라
시험하며, 양생기간을 앞당기기 위하여 급결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기준
우트의 7일 압축강도는 17.0 ㎫(170 ㎏f/㎠) 이상이어야 하며, 물/시멘트 비는 45 족 WB
강도를 만 시켜야 하며, 물/결합재비( / )는 설계도서를 따른다.
% 이하이어야 한다.
2.2.6 이외의 사항은 관련 규정을 따른다.
2.8 앵커헤드

순수한 열연강을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재료는 품질시험에 합격한 제품이 2.3 패커(packer)
어야 한다.
패커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규격의 것으로 하고, 유해한 흠이 없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2.4 정착구

정착구는 앵커의 소요응력을 구조체에 직접 작용토록 하는 요소로 정착방식은


쐐기(wedge), 너트(nut)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앵커에 적용되고, 품질확인을 받
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앵커에 사용되는 정착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에 사용하는 정착구와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져야 한다.
2.5 방식용 재료

2.5.1 영구앵커의 경우는 앵커체 자체가 부식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특히,
쐐기 정착방식의 앵커는 쐐기정착을 위하여 긴장부 쉬스(sheath)를 제거할
때 강연선이 노출되므로 수압판의 상·하부가 밀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2.5.2 방식용 재료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것으로 하고, 그 이외의 방식용 재료를
사용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5.3 방식용 재료는 방식의 기능이 장기간 지속되고, 긴장재와 쉬스의 재료특성
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또, 긴장부와 앵커체의 탄성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3-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6 재료의 보관

재료는 그 재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하며, 특히 강재, 시멘트 및 혼화


재료는 습기를 받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2.7 장비


2.7.1 인장

(1) 인장잭에는 설계인장응력 이상을 긴장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인장잭의 압력계는 공인시험기관에서 검 교정을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


다.

잭 ef r eb
(3) 인장 에는 자동물림장치(s l g ipping ass m ly)와 잭체어(jack chair)가 부
착되어 있어야 한다.

믹서 및 펌프
2.7.2 그라우트

(1) 그라우트 믹서는 혼합조, 주입조, 저장조 및 수조로 구성되어 있어 배합설계


에 의한 배합을 항상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2) 믹서는 혼합과 주입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하며, 그라우팅이 끝날 때까지


연속적으로 주입이 가능하여야 하고, 검측용 압력계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한다. 주입하여야 한다. ⇒ 입이 가능하여야 하고, 검측용 압력계
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 그라우트 펌프는 최소 주입압력이 0.5 MPa 이상이어야 하며, 그라우트 호스
및 연결구는 최대 2 MPa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4) 급수계량기는 그라우트 혼합에 사용된 수량을 2 ℓ/㎥ 까지 측정할 수 있어


야 한다.

(5) 주입공 연결부에 설치하는 차단 밸브는 주입이 완료된 후에도 그라우트가 응



결 할 때까지 필요한 압 을 유지 할 수 있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1 록앵커는 이중 부식방지형 앵커를 사용하며, 록 앵커설치 전에 비탈면의 절리 3.1.1 앵커 시공은 먼저 시공계획서를 작성하고,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방향 및 경사를 조사한 후 앵커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2 록앵커 시공이 완료된 후 인발시험을 통하여 시공적정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 3.1.2 앵커 시공은 시공계획서에 따라 실시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시공순서 및 방

다. 인발시험은 설계기준에 부합되는 인발 을 가져야 한다. 황
법에 대하여서는 현장상 , 지반조건을 검토하여 적합하게 조정하여 시공하
3.2 장 비 여야 한다.

3.2.1긴장잭 3.1.3 작업공정 또는 작업 순서를 변경할 때에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1) 긴장잭은 무게가 가볍고 작동이 간편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의 지시에 의하여 변경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2) 긴장잭에는 자동물림장치(self gripping assembly)와 잭 체어(jack chair)가 부 3.1.4 유기질점토나 실트 등 강도가 매우 작은 지반에서는 앵커를 설치하여서는

착되어있어야 한다. 안 된다. 단, 지반보강을 선행한 후 재천공하거나 특수앵커를 시험 시공하

(3) 긴장잭은 설계인장응력 이상을 긴장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여 그 효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4) 긴장잭의 압력계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검․교정을 받은 장비를 사용하여 3.1.5 앵커의 앵커체 선단이 인접 토지경계를 넘지 않도록 한다. 불가피하게 침범
야 한다. 한 경우에는 토지소유주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앵커가 주변 시설물 등에

3.2.2 그라우트믹서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 그라우트 믹서는 배합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긴 드


3.1.6 앵커 장부는 설계도서를 기준으로 하고 반 시 설계도서에 명기된 토질정
(2) 그라우트 펌프는 평균 주입압력이 7Bar 이상, 최대 주입압력이 20Bar 이상을 수를 확인, 설계깊이 이상으로 시공하여야 하며, 현장의 지반조건과 설계상
갖추어야 한다. 의 지반조건이 상이할 경우는 현장 지반조건에 대하여 설계사항을 재검토

3.2.3 설 치 하여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하에 변경 및 시공을 수행하여

r d
력 계산근거, 자유장 및 정착장
(1) 록앵커를 시공하기 전에 강선(st an )의 인장 야 한다.

의 계산근거, 인장력 감소와 초기인장력, 받침판(bearing plate)의 적정여부 3.1.7 전반적인 거동상태를 장기적으로 점검, 관측 및 계측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
등을 확인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긴
라 재 장 및 앵커 증설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천공직경은 앵커의 직경 보다 25 ㎜ 이상 크게 천공하고, 천공 길이는 설계 천
공 길이 보다 500 ㎜ 정도 더 천공하여야 한다. 3.2 천 공
(3) 앵커체에 강선 삽입시에는 강선에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대
위에서 삽입하고, 강선은 그리이스 머신(grease machine)으로 자유장 구간을 3.2.1 천공지름과 천공깊이는 설계도면을 따른다.
벌려 그리이싱을 실시하고, 각 강선사이에는 그리이스를 충분히 충전시켜 부 3.2.2 천공지름은 도면에 표시된 지름을 표준으로 하고, 앵커 지름보다 최소 마 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최소 40 mm 이상 ⇒ 최소 마찰형은 40
식을 막아야 한다. 형은 40 mm 이상, 지압형은 20 mm 이상 커야 하며 천공 후 일정시간(앵
mm 이상, 지압형은 20 mm 이상

(4) 앵커체는 인 이나 장비를 이용하여 삽입하고, 앵커체의 위치가 천공구멍의 삽
커 입 및 주입 시간)이내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구간에는 케이싱을 삽입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여 천공 내부의 토사교란 및 무너짐을 방지하여야 한다.
(5) 슬리브(sleeve)는 지중보 내에 설치하여야 하며, 지중에서 작용하는 집중하중 족
3.2.3 천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방향 및 길이를 만 하여야 하고 또, 슬라
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도서에 따라 철근을 보강하여야 한다.

3- 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 내․외부의 그라우트 호스를 통하여 그라우 을 실시하여야 한다. e
임(slim )과 순환수에 의하여 지층 및 용수(누수)의 유무를 판정하면서 공벽
(7) 기 설치된 금속 슬리브의 수직상태를 유지한 채 빔(beam) 콘크리트를 타설하 이 크게 손상되지 않도록 신중히 실시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2.4 천공 후 지하수가 용출될 때 고압 력 주입으로 선행주입 후 재천공하여 지하
(8) 지중보 내에 기 설치된 슬리브와 앵커체 사이의 공극에는 그라우트를 주입하 수의 용출을 방지한다.
여야 한다.
(9) 지중보의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설치하여 dr
3.2.5 천공보고서( illing report)를 매 공마다 작성하여 토층, 천공길이, 천공지름,
천공시간을 확인하고, 설계주상도와 항상 비교하여 앵커체의 신뢰도 및 인
야 한다.
(10) 앵커체를 설치하고, 헤드 사이의 공간에 그리이스를 주입하여 밀폐시켜야 한 력
장 의 신뢰도를 확인한다.

다. 3.2.6 천공각도는 설계도서에 명기된 각도로서 두부에서 정착부까지 직선을 유지


±1/30 이내이어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유지하여야 한다. ⇒ 하며, 허용오차는
(11) 인장작업 하며, 허용오차는
±1/30 이내이어야 한다.
① 헤드와 웨지의 설치는 충전재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도록 반드시 콘크리트 3.2.7 천공장비는 정착지반에 따라 공압식과 유압식 드릴을 사용하여 풍화토 또
타설 후 설치하여야 한다. 는 연약한 지반일 때는 케이싱천공이 가능한 장비를 사용하여 공벽을 유지
② PS 강선 및 PS 강봉의 길이는 작업여건에 적합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③ 인장 은 자동물림장치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2.8 천공작업 중 지하수위의 위치변화, 천공속도, 공내 세척시간, 용수, 지반상 황
④ 인장잭 측정기의 압력 및 신장량은 록 앵커 인장보고서에 기록하여야 한다. 등을 기록, 보관하여야 한다.
⑤ 두께 2 ㎜ 강판으로 제작된 보호마개(protection cap)를 설치한 후 그리이스
3.2.9 천공깊이는 소요 천공깊이 보다 최소한 0.5 m 이상 깊게 하여 천공면으로
를 주입하여야 한다.
부터 교란된 이물질을 가라 앉혀 소요 천공깊이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3.2.10 앵커가 후면의 기존 구조물을 통과할 때 앵커체는 최소한 기초면 하부 3
m 이하의 심도를 통과하여야 하고 인접 앵커체와 떨어지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2.11 공내 청소

① 천공 후 바로 앵커체의 공내를 청소하여슬라임을 제거하여야 한다.


② 공내 청소는 공내에 청수 또는 압축공기를 보내어 슬라임을 배제하며, 슬라
임의 배출이 인정될 때까지 반복하여야 한다.

③ 공내를 청소할 때에는 긴장부와 앵커체를 포함한 전체 천공부의 공벽을 보


호하여야 한다.
3.3 앵커의 가공 및 조립

3.3.1 앵커는 사전에 시험천공을 실시하여 현장 지반조건과 설계 지반조건을 확


인한 후에 설계도서에 표시된 대로 가공, 조립하여야 한다.

3- 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2 앵커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고, 정착제의 정확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압축부 ⇒ 정착제
여 공장조립을 원칙으로 하며 이와 동등한 현장시설을 갖추면 현장조립도
가능하다.


3.3.3 적당한 위치에 스 이서를 설치하여 긴장재의 간격을 유지하고, 앵커체의
굴곡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 스페이서는 파형관 쉬스 내에 긴장재가 중앙
에 위치하여 그라우트의 피복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
을 사용하여야 한다.

3.3.4 긴장재 절단은 용접기를 사용하지 않고 커터(cutter)로 하며 각 긴장재의 전


체에 대하여 방청을 실시하고, 쉬스나 이에 준하는 방수재로 피복한다. 또,
긴 +
절단길이는 설계길이( 장부 앵커체)에 긴장 및 정착을 위한 여유장(1 m)
을 고려하여야 한다.

3.3.5 앵커체 부위는 각 강선과 주입호스를 스 이서와 페 클램프를 이용하여 도면


에 명기한대로 조립한다.

3.3.6 패커와 분리되는 긴장부 피복호스는 클램프로 충분히 압축시킨 후 에폭시



시 트로 밀폐시켜야 한다.

3.3.7 방청재의 주입은 원칙적으로 조립 가공을 할 때에 수행하며,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얻지 않으면 삽입 후에 주입하여서는 안 된다.
3.3.8 조립된 앵커의 운반 및 삽입을 할 때 앵커에 손상이 가지 않게 충분한 절곡
반지름(앵커체 유효지름의 5배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3.3.9 가공, 조립을 끝마친 앵커는 휘거나 변형되지 않게 주의하고, 삽입할 때 천


공구멍으로 인한 손상이 가지 않아야 하며, 녹의 발생과 진흙·기름 등의 불
순물의 부착이 없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3.4 앵커의 삽입

3.4.1 앵커는 삽입 작업대 또는 크레인 등의 장비로 삽입하여야 한다.


3.4.2 앵커를 삽입할 때 앵커가 천공 구멍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앵커에 중심결정
구(센트럴라이저)를 1 m ∼ 3 m 간격으로 부착하여야 하며, 센트럴라이즈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추가 - 최소 피복두께 규정 제시
사이의 최소 그라우트 피복두께는 5 mm 이상 확보하고, 공벽의 붕괴우려가
있으면 케이싱을 인발하지 않고 삽입한다.

3-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3 소요길이까지 삽입 후 지지대를 설치하여 앵커를 공 내에 고정시킨다.

3.5 그라우트 혼합과 주입

3.5.1 그라우트 배합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대로 한다. 단, 그라우트가 모르타르인


경우는 모래의 표면수에 따라 사용수량을 보정하여야 한다.

3.5.2 그라우팅 전에 시험그라우팅을 실시하고, 주입압력, 겔타임, 주변 지반에 대


한 영향 및 손실량 등을 파악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3.5.3 그라우트의 혼합은 그라우트 믹서에 의하며 소정의 시간동안 혼합하는 것


으로 하며 이전의 그라우트가 완전히 배출된 후가 아니면 다음 재료를 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배출한 ⇒ 배출된
입하여서는 안 된다.

3.5.4 혼합된 그라우트는 90분 이내에 주입하여야 하며, 이것을 경과한 그라우트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5.5 그라우팅 전에는 그라우트의 강도, 재료의 구성 상태, 그라우팅양에 대하여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팅 펌
3.5.6 그라우 은 주입 프에 의하여 연속으로 행하여야 한다.

3.5.7 인장형 앵커에서 긴장부와 앵커체로 분리되는 지점에 패커를 밀실하게 설


치하여야 하며, 그라우트의 주입은 천공구멍의 끝 부분부터 시작하여 공 내

부의 공기와 지하구가 바 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 그라우
팅을 할 때 패커 바깥으로 그라우트가 누출되지 않고 원지반이 파괴되지
않도록 적정 주입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3.5.8 동절기의 주입은 그라우트의 온도가 10 ℃ 이상 ~ 25 ℃ 이하를 유지하고,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이상 추가


주입 후는 천공입구를 적당히 피복재로 덮고, 그라우트의 동결을 방지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3.5.9 하절기에 그라우 을 할 때는 그라우트 온도의 상승과 조기경화가 발생하
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5.10 그라우트 주입에 사용하는 장비는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① 믹서는 혼합과 배합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하며, 그라우팅이 종료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주입이 가능하고 검측용 압력계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주입 프는 최소 주입압 이 0.5 력 MPa이고 주입호스 및 연결구는 최대 2
MPa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③ 급수계량기는 그라우트 혼합에 사용된 수량을 2 ℓ/㎥ 까지 측정할 수 있어
야 한다.

④ 주입공 연결부에 설치하는 차단 밸브는 주입이 완료된 후에도 그라우트가 응



결할 때까지 필요한 압 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5.11 수밀성의 확보

앵커체 부근의 암반이 균열의 발달 등으로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앵커


를 조성하는 것이 곤란한 것으로 확인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와
협의하여 콘 리데이 솔 션 그라우팅(consolidation grouting)을 실시하여야 한다.
3.5.12 양생

그라우트 주입 후 앵커는 그라우트의 경화중에 유해한 진동, 충격을 주지 않도


록 보호하여야 한다.

3.6 긴장 및 정착작업

3.6.1 두부와 정착구의 설치는 그라우트 등에 의하여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며,


시공순서에 따라 정확하게 시공한다.

3.6.2 긴장은 긴장재의 종류에 적합한 잭(jack)으로 행하며, 설계도서에 표시한 긴


장력으로 정착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3.6.3 마찰식 앵커공법의 PS 강선의 긴장시기는 그라우트를 완료하고 설계도서에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추가 - 마찰식 앵커공법의
명기된 강도를 확인한 후 실시한다.

3.6.4 앵커두부면과 PS 강선은 수직을 유지하며 편심에 의한 강선 파단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6.5 인장 의 하중계 등 계기는 사전에 공인시험기관에서 검 교정을 실시하여
정확한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3.6.6 긴장 측정기의 압력 및 신장량은 앵커 긴장보고서에 기록하여야 한다.


3.6.7 앵커두부의 정착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정착구에 의하여 정착긴장력이 유지
되도록 정확히 정착시켜야 한다.

3-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8 긴장할 때에는 긴장력에 따른 신장량을 소정의 양식에 기록한 후 감독자(또
는 건설기술용역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긴장 도중 지반의 이완여부 및
주변 앵커상태를 관찰하여야 한다.

3.6.9 정착은 적합한 인장잭을 사용하여 긴장재의 공칭 파단하중 이상의 정착내


력을 발휘할 수 있는 쐐기 정착방식 또는 너트 정착방식을 사용하여야 한
다.


3.6.10 일반적으로 앵커는 재 장 또는 긴장력 저하에 대비하여 긴장력 조정이 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추가 등 문구, 문장 수정
능한 정착 두부구조를 가져야 하고, 재긴장할 수 있는 여유길이와 재긴장
장치를 두어야 한다. 특히 점성토 지반이나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서는 이를
더욱 감안하여야 한다.
3.6.11 앵커두부는 설계도서에 표시한 방법에 의하여 확실하게 방식효과가 발휘되
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6.12 지압판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구조로 시공한다.

4. 품질관리
4.1 품질관리일반

4.1.1 앵커의 품질관리는 일반시방서에 규정된 것 이외에 다음 항목에 대하여 실


시한다.

① 주입작업 관리

가. 그라우트의 배합관리


나. 반 질기 관리

다. 주입량 관리

② 시험

가. 인장시험

나. 확인시험

4.1.2 품질관리의 실시결과는 그때마다 기록하고 보존하는 것으로 하며, 감독자

3- 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에 따라 제출되어야 한다.

4.1.3 인장시험 및 크리프(c reep)시험


앵커시험은 실제 시공 전 시험앵커나 본 앵커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며, 시험의
긴 력
최대하중은 설계 장 과 적용 강연선의 항복강도 중에서 결정한다. 인장시험은
그라우트가 충분히 강도를 보이는 시점에서 실시하며, 정착지반이 크리프의 영향
을 많이 받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앵커의 크리프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4.1.4 주입작업 관리

① 그라우트의 배합관리는 재료의 사용량 관리를 기본으로 하지만, 그라우트가


모르타르의 경우는 모래의 표면수에 따라 배합을 조정하는 것으로 하고 오전
과 오후에 각 1회 이상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② 모래의 표면수량시험은 KS F 2509(잔골재의 표면수량 시험방법)에 의한다.

죽 드
③ 그라우트의 반 질기는 P로 법에 의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④ 주입량 관리를 위하여 그라우트 재료의 사용량을 기록한다.

4.1.5 그라우트 품질관리

그라우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은 작업개시 전에 1회 이상 실시하고 시험항목


과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블리딩 시험은 KS F 2414를 따른다.

② 블리딩 및 팽창률 시험은 KS F 2433을 따른다.

③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26을 따른다.

④ 컨시스턴시 시험은 KS F 2432를 따른다.

4.2 시험일반

인장시험과 확인시험은 앵커긴장, 정착작업에 선행하여 하는 것으로 한다.


4.2.1 인장시험

(1) 인장시험의 대상으로 하는 앵커는 시공계획서의 작업공정에 명기하고, 확인시


험의 판정기준이 효과적으로 얻어지도록 계획하는 것으로 한다.

3- 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가압장치는 최대 계획시험하중의 1.2배 이상의 공칭용량을 가지며, 계획하중
단계에 따른 하중의 증감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인장 의 하중계는 사전에 잭
작동을 시켜, 정확한 하중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3) 시험방법은 특별히 정하여진 때를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계획 최대시험하중은 설계하중의 1.2배 이상, 긴장재의 항복하중의 0.9배 이하


로 한다.

② 초기하중은 계획 최대시험하중의 0.1배로 하되 시험하중이 적은 경우에는 미


소한 하중의 측정이 곤란하므로 최소 50 kN 이상의 초기 하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③ 재하는 초기하중에서 계획 최대시험하중과의 사이를 5등분 씩 하여, 하중제어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하여” 추가
에 의하여 높은 주기로 실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④ 각 주기의 재하는 다음 표에 표시한 시간에서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단,


--
변위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표 3 5 1에 기준하여 하중을 유지한다.

표 3-5-1 인장시험 최소하중재하시간

정착층
점성토 사질토 암반
하중단계

초기하중일 때 15분 이상의 일정시간 10분 이상의 일정시간 5분 이상의 일정시간

이력하중일 때 3분 이상의 일정시간 2분 이상의 일정시간 1분 이상의 일정시간

-
⑤ 각 하중단계에서의 측정항목은 하중 변위량과 시간으로 하고, 변위량은 2개의
다이얼 게이지 측정치의 평균치에 의한다.

⑥ 하중의 증가속도 및 제하속도는 각각 매 분당의 계획 최대시험하중의 0.1배


내지 0.2배로 한다.

--탄성변위량 곡선, 시
⑦ 시험결과는 앵커두부에 있어서 하중 변위량 곡선, 하중
간-하중곡선을 각각 그림으로 표시하여 지압판 지지지반 파괴상태, 앵커긴장
부의 길이, 앵커의 인발유무를 판정한다.

(4) 인장시험의 결과에 의하여 앵커에 이상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바로 감독


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3- 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인장시험은 대상지반에서 1회 이상 실시하되 지반조건이 변동되는 경우 추가
[자문] 시험회수 추가
로 실시한다.

4.2.2 확인시험

(1) 확인시험은 인장시험을 실시한 앵커 이외의 전체 앵커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


으로 한다.

(2) 가압장치에 대해서는 본 장 4.2.1 인장시험의 (2)항을 준용한다.

(3) 시험의 방법은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계획 최대시험하중은 설계하중의 1.2배로 한다.

② 시험은 초기하중에서 계획 최대하중까지 재하와 초기하중까지의 제하의 1주


기로 한다.

③ 재하 도중 계획 최대시험하중의 0.4배, 0.8배, 1.0배의 각 단계로 가압을 정지


하고 변위가 안정될 때까지 하중을 유지한다.

④ 하중의 증가속도와 제하속도는 인장시험과 동일하게 한다.

⑤ 측정항목은 하중과 변위량으로 하고, 변위량은 2개의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치


의 평균치에 의한다.

⑥ 시험결과가 인장시험의 결과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다.

(4) 인장시험의 결과, 앵커에 이상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바로 감독자(또는 건


설기술용역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4.2.3 크리프시험

(1) 크리프시험은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크


리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소성의 성질을 많이 가진 지반에 대하여 실시한다.

(2) 가압장치에 대해서는 본 장 4.2.1 인장시험의 (2)를 준용한다.

(3) 시험방법은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한다.

① 계획 최대시험하중은 설계하중의 1.2배 ∼ 1.3배로 한다.


② 시험은 초기하중에서 계획 최대하중까지 재하와 초기하중까지의 제하의 1주
기로 한다.

3- 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③ 재하 도중에 계획 최대시험하중( Td)의 0.2배, 0.4배, 0.8배, 1.0배, 1.2배, 1.3배
의 각 단계로 가압을 정지하고 변위가 안정될 때까지 하중을 유지하며, 안정
-
유지가 안 될 때는 아래 표 4 2를 기준하여 하중을 유지한다.

표 3-5-2 크리프시험의 최소 하중재하시간

정착층 최소 관측시간
하중단계 사질토 점성토
0.2Td
0.4Td 15분 이상 30분 이상
0.8Td 15분 이상 30분 이상
1.0Td 1시간 이상 2시간 이상
1.2Td 1시간 이상 3시간 이상
1.3Td 2시간 이상 5시간 이상
④ 하중의 증가속도와 제하속도는 인장시험과 동일하게 한다.

⑤ 측정항목은 하중과 변위량으로 하고, 변위량은 2개의 다이얼게이지 측정치의


평균치에 의한다.

-
⑥ 시험결과를 시간 변위 관계를 반대수 용지에 정리하여 크리프도를 계산하고
크리프의 영향을 확인한다.

(4) 크리프시험 결과, 앵커의 크리프에 대한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바로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4.2.3 그라우트의 일축압축강도 시험

그라우트에 대한 품질시험은 일축압축강도 시험용 몰드(50 mm × 50 mm × 50


mm)를 제작하여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고 시험을 실시한다.

3-6 비탈면 보강용 록볼트 3-6 록볼트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3- 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 시방서는 암비탈면에 록 트를 이용하여 비탈면을 보강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볼
이 시방은 암비탈면에 록 트를 이용하여 비탈면을 보강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공법의 특성에 맞게 내용 수정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E 3132 록 볼트 및 그 구성 부품
KS F 2426 주입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시험방법
KS F 2432 주입 모르타르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 랜드 시멘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록볼트 2.1 록볼트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록 트은 재질에 따라 이형철근, S wellex R/B, 나사철근, 나사강봉 등이 사용된 볼 창
록 트는 재질에 따라 이형봉강, 강관, 팽 성 강관, 나사철근, 나사강봉 등을 현

다. 이형철근은 SD35 이상으로 하며, 품질기준을 이 시방서 15-10절에 따른다. 장조건 및 시공여건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정착판과 너트 및 와 셔 등을 갖추
어야 한다. 이형봉강은 KS D 3504의 SD300 이상으로 하며, 품질기준은 아래 표
와 같다.

표 3-6-1 록볼트의 품질기준

항복점 인장강도
지름 기호
N㎟
( / ) N㎟
( / )
연신율(%) 비고

D22 ~ D25 SD300 300 이상 440 이상 16 이상


단, 변위량이 20 mm 이상
N
인 경우 항복점이 500 /
이상
㎟ 이상인 제품 사용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2.2 그라우트
2.2 채움재

2.2.1 시 트 그라우트

3- 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볼 멘
2.2.1 록 트 정착재로서 시 트 모르타르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의 규정을 따 록볼트 정착재로서 시멘트 그라우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의 규정을 따라야
라야 한다. 한다.

(1) 시 트는 보통 포틀 랜드 시멘트를 사용한다. 조기에 접착능력을 발휘하여야 (1) 그라우트는 KS L 5201에 규정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또는 조강시멘트를

할 경우에는 급결제 등을 혼합하거나 조강 시멘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하고, 그 이외의 시멘트를 사용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2) 사용하는 모래는 직경이 2 ㎜ 이하인 입도가 양호한 모래를 사용하여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시 트와 모래는 배합을 1 : 1로 한다. (2) 혼화재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것으로 하고, 그 이외의 혼화재를 사

멘 ∼
(4) 물과 시 트의 비는 40 50 % 이며, 플로값은 200∼220 정도를 기준으로 한 용할 때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단, 지하수 및 지반조건에 따라 물의 양을 가감하여 시공 중 시멘트 모르 (3) 그라우트에 사용하는 물은 기름, 산, 염류, 유기물, 기타 그라우트, 긴장재
타르의 유동성을 유지 하여야 한다. 와 앵커체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의 유해량이 0.1 % 이상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4) 그라우트는 부피가 감소하지 않으며 침식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유기질을 포함하지 않은 재료이어야 하며 중 력 또는 압력으로 채운다.
(5) 그라우트의 28일 압축강도는 인장 전, 시공 중에 채취한 시료에 대해 선시
험하며, 양생기간을 앞당기기 위하여 급결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기준
족 WB
강도를 만 시켜야 하며, 물/결합재비( / )는 설계도서를 따른다.


2.2.2 록 트 정착재료로서 레진(resin)을 사용할 경우는 다음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2.2.2 수지형 그라우트
록볼트 정착재로서 수지형 그라우트를 사용할 경우는 다음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1) 수지형 그라우트는 폴리에스터(polyester)계 및 동등 이상의 재질이어야 하
(1) 레진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및 동등 이상의 재질이어야 하며, 갭슐형태로
며 캡슐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제공되어야 한다.
(2) 제조업자가 표시한 보관 기간이 경과한 레진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 제조업자가 표시한 보관기간이 경과한 수지형 그라우트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 용수, 염수, 산, 약 알카리성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며 보관 및
(3) 용수, 염수, 산, 약 알카리성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며, 보관 및 이
동에서 영상 50 ℃ 이상 및 영하 30 ℃ 이하의 조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이동에서 영상 50 ℃ 이상 및 영하 30 ℃ 이하의 조건이 발생되지 않도록

야 하며, 색 이 변질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하여야 하며, 색 이 변질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4) 레진은 인발에 대한 저항도가 규정된 록볼트의 강도보다 1.2배 이상이어야 하 볼


(4) 수지형 그라우트는 인발에 대한 저항도가 규정된 록 트의 강도보다 1.2배

며 조기에 접착력을 발휘하여야 한다.



이상이어야 하며 조기에 접착 을 발 하여야 한다. 휘
(5) 레진에 대한 현장 품질관리의 일반시험으로서 소정의 설계 인발력 이상이 됨
(5) 수지형 그라우트에 대한 현장 품질관리의 일반시험으로서 소정의 인발 력
을 확인하여야 한다. 단, 토사 및 완전 풍화된 암반구간에는 레진을 사용하지
이상이 됨을 확인하여야 한다. 단, 토사 및 완전 풍화된 암반구간에는 수
지형 그라우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지압판 2.3 정착판


[수정] 용어수정

2.3.1 지압판은 설계도에 따라 설계된 면적과 강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동등 이상 2.3.1 정착판은 설계도서에 따라 설계된 면적과 강도 이상을 견딜 수 있는 동등 이
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3.2 지압판은 암반변형의 구속 및 붕괴방지 등을 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2.3.2 정착판은 암반변형의 구속 및 붕괴방지 등을 위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조절에 의해서 암석이나 숏크리트 표면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하며, 이 조절에 의해서 암석이나 뿜어붙이기 표면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천공장비의 선정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1.1 록 트 설계공경으로 천공을 한 후 록 트를 볼 삽입하고, 지압판을 설치한 후 3.1.1 천공장비는 지반조건, 비탈면의 크기와 형상, 연장, 굴착공법, 천공길이, 본

수지 또는 시 트 모르타르, 시 트 멘 페이스트 등으로 충전 고정시켜야 한다. 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3.1.2 록 트의 배치 및 길이는 활동 암괴의 크기, 원지반의 조건 및 시공성 등을 3.1.2 천공 도중 천공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비를 선정하여야 한다.
고려하여 정한다. 볼
3.1.3 록 트의 삽입, 정착, 조이기 등에 사용하는 장비는 록볼트의 정착형식에 적

3.1.3 인발내 은 원지반조건, 정착재료 및 볼트길이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일반 합한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적인 경우 100 kN(10 tonf)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3.1.4 시공된 록볼트는 30본당 2본씩의 인발시험(30본 이하의 경우 2본 인발시험 실
3.2 천공 및 청소

시)을 실시하여 충분한 설계 인장력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3.2.1 천공은 소정의 위치, 지름, 깊이를 준수하여 천공면에 직각이 되도록 천공하
설계 인장력을 발휘하지 못 할 경우, 재시공 및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여야 한다. 단, 주절리면이 파악된 경우에는 절리면에 직각으로 천공하여야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볼
한다. 록 트의 천공간격은 절리간격의 3배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3.1.5 공기 중에 노출되는 두부 및 받침판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하여야 한다. 3.2.2 록볼트 삽입 전 천공된 구멍에 돌가루 등이 남지 않도록 청소하여야 한다.

3.2.3 록볼트는 삽입 전에 유해한 녹, 기타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관리하여


야 한다.

3.3 그라우트 주입


3.3.1 록 트의 그라우트는 유동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조강성을 가지며, 장기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3.3.2 록 트는 이완되지 않은 지반까지 삽입하여야 하며, 소정의 정착력을 얻도

3- 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록 그라우 하여야 한다.

볼 볼
3.3.3 전면접착형 록 트는 천공구멍과 록 트 사이의 공극에 그라우트가 완전히
채워져 록볼트가 충분한 정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4 록볼트 조이기

볼 볼
3.4.1 록 트의 조이기는 록 트의 항복강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충분한 힘으
로 조여야 한다.


3.4.2 전면접착형 록 트는 정착 후 정착판 등이 암반비탈면에 밀착되도록 너트
등으로 조여야 한다.


3.4.3 선단정착형 록 트의 경우에는 확고한 정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긴장력
도입 후에도 록볼트에 긴장응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지반조건상 시간이 경
과하며 정착부가 느슨해질 우려가 있거나 록볼트의 부식이 크게 우려되는
곳에는 긴장력 도입 후 록볼트와 지반사이의 공극을 시멘트풀 혹은 모르타
르로 충전하여야 한다.

3.4.4 긴장력 록볼트의 경우는 록볼트 조이기를 실시한 후 1일 정도 후에 다시 조


여야 한다. 또 그 후에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소요의 긴장력이 도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완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조여야 한다.

3.5 용출수지역에서의 록볼트 시공

용출수로 인하여 록볼트의 그라우팅이 어려운 경우는 급결제 등을 사용하거나 [수정] 용어수정 : 용수 ⇒ 용출수
팽창성 록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6 파쇄대 구간에서 록볼트 시공

3.6.1 단층파쇄대 구간에서 공내부를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충진할 경우 파쇄대로


모르타르의 유출여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3.6.2 모르타르의 유출이 클 경우 반복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3.7 현장품질관리

3- 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 -->
3.7.1 시공 중 및 시공 후 표 3 6 2 과 같은 사항을 관리하여야 한다.

표 3-6-2 록볼트의 현장 품질관리 사항

종별 관리항목 관리내용 및 시험 시험빈도 비 고


소정의 위치, 천공지름, 깊이로 시공되 천공할
시공 정밀도 록볼트의 검측
어 있는가의 확인 때 마다
그라우트가 록볼트와 원지반사이에 확 타설할
충전상태 해머타격 확인
실히 채워져 있는가를 확인 때 마다
일상
시공 후의 정착효과를 확인 타설할
관리 정착효과 해머타격 확인
(토크렌치로 조임 등) 때 마다
현장계측결과
변형 정착판의 변형 등을 관찰 수시로 등에 의하여
대책을 강구
정기 30본마다 2본
강도 록볼트 인발시험
관리 최소 2본
유동성 모르타르의 플로우 값 측정 필요할 KS F 2432
기타
강도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시험 때마다 KS F 2426


3.7.2 인발시험을 실시할 록 트는 시험지역 내에서 임의로 선택하며 선정된 록 [자문] 인발시험 기준 추가
볼트의 정착판은 록볼트의 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석고 또는 모르타르 등으
로 처리하여야 한다.

3.7.3 인발시험은 충분한 정착효과가 얻어진 후에 실시하여야 하며, 인발하중의


재하속도는 10 kN/분 내외로 하여야 한다.
-
3.7.4 인발시험은 하중단계별로 변위를 측정하여 하중 변위곡선을 작성하고 판정

할 때의 변위가 설계에서 고려한 록 트의 효과를 발 할 수 있는 범위 이 휘
내인지를 확인하여 합격여부를 판정하여야 한다.

볼 볼 볼
3.7.5 록 트 인발시험은 사용된 록 트와 동종인 록 트 자체에 대한 사전인발
력 볼
시험을 실시하여 인발내 을 확인하고, 시공된 록 트에 대한 실제시험 시

에는 인발내 의 80 %에 달하면 합격하는 것으로 한다.


3.7.6 인발시험결과 불합격될 경우는 그 록 트 주위에 새로운 록 트를 시공하 볼
여야 한다.

3-7 네 일 3-7 네 일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3- 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본 공법은 비탈면 보강을 위하여 네일(nail)을 이용하여 지반 보강 효과를 증대시 이 공법은 비탈면 보강을 위하여 네일(nail)을 이용하여 지반 보강 효과를 증대시
키는 공사이다. 키는 공법이다.
[수정] 문구 수정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본 공법은 토사, 풍화암, 파쇄가 심한 연암의 비탈면을 보강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비탈면을 보강하는 네일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내용 일부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철근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수정] 내용 추가
랜드 시멘트
KS L 5201 포틀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F 2577 콘크리트 뿜어붙이기용 재료
1.3 시공 전 검토사항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내용 추가
1.3.1 지반조건의 확인
네일공사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에 명기된 지반조건과 실제 현장의 지반조건
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거나 설계도와 같이 시공하는 것이 부
적당 하다고 판단될 경우는 즉시 설계변경 등의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
깎기면이 연약한 부분에 대한 제거 또는 보강 등 별도의 처리를 요하는 경우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를 따른다.
1.3.1 시공계획서 및 도면
(1) 네일의 설치범위, 시공구간과 시공일시를 포함하는 일정계획, 시공순서 및
시공방법, 인원 및 장비계획, 자재반입계획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설계도면과 현장조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 처리대책으로서 해당분야
특급기술자가 작성한 수정도면, 계산서, 검토서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3) 네일공과 주변구조물과의 공간관계 및 옹벽상부의 토공 마무리계획을 포
함하는 부위별 횡단면도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설치지반의 지형을 고려하여 작성한 시공전개도(종단면도) 등을 검토하여
야 한다.
(5) 가장자리 부분, 꺾이는 부분, 경사가 변하는 부분, 곡선구간 등에 대한 설

3- 6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치세부도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네일
2.1 네일 재료 [수정] 제목 수정
네일 구조체의 저항력을 최종 부담하는 부재로서 KS에 규정된 이형철근 및 강 2.1.1 네일에 사용하는 이형봉강은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7002 및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봉 등의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며, 이외의 재료에 대해서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 KS D 3505에 부합하는 PS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S 규격이

서 시험하여 인증된 재료와 동등한 절차에 의해 재질의 적합성을 인정하여 품질 없는 재료에 대해서는 공인 인증시험기관에서 시험하여 인증된 재료와 동
이 보증된 것을 사용한다. 등한 절차에 의하여 재질의 적합성을 인정하여 품질이 보증된 것을 사용한
다.

2.1.2 네일강재의 부식이 향후 구조체의 안정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 아연


도금 또는 동등 이상의 방식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2.1.3 네일은 그 자체에 결함이 없어야 하며 그라우트와의 부착이 양호하여야 하


므로 유해한 흙, 기름 등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2.2 그라우팅
2.2 그라우트
[관계기관의견 반영] 용어 수정
멘 랜드 시멘트 등 조강 시멘트로 사용하고
시 트는 KSL 4201에 적합한 보통 포틀

2.2.1 그라우트 주입용 시 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보통 포틀 랜드 시멘트 및
혼화재는 고유동화재를 사용토록 한다.

조강시 트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혼화재를 첨가하는 경우에
는 객관적인 검증을 거쳐 사용하여야 한다.

2.2.2 그라우트는 네일에 발생하는 하중을 주면지반에 전달시킴과 동시에 부식 물


질의 침입으로부터 네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고 네일과 지반 사이의 틈이 꽉 채울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어야 한다.

2.2.3 그라우트는 28일 강도가 약 24 MPa 정도 확보되도록 배합설계하며 물결합


재비(W/B)가 40 % ~ 50 %가 범위가 되도록 한다. 조기에 강도를 확보하
고 네일과 지반사이의 틈을 꽉 채우기 위하여 급결재 및 팽창재를 사용하
기도 한다. 앞의 물결합재비 범위는 일반적인 그라우트 재료의 요구조건을

만 시키지만 시공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물결합재비를 작게 할수
록 그라우트의 품질이 높아지므로 유동화제나 감수제 등의 혼화재를 사용
할 수 있다.

3- 6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정착판 [수정] 용어 수정
2.3 전면판 2.3.1 정착판은 네일에 발생하는 하중을 장기적으로 견딜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한다. [관계기관의견 반영]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네일로 보강된 구조체에서 네일 사이 지반의 국부적인 안정을 확보하고 이완을 2.3.2 정착판의 면적은 150mm×150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정착판의 두께는 9

방지하며, 지반과의 정착을 위하여 네일 두부에 설치하는 판으로서 주로 사각 mm 이상의 것을 사용하되, 팽창성 지반 또는 정착판 면적이 300 mm × 300

강재판을 사용한다. mm 이상인 경우에는 12 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네일과 정착판이 직각으


로 되지 않더라도 너트 체결에 문제가 없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된 것
을 사용한다.

2.3.3 정착판은 부식방지를 위하여 아연도금 또는 동등 이상의 방식처리가 된 것을 [자문] 문장 수정


사용한다.

2.4 간격재 2.4 간격재

네일이 지반 천공 구멍 내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네일의 일정한 간격에 설치되 네일이 지반 천공 구멍 내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네일의 일정한 간격에 설치되
는 자재로서 합성수지나 철제로 제작한다. 는 자재로서 합성수지나 철제로 제작한다.

2.5 커플러 2.5 커플러

긴 네일의 시공 시 네일과 네일을 연결해주는 연결부재로서 나사식, 체결식, 용 긴 네일을 시공할 때 네일과 네일을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재로서, 나사식 · 체결
접식 등의 형태가 있다. 식 · 용접식 등의 형태가 있다.

3. 시공 3. 시공
3.1 시공일반 3.1 깎기
[관계기관의견 반영] 오타수정
3.1.1 네일 시공에서 굴착면은 본체 구조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위 3.1.1 네일 시공에서 깎기면은 본체 구조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치와 형식으로 굴착할 필요가 있으며, 토질에 따라 지반이 자립할 수 있는 굴 위치와 형상으로 깎기를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토질에 따라 지반이 자립할
착 깊이, 주입 그라우트나 숏크리트가 소요의 강도를 얻기 위한 양생기간 등 수 있는 깎기 깊이, 주입 그라우트나 콘크리트 뿜어붙이기가 소요의 강도를
을 고려하여 굴착 깊이 및 다음 단계의 굴착시기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얻기 위한 양생기간 등을 고려하여 깎기 깊이 및 다음 단계의 깎기 시기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3.1.2 네일 공사에 앞서 설계도서와 상이한 지반조건이 확인되거나 설계도와 현장조 3.1.2 지반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토사지반에서 단계별 연직 깎기깊이
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시 설계 변경 등의 대책을 강구한다. ∼
는 최대 2 m로 제한하고 그 상태로 최소한 1일 2일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깎기 깊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3- 6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깎기는 비탈면 상부에서부터 시행하되 네일 설치 단별로 깎기와 네일 설치
를 반복하면서 하향으로 시공한다. 1개단 깎기의 기준선은 상단 네일과 직
하단 네일 사이의 중간선으로 한다.

3.1.4 지층 중간에 대수층이나 점착력이 없는 사질층이 있거나 연약한 지층이 있


어 자립이 곤란할 경우에는 미리 보강재를 삽입하거나 턱(berm)을 두는 방
법, 기성패널을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1.5 깎기 중에 깎기면의 일부가 붕괴된 경우는 콘크리트 뿜어붙이기로 그대로


분사하여 면처리를 하면 뿜어붙이기의 사용량이 많아지므로 마대에 흙을
담아서 붕괴된 부분에 쌓거나 경량재로 채운 후 그 위에 뿜어붙이기를 하
는 방법 등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3.2 천공 및 네일의 삽입

3.1.3 천공은 주위의 지하 매설물, 구조물 등의 시설물을 충분히 조사한 후 설계조 3.2.1 천공할 때에는 주변 시설물의 유동이나 지반이 심하게 교란되지 않도록 유

건에 맞는 천공장비를 선택하여 주변 시설물이나 지반이 심하게 교란되는 것 의하여야 한다.

을 방지하여야 한다. 3.2.2 천공은 주위의 지하매설물, 건물 등의 시설물을 충분히 조사한 후 현장조건
에 맞는 천공장비를 선택하여 천공하여야 한다. 통상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드릴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점성토지반이나 느슨한 매립토 지반의
경우 유압식드릴을 이용하거나 네일링 전용 천공장비를 이용하여야 한다.


3.1.4 천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천공지름, 길이, 방향을 만 시켜야 한다. 3.2.3 천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천공지름, 길이 및 방향에 따르도록 하여야

3.1.5 천공 홀(hole)은 네일 삽입 및 그라우팅 완료 시까지 붕괴되지 않고 공 내부가 하며, 천공각도는 설계도서에 제시된 값을 준수하여야 하고 천공된 구멍은
최소한 나공 상태로 수 시간은 유지되어야 한다. 공벽이 유지되지 않을 경
청결하여야 한다.
우 케이싱을 사용하여야 한다.
홀 전면부 및 홀 전체가 안정되지 못하고 붕괴 또는 붕락할 경우는
3.1.6 만일 천공
필요 시 Casing을 사용하든가 또는 선 그라우팅 하면서 후속작업인 네일을
3.2.4 천공은 깎기 후 바로 천공하는 방법과 깎기면의 안정을 위하여 천공 전에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작업을 실시한 후에 천공하는 방법이 있다. 천공 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뿜어붙이기의 경우 천공에 의하여 콘크리트 뿜어붙이기면의 균열 등이 발
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네일을 삽입하기 전에 공 내부에 이물질 존재여부를


3.2.5 천공이 완료된 후에는
확인하여 이물질이 남아있을 경우 반드시 공내부를 청소하여야 한다. 공 내
부를 청소할 때에는 공벽이 붕괴될 염려가 있으므로 가급적 물을 사용하여

3- 6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서는 안 되며, 유압공기에 의하여 이물질을 공의 끝으로 밀어내거나 갈퀴
등으로 긁어내야 한다.
3.1.7 네일은 자체에 결함이 없어야 하며, 그라우트와 부착되는 부분에는 유해한 흙, 3.2.6 네일은 소정의 위치까지 정확히 삽입하고 그라우트가 정착될 때까지 이동
기름 등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설계도서상의 값에 천공각도
는 ±3˚, 천공위치는 0.2 m 이내의 오차범위에 있어야 한다.
3.1.8 네일의 삽입은 소정의 위치 또는 홀의 중앙에 위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네일 길이 방향으로 Spacer를 부착하여야 하며, 기성제품 및 현장제작 제품을 3.2.7 네일은 이음매가 없이 한 본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삽입길이가 길

사용할 경우 감독관 및 감리의 승인을 득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네일은 어 어쩔 수 없이 연결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커플러를 사용하여 연결하

천공 후 1시간 내에 삽입하고 그라우트를 실시하며, 변경 사유가 있을시 현장 여야 하며, 용접으로 연결할 경우에는 강재의 성질이 변화되지 않는 특수

감독자 및 감리에게 승인을 득한 후 공사를 진행하고 그라우트가 경화할 때까 플 플


접합용접을 하여야 한다. 커 러를 사용할 때에도 커 러 연결을 위한 가공

지 네일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사를 제작할 때 연결부 네일 강재 단면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9 네일 두부 지압판과 절취면은 완전 밀착되도록 조여야 한다. 3.2.8 네일은 삽입할 때에 천공장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를
사용하여야 하며, 스페이서는 PVC 파이프를 천공경에 맞게 변형하거나 전
용 스페이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스페이서의 설치 간격은 2.5 m 이내로 하
며, 최소 2개 이상을 설치하여야 한다.

3.3 그라우트 주입


3.1.10 시 트는 일반적으로 KS L 5201에 적합한 보통 포틀 랜드 시멘트 및 조강 시 멘 페이스트의 배합은 강도, 물/결합재비(W/C), 혼화재 등이 설계도서
3.3.1 시 트

멘트를 사용한다. 에 제시된 값 이상이어야 하고 급결재 및 팽창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반드시 시험배합을 통하여 배합비를 결정하여야 한다.

3.1.11 그라우트의 배합은 일반 시방서에 따른다. (물/시 트 비는 30% ∼ 50% 기준)
3.3.2 네일을 설치하고 그라우트 주입을 시행한다. 이때 시멘트 페이스트는 공의
3.1.12 Grout가 종료되면 소요강도를 얻기 위한 양생 기간은 최소 1주일이 소요된다. 내부로 무압으로 주입하며 케이싱을 설치한 경우 케이싱을 회수하고자 할
이 기간 내에는 네일을 인장 또는 충격을 가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때에는 주입이 끝난 후 완전히 굳기 전에 공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며 케
이싱을 제거하여야 한다.

3.3.3 그라우트를 주입할 때 압력을 가하는 경우 지반 상태에 따라 할렬 균열 발


생 등으로 인하여 오히려 비탈면 안정에 심각한 상황을 유발할 수 있으므
로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시공 전에 지반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시험

시공을 통하여 적정 최대주입압 에 대하여 검증을 한 후 감독자(또는 건설
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 시공하여야 한다.

3.3.4 그라우트 주입은 공 내부를 완전히 충진하도록 하여야 하며, 그라우트가 주



변지반에 침투되는 정도에 따라 수차 에 걸쳐 실시하여야 한다. 건조한 토

3- 6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지반일수록 주입 수를 충분히 하며, 최종적으로 공 입구부에서는 그라우

트가 흘러 치지 않도록 헝겊이나 마개 등으로 막고 주입하여야 한다.
3.3.5 주입호스는 최소 2개 이상을 설치하고 1차 주입호스 말구는 천공구멍 최저
부에 위치토록 하며 또 하나의 호스는 공 입구에서 공 길이의 3/4 정도의
위치에 말구를 위치토록 하여 2차 이후의 주입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때 주
입호스가 구분이 되도록 표시를 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3.3.6 1차 그라우트 주입은 공저부로부터 공입구로 그라우트가 흘러 넘칠 때까지


실시하고 3시간∼ 4시간 경과 후마다 수차례 주입을 실시하고 최종주입은
공입구에서 흘려 넣도록 한다.

3.3.7 주입이 종료되면 소요강도를 얻기 위한 양생기간이 최소 1주일정도 소요되


므로 이 기간 내에는 네일에 인장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
야 한다. 그러나 급결재를 사용하는 경우 소요강도의 80 %에 도달하면(약
1일 ∼ 3일) 실험결과를 토대로 다음 단계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3.3.8 지반에 균열이나 간극이 많으면 그라우트의 침투로 예정된 양보다 많이 소
요될 염려가 있으므로 네일에 헝겊 패커를 설치한 후에 그라우트 주입을
실시하거나 모르타르나 혼화재 등을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다.

3.4 정착판의 설치

3.4.1 정착판 설치전에 정착판 설치면 하부의 네일이 노출되지 않도록 천공 구멍


에 추가로 그라우트 페이스트 충전 또는 모르타르 바르기를 하여야 하며,
네일두부와 전면판과의 접합을 위하여 강재정착판과 너트를 사용하여 네일
두부에 고정시킨다.

3.4.2 네일두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네일 간에 D16 정도의 철근 2가닥을 사


용하여 네일의 상하좌우를 묶어 준다.

3.4.3 전면판을 시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착판과 비탈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



록 모르타르 등으로 충전하여 정착판과 맞 는 면을 평 하게 하고,탄 렌치

등의 기구로 너트를 견고하게 조여 인 으로 너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6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전면판의 시공

3.5.1 전면판은 콘크리트 뿜어붙이기,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격자블록 등으로


인접된 네일머리들끼리의 연결이 확실히 되도록 시공한다.
3.5.2 전면판을 콘크리트 뿜어붙이기로 시공할 경우는 본 시방서의 콘크리트 뿜
어붙이기에 정하여진 대로 시공하여야 한다.

3.5.3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격자블록 전면판은 철근으로 보강하고, 콘크리트 뿜 [관계기관의견 반영]문장 수정
어붙이기를 전면판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최소 4.8 × 100 mm × 100 mm 이
상의 와이어메쉬 등을 사용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취부 ⇒ 붙임, 조사 수정
3.5.4 전면판이 식생기반재 붙임공과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 능형망 또는 이형철 [자문] 정착판은 식생기반재 취부공과 병행하여 사용되는 경우, 능
형망 또는 이형철근과 두부를 결착되어 시공되도록 명기
근과 두부를 결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되었으면 함.
3.6 배수시설 [자문] 삭제 : 본 내용과 무관하므로 삭제
[기존내용 유지] 중십위 의견 반영
3.6.1 배수시설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 높은 지하수위와 예상치 못한 지하수의 흐
름,빗물의 침투 및 외부로부터의 갑작스런 물의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야 한다. 특히, 현장시공 시 깎기 후 노출되는 면을 확인하여 설계도서에
일정 간격이나 종류로 설치토록 되어있는 설치계획은 시공단계에서 필요부
위에 집중하거나 필요치 않은 부위의 계획은 취소하는 검토단계를 거치도
록 한다.

3.6.2 배수시설의 종류

일반적인 배수시설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설계단계보다는 시공단계에서 여


건에 맞는 배수시설이 선정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① 가능한 배수시설과 연결된 물구멍

② 지표면의 아래에 설치되는 구멍이 뚫린 파이프로 이루어진 배수관


③ 콘크리트 뿜어붙이기와 지반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시설(유공관, 배수용 부
직포, 모래나 골재 등)


④ 비탈면 상단부나 벽체위의 물 름을 억제할 수 있는 시설(비탈면 내 표면
배수로, 비탈면 선단배수로 등)

3- 6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3 벽면 배수시설

①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에서는 깎기 후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시공 전 반


드시 필요한 배수시설을 해 주어야 하며, 배수시설의 종류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② 배수관에서 유출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

③ 정착판과 지반사이에 설치되는 배수시설은 정착판에 돌출되는 물구멍과


일치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6.4 우기에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하여 깎기면이 붕괴할 우려가 있으므로 빗물



이 스며 는 것과 우수가 깎기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수
시설을 해 주어야 한다.

4. 품질관리
4.1 인발시험

4.1.1 인발시험은 시험용 네일에 대하여 실시하는 pull-out test와 설계도서에 표


시된 시공 네일에 대하여 실시하는 proof test로 나누어 실시하여야 한다.

네일도 30본당 2분씩의 인발시험(30본 이하의 경우 2본 인발시험 실


3.1.13 시공관 4.1.2 시험횟수는 설계도서에 제시된 대로 실시하며, 최소 30본당 2본씩 인발시험(30 [자문] 시험횟수 조정
시)을 실시하여 충분한 설계 인장력을 발휘하는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본 이하일 경우 2본 인발시험 실시)을 실시하여 충분한 설계인장력을 발휘하는
[관계기관의견 반영] 시험횟수 수정
설계 인장력을 발휘하지 못 할 경우, 재시공 및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 확인하여야 한다. 시험위치나 부위는 현장여건에 따라 감독자(또는 건설기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력
술용역업자)의 검토에 의하여 가감할 수 있다. 만약 설계 인장 을 발 하지 휘

못할 경우, 재시공 및 인장 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r f e
4.1.3 p oo t st의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현실적으로 불합리한 경우에 감독자(또는
- e
건설기술용역업자)의 검토에 의하여 pull out t st 결과만으로 대치 할 수 있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Pull ⇒ pull
다.

r fe
4.1.4 p oo t st

① proof test의 경우는 각층별로 시공된 네일 중 하나를 선정하여 실시하되 각


층의 네일은 서로 엇갈리게 선정하는 것이 좋다.

② 시험자는 실험을 하기 전에 인발하중을 가하는 동안에 시험용 네일이 그라

3- 6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우트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의 발생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③ 시험자는 시험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측정과 기록을 하여야 하며, 그 결과가


기록된 용지를 제출하여야 한다.

④ 정착판에서 돌출된 네일의 길이는 최소 0.15 m 이상이어야 하며, 인발시험용


네일은 벽체에서 안쪽으로 0.3 m 까지만 그라우트 주입을 실시하고 시험 후
재주입한다.


⑤ 하중은 압 계나 하중계로 측정한다.

⑥ 인발은 네일에 가해지는 시험하중의 측정과 하중단계별로 네일 끝의 변위에


대하여 실시한다.

⑦ 재하는 설계하중의 12.5 %, 25 %,․ ․ ․ ․ ․ ․ 125 % 정도의 단계별


로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실시한다.

⑧ 하중의 증가는 1분 이내에 가해져야 하며, 최대 2분을 넘어서는 안 된다. 단,


설계하중의 50 %에서는 예외적으로 지속시간을 10분으로 한다.

⑨ 하중이 지속되는 동안에 네일 끝의 변위는 1분, 2분, 3분, 4분, 5분, 10분마다
기록하여야 하며, 각 하중단계 중 1분 ~ 10분마다 측정된 변위량이 2 mm
미만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⑩ 설계하중의 50 %를 재하할 때의 허용변위량(2 mm)이 10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50분 간을 더 지속한다. 이때에는 15분, 20분, 25분, 30
분, 45분, 60분의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며, 65분 측정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
간다.

⑪ 인발시험 결과가 설계를 할 때 가정한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시험결과


에 의하여 설계를 변경하여야 한다. 인발시험이 끝난 네일은 뿜어붙이기 전
면에서 절단한다.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별도의 지시가 있는 경
했 았
우나 현장조건이 열악 을 경우, 시험결과가 좋지 않 을 경우에는 추가시험
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이 끝난 후에는 네일정착 지지부 주변의 돌출부는
뿜어붙이기로 마감하여야 하며, 정착판은 교체되어야 한다.

- e
4.1.5 pull out t st

① pull-out test의 경우에 네일길이는 1 m ~ 2 m로 하고, 변화하는 각 지층상

3- 7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에서 골고루 실시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② 원위치에서의 인발로 인하여 네일 구조체 전체의 안정성이나 시공성에 문제


가 있는 경우 바로 인근의 지반에서 인발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 e
③ pull out t st의 경우는 인발변위량의 정확한 측정이 필수적이므로 인발량을
정확히 측정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④ 기타상세 시험법은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을 따른다.

4.2 그라우트의 품질관리

그라우트에 대한 품질시험은 일축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든 후 시험하며,


그라우트의 강도는 설계에서 요구하는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4.2 계측관리

4.2.1 네일의 안정성 판단과 시공 중의 공사관리, 향후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계측


관리를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계측관리항목 중 필수적인 항목은 네
일 벽체의 변형을 측정하는 것이다.

4.2.2 네일 전면판의 변위측정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사계의 경우 경사


계 파이프 하단은 깎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지반에 근입, 설치되어
야 한다.

4.2.3 네일 전면판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일반적인 최대수평변위값은 깎기깊이


의 1/300 정도이며 이 값을 넘는 경우 계측결과값의 추이를 주시하면서 관
련분야 특급기술자의 자문을 받아 공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3-8 비탈면 보강용 돌망태 옹벽 3-8 돌망태 옹벽 [수정] 제목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돌망태 옹벽 공사에 적용 이 시방은 비탈면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시공하는 돌망태 옹벽공사에 적용한다.
한다.

3- 7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수정] 내용 추가
KS D 7019 육각 철망 KS D 7017 용접 철망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철선 KS D 7019 6각 철망
KS F 4601 돌망태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철선 [관계기관의견 반영] 참조표준 추가
KS D 7037 알루미늄 도금철선 및 강선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험 방법
KS D 0229 용융 알루미늄 도금 시험 방법
KS F 4601 돌망태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와 안정성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시방서 내용에 맞게 수정
검토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와 안정성검토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돌망태 옹벽용 철선 2.1 돌망태의 철선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2.1.1 철선의 장기적 내구성 확보를 위해 아연도금을 하거나 P VC코팅을 하여야 하 2.1.1 돌망태에 사용하는 철선은 아연도 철선, 합성수지 피복철선 및 알루미늄도금

-
며, 방청처리방법은 이 시방서 3 10절 2.1에 따른다. 철선이 있다.

2.1.2 평균 인장강도는 373 ㎫∼490 ㎫(3,800∼5,000 ㎏f/㎠)이어야 한다. 2.1.2 철선의 연신율은 KS D 7011, KS D 7036 및 KS D 7037 기준에 따른다.

2.1.3 철선의 신장률은 12% 이상이어야 한다.


2.2 형상 및 치수

2.2.1 돌망태는몸통, 뚜껑, 링 및 돌구멍 죄임철선으로 구성한다. 그 형상은 KS F


4601에 따르고, 그 부품은 표 3-8-1에 따르며, 육각철망을 사용할 경우 KS D
7019에 따른다.

표 3-8-1 돌망태의 부품

3- 7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부 분 품 종 류
몸 통 1개
뚜 껑 2개
링 몸통길이 1m 마다 1개
돌구멍의 수와 동수
돌구멍 죄임 철선
(단, 망눈이 10 이하인 경우는 그 2배)

2.2.2 뚜껑틀과 뚜껑망의 이음은 뚜껑 망의 철선이 뚜껑틀에 2회 이상 감겨야 하며,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2.2.3 돌망태 치수의 허용값은 표 3-8-2와 같다.

표 3-8-2 돌망태 치수의 허용값

구 분 허용값(%) 비 고
몸통 크기 +3, -1
길이 +3
망눈 크기 +3, -1

2.2.4 돌망태용 합성수지 피복철선의 선지름 및 심선지름은 KS D 7036에 따르며


-
최소 32 26 이상 두께의 철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2.5 아연도 철선의 품질기준은 KS D 7011에 따르며 인장강도는 290 MPa ∼


540 MPa 정도이어야 한다.
-
2.1.4 철선의 아연 부착량은 표 3 5에 따른다.
2.2.6 아연도 철선 돌망태의 아연부착량 기준은 표 3 8 3과 같다. --
표 3-8-3 아연도 철선 돌망태의 아연부착량 기준

표 3-5 아연 부착량 기준 균일성 시험(담금횟수)


구분 아연부착량
품질기준
철선의 굵기(㎜) 아연 부착량(gf/㎡) 비 고 선지름(mm) (g/㎡) 1분 30초
2.2 240 이음용 철선 3.2 90 이상 1 1
3.4 275 가장자리 철선 3.5 90 이상 1 1
4.0 120 이상 2 - -10 %
4.5 120 이상 2 - 이하
5.0 150 이상 2 1
6.0 200 이상 3 -

3- 7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7 돌망태용 합성수지 피복철선의 품질기준은 KS D 7036을 따르며 인장강도는
290 MPa ∼ 540 MPa 정도이어야 한다.
2.2.8 돌망태용 알루미늄 도금철근의 품질기준은 KS D 7037에 따르며 인장강도는
290 MPa ∼ 590 MPa 정도이어야 한다.

2.2 돌망태 옹벽의 채움용 돌 2.3 채움재

풍화된 암석이나 풍화를 받기 쉬운 암석은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규격은 D=100 2.3.1 돌망태 채움재는 지름이 망눈의 최대치수보다 크고 0.25 m 보다 작은 돌로서
∼300 ㎜의 하천골재 또는 쇄석골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입도가 양호하고 견고하며,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2.3.2 돌망태 채움재는 풍화에 약한 사암, 셰일, 석회암 등과 같은 퇴적암 계열의 암


석은 사용하지 않는다.

2.3.3 채움재의 형상은 평평하거나 가늘고 길어서는 안 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기초지반을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경사 및 선형에 맞추어 정리하고 다짐하


3.1.1 기초지반을 정리하고 다짐하여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여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2 기초지반이 연약할 경우에는 지반개량을 실시하여 돌망태 옹벽의 하중을


3.1.2 기초지반이 연약할 경우에는 지반개량을 실시하여 돌망태 옹벽의 하중을 지지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할 수 있어야 한다.

°
3.1.3 설계도서에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돌망태 옹벽은 6 의 경사로 설치하여야 한다.
3.1.3 설계도서에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돌망태 옹벽은 6 ° ~ 10° 정도의 경사로
설치하여야 한다.

3.1.4 돌망태의 철망은 넓고 평활한 곳에서 설계도서의 규격으로 접어 철망박스를 3.1.4 돌망태의 철망은 넓고 평활한 곳에서 설계도서의 규격으로 접어 철망박스
형성하고, 돌채움은 공극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야 하며, 철망의 크기보다 큰 를 형성하고, 돌채움은 표면과 외측에 큰 돌이 가도록 하고 공극이 최소화

돌을 사용하여야 한다. 되도록 하여야 하며, 철망의 크기보다 큰 돌을 사용하여야 한다.

3.1.5 돌채움을 할 때에는 박스 높이의 1/3 지점과 2/3 지점에 중간철선을 연결하여 번갈아 실시하고,
3.1.5 돌망태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돌채우기와 철선연결을
돌망태는 빈틈을 적게 하여 공극이 최소가 되도록 기계나 인력으로 돌을

3- 7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박스의 변형을 조절하면서 돌을 채워야 한다. 채워 넣어 설계도서의 규격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1.6 돌채움이 끝나면 뚜껑을 철선으로 단단히 묶어야 하며, 박스와 박스는 일체가 3.1.6 돌채움이 끝나면 뚜껑을 철선으로 단단히 묶어야 하며, 박스와 박스는 일체
되도록 연결부를 단단히 결속하여야 한다. 가 되도록 연결부를 단단히 결속하여야 한다.

3.1.7 돌망태는 사면의 안정을 저해하지 않아야 하고, 사면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로 3.1.7 모든 철망과 철선의 연결은 이중감기를 하여야 한다.
안정하여야 한다. 3.1.8 돌망태 부설 후에는 돌 사이를 고르게 더 채워야 한다.
3.1.9 곡선부 시공으로 부득이 간격이 발생될 경우 돌망태 간격이 최소화 되도록
길이가 작은 것으로 상하간의 곡선길이 차이만 큼 추가 시공하도록 하고, 틈
이 50 mm 이상 되는 구간은 돌망태용 채움재로 채워야 한다.

4. 품질관리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추가


[관계기관의견 반영] 반호다음 온점(.)누락 : 온점 추가
4.1.1 철망 안에 돌채움을 할 때에 철선의 피복 또는 도금이 벗겨지지 않도록 돌 [수정] 원문의 “조심해서” 삭제
채움을 실시하여야 한다.
4.1.2 돌채움을 할 때에는 완공 후 채움재가 철망에 빠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1.3 과도한 배부름 및 침하가 발생하였을 경우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3-9 돌 쌓 기 3-9 돌쌓기 옹벽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의 안정과 보호, 수로 비탈면의 세굴방지 등을 위해 설치하 이 시방은 비탈면의 안정과 보호, 수로 비탈면의 세굴방지 등을 위하여 설치하
는 돌쌓기 및 돌붙임 공사에 적용한다. 는 돌쌓기 및 돌붙임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내용 추가


(해당사항 없음) KS Q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F 2518 석재의 흡수율 및 비중 시험방법
KS F 2519 석재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27 콘크리트용 부순골재

3- 7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530 석재
KS F 2538 콘크리트포장 및 구조용 신축이음 채움재
KS F 4002 속빈 시멘트 블록
KS F 4009 레디믹스트콘크리트
KS F 4416 콘크리트 적층 블록
KS L 510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9501 공업용 석회
KS M 3401 수도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S M 3404 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석 재 2.1 돌쌓기 재료 [수정] 이하 기술내용에 따라 포괄적 의미로 용어수정
2.1.1 돌쌓기 작업에 사용하는 모든 석재는 충분한 내구성과 강도를 지 닌 것으로 균 칫
2.1.1 견 돌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열이나 상처, 얇은 석편, 풍화로 인해 변색 또는 변질된 광물을 함유하지 않은 (1) 견칫돌은 소요의 강도 및 내구력을 가지며, 표면균열 등이 없고 풍화, 빙결
양질의 것이어야 한다.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한다.


2.1.2 견 돌의 모양과 치수는 설계도서에 지정된 뒷길이(공장)를 지녀야 한다. 면의 (2) 면의 형상은 구형으로 평면 또는 완만한 철면(凸면)을 이루어야 하며, 뒷면은
형상은 구형으로 평면 또는 완만한 철면(凸면)을 이루어야 하며 뒷면은 앞면 앞면의 1/16 이상의 단면적을 갖고 뒷길이 1/10 이상의 접촉부를 지닌 것이어
의 1/16 이상의 단면적을 갖고 뒷길이 1/10 이상의 접촉부를 지닌 것이어야 야 한다.
한다.

그림 3-9-1

3- 7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깬돌
2.1.2

(1) 깬돌은 소요의 강도 및 내구력을 가지며, 표면균열 등이 없고 풍화, 빙결 등


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한다.
2.1.3 깬 돌은 견칫돌과 같은 뒷길이를 갖는 것으로 뒷면에 대한 제한은 없다. (2) 뒷길이는 견칫돌과 같으며 뒷면에 대한 제한은 없다.
2.1.4 호박돌 및 야면석의 형상과 깊이는 설계도서에 지정된 것으로 편평하거나 쌓 2.1.3 호박돌 및 야면석
기용 재료로 적합한 형상의 석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표면을 다 지 않은 자연석으로 운반이 가능하고 쌓기에 적합한 모양을 가진 비
2.1.5 각종 돌쌓기용 돌의 표준 개수는 표 3 6과 같다. - 교적 큰 돌덩이어야 한다.
단, 설계도서에 별도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2.2 뒤채움 돌 2.1.4 뒤채움 잡석

경질이고 변질될 염려가 없는 잡석 또는 조약돌로서 최대치수가 150 mm인 돌이


2.2.1 뒤채움 돌은 내구성이 풍부하고 강도가 큰 천연의 조약돌이나 부순돌로서 최
적당한 입도로 섞인 것이어야 한다.
대직경이 150 ㎜ 이하의 크고 작은 돌이 적당한 분포로 혼합된 것이어야 한다.
2.1.5 콘크리트(기초, 뒤채움, 지수, 상단콘크리트)
표 3-6 돌쌓기용 돌의 1㎡당 표준 개수 단위 : 개수
(1) 콘크리트의 규격 : 재 령 28일 압축강도 18 MPa 이상, 공기량 4.5 ± 1.5 %,
뒷길이 250㎜ 300㎜ 350㎜ 450㎜ 550㎜ 650㎜ 750㎜ 슬럼프 8±2.5 cm, 굵은골재 최대치수 40 mm 이하
종류
견 칫돌 32 23 16 11 8 6 4 (2) 시멘트 : KS L 5201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깬 돌 33 24 17 12 9 6 4 (3) 골재 : KS F 2526에서 규정된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굵은골재


호박돌 및 야면석 - 28 23 16 11 - - (4) 물 : 청정수를 사용한다.

2.3 모르타르 2.1.6 모르타르

2.3.1 쌓기용 모르타르는 용적배합비가 1 : 3인 것을 사용하며 소정의 반 질기 죽 (1) 모르타르의 용적배합비는 포틀 랜드 시멘트 1, 모래 3 이어야 하고 재령 28일
e
(consist ncy)를 얻을 수 있도록 균일하게 비 빈 것이어야 한다. 압축강도가 15 MPa 이상이어야 한다.
(2) 모르타르 혼합수량을 줄이기 위한 감수제의 사용은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
2.3.2 모르타르용 잔골재의 최대치수는 표면의 접합부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2 ㎜, 석
역업자)가 승인하고, 모르타르의 강도가 감소되지 않는다면 허용된다.
재공간을 메우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5 ㎜로 한다.

2.3.3 모르타르는 물을 가한 후 45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3) 모래의 품질기준은 KS F 2526의 규정을 따르되, 입도는 다음 기준을 만 하 족
여야 한다.

3- 7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3-9-1 줄눈 모르타르에 사용할 모래의 입도기준

공칭치수 2.36 mm 1.18 mm 600 μm 300 μm 150 μm


통과중량 백분율(%) 100 70~100 35~80 15~45 2~10

2.1.7 배수 파이프

KS M 3401 또는 KS M 3404에 규정된 관경 40 mm의 파이프 또는 동등 이상


의 것.

2.2 블록쌓기 재료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2.2.1 콘크리트 블록

(1) 명기된 규격치수와 두께로 된 콘크리트 블록, 명기된 조건을 만 할 때에는 족


모양과 크기, 결합된 보블록과 모서리블록을 그리고 명기되었거나 요구된 곳
에 필요한 반쪽크기 블록

(2) 속이빈 내력콘크리트 블록은 KS F 4002에 적합하고, 압축강도가 16 MPa


그리고 인장강도가 1 MPa 이상이고, 수축률이 0.06 % 이하이고, 흡수율이
8% 이하이어야 한다.


(3) 표준적인 면을 갖고 정상적인 시 트 색상의 블록, 화산재나 페인트 마무리

를 얼 지게 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2.2 파단면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1) 명기된 치수와 두께를 갖고 파단면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명기된 치수와 강



도요건을 만 하고 특별한 표면구성으로 된 파단면을 갖는 블록

(2) 제작자의 표준제품에서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가 선택하는 색상의 파


단면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캐 빔
2.2.3 프리 스트 , 상단 및 마무리 블록

설계에 명기된 형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으로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의


0426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해당규격에 일치하여야 하며, 노출된 표면은 가능한

3- 7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대로 콘크리트 블록의 마무리에 어울리도록 샌드블라스트로 가깝게 마무리하여
야 한다.
2.2.4 모르타르

본 장 2.1.6절에 기술한 모르타르의 재료기준과 같다.


2.2.5 그라우트

(1) 거친 그라우트는 28일 압축강도가 14 MPa 이상이어야 하며,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의 배합비는 부피로 1 : 3 : 2이어야 한다.

(2) 제작자가 설계한 배합과 승인된 그라우트 펌프로 조작하는 그라우트는 슬럼


프가 0.25 m이어야 한다.

(3) 그라우트의 혼합량을 줄이기 위한 감수제의 사용은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 [관계기관의견 반영] 오타 수정 : 감수재 ⇒ 감수제
역업자)가 승인하고, 그라우트의 강도가 감소되지 않는다면 허용된다.

(4) 그라우트 골재는 KS F 2526에 합치하고 입도가 좋은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써


최대치수가 1.0 mm인 입도가 좋은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부피배합비율은 1 :
1.5 이어야 한다.

2.2.6 접착재

콘크리트 슬래브에 모르타르 바닥을 접착시키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멀젼 접


착재로서 젖었거나 건조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모르타르 바닥을 영구적으로 접착
시키는 공장제품이고, 육안검사로 칠하여진 곳을 식별할 수 있게 엷은 색채를 띠
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바르면 1시간 내에 건조하고, 건조했을 때 유연하며 부착
강도가 1 MPa 이상이어야 한다.

2.2.7 신축줄눈 재료

KS F 2538에 합치하는 것을 사용한다.

2.2.8 수축줄눈 보강재


사다리 또는 트러스 형태의 3.76 mm 강선망을 사용한다.

2.2.9 철근

KS D 3504의 이형봉강 SD300 A 및 SD400의 규정에 적합한 철근을 사용한다.


2.2.10 소석회

3- 7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소석회는 KS L 9501의 해당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3. 시 공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돌쌓기를 할 경우에는 쌓기 할 전면 및 뒤채움 면에 규준틀을 설치하고 감독 3.1.1 얼음이나 서리 맞은 재료 또는 얼어버 린 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닥
3.1.2 쌓기 할 바 면이 시공을 착수하기에 적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3.1.2 모든 석재는 작업 전에 물로 깨끗이 씻어야 하며, 다량의 돌을 현장에 준비하 3.1.3 시공도에 의하여 설치위치, 경사, 높이 등을 확인한다.
여 마음대로 골라 쓸 수 있게 하여야 한다. 3.1.4 쌓기작업은 재료의 반입정도, 인원 및 장비투입계획, 1일 쌓기량, 기상조건,
3.1.3 규준틀에 줄을 수평으로 띄우고 미리 시공한 기초 위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 되메우기의 시기 등을 고려하여 작업 가능한 구간만을 터파기하고, 그 구간
면서 쌓아야 한다. 의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3.1.4 밑 돌은 큰 돌을 사용하며, 규준틀에 맞도록 하고 돌을 다 어서 인접한 돌과 3.1.5 찰쌓기는 전면경사와 배면경사가 서로 다르므로 전·후면에 각각의 경사보
밀착시켜야 한다. 기 규준틀을 설치하고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하

3.1.5 뒤채움용 콘크리트의 배합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냥


며, 겨 줄은 수평이 유지되도록 팽팽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6 기온이 빙점 이하로 내려갈 때와 수중에서는 돌쌓기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 ·


3.1.6 규준틀의 설치간격은 10 m를 표준으로 하되, 시 종점 및 평면 단면의 변화

3.1.7 견칫돌 및 깬돌 쌓기는 골쌓기를 하여야 한다. 메쌓기의 경우 접촉 10 ㎜ 이내


점에 설치한다.

로 하며 해머(hammer) 등을 사용하여 접촉시키고, 조약돌로 받침을 하여 뒤 3.1.7 돌쌓기는 앞면에 직각이 되게 하고, 강도를 저하시키는 쌓기방법을 사용하

채움을 하며, 그 틈 사이에는 채움용 자갈로 메워야 한다. 닥


여서는 안 된다. 쌓기는 낮은 바 면에서 시작하여 거의 같은 높이로 번갈
아 쌓아야 하며, 신축이음이 있는 경우에는 이음과 이음사이, 신축이음이
3.1.8 야면석 쌓기, 호박돌 쌓기 및 잡석 쌓기는 모두 마구리 쌓기를 하여야 한다.

없는 경우에는 구간별로 차 로 쌓고 높이의 차이가 크지 않게 하여야 한
3.1.9 돌쌓기 시공 중 배면의 지하수압 저하를 위하여 배수공을 설치하고 원할한 배
다.
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1.8 견치돌과 깬돌은 층쌓기 마다 돌이를 수정하고, 필요에 따라 난도다듬질을
하여야 한다. 잡석이나 야면석은 다듬메로 다듬어 안정하게 밀착되도록 하
여야 한다.

3.2 메 쌓 기 3.2 메 쌓 기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2.1 메쌓기는 줄쌓기를 원칙으로 하며, 하루 쌓기높이는 1 m 미만으로 하고 쌓는 3.2.1 메쌓기는 줄쌓기를 원칙으로 하며, 하루 쌓기높이는 1 m 미만이어야 한다.

찰 력
돌의 접촉면 마 을 크게 하여 외 에 대해 충분히 견디도록 접촉 전면(합단) 3.2.2 메쌓기의 돌이는 폭이 견치돌일 때 50 mm ∼ 100 mm, 깬돌일 때 30 mm
과 끝고임 돌 및 배고임 돌 등을 주의하여 쌓아야 한다. 먼저 배고임돌을 고 ∼ 60 mm가 되도록 돌메로 다듬어서 맞추고, 고임돌을 끼워 돌을 고정시키

3- 8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여 큰 돌을 고정시키고 그 공간을 잔돌로 메우며, 넓고 큰 돌은 골라 끝고임 고, 틈새에 뒤채움돌을 채워 넣어야 한다.
돌로 하고 다시 그 공간을 잔돌로 메워야 한다.

3.2.2 메쌓기의 전면 줄눈은 어긋나도록 쌓아야 한다. 3.2.3 메쌓기의 전면줄눈은 어긋나도록 쌓아야 한다.

3.3 찰 쌓 기 3.3 찰 쌓 기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3.1 찰쌓기로 쌓을 경우에는 쌓은 돌을 배고임 돌로 고여 고정시키고, 각 수평층 3.3.1 깬돌의 찰쌓기는 골쌓기를 원칙으로 하고, 밑돌은 큰 돌을 사용하여 위의
의 돌쌓기를 맞출 때마다 뒤채움을 하고 콘크리트로 빈틈없이 채워 주어야 한 두 모서리를 깨어 5각형으로 다듬고, 인접한 돌에 밀착되게 하여야 한다.

다.

3.3.2 뒤채움 돌은 콘크리트를 채우기 전에 물을 뿌려 적 야 한다.셔 3.3.2 찰쌓기 할 돌은 사용 전에 흙먼지나 부착물을 제거하고, 충분히 물축이기를
해 두어야 한다.

3.3.3 찰쌓기에서는 앞면에서 돌이를 맞추고, 허리고임돌로 쌓기돌을 고정시키고,


돌틈에는 콘크리트를 채우고, 앞면의 돌이까지 충분히 채워 다져야 한다.

3.3.3 콘크리트를 채운 다음 6시간 이상 경과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에는 3.3.4 콘크리트를 채운 다음 6시간 이상 경과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는
윗 면에 모르타르를 얇게 깔고 콘크리트를 채워야 한다. 윗면에 모르타르를 얇게 깔고 콘크리트를 채워야 한다.
3.3.4 윗 면 마무리의 콘크리트는 뒤채움 콘크리트와 동시에 시공하여야 하며, 나무 3.3.5 찰쌓기의 하루에 쌓는 높이는 1.2 m를 넘지 않아야 한다.
흙손 등으로 평활하게 다듬어 마무리하여야 한다. 3.3.6 상단 콘크리트는 뒤채우기 콘크리트와 일체로 시공하여야 한다.
3.3.5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너무 높이 쌓으면 무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감독자의 3.3.7 신축이음은 약 20 m 간격으로 두어야 하며, 설계도서나 감독자(또는 건설기
지시가 없는 한 하루에 1.2 m 이상 쌓아서는 안 된다. 술용역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3.3.6 찰쌓기 면에 설치하는 배수공은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2 ㎡에 1개의 비율로 3.3.8 배수구멍의 배치는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2 ㎡ 에 1개의 비율로 설치하며, 감
설치하여야 한다. 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 또는 지반분야 특급기술자의 판단에 의하여 추가 [관계기관의견 반영] 문장 추가
3.3.7 찰쌓기 전면의 줄눈은 용적배합 1 : 1의 모르타르로 마무리하여야 하며, 찰쌓기 로 설치할 수 있다.
돌의 전면에는 모르타르가 묻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9 앞면의 줄눈모르타르는 줄눈부분을 물로 충분히 적 서 채워 셔 넣어야 한다.
3.3.8 찰쌓기 시공이 끝나면 즉시 가마니 등으로 덮고 10시간 이상 습윤 양생하여야 3.3.10 찰쌓기 및 채움콘크리트의 표면은 시공 직후 즉시 가마니 등으로 덮고, 충
한다. 분히 살수하여 10시간 이상 습윤상태를 유지하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가 경화할 때까지 유해한 진동이나 충격을 주어서는 안 된다.

3.4 돌붙임 3.4 돌붙임


3.4.1 돌붙이기를 할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따라 비탈면을 다 고 소정의 두께는 조 듬
3.4.1 돌붙이기를 할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따라 비탈면을 다 고 소정의 두께는 조
약돌을 깔고 고르기를 한다. 약돌을 깔고 고르기를 한다.

3- 8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빈틈없이 붙인 다음 이동하지 않도록 접촉
3.4.2 접촉부는 표면에 심한 요철이 없도록 빈틈없이 붙인 다음 이동하지 않도록 접촉
3.4.2 접촉부는 표면에 심한 요철이 없도록
부의 뒷면 끝에서 뒷길이 끝까지 충분히 조약돌 및 채움용 자갈로 메워야 한다. 부의 뒷면 끝에서 뒷길이 끝까지 충분히 조약돌 및 채움용 자갈로 메워야 한다.

3-10 돌 망 태 3-10 돌 망 태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비탈면을 안정시키고, 세굴방지를 목적으로 시공하는 돌망태 공사 이 시방은 비탈면을 안정시키고, 세굴방지를 목적으로 시공하는 돌망태 공사에
에 적용한다.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KS D 7011 아연도금 철선
KS D 7017 용접 철망 KS D 7017 용접 철망
KS D 7019 육각 철망 KS D 7019 육각 철망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철선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철선
KS D 7037 알루미늄 도금 철선 및 강선 KS D 7037 알루미늄 도금 철선 및 강선
KS F 4601 돌망태 KS F 4601 돌망태

1.3 제출물 1.3 제출물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돌망태의 철선 2.1 돌망태의 철선

2.1.1 돌망태에 사용하는 철선은 장기적 내구성 확보를 위한 방청처리방법에 따라 2.1.1 돌망태에 사용하는 철선은 장기적 내구성 확보를 위한 방청처리방법에 따라
-
크게 3가지로 구분하며, 표 3 7과 같다. 철선을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을 환경 - -
크게 3가지로 구분하며, 표 3 10 1과 같다. 철선을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을
에 따라서 적합한 것을 선택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경에 따라서 적합한 것을 선택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8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3-7 돌망태의 철선 표 3-10-1 돌망태의 철선

주 재 료 종 류 주 재 료 종 류
아연도철선 아연도철선
합성수지 피복 철선 원형, 타원형, 사각형 합성수지 피복 철선 원형, 타원형, 사각형
알루미늄 도금 철선 알루미늄 도금 철선

(1) 아연도금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청방법이며, 산성도(㏗) 7 10범위에 ∼ (1) 아연도금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청방법이며, 산성도(㏗) 7 10범위에 ∼
서 안정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합성수지 피복망을 적용한다. 서 안정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합성수지 피복망을 적용한다.
-
(2) 아연 알루미늄도금 : 95 %의 아연과 5 % 정도의 알루미늄으로 도금 방청하는 -
(2) 아연 알루미늄도금 : 95 %의 아연과 5 % 정도의 알루미늄으로 도금 방청하

방법이며, 순수 아연도금 철망보다 약 1.5 4배 정도 내구성이 높다. 는 방법이며, 순수 아연도금 철망보다 약 1.5배 ∼ 4배 정도 내구성이 높다.
-
(3) 아연도금 합성수지 피복 :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으며, 매우 열악한 -
(3) 아연도금 합성수지 피복 :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으며, 매우 열악한

환경조건에 적용한다. 염분이 많은 소금물이나 ㏗가 7 10범위를 초과한 경 ∼
환경조건에 적용한다. 염분이 많은 소금물이나 ㏗가 7 10범위를 초과한 경
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동절기 제설작업에 사용하는 염화 칼슘에 장시간 노 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동절기 제설작업에 사용하는 염화 칼슘에 장시간 노
출되는 지역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출되는 지역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2.2 형상 및 치수 2.2 형상 및 치수

2.2.1 돌망태는 몸통, 뚜껑, 링 및 돌구멍 죄임 철선으로 구성한다. 그 형상은 KS F 2.2.1 돌망태는 몸통, 뚜껑, 링 및 돌구멍 죄임 철선으로 구성한다. 그 형상은 KS F
4601에 따르고, 육각 철망을 사용할 경우 KS D 7019에 따른다. 4601에 따르고, 육각 철망을 사용할 경우 KS D 7019에 따른다.

2.2.2 뚜껑 틀과 뚜껑 망의 이음은 뚜껑 망의 철선이 뚜껑 틀에 2회 이상 감겨야 하 2.2.2 뚜껑 틀과 뚜껑 망의 이음은 뚜껑 망의 철선이 뚜껑 틀에 2회 이상 감겨야 하


며,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며,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2.2.3 돌망태 치수의 허용 값은 표 3-8과 같다. 2.2.3 돌망태 치수의 허용 값은 표 3-10-2와 같다.

표 3-8 돌망태 치수의 허용 값 표 3-10-2 돌망태 치수의 허용 값

구 분 허 용 값(%) 비 고 구 분 허 용 값(%) 비 고
몸통크기 +3, -1 몸통크기 +3, -1
몸통 망 및 여분 길이 +3, -1 몸통 망 및 여분 길이 +3, -1
망 눈 치 수 ±3 망 눈 치 수 ±3
2.2.4 돌망태용 아연도 철선의 품질기준 및 아연 부착량은 KS D 7011에 따른다. 2.2.4 돌망태용 아연도 철선의 품질기준 및 아연 부착량은 KS D 7011에 따른다.

2.2.5 돌망태용 염화비닐 피복철선의 품질기준은 KS D 7036에 따른다. 2.2.5 돌망태용 염화비닐 피복철선의 품질기준은 KS D 7036에 따른다.

2.2.6 돌망태용 알루미늄 도금 철근의 품질 기준은 KS D 7037에 따른다. 2.2.6 돌망태용 알루미늄 도금 철근의 품질 기준은 KS D 7037에 따른다.

3- 8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채움용 돌 2.3 채움용 돌

2.3.1 돌망태에 사용하는 돌은 견고하고 내구적이어야 하며, 돌의 규격은 지름 100 2.3.1 돌망태에 사용하는 돌은 견고하고 내구적이어야 하며, 돌의 규격은 지름 100
·
㎜ 이상 300 ㎜ 이내의 범위에서 적절한 입도를 혼합한 것이어야 한다. ·
mm 이상 300 mm 이내의 범위에서 적절한 입도를 혼합한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경사 및 선형에 맞추어 지반을 고른 다음 빈 돌망태를 3.1.1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경사 및 선형에 맞추어 지반을 고른 다음 빈 돌망태를
설치하고 철선으로 각각의 돌망태를 연결하여야 한다. 설치하고 철선으로 각각의 돌망태를 연결하여야 한다.

3.1.2 돌망태는 적당한 방법으로 철선을 잡아 늘려 형상을 유지시켜 고정하여야 한다. 3.1.2 돌망태는 적당한 방법으로 철선을 잡아 늘려 형상을 유지시켜 고정하여야 한다.

번갈아 실시하고, 돌
3.1.3 돌망태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돌채우기와 철선 연결을 번갈아 실시하고, 돌
3.1.3 돌망태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돌채우기와 철선 연결을
망태는 빈틈을 적게 하여 공극이 최소가 되도록 기계나 인력으로 돌을 채워 망태는 빈틈을 적게 하여 공극이 최소가 되도록 기계나 인력으로 돌을 채워
넣어 설계도서의 규격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넣어 설계도서의 규격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1.4 모든 철망과 철선의 연결은 이중 감기를 하여야 한다. 3.1.4 모든 철망과 철선의 연결은 이중 감기를 하여야 한다.

3-11 표층개량공 [자문]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공법 내용 수록


[관계기관협의]
1. 일반사항 - ‘도로설계기준(국토해양부, 2012)’ 및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
토해양부, 2011)’ 등을 포함한 현행 설계기준에는 비탈면 대책공법
으로 표층개량공이 존재하지 않음.
1.1 적용범위 - 본 공법에 관련된 내용은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한국도로공사, 2012)’
에만 언급되어 있으며, 이는 한국도로공사가 발주하는 공사에만 적
1.1.1 이 시방은 비탈면의 표면유실, 세굴 등의 토층 유실 또는 사면 내 국부파
용됨.
괴의 복구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 따라서 상용화된 공법에 대하여 표준시방서를 작성하는 것이 타당
하므로 설계기준을 작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1.2 참조표준 [협회] 연구진의 확인 필요
[반영-삭제]
1.2.1 이 시방서 총칙 편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 표층개량공은 자문과정 중 일부 위원이 권고하였으며 고속도로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유지관리 중 집중호우의 영향 등으로 발생되는 사면부 유실에
대한 대책공으로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고속국도건설공사
2. 재료 와 일반도로건설공사는 차원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므로 삭제토
록 하겠음.

3- 8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표층개량제

2.1.1 도급자는 표층개량제의 취급 계량 및 사용에 관해서 1 ton f bag을 사용할


수 있다.
2.1.2 표층개량제는 토사에 혼합하여 토사의 전단강도를 증대시켜 비탈면의 안정
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일반토사에 준하는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 제
품이어야 한다.
2.1.3 개량토는 원지반과 비교하여 비중과 자중의 변화가 없어 자중의 증가로 인
한 응력의 증가가 없어야 한다.
2.1 보관 및 취급


2.2.1 공사의 재료는 저장에 앞서 장소를 평 하게 고르고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청소를 하여 잡물 등의 접촉을 방지하여야 한다.
2.2.2 재료는 방습장소에 저장하여 입하 순서대로 사용한다.
2.2.3 표층개량제를 보관할 장소는 우수를 피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부득이
현장에 야적할 경우에는 우수에 대비하여야 한다.

3. 시공
3.1 토사 및 절취

3.1.1 토사의 절취는 표면유실 및 세굴로 인한 교란층 이상으로 하며, 공사편의


상 0.50 m 단위로 나눈다.

3.2 표층개량제의 포설


3.2.1 포설은 기계로 하는 경우와 인 으로 하는 경우가 있으나 어 느 경우라도
처리 대상토의 두께를 감안한 단위 면적 및 중량당 포설량을 계산하여 포
설한다.
3.2.2 일정간격 ㎥ 마다 배합비 함수비 30 % 이하는 6 %, 함수비 30 % 이상에
서는 9 % 이상을 포설한다.
3.2.3 현장에서 요구되는 강도가 있을 경우 배합시험을 실시하여 배합비를 결정
하고 결정되어진 배합비로 포설한다.

3- 8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 기초개량

3.3.1 표층개량제 시공지역의 기초가 연약할 경우 기초를 개량하여 표층개량 시



공면에 대한 지지 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3.4 표층개량제 혼합

3.4.1 백호우에 의하여 혼합하며, 혼합은 5회 이상의 혼합을 실시, 고른 혼합이


되어야 한다.
3.4.2 혼합 얼 룩 및 토사가 뭉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5 혼합토의 포설 및 다짐

3.5.1 표층개량제 혼합 후 2시간 안에 포설 및 다짐을 완료하여야 한다.


3.5.2 일 최저기온이 5 ℃이하 일 때는 보온 덮게 등을 사용하여 보온을 해주어
야 하며, 일 최저 기온이 0 ℃ 이하일 때는 시공을 중지하여야 한다.

3.6 침출수의 유도

3.6.1 표층개량공법은 외부강우에는 강한 저항성을 보이나, 침출수에 의한 국부


적 탈락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출수가 있는 곳에서는 반 시 드
이에 대한 대책공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3.7 유공관 및 수평배수공

3.7.1 표층개량깊이 이상으로 유공관 및 수평배수공을 매설하여 침출수를 표층개


량표면으로 유도한다.

3.8 맹암거

3.8.1 용수가 심한 비탈면은 표층개량층 하부에 맹암거를 설치하여 기존의 배수


관로 등으로 연결하여 침출수를 유도한다.

3.9 기타


3.9.1 기타 현장상 에 맞는 수평배수공 등을 시공하여 침출수를 유도한다.

3- 8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0 표층개량 비탈면에 대한 녹화


3.10.1 현장상 에 맞는 녹화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1 피암터널 3-11 피암터널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낙석, 산사태, 눈사태로부터 도로의 구조물과 인명을 방호하기 위한 이 시방은 낙석, 토사 및 암반붕괴로부터 도로 및 철도 등의 구조물과 인명을 [수정] 내용수정

피암터 의 시공에 적용한다. 방호하기 위한 RC, PC, 강재 및 혼합형 등으로 이루어진 피암터널의 시공에 [1차 자문] 문구 수정
적용한다.
1.1.2 기울기가 급한 자연비탈면을 따라 도로가 건설되어 깎기면 높이가 높아 대규
모 낙석 등의 발생가능성이 있는 경우, 예상되는 낙석의 규모가 커서 낙석방
지시설로는 방어가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도로상에 낙석 등이 떨어

지는 구간 등에는 피암터 의 적용을 검토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1513 포장용 발포 폴리스티렌 완충재 [수정] 내용수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0210 강의 매크로 조직 시험방법
랜 멘
KS F 2402 포틀 트 시 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D 3506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D 3590 파형 강관 및 파형 섹션
KS D 7002 PC 강선 및 PC 강연선
KS D 7009 PC 경강선
KS D 3505 PC 강봉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923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에폭시수지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3- 8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콘크리트 2.1 콘크리트

- -
이 시방서 15 4절 및 15 5절에 따른다. - -
이 시방서 15 4절 및 15 5절에 따른다.
2.2 철근 2.2 철근

-
이 시방서 15 10절에 따른다. -
이 시방서 15 10절에 따른다.

2.3 신축이음재 2.3 신축이음재

-
이 시방서 15 7절에 따른다. -
이 시방서 15 7절에 따른다.

2.4 완충제 2.4 완충제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낙석이 방호 구조물의 지붕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완충제를 사용한다. 완충 낙석이 피암터널의 지붕에 떨어졌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재로
재료는 모래, 폐타이어, EPS 등의 사용을 검토하여야하며, 식재를 고려하여 식 는 모래와 폐타이어를 주로 사용하며 EPS도 사용할 수 있다.
생이 가능한 적절한 두께의 흙으로 덮을 수 있다. 2.4.1 모래

완충재로 사용할 모래층은 인력으로 느슨하게 포설한다.


표 3-12-1 완충모래의 품질기준
단위중량
함수비(%) 침입깊이(mm) 비 고
(MN/㎥)
15.4 0.4 37 1.5 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서 포설

15.6 0.3 24 1.2 kN의 롤러로 5회 왕복 다짐


15.7 1.1 21 200 ℓ의 물을 뿌림
2.4.2 폐타이어

가볍고 탄성이 좋은 폐타이어를 사용한다.


2.4.3 EPS(발포폴리스티렌)

3- 8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A 1513 포장용 발포폴리스티렌 완충재에 규정된 제품을 사용한다.

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수정] 항목 추가
2.5.1 콘크리트의 기준강도는 도면 또는 특기에 따르되 30 MPa 이상으로 한다.

2.5.2 치밀한 고강도의 콘크리트가 요구될 경우에는 시 트 무게의 10 % 미만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치밀하고 ⇒ 치밀한
로 포조란 혼화재를 유용화제와 함께 혼합할 수 있다.

2.5.3 부재는 명기된 치수, 형상대로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2.6 강재 피암터널 [수정] 항목 추가


2.6.1 연성이 크고 휨과 용접 등의 가공성이 양호한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반복 주어 삭제
2.6.2 강재의 재질은 KS D 3503에 규정된 SS400을 표준으로 하며 이와 동등 이

상의 성능을 발 하는 구조용 강재로 한다.

2.6.3 강재는 작용하중, 피복덮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면과 치수가 되도록 제


작하여야 한다.

2.6.4 강지보재의 이음 개소는 거치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정하되 이음개소를 최


소화하고 구조적으로 유리한 곳에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야 한다.

3. 시공 3. 시공
3.1 시공일반 3.1 깎기


3.1.1 피암터 의 시공구간, 일정계획, 순서 및 시공 방법 등은 설계도면과 시공계획 피암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깎기는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제5장 비탈면 깎기

에 의거 시행하여야 하며, 설계도면과 현장상 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감독관 의 해당 규정을 따른다.
의 지시에 따라 원활한 시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3.1.2 기초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적절한 두께의 바 닥슬래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3.2 기초지반

널 구조물과 깎기비탈면 사이의 뒤채움 토사는 적절한 다짐이 되도록


3.1.3 피암터 널 놓일 기초지반은 구조물 및 뒤채움 하중을 포함한 전체 상부하
3.2.1 피암터 이
시공에 유의하여야 한다. 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가져야 하며, 과도한 침하를 유발하여서는 안


3.1.4 피암터 의 설치를 위한 비탈면 깎기 시 가급적 대절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 된다.

3- 8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여야 하며, 자연산림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2.2 상부토피 두께의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부등침하를 예상하여 구조물 바 닥
널 시공 시 비탈면의 형성과 주변지형, 지질의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여
3.1.5 피암터 면에 일정량의 캠버를 둘 수 있다. 이때, 캠버의 양은 구조물 총 길이의 1
야 한다. % 이내로 한다.

3.3 뒤채움


3.3.1 콘크리트 피암터 은 뒤채움을 할 때 별도의 다짐을 실시하지 않으나 강재
피암터널 및 파형강판 피암터널의 경우는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가 0.2 m
이하이어야 하며, 그 밀도는 3층 또는 50 ㎥마다 KS F 2312의 C, D 또는
D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 이상이 되어야 한다.


3.3.2 강재 피암터 의 뒤채움부 다짐작업 중에는 강재 및 강판 벽체로부터 0.6
m 이내에 다짐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주행을 엄격히 통제하여야 한다. 측
면다짐을 할 때의 다짐장비는 구조물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주행시켜야 하
며, 상부를 다짐할 때에는 피암터 널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주행시키도록 한
다.
3.2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3.4 콘크리트 피암터널의 시공
3.2.1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재료 분리가 생기지 않고, 골고루 채워져서 공극이 발
3.4.1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고, 골고루 채워져서 공극
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2 콘크리트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 시 주의하여야 하며 균열발생이
예상되는 구간에는 필히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2.3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길이로서 정해진 해당 타설분량의 콘


크리트는 연속하여 타설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타설 속도를 3.4.2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길이로서 정하여진 당해 타설분량
유지하여야 한다. 의 콘크리트는 연속하여 타설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타설

-
3.2.4 콘크리트 품질관리에 대하여는 6 4의 구조물공을 참조한다.
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4.3 콘크리트 타설 후 바이브레타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시행하여야 한다.


3.4.4 콘크리트 타설에 슈트 혹은 벨트컨베이어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감독자(또
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4.5 용출수 혹은 유수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절한 방


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3.3 신축이음 3.4.6 타설된 콘크리트는 경화에 필요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며 양생하여야 한

3- 9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피암터 은 일반적으로 편측으로 개방된 구조이거나 연장이 비교적 짧아 건조수 다.
축 이외에 계절적으로 외기 온도변화의 영향을 받는 구조물이므로 적절한 간격 3.4.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으로 신축이음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축이음부를 두어야 한다.

3.4 배수 및 방수 3.4.8 콘크리트에는 균열발생이 최소가 되도록 시공할 때 주의하여야 하며, 균열


발생이 예상되는 구간에는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널 상부의 지표수가 피암터널 벽면을 따라 흐르지 않도록 원활한 배수
3.4.1 피암터

처리를 하여야 하며, 흙과 접하는 구조물 바깥 면에는 적절한 방수재를 시공
3.4.9 터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으로 신축이음이 필요한 경우에

하여야 한다.
는 신축이음을 둘 수 있다.
3.4.2 강우 시 피암터널 전후구간의 노면수가 터널 내 포장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3.5 프리캐스트 피암터널의 시공
입․출구부에 집수정을 설치하고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5.1 프리 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운반과 설치는 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
여야 한다.


3.5.2 프리 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하중보다 용량이 큰 기계적인 양중장비를 사
용하여 제자리에 정밀하게 세워 설치하여야 한다.


3.5.3 프리 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항상 직립위치를 유지하게 하고, 부재의 조작
은 부재에 과재 응력이나 손상이 가지 않는 요령으로 명기된 양중장치나 쿠
션패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3.5.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시공허용오차 내로 설치하여야 한다. 부재는
힘의 편심작용이 없게 정확한 위치에 세우고, 지지면과 완전하고 균등하게
접합되게 하여야 한다.

3.5.5 정착과 접합을 위한 용접과 볼팅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대로 하여야 한다.



현장용접과 마 된 강재표면은 부분도장을 하여야 한다.

3.5.6 설치가 완성되었을 때 부재가 수직, 수평, 사각 및 선에 맞고 각과 연단은


구조물선에 평행하여야 한다.

3.5.7 설계도서에 명기된 대로 소음방지봉함을 시공하고, 밀착된 봉함이 되도록


15 % 이상 압축하여야 한다.

3.5.8 설계도서에 명기된 대로 충전재를 제자리에 설치하여야 한다.

3.6 강재 피암터널의 시공

3- 9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1 강지보재 기초부에 전달되는 하중이 큰 경우에는 충분한 지지 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보강 콘크리트 받침을 사용하여야 한다.

3.6.2 경사 또는 굴착면이 튀어나와 강지보재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튀어나


온 부분을 제거한 후 설치하여야 하며 깎기면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할 때

에 깎기면에 콘크리트 뿜어붙이기를 실시한 후 강재 피암터 을 시공할 수
있다.

3.6.3 시공된 강지보재를 수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1조 단위로 하여야 한다.

3-12 기대기 옹벽 3-12 기대기 옹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본 공법은 사면보호공으로 불안정한 깎기 비탈면 표면 보호 및 비탈면 보정을 이 시방은 비탈면 보호공으로 시공되는 밑다짐식, 합벽식 및 계단식 옹벽의 [수정] 내용수정
위한 목적으로 콘크리트 벽체를 설치하여 지지시키는 시공법이다. 시공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수정] 내용 추가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M 3404 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M 3015 열경화성 플라스틱 일반 시험방법
KS F 2274 건축용 합성 수지재의 촉진 노출 시험 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3- 9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2.1 구체콘크리트 [수정] 내용 보완
KS F 4009에 규정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로서 압축강도는 설계도서에 명기
KS F 4009에 규정된
된 값 이상이어야 하고, 공기량 4.5±1.5 %, 슬럼프 15±2.5 cm, 굵은골재 최대
치수 25 mm 이하로 한다.

[수정] 오타 수정
2.2 철근 2.2 철근

KS D 3504의 이형봉강 SD30의 규정에 적합한 철근 KS D 3504의 이형봉강 SD300의 규정에 적합한 철근 [수정] 내용 추가
2.3 빈배합 콘크리트

빈배합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6 MPa 이상으로 한다. [수정] 내용 추가


2.4 문양거푸집

1회용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PE 무늬거푸집을 사용하되, 그 재질은 제조업체


의 시방에 따른다. [관계기관협의-삭제] 2.2 철근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삭제
2.5 재료의 품질관리

KS D 3504의 이형봉강 SD300의 규정에 적합한 철근을 사용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사전조사 [수정] 가운데 점 사용
3.1.1 시공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먼저 설계조건, 시공위치, 규모, 단면의 치수 등을 시공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먼저 설계조건·시공위치·규모·단면의 치수 등을 확 [수정] 용어 수정
확인하고, 다양한 현장조건과 지하수의 유무 등에 대하여 충분한 보강조치를 인하고, 다양한 현장조건과 지하수의 유무 등에 대하여 충분한 보강조치를 취
취하여야 하며 사면의 뜬 돌, 이물질, 등 콘크리트와 지반의 부착을 저해하는 하여야 하며, 비탈면의 불안정한 돌, 이물질 등 콘크리트와 지반의 부착을 저
요소를 제거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해하는 요소를 제거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네일, 앵커공 등과 결합
3.1.2 기대기 옹벽만으로 사면의 안정성확보가 곤란한 경우
시공할 수 있으며, 보강공 두부와 계단식 옹벽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방
3.2 터파기 및 기초공

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터파기 및 기초공은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제10장 3.2 터파기 및 기초공

3- 9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소규모 비탈면 파괴에 대한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에 따른다.
3.1.4 옹벽 자체의 균열이나 변형,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3.3 규준틀 설치
3.1.5 옹벽 배면으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는 지형, 옹벽 전면에 수위가 형성되는 지
3.3.1 시공도에 의하여 위치, 경사, 높이 등을 확인하고 정확한 위치에 경사보기
형에서는 옹벽 배면에 물을 유도하기 위한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규준틀을 설치한다.

·
3.3.2 규준틀의 설치간격은 10 m를 표준으로 하되, 시 종점 및 평면 단면의 변화 ·
점에 설치한다.

3.4 문양거푸집

문양거푸집은 옹벽의 형상에 따라 그 설치공작도를 작성하여 감독자(또는 건


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문양거푸집으로 인하여 도면에 지시된
벽체두께가 감소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5 신축이음 및 수축이음

3.5.1 신축이음은 20 m ∼ 30 m 이하 간격으로 설치하되, 기초바닥까지 철근을


잘라야 하며, 절곡된 부분에 신축이음을 두어서는 안 된다.

j f er j e
3.5.2 옹벽에서 신축이음부는 연결재, 채움재( oint ill ), 밀봉재( oint s aling) 및
부대품을 설치하여야 한다.

3.5.3 채움재는 타설할 때 콘크리트면에 충분히 밀착시켜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하며, 다음 구간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뜨거나 밀리지 않도록 단
단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3.5.4 수축이음은 9 m 이하 간격으로 설치하되, 벽 표면에 수직으로 깊이 0.3 m


정도의 V형 홈을 파고 철근은 절단하지 않는다.
3.6 고정핀

3.6.1 옹벽과 비탈면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하는 고정핀은 KS D 3504의 이형봉강


SD300의 규정에 적합한 철근을 사용한다.

3.6.2 시공할 때 노출되는 고정핀은 계단높이의 1/3 이상 확보하고 다음 단계에


시공될 계단과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변의 부착저해요소를 제거한다.

3- 9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3 계단식 옹벽만으로 비탈면의 안정성확보가 곤란한 경우 네일, 앵커공 등과
결합 시공할 수 있으며, 보강공 두부와 계단식 옹벽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3.7 콘크리트 타설 및 표면마무리

3.7.1 노출면은 균일한 외관을 얻을 수 있도록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 타설 방법


이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고, 미리 정하여진 구획의 콘크리트는 완료할 때까
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
다.

3.7.2 다지기를 끝낸 콘크리트의 상면은 스며 올라온 물이 없어진 후, 나무흙손으


로 소정의 높이와 형상으로 마무리하여야 하며, 마무리작업 후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일어나는 균열은 재마무리에 의해서 제거하
여야 한다.

3.8 청 소

만약 문양거푸집으로 1회용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할 경우에는 거푸집 제거


와 동시에 옹벽에 부착된 발포폴리스티렌을 깨끗이 제거하고, 제거된 폐기물
은 계약상대자의 비용으로 소각로에서 소각처리하거나 공사지역 밖으로 반출
하여야 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처리되어서는
안 된다.

3-13 사태물질 방지공법 3-13 토석류 대책시설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본 공법은 산지 계곡부에 설치되는 배수관 및 배수암거의 유 잡물 걸림을 방지 이 시방은 토석류로 인한 시설물의 피해를 방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시설 [수정] 내용 수정
하기 위하여 배수구조물 입구부에 설치되는 사태물질 방지시설 공사에 적용한 의 시공에 적용한다.
다.
1.2 참조표준

3- 9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KS B 1002 6각 볼트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B 1012 6각 너트 [수정] 내용 추가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B 1344 와이어클립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D 0201 용융아연도금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4 와이어 로우프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KS D 3702 스테인리스 강선재
KS D 3514 와이어로프
C
KS D 7002 P 강선 및 강연선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601 돌망태
KS F 4603 H형강
KS F 4602 강관말뚝
KS F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10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1.3 제출물

--
1.3.1 이 시방서 총칙 1 2 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1.3 제출물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
이 시방서 1 2 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1.3.2 대책시설을 설치하는 위치까지 장비 진입 및 자재 반입을 하기 위한 진입로를
여 제출하여야 한다. 렵
사전에 검토하여야 하며, 설계도와 같이 시공하는 것이 어 거나 부적합하다
[수정] 내용 추가
고 생각되는 경우는 설계변경 등의 대책을 강구하여 계획서를 제축하여야 한
다.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KS F 4009에 규정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3- 9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콘크리트 2.2 강재

KSF 4009에 규정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2.2.1 대책시설 본체에 사용하는 강재는 KS D 3503, KS D 3515, KS D 3566, KS
F 4603, KS F 4602 를 사용한다.
2.2 철근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2.2.2 본체에 사용하는 강재는 필요할 때에 방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수정] 최근의 대책시설공법에 따라 내용수정

[수정] 특정 공법에 대한 사항이므로 삭제


2.3 사태물질 방지망

2.3.1 사태물질 방지망의 강도는 KS D 3514 중 B종 이상이어야 한다.



2.3.2 사태물질 방지망은 충분한 인장 을 확보하여야 한다.
[수정] 특정 공법에 대한 사항이므로 삭제
2.4 와이어로프앵커

앵커는 와이어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며, 충격 및 부식방지를 막을 수 있


어야 하며, 강도는 KS D 3514 중 B종 이상이어야 한다. 2.3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는 KS D 3514와 동등 이상의 와이어로프를 사용한다.

2.5 와이어로프류 3. 시 공 [수정] 내용 수정


[관계기관의견 반영]
와이어로프는 D22 ㎜ 이상을 사용하며 KS D 3514 중 B종 이상이어야 한다.
3.1 시공일반

3. 시 공 3.1.1 대책시설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와 범위는 현장실정에 적합하도록 검토하여 감


독자와 사전협의를 거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건설공사 비탈면표준시방서 내용에 따라 수정
3.1 시공일반
3.1.2 시공할 장소는 시공에 필요한 최소 면적으로 하며, 기존지반이나 주변 환경의

3.1.1 계곡부 및 설치위치 정지작업 훼손을 최소화한다. 단 집중호우 및 바람에 의하여 전도되어 계곡부 내 유수

(1) 사태물질 방지공법이 적용될 현장을 선정한 후 뜬돌이나 수목류, 기퇴적된 토 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주변의 침식 및 세굴을 통하여 산사태를 유발 할 수 있
석류를 제거하는 정지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는 수목 등은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사전협의하에 제거 할 수 있

(2) 정지작업이 실시된 후 구조물이 시공될 때 까지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다.

3.1.2 사태물질 방지공법 적용시 검토 3.1.3 대책시설은 별도로 명기되지 있지 않은 경우 암반에 지지시키는 것으로 한다.

3- 9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사태물질 방지공법의 적용 위치에 대한 지반조사를 실시한다. 지반조사 실시 3.1.4 터파기를 실시하는 경우 대책 구조물의 축조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깊이와 폭

후 사방 의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다. 닥 탄
및 경사로 굴착하고, 바 면은 평 하게 고르거나 버림콘크리트로 평 하게 탄
댐 등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 설치 시 지반조사 결과와 안정성 검토를
(2) 사방 만들어야 한다.
실시하고 안전율을 확보하여야 한다.
(3) 사태물질 방지망을 설치할 경우, 앵커의 지지 력 및 방지망의 강도를 고려하여 3.1.5 터파기를 실시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기존수로를 이설하여 터파기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안전율을 확보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3.1.3 안정성 확보 및 유지관리 실시 3.2 계곡막이


(1) 사태물질 방지공은 자체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3.2.1 시공위치 주변의 불규칙한 지반을 정리한다.
(2) 사태물질 방지공의 유지관리는 1년에 2회 실시하도록 하고, 항상 퇴적물이 쌓
여 있지 않도록 정비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3.2.2 계곡막이의 기초는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세굴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지반
내에 충분히 근입되도록 한다.

3.2.3 석재 또는 블록을 쌓을 때는 석재 또는 블록이 콘크리트와 완전히 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3.2.4 석재 또는 블록을 쌓을 때는 위 아래 석재가 서로 어긋나게 쌓고, 최종 쌓은


면은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3.2.5 석재 또는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먼저 쌓아 놓은 석재에 충격을 가해 느슨해


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3.2.6 시공완료 후에는 주변지반을 정리하여 표토를 안정시키고, 필요할 때에 식생


이나 표면에 돌붙임을 하여 안정화시 다. 킨

3.3 토석류 차단시설

3.3.1 콘크리트 사방 댐

(1) 기초 터파기는 설계도서에 나타난 깊이와 폭 및 경사로 굴착하고 바 을 평 탄
하게 고른 후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시공한다.

(2) 터파기 노출면은 풍화되지 않도록 후속공정을 신속히 진행하여야 한다.


(3) 기초의 활동방지벽 터파기를 할 때에는 가능한 직각으로 굴착하여 기존지반의
교란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4) 지하수가 있는 경우 가배수로를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충분히 저하시키면서 터

3- 9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파기를 하여야 한다.

(5) 터파기 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는 버림콘크리트를 수평하게 타설한 후 본체를


시공한다.


(6) 거 집은 옹벽의 형상에 맞게 설치공작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문양거 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문양으로 인하여 옹벽두께가 감소하지
않도록 한다.


(7) 콘크리트면의 마무리는 합판거 집으로 매끈하게 처리하되, 모서리부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50 mm × 50 mm의 면목을 설치한다.
(8) 옹벽은 철근피복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9) 댐 본체에 설치하는 배수구멍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내용대로 시공하여야 한다.


(10) 배수구멍은 막히지 않도록 댐 배면에 철망이나 드레인재를 고정시켜 설치하
여야 한다.


3.3.2 강재 사방

(1) 강재 사방댐의 설치는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며, 최종 마무리 후의 강재의 단


부높이와 연결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2) 강재의 취급 또는 시공과정에서 강재에 충격을 가해 도금이나 도장 상태가 불


량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3) 강재 지주를 지반 내에 매설할 때는 오거보링, 드릴링, 타입식 등으로 설계도


서에 명기된 경사로 시공한다.

(4) 강재를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설치구멍을 미리


설치하거나 또는 강재를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5) 강재의 매입심도는 설계도서에 명기된 깊이가 되도록 한다.

(6) 강재의 연결이나 고정에 사용하는 볼트 및 너트는 각각 KS B 1002, KS B


1012, KS D 3702 규격에 따르며, 아연도금된 것을 사용한다.

3.3.3 토석류 포획망

(1) 토석류 포획망의 구성은 포획망, 연결부 지지로프와 정착부 앵커로 구성된다.

3- 9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지지로프를 고정시킬 앵커의 설치위치를 표시하고,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 ㆍ

방향 길이로 앵커를 설치한다.

력 휘
(3) 정착부 앵커는 소요 인발저항 을 발 할 수 있는 견고한 지반까지 설치한다.

B 1344에서 규정하는 와이어 클립을 사용하며,


(4) 지지로프를 고정시킬 때는 KS
적용 지지로프의 인장강도에 따라 와이어 클립의 종류, 개수, 조임 토크 및 설
치간격을 선정한다.

(5) 포획망은 커튼 형태로 설치하며, 연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로프


에 이음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6) 포획망의 연결 또는 이음을 할 때 망의 인장강도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발휘


할 수 있는 이음재를 선정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3.4 유로보강시설

3.4.1 유로보강의 범위는 설계도서에 명기된 길이와 높이에 대해서 실시하며, 현장


조건에서 유수의 충돌이 예상되는 곳도 포함한다.

3.4.2 유로보강부 기초의 근입깊이는 계곡경사, 기존 유로의 비탈경사 및 현장상 황


을 고려하여 기초하부의 세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까지 시공하여야
한다.

3.4.3 유로보강은 기존 유로의 비탈경사에 맞게 시공하거나 또는 유로폭을 확대하고


경사를 급하게 시공할 수도 있다.

3.4.4 보강구간 양 끝쪽은 기존 유로의 비탈면 내부까지 보강하여 유수의 충돌에 의


한 세굴이나 침식을 방지한다.

3.4.5 유로보강을 위하여 석재 또는 블록을 쌓을 때는 석재 또는 블록이 콘크리트와


완전히 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3.4.6 석재 또는 블록을 쌓을 때는 위아래 석재가 서로 어긋나게 쌓고, 최종 쌓은


면은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한다.

3.4.7 석재 또는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먼저 쌓아 놓은 석재에 충격을 가해 느슨해


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3- 10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퇴사시설 및 흐름유도시설

3.5.1 퇴사시설은 현장여건에 따라 터파기를 실시하여 얕은 웅덩이로 만들거나 퇴사


°
지내 경사를 약 4 정도로 만든다.

3.5.2 흐름유도시설은 토사제방으로 축조하며, 유수가 충돌하는 면은 유로보강을 실


시한다.

3.5.3 흐름유도시설은 홍수 때 흐름의 방향 및 주변여건을 고려하여 유도시설의 설


치범위를 결정하며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3.5.4 토사제방의 높이는 편수위보다 1.0 m 정도 높게 한다.

3.6 기타시설

이 시방서에 언급되지 않은 공법에 대해서는 감독자(또는 건설기술용역업자)의


승인을 얻어 적용할 수 있다.

4. 품질관리
기초지반에 대해서는 평판재하시험 등을 통해 설계에서 요구하는 지지 이 확보 력
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단, 연암 이상의 암반에서는 지지 력 확인시험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3- 101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4 장 지반개량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 4 장 지반개량공사 제 4 장 지반개량공사
4-1 연약지반개량공사 일반 4-1 지반개량공사 일반
4-2 토목섬유 매트 깔기공 4-2 토목섬유 매트 깔기공
4-3 수평배수층 포설공 4-3 수평배수층 깔기공
4-4 샌드드레인공 4-4 연직배수공 [통합] 연직배수공에 세부 공종으로 통합
4-5 팩드레인공 샌드드레인공, 팩드레인공, 진공압밀공을 부분 통합
4-6 토목섬유 연직배수공
4-7 진공압밀공
4-8 다짐말뚝공 4-5 다짐말뚝공
4-9 지하수위 저하공 4-6 지하수위 저하공
4-10 재하중공 4-7 재하중공
4-11 경량재 쌓기공(EPS 블록) 4-8 EPS 블록 쌓기공
4-12 치환공 4-9 치환공
4-13 동다짐 및 동치환공 4-10 동다짐 및 동치환공
4-14 진동다짐공 4-11 진동다짐공
4-15 약액주입공 4-12 약액주입공
4-16 표층혼합처리공 4-13 표층혼합처리공
4-17 심층혼합처리공 4-14 심층혼합처리공
4-18 연약지반 계측관리 4-15 연약지반 계측관리
제 4 장 지반개량공사 제 4 장 지반개량공사
4-1 연약지반개량공사 일반 4-1 지반개량공사 일반 [수정] 중복 되는 표현 단순화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연약지반개량공법은 매우 다양하고 종류가 많아 시방서에 모두 수록할 수 없는 지반개량 공사는 주어진 조건에서 강도가 부족하거나 과도한 변형이 예상되는 지 [수정] 공법에 대한 내용 상세 설명과 필요하지 않은 표현 단순
상태이므로 이 시방서는 일반화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공법만 수록하였 반의 공학적 특성을 개선하여 지반의 강도 증가, 압밀 촉진 및 압축성 감소 등을 화 및 자구 수정
으며,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적용 시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필요 시 공법별 해 목적으로 하는 공법이다. 연약지반개량공법은 매우 다양하고 종류가 많아 시방에 [수정] 포괄적 의미로 연약지반개량 ⇒ 지반개량으로 용어 수정
당공사에 적용한다. 모두 수록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이 시방은 일반화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일
부 공법만 수록하였으며, 연약지반개량공법을 적용할 때에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전체 통일
하여, 필요할 때 공법별 해당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신설]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4 -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제출물 1.3 제출물 [수정]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번호 수정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2 시공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신설] 시공계획서에 포함할 내용 명시
(1) 지반개량기간(존치기간)을 고려한 토취장에서 토공반입계획
(2) 지반개량기간(존치기간)을 고려한 사업지구 내의 토공이동계획
(3) 자재의 수급계획
(4) 반입장비의 기종 및 수량
(5) 필요할 때 시험시공계획
(6) 계측관리계획(목적, 계측기종, 수량, 위치, 계측관리기준과 대응)
(7) 지반개량여부 확인을 위한 조사 및 시험 계획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 2.1 재료의 품질

2.1.1 공사에 사용될 모든 자재는 규정된 품질이어야 하며,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것 2.1.1 공사에 사용될 모든 자재는 규정된 품질이어야 하며,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것
이어야 한다. 이어야 한다.
2.2 재료의 검수 2.2 재료의 검수

2.2.1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에는 제품의 시험 또는 제작과정을 검사하기 2.2.1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제품의 시험 또는 제작과정을 검사하기 위 [수정] 자구 수정 : 표현의 명확화
위하여 해당 제작 장소에 언제든지 검사원을 파견할 수 있다. 하여 해당 제작 장소에 언제든지 검사원을 파견할 수 있다. : 생각될 때에는 ⇒ 판단될 때에는
3. 시 공 3. 시 공
3.1 사용장비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시공에 앞서 4-1절 1.3에 명시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시공 전에 이행할 행정내용인 시공계획서 제출사항 추가
연약지반개량공사에 이용될 모든 장비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것으로서 규정된 3.1.2 지반개량공사에 사용될 장비는 공사목표와 공사기간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필요 [수정] 개량공사에 사용할 장비선정시 공사 목적과 기간을 감안
시공능력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한 시공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은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하여 장비 투입할 수 있도록 내용 수정

4 -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 시공계획 수립
[삭제]
시공에 앞서 계약상대자는 연약지반개량공종과 관련된 시공계획서를 수립하여 [삭제] 시공계회서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에 대한 사항을 1.3.2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시공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위치 변경되어 삭제
3.2.1 지반개량기간(존치기간)을 고려한 토취장에서의 토공반입계획
3.2.2 지반개량기간(존치기간)을 고려한 사업지구 내의 토공이동계획
3.2.3 자재의 수급계획
3.2.4 반입장비의 기종 및 수량
3.2.5 필요 시 시험시공계획
3.2.6 계측기 매설 및 계측관리계획
3.2.7 지반의 개량 여부 확인을 위한 지반조사 계획
3.3 원지반 정리 3.2 원지반 정리

3.3.1 연약지반개량공법이 적용될 지반은 소정의 장비로써 정리하여야 하며, 지표면 3.2.1 지반개량공법이 적용될 지반은 소정의 장비를 사용하여 정리하여야 하며, 지표 [수정] : 자구수정 : 연약지반개량공법⇒ 지반개량공법,
은 일정한 경사로 정리되어야 한다. 면은 일정한 경사로 정리되어야 한다. 장비로써⇒ 장비를 사용하여
3.3.2 지표면 정리 작업 시 장비 진입에 대한 원지반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지 3.2.2 지표면 정리 작업을 할 때 장비 진입에 대한 원지반의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 [수정] : 자구 한글로 순화 : 작업시⇒ 작업을 할 때,
반의 교란에 의한 강도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필요 시 현장 지반의 교란에 의한 강도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필요할 때에 필요시⇒ 필요할 때에는
에 장비를 진입하기 전에 현장시험을 실시한다. 는 현장에 장비를 진입하기 전에 현장시험을 실시한다.
3.3.3 부지 외 측면부에는 터파기를 통해 일정한 경사를 갖는 배수용 측구를 설치한다. 3.2.3 부지 외 측면부에는 터파기를 하여 일정한 경사를 갖는 배수용 측구를 설치한다. [수정] : 자구 한글로 순화 : 통해 ⇒ 하여
3.4 시험시공 3.3 시험시공

3.4.1 지반개량공사를 위해 실시되는 공사 중 지중에 일정길이의 개량체를 설치하여 3.3.1 지반개량공사 중 지중에 일정길이의 개량체를 설치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공사 [수정] : 자구수정 : 불필요한 문장 삭제 : 지반개공사를 위해 실
지반을 개량하는 공사는 시공 전에 시험시공을 통해 개량체의 시공심도와 사 는 시공 전에 시험시공을 하여 개량체의 시공심도와 사용장비의 규모 및 상세 시되는 공사 ⇒ 지반개량공사
용장비의 규모 및 상세 시공방법을 확인하여야 한다. 시공방법을 확인하여야 한다. 자구 수정 : 통해 ⇒ 하여
3.4.2 시험시공 결과 설계심도와 개량체의 시공심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지 3.3.2 시험시공 결과 설계심도와 개량체의 시공심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지
반조사를 추가로 실시하고, 감독자와의 협의를 통해 개량체의 시공심도를 결정 반조사를 추가로 실시하고, 감독자와의 협의를 통해 개량체의 시공심도를 결정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5 확인지반조사 3.4 확인지반조사

4 -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1 시공자는 지반개량공법 시행 후 계측관리와 별도로 해당 지반의 개량여부를 3.4.1 계약상대자는 지반개량공법 시행 후 계측관리와 별도로 해당 지반의 개량여부 [수정] : 주어 변경 : 시공자는⇒ 계약상대자는
확인할 수 있는 확인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5.2 확인지반조사는 매 흙쌓기 단계마다 실시하며, 계측결과와 함께 분석하여 지반 3.4.2 확인지반조사는 흙쌓기 매 단계마다 실시하며, 계측결과와 함께 분석하여 지반 [수정] : 자구 순화 : 매 흙쌓기 단계마다⇒ 흙쌓기 매 단계마다
의 강도, 변형, 압밀도 등이 목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단계 의 강도, 변형, 압밀도 등이 목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단계 시
시공을 진행한다. 또한 조사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시공계획을 수정할 수 공을 진행한다. 또한 조사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시공계획을 수정할 수 있
있다. 다.
3.5.3 확인지반조사는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 토질역학시험을 실시하거나, 현 3.4.3 확인지반조사는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실내 토질역학시험을 실시하거나, 현장
장에서 원위치 토질시험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며, 점성토 지반에서는 표 에서 원위치 토질시험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며, 점성토 지반에서는 표준
준관입시험 결과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 없다. 관입시험 결과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 없다.
3.5.4 구체적인 지반조사 항목과 방법은 감독자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3.4.4 구체적인 지반조사 항목과 방법은 감독자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3.6 기록의 보존 3.5 기록의 보존

사업지구의 연약지반처리공종과 관련하여 계약상대자는 매 공종의 주요 단계별 사업지구의 지반처리공종과 관련하여 계약상대자는 매 공종의 주요 단계별로 동 [수정] 용어 수정 : 불필요한 문장 삭제,
로 VTR 녹화를 시행하고, 준공 시 이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영상을 촬영하고, 준공할 때 이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연약지반처리공종과⇒ 지반처리공종과
시공중 기록 방법 복수 선택 가능토록 명기
: VTR 녹화를⇒ 동영상을 촬영하고
용어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준공 시⇒ 준공할 때

4-2 토목섬유 매트 깔기공 4-2 토목섬유 매트 깔기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한 지반에서 시공 장비의 주행성 확보, 수평 배수층과 원지반 이 시방은 연약한 지반에서 시공 장비의 주행성 확보, 수평 배수층과 원지반 또는 [수정] :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또는 쌓기층과의 분리 및 배수, 부등침하 억제, 기초 지반이나 쌓기 제체의 활동 흙쌓기 층과의 분리 및 배수, 부등침하 억제, 기초 지반이나 흙쌓기 제체의 활동 사용 재료의 명확한 자구 수정 : 쌓기층과의 ⇒ 흙쌓
방지와 보강 목적으로 기초지반 위에 직포 또는 부직포 토목섬유 매트를 설치하 방지와 보강 목적으로 기초지반 위에 부직포 또는 지오그리드 등의 토목섬유 매 기 층과의
는 공사에 적용한다. 트를 설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쌓기⇒ 흙쌓기
직포 또는 부직포 ⇒ 부직포 또는 지오그리드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4 -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K ISO 10319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시험 방법 KS K ISO 10319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시험 방법
KS K ISO 11058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수직 투수성 시험 방법 KS K ISO 11058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수직 투수성 시험 방법
KS K 0210 섬유 혼용율 시험 방법 KS K 0210 섬유 혼용율 시험 방법
KS K ISO 9862 지오텍스타일의 샘플링 및 시험편의 준비 KS K ISO 9862 지오텍스타일의 샘플링 및 시험편의 준비
KS K ISO 10321 지오텍스타일의 접합/봉합 강도시험 : 광폭인장 시험법 KS K ISO 10321 지오텍스타일의 접합/봉합 강도시험 : 광폭인장 시험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2 계약상대자는 다음 항목이 포함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3.2 계약상대자는 다음 항목이 포함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 제조회사명, 제품명, 모델명, 공급회사명, 제조일자 (1) 제조회사명, 제품명, 모델명, 공급회사명, 제조일자
(2) 매트의 재질, 직조 형태 (2) 매트의 재질, 직조 형태
(3) 경사, 위사 방향의 최대 인장강도 및 변형률, 인장변형률-하중 곡선 (3) 경사, 위사 방향의 최대 인장강도 및 변형률, 인장변형률-하중 곡선
(4) 봉합강도 (4) 봉합강도
(5) 수직투수성 (5) 수직투수성
(6) 유효구멍크기(분리목적의 경우)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2.1 재료일반

2.1.1 토목섬유 매트는 탄력성이 좋고, 튼튼한 합성 또는 자연 섬유로 만들어진 제품 2.1.1 토목섬유 매트는 탄력성이 좋고, 튼튼한 합성 또는 자연 섬유로 만들어진 제품
이어야 한다. 이어야 한다.
2.1.2 현장에 적용되는 토목섬유 매트는 용도, 설계조건, 시공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 2.1.2 현장에 적용되는 토목섬유 매트는 용도, 설계조건, 시공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
절한 제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보강용 토목섬유매트의 용도별 품질기준과 시험 절한 제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보강용 토목섬유매트의 용도별 품질기준은 표 [수정] 표 번호체계 및 명칭 수정
규격은 표 4-1과 같다. 4-2-1과 같다. 불필요한 내용 삭제 : 품질기준과 시험규격은
표 번호 수정 : 4-1 ⇒ 4-2-1
표 4-1 토목섬유의 품질기준 표 4-2-1 토목섬유의 품질기준

4 -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토목섬유의 용도 토목섬유의 용도
시험항목 배수 및 층 시험항목 배수 및 층
지반보강(활동방지) 지지력 증진용 분리용 지반보강(활동방지) 지지력 증진용 분리용
최대인장변형률 30% 이하 - 최대인장변형률 30 % 이하 -
토목섬유의 인장응력-인장변형률 특성은 설계조건에 부 토목섬유의 인장응력-인장변형률 특성은 설계조건에 부
인 장 강 도 합하여야 하며, 설계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인장변형 29.4kN/m
률 10% 이내에서 설계 인장강도(계산 시 사용한 인장 (3 tonf/m) 이상 인 장 강 도 합하여야 하며, 설계에 명시되지 않은 경우는 인장변형 29.4 kN/m
률 10% 이내에서 설계 인장강도(계산할 때 사용한 인장 (3 tonf/m) 이상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단위 띄어쓰기 수정
[수정] 한글로 순화 : 계산 시 ⇒ 계산할 때
력)가 발휘되어야 함. 력)가 발휘되어야 함.
1×10-3 ㎝/sec 수직투수계수 원지반과 수평 배수층 사이에 깔 때에는 1×10-3 ㎝/sec [신설] : 사용 위치에 대한 내용추가
수직투수계수 1×10-3 ㎝/sec 이상 이상 1×10 ㎝/sec 이상
-3 이상
봉합강도 봉합 직각 방향 원단 강도의 50 % 이상
봉합강도 봉합 직각 방향 원단 강도의 50% 이상 비고) 설계할 때 별도로 명시되었거나, 배수 및 기타 다른 기능을 병행하고자 할 때에는 감독자 [수정] 한글로 순화 : 설계 시 별도 ⇒ 설계할 때 별도로
비고) 설계 시 별도 명시되었거나, 배수 및 기타 다른 기능을 병행하고자 할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의 승인을 얻어 조정할 수 있음.
얻어 조정할 수 있음.

2.1.3 보강용 토목섬유를 도로 쌓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 4-1의 인장강도 기준을 2.1.3 보강용 토목섬유를 도로 쌓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 4-2-1의 인장강도 기준 [수정] 표 번호체계 및 명칭 수정
기초 지반의 주된 인장변형 방향인 도로 폭 방향에 국한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을 기초 지반의 주된 인장변형 방향인 도로 폭 방향에 국한하여 적용할 수 있 표 번호 수정 : 4-1 ⇒ 4-2-1
봉합은 도로 폭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다. 봉합은 도로 폭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2.1.4 토목섬유 매트의 시험방법 및 품질시험 빈도는 표 4-2와 같다. 2.1.4 토목섬유 매트의 시험방법 및 품질시험 빈도는 표 4-2-2와 같다. [수정] 표 번호체계 및 명칭 수정
표 4-2 토목섬유 매트의 품질시험빈도 표 4-2-2 토목섬유 매트의 품질시험빈도 표 번호 수정 : 4-2 ⇒ 4-2-2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측정빈도)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측정빈도)
인장강도 인장강도, 인장변형률 KS K ISO 10319
인장변형률 KS K ISO 10319 지반 수직 투수계수 ․20,000 ㎡ 마다, 제조회사
토목섬유 ․20,000㎡ 마다, 제조회사별, 보강용 KS K ISO 11058 별, 제품 규격마다
(연약지반 매트) 수직 투수계수 KS K ISO 11058 제품 규격마다 봉합강도 KS K ISO 10321
봉합강도 KS K ISO 10321 토목섬유 인장강도, 신도 KS K ISO 10319
(연약지반 ․20,000 ㎡ 마다, 제조회사
매트) 수직 투수계수 KS K ISO 11058 별, 제품 규격마다 [신설] : 배수용 토목섬유에 대한 품질 내용추가
배수용 유효구멍크기 KS K ISO 12956
내약품성(액체저항성) KS K ISO TR 12960 ․흙의 pH가 4 미만 또는 9
를 초과하는 경우

4 -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자재의 준비 3.1 자재의 준비

3.1.1 토목섬유 매트는 용도와 시공 편의성을 고려한 규격으로 현장 접합량을 최소 3.1.1 토목섬유 매트는 용도와 시공 편의성을 고려한 규격으로 현장 접합량을 최소화
화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납품되어야 한다. 하고,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납품되어야 한다.
3.1.2 토목섬유 자재는 납품 즉시 이 시방서 4-2절 표 4-2의 빈도로 감독자 입회 하 3.1.2 토목섬유 자재는 납품 즉시 이 시방서 4-2절 표 4-2-2의 빈도로 감독자 입회 [수정] 표 번호체계 수정 : 4-2 ⇒ 4-2-2
에 KS K ISO 9862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여 확인 시험을 실시하고, 가급적 빠 하에 KS K ISO 9862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여 확인 시험을 실시하고, 가급적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입회 하에 ⇒ 입회하에
른 시일 내에 채취한 시료에 대한 품질시험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 빠른 시일 내에 채취한 시료에 대한 품질시험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다. 품질시험 성과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한다. 품질시험 성과에는 다음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제조회사명, 시료 채취 일자 및 장소, 시험일 및 시험원명, 시험방법 (1) 제조회사명, 시료 채취 일자 및 장소, 시험일 및 시험원명, 시험방법
(2) 경․위사 방향의 인장강도-인장변형률곡선 및 5%, 10% 변형률에서 인장강도 (2) 경․위사 방향의 인장강도-인장변형률곡선 및 5 %, 10 % 변형률에서 인장강도 [수정] 띄어쓰기 수정 : 5%, 10% ⇒ 5 %, 10 %
(3) 경․위사 방향의 최대인장강도 및 최대인장변형률 (3) 경․위사 방향의 최대인장강도 및 최대인장변형률
(4) 수직투수계수 (4) 수직투수계수
(5) 공장 봉합시료와 현장 봉합시료의 봉합강도 시험 시 최대인장강도 및 파괴형 (5) 공장 봉합시료와 현장 봉합시료의 봉합강도 시험을 할 때 최대인장강도 및 파 [수정] 자구 한글로 순화 : 시험 시 ⇒ 시험을 할 때,
태, 단위길이당 땀수 괴형태, 단위길이 마다의 땀수 띄어쓰기 수정 : 단위길이당 ⇒ 단위길이마다의
3.1.3 납품된 토목섬유 매트는 현장에 깔기 전까지 햇빛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인 3.1.3 납품된 토목섬유 매트는 현장에 깔기 전까지 햇빛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인공
공조명에 노출되지 않고 지면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 조명에 노출되지 않고 지면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도
도록 하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한다.
3.2 시공일반 3.2 시공일반

3.2.1 계약상대자는 매트의 접합, 깔기방법, 장비투입 계획, 공정 및 품질관리에 관한 3.2.1 계약상대자는 매트의 접합, 깔기방법, 장비투입 계획, 공정 및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을 명시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사항을 명시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2 매트를 깔기 전에 지표면의 돌출물, 잡목, 웅덩이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다. 3.2.2 매트를 깔기 전에 지표면의 돌출물, 잡목, 웅덩이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다.
3.2.3 매트는 인장강도가 발휘되는 주 방향이 지반 내에서 최대 인장응력이 발생하 3.2.3 매트는 인장강도가 발휘되는 주 방향이 지반 내에서 최대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는 방향(도로 쌓기의 경우 도로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깔아야 한다. 방향(도로 흙쌓기의 경우 도로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깔아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3.2.4 매트의 현장 봉합은 최대 인장변형 방향(도로 쌓기의 경우 도로 폭 방향)과 평 3.2.4 매트의 현장 봉합은 최대 인장변형 방향(도로 흙쌓기의 경우 도로 폭 방향)과 [수정] 띄어쓰기 수정 : 봉합사는 ⇒ 봉합 사는
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봉합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평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봉합 사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 [수정] 동격 내용 표현 가운데 점 사용 :
케블라 섬유 재질이어야 하며, 가급적 매트의 구성 재질과 동일하게 한다. 역 드․케블라 섬유 재질이어야 하며, 가급적 매트의 구성 재질과 동일하게 한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학적으로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봉합 대신 일정 길이 역학적으로 문제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봉합 대신 일정 길이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케블라

4 -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상 단부를 겹치게 하는 방법으로 매트를 연속적으로 깔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상 단부를 겹치게 하는 방법으로 매트를 연속적으로 깔 수 있으며, 이 경우
표 4-1의 봉합강도에 대한 규정사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표 4-2-1의 봉합강도에 대한 규정사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3.2.5 매트를 깔 때에는 역학적 기능 발휘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심한 주름이 지거 3.2.5 매트를 깔 때에는 역학적 기능 발휘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심한 주름이 지거나
나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6 매트를 깐 후에는 자외선, 공사 장비 등에 의한 매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 3.2.6 매트를 깐 후에는 자외선, 공사 장비 등에 의한 매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 10일 이내에 수평배수용 성토재나 초벌 쌓기재로 복토하여야 한다. 감독자 10일 이내에 수평배수용 쌓기재나 초벌 쌓기재로 복토하여야 한다. 감독자는 복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는 복토 직전에 매트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여야 하며, 과도하게 손상된 부분은 토 직전에 매트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여야 하며, 과도하게 손상된 부분은 그 경
그 경계면에서 1 m 이상 겹쳐서 새로운 매트로 덧대고 모서리를 봉합하도록 계면에서 1 m 이상 겹쳐서 새로운 매트로 덧대고 모서리를 봉합하도록 하여야
하여야 한다. 복토는 매트 전 부분을 대상으로 골고루 진행하여 특정 부위에서 한다. 복토는 매트 전 부분을 대상으로 골고루 진행하여 특정 부위에서의 응력
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야 하며, 복토층의 두께가 300㎜미만인 곳은 공사 장 집중을 방지하여야 하며, 복토층의 두께가 300㎜미만인 곳은 공사 장비를 통행
비를 통행시켜서는 안 된다. 초벌 쌓기층에는 쇄석, 자갈 이상의 암석이 포함 시켜서는 안 된다. 초벌 쌓기층에는 쇄석, 자갈 이상의 암석이 포함되어서는 안
되어서는 안 되며, 그 두께는 기초 지반 조건, 쌓기재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 되며, 그 두께는 기초 지반 조건, 쌓기재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한다.
하게 결정한다. 과도한 지반 변형과 매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독자의 승 과도한 지반 변형과 매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초벌
인을 얻어 초벌 쌓기층의 다짐도 기준을 일반 노체에 대한 기준보다 낮추어 쌓기층의 다짐도 기준을 일반 노체에 대한 기준보다 낮추어 적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다.
3.2.7 계약상대자는 매트 깔기에 필요한 각종 기구와 부품을 사전에 충분히 준비하 3.2.7 계약상대자는 매트 깔기에 필요한 각종 기구와 부품을 사전에 준비하여 작업에 [수정] 의미 불명확 자구 삭제 : 충분히
여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4-3 수평배수층 포설공 4-3 수평배수층 깔기공 [수정] 제목 수정 : ~ 포설공 ⇒ ~ 깔기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지반상에 쌓기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차량의 주행성(trafficability) 이 시방은 연약지반상에 흙쌓기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차량의 주행성(trafficability)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과 지지력을 확보하고, 지하배수 및 연약층 상부의 배수를 원활히 할 목적으로 과 지지력을 확보하고, 지하배수 및 연약층 상부의 배수를 원활히 할 목적으로 모 [신설] 수평배수층 재료에 쇄석외 배수성 재료를 추가
모래 등의 재료를 포설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래 나 쇄석 그 밖의 배수성 재료를 포설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4 -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재료 시험 성적서(입도분석, 투수계수 등) 재료 시험 성적서(입도분석, 투수계수 등)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2.1 재료일반

2.1.1 수평배수층의 포설은 주행성 확보에 적합한 재료(현지 발생토 등)를 사용한다. 2.1.1 수평배수층의 포설은 주행성 확보에 적합한 재료(현지 발생토 등)를 사용한다.
2.1.2 배수거리가 길거나 투수성이 불량한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하배수공이나 2.1.2 배수거리가 길거나 투수성이 부족한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하배수공이나 [수정] 불량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모순이 있어
법면 끝부분에 쇄석 등을 이용한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하며, 비교적 투수성이 비탈면 끝부분에 쇄석 등을 이용한 필터층을 설치하여야 하며, 비교적 투수성이 형용사 수정 : 불량한 ⇒ 부족한 -
좋지 않은 재료일 경우에는 지하배수공의 간격을 좁혀 사용하여야 한다. 지하 좋지 않은 재료일 경우에는 지하배수공의 간격을 좁혀 사용하여야 한다. 지하배 용어 수정 : 법면 ⇒ 비탈면
배수공을 이용할 경우 배수효율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필요 시 집수정에 의 수공을 이용할 경우 배수효율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여 필요할 때에는 집수정에 [수정] 한글로 순화 : 필요 시 ⇒ 필요할 때
한 표면 배수를 추가하여야 한다. 의한 표면 배수를 추가하여야 한다.
2.1.3 수평배수층 포설재료는 다양한 재료(인공 및 천연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나, 반 2.1.3 수평배수층 포설재료는 다양한 재료(인공 및 천연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나, 반
드시 감독관의 승인을 득한 후, 상기 2.1.1 및 2.1.2의 기준을 만족하고, 환경문 드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상기 2.1.1 및 2.1.2의 기준을 만족하고, 환경문 [수정] 용어 수정 : 감독관 ⇒ 감독자
제 발생우려가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제 발생우려가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2.1.4 수평배수층 재료는 염분이 함유될 경우 환경문제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세척 2.1.4 수평배수층 재료는 염분이 함유될 경우 환경문제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세척하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단, 해수의 유입이 빈번하거나 염해의 우려가 없는 지 여 사용하여야 한다. 단, 해수의 유입이 빈번하거나 염해의 우려가 없는 지역은
역은 감독관과의 협의를 통해 세척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감독자와 협의를 하여 세척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수정] 용어 수정하여 의미 명확 : 감독관과의 협의를 통해 ⇒
2.1.5 수평배수층 포설 재료의 품질기준은 다음과 같다. 2.1.5 수평배수층 포설 재료의 품질기준은 다음과 같다. 감독자와 협의를 하여
(1) 모래 (1) 모래
① D15 : 0.075∼0.9㎜ ① D15 : 0.075 mm ∼ 0.9 mm
② D85 : : 0.4∼8.0㎜ ② D85 : 0.4 mm ∼ 8.0 mm
③ 0.08㎜ 통과량(#200체) : 15 % 이하 ③ 0.08㎜ 통과량(#200체) : 15 % 이하
④ 투수계수 : 1×10-3 ㎝/sec 이상 ④ 투수계수 : 1×10-3 ㎝/sec 이상
이 때, D85 및 D15 는 각각 입경가적곡선에 있어서 통과중량 백분율이 85 % 이 때, D85 및 D15 는 각각 입경가적곡선에 있어서 통과중량 백분율이 85 %
및 15%에 해당하는 재료의 입경을 말한다. 및 15 %에 해당하는 재료의 입경을 말한다.

4 -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기타 재료는 설계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쇄석 [신설] : 쇄석에 대한 내용 추가
① 쇄석의 재료기준은 설계도서를 따른다.
② 설계도서에 재료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아래 기준을 만족하는 재
료를 사용한다.
가. 0.08 mm 체 통과량 : 15 % 이하
나. 투수계수 : 1 × 10-3 cm/s 이상
다. 쇄석최대치수 : 40 mm 이하 [신설] : 최대치수 명기로 품질 향상
2.1.6 세립분의 함량 또는 입도가 품질기준을 초과할 때에는 투수시험을 실시한 후, [신설] : 내용 추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2.1.7 사용 재료는 필요한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사용 재료는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 [신설] : 내용 추가
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재료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풍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재료를 사용할 때에는 다짐
에 의한 투수성 저하를 고려하여 지반강도시험 및 투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수평배수층을 포설하기 전에 원지반의 표면을 평탄하게 고른 후 3.1.1 계약상대자는 수평배수층을 포설하기 전에 원지반의 표면을 평탄하게 고른 후
지반고를 측정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지반고를 측정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1.2 수평배수층 포설은 충분히 표면배수를 시킨 후, 설계도서에 따라 원지반 상에 3.1.2 수평배수층 포설은 표면배수를 시킨 후, 설계도서에 따라 원지반 상에 균일한 [수정] 의미 불명확한 자구 삭제 : 포설은 충분히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여야 한다. 두께로 포설하여야 한다.
3.1.3 균일하고 연속된 층을 형성하고 배수효과를 높이기 위해 진흙이나 이토 등이 3.1.3 균일하고 연속된 층을 형성하고 배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진흙이나 이토 등이 [수정] : 줄임말 수정 : 위해 ⇒ 위하여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1.4 수평배수층은 표 4-3의 “표층의 콘 지지력에 의한 방법”과 최소 배수단면 결 3.1.4 수평배수층은 표 4-3-1의 “표층의 콘 지지력에 의한 방법”과 최소 배수단면 결 [수정] 표 번호체계 수정 : 4-3 ⇒ 4-3-1
정에 필요한 “동수 경사차에 의한 방법”으로 구한 소요 두께를 모두 만족하도 정에 필요한 “동수 경사차에 의한 방법”으로 구한 소요 두께를 모두 만족하도
록 고르게 포설하여야 하며, 지반의 불균일로 인한 단절부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록 고르게 포설하여야 하며, 지반의 불균일로 인한 단절부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표 4-3 표층의 콘 지지력에 의한 방법 표 4-3-1 표층의 콘 지지력에 의한 방법 [수정] 표 번호체계 수정 : 4-3 ⇒ 4-3-1

4 -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층의 콘 지지력 표층의 콘 지지력
수평배수층의 두께(㎜) 비고 수평배수층의 두께(mm) 비고
kN/㎡ ㎏f/㎠ kN/㎡ ㎏f/㎠
196.1 이상 2.0 이상 500 196.1 이상 2.0 이상 500
196.1∼98.1 2.0∼1.0 500∼800 196.1 ∼ 98.1 2.0 ∼ 1.0 500 ∼ 800
98.1∼73.5 1.0∼0.75 800∼1000 98.1 ∼ 73.5 1.0 ∼ 0.75 800 ∼ 1000
73.5∼49.0 0.75∼0.5 1000∼1200 73.5 ∼ 49.0 0.75 ∼ 0.5 1000 ∼ 1200
49.0 이하 0.5 이하 1200 49.0 이하 0.5 이하 1200

3.1.5 수평배수층을 포설하는 방법으로는 습지 도자 또는 초습지 도자에 의한 방법 [신설] : 배수층의 포설방법 내용 추가


등이 있으며, 장비의 접지압과 표층 지반강도를 고려하여 지반의 전단파괴가 발
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5 수평배수층을 포설한 후 시공 장비로 안정성을 검토하여 문제가 있다고 판단 3.1.6 수평배수층을 포설한 후 시공 장비로 안정성을 검토하여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될 경우에는 수평배수층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수평배수층 상부에 복토 등을 경우에는 수평배수층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수평배수층 상부에 복토 등을 수행
수행하여 시공장비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 시공장비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3.1.6 수평배수층의 폭은 흙쌓기부의 침하를 고려하여 최종침하 시에도 원활한 배수 3.1.7 수평배수층의 폭은 흙쌓기부의 침하를 고려하여 최종 침하될 때에도 원활한 배 [수정] : 띄어쓰기 및 한글로 순화 : 최종침하 시에도 ⇒ 최종 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체 측면으로부터 충분한 여유 폭을 제체 양단부에 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체 측면으로부터 필요한 여유 폭을 제체 양단부 하될 때에도
연결하여 포설하며, 단계별 흙쌓기와 휴지기간 중에도 배수기능이 저하되지 않 에 연결하여 포설하며, 단계별 흙쌓기와 휴지기간 중에도 배수기능이 저하되지 자구 수정 : 충분한 ⇒ 필요한
도록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않도록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4-4 샌드드레인공 [삭제] : 4-4 연직배수공에 통합 :


연직배수방법에 있어 샌드드레인을 사용하여 지반개량을
1. 일반사항 하는 방법중의 하나이므로 연직배수공에 통합하여 표준시
방서 작성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한 기초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수 기둥을 설치하는


샌드드레인(sand drain) 연직 배수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4 -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계측 보고서
(2) 시공 보고서
2. 재 료
2.1 재료일반

2.1.1 샌드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0.08 ㎜ 통과량(#200체) : 3 % 이하
(2) D15 : 0.1∼0.9 ㎜
(3) D85 : 1∼8㎜
(4) 투 수 계 수 : 1×10-3 ㎝/sec 이상
이때, D85 및 D15 는 각각 입경가적곡선에 있어서 통과중량 백분율이 85% 및
15%에 해당하는 재료의 입경을 말한다.
2.1.2 샌드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사용 전에 입도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3 샌드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이 시방서 4-3절 2.1.4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샌드드레인의 간격, 배열, 직경 및 모래 투입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1.2 모래말뚝의 위치에 대한 허용오차는 300㎜이하이어야 한다.
모래말뚝의 허용 경사각은 2°이하이어야 하며, 경사각의 계측은 필요한 경우
케이싱(casing)내에서 한다.
3.1.3 케이싱의 관입심도는 설계관입심도, 시험시공 시 확인된 장비의 관입특성, 기
타 적절한 지반조사(예: 시추조사, 정적콘관입시험, 베인전단시험 등) 결과 등
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압밀대상층의 실제분포깊이를 확인한 후 감독자의 승
인을 얻어 변경할 수 있다.

4 -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 중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3) 배수재가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3.2 타 설

3.2.1 샌드드레인을 시공하기 전에 공사장 주위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공 피치(pitch)에 맞도록 시공 위치를 표시하여야 한다.
3.2.2 시공 위치는 측량을 실시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위치 표시가 중기 등에 의하여
손상 또는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재 설치하여야 한다.
3.2.3 샌드드레인의 시공은 감독자 입회 하에 실시하여야 하며, 계측기기가 고장 났
을 경우에는 시공을 중지하여야 한다.
3.2.4 샌드드레인을 시공할 때에는 리더(leader)로 케이싱의 연직도를 체크한 후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5 케이싱의 관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준비한 워터 젯(water jet)은 상부 모래층
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전에 반드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다.
3.2.6 추가 지질조사에 의하여 시공위치, 심도, 간격, 공법 등의 변경이 불가피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자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3.2.7 샌드드레인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장비 주위에 충분한 양의 모래를 확보하여
야 한다.
3.2.8 샌드드레인의 타설방향은 후진으로 한다.
3.2.9 샌드드레인의 타설은 횡방향 타설 루우프를 1사이클(cycle)로 한다.
3.3 시공관리 기록

3.3.1 샌드드레인의 시공보고서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케이싱 타입 심도
(2) 투입된 모래량

4 -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타입 직전의 지반고
(4) 샌드드레인의 시공위치, 소요시간, 길이, 기타 시공에 관한 제 기록
(5) 시공관리계측 계기의 기록
(6) 타설기계 운전원 및 시공책임 기사
3.3.2 케이싱 심도계, 케이싱 경사계, 바이브로 모터(vibro motor)의 전류계 등은 자
동기록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5 팩드레인공 [삭제] : 4-4 연직배수공에 통합 :


연직배수방법에 있어 팩드레인을 사용하여 지반개량을 하
1. 일반사항 는 방법중의 하나이므로 연직배수공에 통합하여 표준시방
서 작성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한 기초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수 기둥을 설치하는


팩드레인(pack drain) 연직 배수 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이 시방서 4-4절 1.2에 따른다.


2. 재 료
2.1 재료일반

2.1.1 팩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이 시방서 4-4 샌드드레인공의 2. 재료의 기준과


동일하며, 인공모래의 사용여부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1.2 팩드레인의 품질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원사 및 팩(pack)의 형상
① 팩의 원사는 폴리에틸렌을 100%로 하고, 실의 굵기는 380데니아(denier)를
기준(허용범위 ±7%)으로 한다.
② 팩의 포대는 원사를 등폭 평직으로 짜서 2장을 겹친 후 양쪽 끝 부분에서
20 ㎜내측 부분을 접합하여 열 용착하거나 봉제한 것으로 완성된 직경은
120㎜이상이어야 한다.

4 -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3 팩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밀도기준은 표 4-4와 같다.
표 4-4 팩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밀도기준

구 분 인장강도(50㎜폭 당, 2중) 밀 도(25㎜폭 당)


타설심도 30m 이하 30 m 이상 30m 이하 30m 이상
종방향 1128N 이상 1422 N 이상 20∼22본 20∼28본
횡방향 883N 이상 883 N 이상 14∼16본 14∼16본

2.1.4 팩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이 시방서 4-3절 2.1.4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팩드레인의 간격, 배열, 지름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1.2 타설 위치의 허용오차는 300㎜이하이어야 한다.
3.1.3 팩드레인의 허용 경사각은 2°이하이어야 하며, 경사각의 계측이 필요한 경우
에는 케이싱 내에서 측정한다.
3.1.4 팩드레인의 타설은 후진을 하면서 실시하여야 한다.
3.1.5 팩드레인은 시공면적 50m×50m 마다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관입심도별로 영
역을 구분한 후 가장 깊은 곳부터 케이싱 길이를 조절하여 시공한다. 기타 일
반적인 시공은 이 시방서 4-4절 3.2에 따른다.
3.1.6 팩드레인의 시공관리 기록은 이 시방서 4-4절 3.3에 따른다.
3.1.7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 중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3) 배수재가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4 -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6 토목섬유 연직배수공 4-4 연직배수공 [수정] : 연직배수공으로 용어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한 기초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수기둥을 설치하는 이 시방은 연약한 기초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배수기둥을 설치하는 샌 [수정] : 자구 수정 : 시방서는 ⇒ 시방은, 위해 ⇒ 위하여
토목섬유 연직배수(prefabricated vertical drain) 공사에 적용한다. 드드레인(sand drain), 팩드레인(pack drain), 토목섬유 연직배수(prefabricated [수정] 연직배수공사와 관련되어 발생하게 되는 재료 및 공사
vertical drain), 천연섬유 배수공사 및 진공 압밀(vacuum consolidation) 배수공사 내용을 추가
등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신설] : 연수배수를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품질에 관한 규정
KS K ISO 9864 지오신세틱스-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의 단위면적당질량 및 내용 추가
측정 시험 방법
KS K ISO 10319 지오텍스타일의 인장강도 시험방법
KS K ISO 11058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수직 투수성 시험 방법
KS K ISO 12956 지오텍스타일 및 관련제품-유효구멍크기 측정법(습식법)
1.2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4-4절 1.2에 따른다.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 시공계획서 제출시 기본적으로 작성하는 사항외에 추
(1) 각 공법에 사용하는 재료의 시험성적서 가로 작성 제출하는 내용 추가
(2) 시공 및 계측보고서
2. 재료 2. 재료
2.1 샌드드레인

2.1.1 샌드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신설] : 샌드드레인 재료로서의 적합 기준 추가
(1) 0.08 mm 통과량(#200체) : 3 % 이하
(2) D15 : 0.1 mm ∼ 0.9 mm

4 -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D85 : 1 mm ∼ 8 mm
(4) 투수계수 : 1×10-3 ㎝/s 이상
이때, D85 및 D15 는 각각 입경가적곡선에 있어서 통과중량 백분율이 85 % 및 15
%에 해당하는 재료의 입경을 말한다.
2.1.2 샌드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사용 전에 입도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한 제품을 [신설] : 샌드드레인 재료인 모래의 세립분 초과 기준에 대한
사용하여야 하며, 세립분의 함량 또는 입도가 품질기준을 초과할 때에는 투수시 사항 반영
험을 실시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모래의 품질시험 기준은
표 4-4-1과 같다.
표 4-4-1 배수재용 모래의 품질시험 빈도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빈도
샌드매트 0.08투수계수
mm 통과량
KS F 2322
KS F 2502 ․골재원마다
및 D15 KS F 2502 ․1,000 ㎥ 마다
샌드드레인용 D85 KS F 2502
2.1.3 염분이 있는 모래의 경우에는 이 시방서 4-3절 2.1.4에 따른다. [신설] 염분이 있는 모래에 대한 내용 반영
2.2 팩드레인

2.2.1 팩드레인에 사용하는 모래는 이 절 2.1 샌드드레인의 기준과 동일하며, 인공모 [신설] : 모레에 대한 재료 기준 내용
래의 사용여부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2 팩드레인의 품질기준은 다음과 같다. [신설] : 팩드레인의 품질기준에 대한 내용
(1) 원사 및 팩(pack)의 형상
① 팩의 원사는 폴리에틸렌을 100 %로 하고, 실의 굵기는 380 데니아(denier)를
기준(허용범위 ± 7 %)으로 한다.
② 팩의 포대는 원사를 등폭 평직으로 짜서 2장을 겹친 후 양쪽 끝 부분에서 20
mm 내측 부분을 접합하여 열용착하거나 봉제한 것으로, 완성된 직경은 120
mm 이상이어야 한다.
(2) 팩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밀도기준은 표 4-4-2와 같다.
표 4-4-2 팩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밀도기준

4 -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구 분 인장강도(50 mm 폭마다, 2중) 밀도(25 mm 폭마다)
타설심도 30 m 이하 30 m 이상 30 m 이하 30m 이상
종방향 1128 N 이상 1422 N 이상 20본 ∼ 22본 20본 ∼ 28본
횡방향 883 N 이상 883 N 이상 14본 ∼ 16본 14본 ∼ 16본
2.2.3 염분이 있는 모래의 경우에는 이 시방서 4-3절 2.1.4에 따른다. [신설] 염분이 있는 모래에 대한 내용 반영
2.1 재료일반 2.3 토목섬유 연직배수

2.1.1 토목섬유 배수재는 합성 또는 자연섬유로 만들어진 제품으로서 역학적 특성에 2.3.1 토목섬유 배수재는 합성 또는 자연섬유로 만들어진 제품으로서 역학적 특성에 [수정] : 자구 수정 : 보관 시 ⇒ 보관할 때
대한 시험성적서와 함께 납품되어야 하며, 1롤(roll)의 길이는 200m이상이어 대한 시험성적서와 함께 납품되어야 하며, 1롤(roll)의 길이는 200 m 이상이어야
야 한다. 또 운반 및 보관 시 햇빛, 물, 기타 화학약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한다. 또 운반 및 보관할 때 햇빛, 물, 기타 화학약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야 한다.
2.1.2 토목섬유 연직배수에 사용하는 배수재료는 습윤 상태에서도 투수성이 좋으며, 2.3.2 토목섬유 연직배수에 사용하는 배수재료는 습윤상태에서도 투수성이 좋으며, 필 [수정] :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 충분한 ⇒ 필요한, 드레인 형
충분한 강도와 드레인 형성 시에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요한 강도와 드레인을 형성할 때에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성 시에 ⇒ 드레인을 형성 할 때에
2.1.3 배수재는 토압에 의한 코아의 손상이 없으며 압밀침하에 대한 순응성이 양호 2.3.3 배수재는 토압에 의한 코아의 손상이 없어야 하며, 압밀침하에 대한 순응성이 [수정] :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 없으며 ⇒ 없어야 하며, 절곡
하고 절곡 시 배수로의 절단과 막힘이 없어야 한다. 양호하고 절곡될 때에도 배수로의 절단과 막힘이 없어야 한다. 시 ⇒ 절곡될 때에도
2.1.4 필터재(filter material)는 압밀간극수의 배출에 충분한 투수계수를 가지며, 드레 2.3.4 필터재(filter material)는 압밀간극수의 배출에 필요한 투수계수를 가지며, 드레 [수정] : 자구 수정 : 충분한 ⇒ 필요한
인재 내부로 토립자의 혼입(clogging)을 방지하고 산· 알칼리· 박테리아에 대한 인재 내부로 토립자의 혼입(clogging)을 방지하고, 산· 알칼리· 박테리아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저항성이 커야 한다.
2.1.5 토목섬유 코어재는 재생 제품을 사용할 경우 분자가 깨어져 인장강도가 현저 2.3.5 토목섬유 코어재는 재생 제품을 사용할 경우 분자가 깨어져 인장강도가 현저히
히 저하되고, 품질이 고르지 않아 압밀침하 지연의 우려가 크므로 사용하여서 저하되고, 품질이 고르지 않아 압밀침하 지연의 우려가 크므로 사용하여서는 안
는 안된다. 된다.
2.1.6 토목섬유의 시험방법 및 품질시험 빈도는 표 4-5와 같다. 2.3.6 토목섬유의 시험방법 및 품질시험 빈도는 표 4-4-3과 같다.
표 4-5 배수용 토목섬유의 품질시험 빈도 표 4-4-3 배수용 토목섬유의 품질시험 빈도

종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측정빈도)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측정빈도)


인장강도 및 신도 KS K ISO 10319 인장강도 및 신도 KS K ISO 10319
토목섬유 투 수 KS K ISO 11058 ․제조회사별, 토목섬유 투 수 KS K ISO 11058
(배수용) 제품규격마다 (배수용) 배수성능 Delft 방법 ․제조회사별, 제품규격마다
내약품성 KS K ISO 12960 내약품성 KS K ISO 12960
유효구멍크기 KS K ISO 12956 유효구멍크기 KS K ISO 12956

4 -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7 토목섬유 배수재(PVD)의 일반적인 품질기준은 표 4-4-4와 같다. 지반조건, 또는 시 [신설] : 토목섬유 배수재 품질기준에 대한 내용
공여건상 필요한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수 있
다.
표 4-4-4 토목섬유 배수재 규격

구 분 항 목 단 위 기준사항 시험방법
인장강도 N/폭 2,000 이상 KS K IS0 10319
배수재 준함
(코어 + 필터) 배수능력 cm3/s 20 이상 Delft 방법
(300 kPa 가압할 때) (직선기준)
투수계수 cm/s 1×10-3 이상 KS K ISO 11058
인장강도 N/m 2,000 이상
필터재 KS K ISO 10319
인장신도 % 20∼100
유효구멍
크기(O90) μm 90 이하 KS K ISO 12956

2.4 진공압밀

2.4.1 진공압밀공법에 사용되는 연직배수재는 이 시방서 4-6 2.3의 재료기준에 따르 [신설] : 연직배수공중 진공압밀공법 재료에 대한 내용
며, 수평배수재는 연직배수재의 규격에 준한다.
2.4.2 진공막 및 진공막 보호용 부직포는 해당 공사시방서의 품질기준에 따른다. [신설] : 진공막 및 보호용 부직포 재료에 대한 내용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연직배수공에 사용하는 장비는 배수재의 설치 길이 및 투입하는 재료의 양을 [신설] : 연직배수공 시공 장비의 기록장치 의무화 내용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1.2 본격적인 시공에 앞서 50 m × 50 m 크기의 시공 면적마다 연직배수공을 시험 [신설] : 연직배수공 시험 시공과 감독자 검사 내용
설치하여 지층조건에 따른 관입심도를 확인하고, 장비관입능력과 자동기록계의
정밀도, 모래투입을 위한 버켓(bucket)의 용량을 검토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
아야 한다.
3.2 샌드드레인

4 -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1 시공일반 [신설] : 연직배수공중 샌드드레인의 시공일반에 대한 내용
(1) 샌드드레인의 간격, 배열, 직경 및 모래 투입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 샌드드레인의 위치에 대한 허용오차는 300 mm 이하이어야 한다. 샌드드레인을
설치하는 케이싱(casing)의 연직방향에 대한 허용 경사각은 2°이하이어야 하
며, 경사각의 계측은 필요한 경우 케이싱(casing) 내에서 한다.
(3) 케이싱의 관입심도는 설계관입심도, 시험시공할 때 확인된 장비의 관입특성, 기
타 적절한 지반조사(예:시추조사, 정적콘관입시험, 베인전단시험 등) 결과 등
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압밀대상층의 실제분포깊이를 확인한 후 감독자의 승
인을 얻어 변경할 수 있다.
(4)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① 시공할 때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②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③ 배수재가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3.2.2 타 설 [신설] : 연직배수공중 샌드드레인 타설에 대한 내용
(1) 샌드드레인을 시공하기 전에 공사장 주위에 기준점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공 피치(pitch)에 맞도록 시공 위치를 표시하여야 한다.
(2) 시공 위치는 측량을 실시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위치 표시가 중기 등에 의하여
손상 또는 이동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재설치하여야 한다.
(3) 샌드드레인의 시공은 감독자 입회하에 실시하여야 하며, 계측기기가 고장이 나
는 경우에는 시공을 중지하여야 한다.
(4) 배수재를 설치하는 케이싱과 리더(leader)는 연직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
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5) 케이싱의 관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준비한 워터 젯(water jet)은 상부 모래층
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전에 반드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다.
(6) 추가 지질조사에 의하여 시공 위치, 심도, 간격, 공법 등의 변경이 불가피하다
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자에게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7) 샌드드레인을 시공할 경우에는 타설현장 내에 필요한 양의 모래를 확보하여야
한다.
(8) 샌드드레인의 타설 방향은 후진으로 한다.

4 -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9) 샌드드레인의 타설은 횡방향 타설 루우프를 1사이클(cycle)로 한다.
3.2.3 시공관리 기록 [신설] : 연직배수공중 샌드드레인 시공관리 기록에 대한 내용
(1) 샌드드레인의 시공보고서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
다.
① 케이싱 타입 심도
② 투입된 모래량
③ 타입 직전의 지반고
④ 샌드드레인의 시공 위치, 소요 시간, 길이, 기타 시공에 관한 제 기록
⑤ 시공관리계측 계기의 기록
⑥ 타설기계 운전원 및 시공책임 기사
(2) 케이싱 심도계, 케이싱 경사계, 바이브로 모터(vibro motor)의 전류계 등은 자
동기록장치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3 팩드레인

3.3.1 시공일반 [신설] : 연직배수공중 팩드레인 시공일반에 대한 내용


(1) 팩드레인의 간격, 배열, 지름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 타설 위치의 허용오차는 200 mm 이하이어야 한다.
(3) 팩드레인을 설치하는 케이싱의 연직방향에 대한 허용 경사각은 2° 이하이다.
경사각의 계측이 필요한 경우에는 케이싱 내에서 측정한다.
(4) 팩드레인의 타설은 후진을 하면서 실시하여야 한다.
3.3.2 팩드레인은 50 m × 50 m 크기의 시공 면적마다 시험시공을 실시하여 관입심도 [신설] : 연직배수공중 팩드레인 시험시공에 대한 내용
별로 영역을 구분한 후 가장 깊은 곳부터 케이싱 길이를 조절하여 시공한다.
기타 일반적인 시공은 이 절 3.1.2에 따른다.
3.3.3 팩드레인의 시공관리 기록은 4-4의 3.2 샌드드레인공의 내용에 따른다. [신설] : 연직배수공중 팩드레인 시공관리에 대한 내용
3.3.4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신설] : 연직배수공중 팩드레인 시공중 보고사항에 대한 내용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할 때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3) 배수재가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4 -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 토목섬유 연직배수

3.1.1 토목섬유 연직배수공은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맨드렐 3.4.1 토목섬유 연직배수공은 필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급적 맨드렐(mandrel) [수정] : 자구 수정 : 필터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
(mandrel)방식의 타입기로 시공하며, 케이싱의 선단은 지반교란을 최소화할 방식의 타입기로 시공하며, 케이싱의 선단은 지반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단 내용 보완 : 사용히여야 한다. ⇒ 사용하거나 이와 동등
수 있는 소단면의 폐단면 앵커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면의 폐단면 앵커판을 사용하거나 이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야 한다.
3.1.2 계약상대자는 토목섬유 연직배수의 타입 한계 깊이 또는 타입 한계 지반 강도 3.4.2 계약상대자는 토목섬유 연직배수재의 타입 한계 깊이 또는 타입한계 지반 강도
를 설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를 설정하여 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3 토목섬유 연직배수는 과잉간극수압 발생위치까지 설치하여야 하며, 수평배수층 3.4.3 토목섬유 연직배수재는 설계 N치 이상인 지층까지 설치하여야 하며, 수평배수 [수정] : 연약지반판단이 N치인 점과 과잉간극수압 발생위치는
상단에서 300㎜이상의 여유를 두고 절단하여야 한다. 층 상단에서 300 mm 이상의 여유를 두고 절단하여야 하며, 타설위치의 허용오 단면에서 하중재하에 따라 깊이가 다르므로 판단이 비
차는 100 mm 이하, 연직방향에 대한 허용경사각은 2° 이하로 한다. 교적 쉬운 N치로 수정
* 공사시방서 작성은 설계에 적용된 방법과 동일하게
공사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작성하면 될 것임
[향후연구필요] : 연직배수재 설치깊이에 있어 과잉간극수압 발
생위치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위치와 현장시공위치의
일치에 대한 설계기준 정립 필요
3.1.4 사용 중 잔여길이를 연결할 때는 1공 당 1회에 한하여 500㎜이상 포켓방식으 3.4.4 사용 중 잔여길이를 연결할 때는 1공마다 1회에 한하여 500 mm 이상 포켓방식 [수정] : 타입위치 허용 오차 및 허용경사각에 대한 내용 보완 :
로 겹치도록 하며, 포켓식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잔여길이는 버리도록 한다. 으로 겹치도록 하며, 포켓식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잔여길이는 버리도록 한다. 한다. ⇒ 하며, 타설위치의 허용오차는 100 mm 이하,
3.1.5 토목섬유 연직배수의 시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공 전에 타입 위치도를 3.4.5 토목섬유 연직배수재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공 전에 타입 위치도를 연직방향에 대한 허용경사각은 2° 이하로 한다.
작성하고, 변조가 불가능한 타입자동기록기를 장치하여 구역별· 번호별로 타입 작성하고, 변조가 불가능한 타입자동기록기를 장치하여 구역별 번호별로 타입일
일시· 타입깊이· 타입량을 기록지에 기록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제출하여 시 타입깊이 타입량을 기록지에 기록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제출하여야 한 [수정] : 자구 수정 : 제출하여야 하며, ⇒ 제출하여야 한다.
야 하며, 만약 계획된 깊이와 다른 결과가 발생되면 시공을 즉시 중지하고 그 다. 만약 계획된 깊이와 다른 결과가 발생되면 시공을 즉시 중지하고, 그 결과
결과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1.6 토목섬유 연직배수공을 시공할 때의 배수 효과는 일반적으로 직경 50 ㎜배수 3.4.6 토목섬유 연직배수공을 시공할 때의 배수효과는 적용한 배수재와 등가의 직경 [수정] : 내용에 대한 자구 수정: 배수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비
기둥을 갖는 샌드드레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산하여 최소 설치간격을 설정하 을 갖는 샌드드레인으로 환산하여 평가할 수 있다. 교 기준을 동일 직경의 샌드드레인으로 환산평가하여
여야 한다. 설치간격이 될 수 있도록 내용수정
3.1.7 계약상대자는 토목섬유 연직배수의 효율적인 타입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고려 3.4.7 계약상대자는 토목섬유 연직배수재의 효율적인 타입을 위하여 다음 사항을 고
하여 타입기를 선정하여야 한다. 려하여 타입기를 선정하여야 한다.
(1) 초연약지반에서 주행성이 용이하여야 한다. (1) 초 연약지반에서 주행성이 용이하여야 한다.
(2) 타입력이 양호하여야 한다. (2) 타입력이 양호하여야 한다.

4 -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스미어 존(smear zone)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정적인 타입방식의 (3) 배수재 주변 지반의 교란 영역(smear zone)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적 타입 [수정] : 연직배수공중 토목섬유 연직배수 타입기 선정에 대한
최소 케이싱의 단면적을 보유하여야 한다.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내용에서 지반 상태를 한글로 순화 : 스미어 존
3.1.8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3.4.8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smear zone) ⇒ 교란 영역(smear zone)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 중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1) 시공을 하는 도중에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수정] : 자구 수정 : 시공 중 ⇒ 시공을 하는 도중에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3) 연직배수재를 인발할 때 기준길이 대비 0.20 m 이상 따라 올라올 경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추가
(4) 자동기록장치에 나타나는 타입심도와 실제 시공 타입심도간의 차이가 기준심도
대비 1.5 % 이상 오차가 있을 경우
3.5 진공압밀
[신설] 진공압밀에 대한 내용 추가
3.5.1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는 설계도면에 따라 정확히 설치하여야 한다.
3.5.2 트렌치는 처리계획지역 외곽에 설치하여야 하며,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진공막
과 하부 점토층이 잘 밀폐되어야 한다.
3.5.3 트렌치의 수위는 전 처리기간 동안 수시로 확인하여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
록 하여야 한다.
3.5.4 외곽 트렌치는 지반개량 도중 붕괴되지 않도록 유지관리를 하여야 한다.
3.5.5 진공막은 최대한 큰 규격으로 공장에서 접합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는 가급적 접합량을 줄이도록 한다.
3.5.6 각 인접 진공막의 겹침폭(overlapping)은 20 mm 이상이어야 한다.
3.5.7 각 연결 부위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세밀히 접합하여야 한다.
3.5.8 진공막 외부 수평배수재의 연결부는 진공막 외부로 관통시켜 설치하여야 하며,
수평배수재와 집수관의 연결부위에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3.5.9 진공펌프는 수평배수재와 연결된 집적관과 연결시켜야 한다.
3.5.10 계약상대자는 집적관과 펌프사이에 사용된 물-공기 분리기구가 기능이 잘 발
휘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5.11 진공펌프는 주어진 하중조건에서 목표 압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하여야 한
다.

4 -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12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할 때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4-7 진공압밀공 [삭제] : 4-4 연직배수공에 통합 :
연직배수를 진공압밀방법으로 지반개량을 하는 방법중의
1. 일반사항 하나이므로 연직배수공에 통합하여 표준시방서 작성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대기압을 압밀하중으로 이용하여 지중에 설치한 연직배수재를 통해


간극수를 강제 탈수시킴으로써 침하를 촉진시키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이 시방서 4-4절 1.2에 따른다.


2. 재 료
2.1 재료일반

2.1.1 진공압밀공법에 사용되는 연직배수재는 이 시방서 4-6의 재료기준에 따르며,


수평배수재는 연직배수재의 규격에 준한다.
2.1.2 진공막 및 진공막 보호용 부직포는 해당 공사시방서의 품질기준에 따른다.
3. 시공
3.1 시공일반

3.1.1 연직배수재와 수평배수재는 설계도면에 따라 정확히 설치하여야 한다.


3.1.2 트렌치는 처리계획지역 외곽에 설치하여야 하며,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진공
막과 하부 점토층이 잘 밀폐되어야 한다.
3.1.3 트렌치의 수위는 전 처리기간 동안 수시로 확인하여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

4 -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록 하여야 한다.
3.1.4 외곽 트렌치는 지반개량 도중 붕괴되지 않도록 잘 유지 관리 하여야 한다.
3.1.5 진공막은 최대한 큰 규격으로 공장에서 접합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고, 현장에서
는 가급적 접합량을 줄이도록 한다.
3.1.6 각 인접 진공막의 겹침폭(overlapping)은 20㎜이상이어야 한다.
3.1.7 각 연결 부위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세밀히 접합하여야 한다.
3.1.8 진공막 외부 수평배수재의 연결부는 진공막 외부로 관통시켜 설치하여야 하며,
수평배수재와 집수관의 연결부위에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3.1.9 진공펌프는 수평배수재와 연결된 집적관과 연결시켜야 한다.
3.1.10 도급자는 집적관과 펌프사이에 사용된 물-공기 분리기구가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1.11 진공펌프는 주어진 하중조건 하에서 목표 압밀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하여
야 한다.
3.1.12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시공 중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배수재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4-8 다짐말뚝공 4-5 다짐말뚝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모래 또는 점토로 구성된 연약지반의 지지력 증가, 침하 저감, 액상화 방지, 수평 이 시방은 연약지반의 압밀촉진과 도로 성토하중을 지지시키기 위하여 지중에 [수정] : 다짐말뚝 재료를 모래외에 쇄석도 사용하여 다짐말뚝

4 -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저항 증가 등을 위해 모래(또는 유사재료)를 압입하여 큰 직경의 말뚝을 설치하 연직의 모래 또는 쇄석말뚝을 다져서 형성하는 모래다짐말뚝공사와 쇄석다짐말 공사에 적용토록 수정
는 공사에 적용한다. 뚝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시공계획서 제출시 기본적으로 작성하는 사항외에 추가
(1) 계측 계획서 (1)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시험성적서 (입도분포, 투수시험, 강도시험) 로 작성 제출하는 내용 수정
(2) 시공 보고서 (2) 계측 및 시공보고서
2. 재 료 2. 재 료
2.1 모래

모래의 경우 이 시방서 4-4절의 재료기준에 따르며, 기타재료 사용 시에는 설계 이 시방서 4-4절 2.1에 따른다.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2.2 쇄석 [신설] : 쇄석을 추가하여 작성
2.2.1 쇄석의 재료기준은 설계도서를 따른다.
2.2.2 설계도서에 재료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아래 기준을 만족하는 재료
를 사용한다.
가. 0.08 mm체 통과량 : 3 % 이하
나. 투수계수 : 1 × 10-3 cm/s 이상
다. 쇄석최대치수 : 40mm 이하 [신설] : 최대치수 명기로 품질 향상 도모
2.2.3 세립분의 함량 또는 입도가 품질기준을 초과할 때에는 투수시험을 실시하고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3. 시 공 3. 시 공

4 -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다짐말뚝의 타입기계는 타입길이 및 투입재료의 양을 자체 기록할 수 있는 장 3.1.1 다짐말뚝의 타입기계는 타입길이 및 투입재료의 양을 자체 기록할 수 있는 장
치를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시공심도의 결정, 관입 능력, 치를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시공심도의 결정, 관입 능력,
자동기록기의 정도 및 바켓 용량에 대해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자동기록기의 정도 및 바켓 용량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수정] : 자구 수정 : 대해 ⇒ 대하여
3.1.2 투입재료의 치환율, 파일의 간격, 배열, 직경 및 투입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1.2 시공범위, 치환율(개량율), 말뚝의 간격, 배열, 직경 및 재료투입량, 개량강도에 [신설] : 시험시공과 허용오차 경사각에 대한 내용 추가
대해서는 본 공사의 설계도서에 표시된 바에 따른다. 단, 시험시공 결과가 있을
때에는 설계도서 및 시험시공 결과에 따른다. 타설위치의 허용오차는 100 mm
이하, 연직방향에 대한 허용경사각은 2° 이하로 한다.
3.1.3 다짐말뚝의 타설 심도는 설계 N치 이상인 지층까지로 하여야 하며, 추가조사 [신설] : 타살심도의 범위와 연약층 분포상태에 따른 타설 방법
결과 그 하부에 연약층이 분포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3.1.4 설계 관입심도 이하에서 중지 할 경우는 다음 사항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신설] : 관입심도 이하에서 중지에 대한 내용
(1) 타설 지점 부근의 토질 주상도가 설계 표준관입시험치 이상일 경우.
(2) 30초간 케이싱 파이프(casing pipe) 관입이 200 mm 이하인 경우.
(3) (2)항에서 해머 모터(hammer motor)의 전류치가 300 A 이상에서 30초 이상일
경우
3.1.5 다짐말뚝의 시공에서 재료의 투입과 다짐은, 지하수로 인한 잔류퇴적물의 발생 [신설] : 다짐말뚝의 재료투입시 지하수 및 이물질에 대한 내용
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방법으로 연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3.1.6 타설을 할 때 상층부 지반의 관통이 어려운 경우, 워터 제트(water jet) 또는 에 [신설] : 다짐말뚝의 관입 불가시 대책에 대한 내용
어 제트(air jet)를 병용하여 관입하고, 전석층이나 단단한 모래자갈층 때문에 관
입이 불가할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기 수정
3.1.3 다짐말뚝의 타입 시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및 재 관입깊이는 다음을 기준으로 3.1.7 다짐말뚝을 타입할 때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및 재 관입깊이는 다음을 기준으로 [수정] : 자구 수정 : 타입 시 ⇒ 타입할 때
하되, 시험시공을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하되, 시험시공을 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 : 통해⇒하여
얻어 이를 대신 적용할 수 있다. 어 이를 대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심도 1m에서는 최종적으로 1m 인발 및 재 관입을 추가 1회 실시하여 또한, 심도 1 m에서는 최종적으로 1 m 인발 및 재 관입을 추가 1회 실시하여
야 한다. 야 한다.
(1) 심도가 3 m 아래의 경우 (1) 심도가 3 m 이상일 경우 [수정] : 자구 수정 : 아래의 ⇒ 이상일
①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 3 m ①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 3 m
② 재 관입 깊이 : 2m ② 재 관입 깊이 :2m

4 -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지표∼심도 3m (2) 지표∼심도 3 m
①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 1.5m ① 케이싱관의 인발높이 : 1.5 m
② 재 관입 깊이 : 1.0m ② 재 관입 깊이 : 1.0 m
3.1.4 케이싱 내부에 채워진 재료의 높이와 케이싱 선단부와의 차이는 1.5m 이상을 3.1.8 케이싱 내부에 채워진 재료의 높이와 케이싱 선단부와의 차이는 1.5m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유지하여야 한다.
3.1.5 케이싱 내 재료투입은 이 시방서 4-4절 3.2에 따른다. 3.1.9 케이싱 내 재료투입은 이 시방서 4-4절 3.1.2에 따른다. [수정] : 관련 번호 체계에 맞게 수정
3.1.6 다짐말뚝은 타설 시 주변지반이 융기되어 인접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 3.1.10 다짐말뚝을 타설할 때 주변 지반이 융기되어 인접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수정] : 자구 수정 : 다짐말뚝은 타설 시 ⇒ 다짐말뚝을 타설할
로 타설부지의 외곽에서 내측(안측)방향으로 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으므로 타설 부지의 외곽에서 내측(안측)방향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때, 불명확한 단어 “원칙으로” 삭제
3.1.7 기타 시공 시 일반사항은 이 시방서 4-4절 3.1과 3.2에 따른다. 3.1.11 기타 시공할 때의 일반사항은 이 시방서 4-4절 3.1과 3.2에 따른다.[수정] : 자구 수정 : 시공 시 ⇒ 시공할 때
3.1.8 시공관리기록은 이 시방서 4-4절 3.3에 따른다. 3.1.12 시공관리기록은 이 시방서 4-4절 3.2.3에 따른다. [수정] : 관련 번호 체계에 맞게 수정
3.1.9 분진, 소음, 수질오염 등은 환경보전법 등에서 정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 3.1.13 분진, 소음, 수질오염 등은 관련 법 등에서 정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 [수정] : 대기·환경·토양환경보전법 등을 고려 광범위한 의미 부
여 : 환경보전법 ⇒ 관련 법
3.1.10 시공 중에 조사 및 시험의 항목, 방법, 수량 등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서에서 3.1.14 시공할 때의 조사 및 시험의 항목, 방법, 수량 등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서에 따 [수정] : 자구 수정 : 시공 중에 ⇒ 시공할 때의
정한 바를 따른다. 개량효과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의 위치설정은 감독자가 정 른다. 개량효과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의 위치설정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 문장 어미 수정 : 시방서에서 정한 바를 따른다 ⇒ 공
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하여야 한다. 사시방서에 따른다. 감독자가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
다. ⇒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3.1.11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3.1.15 다음의 경우에는 시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지시를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1)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1)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2) 시공 중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2) 시공할 때 예기치 못한 지층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 [수정] 자구 수정 : 시공 중 ⇒ 시공할 때
(3) 말뚝이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3) 말뚝이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4) 말뚝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4) 말뚝의 타설 위치 및 경사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4-9 지하수위 저하공 4-6 지하수위 저하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지반의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한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연약지반의 지하수위를 저하시키기 위한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4 -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지하수위 저하공법은 투수계수가 큰 모래층, 사질토 층에 주로 적용한다. 3.1.1 지하수위 저하공법은 투수계수가 큰 모래층, 사질토층이 연약층의 상부에 퇴적 [수정} : 내용 구체화
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공법이다.
3.1.2 연약한 점토층이 두꺼울 때에는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연직배수공법을 병 [신설] : 연약층이 두꺼운 곳의 압밀 촉진에 대한 내용 신설
용하여야 한다.
3.1.2 지표에 진공장치를 설치해 배수시키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웰포인트공을 적용 3.1.3 지표에 진공장치를 설치하여 배수시키는 웰 포인트공에는 지하수위의 저하 한 [수정} : 자구 수정 : 설치해 ⇒ 설치하여
하고, 넓은 범위에 걸쳐 지하수위를 크게 저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심정 도가 5 m ∼ 6 m 정도이기 때문에 더 깊은 배수처리를 할 경우에는 웰 포인트 내용 구체화 : 적용 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내용 구체화
공을 이용한다. 를 다단으로 설치하거나 딥 웰(deep well)공법을 이용한다. 및 보완
3.1.3 우물의 위치와 깊이는 설계도면에서 정한 바를 따른다. 3.1.4 우물의 위치와 깊이는 설계도서에서 정한 바를 따른다. [수정} : 자구 수정 : 설계도면 ⇒ 설계도서
3.1.4 배수설비는 용수량을 충분히 배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과 동시에 펌프 등이 3.1.5 배수설비는 용수량을 배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과 동시에 펌프 등이 정상적 [수정] 의미 불명확한 자구 삭제 : ∼∼「용수량을 충분히」에
정상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가 필히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사태 으로 가동하고 있는 가 필히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사태에 대비 서 충분히 삭제
에 대비하는 대책을 강구해 두어야 한다. 하는 대책을 강구하여 두어야 한다. 자구 수정 : 강구해 ⇒ 강구하여
3.1.5 침사지를 경유하여 배수할 경우에는 배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충분히 가라앉은 3.1.6 침사지를 경유하여 배수할 경우에는 배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가라앉은 후 가장 [수정] 의미 불명확한 자구 삭제 : ∼∼「침전물이 충분히」에
후 가장 가까운 수로, 하천 또는 하수도, 관거 등에 방류하되, 사전에 당해 시 가까운 수로, 하천 또는 하수도, 관거 등에 방류하되, 사전에 당해 시설물 관리 서 충분히, 「시설물 혹은」에서 혹은 삭제
설물 혹은 관리자의 허가를 취득하여야 한다. 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자구 수정 한글로 순화 : 취득하여야 ⇒ 받아야
3.1.6 공사 전에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주변 지반의 침하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3.1.7 공사 전에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주변 지반의 침하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을 검토하고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검토하고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4 -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0 재하중공 4-7 재하중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포장 및 구조물 시공 후 잔류침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연약지반 상 이 시방은 연약지반에 등분포 하중을 가하여 공용하중이나 구조물하중이 작용 [수정] :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에 계획 쌓기 하중 이상의 쌓기를 실시하는 과재하중(surcharge)공법과 구조물 하기 전에 필요한 만큼의 침하가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공법으로 지반의 전단파 표준시방서 내용 구체화를 위한 상세 내용 보완 : 연약
시공에 앞서 미리 쌓기를 실시하는 프리로딩(pre-loading)공법 또는 기타 재하공 괴를 방지하기 위한 하중조절(단계성토)공법・경사완화공법・압성토공법 등과 포 지반 ∼ 하중조절(단계성토)공법・경사완화공법・압성토
법에 적용한다. 장 및 구조물 시공 후 잔류침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연약지반 상에 계획 쌓기 공법
하중 이상의 쌓기를 실시하는 과재하중(surcharge)공법과 구조물 시공에 앞서 줄임말 수정 : 위해 ⇒ 위하여
미리 쌓기를 실시하는 프리로딩(pre-loading)공법 등에 적용한다. 자구 수정: 또는 기타 재하공법에 ⇒ 등에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단계 흙쌓기 계획서 (1) 단계흙쌓기계획서
(2) 침하관리 계획서 (2) 침하관리계획서
(3) 안정관리 계획서 (3) 안정관리계획서
(4) 계측 계획서 (4) 계측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하중 재료는 흙, 대기압, 물, 콘크리트 등을 사용한다. 하중 재료는 흙, 대기압, 물, 콘크리트 등을 사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과재쌓기 재하공의 개시 및 방치, 제거 시기는 원지반의 압밀특성과 전단강도 3.1.1 과재 흙쌓기 재하공의 개시 및 방치, 제거 시기는 원지반의 압밀특성과 전단강 [수정] 용어 수정 : 쌓기 ⇒ 흙쌓기

4 -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도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1.2 계약상대자는 과재쌓기 재하 시 흙쌓기의 1층 두께를 300 ㎜이하로 하며, 300 3.1.2 계약상대자는 과재 흙쌓기 재하를 할 때 흙쌓기의 1층 두께를 300 mm 미만으 [수정]: 용어및자구수정: 과재쌓기재하시 ⇒ 과재 흙쌓기재하를할
㎜ 이상으로 흙쌓기할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로 하며, 300 mm 이상으로 흙쌓기할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때, 이하 ⇒ 미만
3.1.3 초기성토 시에는 연약지반 상부에 직접적으로 성토작업이 이루어져, 성토체의 3.1.3 초기성토를 할 때에는 연약지반 상부에 직접적으로 흙쌓기 작업이 이루어져 쌓 [수정]: 용어및자구수정: 초기성토시에는 ⇒ 초기성토를 할 때에
다짐도 확보가 어려우므로, 일정두께의 초기성토 방법은 현장에서의 시험시공 기체의 다짐도 확보가 어려우므로, 일정두께의 초기 흙쌓기 방법은 현장에서 시 는, 성토작업이 ⇒ 흙쌓기 작업이, 성토체의 ⇒ 쌓기체의,
(초기복토 또는 성토체 시공두께 변경)을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험시공(초기복토 또는 성토체 시공두께 변경)을 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초기성토 방법은 현장에서의 ⇒ 초기 흙쌓기 방법은 현장에
서, 통해 ⇒ 하여
3.1.3 과재쌓기 높이는 활동에 대한 안정성 분석과 압밀해석 결과에 의해 결정하며, 3.1.4 과재 흙쌓기 높이는 활동에 대한 안정성 분석과 압밀해석 결과에 의하여 결정 [수정]: 용어및자구수정: 과재쌓기 ⇒ 과재 흙쌓기, 의해 ⇒ 의하
필요 시 단계별로 수행한다. 단계별 쌓기 적용 시 다음 층의 재하는 이 시방서 하며, 필요할 때 단계별로 수행한다. 단계별 흙쌓기를 적용할 때 다음 층의 재 여, 필요 시 ⇒ 필요할 때, 쌓기 적용 시 ⇒ 흙쌓기를 적
4-1절의 3.5 확인지반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 감독자 하는 이 시방서 4-1절의 3.4 확인지반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보 용할 때,
의 승인을 받은 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3.1.4 우수의 침투로 흙쌓기 재료의 함수비가 높아지면 흙쌓기 작업을 중단하여도 3.1.5 빗물의 침투로 흙쌓기 재료의 함수비가 높아지면 흙쌓기 작업을 중단하여도 하 [수정] : 용어 및 자구 수정 : 우수의 ⇒ 빗물의, 우기 시에는
하중이 증가하여 활동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우기 시에는 흙쌓기 작업을 중이 증가하여 활동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우기에는 흙쌓기 작업을 중단하 ⇒ 우기에는
중단하고 우수의 침투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고 빗물의 침투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3.1.5 과재쌓기 재하공의 종료 시기는 계측 성과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구조물 3.1.6 과재 흙쌓기 재하공의 종료 시기는 계측 성과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구조 [수정]: 용어 수정 : 쌓기 ⇒ 흙쌓기
설치를 위하여 터파기 작업을 할 때에는 원지반을 이완 및 교란시키지 않도록 물 설치를 위하여 터파기 작업을 할 때에는 원지반을 이완 및 교란시키지 않도
유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록 유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6 흙쌓기 작업 중에는 항상 주변 지반의 융기와 쌓기 제체의 붕괴 등을 관찰하 3.1.7 흙쌓기 작업 중에는 항상 주변 지반의 융기와 쌓기 제체의 붕괴 등을 관찰하고,
고, 그 기록을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그 기록을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7 재하중공은 계측결과를 이용한 침하관리와 안정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시공이 3.1.8 재하중공은 계측결과를 이용한 침하관리와 안정관리를 하여 안정적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3.1.9 과재 흙쌓기를 할 때 설계할 때의 흙쌓기 재료의 단위중량과 시공할 때의 흙쌓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추가
기 재료의 단위중량이 차이가 있을 경우에 과재하중에 의한 적절한 침하관리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시공자는 이에 대한 재하흙쌓기높이 및 단위중량을 검토하
여 조정시공을 하여야 한다.

4 -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1 경량재 쌓기공(EPS 블록) 4-8 EPS 블록 쌓기공 [수정] :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양질의 성토재보다 중량이 작은 경량재를 이용하는 공사에 적용하 이 시방은 양질의 쌓기재보다 중량이 작은 경량재를 이용하는 공사에 적용하며, [수정] : 문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며, 아래의 시방은 경량재를 이용하는 방법 중 고분자 계통의 경량제품인 발포 아래의 시방은 경량재를 이용하는 방법 중 고분자 계통의 경량제품인 발포 폴 명칭의 첨자 수정 : EPS, ⇒ EPS :
폴리스틸렌(EPS, expanded poly- styrene)을 성토재 대신 이용하여 하중을 경감 리스틸렌(EPS : Expanded Poly-Styrene)을 쌓기재 대신 이용하여 하중을 경감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시키는 공사에 적용한다. 시키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M 3808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KS M 3808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수정] : 참조표준 수정
KS M 3831 경질 발포 플라스틱의 압축시험방법 KS M ISO 844 발포플라스틱-경질 재료의 압축시험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EPS 블록 설치 단면도 (1) EPS 블록 설치 단면도
(2) EPS 블록의 구조 계산서 (2) EPS 블록의 구조 계산서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2.1 재료일반

2.1.1 EPS 성토공법의 주재료는 본체인 EPS 블록과 EPS 블록을 결합시키는 연결죔 2.1.1 EPS 성토공법의 주재료는 본체인 EPS 블록과 EPS 블록을 결합시키는 연결죔쇠 [수정] : 발생하여서는 안될 내용 삭제
쇠로 구성되며, EPS 블록에는 화재에 대비해 난연재가 첨가되어야 하며, 착화하 로 구성된다.
여 화원(火源)을 제거하면 3초 이내에 스스로 소화되는 성질을 가져야 한다.
2.1.2 EPS 블록의 품질기준은 발포 비율에 따라 표 4-8-1과 같이 구분한다. 다만, 도 [신설] : 품질기준 명시
로 흙쌓기에 이용하는 EPS 블록의 압축강도는 100 kPa 이상이어야 하며, 특별

4 -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히 정한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표 4-8-1 EPS 블록의 품질기준

단위중량3 내의 한 블록 흡 수 량
구분 (kN/m ) 편차(%) 밀도 (g/100㎤) 연소성 허용압축응력 압축강도
(kPa) (kPa)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단위 SI로 수정

토목용
1호 0.3 이상 90 이상 180 이상
(D-30) 연소시간
토목용 1 120초 70 이상 140 이상
2호 0.25 이상 이하 이내
(D-25) ±5%
토목용 연소길이 50 이상 100 이상
3호 0.20 이상 60 mm
(D-20) 이하
토목용
4호 0.15 이상 1.5 이하 35 이상 70 이상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기 수정(D-16 ⇒ D-15)
(D-15)
D : Density 압축탄성한계 5 %
비고 D-30, D-25, D-20, D-15은 밀도를 (탄성변형할 변형할 때
나타냄. 때)
2.1.3 품질기준에 대한 시험방법은 KS M 3808, KS M ISO 844, KS M ISO 9772에 [신설] : 품질기준 시험방법
따른다.
2.1.4 형상 및 치수는 각 제원에 대한 허용범위(1,800 mm × 900 mm × 600 mm 의 [신설] : 재료의 형상 치수기준,
경우는 길이 1,800 mm ± 10 mm· 폭 900 mm ± 6 mm· 두께 600 mm ± 5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기 수정
mm· 2,000 mm × 1,000 mm × 500mm의 경우는 길이 2,000 mm ± 11mm· 폭
1,000 mm ± 7 mm· 두께 500 mm ± 5 mm) 이내이어야 하며, 화재에 대비하여
난연재가 첨가되어야 한다.
2.1.5 모든 EPS 블록은 100 mm × 100 mm(또는 Ø 100 mm) 또는 그 이상 규격의 [신설] : 블록의 표시할 내용에 대한 사항
스티커에 제품종류, 생산일자, 제조회사, 검수자, 화기주의를 삽입한다. 토목용 1
호는 검정색, 토목용 2호는 파랑색, 토목용 3호는 붉은색, 토목용 4호는 노랑색
바탕의 스티커에 이상의 내용이 인식될 수 있게 기재하여 EPS 블록의 측면에 부
착한다.
2.1.6 연결죔쇠의 재료기준은 표 4-8-2에 따른다.
표 4-8-2 연결죔쇠의 재료기준
[신설] : 연결죔쇠의 재료기준 추가

4 -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 기호 아연부착량 항복점 인장강도
(g/㎡) (MPa) (MPa)
일반용 SGCC Z 18 205 이상 270 이상
(180 이상)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준비공

공사의 사전준비는 본 공사의 진행, 완성된 형상에 영향을 크게 미치므로 공사를 원 [신설] : 공사에 앞서 사전준비 및 점검할 내용 추가
활히 진행하기 위하여 공사측량, 시공기계, 자재준비, 가설비, 안전시설 등을 검토하
여 공사 전에 철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3.2 굴착공

3.2.1 연약지반의 굴착 [신설] : 지반굴착때 발생되는 사항에 대한 대책 내용 추가


(1) 굴착할 때의 경사는 굴착깊이와 흙의 전단강도에 따라 다르며, 연직 또는 1: 2
경사 범위 내에서 현지 상황에 맞추어 결정하여야 한다.
(2) 굴착부는 배수에 주의하고, 건조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한다. 또한, 비가 내릴 때
에는 주변으로부터 빗물이 굴착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워야 한다.
3.1.1 EPS 블록 시공 중에는 지하수, 강우, 유입수 등에 대하여 세부대책을 수립하 (3) EPS 블록을 시공할 때에는 지하수, 강우, 유입수 등에 대하여 세부대책을 수 [수정] 용어 수정 : 블록 시공 중에는 ⇒ 블록을 시공할 때에는
여야 한다. 립하여야 한다.
3.2.2 비탈면의 굴착
3.1.2 비탈면의 땅깎기와 EPS 블록의 경계부는 용수와 침투수의 배수를 고려하여 (1) 비탈면의 땅깎기와 EPS 블록의 경계부는 용수와 침투수의 배수를 고려하여
양질의 재료로 채움을 하고 충분히 다짐을 하여야 하며, 용수가 많은 경우에는 양질의 재료로 채움을 하고 다짐을 하여야 하며, 용수가 많은 경우에는 층따기 [수정] 불필요한 단어 삭제 : 충분히 다짐을 ⇒ 다짐을
층따기 면에 배수용 시트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면에 배수용 시트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2) 굴착면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비탈면의 특성에 맞도록 굴착할 때 경사를 고 [신설] : 굴착위치에 따라 경사 고려하는 내용 추가
려하여야 한다.
3.1.3 EPS 블록을 암반 등에 붙이는 경우에는 EPS 블록과 암반 경계부에 슬라이딩 (3) EPS 블록을 암반 등에 붙이는 경우에는 EPS 블록과 암반 경계부가 잠식되어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4 굴착면이 연약한 경우에는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등을 병용하는 것이 좋으 (4) 굴착면이 연약한 경우에는 지오텍스타일 등을 병용하는 것이 좋으며, 매립지반 [수정] : 사용 재료를 제한하는 의미 삭제
며, 매립지반 등 초연약지반에서는 표층 혼합처리공법 등의 병용도 필요하다. 등 초연약지반에서는 표층 혼합처리공법 등의 병용도 필요하다.
3.3 배수공

4 -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1 지하수위의 상승을 막고 EPS 블록까지 수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신설] : 수위관리 내용 추가
3.3.2 침투수 및 예측하지 못한 유입수는 신속히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신설] : 유입수 처리 내용 추가
3.3.3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EPS 블록과 토공의 접속부에 투수시트를 깔고, 설계도서 [신설] : 배수처리 방법에 대한 내용 추가
에 따라 잡석을 포설한 후 다짐을 하여야 하며, 필요할 때에는 기초면에 투수시
트를 설치하여 상부의 물을 원활히 배출하여야 한다.
3.4 EPS 블록의 저장

3.4.1 EPS 블록은 면적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공사의 진행상황, 보관관리 체제 등 [신설] 블록 저장에 대한 내용 추가
을 고려하여 현장 저장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3.4.2 계약상대자는 EPS 블록을 저장할 때 다음 사항을 주의하여야 한다.
(1) EPS 블록은 화기에 취약하므로 특별히 화재예방 대책을 세운 후 저장하여야
한다.
(2) 바람에 의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 등으로 덮어야 한다.
(3) EPS 블록은 자외선에 의하여 열화, 변색되기 때문에 일주일 이상 태양 광선에
노출이 예상될 경우에는 시트 등으로 덮어야 한다.
(4) EPS 블록의 저장은 평평한 장소에 빗물 등이 고이지 않도록 정리한 후 받침
위에 쌓아두어야 한다.
(5) EPS 블록은 유기용재에 약하므로 석유류 등을 근접시키지 않아야 한다.
(6) EPS 블록공사의 관계자 이외에는 출입을 금지하여야 한다.
3.5 EPS 블록 설치공

3.5.1 블록설치 [신설] : 블록설치에 대한 내용 추가


(1) 현장 여건에 맞게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한 후 EPS 블록을 시공하여야 한다.
(2) EPS 블록의 설치는 블록 각 층마다 인력으로 시공하며, 전체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제1층(최하층)이 EPS 블록시공의 기준점이 되므로 설계도서에 따라
EPS 블록을 배치하여야 한다.
(3) EPS 블록의 상호 틈새는 20 mm, 단차는 10 mm 이내이어야 한다.
(4) 흙쌓기부와의 접속
① EPS 블록의 상부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는 EPS 블록의 단부에서 1 m
∼ 2 m 정도 흙쌓기부에 연장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4 -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5 EPS 블록과 성토부의 접속 구간에 대해서는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 ② EPS 블록과 흙쌓기부의 접속구간에 대해서는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정] 용어 수정 : 성토부의 ⇒ 흙쌓기부의
저히 다짐을 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제2장 2-6절에 따라 철저히 다짐을 하여야 한다.
(5) 시공할 때의 유의 사항 [신설] 시공할 때 유의 사항
① EPS 블록의 최하층 설치면(레벨링층)은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곡선부에서는 모래, 드라이 모르타르, 모르타르, 경량골재 등을 채워 조절하여
야 한다.
③ EPS 블록의 틈새는 3층 이상 연속하여 겹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5.2 연결죔쇠 [신설] : 연결죔쇠 설치에 대한 내용 추가
3.1.6 EPS 블록은 서로 엇갈리게 설치하고, 연결죔쇠로 고정하여야 한다. (1) EPS 블록은 서로 엇갈리게 설치하고, 연결죔쇠로 고정하여야 한다.
(2) 연결죔쇠는 양면형과 단면형이 있는데, 양면형은 EPS 블록의 각 층간에, 단면
형은 EPS 블록의 제일 윗면 또는 필요에 따라 EPS 블록의 측면에 설치하여
야 한다.
(3) 연결죔쇠의 표준수량은 EPS 블록 1 ㎥에 2개, EPS 블록 1 ㎡ 에 1개, 가공블
록은 블록마다 1 개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첫째 단(시공기준면 바로 위) 및 비탈면 절단부 등에는 필요에 따라 EPS 블록
에 L형 핀을 박아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다.
3.5.3 가공 및 절단 [신설] : 블록의 가공 및 절단에 대한 내용
EPS 블록의 가공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재료표에 따라 공장에서 가공하여야 한
다. 다만, 현장에서 가공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열선 와이어를 이
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3.6 콘크리트 슬래브공

3.6.1 콘크리트 슬래브는 강도 21 MPa 이상의 조강콘크리트를 100 mm ∼ 150 mm [신설] : 블록위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에 대한 내용
정도 두께로 포설하며, 내부에는 철근을 조립하거나 와이어메쉬를 사용하여야
한다.
3.6.2 EPS 블록쌓기공법은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여 부력에 저항하도록 [신설] : 콘크리트 부력에 대한 내용
하여야 한다.
3.6.3 콘크리트 슬래브는 하중 분산층으로서 작용하며, 지반부와 일체화 등 구조상의 [신설] : 콘크리트 슬래브 응력에 대한 내용
배려가 필요한 경우에는 응력분산 및 부력에 대하여 안전을 고려하여 슬래브
두께를 결정하여야 한다.

4 -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4 중간 콘크리트 슬래브는 EPS 블록의 4층 ∼ 6층마다 1군데를 설치한다. 다만, [신설] : 콘크리트 슬래브 앵커에 대한 내용
앵커 등의 설치형태가 다른 경우에는 현장 여건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3.6.5 땅깎기·흙쌓기부와 종·횡단방향의 접속부는 접속구간을 설정하여 노상, 노체에 [신설] : 접속부 연속성 유지에 대한 내용
대한 지지력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접속부의 경사는 1:2 ∼1: 4로 한다.
3.6.6 EPS 블록과 토공 연결부위 접속부의 콘크리트를 칠 때 상부와 하부의 원활한 [신설] : 접속부 배수에 대한 내용
배수를 위하여 상부의 물을 하부로 유출시킬 수 있는 배수 파이프(Ø 75 mm)를
종·횡방향으로 1.5 m 마다 1군데씩 설치하여야 한다.
3.6.7 벽면공이 있는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는 벽면공과 연결되어야 하며, 지반침하 등 [신설] : 벽면공 응력에 대한 내용
에 의하여 벽면공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슬라이드 폼(slide form)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3.7.7 구조물 인접 설치시 콘크리트 슬래브를 구조물까지 연장 설치하여 슬래브 하부 [신설] 외부물질 침투 방지 내용
EPS 블록으로 외부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7 벽면공

3.1.7 EPS 블록의 자립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벽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3.7.1 벽면공은 EPS 블록의 자립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호벽을 말하며, 보 [수정] : 벽면공 보호벽에 대한 내용 수정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호벽은 다음과 같은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1) 태양광선(자외선)에 의한 EPS 블록의 변색 방지 (1) 태양 광선(자외선)에 의한 EPS 블록의 변색 방지
(2) 주변 화재로부터 연소 방지 (2) 주변 화재로부터 연소 방지
(3)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방지 (3) 충격 등에 의한 파손 방지
3.7.2 벽면공은 EPS 블록의 자립면에 발생하는 측압과 배면 및 원 지반으로부터 토 [신설] : 벽면공 구조계산에 대한 내용
압에 대응하는 구조벽으로서 구조계산을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8 비탈면 보호공

3.1.8 EPS 블록의 비탈면은 EPS 블록이 유해한 물질과 주변 화재로부터 보호되도록 3.8.1 EPS 블록의 비탈면은 EPS 블록을 유해한 물질과 주변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수정] : 법면유실에 대한 내용 수정
투수계수가 작은 재료를 이용하여 최소 500㎜이상 복토하고 다짐하여야 한다.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투수계수가 작은 재료를 이용하여 최소 500 mm 이
상 복토 후 다짐하며, 비탈면 유실이 되지 않도록 시공 및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3.8.2 EPS 블록의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식생용 씨앗을 뿌리고, 그 위에는 세굴 [신설] : 블록 비탈면 보호공에 대한 내용
보호용 매트 등을 깔아 비탈면의 유실을 보호하여야 한다.

4 -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8.3 특히 유류 물질과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시트 [신설] : 비탈면처리에 대한 내용
를 이용하여 비탈면 처리를 하여야 한다.
3.8.4 연약지반 등에서 복토가 두꺼운 경우에는 EPS 블록과 복토 간의 부등침하로 [신설] : 블록 복토에 대한 내용
인하여 상부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다짐에 의한 복토를 실시하
여야 한다.
3.9 품질관리

3.9.1 형상 및 평탄성 관리 [신설] : 블록의 형상과 평탄성에 대한 내용


(1) 모든 EPS 블록면은 평면이며, 각각의 면에 대해서는 서로 직각이어야 한다.
또한 2 m 이상의 직선자로 측정하였을 때 평면으로부터 굴곡의 두께가 3 mm
이상 벗어나서는 안 된다.
(2) EPS 블록의 측정은 ± 2 mm 혹은 그 이하로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하며, 각
치수의 폭과 길이는 중앙과 양끝 세 측점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으로 나타낸
다.
(3) EPS 블록면의 평탄성은 ± 3 mm 이하로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현장에서
는 납품된 제품에 대하여 치수와 평탄성은 20블록마다 평균 1블록에 측정하
며, 한 현장에 대하여 최소 10 블록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3.9.2 자재반입 검사 [신설] : 블록 자재 검사에 대한 내용
(1) 계약상대자는 재료의 시험성적서와 품질에 관련한 자료를 중심으로 자재반입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자재반입 검사는 EPS 블록을 현장에 반입하여 하차 전에 실시한다. 계약상대
자는 2 m 이상의 줄자와 350 N 이상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저울을 준비하여,
현장에서 20블록마다 1개씩 검사한 후 이를 기록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현장 측정결과를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 때
한 트럭마다 2개 이상이 품질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트럭에 적
재된 자재는 반품시켜야 한다.
3.9.3 압축강도 [신설] : 블록 압축강도에 대한 내용
(1) 도로 흙쌓기용 EPS 블록에 대한 압축강도는 표 4-8-1에 따르며, 압축강도시험
은 KS M ISO 844(또는 KS F 2314 시험 방법)에 따른다.
(2) 모든 시험블록에 대한 압축강도의 평균값은 표 4-8-1에 나타난 설계강도 값

4 -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상이어야 한다.
(3) 압축강도를 위한 시험빈도는 표 4-8-3에 따른다.
<표 4-8-3> 압축 강도 시험을 위한 최소 블록량

EPS 블록 시공량(㎥) 시험블록 비 고


시공량 < 2,000 2
2,000 ≤ 시공량 < 5,000 3
5,000 ≤ 시공량 < 10,000 4
10,000 이상 2,000 ㎥마다 1블록

(4) 시편 제작
① 시편 제작은 EPS 블록의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각각 3개의 시료(50 mm × 50
mm × 50 mm 또는 ø 50 mm × 100 mm)를 채취하며, 각 시료에는 현장명
블록번호 시편번호 시편제작일 등을 표기하여야 한다.
② 시편은 압축시험 전에 최대 60 ℃인 건조로 안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야
한다.
③ 시편에 있어서 약간의 함수량은 일반적으로 압축강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
만, 단위중량의 결정에는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시편은 대기온도까지 식혀야
하며, 0.01 g의 정밀도를 갖는 저울로 측정하여야 한다. 밀도 계산을 위한 육
면체 시편의 치수는 0.5 mm의 정확도로 측정하여야 한다.
(5) 시험방법
EPS 블록에 대한 압축강도는 1분마다 시편 높이의 약 10 %의 변형율을 갖는 일
축 압축장비로 측정하며, 시험장비는 시편에 대하여 하중에 따른 변형 특성을 연속
적으로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6) 시험결과
① 계약상대자는 압축시험으로 부터 응력-변형율 곡선을 작성하여야 한다.
② 시험결과는 밀도, 난연성 여부도 함께 기록하여야 한다.
3.9.4 연소성 [신설] : 블록의 연소성에 대한 내용
(1) 연소성에 대한 시험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KS M ISO 9772에 따른다.

4 -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2 치환공 4-9 치환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쌓기 제체의 안정을 확보하고 침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약층의 이 시방은 흙쌓기 제체의 안정을 확보하고 침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약층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쌓기 ⇒ 흙쌓기
일부 또는 전체를 양질의 토사로 치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의 일부 또는 전체를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2. 재 료 2. 재 료
치환재료는 사전에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설계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질토 치환재료는 사전에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설계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를 사용하여야 한다. 질의 재료(토사, 모래, 자갈 및 기타)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굴착치환공 3.1 굴착치환공

3.1.1 연약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굴착 제거하여 양질토로 치환한다. 3.1.1 연약층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굴착 제거하여 양질토로 치환한다.
3.1.2 연약층의 두께가 3 m 이내인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굴착 치환한다. [신설] : 굴착 두께에 따른 치환방법 추가
3.1.3 연약층의 두께가 3 m 이상인 경우에는 시공이 용이한 상층 일부를 제거하여 치 [신설] : 굴착 두께에 깊은경우의 치환방법
환하고, 복합지반으로 안정처리를 하여 침하를 촉진한다.
3.1.4 필요할 때에는 상기 연약층 두께 3 m의 제한값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변경할 [신설] : 굴착 두께에 치환방법
수 있다.
3.1.2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 연약지반 굴착 시 유입수를 배수하게 되면 굴착비탈 3.1.5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 연약지반을 굴착할 때 유입수를 배수하게 되면 굴착 [수정] : 자구 수정 : 연약지반 굴착 시 ⇒ 연약지반을 굴착 할 때
면이 붕괴되기 쉽고 배수로 설치 등에 따른 추가굴착이 수반되므로 다짐을 필 비탈면이 붕괴되기 쉽고, 배수로 설치 등에 따른 추가굴착이 수반되므로 다짐을

4 -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요로 하지 않는 양질의 치환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수를 하지 않아야 한다. 필요로 하지 않는 양질의 치환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배수를 하지 않아야 한다.
3.1.3 굴착비탈면의 붕괴를 막기 위해 굴착의 진행에 따라 신속히 치환재료를 반입 3.1.6 굴착 비탈면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굴착의 진행에 따라 신속히 치환재료를 반 [수정] : 자구 수정 : 위해 ⇒ 위하여
하여야 한다. 입하여야 한다.
3.1.4 치환두께는 시공장비의 작업능력과 시공성에 따라 결정하며, 시공이 용이한 상 3.1.7 치환두께는 시공장비의 작업능력과 시공성에 따라 결정하며, 시공이 용이한 상
부층 일부만을 제거할 경우에는 복합지반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부층 일부만을 제거할 경우에는 복합지반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3.2 강제치환공 3.2 강제치환공

3.2.1 강제치환공법은 흙쌓기의 자중 또는 폭파에 의해 연약층을 밀어내고 양질의 3.2.1 강제치환공법은 흙쌓기의 자중에 의하여 연약층을 강제적으로 밀어 양질의 재 [수정] : 강제치환방법을 자중과 폭파에 의한 방법으로 내용 설
재료로 치환한다. 료로 치환한다. 명 보완
3.2.2 측방에 융기한 연약지반은 신속히 제거하여 다음 단계 강제치환에서 융기한 3.2.2 측방에 융기한 연약지반은 신속히 제거하여 다음 단계 강제치환에서 융기한 연
연약토가 수동저항력으로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 약토가 수동저항력으로 작용하지 않아야 한다.
3.2.3 자중치환공법은 쌓기 자중에 의해 연약토를 측방으로 밀어내어 양질의 재료로 3.2.3 자중치환공법은 쌓기 자중에 의하여 연약토를 측방으로 밀어내어 양질의 재료 [수정] : 자구 수정 : 의해 ⇒ 의하여
치환하며, 흙쌓기는 도로 중앙부로부터 선행하여 외측으로 진행한다. 로 치환하며, 흙쌓기는 도로 중앙부로부터 선행하여 외측으로 진행한다.
3.2.4 폭파치환공법은 폭파에 의해 연약층을 측방으로 밀어내어 양질의 재료로 치환 [삭제 및 신설] : 폭파치환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삭제하고
하며, 주변 구조물이 있는 경우 시험시공을 통해 진동평가를 수행하여야 한다. 폭파에 대한 3.2.4, 3.2.5, 3.2.6을 삭제하고, 치
3.2.5 시공에 필요한 화약의 사용과 보관은 관계법령에 따라야 하며, 위해 및 도난을 환깊이 확인을 위한 3.2.4, 3.2.5를 추가
방지하여야 한다.
3.2.6 발파 시에는 사고방지를 위하여 안전원을 배치하고 사이렌, 호각 등을 이용하
여 주위를 환기시켜야 한다.
3.2.4 치환된 부분은 지반조사에 의하여 치환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2.5 치환 깊이가 부족한 경우에 대하여 강제압출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이 시방
서는 쌓기 제체의 안정을 확보하고 침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약층의 일부
또는 전체를 양질의 토사로 치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4 -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3 동다짐 및 동치환공 4-10 동다짐 및 동치환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무거운 추를 높은 곳으로부터 자유낙하 시켜 지반의 심층까지 다짐 이 시방은 무거운 추를 높은 곳으로부터 자유낙하 시켜 지반의 심층까지 다짐 [수정] : 설명내용 추가 수정
효과를 일으키는 동다짐(동압밀)공법과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쇄석 또 효과를 일으키는 동다짐(동압밀)공법과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쇄석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는 모래자갈 등의 재료를 직접 타격함으로써 지중에 대직경의 말뚝을 형성시키 또는 모래자갈 등의 재료를 직접 타격함으로써 충격 에너지가 지반의 심층까지 줄임말 수정 : 위해 ⇒ 위하여
는 동치환 공법에 적용한다. 다짐효과를 일으켜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동다짐 계획서 (1) 동다짐 계획서
(2) 안정관리 계획서 (2) 안정관리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동치환공 2.1 동치환공

2.1.1 치환재료로는 모래자갈 또는 사석을 이용하며,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운반 2.1.1 치환재료로는 모래자갈 또는 사석을 이용하며, 운반 및 이동시킬 때에는 이물질 [수정] : 문장 내용의 위치 조정
및 이동 시 철저히 품질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 섞이지 않도록 철저히 품질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동다짐공 3.1 동다짐공

3.1.1 공법의 적용은 다짐에 의한 밀도증가, 지지력 증가 및 균일화, 잔류침하의 감 3.1.1 공법의 적용은 다짐에 의한 밀도증가, 지지력 증가 및 균일화, 잔류침하의 감소,

4 -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소, 지진 시의 액상화 방지, 침하촉진, 강제치환, 수중의 쇄석 마운드의 다짐 지진에 의한 액상화 방지, 침하촉진, 강제치환, 수중의 쇄석 마운드의 다짐 등에 [수정] 자구 수정 : 지진 시의 ⇒ 지진에 의한
등에 이용한다. 이용한다.
3.1.2 동다짐공은 지중에 충격하중을 가하여 수평방향의 인장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3.1.2 동다짐공은 지중에 충격하중을 가하여 수평방향의 인장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직방향의 균열과 간극수압이 소산되어 지반의 압축을 촉진한다. 수직방향의 균열과 간극수압이 소산되어 지반의 압축을 촉진한다.
3.1.3 동다짐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각 낙하지점에 가하여야 하므로 다짐효과가 필요 3.1.3 동다짐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각 낙하지점에 가하여야 하므로 다짐효과가 필요
한 만큼의 낙하횟수를 결정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한 만큼의 낙하횟수를 결정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3.1.4 불투수층이나 포화지반인 경우에는 매 타격 시 심도에 따라 지반 내 간극수압 3.1.4 불투수층이나 포화지반인 경우에는 타격할 때마다 심도에 따라 지반 내 간극수 [수정] 자구 수정 : 매 타격 시 ⇒ 타격할 때마다, 한글로 순화
이 증가하고, 액화상태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타격에너지를 가하는 것이 효과 압이 증가하고, 액화상태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타격에너지를 가하는 것이 효과
가 없으므로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가 없으므로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5 타격 간격은 1회 타격에너지와 개량에 필요한 총 소요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3.1.5 타격 간격은 1회 타격에너지와 개량에 필요한 총 소요에너지의 크기를 비교하
전 면적에 필요한 에너지를 고르게 공급하도록 격자망을 짜서 타격하여야 한다. 여, 전체 시공면적에 필요한 에너지를 고르게 공급하도록 격자망을 짜서 타격하 [수정] 자구 수정 : 전 면적 ⇒ 전체 시공면적
여야 한다.
3.1.6 개량대상지반의 특성에 적합한 동다짐 간격 및 1회 타격에너지(추 무게 및 낙 3.1.6 개량대상지반의 특성에 적합한 동다짐 간격 및 1회 타격에너지(추 무게 및 낙 [수정] 동다짐 시험시공 방법에 내용 추가하여 수정
하고)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다짐효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하고)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다짐효과를 확인하여야 하며. 시
험시공할 때에 추의 중량(W)과 낙하고(H) 결정, 타격 간격(L), 타격 횟수(N),
시리즈 수(N), 정치기간, 마무리 탬핑을 시행하여야 한다.
3.1.7 최초에 심부를 다져서 개량하고, 순차적으로 상부개량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1.7 최초에 심부를 다져서 개량하고, 순차적으로 상부개량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마무리 다짐으로 지표면을 다지도록 한다. 마무리 다짐으로 지표면을 다지도록 한다.
3.1.8 포화점성토와 세립분이 많은 포화사질토 등의 개량에서는 타격에 따른 과잉간 3.1.8 포화점성토와 세립분이 많은 포화사질토 등의 개량에서는 타격에 따른 과잉간
극수압이 소산될 때까지 정치기간을 두어야 하며, 배수공법과 병용할 경우에는 극수압이 소산될 때까지 정치기간을 두어야 하며, 배수공법과 병용할 경우에는
정치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정치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3.1.9 시공 시 인접지역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환경영향 및 인접구조물의 안정성에 3.1.9 시공할 때에는 인접지역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환경영향 및 인접구조물의 안 [수정] : 자구 수정 : 시공 시 ⇒ 시공항 때에는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3.1.10 지표면 부근에 연약 점성토가 존재하거나 지하수위가 높아 시공이 어려운 경 3.1.10 지표면 부근에 연약 점성토가 존재하거나 지하수위가 높아 시공이 어려운 경
우 또는 연약 점성지반이나 유기질 지반의 두께가 두껍게 존재하는 경우에 우 또는 연약 점성지반이나 유기질 지반의 두께가 두껍게 존재하는 경우에 다
다짐 전 배수처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짐 전 배수처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2 동치환공 3.2 동치환공

3.2.1 시공 일반 사항은 상기 3.1항에 따르며, 기타 사항은 해당 공사시방서를 따른다. 3.2.1 시공 일반 사항은 상기 3.1항에 따르며, 기타 사항은 해당 공사시방서를 따른다.

4 -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4 진동다짐공 4-11 진동다짐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느슨한 모래지반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물을 압축 분사하여 지반을 굴착하 이 시방은 느슨한 모래지반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물을 압축 분사하여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고 여기에 모래, 자갈 등의 적당한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지중에 말뚝을 지반을 굴착하고, 여기에 모래・자갈 등의 적합한 복합재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줄임말 수정 : 위해 ⇒ 위하여
조성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지중에 말뚝을 조성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자구수정 : 적당한 ⇒ 적합한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굴착계획 (1) 굴착계획
(2) 재료투입계획 (2) 재료투입계획
(3) 다짐계획 (3) 다짐계획
2. 재 료 2. 재 료
투입재료는 모래, 자갈 등을 사용한다. 투입재료는 모래, 자갈 등을 사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말뚝의 배치와 크기는 물론 시공범위, 치환율, 투입량, 개량강도에 대해서는 설 3.1.1 말뚝의 배치와 크기는 물론 시공범위, 치환율, 투입량, 개량강도에 대해서는 설
계도면이나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를 따라야 한다. 계도면이나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를 따라야 한다.
3.1.2 지반융기 또는 침하에 대해서는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도 지반 높이를 측정하 3.1.2 지반 융기 또는 침하에 대해서는 시공할 때나 시공이 끝난 다음에도 지반 높이 [수정] : 띄어쓰기 수정 및 자구 수정 :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
여야 한다. 를 측정하여야 한다. 도 ⇒ 시공할 때나 시공이 끝난 다음에도

4 -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분진, 소음, 수질오염 등은 환경보전법에서 정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 3.1.3 분진, 소음, 수질오염 등은 관련 법 등에서 정한 기준을 따라야 한다. [수정] : 환경보전법 ⇒ 관련 법 으로 수정,
3.1.4 시공 중에 조사 및 시험의 항목, 방법, 수량 등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서에서 정 3.1.4 시공할 때의 조사 및 시험의 항목, 방법, 수량 등에 대해서는 공사시방서에서 [수정] : 자구 수정 : 시공 중 ⇒ 시공할 때
한 바를 따르고, 개량효과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의 위치설정은 감독자의 승인 정한 바를 따르고, 개량효과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의 위치설정은 감독자의 승인
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3.1.5 다음의 경우에는 수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 3.1.5 다음의 경우에는 수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인 [수정] 줄임말 수정 : ∼토록 ⇒ 하도록
인을 받아 시행토록 한다. 을 받아 시행하도록 한다.
(1)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1)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2) 말뚝이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2) 말뚝이 절단된 경우 또는 재료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 [수정] 띄어쓰기 수정
(3) 말뚝의 위치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3) 말뚝의 위치가 허용범위를 초과한 경우

4-15 약액주입공 4-12 약액주입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지하수 오염이 되지 않는 약액을 지반에 투입시켜 지반의 투수계수 이 시방은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는 약액을 지반에 투입시켜 지반의 투수계수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를 감소시키거나 지반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행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를 감소시키거나 지반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행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 지하수 오염이 되지 않는 ⇒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는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2.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약액주입 계획서 (1) 약액주입 계획서

4 -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안정관리 계획서 (2) 안정관리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종류 2.1 재료의 종류

2.1.1 물유리계 : 알칼리계, 비알칼리계, 특수실리카계, 기․액반응계 2.1.1 물유리계 : 알칼리계, 비알칼리계, 특수실리카계, 기․액반응계
2.1.2 고분자계 : 크롬리그닌계, 아크릴아미드계, 우레아계, 우레탄계 2.1.2 고분자계 : 크롬리그닌계, 아크릴아미드계, 우레아계, 우레탄계
2.1.3 약액주입재료는 지하수 오염 등 지반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야 2.1.3 약액주입재료는 지하수 오염 등 지반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
한다. 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시험주입 시는 시험 주입 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1 시험주입할 때에는 시험 주입 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시험주입 시는 ⇒ 시험주입할 때에는
3.1.2 현장주입시험은 약액주입 시 미리 주입계획지반 또는 이와 동등한 지반에 설 3.1.2 현장주입시험은 약액을 주입할 때 미리 주입 계획 지반 또는 이와 동등한 지반 [수정] 자구 수정
계대로 약액이 주입되었는지를 조사하여야 한다. 에 설계대로 약액이 주입되었는지를 조사하여야 한다.
3.1.3 천공이 완료되면 원활한 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공내의 슬라임 등을 청수의 3.1.3 천공이 완료되면 원활한 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공 내의 슬라임 등을 맑은 [수정] 자구 수정 한글로 순화 : 청수의 순환으로서 세척하되
순환으로서 세척하되 청수가 배출될 때까지 실시한다. 물의 순환으로써 세척하되 맑은 물이 배출될 때까지 실시한다. 청수가 ⇒ 맑은 물의 순환으로써 세척하되 맑은 물이
3.1.4 사용수는 신선하고 깨끗하며, 점토, 이토, 알칼리 등 품질에 유해한 물질이 포 3.1.4 사용하는 물은 신선하고 깨끗하며, 점토 이토 알칼리 등 품질에 유해한 물질이 [수정] 자구 수정 한글로 순화, 조사 수정 : 사용수는 ⇒ 사용하
함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포함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는 물은, 가운데점 사용
3.1.5 주입량 및 주입압은 필히 자동기록 장비를 사용하여 관리를 하여야 한다. 3.1.5 주입량 및 주입압은 필히 자동기록 장비를 사용하여 관리를 하여야 한다.
3.1.6 약액주입 작업 시에는 주입압력과 주입량을 연속하여 감시하고 예상치 못한 3.1.6 약액주입 작업을 할 때에는 주입압력과 주입량을 연속하여 감시하고, 예상치 못 [수정] 자구 수정 : 작업 시에는 ⇒ 작업을 할 때에는
변화가 생기는 경우 즉시 주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여 필요한 조치를 한 변화가 생기는 경우 즉시 주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여 필요한 조치
취하여야 한다. 를 취하여야 한다.
3.1.7 지하매설물에 근접하여 약액의 주입을 시공할 경우에는 약액이 해당 지하매설 3.1.7 지하매설물에 근접하여 약액의 주입을 시공할 경우에는 약액이 해당 지하매설
물에 유입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물에 유입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1.8 현장에서 약액의 보관은 비산, 누출, 동결, 도난, 화재 등의 예방조치를 하여야 3.1.8 현장에서 약액의 보관은 비산, 누출, 동결, 도난, 화재 등에 대한 예방조치를 하 [수정] : 조사 수정
한다. 여야 한다.
3.1.9 약액을 주입한 지반으로부터 발생한 잔토의 처리는 지하수 및 공공용수 등을 3.1.9 약액을 주입한 지반으로부터 발생한 잔토의 처리는 지하수 및 공공용수 등을

4 - 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10 대수층 또는 동수지반에서는 지하수류에 의해 약액이 희석되거나 유실되지 3.1.10 대수층 또는 동수지반에서는 지하수류에 의하여 약액이 희석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약액 주입설계 시 주입 모델시험을 하여 지하수의 유속정도에 따라 않도록 약액주입 설계를 할 때 주입 모델시험을 하여 지하수의 유속정도에 따 [수정] 자구 수정 : 의해 ⇒ 의하여
겔 타임(gel time), 주입량, 주입속도, 농도, 주입률 등을 조정하여야 한다. 라 겔 타임(gel time), 주입량, 주입속도, 농도, 주입률 등을 조정하여야 한다. 띄어쓰기 및 자구 수정 : 약액 주입설계 시 ⇒ 약액주입 설계할 때
3.1.11 할렬주입으로 인해 수압파쇄(hydro-fracturing), 지반융기 현상 등이 일어나지 3.1.11 할렬주입으로 인하여 수압파쇄(hydro-fracturing), 지반융기 현상 등이 일어나
않도록 주입압· 약액농도· 주입률 등을 검토하여야 하며, 반드시 현장에서 주 지 않도록 주입압· 약액농도· 주입률 등을 검토하여야 하며, 반드시 현장에서 [수정] 자구 수정 : 인해 ⇒ 인하여
입시험을 거쳐 약액주입을 하여야 한다. 주입시험을 거쳐 약액주입을 하여야 한다.
3.1.12 주입은 대상지반의 토질 및 지하수의 특성에 따라 정량 주입보다는 정압 주 3.1.12 주입은 대상지반의 토질 및 지하수의 특성에 따라 정량 주입보다는 정압 주입
입을 하여야 한다. 을 하여야 한다.
3.1.13 투수계수가 커서 주입 폭이 두꺼울 때는 주입공의 간격을 줄이고 주입렬을 3.1.13 투수계수가 커서 주입 폭이 두꺼울 때는 주입공의 간격을 줄이고, 주입렬을 증
증대시켜야 한다. 대시켜야 한다.
3.1.14 시공에 있어 수직성, 시공심도 등을 신중히 관리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 시설 3.1.14 시공에 있어 수직성, 시공심도 등을 신중히 관리하여야 한다. 특히 기존 시설
물 손상 방지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물 손상 방지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3.1.15 시공 도중 또는 시공 후 보일링, 융기 등의 발생여부에 대하여 수시로 감독자 3.1.15 시공 도중 또는 시공 후 보일링, 융기 등의 발생여부에 대하여 수시로 감독자
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1.16 시공 후 확인시험을 수행하여 주입에 의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여부 3.1.16 시공 후 확인시험을 수행하여 주입에 의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여부
를 확인하여야 한다. 를 확인하여야 한다.
3.1.17 확인은 보강지역을 일정하게 구획하여 보강대상 지역에 대해 균등하게 확인 3.1.17 확인은 보강지역을 일정하게 구획하여 보강대상 지역에 대하여 균등하게 확인
될 수 있도록 실시하고, 다음의 방법을 참고하여 복합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주 될 수 있도록 실시하고, 다음의 방법을 참고하여 복합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주 [수정] 자구 수정 : 대해 ⇒ 대하여
입재가 지반에 양호하게 분포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입재가 지반에 양호하게 분포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한다.
(1) 굴착 후 육안에 의한 확인 (1) 굴착 후 육안에 의한 확인
(2) 지반조사 및 시험을 통한 확인 (2) 지반조사 및 시험을 통한 확인
(3) 물리탐사에 의한 비파괴 확인 (3) 물리탐사에 의한 비파괴 확인
(4) 주입상황이나 기록에 의한 간접 확인 (4) 주입상황이나 기록에 의한 간접 확인

4 - 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16 표층혼합처리공 4-13 표층혼합처리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지반의 표층부분이 매우 연약한 경우 표층의 강도 증가와 균질화를 이 시방은 지반이 매우 연약한 경우 지반의 고결화 및 강도 증가를 통한 장비 [수정] 자구 및 문장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도모하여 장비의 시공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공사에 의 시공성 및 지반의 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표층부에 첨가재를 투입하거나,
적용한다. 첨가재를 액체로 만들어 이를 지반에 고압 주입 또는 토사와 혼합시키는 공사
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및 사용재료의 규정에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대한 내용 추가
KS L 5210 고로슬래그 시멘트
KS L 9501 공업용 석회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헙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방법
1.2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2 시공계획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신설] 시공계획서 포함하여야할 내용 명기
(1) 준비
(2) 배합방법
(3) 다짐
(4) 양생
(5) 표토층 처리
1.3.3 혼합비율에 따른 실내배합시험을 수행하고, 다음 사항을 포함한 시험성적서를 [신설] 실내배합시험 수행후 시험성적서에 포함을 내용 명기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사용재료의 기본물성
(2) 배합 또는 교반방법, 양생 조건

4 - 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혼합비율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양질의 토사와 석회계(생석회, 소석회), 시멘트계, 석고계 등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2.1.1 혼합에 사용하는 토사는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흙을 사용할 수 있다. [수정] : 사용재료와 첨가재료의 내용분리
2.1.2 첨가재료로서 시멘트, 석회 및 석고 등을 사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 또는 배합시험에서 얻은 결과를 [수정] : 1.3 제출물 내용과 중복으로 삭제
토대로 시공 계획서를 작성,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2 대상지역에서 풀이나 나무뿌리가 있는 경우 사전에 이를 제거하여야 하며, 시 3.1.1 대상지역에서 풀이나 나무뿌리가 있는 경우 사전에 이를 제거하여야 하며, 시공
공장소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시공에 지장이 없도록 배수 처리한다. 장소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시공에 지장이 없도록 배수 처리한다.
3.1.3 표층배수공은 시공할 지표면에 트렌치(trench)를 굴착하여 지표수를 배제하고3.1.2 표층배수공은 시공할 지표면에 트렌치(trench)를 굴착하여 지표수를 배제하고
지반 표층부의 함수비를 저하시켜 시공기계의 주행성을 확보한다. 지반 표층부의 함수비를 저하시켜 시공기계의 주행성을 확보한다.
3.1.4 가장 유효한 첨가재의 종류와 첨가량에 대해서는 공사 착수 전에 배합시험을 3.1.3 가장 유효한 첨가재의 종류와 첨가량에 대해서는 공사 착수 전에 배합시험을
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1.5 첨가재에 의한 안정처리는 가능한 깊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동일한 밀도로 개 3.1.4 첨가재에 의한 안정처리는 가능한 깊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동일한 밀도로 개량
량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5 모래의 함유량이 많으면 첨가재가 유효하지만, 유기물이 많은 흙의 경우에는 효 [신설] : 지반의 입도 분포에 대한 내용
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3.1.6 석회계(생석회 등) 첨가제 사용 시 발열 등에 의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하여 3.1.6 석회계(생석회 등) 첨가재를 사용할 때는 발열 등에 의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 [수정] 자구 수정 : 첨가제 사용 ⇒ 첨가재를 사용할 때는
야 한다. 하여야 한다.
3.2 시공

3.2.1 계약상대자 공사시작 전에 3종 이상의 혼합비율에 대하여 KS F 2405 또는 KS [신설] : 배합비 결정에 대한 관련 규정 조항 추가
F 2422의 방법으로 강도시험을 실시하고, 최적배합비를 결정한 후 시공하여야

4 -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1) 시료의 함수비
(2) 양생조건
(3) 시료의 강도
(4) 다짐
3.2.2 혼합은 대상토와 안정처리제와의 혼합 흔적이 없고 안정처리제의 색이 눈에 띄 [신설] : 안정처리제의 대상토와 혼합 방법 내용 추가
지 않을 때까지 혼합시킨다.
3.1.7 다짐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3.2.3 다짐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1) 일층 및 완성두께가 300㎜이하가 되도록 고르게 깔고 충분히 다짐을 실시하 (1) 한층 및 완성두께가 300 mm 이하가 되도록 고르게 깔고, 다짐을 실시하여야 [수정] 자구 수정 : 일층 ⇒ 한층
여야 한다. 한다. 의미 불명확한 충분히 삭제
(2) 다짐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안정처리토에 공동이 생기지 않도록 포설작업을 (2) 다짐을 하지 않을 때에는 안정처리토에 공동이 생기지 않도록 포설작업을 시 [수정] 문구 수정
시행하여야 한다. 행하여야 한다.
3.1.8 다짐, 포설작업 완료 뒤에는 일정의 강도가 얻어질 때까지는 필요한 경우 양생 3.2.4 다짐, 포설작업 완료 후에는 일정한 강도가 얻어질 때까지 양생을 하여야 한다. [수정] : 문장의 내용 정리
을 하여야 한다.
3.1.9 양생할 때에는 급격한 건조에 주의하고, 중하중의 통과를 가능한 한 피하여야 3.2.5 양생할 때에는 급격한 건조에 주의하고, 중하중의 통과를 허용하지 말아야 한 [수정] 자구 수정 : 한 피하여야 한다 ⇒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한다. 다.
3.2.6 시공관리사항 [신설] : 시공관리 사항을 추가
(1) 혼합토사의 평균강도는 설계도서에서 정하는 기준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2) 혼합 처리된 표층의 두께 확인을 위하여 지반의 표고를 측정, 관리한다.
4-17 심층혼합처리공 4-14 심층혼합처리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원위치에서 기계식 혼합처리방식 또는 분사식 혼합처리방식으로 두 이 시방은 심층부의 지반이 매우 연약한 경우 첨가재를 투입하여 원지반 토사 [수정] 자구 및 문장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꺼운 연약토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단시간에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공사에 와 혼합한 후 화학반응을 일으켜 지반의 고결화 및 강도 증가를 통하여 장비의 조사 수정 : 심층부에 ⇒ 심층부의
적용한다.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지반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4 -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및 사용재료의 규정에
KS L 5210 고로슬래그 시멘트 대한 내용 추가
KS L 9501 공업용 석회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방법
1.2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와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절과 해당항목의 일치 확인의 정보 제공
1.3.1 시공계획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신설] : 시공계획서에 포함할 내용 추가
(1) 준비
(2) 배합방법
(3) 다짐
(4) 양생
(5) 표토층 처리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2.1 재료일반

2.1.1 혼합처리공법에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시멘트, 석회 등이 있으며, 기타 용액형 2.1.1 혼합처리공법에 사용되는 첨가재로서 시멘트 석회 등이 있으며, 기타 용액형 물 [수정] : 용어 수정 : 첨가제 ⇒ 첨가재
물유리계, 복합형 물유리계, 특수 실리카계에서 사용되는 첨가제(혼화제 등)는 유리계 복합형 물유리계 특수 실리카계에서 사용되는 첨가재(혼화재 등)는 공사 동격의 용어에 대해 가운데 점 사용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른다.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른다.
2.1.2 시멘트 2.1.2 시멘트
(1) 시멘트는 KS 규격품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1) 시멘트는 KS 규격품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2) KS L 5201 포틀랜드시멘트 (2) KS L 5201 포틀랜드시멘트
(3) KS L 5210 고로슬래그시멘트 (3) KS L 5210 고로슬래그시멘트
2.1.3 석회 2.1.3 석회
(1) 석회는 KS 규격품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1) 석회는 KS 규격품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① KS L 9501 공업용 석회 ① KS L 9501 공업용 석회
2.1.4 기타 2.1.4 기타

4 -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기타 첨가제는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른다. (1) 기타 첨가재는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하는 바에 따른다. [수정] : 용어 수정 : 첨가제 ⇒ 첨가재
3. 시공 3. 시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모래의 함유량이 많으면 첨가재가 유효하지만, 유기물이 많은 흙의 경우에는 효 [신설] : 지반입도 분포에 따른 첨가제 효과 내용 제시
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3.1.2 석회계(생석회 등) 첨가재를 사용할 때는 발열 등에 의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 [신설] : 석회계 첨가제사용에 대한 내용
하여야 한다.
3.1.1 공사를 착수하기 전 3종 이상의 혼합비율을 선정하여 배합시험을 실시하여야 3.1.3 경화재의 종류 및 배합계획에 대하여는 설계도서나 별도 규정에 의하되, 사전에 [신설] : 경화재 사용에 대한 내용
하며, 경화재의 종류 및 배합계획에 대하여는 설계서나 별도 규정에 의하되,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용어수정 : 설계서 ⇒ 설계도서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2 시공 전 차수효과 및 지반보강 효과를 확인하고 주입계획, 시공관리상 필요로 3.1.4 시공 전 차수효과 및 지반보강 효과를 확인하고 주입계획, 시공관리상 필요로 [수정] : 자구 수정 : 위해 ⇒ 위하여
하는 자료를 구하기 위해 시험주입을 실시하여야 한다. 하는 자료를 구하기 위하여 시험주입을 실시하여야 한다.
3.1.3 타설 전 타설 위치, 교반축의 연직도를 확인을 하여야 한다. 3.1.5 타설 전 타설 위치, 교반축의 연직도를 확인을 하여야 한다.
3.1.4 주입 후 확인검사를 하여 보강효과를 측정하여 재시공 여부와 방법 등을 결정 3.1.6 주입 후 확인검사를 하여 보강효과를 측정하여 재시공 여부와 방법 등을 결정
하고, 주입으로 인해서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강 하고, 주입으로 인해서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을 강
구하여야 한다. 구하여야 한다.
3.1.5 슬라임의 운반처리는 폐기물 관리법 등 환경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 3.1.7 슬라임의 운반처리는 폐기물 관리법 등 환경관련 법령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하
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1.6 다음의 경우에는 수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 3.1.7 다음의 경우에는 수정 및 보완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인 [수정] : 자구 수정 : 줄임말 수정 : ∼토록 ⇒ 하도록
인을 받아 시행토록 한다. 을 받아 시행하도록 한다.
(1)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1)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개량강도에 못 미치는 경우
(2) 시공이 중단되어 개량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2) 시공이 중단되어 개량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3.2 시공

3.2.1 계약상대자는 공사시작 전에 3종 이상의 혼합비율에 대하여 KS F 2405 또는 [신설] : 배합비에 대한 관련 규정 제시


KS F 2422의 방법으로 강도시험을 실시하고 최적배합비를 결정한 후 시공하여
야 한다.

4 - 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시료의 함수비
(2) 실내배합시험(양생조건, 온도, W/B비, 첨가량 및 혼화재 양 등)
(3) 시료의 강도
(4) 착저심도
(5) 교반횟수(관입속도, 회전수 및 날개 단수 등으로 평가)
3.2.2 심층혼합처리를 위한 장비는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신설] : 장비 사용에 대한 내용
3.2.3 심층혼합처리 간격 배열은 설계도서에 따르며, 설치위치에는 사전에 표식을 하 [신설] : 간격, 배열에 대한 내용
여 오차를 최소화 한다.
3.2.4 심층혼합처리공의 위치 오차는 200 mm 이내로 하며, 전면 혼합처리를 할 때에 [신설] : 위치 오차에 대한 내용
는 처리되는 구간이 200 mm 이상 중첩되게 시공한다.
3.2.5 시공 후에는 처리구간의 범위, 강도 확인을 위하여 처리구간 주변의 굴착 또는 [신설] : 시공 확인에 대한 내용
코어를 시추하여 확인할 수 있다.

4-18 연약지반 계측관리 4-15 연약지반 계측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연약지반 공사에서 쌓기 제체와 구조물의 안정성 등에 관한 계측 이 시방은 연약지반 공사에서 쌓기 제체와 구조물의 안정성 등에 관한 계측 및 [수정] 자구 수정 : 이 시방서는 ⇒ 이 시방은
및 계측결과의 관리에 적용하며, 준공 후 연약지반의 장기침하 및 구조물의 유지 계측결과의 관리에 적용하며, 준공 후 연약지반의 장기침하 및 구조물의 유지관 대해 ⇒ 대하여
관리에 대한 계측기기 사용 및 자동계측시스템 구축에 대해 적용한다. 리에 대한 계측기기 사용 및 자동계측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신설] : 시방서의 분류체계에 맞게 항목 추가
해당사항 없음
1.2 제출물 1.3 제출물

1.2.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 절의 명칭을 병기하여 참조하는 절의 내용 사전 인지,
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적용시 오류 최소화
1.2.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4 - 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침하관리 계획서 (1) 침하관리 계획서
(2) 안정관리 계획서 (2) 안정관리 계획서
(3) 계측 계획서 (3) 계측 계획서
(4) 계측기록 결과 및 분석 자료 (4) 계측기록 결과 및 분석 자료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계 측 3.1 계 측

3.1.1 계측일반 3.1.1 계측일반


(1) 계측은 시공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조기에 자료를 수집하여 설계 및 시공에 (1) 계측은 시공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조기에 자료를 수집하여 설계 및 시공에 반
반영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영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표기된 계측기기를 구비하고, 감독자 (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표기된 계측기기를 구비하고, 감독자
의 입회 하에 지반공학 분야 특급기술자 이상의 전문 기술자에 의해 지정된 의 입회하에 지반공학 분야 특급기술자 이상의 전문 기술자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계측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위치에 계측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계측기 설치 직후 추가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기별 (3) 계약상대자는 계측기 설치 직후 추가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기별 특
특성과 절차에 따라 안정된 값의 초기 측정값을 획득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성과 절차에 따라 안정된 값의 초기 측정값을 획득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
보고하고, 이 후 분석에 활용하여야 한다. 초기값이 정상적인 범위에 있지 않 하고, 이 후 분석에 활용하여야 한다. 초기값이 정상적인 범위에 있지 않는 기기
는 기기는 재설치하여야 한다. 는 재설치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를 유지 관리하여 계측자료 수집에 차질이 없도록 하 (4)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를 유지 관리하여 계측자료 수집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
여야 하며, 계측에 대한 기록결과의 성과분석 등은 전문기술자에 의뢰하여 실 야 하며, 계측에 대한 기록결과의 성과분석 등은 전문기술자에 의뢰하여 실시
시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5) 설계 내용과 계측성과의 분석 결과가 상이하여 설계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5) 설계내용과 계측성과의 분석 결과가 상이하여 설계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필요구간에 대해서는 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유지 (6) 필요 구간에 대해서는 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유지관
관리계측이 가능한 계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준공 후 관리주체에서 위험 및 급 리계측이 가능한 계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준공 후 관리주체에서 위험 및 급격
격한 변화 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변화 시에 ⇒ 변화가 발생되었을 때
(7) 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측정이 가능한 계측기기는 보존하여 유지관리 시 활용 (7) 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측정이 가능한 계측기기는 보존하여 유지관리를 할 때 [수정] 자구 수정 : 유지관리 시 ⇒ 유지관리를 할 때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계측기기는 횡단면 상의 중앙분리대, 길어깨 등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계측기기는 횡단면 상의 중앙분리대, 길어깨

4 - 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차량 주행이 빈번하지 않은 곳에 위치한 것을 선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등 차량 주행이 빈번하지 않은 곳에 위치한 것을 선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8)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 계측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중 모든 계측기록결과와 성 (8) 계약상대자는 시공할 때의 계측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중 모든 계측기록결과와 [수정] 자구 수정 : 시공 중 ⇒ 시공할 때의
과분석자료 등을 종합 정리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성과분석자료 등을 종합 정리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9) 계측분석을 할 때에는 측정치의 경향 또는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여 안정한 토 [신설] 계측분석의 내용 추가
공 및 구조물이 축조되도록 하여야 한다.
3.1.2 계측항목 3.1.2 계측항목
(1)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1)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2) 쌓기 제체 하부 지반의 횡방향 변위 측정 (2) 쌓기 제체 하부 지반의 횡방향 변위 측정
(3) 지하수위 측정 (3) 지하수위 측정
(4) 간극수압 측정 (4) 간극수압 측정
(5) 토압 측정 (5) 토압 측정
(6) 지중 수평 변위 측정 (6) 지중 수평 변위 측정
(7) 구조물 경사 측정 (7) 구조물 경사 측정
3.1.3 계측빈도 3.1.3 계측빈도
계측의 간격과 빈도는 최소한 표 4-6을 표준으로 하고, 계측결과가 신속하게 계측의 간격과 빈도는 최소한 표 4-15-1을 표준으로 하고, 계측결과가 신속하게
시공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계측요원은 현장에 상주배치됨을 원칙으로 하며, 시공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계측요원은 현장에 상주 배치되어야 하며, 현장여 [수정] : 원문의 원칙으로 삭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조정할 수 있다. 건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조정할 수 있다.
표 4-6 계측빈도와 기간 표 4-15-1 계측빈도와 기간

측정항목 흙쌓는 도중, 흙쌓기 흙쌓기 후 흙쌓기 후 준공 후 측정항목 흙쌓는 도중, 흙쌓기 흙쌓기 후 흙쌓기 후 준공 후
후 1개월까지 1∼3개월 3개월 이후 후 1개월까지 1∼3개월 3개월 이후
지반 침하량, 지중 횡변위량, 2회/1주 이상 1회/1주 1회/2주 1회/3개월 지반 침하량, 지중 횡변위량, 2회/1주 이상 1회/1주 1회/2주 1회/3개월
간극수압, 지하수위 간극수압, 지하수위
기타항목 계측목적에 따라 조절, 필요구간 실시간 자동계측 기타항목 계측목적에 따라 조절, 필요구간 실시간 자동계측
비고) 항목별 계측기 비고) 항목별 계측기
① 지반 침하량 : 지표침하판, 층별침하계, 전단면침하계, 수평경사계 등 연직변위 측정 계기 ① 지반 침하량 : 지표침하판, 층별침하계, 전단면침하계 등 연직변위 측정 계기 [수정] 비고의 ① 지반침하량에서 수평경사계 항목 삭제,
④ 토압 계측기 추가
② 지중 횡변위량 : 수평변위계, 경사계, 변위말뚝 등 횡변위 측정 및 추정용 계기 ② 지중 횡변위량 : 수평변위계, 경사계, 변위말뚝 등 횡변위 측정 및 추정용 계기
③ 간극수압, 지하수위 :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스탠드파이프, 관측정 등 수위측정 계기 ③ 간극수압, 지하수위 :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스탠드파이프, 관측정 등 수위측정 계기
④ 토압 : 토압계, 변형률계, 하중계 등 압력 및 응력측정 계기

3.1.4 계측작업 3.1.4 계측작업


계측기기는 계측의 목적과 정도, 측정기간, 예상변화량 등을 고려하여 현장조 계측기기는 계측의 목적과 정도, 측정기간, 예상변화량 등을 고려하여 현장조건
건에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에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4 - 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지표침하판 (1) 지표침하판
지표침하판은 흙쌓기의 속도관리, 상재하중의 제거시기 등의 결정에 이용하며 지표침하판은 흙쌓기의 속도관리, 상재하중의 제거시기 등의 결정에 이용하며
대상이 되는 지점의 전침하량을 측정한다. 대상이 되는 지점의 전 침하량을 측정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 전침하량 ⇒ 전 침하량
(2) 지중층별침하계 (2) 지중층별침하계
지중층별침하계는 지표침하판과 같이 흙쌓기의 속도관리, 상재하중의 제거시 지중층별침하계는 지표침하판과 같이 흙쌓기의 속도관리, 상재하중의 제거시기
기 등의 결정에 이용하며 흙쌓기층이나 포장층에 서로 다른 층이 있을 경우 등의 결정에 이용하며, 흙쌓기층이나 포장층에 서로 다른 층이 있을 경우 각각
각각의 침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연약층이 두꺼운 경우에는 심부 각 의 침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연약층이 두꺼운 경우에는 심부 각 층의
층의 침하량을 측정하여 심부의 지반거동을 파악한다. 침하량을 측정하여 심부의 지반거동을 파악한다.
(3) 지중수평변위계(경사계) (3) 지중수평변위계(경사계)
지중수평변위계는 흙쌓기의 속도관리, 지중의 측방 이동량을 확인하고, 흙쌓기 지중수평변위계는 흙쌓기의 속도관리, 지중의 측방 이동량을 확인하고, 흙쌓기
비탈면 하부지반의 수평변위를 측정한다. 과업의 중요도가 크지 않을 경우 감 비탈면 하부지반의 수평변위를 측정한다. 과업의 중요도가 크지 않을 경우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서 지중 수평변위 관측에 변위말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독자의 승인을 받아서 지중 수평변위 관측에 변위말뚝을 이용할 수도 있다.
(4) 토 압 계 (4) 토 압 계
토압계는 흙쌓기 하중에 의한 연직방향의 토압을 측정한다. EPS 블록 공법인 토압계는 흙쌓기 하중에 의한 연직방향의 토압을 측정한다. EPS 블록 공법인
경우에는 EPS 블록의 슬래브에 작용하는 연직토압과 구조물 배면에 작용하 경우에는 EPS 블록의 슬래브에 작용하는 연직토압과 구조물 배면에 작용하는
는 수평토압의 크기를 검토하여 안전성을 점검한다. 수평토압의 크기를 검토하여 안전성을 점검한다.
(5) 간극수압계 (5) 간극수압계
간극수압계는 흙쌓기의 하중에 의한 간극수압의 증감을 측정한다. 간극수압의 간극수압계는 흙쌓기의 하중에 의한 간극수압의 증감을 측정한다. 간극수압의
증감의 측정결과로 연약지반의 처리효과와 침하상태 등을 확인한다. 증감의 측정결과로 연약지반의 처리효과와 침하상태 등을 확인한다.
(6) 지하수위계 (6) 지하수위계
지하수위계는 흙쌓기의 하중과 연직배수공에 의한 지하수위의 변화를 측정하 지하수위계는 흙쌓기의 하중과 연직배수공에 의한 지하수위의 변화를 측정하
며, 관측정이나 스탠드 파이프 등의 지하수위의 변동사항을 측정하는데 이용 며, 관 측정이나 스탠드 파이프 등의 지하수위의 변동사항을 측정하는데 이용
한다. 한다.
3.1.5 계측관리 3.1.5 계측관리
(1) 계측결과의 적용 (1) 계측결과의 적용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 체계적으로 계측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지반공학 분 계약상대자는 시공할 때 체계적으로 계측관리를 수행하여야 하며, 지반공학 분 [수정] 자구 수정 : 시공 중 ⇒ 시공할 때
야 특급기술자 이상의 자격을 갖춘 사람의 분석결과에 따라 단계별 흙쌓기 야 특급기술자 이상의 자격을 갖춘 사람의 분석결과에 따라 단계별 흙쌓기 높
높이를 조정하는 등 계측결과를 시공에 반영하여야 한다. 이를 조정하는 등 계측결과를 시공에 반영하여야 한다.
(2) 계측결과의 정리 (2) 계측결과의 정리
계측결과는 시공 중 일상관리 시에 이용하거나 장래 공사계획에 반영할 수 계측결과는 시공 중 일상관리를 할 때 이용하거나 장래 공사계획에 반영할 수 [수정] 자구 수정 : 일상관리 시에 ⇒ 일상관리를 할 때
있도록 정리하고, 그 기록을 보존하여야 한다. 있도록 정리하고, 그 기록을 보존하여야 한다.

4 - 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계측결과의 보고 (3) 계측결과의 보고
계측결과는 지체 없이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또한 현저히 큰 변위가 계측결과는 지체 없이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또한 현저히 큰 변위가 발
발생하는 경우나, 변위속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수렴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 생하는 경우나, 변위속도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수렴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시
시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계측기기의 취급 (4) 계측기기의 취급 및 설치 [수정] : 제목 변경, 취급 및 설치 통합
계측기기를 설치하거나 운반 시에는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히 취급하여 ① 계측기기를 설치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히 취급하 자구 수정 : 운반 시에는 ⇒ 운반할 때에는
야 하고, 계측기기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원래 계측목적 여야 하며, 계측기기가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원래 계측목
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재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손상의 원인이 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재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손상의 원인
기기의 불량· 설치오류· 관리소홀에 있을 때에는 제반 비용을 계약상대자가 이 기기의 불량 설치 오류 관리 소홀에 있을 때에는 제반 비용을 계약상대자 [수정] : 동격의 용어에 대해 가운데 점 사용
부담하여야 한다. 가 부담하여야 한다.
(5) 계측기기의 설치 ② 계측기기는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시기와 공정에 맞추어 설치하여야 한 [신설] : 계측기 설치 시기와 보고에 대한 내용
계측기기는 제체하중의 재하 이전 또는 구조물의 구축 이전에 설치하여야 한 다. 침하, 간극수압, 지중수평변위를 측정하는 기기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다. 한 노체 흙쌓기 개시 이전에 설치되어야 한다.
③ 계약상대자는 계측기 설치 직후 추가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기별 [신설] : 계측기 측정결과 보고에 대한 내용
특성과 절차에 따라 안정된 값의 초기측정값을 획득하여, 이를 감독자에게 보
고하고, 이후 분석에 활용하여야 한다. 초기값이 정상적인 범위에 있지 않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
기기는 재설치하여야 한다.
3.2 침하관리 3.2 침하관리

3.2.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부 및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연약지반 각층의 3.2.1 계약상대자는 흙쌓기부 및 구조물의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연약지반 각층의 [수정] : 자구 수정 : 의해 ⇒ 의하여
압밀진행 상황을 조사하여야 하며, 이들의 변위에 대하여 세심한 주의를 하여 압밀진행 상황을 조사하여야 하며, 이들의 변위에 대하여 세심한 주의를 하여
침하관리를 하여야 한다. 침하관리를 하여야 한다.
3.2.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지표침하판, 지중층별침하계, 지중수평변위계, 3.2.2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지표침하판, 지중층별침하계, 간극수압계, 지하수
간극수압계, 지하수위계 등을 매설한 후에 표 4-6의 빈도에 따라 측정을 하고, 위계 등을 매설한 후에 표 4-15-1의 빈도에 따라 측정을 하고, 성과를 분석하 [수정] 표 번호 수정
성과를 분석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2.3 계약상대자는 포장공의 시공, 선행재하 후 구조물 터파기, 단계별 흙쌓기의 압 3.2.3 계약상대자는 포장공의 시공, 선행재하 후 구조물 터파기, 단계별 흙쌓기의 압
밀 후 작업개시 등 주요 작업시기에 대하여는 감독자에게 계측결과를 제출하 밀 후 작업개시 등 주요 작업시기에 대하여는 감독자에게 계측결과를 제출하여
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 안정관리 3.3 안정관리

4 - 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지중수평변위계, 변위말뚝 등을 매설하여 계측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지중수평변위계, 변위말뚝 등을 매설하여 계측
및 분석을 하고 침하관리용 계측 성과를 종합하여 안정분석을 실시하여야 한 및 분석을 하고 침하관리용 계측 성과를 종합하여 안정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 흙쌓기의 단계별 존치기간 종료 여부는 계측성과와 확인지반조사 성과에 흙쌓기의 단계별 존치기간 종료 여부는 계측성과와 확인지반조사 및 시험 성과
따라 판단한다. 에 따라 판단한다.
3.3.2 계약상대자는 계측성과 분석 이외에도 흙쌓기 주변의 측구, 연약지반의 표면, 3.3.2 계약상대자는 계측성과 분석 이외에도 흙쌓기 주변의 측구, 연약지반의 표면,
수평변위말뚝, 흙쌓기 면과 비탈면 등의 균열 또는 변형 발생 여부에 대한 육 수평변위말뚝, 흙쌓기 면과 비탈면 등의 균열 또는 변형 발생 여부에 대한 육안
안관찰을 정기 및 수시로 실시하여 연약지반의 활동파괴를 사전에 예방하여야 관찰을 정기 및 수시로 실시하여 연약지반의 활동파괴를 사전에 예방하여야 한
한다. 다.
3.3.3 계측성과 분석 또는 육안관찰 결과, 연약지반의 활동파괴 가능성이 예측될 경 3.3.3 계측성과 분석 또는 육안관찰 결과, 연약지반의 활동파괴 가능성이 예측될 경우
우에는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신속하게 응급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에는 이를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신속하게 응급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3.4 교대의 측방유동 등에 대한 계측기는 완공 후에도 보존하여 교량의 유지, 관리 3.3.4 교대의 측방유동 등에 대한 계측기는 완공 후에도 보존하여 교량의 유지, 관리
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 58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5 장 배수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제5장 배수공사 제 5 장 배수공사 [수정] 배수공사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목차를 정리함
5-1 철근콘크리트 암거 5-1 노면배수
5-2 파형강판 암거 5-1-1 측 구
5-3 용?배수관 5-1-2 다이크 및 집수거
5-4 배수용 콘크리트 소구조물 5-1-3 우수받이 및 집수정 설치
5-5 지수공 5-2 배수관 및 암거
5-6 지하배수 5-2-1 철근콘크리트 암거
5-7 연 석 5-2-2 배수관
5-8 맨홀 및 뚜껑설치 5-2-3 파형강판 암거
5-9 우수받이 및 집수정 설치 5-3 지하배수
5-10 수문, 통문 및 통관 5-3-1 맹암거 [자문] 본문 내용에 맞게 목차 삭제
5-4 비탈면 배수
5-5 시공할 때의 배수 [수정] 한글로 순화
5-5-1 흙쌓기
5-5-2 물막이
5-5-3 물푸기
5-5-4 가물막이 [수정] 구조물편과 중복 ⇒ 가설물막이 이동 통합 검토
5-6 지수공
5-7 기타 부대공
5-7-1 연석
5-7-2 맨홀 및 뚜껑설치
5-7-3 수문, 통문 및 통관

5-1 노면배수
5-4 배수용 콘크리트 소구조물 5-1-1 측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선형, 경사 및 치수에 맞도록 도로에 관련된 모든 배수용 콘크리 이 시방은 측구용 콘크리트 소구조물인 L형 측구, U형 측구, V형 측구, 집수거 등 도로와 관련한 측구용 콘크리 [수정] 문장 수정
트 소구조물 즉, V형, U형 콘크리트 측구, 비탈면 도수로, 산마루 도수로, L형 측구, V형 콘크리트 옹벽 측 트 소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구, 유입구 및 유출구 등을 시공하는 배수용 콘크리트 소구조물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용어 수정 : 참조규격 ⇒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52 철선 KS D 3552 철선
KS F 4005 콘크리트 및 철근콘크리트 L형 KS F 4005 콘크리트 및 철근콘크리트 L형
KS F 4010 철근 콘크리트 플룸 및 벤치 플룸 KS F 4010 철근 콘크리트 플룸 및 벤치플룸
KS F 4016 철근 콘크리트 U형 KS F 4016 철근 콘크리트 U형
KS F 4019 철근 콘크리트 조립 흙막이
1.3 제출물 1.3 제출물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 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수정] 전체 동일하게 수정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현장치기 콘크리트 재료 2.1 콘크리트 재료
현장치기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이 시방서 15-3절, 15-10절에 따른다.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재료는 이 시방서 15-3절, 15-10절에 따른다. [수정] 제목 및 용어 수정
2.2 공장제품 콘크리트 재료 2.2 공장제품 콘크리트 측구
2.2.1 공장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관거 제외)에는 KS F 4016, KS F 4005, KS F 4019, KS F 4010의 규격에 합격 2.2.1 공장제품 콘크리트 측구는 KS F 4005, KS F 4010, KS F 4016의 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2 설계도서에 표시된 공장제품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2.2.2 설계도서에 표기된 공장제품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5-1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1 터파기 3.1 터파기
3.1.1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1.1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1.2 터파기할 장소가 노상이나 비탈면의 경우, 터파기한 단면이 필요한 최소의 단면으로 하여 이미 완성된 부 3.1.2 배수 구조물의 터파기 장소가 노상 또는 비탈면인 경우에는 요구되는 터파기 최소 단면으로 하며, 이미 완
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성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2.3 배수구조물의 터파기는 기계터파기를 할 수 있으며, 기계터파기를 완료한 후에는 소정의 깊이 및 경사에 3.1.3 배수구조물의 터파기는 기계 터파기 및 인력 터파기를 할 수 있으며, 터파기는 소정의 깊이 및 경사에 맞게 [수정] 인력 터파기 추가
일치하도록 인력으로 마무리하여야 한다. 시공하여야 한다.
3.2 기초 3.2 기 초
3.2.1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기초재료로서 이 시방서 2-9-2절에 따른다. 3.2.1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기초 재료로서 이 시방서 2-9절에 따른다. [수정] 해당 절 수정
3.2.2 측구하부에 지하배수공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 시방서 5-5절에 따른다. 3.2.2 측구하부에 지하배수공을 설치할 경우에는 이 시방서 5-3절에 따른다.
3.3 거푸집 3.3 거푸집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3.4 콘크리트 치기 3.4 콘크리트 타설
3.4.1 이 시방서 6-4절에 따른다. 3.4.1 이 시방서 6-4절에 따르며, 특히 콘크리트는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구조물이 일체 [수정]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문장 수정
가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4.2 배수구의 바닥은 균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3.4.2 배수시설의 기초바닥은 설계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3.4.3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는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표면에 3.4.3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는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표면에
레이탄스가 발생하거나 재료분리가 생길 정도로 오랜 시간 한 곳을 진동다짐을 하여서는 안 된다. 레이탄스가 발생하거나 재료분리가 생길 정도로 오랜시간 한 곳을 진동다짐을 하여서는 안 된다.
3.4.4 경사가 급한 곳에는 활동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활동막이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3.4.4 경사가 급한 곳에는 활동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활동막이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 [수정] 충분히 삭제, 의미 불명확
타설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4.5 집수거 및 맨홀의 몸체에서 뚜껑이 놓이는 부분은 요철이 없도록 평활하게 다듬어야 한다. 3.4.5 집수거 및 맨홀의 몸체에서 뚜껑이 놓이는 부분은 요철이 없도록 평활하게 다듬어야 하며, 배수관의 접합
부에는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용적 배합비가 1: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수밀하게 밀봉하여야 한다. [수정] 문맥에 맞게 문장 수정
3.4.6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가 있어 바닥과 벽을 분리 시공할 때에는 접속부에 다우웰(dowel) 같은 역할을 3.4.6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가 있어 바닥과 벽을 분리 시공할 때에는 접속부에 다웰(dowel) 역할을 할 수
할 수 있도록 16㎜이상의 철근을 적정 길이로 300㎜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있도록 16 mm 이상의 철근을 적정 길이로 300 m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4.7 유입구, 단부벽에 접속되는 관은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4.7 유입구, 맨홀, 단부벽에 사용되는 관은 맨홀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5 콘크리트 양생 3.5 콘크리트 양생
콘크리트 치기 후 손상이 가지 않도록 노출면은 양생용 가마니, 마포 등을 적셔서 덮거나 살수하여 5일 이 콘크리트 치기 후 손상이 가지 않도록 노출면은 양생용 부직포나 가마니 등을 적셔서 덮거나 살수하여 5일 이상 [수정] 문구 수정
상 습윤 상태로 보호하여야 하며, 14일 이상은 양생관리 하여야 한다. 단,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 소요강도 습윤상태로 보호하여야 하며, 14일 이상은 양생관리 하여야 한다. 단,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 소요강도가 입증
가 입증될 때에는 양생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될 때에는 양생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3.6 되메우기 및 뒤채움 3.6 되메우기 및 뒤채움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7 L형 측구 시공 3.7 L형 측구 시공
3.7.1 L형 측구 기초부는 본선의 다짐과 동일한 다짐을 실시하여 시공 후 침하에 의한 균열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3.7.1 L형 측구 기초부는 본선의 다짐과 동일한 다짐을 실시하여 시공 후 침하에 의한 균열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않도록 하여야 한다.
3.7.2 설계도서에 명시된 설치 위치, 경사 등을 확인한 후에 시공을 하여야 한다. 3.7.2 설계도서에 명기된 설치위치, 경사 등을 확인한 후에 시공을 하여야 한다.
3.7.3 집수면적에 대한 유량을 확인하여 도수로의 위치를 정하고, 특히 한쪽경사 구간은 물이 차량주행방향으로 3.7.3 집수면적에 대한 유량을 확인하여 종배수구(도수로)의 위치를 정하고, 특히 편경사 구간은 물이 차량이 주 [수정] 도수로 ⇒ 종배수구, 일정기간 병행 필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도수로) 추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행하는 노면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무리한 한글화(한쪽경사) 지양 - 도로의구조및시설기준에관한 규칙 용어 준용
3.7.4 인력시공 시에는 거푸집의 치수, 이음 및 견고한 상태 등을 확인하고, 특히 도로의 곡선부는 도로의 선형에 3.7.4 인력시공을 할 때에는 거푸집의 치수, 이음 및 견고한 상태 등을 확인하고, 특히 도로의 곡선부는 도로의 [수정] 한글로 순화
맞게 시공하여야 한다. 선형에 맞게 시공하여야 한다.
3.7.5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수분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기포 바닥에 표면이 마르지 않을 정도의 살수를 하거나 3.7.5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수분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기초바닥에 표면이 마르지 않을 정도의 살수를 하거 [수정] 한글로 순화
또는 비닐을 깔아야 한다. 나 비닐을 깔아야 한다.
3.7.6 분리막에 의한 비닐 깔기는 300㎜이상 겹치게 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야 한다. 3.7.6 분리막으로의 비닐깔기는 300 mm 이상 겹치게 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통일(300mm→ 300㎜),
3.7.7 인력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은 팽창줄눈을 먼저 설치하고, 한 구간씩 건너 띄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3.7.7 인력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팽창줄눈을 먼저 설치하고 1스판(span)씩 건너 띄어서 콘크리트를 타설 [수정] ㎜ ⇒ mm 로 표기, 한칸 띄어쓰기(단위표기규정), 이하 전체 통일, 용어 수정
한다. 하여야 한다.
3.7.8 팽창줄눈에는 지수판을 설치하고 줄눈의 간격은 20m 이내로 하며, 팽창줄눈부의 전면은 밀폐재 채움을 하 3.7.8 팽창줄눈에는 지수판을 설치하고, 줄눈의 간격은 20 m 이내로 하며, 팽창줄눈부의 전면에 대하여 밀폐 채
여야 한다. 움을 하여야 하고, 수축줄눈의 간격은 6 m, 폭은 6 mm, 깊이는 50 mm로 한다 [수정] 수축줄눈 내용 추가
3.7.9 기초부와 벽체부의 팽창줄눈 위치는 일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3.7.9 기초부와 벽체부의 팽창줄눈 위치는 일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3.7.10 L형 측구에 집수된 빗물은 쌓기부 도수로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여야 한다. 3.7.10 L형 측구에 집수된 빗물은 땅깎기․흙쌓기 경계부 배수시설, 집수정, 종․횡배수관 등을 통하여 배수되도 [자문의견 반영] 문장 수정
록 하여야 한다.
3.7.11 기계시공 3.7.11 기계 시공
(1) L형 측구의 선형 및 경사는 매우 중요하므로 높이 측정 안내선(sensor line)의 장력은 250N(25㎏f) 이상 (1) L형 측구의 선형 및 경사는 매우 중요하므로 높이 측정 안내선(sensor line)의 장력은 250 N 이상을 유지하

5-2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을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설계된 경사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설계된 경사에 적합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L형 측구의 거푸집 형상과 지반상태 및 높이 측정 안내선 등은 감독자의 검측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2) L형 측구의 거푸집 형상과 지반상태 및 높이 측정 안내선 등은 감독자의 검측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3) 피막양생제는 표면에 물기가 사라진 직후 분무기로 고르게 살포하여야 한다. (3) 피막양생제는 표면에 물기가 사라진 직후 분무기로 고르게 살포하여야 한다.
(4) 작업 중단 또는 일일포설 종료지점은 시공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작업 중단 또는 일일포설 종료 지점에는 시공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5) L형 측구 시점부는 흙쌓기 다이크를 따라 집수된 빗물이 L형 측구로 유입하지 않도록 배수계획을 세우고 (5) L형 측구 시점부는 흙쌓기 다이크를 따라 집수된 빗물이 L형 측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계획을 세우고
시공하여야 한다. 시공하여야 한다.
(6) 수축줄눈의 간격은 6m, 폭은 6㎜, 깊이는 50㎜로 한다. (6) 수축줄눈의 간격은 6 m, 폭은 6 mm, 깊이는 50 mm로 한다.
(7) 수축줄눈은 주행방향의 직각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자르고,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건조하여야 한다. (7) 수축줄눈은 주행방향의 직각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자르고,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건조하여야 한다.
(8) 팽창줄눈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8) 팽창줄눈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9) 줄눈부의 주입재는 흠 내면에 프라이머를 바른 다음 주입재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잘 혼합하여 주입하 (9) 줄눈부의 주입재는 홈 내면에 프라이머를 바른 다음 주입재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잘 혼합하여 주입하여
여야 한다. 야 한다.
3.8 V형 측구 시공 3.8 V형 측구 시공
3.8.1 기초바닥을 평활하게 하여 설계도서와 동일한 경사로 낮은 쪽에서부터 시공하여야 한다. 3.8.1 기초바닥을 평활하게 하여 설계도서와 동일한 경사로 낮은 쪽에서부터 시공하여야 한다.
3.8.2 설계도서에 명시된 선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8.2 설계도서에 명기된 선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8.3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가 있어 바닥과 벽을 분리 시공할 때에는 접속부에 다우웰 역할을 할 수 있는 3.8.3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가 있어 바닥과 벽을 분리 시공할 때에는 접속부에 다웰(dowel) 역할을 할 수 [수정] 용어표기 수정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있는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8.4 현장에 설치된 측구시설에 의하여 공유지와 사유지의 토지경계를 구분하게 되므로 도로의 절점이나 곡선부 3.8.4 현장에 설치된 측구시설에 의하여 공유지와 사유지의 토지경계를 구분하게 되므로 도로의 절점이나 곡선부
분은 인조점 등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분은 인조점 등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3.8.5 측구의 콘크리트 타설은 줄눈을 먼저 설치하고, 한 구간씩 건너 띄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8.5 측구의 콘크리트 타설은 줄눈을 먼저 설치하고, 한 구간씩 건너 띄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8.6 측구 완성 후 되메우기 시에는 표면수의 침투로 인하여 측구가 침하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 3.8.6 측구 완성 후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표면수의 침투로 인하여 측구가 침하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하여 [수정] 한글로 순화
다. 야 한다.
3.9 U형 측구 시공 3.9 U형 측구 시공
3.9.1 기초바닥을 평활하게 하여 설계도서와 동일한 경사로 낮은 쪽에서부터 시공하여야 한다. 3.9.1 기초바닥을 평활하게 하여 설계도서와 동일한 경사로 낮은 쪽에서부터 시공하여야 한다.
3.9.2 설계도서에 명시된 선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9.2 설계도서에 명기된 선형과 주변 배수계획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3.9.3 집수정 설치 시에는 배수관의 유입구와 유출구 및 연결접속부 등을 설계도서에 표시된 계획고에 맞추어 정 3.9.3 집수정을 설치할 때에는 배수관의 유입구와 유출구 및 연결접속부 등을 설계도서에 표기된 계획고에 맞추 [수정] 한글로 순화
확한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어 정확한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9.4 집수받이 설치 시에는 설치 위치, 구조, 치수가 적정하여야 하며, 측구 및 관로와의 연결접속부 등이 설계도 3.9.4 집수받이를 설치할 때에는 설치위치․구조․치수가 적정하며, 측구 및 관로와의 연결 접속부 등이 설계도
서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서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10 산마루 측구 시공
3.10.1 비탈면으로부터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땅깎기부의 비탈면 정상 끝단에서 일정하게 벗 [수정] 이 시방서 “비탈면 배수” 로 내용 이동
어난 지점에 산마루 측구를 설치하며,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지형상 필요한 곳에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
다.
3.10.2 표면수는 비탈면을 따라 설치한 산마루 측구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여야 한다.
3.10.3 측구 완성 후 되메우기는 표면수의 침투로 인하여 산마루 측구가 침해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11 콘크리트 측구의 규격관리 3.10 콘크리트 측구의 규격관리
표 5-30 콘크리트 측구 규격관리 기준 표 5-1-1 콘크리트 측구 규격관리 기준
항 목 규격치(㎜) 측정기준 비 고 항목 규격치 측정기준 비 고
기준고 ±30 ․시공연장 40 m 이상 (mm)
기준고 ±30
폭 a3 -50 인 경우 : 폭 a3 -50 ·시공연장 40 m 이상인 경우
높이 h, 40m마다 1개소 : 40 m 마다 1군데
h′ -30 ․시공연장 40 m 이하 높이 h, h′ -30 ·시공연장 40 m 미만인 경우
인 경우 : : 2군데
연장 L -20 2개소 연장 L -20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기 수정
[수정] 군데 or 곳 등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수정] 40 m 이하 ⇒ 40 m 미만

5-3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5-1-2 다이크 및 집수거 [신설] 고속화 국도 등의 건설로 인하여 시공이 기계화 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1. 일반사항 공사 전문시방서」 내용을 참고로 하여 항목 신설
1.1 적용범위 [수정] 한글로 순화
이 시방은 쌓기부 다이크 및 다이크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모아 흙쌓기부 종배수구(도수로)를 통하여 노선 밖으
로 배출하는 집수거를 설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골재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2.2 시멘트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3 배합기준
이 시방서 15-4절 표 15-4-2에 따른다.
2.4 줄눈재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2.5 거푸집
기계타설장비에 부착된 승인된 강재거푸집을 원칙으로 하며, 예리한 곡선부나 지극히 짧은 구간은 감독자의 승
인을 얻어 목재거푸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3. 시 공
3.1 흙쌓기부 다이크
3.1.1 시공은 도로 선형, 미관 등을 고려하여 기계타설을 원칙으로 한다.
3.1.2 타설장비의 트랙(track)이 지나가는 자리는 요철이 없도록 본선과 같은 수준으로 다짐을 철저히 하여 다이
크 시공 후 침하에 의한 균열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3.1.3 다이크의 설치높이 및 선형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이측정 안내선(Sensor Line) 설치 전에 설계도
서에 명기된 길어깨 포장의 두께 및 편경사를 고려한 시공상세도를 작성하고 이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4 Sensor Line을 설치할 때 처짐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히 위치를 확보하도록 직선부는 10 m, 곡선부 5 m 마
다 강재 스틱(stick)을 설치하고, 장력은 250 N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설치 후 설계도
서에 명기된 설치위치, 선형 등의 확인 측량을 실시한다.
3.1.5 짧은 구간이나 불가피하게 인력으로 시공하는 부위는 선형․거푸집 치수․이음․고정상태 등에 대하여 콘
크리트 타설 전 감독자의 확인을 받고 타설하여야 하며, 특히 곡선부는 본선 선형에 맞게 시공하여야 한다.
3.1.6 피막양생제는 표면에 물기가 사라진 직후 분무기로 고르게 살포하여야 한다.
3.1.7 작업 중단 또는 일일포설 종료지점에는 시공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3.1.8 초기경화가 완료되면 수축균열 방지를 위하여 간격 6 m, 폭 6 mm, 깊이 50 mm로 수축 줄눈을 설치하며, [자문의견 반영]
수축줄눈은 콘크리트포장의 줄눈과 일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3.1.9 양생 완료 후, 길어깨 포장을 시공하기 전에 다이크 후면 되메우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3.1.10 마무리면의 평탄성 검사
마무리면은 길이 3m의 직선자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최대로 들어간 곳(凹)의 깊이가 3mm 이하이어야 한
다.
3.1.11 길어깨를 포장할 때 아스팔트 유제가 다이크 노출면에 묻지 않도록 다이크 전면에 마스킹테이프나 비닐 등 [수정] 한글로 순화, 중복 문구 삭제(길어깨 포장 시 다집장비∼)
으로 사전 조치하여야 하며, 다짐장비에 의한 다이크 파손에 주의하여야 한다.
3.2 집수거(L-Type, T-Type)
3.2.1 집수거는 L-Type 및 T-Type의 2종으로 구분하며, 일반 흙쌓기부 구간은 L-Type으로, 종단곡선 중 오목
구간의 제일 낮은지점(양방향에서 물이 모이는 곳)은 T-Type으로 설치하고, 도면의 설치 예정위치와 현지
지형과의 일치 여부 및 적합성을 검토 후 위치를 결정한다.
3.2.2 집수거 콘크리트 설치
(1) 집수거와 접속하는 다이크의 면은 표면의 레이턴스를 제거하고 치핑하여 부착력을 높이도록 한다.

5-4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 집수거 저판은 종배수구(도수로) 저판에 접속되게 미리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벽체와의 연 [수정] ∮16mm → D16 mm
결을 위하여 집수거 벽체 선형에 맞추어 철근(D16 mm)을 꽂아야 한다.
(3) 바닥판이 양생되면 벽체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이동이나 변형되지 않도록 거
푸집 받침 및 결속을 견고히 하여야 한다.
(4) 집수거 콘크리트 타설은 시공이음이 발생하지 않게 반드시 한 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무리한다.
(5)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직선구간의 집수거 앞부분의 길어깨 포장은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폭 1 m 정도를 [수정] 4 % 위치 수정(일반국도공사전문시방서 참조)
표준 편경사보다 4 % 크게 시공한다. 곡선구간은 필요한 경우 감독관의 승인 또는 확인 후 시공한다.

5-9 우수받이 및 집수정 설치 5-1-3 우수받이 및 집수정 설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우수받이 및 집수정 구체와 뚜껑을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은 현장타설 콘크리트의 우수받이 및 집수정 구체와 뚜껑을 설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구수정 전체 통일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0201 용융아연도금 시험방법 KS D 0201 용융아연도금 시험방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스틸 그레이팅 2.1 스틸그레이팅
2.1.1 철강제품에 아연도금을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2.1.1 철강제품에 아연도금을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준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표 5-1-2 스틸그레이팅 재료 기준
표 5-36 스틸 그레이팅 재료 기준 항목 시험규격 시험방법 기준
항 목 시험방법 기 준 (g/㎠) [수정] 기준 수정-일반국도공사전문시방서 참조
4.1(직접법),
아연 부착량 KS D 0201 4.2(염화안티몬법) 550 g/㎡ 이상
아연도금 부착량 KS D 0201 4.1(직접법), 4.2(염화안티몬법)
황 산 동 KS D 0201 5.0(황산구리시험) 황산동 KS D 0201 5.0(황산구리시험) 종말점에 않아야 함
달하지
밀 착 성 KS D 0201 6.1(육안), 6.5(해머시험) 6.1(육안), 균열, 박리, 부풀음
밀착성 KS D 0201 6.5(해머시험) 등 이상이 없을 것
2.1.2 L형 측구 및 중분대 집수정에 설치하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의 형상 및 치수는 명시된 도면 2.1.2 L형측구 및 중분대 집수정에 설치하는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의 형상 및 치수는 명기된 도면에
에 따르며, 베어링 바(bearing bar)의 간격이 50㎜이어야 한다. 따르며, 베어링 바(bearing bar)의 간격은 50 mm 이내야 한다.
2.1.3 L형 측구 및 중분대 집수정용 스틸 그레이팅 뚜껑은 T=20(후륜일축하중 8ton)에 견딜 수 있는 제품이어야 2.1.3 L형측구 및 중분대 집수정용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은 T=20(충격하중을 고려한 후륜일축하중 [생활안전]
한다. 112 kN)에 견딜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표 5-37 스틸그레이팅의 종별 기준 표 5-1-3 스틸그레이팅의 종별 기준
종 별
총중량
(ton)
후륜일축하중
(㎏f)
충격을 고려한
하중(㎏f)
차량접지면적
A㎜×B㎜
종별 총중량(t) 후륜일축하중
(kN)
충격을 고려한 하중
(kN)
차량접지면적
Amm × B mm
T = 20 20 8,000 11,200 200×500 T = 20 20 80 112 200 × 500
T = 14 14 5,600 7,840 200×500 T = 14 14 56 78.4 200 × 500
T = 6 6 2,400 3,360 200×240
T=6 6 24 33.6 200 × 240
T = 2 2 800 1,120 200×160
T=2 2 8 11.2 200 × 160

5-5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1.4 U형 측구(TYPE-1)용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은 명시된 설계도서에 따르며, 베어링 바(bearing 2.1.4 U형 측구(TYPE-1)용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은 명기된 설계도서에 따르며, 베어링 바(bearing
bar)의 간격은 50㎜ 이내이어야 한다. bar)의 간격은 50 mm 이내로 하여야 한다.
2.1.5 U형 측구용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은 134N/판(13.4㎏f/판) 이상이어야 한다. 2.1.5 U형 측구용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은 134 N/판 이상이어야 한다.
2.1.6 보도, 횡단보도, 자전거 도로 등에 설치되는 스틸그레이팅은 자전거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 [생활안전] 신설
여 스틸그레이팅의 빗살부분의 간격은 20mm 이내로 하고 필요시 철망을 덮거나 격자형 제품을 사용 할 수
있다.
2.2 콘크리트 및 철근은 이 시방서 6-4, 6-5절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2 콘크리트 및 철근 [수정] 제목과 내용 분리
콘크리트 및 철근은 이 시방서 6-4, 6-10절의 해당요건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 제조업자는 현장 반입 자재에 대하여 감독자의 입회 하에 다음과 같이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성과를 제출하여 2.3 현장반입자재
야 한다. 제조업자는 현장반입자재에 대하여 감독자의 입회하에 다음과 같이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성과를 제출하여야 한 [수정] 제목과 내용 분리, 자구 수정
다.
2.3.1 스틸 그레이팅 뚜껑 및 틀은 해로운 흠이 없고, 명시된 도면에 따라 모양, 치수가 정확하고, 겉모양이 좋아 2.3.1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 뚜껑 및 틀은 해로운 흠이 없고 명기된 도면에 따라 모양, 치수가 정확하고, 겉 [수정] 문맥에 맞게 조정
야 하며, 품질시험 대행기관의 자체 시험성적서와 합치 여부를 시험하여야 한다. 모양이 좋아야 하며, 품질시험대행기관 시험성적서와 합치여부를 현장반입 제품에 대하여 시험하여야 한 [생활안전]
다.
2.3.2 용융아연도금 시험방법은 KS D 0201에 따라 시행하고, 적용기준은 2.1.1과 같다. 2.3.2 용융아연도금 시험방법은 KS D 0201에 따라 시행하고, 적용기준은 2.1.1과 같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조건 확인 3.1 시공조건 확인
3.1.1 계약상대자는 우수받이와 집수정을 설치하기 전 기초 바닥면이 이 시방서 2-7절에 따라 명시된 도면에 적 3.1.1 계약상대자는 우수받이 및 집수정을 설치하기 전 기초 바닥면이 이 시방서 3-7절에 따라 명기된 도면에 적
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합한지 확인하여야 한다.
3.1.2 콘크리트 치기 전에 거푸집, 토압지지면, 철근 및 매설물 등을 검사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2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토압지지면, 철근 및 매설물 등을 검사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시공준비 3.2 시공준비
3.2.1 콘크리트 치기 전에 철근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라 명시된 도면대로 가공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철근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라 명기된 도면대로 가공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
3.3 시공기준 3.3 시공기준
3.3.1 콘크리트 치기는 이 시방서 6-4절에 따라야 한다. 3.3.1 콘크리트 타설은 이 시방서 6-4절의 해당요건에 따라야 한다.
3.3.2 구체 시공 3.3.2 구체공
(1) 우수받이와 집수정은 정확한 치수와 표고에 맞추어 수직 및 수평 되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쳐 (1) 우수받이와 집수정은 정확한 치수대로 정확하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거나 기성 [수정] 수평되게 → 수평하게 , 5~10mm → 5 mm ~ 10 mm
야 한다.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집수정의 최상단은 교통하중을 고려하여 노면 계획고 보다 5 mm ∼ 10 mm 낮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치수와 수직 및 수평하게 ⇒ 치수대로 정확하게
(2) 관과 구거에 맞게 슬리브를 절단해서 끼워야 한다. 게 시공하여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생활안전]
(3) 크기,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과 조정하여야 한다. (2) 관과 구거에 맞게 슬래브를 절단해서 끼워야 한다.
3.3.3 스틸그레이팅 설치 (3) 크기,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과 조정하여야 한다.
(1) 뚜껑 및 받침틀은 명시된 도면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3.3.3 스틸그레이팅 설치
(2) 시공 시 스틸그레이팅의 좌․우 수평도, 받침틀의 계목부와, 그레이팅 계목부의 일치, 계목부의 단차, 종단 (1) 뚜껑 및 받침틀은 명기된 도면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경사 및 노면과의 평탄성이 유지된다. (2) 설치를 할 때 차량통행 여부를 검토하고, 스틸그레이팅(steel grating)의 좌우 수평도, 받침틀의 연결부와 그 [수정] 한글로 순화, 영문 표기 추가
3.3.4 구조물 되메우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라야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되메우기를 시행 레이팅(grating) 연결부의 일치, 연결부의 단차, 종단경사 및 노면과의 평탄성이 유지되도록 설치하고, 시공 [생활안전]
해서는 안 된다. 불량으로 스틸그레이팅의 소음발생 또는 받침틀의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3.5 우수받이와 집수정에 접속되는 관은 구조물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4 구조물 되메우기는 이 시방서 3-7 절에 따라야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되메우기를 시행
하여서는 안 된다.
3.3.5 우수받이와 집수정에 접속되는 관은 구조물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2 배수관 및 암거
5-1 철근콘크리트 암거 5-2-1 철근콘크리트 암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통로 및 수로 등으로 사용되는 상형, 문형 및 아치형 철근콘크리트 암거의 시공 시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통로 및 수로 등으로 사용되는 문형, 상형 및 아치형의 철근콘크리트 암거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444 확대 기초에서 정적 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 방법 KS F 2444 확대 기초에서 정적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방법

5-6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1.3 용어정리
1.3.1 “지수판”이라 함은 콘크리트 이음부에서 수밀을 위하여 콘크리트 이음부에 묻는 동판, 스테인리스판, 인조 [수정]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고무판 등으로써 수밀성과 내구성이 큰 재료로 만들며 신축에 적응하는 재료를 말한다. 하여 항목 신설
1.3.2 “겹이음”이라 함은 철근을 겹쳐 이음하여 콘크리트의 부착을 좋게 함으로써 철근의 응력을 크게 하는 것을 [수정] 명확하게 의미 전달
말한다.
1.3.3 “폼타이”라 함은 타설 직후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체압에 의해서 거푸집 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 매
어두는 인장재를 말한다.
1.3 제출물 1.4 제 출 물
1.3.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
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4.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동바리 및 비계 상세도와 전문기술자가 확인한 구조계산서(필요 시) (1) 동바리 및 비계 상세도와 전문기술자가 확인한 구조계산서(필요할 때)
(2) 시공규모, 위치, 경사 등 현지여건을 조사한 서류 (2) 시공규모, 위치, 경사 등 현지여건을 조사한 서류
2. 재 료 2. 재 료
2.1 철근콘크리트 2.1 철근콘크리트
2.1.1 철근 2.1.1 철근
이 시방서 15-10절의 각 규정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0절의 각 규정에 따른다.
2.2.1 콘크리트 2.1.2 콘크리트
이 시방서 15-4절의 각 규정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4절의 각 규정에 따른다.
2.2 이음 재료 2.2 이음재료
2.2.1 이음부 지수판 2.2.1 이음부 지수판
이 시방서 5-4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5-6절에 따른다.
2.2.1 이음부 채움 재료 2.2.2 이음부 채움 재료
이 시방서 15-7절 2.2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2.2.3 방수 커버 2.2.3 방수커버
아스팔트계, 고무계, 비닐(vinyl)계 등의 가공 재료로서 감독자의 승인 후 사용한다. 아스팔트계, 고무계, 비닐(vinyl)계 등의 가공 재료로서 감독자의 승인 후 사용한다.
2.2.4 암거용 지수판 2.2.4 암거용 지수판
지수판의 종류 및 치수는 표 5-1의 값을, 품질은 표 5-2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지수판의 종류 및 치수는 표 5-2-1의 값을, 지수판의 품질기준은 표 5-2-2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수정] 표 5-2-1
표 5-1 암거용 지수판의 종류 및 치수 표 5-2-1 암거용 지수판의 종류 및 치수 [수정] 모든 숫자 이상(또는 이하, 이내)은 띄어쓰기
종류 두 께 (㎜) 폭 (㎜) 적용 종류 두 께 (mm) 폭 (mm) 적용

A형 5이상 200이상 A형 5 이상 200 이상 [관계기관의견 반영] 표 안 띄어쓰기 수정

B형 7이상 300이상 상동 B형 7 이상 300 이상 상동


표 5-2 암거용 지수판의 품질기준 표 5-2-2 암거용 지수판의 품질기준 [수정]「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강화되고 상세한 항
구 분 SI 단위(㎫) 중력 단위(㎏f/㎠) 목을 반영
[수정] 모든 숫자 이상(또는 이하, 이내)은 띄어쓰기
품 1/2 압축식 압축응력도 1 이상 9 이하 5 이상 90 이하
질 복원률(%) 65 이상
1/2 압축시 돌출량 (㎜) 10 이하

5-7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시험항목 단위 시험기준
비중 1.4 이하
경도 HDA 65 이상
인장강도 MPa 11.8 이상
2.3 기초재 인장변형 % 250 이상
이 시방서 2-9절에 따른다. 노화성 % ±5 이내
2.4 말 뚝 유연 온도 ℃ -30 이하
암거의 기초로 말뚝을 사용할 경우는 이 시방서 6-2-2절 또는 6-2-3절에 따른다. 인장강도 변화율 % ±20 이내
알칼리 인장변형 변화율 % ±20 이내
2.5 바닥고르기 콘크리트 내약품성 무게 변화율 % ±5 이내
이 시방서 15-4절 2.2에 따른다. 인장강도 변화율 % ±10 이내
3. 시 공 식염수 인장변형 변화율 % ±10 이내
3.1 터 파 기 무게 변화율 % ±2 이내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2 기 초 2.3 기초재
3.2.1 기초재 부설 및 지지력 확인 이 시방서 2-9절에 따른다.
(1) 기초재를 부설 후 허용지지력을 KS F 2444에 의거 확인하여야 하며, 지지력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 [수정] 제목과 본문내용 구분
를 보강하여야 한다. 2.4 말 뚝
(2) 기초재료로서 조약돌을 깔 때 조약돌 사이의 공극은 막자갈 또는 쇄석 등의 채움재료로 충분히 매우고 소 암거의 기초로 말뚝을 사용할 경우는 이 시방서 6-2-2절 또는 6-2-3절에 따른다.
형 롤러 또는 램머 등으로 충분히 다져서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하여야 한다.
(3) 기초재료로서 막자갈 또는 모래를 깔 경우 소형 로울러, 램머 등으로 충분히 다져서 소정의 두께로 마무 2.5 바닥고르기 콘크리트
리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15-4절에 따른다.
3.2.2 기초말뚝
기초말뚝은 사용할 경우에는 이 시방서 6-2-2절 또는 6-2-3절에 따른다. 3. 시 공
3.1 터파기
3.2.3 바닥고르기 콘크리트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별도 지시가 없는 한 기초재를 부설 후 바닥 고르기용 콘크리트 치기를 시행하여 고르게 기초바닥을 마
무리하여야 한다. 3.2 기 초
3.2.1 기초재 부설 및 지지력 확인
3.3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 기초재를 부설 후 허용지지력을 KS F 2444에 의거 확인하여야 하며, 지지력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를
3.3.1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보강하여야 한다. 기초재로서 조약돌을 깔 때 조약돌 사이의 공극은 막자갈 또는 쇄석 등의 채움 재료로 충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인용 절 표기 통일
3.3.2 거푸집 탈형 후 폼타이 구멍은 통로암거인 경우 뒤채움부인 외부 쪽만 메우고, 수로암거인 경우 내· 외부를 분히 메우고 소형 로울러 또는 램머 등으로 충분히 다져서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하여야 한다. 기초 재료로
모두 무수축 모르타르로 채워야 한다. 서 막자갈 또는 모래를 깔 경우 소형로울러, 램머 등으로 충분히 다져서 소정의 두께로 마무리 하여야 한
3.3.3 음각 문형거푸집을 사용할 때에는 음각깊이 만큼 구조물의 철근 피복이 감소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
방안을 검토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3.2.2 기초말뚝
기초말뚝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시방서 6-2-2절 또는 6-2-3절에 따른다.
3.4 철근 콘크리트
3.4.1 암거 본체의 철근콘크리트 시공은 이 시방서 6-4, 6-5절에 따라야 한다. 3.2.3 바닥 고르기 콘크리트
3.4.2 벽체 콘크리트 치기를 할 때에는 암거의 바닥슬래브가 굳어진 후에 시공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접합부에는 기초바닥은 기초재를 포설한 후 바닥 고르기용 콘크리트로 기초바닥을 마무리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흩어진 톱밥이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고 거칠게 만들어야 한다.
3.4.3 암거의 높이가 1.2m 이하일 때는 측벽과 상부슬래브 콘크리트를 동시에 쳐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4.4 암거의 높이가 1.2m 이상일 경우에는 측벽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상부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 3.3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
다. 이 때에는 측벽 콘크리트와 상부슬래브 콘크리트와의 결합을 위해 맞물림 철근을 남겨두어야 하며, 3.3.1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2 거푸집 제거 후 폼타이 구멍은 통로암거인 경우 뒤채움부인 통로의 외부구멍을 메우고, 수로암거인 경우
3.4.5 암거가 사이폰(syphon)구조인 경우에는 특히 수밀콘크리트로 시공한다. 내·외부의 구멍을 모두 무수축 모르타르로 메워야 한다.
3.4.6 날개벽은 가능하면 암거 본체와 동시에 콘크리트를 쳐야 한다. 3.3.3 음각 문형거푸집을 사용할 경우에는 음각깊이 만큼 구조물의 철근 피복이 감소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3.5 시공이음
3.5.1 암거이음부의 시공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서 각별히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4 철근 콘크리트
3.5.2 시공이음은 누수 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지수판은 구체 단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4.1 암거 본체의 철근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6-4절 및 6-5절에 따른다.
3.5.3 시공이음부는 팽창줄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4.2 벽체 콘크리트 타설을 할 때에는 암거의 바닥 슬래브가 굳어진 후 시공하여야 하며, 바닥에 흩어진 톱밥이
3.5.4 누수방지 및 미관을 고려하여 이음부의 밀폐재(sealant) 채움은 통로박스의 경우 내부를 실시하고, 수로박스 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고 거칠게 만들어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의 경우 내․외부를 실시하여야 한다. 3.4.3 암거의 높이가 1.2 m 이하인 경우에는 측벽과 상부 슬래브의 콘크리트 타설을 동시에 하여야 한다.
3.5.5 지수공의 시공에 관하여는 이 시방서 5-4절에 따른다. 3.4.4 암거의 높이가 1.2 m 이상인 경우에는 측벽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상부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있다. [추가] 신축 및 시공줄눈 위치 및 방법 추가

5-8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이때에는 측벽 콘크리트와 상부슬래브 콘크리트와의 결합을 위하여 맞물림 철근을 남겨두어야 하며, 측벽
콘크리트를 타설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4.5 암거가 사이폰(syphon) 구조일 경우에는 수밀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3.4.6 날개벽은 가능하면 암거본체와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수정] 항목 추가
3.6 되메우기 및 뒤채움 3.5 시공이음
3.6.1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5.1 암거이음부의 시공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서 각별히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6.2 측벽과 상부슬래브가 소정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에는 박스암거의 양벽을 뒤채움 하여서는 안 되며, 상부슬 3.5.2 시공이음은 누수 및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지수판은 구체 단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래브가 포장 마무리 면으로부터 3.5m 이내에 있을 경우는 양질의 막자갈 또는 승인된 조립재료를 사용하 3.5.3 시공이음부는 팽창줄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며, 상부슬래브가 포장 마무리 면으로부터 3.5m 이상인 경우는 양질의 토사를 사용하고, 암거 측벽부 뒤에 3.5.4 누수방지 및 미관을 고려하여 통로 및 수로암거 이음부의 내·외부를 실런트(sealant) 등의 밀폐재로 메워야
쐐기모양으로 층층이 펴 깔고 충분히 다져야 하며, 암거 뒤채움의 시공은 본체 양면이 동시에 같은 높이가 한다.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 위해 문장 분리
되도록 하여야 한다. 3.5.5 신축줄눈 및 시공줄눈 이음위치는 측벽에 직각으로 하되 표피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중앙분리대
3.6.3 다만, 현장여건상 한쪽이 반대쪽보다 높게 뒤채움을 하여야 할 때는 실내 시험결과 충분한 콘크리트 강도 위치 또는 차선표시 방향으로 한다.
가 확보된 후에 시행할 수 있으나 감독자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3.6 동바리 및 거푸집 떼어 내기
3.7 방수처리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3.7.1 암거 본체의 방수를 위하여 설계도서에 명시한 재료를 사용하되 감독자의 사전 승인을 받아 적절한 방수처
리를 하여야 한다. 3.7 되메우기 및 뒤채움
3.7.2 암거 본체의 콘크리트 표면상태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측을 득한 후에 방수작업을 하여야 한다. 3.7.1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수정] 문구 수정
3.7.2 측벽과 상부슬래브가 소정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에는 암거의 양벽을 뒤채움 하여서는 안 되며, 상부슬래브
3.7.3 방수처리 후 장기간 일광의 노출로 인하여 방수재료가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부담 가 포장 마무리 면으로부터 3.5m 이내에 있을 경우는 양질의 막자갈 또는 승인된 조립재료를 사용하여 암 [자문반영]
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거 측벽부 뒤에 쐐기모양으로 층층이 펴 깔고 충분히 다져야 한다.
3.7.4 영업소 통로박스와 같이 특별한 경우에는 시트방수를 할 수 있다.
3.8 날개벽 및 유입․유출구 3.7.3 암거 뒤채움의 시공은 본체 양면이 동시에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현장여건상 한쪽이 반대
3.8.1 암거날개벽 및 유입․유출구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하며, 특히 캔틸레버 형식의 쪽보다 높게 뒤채움을 하여야 할 때는 실내 시험결과 충분한 콘크리트 강도가 확보된 후에 시행할 수 있으
날개벽에 있어서는 좌우를 동시에 시공하고, 편심하중에 의한 암거의 경사 및 부등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나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주의하여야 한다.
3.8.2 날개벽은 암거 구체와 동시에 콘크리트 치기를 하여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3.8 방수처리
분리시공을 할 수 있다. 3.8.1 암거 구체에 대한 방수처리는 설계도서에 따라 방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3.8.3 날개벽 뒤의 배수를 위하여 날개벽에는 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배수공의 높이는 날개벽 전면의 비탈면
이하의 높이로 하여야 한다. 3.8.2 계약상대자는 암거 구체의 콘크리트 표면 상태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측을 받은 후 방수작업을 하여야 한
3.8.4 수로암거의 경우에는 유출입부의 유속이 다. [수정] 2.5m/s → 2.5 m/s , T=20cm → T=20 cm
2.5m/sec 〈 V ≤ 4.0m/sec 시 : 수로보호공 설치 3.8.3 방수처리를 할 경우 일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을 완료하며, 장기간 일광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방수재료 [신설]「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유지관리 지침(2003, 국토해양부)」 내용을 반영 [국토부] 2012년
4.0m/sec 〈 V ≤ 6.0m/sec 시 : 감쇄공 설치 가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없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지침 확인 필요 [수정] 한글로 순화
6.0m/sec 〈 V 시 : 침전조 설치 등의 수로보호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8.4 영업소 통로박스와 같이 특별한 경우에는 시트방수를 할 수 있다.
3.9 날개벽 및 유입·유출구
3.9.1 암거의 날개벽 및 유입·유출구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하며, 특히 켄틸레버 형식
의 날개벽인 경우에는 좌․우를 동시에 시공하고, 편심하중에 의한 암거의 경사 및 부등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9.2 날개벽은 암거 구체와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3.11 접속보강슬래브 분리시공을 할 수도 있다.
3.11.1 시공일반 3.9.3 날개벽에는 배면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배수공의 높이는 날개벽의 비탈면 이하의 높
(1) 뒤채움 두께가 얇은 암거인 경우에는 암거 구체의 접속부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approach slab)를 보강 이로 전면에 설치하여야 한다.
하여 암거 구체와 뒤채움 접속부에 생기는 단차를 최소화하여야 하며, 시공은 이 시방서 10-1절 3.11에 3.9.4 수로암거인 경우에 유출입부의 유속이 2.5 m/s를 초과할 때에는 수로보호공 및 감쇄공을 설치한다.
따른다. (1) 유입부
3.11.2 접속보강슬래브의 구조 침식방지용 수로보호공 설치(바닥은 콘크리트로 T = 0.20 m 이상, L = 3D 이상)
(1) 보강슬래브의 길이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2) 유출부
(2) 보강슬래브의 폭은 차로폭 및 내· 외측 양 측대를 포함하는 폭으로 한다. 날개벽 등에 접할 경우에는 이 2.5 m/s〈V≤4.0 m/s : 콘크리트바닥을 포함하여 배수구조물 높이의 3배 이상 설치
음재를 넣어서 가장자리를 절단하여야 한다. 4.0 m/s〈V≤6.0 m/s : 배수구조물 높이의 3배 이상이 되도록 하고 감쇄공 설치
(3) 암거의 배면에는 보강슬래브의 받침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받침대에는 다웰바(dowel bar)를 설치한다. 6.0 m/s〈V : 침전조 설치(유지관리를 고려하여 가급적 지양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만 설치)
(4) 보강슬래브와 받침대, 암거의 측벽 등의 사이에는 이음재를 삽입하여야 하며, 보강슬래브의 흙쌓기 측에는 3.9.5 수로암거의 유입·유출부가 콘크리트 측구로 연결된 구간은 차수벽을 설치하지 않는다.
특별한 받침구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3.9.6 수로암거/배수관의 유입·유출부가 토사 측구인 구간은 방수거 감쇄공 등을 설치하여 유실을 방지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3.11.3 접속보강슬래브의 시공
(1) 보강슬래브를 설치하는 장소는 공사용 차량 등에 의한 자연다짐을 실시하여 뒤채움부의 다짐과 안정을 꾀 3.10 접속 보강슬래브
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3.10.1 시공일반
(2) 접속보강슬래브의 기초바닥은 바닥고르기를 실시하고 슬래브 경사와 동일한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흙쌓기의 두께가 얇은 암거인 경우에는 암거 구체의 접속부에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approach slab)를 보

5-9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 콘크리트 타설은 이 시방서 6-4절의 해당요건에 따른다. 강하여 암거 구체와 흙쌓기의 접속부에 생기는 단차를 최소화하여야 하며, 시공은 이 시방서 10-1-1절 3.11
에 따른다.
3.10.2 접속 보강슬래브의 구조
3.12 기존암거의 확장 (1) 보강슬래브의 길이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편절 편성구간에 위치한 암거는 기초지반의 지지력 차이로 인한 부등침하를 방지하여야 하며, 이 시방서 (2) 보강슬래브의 폭은 차로폭 및 내·외측 양쪽 측대를 포함하는 폭으로 한다. 날개벽 등에 접할 경우에는 이음 [수정] 3.14로 위치 이동하여 기술 [자문 반영]
2-9절에 따라 기초재를 부설하고, 허용지지력을 확인하여야 하며, 지지력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를 보강 재를 넣어서 가장자리를 절단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 암거의 배면에는 보강슬래브의 받침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받침대에는 다웰바를 설치한다.
3.12.1 기존 암거 이음부의 깨기는 기존 시설물에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하며, 손상된 부분에 대하여는 계약상대 (4) 보강슬래브와 받침대, 암거의 측벽 등의 사이에는 이음재를 삽입하여야 한다. [수정] 뮨장 수정
자 부담으로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기초에는 ⇒ 기초에
3.10.3 접속 보강슬래브의 시공
3.12.2 기존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기존 콘크리트 면을 수직으로 절단하여야 하며, 철근 (1) 보강슬래브를 설치하는 장소는 공사용 차량 등에 의한 자연다짐을 실시하여 뒤채움부의 다짐과 안정을 꾀
주위의 콘크리트 잔재 등 이물질은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한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3.12.3 기존 철근과의 겹이음 길이를 확보하여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겹이음하여 보강하여야 (2) 접속 보강슬래브의 기초바닥은 바닥고르기를 실시하고, 슬래브 경사와 동일한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한다. (3) 콘크리트 타설은 이 시방서 6-4절의 해당요건에 따른다.
3.12.4 콘크리트 이음면은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이 잘 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12.5 이음부의 외벽에는 시트방수지 등을 시공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2.6 거푸집은 기존 콘크리트 면과 밀착하도록 하여 신·구 콘크리트 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히 설 3.11 기존 암거의 확장
치하여야 한다.
3.9 버팀보 (strut)
문형 암거의 버팀보 시공은 설계도서에 따라 암거 본체 시공 후 되메우기 및 뒤채움 시공 전에 행하고 부당 3.11.1 기존암거 이음부의 깨기는 기존 시설물에 피해가 없도록 기계절단을 하며 손상된 부분은 계약상대자 부담
한 응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으로 원상복구 하여야 하며, 신구 접합부는 기존의 암거와 확장암거의 기초에 침하방지 방석을 설치하여야
한다.
3.10 신축이음 3.11.2 기존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기존 콘크리트 면을 수직으로 절단하여야 하며, 철근 주
콘크리트 온도 신축이음은 설치 암거의 규모에 따라 콘크리트 온도신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 위의 콘크리트 잔재 등 이물질은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이음 재료는 이 시방서 5-1절 2.2에 따르고 시공은 5-1절 3.5에 따른 3.11.3 기존 철근과의 겹이음 길이를 확보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겹이음하여 보강하여야 한
다. 다.
3.11.4 콘크리트 이음면은 신·구 콘크리트의 부착이 잘 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수정] 편절 편성 → 한쪽깎기, 한쪽쌓기
3.11.5 이음부의 외벽에는 시트 방수지 등을 시공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기술
3.11.6 거푸집은 기존 콘크리트 면과 밀착하도록 하여 신·구 콘크리트 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
하여야 한다.
3.13 기존 암거의 폐쇄 및 철거 3.12 버팀보(strut)
3.13.1 확장공사 등에 따라 내하력 부족으로 부득이 기존 암거의 철거가 불가피한 경우는 암거 상단부를 절단하 문형암거의 버팀보 시공은 설계도서에 따라 암거 본체 시공 후 되메우기 및 뒤채움 시공 전에 실시하고, 과도한 [수정] 문장 수정
고 콘크리트{ f =16㎫(160㎏f/㎠), Φ 40㎜}를 채워서 폐쇄시켜야 한다.
ck
응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수정] 기호표기 수정 
3.13 신축이음
3.13.2 기존 암거 철거 시에는 2-3절 및 12-4절의 규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하며, 철거 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는 콘크리트 온도 신축이음은 설치암거의 규모에 따라 콘크리트 온도신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수정] 한글로 순화
유용을 원칙으로 하며, 현지 여건에 따라 조정하여야 한다.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이음재료는 이 시방서 5-2-1절 2.2에 따르고 시공은 5-2-1절 3.5에 따른다.
3.14 콘크리트 암거의 규격관리 3.14 한쪽깎기, 한쪽쌓기 구간
콘크리트 암거의 규격관리는 표 5-3을 따른다. 한쪽깎기, 한쪽쌓기 구간에 위치한 암거는 기초지반의 지지력 차이로 인한 부등침하를 방지하여야 하며 이 시방
표 5-3 콘크리트 암거 규격관리 기준 서 3-10절에 따라 기초재를 부설하고, 허용지지력을 확인하여야 하며, 지지력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를 보 [수정] <표 5-2-1-3>
강하여야 한다.
항 목 규격치(㎜) 측 정 기 준 비 고 3.15 기존 암거의 폐쇄 및 철거
기 준 고 ±30 3.15.1 확장공사 등으로 인하여 내하력 부족으로 철거가 불가피한 경우는 암거 상단부를 절단하고 5종 콘크리트
양단시공이음 또는 침하나 응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채움 재료{예를 들어 콘크리트( f =16 MPa, 40 mm)}를 사용
두께 t1, t2, t3, -20 개소마다 하여 폐쇄하거나 보강을 하여야 한다.
ck

t4 3.15.2 기존 암거를 철거할 때에는 이 시방서 2-3절의 규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하며, 철거할 때 발생하는 폐콘크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 등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폭 a1 -30 리트는 유용을 원칙으로 하며, 현지 여건에 따라 조정하여야 한다.
높 이 h1 ±30 3.16 콘크리트 암거의 규격관리
L < 20m -50 표 5-2-3 콘크리트 암거 규격관리 기준
길이
L > 20m -100

5-10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항 규격 측 정 기 준
목 (mm) 비 고
기 준 고 ±30 양단 시공이음
두께 t1,t2,t3,t4 -20 군데마다
폭 a1 -30
높 이 h1 ±30
길 L < 20 m -50
이 L > 20 m -100

5-3 용․배수관 5-2-2 배수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선형, 경사 및 치수에 맞도록 도로공사에 관련된 모든 용도의 배 이 시방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선형, 경사 및 치수에 맞도록 도로공사에 관련된 모든 용도의 배수관 [수정] 적용법위 수정 : 전체 통일
수관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한다.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4401 무근 콘크리트관 및 철근 콘크리트관 KS D 3552 철선 [수정] 참조표준 추가
KS F 4402 진동 및 전압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2 진동 및 전압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3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3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KS F 4405 코어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관 KS F 4405 코어식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관
KS F 440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실린더관 KS F 440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실린더관
KS D 3506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3506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83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
1.3 용어정리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기 기술
1.3.1 “배터보드(batter board)”라 함은 굴착준비를 위하여 목재의 규준틀 말뚝에 못을 박아 댄 가로나무를 말하 1.3 용어정리
며, 구조물의 외형을 나타내는데도 사용된다. 1.3.1 “배터보드(Batter board)”라 함은 굴착준비를 위하여 목재의 규준틀 말뚝에 못을 박아 댄
1.3.2 “칼라(collar)”라 함은 흄관을 이을때 이음부에서 사용되는 둥글고 길이가 짧은 이음관을 말한다. 가로나무를 말하며, 구조물의 외형을 나타내는데도 사용된다.
1.3.3 “스페이서(spacer)”라 함은 철근 또는 긴장재에 소정의 피복두께를 가지게 하거나 철근간격을 정확하게 유 1.3.2 “칼라(Collar)”라 함은 흄관을 이을때 이음부에서 사용되는 둥글고 길이가 짧은 이음관을
지시키기 위하여 쓰는 금속제, 플라스틱제, 콘크리트제, 모르타르제 등의 부품을 말한다. 말한다.
1.3.3 “스페이서(Spacer)”라 함은 철근 또는 긴장재에 소정의 피복두께를 가지게 하거나 철근간
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쓰는 금속제, 플라스틱제, 콘크리트제, 모르타르제 등의 부
품을 말한다.
1.3 제출물 1.4 제출물
1.3.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1) 시공규모, 위치, 경사 등 현지여건을 조사한 서류 1.4.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시공규모, 위치, 경사 등 현지여건을 조사한 서류
2. 재료 2. 재 료
2.1 공장제작 콘크리트 배수관 2.1 공장제작 콘크리트 배수관
2.1.1 철근 콘크리트관은 KS F 4401, KS F 4402, KS F 4403, KS F 4405, KS F 4406의 기준에 합격한 것이어 2.1.1 공장제작 콘크리트 배수관은 KS F 4401, KS F 4402, KS F 4403, KS F 4405, KS F 4406 기준에 합격한
야 한다. 것이어야 한다.
2.1.2 모든 관에는 제조 공장명 또는 그 약호, 제조년월일, 공칭지름 및 관 길이를 명기하여야 한다. 2.1.2 모든 관에는 제조 공장명, 또는 그 약호, 제조 년월일, 공칭지름 및 관 길이를 명기하여야 한다.

5-11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2 현장제작 콘크리트관 2.2 현장제작 콘크리트관
2.2.1 현장제작 콘크리트관(RC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1절, 15-3절 및 15-6절에 따른다. 2.2.1 현장제작 콘크리트관(RC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1절, 15-3절 및 15-6절에 따른다. [수정] 조사수정
2.2.2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의 외압강도 기준은 표 5-13과 같다. 2.2.2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의 외압강도 기준은 표 5-2-4와 같다. [자문반영]
2.2.3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에 사용하는 철선의 품질기준은 표 5-14와 같다. 2.2.3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에 사용하는 철선의 품질기준은 표 5-2-5와 같다.
표 5-13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의 외압강도 기준 표 5-2-4 현장 제작 콘크리트관의 외압강도 기준
호칭지름(㎜) 호칭지름(mm)
구 분 비고 구 분 비고
600 800 1,000 1,200 600 800 1,000 1,200
균열 중력단위( ㎏f/㎡) 3,000 3,600 4,200 4,600 균열 SI단위(kN/㎡) 29 35 41 45
강도 SI단위( kN/㎡) 29 35 41 45 강도
파괴 중력단위( ㎏f/㎡) 6,000 7,200 8,400 9,600 파괴 SI단위(kN/㎡) 59 71 82 94
강도 SI단위( kN/㎡) 59 71 82 94 강도
표 5-14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용 철선의 품질기준 표 5-2-5 현장 제작 콘크리트관용 철선의 품질기준 [수정] 단위 통일, 중력단위 삭제, SI단위만 사용, 용어 수정
인장강도 인장강도 철선
구 분 규격 선지름
(㎜) SI단위(kN/㎟) 중력단위(㎏f/㎟) 허용차 시험방법
규격
구 분 (mm) 지름 시험방법
SI단위(kN/㎟) 허용차
보통철선 69 5.3 이상
5.3 이상
540 이상
540 이상 ±0.13 KS B
0802 보통철선 69 5.3 이상 ±0.13 KS0802B
5.3 이상
2.3 파형강관 2.3 파형강관
2.3.1 재질 2.3.1 재질
(1) 파형강관은 KS D 3506에 의한 열연 용융아연도금 강판으로 만든다. (1) 파형강관은 KS D 3506에 의한 열연 용융아연도금 강판으로 만든다.
표 5- 15 융용아연도금 강판의 요구조건 표 5-2-6 용융아연도금 강판의 요구조건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기호 기호
P(%) S(%)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P(%) S (%)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SGHC - - 205(N/㎟) 이상 270(N/㎟) 이상 - SGHC - - 205 (N/㎟) 이상 270 (N/㎟) 이상 -
(2) 용융아연도금을 한 강관의 아연 부착량은 다음과 같다. (2) 용융아연도금을 한 강관의 아연부착량은 다음과 같다.
표 5-16 아연 부착량 기준 표 5-2-7 아연부착량 기준
아연 부착량의 종류 3점기준 최소 부착량(양면 기준, gf/㎡) 아연 부착량의 종류 3점기준 최소 부착량(양면 기준, g/㎡)
Z600 600 Z600 600

2.3.2 형상 및 치수(SCP 1RS) 2.3.2 형상 및 치수(SCP 1RS)


(1) 형상 (1) 형상

5-12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그림 5-8 SCP 1RS의 규격 그림 5-2-1 SCP 1RS의 규격


(2) 단면치수 기호 (2) 단면치수 기호
표 5-17 SCP 1RS의 호칭별 판두께 표 5-2-8 SCP 1RS의 호칭별 판 두께
판두께 기호 호칭지름 판 두께(mm)
기 호 호칭지름
D(㎜) 1.6 길이L(㎜) D(mm) 1.6 2.0 2.7 3.2 길이 L(mm)
2.0 2.7 3.2
300 O O - - 400 ○ ○ - -
400 O O - - 450 ○ ○ - -
450 O O - - 600 ○ ○ ○ -
600 O O O - 800 ○ ○ ○ -
800 O O O - 4,000부터
SCP 1RS 1,000 O O O O 6,000까지의 지정된 SCP 1RS 1,000 ○ ○ ○
1,200 ○ ○ ○
○ 4,000 부터 6,000 까지의
○ 지정 길이
1,200 O O O O 길이 1,350 ○ ○ ○ ○
1,350 O O O O 1,500 ○ ○ ○ ○
1,500 O O O O 1,650 ○ ○ ○ ○
1,650 O O O O 1,800 ○ ○ ○ ○
1,800 O O O O

그림 5-9 SCR 1RS의 형상 그림 5-2-2 SCP 1RS의 형상


표 5-18 SCR 1RS의 규격 표 5-2-9 SCP 1RS의 규격
치 수 치 수 [수정] SCR → SCP
기 호 기 호 파의 피치 P(mm) 파의 깊이 H(mm) 파의 굽힘반지름 R
파의 피치 P(㎜) 파의 깊이H(㎜) 파의 굽힘반지름 r(㎜) (mm)
SCP 1RS 68.0 13.0 17.5 SCP 1RS 68.0 13.0 17.5
(3) 치수 허용차 기호
(3) 치수 허용차 기호 표 5-2-10 SCP 1RS의 허용 오차
표 5-19 SCR 1RS의 허용 오차 (단위: mm)
(단위:㎜)

5-13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치수 허용차 치수 허용차
기 호 파의 피치 파의 깊이 강관의 길이 호칭 지름 D 축방향 커플링
밴드의 기 호 파의 파의
피치 깊이
강관의
길이 호칭 지름 축방향 커플링 밴드의
나비
P H L 휨 나비 W P H L D 휨 W
지정길이의 1000미만 길이의 지정길이의 길이의
SCP ±2.0 ±2.0 +40 ±10 ±0.3% ±5.0 SCP +40 1000 미만 ±10 %
±2.0 ±2.0 지정길이의 ±0.3 % ±5.0
1RS 지정길이의 1000 이상 이하 1RS 1000 이상 ±1 % 이하
-10 ±1% -10
(4) 커플링 밴드의 단면 모양 및 치수 (4) 커플링 밴드의 단면모양 및 치수

그림 5-2-3 커플링 밴드 형상
그림 5-10 커플링 밴드 형상
표 5-20 커플링 밴드 규격
D-1 D-2 S-1 S-2 표 5-2-11 커플링 밴드 규격
기 호 호칭지름
D(㎜) 판두께 나비 판두께 나비 판두께 나비 판두께 나비 호칭지 D-1 D-2 S-1 S-2
t(㎜) W(㎜) t(㎜) W(㎜) t(㎜) W(㎜) t(㎜) W(㎜) 기호 름D 판두께 너비 판두께 너비 판두께 너비 판두께 너비
300 1.6, 410 (mm) t W t W t W t W
400 1.6 270 2.0 (mm) (mm) (mm) (mm) (mm) (mm) (mm) (mm)
450 - - 1.6, 300
600 1.6 270 400 1.6 270 1.6, 410
800 2.0, 410 - - 450 2.0
SCP 1000 2.7 - - 1.6,
1RS 1200 600 1.6 270 2.0, 410 - -
1350 - - 2.0 410 1.6, 2.0, 410 SCP 800 2.7
1500 2.7, 1RS 1,000
1650 - - 2.7 410 3.2 1,200 - - 2.0 410 1.6,
1800 3.2 410 1,350 2.0, 410
1,500 2.7,
1,650
1,800 - - 2.7 410 3.2 3.2 410
2.4 수지파형강관(평활형)
2.4.1 재질
수지파형강관의 원관재료는 KS D 3555(강관용 열간압연 탄소 강대) SPHT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 2.4 수지파형강관(평활형)
으로 한다. 2.4.1 재질
2.4.2 피복재료 수지파형강관의 원관재료는 KS D 3555(강관용 열간압연 탄소 강대) SPHT2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

5-14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1) 피복재료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은 KS D 3589(압출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의 부속서 1에 따르며, 기타 으로 한다.
재료의 경우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한다. 2.4.2 피복재료
(2) 분체 에폭시는 KS M 5250(에폭시 수지 분체 도료)에 따르며, 기타 재료의 경우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1) 피복재료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은 KS D 3589(압출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의 부속서 1에 따르며, 기타
한다. 재료의 경우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한다.
(3) 접착제는 KS D 3589(압출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의 부속서 2에 따른다. (2) 분체 에폭시는 KS M 5250(에폭시 수지 분체 도료)에 따르며, 기타 재료의 경우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한다.
2.4.3 이음재료 (3) 접착제는 KS D 3589(압출식 폴리에틸렌 피복강관)의 부속서 2에 따른다.
(1) 플랜지 결속밴드는 KS D 3698(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STS304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에 2.4.3 이음재료
따른다. (1) 플랜지 결속밴드는 KS D 3698(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STS304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에
(2) 볼트는 KS B 0241(내식스테인리스 강제 나사부품의 기계적 성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에 따르며 따른다.
종류 및 등급은 오스테나이트계 A2로 한다. (2) 볼트는 KS B 0241(내식스테인리스 강제 나사부품의 기계적 성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에 따르며
2.4.4 형상 및 치수 종류 및 등급은 오스테나이트계 A2로 한다.
(1) 형상 2.4.4 형상 및 치수
(1) 형상

그림 5-11 수지파형강관의 단면 모양
표 5-21 수지파형강관의 기호별 호칭지름의 판 두께 및 허용차 그림 5-2-4 수지파형강관의 단면 모양
(단위:㎜) 표 5-2-12 수지파형강관의 기호별 호칭지름의 판 두께 및 허용차
(단위:mm)

5-15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호칭지름 판두께(T) 길이 호칭지름 판두께(T) 길이
(D) 1.6 2.0 2.7 3.2 (L) (D) 1.6 2.0 2.7 3.2 (L)
±0.17 ±0.17 ±0.21 ±0.21 ±0.17 ±0.17 ±0.21 ±0.21
300 ◯ 300 ◯
350 ◯ 350 ◯
400 ◯ 400 ◯
450 ◯ 450 ◯
1RS 500 ◯ 지정된 길이 1RS 500 ◯ 지정된 길이
평활형 600 ◯ ◯ (1본 = 8m) 평활형 600 ◯ ◯ (1본 = 8 m)
700 ◯ ◯ 700 ◯ ◯
800 ◯ 800 ◯
900 ◯ 900 ◯
1000 ◯ 1000 ◯
900 ◯ 900 ◯
1000 ◯ 1000 ◯
1100 ◯ 1100 ◯
1200 ◯ 1200 ◯
1350 ◯ ◯ 1350 ◯ ◯
1500 ◯ 1500 ◯
1650 ◯ 1650 ◯
3RS 1800 ◯ ◯ 지정된 길이 3RS 1800 ◯ ◯ 지정된 길이
평활형 2000
2200

◯ (1본 = 8m) 평활형 2000
2200

◯ (1본 = 8 m)
2400 ◯ 2400 ◯
2500 ◯ 2500 ◯
2600 ◯ 2600 ◯
2700 ◯ 2700 ◯
2800 ◯ 2800 ◯
2900 ◯ 2900 ◯
3000 ◯ 3000 ◯
비고 : 판 두께는 폴리에틸렌 피복 전의 원판 두께를 표시한다. 비고 : 판 두께는 폴리에틸렌 피복 전의 원판 두께를 표시한다.

(2) 치수 및 허용오차 (2) 치수 및 허용오차


표 5-22 관의 치수 및 허용차 표 5-2-13 관의 치수 및 허용차
(단위:㎜) (단위:mm)
허용차
종류 기호
강관의길이(L) 호칭지름 파의피치(P) 파의깊이(H)
1S형 1RS 평활형 지정길이의 +40 1000 미만 ±10 68.0±2.0 13.0±2.0
원형 -10 1000 이상 ±1% 76.0±2.0 25.0±2.0
3S형 3RS 평활형
※ 단 플랜지 부위는 일정두께의 플랜지가 융착되어 있으므로 D900 미만은 기준내경

5-16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0㎜ 이내, D900 이상은 기준내경 -30㎜ 이내이다. 허용차
종류 기호 파의
표 5-23 관의 두께별 관벽 두께(H1) 및 내표면 평활 수지의 두께(H2) 강관의 길이(L) 호칭지름
피치(P) 파의깊이(H)
(단위:㎜)
관의두께(t)
종류 호칭지름(D) 1.6 2.0 2.7 3.2 1S형 1RS 평활형 지정길이의 +40 1000 미만 ±10 % 68.0±2.0 13.0±2.0
원형 -10 1000 이상 ±1 % 76.0±2.0 25.0±2.0
H1 : 4.23 이상 3S형 3RS 평활형
300∼500 H2 : 1.5 이상 ※ 단 플랜지 부위는 일정두께의 플랜지가 융착되어 있으므로 D900 미만은 기준내경 -20 mm 이내, D900
이상은 기준내경 -30 mm 이내이다.
1RS 600∼700 H1 : 4.23 이상 H1 : 4.73 이상
평활형 H2 : 1.5 이상 H2 : 1.5 이상 표 5-2-14 관의 두께별 관벽 두께(H1) 및 내표면 평활 수지의 두께(H2)
(단위:mm)
800∼1000 H1 : 4.73 이상 관의두께(t)
종류 호칭지름(D) 1.6 2.0 2.7 3.2
H2 : 1.5 이상
H1 : 4.73 이상 300∼500 H1 : 4.23 이상
900∼1200 H2 : 1.5 이상 H2 : 1.5 이상
H1 : 4.73 이상 H1 : 5.29 이상 1RS 600∼700 H1 : 4.23 이상 H1 : 4.73 이상
1350 H2 : 1.5 이상 H2 : 1.5 이상 평활형 H2 : 1.5 이상 H2 : 1.5 이상
3RS H1 : 5.29 이상 800∼1000 H1 : 4.73 이상
평활형 1500∼1650 H2 : 1.5 이상 H2 : 1.5 이상
H1 : 5.29 이상 H1 : 5.79 이상 900∼1200 H1 : 4.73 이상
1800 H2 : 1.5 이상 H2 : 1.5 이상 H2 : 1.5 이상
H1 : 5.79 이상 1350 H1 : 4.73 이상 H1 : 5.29 이상
2200∼3000 H2 : 1.5 이상 H2 : 1.5 이상 H2 : 1.5 이상
3RS 1500∼1650 H1 : 5.29 이상
평활형 H2 : 1.5 이상
1800 H1 : 5.29 이상 H1 : 5.79 이상
H2 : 1.5 이상 H2 : 1.5 이상
2200∼3000 H1 : 5.79 이상
H2 : 1.5 이상
(3)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 및 치수

(3)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 및 치수

5-17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그림 5-12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

표 5-24 플랜지 결속밴드 치수 및 허용차


(단위:㎜)
종류 관지름 플랜지 두께
결속밴드 종류 관지름 플랜지 결속밴드
폭 두께 폭 그림 5-2-5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
300 900 2 ± 0.17
350 1000
400 1100 표 5-2-15 플랜지 결속밴드 치수 및 허용차
450 1200 (단위:mm)
500 2 ± 0.17 50 1350 종류 관지름 플랜지 두께
결속밴드 종류 관지름 플랜지 결속밴드
폭 두께 폭
600 0 ∼ +5 1500
700 1650 300 900 2 ± 0.17
800 1800 350 1000
1RS 900 3RS 2000 50 400 1100 [수정] 그림 번호 수정
평활형 평활형 0 ∼ +5
1000 3 ± 0.22 2200 3 ± 0.22 450 1200
- - - 2400 500 2 ± 0.17 50 1350
- - - 2500 600 0 ∼ +5 1500
2600 700 1650
- - - 2700 800 1800
1RS 900 3RS 2000 50
- - - 2800 평활형 평활형 0 ∼ +5
- - - 2900 1000 3 ± 0.22 2200 3 ± 0.22
- - - 3000 - - - 2400
- - - 2500
2600
- - - 2700
- - - 2800
2.4.5 폴리에틸렌 피복 두께 - - - 2900
수지파형강관에 피복하는 수지의 종류별 피복 두께 및 허용차는 다음과 같다. - - - 3000
(1) 파형강판과 폴리에틸렌의 중간층에 피복하는 에폭시의 두께는 30 ㎛ 이상이어야 한다.
(2) 수지파형강관에 융착된 수지의 최소피복 두께는 내면은 0.3㎜, 바깥면은 1㎜ 이상 피복하여야 한다.
(3) 수지파형강관 내․외면의 럭심(lockseam) 부위에 덧씌우는 폴리에틸렌 피복의 최소 피복 두께는 0.5㎜이
상이어야 한다.
(4) 부위별 명칭은 그림 5-13 와 같고 폴리에틸렌 피복 파형강관의 관벽 두께(H1) 및 내표면 평활 수지의 두
께(H2)는 표 5-23 에 따른다.
(5) 수지파형강관의 이음자재인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은 그림 5-12 와 같고, 치수 및 허용차는 표 5-22
에 따른다. 다만,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정에 따라 이것 이외의 치수도 사용할 수 있다.
2.4.5 폴리에틸렌 피복 두께
수지파형강관에 피복하는 수지의 종류별 피복 두께 및 허용차는 다음과 같다.

5-18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1) 파형강판과 폴리에틸렌의 중간층에 피복하는 에폭시의 두께는 30 ㎛ 이상이어야 한다.
(2) 수지파형강관에 융착된 수지의 최소피복 두께는 내면은 0.3 mm, 바깥면은 1 mm 이상 피복하여야 한다.
(3) 수지파형강관 내․외면의 럭심(lockseam) 부위에 덧씌우는 폴리에틸렌 피복의 최소 피복 두께는 0.5 mm
이상이어야 한다.
(4) 부위별 명칭은 그림 5-2-6 과 같고, 폴리에틸렌 피복 파형강관의 관벽 두께(H1) 및 내표면 평활 수지의
두께(H2)는 표 5-2-14 에 따른다. [수정] 표 번호 재수정
(5) 수지파형강관의 이음자재인 플랜지 결속밴드의 단면모양은 그림 5-2-5 와 같고, 치수 및 허용차는 표
5-2-13 에 따른다. 다만,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정에 따라 이것 이외의 치수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림 5-13 수지파형강관 단면도(평활형)


2.4.6 시험방법
(1) 겉모양은 육안으로 검사한다.
(2) 치수의 측정은 같은 치수의 공시관 3개에 대하여 다음에 따른다.
① 피복 두께 : 피복 두께는 공시관의 양끝으로부터 약 200㎜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직
교하는 임의의 네 점에 대하여, 미후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② 관 지름 및 길이 : 관의 지름 및 길이는 KS B 5209 또는 KS B 5246에 규정하는 강제 줄자 또는 금속
제 곧은 자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 정밀도는 1 ㎜이상으로 한다.
③ 핀홀 시험 : 핀홀 시험은 KS D 3589에 따르며 시험은 기공 탐지기(홀리데이디텍터)를 사용하고, 접촉 [수정] 한글로 순화
형일 때는 10,000 ∼ 12,000V, 비접촉형일 때는 20,000 ∼ 40,000V 의 전압을 걸어, 피복 강관 모든 그림 5-2-6 수지파형강관 단면도(평활형)
면에 대하여 핀홀의 유무를 조사한다.
④ 수압 시험 : 수압 시험은 관에 적절한 방법으로 내부에 상온의 물로 73.6 ㎪의 압력을 가한 상태로 10 2.4.6 시험방법
분간 유지하였을 때 누설이나 그 밖의 결점유무를 조사한다. (1) 겉모양은 육안으로 검사한다.
⑤ 음극 박리 저항성 : 음극 박리 저항성시험은 KS D 3589의 부속서 4.항에 따른다. (2) 치수의 측정은 같은 치수의 공시관 3개에 대하여 다음에 따른다.
① 피복 두께 : 피복 두께는 공시관의 양끝으로부터 약 200 mm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수정] 문구 추가
2.4.7 품질 직교하는 임의의 네 점에 대하여, 미후계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1) 겉모양 관의 내․외면은 마무리가 양호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균열, 요철(凹凸), 이물질의 혼입 등이 없 ② 관 지름 및 길이 : 관의 지름 및 길이는 KS B 5209 또는 KS B 5246에 규정하는 강제 줄자 또는 금속 [수정] 쌓기 → 흙쌓기
어야 한다. 또한 강관은 실용적으로 곧고, 그 양끝은 관축에 대하여 직각이어야 한다. 제 곧은 자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측정 정밀도는 1 mm이상으로 한다.
(2) 끝단부 처리 PE피복층 박리 및 부식방지를 위하여 관 끝단부는 관체에 피복한 것과 동일한 재질의 폴리 ③ 핀홀 시험 : 핀홀 시험은 KS D 3589에 따르며 시험은 기공 탐지기(홀리데이디텍터)를 사용하고, 접촉
에틸렌으로 피복하여 강판의 노출이 없어야 한다. 형일 때는 10,000 V ∼ 12,000 V, 비접촉형일 때는 20,000 V ∼ 40,000 V 의 전압을 걸어, 피복 강관
(3) 관의 성능은 2.4.6에 따라 시험하여, 표 5-25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모든 면에 대하여 핀홀의 유무를 조사한다. [수정] 용어 수정
④ 수압 시험 : 수압 시험은 관에 적절한 방법으로 내부에 상온의 물로 73.6 kPa의 압력을 가한 상태로 10
분간 유지하였을 때 누설이나 그 밖의 결점유무를 조사한다.
표 5-25 수지파형강관의 성능 ⑤ 음극 박리 저항성 : 음극 박리 저항성시험은 KS D 3589의 부속서 4.항에 따른다.
항목 성능값 적용시험 항목 2.4.7 품질
(1) 겉모양 관의 내․외면은 마무리가 양호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균열, 요철(凹凸), 이물질의 혼입 등이 없 [자문반영] 용어, 문구 수정
핀홀 불꽃발생이 없을 것 2.4.6 어야 한다. 또한 강관은 실용적으로 곧고, 그 양끝은 관축에 대하여 직각이어야 한다.
(2) 끝단부 처리 PE피복층 박리 및 부식방지를 위하여 관 끝단부는 관체에 피복한 것과 동일한 재질의 폴리
연결부 수압시험 누설 또는 그 밖의 결점이 없을 것 2.4.6 에틸렌으로 피복하여 강판의 노출이 없어야 한다.
(3) 관의 성능은 2.4.6에 따라 시험하여, 표 5-2-16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평균 박리 반지름 8㎜ 이하
음극 박리 저항성 최대 2.4.6
박리 반지름 10㎜ 이하 표 5-2-16 수지파형강관의 성능
항목 성능값 적용시험 항목
3. 시공 핀홀 불꽃발생이 없을 것 2.4.6
3.1 시공 시 유의사항
3.1.1 터파기 바닥은 소정의 경사가 되게 하고 지반이 연약한 경우는 소정의 재료로 치환하거나 잡석 깔기, 버림 연결부 수압시험 누설 또는 그 밖의 결점이 없을 것 2.4.6
콘크리트 타설 등 현장여건에 맞는 공법으로 침하에 대비하여야 하며, 바닥은 잘 다져 관 부설 후 부등침
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평균 박리 반지름 8 mm 이하
음극 박리 저항성 최대 2.4.6
3.1.2 배수관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한 경사에 정확히 맞도록 하여 하류측 또는 낮은 쪽에서부터 설치하 박리 반지름 10 mm 이하
여야 한다.
3.1.3 관은 기초 및 다음 이음관과 밀착이 되도록 하고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3.1.4 관 부설이 완료되면 감독자가 부설상태를 확인한 후 되메우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3.1.5 되메우기 재료는 쌓기 재료와 동등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돌 등이 섞여 배수관에 집중하중을 받지 않도
록 한다. 3. 시 공
3.1 시공할 때의 유의사항

5-19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2 터파기 3.1.1 터파기 바닥은 소정의 경사가 되게 하고 지반이 연약한 경우는 소정의 재료로 치환하거나, 잡석깔기, 버림
3.2.1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라 시행한다. 터파기용 바닥 폭은 현장여건, 토질조건 및 관종에 따라 설계 콘크리트 타설 등 현장여건에 맞는 공법으로 침하에 대비하여야 하며, 바닥은 잘 다져 관 부설 후 부등침하
도면에 의하여 시공한다. 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3.2.2 터파기한 바닥면은 관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하여야 하며, 기초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막자갈 3.1.2 배수관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한 경사에 정확히 맞도록 하여 하류 측 또는 낮은 쪽에서부터 설치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로 치환하여야 하며, 지반면 위의 암반 등이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브레이커 하여야 한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경사로 다듬어야 한다. 3.1.3 관을 부설할 때 관과 기초, 각 관의 이음부가 밀착이 되도록 하고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한다.
3.2.3 터파기 완료 후 감독자의 검측을 받기 전에는 후속작업을 시작해서는 안 된다. 3.1.4 관부설이 완료되면 감독자가 부설상태를 확인한 후 되메우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3.2.4 보통 지반 또는 잘 다져진 땅을 터파기하여 파형강관을 매설할 경우 터파기폭을 적게, 벽면이 연직 되게 3.1.5 되메우기 재료는 흙쌓기 재료와 동등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돌 등이 섞여 배수관에 집중하중을 받지 않
하는 것이 이상적인 터파기 방법이다. 도록 한다.
3.2 터파기
3.2.1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라 시행한다. 터파기 바닥 폭은 현장여건, 토질조건 및 관 종류에 따라 설계
도면과 동일하게 시공한다.
3.2.2 터파기한 바닥면은 관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기초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막자갈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로 치환하여야 하며, 지반면 위의 암반 등이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브레이커 등을 이
용하여 소정의 경사로 다듬어야 한다.
3.2.3 터파기 완료 후 감독자의 검측을 받기 전에는 후속작업을 시작하여서는 안 된다.
3.2.4 땅깎기 흙쌓기 지반을 터파기하여 파형강관을 매설할 경우에 설계도서에 따로 표기되지 않았을 때에는 그
림 5-2-7 터파기 기준 폭에 따라야 한다.

그림 5-14 터파기 폭 기준
표 5-26 관경별 터파기폭
관경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
(㎜) 0
터파기폭 700 800 900 1000 1100 1200 1400 1600 1700 1800 2000 2100 2200 2400 250
(㎜) 0 그림 5-2-7 터파기 폭 기준
3.3 기 초 표 5-2-17 관경별 터파기폭
3.3.1 기초에 조약돌 또는 깬 조약돌을 쓰는 경우에는 조약돌 또는 깬 조약돌을 깔고 채움용 자갈 또는 깬 자갈
을 채워야 한다. 관경
3.3.2 기초에 막자갈을 쓰는 경우에는 소정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막자갈을 깔아 다지고, 관에 접하는 부분은
관 벽면의 형상에 맞도록 잘 다듬어야 한다. (mm) 300 350 400 45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3.3.3 콘크리트 기초의 경우는 소정의 조약돌(또는 깬 조약돌) 및 채움용 자갈(또는 깬 자갈)을 고르게 깔고 콘크
터파기폭 700 800 900 1000 1100 1200 1400 1600 1700 1800 2000 2100 2200 2400 2500
리트 치기는 이 시방서 5-4절에 따라서 시공하여야 한다. (mm)
3.3.4 말뚝기초의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말뚝을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서 박고 콘크리트를 친다.
3.3.5 기초지반은 관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하여야 하며, 연약한 경우 또는 부적합한 토질(이토, 오물
등)일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양질의 입상재료 또는 승인된 재료로 치환하여야 하며, 지반면 위 3.3 기초
의 암반 등이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경사에 맞도록 다듬어야 한다. 3.3.1 기초에 조약돌 또는 깬 조약돌을 쓰는 경우에는 조약돌 또는 깬 조약돌을 깔고 채움용 자갈 또는 깬 자갈
을 채워야 한다.
3.2.6 파형강관은 가요성 관이므로 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초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초는 3.3.2 기초에 막자갈을 쓰는 경우에는 소정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막자갈을 깔아 다지고 관에 접하는 부분은 관 [수정] 3.2.2 → 3.3.7
콘크리트로 시공해서는 안 되며, 가급적 양질의 기초재료(모래 또는 사질토)를 사용하여 지반조건에 따라 벽면의 형상에 맞도록 잘 다듬어야 한다.
다음과 같이 균일하게 다지는 것이 좋다.
3.3.3 콘크리트 기초의 경우는 소정의 조약돌(또는 깬 조약돌) 및 채움용 자갈(또는 깬 자갈)을 고르게 깔고 콘크
리트 타설은 이 시방서 5-1절에 따라서 시공하여야 한다.
3.3.4 말뚝기초의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말뚝을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서 시공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3.3.5 기초지반은 관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단단하여야 하며, 연약한 경우 또는 부적합한 토질(이토, 오물
등)일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양질의 입상재료 또는, 승인된 재료로 치환하여야 하며, 지반면 위의
암반 등이 돌출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경사에 맞도록 다듬어야 한다.

5-20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그림 5-15 지반에 따른 기초폭
3.3.6 파형강관은 가요성 관이므로 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초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초는
표 5-27 지반에 따른 기초의 최소두께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서는 안 되며, 가급적 양질의 기초재료(모래 또는 사질토)를 사용하여 다음 그림
두께 및 폭 기초의 최소두께(H) 5-2-8과 같이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기초의
기초의 관경 900㎜ 미만 900이상∼2000㎜미만 2,000 ㎜ 이상 폭(W)
지질
보통지반 200㎜ 300㎜ 0.2D D
암지반 200㎜ 그단,높이쌓기 높이가 5m를 넘을 경우에는
1m에 대하여 40㎜씩 증가시킴 D
그림 5-2-8 지반에 따른 기초폭
표 5-2-18 지반에 따른 기초의 최소두께
연약지반 500㎜ 0.4D와 500값㎜중에서 큰 최대 1 m까지 2D∼3D 두께 및 폭 기초의 최소두께(H)
※ 연약지반은 치환을 원칙으로 하나 연약층이 깊은 경우에는 위의 표에서 제시된 값으로 한다. 기초의 지질 관경 900 mm 이하 900∼2,000 mm 2,000 mm 이상
3.2.2 바닥 재료의 선택은 흙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이음부 간격의 크기에 대한 D 흙 입자의 크기의 비로
보통지반 200 mm 300mm 0.2D
200 mm 단, 쌓기 높이가 5 m를 넘을 경우에는
35

결정되며, 표 5-28과 같다. 암지반


표 5-28 바닥재료의 선택 그 높이 1 m에 대하여 40 mm씩 증가시킴
진흙 침 적 토 모 래 연약지반 500 mm 0.4D와 500 mm 0.3D
중에서 큰 값 (최대 1 m까지)
찰흙 고운 것 중간 거친 것 고운 것 중간 거친 것 ※ 연약지반은 치환을 원칙으로 하나 연약층이 깊은 경우에는 위의 표에서 제시된 값으로 한다.
0.002 0.006 0.02 0.06 0.2 0.6 2.0
3.3.7 바닥 재료의 선택은 흙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이음부 간격의 크기에 대한 D 흙 입자의 크기의 비로
35

3.4 진동 및 전압(철근콘크리트 V.R관) 결정되며, 표 5-2-19와 같다.


3.4.1 관의 접합은 관 종류에 따라 접합방법, 접합순서, 접합재료 등을 사전에 검토한 후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3.4.2 기초면 위에 내려진 관은 인력이나 체인블럭으로 밀착시켜 접합한다. 표 5-2-19 바닥재료의 선택
3.4.3 관을 운반하여 내릴 때에는 크레인 등 기계를 사용, 주의하여 관에 급격한 충격을 피하고 소켓부위가 파손 침 적 토 모 래
되지 않도록 평탄한 곳에 각재를 깔고 보관하여야 한다. 진흙
3.4.4 관을 소운반 할 때는 구름방지를 위해 로프로 확실히 고정하여 트럭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찰흙 고운 것 중간 거친 것 고운 것 중간 거친 것
3.4.5 소켓(socket), 스피곳(spigot) 부위의 청소와 점검을 철저히 하고, 관을 매어달아 내릴 때는 와이어로프 2본
을 사용 관정에 매어서 내린다. 0.002 0.006 0.02 0.06 0.2 0.6 2.0
3.4.6 되메우기에 사용되는 토질은 모래 또는 양질의 흙을 사용하고, 한 층의 두께는 관로 하부 200㎜, 상부는
300㎜이하로 다짐하면서 되메우기 하여야 한다.
3.4.7 관 위에 불도자 등 건설장비가 직접 운행하여서는 안 된다. 3.4 이동 및 설치(철근콘크리트 V.R관)
3.4.1 관의 접합은 관 종류에 따라 접합방법, 접합순서, 접합재료 등을 사전에 검토한 후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3.4.2 기초면 위에 내려진 관은 인력이나 체인블럭으로 밀착시켜 접합한다.
3.4.3 관을 운반하여 내릴 때에는 크레인 등 기계를 사용, 주의하여 관에 급격한 충격을 피하고 소켓부위가 파손
3.5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의 제작 되지 않도록 평탄한 곳에 각재를 깔고 보관하여야 한다.
3.5.1 제작장은 넓고 평활한 곳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밀실하게 다지고 관 단면에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 3.4.4 관을 소운반 할 때는 구름방지를 위하여 로프로 확실히 고정하여 트럭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다. 3.4.5 소켓(socket), 스피곳(spigot) 부위의 청소와 점검을 철저히 하고 관을 매어달아 내릴때는 와이어로프 2본
3.5.2 거푸집을 조기에 해체코자 할 경우에는 자동온도기록계를 부착하여 증기양생을 하여야 한다. 을 사용 관정에 매어서 내린다.
3.5.3 철선은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히 가공하여야 한다. 3.4.6 되메우기에 사용되는 토질은 모래 또는 양질의 흙을 사용하고 한 층의 두께는 관로 하부 200 mm, 상부는
3.5.4 용접철망의 가공을 롤링(rolling) 장비로 할 경우에는 용접부가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고, 용접부에 이상이 300 mm 이하로 다짐하면서 되메우기 하여야 한다.
있으면 재조립하여야 한다. 3.4.7 관 위에 불도자 등 건설장비를 직접 운행하여서는 안 된다.
3.5.5 철망의 고정과 피복유지를 위하여 단철망은 8개 이상, 복철망은 16개 이상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를 타설하여야 한다.
3.5.6 제작이 완료된 관은 검사 후에 관의 형식, 제작년월일, 공칭지름 등을 명기하여 야적하여야 한다.
3.6 관부설 3.5 현장제작 콘크리트관의 제작
3.6.1 모든 관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한 경사에 정확히 맞도록 하류측 또는 낮은 쪽에서부터 설치하여야 3.5.1 제작장은 넓고 평활한 곳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밀실하게 다지고, 관 단면에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
한다. 이 때 기초와 잘 밀착이 되도록 하고 관이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다.

5-21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6.2 관에 소켓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소켓을 관의 상류쪽 또는 높은 곳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소켓이 없는 관 3.5.2 거푸집을 조기에 해체할 경우에는 자동온도기록계를 부착하여 증기양생을 하여야 한다.
은 고무링을 사용한 맞물림(butt) 연결 또는 칼라(collar), 수밀밴드 등을 사용한 맞대기 연결 등의 방법으 3.5.3 철선은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히 가공하여야 한다.
로 연결한다. 연결부는 감독자의 지시가 없는 한 용적배합비가 1: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틈 사이를 채워 3.5.4 용접철망의 가공을 롤링장비(roller)로 할 경우에는 용접부가 손상이 되지 않도록 하고 용접부에 이상이 있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으면 재조립하여야 한다.
3.6.3 되메우기 및 뒤채움을 시행하기 전에 관의 설치의 적부, 침하의 유무, 손상유무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 3.5.5 철망의 고정과 피복유지를 위하여 단철망은 8개 이상, 복철망은 16개 이상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콘크리
를 받아야 하며, 이상이 있을 때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다시 설치하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6.4 이음 모르타르를 시공하기 전에 모르타르를 시공할 관의 이음부는 잘 청소한 후 물로 충분히 적셔두어야 3.5.6 제작이 완료된 관은 검사 후에 관의 형식, 제작년월일, 공칭지름 등을 명기하여 야적하여야 한다.
한다.
3.6.5 파형강관을 쌓기 내부에 설치할 경우 장래 심한 침하가 예상될 때는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3.6 관 부설
서 미리 예상 침하량을 가산한 높이로 설계하여야 한다. 3.6.1 모든 관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한 경사에 정확히 맞도록 하류측 또는 낮은 쪽에서부터 설치하여야
한다. 이때 기초와 잘 밀착이 되도록 하고 관이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7 관의 이음 3.6.2 관에 소켓이 붙어있는 경우에는 소켓을 관의 상류쪽 또는, 높은 곳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소켓이 없는 관
3.7.1 계약상대자는 관의 이음부에 용적배합비가 1: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틈 사이를 채워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은 칼라접합(collar connection) 또는 플랜지접합으로 한다. 접합부는 감독자의 지시가 없는 한 용적배합비
한다. 가 1: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틈 사이를 채워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3.7.2 관 이음부의 내부는 모르타르로 메우고, 깨끗이 닦아내어 매끄럽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3.7.3 관의 이음부에는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감독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 코오킹 콤파운드(caulking 3.6.3 되메우기 및 뒤채움을 시행하기 전에 관 설치의 적부, 침하의 유무, 손상유무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compound)나 사전 성형된 이음재(preformed joint) 등을 이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받아야 하며, 이상이 있을 때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다시 설치하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3.6.4 이음모르타르를 시공하기 전에 모르타르를 시공할 관의 이음부는 깨끗이 청소 후 물로 충분히 적셔두어야
한다.
3.8 되메우기, 뒤채움 및 흙쌓기 3.6.5 파형강관 시공부 기초지반에 잔류침하가 예상될 때는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서 미리 예상 잔
3.8.1 관부설이 완료되면 감독자가 깔기 상태를 검사하기 전에 되메우기하거나 뒤채움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류침하량을 가산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3.8.2 관의 배열 및 안전상 이상이 있거나 손상된 곳이 발견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재배열하거나 교
체하여야 한다. 3.7 관의 이음
3.8.3 파형강관은 가급적 양질의 토사로 되메우기를 하며, 되메우기 작업은 좌․우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한 3.7.1 계약상대자는 관의 이음부에 용적배합비가 1: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틈 사이를 채워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층의 마무리 두께는 200㎜ 이하로 하고, 최대건조밀도 95% 이상이 되도록 한다.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삽입
3.7.2 관이음부의 내부는 모르타르로 메우고, 깨끗이 닦아내어 매끄럽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3.8.4 관의 하측부의 다지기는 특별히 유의하여 잘 다져야 한다. 3.7.3 관의 이음부에는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감독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 코오킹 콤파운드(caulking
3.8.5 기타 되메우기 및 뒤채움은 이 시방서 3-7절 3.8과 3.9에 따른다. compound)나 사전 성형된 이음재(preformed joint) 등을 이음재로 사용할 수 있다.
3.8.6 흙쌓기의 한층 두께는 200㎜이하로 한다. 3.7.4 관의 이음부의 부등침하가 예상되는 지점에서는 받침부 보강을 하여야 한다.
3.8.7 흙쌓기의 재료는 뒤채움 재료와 같은 것으로 한다.
3.8 되메우기, 뒤채움 및 흙쌓기
3.8.1 관부설이 완료된 후 감독자가 깔기 상태를 검사하기 전에 되메우기 하거나 뒤채움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
3.8.2 관의 배열 및 안전상 이상이 있거나 손상된 곳이 발견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재배열하거나 교
체하여야 한다.
3.8.3 파형강관은 가급적 양질의 토사로 되메우기를 하며, 되메우기 작업은 좌·우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한
층의 마무리 두께는 200 mm 이하로 하고, KS F 2312의 C, D 또는 E 다짐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 95
% 이상이 되도록 한다.
3.8.4 관의 하측부의 다지기는 특별히 유의하여 잘 다져야 한다.
그림 5-16 흙쌓기와 뒤채움 기준 3.8.5 기타 되메우기 및 뒤채움은 이 시방서 3-7절 3.8과 3.9에 따른다.
3.8.6 흙쌓기의 한층 두께는 200 mm 이하로 한다.
3.8.7 흙쌓기 및 뒤채움 재료는 입상재료로 한다.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 등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3.9 날개벽 및 유입․유출구


3.9.1 날개벽의 시공은 이 시방서 6-4절 콘크리트공에 따른다.
3.9.2 유입· 유출구는 용·배수관 전· 후의 지형조건에 맞추어 자연스러운 수류의 유도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야 하며, 적절한 세굴방지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3.9.3 측구와 집수정 또는 배수정과 접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규정이나 감독자의 지시가 없는 한 용적배합비가 1
: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3.9.4 배수관과 날개벽 접합부는 접합부를 청결하게 한 후 벽체를 타설하여야 한다. 그림 5-2-9 흙쌓기와 뒤채움 기준
3.9.5 유입과 유출이 되는 곳이 급하게 변화하지 않게 서서히 변화시켜서 수류를 유도하도록 한다.

3.9 날개벽 및 유입·유출구


3.10 배수관 규격관리 3.9.1 날개벽의 시공은 이 시방서 5-2-1절 3.9에 따른다.
표 5-29 배수관 규격관리 기준 3.9.2 유입․유출구는 용배수관 전·후의 지형조건에 맞추어 자연스러운 수류의 유도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여
야 하며, 적절한 세굴방지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5-22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항 목 규격치(㎜) 측정기준 비 고 3.9.3 측구와 집수정 또는 배수관과 접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규정이나 감독자의 지시가 없는 한 용적배합비가 1
: 2인 시멘트 모르타르로 수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기준고 ±30 ․시공연장 40m 이상인 경우 3.9.4 배수관과 날개벽 이음부는 이음부를 청결하게 한 후 벽체를 타설하여야 한다.
3.9.5 배수관의 유입·유출부가 콘크리트 측구로 연결된 구간은 차수벽을 설치하지 않는다.
:
폭a -50 40m마다 1개소
높이 h1 ․시공연장
-30 : 40m 이하인 경우 3.10 배수관 규격관리
표 5-2-20 배수관 규격관리 기준
두께 a1, a2 -20 2개소 규격치
항목 (mm) 측정기준 비 고
기준고 ±30
연장 L -200
폭a -50 ·시공연장 40 m 이상인 경우
: 40 m 마다 1군데
·시공연장 40 m 이하인 경우

높이 h1 -30 : 2군데

두께 a1, a2 -20
연장 L -200

5-2 파형강판 암거 5-2-3 파형강판 암거


1. 일반 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구조용 파형강판을 이용하여 통로 및 수로암거, 소교량, 임시 가시설 등의 파형강판 구조물 시 1.1.1 이 시방은 구조용 파형강판을 이용하여 통로암거, 수로암거, 소교량 및 가설구조물 등의 파형강판 암거 구 [수정] 적용범위 문구수정
공 시 적용한다. 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B 1002 6각볼트 [수정] KS 추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B 1012 6각너트
KS D 3506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B 1016 기초볼트
KS D 3590 파형 강관 및 파형 섹션 KS D 0210 강의 매크로 조직시험 방법
KS D 0210 강의 매크로 조직시험 방법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6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3590 파형 강관 및 파형 섹션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KS F 2122 평판재하시험
KS F 2312 흙의 다짐시험 방법
1.3 용어의 정의 1.3 용어의 정의
1.3.1 파형강판(corrugated steel plates) : 일정 크기의 구조용 강판재를 정해진 규격의 주름 모양으로 성형한 금 1.3.1 “파형강판(corrugated multi plates)”이라 함은 일정 크기의 구조용 강판재를 정하여진 규격의 주름모양으로 [수정] 문장 어미 완성
속판 성형한 금속판을 말한다.
1.3.2 파형강판구조물(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 파형강판을 볼트로 연결하여 단면을 형성한 후 주변과 1.3.2 “파형강판구조물(soil-steel structures)”이라 함은 파형강판을 볼트로 연결하여 단면을 형성한 후 주변과 상

5-23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상부를 구조적 뒤채움재로 다짐하여 흙-구조물 상호작용으로부터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 부를 구조적 뒤채움재로 다짐하여 흙-구조물 상호작용으로부터 외부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1.3.3 단면 폭(span, S)과 높이(rise, R) : 파형강판구조물 단면의 최대 폭과 높이 (단면형상별 폭과 높이는 그림 1.3.3 “단면 폭(span, S)과 높이(rise, R)”라 함은 파형강판구조물 단면의 최대 폭과 높이 (단면 형상별 폭과 높이
5-1 참조) 는 그림 5-2-17 참조)를 말한다.
1.3.4 토피(soil cover) : 파형강판구조물 정점에서부터 지표면까지의 흙 채움부 1.3.4 “토피(soil cover)”라 함은 파형강판구조물 정점에서부터 지표면까지의 흙 채움부를 말한다.
1.3.5 최소토피두께(minimum depth of soil cover) : 파형강판구조물의 안정적 거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높이의 1.3.5 “최소토피두께(minimum depth of soil cover)”라 함은 파형강판구조물의 안정적 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높
토피고 이의 토피고를 말한다.
1.3.6 구조적 뒤채움(engineered backfill) : 파형강판구조물의 연성거동을 보장하도록 구조물 주변의 일정 범위에 1.3.6 “구조적 뒤채움(engineered backfill)”이라 함은 파형강판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구조물 주변의 일정
양질의 흙, 또는 기타 채움재를 주어진 기준에 따라 다짐 성토하는 것 범위에 양질의 흙, 또는 기타 채움재를 주어진 기준에 따라 다짐 흙쌓기하는 것을 말한다.
1.3.7 베딩(bedding) : 폐합 단면의 파형강판구조물과 기초 지반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양질의 다짐 토사층(베 1.3.7 “베딩(bedding)”이라 함은 폐합 단면의 파형강판구조물과 기초 지반 사이에 쿠션 역할을 하는 양질의 다짐
드)을 형성하는 것 토사층(베드)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1.3.8 아칭(arching) : 파형강판 구조물 주변 토체 간의 상대적 변위에 의해 구조물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호 전이 1.3.8 “아칭(arching)”이라 함은 파형강판 구조물 주변 토체 간의 상대적 변위에 의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압력
되는 현상 이 상호 전이되는 현상을 말한다.
1.4 제출물 1.4 제출물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1절 1.1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강판 2.1 강판
2.1.1 파형강판 소재는 표 5-4의 기준에 부합하는 구조용 강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용융아연도금을 실시하여야 2.1.1 파형강판 소재는 KS D 3590에 제시된 규격 또는 KS D 3503의 SS400, SS49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에 [수정] 3차 자문회의 반영->“「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012, 한국도로공사」와 동일하게 수정 -
한다. 단, 단기간 동안 임시구조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연도금을 생략할 수 있다. KS D 8308 2종 45에 따라 용융 아연 도금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KS D 3506과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할 사용 강재 종류 명기
수도 있다. 단기간 동안 임시구조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연도금을 생략할 수 있다.
표 5-4 파형강판 원소재의 요구조건 (KS D 3503, 3506) 표 5-2-21 파형강판 원소재의 요구조건 (KS D 3503, KS D 3506)
화학적 성분 기계적 특성 화학적 성분 기계적 특성
재료 재료 아연 항복 인장 연신율 (%)
기호 C(%) Si(%) Mn(%) P(%) S (%) 아연부착량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기호 C(%) Si(%) Mn(%) P(%) S(%) 부착량 강도 강도
(g/㎡)2) (㎫)3) (㎫) ≤0.05 5<t≤16 2 2)
(g/m ) (MPa)3) (MPa)
t≤5 5<t≤16

SS400 - - - ≤0.050 ≤0.05 900≤ 245≤ 400≤ 21≤ 17≤


SS400 - - - ≤0.050 ≤0.050 ≥900 ≥245 ≥400 ≥21 ≥17
SS4901) - - - ≤0.040 ≤0.05 900≤ 285≤ 490≤ 19≤ 15≤ SS4901) - - - ≤0.050 ≤0.050 ≥900 ≥285 ≥490 ≥19 ≥15
SS540 ≤0.300 - ≤1.600 ≤0.040 ≤0.04 900≤ 400≤ 540≤ 16≤ 13≤ SS540 ≤0.300 - ≤1.600 ≤0.040 ≤0.040 ≥900 ≥400 ≥540 ≥16 ≥13
SS590 ≤0.300 - ≤1.600 ≤0.040 ≤0.040 900≤ 450≤ 590≤ 14≤ 11≤ SS590 ≤0.300 - ≤1.600 ≤0.040 ≤0.040 ≥900 ≥450 ≥590 ≥14 ≥11
주 1) ASTM A1018의 Grade40(항복강도 275㎫ 이상, 인장강도 380㎫ 이상) 사용 가능 주 1) ASTM A1018의 Grade40(항복강도 275MPa 이상, 인장강도 380MPa 이상) 사용
가능
2) 강판 양면 기준 2) 강판 양면 기준
3) 설계 시 강도는 이 값을 적용함(별도 시험결과가 있을 경우는 시험값을 적용할 수 있음) 3) 설계할 때 강도는 이 값을 적용함(별도 시험결과가 있을 경우는 시험값을 적용할 수
있음)

2.1.2 파형의 규격은 표 5-5와 같이 “표준형”, “대골형”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두께별 단면 특성값은 표 5-6, 5-7 2.1.2 파형의 규격은 “표준형”, “대골형”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두께별 단면 특성 및 볼트 구멍의 배치는 제작사
과 같다. 의 규격 및 설계도서를 따른다.
표 5-5 파형의 규격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파형규격과 관련된 부분은 설계도서 참조 강판 관련 세부규격은 제작사별 차이가 있음.

5-24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종 류 두께(t) 골의 피치(p) 골의 깊이(d) 굽힘반지름(r)
표준형 2.7∼7.0㎜ 150 ㎜ 50㎜ 28 ㎜
대골형 Type 1 3.42∼7.01㎜ 380 ㎜
Type 2 3.00∼8.00㎜ 400 ㎜
140㎜
150㎜
76 ㎜
81 ㎜
주 1) 강판의 두께는 도금 전을 기준으로 함
2) 피치와 깊이의 허용오차는 ±3 ㎜

표 5-6 표준형 강판의 두께별 단면제원


강판두께 단면적 단면계수 소성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
t(㎜) As(㎠/m) Ss(㎤/m) Z(㎤/m) I(㎝4/m)
2.70 33.48 36.96 51.35 97.40
3.20 39.69 43.57 60.99 115.90
4.00 49.65 50.42 76.50 145.87
4.50 55.88 60.49 86.25 164.84
5.00 62.13 67.21 96.05 184.84
5.30 65.86 70.75 101.95 195.62
6.00 74.60 79.64 115.78 223.01
7.00 87.10 92.26 135.70 262.93
표 5-7 대골형 Type 1 강판과 Type 2 강판의 두께별 단면제원
[Type 1]
강판두께 단면적 단면계수 소성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
t(㎜) As(㎠/m) Ss(㎤/m) Z(㎤/m) I(㎝4/m)
3.42 47.83 152.73 212.67 1171.16
4.18 58.46 186.05 260.15 1433.39
4.67 65.36 207.54 291.03 1603.90
5.45 76.28 241.38 339.93 1874.33
6.23 87.16 274.87 388.77 2144.59
7.01 98.08 308.24 437.85 2416.46
[Type 2]

5-25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강판두께 단면적 단면계수 소성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
t(㎜) As(㎠/m) Ss(㎤/m) Z(㎤/m) I(㎝4/m)
3.00 39.05 136.01 184.16 1086.60
4.00 53.51 185.50 252.66 1494.40
4.30 57.92 200.52 273.62 1618.70
5.00 68.11 235.04 321.69 1906.00
6.00 82.60 283.71 390.57 2315.40
7.00 96.40 329.69 456.35 2707.10
8.00 109.35 372.48 518.88 3075.90
2.1.3 표준형 및 대골형 강판의 상호 겹침값과 볼트구멍 사이 간격은 표 5-8, 9와 같다.
표 5-8 강판의 볼트구멍 사이 간격(표준형 강판)
축 방향 원둘레 방향 겹침값
겹침값  

50㎜ 35㎜ 50 ㎜
○ 기본 볼트구멍 위치
● 추가 볼트구멍 위치(두꺼운 판의
경우)
※ 숫자의 의미
① 2볼트/피치 ② 3볼트/피치 ③
4볼트/피치

표 5-9 강판의 볼트구멍 간격(대골형 강판)


축 방향 겹침값 원둘레 방향 겹침값
  

Type 1 38 ㎜ 38 ㎜ 76 ㎜
Type 2 40 ㎜ 40 ㎜ 100 ㎜
○ 기본 볼트구멍 위치 (6볼트/피치)

2.1.4 강판은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 한 반드시 최종 형태로 성형하고, 볼트구멍을 펀칭한 후에 용융 아연 도금하
여야 하며, 도금 후에는 임의 절단하거나 형상을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
2.2 볼트 및 기타
2.2.1 강판 조립에 사용하는 볼트, 너트는 표준 규격에서 정하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콘크리트와 연결시키기
위한 앵커볼트, 베이스채널은 각각 볼트 및 강판의 재료기준에 부합하여야 한다.
2.2.2 단기간 임시구조물로 사용할 경우 외에는 상기 금속 부속 자재는 반드시 아연 도금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
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2.1.3 강판은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 한 반드시 최종 형태로 성형하고, 볼트구멍을 펀칭한 후에 용융 아연도금하
여야 하며, 도금 후에는 임의 절단하거나 형상을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

5-26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 시 공
3.1 기초 및 뒤채움 2.2 볼트 및 기타
파형강판 구조물은 강판과 주변 지반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구조물 기초부 2.2.1 강판 조립에 사용하는 볼트, 너트는 표준 규격에서 정하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콘크리트와 연결시키기
및 뒤채움부의 재료 선정과 시공에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위한 앵커볼트, 베이스채널은 각각 볼트 및 강판의 재료 기준에 부합하여야 한다.
2.2.2 단기간 임시구조물로 사용할 경우 외에는 상기 금속 부속자재는 반드시 아연도금 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료
3.1.1 기초지반 를 사용하여야 한다.
(1) 강판 구조물이 놓일 기초지반은 구조물 및 뒤채움 하중을 포함한 전체 상부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
을 가져야 하며, 과도한 침하를 유발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원지반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 3. 시 공
우에는 필요한 범위만큼 양질의 채움재로 치환하거나 개량 또는 보강하여야 한다. 3.1 기초 및 뒤채움
(2) 기초 지반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는 굴착 폭이 강판구조물 폭보다 3.0m이상 넓어야 하며, 강 파형강판구조물은 강판과 주변 지반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구조물 기초부 및 뒤
판 바닥면이 암반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는 바닥면에서 300㎜이상 깊이까지 양질의 자갈질 모래로 치환 채움부의 재료 선정과 시공에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한다.
(3)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반은 연약층과 암반이 교차하는 부분을 가급적 피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연약층 3.1.1 기초지반
구간에는 양질의 모래, 자갈을 잘 다져서 형성하고, 암반 구간은 굴착 후 모래자갈로 느슨하게 포설하여 (1) 강판 구조물이 놓일 기초지반은 구조물 및 뒤채움 하중을 포함한 전체 상부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전 구간에 걸쳐 상대적인 변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가져야 하며, 과도한 침하를 유발하여서는 안 된다. 따라서 원지반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
(4) 상부토피 두께의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부등침하를 예상하여 구조물 바닥면에 일정량의 캠버를 둘 수 있 는 필요한 범위만큼 양질의 채움재로 치환하거나 개량 또는 보강하여야 한다.
다. 이 때 캠버의 양은 구조물 총 길이의 1% 이내로 한다. (2) 기초지반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는 굴착폭이 강판구조물 폭보다 3 m 이상 넓어야 하며, 강판 바
닥면이 암반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는 바닥면에서 300 mm 이상 깊이까지 양질의 자갈질 모래로 치환한다.
(3)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반은 연약층과 암반이 교차하는 부분을 가급적 피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연약층 구
간에는 양질의 모래, 자갈을 잘 다져서 형성하고, 암반 구간은 굴착 후 모래자갈로 느슨하게 포설하여 전
구간에 걸쳐 상대적인 변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4) 상부토피 두께의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부등침하를 예상하여 구조물 바닥면에 일정량의 캠버를 둘 수 있
다. 이 때 캠버의 양은 구조물 길이의 0.5 % 이내로 한다.
span

두 께 : 0.6m이 상
Invert면

기초지반이 보통지반인경우 바닥면 다짐


span

두 께 : 0.3m이 상
Invert면

기초지반이 암인경우 암절취후 양질토사로 치환

그림 5-1 기초지반 조건에 따른 처리방법 예 span

3.1.2 베딩 두 께 : 0.6m이 상

(1) 폐합단면 구조물을 적용할 경우는 기초지반과 구조물 바닥면 강판 사이에 투수성이 좋고, 입도분포가 양
치 환 심 도 : 0.3~1.0m
Invert면

호한 사질토를 이용하여 베딩(bedding)을 설치하여야 한다. 베딩 재료의 최대치수은 강판 골 피치(pitch)


의 1/2(‘표준형' 강판 75 ㎜, ‘대골형’ 강판 190∼200㎜)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지 반 이 연 약 할 경 우 추 가 굴 착 후 암 ,양 질 토 로 치 환

그림 5-2-10 기초지반 조건에 따른 처리방법 예


3.1.2 베딩
(1) 폐합단면 구조물을 적용할 경우는 기초지반과 구조물 바닥면 강판사이에 투수성이 좋고, 입도분포가 양호
한 사질토를 이용하여 베딩(bedding)을 설치하여야 한다. 베딩재료의 최대치수는 강판 골 피치(pitch)의 1/2
(‘표준형’강판 75 mm, ‘대골형’강판 190 mm)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그림 5-2 베딩시공

5-27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 베딩의 두께는 구조물 중앙부에서 0.6m이상이 되도록 하며, 강판과 접하는 부분은 100㎜정도 두께로 모
래(직경 15㎜이하)층을 느슨하게 조성하여 강판 골 사이가 흙으로 완전히 충진 될 수 있도록 한다.
(3) 구조물 형상에 따라 다르나, 하부 강판의 곡률반경이 변하는 점 사이의 거리를 베딩의 폭으로 하며, 원형
구조물에서는 강판 측면 하부(헌치, haunch)의 다짐 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부분까지 베딩 75-100mm 두께의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느슨한 사질토층 비교적 단단하게 다짐

(4) 베딩 시공 시 다음의 사항에 대해 검토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① 구조물의 위치가 설계상의 위치와 일치 여부
② 연약지반 및 암지반 등 지반상태 파악
0.6m

③ 설계상의 지반 지지력 확보 여부
④ 파형강관 하부곡률의 형상에 유의한 베딩의 형성 상태
베딩

3.1.3 뒤채움 그림 5-2-11 베딩 시공


(1) 뒤채움은 압축성이 작은 입상질 재료를 이용하거나 입도분포가 양호한 재료를 이용하여 균등하게 다져야 (2) 베딩의 두께는 구조물 중앙부에서 0.6m이상이 되도록 하며, 강판과 접하는 부분은 100 mm정도 두께로
하며, 구조물 주변에 균등한 토압이 발휘될 수 있도록 기초지반과 뒤채움 재료는 동일한 재료이거나 차 모래(직경 15 mm 이하)층을 느슨하게 조성하여 강판 골 사이가 흙으로 완전히 충진 될 수 있도록 한다.
이가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3) 구조물 형상에 따라 다르나, 하부 강판의 곡률반경이 변하는 점 사이의 거리를 베딩의 폭으로 하며, 원형
구조물에서는 강판 측면 하부(헌치, haunch)의 다짐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여유가 있는 부분까지 베딩을
(2) 지중강판 구조물의 뒤채움 부위는 강판 구조물의 거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뒤채움부와 그 외 형성하는 것이 좋다.
곽의 일반적 뒤채움부로 구분한다. (4) 베딩을 시공할 때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여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성토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성토 후 터파기 경우를 포함) 구조적 뒤채움 영역은 그림 5-3과 같이 옆 ① 구조물의 위치가 설계상의 위치와 일치 여부
으로는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구조물 폭의 1/2이상, 위로는 강판 벽체 천단부로부터 최소토피두 ② 연약지반 및 암지반 등 지반상태 파악
께(dc)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③ 설계상의 지반 지지력 확보 여부
(4) 원지반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그림 5-4와 같이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1.5m 이상 확보 ④ 파형강관 하부곡률의 형상에 유의한 베딩의 형성 상태
하여 굴착하여야 하며, 구조적 뒤채움 영역은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구조물 폭의 1/2이상, 위로는
최소토피두께(dc) 이상의 범위를 구조적 뒤채움 영역으로 한다. 3.1.3 뒤채움
(1) 뒤채움은 압축성이 작은 입상질 재료를 이용하거나 입도분포가 양호한 재료를 이용하여 균등하게 다져야
하며, 구조물 주변에 균등한 토압이 발휘될 수 있도록 기초지반과 뒤채움 재료는 동일한 재료이거나 차
이가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2) 시험다짐을 통하여 기준 다짐도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자와 지반공학분야 특급기술자의
확인을 거쳐 한층 다짐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3) 지중강판 구조물의 뒤채움 부위는 강판 구조물의 거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뒤채움부와 그 외
곽의 일반적 뒤채움부로 구분한다.
(4) 흙쌓기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흙쌓기 후 터파기 경우를 포함) 구조적 뒤채움 영역은 그림 5-2-12와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기 기술
같이 옆으로는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구조물 폭의 1/2이상, 위로는 강판 벽체 천단부로부터 최소
그림 5-3 성토부에 지중강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구조적 뒤채움 영역 토피두께(dc)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5) 원지반을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그림 5-2-13과 같이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1.5 m 이상 [수정] 용어 수정 [자문 반영]
확보하여 굴착하여야 하며, 구조적 뒤채움 영역은 강판 벽체의 최측면으로부터 구조물 폭의 1/2이상, 위
로는 최소토피두께(dc) 이상의 범위를 구조적 뒤채움 영역으로 한다.

그림 5-4 기초지반을 굴착하여 설치하는 경우 구조적 뒤채움 영역 그림 5-2-12 흙쌓기부에 지중강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구조적 뒤채움 영역
(5) 구조적 뒤채움 재료는 다진 후 압축성이 작고 내구성이 우수한 부순 돌, 자갈, 입도분포가 양호한 모래 등
감독자가 확인한 재료 또는 혼합물로서 표 5-10과 같이 노상재료 이상의 품질을 보유하여야 하며, 최대
입경은 강판 골 깊이의 1/2(표준형 기준 : 직경 75㎜)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표 5-10의 노상재료급을 [수정] 용어 수정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절기의 동상 가능성에 대비하여야 한다.
표 5-10 지중강판구조물의 구조적 뒤채움부 재료의 품질 기준

5-28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등 급 보조기층재급(SB-1, SB-2) 노상재료급
구 분
200번체 통과량 10% 이하 25% 이하
소성지수(PI) NP 10% 이하
통일분류 기호 GW, SW, GP, SP SM, SP
(6) 토피부가 비교적 얇거나, 하중 조건이 불리할 경우, 특히 다음 조건의 경우에는 표 5-11의 보조기층재급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가진 채움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림 5-2-13 기초지반을 굴착하여 설치하는 경우 구조적 뒤채움 영역
① 토피두께가 최소토피 두께 이하일 때
② 구조물 단면 조건이 표 5-11에 해당할 경우
③ 지하수가 지표로 용출되는 지역 (6) 구조적 뒤채움 재료는 다진 후 압축성이 작고 내구성이 우수한 부순 돌, 자갈, 입도분포가 양호한 모래 등
④ 구조물 하부지반이 매우 연약할 경우(지반개량 시는 제외 가능) 감독자가 확인한 재료 또는 혼합물로서 표 5-2-22와 같이 노상재료 이상의 품질을 보유하여야 하며, 최
⑤ 지표와 가까운 깊이에 피압 대수층이 존재하는 지역 대입경은 강판 골 깊이의 1/2(표준형 기준 : 직경 75 ㎜)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표 5-2-22의 노상재
표 5-11 보조기층재를 사용하여야하는 구조물의 단면조건 료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절기의 동상 가능성에 대비하여야 한다.
표 5-2-22 지중강판구조물의 구조적 뒤채움부 재료의 품질 기준
구 분 단면조건 등 급 보조기층재급(SB-1, SB-2)
구 분 노상재료급
단면 폭(span)이 10 m 이상일 경우
표준형 200번체 통과량 10 % 이하 25 % 이하
낮은 아치형, 높은 아치형의 상부 곡률 반경이 4.5m 이상일 경우
단면 형태가 박스 브릿지인 경우 소성지수(PI) NP 10 % 이하
대골형
대골형 강판을 사용하는 모든 경우 통일분류 기호 GW, SW, GP, SP SM, SP
(7) 구조적 뒤채움재는 설계 도면상 제시된 등급 이상(노상재료급 이상)으로 최대입경은 강판 골 깊이의 1/2 (7) 토피부가 비교적 얇거나, 하중 조건이 불리할 경우, 특히 다음 조건의 경우에는 표 5-2-23의 보조기층재
(직경 75㎜)을 초과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강판 구조물에 직접 닿는 부분의 채움 재료는 급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가진 채움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① 토피두께가 최소토피 두께 이하일 때
15㎜이내의 골재를 사용한다. 현장에 따라 토압의 저감을 위하여 강판주변 1m이내에 골재 포설을 하 ② 구조물 단면 조건이 표 5-2-23에 해당할 경우
여야 한다. ③ 지하수가 지표로 용출되는 지역
(8) 일반 뒤채움재는 구조적 뒤채움재 외의 채움재료(골재 80㎜이내)로 현장 주변의 재료를 설계에 맞게 적 ④ 구조물 하부지반이 매우 연약할 경우(지반개량을 할 때는 제외 가능)
용할 수 있으며, 큰 암석을 피하고 불가피할 경우 구조적 뒤채움 범위 내에 있지 않게 한다. ⑤ 지표와 가까운 깊이에 피압 대수층이 존재하는 지역
(13) 구조적 뒤채움 영역에 일반 토사재료 대신 입상토, 물, 플라이애쉬, 시멘트 등으로 구성된 유동성 모르타
르 혼합물과 안정 처리된 저강도재료(CLSM) 및 기타 특수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표 5-2-23 보조기층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구조물의 단면조건
(14) 기초가 없는 구조물 내부포장 하부의 토사 다짐 중 강판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강판 인접부는 소형다짐
기를 사용하여 다지며, 중앙부는 일반 다짐장비를 사용하여 다짐한다. 단, 다짐작업이 여의치 않은 경
우, 내부포장 하부 토사는 콘크리트로 대체할 수 있다.
구 분 단면조건
(15) 구조적 뒤채움부의 시공은 이 시방서 2-7절 기준에 따르며, 이에 따라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가 200㎜ 단면 폭(span)이 10 m 이상일 경우
이하이어야 하며, 그 밀도는 KS F 2312의 ‘C', ‘D', 또는 ‘E' 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이상 표준형
이 되어야 한다.
(16) 시험다짐을 통해 기준 다짐도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자와 지반공학분야 특급기술자의
낮은 아치형, 높은 아치형의 상부 곡률 반경이 4.5 m 이상일 경우
확인을 거쳐 한층 다짐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단면 형태가 박스 브릿지인 경우
(17) 뒤채움부는 피토고가 3.5m이하인 경우에는 보조기층재료를 사용하고, 피토고가 3.5m이상인 경우에는 대골형
노상토를 사용할 수 있다.
(18) 뒤채움부 다짐 작업 중에는 강판 벽체로부터 0.6m이내에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주행을 엄격히 대골형 강판을 사용하는 모든 경우
통제하여야 한다. 측면 다짐 시 다짐장비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주행시켜야 하며, 상부 다짐
시에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주행시키도록 한다. (8) 구조적 뒤채움재는 설계 도면상 제시된 등급 이상(노상재료급 이상)으로 최대입경은 강판 골 깊이의 1/2
(19) 구조물 양측의 다짐높이 차이는 한층 다짐두께(200㎜) 이하이어야 하며, 편토압으로 인한 구조물 변형 (직경 75 mm)을 초과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강판 구조물에 직접 닿는 부분의 채움 재료는
시에는 편토압 하중을 제거하여 단면형상을 바로잡은 후 다시 다짐을 실시하도록 한다. 15 mm이내의 골재를 사용한다. 현장에 따라 토압의 저감을 위하여 강판주변 1 m이내에 골재 포설을
(20) 구조물의 뒤채움은 뒤채움재료를 포설하기 전 파형강판 구조물의 측면부에 200㎜마다 층 두께를 표시하 하여야 한다.
여 층다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매 3층마다 다짐도 시험을 실시한다. (9) 일반 뒤채움재는 구조적 뒤채움재 외의 채움재료(골재 80 mm이내)로 현장 주변의 재료를 설계에 맞게
(21) 측면부의 뒤채움 다짐은 대형 롤러에 의한 것을 기본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대형 다짐장비의 작업이 곤 적용할 수 있으며, 큰 암석을 피하고 불가피할 경우 구조적 뒤채움 범위 내에 있지 않게 한다.
란한 강판 벽체로부터 0.6m이내에는 소형다짐 장비를 사용하여 다짐하여야 한다. (10) 구조적 뒤채움 영역에 일반 토사재료 대신 입상토, 물, 플라이애쉬, 시멘트 등으로 구성된 유동성 모르타
(22) 기초가 없는 구조물의 헌치부 다짐은 충분한 다짐력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헌치부의 다짐이 어려울 경우, 르 혼합물과 안정 처리된 저강도재료(CLSM) 및 기타 특수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밀도가 높은 모래를 물다짐 또는 봉다짐을 하거나 경량 콘크리트를 헌치부 높이까지 타설하는 방법을 (11) 기초가 없는 구조물 내부포장 하부의 토사 다짐 중 강판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강판 인접부는 소형다짐

5-29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사용한다. 기를 사용하여 다지며, 중앙부는 일반 다짐장비를 사용하여 다짐한다. 단, 다짐작업이 여의치 않은 경
(23) 파형강판 구조물의 상부 뒤채움 시 천단부에서 설계상의 최소토피고 두께까지의 영역은 구조적 뒤채움으 우, 내부포장 하부 토사는 콘크리트로 대체할 수 있다.
로 시공되어야 한다. (12) 구조적 뒤채움부의 시공은 이 시방서 3-7절 기준에 따르며, 이에 따라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가 200㎜
(24) 상부 다짐 시 최소토피 두께가 확보되기 전에는 진동다짐을 하지 않으며,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이하이어야 하며, 그 밀도는 KS F 2312의 ‘C', ‘D', 또는 ‘E' 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이상
통행을 금지하고 중량물의 야적을 해서는 안 된다. 이 되어야 한다.
(13) 시험다짐을 통하여 기준 다짐도 관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감독자와 지반공학분야 특급기술자
3.1.5 토피부 의 확인을 거쳐 한층 다짐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1) 강판 구조물 천단부(crown)에서 최소토피 두께까지의 영역은 구조적 뒤채움부에 준하여 시공한다. (14) 뒤채움부는 피토고가 3.5 m 이하인 경우에는 보조기층재료를 사용하고, 피토고가 3.5 m 이상인 경우에는
(2) 토피부 다짐 시 장비는 구조물의 축과 직각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최소토피두께가 확보되기 전에는 진동다 노상토를 사용할 수 있다. [수정] 한글로 순화
짐을 하지 않는다. (15) 뒤채움부 다짐 작업 중에는 강판 벽체로부터 0.6 m이내에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주행을 엄격히 [수정] 한글로 순화
(3) 최소토피두께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구조물 상부 통행을 금지하여야 통제하여야 한다. 측면 다짐을 할 때의 다짐장비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주행시켜야 하며, 상 [수정] 한글로 순화
하며, 중량물을 야적해서는 안 된다. 부 다짐을 할 때에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주행시키도록 한다.
3.1.6 성·절토부와 접속부 뒤채움 (16) 구조물 양측의 다짐높이 차이는 한층 다짐두께(200 mm) 이하이어야 하며, 편토압으로 인한 구조물의 변
(1) 뒤채움부와 접하는 흙쌓기 또는 땅깎기의 비탈면은 다짐두께에 맞추어 톱날형 또는 계단식 층따기를 하여 형이 발생될 때에는 편토압 하중을 제거하여 단면형상을 바로잡은 후 다시 다짐을 실시하도록 한다.
다짐을 하고 느슨한 부분은 시공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17) 구조물의 뒤채움은 뒤채움재료를 포설하기 전 파형강판 구조물의 측면부에 200 mm마다 층 두께를 표시
(2) 분할 시공 시에는 1차분과 2차분의 뒤채움구간에 특히 유의한다. 하여 층다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매 3층마다 다짐도 시험을 실시한다.
(18) 측면부의 뒤채움 다짐은 대형 롤러에 의한 것을 기본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대형 다짐장비의 작업이 곤
란한 강판 벽체로부터 0.6 m 이내에는 소형다짐 장비를 사용하여 다짐하여야 한다.
(19) 기초가 없는 구조물의 헌치부 다짐은 충분한 다짐력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헌치부의 다짐이 어려울 경우, [수정] 한글로 순화
밀도가 높은 모래를 물다짐 또는 봉다짐을 하거나 경량 콘크리트를 헌치부 높이까지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20) 파형강판 구조물의 상부를 뒤채움할 때에는 천단부에서 설계상의 최소토피고 두께까지의 영역은 구조적
뒤채움으로 시공되어야 한다.
(21) 상부 다짐을 할 때 최소토피 두께가 확보되기 전에는 진동다짐을 하지 않으며,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
비의 통행을 금지하고 중량물의 야적을 하여서는 안 된다.
그림 5-5 성·절토부와 접속부 뒤채움 3.1.4 토피부 [수정] 한글로 순화
3.1.7 종단경사부의 뒤채움 (1) 강판 구조물 천단부(crown)에서 최소토피 두께까지의 영역은 구조적 뒤채움부에 준하여 시공한다.
(1) 기초가 없는 구조물의 성토부인 경우,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필히 확보하여야 하며, 뒤채움은 그림 5-6의 (2) 토피부 다짐을 할 때 장비는 구조물의 축과 직각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최소토피 두께가 확보되기 전에는
개념도에 따라 실시하여 기초지반과 뒤채움 성토체가 일체화되도록 한다. 진동다짐을 하지 않는다. [수정] 용어 수정
(2) 뒤채움은 가능한 한 최단기간에 완료하여 우천 등으로 인한 기초지반과 뒤채움 성토재 간의 교란을 방지 (3) 최소토피두께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짐 장비를 제외한 중장비의 구조물 상부 통행을 금지하여야
하여야 한다. 하며, 중량물을 야적하여서는 안 된다.
3.1.5 흙쌓기·땅깎기부와 접속부 뒤채움 [수정] 한글로 순화
(1) 뒤채움부와 접하는 흙쌓기 또는 땅깎기의 비탈면은 다짐두께에 맞추어 톱날형 또는 계단식 층따기를 하여
다짐을 하고 느슨한 부분은 시공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2) 분할 시공을 할 때에는 1차분과 2차분의 뒤채움구간에 특히 유의한다.

그림 5-6 종단경사가 있는 구조물의 뒤채움


3.1.8 다짐 시 장비운용 그림 5-2-14 흙쌓기·땅깎기부와 접속부 뒤채움
(1) 측면 다짐 시 다짐장비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주행시켜야 하며, 상부다짐 시에는 구조물 길이 방
향과 직각으로 주행하여 다짐작업을 하여야 한다. 3.1.6 종단경사부의 뒤채움 [수정] 용어 수정
(2) 뒤채움 작업 시 파형강판 구조물의 측면에 뒤채움 재료를 부설할 경우 구조물에서 2개 이상 떨어져서 작 (1) 기초가 없는 구조물의 흙쌓기부인 경우,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필히 확보하여야 하며, 뒤채움은 그림 [수정] 용어 수정
업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5-2-15의 개념도에 따라 실시하여 기초지반과 뒤채움 흙쌓기체가 일체화되도록 한다. [수정] 용어 수정
3.2 개단면 구조물의 기초부 (2) 뒤채움은 가능한 한 최단기간에 완료하여 우천 등으로 인한 기초지반과 뒤채움 흙쌓기 재료 간의 교란을
3.2.1 콘크리트 기초 방지하여야 한다.
개단면(아치형 단면) 구조물의 경우 강판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며, 베이스채널 간격은 측량을 통해 확인하여야 한다.
3.2.2 강판과 기초의 연결
(1) 강판과 기초콘크리트는 베이스채널(base channel)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2) 베이스채널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매설앵커와 함께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한 경우에는 매입된
앵커로 고정시킨 앵글(anchored connection angle)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채널은 강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5-30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한글로 순화
그림 5-7 베이스채널을 이용한 기초연결부
그림 5-2-15 종단경사가 있는 구조물의 뒤채움
3.3 강판 조립 및 기타 3.1.7 다짐할 때의 장비운용
3.3.1 자재의 검수 및 현장 준비 (1) 측면 다짐을 할 때 다짐장비는 구조물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주행시켜야 하며, 상부 다짐을 할 때에는 구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입회 아래 다음 사항들을 확인하여 적합한 자재에 한하여 현장에 반입한다. 이 때, 조물 길이 방향과 직각으로 주행하여 다짐작업을 하여야 한다.
아연도금된 강판재와 부속자재에 대해서는 KS D 0210의 중량법(직접법), 또는 염화안티몬법(간접법)에 (2) 뒤채움 작업을 할 때 파형강판 구조물의 측면에 뒤채움 재료를 부설할 경우 구조물에서 2개 이상 떨어져
따른 아연도금 부착량 시험성적서(품질검사전문기관 발급)를 첨부하여야 하며, 현장 반입 시에는 도막게 서 작업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지를 이용하여 도금두께를 확인하여야 한다.
① 강판의 두께와 수량 3.2 개단면 구조물의 기초부
② 강판 단부 및 볼트 구멍 마감 상태 3.2.1 콘크리트 기초
③ 강판 도금 상태 및 도금량 개단면(아치형 단면) 구조물의 경우 강판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설
④ 볼트, 너트 등 부속품의 규격 부합 여부 치하여야 하며, 베이스채널 간격은 측량을 통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2) 구조물을 설치할 현장에서는 반입 자재의 보관 위치, 크레인 등, 소요 장비의 작업 위치, 뒤채움 작업 중 3.2.2 강판과 기초의 연결
공사장비의 진출로 등을 사전에 정하여야 한다. (1) 강판과 기초콘크리트는 베이스채널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3) 강판은 변형․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운반․취급하여야 하며, 강판을 설치하는 중에도 무 (2) 베이스채널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매설앵커와 함께 설치하며,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한 경우에는 매입된 앵
거운 물체나 단단한 물건으로 타격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커로 고정시킨 앵글(anchored connection angle)을 사용하여야 한다.
(4) 손상된 강판과 아연도금이 벗겨진 강판은 교체하도록 한다. (3) 채널은 강판과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3.3.2 강판 조립 WORKPOINT
(1) 강판 조립은 설치도면 또는 시공계획서에 따라 실시되어야 하며, 하류측(낮은 쪽)에서 상류측(높은 쪽)으
로 진행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지지대, 또는 강선을 이용하여 설계단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2) 현장에 반입되는 강판은 일반적으로 규격과 곡률이 모두 다르므로 조립 시에는 반드시 설치도면에 따라
순서와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강판을 서로 포갤 때는 빈틈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한 지점에서 4장 이상의 강판이 동시에 포개져서는 안 [수정] 한글로 순화
된다. 강판 연결부에는 개스킷이나 패킹을 사용하여야 한다.
(4) 곡률반경이 변하는 위치 외에는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이음부의 위치가 연속되지 않도록 조립하여야 한다. 그림 5-2-16 베이스채널을 이용한 기초연결부
(5) 볼트의 공칭 조임토크는 200∼400N․m로서 전체에 걸쳐 균등한 토크로 조립하여야 한다. 강판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감독자 입회 아래 길이방향 이음부와 원주방향 이음부에 대해 각각 볼트 전체수량의 3
%에 해당하는 수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토크게이지로 검사하여야 하며, 공칭토크 범위 밖의 볼트 수 3.3 강판 조립 및 기타
량이 검사 대상 수량의 10% 이상일 경우는 전체 볼트를 대상으로 다시 조임을 실시하여야 한다. 3.3.1 자재의 검수 및 현장 준비
3.4 단면 변화 측정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입회 아래 다음 사항들을 확인하여 적합한 자재에 한하여 현장에 반입한다. 이때, 아
3.4.1 파형강판 구조물은 ① 조립 직후, ② 뒤채움(토피부 포함) 도중, ③ 시공 완료 직후에 단면의 형상 크기 변 연도금된 강판재와 부속자재에 대해서는 KS D 0210의 중량법(직접법) 또는 염화안티몬법(간접법)에 따른
화를 측정하여야 한다. 아연도금 부착량 시험성적서(공인시험기관 발급)를 첨부하여야하며, 현장에 반입할 때에는 도막게이지를 이
3.4.2 조립이 끝나면 뒤채움을 시작하기 전에 단면 크기를 측정하여 설계 형상에서 5% 이상 벗어난 경우에는 볼 용하여 도금두께를 확인하여야 한다.
① 강판의 두께와 수량
트를 느슨히 풀어 형상을 맞춘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한다. ② 강판 단부 및 볼트 구멍 마감 상태
3.4.3 뒤채움이 시작되면 토피부 시공을 마칠 때까지 각 층 다짐 직후에 구조물 내 단면 크기를 측정(상이한 위 ③ 강판 도금 상태 및 도금량
치의 3개소 이상 측정)하여 변형량을 파악하여야 한다. 시공 도중 및 완료 후 허용되는 변형량의 기준은 ④ 볼트, 너트 등 부속품의 규격 부합 여부
표 5-12와 같다. 단면 변형량이 표 5-12의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즉시 시공을 중지하고 원인을 규명하 (2) 구조물을 설치할 현장에서는 반입 자재의 보관 위치, 크레인 등 소요 장비의 작업위치, 뒤채움 작업 중 공 [자문반영]
며, 보강대책을 강구하여 변형량을 기준 이내로 줄여야 한다. 사장비의 진출로 등을 사전에 정하여야 한다.
표 5-12 시공 도중, 직후의 구조물 변형량 허용 범위 (3) 강판은 변형, 표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운반·취급하여야 하며, 강판을 설치하는 중에도 무거
운 물체나 단단한 물건으로 타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손상된 강판과 아연도금이 벗겨진 강판은 교체하도록 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3.3.2 강판 조립
(1) 강판 조립은 설치도면 또는 시공계획서에 따라 실시되어야 하며, 하류측(낮은 쪽)에서 상류측(높은 쪽)으로
진행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지지대 또는 강선을 이용하여 설계단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5-31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분 류 허용하는 단면 변형량 (2) 현장에 반입되는 강판은 일반적으로 규격과 곡률이 모두 다르므로 조립할 때 반드시 설치도면에 따라 순서
와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표준형 강판 적용 그림 5-1에 정의된 구조물 높이(rise, R)의 5 % 이내 (3) 강판을 서로 포갤 때는 빈틈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한 지점에서 4장 이상의 강판이 동시에 포개져서는 안
된다. 강판 연결부에는 개스킷이나 패킹을 사용할 수 있다.
시 (4)
(5)
곡률반경이 변하는 위치 외에는 구조물 길이방향으로 이음부의 위치가 연속되지 않도록 조립하여야 한다.
볼트의 공칭 조임 토크는 200 N·m ∼ 400 N·m로서 전체에 걸쳐 균등한 토크로 조립하여야 한다. 강판 조
대골형 강판 적용 그림 5-1에 정의된 구조물 높이(rise, R)의 2 % 이내 립이 완료된 후에는 감독자 입회 아래 길이방향 이음부와 원주방향 이음부에 대하여 각각 볼트 전체수량의
3 %에 해당하는 수량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토크게이지로 검사하여야 하며, 공칭토크 범위 밖의 볼트 수량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 등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시 이 검사 대상 수량의 10 % 이상일 경우는 전체 볼트를 대상으로 다시 조임을 실시하여야 한다.
3.4 단면 변화 측정
3.4.1 파형강판구조물은 ① 조립 직후, ② 뒤채움(토피부 포함) 도중, ③ 시공 완료 직후에 단면의 형상 크기 변화
를 측정하여야 한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 계측시기를 감독자와 상의하여 현장계측을 실시할 수 있다.
3.4.2 조립이 끝나면 뒤채움을 시작하기 전에 단면 크기를 측정하여 설계 형상에서 5% 이상 벗어난 경우에는 볼
트를 느슨히 풀어 형상을 맞춘 후 다시 조립하여야 한다.
3.4.3 뒤채움이 시작되면 토피부 시공을 마칠 때까지 각 층 다짐 직후에 구조물 내 단면 크기를 측정(상이한 위
치의 3군데 이상 측정)하여 변형량을 파악하여야 한다. 시공 도중 및 완료 후 허용되는 변형량의 기준은 표
5-2-24와 같다. 단면 변형량이 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즉시 시공을 중지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보강대
책을 강구하여 변형량을 기준 이내로 줄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표 5-2-24 시공 도중· 직후의 구조물 변형량 허용 범위
분 류 허용하는 단면 변형량
표준형 강판을 그림 5-2-17에 정의된 구조물 높이(rise, R)의
적용할 때 5 % 이내
대골형 강판을 그림 5-2-17에 정의된 구조물 높이(rise, R)의
적용할 때 2 % 이내
R R
S=R Dv S 0.5Dv
Dv S

Dh Dh Dh
원형 수평타원 파이프아치
R
R 0.5Dv
R
0.5Dv 0.5Dv S
S
S
Dh Dh Dh

아치 낮은아치 높은아치
R
R
R 0.5Dv
0.5Dv S S
Dv
S

Dh Dh Dh

3.5 기타 사항 언더패스 배형 수직타원

3.5.1 강판 이음부 또는 볼트 구멍을 통해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판 이음부를 대상으로 아스팔 R 0.5Dv
트 역청재료 도포 등 적절한 표면 방수 처리를 한다. 필요할 경우는 토피부와 뒤채움부에 방수막을 매설
S R

하여야 한다.
옹벽
기초 S

3.5.2 주변 수위가 높아 부력이 작용할 경우는 양압력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필요 시 구조물의 자중을 증대시키거
Dh
합성형 박스형
나 앵커를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림 5-2-17 파형강판구조물 적용단면 (S=폭-span, R =높이-rise)
3.5.3 강판 부재의 부식이나 손상이 염려되는 환경에서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할 경우는 강판 두께를 늘리거나 보
호막을 피복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5.4 강판구조물을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 강성 거동체에 연결하여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구조물 접합부에
대한 응력검토를 통해 적절한 방식의 조인트를 설치하거나 보강하여야 한다. 3.5 기타 사항
3.5.1 강판 이음부 또는 볼트 구멍을 통하여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판 이음부를 대상으로 아스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팔트 역청재료 도포 등 적절한 표면 방수 처리를 한다.

5-32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5.2 주변 수위가 높아 부력이 작용할 경우는 양압력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필요할 때 구조물의 자중을 증대시키
거나 앵커를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3.5.3 강판 부재의 부식이나 손상이 염려되는 환경에서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할 경우는 강판 두께를 늘리거나 보
호막을 피복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5.4 강판구조물을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 강성 거동체에 연결하여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구조물 접합부에
대한 응력검토를 통하여 적절한 방식의 조인트를 설치하거나 보강하여야 한다.
3.5.5 합성형 구조물을 시공할 때 뒤채움 재료로서 SB-1(2)의 재료를 사용한다.
3.6 파형강판 단면보강
3.6.1 파형강판 지중구조물의 내하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다. [수정] 한글로 순화
3.6.2 보강재는 본체 구조물과 동일한 곡선반지름을 갖고 구조물 길이방향에 대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6.3 본체 구조물과 보강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진할 경우 내하력을 위한 보강단면의 강성 산정은 비합성 단면으
로 하여야 한다. 단, 합성단면으로 고려할 경우 별도의 검토가 필요하다. [수정] 용어 수정 : 곡률반경 ⇒ 곡선반지름

5-6 지하배수 5-3 지하배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지하배수관과 입상여과재료를 사용한 관부설맹암거, 지하배수관유출구, 입상재료만을 사용한 맹 이 시방은 지하배수관과 입상여과 재료를 사용한 관 부설 맹암거, 지하배수관유출구, 입상재료만을 사용한 맹암
암거 등의 지하배수시설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한다. 거 등의 지하배수시설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F 2322 흙의 투수시험 방법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이하표기 생략
KS M 3404 일반용 경질 염화비닐관 KS F 2322 흙의 투수 시험 방법
KS F 4409 원심력 유공철근 콘크리트관 KS M 3404 일반용 경질 염화비닐관
KS K 0210 섬유제품의 혼용률 시험 방법-섬유혼용률 KS F 4409 원심력 유공 철근콘크리트관
KS K 0506 섬유제품의 두께 측정방법 KS K 0210 섬유제품의 혼용률 시험방법 - 섬유혼용율
KS K 0520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 시험 방법(그래브법) KS K 0506 섬유제품 두께 측정방법
KS K 0530 직물의 봉합강도 시험방법 KS K 0520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 시험 방법 : 그래브법
KS K 0706 직물의 내후도 시험 방법(웨더오미터법) KS K 0530 직물의 봉합강도 시험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 방법 KS K 0706 직물의 내후도 시험 방법 : 웨더오 미터법
KS M 3055 경질플라스틱의 아이조드 충격 시험 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방법
ASTM D 2412 External Loading Properties of Plastic Pipe by Parallel-plate Loading KS M 3055 경질플라스틱의 아이조드 충격시험방법
ASTM D 2412 External Loading Properties of Plastic pipe by Parallel-plate Loading
1.3 제출물 1.3 제 출 물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5-33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2. 재료 2. 재 료
2.2 여과재료 2.1 여과재료
2.2.1 입상재료 2.1.1 입상재료
(1) 입상재료는 투수성과 입도배합이 좋은 모래 또는 막자갈을 사용하여야 한다. 입상재의 입도배합은 원칙적 (1) 입상재료는 투수성이 우수하고 입도 배합이 좋은 천연의 자갈, 혹은 입도조정을 한 자갈, 쇄석, 폐콘크리트 [수정]「도로 배수시설 설계및관리지침, 2012. 11, 국토해양부」를 반영하여 수정”
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등을 사용하여야 하며, 입상재료의 입도배합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  여과재료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의하여 막히지 않기 위한 조건)


    여과재료 
  노 상 토 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의해 막히지 않기 위한 조건)   노상토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비하여 충분한 투수성을 갖기 위한 조건)


  여과재료    여과재료 
  

  노 상 토    노상토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비해 충분한 투수성을 갖기 위한 조건) 단, D15, D85는 입경가적곡선에서 통과 백분율이 15%, 85%에 해당되는 입경을 말한다.
단, D85, D15는 입경가적곡선에서 통과백분율이 15%, 85%에 해당되는 입경을 말한다.
(2) 유공관의 주변재료 (2) 유공관의 주변재료
관부설 맹암거의 경우 유공관 주변의 여과재료는 D85(여과재료)/d, 〉2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 d 관부설 맹암거의 경우 유공관 주변의 여과재료는   여과재료

  의 조건을 충족시켜야한다. 단, d
는 유공관 배수구멍의 지름(㎜) 또는 이음 간격(㎜)을 말한다. 
는 유공관의 공경(mm) 또는 이음 간격(mm)을 말한다.
2.2.2 토목섬유 2.1.2 토목섬유
(1) 토목섬유는 충분한 투수성이 확보되고 흙 입자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정한 구멍 크기를 갖 (1) 토목섬유는 투수성이 확보되고 흙입자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구멍의 크기를 갖은 것이 [수정] 문장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충분한 삭제
는 것이어야 한다. 어야 한다. 여과재료로서 토목섬유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2) 여과재료로서의 토목섬유는 원칙적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D eos 여과재료 

D  노 상 토 
보통 조건:0.5, 불량한 조건:1.0
  ~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의해 막히지 않기 위한 조건)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의하여 막히지 않기 위한 조건)


   여과재료 
  여과재료 

  노 상 토 
보통 조건:10, 불량한 조건:100
 ~   노상토 
  ∼ 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비해 충분한 투수성을 갖기 위한 조건) (여과재료가 노상토에 비하여 충분한 투수성을 갖기 위한 조건)
(3) 단, Deos 는 토목섬유의 유효구멍크기(시료의 95% 통과입경으로 정함)이며, Ks 와 Kg는 노상토의 토목섬   여과재료 
  ∼ 
유의 수직투수계수(㎝/sec)를 말한다.   노상토 

(4) 토목섬유(부직포)의 품질기준은 표 5-25와 같다. 단, Deos는 토목섬유의 유효구멍크기(시료의 95% 통과입경으로 정함)이며 Ks와 Kg는 노상토와 토목섬유의
수직 투수계수(cm/s)를 말한다.
표 5-32 배수용 토목섬유(부직포)의 품질기준

(2) 토목섬유(부직포)의 품질기준은 표 5-3-1과 같다.


표 5-3-1 배수용 토목섬유(부직포)의 품질기준 [수정]「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강화되고 상세한 항
목을 반영

5-34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구 분 단위 품질기준 시험방법 비 고 구 분 단위 품질기준 관련시험규격
재 질 - Polyester, Polypropylene KS K 0210 재 질 - PP, PET
내후도 % 인장강도의 95% 이상 KS K 0706 (250 시간 노출)
내후도 % 인장강도의 95% 이상 KS K 0706 (250 시간 노출) 두 께 mm 1.8 이상 KS K 0506
두 께 ㎜ 1.8 이상 KS K 0506 인장강도 kg·f 45 KS K 0520
(Grab강도)
인장강도 ㎏f 45 이상 KS K 0520 (Grab법)
중 량 g/㎡ 단섬유 300 이상 KS K 0514
신 도 % 50 이상 KS K 0520 (Grab법) (장섬유 200 이상)
투수계수 ㎝/sec α×10-1 KS F 2322 α:1∼9의 값 신 도 % 50 이상 KS K 0520
봉합강도 ㎏f 인장강도 이상 KS K 0530 투수계수 ㎝/s α×10-1(α=1~9) KS F 2322 준용
봉합강도 kg·f 인장강도 이상 KS K 0530
시험빈도 /1회 20,000 ㎡마다
2.1.3 기타재료 [수정] 2.2.1항의 KSM 3404, KSF 4409에 속하지 않는 별도 재질의 유공관에 대한 사용기준을 명
2.2.3 기타재료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가 있을 때에는 기타 여과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확히 함으로써 혼선 예방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가 있을 때에는 기타 여과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2.1 유공관 2.2 유공관
2.1.1 지하배수에 사용하는 유공관은 KS M 3404 또는 KS F 4409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것을 사용한 2.2.1 지하배수에 사용하는 유공관은 KS M 3404 또는 KS F 4409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것을 사용한
다. 다.
2.1.2 고밀도 폴리에틸렌 유공관의 품질기준은 표 5-24와 같다. 2.2.2 고밀도 폴리에틸렌 유공관을 사용할 경우의 품질기준은 표 5-3-2와 같다.

표 5-31 고밀도 폴리에틸렌 유공관의 품질기준 표 5-3-2 고밀도 폴리에틸렌 유공관의 품질 기준


구 분 단 위 품 질 기 준 시 험 방 법 구 분 단 위 품 질 기 준 시 험 방 법
재 질 - 고밀도 폴리에스틸렌(H.D.P.E) - 재 질 - 고밀도 폴리에스틸렌(H.D.P.E) -
규 격 ㎜ 200+5(내경) - 규 격 mm D+5(내경)/ -
100, 200, 300+5(내경)
밀 도 kN/㎥(gf/㎤) 9.2 이상(0.94 이상) - 밀 도 g/㎤ 0.94 이상 KS M 3016
인장강도 ㎫(㎏f/㎤) 25 이상(250 이상) KS M 3006 인장강도 MPa 25 이상 KS M 3006
충격강도 J/㎠(㎏f․㎝/㎠) 118 이상(12 이상) KS M 3055 충격강도 J/㎠ 1.2 이상 KS M 3055
Pipe stiffness mJ/㎠(gf․㎝/㎠) 34 이상(3.5 이상) ASTM D 2412 [수정] 규격 보완 및 단위수정
Pipe stiffness kN/㎡(kPa) 350 이상 ASTM D 2412
구멍의 크기 ㎜ 3 이하 - 구멍의 크기 mm 5 이하 -
허용변형량 ㎜ 10 이하 - 허용변형량 mm 10 이하 -

3. 시 공 3. 시 공 [수정] 수정 : 3 mm 이하 ⇒ 5 mm 이하 (일반국도공사전문시방서 참조)


3.1 관부설 맹암거 3.1 시공일반
3.1.1 설계도서와 동일한 경사 및 치수에 맞도록 관부설 터파기를 시행하여야 하며, 터파기한 기초바닥은 다짐을 3.1.1 설계도서와 하여야
동일한 경사 및 치수에 맞도록 관부설 터파기를 시행하여야 하며, 터파기한 기초바닥은 다짐을
한다.
하여야 한다.
3.1.2 유공관은 구멍이 없는 유출구 부근의 마지막 3m부분을 제외하고는 구멍이 있는 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부 3.1.2 유공관은 설한다.
구멍이 없는 유출구 부근의 마지막 3m 부분을 제외하고는 구멍이 있는 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부
관의 이음은 적당한 연결구나 띠를 사용하여 완전한 결합이음을 하여야 한다.
설한다. 관의 이음은 적당한 연결구나 띠를 사용하여 완전한 결합이음을 하여야 한다. 3.1.3 유공관은 종형(bell)의 단부가 상류 측에 위치하도록 부설하여야 하며, 물이 유입해 들어갈 수 있도록 적당
3.1.3 유공관은 종형(bell)의 단부가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부설하여야 하며, 물이 유입해 들어갈 수 있도록 적당한 한 재료로 싸 주거나, 규정된 대로 폐접합형으로 하여야 한다.
재료로 싸 주거나 규정된 대로 폐접합형으로 하여야 한다. 3.1.4 모든 관로의 상류측 단부는 흙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로 막아야 한다.

5-35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1.5 유공관 부설에 관한 검사를 받은 후 입상재료를 규정된 치수까지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유공
3.1.4 유공관 부설에 관한 검사를 받은 후 입상재료를 규정된 치수까지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다. 이 때에는 유공 관이나 폐접합부의 덮개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관이나 폐접합부의 덮개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1.6 도로의 종방향 맹암거는 유공관으로 하고, 암구간(리핑암, 발파암)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지 않는다.
3.1.6 도로의 종방향 맹암거는 유공관으로 하고, 암구간(리핑암, 발파암)에는 부직포를 설치하지 않는다. 3.1.7 맹암거의 배수를 집수정으로 받아 종배수관으로 처리할 때에는 집수정에 모인 물이 맹암거에 역류하지 않 [추가] 일반국도공사전문시방서 참조
3.1.7 맹암거의 배수를 집수정으로 받아 종배수관으로 처리할 때에는 집수정에 모인 물이 맹암거에 역류하지 않 도록 집수정의 설치위치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록 집수정의 설치 위치에 주의하여야 한다. 3.1.8 흙쌓기 비탈면에 용수가 있을 때에는 맹암거 설치 후 비탈면 보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3.1.8 흙쌓기 비탈면에 용수가 있을 때에는 맹암거 설치 후 비탈면 보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3.1.9 도로의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맹암거는 유공관을 두지 않는 것으로 하며, 도로 중심선과 60 °의 각도로 설치
3.1.9 도로의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맹암거는 유공관을 두지 않는 것으로 하며, 도로 중심선과 60˚의 각도로 설치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10편경사가 있는 도로의 맹암거는 포장층 내로의 우수유입 방지를 위하여 반드시 포장 시공 전에 완료하여야
3.1.10 한쪽경사가 있는 도로의 맹암거는 포장층 내로의 우수 유입 방지를 위해 반드시 포장 시공 전에 완료하여 한다.
야 한다. 3.2 유출구
3.2 유출구 3.2.1 지하배수 유출구는 설계도서나 감독자가 지시한 길이와 폭으로 터파기하여야 한다. 관의 단부가 단단히 결
3.2.1 지하배수 유출구는 설계도서나 감독자가 지시한 길이와 폭으로 터파기 하여야 한다. 관의 단부가 단단히 합되도록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도랑 속에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결합되도록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도랑 속에 설치하여야 한다. 3.2.2 관부설에 대하여 감독자로부터 검사를 받은 후에 승인된 재료를 사용,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다.
3.2.2 관부설에 대해 감독자으로부터 검사를 받은 후에 승인된 재료를 사용, 되메우기를 하여야 한다. 3.3 맹암거(blind drain)
3.3 맹암거(blind drain) 3.3.1 맹암거는 설계도서에 지시된 폭과 깊이대로 터파기를 하여야 한다.
3.3.1 맹암거 도랑은 설계도서에 지시된 폭과 깊이대로 터파기를 하여야 한다. 3.3.2 터파기 된 도랑 속에 입상재료를 도면에 표시한 깊이까지 채워야 한다.
3.3.2 터파기 된 도랑 속에 입상재료를 도면에 표시한 깊이까지 채워야 한다. 3.4 수평배수공
3.4.1 계약상대자는 필요한 경우 내경 50 mm 이상의 원형 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3.4.2 현장에서 운반된 배수공은 부직포로 1겹 감아서 직사광선을 피하고, 이물질이 다발관 및 유공관 내부에 들
어가지 않는 장소에 보관 한다.
3.4.3 수평배수공은 지정된 위치에 상향경사 5°로 배수관 길이보다 0.1 m 더 깊게 천공한다.
3.4.4 천공지름은 수평 배수공 지름보다 2.5 mm 이상 커야 한다. [수정]「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3.4.5 수평배수공 유공관 시공에 대한 일반사항은 3.1 시공일반을 참조한다.

5-4 비탈면 배수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측구용 콘크리트 소구조물인 산마루 측구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D 3552 철선
KS F 4010 철근콘크리트 플룸 및 벤치 플룸
KS F 4019 철근 콘크리트 조립 흙막이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
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콘크리트 재료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재료는 이 시방서 13-1절, 13-3절에 따른다.
2.2 공장제품 콘크리트 측구
2.2.1 공장제품 콘크리트 측구는 KS F 4010에 맞는 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2.2 설계도서에 표시된 공장제품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5-36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1 터파기
3.1.1 터파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른다.
3.1.2 배수 구조물의 터파기 장소가 노상 또는 비탈면의 경우에는 터파기할 단면이 필요한 최소 단면으로 하여
이미 완성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1.3 배수구조물의 터파기는 기계 터파기를 할 수 있으며, 터파기는 소정의 깊이 및 경사에 맞게 시공하여야 한
다.
3.2 기 초
설계도서 및 감독자가 지시한 기초재료로서 이 시방서 3-9절에 따른다.
3.3 거푸집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3.4 콘크리트 타설
3.4.1 이 시방서 6-4절에 따르며, 특히 콘크리트는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고, 구조물이 일체
가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4.2 배수시설의 기초바닥은 설계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3.4.3 거푸집 내의 콘크리트는 진동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표면에
레이턴스가 발생하거나 재료분리가 생길 정도로 오랜시간 한 곳에 진동다짐을 하여서는 안 된다.
3.4.4 경사가 급한 곳에는 활동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며, 활동막이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4.5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가 있어 바닥과 벽을 분리 시공할 때에는 접속부에 다웰(dowel) 역할을 할 수
있도록 16 mm 이상의 철근을 적정길이로 300 m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5 콘크리트 양생
콘크리트는 14일 이상 양생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 소요강도 이상일 경우에는 양생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3.6 되메우기 및 뒤채움
이 시방서 3-7절에 따른다.
3.7 산마루 측구 시공 [동일]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위치 이동하여 기술
3.7.1 비탈면으로 부터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땅깎기부의 비탈면 정상 끝단에서 일정하게 벗
어난 지점에 산마루 측구를 설치하며,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 지형상 필요한 곳에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3.7.2 표면수는 비탈면을 따라 설치한 산마루 측구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하여야 한다.
3.7.3 측구 완성 후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표면수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측구 상단보다 낮지 않도록 하여야하 [수정] 한글로 순화
며, 표면수의 침투로 인하여 산마루 측구가 침하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8 종배수구(도수로)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3.8.1 쌓기부 종배수구(도수로)
(1) 종배수구(도수로)는 현장 타설 또는 프리캐스트로 시공한다.
(2) 종배수구(도수로)는 쌓기 완성 비탈면보다 낮게 하여 콘크리트 벽면으로 우수가 침투되지 않아야 한다.
(3) 종배수구(도수로) 터파기 후 다짐을 철저히 한다.
(4) 비탈면 경사 32° 이상 및 유속 3 m/s 이상 되는 곳은 끝 문턱(end sill), 조약돌부설(rip rap pad) 집수거 또 [수정] (4) 끝 문턱(en sill) 오타 수정
는 충격 수직블록을 설치, 급류 충격에 의한 주위 시설물의 피해가 없도록 한다.
(5) 쌓기부가 1:1 이상인 급한 경사는 사류가 발생되고 특히 소단부에서는 도수(hydraulic-jump)가 발생하여
종배수구(도수로) 밖으로 물이 튀어 법면이 세굴되게 되므로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3.8.2 깎기부 종배수구(도수로)
(1) 깎기부 종배수구(도수로)의 위치는 계곡부 표면수량이 많은 곳에 설치한다.
(2) 종배수구(도수로)의 높이는 깎기 비탈면 보다 깊게 한다.
(3) 암을 굴착할 때에는 여굴발생이나 암 절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4) 소단에 종배수구(도수로)를 두는 곳은 소단경사를 내측으로 두어 소단물이 법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5) 사류가 발생되고 특히 소단부에서는 도수(hydraulic jump)가 발생하여 종배수구(도수로) 밖으로 물이 튀어
법면이 세굴되게 되므로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3.9 콘크리트 측구의 규격관리
표 5-4-1 콘크리트 측구 규격관리 기준

5-37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항 목 규격치(mm) 측정기준 비 고
기준고 ±30 ·시공연장 40 m 이상인 경우
폭 a3 -50 : 40 m마다 1군데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 등으로 변경, 한글로 순화
높이 h, h′ -30 ·시공연장 40 m 이하인 경우
연장 L -20 : 2군데

5-5 시공할 때의 배수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5-5-1 흙쌓기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흙쌓기 작업 중에 실시하는 가시설물의 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1 차 수
3.1.1 흙쌓기 작업 중 계약상대자는 항상 배수에 유의하여 표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흙쌓기 내부
로 유입하는 외부 유입수에 대해서는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3.1.2 일일 작업을 종료하였을 때 또는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흙쌓기 다짐면을 4 % 이상의 횡단 기울기로
평탄하게 마무리하고 다짐을 하여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야 한다.
3.1.3 비가 멎은 후 즉시 작업을 개시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비가 오기 전에 미리 비닐 등 덮개로 시공면을 덮어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폴리에틸렌 등으로 ⇒ 비닐 등 덮개로
서 빗물의 침입을 막아야 한다.
3.1.4 땅깎기부의 용수 또는 강우에 의하여 유출되는 표면수는 흙쌓기 비탈면을 세굴 또는 붕괴시킬 우려가 있으
므로 흙쌓기 가장자리에 가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외부로 유출시키기에 적당한 장소 또는 설계도서에 명기
된 흙쌓기부 종배수구(도수로) 지점에 가마니 또는 마대, 비닐 등으로 임시 종배수구(도수로)를 만들어 유

5-38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출하여야 한다.
5-5-2 물막이 [신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구조물 기초 터파기 공사를 할 때 실시하는 가시설물의 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1 차 수
3.1.1 계약상대자는 터파기 작업 중 대수층을 만나면 물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널말뚝은 기초바닥보다 1m 이
상 깊게 박아야 하며, 물이 새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1.2 물막이의 내부치수는 거푸집의 설치와 검측에 필요한 여유폭이 있어야 한다.
3.1.3 계약상대자는 물막이 공사로 인하여 급격한 수위의 상승과 아직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손상, 세굴로 기초
를 약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3.1.4 하부구조에는 지지목 등의 목재가 콘크리트 속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5-3 물푸기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09, 한국도로공사)」 내용을 참고로 하여 반영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물막이 내의 물푸기 작업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1 시공일반
물푸기 작업에 대하여는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3.1.1 물막이 내의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재료가 손실되지 않도록 시행하여야 한다.
3.1.2 물푸기 작업은 콘크리트 타설 중은 물론이고, 타설 후 최소 24시간 동안은 계속 물푸기를 하여야 한다.
3.1.3 콘크리트 거푸집의 적당한 지점에 웅덩이를 만들어 물푸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5-5-4 가물막이 가시설편으로 이동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구조물 및 교량 건설을 위한 가시설물의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F 4603 H형강 말뚝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콘크리트

5-39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이 시방서 15-4절, 15-5절에 따른다.
2.2 철 근
이 시방서 15-10절에 따른다.
2.3 강 재
이 시방서 15-11절, 15-12절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가물막이 시설에 대하여는 시공계획과 구조계산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3.2 차 수
3.2.1 차수 재료는 공사기간 중 모든 환경조건에서 안정적이어야 한다.
3.2.2 주입재의 성분은 지반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유해한 성분이 없어야 한다.
3.2.3 차수효과 검증을 위한 차수시험을 실시하되 여러가지 방법 중(목측관찰, 강도확인, 약액침투 등) 가장 확실
한 방법으로 차수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2.4 가물막이 내의 터파기를 위한 물푸기 또는 토사제거 작업을 단계적으로 하여 단계마다 침투수량을 확인하
여야 하며, 가물막이의 거동을 측정, 가시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아울러 물푸기 작업은 작업원
의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3.2.5 설치된 가시설에 대하여 공사완료 이전에 원상 복구하여야 하며, 추후 민원발생 및 관계법령에 저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6 수중부에 설치되는 시설의 적정성 점검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수중촬영 및 기타 부속자재에 대한 확인시
험을 실시한 후 감독자에게 그 결과를 제출하여야 한다.

5-5 지수공 5-6 지수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배수구조물 이음부에 설치하는 PVC 지수판, 수팽창 지수판 이 시방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구조물 이음부에 설치하는 PVC 지수판, 수팽창 지수판 공사에 적 [수정] 문구 수정 : 전체 통일
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한다. 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M 3805 폴리염화비닐 지수판
KS M 3805 연질 염화비닐수지 지수판
1.3 제출물 1.3 제출물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PVC 지수판 2. 재 료
KS M 3805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2.1 PVC 지수판
2.2 수팽창성 지수판 KS M 3805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공사시방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2.2 수팽창성 지수판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5-40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3.1 PVC 지수판 3.1 PVC 지수판
3.1.1 지수판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위치에 비틀림이나 구부러짐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지수판의 접합은 3.1.1 지수판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위치에 비틀림이나 구부러짐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지수판의 접합은
PVC 용접기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방법으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PVC 용접기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방법으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2 지수판 콘크리트에 묻힐 때는 표면에 기름, 그리스, 건조한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여야 하 3.1.2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묻힐 때는 표면에 기름, 그리스, 건조한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여야
며, 지수판의 모든 부분은 치밀하게 콘크리트로 채워져 단단히 유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며, 지수판의 모든 부분은 치밀하게 콘크리트로 채워져 단단히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1.3 PVC 지수판은 제작자의 접합 지침을 따를 수 있으며, 접합부가 원재료 인장강도의 60 % 이상을 가질 수 [신설]「서울특별시 토목공사 전문시방서(2009)」를 참조하여 반영
있도록 연결하여야 한다.
3.2 수팽창 지수판 3.2 수팽창 지수판
수팽창 지수판은 콘크리트 양생 후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면은 청결하고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부 3.2.1 수팽창 지수판은 콘크리트 양생 후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면은 청결하고 건조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착되는 콘크리트 면은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부착되는 콘크리트 면은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2.2 접속부에서 이음 또는 지수재의 교차는 틈이 없도록 하여 50 mm 이상 교차시켜야 한다. [신설]「서울특별시 토목공사 전문시방서(2009)」를 참조하여 반영

5-7 기타 부대공
5-7 연석 5-7-1 연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및 돌 연석을 시 이 시방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및 돌 연석 공사에 [수정] 문구 수정 : 전체 통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
공하는 것에 관한 제반 사항을 규정한다.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4006 콘크리트 경계블럭 KS F 4006 콘크리트 경계블럭
1.3 제출물 1.3 제출물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2.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2.1.1 설계도서에 표시된 길이, 형상 및 규격에 일치되도록 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어야 2.1.1 설계도서에 표시된 길이, 형상 및 규격에 일치되도록 하여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한다.
2.1.2 공장제작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연석의 품질기준은 표 5-33과 같다. 2.1.2 공장제작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연석의 품질기준은 표 5-7-1과 같다.
표 5-33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연석의 품질기준 표 5-7-1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연석의 품질기준

5-41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구 분 L=600㎜ L=1,000㎜ 비 고 구 분 L=600 mm L=1,000 mm 비 고
파괴하중(㎏f) 1,600 이상 1,000 이상 파괴하중(㎏f) 1,600 이상 1,000 이상
흡 수 율(%) 5 이내 흡 수 율(%) 5 이내
시험방법 KS F 4006 시험방법 KS F 4006
2.1.3 재료는 모두 이 시방서 10-1절 규정에 따른다. 2.1.3 재료는 모두 이 시방서 10-1절 규정에 따른다.
2.1.4 기초재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에는 바닥고르기용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2.1.4 기초재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에는 바닥고르기용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2.1.5 이음 모르타르는 1: 2, 바닥 모르타르는 1: 3으로 용적배합(시멘트: 잔골재)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2.1.5 이음 모르타르는 1: 2, 바닥 모르타르는 1: 3으로 용적배합(시멘트: 잔골재)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2.2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2.2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수정] 오타 수정
2..2.1 재료는 모두 본 시장서 10-1절에 따른다. 2..2.1 재료는 모두 이 시방서 10-1절에 따른다.
2.2.2 잔골재의 입도범위는 이 시방서 15-3-1절 2.1에 따른다. 2.2.2 잔골재의 입도범위는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2.2.3 굵은골재의 입도범위는 이 시방서 15-3-1절 2.2에 따른다. 2.2.3 굵은골재의 입도범위는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2.2.4 배합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2.2.4 배합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설계 휨 강도 f =3㎫(35㎏f/㎠)
28 (1) 설계 휨 강도 f = 3 MPa(35 ㎏f/㎠)
28

(2) 칠 때의 콘크리트 슬럼프 50㎜ 이하 (2) 칠 때의 콘크리트 슬럼프 50 mm 이하 [수정] 한글로 순화


(3) 골재의 최대치수 25㎜(기계 시공 시 19㎜) (3) 골재의 최대치수 25 mm(기계 시공할 때 19 mm)
(4) 굳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량 4.5±1% (4) 굳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량 4.5±1 %
2.2.5 줄눈재 2.2.5 줄눈재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2.2.6 거푸집 2.2.6 거푸집
승인된 강재거푸집을 원칙으로 하며, 예리한 곡선부나 지극히 짧은 구간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목재 승인된 강재거푸집을 원칙으로 하며, 예리한 곡선부나 지극히 짧은 구간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2.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2.3.1 골재 2.3.1 골재
아스팔트 연석에 사용하는 골재는 이 시방서 15-3-2절에 규정하는 재료로서 표 5-18의 입도 범위를 표준 아스팔트 연석에 사용하는 골재는 이 시방서 15-3절에 규정하는 재료로서 표 5-7-2의 입도 범위를 표준
으로 한다. 으로 한다.
표 5-34 재료의 입도범위 표 5-7-2 재료의 입도범위
체 규 격 4.75㎜ 2.36㎜ 600㎛ 300㎛ 150㎛ 75㎛ 체 규 격 4.75 mm 2.36 mm 600㎛ 300㎛ 150㎛ 75㎛
통과중량 통과중량
백분율(%) 70-100 55-100 30-70 20-55 7-35 4-20 백분율(%) 70 ∼ 100 55 ∼ 100 30 ∼ 70 20 ∼ 55 7 ∼ 35 4 ∼ 20
2.3.2 역청재료 2.3.2 역청재료
(1) 역청재료 (1) 역청재료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에 사용하는 역청재료는 이 시방서 15-2절에 따른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에 사용하는 역청재료는 이 시방서 15-2절에 따른다.
(2) 택코트 (2) 택코트
택코트에 사용하는 역청재료는 이 시방서 15-2절에 따른다. 택코트에 사용하는 역청재료는 이 시방서 15-2절에 따른다.
2.3.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 2.3.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은 이 시방서 8-4절 2.5 또는 9-5절 2.6에 따른다.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은 이 시방서 8-3절 또는 9-5절에 따른다.
(2)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혼합물의 배합표준은 표 5-35와 같으나 필요에 따라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변경 (2)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혼합물의 배합표준은 <표 5-7-3>과 같으나 필요에 따라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할 수 있다. 변경할 수 있다.
표 5-35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 배합기준 표 5-7-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의 혼합물 배합기준
종 류 골 재 석 분 아스팔트 종 류 골 재 석 분 아스팔트
배합율(%) 93 7 8 배합율(%) 93 7 8
2.4 돌 연석 2.4 돌 연석
2.4.1 돌 연석으로 사용한 석재는 공인된 석회석, 사암, 화강암 재질로서 계약에 규정된 재료이거나 만일 규정되 2.4.1 돌 연석으로 사용한 석재는 공인된 석회석, 사암, 화강암 재질로서 계약에 규정된 재료이거나 만일 규정되
어 있지 않으면 3가지 종류 중 한 종류만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 어 있지 않으면 3가지 종류 중 한 종류만 공사에 사용하여야 한다.
2.4.2 직선부 돌 연석은 돌 연석의 표면에 드릴구멍이 없어야 하며, 윗면은 6㎜이상의 요철이 없는 표면이어야 2.4.2 직선부 돌 연석은 돌 연석의 표면에 드릴구멍이 없어야 하며, 윗면은 6 mm이상의 요철이 없는 표면이어야
한다. 앞면은 계약에 규정된 실제 평면을 유지하여야 하고, 뒷면은 수평으로 25㎜, 연직으로 75㎜이상의 한다. 앞면은 계약에 규정된 실제 평면을 유지하여야 하고, 뒷면은 수평으로 25 mm 연직으로 75 mm 이
요철이 있어서도 안 되며, 밑면은 위에 기술한 표면의 요철보다 25㎜이상의 요철이 없어야 한다. 앞뒤의 상의 요철이 있어서도 안 되며, 밑면은 위에 기술한 표면의 요철보다 25 mm 이상의 요철이 없어야 한다.
모서리 선은 선형이 유지되도록 곧고 설계에 맞도록 되어야 한다. 돌 연석의 옆면은 평평한 직사각형이 앞뒤의 모서리 선은 선형이 유지되도록 곧고 설계에 맞도록 되어야 한다. 돌 연석의 옆면은 평평한 직사각
어야 하며, 인접된 돌 연석과 돌 연석사이 공간은 앞면과 윗면 줄눈부에 있어서 13.1㎜이상을 초과할 수 형이어야 하며, 인접된 돌 연석과 돌 연석사이 공간은 앞면과 윗면 줄눈부에 있어서 13.1 mm이상을 초과

5-42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없다. 마지막 부분에 설치되는 돌 연석은 끝단으로부터 100㎜이상 파쇄되지 않도록 하거나 별도 길이의 할 수 없다. 마지막 부분에 설치되는 돌 연석은 끝단으로부터 100 mm이상 파쇄되지 않도록 하거나 별도
형상이어야 한다. 길이의 형상이어야 한다.
2.4.3 곡선부 돌 연석은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직선부 형상의 조건과 같다. 곡선부 돌 연석의 처리 허용 2.4.3 곡선부 돌 연석은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직선부 형상의 조건과 같다. 곡선부 돌 연석의 처리 허용
요철량은 뒷면이 13㎜이고 다른 노출면이 25㎜이며, 노출되지 않은 면에 있어서는 75㎜ 이하이어야 한 요철량은 뒷면이 13 mm이고, 다른 노출면이 25 mm이며, 노출되지 않은 면에 있어서는 75 mm 이하이어
다. 야 한다.
2.4.4 인접된 돌 연석사이 공간은 앞면과 윗면 줄눈부에 있어서 20㎜이상을 초과할 수 없다. 2.4.4 인접된 돌 연석사이 공간은 앞면과 윗면 줄눈부에 있어서 20 mm이상을 초과할 수 없다.
3. 시 공 3. 시 공
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3.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석
3.1.1 연석 블럭은 설치 전에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고, 운반이나 취급 도중 손상된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1.1 연석 블럭은 설치 전에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고, 운반이나 취급 도중 손상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1.2 바닥 모르타르는 고르게 편 후, 소정의 선형과 높이가 맞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블록 이음부의 폭은 설계도 3.1.2 바닥 모르타르는 고르게 편 후, 소정의 선형과 높이가 맞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블록 이음부의 폭은 설계도
서에 정한 치수대로 하고, 이음부에는 1: 2 용적배합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서 마무리 한다. 서에 정한 치수대로 하고, 이음부에는 1: 2 용적배합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서 마무리 한다.
3.1.3 줄눈 모르타르 및 바닥 모르타르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후가 아니면 되메울 흙을 반입해서는 안 된다. 3.1.3 줄눈 모르타르 및 바닥 모르타르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후가 아니면 되메울 흙을 반입하여서는 안 된다.
되메우기 개시시간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고, 소정의 다짐도를 얻을 때까지 충분히 다져야 한다. 되메우기 개시시간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고, 소정의 다짐도를 얻을 때까지 충분히 다져야 한다.
3.2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3.2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
3.2.1 터파기 3.2.1 터파기
(1) 터파기를 하여야 할 경우에는 연석 마무리 면이 소정의 경사 및 높이에 맞도록 하기 위해 설계도에 표시 (1) 터파기를 하여야 할 경우에는 연석 마무리 면이 소정의 경사 및 높이에 맞도록 하기 위하여 설계도에 표
한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터파기를 하여야 하며, 규정된 기초재를 깔고, 잘 다져서 평활하게 하여야 한 시한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터파기를 하여야 하며, 규정된 기초재를 깔고 잘 다져서 평활하게 하여야 한
다. 다.
(2) 연석이 놓여 질 기초가 보조기층 또는 기층면 위인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 형상대로 다듬 (2) 연석이 놓여 질 기초가 보조기층 또는 기층면 위인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 형상대로 다듬
고, 이 시방서 다짐도로 다져야 한다. 고, 이 시방서 다짐도로 다져야 한다.
3.2.2 거푸집 3.2.2 거푸집
이 시방서 6-3-3절 1.4에 따른다. 이 시방서 6-3-3절에 따른다.
3.2.3 콘크리트 치기 3.2.3 콘크리트 치기
(1)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에 사용하는 모든 재료는 이 시방서 10장의 규정에 따라 계량 및 비비기를 실시한 (1)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에 사용하는 모든 재료는 이 시방서 10장의 규정에 따라 계량 및 비비기를 실시한
다. 다.
(2)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보조기층 또는 기층 표면은 소량의 물을 살포하여 습윤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보조기층 또는 기층 표면은 소량의 물을 살포하여 습윤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 층의 치기깊이가 100㎜를 넘지 않도록 하며, 수평층으로 콘크리트를 쳐야 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 한 층의 치기깊이가 100 mm를 넘지 않도록 하며, 수평층으로 콘크리트를 쳐야 하고, 공극이 발생하지 않 [수정] 자구 수정
도록 진동기 또는 승인된 기계를 사용하여 압밀을 시켜야 한다. 도록 진동기 또는 승인된 기계를 사용하여 압밀시켜야 한다.
3.2.4 기계시공 3.2.4 기계시공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은 감독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 자주식 기계(self-propelled machine)를 사용하여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은 감독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 자주식 기계(self-propelled machine)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기계에 균일하고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공급시키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성형 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기계에 균일하고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공급시키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성형
후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소정의 단면을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하며, 매끄러운 표면이 이루어져야 한다. 표 후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소정의 단면을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하며, 매끄러운 표면이 이루어져야 한다. 표
면에 추가로 손질을 하여야 할 때는 기계시공이 끝난 즉시 실시하여야 한다. 면에 추가로 손질을 하여야 할 때는 기계시공이 끝난 즉시 실시하여야 한다.
3.2.5 줄눈 3.2.5 줄눈
(1) 팽창줄눈 (1) 팽창줄눈
① 팽창줄눈은 맞댄 줄눈 구조로 하고, 설치위치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며, 연석선에 직각 ① 팽창줄눈은 맞댄 줄눈 구조로 하고, 설치위치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며, 연석선에 직각
및 수직으로 절단하여 설치하고, 줄눈 폭은 설계도서에 표시 한 대로 정확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및 수직으로 절단하여 설치하고, 줄눈 폭은 설계도서에 표시 한 대로 정확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② 줄눈 채움재(줄눈 판)은 연석 콘크리트를 칠 때 시공하고, 마무리 작업 중에 손상을 받지 않도록 주의 ② 줄눈 채움재(줄눈 판)은 연석 콘크리트를 칠 때 시공하고, 마무리 작업 중에 손상을 받지 않도록 주의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2) 수축줄눈 (2) 수축줄눈
① 수축줄눈은 6m 간격을 원칙으로 하며, 설계도서에 표시된 소정의 치수로 정확히 시공하되, 콘크리트 ① 수축줄눈은 6 m 간격을 원칙으로 하며, 설계도서에 표시된 소정의 치수로 정확히 시공하되, 콘크리트
포장에 연하여 설치하는 연석의 줄눈은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과 일치시켜야 한다. 포장에 연하여 설치하는 연석의 줄눈은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과 일치시켜야 한다.
② 수축줄눈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콘크리트 커터로 시공하며, 별도 지시가 없는 한 줄눈 폭은 6㎜로 ② 수축줄눈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콘크리트 커터로 시공하며, 별도 지시가 없는 한 줄눈 폭은 6 mm로
한다. 한다.
③ 줄눈을 끓을 때는 이미 만들어진 연석 표면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에는 ③ 줄눈을 끓을 때는 이미 만들어진 연석 표면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에는
줄눈 재료를 채울 필요는 없다. 줄눈 재료를 채울 필요는 없다.
3.2.6 마무리면 3.2.6 마무리면
콘크리트 연석의 마무리면 높이에 대한 허용시공오차 범위는 ±15㎜이며, 길이 3m 직선자를 대었을 시 콘크리트 연석의 마무리면 높이에 대한 허용시공오차 범위는 ±15 mm이며, 길이 3 m 직선자로 측정하였 [수정] 자구 수정, 한자 병행 표기
최요부의 깊이가 3㎜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을 때 최대로 들어간 곳(凹)의 깊이가 3 mm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3.2.7 양생 및 보호 3.2.7 양생 및 보호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은 이 시방서 10-1절 3.16에 규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양생하여야 한다. 습윤양생 현장치기 콘크리트 연석은 이 시방서 10-1절 3.16에 규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양생하여야 한다. 습윤양생
할 때에는 양생 기간을 3일로 할 수 있으며, 양생 기간 중 연석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할 때는 양생기간을 3일로 할 수 있으며, 양생기간 중 연석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2.8 되메우기 및 뒤채움 3.2.8 되메우기 및 뒤채움
소정의 양생이 완료된 후 굴착된 부분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승인된 재료를 사용하여 한 층의 두께가 소정의 양생이 완료된 후 굴착된 부분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승인된 재료를 사용하여 한 층의 두께가
200㎜를 넘지 않도록 채우고 잘 다져야 한다. 200 mm를 넘지 않도록 채우고 잘 다져야 한다.
3.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3.3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
3.3.1 기초의 준비 3.3.1 기초의 준비

5-43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을 설치하려고 하는 기초가 이미 양생되었거나, 오래된 시멘트 콘크리트 기층이거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을 설치하려고 하는 기초가 이미 양생되었거나, 오래된 시멘트 콘크리트 기층이거
나, 아스팔트 안정처리 기층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면 위인 경우에는 기초면을 압축 공기 등으로 나, 아스팔트 안정처리 기층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면 위인 경우에는 기초면을 압축 공기 등으로
불어내어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불어내어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2) 표면이 잘 건조되면 연석을 설치하기 직전에 이 시방서 9장에 규정된 재료 및 방식으로 택코트를 실시하 (2) 표면이 잘 건조되면 연석을 설치하기 직전에 이 시방서 9장에 규정된 재료 및 방식으로 택코트를 실시하
여야 한다. 이 때 연석이 접하는 부분바깥으로 택코트 재료가 살포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이 때 연석이 접하는 부분바깥으로 택코트 재료가 살포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3.2 깔기 3.3.2 깔기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기계로 시공하여야 한다. 기계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소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기계로 시공하여야 한다. 기계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소
정의 형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제작되고 조절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정의 형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제작되고 조절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2) 깔기 시 혼합물의 온도는 작업 및 기상조건에 따라 규정된 온도에서 ±10℃를 초과할 수 없다. 기계에서 (2) 깔기를 할 때 혼합물의 온도는 작업 및 기상조건에 따라 규정된 온도에서 ±10 ℃를 초과할 수 없다. 기계 [수정] 한글로 순화
배출되는 혼합물은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적당한 다짐도와 표면형상이 되어야 한다. 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은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적당한 다짐도와 표면형상이 되어야 한다.
(3) 기계가 포장면 가장자리를 따라 작동하는 동안 적당히 지지시켜야 하고, 사전에 실을 당기거나 필선을 그 (3) 기계가 포장면 가장자리를 따라 작동하는 동안 적당히 지지시켜야 하고, 사전에 실을 당기거나 필선을 그
어 선형이 정확히 유지되어야 한다. 어 선형이 정확히 유지되어야 한다.
(4) 완성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이 심하게 균열이 갔거나, 휘었거나, 만족한 다짐도를 얻지 못했을 때나 혹 (4) 완성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이 심하게 균열이 갔거나, 휘었거나, 만족한 다짐도를 얻지 못했을 때나 혹
은 소정의 선형과 경사 및 횡단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은 소정의 선형과 경사 및 횡단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3.3.3 이음 3.3.3 이음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가급적 빈번한 이음을 피하여야 한다.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가급적 빈번한 이음을 피하여야 한다.
(2) 혼합물 깔기가 장기간 중단되었을 때는 연석의 끝 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다음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2) 혼합물 깔기가 장기간 중단되었을 때는 연석의 끝 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다음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절단된 표면에 가열된 아스팔트를 얇게 칠하여 연속적인 접합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절단된 표면에 가열된 아스팔트를 얇게 칠하여 연속적인 접합상태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3.4 양생 및 보호 3.3.4 양생 및 보호
완성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치기 후 적어도 12시간 동안은 손상을 받지 않도록 적당한 방법을 사 완성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연석은 치기 후 적어도 12시간 동안은 손상을 받지 않도록 적당한 방법을 사
용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용하여 보호하여야 한다.
3.4 돌연석 3.4 돌연석
3.4.1 기초의 준비 3.4.1 기초의 준비
돌 연석의 기초를 위한 재료로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으로 다져야 하며, 연약하고 적합하지 못한 재료는 돌 연석의 기초를 위한 재료로 단단하고 평평한 표면으로 다져야 하며, 연약하고 적합하지 못한 재료는
제거하고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여야 한다. 제거하고 양질의 재료로 치환하여야 한다.
3.4.2 설치 3.4.2 설치
돌 연석은 앞면 모서리가 요구되는 선과 높이에 일치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연석 밑의 모든 공간은 기 돌 연석은 앞면 모서리가 요구되는 선과 높이에 일치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연석 밑의 모든 공간은 기
초에 요구되는 재료로 채우고 다져야 한다. 초에 요구되는 재료로 채우고 다져야 한다.
3.4.3 줄눈 3.4.3 줄눈
(1) 돌 연석의 줄눈간격은 설계도서에 정한 치수대로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하고, 줄눈은 용적배합비 1: 2(시멘 (1) 돌 연석의 줄눈간격은 설계도서에 정한 치수대로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하고, 줄눈은 용적배합비 1: 2(시멘
트: 모래)의 줄눈 모르타르를 채워서 마무리 하여야 하며, 줄눈 채움재와 돌 연석 사이의 공간은 동일배 트: 모래)의 줄눈 모르타르를 채워서 마무리 하여야 하며, 줄눈 채움재와 돌 연석 사이의 공간은 동일 배 [수정] 띄어쓰기
합의 모르타르로 채워져야 한다. 합의 모르타르로 채워져야 한다.
(2) 연석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접촉되어 시공될 때 연석의 줄눈은 포장의 팽창줄눈과 동일선상이어야 하 (2) 연석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접촉되어 시공될 때 연석의 줄눈은 포장의 팽창줄눈과 동일선상이어야 하
며, 두께는 포장줄눈과 같은 두께의 팽창줄눈 채움재를 채워야 한다. 며, 두께는 포장줄눈과 같은 두께의 팽창줄눈 채움재를 채워야 한다.
3.4.4 되메우기 3.4.4 되메우기
줄눈 모르타르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후가 아니면 연석의 되메움 흙을 반입하여서는 안 되며, 되메우 줄눈 모르타르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된 후가 아니면 연석의 되메움 흙을 반입하여서는 안 되며, 되메우
기의 개시 시기도 감독자의 지시에 의한다. 기의 개시 시기도 감독자의 지시에 의한다.
5-8 맨홀 및 뚜껑설치 5-7-2 맨홀 및 뚜껑설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맨홀 구체 및 뚜껑을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서는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맨홀 구체 및 뚜껑을 설치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 전체 통일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KS D 3527 철근콘크리트용 재생봉강
KS D 3706 스테인레스 강봉 KS D 3706 스테인레스 강봉
KS D 6021 상하수도, 전기, 통신용 맨홀 뚜껑 및 틀 KS D 6021 상하수도, 전기, 통신용 맨홀 뚜껑 및 틀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 [수정] 문장 수정
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시공규모, 위치, 시공상세도 등 현지여건을 조사한 서류 (1) 시공규모, 위치, 시공상세도 등 현지 여건을 조사한 서류
2. 재 료 2. 재 료
2.1 맨홀뚜껑 및 사다리 2.1 맨홀뚜껑 및 사다리
2.1.1 회주철 뚜껑은 KS D 6021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하며, 뚜껑의 중량, 치수 및 겉모양은 명 2.1.1 회주철 뚜껑은 KS D 6021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하며, 뚜껑의 중량, 치수 및 겉모 [수정] 문구 수정

5-44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시된 도면과 같다. 양은 명기된 도면과 같다.
2.1.2 칼라 맨홀 뚜껑의 시험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제조업자의 제품자료에 따라서 실시하여야 한다. 2.1.2 칼라 맨홀 뚜껑의 시험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제조업자의 제품자료에 따라서 실시하여야 한다.
2.1.3 스테인레스 강봉은 KS D 3706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3 스테인레스 강봉은 KS D 3706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조건 확인 3.1 시공조건 확인
3.1.1 계약상대자는 맨홀을 설치하기 전 기초 바닥면이 잘 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3.1.1 계약상대자는 맨홀을 설치하기 전 기초 바닥면이 잘 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3.1.2 콘크리트 치기 전에 거푸집, 토압 지지면, 철근 및 매설물 등을 검사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2 콘크리트 치기 전에 거푸집, 토압 지지면, 철근 및 매설물 등을 검사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시공준비 3.2 시공준비
3.2.1 콘크리트 치기 전에 철근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라 명시된 도면대로 가공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 3.2.1 콘크리트 치기 전에 철근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라 명기된 설계도면대로 가공 조립되었는지를 확인하여야
다. 한다.
3.3 시공기준 3.3 시공기준
3.3.1 콘크리트 치기는 이 시방서 6-4절에 따라야 한다. 3.3.1 콘크리트 치기는 이 시방서 6-4절에 따라야 한다.
3.3.2 맨홀 구체 시공 3.3.2 맨홀 구체 시공
(1) 기초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치고 표면을 수평하게 쇠흙손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1) 기초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치고 표면을 수평하게 쇠흙손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2) 맨홀은 정확한 치수와 표고에 맞추어 수직 및 수평되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쳐야한다. (2) 맨홀의 거푸집은 정확한 치수와 표고에 맞추어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쳐야한다. [수정] 주어 변경 : 맨홀 ⇒ 맨홀의 거푸집은
(3) 관과 구거에 맞게 슬리브를 절단해서 끼워야 한다. (3) 관과 구거에 맞게 슬리브를 절단해서 끼워야 한다.
(4) 상단부의 바닥은 유출관의 경사에 맞추어 그라우트를 채우고 쇠흙손으로 매끈하게 곡면으로 마무리하여 (4) 상단부의 바닥은 유출관의 경사에 맞추어 그라우트를 채우고 쇠흙손으로 매끈하게 곡면으로 마무리하여
야 한다. 야 한다.
(5) 크기,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과 조정하여야 한다. (5) 크기, 형상 및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과 조정하여야 한다.
3.3.3 뚜껑과 뚜껑틀은 정확한 표고에 맞추고 기울지 않고 수평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3.3.3 뚜껑과 뚜껑틀은 정확한 표고에 맞추고 기울어지지 않고 도로 노면경사와 동일하게 수평하게 고정시켜야 [수정] 문구 수정 [자문 반영]
한다.
3.3.4 발 디딤쇠의 설치는 명시된 설계도서를 따라야 하며, 아연을 도금한 이형철근 또는 스테인레스 강봉을 사 3.3.4 발 디딤쇠의 설치는 명기된 설계도서를 따라야 하며, 아연을 도금한 이형철근 또는 스테인레스 강봉을 사
용하여야 한다. 용하여야 한다.
3.3.5 구조물 되메우기는 이 시방서 2-7절에 따라야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되메우기를 시행 3.3.5 구조물 되메우기는 이 시방서 3-7절에 따라야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되메우기를 시행
해서는 안 된다. 하여서는 안 된다.
3.3.6 맨홀에 접속되는 관은 맨홀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6 맨홀에 접속되는 관은 맨홀 내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4 시공허용오차 3.4 시공허용오차
3.4.1 맨홀의 시공허용오차는 이 시방서 6-4절, 6-5절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3.4.1 맨홀의 시공허용오차는 이 시방서 6-4절, 6-5절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3.5 현장 품질관리 3.5 현장 품질관리
3.5.1 콘크리트의 시험은 이 시방서 6-4절에 따른다. 3.5.1 콘크리트의 시험은 이 시방서 6-4절에 따른다.
3.5.2 철근의 시험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른다. 3.5.2 철근의 시험은 이 시방서 6-5절에 따른다.
3.5.3 시험이 완료된 자재라도 현장에서 감독자가 재시험을 요구할 시 계약상대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3.5.3 계약상대자는 시험이 완료된 자재라도 현장에서 감독자가 재시험을 요구할 때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수정] 주어 위치 변경

5-10 수문, 통문 및 통관 5-7-3 수문, 통문 및 통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국토해양부 제정 『하천공사 표준시방서』등의 제 규정과 관련하여 계약상대자가 하천공사의 이 시방은 국토교통부 제정 『하천공사 표준시방서』등의 제 규정과 관련하여 계약상대자가 하천공사의 수
수문, 통문 및 통관 시공 시 이행하여야 할 일반적 요건을 제시한다. 문, 통문 및 통관 공사를 할 때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 전체 통일
1.2 용어의 정의 1.2 용어의 정의
1.2.1 “수문”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단면이 크고 제방을 분단하여 상부가 개방된 1.2.1 “수문”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단면이 크고 제방을 분단하여 상부가 개방된
구조물을 말한다. 구조물을 말한다.
1.2.2 “통문”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통수단면이 작고 직사각형의 암거형식으로 1.2.2 “통문”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통수단면이 작고 직사각형의 암거형식으로
제방에 묻히는 구조물을 말한다. 제방에 묻히는 구조물을 말한다.
1.2.3 “통관”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통수단면이 작고 원형단면형식으로 제방에 1.2.3 “통관”이라 하면 호안이나 제방의 일부에 설치하는 구조물 중 통수단면이 작고 원형단면형식으로 제방에
묻히는 구조물을 말한다. 묻히는 구조물을 말한다.
1.3 관련시방서 1.3 관련 시방서
1.3.1 이 시방서에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하천공사 표준시방서(국토해양부 제정)의 규정에 따른다. 1.3.1 이 시방서에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하천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의 규정에 따른다.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 [수정] 수정

5-45
제5장 배수공사

현행(2009) 개정 안 (2015) 사유(근거)


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2 시공계획서에는 현장여건의 정밀분석 검토서, 장비 및 인력동원계획, 안전방재계획, 하천유량변화에 대한 1.4.2 시공계획서에는 현장 여건의 정밀분석 검토서, 장비 및 인력동원계획, 안전방재계획, 하천유량변화에 대한
대책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대책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1.5 일반요건 1.5 일반요건
1.5.1 이 시방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국토해양부 제정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제9장을 따른다. 1.5.1 이 시방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하천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제9장을 따른다. [수정] 기관명 수정
1.5.2 기 설치 제방의 개착, 가체절공, 가수로 등의 시공시기, 시공순서 및 구조에 대해서는 설계서에 별도의 지정 1.5.2 이미 설치된 제방의 개착, 가체절공, 가수로 등의 시공시기, 시공순서 및 구조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별도
이 없는 한 시공계획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의 지정이 없는 한 시공계획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1.5.3 가체절은 제방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하고, 갑작스런 호우, 홍수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안전, 1.5.3 가체절은 제방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야 하고, 갑작스런 호우․홍수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안전,
견고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견고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1.5.4 가수로를 설정할 경우에는 내수 배제를 위해 충분한 하적과 그 유출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1.5.4 가수로를 설정할 경우에는 내수 배제를 위하여 충분한 하적과 그 유출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공사 시행 중에는 소음, 진동, 먼지, 하천 오탁, 도로의 훼손 등에 의한 환경오염이 최소가 되도록 필요한 3.1.1 공사 시행 중에는 소음, 진동, 먼지, 하천 오탁, 도로의 훼손 등에 의한 환경오염이 최소가 되도록 필요한
대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대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3.1.2 굴삭 완료 후 감독자의 입회 확인을 받아야 하며, 기초 하면의 토질이 부적합한 경우에는 그 처리에 대하 3.1.2 굴삭 완료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기초 하면의 토질이 부적합한 경우에는 그 처리에 대하여 감 [수정] 불필요한 용어(입회) 삭제
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3.1.3 가체절을 설치한 후에는 공사장소를 양호한 배수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기초부분에 예기치 못한 용 3.1.3 가체절을 설치한 후에는 공사장소를 양호한 배수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기초부분에 예기치 못한 용
수가 있을 경우에는 그 조치에 대하여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수가 있을 경우에는 그 조치에 대하여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1.3 수문, 통문 및 통관의 시공에 있어서 널말뚝공의 접합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3 수문, 통문 및 통관의 시공에 있어서 널말뚝공의 접합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5 콘크리트 타설 종료 후 콘크리트 밑면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시설을 하여야 한다. 3.1.5 콘크리트 타설 종료 후 콘크리트 밑면의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시설을 하여야 한다.
3.1.6 구조물이 완성된 후 되메우기를 시행할 때에는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양쪽이 대칭을 이루도록 되메워야 3.1.6 구조물이 완성된 후 되메우기를 시행할 때에는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양쪽이 대칭을 이루도록 되메워야
한다. 한다.
3.2 가설공사 3.2 가설공사
3.2.1 이 공사를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준비공사인 공사용 도로 동력설비, 가교 또는 접안설비, 가물막이, 배수 3.2.1 이 공사를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준비공사인 공사용 도로․동력설비․가교 또는 접안설비․가물막이․배 [수정] 공사용 도로와 동력설비 용어 분리, 가운데 점 사용
공, 흙막이공 등의 가설공사에 대하여 충분한 조사와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고, 사전에 감독자의 수공․흙막이공 등의 가설공사에 대하여 충분한 조사와 면밀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고,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2 이 공사의 시공에 앞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확실하고 안전한 시공을 위하여 가물막이공을 하여야 한 3.2.2 이 공사의 시공에 앞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확실하고 안전한 시공을 위하여 가물막이공을 하여야 한
다. 다.
3.3 도장 3.3 도장
3.3.1 문짝, 가이드 프레임 등의 부재는 녹방지를 위하여 도장을 하여야 한다. 3.3.1 문짝, 가이드 프레임 등의 부재는 녹방지를 위하여 도장을 하여야 한다.
3.3.2 수문은 비몰수부와 몰수부와 미말부로 나누어 도장하되, 비몰수부는 강교도장에 준하여야 한다. 3.3.2 수문은 비몰수부와 몰수부와 미말부로 나누어 도장하되, 비몰수부는 강교도장에 준하여야 한다.
3.3.3 도장완료 후 몰수까지의 양생기간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3.3.3 도장완료 후 몰수까지의 양생기간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3.4 게이트 및 개폐장치 설치 3.4 게이트 및 개폐장치 설치
3.4.1 게이트는 설치 중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한 지보공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4.1 게이트는 설치 중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한 지보공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4.2 철재 게이트의 제작은 강교에 준하여야 한다. 3.4.2 철재 게이트의 제작은 강교에 준하여야 한다.

5-46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6 장 구조물공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6장 구조물공 제6장 구조물공
6-1 구조물공 일반 6-1 구조물공 일반
6-2 기초공 6-2 기초공
6-2-1 얕은 기초 6-2-1 얕은 기초
6-2-2 기성말뚝 6-2-2 기성말뚝
6-2-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6-2-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6-2-4 케이슨 기초 6-2-4 케이슨 기초
6-2-5 말뚝재하시험 6-2-5 말뚝재하시험
6-3 가시설공 6-3 가시설공
6-3-1 축도 및 가도 6-3-1 축도 및 가도
6-3-2 가설물막이 6-3-2 가설물막이
6-3-3 거푸집 및 동바리 6-3-3 거푸집 및 동바리
6-3-4 가설흙막이공 6-3-4 가설흙막이공
6-4 콘크리트공 6-4 콘크리트공
6-4-1 일반 콘크리트 6-4-1 일반 콘크리트
6-4-2 한중콘크리트 6-4-2 한중콘크리트
6-4-3 서중콘크리트 6-4-3 서중콘크리트
6-4-4 팽창콘크리트 6-4-4 팽창콘크리트
6-4-5 매스콘크리트 6-4-5 매스콘크리트
6-4-6 수중콘크리트 6-4-6 수중콘크리트
6-4-7 해양콘크리트 6-4-7 해양콘크리트
6-4-8 유동화콘크리트 6-4-8 유동화콘크리트
6-4-9 섬유보강콘크리트 6-4-9 섬유보강콘크리트
6-4-10 고강도콘크리트 6-4-10 고강도콘크리트
6-4-11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6-4-11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6-4-12 줄눈 및 지수판 6-4-12 줄눈 및 지수판
6-4-13 슬래브공 6-4-13 슬래브공
6-5 철근공 6-5 철근공
6-6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공 6-6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공
6-7 강구조물공 6-7 강구조물공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7-2 철골 제작 및 설치 6-7-2 철골 제작 및 설치
6-7-3 잡철물공 6-7-3 잡철물공
6-7-4 강교도장 6-7-4 강교도장
6-8 부대시설공 6-8 부대시설공
6-8-1 난간 6-8-1 난간
6-8-2 교량신축이음 6-8-2 교량신축이음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위치 조정
6-8-3 교량받침 6-8-3 교량받침
6-8-4 교면 방수 6-8-4 교면 방수
6-8-5 교면 포장 6-8-5 교면 포장
6-8-6 교량 점검 시설 6-8-6 교량 점검 시설
6-8-7 교량 배수시설공 6-8-7 교량배수시설공
6-8-8 패널식 보강토 옹벽 6-8-8 패널식 보강토 옹벽

6 -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8-9 블록식 보강토 옹벽 6-8-9 블록식 보강토 옹벽
6-9 교량 계측시설 6-9 교량 계측시설
제 6 장 구조물공 제 6 장 구조물공
6-1 구조물공 일반 6-1 구조물공 일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도로공사 중 교량, 옹벽 등의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도로공사 중 교량, 암거, 옹벽 등의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적용 범위 추가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6-2-1 얕은기초 6-2-1 얕은기초


6-2-2 기성말뚝기초 6-2-2 기성말뚝기초 [수정] 인용 시방절 제목 수정

6-2-3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삭제] 미인용 시방절 삭제

6-2-4 케이슨기초 [삭제] 미인용 시방절 삭제

6-3 가시설공 [삭제] 미인용 시방절 삭제

6-4 콘크리트공 6-4 콘크리트공


6-5 철근공 6-5 철근공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사전 준비 1.3.1 사전 준비
(1)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수 전에 다음 사항을 준비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1) 계약상대자는 해당 구조물의 공사 착수 전에 다음 사항을 준비하여 감독자에 [자문]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문구 추가

한다. 게 제출하여야 한다.


① 설계도서 검토 의견서 ① 설계도서 검토 의견서
② 시공 계획서 ② 시공 계획서(공사 전 사진대장, 측량자료 및 시공단계별 계측계획서 포함) [자문] 시공계획서 작성내용 보완
③ 품질관리 계획서 ③ 품질관리계획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④ 공정관리 계획서 ④ 공정관리계획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6 -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⑤ 안전관리 계획서 ⑤ 안전관리계획서 [수정] 띄어쓰기 수정
⑥ 자재, 장비관리 계획서 ⑥ 자재․장비관리 계획서 [수정] 쉼표 ⇒ 가운데 점

⑦ 하도급 회사 선정 계획서 ⑦ 하도급 회사 선정 계획서


⑧ 관련도로 또는 하천의 장래확장 계획 및 관련기관의 시공허가서 ⑧ 관련도로 또는 하천의 장래확장 계획 및 관련기관의 시공허가서
⑨ 인원 조직 기구표 ⑨ 인원 조직 기구표
⑩ 지하매설물 확인사항 ⑩ 지하매설물 처리계획서 [수정] 용어 수정
⑪ 환경관리계획서 [수정] 환경관리 및 구조물 안전시공 도모를 위해 추가
⑫ 시공상세도
⑬ 가시설 구조계산서
(2) 사전 준비서류 미제출 시 감독자는 공사 진행을 중지시켜야 한다. (2) 사전 준비서류를 반드시 제출한 후 공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수정] 계약상대자의 행위를 기준으로 하여 문구 수정

1.3.2 지반조사 계획서 1.3.2 지반조사계획서 [자문] 띄어쓰기 수정


계약상대자는 구조물 시공에 필요한 지반조사 계획을 세워 감독자의 승인을 계약상대자는 구조물 시공에 필요한 지반조사 계획을 세워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받은 후 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3.3 시공계획서 1.3.3 시공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작업시작 전 최소한 7일 전에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계약상대자는 작업시작 전 최소한 30일 전에 해당구조물의 시공계획서를 제출 [자문] 작업시작전 7일전에 제출시 보완이 발생하면 후속공정에
승인을 받은 후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영향이 크므로 기술검토, 행정처리를 위해 최소 30일 전에

1.3.4 공사기록 1.3.4 공사기록 는 예정공정표가 첨부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는 것이 공정

교량의 시공에 관한 공사기록은 아래 사항들을 포함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교량의 시공에 관한 공사기록은 아래 사항들을 포함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계획에 적정할 것으로 판단됨.

(1) 공사명, 공사개요, 사업주체, 계약상대자, 시행공정 (1) 공사명, 공사개요, 사업주체, 계약상대자, 시행공정
(2) 완성된 교량의 제원, 배치도, 구조도, 지반의 개요 (2) 완성된 교량의 제원, 배치도, 구조도, 지반의 개요
(3) 가설장비의 배치와 능력, 시공방법, 기계기구 (3) 가설장비의 배치와 능력, 시공방법, 기계기구
(4) 각종 조사 및 시험성과 (4) 각종 조사·시험성과·시공단계별 관리기준값 및 계측데이타 [수정] 공사기록 중 시험 항목 추가

(5) 환경대책 및 안전대책 (5) 환경대책 및 안전대책


(6) 시공 중에 발생한 특수상황과 그 대책 (6) 시공 중에 발생한 특수상황과 그 대책
(7) 각 공정의 시공기록 (7) 각 공정의 시공기록
1.3.5 준공 시 제출물 1.3.5 준공할 때의 제출물 [수정] 한글로 순화

(1) 교량대장 (1) 교량대장


교량대장을 교량별로 작성하여 시공 중 구조물 보수 이력현황, 신축이음장치 교량대장을 교량별로 작성하여 시공 중 구조물 보수 이력현황, 신축이음장치 [자문] 용어수정 (교좌장치 -> 받침), 교량대장의 기술내용에 대

6 -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및 교좌장치의 유간상태 및 현재 온도 계측시설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표시 및 받침의 유간상태 및 계측온도값, 신축이동값, 장치의 제작사, 설치책임자를 하여 추가 정의
및 계측결과를 기록한 교량대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표시하고 감리원의 확인을 기록한 교량대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2) 구조물 준공도 (2) 구조물 준공도
시공 중 제출된 현장시공 상세도면을 기초로 하여 준공도를 작성 제출하여야 시공 중 제출된 현장시공 상세도면을 기초로 하여 준공도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한다.
1.4 품질보증 1.4 품질보증

1.4.1 관리기술자 1.4.1 시공관리기술자 [수정] 업무내용의 구체화를 위하여 관리기술자를 시공관리기술자

(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의 종류 및 형식에 따라 기술상의 지도 및 총괄을 위하 (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의 종류 및 형식에 따라 기술상의 지도 및 총괄을 위하여 로 용어 수정

여 전문지식과 시공경험이 있는 관리기술자를 두어야 한다. 전문지식과 시공경험이 있는 관리기술자를 두어야 한다.
(2) 시공에 관하여 관리기술자가 실시하는 주된 항목은 다음과 같다. (2) 시공에 관하여 관리기술자가 실시하는 주된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① 시공계획서의 작성과 수정보완 ① 시공계획서의 작성과 수정보완
② 시공의 감독과 지도 ② 시공의 감독과 지도
③ 시공기록의 작성 ③ 시공기록의 작성
④ 지반조사, 품질시험 실시 등 ④ 지반조사, 품질시험 실시 등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와 현장의 일치여부 및 확인방법 등을 미리 세워야 (1)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와 현장의 일치여부 및 확인 방법 등을 미리 세워야 [수정] 띄어쓰기

한다. 한다.
3.1.2 작업 전에 기계, 기구 등의 철저한 점검을 행하여야 한다. (2) 작업 전에 기계, 기구 등을 철저히 점검하여야 한다. [자문]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3.1.3 작업장 내 지장물 제거 및 작업지반의 보강 등으로 작업환경의 정리를 하여야 (3) 작업장 내 지장물 제거 및 작업지반의 보강 등으로 작업환경을 정리하여야 한 [자문]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한다. 다.
3.1.4 작업원 또는 외부인이 작업장 내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락방지 시설을 (4) 작업원 또는 외부인이 작업장 내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인의 작업장 [수정] 외부인 작업장 내 진입통제시설 설치 내용 추가
설치하여야 한다. 내로의 진입을 통제하는 시설과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6 -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5 화약류를 부득이 사용할 경우에는 기초 본체 인접 구조물, 주변지반 등 주위 (5) 부득이 화약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초 본체, 인접 구조물, 주변지반 등 주위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소규모로 한정 발파하여야 한다. 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소규모로 한정 발파하여야 한다.
3.2 세굴방지 대책 3.2 세굴방지 대책

3.2.1 구조물이 하천부 또는 유심부에 놓일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 (1) 구조물이 홍수위 이하에 놓일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명기되어 있지 않더라도 [자문]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더라도 세굴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세굴방지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하천부의 유심부에 ⇒ 홍수위 이하

3.2.2 유량, 유속 등은 검토 시 가정값과 실제 발생값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 (2) 유량, 유속 등은 검토할 때의 가정값과 실제 발생값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공사 [자문]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중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이상 발견 시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기간 중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이상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수정] 한글로 순화
하여야 한다.
3.3 기존 구조물의 근접시공 3.3 기존 구조물의 근접시공

3.3.1 기존 구조물에 근접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기존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1) 기존 구조물에 근접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시공 중 기존 구조물에 대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않도록 충분히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안정성 검토를 포함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승인을
3.3.2 계약상대자는 기존 구조물의 근접 시공 전에 기존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고 얻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시공 중 변위가 생기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변위 발견 시 대책을 (2) 계약상대자는 기존 구조물의 근접 시공 전에 기존 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고
강구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시공 중 변위가 생기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변위가 발견되었을 때 [수정] 한글로 순화

3.3.3 근접 시공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면에 별도의 조치가 없더라 에는 대책을 강구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도 지반강도 개량이나 기존 구조물을 보강하는 등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3) 근접 시공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면에 별도의 조치가 없더라
승인을 받고 시행하여야 한다. 도 지반강도 개량이나 기존 구조물을 보강하는 등 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고 시행하여야 한다.
3.4 기초공
[삭제] 해당 시방절의 일반사항에서 기술이 가능한 해당내용은 본
3.4.1 교량기초로 사용되는 직접기초는 6-2-1절 , 말뚝기초는 6-2-2 절 해당사항에 시방절에서 삭제
따른다.
3.4.2 경사지반의 기초
(1) 경사지반에 직접기초가 시공되는 경우 실제 지지지반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기초단면의 변경이 예상될 경우에는 전문기술자의 검토서를 첨부하여 감독자
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경사지반에 기초가 시공되는 경우 부등침하 및 기초이동 등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 -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콘크리트공

3.5.1 이 절에 기술되지 않은 사항은 6-4절 해당사항에 따른다. [삭제] 해당 시방절의 일반사항에서 기술이 가능한 해당내용은 본
시방절에서 삭제
3.5.2 받침위치 부근, PS강재 정착부 부근, 지간 중앙단면의 부재하연, 연속보 지점
단면의 부재상연 등은 구조상으로 중요한 곳이지만 철근 혹은 쉬스의 배치가
복잡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치기가 곤란하므로 계약상대자는 밀실한 콘크리
트가 되도록 주의 깊게 다져야 한다.
3.6 철근의 가공 및 조립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은 6-5절 해당사항에 따른다.


3.7 준공준비

[수정] 해당 시방절의 일반사항에서 기술이 가능한 해당내용은 본


3.4 준공준비
3.7.1 계약상대자는 공사종료 후 준공검사를 신청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준비하여 시방절에서 삭제

준공검사를 감독자에게 요청하여야 한다. 3.4.1 사전준비 [수정] 번호 수정


계약상대자는 공사 종료 후 준공검사를 신청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준비하여
(1) 구조물의 노출 철선,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여 준공검사를 감독자에게 요청하여야 한다.
야 하며, 손상된 공공 및 사유물을 원상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1) 구조물의 노출 철선, 이물질 등을 완전 제거하고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여야
(2) 교량대장과 구조물 준공도를 작성하여 준비하여야 한다. 하며, 손상된 공공시설물 및 사유물은 원상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2) 공사 중 수정, 변경 내용이 반영된 교량대장과 구조물 준공도 및 구조계산서 [수정] 향후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하여 공사기간 중 수정, 변경내

등의 준공도서를 작성하여 준비하여야 한다. 용이 반영된 준공 구조계산서를 포함. [관계기관의 의견


3.7.2 준공준비 완료 확인 즉시 감독자는 발주자에 준공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반영] 문구 일부 수정
3.4.2 준공검사
3.8 교통개방 준공준비 완료 확인 즉시 감독자는 발주자에 준공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수정] 시방서 구성체계 통일을 위하여 조정

3.8.1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이후에 교통 개방을 원칙으로 한다. 3.5 교통개방
3.8.2 특별한 경우 28일 이전에도 교통을 개방할 수 있으나 이 때는 통과차량 중량 (1)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 타설 후 28일 이후에 교통을 개방할 수 있다.
을 고려한 전문기술자의 구조검토 확인을 거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구 조정
(2) 특별한 경우 28일 이전에도 교통을 개방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통과차량 중량 [자문] 문구 수정

을 고려한 전문기술자의 구조검토 확인을 거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2 기초공 6-2 기초공

6-2-1 얕은 기초 6-2-1 얕은 기초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교각, 교대, 옹벽 등의 구조물에서 확대기초 형식으로 지지층 (1) 이 시방은 교각, 교대, 옹벽 등의 구조물에서 확대기초 형식으로 지지층에 직
에 직접 지지되는 기초공사에 적용한다. 접 지지되는 기초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4-3 직접기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2-7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 2. 재 료

6-1 구조물공 일반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3. 시 공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해당사항 없음


KS F 2444 확대기초에서 정적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방법
1.4 제출물

1.4.1 시공계획서
1-2-4절 1.3에 따른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2 시험 및 검사
필요한 각종 시험과 검사에 대한 계획서를 공사착수 전에 제출하여야 한다.
1.4.3 기초시공 보고서
6-1절의 1.3에 따라 공사 내용을 기록하고 기초터파기 깊이, 기초지반의 지층
특성, 기초터파기면의 정리상태 등을 포함한 기초시공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6 -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1 시공준비

3.1.1 공사착수 전 조사 및 확인사항


(1) 지하매설물의 유무 및 지상의 장애가 되는 시설물을 사전에 조사하여 감독자
에게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2) 필요에 따라 지반조사를 하고, 설계된 기초공법이 지반조건 및 현장조건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3.1.2 기존 시설물의 처리
(1) 기초시공을 실시하기 전에 모든 지중 시설물의 위치와 깊이를 현장에서 확인
하고, 지중 시설물 근처에서는 주의하여 굴착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에 표시되지 않고, 사용 중인 지중시설물이 발견되면 즉시 감독자와
지중시설물 관리청에 통보하여야 하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이설하여야 한다.
3.2 토공작업

3.2.1 기초 터파기 및 바닥면 마무리


(1) 설계도서에 명시된 폭과 기울기, 깊이에 적합하도록 기초 터파기를 하여야 한다.
(2) 기초 계획고를 초과하여 터파기를 한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기초 바닥
계획고까지 콘크리트를 되메우거나, 구조 검토 후 기초 근입심도를 조정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이 때 추가되는 제반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3) 설계도서에 표시된 지반상태와 터파기에 의하여 노출된 지반상태가 상이할
경우 지반조사 및 분석성과와 대책을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기초의 크기와 계획고 등을 변경할 수 있다.
(4) 기초 터파기 후 용수, 우수 등의 유입으로 지반의 이완, 변형 및 연약화가 우
려되는 경우 이 시방서 2-7절 3.6 또는 3.7에 따라 물막이 또는 물푸기 작업
및 지반 이완 대비조치를 하여야 한다.
(5) 기초 터파기 경사면은 토질조건과 지하수의 상태 등에 따라 사면안전에 필요

6 -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 경사를 유지하여야 하고, 필요한 경우 가설 흙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6) 기초바닥면 마무리 표면이 1:4 이상의 비탈면일 경우에는 계단식 또는 톱니
식으로 마무리하여야 한다.
(7) 기초터파기 작업 중 발파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주변 및 기초지반을 교란시
키지 않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8) 바닥면이 암반일 경우에는 돌 부스러기 등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
고, 토사일 경우에는 적절한 다짐장비로 충분한 다짐을 하여야 한다.
3.2.2 비탈면 안전
경사가 급한 위치에 놓이는 교대의 기초터파기에 있어서는 시공 중이나 교량
구조체 완성 후의 비탈면 안전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3.2.3 되메우기 또는 뒤채움
(1) 구조물 시공 후 기초 터파기 부분의 되메우기 또는 뒤채움은 이 시방서 2-7
절 3.8과 3.9항의 되메우기와 뒤채움의 해당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3.3 현장품질관리

(1) 기초바닥면의 실제조건과 지반조사 자료를 비교 검토하고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2) 지지층의 안전성은 평판재하시험(KS F 2444) 결과에 기초의 크기효과(size
effect)를 고려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3) 지지층 검사가 끝나면 즉시 고르기 콘크리트를 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6 -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2-2 기성말뚝 6-2-2 기성말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기성말뚝이 사용되는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기성말뚝이 사용되는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4-4 기성말뚝기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2. 재 료

2-3 구조물 및 지장물 제거 해당사항 없음


6-2-5 말뚝재하시험 3. 시 공
6-7-1 강교제작 및 가설 해당사항 없음
15-9 말뚝
15-10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본다.
KS B 0885 용접기술검정에 있어서의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KS B 0896 강용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및 시험결과의 등급분류 방법
KSCIEC 60245-6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절연 케이블 제6부:아크용접용
케이블
KS C 9602 교류아크 용접기
KS C 9607 용접용 호울더
KS D 0272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시험을 위한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8 피복 아아크 용접봉 심선재

6 -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아크 용접봉
KS F 4301 원심력 철근콘크리트 말뚝
KS F 4303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PC 말뚝
KS F 4306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KS F 4307 프리텐션 방식 진동 PC 말뚝
KS F 4602 강관 말뚝
KS F 4603 H형강 말뚝
KS F 7001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의 시공표준
1.4 용어의 정의

1.4.1 지내력 (stability of soil about reaction and settlement)


지지력과 침하를 고려한 지반의 내적 안정성
1.4.2 지지력 (maximun soil reaction)
지반 또는 말뚝 등이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
1.5 제출물

(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시험 계획에 따라 말뚝 재하 시험보고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말 뚝

2.1.1 강재말뚝
(1) 강재말뚝은 이 시방서 15-9절과 KS F 4602 및 KS F 4603의 규정을 따른다.
(2) 철근은 이 시방서 15-10 절에 따른다.
(3) 재생말뚝의 경우 재생되는 이음부분의 길이가 5.0m이상이어야 하며, 비파괴
용접검사는 U.T로써 1이음 당 1회(전주변장)실시하여야 한다.
2.1.2 철근콘크리트 말뚝

6 -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철근 콘크리트 말뚝은 본 15-9절에 따른다.
(2) PSC 말뚝은 KS F 4303의 규정을 따른다.
(3) PHC 말뚝은 KS F 4306의 규정을 따른다.
2.2 장 비

2.2.1 말뚝박기 장비
(1) 말뚝박기 장비는 말뚝에 손상을 주는 것이어서는 안되며, 작업 실시 전 사용
말뚝, 지반조사 자료 및 항타장비에 대한 자료와 함께 파동이론 분석(wave
equation analysis of pile driving)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감독자는 관입깊이에 따른 예상지지력, 최종관입량, 항타응력의 크기 등 파동
이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항타장비에 대한 사용승인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3) 파동이론 분석결과 항타응력이 다음 표 6-1에서 제시하는 허용응력을 초과하는
경우 항타장비의 교체 또는 개조, 시공방법의 변경방안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표 6-1 말뚝의 허용응력

구   분 PC 또는 PHC 말뚝 강말뚝


허용압축응력 0. 6fc′ 0.9 fy
허용인장응력 0.8
´ +fpe 0.9 fy
fy : 강말뚝의 항복응력 (㎫)
fc′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fpe : 유효 프리스트레스(effective prestress) (㎫)

2.2.2 해 머
(1) 해머는 증기해머, 공기해머, 유압해머 및 디젤해머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다
만,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경우에는 낙하식 해머도 사용할 수 있다.
(2) 폐쇄식 램(ram)을 가진 디젤해머는 규격용량의 출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
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계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3) 디젤해머 중 단동 디젤해머에는 말뚝타입 동안 항상 시공 기술자가 해머 스
트로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4) 복동 디젤해머에는 측정값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지표면 가까운 곳에 반발

6 -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해머 압력 게이지를 갖추어야 한다.
2.2.3 해머쿠션
(1) 중력해머를 제외한 모든 타격말뚝 타입장비는 해머나 말뚝의 손상방지와 균
일한 타입거동 보장을 위하여 소요두께의 해머쿠션 재료를 장착하여야 한다.
(2) 해머쿠션은 타입하는 동안 균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단, 목재, 와이어로프, 석면 해머쿠션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타격용 판은 쿠션재료의 균일한 압축을 보장하기 위하여 해머쿠션 위에 설치
하여야 한다.
(4) 해머쿠션은 말뚝 타입을 시작할 때와 말뚝타입이 완료된 후, 매 100시간마다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해머쿠션은 두께가 25% 이상 감소되기 전에 교체하
여야 한다.
2.2.4 말뚝쿠션
합판의 최소 두께를 100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타입하는 동안 쿠션이
본래 두께의 1/2 보다 더 압축되거나 타기 시작하면 새로운 말뚝쿠션을 사용
하여야 한다.
2.2.5 리드(lead)
(1) 타입하는 동안 말뚝과 해머를 적절한 위치에 지탱하는 말뚝드라이브 리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리드는 각 타격에 대해 집중타격을 보장하기 위해 해머와 말뚝의 정렬을 유
지하면서도 해머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3) 리드는 종동장치를 사용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며, 경사말뚝에
서도 정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2.6 항타보조말뚝
(1) 말뚝박기에는 가능한 한 이음말뚝의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다만, 해머가 말
뚝머리를 직접 때리기 곤란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이음말뚝을 사
용할 수 있다.
(2) 이 때에는 말뚝 10개 중 1개씩은 긴 것을 사용하여 지내력을 결정할 수 있는
시험말뚝으로 직접 박아야 한다.

6 -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부속재료

2.3.1 피복 아크 용접봉 심선재는 KS D 3508,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은 KS D


7004의 해당사항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2 용접용 케이블은 KSCIEC 60245-6, 교류 아크 용접기는 KS C 9602, 용접용
홀더는 KS C 9607에 따른다.
2.4 품질관리

2.4.1 시 험
(1) H형강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603에 따른다.
(2) 강관에 대한 시험은 KS F 4602에 따른다.
(3) PC 콘크리트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303, KS F 4306 및 KS F 4307에
따른다.
(4) 원심력 철근콘크리트 말뚝에 대한 시험은 KS F 4301에 따른다.
(5) 용접용 재료는 KS D 3508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조건 확인 및 공법선정

3.1.1 현장 주변여건 확인
(1) 시공현장의 주변에 말뚝항타로 인한 지반진동이나 소음 등으로 민원발생 가
능성을 조사하여야 한다.
(2) 민원발생 가능성이 있는 주변여건일 경우 진동 및 소음저감대책을 수립하거
나 저진동 및 저소음 말뚝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3.1.2 현장지반조건 확인
(1) 시공현장의 주변여건상 항타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말뚝이 소정의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지층까지 항타관입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야 한다.
(2) 시공현장의 지반조건상 중간조밀층 하부에 하중지지에 적합한 지층이 존재하

6 -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나 항타공법으로 중간조밀층을 관통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선굴착 또는
내부굴착말뚝 공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3) 시공현장의 지반조건상 기성말뚝을 조밀하게 시공할 경우 말뚝의 휨이나 솟
아오름이 예상되면 매입말뚝공법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3.1.3 말뚝공법선정
(1) 현장주변여건 및 지반조건상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항타공법을 적용한다.
(2) 현장주변여건 및 지반조건상 항타공법을 적용할 수 없을 때에는 제반여건을 감
안하여 다음과 같은 매입말뚝공법 또는 기타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① 선굴착 후 최종항타공법(preboring driving method)
② 시멘트밀크공법(SIP 공법 등)
③ 내부굴착 후 최종항타공법(PRD, DRA 공법 등)
④ 제트그라우팅에 의한 선단확근공법(SIG, RJP 공법 등)
⑤ 기타 저진동· 저소음 공법
3.2 시공준비

3.2.1 사전조사 및 준비작업


(1) 지하매설물의 유무 및 지상의 장애가 되는 시설물을 착공 전에 조사하여야 한다.
(2) 지반조사를 착공 전에 실시하고, 선정된 말뚝공법이 현장 지반조건에 적합성
여부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3) 작업 중 시공장비가 기울어질 위험이 있는 지점에서는 미리 동바리를 만드는
등 시공장비가 설치될 지면을 사전 정지 및 개량하여야 한다.
(4) 바지선에서 타입하는 경우에는 바지선이 흔들리지 않도록 정치하여야 한다.
(5) 말뚝이 설치되는 위치에서는 말뚝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암성토를 피
하여야 한다.
3.2.2 기존 지중 시설물의 처리
이 시방 2-3절에 따른다.
3.2.3 장비의 점검정비
말뚝박기장비(항타기), 해머, 보조기계, 기타 부속설비는 작업을 개시하기 전
에 취급 설명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비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6 -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시공에 사용되는 장비는 안전, 정확,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착공 전
에 점검정비를 하여야 한다.
(2) 항타기는 말뚝을 바르게 소정의 방향으로 타입 또는 압입하기 위하여 가이드
의 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고, 작업 중 해로운 진동, 이동, 기울어짐이 생기
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필요 시에는 고정용 줄을 설치하여야 한다.
(3) 낙하해머, 디젤해머, 유압해머에 의한 항타기에는 해머의 낙하높이를 멀리 떨
어진 곳에서도 정확히 읽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오거로 지반을 선굴착하는 경우에는 굴착저항을 기록할 수 있는 자동기록장
치(전류계, RPM 등)를 장착하여 작동하여야 한다.
3.3 시험말뚝

3.3.1 시험말뚝박기를 실시하는 목적은 해머를 포함한 항타장비 전반의 성능확인과


적합성 판정, 설계내용과 실제 지반조건의 부합여부, 말뚝재료의 건전도 판정
및 시간경과 효과(set-up)를 고려한 말뚝의 지내력 확인 등이다.
3.3.2 시험말뚝 박기를 실시할 때는 항타작업 전반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
여 항타 시 동재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3.3 항타 시 동재하시험의 세부내용은 6-2-5절 규정을 적용한다.
3.3.4 시험말뚝은 기초마다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설계상의 말뚝길이보다 1.0∼2.0
m 긴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지지층이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감
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기초 1기마다 몇 개의 시험말뚝을 시공할 수 있다.
3.3.5 시험말뚝의 시공결과 말뚝길이, 두께, 말뚝본수, 시공방법 또는 기초 형식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는 전문기술자의 변경 검토서를 감독자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3.4 항타 말뚝시공

3.4.1 선 굴착
선 굴착이 필요한 경우에는 3.5.1항에 준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4.2 말뚝 세우기

6 -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시공장비는 말뚝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와
견고한 지반 위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말뚝 인입 시, 리더와 와이어의 각도는 30°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며, 인입 중
항타기를 선회해서는 안 된다. 특히, 말뚝을 매단 상태에서 주행은 하지 말아
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말뚝 축방향을 설계도서에서 규정한 각도로 세우고, 감독자로
부터 말뚝 축에 직각방향으로 양방향 검측을 받아야 한다.
3.4.3 말뚝박기
(1) 말뚝머리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말뚝쿠션재료를 써서 해머에 의해 손상되
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2) 말뚝박기 순서는 공정, 지반조건, 말뚝형상 및 배치, 시공방법과 시공장비, 주
변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3) 말뚝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대로 정확한 간격과 위치가 유지되도록 박아야 한다.
(4) 말뚝박기로 인하여 기 시공된 말뚝들에 과대한 휨응력이나 허용오차를 벗어
난 말뚝머리 이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5) 말뚝박기 작업 중에 해머와 말뚝이 동일 중심축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6) 박기 도중 저항력이 급격히 감소할 경우에는 말뚝이 파손되었는지 아니면,
지반상태에 의한 것인지 조사하여야 한다.
(7) 1개의 말뚝박기는 도중에 정지함이 없이 연속해서 박아야 한다. 다만, 장비의
고장, 작업시간의 제한, 기타 원인에 의해 연속 타입이 어려울 경우에는 정지
후 재타입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재타입 시 추가관입이 불가능하게 되
는 경우 인접말뚝의 관입깊이, 해머용량 등을 고려하여 추가 말뚝박기 등의
후속 조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기계설비의 보수를 신속히 행할 수 있도
록 미리 부품 등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
(8) 인접한 말뚝을 박는 동안 또는 기타 이유로 5㎜이상 솟아오른 말뚝이 발생
하면 솟아오름의 원인을 정밀 조사하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말뚝 솟아
오름은 지지력 저하와 말뚝재료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말뚝 솟아오름이
발생하면 재항타 동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지지력 변화 및 말뚝재료 손상여부

6 -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확인하여야 한다.
(9) 말뚝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높이에서 절단하여야 하며, 절단할 때 손상을 입
은 말뚝은 대체하거나 보수하여야 한다.
(10) 내부결함, 정위치에서 벗어난 말뚝 및 설계도서에 나타난 목표 깊이에 미달
되는 말뚝이 발생한 경우에는 말뚝을 교체 또는 추가 말뚝박기 등, 현장조
건에 맞는 방법을 검토한 후 교정하여야 한다.
(11) 말뚝박기로 인해 지반이 솟아올랐거나 침하된 지반면은 기초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계획고에 맞추어 정리하여야 한다.
(12) 강관말뚝 또는 콘크리트말뚝을 소요깊이까지 박은 후 말뚝 중공부를 비출 수
있는 조명장치로 내부검사를 하여야 한다. 이 때 말뚝 중공부에 지하수가 차
오르는 경우에는 지하수를 양수한 후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말뚝관입 깊
이에 따라 조명장치만으로 내부 검사 실시가 곤란할 경우에는 폐쇄회로, TV,
카메라 등 정밀조사 장비를 사용하도록 한다. 검사결과, 강도를 저하시킬만한
손상이 발견되면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보완하여야 한다.
(13) 손상된 강관말뚝은 제거하고 새로운 것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손상된 말
뚝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체품을 공급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이 때
손상된 강관말뚝은 구조물 아래로 1.0 m까지 절단한 다음, 강관내부를 승인
된 재료로 채우고, 주변구멍은 되메우기를 하여 잘 다져야 한다.
(14) 철근 콘크리트 및 PC․PHC 말뚝
① 말뚝머리는 해머의 직접타격으로 균열, 박리 또는 파열 등이 일어나지 않도
록 적절한 말뚝쿠션재로 보호하여야 한다.
② 콘크리트 보호층을 둔 경우에는 박기가 완료된 후에 보호층을 제거하고 철
근을 노출시켜야 한다.
3.4.4 말뚝 절단
(1) 말뚝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높이에서 축방향과 직각으로 절단하여야 하며, 절
단시 손상된 부분은 깨끗이 정리하여야 한다.
(2) 말뚝머리는 설계도서에서 지시한 깊이까지 기초 콘크리트 속에 매입하도록
하여야 한다.
3.4.5 말뚝 이음

6 -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말뚝박기는 가능한 한 긴 말뚝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소요깊이까지 박아야 하
며, 부득이 한 경우에는 설계도서 및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말뚝이음을 하여
야 한다.
(1) 강관말뚝은 콘크리트를 타설 전에 이음을 하여야 한다.
(2) PC․PHC 말뚝의 현장이음은 이음 철구를 이용한 아크 용접 이음으로 하여
야 한다.
(3) 강관말뚝 이음부의 허용오차는 KS F 4602에 따른다.
(4) 이음은 반자동 용접이상의 방법으로 하고, 용접이 완료된 후 감독자가 임의
로 지정한 이음부에 대해 KS B 0896에 따라 초음파 탐상시험을 실시하여 품
질시험 성과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5) 용접이음부의 검사빈도는 6-7-1절의 해당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음부 검사 결과 불합격이 발생된 경우에는 다른 말뚝의 모든 용접이음부에
대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결함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3.4.6 말뚝박기 종료
(1) 말뚝박기에 앞서 항타장비의 성능확인, 장비의 적합성 판정, 지반조건 확인,
말뚝재료의 건전도 판정, 말뚝의 지지력 확인 등을 위해 설계에 따라 재하시
험을 실시하여야 하며, 설계에 명시되지 않는 경우 표 6-2의 빈도를 참조하
여 동재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표 6-2 동재하시험 실시빈도(end of initial driving, EOID방법)

구      분 시험빈도 시험말뚝 위치


구조물별 말뚝 본수 1∼80 본까지 2
구조물별 말뚝 본수 81∼160본까지 3 대각선상이나 감독자가
지정하는 위치
구조물별 말뚝 본수 161본 이상 4
주) EOID방법 : 말뚝타격 초기부터 동재하시험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이며, 시공관리 목적에
이용

(2) 동재하시험 결과를 토대로 파동방정식 분석을 재수행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말뚝 시공관리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본 말뚝 항타 시의 시공관리 기준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6 -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항타 공식에 의한 지지력의 계산
항타 공식에 의한 지지력은 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므
로 동재하시험과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4) 목표 깊이까지 도달해도 지지층에 기복이 있어 말뚝의 설계지내력이 얻어지
지 않거나, 목표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박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에는 설계
조건 및 시공조건을 검토하여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5 매입 말뚝시공

3.5.1 선 굴착 후 최종 항타공법(프리보링 타격공법)


(1) 현장조건에 맞는 심도까지 천공장비를 사용하여 굴착한다. 이 때 굴착공의
지름은 말뚝지름보다 100㎜이상이어야 한다.
(2) 말뚝을 급하게 침설하거나 낙하시키면 말뚝이 경사질 우려가 있으므로 샤클
(shackle)을 이용하여 굴착공 중심에서 연직방향으로 말뚝을 천천히 침설하
여야 한다.
(3) 공저에 안치된 말뚝은 3.4절의 항타말뚝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재하시험을 실
시하여 말뚝의 지내력을 파악하여야 한다.
(4) 말뚝을 박은 후, 생기는 말뚝 주변 공간은 말뚝의 수평저항력과 주면마찰력
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시멘트(w/c) 비가 표준일축압축강도 490 ㎪ 이상의
주면고정액으로 충전하여야 한다. 만약 이 액이 지반속으로 스며들어 주면고
정액의 상면이 침강하면 지속적으로 보충하여야 한다.
(5) 주면고정액과 선단근고액의 시편 제원은 지름 50㎜, 높이 250∼300 ㎜의 원주
형이어야 한다. 이 시편 하단에서 100 ㎜를 제거한 높이 100 ㎜를 이용하여
표준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3.5.2 내부굴착 후 최종항타공법
{DRA(double rod augur), PRD(percussion rotary drill) 공법 등}
(1) 공벽안정액(벤토나이트)를 사용하여도 지하수에 의해 굴착공이 함몰되거나,
인접지역에 주요한 구조물이 있어 지반변형을 억제하고자 할 경우에 케이싱
을 사용하여야 한다.
(2) (1)의 조건에서 지름 100∼150㎜이내의 자갈이 지반에 존재할 경우에는 오

6 -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거를 사용하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프리쿠션커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3) 말뚝을 박은 후, 생기는 말뚝 주변 공간 충전은 3.5.1 (4)항과 같이 실시한다.
(4) 말뚝 선단처리방법은 항타말뚝과 같이 실시한다.
(5) 주면고정액의 강도시험은 3.5.1항에 준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5.3 제트 그라우팅에 의한 선단확근공법
{SIG (super injection grouting), RJP(rodin jet pil) 공법 등}
(1) 취약지반(석회암 공동, 석탄질층, 연약지반, 자갈층 등) 위에 말뚝을 안치시
킬 때 사용한다.
(2) 항타말뚝이나 매입말뚝으로 설계도서에 언급된 길이만큼 설치한다. 이 때 매
입말뚝은 항타를 하지 않기 때문에 말뚝 선단 보강밴드를 부착하지 않는다.
(3) 말뚝내부로 선천공하여 설계도서에 언급된 깊이만큼을 그라우팅하고 말뚝선
단을 폐색시키기 위하여 말뚝 안쪽지름의 4배 이상을 그라우팅을 실시하여야
한다.
(4) 설계도서에 언급된 그라우팅 확산범위는 시추로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설계
도서에 언급된 그라우팅 확산범위에서 시멘트 밀크 고결체가 확인이 되지 않
을 경우에는 전문기술자의 자문을 득하여 보강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5) 말뚝 선단처리방식은 충분한 양생기간을 가진 말뚝에 대하여 동재하시험 또
는 정재하시험에 의하거나, 아니면 시추조사에 의한 일축압축강도를 조사하
여야 한다. 확인 시추공은 주입액으로 충전하여야 한다.
(6) 일축압축시험에 사용한 시추 코아는 크기와 형상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여 현
장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7) 주면고정액의 강도시험은 3.5.1항에 준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5.4 시멘트밀크공법 (SIP(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 공법)
(1) 주요장비는 오거천공장비, 시멘트밀크 믹스플랜트, 그라우팅 펌프, 잔토처리용
셔블(shovel)이나 백호우 등이며, 현장여건에 적합한 용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굴착공의 지름은 말뚝지름보다 100 ㎜이상 이어야 한다.
(3) 스크류 오거 굴착에 의한 공벽유지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공벽안정액(벤토나
이트)을 사용하여야 한다.

6 -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믹스플랜트는 오거 굴착 시 공벽안정액, 주면고정액, 선단근고액을 각각 혼합
할 수 있어야 한다.
(5) 선단근고액은 물-시멘트 비(w/c)가 70%, 주면고정액은 표준일축압축강도가
490㎪이상 이어야 한다. 그리고 감독자의 승인에 의해 오거 굴착 시 공벽안
정액은 주면고정액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지지층의 굴착 깊이는 1.5m이상을 표준으로 하고, 지지층 속의 말뚝 근입깊
이는 1.0m이상이어야 한다.
(7) 오거헤드의 분사압력은 980 ㎪이상이어야 한다.
(8) 선단근고액은 공저에서 4 d(d :말뚝안쪽지름)+1m를 주입하고, 주면고정액은
기초저면까지 주입한다. 그리고 말뚝 침설 후 주면고정액의 상면 변화를 관
찰하여 액면이 침강하면 유지될 때까지 보충하여야 한다.
(9) 굴착공 공저의 슬라임의 두께는 500㎜이내 이어야 한다. 이 이상일 경우에
는 재굴착하여 선단근고액을 재주입하여야 한다.
(10) 말뚝을 급하게 침설하거나 낙하시키면 말뚝이 경사질 뿐만 아니라 심한 수류
를 일으켜 공벽손상이나 주입액이 교반되기 때문에 샤클(shackle)을 이용하여
말뚝을 천천히 침설하여야 한다. 이 때 말뚝의 관입깊이를 측정하여야 한다.
(11) 말뚝의 자중만으로 소정의 심도까지 침설할 수 없을 때에는 말뚝 침설보조
수단인 압입법과 경타법을 사용한다. 압입법은 오거굴착장비의 자중을 이용
하며, 경타는 두께 100 ㎜이상의 말뚝쿠션재(합판)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
고 경타는 여러가지 해머를 이용하여도 되나 일반적으로 낙하해머를 사용하
여 해머높이 500 ㎜이하에서 실시한다.
(12) 아랫말뚝의 말뚝머리를 지상으로 약 1.5m 도출시킨 상태에서 윗말뚝을 가
설하고, 말뚝이음부를 용접한다.
(13) 시공 시 말뚝재하시험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양질의 지지층에 말뚝을 안치하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시험시공 시, 지질주상도, 자동기록용 전류
계의 전류값 또는 자동기록용 RPM 값, 배토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오거
굴착관리기준 즉, 공벽안정액 사용여부, 오거굴착깊이, 말뚝관입깊이, 지지층
의 전류값 또는 RPM 값 등을 마련하여 본 말뚝을 시공하여야 한다.
(14) 말뚝의 지내력 확인은 충분한 양생기간을 가진 말뚝에 대하여 동재하시험

6 -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또는 정재하시험에 의하거나, 아니면 시추조사에 의한 일축압축강도로 확인
하여야 한다. 확인 시추공은 선단근고액으로 충전하여야 한다.
(15) 주면고정액의 강도시험은 3.5.1항에 준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16) 모든 말뚝은 스크류 오거의 굴착심도, 슬라임 양, 최종심도, 오거 상하작동
회수와 길이, 경타 시 타격수와 해머 낙하높이, 시공 소요시간, 지지층 부근
에서 전류계(또는 RPM) 눈금, 굴착액 주입량, 근고액 주입량 등이 포함된
시공기록지를 남겨 놓아야 한다.
3.6 말뚝머리 마감 및 보강

(1) 콘크리트 말뚝의 말뚝머리를 소정의 높이로 끊어서 가지런하게 할 경우에는


말뚝본체에 균열이 생기게 하거나 프리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시공하
여야 한다.
(2) 강관말뚝을 끊어서 가지런하게 할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평활하게 절단하고,
철근이나 강관을 부착할 때는 확실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3) 말뚝머리 하중 크기에 만족하는 보강철근의 수는 구조계산으로 결정하여야
하고, 보강철근은 대칭으로 배근한다.
(4) 말뚝머리 내부의 콘크리트 속채움은 시공이음부가 생기지 않도록 확대기초
콘크리트 타설 시와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3.7 시공기록

(1) 시공기록은 말뚝 시공장비의 종류와 등급, 전 길이에 대하여 500㎜당 타격횟


수 및 최종 500㎜에 대하여 100㎜당 타격횟수 그리고 말뚝박기 중에 나타난
이상조건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2) 시공기록은 작업일 마다의 기록 외에 개개의 말뚝박기 시공전체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3.8 시공 허용오차

말뚝의 연직도나 경사도는 1/100 이내로 하고, 말뚝타입 후 평면상의 위치


가 설계도서의 위치로부터 D/4(D는 말뚝바깥지름)와 100 ㎜ 중 큰 값 이
상으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6 -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9 현장품질관리

(1)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다음과 같은 경우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


를 받아야 한다.
① 소정의 위치까지 타입(또는 매설)되지 않을 때
② 소정의 지내력을 얻을 수 없을 때
③ 시공 도중 경사 또는 파손이 예상되는 경우
(2) 계약상대자는 이음부의 시험을 KS D 0272에 따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출
하여 확인을 받은 후 후속공정을 추진하여야 한다.
(3) 설계에 반영된 경우 또는 지층의 변화가 심하여 완성된 말뚝의 지내력을 확
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설계도서 및 이 시방서 6-2-5절에 따라 재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10 손상된 말뚝

(1) 말뚝시공에 사용하는 공법이 말뚝의 균열, 파손 기타 변형을 일으킬 만한 과


도하고 불필요한 힘을 발휘하여서는 안 된다.
(2) 말뚝의 위치조정을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한다고 감독자가 판단될 때는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
(3) 말뚝내부의 결함이나 부적당한 박기 방법으로 인해 손상된 말뚝과 설계도서
에 표시된 위치를 이탈한 말뚝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계약상대자의 부
담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 등으로 수정하여야 한다.
① 이미 시공한 말뚝은 뽑아내고, 새 것을 다시 시공한다.
② 손상된 말뚝 옆에 제2의 말뚝을 시공한다.
③ 말뚝을 이어내거나 기초를 확대시킨다.
3.11 도 장

지표면이나 수면 위로 노출되는 강재말뚝의 표면은 설계도서에서 제시하


는 방법으로 방식처리하여 부식을 막아야 한다. 이 때의 도장범위는 저수
위나 지표면의 2 m 아래쪽에서부터 노출되는 상부까지 하여야 한다.

6 -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2-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6-2-3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이 사용되는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이 사용되는 구조물 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4-5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기초의 해당사항에 따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른다.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6-2-2 기성말뚝 2. 재 료

6-2-5 말뚝재하시험 해당사항 없음


6-4-1 일반 콘크리트 3. 시 공
6-4-6 수중 콘크리트 해당사항 없음
15-4 시멘트 콘크리트
15-10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본다.
KS F 4602 강관말뚝
1.4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


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콘크리트 재료

6 -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재료의 저장, 계량, 배합,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등은 6-4-1절, 15-4절 및
6-4-6절 규정에 따라야 한다.
2.2 철 근

철근은 15-10절의 규정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2.3 영구 케이싱

강관은 KS F 4602에 합치하고 명시된 지름과 두께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강판재와 용접은 각각 구조용 강재공 및 용접공의 해당사항에 합치하여야
한다. 영구 케이싱의 제작을 위한 용접은 완전 홈 용접이어야 한다.
2.4 장 비

2.4.1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굴착장비는 토사 및 암반의 지반조건과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장비(RCD, benoto, earth drill 등)를 선정하여야 한다.
2.4.2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케이싱용 강관말뚝을 타입하는 경우 장비는 6-2-2
절의 말뚝박기 장비 규정에 준한다.
3. 시 공
3.1 준 비

3.1.1 작업장은 기계의 조립, 시공, 기자재 하치장 등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며, 기계의 이동, 콘크리트 운반차 등의 진입에 지장이 없도록 장내 진입로
및 지반을 정비하여야 한다.
3.1.2 굴착토의 반출, 안정액 처리설비, 급배수 및 전기설비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토를 수행하여야 한다.
3.2 케이싱 및 기계설치

3.2.1 설계도상의 말뚝중심과 굴착중심이 일치되도록 수직으로 정확히 설치하여야


한다.
3.2.2 굴착 시 정확히 연직이 유지되도록 수준기로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6 -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케이싱 튜브의 연직성은 굴착 초기 5∼6m 삽입 시 결정되므로 유의하여야 한
다.
3.2.3 케이싱용 강관말뚝의 설치 및 이음은 6-2-2절 규정에 따라야 하며, 강관 선단
부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계획된 지반까지 도달시켜야 한다.
3.2.4 케이싱의 압입 및 굴착은 케이싱 압입이 선행되어야 하며, 굴착은 케이싱 압
입깊이 이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2.5 기계설치 점검
굴착을 위하여 기계 및 파이프를 설치하고 확인 가능한 장소에서는 굴착에 앞
서 특히 다음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1) 스탠드 파이프의 매입깊이
(2) 스탠드 파이프의 연직도
(3) 스탠드 파이프의 직경
(4) 안정액을 공내 수위보다 2m 높게 넣고 시간에 따라 공내 수위를 측정, 선단
에서의 유출여부를 확인한다.
3.3 굴 착

3.3.1 굴착은 항상 연직을 유지하여야 한다.


3.3.2 지질에 적합한 속도로 굴착하여야 한다.
3.3.3 소정의 깊이까지 확실하게 굴착하여야 한다.
3.3.4 인접한 구조물이나 이미 시공이 완료된 말뚝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
여야 한다.
3.3.5 굴착지반중 선단부에 대한 지반조건을 확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초판
1개소 당 최소 1개소 이상의 말뚝에 대해 굴착 하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적
절한 시험을 통하여 선단부 암반의 강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3.4 공벽의 붕괴방지

3.4.1 굴착기계의 종류, 지반조건 및 시공내용에 따라 공 전체에 케이싱을 박고 콘


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케이싱을 뽑아내는 케이싱 박기공 현장말뚝이나, 공속에

6 -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니수를 넣어 수압에 의해 공벽을 보호하고 지표면 근처에는 케이싱을 박는 슬
러리공법 등으로 공벽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한다.
3.5 철근콘크리트공

3.5.1 철근의 조립 및 설치
(1) 철근조립은 설계도서에 따라 시행되어야 하고 띠철근과 주철근의 연결부위는
결속선으로 결속하거나 용접하여야 하며, 보강철근을 설치하여 철근이 수평
이나 수직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공내벽과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간격재(spacer)를 3∼5m 간격으
로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 말뚝의 심도가 설계와 다를 경우 철근길이와 말뚝길이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도면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4) 조립된 철근은 감독자의 점검을 받은 후 공내로 삽입하여야 한다.
3.5.2 콘크리트의 타설
(1) 말뚝의 근입깊이는 시추결과와 굴착장비로부터 배토된 시료를 확인하여 굴착
깊이를 결정하여야 한다.
(2) 공벽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케이싱을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3) 굴착 후 공기압축기와 펌프 등을 사용하여 말뚝선단의 슬라임을 깨끗이 제거
하여야 한다.
(4) 슬라임 제거 작업은 파이프를 통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실시하고, 슬라임
제거 종료시기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5) 콘크리트 타설 시는 콘크리트 운반계획을 수립하여 연속타설이 되도록 하여
야 한다.
(6) 트레미관 인발 시는 트레미관 선단부의 수중 노출로 콘크리트 재료분리가 발
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콘크리트의 묻힘 깊이를 확인하면서 인발하
여야 한다.
(7) 케이싱의 과도한 인발로 인한 공벽 붕괴에 주의하여야 한다.
(8)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망이 떠오르거나, 케이싱 인발 시 철근망이 같이 따라

6 -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올라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9) 수중콘크리트 타설 시 초기의 재료분리 방지를 위하여 트레미와 선단부분에
캡 또는 플랜지 등을 삽입하여야 한다.
3.6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건전도 검사

3.6.1 일반사항
(1) 적용범위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에 대한 콘크리트의 건전도 확인을 위하여 초음파 검
사를 말뚝 전체길이에 대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2) 제출물
① 초음파 검사 계획서
② 초음파 검사 결과보고서
③ 초음파 모형시험 계획서
3.6.2 재료
(1) 검사용 튜브
검사용 튜브의 구경은 검사용 센서의 출입이 원활하여야 하며, 재질은 강관
또는 이와 동등한 재질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2) 검사장비
검사장비는 장비 반입 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장비의 정확도 등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말뚝에 대한 검사에 앞서 모형시험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 검사장비의 구성은 다음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
어야 한다.
① 초음파 발신 및 수신 센서와 케이블
② 케이블의 인입 및 인발을 이용한 측정심도 자동측정기
③ 발신된 신호를 포착할 수 있는 수신용 전자장치
④ 수신된 신호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 및 프린터
3.6.3 검사용 튜브 설치
(1) 검사용 튜브의 내부는 녹 발생, 막힘 등의 손상이 없어야 하며, 연결 부위는

6 -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커플링에 의한 나사연결 방식으로 완전방수를 하여야 한다.
(2) 검사용 튜브는 철근망 내에 표 6-3에 해당하는 수량을 결속하여 매설하여야 한다.
표 6-3 원형말뚝의 크기와 검사용 튜브의 수

원형말뚝의 직경 (D) (m) 검사용 튜브의 개수 비고


D ≤ 0.6 2
0.6 < D ≤ 1.2 3
1.2 < D ≤ 1.5 4
1.5 < D ≤ 2.0 5
2.0 < D ≤ 2.5 7
2.5 < D 8

(3) 검사용 튜브의 하단부는 철근망 하부면과 가능한 한 일치시키되 말뚝선단부


의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철근망 근입 시 튜브가 휘어지거나 튜브의 하단부
가 파열하지 않도록 50∼100㎜정도 짧게 설치할 수 있다.
(4) 검사용 튜브와 튜브의 간격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며, 가급적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5) 검사용 튜브의 상단부는 검사가 용이하도록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완성
마무리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6) 검사용 튜브의 양단부(상· 하부)는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도록 방수마개를 하
여야 하며, 시공 중에도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6.4 검사 수량 및 시기
(1)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에 대한 초음파검사 수량은 다음 표 6-4의 기준을 따
른다.
표 6-4 공대공 초음파 검사 시험빈도

6 -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평균말뚝길이(m) 시험수량(%) 비고
20 이하 10
20∼30 20 빈도 : 교각당 말뚝수량에 대한 백분율
(단, 교각당 최소 1개소 이상)
30 이상 30

(2) 초음파 검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7일 이상 경과한 후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6.5 검사방법
(1) 검사용 튜브 내부의 발신자와 수신자는 말뚝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케이블의 인입· 인발 길이를 조정하여야 한다.
(2) 초음파 발신 및 수신 케이블의 길이는 검사대상 말뚝의 길이를 고려하여 충
분한 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3) 초음파 검사의 측정심도는 초음파 발신과 동시에 기록하며, 말뚝의 선단부로
부터 발신자와 수신자를 동시에 끌어올리면서 연속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4) 검사자는 한 쌍의 발신자 및 수신자에 대하여 초음파 전파시간, 에너지 강도,
주시곡선의 형태(waveform)를 말뚝 심도에 따라 나타낸 프로파일(profile)을
모니터 화면상 또는 프린트 출력을 통하여 측정한다.
(5) 검사가 끝난 후 검사용 튜브는 감독자의 검사에 대한 판정이 있을 때까지 이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덮개를 하여야 한다.
3.6.6 건전도 판정
(1)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건전도 판정은 일차적으로 표 6-5의 기준을 적용하
여 검측경로가 다른 개개의 프로파일 그래프에 대한 심도별 결함 점수를 산
출한 다음 식(1)에 의거하여 심도별 전체 프로파일 그래프를 대상으로 한 평
균 결함 점수 계산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표 6-5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내부결함 판정기준

6 -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등급 판정기준 결함 비고
점수
- 초음파주시곡선의 신호 왜곡(signal distortion)이 거의
A 없음 0
(양 호) - 건전한 콘크리트 초음파 전파속도의 10% 이내 감소
에 해당되는 전파시간 검측 V=S/T
B - 초음파 주시곡선의 신호 왜곡이 다소 발견 V : 전파속도
(결함의심) - 건전한 콘크리트 초음파 전파속도의 10∼20 % 감소에 30 T : 전파시간
해당되는 전파시간 검측 S : 튜브간의
C - 초음파 주시곡선의 신호 왜곡 정도가 심함 거리
(불 량) - 건전한 콘크리트 초음파 전파속도의 20% 이상 감소 50
에 해당되는 전파시간 검측
D - 초음파 신호 자체가 감지되지 않음 100
(중대결함) - 전파시간이 초음파 전파속도 1500m/s에 근접

(1) 말뚝심도별 평균 결함점수 = 1/n(Σ) … 식


(검측경로별 프로파일 그래프의 결함점수)
n : 프로파일 그래프의 수(검측경로의 수)
(2) 상기 (1)항의 절차에 의한 판정결과, ‘양호'의 등급(평균 결함점수 30점 미만)
에 해당하는 동시에 각 프로파일 그래프가 양호하여 보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감독자는 계약상대자에게 해당 말뚝의 후속 공종을 진행하기에 앞서 검
사용 튜브 내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말뚝 콘크리트의 설계강도 이상으로
그라우팅(grouting)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상기 (1)항의 절차에 의한 판정결과, ‘결함의심' 등급이하(평균 결함점수 30
점 이상)인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 전문가와 지반공학 및 구조공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보강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
3.5.7의 절차를 따르며 보강비용은 계약상대자가 전액 부담하여야 한다.
3.6.7 결함의 보강
(1)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된 말뚝의 결함위치와 불량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계약상대자는 초음파 검사 전문가 및 감독자 입회 하에 해당 말뚝에 대한 시
추를 실시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추후 시공하는 말뚝의 시공과정에서 동일한
결함요인이 반복되지 않도록 이를 시공에 반영하여야 한다.

6 -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결함위치에 대한 보강은 지반공학 및 구조공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그라우
팅, 마이크로파일(micropile), 재시공 등의 적용 가능한 보강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실시하여야 한다.
(3) 보강이 완료된 말뚝에 대하여 계약상대자는 정재하시험 또는 동재하시험을
실시하고, 해당 시험방법에 따른 판정결과를 첨부하여 감독자에게 시험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6.8 검사 결과보고서
검사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대한 건전도 확인 검사 결과보고서를 작
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7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압축재하시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대한 압축재하시험은 6-2-5절 규정에 따른다.

6 -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2-4 케이슨 기초 6-2-4 케이슨 기초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케이슨 기초와 뉴메틱 케이슨 기초공사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콘크리트 케이슨 기초와 뉴메틱 케이슨 기초공사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4-6 케이슨기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2. 재 료

15-4 시멘트 콘크리트 해당사항 없음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3. 시 공

1.3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본다.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1.4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


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4절에 따른다.


2.2 철근

철근은 이 시방서 15-10절에 따른다.

6 -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1 시공의 주요 기계 및 설비

3.1.1 시공에 필요한 장비는 시공 규모와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콘크리트 타설


장비, 운반설비, 작업대, 양생설비, 안전설비, 동력과 조명 및 급수설비, 굴착
및 침설설비, 송기설비, 의장설비 등을 완비하여야 한다.
3.1.2 공사 중에는 항상 점검과 보수를 실시하여 안전시공에 유의하여야 한다.
3.2 날끝(shoe) 설치

3.2.1 케이슨의 날 끝은 설계도서 및 시공계획서에 따라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3.2.2 날 끝은 공장제작을 원칙으로 하며, 현장에서 제작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
을 받은 후 시행하여야 한다.
3.2.3 날 끝을 앉힐 지반은 사전에 측량을 실시하고, 굴착이나 고르기 등을 완료한
후 감독자의 검측을 받아야 한다.
3.3 케이슨 거치

케이슨의 거치는 본체, 거푸집, 동바리 등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


고, 초기의 침설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반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4 케이슨 침하

3.4.1 시공계획
(1) 시공에 필요한 가교, 축도, 물막이 등의 가시설물에 대하여는 착공 전 시공계
획을 세워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침하방법에 대하여는 미리 침하-하중 관계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보고하
여야 한다.
3.4.2 침하 일반
(1) 수평이동이 되거나 경사지지 않도록 재하 하중이나 자중에 의해 서서히 침하
시켜야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제트공법을 병용할 수 있다.

6 -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발파 및 기타 특수공법을 사용하여 침하시킬 경우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야 하며, 안전대책에 대하여 충분한 배려를 하여야 한다.
(3) 침하 중 극심한 편심 및 경사가 발생한 경우에는 속히 그 원인을 조사하여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대책을 협의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4) 침하 도중, 유해가스의 발생이나 산소결핍에 의한 재해를 막기 위하여 항상
가스검사를 실시하고 유해가스 발생 및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환
기 등 기타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5) 침하 도중, 굴착토사와 토질주상도를 비교하면서 지질을 확인하여야 한다. 설
계깊이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감독자의 입회 하에 지지층을 확인하여야 한다.
(6) 설계깊이에 도달하기 전, 침하가 곤란하게 된 경우에는 그 원인을 조사하여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대책을 협의하여야 한다. 침하가 급격히 진행되었거
나 설계깊이 이상으로 침하한 경우에도 같은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4.3 케이슨 기초의 침하
(1) 케이슨 기초의 침하작업 중, 필요한 경우에는 잠수부를 동원하여 받침의 밑
깎기를 할 수도 있다.
(2) 침하가 곤란한 경우라도 과도한 밑깎기를 해서는 안 된다.
3.4.4 뉴매틱 케이슨의 침하
(1) 자중에 의한 침하작업 중 침하가 곤란한 경우에는 여굴을 제거하거나 감압침
하를 실시해서는 안 된다.
(2) 설계깊이에 도달하였을 때는 지반의 지내력 시험(기초지반 평판재하시험을
준용)을 실시하여야 한다.
3.5 속채움

3.5.1 속채움 모래 또는 속채움 콘크리트의 시공은 설계도서에 표시되었거나 감독자


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3.5.2 속채움 재료는 침하되지 않도록 깔기 높이, 속도를 일반 쌓기나 콘크리트 타
설 요령에 따라 채워 넣어야 한다.
3.6 굴착토의 처리

6 -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1 굴착토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하고, 잔토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3.7 저면 슬래브

3.7.1 저면 슬래브는 수중에서 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7.2 수중 콘크리트는 그 상면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소정의 높이에 이를 때
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3.7.3 수중 콘크리트는 재료의 분리를 막기 위하여 트레미를 사용하여야 하며, 내리
거나 올릴 때에 천천히 작동시켜 주의 깊게 시공하여야 한다.
3.7.4 수중 콘크리트 타설은 정수상태에서 시공되도록 하여야 한다.
3.7.5 저면 슬래브 콘크리트 친 후에는 원칙적으로 케이슨 내의 담수를 배수시켜서
는 안된다. 단, 부력을 검토하여 안정성이 확인될 시는 배수할 수 있다.

6-2-5 말뚝재하시험 6-2-5 말뚝재하시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말뚝재하시험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말뚝재하시험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4-4 기성말뚝기초 3.7 재하시험과 4-5 현장타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콘크리트말뚝기초 3.6 재하시험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5-9 말뚝 2. 재 료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3. 시 공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해당사항 없음


KS F 2445 축 하중에 의한 말뚝 침하 시험 방법
1.4 용어의 정의

6 -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1 지내력(stability of soil about reaction and settlement)
지지력과 침하를 고려한 지반의 내적 안정성
1.4.2 지지력(maximum soil reaction)
지반 또는 말뚝 등이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크기
1.5 제출물

1.5.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1) 재하시험 일정표
(2) 재하시험 방법 및 관련규정
(3) 재하시험 장비의 종류 및 규격(정재하시험의 경우 구조계산서 첨부)
(4) 교정검사 성적서
(5) 재하장치 설치도(평면도, 입면도등)
(6) 재하시험 실적표
1.5.2 재하시험 완료 후에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말뚝재하시험 보고서
2. 재 료
2.1 말 뚝

2.1.1 말뚝
(1) 말뚝은 이 시방서 15-9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철근은 이 시방서 15-10절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2 장 비

2.2.1 정재하시험 장치, 재하하중 및 시험기기


(1) 재하장치는 계획된 최대시험하중 이상을 안전하게 재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6 -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하하중은 설계하중의 2배 이상이어야 하며,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 말뚝재하시험 시 반력말뚝을 사용할 경우에는 인발저항력에 대하여 검토한
후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아야 한다.
(4) 재하하중 측정에는 전자식 하중계 또는 유압계를 사용하여야 한다.
(5) 재하시험에 사용되는 전자식 하중계(또는 유압잭) 및 유압계는 품질검사전문기
관의 검증을 받은 것이어야 하며, 검증 유효기간(1년)이 경과하지 않은 것이어
야 한다.
2.2.2 동재하시험장치 및 시험수행자료
(1) 동재하시험에는 항타분석기(PDA, pile driving analyzer) 또는 이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부수장비로는 변형률계, 가속도계 및
연결케이블 등이 있다. 이들 장비는 동재하시험 전문기술자에 의해 제공되어
야 하며, ASTM D 4945-89 : 고변형률 표준 동재하시험 방법(standard test
method for high strain dynamic testing of piles)의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것
이어야 한다.
(2) 동재하시험은 소정의 동재하시험 교육을 이수하고 파동이론에 대한 전문지식
을 갖춘 전문기술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3. 시 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현장조건이 재하시험을 위한 발판과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3.1.2 시험장비를 위한 안정된 작업표고를 설정하여야 한다.
3.1.3 시험위치에 대하여 정밀한 지반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2 축방향 정적 압축재하시험

3.2.1 반력말뚝을 이용하여 재하시험을 하는 경우 설계도서에 지정된 위치나 본말뚝


에 실시하여도 된다. 단, 본 말뚝에서는 설계하중의 2.0배까지 재하하는 것으
로 한다.

6 -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시험말뚝은 연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반력말뚝은 인발하중에 저항하도록 필요 시 보강하여야 한다.
3.2.2 손상을 입지 않은 상태로 재하시험에 합격한 시험말뚝은 본 말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말뚝재하시험을 하는데 사용된 반력말뚝은 손상을 입지 않고, 3 ㎜
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았다면 본 말뚝으로 활용할 수 있다.
3.2.3 손상된 시험말뚝과 반력말뚝은 뽑아내어 제거하거나 기초하단에서 1.0m 아래
부분까지 절단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제거된 구멍에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로
채워야 한다.
3.2.4 말뚝재하시험장치, 하중재하 및 변위량 측정, 표준측정절차 등은 감독자가 확
인한 것이어야 하며, 재하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다만, 시험종류에 따라 감
독자와 협의하여 시험절차를 변경할 수 있다.
(1) 기성말뚝의 정재하시험은 말뚝을 타입한 후 30일 이상 경과한 후에 실시하여
야 한다. 다만, 현장여건에 따라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30일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라도 정재하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2) 현장타설말뚝이 충분히 양생된 후에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 하중은 개별말뚝에 대한 설계하중의 25, 50, 75, 100, 125, 150, 175, 200 % 되
도록 최소 8단계로 증대하여 재하한다.
(4) 각 단계별 하중재하 후 시간당으로 환산한 말뚝의 침하율이 0.25㎜/h 미만이
되면 다음 단계의 하중을 증대시킨다. 만약 하중재하 후, 2시간이 경과하여도
시간당으로 환산한 말뚝의 침하율이 0.25㎜/h 이상이 되면 해당 단계에서 말
뚝의 안정이 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단계의 하중을 증대시킨다.
(5) 최대시험하중이 200%에 도달하기 이전이라도 급격한 파괴현상이 발생되거
나 말뚝 지름의 10%에 해당하는 총 침하량이 발생하면 말뚝의 재하시험을
중단할 수 있다.
(6) 최대시험하중 200%에 도달하여도 말뚝의 극한지지력이 확인되지 못하면
200%의 하중을 장시간 유지하면서 침하량을 측정하여야 한다. 200% 하중
재하 후, 시간당으로 환산한 말뚝의 침하율이 0.25㎜/h 미만이 되면 12시간
동안 하중을 유지한 후 재하시험을 종료하여야 한다. 200 % 하중재하 후 12
시간이 경과하여도 시간당으로 환산한 말뚝의 침하율이 0.25㎜/h 이상이 되

6 -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면 24시간 동안 하중을 유지하도록 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야 한다.
(7) 최대시험하중 재하 후에는 말뚝설계하중의 25% 씩 1시간 간격을 두고 하중
을 제거하여야 한다.
3.2.5 본 말뚝이 되는 반력말뚝은 소요지지력의 70 % 보다 큰 인발하중을 받지 않
게 하여야 한다.
3.2.6 시험말뚝의 지내력 검토는 다음과 같다.
(1) 말뚝 재하하중(P)은 설계하중(PNmax)보다 최소 2배 이상을 재하하여야 한
다. 즉,
  P ≥ 2 × P N max
(2) 재하시험에서 얻은 하중-침하 곡선에서 설계하중(PNmax)에 해당하는 침하
량(SPNmax)은 허용연직 침하량(sall)보다 작아야 한다. 즉,
S PN max ≤ S all = 10 mm
여기서, S PN max = 설계하중의 침하량
          S all = 허용연직 침하량
3.2.7 감독자는 시험말뚝 또는 다른 말뚝의 거동에 특이성 및 변태를 나타내거나,
지내력에 의문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설계도서 및 특별조항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계약상대자에게 추가 재하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
3.2.8 재하시험이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해당분야 전문기술자의 검토를 받아 즉시,
각 시험말뚝에 대한 시험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2.9 동재하시험이 완료되면 공사에 필요한 최종관입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3.3 동재하시험

3.3.1 동재하시험 말뚝으로 지정된 시험말뚝에 대하여는 박는 도중에 동재하시험


(EOID 방법)을 실시하여야 한다.
3.3.2 말뚝은 재하시험을 위한 지주를 세우기 전에 각 말뚝의 파동속도를 측정하고,
필요한 기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한다. 파동속도를 측정할 때 말
뚝은 수평위치에 두고 다른 말뚝과 접촉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6 -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3 말뚝이 지주에 세워진 후 시험기구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말뚝에 접근할 수 있
어야 하며, 말뚝이 지주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말뚝머리까지 올릴 수 있도
록 최소 1.2×1.2m의 발판을 갖추어야 한다.
3.3.4 동재하시험기구를 모든 상황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보관실을 갖추어야 하며,
보관실의 마루는 최소 2.5×2.5 m, 지붕높이는 최소 2.1m 이어야 한다. 보관
실의 내부온도는 8 ℃ 이상이어야 한다.
3.3.5 말뚝은 동재하시험기구가 극한지지력에 도달되었다고 지시하는 깊이까지 박아
야 한다. 말뚝에 작용하는 응력은 결정된 값이 허용값를 초과하지 않도록 동
재하시험기구로 말뚝박기 중에 감시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응력을 허
용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쿠션을 추가하거나 해머의 에너지 출력을 감소
시켜서 말뚝에 전달되는 타격에너지를 감소시켜야 한다. 동재하시험기구의
측정이 축방향 타격이 아니라고 전문기술자와 감독자가 지시하는 경우에는 즉
시, 말뚝박기 시설을 다시 정돈하여야 한다.
3.3.6 엷은 층으로 형성된 지반조건이거나 포화된 조밀한 상태의 세립모래 지반조건
일 경우에는 지지력감소현상(relaxation)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험말뚝 박기
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항타시 동재하시험
(EOID, end of initial driving)이 실시된 동일말뚝들에 대하여 재항타 동재하
시험(restrike)을 실시하여야 한다.
3.3.7 재항타 동재하시험시 항타기준은 초기 항타종료 시와 동일한 낙하고로 50타의
타격 또는 말뚝의 추가 관입깊이가 75㎜에 도달할 때까지 중 먼저 발생하는
쪽으로 하되 재항타결과 추가 관입깊이가 10회의 타격을 가할 때까지 3 ㎜ 미
만인 경우 즉시 항타를 종료하여야 한다.
3.3.8 동재하시험이 완료되면 계약상대자는 해당분야 전문기술자의 검토를 받아 각
시험말뚝에 대한 시험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3.9 동재하시험이 완료되면 공사에 필요한 시공관리기준(최종관입량, 램 낙하높이,
램중량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3.4 수평재하시험

수평재하 시험방법은 ASTM D 3966 81에 의거 시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나, 이밖에 cyclic loading, surge loading, reciprocal loading등의 방법이 있으

6 -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므로 충분히 검토 후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행하여야 하며, 시험횟수
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단, 수평재하시험의 결과는 실제 조건과 맞
게 해석한 후 결과물로 제출되어야 한다.
3.5 항타말뚝 시공관리기준 작성방법

3.5.1 일반적인 방법
(1) 동재하시험 전에 시험말뚝에 가속도계와 변형률계를 부착하여야 한다.
(2) 램 낙하높이를 변화시키면서 말뚝의 관입깊이에 따라 항타응력, 지지력, 최종
관입량, 항타장비의 적정성, 해머쿠션과 말뚝쿠션의 적정성, 말뚝이음부의 건
전도, 편타 분석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3) (2)의 결과를 이용하여 본 말뚝의 항타 시공관리기준 즉, 램 낙하높이와 최
종 관입량을 마련하여 본 말뚝을 시공하여야 한다.
3.5.2 KHC 방법
(1) 항타장비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램 낙하높이를 결정한다.
(2) 3개 이상의 최종 관입량 즉, 10, 5, 2㎜에서 시험말뚝에 가속도계와 변형율계
를 부착하여 동재하시험(EOID 방법)을 수행한다.
(3) 이 관입량에 대하여 동재하시험 결과에서 추정한 허용지지력을 작도한다.
(4) 본말뚝의 항타 시공관리에 필요한 최종 관입량의 범위는 상시의 설계하중 또
는 말뚝반력에 해당하는 최대 관입량에서 허용항타응력을 만족하는 최소 관
입량까지로 한다.
3.6 현장품질관리

3.6.1 시험방법과 결과를 관찰, 기록하게 하기 위하여 독립적인 검사기관을 고용할


수 있다.
3.6.2 기록에는 사용된 시험장비, 검증 및 기록방법, 시험결과, 말뚝박기 방법에 대
한 건의 및 수정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3.6.3 시험한 말뚝의 실제 치수와 위치, 시험으로 인한 이동 또는 비틀림 등을 정확

6 -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게 기록하여야 한다.
3.6.4 공사 중, 확인 재하시험은 공사 초기에 실시하며, 설계에 사용한 지지력과 말
뚝시공의 적합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6-3 가시설공 6-3 가시설공

6-3-1 축도 및 가도 6-3-1 축도 및 가도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공사 목적물 축조를 위하여 수중 또는 육상부에 가도 또는 축 이 시방은 수중 또는 육상부에서 공사 목적물 축조를 위하여 흙을 쌓는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문장수정
도공사에 적용한다. 작업의 일반적인 공사에 적용한다.
1.2 제출물 [수정] 제출물 항목 추가

1.2.1 안전관리계획서
이 시방서 총칙 1-5절(안전관리)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안전
관리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공 3. 시공
3.1 계약상대자는 축도 및 가도 설치계획을 작성하여 관련기관 및 하천(항만)관리 (1) 계약상대자는 축도 및 가도 설치계획을 작성하여 관련기관 및 하천(항만)관리
자 등의 승인을 받은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자 등의 승인을 받은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2 유수에 접하는 가도 및 축도의 외측면 피복공은 유속 또는 파랑에 대하여 안전 (2) 유수에 접하는 가도 및 축도의 외측면 피복공은 유속 또는 파랑에 대하여 안
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전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3 가도 및 축도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공사완료 이전에 원상 복구하여야 하며, (3) 가도 및 축도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공사완료 이전에 원상 복구하여야 하
추후 민원발생 및 관계법령에 저촉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며, 추후 민원발생 및 관계법령에 저촉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6 -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 쌓기 또는 원상 복구 시 지하수와 해수, 토양 등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4) 흙쌓기 또는 원상 복구를 할 때 지하수와 해수, 토양 등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수정] 용어 수정, 한글로 순화

한다.
3.5 대형 작업선 운항로에는 유도표지를 설치하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5) 대형 작업선 운항로에는 유도표지를 설치하여 해상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
야 한다. 여야 한다.

6-3-2 가설물막이 6-3-2 가설물막이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수중 또는 유수에 접하는 구조물 기초 및 교량건설공사 등의 육상 (1) 이 시방은 수중 또는 유수에 접하는 구조물 기초 및 교량건설공사 등의 육상
시공을 위한 임시 물막이 공사에 적용한다. 시공을 위한 임시 물막이 공사에 적용한다.
1.1.2 이 시방은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2-3 가설물막이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이 시방은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6장 가설흙막이공 3.15 가설물막이의 해당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사항에 따른다. 가설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2. 재 료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인용 근거 수정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6-3-3 거푸집 및 동바리 6-3-3 거푸집 및 동바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위한 거푸집 및 동바리와 비계의 설계, 재료 (1) 이 시방은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위한 거푸집 및 동바리와 비계의 설계, 재료
공급, 제작, 설치 및 해체공사에 적용한다. 공급, 제작, 설치 및 해체공사에 적용한다.
1.1.2 이 시방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가설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규 (2) 이 시방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가설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규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6 -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정에 따른다. 정에 따른다. 가설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3장 거푸집 및 동바리 3-1 공통사항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3장 거푸집 및 동바리 3-1 공통사항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4장 비계 및 작업발판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4장 비계 및 작업발판
1.1.3 교량가설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 공사 중 이 시방과 관련하여 가설공사표준 (3) 교량가설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 공사 중 이 시방과 관련하여 가설공사표준 [자문] 자문의견에 따라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
시방서와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국토해양부)의 규정이 상이할 시방서와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국토교통부)의 규정이 상이할 의 적용방안을 협의할 수 있도록 수정.
경우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을 우선적으로 적용한다. 경우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의 적용범위에 대하여 감독자과 협 [자문]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의 지침내용은 안전,
의하여 결정한다. 품질 및 경제성 등의 종합적 판단을 수행할 수 있는 토목
1.2 참조규격 구조기술사 판단이 아니라 해석방법이 비효율적이며 자재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2. 재 료 적용이 제한적으로 지침에 명기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또

1.2.2 다음 규격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해당사항 없음 한 최종의견의 결정이 감독자로 지침이 결정되어 매우 보
수적인 지침으로 판단되므로 구조물별, 공종별에 대한 합
는 것으로 한다. 3. 시 공
리적인 가설설계를 위해 자재, 설계, 가설분야의 여러 전
KS F 8022 강관틀 동바리용 부재 문가의 합의하에 지침에 대한 현실적인 보완검토를 수행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해당사항 없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국토해양부)


재사용 가설기자재 성능기준에 관한 지침(한국산업안전공단, C-01-2002)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해설 및 지침(대한토목학회, 2000.3)
도로교설계기준(국토해양부)
1.3 제출물

1.3.1 시공계획서
(1) 계약상대자는 아래 사항을 포함시켜 작성하여야 한다.
① 공사개요
② 시공관리체제(실명제)
③ 세부공정표(자재, 인력 및 장비계획을 포함한다)
④ 사용재료 및 시공결과의 품질
⑤ 공정단계별 시공법 및 양생계획
⑥ 품질관리계획 : 품질관리조직, 관리목표 및 실시방법, 목표미달시 조치방안 등
⑦ 안전관리계획 및 환경관리계획
⑧ 교통소통 및 환경오염방지 대책
⑨ 타공사, 관계기관, 주변 주거민 및 계약공사의 타 공종과의 협의한 결과 조
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항

6 - 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⑩ 적합한 시공을 위하여 설계서의 조정 및 변경이 필요한 사항
⑪ 기타 콘크리트 교량 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 각 절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
(2) 제출시기 : 공사 착수 28일 전까지(공사감독자의 승인기간 : 접수일로부터 7일간)
1.3.2 시공상세도면
(1) 계약상대자는 시공 상세도면을 토목구조기술사의 구조해석결과에 근거하여
작성하고 토목구조기술사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상태, 작성자를 명확히 표현하여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
적, 도면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명시하여야 한다.
(2) 감독자가 승인했다고 하여 계약상대자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3) 제출시기 : 공사 착수 14일 전까지(감독자의 승인기간 : 접수일로부터 7일간)
1.3.3 공급원 승인요청
(1) 공급원 승인요청 서류는 품질문서에 따라 제출서류를 준비하여야 한다. 다만,
제품의 선정을 위하여 필요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생
략할 수 있다.
(2)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이 제품설치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의 설치 등
을 위하여 필요한 설계도서 및 현장여건의 조정 요구사항을 제출하여야 한다.
(3) 2.1 (2)항의 시험 등급을 받은 동바리를 사용 시에는 공급원 승인 요청일로
부터 6개월 이내 시험실시한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4) 제출시기 : 공사 착수 14일 전까지(감독자의 승인기간 : 접수일로부터 7일간)
(5)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 품(KS 표시 품)에 대하여는 자재사
용을 보고하고 사용할 수 있다.
1.4 동바리의 사용 제한

경사재가 없는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는 수평변위가 억제되지


않음으로 시공 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교량 가설용 동바리로
서의 사용을 제한한다.
1.5 동바리 설치 제한

1.5.1 조립형 동바리 및 강관틀 동바리의 설치높이는 시공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6 - 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0 m 이내이어야 한다.
1.5.2 조립형 동바리 및 강관틀 동바리는 15m 이내의 지간을 갖는 교량의 가설공사
시에 적용하며, 15 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단,
박스형 거더교의 경우에는 이 제한을 적용하지 않는다.
1.6 설계 일반

1.6.1 콘크리트 교량 가설용 동바리는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되는 수직 및 수평하중


에 대해 안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1.6.2 콘크리트 교량 가설용 동바리 설계는 ‘도로교설계기준(2005, 건설교통부)’에서
정한 허용응력 설계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6.3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는 수평재 및 경사재를 반드시 설치하여 예상
되는 수평하중을 이들 부재가 지지하도록 한다.
1.6.4 동바리 설계는 시공 중과 완성 후의 침하와 변형을 고려하며, 이 때 예상되는
전체 침하량은 가설기초의 침하와 동바리 자체의 변형을 포함하여야 한다.
1.6.5 조립형 동바리의 수직재 간 간격은 0.9m 이상 1.2m 이하이어야 하며, 0.9 m
이하의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6.6 강관틀 동바리의 수직재 간 간격은 KS F 8022 규정을 따른다.
1.6.7 조립형 동바리 및 강관틀 동바리의 상하 수평재 간 설치간격에 대한 수직재
간 설치간격의 비는 0.5/1∼1/1 의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1.6.8 경사진 교량의 가설용 동바리로서 조립형 동바리 혹은 강관틀 동바리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편경사 및 평면곡선반경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
다. 종단경사의 경우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1) 편경사는 6% 이내이어야 한다
(2) 평면곡선 반경은 건설교통부 제정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해
설 및 지침’의 ‘5-1-2 평면곡선반경’에서 최대 편경사 6% 일 때의 설계속도에
대응하는 최소곡선반경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1.7 설계 하중

동바리 설계 시 수직하중, 수평하중, 풍하중 및 특수하중 등을 고려하여

6 - 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하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2003, 건설교통부) 제5장 1.7의 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용한다.
1.7.1 연직하중
(1) 고정하중(DL) : 타설되는 콘크리트 중량
보통 콘크리트 단위중량 = 24kN/㎥
거푸집 하중 = 최소 0.4 kN/㎡
특수 거푸집의 경우에는 실제의 중량 적용
(2) 활하중(LL) : 구조물의 연직 방향으로 투영시킨 단위 수평 면적당 최소 2.5
kN/㎡ 이상이어야 하며, 진동식 타설 장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3.75kN/㎡ 의 활하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만, 슬래브 두께가 0.5
m 이상인 경우 3.5kN/㎡, 1m 이상인 경우 5.0 kN/㎡ 을 적용한다.
(3) 상기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합한 연직하중은 슬래브 두께에 관계없이 최소
5.0kN/㎡ 이상, 진동식 타설 장비를 이용한 경우에는 최소 6.25kN/㎡ 이상
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의 경우에 (1), (2), (3) 항의 각 연직하중을
고려한 연직설계하중은 슬래브 콘크리트 바닥 단위면적당 30kN/㎡ 이내를 원
칙으로 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한 적용은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7.2 수평하중
(1) 수평하중(HL) : 콘크리트 교량 상부구조 콘크리트 타설 중에 발생할 수 있
는 수평하중은 아래에 규정한 두 값 중 큰 값으로 한다.
① 설계 연직하중의 2%에 해당하는 값 또는
② 동바리 상단의 수평 방향 단위 길이당 1.5kN/m
(2) 횡경사에 의한 수평하중 : 한 번에 타설하는 상부 바닥판의 종단경사 또는
횡경사에 의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체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림
6-3-3-1에 주어진 식에 따라 수평력을 계산하고 (1)의 수평하중에 추가하여
고려한다.
(3) 풍하중(WL), 유수압(FL), 콘크리트 비대칭 타설 시의 편심하중, 경사진 거
푸집의 수직 및 수평분력, 콘크리트 내부 매설물의 양압력, 크레인 등의 장비

6 -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중, 외부진동다짐에 의한 영향 하중 등과 같이 가설 작업 중 특수하게 발
생하는 수평하중(HL)의 영향은 별도로 고려하여야 한다.

그림 6-1 교량 상부구조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 경사에 의한 수평력 H

1.7.3 하중 조합
위 1.7.1의 연직하중과 1.7.2의 수평하중은 동시에 고려하여야 하는 하중이며,
수평하중 중에서 1.7.2의 (1) 항과 (2) 항에 규정된 하중만을 고려하는 경우에
는 허용응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1), (2) 항과 (3) 항에 규정된 하중을 동
시에 고려하는 경우에는 허용응력을 표 6-6과 같이 증가시킬 수 있다. 표 6-6
에서 하중조합 3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으나, 대형교량으로서
동바리의 존치기간이 길고, 그 지역에 특별히 지진에 대한 영향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토목구조기술사의 판단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표 6-6 하중조합과 허용응력 증가계수

하중조합 허용응력증가계수
1 DL + LL + HL 1.00
2 DL + LL + HL + WL + FL 1.25
3 DL + LL + HL + EQ + FL 1.50
1.8 허용응력

6 -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8.1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허용하중은 가설기자재
성능검정 규격품의 성능하중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성능시험 측정 강도에
2.5의 안전율을 고려한 값과 도로교설계기준(2005, 건설교통부) 3.13.3 항에 제
시된 규정에 따라 산정된 값 중 작은 값으로 하여야 한다.
1.8.2 강재 동바리에 적용되는 대구경 원형강관의 허용응력은 도로교설계기준(2005,
건설교통부) 강교편 3.13.3 항에 제시된 규정을 따르며, 형강 또는 플래이트
거더의 허용응력은 도로교설계기준(2005, 건설교통부) 강교편 3.3절에 제시된
규정을 따른다.
1.8.3 혼합형 동바리의 허용하중의 크기 또는 허용응력의 크기는 사용된 각 동바리
형식에 따라 1.7.1항과 1.7.2항의 규정을 적용하여 정한다.
1.8.4 동바리는 재사용이 많기 때문에 허용응력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다만, 풍하중
등을 고려할 경우에는 표 6-6과 같이 허용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1.8.5 성능시험에 사용된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의 규격과 현장에 반입된
부재의 규격 및 형태가 동일한 지 철저히 확인하여야 한다.
1.8.6 동바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재사용에 따라 강도 저하가 예상되므로 검정유
효기간 및 보존상태를 필히 확인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1.8.7 동바리 본체의 상단과 하단의 경계조건에 의한 수직재 좌굴하중의 감소를 방
지하기 위하여 수직재 최상단 및 최하단으로부터 400 ㎜ 이내에 첫 번째 수평
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림 6-2 참조)

경사재
S

수직재 첫번째 배치
£ 400mm 수평재

첫번째 배치 £ 400mm
수평재

경사재

(a) 최상단부 수평재 배치 (b)최하단부 수평재 배치


그림 6-2 수직재 최상단 및 최하단 수평재 배치 상세도

1.8.8 조립형 동바리 및 강관틀 동바리가 수직재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 2.4m 이

6 -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내의 위치에서 좌굴이 충분히 방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3차원 좌굴해석을 수행
하여 좌굴하중을 계산하고 안전율 2.5를 적용하여 허용 좌굴하중을 계산하여
야 하며, 이 값을 성능하중으로부터 계산한 허용 성능하중과 비교하여 부재의
허용하중을 결정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재사용 동바리의 품질규정

2.1.1 재사용 동바리는 현장에서 1회 이상 사용하였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은 새 제품


이라도 오랜 기간 현장 보관으로 강도의 저하 우려가 있는 동바리를 말한다.
2.1.2 재사용되는 동바리는 부재의 변형, 손상, 녹슬음 등의 정도에 따라 사용등급, 시
험등급 그리고 폐기등급으로 구분한다. 사용등급은 성능시험 없이 재사용할 수
있는 동바리, 시험등급은 성능시험 결과에 따라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야하는 동
바리, 그리고 폐기등급은 재사용하지 못하고 폐기처분할 동바리를 말한다.
2.1.3 재사용되는 동바리는 다음과 같이 사용등급, 시험등급 그리고 폐기등급으로
구분하며, 상세 내용은 2002년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제시한 ‘재사용 가설기자
재 성능기준에 관한 지침(C-01-2002)’을 참고할 수 있다.
(1) 사용등급 : 변형, 손상, 녹슬음 등이 없거나 약간 있더라도 강도상 영향이 거
의 없고, 일부 변형 등은 부품의 교환과 약간의 교정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
(2) 시험등급 : 녹슬음, 변형, 균열, 휨 등의 손상이 상당한 상태이거나, 내구연한
이 지난 것으로 성능시험 결과에 따라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3) 폐기 등급 : 주요한 구조부분의 변형, 손상, 녹슬음 등이 현저하여 수리가 불
가능한 상태
2.1.4 사용등급을 받은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의 경우 초기 성능값을 동바
리 설계 시 적용하며, 시험등급을 받은 경우에는 성능시험 결과를 동바리 설
계 시 적용한다.
2.1.5 재사용되는 조립형 동바리와 강관틀 동바리는 동바리 부재에 손상이 있지만
약간의 교정 또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한 경우에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3. 시 공

6 - 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시공 일반

3.1.1 콘크리트 교량용 동바리 시공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감독자는 다음의


사항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1) 콘크리트 타설 전 기 설치된 동바리의 안전성 검토 및 승인을 철저히 한다.
(2) 가설구조물의 중요성과 안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3) 동바리를 구성하는 자재에 요구되는 성능확보를 위해 자재 검수와 승인을 철
저히 한다.
3.2 시공상세

콘크리트 교량가설용 동바리의 구조는 상부 하중을 동바리와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 연결부 하중을 하부기초로 전달하는 동바리 본체, 동바리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기초부로 구성된다.
3.2.1 동바리의 시공상세
(1) 동바리 본체는 연직하중뿐만 아니라 수평하중에 대해서도 안전성이 확보되어
야 하며, 반드시 경사재를 설치하여 수평 방향 변위가 충분히 억제되도록 하
여야 한다.
(2) 수직재와 수평재는 직각으로 교차되게 설치하고, 경사재는 수평재 또는 수직재
에 연결핀을 사용하여 유격 혹은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한다.
(3) 최하부와 최상부의 수평재는 각각 하부지점과 U-헤드 하단으로부터 400 ㎜
이내에 설치한다.
(4) 최하단 수직재의 설치 시에는 받침재의 나선을 조절하여 수평을 확보하고 수
직재 하단의 편심 혹은 경사로 인한 편심의 발생을 방지하여야 한다.
(5) 연결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결핀이 연결부위에서 꺾어짐이 발생하지 않도
록 한다.
(6) 파이프 받침의 높이조절용 전용 핀을 사용하고, 철근이나 기타 철물의 사용
을 금지한다.
(7) 수직재의 수직도에 대한 오차는 높이의 1/1000 이하, 수평재의 수평오차는 13
㎜이하 범위 내에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6 - 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8) 받침철물은 이물질이나 돌출부가 없도록 바닥면을 정리한 후에 설치한다.
(9) 바닥이 경사진 곳에 설치할 경우에는 목재쐐기 등을 사용하여 받침철물의 바
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하고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10) 받침철물의 전체길이는 600㎜이내, 수직재와 물림부의 겹침은 200㎜이상으
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림 6-3, 6-4 참조)

그림 6-3 받침철물의 허용 길이 그림 6-4 동바리의 상부 U-헤드

3.2.2 상부연결부 시공 상세
(1) 동바리 상부에 U-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U-헤드에 설치된 멍에재의 유격
이나 이탈이 없어야 하며, 편심발생을 방지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타설 면이 경사진 경우와 같이 장선과 멍에가 완전하게 밀착이 되
지 않는 경우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장선과 멍에를 밀착시키고 못 등으로
고정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3) 멍에는 이음이 없는 단일 부재를 사용하며, 2줄과 1줄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없다. 다만, 단일부재의 사용 시에 부득이 이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음
부에 대한 별도의 검증 시험을 수행하여 원부재와 동일한 강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음부에 대한 구조검토를 별도로 실시하여 주주의 간격을 조정하여
동바리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한다.
3.2.3 하부 기초부 시공상세
(1) 지반지지력시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근거하여 하부 기초부에 대한 지반지
지력을 검토한다.
(2) 수평하중으로 인해 수직재의 하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못박기
혹은 받침목 등을 이용하는 고정장치를 설치한다.

6 - 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기초지반 하부에 지중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변형이 되지 않는 흄관, 강관
등을 사용하고 뒤채움 등을 통해 시공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4)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기초지반 위에 두께 100㎜이상 콘크리트 슬
래브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두께 45 ㎜이상의 받침목이나 전용받침철
물 혹은 받침판 등을 설치한 후 수직재 하단이 놓이도록 한다.
(5) 하부 콘크리트 슬래브의 폭 방향 단부는 최외단 수직재로부터 0.6m 이상의
여유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6) 동절기에는 기초가 시공되지 않도록 시공 관리하여야 하며, 불가피하게 동절
기를 넘겨야 할 경우에는 동결심도 아래로 수직재 기초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7) 지반의 해동으로 지반침하가 예상되는 해빙기에는 해빙의 영향을 받은 지반
을 치환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 후에 하부 기초부를 시공한다.
(8) 연약지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말뚝박기를 하여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9) 확대기초에서의 정적 하중에 대한 흙의 지지력 시험방법(KS F 2444, 평판재
하시험)을 적용하여 지반 지지력을 산정하며, 이 때 지지력은 항복강도의
1/2과 극한 강도의 1/3 가운데 작은 값 을 취한다.
(10) 토질에 따라 재하폭 및 기초폭에 따른 침하량이 차이가 있으므로 실제 침하량
이 허용 침하량 이내인 지를 확인하고 또한, 부등침하의 발생여부를 검토한다.
(11) 허용 침하량에 의한 지지력의 1/3과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허용 지지력을 비
교하여 작은 값을 허용 지지력으로 취할 수 있다.
(12) 평판재하시험의 경우 재하판 지름의 2배까지만 영향이 미침으로 지하수위
등에 유의하고, 특히 지반하부에 배수관 등이 있을 경우에는 강성 보강 등
별도의 대책을 강구한다.
(13) 말뚝의 경우에는 해머하중과 침하량에 의해 지지력을 산정한다.
3.3 시공안전 사항

3.3.1 계약상대자
(1) 구조검토를 거친 시공상세도면에 근거하여 동바리를 설치하며, 설치를 마친

6 - 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후에는 수평재, 수직재, 연결부의 각 설치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2) 동바리 부재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부재의 변형여부를 확인하고, 부재의 이
음부에 대한 검사 및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당해 작업에 적합한 안전모, 안전대, 안전화, 안전장갑 등의 개
인보호장비를 착용하여야 한다.
(4) 동바리의 설치완료 후에는 감독자의 검사와 승인을 받아 콘크리트를 타설하
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동바리의 이상증후 관측을 목적으로 감시자를 배
치하고, 이상이 발견되면 작업을 중지하고 작업자를 대피시킨다.
(5) 구조 검토 시에 적용된 콘크리트 타설순서 및 타설량을 준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6) 콘크리트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음 타설 순서도에 따라 타설한다.

그림 6-5 콘크리트 교량의 콘크리트 타설 순서도

(7) 슬래브 타설 시 편심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 부분에 고르게 타설하고, 작


업성 및 슬럼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데크피니셔 전방에 약 3m 정도의 여
유분이 타설되어 있는 상태로 진행되도록 한다.
(8) 해체된 자재의 정리 및 운반작업 시에도 가능한 한 같은 규격별로 묶어 정리
하고 운반토록 하며, 부재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한다.
(9) 거푸집 존치기간은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3장 3.9.2의 규정을 따른다.
3.3.2 감독자
(1) 시공 전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 및 해체에 관련한 시공계획과 함께 시공 상세
도면(구조검토서 포함)을 제출받아 검토하고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2) 구조검토 시에는 동바리계가 수직하중과 수평하중 및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6 - 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측압으로 인한 휨, 전단, 비틀림, 침하, 좌굴거동에 대해 동바리계가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 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3) 구조검토 시에는 구조해석 시에 적용된 연결부와 지점부의 경계조건이 현장
실정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다.
(4) 감독자는 거푸집 및 동바리에 대한 설치요령서 및 품질 시험성적서를 계약상
대자로부터 제출받아 검토하고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5)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조립도를 작성하게 하고, 조립도에 따라 조립이 진행되
는 지를 검사한다.
(6) 동바리의 조립도 경우에는 수직재, 수평재, 경사재, U-헤드, 받침철물, 연결
핀, 접합부 등 동바리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종류와 규격 치수 그리고 배치
관계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7)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 안전작업계획과 안전작업수칙을 준수하
여야 한다.
(8) 거푸집 및 동바리계의 존치기간이 준수되는 지의 여부를 검사하며, 콘크리트
타설 시에 편심 작용이 생기지 않게 분리 및 분산하여 타설하도록 한다.

6-3-4 가설흙막이공 6-3-4 가설흙막이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구조물 기초나 지하구조물을 위한 개착공사 중 가설흙막이의 설계 (1) 이 시방은 구조물 기초나 지하구조물을 위한 개착공사 중 가설흙막이의 설계
와 시공에 적용한다. 와 시공에 적용한다.
1.1.2 이 시방은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6장 가설흙막이공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이 시방은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제6장 가설흙막이공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가설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 - 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6-4 콘크리트공 6-4 콘크리트공

6-4-1 일반 콘크리트 6-4-1 일반 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 암거 및 기타 각종 구조물 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1) 이 시방은 교량, 암거 및 기타 각종 구조물 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시공에 적용한다.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일반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1-4 품질관리 2. 재 료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3-3 동바리와 거푸집 해당사항 없음


6-4-11 줄눈 및 지수판
6-5 철근공 3. 시 공
15-1 시멘트 해당사항 없음
15-3 골재
15-4 시멘트 콘크리트
15-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5-6 혼화재료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402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6 - 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방법
(질량방법)
KS F 24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 방법
(공기실 압력 방법)
KS F 244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용적에 의한 공기량 시험 방법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피막형성제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8004 콘크리트 봉형 진동기
KS F 8005 콘크리트 거푸집 진동기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현장배치 플랜트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지침 제4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2.4 배합
1.4 제출물

1.4.1 현장 동원 및 철수 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4.2 검사 및 시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4.3 레미콘 현장배치플랜트
(1)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상세도면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상세도면은 다음 사항을 위주로 작성한다.
① 배치플랜트 설치 위치도
② 배치플랜트 설치 평면도
③ 차량 진출입로
④ 적치장(쇄석 등)
⑤ 안전시설설치 계획도
(2)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전 제출물

6 - 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① 레미콘 생산을 시작하기 전에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지침 제
4조에 따라 관계기관의 인․허가를 받고, 현장배치플랜트 설치 전 허가사본
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계약상대자는 소음․진동의 발생 예측량 및 주변현장여건에 대한 안전계획
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계획서에는 안전대책, 환경대책, 진출·입로 계획, 적
치장 계획이 포함되어야 한다.
③ 콘크리트 생산으로 인하여 인근의 기존 시설물 또는 주민들에게 비산먼지,
진동 또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와 이로 인한 분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적절
한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④ 계약상대자는 인근 주변 환경을 파악하여 현황도에 표기(1/600 혹은
1/1200)하여 현장 사무실에 비치하고, 감독자의 요구 시에는 언제든지 제출
하여야 한다.
1.4.4 제품자료
(1) 레미콘 제조업자는 레미콘의 생산가능 규격,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배출시간,
콘크리트의 제조능력, 운반차의 수, 공장의 제조설비, 품질관리상태 등을 작
성하여 감독자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혼화재료 제조업자는 혼화재료의 성분, 특성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
현황, 기술자료, 사용지침서, 사용 실적 등을 작성하여 감독자에 제출하여야
한다.
1.4.5 재료 반입 전표
(1) 지구 외 골재원에서 반입되는 골재는 반입되는 즉시 재료 반입 전표를 감독
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반입 전표에는 채취장소에 대한 지명․지번과 종류, 수량 등이 기재되
어야 하고, 반입 차종별로 제출하여야 한다.
1.4.6 시공 상세도면
콘크리트 치기순서, 이음위치, 양생방법 등을 명시한 시공 상세도면을 제출하
여야 한다.
1.4.7 시공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작업 시작 전 최소한 7일 이전에 운반, 치기 등에 관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 제출하여야 한다.

6 - 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전 공정 중의 콘크리트 작업의 공정
(2) 1일에 치기 할 콘크리트 양에 맞추어 운반, 치기방법 등의 설비 및 인원배치
(3) 운반로, 운반경로
(4) 콘크리트 치기구획, 치기순서
(5) 콘크리트의 비비기에서 치기까지의 소요시간
(6) 시공이음의 위치, 시공이음의 처치방법
(7) 콜드조인트 발생 시 처리계획
(8) 급격한 기상변화에 따른 시공계획
(9) 한중이나 서중 시 치기계획
(10) 진동기의 찔러넣는 간격, 깊이 및 한 장소 당 진동시간
(11) 양생방법 및 기간
(12) 강우․강설 대책
(13) 유해한 진동․충격 방지대책
(14) 중량물의 적재방지 대책
1.4.8 레미콘 운반 시 제출물
(1) 제조업자는 콘크리트를 현장에 운반할 때마다 매 차량 단위로 반드시 감독자
에게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납품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요구 시 배치(batch) 전산기록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감독자가 요구 시 계약상대자는 배합설계, 콘크리트에 함유된 염화물 함유량
등의 계산에 기초가 되는 배합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9 구조물부위별 사용 콘크리트 종류 기록서
계약상대자는 현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구조물 부위별 사용 콘크리
트 종류 기록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1.4.1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성과표
계약상대자는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후 즉시 압축강도 시험 성과표를 작성

6 - 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여야 한다.
1.5 품질보증

1.5.1 레미콘 제조업자 자격


공사의 요건 및 이 시방서의 요건을 만족시키고 KS F 4009의 규정에 따라 레
미콘을 제조할 수 있는 자로서, 재료시험기사 자격을 가진 기술자 혹은 이와
동등 이상의 지식, 경험이 있는 기술자가 상주하며, 감독자가 승인하는 자이어
야 한다.
1.5.2 공시체 관리대장
(1)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에 실시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의 적정성을 관리하
기 위하여 공시체 관리대장을 실험실에 비치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가 압축강도시험을 위한 공시체를 제작할 시에는 지체 없이 관리
대장에 기입하여야 한다.
(3) 공시체 관리대장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기재되어야 한다.
① 시료번호
② 시료채취장소
③ 공시체 제작일 / 시험일
④ 설계기준강도(㎫)
⑤ 파괴하중(N)
⑥ 파괴강도(㎫)
⑦ 레미콘 제조회사
1.5.3 콜드조인트
콘크리트의 콜드조인트는 시공이음으로 예정되고, 적절하게 처리된 것이 아니
면 허용하여서는 안 된다.
1.5.4 거푸집의 거동감시
콘크리트 치기 중 압력으로 인한 거푸집과 매설물의 이동 또는 어긋남을 탐지
할 수 있도록 감시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1.5.5 균열조사
거푸집 제거와 동시에 균열조사 및 면조사를 하여 그 기록을 매일 감독자에게

6 - 6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출하여야 하며, 균열이 있을 시 구조물이 완성될 때까지 균열을 계속 추적
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1.6 운반 및 저장

1.6.1 시멘트
시멘트의 포장, 운반 및 저장은 15-1절에 따라야 한다.
1.6.2 골재
골재의 저장은 15-3절에 따라야 한다.
1.6.3 혼화재료
혼화재료의 저장은 15-6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슬럼프 및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명시된 도면에


따르고, 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2.1.2 시멘트는 15-1절에 따라야 한다.
2.1.3 골재는 15-3절에 따라야 한다.
2.1.4 물은 15-4절에 따라야 한다.
2.1.5 혼화재료는 15-6절에 따라야 한다.
2.1.6 거푸집은 6-3-3절에 따라야 한다.
2.1.7 지수판은 6-4-11절에 따라야 한다.
2.1.8 콘크리트 양생용 피막형성제는 KS F 254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2 장비

2.2.1 배치플랜트는 15-1절에 따라야 한다.


2.2.2 믹서는 15-4절에 따라야 한다.

6 - 6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3 운반차는 15-5절에 따라야 한다.
2.2.4 버킷
버킷의 구조는 콘크리트를 투입, 배출할 때에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
로서 콘크리트의 배출이 쉬워야 한다.
2.2.5 콘크리트 펌프
(1) 콘크리트 펌프의 기종은 콘크리트의 종류, 품질, 관의 지름을 포함한 배관조
건, 치기장소, 1회의 치기량, 치기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2) 압송조건은 관내에 콘크리트가 막히는 일이 없도록 정하여야 한다.
2.2.6 트레미(tremie)
(1) 트레미를 사용할 경우 그 기종, 형식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감독자의 승인
을 받아야 한다.
(2) 트레미는 수밀성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는 크기를 가
져야 한다.
2.2.7 콘크리트 플레이서
콘크리트 플레이서를 사용할 경우 그 기종, 형식 및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8 벨트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품질을 해치지 않도록 벨트컨베이어
를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고, 또 벨트컨베이어의 끝부분에는 조절판 및 깔때기
를 설치해서 재료분리를 방지하여야 한다.
2.2.9 슈트
(1) 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연직슈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연직슈트
는 깔때기 등을 이어대서 만들어 재료분리가 적게 일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2) 경사슈트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는 재료분리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될
수 있는 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경사슈트를 사용할 경우 슈트의 경사는 콘크리트 재료가 분리되지 않을 정도
의 것이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경사는 수평 2에 대하여 연직 1정도가 적당하
다.

6 - 6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슈트를 사용할 때는 감독자가 확인 후 사용하여야 한다.
2.2.10 진동기
(1) 콘크리트 봉형 진동기는 KS F 8004, 콘크리트 거푸집 진동기는 KS F 8005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의 다지기, 특히 된 반죽 콘크리트의 다지기에는 내부진동기를 사용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진동기의 형식, 크기, 숫자는 부재단면의 두께와 면적, 한 번에 운
반되는 콘크리트의 양,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콘크리트 반죽질기
등을 고려하여 확보하여야 한다.
2.3 배합

2.3.1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2.4 배합에 따라야 한다.


2.3.2 배합강도
(1)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강도(fcr)를 설계기준
강도(fck)보다 충분히 크게 정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배합강도는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5㎫ 이하인 경우 식 (1)과 식
(2)로 계산된 두 값 중 큰 값으로 정하며, 또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5 ㎫를
초과하는 경우는 식 (3)과 식 (4)로 계산된 두 값 중 큰 값으로 정한다.
  ≤  ㎫인 경우,

     
 식 (1)
          
 식 (2)
    ㎫인 경우,

      
 식 (3)
      
 식 (4)
여기서, s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 (㎫)
(3)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

6 - 6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9회 이하이고 15회 이상인 경우는 그것으로 계산한 표준편차에 표 6-7의 보
정계수를 곱한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할 수 있다.
(4)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를 알지 못할 때, 또는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14회 이하인 경우,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표 6-8과 같이 정한다.
표 6-7 시험 횟수가 29회 이하일 때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시험 횟수 표준 편차의 보정계수
15 1.16
20 1.08
25 1.03
30 이상 1.0
비고) 위 표에 명시되지 않는 시험 횟수에 대해서는 직선 보간한다.

표 6-8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14회 이하인 경우의 배합강도

설계 기준강도 f ck (㎫) 배합 강도 f cr (㎫)


21 미만 f ck + 7
21 이상 35 이하 f ck + 8.5
35 초과 f ck + 10

2.4 계량 및 비비기

2.4.1 각 재료의 계량장치는 공사 개시 전 및 공사 중에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조정


하여야 한다.
2.4.2 혼합기는 혼합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드럼의 회전수를 기록하기 위한 자동계측
기를 갖추어야 한다. 각 운송믹서(transmixer)는 물탱크 또는 물의 양을 정확
히 계측할 수 있는 수량 측정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2.4.3 비비기
(1) 재료를 믹서에 넣는 순서는 미리 적절하게 정해 놓아야 한다.

6 - 6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비비기 시간은 믹
서 안에 재료를 투입한 후 가경식 믹서일 경우에는 1분 30초 이상, 강제식
믹서일 경우에는 1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된다.
(4)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믹서에 모르타르를 부착시켜야 한다.
(5) 비벼놓아 굳기 시작한 콘크리트는 되비벼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6) 믹서 안의 콘크리트를 전부 꺼낸 후가 아니면 다음 재료를 투입해서는 안 된다.
(7) 믹서는 사용 전후에 충분히 청소하여야 한다.
2.4.4 자재허용오차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의 계량기 눈금, 자동계량장치는 15-4 시멘트 콘크리트에
따라야 한다.
2.5 자재 품질관리

2.5.1 한 배치와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치는 시간 간격을 통제하여야 하며, 어떠


한 경우에도 30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2.5.2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를 공사 개시 전 1회 그리고 필요시마다
계량기의 눈금점검, 자동계량장치를 점검하여야 한다.
2.5.3 물은 필요시마다 수질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5.4 배합설계는 재료가 다른 각 배합마다 시멘트 품질시험을 포함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5.5 콘크리트 시험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2.6 자재 품질관리에 따른다.
2.5.6 검사
(1) 계약상대자는 시료채취 및 검사에 필요한 모든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2) 점검일람표 작성을 위해 감독자가 요구하는 경우 감독자가 선정한 위치에서
사용할 재료의 종류별로 3개의 시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최초검사에 합격한 시멘트일 지라도 품질의 변동이 예상되어 재시험을 한 결
과, 품질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시멘트로 대체하여야 한다.

6 - 6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현장여건 파악
계약상대자는 작업시작 전 구조물 설치 도면을 검토하여 도면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이상이 있을 시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1.2 콘크리트 치기 전에, 거푸집, 토압지지면, 철근 및 매설물 등을 검사한 후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감독자가 공급한 치기 기록부를 기입해서 서명하
고, 감독자도 치기를 시작하기 전에 기록부에 서명한다.
3.1.3 계약상대자는 레미콘 제조업자와 콘크리트의 운반 및 반입에 관하여 미리 다
음 사항을 반드시 협의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시공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
여야 한다.
(1) 실제 반입시간이 반입 예정시간과는 떨어져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치기에
지장을 줄 경우에의 조치
(2) 날씨 그 이외에 콘크리트의 반입예정 일시를 변경할 경우에 조치
(3) 공사현장의 사정에 따라 운반차의 하역을 현저하게 지연시킬 경우에 조치
3.2 작업준비

3.2.1 콘크리트 치기 전 24시간 내에 콘크리트의 반입 및 치기 일정을 통지하고, 치


기 전날의 오후 3시전까지는 감독자에게 알려야 한다.
3.2.2 가능한 한 콘크리트는 정상 작업시간 중에 쳐야 한다. 콘크리트 치기 일정이
정상업무시간이 아닌 시각에 치도록 되어 있을 때는 치기에 앞서서 48시간 내
에 특별한 상황을 감독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2.3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운반 장치, 치기설비 및 거푸집 안을 청소하여 콘크리
트 속에 잡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3.2.4 확대기초와 슬래브의 흙바닥 면이나 지지면은 콘크리트 치기 바로 전에 습하
게 해 주어야 하지만, 포화되거나 뻘탕이 되어서는 안 된다.
3.2.5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운반 및 치기설비 등이 시공계획에 충분히 일치하는 가
를 확인하여야 한다.

6 - 6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 운반

3.3.1 콘크리트는 중앙배치플랜트에서 트럭 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로 현장까지 운


송하여야 한다.
3.3.2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 슬럼프, 공기량 및 균일성 등 명시된 물성을 나쁘게
변동시키지 않고, 치기 지점에 효율적으로 반입될 수 있는 방법으로 현장까지
운송하여야 한다.
3.3.3 콘크리트를 소운반해서 치기할 때는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하여
야 한다.
3.3.4 콘크리트는 신속하게 운반하여 즉시 치고, 충분히 다져야 한다.
3.3.5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외기온도가 25℃를 넘었을 때는
1.5시간, 외기온도가 25℃이하일 때는 2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3.3.6 운반전표에는 플랜트에서의 출발시간 및 현장 도착시간을 나타내어야 하며,
현장 도착시간을 현장관리자가 기재하여야 한다.
3.3.7 레미콘은 적어도 10분 이상 혼합하여야 하며, 현장에서 부리기 전에 최소 3분
간 혼합을 하여야 한다.
3.3.8 플랜트를 떠난 후 트럭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에 추가로 물을 주입해서는 안
된다.
3.3.9 부분적으로 굳어진 콘크리트를 부려서는 안 된다.
3.4 치기

3.4.1 콘크리트 치기는 시공계획서에 따라 쳐야 한다.


3.4.2 레미콘을 사용하여 치기작업을 할 시에는 계약상대자는 레미콘 생산업자와 지
속적으로 연락을 유지하여야 한다.
3.4.3 콘크리트 치기장비는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고, 재료의 분리나 손실이 없이
콘크리트가 부려지는 치기속도를 낼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
다.
3.4.4 콘크리트 치기는 승인된 치수와 형상을 가진 부재가 완성될 때까지 연속작업
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6 - 6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5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4.6 콘크리트는 재조작이나 흘리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최종 수평위치에서 되도
록 가깝게 부려야 한다.
3.4.7 철근이 분리를 일으킬 수 있는 곳에서 콘크리트를 마구 떨어뜨려서는 안 되
고, 1.5m 이상 떨어뜨려서도 안 된다. 콘크리트는 소성체의 표면이 거의 수평
하게 유지되도록 부려야 한다.
3.4.8 콘크리트의 치기 중 표면에 블리딩 수가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제거하고 콘크
리트 치기를 하여야 한다.
3.4.9 슬래브 또는 보의 콘크리트가 벽 또는 기둥의 콘크리트와 연속해 있는 경우에
는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벽 또는 기둥의 콘크리트 침하를 1∼2시간 기다
린 후 슬래브 또는 보의 콘크리트를 쳐야 한다. 또한, 돌출부분을 갖는 구조물
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4.10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 할 경우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은 하층
의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하기 전에 행하고 상층과 하층이 일체가 될 수 있도
록 진동봉을 하층 콘크리트까지 찔러 넣어 다짐하여야 한다.
3.4.11 친 콘크리트는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서는 안 된다.
3.4.12 거푸집에 낸 개구부, 트레미관 또는 재료분리나 이미 치기한 콘크리트의 표
면 위의 거푸집이나 철근에 굳은 콘크리트가 붙지 않게 콘크리트를 칠 수 있
는 다른 승인된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장치는 콘크리트가 수직으
로 떨어지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4.13 치는 부재의 두께가 0.5m 이상일 때는 특히 침하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치
기속도를 저감시켜야 하며, 치기종료 후 표면조사를 하여 균열이 발생할 경
우 즉시 탬핑하여 균열을 제거하여야 한다.
3.5 펌핑

3.5.1 콘크리트는 최대 슬럼프가 유지되고, 예정된 장소에 대해서 공사감독자가 승


인하는 경우, 펌핑으로 칠 수 있다.
3.5.2 펌핑장비는 재료 분리 없이 반입지점에서 연속적인 콘크리트의 흐름이 보장되
는 크기와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6 - 7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3 호스의 단부에서 콘크리트는 1.5 m 내의 자유낙하고를 갖게 하여야 하며, 펌프
의 호스는 철근이 당초의 위치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말굽이나 유사한 장치위
에 지지하여야 한다.
3.5.4 콘크리트는 적절한 펌핑이 될 수 있도록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유동화제를 첨
가할 수 있다.
3.5.5 콘크리트 펌프카의 원활한 펌핑을 위하여 최초에 사용하는 모르타르는 구조물
콘크리트 치기에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3.6 다지기

3.6.1 콘크리트는 치기 중에 기계적인 진동으로 충분히 다져야 한다.


3.6.2 진동은 능숙하고 숙련된 경험 있는 작업원이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3.6.3 진동기는 콘크리트를 치기한 전 면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하게 찔러 넣
었다가 뽑아내어야 하며, 찔러넣기의 간격은 찔러넣기 영향권이 겹칠 수 있어
야 한다.
3.6.4 장시간의 다짐으로 인하여 재료분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6.5 진동다짐을 할 때에는 진동기를 아래층의 콘크리트 속에 100㎜정도 찔러 넣
어야 한다.
3.6.6 진동은 벌집, 공기와 돌주머니, 줄무늬, 콜드조인트 및 육안으로 나타나는 층
선 등이 없고, 조직과 외관이 균일한 콘크리트가 되게 실시하여야 한다.
3.6.7 수직면과 처진대로의 마무리가 요구되는 미장 콘크리트에서는 보기 좋지 않은
공극, 벌집, 기타 표면 결함이 없어지도록 거푸집 표면에 모르타르가 모이게
할 수 있는 추가 진동과 밀어넣기를 하여야 한다.
3.6.8 콘크리트 진동에 대한 추가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진동기 찔러넣기 간격을 줄이고 찔러넣기 시간을 늘린다.
(2) 진동기가 거푸집에 닿지 않게 하면서 거푸집 표면에 가깝게 찔러 넣는다.
(3) 거푸집 표면에서 진동에 보충해서 밀어넣기를 한다.
(4) 거푸집의 진동은 밀어넣기 할 위치에 대한 감독자의 승인이 있을 경우에만

6 - 7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여야 한다.
3.6.9 콘크리트 진동기의 형식, 크기, 숫자는 부재단면의 두께와 면적, 한 번에 운반
되는 콘크리트의 양,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등을 고려하여 확보하여야 한다.
3.7 시공이음

3.7.1 설계도서에 정해져 있는 이음의 위치와 구조는 지켜져야 한다.


3.7.2 설계도서에 정해져 있지 않은 이음을 설치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및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위치, 방향 및 시공방법을 시공계획서 및 시공상세
도에 명기하여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3.7.3 부득이하게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큰 위치에서 시공이음을 설치할 경우 감독자
와 협의하여 별도의 보강을 실시하여야 한다.
3.7.4 시공이음은 직선이고 경우에 따라 구조물과 정확하게 수직하고 수평한 배치를
갖게 하여야 한다.
3.7.5 시공이음에서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다음 층의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레이턴스를 제거하여야 한다. 수축에 대한 시간여유를 주기 위해서
는 12시간 내에는 시공이음의 굳은 쪽에 콘크리트를 쳐서는 안 된다.
3.7.6 역방향 치기 콘크리트의 시공 시에는 콘크리트의 침하를 고려하여 시공이음이
일체가 되도록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 및 시공방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3.7.7 철근은 시공이음을 가로질러서 연속되어야 한다.
3.7.8 콘크리트를 계속해서 치기 전에 거푸집을 다시 조이고, 콘크리트 표면은 적셔
야 한다.
3.7.9 날개벽이나 미적 감각을 살려야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는 시공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3.8 신축이음

3.8.1 신축이음의 설치구조 및 간격은 승인된 시공도면에 따른다.


3.9 균열유발줄눈

6 - 7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9.1 균열유발줄눈의 설치구조 및 간격은 승인된 시공도면에 따른다.
3.10 양생 및 보호

3.10.1 콘크리트는 친 후 경화에 필요한 온도, 습도조건을 유지하며, 유해한 작용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습윤양생을 하고 강도가 완전히 발휘될 때까지 충격이나
기타 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10.2 콘크리트의 양생은 흙, 모래, 톱밥, 짚, 건초 등으로 양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3.10.3 습윤양생이 곤란할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피막양생을 할 수 있다.
3.10.4 습윤양생
(1) 콘크리트는 친 후 경화를 시작할 때까지 직사광선이나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지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의 표면을 해치지 않고 작업이 될 수 있을 정도로 경화하면 콘크리트
의 노출면은 양생용 가마니, 마포 등을 적셔서 덮거나 또는 살수를 하여 습윤
상태로 보호하여야 한다. 습윤상태로 보호하는 기간은 표 6-9를 표준으로 한다.
(3) 거푸집 판이 건조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살수하여야 한다.
(4) 막양생을 할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막양생제를 적절한 시기에 균일하게 살포
하여야 한다.
표 6-9 습윤양생기간의 표준

일평균기온 고로슬래그시멘트 조강포틀랜드시멘트


보통포틀랜드시멘트 플라이애쉬시멘트 B종
15 ℃ 이상 5일 7일 3일
10 ℃ 이상 7일 9일 4일
5 ℃ 이상 9일 12일 5일

3.10.5 온도제어 양생
(1) 콘크리트는 경화가 충분히 진행될 때까지 경화에 필요한 온도조건을 유지하
여 저온, 고온, 급격한 온도변화 등에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6 - 7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온도제어양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온도제어방법 및 양생일수를 콘크리트의 종
류 및 형상, 치수를 고려하여 적절히 정하여야 한다.
3.10.6 촉진양생
(1) 증기양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친 후 3시간 이상 경과한 후에 가
열을 시작하여야 하고, 양생실의 온도상승은 원칙적으로 1시간당 15℃이하로
한다. 또 양생실의 온도는 65℃를 넘지 않아야 한다.
(2) 기타 촉진 양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양생을 개시하는 시기, 온도의 상승속도, 양생온도 및 양생시간 등을 정하여
야 한다.
3.10.7 금방 친 콘크리트는 뜨거운 햇빛, 건조한 바람, 비, 손상으로부터 또는 더러
워지지 않게 보호하여야 한다.
3.10.8 떠오른 표면수가 흩어지고 마무리 작업이 시작된 후에는 금방 친 슬래브에
분무를 하여야 하고, 마무리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언제라도 슬래브가 건
조하게 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3.10.9 모서리는 차량통행이나 사용으로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10.10 콘크리트는 양생 기간 중 무거운 장비의 이동이나 콘크리트가 하중응력, 하
중충격 또는 과도한 진동을 받아서 야기되는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응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11 표면마무리

3.11.1 굳지 않은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1) 상단 표면은 나무 흙손으로 두드려 모르타르가 표면에 떠오르게 한 다음 요철
이 없도록 고르기를 하여야 하며, 그 표면을 젖은 솔로 약하게 문질러야 한다.
(2)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나 포장층의 표면은 데크피니셔 등으로 마무리를 하
여야 한다. 다만, 감독자의 승인이 있을 때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요철을 만
들 수 있는 형판을 사용하여 마무리 할 수도 있다.
(3) 기계마무리를 할 수 없을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인력으로 마무리할 수
도 있다. 이 때에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편경사에 적합하도록 흙손으로 고르고,

6 - 7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직선 각재로 두드린 후 마대 등으로 표면 및 거친면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3.11.2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의 마무리
(1) 콘크리트의 표면은 거푸집을 제거한 후 즉시 마무리 하여야 한다.
(2) 거푸집을 지지하는데 사용했던 철선이나 기타 금속장치는 콘크리트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절단하여야 한다.
(3) 거푸집의 이음 때문에 생긴 불규칙한 면은 갈아내어야 한다.
(4) 콘크리트 표면에 생긴 작은 구멍인 경우에는 구체에 사용했던 콘크리트와 같
은 배합비의 모르타르로 채움을 하며, 비교적 큰 구멍인 경우에는 주변의 느
슨한 재료를 제거한 다음 물로 완전히 포화시킨 후 구멍 내부의 표면에 얇은
시멘트 막을 만든 다음 채움을 하여야 한다.
(5) 구조물의 강도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일부나 전부를 제거하여 재시공하여야 한다.
3.12 시공허용오차

3.12.1 균열 허용오차
(1) 구조물에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균열은 다음 표의 범위이내이어야 한다. 이 때
허용균열폭 계산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7) 부록 Ⅴ의 내용을 따른다.
표 6-10 콘크리트 구조물의 허용균열 폭(㎜)

강재종류 건조환경 일반환경 부식성 환경 극심한 부식성 환경


철근 0.4㎜와큰0.006C

중 0.3㎜와 0.005C 중 0.3 ㎜와 0.004C 중 0.3 ㎜와 0.0035C 중
큰값 큰값 큰값
PS강재 0.2㎜와큰0.005C

중 0.2㎜와 0.004C 중
큰값 - -
비고) C : 최외단 휨철근과 콘크리트 표면사이의 콘크리트 최소피복두께(㎜)

(2) 수처리 구조물의 내구성과 누수방지를 위하여 허용되는 균열폭은 다음 표와


같다.
표 6-11 수처리 구조물의 허용균열 폭(㎜)

6 - 7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휨인장 균열 전 단면인장 균열
오염되지 않은 물1) 0.25 0.20
오염된 액체2) 0.20 0.15
주 1) 음용수(상수도) 시설물
주 2) 오염이 매우 심한 경우 발주자와 협의하여 결정

3.12.2 치수의 허용오차


(1) 거푸집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면에서 거칠게 거푸집이 마무리 됐을 경우에는
구멍, 기타 결함이 있는 부위는 땜질하고, 6㎜이상의 돌기물은 제거하여야
한다.
(2) 수직오차
① 높이가 30 m 미만인 경우
가. 선, 면 그리고 모서리 : 25㎜ 이하
② 높이가 30 m 이상인 경우
가. 선, 면 그리고 모서리 : 높이의 1/1,000 이하, 다만 최대 150㎜ 이하
나. 노출 모서리 기둥, 콘트롤 조인트 흠 : 높이의 1/2,000 이하, 다만 최대
75 ㎜ 이하
(3) 수평오차
① 부재(슬래브 밑, 천장, 보 밑 그리고 모서리) : 25㎜ 이하
② 슬래브 중앙부에 300㎜ 이하의 개구부가 생기는 경우 또는 가장자리에 큰
개구부가 있는 경우 : 13 ㎜ 이하
③ 조인트 그리고 슬래브에서 매설물로 인해 약화된 면 : 19㎜이하
(4) 콘크리트 슬래브 바탕 마감의 허용오차
① 슬래브 상부면
가. 지반면에 접한 슬래브 : 19㎜ 이하
나. 동바리를 제거하지 않은 기준층 슬래브 : 19 ㎜ 이하
② 동바리를 제거하지 않은 부재: 19㎜ 이하
③ 인방보, 노출장대, 파라펫, 수평홈 그리고 현저히 눈에 띄는 선: 13㎜ 이하
(5) 부재 단면 치수의 허용오차
① 기둥, 보, 교각, 벽체(두께만 적용) 그리고 슬래브(두께만 적용) 등의 부재

6 - 7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 단면치수가 300㎜ 미만 : +9㎜, -6㎜
나. 단면치수가 300㎜∼900㎜ 이하 : +13㎜, -9㎜
다. 단면치수가 900㎜ 이상 : +25 ㎜
(6) 기타 허용오차
① 계단
가. 계단의 높이 : 3 ㎜ 이하
나. 계단의 넓이 : 6 ㎜ 이하
②홈
가. 폭이 50 ㎜ 이하인 경우 : 3 ㎜
나. 폭이 50 ㎜∼300 ㎜ 이하인 경우 : 3 ㎜
③ 콘크리트면 또는 선의 기울기는 3m 당 측정하여 다음의 허용오차 범위 이
내이어야 한다.
가. 노출 모서리 기둥의 수직선, 노출 콘크리트에 있는 컨트롤 조인트의 홈 : 6㎜
나. 기타의 경우 : 9 ㎜
(7) 부재를 관통하는 개구부
가. 개구부의 크기 : +25㎜, -6㎜
나. 개구부의 중심선 위치
3.13 현장 품질관리

3.13.1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


(1)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
①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표 6-12에
따라 실시한다.
② 워커빌리티의 검사는 굵은골재 최대치수 및 슬럼프가 설정치를 만족하는 지
의 여부를 확인함과 동사에 재료분리 저항성을 외관 관찰에 의해 확인한다.
③ 강도검사는 콘크리트의 배합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배합검사
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 6-13에 따라 압축강도시험에 의해 검사를 실
시한다. 이 검사에서 불합격된 경우에는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의 강도검
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④ 내구성 검사는 공기량, 염화물 이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내구성으로

6 - 7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부터 정한 물-시멘트 비에 대해서는 배합검사를 실시한다. 물-시멘트 비에
대해서는 강도시험에 의해 확인하여도 좋다.
⑤ 검사결과 불합격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 콘크리트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표 6-12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 워커빌리티가 좋고, 품질
콘크리트의 외관 관찰 개시 및 타설 중 이 균질하며 안정할 것
상태 수시로 함.
25㎜ : 허용오차 ±10㎜
슬럼프 KS F 2402의 방법 50, 60㎜ : 허용오차 ±15㎜
압축강도 시험용 80㎜이상 : 허용오차 ±25㎜
KS F 2409의 방법 공시체 채취 시
공기량 KS F 2421의 방법 및 타설 중에 품 허용오차 : ±1.5%
KS F 2449의 방법 질변화가 인정될
온 도 온도 측정 때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단위용적질량 KS F 2409의 방법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바다모래를 사용
염화물 KS F 4009 부속서 1의 할 경우 2회/일, 원칙적으로 0.3 ㎏f/㎥
이온량 방법 그 밖의 경우 이하
1회/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내릴 때
단위수량시험으로부터 오전 2회 이상, 허용치 내에 있을 것
단위 구하는 방법 오후 2회 이상
수량 골재의 표면수율과 단위 내릴 때
수량의 계량치로부터 전 배치 허용치 내에 있을 것
구하는 방법
배 단위 시멘트의 계량치 내릴 때
시멘트량 오전 2회 이상, 허용치 내에 있을 것
오후 2회 이상
합 물-시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과 시멘트의 내릴 때
트비 계량치로부터 구하는 전 배치 허용치 내에 있을 것
방법
기타
콘크리트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치 내릴 때 허용치 내에 있을 것
재료의 전 배치
단위량
콘크리트 펌프의 최대
펌퍼빌리티 펌프에 걸리는 최대
압송 부하의 확인 펌프 압송 시 이론 토출압력에 대한
최대압송부하의 비율이
80% 이하

6 - 7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
①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표 6-12에 의한다.
②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는 일반적인 경우 조기재령에 있어서
의 압축강도에 의해 실시한다. 이 경우, 시험체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
트를 대표할 수 있도록 채취하여야 한다.
표 6-13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

종 류 항 목 시험․검사
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3회 연속한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강도에 미달하는
설계기준 확률이 1% 이하라야 하고 또
강도로부터 1회/일, 또는 한 각각의 압축강도 시험값이
배합을 압축강도 구조물의 중요도 설계기준강도 보다 3.5㎫를 미
정한 경우 (일반적인 KS F 2405 와 공사의 규모에 달하는 확률이 1% 이하인 것
경우 재령 의 방법 따라 150㎥ 마다 을 적당한 생산자 위험률로 추
28일) 1회, 배합이 변경 정할 수 있을 것
될 때마다1)
압축강도의 평균치가 소요의
그 밖의 경우 물-시멘트 비에 대응하는 압축
강도 이상일 것
주 1) 1회의 시험치는 현장에서 채취한 시험체 3개의 연속한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치임.

③ 검사결과 콘크리트의 품질이 적당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감독자


의 지시에 따라 배합의 수정, 기계설비의 성능검사, 작업방법의 개선 등 적
절한 조치를 취하는 동시에, 구조물에 치고 있는 콘크리트가 소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적당한 조치를 강구하여
야 한다.
3.13.2 콘크리트 시공 검사
(1) 콘크리트 운반 검사는 표 6-14에 따른다.
(2) 콘크리트 타설 검사는 표 6-15에 따른다.
(3) 콘크리트 타설 검사는 표 6-16에 따른다.
(4) 검사 결과, 시공 시작 시에 운반, 타설 혹은 양생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

6 - 7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경우는 설비, 인원의 배치, 방법을 개선하는 등, 소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
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구조물의 콘크리트가 소요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
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 양생의 적합성 여부, 거푸집 떼어내기 시기 등을 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혹
은 조기에 재하할 때 안정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와 되도록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한 시험체를 사용하여 강도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표 6-14 콘크리트의 운반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운반설비 및 인원배치 목측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운반방법 목측 콘크리트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운반량 양의 확인 타설 전 및 소정의 양일 것
출하 및 도착 운반 중
운반시간 시간의 확인 3.3 운반에 적합할 것

표 6-15 콘크리트의 타설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타설설비 및 인원배치 목측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타설방법 목측 콘크리트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타설 개소의 타설 전 및
타설량 형상치 수로 타설 중 소정의 양일 것
부터 양의 확인
표 6-16 콘크리트의 양생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양생설비 및 인원배치 목측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양생방법 목측 콘크리트 시공계획서와 일치할 것
일수, 시간의 양생 중
양생기간 확인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6 - 8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3 구조물의 검사 및 시험
(1) 일반사항
①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 후, 적당한 방법에 의해 표면의 상태가 양호한가,
구조물의 위치, 형상, 치수 등이 허용오차 이내로 만들어졌는가, 구조물 중
의 콘크리트의 품질이 소요의 품질인가, 구조물의 각 부위가 충분히 그 기
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가 등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
다.
② 검사결과, 불합격이 되었을 경우 또는 비파괴검사 등의 결과로부터 상세 검
사의 필요성이 생긴 경우의 조치에 대해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2) 표면상태의 검사
① 표면상태의 검사는 표 6-17에 의한다.
② 검사결과 이상이 확인된 경우에는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 제정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요령」을 참고로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보수를 실
시하여야 한다.
표 6-17 콘크리트의 표면상태의 검사

항 목 검사방법 판정기준
노출면의 상태 외관 관찰 평탄하고 곰보, 자국, 기포 등에 의한 결함, 철근
피복 부족의 징후 등이 없으며, 외관이 정상일 것
균열폭은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4.2 균열」의
균 열 스케일에 의한 관찰 규정에 따르되, 구조물의 성능, 내구성, 미관 등
그의 사용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허용치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함.
시공이음 외관 및 스케일에
관찰
의한 신· 구 콘크리트의 일체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
단되는 것

(3) 콘크리트 부재의 위치 및 형상치수의 검사


① 콘크리트 부재의 위치 및 형상치수의 검사는 그 구조물의 특성에 적합한 별
도의 규준을 정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6 - 8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검사결과, 이상이 확인된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콘크리트를
깎아 내거나 재시공 또는 콘크리트 덧붙이기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
다.
(4) 철근피복 검사
① 표면상태의 검사에 의해 철근피복이 부족한 조짐이 있는 경우에는 비파괴시
험방법 등에 의해 철근피복 조사를 실시하여 소정의 철근피복이 확보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야 한다.
② 검사결과, 불합격된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강
구하여야 한다.
(5)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질의 검사
①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 또는 시공 검사에서 합격 판정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들 검사가 확실히 실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
질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의 품질 검사는 「3.13.1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
사」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③ 구조물 중의 콘크리트 품질 검사 시 필요할 경우에는 비파괴시험에 의한 검
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④ 콘크리트학회 발행「비파괴 시험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평가 요령」에 의
한 비파괴 시험에 의해 실제 구조물중의 콘크리트 품질 검사를 실시한다.
⑤ 비파괴 시험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구조물의 성능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 현장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제작, 시험 및 강도 결과
① 책임기술자는 실제의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보호와 양생이 적절한 지를 검
토하기 위하여 현장상태에서 양생된 공시체 강도의 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
② 현장에서 양생되는 공시체는 KS F 2403에 따라 현장 조건하에서 양생하여
야 한다.
③ 현장 양생되는 공시체는 시험실에서 양생되는 공시체와 똑같은 시간에 동일
한 시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④ 설계기준강도 f ck의 결정을 위해 지정된 시험 재령 일에 실시한 현장 양생
된 공시체 강도가 동일조건의 시험실에서 양생된 공시체 강도의 85 %보다

6 - 8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작을 때는 콘크리트의 양생과 보호절차를 개선하여야 한다. 만일 현장 양생
된 것의 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3.5㎫를 더 초과하면 85%의 한계조항은
무시할 수 있다.
(7) 시험결과 콘크리트의 강도가 작게 나오는 경우
① 시험실에서 양생된 공시체 개개의 압축시험결과가 설계기준강도보다 3.5 ㎫
이상 작거나 또는 현장에서 양생된 공시체의 시험결과에서 결점이 나타나면,
구조물의 하중지지 내력이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② 콘크리트 강도가 현저히 부족하다고 판단될 때, 그리고 계산에 의해 하중저
항 능력이 크게 감소되었다고 판단될 때에는 문제된 부분에서 코어를 채취
하여 KS F 2422에 따라 코어의 압축강도의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 때
강도시험값이 설계기준 f ck에 3.5㎫이상 부족한 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
여 3개의 코어를 채취하여야 한다.
③ 구조물에서 콘크리트 상태가 건조된 경우 코어는 시험 전 7일 동안 온도 15
∼30°C, 상대습도 60% 이하로 건조시킨 후 기건상태에서 시험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콘크리트가 습윤 된 상태에 있다면 코어는 적어도 40시간 동안 물
속에 담궈 두어야 하며, 습윤상태로 시험하여야 한다.
④ 만일 모든 코어 공시체의 3개의 압축강도 평균값이 f ck의 85%에 달하고,
각각의 강도가 f ck의 75%보다 작지 않다면 구조적으로 적합하다고 판정할
수 있다. 시험의 정확성을 위하여 불규칙한 코어 강도를 나타내는 위치에
대해서 재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8) 재하시험에 의한 구조물의 성능 시험
① 공사 중에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 공사 중 현장에서
취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결과로부터 판단하여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
단되는 경우, 그 밖의 공사 중 구조물의 안전에 어떠한 근거 있는 의심이
생긴 경우 등으로서 책임기술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재하시험
을 실시한다.
② 구조물의 성능을 재하시험에 의해 확인할 경우 재하시험 방법은 그 목적에
적합하도록 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재하방법, 하중크기 등은 구조물에 위험
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한다.
③ 재하 도중 및 재하 완료 후 구조물의 처짐, 변형률 등이 설계에 있어서 고

6 - 8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려한 값에 대해 이상이 있는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④ 재하시험 방법, 재하기준, 허용기준, 허용 내구력에 대한 규정 등 재하시험
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을 준용한다.
⑤ 시험결과, 구조물의 내하력,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라 구조물을 보강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4-2 한중콘크리트 6-4-2 한중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한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한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1.2 한중콘크리트를 시공하여야 할 시기를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나, 콘크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4장 한중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리트를 칠 때 하루 평균 기온이 4℃이하가 예상될 경우 사용하여야 한다.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1.3 한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은 기온이 0∼4℃에서는 간단한 주의와 보온으로 시 2. 재 료


공하고, -3∼0℃에서는 물 또는 물과 골재를 가열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어느 해당사항 없음
정도의 보온이 필요하다. -3℃ 이하에서는 물과 골재를 가열하여 콘크리트의 3. 시 공
온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온, 급열에 의하여 친 콘크리 해당사항 없음
트를 소요의 온도로 유지하는 등의 본격적인 한중콘크리트 시공을 한다.
1.1.4 일평균기온이 0℃이하가 예상될 경우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1.1.3의 규정에 따
라 시공하고, 일평균기온이 -3℃이하가 예상될 경우 가급적 콘크리트 치기를
하지 말아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 한중콘크리트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
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2 관련 시방 절

6-4-1 일반 콘크리트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6 - 8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8장 한중콘크리트
1.4 제출물

제출물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6 운반 및 저장

운반 및 저장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1.2 재료를 가열할 경우에는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여야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에도 가열해서는 안 된다.
2.1.3 골재의 가열은 균등하여야 하며, 한 부위에 집중된 온도가 100℃를 초과하지
않도록 과열을 피하고, 평균온도는 골재를 배치에 넣을 때에 6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2 장비

2.2.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 배합

2.3.1 배합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2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KS F 2560의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감수제 등을 사용하면 미세한 기포를 콘크리
트 속에 연행시킴에 따라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는 데 필용한 단위수량을 줄

6 - 8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중의 물의 동결에 의한 해를 작게 할 수 있다.
2.3.3 단위수량은 초기 동해를 작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
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하여야 한다.
2.4 계량 및 비비기

2.4.1 계량 및 비비기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4.2 비빈 직후 콘크리트의 온도는 기상조건, 운반시간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칠
때 소요의 콘크리트 온도가 얻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2.4.3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시멘트가 급결하지 않도록, 먼저 뜨거
운 물과 굵은골재, 다음에 잔골재를 넣어서 믹서 안에 재료의 온도가 40℃ 이
하가 되고 나서 시멘트를 넣어야 한다.
2.4.4 콘크리트의 타설계획을 세울 때에는 가열설비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비빈 직후의 온도가 각 배치마다 변동이 작아지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2.5 자재의 품질관리

2.5.1 자재의 품질관리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3. 시공
3.1 시공기준

3.1.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1.2 운반 및 치기
(1) 콘크리트의 운반 및 치기 전에 관로의 보온, 치기 전의 온수에 의한 예열, 치
기 종료 시의 청소 등을 철저히 하여 작업의 중단을 피하여야 하며, 비벼서
치기까지의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하여 열량의 손실을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
(2) 치기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다음 표의 범위에서 정한다.
표 6-18 콘크리트 타설 및 관리시의 추천온도

6 - 8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단면 크기, 최소치수 기준(㎜)
단계 주변온도
< 300㎜ 300∼900㎜ 900∼1800㎜ > 1800㎜
타설 및 관리시의 최소 콘크리트 온도
1 - 13℃ 10℃ 7℃ 5℃
주변온도를 고려한 배합시의 최소 콘크리트 온도*
2 -1℃ 초과 16℃ 13℃ 10℃ 7℃
3 -18 to -1℃ 18℃ 16℃ 13℃ 10℃
4 -18℃ 미만 21℃ 18℃ 16℃ 13℃
보온천막을 제거한 후 처음 24hr 동안의 최대허용 온도강하
5 - 28℃ 22℃ 17℃ 11℃

(3) 콘크리트를 칠 때에는 철근이나 거푸집 등에 빙설이 부착해 있어서는 안 된다.


(4) 시공이음부에 구콘크리트가 동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면을 치핑하여 동결된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콘크리트를 쳐야 한다.
3.1.3 양생
(1) 양생방법 및 양생기간은 6-4-1절에 따르는 외에 외기온도, 배합, 구조물의 종
류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는 치기 후 초기에 동결하지 않도록 잘 보호하고, 특히 바람을 막아
야 한다.
(3) 콘크리트에 열을 가할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급격히 건조하거나 국부적으로
가열되거나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는 시공 중에 예상되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가 얻어질 때까지
양생하여야 한다.
(5) 보온양생 또는 급열양생을 끝마친 후에는 콘크리트의 온도를 급격히 저하시
켜서는 안 된다.
(6) 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콘크리트는 표 6-19의 압축강도가 얻어질 때까지 콘크
리트의 온도를 5 ℃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며, 양생이 끝난 후 2일간은 0
℃ 이상이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6 - 8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6-19 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의 양생 종료 시의 소요 압축강도의 표준

단 면 SI단위(㎫) 중력단위(㎏f/㎠)
구조물의 노출 얇은 경우 보통 경우 두꺼운
경우 얇은 경우 보통 경우 경우
두꺼운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15.0 12.0 10.0 150 120 100
물로 포화되는 부분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
고 (1)에 속하지 않는 5.0 5.0 5.0 50 50 50
부분

3.1.4 거푸집 및 동바리


(1) 거푸집은 보온성이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동바리의 기초는 지반의 동상이나 동결된 지반의 융해에 의하여 변위를 일으
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거푸집 떼어내기는 콘크리트의 온도를 갑자기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 현장 품질관리 및 검사

3.2.1 한중 콘크리트의 품질검사는 6-4-1절 3.13.2 콘크리트 시공 검사 외에 표 6-19


에 따른다.
3.2.2 양생을 끝낼 시기, 거푸집 및 동바리를 떼어낼 시기에 대하여는 현장의 콘크
리트와 가급적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시험에 의하거나 콘크리
트의 온도기록에 의한 적산온도로부터 추정한 강도에 의하여 정한다.
3.2.3 물-시멘트 비를 적산온도 방식에 의하여 정한 경우,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 또는 품질검사를 위한 압축강도시험의 재령은 다음 식으로부터 정한다.
다만, 시험체의 양생은 20±3℃인 수중양생으로 한다.
Z20 = M/30 (일)
여기서, Z20 :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할 재령(일)
M : 배합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적산온도의 값(。D․D)
(1) 구조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사는 현장 봉함양생으로 실시한다.

6 - 8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양생기간 중에는 콘크리트의 온도, 보온된 공간의 온도 및 기온을 자기기록
온도계로 기록한다. 단, 콘크리트가 동결할 위험성이 적은 경우에는 그 주위
의 기온만을 기록하여 양생관리를 하여도 좋다.
표 6-20 한중콘크리트의 검사

항 목 시험․검사 시기․횟수 판정 기준
방법
외기온도 일평균 기온 4℃ 이하
5∼20℃ 이내 및 계획된 온도의
타설시 온도 온도측정 및 공사 중 범위
공사 시작 전 내, 계획하는 온도의 범위는
3.1.2 운반 및 타설에 적합할 것
양생 중의 콘크리트 온도 혹 계획된 온도 범위 내, 계획할 온
은 보온 양생된 공간의 온도 도 범위는 3.1.3 양생에 적합할 것

6 - 8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4-3 서중콘크리트 6-4-3 서중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서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서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1.2 서중콘크리트를 시공하여야 할 시기를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나, 콘크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5장 서중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리트를 칠 때의 기온이 30℃를 초과하거나 또는 하루 평균 기온이 25℃ 이상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이 예상될 경우 사용하여야 한다. 2. 재 료


1.1.3 일평균기온이 25℃ 이상이 예상될 경우 가급적 콘크리트 치기를 하지 말아야 해당사항 없음
하며, 부득이 한 경우 서중콘크리트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3. 시 공
받아야 한다. 해당사항 없음
1.2 관련 시방 절

6-4-1 일반 콘크리트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9장 서중콘크리트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일반콘크리트
대한토목학회 규준 유동화 콘크리트 시공지침 동 해설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1.4 제출물

제출물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6 - 9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6 운반 및 저장

운반 및 저장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의 해당요건에 따라야 하며, 골재온도가 콘크리트의 온도에 미


치는 영향이 크므로(보통 골재 온도 ±2 ℃에 대하여 콘크리트 온도 ±1℃의
변화), 장시간 직사일광에 방치했던 골재를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온도
가 4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낮은 온도의 혼합수를 사용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물의 온도 ±4 ℃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온도 ±1℃의 변
화)
2.1.2 감수제 및 AE감수제는 KS F 2560에 적합한 지연형의 제품이어야 한다.
2.1.3 유동화제는 대한토목학회규준 「유동화 콘크리트 시공지침 동해설」에서 정한
지연형의 제품이어야 한다.
2.2 장비

2.2.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 배합

2.3.1 배합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2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및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단위 수량 및 단위 시멘트량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하여야 한다.
2.4 계량 및 비비기

2.4.1 계량 및 비비기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4.2 비빈 직후 콘크리트의 온도는 기상조건, 운반시간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칠
때 소요의 콘크리트 온도가 얻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6 - 9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 자재의 품질관리

2.5.1 자재의 품질관리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3. 시공
3.1 시공기준

3.1.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1.2 운반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는 운반 도중 콘크리트가 건조 또는 가열되거나 하는 일
이 적은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1) 덤프트럭 등을 사용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을 덮어서 직사일광
이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2) 펌프로 수송할 경우에는 수송관을 젖은 천으로 덮어야 한다.
(3) 레미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애지테이터 트럭을 뙤약볕에 장시간 대기시키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배차계획까지 충분히 고려하여 시공계획을 세워야 한다.
3.1.3 치기
(1)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는 지반, 거푸집 등 콘크리트로부터 물을 흡수할 우려
가 있는 부분을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2) 거푸집, 철근 등이 직사일광을 받아서 고온이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살수,
덮개 등의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치기는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실시하여야 하며, 비벼서 치기를 시
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 이내에 쳐 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책을 강구
했을 때라도 1.5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4) 치기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35℃이하 이어야 한다.
(5) 콘크리트 치기는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6) 대량의 콘크리트를 칠 경우에는 치기구획이나 순서를 계획하는 것 외에 1회
의 치기량을 제한하거나 지연제를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 - 9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양생
(1) 서중에 친 콘크리트 표면은 직사일광이나 바람에 쏘이면 갑자기 건조해서 균
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콘크리트를 친 후 적어도 24시간 동안은 노출면이
건조하는 일이 없도록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며, 양생은 적어도 5일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2) 목재거푸집의 경우처럼 거푸집 판에 따라서 건조가 일어날 염려가 있는 경우
에는 거푸집까지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며, 거푸집을 떼어낸 후에도 양생
기간 동안은 노출면을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친 후 콘크리트의 경화가 진행되어 있지 않은 시점에서 갑작스러
운 건조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재진동이나 탬핑을 실시하
여 이것을 없애야 한다.
(4) 막양생을 실시할 경우에는 충분한 양의 막양생제를 적절한 시기에 균일하게
살포하여야 한다. 막양생으로 수밀한 막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막
양생제를 적절한 시기에 살포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 전에 살포량, 시공방
법 등에 관해서 시험을 통하여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막양생제는 콘크리
트 표면의 물빛이 없어진 직후에 실시하며, 부득이 살포가 지연되는 경우에
는 막양생제를 살포할 때까지 콘크리트 표면을 습윤상태로 보호하여야 한다.
3.2 현장 품질관리 및 검사

3.2.1 서중콘크리트의 품질검사는 6-4-1절의 「3.13.2 콘크리트 시공검사」외에 표


6-20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표 6-21 서중콘크리트의 품질검사

6 - 9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 목 시험․검사 시기․회수 판단기준
방법
외기온 공사 시작 전 일평균기온 25°C를 초과하는 경우
및 공사 중
온도측정 35°C 이하 및 계획한 온도의 범위 내, 계획하는
타설 시 온도 공사 중 온도범위는 「3.1.3 치기」에 적합할 것. 매스콘
크리트의 경우는 6-4-5절「3. 시공」에 준할 것
운반시간 시간의 확인 공사 시작 전 비비기로부터 타설 종료까지의 시간은 1.5시간
및 공사 중 이내 및 계획한 시간 이내일 것

6-4-4 팽창콘크리트 6-4-4 팽창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수축보상용 콘크리트 및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를 (1) 이 시방은 수축보상용 콘크리트 및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를 대상으
대상으로 하는 팽창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로 하는 팽창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0장 팽창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6-4-1 일반 콘크리트 2. 재 료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3 참조규준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3. 시 공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재 해당사항 없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6장 팽창콘크리트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1.4 제출물

제출물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6 - 9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6 운반 및 저장

1.6.1 운반 및 저장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6.2 팽창재는 풍화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1.6.3 팽창재는 습기의 침투를 막을 수 있는 사일로 또는 창고에 시멘트 등 다른 재
료와 혼입되지 않도록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1.6.4 포대팽창재는 지상 0.30 m 이상의 마루 위에 쌓아 운반이나 검사에 편리하도
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1.6.5 포대팽창재는 15포대 이상 쌓아서는 안 된다.
1.6.6 포대팽창재는 사용 직전에 포대를 여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저장 중에 포대
가 파손된 것은 공사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1.6.7 저장기간이 길어진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하여 소요의 품질을 갖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나서 사용하여야 한다.
1.6.8 팽창재의 운반 또는 저장 중에 직접 비에 맞지 않도록 한다.
1.6.9 벌크(bulk)상태의 팽창재 및 팽창재와 시멘트를 미리 혼합한 것은 양호한 밀
폐상태에 있는 사일로(silo)등에 저장하여 다른 재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1.2 팽창재, 표면활성제 및 플라이 애시 이외의 혼화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
험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소요품질을 확보할 수 있
는 재료를 산정하여야 한다.

6 - 9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장비

2.2.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 배합

2.3.1 팽창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워커빌리티를 만족하도록


정함과 동시에 건조수축보상에 의한 균열감소 혹은 화학적 프리스트레스 도입
에 의한 인장 또는 휨내력의 증대, 충전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등 그 목적에
따라 필요한 팽창성능을 갖도록 정하여야 한다.
2.3.2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및 슬럼프는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
에서 되도록 작은 값으로 정하여야 한다.
2.3.3 팽창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기 전에 반드시 시험비빔을 하여 슬럼프, 단위
용적중량, 압축강도 등의 시험을 하는 외에 필요에 따라서 팽창률 시험을 하
여 각각 소요의 값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1)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재령 7일에 대한 시험치를 기준으로 한다.
(2) 콘크리트 팽창률 시험은 KS F 2562의 참고 1에 규정된 A법에 따른다.
(3) 수축보상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150×10-6 이상, 250×10-6 이하인 값을 표준으
로 한다.
(4)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10-6 이상, 700×10-6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5) 공장제품에 사용하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10-6
이상, 1,000×10-6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3.4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은 단위팽창제를 제외한 값으
로서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260 ㎏/㎥ 이상으로 한다.
2.4 계량 및 비비기

2.4.1 계량 및 비비기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5 자재품질관리

6 - 9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1 자재품질관리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3. 시공
3.1 일반사항

3.1.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1.2 내ㆍ외부 온도차에 의한 온도균열의 우려가 있으므로 팽창콘크리트에 급격한
살수를 해서는 안 된다.
3.1.3 콘크리트 거푸집의 존치기간은 콘크리트 강도의 확보와 팽창률 확보를 위하여
수화반응에 필요한 수분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평균기온 20 ℃ 미만인 경
우에는 5일 이상, 20℃ 이상인 경우에는 3일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
3.1.4 소요의 품질을 갖는 팽창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의 재료, 기계설비 및 작업 등을 관리하여야 한다.
3.1.5 팽창콘크리트의 품질은 원칙적으로 팽창률 및 압축강도의 시험값에 의해 확인
하여야 한다.
3.1.6 검사결과 콘크리트의 품질이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배합의 수정,
기계설비의 성능검사, 작업방법의 개선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함과 동시에 미리
친 콘크리트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에 따
라 적당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2 품질관리 및 검사

3.2.1 팽창콘크리트의 품질검사는 표 6-22와 6-4-1절 3.13.1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에 따른다.
표 6-22 팽창률 및 압축강도의 품질검사

6 - 9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회수 판 단 기 준
팽 구조물의 중요도 ․수축보상용 콘크리트 경우 :
- 6 이상, 250×10 - 6 이하
창 KS F 2562 와 공사의 규모 150 ×10
률 참고1의 A 방법 에 따라 정한다.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 경우 :
(재령7일 표준) 200×10 - 6 이상, 700×10 - 6 이하
․압축강도 근거로 물결합재비를 정한 경우 :
수축보상용 콘크리 1회/일 또는 구 3회 연속한 압축강도의 시험값에 평균이 설
트인 경우 : 조물의 중요도와 계기준강도에 미달하는 확률이 1% 이하라야
강 KS F 2405의 방법 공사의 규모에 하고, 또한 설계기준강도 보다 3.5 ㎫를 미달
화학적 프리스트레 따라 150㎥마다 하는 확률이 1% 이하일 것
도 스용 콘크리트인 1회, 배합이 변 ․내구성, 수밀성을 근거로 물겹합재비를 정한
경우: KS F 2562 경될 때마다(재 경우 :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평균값이 소정
참고2의 방법 령 28일 표준) 의 물겹합재비에 상당하는 압축강도를 초과
할것

6-4-5 매스콘크리트 6-4-5 매스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및 (1) 이 시방은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및 온
온도 응력을 비롯하여 매스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도 응력을 비롯하여 매스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1.2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치수는 구조형식, 사용재료, 시공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8장 매스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조건에 따라 각각 달라서 일률적으로 정하기 어렵지만, 대체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슬래브에서는 두께 0.8m 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에서는 두께 2. 재 료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0.50m 이상으로 보면 된다. 해당사항 없음


1.2 관련 시방 절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6-4-1 일반 콘크리트
1.3 참조규준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7장 매스콘크리트

6 - 9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1.4 제출물

제출물은 6-4-1절에 따라야 하며 다음 사항을 추가하여야 한다.


1.4.1 균열제어철근의 배치
1.4.2 블록분할과 이음위치도
1.4.3 콘크리트의 냉각을 위한 장치 설치도
1.4.4 균열유발줄눈의 설치 위치와 간격을 표시한 전개도
1.4.5 온도균열의 제어 계획서
계획서에는 사용하는 시멘트의 종류, 혼화재료, 골재 등을 포함한 재료 및 배
합의 적절한 선정, 블록분할과 이음위치, 콘크리트 치기의 시간간격의 선정,
거푸집의 재료와 구조, 콘크리트의 냉각, 양생방법의 선정, 균열제어철근의 배
치 등 시공전반에 걸친 검토가 포함되어야 한다.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1.2 매스 콘크리트의 재료 및 배합을 결정할 때에는 설계기준 강도와 소정의 워커
빌리티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이 최소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시공준비

3.1.1 매스콘크리트의 시공 시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소요의 품질과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사전에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 및 온도균열에 대한 충분
한 검토를 한 후에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이것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6 - 9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2 넓은 면적에 걸쳐 콘크리트를 칠 경우에는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
구간의 면적, 콘크리트의 공급능력, 이어치기의 허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공
순서를 정하여야 한다.
3.2 시공 중 유의사항

3.2.1 매스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를 친 후에 침하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경화가 진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침하균열이 발생하였다면 즉시 재진동이나 탬
핑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3.3 온도균열의 제어

3.3.1 계약상대자는 구조물에 필요한 기능 및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적절한 콘크리트의 품질 및 시공방법의 선정, 균열제어철근의
배치 등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3.2 균열유발줄눈 설치
(1)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명시된 도면에 균열유발줄눈을 둘 경우에 구조
물의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그 구조 및 위치를 정확히 설치하여야 한다.
(2) 균열유발줄눈에 발생한 균열이 내구성 등에 유해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보수
를 하여야 한다.
3.3.3 블록분할 및 이음
매스콘크리트의 치기구역의 크기와 이음의 위치 및 구조는 온도균열의 제어 및
1회 콘크리트 치기능력 등 시공 상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3.3.4 콘크리트 치기 시간간격
매스콘크리트 치기 시간간격은 균열제어의 관점으로부터 구조물의 형상과 구
속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정하여야 한다.
3.3.5 거푸집
(1) 매스콘크리트의 거푸집은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온도관리를
고려하여 그 재료 및 구조를 선정하여야 한다.
(2) 온도상승을 작게 하는 데는 방열성이 높은 거푸집이 좋으나, 치기가 끝난 뒤
에 큰 폭으로 기온의 저하가 예상될 경우, 또는 겨울철에 콘크리트 내부와 표
면부의 온도차가 커지는 경우에는 보온성이 좋은 거푸집을 사용하여야 한다.

6 - 10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보온성이 거푸집을 쓸 경우에는 거푸집의 존치 기간보다 길게 하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4) 거푸집을 떼어낸 후 콘크리트 표면의 급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 등으로
덮어 콘크리트 표면의 보온을 계속해 주어야 한다.
3.3.6 콘크리트의 치기온도
매스콘크리트의 치기온도는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관점에서 될 수 있는
대로 저온으로 하여야 한다. 치기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특히 세밀한 계획을
세워 시공하여야 한다.
3.3.7 양생시의 온도제어
매스콘크리트의 양생은 콘크리트의 온도변화를 제어하기 위하여 온도균열제어
대책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3.4 현장품질관리

3.4.1 온도관리
(1) 매스콘크리트의 시공관리에서는 일반콘크리트에서의 품질관리 외에 온도제어
를 목적으로 콘크리트를 친 직후부터 외기온도와 거의 같게 될 때까지 온도
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측정결과 친 후의 콘크리트 각 부분의 온도상태가 예측한 것보다 크게 다를
때에는 계속 시공하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양생방법, 치기 시간간격 등의 대
책을 재검토하여 예측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검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4.2 검사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 후, 구조물의 균열검사를 하여 해로운 균열이 발생
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6 - 10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4-6 수중콘크리트 6-4-6 수중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일반 수중콘크리트,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현장치기 콘크리트 (1) 이 시방은 일반 수중콘크리트,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현장치기 콘크리트말
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 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
다. 다.
1.1.2 수중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구조물에는 해양 등 수면 하의 비교적 넓은 면적에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6장 수중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콘크리트를 쳐서 만드는 구조물과 현장치기 말뚝 또는 지하연속벽과 같이 비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교적 좁은 곳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이 있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1.2 관련 시방 절
3. 시 공
6-4-1 일반 콘크리트 해당사항 없음
6-5 철근공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3장 수중콘크리트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AD 102 콘크리트용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품질 규준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CT 102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시험용
수중제작 공시체의 제작 방법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CT 103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슬럼프플로
시험방법
1.4 제출물

1.4.1 현장 동원 및 철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6 - 10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4.2 검사 및 시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4.3 시공 상세도면
시공 상세도면은 시공순서도, 환경오염방지 가시설물도(오탁방지막 등)를 추
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4.4 제품자료
제품자료는 혼화재료의 성분, 특성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
자료, 사용 지침서, 사용 실적 등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4.5 안정액처리
현장치기 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한 안정액을 잘못 처리할 시는 현장주변
의 하수관 등을 막히게 하든지 주변의 도로를 더럽힐 수 있어서, 안정액의 처
리계획을 제출하여야 한다. 처리계획에는 공사에 관계된 배수기준, 환경기준과
침전탱크, 진공차 등의 처리시설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콘크리트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1.2 철근은 6-5절에 따라야 한다.
2.2 혼화재료

2.2.1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는 대한토목학회 규준 콘크리트용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


품질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감수제, AE감수제, 고성능감수제 또는 이
이외의 혼화제는 품질이 확인된 것으로서 수중 불분리성 혼화제와 병용하여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3 장비

6 - 10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4 배합

2.4.1 일반적인 수중콘크리트


(1) 슬럼프는 표 6-23을 표준으로 한다.
표 6-23 수중콘크리트의 슬럼프 표준

시공방법 일반 수중콘크리트 현장타설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콘크리트
트레미 130∼180㎜ 180∼210㎜
콘크리트 펌프 130∼180㎜ -
밑열림상자, 밑열림포대 100∼150㎜ -

(2) 물-시멘트 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단위시멘트량은 370 ㎏f/㎥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4.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배합은 콘크리트가 소정의 수중 불분리성, 강도,
유동성 및 내구성을 가지도록 배합설계에 의하여 정하여야 한다.
(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그 시공조건에 따라 표 6-24에 나타낸 슬
럼프 플로로써 설정한다. 슬럼프 플로 시험은 콘크리트학회 규정 KIC-CT103
에 따른다.
표 6-24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

6 - 10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 공 조 건 슬럼프 플로의
범위(㎜)
급경사면의 장석(1:1.5∼1:2)의 고결, 사면의 엷은 슬래브(1:8 정도까지) 350∼400
의 시공 등에서 유동성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
단순한 형상의 부분에 타설하는 경우 400∼500
일반적인 경우, 표준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설하는 경우 450∼550
복잡한 형상의 부분에 타설하는 경우 550∼600
특별히 양호한 유동성이 요구되는 경우

(3)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 및 콘크리트의 품질변동


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4)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 ㎜이하를 표준으로 하고 부재최소치수의 1/5 및
철근의 최소간격의 1/2을 넘어서는 안 된다.
(5) 공기량은 4%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4.3 현장치기 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콘크리트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철근 순간격의 1/2 이하 또는 25㎜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 슬럼프 값은 180∼210㎜를 표준으로 한다.
(3) 물-시멘트 비는 55%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4) 단위시멘트량은 350 ㎏/㎥ 이상으로 한다.
2.5 비비기

2.5.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제조설비가 갖추어진 플랜트에서 물을
투입하기 전에 건식으로 비빈 후 전 재료의 비비기를 하여야 한다.
(2) 믹서는 강제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3) 1회 비비기 양은 믹서의 공칭용량의 80%이하이어야 한다.
(4)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 10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6 품질관리

2.6.1 시험
(1)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 KCI-CT 102
에 따라서 제작한 수중제작 공시체의 재령 28일에 있어서의 압축강도를 배합
강도로 설정한다.
(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유동성은 슬럼프 플로로 표시한다. 슬럼프 플로
시험은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 시험방법에 의한 것
으로 한다.
3. 시공
3.1 일반

3.1.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1.2 수중콘크리트는 그 성질을 충분히 고려하여 재료, 배합, 치기 및 시공기계 등
에 특히 주의하여 재료분리가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2 일반적인 수중콘크리트

3.2.1 콘크리트치기의 원칙
(1) 콘크리트는 정수 중에서 쳐야한다.
(2) 콘크리트는 수중에 낙하시켜서는 안 된다.
(3) 콘크리트 면은 가능한 한 수평하게 유지하면서 소정의 높이 또는 수면 상에
이를 때까지 연속해서 쳐야 한다.
(4) 레이탄스의 발생을 되도록 적게 하기 위하여 치는 도중에 될 수 있는 대로
콘크리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5)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 물의 유동을 막아야 한다.
(6) 한 구획의 콘크리트 치기를 완료한 후 레이탄스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연
속하여 쳐서는 안 된다.
(7) 콘크리트는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해서 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6 - 10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러나,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밑열림상자나 밑열림포대를 사용해도 좋다.
3.2.2 트레미에 의한 치기
(1) 트레미는 수밀성을 가지며 콘크리트가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는 크기를 가져
야 하며, 수심에 따른 안지름은 다음과 같다. 또한 트레미의 안지름은 굵은골
재 최대치수의 8배 정도는 필요하다.
① 수심 3m 이내에서 250㎜
② 수심 3∼5 m 에서는 300㎜
③ 수심 5m이상에서는 300∼500 ㎜
(2) 트레미 1개로 칠 수 있는 면적은 30㎡이하로 하여야 한다.
(3) 트레미는 콘크리트를 치는 동안 그 하반부가 항상 콘크리트로 채워져 있어야
하며, 트레미 하단을 친 콘크리트 면보다 300∼400㎜아래로 유지하여야 한다.
(4) 트레미는 콘크리트를 치는 동안 수평 이동시켜서는 안 된다.
(5) 트레미의 취급은 각 단계에서의 상태를 미리 상세히 검토하여 치는 동안의 콘크
리트에 대하여 좋지 않은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다.
(5) 특수한 트레미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적합성을 확인하고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3.2.3 콘크리트 펌프에 의한 치기
(1) 콘크리트 펌프의 배관은 수밀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의 치는 방법은 트레미에 준하여야 하며, 펌프의 안지름은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3∼4배에 해당하는 100∼150㎜를 사용하고, 수송관 1개로 쳐지는
면적은 5 ㎡ 이하로 하여야 한다.
3.2.4 밑열림상자 및 밑열림포대에 의한 치기
(1) 밑열림상자 및 밑열림포대는 그 바닥이 콘크리트를 치는 면 위에 도달해서
콘크리트를 쏟아 부을 때 쉽게 열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를 치는데 있어서는 밑열림상자 및 밑열림포대를 조용히 수중에 내
려 콘크리트를 쏟은 후,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상당한 거리가 떨어질 때까지
천천히 끌어 올려야 한다.

6 - 10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

3.3.1 치기
(1) 치기는 정수 중에서 수중낙하높이 0.5 m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
기서 정수중이란 유속이 0.5 m/s 정도 이하를 의미한다.
(2) 치기는 콘크리트 펌프 또는 트레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수중 불
분리성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2 콘크리트는 치기 후 경화할 때까지 유수, 파도 등에 씻겨져서 표면이 세굴되
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4 현장치기 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 콘크리트

3.4.1 철근망태 설치
(1) 철근망태는 보관, 운반, 설치할 때 유해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제
작하여야 한다.
(2) 철근의 피복두께는 충분히 취하여야 한다.
(3) 간격재는 명시된 도면에서와 같은 피복두께가 확보되도록 적정한 형상, 배치
가 되도록 한다.
(4) 철근망태를 설치할 때 굴착 종료 후 될 수 있는 대로 빠른 시기에 실시하고
그 위치와 연직도를 정확히 유지하여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공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4.2 치기
(1) 콘크리트의 치기에 앞서 진흙의 제거를 확실히 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는 트레미를 써서 연속하여 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콘크리트를
치는 중에서 콘크리트 속에 트레미의 삽입깊이는 2∼6m이내 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는 명시된 도면보다 0.50 m 이상의 높이로 치고, 경화한 후 이것을
제거하여야 한다.
(4) 사용한 안정액의 처리는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6 - 10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품질관리 및 검사

3.5.1 일반 수중콘크리트의 품질검사는 표 6-25에 따른다.


3.5.2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표 6-26에 따른다.
3.5.3 현장타설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 콘크리트의 검사는 표 6-27에
따른다.
표 6-25 일반 수중콘크리트의 품질검사

종류 항목 시험․검사 시기․회수 판단기준


방법
․받아들이기 시점 수중 시공 시의 할증을
배 합 압축강도 KS의 F방법
2405 ․1회/일 또는 구조물의 중
요도와 공사의 규모에 따
고려한 설계기준강도를
바탕으로 6-4-1절 2.3 배
라 20∼150 ㎥ 마다 1회 합에 준함.
배합시험에 규정치 이하, 규정치가
수중 물-시멘트비 의함. 〃
없는 경우는 50% 이하
분리
저항성 단위시멘트량 배합시험에 규정치 이상 규정치가 없
의함. 〃
는 경우는 370 ㎏/㎥ 이하
시공계획서의 값, 트레미,
유동성 슬럼프 KS의 F방법2402 〃 콘크리트 펌프의 경우
130∼180 ㎜

표 6-26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6 - 10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 항목 시험․검사 시기․회수 판단기준
방법
․받아들이기 시점
수중제작 KCI-CT103 ․1회/일 또는 구조물
공시체 의 중요도와 공사의 6-4-1절 2.3 배합에 준함.
압축강도 의 방법 규모에 따라 20∼150
배합 ㎥ 마다 1회
․40 ㎜ 이하
굵은골재의 배합시험에 ․부재최소치수의 1/5 및
최재치수 의함. 〃
철근의 최소 순간격의
1/2를 초과하지 않을 것
규정치 이상 규정치가 없는
수중 수중분리도 KCI-AD102
의 방법 〃 경우는 현탁물질량은 50
분리 mg/ℓ이하, ㏗는 12.0 이하
저항성 수중기중 KCI-CT102 일반적인 경우 0.7 이상,
강도비 의 방법 〃 철근콘크리트의 경우는
0.8 이상
유동성 슬럼프 KCI-CT 103 규정치 ±30 ㎜
플로 의 방법 〃

표 6-27 현장타설말뚝 및 지하연속벽에 사용하는 수중콘크리트의 품질검사

종류 항목 시험․검사 시기․회수 판단기준


방법
․받아들이기 시점 수중 시공 시의 할증을
압축강도 KS F 2405 ․1회/일
중요도와
또는 구조물의
공사의 규모 고려한 설계기준강도를
의 방법 에 따라 20∼150 ㎥마 바탕으로 6-4-1절 2.3 배
배합 다 1회 합에 준함.
굵은골재의 배합시험에 ․25 ㎜ 이하
최재치수 의함. 〃 ․철근의 최소 순간격의
1/2를 초과하지 않을 것
배합시험에 규정치 이하, 규정치가
수중분리 물-시멘트 비 의함. 〃
없는 경우는 55 % 이하
저항성 단위시멘트량 배합시험에 규정치 이상, 규정치가 없
의함. 〃
는 경우는 150 ㎥ 이상
슬럼프 또는 시공계획서의 값, 지시가
유동성 슬럼프 KS F 2402 없는 경우의 슬럼프는
플로

180∼210 ㎜, 슬럼프 플로
의 규정치 ±30 ㎜

6 - 1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4-7 해양콘크리트 6-4-7 해양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해양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해양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1.2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은 해면 아래에 있게 되어 해수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뿐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7장 해양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만 아니라, 육상이나 해면상에 건설되어 파랑이나 해수 물보라, 조풍의 작용을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받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2. 재 료
1.1.3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수중콘크리트로 시공할 경우에는 이 절의 규정 해당사항 없음
하는 것 외에 6-4-6절에 따라야 한다.
3. 시 공
1.2 관련 시방 절 해당사항 없음
6-4-1 일반 콘크리트
6-4-6 수중 콘크리트
1.3 적용규준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5장 해양콘크리트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1.4 제출물

1.4.1 현장 동원 및 철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4.2 검사 및 시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 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4.3 시공 상세도면

6 - 1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공 상세도면은 다음 사항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환경오염방지 가시설물도(오탁방지막 등)
(2) 프리캐스트 부재 설치 순서도
(3) 프리캐스트 부재 설치방법
1.4.4 제품자료
제품자료는 혼화재료의 성분, 특성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
자료, 사용 지침서, 사용 실적 등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4.5 환경조사
해양콘크리트구조물 시공 전에 조풍, 파랑, 조류 등의 환경조건과 선박의 항행
이나 주변의 어장에 미치는 영향, 야간이나 악천후 때에 항행선박으로부터 받
는 장해 등을 미리 검토한 대책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1.4.6 프리캐스트 부재 운반(또는 예항) 계획서
프리캐스트 부재의 시공을 할 때는 부재를 설치 장소까지 안전하게 운반 또는
예항할 수 있도록 운반(또는 예항) 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계획서에는 기
상조건, 해상조건, 해상교통의 상황과 긴급한 상황 하에서의 대피방법, 대피장
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1.5 환경요구 사항

1.5.1 해양에서 현장치기 콘크리트 시공을 할 때에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수의 오탁이 일어나지 않는 공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1.5.2 오탁수가 시공 시 발생된다면 오탁수 처리방법을 제시하여야 하며, 처리된 물
의 버릴 장소 및 버릴 방법이 포함되어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의 해당 절의 요건에 따라야 한다.


2.1.2 시멘트는 해수의 작용에 대하여 내구적이어야 하므로 고로슬래그시멘트, 플라
이애쉬시멘트 등 혼합시멘트계 및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등이 좋다. 이들 혼
합계시멘트는 내해수성 이외에도 장기재령의 강도가 크고, 수화열이 적은 이

6 - 1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점이 있어 해양콘크리트에 적합하지만 초기강도가 작은 결점이 있어 초기 습
윤양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2.1.3 해양콘크리트에는 시멘트콘크리트 이외 시멘트와 폴리머를 사용한 폴리머시멘
트콘크리트와 결합재를 폴리머만 사용한 수지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콘크리트의
공극 속에 합성수지를 함침 시킨 플리머함침 콘크리트 등이 사용된다.
2.1.4 혼화재료 중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쉬를 적당량 시멘트와 치환함으
로써 수밀하고 해수의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으
나, 이들 혼화재의 사용효과는 혼화재의 종류, 분말도 및 혼합률에 따라 크게
상이하므로 사용 시에는 실험 등을 거쳐 품질을 확인한 후 사용방법을 정하여
야 한다.
2.2 장비

2.2.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 배합

2.3.1 물-시멘트 비
(1)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내구성으로부터 정하는 물-시멘트 비의 최대값은
표 6-28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표 6-28 내구성으로 정해진 AE콘크리트의 최대 물-시멘트 비(%)

시공조건 공장제품 또는 재료의 선정 및


일반 현장시공의 경우 시공에서 공장제품과 동등 이상의
환경구분 품질이 보증될 때
(a) 해중 50 50
(b) 해상 대기 중 45 50
(c) 물보라 지역 45 45
비고) 실적, 연구성과 등에 의하여 확증이 있을 때는 물-시멘트 비를 위 값에 5∼10 % 정
도 더한 값으로 해도 좋다.

(2) AE콘크리트로 한 무근콘크리트를 내구성으로부터 정한 최대 물-시멘트 비는


표 6-27의 값에 10 % 정도 더한 값으로 해도 좋다.

6 - 1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해수 또는 조수간만의 영향을 받으며 콘크리트를 쳐야 하는 시공조건이 나쁜
경우는 현장시공의 경우 최대 물-시멘트 비의 값을 표의 값에 5% 정도 작
게 하는 것이 좋다.
2.3.2 단위 시멘트량
단위 시멘트량은 구조물의 규모, 중요성, 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얻
어지도록 표 6-29의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표 6-29 내구성으로 정하여지는 단위시멘트량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25(㎜) 40(㎜)


환경구분
물보라 지역 및 해상 대기 중 330 300
해중 300 280

2.3.3 해양콘크리트구조물에 쓰이는 AE콘크리트의 공기량은 표 6-30의 값을 표준으


로 하여야 한다.
6-30 콘크리트의 공기량의 표준값(%)

환 경 조 건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25 40
동결융해 작용을 받을 (a) 물보라 6 5.5
염려가 있는 경우 (b) 해상 대기 중 5 4.5
동결융해를 받을 염려가 없는 경우 4 4
3. 시공
3.1 시공준비

3.1.1 해양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전에 환경조건, 항해선박으로부터 받는 장해 등을


미리 검토하여 대책을 세워야 한다.
3.2 시공기준

3.2.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2.2 해양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시에는 해역오염, 생태계의 영향 등이 미치지 않도

6 - 1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록 환경보전에 충분히 주의하여야 한다.
3.2.3 시공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여야 하며, 특히 최고조위로부터 0.6m, 최저
조위로부터 아래로 0.6m사이의 감조부분에는 시공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세부
공정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3.2.4 시공이음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음은 6-4-1절에 따라야 하며, 내구성에
결점이 되지 않도록 충분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2.5 콘크리트는 재령이 5일이 되기까지는 해수에 씻기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2.6 강재와 거푸집판과의 간격은 소정의 덮개를 확보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야 한다.
3.2.7 마모, 충격 등의 작용을 받는 부분은 적당한 재료로 콘크리트 표면을 보호하
거나 철근의 피복두께 또는 단면을 증가시켜야 한다.
3.2.8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치에 있어서는 소요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
록 시공방법, 설치방법 등은 세부 공정계획서 및 시공도에 따라야 한다.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방법 또는 다른 재료 부재와의 연결방법에
대해서는 충분한 내수성, 내염성을 가진 접합방법을 사용하고 소요의 내하력
및 내구성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3.3 품질관리 및 검사

3.3.1 품질관리 및 검사는 6-4-6절 3.5 품질관리 및 검사에 따른다.

6-4-8 유동화콘크리트 6-4-8 유동화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유동화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일반적 (1) 이 시방은 유동화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의 일반적인 시
인 시공에 적용한다. 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7장 유동화 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 - 1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4-1 일반콘크리트 2. 재 료
1.3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3. 시 공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해당사항 없음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방법
(질량 방법)
KS F 242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
(공기실 압력 방법)
KS F 244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용적에 의한 공기량 시험 방법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1장 유동화콘크리트
한국콘크리트 학회 규준 KCI AD 101「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 규준」
1.4 제출물

제출물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6 운반 및 저장

운반 및 저장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재료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1.2 유동화제는 대한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KCI-AD101) 「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 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3 AE제, 감수제, AE감수제는 KS F 2560에 적합하고 또한 유동화제와 병용할
경우에 유동화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6 - 1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장비

2.2.1 장비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3 배합

2.3.1 베이스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작업에 적당한 워
커빌리티를 가지며, 품질의 변동이 적어지도록 콘크리트의 배합 및 유동화제
의 첨가량을 정하여야 한다.
2.3.2 베이스 콘크리트는 원칙적으로 AE콘크리트로 하며, 그 배합 및 유동화제의
첨가량은 유동화후의 콘크리트가 워커빌리티, 강도, 내구성 및 수밀성 이외에
도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을 갖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2.3.3 슬럼프
(1) 유동화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작업에 적절한 범위로서 원칙적으로 210 ㎜ 이하
로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재료분리, 기타 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이 없는 것
을 나타내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 실적 또는 실험 자료가 있으면 그 값을
초과해도 좋다.
(2) 슬럼프의 증가량은 100㎜이하를 원칙으로 하며, 50∼80㎜를 표준으로 한다.
그러나 (1)과 같이 신뢰할 수 있는 자료, 실적 또는 실험자료 등이 있으면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슬럼프 증가량을 100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3) 일반 및 경량 콘크리트의 슬럼프 최대치는 표 6-31에 따른다.
표 6-31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콘크리트의 종류 베이스 콘크리트 유동화 콘크리트


일반 콘크리트 150 이하 210 이하
경량 콘크리트 180 이하 210 이하
2.3.4 배합 표시방법
(1) 배합의 표시방법은 표 6-32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표 6-32 배합의 표시방법

6 - 1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슬럼프1) 공기량1) 단위량
굵은 (㎜) (%) 물-시멘 잔골 (㎏/㎥)
골재의 혼화재료
최대
치수 베이스 유동화 베이스 유동화 트비
W/C
재율
s/a W C S G 혼 혼 유
(㎜) 콘크 콘크 콘크 콘크 (%) (%) 화 화2) 동2)
리트 리트 리트 리트 재 제 화

주 1) 슬럼프 및 공기량은 유동화 전후의 것으로 한다.


2) 혼화제 및 유동화제의 사용량은 ml/㎥ 또는 g/㎥으로 나타내고 희석시키지 않거나, 녹
이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유동화제의 용적은 콘크리트를 비비는 용적
계산에서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2) 시방배합은 잔골재가 5 ㎜체를 전부 통과하고 굵은골재는 5 ㎜체에 전부 남


는 것으로 하며, 모두 표면건조포화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3)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는 경우에는 골재의 함수상태, 5 ㎜체에 남는
잔골재의 량, 5㎜체를 통과하는 굵은골재 및 혼화제의 희석수량 등을 고려
하여야 한다.
2.4 계량 및 비비기

2.4.1 계량 및 비비기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2.4.2 콘크리트의 유동화는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에 의한다.
(1)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운반한 콘크리트에 공사현장에서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될 때까지 휘저어 유동화한다.
(2)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트럭애지테이터에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즉시 고속으로
휘저어 유동화한다.
(3)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트럭애지테이터에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저속으로 휘저
으면서 운반하고 공사현장 도착 후에 고속으로 휘저어 유동화한다.
2.4.3 유동화콘크리트를 다시 유동화 할 수 없다.
2.5 자재품질관리

2.5.1 자재품질관리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3. 시공

6 - 1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작업준비

3.1.1 유동화콘크리트 시공 시에는 유동화 후 소요의 품질이 얻어지도록 사전에 베


이스 콘크리트(base concrete)의 재료, 배합, 유동화 방법, 품질관리 등에 대해
서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3.1.2 계약상대자는 유동화콘크리트를 사용 전에 유동화 시기, 첨가량, 휘젓기 시간,
유동화 장소, 소음대책, 관리방법 등에 대해서 충분한 검토를 하여야 한다.
3.2 시공기준

3.2.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3.3 품질관리 및 검사

3.3.1 유동화콘크리트 시험 및 검사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3.3.2 베이스콘크리트 및 유동화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은 50㎥마다 1회
씩 실시하여야 한다.
3.3.3 유동화콘크리트의 시공에서 특히 필요한 품질검사는 표 6-33에 따른다.
표 6-33 유동화콘크리트의 품질검사

6 - 1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 항목 시험․검사 시기․회수 판단기준
방법
제조회사의 시험성 공사시작 전, 공
KCI-AD101의
유동화제 품질항목 적표에 의한 KCI- 사 중 1회/월 이 KCI-AD101에 적합할 것
AD101의 방법 상 및 장기간 저
장한 경우
슬럼프 KS F 2402의 방법 계획한 범위 내에 있을 것.
2.3 배합에 적합할 것
베이스
콘크리트 KS F 2409의 방법
공기량 KS F 2421의 방법 50㎥ 마다 1회의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KS F 2449의 방법 빈도를 표준으로
슬럼프 한다. 타설 당초
슬럼프 KS F 2402의 방법 는다. 빈도를 높인 계획한 범위 내에 있을 것.
2.3 배합에 적합할 것
유동화 증가량
콘크리트 KS F 2409의 방법
공기량 KS F 2421의 방법 정해진 조건에 적합할 것
KS F 2449의 방법

6-4-9 섬유보강콘크리트 6-4-9 섬유보강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섬유보강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섬유보강콘크리트 공사의 일반적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0장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다.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4-1 일반 콘크리트
2. 재 료
1.3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3. 시 공
KS F 2564 콘크리트용 강섬유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8장 섬유보강콘크리트 해당사항 없음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 SF 102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률 시험방법

6 - 1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 SF 103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률 시험방법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 SF 104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강도 및 휨인성 시험방법
한국콘크리트 학회 KCI SF 105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압축인성 시험방법
2. 재료
2.1 사용섬유

2.1.1 현재 시멘트계 복합재료용 섬유로서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


계섬유와 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비닐론섬유, 나일론 등의 유기계
섬유로 분류된다. 이들 섬유는 사용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섬유와 시멘트
결합재 사이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섬유의 인장강도가 크며, 내구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2.1.2 강섬유는 KS F 2564의 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3 2.1.1 이외의 강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품질을 확인하여 사용방법을 충
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2.2 배합

2.2.1 섬유보강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품질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정하여야 한다.
2.2.2 섬유의 형상, 치수 및 혼입률은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소요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성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2.3 배합의 표시는 6-4-1절의 해당 절에 의하며, 이외의 섬유의 형상, 치수 및 섬
유혼입률을 명시하도록 한다.
3. 시공
3.1 비비기

3.1.1 섬유보강콘크리트는 소요의 품질이 얻어지도록 충분히 비벼야 한다.


3.1.2 믹서는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1.3 섬유를 믹서에 투입할 때에는 섬유를 콘크리트 속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

6 - 1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는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3.1.4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으로 한다.
3.2 재료의 품질관리 및 검사

3.2.1 강섬유의 품질관리 및 검사는 표 6-34에 따른다.


표 6-34 강섬유의 관리 및 검사

종 류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강섬유 품 질 KS F 2564 공사착수 전, 공사 중 및 KS F 2564
종류가 변했을 때

3.2.2 강섬유 이외의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는 6-4-1절에 따른다.


3.3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
3.3.1 강섬유 혼입률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는 표 6-35에 따른다.
표 6-35 강섬유 혼입률에 대한 관리 및 검사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한국콘크리트 학회 규준 강도용 시험체
강섬유 혼입률 (KCI-SF102) 채취 시 및 품질 허용차(%)
±0.5
변화를 보였을 때
강섬유 혼입률 한국콘크리트 학회 규준 강도용 시험체
(숏크리트) (KCI-SF103) 채취 시 및 품질 허용차(%)
±0.5
변화를 보였을 때

3.3.2 강섬유 혼입률 이외의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는 6-4-1절에 따른다.


3.4 경화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및 검사

3.4.1 휨강도 및 인성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는 표 6-36에 따른다.


표 6-36 휨강도 및 인성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

6 - 1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정기준
휨강성 및 한국콘크리트 학회 규준 강도용 시험체 채취 설계 시에 고려된 휨인성
시 및 품질변화를 계수값에 미달할 확률이
휨인성계수 (KCI-SF104) 보였을 때 5% 이하일 것
압축인성 한국콘크리트 학회 규준 강도용
시 및
시험체 채취 설계 시에 고려된 압축인
품질변화를 성값에 미달할 확률이
(KCI-SF105) 보였을 때 5% 이하일 것
강섬유 혼입율 한국도로 공사 품질기준 1회(6공이상)/50
코어채취
m 설계기준량의 90% 이상

3.4.2 휨강도 및 인성 이외의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 및 검사는 6-4-1절에 따른다.

6-4-10 고강도콘크리트 6-4-10 고강도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고강도콘크리트를 적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특히 필 (1) 이 시방은 고강도콘크리트를 적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특히 필요
요한 사항에 대한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하는 것이다. 한 사항에 대한 일반적인 표준을 규정하는 것이다.
1.1.2 이 시방서는 공장제품 등과 같이 특수양생방법인 증기양생이나 오토클래이브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9장 고강도 콘크리트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양생 등에 의해 얻어지는 고강도콘크리트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재 료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2 관련 시방 절 해당사항 없음
6-4-1 일반 콘크리트 3. 시 공
1.3 참조규준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12장 고강도콘크리트

6 - 1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 제출물

1.4.1 제품자료
1.4.2 그 밖의 사항에 대해서는 6-4-1절에 따라야 한다.
1.5 품질보증

품질보증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6 운반 및 저장

운반 및 저장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재료
2.1 시멘트

2.1.1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2 2.1.1 이외의 시멘트에 대해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
토하여야 한다.
2.2 혼화재료

2.2.1 고성능감수제는 고강도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적절한 것인가를 시험배합을 거


쳐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2.2.2 고강도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플라이애쉬, 실리카퓸,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의 혼
화재는 시험배합을 거쳐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2.3 잔골재
2.3.1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인 것으로서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먼지, 진
흙, 유기불순물, 염분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해서는 안된다. 잔골재는 일반적으
로 표 6-37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2.3.2 잔골재는 대소의 입자가 알맞게 혼입되어 있는 것으로 그 입도는 15-3절에 따른다.
2.3.3 고강도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부순모래는 KS F 252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 - 1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6-37 골재의 품질
항목 절건밀도 흡수율 실적률 점토량 씻기시험에 유기 염화물 안정성
(g/㎤) (%) (%) (%) 의한 손실량 불순물 이온량
종류 (%) (%) (%)
굵은골재 2.5 이상 2.0 이하 59 이상 0.25이하 1.0 이하 - - 12 이하
잔골재 2.5 이상 3.0 이하 - 1.0 이하 2.0 이하 표준색 0.02 이하 10 이하
이하
2.4 굵은골재
2.4.1 굵은골재는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인 것으로서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석편,
유기불순물, 염분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해서는 안 된다. 잔골재는 일반적으로
표 6-37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2.4.2 고강도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굵은골재는 콘크리트 강도 및 워커빌리티 등에 미
치는 영향이 크므로 선정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2.4.3 고강도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 이하로서 가능한 25
㎜ 이하로 하며, 철근 최소 수평 순간격의 3/4, 그리고 부재 최소치수의 1/5
이내의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단, 콘크리트를 공극없이 타설할 수 있는 반죽
질기나 다짐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따른다.
2.5 배합

2.5.1 고강도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6-4-1절에 따른다.


2.5.2 물-시멘트 비의 결정은 다음 사항에 따른다.
(1) 고강도콘크리트의 물-시멘트 비는 소요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하여 정한다.
(2) 물-시멘트 비는 일반적으로 50 % 이하로 한다.
2.5.3 단위시멘트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 및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
한 적게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하여야 한다.
2.5.4 단위수량은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작게 하여
야 한다.
2.5.5 잔골재율은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도록 시험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가

6 - 1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능한 작게 하도록 한다.
2.5.6 고성능감수제의 단위량은 소요강도 및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얻도록 시
험에 의해서 결정하여야 한다.
2.5.7 슬럼프 값은 150㎜ 이하로 하고, 유동화콘크리트로 할 경우에는 210㎜ 이하로 한
다. 그러나, 슬럼프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되도록 작게 하여야 한다.
2.5.8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6 비비기

2.6.1 비비기는 성능이 우수한 믹서로 비빈다.


2.6.2 믹서에 재료를 투입하는 순서는 책임기술자의 지시에 따른다. 단, 고성능감수
제의 경우는 혼합수와 동시에 투여해서는 안 된다.
2.6.3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7 거 푸집 및 동바리
2.7.1 고강도콘크리트용 거푸집 및 동바리는 높은 측압과 유동성 증가에 대하여 소
정의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완성된 구조물의 위치, 형상 및 치수가 정
확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세심한 설계 및 시공을 하여야 한다.
2.7.2 고강도콘크리트용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 시 가해지는 하중에 충
분히 견딜만한 강도를 가질 때까지 해체해서는 안 되며, 높은 수화열로 인한
균열 발생 가능성이 크므로 제거시기에 신중하여야 한다.
2.7.3 거푸집 판이 건조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살수를 하여야 한다.
2.8 자재 품질관리

2.8.1 고강도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는 표 6-38에 따른다.


표 6-38 고강도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검사

6 - 1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 항목 시험 및 시기 및 횟수 판정기준
검사방법
・받아들이기 시점
・1회/일 또는 구조물
배합 압축강도 KS F 2405 의 중요도와 공사의 6-4-1절 표 6-12에 준함
규모에 따라 20∼
150㎥ 마다 1회
・슬럼프:
슬럼프 KS F 2402 설정치 ±25㎜(180㎜ 이하)
유동성 또는 또는 상동 설정치 ±15㎜(180㎜ 초과)
슬럼프 플로 KCI-CT103 ・슬럼프 플로: 설정치 ±50 ㎜

3. 시공
3.1 운반

3.1.1 콘크리트는 재료의 분리 및 슬럼프 값의 손실이 작은 방법으로 신속하게 운반


하여야 한다.
3.1.2 운반시간 및 거리가 긴 경우에 사용하는 운반차는 트럭믹서, 트럭 애지테이터
혹은 건비빔 믹서로 하여야 하며, 고성능감수제 등을 추가로 투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1.3 콘크리트 운반차량은 운반지연으로 인한 급격한 슬럼프 값 저하 가능성에 대
비하여 고성능 감수제 투여장치 등의 보조장치를 준비하여야 한다.
3.1.4 버킷의 구조는 콘크리트의 투입 및 배출시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것, 또
는 버킷에서의 콘크리트 배출이 용이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3.1.5 콘크리트 펌프는 사용기종, 콘크리트 수송거리 등에 있어서 책임기술자의 지
시에 따른다.
3.2 타설 및 양생

3.2.1 타설
(1) 타설순서는 구조물의 형상, 콘크리트 공급상태, 거푸집 등의 변형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기둥과 벽체 콘크리트, 보와 슬래브 콘크리트를 일체로 하
여 타설할 경우에는, 보 아래에서 타설을 중지한 다음 기둥과 벽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침하한 후, 보와 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6 - 1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타설 전에 철근, 거푸집, 기타에 관해서는 시공상세도에 따라 시공되는 지 여
부와 타설설비 및 장치가 제대로 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거
푸집 내에 이물질이 없는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타설 낙하고는 1m 이하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는 재료분리가 일어
나지 않는 방법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는 운반 후 신속하게 타설하여야 한다. 타설할 때는 받침 또는 투입
구를 설치하며, 타설 간격은 콘크리트 면이 거의 수평을 이루는 때로 정한다.
(5) 타설에 사용되는 펌프의 기종은 고강도콘크리트의 높은 점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6) 수직부재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강도와 수평부재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강도의
차가 1.4배 이상일 경우, 수직부재 고강도콘크리트는 수직-수평부재의 접합면
으로부터 수평부재 쪽으로 안전한 내민길이를 확보하면서 타설하여야 한다.
3.2.2 양생
(1) 고강도콘크리트는 초기강도발현이 중요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에
필요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 고강도콘크리트는 낮은 물-시멘트 비를 가지므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실시하
여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에는 현장봉함양생 등을 실시할 수 있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경화할 때까지 직사광선이나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부재 두께가 0.8m 이상인 경우의 양생은 6-4-5절에 따른다.
3.3 현장관리

3.3.1 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 품질관리는 6-4-1절에 따른다.

6 - 1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4-11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6-4-11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조적공사의 줄눈이나 공장제품 이음매의 채움재로 사용되는 (1) 이 시방은 조적공사의 줄눈이나 공장제품 이음매의 채움재로 사용되는 모르타
모르타르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르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6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중 그라우트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에 관한 사항에 따른다.
1-4 품질관리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4-1 일반 콘크리트 2. 재 료
15-3 골재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3. 시 공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해당사항 없음
KS F 2426 주입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32 주입 모르타르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
KS F 2433 주입 모르타르의 블리딩률 및 팽창률 시험방법
KS F 2440 콘크리트 조적재의 시료채취 및 시험 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19 메이슨리 시멘트
KS L 5220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KS L 9007 미장용 소석회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서 04341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장 일반 콘크리트
1.4 제출물

1.4.1 설계배합 : KS L 5220의 배합비나 재료의 시방이 적용될 수 있는 지 요구된


환경조건 및 혼합재의 제한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6 - 1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2 시료 : 모르타르의 색상과 그 범위를 예시하는 2개의 시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1.4.3 보고서 :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의 규격요건, 재료요건, 시험결과보고서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1.4.4 제조업체의 확인서 : 제품이 해당 요건을 합치한다는 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5 공장혼합 모르타르 : 제작자의 작업지침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1.5 품질보증

1.5.1 1-4절의 해당규정의 요건에 따라야 한다.


1.5.2 관련문서의 복사본 1부를 현장에 비치하여야 한다.
1.6 운반, 보관, 취급
1.6.1 제품은 재료 및 기기의 해당요건에 따라 현장에 반입, 보관, 보호 및 조작하여
야 한다.
1.6.2 포장된 재료는 깨끗하고 건조하여야 하며, 습기, 결빙, 및 이물에 대해서 보호
하여야 한다.
1.7 환경요구사항

1.7.1 재료와 대기의 온도는 조적작업의 시작 전 또는 작업 중 5℃ 이상 그리고 완


료 후 48시간동안 10℃ 이상이어야 한다.
1.7.2 재료와 대기의 온도는 조적작업의 시작 전, 작업 중 그리고 완료 후 48시간동
안 30℃ 이상이어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시멘트는 KS L 5201,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는 KS L 5204, 메이슨리 시멘트는


KS L 5219, 건조시멘트 모르타르는 KS L 5220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2 잔골재는 15-3절에 따른다.

6 - 1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3 물은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2.2 부속재료

2.2.1 혼화재료는 6-4-1절에 따른다.


2.2.2 소석회는 KS L 9007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 배합

2.3.1 모르타르의 배합 및 비비기


(1) 모르타르는 KS L 5220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현장 비비기 모르타르
① 관이음에 채움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승인된 깨끗한 모래를 부피비 1:2로 혼
합하고, 충분한 물을 넣어 소성질의 모르타르를 만들어야 한다.
② 돌쌓기 등 조적용 모르타르는 부피비로 10 %의 소석회를 첨가한 시멘트와
승인된 깨끗한 모래를 부피비 1 :2로 혼합한 것이며, 줄눈 채움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를 부피비 1 :1로 혼합하여야 한다.
(3) 모르타르는 즉시 사용할 수량만큼의 재료를 충분히 혼합하여야 하며, 응결이
시작된 후에 다시 비벼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모래를 고르게 적셔두어야 한다.
(5) 모르타르의 색상과 혼화재료는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첨가하고, 혼합물의
색상이 균일하게 되도록 비벼야 한다.
(6) 모르타르의 결빙점을 낮추는 방동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7) 모래의 물이 증발해서 없어지면 비비기 2시간 전에 다시 적셔야 한다.
(8) 모르타르는 25℃ 이상의 온도에서 비빈 후 60분내 그리고 25℃이하의 온도
에서는 90분 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2.3.2 그라우트의 배합 및 비비기
(1) 그라우트는 28일 압축강도 20.0㎫, 슬럼프 200∼250 ㎜되게 배합하여야 한다.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는 KS L 5220의 해당요건에 따라야 한다.

6 - 1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그라우트의 물-시멘트비(W/C)는 40∼50%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3) 그라우트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승인된 깨끗한 모래를 부피비 1:3으로 혼합하
여 충분한 물을 넣어 적당한 반죽질기의 그라우트를 만들어야 한다.
(4) 그라우트는 즉시 사용할 수량만큼의 재료를 충분히 혼합하여야 하며, 응결이
시작된 후에 다시 비벼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5) 혼화재료는 제조업자의 지침에 따라 첨가하고 혼합물이 균일하게 되도록 비
벼야 하다.
2.4 자재 품질관리

2.4.1 시험
표 6-39 자재 시험 방법

종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품질기준


컨시스턴시 KS F 2432 유하시간:16∼20 초
․작업개시 ․블리딩률:3%이하
그라우팅 블리딩률 및 팽창률 KS F 2433 전 1회 ․팽창률:5∼10 %
․필요 시 값)(시험 시작 후 3시간의
압축강도 KS F 2426 20㎫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그라우트 할 공간은 감독자에게 미리 검사를 요청하여야 한다.


3.2 작업준비

3.2.1 기존 콘크리트의 표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야 한다.


3.2.2 크게 뚫린 구멍은 벽돌이나 블록으로 막고, 젖은 그라우트의 압력에 지탱하도
록 석축의 벽면을 버팀대로 지지하여야 한다.
3.3 시공기준

6 - 1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1 그라우트는 조적의 중앙부와 공동 속의 공극을 메울 수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
다.
3.3.2 그라우트는 1회에 400 ㎜이상의 높이로 하여서는 안 되며, 남은 모르타르는
그라우트 공간에서 제거하여야 한다.
3.3.3 그라우트 주입 중에 철근이 이동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3.4 현장품질관리

3.4.1 현장검사와 시험은 6-4-1절에 따라 수행하여야 한다.


3.4.2 건조모르타르는 KS L 5220에 따라 시험, 평가하여야 한다.
3.4.3 그라우트는 KS F 2426 및 2433의 시험 방법에 따라 소요의 품질을 만족하여
야 한다.
3.4.4 조적재의 시험은 KS F 2440에 따라야 한다.
3.4.5 모르타르의 종류와 재료는 달리 명시된 것이 없으면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6-4-12 줄눈 및 지수판 6-4-12 줄눈 및 지수판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의 줄눈 및 지수판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콘크리트의 줄눈 및 지수판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1-3 자재관리 1-3 자재관리


1-4 품질관리 1-4 품질관리
6-4-1 일반 콘크리트 6-4-1 일반 콘크리트
6-7 줄눈 재료 [수정] 미인용 시방절 삭제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적용범위 [수정] 서식 체계 통일

6 - 1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기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2 한국산업표준(KS)
KS M 3805 연질 염화비닐 수지 지수판 KS M 3805 연질 염화비닐 수지 지수판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검사 및 시험계획서 1.4.1 검사 및 시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4.2 제품자료 1.4.2 제품자료
지수판 제조업자는 제품자료를 1-3절에 따라 지수판의 성분, 특성, 치수, 인장 지수판 제조업자는 제품자료를 KS M 3805에 따라 지수판의 성분· 특성· 치수 [수정] 인용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기
강도, 신장률, 노화성, 무게변화율, 유연성, 내약품성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 인장강도· 신장율· 노화성· 무게변화율· 유연성· 내약품성 등 제반사항과 제 [수정] 쉼표 ⇒ 가운데점

생산현황, 기술자료, 사용지침서, 시험방법, 사용실적 등을 추가하여 작성하여 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자료, 사용지침서, 시험방법, 사용실적 등을 추가하여
야 한다. 작성하여야 한다.
1.4.3 견본 1.4.3 견본
계약상대자는 크기가 300 ㎜의 지수판 견본품과 현장 접합한 지수판의 시제품 계약상대자는 크기가 300 mm의 지수판 견본품과 현장 접합한 지수판의 시제
을 작성하여야 하며,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품을 작성하여야 하며,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한다.
1.5 운반, 보관, 취급 취급
1.5 운반, 보관,

1.5.1 지수판은 재료의 주위에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1) 지수판은 재료의 주위에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수정] 서식 체계 통일에 따른 번호 수정

(2) 지수판은 저장 중 그리고 콘크리트에 부분적으로 묻혀있을 때 48시간 이상 직


1.5.2 지수판은 저장 중 그리고 콘크리트에 부분적으로 묻혀있을 때 48시간 이상 직 사광선을 받지 않게 하여야 한다.
사광선을 받지 않게 하여야 한다.
1.6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1.6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타설작업, 철근작업과 줄눈 및 지수판 작업이 서로 지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치기작업, 철근작업과 줄눈 및 지수판 작업이 서로 지 장을 주지 않도록 공사 착수 전에 조정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통일(치기 -> 타설), 명확한 의미 전달을 위하여 문
장이 되지 않도록 공사 착수 전에 조정하여야 한다.
2. 재료
장 수정

2. 재료
2.1 재료
2.1 재료
(1) 연질 염화비닐 수지 지수판은 KS M 3805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6 - 1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1 연질 염화비닐 수지 지수판은 KS M 3805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고무지수판의 재료는 천연고무, 적합한 합성고무 또는 천연 및 적합한 합성고 [수정] 서식 체계 통일에 따른 번호 수정

무의 혼성재이어야 한다.
2.1.2 고무지수판의 재료는 천연고무, 적합한 합성고무 또는 천연 및 적합한 합성고 (3) 수팽창 지수판은 제조업체가 제출한 견본 및 제품자료에 따른다.
무의 혼성재이어야 한다. (4) 지수판은 재질이 치밀하고 균질하게 될 수 있는 공정으로 제조된 것이어야 하
2.1.3 수팽창 지수판은 제조업체가 제출한 견본 및 제품자료에 따른다. 며, 구멍과 다른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2.1.4 지수판은 재질이 치밀하고 균질하게 될 수 있는 공정으로 제조된 것이어야 하 2.2 조립허용 오차
며, 구멍과 다른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2.2.1 수로암거(box)용 지수판의 품질기준
2.2 조립허용 오차
(1) 1/2 압축되었을 때 압축응력도(MPa) : 0.5 이상 9.0 이하
2.2.1 우수암거(box)용 지수판의 품질기준 (2) 복원률(%) : 65 이상 [수정] 용어 수정

(1) 1/2 압축 시 압축응력도 0.5 이상 9.0㎫ 이하 (3) 1/2 압축되었을 때 돌출량(mm) : 10 이하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단위 위치 변경

(2) 복원률(%) 65 이상
[자문] 한글로 순화, 단위계 추가 표시
(3) 1/2 압축 시 돌출량 10 이하 2.3 자재 품질관리

2.3.1 시험
2.3 자재 품질관리 표 6-4-1 수지 및 지수판 자재 시험

2.3.1 시험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표 6-40 수지 및 지수판 자재 시험 연질 염화비닐 수지 KS M 3805에 규정된 KS M 3805 ․제조회사마다
지수판 시험종목 ․제품규격마다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경질 염화비닐 수지를 제조업체가 제출한 제품자료에 의한 ․제조회사마다
연질 염화비닐 수지 KS M 3805에 규정된 KS M 3805 ․제조회사마다 제외한 지수판 제품자료에 의한 종목 시험 ․제품규격마다
지수판 시험종목 ․제품규격마다
경질 염화비닐 수지를 제조업체가 제출한 제품자료에 의한 ․제조회사마다 3. 시공
제외한 지수판 제품자료에 의한 종목 시험 ․제품규격마다

3. 시공 3.1 시공기준

3.1.1 설치
3.1 시공기준
(1) 계약상대자는 명기된 도면에 따라 지수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1.1 설치 (2) 지수판은 콘크리트 속에 묻힌 부분의 이음매 양측에서 같게 설치하여야 한다.
(1) 계약상대자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 지수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지수판의 현장 접합개소는 가능한 한 적게 하여야 한다.

6 - 1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지수판은 콘크리트 속에 묻힌 부분의 이음매 양측에서 같게 설치하여야 한다. (4) 지수판을 현장에서 접합할 때에는 접합 작업자의 능력, 기후, 계절, 작업환경
(3) 지수판의 현장 접합개소는 가능한 한 적게 하여야 한다.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지수판을 현장에서 접합할 때에는 접합 작업자의 능력, 기후, 계절, 작업환경 (5) PVC지수판의 접합은 PVC용접기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방법으로 누수가 되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지 않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의 의미 불명확, 삭제

(5) PVC지수판의 접합은 PVC용접기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방법으로 누수가 (6) 현장에서 지수판을 가공해서는 안 된다.
되지 않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7) 거푸집에 지수판을 설치할 때에는 지수판이 좌우로 균등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6) 현장에서의 지수판을 가공해서는 안 된다. 야 하며, 지수판에는 일체 못을 치지 말아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

(7) 거푸집에 지수판을 설치할 때에는 지수판이 좌우로 균등하게 들어가도록 하 (8) 지수판을 거푸집에 설치한 뒤 철근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늘어
여야 하며, 지수판에는 일체 못을 치지 말아야 한다. 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 지수판을 거푸집에 설치한 뒤 철근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늘어 (9) 지수판은 제자리에 정확하게 설치하고 콘크리트 치기 중에 묻히거나 이동되지
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않도록 적절하게 지지하여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9) 지수판은 제자리에 정확하게 설치하고 콘크리트 치기 중 적절하게 지지해서 (10) 정하여진 위치에 지수판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까지 지수판에 손
묻고 이동되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상을 주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를 하여야 한다. [자문]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구 수정

(10) 정해진 위치에 지수판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까지 지수판에 손 (11) 지수판은 가능한 가장 긴 길이로 설치하여야 하며, 접합을 해서 이음의 전 [수정] 줄임말 수정
상을 주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를 하여야 한다. 길이에 걸쳐 연속적인 수밀봉합이 되게 하여야 한다.
(11) 지수판은 가능한 가장 긴 길이로 설치하여야 하며, 접합을 해서 이음의 전 (12) 지수판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지수판의 아래 측에도 콘크리트가
길이에 걸쳐 연속적인 수밀봉합이 되게 하여야 한다. 잘 채워지도록 콘크리트를 지수판의 높이까지 타설한 시점에서 일시 중지하
고 필요한 만큼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지수판 아래 쪽의 물과 공기가 배
(12) 지수판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지수판의 아래 측에도 콘크리트가 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잘 채워지도록 콘크리트를 지수판의 높이까지 타설한 시점에서 일시 중지하
고 충분히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지수판 아래 쪽의 물과 공기가 배출되 (13) 지수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타설한 콘크리트가 지수판의 양측 [수정] “충분”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도록 하여야 한다. 에서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균등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규정대로 진동기
로 다져야 한다.
(13) 지수판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타설한 콘크리트가 지수판의 양측
에서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균등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충분히 진동기로 (14)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묻힐 때는 표면에 기름․그리스․건조한 모르타르 등의
다져야 한다.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지수판의 모든 부분은 치밀하게 콘크리 [수정] “충분”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트로 채워져 단단히 유지되어야 한다.


(14)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묻힐 때는 표면에 기름, 그리스, 건조한 모르타르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지수판의 모든 부분은 치밀하게 콘크리 (15) 수팽창 지수판은 콘크리트 양생 후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면은 청결하고 건조된
[수정] 가운데 점 사용

트로 채워져 단단히 유지되어야 한다.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고, 부착되는 콘크리트 면은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15) 수팽창 지수판은 콘크리트 양생 후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면은 청결하고 건조된 3.1.2 접합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고, 부착되는 콘크리트 면은 요철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1) PVC 지수판은 제작자의 지침에 따라 온도조절이 된 전열과 용접재료를 써서

6 - 1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2 접합 용접하여야 한다.
(1) PVC 지수판은 제작자의 지침에 따라 온도조절이 된 전열과 용접재료를 써 (2) 접합부는 접합하지 않은 재료의 인장강도의 60 %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서 용접하여야 한다. 지수판과 방울이 연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2) 접합부는 접합하지 않은 재료의 인장강도의 60%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3.2 현장품질관리 [수정] 띄어쓰기
지수판과 방울이 연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1) 지수판과 이음매는 검사해서 설치 착오, 거품, 부적합한 부착, 투수성, 균열,
3.2 현장품질관리 어긋남 및 물의 침입으로 지수판의 효과가 훼손될 수 있는 다른 결함이 있는
3.2.1 지수판과 이음매는 검사해서 설치착오, 거품, 부적합한 부착, 투수성, 균열, 어 지 확인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긋남 및 물의 침입으로 지수판의 효과가 훼손될 수 있는 다른 결함이 있는지 (2) 손상 또는 결함이 있거나 또는 잘못 설치된 지수판은 제작자의 지침에 따라
확인하여야 한다. 보수하거나 대체하여야 한다.
3.2.2 손상 또는 결함이 있거나 또는 잘못 설치된 지수판은 제작자의 지침에 따라
보수하거나 대체하여야 한다.

6-4-13 슬래브공 6-4-13 슬래브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 상부에 설치하는 슬래브 공사의 일반적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교량 상부에 설치하는 슬래브 공사의 일반적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2-7 상부 슬래브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2. 재 료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4-1 콘크리트 일반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3.1 제출물은 이 시방서 1-2-4절에 따라 공사계획에 맞추어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6 - 1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재료

2.1.1 6-4-1절 해당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3. 시 공
3.1 타설검토

3.1.1 1차 타설은 가로보(cross beam)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낮


은 곳에서부터 펌프카를 이용하여 타설하여, 타설 즉시 데크피니셔(deck
finisher)를 이용하여 면고르기를 한다.
3.1.2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전 기능공을 모아놓고 각자 임무를 부여한 후 면마무
리, 바이브레이터 사용 등의 작업에 대한 사항과 교량 난간에서의 추락 등의
안전에 대한 교육을 사전에 실시토록 한다.
3.1.3 펌프카 고장 발생 시 대비책을 사전 강구하여야 한다.
3.1.4 우기를 대비하여 비닐을 준비토록 한다.
3.1.5 양생제 살포 후 마대를 덮고,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3.1.6 양생 기간 동안 하중(사하중 및 활하중)을 싣거나 충격을 가하는 등 기타 응
력이 발생치 않도록 충분히 보호하여야 한다.
3.2 슬래브 타설시 유의사항

3.2.1 교량 슬래브는 통행차량에 노출되어 차량하중 온도,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


한 영향을 직접 받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설계도서를 충분히 검토하여 시공계
획을 수립하여 시공에 임하여야 한다. 그 일반적인 대처방법으로는 콘크리트
의 단위 수량을 줄여 부배합을 피하고 양생 시 외부 온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
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와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도면에 명기된 슬래브 분리
타설 순서에 의거 시공함으로서 온도,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영향을 최
소화시키도록 한다. 슬래브 시공 중 양호한 콘크리트 품질관리와 타설면의 평
탄성 확보를 위하여 고도의 시공관리를 요하며, 동바리 및 비계는 시공 전 현
장여건을 감안한 구조 검토를 면밀히 한 후 시공한다.
특히, 교량상부 공사 중에 사고발생 위험성(침하, 전도, 붕괴, 추락) 등이 많으

6 - 1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므로 시방에 의한 관리에 철저를 기한다.
(1) 동바리 설치는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장비 및 인원 등이 동원되어 하
중이 증가되므로 설계상의 동바리 설치 간격 및 지반 지지력 상태를 면밀히
검토한다.
(2) 교량 슬래브 거푸집 바닥은 가로보 상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거푸
집 조립 후 모르타르가 새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틈을 철저히 조사하여 틈 발
생 부위는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 데크피니셔 레일 설치는 편경사에 맞추어 배수처리에 이상이 없도록 하고,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전 데크피니셔{약 30kN(3tonf)}를 가동하여 침하량을
측정하고 침하량을 보정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4) 데크피니셔 시공 순서는 종단경사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동일 종단의
경우 데크피니셔 드럼 가동은 편경사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가동시킨다.
(5) 드럼은 약 10∼15°정도를 유지하여 사용토록 하고, 드럼 자국(파도 형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드럼 후면에 플레이트 패널(plate panel) 마대 마무리 작업
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6)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은 전 부분에 고르게 타설하고, 데크피니셔 전방에 과
도한 양을 미리 타설하면 작업성 및 슬럼프 저하가 우려되므로 전방 약 3m
정도의 여유분이 타설되어 있는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7) 상부 슬래브 타설 전 교량받침 고정을 철저히 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교량받
침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교량받침의 임시 잠금 장치는 슬래브 타설
후 제거토록 한다.
(8) 시공조인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콘크리트 타설이 될 수 있는 장비
가동상태 확인 및 인원 확보가 되어야 한다.
(9)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침하봉을 설치하여 실제 침하량과 계산 처짐량을
관측하여 처짐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10)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에 필요한 동원인원, 장비, 및 시기 등에 대한 계획서
를 제출하고 타설 1일 전 검측을 받아야 한다.
(11) 슬래브가 곡선구간으로 편경사가 있을 시 쏠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횡버팀목을 촘촘히 설치한다.

6 - 1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비 온 뒤 바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는 동바리 설치부의 지반이 연약해
지기 쉬우므로 지반 침하에 유의한다.
(13) PSC 거더교인 경우 PSC 거더의 솟음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에 퍼짐
(약 10∼20㎜)이 발생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시공한다.
(14) 연약 지반상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슬래브를 타설하는 교량은 침하가 발생되
지 않도록 사전에 조치한 후 감독자의 승인 하에 시공한다.
3.2.2 거푸집, 동바리, 비계
(1) 거푸집 표면상태 및 박리제 도포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2) 가로 버팀대 및 세로 버팀대의 간격이 콘크리트 중량에 대하여 적절히 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폼 타이(form-tie) 혹은 타이 볼트(tie-bolt)의 간격이 적절히 배치되었고,
종․횡 방향으로 열이 맞는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치기 전 조임 장치를 재확인하여야 한다.
(5) 거푸집의 제거시기를 결정할 때는 구조물의 특성, 위치, 기후와 콘크리트의
경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2.3 동바리
(1) 설계에는 목재 및 강재로 설계되어 있으나 현장여건에 따라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그 공법을 달리할 수도 있다.
(2) 동바리를 받칠 원지반이 견고한 가를 조사토록 하고, 견고하지 않을 경우 바
닥을 다져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한 후 콘크리트를 치거나 H-beam 등을 설
치하여 원지반을 보강토록 한다.
(3) 콘크리트 사하중 및 작업하중을 고려한 동바리의 안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4) 각 조임 부분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가 확인하며, 원칙적으로 볼트이음을
하도록 한다.
(5) 구조물에 수평 연직 방향 다같이 4 m이하의 간격으로 벽이음을 설치하여야
한다.
(6) 콘크리트 타설 도중 동바리에 변형이 오면 즉시 타설을 중지하고, 재시공하
여야 한다.

6 - 1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7) 강재 동바리 위에 통나무 동바리 설치 시 강재 동바리와 통나무 동바리 사이
에서 분리되어 붕괴 사고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하중 전달이 잘 되도록 튼튼
히 연결시켜야 한다.
3.2.4 비 계
(1) 비계는 안전을 고려한 도면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설치한다.
(2) 확대 기초 위에 비계를 지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 바닥을
충분히 다져 지지력을 확보한 후 콘크리트를 치거나 H-beam 등을 설치하여
원지반을 보강한다.
3.3 슬래브 양생 관리

3.3.1 양생재의 재료는 이 시방서에 따르되 감독자의 사전 승인을 얻어야 한다.


3.3.2 모든 콘크리트는 규정된 강도가 완전히 발휘될 수 있을 때까지 양생하여야 한다.
3.3.3 양생 방법과 순서 및 이에 소모되는 자재, 장비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얻
어야 한다.
3.3.4 양생 후 발견된 균열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하며, 추후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발생 위치, 규모, 원인, 발전 과정, 보수 공법,
등을 기록한 보고서를 준공 시 설계도서에 포함하여 별도 제출하여야 한다.
3.3.5 감독자의 지시에 의해 육안 조사 이외에 균열의 깊이와 폭을 정확히 측정하여
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비파괴 시험 및 코아 채취 등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
에 따른 비용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6-5 철근공 6-5 철근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에 중대한 (1)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에 중대한 영향을
영향을 미치는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미치는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6 - 1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3장 철근작업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1-3 자재관리 2. 재 료
1-4 품질관리 해당사항 없음
6-4-1 일반 콘크리트 3. 시 공
1.3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B 0802 금속재료 인장시험 방법
KS B 0804 금속재료 굽힘 시험
KS B 0814 금속재료의 인장 크리프 시험 방법
KS B 0833 강의 맞대기 용접 이음-인장 시험 방법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시험 방법
KS B 0896 강 용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
KS C 9602 교류 아크 용접기
KS C 9607 용접봉 홀더
KS D 024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가스 압접 이음의 검사방법
KS D 0273 철근콘크리트용 이형봉강 가스압접부의 초음파 탐상시험 방법 및
판정기준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8 피복 아크 용접봉 심선재
KS D 3527 철근 콘크리트용 재생 봉강
KS D 3552 철선
KS D 3613 철근콘크리트용 아연도금 봉강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 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17 용접철망
KS M 6070 분체 도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제5장 철근상세, 제8장 정착 및 이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4장 철근작업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6 - 1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 제출물

1.4.1 검사 및 시험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4.2 시공도면
(1) 모든 철근에 대한 무게를 기재한 철근목록, 가공상세도, 수량표 및 설치작업
계획서와 상세자료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2) 철근에 대한 설명, 상세, 치수, 배근, 조립 및 위치를 명시하고, 철근의 개수,
치수 등을 표시, 겹이음과 겹대기, 지지물 및 부대품, 그리고 가공 및 설치에
필요한 사항을 명시하여야 한다.
(3) 앵커볼트 수량표와 위치, 앵커, 현수재, 삽입재, 배관, 슬리브 및 철근과 간섭
될 수 있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품목에 대한 계약도면을 검토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4장의 요건에 따라 철근의 상세도를 작성하고, 목록
에는 각 철근의 무게, 치수별 총 무게 및 전체 철근의 총 무게를 명시하여야
한다. 무게의 계산은 KS D 3504 또는 KS D 3527에 명시된 공칭무게를 기준
하여야 한다.
1.4.3 제품자료
제작자의 제품자료와 자체생산자료 및 철근 부대품에 대한 설치지침서를 제출
하여야 한다.
1.4.4 시료
(1) 시료는 1-3절에 따라야 한다.
(2) 시료는 공급된 재료를 대표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들 시료는 감독자가 임의
로 발취한 추가시료와 함께 요건에 합치하는지 시험할 수 있다. 감독자가 하
는 추가 시편발취와 시험은 감독자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어느 곳에서도 할
수 있다.
(3) 도금 또는 에폭시 도막철근이 명시된 경우는 현장에 반입된 각 치수와 반입
로트에서 길이가 300 ㎜인 철근시료를 2개씩 채취해서 제출하여야 한다.
(4) 시료가 시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그 회의 반입분을 모두 거부할 수

6 - 1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있다.
1.4.5 확인서
(1) 현장에 반입된 매회 운반분의 철근에 대해서 철근의 등급과 물리적․화학적
물성이 KS B 0802, KS B 0804, KS B 0814를 포함한 해당 KS규격에 합치한
다는 것을 증명하는 품질보증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아연도금 철근은 KS D3613의 요건에 합치한다는 확인서를 제시하여야 한다.
(3) 에폭시 도막 철근에서 철근은 KS D 3504, 분체도료는 KS M 6070의 요건에
합치한다는 확인서를 제시하여야 한다.
1.5 운반, 보관, 취급
1.5.1 철근은 같은 치수와 길이의 것을 묶음으로 운반하여야 하며, 단단히 묶고, 노
출된 위치에 제조공장, 용융 또는 가열번호와 철근의 등급과 치수를 명시한
플라스틱 꼬리표를 달아 구별하여야 한다.
1.5.2 철근을 현장에 운반해서, 직접 땅에 닿지 않도록 적절한 보관시설에 저장하거
나 덮어야 하며, 습기· 먼지· 기름 또는 콘크리트와 부착을 저해할 수 있는 기
타 사유로 철근이 손상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1.5.3 아연도금 철근과 에폭시 도막철근은 도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작, 보관하여
야 한다.
1.5.4 철근은 재질별· 규격별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묶음이 헤쳐진 후에도 철근은
구별해 두어야 한다.
1.6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치기작업, 거푸집 및 동바리 작업, 지수판 설치작


업과 철근가공조립작업이 서로 지장이 되지 않도록 공사 착수 전에 조정
하여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6 - 1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1 철근은 KS D 3504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2 아연도금 철근은 KS D 3613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1.3 에폭시 도막 철근은 KS D 3504 또는 동등 이상의 철근에 KS M 6070의 분체
도료를 입힌 것으로, 도막 후 초록색의 색상이 나와야 한다.
2.1.4 용접철망은 KS D 7017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2 장비

교류 아크 용접기는 KS C 9602, 용접봉 홀더는 KS C 9607 또는 동등 이


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 부속재료

2.3.1 결속선은 KS D 3552에 합치하여야 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지름 0.9 ㎜


(#20번선)이상 되는 풀림철선이다. 노출 콘크리트의 마무리 면에 근접한 경
우에는 연질의 스테인레스 강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도금한 철근에는 아연도
금한 아연도철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3.2 피복 아크 용접봉 심선재는 KS D 3508,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은 KS D
7004, KS D 7006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3.3 간격재는 본체 콘크리트와 동등 이상의 강도와 품질을 가진 콘크리트 혹은 모
르타르제,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제를 사용할 경우에
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3.4 에폭시 도막철근에 사용되는 부대품(철근 고임대 및 간격재, 현수재, 체어, 결
속선 등)은 KS M 6070에 적합하도록 나일론, 에폭시 또는 플라스틱으로 도장
된 것이어야 한다.
2.4 조립

2.4.1 공통사항
(1) 철근은 계약도면과 승인된 시공도면에 명시된 모양과 치수에 합치하도록 재
질을 해치지 않는 방법으로 가공하여야 한다.
(2) 철근은 상온에서 가공하여야 하며, 할 수 없이 철근을 가열하여 가공하는 경

6 - 1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우 그 작업방법에 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특정한 상세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제5장
및 제8장,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4장에 따라야 한다.
(4) 한번 구부린 철근은 이를 다시 펴거나 구부려서 재사용해서는 안 된다.
2.4.2 절단 및 굽힘
(1) 절단과 굽힘 작업은 사용에 적합하고 설비를 갖춘 장소에서 하여야 한다.
(2) 철근은 상온에서 굽혀야 하며, 굽히거나 펴기 위해 철근을 가열해서는 안 된다.
(3) 모든 철근의 굽힘 상세도와 수량표에 따라 표찰을 달고 적절히 단단하게 묶
어야 한다.
(4) 철근가공조립도에 철근의 구부리는 내면 반지름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
는 180° 표준 갈고리와 90°표준갈고리의 최소 내면 반지름이 표 6-39에 규정
된 최소반지름 이상이 되도록 철근을 구부려야 한다.
표 6-39 180° 갈고리와 90°갈고리의 최소 내면 반지름

철근의 지름 최소 반지름
D10∼D25 3db
D29∼D35 4db
D38 이상 5db
비고) db : 철근의 공칭지름

2.4.3 용접
(1) 철근의 용접이 명시되어 있고 승인 받은 경우에는 명시된 규격과 방법에 합
치되도록 철근의 준비와 용접이 이루어져야 한다.
(2) 달리 명시되었거나 승인된 경우가 아니면 전기아크 방법으로 완전 침투된 맞
대기 용접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맞대기 용접의 강도는 철근의 항복강도 이상이어야 하며, 다른 치수의 철근
을 용접한 경우에는 지름이 작은 철근 항복강도의 125% 이상이어야 한다.
(4) 용접 전에 철근에 묻은 기름, 먼지, 기타 이물질을 청소하고 화염으로 건조시
켜야 한다.

6 - 1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운송, 조작, 절단 및 굽힘으로 손상된 아연도금 피복은 KS D 3613에 명기된
대로 보수하여야 한다.
2.4.4 손상된 피복의 보수
아연도금 철근은 도금 전에 냉각하고 절단해서 굽히기를 하여야 한다. 운송,
조작, 절단 및 굽힘으로 손상된 아연도금 피복은 KS D 3613에 명기된 대로
보수하여야 한다.
2.5 조립허용오차

2.5.1 절단길이 : ±25 ㎜


2.5.2 트러스 철근의 깊이 : -13 ㎜, +0 ㎜
2.5.3 스터럽, 결속선, 나선철근의 전체길이 : ±13 ㎜
2.5.4 굽힘 : ±25 ㎜
2.5.5 가공오차가 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거나 위에서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감
독자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
2.6 자재 품질관리

2.6.1 시험
표 6-40 철근 시험 종목

6 - 1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 류 항 목 시험 및 검사방법 시기 및 회수 판정기준
철근콘크리트용 KS D 3504의 제조회사의 시험성적서에 KS D 3504에
봉강 품질항목 의한 확인 또는 KS D 적합할 것
3504의 방법
철근콘크리트용 KS D 3527의 제조회사 시험성적서에 KS D 3527에
재생강 품질항목 의한 확인 또는 KS D 적합할 것
3527의 방법
입하 시
에폭시 KS D 3629의 제조회사 시험성적서에 KS D 3629에
피복철근 품질항목 의한 확인 또는 KS D 적합할 것
3629의 방법
철근콘크리트용 KS D 3613의 제조회사 시험성적서에 KS D 3613에
아연도금봉강 품질항목 의한 확인 또는 KS D 적합할 것
3613의 방법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콘크리트를 치게 될 표면은 깨끗하고, 철근설치에 적합한 상태인 지 확인하여


야 한다.
3.1.2 콘크리트에 매설된 품목, 삽입재, 슬리브 및 블록아웃 등이 필요한 대로 제자
리에 설치되어 있는 지 확인하여야 한다.
3.2 시공기준

3.2.1 공통사항
(1) 철근은 계약도면, 승인 받은 시공 상세도 그리고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4장
의 해당요건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2)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저해할 수 있는 각종 이물질은 제거하여야 한다.
(3) 철근은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하고,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작업원의 체중과 콘크리트 치기로 이동되지 않도록 견
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6 - 1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설계도서대로의 배근이 곤란할 경우 수정 현장 시공상세도를 작성하여 감독
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5) 철근 조립후 콘크리트 타설까지 장시간 경과가 예상될 경우 철근 부식방지를
위한 별도 조치를 하여야한다
3.2.2 철근지지물
(1) 철근의 고임대(support) 및 간격재 등의 재질 및 배치 등은 명시된 도면에
따른다. 도면에 정한 바가 없을 경우에는 표 6-41 철근의 고임대 및 간격재
의 종류, 수량, 배치의 표준에 따른다.
표 6-41 철근의 고임대 및 간격재의 종류, 수량, 배치의 표준

부 위 종 류 수량 또는 배치
기 초 강재, 콘크리트재 - 2개/㎡
지중보 강재, 콘크리트재 -- 간격은 1.5 m
단부는 1.5 m 이내
- 상단보 밑에서 0.5 m
벽, 지하 외벽 강재, 콘크리트재 -- 중단은 1.5 m 이내
횡간격 1.5 m
- 단부는 1.5 m 이내
- 상단은 보 밑 0.5 m이내
기 둥 강재, 콘크리트재 - 중단은 주각과 상단의 중간
- 기둥 폭 방향은 1 m까지 2개, 1 m이상 3개
보 강재, 콘크리트재 -- 간격은 1.5 m
단부는 1.5 m이내
슬래브 강재, 콘크리트재 - 간격은 상․하부 철근 각각 가로 세로 1.0m

(2) 철근은 고임대 및 간격재 위에 지지되게 하고, 제자리에 이미 설치된 철근에


단단하게 결속하여야 한다.
(3) 금속 고임대 및 간격재의 다리는 거푸집 표면에 박히지 않고 거푸집 안에서
지지되게 하여야 한다.
(4) 정확하게 간격을 두고 띠철근과 정철근은 주철근에 결속한다.
3.2.3 조립, 이음 및 결속
(1) 철근은 제자리에 놓고, 간격을 맞추고, 명시된 위치에 있는 모든 접합점, 교
차점, 겹치는 점에서 단단하게 결속하거나 철선을 감는다.

6 - 1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감독자의 서면승인 없이는 현재 상태에 맞추기 위해서 작업장에서 철근을 다
시 굽혀서는 안 된다.
(3) 결속선의 끝은 거푸집 표면에서 떨어지게 하여야 한다.
(4) 인장철근의 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인장철근의 이음
을 하는 경우에는 이음이 한 단면에 모이지 않도록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게
하여야 한다.
(5) 특정한 상세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음의 위치 및 방법은 콘크리트 구
조설계기준 제5장에 따라 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계약상대자는 철근이음에 용접이음, 가스압접이음, 기계적이음, 슬리브 이음
등을 쓸 경우에는 그 성능을 사전에 시험 등에 의한 방법으로 확인한 다음
철근의 종류, 지름 및 시공 장소에 따라 가장 적당한 시공방법을 선택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7) 장래 증축을 위하여 구조물로부터 노출해 놓은 철근은 손상, 부식 등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8) 철근의 겹이음은 소정의 길이로 겹쳐서 0.9 ㎜(#20번선) 굵기 이상의 풀림
철선으로 여러 곳을 긴결하여야 한다.
3.2.4 간격 맞추기
평행한 철근간의 중심거리는 계약도면에 따라야 하며,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
는 순간격이 철근지름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하고, 40 ㎜보다 작거나 골재 최대
치수의 1.5배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3.2.5 굽힘부와 철근종단의 종방향 위치
부재의 단부에서 규정된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13 ㎜ 이상 감소되는 경우가 아
니면 명시된 위치에서 최대 ±75 ㎜의 오차가 허용된다.
3.2.6 접합부
(1) 접합부의 겹대기는 부착력으로 응력이 전달되도록 적당하여야 한다.
(2) 달리 명시된 경우가 아니면 철근지름의 최소 36배로 겹대기 한다.
(3) 가능하다면 어긋나게 놓인 철근의 접합부는 접합부 사이에 최소 1.2 m 이상
어긋나게 하여야 한다.

6 - 1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접합부는 겹대기를 한 전체길이에 대해 결속하거나 감독자가 승인한다면 용
접 접합하여야 한다.
3.2.7 다우웰
(1) 다우웰은 접속 시공하는 구조물과 철근의 연속성 유지를 위해서 명시되었거
나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다우웰은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확실하게 제자리에 결속시켜야 한다.
(3) 필요한 곳에서는 적절한 지지와 정착을 위해 추가철근을 대어야 한다.
(4) 다우웰은 매설한 후에 굽혀서는 안 된다.
3.2.8 철근 지지물, 간격재, 현수재, 체어, 결속선 등의 철근은 제자리에서 간격을 유
지시켜 조립하고, 지지하는데 필요한 기타품목을 포함한 철근 부대품을 갖추
어야 한다.
(1) 확대기초, 접지빔, 접지슬래브에 대해서는 젖은 바닥 재료가 체어다리를 지탱
하지 못하는 경우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바닥에는 판재 또
는 버림콘크리트로 지지물을 만들어야 한다.
(2) 노출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해서는 지지물의 다리가 거푸집과 접촉하거나 마무
리면에 근접한 경우에 아연도금, 플라스틱 피복 또는 스테인레스 강재의 다
리를 가진 지지물을 만들어야 한다.
3.2.9 강선망
(1) 강선망은 될 수 있는 대로 길게 설치하여야 하고, 모든 겹대기와 접합부에는
철선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단부의 겹대기는 인접한 쪽에 덧대어야 한다. 겹
대기로 용접한 강선망은 겹대기 방향에서 망눈 크기의 3/2배 또는 150㎜ 보
다 작지 않아야 한다.
(2) 용접강선망는 작업원의 체중과 콘크리트 치기로 이동되지 않도록 명시되어
있거나 필요한 대로 적합한 지지물, 부대품 및 결속선으로 제자리에 단단하
게 고정시켜야 한다. 명시되어 있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명시된 위치에 적당
하게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치고 있을 때 강선망을 들어주어야 한다.
3.2.10 사전에 조립된 철근
(1) 사전에 조립된 철근은 현장 치수에 맞는지 확인하고, 소정의 위치에 안전하
고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6 - 1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조립된 철근군과 철근군 단위의 이음은 소정의 이음성능을 얻을 수 있는 방
법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3.2.11 콘크리트 피복두께
(1)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야 한다.
(2) 설계도에 달리 명시된 경우가 아니면 철근에 대한 최소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5.4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규정된 규격 간에 상이한
것이 있을 경우에는 두꺼운 것을 적용한다.
(3)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히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간격재를 배치하
여야 한다.
3.3 시공허용오차

3.3.1 유효깊이 d에 대한 허용오차와 휨부재, 벽체, 압축부재에서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 허용오차는 표 6-42에 따라야 한다.
표 6-42 허용오차

유효깊이(d) 콘크리트 최소 피복두께


d ≤ 0.2 m ±10 ㎜ -10 ㎜
d > 0.2 m ±13 ㎜ -13 ㎜
다만, 하단 거푸집까지의 순거리에 대한 허용오차는 -7 ㎜이며, 피복두께의 허용오차는 도면
또는 설계 기준에서 요구하는 최소 피복두께의 -1/3로 하여야 한다.

3.3.2 종방향으로 철근을 구부리거나, 철근이 끝나는 단부의 허용오차는 ±50 ㎜이며,
다만 부재의 불연속단에서 철근 단부의 허용오차는 ±13 ㎜ 이다.
3.3.3 철근이 설계된 도면상의 배근위치에서 철근의 공칭지름이상 벗어나야 할 경우
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4 설치오차가 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았거나 위에서 명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독자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
3.4 현장 품질관리

3.4.1 계약상대자는 가혹한 부식 환경 지역에 설치되는 주요 구조물에 철근 부식문

6 - 1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책임기술자가 서명한 기술검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
하여 승인을 얻은 후 에폭시수지 등으로 도막처리된 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3.4.2 철근은 다른 철근이나 배관 또는 매설물과 간섭을 피하여 필요한 만큼 이동시
킬 수 있다. 철근이 철근지름 이상 또는 위의 허용치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경
우에는 철근배근에 대해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4.3 철근 최소간격은 줄여서는 안 되며, 필요한 철근의 수대로 설치하여야 한다.
3.4.4 청소를 위한 통로 때문에 이동시킨 철근은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다시 설치해
서 고정시켜야 한다.
3.4.5 시험
표 6-43 철근 시험 및 검사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비 고


조립철근 외관검사 육안 및 자에 의한 ․모든 이음부위 철근가공조립도와 일
측정 마다 치할 것
인장시험 KS B 0802
KS B 0833 ․500개소마다
철근 용접부의 KS B 0845 또는
용접이음 내부결함 KS B 0896
외관검사 육안 및 자에 의한 ․모든 이음부위 철근가공조립도와 일
측정 마다 치할 것
외관검사 육안 및 자에 의한 ․제조회사별 철근가공조립도와 일
측정 치할 것
철근 초음파 ․1검사로트에 30
가스압접 탐사법 KS D 0273 개소 이상 1검사로트는 1조의 작
이음 업반이 하루에 시공하
인장시험 KS D 0244 ․1검사로트에
험편 3개
시 는 압접개소의 수량
외관검사 육안 및측정 자에 의한 전체 개소 철근가공조립도와 일
치할 것
기계적
이음 각각의 이음에 제조회사의 시험성적 사용목적을 달성하기
요구되는 항목 서에 의한 확인 또는 설계도서에 의함.
필요로 하는 항목
위해 정한 별도의 규
격에 적합할 것
3.4.6 검사
콘크리트 치기를 하기 전에 감독자에게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하여 반드시 검

6 - 1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를 받아야 한다. 명시된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승인을 받기 전에 이어
진 작업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감독자가 지시하는 방법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1) 철근 지지물, 결속한 겹대기 및 교차부분을 포함한 철근, 용접강선망 및 철근
매트의 설치상태
(2) 용접한 철근의 접합부 및 이음부
3.4.7 청소
(1) 철근은 콘크리트를 치는 시점에 거푸집 박리제, 쇠똥 또는 뜬 녹과 기타 부
식물 등과 같이 콘크리트의 부착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식물과 피복물이 없
어야 한다.
(2) 철근을 조립한 지 10일이 경과한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다시 감독
자의 검사를 받고 청소를 하여야 한다.
6-6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공 6-6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PSC 구조물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PSC 구조물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6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해당사항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에 따른다. 콘크리트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1 구조물공 일반
6-3 가시설공 2. 재 료
6-4-1 일반 콘크리트 해당사항 없음
6-4-10 모르타르 및 그라우트 3. 시 공
6-5 철근공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6 - 1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D 3505 PS강봉
KS D 7002 PS강선 및 PS강연선
KS F 2426 주입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 방법
KS F 2432 주입 모르타르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
KS F 2433 주입 모르타르의 블리딩률 및 팽창률 시험방법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27 콘크리트용 부순 골재
KS F 4009 레디 믹스트 콘크리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도로교 표준시방서 3-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22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4 용어의 정의

1.4.1 프리스트레스
외력에 의해서 일어나는 인장응력을 소정의 한도로 상쇄할 수 있도록 미
리 계획적으로 콘크리트에 주는 응력
1.4.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
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말하며, PS콘
크리트 또는 PSC라고 약칭하기도 한다.
1.4.3 프리스트레스 힘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부재단면에 작용하고 있는 힘
1.4.4 프리스트레싱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일
1.4.5 PS강재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고강도의 강재
1.5 제출물

1.5.1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다음 사항을 준비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


다.

6 - 1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설계도서 검토 의견서
(2) 시공 계획서
(3) 품질관리 계획서
(4) 공정관리 계획서
(5) 안전관리 계획서
(6) 자재, 장비관리 계획서
(7) 하도급 회사 선정 계획서
(8) 관련도로 또는 하천의 장래계획 및 관련기관의 시공허가서
(9) 인원 조직 기구표
(10) 지하매설물 확인사항
1.5.2 제작장 설치 계획서
1.5.3 시공계획서
계약상대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기재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야 한다.
(1) 사용할 프리스트레싱 장비의 명세 및 PSC 제작절차
(2) 그라우트의 배합설계표
(3) 그라우팅 작업방법과 장비명세
(4) 부재의 제작, 운반, 보관 및 설치 등 절차
(5) 프리스트레싱 작업에 사용할 재료와 방법에 관한 상세
(6) PS강재의 응력․변형곡선
(7) 콘크리트 양생시설, 방법
(8) 운반 및 가설방법
1.5.4 시공 상세도면
시공 상세도면은 다음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제작 및 가설 순서도
(2) 재료수량표, 설치도 및 다른 공사와의 연관도

6 - 1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거푸집 및 동바리에 대한 계산서와 상세도
(4) 솟음 계산서
(5) 프리스트레싱하는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힘 및 응력계산서 등
(6) 쉬스관의 위치, 철근과 PS강재 크기와 간격, 단위 무게, 스트레싱 순서, 최초
인장하중
(7) 산출된 마찰과 탄성수축으로 인한 손실, PS강재의 늘어남, 정착장치의 미끄
러짐으로 인한 손실, 결합과 그라우팅 절차, 풀림 철강배치, 솟음, 간격, 부재
의 치수
1.5.5 공사용 기계기구, 가설비와 그 배치
사용 예정된 기계기구와 가설비에 관하여 계획의 내용이나 그 배치를 명기하
여야 한다.
1.5.6 품질관리방법
본체뿐만 아니라 가설비의 주요 부분까지도 품질관리의 대상부위, 검사방법
등을 포함한 계획내용을 작성한다.
1.5.7 제품자료
제품자료는 다음 사항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쉬스관은 생산가능 규격, 전단강도, 이음방법, 방수능력, 전기에 대한 저항성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자료, 사용지침서, 사용 실적 등
(2) PS강재는 긴장 시 극한항복강도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자
료, 사용지침서, 사용 실적 등
(3)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는 긴장재의 정착력 등 제반사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
황, 기술자료, 사용지침서, 사용 실적 등
1.5.9 품질보증서
(1) PS강재에 대한 제조업자의 보증서는 제품 반입 시 마다 제출
(2) 유압잭의 교정 확인서
(3) 강재의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 탄성계수를 포함한 응력-변형률 시험특성,
최소 극한 인장강도, 항복강도 등의 시험성적서
1.6 품질보증

6 - 1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6.1 PSC 구조물 제작 회사
프리스트레싱 작업을 시행하는 회사는 최근 5년 내에 현재의 계약과 유사한
작업을 시행한 회사이어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6.2 PS숙련공
PS숙련공은 PS작업에 대하여 경험이 많고 숙련된 기술자로서 모든 기기를 조
작할 수 있고 감독자가 요구 시 경력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1.7 운반, 보관, 취급

1.7.1 PS강재 및 PS정착장치는 공장에서 운반 시 규격별, 종류별로 구분하고 표식


을 부착하여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1.7.2 PS강재를 운반 시에는 물리적인 손상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나 박스 속에 넣어서 운반하여야 한다.
1.7.3 운반이나 저장하는 동안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용 수용성오일을 바
를 수 있다. 부식방지용 수용성오일은 강재,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강재의 결
합에 해가 없는 제품이어야 한다.
1.7.4 계약상대자는 표식이 불명확한 제품을 현장에 반입해서는 안 된다.
1.7.5 PS강재, 정착장치 저장 시에는 로트 번호를 부여하여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꼬리표를 붙여야 한다.
1.7.6 PS강재를 저장하여 보관 중에는 저장된 물품명과 취급 시 유의사항 등을 표
시해 놓아야 한다.
1.7.7 PS강재 및 쉬스는 직접 지상에 놓지 않아야 하며, 창고 내에 저장하던가 또는
창고에 둘 수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덮어서 저장하며, 유해한 기름,
염분, 먼지 등이 부착하지 않도록 하고 유해한 부식, 흠, 변형, 물리적 손상 등
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7.8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는 창고 내에 저장하되 나사부가 부식되지 않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접촉부분에는 기름, 먼지 등이 부착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7.9 접착제는 재료분리, 변질, 먼지 등의 불순물이 혼입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
다.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은 사용 전에 시험하여 그 품질이 이상이 없는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6 - 1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7.10 골재는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표면수가 균등하고 골재분리가 되지 않도록 저
장하며, 겨울에는 빙설의 혼입 또는 동결을 방지하고 여름에는 골재의 건조
나 온도상승을 막기 위한 시설을 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1.8 환경요구사항

1.8.1 계약상대자는 서중이나 한중에 그라우트 주입을 시공할 수 없다. 다만, 감독자
가 승인한 경우에는 전문기술자의 검토를 거쳐서 시행할 수 있다.
1.8.2 한중에 그라우트 주입 시에는 쉬스관 주위의 온도가 5℃이상 유지되어야 하
고, 주입 시 그라우트 재료 온도는 10∼20 ℃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며, 주입
후 최소 5일 동안은 5℃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1.8.3 서중에서 시공하는 경우에는 그라우트의 온도상승, 그라우트의 급격한 경화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재료
2.1 재료

2.1.1 콘크리트
6-4-1절에 따른다.
2.1.2 PS강재
(1) PS강봉은 KS D 3505의 요건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 PS강선 및 PS강연선은 KS D 7002의 요건에 합치하거나 동등 이상의 제품
이어야 한다.
(3) 정착, 접속, 조립 혹은 배치를 위하여 PS강재를 재가공하거나 열처리를 할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처리를 함으로써 PS강재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시험에 의하여 확인해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PS강재
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시험에 의하여 그 저하의 정도를 확인하여 그
에 알맞은 강도, 기타의 설계용 값을 별도로 정하여야 한다.
(4) PS강재는 깨끗하여야 하며, 유해한 녹, 더러움, 흠 등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2.1.3 쉬스관

6 - 1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쉬스관의 재질은 시방기준 및 설계서에서 제시한 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2) 쉬스관은 콘크리트를 칠 때 쉽게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3) 쉬스관은 시멘트풀이나 콘크리트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유입되는 것
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
(4) 이음부는 용접 또는 연결 이음장치로 조립할 수 있어야 한다.
(5) 쉬스관은 콘크리트에 해를 끼치거나 전기적인 활동을 발생시켜서는 안 된다.
(6) 계약상대자는 그라우팅을 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보증하여야 한다.
① PS강선 PS강봉을 사용할 때 쉬스관은 내경은 적어도 PS강선이나 PS강봉의
직경보다 6.35 ㎜ (1/4 in) 이상 더 커야 한다.
② 쉬스관은 부재의 낮은 곳에 배수구멍이 있어야 한다.
2.1.4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
(1) PS강재의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영구적이고
PS강재를 단단히 정착시킬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2)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의 선정에 있어서는 정착 또는 접속된 PS강재의 인장
강도의 95% 이상이 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정착장치로부터 하중이 콘크리트로 효과적으로 분배되도록 승인된 장치이어
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앵커 플레이트나 부속품 바로 밑에 있는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최종 단위 압
축응력은 사용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을 넘지 않아야 한다.
② 프리스트레싱 작업으로 인해 앵커 플레이트나 부속품에 발생하는 휨응력은
그 재료의 항복점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감독자가 승인한 긴장재 인장강
도의 95%를 적용했을 때 앵커플레이트에 눈에 띄는 비틀림이 있어서는 안
된다.
(4)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가 이 규정을 만족하고 있는 지 여부를 계산에 의해 밝
히기는 어려우므로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 KCI-PS101의 규정에 따라 시험
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다. 다만, 충분한 시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조자가
품질을 보증하는 정착장치나 접속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시험을 생
략해도 좋다.

6 - 1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5 PSC 앵커 및 부속물
(1) PSC 앵커 및 부속물은 부식에 대한 방지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PSC 앵커 및 부속물이 콘크리트 삽입물과의 시공 잘못으로 발
생되는 손상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
(3) 쉬스관은 긴장재를 녹슬지 않게 하고 콘크리트에 해를 주지 않으며, 프리스트
레스 도입 시에 긴장재와 콘크리트 사이를 부착시키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4) 마찰감소제는 긴장재, 쉬스 및 콘크리트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어
야 한다.
2.1.6 PSC 그라우트
그라우트는 덕트 내를 완전히 채워서 PS강재를 보호함과 동시에 부재 콘크리
트와 PS강재를 부착에 의해서 일체로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 PSC 그라우트의 품질은 다음 표 6-44에 합치하여야 한다.
표 6-44 PSC 그라우트의 품질기준

항 목 시험․검사방법 시기․횟수 판단기준


유동성 KS F 2432의 방법 시공계획서에 규정된 범위
블리딩률 KS F 2433의 방법 0%
팽창률 KS F 2433의 방법 주입 전, 1회/일 팽창성 재료 : 0∼10%
이상 및 품질 비팽창성 재료 : 시험생략
압축강도 KS F 2426의 방법 변화가 인정될 때 팽창성 재료 : 20 ㎫ 이상(재령 28일)
비팽창성 재료 : 30 ㎫ 이상(재령 28일)
염화물 KS F 4009 부속서 0.3 ㎏/㎥ 이하
함유량 1의 방법

(2) 시멘트는 KS L 5201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3) 그라우트 중의 염화물량은 염소이온중량으로 0.3㎏/㎥이하로 하여야 한다.
(4) 팽창제로 사용하는 알루미늄 분말은 시멘트 무게의 0.005∼0.015%로 사용하
여야 한다.
(5) 혼화재료의 사용여부, 품질 사용방법에 대하여는 미리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

6 - 1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인을 받아야 한다.
2.1.7 PSC 제작용 골재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PS강재, 쉬스관, 철근, 정착장치 등의 주위에 콘크리
트가 잘 채워질 수 있도록 정하여야 한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보통 25
㎜를 표준으로 한다. 그러나 부재치수, 철근간격, 펌프압송 등의 사정에 따라
20 ㎜를 사용할 수 있다.
(2) 입도는 다음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고, 잔골재의 조립률이 콘크리트 배합설
계시의 조립률에 비하여 ±0.2 이상의 변화를 나타냈을 때는 배합을 변경하여
야 한다.
(3) 잔골재 입도범위는 다음 표 6-45와 같다.
표 6-45 잔골재 입도범위

체규격 10 ㎜ 5 ㎜ 2.5 ㎜ 1.2 ㎜ 0.6 ㎜ 0.3 ㎜ 0.15 ㎜


통과백분율(%) 100 95∼100 80∼100 50∼85 25∼60 10∼30 2∼10

(4) 굵은골재 입도범위


굵은골재 입도범위는 KS F 2526 표-3에서 정한 [콘크리트용 굵은골재 57]에
적합하여야 한다.
2.1.8 기타재료
쉬스관을 씻기 위한 물은 생석회(산화칼슘)나 소석회(수산화칼슘)를 물 1ℓ당
12g을 함유하여야 한다.
2.1.9 철근
이 시방서 6-5절에 따른다.
2.2 장비

2.2.1 프리스트레싱 장비
(1) 응력도입에 사용되는 유압잭은 잭킹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압력 게이지
나 로드셀 등을 갖추어야 한다.
(2) 유압장치는 품질검사전문기관으로부터의 성능검사를 받고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는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6 - 16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압력게이지를 사용하는 경우 압력게이지는 최소직경이 150㎜이상인 다이얼
게이지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각 잭의 게이지는 예상되는 최종 잭킹 압력
의 위치까지 캘리브레이션을 하여 도표를 첨부하여야 한다.
(4) 로드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잭의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응력 지시기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 전에 미리 캘리브레이션을 하여야 한다. 인장력
이 로드셀 측정용량의 10%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그 로드셀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2.2 PSC 그라우트 믹서(mixer)
(1) PSC 그라우트 믹서는 5분 이내에 완전히 혼합할 수 있고, 주입이 끝날 때까
지 천천히 교반할 수 있는 장비이어야 한다.
(2) PSC 그라우트 믹서는 혼합조와 주입조가 분리되어 있어 연속작업이 가능하
여야 한다.
2.2.3 그라우트 장비
그라우트 장비는 눈금의 간격이 2㎫(20㎏f/㎠) 이하로 표시되어 있는 압력게
이지가 부착된 것이어야 하며, 1.5㎫(15㎏f/㎠) 이상의 펌핑압력을 낼 수 있는
청소용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2.3 부속재료

2.3.1 그라우팅 주입파이프


그라우팅 주입파이프에는 기계식 차단밸브가 있어야 하며, 중간의 구멍 및 배
출 파이프에는 밸브, 캡 또는 기타 펌핑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2.4 자재 품질관리

2.4.1 시험
표 6-46 자재 시험

6 - 16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 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콘크리트 6-4-1 일반 콘크리트 2.5.5 시험에 따라 실시
PS강봉 KS D시험종목
3505에 규정된 KS D 3505 제조회사별
PS강선 및 KS D 7002에 규정된 KS D 7002 제조회사별
PS강연선 시험종목
컨시스턴시 KS F 2432
블리딩 KS F 2414
그라우팅 블리딩률 및 팽창률 KS F 2433 작업 개시 전 1회
압축강도 KS F 2426
염화물함유량 KS F 4009 부속서 1의 방법

(1) PS재료의 샘플링


① 현장으로 운반되는 모든 강선, 강연선, 정착장치, 강봉에는 로트 번호를 부
여하여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꼬리표를 붙여야 한다.
② 제출된 모든 샘플은 공급되는 로트를 대표하는 것이어야 하며, 강선과 강연
선의 경우 같은 로트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③ 시험용 재료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사용 전에 시험이 완
료될 수 있도록 미리 제공하여야 한다.
④ 계약상대자는 재료의 판매자로 하여금 각 로트에서 샘플링한 다음의 시료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하며, 감독자는 필요에 따라 시험재료의 샘플링을 제조
공장에서 직접 할 수 있다.
(2) PS 강재
KS D 7002의 7.3 시험편의 채취방법에 따른다.
(3) 정착장치
정착장치는 사용되는 크기 및 형태의 응력 분배용 플레이트 일체를 갖춘 2조
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시공일반

3.1.1 이 절에서 언급되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3-11절에 따른다.

6 - 16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2 계약상대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작업을 시행하기 전에 사용 장비, 재료, 시공
방법 등에 대한 제반의 상세한 내용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1.3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을 이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재료의 설치, 프리스트레스 도
입장비 사용을 주관하여 지도를 할 수 있는 유능한 기술자를 확보하여야 한다.
3.1.4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및 철근은 이 시방서 6-4-1절 및 6-5절에
맞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필요 시 계약상대자는 구조검토 및 시공상세도를 작
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변경하여 시행할 수 있다.
3.1.5 PSC 자재를 원설계와 다르게 사용할 경우 필요한 구조검토 및 도서를 작성하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변경할 수 있다.
3.1.6 계약상대자는 PSC 거더 구조물의 시공 전에 인장계획서 등 시공계획서를 제
출하여야 한다.
3.1.7 PS강재에 녹이 슬었을 경우 별도의 인장시험을 한 후 감독자의 사용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긴장재의 배치
3.2.1 긴장재의 가공 및 조립
(1) PS강재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 가공하여야 하며, 가공 시 재질이 손상되지 않
도록 하여야 한다. 심하게 구부러진 PS강재, 급격한 열의 영향을 받은 PS강
재 및 높은 온도에 접한 PS강재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2) PS강봉의 가공 및 조립 시 폐기용을 제외하고 전 작업에 걸쳐 열에 의한 절
단을 해서는 안 된다.
(3) 프리텐션 방식의 시공에 사용하는 PS강재 및 프리스트레싱 후에 부착시키는
PS강재는 조립 전에 부착을 해칠 우려가 있는 들뜬 녹, 기름,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3.2.2 쉬스 및 긴장재의 배치
(1) 쉬스 및 긴장재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여야 하며, 콘크
리트 타설 및 양생 중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2) 쉬스관은 용접하거나 또는 연결 이음장치로 조립하여야 한다. 연결 이음장치
는 도금할 필요가 없으며, 배치된 원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6 - 16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쉬스관 단면 사이의 이음은 이음부에서 굴곡에 의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금속연결을 하며, 방수테이프로 밀봉하여야 한다.
(3) 손상된 쉬스나 내면에 심하게 녹슬어 있는 쉬스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쉬스의 이음은 콘크리트를 칠 때 시멘트 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5)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에 긴장재는 쉬스 내에 배치할 때, 서로 엉키지 않도
록 하여야 한다.
(6) 부착시키지 않는 경우의 긴장재는 그 피복을 해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7) 포스트텐션 부재를 제작하여 장기간 동안 인장과 그라우팅 작업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PS강재에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 쉬스 및 긴장재의 배치가 끝난 후 반드시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2.3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의 조립과 배치
(1)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여야 한다.
(2) 정착장치의 지압면은 긴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하고, 정착장치 부근의
긴장재에는 적당한 길이의 직선부를 두어야 한다.
(3) 긴장재를 연속시킬 경우 접속장치는 긴장재에 인장력을 줄 때 인장측으로 충
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정착장치 및 접속장치의 배치가 끝나면 반드시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5) 계약상대자는 정착장치 설치 전 설계도서에 명시된 지압판의 면적과 제품 지
압판의 면적을 반드시 비교 검토하여야 한다.
3.2.4 정착장치 및 부재 끝단면의 보호
(1) 프리텐션방식의 부재는 프리스트레스를 준 후 부재 끝 단면의 긴장재를 가지
런하게 끊고 긴장재가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2) 포스트텐션 방식의 부재는 정착장치 및 부재 끝 단면이 파손 또는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 정착구 양쪽에 빼놓은 PS강선을 타고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 등으
로 덮개를 씌워야 한다.

6 - 16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 거 푸집 및 동바리
3.3.1 거푸집은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 콘크리트 부재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
여야 한다.
3.3.2 동바리는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콘크리트 부재의 변형 및 반력의 이동을 저해
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3.3.3 거푸집 조립 전 철근 조립상태, 쉬스관 선형 및 결속상태, 정착구 설치상태,
내부청소 등을 확인 후 거푸집을 조립하여야 한다.
3.3.4 거푸집은 부재가 완성된 후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콘크
리트 부재의 변형을 고려하여 적절한 솟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3.3.5 프리스트레싱 중의 부재의 변형을 막는 거푸집은 콘크리트 부재에 나쁜 영향
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프리스트레싱 작업 전에 떼어내는 것이 좋다. 다만, 프
리스트레싱에 의해서 비로소 자중 등의 반력을 받는 부분의 거푸집 및 동바리
는 떼어내지 않아야 한다.
3.3.6 쉬스관과 거푸집과의 접촉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간격재는 승인된 모양과 치수
의 프리캐스트 모르타르 블록이어야 하며, 쉬스관과 쉬스관 사이에는 모르타
르 블록이나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목재로 된
간격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3.7 거더의 측면 거푸집은 포스트텐셔닝 전에 제거하여야 하며, 상부구조를 지지
하는 동바리는 그라우트 후 최소한 48시간이 경과하지 않았거나 모든 조건이
만족된 후가 아니면 해체해서는 안 된다. 지지동바리는 상부구조의 동바리를
제거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고 포스트텐션을 주는 동안 줄어들지 않도록 시공
하여야 한다.
3.4 콘크리트 치기

3.4.1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치기 이전에 배치 플랜트와 제작장과의 거리, 운반시


간 치기방법, 치기시간 등을 검토하여 유동화제 투입장소, 사용량을 결정하고,
연속적인 콘크리트 치기가 되도록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4.2 포스트텐션 부재의 거푸집은 부재의 수축에 대한 저항을 최소로 하는(수축할

6 - 16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때는 저항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3.4.3 감독자가 거푸집, 철근, 마개, 쉬스관의 정착장치 및 강재의 배치, 내부 청소상
태 등을 검사하여 승인하기 전에는 콘크리트 치기를 해서는 안 된다.
3.4.4 콘크리트 치기 전 및 치기 중 감시인을 정하여 거푸집 및 동바리의 변형, 압
축, 침하 등의 관측을 하도록 하여야 하며, 치기 전에 모든 쉬스관의 막힘 여
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4.5 콘크리트 치기 시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철근과 철근 사이, 쉬스
관 둘레 거푸집 구석구석까지 채워지도록 다짐을 철저히 하며, 특히 양단부는
철근 조립이 복잡하여 공동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다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3.4.6 무리한 다짐은 쉬스관의 손상 또는 철근의 위치변동의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
하여야 한다.
3.5 양생

3.5.1 습윤양생 대신 증기양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계약상대자는 양생시설,


방법 등 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3.5.2 콘크리트를 친 후 2∼3시간 경과 후에 증기를 가하기 시작하여야 하며, 지연제
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4∼6시간이 경과한 후 증기를 가하기 시작하여야 한다.
3.5.3 증기가 콘크리트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상대습도는 100%가 유지되
어야 한다.
3.5.4 온도 상승 및 하강은 시간당 20℃를 넘지 않도록 한다.
3.5.5 온도 상승은 65℃ 될 때까지 하며, 콘크리트가 소요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최
고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5.6 온도 하강 시는 외기온도보다 10℃ 높아질 때까지 하강한다.
3.5.7 증기양생 후에도 치기 완료 후 최소한 7일간 적절한 습윤양생을 하여야 한다.
3.5.8 콘크리트를 친 후 7일이 경과하기 전에는 빙점하의 기온에 노출시켜서는 안
된다.
3.5.9 증기양생 후 PS강선 및 PS강연선을 좌․우 단부에서 두드려 보아 쉬스관에
모르타르가 스며들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6 - 16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 프리 스트레싱
3.6.1 일반사항
(1) 긴장재는 이것을 구성하는 PS강재의 각각에 소정의 인장력을 주어지도록 인
장하여야 한다. 이 때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었다가 다시 설계값으로
낮추는 식의 시공을 하지 않아야 한다.
(2) 프리텐션방식의 경우 긴장재에 주는 인장력은 고정장치에서의 활동(slip), 고
온촉진 양생을 하는 경우의 고온으로 인한 유해한 영향 등을 고려하여 소정
의 값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프리스트레스를 줄 때는 고정장치를 서서히 풀
어서 각 긴장재가 고르게 풀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3) 포스트텐션방식의 경우 긴장재에 주는 인장력은 마찰손실, 정착장치의 변형
또는 활동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값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긴장재를 차례로
인장하는 경우에는 설계도서에 명기된 순서에 따라야 하며, 각 단계마다 콘
크리트에 유해한 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콘크
리트의 탄성변형량에 의하여 각 긴장재에 주어지는 인장력이 변화하므로 이
영향력을 고려하여 인장력을 정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프리스트레싱 하기 전에 거푸집의 일부를 풀어서 프리스트레싱
중의 PSC 부재의 변형에 대한 구속을 작게 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프리스트레싱과 동시에 동바리의 일부를 침하시키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 긴장재를 인장하는 방향은 설계내용, 현장조건, 시공방법 등에 따라 결정하여
야 하며, 일방향 인장 시에는 프리스트레스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긴장재마
다 인장하는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6) 프리스트레싱 시에는 긴장재의 파단 또는 부재의 좌굴 등에 의한 안전사고
대책에 대해서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7) 스트랜드(강연선)는 생산제조회사로부터 규격별 시험성과표를 받아 이를 기
준으로 프리스트레싱 관리를 하여야 한다.
(8) 프리스트레싱 작업은 반드시 안전조치를 취하고 감독자 입회 하에 실시하여
야 하며 프리스트레싱 작업 후 인장력과 강재의 신장량 등 인장에 관한 기록
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6 - 16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9)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에 규정된 응력 도입 시의 압축강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포스트텐션을 가해서는 안 된다.
3.6.2 프리스트레싱 장치의 검정(calibration)
(1) 프리스트레싱 장치의 검정은 현장에 다이나모미터 또는 쌍침식(雙針式) 표준
게이지를 준비해두고, 프리스트레싱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 중에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록해 두어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 장치는 다음의 시기에 반드시 캘리브레이션을 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현장에는 캘리브레이션용 표준게이지
등을 비치하여야 한다.
① 최초의 프리스트레싱 직전
② 잭(jack) 또는 펌프수리 및 조합변경 시
③ 압력계의 0점이 이동되었을 때
④ 약 50본의 케이블을 인장한 후
⑤ 장기작업 중단 후 작업 재개 시
⑥ 계산치와 측정치가 현저히 다를 때
3.6.3 프리스트레싱 시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프리스트레싱 직후의 콘크리트에 생기
는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프리텐션 방식의 경우 30㎫
(300㎏f/㎠)이상,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 27㎫(270㎏f/㎠) 이상이어야 한다.
이 때 압축강도의 확인은 구조물과 똑같은 양생조건의 공시체에 대하여 한다.
(2) 프리스트레싱 시의 정착부 부근의 콘크리트 강도는 정착에 의해서 생기는 지
압응력에 견디는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3.6.4 초기재령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경우의 유의사항
(1) 교량의 규모, 구조, 시공방법, 시공시기, 현장조건 등에 따라 초기재령의 콘크
리트에 프리스트레스(의) 일부를 주는 경우에도 3.6.3항의 규정을 준수하도록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2) 캔틸레버공법(FCM, free cantilever method)으로 시공하는 교량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강도가 비교적 낮은 시기에 프리스트레싱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매 단계별로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6 - 17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5 프리스트레싱의 관리
(1) 프리스트레싱의 관리는 하중계의 지시도와 긴장재의 늘음량에 의해 관리하여
야 하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의 관계가 직선으로 되어가는 것을 확인하
여야 한다. 직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싱을 다시 하여야 하고, 다
시 한 후에도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확
인하여야 한다.
(2) 프리스트레싱의 관리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변동을 고려하여,
긴장재 1개 마다에 정해진 인장력이 주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3) 1개 부재에 여러 개의 긴장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긴장재 1개 마다의
관리 외에 긴장재를 몇 개의 조로 나누어서 관리하여야 한다.
(4) 집중 케이블 방식에서 한 개의 부재에 배치되는 긴장재의 개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경우의 프리스트레싱의 관리는 특별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5) 마찰계수 및 긴장재의 겉보기 탄성계수는 시험에 의해 구하여야 한다.
(6) 프리스트레싱 작업은 설계도서대로 양단 긴장을 할 경우, 작업 및 긴장력도
동시에 작용하도록 한 개의 유압기를 사용한다.
(7)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 프리스트레싱 관리도를 이용하고 하중계의 인장력과
PS강재의 늘음량 또는 빠짐량을 측정 기록하여 직선으로 진행되는 가를 확
인하여야 한다.
(8) 인장력과 늘음량 또는 빠짐량의 관계가 직선이 되지 않을 때는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확인하여야 한다.
(9) 설계상의 인장력 및 늘음량 또는 빠짐량 값과 실제 긴장 시의 값이 5% 이상
의 편차를 보일 경우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전문기술자의 자문을 받아 원인
을 조사하고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0) 긴장 중 PS강재의 파손 등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전문기술자의 검토를 받아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11) 프리스트레싱 작업 중에는 PS강선의 늘음량 또는 빠짐량을 확인할 수 있도
록 정착구 양측에 스프레이어 등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12) 잭을 정착구에 설치하기 전에 자연 상태로 된 PS강재의 정착구 바로 뒷부

6 - 17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분을 지워지지 않도록 페인팅을 하여야 한다.
(13) 잭을 정착구에 설치한 후 매 10㎫(100㎏f/㎠)압력마다 잭의 램(ram) 길이를
측정하여야 한다.
(14) 잭의 압력 게이지는 검정․교정 공인기관에서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한다.
(15) 텐던(tendon) 인장결과의 허용범위는 인장계획표(수정)에 의한 신장력, 즉
이론적 계산치와 실제 현장에서 실측된 신장량의 차이에 의해 산출된 것으
로 ±5%를 적용한다.
3.7 PSC 그라우트
3.7.1 일반사항
(1) PS 그라우트는 프리스트레싱이 끝난 후 가능한 빨리하여야 한다.
(2) 쉬스관은 그라우트 주입 전에 압축공기로 물을 흘러내어 깨끗이 씻어내 충분
히 적셔 놓아야 한다.
(3) 쉬스관 내 PS강재 사이의 공간을 그라우트로 채워 PS강재를 콘크리트에 부
착시킨다.
(4) 그라우트의 적정한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점성도 시험, 팽창성시험, 블
리딩 시험 및 압축강도 시험을 하여야 한다.
3.7.2 시공장비
(1) 그라우트 장비는 눈금의 간격이 2㎫(20㎏f/㎠)이하로 표시되어 있는 압력게
이지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쉬스관 내에 부분적으로 그라우
팅된 것을 청소할 수 있도록 1.5㎫(15㎏f/㎠) 이상의 펌핑압력을 낼 수 있는
청소용 장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2) 모든 쉬스관은 깨끗하고 그라우팅 작업을 방해하거나 그라우트의 부착을 저
해하는 유해 물질이 없어야 하며, 모든 그라우트 혼합물은 그라우트 펌프에
넣기 전에 최대 1.2㎜ 눈금의 체로 걸러야 한다.
(3) 그라우팅 주입 파이프에는 기계식 차단밸브장치가 있어야 하며, 중간의 구멍
및 배출 파이프에는 밸브, 캡 또는 기타 펌핑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밸브와 캡은 그라우트가 경화할 때까지는 제거해서는 안 된다.

6 - 17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강재는 콘크리트에 부착되어야 하며, PS강재에는 먼지, 뜬 녹, 그리스 또는
기타 유해물질이 없어야 한다.
(5) 믹서는 혼합조와 주입조가 분리되어 있어 연속작업이 가능하여야 하며, 일정
한 물-시멘트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6) 주입이 끝날 때까지 그라우트 모르타르를 천천히 교반할 수 있는 교반기를
갖추어야 한다.
3.7.3 비비기 및 휘젓기
(1) 비비기의 순서는 먼저 물을 믹서에 투입하고 이어 시멘트와 혼화제를 투입한
다. 그라우트는 비비기가 잘 되고 균질의 그라우트를 생산할 수 있는 형태의
기계식 혼합장비로서 혼합하여야 한다.
(2) 물의 양은 시멘트 1포대(40㎏)당 18ℓ를 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그라우트의
되비비기는 허용되지 않으며, 펌프로 주입하기 전까지 계속 되섞어야 한다.
(3) 그라우트는 주입이 끝날 때까지 천천히 휘젓기를 하여야 한다.
3.7.4 주입
(1) 콘크리트 치기가 완료된 즉시 쉬스관 내에 유분이 없는 압축공기로 쉬스관 내
의 모르타르를 굳기 전에 제거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친 후 대략 24시간이
경과한 후 쉬스관 내부를 물로 청소하고 유분이 없는 압축공기로 청소한다.
(2) 박스거더의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에게 모든 쉬
스관이 막히지 않았음과 PS강재를 배치한 경우라도 강재는 자유롭고 부착되
지 않았음을 확인하여야 하며, 강재에 요구되는 인장력이 가해진 후에는 PS
강재를 싸고 있는 쉬스관 내에 PS강재가 부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여야 한
다. 또한 강재에 요구되는 인장력이 가해진 후 PS강재를 싸고 있는 쉬스관
내에 유분이 없는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청소를 하고 쉬스관의 낮은 쪽으로
부터 그라우트하여 완전히 채워야 한다.
(3) 그라우트는 펌프로 쉬스관을 통해 채워 넣어 물, 슬래그 또는 공기가 출구로
나오지 않을 때까지 흘려버린다. 배출되는 그라우트의 유출시간은 11초 이상
으로 한다. 그 후 모든 구멍 및 열려진 곳을 닫고 주입단에서의 그라우팅 압
력이 최소한 0.7㎫(7㎏f/㎠)가 되도록 높여 최소 11초간 유지한다.
(4) 그라우트의 팽창제로 알루미늄 분말의 양은 시멘트 중량의 0.005∼0.015% 정

6 - 17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도 사용할 수 있다.
(5) 시멘트 1포당 알루미늄 분말 혼화제 사용량은 그라우트의 온도가 21℃일 때
는 0.13㎏, 4℃일 때는 0.2㎏로 변화한다. 모든 성분을 첨가한 후 1배치를 3분
간 혼합한다. 혼합이 완료된 배치는 45분 내에 주입하여야 한다.
3.7.5 한중 그라우트 시공
(1) 한중에 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주입 전에 쉬스 주변의 온도를 5℃ 이상으로
올려놓아야 한다. 또한 주입 시 그라우트의 온도는 10∼25℃를 표준으로 하
고, 그라우트의 온도는 주입 후 적어도 5일간은 5℃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7.6 서중 그라우트 시공
(1) 서중 시공의 경우에는 지연제를 겸한 감수제를 사용하여 그라우트 온도의 상
승이나 그라우트가 급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8 시공허용오차

3.8.1 철근배치에 관한 시공정밀도는 다음 표 6-47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표 6-47 철근배치에 관한 시공정밀도

항 목 시공정밀도
설계치수의 ±3 % 또는 ±30 ㎜ 중에서 작은 값
유효높이 다만, 최소피복두께는 확보하는 것으로 한다.
바닥판의 경우 설계치수의 ±10 ㎜로 하고, 소요피복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3.8.2 프리텐션방식의 경우 PS강재,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 쉬스 및 정착장치 배치
시의 시공정밀도는 다음 표 6-48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표 6-48 PS 강재의 시공정밀도

항 목 시공정밀도
PS강재의 중심과 주요한 설계단면의 양측 설계치수의 ±5 % 또는 ±5 ㎜ 중에서
부재연과의 거리 ℓ/10의 범위(ℓ:지간) 작은값
PS강재의 중심과 설계치수의 ±5 % 또는 ±30 ㎜ 중에서
부재연과의 거리 기타의 범위 작은값. 다만, 최소피복두께는 확보하는
것으로 한다.
※ 주요한 설계단면이란 단면력이 크고 지간 중앙 부근, 지점상 부근 등의 위치의 단면을 말

6 - 17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3.8.3 부재치수
부재치수의 시공 정밀도는 다음 표 6-49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표 6-49 부재 시공 정밀도

항 목 시공정밀도
수직 및 수평부재의 길이 설계치수의 ± 1 % 또는 ± 30 ㎜ 중에서 작은 값
기둥 및 보의 단면 치수 설계치수의 ± 2 % 또는 ± 20 ㎜ 중에서 작은 값
바닥판의 두께 +20 ∼ -10 ㎜
3.9 현장 품질관리

3.9.1 시험
(1)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2)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빈도는 개개의 PSC 구조물에 대하여 각 부재마다 또
는 150㎥ 마다 실시하여야 하며, 공시체는 3조(여기서, 1조는 2개의 공시체를
의미한다.) 이상 제작하여야 한다.
(3) 공시체는 구조물과 같은 조건 하에 양생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시기에 압
축강도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① 1조는 프리스트레스 응력 전이 시
② 1조는 28일째 되는 날
③ 1조는 필요 시
3.9.2 프리스트레스나 포스트텐션 등의 해체작업 시에는 매우 위험하므로, 설치된
스트랜드나 텐던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고 기록(준공)도면에 표기하여 해체
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6-7 강구조물공 6-7 강구조물공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 - 17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강교의 제작과 가설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강교의 제작과 가설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1.2 관련 시방서절 (2) 이 시방은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1장 총칙
1-2-2 공사관리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2장 제작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3장 용접
6-1 구조물공 일반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4장 볼트 접합 및 핀연결
6-7-4 강교도장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5장 조립 및 설치
6-8-3 교량받침 2. 재 료

15-12 구조용 강재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3. 시 공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해당사항 없음


KS A 0011 색 이름
KS A 0062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
KS A 3103 계량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
KS B 0052 용접기호
KS B 0101 나사용어
KS B 0106 용접용어
KS B 0161 표면 거칠기
KS B 0801 금속재료 인장시험편
KS B 0802 금속재료 인장시험 방법
KS B 0804 금속재료 굽힘 시험
KS B 0806 로크웰 경도시험 방법
KS B 0809 금속재료 충격 시험편
KS B 0810 금속재료 충격 시험방법
KS B 0811 비커스 경도 시험방법

6 - 17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B 0816 침투 탐상 시험방법 및 지시 모양의 분류
KS B 084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
KS B 0850 점 용접부의 검사 방법
KS B 0867 겹치기 이음 용접 균열 시험 방법
KS B 0869 U 형 용접 균열 시험 방법
KS B 0870 Y 형 용접 균열 시험 방법
KS B 0872 C 형 지그 구속 맞대기 용접 균열 시험 방법
KS B 0873 경납의 퍼짐 시험 방법
KS B 0885 용접 기술 검정에 있어서의 시험 방법 및 그 판정 기준
KS B 0905 조임용 부품 - 인수검사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 볼트 육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017 접시머리보울트
KS B 1062 머리붙이 스터드
KS B 1320 평행핀
KS B 1321 분할핀
KS B 1322 페이퍼핀
KS B 5209 강제줄자
KS B 5221 미터 보통 나사용 한계 게이지
KS D 0001 강재의 검사통칙
KS D 0028 단강품의 검사통칙
KS D 0213 철강재료의 자분 탐상시험 방법 및 자분 모양의 분류
KS D 0401 주강품의 제조, 시험 및 검사통칙
KS D 3500 열간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1 열간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2 열간압연 형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29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량형강
KS D 3542 고 내후성 압연강재
KS D 3558 일반 구조용 용접 경량 H형강

6 - 17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KS D 3752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KS D 4106 용접구조용 주강품
KS D 4301 회 주철품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KS D 7006 고장력 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강교
1.5 제출물

1.5.1 시공계획서
(1) 계약상대자는 강교제작 착수 전에 강교의 제작, 조립, 설치 등에 관한 시공계
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검사 및 시험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1-2-2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1.5.2 시공 상세도면
계약상대자 및 강교제작자는 설계에 대한 검토를 한 후 감독자, 설계자와 협
의하여 필요한 제반사항이 현장 시공상세도 작성 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상세도면은 1-2-4절 1.4에 다음을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강교제작도
(2) 가설 구조물도(구조계산서 포함)
(3) 부재 조립 순서도
(4) 현장용접 시공도

6 - 17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3 강교 제작보고서
(1) 계약상대자는 제작 완료 후 제작 완료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제작 완료보고서는 제작시험방법 및 검사절차서를 포함하여야 한다.
(3) 공사기록 도면에는 용접공의 개별 신원을 명기하여야 한다.
1.5.4 용접절차서
계약상대자는 용접시공에 앞서 용접방법과 용접절차서, 용접품질 검사방법 및
절차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용접절차서 및 검정기록서
작성에 필요한 용접기호 및 용접용어는 KS B 0052 및 KS B 0106에 따른다.
1.5.5 용접공 및 용접기록 자료
(1) 용접공의 용접기록 자료
(2) 용접공의 신분증과 자격증
(3) 용접시험시공 기록
(4) 강교 제작 후 용접재료, 용접시공 및 용접검사에 관한 기록
(5) 현장용접이 허용된 경우 현장용접기기에 대한 명세서와 용접기록서
(6)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을 시행하는 경우 용접봉과 플럭스의 조합시험 보고서
1.5.6 제품자료
(1) 계약상대자는 강재 및 부속품, 구입품의 품질확인 및 검증을 위하여 KS D
0001, KS D 0028, KS D 0401, KS A 3101 등에 의하여 작성된 각 재료의 밀
시트, 재료시험보고서 및 제품 검사성적서 등을 제출하여야 한다.
(2) 스터드
계약상대자는 스터드 제품의 품질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볼트 및 연결재
계약상대자는 볼트 및 연결재의 제품검사기록,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5.10 안전 및 환경시설
(1) 계약상대자는 교량가설에 필요한 중요 안전시설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보
호시설도와 안전장비 등의 사양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공사 중 발생하는 소음, 진동 등 자연훼손에 대한 보호시설과 건설잔재 처리

6 - 17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등에 관한 환경보호시설 계획을 제출하여야 한다.
1.6 품질보증

1.6.1 강교제작자
계약상대자는 강교제작자 선정에 있어 사전에 감독자에게 검사와 승인을 받아
야 한다. 검사와 승인대상은 다음 사항에 따르며 작업을 시작하기 최소한 10
일 전까지는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1) 공장 면허소지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제7조 별표1에 의한 철강재 설치공 사업면허 공장
(2) 공장시설
(3) 품질관리계획
(4) 품질관리 조직
(5) 품질관리자의 자격
1.6.2 용접기술자
계약상대자는 강교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공장 내에 용접기술자를 상주
토록 하여 다음 중 필요한 사항에 대한 관리 및 책임을 지도록 하여야 한다.
(1) 용접공의 기량시험 및 기량관리
(2) 용접장비와 용접치구의 관리 및 작업장의 유지관리
(3) 용접모재와 용접재료 관리
(4) 용접시공시험 및 용접절차서의 작성
(5) 용접부의 파괴, 비파괴검사 관리
(6) 용접부의 품질판정 및 보수용접의 관리
1.6.3 용접공 자격
(1) 피복아크 용접공은 KS B 0885에 정해진 시험 종류 중 그 작업에 해당하는
시험(용접자세, 사용강재 두께, 받침쇠 사용유무를 확인한 시험)에 합격한 자
로서, 최소한 중판 이상의 용접시험에 합격한 자이어야 한다.
(2) 피복아크 용접법을 제외한 모든 용접법에 대하여는 용접시공 시험을 하여야
하며, 시험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 18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용접공은 2년 이상 용접공사에 종사하고 공사 전 2개월 이상 계속해서 그 공
장에서 용접에 종사한 자이어야 한다.
(4) 강교제작 및 시공의 품질확보와 품질보증을 위하여 공사실명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제작 및 계약상대자는 해당공사의 시공계획서, 품질관리절차서 및 품질
시험절차서에 따라 시공한 용접공의 신상명세(경력서, 사진 및 자격증명서
등)가 명시된 제작 및 시공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5) 용접공은 각 자격에 따라 명찰을 달고 작업하여 적정한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1.6.4 용접절차서 및 검정기록서
계약상대자는 용접시공에 필요한 모든 용접법에 대해서 용접절차서와 검정기
록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이를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1.6.5 용접검사원의 자격
계약상대자가 자체 품질검사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용접검사는 최소 5년 이상
경력자로서 자격 있는 용접검사원이 검사하여 결함 유무를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비파괴 시험 검사원은 비파괴 검정시험에 합격한 자이거나 감독자가 확
인한 비파괴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이어야 한다.
1.6.6 현장조립 또는 현장용접
현장조립 또는 현장용접 시에는 공장용접과 상응한 보호시설을 하여야 하며,
용접공 및 용접기술자의 자격과 절차서는 공장용접에 따른다.
1.6.7 강재의 용접성 시험
충격을 요하는 구조용 강재와 부식 저항성이 있는 구조용 강재에 대해서는 강
재의 용접성과 강재를 용접하는 절차를 정하여 시행한다. 또한 사용강재의 용
접성 시험은 KS B 0850, KS B 0867, KS B 0869, KS B 0870, KS B 0872,
KS B 0873의 해당시험 규격에 준하여 시행한다.
1.6.8 용접시공시험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4 1.5.7 용접시공시험에 따른다.
1.7 운반, 보관 및 취급
1.7.1 운반

6 - 18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강재의 운반, 보관 및 취급 시에는 강재의 휨, 긁힘 및 과재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휘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내민 부분은 보호하여야
한다.
(2) 부재 운반 전 적재요령 및 운반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운반 전에 부재 순서별로 조립기호를 기입한다. 조립기호 기입에는 페인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중량이 50kN(5tonf) 이상인 부재에는 그 중량 및 중심위치를 페인트로 보기
쉬운 곳에 기입하여야 한다.
(5) 운반 중 손상의 우려가 있는 부재는 목재 또는 앵글 등으로 견고하게 포장하
여 부재가 파손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6) 운반된 부재가 결함이 있는 경우 결함부위를 수정하여야 하며, 수정작업 시
그 재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교정작업을 실시하고 가열온도는 600°C를 초과
해서는 안 된다.
(7) 부재는 현장 조립 할 순서를 고려하여 적치하여야 한다.
(8) 부재는 직접 지면에 닿지 않도록 받침대를 고이고 적치하여야 한다.
(9) 고장력볼트는 너트를 조립하여 방습포대에 싸서 나무상자나 마분지 상자에
넣어 포장하여야 한다. 별도의 방식 처리가 안 된 제품은 방청유를 도포하여
야 한다.
(10) 고장력볼트를 포장한 상자에는 표면에 내용물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그 목록
을 작성하여야 한다.
(11) 볼트․너트, 와셔․핀 등은 길이와 직경· 크기별로 분리해 포장하여야 하며,
필요 시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1.7.2 보관
(1) 강판은 보관 중 녹슬지 않도록 덮개 등으로 조치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2) 보관 중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지지대의 간격을 좁게 하고, 레벨의 편차가
없도록 한다.
(3) 강재는 종류에 따라 절단면에 식별용 도색을 하여야 하며, 도색 요령은 도로

6 - 18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교표준시방서 2장 2-2 1.6.4에 따른다.
(4) 볼트세트는 공장출하 시의 상태가 현장시공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포장
및 보관에 주의하여야 한다. 관련규정은 KS B 0905를 따른다.
(5) 부재의 보관
① 현장에서 부재를 임시로 둘 때에는 부재가 지면에 접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
② 보관 중에는 보관대에서의 전도, 타 부재와의 접촉 등에 따른 손상위험이
없도록 충분한 방호를 하여야 한다.
③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는 부식 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1.8 환경요구사항

계약상대자는 다음과 같은 환경일 때에는 현장용접을 시행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방풍 · 방우설비 및 예열 등이 공장용접 조건을 갖춘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작업 중 비가 오거나 비가 올 우려가 있을 때
(2) 비가 그친 직후
(3) 강풍 시(피복아크용접일 때에는 아크에 직접 풍속 5m/s 이상의 바람이 불 때)
(4) 기온이 5°C 이하인 경우
2. 재 료
2.1 사용재료

2.1.1 강재
(1) 강재는 15-12절의 해당 규정을 따른다.
(2) 강판은 KS D 3503, KS D 3515, KS D 3529, KS D 3542의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3) 강관 및 형강은 KS D 3566, KS D 3568, KS D 3530, KS D 3558의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2.1.2 볼트와 핀

6 - 18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볼트와 핀은 다음 각각의 사항과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1) 육각볼트 너트 : KS B 1002, KS B 1012
(2) 마찰 이음용 고장력 육각볼트 육각너트 평와셔의 세트 : KS B 1010
(3) 토크-전단형(T/S) 고장력 볼트 : 구조용 토크-전단형 고장력 볼트, 육각너
트, 평와셔의 세트
(4) 용융아연도금 및 다크로 도금 고장력 볼트재료 세트 : KS D 1010의 제1종
(F8T)A
(5) 접시머리볼트 : KS B 1017
(6) 핀 : KS B 1320, KS B 1321, KS B 1322
2.1.3 도료(paint)
도료는 6-7-4절에 따른다.
2.1.4 용접재료
용접재료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4 용접 2. 재료에 따른다.
2.1.7 스터드형 전단연결재
(1) 스터드 규격
① 스터드(머리붙임 스터드)는 KS B 1062의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② 머리형 스터드 :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제품
(2) 스터드의 기계적인 성질은 도로교표준시방서 제2장 2-4의 2.3.3 스터드 기계
적 성질에 따른다.
2.2 장비

2.2.1 볼트체결장비
볼트체결장비는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2 토크렌치
(1) 검정된 토크렌치를 설정하는 검정장치는 공사에 사용하기 30일 전에 정확성
을 점검하여야 하며, 그 이후에는 매 1개월 이상 점검하여야 한다.
(2) 감독자가 검정장치의 정확성에 대하여 의문을 갖는 경우에는 제작자에게 반

6 - 18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환하여 정확성을 확인받도록 요구할 수 있다.
2.2.3 강재줄자
공장 내에서 사용하는 기준테이프는 KS B 5209에 규정된 핸드테이프 1급(50
m) 이상으로 하며, 강재 감는자(기준자)는 6개월 이내에 교정검사를 필한 것
을 사용하여야 한다.
2.3 자재 허용오차

(1) 강판두께의 허용오차는 KS D 3500의 표 4에 있는 두께 허용차를 적용하되,


(-)측의 허용오차는 공칭두께의 5%를 넘지 않아야 한다.
(2) 강판은 표면에 KS B 0161에 규정한 100S(0.1㎜)를 초과하는 깊이의 흠이 없
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4 자재 품질관리

2.4.1 시험
(1) 스터드의 추가 인장시험을 실시할 경우 KS B 0801의 표준시편 4호를 기준으
로 KS B 0802에 의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2) 볼트, 너트, 와셔 등의 등급에 따른 기계적 성질에 대한 시험은 다음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① 모양, 치수에 대해서는 KS B 1010의 부표 1-3에 따른다.
② 외관은 KS B 1010의 8항 겉모양에 준한다.
③ 나사 정밀도는 KS B 5221의 규정에 맞는 6H/6g용 한계게이지로 검사하여
야 하며, 2급 나사용 한계게이지로 대신할 수 있다.
④ 표준 추출검사 방식에서 외관, 모양, 치수 및 나사 정밀도는 KS A 3109, 기
계성질은 KS A 3103에 의해 확인 검사한다.
(3) 고장력볼트의 토크 계수값 시험은 각 로트의 고장력 볼트 세트에 대해 5개
이상 실시하고 토크 값의 평균과 편차를 조사하여 제작자 검사결과와 비교하
되 토크 값이 5% 이상 다를 경우는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4) 볼트 조임 기구는 반입 시 1회, 사용 중에는 1개월에 1회 이상 검정을 받아
야 한다. 다만, T/S 전용 조임 기구는 예외로 할 수 있다.
(5) 축력계는 반입 시 1회, 사용 중에는 최소 3개월에 1회 이상 검정을 실시하여

6 - 18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하며, 정밀도는 ±3%의 오차범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6) 볼트 연결면의 미끄럼 상태는 규정값 이상의 마찰계수를 가져야 되며, 볼트
연결면에 도장되는 도장재는 미끄럼 내력시험에 인정된 것을 사용한다.
(7) 감독자가 사용재료에 대한 시험을 요구할 때에는 언제든지 시행하여야 한다.
2.4.2 현도검사
계약상대자는 제작 착수 전 현도 또는 그에 준하는 내용을 작성하여 현도검사
를 받아야 한다. 현도작업 시 주요사항에 대해서는 필요시 감독자의 입회검사
를 받아야 한다.
2.4.3 제작온도
강구조물 제작 시 제작온도 기준에 대하여 별도 명기한 것이 없으면 제작 기
준온도를 10°C로 하여 구조물의 팽창이음에 대하여 제작에 반영하여야 한다.
2.4.4 절단면 검사 및 결함보수
절단면의 검사 및 결함보수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3.3.8 절단면 검사 및
결함보수에 따른다.
2.4.5 용접봉의 관리
(1) 연강용 피복아크용접봉은 사용 전 230∼260 °C에서 최소한 2시간 이상 건조
시켜야 하며, 고장력강용 피복아크용접봉은(저합금강용 포함) 사용 전 370∼
430°C 온도에서 최소한 1시간 이상 건조시켜야 한다.
(2) 용접봉 함이 손상되었거나 밀봉포장 함을 개봉한 직후 또는 용접봉을 건조로
에서 반출한 직후 용접봉은 최소한 120°C가 유지될 수 있는 저장로에 보관하
여야 한다.
(3) 밀봉포장 함을 개봉한 후나 또는 건조로나 저장로에서 꺼낸 후, 대기에 노출
된 용접봉은 다음에 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① 저수소계 용접봉의 대기 노출 허용한도는 표 6-50에 준하여야 한다.
표 6-50 저수소계 용접봉의 대기 노출 허용한도

6 - 18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용접봉 시간
저수소계 피복류로 490N/㎟(50㎏/㎟)급 이하의 강재용 D50X6, D53X6 최대 4
D(A)50X6, D(A)50X6 최대 4
저수소계 피복류로 490N/㎟(50㎏/㎟)급 이하의 강재용 D(A)58X6 최대 2
또는 저수소계 피복류로 저합금강으로 분류된 용접봉
D62XX 최대 1
②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은 표-20의 한도시간 내에 사용하고자 할 때는 최소
120°C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저장로에서 최소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사용하여야 한다.
③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은 370∼430°C의 온도에서 최소한 1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사용하여야 한다.
(4) 용접봉은 한번 이상 재건조 시켜서는 안 되며, 또한 젖은 용접봉을 사용해서
는 안 된다.
2.5.6 플럭스의 관리
(1)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 사용되는 플럭스는 건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먼
지, 흑피(mill scale)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없어야 한다.
(2) 손상된 포장상태의 플럭스는 폐기시키거나 사용 전 최소온도는 260°C에서 1
시간동안 건조시켜야 한다. 다만,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용 플럭스는 사용 전
최소온도 260°C에서 최소 1시간 이상 건조시켜야 한다.
(3) 용접장비, 호퍼, 탱크 등의 모든 플럭스는 용접작업이 48시간 이상 중단될 때
는 언제든지 새로운 플럭스로 대체시켜야 한다. 플럭스는 항상 습기 및 오염
물질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젖은 플럭스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용접 시 용융된 플럭스의 재사용은 금지한다.
3. 시 공
3.1 금긋기 작업
3.1.1 현도 작성
(1) 현도는 제작도면을 기준으로 제작 전에 작성하되 제작물의 기본형상과 제작
상의 지장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6 - 18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현도작업은 제작도를 기준으로 금긋기용 템플레이트와 타이플레이트를 작성
하되 템플레이트와 타이플레이트의 작성은 필요 시 감독자의 입회검사를 받
아야 한다. 다만, 자동가공기(CNC)를 사용할 경우는 템플레이트 및 타이플
레이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3.1.2 기준테이프 관리
(1) 공장 내에 테이프 품질관리는 테이프 취급요령을 작성하여 이에 따라 테이프
의 정밀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2) 공장 내에 사용하는 모든 테이프는 모두 공장기준 테이프와 테이프 맞추기를
실시하고, 각각 보정치에 대한 관리대장을 작성하여 관리한다.
(3) 실 치수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감독자가 소유하는 기준 테이프와 테이프
맞추기를 실시하여 오차를 확인하고, 그 오차가 강교제작 등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공장 기준테이프와의 상호관계를 명확히 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3.1.3 금긋기
(1) 철판 위에 주요부재를 금긋기 할 때는 주된 응력의 방향과 압연방향을 일치
시켜야 한다.
(2) 금긋기를 할 때는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도 구조물의 부재로서 남을 곳에는
원칙적으로 강판에 상처를 내어서는 안 된다.
(3) 절단 후 부재치수 오차가 1㎜ 이내가 되도록 금긋기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여
야 한다.
① 치수 허용오차 : 0.5 ㎜ 이내
② 대각선 허용오차 :  ×  

이내, 3㎜이내
3.2 절단 및 가공

3.2.1 절단
(1) 주된 부재의 판 끊기는 주된 응력의 방향과 압연방향을 일치시켜 절단함을
원칙으로 하며, 절단작업 착수 전 재단도를 만들어야 한다.
(2) 주요 부재의 절단은 자동가스절단으로 하며, 가스절단 및 가스 가공한 강판
의 허용오차는 KS B 0428에 따라야 한다.

6 - 18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채움재, 타이플레이트, 형강 및 판두께 10㎜ 이하의 연결판, 보강재 등은 전
단에 의해 절단할 수 있다. 전단가공의 허용오차는 KS B 0416에 따른다.
(4) 절단재에 녹, 기름, 도료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는 제거 후 절단한다.
(5) 개선 각도 및 루트는 용접 시 용입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밀하게 개
선하여야 하며, 개선 가공에는 자동가스절단기 또는 기계절단기를 사용한다.
(6) 부재의 모서리 가공
① 주요 부재의 모서리는 2㎜의 모따기 또는 반지름을 가지도록 모서리를 그
라인드 가공· 처리하여야 한다.
② 2차부재의 경우도 도장작업을 위해 약 1㎜ 정도의 모따기 내지 반지름을 가
지도록 모서리부를 그라인드 가공· 처리하여야 한다.
3.2.2 구멍뚫기
(1) 구멍뚫기는 소정의 지름으로 정확하게 뚫어야 하되 드릴 및 리머 다듬질을
병용하여 마무리하여야 한다.
(2) 2차부재에서 판두께 16㎜ 이하 강재에 구멍을 뚫을 때는 눌러뚫기에 의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뚫을 수 있으나 구멍 주변에 생긴 손상부는 깎아서 제거하
여야 한다.
(3) 드릴은 누적사용기간을 정해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교체하여야 한다.
3.2.3 굽힘가공
(1) 강판의 냉간 휨 가공을 할 경우에는 내측 휨 반지름이 강판두께의 1.5배 이
상이어야 한다. 다만, 강재의 화학성분 중 질소가 0.006%를 넘지 않는 재료
로서 KS B 0810에 규정하는 살피 충격시험의 결과가 150N․m (15.3㎏f․m)
이상인 경우는 내측 휨 반지름을 강재두께의 7배 이상까지 할 수 있으며,
200N․m (20.4㎏f․m) 이상 강재는 내측 휨 반지름을 강판두께의 5배 이상
으로 할 수 있다. 압연 직각방향으로 냉간 휨 가공을 할 경우는 압연 직각방
향의 샬피 흡수에너지 값을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2) 열처리강(Q) 및 열가공 제어강(TMCP)의 열간가공은 원칙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
(3) 미리 역변형을 줄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강재의 품질에 손상이 없도록 하여

6 - 18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한다.
3.3 판이음 및 조립

3.3.1 일반사항
(1) 용접이음에 의한 재편조립은 루트간격을 규정치에 맞추어 가급적 밀착시켜야
한다.
(2) 정렬된 재편은 가붙임 용접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시켜야 하며, 필요할 경우
임시 고정장치· 지그· 클램프· 볼트 등으로 그 형상을 유지시켜야 한다.
(3) 용접에 의한 강재의 변형이나 수축에 의하여 용접응력이 발생하게 될 경우,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용접순서를 정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 임시
지지대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급적 모재에 붙이는 것을 될 수 있는 대로 피
하여야 한다. 부득이 임시지지재의 가붙임으로 인하여 모재의 손상이 생겼을
때에는 보수를 하여야 한다.
(4) 재편 조립 시 설계도상에 표시했거나 감독자가 승인하지 않는 한 채움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3.2 가붙임 용접
(1) 이 절에 언급되지 않는 사항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3.7.3
가붙임 용접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용접은 필요한 이음 성능을 만족하도록 아래 사항을 확인한 후에 신중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① 강재의 종류와 특성
② 용접방법, 홈 형상 및 용접재료의 종류와 특성
③ 조립되는 재편의 가공, 조립 정밀도, 용접부분의 청결도와 건조상태
④ 용접재료의 건조상태
⑤ 용접조건과 용접순서
(3) 본 용접의 일부가 되는 가붙임 용접에는 본 용접을 실시하는 용접공과 동일
한 기술을 가진 자가 용접하여야 한다.
(4) 용접 자세는 본 용접의 경우와 똑같은 자세로 용접하여야 한다.
3.4 용접

6 - 19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용접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4 용접에 따른다.
3.5 가조립

가조립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3.9 가조립에 따른다.


3.6 볼트체결
볼트체결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5 볼트접합에 따른다.
3.7 도장

도장시공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6장 6-3 시공 1. 도장시공에 따른다.


3.8 강교 제작품 운 송, 저장 및 관리
강교의 운송, 저장 및 관리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3.13
제작품 운송, 저장 및 관리에 따른다.
3.9 현장조립 및 가설

3.9.1 현장조립
(1) 부재의 접촉면은 조립하기 전에 청소하여야 한다.
(2) 조립기호와 조립순서에 따라 정확하게 조립하고, 부재는 신중하게 취급하여
손상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강교의 조립을 위한 받침대 및 비계는 비틀림, 경사, 전도 등의 우려가 없는
좋은 지반에 소정의 솟음을 고려하여 견고하고 수평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4) 임시 버팀대에 의하여 부재를 설치할 때에는 가설이 완료될 때까지 버팀대를
유지시켜 구조물의 솟음이나 비틀림 등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
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5) 임시조임용 볼트 및 드리프트 핀의 합계는 볼트수의 1/2을 표준으로 하고 드
리프트 핀의 수는 구멍을 맞추기에 필요한 정도로 하고 볼트의 수를 될 수
있는 한 증대시켜야 한다.
(6) 강교 조립에는 소요 고장력 볼트수의 1/2 이상의 가체결 볼트 및 드리프트
핀을 사용하고, 볼트구멍을 잘 맞추어 볼트조임을 하여야 한다. 이 때 드리프

6 - 19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트 핀에 의하여 구멍이 확대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강구조물에 부득이 구멍을 뚫어야 할 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8) 현장 조립품을 일체로 운반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조립부재의 길이· 중량 및
형상을 고려하여 충분한 용량의 장비와 소요대수를 산출하여야 하며,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9) 조립완료 검사
조립완료 검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유의하여 행하여야 한다.
① 캠버량 검측
② 이음부 볼트구멍의 정밀도
③ 이음부에서의 부재사이의 간격
3.9.2 강교 가설
(1) 계약상대자는 부재 가설 전 가설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
야 한다.
(2) 교량받침 및 앵커볼트의 설치는 6-8-3절에 따른다.
(3) 부재의 설치는 승인된 시공도면에 따라 설정된 기선과 표고에 맞추어 정확하
게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설 시 볼트조임은 1차 예비조임 후 2차 본조임은 구조전체가 완전히 시공
된 상태에서 계측을 하거나 또는 시공측량 및 검측이 완료한 후 시행한다.
다만, 접합면의 청결상태를 확인하고 녹, 기름 등 불순물이 있는 경우는 깨끗
이 청소하여야 한다.
(5) 가설 도중에 부득이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6) 조립한 교량부재를 인양하기 위한 줄걸이는 표시된 지점에 걸고 모난 부분은
완충재를 삽입하여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부재운반용 트롤리를 정지시킨 경우에는 반드시 미끄럼 방지장치(스토퍼)를
하여야 한다.
(8) 부재를 인양할 때에는 걸이 및 와이어로프에 걸리는 힘 방향의 적정여부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6 - 19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9) 가체결 볼트는 리벳이나 볼트 체결이 끝난 후 제거하여야 한다.
3.9.3 드리프트 핀
(1) 드리프트 핀은 여러 부재를 함께 조립하는 데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허용오
차를 벗어나 제작된 부재나 부품을 조립하는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드리프트 핀은 재료가 비틀리거나 손상될 만한 힘을 주어서 사용해서는 안
되며, 정교하게 제작되지 않은 부재가 있을 때에는 감독자 승인을 받아 처리
하여야 한다.
3.10 시공허용오차

3.10.1 절단 및 개선
절단 및 개선가공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3.3 절단 및 개선
가공에 따른다.
3.10.2 조립 정밀도
재편의 조립정밀도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3.7 재편조립에
따른다.
3.10.3 가조립 정밀도
가조립의 정밀도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 공장제작 표 2.3.9 가조립의
정밀도에 따른다.
3.11 시공품질관리

3.11.1 측량, 계측 및 검사
(1) 시공측량은 부재의 조립설치 시 본조임 전후에 실시하여 시공 상태를 확인
점검하여야 한다.
(2) 주요부재는 시공 시 설치공법에 따른 변형과 응력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
요한 곳에 소정의 계측장비를 설치하여 시공 상태를 확인 점검한다.
(3) 가설이 완료되면 조립 완료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조립완료검사는 부재의
휨 및 솟음의 계측, 이음부 구멍의 정밀정도 및 이음 부재면 사이의 표면간
격 등을 검사한다.
3.11.2 용접 검사

6 - 19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용접 검사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4 용접 3.10 용접의 검사에 따른다.
3.11.3 볼트연결 검사
볼트연결 검사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5 볼트연결 3.10 연결검사에 따른
다.
3.11.4 현장용접검사
(1) 주거더의 플랜지 및 복부판과 강재교각의 보와 기둥의 용접부는 전수검사로
한다.
(2) 강상판 용접에 대해서는 접합부의 시종점을 포함하여 0.50m(2매) 이상을 검
사하고 중간부는 1.0m당 1개소의 부분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용접검사방법은 방사선투과시험 또는 초음파탐상시험으로 하고 판정기준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4 3.10 용접의 검사에 따른다.

6-7-2 철골 제작 및 설치 6-7-2 철골 제작 및 설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철골제작 및 설치를 위한 구조용 강재와 용접, 도장공사의 (1) 이 시방은 강교의 제작과 가설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2) 이 시방은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1.2 관련 시방서절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1장 총칙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2장 제작
6-1 구조물공 일반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3장 용접
6-3 가시설공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4장 볼트 접합 및 핀연결
6-7-1 강교제작 및 가설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5장 조립 및 설치
6-7-4 강교도장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3. 시 공

6 - 19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B 0810 금속재료 충격시험 방법 해당사항 없음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62 머리붙이 스터드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101 냉간 성형 리벳
KS B 1102 열간 성형 리벳
KS B 1320 평행 핀
KS B 1321 분할 핀
KS B 1322 테이퍼 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2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량형강
KS D 3542 고 내후성 압연강재
KS D 3558 일반 구조용 용접경량 H형강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18 도로교용 주강품
KS D 4301 회주철품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2. 재 료
2.1 사용재료

2.1.1 구조용 강재
(1) 강재의 규격은 KS D 3503, KS D 3515, KS D 3529, KS D 3542, KS D
3530, KS D 3558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2) 충격시험은 KS B 0810을 만족하여야 한다.
2.1.2 강관
강관의 규격은 KS D 3566, KS D 3568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2.1.3 볼트 및 핀

6 - 19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육각 볼트 및 너트 : KS B 1002, KS B 1012
(2) 마찰 접착용 고장력 육각 볼트․육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 KS B 1010
(3) 리벳 : KS B 1101, KS B 1102
(4) 핀 : KS B 1320, KS B 1321, KS B 1322
2.1.4 스터드 전단연결재
(1) 스터드(머리붙임 스터드)는 KS B 1062의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2) 머리형 스터드 :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제품
(3) 스터드의 기계적인 성질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2장 2.3.3 스터드 기계적 성
질에 따른다.
2.1.5 주조품의 규격
주조품의 규격은 KS D 4101, KS D 4118, KS D 4301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2.1.6 용접전극
6-7-1절 참조
2.1.7 복판이 트인 강재 세로보
6-7-1절 참조
2.1.8 공장 페인트칠 재료
6-7-4절의 참조
2.2 제 작

(1) 구조용 강재의 제작은 6-7-1절에 합치하여야 한다.


(2) 용접작업과 용접된 접합은 6-7-1절에 합치하여야 한다.
(3) 강부재와 금속재의 제작은 가능한 공장 또는 제작소에서 제작하여 미리 조립
하여야 한다.
(4) 부재는 설치조건을 만족하도록 성형해서 제작하여야 하며, 부재를 제자리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부대품을 갖추어야 한다.
(5) 굽어진 재료를 펼 때에는 재료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명시된 제작허

6 - 19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용 오차를 벗어나지 않도록 곧게 펴야 한다. 심한 비틀림과 휨은 재료를 거
부하는 사유가 될 수 있으며, 저합금 구조강재의 열수축은 허용되지 않는다.
(6) 전단, 화염절단, 가스절단 및 깎기는 절단되는 금속에 잔류응력이 생기지 않
도록 하여야 한다. 마무리 된 공사에서 노출되는 절단연단은 기계절단, 전단
또는 화염절단해서 연마하여야 한다.
(7) 지지층 보강재와 집중하중에 대한 지주로서 사용된 보강재는 명시된 대로 제
작하여야 하며, 지지표면은 연마하여야 한다.
(8) 하중을 지탱하는 냉간압연강판은 상온에서 전압방향에 직각으로 굽혀야 한다.
굽힘 반지름은 내민 면을 쟀을 때, 다음 표에 명시된 것 이상이어야 한다. 더
짧은 반지름이 명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강판이 뜨거울 때 굽혀야 하며, 굽히
기 전에 굽혀지는 강판연단은 2㎜의 반지름으로 둥글게 하여야 한다.
표 6-51 강판 절곡 최소반지름(t: 판의 두께)

강판이 굽혀지는 각도 최소반지름


61 - 120° 1.0t
121 - 150° 2.0t

(9) 접합은 명시된 대로 볼트를 조이거나 용접하여야 한다.


(10) 볼트구멍은 금속재의 표면에 직각으로 절단 또는 천공하여야 하며, 화염으
로 만들거나 확대해서는 안 된다. 바닥판 또는 지지판의 구멍은 천공하여야
한다. 다른 작업반의 공사가 접합되게 하기 위해서는 부재에 구멍을 만들어
야 하며, 구멍은 볼트의 지름보다 2㎜ 더 크게 천공하여야 한다.
(11) 고강도 볼트에 대해서는 이음매를 조립하고, 적합한 와셔와 볼트를 사용해
서 구조용 이음매에 대한 시방에 따라 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볼트를 사
용하는 모든 접합부에는 경화된 와셔를 사용하여야 한다. 고강도 볼트조임
은 자격 있는 검사원이 검사하여야 한다.
(12) 콘크리트에 지지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명시된 대로 강재의 지지판과 정착재
를 갖추어야 하며, 바닥판 또는 지지판은 조정 너트를 사용해서 수평되게
하여야 한다. 정착재, 정착볼트 및 지지판의 설치는 지침서와 함께 규준들을
갖추어야 하며, 정착재와 관련품목은 공사 진행 중에 적절하게 콘크리트 속

6 - 19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에 설치되어 있도록 확인하여야 한다.
(13) 성형한 합성고무 지지재 또는 그라우트와 접촉하는 금속지지판은 30㎜당 3
㎜ 이내 그리고 전체적으로 5 ㎜이내의 허용오차로 제작하여야 한다.
(14) 명시된 대로 공사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보강용 앵글, 글립 앵글, 판재, 펀치
한 고리, 브라켓 및 행거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15) 배출구가 없어 물이 고일 수 있는 구조물의 부재에는 배수공을 두어야 한다.
(16) 노출된 구조 강부재는 표준 솟음의 1.5배내에서 곧게 제작하여야 하고, 허용
오차를 유지하여야 한다.
2.3 청소 및 칠
2.3.1 청소
(1) 부재는 제작 후 공장 페인트 칠하기 전에 전동공구로 청소하여 슬래그· 녹·
그리스· 기름·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하며, 용접부는 충실하게 철사솔
로 쓸어야 한다.
(2) 전동공구로 청소한 후 페인트 칠하기 바로 전에 강재를 용제로 세척하여 흙
먼지와 찌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3) 기후에 노출된 강재는 블라스팅으로 청소하여야 한다.
2.3.2 분무 방화 처리하는 강재
분무 방화 처리할 강재는 공장 페인트칠을 해서는 안 된다.

2.4 강재세로보

2.4.1 재료 및 제작
(1) 세로보 및 가로보 : 세로보의 재료와 제작은 명시된 세로보와 가로보의 형식
에 대한 관련 시방서의 해당요건에 합치하여야 한다.
(2) 부대품
① 스터드 및 볼트 : 스터드와 볼트, 너트 및 와셔는 해당 KS 규격의 요건에
합치하여야 하며, KS D 8308에 따라 용융아연도금 한 것이어야 한다.
② 고정장치 및 부대품 : 완전하고 마무리된 설치를 위해 필요한 정착재와 고

6 - 19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정장치, 와셔, 고리 및 부대품을 갖추어야 한다. 고정장치는 스테인레스강재,
도금강재, 카드뮴 도금한 강재 또는 기타 비부식 금속이어야 한다. 바닥판
또는 지지판은 해당 요건에 합치하는 강판재이어야 한다.
③ 공장페인트칠 : 강재 세로보와 가로보는 해당요건에 따라 적절하게 청소하
여 페인트칠을 하여야 한다.
2.5 검사 및 시험

(1) 계약상대자는 관련시방서의 해당요건에 따라 제작자의 검사를 요구하여야 하


며, 검사결과는 확인서에 명시된 대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제작 및 용접은 제작자의 공장에서 감독자가 육안검사 방법으로 검사
한다. 감독자는 의문이 있는 작업에 대하여 추가 검사와 시험을 실시할 권한
을 가지며, 시험은 비파괴 시험방법에 의한다.
(3) 감독자의 검사와 시험에 대한 비용은 발주처가 부담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
사와 시험이 어느 부분의 공사가 관련시방서에 명시된 요건에 만족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나면 반복된 검사와 시험에 대한 비용을 포함하고, 이러한 불
합격으로 필요하게 된 모든 비용은 계약상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3. 시 공
3.1 가설 및 설치

3.1.1 구조강재의 설치
(1) 구조강재의 가설과 설치는 6-7-1절을 만족하여야 한다.
(2) 구조강재는 설정된 기선과 표고에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강재는 볼트조
임이 시작되기 전에 수직 또는 수평이어야 한다. 설치는 승인된 시공도면과
실제의 조건에 따라야 하며, 각도와 연단은 구조물의 관련된 기선에 평행하
고 경우에 따라 수평 또는 직각이거나 수평과 사각이어야 한다.
(3) 필요한 대로 임시버팀대를 설치하고, 최종 완성 시까지 제자리에 유지하여야
한다. 손상을 받을 수 있는 공장제작 품목은 버팀을 하고 깊게 조작해서 비
틀림이나 손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설치된 모든 품목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적절히 버팀을 해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여야 한

6 - 19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에 버팀대를 주시하면서 유지하여야 한다.
3.1.2 정착재, 정착볼트, 스터드 및 고정장치
(1) 달리 명시된 것이 없으면 공장접합은 용접하고, 현장접합은 볼트로 조여야
한다. 볼트머리와 너트 밑에 와셔를 사용하여 너트를 단단하게 돌렸을 때 완
전히 조여지게 하여야 한다. 볼트가 경사진 표면위에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
는 사각진 와셔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명시된 다음 품목을 갖추어야 한다.
① 설치에 필요한 정착재, 볼트 및 와셔, 스터드(stud) 및 고정용 철물
② 공사의 설치 및 완성,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안에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속에 매설할 기타 여러 가지 강재 또는 고정용 철물
(3) 정착재와 정착볼트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규준틀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볼트와 정착재를 미리 설치하여야 한다.
3.1.3 바닥판 및 지지판
정확한 표고에 그라우팅을 필요로 하는 바닥판과 지지판은 정착볼트 위에 조
정 터트를 사용하여 지지하여야 한다. 바닥판과 지지판은 명시된 강도의 무수
축 그라우팅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4 가설 및 조립
(1) 가설 및 현장조립 후에는 완성된 구조물의 부분을 구성하는 여러 부재를 정
렬 및 조정하고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허용오차는 6-7-1 강교제작 및 가
설에 합치하여야 한다.
(2) 압축부재의 접합판은 맞댄 표면이 접촉된 후에 조립하여야 한다. 지지면과
영구적으로 접촉되어 있을 표면은 부재를 조립하기 전에 청소하여야 한다.
접합판은 명시된 곳에서만 허용된다.
(3) 제거하도록 요구된 경우가 아니면 용접시공에 사용된 가설용 볼트는 견고하
게 조인 후 제자리에 둘 수 있다. 가설용 볼트가 제거된 경우에는 구멍을 마
개용접으로 채우고, 매끈하게 연마하여야 한다. 잘못 맞추어진 구멍은 한 치
수가 크게 천공해서 교정하고, 그 치수의 볼트로 조여야 한다. 재 천공을 위
한 용접은 허용되지 않는다.
3.1.5 드리프트 핀

6 - 20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드리프트 핀은 여러 부재를 함께 조립하는 데만 사용할 수 있다. 허용오차를
벗어나 제작된 부재와 부품을 정렬하는데 조립용 볼트나 드리프트 핀을 사용
해서는 안 된다. 드리프트 핀은 재료가 비틀리게 하거나 손상될만한 힘을 주
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확하지 않게 제작된 구조강재나 여러 보조강재는
감독자에게 알려야 한다.
3.1.6 가스절단
주요부재에는 제작오차를 교정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가스절단화염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가스절단화염의 사용은 부재가 응력을 받지 않을 때 사소한
부재에만 허용되며, 이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3.1.7 볼트조임
(1) 볼트는 나사를 손상하지 않고, 정확하게 구멍 속으로 삽입하여야 하며, 볼트
박기 중 볼트머리는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야 한다. 모든 볼트와 너트 밑에
는 와셔를 끼우고, 볼트와 너트는 와셔에 정연하게 놓여야 한다.
(2) 볼트가 볼트 축에 직각인 평면과 1/20 보다 큰 비탈을 갖는 사각표면위에 사
용되는 경우에는 볼트머리나 너트를 완전히 지지하도록 사각진 와셔를 사용
하여야 한다.
(3) 볼트의 나사는 하나 이상의 나사가 금속에 물리는 길이로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4) 볼트는 달리 명시된 경우가 아니면 너트를 넘어 6㎜ 이상 연장되어서는 안
된다. 볼트머리와 너트는 길이가 380㎜ 이상인 렌치로 금속재에 대하여 밀착
되게 박아야 한다.
3.1.10 고강도 볼트 조임
(1) 접합부는 6-7-1 강교제작 및 가설에 따라 조립하여야 한다.
(2) 볼트는 볼트의 치수에 대해서 건의된 것 이상의 토크로 검정된 충격 렌치로
간결하여야 한다.
(3) 접합부의 접촉면에는 페인트, 래커 또는 기타 마찰을 감소시키는 칠이 없어
야 한다.
3.1.11 활동이음매
활동이음매의 조립 지지면은 적절하게 청소하고, 필요한 경우 윤활유를 발라
야 한다.

6 - 20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 현장 품질관리

현장조립 및 설치된 고강도 볼트 조임은 감독자에 의해 자격이 인정된


검사원이 검사하고, 토크를 시험 한다.
3.3 현장 페인트칠
(1) 구조강재가 설치되면 공장 페인트칠에 사용된 것과 같은 방청바탕칠로 마모된
구역, 현장볼트 및 용접부에 부분 페인트칠을 하여야 한다. 부분 페인트칠을
하기 전에 현장 용접부는 철저하게 철사솔이나 모래닦기로 청소하여야 한다.
(2) 분무방화 처리할 강재는 부분 페인트칠을 해서는 안 된다.
(3) 최종 현장 페인트칠은 6-7-4 강교도장 참조

6-7-3 잡철물공 6-7-3 잡철물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금속재의 제작 및 잡철물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강교의 제작과 가설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2) 이 시방은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6-7-1 강교제작 및 가설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1장 총칙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7-4 강교도장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2장 제작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3장 용접
1.3 참조규격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4장 볼트 접합 및 핀연결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 제5장 조립 및 설치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9521 용융아연도금 작업표준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3. 시 공
2.1 공통사항
해당사항 없음

6 - 20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1 정착물 및 볼트
볼트와 스터드, 너트 및 와셔는 KS D 9521에 따라 용융아연도금 한 것이어야
한다.
2.1.2 배수구거
(1) 명시된 치수와 형태를 갖는 쇠살이나 막힘 덮개를 갖춘 표준제품의 구체를
명시된 대로 공급하여야 하며, 배수구거와 구체는 회주철이나 백주철로 투박
하게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2) 흔들리고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덮개는 지지면을 기계로 깍은
것이어야 한다.
(3) 배수구거로 사람이 통행하는 장소의 덮개는 미끄럼방지 표면 처리한 것이어
야 한다.
(4) 배수구거와 구체가 콘크리트나 흙과 접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 이멀전으로
칠하여야 한다.
2.1.3 그라우트
바닥면과 지지판에는 무수축 그라우트 및 구조용 강재공에 따라 고강도의 무
수축 그라우팅 모르타르를 사용하여야 한다.
2.2 제 작

(1) 금속재는 금속재 제작과 잡철물의 주문제작과 시공에 경험이 있고 숙련된 업


체나 제작소에서 제작하여야 한다. 마무리된 금속재에는 명시되었거나 요구된
경우를 제외하고 나사못, 볼트 및 고정장치 등이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2) 용접접합은 용접공의 요건에 따라 하여야 하며, 시선에 노출되는 곳에서는 용접
된 품목의 모양과 형태가 유지되도록 용접부를 매끈하게 갈아서 깎아야 한다.
(3) 금속재는 가능한 한 공장이나 제작소에서 미리 제작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4) 설치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금속재를 성형하고 제작하여야 하며, 금속재를 명
시된 대로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정착물, 고정장치 및 부대품을 갖
추어야 한다.
(5) 계약상대자는 해당할 구성재에 대한 표준 제작품을 공급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제품은 공간제약과 설치조건을 만족하여야 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 20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도 금
(1) 구조물의 외측에 있는 강재와 철재품목, 수분에 노출된 품목, 쇠살 및 계약서
에 명시된 품목은 KS D 9521에 따라 제작 후에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2) 당초의 도금을 제거할 수 있는 현장용접을 필요로 하는 공장도금하는 금속재
는 현장도금 보수로 복구하여야 한다.
(3) 도금된 품목을 부착하기 위한 볼트와 나사는 KS D 9521에 따라 도금하여야
한다.
2.4 앵커볼트

앵커볼트는 설계도서에 나타난 것과 같거나 또는 특별 규정에서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앵커볼트를 볼트구멍에 묻을 때 사용하는
재료는 만족할 만한 정착을 확보하기 위해 요철을 만들거나 끝을 볼록하
게 하여야 한다.
2.5 개폐장치

(1) 공통사항으로서 제작된 강재 클립과 L형강은 설계도서의 요건을 만족하고,


승인된 시공도면에 나타낸 것을 사용한다.
(2) 스터드와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D 9521에 따라 용융아연도금 한 것이어
야 한다.
(3) 정착재와 고정장치, 와셔, 고리 및 부대품은 완전하고 마무리된 설치를 위해
서 필요한 대로 갖추어야 하고, 고정장치는 스테인레스 강 또는 아연도금 강
이어야 한다.
(4) 정착물이 콘크리트나 조적물 속에 매설되지 않은 경우에는 설계도서에서 요구
된 치수를 갖는 도금한 강 볼트를 갖춘 팽창형 정착물 또는 너트를 갖춘 스터
드를 사용하고, 볼트머리와 너트 밑에는 메울 수 있는 와셔를 갖추어야 한다.
3. 시 공
3.1 설 치

(1) 금속재 제작물과 잡철물은 계약서와 승인된 시공 상세도면에 따라 이러한 공

6 - 20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의 설치에 숙련되고 경험 있는 근로자가 설치하여야 한다.
(2) 금속재 제작물과 잡철물은 완전하고 마무리된 설치에 요구되는 제작자가 공
급한 모든 부대품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금속재는 승인된 시공조건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요구된 각도에 맞고, 경우
에 따라서는 구조물의 관련되는 선에 평행한 각도와 연단에 맞추어서 편평하
고 정연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4) 현장용접이 요구된 경우에는 6-7-1절에 합치하여야 한다.
3.2 도 금보수
용접작업, 취급 또는 설치로 손상을 입게 된 도금된 표면은 도금보수재료
를 사용하여 설치 후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3.3 현장페인트 칠

(1) 설치 후에는 노출된 페인트칠한 표면· 현장 용접부 및 마모되었거나 손상된


초벌칠 된 표면은 다듬고, 공장페인트칠에 대해서 명시된 것과 같은 초벌질
의 추가로 철재 및 도금된 표면에 분무로 끝마무리 칠을 하여야 한다.
(2) 마무리 현장페인트칠은 6-7-4절에 적합하여야 한다.
3.4 앵커볼트

(1) 계약상대자는 앵커볼트를 위한 구멍을 뚫고 포틀랜드시멘트로 그라우팅하여


설치하거나 설계도 또는 기술자에 의해 규정되거나 지시된 경우 앵커볼트를
미리 설치하여야 한다.
(2)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할 때에는 설치 시의 상부 구조물의 평균온도 변화와
설치 후 사하중에 의한 현재 또는 하부 플랜지의 예상 신축량 등을 고려하여
평균온도와 사하중 하에서 가동받침의 고정볼트가 가능한 한 중심 가까이 위
치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 가동받침에서는 상부구조물의 완전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너트나 앵커볼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한다.

6 - 20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7-4 강교도장 6-7-4 강교도장
강교도장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6장 도장에 따른다.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은 강교, 철골구조물 및 잡철물의 도장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류 수정
한다.
(2) 이 시방은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제6장 도장 강구조공사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6-8 부대시설공 6-8 부대시설공

6-8-1 난간 6-8-1 난간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구조물 난간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구조물 난간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서절 1.2 관련 시방서절

1-2-2 공사관리 1-2-2 공사관리


1-3 자재관리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추가] 인용절 추가
1-3 자재관리
1-4 품질관리 1-4 품질관리
6-1 구조물공 일반 6-1 구조물공 일반

6 - 20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3-3 동바리와 거푸집 6-3-3 동바리와 거푸집
6-4-1 일반 콘크리트 6-4-1 일반 콘크리트
6-5 철근공
6-5 철근공 6-7-3 잡철물공
6-7-3 잡철물공
1.3 참조표준
1.3 참조 규격
1.3.1 적용범위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기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추가] 적용범위 추가
는 것으로 본다.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17 기계 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17 기계 구조용 탄소강관
KS D 6008 알루미늄합금 주물 KS D 6008 알루미늄합금 주물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5장 신축이음 및 받침부 [삭제] 미인용 기준 삭제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현장 동원 및 철수 계획서 1.4.1 시공계획서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1-2-2절에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총칙과 연계하여 시공계획서 제출로 수정함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2 시험 및 검사계획서 1.4.2 시험 및 검사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시험 및 검사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시험 및 검사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한다.
1.4.3 제품자료 1.4.3 제품자료
난간 제조업자는 1-3절에 따라 난간의 생산가능 규격, 생산 가능량 등 제반사 난간 제조업자는 1-3절에 따라 난간의 생산가능 규격, 생산 가능량 등 제반사
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자료, 품질관리상태, 설치 지침서, 사용 실적 항과 제조업체의 생산현황, 기술자료, 품질관리상태, 설치 지침서, 사용 실적 등
등을 작성하여야 한다. 을 작성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 2.1 재료

(1)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6-4-1절에 따른다. (1)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6-4-1절에 따른다.

6 - 20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철근은 6-5절에 따른다. (2) 철근은 6-5절에 따른다.
(3) 난간에 사용하는 강재 파이프는 KS D 3507, KS D 3517 또는 이와 동등 이 (3) 난간에 사용하는 강재 파이프는 KS D 3507, KS D 3517 또는 이와 동등 이상
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의 제품이어야 한다.
(4) 알루미늄 난간은 KS D 6008의 제7종 AC7A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제품이 (4) 알루미늄 난간은 KS D 6008의 제7종 AC7A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
어야 한다. 야 한다.
(5) 난간에 사용하는 기타 재료에 대하여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야 하며, 제품자 (5) 난간에 사용하는 기타 재료에 대하여는 명시된 도면에 따라야 하며, 제품자료
료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시공 3. 시공
3.1 일반사항 3.1 일반사항

슬래브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난간부에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슬래브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부분은 난간부에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수정] 조사 수정
시공계획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시공계획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3.2 콘크리트 난간 3.2 콘크리트 난간

(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1) 이 절에서 언급하지 않은 사항은 6-4-1절에 따라야 한다.
(2) 교량 상부공을 위한 동바리 및 거푸집을 제거한 후에 난간을 시공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난간은 교량 상부공 완료 후 동바리와 거푸집을 제거한 후에 시공 [수정] 문구 수정
하여야 한다.
(3) 거푸집을 설치할 때는 소정의 선형과 경사에 맞도록 하여 견고하게 설치하고, (3) 거푸집을 설치할 때는 소정의 선형과 경사에 맞도록 하여 견고하게 설치하고,
제거할 때는 콘크리트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하여야 한다. 제거할 때는 콘크리트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를 하여야 한다.
(4) 프리캐스트 레일 부재는 모르타르가 새지 않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4) 프리캐스트 레일 부재는 모르타르가 새지 않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야 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물에 적신 마포 하며, 콘크리트가 경화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물에 적신 부직포 등으로 [수정] “충분히” 삭제하여도 의미전달 가능, 용어 수정
등으로 덮고 최소 5일간 양생하여야 한다. 덮고 최소 5일간 양생하여야 한다.
(5) 난간을 설치하기 전이나 설치하는 동안 손상이 된 것은 제거하고 재시공하여 (5) 난간을 시공하는 동안 손상이 된 부분은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3.3 강재 난간 3.3 강재 난간
(1) 강재 난간을 설치할 때는 6-7-3절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1) 강재 난간을 설치할 때는 6-7-3절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포스트는 세우기 전에 그 표면을 코오킹 콤파운드로 완 (2)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포스트는 세우기 전에 그 표면을 코오킹 콤파운드로 완
전히 칠하여야 하며, 설치가 끝나면 금속표면과 콘크리트 사이의 틈도 코오 전히 칠하여야 하며, 설치가 끝나면 금속표면과 콘크리트 사이의 틈도 코오킹
킹 콤파운드로 메워야 한다. 콤파운드로 메워야 한다.

6 - 20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레일을 설치할 때에는 레일과 레일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레일 포스트 (3) 레일을 설치할 때에는 레일과 레일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레일 포스트
와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와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레일을 절단할 때는 거칠거나 들쭉날쭉하지 않도록 곧고 매끄럽게 하여야 한 (4) 레일을 절단할 때는 절단면이 거칠거나 들쭉날쭉하지 않도록 곧고 매끄럽게 [수정] 주어 추가
다. 하여야 한다.
(5) 요(凹)자형으로 절단 할 때는 미리 작은 구멍으로 제본을 뜬 다음에 시행하 (5) 요(凹)자형으로 절단할 때는 미리 작은 구멍으로 제본을 뜬 다음에 시행하여 [수정] 띄어쓰기
여야 한다. 야 한다.
(6) 앵커볼트의 구멍은 볼트의 정상 직경보다 50%까지 크게 할 수 있으며, 최대 (6) 앵커볼트의 구멍은 볼트의 정상 직경보다 50 % 까지 크게 할 수 있으며, 최 [수정] 띄어쓰기
13㎜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대 13 mm 까지 크게 할 수 있다.
3.4 알루미늄 난간 3.4 알루미늄 난간

3.4.1 절단 3.4.1 절단
(1) 두께가 13㎜이하인 재료는 가위질· 톱질 또는 기계로 절단하며, 그보다 두꺼 (1) 두께가 13 mm 이하인 재료는 가위질· 톱질 또는 기계로 절단하며, 그보다 두 [수정] 띄어쓰기
울 때에는 톱 또는 기계로 절단하여야 한다. 꺼울 때에는 톱 또는 기계로 절단하여야 한다.
(2) 절단된 모서리는 곧고 매끄러워야 하며, 너무 거칠거나 들쭉날쭉해서는 안 된 (2) 절단된 모서리는 곧고 매끄러워야 하며, 너무 거칠거나 들쭉날쭉하여서는 안 [수정] 줄임말 수정
다. 된다.
(3) 어떠한 경우라도 불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 어떠한 경우라도 불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4.2 구부리기 3.4.2 구부리기
재료를 구부릴 경우에는 200℃의 온도로 30분간 가열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재료를 구부릴 경우에는 200 ℃의 온도로 30분간 가열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단, 재료 원래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때는 감독자의 지시에 단, 재료 원래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때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상온에서 구부리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따라 상온에서 구부리기 작업을 하여야 한다.
3.4.3 리벳 및 볼트 구멍 3.4.3 리벳 및 볼트 구멍
(1) 리벳 및 볼트의 구멍은 한 번에 뚫든지 예비 천공하여 확공 시키든지 하여 (1) 리벳 및 볼트의 구멍은 한 번에 뚫거나 예비 천공하여 소정의 규격에 맞도록 [자문] 문구 수정, 부분 삭제

소정의 규격에 맞도록 만들어야 한다. 만들어야 한다.


(2) 예비로 천공된 구멍의 크기는 적어도 부재두께의 1/4 이상 되어야 한다. (2) 예비로 천공된 구멍의 크기는 적어도 부재두께의 1/4 이상 되어야 한다.
(3)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멍의 최종직경은 조임재의 직경보다 7% 이상 (3)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멍의 최종직경은 조임재의 직경보다 7 % 이상 [수정] 띄어쓰기
커서는 안 된다. 커서는 안 된다.
① 신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표시한 대로 슬롯(slot)볼트 구멍을 설치 ① 신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표시한 대로 슬롯(slot)볼트 구멍을 설 [수정] 줄임말 수정
할 경우 치할 경우
② 앵커용 볼트구멍을 뚫을 경우, 볼트 직경은 50% 최대 13㎜까지 크게 뚫을 ② 앵커용 볼트구멍을 뚫을 경우, 볼트 직경의 50 % 최대 13 mm 까지 크게 [수정] 띄어쓰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수정
수 있다. 뚫을 수 있다.

6 - 20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4 타 재료와의 접촉 3.4.4 타 재료와의 접촉
(1) 알루미늄 합금이 다른 금속재료와 접하는 곳에서 접촉면에 알루미늄을 함유 (1) 알루미늄 합금이 다른 금속재료와 접하는 접촉면은 알루미늄을 함유한 승인된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하여 문구 수정
한 승인된 코오킹 콤파운드를 완전히 칠하거나 인조 고무가스켓을 끼워야 한 코오킹 콤파운드를 완전히 칠하거나 인조 고무가스켓을 끼워야 한다.
다.
(2) 알루미늄 합금재료는 동, 납 또는 니켈 등의 금속과 접촉하여서는 안 된다. (2) 알루미늄 합금재료는 동, 납 또는 니켈 등의 금속과 접촉하게 하여서는 안 된 [수정] 문구 수정
알루미늄 합금이 콘크리트나 석재와 접하게 될 때도 접촉면에 코오킹 콤파운 다. 알루미늄 합금이 콘크리트나 석재와 접하게 될 때도 접촉면에 코오킹 콤
드로 완전히 칠하여야 한다. 파운드로 완전히 칠하여야 한다.
(3) 알루미늄에 콘크리트를 부착시켜야 할 때는 먼저 알루미늄에 아연크롬산염 (3) 알루미늄에 콘크리트를 부착시켜야 할 때는 먼저 알루미늄에 아연크롬산염
(zinc-chromate) 페인트를 칠하고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zinc-chromate) 페인트를 칠하고 건조시켜야 한다. [수정] ‘충분히’ 삭제
(4) 슬래브의 신축이음 부위가 설치된 부분은 난간부위에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4) 슬래브의 신축이음이 설치된 부분은 난간부위에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시공계 [수정] 조사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자구 수정
시공계획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획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6-8-2 교량신축이음 6-8-2 교량신축이음


교량의 신축이음은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5장 5-2 교량의 신축이음에 따른다.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시방은 교량 신축이음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5-1 신축이음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6-8-3 교량받침 6-8-3 교량받침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6 - 2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받침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 이 시방은 교량 받침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서절
(2) 이 시방은 도로교표준시방서 5-2 받침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수정] 건설공사 기준 코드체계 표준화를 대비하여 해당 내용은

6-1 구조물공 일반 도로교표준시방서를 인용하도록 수정

6-4-1 일반 콘크리트 2. 재 료
6-7-4 강교제작 및 가설 해당사항 없음
1.3 참조규격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3. 시 공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해당사항 없음


KS F 4420 교량지지용 탄성받침
KS F 4424 교량 지지용 포트받침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5장 신축이음 및 받침부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1.4 제출물

계약상대자는 시공 전 이 시방서 1-2-4절에 따라 시공계획서, 시공상세도


면, 받침제작도면, 공급원 승인요청 등을 감독자에 제출하여 승인을 득하
여야 한다.
1.5 운반, 보관, 취급

(1) 각 제품마다 식별이 용이한 곳에 회사 마크(mark), 형식, 제작일자, 주문번


호, 로트(LOT)번호, 받침 인식번호 그리고 고무의 종류 등을 주물로 표기하
거나 스틸 스탬프(steel stamp), 스티커(AL sticker)로 견고하게 부착 또는
지워지지 않는 잉크나 유연성이 있는 페인트로 표기하여야 한다.
(2) 교량받침은 고정단과 가동단이 혼동되지 않게 미리 색상 등으로 구분하여 반
입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받침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서 현장반입 즉시 받침 상단부에
설치위치와 방향을 표시해서 보관하여야 한다.
(4) 교량받침은 검사와 설치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조립된 상태로 보관하여
야 하며, 운송 중 손상을 입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작동을 하여야 한

6 - 2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2. 재 료
2.1 재료

2.1.1 포트 받침(pot bearing) 및 디스크 받침


포트 받침 및 디스크 받침은 KS F 4424 또는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한다.
2.1.2 탄성 받침
탄성 받침은 KS F 4424 또는 동등 이상의 재료이어야 한다.
2.2 제작허용오차

2.2.1 포트 받침 및 디스크 받침
(1) 강판으로 된 모든 받침의 표면은 0.8㎜/m 이하로 편평하게 마무리하거나 가
공하여야 한다.
(2) 받침 패드에 놓이도록 설계된 하부 받침판(저판)의 하면은 편평도가 5㎜/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산소용접기로 절단한 면은 조도가 250×10-6㎜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
(4) 전체받침의 허용오차는 0 ∼ +3(㎜) 이내이어야 한다.
2.2.2 탄성받침
탄성받침의 제작허용오차는 도로교 표준시방서 제5장 5-3 교량받침 4. 탄성받
침 표 5.3.2 치수허용차를 따른다.
2.3 품질관리

2.3.1 포트 받침(pot bearing) 및 디스크 받침


포트 받침 및 디스크 받침은 KS F 4424에 의거 품질검사전문기관에 품질 및
성능시험을 실시한 후 사용한다.
2.3.2 탄성 받침
탄성 받침은 KS F 4420에 의거 품질검사전문기관에 품질 및 성능시험을 실시
한 후 사용한다.

6 - 2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3 부반력 받침
부반력 받침의 부반력 성능시험이 곤란한 경우, 시험을 대체할 수 있도록 보
강부 및 연결부에 대한 정밀한 검토서를 별도로 제출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일반사항

(1) 받침은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히 설치하여야 한다.


(2) 받침은 부재를 조립하기 전에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때 승인된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받침하면과 교대 또는 교각의 코핑
이 충분히 밀착되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부재의 조립 후에 설치할 경우에는 받침 하면에 모르
타르를 충분히 퍼지게 하여 하부구조의 윗면과 충분히 밀착되도록 시공하여
야 한다.
(4) 스테인레스 강재가 아닌 강재 받침 부재(앵커볼트 포함)는 시공 전 후에 아
연도금을 실시하여야 하며, 아연 부착량은 KS D 8308의 규정에 준하여 시행
하여야 한다.
3.2 받침부 시공측량

3.2.1 하부구조
(1) 인조점(예비말뚝)의 위치는 사용에 편리하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선
정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시공측량 시 하부구조 천단상의 받침위치 및 높이를 도면에 명
시하여야 한다.
3.2.2 상부구조
(1) 교량 상부구조 시공 시에는 정밀한 기준점측량과 수준측량을 행하여 받침의
설치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2) 지간측량 결과 하부구조의 위치에 오차가 있을 경우에는 이 후의 시공에 지
장을 초래하지 않고 완성한 교량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감독자의 승인을

6 - 2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얻어 오차를 배분하여 받침 중심위치를 결정한다.
(3) 상부구조의 수준측량에는 전용 임시 벤치마크를 설치하여야 하며, 시공 중에
도 수시로 침하의 유무를 조사하여야 한다.
(4) 교량의 경우, 시준거리가 길기 때문에 교대로 수준측량을 하여 오차를 적게
하여야 한다.
3.3 앵커볼트의 설치
(1) 교대 및 교각에 앵커볼트를 설치할 때는 미리 콘크리트 속에 구멍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구멍은 볼트직경보다 50㎜이상 큰 목편 또는 금속파이프 등에
기름을 칠해 매입하여 두고 콘크리트가 적절히 경화한 후에 제거하여 만든
다. 앵커볼트 구멍의 직경은 100㎜이상이어야 한다.
(2) 교대 및 교각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미리 콘크리트 속에 구멍을 만들
때 교대 및 교각의 주철근을 절단하지 않아야 한다.
(3) 감독자의 승인을 받을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구멍을 뚫거나 타설 중
에 직접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 후 구멍을 뚫는 경우에
는 볼트직경 보다 25㎜이상 크게 하여야 한다.
(4) 교대, 교각에 설치한 앵커볼트 구멍은 동절기에 파손되지 않도록 봉인하여야
한다.
(5) 볼트는 바른 위치에 정확히 세우고 틈은 모르타르로 완전히 채워야 한다.
(6) 가동받침에 사용하는 앵커볼트의 설치위치는 가설 시의 온도를 고려하여 정
하여야 한다. 가동단 앵커볼트의 너트는 구조물이 자유롭게 팽창, 수축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7) 부반력 받침의 경우 교대 및 교각에 앵커볼트를 미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와 앵커볼트의 일체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8) 앵커볼트 설치를 위해 받침 하면의 보강철근을 절단한 경우 반드시 절단 부
위를 보강하여야 한다.
(9) 부반력 받침에 설치되는 앵커볼트는 감독자가 요구할 경우 계약상대자의 부
담으로 인장 및 인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4 무수축 모르타르

6 - 2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받침판의 하부면과 교대 또는 교각의 코핑 사이에 충전하는 모르타르와 앵커
볼트 구멍의 틈을 메우는 모르타르는 별도의 지시가 없는 한 무수축 모르타
르로 시공하여야 한다.
(2) 무수축 모르타르는 상부구조(box girder, beam, slab 등)를 시공하기 최소 7
일 전에 타설하여 충분한 강도가 발휘될 수 있어야 한다.
(3) 무수축 모르타르의 시공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엄밀히 시공하
여야 한다.
(4) 양생은 반드시 습윤양생을 실시하여야 하며, 무수축 모르타르가 소요강도를
얻을 때까지는 받침에 어떠한 하중도 가해져서는 안 된다.
3.5 받침 및 받침판의 설치

3.5.1 받침부 시공
(1) 제작도면의 치수와 실물치수를 재확인한 후, 시공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2) 받침 및 받침판은 승인된 시공도면에 따라 설정된 기선과 표고에 맞추어 정
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 받침 설치 전에 반드시 블럭아웃(block out) 시공상태와 코핑(coping)면의 수
평도, 받침형식과 배치상태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
(4) 받침부의 철근은 반드시 일직선상에 배열하여 받침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받침이 콘크리트 속에 묻히지 않고 그 위에 직접 놓이게 될 경우에 받침부
콘크리트 면과 보강철근을 약간 높여 승인된 방법으로 작업을 하여야 한다.
3.5.2 고무받침판(탄성받침판)
(1) 탄성받침 설치 시 구조물의 온도신축, 건조수축, 크리프 등의 영향을 고려하
여 대기온도가 15℃가 되었을 때 고무받침이 정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탄성받침의 외부판은 용접부와 고무 사이의 거리가 40㎜이하인 경우에는 용
접을 해서는 안 된다.
(3) 어떤 경우라도 고무와 부착부는 200℃ 이상으로 가열하여서는 안 된다.
(4) 고무받침판이나 유기질 보강재를 원판에서 절단할 때에는 가급적 재료를 가열

6 - 2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키는 방법을 피하고 모서리가 찢어지거나 불규칙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슬래브교에 탄성 받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상부구조와의 정착은 스터드 볼트(stud bolt)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
로 한다.
② 거푸집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시 받침의 상부판이 충격에 의한 회전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③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나 콘크리트가 받침에 스며들지 않도록 받침
상판의 틈은 완전히 메워져야 한다.
3.5.3 수평력 보강받침
(1) 수평력 보강받침은 설계도서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경사교량이 아니더라도 소울플레이트(sole plate)와 받침상부를 2중으로 분리
시켜 설치 후에 회전각이나 시공오차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떤 경우라
도 장기간 밀폐된 내부가 분해되어 방치되어서는 안 된다.
3.5.4 부반력 보강받침
(1) 부반력 보강받침은 설계도서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확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부반력 보강받침에 체결되는 앵커볼트는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시공 중 받침 상면과 거더 하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경우 반드시 원인 분
석과 수정 방안에 대한 전문기술자의 검토결과를 감독자에 제출하여 승인을
득한 후에 보완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3.6 시공허용오차

(1) 포트 받침 및 디스크 받침은 받침요소가 수평이고, ±1/384 ㎜/㎜ 이내로 평


평하여야 한다.
(2) 설치 완료된 탄성받침은 상부받침과 거더하부의 편평도는 0.01rad 이내, 높
이차는 1.5㎜이내인 평면상에 설치되어야 하며, 초과 시에는 전문기술자의
검토를 받아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3) 마무리면은 직선자로 측정했을 때 어느 지점에서도 요철이 없어야 하며, 설
계도서에 나타난 높이와 3㎜이상의 차이가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4) 고무받침판 성형유리철판 등이 놓여질 때는 직선자로 측정하였을 때 1.5㎜

6 - 2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상의 요철이 나타나서는 안 된다.
3.7 현장품질관리

계약상대자는 받침설치 완료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규검사를 실시


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가동단 받침에서 구조물의 온도 변화를 감안한 충분한 이동량
(2) 육안손상
(3) 균열, 잘못된 위치, 예상치 못한 이동이나 변형
(4) 고정과 안치상태
(5) 부식상태 및 불순물 침투상태
(6) 미끄럼 면과 구름 면의 상태
(7) 받침으로 인한 인접구조물의 손상

6-8-4 교면 방수 6-8-4 교면 방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방수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교량 콘크리트 바닥판 방수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자문] 문구 수정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1-2-2 공사관리 1-2-2 공사관리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4 품질관리 1-4 품질관리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적용범위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추가] 서식체계 통일
는 것으로 본다.

6 - 2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한국산업표준(KS)
KS F 4917 개량 아스팔트방수 시트
KS F 3211 지붕용 도막 방수재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KS F 4917 개량 아스팔트방수 시트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KS M 2010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시험 방법 - 테그 밀폐식 시험방법 [추가] 인용 규격 추가
KS F 4930 콘크리트 표면도포용 액상형 흡수방지재 KS F 4930 콘크리트 표면도포용 액상형 흡수방지재
KS F 4931 교면용 시트방수재 KS F 4931 교면용 시트방수재
KS F 4932 교면용 도막방수재 KS F 4932 교면용 도막방수재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KS M 6518 가황고무 물리시험 방법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1.3.3 ASTM 규격
ASTM C 836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 Solids Content, Cold Liguid- ASTM C 836 Standard Specification for High Solids Content, Cold Liguid-
Applied Elastomeric Water proofing Membrane for Use with Applied Elastomeric Water proofing Membrane for Use with
Seperate Wearing Course Seperate Wearing Course
건설기술관리법 제24조 [삭제] 미인용 규격 삭제

1.3.4 관련 지침
콘크리트 교면 방수재의 설계·시공 및 품질관리 지침 [추가] 인용 규격 추가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현장 동원 및 철수 계획서 1.4.1 시공계획서 [수정] 총칙과 연계하여 시공계획서 제출로 수정

계약상대자는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서를 1-2-2절에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2 시험 및 검사계획서 1.4.2 시험 및 검사계획서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시험 및 검사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계약상대자는 공사착수 전에 시험 및 검사계획서를 1-4절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한다.
1.4.3 품질보증서 1.4.3 품질보증서
계약상대자는 방수에 사용하는 재료는 공사에 사용하기 30일 이전에 품질보증 계약상대자는 방수에 사용하는 재료는 공사에 사용하기 30일 이전에 품질보증
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6 - 2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4 시공상세도 1.4.4 시공상세도
시공상세도면은 1-2-4절 1.4에 따라 시공순서를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시공상세도면은 1-2-4절 1.4에 따라 시공순서를 추가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5 품질보증 1.5 품질보증

계약상대자는 교면방수 시공에 앞서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시공을 실시 계약상대자는 교면방수 시공에 앞서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시공을 실시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1.6 운반, 보관, 취급 1.6 운반, 보관, 취급
[삭제] (2)항과 중복되는 내용으로 삭제
(1) 용제형의 접착제 및 방수재는 인화성이 강하므로 현장 보관 시 다량으로 두
지 않아야 하며, 취급 시에는 환기에 충분히 주의하여야 한다.
(2) 접착제(프라이머) 및 도막식 방수재는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지만, 해로운 물 (1) 프라이머 및 도막식 방수재는 인체에 위험하지는 않지만, 해로운 물질이 대부 [수정] 용어 수정
질이 대부분이므로 현장에서 보관 또는 취급 시 국가에서 정하는 환경기준에 분이므로 현장에서 보관 또는 취급할 때 국가에서 정하는 환경기준에 적합한 [수정] 한글로 순화, 문구 수정
적합한 방법에 따라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방법에 따라 철저히 관리하여야 한다.
(3) 방수재료의 보관은 우수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며, 제품의 유효기 (2) 방수재료의 보관은 우수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며, 제품의 유효기
간이 경과한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간이 경과한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1.7 환경요구사항 1.7 환경요구사항

(1) 기온 5℃이하 상태에서 시공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며, 5℃이하에서 시공이 (1) 기온 5 ℃ 이하 상태에서 시공하지 않아야 하며, 5 ℃ 이하에서 시공이 부득 [수정] 띄어쓰기, 문구 수정
부득이한 경우 적외선 건조기 등을 사용하며, 콘크리트 상판면을 예열하거나 이한 경우 적외선 램프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바닥판 면을 예열하거나 이
이동식 방풍 판넬 등을 세워 바람에 의한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등 보온에 노 동식 방풍 판넬 등을 세워 바람에 의한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등 보온 대책을
력을 기울여야 한다. 강구하여야 한다.
(2) 작업장에 비가 내렸을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며, 작업완료 직후의 강 (2) 작업 중 비가 내렸을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며, 작업완료 직후의 강 [수정] 문구 수정
우에 의하여 도막에 요철이 생겼을 경우에는 충분히 건조하여 그 위에 추가 우에 의하여 도막에 요철이 생겼을 경우에는 충분히 건조하여 그 위에 추가
도막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도막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흡수방지식 방수재 2.1 흡수방지식 방수재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52와 같다.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8-1과 같다. [수정] 표번호 수정

표 6-52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표 6-8-1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수정]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고하여 수정,

6 - 2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험항목 시험방법 규격값 시 험 항 목
유기질계
규 격 값
무기질계
시험방법

침투 깊이 (㎜) KS F 4930 4 이상 침투 깊이 4.0 mm 이상 -2)

염화물 이온 침투성 (㎜) KS F 4930 3 이하 내흡수


표준상태1)
내알칼리성 시험 후 물흡수 계수비 0.1 이하
내산성 KS F 4930 이상무 성능 저온․고온 반복저항성 시험 후

표준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물흡수 계수비 0.2 이하


내투수 성능 투수비 0.1 이하
내알칼리성 시험 후 물흡수계수비 0.1 이하 염화이온 침투 저항 성능 3)
1.0 mm 이하
수 KS F 4930
성 온․냉 반복에 대한 저항성 시험후
냄새와 맛 이상 없을 것. KS F 4930
탁도 2도 이하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물흡수계수비 0.2 이하 색도


납(Pb)
5도 이하
0.1 mg/L 이하
투수비 (%) KS F 4930 0.1 이하 용출 저항
성능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10 mg/L 이하
pH 6~10
페놀 0.005 mg/L 이하
증발 잔류분 30 mg/L 이하
잔류 염소의 감량 0.2 mg/L 이하
80 ℃ 이하에서 불꽃이
인화점 KS M 2010
발생하지 않을 것.

주 1) 흡수방지재를 도포하고 열화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체


2) 무기질계인 경우에는 침투비성막형으로서 방수막을 형성하지 않고, 모세관 공극에 시멘트 수화물과
동일한 형태의 생성물을 생성하여 조직을 치밀화 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물 또는 염소이온(    )의
침투를 억제하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침투 깊이의 측정이 불가능하여 침투 깊이 성능을
규정하지 않는다.
3) 단, 흡수방지재의 침투깊이가 3 mm 이하일 경우, 흡수방지재 침투깊이로 염화이온이 침투 되었을 때는
성능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식 방수재
2.2 시트
2.2 시트식 방수재
2.2.1 프라이머
2.2.1 프라이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와 휘발성이 높은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표면정
프라이머는 아스팔트와 휘발성이 높은 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표면정 리 및 방수 시트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감독자의 승인을
리 및 방수 시트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제품으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제품이어야 한다.
받은 제품이어야 한다.
2.2.2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 및 시험
2.2.2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 및 시험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8-2와 같다.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53과 같다. [수정] 표번호 수정

표 6-8-2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표 6-53 시트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6 - 2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목 시험방법 규격값 항목 시험방법 규격값
무처리 무 처리
인장강도 알칼리 처리 KS F 4931 13.0 이상 인장강도 알칼리 처리 KS F 4931 13.0 이상
(N/㎟) (N/㎟)
인장 가열 처리 인장 가열 처리
성능 무처리 성능 무 처리
신장률 알칼리 처리 KS F 4931 33 이상 신장률 알칼리 처리 KS F 4931 33 이상
(%) (%)
가열 처리 가열 처리
전단접착강도 -20℃ KS F 4931 0.80이상 전단접착강도 -20 ℃ KS F 4931 0.80 이상
전단 (N/㎟) 20℃ 0.15이상 전단 (N/㎟) 20 ℃ 0.15 이상
접착 -20℃ 0.5이상 접착 -20 ℃ 0.5 이상
성능 전단접착변형률 KS F 4931 성능 전단접착변형률 KS F 4931
(%) 20℃ 1.0이상 (%) 20 ℃ 1.0 이상
인장접착강도 -20℃ KS F 4931 1.2이상 인장접착강도 -20 ℃ KS F 4931 1.2 이상
(N/㎟) 20℃ 0.6이상 (N/㎟) 20 ℃ 0.6 이상
내투수성 KS F 4931 투수되지 않을 것 내투수성 KS F 4931 투수되지 않을 것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KS F 4931 100 이하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KS F 4931 100 이하
내움푹패임 KS F 4931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움푹패임 KS F 4931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열 치수 안정성(%) 150℃, 30분 KS F 4931 ±2.0 이내 내열 치수 안정성(%) 150 ℃, 30분 KS F 4931 ±2.0 이내
저온굴곡성 -20℃ KS F 4931 균열이 없을 것 저온굴곡성 -20 ℃ KS F 4931 균열이 없을 것
접합강도(N/㎜) KS F 4931 5.0 이상 접합강도(N/㎜) KS F 4931 5.0 이상
내피로성 KS F 4931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내피로성 KS F 4931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내균열성 -20℃ KS F 4931 않을 것 내균열성 -20℃ KS F 4931 않을 것
막식 방수재
2.3 도 막식 방수재
2.3 도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54와 같다.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8-3과 같다. [수정] 표번호 수정

표 6-54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표 6-8-3 도막식 방수재의 품질기준

6 - 2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목 시험방법 규격값 항목 시험방법 규격값
작업성 KS F 4932 작업에 지장이 없을 것 작업성 KS F 4932 작업에 지장이 없을 것
불휘발분(%) KS F 4932 표시값 ±3% 이내 불휘발분(%) KS F 4932 표시값 ±3 % 이내
지속 건조시간 KS F 4932 3시간 이내 지촉 건조시간1) KS F 4932 3시간 이내 [수정] 용어 수정
무처리 1.5 이상 무처리 1.5 이상
인장강도 알칼리 처리 KS F 4932 무처리의 80% 이상 인장강도 알칼리 처리 KS F 4932 무처리의 80 % 이상
(N/㎟) (N/㎟)
인장 가열 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인장 가열 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성능 무처리 100 이상 성능 무처리 100 이상
신장률 알칼리 처리 KS F 4932 무처리의 80% 이상 신장률 알칼리 처리 KS F 4932 무처리의 80 % 이상
(%) (%)
가열 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가열 처리 무처리의 80 % 이상
전단접착강도 -20℃ 0.80 이상 전단접착강도 -20 ℃ 0.80 이상
전단 (N/㎟) KS F 4932 전단 (N/㎟) KS F 4932
20℃ 0.15 이상 20 ℃ 0.15 이상
접착 접착
성능 전단접착변형률 -20℃ 0.5 이상 성능 전단접착변형률 -20 ℃ 0.5 이상
(%) KS F 4932 (%) KS F 4932
20℃ 1.0 이상 20 ℃ 1.0 이상
인장접착강도 -20℃ 1.2 이상 인장접착강도 -20 ℃ 1.2 이상
(N/㎟) KS F 4932 (N/㎟) KS F 4932
20℃ 0.6 이상 20 ℃ 0.6 이상
내투수성 KS F 4932 투수되지 않을 것 내투수성 KS F 4932 투수되지 않을 것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KS F 4932 100 이하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KS F 4932 100 이하
내움푹패임 KS F 4932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움푹 패임 KS F 4932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내열 치수 안정성(%) 150℃, 30분 KS F 4932 ± 2.0 이내 내열 치수 안정성(%) 150 ℃, 30분 KS F 4932 ± 2.0 이내
내피로성 KS F 4932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내피로성 KS F 4932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내균열성 -20℃ KS F 4932 않을 것 내균열성 -20 ℃ KS F 4932 않을 것
주 1) 지촉 건조시간 : 겉만 건조되는 시간

3. 시공 3. 시공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내용을 참고하여 전면 수정

3.1 바닥판 표면처리 3.1 시공 전 준비사항

(1) 방수공사 시 콘크리트 상판의 재령이 최소한 2주 이상 되어야 하고, 상판은 (1) 콘크리트 바닥판면의 시공에 보통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2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건조는 ⇒ 시공에

6 - 2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구멍이나 돌출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주 이내에 방수층 시공을 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조강 및 초속경시멘트를 사
(2) 방수작업 시 표면은 깨끗하여야 하며, 레이턴스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용할 경우는 고주파 수분계로 건조상태를 확인한 후, 그 값이 10 % 이하일
(3) 점토, 흙, 먼지, 콘크리트 부스러기 등 모든 이물질이 제거되어야 한다. 때에는 2주 이내에 방수층을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4) 강우 직후나 콘크리트 상판이 수분을 함유하여서는 안 되며, 건조상태의 확인 (2) 콘크리트 바닥판면에 레이턴스, 먼지, 기름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방수층
은 육안 관찰이나 참고로 고주파 수분계를 사용할 수 있다. 의 접착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유해물은 확실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5) 방수 시공할 때 표면은 완전히 건조되어 있어야 한다. (3) 레이턴스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그라인더나 진공형 파워 브러쉬를 [수정-관계기관의견] 평탄성, 평탄도, 편평도를 “평탄도”로 통일하
3.2 바닥판 표면의 개선 사용하지만, 부분적인 레이턴스의 제거는 와이어 브러쉬, 핸드 그라인더 등으 여 표기하고, “편평도가 육안으로 볼 때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로 수행하도록 한다. 평탄도는 1 m 스틸자를 이용하여 m마다 3점법으로 평 곳”를 “편평도가 육안으로 볼 때 표면이 가장 오목한 곳”으로 문
(1) 손망치와 끌을 사용한다. 탄도를 점검하고, 길이 3 m에 10 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측정 위치는 평 장을 수정함.

(2) 회전연마와 공기압축기 숏블라스트를 한다. 탄도가 육안으로 볼 때 가장 오목한 곳이어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류 조정

(3) 유지류는 용제를 침투시킨 걸레를 사용한다. (4) 바닥판면의 요철부위 중 직경 10 mm 이상이며 깊이 3 mm 이상 패인부분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적합한 충전재를 사용하여 공극 메움(퍼티작업)을 하여야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 우선 적용
한다.
(5) 먼지제거는 공기압축기로 청소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소음이 심하므로 주변
환경에 따라 포장노면 청소용 스위퍼 등으로 제거하여야 한다.
(6) 유류는 용제를 묻힌 천으로 닦아내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용 [수정-관계기관의견] 오타수정
제는 유류의 종류에 따라 선정하여야 하지만, 통상 바닥판면의 유지는 기계유 “선정하여야지만” -> “선정하여야 하지만”
와 엔진오일 등이 많기 때문에 유기용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또한 인접부
포장작업으로 인하여 바닥판 면에 이물질이 발생한 경우에는 반드시 제거하
여야한다.
(7) 바닥판 단부 및 바닥판의 요철부 등의 물이 고이는 부분은 충분히 건조시켜
야 한다.
(8) 바닥판 면에 균열이 발생된 경우는 균열보수 작업을 반드시 실시한 후 후속
작업을 행하여야한다.
(9) 인접부의 포장작업으로 인하여 바닥판 면에 아스팔트 찌꺼기 및 이물질이 발
생할 경우는 면처리 작업에 지장이 있으므로 작업자 및 차량을 진입시킬 때
에는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관리하여야한다.
3.2 기상 조건

6 - 2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콘크리트 바닥판 방수공에 있어서는 재료의 품질 및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태
도 물론 중요하지만 시공할 때의 주변 온도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기온
이 너무 높거나 낮아도 방수재가 성능을 발휘하는데 악영향을 미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발현 ⇒ 발휘
(2) 시공할 때의 기온은 5 ℃ 이상이어야 한다. 부득이 하여 기온이 5 ℃ 미만에 [수정-관계기관의견] 아래와 같이 문구수정
서 시공할 경우는 결로에 주의하여야 하며, 보온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하 “수립하여야 하고,” -> “수립하여야 한다.”
절기와 같이 시공할 때의 온도가 30 ℃를 넘는 경우 온도에 영향을 받기 쉬 “새벽이나 야간을 이용한 시공이나” -> “새벽이나 야간에 시공하

운 재료, 특히 클로로프렌 고무 도막방수재는 새벽이나 야간에 시공하거나 차 거나”

양을 설치하여 직사광의 영향을 받아 시공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도록


하여야 한다.
(3) 비가 온 직후에는 바닥판 면의 함수율을 반드시 점검하고, 공기 중 상대습도 [수정-관계기관의견] 아래와 같이 띄어쓰기 수정
가 85% 이상일 경우에는 공사를 중지하여야 하며, 도포 작업을 할 때 비가 “지양하여야하며,” -> “지양하여야 하며,”
올 경우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도포재의 품질이 우천으로 인하여 저하되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시공을 지양 ⇒ 공사를 중지, 반복 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어(품질이) 삭제

(4) 강풍이 불 때는 재료가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시공을 피한다.


(5) 우기 중에는 습도가 높아 콘크리트 바닥판면의 함수율이 10 % 이하로 떨어
지지 않는 경우도 시공을 피하여야 한다.
(6) 직사광선에 의한 급격한 양생을 방지하고 기포의 발생 억제을 위하여 해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위치 조정
있는 경우는 15시 이전, 해가 없는 경우는 13시 이전에 작업을 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3.3 접착 층의 시공
(1) 접착제의 도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기계기구에는 고무주걱칼, 로울러
및 살포기 등이 있다. 접착제를 도포할 때에는 필요한 기계기구를 이용하여
얼룩이 지지 않고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넓게 바르도록 한다.
(2) 접착제의 도포는 필요한 기계기구를 사용하여 얼룩 없이 균일하게 도포하여
야 하고, 일반적으로 단경간 교량의 프라이머 작업은 한 작업장에서 완료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고, 장경간 교량의 프라이머 작업은 스팬 바이 스팬(span by span) 방법이나


차로별로 수행하도록 한다.
(3) 접착층을 2층 이상으로 도포할 경우에는 각 층을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하며,

6 - 2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일반적으로 1층은 교축 직각방향으로, 2층은 교축방향으로 도포한다.
(4) 접착제를 시공할 때 한곳에 다량 도포하지 않도록 표준사용량을 준수하도록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재료가” 삭제, “소요량 이상을” 삭제

한다.
(5) 2층 이상 도포할 경우에는 1차 도포 후 2차 도포할 때까지 30분 ∼ 60분 정
도 건조시킨다. 이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6) 양생시간은 고무아스팔트계 및 합성고무계는 20 ℃에서 1시간 정도, 5 ℃에
서 2시간 정도이고, 수지계는 20 ℃에서 15분 이내, 5 ℃에서 30분 이내를
표준으로 하며, 접착제의 종류· 기온· 바람· 지촉건조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
정한다.
(7) 양생 중 비가 내릴 경우는 도포를 중지하고 비닐 등으로 덮어 표면을 보호하
고, 비가 그친 후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재도포 하여야 한다.
(8) 접착제의 표준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고무아스팔트계의 경우에 0.2 ℓ/㎡ 이상,
합성고무계 용제형은 0.15 ℓ/㎡ 이상, 수지계는 0.15 ℓ/㎡ 이상을 표준으로
하되, 시공 전에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
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3.3 흡수방지식 방수층 시공 3.4 흡수방지식 방수층 시공
3.3.1 사용량 (1)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경우 대부분이 수용성으로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품의 사용량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4㎫∼34㎫(240㎏f/㎠∼340㎏f/㎠)의 경 작업하게 되며, 어느 정도의 콘크리트 표면의 물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표
우 0.4ℓ/㎡를 표준으로 하되, 교면방수 시공에 앞서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그 면이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동시에 먼지· 진흙· 기타 유해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콘크리트 강도 및 완전한 교면방수가 물 제거 청소를 하여야 한다.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2) 현장에 맞는 시공 장비를 준비하여야 하며, 분무기를 사용할 경우 적정 압력
3.3.2 교량 바닥판 치기면의 조치사항 의 분무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솔이나 흙손을 사용할 경우 확실하게 문질러
(1) 교면에 사용되는 양생재는 유성이어야 한다. 시공하여야 하며, 사용량에 대하여 손실량을 충분히 고려하여 혼합하여야 한
(2) 미세균열(hair crack)이 발생하였다하여 표면처리 등으로 콘크리트 표면 위에 다.
상이한 조직층을 형성하여서는 안 된다. (3) 표면에 균일하게 되도록 살포하고, 중복 도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1차 도포
(3) 콘크리트 표면의 파손이나 폭 2㎜이상의 균열은 보수하고 시공하여야 한다. 후 충분히 양생한 후 2차 도포 때에는 1차 도포한 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시
공하여야 한다.
(4) 시공 3∼4일 전에 양생포 등 기타 적치물을 제거하고 완전히 건조시킨다.

6 - 2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콘크리트 표면의 평탄성이 불량할 때에는 방수재 살포 전 연마하여야 한다. (4) 도포막이 너무 빨리 건조되지 않도록 분무기 등으로 수분을 제공하여야 하며,
(6) 레이턴스 및 표면의 이물질은 와이어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하여 제품에 따라 적절한 양생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야 한다. (5) 제품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양생기간이 적정하지 않을 경우 침투가 불량하고
(7) 긁어낸 콘크리트 표면의 레이턴스 및 이물질은 공기압축기 등으로 완전히 불 표면에 건조막이 존재하여 아스팔트 포장층과의 접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
어내어 청소하여야 한다. 우가 있으므로 반드시 적정 기간 동안 양생하여야 한다.
3.3.3 살포 시공 시 유의사항 (6) 표준 사용량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흡수방지식 방수재의 경
(1) 시공 시 기온은 5℃∼25℃에서 시공토록 한다. 우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시공 두께를 언급할 수 없으
며, 물의 침투로 인한 바닥판 콘크리트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침투 깊이
(2) 교면방수는 물을 콘크리트 표면에 충분히 흡수시킨 후 브러시 등으로 레이턴 를 4 mm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스를 제거한 후 오물이나 이물질 및 기타 유기물 등을 물로 씻어내고 콤프레 (7) 단부에는 배수처리 시설을 설치하여 물이 체수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셔 등으로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3) 바람이 많거나 우천 시에는 시공을 피하도록 하고 시공 중 강우 시에는 살포
면에 비닐을 덮어 보호 조치하여야 하며, 살포 후 1시간 이내에 비가 올 때
는 추가로 살포하여야 한다.
(4) 방수재는 살포 전 충분히 희석되도록 한다.
(5) 시공장비는 저압 분무기{0.5㎫ (5㎏f/㎠)}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교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살포하여야 한다.
(6) 시공 후 침투깊이가 부족한 부분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살포하여야 하며,
방수재가 충분히 침투되지 않았거나 보수 또는 재시공할 시에는 동일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7) 방수재의 살포는 2회로 나누어 시공하는 것이 좋으며, 살포량 0.4ℓ/㎡ 이상
을 살포하고 시험 살포 후 침투깊이를 확인하여 기준(4㎜) 이상이 되도록 하
여야 한다.
(8) 경미한 파손이나 2㎜ 이하의 미세균열부위는 더 이상 방수재가 흡수되지 않
을 때까지 살포한다.
(9) 비탈면에서는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살포하고 1차 침투가 거의 완료 시 2
차 또는 3차 살포를 하여야 한다.
(10) 살포 시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으나 콘크리트 친 후 최소 15일에서 최고 30
일 이내가 가장 바람직하다.

6 - 2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방수재 살포 후 48시간 이상은 보호 조치한다.
(12) 제조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된 제품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13) 시공 시에는 표면에서부터 200∼300㎜ 정도 띄워서 살포하며, 작업원은 보호
의 보호장갑,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여야 한다.
3.3.4 품질관리
(1) 우천 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우천 시의 표면색이 건조 시의 콘
크리트 색을 유지하여야 한다.
(2) 방수재 살포 후 48시간 이후(제품별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코어를 채취하여
침투깊이를 확인한다.
(3) 코어 채취 부위는 휨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부위와 차륜이 지나가는
부위를 피해 채취한다.
(4) 방수재가 도포된 면 위에 물을 뿌려 물이 표면장력을 유지하는지 확인한다.
(5) 기준에 미달할 시에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6) 재시공 시 기 시공된 방수재의 휘발분이 완전히 휘발되기 전에 재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기존 침투되어 있는 Si 성분을 재
용해 결합시키는데 더 많은 양이 소요될 수 있다.
(7) 재시공시 기존 사용용제보다 용해력이 큰 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8) 연속 3회 재시공 후에도 소요 침투깊이가 침투되지 않을 때 공급원을 취소한다.
3.3.5 시험실 시험
(1) 공시체 제작 : 현장요구 강도의 시편제작
(2) 계약상대자는 다음의 순서로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① 공시체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② 표면의 레이턴스를 와이어브러시로 완전히 제거한다.
③ 시방서의 강도별 물량의 15% 추가한 양을 시편에 균등분할 배포한다.
④ 살포 후 28시간 후에 시험한다.
(3) 시험항목
① 표면에 물이 베어들지 않는가를 관찰 기록한다.

6 - 2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흡수비
시편을 물에 침적시킨 후 24시간 경과 시 마다 표면의 물기를 닦아낸 후
즉시 칭량하여 흡수비를 구한다.
③ 흡수량 = 각 시간 경과 후 무게 - 시험 전 건조무게
④ 침투깊이 : 시편을 절단한 후 물을 묻혀 확인 기록한다.

3.4 시트 식 방수층의 시공 3.5 시트식 방수재 시공

3.4.1 접착층 3.5.1 시공일반


(1) 접착제는 콘크리트 면에 완전히 도포되도록 표준량에서 가감하여야 한다. (1) 시트식 방수재의 시공두께는 3.5 m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고 접착공법을 사 [수정-관계기관의견] 아래와 같이 띄어쓰기 수정

(2) 도포된 접착제는 점성이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시공하며, 도포 후 24시간 용한 경우는 융착형 보다 다소 작은 3.0 mm 이상이 되어야한다. “3.5 mm 이상을 확보하여야하고 접착공법을 사용한 경우는 융착

경과했거나 건조된 표면에 먼지· 모래 등으로 오염되어 있으면 재 도포하여 (2) 방수시트의 접착방향은 교축방향과 같게 하고, 경사가 낮은 쪽부터 시공하도 형 보다 다소 작은 3.0 mm 이상,” -> “3.5 mm 이상을 확보하여

야 한다. 록 한다.
야 하고 접착공법을 사용한 경우는 융착형 보다 다소 작은 3.0
mm 이상,”
3.4.2 방수시트 (3) 접착할 때 들뜸이 생기지 않도록 교면에 밀어 붙여 시공하고, 겹침이 발생하
(1) 방수시트의 겹치는 부위는 100㎜ 이상으로 하며, 3단 이상 겹치지 않게 한다. 는 부위의 방수시트 겹침폭은 10 mm 이상으로 하고, 겹침부위가 2겹 이상이
(2) 방수시트 시공 시 경사가 있는 곳은 낮은 곳에서부터 높은 곳으로 시공하여 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야 한다. (4) 시트식 방수층에는 직경이 5 mm 이상의 기포는 핀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구
(3) 방수시트를 가열하면서 공기가 갇히지 않도록 접착하여야 하며, 기포가 발생 멍을 뚫고, 크기가 클 때에는 해당 부분을 절개한 후 재시공을 한다. 단, 직경
한 경우에는 송곳으로 찔러 기포를 제거하면서 완전히 접착하여야 한다. 5 mm 미만의 기포도 포장두께가 얇고 포장층과의 접착력에 악영향을 미친다
고 판단될 때에는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4) 접착 후에는 수동식 로울러 다짐을 하여야 한다.
(5) 시트의 겹침폭은 100 mm 이상이 되어야 하며, 겹침부위는 열을 가하여 완전
(5) 방수시트의 연결부위는 열을 가해 완전히 접착되도록 마무리하여야 한다. 히 접착시켜야 하며, 겹치는 부위가 2겹 이상이 되지 않게 지그재그(Zigzag)
모양으로 시공한다. 겹침부위가 2겹 이상이 될 때에는 그 부위를 적정 두께로
절단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 프라이머의 표준 사용량은 0.2 ℓ/㎡ ∼ 0.5 ℓ/㎡ 이며, 재료사양에 따라 변
화할 수 있으므로 시험시공을 실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7) 프라이머는 도포 후 20분 ∼ 60분 동안 건조 양생시켜야 한다.
(8) 방호벽 및 중분대와 접촉하는 단부는 포장 상부층의 높이 이상 치켜 올려야

6 - 2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3.5.2 접착형 시트 부착
(1) 접착용 아스팔트의 용해 온도는 210 ℃ 정도이며, 전용 용제를 사용하여야 한
다.
(2) 용해할 때에는 소화기를 준비하고, 부분 가열은 피하여야 하며, 용기 주변은
오염되지 않도록 양생 시트를 깐다.
(3) 시트를 펴서 시공선에 한 번 맞추어 본 후 다시 둥글게 말고, 접착용 아스팔
트를 흘리면서 부착한다.
(4) 시트의 단부에서 벗어난 아스팔트는 적절한 기구로 균일하게 한다.
3.5.3 융착형 시트 부착
(1) 시트를 시공선에 한 번 맞추고 나서 다시 말고, 토치로 시트를 가열하면서 부
착한다.
(2) 시트 단부에서 벗어난 용융재는 적절한 기구로 균일하게 한다.
(3) 아스팔트 고임을 확인하면서 공기가 주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시트를 너무 가열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3.5 도 막식 방수층의 시공 3.6 도막식 방수재 시공

3.5.1 접착층 3.6.1 시공일반


(1) 접착제의 도포는 필요한 기계 기구를 사용하여 얼룩 없이 균일하게 도포할 (1) 도막식 방수재의 시공에 사용되는 기계기구는 접착제 도포에 이용되는 기계
수 있게 한다. 기구에 준한다.
(2) 접착제를 2층 이상으로 도포할 경우에는 각 층을 균일하게 도포하며, 1층을 (2) 방수재는 필요한 기계기구를 이용하여 고르지 못한 부풀음이 생기지 않도록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방수재의 도포는 ⇒ 방수재는

교축직각방향으로 2층을 교축방향으로 도포한다.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고, 교축직각방향과 교축방향으로 일정하게 도포하며, “방수재 도포는” 삭제

(3) 접착제 시공 시 재료가 넘친다든지 고이지 않도록 주의함과 동시에 소요량 이 경우 도막의 부착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단계적으로 도포하여야 “도포하고” ⇒ “도포하며”

이상을 한 곳에 도포하지 않도록 하며, 표준사용량을 초과해서 도포하였을 한다.


경우 그 부분을 제거하여 재 도포하여야 한다. (3) 각 층의 양생시간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층간의 접착을 위하여
(4) 2층 이상 도포할 경우에는 l층을 도포 후 다음 층을 도포할 때까지 30∼60분 충분히 양생하여야 하고, 양생시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는 가열기구를 이용
정도 건조시킨다. 하여 촉진양생을 실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5) 도포된 접착층은 휘발물질을 충분히 증발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손상 없이 소 (4) 방수재 양생 중에는 차량 주행, 중량물 재하, 기름 등에 의하여 도막이 손상

6 - 2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정시간 양생을 한다.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 양생시간은 아스팔트계는 20℃에서 1시간 정도, 고무계는 5℃에서 2시간 정도 (5) 도막식 방수층에 발생한 직경 3 mm 이상의 기포는 제거하여야 하며, 3 mm
를 표준으로 하며, 접착제의 종류· 기온· 바람· 지촉 건조시간 등을 고려하여 미만의 기포에 있어서도 포장두께가 얇고 포장층과의 접착력에 악영향을 미
결정한다. 친다고 판단될 때에는 제거하여야 한다.
(7) 양생 중에 강우가 있을 경우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는 동시에 오물이 부착하 (6) 프라이머의 표준 사용량은 0.2 ℓ/㎡ ∼ 0.5 ℓ/㎡ 이며, 재료사양에 따라 변
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화할 수 있으므로 시험시공을 실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8) 역청 고무계 접착제의 경우 2층 째 시공 후 12시간 양생하며, 공사차량의 통 한다.
행 등으로 인한 손상이나 접착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프라이머는 도포 후 20분 ∼ 60분 동안 건조 양생시켜야 한다.
(9) 경화성 아스팔트계 접착제는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상태까지 양생하나, 그 시 (8) 표준 사용량은 각 제품에 따라 다르므로 시공 전에 시험 시공을 실시하여 그
간은 지촉 경화시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10) 지촉 경화시간은 기온에 따라 주의하여야 하며, 10∼60℃ 사이에 온도-지촉 (9) 도막방수공사에 있어서 방수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두께는 재료의 성능
경화시간 곡선에 의하여 시공시기의 기온에 있어 지촉 경화시간을 확인해 면에서 1.0 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히” 삭제

두어야 한다. 또한, 현장에 있어서 도포면에 혼합물 온도보다 20℃ 낮은 온


도로 가열한 유리봉을 접촉시켜서 경화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10) 방호벽 및 중분대와 접촉하는 단부는 포장 상부층의 높이 이상 치켜 올리도
록 한다.
3.5.2 방수층
(11) 배수구, 신축이음장치, 보· 차도 등의 경계부는 불연속구간이 생기지 않도록
(1) 도막방수재의 시공조건은 공급제품의 시방사양에 따를 수 있으며, 시공 전 감 치켜 올려 도포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히” 삭제

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2) 방수재 도포는 필요한 기계 기구를 이용하여 고르지 못한 부풀음이 생기지 3.6.2 합성고무계의 도포
않도록 균일하게 시공하여야 하며, 교면포장 재료에 의하여 손상받지 않도록 (1) 롤러와 도포기로 방수재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다.
아스팔트 함침 보호재 등을 사용한다. (2) 각 층 도포 시간간격은 제품 사양에 따르며, 양생기간을 엄수하고 다음 층의
(3) 방수재 도포는 교축직각방향과 교축방향으로 일정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이 도포를 시행한다.
경우 도막의 부착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단계적으로 도포하여야 한 (3) 직경 3 mm 이상의 기포는 터트려 제거한 후에 다음 층의 도포를 시행한다.
다. (4) 최종 층에서는 특히 얼룩에 주의하고 소정의 두께가 확보될 수 있도록 균일
(4) 부풀음이 발생하여 볼록하게 된 부분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공기를 유 하게 도포한다.
출시켜야 한다. (5) 양생 후 시공두께 확보 유무를 확인한다.
(5) 방수재 양생 중에는 차량 주행, 중량물 재하, 기름 등에 의해 도막이 손상되 (6) 포장과의 접착용 택코트를 도포하는 경우는 도포량을 엄수하여야 하며, 얼룩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 생기지 않게 주의한다.
(6) 방수재는 단위 도포면적(㎡) 당 2.5㎏ 이상의 양으로, 두께는 2㎜ 이상이 되도 3.6.3 고무아스팔트계의 도포
록 도포한다.

6 - 2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7) 방수재 도포 후 확실한 부착을 위해 상온에서 충분히 양생하여야 한다. (1) 접착용 아스팔트의 용해 온도는 210 ℃ 정도이며, 전용 용해 가마를 사용하여
(8) 배수구, 신축이음장치, 보·차도 등의 경계부는 불연속구간이 생기지 않도록 야 한다.
충분히 치켜 올려 도포한다. (2) 용해할 때는 소화기를 준비하고, 과열과 부분 가열은 피하여야 하며, 가마 주
변은 오염되지 않도록 양생시트를 깐다.
(3) 고무아스팔트 방수재는 규정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
하게 도포하여야 하며, 바닥판의 패임부에 과다 도포되어 재료가 고이지 않도
록 한다.
(4) 직경 3 mm 이상의 큰 기포는 터트린 후에 다음 층의 도포를 시행한다.
(5) 신축이음부 및 배수구 주위는 꼼꼼히 도포한다.
(6) 시공두께 확보 유무를 확인한다.
3.6.4 합성수지계의 도포
(1) 액상의 주재인 합성수지와 경화제 등을 적정 비율로 혼합한다.
(2) 바닥판의 패임부에 재료가 과다 도포되어 고이지 않도록 한다.
(3)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4) 직경 3 mm 이상의 큰 기포는 터트려 제거한 후에 다음의 공정의 도포를 시
행한다.
(5) 규정두께가 확보될 수 있도록 균일하게 도포하고, 시공두께 확보 유무를 확인
한다.
(6) 규사가 한 곳에 집중이 되지 않게 스코프로 균일하게 살포하고, 잉여 규사는
닦아 낸다.

3.7 배수 처리

(1) 배수층의 시공에 있어서 방호벽이나 중분대 측의 배수장치는 포장층을 통하여 [수정-관계기관의견] 아래와 같이 띄어쓰기 수정

침투한 물을 방수층 상면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수시킬 목적으로 설치한 “배수를 목적” -> “배수시킬 목적”

다.
(2) 배수구는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 인한 막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방수층을

6 - 2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공하기 전에 깨끗이 청소되여야 한다.
(3) 배수구 안에 접착제나 방수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사전에 입구를 막아 놓는다.
(4) 방수시트의 겹침부가 있을 경우는 시트면이 배수구 보다 아래에 있지 않도록
한다.
3.8 현장 품질관리

3.8.1 품질관리 항목
품질관리의 항목은 다음 표 6-8-4를 따른다.
표 6-8-4 품질관리 항목
구 분 항 목 방 법 횟수 또는 범위
수분량 고주파 수분계 전면 (5회/1경간)
RC 바닥판 양생기간 타설후 경과일 수 전면
평탄성 스틸자 이용 전면
도포량 납품서 및 빈 용기 수 확인
전면
도장얼룩 전면 육안 조사
접착층 (시공 중 수시,
기 포 전면 육안 조사
시공 후 1회)
흠 집 전면 육안 조사
전면
막 두께 측정용 다이얼게이지
두 께 (9점/1경간, 시공 중 및
마이크로메타, 버니어캘리퍼스
시공 후)
시트식
접착용 AP 도포량 납품서 및 빈 용기 수 확인

벗겨짐 전면 육안 조사
복합식
주 름 전면 육안 조사
방수층 전면 (1회/40 ㎡)
기 포 전면 육안 조사
얼 룩 전면 육안 조사
겹침폭 겹침부위 전구간 측정
막 두께 측정용 다이얼게이지 전면 (9점/1경간, 도포
두 께
마이크로메타, 버니어캘리퍼스 후)
도막식 도포량 납품서 및 빈 용기 수 확인
전면
방수층 기 포 전면 육안 조사
(시공 중 수시,
흠집 전면 육안 조사
시공 후 1회)
도장얼룩 전면 육안 조사
프라이머 도포량 납품서 및 빈 용기 수 확인 전면
줄 눈 빈 틈 전면 육안 조사 (시공 중 수시,
충진후 유출 전면 육안 조사 시공 후 1회)
단부처리 치켜올림 높이 정규자로 측정 모든 개소
구멍공 육안 조사
배수처리 각 배구수
배수구 단부 육안 조사

주) 두께에 대해서는 방수재 시공 후 포장층 포설 전에 방수재가 완전 경화된 상태에서 표 6-9-8의 방법에 따라

6 - 2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측정하고, 포장층을 포설한 후의 두께 측정은 시편을 코어링 및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채취하여 측정 횟수 및
빈도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3.8.2 품질관리의 기록
품질관리는 각 시공단계 및 시공 후에 실시하며, 아래의 표 6-8-5를 참고로 한
다. 그러나 방수층의 종류, 교량형식, 현장조건 등에 따라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표 6-8-5 품질관리 기록표

6 - 2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공사명 교량명
시공업자명 교량형식
일기 교량연장
온도 ℃ 시공일시
풍속 m/s 일 시공면적 ㎡
상대습도 % 전체 시공면적 ㎡
마무리 솔질, 흙손, 기타
배수구 없음, 있음 ( )개소
바닥판의 상태 수분량 % 양생기간 주, 일
이물질 있음, 없음 강 도 kg/㎠
평탄성 양호, 불량 레이턴스 있음, 없음
방수층의 종류 시트식, 도막식, 복합식, 기타 : 제품명( )
청소방법 빗질, 콤프레샤, 진공청소기, 기타( )
시공 시공방법 롤러, 솔, 스프레이, 인력시공, 기계시공, 기타( )
양생기간 일, 시간, 분
두 께 기준값 이하, 이상 처리방법
얼 룩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기 포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흠 집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품질관리
주 름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이상유무
벗겨짐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줄눈공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단부처리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배수구부 있음, 없음 (상태 ) 처리방법
제품명 단위 사용량 시공면적 소정의 사용량
규정
사용수량
재료
사용량 제품명 단위수량 시공면적 소요된 사용량
현장
사용수량

기타 특기사항
작성자 연락처

3.8.3 품질의 합격판정 기준


(1) 방수층을 시공한 후 공정 및 품질은 표 6-8-6의 인장접착성 및 표 6-8-7에
표시한 기준에 합격하여야 한다.
(2) 접착성능과 규정 두께는 반드시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고, 두께는 아스팔트

6 - 2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실시하여야만 측정이 용이하고 방수층에 손상을 주
지 않는다.
(3) 포장층 포설 후 두께 측정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접착성능을 검사할 때
병행하도록 한다.
표 6-8-6 교면 방수층의 품질 기준

시험 항목 시험온도(℃) 시험방법 기준
방수성 (㎖) 20 감수량 0.5 이하
내끌충격저항성 10, 25, 40 합격
강도 -10 0.8 이상
(MPa) 20 0.15 이상
전단접착성 교면방수재의
신장률 -10 설계·시공 및 0.5 이상
(%) 20 품질관리 지침 1.0 이상
강도 -10 시험편 1.2 이상
인장접착성 (MPa)
20 0.6 이상
수침 7일 강도 수침 전의
후의 (MPa) 20 70 % 이상
인장접착성

6 - 2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6-8-7 품질의 합격 판정 기준
구 분 항 목 합격판정 기준
함수비 10 % 미만
RC
양생기간 타설후 2주 이상(속경성 재료 사용할 때는 단축 가능)
바닥판
평탄성 3 m에 10 mm 이하
도포량 소요의 규정량 만족
도장얼룩 이상 없는 것
접착층
기 포 이상 없는 것
흠 집 이상 없는 것
시트식 접착형 : 3.0 mm 이상, 융착형 : 3.5 mm 이상
두께 도막 2.0 mm 이상, 시트 1.0 mm 이상,
복합식
합성두께 3.0 mm 이상
시트식 접착제 도포량 소요의 규정량 만족
및 벗겨짐 이상 없는 것
복합식 주 름 이상 없는 것
방수층 기 포 이상 없는 것
얼 룩 이상 없는 것
시트식 100 mm 이상
겹침폭
복합식 50 mm 이상
두 께 1.0 mm 이상
도포량 소요의 규정량과 두께를 만족
도막식
기 포 이상 없는 것
방수층
흠집 이상 없는 것
도장얼룩 전면 육안 조사
프라이머도포량 소요의 규정량 만족
줄 눈 빈 틈 발견되지 않는 것
충진후 유출 발견되지 않는 것
단부
치켜올림 높이 표층 높이 이상
처리
배수 구멍공 이상 없는 것
처리 배수구 단부 이상 없는 것

주) 발생한 기포는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지만 방수층의 접착성, 방수성 및 포장층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이
없는 작은 기포들까지 제거하는 것은 그 노력을 감안할 때 합리적이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및 도막식
방수층에는 직경 3 mm 정도, 시트식 방수층에는 직경 5 mm 정도를 한도로, 그 이상의 기포는 없애야 한다.
단, 이 크기 미만의 기포에 있어서도 포장두께가 얇고 교통량이 많은 경우 포장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때에는 필수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4) 방수 시공 중 나타나는 일반적인 하자의 발생원인과 그에 대한 대책 방안은


아래 표 6-8-8과 같다.

6 - 2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6-8-8 하자 발생원인 및 대책방안

구분 하자 원인 대책
· 콘크리트 양생기간 준수(보통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최소 2주
이상)
· 바닥면의 요철 · 콘크리트 바닥판 표면 조정작업

바닥판 · 블로홀 · 콘크리트의 건조상태 (평활도 3 m마다 10 mm 이하)


· 블리스터 · 바닥면의 청소불량 및 · 바탕의 건조상태 확보(고주파

오염 수분계 이용, 표면 함수비 10 %


이하)
· 바탕면 청소철저(블라스트 및
진공청소기)
· 레이턴스층 완전 제거
· 중교통 노선, 곡선부, 경사로 등은
인장접착 및 전단강도가 큰 재료
선택
· 방수재료의 기초물성 · 품질검사전문기관에 품질시험(방수
· 방수재의 두께 부족 재 및 방수층) 의뢰
· 방수재
· 방수재의 배합 · 배합비의 준수(적정고무함량 규정)
방수재 파손·탈락
· 전단 및 인장접착강도 · 도막식 2회∼4회 겹침 도포
· 아스콘
탈락·밀림 불량 · 도막두께 준수(완전 건조 후 두께
· 과도한 교면의 경사 1.0 mm 이상)
· 시공 후 시트 두께 준수(접착형 3.0
mm 이상, 융착형 3.5 mm 이상)
· 복합식 방수재 시공 두께 3.0 mm
이상 준수
· 지촉건조시간 및 가사시간 준수
· 재료별 시공시방 미준수 · 도포작업 시간간격 준수
· 공사차량 조기 진입 · 포장층을 포설할 때 방수재
· 방수재 손상 · 일사광, 비, 바람, 먼지 경화시간 준수
시공 · 방수재 · 염분이나 기름 등 이물질 · 고온다습, 직사광선일 때 시공자제
접착력 상실 · 포장층의 두께 부족 · 동절기 5 ℃ 이하에서는 시공 불가
· 아스콘 포설온도 및 다짐 · 배수처리 시설 철저
온도의 낮음 · 포장층 두께 75 mm 이상 확보
· 아스콘 혼합물 온도규정 준수 (일반
밀입도 130 ℃, SMA 150 ℃ 이상)
· 강한 일사광으로 인한 기 · 강한 일사광에서는 양생막 설치
양생 · 방수재손상 · 공부의
· 기포발생 수증기 팽창압 발생
양생할 때 완전 경화 전의
· 양생시간 준수(제조사 시방 규정)
· 방수층 시공 후 가능한 빠른 시간
강우 내에 방수보호층 시공

6 - 2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8-5 교면 포장 6-8-5 교면 포장
교면포장은 9-5절 및 9-6절에 따른다.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서식체계 통일

(1) 이 시방은 교면방수 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2) 이 시방은 이 시방서의 다음 각 절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수정] 인용절 수정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10-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6-8-6 교량 점검 시설 6-8-6 교량 점검 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도로교의 유지관리용 부대시설 중 고정식 점검시설의 일반적인 1.1.1 이 시방은 도로교의 유지관리용 부대시설 중 고정식 점검시설의 일반적인 시
시공에 적용한다. 공에 적용한다.
1.1.2 고정식 점검시설은 점검계단, 점검 통로 및 출입사다리와 그 부속시설, 그리고 1.1.2 고정식 점검시설은 점검계단, 점검 통로 및 출입사다리와 그 부속시설, 그리고
점검용 조명설비를 포함한다. 점검용 조명설비를 포함한다.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7-1 강교제작 및 가설

6 - 2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적용범위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본다.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2 한국산업표준(KS)
KS B 0810 금속재료 충격 시험방법 KS B 0810 금속재료 충격 시험방법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 볼트, 육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 볼트, 육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012 육각 너트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2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KS D 352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량형강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량형강
KS D 3542 고 내후성 압연강재 KS D 3542 고 내후성 압연강재
KS D 3558 일반 구조용 용접경량 H형강 KS D 3558 일반 구조용 용접경량 H형강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18 도로교용 주강품 KS D 4118 도로교용 주강품
KS D 4301 회주철품 KS D 4301 회주철품
1.3.3 관련지침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건설교통부, 2003.4)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 [수정] 개정 시기 수정

1.4 용어의 정의
1.4 용어의 정의
(1) 점검계단
(1) 점검계단 교량의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계
교량의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단식 접근시설을 말한다. [수정] 문장 완성
계단식 접근시설
(2) 점검통로
(2) 점검통로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 를 위해서 설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을 말한다.
를 위해서 설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

6 - 2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출입사다리 (3) 출입사다리
교량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점검통로로 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 교량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점검통로로 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는 승강 사다리 승강 사다리를 말한다.
(4) 이동식 접근장비 (4) 이동식 접근장비
사다리, 점검대차, 굴절식 점검차, 고소작업대 등 고소 부재에 접근할 수 있 사다리, 점검대차, 굴절식 점검차, 고소작업대 등 고소 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는 장비 장비를 말한다.
(5) 점검용 조명설비 (5) 점검용 조명설비
강박스 거더교의 박스 내부에 설치하는 조명 및 조명용 전기설비 강박스 거더교의 박스 내부에 설치하는 조명 및 조명용 전기설비를 말한다.
1.5 설치기준 및 규격 1.5 설치기준 및 규격

(1) 설치기준 및 설계하중은 건설교통부에서 발행한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건설 (1) 설치기준 및 설계하중은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한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 [수정] 지침 개정일 반영
교통부, 2003.4)’에 따른다. 교통부, 2013)을 참조한다.
(2) 점검통로 및 출입사다리는 교량부재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한다. (2) 점검통로 및 출입사다리는 교량부재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한다.
(3) 점검통로는 지지대, 통로(바닥), 난간, 출입사다리로 구성한다. (3) 점검통로는 지지대, 통로(바닥), 난간, 출입사다리로 구성한다.
(4) 난간은 원형 또는 구형 파이프 구조로 하고, 핸드 레일은 3단으로 한다. (4) 난간은 원형 또는 구형 파이프 구조로 하고, 핸드 레일은 3단으로 한다.
(5) 출입사다리는 추락 방지 원형지지대가 있는 구조로 한다. (5) 출입사다리는 추락 방지 원형지지대가 있는 구조로 한다.
(6) 점검계단 및 점검통로의 규격은 표 6-55에 따른다. (6) 점검계단 및 점검통로의 규격은 표 6-8-9에 따른다.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6-55 점검 계단 및 점검 통로의 규격 표 6-8-9 점검 계단 및 점검 통로의 규격


[수정]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9)의 개정내용 반
구 분 규격 구 분 규격 영
점검계단 ∙유 효 폭 : 0.60 m 점검계단 유 효 폭 : 0.60 m
∙유 효 폭 : 0.80 m 유 효 폭 : 0.80 m
통 로 ※ 유효폭은 구조체(교각 및 교대) 벽면으로부터 난간 내측 통 로 ※ 유효폭은 구조체(교각 및 교대) 벽면으로부터 난간 내측
까지 거리임 까지 거리임
출입 통로 ∙유효 높이 : 1.0 m 유효 높이 : 1.0 m
난 간 ∙난간 레일 : 3 단 난 간 난간 레일 : 3 단
∙레일수직간격 : 0.3 m 출입 통로 레일수직간격 : 0.3 m
출입사다리 ∙발 판 폭 : 0.50 m
∙원형 지지대 내경 : 0.60 m
발 판 폭 : 0.50 m
원형 지지대 내경 : 0.60 m
출입사다리 및 경사형 출입계단 발판의 깊이 : 130 mm 이상
출입계단 경사형 출입계단 발판의 높이 : 250 mm 이하
경사형 출입계단의 각도 : 45° 내외
발판과 손잡이에 미끄럼방지 시설 설치

6 - 2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사용재료 2.1 사용재료

2.1.1 구조용 강재 2.1.1 구조용 강재


(1) 강재의 규격은 KS D 3503, KS D 3515, KS D 3529, KS D 3542, KS D (1) 강재의 규격은 KS D 3503, KS D 3515, KS D 3529, KS D 3542, KS D 3530,
3530, KS D 3558을 만족하여야 한다. KS D 3558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충격시험은 KS B 0810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충격시험은 KS B 0810을 만족하여야 한다.
2.1.2 강관 2.1.2 강관
강관의 규격은 KS D 3566, KS D 3568을 만족하여야 한다. 강관의 규격은 KS D 3566, KS D 3568을 만족하여야 한다.
2.1.3 볼트 및 핀 2.1.3 볼트 및 핀
(1) 육각 볼트 및 너트 : KS B 1002, KS B 1012 (1) 육각 볼트 및 너트 : KS B 1002, KS B 1012
(2) 마찰 접착용 고장력 육각 볼트․육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 KS B 1010 (2) 마찰 접착용 고장력 육각 볼트․육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 KS B 1010
2.1.4 주조품의 규격 2.1.4 주조품의 규격
주조품의 규격은 KS D 4101, KS D 4118, KS D 4301을 만족하여야 한다. 주조품의 규격은 KS D 4101, KS D 4118, KS D 4301을 만족하여야 한다.
2.1.5 용접전극 2.1.5 용접전극
6-7-1절 참조 6-7-1절 참조
3. 시 공 3. 시 공
3.1 점검계단 3.1 점검계단
(1) 점검계단의 경사는 앞성토 경사나 교대가 가설되어 있는 현장 지형의 경사와 (1) 점검계단의 경사는 앞성토 경사나 교대가 가설되어 있는 현장 지형의 경사와
유사하도록 한다. 유사하도록 한다.
(2) 앞성토가 있는 교대 앞에 성토 또는 블럭쌓기를 하여 점검로(폭 1.0m)를 설 (2) 앞성토가 있는 교대 앞에 성토 또는 블럭쌓기를 하여 점검로(폭 1.0 m)를 설
치하는 경우, 점검계단의 계단 참 위치와 제원은 점검로의 높이(주형 하단으 치하는 경우, 점검계단의 계단 참 위치와 제원은 점검로의 높이(주형 하단으
로부터 1.5m)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로부터 1.5 m)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3.2 점검통로 3.2 점검통로

(1) 점검통로 및 부속물은 강도,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스테인레스, 알루 (1) 점검통로 및 부속물은 강도,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스테인레스, 알루

6 - 2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미늄 등)로 제작한다. 미늄 등)로 제작한다.
(2) 점검통로 발판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콘크리트 중에서 경제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추가]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9)의 개정내용 반

(2) 염해 우려지역에 가설되는 교량에 설치하는 점검통로는 염해에 문제가 없는 (3) 염해 우려지역에 가설되는 교량에 설치하는 점검통로는 염해에 문제가 없는 영

재질로 제작한다. 재질로 제작한다.


(3) 강부재에 점검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연결부재를 본체에 용접으로 미리 설치 (4) 강부재에 점검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연결부재를 본체에 용접으로 미리 설치
하고, 연결부재와 점검통로 설비는 볼트로 체결하는 것으로 한다. 하고, 연결부재와 점검통로 설비는 볼트로 체결하는 것으로 한다.
(4) 콘크리트 부재에 점검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연결부재는 매입형 볼트 (5) 콘크리트 부재에 강재 점검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연결부재는 매입형 볼트
(embeded bolt) 또는 셑앵커 볼트(set anchor bolt) 등 고정력이 우수한 연결 (embeded bolt) 또는 세트앵커 볼트(set anchor bolt) 등 고정력이 우수한 연
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고정하거나 견고한 걸이식 구조 등으로 한다. 앵 결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고정하거나 견고한 걸이식 구조 등으로 한다. 앵 [수정]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9)의 개정내용 반

커볼트의 간격 및 수량은 지지력 및 앵커 근입깊이를 계산하여 산정한다. 커볼트의 간격 및 수량은 지지력 및 앵커 근입깊이를 계산하여 산정한다. 영

(5) 셑앵커 볼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있는 철근의 위치를 피해서 설치하여야 하며, (6) 세트앵커 볼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있는 철근의 위치를 피해서 설치하여야 하 [자문] 용어 수정(셑앵커 -> 세트앵커)

앵커용 천공위치는 콘크리트 부재의 박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서 150 며, 앵커용 천공위치는 콘크리트 부재의 박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에서
㎜ 이상 이격된 곳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150 mm 이상 이격된 곳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6) 연결용 볼트는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을 고려해 반드시 풀림방지 너트 혹은 스 (7) 연결용 볼트는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을 고려해 반드시 풀림방지 너트 혹은 스
프링와셔를 사용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한다. 프링와셔를 사용하고, 내식성이 우수한 제품을 사용한다.
(7) 설치시기는 교각 또는 상부구조 시공 시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후 (8) 설치시기는 교각 또는 상부구조 시공할 때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속공정 및 상부공 등 작업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공사여건에 따라 정한다. 후속공정 및 상부공 등 작업에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공사여건에 따라 정한다.
3.3 출입사다리 3.3 출입사다리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한글화

(1) 출입사다리 발판은 부재 또는 벽면에서 150㎜ 떨어져 설치한다. (1) 출입사다리 발판은 부재 또는 벽면에서 150 mm 떨어져 설치한다.
(2) 수직형 출입사다리와 출입계단의 난간은 파이프 구조의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점검자가 미끄러질 경우 추락의 우려가 있으므로 미끄럼방지 시설을 설치한
다.
(3)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닌 교량 상부에 출입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 입구에 부
[추가]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9)의 개정내용 반
(2)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닌 교량 상부에 출입사다리를 설치하는 경우, 출입사다 영
리 입구에 시건장치를 설치한다. 식되지 않는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3) 출입사다리를 지상에서 승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일반인(특히, 어린 (4) 출입사다리를 지상에서 승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일반인(특히, 어린
이)이 접근할 수 없는 높이로 설치한다. 이)이 접근할 수 없는 높이로 설치한다.
[수정]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국토교통부, 2013.9)의 개정내용 반

6 - 2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하천상 교량에 설치하는 출입사다리는 하류 쪽으로 설치하여 홍수 시 상류에 (5) 하천상 교량에 설치하는 출입사다리는 하류 쪽으로 설치하여 홍수가 발생되었 영

서 떠내려 오는 유송잡물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을 때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유송잡물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6-8-7 교량배수시설공 6-8-7 교량배수시설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의 배수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교량의 배수공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추가] 서식체계통일을 위하여 추가

1.2.1 적용범위
다음 규준은 이 절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절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
는 것으로 본다.
1.2.2 한국산업표준(KS) [추가] 인용규격 추가

KS D 6008 알루미늄 합금주물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M 3333 배수 및 하수용 플라스틱 배관계-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RP)-압력 및 비압력 배관
2. 재 료 2. 재 료
2.1 재 료 2.1 재 료

배수관은 직경 50㎜ 이상의 스테인레스관 또는 경질염화비닐관이어야 한다. 배수관은 직경 50 mm 이상의 스테인리스관, 알루미늄 또는 경질염화 비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닐관, 또는 FRP관으로 KS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6 - 2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1) 배수시설은 도면에 표시된 대로 시공하여야 하며, 비록 도면에 있지 않더라도 (1) 배수시설은 도면에 표시된 대로 시공하여야 하며, 도면에 해당사항이 없는 경 [수정] 문구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적절한” 삭제
배수시설 주변은 적절한 보강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우에도 배수시설 주변은 보강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2) 포장구조물이 완공될 때까지 감독자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직경 약 25㎜의 (2) 포장구조물이 완공될 때까지 감독자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직경 약 25 mm의
가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가배수공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3) 배수구의 간격은 20m이하로 되어야 한다. (3) 배수구의 간격은 20 m 이하로 되어야 한다.
(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하류측에는 반드시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하류측에는 반드시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5) 교량 신축이음부 하단에는 배수관은 설치하여 받침부 등으로 낙수되지 않도 (5) 교량 신축이음부 하단에는 배수관은 설치하여 받침부 등으로 낙수되지 않도록
록 유의하여야 한다. 유의하여야 한다.
3.2 배수구 설치위치 3.2 배수구 설치위치

(1) 배수공의 간격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하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1) 배수공의 간격은 설계도서 또는 감독자가 지시하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배수구의 설치높이는 배수구 위치의 포장면 보다 20㎜ 아래로 하고 배수구의 (2) 배수구의 설치높이는 배수구 위치의 포장면 보다 20 mm 아래로 하고 배수구
측면에 구멍을 뚫어 침투수가 바닥판에 체수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침투수가 바닥판에 체수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배수구 측면에 구멍이 없는 경우 배수구의 설치높이는 배수구 위치의 바닥판 (3) 배수구 측면에 구멍이 없는 경우 배수구의 설치높이는 배수구 위치의 바닥판
면과 일치시킨다. 면과 일치시킨다.
(4) 배수구의 설치위치는 차도부와 연석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 (4) 배수구의 설치위치는 차도부와 연석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
한 경우 연석 및 난간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 경우 연석 및 난간 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5) 종단곡선이 오목하게 된 경우 중앙에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5) 종단곡선이 오목하게 된 경우 중앙에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완화곡선 구간 및 배향곡선 구간의 변곡점 부근에서는 횡단경사가 수평 또는 (6) 완화곡선 구간 및 배향곡선 구간의 변곡점 부근에서는 횡단경사가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우므로 차도 양측에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평에 가까우므로 차도 양측에 배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7) 강상판에 배수구를 설치할 때에는 강상판과 틈이 발생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 (7) 강상판에 배수구를 설치할 때에는 강상판과 틈이 발생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
록 정밀용접 시공한다. 록 정밀용접 시공한다.
(8) 배수구는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및 도장을 한다. (8) 배수구는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및 도장을 한다.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3.3 배수관의 설치방법 3.3 배수관의 설치방법

(1) 배수관의 형상은 원형으로 하며, 설계도서에 다른 형상으로 명기된 경우 150 3.3.1 시공 일반

6 - 2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 이상이고 계획우량의 3배를 유지시킬 수 있는 단면으로 하여야 한다. (1) 설계도서에 특별히 명기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수관의 형상은 원형으로 하고
(2) 배수관의 철물은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및 도장을 하여야 한다. 직경 150 mm 이상으로 하며, 계획 강우량의 3배를 배수시킬 수 있는 단면으
(3) 경질염화비닐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에 작용하는 온도응력을 고려하여야 로 하여야 한다.
한다. (2) 배수관의 철물은 부식방지를 위한 방청 및 도장을 하여야 한다.
(4) 횡관이 2개 이상의 배수구와 직결되는 경우에는 중간에 1개의 신축이음을 설 (3) 배수관에서 상부공과 하부공의 접속부에는 연결관을 두어 상하부를 연결한다.
치한다. 상부공과 경사배수관 연결부에는 청소구를 두어 배수관이 막힐 경우 청소가
(5) 종관으로는 슬리브관을 사용하고, 접속부에는 접착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6) 배수관에서 상부공과 하부공의 접속부에는 연결관을 두어 상·하부를 연결한다. (4) 배수관의 경사는 3 % 이상으로 한다.
(7) 배수관의 경사는 3% 이상으로 한다. (5) 배수관은 유도 수로를 교각으로 연결하여 배수처리하며, 배수구의 위치는 지
(8) 배수관은 유도수로를 교각으로 연결하여 배수 처리하여 배수구의 위치는 지 표에서 300 mm 이격하는 것으로 한다.
표에서 300㎜이격하는 것으로 한다. (6) 배수용 강판은 교량 하부에 고정 설치하여야 한다.
(9) 배수용 강판은 교량하부에 충분히 고정 설치하여야 한다. 3.3.2 경질염화비닐관
(1) 경질염화비닐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관에 작용하는 온도응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2) 횡관이 2개 이상의 배수구와 직결되는 경우에는 중간에 1개의 신축이음을 설
치한다.
(3) 종관으로는 슬리브관을 사용하고, 접속부에는 접착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3.3 알루미늄 배수관
(1) 알루미늄 배수관을 사용하는 경우 연결관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탈부착식
을 사용한다.
(2) 각 이음부는 유동이 없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연결부위는 용접을 해서는 안
된다.
(3) 탈․부착식 연결관 부위는 누수방지용 실링재를 사용한다.

6-8-8 패널식 보강토 옹벽 6-8-8 패널식 보강토 옹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6 - 2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패널식 전면판과 섬유 또는 금속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이 시방은 패널식 전면판과 섬유 또는 금속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
옹벽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벽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103 흙의 ㏗값 측정방법 KS F 2103 흙의 ㏗값 측정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434 압밀배수 조건 아래서 흙의 직접 전단 시험 방법 KS F 2434 압밀배수 조건 아래서 흙의 직접 전단 시험 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2 이 공사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1.4.2 이 공사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콘크리트 패널식 전면판 2.1 콘크리트 패널식 전면판

2.1.1 콘크리트 패널의 압축강도는 KS F 2422 및 KS F 2405에 따라 시험했을 때 2.1.1 콘크리트 패널의 압축강도는 KS F 2422 및 KS F 2405에 따라 시험했을 때
28일 압축강도가 21㎫ 이상이어야 하며,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명시하는 경우 28일 압축강도가 21 MPa 이상이어야 하며,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명시하는 경
에는 그 기준을 따른다. 우에는 그 기준을 따른다.
2.1.2 콘크리트 패널은 운반 및 설치를 위한 인양고리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2.1.2 콘크리트 패널은 운반 및 설치를 위한 인양고리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6 - 2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3 콘크리트 패널의 형상과 치수는 보강벽체가 일체화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하 2.1.3 콘크리트 패널의 형상과 치수는 보강벽체가 일체화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하
며, 설계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제작오차는 ±3 ㎜ 범위 내에 있어야 며, 설계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제작오차는 ±3 mm 범위 내에 있어
한다. 야 한다.
2.1.4 콘크리트 패널은 부분적으로 파손, 균열, 전면 손상, 연결핀과 결속재에 변형 2.1.4 콘크리트 패널은 부분적으로 파손, 균열, 전면 손상, 연결핀과 결속재에 변형이
이 생기지 않도록 취급 시 주의하여야 하며, 보관 시에는 패널사이에 목재 받 생기지 않도록 취급 시 주의하여야 하며, 보관 시에는 패널사이에 목재 받침대
침대를 놓고 수평으로 보관하며 5단 이상을 초과하여 쌓지 않도록 한다. 를 놓고 수평으로 보관하며 5단 이상을 초과하여 쌓지 않도록 한다.
2.2 보강재 2.2 보강재

2.2.1 보강재는 지반 내에 존재하는 산, 알칼리, 염 등에 변질되지 않고 미생물에 의 2.2.1 보강재는 지반 내에 존재하는 산, 알칼리, 염 등에 변질되지 않고 미생물에 의
해 분해되지 않는 금속보강재· 섬유보강재로서 설계도에 명시된 규격의 제품 해 분해되지 않는 금속보강재· 섬유보강재로서 설계도에 명시된 규격의 제품
을 사용하여야 하며, 제품의 시험성적서로 적합여부를 확인한다. 을 사용하여야 하며, 제품의 시험성적서로 적합여부를 확인한다.
2.2.2 금속보강재의 경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최소 610g/㎡ 2.2.2 금속보강재의 경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최소 610 g/㎡
의 아연도금이 되어 있어야 하며, 시공 중 손상이나 절단 시 보완이 가능하여 의 아연도금이 되어 있어야 하며, 시공 중 손상이나 절단 시 보완이 가능하여
야 한다. 야 한다.
2.2.3 섬유보강재의 경우 장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내시공성, 생․화학적 내구 2.2.3 섬유보강재의 경우 장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내시공성, 생․화학적 내구
성, 장기변형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성, 장기변형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2.4 보강재의 형상, 치수, 품질은 설계도서 및 설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 2.2.4 보강재의 형상, 치수, 품질은 설계도서 및 설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
작된 것이어야 한다. 작된 것이어야 한다.
2.3 조립 부속 자재 2.3 조립 부속 자재

2.3.1 보강재와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품은 제작자나 설계도서에 제시하는 형 2.3.1 보강재와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품은 제작자나 설계도서에 제시하는 형
식의 제품을 이용하여야 하며, 연결강도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구조 및 재 식의 제품을 이용하여야 하며, 연결강도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구조 및 재
질을 가져야 한다. 질을 가져야 한다.
2.3.2 금속재질의 연결부품은 보강재와 동등한 정도의 부식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 2.3.2 금속재질의 연결부품은 보강재와 동등한 정도의 부식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
여 최소 610g/㎡의 아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볼트와 너트 또한 부식방지를 위 여 최소 610 g/㎡의 아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볼트와 너트 또한 부식방지를 위
한 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한 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2.3.3 패널 조립 시 콘크리트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파손방지를 위해 수평조인트 사 2.3.3 패널을 조립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파손방지를 위하여 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이에는 고무 패드를 설치한다. 평조인트 사이에는 고무 패드를 설치한다.


2.3.4 패널의 수평· 수직 조인트 사이로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하여 토사와 접하는 조 2.3.4 패널의 수평· 수직 조인트 사이로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하여 토사와 접하는 조
인트에는 일정 폭의 부직포를 설치한다. 인트에는 일정 폭의 부직포를 설치한다.

6 - 2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 뒤채움 재료 2.4 뒤채움 재료

2.4.1 뒤채움 재료는 설계도서에서 검토를 통해 별도로 명시하는 기준을 따르며, 별 2.4.1 뒤채움 재료는 설계도서에서 검토를 통해 별도로 명시하는 기준을 따르며, 별
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제시된 값을 참조한다. 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제시된 값을 참조한다.
2.4.2 뒤채움 재료는 유기질 및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는 흙으로서 다음의 기준을 만 2.4.2 뒤채움 재료는 유기질 및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는 흙으로서 다음의 기준을 만
족하여야 한다. 족하여야 한다.
(1)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효과가 큰 재료로서 KS F 2434의 직접전단시험 결 (1)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효과가 큰 재료로서 KS F 2434의 직접전단시험 결과
과 내부마찰각이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값 이상일 것 내부마찰각이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값 이상일 것
(2) 배수성이 양호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라 강도특성의 변화가 작을 것 (2) 배수성이 양호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라 강도특성의 변화가 작을 것
(3) 보강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작을 것 (3) 보강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작을 것
2.3.4 일반적인 흙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2.3.4 일반적인 흙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최대입경은 100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1) 최대입경은 100 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2) No.200체 통과량은 최대 15%를 초과하지 않으며, 소성지수는 6 이하로 한다. (2) No.200체 통과량은 최대 15 %를 초과하지 않으며, 소성지수는 6 이하로 한다.
(3) KS F 2103에 의하여 산도(㏗)는 5∼10 범위에 있어야 한다.
(3) KS F 2103에 의하여 산도(㏗)는 5∼10 범위에 있어야 한다. 2.4.4 보강토체가 수중에 있는 경우는 No.200체 통과량을 5 % 미만으로 제한하고,
2.4.4 보강토체가 수중에 있는 경우는 No.200체 통과량을 5%미만으로 제한하고, 배 배수가 잘 되는 재료를 이용한다.
수가 잘 되는 재료를 이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사전조사

3.1 사전조사 시공에 앞서 설계조건, 시공위치, 옹벽배면의 여건(구조물과의 이격거리, 과


시공에 앞서 설계조건, 시공위치, 옹벽배면의 여건(구조물과의 이격거리, 과 재하중, 지하매설물의 위치, 용출수의 유무)을 확인하고, 설계도서에 따라 시
재하중, 지하매설물의 위치, 용출수의 유무)을 확인하고, 설계도서에 따라 공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보완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시공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보완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2 기초지반의 준비

3.2 기초지반의 준비
3.2.1 보강토 옹벽의 기초지반은 설계서 상의 최소근입깊이 또는 동결심도 이상 근
3.2.1 보강토 옹벽의 기초지반은 설계서 상의 최소근입깊이 또는 동결심도 이상 근 입시켜야 하며, 전면판으로부터 보강재의 길이 이상을 확보하고 설계서에 명시
입시켜야 하며, 전면판으로부터 보강재의 길이 이상을 확보하고 설계서에 명 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다져야 한다.
시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충분히 다져야 한다. 3.2.2 연약지반, 지하수 용출지반의 경우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기초지반을 양질의 모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히” 삭제

6 - 2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2 연약지반, 지하수 용출지반의 경우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기초지반을 양질의 래, 자갈로 치환 또는 기초형식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한다.
모래, 자갈로 치환 또는 기초형식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한다. 3.3 기초공

3.3 기초공
3.3.1 보강토 옹벽 전면판의 기초는 설계서에 별도로 명시된 방법에 따라 잡석 또는
3.3.1 보강토 옹벽 전면판의 기초는 설계서에 별도로 명시된 방법에 따라 잡석 또는 압축강도 18 MPa 이상의 무근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압축강도 18㎫이상의 무근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3.3.2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과 외관은 기초설치의 정확도에 크게 좌우되므로 기초의
3.3.2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과 외관은 기초설치의 정확도에 크게 좌우되므로 기초의 상부면은 수평이 되도록 마무리하여 패널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상부면은 수평이 되도록 마무리하여 패널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3.3.3 기초지반이 경사지거나 고저차가 있을 경우에는 패널의 크기와 조립형상을 고
3.3.3 기초지반이 경사지거나 고저차가 있을 경우에는 패널의 크기와 조립형상을 고 려하여 기초가 계단식이 되도록 시공하고 패널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려하여 기초가 계단식이 되도록 시공하고 패널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다. 3.3.4 비탈면이나 한쪽깎기․한쪽쌓기 경계부와 같이 지반의 강성이 급격히 변화하
3.3.4 비탈면이나 한쪽깎기․한쪽쌓기 경계부와 같이 지반의 강성이 급격히 변화하 는 부위의 기초는 침하에 취약할 수 있으며, 설계도서에 별도의 명시가 없는
는 부위의 기초는 침하에 취약할 수 있으며, 설계도서에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경우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3.4 패널의 설치

3.4 패널의 설치
3.4.1 옹벽 전면의 수직(또는 경사도) 및 수평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규준틀을 일정
3.4.1 옹벽 전면의 수직(또는 경사도) 및 수평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규준틀을 일 간격으로 설치하여 뒤채움 시공 중에 전면판의 수직·수평도가 유지되는지를
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뒤채움 시공 중에 전면판의 수직·수평도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한다.
확인한다. 3.4.2 콘크리트 패널은 소형크레인 또는 백호를 이용하여 수직도(또는 경사도)를 유
3.4.2 콘크리트 패널은 소형크레인 또는 백호를 이용하여 수직도(또는 경사도)를 유 지하도록 설치하며, 뒤채움 중에 벽체의 변형을 고려하여 약 1 % ∼ 3 % 정
지하도록 설치하며, 뒤채움 중에 벽체의 변형을 고려하여 약 1%∼3% 정도 배 도 배면측으로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도 있다.
면측으로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도 있다. 3.4.3 전면판의 첫 단은 규준틀에 맞춰 선형 및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밀하게 설치하
3.4.3 전면판의 첫 단은 규준틀에 맞춰 선형 및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밀하게 설치하 고 뒤채움을 다짐할 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면부에 철근이나 버팀목을 설치
고 뒤채움 다짐 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면부에 철근이나 버팀목을 설치하여 하여 이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이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3.4.4 패널을 다른 패널 위에 설치할 때는 기 설치된 패널 양단에 있는 홈에 연결핀


3.4.4 패널을 다른 패널 위에 설치할 때는 기 설치된 패널 양단에 있는 홈에 연결핀 을 삽입하여 상· 하의 패널을 연결시킨다. 패널의 선형과 수직위치가 정확하도
을 삽입하여 상· 하의 패널을 연결시킨다. 패널의 선형과 수직위치가 정확하 록 조정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접 패널과 고정시킨다. 기 설치된 패널 상단
도록 조정하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접 패널과 고정시킨다. 기 설치된 패널 부까지 뒤채움이 완전히 다짐된 후에 다음 단계의 패널을 설치한다.
상단부까지 뒤채움이 완전히 다짐된 후에 다음 단계의 패널을 설치한다. 3.5 보강재의 설치

6 - 2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1 보강재가 설치될 표면은 불안정한 돌, 나무뿌리, 패인 곳이나 튀어나온 것이
3.5 보강재의 설치
없도록 고르게 다져 평탄성을 유지한다.
3.5.1 보강재가 설치될 표면은 뜬 돌, 나무뿌리, 패인 곳이나 튀어나온 것이 없도록 3.5.2 보강재는 설계도면에 명시된 높이와 길이로 전면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고르게 다져 평탄성을 유지한다. 다.
3.5.2 보강재는 설계도면에 명시된 높이와 길이로 전면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3.5.3 보강재는 느슨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하고, 뒤채움 포설
다. 과 다짐을 할 때에는 이동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3.5.3 보강재는 느슨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하고, 뒤채움 포 3.5.4 보강재는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한 이음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보강
설과 다짐 시에 이동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재 이음이 필요한 경우는 사전에 이음방법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3.5.4 보강재는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한 이음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보
3.6 뒤채움 시공
강재 이음이 필요한 경우는 사전에 이음방법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3.6 뒤채움 시공
3.6.1 보강토체의 한층 다짐 후 두께는 200 mm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고 각 층마다
KS F 2312에서의 표준다짐방법(D, E방법)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건조밀도에
3.6.1 보강토체의 한층 다짐 후 두께는 200㎜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고 각 층마다 대해 KS F 2311로 시험한 다짐밀도의 상대다짐도가 95 % 이상이 되도록 관
KS F 2312에서의 표준다짐방법(D, E방법)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건조밀도에 리한다.
대해 KS F 2311로 시험한 다짐밀도의 상대다짐도가 95% 이상이 되도록 관리 3.6.2 흙의 포설은 전면판 쪽에서부터 시행하며,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시킨
한다. 다. 보강재 상부에 포설할 때는 보강재가 이동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3.6.2 흙의 포설은 전면판 쪽에서부터 시행하며,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시 유의한다.
킨다. 보강재 상부에 포설할 때는 보강재가 이동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 3.6.3 전면판에서 1 m 이내에서는 흙의 포설과 고르기는 가급적 인력으로 시행하고,
록 유의한다. 소형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한다.
3.6.3 전면판에서 1m이내에서는 흙의 포설과 고르기는 가급적 인력으로 시행하고, 3.6.4 다짐장비의 주행은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시행하고 다짐 중 급제동 또는
소형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한다. 급회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재가 설치된 면에는 다짐장비가 직접 접촉하
3.6.4 다짐장비의 주행은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시행하고 다짐 중 급제동 또는 지 않도록 한다.
급회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재가 설치된 면에는 다짐장비가 직접 접촉하 3.6.5 뒤채움의 포설과 다짐작업 중에 전면판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
지 않도록 한다. 의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과도한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
3.6.5 뒤채움의 포설과 다짐작업 중에 전면판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 고 수정· 보완 후 시공한다.
의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과도한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 3.6.6 시공 중 비 또는 눈이 올 경우에는 다짐작업을 중단하고, 다짐면에 우수가 침
고 수정· 보완 후 시공한다. 투하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현장상황과 토질조건이 다짐작업이 적합
3.6.6 시공 중 비 또는 눈이 올 경우에는 다짐작업을 중단하고, 다짐면에 우수가 침 할 때까지 작업을 재개해서는 안 된다.
투하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현장상황과 토질조건이 다짐작업이 적

6 - 2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합할 때까지 작업을 재개해서는 안 된다.

6-8-9 블록식 보강토 옹벽 6-8-9 블록식 보강토 옹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블록식 전면판과 섬유 또는 금속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이 시방은 블록식 전면판과 섬유 또는 금속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
옹벽의 시공에 적용한다. 벽의 시공에 적용한다.
1.2 관련 시방 절 1.2 관련 시방 절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2-4 공무행정 및 제출물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103 흙의 ㏗값 측정방법 KS F 2103 흙의 ㏗값 측정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1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434 압밀배수 조건 아래서 흙의 직접 전단 시험 방법 KS F 2434 압밀배수 조건 아래서 흙의 직접 전단 시험 방법
KS F 4416 콘크리트 적층 블록 KS F 4416 콘크리트 적층 블록
KS F 4419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KS F 4419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른 시공계획서 1.4.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른 시공계획서
1.4.2 이 시방서 1-2-4절 1.4에 따른 시공 상세도면 1.4.2 이 시방서 1-2-4절 1.4에 따른 시공 상세도면
1.4.3 보강재에 대한 시험성적서 1.4.3 보강재에 대한 시험성적서

6 - 2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료 2. 재료
2.1 콘크리트 블록 2.1 콘크리트 블록
2.1.1 콘크리트 블록의 재료 및 제조에 관한 사항은 KS F 4416을 준용한다. 2.1.1 콘크리트 블록의 재료 및 제조에 관한 사항은 KS F 4416을 준용한다.
2.1.2 콘크리트 블록의 압축강도는 KS F 2422 및 KS F 2405에 따라 시험했을 때 2.1.2 콘크리트 블록의 압축강도는 KS F 2422 및 KS F 2405에 따라 시험했을 때
28일 압축강도가 21㎫이상이어야 하며,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명시하는 경우에 28일 압축강도가 21 MPa 이상이어야 하며, 설계도서에서 별도로 명시하는 경
는 그 기준을 따른다. 우에는 그 기준을 따른다.
2.1.3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과 치수는 보강벽체가 일체화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하며, 2.1.3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과 치수는 보강벽체가 일체화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하며, 설
설계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제작오차는 ±5 ㎜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계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제작오차는 ±5 mm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2.1.4 콘크리트 블록은 KS F 4419의 규정에 의한 흡수율 시험 시 평균흡수율이 7% 2.1.4 콘크리트 블록은 KS F 4419의 규정에 의한 흡수율을 시험할 때 평균흡수율이
이내 여야 하고 최대 10%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7 % 이내이어야 하고 최대 10 % 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2.2 보강재 2.2 보강재

2.2.1 보강재의 형상, 치수, 품질은 설계도서 및 설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 2.2.1 보강재의 형상, 치수, 품질은 설계도서 및 설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
작된 것이어야 한다. 작된 것이어야 한다.
2.2.2 보강재는 지반 내에 존재하는 산· 알칼리· 염 등에 변질되지 않고 미생물에 2.2.2 보강재는 지반 내에 존재하는 산· 알칼리· 염 등에 변질되지 않고 미생물에 의
의해 분해되지 않는 금속보강재· 섬유보강재로서 설계도에 명시된 규격의 제 해 분해되지 않는 금속보강재· 섬유보강재로서 설계도에 명시된 규격의 제품
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제품의 시험성적서로 적합여부를 확인한다. 을 사용하여야 하며, 제품의 시험성적서로 적합여부를 확인한다.
2.2.3 금속보강재의 경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최소 610g/㎡ 2.2.3 금속보강재의 경우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최소 610 g/
의 아연도금이 되어 있어야 하며, 시공 중 손상이나 절단 시 보완이 가능하여 ㎡의 아연도금이 되어 있어야 하며, 시공 중 손상이나 절단 시 보완이 가능하
야 한다. 여야 한다.
2.2.4 섬유보강재의 경우 장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내시공성, 생․화학적 내구 2.2.4 섬유보강재의 경우 장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내시공성, 생․화학적 내구
성, 장기변형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성, 장기변형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2.5 가연성재료가 사용된 섬유보강재는 직사광선이나 화열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2.2.5 가연성재료가 사용된 섬유보강재는 직사광선이나 화열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3 조립 부속 자재 2.3 조립 부속 자재

2.3.1 보강재와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품은 제작자나 설계도서에 제시하는 형 2.3.1 보강재와 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품은 제작자나 설계도서에 제시하는 형
식의 제품을 이용하여야 하며, 연결강도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구조 및 재 식의 제품을 이용하여야 하며, 연결강도가 발휘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을 가

6 - 2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질을 가져야 한다. 져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히” 삭제

2.3.2 연결부품은 흙속에서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금속· 고강 2.3.2 연결부품은 흙속에서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서 정해진 강도를 가진 금속· 고강
도 섬유유리 등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여야 하며, 특히 금속재질의 연결부품 도 섬유유리 등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여야 하며, 특히 금속재질의 연결부품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충분한 ⇒ 정해진

은 보강재와 동등한 정도의 부식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소 610g/㎡의 아 은 보강재와 동등한 정도의 부식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소 610g/㎡의 아
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식방지를 위한 아 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식방지를 위한 아
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2.4 뒤채움 재료 2.4 뒤채움 재료
2.4.1 뒤채움 재료는 설계도서에서 검토를 통해 별도로 명시하는 기준을 따르며, 별 2.4.1 뒤채움 재료는 설계도서에서 검토를 통해 별도로 명시하는 기준을 따르며, 별
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제시된 값을 참조한다. 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제시된 값을 참조한다.
2.4.2 뒤채움 재료는 유기질 및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는 흙으로서 다음의 기준을 만 2.4.2 뒤채움 재료는 유기질 및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는 흙으로서 다음의 기준을 만
족하여야 한다. 족하여야 한다.
(1)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효과가 큰 재료로서 KS F 2434의 직접전단시험 결 (1)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효과가 큰 재료로서 KS F 2434의 직접전단시험 결과
과 내부마찰각이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값 이상일 것 내부마찰각이 설계도서에서 제시한 값 이상일 것
(2) 배수성이 양호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라 강도특성의 변화가 작을 것 (2) 배수성이 양호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라 강도특성의 변화가 작을 것
(3) 보강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작을 것 (3) 보강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화학적 성분이 작을 것
2.4.3 일반적인 흙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2.4.3 일반적인 흙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최대입경은 10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1) 최대입경은 100 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2) No.200체 통과량은 최대 15%를 초과하지 않으며, 소성지수는 6 이하로 한다. (2) No.200체 통과량은 최대 15 %를 초과하지 않으며, 소성지수는 6 이하로 한다.
(3) KS F 2103에 의하여 산도(㏗)는 5∼10 범위에 있어야 한다. (3) KS F 2103에 의하여 산도(㏗)는 5∼10 범위에 있어야 한다.
2.4.4 보강토체가 수중에 있는 경우는 No.200체 통과량을 5% 미만으로 제한하고, 배 2.4.4 보강토체가 수중에 있는 경우는 No.200체 통과량을 5 % 미만으로 제한하고,
수가 잘 되는 재료를 이용한다. 배수가 잘 되는 재료를 이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사전조사 3.1 사전조사

시공에 앞서 설계조건, 시공위치, 옹벽배면의 여건(구조물과의 이격거리, 과 시공에 앞서 설계조건, 시공위치, 옹벽배면의 여건(구조물과의 이격거리, 과
재하중, 지하매설물의 위치, 용출수의 유무)을 확인하고 설계도서에 의거 시 재하중, 지하매설물의 위치, 용출수의 유무)을 확인하고 설계도서에 의거 시
공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보완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공하는 것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보완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6 - 2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 기초지반 준비 3.2 기초지반 준비

3.2.1 보강토 옹벽의 기초지반은 설계서 상의 최소근입깊이 또는 동결심도 이상 근 (1) 보강토 옹벽의 기초지반은 설계서 상의 최소근입깊이 또는 동결심도 이상 근
입 시켜야 하며, 전면판으로부터 보강재의 길이 이상을 확보하고 설계서에 명 입 시켜야 하며, 전면판으로부터 보강재의 길이 이상을 확보하고 설계서에 명
시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충분히 다져야 한다. 시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다져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히” 삭제
3.2.2 연약지반, 지하수 용출지반의 경우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기초지반을 양질의 (2) 연약지반, 지하수 용출지반의 경우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기초지반을 양질의
모래, 자갈로 치환 또는 기초형식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한다. 모래, 자갈로 치환 또는 기초형식 변경 등의 조치를 취한다.
3.3 기초공 3.3 기초공

3.3.1 보강토 옹벽 전면판의 기초는 설계서에 별도로 명시된 방법에 따라 잡석 또는 (1) 보강토 옹벽 전면판의 기초는 설계서에 별도로 명시된 방법에 따라 잡석 또는
압축강도 18㎫이상의 무근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압축강도 18 MPa 이상의 무근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3.3.2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및 외관은 기초설치의 정확도에 크게 좌우되므로 기초 (2)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및 외관은 기초설치의 정확도에 크게 좌우되므로 기초
의 상부면은 수평이 되도록 마무리하여 블록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의 상부면은 수평이 되도록 마무리하여 블록과 완전히 접촉되도록 한다.
3.3.3 기초지반이 경사지거나 고저차가 있을 경우에는 블록의 크기와 조립형상을 고 (3) 기초지반이 경사지거나 고저차가 있을 경우에는 블록의 크기와 조립형상을 고
려하여 기초가 계단식이 되도록 시공하고 블록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려하여 기초가 계단식이 되도록 시공하고 블록이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다.
3.3.4 비탈면이나 한쪽깎기․한쪽쌓기 경계부와 같이 지반의 강성이 급격히 변화하 (4) 비탈면이나 한쪽깎기․한쪽쌓기 경계부와 같이 지반의 강성이 급격히 변화하
는 부위의 기초는 침하에 취약할 수 있으며, 설계도서에서 별도의 명시가 없 는 부위의 기초는 침하에 취약할 수 있으며, 설계도서에서 별도의 명시가 없
는 경우는 감독자의 지시나 관련분야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시행한다. 는 경우는 감독자의 지시나 관련분야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시행한다.
3.4 블록 설치 3.4 블록 설치

3.4.1 옹벽 전면의 수직(또는 경사도) 및 수평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규준틀을 일 (1) 옹벽 전면의 수직(또는 경사도) 및 수평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규준틀을 일
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뒤채움 시공 중에 전면판의 수직· 수평도가 유지되는지 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뒤채움 시공 중에 전면블록의 수직· 수평도가 유지되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를 확인한다. 지를 확인한다.
3.4.2 콘크리트 블록은 수직도(또는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며, 뒤채움 중에 벽체 (2) 콘크리트 블록은 수직도(또는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며, 뒤채움 중에 벽체
의 변형을 고려하여 약 1∼3%정도 배면측으로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도 있다. 의 변형을 고려하여 약 1 % ∼ 3 % 정도 배면측으로 경사를 두어 시공할 수도
있다.
3.4.3 전면판의 첫 단은 규준틀에 맞춰 선형 및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밀하게 설치하 (3) 전면블록의 의 첫 단은 규준틀에 맞춰 선형 및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밀하게
고 뒤채움 다짐 시 블록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면부에 철근이나 버팀목을 설치하고 뒤채움 다짐을 할 때 블록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면부에 철근이
설치하여 이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나 버팀목을 설치하여 이동을 방지하여야 한다.

6 - 2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4 각 블록에는 연결핀을 설치하여 위아래 블록이 연결되도록 한다. 블록 내부가 (4) 각 블록에는 연결핀을 설치하여 위아래 블록이 연결되도록 한다. 블록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인 경우는 블록내부에 25㎜미만의 최대입경을 가진 배수성 재 비어있는 구조인 경우는 블록내부에 25 mm 미만의 최대입경을 가진 배수성
료로 속채움을 한다. 재료로 속채움을 한다.
3.4.5 다음 블록을 설치할 때는 하부 블록의 윗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 (5) 다음 블록을 설치할 때는 하부 블록의 윗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하
고, 블록의 수평 및 수직도를 확인하면서 설치한다. 고, 블록의 수평 및 수직도를 확인하면서 설치한다.
3.4.6 최종 블록 설치 후에는 상단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덮개블 (6) 최종 블록 설치 후에는 상단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덮개블
록을 고정시킨다. 록을 고정시킨다.
3.5 보강재 설치
3.5 보강재 설치

3.5.1 보강재가 설치될 표면은 뜬돌, 나무뿌리, 패인 곳이나 튀어나온 것이 없도록 (1) 보강재가 설치될 표면은 불안정한 돌, 나무뿌리, 패인 곳이나 튀어나온 것이
고르게 다져 평탄성을 유지한다. 없도록 고르게 다져 평탄성을 유지한다.
3.5.2 보강재는 설계도면에 명시된 높이와 길이로 전면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2) 보강재는 설계도면에 명시된 높이와 길이로 전면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다. 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구성체계 수정, 표기 생략

3.5.3 보강재는 느슨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하고, 뒤채움 포 (3) 보강재는 느슨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팽팽하게 당겨서 설치하고, 뒤채움 포
설과 다짐 시에 이동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설과 다짐을 할 때에는 이동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3.5.4 보강재는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한 이음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보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화

강재 이음이 필요한 경우는 사전에 이음방법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보강재는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한 이음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보
강재 이음이 필요한 경우는 사전에 이음방법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 한다.
3.5.5 보강재를 겹쳐서 시공하는 경우 설계도서에 명시된 겹침폭이 유지되도록 하
며, 특히 전면판 부위에서도 겹침폭이 유지되도록 한다. (5) 보강재를 겹쳐서 시공하는 경우 설계도서에 명시된 겹침폭이 유지되도록 하
3.5.6 가연성재료가 사용된 섬유보강재는 화열에 매우 취약하므로 시공 시 주변의 며, 특히 전면블록 부위에서도 겹침폭이 유지되도록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인화물질과 화재발생요인 등을 제거한 후 시공한다. (6) 가연성재료가 사용된 섬유보강재는 화열에 매우 취약하므로 시공 시 주변의
3.5.7 공용 중 옹벽 주변에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섬유보강 인화물질과 화재발생요인 등을 제거한 후 시공한다.
재를 사용해서는 안 되며, 부득이한 경우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보강토옹 (7) 공용 중 옹벽 주변에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섬유보강
벽 전면에 블록보호막 등 화열차단시설을 설치한다. 재를 사용해서는 안 되며, 부득이한 경우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보강토옹
벽 전면에 블록보호막 등 화열차단시설을 설치한다.
3.6 뒤채움 시공 3.6 뒤채움 시공
3.6.1 보강토체의 한층 다짐 후 두께는 200㎜이하가 되도록 관리하고 각 층마다 (1) 보강토체의 한층 다짐 후 두께는 200 mm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고 각 층마다
KS F 2312에서의 표준다짐방법(D, E 방법)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건조밀도에 KS F 2312에서의 표준다짐방법(D, E 방법)에 의해 정해지는 최대건조밀도에
대해 KS F 2311로 시험한 다짐밀도의 상대다짐도가 95% 이상이 되도록 관리 대해 KS F 2311로 시험한 다짐밀도의 상대다짐도가 95 % 이상이 되도록 관

6 - 2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리한다.
3.6.2 흙의 포설은 전면판 쪽에서부터 시행하며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시킨 (2) 흙의 포설은 전면판 쪽에서부터 시행하며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시킨
다. 보강재 상부에 포설할 때는 보강재가 이동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 보강재 상부에 포설할 때는 보강재가 이동하거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유의한다.
3.6.3 전면판에서 1.5m 이내에서는 흙의 포설과 고르기는 가급적 인력으로 시행하고 (3) 전면판에서 1.5 m 이내에서는 흙의 포설과 고르기는 가급적 인력으로 시행하
소형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한다. 고 소형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다짐을 실시한다.
3.6.4 다짐장비의 주행은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시행하고 다짐 중 급제동 또는 (4) 다짐장비의 주행은 전면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시행하고 다짐 중 급제동 또는
급회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재가 설치된 면에는 다짐장비가 직접 접촉하 급회전은 하지 않도록 한다. 보강재가 설치된 면에는 다짐장비가 직접 접촉하
지 않도록 한다. 지 않도록 한다.
3.6.5 뒤채움의 포설과 다짐작업 중에 전면판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 (5) 뒤채움의 포설과 다짐작업 중에 전면판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
의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과도한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 의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과도한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
고 수정· 보완 후 시공한다. 고 수정· 보완 후 시공한다.
3.6.6 시공 중 비 또는 눈이 올 경우에는 다짐작업을 중단하고 다짐면에 우수가 침 (6) 시공 중 비 또는 눈이 올 경우에는 다짐작업을 중단하고 다짐면에 우수가 침
투하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현장상황과 토질조건이 다짐작업이 적
합할 때까지 작업을 재개해서는 안 된다. 투하지 않도록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현장상황과 토질조건이 다짐작업이 적
합할 때까지 작업을 재개해서는 안 된다.

6-9 교량 계측시설 6-9 교량 계측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량의 구조적인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각종 계 이 시방은 계측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특수교량의 작용하중 및 구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측기기의 설치와 관리에 관한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조물응답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문기술자에 의하여 설치되 [관계기관의견 반영] ..분석하기 위하여 “… 전문기술자에 의하여
는 각종 계측기의 설치와 관리의 일반적인 시공에 적용한다. …”문구 위치 조정

1.2 제출물 1.2 제출물

1.2.1 시방서, 도면 및 자료 1.2.1 제출자료


계약상대자는 납품자와 계약체결 후 2개월 이내에 제반 계측장비에 대한 도 계약상대자는 납품자와 계약체결 후 2개월 이내에 다음에 명시한 자료들을 감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면, 자료 및 시방서를 승인용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6 - 2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장비의 규격 및 설명서 (1) 장비의 규격 및 설명서
(2) 기술시방서 (2) 기술시방서
(3) 상세 설치방법 및 도면 (3) 상세 설치방법 및 도면
(4) 공급자재 명세 및 자재별 규격 (4) 공급자재 명세 및 자재별 규격
(5) 제품 검정 또는 교정 성적서 (5) 제품 검정 또는 교정 성적서
1.2.2 계측계획서 1.2.2 계측계획서
(1)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계측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1)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계측계획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① 공사의 개요 및 규모 ① 공사의 개요 및 규모
② 교량의 구조적 형태 ② 교량의 구조적 형태
③ 공사의 공정 ③ 공사의 공정
④ 계측목적, 계측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 ④ 계측목적, 계측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
⑤ 계측기의 종류와 사양 ⑤ 계측기의 종류와 사양
⑥ 계측담당자 교육 ⑥ 계측담당자 교육
⑦ 계측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 방법 ⑦ 계측기의 설치 및 유지관리 방법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⑧ 계측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⑧ 계측 데이터의 수집·분석 및 관리기준값의 설정
⑨ 데이터의 보관 ⑨ 데이터의 보관
⑩ 교량 유지관리 계측 방안 ⑩ 교량 유지관리 계측 방안
(2) 교량의 이상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2) 교량의 이상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3) 계측기기는 장기적으로 유지관리 계측에 사용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보장되 (3) 계측기기는 장기적으로 유지관리 계측에 사용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보장되고
고 사용 실적이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사용 실적이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
(4) 구조적인 거동 및 안전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간과 대표적인 (4) 구조적인 거동 및 안전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간과 대표적인
단면을 선정하여야 한다. 단면을 선정하여야 한다.
(5) 설계도서 상의 계측항목은 교량의 구조해석· 시공방법· 계측결과의 활용목적 (5) 설계도서 상의 계측항목에 대해서는 구조 안전성 해석 또는 관련 시방기준의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 평가방법 등을 명확히 이해한 후 선정하여야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하한값에 근거하여 시공 단계별로 관리기준값을 제시하고, 한계값을 초과할
설계도서를 따라야 한다. 때 대책방안 등에 대해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2.3 사용설명서 및 부품책자 1.2.3 사용설명서 및 부품책자
계약상대자는 납품자와 계약체결 후 2개월 이내에 사용설명서와 부품책자를 계약상대자는 계약체결 후 2개월 이내에 사용설명서와 부품책자를 제출하여야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제출하여야 한다. 각 계측기기에 대한 취급설명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 한다. 각 계측기기에 대한 취급설명서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야 한다.

6 - 2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① 계측기의 용도와 적용범위 ① 계측기의 용도와 적용범위
② 계측기의 기본측정 원리 ② 계측기의 기본측정 원리
③ 시스템의 측정범위 ③ 시스템의 측정범위
④ 설치요령 ④ 설치요령
(2) 작동 및 측정순서 (2) 작동 및 측정순서
① 측정준비 및 세부적인 순서 ① 측정준비 및 세부적인 순서
② 사용자 및 장비에 관련된 주의사항 ② 사용자 및 장비에 관련된 주의사항
③ 기기 설치 후 초기치 설정 방법 ③ 기기 설치 후 초기치 설정 방법
④ 초기치 설정 이후의 계측데이터 획득 방법 ④ 초기치 설정 이후의 계측데이터 획득 방법
⑥ 측정 시 필요한 기구 및 준비물의 목록 ⑥ 측정할 때 필요한 기구 및 준비물의 목록 [수정] 한글로 순화

(3) 보수 및 유지관리 (3) 보수 및 유지관리


① 현장상태로의 보관에 관한 사항 ① 현장상태로의 보관에 관한 사항
② 소모품 교체시기 및 방법에 관한 사항 ② 소모품 교체시기 및 방법에 관한 사항
③ 측정 전·후의 현장점검 사항 ③ 측정 전·후의 현장점검 사항
④ 소모품을 포함한 예비부품의 추천목록 ④ 소모품을 포함한 예비부품의 추천목록
1.3 품질관리 1.3 품질관리

1.3.1 계측의 측정단위 1.3.1 계측의 측정단위


모든 통신, 기술내역서, 도면 등에서 측정단위로서 SI 단위를 사용하고 도면이 모든 통신, 기술내역서, 도면 등에서 측정단위로서 SI 단위를 사용하고 도면이
나 인쇄물에서 다른 단위를 사용했을 때는 이에 상당하는 SI단위를 첨부하여 나 인쇄물에서 다른 단위를 사용했을 때는 이에 상당하는 SI단위를 첨부하여
야 한다. 야 한다.
1.3.2 혹한기 가동대책 1.3.2 혹한기 가동대책
계측시스템은 혹한기에도 가동되도록 적절한 보호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계측시스템은 혹한기에도 가동되도록 적절한 보호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1.3.3 표찰과 명찰 1.3.3 표찰과 명찰
제품에는 지침표찰과 명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제품에는 지침표찰과 명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1.4 검사 및 시험 1.4 검사 및 시험

(1) 장비는 아래의 검사와 시험을 거쳐야 한다. (1) 장비는 아래의 검사와 시험을 거쳐야 한다.
① 현장에서의 인도 시 검사 ① 현장에서의 인도할 때의 검사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용어 수정
② 현장에서의 조립 완성 후 시운전 ② 현장에서의 조립 완성 후 시험작동

6 - 2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계약상대자는 각 기기의 출고 시 검사 및 시험에 대한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2) 계약상대자는 각 기기를 출고할 때 검사 및 시험에 대한 성적서를 제출하여야 [수정] 한글로 순화

한다.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계측기의 초기화 방법과 계측값의 보정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계측기의 초기화 방법과 계측값의 보정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1.6 하자보증 1.5 하자보증

계약상대자는 공사시행 중 소요되는 예비부품을 적시에 공급하여야 하 계약상대자는 공사시행 중 소요되는 예비부품을 적시에 공급하여야 하며,
며, 공사하자 기간 내 발생되는 고장 등은 즉시 수리하여야 한다. 공사하자 기간 내 발생되는 고장 등은 즉시 수리하여야 한다.
1.7 기술지도와 관리 1.6 기술지도와 관리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1) 계약상대자는 유능한 기술자를 현장에 투입하여 계측기 설치 및 관련 작업에 (1) 계약상대자는 전문기술자를 현장에 투입하여 다음과 같은 계측기 설치 및 관
대한 관리와 기술지도를 하여야 한다. 련 작업에 대하여 기술지도를 하여야 하며, 전담기술자를 배치하여 계측시스
① 현장에서의 장비의 포장 해체 템의 설치 및 시험운영을 수행하여야 한다.
② 장비의 정밀도 검사와 시운전 ① 현장에서의 장비의 포장 해체
③ 계측기 설치감독 ② 장비의 정밀도 검사와 시험작동 및 성능보증시험
④ 감독자에 대한 기술지도 정보 및 자료제공 ③ 계측기 설치감독
(2) 계약상대자는 전담 기술자를 배치하여 계측시스템의 설치 및 시험운영을 수 ④ 감독자에 대한 기술지도 정보 및 자료제공
행하여야 하고 최초 초기 거동 계측 보고서 작성을 위한 계측자료 획득에 관
련된 기술적인 사항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1.8 유지보수 1.7 유지보수

(1) 계약상대자는 공급한 장비의 적절한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및 소모품 내역을 (1) 계약상대자는 공급한 장비의 적절한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및 소모품 내역을
제공하여야 한다. 제공하여야 한다.
(2) 장비는 효율적인 운전과 유지관리를 위한 모든 부속품을 갖추어야 하며, 계약 (2) 장비는 효율적인 운전과 유지관리를 위한 모든 부속품을 갖추어야 하며, 계약 [수정] 줄임말 수정

상대자는 부속품에 관해 사양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상대자는 부속품에 관하여 사양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계측기의 설치 측기의 설치
3.1 계

6 - 2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1 센서 설치 위치 3.1.1 센서 설치 위치
각 계측 항목별 센서의 설치 위치는 설계도서를 따른다. 각 계측 항목별 센서의 설치 위치는 설계도서를 따른다.
3.1.2 계측시스템 구축 계획 3.1.2 계측시스템 구축 계획
(1) 각 위치별 계측기 및 기타 장비는 감독자가 승인한 도면과 같아야 한다. (1) 각 위치별 계측기 및 기타 장비는 감독자가 승인한 도면과 같아야 한다.
(2) 각 지점의 계측기기 및 기타 장비는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노이즈제 (2) 각 지점의 계측기기 및 기타 장비는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노이즈제거
거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최적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최적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3) 계측자료의 전송은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전송을 사용하며, 케이블 연결 및 (3) 계측자료의 전송은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전송을 사용하며, 케이블 연결 및 접
접속은 계약상대자의 과업에 포함되어야 하고, 통신규격은 측정장비 제원에 속은 계약상대자의 과업에 포함되어야 하고, 통신규격은 측정장비 제원에 포
포함한다. 함한다. [수정] 목적어를 명확하게 기술

(4) 계약상대자는 발주자가 지정한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현장 계측기까지의 전력 (4) 계약상대자는 발주자가 지정한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현장 계측기까지의 전력
공급 계획 작성하여야 한다. 공급 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5) 모든 전송장비는 향후 계측시스템이 확장 운영될 경우를 대비하여 호환성을 (5) 모든 전송장비는 향후 계측시스템이 확장 운영될 경우를 대비하여 호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고려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불필요한 수식어 삭제
(6) 계측은 자동으로 수행되며 계측기로부터 계측자료는 원격계측실의 컴퓨터로 (6) 계측은 자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계측기로부터 계측자료는 원격계측실의 컴
전송되어 원격컴퓨터에서 계측자료의 저장 및 분석이 가능하여야 한다. 퓨터로 전송되어 계측자료의 저장 및 분석이 가능하여야 한다.
(7) 각 지점의 계측기를 원격지에서 원격 제어하여 계측의 빈도를 조정할 수 있 (7) 각 지점의 계측기를 원격지에서 원격 제어하여 계측의 빈도를 조정할 수 있어
어야 한다. 야 한다.
(8) 모든 센서는 항시 작동상태에 있어야 하며, 일정한 관리치 이상의 모든 측정 (8) 모든 센서는 항시 작동상태에 있어야 하며, 일정한 관리치 이상의 모든 측정
값을 상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값을 상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9) 계약상대자는 위의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자동계측 시 (9) 계약상대자는 위의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한 자동계측 시
스템을 현장에 구축하여야 한다. 스템을 현장에 구축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1.3 계측기기 선정 및 설치 시 요구사항 3.1.3 계측기기 선정 및 설치할 때의 요구사항 [수정] 일반국도공사 전문시방서 해당내용을 참조하여 수정

(1) 계측기기는 반드시 사용범위, 정밀도 및 내구성 등 발주자가 제시한 계측기 (1) 계측기기는 반드시 사용범위, 정밀도 정확도, 분해능, 민감도 및 내구성 등 발
기 사양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주자가 제시한 계측기기 사양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장기 자동계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계측기기 및 운용프로그램을 선정하여야 한다. (2) 장기 자동계측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계측기기 및 운용프로그램을 선정하여야 한다.
(3) 계측기기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되 (3) 계측기기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되어
어야 한다. 야 한다.
(4) 계측자료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경우, 장기계측용으로 적합한 제품을 선정하 (4) 계측자료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경우, 장기계측용으로 적합한 제품을 선정하
여야 하며, 케이블 배선 계획을 설치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여야 하며, 케이블 배선 계획을 설치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6 - 2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계약상대자는 교량내부에 적당한 장소를 선정하고 자동계측기 설치를 위한 (5) 계약상대자는 교량내부에 적당한 장소를 선정하고 자동계측기 설치를 위한 상
상세설계를 수립한다. 세설계를 수립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6) 자동계측기의 설치 시 안정적으로 계측자료를 수집· 저장· 송신할 수 있도록 (6) 자동계측기의 설치할 때 안정적으로 계측자료를 수집· 저장· 송신할 수 있도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고, 필요 시 전압안전장치· 낙뢰방지장치· 제습장치· 록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하고, 필요할 때에는 전압안전장치· 낙뢰방지장치· 제
항온장치 및 방진장치 등의 부속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습장치· 항온장치 및 방진장치 등의 부속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3.1.4 계측항목 및 수량 3.1.4 계측항목 및 수량 [수정] 문구 및 줄임말 수정, 한글로 순화
계측항목은 시방서에 의하며 필요시 계측항목을 변경 또는 추가 할 수 있도록 계측항목은 시방서에 따르며, 필요할 때에는 계측항목을 변경 또는 추가 할 수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 설치 전 계측항목과 수량에 대해 감독자의 승인을 득 있도록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 설치 전 계측항목과 수량에 대하여 감독자의
하여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계 측설비 및 기능 3.2 계 측설비 및 기능
3.2.1 센서 및 데이터 로거의 선택 3.2.1 센서 및 데이터 로거의 선택
계측용 센서 및 데이터 로거를 선정하는 경우,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다른 계측용 센서 및 데이터 로거를 선정하는 경우,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다른 계
계측형식 또는 회사 제품을 비교한 후 장기계측용으로 적합한 최상품을 선택 측형식 또는 회사 제품을 비교한 후 장기계측용으로 적합한 최상품을 선택하
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근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여야 하며, 이에 대한 근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3.2.2 센서 교체 3.2.2 센서 교체
각종 센서의 교체시기 및 방법, 교체 후 초기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각종 센서의 교체시기 및 방법, 교체 후 초기화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3.2.3 온도 범위 3.2.3 온도 범위
각 센서 및 데이터 로거의 작동은 온도범위가 최소한 -20℃∼60℃ 범위 내의 각 센서 및 데이터 로거의 작동은 온도범위가 최소한 –20 ℃ ∼ 60 ℃ 범위 내
[수정] 띄어쓰기 수정

기후조건에서 연중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어야 한다. 보온장치가 필요한 센서 의 기후조건에서 연중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어야 한다. 보온장치가 필요한 센
에 대해서는 이를 따로 기술하여야 한다. 서에 대해서는 이를 따로 기술하여야 한다.
3.2.4 알람경보 전송 기능 3.2.4 알람경보 전송 기능
계측치가 일정 관리기준치를 상회할 경우 원격계측실로 알람경보를 전송하는 계측치가 일정 관리기준치를 상회할 경우 원격계측실로 알람경보를 전송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기능이 있어야 한다.
3.2.5 계측데이터 관리 3.2.5 계측데이터 관리
계약상대자는 자동계측기에 저장되는 계측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갱신하고 계약상대자는 자동계측기에 저장되는 계측데이터를 일정 주기마다 갱신하고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운영하여야 한다.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 운영하여야 한다.
3.2.6 계측시스템 장애 진단 기능 3.2.6 계측시스템 장애 진단 기능
(1) 계측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검출하고 (1) 계측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검출하고
장애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시스템의 장애상태를 원격 장애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며, 시스템의 장애상태를 원격지
지 터미널을 통해 표시되어야 한다. 터미널을 통하여 표시되어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6 - 2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모든 장애 사항들은 발생 일시(초 단위)별로 원격계측실 컴퓨터에 기록되어 (2) 모든 장애 사항들은 발생 일시(초 단위)별로 원격계측실 컴퓨터에 기록되어야
야 하며, 그 내용이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어 하며, 그 내용이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어야
야 한다. 한다.
3.2.7 트리거기능(triggerring) 3.2.7 트리거 기능(triggerring)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치 이상/이하의 신호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계측을 수행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치 이상/이하의 신호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계측을 수행하
하도록 조절기능(triggering)을 보유하여야 한다. 도록 조절기능(triggering)을 보유하여야 한다.
3.3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3.3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3.3.1 주요기능 3.3.1 주요기능
계측기를 제어하며 각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일련 계측기를 제어하며 각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일련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의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발주처 정보시스템의 H/W 및 S/W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발주청 정보시스템의 H/W 및 S/W와의
와의 호환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 호환성과 확장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하여야
하여야 한다. 한다.
(1) 신호 타입별, 센서 위치별 관리한계의 설정 (1) 신호 타입별, 센서 위치별 관리한계의 설정
(2) 트리거링에 의한 신호처리 (2) 트리거링에 의한 신호처리
(3) 전기신호의 공학단위 변환 기능 (3) 전기신호의 공학단위 변환 기능
(4) 신호 분석 보고서 작성 기능 (4) 신호 분석 보고서 작성 기능
(5) 상태판정 이 후 경보 발령 기능 (5) 상태판정 이 후 경보 발령 기능
3.3.2 계측기 제어 3.3.2 계측기 제어
소프트웨어로부터 계측기에 명령을 전달하여 설정상태 등을 변경할 수 있어야 소프트웨어로부터 계측기에 명령을 전달하여 설정상태 등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한다.
3.3.3 실시간 신호 표현 3.3.3 실시간 신호 표현
계측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상에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계측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모니터상에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3.3.4 기타 기능 3.3.4 기타 기능
(1) 교량형상, 단면, 센서위치 등이 그래픽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1) 교량형상, 단면, 센서위치 등이 그래픽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2) 시스템 운영 전문기관과 관리주체 간에 상시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여야 한다. (2) 시스템 운영 전문기관과 관리주체 간에 상시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여야 한다.

6 - 262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7 장 터널공사-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제 7 장 터널공사 제 7 장 터널공사
7-1 시공계획 및 준비공 7-1 시공계획 및 준비공
7-2 터널측량 7-2 터널측량
7-3 암반의 분류 및 활용 7-3 암반의 분류 및 활용
7-4 터널굴착 7-4 터널굴착
7-5 버력처리 및 운반 7-5 버력처리 및 운반
7-6 지 보 공 7-6 지 보 공
7-7 보조공법 [통합] 7-7 ⇒ 7-6으로통합
7-8 거푸집
7-9 콘크리트 라이닝 7-7 콘크리트 라이닝 [통합] 7-8 ⇒ 7-9로 통합
7-10 배수 및 방수 7-8 배수 및 방수
7-11 갱 구 부 7-9 갱 구 부
7-12 터널 계측 7-10 터널계측
7-13 타일붙임 및 내오염도장 7-11 타일붙임 및 내오염도장
7-14 시공 중 부대시설 7-12 시공 중 부대시설
7-15 전기 및 기계설비 7-13 전기 및 기계설비
7-16 공해방지 및 안전관리 7-14 공해방지 및 안전관리

제7장 터 널 공 사 제 7 장 터널공사
7-1 시공계획 및 준비공 7-1 시공계획 및 준비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공사를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공계획서 작성 이 시방은 터널공사를 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공계획서 작성 및 공사 [수정] 자구 수정, 전문시방서 전체 동일하게 표현, 줄임말 수정

및 공사 준비에 적용한다. 준비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수정] 원문 “해당없음” 수정, 전체 동일하게 수정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 총칙 편 공사계획 목차에 따라 수정함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시공계획서와 함께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시공계획서외 추가사항을 명기함으로써 제출물의 한계를 명확히 규정함

7 - 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 실시설계 용역 시 지형여건 및 민원 등으로 인해 시추조사를 (1) 실시설계를 할 때 지형여건 및 민원 등으로 인하여 시추조사를 실시하 [수정] : 실시설계 자체가 용역을 의미하므로 삭제하여도 무방함

실시하지 못한 경우에 추가 지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 못한 경우에는 추가 지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제
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줄임말 수정

보고서로 제출하여야 한다.


(2) 시공 중 당초 시추결과와 상이하여 별도의 보강공법 필요시에 (2) 설계 때의 지반조사 결과와 시공 중 지반의 상태가 상이하여 설계변경 [수정] : 당초 시추결과가 없는 경우도 있고, 당초가 무엇을 의미하는 불분명하

시공 중 지반조사를 실시하여 지반조사결과보고서 제출하여야


등이 필요한 경우 추가 지반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제출 여 명확히 규정, [수정] 한글로 순화
하여야 한다.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계획일반 3.1 시공계획

3.1.1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3.1.1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터널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수정] : 중복되는 문구 수정

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시공계획은 공사규모와 공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시공계획은 터널의 공사규모와 기간, 지

기간, 지반조건과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반조건과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계획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계획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1.2 터널시공계획서에는 다음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3.1.2 터널 시공계획서에는 다음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수정] : 터널 내장재에는 타일, 도장, 판넬, 법랑 등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타일
(1) 공정계획 (1) 공정계획 과 도장만 언급하는 것은 불합리

(2) 시공방법 (2) 시공방법

(3) 시공장비의 사양 및 장비 사용계획


(3) 시공장비의 사양 및 장비 사용계획
(4) 작업장 배치도
(4) 작업장배치도 (5) 버력처리계획

(5) 버력 처리계획 (6) 신축이음 시공계획

(6) 신축이음 시공계획


(7) 방수 및 배수계획(시공 중 차수 및 배수계획 포함)
(8) 터널 내장재(타일, 도장 등) 시공계획
(7) 방수 및 배수계획(시공 중 차수 및 배수계획 포함) (9) 계측관리 및 품질관리계획

(8) 타일붙임 및 도장 시공계획 (10) 작업장 환경 및 안전관리 계획 [수정] 위치 조정

(9) 계측관리 및 품질관리계획


(11) 진동 및 소음 예방계획
(12) 폐수처리계획
(10) 진동 및 소음 예방계획 (13) 건설 폐기물처리계획

(11) 폐수처리계획
(12) 건설폐기물 처리계획
(13) 작업장 환경 및 안전관리 계획
3.1.3 공정계획에는 공사착공을 위한 사전 행정처리 기간과 작업장 3.1.3 공정계획에는 공사착공을 위한 사전 행정처리 기간과 작업장 및 공사
및 공사장용 용지확보를 위한 보상기간 등의 준비 일정이 포함 장용 용지확보를 위한 보상기간 등의 준비 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7 - 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되어야 한다.
3.1.4 버력 처리계획에는 터널 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한 버력을 골재 3.1.4 버력처리계획에는 터널 굴착으로 인하여 발생한 버력을 골재나 흙쌓기
나 흙쌓기 재료로 이용하는 등의 활용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재료로 이용하는 등의 활용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3.2 준비공
3.2 준비공

3.2.1 터널공사를 시행하기 전에 먼저 실시설계단계에서 실시한 상세 3.2.1 터널공사를 시행하기 전에 먼저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단계에서 실시 [수정] : 기본설계에서도 지반조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함

지반조사 결과를 검토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한 측량 및 지반조사 결과를 검토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3.2.2 상세지반조사 결과가 부족한 경우 계약상대자는 추가로 지반조 3.2.2 상세 지반조사 결과가 부족한 경우 계약상대자는 추가로 지반조사를 실시

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추가지반조사 내용에는 지표지질조사, 하여야 한다. 추가지반조사 내용에는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물리탐
사, 현장 및 실내시험 등이 포함된다.
시추조사, 물리탐사, 현장 및 실내시험 등이 포함된다.
3.2.3 추가지반조사 결과가 설계도서와 상이한 경우에는 그 결과를 3.2.3 추가 지반조사 결과가 설계도서와 상이한 경우, 계약상대자는 그 결과
를 보고서로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주어가 생략되어 주어 삽입

보고서로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3 시공 중 조사 3.3 시공 중 조사

3.3.1 시공 중에는 설계당시 조사가 불충분했던 부분까지 상세히 조 3.3.1 시공 중에는 설계 당시 조사가 불충분했던 부분까지 상세히 조사를 실

사를 실시하고, 이를 설계조건과 비교․분석하여 공사에 반영 시하고, 이를 설계조건과 비교 · 분석하여 공사에 반영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3.2 시공 중에도 지질, 자연환경, 주변 환경변화 등의 조사를 상시 3.3.2 시공 중에도 지질, 자연환경, 주변 환경변화 등의 조사를 상시 실시하

실시하여 설계 조건과 대비함으로써 공사에 만전을 기하도록 여 설계 조건과 대비함으로써 공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3.3 굴착작업과 병행하여 지질상태를 조사하고 보강상태 등 필요사
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3.3.3 굴착작업과 병행하여 지질상태를 조사하고 보강상태 등 필요사항을 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밑줄삭제
록하여야 한다.

3.3.4 용수, 온도, 환기문제 등 제반사항에 대하여 정기적인 조사를 실


시하여야 한다.
3.3.4 용수, 온도, 환기문제 등의 제반사항에 대하여 정기적인 조사를 실시
하여야 한다.

3.3.5 계약상대자는 터널 시공 중에도 필요에 따라 감지공


(probehole), 막장수평시추, 물리탐사, 막장지질조사 등의 지반 3.3.5 계약상대자는 지반 또는 지질 기술자에 의한 막장 지질조사(face
mapping)를 항시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감지공
[수정] : 지반전문가에 의해 Face Mapping을 실시하여 보강규모에 대한 합리적

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시공 중 지반조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인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
(probehole), 선진수평시추, 물리탐사, 막장면 용수변화 등의 지반조 [자문] 막장 ⇒ 터널전단면 수정 요망
지반조사 결과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시공 중 지반조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지반조사
결과 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원안 적용 : 막장은 “갱도의 막다른 곳”이라는 순수 우리말임.

3.4 시공방법의 변경
3.4 시공방법의 변경 [수정] 해당내용의 위치 조정

3.4.1 시공 중 시공방법이 현장조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3.4.1 시공 중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시공방법이 현장조건에 부적합하

7 - 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즉시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즉시 안전시공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
다.
3.4.2 현장여건에 의하여 시공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시공방 [수정] 문장 분리, 위치 조정
법 변경계획서를 작성한 후 반드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
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터널현장에 암반 및 지반공학, 지질분야를 전공 3.4.3 계약상대자는 터널 현장에 암반 및 지반공학, 지질 분야를 전공한 터널 [수정] 현장상주 터널 기술자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하여 부실시공을 방지함이
한 터널전문가 1명 이상을 상주하도록 하여 터널공사를 전담하 전문가 1명 이상이 상주하도록 하여 터널공사를 전담하여 관리하도록 바람직

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상주 터널 전문기술자는 암반조사 및 하여야 한다. 현장상주 터널 기술자는 막장지질조사, 암반등급 분류, [수정] 용어 수정, 문장 수정

계측결과치를 정밀분석 검토하여 현장실정에 적합한 암반분류


지보형식 결정, 계측결과 검토, 각종 품질시험 관리 등을 수행하며, 공
사 완료 후에는 막장지질 기록부, 지보재 설치기록, 각종 품질시험 성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및 지보형식으로 변경 시공하여야 하며, 공사완료 후 막장지질 과서, 계측결과 보고서 등 시공 관련 자료 및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

기록부· 지보재 설치기록· 품질시험 성과서· 계측결과 등 시공 다.

관련 자료 및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4.2 시공방법 변경 시는 변경 계획서를 작성하여 반드시 감독자에
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7-2 터널측량 7-2 터널측량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시․종점 갱구부에 설치한 중심말뚝, 수준점 이 시방은 터널 시 · 종점 갱구부에 설치한 중심말뚝, 수준점에 대하여 상 [수정] 자구 수정
에 대하여 상호관계를 측량하고 확인하는 작업과 터널굴착이 진 호관계를 측량하고 확인하는 작업과 터널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공사시행

행됨에 따라 공사시행에 필요한 측량작업에 적용한다. 에 필요한 측량작업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측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 총칙편 공사계획 목차에 따라 수정함
량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시공계획서와 함께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여굴 및 내공단면 기록부 (1) 터널측량 계획서


(2) 여굴 및 내공단면 기록부
[수정] : 시공계획서외 추가사항을 명기함으로써 제출물의 한계를 명확히 규정
함, 터널측량계획서를 추가하여 측량내용 전체를 파악할 수 있음

7 - 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측량일반

3.1 측량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에 필요한 측량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 3.1.1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에 필요한 측량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에게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이 때 측량방법은 그 지역의 지형조건·


제출하여야 한다. 이때 측량방법은 그 지역의 지형조건 · 터널의 규모
· 시공방법 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며, 측량작업은 필
터널의 규모· 시공방법 등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요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하며, 측량작업은 필요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


야 한다.
3.1.2 측량작업은 터널 외부측량과 터널 내부측량으로 구분하며, 측 3.1.2 측량작업은 터널 외부측량과 터널 내부측량으로 구분하며, 측량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면 표 7-2-1과 같다.
량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내면 표 7-1과 같다.
표 7-1 터널공사 측량 표 7-2-1 터널공사 측량

구 분 시 기 목 적 내 용 성 과 구 분 시 기 목 적 내 용 성 과

터널 외부 설계완료 굴착을 위한 측량 삼각측량, 기준점 설치, 터널 외부 설계 완료 삼각측량,


기준점 설치,
기준점 후, 시공 기준점 설치 수준측량, 중심선방향 및 기준점 측 후,
굴착을 위한 측량
수준측량,
중심선 방향 및

측량 전 트래버스측량 수준방향말뚝의 설치 량 시공 전
기준점 설치
트래버스측량
수준방향말뚝의
설치
터널외부 터널입구 및 가설
터널 외부 기준점 계획에 필요한 평판측량, 1/100∼1/600 터널 외부
터널 외부 터널입구 및 가설
평판측량, 1/100~1/600
세부 측량 설치 후, 상세지형도 수준측량 지형도
기준점 설치 후, 계획에 필요한
세부측량 수준측량 지형도
시공 전 작성 시공 전 상세지형도 작성

터널 내 중심선 설
터널 내부 시공 중 터널내
굴착,
중심선설정 및
지보재, 거푸집 트래버스측량, 터널 내 기준점 설치 터널 내부
시공 중
정 및 굴착, 지보재, 트래버스측량, 터널 내 기준점

측량 설치상태 등의 조사 수준측량 측량 거푸집 설치상태 등


의 조사
수준측량 설치

작업터널 작업터널 작업터널 내에서의 트래버스측량, 작업 터널


작업터널
작업터널 내에서의 트래버스측량,
터널 내 기준점
에서의 완성 후 중심선 및 수준 도입 기준점측량 또는 터널 내 기준점 설치 에서의 측
완성 후
중심선 및 수준 도 기준점측량 또는
설치
측량 특수측량 방법 량 입 특수측량 방법

3.2 터널 외부측량
3.2 터널 외부측량

3.2.1 터널 외부에는 터널 시공의 기준점을 설치하여야 하며, 기준점 3.2.1 터널 외부에는 터널 시공의 기준점을 설치하여야 하며, 기준점 상호
간은 선형 확인에 필요한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호간은 선형 확인에 필요한 정밀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7 - 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2 기준점 설치 시에는 터널길이, 지형상황, 정밀도 등을 감안하여 3.2.2 기준점을 설치할 때에는 터널길이, 지형상황, 정밀도 등을 감안하 [수정] 한글로 순화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측량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여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측량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3.2.3 기준점들은 훼손· 이동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안전하 3.2.3 기준점들은 훼손, 이동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안전하게
보호하여야 한다.
게 보호하여야 한다.
3.2.4 터널입구 및 터널가설계획에 필요한 상세 지형측량을 실시하여
3.2.4 터널 입구 및 터널 가설계획에 필요한 상세 지형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며, 상세 지형측량의 축척은 1/100~1/600로 하여야 한다.
야 하며, 상세 지형측량의 축척은 1/100∼1/600로 하여야 한다.
3.3 터널 내부측량
3.3 터널 내부측량

3.3.1 터널 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은 터널 외부에 설치한 기준점으 3.3.1 터널 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은 터널 외부에 설치한 기준점으로부터
로부터 도입하며, 측량은 필요한 정밀도가 유지되도록 실시하 도입하며, 측량은 필요한 정밀도가 유지되도록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여야 한다. 또한 터널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은 시공 중에 움 터널 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은 시공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야 한다.
3.3.2 터널 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의 간격은 직선부에서 100m를 3.3.2 터널 내부의 기준점 및 수준점의 간격은 직선부에서 100 m를 표준으로

표준으로 하고, 곡선부에서는 터널의 곡선반경· 단면의 크기· 하고, 곡선부에서는 터널의 곡선반지름 · 단면의 크기 · 경사도 등을 고 [수정] 용어 수정
려하여 적절한 간격을 결정하되 하나의 측점을 전후로 하여 적어도 2점
경사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을 결정하되 하나의 측점을 전 이상 관측될 수 있는 측점간격을 취하여야 한다.

후로 하여 적어도 2점 이상 관측될 수 있는 측점간격을 취하여


야 한다.
3.3.3 측량작업 시에는 관측 및 측정에 지장이 없도록 조명, 환기, 작 3.3.3 측량작업을 할 때에는 조명, 환기, 작업공정 간의 마찰이 적은 시간대 [수정] : 문장 수정, [수정] 한글로 순화, 띄어쓰기 수정
업공정간의 마찰이 적은 시간대 책정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 지정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관측 및 측정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여야 한다. 한다.

3.3.4 터널이 설계상의 평면 및 종단선형에 따라서 정확하게 시공되


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 확인 측량을 실시하여야 3.3.4 터널이 설계상의 평면 및 종단선형에 따라서 정확하게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 확인 측량을 실시하여야 하며, 굴진 때
하며, 굴진 때마다 발생하는 편차의 누적을 방지하기 위해 매 마다 발생하는 편차의 누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 막장마다 선형을 확 [수정] 줄임말 수정, 문구 수정

막장마다 선형 확인을 하여야 한다. 인하여야 한다.

3.3.5 터널 내 측점의 검측은 굴진속도에 따라 적당한 빈도로 실시하


되 감독자의 입회하에 터널외부 기준점으로부터 실시하여야 한
3.3.5 터널 내 측점의 검측은 굴진속도에 따라 적당한 빈도로 실시하되 감독
자의 입회하에 터널 외부 기준점으로부터 실시하여야 한다. 검측횟수
다. 검측횟수는 터널의 규모, 굴진속도, 시공방법에 따라 적어 는 터널의 규모, 굴진속도, 시공방법에 따라 적어도 1개월에 1회 이상

도 1개월에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하며, 별도로 감독자의 검측 실시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검측지시가 있을 때에는 즉시 검측을 실시
하여야 한다.
지시가 있을 때에는 즉시 검측을 실시하여야 한다.

7 - 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6 내공단면 측정은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측정간격을 설정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지시가 없을 경우에는
3.3.6 내공단면 측정은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측정간
격을 설정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지시가 없을 경우에는 5 m 마다 내공
5m마다 내공단면을 측정하여야 한다. 내공단면은 광파기 등을 단면을 측정한다. 내공단면은 광파측량기 등을 이용하여 여굴량과 함 [수정] : 하여야 한다가 중복되어 문구수정

이용하여 여굴량과 함께 측정한 후 측정결과를 감독자에게 제 께 측정한 후, 측정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출하여야 한다.
7-3 암반의 분류 및 활용 7-3 암반의 분류 및 활용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굴착 및 지보 패턴 결정, 지보재 선정 등에 대 이 시방은 터널 굴착 및 지보 패턴 결정, 지보재 선정 등에 대한 터널 암반 [수정] 자구 수정

한 터널 암반의 분류 및 활용 작업에 적용한다. 의 분류 및 활용 작업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암반의 분류
3.1 암반의 분류

3.1.1 현재 국내의 암반 분류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암반 3.1.2 암반의 분류기준은 RMR 분류법, Q 분류법 및 유사 암반 조건의 시공 [수정] : 너무 포괄적인 표현은 시방서로서 적합하지 않으므로 실제 현장에서
분류는 외국 및 국내 자료를 충분히 검토하고, 지질 또는 지반 실적에 의하여 평가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분류기준에 대한 세부사항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법을 기술함

공학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합리적인 분류방법을 적용하여야 은 전문가의 의견을 참조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결정한다.

한다.
3.1.2 암반의 분류방법은 암질조건, 지하수상태, 절리 등을 고려하여 3.1.2 암반의 분류방법은 암질조건, 지하수상태, 절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
여야 한다.
결정하여야 한다. 3.1.3 암반의 분류기준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조사, 설계, 시공, 계측의 전 과
3.1.3 암반의 분류기준은 계획단계에서부터 조사, 설계, 시공, 계측의 정에서 일관성 및 객관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분류기준을 변경할 경우 [수정] : 설계시 분류기준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문구 수정, 통합

전 과정에서 일관성 및 객관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설계 시 에는 타당한 사유를 제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변경하여야 한
다.
[수정] 한글로 순화

7 - 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이용한 분류기준을 시공 시 특별한 이유 없이 변경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4 암반 분류기준을 결정할 경우에는 전문가의 의견을 고려 상세
한 기준을 제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7-4 터널굴착 7-4 터널굴착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내부의 굴착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터널 내부의 굴착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 총칙편 공사계획 목차에 따라 수정함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시공계획서와 함께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 시공계획서외 추가사항을 명기함으로써 제출물의 한계를 명확히 규정함
(1) 터널 막장지질 기록부 (1) 터널 막장(face mapping) 지질 기록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2) 전일(前日) 굴착작업 기록부 (2) 전일(前日) 굴착작업 기록부


(3) 발파굴착 시공계획서
(3) TBM(tunnel boring machine)터널 시공계획서(필요 시) (4) 선행굴착부 계측값 변화 기록부

(4) 쉴드(shield)터널 시공계획서(필요 시) (5) 기계굴착 시공계획서(필요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7 - 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1 터널 굴착 패턴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암반 분류기준에 의거하 3.1.1 터널 굴착패턴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암반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결정하

여 결정하고 필요 시 발파진동 및 소음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고, 필요할 때에 발파진동 및 소음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1.2 굴착 시에는 설계도서에 제시된 기준에 의해 매 막장마다 막장 3.1.2 굴착을 할 때는 설계도서에 제시된 기준에 의하여 매 막장마다 막장조
사 및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터널 막장 지질 기록부에 기록하여
[수정] 한글로 순화, 줄임말 수정

조사 및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터널 막장지질 기록부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기록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1.3 암질에 따라 표준단면 및 지보형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3.1.3 암질에 따라 표준단면 및 지보형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감독

에는 감독자의 검측을 받아야 한다. 자의 검측을 받아야 한다.

3.1.4 굴착방법은 원지반이 가지고 있는 지보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3.1.4 굴착방법은 원지반이 가지고 있는 지보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3.1.5 굴착공법은 지반조사를 통한 암반분류 및 원지반의 자립성에 3.1.5 굴착공법은 지반조사를 통한 암반분류 및 원지반의 자립성에 기초하여

기초하여 선정하며, 보조공법의 적용도 수용할 수 있도록 결정 선정하며, 보조공법의 적용도 수용할 수 있도록 결정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6 굴착공법에는 전단면 굴착· 분할 굴착이 있으며, 분할 굴착은 3.1.6 굴착공법에는 막장 굴착ㆍ분할 굴착이 있으며, 분할 굴착은 수평분할 [수정] : 굴착공법 구분과 전단면 굴착이 적용되는 범위를 규정함
굴착ㆍ연직분할 굴착 및 선진도갱 굴착으로 구분하며, 막장 굴착은 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수평분할 굴착· 연직분할 굴착 및 선진도갱 공법으로 구분한다 널 상ㆍ하반을 동시에 굴착하는 공법으로, 터널 단면적이 작거나 지반
[수정] 원문의 “충분한”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의 자립성과 지보능력이 적합한 경우에 적용한다.

3.1.7 수평분할 굴착은 통상 벤치의 길이 및 수에 따라 롱벤치· 쇼트 3.1.7 수평분할 굴착은 터널의 상반, 하반 또는 인버트로 분할하여 굴착하는 [수정] : 수평분할 굴착이 적용되는 범위를 규정함

벤치· 미니벤치· 다단벤치 등으로 구분하며, 벤치길이가 30m 공법으로 막장면의 자립시간이 적어 막장 굴착이 곤란한 경우에 적용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이상인 경우를 롱벤치, 30m 미만으로부터 터널직경 이상인 경


한다.

우를 쇼트벤치, 터널직경 미만인 경우를 미니벤치로 구분한다.


다단벤치는 벤치의 수가 3개 이상인 수평분할 굴착을 말하며,
벤치의 길이는 통상 터널직경 이하로 한다.
3.1.8 연직분할굴착은 시공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한 경우 임시 3.1.8 연직분할 굴착은 터널을 좌우로 양분 또는 삼분할하는 공법으로 터널 [수정] : 연직분할 굴착이 적용되는 범위를 규정함

지보재를 설치할 수 있다.


막장면의 안정을 증대시키고 지표면 침하량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적용
한다.

3.1.9 갱구부 굴착은 터널의 크기, 토피, 지반조건, 갱구부 비탈면 형성 3.1.9 굴착은 설계도서에 따라 시행하되 시험시공 등을 통하여 현장여건에 [수정] : 문장수정

조건, 발파진동 및 소음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시공이 될 수 있 적합하게 굴착공법, 굴진장 등을 변경하여 시행할 수 있으나 사전에
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는 방법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3.1.10 굴착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표준단면도에 준하여 시행하되 시 3.1.10 굴착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시공순서를 참고하되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작성된 시공계획서에 따라 진행하여야 하며, 굴착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수정] : 과도한 지압, 파쇄대, 용수 등의 이유로 인해 변경되지 않는 경우도 있
으므로 불필요한 문구 삭제
험시공 등을 통해 현장여건에 적합하게 굴착공법, 굴진장 등의 생긴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에게 보고하여 확인을 받아야 한다.

변경 시행필요 시 사전에 감독자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아야

7 - 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한다.
3.1.11 굴착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시공순서에 따라 진행하여야 하며,
과도한 지압· 파쇄대· 용수 등의 이유로 인해 굴착방법을 변
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에게 보고하여 확인
을 받아야 한다.
3.1.12 터널굴착작업 공종별로 작업시간(cycle-time) 계획을 수립하여 3.1.11 터널굴착작업 공종별로 작업시간 계획을 수립하여 합리적인 시공이 이
합리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굴착계획을 수립하여야 루어질 수 있도록 굴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다.
3.1.12 터널굴착 중 막장 붕괴 등이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감독자에게 보고 [신설] : 굴착 중 사고가 날 경우 임시조치를 취할 수 있는 규정 신설
하고 확인한 후 임시보강을 통하여 붕괴 규모가 증대되지 않도록 적절
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2 굴착기록관리 3.2 굴착기록관리

3.2.1 계약상대자는 굴착작업의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하며, 감 3.2.1 계약상대자는 굴착작업의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하며, 감독자에게

독자에게 전일 굴착작업 기록의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전일 굴착작업 기록의 사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3.2.2 계약상대자는 터널굴착 작업일지를 효율적으로 기록 관리하기 3.2.2 계약상대자는 터널굴착 작업일지를 효율적으로 기록 관리하기 위하여 필

위하여 필요에 따라 사진 촬영 또는 비디오 촬영을 하여 기록 요에 따라 사진촬영 또는 비디오 촬영을 하여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관리하여야 한다.
3.3 터널 막장 관찰 및 조사 [신설] : 막장관찰 및 조사가 지보패턴 및 보강방법 결정에 기초자료가 되는 중
3.3.1 막장 관찰을 할 때에는 다음 사항들을 조사하고 암반분류를 실시하여 요한 항목으로 규정 신설, [수정] 한글로 순화
적용, 지보패턴의 적정성 및 변경 필요성을 확인하여야 하며, 막장 지질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기록부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 막장 지반상태 : 암종, 풍화정도, 고결정도, 강도, 암반등급(RMR 혹
은 Q-system), 지질 분포, RQD 등
(2) 지하수 상태 : 유출 위치 및 형태, 유실 유무, 유출량, 지하수가 지반
의 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 등
(3) 불연속면(단층, 습곡, 절리, 층리 등)의 상태 : 불연속면의 간격, 길이,
틈새, 거칠기, 풍화상태, 충전물의 유무 및 성상, 방향성(주향 및 경
사), 터널 굴착방향과의 관계 등
(4) 막장의 붕괴 여부, 붕괴 가능성 및 예상 규모
(5) 기타 필요한 사항
3.3.2 막장 관찰자는 지반공학을 전공한 자 또는 동등 이상의 자격이나 경험
을 구비한 자로서 막장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터널 지질도를 작성할
수 있는 자이어야 한다.
3.3.3 막장 조사 결과 실제 지반상태가 설계할 때의 적용조건과 상이하여 설
계보완이 필요한 경우에는 안정성 검토에 필요한 추가 지반조사를 실 [수정] 한글로 순화
시하여야 하며, 터널 막장 전방탐사(tunnel seismic profiling)를 실

7 - 1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시할 경우에는 다음의 내용을 따른다.
(1) 터널 막장 전방탐사는 미굴착 막장 전방의 지반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실시한다.
(2) 계약상대자는 탐사실시 전 기존자료를 기초로 지질구조(지층의 주향,
경사, 단층파쇄대, 지하수, 암종의 변화)의 개요를 파악한 후 측선을
설정하고, 측정방식과 송신점 및 수진점의 간격을 결정하여야 한다.
(3) 측선은 터널축을 따라 가능한 한 기복이 적도록 하여, 일직선상에 설
정하며, 측선위치는 탐사목적, 지질구조, 탐사대상심도, 갱내설비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 터널 막장 전방탐사는 터널 시공 중에 이루어지므로, 탐사결과의 해
석 및 평가는 사전조사, 사전설계 및 시공 중의 관찰, 계측 및 시공자
료 등을 반영하여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계약상대자는 터널 막장 전방탐사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
출하여야 하며, 탐사위치 및 측선배치도, 측정자료 및 전산처리결과,
막장 전방 단층파쇄대의 탐사해석결과(막장과의 이격거리, 터널과의
교차각도, 방향 등)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3.3.4 지보패턴을 결정할 때 막장 조사는 육안 확인 가능 부분에 대한 조사 [수정] 한글로 순화
이므로 막장 상부지질에 대해서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전단면 ⇒ 막장
다.

3.3 기계굴착 3.4 기계굴착

3.3.1 기계굴착은 굴착수단을 인력이나 발파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로 3.4.1 기계굴착은 굴착수단을 인력이나 발파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로 굴착하

굴착하는 방법이며, 계약상대자는 지반의 이완을 최소화하고 는 방법이며, 계약상대자는 지반의 이완을 최소화하고 막장의 안정을
유지하며, 여굴이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야 한다.
막장의 안정을 유지하며, 여굴이 적게 발생하도록 하여야 한다.
3.3.2 굴착기계는 지반조건, 주위환경, 터널단면의 크기 및 형상, 터
3.4.2 굴착기계는 지반조건, 주위환경, 터널단면의 크기 및 형상, 터널연장,
굴착공법, 버력처리 방법,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널연장, 굴착공법, 버력처리 방법,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
하여야 한다.
3.3.3 쇼벨, 브레이커 등의 커터붐 기계굴착은 절리가 심하게 발달한 3.4.3 쇼벨, 브레이커 등의 커터붐 기계굴착은 절리가 심하게 발달한 암반이

암반이나 토사지반에 적용한다.


나 토사지반에 적용한다.

3.3.4 붐 기계굴착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굴착패턴을 준수하고, 기계 3.4.4 붐 기계굴착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굴착패턴을 준수하고, 기계운전에
의하여 지반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운전에 의해 지반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5 TBM공법은 암반강도, 지질구조의 발달상태 등을 검토하여 적 3.4.5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은 암반강도, 지질구조의 발달상태 [수정] 영문표기 수정
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TBM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등을 검토하여 Open TBM 또는 Shield TBM공법의 적용여부를 결정

지반에 적합한 커터의 종류· 커터 헤드의 회전수· 추력 등을 하여야 한다. TBM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지반에 적합한 커터
의 종류 · 커터 헤드의 회전수 · 추력 등을 정하고, 굴착 효율의 향상과
[수정] 문구 수정

정하고, 굴착 효율의 향상과 사행굴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운전 사행굴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운전관리를 하여야 한다.

관리를 하여야 한다.

7 - 1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6 계약상대자는 터널굴착을 위해 TBM을 사용하는 경우 시공공 3.4.6 계약상대자가 터널굴착을 위하여 TBM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정] 줄임말 수정

정, 시공설비, 선형관리, 시공 중 조사, 작업장 배치, 버력처리,


시공공정, 시공설비, 선형관리, 시공 중 조사, 작업장 배치, 버력처리, 운
전 관리, 지보재 시공, 품질관리, 환경 및 안전관리, 계측관리 등을 포
운전관리, 지보재 시공, 품질관리, 환경 및 안전관리, 계측관리 함하는 TBM터널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공사 개시 전에 감독자에게

등을 포함하는 TBM터널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공사 개시 전 제출하여야 한다.

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3.7 계약상대자가 굴착공법으로 쉴드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 3.4.7 계약상대자가 굴착공법으로 쉴드(shield)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 [수정] 영문표기 추가
형, 지질조건, 단면형상, 경제성, 시공공정, 세그먼트(segment) 형, 지질조건, 단면형상, 경제성, 시공공정, 세그먼트(segment)의 품질

의 품질관리 등을 검토한 쉴드터널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관리 등을 검토한 쉴드 터널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


다.
제출하여야 한다.
3.5 미진동 굴착 [수정] : 미진동 굴착에 대한 적용근거를 제시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수정함,
3.4 미진동 굴착

3.4.1 주변에 구조물 등이 존재하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여야 할 3.5.1 굴착을 진행할 터널 주변에 보안물건이 존재하여 발파 등을 이용한 정상
적인 굴착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진동과 소음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미진동 굴착공법을 활용하여 인근 구조물에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현장여건과 주변상황을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설계단계에서 미진동 굴착구 고려하여 미진동 굴착구간 및 공법 등을 제시하여야 한다.

간 및 공법은 현장여건 및 주변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


여야 하며 설계도서에 표기한다.
3.4.2 계약상대자는 굴착 전 장비 사양 등을 포함한 시공계획서를 작 3.5.2 계약상대자가 미진동 굴착방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굴착작업 전

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장비 사양 등을 포함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
아야 한다.

3.5 발파굴착

3.5.1 일반사항 및 발파계획


3.6 발파굴착
3.6.1 일반사항 및 발파계획
(1) 계약상대자는 굴착에 앞서 암질과 단면형상에 적합한 천공길 (1) 계약상대자는 굴착에 앞서 암질과 단면형상에 적합한 천공길이, 천공

이· 천공위치· 폭약의 종류· 장약량· 뇌관형식· 발파순서 등의 위치, 폭약의 종류, 장약량, 뇌관종류, 발파순서 등의 발파계획을 세워 [수정] 뇌관형식 ⇒ 뇌관종류 : 터널표준시방서 개정(2014) 반영

발파계획을 세워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시험발파를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시험발파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파계획을 조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추가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파계획을 조정하여 시행하여야 한
다.
(2) 발파작업에 있어서는 지반, 암반내 절리의 발달상황 등에 따라 (2) 발파작업에 있어서는 지질, 암반 내 절리의 발달상황 등에 따라 장약

장약량을 조절하여 지반의 이완영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량을 조절하여 지반의 이완영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평활한 굴착

평활한 굴착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발파에 의해 발생된 버력의 크기가 버력 활용계 (3) 발파에 의하여 발생된 버력의 크기가 버력 활용계획, 적재방법 및 운 [수정] 줄임말 수정
반장비에 적합하도록 발파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발파소음 및 진동

7 - 1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획· 적재방법 및 운반장비에 적합하도록 발파계획을 수립하여 등이 인접한 시설물 · 동물 · 어류 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야 하며, 발파소음 및 진동 등이 인접한 시설물· 동물· 어류 록 발파 영향권 내를 조사하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삭제, 의미전달 가능, 문구 수정

등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발파 영향권내 조사를


충분히 하여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4) 발파작업 시에는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및 동법 시행 (4) 발파작업을 할 때는 총포 · 도검 · 화약류 등 단속법 및 동법 시행령, 근 [수정] 한글로 순화
로안전관리규정, 기타 관계법규를 준수하여야 한다.
령, 근로안전관리규정, 기타 관계법규를 준수하여야 한다.
(5) 발파에 사용되는 뇌관은 현장여건,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등 [삭제]
을 충분히 검토하여 선정하도록 한다.
3.5.2 폭약 및 뇌관의 취급, 관리 3.6.2 폭약 및 뇌관의 취급, 관리
(1) 폭약 및 뇌관의 수령과 운반은 반드시 관련 자격을 보유한 기 (1) 폭약 및 뇌관의 수령과 운반은 반드시 관련 자격을 보유한 기술자가

술자가 하여야 하며, 1일 사용량 이상을 초과하여 수령하여서 하여야 하며, 1일 사용량 이상을 초과하여 수령하여서는 안 된다.

는 안 된다.
(2) 폭약과 뇌관은 각각 별도로 보관하고, 잔여량은 반드시 반납하 (2) 폭약과 뇌관은 각각 별도로 보관하고, 잔여량은 반드시 반납하여야 한

여야 한다. 다.

(3) 화약류 취급소(화약고 포함)는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3) 화약류 취급소(화약고 포함)는 총포 · 도검 · 화약류 등 단속법 시행령
시행령에 제시되어 있는 화약류 취급소 설치기준에 따라 설치 에 제시되어 있는 화약류 취급소 설치기준에 따라 설치계획을 수립하

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관리책임자를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관리책임자를 선임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선임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4) 발파장소에서의 화약류 운반은 관련규정에 제시되어 있는 소 (4) 발파장소에서의 화약류 운반은 관련규정에 제시되어 있는 소정의 용기 [수정] : 화약류운반은 화약기술자가 지명한 작업원이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규

정의 용기 및 운송방법에 따라 화약기술자가 지명한 작업원이 및 운송방법에 준하여 지명된 작업원만이 수행하여야 한다. 정에 따라 지명된 작업원만이 수행할 수 있도록 일부 수정함

수행하여야 한다.
3.5.3 천 공 3.6.3 천 공
(1) 천공은 점보드릴 등을 이용한 기계천공으로 하지만, 현장여건 (1) 천공은 점보드릴 등을 이용한 기계천공으로 하여야 하나 현장여건 및
및 시공성,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인력천공도 가능하다. 계약 시공성 ·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인력천공도 가능하며, 천공방법에 관한

상대자는 천공방법에 관한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 자료는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천공에 앞서 막장 점검, 뜬 돌 제거, 잔류폭약의 (2) 계약상대자는 천공에 앞서 막장 점검, 뜬 돌 제거, 잔류폭약의 유무 확 [자문] 주체 추가
유무 확인 및 회수 등의 조치를 취하여 천공 중 막장에서의 인 및 회수 등의 조치를 취하여 천공 중 막장에서의 붕락, 잔류폭약에

붕락, 잔류폭약에 의한 폭발사고 등을 방지하여야 한다. 의한 폭발사고 등을 방지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발파계획에 의해 정해진 천공배치에 따라 위치· (3) 천공은 발파계획에 의하여 정해진 천공배치에 따라 위치 · 방향 · 깊이 [수정] 줄임말 수정
방향· 깊이가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여야 하며, 전회 발파 후 가 정확하게 시공되도록 하여야 하며, 장약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에 남은 구멍을 다시 천공하여서는 안 된다. 수 없는 전회 발파 후에 남은 구멍을 다시 천공해서는 안 된다.

7 - 1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4) 천공에는 굴착면적, 굴착폭 및 굴착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천 (4) 천공은 굴착면적, 굴착폭 및 굴착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 [자문] 자구 수정 : 천공에는 ⇒ 천공은

공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5) 천공 중에는 용수· 가스의 분출· 지반 변화 등에 주의하여야 (5) 천공 중에는 용수, 가스의 분출, 지질 변화 등에 주의하여야 하며. 이 [수정] 한글로 순화
하며, 이상 발생 시 즉시 천공을 중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 상이 발생되었을 때는 즉시 천공을 중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여야 한다. 한다.


(6) 외곽공은 필요단면을 확보하고 여굴이 최소가 되도록 천공하여야 한
(6) 외곽공은 필요단면을 확보하고 여굴이 최소가 되도록 천공하 다.

여야 한다. 3.6.4 장약 및 뇌관 연결
3.5.4 장약 및 뇌관 연결
(1) 계약상대자는 발파 패턴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장약을 안전 (1) 장약은 발파패턴도에 정하여진 순서에 따라 안전하게 시행하여야 한
다.
[수정] : 장약에 대한 일반사항은 동일하나 전기뇌관 사용시 안전수칙 및 결선
부의 내용을 일부 수정, 비전기 뇌관 및 전자뇌관에 대한 내용 언급
하게 시행하여야 한다.
(2) 장약은 일일 발파계획에 의한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실시하여 (2) 장약은 일일 발파계획에 의한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실시하여야 한다.

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장약 전에 천공상태를 점검하여야 하며, 천공 중 (3) 장약 전에 천공상태를 점검하여야 하며, 천공 중에 발생한 뜬 돌의 유 [수정] 한글로 순화, 용어 수정 : 뜬 돌 ⇒ 불안정한 돌

에 발생한 뜬돌의 유무를 점검하고, 필요 시 뜬 돌을 제거한 무를 점검하고, 필요할 때에는 뜬 돌을 제거한 후 장약을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후 장약을 실시하여야 한다.


(4) 화약류의 운반은 수불순서· 운반방법 등을 관련법규에 따라 (4) 화약류를 운반할 때는 수불순서 및 운반방법 등을 관련법규에 따라 정하 [자문] 문구 수정 : 화약류의 운반에 있어서는 ⇒ 화약류를 운반할 때는
정하고, 운반량은 천공수와 장약량을 조사하여 과부족이 없도 고, 운반양은 천공배치와 장약량을 조사하여 과부족이 없도록 하여야 한

록 운반하여야 한다. 다.

(5) 장약 작업 시에는 반드시 누설전류탐지기, 도선연결시험기, 다 (5) 장약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누설전류탐지기, 도선연결시험기, 다짐 [수정] 각종 기구류로 표현하면 장약작업에 관계없는 기구를 사용 할 수도 있으

짐봉 등의 기구류를 사용하여 점검하고 천공순서에 따라 장약 봉 등의 기구류를 사용하여 점검하고, 순서에 따라 장약을 실시하여야
한다.
므로 정확한 표현이 바람직함, [수정] 한글로 순화

을 실시하여야 한다.
(6) 계약상대자는 발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장약공을 채움재로 (6) 발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장약공은 소정의 채움재로 전색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삭제, 의미전달 가능

충분히 전색하여야 한다.


(7) 유출된 지하수가 잔류하는 막장의 하단 장약공은 수중으로 전 (7) 유출된 지하수가 잔류하는 막장의 하단 장약공은 수중으로 전달되는 충

달되는 충격압의 영향으로 불발될 우려가 있으므로 인접 장약 격압의 영향으로 불발될 우려가 있으므로 인접 장약공과 동일한 단
수의 뇌관을 사용하도록 한다.
공과 동일한 단수의 뇌관을 사용하도록 한다.
(8) 장약 시에는 작업에 불필요한 모든 전동기 동력선을 전원으로 (8) 뇌관은 비전기뇌관을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전기식 뇌관 사용할 경우 [수정] 터널공사 안전관리대책(국토해양부, 2011)에서 전기식 뇌관 사용을 원칙

부터 단절하고, 필요한 전력선은 누전 차단장치를 설치하여야 에는 안전수칙을 사전에 수립하여 터널 내 발파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적으로 금지하도록 하고 있음.

한다.
전기식 뇌관 사용 허용 내용은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9) 전기식 뇌관은 반드시 누설전류 탐지기, 도선연결 시험기, 다짐봉 등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소정의 기구류를 사용하여 점검하고 순서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9) 전기뇌관의 결선부는 비닐테이프, 방수캡 등을 사용하여 단락


한다.
(10) 전기식 뇌관 결선부는 절연재질로 된 비닐테이프, 방수캡 등을 사용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하여 밀폐 조치하여 전류의 누설 또는 유입으로 인한 불의의 폭발이

7 - 1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또는 누전이 되지 않도록 사전에 조치하여야 한다. 나 불발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0) 전기뇌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주전류, 누설전류, 정전기의 (10) 전기식 뇌관 사용할 때에는 미주(迷走)전류, 누설전류, 정전기의 유무
및 크기를 측정하여 안전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유무 및 크기 등을 측정하여 안전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11) 장약을 할 때에는 작업에 불필요한 모든 전동기 동력선을 전원으로부터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단절하고, 필요한 전력선에 대해서는 누전 차단장치를 설치하여야 한
다.
(12) 전기식 뇌관을 사용할 때 발파모선은 완전 절연이 가능한 것을 사용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하여야 하고 전기선로, 기타 대전의 우려가 있는 곳으로부터 완전히
격리시켜야 한다.
(13) 점화기에 접하는 발파모선의 단말은 점화할 때 이외에는 점화기로부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터 분리시켜야 한다.

(11) 비전기식 뇌관은 튜브로 된 모선을 이용하여 전용발파기로 (14) 뇌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에 따른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발파하여야 하나 튜브각선의 손실이 많으므로 전기 발파의 모


(15) 발파모선은 완전 절연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전기선로 · [수정] 터널공사표준시방서(2014) 내용 반영
기타 대전의 우려가 있는 곳으로부터 격리시켜야 한다. 점화기에 접
선을 이용 모선 끝단에 전기뇌관 1개를 연결하여 이 뇌관을 하는 발파모선의 단말은 점화할 때 이외에는 점화기로부터 분리시켜

마지막 번치 연결기에 꽂거나 튜브각선에 연결하여 전기발파 야 한다.

기를 이용하여 발파할 수 있다.

그림 7-1 뇌관 결선 방법

3.5.5 발 파 3.6.5 발 파
(1) 발파는 발파책임자의 지휘 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발파책임자 (1) 발파는 발파책임자의 통제 하에 시행하여야 한다. 발파책임자는 다음

는 다음 사항을 수행하여야 한다. 사항을 수행하여야 한다.

① 위험구역, 대피장소 및 경로 지정 ① 위험구역, 대피장소 및 경로 지정


② 점화장소 지정 및 발파예고, 점화, 해제 등의 각종 신호 및 경보 결정

7 - 1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② 점화장소 지정 및 발파예고, 점화, 해제 등의 각종 신호 및 ③ 점화자 지정

경보 결정 ④ 위험구역 표지 및 감시원 배치
⑤ 결선상태 확인
③ 점화자 지정
④ 위험구역 표지 및 감시원 배치
⑤ 결선상태 확인
(2) 계약상대자는 발파를 시행하기 전에 이미 설치된 지보재 및 (2) 계약상대자는 발파를 시행하기 전에 이미 설치된 지보재 및 계측기에

계측기에 대한 방호를 철저히 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여 대한 방호를 철저히 하여 비산석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야 한다.
(3) 발파책임자는 작업원의 대피상황을 최종적으로 점검하여야 하며, 횡갱
(3) 발파책임자는 작업원의 대피상황을 최종적으로 점검하여야 하 등이 있는 경우에는 타 경로로 작업원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수정] 문장 수정

며, 횡갱 등이 있는 경우에는 타 경로로 작업원이 접근하지 유도하는 등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않도록 각 방향의 안전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4)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발파 후에는 필요한 시간(비전기뇌관을 사용한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4)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막장에 접근 경우 15분 이상, 전자뇌관을 사용한 경우 5분 이상)이 경과한 다음에

토록 하여야 하며, 불발 장약공 및 잔류폭약의 유무를 점검하


막장에 접근하여야 하며, 불발 장약공 및 잔류폭약의 유무를 점검하고
잔류폭약의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고 잔류폭약의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5) 발파를 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자동기록이 가능한 발파진동 측정기를
(5) 계약상대자는 발파 시에는 필요에 따라 자동기록이 가능한 발 설치하여 진동을 측정하여야 하며, 측정결과가 진동 허용기준 이내에 [수정] 한글로 순화

파진동 측정기를 설치하여 진동을 측정하여야 하며, 측정결과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가 진동허용 기준값 이내에 있는 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6) 발파결과가 애초 계획과 상이할 경우에는 그 원인을 규명하여 후속 발 [수정] 당초(어원 : 일본어) 한글(애초)로 순화
(6) 발파결과가 당초 계획과 상이할 경우에는 그 원인을 규명하여 파작업에 반영하여야 한다.

후속 발파작업에 반영하여야 한다.


(7) 터널의 양방향 굴착 시 관통이 가까워질 때는 상호 긴밀한 연
(7) 양방향에서 터널을 굴착할 경우 관통이 가까워졌을 때에는 상호 긴밀
한 연락 하에 발파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락 하에 발파작업을 수행하고 양방향에서 동시에 발파가 이루
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 발파할 때에는 모든 작업원 및 주변 주민에게 발파를 알리는 사이렌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8) 발파 시 모든 작업원 및 주변 주민에게 발파를 알리는 사이렌 경보를 하여야 하며, 필요할 때 주민대피 · 교통통제 · 가축대피 등을 실

경보를 하여야 하며, 필요 시 주민대피· 교통통제· 가축대피 시하여야 한다.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9) 발파가 끝난 직후에는 신속한 환기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추가]

3.6.6 낙반 및 여굴 처리
3.5.6 낙반 및 여굴 처리 (1) 계약상대자는 굴착할 때 여굴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 계약상대자는 여굴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굴착지역의 지반상태가 과다 여굴 및 사고의 원 (2) 굴착지역의 지질상태가 과다 여굴 및 사고의 원인이 될 큰 낙반이 예
상되는 경우 계약상대자는 이에 대한 안전대책과 시공계획서를 감독자
인이 될 큰 낙반이 예상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안전대책과 시공 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후 굴착을 하여야 한다.

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후 굴착을 하여야

7 - 1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한다.
(3) 과다 여굴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굴 발생부분을 상세히 기록하 (3) 과다 여굴이 발생한 경우에는 여굴 발생부분을 상세히 기록하여 이를

여 이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여굴의 발생상태와 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여굴의 발생상태와 원인을 조사하여 시
공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특히 불연속면, 단층파쇄대 등에 유의하여 [수정] 용어 수정
인을 조사하여 시공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특히 절리, 단층 발파공의 위치, 방향 등을 조절함으로써 여굴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여

파쇄대 등에 유의하여 발파공의 위치, 방향 등을 조절함으로 야 한다.

써 여굴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여야 한다.


(4) 절리가 발달한 암반에서의 여굴부분은 적절히 조치하여 진행 (4) 불연속면이 발달한 암반에서의 여굴부분은 적절히 조치하여 여굴이 더

성 여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여굴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숏크리트와 록볼트로 보강하여 (5) 여굴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여굴부를 모르타르 및 경량콘크리트 등 [수정] 문장 수정

응력 집중에 따른 진행성 여굴 또는 불안정한 상태의 발생을 으로 채우고, 필요한 경우 록볼트 · 강재 등으로 보강하여 응력집중에

방지한 후 여굴부분은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치밀하게 채


따른 진행성 여굴 또는 불안정한 상태의 발생을 방지한 후 숏크리트로
마감 처리한다.
워야 한다.
3.6.7 뜬 돌 처리 [수정] 용어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3.5.7 뜬돌 처리
(1) 이완된 암괴 및 암편 등의 뜬 돌은 상해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1) 이완된 암괴 및 암편 등의 뜬 돌은 상해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막장면, 측
벽부, 천장부 등을 세밀하게 점검하여 뜬 돌을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수정] 용어 수정
막장면, 측벽, 아치부 등을 세밀하게 점검하여 뜬 돌을 제거하
여야 한다. (2) 분할발파할 때 뜬 돌의 처리는 발파부위 뿐만 아니라 아직 지보재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2) 분할발파 시의 뜬 돌 처리는 발파부위 뿐만 아니라 아직 지보 시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해서도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용어수정
재가 시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해서도 실시하여야 한다. 3.6.8 발파영향 규제
3.5.8 발파영향 규제
(1) 발파는 기존 구조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시행하여야 하며, (1) 발파는 기존 구조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시행하여야 하며, 진동속

진동속도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가 허용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발파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발파진동 수준을 측정 [수정] 용어 통일 기준치 → 기준값
(2) 굴착작업을 시작할 때는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발파진동 수준 하여야 하며, 측정결과가 허용 진동수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발파패턴 및 [수정] : 굴착작업은 비발파인 경우를 포함하므로 발파작업으로 수정하고, 갱구

을 측정하여야 하며, 측정결과가 허용 진동수준을 초과할 경 발파방법을 조절하여 진동수준을 허용기준값 이내까지 감소시켜야 한
다.
부구간에는 일부 내용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 - 시작 전에 ⇒시작하기 전에
우에는 발파패턴 및 발파방법을 조절하여 진동수준을 허용기
준값 이내까지 감소시켜야 한다.
(3) 굴착 진행 중 발파진동값이 허용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계약상
대자는 저폭속의 폭약 사용, 다단발파의 적용, 장약량의 제한,
심발발파 방법의 조정, 발파방식의 변경 및 진동 전파방지 방
법 등을 활용하여 진동값이 허용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
여야 한다.

7 - 1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4) 가축사육장, 양식장, 정밀 기계공장 등에 대한 인접발파의 경 (3) 가축사육장, 양식장, 정밀 기계공장 등에 대한 인접 발파의 경우에는

우에는 해당 전문가의 자문이나 설계기준, 적용 사례 등을 고 해당 전문가의 자문이나 설계기준, 적용 사례 등을 고려한 발파진동 허


용기준값를 선정하여 허용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려한 발파진동 허용기준치를 선정하여 허용기준치 이내가 되 갱구부 구간에서 발파소음이 허용기준값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갱구부 구간에서 발파소음이 허 에는 갱문 방음시설 등의 저감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용기준치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갱문 방음시설을


적용하여 저감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4) 발파진동 측정기는 발파진동의 주 주파수 범위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 [신설] : 발파진동 측정기와 발파영향 측정빈도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발파영
여야 하며, 정밀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파수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 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명문화
간이력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5) 발파영향 측정빈도는 다음의 기준을 적용하되, 현장의 작업여건에 따
라 감독자가 확인하여 조정할 수 있다.
① 시험발파 및 발파패턴을 변경할 때에는 발파영향이 관리기준 이하가 [수정] 한글로 순화
될 때까지 매 발파마다 측정한다.
② 일상적 발파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도 주 1회 정도 측정을 실시하여
진동값을 반복적으로 기록·점검하여야 한다.
③ 보호대상 시설물에 대해서는 발파진동 영향권을 통과할 때까지 매 발
파마다 진동수준을 측정하여야 한다.
(6) 발파지점 주변 거주민의 생활공해 방지를 위한 기준은 환경부 제정 진
동과 소음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7) 굴착 진행 중 발파영향에 의한 진동수준이 허용기준을 초과할 경우,
계약상대자는 진동 및 소음저감 방안을 활용하여 발파영향이 허용기준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7-5 버력처리 및 운반 7-5 버력처리 및 운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굴착에 따라 버력을 지정 장소로 운반하거나 운 이 시방은 터널굴착에 따라 처리되는 버력의 적재, 운반, 하차 및 이와 관 [수정] : 버력처리 및 운반과 직접 관계되지 않는 내용을 삭제 또는 수정함, [수

반로의 유지관리 또는 지정 장소의 고르기, 정리, 준비배수를 하 련된 운반로, 지정장소의 고르기, 정리 등의 공사에 적용한다. 정] 자구 수정

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7 - 1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버력처리 계획은 지반조건, 주위환경, 터널 단면의 크기, 터널 3.1.1 버력처리 계획은 지반조건, 주위환경, 굴착단면적의 크기, 터널연장,
경사, 굴착공법, 굴착방법, 버력의 크기, 공사기간, 사용장비 등을 고려
[수정] : 터널 단면은 내공단면이 포함되므로 일부 내용 수정

연장, 경사, 굴착 공법, 굴착방식, 버력의 크기, 사용장비 및 조 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건 등을 고려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3.1.2 버력을 적재할 때에는 안전에 유의하고, 기 설치된 지보재나 가설설비
3.1.2 버력을 적재할 때에는 안전에 유의하고, 기 설치된 지보재나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가설설비 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3 버력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암종으로 판명되어 환경기준을 초 [신설] : 최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암종이 종종 발생되므로 내용 신설
과한 경우에는 중화처리 또는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여야
한다.

3.2 버력 처리장비 3.2 버력 처리장비


버력처리를 위한 장비조합은 굴착단면의 크기, 1회 굴진당 버력 발생량 및
3.2.1 버력처리 장비조합에 있어서는 터널단면의 크기 및 각 장비의 각 장비의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되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다.
3.3 버력 적재작업
3.3 버력 적재작업
3.3.1 버력 적재 중에는 위험구역을 정하여 해당 작업원 이외 출입을 금지하
3.3.1 버력 상차 중에는 위험구역을 정하여 해당 작업원 이외 출입을 고, 필요한 조명과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금지하고 충분한 조명과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3.2 운반 중에 버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적재함에는 덮개를 씌우고 무리한 적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3.3.2 버력 적재작업에 있어서 운반 중 버력이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재를 하지 않아야 한다. 단, 터널 내에 버력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덮개 [수정] : 덮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구간 명기

덮개를 씌우고 무리한 적재를 하지 않아야 한다. 를 씌우지 않을 수 있다.

3.3.3 버력적재 작업은 반드시 발파 후 뜬 돌 정리, 불발 및 잔류화약 제거, [신설] : 버력 적재 작업시 안전사항 신설
환기 등 안전하게 적재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조건을 점검한 후 작업 [수정] 용어 수정 : 부석(원문) ⇒ 불안정한 돌

7 - 1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을 수행하여야 한다.

3.4 노면상태 및 운반차량


3.4 노면상태 및 운반차량

3.4.1 갱내 운반을 레일방식에 의하는 경우 궤도는 운반차량의 중량 3.4.1 터널 내 버력운반을 레일방식으로 시행하는 경우 궤도는 운반차량의 [수정] : 레일방식과 타이어방식을 구분하되 문구를 적절하게 수정
에 적합한 안전구조로 탈선 등의 장애가 생기지 않도록 궤도의 중량에 적합한 안전구조를 가져야 하며, 탈선 등의 장애가 생기지 않

부설· 보수를 하여야하며, 타이어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는 항상 도록 궤도를 부설하고 보수를 하여야 한다. 타이어를 가진 차량을 이

양호한 노면이 유지되도록 배수 등에 주의하여 노면을 보수하


용하여 버력운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항상 양호한 노면이 유지되도록
배수 등에 주의하여 노면을 보수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4.2 버력 운반차량은 소정의 검사· 점검을 실시하고, 항상 정상적인
3.4.2 버력 운반차량은 소정의 검사 · 점검을 실시하고, 항상 정상적인 기능을
갖도록 정비하여야 한다.
기능을 갖도록 정비하여야 한다. 3.4.3 버력 운반차량에 의한 배기가스에 유의하여 시공 중 환기대책을 강구하
3.4.3 버력 운반차량에 의한 배기가스에 주의하고 이를 고려한 시공 여야 한다.

중 환기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4.4 터널 분할굴착을 할 때에도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굴착단면 크기를 고 [수정] : 굴착방식에 따라 장비를 선정할 수 있도록 문구 수정

3.4.4 운반 차량의 크기는 터널 내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야 한 려하여 장비를 선정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다.
3.5 운행관리
3.5 운행관리
3.5.1 버력 운반작업에 필요한 사항은 운행관리규정으로 정하고, 이를 통하 [수정] 줄임말 수정

3.5.1 버력 운반작업에 필요한 사항은 운행관리규정으로 정하고, 이 여 차량운행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를 통해 차량운행의 안전을 확보하여야 한다.


3.5.2 계약상대자는 운전수· 유도원· 기타 관계자에게 안전운행에 관 3.5.2 계약상대자는 운전사· 유도원· 기타 관계자에게 안전운행에 관한 안전교

한 교육을 실시하고, 운행관리규정을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육을 실시하고, 운행관리규정을 준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7-6 지 보 공 7-6 지 보 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지보재로 사용되는 강지보재, 록볼트, 숏크리트 이 시방은 터널 지보재로 사용되는 강지보재 · 록볼트 · 숏크리트의 시공 및 [수정] : 천단은 최상부 지점을 의미하므로 문구수정

의 시공 및 천단 또는 막장안정을 위한 보조공법 등의 공사에 적 천장부, 막장 등의 안정을 위한 보조공법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용한다.

7 - 2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B 1010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볼트 ․ 육각너트 ․ 평와셔의 KS B 1010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볼트 · 6각너트 · 평와셔의 세트 [수정] : 1.2.1 뿐이므로 항목 삭제

세트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D 3504, KSF 2566, 2577가 필요하여 추가함.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KS
D
D
3504
3515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시험 방법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단순보의 3등분점 하 KS F 2436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 시험방법

중법) KS
KS
F
F
2560
2566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인성 시험방법
KS F 2422 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어 및 보의 강도시험 방법 KS F 2577 숏크리트용 재료

KS F 2436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 시험방법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강지보재 제품사양 및 시험성과
(1) 강지보재 제품사양 및 시험성과 (2) 숏크리트용 혼화제 시험성적서

(2) 숏크리트용 혼화제 시험성적서 (3) 숏크리트 품질관리 시험결과


(4) 록볼트 정착재료의 시험성과서
(3) 숏크리트 품질관리 시험결과
[수정] : 록볼트 정착재료가 여러 가지이므로 수지형이란 표현 삭제
(5) 록볼트 설치기록부

(4) 수지형 록볼트 정착재료의 시험성과서 (6) 록볼트 인발시험 결과

(5) 록볼트 설치기록부


(7) 보조공법 시공계획서(필요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6) 록볼트 인발시험 결과


(7) 보조공법 시공계획서(필요 시)
2. 재 료
2. 재 료 2.1 강지보재

2.1 강지보재

2.1.1 H형 강지보재의 재질은 KS D 3503에 규정된 SS400을 표준으 2.1.1 강지보재에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 형상, 치수 등은 설계도서에 명기
[수정] : H형강, U형강은 KSD 3503, 격자지보는 KSD 3504에 의거하고 강도

7 - 2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로 하며,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구조용 강재로 한 된 것으로 한다. H형강 및 U형강 재질은 KS D 3503에 규정된 는 SI단위로 수정

다. SS400, 격자지보는 KS D 3504에 규정된 SD500W의 규격제품의 사


용하여야 하며, 기타 재료의 강지보재를 사용할 경우 이와 동등 이상
[수정] 원문의 원칙으로 삭제 문구수정, 의미전달 가능, 문장 통합

2.1.2 격자지보의 재질은 강봉의 경우 인장강도는 520N/㎟· 스파이더 의 성능을 발휘하는 구조용 강재로 하여야 한다. 격자지보의 재질은

의 경우 인장강도는 500㎫를 기준으로 하며, KS 용접기준을 강봉의 경우 항복강도는 520 MPa, 스파이더의 경우 항복강도는 500
MPa을 기준으로 하며, 한국산업표준(KS) 용접기준을 만족하여야 한 [수정] 용어 수정 : 한국산업규격⇒한국산업표준
만족하여야 한다. 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2.1.3 강지보재는 연성이 크고 휨과 용접 등의 가공성이 양호한 강재 2.1.2 강지보재에는 연성이 크고 휨과 용접 등의 가공성이 양호한 강재를 써
를 써야 한다. 강지보재 시공에는 H형강, 격자지보(lattice 야 한다. 강지보재 시공에는 H형강 · 격자지보(lattice girder) 등을 사

gird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강지보재의 재질, 규 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강지보재의 재질 · 규격 등에 대한 제작사의

격 등에 대한 제작사의 제품사양 및 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


제품사양 및 시험성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출하여야 한다.
2.1.4 마찰이음에 쓰이는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B 1010에 적합하 2.1.3 마찰이음에 쓰이는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B 1010에 적합하여야 한

여야 한다. 다.

2.2 숏크리트
2.2 숏크리트

2.2.1 숏크리트에 사용하는 시멘트는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2.1 숏크리트에 사용하는 시멘트는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2.2 잔골재
(1) 잔골재는 구조물용 모래와 동등의 재질로 깨끗한 모래이어야 2.2.2 잔골재
(1) 잔골재는 구조물용 모래와 동등의 재질로서 깨끗한 모래이어야 한다.
한다.
(2) 잔골재율은 60%를 기준으로 한다. (2) 잔골재율은 60 % 를 기준으로 한다.

(3) 잔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2절 2.1.1에 따른다. (3) 잔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1절 2.1.1에 따른다.

2.2.3 굵은 골재 2.2.3 굵은 골재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10 mm 이하이어야 한다.

(2) 굵은 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2절 2.2.3에 따른다. (2) 굵은 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1절 2.2.1에 따른다.

2.2.4 숏크리트에 사용하는 골재의 합성입도는 표 7-2와 같다. 2.2.4 숏크리트에 사용하는 골재의 합성입도는 표 7-6-1과 같다.

표 7-2 숏크리트용 골재의 합성입도


표 7-6-1 숏크리트용 골재의 합성입도

7 - 2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호칭치수(㎜) 공칭입경에 대한 체 통과 중량 백분율(%) 호칭치수 (mm) 공칭입경에 대한 체통과 중량 백분율 (%)
13 100 13 100
10 90 ∼ 100 10 90 ~ 100
5 65 ∼ 85 5 65 ~ 85
2.5 50 ~ 70
2.5 50 ∼ 70 1.2 35 ~ 55
1.2 35 ∼ 55 0.6 20 ~ 35
0.6 20 ∼ 35 0.3 8 ~ 20
0.3 8 ∼ 20 0.15 2 ~ 10
0.15 2 ∼ 10

2.2.5 섬유 2.2.5 섬유

(1) 강섬유의 인장강도는 700㎫이상이고, 형상비는 60 이상 이어 (1) 강섬유의 인장강도는 700 MPa 이상이고, 형상비는 60 이상이어야 한 [수정] 띄어쓰기 수정
야 한다. 다.

(2) 합성섬유 또는 기타섬유의 적용이 요구되는 경우는 국내외 연 (2) 합성섬유 또는 기타섬유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는 국내외 연구성과 및

구성과 및 현장적용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여 적용여부를 결정 현장적용 사례를 검토하여 적용여부를 결정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6 급결제
2.2.6 급결제

(1) 급결제는 숏크리트의 반발량을 최대한 적게 하고, 조기강도를 (1) 급결제는 숏크리트의 반발률을 최대한 적게 하고, 조기강도를 낼 수 [수정] : 숏크리트의 반발량 및 탈락률을 반발률로 통일시킴.

낼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야 한다.
① 숏크리트의 탈락률을 최소화하면서 암반에 견고하게 부착하 ① 숏크리트의 반발률을 최소화하면서 암반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여야 한다.
② 숏크리트의 조기강도가 양호하게 발현되는 동시에 장기강도 ② 필요한 조기강도가 양호하게 발현되는 동시에 장기강도에 악영향이 없

에 악영향이 없어야 한다. 어야 한다.

③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없어야 한다. ③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없어야 한다.

④ 강재를 부식시키지 않고, 용수가 있는 경우에도 양호한 효과 ④ 강재를 부식시키지 않고, 용수가 있는 경우에도 양호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를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습기에 강하고 보존성이 좋아야 한다. ⑤ 습기에 강하고 보존성이 좋아야 한다.

(2) 급결제 성능시험은 KS F 2436, KS F 2560에 따라 시행하여야 (2) 급결제 성능시험은 KS F 2436, KS F 2560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한다.
(3) 급결제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의 5∼10%를 표준으로 하며, 기온· (3) 급결제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의 5 % ∼ 10 %를 표준으로 하며, 기온
· 지반조건 · 용수조건 · 급결제의 제품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나, 감독
[수정] 단위표기 수정

지반조건· 용수조건· 급결제의 제품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나, 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7 - 2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2.2.7 혼화제
2.2.7 혼화제

(1)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에 사용할 혼화제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1)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에 사용할 혼화제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

제출하고, 현장시험에 의한 혼화제의 효과와 적정 사용량을 고, 현장시험에 의한 혼화제의 효과와 적정 사용량을 확인한 후 사용여

확인한 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부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2) 유동화제는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숏크리트 또는 급결제 등에 (2) 혼화제는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숏크리트 또는 급결제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유동화제 성능시험은 이 시방서 15-6절에 따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유동화제 성능시험은 이 시방 다.
서 15-6절에 따른다.
(3) 습식 숏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개선하기 위한 AE (3) 습식 숏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개선하기 위한 AE제, AE
제 및 AE감수제, 양생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 감수제 및 양생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사 착수 전에 품질을
[수정] : AE제 및 AE감수제, 양생제 등의 표현에서 및의 위치는 마지막 항목
전에 표현하는 것이 표준임.
사 착수 전에 품질을 확인한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 확인한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다.
2.2.8 첨가제 2.2.8 첨가제

습식 숏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카 흄(silica


습식 숏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카 퓸(silica fume), 플
라이애시(fly ash) 등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공사 착수
fume), 플라이 애시(fly ash) 등과 같은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 전에 첨가제의 품질, 배합비 및 배합에 따른 혼합물 강도의 변화 등을

으나, 공사 착수 전에 첨가제의 품질· 배합비 및 배합에 따른 고려한 시험을 실시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혼합물 강도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사용여부를 결정하고, 감독


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2.2.9 고강도 숏크리트

2.2.9 고강도 숏크리트 (1) 필요할 때는 고강도 숏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강도 숏크리트는 [수정] 한글로 순화
(1) 필요 시 고강도 숏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강도 숏크리트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되고 부착성과 시공성이 양호하여야 하

는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이 확보되고 부착성과 시공성이 양호하 며, 재령 1일에 10 MPa 이상 그리고 재령 28일 강도가 35 MPa 이상
이 되도록 배합하여야 한다.
여야 하며, 재령 1일에 10㎫ 이상 그리고 재령 28일 강도가 35
㎫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여야 한다.
2.3 록볼트
2.3 록볼트
2.3.1 품질기준
2.3.1 품질기준
(1) 록볼트의 품질기준은 표 7-3에 따른다.
(2) 록볼트는 소요 강도 이상을 가지는 이형봉강을 원칙으로 하나, (1) 록볼트는 소요강도 이상을 가지는 이형봉강을 사용하여야 하나, 이와 [수정] : 록볼트의 재료를 KS규격의 구체적인 규정을 명기한 지압판의
이와 동일한 강도와 기능을 가지는 기타 소재도 록볼트로 사 동등 이상의 강도와 기능을 가지는 기타 소재도 록볼트로 사용할 수 두께도 지반종류에 따라 규정함.

용할 수 있으며, 재질 및 강도는 한국산업규격(KS)에 적합하 있으며, 재질 및 강도는 한국산업표준(KS)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록볼트의 재질은 원지반 조건 및 사용목적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하며,
[수정] 원문의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여야 한다. 영구 지보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어야 한다.

7 - 2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일반적으로 SD350 이상의 강재로서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큰 것이어야
하며, KS E 3132 및 KS D 3504에 규정되어 있는 봉강의 품질기준은
표 7-3 록볼트의 품질기준 표 7-6-2와 같다.

직경(㎜) 재질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


(㎫) (㎫) 직경
표 7-6-2 록볼트의 품질기준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
SD350 이상 350 이상 490 이상 18 이상 (mm) 재 질 (MPa) (MPa)
Φ25 이상
SD400 이상 400 이상 560 이상 16 이상 SD350 이상 350 이상 490 이상 18 이상
25이상
SD400 이상 400 이상 560 이상 16 이상
(3) 지압판은 록볼트와 숏크리트를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예상되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는 응력에 대하여 필요한 면적과 강도를 갖는 것이어야 하고, 지압판
두께는 6 mm를 표준으로 하되, 팽창성 지반의 경우는 9 mm 이상을 사
용하여야 한다.

2.3.2 정착재료 2.3.2 정착재료 [수정] : 록볼트의 정착재료를 구분하고 각 재료의 특성에 맞도록 규정을 구체

(1) 정착재료는 조기접착력이 크고 취급이 간단하여야 하며, 내구성 (1) 수지(resin)형


① 수지형 정착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별 용량, 팽창률, 경화시간
화 시킴.

이 있어야 한다. 등에 대한 제조업자로부터의 시험성과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② 정착재료는 조기 접착력이 크고 취급이 간단하여야 하며,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 정착재료의 종류로는 수지(resin)형·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③ 수지는 폴리에스터 수지계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이어야 하며, 캡슐

mortar)형·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형 등이 있으며, 각 (capsule) 형태이어야 한다.

각의 품질기준은 해당공사의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④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을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
아도 제품의 변질이 예상될 경우에는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⑤ 수지는 용수 · 염수 · 산 · 약알칼리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며, 인
발에 대한 저항력이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⑥ 수지제품은 팽창성 접착제로서 직경이 26 mm 이상이어야 하며, 용수가
있는 곳에서도 조기강도가 높아야 한다. 발포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의
발포배율은 공급원 승인을 할 때 품질시험전문기관 시험성적서상의 발 [수정] 한글로 순화
포배율 이내이어야 하며, 발포배율에 따른 접착력 감소가 없어야 한다.
⑦ 전면접착식 록볼트의 수지 사용량은 록볼트 공을 충전시킬 수 있는 양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이어야 한다.
(2)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형
①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은 소요강도와 시공성에 중점을 두어 결정한
다. 모르타르는 모래와 시멘트 및 첨가제로 구성되며, 물-결합재비
(W/B)는 40 % ~ 50 % 로 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② 모르타르용 모래는 직경 2 mm 이하로 입도분포가 좋아야 하며, 모래
의 표면수량에 따라 물량을 조정하여야 한다.
③ 시멘트는 보통시멘트와 조강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통시멘
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조기에 접착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캡슐형 급

7 - 2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결제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급결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④ 조강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연제를 사용하여 모르타르 경화시간
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하며, 시공관리에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3)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형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 밀크와 급결제로 구성되며, 배합비는 용수
상태 등에 따라 현장시험을 통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2.3.3 부속부품

2.3.3 부속부품 모든 형태의 받침판(bearing plate)은 지반의 변형을 구속하는 효과를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모든 형태의 받침판(bearing plate)은 지반의 변형을 구속하는 발휘하고, 지반 붕락방지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받침판의 각도
조절 등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암석이나 숏크리트 표면의 형태에 관계
[수정] 줄임말 수정

효과를 충분히 발휘 하고, 지반 붕락방지 등의 목적을 달성하 없이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기 위해 받침판의 각도조절 등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암석이나


숏크리트 표면의 형태에 관계없이 표면에 밀접하게 완전히 밀
착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강지보재
3.1 강지보재

3.1.1 시공일반 3.1.1 시공일반

(1) 강지보재는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며, 시공 중 지질상 (1) 강지보재는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며, 시공 중 지반상태에 따 [수정] 용어 수정

태에 따라 강지보재의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 라 강지보재의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계약상대자는 서면으로

상대자는 서면으로 형식변경을 신청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


형식변경을 신청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강지보재를 적기에 시공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여굴, 붕괴 및 기타 사 [수정] : 강지보재 설치시기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였고, 중복되는 표현을 삭제
아야 한다. 고에 대하여는 계약상대자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하였음.

(2) 강지보재는 지보공사를 시행하기 전에 제작 설계도서에 따라 제 (3) 강지보재는 지보공사를 시행하기 전에 설계도서에 따라 제작하여야 한

작하여야 한다. 다.

(3) 계약상대자는 현장에 충분한 자재를 확보하여 작업이 지연되 (4) 계약상대자는 현장에 필요한 자재를 확보하여 작업이 지연되지 않게 하여야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지 않게 하여야 한다. 한다.

3.1.2 강지보재의 설치 3.1.2 강지보재의 설치

(1) 강지보재는 굴착 후 원지반의 이완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설


계도서에 제시된 순서에 의거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치하여야
(1) 강지보재는 굴착 후 원지반의 이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설계도서에 제
시된 순서에 의거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한다.

7 - 2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강지보재는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여야 하며, 지보재 설 (2) 강지보재는 정하여진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여야 하며, 지보재 설치 후 [수정] 줄임말 수정

치 후 위치· 고정 등에 대해 검측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 위치 · 고정 등에 대해 검측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3) 파이프루프(pipe roof)공법이나 포어폴링(forepoling) 등을 시공 (3) 파이프루프(pipe roof)공법이나 포어폴링(forepoling) 등의 보조공법

하는 경우에는 강지보재가 이동하거나 뒤틀리는 것을 막아야 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강지보재가 이동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막아야 하
며, 이때의 설치오차는 100 mm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며, 이때의 설치오차는 100 ㎜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 강지보재와 원지반 사이에는 정해진 간격에 따라 쐐기 등을 (4) 강지보재와 원지반 사이에는 정하여진 간격에 따라 쐐기 등을 끼워 아치 [수정] 줄임말 수정

끼워 아치로서 지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형으로 지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강지보재는 라이닝의 설계두께가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5) 강지보재는 라이닝의 설계두께가 확보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야 한다.
(6) 강지보재의 연결볼트 및 연결재는 충분히 조여야 한다.
(6) 강지보재의 연결 볼트 및 연결재는 견고하게 조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7) 강지보재의 바닥지반 지지력이 약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 (7) 강지보재에 녹이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수정] 위치 변경

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위면적에 가해지는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에는 녹, 유류 및 모르타르 등이 부착되어 있어서
는 안 된다.
하중이 지반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강지보재 바닥면 하부에 바 (8) 강지보재의 변형이 극심하여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1조 단위로 [수정] : 강지보의 기초 부분에 대한 규정을 추가하였으며, 교체시에는 조단위

닥면의 크기 보다 더 큰 철판이나 콘크리트 받침을 삽입하여 이를 교체하여야 한다. 로 교체하도록 수정

야 한다. 상·하반 분할굴착 시 상반굴착 후 상반 강지보 설치


(9) 강지보재의 이음위치 및 구조는 단면형상 · 크기 · 시공방법 ·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강지보재의 전도방지를 위하여 연결재를 설치 [수정] 줄임말 수정
시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향후 하여야 한다.

하반 강지보 설치 시 연결이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10) 강지보재 기초부에는 목재, 콘크리트 블록, 강판 등의 받침을 설치하
여 강지보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단, 목재는 굴착경계부
(8) 강지보재에 녹이나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하 와 같이 임시 받침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여야 하며, 콘크리트에 매설되기 전에는 녹, 유류 및 모르타르 (11) 강지보재 바닥지반의 지지력이 약하여 상부에서 가하여지는 하중을 바 [수정] 줄임말 수정

등이 부착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닥지반이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위면적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지


반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강지보재 바닥면 하부에 바닥면의 크기보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9) 강지보재의 변형이 극심하여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 더 큰 철판이나 콘크리트 바닥판을 삽입하여야 한다. 상하반 분할굴착 [수정] 한글로 순화

를 교체하여야 한다. 을 할 때 상반굴착 후 상반 강지보를 설치할 때에도 필요한 지지력을 [수정] 한글로 순화,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10) 강지보재의 이음위치 및 구조는 단면형상, 크기, 시공방법, 지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향후 하반 강지보를 설치할 때 연결이 [수정] 한글로 순화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강지보재의 전도방
지를 위해 연결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3.1.3 격자지보재의 설치 [신설] : 최근 국도터널공사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격자지보재에 대한 일반사
(1) 격자지보가 지보재로의 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허용 지지하중 항 및 강도에 대한 규정을 추가함.
범위 내에서 파괴 없이 어느 정도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격자지보는 외력을 다소 흡수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연결용 부재인 스파이더가 격자지보 시스템의 상부강봉
과 하부강봉으로부터 전달되는 힘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접합요소
(integral element)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3) 스파이더와 강봉 사이의 용접부는 터널공사를 할 때 격자지보의 하중 [수정] 한글로 순화
지지능력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용접기술이 격자지
보 제품생산에 주요기술 부분에 속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접부 길이

7 - 2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는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최소한 30 mm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최대 지지하중에 도달하기 전단계에서 재료의 취성파괴가 일어
나지 않도록 우수재료의 선정과 함께 재료 용접부는 완전한 접합이 되
도록 하여야 한다.
(4) 격자지보재는 다음의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표 7-6-3 격자지보재의 강도 특성

종 류 항 복 강 도 극 한 강 도 연신율 비 고

용접구조용
환 봉 ≥ 520 MPa ≥ 598 MPa ≥ 14 %
저탄소강
용접구조용
스파이더 ≥ 500 MPa ≥ 550 MPa ≥ 10 %
저탄소강

3.2 숏크리트
3.2 숏크리트
3.2.1 시공일반

3.2.1 시공일반
(1) 숏크리트 시공방법에는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다. (1) 숏크리트 시공방법에는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다.
(2)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
(2)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 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시공계획서에는 공정계획표, 장비와 설비의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시공계획서에는 공정계획표, 주요제원 및 자재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하며, 건식 숏크리트

장비와 설비의 주요제원 및 자재 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 시공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진처리대책을 포함되어야 한다.
(3) 숏크리트의 강도 향상을 위하여 철망, 강섬유 및 기타 섬유 등으로 보 [신설] : 강섬유 이외 유리섬유, 합성섬유 등을 적용할 경우에 대한
야 하며, 건식 숏크리트 시공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진 강할 수 있으며, 강섬유 이외의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등 이상 규정 신설

처리대책을 포함하여야 한다. 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수정] : 강섬유가 일반적으로 숏크리트 보강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유리섬유,

(3)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를 사용


(4) 강섬유보강숏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를 사용할 경우 합성섬유 등도 적용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용어로 기술하도록 수정하
에는 강섬유의 선정 · 시공장비 · 시험방법 등을 검토하고, 시험시공을 였음. [수정] 줄임말 수정
할 경우에는 강섬유의 선정· 시공장비· 시험방법 등을 충분히 하여 휨강도 · 휨인성 등을 확인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검토하고, 시험시공을 하여 휨강도· 휨인성 등을 확인한 후 시


공하여야 한다. (5) 강섬유의 혼입량은 설계기준강도가 나올 수 있도록 혼입하여야 하며,
(4) 강섬유의 혼입량은 설계기준강도가 나올 수 있도록 혼입하여 숏크리트의 사용목적 · 효과 및 장비성능에 따라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야 하며, 숏크리트의 사용목적· 효과 및 장비성능에 따라 감독 후 강섬유의 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자의 승인을 받은 후 강섬유의 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6) 각종 섬유보강 숏크리트를 시공할 때에는 섬유의 뭉침현상(fiber

(5) 강섬유 사용 시에는 강섬유의 뭉침현상(fiber balling)과 노즐의 balling)과 노즐의 막힘현상(plugging)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

막힘현상(plugging)에 특히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다.


(7) 각종 섬유보강숏크리트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최종 숏크리트 면에 있는
(6)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최종 숏크리트 면 섬유로 인하여 방수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에 있는 강섬유로 인하여 방수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8) 다음과 같은 경우 고강도 숏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신설] : 고강도 숏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내용을 추가함.

한다. ①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② 터널의 조기 안정화가 필요한 경우
③ 장기 내구성이 필요한 목적 구조물로서 활용되는 경우
④ 대단면 터널에서 숏크리트 두께 축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⑤ 안전성, 시공성, 경제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7 - 2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2 배합설계 3.2.2 배합설계


(1) 숏크리트 배합설계는 반발량을 적게 하고 호스의 막힘현상이 (1) 숏크리트 배합설계는 반발량을 적게 하고 호스의 막힘현상이 없도록

없도록 하여야 하며, 소요강도를 얻으면서 용수상황에 따라 하여야 하며, 용수상황에 따라 배합비를 조정할 수 있으나 소요강도를

배합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확보하여야 한다.

(2) 강섬유보강 숏크리트는 휨강도를, 일반 숏크리트는 압축강도를 (2) 섬유보강 숏크리트는 휨강도를, 일반 숏크리트는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기준으로 하여 현장배합비를 결정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하여 현장배합비를 결정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야 한다. (3) 슬럼프는 혼화제 투입 후 100 mm를 표준으로 하며, 급결제의 종류에 [수정] : 숏크리트 배합설계시 슬럼프값, W/B, 고강도 숏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추가함.
따라 증가될 수 있다.
(4) 물-결합재비(W/B)는 50 % 이하로 하여야 한다
(5) 숏크리트는 일반숏크리트, 강섬유보강숏크리트 및 고강도숏크리트로 [자문] 오타 수정
구분하며, 숏크리트의 설치목적에 맞게 성능과 품질을 확보하여야 한
다. 일반숏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21 MPa 이상, 강섬유보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수정
숏크리트의 휨강도는 4.5 MPa 이상이어야 한다.

3.2.3 사전준비 3.2.3 사전준비

(1) 숏크리트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숏크리트 타설면 (1) 숏크리트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숏크리트 타설면의 뜬 돌
의 뜬 돌은 제거하여야 한다. 은 제거하여야 한다.

(2) 숏크리트 타설 면의 이물질은 숏크리트와 원지반의 부착성을 (2) 숏크리트 타설면의 이물질은 숏크리트와 원지반 및 숏크리트와 숏크리트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간의 부착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숏크리트 타설 전에 고압수 등을

(3) 숏크리트 타설 면에 용수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배수처리를 이용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3) 숏크리트 타설면에 용수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배수처리를 하여야
하여야 한다. 한다.

(4) 잔골재와 굵은 골재는 분리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빗물로부터 보 (4) 잔골재와 굵은 골재는 분리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빗물로부터 보호하여야

호하여야 한다. 한다.

(5) 계약상대자는 현장타설 전에 공사에 사용할 것과 동일한 재료 (5) 계약상대자는 현장타설 전에 공사에 사용할 것과 동일한 재료로 시험배

로 시험배합을 실시하며, 사용된 골재의 입도분포 시험결과와 합을 실시하여 이 절 3.2.5 에 명기된 강도를 확인하여야 하며, 시험배합
에 사용된 골재의 입도분포 시험결과와 배합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
[수정] : 섬유종류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문구 및 일부내용 수정

함께 배합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6) 배치플랜트에는 강섬유의 계량을 위한 호퍼(hopper) 및 자동계


량 기록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계량오차는 ±3% 이내이어야 (6) 배치플랜트에는 섬유의 계량을 위한 호퍼(hopper) 및 자동계량 기록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계량오차는 ±3 % 이내이어야 한다.
한다.
(7)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생산은 배치플랜트를 이용하여야 하 (7) 각종 섬유보강숏크리트의 생산은 배치플랜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료의 투입순서는 굵은 골재와 섬유를 투입하여 혼합시킨 후 모래 ·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며, 재료의 투입순서는 굵은 골재와 강섬유를 투입하여 충분 시멘트 · 물 등의 순서로 투입하여야 한다. 특히 섬유의 분산효과를 높

히 혼합시킨 후 모래· 시멘트· 물 등의 순서로 투입하여야 한 이기 위한 시설을 하여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 특히 강섬유의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설을 하여 골고

7 - 2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루 분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8) 혼합물을 운반할 때에는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기 [수정] 한글로 순화

(8) 혼합물의 운반 시에는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반기 (agitator)를 이용하여야 한다.

(agitator)를 이용하여야 한다. 3.2.4 숏크리트 타설

3.2.4 숏크리트 타설 (1) 숏크리트 작업은 시공의 정확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
비를 선정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실시하여야 한다.
(1) 숏크리트 작업은 시공의 정확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비를 선정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실시하여
야 한다.
(2) 노즐의 방향은 타설면에 직각이 되도록 유지하고, 타설면과 노즐간의 거
리는 1 m 정도로 하며, 숏크리트의 분사압력은 200 kPa ~ 500 kPa [수정] : 숏크리트 타설시 분사압력을 SI단위로 수정
(2) 노즐의 방향은 숏크리트 면에 직각이 되도록 유지하고, 타설면 정도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과 노즐간의 거리는 1m 정도로 하며, 숏크리트의 분사압력은


200∼500kN/㎡ 정도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 (3) 숏크리트 타설 후 불량한 부분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여야 한다. 따라 조치를 하여야 하며, 불량구간이 국부적인 경우에는 불량구간을

(3) 숏크리트 타설 후 불량한 부분이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감독자


제거하고 양호한 숏크리트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의 지시에 따라 조치를 하여야 하며, 불량구간이 국부적인 경


우에는 불량구간을 제거하고 양호한 숏크리트로 재시공하여야 (4) 숏크리트의 1회 타설두께는 100 mm 이내로 하여야 한다.

한다.
(4) 숏크리트의 1회 타설두께는 100㎜ 이내로 하여야 한다. (5) 2차 숏크리트를 작업을 할 때에는 1차 숏크리트 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5) 2차 숏크리트 작업 시에는 1차 숏크리트 면에 부착된 이물질


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6) 숏크리트 타설 작업원은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
다.
(6) 숏크리트 타설 작업원은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 안전에 주의하
여야 한다. (7)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측벽은 아래에서 위로, 천정은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연속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7) 숏크리트 시공 시 측벽은 아래에서 위로, 천정은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연속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8)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철망, 철근, 강지보재 등의 뒷부분에 공극이 [수정] 한글로 순화

(8) 숏크리트 타설 시에는 철망, 철근, 강지보재 등의 뒷부분에 공


남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9) 반발되어 바닥에 떨어진 숏크리트는 고결되기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극이 남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9) 반발되어 바닥에 떨어진 숏크리트는 고결되기 전에 제거하여 (10) 숏크리트 타설 후에는 저온, 건조, 급격한 온도변화 등 해로운 영향
야 한다. 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0) 숏크리트 타설 후에는 저온․건조․급격한 온도변화 등 해로


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1) 터널내부 온도가 5 ℃ 이하일 때는 별도의 보온 대책을 마련한 후 작
업을 하여야 한다.
(11) 터널내부 온도가 5℃ 이하일 때는 별도의 보온 대책을 마련
한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 (12) 작업장 주위의 조명은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필요한 조도를 유지하여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12) 작업장 주위의 조명은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조도를 유


야 한다.
(13) 숏크리트의 이음부는 이음을 하여야 하는 부위의 300 mm 이전부터 [수정] 자구 수정
지하여야 한다. 두께를 얇게 하여야 한다.

7 - 3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3) 숏크리트의 이음부는 이음을 하여야하는 부위의 300㎜ 전부
터 두께를 얇게 하여야 한다.
3.2.5 품질관리 3.2.5 품질관리
(1) 강섬유
(1) 강섬유
① 강섬유는 건조한 상태로 녹이 없고, 기름이나 다른 이물질에 ① 강섬유는 건조한 상태로 녹이 없고, 기름이나 다른 이물질에 의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의해 오염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표면이 코팅되지 않은 오염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표면이 코팅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한
다.
상태이어야 한다.
② 강섬유는 번들(bundle) 형태로 제조된 것이어야 하며, 동시에 ② 강섬유는 번들(bundle) 형태로 제조된 것이어야 하며, 동시에 숏크리

숏크리트 혼합물 내에서는 완전하게 분산될 수 있는 것이어


트 혼합물 내에서는 완전하게 분산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야 한다.
③ 강섬유는 분산성과 정착성이 좋으며, 이 절 2.2.5에 제시된 ③ 강섬유는 시험결과에 따라 분산성과 정착성이 양호한 재료를 선정하
며, 이 절 2.2.5 에 제시된 인장강도와 형상비를 만족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추가 및 수정

인장강도와 형상비를 가져야 한다.


④ 강섬유의 혼입량은 숏크리트 1㎥ 당 400N 이상으로 하며, 설 ④ 강섬유의 혼입량은 숏크리트를 배합할 때 37 kg/㎥ 이상으로 하며, 설 [수정] : 강섬유의 혼입량을 1m3당 질량으로 표시하는 것이 타당하여

계 휨강도 및 휨인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계 휨강도 및 휨인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⑤ 강섬유의 형상비(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수정함.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감사원의 터널 강섬유보강 숏크리트 타설량 과다 설계 감사결과에서, 도로공사
⑤ 강섬유의 형상비(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 = ℓd 가 시험을 통해 기존의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시공시 계량오차, 시공 중
손실률 등을 고려한 최적의 강섬유 투입량을 37kg/㎥(기존대비 3kg/㎥

 감소)로 설정한 설계기준 반영하여 예산절감 방안 마련 시정요구

: 섬유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직선거리로 측정한 ℓ: 섬유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의 직선거리로 측정한 섬유길이
※ 현재 터널설계기준(2007) 및 터널표준시방서(2009년)에서는 터널에 부착된
숏크리트 강섬유 혼입량을 30kg/㎥이상이 되어야 한다고는 규정되어 있으
섬유길이 나 배합 시의 혼입량에 대한 기준은 없음

 : 섬유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직경, 이외의 경우에는 환산 d : 섬유형상이 원형일 경우에는 직경, 이외의 경우에는 환산 직경

직경
⑥ 강섬유의 길이는 숏크리트 타설 시 뭉침현상이나 막힘현상이 ⑥ 강섬유의 길이는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 뭉침현상이나 막힘현상이 일어 [수정] 한글로 순화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길이이어야 한다. 나지 않을 정도의 적정한 길이이어야 한다.

⑦ 굽힘강도는 60℃이상의 온도에서 지름안쪽 90°방향(곡선반경 ⑦ 굽힘강도는 60 ℃ 이상의 온도에서 지름 안쪽 90 ° 방향(곡선반지름 [수정] 용어 수정
3.18㎜)으로 굽혔을 때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 3.18 mm)으로 굽혔을 때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이어야 한다.

다.
⑧ 규격측정은 10개 이상의 견본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90% 이 ⑧ 규격 측정은 10개 이상의 견본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90 % 이상이 합

상이 합격하여야 한다. 격하여야 한다.

⑨ 강섬유의 허용오차는 표 7-4에 따른다. ⑨ 강섬유의 허용오차는 표 7-6-4에 따른다.

표 7-4 강섬유의 허용오차 표 7-6-4 강섬유의 허용오차

7 - 3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길 이 직 경 길 이 직 경
-측 : 2% 이내, +측 : 관계없음 -측 : 관계없음, +측 : 2% 이내 -측 : 2 % 이내, +측 : 관계 없음 -측 : 관계 없음, +측 : 2 % 이내

(2) 숏크리트
①강 도 (2) 숏크리트

숏크리트 혼합물의 강도는 표 7-5에 따른다.


① 강 도
숏크리트 혼합물의 강도는 표 7-6-5에 따른다.

표 7-5 숏크리트 혼합물의 강도 표 7-6-5 숏크리트 혼합물의 강도

구 분 1일 28일 비 고 구 분 강 도 (MPa) 비 고
압축강도(㎫) 10 20 일반 숏크리트 1일 28일
강섬유 보강 압축강도 10 21 일반 숏크리트
휨 강 도(㎫) 2 4.5 숏크리트 휨강도 2.1 4.5 강섬유 또는 기타섬유 [수정] : 숏크리트 보강재료가 강섬유 또는 기타섬유가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
보강
② 휨인성 ② 휨인성
숏크리트의 휨인성은 재령 28일에 시험하여 시편의 처짐이 숏크리트 혼합물의 휨인성은 재령 28일 이상에서 시험하여 시편의 처짐이

l/150(L : 지간길이, ㎜)이 될 때까지의 인성을 휨인성계수(등 ℓ/150(ℓ:지간길이, mm)이 될 때까지의 인성을 휨인성계수(등가휨강도)

가휨강도)로 표시한 것인데, 이 등가휨강도가 휨강도 시험을


로 표시한 것이며, 휨인성을 나타내는 등가 휨강도는 3.0 MPa 이상이어야 [수정] : 숏크리트 휨인성 시험에서 등가 휨강도를 정량화하여 기준치 이상인
한다. 강섬유 이외의 기타섬유를 적용할 경우 강섬유보강숏크리트의 것을 사용토록 수정
통해 측정한 최대휨강도의 68% 이상이어야 하며, 이 때의 최 성능기준 이상을 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대휨강도는 표 7-5의 혼합물 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③ 강섬유 혼입량 관리 ③ 강섬유 혼입량 관리

숏크리트 혼합물내의 강섬유 실제 혼입량은 투입 기준 혼입 실제 벽면에 타설된 강섬유 혼입량은 1 ㎥마다 30 kg 이상 되어야 하며, [수정] 강섬유 혼입량 수정 : 관계기관의견 반영
량의 75% 이상이어야 하며, 혼입량시험은 터널 내에 시공된 혼입량시험은 터널 내에 시공된 숏크리트에서 직접 코어(ø 100 mm 이상)를

숏크리트에서 직접 코어( 100㎜ 이상)를 채취한 후 「KCI 채취한 후 「KCI SF 109 숏크리트용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률
시험방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SF 109 숏크리트용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 혼입률
시험방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④ 두께관리 ④ 두께관리
가. 숏크리트 두께는 검측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와 같거나
그 이상이어야 하며, 검측된 최소두께는 설계두께의 75% 가. 숏크리트 두께는 검측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와 같거나 그 이상이어
야 하며, 검측된 최소두께는 설계두께의 75 % 이상이어야 한다.
이상이어야 한다.
나. 두께 확인은 검사공을 뚫어서 실시하며, 터널연장 20m마 나. 두께 확인은 검사공을 뚫어서 실시하며, 터널 지보패턴별로 연장 20 m
다 아치부 2개소· 측벽부 좌우 2개소로 한다(단, 검사공 마다 천장부 2개소, 측벽부 좌 · 우 2개소로 한다(단, 검사공 간격 20 [수정] : 터널 설계기준에 표현된 용어(아치부→천장부)

간격 20m 사이에 지보패턴 변경구간이 발생하여 검사공 m 사이에 지보패턴 변경구간이 발생하여 두께확인 검사가 수행되지 않

7 - 3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이 수행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할 시에는 검사공을 추가 는 구간이 생길 경우에는 검사공을 추가하여 두께확인을 하여야 한다.)

수행한다). 두께확인 검사공을 사용하지 않고 원형 봉강 두께확인은 검사공을 사용하지 않고 원형 봉강핀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핀을 이용할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관리할 수 있


있다.

다.
다. 검사공은 충격식 착암기나 다이아몬드 드릴을 사용하여 다. 검사공은 충격식 착암기나 다이아몬드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며, 직
천공하며, 직경 32 ㎜ 이상을 천공한다. 경이 32 mm 이상이 되도록 천공하여야 한다.
라. 측정결과가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에는 검사공 좌우 1m
범위 내에서 재측정하고, 이때에도 판정기준에 미달하면
라. 측정결과가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에는 검사공 좌우 1 m 범위 내에서
재측정하고, 이때에도 판정기준에 미달하면 그 표본면적으로 대표된
그 표본면적으로 대표된 전면적을 설계두께 이상이 되도 전면적을 설계두께 이상이 되도록 보완 시공하여야 하며, 보완시공의

록 보완 시공하여야 하며, 보완시공의 최소두께는 30㎜ 최소두께는 30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⑤ 강도시험
가. 압축강도 ⑤ 강도시험

(가) 시험방법
가. 압축강도
(가) 시험방법
각 재령의 압축강도 시험용 시료는 70°로 경사진 판
(panel, 500×500 ×250㎜)에 숏크리트 건으로 혼합물 각 재령의 압축강도시험용 시료는 70 ° 로 경사진 판(panel, 500 mm ×
500 mm × 250 mm)에 숏크리트 건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두께 200
[수정] 단위표기 수정

을 두께 200 ㎜ 이상으로 쏘아 만든다. 시험은 이렇게 ㎜ 이상으로 뿜어붙여 만든다. 시험은 이렇게 만든 시료에서 코어

만든 시료에서 코어 채취기를 사용하여 Φ100×200 ㎜ 채취기를 사용하여 ø100 mm × 200 mm의 시편을 3개 채취한 다음,

의 시편을 3개 채취한 다음, KS F 2405에 따라 실시


KS F 2405에 따라 실시한다.

한다.
(나) 채취한 3개 코어의 압축강도 평균값은 설계기준강도의 (나) 채취한 3개 코어의 압축강도 평균값은 설계기준 강도의 85 %
85%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의 시험값이 기준강도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이 기준강도의 75 %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수정] 터널표준시방서 참조
의 72%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다) 이 시험은 강섬유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숏크리트에 (다) 이 시험은 강섬유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숏크리트에 적용한다.
적용한다.
나. 휨강도
(가) 시험방법
나. 휨강도
(가) 시험방법
각 재령의 휨강도 시험은 몰드(150×150×530 ㎜)에서 각 재령의 휨강도시험은 몰드(150 mm × 150 mm × 550 mm)에서 [수정] 단위표기 수정

채취한 시편 또는 휨인성 시험에서 제작한 시편 채취한 시편 또는 휨인성시험에서와 같이 제작한 시편(100 mm × 100


mm × 350 mm)을 대상으로 KS F 2408에 따라 실시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100×100×350㎜)을 대상으로 KS F 2408이나 KS F


2422에 따라 실시한다.
(나) 이 시험은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에 적용한다. (나)이 시험은 강섬유보강숏크리트에 적용한다.

7 - 3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다. 휨인성 다. 휨인성

(가) 시료제작방법 (가) 시료제작방법


모서리가 45°로 경사진 500×500×125㎜의 목재나 강재 모서리가 45 ° 로 경사진 500 mm × 500 mm × 125 mm의 목재나 강재 [수정] 단위표기 수정
거푸집을 수직으로 세워서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를 거푸집 또는 150 mm × 150 mm × 550 mm 규격의 휨강도시험용 몰드를 [수정] : 휨인성 시료제작방법에서 시험용 몰드로 제작하는 방법 추가

타설한 후 습윤양생을 한다. 숏크리트를 친 후에는 24


수직으로 세워서 강섬유보강숏크리트를 타설한 후 습윤 양생을 한다.
숏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24시간 동안 거푸집에 충격을 가해서는 안

시간 동안 거푸집에 충격을 가해서는 안 된다. 된다.

(나) 시료채취 방법 (나) 시료채취 방법


시료를 거푸집에서 떼어내는 시기는 숏크리트를 타설 시료를 거푸집에서 떼어내는 시기는 숏크리트를 타설한 후 24시간 이상

한 후 24시간 이상 48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숏크리 48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숏크리트를 타설한 후 재령 6일에 콘크리트
절삭기를 사용하여 규정된 치수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며, 시편은
트를 타설한 후 재령 6일에 콘크리트 절삭기를 사용 거푸집의 모서리를 피하여 채취하여야 한다.

하여 규정된 치수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며, 시편


은 거푸집의 모서리를 피하여 채취하여야 한다.
(다) 양 생
제작된 시편은 콘크리트 양생 수조에서 양생시킨 후
(다) 양 생
제작된 시편은 콘크리트 양생 수조에서 양생시킨 후 재령 28일에 시험을
재령 28일에 시험을 실시한다. 실시한다.

(라) 판정기준 (라) 판정기준


강섬유를 사용한 숏크리트에 대해 3번의 휨인성 시험 강섬유를 사용한 숏크리트에 대하여 3번의 휨인성시험을 실시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을 실시하여 3개의 시험결과에서 2개 이상은 설계기 3개의 시험결과 중 2개 이상은 설계기준 휨인성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이 설계기준 휨인성의 85 % 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준강도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이 설계기준강도의
[수정] 띄어쓰기 수정

85%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⑥ 현장 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 ⑥ 현장 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

시공이 완료된 숏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시공이 완료된 숏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코어를

서 코어를 채취하여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채취하여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가. 시료채취 방법 가. 시료채취 방법

터널 내에 타설된 숏크리트로부터 코어 채취기를 사용하 터널 내에 타설된 숏크리트로부터 코어 채취기를 사용하여 1회 시험당


3개의 시료(직경 100 mm)를 채취한다.
여 1회 시험당 3개의 시료(직경 100㎜ 이상)를 채취한다.
나. 시험재령은 타설 후 28일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나. 시험재령은 타설 후 28일을 기준으로 한다.

다. 시험방법 다. 시험방법

(가) KS F 2422에 따라 시료의 양 단면은 콘크리트 절삭기 (가) KS F 2422에 따라 시료의 양단면은 콘크리트 절삭기 등으로

등으로 수직절단하거나 KS F 2403에 따라 시멘트 페


직각으로 절단하거나 KS F 2403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로
캡핑하여야 한다.
이스트로 캡핑하여야 한다.

7 - 3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나) 코어 지름에 대한 시편의 높이(숏크리트 두께)에 따라 (나) 코어 지름에 대한 시편의 높이(숏크리트 두께)에 따라 압축강도

압축강도 시험결과를 보정하여야 한다. 시험결과를 보정하여야 한다.

라. 판정기준 라. 판정기준 및 재시험


숏크리트 강도시험의 판정 기준은 전문시방서에 따른다. (가) 판정기준은 ⑤ 강도시험 가. 압축강도 (4)항과 다. 휨인성 [수정] : 현장코어채취에 의한 압축강도 판정기준 및 재시험 내용은 전문시방서
(라)항에 따른다. 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규정 신설
(나) 1차 시험에서 기준에 미달되는 구간은 시추공 좌우 1 m의 범위
내에서 재시험용 코어를 채취하여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판정하고, 재시험 결과가 판정기준에 미달될 때에는 보완시공
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⑦ 반발률의 측정 ⑦ 반발률의 측정
현장에서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바닥에 떨어진 숏크리트(반발재)를 계량하여
현장에서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바닥에 떨어진 숏크리트(반발 다음 식에 의하여 반발률을 산출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재)를 계량하여 다음 식에 의해 반발률을 산출한다. 반발재의 전 중량


반발률   × 
반발재의 전중량 숏크리트용 재료의 전 중량
반발률   ×  
숏크리트용 재료의 전중량
(3) 결과보고 (3) 결과보고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에 대한 시험결과를 각 항목별로 정리하여 감독
계약상대자는 숏크리트의 시험결과를 각 항목별로 정리하여 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3 록볼트
3.3 록볼트
3.3.1 시공일반
3.3.1 시공일반
(1) 록볼트는 정착방식에 따라 선단정착형, 전면접착형, 혼합형의 (1) 록볼트는 정착방식에 따라 선단정착형, 전면접착형, 혼합형의 세 종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로 나눌 수 있다.

(2) 정착재료에는 수지,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 등이 (2) 정착재료에는 수지,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 등이 있다.

있다.
(3) 록볼트의 선정은 지반강도, 절리, 균열상태, 용수상태, 천공경의
(3) 록볼트의 선정은 지반강도, 절리, 균열상태, 용수상태, 천공경의 확대
유무, 설치방향, 시공관리의 용이성, 정착의 확실성, 경제성 등을 고려
확대유무, 설치방향, 시공관리의 용이성, 정착의 확실성, 경제성 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두 종류 이상의 록볼트를 선정하여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두 종류 이상의 록 시험시공 · 인발시험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

볼트를 선정하여 시험시공, 인발시험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인을 받은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4) 록볼트는 지질상태 및 굴착형태에 따라 시공을 다르게 할 수 있으나,

(4) 록볼트는 지질상태 및 굴착형태에 따라 시공을 다르게 할 수 시공 중에 록볼트 설치기록부를 작성하여 감독자가 요구할 때에는 이
를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터널이 관통된 후에는 터널 전 연장에 대한
[수정] 한글로 순화

있으나, 시공 중에 록볼트 설치기록부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록볼트 설치기록을 정리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요구 시에는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 또한 터널이 관통된

7 - 3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후에는 터널 전 연장에 대한 록볼트 설치기록을 정리하여 감
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3.2 시공방법 3.3.2 시공방법

(1) 록볼트를 시공할 때에는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록볼트의 인발 (1) 록볼트를 시공할 때에는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록볼트의 인발강도를 확

강도를 확인하고 시험성적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인하고 시험성적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야 한다.
(2) 숏크리트를 먼저 시공하는 경우 록볼트의 시공은 숏크리트 경 (2) 숏크리트를 먼저 시공하는 경우 록볼트의 시공은 숏크리트 경화 후 가
능한 한 빠른 시기에 실시하여야 한다.
화 후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시공하여야 한다.
(3) 천공구멍은 록볼트 설치의 굴착면에 직각이 되도록 천공하여야 (3) 천공구멍은 굴착면에 직각이 되도록 천공하여야 한다. 단, 절리의 발달방

한다. 단, 절리의 발달방향이 록볼트 공의 천공방향과 일치하여


향이 록볼트 공의 천공방향과 일치하여 부분적으로 록볼트 설치효과가
감소되는 개소에는 굴착면에 경사지게 록볼트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
부분적으로 록볼트 설치효과가 감소되는 개소에는 굴착면에 다.

경사지게 록볼트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4) 록볼트는 삽입 전에 녹이나 다른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 (4) 록볼트는 삽입 전에 녹이나 다른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도록 청소

도록 청소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5) 용수가 많은 곳에서는 수위 저하, 수발공의 설치, 용수를 한곳 (5) 용수가 많은 곳에서는 수위 저하, 수발공의 설치, 용수를 한 곳으로 유도

으로 유도하는 방법 등을 현장실정에 맞도록 채택하여 배수하 하는 방법 등을 현장실정에 맞도록 채택하여 배수하고 록볼트를 시공하

고 록볼트를 시공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6) 록볼트 정착재료로서 시멘트 모르타르나 시멘트 페이스트를 (6) 록볼트 정착재료로서 시멘트 모르타르나 시멘트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입 시 재료가 록볼트공 외부로 흘러내리 경우에는 주입할 때 재료가 록볼트 공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조치
하여야 하며, 공 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하며, 공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7) 터널 상부에 보강그라우팅 공법이 적용된 구간에서 록볼트에 의한 보

하여야 한다. 강이 불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록볼트를 생략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애초 록볼트가 부당하여야 할 지보하중 [수정] 당초(어원 : 일본어) 한글(애초)로 순화
을 지지할 수 있는 다른 보완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8) 지반이 연약하거나 파쇄가 심하여 록볼트 천공경의 자립이 어려운 경
우에는 자천공 록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3.3.3 프리스트레스(prestress) 3.3.3 프리스트레스(prestress)

(1) 선단정착형 및 혼합형인 록볼트는 선단정착부의 모르타르가 (1) 선단정착형 및 혼합형인 록볼트는 선단정착부의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경화 후 4시간 또는 수지(resin)를 삽입하고 1시간이 경과한 4시간 또는 수지(resin)를 삽입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에 적정장비로

후에 적정장비로 록볼트 항복강도의 80% 이내의 힘으로 인장


록볼트 항복강도의 80 % 이내의 힘으로 인장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록볼트를 고정시킨 후에는 필요에 따라 그라우팅을 하여야 한다.
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록볼트를 고정시킨 후에는 필요에 따
라 그라우팅을 하여야 한다.
(2) 전면접착형인 록볼트에 대해서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
(2) 전면접착형인 록볼트에 대해서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고 동력 [수정] : 전면접착형에서 록볼트를 조일 경우 사용장비에 대한 내용 수정

7 - 3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고 적정한 힘으로 너트를 조여야 한다. 렌치를 사용하여 적정한 힘으로 너트를 조여야 한다.

3.3.4 록볼트의 추가시공 3.3.4 록볼트의 추가시공


(1) 록볼트 시공방법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며, 인 록볼트 시공방법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며, 인발시험

발시험· 록볼트축력 시험 등의 계측결과로부터 다음 사항에 및 록볼트 축력측정 등의 계측결과로부터 다음 사항에 해당할 경우에
는 록볼트를 추가 시공하거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해당할 경우에는 록볼트를 추가 시공하거나 길이를 증가시켜
야 한다. ① 터널 벽면의 변형이 록볼트 길이의 약 5 % 이상이 된다고 판단되는 경
① 터널벽면의 변형이 록볼트 길이의 약 5% 이상이 된다고 판 우

단되는 경우
② 록볼트 인발시험 결과 충분한 인발내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
② 록볼트 인발시험 결과 필요한 인발내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 [수정] 원문의 “충분한” 불명확, 수정


③ 록볼트 길이의 절반 이상에서부터 지반심부까지의 사이에 축 ③ 록볼트 길이의 절반 이상에서부터 지반 심부까지의 사이에 축력 분포
의 최대값이 존재하는 경우
력분포의 최대치가 존재하는 경우
④ 소성영역의 확대가 록볼트 길이를 넘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④ 소성영역의 범위가 록볼트 길이를 넘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⑤ 숏크리트의 균열, 받침판의 변형, 과다한 변위나 응력발생 등


⑤ 숏크리트의 균열, 받침판의 변형, 과다한 변위나 응력발생 등 록볼트
의 추가 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록볼트의 추가시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3.5 품질관리 3.3.5 품질관리

(1) 록볼트 인발시험 (1) 록볼트 인발시험

① 록볼트 인발시험은 전면접착형의 록볼트에 대하여 시행한다. ① 록볼트 인발시험은 전면접착형의 록볼트에 한하여 시행한다. 다만, 선

다만, 선단정착형 및 혼합형의 록볼트에 대해서는 프리스트 단정착형 및 혼합형의 록볼트에 대하여 인발내력을 확인하고자 할 경
우에는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전에 인발시험을 하여야 한다.
레스를 가하기 전에 인발시험을 하여야 한다.
② 인발시험을 실시할 록볼트는 임의로 선택하여야 한다. 인발 ② 인발시험을 실시할 록볼트는 임의로 선택하여야 한다. 인발하중의 재
하속도는 10 kN/min 내외로 하여야 하며, 시험은 필요한 정착효과가
하중의 재하속도는 10.0kN/min내외로 하여야 하며, 시험은
[수정] 원문의 “충분한” 불명확, 수정
얻어진 후에 가능한 빨리 하여야 한다.

충분한 정착효과가 얻어진 후에 가능한 빨리 하여야 한다.


③ 숏크리트가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숏크리트를 제거하여 암
③ 숏크리트가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숏크리트를 제거하여 암반면을 노
출시키거나 미리 인발시험을 할 록볼트에 숏크리트 부착을 방지할 수
반 면을 노출시키거나 미리 인발시험을 할 록볼트에 숏크리 있도록 천으로 보호하여 시험하여야 한다.

트 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천으로 보호하여 시험하여야 한


다.
④ 록볼트 인발시험은 시공에 앞서 시험을 실시하여 인발내력을 ④ 록볼트 인발시험은 시공에 앞서 시험을 실시하여 인발내력을 설정하
[수정] 한글로 순화
설정하고 본 시험 시에는 설정된 인발내력의 80%에 달하면
고, 본 시험을 할 때에는 인발내력의 약 80 % 에 달하면 합격하는 것
으로 한다.

합격하는 것으로 한다.


⑤ 시험빈도는 터널연장 20m 마다 3개소로 하며, 시험위치는 천 ⑤ 시험빈도는 터널 연장 20m 마다 3군데로 하며, 천장부 · 아치 · 측벽부
등 각 부분을 대표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 시험을 수행한다.
[수정] : 록볼트 인발시험빈도를 20m당 3개소로 하면 암질양호구간과 불량구
간의 차이가 너무 많아 불합리한면이 있으므로 본당으로 하여 불량한

7 - 3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장부, 어깨부, 측벽부 각 1개소씩으로 하여야 한다. 암질구간은 시험빈도를 높여야 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수정. [수정] 원

⑥ 인발시험결과 불합격될 경우는 불합격 부위(천정, 아치, 측벽) ⑥ 인발시험 결과가 불합격될 경우에는 불합격 부위(천장부, 어깨, 측벽부)에
서 5개의 록볼트를 추가로 선정하여 인발시험을 시행하고, 그 중에서 3개
문의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가운데 점 사용
[관계기관의견 반영] : 50본당 1회 ⇒ 터널 연장 20m 마다 3군데
에서 5개를 추가 시행하여 5개중 3개 이상이 불합격되면 표 이상이 불합격되면 표본구간으로 대표된 전 구간에 대하여 설계와 동일수

본구간으로 대표된 전 구간에 대하여 설계와 동일수량의 록 량의 록볼트를 재시공하여야 한다. 단,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특정구간 전

볼트를 재시공 하여야 한다. 단,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특정구


체에서 소요의 인발내력이 얻어지지 않거나 과다한 변위가 발생하는 구간
전체에서는 인발내력시험을 재실시하고 감독자와 협의하여 충전재료의 적
간 전체에서 소요의 인발내력이 얻어지지 않거나 록볼트가 정성 검토, 록볼트 길이 증가, 록볼트 추가시공 등의 조치를 시행하여야 한

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다른 조치를 강 다.

구할 수 있다.
(2) 록볼트 인발시험을 실시한 후에는 그 결과를 정리하여 감독자 (2) 록볼트 인발시험을 실시한 후에는 그 결과를 정리하여 감독자에게 제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출하여야 한다.

7-7 보조공법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굴착 중 지보작업과 병행하여 막장안정이 위협


받는 구간에 적용하는 보조공법 공사작업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7 - 3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4 보조공법

3.1 시공일반 3.4.1 시공일반

3.1.1 막장천반 안정에 사용되는 파이프루프공법, 프리그라우팅 (1) 보조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성 · 시공성 ·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수정] 동격의 내용, 가운데 점 사용

(pre-grouting)공법, 강관보강형 다단그라우팅공법 및 포어폴링


지반상태에 적합한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하며, 각 보조공법별로 시공계
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공법 등과 막장면 안정에 사용되는 막장면 록볼트 및 숏크리트
등의 보조공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지반상태에 적합한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하며, 각 보
조공법별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
다.
3.1.2 파이프루프공법 시공 시에는 파이프를 강지보재 바깥쪽으로 경 (2) 파이프루프공법을 시공할 때에는 파이프를 강지보재 바깥쪽으로 설치 [수정] 한글로 순화
사각도를 5° 이하로 설치하여야 하며, 파이프 간격은 지반상태,
지압, 시공성, 굴착방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매우 하여 경사각도가 5°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파이프 간격은 지반
상태 · 지압 · 시공성 · 굴착방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나, 매우 연
[수정] 원문의 “바람직”의 의미불명확, 문구 수정
[수정] 동격의 내용, 가운데 점 사용
연약한 점성토 지반을 제외하고는 파이프 외경의 2.0∼3.5배의 약한 점성토 지반을 제외하고는 파이프 외경의 2.0배 ~ 3.5배의 범위 내 [수정] 단위표기 수정

범위 내에서 시공하여야 한다. 에서 시공하도록 한다.

3.1.3 파쇄대의 보강 및 용수방지 등을 위하여 프리그라우팅을 실시할


때에는 지반의 특성과 침투성 등을 검토하여 주입재, 주입압력 (3) 파쇄대의 보강 및 용수방지 등을 위하여 프리그라우팅을 실시할 때
에는 지반의 특성과 침투성 등을 검토하여 주입재 · 주입압력 · 주입범위
[수정] : 보조공법을 절로 구분하는 것은 체계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
어 지보재 절내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수정.
및 주입범위, 주입방법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프리그라우팅 시 및 주입방법 등을 결정하여야 하며, 프리그라우팅 시공계획서에는 이 [수정] 동격의 내용, 가운데 점 사용

공계획서에는 이러한 내용과 주입량 등의 관리방안을 포함하여 러한 내용과 주입량 등의 관리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 주입재로서 시

야 한다. 주입재로서 시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


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그라우팅 작업 후 24시간 이
내에 발파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지막 그라우팅 작업 후 24시간 이내에 발파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3.1.4 강관보강형 다단그라우팅공법의 시공 시에는 휨하중에 대한 충 (4) 보강그라우팅공법을 시공할 때에는 휨하중에 대하여 적합한 내력을 가진 [수정] 한글로 순화,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문구 수정
분한 내력을 가진 강관을 사용하여야 하며, 강관의 설치간격은 보강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보강재의 설치간격은 일반적으로 0.3 m ~ [수정] 단위표기 방법 수정

일반적으로 0.3∼0.6m이나 현장의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효율적 0.6 m 이나 현장의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주입이 가능하도록

인 주입이 가능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강관보강형 다단그라


배치하여야 한다. 보강그라우팅공법 시공계획서에는 보강재의 규격과
제원, 주입재의 종류 및 시험성과, 주입압력, 주입량 등의 관리방안을
우팅공법 시공계획서에는 강관의 규격과 제원, 주입재의 종류 포함하여야 한다.

및 시험성과, 주입압력, 주입량 등의 관리방안을 포함하여야 한


다.

7 - 3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5 포어폴링에는 철근, 강봉 또는 강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포어
폴링 시공 시의 경사각이 과도하게 크면 지반의 안정효과가 감 (5) 포오폴링(forepoling)에는 철근 · 강봉 또는 강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소하므로 포어폴링 설치각도는 15°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한, 포어폴링 시공을 할 때 경사각이 과도하게 크면 지반에 대한 안정효과
가 감소하므로 포어폴링 설치각도는 15 °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한,
[수정] 한글로 순화

천단의 안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보재를 충분히 중첩시켜 천장부 지반에 대한 안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지보재를 중첩시켜야 [수정] 줄임말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야 한다. 한다.

3.1.6 막장의 안정을 위해 막장면에 수평방향으로 록볼트를 설치하여


보강할 수 있으며, 록볼트의 설치간격과 길이 등은 현장의 지 (6) 막장의 안정을 위하여 막장면에 수평방향으로 록볼트를 설치하여 보강
할 수 있으며, 록볼트의 설치간격과 길이 등은 현장의 지질조건에 따
[수정] 줄임말 수정

질조건에 따라 정한다. 라 정한다.

3.1.7 터널 막장에서의 응력집중을 완화시키고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 (7) 터널 막장에서의 응력집중을 완화시키고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키기 위해 막장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지반이 이완 위하여 막장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지반이 이완되기 전에 시 [수정] 줄임말 수정

되기 전에 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장기간 굴착을 중지할 경우 공하여야 한다. 또한 장기간 굴착을 중지할 경우에는 반드시 막장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에는 반드시 막장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1.8 기타 보조공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당해 전문시방서에 따른
(8) 지반이 연약하거나 파쇄가 심하여 보조공법 천공경의 자립이 어려운 경 [수정] 문장 추가
우에는 자천공 보강재를 이용한 보조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 (9) 보조공법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4.2 용수처리 및 그라우팅


3.2 용수처리

3.2.1 용수처리 방법으로 사용되는 지수 및 차수공법, 배수공법은 지 (1) 용수처리 방법으로 사용되는 지수 및 차수공법, 배수공법은 지반 및 지
하수 상태를 고려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반 및 지하수 상태를 고려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2.2 용수처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당해 전문 시방서에 의한다.
3.3 그라우팅

3.3.1 이 절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파쇄대나 연약지반


을 보강하기 위하여 매설한 파이프를 통하여 모르타르를 주입
하는 작업에 적용한다. 이 작업은 연약지반의 안정, 요부의 충
전, 라이닝과 굴착면 사이의 공극메우기 및 누수방지 등을 위
하여 실시한다.
3.3.2 그라우팅의 재료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2) 그라우팅의 재료는 다음 사항에 의한다.
(1) 주입파이프의 재료는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의 규격에 ① 주입파이프의 재료는 KS D 3507(배관용 탄소강관)의 규격에 적합한

7 - 4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것이어야 한다.

(2) 주입제는 일반적으로 기포제 및 모래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 ② 주입제는 일반적으로 기포제 및 모래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를 사

트를 사용하며, 표준 배합은 전문시방서에 따른다.


용한다.

(3) 각종 모르타르에 사용하는 시멘트 및 잔골재에 대해서는 이 시 ③ 각종 모르타르에 사용하는 시멘트 및 잔골재에 대해서는 이 시방서 공

방서 공사용 재료편에 따르는 것으로 하며, 기포제에 관해서는 사용 재료 편에 따르는 것으로 하며, 기포제에 관해서는 감독자의 승
인을 받아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3 그라우팅 장비로는 그라우트 믹서, 그라우트 펌프 및 압력조절 (3) 그라우팅 장비로는 그라우트 믹서, 그라우트 펌프 및 압력조절기구 등
기구 등을 사용한다. 그라우트 믹서는 주입속도의 저하 없이 을 사용한다. 그라우트 믹서는 주입속도의 저하 없이 그라우트 펌프로
그라우트 펌프로 충분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공급할 수 있는 용 필요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다.
그라우트 펌프는 최대규정 압력 하에서 최소 분당 50ℓ의 용량 그라우트 펌프는 최대규정 압력 하에서 최소 분당 50 ℓ의 용량을 가
을 가진 것으로 적절한 압력조절장비가 구비되고 밀크의 주입 진 것으로 적절한 압력조절장비가 구비되고 밀크의 주입량 및 압력을
량 및 압력을 0에서 최대 규정치까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0에서 최대 규정치까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것이어야 한다.
3.3.4 그라우팅의 주입작업은 일반적으로 원지반의 이완에 대하여 안 (4) 그라우팅의 주입작업은 일반적으로 원지반의 이완에 대하여 안정성을

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 후 라이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 후 라이닝 콘크리트가

닝 콘크리트가 주입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에 달한 후 되도 주입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에 도달한 후 가능한 한 조기에 주입하 [수정] 자구 수정 : 되도록 ⇒ 가능한 한

록이면 조기에 주입하며, 주입작업이 완료된 주입공은 마개로 며, 주입작업이 완료된 주입공은 마개로 막아야 한다.

막아야 한다.

7 - 4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7-8 거푸집 [수정] : 거푸집은 콘크리트 라이닝에 부속되는 항목이므로 별도의 절로 규정하
지 않고 콘크리트 라이닝 절에 포함시킴.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라이닝 설치에 사용하는 거푸집에 적용한


다.
1.2 참조규격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콘크리트학회, 2003) 제5장 거푸집 및 동바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콘크리트학회,2003) 제5장 거푸집 및 동바리
3. 시 공
3.1 거푸집의 구조

3.1.1 거푸집은 콘크리트 치기량, 치기길이, 치기속도 등을 고려하여


처넣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충분히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3.1.2 측면판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로 하여 콘크리트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굴착단면에 밀착시켜야하며, 틈새가 없도
록 하여야 한다.
3.1.3 거푸집의 길이는 시공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15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4 콘크리트의 투입구는 콘크리트가 넓게 잘 퍼지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7 - 4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 거푸집의 제작

3.2.1 이동식 거푸집은 이동성이 좋고 견고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3.2.2 조립식 거푸집은 조립과 떼어내기가 용이한 구조로 하여야 한
다.
3.2.3 거푸집설치에 사용하는 유압잭은 안전 너트가 붙어 있는 잭을
이용하여 장시간 방치해도 이완이 생기지 않는 것을 사용하고,
이완의 우려가 있는 개소에는 쐐기 등을 같이 사용하여야 한
다.
3.2.4 거푸집 이동에 있어서 양호한 이동용 궤도를 설치하여 비틀림
등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5 콘크리트를 펌프에 의해 칠 경우 공극이 남지 않도록 토출구를
배치하고 예비 토출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2.6 이동식 거푸집에는 검측이나 콘크리트 치기 상황을 확인하고
거푸집 청소 작업을 위해 적당한 개소에 검사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2.7 거푸집은 상기조건에 만족할 수 있는 구조로서 구조계산서 및
제작상세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 거푸집의 이동 및 설치

3.3.1 거푸집은 측량을 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3.3.2 이동용 궤도는 거푸집의 이동이 원활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치
기 중에 침하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3.3.3 거푸집의 이동은 거푸집이 라이닝 콘크리트에서 충분하게 떨어
져 거푸집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4 거푸집 면은 콘크리트가 부착되지 않도록 거푸집 표면처리(수
지 코팅)를 하여야 한다.
3.3.5 거푸집의 조립 시에는 볼트 나사 등을 충분히 조여야 하고, 진
동 등으로 느슨해지는 볼트가 있으므로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
다.

7 - 4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4 거푸집 떼어내기

3.4.1 거푸집을 떼어낼 때에는 거푸집 면에 콘크리트가 부착되지 않


도록 거푸집 박리제(form oil)를 바르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
다.
3.4.2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은 라이닝면의 물곰보를 최소화하기 위
해 거푸집을 5∼6회 타설 후 거푸집 면에 대하여 샌드 그라인
딩 등으로 거푸집 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박리제 등을 타설하
여 사용하도록 한다.
3.4.3 거푸집의 떼어내기 시기는 단면의 크기, 형상, 시공성 등을 고
려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라이닝의 거푸집은 부어넣은 콘크리
트의 강도가 3㎫ 이상 발현된 후에 제거하여야 한다. 단, 거푸
집의 때어내기 시기는 단면의 크기, 형상, 시공성 등을 고려하
여야 하므로 별도의 검증을 실시하여 확인된 경우에는 제거시
기를 감독자와 협의 후 조정할 수 있다.

7 - 4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7-9 콘크리트 라이닝 7-7 콘크리트 라이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라이닝 공사에 적용한다. 단, 내화 콘크리 이 시방은 콘크리트 라이닝 공사에 적용한다. 단, 내화 콘크리트 라이닝,
트 라이닝, 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 싱글 쉘 라이닝 등이 터널
[수정] 자구 수정
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 싱글 쉘 라이닝 등이 터널 기능상 필요한 경우

기능상 요구되는 경우에는 세부시방 기준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에는 세부 시방기준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적용하여야 한

승인을 받은 후 적용하여야 한다. 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 방법 [수정] : KS 규정 중 콘크리트 라이닝에 관계되는 규격 추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시공 편 제3장(거푸집 및 동바리) 2. (재료) [관계기관의견 반영] 참조표준 수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수정] 문장 수정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이 시방서 13-4절에 따른다.
2.1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4절에 따른다.


2.2 철 근
이 시방서 13-10절에 따른다.
2.2 철 근

이 시방서 15-10절에 따른다. 2.3 거푸집


[관계기관의견 반영] 인용표준 수정
「가설공사표준시방서」시공 편 제3장(거푸집 및 동바리) 2.(재료)에 따른다.

2.3 신축이음재 2.4 신축이음재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3-7절에 따른다.

7 - 4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시공순서, 공사방법, 공사용 3.1.1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시공순서, 공사방법, 공사용 기계,

기계, 거푸집 설치 및 해체, 타설공정과 연관된 배치도, 기타 거푸집 설치 및 해체, 타설 공정과 연관된 배치도, 기타 필요한 사항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필요한 사항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계획서를 감독자 한다.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2 콘크리트 라이닝에 유해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터널 3.1.2 콘크리트 라이닝에 유해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터널 입 · 출구

입․출구부 및 붕괴위험이 예상되는 토사층 구간에는 철근 콘


부에는 철근 콘크리트 라이닝 또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
하여야 한다.
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여야 한다.
3.2 거푸집
3.2.1 거푸집의 구조는 매회 콘크리트 타설량 · 타설길이 · 타설속도 등을 고려한
것이어야 하며,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수정] : 거푸집에 구조, 제작, 이동 및 설치, 떼어내기를 한꺼번에 묶어 적용하
한다. 기 편리하도록 수정,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3.2.2 측면판은 콘크리트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로 하여 콘크리트가 새어 나
가지 않도록 굴착단면에 밀착시켜야 하며, 틈새가 없도록 하여야 한
다.
3.2.3 거푸집은 이동성이 좋고 견고한 구조가 되도록 설계 · 제작하여야 하며, 거
푸집의 길이는 시공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15 m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
다.
3.2.4 거푸집에는 콘크리트의 투입 및 타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2.5 콘크리트의 투입구는 콘크리트가 넓게 잘 퍼지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2.6 거푸집 설치에 사용하는 유압잭은 안전 너트가 붙어 있어 장시간 방치 [수정] 줄임말 수정
하여도 이완이 생기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이완의 우려가 있는 곳에 [수정] 개소(어원 : 일본어) : 군데 or 곳으로 변경
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3.2.7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공극이 남지 않도록 토출구를 배치하고 예
비 토출구도 설치하여야 한다.
3.2.8 이동식 거푸집에는 검측이나 콘크리트 타설 상황을 확인하고, 거푸집
청소 작업을 위하여 적당한 곳에 검사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원문 개소(일본어투) ⇒ 곳으로 수정
3.2.9 거푸집의 구조계산서 및 제작상세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10 거푸집은 측량을 실시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며, 거푸집의 조립
또는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감독자의 검측을
받아야 한다.
3.2.11 거푸집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거푸집이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하여 거푸집과 콘크리트 벽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12 거푸집 이동용 궤도는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없이 거푸집을 안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나 이동할 [수정] 한글로 순화

7 - 4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때 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2 배합조건 3.2.13 거푸집 면은 콘크리트가 부착되지 않도록 거푸집 표면처리(수지 코팅)
를 하여야 한다.

3.2.1 콘크리트 배합은 소요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작업에 적당한 3.2.14 거푸집을 조립할 때에는 볼트·나사 등을 단단히 조여야 하고, 진동 등 [수정] 한글로 순화,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워커빌리티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수화열을 억제하 으로 느슨해지는 볼트가 있으므로 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3.2.15 거푸집은 차량통행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한다.
도록 하여야 한다. 3.2.16 거푸집을 떼어낼 때 거푸집 면에 콘크리트가 부착되지 않도록 거푸집
박리제(form oil)를 바르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3.2.2 라이닝 콘크리트는 시험배합 후 골재의 입도 및 함수량 등을 3.2.17 라이닝면의 물곰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5~6회 사용한 후에는 샌 [수정] 줄임말 수정

고려한 현장배합으로 수정하여 생산하여야 한다. 드 그라인딩 등을 통하여 거푸집 면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박리제를 발라서
사용하도록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3.2.3 라이닝 콘크리트의 골재는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고 염분 3.2.18 거푸집을 떼어내는 시기는 터널 단면의 크기, 형상, 시공성 등을 고려

및 유기물 등 콘크리트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할 경우에는 특별 하여 결정하여야 하는데, 천장부 콘크리트가 자중을 견딜 수 있는 강
도를 발휘하기 전까지 거푸집을 제거해서는 안 되며, 콘크리트의 압축
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강도가 3 MPa 이상 발현된 이후에 거푸집을 제거하여야 한다.

3.3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


3.3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3.3.1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3.3.1 라이닝 콘크리트의 타설은 지반의 변위가 수렴된 후 실시하여야 (1) 콘크리트 라이닝의 타설은 지반의 변위가 수렴된 후 실시하여야 하며, 변
하며, 변위수렴 여부는 계측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결정하여야 위수렴 여부는 계측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팽창성 지반

한다. 팽창성 지반의 변위가 완전히 수렴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 의 변위가 완전히 수렴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변위량과 변위속도를 기준으로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치시기
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변위량과 변위속도를 기 를 결정하여야 한다.

준으로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치시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3.3.2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고 골고루 채워져 (2)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고 골고루 채워져 공 [수정] 한글로 순화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3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해진 1구획의 콘크 (3)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하여진 1구획의 콘크리트를 [수정] 줄임말 수정

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


연속적으로 타설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타설속도를 유
지하여야 한다.
도록 타설속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3.4 콘크리트 타설은 거푸집에 편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우 대칭 (4)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거푸집에 편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우대칭 [수정] 한글로 순화

으로 타설하여야 하며(좌우 높이 차이는 최대 500㎜ 이하), 진 으로 타설하여야 하며(좌우 높이 차이는 최대 500 mm 이하), 진동기

동기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등을 이용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3.3.5 용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5) 용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대책을
대책을 강구하여야 하며, 타설된 콘크리트는 적정한 온도로 양 강구하여야 하며, 타설된 콘크리트는 적정한 온도로 양생하여야 한다.

생하여야 한다.
3.3.6 콘크리트 치기에 있어서 재료의 분리 및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6)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재료분리 및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부착하여 경
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직 슈트 또는 펌프 배관의 배출구와

7 - 4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부착하여 경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직슈트 또는 펌프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1.5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천장부 [수정] 원문의 “원칙으로” 삭제, 의미전달 가능

배관의 배출구와 치기 면까지의 높이는 1.5m 이하를 원칙으로 에 콘크리트가 조밀하게 충전되도록 필요한 펌프압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기 등을 사용하여 다져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수정

하고 특히, 아치 부분에 콘크리트가 조밀하게 충전되도록 진동


기를 사용하여 다져야 한다.
3.3.7 콘크리트 라이닝에는 유해한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7) 콘크리트 라이닝에는 유해한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유

하며, 유해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균열방지 해한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균열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야 한다.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3.2 공극충전

3.5 공극충전
(1) 숏크리트면 또는 굴착면과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에는 공극이 발생되지

3.5.1 숏크리트 면 또는 굴착 면과 콘크리트 라이닝 사이에는 공극이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극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라이닝 내하
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공극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도록 재료와 배합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극이 발생한 경우에는 공극이 방법, 주입공의 구조 및 배열 등을 정하여 채움 주입을 하여야 한다.

완전히 채워질 수 있도록 재료와 배합방법, 주입공의 구조 및


배열 등을 정하여 채움 주입을 하여야 한다. 다만, 숏크리트 배 [삭제] : 숏크리트 배면과 굴착면 사이의 공극충전시기는 본 항목과

면과 굴착 면 사이의 공극에 대한 채움 주입은 방수막을 설치 큰 관계가 없으므로 삭제

하기 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3.5.2 주입은 콘크리트 라이닝이 주입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에 도 (2) 주입은 콘크리트 라이닝이 주입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에 도달한 후,
달한 후,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하여야 한다.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하여야 한다.

3.5.3 주입을 하기 전에 주입을 저해하는 장애물은 제거하여야 한다. (3) 주입을 하기 전에 주입을 저해하는 장애물은 제거하여야 한다.

3.5.4 주입 순서 및 압력은 원지반이 교란되지 않고 기 시공된 지보 (4) 주입 순서 및 압력은 원지반이 교란되지 않고 기 시공된 지보재에 편
재에 편압이나 과다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정하여야 한다. 압이나 과다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정하여야 한다.

3.5.5 터널 천단부에 대한 공극 충전은 최소 2∼3회로 일정시간을 두 (5) 터널 천장부에 대한 공극 충전은 최소 2~3회 정도 일정시간을 두고

고 실시하도록 하며, 공동 충전 시 충전압은 소정의 압력에 도 실시하도록 하며, 충전압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실시하여야

달할 때까지 실시하여야 한다.


한다.

3.3.3 인버트 콘크리트의 설치


3.6 인버트 콘크리트의 설치

3.6.1 지지층 지반조건이 불량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의 폐합이 필요한 (1) 지형조건상 편압이 예상되는 경우 또는 지반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의 폐합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인버트
[수정] : 인버트 콘크리트를 설치해야 되는 경우를 일부 문구 수정

경우에는 인버트(invert) 설치를 검토하여야 한다. (invert)를 설치할 수 있다.

3.6.2 인버트 콘크리트의 시공 시기는 계측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 (2) 인버트 콘크리트의 시공 시기는 계측결과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여야 하며, 특히 지반이 불량한 경우에는 굴착 중에 숏크리트에 특히 지반이 불량한 경우에는 굴착 중에 숏크리트에 의한 인버트도 고려
할 수 있다.

7 - 4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의한 인버트도 고려하여야 한다.
3.6.3 인버트는 측벽과 일체가 되어 외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3) 인버트는 측벽과 일체가 되어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형상이 되도록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형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6.4 타설이음은 인버트 축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인버트 (4) 타설이음은 인버트 축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인버트 축력에

축력에 직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6.5 인버트의 두께 및 시공방법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5) 인버트의 두께는 지형 및 지반조건에 따라 정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6.6 인버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굴착 면 또는 숏크리트


면을 청결히 하고 배수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6) 인버트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굴착면 또는 숏크리트면을 청결
하게 하고,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문장 수정
3.6.7 인버트 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
지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시공이음부를 두어야 한다. (7) 인버트 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시공이음부를 두어야 한다.
3.7 신축이음

콘크리트 라이닝의 신축이음은 터널 입․출구부에서는 20∼30m


3.4 신축이음
3.4.1 콘크리트 라이닝의 신축이음은 터널 입·출구부 50 m 이내에서는 25 m [수정] : 터널 입․출구부가 터널내부보다 온도의 영향에 민감하므로

간격으로, 터널 내부에서는 20∼60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하 간격으로, 터널 내부에서는 25 m ~ 60 m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입․출구부는 25m이내, 내부는 25~60m로 수정함.

단면 변화부와 지층의 급격한 변화구간, 철근과 무근 콘크리트 하며, 단면 변화부와 지층의 급격한 변화구간, 철근과 무근 콘크리트
라이닝의 접합부 등에는 추가로 신축이음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신 [수정] 누수방지대책 명기
라이닝의 접합부 등에는 추가로 신축이음을 설치할 수 있다. 축이음부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3.8 품질관리
3.5 품질관리

3.8.1 라이닝 콘크리트의 강도는 재령 28일 강도인 f28=24㎫를 표준으로


하며, 소요강도가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고강도 콘크리 3.5.1 콘크리트 라이닝의 강도는 재령 28일 강도인 24 MPa을 표준으로 하

트를 사용할 수 있다. 며, 소요강도가 고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


할 수 있다. 비배수형 터널에서는 방수목적상 수밀 콘크리트를 사용하 [수정] : 비배수형 터널의 경우도 고려하여 콘크리트 라이닝 강도를 규정함.
3.8.2 콘크리트 라이닝 품질관리는 표 7-6에 따른다. 여야 하며, 재령 28일 강도는 27 MPa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8.3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는 평균두께가 설계두께 이상이어야 하 3.5.2 콘크리트 라이닝 품질관리는 표 7-7-1에 따른다.

며, 국소부위는 100㎜ 또는 설계두께의 1/3 값 중 작은 값 범


위 내에서 오차를 인정한다.
3.5.3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는 평균두께가 설계두께 이상이어야 하며, 국소
부위는 100 mm 또는 설계두께의 1/3 값 중 작은 값 이내의 시공오차

3.8.4 라이닝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강도는 설계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를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국소부위는 설계 두께의 2배와 같은 한 변
의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의 면적 또는 이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독립
1차 시험에서 기준에 미달될 경우에는 시험 위치의 좌우 5m 범 된 부위를 말한다.

위 내에서 재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가 설계 강도에 미달할 3.5.4 콘크리트 라이닝의 재령 28일 강도는 설계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1차 시

경우에는 수정․보완 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험에서 기준에 미달될 경우에는 시험 위치의 좌우 5 m 범위 내에서 재시
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가 설계강도에 미달할 경우에는 수정·보완 또는 재
시공하여야 한다.

7 - 4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7-6 콘크리트 라이닝의 품질관리

구 분 관리 항목 관리 내용 및 시험 시험빈도 비 고 표 7-7-1 콘크리트 라이닝의 품질관리

시공 정밀도 철근위치 및 거푸집 거푸집


설치상태 설치 시 마다
구 분 관리 항목 관리 내용 및 시험 시험빈도 비 고

일상관리 두께 두께 관리 ″
[수정] 한글로 순화
시공 정밀도 철근위치 및 거푸집 설치상태 거푸집 설치 때마다

균열, 변형
타설 후의 균열 및 타설 후 수시
변형 상태 일상관리 두 께 두께 관리 ″

슬럼프시험 콘크리트 슬럼프값 품질시험 KS F 2402 균열, 변형 타설 후의 균열 및 변형 상태 타설 후 수시


정기관리 기준에 의거 품질시험 기준에
압축강도시험 콘크리트 압축강도 ″ KS F 2405 정기관리
슬럼프시험 슬럼프 값
의거

3.8.5 내공 및 선형관리 압축강도시험 압축강도 ″

(1)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기 전에 내공 및 선형측량을 실시하


여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계두께 유지가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 3.5.5 내공 및 선형관리

서는 기 시공된 지보재를 재시공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계 (1)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기 전에 내공 및 선형측량을 실시하여 콘크리트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반 조건상 재 라이닝의 설계두께 유지가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시공된 지보재를

시공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를 강구하


재시공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계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반 조건상 재시공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를
여야 한다. 강구하여야 한다.

(2) 터널 내부방향으로의 내공은 50 ㎜ 이내의 시공오차를 허용한 (2) 터널 내부방향으로의 내공은 50 mm 이내의 시공오차를 허용한다.
다.
(3) 선형관리 기준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기준을 따른다. 단, 별도 (3) 선형관리 기준은 설계도서에 제시된 기준을 따른다. 단, 별도의 관리
의 관리 기준값을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터널의 목적과 기준 값을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터널의 목적과 콘크리트 라이닝의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 관리 범위 내에서 선형의 오차범위를 두께 관리 범위 내에서 선형의 오차범위를 인정한다.

인정한다.
3.4 철근 가공 및 조립
3.6 철근 가공 및 조립

3.4.1 철근은 설계도서대로 조립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6.1 철근은 설계도서대로 조립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4.2 철근의 조립에 있어서는 스페이서를 사용해서 철근의 피복을 3.6.2 철근을 조립할 때에는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철근의 피복두께를 정확하
정확하게 하여야 한다. 게 유지하여야 한다.

3.4.3 철근의 자중으로 인한 변형이 철근의 탄성복원력보다 클 경우


철근처짐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6.3 철근의 자중으로 인한 변형이 철근의 탄성 복원력보다 클 경우 철근
처짐 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3.6.4 철근망 조립 시 방수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이물질을 [추가] 방수막 손상 방지내용 추가
깨끗이 청소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7 - 5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7-10 배수 및 방수 7-8 배수 및 방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작업중의 배수와 노상부의 지하배수, 콘크리트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터널 노상부의 지하배수, 콘크리트 라이닝 배면의 배수시설 및 [수정] 자구 수정
라이닝 배면의 배수시설 및 방수시설 공사에 적용한다. 방수시설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F 4911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 KS F 4911 합성 고분자계 방수시트


KS K 0506 직물의 두께 측정 방법 [수정] : 배수 및 방수에 대한 KS 규정 중 관계되는 규격을 추가함.
KS K 0520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시험 방법
KS K 0607 직물의 내후도 시험방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방·배수재(부직포 및 방수막) 시험성과서

(1) 방․배수재(부직포 및 방수막) 시험성과서


2. 재 료 2. 재 료
2.1 부직포 2.1 부직포
2.1.1 재질은 단일겹의 장섬유 부직포이어야 한다.

2.1.1 배수용 부직포의 재질은 장섬유 부직포로 유입 지하수를 원활 2.1.2 두 께 : 2.0 mm 이상

히 배수할 수 있는 배수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폐수 및 지중


2.1.3 중 량 : 400 g/㎡ 이상
2.1.4 인장강도 : 1,120 N 이상 [수정] 부직포의 재질기준을 품질저하 및 논란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에 대한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1.5 신 장 률 : 50 % 이상


2.1.6 투수계수 : 평균 2.6×10-1 cm/s 이상
명확한 기준을 제시함.

2.1.2 부직포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 2.1.7 배수용 부직포의 재질은 유입 지하수를 원활히 배수할 수 있는 배수능

으며, 시공 전에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 및 시공계획 력을 갖추어야 하며, 폐수 및 지중 화학성분에 대한 내구성이 있어야

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다.


2.1.8 열융착 시공을 요하는 경우 융점 130 ℃이상 의 재질이어야 한다.(시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험방법은 KS K 0328에 따른다.)
2.1.9 콘크리트 라이닝 배면 배수재로서 부직포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다른 재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공 전에 공인시험기관의 시

7 - 5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험성적서 및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 방수막
2.2 방수막
2.2.1 방수막은 상호 접착이 좋은 재질이어야 하며, 한국산업규격 2.2.1 방수막의 재질은 상호 접착이 좋은 재질이어야 하며, 한국산업표준(KS [수정] : KS 규격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방수막 품질기준을 정립

(KS)을 만족하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F 4911)을 만족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2.2.2 방수막은 내구성, 인성 및 유연성이 기준을 만족하고 콘크리트 2.2.2 방수막의 품질기준

라이닝 시공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방수막은 두께 2 방수막은 산, 알칼리에 대한 저항성 및 팽창에 대한 내구성이 양호
하여야 하며, 표 7-8-1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나, 동등 이상의
㎜이상을 원칙으로 하며, 단, 두께는 설계기준에 따라 조정하여 재질인 경우 두께는 설계기준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다. 표 7-8-1 방수막 품질기준


항목 단위 품질기준 비고
인장강도 MPa 16.0 이상
인장 신장률 % 600 이상
성능 인장탄성률 MPa 100 이하 KS M527-3
ISO 527-1,
인열저항 N/㎜ 60 이상
3. 시 공 가열 신장될 때 mm
신축량 수축될 때
2.0 이하
6.0 이하
[수정] 한글로 순화

3.1 배수시설 기타사항 폴리올레핀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3.1.1 작업 중 배수
작업 중 용수는 즉시 처리하여야 하며, 바닥면 고르기를 실시 3. 시 공
하여 원활한 배수를 하여야 한다.
3.1.2 배수시설 3.1 배수시설

(1) 유공관, 맹암거 및 콘크리트 측구의 설치는 설계도서에 따른


3.1.1 유공관, 맹암거 및 콘크리트 측구의 설치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유공
강관의 품질기준은 표 7-8-2와 같다.
다. 표 7-8-2 터널 맹암거 유공관의 품질기준 [수정] : 터널 맹암거 유공관의 파손이 잦아 그 품질기준을 제시함.

구 분 단위 품질기준 시험방법
재 질 -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구멍지름 ㎜ φ 4.8 ~ 9.5
개공율 % 2.3(230 ㎠/㎡)이상 ASTM A 760
굽힘시험 - 이상이 없어야 한다
내경 5 % 변형 때 강성 kN/㎡ 2,465이상 ASTM D 2412 [수정] 한글로 순화

(2) 필터용 콘크리트 배합비는 표 7-7을 표준으로 하며, 현장배합 3.1.2 필터 콘크리트 배합비는 표 7-8-3을 표준으로 하며, 현장배합을 실시
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7 - 5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7-8-3 필터 콘크리트 배합표(1 ㎥당)
표 7-7 필터 콘크리트 배합표(1㎥당)
골 재(8~20mm) 물 시 멘 트 비 고
골 재(8∼20 ㎜) 물 시 멘 트 비 고 1.0m3 60ℓ 103kg
1.0㎥ 60ℓ 1.0kN
(3) 필터 콘크리트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3.1.3 필터 콘크리트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현장배합용 철판을 깔고 그 위에 자갈을 올려놓는다. (1) 현장배합용 철판을 깔고 그 위에 자갈을 올려 놓는다.


(2) 자갈에 필요한 소요량의 물을 골고루 뿌린 후 물이 빠질 때까지 기다린
② 자갈에 필요한 소요량의 물을 골고루 뿌린 후 물이 빠질 때 다.

까지 기다린다. (3) 물이 빠지고 나면 배합에 필요한 양의 시멘트를 가하여 혼합한 후 사

③ 물이 빠지고 나면 배합에 필요한 양의 시멘트를 가하여 혼합


용한다.

한 후 사용한다.
3.2 방수시설 3.2 방수시설

3.2.1 시공일반 3.2.1 시공일반

(1) 방수시설을 하기 위한 숏크리트 면의 상태는 작업 전에 감독 (1) 방수시설을 하기 위한 숏크리트 면의 상태는 작업 전에 감독자의 확인


을 받아야 한다.
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2) 방수시설 작업 전에 계약상대자는 부직포 및 방수막에 대한 (2) 방수시설 작업 전에 계약상대자는 부직포 및 방수막에 대한 시험성과

시험성과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부직포는 터널 내면에서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재질, 두께, 인 (3) 부직포는 터널 내면에서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재질, 두께, 인장강도,

장강도, 투수계수 등을 검토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투수계수 등을 검토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4) 방수막은 침투수가 터널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4) 방수막은 침투수가 터널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한다. (5) 방수막의 연결부는 봉합시험을 하여야 한다.


(5) 방수막의 연결부는 봉합시험을 하여야 한다.
3.2.2 사전준비 3.2.2 사전준비

(1) 숏크리트의 면 정리 시에는 용수처리도 동시에 하여야 한다. (1) 숏크리트 면을 정리할 때에는 용수처리도 동시에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2) 용수는 집수관으로 집수하여 배수로로 배출시켜야 한다. (2) 용수는 집수관으로 집수하여 배수로로 배출시켜야 한다.
(3) 숏크리트 표면에 드러나 있는 모든 관은 절단하고 모르타르 등으로 속채
(3) 숏크리트 표면에 드러나 있는 모든 관은 절단하고 모르타르 등 움을 한 다음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정리하여야 하며, 마감두께는 최소

으로 속채움을 한 다음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정리하여야 하며, 20 mm 로 한다.

마감두께는 최소 20㎜로 한다. (4) 시공 중 부착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한 철근이나 강재가 숏크리
(4) 시공 중 부착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한 철근이나 강재가 솟 트면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숏크리트 면과 일치되도록 절단하여야 하

크리트 면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숏크리트 면과 일치되도록 절 며, 날카로운 부분은 모르타르 등으로 매끄럽게 처리하여 방수막에 영
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단하여야 하며, 날카로운 부분은 모르타르 등으로 매끄럽게 처

7 - 5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리하여 방수막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5) 록볼트의 두부는 너트(Nut)면에서 5㎜ 여유를 두고 절단한 후 (5) 록볼트의 두부는 너트(nut)면에서 5 mm 여유를 두고 절단한 후 모르
타르나 숏크리트로 마감하여야 하며, 마감두께는 최소 40 mm 로 하고
모르타르나 숏크리트로 마감하여야 하며, 마감두께는 최소 40 마감부분의 곡선반지름은 최소 300 mm 로 한다. [수정] 용어 수정

㎜로 하고 마감부분의 곡선반경은 최소 300㎜로 한다.


(6) 터널 벽면에서 지보재의 사이와 불규칙한 면은 길이 대 깊이 (6) 터널 벽면에서 강지보재 사이나 불규칙한 면은 길이 대 깊이의 비율이
의 비율이 최소 7:1 이상이 되도록 모르타르나 숏크리트로 마 최소 7 : 1 이상이 되도록 모르타르나 숏크리트로 마무리하여야 하며,

무리하여야 하며, 지보재나 기타 강재의 피복은 최소 40㎜ 이 강지보재나 기타 강재의 피복은 최소 40 mm 이상의 두께로 마감처리
를 하여야 한다.
상의 두께로 마감처리를 하여야 한다. (7) 숏크리트면의 요철이 심할 때에는 골재의 입경이 8 mm 이내인 숏크리 [수정] : 방수시설 설치 전 준비사항으로 숏크리트 면의 요철이 심한 경우
트를 사용하여 요철이 없도록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요철 마무리 후 시공토록 규정 추가

(7) 횡터널의 접합부나 터널내공이 변하는 접합부분의 마감부분 (8) 횡터널의 접합부나 터널내공이 변하는 접합부분의 곡선반지름은 최소 [수정] 용어 수정
곡선반경은 최소 500㎜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500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8) 상․하반을 분할 굴착하는 경우에는 상반 굴착 후 숏크리트 (9) 상·하반을 분할 굴착하는 경우에는 상반 굴착 후 숏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쌓인 반발재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며, 상·하반 연결부의 이물
[수정] 한글로 순화

타설 시에 쌓인 반발재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며, 상․하반 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하반 숏크리트 면과 일치하게 면정리를 하여야

연결부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하반 숏크리트 면과 일 한다.

치하게 면 정리를 하여야 한다.


(9) 콘크리트 라이닝의 기초가 되는 터널하부와 우각부에 쌓인 슬 (10) 콘크리트 라이닝의 기초가 되는 터널 하부와 우각부에 쌓인 슬러지는

러지는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10) 여굴의 발생부위는 반드시 채움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면정리 (11) 여굴 발생부위는 반드시 채움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면정리를 하여야 한

를 하여야 한다. 다.

(11) 숏크리트의 면 정리가 완료되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부 (12)터널 내벽의 면정리가 완료되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부직포 및

직포 및 방수막 설치작업을 하여야 한다. 방수막 설치작업을 하여야 한다.

3.2.3 시 공
3.2.3 시 공
(1) 부직포 설치 (1) 부직포 설치

① 부직포는 란델(rondel 또는 roundel), 못 및 와셔를 사용하여


① 부직포는 라운델(roundel), 못 및 와셔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및 숏크 [수정] : 일체형 방수막을 사용하는 경우의 내용을 추가하고 용어정리
리트 표면에 고착시킨다. 단, 부직포와 방수막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 (란델→라운델)
콘크리트 및 숏크리트 표면에 고착시킨다. 는 경우에는 부직포에 연결된 중심 부직포를 못 및 와셔를 사용하여

② 개착터널 구간은 란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라이닝 외측면에 고착시킨다.


② 개착터널 구간은 콘크리트 라이닝 외측면에 방수막을 부착시킨 후, 되
방수막을 부착시킨 후,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방수막의 손상 메우기를 할 때는 방수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막의 외측을

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막의 외측을 부직포로 감싸주어야 부직포로 감싸 보호하여야 한다.


③ 용수가 많은 구간은 유도배수 처리와 함께 2겹의 부직포를 설치하여야
한다. 한다.

③ 용수가 많은 구간은 유도배수 처리와 함께 2겹의 부직포를

7 - 5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설치하여야 한다.
(2) 방수막 설치 (2) 방수막 설치
① 방수막을 란델 위에 부착시킨다. ① 방수막을 라운델 위에 부착시킨다. 단, 부직포와 방수막이 일체인 경우 [수정] 문장 추가

② 방수막은 숏크리트 면의 요철과 콘크리트 충전 시 지반쪽으 는 제외한다.

로 방수막이 밀리는 현상을 고려하여 방수막 설치 시 충분한


② 방수막은 숏크리트 면의 요철과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반 쪽으로 방수 [수정] 한글로 순화
막이 밀리는 현상을 고려하여 여유를 두고 설치하도록 한다. 콘크리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여유를 두도록 한다.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하단 트 라이닝을 타설할 때 거푸집 하단부터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되어 천 [수정] 한글로 순화

부터 채워지게 되어 천단부 부근의 방수막에 가장 큰 인장응 장부 부근의 방수막에 가장 큰 인장응력이 작용하므로 천장부 라운델
의 설치개소는 측벽부에 비하여 30 % 이상 증가시킨다. [수정] 줄임말 수정
력이 작용하므로 천단부 란델의 설치개소를 측벽부에 비해
30%이상 증가시킨다.
③ 방수막의 현장봉합은 용접부위가 평행선이 되도록 자동용접 ③ 방수막의 현장봉합은 용접부위가 평행선이 되도록 자동용접기를 이용
기를 이용하여 이중선으로 용접하여야 한다. 하여 이중선으로 용접하여야 한다.

④ 봉합부의 겹이음 길이는 70 ㎜ 이상이어야 한다. ④ 봉합부의 겹이음 길이는 70 mm 이상이어야 한다.
⑤ 계약상대자는 방수막의 탈락이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관리를 하여야 [수정] 해당 내용 추가

3.2.4 품질관리
한다.
3.2.4 품질관리
(1) 방수막 (1) 방수막

① 방수막에 손상부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방수막 전체를 교체하여 ① 방수막에 손상부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방수막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다만, 손상부위가 경미하거나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방수막 조각
야 한다. 다만, 손상부위가 경미하거나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 을 덧댄 후 수동접합기로 열융착하여 보수하고, 진공검사기로 접합상

는 방수막의 조각을 덧댄 후 수동접합기로 열융착하여 보수하고, 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진공검사기로 접합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② 접합상태 및 이음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재시공하여 방수기능이 완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시공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방수막을 이중
② 접합상태 및 이음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재시공하여 방수기 (겹침폭 : 500 mm)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능이 완전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시공상 부득이한 경우에


는 방수막을 이중(겹침폭 : 500㎜)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봉합시험 (2) 봉합시험

① 압축공기에 의한 시험 ① 압축공기에 의한 시험

가. 용접부위의 양쪽을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고 가. 용접부위의 양쪽을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고 게이지가 달
게이지가 달린 주입기로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게이지가 린 주입기로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게이지가 200 kPa을 가리킬 때 [수정] : 압력 게이지의 공기중단시기를 명확히 규정하고 압력저하의

1.5∼2.0bar(0.15∼0.2㎫) (1bar=1.02㎏/㎠)를 가리킬 때 공 공기주입을 중단한다. 경우 전혀 저하되지 않는 경우는 드물어 현실적인 시험 규정


내용으로 수정
기주입을 중단한다.
나. 주입 차단 후 5분 이상 압력이 저하되지 않아야 하며, 이 나. 주입 차단 후 10분 동안 압력이 20 % 이상 저하되지 않아야 하며, 이

상이 있을 때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상이 있을 때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② 진공검사 ② 진공검사

가. 시험하고자 하는 부위에 검사액을 뿌리고 진공검사를 실 가. 시험하고자 하는 부위에 검사액을 뿌리고 진공검사를 실시한다.

7 - 5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시한다. 나. 이미 설치된 방수막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손상부위에 새로운 방수 [수정] 터널 표준시방서와 동일하게 수정

나. 용접상태가 불량한 부위에서는 거품이 발생하게 되므로, 막을 덧붙여 용융접합하고 진공시험기로 접합상태를 확인하여야 한

147㎜Hg(1㎜Hg = 0.0013592 ㎏f/㎠)의 진공압력에서 거


다. 이때 진공시험기의 압력은 20 kPa로 한다.
다. 계약상대자는 시험에 필요한 기구를 무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품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다. 계약상대자는 시험에 필요한 기구를 무상으로 제공하여
야 한다.
③ 검사 및 기타사항 ③ 검사 및 기타사항

가.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입회 하에 임의로 제품시료를 발 가.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입회하에 임의로 제품시료를 발췌하여 방수막
의 품질과 관련한 검사 및 시험을 품질시험 전문기관에 의뢰하여야
췌하여 방수막의 품질과 관련한 시험 및 검사를 품질검 하며,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품

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 질시험 전문기관의 시험이 곤란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자체 설비를

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이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을 실시할 수 있으며, 품질보증서를
첨부하여 품질시험 전문기관의 시험으로 가름할 수 있다.
시험이 곤란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자체설비를 이용
하여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을 실시할 수 있으며, 품질보 나. 방수막은 한 두루마리(roll)마다 상품명, 제조년월일, 제조업체명, 규

증서를 첨부하여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으로 가름할


격(폭×두께×길이) 등이 포장에 명기되어 있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수 있다.
나. 방수막은 한 두루마리(roll)마다 상품명, 제조년월일, 제조
업체명, 규격(폭×두께×길이) 등이 포장에 명시되어 있어
야 한다.

7 - 5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7-11 갱 구 부 7-9 갱 구 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터널 시·종점 갱문 및 갱구부 공사시행에 필요한 작업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이 시방서는 터널 시․종점 갱문 및 갱구부 공사시행에 필요한 작


업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갱문위치 및 형식
3.1 갱문위치 및 형식

3.1.1 갱문은 인접하는 구조물에 대한 영향, 비탈면 붕괴 등에 대한


3.1.1 갱문은 인접하는 구조물에 대한 영향, 비탈면 붕괴 등에 대한 대책을
검토한 후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대책을 충분히 검토한 후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3.1.2 갱구부는 편측 경사, 급경사 및 대절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
3.1.2 갱구부는 편측 경사, 급경사 및 대절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 며, 자연경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여야 하며, 자연경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1.3 갱문형식은 지형, 지질조건, 배수계획,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을 고려
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1.3 갱문형식은 지형, 지질조건, 배수계획,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
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3.2 갱구부 배수 처리 3.2 갱구부 배수 처리

7 - 5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1 굴착과 더불어 갱구부 주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 3.2.1 굴착과 더불어 갱구부 주변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

여야 한다.
다.

3.2.2 터널내 배수관이나 맹암거에서 유출되는 물이 집수정을 통해 3.2.2 터널 내 배수관이나 맹암거에서 유출되는 물이 집수정을 통하여 원활
하게 배수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줄임말 수정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3.3 갱구부 보강 3.3 갱구부 보강

3.3.1 휨모멘트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갱구부 라이닝 콘크리트의 일정 3.3.1 휨모멘트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갱구부 콘크리트 라이닝의 일정구간을

구간을 철근 등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철근 등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3.3.2 갱구부는 특히 비탈면 붕괴, 지표침하, 지내력 부족 및 장래 유지관
3.3.2 갱구부는 특히 비탈면 붕괴, 지표침하, 지내력부족 및 장래유지 리 측면을 고려한 적절한 시공방법을 제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

관리 측면을 고려한 적절한 시공방법을 제시하여 감독자의 승 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3.3.3 갱구부를 시공할 때 이상이 생긴 경우는 신속히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여 [수정]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3.3.3 갱구부 시공에 이상이 생긴 경우는 신속히 필요한 대책을 강구


야 한다.

하여야 한다.

7-12 터널 계측 7-10 터널계측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굴착 시부터 콘크리트 라이닝 완료 시까지 터 이 시방은 터널을 굴착할 때부터 콘크리트 라이닝을 완료할 때까지 터널의 [수정] 자구 수정, 한글로 순화

널의 구조적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터널 내․외부의 계측 구조적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터널 내 · 외부의 계측 및 분석 작업에

및 분석작업에 적용한다.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7 - 5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1.3 제출물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 월간 계측결과보고서
(2) 계측결과 종합보고서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월간 계측결과보고서
(2) 계측결과 종합보고서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계측일반 3.1 계측일반

3.1.1 터널계측에는 일상계측과 정밀계측이 있으며, 일상계측에는 터 3.1.1 터널계측에는 일상계측과 정밀계측이 있으며, 일상계측에는 터널 내 관 [수정] 동격의 내용에 대해 가운데 점 사용

널내 관찰조사, 내공변위 측정, 천단침하 측정 등이 있고, 정밀 찰조사 · 내공변위 측정 · 천단침하 측정 등이 있고, 정밀계측에는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 숏크리트응력 측정 · 지중변위 측정 · 록볼트축력 측
계측에는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숏크리트 응력 측정, 지중변 정 등이 있다.

위 측정, 록볼트 축력 측정 등이 있다.


3.1.2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계측기의 정밀도․측 3.1.2 계약상대자는 터널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계측기의 정밀도 · 측정범위 · 작

정범위․작동 온도범위 등을 포함한 계측기의 제원, 계측기의


동 온도범위 등을 포함한 계측기의 제원, 계측기의 보정방법 및 유지
관리, 계측결과의 기록양식 · 분석범위 · 분석방법 및 활용방안, 계측값의 [수정] 자구 수정
보정방법 및 유지관리, 계측에 대한 기록 서식․분석범위․분 수렴여부 판정방법 등을 포함하는 계측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석방법 및 활용방안, 지반변위의 수렴여부 판정방법 등을 포함 제출하여야 한다.

하는 계측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3 계약상대자는 계측에 의한 지반변위자료를 조기에 수집․분석 3.1.3 계약상대자는 계측 자료를 조기에 수집 · 분석하여 이를 공사에 반영
함으로써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고, 이를 공사에 반영함으로써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시공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1.4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 및 계측계획서에 제시된 계측기기를 구 3.1.4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 및 계측계획서에 제시된 계측기기를 구비하여야

비하여야 하며, 계측기기는 감독자에게 계측기기의 정밀도를 하며, 감독자에게 계측기기의 정밀도를 확인받아야 한다. 계측기기의
설치는 감독자 입회하에 시행하여야 하며, 전문기술자에 의하여 지정 [수정] 줄임말 수정

7 - 5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확인받아야 한다. 계측기기 설치위치는 감독자 입회하에 전문 된 위치에 계측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기술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3.1.5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여 계측기록 3.1.5 계약상대자는 계측기기의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여 계측결과의 획득

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에 차질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1.6 터널공사는 계측자료를 근거로 시행하여야 하며, 계측된 결과를 설계와 [수정] : 계측자료를 근거로 결과를 설계와 비교 분석하여 감독자에게
비교 분석하여 매 월마다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하여야 하는 내용 추가

3.1.6 계약상대자는 시공계측 뿐만 아니라 필요시 유지관리에 필요한 3.1.7 계약상대자는 시공계측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유지관리계측도 공 [수정] 한글로 순화
계측기기 설치도 공사에 반영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자료를 사에 반영하여야 하며, 이러한 자료를 정리한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

정리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3.1.7 계약상대자는 계측결과 및 터널거동 분석내용을 월간보고서로 3.1.8 계약상대자는 계측결과 및 터널거동 분석내용을 월간보고서로 작성하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시공계측 작업이 완전


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시공계측 작업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는 그간의 계측결과 및 분석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계측결과 종합보
히 종료된 후에는 그간의 계측결과 및 분석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리한 계측결과 종합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2 계측빈도 3.2 계측빈도

계측항목과 빈도는 표 7-8을 표준으로 하며, 현장여건 및 지반조


계측항목과 빈도는 표 7-10-1을 표준으로 하며, 현장여건 및 지반조건을
감안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을 감안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
다.
표 7-8 계측항목별 측정빈도 표 7-10-1 계측항목별 측정빈도 [수정] : 계측항목별 빈도를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혼란이 없도록 수정

7 - 6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측 정 빈 도 1) 구분 계측항목 계측간격 배 치 계측기 설치시기 측 정 빈 도 1)
비 고
구 분 계측항목 및 위치 (00~~15일 15~30일 30일~
0∼15일 15∼30일 30일∼ 7일) (8~14일) (15일~)
(0∼7일) (8∼14일) (15일∼) 터널 내
관 찰
전 연장 전 막장 -
매막장
마다
매막장
마다
매막장
마다

터널내 관찰 매막장 마다 매막장 마다 매막장 마다 내공변위 10m~50 m


수 평2
대각선 4
막장후방 1m~3 m
또는 굴착 24시간
1~2
회/일
2회/주 1회/주 록볼트

내공변위 1∼2회/일 2회/주 1회/주


계측 이내 2) 인발시험은

계측 A A
막장후방 1m~3 m
록볼트

(일상계측) 천단침하
(일상 1~2 품질관리
1∼2회/일 2회/주 1회/주 계측) 천단침하 10m~50 m 1군데 또는 굴착 후
4시간 이내 2) 회/일
2회/주 1회/주 시험으로
실시함

록볼트 인발시험 - - - 록볼트


인발시험
20 m
마다
측벽부
천장부 - - - -

지표침하 지중침하 1회/일 1회/주 1회/2주


3군데 어깨
지표침하 300m 터널상부 막장전방
1회/일 1회/주 1회/2주

계측 B 숏크리트 응력 1회/일 1회/주 1회/2주


지중침하 ~600 m 3~5군데 30 m
3~5군데 막장후방 1m~3 m
숏크리트 200m
(정밀계측) 지중변위 1∼2회/일 1회/2일 1회/주 계측
응 력 ~500 m
(반경방향, 또는 굴착 후
접선방향) 24시간 이내2)
1회/일 1회/주 1회/2주 각 항목별
계측기를
3~5군데 동일한
록볼트 축력 1∼2회/일 1회/2일 1회/주 B
(정밀 지중변위 200m
~500 m
(3~5개의
다른
막장후방 1m~3 m
또는 굴착 후
1~2
회/일
1회/2일 1회/주
단면에
설치하여
계측) 24시간 이내 2)
심도) 종합적으로
주 1) 빈도란 중에 있는 ( )는 수렴이 빨리 되는 경우의 빈도임. 계측
3~5군데
막장후방 1m~3 m
록볼트 200m (3~5개의 1~2
또는 굴착 후 1회/2일 1회/주
축 력 ~500 m 다른 2) 회/일
24시간 이내
심도)
1)
※ 빈도란 중에 있는 ( )는 수렴이 빨리 되는 경우의 빈도임.
3.3 계측내용 2)
막장 후방 1 m ~ 3 m 또는 굴착 후 24시간 이내 중 빠른 시기를 기준으로 함.

3.3.1 터널 내 관찰조사 3.3 계측내용

(1) 터널 내 관찰조사는 지질상태를 파악하고 지보효과를 확인하 3.3.1 터널 내 관찰조사

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의 설계 및 시공과 계측의 기본이 되므 (1) 터널 내 관찰조사는 지질상태를 파악하고 지보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로 정확한 관찰조사를 하여야 한다. 관찰조사 항목으로는 막 것으로서 터널의 설계 및 시공과 계측의 기본이 되므로 정확한 관찰조

장, 록볼트, 숏크리트, 강지보재의 조사관찰과 기타 확인사항


사를 하여야 한다. 관찰조사 항목으로는 막장, 록볼트, 숏크리트, 강지
보재의 조사관찰과 기타 확인사항 등이 있다
등이 있다.
(2) 계약상대자는 관찰조사 결과와 계측에 의한 지반거동, 시공상황 (2) 계약상대자는 관찰조사 결과와 계측에 의한 지반거동, 시공상황 등의 관
계를 명백하게 파악하여 효율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막
등의 관계를 명백히 하여 효율적인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장을 관찰 · 조사한 후에는 조사결과와 관련한 상세도면 및 사진 등을

또한 막장을 관찰․조사한 후에는 조사결과와 관련한 상세도면 정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및 사진 등을 정리하여 보관하여야 한다.


3.3.2 내공변위 측정 3.3.2 내공변위 측정

(1) 내공변위 측정은 터널의 안정성, 지보효과, 지보의 시공시기 (1) 내공변위 측정은 터널의 안정성 · 지보효과 · 지보의 시공시기 및 방법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및 방법 등을 검토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이며, 계 등을 검토하는 데에 가장 기본이 되는 항목이며, 계측에는 변위측정용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측에는 변위측정용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7 - 61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내공변위 측정은 막장굴착 후 조기에 최종 변위량을 예측하고, (2) 내공변위 측정은 막장굴착 후 조기에 최종변위량을 예측하고, 숏크리

숏크리트 및 록볼트의 추가 여부를 판단하며, 라이닝 콘크리 트 및 록볼트의 추가 시공여부를 판단하며, 콘크리트 라이닝 타설시기
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굴착초기부터 내공변위가 수렴
트 타설 시기를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굴착초기 할 때까지 정확한 계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부터 내공변위가 수렴할 때까지 계측빈도에 따라 계측을 하여


야 한다.
(3) 내공변위의 수렴여부 판정은 계측결과에 따른다. (3) 내공변위의 수렴여부 판정은 계측계획서에 제시된 기준을 따른다.

(4) 계약상대자는 발파굴착 시 비석에 의해 계측기기가 손상되지 (4) 계약상대자는 발파 굴착을 할 때에는 비산석에 의하여 계측기기가 손
상되지 않도록 보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줄임말 수정

않도록 보호시설을 하여야 한다.


3.3.3 천단침하 측정 3.3.3 천단침하 측정
(1) 터널의 천단침하측정은 주변지반의 안정성 확인, 록볼트 및 숏 (1) 천단침하 측정은 주변지반의 안정성 확인, 록볼트 및 숏크리트의 지보효

크리트의 지보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계측항목으로서, 특히 고 과를 파악하기 위한 계측항목으로서, 특히 고결도가 낮은 지층, 터널


천단과 지표 사이의 수직거리가 짧은 경우와 단층 등으로 인하여 붕괴 [수정] 줄임말 수정
결도가 낮은 지층, 터널 천단과 지표사이의 수직거리가 짧은 가 일어나기 쉬운 지반조건인 경우 가장 중요한 계측이다. 따라서 막

경우와 단층 등으로 인해 붕괴가 일어나기 쉬운 지반조건인 장 굴착 후 가능한 한 빨리 초기값을 측정하여야 하며, 변위가 수렴될

경우 가장 중요한 계측이다. 따라서 막장 굴착 후 가능한 한


때까지 측정을 하여야 한다.

빨리 초기치를 측정하여야 하며, 변위가 수렴될 때까지 측정을


하여야 한다.
(2) 측정은 굴착에 따른 절대 높이의 수준측량으로 한다. (2) 측정은 굴착에 따른 절대 높이의 수준측량으로 한다.

3.3.4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3.3.4 지표 및 지중침하 측정

터널천단과 지표 사이의 수직거리가 짧고 터널 상부에 중요한 터널 천단과 지표 사이의 수직거리가 짧고, 터널 상부에 중요한 구조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터널굴착이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지


물이 있는 경우에는 터널굴착이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표침하와 지중침하를 측정하여야 한다.
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표침하와 지중침하를 측정하여
야 한다.
3.3.5 숏크리트 응력 측정 3.3.5 숏크리트응력 측정

(1) 숏크리트 응력 측정은 숏크리트의 안정성 및 추가 지보재의 (1) 숏크리트응력 측정은 숏크리트의 안정성 및 추가 지보재의 필요성을 검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며, 숏크리트 내에 응력계를 토하기 위하여 실시하며, 숏크리트 내에 응력계를 매설하여 터널단면 [수정] 줄임말 수정

매설하여 터널단면의 접선방향과 터널 반경방향의 응력을 측 의 접선방향과 터널 반지름 방향의 응력을 측정한다. [수정] 용어 수정

정한다.
(2) 측정 대상물의 강성과 계측기의 강성을 고려하고, 계측기기 자 (2) 측정 대상물의 강성과 계측기의 강성을 고려하여 계측기기 자체의 오
체의 오차나 형상오차가 작은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차나 형상 오차가 작은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3) 숏크리트 내의 계측기기와 숏크리트 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지 (3) 응력계를 매설할 때에는 숏크리트 내의 계측기기와 숏크리트 사이에
않도록 하여야 한다.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 62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6 지중변위 측정 3.3.6 지중변위 측정

(1) 지중변위 측정은 터널굴착면의 이완영역을 파악하여 록볼트의 (1) 지중변위 측정은 굴착 후 터널 주변의 이완영역을 파악하여 록볼트의
길이를 결정하고 설계 및 시공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 적정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널 반지름 방향으로 지중에 수개 [수정] 용어 수정

으로, 터널곡면의 직각방향으로 지중에 수개의 심도가 다른 의 심도가 다른 앵커를 설치하고 그 변위를 측정한다.

앵커를 설치하고 그 변위를 측정한다.


(2) 가장 깊은 측정점은 반드시 이완영역 바깥의 부동점에 설치되도 (2) 가장 깊은 측정점은 반드시 이완영역 바깥의 부동점에 설치되도록 하
록 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 지중변위의 측정결과는 록볼트축력 측정과 내공변위 측정결과


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3) 지중변위 측정결과는 록볼트 축력 및 내공변위 측정결과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3.3.7 록볼트축력 측정 3.3.7 록볼트 축력 측정


록볼트축력 측정은 록볼트의 축력을 측정하고 그 응력도에 의 록볼트 축력 측정은 록볼트의 축력을 측정하고 그 응력도에 의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해 록볼트의 효과 등을 검토하여 록볼트 간격 및 길이의 증감 록볼트의 효과 등을 검토하여 록볼트 간격 및 길이의 증감 여부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계측으로, 내공변위 측정결과와 연계하


판단하기 위한 계측으로서, 내공변위 측정결과와 연계하여 계측결
과를 해석하여야 한다.
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3.3.8 주변 구조물의 변형상태 조사 3.3.8 주변 구조물의 변형상태 조사

(1) 계약상대자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 터널시공으로 인한 것인지


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시공 전에 사진촬영 및 비디오촬
(1) 계약상대자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 터널 시공으로 인한 것인지의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시공 전에 사진촬영 및 비디오촬영 등 사전조사를
영 등 사전조사를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 터널시공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는 이에 필요한 대책수 (2) 터널시공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는 이에 필요한 대책수립과 계
립과 계속적인 관찰을 하여야 한다. 속적인 관찰을 하여야 한다.

3.4 계측관리 3.4 계측관리

3.4.1 계측결과의 시공에의 반영


시공에 있어서는 각종 계측을 조직적으로 행하면서 계측결과를 3.4.1 계측결과의 시공 반영

직접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하여야 하며, 공사의 안전성, 경제성


터널을 시공할 때에는 각종 계측을 조직적으로 수행하면서 계측결과를 [수정]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직접 설계 및 시공에 반영하여야 하며, 공사의 안전성, 경제성 및 시공
및 시공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그림 7-10-1과 같이 계측관리를 하여야 한
다.

7 - 63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설계의 변경 No

Y es 경제적
인가

예비
설계
사전 예비 실시 안전 Y es 적절한 공사
시공 계측
조사 설계 설계 한가 설치 완료

No

Y es 시공법
시공법의 개선 변경으로
가능

설계의 변경 No 그림 7-10-1 계측관리 계획도

그림 7-2 계측관리 계획도


3.4.2 계측결과의 정리
3.4.2 계측결과의 정리 계측결과는 일상의 시공관리에도 이용하고, 장래 공사계획에도 반영할

계측결과는 일상의 시공관리 시 이용 및 장래 공사계획에 반영 수 있도록 정리하여 보존하여야 한다.

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정리하고 그 기록을 보존하여야 한다.


3.4.3 계측결과의 보고 3.4.3 계측결과의 보고
계측결과는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한다. 또한 현저히 큰 변위 계측결과는 매일 보고하고, 현장상황에 맞는 분석의견을 제시하여야 [수정] 자구 수정,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가 발생하는 경우나, 변위속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수렴하지 한다. 특히 현저하게 큰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변위속도가 기준값 이
상이거나 수렴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수정] 용어 수정

않는 경우에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라 조치하 따라 조치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4.4 계기의 취급 3.4.4 계측기의 취급 [수정] : 용어 수정(계기→계측기)

(1) 계기등의 설치, 운반 시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히 취급하 (1) 계측기 등을 설치 및 운반할 때에는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히 취 [수정] 한글로 순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수정
급하여야 하며, 파손이 생겼을 때에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적절
여야 하며, 파손이 생겼을 때에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적절한 조치를 받아야 한다. (2) 계측기는 굴착 전 또는 굴착 후 즉시 설치되어야 한다.

(2) 계기는 굴착 전 또는 굴착 후 즉시 설치되어야 한다.


3.5 계측원의 자격
3.5 계측원의 자격

3.5.1 계약상대자는 원활한 계측관리를 위하여 계측 전담반을 직접 운 3.5.1 계약상대자는 원활한 계측관리를 위하여 계측 전담반을 직접 운영하
거나 계측전문업체에 위탁하여 계측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영하거나 계측전문업체에 위탁하여 계측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3.5.2 계측 책임자는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 및 지보재 거동의 역학 3.5.2 계측 책임자는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 및 지보재 거동의 역학관계를 이
해하는 지반공학 또는 지질학 관련 분야의 전문가이어야 한다. [수정] : 지반공학 등 관련분야를 지반공학 또는 지질학 관련분야로 수정

관계를 이해하는 지반공학 등 관련 분야를 전공한 자이어야 한

7 - 64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다.
3.6 계측결과의 활용

3.6.1 모든 공사는 계측자료를 근거로 하여야 하고 그 결과를 설계치 [삭제] 앞에 서술된 내용과 중복되므로 삭제

와 비교 분석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한다.


3.6.2 계약상대자는 시공 계측 뿐 아니라 유지관리 계측 등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설계 시 계측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7-13 타일붙임 및 내오염도장 7-11 타일붙임 및 내오염도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라이닝 측벽부의 타일붙임 또는 내오염 1.1.1 이 시방은 콘크리트 라이닝 측벽부의 타일붙임 또는 내오염도장 공사등

도장 등 표면 마무리 공사에 적용한다. 표면 마무리 공사에 적용한다.

1.1.2 타일붙임과 내오염도장은 터널연장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하며, 1.1.2 타일붙임과 내오염도장은 터널 연장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으 [수정] : 터널연장에 따라 타일붙임과 내오염도장을 적용할 수 있도록

터널 내 내오염도장을 실시하여야 할 경우 작업시행 계획서를 며, 터널 내 내오염도장을 실시하여야 할 경우 작업시행 계획서를 작 일부 수정, [수정] 자구 수정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KS L 1001 도자기질 타일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L 1001 도자기질 타일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내오염도장을 적용할 때 계약상대자는 도장 품질관리를 위한 도장작업 [수정] 한글로 순화
1.3.2 내오염도장의 적용 시 계약상대자는 도장 품질관리를 실시하기 요령, 자체검사요령 등을 포함하는 도장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

위해 도장작업요령, 자체검사요령 등을 포함하는 도장시공계획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7 - 65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재 료 2. 재 료
2.1 타 일 2.1 타 일

2.1.1 타일의 재질은 KS L 1001에 규정한 규격품과 동등한 제품의 2.1.1 타일의 재질은 KS L 1001(도자기 타일)에 규정한 규격품과 동등한 제

자기질 외장타일이어야 하고, 색상은 순백색(백색도 : W10)이 품의 자기질 외장타일이어야 하고, 흡수율은 0 % ~ 1.0 % 미만이어야 [수정] 문장 수정

어야 한다.
하며, 접속부 구간은 밝은 황색을 사용하고 그 외의 구간에는 순백색
(백색도 : W10)을 사용하여야 한다.

2.1.2 타일 뒷굽의 높이는 1.2 ㎜ 이상,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깊 2.1.2 타일 뒷굽의 높이는 1.2 mm 이상,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깊이는

이는 1 ㎜ 이상이어야 한다.
1 mm 이상이어야 한다.

2.2 내오염도장재 2.2 내오염도장재

2.2.1 내오염도장재는 폴리우레탄계, 불소수지계, 세라믹 우레탄계 등 2.2.1 내오염도장재는 폴리우레탄계, 불소수지계, 세라믹 우레탄계 등이 있 [수정] 문구 수정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재료이어야 한다. 으며,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재료이어야 한다.

2.2.2 내오염도장재는 품질기준을 제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2.2.2 내오염도장재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품질기준을 제정하여”(삭제)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타일붙임 3.1 타일붙임

3.1.1 시공일반 3.1.1 시공일반


(1) 타일붙임에는 타일시멘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1) 타일붙임에는 타일시멘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라이닝 콘크리트는 습윤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라이닝은 습윤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3) 타일시멘트와 부착강화제는 정확히 계량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3) 타일시멘트와 부착강화제는 정확히 계량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3.1.2 시공방법
(1) 1일의 타일붙임 높이는 2m 미만으로 하여야 한다. 3.1.2 시공방법
(1) 1 일의 타일붙임 높이는 2 m 미만으로 하여야 한다.
(2) 타일은 모르타르에 1/2 정도가 파묻힐 정도로 압착하고, 직경 (2) 타일은 모르타르에 1/2 정도가 파묻힐 정도로 압착하고, 직경붙임공법

붙임공법(개량압착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개량압착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 타일의 규격 및 간격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 타일의 규격 및 간격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4)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표 7-11-1에 따른다.
(4)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표 7-9에 따른다.

표 7-11-1 모르타르의 배합표(1 ㎥ 마다) [수정] 한글로 순화


표 7-9 모르타르의 배합표(1㎥당)

7 - 66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구 분 물 타일시멘트 부착강화제 구 분 물 (g) 타일시멘트 (g) 부착강화제 (g)
[수정] : 모르타르 배합표를 SI 단위로 통일하도록 수정

바름 모르타르(N) 13 61.7 1.0 바름모르타르 1,400 6,300 100


줄 눈(N) 6.3 31.4 줄 눈 640 3,200

3.2 내오염도장
3.2 내오염도장

3.2.1 내오염도장의 시공은 별도의 시방기준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


을 받아야 한다. 3.2.1 내오염도장의 시공은 별도의 시방기준을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
아야 한다.

7-14 시공 중 부대시설 7-12 시공 중 부대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 공사 중 발생되는 배수 및 갱내 조명, 환기에 이 시방은 터널 공사 중 발생되는 배수, 터널 내 조명 및 환기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시공 중 배수계획서 (1) 시공 중 배수계획서


(2) 공사 중 조명 배치계획서
(2) 공사 중 조명 배치계획서 (3) 공사 중 환기계획서

(3) 공사 중 환기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7 - 67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 시 공
3.1 시공 중 배수 3.1 시공 중 배수

3.1.1 시공 중에는 작업에 지장이 없이 갱내의 배수가 잘 되도록 조 3.1.1 시공 중에는 작업에 지장이 없이 터널 내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바

치하여야 한다. 닥면 고르기를 실시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3.1.2 시공 중 발생되는 용수, 급수 등에 대한 배수계획서를 작성하 3.1.2 시공 중 발생되는 용수는 즉시 처리되어야 하며, 용수처리 · 배수로 설치

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등을 포함하는 배수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시공 중 조명
3.2 시공 중 조명
3.2.1 막장의 직접 작업을 행하는 개소의 조명에 대해서는 70룩스 이
상이 바람직하고, 조명기구는 명암의 대비가 뚜렷하지 않아야 3.2.1 막장이나 직접 작업을 행하는 장소의 조명은 70 lux 이상이어야 하며,
조명기구는 명암의 대비가 뚜렷하지 않아야 한다.
한다.
3.2.2 통로구간에도 통행의 안전확보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해 최소 3.2.2 통로구간의 조명도 통행의 안전확보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최소한 [수정] 줄임말 수정, 단위로 표기
한 10룩스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10 lux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3.2.3 위험한 장소에 대해서는 경계표시등을 설치하고, 정전 시에 대 3.2.3 위험한 장소에 대해서는 경계표시등을 설치하고, 정전일 때를 대비하 [수정] 한글로 순화

비하여 예비전원이나 비상전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여 예비전원이나 비상전원을 설치하여야 한다.

3.3 시공 중 환기 3.3 시공 중 환기

3.3.1 위생적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하여 설계치 이상으로 갱내의 3.3.1 위생적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계값 이상으로 터널 [수정] 용어 수정, 원문의 “충분히” 불명확, 삭제

환기를 충분히 행하고 발파 후의 가스, 분진 및 기타 내연기관 내 환기를 실시하여 발파 후에 발생된 가스, 분진 및 기타 내연기관의
배기가스를 터널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의 배기가스를 배제하여야 한다.
3.3.2 계약자는 굴착 전 발파나 작업기계 등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 3.3.2 계약상대자는 굴착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발파나 작업기계 등에서 배출
에 대한 환기량, 환기기 등을 포함하는 공사 중 환기계획서를 되는 유해가스에 따른 소요 환기량, 환기설비 등을 포함하는 공사 중 환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기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3.3 원지반에서 나오는 가스, 지열 등에 주의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환기 이외의 기타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3.3 원지반에서 나오는 가스 · 지열 등에 주의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환기 이
외의 다른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7 - 68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7-15 전기 및 기계설비 7-13 전기 및 기계설비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의 전기설비 및 기계설비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터널의 전기설비 및 기계설비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전기설비 3.1 전기설비

전기설비는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 전기부문에 의한다. 전기설비는 건축전기설비공사 표준시방서 전기부문을 따른다. [수정] 문구 수정

3.2 기계설비 3.2 기계설비

기계설비는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기계부문에 의한다. 기계설비는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기계부문을 따른다. [수정] 문구 수정

7-16 공해방지 및 안전관리 7-14 공해방지 및 안전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작업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시공 중 분진, 공해방

7 - 69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지 및 안전관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작업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시공 중 분진 및 공해 방지와 안
전관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 중 분진 방지 3.1 시공 중 분진 방지

3.1.1 굴착, 버력처리, 숏크리트 등의 작업 시에는 분진이 발생하게 3.1.1 계약상대자는 굴착, 버력처리, 숏크리트 시공 등의 작업 중 발생하는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장 수정

되는데 계약자는 작업환경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분진 등의 분진에 의한 공해 방지 및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분진 등의 농도를 [수정] 계약자를 계약상대자로 통일시킴.

농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작업원의 건강 장해가 되지 않도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작업원의 건강 장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야 한다.
록 조치하여야 한다.
3.1.2 분진 장해 방지 대책으로서 계약자의 의무는 다음과 같다. 3.1.2 분진으로 인한 장해 방지 대책으로서 계약상대자의 의무는 다음과 같 [수정] 용어 수정

(1) 상시 분진작업에 종사하는 자는 분진에 의한 질병의 방지와 다.


(1) 상시 분진작업에 종사하는 자에 대해서는 분진으로 인한 질병의 방지
건강관리 실시 와 건강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완성
(2) 분진에 의한 질병의 방지 등에 관한 특별교육 실시 (2) 분진으로 인한 질병의 방지 등에 관한 특별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3) 공중에 분진농도 측정을 3개월에 1회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필 (3) 시공 중 분진농도 측정을 3개월에 1회씩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필요한 사
항을 기입한 측정기록을 7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요한 사항을 기입한 측정기록을 7년간 보존 (4) 특정 분진 발생 장소에 대해서는 국부 배기장치나 살수(撒水) 등의 조

(4) 특정분진 발생 장소에 있어서는 국부배기장치나 살수(撒水)등 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의 조치 강구
3.1.3 건설공사에서의 가스, 분진의 허용농도는 표 7-10을 원칙으로 3.1.3 터널 내부의 가스 및 분진 허용농도는 표 7-14-1을 기준으로 하며, 이
하고 초과 시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환기시설 보완 등의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표 7-14-1 공사 중 터널 내부의 가스 및 분진 허용농도(권고값) [수정] 제목 수정, 용어 수정


표 7-10 공사 시 터널내부의 가스 및 분진 허용농도(권고치)

7 - 70
제7장 터널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종 류 허 용 농 도 종 류 허 용 농 도
일산화탄소(CO) 100 ppm 일산화탄소 (CO) 100 ppm
이산화탄소(CO2) 1.5 % 이산화탄소 (CO2) 1.5 %
황화수소(H2S) 10 ppm 황화수소 (H2S) 10 ppm
메탄(CH4) 1.5 % 메탄 (CH4) 1.5 %
3.2 작업장 환경관리
3.2 작업장 환경관리
3.2.1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에 발생되는 소음, 진동, 지표침하, 갈수
등이 터널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이에 대 3.2.1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에 발생되는 소음, 진동, 지표침하, 갈수 등이 터

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널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
하여야 한다.

3.2.2 터널의 굴착에 따라 지표의 침하, 갈수 등 터널 주변에 영향을 [수정] 불필요하거나 애매한 조항(3.2.2)은 삭제하고, 터널 내 폐수처리시설에
대한 규정을 구체화시킴.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에 대해 충분히 주의하여야 한
다.
3.2.3 터널내의 지하수 및 공사용수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될 3.2.2 터널 내의 지하수 및 공사용수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

수 있으므로 탁수처리장을 설치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으므로 터널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처리하여야 하며, 터널 유출수
의 pH 및 수질오염 등에 대한 환경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 하
여야 한다.
3.3 작업장 안전관리
3.3 작업장 안전관리
계약상대자는 작업장 안전관리수칙, 화약류 취급법 등 관련 법규
를 준수함은 물론 공사현장에 적합한 내규를 작성하여 재해방지 계약상대자는 작업장 안전관리수칙, 화약류 취급법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함

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은 물론 공사현장에 적합한 내규를 작성하여 재해방지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7 - 71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제 8 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제 8 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수정] :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개정(2014. 4) 예정인 ‘아스팔트 혼합물
8-1 동상방지층 8-1 동상방지층 생산 및 시공 지침’의 기층 부분의 내용을 추가 포함 수록
8-2 보조기층 8-2 보조기층
8-3 입도조정기층 8-3 입도조정기층
8-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8-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자문] 본문 내용에 맞게 목차 수정
8-6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8-5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8-7 품질관리 및 검사 8-6 품질관리 및 검사 [수정] 본문 중복, 내용 삭제

8-1 동상방지층 8-1 동상방지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동결융해작용으로 인한 포장파손을 방지하기 이 시방은 동결융해작용으로 인한 포장파손을 방지하기 위 [수정] 시방 및 공을 공사로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하여 노상 상층부를 이루는 동상방지층공에 적용한다. 하여 노상 상층부를 이루는 동상방지층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당량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당량 시험방법

8 - 1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 2.1 재료의 품질

동상방지층 재료는 쇄석, 하상골재, 슬래그, 스크리닝스 또는 동상방지층 재료는 쇄석 · 하천골재(자갈, 모래)· 슬래그 · 스 [수정] 용어 통일, 가운데 점 사용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점토, 실트, 크리닝스 또는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은 비동결 재료이어야 하며, 표 서, 점토 · 실트 · 유기불순물 등을 포함하지 않은 비동결 재
8-1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료이어야 하며, 표 8-1-1 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자문] 자구 수정
표 8-1 동상방지층 재료의 품질기준 표 8-1-1 동상방지층 재료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소성지수 KS F 2303 10 이하 골재최대치수(mm) 100 이하

모래당량 (%) KS F 2340 20 이상 0.08㎜ 통과율(%) KS F 2511 8 이하

수정 CBR치 (%) KS F 2320 10 이상 유효입경, D10(mm)


2 mm 통과율(%)
0.1㎜ 이상
45 이하 [자문] 수정
소 성 지 수 (%)
모 래 당 량 (%)
KS F 2303
KS F 2340
10 이하
20 이상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표 내용 수정
수정 CBR 값 (%) KS F 2320 10 이상

2.2 재료의 입도 2.2 재료의 입도

동상방지층에 사용될 재료는 골재의 최대치수가 100 ㎜ 이하 동상방지층에 사용될 재료는 골재의 최대치수가 100 mm 이 [자문] 수정
로서 4.76 ㎜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30∼70%의 범위이고, 하로써 4.76 mm 체의 통과 중량 백분율이 30 % ∼ 70 %의 [수정] 숫자 및 단위사이 띄어쓰기
0.08 ㎜체 통과분이 15% 이하인 범위에서 적절한 입도를 유지 범위이고, 0.08 mm 체 통과분이 8 % 이하인 범위에서 적절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국토부 지침 참조
하여야 한다. 단, 현지 재료의 활용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입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단, 현지 재료의 활용 및 경제성 등
보조기층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을 고려하여 보조기층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2.3 재료의 승인, 채취, 저장 및 시험
2.3 재료의 승인, 채취, 저장 및 시험
이 시방서 8-2절 2.3, 2.4, 2.5에 따른다.
이 시방서 8-2절 2.3, 2.4, 2.5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동상방지층 시공 이전에 노상표면의 먼지 · 점토 · 유기물 ·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동상방지층 시공 이전에 노상표면의 먼지, 점토, 유기물, 기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8 - 2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3.2 포 설
3.2 포 설
동상방지층의 포설은 다짐 후 1층의 두께가 200 mm를 넘
동상방지층의 포설은 다짐 후 1층의 두께가 200 ㎜를 넘지 지 않도록 재료의 입도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포설하여야 [수정] 골재분리 방지를 위한 내용 구체화
않도록 균일하게 깔아야 한다. 한다.
3.3 다 짐
3.3 다 짐
3.3.1 다짐작업은 도로의 바깥쪽에서 시작하되 길어깨부를 겹쳐서
3.3.1 다짐작업은 도로의 바깥쪽에서 시작하되 길어깨부를 겹쳐서 다 다짐하여 도로의 중심선 쪽으로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 [수정] 자구 수정
짐하여 도로의 중심선 쪽으로 중심선에 평행방향으로 진행하 행하며, 진동 및 타이어 롤러의 후륜폭의 반폭이 선행 다짐 면
며, 롤러의 후륜폭의 반폭이 선행 다짐 면에 겹치도록 하고, 후 에 겹치도록 하고, 후륜이 전 표면을 다져나가도록 한다.
륜이 전 표면을 다져나가도록 한다. 3.3.2 편경사구간에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지되 낮은 [수정] 자구 수정 : 얕은 ⇒ 낮은, 단위사이 띄어쓰기
3.3.2 편경사구간에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지되 얕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동상방지층은 KS F
쪽에서 높은 쪽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동상방지층은 KS F 2312의 E 다짐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 이상으로
2312의 E 다짐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이상으로 다 다져야 하며, 다짐작업 중 함수비는 상기 시험에서 정하여진
져야 하며, 다짐작업 중 함수비는 상기 시험에서 정하여진 최 최적함수비의 ±2 % 범위 이내로 유지되고 있는지 감독자의
적함수비의 ±2% 범위 이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확인을 받아야 한다..
3.3.3 현장다짐밀도를 평판재하 시험결과로 확인할 때에는 아스팔트
3.3.3 현장다짐밀도를 평판재하 시험결과로 확인할 때에는 아스팔트 포장공인 경우 침하량 2.5 mm에서 지지력계수(K30) 294 MN/
포장공인 경우 침하량 2.5 ㎜에서 지지력계수(K30) 294MN/㎥(30 ㎥(30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포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인 장공인 경우 침하량 1.25 mm에서 지지력계수(K30) 196 MN/
경우 침하량 1.25㎜에서 지지력계수(K30) 196MN/㎥ (20㎏f/㎤) ㎥ (20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3.3.4 최종 다짐된 동상방지층의 다짐도에 대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신설] : 도로공사의 기본적인 표준시방서에 수록된 내용에서 세부 다
받아야 한다. 짐관리 절차로서 감독자에 의한 다짐도의 확인 내용을 추가. -
현행 ‘고속도로 전문시방서’ 내용 반영
3.4 마무리

3.4 마무리 3.4.1 완성된 동상방지층은 설계도면에 표시된 경사 및 횡단면과 일


완성된 동상방지층은 설계도면에 표시된 경사 및 횡단면과 치하여야 하며, 계획고와의 차이는 ± 30 mm 이하이어야 한다.
일치하여야 하며, 계획고와의 차이는 30 ㎜ 이하이어야 한 완성된 표면의 높이가 과다한 곳은 높이를 조정 한 후 소요
다. 완성된 표면의 높이가 과다한 곳은 다시 깎아 소요 밀 밀도가 되도록 재다짐 하여야 한다.

8 - 3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도가 되도록 재다짐 하여야 한다. 3.4.2 완성된 표면의 두께가 설계두께보다 ±10 % 이상의 차이가 발 [신설] : 시공 마무리 과정에서 시공 및 설계두께의 오차범위 설정과
생한 구간은 표면을 80 mm 이상 긁어 일으켜 소요두께가 되 문제 발생 시 보정절차에 대해 세부적인 사항을 현행
도록 재료를 보충하거나 과잉재료를 제거한 후 다짐밀도가 확 ‘고속도로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반영하여 추가
보되도록 다시 다짐하여 마무리 한 후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자구 수정(한글화)
야 한다.
3.4.3 동상방지층 시공후 우천 등으로 노면손상이 있는 경우와 동절 [자문] 「도로 동상방지층 설계지침, 국토교통부」반영하여 항목 추가
기를 경과한 경우 또는 3개월 이상 방치한 경우에는 마무리
다짐 및 점검을 재실시하여야 한다.
8-2 보조기층 8-2 보조기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마무리된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면 상의 보 이 시방은 마무리된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면 위의 보조 [수정] 문구 수정 [자문] 수정
조기층공사에 적용한다. 기층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당량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당량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35 도로용 철강 슬래그 KS F 2535 도로용 철강 슬래그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 2.1 재료의 품질

8 - 4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보조기층 재료는 견고하고, 내구적인 부순 돌, 자갈, 모래, 보조기층 재료는 견고하고 내구적인 쇄석 ·하천골재(자갈, [수정] 용어 통일, 가운데 점 사용
슬래그, 스크리닝스 기타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 또는 이들 모래) · 슬래그 · 스크리닝스 기타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 또
의 혼합물로 점토질, 실트, 유기불순물, 기타 유해물을 함유 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점토질 · 실트 · 유기불순물 · 기타 유
하여서는 안 되며, 표 8-2의 품질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 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되며, 표 8-2-1의 품질기준에 맞는
다. 재료의 외형은 비교적 균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 것이어야 한다. 재료의 외형은 비교적 균일한 형상을 가지
며, 골재원의 선정 및 변경은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고 있어야 하며, 골재원의 선정 및 변경은 감독자의 사전승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표 8-2 보조기층 재료의 품질기준 표 8-2-1 보조기층 재료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액성한계 KS F 2303 25 이하 액성한계 KS F 2303 25 이하
소성지수 KS F 2303 6 이하 소성지수 KS F 2303 6 이하
마 모 감 량 (%) KS F 2508 50 이하 마 모 감 량 (%) KS F 2508 50 이하
수정 CBR치 (%) KS F 2320 30 이상 수정 CBR값 (%) KS F 2320 30 이상 [자문] 한글로 순화
모래당량 KS F 2340 25 이상 모래당량 KS F 2340 25 이상
주)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는 보조기층의 수정 CBR치를 50이상으 주)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는 보조기층의 수정 CBR값을 50이상으 [자문] 한글로 순화
로 한다. 로 한다.

2.2 재료의 표준입도 2.2 재료의 표준입도

보조기층 재료의 입도는 원칙적으로 표 8-3의 범위 내에 있 보조기층 재료의 입도는 표 8-2-2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 [수정] “원칙적으로” 삭제, 명확한 의미로 자구 수정, 단위 띄어쓰기
어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표 8-3의 다.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표 8-2-2의 입도
입도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단, 현지 골재수급 조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현지 골재수급 [수정] 자구 수정
건이 나쁜 경우 1층 시공두께의 1/2 이하로 최대치수 100 조건이 나쁜 경우 1층 시공두께의 1/2 이하로 최대치수 100
㎜ 까지의 재료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할 수 있다. mm 까지의 재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할 수 있 [수정] 자구 수정
보조기층 재료용 세골재로 스크리닝스를 사용할 경우 스크 다. 보조기층 재료용 세골재로 스크리닝스를 사용할 경우
리닝스의 혼합비율은 혼합골재 중량의 30%이내이어야 하 스크리닝스의 혼합비율은 혼합골재 중량의 30 % 이내이어 [수정] 띄어쓰기 수정
며, 합성골재의 0.08 ㎜ 통과율은 5%이내이어야 한다. 야 하며, 합성골재의 0.08 mm 통과율은 5 % 이내이어야 한
다.
표 8-3 보조기층 재료의 입도 표 8-2-2 보조기층 재료의 입도

8 - 5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입도 통 과 중 량 백 분 율 (%) 입도 통 과 중 량 백 분 율 (%)
번호 75 ㎜ 50 ㎜ 40 ㎜ 20 ㎜ 5 ㎜ 2 ㎜ 0.4 ㎜ 0.08 ㎜ 번 호 75 ㎜ 50 ㎜ 40 ㎜ 20 ㎜ 5 ㎜ 2 ㎜ 0.4 ㎜ 0.08 ㎜
SB-1 100 - 70-100 50-90 30-65 20-55 5-25 0-10 SB-1 100 - 70∼100 50∼90 30∼65 20∼55 5∼25 0∼10
SB-2 - 100 80-100 55-100 30-70 20-55 5-30 0-10 SB-2 - 100 80∼100 55∼100 30∼70 20∼55 5∼30 0∼10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자문] 본문 내용과 일치하는 용어 사용


2.3.1 계약상대자는 보조기층 재료의 시료 및 시험결과를 감독자에게 2.3.1 계약상대자는 보조기층 재료의 시료 및 시험결과를 감독자에게 [수정] 자구 수정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재료가 이 시방서의 규정에 합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제출 시료가 이 시방의 규정에 합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확인시험은 감독자가 실시하거나,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 위한 확인시험은 감독자가 실시하거나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
뢰하여 실시한다. 뢰하여 실시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2.3.2 시공 중 시공관리를 위한 시료채취장의 선정은 감독자 입회 하 2.3.2 시공 중 시공관리를 위한 시료채취장의 선정은 감독자 입회하
에 계약상대자가 테스트 피트(test pit), 보링(boring)에 의하여 에 계약상대자가 테스트 피트(test pit), 보링(boring)에 의하여
실시하며, 기존 생산공장인 경우는 생산중의 재료에서 채취하 실시하며, 기존 생산공장인 경우는 생산 중의 재료에서 채취하
여 제출한 시료에 대하여 실시한 시험결과에 의해 판정하고, 여 제출한 시료에 대하여 실시한 시험결과에 의하여 판정하고,
시료 채취장을 조사한 후 감독자가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시료 채취장을 조사한 후 감독자가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2.3.3 재료의 승인을 위한 시료채취는 재료의 생산 중 감독자의 입회 2.3.3 재료의 승인을 위한 시료채취는 재료의 생산 중 감독자의 입
하에 실시하고, 감독자가 봉인한다. 회하에 실시하고, 감독자가 봉인한다.
[수정] 용어 수정
2.4 재료의 채취 및 생산 2.4 재료의 채취 및 생산

2.4.1 보조기층 쇄석재료는 석산의 벌개제근, 표토깎기를 하고 발파 2.4.1 보조기층 쇄석재료는 석산의 벌개제근, 표토깎기를 하고 발파
한 후 파쇄하여 체가름, 골재 혼합 기타의 처리를 하여 시방서 한 후 파쇄하여 체가름, 골재 혼합 등 기타의 처리를 하여 시 [수정] 자구 및 문구 수정, [자문] 임지 ⇒ 임시
규정에 맞는 재료를 생산하여야 한다. 방 규정에 맞는 재료를 생산하여야 한다.
2.4.2 하천골재를 보조기층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수비 과다를 2.4.2 하천골재를 보조기층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수비 과다를
고려하여 골재를 집적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운반하여 사 고려하여 골재를 강우, 강설에 영향이 없도록 임시적치장에 쌓
용하여야 한다. 아두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운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4.3 시방규정에 맞는 보조기층 재료를 얻기 위하여 재료의 채취방 2.4.3 시방규정에 맞는 보조기층 재료를 얻기 위하여 재료의 채취방
법, 체가름, 혼합 등의 처리방법을 변경 또는 수정할 필요가 있 법, 체가름, 혼합 등의 처리방법을 변경 또는 수정할 필요가
을 때는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 있을 때는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필요한 조치를

8 - 6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여야 한다. 취하여야 한다.
2.4.4 사용할 재료의 채취장은 이 시방서 1-3절 1.7 및 설계도서의 규 2.4.4 사용할 재료의 채취장은 이 시방서 1-3절 1.7 및 설계도서의
정에 따라 정지하고 필요할 경우 녹화하여야 한다. 규정에 따라 정지하고 필요할 경우 녹화하여야 한다.
2.5 재료의 저장 2.5 재료의 저장

2.5.1 재료의 저장장소는 우선 평탄하게 고르고, 깨끗이 청소하여 이 2.5.1 재료의 저장장소는 우선 평탄하게 고르고 깨끗이 청소하여 이
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과다하게 함수되지 않도 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과다하게 함수되지 않도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수정
록 특히 저장장소의 배수에 주의하여야 한다. 록 특히 저장장소의 배수에 주의하여야 한다.
2.5.2 골재원이나 재료의 성질이 다를 경우에는 종류별로 나누어 저 2.5.2 골재원이나 재료의 성질이 다를 경우에는 종류별로 나누어 저
장하고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장하고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5.3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하며, 먼지 기타 유해물 2.5.3 재료분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하며, 먼지 기타 유해
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보조기층은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의 완성면 검측 후에 포설 3.1.1 보조기층은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의 완성면 검측 후에 포설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2 보조기층은 이 시방서 토공에 관한 규정 및 동상방지층에 관한 3.1.2 보조기층은 이 시방서 토공에 관한 규정 및 동상방지층에 관
3.4의 규정에 따라 완료된 완성면 위에 포설하여야 한다. 한 3.4의 규정에 따라 완료된 완성면 위에 포설하여야 한다.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자구 수정
3.1.3 보조기층은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에 점토 등 기타 불순물이 3.1.3 보조기층은 노상면 또는 동상방지층에 점토 등 기타 불순물이
있거나 동결상태에 있을 때에는 포설해서는 안 된다. 있거나 동결상태에 있을 때에는 포설하여서는 안 된다.
3.1.4 노상면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또는 필요한 3.1.4 노상면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또는 필요한
경우 치환 등을 실시하여 공사시방서에 맞는 노상면을 준비하 경우 치환 등을 실시하여 공사시방서의 시방규정에 적합한 노
여야 한다. 상면을 준비하여야 한다.
3.2 재료의 혼합 3.2 재료의 혼합

3.2.1 보조기층 재료는 규정입도 및 시방에 맞도록 혼합한 후 감독자 3.2.1 보조기층 재료는 규정 입도 및 시방에 맞도록 혼합한 후 감독 [수정] 자구 수정
의 승인을 받아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자의 승인을 받아 현장에 반입하여야 한다.

8 - 7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2 혼합된 보조기층 재료는 입도가 균질하여야 하며, 적정한 함수 3.2.2 혼합된 보조기층 재료는 입도가 균질하여야 하며, 적정한 함수
비를 가지고 있어 재료의 저장, 운반 및 포설 중 재료분리가 비를 가지고 있어 재료의 저장, 운반 및 포설 중 재료분리가 [수정] 한글로 순화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3 보조기층 재료를 현장에서 혼합할 경우에는 혼합방법 등을 감 3.2.3 보조기층 재료를 현장에서 혼합할 경우에는 혼합방법 등을 감
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득한 후 반입하여야 한다. 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반입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3 포 설 3.3 포 설

3.3.1 보조기층 재료의 운반, 포설 및 다짐 시에는 적정한 함수비를 3.3.1 보조기층 재료는 운반, 포설 및 다짐 과정에서 적정한 함수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가 유지되도록 한다.
3.3.2 포설에 사용하는 장비는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장비이어야 3.3.2 포설에 사용하는 장비는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장비이어
한다. 다만, 포설 장비가 들어갈 수 없는 협소한 지역에서는 감 야 한다. 다만, 포설 장비가 들어갈 수 없는 협소한 지역에서
독자의 승인을 받아 인력 또는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포설할 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인력 또는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포
수 있다. 설할 수 있다.
3.3.3 보조기층 재료의 포설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200 ㎜를 넘지 3.3.3 보조기층 재료의 포설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200 mm를 넘
않도록 재료를 균일하게 포설하여야 한다. 지 않도록 재료를 균일하게 포설하여야 한다.
3.3.4 보조기층은 다음 공종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연장을 완 3.3.4 보조기층은 다음 공종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연장을
성하여두어야 한다. 완성하여 두어야 한다.
3.4 다 짐 3.4 다 짐

3.4.1 보조기층의 다짐은 머캐덤 롤러, 탄뎀 롤러, 진동 롤러 또는 타 3.4.1 보조기층의 다짐은 머캐덤 롤러, 탄뎀 롤러, 진동 롤러 또는 [수정] 띄어쓰기
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다짐을 시행하여 타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다짐을 시행하
야 한다. 여야 한다.
3.4.2 다짐은 KS F 2312의 E 다짐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3.4.2 다짐은 KS F 2312의 E 다짐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의 95 % [수정] 띄어쓰기
95% 이상으로 다져야하며, 다짐작업 중 함수비는 상기 시험에 이상으로 다져야 하며, 다짐작업 중 함수비는 상기 시험에서 정하
서 정하여진 최적함수비의 ±2% 범위 이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여진 최적함수비의 ±2 % 범위 이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3.4.3 다짐은 길어깨쪽에서 도로의 중심선쪽으로 시행하며, 전회 다 3.4.3 다짐은 길어깨 쪽에서 도로의 중심선 쪽으로 시행하며, 전회
짐한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서 다져야 한다. 다짐한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서 다져야 한다.
3.4.4 다짐도를 알기 위한 현장밀도시험은 KS F 2311에 따라 측정한 3.4.4 다짐도를 알기 위한 현장밀도시험은 KS F 2311에 따라 측정
다. 한다.

8 - 8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4.5 현장다짐밀도를 평판재하 시험결과로 확인할 때에는 아스팔트 3.4.5 현장다짐밀도를 평판재하 시험결과로 확인할 때에는 아스팔트
포장공사인 경우 침하량 2.5㎜에서 지지력계수(K30) 294MN/㎥ 포장공사인 경우 침하량 2.5 mm에서 지지력계수(K30) 294
(30㎏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 MN/㎥(30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하며, 시멘트 콘크리 [수정] 단위 띄어쓰기, SI 단위 수정
사인 경우 침하량 1.25㎜에서 지지력계수(K30) 196MN/㎥ (20 트 포장공사인 경우 침하량 1.25 mm에서 지지력계수(K30) 196 [자문] 어법에 맞게 수정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MN/㎥(20 ㎏f/㎤)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3,4,6 복륜하중 5t이상 타이어 접지압 5.6t/㎡ 이상인 타이어 로울러 3.4.6 복륜하중 5 t 이상 타이어 접지압 549 kN/m3 이상인 타이어
또는 덤프 트럭(14t이상 트럭에 토사 또는 골재 만재하여 사용) 로울러 또는 덤프 트럭(14 t 이상 트럭에 토사 또는 골재를 만
을 전 구간 3회 주행시켜, 비교적 큰 변형이 관찰되는 곳을 표 재하여 사용)을 전 구간 3회 주행시켜, 비교적 큰 변형이 관찰
시하여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한다. 되는 곳을 표시하여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한다.
3.5 마무리 3.5 마무리

3.5.1 보조기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 경사대로 정확히 마무 3.5.1 보조기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경사대로 정확히 마무
리하여야 한다. 리하여야 한다.
3.5.2 보조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보다 30㎜ 이상 차이가 있어서 3.5.2 보조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보다 ± 30 mm 이상 차이가 있
는 안 된다. 3m의 직선자로 도로중심선에 평행 또는 직각으로 어서는 안 된다. 3 m의 직선자로 도로중심선에 평행 또는 직
측정할 때 아스팔트 포장은 20㎜, 콘크리트 포장은 10㎜ 이상 각으로 측정할 때 아스팔트 포장은 20 mm, 콘크리트 포장은
의 요철이 있어서는 안 되며, 새로운 측정은 이미 측정이 끝난 10 mm 이상의 요철이 있어서는 안 되며, 새로운 측정은 이미
부분에 직선자를 반씩 겹쳐 측정하여야 한다. 측정이 끝난 부분에 직선자를 반씩 겹쳐 측정하여야 한다.
[자문] 변경 근거는?
3.6 두께 측정 3.6 두께 측정 ⇒ 한국도로공사 전문시방서의 관련 항목의 측정간격 반영한 사항임
3.6.1 완성된 보조기층의 두께측정은 커터(cutter)로 자르거나 구멍을 3.6.1 완성된 보조기층의 두께측정은 커터(cutter)로 자르거나 구멍
파서 측정한다. 매 3,000㎡에 1개공 이상, 또는 1일 포설량이 을 파서 측정한다. 매 1,000 ㎡에 1개공 이상, 또는 1일 포설량
3,000㎡ 미만일 경우 1일 1회 이상 두께측정을 하여야 하며, 측 이 1,000 ㎡ 미만일 경우 1일 1회 이상 두께측정을 하여야 하
정두께가 설계두께보다 10% 이상 차이가 생기는 구간은 표면 며, 측정두께가 설계두께보다 10 % 이상 차이가 생기는 구간
을 80㎜ 이상 긁어 일으켜 재료를 보충하거나 또는 제거하고, 은 표면을 80 mm 이상 긁어 일으켜 재료를 보충하거나 또는
소요 두께가 되도록 다시 다져야 한다.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 제거하고, 소요 두께가 되도록 다시 다져야 한다. 이에 소요되
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는 공사비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3.6.2 두께 측정을 위한 시험용 코아채취 보링 부분도 계약상대자 부 3.6.2 두께 측정을 위한 시험용 코아채취 보링 부분도 계약상대자
담으로 원상복구하여야 한다. 부담으로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8 - 9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7 유지관리 3.7 유지관리

3.7.1 시공기간 중 보조기층은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3.7.1 시공기간 중 보조기층은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손상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손상 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3.7.2 보조기층 마무리 면은 기층을 포설하기 전에 적절한 함수비를 3.7.2 보조기층 마무리 면은 기층을 포설하기 전에 적절한 함수비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3.7.3 완성된 보조기층 면 위를 공사용 차량이 왕래하였거나, 보조기 3.7.3 완성된 보조기층 면 위를 공사용 차량이 왕래하였거나 보조기
층 완성 후 강우, 강설 등의 기상변화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 층 완성 후 강우· 강설 등의 기상변화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
기타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재시험을 실시하 기타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재시험을 실시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7.4 시험결과 불합격되었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따라 계약상대자 3.7.4 시험결과 불합격되었을 경우에는 이 시방서에 따라 계약상대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자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8-3 입도조정기층 8-3 입도조정기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보조기층 위에 시공하는 입도조정기층공에 적 이 시방은 보조기층 위에 시공하는 입도조정기층 공사에 [수정] 자구, 용어 수정
용한다.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방법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11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방법

8 - 10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방법
KS F 2525 도로용 부순 골재 KS F 2525 도로용 부순 골재
KS F 2535 도로용 철강 슬래그 KS F 2535 도로용 철강 슬래그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 2.1 재료의 품질


[수정] 용어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입도조정기층 재료는 내구적인 부순돌, 부순자갈 등을 모 입도조정기층 재료는 내구적인 쇄석 등을 모래 · 스크리닝
래, 스크리닝스 혹은 기타 적당한 재료와 혼합한 것, 슬래 스 혹은 기타 적당한 재료와 혼합한 것, 슬래그, 기타 감독 [수정] 가운데 점 사용
그, 기타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로서 점토, 유기불순물, 먼지 자가 승인한 재료로서, 점토 · 유기불순물 · 먼지 등 유해량
등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재료는 4.76 ㎜체에 남 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재료는 4.76 mm 체에 남는 것 중
는 것 중 중량으로 70% 이상의 것이 적어도 2개의 파쇄면 중량으로 70 % 이상의 것이 적어도 2개의 파쇄면을 가져야
을 가져야 하며, 표 8-4에 표시하는 품질기준에 맞는 것이 하며, 표 8-3-1에 표시하는 품질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어야 한다.
표 8-4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품질기준 표 8-3-1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소성지수 KS F 2303 4 이하 소성지수 KS F 2303 4 이하[자문] 한글로 순화
수정 CBR치 (%) KS F 2320 80 이상 수정 CBR값 (%) KS F 2320 80 이상
마 모 감 량 (%) KS F 2508 40 이하 마 모 감 량 (%) KS F 2508 40 이하
안 정 성 (%) KS F 2507 20 이하 안 정 성 (%) KS F 2507 20 이하
주 1) 시험에 사용되는 시료의 입경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주 1) 시험에 사용되는 시료의 입경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수정] 한글로 순화
2) 슬래그는 제조 후 출하 시에 정색판정시험에 따라 수침에 의한 황탁수 2) 슬래그는 제조 후 출하할 때에 정색판정시험에 따라 수침에 의한 황탁
및 황화수소 냄새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수 및 황화수소 냄새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도로용 철강슬래그는 KS F 2535의 규정에 따른다. 3) 도로용 철강슬래그는 KS F 2535의 규정에 따른다.

2.2 재료의 표준입도 2.2 재료의 표준입도


[수정] “원칙적으로” 삭제, 자구 수정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표준입도는 원칙적으로 표 8-5의 범위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표준입도는 표 8-3-2의 범위 내에 들어
에 들어야 한다. 야 한다. 그 밖의 입도를 사용하는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8 - 11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그 밖의 입도를 사용하는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받아야 한다.
한다.
표 8-5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표준입도 표 8-3-2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표준입도

체크기 통 과 중 량 백 분 율 (%) 체크기 통 과 중 량 백 분 율 (%)


입도번호 50 ㎜ 40 ㎜ 25 ㎜ 20 ㎜ 5 ㎜ 2.5 ㎜ 0.4 ㎜ 입도번호 50 ㎜ 40 ㎜ 25 ㎜ 20 ㎜ 5 ㎜ 2.5 ㎜ 0.4 ㎜
B-1 100 95-100 - 60-90 30-65 20-50 10-30 B-1 100 95-100 - 60-90 30-65 20-50 10-30
B-2 - 100 80-95 60-90 30-65 20-50 10-30 B-2 - 100 80-95 60-90 30-65 20-50 10-30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이 시방서 8-2절 2.3에 따른다. 이 시방서 8-2절 2.3에 따른다.


2.4 재료의 채취 2.4 재료의 채취

이 시방서 8-2절 2.4에 따른다. 이 시방서 8-2절 2.4에 따른다.


2.5 재료의 저장 2.5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8-2절 2.5에 따른다. 이 시방서 8-2절 2.5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입도조정기층 시공 전에 보조기층 면의 먼지, 점토, 유기물, 기 3.1.1 입도조정기층 시공 전에 보조기층 면의 먼지· 점토· 유기물·
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3.1.2 보조기층 면이 동결상태에 있을 때는 포설해서는 안 되며, 보조 3.1.2 보조기층 면이 동결상태에 있을 때는 포설해서는 안 되며, 보
기층 면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등을 실시하 조기층 면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등을 실시
여 공사시방서에 맞는 보조기층 면을 준비하여야 한다. 하여 공사시방서의 시방규정에 적합한 보조기층 면을 준비하 [수정] 문구 수정
여야 한다.
3.2 재료의 혼합 3.2 재료의 혼합

이 시방서 8-2절 3.2에 따른다. 이 시방서 8-2절 3.2에 따른다.

8 - 12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 포 설 3.3 포 설
[수정] 한글로 순화
3.3.1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운반, 포설 및 다짐 시에는 적정한 함수 3.3.1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운반, 포설 및 다짐을 할 때에는 적정한
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함수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3.2 포설에 있어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다짐 후 1층의 3.3.2 포설에 있어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고, 다짐 후 1층의
마무리 두께가 150㎜를 넘지 않도록 균일하게 포설하여야 한 마무리 두께가 150 mm를 넘지 않도록 균일하게 포설하여야
다. 한다.
3.4 다 짐 3.4 다 짐

3.4.1 입도조정기층의 다짐은 머캐덤 롤러, 탄뎀 롤러, 진동 롤러 또 3.4.1 입도조정기층의 다짐은 머캐덤 롤러, 탄뎀 롤러, 진동 롤러 또
는 타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는 타이어 롤러를 이용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한다.
3.4.2 다짐은 KS F 2312의 D방법 또는 E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 3.4.2 다짐은 KS F 2312의 D방법 또는 E방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 [수정] 단위 띄어쓰기
도의 95% 이상으로 다져야 한다. 도의 95 % 이상으로 다져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3.4.3 다짐은 길어깨쪽에서 도로의 중심선쪽으로 시행하며, 전회 다 3.4.3 다짐은 길어깨 쪽에서 도로의 중심선 쪽으로 시행하며, 전회
짐한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서 다져야 한다. 다짐한 부분을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서 다져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4.4 다짐 시의 함수비는 3.4.2항에서 구한 최적함수비 또는 감독자 3.4.4 다짐할 때의 함수비는 3.4.2항에서 구한 최적함수비 또는 감독
가 지시하는 함수비로 한다. 자가 지시하는 함수비로 한다.
3.4.5 다짐도를 알기 위한 현장밀도시험은 KS F 2311에 따라 측정한 3.4.5 다짐도를 알기 위한 현장밀도시험은 KS F 2311에 따라 측정
다. 한다.
3.4.6 입도조정기층의 마무리에 앞서 기층 표면 전체에 걸쳐 감독자 3.4.6 입도조정기층의 마무리에 앞서 기층 표면 전체에 걸쳐 감독자
의 승인을 받은 타이어 롤러로 적어도 3회 이상 프루프롤링 의 승인을 받은 타이어 롤러로 적어도 3회 이상 프루프롤링
(proof rolling)을 실시하여야 한다. 프루프롤링에 사용하는 타 (proof rolling)을 실시하여야 한다. 프루프롤링에 사용하는 타 [수정] 단위 띄어쓰기
이어 롤러의 복륜하중은 5t 이상, 타이어 접지압은 549kN/㎡ 이어 롤러의 복륜하중은 5 t 이상, 타이어 접지압은 549 kN/
(5.6㎏f/㎠)이어야 한다. 프루프롤링 결과 발견된 기층의 불량 ㎡ (5.6 ㎏f/㎠)이어야 한다. 프루프롤링 결과 발견된 기층의 [자문] 비용부담 한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수정(문장 추가)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재시공한다. 불량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재시공한다.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3.5 마무리 3.5 마무리

8 - 13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5.1 입도조정기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 경사대로 정확히 3.5.1 입도조정기층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종․횡단경사대로 정확히
마무리하여야 한다. 마무리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3.5.2 입도조정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보다 30㎜ 이상 차이가 있 3.5.2 입도조정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보다 30 mm 이상 차이가
어서는 안 된다. 또 20m 이내의 임의의 2점에서 계획고보다 15 있어서는 안 된다. 또 20 m 이내의 임의의 2점에서 계획고보
㎜ 이상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도로중심선에 평행 또는 직 다 15 mm 이상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도로중심선에 평행
각으로 3m 직선자를 대어서 측정할 때 가장 들어간 곳의 깊이 또는 직각으로 3 m 직선자를 대어서 측정할 때 가장 들어간
가 10 ㎜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측정은 이미 측정한 곳에 곳의 깊이가 10 mm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측정은 이미
직선자를 절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한 곳에 직선자를 절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
다.
3.6 두께측정 3.6 두께측정

3.6.1 완성된 입도조정기층의 두께측정은 커터(cutter)로 자르거나 구 3.6.1 완성된 입도조정기층의 두께측정은 커터(cutter)로 자르거나 [수정] 단위 띄어쓰기
멍을 파서 측정한다. 매 2,000㎡에 1개공 이상씩 두께측정을 하 구멍을 파서 측정한다. 매 2,000 ㎡에 1개공 이상씩 두께측정
여야 하며, 측정두께가 설계두께보다 10% 이상 차이가 생기는 을 하여야 하며, 측정두께가 설계두께보다 10 % 이상 차이가
구간은 표면을 50㎜ 이상 긁어 일으켜 재료를 보충하거나 또 생기는 구간은 표면을 50 mm 이상 긁어 일으켜 재료를 보충
는 제거하고 소요두께가 되도록 다시 다져야 한다. 이에 소요 하거나 또는 제거하고 소요두께가 되도록 다시 다져야 한다.
되는 공사비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3.6.2 두께측정을 위한 시험용 코아채취 보링 부분도 계약상대자 부 3.6.2 두께측정을 위한 시험용 코아채취 보링 부분도 계약상대자 부
담으로 원상복구하여야 한다. 담으로 원상 복구하여야 한다.
3.7 유지관리 3.7 유지관리

3.7.1 시공기간 중 입도조정기층은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3.7.1 시공기간 중 입도조정기층은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손상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하며, 손상 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3.7.2 입도조정기층 마무리 면은 중간층이나 표층을 포설하기 전에 3.7.2 입도조정기층 마무리 면은 중간층이나 표층을 포설하기 전에
적절한 함수비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적절한 함수비를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3.8 시험포장
3.8 시험포장
[수정] 용어 통일
3.8.1 계약상대자는 입도조정기층공 시공에 앞서서 공사에 사용할 재 3.8.1 계약상대자는 입도조정기층공사 시공에 앞서서 공사에 사용할
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포장을 실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
시하여야 한다.

8 - 14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여야 한다. 3.8.2 시험포장 면적은 1,000 ㎡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 [수정] 단위 띄어쓰기, 가운데 점 사용
3.8.2 시험포장 면적은 1,000㎡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께· 재료분리 여부· 포설 및 다짐 방법 등을 검토한다.
재료분리 여부, 포설 및 다짐 방법 등을 검토한다. 3.8.3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재료배합 등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 [자문] 문맥에 맞게 수정
3.8.3 시험포장을 실시한 장소, 재료배합 등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 의한 후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의한 후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협의하여야 한다.
8-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8-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공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공사 용어 수정 반영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수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름에 대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름에
한 저항력 시험방법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방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박리 시험방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박리 시험방법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6 역청 포장용 혼합물의 이론적 최대비중 및 밀도 시 KS F 2366 역청 포장용 혼합물의 이론적 최대비중 및 밀도 시
험방법 험방법

8 - 15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법 및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법
밀도 시험방법 및 밀도 시험방법
KS F 2384 다져지지 않은 잔골재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84 다져지지 않은 잔골재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010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시험 방법
KS F 2392 회전 점도계를 이용한 아스팔트의 점도 시험 방법
KS F 2393 동적 전단 유변 물성 측정기를 이용한 아스팔트의
유변 특성 시험방법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기준
2.1 재료의 품질기준
2.1.1 아스팔트
2.1.1 아스팔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2201 또 [수정] 관련 지침 내용 포함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2201에 는 국토교통부 관련 지침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 시방서 15-2
적합한 것으로서 이 시방서 15-2에 따른다. 사용할 아스팔트의 에 따른다. 사용할 아스팔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2.1.2 골 재
2.1.2 골 재 사용할 골재는 견고하고 내구적인 쇄석· 자갈· 슬래그· 모래·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문구 수정
사용할 골재는 견고하고 내구적인 쇄석, 자갈, 슬래그, 모래, 석 석분 및 기타 재료로 하며, 이들의 혼합물에는 점토· 유기불순
분 및 기타 재료로 하며, 이들의 혼합물에는 점토, 유기불순물, 물· 먼지 기타 유해물이 함유되어서는 안 된다. 쇄석 및 자갈
먼지 기타 유해물이 함유되어서는 안 된다. 쇄석 및 자갈은 표 은 표면이 깨끗하고, 모양은 너무 편평하고 세장한 조각이 없
면이 깨끗하고 모양은 너무 편평하고 세장한 조각이 없어야 하 어야 하며, 표 8-4-1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며, 표 8-6에 맞아야 한다.
표 8-4-1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표 내용 국토부 지침대로 수정

8 - 16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8-6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잔골재 준 모래당량 (%)
잔골재 입형시험 (%)
KS F 2340
KS F 2384
50 이상
45 이상
잔골재 모래당량
잔골재 입형시험
KS F 2340
KS F 2384
50 이상 마모율 (%)
45 이상 안정성 (%) KS F 2508 40 이하
KS F 2507 12 이하
마모감량 (%) KS F 2508 40 이하
굵은 흡수율 (%) KS F 2503 3.0 이하
안정성 (%) (황산나트륨 사용) KS F 2507 12 이하
골재 밀도(절대건조) KS F 2503 2.5 이상
굵은 피막박리시험에 의한 피복면적 (%) KS F 2355 95 이상 편장석률 (%) KS F 2575 30 이하
골재 흡수량 (%) KS F 2503 3.0 이하 굵은골재 파쇄면 비율 (%) ASTM 5821 85 이상
절대건조밀도 KS F 2503 2.5 이상 동적수침 후 피복율1) (%) 지침 부속서 참조 502) 이상
편장석 함유량(%) KS F 2575 30주이하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1) 동적수침 후 피복율 시험방법은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
산 및 시공 지침’에 따른다.
주 2) 동적수침후피복율 기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박리방지제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토

2.1.3 채움재 록 한다.

채움재(mineral filler)는 KS F 3501에 적합한 것으로 감독자가 2.1.3 채움재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문장 통일)
승인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함수비 1% 이하로서 덩어리가 채움재(mineral filler)는 KS F 3501의 규격에 맞는 것으로 감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수정
없어야 하고, 표 8-7의 입도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표 8-7 채움재의 입도기준

체 크 기 (㎜) 통과중량백분율 (%)


0.6 100
0.3 95 ∼ 100
0.15 90 ∼ 100
0.08 70 ∼ 100

2.2 재료의 입도
2.2 재료의 입도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하였을 때는 표 8-8의
입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필요한 경우 감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하였을 때는 표 8-4-3의
독자의 승인을 받아 입도를 다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입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필요한 경우 감
독자의 승인을 받아 입도를 다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8-8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입도 기준
표 8-4-2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입도 기준

8 - 17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BB-1 BB-2 BB-3 BB-4 BB-1 BB-2 BB-3 BB-4
구 분 구 분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내유동성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내유동성
체의 40 30 25 25R 체의 40 30 25 25R
호칭치수(㎜) 호칭치수(mm)
50 100 - - - 50 100 - - -
40 95∼100 100 - - 40 95∼100 100 - -
통 30 80∼100 95∼100 100 100통 30 80∼100 95∼100 100 100
과 25 70∼100 80∼100 90∼100 95∼100
과 25 70∼100 80∼100 90∼100 95∼100
중 20 55∼90 55∼90 71∼90 80∼90
중 20 55∼90 55∼90 71∼90 80∼90
량 13 40∼80 46∼80 56∼80 60∼78
량 13 40∼80 46∼80 56∼80 60∼78
백 10 30∼70 40∼70 45∼72 45∼68
백 10 30∼70 40∼70 45∼72 45∼68
분 5 17∼55 28∼55 29∼59 25∼45
분 5 17∼55 28∼55 29∼59 25∼45
율 2.5 10∼42 19∼42 19∼45 15∼33
율 2.5 10∼42 19∼42 19∼45 15∼33
(%) 0.6 5∼28 7∼26 7∼25 6∼18
(%) 0.6 5∼28 7∼26 7∼25 6∼18
0.3 3∼22 4∼19 5∼17 4∼14 0.3 3∼22 4∼19 5∼17 4∼14
0.15 2∼16 2∼13 3∼12 3∼10 0.15 2∼16 2∼13 3∼12 3∼10
0.08 1∼10 1∼7 1∼7 2∼8 0.08 1∼10 1∼7 1∼7 2∼8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3.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아스팔트와 골재의 시료 및 시험 2.3.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아스팔트와 골재의 시료 및 시험
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 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
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2.3.2 아스팔트의 공급원 변경이나 골재원을 변경할 경우에는 사전에 2.3.2 아스팔트의 공급원이나 골재원을 변경할 경우에는 사전에 감 [수정] 자구 수정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3.3 감독자는 사용재료의 적정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2.3.3 감독자는 사용재료의 적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 [수정] 띄어쓰기
보조시험을 시행 할수 있으며, 공사 시행 중에도 아스팔트의 라 보조시험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공사 시행 중에도 아스팔트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의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2.4 재료의 저장 2.4 재료의 저장

2.4.1 드럼에 든 아스팔트는 정유소별 및 입하 순으로 분류하여 저장 2.4.1 드럼에 든 아스팔트는 정유소별 및 입하 순으로 분류하여 저
하고, 입하 순으로 사용한다. 장하고, 입하 순으로 사용한다.
2.4.2 탱크차로 현장에 반입하는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가열 2.4.2 탱크차로 현장에 반입하는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가
이 가능한 별도의 저장탱크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열이 가능한 별도의 저장탱크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8 - 18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4.3 골재는 종류별, 크기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서로 혼입되지 않 2.4.3 골재는 종류별· 크기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서로 혼입되지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도록 하여야 하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하 않도록 하여야 하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며, 먼지,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며, 먼지·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4.4 포대에 든 석분(채움재)은 지면에서 300 ㎜ 이상 높이의 방습이 2.4.4 포대에 든 석분(채움재)은 지면에서 300 mm 이상 높이의 방
잘 되는 창고에 저장하여 입하 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습이 잘 되는 창고에 저장하여 입하 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5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2.5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혼합물은 KS F 2337 또는 KS F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혼합물은 국토교통부 관련 지침 [수정] 관련 지침 사항 포함, 표 8-4-4 품질기준 개정(지침 반영)
2377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8-9의 품질기준에 합격한 것이 과 KS F 2337 또는 KS F 2377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8-4-4
어야 한다. 의 품질기준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표 8-9 기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시험 기준 표 8-4-3 기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 기준

구 분 단위 기준값 특성값 품질 기준 [자문] 한글로 순화 : 특성치 ⇒ 특성값


안정도 ㎏f 350(500) 이상 3500N(5000N) 마샬안정도(N) 5000 이상(3500 이상)
흐름값 1/100㎝ 10 ∼ 40 흐름값(1/100 cm) 10 ∼ 40
공극률 % 4∼6
포화도 % 65 ∼ 75 공극률 (%) 4∼6
다짐회수 회 양면 50(75) 마샬안정도 포화도 (%) 60 ∼ 75
주) ( )안의 숫자는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 적용한다. 적용할 때 골재간극률 (%) <표 3.4> 참조
간접인장강도( N/㎟) 0.6 이상
터프니스( N·㎜) 6,000 이상
선회다짐횟수 선회다짐 : 100 (75)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변형강도(MPa) 3.2 이상(2.7 이상)
공극률 (%) 4∼6
포화도 (%) 60 ∼ 75
변형강도 골재간극률 (%) <표 3.4> 참조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적용할 때
간접인장강도( N/㎟) 0.6 이상
터프니스( N·㎜) 6,000 이상
선회다짐횟수 선회다짐 : 100 (75)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8 - 19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주 1) 공시체의 다짐은 현장 다짐조건과 유사한 선회다짐기를 사용한
선회다짐을 하여야 하지만, 마샬다짐기를 사용한 마샬다짐을 적용할
수 있다.
주 2) 간접인장강도, 터프니스 시험은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에서만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적용한다.
주 3) 대형차 교통량이 1일 한 방향 1,000대 이상 또는 20년 설계 ESAL

> 10 7 인 경우인 중교통도로 포장에서는 선회다짐 100회 또는


마샬다짐 양면 각 75회를 사용한다. 그 이하의 교통량에서는
선회다짐 75회 또는 마샬다짐 양면 각 50회를 사용하며, 이 경우
품질기준은 ( )의 기준을 적용한다.
주 4) 변경강도 시험은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에
2.6 기준밀도 따른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배합에 대해서 골재의 25 ㎜ 이상의 부분을 같 2.6 기준밀도

은 중량의 25∼13 ㎜의 골재로 치환한 후 실내에서 혼합하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용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감독자의
여 3개의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고 다음 식으로 구한 마샬 승인을 받은 현장배합에 대해서 골재의 25 mm 이상의 부
공시체의 밀도의 평균치를 기준밀도로 한다. 또한 기준밀도 분을 같은 중량의 13 mm ∼ 25 mm의 골재로 치환한 후 실 [자문] 표기 수정 : 25 mm ∼ 13 mm ⇒ 13 mm ∼ 25 mm
의 결정에 있어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내에서 혼합하여 3개의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고 다음 식으
로 구한 마샬 공시체의 밀도의 평균값을 기준밀도로 한다. [자문] 한글로 순화
또한 기준밀도의 결정에 있어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건조공시체의 공기중 중량 g  건조공시체의공기중중량
공시체의밀도     상온의물의밀도 
[자문] 공식 수정, 최종 편집시 수정 재확인
공시체의밀도 gcm     × gcm   공시체의표면건조중량  공시체의수중중량
공시체의 표면건조중량 g
 
 공시체의 수중중량 g 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8 - 20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보조기층 면을 점검하여 손상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보조기층 면을 점검하여 손상
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기타 불순 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기타 불순
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3.1.2 공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플랜트, 3.1.2 공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플랜트,
운반 및 시공장비 등을 미리 점검하여 양호한 상태로 정비해두 운반 및 시공장비 등을 미리 점검하여 양호한 상태로 정비하
어야 한다. 여두어야 한다.

3.2 믹싱 플랜트 3.2 믹싱 플랜트

3.2.1 아스팔트 포장작업에 사용할 믹싱플랜트는 현장 배합설계에 따 3.2.1 아스팔트 포장작업에 사용할 믹싱플랜트는 현장 배합설계에 따
라 혼합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 조정되고, 믹서용량은 라 혼합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 조정되고, 믹서 용량은 [수정] 가운데 점 사용
1,000㎏ 이상인 것으로서 사용하기 전에 기종, 용량, 성능 및 부 1,000 ㎏ 이상인 것으로서 사용하기 전에 기종· 용량· 성능 및
속기구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부속기구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2 사용할 믹싱플랜트의 기종은 자동계량방식(automatic weighing 3.2.2 사용할 믹싱플랜트의 기종은 자동계량방식(automatic weighing
system)의 배치식 플랜트를 원칙으로 하고, 중량계량을 정확히 system)의 배치식 플랜트로 하고, 중량계량을 정확히 할 수 있 [수정] 원칙으로 삭제
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된 것으로서 감독자의 서면승인을 받은 는 장치가 부착된 것으로서 감독자의 서면 승인을 받은 경우에
경우에는 연속식을 사용할 수 있다. 각 믹싱플랜트는 다음의 기 는 연속식을 사용할 수 있다. 각 믹싱플랜트는 다음의 기준에
준에 맞아야 하며, 공해방지시설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맞아야 하며, 공해방지시설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1) 배치식 플랜트 (1) 배치식 플랜트
① 골재 피더 (feeder) ① 골재 피더 (feeder)
골재 피더는 종류가 각기 다른 골재를 균일하게 드라이어 골재 피더는 종류가 각기 다른 골재를 균일하게 드라이어
(dryer)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것이어야 한다. 또 (dryer)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것이어야 한다. 또
한 콜드 빈(cold bin)에서 골재가 원활히 공급되는가를 확인 한 콜드 빈(cold bin)에서 골재가 원활히 공급되는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감시하여야 한다. 할 수 있도록 감시하여야 한다.
② 아스팔트 저장탱크 및 켓틀 (kettle) ② 아스팔트 저장탱크 및 켓틀 (kettle)
아스팔트의 저장탱크 및 켓틀은 최소 2일 동안 작업에 지장이 아스팔트의 저장탱크 및 켓틀은 최소 2일 동안 작업에 지장
없을 만큼 충분한 용량과 아스팔트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 이 없을 만큼 충분한 용량과 아스팔트를 완전히 배출할 수
록 시설이 되어 있어야 한다. 있도록 시설이 되어 있어야 한다.
탱크나 켓틀에는 아스팔트를 소정의 온도까지 거의 균등하게 탱크나 켓틀에는 아스팔트를 소정의 온도까지 거의 균등하
가열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하며, 아스팔트 배출구 부근 게 가열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하며, 아스팔트 배출구 부
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온도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 근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온도계가 설치되어 있어야

8 - 21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다. 한다.
③ 드라이어 (dryer) ③ 드라이어 (dryer)
드라이어는 골재를 건조시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드라이어는 골재를 건조시켜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랜트를 연속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 것으로서 플랜트를 연속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
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드라이어는 배출구 부근에 자기온 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드라이어는 배출구 부근에 자기온
도계를 설치하여 가열된 골재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기록하거 도계를 설치하여 가열된 골재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기록하
나 또는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거나 또는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④ 체가름 장치 (gradation control unit) ④ 체가름 장치 (gradation control unit)
체가름 장치는 가열된 골재를 최소한 3종류로 체가름할 수 체가름 장치는 가열된 골재를 최소한 3종류로 체가름 할 수 [수정] 띄어쓰기, 한글로 순화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서 플랜트 평상 운용 시 믹서보다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서 플랜트의 평상 운용을 할 때에
약간 큰 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체가름 장치는 감독자 는 믹서보다 약간 큰 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체가름 장
가 지시하는 방법과 빈도로 청소하여야 한다. 또한 필요에 치는 감독자가 지시하는 방법과 빈도로 청소하여야 한다. 또
따라 신제품으로 바꾸거나 수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한 필요에 따라 신제품으로 바꾸거나 수리가 용이하여야 한
다.
⑤ 하트 빈 (hot bin) ⑤ 하트 빈 (hot bin)
하트 빈은 입경이 다른 골재를 각각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하트 빈은 입경이 다른 골재를 각각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3개 이상 분리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각 빈마다 오버플로우 3개 이상 분리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각 빈마다 오버플로우
파이프(overflow pipe)를 설치하여 체가름된 골재가 섞이지 파이프(overflow pipe)를 설치하여 체가름된 골재가 섞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각 빈에는 시료채취장치를 설치하여야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각 빈에는 시료채취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한다.
⑥ 집진장치 (dust collector) ⑥ 집진장치 (dust collector)
플랜트에는 집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플랜트에는 집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⑦ 플랜트 검사 ⑦ 플랜트 검사
플랜트는 혼합물을 생산하기 전에 기계의 결함여부를 검사하 플랜트는 혼합물을 생산하기 전에 기계의 결함여부를 검사
여야 하며, 결함사항이 발견되면 혼합물을 생산하기 전에 수 하여야 하며, 결함사항이 발견되면 혼합물을 생산하기 전에
리하고, 배치식 플랜트의 하트 빈 중량계는 계기의 눈금이 수리하고, 배치식 플랜트의 하트 빈 중량계는 계기의 눈금이
정확히 맞도록 검사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하트 빈, 아스팔트 정확히 맞도록 검사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하트 빈, 아스팔
탱크 및 켓틀의 온도계는 혼합물 생산 전에 검사하여 조정하 트 탱크 및 켓틀의 온도계는 혼합물 생산 전에 검사하여 조
여야 한다. 정하여야 한다.
⑧ 골재 계량기 ⑧ 골재 계량기
골재 계량기는 최소 눈금이 최대 정량의 0.5% 이하이어야 하 골재 계량기는 최소 눈금이 최대 정량의 0.5 % 이하이어야 [수정] 단위 띄어쓰기

8 - 22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며, 스프링식이 아닌 저울로서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 하며, 스프링식이 아닌 저울로서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지
는 표준형이어야 한다. 또한 계량기는 한 배치의 재료를 한 않는 표준형이어야 한다. 또한 계량기는 한 배치의 재료를
번에 계량할 수 있는 용량을 가져야 하며, 정밀도는 계량중 한 번에 계량할 수 있는 용량을 가져야 하며, 정밀도는 계량
량의 1% 이내이어야 한다. 중량의 1 % 이내이어야 한다.
⑨ 아스팔트 계량기 ⑨ 아스팔트 계량기
아스팔트 계량기는 소요량의 아스팔트량을 계량할 수 있는 아스팔트 계량기는 소요량의 아스팔트량을 계량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계량통의 용량은 배치혼합에 소요되는 아스팔트량 것으로서 계량통의 용량은 배치혼합에 소요되는 아스팔트량
보다 15% 이상 큰 것이어야 하며, 정밀도는 계량중량의 1% 보다 15 % 이상 큰 것이어야 하며, 정밀도는 계량중량의 1 [수정] 단위 띄어쓰기
이내이어야 한다. % 이내이어야 한다.
⑩ 스프레이어 (sprayer) ⑩ 스프레이어(sprayer)
스프레이어는 소요량의 아스팔트를 믹서 내부에 균일하게 살 스프레이어는 소요량의 아스팔트를 믹서 내부에 균일하게
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살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⑪ 호퍼 (hopper) ⑪ 호퍼(hopper)
호퍼는 한 배치의 혼합용 골재를 계량할 수 있는 충분한 용 호퍼는 한 배치의 혼합용 골재를 계량할 수 있는 충분한 용
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⑫ 믹서 ⑫ 믹서
믹서는 2축식 퍼그밀(pugmill)형 배치식 믹서로서 균일한 혼 믹서는 2축식 퍼그밀(pugmill)형 배치식 믹서로서 균일한 혼
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날개와 고정부분인 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날개와 고정부분인
믹서의 내벽과의 간격은 20㎜ 이하이어야 한다. 믹서는 혼합 믹서의 내벽과의 간격은 20 mm 이하이어야 한다. 믹서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임록(time lock)이 장치되어 있어 혼합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임록(time lock)이 장치되어
야 하며, 이 타임록은 혼합작업 중 믹서 게이트를 폐쇄할 수 있어야 하며, 이 타임록은 혼합작업 중 믹서 게이트를 폐쇄
있는 것이어야 한다.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⑬ 석분 빈 ⑬ 석분 빈
석분의 투입은 습기를 방지하고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 석분의 투입은 습기를 방지하고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
록 사일로를 설치하여야 하며, 자동계량하여 투입되도록 장 록 사일로를 설치하여야 하며, 자동 계량하여 투입되도록 장
치되어야 한다. 치되어야 한다.
⑭ 생산량의 기록장치 ⑭ 생산량의 기록장치
대규모 플랜트에서는 생산된 혼합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규모 플랜트에서는 생산된 혼합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
자동기록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여 자동기록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연속식 플랜트 (2) 연속식 플랜트
연속식 플랜트는 (1)항(배치식 플랜트)의 ①∼⑦항까지 만족 연속식 플랜트는 (1)항(배치식 플랜트)의 ①∼⑦항까지 만족

8 - 23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고, 다음 각 항을 추가로 만족하여야 한다. 하고, 다음 각 항을 추가로 만족하여야 한다.
① 입도조정장치 ① 입도조정장치
입도조정장치는 중량계량 또는 용적계량으로 골재를 정확히 입도조정장치는 중량계량 또는 용적계량으로 골재를 정확히
계량하여 배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용적계량으로 입도 계량하여 배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용적계량으로 입도
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하트 빈의 배출구에 피더를 설치하고, 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하트 빈의 배출구에 피더를 설치하고,
각 빈에는 골재를 정확히 용적계량할 수 있는 조절게이트를 각 빈에는 골재를 정확히 용적 계량할 수 있는 조절게이트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골재 시료채취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 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골재 시료채취를 용이하도록 하기
하여 테스트 슈트(test chute)를 설치하여야 한다. 위하여 테스트 슈트(test chute)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골재와 아스팔트의 동조장치(同調裝置) ② 골재와 아스팔트의 동조장치(同調裝置)
동조장치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공급량 비율을 자동적으로 일 동조장치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공급량 비율을 자동적으로
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된 혼합물의 양을 확인하기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생산된 혼합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기록장치가 부착된 것이어야 한다. 위하여 자동기록장치가 부착된 것이어야 한다.
③ 믹서 ③ 믹서
믹서는 2축식 퍼그밀형 연속식 믹서로서 균일한 혼합물을 생 믹서는 2축식 퍼그밀형 연속식 믹서로서 균일한 혼합물을
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믹서의 날개는 축에 대한 각도 생산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믹서의 날개는 축에 대한 각
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퍼그밀은 혼합물의 재료 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퍼그밀은 혼합물의 재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혼합물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배 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혼합물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출호퍼를 구비하여야 한다. 배출호퍼를 구비하여야 한다.
3.3 시험포장 3.3 시험포장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공사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공사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
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3.3.2 시험포장 면적은 약 500㎡ 정도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3.3.2 시험포장 면적은 약 500 ㎡ 정도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짐시험을 실시하여 두께 및 밀도를 측정 조정할 수 있으며, 다짐시험을 실시하여 두께 및 밀도를 측정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3.3 시험포장은 최적 아스팔트 함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두께, 다 3.3.3 시험포장은 최적 아스팔트 함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두께, 다
짐방법, 다짐 후 밀도, 플랜트 배합 및 현장포설온도 등을 검토 짐방법, 다짐 후 밀도, 플랜트 배합 및 현장포설온도 등을 검
할 목적으로 시행한다. 토할 목적으로 시행한다.
3.3.4 시험포장을 시행할 장소와 혼합물의 배합, 포설두께, 다짐장비, 3.3.4 시험포장을 시행할 장소와 혼합물의 배합· 포설두께· 다짐장비
다짐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 · 다짐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수정] 가운데 점 사용

8 - 24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한다.
3.3.5 시험포장 구간은 공사시방서, 설계도서의 규정에 만족할 경우 3.3.5 시험포장 구간은 공사시방서, 설계도서의 규정에 만족할 경우
에는 본 포장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규정에 벗어날 경우 에는 본 포장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규정에 벗어날 경우
에는 이를 제거하여 원상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에는 이를 제거하여 원상으로 복구하여야 한다.
3.3.6 시험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포장의 계약단가에 포함된 것으로 3.3.6 시험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포장의 계약단가에 포함된 것으
간주하고, 별도의 지불은 하지 않는다. 로 간주하고, 별도의 지불은 하지 않는다.
3.4 현장배합 3.4 현장배합

3.4.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및 골재의 대표적인 시료를 이용하여 3.4.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및 골재의 대표적인 시료를 이용하여
시험비빔 및 시험포장을 시행한 결과를 검토한 후 혼합물의 종 시험비빔 및 시험포장을 시행한 결과를 검토한 후 혼합물의
류별 입도, 아스팔트 함량, 혼합물의 혼합시간, 믹서 배출시의 종류별 입도, 아스팔트 함량, 혼합물의 혼합시간, 믹서에서 배 [수정] 한글로 순화
온도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출될 때의 온도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3.4.2 계약상대자는 3.4.1에 따라 혼합물을 생산하여야 한다. 다만, 실 3.4.2 계약상대자는 3.4.1에 따라 혼합물을 생산하여야 한다. 다만, 실
제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혼합물의 골재입도는 배합설계 시의 제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혼합물의 골재입도는 배합설계할 때 [수정] 한글로 순화
입도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현장배합을 실 의 입도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현장배합을
시하여 규정된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야 실시하여 규정된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한다. 야 한다.
3.4.3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골재의 3.4.3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골재
입도 또는 아스팔트의 함량을 수정하여야 한다. 의 입도 또는 아스팔트의 함량을 수정하여야 한다.
3.4.4 지금까지 제조실적이 있는 혼합물의 경우에는 그 실적 또는 정 3.4.4 지금까지 제조실적이 있는 혼합물의 경우에는 그 실적 또는
기시험에 의한 시험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감독자가 승인한 정기시험에 의한 시험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감독자가 승인
경우에는 시험배합을 생략할 수 있다. 한 경우에는 시험배합을 생략할 수 있다.
3.4.5 시공 중 혼합물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가 현장배합 3.4.5 시공 중 혼합물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가 현장배합
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아스팔트량의 차이가 ±0.5% 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아스팔트량의 차이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계약단가의 변경은 하지 않는다. % 미만인 경우에는 계약단가의 변경은 하지 않는다.
3.5 혼합작업 3.5 혼합작업

3.5.1 혼합작업은 3.2항에서 규정한 믹싱플랜트에서 아스팔트, 골재 3.5.1 혼합작업은 3.2항에서 규정한 믹싱플랜트에서 아스팔트, 골재

8 - 25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및 채움재를 사용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및 채움재를 사용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3.5.2 종류별 및 크기별로 저장되어 있는 콜드 빈의 골재는 가열 및 3.5.2 종류별 및 크기별로 저장되어 있는 콜드 빈의 골재는 가열 및
체가름하여 하트 빈으로 보내며, 하트 빈에서는 배합비에 따라 체가름하여 하트 빈으로 보내며, 하트 빈에서는 배합비에 따라
골재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며, 계량된 채움재가 투입되고 골재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며, 계량된 채움재가 투입되고
믹서에서 혼합된 후 소요량의 아스팔트를 믹서에 주입하여 혼 믹서에서 혼합된 후 소요량의 아스팔트를 믹서에 주입하여 혼
합한다. 합한다.
3.5.3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팔트의 온도는 규정된 온도에서 ±1 3.5.3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팔트의 온도는 규정된 온도에서
0℃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된다. ±10 ℃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된다.
3.5.4 믹서에서 5∼15초 동안 골재를 혼합한 후 가열된 아스팔트를 3.5.4 믹서에서 5초 ∼ 15초 동안 골재를 혼합한 후 가열된 아스팔트
주입하고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30초 이상 계속 혼합하여 를 주입하고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30초 이상 계속 혼합
야 한다. 이 때 과잉혼합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이 때 과잉혼합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5.5 연속식 플랜트에서는 다음 식으로 구한 혼합시간을 45초 이상 3.5.5 연속식 플랜트에서는 다음 식으로 구한 혼합시간을 45초 이상
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믹서의 전용량   믹서의 전용량  
혼합시간 초    혼합시간 초   
매초당 믹서의 배출량   초  매초 믹서의 배출량   초 

3.5.6 배치식 플랜트나 연속식 플랜트의 어느 것을 사용하든 혼합시 3.5.6 배치식 플랜트나 연속식 플랜트의 어느 것을 사용하든 혼합시
간은 현장배합 시험 결과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며, 믹서에서 간은 현장배합 시험 결과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며, 믹서에서
배출 시 혼합물의 온도는 시험배합에서 결정된 혼합물의 온도 배출할 때의 혼합물 온도는 시험배합에서 결정된 혼합물의 온 [수정] 한글 순화, 단위 띄어쓰기, 중온 아스팔트 내용 포함
에서 ±15℃의 범위 내에 있되 180℃를 넘어서는 안 된다. 도에서 ±10 ℃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중온 아스팔트 혼합
물의 경우 140 ℃를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 180 ℃를 넘
어서는 안 된다.
3.5.7 믹서에 골재를 투입할 때 골재의 온도는 아스팔트 주입온도보 3.5.7 믹서에 골재를 투입할 때 골재의 온도는 아스팔트 주입온도보
다 10℃ 이상 높아서는 안 된다. 다 10 ℃ 이상 높아서는 안 된다.
3.6 혼합물의 운반 3.6 혼합물의 운반

3.6.1 플랜트에서 포설현장까지 혼합물 운반에 사용할 트럭의 적재함 3.6.1 플랜트에서 포설현장까지 혼합물 운반에 사용할 트럭의 적재
은 바닥이 깨끗하고 평평하여야 하며, 혼합물이 적재함 바닥에 함은 바닥이 깨끗하고 평평하여야 하며, 혼합물이 적재함 바닥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유(석유계 물질)등을 적재함 바닥 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유(석유계 물질) 등을 적재함 [수정] 띄어쓰기
에 발라서는 안 된다. 바닥에 발라서는 안 된다.

8 - 26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6.2 혼합물의 양은 계획시간 이전에 포설 및 다짐을 마칠 수 있을 3.6.2 혼합물의 양은 계획시간 이전에 포설 및 다짐을 마칠 수 있을
만큼 현장에 운반 하여야 한다. 만큼 현장에 운반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3.6.3 혼합물은 운반 도중 오물이 유입되거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3.6.3 혼합물은 운반 도중 오물이 유입되거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물 위에 덮개를 씌워야 한다.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물 위에 덮개를 씌우는 등의 조치를 하 [수정] 문구 수정
여야 한다.
3.7 기상조건 3.7 기상조건

3.7.1 아스팔트 혼합물은 포설할 표면이 얼어있거나 습윤상태이거나 3.7.1 아스팔트 혼합물은 포설할 표면이 얼어있거나 습윤상태이거나
불결할 때, 또한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낀 날은 시공하지 않아 또한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낀 날은 시공하지 않아야 한다.
야 한다. 3.7.2 시공 중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기온이
3.7.2 시공 중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기온이 5 ℃ 이하일 때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5℃ 이하일 때는 시공해서는 안 된다.
3.8 포설장비 3.8 포설장비

3.8.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사용하는 피니셔는 자주식으로 설계 3.8.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사용하는 피니셔는 자주식으로 설
도서에 표시한 선형, 경사 및 크라운에 일치되도록 포설할 수 계도서에 표시한 선형, 경사 및 크라운에 일치되도록 포설할
있는 자동센서가 부착된 장비이어야 한다. 수 있는 자동센서가 부착된 장비이어야 한다.
3.8.2 피니셔는 혼합물을 평탄하게 포설할 수 있는 호퍼, 스크류, 조 3.8.2 피니셔는 혼합물을 평탄하게 포설할 수 있는 호퍼, 스크류, 조
절스크리드 및 탬퍼를 장치한 것으로 혼합물의 공급량에 따라 절스크리드 및 탬퍼를 장치한 것으로 혼합물의 공급량에 따라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9 포설작업 3.9 포설작업

3.9.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보조기층 면을 점검하여 손상 3.9.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보조기층 면을 점검하여 손상
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기타 불순 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기타 불순
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3.9.2 프라임 코트나 택 코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혼합물을 포 3.9.2 프라임 코트나 택 코트의 양생이 완료되기 전에는 혼합물을 [수정] 문구 수정
설하여서는 안 된다. 포설하여서는 안 된다.
3.9.3 감독자는 포설온도범위를 지정하여야 하며, 지정된 포설온도보 3.9.3 감독자는 포설온도범위를 지정하여야 하며, 지정된 포설온도보
다 20℃ 이상 낮을 경우에는 그 혼합물은 폐기하여야 한다. 다 20 ℃ 이상 낮을 경우에는 그 혼합물은 폐기하여야 한다.

8 - 27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9.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100 ㎜ 이내가 3.9.4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100 mm 이
되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내가 되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3.9.5 포설작업이 작업도중 오래 동안 중단되었을 때는 혼합물의 포설 3.9.5 포설작업이 작업도중 오랫동안 중단되었을 때는 혼합물의 포설 [수정] 자구 수정
및 다짐에 부적합한 온도로 내려가 완성면의 평탄성이 좋지 않 및 다짐에 부적합한 온도로 내려가 완성면의 평탄성이 좋지 않
거나, 다짐밀도가 적어지므로 포설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거나 다짐밀도가 적어지므로 포설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랜트의 생산능력에 맞추어 포설속도를 조절하여야 수 있도록 플랜트의 생산능력에 맞추어 포설속도를 조절하여야
하며, 혼합물의 운반계획을 면밀히 수립하여야 한다. 하며, 혼합물의 운반계획을 면밀히 수립하여야 한다.
3.9.6 혼합물은 포설 스크류 깊이의 2/3 이상 차 있도록 호퍼에 충분 3.9.6 혼합물은 포설 스크류 깊이의 2/3 이상 차 있도록 호퍼에 적정 [수정] 용어 수정
히 공급되어야 한다. 이 때 호퍼의 조정문은 스크류와 피이더 량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 때 호퍼의 조정문은 스크류와 피이
가 85% 이상 작동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더가 85 % 이상 작동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3.9.7 피니셔의 속도는 혼합물의 포설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정하며, 3.9.7 피니셔의 속도는 혼합물의 포설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정하며,
스크리드는 포설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예열하여야 한다. 스크리드는 포설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예열하여야 한다.
3.9.8 편경사가 있는 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노면이 낮은 3.9.8 편경사가 있는 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노면이 낮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직선구간에서는 도 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직선구간에서는
로중심선에 평행하게 길어깨 쪽에서 도로중심선 쪽으로 포설하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길어깨 쪽에서 도로중심선 쪽으로 포
여야 하며, 종단방향으로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 설하여야 하며, 종단방향으로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
야 한다. 하여야 한다.
3.9.9 피니셔 뒤에는 삽과 레이크 인부를 고정배치하여 피니셔의 마 3.9.9 피니셔 뒤에는 삽과 레이크 인부를 고정 배치하여 피니셔의
무리가 불완전한 곳은 수정하여야 한다. 포설 중에 혼합물의 마무리가 불완전한 곳을 수정하여야 한다. 포설 중에 혼합물 [수정] 조사 수정
재료분리가 생길 경우에는 피니셔의 운행을 즉시 중지하고, 의 재료분리가 생길 경우에는 피니셔의 운행을 즉시 중지하
원인을 조사하여 포설 불량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고, 원인을 조사하여 포설 불량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3.9.10 기계포설이 불가능한 곳에는 인력포설을 하여야 하며, 이 때에 3.9.10 기계포설이 불가능한 곳에는 인력포설을 하여야 하며, 이때에
는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는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9.11 이미 완성된 포장층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택 코트를 시 3.9.11 이미 완성된 포장층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택 코트를 시
행한 후 혼합물을 포설하여야 한다. 행한 후 혼합물을 포설하여야 한다.
3.10 다짐장비 3.10 다짐장비

3.10.1 다짐장비는 12ton 이상의 머캐덤 롤러와 8ton 이상의 2축식 3.10.1 다짐장비는 12 t 이상의 머캐덤 롤러와 8 t 이상의 2축식 탄 [수정] 단위 사이 띄어쓰기, 표기 수정
탄뎀 롤러 및 12ton 이상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야 하며, 뎀 롤러 및 12 t 이상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야 하며, 규

8 - 28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규격․종류 및 다짐횟수는 시험포장결과에 따라 결정한다. 격․종류 및 다짐횟수는 시험포장 결과에 따라 결정한다.
3.10.2 롤러는 전․후진 방향전환 시 노면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 3.10.2 롤러는 전․후진, 방향을 전환할 때 노면에 충격을 가하지 않 [수정] 한글로 순화
자주식으로서 혼합물이 바퀴에 부착되지 않도록 바퀴에 물을 는 자주식으로서 혼합물이 바퀴에 부착되지 않도록 바퀴에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3.10.3 감독자 입회하에 포장 시공 전까지 각 다짐장비의 중량을 측 [추가] 다짐 장비 추가 항목
정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반복주어(다짐장비) 삭제
[자문] 적용 근거 제시 요(다짐 장비의 중량 측정 필요 사유), 다짐 도
시험은 별도로 하게 되는데 본 절의 삽입 사유 설명 필요
⇒ 미반영 : 시공 과정의 균질한 다짐 및 포장층의 기준 다짐도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 방법으로서 공사 전에 다짐장비 중량 측정
필요
[자문]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개정(2014. 4) 예정인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기층 부분의 내용을 추가 포함하여
수록된 내용에 대하여는 개정작업 완료후 반드시 개정 내용
확인 요망

3.11 다짐작업 3.11 다짐작업

3.11.1 혼합물의 다짐은 3.10 항의 다짐장비로 균일하게 다짐을 실시 3.11.1 혼합물의 다짐은 3.10항의 다짐장비로 균일하게 다짐을 실시
하여야 하며, 롤러 다짐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수동식 탬퍼로 하여야 하며, 롤러 다짐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수동식 탬퍼로
충분히 다져야 한다. 규정대로 다져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3.11.2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롤러의 대수, 조합, 다짐횟수 등은 시험 3.11.2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롤러의 대수, 조합, 다짐횟수 등은 시험
포장에서 결정된 내용으로 시행한다. 혼합물 포설 후 롤러의 포장에서 결정된 내용으로 시행한다. 혼합물 포설 후 롤러의
하중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되면 즉시 롤러를 하중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되면 즉시 롤러를
투입하여 다져야 한다. 머캐덤 롤러로 초기다짐을 실시한 후 투입하여 다져야 한다. 머캐덤 롤러로 초기다짐을 실시한 후
횡단면의 양호도를 검사하여 불량한 곳이 발견되면 감독자의 횡단면의 양호도를 검사하여 불량한 곳이 발견되면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혼합물을 가감하여 수정하여야 한다. 지시에 따라 혼합물을 가감하여 수정하여야 한다.

3.11.3 다짐작업 중 롤러의 다짐선을 갑자기 변경하거나 방향을 바

8 - 29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1.3 다짐작업 중 롤러의 다짐선을 갑자기 변경하거나 방향을 바꿔 꿔 포설한 혼합물의 이동이 생기도록 하여서는 안 된다. 롤러
포설한 혼합물의 이동이 생기도록 하여서는 안 된다. 롤러의 의 방향전환은 안정된 노면 위에서 하여야 하며, 포설된 혼합
방향전환은 안정된 노면 위에서 하여야 하며, 포설된 혼합물이 물이 이동되었으면 레이크로 긁어 일으켜 다짐 전의 상태로
이동되었으면 레이크로 긁어 일으켜 다짐 전의 상태로 만들어 만들어 다시 다져야 한다. 다짐이 끝났다 하더라도 양생이 완
다시 다져야 한다. 다짐이 끝났다 하더라도 양생이 완료될 때 료될 때까지는 롤러 등 중장비를 포장면에 세워두어서는 안
까지는 롤러 등 중장비를 포장면에 세워두어서는 안 된다. 된다.
3.11.4 현장다짐밀도는 이 시방서 2.6절 방법으로 구한 기준밀도의
3.11.4 현장다짐밀도는 이 시방서 2.6절 방법으로 구한 기준밀도의 96 % 에서 100 % 이어야 한다. [수정] 관련 지침 반영
96% 이상이거나 이론최대밀도의 91%이상이어야 한다. 3.11.5 다짐작업 후 24시간 이내에는 감독자의 승인 없이 교통을 소
3.11.5 다짐작업 후 24시간 이내에는 감독자의 승인 없이 교통을 소 통시켜서는 안 된다.
통시켜서는 안 된다.
3.12 이 음
3.12 이 음
3.12.1 포장의 이음은 이음부분이 외형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정밀
3.12.1 포장의 이음은 이음부분이 외형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정밀시 시공을 하여야 하며, 이미 포설한 단부에 균열이 생겼거나 다
공을 하여야 하며, 이미 포설한 단부에 균열이 생겼거나 다짐 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부분을 깨끗이 잘라내고 인
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부분을 깨끗이 잘라내고 인접 접부를 시공하여야 한다.
부를 시공하여야 한다. 3.12.2 세로이음, 가로이음 및 구조물과의 접속면은 깨끗이 청소한
3.12.2 세로이음, 가로이음 및 구조물과의 접속면은 깨끗이 청소한 후 후 감독자가 승인한 역청재를 바른 후 시공하여야 한다. 아스
감독자가 승인한 역청재를 바른 후 시공하여야 한다. 아스팔트 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아래층과 위층의 가로이음의 위치는 1
콘크리트 기층의 아래층과 위층의 가로이음의 위치는 1m 이 m 이상, 세로이음의 위치는 0.15 m 이상 어긋나도록 시공하
상, 세로이음의 위치는 0.15m 이상 어긋나도록 시공하여야 한 여야 한다.
다 . 3.12.3 포장 이음의 발생을 최소화되도록 한다. 특히 세로이음의 발 [수정] 이음부 처리 기준 보완 규정 추가
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시 포설 등의 공법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3.13 마무리
3.13 마무리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완성면은 3 m 직선자로 도로중심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완성면은 3m 직선자로 도로중심선 선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오목(凹)한 곳 [수정] 자구 수정
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오목한 곳(最凹部) 이 3 mm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이 3 ㎜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3.13.2 직선자를 사용하여 평탄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이미 측정한

8 - 30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3.2 직선자를 사용하여 평탄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이미 측정한 곳 곳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야 한다.
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야 한다. 3.13.3 평탄성의 기준에 맞지 않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
3.13.3 평탄성의 기준에 맞지 않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 시공하여야 한다.
공하여야 한다. 3.14 두께측정

3.14 두께측정
3.14.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선정하는 위치 또는 층마다 3,000 ㎡ [수정] 한글화
3.14.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선정하는 위치 또는 매 층당 3,000㎡ 마다 코아를 채취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
마다 코아를 채취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하여야 한다. 3.14.2 완성두께는 설계두께보다 10 % 이상 초과하거나, 5 % 이상 [수정] 띄워쓰기 수정
3.14.2 완성두께는 설계두께보다 10% 이상 초과하거나, 5% 이상 부 부족 되어서는 안 된다.
족 되어서는 안 된다. 3.14.3 코아를 채취한 곳은 즉시 메워야 하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
3.14.3 코아를 채취한 곳은 즉시 메워야 하며,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 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삭제] 제10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부분으로 변경 수록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빈배합 콘크리트(lean concrete) 기층의 건식


(dry mixing)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 ․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8 - 31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KS F 2503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방법
KS F 2510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
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체를 통과하는) 시험
방법
KS F 2512 골재중에 함유되어 있는 점토덩어리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F 2516 긁기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쉬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기준

2.1.1 시멘트
사용할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사용할
시멘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2.1.2 물
콘크리트 혼합에 사용하는 물은 깨끗하며, 기름· 염분· 산· 알
칼리· 당분· 기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이 함유되어서는
안 된다.
2.1.3 굵은 골재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다만, 굵은 골재의 품질기준은 표
8-10에 따른다.

8 - 32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8-10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굵은 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 방법 기 준
점토덩어리 함유량 (%) KS F 2512 0.25 이하
연한 석편 (%) KS F 2516 5.0 이하
골재씻기시험 손실량 (%) KS F 2511 1.0 이하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 KS F 2513 0.5 이하
흡 수 량 (%) KS F 2503 3 이하
비중 KS F 2503 2.45 이상
안정성시험(황산나트륨 사용)(%) KS F 2507 12 이하
마 모 감 량 (%) KS F 2508 40 이하
비고) 쇄석의 경우 씻기시험에서 손실분은 최대치를 1.5%로 해도 좋다.

2.1.4 잔 골재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다만, 잔 골재의 품질기준은 표
8-11에 따른다.
표 8-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잔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 방법 기 준
소성지수 KS F 2303 9 이하
안정성시험(황산나트륨) (%) KS F 2507 10 이하
골재씻기시험 손실량 (%) KS F 2511 7 이하
점토덩어리 함유량 (%) KS F 2512 1 이하
비중 2.0 액체에 뜨는 것(%) KS F 2513 0.5 이하
2.2 골재의 입도

골재의 표준입도는 표 8-12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


여야 한다.
표 8-12 빈배합 콘크리트 골재의 입도

8 - 33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구분 최대치수 40 ㎜ 최대치수 25 ㎜
체크기(㎜) 체통과중량백분율 (%)
50 100 -
40 90 ∼ 100 100
25 - 90 ∼ 100
20 50 ∼ 85 50 ∼ 100
10 40 ∼ 75 40 ∼ 75
5 25 ∼ 60 35 ∼ 60
0.6 10 ∼ 30 10 ∼ 30
0.08 3 ∼ 12 3 ∼ 12
2.3 시멘트량

단위 시멘트량은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150


㎏f/㎥ 이상으로 표 8-13의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한
다.
표 8-13 빈배합 콘크리트의 강도
구 분 건 식 비 고
일축압축강도( , ㎫, ㎏f/㎠)
 4.903(50) 습윤 6일, 수침 1일 양생

3. 시 공

3.1 준비공

3.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시공에 앞서 보조기층 표면의 뜬 돌, 점


토, 기타 유해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보조기층 표면은 이 시방
서 8-2절 3.7에 따라 양호한 상태로 유지관리하여야 하며, 이
조건에 맞지 않으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고 재 시
공하여야 한다.
3.1.2 보조기층 면이 건조해 있을 때에는 균일하게 살수한 후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3.2 시공기계

8 - 34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1 배치 플랜트
이 시방서 10-1절 3.1에 따른다.
3.2.2 포설 및 다짐장비
이 시방서 8-5절 3.8 및 3.9에 따른다.
3.2.3 장비점검
사용장비(피니셔, 롤러 등)는 공사 전 점검을 실시하여 작업
중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반조치를 강구하
여야 한다.
3.3 시험포장

3.3.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규정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


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포
장 면적은 500㎡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재료분
리 여부, 부설 및 다짐방법 등을 검토한다.
3.3.2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
계, 시공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3.4 현장배합

계약상대자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에 사용할 대표적인 시


료를 사용하여 감독자의 입회 하에 시험혼합 및 시험포장
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재료의 배합비를 결정하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5 혼합물의 생산

3.5.1 골 재
골재는 잔 골재와 굵은 골재로 구분하여 적재하고 계량하며,
잔 골재율은 시험결과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3.5.2 혼 합

8 - 35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중앙혼합식으로 균등한 품질이 되도록 생산하여야 하며, 혼합
시간은 2∼4분을 기준으로 한다.
3.5.3 함수량
혼합 시 함수량은 시멘트와 골재 혼합량의 6%를 기준으로 한
다.
3.6 혼합물 운반

3.6.1 빈배합 콘크리트 혼합물의 운반은 운반차에 싣거나 내릴 때 그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하여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운반차는 콘크리트를 내리는 작업이 쉬운 것이어야
하며, 내리기 작업 후에는 물로 씻어내야 한다.
3.6.2 콘크리트가 비벼진 후부터 포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3.6.3 하절기, 강풍 등의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운반 도중에 건조하지
않도록 혼합물에 덮개를 씌워 보호하여야 한다.
3.7 기상조건

3.7.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포설은 감독자가 지시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기온이 4℃ 이하이거나 우천 시에는 시공해서는 안 된
다.
3.7.2 일평균기온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함수비의 관리에 특별히 유
의하여야 한다.
3.7.3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기층면을 보호할 수 있
도록 동결방지책을 강구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시행
하여야 한다.
3.8 포 설

3.8.1 혼합물은 피니셔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여야 한다.


3.8.2 폭이 다르고, 형상이 특수한 부분에는 인력으로 포설할 수 있

8 - 36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다.
3.9 다 짐

3.9.1 다짐은 가수(加水) 혼합한 후 2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한 다짐도가 얻어
지고 평탄하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3.9.2 콘크리트의 최대건조밀도는 KS F 2312의 D 또는 E방법으로
구하며, 현장다짐도의 기준은 100% 이상으로 한다.
3.9.3 다짐장비는 진동 롤러, 탄뎀 롤러와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며,
롤러별 다짐순서와 다짐횟수는 시험포장 결과에 따라 결정하
며, 다짐장비의 종류를 변경코자 할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0 시공이음 및 단부처리

3.10.1 시공이음은 도로중심선에 직각 방향으로 직선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10.2 시공이음은 그 위에 시공되는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줄눈의 위
치와 적어도 300㎜ 이상 엇갈리게 설치하여야 한다.
3.10.3 시공이음부는 인접부분 시공 시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야 하며, 시공이음부의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11 마무리

3.1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완성면은 임의의 20m 이내 2지점을


측정했을 때 계획고와의 차는 15㎜ 이하이어야 한다.
3.11.2 완성면에 3m 직선자를 대었을 때 가장 오목한 곳이 10㎜ 이
하이어야 한다.
3.12 두께측정

마무리 후 기층의 두께가 설계두께에 비하여 10% 이상 증

8 - 37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감이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공하여야
한다.
3.13 양 생

3.12.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은 수분이 소량이므로 증발에 의하여 표


면이 건조되지 않도록 살수 또는 비닐덮개 등으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실시하여야 한다.
3.12.2 재령 7일의 압축강도 및 평탄성 시험결과를 확인하기 전에는
교통을 개방해서는 안 된다.

8-6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8-5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1.2 공사관리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 근거하여 신설

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1.3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8 - 38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2 흙의 입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량 시험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량 시험방법
KS F 2308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08 흙의 밀도 시험방법
KS F 2328 흙 시멘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328 흙 시멘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329 시험실에서 흙 시멘트의 압축 및 휨강도 시험용 공 KS F 2329 시험실에서 흙 시멘트의 압축 및 휨강도 시험용
시체를 제작하고 양생하는 방법 공시체를 제작하고 양생하는 방법
KS F 2331 흙 시멘트 혼합물의 함수량과 밀도 관계 시험방법 KS F 2331 흙 시멘트 혼합물의 함수량과 밀도 관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쉬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쉬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 2.1 재료의 품질

2.1.1 시멘트 2.1.1 시멘트


사용할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사용할 사용할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사용할
시멘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시멘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2.1.2 물 2.1.2 물
시멘트 안정처리 혼합에 사용하는 물은 깨끗하며, 기름, 염분, 시멘트 안정처리 혼합에 사용하는 물은 깨끗하며, 기름· 염분·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산, 알칼리, 당분, 기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이 함유되어 산· 알칼리· 당분· 기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이 함유되
서는 안 된다. 어서는 안 된다.
2.1.3 골 재 2.1.3 골 재

8 - 39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2.2 골재의 입도 2.2 골재의 입도

기준이 될 골재의 입도는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 이외에 기준이 될 골재의 입도는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 이외에
는 표 8-14의 범위에 들어야 한다. 는 표 8-5-1의 범위 내에 들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표 8-14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입도 표 8-5-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입도

체 크 기 (㎜) 통과중량 백분율 (%) 체 크 기 (㎜) 통과중량 백분율 (%)


50 100 50 100
40 95 ∼ 100 40 95 ∼ 100
20 50 ∼ 100 20 50 ∼ 100
2.5 20 ∼ 60 2.5 20 ∼ 60
0.08 0 ∼ 15 0.08 0 ∼ 15

2.3 골재의 승인 및 시험 2.3 골재의 승인 및 시험

2.3.1 골재 시료 및 그 시험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에게 2.3.1 골재 시료 및 그 시험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기왕의 실적에 의해서 사 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지금까지의 실적에 의 [수정] 한글로 순화
용하려고 하는 골재가 품질규정을 만족하는 것이 명백하고, 감 해서 사용하려고 하는 골재가 품질규정을 만족하는 것이 명백
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시료 및 시험결과의 제출을 생략할 수 하고,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시료 및 시험결과의 제출을
있다. 생략할 수 있다.
2.3.2 골재의 채취지의 변경이나 품질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신속 2.3.2 골재의 채취지의 변경이나 품질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신속
히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히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4 시멘트량 2.4 시멘트량

2.4.1 사용할 시멘트량에 대하여는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 2.4.1 사용할 시멘트량에 대하여는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
고는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표 8-15의 일축압축강도가 얻어지는 하고는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표 8-5-2의 일축압축강도가 얻어
값으로 한다. 지는 값으로 한다.
표 8-15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일축압축강도 기준 표 8-5-2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일축압축강도 기준

구 분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비 고구 분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비 고


일축압축강도 3(30) 이상 2(20) 이상 습윤 6일 일축압축강도 3(30) 이상 2(20) 이상 습윤 6일
(σ7, ㎫(㎏f/㎠)) 수침 1일 양{σ7, ㎫(㎏f/㎠)}
생 수침 1일 양생

8 - 40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4.2 지금까지의 실적에 의하여 설계도서에 표시된 시멘트량의 혼합 2.4.2 지금까지의 실적에 의하여 설계도서에 표시된 시멘트량의 혼
물이 소정의 품질을 나타내고 있음이 분명하면 감독자가 승인 합물이 소정의 품질을 나타내고 있음이 분명하면 감독자가 승
한 경우 배합설계를 생략할 수 있다. 감독자가 승인한 시멘트 인한 경우 배합설계를 생략할 수 있다. 감독자가 승인한 시멘
량과 설계도서에 표시된 시멘트량의 차이가 ±0.7% 미만인 경 트량과 설계도서에 표시된 시멘트량의 차이가 ±0.7 % 미만인
우는 계약을 변경하지 않는다. 경우는 계약을 변경하지 않는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시공에 앞서 보조기층 표면의 뜬 돌, 3.1.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시공에 앞서 보조기층 표면의 뜬 돌,
점토,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보조기층 면이 점토,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리하여야 한다. 보조기층 면
연약하거나 동결상태에 있을 때는 부설하여서는 안 되며, 부적 이 연약하거나 동결상태에 있을 때는 부설하여서는 안 되며,
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또는 필요한 경우 치환 등을 부적합할 경우에는 면 고르기, 재다짐 또는 필요한 경우 치환
실시하여야 한다.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3.1.2 보조기층 면이 건조해 있을 때에는 균일하게 살수한 후 시멘트 3.1.2 보조기층 면이 건조해 있을 때에는 균일하게 살수한 후 시멘
안정처리 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트 안정처리 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3.2 시공기계 3.2 시공기계

시멘트 안정처리에 사용할 혼합기계는 설계도서에 정한 규 시멘트 안정처리에 사용할 혼합기계는 설계도서에 정한 규
정에 합격하여야 한다. 정에 합격하여야 한다.
3.3 노상혼합 3.3 노상 혼합

3.3.1 노상혼합을 할 경우는 보조기층 면 위에 골재를 균일한 층으로 3.3.1 노상 혼합을 할 경우는 보조기층 면 위에 골재를 균일한 층으
고르게 정리해놓고, 그 위에 소요량의 시멘트를 균일하게 살포 로 고르게 정리하여 놓고, 그 위에 소요량의 시멘트를 균일하 [수정] 약어, 띄어쓰기, 자구 수정
하고, 혼합기계로 1∼2회 사전 혼합한 후, 최적함수비가 되도록 게 살포하고, 혼합기계로 1회 ∼ 2회 사전 혼합한 후, 최적함
살수하여 충분히 혼합하여야 한다. 수비가 되도록 살수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수정] 의미 불분명한 충분히 삭제
3.3.2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혼합하기 위해 필요한 가수(加水)는 정확 3.3.2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혼합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수(加水)는
히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정확히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3.4 플랜트 혼합 3.4 플랜트 혼합

8 - 41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플랜트 혼합을 할 경우는 재료가 잘 혼합되도록 혼합시간 플랜트 혼합을 할 경우는 재료가 잘 혼합되도록 혼합시간
을 결정하고, 가수의 최적량은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정확히 을 결정하고, 가수의 최적량은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정확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하여야 한다. 히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하여야 한다.
3.5 시험포장 3.5 시험포장

3.5.1 계약상대자는 이 공사에 앞서 사용할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 3.5.1 계약상대자는 이 공사에 앞서 사용할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
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포장 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포
면적은 500㎡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재료분리 장 면적은 500 ㎡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재료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여부, 부설 및 다짐방법 등을 검토한다. 분리 여부· 부설 및 다짐방법 등을 검토한다.
3.5.2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 3.5.2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
계, 시공방법 등이 포함 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 계, 시공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다.
3.6 기상조건 3.6 기상조건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시공은 기온이 4℃ 이하인 때와 우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시공은 기온이 4 ℃ 이하인 때와 [수정] 단위 띄어쓰기, 한글로 순화
천 시에 하여서는 안 된다. 비가 내릴 때에 하여서는 안 된다.
3.7 부 설 3.7 부 설

혼합을 마친 혼합물은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방법으로 혼합을 마친 혼합물은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방법으로
부설하여야 한다. 부설하여야 한다.
3.8 다 짐 3.8 다 짐

3.8.1 다짐은 가수 혼합한 후 2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며, 3.8.1 다짐은 가수 혼합한 후 2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한 다짐도가 얻어지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한 다짐도가 얻어지고,
평탄하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평탄하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3.8.2 다짐은 머캐덤 롤러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다져 3.8.2 다짐은 머캐덤 롤러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다져
야 한다. 혼합물의 최대건조밀도는 KS F 2331의 방법으로 구 야 한다. 혼합물의 최대건조밀도는 KS F 2331의 방법으로 구
하며, 현장다짐도의 기준은 95% 이상으로 한다. 하며, 현장다짐도의 기준은 95 % 이상으로 한다.
3.9 시공이음 3.9 시공이음

8 - 42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9.1 시공이음은 매일 작업이 완료된 때에 도로중심선에 직각방향으 3.9.1 시공이음은 매일 작업이 완료된 때에 도로 중심선에 직각방향
로, 연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으로, 연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9.2 시공이음은 다음에 시공할 부분의 재료의 부설, 고르기, 다짐작 3.9.2 시공이음은 다음에 시공할 부분의 재료부설· 고르기· 다짐작업
업 시 이미 시공한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 을 할 때 이미 시공한 부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며, 시공이음부의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하며, 시공이음부의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9.3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을 2층 이상으로 시공할 경우 세로이음의 3.9.3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을 2층 이상으로 시공할 경우 세로이음
위치는 1층 마무리 두께의 2배 이상, 가로이음의 위치는 1m 이 의 위치는 1층 마무리 두께의 2배 이상, 가로이음의 위치는 1
상 어긋나도록 하여야 한다. m 이상 어긋나도록 하여야 한다.
3.10 마무리 3.10 마무리

3.10.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1층의 마무리 두께는 200㎜ 이하로 3.10.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1층의 마무리 두께는 200 mm 이하
하여야 한다. 로 하여야 한다.
3.10.2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와의 차이가 30㎜ 3.10.2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마무리 면은 계획고와의 차이가 30
이하이어야 하며, 임의의 20m 이내 2지점을 측정했을 때 계획 mm이하이어야 하며, 임의의 20 m 이내 2지점을 측정했을 때
고와의 차이는 15㎜ 이하이어야 한다. 계획고와의 차이는 15 mm 이하이어야 한다.
3.11 두께측정 3.11 두께측정

마무리 후 기층의 두께가 설계두께에 비하여 10% 이상 증 마무리 후 기층의 두께가 설계두께에 비하여 10 % 이상 증
감이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공하여야 감이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공하여야
한다. 한다.
3.12 양 생 3.12 양 생

3.12.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은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표면이 건조되 3.12.1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은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표면이 건조
지 않도록 살수 또는 비닐덮개 등으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실시 되지 않도록 살수 또는 비닐덮개 등으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실시하여야 한다.
3.12.2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 3.12.2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
여 시멘트 안정처리층을 거적, 천막 등으로 덮어 보호하여야 하여 시멘트 안정처리기층을 거적, 천막 등으로 덮어 보호하여
한다. 야 한다.

8 - 43
제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8-7 품질관리 및 검사 8-6 품질관리 및 검사 [수정] 본문 중복, 내용 삭제


(1)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는 사용 (1)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는 사용
전에 실시하여 각 재료의 품질 및 입도 규정에 적합한지를 판 전에 실시하여 각 재료의 품질 및 입도 규정에 적합한지를
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 판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감독자에게 제
하여 승인 받아야 한다. 출하여 승인 받아야 한다.
(2) 포장체 각 층을 시공한 후에는 계획고와의 차이, 규정밀도, 층 (2) 포장체 각 층을 시공한 후에는 계획고와의 차이· 규정밀도·
두께 등을 각 층별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확인하여야 하며, 층 두께 등을 각 층별로 규정된 방법에 따라 확인하여야 하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며,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8 - 44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9 장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제 9 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제 9 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9-1 프라임 코트 9-1 프라임 코트
9-2 택 코트 9-2 택 코트
9-3 실 코트 9-3 실 코트
9-4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9-4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9-6 길어깨 포장 9-6 길어깨 포장
9-7 아스팔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표층 9-7 아스팔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표층
9-8 품질관리 및 검사 9-8 품질관리 및 검사
제 9 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제 9 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9-1 프라임 코트 9-1 프라임 코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보조기층면 또는 입도조정기층면에 역청제를 이 시방은 보조기층면 또는 입도조정기층면에 역청제를 살 [수정]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 외에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적
살포하여 가열 아스팔트층과의 결합을 좋게 하고 불투수층 포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층과의 결합을 좋게 하고, 불투 용을 반영. 명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한 아스팔트 콘크리
을 형성하게 하는 프라임 코트공에 적용한다. 수층을 형성하게 하는 프라임 코트 공사에 적용한다. 트층으로 용어 수정. 공사로 수정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
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문’에 근거하여 신설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M 2001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방법 KS M 2001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방법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2. 재 료 2. 재 료

9 - 1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1 프라임 코트의 품질기준 2.1 프라임 코트의 품질기준

2.1.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유화 아스팔트는 RS(C)-3 또 2.1.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유화 아스팔트는 RS(C)-3 또
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재료로서 KS M 2203의 규격 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재료로서 KS M 2203의 규격
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1.2 프라임 코트의 재료는 제조 후 60일이 넘은 것은 사용 2.1.2 프라임 코트의 재료는 제조 후 60일이 넘은 것은 사용
해서는 안 된다. 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약어 수정

2.2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2 재료의 승인 및 시험 [자문] 전체적인 시방서의 일관성을 위해 다른 장과의


제출시한에 대한 협의의 필요 여부를 판단해 주시기
2.2.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까지 사용할 역 2.2.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까지 사용할 역 바랍니다. (미반영)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포장 관련
청재료에 대한 시험성과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청재료에 대한 시험성과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지침 내용에 따른 내용임.
받아야 한다. 받아야 한다.

2.2.2 필요에 따라 감독자는 시공도중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2.2.2 필요에 따라 감독자는 시공 도중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있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프라임 코트는 시공할 표면에 뜬 돌, 먼지, 점토, 기타 3.1.1 프라임 코트는 시공할 표면에 불안정한 돌 · 먼지 · 점토 · [수정]용어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보조기층이나 입도조정기층 등 역 기타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보조기층이나 입도조정기층
청재를 살포할 표면은 이 시방서 각 항의 규정에 따라 등 역청재를 살포할 표면은 이 시방서 각 항의 규정에
마무리되어야 한다. 따라 마무리되어야 한다.

3.1.2 표면은 시공 전에 필요하면 살수하여 약간의 습윤상태 3.1.2 표면은 시공 전에 필요하면 약간의 습윤상태로 되게 하
로 되게 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자유표면수 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하며, 자유표면수가 없어진
가 없어진 후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다. 후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다.

3.1.3 프라임 코트 공급자는 기온에 따른 양생시간을 제시하여야 한 [수정] 추가 품질관리 규정 포함


다. 이때 공급자는 양생시간과 관련된 시험자료를 제공하여야 [수정] 중십위 의견 반영 : 문장 추가
한다.
3.2 장 비
3.2 장 비

9 - 2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2.1 역청재료의 살포에는 역청재료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3.2.1 역청재료의 살포에는 역청재료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디스 있는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디스
트리뷰터에는 시간당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회전속도계와 트리뷰터에는 시간마다 주행거리를 표시하는 회전속도계 [수정] 자구 수정
노즐에서 나오는 역청재 살포량의 기록장치가 되어있어 와 노즐에서 나오는 역청재 살포량의 기록장치가 있어야
야 한다. 한다.

3.2.2 시공 직전에 시험살포를 통해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의 3.2.2 시공 직전에 시험살포를 통하여 아스팔트 디스트리뷰터 [수정] 줄임말 수정
노즐상태와 균일한 분사량을 확인한 후에 작업에 임하여 의 노즐상태와 균일한 분사량을 확인한 후에 작업에 임
야 한다. 하여야 한다.

3.2.3 디스트리뷰터의 출입이 곤란하거나 협소한 곳에는 감독 3.2.3 디스트리뷰터의 출입이 곤란하거나 협소한 곳에는 감독
자의 승인을 받아 소형 살포기(스프레이어)를 사용할 수 자의 승인을 받아 소형 살포기(스프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있다.

3.3 기상조건 3.3 기상조건

3.3.1 프라임 코트는 표면이 깨끗하고 먼지가 나지 않을 정도 3.3.1 프라임 코트는 표면이 깨끗하고 먼지가 나지 않을 정도
로 잘 건조된 후 시공하여야 하며, 유화 아스팔트를 역청 로 잘 건조된 후 시공하여야 하며, 유화 아스팔트를 역청
재료로 사용할 경우 기온이 10℃ 이하에서는 감독원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기온이 10 ℃ 이하에서는 감독자의 [수정] 단위 띄워쓰기
승인 없이 시공해서는 안 된다. 승인 없이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3.3.2 우천 시에 시공해서는 안 되며, 작업도중 비가 내리기 3.3.2 비가 내릴 때 시공하여서는 안 되며, 작업도중 비가 내 [수정] 한글로 순화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3.3.3 일몰 후 역청재를 살포 시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3.3.3 일몰 후 역청재를 살포할 때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 [수정] 한글로 순화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3.4 사용량 및 살포온도 3.4 사용량 및 살포온도

3.4.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 3.4.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
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3.4.2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 3.4.2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
는 현장조건 및 시공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는 현장조건 및 시공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표 9-1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실제의 살포량은 시 표 9-1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실제의 살포량은 시
험살포에 의해서 판단하는 것이 좋으며, 표 9-1의 범위 험살포에 의해서 판단하는 것이 좋으며, 표 9-1-1의 범 [수정] 표 번호 수정

9 - 3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에서 살포할 면이 치밀한 경우는 적은 쪽으로, 거친 경 위에서 살포할 면이 치밀한 경우는 적은 쪽으로, 거친 경
우는 많은 쪽으로 사용한다. 우는 많은 쪽으로 사용한다.

표 9-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표 9-1-1 프라임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수정] 표 번호 수정

재 료 사용량 비 고 재 료 사 용 량(ℓ/㎡) 비 고
1 ∼ 2ℓ/㎡ 1 ∼ 2
가열이 필요한 경우 감독자가 지시하는 가열이 필요한 경우 감독자가 지시하는
RS(C)-3 RS(C)-3
온도에 따른다. 온도에 따른다.

3.5 역청재의 살포 3.5 역청재의 살포

3.5.1 표면정비 후 3.2의 장비로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다. 3.5.1 표면정비 후 3.2의 장비로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다.
살포 전에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확한 살포량을 결정하여 살포 전에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확한 살포량을 결정하여
야 하며, 일부에 치우침이 없이 표면에 고르게 분사될 수 야 하며, 일부에 집중됨이 없이 표면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노즐상태, 살포높이, 살포압력 등으로 확인하고 있도록 노즐상태 · 살포높이 · 살포압력 등으로 확인하고 [수정] 자구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속도를 결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속도를 결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5.2 프라임 코트 시공 후 RS(C)의 경우는 24시간 이상 3.5.2 프라임 코트 시공 후 RS(C)-3의 경우는 24시간 이상 [수정] : RS(C)-3 용어 수정. 다양한 재료 사용 규정 추가
양생하여야 한다. 양생하여야 하고, 공급자가 특별히 양생시간을 제시할 경
우 그 시간을 양생시간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공급자는
양생시간과 관련된 시험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3.5.3 역청재를 표면에 살포한 후 24시간 경과하여 관찰한 결 3.5.3 역청재를 표면에 살포한 후 24시간 경과하여 관찰한 결
과, 적게 살포된 부분은 추가로 살포하여 시정하여야 하 과, 적게 살포된 부분은 추가로 살포하여 시정하여야 하
며, 역청재가 과다하거나 또는 표면에 완전히 흡수되지 며, 역청재가 과다하거나 또는 표면에 완전히 흡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면에 모래를 살포하여 과다 역청재를 않은 경우에는 표면에 모래를 살포하여 과다 역청재를
흡수토록 하여야 한다. 이 때 상층부의 포장 시공 전에 흡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상층부의 포장 시공 전에 [수정] 줄임말 수정
흩어진 모래는 제거하고 타이어 롤러로 다져야 한다. 흩어진 모래는 제거하고 타이어 롤러로 다져야 한다.

3.5.4 역청재 살포 시에는 교량의 난간, 중앙분리대, 연석, 전 3.5.4 역청재를 살포할 때에 교량의 난간, 중앙분리대, 연석, [수정] 한글로 순화
주 등은 비닐 등을 덮어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전주 등은 비닐 등을 덮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5.5 프라임 코트의 이음부분은 과소 또는 과다살포가 되지 않도 3.5.5 프라임 코트의 이음부분은 과소 또는 과다 살포가 되지 않
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이미 살포한 프라임 코트에 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이미 살포한 프라임 코트
는 살포한 선을 따라 비닐 등을 덮어 추가 살포가 되지 에는 살포한 선을 따라 비닐 등을 덮어 추가 살포가 되
않도록 하고, 그 후 인접부분을 살포하는 것이 좋다. 지 않도록 하고, 그 후 인접부분을 살포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9 - 4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6 유지관리 3.6 유지관리

역청재를 살포한 프라임 코트의 표면은 포장시공 전까지 역청재를 살포한 프라임 코트의 표면은 포장시공 전까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며, 포장시공 전에 프라임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며, 포장시공 전에 프라임
코트에 손상이 생기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한 코트에 손상이 생기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한
다. 다.

9-2 택 코트 9-2 택 코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이미 시공한 포장면에 역청재를 얇게 살포하 이 시방은 이미 시공한 포장면에 역청재를 얇게 살포하여 [수정] 용어 통일
여 신․구 포장층을 결합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택 코트에 적 신 · 구 포장층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택 코트에
용한다.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
문’에 근거하여 신설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2. 재 료 2. 재 료

2.1 택 코트의 품질기준 2.1 택 코트의 품질기준

2.1.1 택 코트에 사용되는 재료는 유화 아스팔트 RS(C)-4로 2.1.1 택 코트에 사용되는 재료는 유화 아스팔트 RS(C)-4로

9 - 5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며, KS M 2203의 규격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하며, KS M 2203의 규격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1.2 사용할 유화 아스팔트는 제조 후 60일이 지난 것은 사 2.1.2 사용할 유화 아스팔트는 제조 후 60일이 지난 것은 사


용해서는 안 된다. 용하여서는 안 된다.

2.2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2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2.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까지 사용할 역 2.2.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까지 사용할 역
청재료에 대한 시험성과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청재료에 대한 시험성과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받아야 한다.

2.2.2 필요에 따라 감독자는 시공 도중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2.2.2 필요에 따라 감독자는 시공 도중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있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은 시공 전에 뜬 돌, 먼지, 기 3.1.1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은 시공 전에 불안정한 돌 · 먼 [수정] 용어 통일
타 유해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지 · 기타 유해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
한다. 아야 한다.

3.1.2 표면의 일정치 못한 파형부분은 적절한 재료로 치환, 3.1.2 표면의 일정치 못한 파형부분은 적절한 재료로 치환 · [자문] 문장 삭제 검토 :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이 시공한
보수하여야 한다.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이 시공한 지 보수하여야 한다. 지 며칠 지나지 않았고, 유해물이 없으면 감독자의
며칠 지나지 않았고, 유해물이 없으면 감독자의 지시에 지시에 따라 택 코트를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 택 코트를 생략할 수도 있다. (미반영) 택코팅의 사용 여부에 대한 사항으로 현장 상황을
3.2 장 비
반영한 내용임.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포장 관련 지침에
3.2 장 비
따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삭제
이 시방서 9-1절의 3.2에 따른다. 이 시방서 9-1절의 3.2에 따른다.

3.3 기상조건 3.3 기상조건

3.3.1 택 코트는 표면이 깨끗하고 건조할 때 시공하여야 하 3.3.1 택 코트는 표면이 깨끗하고 건조할 때 시공하여야 하

며, 기온이 5℃ 이하일 때는 감독자의 승인없이 시공하 며, 기온이 5℃ 이하일 때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문구 삭제
여서는 안 된다.

3.3.2 비가 내릴 때에 시공하여서는 안 되며, 작업도중 비가 [수정]한글로 순화. 강수 후 규정 추가

9 - 6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2 우천 시에 시공해서는 안 되며, 작업도중 비가 내리기 내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문] 노면에 표면수가 있을 경우, 공사불가 또는 제거 후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비가 멈추어 작업을 재개할 때 노면에 자유 표면수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하는 것으로
기술방법을 수정
있을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작업하여야 한다.
(미반영) 감독자의 현장 점검에 따라 공사불가 또는 제거 후
3.3.3 일몰 후 역청재를 살포할 때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작업 지시 등 승인 요건이므로 별도 규정은 필요 없을
확인을 받아야 한다. 것으로 사료됨. [수정] 자구 수정
3.3.3 일몰 후 역청재를 살포 시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4 사용량 및 살포온도
3.4 사용량 및 살포온도 -
3.4.1 택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는 설
3.4.1 택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는 설 계도서 또는, 시험시공 결과에 따르며, 표 9-2-1의 범
계도서 또는 시험시공 결과에 따르며, 표 9-2의 범위에 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
서 결정할 수 있다.
표 9-2-1 택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의 표준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9-2 택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의 사용량 및 살포온도의 표준 재 료 사 용 량(ℓ/㎡) 비 고


재 료 사용량 비 고 RS(C)-4 0.3 ∼ 0.6 가열이 필요한 경우 감독자가
지시하는 온도에 따른다.

RS(C)-4 0.3 ∼ 0.6ℓ/㎡ 가열이 필요한 경우 감독자가 지시하는


온도에 따른다
3.5 역청재의 살포

3.5 역청재의 살포 3.5.1 표면을 정비한 후 3.2의 장비로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


다. 살포 전에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확한 살포량을 결정하여
3.5.1 표면을 정비한 후 3.2의 장비로 역청재를 살포하여야 한
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 살포 전에 현장시험을 통하여 정확한 살포량을 결정하여
3.5.2 역청재는 과잉살포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사
야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전에 결정된 양 이상으로 살포되어 포장의 결합에 유해
3.5.2 역청재는 과잉살포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사
하다고 판단되면 역청재를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전에 결정된 양 이상으로 살포되어 포장의 결합에 유해
3.5.3 역청재의 살포가 균일하지 못한 부분은 즉시 헝겊, 마 [수정] 타이어 롤러의 사용시 부착 등의 우려(균질한 살포면
하다고 판단되면 역청재를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대 등으로 균일하게 살포되도록 한다. 확보)
3.5.3 역청재의 살포가 균일하지 못한 부분은 즉시 타이어 롤
3.5.4 역청재를 살포할 때에는 교량의 난간, 중앙분리대, 연 [수정] 문구 수정
러로 시정하여야 한다.
석, 전주 등은 비닐 등을 덮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3.5.4 역청재 살포 시에는 교량의 난간, 중앙분리대, 연석, 전
한다.

9 - 7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주 등은 비닐 등을 덮어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5.5 역청재 살포 후 수분 또는 휘발분이 건조할 때까지 양 [수정] “충분히” 의미 불분명, 삭제
3.5.5 역청재 살포 후 수분 또는 휘발분이 건조할 때까지 충 생하여야 하며, 표층을 완료할 때까지 차량통행을 금지하
분히 양생하여야 하며, 표층 완료 시까지 차량통행을 금 여야 한다.
지하여야 한다.
3.6 유지관리
3.6 유지관리
3.6.1 역청재를 살포한 택 코트의 표면은 포장시공 전까지 손
3.6.1 역청재를 살포한 택 코트의 표면은 포장시공 전까지 손 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며, 포장시공 전에 택 코트
상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며, 포장시공 전에 택 코트 에 손상이 생기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한
에 손상이 생기면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보수하여야 한 다.
다.

9-3 실 코트 9-3 실 코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포장표면에 살포한 역청재료 위에 모래나 부 이 시방은 포장표면에 살포한 역청재료 위에 모래나 부순 [수정] 용어 통일 -

순돌을 살포하여 이를 포장 노면에 부착시키는 실 코트에 돌을 살포하여 이를 포장 노면에 부착시키는 실 코트에 적


적용한다. 용한다.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
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문’에 근거하여 신설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F 2532 역청 표면 처리용 부순 골재, 부순 슬래그

9 - 8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및 골재 KS F 2532 역청 표면 처리용 부순 골재, 부순 슬래그
KS F 2525 도로용 부순 골재 및 골재
KS F 2525 도로용 부순 골재
2. 재 료
2. 재 료
2.1 역청재
2.1 역청재
실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료는 다음 규격에 맞는 것이어
야 하며, 사용하는 종류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실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료는 다음 규격에 맞는 것이어
AC 120-150 : KS M 2201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야 하며, 사용하는 종류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RS(C)-1, RS(C)-2 :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침입도 등급 120-150 : KS M 2201 도로 포장용 아스팔 [수정] KS 규격 근거 용어 수정

RS(C)-1, RS(C)-2 :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2.2 골 재
2.2 골 재
2.2.1 실 코트에 사용되는 골재는 부순돌, 파쇄한 자갈 및 굵
은 모래이며,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와 동등한 것으로 2.2.1 실 코트에 사용되는 골재는 부순돌 · 파쇄한 자갈 및 굵 [수정] 가운데 점 사용
견고하고, 깨끗하며 먼지, 진흙 등 유해물이 부착되어 있 은 모래이며,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와 동등한 것으로
지 않아야 한다. 견고하고 깨끗하며, 먼지 · 진흙 등 유해물이 부착되어 있 [수정] 가운데 점 사용
2.2.2 역청재로서 아스팔트 시멘트 사용할 때에는 골재를 잘 지 않아야 한다.

건조시켜 두어야 한다. 2.2.2 역청재로서 아스팔트를 사용할 때에는 골재를 잘 건조 [수정] 용어 통일

2.2.3 골재의 입도는 KS F 2525의 S-13(6호) 또는 S-5(7 시켜 두어야 한다.

호)의 규격에 맞아야 한다. 2.2.3 골재의 입도는 KS F 2525의 S-13(6호) 또는 S-5(7
호)의 규격에 맞아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실 코트를 시공하는 표면은 시공 전에 뜬 돌, 먼지 기타의
유해물을 제거하고, 부분적인 균열, 변형 및 파손지점을 보 실 코트를 시공하는 표면은 시공 전에 불안정한 돌 먼지 · [수정] 용어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수하고 청소하여 감독자의 검사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기타의 유해물을 제거하고, 부분적인 균열 변형 및 파손지 ·
점을 보수하고 청소하여 감독자의 검사와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기상조건
3.2 기상조건

9 - 9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실 코트는 시공하는 노면이 젖어 있거나, 비가 올 때 또는 실 코트는 시공하는 노면이 젖어 있거나, 비가 올 때 또는
기온이 10℃ 이하일 때에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기온이 10 ℃ 이하일 때에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3.3 사용량 및 살포온도 3.3 사용량 및 살포온도

실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료의 사용량, 살포온도 및 골재 실 코트에 사용되는 역청재료의 사용량, 살포온도 및 골재
의 살포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의 살포량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4 역청재 및 골재의 살포 3.4 역청재 및 골재의 살포

3.4.1 역청재의 살포에 있어서는 연석 등의 구조물이 더럽혀 3.4.1 역청재의 살포에 있어서는 연석 등의 구조물이 오염되 [수정] 자구 수정
지지 않도록 하고, 디스트리뷰터 또는 엔진 스프레이어 지 않도록 하고, 디스트리뷰터 또는 엔진 스프레이어
등으로 균일하게 살포한 후 골재를 규정량으로 균일하게 등으로 균일하게 살포한 후 골재를 규정량으로 균일하
살포하여야 한다. 게 살포하여야 한다.

3.4.2 골재 살포 후 골재가 불균일한 곳은 균일한 두께가 되 3.4.2 골재가 불균일하게 살포된 곳은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수정] 문구 수정. 불명확한 ‘가급적’ 용어 삭제

도록 골재를 추가하여 고른 후 가급적 빠르게 롤러를 투 골재를 추가하여 고른 후 빠르게 롤러를 투입하여 다진
입하여 다진다. 다.

3.4.3 골재가 비산되지 않을 정도로 양생이 되면 감독자의 승 3.4.3 교통 개방은 골재가 비산되지 않을 정도로 양생이 완료
인을 받아 교통을 개방하여야 한다. 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수정

9-4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9-4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기층면에 시공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이 시방은 기층면에 시공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수정] 용어 통일
중간층 공사에 적용한다. 중간층 공사에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
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문’에 근거하여 신설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9 - 10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름에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방법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방법
KS F 2349 가열 혼합, 가열 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 KS F 2349 가열 혼합, 가열 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
KS F 2353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겉보기 비중 및 밀도 시험 KS F 2353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겉보기 비중 및 밀도 시험
방법 방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 박리 시험방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 박리 시험방법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6 역청 혼합물의 이론 최대비중 및 밀도 시험 KS F 2366 역청 혼합물의 이론 최대비중 및 밀도 시험
방법 방법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
법 및 밀도 시험방법 법 및 밀도 시험방법
KS F 2384 다져지지 않은 잔골재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84 다져지지 않은 잔골재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ASTM D 582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ASTM D 582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fractured particles in coarse percentage of fractured particles in
aggregate (굵은 골재의 파쇠면 함유량 결정을 coarse aggregate (굵은 골재의 파쇠면 함유
위한 시험) 량 결정을 위한 시험)

2. 재 료 2. 재 료

9 - 11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1 아스팔트 2.1 아스팔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2201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 시방서 15-2에 따른다. 2201 또는 국토교통부 관련 지침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 [수정] KS 규격 미제정 기준의 국토교통부의 관련 지침 기준
사용할 아스팔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시방서 15-2에 따른다. 사용할 아스팔트의 종류는 설계도 참조
서에 표시한다.

2.2 골 재 2.2 골 재

2.2.1 잔골재 2.2.1 잔골재


(1) 잔골재란 2.5 ㎜체를 통과하고 0.08 ㎜체에 남는 골 (1) 잔골재란 2.5 mm 체를 통과하고 0.08 mm 체에 남 [수정] 단위 띄어쓰기
재를 말하며, 천연모래, 부순모래 또는 이 두 가지를 혼 는 골재를 말하며, 천연 모래, 부순 모래 또는 이 두
합한 것을 말한다. 가지를 혼합한 것을 말한다.
(2) 부순모래는 굵은골재의 품질기준에 맞는 부순돌 또는 (2) 부순 모래는 굵은 골재의 품질기준에 맞는 부순돌 또
부순자갈을 파쇄하여 생산한 것이어야 한다. 는 부순 자갈을 파쇄하여 생산한 것이어야 한다.
(3) 잔골재는 깨끗하고, 견고하며, 내구적이어야 하고, (3) 잔골재는 깨끗하고 견고하며 내구적이어야 하고, 흙 [수정] 점토와 흙 의미 중복, 점토 삭제
점토 · 흙 · 먼지 또는 유해물을 유해량 이상 함유하지 않 · 먼지 또는 유해물을 유해량 이상 함유하지 않아야 [자문] 시방서의 다른 곳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표현,
아야 한다. 한다. 아스팔트
“유해물 유해량 이상 삭제 검토” (미반영)
(4) 잔골재중 0.4 ㎜체를 통과한 것을 흙의 액성한계, 소 (4) 잔골재 중 0.4 mm 체를 통과한 것을 흙의 액성한계 혼합물의 박리 특성과 관련된 품질관리에 필요한 사항임
성한계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비소성(非塑性) · 소성한계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비소성 [수정] 띄어쓰기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이어야 한다. (非塑性)이어야 한다.
(5) 잔골재는 표 9-3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5) 잔골재는 표 9-4-1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2.2.2 굵은골재 2.2.2 굵은 골재


(1) 굵은골재는 2.5 ㎜체에 남는 골재를 말하며, 부순돌 (1) 굵은 골재는 2.5 mm 체에 남는 골재를 말하며, 부 [수정] 단위 띄어쓰기
(쇄석), 슬래그 또는 부순자갈이어야 한다. 순돌(쇄석), 슬래그 또는 부순 자갈이어야 한다.
(2) 부순자갈은 최대치수의 3배 이상의 자갈을 부수어 생 (2) 부순 자갈은 최대치수의 3배 이상의 자갈을 부수어
산한 것이어야 한다. 굵은 골재는 깨끗하고, 단단하며, 생산한 것이어야 한다. 굵은 골재는 깨끗하고 단단
내구적인 것으로서 흙, 먼지 기타 유해물이 함유되거나 하며 내구적인 것으로서, 흙 · 먼지 · 기타 유해물이
피복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강자갈은 표면에 붙어있는 함유되거나 피복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강자갈은 표
진흙먼지 등을 물로 씻어내야 한다. 면에 붙어있는 진흙 · 먼지 등을 물로 씻어내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3) 철강 슬래그는 KS F 2535(도로용 슬래그)에 적합한 (3) 철강 슬래그는 KS F 2535(도로용 슬래그)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것이어야 한다.

9 - 12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4) 굵은골재는 표 9-3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4) 굵은 골재는 표 9-4-1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9-3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골재의 품질기준 표 9-4-1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수정

항 목 시험방법 기 준 항 목 시험방법 기 준
모래당량 (%) KS F 2340 50 이상 모래당량 (%) KS F 2340 50 이상
잔골재 잔골재
잔골재 입형 시험 (%) KS F 2384 45 이상 잔골재 입형 (%) KS F 2384 45 이상

마모감량 (%) KS F 2508 35 이하 마모율 (%) KS F 2508 35 이하


안정성 (%) KS F 2507 12 이하 안정성 (%) KS F 2507 12 이하
굵은골재
파쇄면 (%) ASTM D 5821 굵은골재
85 이상 파쇄면 비율 (%) ASTM D 5821 85 이상
편장석 함유량 1)
(%) KS F 2575 30 이하 편장석률1) (%) KS F 2575 30 이하
2)
동적수침 후 피복율(%) 지침부속서 참조 503) 이상 [수정] 관계기관 검토 의견 반영
주 1) 편장석 함유량에 따른 골재의 품질기준은 1등급(10% 이하), 2등급
(20% 이하), 3등급(30% 이하)으로 구분된다. 1등급 골재는 4차로 이 주 1) 편장석 함유량에 따른 골재의 품질기준은 1등급(10 % 이하), 2등급 [수정] 띄어쓰기 수정
상의 도로 또는 중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 2등급 골재는 2차로 이 (20 % 이하), 3등급(30 % 이하)으로 구분된다. 1등급 골재는 4차로

하의 도로 중 일반국도, 3등급 골재는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1등 이상의 도로 또는 중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 2등급 골재는 2차로

급·2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등에 적용토록 한다. 이하의 도로 중 일반국도, 3등급 골재는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1

단, 현장여건상 골재의 수급이 어려운 경우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 골재 등급·2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등에 적용하도록 한다.
단, 현장여건상 골재의 수급이 어려운 경우 발주청의 승인을 받아 골재
의 등급 적용을 조정할 수 있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의 등급 적용을 조정할 수 있다.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주 2) 동적수침 후 피복율 시험방법은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
산 및 시공 지침’을 참조한다.
주 3) 동적수침후피복율 기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수정] 박리방지제 사용 규정 추가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박리방지제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토
록 한다.

2.2.3 채움재 2.2.3 채움재

채움재는 KS F 3501의 규격에 맞는 것으로 감독자의 승 채움재는 KS F 3501의 규격에 맞는 것으로 감독자의 승 [수정] 관계기관 의견 반영 (8장 수정, 기준 통일)
인을 받아야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2.3 재료의 표준입도 2.3 재료의 표준입도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했을 때의 입도는 표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했을 때의 입도는 표

9-4에 따른다. 9-4-2에 따른다.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9-4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골재의 표준입도 표 9-4-2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골재의 표준입도 [수정]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규정의 중간층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입도 규정을
반영하여 기존 도로공사표준시방서의 입도

9 - 13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체 크 기(㎜) 통과중량배분율(%)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 MC-1 WC-5 규격(MC-1)에 WC-5 추가

굵은 골재의 최대 크기 20 20R
25 100
20 ∼
90 100
25 mm 100
∼ 100
100
∼ 100
70∼90 통 20 mm 90 90
70 ∼ 90 69 ∼ 84
13
60∼80 과 13 mm
10
5 35∼55 질 10 mm - 56 ∼ 74

2.5 20∼35 량 5 mm 35 ∼ 55 35 ∼ 55
0.6 11∼23 백 2.5 mm 20 ∼ 35 23 ∼ 38
0.3 5∼16 분 0.6 mm 11 ∼ 23 10 ∼ 23
0.15 4∼12 율 0.3 mm 5 ∼ 16 5 ∼ 16
0.08 2∼7 (%) 0.15 mm 4 ∼ 12 3 ∼ 12
0.08 mm 2 ∼ 7 2 ∼ 10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 「시험용 체-1부 : 금속망 체」에


규정한 표준망체 26.5 mm, 19 mm, 13.2 mm, 4.75 mm, 2.36 mm,
0.6 mm, 0.3 mm, 0.15 mm, 0.075 mm에 해당한다.

2.4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4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4.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아스팔트와 골재의 시료 2.4.1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아스팔트와 골재의 시료
및 시험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및 시험결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4.2 아스팔트의 공급원 변경이나 골재원을 변경할 경우에는 2.4.2 아스팔트의 공급원 변경이나 골재원을 변경할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4.3 감독자는 사용재료의 적정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 2.4.3 감독자는 사용재료의 적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
에 따라 보조시험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공사 시행 중에 요에 따라 보조시험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공사 시행 중
도 아스팔트의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에도 아스팔트의 발췌시험을 지시할 수 있다.

2.5 재료의 저장 2.5 재료의 저장

2.5.1 드럼에 든 아스팔트는 정유소별 및 입하 순으로 분류하 2.5.1 드럼에 든 아스팔트는 정유소별 및 입하 순으로 분류하
여 저장하고, 입하 순으로 사용한다. 여 저장하고, 입하 순으로 사용한다.

2.5.2 탱크차로 현장에 반입하는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경우에 2.5.2 탱크차로 현장에 반입하는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경우에
는 가열이 가능한 별도의 저장탱크시설을 갖추어야 한 는 가열이 가능한 별도의 저장탱크시설을 갖추어야 한
다. 다.

9 - 14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5.3 골재는 종류별, 크기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서로 섞이 2.5.3 골재는 종류별 · 크기별로 분리하여 저장하며, 서로 섞이
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저 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저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장하여야 하며, 먼지,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장하여야 하며, 먼지 · 진흙 등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5.4 포대에 든 석분(채움재)은 지면에서 300 ㎜ 이상 높이 2.5.4 포대에 든 석분(채움재)은 지면에서 300 mm 이상 높이
의 방습이 잘 되는 창고에 저장하여 입하 순으로 사용하 의 마루를 설치한 방습이 잘 되는 창고에 저장하여 입하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추가
여야 한다. 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6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2.6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은 KS F 2337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은 국토교통부의 관련
KS F 2377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9-5의 기준에 맞아야 지침과 KS F 2337 또는 KS F 2377에 따라 시험하였을
[수정] 관련 지침 명기
한다. 이 때 공시체의 다짐횟수는 해당 도로의 대형차(화 때 표 9-4-3의 기준에 맞아야 한다.
물자동차, 버스, 특수자동차) 교통량이 1일 1방향 1,000대
이상인 경우는 양면 각 75회로하고, 1,000대 미만인 경우
[삭제] 표 9-4-3의 각주로 이동
는 양면 각 50회로 한다.
표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의 품질기준 표 9-4-3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의 품질기준

[자문] 표번호 오류 수정

9 - 15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구 분 단 위 기준치 특성값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
MC-1 WC-5 [수정]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안 정 도 ㎏f 500 (750) 이상
흐 름 값 1/100㎝ ∼
20 40 마샬 안정도(N)
7500 이상
(5000 이상)
6000 이상 의 중간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으로 수정. KS
공 극 률 % 3∼7 흐름값(1/100cm) ∼
20 40 ∼
15 40 규격의 단위 및 기준을 반영하여 수정
65∼85
3∼6 3∼5
포 화 도 %
공극률 (%) [자문] 한글로 순화 : 특성치 ⇒ 특성값
비고 ( )안은 대형차(화물자동차, 버스, 특수자동차) 교통량이 1일 1방향 포화도 (%) 65∼80 70∼85

1,000대 이상인 경우에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 적용 골재간극률 (%) 표 9-4-4 참조

한다.
마샬
간접인장강도 (N/㎟) 0.8 이상
안정도
적용할 때
터프니스( N·㎜) 8,000 이상
인장강도비(TSR) 0.8 이상
W64 등급 750 이상 1,000 이상
동적안정도
W70 등급 1,500 이상 2,000 이상
(회/㎜)
W76 등급 2,000 이상 3,000 이상
선회다짐 : 100 (75)
선회다짐횟수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자문] 현재 문구로는 중온아스팔트가 아니면 동적안정도 적용
4.25 이상
변형강도(Mpa)
(3.2 이상) 기준이 없는데, 중온 아스팔트가 아니면 동적안정도 기
공극률 (%) ∼
3 6 ∼
3 5 배합설계와 관련
준이 필요 없는 것인지 검토 (미반영)
65∼80 70∼85
포화도 (%)
골재간극률 (%) 표 9-4-4 참조
된 사항으로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에만 해당되는 기준
간접인장강도 (N/㎟) 0.8 이상 임
변형강도
터프니스( N·㎜) 8,000 이상
적용할 때 [자문] 한글로 순화
인장강도비(TSR) 0.8 이상
W64 등급 750 이상 1,000 이상
동적안정도 [수정]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W70 등급 1,500 이상 2,000 이상
(회/㎜)
W76 등급 2,000 이상 3,000 이상 의 중간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의 하나인 골
선회다짐 : 100 (75) 재간극률 기준으로 별도 표기하여 수정
선회다짐횟수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변형강도 적용할 때 추가)
[수정]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주 1) 동적안정도의 W64, W70, W76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나타낸다. 기준밀도 규격인 현장배합에서 결정된 밀도를 반영
주 2) 간접인장강도, 터프니스, 인장강도비, 동적안정도 시험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만 적용한다. 그 외의 기준은 가열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모두 적용한다.
주 3) 대형차 교통량이 1일 한 방향 1,000대 이상, 또는 20년 설계 ESAL >

10 7 인 경우인 중 교통도로 포장에서는 선회다짐 100회 또는 마샬다짐


양면 각 75회를 사용한다. 그 이하의 교통량에서는 선회다짐 75회 또
는 마샬다짐 양면 각 50회를 사용하며, 이 경우 품질기준은 ( )의 기
준을 적용한다.

9 - 16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주 4) 변형강도 시험은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을
참조한다.
주 5) 인장강도비(TSR) 기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박리방지제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토
록 한다.

표 9-4-4 최소 골재간극률 기준
골재최대크기 설계 공극률 (%)
(mm) 3.0 4.0 5.0 6.0

13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16.0 이상

20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25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30 10.5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40 10.0 이상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주 1) 설계공극률이 3.0 % ~ 4.0 %, 4.0 % ~ 5.0 %, 5.0 % ~ 6.0 % 이


면, 각 기준값을 보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최대크기가 20 mm 이고, 설
계공극률이 4.5 % 이면, VMA 기준은 「13.5 % 이상」이다.

2.7 기준밀도 2.7 기준밀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감독자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용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감독자
의 승인을 받은 배합에 대하여 양면을 각각 50(75)회씩 의 승인을 받은 현장배합에 대하여 양면을 각각 50(75)회 [수정] 용어 수정
다진 3개의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고, 다음 식으로 구한 마 씩 다진 3개의 마샬 공시체를 제작하고, 다음 식으로 구한
샬 공시체의 밀도의 평균치를 기준밀도로 한다. 마샬 공시체의 밀도의 평균값을 기준밀도로 한다.

건조공시체의 공기중 중량 g  건조공시체의 공기중 중량 g


공시체의밀도 gcm     × gcm   공시체의밀도 g cm     × gcm  
공시체의 표면건조중량 g
 
 공시체의 수중중량 g  
공시체의 표면건조중량 g 
 공시체의 수중중량 g  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기층면을 점검하여 손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기층면을 점검하여 손
상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상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9 - 17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2 공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플랜트, 운반 및 시공장비 등을 미리 점검하여 양호한 3.1.2 공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상태로 정비해 두어야 한다. 플랜트, 운반 및 시공장비 등을 미리 점검하여 양호한

3.1.3 계약상대자는 종․횡방향 시공이음부 처리 방안 및 1일 상태로 정비하여 두어야 한다.

적정 작업물량 등을 포함된 세부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 3.1.3 계약상대자는 종 · 횡방향 시공이음부 처리 방안 및 1일


감독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적정 작업물량 등을 포함된 세부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수정] 한글로 순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2 믹싱 플랜트
3.2 믹싱 플랜트
이 시방서 8-4절 3.2에 따른다.
이 시방서 8-4절 3.2에 따른다.
3.3 시험포장
3.3 시험포장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공사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 하에 시험포장을 실시 3.3.1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따라 공사에 적합한 재료 및
하여야 한다. 단, 현장여건상 시험포장이 곤란할 경우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시험포장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하여야 한다. 단, 현장여건상 시험포장이 곤란할 경우 감
시험포장을 생략할 경우에는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 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험포장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시
[수정] 한글로 순화
팔트의 온도, 다짐작업에 사용할 롤러의 대수, 조합 및 험포장을 생략할 경우에는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팔
다짐횟수, 최적아스팔트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두께, 플 트의 온도, 다짐작업에 사용할 롤러의 대수, 조합 및 다
랜트 배합, 현장포설온도 등 시험포장에서 결정하여야 할 짐횟수, 최적 아스팔트 함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두께,
제반사항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플랜트 배합, 현장 포설온도 등 시험포장에서 결정하여야 [수정] 띄어쓰기 수정

3.3.2 시험포장 면적은 약 500㎡ 정도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 할 제반사항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아 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짐시험을 실시하여 두께 및 3.3.2 시험포장 면적은 약 500 ㎡ 정도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밀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아 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짐시험을 실시하여 두께 및

3.3.3 시험포장은 최적 아스팔트 함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 밀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두께, 다짐방법, 다짐 후 밀도, 플랜트 배합 및 현장포설 3.3.3 시험포장은 최적 아스팔트 함량, 다짐도, 다짐 전 포설
온도 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한다. 두께, 다짐방법, 다짐 후 밀도, 플랜트 배합 및 현장포설

3.3.4 시험포장을 시행할 장소와 혼합물의 배합, 포설두께, 다 온도 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한다.

짐장비, 다짐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계획서를 제출하 3.3.4 시험포장을 시행할 장소와 혼합물의 배합 · 포설두께 · 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 짐장비 · 다짐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계획서를 제출하
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대하여 감

9 - 18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5 시험포장 구간은 공사시방서, 설계도서의 규정에 만족 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할 경우에는 본 포장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규정 3.3.5 시험포장 구간은 공사시방서, 설계도서의 규정에 만족
에 벗어날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여 원상으로 복구하여 할 경우에는 본 포장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규정
야 한다. 에 벗어날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여 원상으로 복구하여야

3.3.6 시험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포장의 계약단가에 포함된 한다.

것으로 간주하고, 별도의 지불은 하지 않는다. 3.3.6 시험포장에 소요되는 비용은 포장의 계약단가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고, 별도의 지불은 하지 않는다.
3.4 현장배합
3.4 현장배합
3.4.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및 골재의 대표적인 시료를 이
용하여 시험비빔 및 시험포장을 시행한 결과를 검토한 3.4.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및 골재의 대표적인 시료를 이
후 혼합물의 입도, 아스팔트 함량, 혼합물의 혼합시간, 용하여 시험비빔 및 시험포장을 시행한 결과를 검토한
믹서 배출 시의 온도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후 혼합물의 입도, 아스팔트 함량, 혼합물의 혼합시간,
믹서에서 배출할 때의 온도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 [자문]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정한다.
3.4.2 계약상대자는 3.4.1에 따라 혼합물을 생산하여야 한다.
다만, 실제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혼합물의 골재입도는 배 3.4.2 계약상대자는 3.4.1에 따라 혼합물을 생산하여야 한다.

합설계시의 입도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 다만, 실제 플랜트에서 생산되는 혼합물의 골재입도는 배
[수정] 한글로 순화
에 현장배합을 실시하여 규정된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 합설계할 때의 입도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기

족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때문에 현장배합을 실시하여 규정된 혼합물의 품질기준


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3.4.3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골재의 입도 또는 아스팔트의 함량을 수정하여야 한다. 3.4.3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골재의 입도 또는, 아스팔트의 함량을 수정하여야 한다.
3.4.4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배합 시 온도오차는 ±10℃ 이상
3.4.4 아스팔트 혼합물을 현장배합할 때의 온도 오차는 ±10 [수정] 한글로 순화
나지 않도록 한다.
℃ 이상 나지 않도록 한다.
3.4.5 지금까지 제조실적이 있는 혼합물의 경우에는 그 실적
또는 정기시험에 의한 시험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감독 3.4.5 지금까지 제조실적이 있는 혼합물의 경우에는 그 실적

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시험배합을 생략할 수 있다. 또는 정기시험에 의한 시험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 감독


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시험배합을 생략할 수 있다.
3.4.6 시공 중 혼합물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가 현
장배합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아스팔트량의 차 3.4.6 시공 중 혼합물의 개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가 현

이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계약단가의 변경은 하지 장배합의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아스팔트량의 차
이가 ±0.5 % 미만인 경우에는 계약단가의 변경은 하지 [수정] 단위 띄어쓰기
않는다.

9 - 19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않는다.
3.5 혼합작업
3.5 혼합작업
3.5.1 혼합작업은 3.2항에서 규정한 믹싱플랜트에서 아스팔
트, 골재 및 채움재를 사용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3.5.1 혼합작업은 3.2항에서 규정한 믹싱플랜트에서 아스팔

3.5.2 종류별 및 크기별로 저장되어 있는 콜드 빈의 골재는 트, 골재 및 채움재를 사용하여 혼합하여야 한다.

가열 및 체가름하여 하트 빈으로 보내며, 하트 빈에서는 3.5.2 종류별 및 크기별로 저장되어 있는 콜드 빈의 골재는


배합비에 따라 골재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며, 계량 가열 및 체가름하여 하트 빈으로 보내며, 하트 빈에서는
된 채움재가 투입되고 믹서에서 혼합된 후 소요량의 아 배합비에 따라 골재를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며, 계량
스팔트를 믹서에 주입하여 혼합한다. 된 채움재가 투입되고 믹서에서 혼합된 후 소요량의 아

3.5.3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팔트의 온도는 규정된 온도 스팔트를 믹서에 주입하여 혼합한다.

에서 ±10℃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되며, 골재의 온도는 3.5.3 믹서에 투입된 골재와 아스팔트의 온도는 규정된 온도
아스팔트 투입온도보다 10℃ 이상 높아서는 안 된다. 에서 ±10 ℃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되며, 골재의 온도는

3.5.4 믹서에서 5∼15초 동안 골재를 혼합한 후 가열된 아스 아스팔트 투입온도보다 10 ℃ 이상 높아서는 안 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팔트를 주입하고,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30초 이상 3.5.4 믹서에서 5초 ∼ 15초 동안 골재를 혼합한 후 가열된
계속 혼합하여야 한다. 이 때 과잉혼합이 되지 않도록 아스팔트를 주입하고, 균일한 혼합물이 될 때까지 30초 [수정] 띄어쓰기 수정

주의하여야 한다. 이상 계속 혼합하여야 한다. 이 때 과잉혼합이 되지 않도

3.5.5 연속식 플랜트에서는 다음 식으로 구한 혼합시간을 45 록 주의하여야 한다.

초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3.5.5 연속식 플랜트에서는 다음 식으로 구한 혼합시간을 45

믹서의 전용량 kg 초 이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혼합시간 초   
매초 당 믹서의 배출량 kg 초 
믹서의 전용량 kg
혼합시간 초   
3.5.6 배치식 플랜트나 연속식 플랜트의 어느 것을 사용하든 매초 당 믹서의 배출량 kg 초 

혼합시간은 현장배합 시험 결과에 따라 결정하여야 하며, 3.5.6 배치식 플랜트나 연속식 플랜트의 어느 것을 사용하든
[수정] 자구 수정, 한글로 순화
믹서에서 배출 시 혼합물의 온도는 시험배합에서 결정된 지 혼합시간은 현장배합 시험 결과에 따라 결정하여야
혼합물의 온도에서 ±10℃의 범위 내에 있되, 180℃를 하며, 믹서에서 배출할 때 혼합물의 온도는 시험배합에서
넘어서는 안 된다. 결정된 혼합물의 온도에서 ±10 ℃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 140 ℃를 가열 아스
팔트 혼합물의 경우 180 ℃를 넘어서는 안 된다.
3.6 혼합물의 운반
3.6 혼합물의 운반
3.6.1 플랜트에서 포설현장까지 혼합물 운반에 사용할 트럭의
3.6.1 플랜트에서 포설현장까지 혼합물 운반에 사용할 트럭의

9 - 20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적재함은 바닥이 깨끗하고 평평하여야 하며, 혼합물이 적재함은 바닥이 깨끗하고 평평하여야 하며, 혼합물이
적재함 바닥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유(석유계 물 적재함 바닥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유(석유계
질)등을 적재함 바닥에 발라서는 안된다. 물질)등을 적재함 바닥에 발라서는 안 된다.

3.6.2 혼합물의 양은 계획시간 이전에 포설 및 다짐을 마칠 3.6.2 혼합물의 양은 계획시간 이전에 포설 및 다짐을 마칠
[수정] 띄어쓰기
수 있을 만큼 현장에 운반하여야 한다. 수 있을 만큼 현장에 운반하여야 한다.

3.6.3 혼합물은 운반 도중 오물이 유입되거나 온도가 떨어지 3.6.3 혼합물은 운반 도중 오물이 유입되거나 온도가 떨어지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물 위에 덮개를 씌워야 한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물 위에 덮개를 씌우는 등
다. 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7 기상조건 3.7 기상조건

3.7.1 아스팔트 혼합물은 포설할 표면이 얼어있거나 습윤상태 3.7.1 아스팔트 혼합물은 포설할 표면이 얼어있거나 습윤상태
이거나 불결할 때, 또한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낀 날은 이거나 불결할 때 또한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낀 날은
시공하지 않아야 한다. 시공하지 않아야 한다.

3.7.2 시공 중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3.7.2 시공 중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기온이 5℃ 이하일 때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기온이 5 ℃ 이하일 때는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3.8 포설장비 3.8 포설장비 [수정] 단위 띄어쓰기

3.8.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사용하는 피니셔는 자주식으 3.8.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사용하는 피니셔는 자주식으
로 설계도서에 표시한 선형, 경사 및 크라운에 일치되도 로 설계도서에 표시한 선형, 경사 및 크라운에 일치되도
록 포설할 수 있는 자동센서가 부착된 장비이어야 한다. 록 포설할 수 있는 자동센서가 부착된 장비이어야 한다.

3.8.2 피니셔는 혼합물을 평탄하게 포설할 수 있는 호퍼, 스 3.8.2 피니셔는 혼합물을 평탄하게 포설할 수 있는 호퍼, 스
크류, 조절스크리드 및 탬퍼를 장치한 것으로 혼합물의 크류, 조절 스크리드 및 탬퍼를 장치한 것으로 혼합물의
공급량에 따라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 공급량에 따라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
[수정] 띄어쓰기
다. 다.

3.9 포설작업 3.9 포설작업

3.9.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기층면을 점검하여 손 3.9.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기층면을 점검하여 손
상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상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상의 먼지 및
기타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기타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9 - 21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9.2 택 코트가 충분히 양생되기 전에는 혼합물을 포설하여 3.9.2 택 코트의 양생이 끝나기 전에는 혼합물을 포설하여서
서는 안 된다. 는 안 된다. [수정] “충분히” 삭제

3.9.3 감독자는 포설온도범위를 지정하여야 하며, 지정된 포 3.9.3 감독자는 포설온도범위를 지정하여야 하며, 지정된 포
설온도보다 20℃ 이상 낮을 경우에는 그 혼합물은 폐기 설온도보다 20 ℃ 이상 낮을 경우에는 그 혼합물은 폐기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3.9.4 아스팔트 중간층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70 ㎜ 이내가 되도 3.9.4 아스팔트 중간층은 다짐 후의 1층 두께가 70 mm 이내가 되
록 포설하여야 한다. 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3.9.5 포설작업이 작업 도중 오랫동안 중단되었을 때는 혼합물의 3.9.5 포설작업이 작업 도중 오랫동안 중단되었을 때는 혼합물의
포설 및 다짐에 부적합한 온도로 내려가 완성면의 평탄성이 포설 및 다짐에 부적합한 온도로 내려가 완성면의 평탄성이
좋지 않거나 다짐밀도가 적어지므로 포설작업이 연속적으로 좋지 않거나 다짐밀도가 적어지므로 포설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랜트의 생산능력에 맞추어 포설속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랜트의 생산능력에 맞추어 포설속도
를 조절하여야 하며, 혼합물의 운반계획을 면밀히 수립하여 를 조절하여야 하며, 혼합물의 운반계획을 면밀히 수립하여
야 한다. 야 한다.

3.9.6 혼합물은 포설 스크류 깊이의 2/3 이상 차 있도록 호퍼 3.9.6 혼합물은 포설 스크류 깊이의 2/3 이상 차 있도록 호퍼
에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이 때 호퍼의 조정문은 스크 에 적정량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 때 호퍼의 조정문은 스
류와 피더가 85% 이상 작동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크류와 피더가 85 % 이상 작동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수정] “충분히” 수정. 단위 띄어쓰기

3.9.7 피니셔의 속도는 혼합물의 포설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 3.9.7 피니셔의 속도는 혼합물의 포설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
정하며, 스크리드는 포설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예열하여 정하며, 스크리드는 포설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예열하여
야 한다. 야 한다.

3.9.8 편경사가 있는 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노 3.9.8 편경사가 설치된 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면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직 노면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수정] 자구 수정

선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길어깨 쪽에서 도 직선구간에서는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길어깨 쪽에서
로중심선 쪽으로 포설하여야 하며, 종단방향으로는 낮은 도로중심선 쪽으로 포설하여야 하며, 종단방향으로는 낮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포설하여야 한다.

3.9.9 피니셔 뒤에는 삽과 레이크 인부를 고정배치하여 피니 3.9.9 피니셔 뒤에는 삽과 레이크 인부를 고정 배치하여 피니
[수정] 띄어쓰기
셔의 마무리가 불완전한 곳은 수정하여야 한다. 포설 중 셔의 마무리가 불완전한 곳은 수정하여야 한다. 포설 중
에 혼합물의 재료분리가 생길 경우에는 피니셔의 운행을 에 혼합물의 재료분리가 생길 경우에는 피니셔의 운행을
즉시 중지하고, 원인을 조사하여 포설불량 부분은 즉시 즉시 중지하고, 원인을 조사하여 포설불량 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다. 보수하여야 한다.

9 - 22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9.10 기계포설이 불가능한 곳에는 인력포설을 하여야 하며, 3.9.10 기계포설이 불가능한 곳에는 인력포설을 하여야 하며,
이 때에는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이때에는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한다.

3.9.11 이미 완성된 포장층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택 코 3.9.11 이미 완성된 포장층에는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택 코
트를 시행한 후 혼합물을 포설하여야 한다. 단, 택 코트 트를 시행한 후 혼합물을 포설하여야 한다. 단, 택 코트
의 생략은 9-2절을 따른다. 의 생략은 9-2절을 따른다.

3.10 다짐장비 3.10 다짐장비

3.10.1 다짐장비는 8톤 이상의 머캐덤 롤러와 6톤 이상의 2축 3.10.1 다짐장비는 8톤 이상의 머캐덤 롤러와 6톤 이상의 2축
식 탄뎀 롤러 및 10톤 이상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 식 탄뎀 롤러 및 10톤 이상의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여
야 하며, 규격․종류 및 다짐횟수는 시험포장결과에 따 야 하며, 규격 · 종류 및 다짐횟수는 시험포장 결과에
라 결정한다. 따라 결정한다.

3.10.2 롤러는 전․후진 방향전환 시 노면에 충격을 가하지 않 3.10.2 롤러는 전 · 후진, 방향을 전환할 때 노면에 충격을 가
[수정] 가운데 점 사용. 한글로 순화
는 자주식으로서 혼합물이 바퀴에 부착되지 않도록 바 하지 않는 자주식으로서 혼합물이 바퀴에 부착되지 않
퀴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도록 바퀴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
다.

3.10.3 감독자 입회하에 포장 시공 전까지 각 다짐장비의


[추가]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을
중량을 측정하고, 롤러 면의 녹과 협잡물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반영하여 최적 다짐에너지 확보를 목적으로 시공 전
한다.
다짐 장비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 추가

[자문] 잘못 표기된 따옴표 수정(삭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반복 주어(다짐장비는) 삭제
3.11 다짐작업 3.11 다짐작업

3.11.1 혼합물의 다짐은 3.10항의 다짐장비로 균일하게 다짐 3.11.1 혼합물의 다짐은 3.10항의 다짐장비로 균일하게 다짐
을 실시하여야 하며, 롤러다짐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수 을 실시하여야 하며, 롤러다짐이 불가능한 곳에서는 수
동식 탬퍼로 충분히 다져야 한다. 동식 탬퍼로 다져야 한다.
[수정] “충분히” 삭제
3.11.2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롤러의 대수, 조합, 다짐횟수 등 3.11.2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롤러의 대수, 조합, 다짐횟수 등
은 시험포장에서 결정된 내용으로 시행한다. 혼합물 포 은 시험포장에서 결정된 내용으로 시행한다. 혼합물 포
설 후 롤러의 하중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을 정도로 안 설 후 롤러의 하중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을 정도로 안
정되면 즉시 롤러를 투입하여 다져야 한다. 머캐덤 롤러 정되면 즉시 롤러를 투입하여 다져야 한다. 머캐덤 롤러

9 - 23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로 초기다짐을 실시한 후 횡단면의 양호도를 검사하여 로 초기다짐을 실시한 후 횡단면의 양호도를 검사하여
불량한 곳이 발견되면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혼합물을 불량한 곳이 발견되면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혼합물을
가감하여 수정하여야 한다. 가감하여 수정하여야 한다.

3.11.3 다짐작업 중 롤러의 다짐선을 갑자기 변경하거나 방향 3.11.3 다짐작업 중 롤러의 다짐선을 갑자기 변경하거나 방향
을 바꿔 포설한 혼합물의 이동이 생기도록 하여서는 안 을 바꿔 포설한 혼합물의 이동이 생기도록 하여서는 안
된다. 롤러의 방향전환은 안정된 노면 위에서 하여야 하 된다. 롤러의 방향전환은 안정된 노면 위에서 하여야 하
며, 포설된 혼합물이 이동되었으면 레이크로 긁어 일으 며, 포설된 혼합물이 이동되었으면 레이크로 긁어 일으
켜 다짐 전의 상태로 만들어 다시 다져야 한다. 다짐이 켜 다짐 전의 상태로 만들어 다시 다져야 한다. 다짐이
끝났다 하더라도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는 롤러 등 중장 끝났다 하더라도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는 롤러 등 중장
비를 포장면에 세워두어서는 안 된다. 비를 포장면에 세워 두어서는 안 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3.11.4 현장다짐밀도는 이 시방서 2.7절 방법으로 구한 기준 3.11.4 현장다짐밀도는 이 시방서 2.7절 방법으로 구한 기준
[수정] 과다짐 방지 규정 추가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밀도의 96% 이상이어야 한다. 밀도의 96 % 이상에서 100 % 이하 사이가 되도록 한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 반영)
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이상, 이하 추가
3.11.5 다짐작업 후 24시간 이내에는 교통을 소통시켜서는 안 3.11.5 다짐작업 후 24시간 이내에는 교통을 소통시켜서는 안

되며,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불가피하게 교통을 소통시 되며,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불가피하게 교통을 소통시

키는 경우에는 표면의 온도가 40℃ 이하이어야 한다. 키는 경우에는 표면의 온도가 40 ℃ 이하이어야 한다.

3.12 이 음 3.12 이 음

3.12.1 포장의 이음은 이음부분이 외형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수정]


3.12.1 포장의 이음은 이음부분이 외형으로 눈에 띄지 않도록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며, 이미 포설한 단부에 균열이 생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며, 이미 포설한 단부에 균열이 생

겼거나 다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부분을 깨끗 겼거나 다짐이 규정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그 부분을
[수정] “충분하지” 의미 불분명 삭제, 문구 수정
이 잘라내고 인접부를 시공하여야 한다. 깨끗이 잘라내고, 인접부를 시공하여야 한다.

3.12.2 세로이음, 가로이음 및 구조물과의 접속면은 깨끗이 3.12.2 세로이음, 가로이음 및 구조물과의 접속면은 깨끗이

청소한 후 감독자가 승인한 역청재를 바른 후 시공하여 청소한 후 감독자가 승인한 역청재를 바른 후 시공하여

야 한다. 아스팔트 혼합물층의 아래층과 위층의 가로이 야 한다. 아스팔트 혼합물층의 아래층과 위층의 가로이음

음의 위치는 1m 이상, 세로이음의 위치는 0.15m 이상 의 위치는 1 m 이상, 세로이음의 위치는 0.15 m 이상
[수정] 띄어쓰기
어긋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어긋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13 마무리 3.13 마무리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의 완성면은 3m 직선자로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의 완성면은 3 m 직선자로 [수정] 띄어쓰기

9 - 24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도로중심선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도로중심선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오목한 곳이 3 ㎜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오목한 곳이 3 mm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3.13.2 직선자를 사용하여 평탄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이미 측 3.13.2 직선자를 사용하여 평탄성을 측정할 경우에는 이미 측
정한 곳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야 한다. 정한 곳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야 한다.

3.13.3 평탄성의 기준에 맞지 않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3.13.3 평탄성의 기준에 맞지 않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공하여야 한다. 재시공하여야 한다.

3.14 두께측정 3.14 두께측정

3.14.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선정하는 위치 또는 매 층당 3.14.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선정하는 위치 또는, 매 층 공 [수정] 의미 중복 부분 삭제(∼당), 단위표기 수정 (일부 반영

3,000㎡ 마다 코아를 채취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그 결 사에서 3,000 ㎡ 마다 코아를 채취하여 두께를 측정하 및 자구 수정)

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4.2 완성두께는 설계두께보다 10% 이상 초과하거나 5% 3.14.2 완성두께는 설계두께보다 10 % 이상 초과하거나 5 % [수정] 띄어쓰기, 문구 수정

이상 부족 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 부족하여서는 안 된다.

3.14.3 코아를 채취한 곳은 즉시 메워야 하며, 여기에 소요되 3.14.3 코아를 채취한 곳은 즉시 메워야 하며, 여기에 소요되
는 비용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는 비용은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9-5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통하중을 직접 받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 이 시방은 교통하중을 직접 받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수정] 용어 통일


층공사에 적용한다. 공사에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립대책’의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
고 있으며, ‘국토교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
기술자는 ʻ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문’에 근거하여 신설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건설사업관리기술자
양성과정ʼ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9 - 25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 KS F 2337 마샬시험기를 사용한 역청 혼합물의 소성흐
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름에 대한 저항력 시험방법
KS F 2349 가열 혼합, 가열 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 KS F 2349 가열 혼합, 가열 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
KS F 2353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겉보기 비중 및 밀도 시험 KS F 2353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겉보기 비중 및 밀도 시험방
방법 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 박리 시험방법 KS F 2355 역청 골재 혼합물의 피막 박리 시험방법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5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4 다져진 역청 혼합물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366 역청 혼합물의 이론 최대비중 및 밀도 시험 KS F 2366 역청 혼합물의 이론 최대비중 및 밀도 시험
방법 방법
KS F 2373 7.6m 프로파일 미터에 의한 포장의 평탄성 시험 KS F 2373 7.6 m 프로파일 미터에 의한 포장의 평탄성 시험
방법 방법
KS F 2374 역청 포장 혼합물의 휠트랙킹 시험방법 KS F 2374 역청 포장 혼합물의 휠트랙킹 시험방법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 KS F 2377 선회다짐기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방
법 및 밀도 시험방법 법 및 밀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 골재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2. 재 료 2. 재 료

2.1 아스팔트 2.1 아스팔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220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에 사용할 아스팔트는 KS M 2201

9 - 26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 시방서 15-2에 따른다. 사용할 아 에 적합한 것으로서 이 시방서 15-2에 따른다. 사용할 아
스팔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스팔트의 종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2.2 골 재 2.2 골 재

이 시방서 9-4절 2.2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2.2에 따른다.

2.3 재료의 표준입도 2.3 재료의 표준입도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했을 때의 입도는 표 굵은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를 혼합했을 때의 입도는 표
9-6에 따른다. 사용할 입도는 설계도서에 명기하거나 감 9-5-1에 따른다. 사용할 입도는 설계도서에 명기하거나 [수정] 표 번호 수정
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표 9-6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골재의 표준입도 표 9-5-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골재의 표준입도
[수정] 표 번호 수정
WC-1 WC-2 WC-3 WC-4 WC-5 WC-1 WC-2 WC-3 WC-4 WC-5 WC-6
구 분 구 분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내유동성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밀입도 내유동성 내유동성
체의 호칭 치수(㎜) 13 13F 20 20F 20R 체의 호칭 치수(㎜) 13 13F 20 20F 20R 13R

25 - - 100 100 100 25 - - 100 100 100 -


통 20 100 100 ∼
90 100 ∼
95 100 ∼
90 100 통 20 100 100 ∼ ∼ ∼
90 100 95 100 90 100 100
과 13 ∼
90 100 ∼
95 100 ∼
72 90 ∼
75 90 ∼
69 84 과 13 ∼ ∼ ∼ ∼ ∼
90 100 95 100 72 90 75 90 69 84 ∼
90 100
중 10 ∼
76 90 ∼
84 92 ∼
56 80 ∼
67 84 ∼
56 74 중 10 ∼ ∼ ∼ ∼
76 90 84 92 56 80 67 84 56 74∼ ∼
73 90
량 5 ∼
44 74 ∼
55 70 ∼
35 65 ∼
45 65 ∼
35 55 량 5 ∼ ∼ ∼ ∼
44 74 55 70 35 65 45 65 35 55∼ ∼
40 60
백 2.5 ∼
28 58 ∼
35 50 ∼
23 49 ∼
35 50 ∼
23 38 백 2.5 ∼ ∼ ∼ ∼
28 58 35 50 23 49 35 50 23 38∼ ∼
25 40
분 0.6 ∼
11 32 ∼
18 30 ∼
10 28 ∼
18 30 ∼
10 23 분 0.6 ∼ ∼ ∼ ∼
11 32 18 30 10 28 18 30 10 23∼ ∼
11 22
율 0.3 ∼
5 21 ∼
10 21 ∼
5 19 ∼
10 21 ∼
5 16 율 0.3 ∼
5 21 ∼
10 21 ∼
5 19 ∼
10 21 ∼
5 16 ∼
7 16
(%) 0.15 ∼
3 15 ∼
6 16 ∼
3 13 ∼
6 16 ∼
3 12 (%) 0.15 ∼
3 15 ∼
6 16 ∼
3 13 ∼
6 16 ∼
3 12 ∼
4 12
0.08 ∼
2 10 ∼
4 8 ∼
2 8 ∼
4 8 ∼
2 10 0.08 ∼
2 10 ∼
4 8 ∼
2 8 ∼
4 8 ∼
2 10 ∼
3 9

2.4 재료의 승인 및 시험 2.4 재료의 승인 및 시험

이 시방서 9-4절 2.4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2.4에 따른다.


.

2.5 재료의 저장 2.5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9-4절 2.5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2.5에 따른다.

2.6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2.6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혼합물은 KS F 2337 또는 KS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혼합물은 국토교통부의 관련 지

9 - 27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F 2377에 의하여 시험했을 때 표 9-7의 기준에 맞는 것이 침과 KS F 2337 또는 KS F 2377에 의하여 시험했을 때
어야 한다. 표 9-5-2의 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표 9-7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혼합물의 품질기준 표 9-5-2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혼합물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수정
항 목 WC - 1∼4 WC - 5, 6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
(내유동성 입도) 특성치
WC-1 ∼
4 WC-5, 6 [수정] 국토교통부 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7500 이상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질기준으로 수정. KS 규격
안 정 도 (㎏) 500(750) 이상 600 이상 마샬 안정도(N) 6000 이상
(5000 이상)

공 극 률 (%)
5000N(7350N)
3 ∼ 6
5880N
3∼ 5
흐름값(1/100cm) ∼
20 40 ∼
15 40 의 단위 및 기준을 반영 수정[수정]
포 화 도 (%) 65 ∼ 80 70∼ 85 공극률 (%) 3∼6 3∼5
흐 름 값 (1/100㎝) 20 ∼ 40 15∼ 40
포화도 (%) 65∼80 70∼85
간극률(VMA) (%) 표 9-7-1 참조 마샬 골재간극률 (%) <표 9-5-3> 참조
다 짐 회 수 (회) 양면 50(75) 회 양면 75 안정도
회 간접인장강도 (N/㎟) 0.8 이상
주 1) ( )안은 대형차 교통량(대형화물차, 버스, 특수자동차)이 1일 1방향 1,000대
적용할

터프니스( N·㎜) 8,000 이상
이상인 경우에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 적용한다. 인장강도비(TSR) 0.8 이상
2) 물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생각되는 혼합물 또는 그와 같은 장소에 포설되는 W64 등급 750 이상 1,000 이상
동적안정도
W70 등급 1,500 이상 2,000 이상
혼합물에 대하여는 다음 식으로 구한 잔류안정도가 75% 이상이어야 한다. (회/㎜)
W76 등급 2,000 이상 3,000 이상
선회다짐 : 100 (75)
선회다짐횟수
℃  시간 수침후의 안정도 kg 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잔류안정도     × 
안정도   4.25 이상
변형강도(Mpa)
(3.2 이상)
공극률 (%) ∼
3 6 ∼
3 5
포화도 (%) 65∼80 70∼85
골재간극률 (%) 표 9-4-4 참조

변형강도 간접인장강도 (N/㎟) 0.8 이상


적용할 터프니스( N·㎜) 8,000 이상
때 인장강도비(TSR) 0.8 이상
W64 등급 750 이상 1,000 이상
동적안정도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변형강도 적용할 때 추가)
W70 등급 1,500 이상 2,000 이상
(회/㎜)
W76 등급 2,000 이상 3,000 이상
선회다짐 : 100 (75)
선회다짐횟수
마샬다짐 : 양면 각 75 (50)

주 1) 동적안정도의 W64, W70, W76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나타낸다.


주 2) 간접인장강도, 터프니스, 인장강도비, 동적안정도 시험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만 적용한다. 그 외의 기준은 가열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모두 적용한다.
주 3) 대형차 교통량이 1일 한 방향 1,000대 이상, 또는 20년 설계 ESAL >

10 7 인 경우인 중 교통도로 포장에서는 선회다짐 100회 또는 마샬다짐

9 - 28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양면 각 75회를 사용한다. 그 이하의 교통량에서는 선회다짐 75회 또
는 마샬다짐 양면 각 50회를 사용하며, 이 경우 품질기준은 ( )의 기
준을 적용한다.
주 4) 공시체의 다짐은 현장 다짐조건과 유사한 선회다짐기를 사용한 선회다
짐이나, 마샬 다짐기를 사용한 마샬다짐을 적용할 수 있다.
주 5) 변형강도 시험은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을 참조
한다.
주 6) 인장강도비(TSR) 기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국토교통부 ‘아스팔트 혼합
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의 박리방지제 적용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토록 한
다.
표 9-8 최소 간극률(VMA) 기준
설계 공극률 (%) 표 9-5-3 최소 골재간극률 기준
골재최대치수(㎜) 3.0 4.0 5.0 6.0
골재최대크기 설계 공극률 (%)
(mm) 3.0 4.0 5.0 6.0
13 13.0 14.0 15.0 16.0

20 12.0 13.0 14.0 15.0 13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16.0 이상

25 11.0 12.0 13.0 14.0 20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32 10.5 11.5 12.5 13.5 25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40 10.0 11.0 12.0 13.0 30 10.5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40 10.0 이상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주 1) 설계공극률이 3.0 % ~ 4.0 %, 4.0 % ~ 5.0 %, 5.0 % ~ 6.0 % 이


면, 각 기준값을 보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최대크기가 20 mm이
고, 설계공극률이 4.5 %이면 VMA 기준은 「13.5 % 이상」이다.
2.7 기준밀도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현장배합에 의 2.7 기준밀도


해 제조된 혼합물로부터 매일 3개의 마샬공시체를 만들고, 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기준밀도는 현장배합에 의하여
기준밀도의 결정은 이 시방서 9-4절 2.7에 따른다. 제조된 혼합물로부터 매일 3개의 마샬공시체를 만들고, 기
준밀도의 결정은 이 시방서 9-4절 2.7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이 시방서 9-4절 3.1에 따른다. 3.1 준비공

이 시방서 9-4절 3.1에 따른다.


3.2 믹싱 플랜트

이 시방서 9-4절 3.2에 따른다. 3.2 믹싱 플랜트

9 - 29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이 시방서 9-4절 3.2에 따른다.
3.3 시험포장
3.3 시험포장
이 시방서 9-4절 3.3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3에 따른다.
3.4 현장배합
3.4 현장배합

이 시방서 9-4절 3.4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4에 따른다.

3.5 혼합작업 3.5 혼합작업

이 시방서 9-4절 3.5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5에 따른다.

3.6 혼합물의 운반 3.6 혼합물의 운반

이 시방서 9-4절 3.6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6에 따른다.

3.7 기상조건 3.7 기상조건

이 시방서 9-4절 3.7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7에 따른다.

3.8 포설장비 3.8 포설장비

이 시방서 9-4절 3.8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8에 따른다.

3.9 포설작업 3.9 포설작업

이 시방서 9-4절 3.9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9에 따른다.

3.10 다짐장비 3.10 다짐장비

이 시방서 9-4절 3.10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10에 따른다.

3.11 다짐작업 3.11 다짐작업

이 시방서 9-4절 3.11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11에 따른다.

3.12 이 음 3.12 이 음

9 - 30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이 시방서 9-4절 3.12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12에 따른다.

3.13 마무리 3.13 마무리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완성면은 3m의 직선자를 3.13.1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완성면은 3 m의 직선자를
도로중심선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대었을 때 가장 들어 도로중심선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대었을 때 가장 오목 [수정] 자구 수정
간 곳이 3 ㎜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평탄성 측정은 이 한 곳이 3 mm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평탄성 측정은 이
미 측정이 끝난 곳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 미 측정이 끝난 곳에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측정하여
야 한다. 야 한다.

3.13.2 7.6m 프로파일미터로 측정할 때는 1구간을 50m 3.13.2 프로파일 인덱스(profile Index)는 7.6 m 프로파일미
[수정] 문장 수정
이상으로 측정하여야 하며, 측정위치는 각 차로 우측 터를 사용하는 경우, 1구간을 150 m 이상으로 측정하여
[사유] 일반국도공사전문시방서 내용 반영
끝부에서 안쪽으로 800∼1000 ㎜ 간격을 유지하며, 야 하며, 측정위치는 각 차로 우측 끝부에서 안쪽으로
중심선에 평행하게 측정하고, 측정속도는 보행속도 800 mm ∼ 1000 mm 간격을 유지하며, 중심선에 평행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이하(4㎞/h 정도)로 하며, 일반도로 본선 토공부의 경우 하게 측정하고, 측정속도는 보행속도 이하(4 km/h 정
PrI=100 ㎜/㎞ 이하, 교량접속부를 포함한 교량구간의 도)로 하며, 일반도로 본선 토공부의 경우 PrI = 100
경우 PrI=200 ㎜/㎞ 이하이어야 한다. 단, 확장 및 mm/km 이하, 교량접속부를 포함한 교량구간의 경우
시가지 도로의 경우 본선은 PrI=160 ㎜/㎞ 이하, PrI = 200 mm/km 이하이어야 한다. 단, 확장 및 시
교량구간, 인터체인지 및 램프구간은 PrI=240 ㎜/㎞ 가지 도로의 경우 본선은 PrI = 160 mm/km 이하, 교
이하이어야 한다. 여기서 일반도로란 확장 및 량구간, 인터체인지 및 램프구간은 PrI = 240 mm/km
시가지도로, 교량구간, 인터체인지 및 램프구간을 이하이어야 한다. 여기서 일반도로란 확장 및 시가지도
제외한 구간으로 한다. 로, 교량구간, 인터체인지 및 램프구간을 제외한 구간으

3.13.3 평탄성 기준에 어긋나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로 한다.

재시공하여야 한다. 재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약상대 3.13.3 평탄성 기준에 어긋나는 부분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자 부담으로 한다. 재시공하여야 한다. 재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은 계약상대
자 부담으로 한다.
3.14 두께측정
3.14 두께측정
이 시방서 9-4절 3.14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 3.14에 따른다.
3.15 품질관리 및 검사
3.15 품질관리 및 검사
3.15.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품질관리를
위해 시공 전에 혼합물의 품질 및 입도규정에 적합한 3.15.1 계약상대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품질관리를

9 - 31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지를 판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시공 위하여 시공 전에 혼합물의 품질 및 입도규정에 적합한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지를 판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시공
한다.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3.15.2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에 의한 다짐밀도, 계획고와의 한다.

차이, 층 두께 등을 확인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3.15.2 계약상대자는 시험시공에 의한 다짐밀도, 계획고와의
한다. 차이, 층 두께 등을 확인하여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야

3.15.3 평탄성은 이 절 3.13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다.

3.15.3 평탄성은 이 절 3.13을 만족하여야 한다.


3.16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
3.16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
3.16.1 대형차 교통량이 1일 1방향 1,000대 이상이거나, 저속
차량이 많은 포장, 정체구간의 포장 및 등판차로와 같이 3.16.1 대형차 교통량이 1일 1방향 1,000대 이상이거나 저속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는 개질 아스 차량이 많은 포장, 정체 구간의 포장 및 오르막차로와 [수정] 용어 수정

팔트나 특수포장을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나 포장은 시 같이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는 개질
험포장이나 사용실적 등으로 그의 공용성이 인정된 것 아스팔트나 특수포장을 사용한다. 이러한 재료나 포장은
이어야 하며,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시험포장이나 사용실적 등으로 그의 공용성이 인정된

3.16.2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유동성의 평가는 KS F 2374(휠트랙 것이어야 하며, 사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킹 시험)에 의한 동적 안정도에 의해 실시한다. 목표로 하 3.16.2 아스팔트 혼합물의 내유동성의 평가는 KS F 2374(휠트랙
는 동적 안정도는 1,500회/㎜ 이상으로 한다. 킹 시험)에 의한 동적안정도에 의하여 실시한다. 목표로
하는 동적안정도는 3,000회/mm 이상으로 한다. [수정]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구간의 경우 개질 아스팔트
3.16.3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표층에 의한 내유동
콘크리트 규격으로 적용되는 3000 기준치 상향 적용.
대책뿐 아니라 중간층까지 포함하여 내유동대책을 검토 3.16.3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표층에 대한 내유동
고속도로전문시방서의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반영
하여야 한다. 대책뿐만 아니라 중간층까지 포함하여 내유동대책을 검
토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반영)
3.16.4 내유동성 혼합물의 배합설계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
다. (참고사항)
[수정] 삭제 - 시방내용과 무관하다고 판단
(1) 골재의 입도는 입도범위의 중앙치 이하를 목표로 하
고, 0.08 ㎜체 통과분은 적은 쪽으로 한다.
(2) 설계 아스팔트량은 공통범위의 중앙치에서 하한치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그러나 중앙치의 아스팔트량보
다 0.5% 이상 적어서는 안 된다.
(3) 마샬 안정도 시험결과 안정도(㎏f)÷흐름치(1/100㎝)
의 값이 25 이상을 목표로 한다.

9 - 32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4) 0.08 ㎜체 통과분 중 회수 더스트분은 30%를 초과
하지 않도록 한다.

9-6 길어깨 포장 9-6 길어깨 포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길어깨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길어깨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재 료 2. 재 료

2.1 기 층 2.1 기 층

이 시방서 9-4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9-4절에 따른다.

2.2 표 층 2.2 표 층

중차량의 이용교통량이 많은 곳 또는 포장의 수밀성이 요 중차량의 통행이 많은 곳 또는 포장의 수밀성이 요구되는 [수정] 용어 수정
구되는 곳에는 표층용 포장을 하여야 하며, 재료는 9-5절 곳에는 표층용 포장을 하여야 하며, 재료는 9-5절에 따
에 따른다. 른다.

3. 시 공 3. 시 공

3.1 프라임 코트 및 택 코트 3.1 프라임 코트 및 택 코트

길어깨용 기층 및 표층을 포설하기 전에 차로부에 접하는 보 길어깨용 기층 및 표층을 포설하기 전에 차로부에 접하는 보
조기층 및 기층에는 이 시방서 9-1절 및 9-2절에 따라 프라 조기층 및 기층에는 이 시방서 9-1절 및 9-2절에 따라 프라

9 - 33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임 코트 또는 택 코트를 시공하여야 한다. 임 코트 또는 택 코트를 시공하여야 한다.

3.2 기 층 3.2 기 층

이 시방서 8-4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8-4절에 따른다.

3.3 표 층 3.3 표 층

이 시방서 9-5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9-5절에 따른다.

3.4 마무리면의 검사 3.4 마무리면의 검사

계약상대자는 최종 다짐이 끝난 길어깨가 설계도서에 따른 계약상대자는 최종 다짐이 끝난 길어깨가 설계도서에 따른


선형, 경사, 두께를 확인하기 위한 마무리 표면을 검사하 선형, 경사, 두께를 확인하기 위한 마무리 표면을 검사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9 - 34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9-7 아스팔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표층 9-7 아스팔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표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노후 된 표층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의한 덧 이 시방은 노후 된 표층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의한 덧씌 [수정] 용어 통일

씌우기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우기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이 시방서 9-5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9-5절 및 9-7절에 따른다.

2. 재 료 2. 재 료
이 시방서 9-5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9-5절 및 9-7절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포설할 노면을 점검하 3.1.1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설에 앞서 포설할 노면을 점검하
여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의 먼지 여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이를 보수하고, 표면의 먼지
및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및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3.1.2 균열의 상태를 조사하여 2급 균열 및 3급 균열의 경우 3.1.2 균열의 상태를 조사하여 2급 균열 및 3급 균열의 경우
는 팻칭을 하고, 균열이 중간층이나, 기층까지 미치고 있 는 팻칭을 하고, 균열이 중간층이나 기층까지 미치고 있
는 경우는 부분적으로 재포장하여 둔다. 는 경우는 부분적으로 재포장한다. [수정] 문장 어미 수정
(주. 2급 균열이란 균열이 거북 등과 같은 모양으로 균 (주. 2급 균열이란 균열이 거북 등과 같은 모양으로 균
열부의 틈이 벌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3급 균열이란 열부의 틈이 벌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3급 균열이란

9 - 35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급 균열이 더욱 파괴가 진행되어 균열된 부분이 조각으 2급 균열이 더욱 파괴가 진행되어 균열된 부분이 조각으
로 되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로 되어 일어나는 상태를 말한다.)

3.1.3 교량접속부, 암거 등 지하매설물의 주변에 생겨있는 침 3.1.3 교량접속부, 암거 등 지하매설물의 주변에 생겨있는 침
하에 의한 단차(段差)는 길이 10m의 실을 당기어 측정 하에 의한 단차는 길이 10 m의 실을 당기어 측정하여 [수정] 단차 : 일반적인 용어 한자 생략. 자구 수정
하여 그 단차량이 40 ㎜를 넘을 때는 본 포장에 사용하 그 단차의 크기가 40 mm를 넘을 때는 본 포장에 사용하
는 혼합물로 사전에 단차를 보수하여 두어야 한다. 는 혼합물로 사전에 단차를 보수하여야 한다.

3.1.3 소성변형의 깊이를 직선자로 측정하여 40 ㎜를 넘을 때 3.1.3 소성변형의 깊이를 직선자로 측정하여 40 mm를 넘을 [수정] 자구 수정
는 요철부분을 절삭하고 수정하여 두어야 한다. 이 때 절 때는 요철부분을 절삭하고 수정하여야 한다. 이 때 절삭
삭한 찌꺼기는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한 찌꺼기는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조사 수정
3.1.4 야간공사로 시행할 경우는 공사시공 및 통행차량의 안 3.1.4 야간공사를 시행할 경우는 공사 시공 및 통행 차량의
전을 위해 100럭스(lux) 이상의 조도(照度)를 유지할 수 안전을 위하여 100럭스(lux) 이상의 조도(照度)를 유지
있는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할 수 있는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수정] 의미 전달 위해 문구 수정
3.1.5 교통을 소통하면서 일부 차단하고 포장공사를 시행하는 3.1.5 교통을 소통시키면서 통행의 일부를 차단하고 포장공사
경우는 차단구간은 가급적 단축하여 교통소통에 크게 지 를 시행하는 경우는 차단구간은 가급적 단축하여 교통소
장을 주지 않도록 현장을 관리하여야 하며, 안전관리요원 통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현장을 관리하여야 하며,
을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적정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안전관리요원을 현장여건을 감안하여 적정하게 배치하여
야 한다.

3.1.6 작업장 및 도로상의 통행차량에 대한 안전운행을 위하 3.1.6 작업장 및 도로상의 통행차량에 대한 안전운행을 위하

여 설치하는 안전시설(장구 및 표지판)과 안전관리요원 여 설치하는 안전시설(장구 및 표지판)과 안전관리요원

및 신호수의 활용에 대하여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및 신호수의 활용에 대하여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받아야 한다.

3.17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절삭 3.2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절삭

3.17.1 절삭 장비 3.2.1 절삭 장비

(1)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절삭하기 위한 장비 (1)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절삭하기 위한 장비

는 상온절삭이 가능한 노면파쇄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아 는 상온 절삭이 가능한 노면파쇄기를 사용하여야 하

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파쇄와 병행하여 폐아스팔트를 운 며,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파쇄와 병행하여 폐아

반차량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야 한다. 스팔트를 운반차량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야 한
다.
(2) 노면파쇄기는 공사 중 절삭 깊이 조절이 가능하여야 [수정] 한글로 순화, 조사 수정
(2) 노면파쇄기는 공사 중 절삭 깊이 조절이 가능하여야

9 - 36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며, 현장 반입 시 절삭드럼의 비트는 신품으로 교체하 하며, 현장에 반입할 때 절삭드럼의 비트를 신품으로
여야 한다. 교체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 공사에 사용할 노면파쇄기는 감독자의 승인을 득하 (3) 공사에 사용할 노면파쇄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여야 한다. 야 한다.
(4) 노면파쇄기 절삭드럼의 비트는 포장면 절삭상태에 (4) 노면파쇄기 절삭드럼의 비트는 포장면 절삭상태에
따라 교체하여야 하며, 비트의 교체는 전체를 일시에 따라 교체하여야 하며, 비트의 교체는 전체를 일시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분교체를 하는 경우 에 교체하여야 한다. 단, 부분교체를 하는 경우 감
감독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17.2 절삭 작업 3.2.2 절삭 작업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포장면을 절삭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포장면을 절삭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 절삭면은 평탄하여야 하며, 굴곡이나 요철이 심하게 (2) 절삭면은 평탄하여야 하며, 굴곡이나 요철이 심하게
발생한 구간은 다시 절삭 하여야 한다. 발생한 구간은 다시 절삭 하여야 한다.
(3) 맨홀 주위 등 노면파쇄기로 절삭이 곤란한 구간은 별 (3) 맨홀 주위 등 노면파쇄기로 절삭이 곤란한 구간은 별
도의 절삭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도의 절삭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4) 기존 포장면이 침하하거나 변형이 심한 구간의 절삭 (4) 기존 포장면이 침하하거나 변형이 심한 구간의 절삭
방법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방법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5) 절삭면에는 폐아스팔트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하 (5) 절삭면에는 폐아스팔트가 남지 않도록 깨끗이 청소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3.2 택 코트 3.3 택 코트
[수정] 용어 수정. 가운데 점 사용
3.2.1 택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은 시공 전에 뜬돌, 먼지 기타 3.3.1 택 코트를 시공할 포장면은 시공 전에 불안정한 돌 ·
유해물을 제거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먼지 · 기타 유해물을 제거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2.2 택 코트의 시행에 대하여는 9-2절을 따른다. 3.3.2 택 코트의 시행에 대하여는 9-2절을 따른다.

3.3 교통개방 3.4 교통개방

3.3.1 덧씌우기 공사는 공사의 특성상 조기에 개방이 불가피 3.4.1 덧씌우기 공사는 공사의 특성상 조기에 개방이 불가피

한 경우가 많고, 포장 내부 혼합물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 한 경우가 많고, 포장 내부 혼합물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 [수정]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은 상태에서 교통 개방 시 중차량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 은 상태에서 교통을 개방할 경우 중차량에 의한 소성변

9 - 37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려되므로 살수 등의 방법으로 포장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형이 우려되므로 살수 등의 방법으로 포장의 온도를 저
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하시키는 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3.3.2 교통을 조기에 소통시키는 경우에는 표면의 온도가 4 3.4.2 교통을 조기에 소통시키는 경우에는 표면의 온도가 40
0℃ 이하이어야 한다. ℃ 이하이어야 한다.

3.4 기타 사항 3.5 기타 사항

1층의 시공두께는 최대 70 ㎜ 까지로 한다. 그 밖의 시험포 1층의 시공두께는 최대 70 mm 까지로 한다. 그 밖의 시험


장, 현장배합, 혼합작업, 혼합물의 운반, 기상조건, 포설장 포장, 현장배합, 혼합작업, 혼합물의 운반, 기상조건, 포설
비, 포설작업, 다짐장비, 다짐작업, 이음, 마무리, 두께측 장비, 포설작업, 다짐장비, 다짐작업, 이음, 마무리, 두께
정, 품질관리 및 검사 등에 대하여는 이 시방서 9-5절(아 측정, 품질관리 및 검사 등에 대하여는 이 시방서 9-5절
스팔트 표층)에 따른다. (아스팔트 표층)에 따른다.

9 - 38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9-8 품질관리 및 검사 9-8 품질관리 및 검사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표층 및 특수포장용 재료에 대한 (1) 아스팔트 콘크리트 중간층, 표층 및 특수포장용 재료에 대한
품질관리는 사용 전에 실시하여 각 재료의 품질 및 입도 규정에 적 품질관리는 사용 전에 실시하여 각 재료의 품질 및 입도 규정
합한 지를 판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감독자에 에 적합한 지를 판정하여야 하며, 각 재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게 제출하여 승인 받아야 한다.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 받아야 한다.
(2) 각 층을 시공한 후에는 계획고와의 차이, 규정밀도, 층 두께 (2) 각 층을 시공한 후에는 계획고와의 차이, 규정밀도, 층 두께
등을 규정된 방법에 따라 확인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 등을 규정된 방법에 따라 확인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검사를
야 한다. 받아야 한다.
(3) 공종별 재료의 품질 및 규격의 주요 항목을 열거하면 표 9-9 (3) 공종별 재료의 품질 및 규격의 주요 항목을 열거하면 표
와 같다. 9-8-1와 같다.

표 9-9 공종별 재료의 품질 및 규격 기준 표 9-8-1 공종별 재료의 품질 및 규격 기준

[수정] 관계기관 검토의견 반영

9 - 39
제9장 아스팔트콘크리트 포장공사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공종 아스팔트 아스팔트 시험방법 공 종 아스팔트 아스팔트 시험방법
콘크리트 콘크리트 (KS) 콘크리트 콘크리트 (KS)
시험종목 중간층 표 층 시험종목 중간층 표 층
밀도(표면건조) 2.5 이상 2.5 이상 F 2503 밀도(절대건조) 2.5 이상 2.5 이상 F 2503

굵 흡수량 (%) 3.0 이하 3.0 이하 F 2503 흡수율 (%) 3.0 이하 3.0 이하 F 2503
은 굵
골 안정성감량(%) 12 이하 12 이하 F 2507 안정성 (%) 12 이하 12 이하 F 2507


마모감량 (%) 35 이하 35 이하 F골2508 마모율 (%) 35 이하 35 이하 F 2508
품 재
질 편장석 함유량(%)1) 30 이하 30 이하 F품2575 편장석률 (%)1) 30 이하 30 이하 F 2575

피복면적 (%) 95 이상 95 이상 F 2355 국토교통부
동적수침 후 피복율
50 이상 50 이상 지침
다 짐 도 (%) 96 이상 96 이상 2)
(%)
부속서
폭 (㎜) -25 이내
다 짐 도 (%) 96 ∼ 100 96 ∼ 100
두 께 (%) +10 ∼ -5 폭 (㎜) -25 이내

평탄성 일반도로
토공부 : 100 이하,
교량접속부 : 200 이하
두 께 (%) +10 ∼ -5
격 규
PrI 토공부 : 100 이하,
(㎜/㎞) 확장 및 토공부 : 160 이하, 일반도로
평탄성 교량접속부 : 200 이하

시가지 도로 교량접속부 : 240 이하 PrI
(㎜/㎞) 확장 및 토공부 : 160 이하,
비고) 일반도로란 확장 및 시가지도로를 제외한 도로임.
시가지 도로 교량접속부 : 240 이하
주 1) 표 9-3에 따른다.
비고) 일반도로란 확장 및 시가지 도로를 제외한 도로임.
주 1) 표 9-4-1에 따른다.
주 2) 국토교통부 관련 지침은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지침’을 참조한
다.

9 - 40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0 장 시멘트콘크리트포장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제10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제 10 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10-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0-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10-1-1 빈배합 콘크리트(lean concrete) 기층 [이동]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장에서 이동

10-2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10-1-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0-2-1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10-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유지보수

10-2-2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10-2-1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bonded concrete overlay)
10-2-2 비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unbonded concrete overlay)
10-3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 [신설] 국토해양부 - ‘교면포장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을 준용하여 신설

제 8 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제 10 장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10-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10-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이동] 대표적인 시멘트 콘크리트 기층 재료인 빈배합 콘크리트에 대한 내
용을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장에서 이동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빈배합 콘크리트(lean concrete) 기층의 건식(dry mixing
이 시방서는 빈배합 콘크리트(lean concrete) 기층의 건식(dry mixing)
type) 공사에 적용한다.
공사에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대책’의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도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교
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통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포장 전문감리원 양성과정’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
다.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 ․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502 굵은 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수정] KS 체가름 시험법 개정 내용 반영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10 -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KS F 2503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4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방법
KS F 2510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방법 KS F 2510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mm 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중에 함유되어 있는 점토덩어리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점토 덩어리 양의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F 2516 긁기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F 2516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쉬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시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추가] 참조표준 추가 (서면 자문 내용)

1.4 제출물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신설] 제출문 관련 문구 통일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4.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를 준용해서 신설


(1) 재료시험 성적서
(2) 골재생산 계획서
(3) 시험포장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기준 2.1 재료의 품질기준
2.1.1 시멘트 2.1.1 시멘트
사용할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사용할 시멘트의 종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수정] 시멘트의 품질기준은 공통편을 따른다
류는 설계도서에 표시한다. 2.1.2 물
2.1.2 물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에 나쁜 영향을 미치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 수정
콘크리트 혼합에 사용하는 물은 깨끗하며, 기름 · 염분 · 산 · 알칼리 · 당 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물이나 바닷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질이 의 물에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을 KS F 4009를 참조 함
분 · 기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이 함유되어서는 안 된다. 심스러울 경우에는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물에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은 KS F 4009에 따른다.
2.1.3 굵은 골재 2.1.3 굵은 골재 [수정] 굵은 골재에 대한 품질기준은 공통편을 따른다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다만, 굵은 골재의 품질기준은 표 8-10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허용치는 15-3-1절 표 15-3-9를 따르
에 따른다. 며, 물리적 성질은 15-3-1절 표 15-3-10을 따른다.

10 - 2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8-10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굵은 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 방법 기 준

점토덩어리 함유량 (%) KS F 2512 0.25 이하


연한 석편 (%) KS F 2516 5.0 이하
골재씻기시험 손실량 (%) KS F 2511 1.0 이하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 KS F 2513 0.5 이하
흡 수 량 (%) KS F 2503 3 이하
비 중 KS F 2503 2.45 이상
안정성시험(황산나트륨 사용)(%) KS F 2507 12 이하
마 모 감 량 (%) KS F 2508 40 이하

비고) 쇄석의 경우 씻기시험에서 손실분은 최대치를 1.5%로 해도 좋다.

2.1.4 잔 골재 2.1.4 잔골재 [수정] 잔골재에 대한 품질기준은 공통편을 따른다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다만, 잔 골재의 품질기준은 표 8-11에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15-3-1절 표 15-3-2를 따르며, 유해물 함
따른다. 유량 허용치는 15-3-1절 표 15-3-1을 따른다.

표 8-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잔골재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 방법 기 준

소 성 지 수 KS F 2303 9 이하
안정성시험(황산나트륨) (%) KS F 2507 10 이하
골재씻기시험 손실량 (%) KS F 2511 7 이하
점토덩어리 함유량 (%) KS F 2512 1 이하
비중 2.0 액체에 뜨는 것(%) KS F 2513 0.5 이하

2.2 골재의 입도 2.2 골재의 입도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를 준용해서 빈배합 골재의 입도 일부


골재의 표준입도는 설계도서에 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표 10-1-1 중 수정
골재의 표준입도는 표 8-12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표 8-12 빈배합 콘크리트 골재의 입도
표 10-1-1 빈배합 콘크리트 골재의 입도
구 분 최대치수 40 ㎜ 최대치수 25 ㎜
구분 체통과 중량백분율 (%)
체크기(㎜) 체통과중량백분율 (%)
체크기 (mm) 최대치수 40 mm 최대치수 25 mm
50 100 -
50 100 -
40 90 ∼ 100 100
40 90∼ 100 100
25 - 90 ∼ 100
25 - 90 ∼ 100
20 50 ∼ 85 50 ∼ 100 20 50 ∼ 85 50 ∼ 100
10 40 ∼ 75 40 ∼ 75 10 40 ∼ 75 40 ∼ 75
5 25 ∼ 60 35 ∼ 60 5 25 ∼ 60 35 ∼ 60
0.6 10 ∼ 30 10 ∼ 30
0 ∼ 8 ∼8
0.6 10 ∼ 30 10 ∼ 30
0.08 3 ∼ 12 3 ∼ 12 0.08 0

10 -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3 시멘트량 2.3 결합재량 [수정] 시멘트량 →결합재량으로 수정
단위 시멘트량은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150㎏f/㎥ 이상으 단위 결합재량은 설계도서에 표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150 kg/㎥ 이상으
로 표 8-13의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한다. 로 표 10-1-2의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한다.

표 8-13 빈배합 콘크리트의 강도 표 10-1-2 빈배합 콘크리트의 강도

구 분 건 식 비 고 구 분 건 식 비 고
[수정]강도의 단위를 MPa로 통일 시킴
일축압축강도(  , ㎫, ㎏f/㎠) 4.903(50) 습윤 6일, 수침 1일 양생 일축압축강도
5 습윤 6일, 수침 1일 양생
(f7, MPa)

3. 시 공 3. 시 공
3.1 준비공 3.1 준비공
3.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시공에 앞서 보조기층 표면의 뜬 돌, 점토, 기타 3.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시공에 앞서 보조기층 표면의 불안정한 돌 [수정] 문구 통일 및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한글/영문 병행 표기
유해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보조기층 표면은 이 시방서 8-2절 3.7에 (floating rock), 점토, 기타 유해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보조기층면
따라 양호한 상태로 유지관리하여야 하며, 이 조건에 맞지 않으면 계 은 이 시방서 8-2절 3.7에 따라 양호한 상태로 유지 관리하여야 하며,
약상대자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고 재 시공하여야 한다. 이 조건과 맞지 않을 때에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고 재시
공하여야 한다.
3.1.2 보조기층 면이 건조해 있을 때에는 균일하게 살수한 후 빈배합 콘크리 3.1.2 보조기층면이 건조된 경우에는 균일하게 살수한 후 빈배합 콘크리트
트 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3.2 시공기계 3.2 시공기계


3.2.1 배치 플랜트 3.2.1 배치 플랜트
이 시방서 10-1절 3.1에 따른다. 이 시방서 10-1-2절 3.1에 따른다.
3.2.2 포설 및 다짐장비 3.2.2 포설 및 다짐장비
이 시방서 8-5절 3.8 및 3.9에 따른다. 이 시방서 10-1-2절 3.8 및 3.9에 따른다.
3.2.3 장비점검 3.2.3 장비점검
사용장비(피니셔, 롤러 등)는 공사 전 점검을 실시하여 작업 중 장비 사용장비(피니셔, 롤러 등)는 공사 전 점검을 실시하여 작업 중 장비의
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반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제반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3 시험포장
3.3.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 규정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3.3 시험포장
감독자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포장 면적은 500 3.3.1 계약상대자는 본 시방서 규정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여 감독자
㎡ 정도로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재료분리 여부, 부설 및 다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시험포장 면적은 약 1000 ㎡ 정도로
[수정] 10-1-2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 3.5 시험포장’ 면적과 일치시켜 시
짐방법 등을 검토한다. 하며, 다짐도, 다짐 후의 두께, 재료분리 여부, 포설 및 다짐방법 등을 검토한
험포장의 효율성을 향상시킴
다.
3.3.2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계, 시공 3.3.2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을 실시할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계, 시공방법
[향후연구필요] 시험포장의 정확한 시공절차와 평가방법에 대해 향후 연구를
방법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 등이 포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결과에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음
고, 결과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3.4 현장배합
3.4 현장배합
계약상대자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에 사용할 대표적인 시료를 사용하여 감
계약상대자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에 사용할 대표적인 시료를 사용하여
독자의 입회하에 시험생산 및 시험포장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재
감독자의 입회 하에 시험혼합 및 시험포장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
료의 배합비를 결정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여 재료의 배합비를 결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0 - 4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5 혼합물의 생산 3.5 혼합물 생산
3.5.1 골 재 3.5.1 골 재
골재는 잔 골재와 굵은 골재로 구분하여 적재하고 계량하며, 잔 골재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구분하여 적재하고 계량하며, 잔골재율
율은 시험결과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은 시험결과에 따라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3.5.2 혼 합 3.5.2 혼 합
중앙혼합식으로 균등한 품질이 되도록 생산하여야 하며, 혼합시간은 2 (1) 빈배합 콘크리트는 제15장 15-4 시멘트 콘크리트에서 규정하는 믹서 [수정] 빈배합 콘크리트의 혼합에 관련된 규정을 15장에 제시되어 있는 공통
∼4분을 기준으로 한다. 로 공장 내에서 균일하게 비빈다. 편과 동일하게 수정
3.5.3 함수량 (2) 빈배합 콘크리트의 비빔량 및 비비기 시간은 KS F 2455에서 규정한 [수정] 구체적인 함수량을 언급하는 대신 비빔량 및 비비기 시간을 KS F
혼합 시 함수량은 시멘트와 골재 혼합량의 6%를 기준으로 한다. 시험을 하여 결정한다. 2455규정에 따른다로 수정

3.6 혼합물 운반 3.6 혼합물 운반


3.6.1 빈배합 콘크리트 혼합물의 운반은 운반차에 싣거나 내릴 때 그 높이를 3.6.1 빈배합 콘크리트 혼합물의 운반은 운반차에 싣거나 내릴 때 그 높이를 가능
가능한 한 낮게 하여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운반 한 낮게 하여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운반차는 콘크리
차는 콘크리트를 내리는 작업이 쉬운 것이어야 하며, 내리기 작업 후 트를 내리는 작업이 쉬운 것이어야 하며, 내리기 작업 후에는 물로 씻어내
에는 물로 씻어내야 한다. 야 한다.
3.6.2 콘크리트가 비벼진 후부터 포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 이내이 3.6.2 콘크리트가 비벼진 후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 이내이
어야 한다. 어야 한다.
3.6.3 하절기, 강풍 등의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운반 도중에 건조하지 않도록 3.6.3 하절기, 강풍, 등 기상조건이 불리할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운반 도중에
혼합물에 덮개를 씌워 보호하여야 한다. 건조되지 않도록 혼합물에 덮개를 씌워 보호하여야 한다.

3.7 기상조건 3.7 기상조건


3.7.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포설은 감독자가 지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3.7.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포설은 일평균기온이 4 ℃ 이하이거나 비가 [수정] ‘콘크리트표준시방서 14장 한중콘크리트’ 관리기준 온도와 일치시킴
기온이 4℃ 이하이거나 우천 시에는 시공해서는 안 된다. 내릴 때에는 공사를 중지하여야 하며, 품질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 감 한글로 순화 : 우천시에는 ⇒ 비가 내릴 때에는 :
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자문의견 반영] 품질확보가 가능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빈배합
콘크리트를 포설할 수 있게 수정
3.7.2 일평균기온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함수비의 관리에 특별히 유의하여 3.7.2 일평균기온이 25 ℃ 이상인 경우에는 함수비 관리에 특별히 유의하여야 [수정] ‘콘크리트표준시방서 15장 서중콘크리트’ 관리기준 온도와 일치킴
야 한다. 한다.
3.7.3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기층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동 3.7.3 양생기간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기층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동 [수정] 동상방지책 →동상방지대책
결방지책을 강구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시행하여야 한다. 상방지대책을 강구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조치하여야 한다.

3.8 포 설 3.8 포 설
3.8.1 혼합물은 피니셔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여야 한다. 3.8.1 혼합물은 피니셔(finisher)에 의하여 균일한 두께로 포설되어야 한다.
3.8.2 폭이 다르고, 형상이 특수한 부분에는 인력으로 포설할 수 있다. 3.8.2 폭이 다르고 형상이 특수한 부분에는 인력으로 포설할 수 있다.

3.9 다 짐 3.9 다 짐
3.9.1 다짐은 가수(加水) 혼합한 후 2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며, 3.9.1 다짐은 콘크리트가 비벼진 후부터 1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 [수정] ‘가수(加水) 혼합한 후’ ⇒ ‘콘크리트가 비벼진 후부터’ 로 표현 통일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한 다짐도가 얻어지고 평탄하 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한 다짐도가 얻어지고 평탄 [자문] 2시간 ⇒ 1시간
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하게 마무리하여야 한다. [향후연구필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에 대한 다짐방법과 평가방안, 골재입
3.9.2 콘크리트의 최대건조밀도는 KS F 2312의 D 또는 E방법으로 구하며, 3.9.2 콘크리트의 최대건조밀도는 KS F 2312의 D 또는 E방법으로 구하며, 도, 재료의 공극율 등을 검증 및 보완하여 시험시공시 검토항목
현장다짐도의 기준은 100% 이상으로 한다. 현장다짐도의 기준은 100 % 이상으로 한다. 에 대한 정량적인 세부기준을 마련을 마련하고, 다짐에 대한 방
3.9.3 다짐장비는 진동 롤러, 탄뎀 롤러와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며, 롤러별 3.9.3 다짐장비는 진동 롤러, 탄뎀 롤러와 타이어 롤러를 사용하고, 롤러별 법과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
다짐순서와 다짐횟수는 시험포장 결과에 따라 결정하며, 다짐장비의 다짐순서와 다짐횟수는 시험포장 결과에 따라 결정하며, 다짐장비의
종류를 변경코자 할 경우에는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종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3.9.4 다짐후의 두께 및 마무리면에 대한 허용오차는 다음과 같다.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를 준용해 신설

10 -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 다짐후의 두께 : 설계두께±10 % 또는 ±15 mm 중 작은 값 [관계기관의견수렴]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두께가 150 mm 이상 될 경우라도,
- 마무리면 : 계획고 ±15 mm 다짐 후 두께 허용오차를 최대 15 mm 까지로 제한

3.10 시공이음 및 단부처리 3.10 시공 이음 및 단부처리


3.10.1 시공이음은 도로중심선에 직각 방향으로 직선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10.1 시공이음은 도로중심선의 직각 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10.2 시공이음은 그 위에 시공되는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줄눈의 위치와 적 3.10.2 시공이음부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줄눈의 위치와 적어도 300 mm
어도 300 ㎜ 이상 엇갈리게 설치하여야 한다. 이상 엇갈리게 설치하여야 한다.
3.10.3 시공이음부는 인접부분 시공 시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하 3.10.3 시공이음부는 상부층의 포장공사를 할 때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수정] 한글로 순화
며, 시공이음부의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하며, 시공 이음부의 다짐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3.11 마무리 3.11 마무리


3.1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완성면은 임의의 20m 이내 2지점을 측정했 3.11.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완성면은 임의의 20 m 이내 2지점을 측정했을
을 때 계획고와의 차는 15 ㎜ 이하이어야 한다. 때 계획고와의 차는 15 mm 이하이어야 하며 7.6 m 프로파일 미터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를 준용해 수정
(profile meter)를 사용할 때 PrI = 480 mm/km 이하이어야 한다.
3.11.2 완성면에 3m 직선자를 대었을 때 가장 오목한 곳이 10 ㎜ 이하이어야 3.11.2 완성면에 3 m 직선자를 대었을 때 가장 오목한 곳의 깊이가 10 mm
한다. 이하이어야 한다.
3.12 두께측정
마무리 후 기층의 두께가 설계두께에 비하여 10% 이상 증감이 있을 경우 [삭제] 3.9 다짐-3.9.4 허용오차 부분에서 기 언급
에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 재시공하여야 한다.

3.13 양 생 3.12 양 생 [자문] 언제까지를 명기해주는 것에 대해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


3.12.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은 수분이 소량이므로 증발에 의하여 표면이 건 3.12.1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은 수분이 소량이므로 증발에 의하여 표면이 건 면, 다른 국외 시방서에는 최소 1주일 이상을 비닐 덮기 또는 습윤양생
조되지 않도록 살수 또는 비닐덮개 등으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실시하 조·이완되지 않도록 살수 또는 비닐덮기 등으로 습윤양생을 철저히 하 을 실시한다라고 명기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야 한다. 여야 한다. ⇒ 원안적용 : 실제 습윤양생기간은 포설시기 및 양생환경에 따라 다양함
3.12.2 재령 7일의 압축강도 및 평탄성 시험결과를 확인하기 전에는 교통을 3.12.2 재령 7일의 압축강도 및 평탄성 시험결과를 확인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으로 이를 특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개방해서는 안 된다. 받아 교통개방을 하여야 한다.
[향후연구필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양생시 시공환경을 고려한 양생시점,
양생기간,살수량 등에 대한 향후연구필요

10 - 6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0-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0-1-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자문] 띄어쓰기 수정
이 시방서는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도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대책’의
로포장기술교육-1.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 일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해
장 전문감리원 양성과정’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양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1.3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 방법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 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 용적 질량 및 공기량 시험 방법(질량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
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질량 및 공기량시험 방법(질량방법)
KS F 2502 굵은 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형성제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A 5101-1시험용체-제1부 : 금속 망 체
KS F 8006 강제틀 합판 거푸집 패널
KS F 8006 강재틀 합판 거푸집
KS F 2545 골재의 알카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화학적 방법)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화학적 방법)
KS F 2546 골재의 알카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모르타르 봉 방법)
KS F 2546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모르타르 봉 방법)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신설] 골재의 알칼리 잠재 반응 시험 방법에 대해 국내 KS 규정보다 엄격하
Aggregates (Mortar-Bar Method) : 골재의 알칼리 잠재 게 적용된 미국 ASTM 규정 적용을 통해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반응 시험 방법 (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 사전 차단 목적
ASTM C 1567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Alkali-Silica Reactivity of Combinations of Cementitious
Materials and Aggregate (Accelerated Mortar-Bar Method) : 시
멘트계와 골재 혼합물의 알칼리-골재 잠재 반응성 여부 결정 시험
방법 (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
AASHTO PP 37-40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IRI) to [신설] 평탄성 품질관리 측면에서 국내에서 적용되는 PrI 뿐만 아니라 사용
Quantify Roughness of Pavements (포장의 평탄성을 평가하기 위 자 중심의 IRI도 병행해서 관리 필요 (국내 KS 규정 없음)
한 IRI 결정법)

1.4 제출물
1.3 제 출 물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0 -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4.2 시방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통합 정리
⑴ 시방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품질기준 2.1 품질기준
2.1.1 시멘트 2.1.1 시멘트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1.2 물 2.1.2 물
콘크리트 혼합에 사용할 물은 깨끗하여야 하며, 기름, 염분, 산, 알칼리,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에 나쁜 영향을 미치
당분 기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유해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물이나 바닷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질이 의
심스러울 경우에는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물에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 수정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은 KS F 4009에 따른다. 물에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을 KS F 4009를 참조 함
2.1.3 잔 골재 2.1.3 잔골재
이 시방서 15-3-1절 2.1에 따른다.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허용치는 15-3-1절 표 15-3-1을 따르며,
물리적 성질은 15-3-1절 표 15-3-2를 따른다.
2.1.4 굵은 골재 2.1.4 굵은 골재
이 시방서 15-3-1절 2.2에 따른다. 굵은 골재 입도는 표 10-1에 따른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 허용치는 15-3-1절 표 15-3-9를 따르
다. 며, 물리적 성질은 15-3-1절 표 15-3-10을 따른다.
2.1.5 혼화재료 2.1.5 혼화재료
이 시방서 15-6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6절에 따른다.
2.1.6 줄눈재료 2.1.6 줄눈 재료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7절에 따른다.
2.1.7 양생재료 2.1.7 양생재료
이 시방서 15-8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8절에 따른다.
2.1.8 강 재 2.1.8 강 재
이 시방서 15-10, 15-12절 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0절, 15-12절에 따른다.
2.1.9 거푸집 재료 2.1.9 거푸집 재료
인력포설 구간의 거푸집 재료는 KS F 8006에 맞는 강재로 두께 6 ㎜ 인력포설 구간의 거푸집 재료는 KS F 8006에 맞는 강재로 두께 6 mm
이상, 길이 3m 이하, 폭은 포장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이상, 길이 3 m 이하, 폭은 포장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곡선 구간에 쓰일 거푸집을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곡선구간에 쓰일 거푸집을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2.1.10 분리막 2.1.10 분리막
분리막은 취급이 용이하고 물을 흡수하지 않으며 콘크리트를 칠 때나 분리막은 취급이 용이하고 물을 흡수하지 않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나
다질 때에 찢어지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재료의 특성은 이 시방서 다질 때에 파손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재료의 특성은 이 시방서 15-8절
15-8-2절에 따른다. 에 따른다.

2.2 골재의 입도
2.2 골재의 입도
2.2.1 잔 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1절 2.2.1에 따른다. 체가름 시험은 KS
2.2.1 잔골재의 입도는 표 10-1-3에 따른다.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
F 2502에 따른다.
다. 단 부순 잔골재 및 고로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할 때의 입도는 이 시방서 [수정] 부순잔골재 및 고로슬래그 잔골재 입도기준 추가
15-3-1 콘크리트용 골재에 따른다.

10 - 8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10-1-3 포장용 콘크리트의 잔골재 입도기준
체의 호칭치수1) (mm) 체를 통과한 것의 질량백분율(%)
10 100
5 95 ~ 100
2.5 80 ~ 100
1.2 50 ~ 85
0.6 25 ~ 60
0.3 10 ~ 30
0.15 2 ~ 10

2.2.2 굵은 골재의 입도는 다음 표 10-1에 따른다. 2.2.2 굵은 골재의 입도는 표 10-1-4에 따른다. 단 부순 굵은 골재 및 고로슬
래그 굵은 골재를 사용할 때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1 콘크리트용 골재 [신설] 부순 굵은 골재 및 고로슬래그 굵은 골재 입도기준 추가
에 따른다.

표 10-1 포장용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 입도 기준 표 10-1-4 포장용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 입도기준


체의 호칭 체의 호칭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의 중량백분율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의 중량백분율
골재의 골재의 (mm)
50 40 30 25 20 13 10 5 2.5
크기(㎜) 50 40 30 25 20 13 10 5 2.5 크기(mm)

95∼1 35∼7 10∼3 40~5 100 95~100 - - 35~70 - 10~30 0 ~5 -


40∼5 100 - - - 0∼5 -
00 0 0
95~10
30∼5 100
95∼1
00
-
40∼7
5
-
10∼3
0
0∼10 ∼
0 5 30~5 100
0
- 40~75 - 10~30 0~10 0 ~5

0∼5
95∼1 25∼6 95~10
25∼5 - 100 - - 0∼10 25~5 - 100 - - 25~60 0~10 0 ~5
00 0 0

0∼5
90∼1 20∼5 90~10
20∼5 - - - 100 - 0∼10 20~5 - - - 100 - 20~55 0~10 0 ~5
00 5 0

0∼5
90∼1 40∼7 90~10
13∼5 100 0∼15 13~5 100 40~70 0~15 0 ~5
00 0 0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2.3.1 시멘트 2.3.1 시멘트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3.2 골재 2.3.2 골 재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알칼리골재반응을 사전에 억제하기 위 [수정] 국토해양부 ‘산업부산물 재활용 도로 포장 지침’을 참조로 수정
하여 사용골재에 대해서 ASTM C 1260 시험을 수행하고, 14일 팽창률이 [자문] 문구 수정
0.1 %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만약, 팽창률이 0.1 % 이상인 골 ⇒ 반영 : 현재의 문구로는 팽창율이 재평가 에서도 0.1% 이상이면 사용이 불
재를 부득이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ASTM C 1567 시험방법기준으로 결합재 가한데, 이를 보완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
의 일부를 광물성혼화재(예: 플라이애시)로 치환한 후 재평가 하여, 14일
팽창률이 0.1 %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으며, 실험에서 결정된 결합
재 구성 비율은 본 배합에 반영하여야 한다.
2.3.3 혼화재료 2.3.3 혼화재료
혼화재료는 공사에 사용하기 30일 전에 시료 및 시험성과표를 감독자 혼화재료는 공사에 사용하기 30일 전에 시료 및 시험성과표를 감독자
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3.4 줄눈재료 2.3.4 줄눈재료
계약상대자는 줄눈판과 줄눈주입재의 시료 및 시험성과를 공사에 사용 계약상대자는 줄눈판과 줄눈재의 시료 및 시험성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하기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15일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3.5 물 2.3.5 물
물은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에 나쁜 영향을 기름, 산, 유기불순물, 혼탁물 등 콘크리트나 강재에 나쁜 영향을 미치
미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거나 바닷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질이 의 는 유해물질이 포함된 물이나 바닷물을 사용할 수 없으며, 수질이 의

10 -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심스러울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심스러울 경우에는 감독자의 사전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물에 [수정] 물에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을 KS F 4009를 참조 함
대한 시험항목 및 품질규정은 KS F 4009에 따른다.
2.3.6 피막양생제 2.3.6 피막양생제 [자문] 전체적인 시방서의 일관성을 위해 다른 장과의 제출시한에 대한 협의
계약상대자는 피막양생제의 시험성과를 공사에 사용하기 15일 전에 계약상대자는 피막양생제의 시험성과를 공사시행 15일 전까지 감독자 의 필요 여부를 판단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2.4 재료의 저장
2.4 재료의 저장
2.4.1 시멘트
2.4.1 시멘트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4.2 골 재
2.4.2 골재
이 시방서 15-3-1절 2.3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3-1절에 따른다.
2.4.3 혼화재료
2.4.3 혼화재료
이 시방서 15-6절 2.1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6절에 따른다.

2.4.4 줄눈재료
2.4.4 줄눈재료
줄눈판과 주입줄눈재는 창고 안에 보관하거나 적당한 덮개로 덮어서
줄눈판과 주입줄눈재는 창고 안에 보관하거나 적당한 덮개로 덮어서
보관하여야 하며, 평평한 판 위에 놓아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주입줄 [수정] 사전적 의미에 따라 [편편한]⇒[평평한], [저장]⇒[보관]으로 수정
보관하여야 하며, 편편한 판 위에 놓아 변형하지 않도록 하고 주입줄
눈재가 변질되지 않도록 보관하여야 한다.
눈재가 변질되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4.5 피막양생제
2.4.5 피막양생제
피막양생제는 동절기에 동결되지 않도록 창고 안에 보관하여야 하며,
피막양생제는 동절기에 동결하지 않도록 창고 안에 보관하여야 하며,
이를 사용할 때에는 양생시험을 실시하여 변질여부를 확인한 후 사
이를 사용할 때에는 양생시험을 실시하여 변질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
용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4.6 강 재
2.4.6 강재
강재는 창고 안에 보관하거나 또는 직접 땅에 닿지 않게 받침대를 설
강재는 창고 안에 보관하든가 또는 직접 땅에 닿지 않게 받침대를 설
치하고 덮개로 덮어서 보관하여야 한다.
치하고 덮개로 덮어서 보관하여야 한다.

2.5 재료의 변경
2.5 재료의 변경
계약상대자는 재료의 공급원 변경이 필요할 때는 신속히 감독자에게 보고 [수정] 한글로 순화
계약상대자는 재료의 공급원이 변경되었을 경우 신속히 감독자에게 보
하고 승인받아야 한다.
고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장비
3.1 시공장비
3.1.1 시공일반
3.1.1 시공일반
시공조건에 맞는 장비의 선정은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 및 작업효율에
시공조건에 맞는 장비의 선정은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 및 작업효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모든 장비의 기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모든 장비의 기
종, 기능, 기계상태, 배치계획, 오염대책 등을 기재한 장비 사용계획서
종, 기능, 기계상태, 배치계획, 오염대책 등을 기재한 장비 사용계획서
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공사현장에 반입하여 사용전
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공사현장에 반입하여 사용
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1.2 배치플랜트(batch plant)
3.1.2 배치플랜트(batch plant)

10 - 10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⑴ 배치플랜트는 잔 골재 및 굵은 골재를 입도별로 계량할 수 있는 계량장 (1) 배치플랜트에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입도별로 계량할 수 있는 계량
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⑵ 벌크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계량장치, 빈, 호퍼를 구비하여야 한다. (2) 벌크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계량장치, 빈, 호퍼를 구비하여야 한다. 호
호퍼는 작업 도중 먼지나 기타 유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퍼는 작업도중 먼지나 기타 유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구조이어야 한다.
(3) 산업부산물(플라이애시, 슬래그 미분말 등)을 콘크리트포장에 적용할 [신설] 산업부산물(플라이애시, 슬래그 미분말 등) 사용이 활성화 됨에 따
경우, 필요시 시멘트 혼화재의 사일로와 계량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야 라 재료의 철저한 품질관리와 계량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
한다. 적인 사일로와 계량 장치가 필요 함,
⑶ 배치플랜트는 작업 중 점검과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작업원의 안전을 (4) 배치플랜트는 작업 중 점검과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작업원의 안전을 도
도모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기타 사항은 15-4 모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기타 사항은 15-4절
절 2.5에 따른다. 2.5에 따른다.

3.1.3 믹 서(mixer) 3.1.3 믹 서(mixer)


⑴ 포장용 콘크리트는 현장 플랜트 또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로 공급하거나 (1) 포장용 콘크리트는 현장 플랜트 또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로 공급하거나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일부 또는 전체를 트럭믹서에서 혼합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각 믹서에는 트럭믹서에서 혼합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각 믹서에는 혼합용 드럼의
혼합용 드럼의 용량을 혼합콘크리트의 부피로 표시하고, 브레이드의 회 용량을 혼합콘크리트의 부피로 표시하고,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표시
전속도를 표시하는 장비 제작자의 표찰은 잘 보이는 곳에 부착되어 있어 하는 장비 제작자의 표찰은 잘 보이는 곳에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야 한다.
⑵ 콘트리트를 혼합할 믹서는 규정된 혼합시간 내에 골재, 시멘트 및 물을 (2) 콘크리트를 혼합할 믹서는 규정된 혼합시간 내에 골재, 시멘트 및 물을
완전히 혼합하여 균질한 혼합물을 만들고,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배 완전히 혼합하여 균질한 혼합물을 만들고,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배
출할 수 있는 것으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이어야 한다. 출할 수 있는 것으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이어야 한다.
⑶ 각 믹서는 드럼에 모든 재료가 완전히 채워졌을 때 배출 레버가 자동적으 (3) 각 믹서는 드럼에 모든 재료가 완전히 채워졌을 때 배출 레버가 자동적으
로 잠겨지고 혼합이 끝났을 때는 열릴 수 있는 승인된 시간조절장치를 로 잠겨지고 혼합이 끝났을 때는 열릴 수 있는 승인된 시간조절장치를 구
구비하여야 하며, 각 배치 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계수기가 부착 비하여야 하며, 각 배치 수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계수기가 부착되
되어 있어야 한다. 어 있어야 한다.
⑷ 각 믹서는 적당한 시간간격을 두고, 청소를 하여야 하며, 드럼 내에 날이 (4) 각 믹서는 적당한 시간간격을 두고 청소를 하여야 하며, 드럼 내의 날
20 ㎜ 이상 닳았을 때는 수선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며, 기타 사항은 이 20 mm 이상 닳았을 때는 보수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며, 기타 사항
15-4절 2.6에 따른다. 은 15-4절 2.6에 따른다.
⑸ 트럭믹서는 KS F 4009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⑸ 트럭믹서는 KS F 4009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1.4 포크레인과 스프레더(spreader) 3.1.4 백호(backhoe)와 스프레더(spreader) [수정] 용어수정 : 포크레인 ⇒ 백호


다져지지 않은 콘트리트를 깔기 면에 고르게 펴는 장비로는 일반적인 다져지지 않은 콘크리트를 포설면에 고르게 펴는 장비로는 일반적인
경우 포크레인을 사용하며, 대규모 공사인 경우에는 스크류형 스프레 경우 백호을 사용하며, 대규모 공사인 경우에는 스크류형 스프레더, 벨트형
더, 벨트형 스프레더, 호퍼용 스프레더를 사용한다. 또한, 소규모 공사 스프레더, 호퍼용 스프레더를 사용한다. 또한, 소규모 공사인 경우에는
인 경우에는 믹서의 동력을 이용한 스트라이크 오프(strike-off)를 사 믹서의 동력을 이용한 스트라이크 오프(strike-off)를 사용하거나 인력
용하거나 인력깔기를 할 수 있다. 포설을 할 수 있다.

3.1.5 슬립폼 페이버(slipform paver) 3.1.5 슬리폼 페이버(slipform paver)


슬립폼 페이버는 오거(auger) 및 스트라이크 오프로 콘크리트를 적절 슬리폼 페이버는 오거(auger) 및 스트라이크 오프(strike-off)로 콘크리
한 높이로 깐 후 바이브레이터, 템퍼, 콘포밍 플레이트(conforming 트를 적절한 높이로 깐 후 바이브레이터, 템퍼, 콘포밍 플레이트
plate), 사이드 플레이트(side-plate)로 다지고, 플로우트, 트레일 폼 (conforming plate), 사이드 플레이트(side-plate)로 다지고, 플로우
(trail-form) 및 에저(edger)로 마무리하면서 연속적으로 포설할 수 트, 트레일 폼(trail form) 및 에저(edger)로 마무리하면서 연속적으로
있어야 한다. 포설할 수 있어야 한다.

3.1.6 거친면 마무리기 3.1.6 거친면 마무리기

10 -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거친면 마무리기는 설계도서에 따라 마무리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 거친면 마무리기는 설계도서에 따라 마무리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야 한다. 한다.

3.1.7 양생제 살포기 3.1.7 양생제 살포기


양생제 살포기는 전 포장면에 양생제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일정 양생제 살포기는 전 포장면에 양생제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일정
한 압력을 갖는 분무장치와 교반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 압력을 갖는 분무장치와 교반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3.1.8 콘크리트 커터(concrete cutter) 3.1.8 콘크리트 커터(concrete cutter)


(1) 콘크리트 커터는 수냉각식 다이아몬드 톱날이나 마모형 톱날이 부착 (1) 콘크리트 커터는 수냉각식 다이아몬드 톱날이나 마모형 톱날이 부착되
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에 설계치수 및 능률로 줄눈을 자를 수 있어야 어 경화된 콘크리트에 설계 치수 및 능률로 줄눈을 자를 수 있어야 한
한다. 다.
(2) 콘크리트 절삭 시 발생되는 오염 물질로 인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2) 콘크리트를 절삭할 때 발생되는 오염 물질로 인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 [수정] 한글로 순화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가능한 콘크리트 절삭 시 진공흡입장치 등 청소 하기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가능한 콘크리트를 절삭할 때 진공흡입장치
를 병행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등 청소를 병행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 습식 줄눈절단 시 이물질은 비산하기보다 사용되는 수분에 의해 흘러 (3) 습식 줄눈을 절단할 때의 이물질은 비산하기보다 사용되는 물에 의하 [수정] 한글로 순화
내리므로 이를 적절히 수거하여야 한다. 여 흘러내리므로 이를 적절히 수거하여야 한다.

3.2 시공면 준비 3.2 시공면 준비


3.2.1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은 시공에 앞서 뜬 돌, 점토, 기타 유해물을 제거하여야 3.2.1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에 앞서 불안정한 돌, 점토, 기타 유해물을 제 [수정] 용어 수정
하며,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고 손상부분은 즉시 보수하여야 한 거하여야 하며,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고 손상부분은 즉시 보수하
다. 여야 한다.

3.2.2 계약상대자는 완성된 기층면이 공사용 차량의 왕래로 인하여 훼손 및 골재 3.2.2 완성된 기층면이 공사용 차량의 왕래로 인하여 훼손 및 골재의 탈리 등 [수정] 중복되는 불필요한 주어 삭제
의 탈리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즉시 이를 보완하고 감독자의 이 발생하였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즉시 이를 보완하고 감독자의 확인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3.2.3 보조기층이나 기층면이 건조해 있을 때는 소량의 물을 균일하게 살수한 후 3.2.3 보조기층이나 기층면이 건조할 때는 소량의 물을 균일하게 살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3.2.4 슬래브 저면의 평탄성에 맞추어 규정된 직선자로 보조기층의 표면을 검사하 3.2.4 슬래브 저면의 평탄성에 맞추어 규정된 직선자로 보조기층의 표면을
고 요철부분은 고르게 수정하여야 한다. 검사하고 요철부분은 고르게 수정하여야 한다.
3.2.5 보조기층 표면에 분리막을 설치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전 폭으로 깔아 겹이 3.2.5 보조기층 표면에 분리막을 설치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전 폭으로 깔아
음부가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이음을 할 경우 세로방향으로 100 겹이음부가 없도록 하여야 하며, 부득이하게 이음을 할 경우 세로방향으
㎜ 이상, 가로방향 300 ㎜ 이상 겹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보조기층 로 100 mm 이상, 가로방향으로 300 mm 이상 겹치도록 설치하여야
면과 슬래브 사이의 마찰저항이 구조적으로 필요한 연속 철근콘크리트 포장 한다. 다만, 보조기층면과 슬래브 사이의 마찰저항이 구조적으로 필
에서는 분리막을 설치하지 않는다. 요한 연속철근콘크리트 포장에서는 분리막을 설치하지 않는다.

3.3 거푸집 설치 3.3 거푸집 설치


3.3.1 거푸집용 재료는 이 절 2.1.9에 적합한 것으로 강도와 강성을 가진 강재를 3.3.1 거푸집용 재료는 이 절 2.1.9에 적합한 것으로 강도와 강성을 가진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하여야 한다.
3.3.2 거푸집의 측면은 브레이싱으로 저판에 지지되어야 하고 이 때 저판에서의 브 3.3.2 거푸집의 측면은 브레이싱으로 저판에 지지되어야 하고 이때 저판에서의 브
레이싱 지지점은 측면으로부터 높이의 3분의 2지점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레이싱 지지점은 측면으로부터 높이의 3분의 2지점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3.3 거푸집은 설치 후 진동기의 충격다짐과 포설기계의 최대 윤하중에 충분히 견 3.3.3 거푸집은 설치 후 진동기의 충격다짐과 포설기계의 최대 윤하중에 충분히 견
딜 수 있어야 하며, 거푸집 설치의 이격 허용오차는 거푸집용 강재두께 이 딜 수 있어야 하며, 거푸집 설치의 이격 허용오차는 거푸집용 강재두께 이
하이어야 한다. 하이어야 한다.
3.3.4 거푸집은 콘크리트 치기 전에 깨끗이 닦고, 유지류를 발라 두어야 하며, 거푸 3.3.4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깨끗이 닦고, 유지류를 발라 두어야 하며, 거

10 - 12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집 설치 상태에 대한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푸집 설치 상태에 대한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3.5 포장두께의 변경이나 인력 마무리를 하여야하는 구간에 사용할 거푸집은 재 3.3.5 포장두께의 변경이나 인력 마무리를 하여야하는 구간에 사용할 거푸집은 재
질, 구조, 설치방법 및 제거에 대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질, 구조, 설치방법 및 제거에 대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3.6 거푸집 설치의 상태 및 기층면의 정비에 대해서는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감 3.3.6 거푸집 설치의 상태 및 기층면의 정비에 대해서는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감
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3.7 거푸집은 길이 3m 마다 윗면의 변형이 3 ㎜ 이상 있어서는 안되며, 측면의 3.3.7 거푸집은 길이 3 m 마다 윗면의 변형이 3 mm 이상 있어서는 안 되며, 측면
변형이 6 ㎜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의 변형이 6 mm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3.3.8 곡선반경 50 m 이하의 경우에는 목재 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600 3.3.8 곡선반지름 50 m 이하의 경우에는 목재 거푸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수정] 용어 수정
㎜ 마다 강재 지지말뚝을 설치하여야 한다. 600 mm 마다 강재 지지말뚝을 설치하여야 한다.

3.4 배 합 3.4 배 합
3.4.1 시공일반 3.4.1 시공일반
(1)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품질과 작업에 적합한 워어커빌리티 및 (1)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품질과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 및 피 [수정] 최근 국도에서 많이 발생되는 동결융해 피해에 대한 대책으로 충분한
피니셔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 니셔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 연행 공기의 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AE제와 감수제를 각각 사용
도록 정하여야 한다. 포장용 콘크리트는 AE감수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록 정하여야 한다. 포장용 콘크리트는 연행공기의 확보를 위하여 AE제와 하는 방안을 제시함
AE제와 감수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인력타설 시공이 불 감수제를 각각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인력타설 시공이 불가피한 경우 [관계기관의견수렴] 관계기관의견수렴에 따라 ‘연행공기의 확보를 위하여’로
가피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합설계 및 슬럼프 값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 에는 별도의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수정
인을 얻어야 한다.
(2) 알칼리골재반응의 방지를 위해서는 시멘트 양의 일정량을 산업부산물 [수정] 산업부산물을 콘크리트 포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결과
(2) 골재알카리 반응(ASR)의 방지를 위해서는 시멘트 양의 일정양을 산업부
(플라이애시 또는 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할 수 있으며 산업부산물 종류 인 ‘한국형 포장설계법 – 산업부산물 재활용 도로 포장 지침’을 참조
산물(플라이애쉬 또는 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할 수 있다. 산업부산물 종
및 대체량은 국토교통부 ‘산업부산물 재활용 도로 포장 지침’을 참조한 로 함
류 및 대체 양은 감독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 [수정] 일정양 ⇒ 일정량, 대체 양 ⇒ 대체량

3.4.2 배합기준 3.4.2 배합기준 [자문내용] 물/결합재 비, 슬럼프량에 인용된 수치에 대한 근거자료가 필요
(1)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은 표 10-1-5와 같다. 시방서에 배합기준까지 제시할 필요가 있는지, 강도-굵은골재의 최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은 표 10-2와 같다.
대 치수-슬럼프에 대한 기준만 제시하는 것에 대한 논의 필요
표 10-2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표 10-1-5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 미반영 : - 물/결합재비의 경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AE 콘크리
트의 최대-물시멘트비를 준용해서 적용
항 목 시험방법 단 위 기 준 항 목 시험 방법 단 위 기 준 - 슬럼프 값의 경우 슬리폼페이버(slipform paver)의 시공

설계기준 휨강도( ­ 28) ∫ KS F 2408 ㎫(㎏f/㎠) 4.5(45) 이상 설계기준 휨강도 ( f28 ) KS F 2408 MPa 4.5 이상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한 값 임
- 배합기준의 경우 시멘트콘크리트 포장공사의 특성 및
단위 수 량 ㎏/㎥ 150 이하 내구성 설계를 반영한 최소한의 기준으로 제시된 것임
물/결합재 비 % 45 이하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 40 이하 [수정] 단위수량 150 ㎏/㎥ 이하 ⇒ 물/결합재비 45 % 이하 : 단위수량을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mm 40 이하 절대값 이하로 정하면 결합재량 변화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으므
25(40)1)
슬럼 프 값 KS F 2402 ㎜ 로 물/결합재비로 수정하는 것을 제시함
이하 슬 럼 프 값 KS F 2402 mm 10 ∼ 60 [관계기관의견수렴] 슬럼프 값 25(40) mm 이하 ⇒ 슬럼프 값 10-60 mm
AE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
KS F 4009 % 4 ∼6 AE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 KS F 2409 % 5.5±1.5%
: 슬럼프 값이 작을 경우, 오히려 포설시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켜 골재
분리, 연행공기량 감소, 장기내구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주 1) (40)이하는 장비특성을 고려하여 감독자가 인정하는 경우 확률이 많으므로 슬럼프 기준에 대해 10-60 mm 범위로 수정

[수정] AE 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 4∼6 % ⇒ 5.5±1.5% : 굵은골재의 최


대 치수와 내동해성을 고려하여 연행공기량을 제시한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2009)-2.4.9 공기연행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를 준용해서
3.4.3 시방배합 제시함
3.4.3 시방배합

10 -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승인한 콘크리트의 재료를 사용하여 감독자의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가 승인한 콘크리트의 재료를 사용하여 감독자의
입회 하에 시방배합을 실시하며, 감독자는 이를 토대로 현장배합을 결 입회하에 시방배합을 실시하며, 감독자는 이를 토대로 현장배합을 결
정한다. 정한다. 이 시방배합은 사용하는 플랜트의 관리상태 및 계약상대자의 시
이 시방배합은 사용하는 플랜트의 관리상태 및 계약상대자의 시공경험 공경험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휨강도의 변동계수를 정하고, 목표로 하 [수정] 줄임말 수정
등에 의해 콘크리트 휨강도의 변동계수를 정하고, 목표로 하는 배합강 는 배합강도를 결정하여 설계한다.
도를 결정하여 설계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⑴항에 규정된 시멘트양의 범위 내에서 소요의 품질과 (2) 계약상대자는 (1)항에 규정된 시멘트량의 범위 내에서 시방규정에 적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 및 피니셔빌리티를 갖는 콘크리트를 만들 합한 품질과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 및 피니셔빌리티를 갖는 콘크리
수 있는 플랜트를 준비함과 동시에 사용하는 플랜트의 성능, 관리방법, 트가 제조될 수 있는 플랜트를 준비함과 동시에 사용하는 플랜트의 성
계약상대자의 시공경험 등 콘크리트의 변동계수를 가정하는 자료를 감 능, 관리방법, 계약상대자의 시공경험 등을 고려한 콘크리트 변동계수 자
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료를 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 시방배합의 수정은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골재원이 변경되 (3) 시방배합의 수정은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골재원이 변경되
었을 때, 또는 잔 골재의 조립율이 0.2 이상 변화가 생겼을 때 실시하 었을 때, 또는 잔골재의 조립율이 0.2 이상 변화가 생겼을 때 실시하여
여야 한다. 야 한다.

3.4.4 현장배합 3.4.4 현장배합


계약상대자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할 재료를 사용하여 시방배 계약상대자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 이용할 재료를 사용하여 시험포
합 및 시험포장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제출하여야 하며, 감독자와 협 장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제출하여야 하며, 감독자와 협의하여 현장
의하여 현장배합을 결정하여야 한다. 배합을 결정하여야 한다.

3.4.5 기 타 3.4.5 기 타
기타 사항은 이 시방서 15-4절 2.3에 따른다. 기타 사항은 이 시방서 15-4절 2.3에 따른다.

3.5 시험포장 3.5 시험포장


3.5.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의 규정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 3.5.1 계약상대자는 이 시방서의 규정에 적합한 재료 및 시공기계를 사용하
여 감독자의 입회 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한다. 여 감독자의 입회하에 시험포장을 실시한다.
3.5.2 시험포장의 면적은 1,000㎡ 정도로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3.5.2 시험포장의 면적은 1,000 ㎡ 정도로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이를
조정할 수 있다. 포장의 두께와 마무리 및 재료분리를 최소로 하는 양 조정할 수 있다. 감독자는 포장의 작업성 및 시공성을 판단하며, 두
호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을 시행할 목적으로 시험포장을 실시한다. 께 마무리 및 재료분리를 최소로 하는 양호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3.5.3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의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계, 시공방법이 을 시행할 목적으로 시험포장을 실시한다.
포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그 결 3.5.3 계약상대자는 시험포장의 장소, 혼합물의 배합, 시공기계, 시공방법이 포
과에 대하여는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함된 시험포장 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고, 그 결과
에 대해서는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수정] 문맥수정 : 대하여는 ⇒ 대해서는

3.6 콘크리트 제조
3.6 콘크리트 제조
3.6.1 재료의 계량
3.6.1 재료의 계량
재료의 계량은 현장배합에 의한 배합비에 따라 실시하며, 각 재료는 1
재료의 계량은 현장배합에 의한 배합비에 따라 실시하며, 각 재료는 1
회분의 비비기양(각 배치)을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물이나 혼화
회분의 비비기양(각 배치)을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물이나 혼화
제 용액은 용적으로 계량할 수 도 있다.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는 표
제 용액은 부피로 계량할 수도 있다.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는 표 [자문] 오타수정 : 부피으로 ⇒ 부피로
10-3의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10-1-6의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표 10-1-6 시멘트콘크리트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
표 10-3 시멘트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

10 - 14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수정] 표 안의 용어와 통일하여 [중량]⇒[질량], [용적]⇒[부피]로 수정
재료의 종류 허용오차(%) 비 고 재료의 종류 측정단위 1회 계량분량의 한계오차
물, 시멘트 ±1 시멘트 질량 -1 %, +2 %
[수정] KS F 4009 개정(2011.07.11.) 내용 반영
[자문] 단위 추가 : ±3 ⇒ ±3 %
혼화 재 ±2 골재 질량 ±3 %
골재, 혼화제 용액 ±3 물 질량 또는 부피 -2 %, +1 %
혼화재 질량 ±2 %
혼화제 질량 또는 부피 ±3 %
3.6.2 비비기
(1)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현장에서의 인력혼합, 고정식 플랜트 및 트럭믹 3.6.2 비비기
서를 사용한다. 다만, 소규모 공사에는 이동식 플랜트도 사용할 수 있 (1)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현장에서의 인력혼합, 고정식 플랜트 및 트럭믹
다. 서를 사용한다. 다만, 소규모 공사에는 이동식 플랜트도 사용할 수 있
(2) 믹서는 성능이 좋은 강제식 믹서 또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여야 하 다.
며, 믹서 1회분 혼합량은 그 믹서의 제조업자가 제시하는 규격 용량 (2) 믹서는 성능이 좋은 강제식 믹서 또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여야 하
이상 혼합해서는 안 된다. 며, 믹서 1회분 혼합량은 그 믹서의 제조업자가 제시하는 규격 용량
(3) 계약상대자는 시험배합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감독자가 이상 혼합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줄임말 수정
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시험이 불 (3) 계약상대자는 시험배합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감독자가
가능할 경우에는 믹서 안에 재료를 전부 투입한 후 강제식 믹서에서는 콘크리트의 비비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시험이 불가
1분, 가경식 믹서에서는 1분 30초를 표준으로 혼합한다. 다만, 어떠한 능할 경우에는 믹서 안에 재료를 전부 투입한 후 강제식 믹서에서는 1
경우라도 위의 시간을 3배 이상 초과해서는 안 된다. 분, 가경식 믹서에서는 1분 30초를 표준으로 혼합한다. 다만, 일반적인
(4) 1배치의 콘크리트를 비빈 후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비빌 때에는 믹 경우 위의 시간을 3배 이상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줄임말 수정
서 내의 모든 재료를 완전히 배출한 후 혼입하여야 한다. (4) 한 배치의 콘크리트를 비빈 후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비빌 때에는 [수정] 1 배치의 ⇒ 한 배치의
(5) 비비기는 콘크리트 혼합물이 균질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실시하여야 믹서내의 모든 재료를 완전히 배출한 후 혼입하여야 한다.
하며, 배출 시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믹서 드럼의 회전속 (5) 비비기는 콘크리트 혼합물이 균질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실시하여야
도는 제조회사의 장비설명서에 따라야 한다. 하며, 배출할 때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믹서 드럼의 회전
(6) 비빈 후 경화되기 시작한 콘크리트를 되비벼서 사용해서는 안되며, 또 속도는 제조회사의 장비설명서에 따라야 한다.
한 믹서 내에서 30분 이상 경과한 콘크리트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6) 비빈 후 경화되기 시작한 콘크리트를 되비벼서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수정] 띄어쓰기 수정
또한 믹서 내에서 30분 이상 경과한 콘크리트도 사용하여서는 안 된 [수정] 줄임말 수정
다.
3.6.3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5절의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3.6.3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하며, 품질규격은 KS F 4009에 적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5-5절의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감독
합하여야 한다. 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하며, 품질규격은 KS F 4009에 적합하
(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미 타설 된 콘크리트에 해를 주지 않도록 여야 한다.
운반하여야 하며, 내려놓을 장소나 그 방법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2)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에 해를 주지 않도록 운반
한다. 하여야 하며, 내려놓을 장소나 그 방법은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
다.
3.6.4 콘크리트의 운반
(1) 콘크리트의 운반은 재료분리와 함수비의 변화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3.6.4 콘크리트의 운반
하여야 하며, 운반차는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1) 콘크리트의 운반은 재료분리와 함수비의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 수정
(2) 콘크리트는 비빈 후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을 넘어 하여야 하며, 운반차는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서는 안되며, 애지데이터 트럭으로 운반하는 경우는 90분 이상 경과해 (2) 콘크리트는 비비기를 시작한 후 1시간 이내에 타설을 완료하여야 하며,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문구 수정
서는 안 된다. 그러나 기온이 매우 높거나, 콘크리트가 빨리 응결할 경 애지데이터 트럭으로 운반하는 경우는 90분 이상 경과하여서는 안 된다.
우에는 이를 감소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온이 매우 높거나 콘크리트가 빨리 응결할 경우에는 시간을 줄
여야 한다.

10 -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 콘크리트는 비빈 후 운반되는 과정에서 굳지 않아야 하며, 조금이라도 (3) 콘크리트는 비빈 후 운반되는 과정에서 굳지 않아야 하며, 조금이라도
굳은 콘크리트는 사용을 해서는 안 된다. 운반 도중 콘크리트가 건조 굳은 콘크리트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운반 도중 콘크리트가 건조되는 [수정] 자구 수정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약상대자는 운반차에 적절한 보호방법을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약상대자는 운반차에 적절한 보호방법을 강구
강구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를 운반차에 싣거나 내릴 때는 그 높이를 되도록 낮게 하여, (4) 콘크리트를 운반차에 싣거나 내릴 때는 그 높이를 되도록 낮게 하여,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운반차는 사용 후 적재함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운반차는 사용 후 적재함
내부를 깨끗이 청소하고 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내부를 깨끗이 청소하고 물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5) 덤프트럭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적재함의 틈을 없애고 적재함 상단보 (5) 덤프트럭으로 운반할 경우에는 적재함의 틈을 없애고 적재함 상단보다
다 낮고 편편하게 적재하고 수분증발 및 이물질 혼입을 막기 위해 덮 낮고 평평하게 적재하며, 수분증발 및 이물질 혼합을 막기 위하여 덮
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6) 운반차량은 포장장비의 작업능력에 맞는 종류와 소요대수를 결정하여 (6) 운반차량은 포장장비의 작업능력에 맞는 종류와 소요대수를 결정하여야
야 한다. 한다.
(7) 중앙 혼합장에서 혼합하고 트럭믹서로 운반하는 경우에는 KS F 4009 (7) 중앙 혼합장에서 혼합하고 트럭믹서로 운반하는 경우에는 KS F 4009
의 운반규정에 따른다. 의 운반규정에 따른다.

3.6.5 기상조건 3.6.5 기상조건


(1) 콘크리트의 배합, 치기 및 마무리는 주간에 실시하여야 하며, 부득이 (1) 콘크리트의 배합, 타설 및 마무리는 주간에 실시하여야 하며, 부득이
하게 야간에 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게 야간에 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기온이 4℃ 이하이거나 35℃ 이상인 경우 또는 우천 시는 시공을 금 (2)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 온도가 4 ℃ 이하이거나 35 ℃ 이상인 [수정] ‘‘콘크리트표준시방서 14장 한중콘크리트’ 와 ‘15장 서중콘크리트’ 관
지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품질확보 경우 또는 비가 내릴때는 시공을 금지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하게 리기준 온도와 일치시킴
를 위한 제반조치에 대하여 사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품질확보를 위한 제반조치에 대하여 사전에
(3)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동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방지대책을 강구하여 포장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3) 양생기간 중 동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동결방지
(4) 서중 및 한중 콘크리트 시공에 관해서는 이 시방서 10-1절 3.18에 대책을 강구하여 포장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따른다. (4) 서중 및 한중 콘크리트 시공에 관해서는 이 시방서 10-2절 3.18에 따
른다.

3.7 콘크리트 포설 및 다짐
3.7 콘크리트 깔기 및 다짐
3.7.1 시공일반
3.7.1 시공일반
(1) 콘크리트 포설은 페이버 또는 이와 동등한 장비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수정] ‘깔기’ ⇒ ‘포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인 포설로 통일 필요
(1) 콘크리트 깔기는 페이버 또는 이와 동등한 장비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하며, 초기 경화가 시작되기 전에 시공하여야 한다.
하며, 초기 경화가 시작되기 전에 시공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포설방법으로는 고정 거푸집에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방법과
(2) 콘크리트 깔기방법으로는 고정 거푸집에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방법
슬리폼 페이버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공사규모나 장비 및 작업여건에
과 슬립폼 페이버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공사규모나 장비 및 작업여건
따라 이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에 따라 이를 선택하여 적용한다.
(3) 콘크리트 포설을 하고 난 다음에는 가능한 콘크리트를 다시 이동하지 않
(3) 콘크리트 깔기를 하고 난 다음에는 가능한 콘크리트를 다시 이동하지
아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않아야 하며,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동결된 보조기층에 콘크리트 포설을 하여서는 안 된다.
(4) 동결된 보조기층에 콘크리트 깔기를 해서는 안 된다. 특히 시공 당일
(5) 시공 당일 일평균 기온이 4 ℃ 이하로 내려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와 시 [수정] ‘콘크리트표준시방서 14장 한중콘크리트’ 와 ‘15장 서중콘크리트’
예상되는 기온이 4℃ 이하인 경우와 32℃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한
공 당일 일평균 기온이 25 ℃ 이상이 예상되는 경우 반드시 한중 콘크 관리기준 온도와 일치시킴
중 콘크리트 또는 서중 콘크리트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
리트와 서중 콘크리트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을 받은 후 콘크리트 깔기를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포설을 하여야 한다.
3.7.2 깔 기 3.7.2 포설
(1) 콘크리트는 승인된 장비와 공법을 사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깔아야 한 (1) 콘크리트는 승인된 장비와 공법을 사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포설하여야 [수정] 깔아야 한다 ⇒ 포설하여야 한다.
다. 한다.

10 - 16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콘크리트는 소정의 위치에 균등량을 설계도서에 표시된 두께와 경사 (2) 콘크리트는 소정의 위치에 균등량을 설계도서에 표시된 두께와 경사를
를 갖도록 그 양을 조절해서 다지고 마무리하여야 한다. 갖도록 그 양을 조절해서 다지고 마무리하여야 한다.
(3) 스프레더로 펴 고른 다음 불완전한 부분이 생기면 삽 등으로 고쳐야 (3) 스프레더로 펴 고른 다음 불완전한 부분이 생기면 삽 등으로 고쳐야
한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모서리 또는 줄눈 부위의 콘크리트에 재료분 한다. 콘크리트 슬래브의 모서리 또는 줄눈 부위의 콘크리트에 재료분
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4) 줄눈의 위치는 포장면 외측에 미리 표시해 두고, 콘크리트 깔기를 중 (4) 줄눈의 위치는 포장면 외측에 미리 표시하여 두고, 콘크리트 포설을 중
단하여야 할 경우에는 줄눈위치에서 최소한 500 ㎜ 이상 깔기를 하여 단하여야 할 경우에는 줄눈위치에서 최소한 500 mm 이상 포설을 하
시공줄눈으로 자르고 다짐 후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여 시공줄눈으로 자르고, 표면의 모르타르가 충분히 제거됐는지를 확인
깔기가 1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비(雨)에 의해 현저하게 손상을 입었 하고 다짐 후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포설이 1시간 이상
을 경우에는 이음부 또는 손상부위를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지연되거나, 비(雨)에 의하여 현저하게 손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이음
부 또는 손상부위를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5) 일몰 후 또는 야간에는 포설 작업을 지양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5) 일몰 후 또는 야간에는 포설 작업을 지양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줄눈 절단계획 등을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실시하여야 한 줄눈 절단계획 등을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실시하여야 한
다. 다.

3.7.3 다 짐 3.7.3 다 짐
(1) 콘크리트 깔기 후 신속하게 피니셔 등을 사용해서 연석부까지 충분한 (1) 콘크리트 포설 후 신속하게 피니셔 등을 사용해서 연석부까지 규정에 적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삭제가 더 타당함
다짐을 하여야 한다. 거푸집 및 줄눈 부근은 봉다짐 진동기를 사용하 합한 다짐을 하여야 한다. 이때, 포장장비 특성을 파악하여 바이브레이 [신설] 포장장비가 대형화되고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과도한 진동에 의한
여야 한다. 이 때 진동기는 거푸집이나 줄눈 어셈블리에 직접 접촉시 터 위치, 간격 및 진동수와 포장장비 운행속도 등을 조정하여 콘크리 포장체 내구성 문제가 발생될 확률이 높아 다짐시 장비 특성을 반영
켜서는 안 되며, 모르타르가 떠 올라올 정도로 과도한 다짐을 해서는 트 표면에 모르타르가 과다하게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거푸집 하여 주의할 필요가 있음(고속도로전문시방서 참조)
안 된다. 및 줄눈 부근은 봉다짐 진동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진동기를 거푸
집이나 줄눈 어셈블리에 직접 접촉시켜서는 안 되며, 모르타르가 떠
올라올 정도로 과도한 다짐을 하여서는 안 된다.
(2) 콘크리트는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깔고 다짐도가 얻어질 때까 (2) 콘크리트는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포설하고, 진동기를 이용하 [수정] 문맥상 ‘진동기를 이용하여 다짐을 한다’ 가 타당
지 다짐을 한다. 여 다짐을 한다.
(3) 진동기는 전기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회전형이어야 하며, 진동횟수 (3) 진동기는 전기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회전형이어야 하며, 진동횟수
는 10∼20초간의 정상다짐 동안에 혼합물을 충분히 다질 수 있는 것이 는 10초 ∼ 20초간의 정상다짐 동안에 혼합물을 충분히 다질 수 있는
어야 한다. 것이어야 한다.
(4) 다짐 후 1층 두께는 350 ㎜ 이하이어야 하며, 혼합물의 다짐은 포설 (4) 다짐 후 1층 두께는 350 mm 이하이어야 하며, 혼합물의 다짐은 콘크
후 1시간 이내에 완료하여야 한다. 리트 비비기를 시작하여 다짐이 끝날 때까지 1시간 이내에 완료하여야 [수정] 의미를 명확하게 기술
한다.
(5) 진동기는 콘크리트를 고르는데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한 자리에 20초 (5) 진동기는 콘크리트를 고르는데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한 자리에 20초
이상 머물러 있어서도 안 된다. 이상 머물러 있어서도 안 된다.

3.8 슬립폼 페이버(slip form paver)에 의한 깔기 3.8 슬리폼 페이버(slip form paver)에 의한 포설
3.8.1 콘크리트 깔기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펴고, 다지고, 고르고, 마무리 3.8.1 콘크리트 포설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펴고, 다지고, 고르고, 마무리
하는 일을 일관된 작업으로 수행하는 슬립폼 페이버와 동등한 깔기 장 하는 일을 일관된 작업으로 수행하는 슬리폼 페이버와 동등한 포설 장
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3.8.2 콘크리트 치기는 인력이 최소로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8.2 콘크리트 타설은 인력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수정] 문맥 수정
3.8.3 쳐 넣은 콘크리트는 설계도서에 따른 균질한 것이어야 한다. 3.8.3 타설한 콘크리트는 설계도서에 따른 균질한 것이어야 한다.
3.8.4 콘크리트의 진동다짐은 전 폭 및 길이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8.4 콘크리트의 진동다짐은 전 폭 및 길이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8.5 콘크리트 포장의 선형은 전자감응식 유도장치를 설치하며, 설계도서에 3.8.5 콘크리트 포장의 선형은 전자감응식 유도장치를 설치하며, 설계도서에
나타난 정확한 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나타난 정확한 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3.8.6 콘크리트 깔기 시 슬럼프 값은 50 ㎜ 이하이어야 하며, 균일한 반죽질 3.8.6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의 슬럼프 값은 10 mm ∼ 60 mm 범위로 관리 [수정] ‘배합기준 표 10-1-2-3’에서 슬럼프 값인 10-60 mm 범위로 정의
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하여야 하며, 균일한 반죽질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하고 있음

10 -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8.7 콘크리트 깔기 시 콘크리트의 비비기, 운반, 공급 등은 슬립폼 페이버 3.8.7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 · 운반 · 공급 등은 슬리폼 페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의 진동속도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하며, 콘크리트의 깔기는 가능한 한 이버(slip-form Paver)의 진행속도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하며, 콘크리 [수정] 진동속도 ⇒ 진행속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트의 포설은 가능한 한 연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3.8.8 콘크리트를 친 후 모따기 부분(edge)을 제외한 포장부분이 6 ㎜ 이상 3.8.8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모따기 부분(edge)을 제외한 포장부분이 6 mm
처짐이 발생하였을 때는 콘크리트의 초결이 시작되기 전에 수정하여야 이상 처짐이 발생하였을 때는 콘크리트의 초기응결이 시작되기 전에 [수정] 용어 수정
한다. 수정하여야 한다.
3.8.9 슬립폼 페이버의 진행이 정지되었을 때는 모든 진동 및 다짐 장치를 3.8.9 슬리폼 페이버의 진행이 정지되었을 때는 모든 진동 및 다짐 장치를 계속
계속 가동해서는 안 된다. 가동하여서는 안 된다.
3.8.10 장비의 정비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장비에 의해 페이버를 3.8.10 장비의 정비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장비에 의하여 페이버를 [수정] 약어 수정
견인해서는 안 된다. 견인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약어 수정
3.8.11 기존 포장 위에 슬립폼 페이버가 주행할 때는 기존 포장면이 손상되 3.8.11 기존 포장 위에 슬리폼 페이버가 주행할 때는 기존 포장면이 손상되
지 않도록 고무패드 등을 깔아서 보호하여야 한다. 지 않도록 고무패드 등을 깔아서 보호하여야 한다.
3.8.12 일몰 후 또는 야간에는 포설 작업을 지양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3.8.12 일몰 후 또는 야간에는 포설 작업을 지양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줄눈
줄눈절단계획 등을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실시하여야 한 절단계획 등을 검토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실시하여야 한다.
다.

3.9 보강용 철망의 설치 3.9 보강용 철망의 설치


3.9.1 보강용 철망은 운반 또는 보관 적치 시 철망의 비틀림, 솟음 등의 변 3.9.1 보강용 철망은 운반 또는 보관 적치할 때 철망의 비틀림, 솟음 등의 [수정] 한글로 순화
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9.2 보강용 철망은 설계도서에 따라 표시된 위치에 종류별 수량을 정확 3.9.2 보강용 철망은 설계도서에 따라 표시된 위치에 종류별 수량을 정확
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9.3 철망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높이까지 하부 콘크리트를 포설한 후 설 3.9.3 철망은 설계도서에 표시된 높이까지 하부 콘크리트를 포설한 후 설치
치하여야 하며, 철망 설치 후 상부 콘크리트를 포설하여야 한다. 또 하여야 하며, 철망 설치 후 상부 콘크리트를 포설하여야 한다. 또한, 포장
한, 포장의 전 두께를 펴 깐 후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에서 소정의 의 전 두께를 포설한 후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에서 소정의 깊이까지 [수정] 깐 후 ⇒ 포설한 후
깊이까지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3.9.4 하부 콘크리트의 깔기 후 상부 콘크리트를 깔 때까지 30분 이상 경 3.9.4 하부 콘크리트의 포설 후 상부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까지 30분 이상 경과 [수정] 깔 때 ⇒ 포설할 때
과 시에는 그 부분의 하부 콘크리트는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되었을 때에는 그 부분의 하부 콘크리트는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9.5 철망의 겹치는 방법 등 상세한 사항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9.5 철망의 겹치는 방법 등 상세한 사항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9.6 철망은 설치 중 또는 설치 후라도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9.6 철망은 설치 중 또는 설치 후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0 연속철근의 설치 3.10 연속철근의 설치


3.10.1 연속철근은 설계도서에 따라 표시된 위치에 종류별 수량을 정확하게 3.10.1 연속철근은 설계도서에 따라 표시된 위치에 종류별 수량을 정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3.10.2 연속철근의 설치는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 받침(chair)으로 철근이 이 3.10.2 연속철근의 설치는 콘크리트를 타설 전에 받침(chair)으로 철근이 이
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3.10.3 철근의 이음개소는 동일단면에 집중시켜서는 안 되며, 이음 개소가 3.10.3 철근의 이음개소는 동일단면에 집중시켜서는 안 되며, 이음 개소가 서로
서로 엇갈리도록 하여야 한다. 철근의 이음길이는 직경의 30배 이상 엇갈리도록 하여야 한다. 철근의 이음길이는 직경의 30배 이상 또는 400
또는 400 ㎜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10.4 철근은 운반, 보관, 적치 시에 휘거나 심하게 부식되지 않도록 주의하 3.10.4 철근을 운반, 보관, 적치할 때 변형되거나 심하게 부식되지 않도록 주의하 [수정] 조사 수정, 한글로 순화
여야 하며, 철근을 배근할 때는 변형된 철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여야 하며, 철근을 배근할 때는 변형된 철근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11 보강용 콘크리트 슬래브


3.11 보강용 콘크리트 슬래브 3.11.1 보강용 콘크리트 슬래브는 교대의 뒤채움부에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3.11.1 보강용 콘크리트 슬래브는 교대의 뒤채움부에 설치하는 접속 슬래브 (approach slab)와 토공부의 지지력의 불연속 구간에 설치하는 포장
(approach slab)와 토공부의 지지력의 불연속 구간에 설치하는 포장

10 - 18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하부 보강슬래브로 구분된다. 하부 보강슬래브로 구분된다.
3.11.2 접속 슬래브의 구조는 교대의 뒤채움부 다짐불량에 의한 부등침하와 3.11.2 접속 슬래브의 구조는 교대의 뒤채움부 다짐불량에 의한 부등침하와 포
포장파손으로 인한 주행성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 장파손으로 인한 주행성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며, 연장, 폭, 두께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연장, 폭, 두께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11.3 포장하부 보강슬래브는 포장 슬래브 하부에 설치하는 철근 콘크리트 3.11.3 포장하부 보강슬래브는 포장 슬래브 하부에 설치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로서 지지력의 불연속, 지중구조물로 인한 부등침하 등이 예상 슬래브로서 지지력의 불연속, 지중구조물로 인한 부등침하 등이 예상
되는 곳에 설치되며, 연장, 폭, 두께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되는 곳에 설치되며, 연장, 폭, 두께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3.11.4 교량접속부는 시공조건이 불리하고 줄눈부가 집중되어 있으므로 평 3.11.4 교량접속부 전 · 후 10 m 구간은 감독자가 직접 평탄성을 측정(단차 2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에서 제시된 관리규정을 준용하여 구체화
탄마무리와 줄눈시공에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mm 이내 관리) 및 관리하여야 한다. 시킴
3.11.5 표면마무리는 바이브레이팅 스크리드나 데크 피니셔에 의한 마무리 3.11.5 표면마무리는 바이브레이팅 스크리드나 데크 피니셔에 의한 마무리
등의 기계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등의 기계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3.12 포장 단부처리 3.12 포장 단부처리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시‧종점부 자유단(공법이 다른 포장 또는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시·종점부 자유단(공법이 다른 포장 또는 교량 [향후연구과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단부의 이동은 단부의 형상에도 영
교량 접속부)에는 포장 슬래브의 신축에 의한 충격흡수를 위해 포장 접속부)에는 포장 슬래브의 신축에 의한 충격흡수를 위하여 포장 단부처 향을 받지만, 하부지반의 강성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실질적으로 하
단부처리를 하여야 한다. 그 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리를 하여야 하며, 그 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부지반의 강성에 따른 단부처리공법의 제시가 향후 연구과제를 통
해 필요함
3.13 줄 눈 3.13 줄 눈
3.13.1 시공일반 3.13.1 시공일반
(1) 줄눈형식, 설치위치 및 방향은 포장 전폭에 걸쳐서 동일한 형태의 줄
(1) 줄눈형식, 설치위치 및 방향은 포장 전폭에 걸쳐서 동일한 형태의 줄
눈을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며, 다음 표 10-4를 기준으로 한
눈을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며, 표 10-1-7을 기준으로 한다.
다.
표 10-4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줄눈 간격
표 10-1-7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줄눈 간격
줄눈의 종류 시공시기 슬래브두께(㎜) 줄눈간격(m) 줄눈의 종류 시공시기 슬래브두께(㎜) 줄눈간격(m)
가로수축줄눈 - - ∼
4 6 가로수축줄눈 - - 4 ∼6
세로줄눈 - - 3.25∼4.5 세로줄눈 - - 3.25 ∼ 4.5

(2) 줄눈의 콘크리트 슬래브는 다른 부분과 동일한 강도 및 평탄성을 갖도


(2) 줄눈의 콘크리트 슬래브는 다른 부분과 동일한 강도 및 평탄성을 갖도
록 마무리하여야 한다. 줄눈부에 인접한 슬래브와 높이차는 2 ㎜ 이상
록 마무리하여야 한다. 줄눈부에 인접한 슬래브와 높이차는 2 mm 이 [수정] 이상이어서는 안 된다 ⇒ 이하이어야 한다.
이어서는 안 된다. 하이어야 한다.
(3) 줄눈부 상단 모서리는 파손되지 않도록 3mm 규격으로 모따기를 시행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줄눈부 파손방지를 위해 문장 추가
하여야 한다.

3.13.2 가로시공줄눈 3.13.2 가로시공줄눈


(1) 시공줄눈은 포설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비가 올 때, 기계고장 등으로 (1) 시공줄눈은 포설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비가 올 때, 기계고장 등으로
인해 치기작업이 30분 이상 중단되었을 때 설치하며, 가로줄눈의 설치 인하여 치기작업이 30분 이상 중단되었을 때 설치하며, 가로줄눈의 설
위치에 맞추어 시공하여야 한다. 치 위치에 맞추어 시공하여야 한다.
(2) 시공줄눈은 맞댐줄눈으로 한다. 시공줄눈을 홈줄눈 위치에다 설치할 (2) 시공줄눈은 맞댐줄눈으로 한다. 시공줄눈을 홈줄눈 위치에다 설치할
경우에는 다우웰바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타이바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웰바를 사용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타이바를 사용한다.
다.
(3)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시공줄눈부에 대해서는 취약하지 않 (3)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시공줄눈부에 대해서는 취약하지 않
도록 보강하여야 하며, 보강방법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도록 보강하여야 하며, 보강방법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10 -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3.3 가로팽창줄눈 3.13.3 가로팽창줄눈
(1) 팽창줄눈은 포장슬래브와 구조물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하여야 하며, 콘크리 (1) 팽창줄눈은 포장슬래브와 구조물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트가 경화한 다음 커터로 홈을 자를 경우에는 거푸집을 제거한 후 절단에 의 가 경화한 다음 커터로 홈을 자를 경우에는 거푸집을 제거한 후 절단에 의하
해 콘크리트가 해를 받지 않을 강도에 이르렀을 때 절단하여야 한다. 여 콘크리트가 해를 받지 않을 강도에 이르렀을 때 절단하여야 한다.
(2) 일반 토공부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팽창줄눈을 삭제한다. 다만, 다음과 같 (2) 일반 토공부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팽창줄눈을 삭제한다. 다만, 다음과 같
은 경우는 가로팽창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은 경우는 가로팽창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① 가로수축줄눈의 간격이 18m 이상인 경우 ① 가로수축줄눈의 간격이 18 m 이상인 경우
② 콘크리트 포장 시공할 당시 대기 기온이 4℃ 이하인 경우 ② 콘크리트 포장 시공할 당시 대기 기온이 4 ℃ 이하인 경우
③ 가로수축줄눈에 비압축성 이물질이 침입을 허용한 경우 ③ 가로수축줄눈에 비압축성 이물질이 침입을 허용한 경우
④ 포장 공사에 사용된 재료가 과거 높은 팽창성을 보인 경우 ④ 포장 공사에 사용된 재료가 과거 높은 팽창성을 보인 경우

3.13.4 가로수축줄눈 3.13.4 가로수축줄눈


(1) 수축줄눈은 설계도서에 명시된 깊이까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1) 수축줄눈은 설계도서에 명기된 깊이까지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자
자르고, 홈 내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주입줄눈재로 홈을 채워 르고, 홈 내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 후 주입줄눈재로 홈을 채워야
야 한다. 한다.
(2) 가로수축줄눈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칸 씩 건너서 1차 컷팅을 (2) 가로수축줄눈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칸 씩 건너서 1차 컷팅을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수축줄눈을 생략한다. (3)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가로수축줄눈을 생략한다.
(4) 계약대상자는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 (4) 계약대상자는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 [향후연구필요]줄눈커팅시기가 상당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방서에서
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로수축줄눈의 설치 시기를 결 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가로수축줄눈의 설치시기를 결정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가 쉽지 않고,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경험
정한다. 한다. 에만 의존하고 있어, 이와 관련한 세심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임
(5) 가로수축줄눈 설치시기 조절만으로 균열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 양 (5) 가로수축줄눈 설치시기 조절만으로 균열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 양
생 방법, 콘크리트 배합을 조정하여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 생 방법, 콘크리트 배합을 조정하여 재령 초기 환경하중에 의하여 콘
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크리트 포장 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6) 길어깨나 분리대 측대를 콘크리트로 할 경우 반드시 본선 줄눈 위치 (6) 길어깨나 분리대 측대를 콘크리트로 할 경우 반드시 본선 줄눈 위치
와 동일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와 동일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3.5 세로줄눈 3.13.5 세로줄눈


세로줄눈은 홈줄눈, 맞댐줄눈으로 하며, 포장에 수직으로 정해진 깊이 세로줄눈은 홈줄눈, 맞댐줄눈으로 하며, 포장에 수직으로 정하여진 깊 [수정] 용어 수정
의 홈을 만들고 주입 줄눈재로 홈을 채워야 한다. 이의 홈을 만들고 주입 줄눈재로 홈을 채워야 한다.

3.13.6 다우웰바 및 타이바 3.13.6 다웰바 및 타이바


(1) 다우웰바 및 타이바는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1) 다웰바 및 타이바는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다우웰바는 방부제 및 활동제로 도장하여야 한다. (2) 다웰바는 방청제 및 활동제로 도장하여야 한다. [자문] 방부제 ⇒ 방청제
(3) 다우웰바 및 타이바를 체어에 지지할 경우, 체어는 철근을 용접 조립한 (3) 다웰바 및 타이바를 체어에 지지할 경우, 체어는 철근을 용접 조립한 것
것이어야 하며,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공 중에 변형이 생기지 않 이어야 하며,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공 중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
도록 하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한다.
(4) 타이바는 이형봉강으로 하며, 깊이와 길이 및 배치간격을 설계도서에 따 (4) 타이바는 이형봉강으로 하며, 깊이와 길이 및 배치간격을 설계도서에 따
라 설치하여야 한다. 라 설치하여야 한다.

3.13.7 줄눈재의 주입 3.13.7 줄눈재의 주입


(1) 양생기간이 끝난 후 기상조건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줄눈에 주입줄 (1) 양생기간이 끝난 후 기상조건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줄눈에 주입줄
눈재를 주입하여야 한다. 눈재를 주입하거나 성형줄눈재를 삽입하여야 한다. [수정] 성형줄눈재 사용도 명기 : 주입하여야 한다 ⇒ 주입하거나 성형줄눈
(2) 주입줄눈재는 주입하기에 앞서 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콘크리트 부 (2) 주입줄눈재는 주입하기에 앞서 홈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콘크리트 부 재를 삽입하여야 한다. (한국형 포장 설계법-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10 - 20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스러기나 먼지 등을 제거하여 건조시켜야 한다. 스러기나 먼지 등을 제거하여 건조시켜야 한다. 생산 및 시공지침 내용 반영)
(3) 주입줄눈재 시공은 홈 내면에 프라이머를 바른 다음 기포가 생기지 (3) 주입줄눈재 시공은 홈 내면에 프라이머를 바른 다음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입하고, 주입이 끝났을 때 줄눈재의 상면이 포장슬래브의 표 않도록 주입하고, 주입이 끝났을 때 줄눈재의 상면이 포장슬래브의 표
면 보다 3 ㎜정도 낮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면 보다 3 mm 정도 낮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4) 줄눈재로서 성형줄눈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할 (4) 줄눈재로서 성형줄눈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할 [향후연구과제] 줄눈재에 있어 다양한 재료 및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수 있다 수 있다 이에 대한 검토연구는 미진한 실정임

3.14 표면마무리 3.14 표면마무리


3.14.1 시공일반 3.14.1 시공일반
(1) 표면마무리는 계획고까지 깔기 및 다짐이 완료된 후, 초벌마무리, 평탄 (1) 표면마무리는 계획고까지 포설 및 다짐이 완료된 후, 초벌마무리, 평탄 [수정] 깔기 ⇒ 포설
마무리, 거친마무리 순으로 시공한다. 마무리, 거친마무리 순으로 시공한다.
(2) 기계에 의한 마무리 방법으로는 피니셔에 의한 초벌마무리, 표면마무리 (2) 기계에 의한 마무리 방법으로는 피니셔에 의한 초벌마무리, 표면마무리
기에 의한 평탄마무리 및 브러쉬 등에 의한 거친면 마무리가 일반적이 기에 의한 평탄마무리 및 브러쉬 등에 의한 거친면 마무리가 일반적이
다. 다.
(3) 특수지역 및 좁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기계에 의한 마무리를 하여야 하 (3) 특수지역 및 좁은 지역을 제외하고는 기계에 의한 마무리를 하여야 하
며, 표면마무리에 사용할 기계 및 기구는 콘크리트 포장 시공계획서에 며, 표면마무리에 사용할 기계 및 기구는 콘크리트 포장 시공계획서에
포함하여 감독자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포함하여 감독자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마무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물을 추가하여 시공하는 것은 절대 금한 (4) 마무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물을 추가하여 시공하는 것은 절대 금한
다. 다.

3.14.2 초벌마무리 3.14.2 초벌마무리


초벌마무리는 피니셔나 슬립폼 페이버 등과 같은 기계에 의한 방법을 초벌마무리는 피니셔나 슬리폼 페이버 등과 같은 기계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의 고장이나 기타의 사유로 마무리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기계의 고장이나 기타의 사유로 마무리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인력에 의한 간이 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인력에 의한 간이 피
니셔나 템플리트 템퍼(templet tamper)로 초벌마무리를 할 수 있다. 니셔나 템플리트 템퍼(templet tamper)로 초벌마무리를 할 수 있다.

3.14.3 평탄마무리 3.14.3 평탄마무리


(1) 초벌마무리를 한 후에는 표면마무리 장비에 의한 기계마무리나 플로 (1) 초벌마무리를 한 후에는 표면마무리 장비에 의한 기계마무리나 플로
우트(float)에 의한 인력마무리로 종․횡방향의 요철을 고르는 평탄마무 우트(float)에 의한 인력마무리로 종․횡방향의 요철을 고르는 평탄마무
리를 하여야 한다. 리를 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은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직선자로 평탄성을 (2)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은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직선자로 평탄성을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요철부분을 정정하여야 한다.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요철부분을 정정하여야 한다.

3.14.4 거친면 마무리 3.14.4 거친면 마무리

(1) 횡방향 거친면 마무리는 평탄마무리가 끝나고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 (1) 횡방향 거친면 마무리는 평탄마무리가 끝나고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 [자문] 고속도로 전문시방서와의 규격 통일에 대해 검토 필요
에 물기가 없어지면 거친면 마무리를 실시한다. 거친면 마무리 방법에 에 물기가 없어지면 거친면 마무리를 실시한다. 거친면 마무리 방법에 [향후연구필요] 타이닝 규격의 경우 실제 표면배수 및 마찰계수와 관련된 사
는 그루빙(grooving)에 의한 방법, 타이닝기에 의한 기계마무리, 마대 는 그루빙(grooving)에 의한 방법, 타이닝기에 의한 기계마무리, 마대 항으로 국내여건을 반영한 충분한 Data의 검토 후 수정하는 것이
처리 또는 비, 솔 등을 사용하는 인력마무리 등이 있다. 타이닝기를 사 처리 또는 비, 솔 등을 사용하는 인력마무리 등이 있다. 타이닝기를 사 타당함
용할 때 홈의 깊이는 3∼6 ㎜ 를 표준으로 하고, 홈의 간격은 20∼30 용할 때 홈의 깊이는 3 mm ∼ 6 mm를 표준으로 하고, 홈의 간격은
㎜로 하여 충분한 마찰계수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20 mm ∼ 30 mm로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삭제가 타당)
(2) 종방향 거친면 마무리는 장비에 의한 평탄마무리 직후 슬립폼 페이버 (2) 종방향 거친면 마무리는 장비에 의한 평탄마무리 직후 슬리폼 페이버

10 -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에 부착된 타이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 홈의 깊이는 3 에 부착된 타이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이때 홈의 깊이는 3
㎜∼6 ㎜ 를 표준으로 하고 홈의 간격은 20 ㎜ 이내로 하여야 한다. mm ∼ 6 mm를 표준으로 하고, 홈의 간격은 20 mm 이내로 하여야
또한 형성된 홈의 함몰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20 ㎜ 이 한다.
내가 되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포설장비는 낮은 슬럼프에도 충분한 작 또한, 형성된 홈의 함몰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10 mm∼ [수정] 20 mm ⇒ 10-60 mm (배합기준 표 에서 슬럼프 값을 10-60 mm 범
업 능력을 갖는 기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60 mm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포설장비는 낮은 슬럼프에도 위로 정의하고 있음)
적합한 작업 능력을 갖는 기종을 선택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3) 거친면 마무리 완료 후 노면배수 상태를 조사하여 필요 시에는 배수 (3) 거친면 마무리 완료 후 노면배수 상태를 조사하여 필요할 때에는 배 [수정] 한글로 순화
용 그루빙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할 수 있다. 수용 그루빙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할 수 있다.
(4) 특별히 마찰계수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4) 특별히 마찰계수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홈의 형식, 깊이 및 간격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 홈의 형식, 깊이 및 간격 등을 조정할 수 있다.
(5) 임의 간격 횡방향 타이닝은 도로의 중심선과 수직으로 시공하며, 일정 (5) 임의 간격 횡방향 타이닝은 도로의 중심선과 수직으로 시공하며, 일정
간격을 두지 않고 설계 도면에 따라 10∼40 ㎜ 간격으로 시공하고, 깊 간격을 두지 않고 설계 도면에 따라 10 mm ∼ 40 mm 간격으로 시공
이는 3∼6 ㎜로 한다. 하고, 깊이는 3 mm ∼ 6 mm로 한다.

3.15 거푸집 제거 3.15 거푸집 제거


3.15.1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의 강도가 자중 및 시공 중에 3.15.1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의 강도가 자중 및 시공 중에
가해지는 강도 이상일 때 제거하도록 한다. 가해지는 강도 이상일 때 제거하도록 한다.
3.15.2 거푸집 제거 작업 중에 콘크리트 슬래브에 손상을 주어서는 안되 3.15.2 거푸집 제거 작업 중에 콘크리트 슬래브에 손상을 주어서는 안 되
며, 손상을 주었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즉시 보수하여야 한 며, 손상을 주었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즉시 보수하여야 한
다. 다.
3.15.3 거푸집 제거 후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측면은 이 절 3.16에 따라 양 3.15.3 거푸집 제거 후 콘크리트 슬래브의 양측면은 이 절 3.16에 따라 양
생하여야 한다. 거푸집 제거 후 재료 이탈이 생긴 부분은 시멘트 모르 생하여야 한다. 거푸집 제거 후 재료 이탈이 생긴 부분은 시멘트 모르
타르로 깨끗이 메꾸어야 하며, 공용성 및 내구성 문제가 예상되는 경 타르로 깨끗이 메꾸어야 하며, 공용성 및 내구성 문제가 예상되는 경
우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우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3.16 양 생
3.16 양 생 [신설] 현 시방서의 경우 습윤양생과 피막양생법에 대한 특별한 강제사항이
3.16.1 표면마무리가 끝난 후 교통이 개방될 때까지 건조, 온도변화, 하중, 3.16.1 표면마무리가 끝난 후 양생을 통해 교통이 개방될 때까지 건조, 온 없으나 일부 교면포장을 제외하고 대부분 시공현장에서는 피막양생을
충격 등의 나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특히 양생기간 도변화, 하중, 충격 등의 나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포장체를 보호하여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빈번히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표면
동안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피막양생을 할 수 있다. 야 한다. 양생방법은 습윤양생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감독 결함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대안 중의 하나가 습윤양생이므로
자의 승인하에 피막양생을 할 수 있다. 이를 양생법의 원칙으로 제시함

3.16.2 습윤양생
(1) 습윤양생은 1차 피막양생과 2차 양생용덮개 양생으로 나누어진다.
(2) 1차 피막양생은 거친면 마무리가 끝난 직 후 피막양생제를 피막양생제
품질사양서에서 제시한 사용량 범위 내에서 살포한다.
(3) 2차 양생용덮개 양생은 포장체 면이 양생용덮개 설치로 손상되지 않
는 범위에서 최대한 신속히 설치한다.
(4) 습윤양생은 최소 5일간 시행하여야 하며, 필요할 때에 감독자의 요구
에 따라 연장할 수 있다.
(5) 양생기간동안 양생용덮개에 습윤상태가 항상 유지되도록 주기적인 살
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6) 줄눈을 시공할 때는 줄눈 시공 부위에 설치된 양생용 덮개를 일부 제
거 후 줄눈시공을 실시하며, 줄눈시공이 완료된 후 양생용 덮개를 재
설치하여야 한다.

10 - 22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16.3 피막양생
3.16.2 피막양생으로 수밀한 막을 만들기 위하여는 충분한 양의 살포가 필 (1) 피막양생으로 수밀한 막을 만들기 위하여는 품질사양서에 따라 살포를
요하며, 온도변화를 작게 하기 위하여 백색안료를 혼합할 필요도 있다. 실시하며, 온도변화를 작게 하기 위하여 백색안료를 혼합할 수도 있다.
3.16.3 피막양생제는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물기가 없어진 직 후 초기응 (2) 피막양생제는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에 물기가 없어진 직후 초기응결이
결이 시작되기 전에 종‧횡방향으로 2회 이상 나누어 얼룩이 없도록 충 시작되기 전에 종방향으로 얼룩이 없도록 양을 1회 이상 살포하여야 [수정] 현실적으로 종·횡방향으로 나누어 살포하기 어려움으로 종방향으로 살
분히 살포하여야 하며, 포장면의 양측면까지 양생제를 살포하여야 한 하며, 포장면의 양측면까지 양생제를 살포하여야 한다. 포하는 것으로 수정하며, 2회 이상 나누어 양생제를 살포하는 것보다
다. (3) 피막양생제의 사용량은 품질사양서에 따라 실시하며, 콘크리트 슬래브 충분한 양을 1회 이상 살포하는 것으로 수정
3.16.4 피막양생제의 사용량은 품질사양서에 따라 실시하며, 콘크리트 슬 표면에 블리딩으로 인한 물기가 없어진 직후에 살포하여야 한다. 일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충분한” 삭제
래브 표면에 블리딩으로 인한 물기가 없어진 직후에 2회 이상 나누어 적인 경우, 양생제 총살포량은 0.4  /㎡ ~ 0.5  /㎡로 한다. [중심위] 용어 수정 : 총살포량인지 1회 살포량인지를 명확히 표현 필요
얼룩이 없도록 충분히 살포하여야 한다. 양생제 살포량은 0.4∼0.5ℓ/ (4) 줄눈 시공시에 양생 피막이 손상된 부분은 양생제를 재살포하여 손상 [신설] 줄눈시공시 주의사항 신설
㎡로 한다. 된 피막을 복구하여야 한다.

3.16.5 콘크리트를 칠 때 하루평균 기온이 4℃ 이하로 내려가는 것이 예상 [삭제] 3.7.1 시공일반 (5)의 내용이 반복 기재되어 있어 삭제
되면, 이 절 10-3-18의 한중 콘크리트 시공을 하여야 하며, 32℃ 이
상이 우려되면 서중콘크리트 시공을 하여야 한다.

3.16.6 우천 시에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즉시 비닐, 쉬이트, 방수지 3.16.4 비가 내릴 때에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즉시 비닐시트, 방수
등으로 덮어서 콘크리트의 손상을 막아야 한다. 지 등으로 덮어서 콘크리트의 손상을 막아야 한다.
3.16.7 습윤양생 기간은 시험에 의해서 정하여야 하며, 현장양생을 시킨 [삭제] 습윤양생기간 대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배합강도의 70% 에
공시체의 휨강도가 배합강도의 70%에 달할 때까지의 기간으로 한다. 달할 때 까지의 기간’ 을 명기한 3.16.7절은 삭제함
이 때 양생용 덮개로 사용하는 가마니, 마대 및 마포는 항상 습윤상태
로 유지하여야 한다.
3.16.8 습윤양생 기간은 일반적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했을 경 [삭제]) 시멘트 종류별 습윤양생기간을 제시한 3.16.8의 조항은 신설된
우 14일간,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했을 경우 7일간, 중용열 포틀 3.16.2-(3)조항으로 대처하며, 필요시 적정 양생기간에 대해서
랜드 시멘트를 사용했을 경우 21일간을 표준으로 한다. 는 향후 연구과제로 수행할 필요가 있음

3.17 포장면 보호 및 교통개방 3.17 포장면 보호 및 교통개방


3.17.1 계약상대자는 포장 슬래브의 양생기간 중 차량 및 인마의 진입에 의 3.17.1 계약상대자는 포장 슬래브의 양생기간 중 차량 등의 진입에 의한 피해
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생 중 표지, 주민방책 등을 설치하고, 감 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생 중 표지, 침입방지책 등을 설치하고, 감시인
시인을 상주시켜 포장 슬래브를 보호하여야 한다. 을 상주시켜 포장 슬래브를 보호하여야 한다.
3.17.2 교통개방은 강도시험 결과에 따라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시행하여 3.17.2 교통개방은 강도시험 결과에 따라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시행하여야 한
야 한다. 다.
3.17.3 줄눈주입재의 양생이 완료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교통을 개방하 3.17.3 주입줄눈재의 양생이 완료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교통을 개방하여야
여야 한다. 한다.

3.18 특수기상 조건 하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3.18 특수기상 조건 하에서의 콘크리트 치기

3.18.1 한중콘크리트
3.18.1 한중콘크리트
(1) 한중콘크리트에 사용할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표준으로 한다.
(1) 한중콘크리트에 사용할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표준으로 한다.
(2) 동결되거나 빙설이 혼입되어 있는 골재는 가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동결되거나 빙설이 혼입되어 있는 골재는 가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 시멘트의 급결 방지를 위하여 비비기 전 물과 골재의 온도는 40 ℃ 이

10 -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 시멘트를 혼합하기 전 물과 골재의 혼합물의 온도는 시멘트의 급결을 하로 하여야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문장 수정
우려하여 40℃ 이하로 하여야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해서는 안 된다.
(4) 콘크리트의 비비기, 운반 및 치기는 가열된 열량의 손실이 가급적 적 (4) 콘크리트의 비비기, 운반 및 타설은 가열된 열량의 손실이 가급적 적게
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되도록 하여야 한다.
(5) 치기 시 콘크리트의 온도는 5∼20℃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콘크리 (5)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5 ℃ ~ 20 ℃ 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수정] 한글로 순화
트의 온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경우 물과 골재를 가열하 콘크리트의 온도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경우 물과 골재를 [자문] 다른 부분의 규정과 같이 생각할 때, 콘크리트의 온도가 20~35℃ 범위
여 사용하여야 한다. 가열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는 어떻게 해야할지 명확한 표현이 없습니다.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6)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시멘트가 급결을 일으키지 않 (6)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시멘트가 급결을 일으키지 않 미반영 : 이 장은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기술내용으로 온도범위가 20~35℃
도록 하여야 한다. 도록 정하여야 한다. 이상인 경우에는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사료됨
(7) 마무리된 보조기층은 콘크리트 깔기 시까지 동결하지 않도록 보호하 (7) 마무리된 보조기층은 콘크리트를 포설할 때까지 동결되지 않도록 보호하 [수정]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여야 한다. 또한, 거푸집, 철근 등에 빙설이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이 여야 한다. 또한, 거푸집, 철근 등에 빙설이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이를
를 제거하여야 한다. 제거하여야 한다.
(8) 콘크리트 치기는 깔기부터 표면마무리까지 신속히 작업을 하여야 하 (8) 콘크리트 타설은 포설부터 표면마무리까지 신속히 작업을 하여야 하
며, 깔기작업에 불편이 없는 양생덮개를 즉시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열 며, 포설작업에 불편이 없는 양생덮개를 즉시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열
량손실이 적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량손실이 적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9) 한중에는 콘크리트가 동결되기 쉬우므로 응결, 경화의 초기에 동결이 (9) 한중에는 콘크리트가 동결되기 쉬우므로 응결, 경화의 초기에 동결이
되지 않도록 양생포, 비닐시이트 등 보호덮개를 사용하여야 한다. 되지 않도록 양생포, 비닐시트 등 보호덮개를 사용하여야 한다.
(10) 보호덮개만으로 부족할 경우에는 열풍기, 스팀 등을 사용하여야 하 (10)보호덮개만으로 부족할 경우에는 난로, 열풍기, 스팀 등을 사용하여야
며, 열풍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되지 않도록 주의 하며, 히팅(heating)을 종료할 때에는 단계적으로 온도를 낮추어야 한 [수정] 문장 삭제, 한글로 순화
하여야 하며, 히팅을 종료 시에는 단계적으로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다.
(11) 동해를 받은 콘크리트는 가장 가까이 있는 수축줄눈 또는 팽창줄눈 (11)동해를 받은 콘크리트는 가장 가까이 있는 수축줄눈 또는 팽창줄눈
까지 콘크리트 전체를 제거한 후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까지 콘크리트 전체를 제거한 후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시공하여야
한다. 한다.

3.18.2 서중 콘크리트 3.18.2 서중콘크리트


(1) 서중 콘크리트에 사용할 시멘트는 고온의 것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직 (1) 서중콘크리트에 사용할 시멘트는 고온상태인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되
사광선에 직접 노출된 골재를 사용해서도 안 된다. 또한 비비기에 사 며,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된 골재를 사용하여서도 안 된다. 또한 비비기
용하는 물은 저온의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에 사용하는 물은 저온의 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에는 시트나 기타 적정한 방법으로 덮어서 건조 (2)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온도는 35 ℃를 넘어서는 안 된다.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치기 시 콘크리트 온도는 35℃ 이하로 하여 (3) 콘크리트를 운반할 때에는 시트나 기타 적정한 방법으로 덮어서 건조 [수정] 용어 변경 : 차양시설 ⇒ 차광시설
야 한다.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향후연구필요]
(3) 깔기기계가 직사광선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독자 (4) 포설기계가 직사광선에 의하여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독자는 1.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09’에서는 ‘프로파일 인덱스(Profile
는 적절한 차양시설의 설치를 지시할 수 있다. 적절한 차광시설의 설치를 지시할 수 있다. Index)는 7.6 m 프로파일미터를 사용할 경우 본선 토공부는 80
(4) 혼합된 콘트리트는 1시간 이내에 빨리 쳐야한다. 콘크리트의 치기가 (5) 혼합된 콘크리트는 1시간 이내에 빨리 타설하여야 한다. 콘크리트의 mm/km 이하이어야 하며 IRI는 1.6 m/km 이하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
끝났을 때나 시공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콘크리트의 표면이 건조하지 타설이 끝났을 때나 시공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콘크리트의 표면이 건 고, 현장여건상 대형 조합장비의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교량접속부를
않도록 보호하고,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조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습윤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포함한 교량 구간, IC 및 JC 램프)는 PrI≤160 mm/km, IRI≤2.0
m/km 이하로 한다. 단, 확장공사에서 단순 편측확장 공사의 경우에는
PrI≤160 mm/km 만을 적용하고 있다’라고 제시되어 있음
3.19 품질관리 및 검사 3.19 품질관리 및 검사 (1) 현재 일반국도의 PrI는 지나치게 낮게 관리되어 높아진 시공수준에 익숙
3.19.1 평탄성 측정 3.19.1평탄성 측정 한 사용자의 수준을 만족하기 힘듦 (국내 고속국도 PrI의 평균값이 47.9
(1) 계약상대자는 다짐 및 마무리를 마친 후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하면 (1) 계약상대자는 다짐 및 마무리를 마친 후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하면 ㎜/㎞로 조사됨)
포장 표면의 평탄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포장표면의 평탄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2)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건설품질관리 측면에서도 사용자 중심의 IRI기준
(2) 평탄성의 측정은 7.6m 프로파일미터를 사용하여야 하며, 부득이 3m (2) 평탄성의 측정은 7.6 m 프로파일미터를 사용하여 기준을 만족하여야 을 병행해서 적용할 필요가 있음
직선자나 기타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며, 부득이하게 기타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3) 향후 신설구간의 PrI 및 IRI 조사를 통해 타당한 근거자료를 마련 후 새

10 - 24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야 한다. 로운 기준 제시가 반드시 필요함
(3) 요철이 5㎜ 이상 차이가 나서는 안되며, 5㎜를 넘는 높은 부위는 승인 (3) 요철이 5 mm 이상 차이가 나서는 안 되며, 5 mm를 넘는 높은 부위는
된 기계로 갈아내어야 한다. 또 임의의 점과 계획고의 차는 ±30 ㎜ 이 승인된 기계로 갈아내어야 한다. 또한, 임의의 점에서의 계획고와의 차 [수정] 문구 수정
하이어야 한다. 는 ±30 mm 이하이어야 한다.
(4) 프로파일 인덱스(profile index)는 7.6m 프로파일미터를 사용할 경우 (4) 프로파일 인덱스(profile index)는 7.6 m 프로파일미터를 사용할 경 [수정] 단위표기 수정
본선 토공부 및 편도 4차로 이상의 터널은 160 ㎜/㎞ 이하이어야 한다. 우, 본선 토공부 및 편도 4차로 이상의 터널은 160 mm/km 이하이어
다만, 현장여건상 대형 조합장비의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와 종단경사 야 한다. 다만, 현장여건상 대형 조합장비의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와
5% 이상 및 평면곡선반경 600m 이하구간은 240 ㎜/㎞ 이하로 한다. 종단경사 5 % 이상 및 평면곡선반지름 600 m 이하 구간은 240 [수정] 용어 수정
mm/km 이하로 한다.
(5) ⑶ 및 ⑷의 평탄성 기준에 어긋나는 부분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를 (5) (3) 및 (4)의 평탄성 기준에 어긋나는 부분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지시
받아 재시공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 재시공 또는 수정을 하는 경우에 를 받아 재시공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 재시공 또는 수정을 하는 경우
는 이 부분에 대하여 평탄성 측정을 실시한 후 그 시험결과는 감독자 에는 이 부분에 대하여 평탄성 측정을 실시한 후 그 시험결과는 감독자에
에게 제출하여 재확인을 받아야 한다. 이 때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은 게 제출하여 재확인을 받아야 한다. 이때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은 계약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상대자 부담으로 한다.

3.19.2 포장슬래브의 두께 측정 3.19.2 포장슬래브의 두께 측정


포장슬래브의 두께는 타설 후 측면에서 300m 마다 측정하여야 한다. 포장슬래브의 두께는 타설 후 측면에서 100 m 마다 측정하여야 한다. [수정] 품질관리 강화 측면에서 100 m 간격으로 측정이 타당함
측정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보다 5% 이상 얇을 경우에는 재시공하여 측정한 평균두께가 설계두께보다 5 % 이상 얇을 경우에는 재시공하여 품질관리 강화 측면에서 도로공사전문시방서
[자문] 100 m 간격 근거 제시 :
야 하며, 이에 대한 범위의 결정은 검측자(감독자 또는 감리자)가 결정 야 하며, 재시공 범위의 결정은 감독자가 하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 의 100m 적용근거를 준용하여 사용함
하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라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수렴

3.19.3 품질시험 3.19.3 품질시험


(1) 골재 및 콘크리트의 품질시험은 골재의 재료관리 및 콘크리트의 배합, (1) 골재 및 콘크리트의 품질시험은 골재의 재료관리 및 콘크리트의 배합,
비비기, 다짐, 마무리 등의 적정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한다. 비비기, 다짐, 마무리 등의 적정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한
다.
(2) 시료의 채취 및 시험은 모두 계약상대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는 감독자에 (2) 시료의 채취 및 시험은 모두 계약상대자가 실시하고, 그 결과는 감독
게 서면으로 제출하여 확인을 받아야 한다. 자에게 서면으로 제출하여 확인을 받아야 한다. 휨강도, 슬럼프, 공기 [수정] ‘표 10-1-2-3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에 제시되어 있
량에 대한 시료의 채취 및 제작은 포설현장에서 하여야 한다. 는 휨강도/슬럼프/공기량에 대한 품질시험용 시료의 제작은 포설
(3) 콘크리트 강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일반적인 경우 공시 (3) 콘크리트 강도시험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는 일반적인 경우 공시 현장에서 수행하는 것을 명확히 표시
체의 재령 28일에서의 강도시험을 실시한다. 이 때의 공시체는 수중양생 체의 재령 28일에서의 강도시험을 실시한다. 이때의 공시체는 수중 양
한 것으로 시험하여야 한다. 생한 것으로 시험하여야 한다.
(4) 휨강도 시험에 쓰이는 공시체는 일반적인 경우 동일 배치에서 샘플링하 (4) 휨강도시험에 쓰이는 공시체는 일반적인 경우 동일 배치에서 샘플링하여
여 3개 이상의 공시체를 제작하며, 휨강도 시험 결과의 평균치를 대표값 3개 이상의 공시체를 제작하며, 휨강도 시험 결과의 평균치를 대표값으
으로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의 시료채취 방법(KS F 2401), 공시체 제 로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의 시료채취 방법(KS F 2401), 공시체 제작
작 방법(KS F 2403) 및 휨강도 시험 방법(KS F 2408)을 따른다. 방법(KS F 2403) 및 휨강도 시험 방법(KS F 2408)을 따른다.
(5) 품질시험의 횟수는 150 ㎥ 시공량에 대하여 1회 시행하여야 한다. 배 [수정] ‘표 10-1-2-3 포장용 시멘트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합이 변경되었거나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추가로 품질시험 슬럼프/공기량에 대한 품질시험용 시료의 품질시험의 빈도를 150 ㎥,
을 시행할 수 있으며, 1일 150 ㎥ 이하의 시공량에 대해서도 1회 시험 휨강도 시료의 경우 1일 1회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을 수행한다. 단, 휨강도 시편에 대해서는 1일 1회 시험을 수행한다. (1) 건설공사품질관리지침(국토교통부, 2013.)-나. 철근콘크리트 공사
필요한 경우, 공시체의 제작횟수, 제작갯수, 재령 및 양생방법을 변경하 그러나 필요에 따라 공시체의 제작횟수, 제작개수, 재령 및 양생방법 의 품질관리규정을 준용해서 적용함
여 적용할 수 있다. 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10 -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0-2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10-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유지보수

10-2-1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10-2-1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Bonded Concrete
Overlay)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기존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을 콘크리트로 덧씌우기 하는 이 시방은 기존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을 콘크리트로 덧씌우기(Bonded
공사에 적용한다. Concrete Overlay)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도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대책’의 일
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
포장 전문감리원 양성과정’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다.

1.2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이 시방서 10-1-2절 1.3에 따른다. [수정] 참조표준을 본 시방서 10-1-2절 1.3을 따른다. 로 수정

1.3 제출물 1.4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4.2 현장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시방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2.1 재료일반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이 시방서 10-1절 2에 준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이 시방서 10-1-2절 2장
한다. 다만, 조기 교통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조
에 준한다. 다만, 조기교통개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
기 강도를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재료와 내구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재료
어 조기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재료와 내구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를 사용할 수 있다.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2.2 골재의 입도
2.2 골재의 입도
잔 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5-3-1절 2.1.1에 따른다. 굵은 골재의 입도

10 - 26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는 덧씌우기 단면 두께의 1/3을 넘지 않는 굵은 골재의 최대골재치수를 기 잔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10-1-2절 표 10-1-3에 따른다. 굵은 골재의
준으로 다음 표 10-5에 따른다. 입도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덧씌우기 단면두께의 1/3을 넘지 않도록 표 [수정] 문구 수정
10-1-4에 따른다.
표 10-5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용 굵은 골재의 입도의 표준

구 분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의 중량백분율(%)
체의
호칭 1.2
5 2.5
치수(㎜) 40 25 20 13 10 (No.10
(No.4) (No.8)
입도 )
범위(㎜)


25 5 100

95 10

25 60 ∼
0 10 ∼
0 5
0
90∼10
20∼5 100 20∼55 0∼10 0∼5
0
90∼10
15∼5 100 40∼70 0∼15 0∼5
0
85∼10
10∼2.5 100 10∼30 0∼10 0∼5
0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이 시방서 10-1절 2.3에 따른다. 이 시방서 10-1-2절 2.3에 따른다.

2.4 재료의 저장 2.4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10-1절 2.4에 따른다. 이 시방서 10-1-2절 2.4에 따른다.

2.5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선정 품질기준


[신설] ‘도로공사표준시방서’에는 없는 내용이나 대표적인 유지보수 공법 인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하는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는 표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선정 품질기준에 대해 ‘고속도
10-2-1의 기준에 따른다. 계약대상자는 표 10-2-1에 규정된 항목 이외
로공사전문시방서’의 2012년 개정기준을 일부 준용하여 신설
에 초결시간과 KS에 규정되지 않은 주요 구성 성분의 비중 및 인체유해성
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표 10-2-1>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하는 부분단면보수 재료선정


품질기준

10 -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구 분 항 목 시험기준 기 준 비 고

압축강도 KS F 2405
21 MPa
(개방시간기준)
이상
3개/1조, ×
φ10 20 cm

구조 특성
(structural 휨강도 KS F 2408
3.15 MPa
(개방시간기준)
이상
××
3개/1조, 10 10 40 cm
characteristics)
1.4 MPa 이상
부착강도1) KS F 2762 3개/1조
(개방시간기준)

1,000
염소이온 C(coulombs,쿨롱)
KS F 2711 2개/조
침투저항성 이하
(재령 56일)
내구 특성
A법, 2개/1조,
(durability) 동결융해저항성2) KS F 2456 80% 이상
300사이클 기준
SS 13 72 44 A법 적정(acceptable) 56사이클, 2개/1조
표면박리저항성3)
ASTM C 672 1 등급이상 50사이클, 2개/1조

1)
주 부착강도실험은 신콘크리트와 구콘크리트 계면의 부착강도를 측정하는 것임
- 시험편의 떨어진 위치가 계면이 아니고 구콘크리트 면이면, 부착강도가 1.4MPa 미만을 나타내더라도, 강도값으로
채택할 수 없음(기준만족여부를 확인할 수 없음)
- 시험편의 떨어진 위치가 계면이 아니고 구콘크리트 면이지만, 부착강도가 1.4MPa 이상을 나타내었다고 한다면,
계면부는 그 이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강도값으로 채택할 수 있음
2)
동결융해저항성실험 결과 제출 시, 시험전 ․ 후 시험체 사진을 첨부해야 함
3)
표면박리저항성실험은 SS 13 72 44 A법과 ASTM C 672 둘 중에 하나의 방법을
택하여 평가하며, 시험전 ․ 후 시험체 사진과 박리량 결과를 첨부해야 함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장비
3.1.1 노후 콘크리트의 표면 절삭장비
3.1 시공장비 (1) 상온절삭기(cold milling equipment)
3.1.1 노후 콘크리트의 표면 절삭장비 상온절삭기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지정된 깊이까지 절삭할 수 있는 장
(1) 상온절삭기(cold milling equipment) 비이어야 하며, 장비의 가동으로 생기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수집 ·
상온절삭기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지정된 깊이까지 절삭할 수 있는 장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작업의 능률 및 환경차원에서 효율적인 장비
비이어야 하며, 장비의 가동으로 생기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수집 이어야 한다.
하거나 처분할 수 있어야 하며, 작업의 능률 및 환경차원에서 효율적 (2) 숏블라스팅(shot blasting) 장비
인 장비이어야 한다. 숏블라스팅 장비는 상온절삭기로 적합한 표면처리가 곤란한 경우 포장 [수정] 문구 수정 : “∼수집하거나 처분할 수 있어야 하며”
(2) 숏블라스팅(shot blasting)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장비이어야 한다.
숏블라스팅 장비는 상온절삭기로 충분한 표면처리가 곤란한 경우 포장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장비이어야 한다. 3.1.2 2차 청소장비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2차 청소장비는 상온절삭기를 사용한 경우에 필요한 장비로서, 상온절
3.1.2 2차 청소장비 삭으로 절삭된 콘크리트를 깨끗이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2차 청소장비는 상온절삭기를 사용한 경우에 필요한 장비로서 상온 절 (1)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장비
삭으로 느슨해진 콘크리트를 깨끗이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샌드블라스팅 장비는 표층 제거작업 후 절삭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1)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장비 모든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먼지가 심하게 날리지 않아야 한 [자문] 자구 수정
샌드블라스팅 장비는 표층 제거작업 후 느슨해진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다.
모든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먼지가 심하게 날리지 않도 (2) 연마제가 수반된 고압수 장비 [자문] 자구 수정
록 하여야 한다. 고압수 장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래 또는 연마제가 포함된 고압수를 [수정] 문구 수정

10 - 28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연마제가 수반된 고압수 장비 발사할 수 있는 장비이어야 하며, 표면에 오염된 모든 미세물질을 제
고압수 장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모래 또는 연마제가 포함된 고압수를 거할 수 있어야 한다.
발사할 수 있는 장비이어야 하며, 표면에 오염된 모든 미세물질을 제 (3) 고압 워터 블라스팅(water blasting) 장비
거할 수 있어야 한다. 고압 워터 블라스팅 장비는 42 MPa 이상의 압력을 생성하여야 하며,
(3) 고압 워터 블라스팅(water blasting) 장비 표층 표면으로부터 기름, 페인트 등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고압 워터 블라스팅 장비는 41㎫(420㎏f/㎠) 이상의 압력을 생성하여 한다.
야 하며, 표층 표면으로부터 기름, 페인트 등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정] 41MPa ⇒ 42MPa (환산에 따른 단위 문제)
수 있어야 한다. 3.1.3 최종 청소장비
덧씌우기 포설 전에 먼지를 비롯한 기타 미세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3.1.3 최종 청소장비 필요한 성능을 갖춘 장비를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덧씌우기 포설 전에 먼지를 비롯한 기타 미세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성능이 충분한 장비를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1.4 콘크리트 장비
콘크리트의 절단, 배합, 포설, 진동, 표면마무리에 쓰이는 장비는 이 시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3.1.4 시공장비 방서 10-1-2절 3.1에 따른다.
콘크리트의 절단, 배합, 깔기, 다짐, 표면마무리에 쓰이는 장비는 이
시방서 10-1절 3.1에 따른다. 3.1.5 그라우트 혼합장비
기존 포장면과의 접착을 양호하게 처리하기 위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혼
3.1.5 그라우트 혼합장비 합장비이어야 한다.
기존 포장면과의 접착을 양호하게 처리하기 위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혼합장비이어야 한다. 3.2 시공 전 기존 포장 보수

3.2 시공 전 기존포장 보수 3.2.1 시공일반


기존 포장의 보수는 덧씌우기 시공 후 예상되는 포장의 추가적인 파손
3.2.1 시공일반 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 포장의 파손된 부분을 미리 보수하여야 한
기존 포장의 보수는 덧씌우기 시공 후 예상되는 콘크리트 포장의 추가 다.
적인 파손의 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 포장의 파손된 부분을 미리
보수하여야 한다. 3.2.2 줄눈부 파손
기존 포장체 표면에 심한 스폴링 또는 D형 균열이 있는 경우에는 손상
3.2.2 줄눈부 파손(joint deterioration) 된 재료들을 제거하여야 하며, 제거한 부분을 콘크리트로 채워 넣는다.
기존 포장체 표면에 심한 스폴링 또는 D형 균열이 있는 경우에는 손상 만일 포장의 파손이 슬래브 전체에 퍼져 있다고 판단되면, 감독자가 승 [수정] 불필요한 영문 표기 삭제
된 재료들을 제거하여야 하며, 제거한 부분을 콘크리트로 채워 넣는다. 인한 재료로 전단면 보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만일 제거과정에서 포장의 파손이 슬래브 전체에 퍼져 있다고 판단되
면, 감독자가 승인한 재료로 전단면 보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3.2.3 파손된 슬래브
파손된 슬래브는 구조적 안정성을 판단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보
3.2.3 파손된 슬래브(broken slab) 수하여야 한다.
파손된 슬래브는 구조적 안정성을 판단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보 [수정] 불필요한 영문 표기 삭제
수하여야 한다. 3.2.4 불안정한 슬래브(unstable slab)
슬래브층 이하 기층의 파손, 침하, 공동으로 인하여 변형이나 파손의
3.2.4 불안정한 슬래브(unstable slab) 발전이 예상이 될 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보수하여야 한다.
슬래브층 이하 기층의 파손, 침하, 공동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전 또는 [수정] 영문 표기 유지 : 내용상 슬래브 자체가 아닌 슬래브 하부층의 문제로
예상이 될 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보수하여야 한다. 3.2.5 기타 보수 인한 슬래브의 불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영문표기
기타의 포장보수는 덧씌우기 전에 적합한 조사를 실시하여 보수공법, 유지
3.2.5 기타 보수 보수면적, 보수재료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보수하여야
기타의 포장보수는 덧씌우기 전에 충분한 조사를 실시하여 보수공법, 한다.
보수면적, 보수재료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보수하여야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10 -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한다.
3.3 기존 포장의 표면처리

3.3 기존 포장의 표면처리(surface preparation) 3.3.1 시공일반


덧씌우기를 위한 기존 포장의 표면처리는 덧씌우기 할 모든 표면을 대 [수정] 불필요한 영문 표기 삭제
3.3.1 시공일반 상으로 하며, 표면처리 작업에서 제거되는 모든 재료는 재활용분을 제외
표면처리는 덧씌우기 할 모든 표면을 대상으로 하며, 표면처리 작업에 하고 폐기물 관리법에 의거 처리하여야 한다.
서 제거되는 모든 재료는 재활용분을 제외하고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처리하여야 한다. 3.3.2 포장 위에 남아있는 아스팔트 재료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면과 덧씌우기 할 층의 부착에 지장이 있는
3.3.2 포장 위에 남아있는 아스팔트 재료 재료(아스팔트계, 수지계, 기타)로 보수된 부분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면의 슬래브와 일체에 지장이 있는 재료(아 아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스팔트계, 수지계, 기타)로 보수된 부분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3.3.3 절삭깊이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은 절삭장비를 이용하여 제거하여야
3.3.3 절삭깊이 한다. 절삭기나 파쇄기에 의한 절삭은 6 mm ~ 7 mm 또는 설계도서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은 절삭장비를 이용하여 제거하여야 에 명기된 깊이까지 제거하며, 숏블라스팅의 경우 약 3 mm 또는 설계
한다. 상온절삭이나 파쇄기에 의한 절삭은 6∼7㎜ 또는 설계도서에 명 도서에 명기된 깊이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기존 시멘트 콘크
시된 깊이까지 제거하며, 숏블라스팅의 경우 약 3㎜ 또는 설계도서에 리트 포장체 표면의 레이턴스를 비롯한 느슨한 콘크리트, 기름, 먼지,
명시된 깊이까지 제거하여야 한다. 이 때에는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그리고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포장체 표면의 레이턴스(laitence)를 비롯한 느슨한 콘크리트, 기름,
먼지, 그리고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3.3.4 철근의 처리
[수정] 일상적인 용어이므로 영문 표기 삭제
표면에 노출된 철근은 절단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3.3.4 철근의 처리
표면에 노출된 철근은 절단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3.3.5 슬래브의 모서리
슬래브의 모서리는 접착이 확실히 되도록 샌드블라스팅 등으로 청소를 철
3.3.5 슬래브의 모서리 저히 하여야 한다.
슬래브의 모서리는 샌드블라스팅 등으로 잘 청소되어야 한다. 특히 인
접차로가 독립적으로 포장된 모서리부분은 접착이 확실히 되도록 청소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 위해 문구 위치 변경
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3.4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의 포설과 마무리

3.4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의 깔기와 마무리 3.4.1 일반사항


(1) 계약상대자는 덧씌우기 포장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 전에
3.4.1 일반사항 장비, 공정, 인원 및 자재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1) 계약상대자는 덧씌우기 포장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 전에 (2) 콘크리트의 생산과 포설은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장비, 공정, 인원 및 자재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3) 단면의 평탄성이 불량하거나 평균두께가 설계두께보다 5 % 이상 부족
(2) 콘크리트의 생산과 깔기는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할 경우에는 그 범위와 처리방법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재시공하여야
(3) 단면의 평탄성이 불량하거나 평균두께가 설계두께보다 5% 이상 부족 한다.
할 경우에는 그 범위와 처리방법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재시공하여야 3.4.2 기존 포장면의 청소
한다. (1) 덧씌우기 콘크리트를 포설 전 덧씌우기 할 모든 표면 및 모서리는 에
어블로우(airblow) 또는, 기타 승인된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하여야 한
3.4.2 기존 포장면의 청소 다.
(1) 덧씌우기 콘크리트를 깔기 전 덧씌우기 할 모든 표면 및 모서리는 에 (2) 숏블라스팅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가 된 표면은 에어블로우 공정
어블로우(airblow) 또는 기타 승인된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하여야 한 (airblowing)이 필요 없으나, 상당기간 작업을 중지하여 오염된 경우
다.

10 - 30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숏블라스팅 장비를 이용하여 청소가 된 표면은 에어블로우 공정이 필 에는 청소를 하여야 한다.
요없으나, 상당기간 작업을 중지하여 오염된 경우에는 청소를 하여야 (3) 청소작업 후 덧씌우기 시공에 필요한 차량을 제외한 다른 모든 차량은
한다. 청소된 표면을 통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청소작업 후 덧씌우기 시공에 필요한 차량을 제외한 다른 모든 차량 (4) 기존 포장이 젖은 상태에서는 콘크리트를 포설하지 않아야 한다.
은 청소된 표면을 통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절삭된 기존 포장면은 콘크리트 또는, 접착용 그라우트가 약간 흡수될
(4) 기존 포장이 젖은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깔기를 하지 않는다. 수 있을 정도로 건조하여야 한다.
(5) 절삭된 기존 포장면은 콘크리트 또는 접착용 그라우트가 약간 흡수될
수 있을 정도로 건조하여야 한다. 3.4.3 줄눈 표시(joint identification)
기존 포장체에 있는 모든 줄눈은 덧씌우기 후에도 정확한 위치를 알
3.4.3 줄눈 표시(joint identification) 수 있도록 포장 양측에 적절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전단면 보수를 한
기존 포장체에 있는 모든 줄눈은 덧씌우기 후에도 정확한 위치를 알 경우에도 줄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수 있도록 포장 양측에 적절한 방법으로 표시한다. 전단면 보수를 한
경우에도 줄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4.4 접착력 확보
기존 포장체와 덧씌우기 포장체 사이의 접착력 확보를 위하여 시공
3.4.4 접착력 확보 방법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시험에 의하
기존 포장체와 덧씌우기 포장체 사이의 접착력 확보를 위하여 시공은 여 접착제의 사용없이 최소 1.4 MPa의 접착강도가 얻어지면 접착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시험에 의해 접착제의 용 그라우트는 생략할 수 있다. 그라우트가 생략될 경우 계약상대
사용없이 최소 1㎫(10.2㎏f/㎠)의 접착강도가 얻어지면 접착용 그라우 자는 덧씌우기 전 표면의 청소 및 건조상태를 유지하는데 특별한
트는 생략할 수 있다. 그라우트가 생략될 경우 계약상대자는 덧씌우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에서 제시된 최소 접착강도인 1.4 MPa 을 준
전 표면의 청소 및 건조상태를 유지하는데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 용하여 수정하였음.
다. 3.4.5 접착용 그라우트
접착용 그라우트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며, 물-결
3.4.5 접착용 그라우트 합재 비가 62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접착용 그라우트는 혼합
접착용 그라우트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며, 물‧시멘트 과 동시에 계속 교반하여야 하며, 시멘트와 물이 섞인 후 90분 이
비가 6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접착용 그라우트는 혼합과 동시에 내에 살포하여야 한다.
계속 교반되어야 하며, 시멘트와 물이 섞인 후 90분 이내에 살포하여
야 한다. 3.4.6 그라우트 살포
(1) 그라우트 살포는 덧씌우기 바로 전에 실시하며 건조한 표면에 얇게 살
3.4.6 그라우트 살포(grout application) 포되어야 한다.
(1) 그라우트 살포는 덧씌우기 바로 전에 실시하며 건조한 표면에 얇게 (2) 살포방법은 빗자루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압력 스프레이를 이용하는
살포되어야 한다. 방법이 있으며, 압력스프레이를 이용하는 경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 [수정] 불필요한 영문 표기 삭제
(2) 살포방법은 빗자루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압력 스프레이를 이용하는 아야 한다.
방법이 있으며, 압력스프레이를 이용하려면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3) 살포방법에 상관없이 모든 표면은 철저한 검사를 받아야 하며, 특히
한다. 그라우트가 부분적으로 몰려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살포방법에 상관없이 모든 표면은 철저한 검사를 받아야 하며, 특히 (4) 덧씌우기 전에 그라우트가 건조되면 안 되므로 신속히 살포하여야 하 [수정] 문어체로 변경, 자구 수정
과도한 그라우트가 부분적으로 몰려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고, 포설이 지연되어 살포된 그라우트가 건조 징후가 보일 경우 감독
(4) 덧씌우기 전에 그라우트가 건조되면 안 되므로 신속히 살포하여야 하 자의 승인을 받아 그 위에 다시 그라우트를 살포하여야 한다. [수정] 불필요한 형용사(과도한) 삭제
고, 포설이 지연되어 살포된 그라우트가 건조 징후가 보일 경우 감독 (5) 그라우트가 완전히 건조된 지역은 건조된 그라우트를 걷어내고 새로운
자의 승인을 받아 그 위에 다시 그라우트를 살포하여야 한다. 그라우트를 다시 살포하여야 한다.
(5) 그라우트가 완전히 건조된 지역은 건조된 그라우트를 걷어내고 새로 (6) 그라우트 제거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샌드블라스팅 또는 적절한 방
운 그라우트를 다시 살포하여야 한다. 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6) 그라우트 제거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샌드블라스팅 또는 적절한 방
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3.4.7 포 설
콘크리트 포설은 지정된 폭 전체에서 설계도서에 명기된 두께가 나올

10 -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4.7 깔 기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포설은 확장 포장한 지역 또는 부분단면 보수
콘크리트 깔기는 지정된 폭 전체에서 설계도서에 명시된 두께가 나올 에서 처진 부분의 메움도 포함할 수 있다.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깔기는 확폭한 지역 또는 부분단면 보수에서 [수정] ‘깔기’ ⇒ ‘포설’, ‘확폭한’ ⇒ ‘확장 포장한’로 수정
쳐진 부분의 메움도 포함할 수 있다. 3.4.8 양 생
이 시방서 10-1-2절 3.16.2 를 따른다.
3.4.8 양 생
타이닝이 끝난 직후 양생제 살포를 실시하여야 한다. 살포량은 0.4ℓ/
㎡를 기준으로 하며, 인접차로에 양생제가 묻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한
다. 3.5 줄눈 처리 [수정] 본 시방서 10-1-2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3.16.2 습윤양생법을 따
3.5.1 시공일반 른다로 수정
3.5 줄눈처리 모든 줄눈은 설계도서에 따라 콘크리트 절단기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3.5.1 시공일반 손상을 입지 않는 시기에 절단하여야 하며, 절단부위의 청소 후 프라
모든 줄눈은 설계도서에 따라 콘크리트 절단기에 의해 콘크리트가 손 이머를 바른 다음 주입줄눈재로 채움을 하여야 한다.
상을 입지 않는 시기에 절단하여야 하며, 절단부위의 청소를 실시 후
프라이머를 바른 다음 주입줄눈재로 채움을 하여야 한다. 3.5.2 횡방향 줄눈
횡방향 줄눈은 기존 포장의 줄눈부, 덧씌우기 포장 전 전단면 보수부
3.5.2 횡방향 줄눈 위의 줄눈부 그리고 기존의 유지보수 활동에 의하여 생성된 줄눈 위치
횡방향 줄눈은 기존 포장의 줄눈부, 덧씌우기 포장 전 전단면 보수부 에 덧씌우기 포장체를 직접 절단하여야 한다. 모든 횡방향 줄눈은 줄
위의 줄눈부 그리고 기존의 유지보수 활동에 의해 생성된 줄눈 위치에 눈을 절단할 때 스폴링이 발생하지 않는 한 가능하면 빨리 절단하여야
덧씌우기 포장체를 직접 절단하여야 한다. 모든 횡방향 줄눈은 줄눈절 한다. 절단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에 따라 다르므로 다음 기준에 따라
단 시 스폴링이 발생하지 않는 한 가능하면 빨리 절단하여야 한다. 절 야 하며, 절단폭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단폭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1) 덧씌우기 두께가 100 mm 이하인 경우 [수정] 한글로 순화
덧씌우기 두께가 100 mm 이하인 경우 줄눈의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
(1) 덧씌우기 두께가 100 ㎜ 이하인 경우 에 13 mm 정도를 더한 깊이로 절단하여야 한다.
덧씌우기 두께가 100 ㎜ 이하인 경우 줄눈의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에 (2) 덧씌우기 두께가 100 mm 이상인 경우
13 ㎜ 정도를 더한 깊이로 절단하여야 한다. 덧씌우기 두께가 100 mm 이상인 경우 줄눈의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
(2) 덧씌우기 두께가 100 ㎜ 이상인 경우 의 1/3 이상 깊이로 절단하여야 한다.
덧씌우기 두께가 100 ㎜ 이상인 경우 줄눈의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에
1/3 이상 깊이로 절단하여야 한다. 3.5.3 팽창줄눈 또는 수축줄눈
기존 포장체의 팽창줄눈과 가로수축줄눈은 덧씌우기 직후 또는 다른
3.5.3 팽창줄준 또는 수축줄눈 줄눈 절단 이전에 우선하여 절단하여야 한다. 줄눈 깊이는 덧씌우기
기존 포장체의 팽창줄눈과 가로수축줄눈은 덧씌우기 직후 또는 줄눈 두께이며, 콘크리트 절단기로 두 번에 걸쳐 절단하고, 두 줄눈 사이의
절단 이전에 우선하여 절단하여야 한다. 줄눈 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이 얇은 콘크리트(slice)를 제거한 후 주입줄눈재로 채움을 하여야 한다.
며, 콘크리트 절단기로 두 번 절단하여 두 줄눈 사이의 얇은 콘크리트
(slice)를 제거한 후 주입줄눈재로 채움을 하여야 한다. 3.5.4 세로줄눈
세로줄눈의 절단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의 1/2을 절단하며, 기존 포장 [수정] 명확한 의미 전달
3.5.4 세로줄눈 줄눈과 일치하도록 절단하여야 한다.
세로줄눈의 절단깊이는 덧씌우기 두께의 1/2을 절단하며, 기존 포장줄
눈과 일치하도록 절단하여야 한다. 3.6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품질시험

3.6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품질시험 3.6.1 슬럼프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에 따라야 하며, 슬럼프는 설계
3.6.1 슬럼프 슬럼프의 ±10mm 내로 유지한다. 또한 1일 3회 이상 측정하여 품질변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은 KS F 2402에 따라야 하며, 바이브레이터를 동성을 확인한다.

10 - 32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사용하는 경우에는 50 ㎜, 인력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75 ㎜ 이하이 3.6.2 연행공기량(entrained air)
어야 한다. 이 시방서 표 10-1-5에 따른다. 공기량실험은 1일 3회 이상 측정하여 [수정] 콘크리트 슬럼프는 시공장비에 따라 목표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3.6.2 연행공기량(entrained air) 품질변동성을 확인한다. 설계슬럼프의 오차범위만을 기재하는 것으로 수정하였음
이 시방서 표 10-2에 따른다. 3.6.3 포장면 보호 및 교통개방
이 시방서 10-1-2절 3.17에 따른다.
3.6.3 포장면 보호 및 교통개방
이 시방서 10-1절 3.17에 따른다. 3.6.4 두 께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두께는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3.6.4 두 께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두께는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3.6.5 압축강도
압축강도시료는 1일 1회 제작하며, 교통개방시간과 28일(또는 56일)
에 측정한다.

3.6.6 접착강도
신구 콘크리트 포장의 접착강도는 최소 1.4 MPa 이상이어야 한다. [신설] 압축강도에 대한 품질시험기준 신설
3.6.5 접착강도
신구 콘크리트포장의 접착강도는 최소 1㎫(10.2㎏f/㎠) 이상이어야 한 3.6.7 평탄성
다. 이 시방서 10-1-2절 3.19.1에 따른다.
3.6.6 평탄성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에서 제시된 최소 접착강도인 1.4 MPa 을 준
이 시방서 10-1절 3.19.1에 따른다. 용하여 수정하였음.

10-2-2 비접착식 시멘트콘크리트 덧씌우기(Unbonded Concrete


10-2-2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 Overlay)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비접착식 콘크
1.1 적용범위 리트 덧씌우기(UBCO : Unbonded Concrete Overlay)는 노후된 기존 콘크리
이 시방서는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비접 트 포장체 위에 분리층을 시공하고, 필요한 두께만큼 콘크리트로 덧씌우기를
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UBCO : unbonded concrete overlay)는 노후 하여 장기간의 공용성을 부여하는 포장보강공법이며, 무근콘크리트 포장이
된 기존 콘크리트 포장체 위에 분리층을 시공하고, 필요한 두께만큼 나 철근콘크리트 포장공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로 덧씌우기를 하여 장기간의 공용성을 부여하는 포장보강공 [수정] ‘Unbonded concrete overlay’ ⇒ ‘Unbonded Concrete Overlay’
법이며, 무근 콘크리트 포장이나 철근콘크리트 포장공사에 모두 적용
할 수 있다.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도
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정, 3.
포장 전문감리원 양성과정’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하여야 한
다.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대책’의 일
환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해
양부 간선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10 -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3 참조표준
이 시방서 10-1-2절 1.3 따른다.
1.2 참조규격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
AASHTO M-1488 1.4 제출물 [수정] 참조표준을 본 시방서 10-1-2절 1.3을 따른다로 수정
1.4.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
1.3 제 출 물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 1.4.2 시방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⑴ 시방배합 및 시험포장 계획서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 재료
이 시방서 10-1-2절에 따른다.
2.1 콘크리트 재료
이 시방서 10-1에 따른다. 2.2 아스팔트 재료
2.2.1 분리층 또는 팻칭에 이용되는 아스팔트 재료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2.2 아스팔트 재료 2.2.2 분리층의 시공에 이용되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배합설계 시방조건
2.2.1 분리층 또는 팻칭에 이용되는 아스팔트 재료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에 부합하여야 하며, 분리층의 최소두께에 따라 골재의 최대 입경을
2.2.2 분리층의 시공에 이용되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배합설계 시방조건 결정하여야 한다.
에 부합하여야 하며, 분리층의 최소두께에 따라 골재의 최대 치수를
결정하여야 한다.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이 시방서 10-1-2절 2.3에 따른다.
2.3 재료의 시험 및 승인
이 시방서 10-1절 2.3에 따른다. 2.4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10-1-2절 2.4에 따른다.
2.4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10-1절 2.4에 따른다. 2.5 비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선정 품질기준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하는 비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는 표
10-2-1의 기준에 따른다.

3. 시 공 [신설] ‘도로공사표준시방서’에는 없는 내용이나 대표적인 유지보수 공법인 비

3. 시 공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 재료선정 품질기준에 대해 ‘고속도
3.1 장 비
로공사전문시방서’의 2012년 개정기준을 준용하여 신설

3.1 장 비 3.1.1 콘크리트 배합장비


이 시방서 10-1-2절 3.1.2, 3.1.3에 따른다.
3.1.1 콘크리트 배합장비
이 시방서 10-1절에 따른다. 3.1.2 포설 및 표면 마무리 장비
이 시방서 10-1-2절 3.7, 3.8, 3.14에 따른다.
3.1.2 포설 및 표면 마무리 장비
이 시방서 10-1절 3.7, 10-1절 3.14에 따른다. 3.1.3 진동 장비
이 시방서 10-1-2절 3.7.3에 따른다.
3.1.3 진동 장비
이 시방서 10-1절 3.7.3에 따른다. 3.1.4 분리층 포설장비

10 - 34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분리층 포설 장비는 설계도서에 따르며, 지정된 양을 포설할 수 있는
3.1.4 분리층 포설장비 능력이 있어야 한다.
분리층 포설 장비는 설계도서에 따르며, 지정된 양을 포설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2 기존 포장 보수
이 시방서 10-2-1절에 따른다.
3.2 기존 포장 보수
이 시방서 10-2-1절 3.2에 따른다.
3.3 분리층(interlayer) 시공
[수정] ‘10-2-1절 3.2’ ⇒ ‘10-2-1절’로 인용범위 확장
3.3 분리층(interlayer) 3.3.1 시공일반
(1) 분리층은 기존 포장체의 파손이 덧씌우기 후의 포장에 영향을 미치지
3.3.1 시공일반 못하도록 기존 포장체 위에 시공하여야 하며, 분리층 시공 전에 기존
(1) 분리층은 기존 포장체의 파손이 덧씌우기 후의 포장에 영향을 미치지 포장면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못하도록 기존 포장체 위에 시공하여야 하며, 분리층의 시공 전에는 (2) 분리층의 재료 및 두께는 기존 포장층의 단차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기존 포장면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2) 분리층의 재료 및 두께는 기존 포장층의 단차를 고려하여 결정하되,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3.3.2 단차가 심한 포장
줄눈부와 균열부에서 단차가 6 mm 이상이고, 스폴링이 뚜렷하며, 슬
3.3.2 단차가 심한 포장 래브가 많이 파손되었다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리층은 최소 25 mm
줄눈부와 균열부에서 단차가 6㎜ 이상이고 스폴링이 뚜렷하며, 슬래브 이상 시공하여야 한다.
가 많이 파손되었다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리층은 최소 25㎜ 이상 시
공하여야 한다. 3.3.3 단차가 심하지 않은 포장
단차와 파손이 심하지 않으면, 분리층은 최소 13 mm 이상의 아스팔트
3.3.3 단차가 심하지 않은 포장 콘크리트 또는, 3 mm 두께의 슬러리 씰을 시공하여야 한다.
단차와 파손이 심하지 않으면, 분리층은 최소 13㎜ 이상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3㎜ 두께의 슬러리 씰을 시공하여야 한다. 3.3.4 단차가 없는 포장
줄눈부 및 균열부에 단차가 미세하거나 없는 경우는 3 mm 두께의 슬
3.3.4 단차가 없는 포장 러리 씰을 시공하여야 한다.
줄눈부 및 균열부에 단차가 미세하거나 없는 경우는 3㎜ 두께의 슬러
리 씰을 시공하여야 한다. 3.4 분리층의 특수표면처리

3.4 분리층의 특수표면처리 3.4.1 시공일반


(1) 포장체 표면의 온도가 40 ℃를 초과하면 석회슬러리 혼합물 또는 화이
3.4.1 시공일반 트 워쉬(white wash)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리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1) 포장체 표면의 온도가 40℃를 초과하면 석회슬러리 혼합물 또는 화이 야 한다.
트 워쉬(white wash)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리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2) 무근 혹은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 철근이나 다웰바가 설치되는 곳은
야 한다. 철근 또는 다웰바를 설치하기 하루 전에 도포하여야 한다. 다만, 덧씌우기
(2) 무근 혹은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서 철근이나 다우웰바가 설치되 콘크리트에 철근이 삽입되지 않는 포장인 경우에는 덧씌우기 포설 하루 전
는 곳은 철근 또는 다우웰바를 설치하기 하루 전에 도포하여야 한다. 에 화이트 워쉬를 도포하여야 한다. 만일, 비(雨)로 인하여 화이트 워쉬
다만, 덧씌우기 콘크리트에 철근이 삽입되지 않는 포장인 경우에는 덧 의 색깔이 변색되거나 공사차량에 의하여 화이트 워쉬가 없어지면 2차
씌우기 포설 하루 전에 화이트 워쉬를 도포하여야 한다. 만일 강우로 도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인해 화이트 워쉬의 색깔이 변색되거나, 공사차량에 의해 화이트 워쉬 (3) 2차 도포를 할 때 철근에 화이트 워쉬가 묻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
가 없어지면, 2차 도포를 실시하여야 한다. 다. [수정] 문구 조정
(3) 2차 도포시 유의할 사항은 철근에 화이트 워쉬가 묻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4.2 석회슬러리(lime slurry)

10 -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석회슬러리 혼합물은 수화된 석회(hydrated lime)와 물로 구성된다. [수정] 문구 수정
3.4.2 석회슬러리(lime slurry) 도포하는 석회슬러리의 양은 포장체 표면에 균일한 색상을 유지할 정
석회슬러리 혼합물은 수화된 석회(hydrated lime)와 물로 구성된다. 도로 하여야 하며, 양생된 콘크리트 색깔보다 어두워서는 안 된다.
도포하는 석회슬러리의 양은 포장체 표면에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여야 3.4.3 양생제
하며, 양생된 콘크리트 색깔보다 어두워서는 안 된다. 화이트 워쉬로 사용되는 양생제는 왁스제(wax-based)이어야 하며,
3.4.3 양생제 KS F 2540에 적합하여야 한다. 양생제 살포량은 제품 품질사양서에
화이트 워쉬로 사용되는 양생제는 왁스제(wax-based)이어야 하며, 서 제시한 사용량 범위내에서 살포한다.
KS F 2540 (AAHSTO M-1488)에 적합하여야 한다. 양생제는 0.21
ℓ/㎡를 살포를 하여야 한다. 3.5 비접착식 덧씌우기 포장의 포설과 마무리
[수정] 양생제 살포량은 대해 제품의 품질사양서를 참조
3.5 비접착식 덧씌우기 포장의 깔기와 마무리 3.5.1 기존 포장면의 표면처리
이 시방서 10-1-2절 3.3에 따른다.
3.5.1 기존 포장면의 표면처리
이 시방서 10-2-1절 3.3에 따른다. 3.5.2 양생
이 시방서 10-1-2절 3.16에 따른다.
3.5.2 양생
이 시방서 10-1절 3.16에 따른다. 3.6 줄 눈

3.6 줄 눈 3.6.1 시공일반


(1) 줄눈은 이 시방서 10-1-2절의 3.13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단, 비
3.6.1 시공일반 접착식 덧씌우기 포장에서는 가로줄눈이 기존 포장의 줄눈 위치와 일
(1) 줄눈은 이 시방서 10-1절 3.13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단, 비접착 치하는 것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식 덧씌우기 포장에서는 가로줄눈이 기존 포장의 줄눈 위치와 일치하 (2) 줄눈의 위치는 기존 포장의 줄눈위치 및 활동성 균열(working crack)로
는 것을 권장하지는 않는다. 부터 가능한 한 1 m 이상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2) 줄눈의 위치는 기존 포장의 줄눈위치 및 활동성 균열(working crack)
로부터 가능한 한 1m 이상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3.6.2 가로줄눈
이 시방서 10-1-2절의 3.13.2, 3.13.4에 따른다.
3.6.2 가로줄눈
이 시방서 10-1절 3.13.2∼3.13.4에 따른다. 3.6.3 세로줄눈
이 시방서 10-1-2절 3.13.5에 따른다.
3.6.3 세로줄눈
이 시방서 10-1절 3.13.5에 따른다. 3.7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품질시험
이 시방서 10-2-1절 3.6에 따른다.
3.7 비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의 품질시험
이 시방서 10-2-1절 3.6에 따른다.

10 - 36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10-3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 포장

1. 일반사항
[신설] 국토해양부 제정 ‘교면포장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을 준용해서 신설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포장 신설 및 덧씌우기 공사에 적용한


다.

1.2 공사관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도로사업의 포장공사에 참여하는 기술자는


‘도로포장기술교육-1. 도로포장 전문화 과정, 2. 포장 기능원 교육과
정, 3. 포장 전문감리원 양성과정’을 실무 범위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
하여야 한다. [신설] 국토교통부 장관방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연장 방안 수립대책’의 일환
으로 ‘도로포장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 간선
도로과-1337 제도화 요청 공문’에 근거하여 신설
1.3 참조표준

이 시방서 10-1-2절 1.3 및 국토교통부의 ‘교면포장 설계 및 시공 잠


정지침’을 참조한다.

2. 재 료

2.1 재료의 품질기준

이 시방서 10-1-2 절 2.1에 따른다. 실리카흄의 경우 KS F 2567에


적합한 것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라텍스는 표 10-3-1의 기준을 따른
다. [신설] 국토교통부 제정 ‘교면포장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을 준용해서 신설

표 10-3-1 콘크리트 혼입용 라텍스의 품질기준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고형분 함유량(%) KS M 6516 46 ∼ 53
pH KS M 6516 8.5 ∼ 12.0
응고량(%) KS M 6516 0.1 이하
50 이하
표면장력(dyn/cm) KS M 6516
(최초 승인값의 5) ±
200번체 잔류량(g/l) KS M 6516 0.5 이하
1,400 ∼ 2,500
평균 입자크기( Å ) KS A ISO 13320-1
(최초 승인값의 300) ±
동결 융해 안정성 KS M 6403 응고량 : 0.1 % 이하
부타디엔 함유량(%) FHWA-RD-78-35 30 ∼40

[수정] 평균입자크기는 KS A ISO 13320-1, 동결융해안정성은 KS M 6403

10 -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로 대체
2.2 골재의 입도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입도는 10-1-2절 표 10-1-3과 표 10-1-4


를 따른다.

2.3 재료의 승인 및 시험

이 시방서 10-1-2절 2.3에 따른다.

2.4 재료의 저장

이 시방서 10-1-2절 2.4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장비

3.1.1 시공일반
시공조건에 맞는 장비의 선정은 콘크리트 포장의 품질 및 작업효율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모든 장비의 기
종 · 기능 · 기계상태 · 배치계획 · 오염대책 등을 기재한 장비 사용계획
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공사현장에 반입하여 사
용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1.2 배치플랜트(batch plant)
이 시방서 10-1-2절 3.1.2에 따른다. [수정] 동격의 내용에 대해 가운데 점 사용
3.1.3 믹서
이 시방서 10-1-2절 3.1.3에 따른다.
3.1.4 이동식 믹서
(1) 이동식 믹서는 각 재료를 정량으로 혼합하여 생산과 포설이 연속적으
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2) 장비 자체적으로 혼합 · 배출이 가능하고, 콘크리트를 4.5 ㎥ 이상 생
산하기에 적합한 양의 재료를 실을 수 있어야 한다.
(3) 믹서에 투입되는 배합수와 혼화제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배합
수의 양을 나타내는 유량계 및 골재의 표면수 보정을 쉽게 할 수 있는
조절밸브 장치가 있어야 한다.
(4) 생산하기 전에 감독자 입회하에 검 · 교정을 하여야 하며, 재료의 계량 [수정] 원문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오차는 다음 표 10-3-2의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10 - 38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표 10-3-2 이동식 믹서의 계량오차

재료의 종류 측정단위 1회 계량분량의 한계허용오차(%)


시멘트, 물 질량 ±1
혼화재 질량 ±2
골재, 혼화제 질량 ±3
3.1.5 마무리 장비
(1) 자체 동력으로 전 · 후방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2) 배면에서의 콘크리트 표면 마무리가 고르게 펴지도록 스크리드
(screed) 전면을 위로 올릴 수 있어야 한다.
(3) 2개 이상의 회전 롤러와 오거(auger), 1,500 VPM ~ 5,000 VPM의
진동팬(vibrating pan)이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4) 마무리 장비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부터 마무리 장비의 통과에 의
해서 마무리될 때까지 1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5) 마무리 장비는 실제 시공되는 교면에 맞게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기준을 벗어난 장비는 적절한 수정을 하여야 하며, 감독자에 의
하여 승인을 받을 때까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1.6 거친면 마무리기 [수정] 줄임말 수정


거친면 마무리기는 설계도서에 따라 마무리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
야 한다.

3.1.7 양생제 살포기


양생제 살포기는 전 포장면에 양생제를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일정
한 압력을 갖는 분무장치와 교반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3.1.8 노후 콘크리트의 표면 절삭장비


(1) 상온 절삭기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지정된 깊이까지 절삭할 수 있는 장
비이어야 하며, 장비의 가동으로 생기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수집
하거나 처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작업의 능률 및 환경차원에서 효
율적인 장비이어야 한다.
(2) 핸드 브레이커로는 무게가 16 kg 이하의 잭 햄머가 사용되며, 교면으
로부터 45° 이상의 각도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3) 숏 블라스팅 장비는 상온 절삭기로는 필요한 표면처리가 곤란한 경우
에 사용되며, 교면포장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장비이어야 한다.

3.1.9 2차 청소장비
(1) 이 시방서 10-2-1절 접착식 시멘트 콘크리트 덧씌우기-3.1.2를 따른
다.

3.1.10 워터제트
(1) 자체 동력으로 전 · 후방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절 표기 명확하게

10 -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2) 펌프압력은 100 MPa 이상이며, 분당 유량은 80  이상이어야 한다.
(3) 절삭된 콘크리트가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워터제트는 시험 운용을 통하여 절삭폭, 절삭 표면상태, 작업 능률 등
에 대하여 감독자에 의해 승인을 받을 때까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1.11 진공흡입트럭
(1) 진공흡입장비는 워터제트에 의하여 분쇄된 미세물질 및 워터제트에 사
용된 물을 흡입 · 청소하는 장비로서, 철근 아래 깊은 곳까지 절삭 이물
질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가진 장비이어야 하고, 적재용량은 6
㎥ 이상이여야 하며, 흡입 호스(hose)가 장착되어 있는 장비이어야 한
다.

3.1.12 최종 청소장비
(1) 덧씌우기 포설 전에 먼지를 비롯한 기타 미세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정] 용어 수정 : 원문 - 호수
필요한 성능을 갖춘 장비를 선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2 배합
[수정] “충분한”의 의미 불명확, 자구 수정
3.2.1 시공일반
(1)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배합은 요구되는 시공성, 역학적 성능, 내구성 및
그 외의 성능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가능한 한 적게 되
도록 정한다.
(2) 이를 위하여 교면포장용 콘크리트는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혼
화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인력타설 시공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별도의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3.2.2 배합기준 / 내구성능기준


(1)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은 아래 표 10-3-3에 제시하는 기준
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표 10-3-3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항 목 시험방법 단 위 기준
바닥판의 강도
설계기준강도(f28) KS F 2405 MPa
이상1)
설계기준 접착강도(f28) KS F 2762 MPa 1.4 이상2)

물/결합재 비 % 40 이하3)

굵은 골재 최대치수 mm 25 이하4)

공기량 KS F 2409 % ±
6.0 1.5%

1)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비율방식으로 표기


주 교면포장의 재료는 가급적 바닥판의 제반 특성이 일치하는 재료로 선정하여

10 - 40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시공하여야 함
2)
부착강도실험은 신콘크리트와 구콘크리트 계면의 부착강도를 측정하는 것임
- 시험편의 떨어진 위치가 계면이 아니고 구콘크리트 면이면, 부착강도가 1.4MPa 미만을 나타내더라도,
강도값으로 채택할 수 없음(기준만족여부를 확인할 수 없음)
- 시험편의 떨어진 위치가 계면이 아니고 구콘크리트 면이지만, 부착강도가 1.4MPa 이상을 나타내었다고 한다면,
계면부는 그 이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강도값으로 채택할 수 있음

3)
교면포장은 겨울철 도로에 살포되는 염화칼슘 등의 제빙화학제로부터 바닥판
콘크리트 내부에 있는 철근에 대한 부식방지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40 % 이하로 한다.
4)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10-3절 3.2.2 (3)의 설명에 따른다.

(2) 교면포장용 콘크리트는 별도로 내구성능 품질기준을 두고 있으며, 표


10-3-4에 나타난 기준값을 만족하여야 한다. 내구성능 품질결과는
사전에 재료선정을 위해 제출되어야 하며, 현장품질관리를 위한 별도
의 실험을 진행할 필요는 없다.
[관계기관의견수렴]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내구성 품질기준을 ‘도로공사전문
표 10-3-4 교면포장용 콘크리트의 내구성능품질기준 시방서(2012)를 준용하여 제시함

내구성능 실험방법 내구성능등급


[향후연구과제] 교면포장용 콘크리트 내구성 품질기준의 경우, 교면포장의 특
균열저항성 ASTM C 1581 재령 56일까지 균열 없음 성을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

동결융해저항성 KS F 2456 A법
80 % 이상
(상대동탄성계수) (300사이클)

SS 13 72 44 A법 적정(acceptable)등급 이상
표면박리저항성
ASTM C 272 Rating 1 등급 이상
염소이온 KS F 2711
1,000 C(coulombs, 쿨롱) 이하
침투저항성 (재령 56일)

(3)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일체식(노출) 교면포장의 경우 사용되는 굵


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는 거푸집 양 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의 1/5, [수정] 통과전하량에 대한 단위표기 수정, 영문․한글 표기 추가
바닥판 두께의 1/3, 개별 철근 ․ 다발철근 ․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
소 순간격의 3/4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덧씌우기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는 덧씌우기 두께의 1/2 값을 초
과하지 않아야 한다.

(4) 교면포장용 콘크리트는 포설방법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가지며, 요


구되는 평탄성을 쉽게 얻을 수 있는 피니셔빌리티를 가져야 한다.

3.2.3 시방배합
이 시방서 10-1-2절 3.4.3에 따른다.

3.2.4 현장배합
이 시방서 10-1-2절 3.4.4에 따른다.

10 -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3.3 시험포장

이 시방서 10-1-2절 3.5에 따른다.

3.4 콘크리트 제조

이 시방서 10-1-2절 3.6에 따른다.

3.5 시공면 준비

3.5.1 일반사항
시공면의 표면 거칠기, 함수 조건, 청소 상태 등은 콘크리트의 부착력
증진과 균열방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시공 전에 제출한 시공
계획서에 따른다.
3.5.2 일체식(노출) 교면포장면의 준비
바닥판 거푸집 조립 후 모르타르가 새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틈을 철저
히 조사하여 틈 발생 부위는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3.5.3 신설 바닥판의 덧씌우기 교면포장면의 준비


(1) 깊이 2 mm 내외의 요철이 발생되도록 교면을 절삭한다.
(2) 절삭 후 교면의 각종 이물질은 고압수로 살수하여 제거한다. 교면청소
는 콘크리트 타설 전 최소 12시간 전에 완료되어야 한다.
(3) 교면 청소 후 바닥판에 충분히 살수하고 비닐을 덮어 습윤상태를 유지
한다. 습윤기간은 최소 12시간 이상을 유지한다. [수정] 문장 수정 : 원문 - “교면의 절삭깊이는 2 mm 내외로 요철이 생기게 절
삭한다.”
3.5.4 공용 중인 교량의 덧씌우기 교면포장면의 준비
(1) 교면의 절삭은 지정된 깊이까지 절삭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
다.
(2) 절삭 후 교면의 각종 이물질은 고압수로 살수하여 제거한다. 교면처리
는 콘크리트 타설 전 최소 1시간 전에 완료되어야 한다.
(3) 아스팔트 교면포장층을 제거할 때에는 방수층을 포함하여 모두 제거 [수정] 문장 수정 : 원문 - “교면의 절삭깊이는 지정된 깊이까지 절삭할 수 있
하여야 한다. 또한, 일체화에 지장이 있는 재료(아스팔트계, 수지계, 는 장비이어야 한다.”
기타)로 보수된 부분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교면포장을 제거할 때는 손상된 교면의 지정된 깊이까지 제
거되어야 한다. 또한, 일체화에 지장이 있는 재료(아스팔트계, 수지계, [수정]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기타)로 보수된 부분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모두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일체 ⇒ 일체화
(5) 노후된 콘크리트는 워터제트로 제거할 수 있다. 워터제트 작업 후의
청소는 진공흡입장비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6) 기존 교면을 제거한 후, 노출된 면의 조사를 실시하여 느슨하거나 분
리된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부위와 열화된 콘크리트는 제거하여야 한
다. [수정] 문장 수정 : 원문 - “워터제트에 의하여 노후된 콘크리트를 제거할 수
(5) 제거된 모든 재료는 재활용분을 제외하고 폐기물관리법에 의거하여 있다.”
처리하여야 한다.
(3) 교면처리 후 바닥판에 충분히 살수하고 비닐을 덮어 습윤상태를 유지 [수정] 자구 수정 : 보이는 ⇒ 판단되는

10 - 42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한다. 습윤기간은 최소 1시간 이상을 유지한다.

3.5.5 마무리 장비 시험가동


(1) 마무리 장비의 레일과 받침대는 마무리 면이 도면에 나타난 종단과 횡
단면에 일치하도록 실제 시공에 맞게 정확히 설치되어야 한다.
(2) 레일은 마무리 장비가 교면 전체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이동량을 고려
하여 신축이음부 후면까지 연장 설치하여야 한다.
(3) 레일 받침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거푸집, 동
바리, 구조적인 지지부재의 처짐을 적절히 고려하여 설치되고 수정되
어야 한다.
(4) 받침대의 중심간격은 600 mm 이하이어야 한다.

3.6 타설

3.6.1 브루밍(brooming) 작업
(1) 경화된 바닥판 위에 덧씌우기를 실시하는 경우, 재료의 타설작업에 앞
서 신 · 구 콘크리트의 부착력 증진을 위한 브루밍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2) 브루밍 작업은 교면뿐만 아니라 덧씌우기 교면포장층이 접촉되는 방
호벽, 중분대, 측벽에도 실시하여야 한다.
(3) 브루밍한 표면이 콘크리트가 포설되기 전에 건조되어서는 안 된다.
(4) 브루밍 작업 완료 후 남은 모르타르를 교면포장재료에 혼합 사용하여
서는 안 된다.

[수정] 자구 수정 : 실시되어져야 ⇒ 실시하여야


3.6.2 포설
[수정] 조사 수정 : 표면은 ⇒ 표면이
(1) 일체식(노출)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일
[수정] 불필요한 자구 수정 : 원문 - “모르타르를 콘크리트는”
체가 되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2) 덧씌우기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브루밍 작업을 실시한 후
가급적 빨리 콘크리트를 포설한다.
(3) 포설된 콘크리트는 진동다짐으로 마무리하며, 채움이 취약한 부위는 [수정] 문구 수정 : 일체로 포설한다. ⇒ 일체가 되도록 포설하여야 한다.
봉다짐을 실시한다.
(4) 종단 및 횡단 측량을 실시하여 계획고에 맞추어 포설한다.

3.6.3 환경조건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 “이렇게 포설된”


이 시방서 10-1-2절 3.6.5에 따른다. 마무리되며 ⇒ 마무리하며,

3.7 마무리

3.7.1 평탄 마무리 [자문의견반영] 관계기관의견수렴에 따라 환경조건을 본 시방서 10-1-2절


(1) 기계 마무리가 불가능한 부위를 제외한 모든 교면은 전체적으로 기계 3.6.5를 따르는 것으로 수정
식 마무리 장비에 의한 평탄 마무리가 되어야 한다.
(2) 인력 마무리는 최소화하여야 하며, 인력 마무리에 사용되는 흙손의 폭
은 250 mm 이상이어야 하며,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흙손의 면은 강재
이어야 한다.
(3) 현장에서 타설이 지연되는 경우 현장에 있는 모든 콘크리트는 젖은 양

10 -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생포, 양생 담요, 비닐 등으로 표면을 덮어서 수분 증발을 방지하여야
[수정] 접촉하는 ⇒ 접촉되는
한다. 과도한 지연이 발생한 경우에는 칸막이를 만들거나 타설을 중단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가 아직 소성 상태인 동안에 표면이 낮은 부위는 진행되고 있
는 타설과 같은 등급의 콘크리트로 채워져야 한다. 종 · 횡방향으로 3
mm에서 5 mm보다 큰 표면의 불균일성은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방법 [수정] 자구 수정 : “비닐을 가지고” ⇒ “비닐 등으로” : 다양한 재료사용 가능
하게, 용어 수정
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3.7.2 거친면 마무리


(1) 평탄마무리가 끝나고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포장의 표면에 물기가 없
어지면 타이닝 장비에 의한 기계마무리 또는, 비 · 솔 등을 사용하여 인 [수정] 문구 수정 : “감독자에 의하여 허용될 수 있는” ⇒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력 마무리로 거친면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2) 타이닝은 감독자와 상의하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타이닝을 실시한다.
(3) 횡방향 타이닝은 타이닝 장비에 갈고리를 장착하여 도로 중심선과 수
직으로 시공한다. 횡방향 타이닝은 20 mm ~ 30 mm의 일정한 폭과
[수정] 용어 수정 : 타이닝기 ⇒ 타이닝 장비
3 mm ~ 6 mm의 깊이로 시공한다.
(4) 종방향 타이닝은 타이닝 장비 후미에 갈고리를 장착하여 도로 중심선
과 평행하게 시공한다. 종방향 타이닝은 20 mm 이내의 일정한 폭과 3
mm ~ 6 mm 깊이로 시공한다.
[수정] 단위표기 방법 수정
3.7.3 양생
(1) 콘크리트 타설 후 마무리 및 표면처리 후에 양생제를 살포한다.
(2) 피막양생제는 유성제품으로, 사용량은 1.5  /㎡(원액농도 0.105 kg/
㎡) 이상으로 한다.
(3) 양생제 살포 또는, 비닐 양생 후에 젖은 양생포를 덮어서 14일 동안
균일한 습윤양생을 실시한다. 양생작업은 표면처리(타이닝) 완료 후로
부터 5분, 평탄마무리 작업으로부터 30분 이내에 실시한다.
(4) 양생포는 양생 부위보다 300 mm 이상 연장하여 덮어야 하며, 양생포
는 전체 면을 완전히 적셔야 하고, 양생포가 겹치는 길이는 300 mm
이상이어야 한다.
(5) 양생기간 중에 양생포가 마르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살수가 이루어져
야 하며, 과도한 물은 배수되도록 한다. 이 작업은 양생포 설치 후 10
분경에 시작하도록 한다.
(6) 표면마무리가 끝난 후 교통이 개방될 때까지 건조, 온도변화, 하중, 충
격 등의 나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3.7.4 쏘컷(saw cut) 그루빙


(1) 거친면 마무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쏘컷 그루빙 또는 다이아몬드 그
라인딩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쏘컷 그루빙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 그루빙을 실시할 수 있다. 그루빙
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번에 실시되어야 한다.
(3) 종방향 그루빙은 여러 개의 원형 날을 가진 쏘컷 장비를 이용하여 도
로 중심선과 평행하게 시공한다. 종방향 그루빙의 규격은 폭 3
mm(±0.5 mm), 깊이 4 mm(±2 mm), 중심간격 20 mm 이하로 한다.
(4) 횡방향 그루빙은 여러 개의 원형 날을 가진 쏘컷 장비를 이용하여 도

10 - 44
8-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로 중심선과 수직으로 시공한다. 횡방향 그루빙의 규격은 폭 3
mm(±0.5 mm), 깊이 4 mm(±2 mm), 중심간격 20 mm ∼ 30 mm
이하로 한다.
(4) 그루빙이 실시된 면 위에 다시 그루빙을 실시하여서는 안 된다.
(5) 그루빙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러리 또는 파편은 쌓이지 않도록
계속해서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종방향 그루빙”을 “횡방향 그루빙”으로 수정

3.7.5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1) 거친면 마무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쏘컷 그루빙 또는, 다이아몬드
그라인딩을 실시하여야 한다.
(2) 다이아몬드 그라인딩은 차량주행방향으로 실시하며, 시작과 끝은 포장
의 중심선과 수직이 되어야 한다. 그라인딩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번에 실시되어야 한다.
(3) 다이아몬드 그라인딩은 여러 개의 다이아몬드 톱날(diamond blade)를
장착한 전용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규격은 폭 3.0 mm ~ 4.0 mm,
깊이 1.5 mm, 홈간격 2.0 mm ~ 2.5 mm로 한다.
(4) 그라인딩이 실시된 면 위에 다시 그라인딩을 실시하여서는 안 된다.
(5) 그라인딩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슬러리 또는, 파편은 쌓여지지 않
도록 계속해서 제거하여야 한다.

3.7.6 교면방수 [수정] “중심간격”을 “홈간격”으로 변경 표시


(1) 일체식(노출) 교면포장을 갖는 바닥판은 액상형 흡수방지재를 이용한
방수공법을 실시하여야 한다.
(2) 방수재의 품질기준은 KS F 4930에 따른다.

3.8 품질관리 및 검사

3.8.1 평탄성 측정
이 시방서 10-1-2절 3.19.1에 따른다.

3.8.2 교면포장슬래브의 두께 측정
이 시방서 10-1-2절 3.19.2에 따른다.

3.8.3 슬럼프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에 따라야 하며, 슬럼프는 설계
슬럼프의 ±10mm 내로 유지한다. 또한 1일 3회 이상 측정하여 품질변
동성을 확인한다.

3.8.4 연행공기량(entrained air)


이 시방서 표 10-3-3에 따른다. 공기량실험은 1일 3회 이상 측정하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문장 수정
여 품질변동성을 확인한다.

3.6.5 압축강도
이 시방서 표 10-3-3에 따른다. 압축강도시료는 1일 1회 제작하며,

10 -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Check List
재령 28일에 측정한다.

3.8.6 균열관리
시멘트 콘크리트 교면에 발생한 0.1 mm 이상의 모든 균열은 감독자가
승인한 방법에 의하여 보수되어야 한다.

3.8.7 부착강도
신구 콘크리트 포장의 부착강도는 최소 1.4 MPa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10 - 46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1 장 안전시설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11장 안전 시설공사 제11장 안전시설공사
11-1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 11-1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
11-2 노면표시 11-2 노면표시 [수정] 구성체계 번경
11-3 교통신호기 11-3 시선유도시설
11-4 시선유도시설 11-4 차량방호안전시설 [추가] 장애인 안전시설

11-5 도로조명시설 11-4-1 노측용 방호울타리 [수정] 목차 제목 수정

11-4-2 중앙분리대용 방호울타리


11-5-1 가로등 시설 11-4-3 현광방지시설
11-5-2 조명탑 시설 11-4-4 충격흡수시설
11-5-3 터널 조명시설 11-5 낙석방지울타리
11-6 방호울타리 11-6 도로반사경
11-7 낙석방지 울타리 11-7 과속방지턱
11-8 충격흡수시설 11-8 미끄럼방지포장
11-9 중앙분리대 11-9 노면요철포장
11-10 현광방지시설 11-10 긴급제동시설
11-11 장애인 안전시설
11-11 도로반사경 11-12 무단횡단금지시설
11-12 미끄럼방지포장 11-13 조명시설
11-13 과속방지턱 11-13-1 가로등 시설
11-14 도로전광표지 11-13-2 조명탑 시설
11-13-3 터널조명시설
11-14 교통관리시설
11-14-1 교통신호기
11-14-2 도로전광표지
제 11 장 안전 시설공사 제 11 장 안전 시설공사
11-1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 11-1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의 재료, 설치, 시공에 관한 일반 이 시방은 도로표지 및 교통안전표지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1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항을 규정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3505 반사 안전 표지판 KS A 3505 반사 안전 표지판


KS A 3507 산업 및 교통안전용 재귀반사시트 KS A 3507 산업 및 교통안전용 재귀반사시트
KS B 1002 육각볼트 KS B 1002 6각 볼트 →
[수정] KS 용어변경 육각 6각 [수정] 중심위, 띄어쓰기 수정

KS B 1012 육각너트 KS B 1012 6각 너트 [수정] KS 용어변경 육각→6각

KS D 3051 열간 압연봉강 및 코일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1 열간 압연봉강 및 코일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강판 및 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강판 및 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KS D 3706 스테인레스 강봉 KS D 3706 스테인레스 강봉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조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띠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 ⇒띠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단조품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단조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KS D 9521 용융아연도금 작업표준 KS D 9521 용융아연도금 작업표준
KS M 3152 메타크릴 수지 성형 재료 KS M 3152 메타크릴 수지 성형 재료
KS M 3153 폴리카아보네이트 성형 재료 KS M 3153 폴리카아보네이트 성형 재료
KS M 3811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 KS M 3811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
경찰청 교통안전표지 설치 관리 매뉴얼 도로표지규칙(국토교통부) [자문] 띄어쓰기 수정

국토해양부령 도로표지 규칙 ·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 지침(국토교통부) [관계기관의견] 기관명 및 관련 규정 표기 수정

·
국토해양부령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 지침 도로교통법 시행규칙(경찰청)
행정안전부령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
교통안전표지 설치 관리 매뉴얼(경찰청)

1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료 2. 재료
2.1 표지판 및 지주 2.1 표지판 및 지주

2.1.1 표지판은 두께 3 ㎜ 이상(현수식은 2 ㎜ 이상)의 알루미늄판 KS D 6701의 2.1.1 표지판의 기판 중 금속판은 두께 3mm 이상(현수식은 두께 2mm 이상)의 방식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A5052P-H32 또는 강판 KS D 3512의 1종 혹은 2종으로서 방식가공을 한 것 (防蝕)처리한 것으로서, 알루미늄판 KS D 6701의 A5052P-H32 또는 강판 KS
을 사용하여야 한다. D 3512의 1종 혹은 2종을 사용하며, 합성수지판은 KS M 3501의 표5의 그룹3
또는 이들과 동등 이상의 재료로서 두께 3 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2.1.2 알루미늄 찬넬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759의 A6063S-T5 규격품을 사용하 2.1.2 알루미늄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759의 A6063S-T5 규격품을 사용하
며, 찬넬과 지주결합용 크립은 KS D 6701의 A6061FD-T6 또는 용융도금한 며, 채널과 지주결합용 크립은 KS D 6701의 A6061FD-T6 또는 용융도금한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KS D 3051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KS D 3051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3 밴드는 KS D 3698의 STS304 또는 용융도금한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 2.1.3 밴드는 KS D 3698의 STS304 또는 용융도금한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2.1.4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D 3706 STS304 NI-B에 준하며, 그 형상은 KS B 2.1.4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D 3706 STS304 NI-B에 준하며, 그 형상은 KS B
1002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002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5 표지에 사용되는 지주는 KS D 3566 및 KS D 3503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5 표지에 사용되는 지주(가로재를 포함한다.)는 KS D 3566 및 KS D 3503의 규격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괄호 안) 추가
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6 지주용 캡은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며, 지주연결용 강판은 KS D 3503 2.1.6 지주용 캡은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며, 지주연결용 강판은 KS D 3503
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7 기초에 사용할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2.1.7 기초에 사용할 시멘트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수정] 용어 수정

2.2 반사지 2.2 반사지

2.2.1 반사지는 고휘도 반사지, 초고휘도 반사지, 광각초고휘도 반사지를 사용하여야 2.2.1 반사지의 유형 및 종류, 구조, 색도기준, 성능기준 등은 KS A 3507 고휘도 반 ·
[관계기관의견]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관리지침을 참조토록 함.
하며, 반사성능 및 색상기준은 도로표지규칙 및 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 · ·
사지 초고휘도 반사지 광각초고휘도 반사지에 따르며, 도로표지 제작 설치 및 · 가운데 점 사용
지침(국토해양부)과 교통안전표지 설치 관리 매뉴얼(경찰청)에 따른다. 관리지침을 참조한다.
2.2.2 바탕면의 반사지는 고휘도 반사지 성능 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글자 및 도안 [추가] 도로표지의 위치별 반사지 종류 규정
부분은 초고휘도 또는 광각초고휘도 반사지 성능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실크 스크린 인쇄나 디지털 출력 방식 또는 투명색상필름 부착 방식의 경우에 [추가]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의 경우 반사지 종류 규정
는 바탕면에 초고휘도 성능 이상의 반사지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3. 시공 3. 시공

1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제작 3.1 제작

3.1.1 지주는 이음부가 없어야 하며, 부득이 이음할 경우에는 지하매몰부분 1개소에 건 라 H형강 등은 구조적 안전성 검토를 통
3.1.1 지주는 원형강을 사용하되, 여 에 따 [관계기관의견반영] 지주형상에 대해 설명을 추가

한하며, 중소기업청 용접작업기준을 준수하여 견고하게 용접하여야 한다. 해 원형강 이상의 성능발휘가 입증될 경우, 여건에 따라 H형강 등을 사용할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수 있다. [관계기관의견반영] 3.1.1과 3.1.4가 유사한 내용으로 3.1.2로 통합


3.1.2 지주는 이음부가 없는 것으로 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 원형지주를 이음할 3.1.2 원형지주는 이음부가 없어야 하며, 이음할 경우는 지하매설부분에만 300 mm
경우는 지하매설부분 300 ㎜ 이하의 1개소에 한하며, 이음 시에는 특히 견고하 이하의 1개소에 한하며, 이음할 때에는 중소기업청 용접작업기준을 준수하여
게 용접 처리하여야 한다. 지주를 H형강으로 할 경우 이음부는 표지판 하단에 견고하게 용접하여야 한다.
일치되도록 하여야 하며, 전면에는 이음부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 내
[관계기관의견반영] 용접간격변경(100mm 300mm이 ), 용어 수

3.1.3 교통표지는 스포트 알곤 용접을 양측 100 ㎜ 간격으로 시행하고, 반사지 부착 · 곤 용접을 양측 300 mm 이내 간격으로 시행하여 반사지
3.1.3 표지판은 스포트 아르 정

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부착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용접부위는 견고하게 부착하여 탈리현상이 발생치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가운데 점 추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3.1.4 표지판은 판면을 약품으로 깨끗이 닦아낸 후 중성세제와 물로 씻어서 말리되, 3.1.4 표지판의 절단부분 및 용접부위는 매끈하게 그라인더로 표면을 처리하여야 한 복
[수정] 3.1.7과 중 되어 지침의 표면처리로 수정

이면은 약품처리 하지 않아도 좋다. 다. 표지판(보강대 및 밴드포함)은 무광으로 처리하고 반사지를 부착하거나 페
인트를 도장할 때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표면처리를 시행하여야 한다. 다
만, 표지판의 뒷면은 표면처리 하지 않아도 된다.
3.1.5 볼트, 너트,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3.1.5 볼트 · 너트 ·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3.1.6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해 3.1.6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띄어쓰기 수정, 자구 수정
강재의 강도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강재의 강도가 약화되어서도 안 된다.
3.1.7 반사지의 가공 및 부착은 아래의 각 항에 따른다. 3.1.7 반사지의 가공 및 부착은 아래의 각 항에 따른다. [관계기관의견반영] 지침 내용으로 수정
(1) 반사지의 부착은 표지판 표면의 기름제거 및 가장자리 손질을 한 후에 깨끗 (1) 반사지의 부착은 표지판 표면의 기름 제거 및 가장자리 손질을 한 후에 깨끗
이 닦고, 건조시킨 다음 부착하여야 한다. 이 닦고 건조시킨 다음 부착하여야 한다.
(2) 반사지의 가공 및 부착은 도면에 의거 정확하게 재단하고 정위치에 부착하여 (2) 반사지의 가공 및 부착은 설계 도면에 의거 정확하게 재단하고 정위치에 부
야 한다. 반사지 부착 시에는 가공된 반사지(바탕 및 문자)를 표면처리된 알 착하여야 한다. 반사지를 부착할 때에는 가공된 반사지(바탕 및 문자)를 표면 [수정] 한글로 순화
루미늄판에 가압 접착, 진공 압착하여 접착한다. 처리된 알루미늄판에 가압 접착, 진공 압착하여 접착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5) 반사지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바탕색상의 반사지를 부착하는 경우에만 (3) 반사지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바탕색상의 반사지를 부착하는 경우에만
허용되며, 이 경우 윗부분과 아래부분을 5 ㎜ 이상 겹치도록 한다. 그 외 글 허용되며, 이 경우 윗부분과 아래부분을 10 mm 이상 겹치도록 한다. 그 외 [관계기관의견반영] 반사지 겹침은 (5mm→10mm) 개정
자, 기호, 화살표, 엠블렘 등 그래픽 요소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도안 및 절단 글자 · 기호 · 화살표 · 상징그림 등 그래픽 요소는 컴퓨터에 의하여 자동 도안 가운데 점 사용, 용어 수정(엠블렘→상징그림)

되어야 하며, 조각난 반사지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및 절단되어야 하며, 조각난 반사지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재단방향
에 따른 반사성능의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2매 이상의 반사지를 접합시켜 부착시키거나, 조로서 사용할 경우는 미리 반 (4) 감압성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사용한 반사지 또는 투명색상필

1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지 상호간의 색의 조 와 휘도가 맞는지 검토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름의 부착작업은 실 내온도 18 ℃ ∼ 24 ℃, 상대습도 65 % 이하가 유지되는 [관계기관의견반영] 감압성 점착제 사용시 주의사항 추가
한다. 청결한 장소에서 시행하여야 하며, 점착제가 충분히 가압 부착될 수 있도록
롤러 압착기 등을 사용하여 부착판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8) 반사지는 표지판에 완벽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야간반사가 잘 되도록 표면에
불 순물이 없도록 하여야한다. 활
(5) 열 성 점착제(heat activated adhesive)를 사용한 반사지의 부착작업은 고무
(7) 판의 제작에 있어서는 부착가공을 하여야 하며, 문자․숫자․기호․도안 등 롤러 접착기 등으로 판과 반사지 사이의 공기를 제거한 후 진공가열 압착기
을 반사지에 인쇄 가공할 경우는 실크스크린 프로세스법 또는 이와 동등 이 를 이용하여 완전히 접착하여야 한다. 활
[추가] 열 성 점착제 사용시 주의사항
상 제품으로 한다. (6) 반사지 위에 인쇄 가공할 경우에는 실크 스크린 인쇄나 디지털 출력 방식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내구연한이 반사지와 동등 이상이어야 한다.
(7) 부착가공을 할 때 재료의 비틀어짐, 휨 또는 반사지의 표면에 위치변동, 휨,
(3) 부착가공 시 재료의 비틀어짐, 휨 또는 반사지의 표면에 위치변동, 휨, 주름, 주름, 부풀음 등이 없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부 음 등이 없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8) 반사지의 표면은 부착 완료 후 건조시켜야 한다.
(6) 반사지의 표면은 부착 료 완 후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3.1.8 표지판 글자의 자형, 크기 및 배치는 도로표지규칙과 관계 법령 및 설계도서에
3.1.8 표지판 글자의 자형, 크기 및 배치는 도로표지규칙과 관계법령 및 설계도서에 따른다. [수정] 원문 “충분히” 삭제, 의미 불분명
따른다. 3.1.9 캡은 지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점 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치
3.1.9 캡은 지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점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치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내 때는 채널과 채널 사이
3.1.10 안 표지판용 채널을 볼트, 너트, 와셔로 연결 조립할
내 때는 찬넬과 찬넬 사이
3.1.10 안 표지판용 찬넬을 볼트, 너트, 와셔로 연결 조립할 가 완전히 밀착되어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견고하게 일정한 압력으로 조여
가 완전히 밀착되어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견고하게 일정한 압력으로 조 야 한다.
여야 한다. 3.1.11 제작 완료된 표지판은 평면을 이루어야 하며, 제작할 때 전단 · 굴곡· 용접 등
완 된 표지판은 평면을 이루어야 하며, 제작 시 전단 · 굴곡· 용접 등의
3.1.11 제작 료 의 작업으로 인하여 굴곡· 휨· 균열 등의 결함이 일절 없어야 한다.
작업으로 인하여 굴곡· 휨· 균열 등의 결함이 일체 없어야 한다. 3.1.12 모든 용접은 공장 용접을 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수정] 한글로 순화 [관계기관의견] 띄어쓰기 수정
3.1.12 모든 용접은 공장 용접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현장 용접을 시행할 수 있다. [수정] 문법오류 수정, 일체 ⇒ 일절
현장용접을 시행할 수 있다. 3.1.13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미끈하게 그라인더로 표면처리 하여야 하며, 삼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협의하여 ⇒ 승인을 받은
3.1.13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미끈하게 그라인더로 표면처리 하여야 하며, 각형 및 원형 표지판의 단부 마무리는 도면과 관계 법령에서 지시하는 치수와 후
삼각형 및 원형 표지판의 단부 마무리는 도면과 관계 법령에서 지시하는 치 각도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수와 각도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3.2 방식처리
3.2 방식처리
3.2.1 용융아연도금의 작업은 KS D 9521(용융아연도금 작업표준)에 따른다. 또한 나
3.2.2 용융아연도금의 작업은 KS D 9521에 따른다. 또한 나사부위는 도금 후 홈이 사부위는 도금 후 홈이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3.2.2 지주 및 지주용 캡, 지주연결용 강판에 대한 도금은 KS D 8308(용융아연도금)

1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Z
3.2.1 방식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KS D 8308 2종 HD 55에 따르며, 아연도금 부착 량
에 따르며, 아연부착 은 550 g/㎡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원형지주, H형강지 [관계기관의견반영] 3.2.1과 3.2.2 순서변경
량은 550 g/㎡ 이상으로 한다. 단, 두께가 3.2 ㎜ 이하의 강재에 대해서는 2종 주, 지주연결판 및 캡은 용접 또는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용융아연도금을 시행
HDZ35에 따르며, 아연도금 부착량은 350g/㎡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용융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용융아연도금이 불가능하거나 소규모의 시설 및 보수공사 [관계기관의견반영] 방식처리방법을 지침의 내용으로 수정
연도금이 불가능하거나 소규모의 시설 및 보수공사에 있어서는 녹막이 페인트 에 있어서는 녹막이 페인트 1회, 조합페인트 2회를 실시하여야 한다.
1회, 조합페인트 2회를 실시하여야 한다. 3.2.3 도금 후 가공하는 곳은 징크릿치 도장으로 아래의 방법에 따라 현장 끝 마무
3.2.3 도금 후 가공하는 곳은 징크릿치 도장으로 아래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현장 리를 하여야 한다.
끝 마무리를 하여야 한다. (1) 방식처리 전 강재 표면의 수분, 유분 등의 부착 은 물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1) 방식처리 전 강재 표면의 수분, 유분 등의 부착물은 깨끗이 청소하고 제거하 [수정] 문구 수정
여야 한다. (2) 도료는 아연분 의 무기 말 질 도료로서 2회 도포하여야 한다. 이때의 표준 도포

(2) 도료는 아연분 의 무기 질 도료로서 2회 도포하여야 한다. 이 때의 표준 도 량은 2회 도포로써 400 g/㎡ ∼ 500 g/㎡, 두께는 40 ㎛ ∼ 50 ㎛로 한다. [수정] 불필요한 자구(청소하고) 삭제
포량은 2회 도포로서 400∼500g/㎡ 두께는 40∼50μm로 한다. (3) 도장을 계속할 때에는 전회 도장 후 1시간 이상 경과 후에 하여야 한다.
(3) 도장을 계속할 시 전회 도장 후 1시간 이상 경과 후에 하여야 한다. 3.2.4 HGI(hot galvanized steel sheet)를 사용할 때의 절단면은 방식처리를 하여야
3.2.4 HGI(hot galvanized steel sheet)를 사용할 때의 절단면은 방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3 설치
3.3 설치
3.3.1 표지판은 운반 도중 반사지나 페인트가 벗겨지지 않도록 포장을 하고, 얼룩이
3.3.1 표지판은 운반 도중 반사지나 페인트가 벗겨지지 않도록 포장을 잘하고 얼룩 나 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나 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량
3.3.2 표지판의 설치위치는 설계도서에 따르고, 소형표지판을 제 하고는 차 과의 외
3.3.2 표지판의 설치위치는 설계도서에 따르고 소형표지판을 제외하고는 가급적 흙 충돌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급적 길어깨 끝에서 1.0 m 이상 도로 밖에 감독자 [수정] 문구 수정

쌓기부의 시인성이 좋은 위치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 설치하여야 한다. 의 확인을 받아 설치하여야 한다.
3.3.3 표지판 설치를 위한 굴착을 할 때에는 비탈면 · 포장 등 기존 시설물에 손상을 [수정] 흙쌓기부 대신 차량방호울타리의 변형거리기준(1.0m) 밖
3.3.3 표지판 설치를 위한 굴착 시 비탈면, 포장 등 기존 시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 주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되메우기는 층상으로 다짐을 실시하여 붕괴의 에 설치

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되메우기는 층상으로 다짐을 실시하여 붕괴의 원인이 원인이 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손상된 부분은 계약상대자 부담
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손상된 부분은 계약자 부담으로 원상복 으로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구 하여야 한다. 3.3.4 도로 이용자가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시야가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야 하며,
3.3.4 도로 이용자가 충분히 판독할 수 있도록 시야가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야 하 곡선구간 · 땅깎기 비탈면 및 수림 등으로 시야가 제약되는 곳은 피하여 설치
며, 곡선구간, 땅깎기 비탈면 및 수림 등으로 시야가 제약되는 곳은 피하여 설 장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치한다. 3.3.5 표지의 설치 방향은 차량 진행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되 도로 형태에 [수정] 자구 수정 : 충분히 ⇒ 쉽게, 가운데 점 사용
3.3.5 표지의 설치 방향은 차량 진행 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되 도로 형태에 따라 10° 이내에서 안쪽으로 설치한다. [수정] 문구 수정 : 장소선정에 대한 내용이므로 문구 수정

따라 10°이내에서 안쪽으로 설치한다.


3.3.6 고가도로 및 교량에 도로표지를 설치할 경우에는 지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적 [수정] 중심위 : 현재 내용 유지

1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6 교 구간에 도로표지를 설치할 경우에는 지주를 설치할 수있도록 적절한 공간 절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지주를 결속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을 확보하여야 하며, 또한 지주를 결속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범위 수정

11-2 노면표시 11-2 노면표시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포장면 위에 표시를 하 나 표시를 제 하는 거 노면표시 공사에 대하여 이 시방은 포장면 위에 표시를 하 거나 표시를 제거하는 노면표시 공사에
적용한다.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322 상온형 도로 표지용 도료 KS M 6080 노면표시용 도료

[수정] KS M 5322(상 식) 5333(융착식) 5336(가열식)은 KS

KS M 5333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 KS M 5550 도료용 색 분류 기준



M 6080( 면표시용 도료)로 통 합 폐 됨
KS M 5336 가열식 도로 표지용 도료 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
KS M 5550 도료용 색 분류 기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경찰청)
노면표시 설치 관리 매뉴얼, 경찰청 [자문] 수정, 기관명 추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1.3 형상 1.3 형상

노면표시의 형상 및 색상은 관계 법령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노면표시의 형상 및 색상은 관계 법령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상온형 도료 2.1 도료 종류

온 온
상 형 도료는 KS M 5322 상 형 도로 표지용 도료에 따른다. 2.1.1 상온건조형 도료는 KS M 6080 1종 상온건조형 노면표시용 도료에 따른다. [수정] KS M 6080 규격 변경

1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가열형 도료 2.1.2 수용성형 도료는 KS M 6080 2종 수용성형 노면표시용 도료에 따른다. [자문] 자구수정

가열형 도료는 KS M 5336 가열식 도로 표지용 도료에 따른다.


2.1.3 가열형 도로는 KS M 6080 3종 가열형 노면표시용 도료에 따른다. [수정] KS M 6080 규격 변경
2.1.4 융착식 도로는 KS M 6080 4종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에 따른다. [자문] 자구수정

2.3 융착식 도료 2.1.5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도료는 KS M 6080 5종에 따른다. [수정] KS M 6080 규격 변경

용착식 도료는 KS M 5333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에 따른다.

2.2 유리알
2.4 유리알


유리알의 품 기준은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에 따르며, 유리알 살 유리알의 품질기준은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에 따르며, 동등 [수정] 유리알의 성능이 KS 성능 이상의 제품이 사용되어지고 있
이상의 제품은 사용할 수 있다. 음
포방식과 규격은 표 11-1에 적합하여야 한다.
[자문] 띄어쓰기 수정
표 11-2-1 유리알 살포방식과 규격
표 11-1 유리알 살포방식과 규격

살포 방식 유리알 규격 살포 방식 유리알 규격
Drop - in 2호입도
Drop - in 2호입도

2.3 재료의 반입 및 저장
2.5 재료의 반입 및 저장

2.5.1 도료와 유리알은 지정 된 용기와 포대로 반입하여야 한다. 2.3.1 도료와 유리알은 지정 된 용기와 포대로 반입하여야 한다.
2.3.2 각 도료는 드럼의 뚜껑이 아래로 가도록 저장하여야 하며, 도료가 반입된 후 3
2.5.2 각 도료는 드럼의 뚜껑이 아래로 가도록 저장하여야 하며, 도료가 반입된 후 3
개월마다 상하를 뒤집어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바닥에 앙금이 생기지 않도
개월마다 상하를 뒤집어 보관하고, 사용 시에는 바닥에 앙금이 생기지 않도록
록 섞어 주어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충분히 삭제, 자구 수정
충분히 섞어야 한다.
2.3.3 유리알은 창고에 저장하여야 하며, 냉습한 곳에 저장하여서는 안 된다.
2.5.3 유리알은 창고에 저장하여야 하며, 냉습한 곳에 저장해서는 안 된다.
[수정] 줄임말 수정
2.4 재료의 승인
2.6 재료의 승인

약 계약상대자는 재료를 사용하기 30일 전에 사용할 재료가 KS의 관련 규격


계 자는 재료를 사용하기 30일 전에 사용할 재료가 KS의 관련규격에 적합한가
에 적합한가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 [수정] 계 자약 ⇒ 계약상대자
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원에게 제출하고 확인을 받아야 한다.
야 한다.

2.5. 색상
2.7. 색상


2.7.1 색상은 KS(KS M 5322, KS M 5333, KS M 5336)에서 정하는 바에 따 야
2.5.1 색상은 백색황색 · 청색으로 구분하며, KS M 6080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하며, 황색의 경우 색번호 33538 이외에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면에는 먼셀좌표 [관계기관의견반영] 색상은 KS M 6080에 명시 된 백색, 황색, 청
H=7.4 YR, V=7.2, C=12.5의 색을 적용할 수 있다. 색으로 구분

1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배경과 표시의 대비를 고려하여 감독관의 지시가
2.7.2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에서 [관계기관의견반영] 먼셀좌표는 현재 사용하지 않음
있을 시에는 상온형 흑색 페인트로 백색과 황색의 테두리를 도색하여야 한다. [관계기관의견반영] 관련 규정에 시멘트 포장도로의 내용이 삭제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기계
3.1 시공기계

3.1.1 일반사항 약 비
3.1.1 계 상대자는 시공에 사용할 차선도색 장 의 기종, 성능, 기계상태 등을 기재
약 비
계 자는 시공에 사용할 차선도색 장 의 기종, 성능, 기계상 태 등을 기재한 한 차선도색장비 사용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차선도색장비 사용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약 → 약당사자
[수정] 계 자 계
3.1.2 차선도색 장비 량 측 비
3.1.2 차선도색용 차 은 자주식 가열형에 자동계 장 (타코메타)가 부착 된 것이어
(1) 자주식 가열형에 자동계측장비(타코메타)가 부착된 것이어야 하며, 도료 분 야 하며, 우측핸들에 우측분사, 좌측핸들에 좌측분사를 할 수 있는 차량으로
사장치가 차량 좌·우측으로 이용이 가능하든지 노즐의 위치가 좌측과 우측에 좌·우측 동시 도색이 가능하도록 성능검사에 합격한 차량을 준비하여야 한다. 비
[수정] 장 의 형식 규정 수정
고정되어 있는 장비 각 1대가 투입되어야 하며, 장비의 성능검사를 철저히
시행하여야 한다. 백색 또는 황색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도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유리알을
3.1.3
(2) 백색 및 황색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도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도색선 도색선 표면 위에 규정된 비율로 균일하게 직접 자동 분사할 수 있어야 한다.
표면위에 직접 유리알을 적정율로 자동 분사할 수 있어야 한다. 3.1.4 차선도색장비는 노즐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도료를 살포할 수 있는 분사 [수정]
(3) 포장면 위에 직접 노즐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 하에서 도료를 만족스럽게 살 식이어야 하며, 도료 탱크는 기계식 진동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포할 수 있는 분사식이어야 하고, 도료탱크는 기계식 진동기를 갖추고 있어 [수정] 주어 추가, 만족스럽게 삭제
야 한다. 3.1.5 각 노즐은 규정된 비율로 균일하게 유리알을 뿌릴 수 있는 분사 노즐과 분사
(4) 각 노즐은 규정된 비율과 균일한 모양으로 유리알을 뿌릴 수 있는 분사 노즐 와 동시에 작동하는 유리알 살포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과 동시에 작동하는 유리알 살포기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3.1.6 작업장 안전관리에 투입되는 안전차량에는 차선도색 작업에 필요한 자재(페인 [수정] 용어 순화
트, 시너, 유리알)를 적재한 상태로 운행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안전관리 용 추가
3.2 노면표시 설치
3.2 노면표시 설치
3.2.1 도색할 시공면은 도색하기에 앞서 먼지나 기타 부착을 저해하는 유해물질 등
3.2.1 도색할 시공면은 도색하기에 앞서 먼지나 기타 부착을 저해하는 유해물질 등 을 깨끗이 청소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을 깨끗이 청소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2.2 도색은 노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도색하여야 하며, 도색된 도료가 노면
3.2.2 도색은 노면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도색하여야 하며, 도색된 도료가 노면 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으로 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2.3 노면이 젖어있거나 노면의 기온이 5 ℃ 이하의 경우에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띄어쓰기, 문구 수정
3.2.3 노면이 젖어있거나 노면의 기온이 5 ℃ 이하의 경우에는 시공해서는 안 된다. 3.2.4 노면표시의 형상 및 치수는 지정된 폭으로 깨끗하고 균등하게 도색하여야 하

1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4 노면표시의 형상 및 치수는 지정된 폭으로 깨끗하고 균등하게 도색하여야 하 절 곡선 또는 직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며, 적 한 [수정] 문구 수정
며, 적절한 곡선 또는 직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3.2.5 유리알 살포는 수동식(낙하방식)과 기계식(압입방식)을 적용하며, 도료의 살포
3.2.5 유리알 살포는 Drop-in(비드압입식) 공법으로 살포하여야 하며, 도료의 살포 와 동시에 비드가 살포되어 균등하게 혼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문자 · 기
와 동시에 비드가 살포되어 균등하게 혼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문자, 기 호 등의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살포 방법을 달리 할 수 있다. [관계기관의견반영] 경찰 철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매뉴얼의 유
호 등의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살포 방법을 달리 할 수 있다. 3.2.6 노면표시는 차선도색 차량에 의하여 차선도색을 하여야 한다. 다만, 차선도색 리알 살포방법을 반영, 가운데 점 사용
3.2.6 노면표시는 차선도색 차량에 의하여 차선도색을 하여야 한다. 다만, 차선도색 차량에 의한 도색이 어려운 경우에는 노면표시의 도색장비 및 도장방식에 대
차량에 의한 도색이 어려운 경우에는 노면표시의 도색장비 및 도장방식에 대 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3.2.7 차선도색이 끝난 부분은 도료가 완전히 건조할 때까지 통행차량으로부터 보호
3.2.7 차선도색이 끝난 부분은 도료가 완전히 건조할 때까지 통행차량으로부터 보호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2.8 시공 중의 작업장 안전관리는 관련 규정에 의한 안전관리를 시행하여야 하며,
3.2.8 시공 중의 작업장 안전관리는 도로교통법에 의한 안전관리를 시행하여야 하 작업 중의 제반 안전사고에 대하여는 계 상대자가 약
책임을 진다.
며, 작업 중의 제반 안전사고에 대하여는 계 상대자가책임을 진다. 약 3.2.9 계약상대자는 노면표시의 시공에 앞서 가열형 및 상온형을 감독자의 입회하에 [수정] 도로교통법 외 안전관리 규정 많이 있으므로 포괄적으로
3.2.9 계약상대자는 노면표시의 시공에 앞서 가열형 및 상온형을 감독자의 입회하에 각 2 km씩 시험도색을 실시하여 장비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표현
각 2 ㎞씩 시험도색을 실시하여 장비성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3.2.10 사용할 도료의 색상, 종류 및 유리알의 혼입량 등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
3.2.10 사용할 도료의 색상, 종류 및 유리알의 혼입량 등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 른다.
른다. 3.2.11 준공할때에는 반드시 반사성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3.2.11 준공 시에는 반드시 반사성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감독원에게 제출하여 확 확인받아야 한다. 반사성능은 표 11-2-2 노면표시의 반사성능 기준에 따른다.
인받아야 한다. 반사성능은 표 11-2 노면표시의 반사성능 기준 에 따른다. [수정] 한글로 순화
표 11-2-2 노면표시의 반사성능 기준
표 11-2 노면표시의 반사 성능 기준
(단위 : mcd/㎡․lx) 조사각 관측각 구 분 반사성능(mcd/㎡․lx) 비고
백색 황색 청색 [수정] 노면표시 반사성능 기준 설치시 상향조정
반 사 성 능 설치할 때 240 150 80 기준 [수정] 경찰청 매뉴얼 기준으로 수정
입사각 관찰각 구 분 흰 색 노랑색 청 색 88.76° 1.05°
(흰색의 8%) (1.24°) (2.29°) 재도색 시기 100 70 40 권장
설치시 130 90 10 우천(습윤)일 때 100 70 40 권장 [수정] 한글로 순화
88.76 ° °
1.05 재도색 시기 도시 외곾 도시 외곾 도시 외곾 비고) 1.“설치할 때”는 노면표시 설치 1주일 후부터 준공시점까지로 본다.
2.“재도색 시기”는 반사성능의 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 재도색 시점으로 본다.

( 장) 50 80 30 50 4 7 3. 위 기준은 설치기술 및 유리알 생산기술의 개선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4.“KS M 6080”에서 제시하는 성능 이상의 제품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비고) 1.“설치시”는 설치 지후부터 준공검사시점까지를 의미한다. 5. 노면이 젖은 상태에서의 노면표시 반사성능 측정은 EN 1436에서 정한 측정방법에
따른다.
2.“재도색 시기”는 반사성능의 값이 기준치 이하일 때 재도색 시점으로 본다.
3. 위 기준은 설치기술 및 유리알 생산기술의 개선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3.3 휘도 측정

11-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1 공사 착공 전 감독자 입회하에 실제 살포량(유리알 도료) 확인시험을 실시하
여 자동계측장비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3 유리알 살포량 및 휘도 측정

3.4.1 공사 착공 전 감독자 입회 하에 실제 살포량(유리알 도료) 확인시험을 실시하 3.3.2 휘도측정은 차선도색공사 후 노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최소 도로 개통 7일 경

여 자동계측장비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과 이후 측정하여야 한다.

3.4.2 준공 시 휘도 측정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10㎞ 이내의 경우 3.3.3 휘도측정은 10 km 이내의 경우에는 1 km마다 최소 3개소를 초과하지 않는 범 [관계기관의견반영] 차 개통 량후 유리알이 급속히 탈리되어 휘
에는 임의의 20개소, 10㎞ 이상의 경우에는 ㎞ 당 2개소 추가 측정하여 이중 위 내에서 임의의 20개소를, 10 km 이상의 경우에는 1 km마다 2개소를 추가 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개통 7일 경과 이후 휘도를 측정
90%가 기준치 이상이어야 한다. 측정하여 이중 90 %가 기준치 이상이어야 한다. 토록 함. [관계기관의견반영] 경찰청 매뉴얼을 참고하여 측정장
3.3.4 습윤형 노면표시의 반사성능 측정방법은 EN 1436에서 정한 바와 같이 노면으 소 수정
로부터 약 0.30 m 높이에서 최소 3 ℓ의 맑은 물을 측정부위의 노면표면 전체 [관계기관의견반영] 습윤형 노면표시 반사성능 측정방법 추가
가 고루 젖도록 부어서 측정현장과 그 주변이 일시적으로 물 표면이 포화상태 [관계기관의견반영] 자문의견에 따라 경찰청 매뉴얼의 내용을
에 이르게 만든 후 물을 부은 후 60 ±5초 경과 후 측정한다. 반영함, [자문] EN 시험법 KS화

3.4 제 거
3.4 제 거 3.4.1 노면표시 제거는 가는 방식 · 블라스트 방식 · 워터젯 방식을 적용하고, 환경오
3.3.1 노면표시 제거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노면의 표시를 제거하기 위하 염을 예방하기 위해 태우는 방식 · 화학처리방식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여 흑색 페인트를 덮어 씌워서는 안된다. 노면의 표시를 제거하기 위하여 흑색 페인트를 덮어 씌워서는 안 된다. 거
[관계기관의견반영] 경찰청 매뉴얼을 참고하여 제 방법 수정
3.3.2 노면표시의 제거는 포장 표면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야 하 3.4.2 유해분진· 비산먼지 · 잔존 부산물 등이 남지 않도록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제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며, 흔적이 없도록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하고, 도로의 파손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3.3.3 노면표시 제거 시 발생된 포장면의 손상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즉시 보수 3.4.3 노면표시를 제거할 때 발생된 포장면의 손상은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즉시 거
[관계기관의견반영] 경찰청 매뉴얼을 참고하여 제 방법 수정
하여야 하며, 노면표시 제거 후 시공구간의 청소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실 보수하여야 하며, 노면표시 제거 후 시공구간의 청소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시한다. 실시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1-4 시선유도시설 11-3 시선유도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시선유도표지, 태양열 시선유 이 시방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한 시선유도표지, 갈매기표지, 표 [자문] 태양열 시선유도기는 도로안전시설 지침에 없으며 공사
도기, 갈매기표지, 표지병 공사에 적용한다. 지 병 공사에 적용한다. 구간에만 사용하므로 삭제

11-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3505 반사 안전 표지판 KS A 3805 도로 시선유도표지용 재귀성 반사체

KS A 3507 산업 및 교통안전용 재귀반사시트 KS A 3507 산업 및 교통안전용 재귀반사시트 [삭제] KS A 3505 사용하지 않음


KS A 3806 도로표지 병 [추가] KS A 3806 도로표지병

KS B 1002 육각볼트 KS A 7715 LED 도로표지병 [추가] KS A 7715 LED 도로표지병 추가(2012년 개정)

KS B 1012 육각너트 KS B 1002 6각볼트 [수정] KS용어변경 육각→6각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B 1012 6각너트 [수정] KS용어변경 육각→6각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2 냉간압연강판 및 강대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및 강대

캐 팅
KS D 6006 알루미늄 다이 스 KS D 6006 알루미늄합금 다이 캐스팅
KS D 6008 알루미늄 합금 주물 KS D 6008 알루미늄 합금 주물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조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띠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 ⇒띠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단조품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단조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작업 표준

KS M 3152 메타크릴 수지 성형 재료 KS M 3153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재료

KS M 3153 폴리카아보네이트 성형 재료 KS M 3305섬화 강화플라스틱용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KS M 3305 강화플라스틱용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KS M ISO 7391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PC) 성형 및 압출재료

KS M 3351 에이비 에스 수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시선유도시설 편(국토교통부)

KS M 3353 폴리에틸렌수지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

KS M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M 3810 염화비닐수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시선유도시설편 -, 국토해양부

11-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교통 면표시 설치 관리 매뉴얼, 경찰청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시방서 전체 통일

2. 재 료 2. 재 료
2.1 시선유도표지 2.1 시선유도표지

2.1.1 알루미늄 합금 중 판으로 사용하는 것은 KS D 6701의 합금번호 A5052 P와 2.1.1 시선유도표지는 KS A 3805에 따 라 KS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동등 이상의 품 을 질 갖는 것 이어야 한다. 질
2.1.2 시선유도표지의 품 기준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또는 KS A 3805 [관계기관의견반영] 시선유도표지에 대한 KS A 3805가 제정되
2.1.2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팅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006의 7종(기호: ALDC 를 참조한다. 어 현재 KS 인증 받은 제품이 활용되고 있
7)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음
2.1.3 알루미늄 합금 주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008에 적합하여야 한다.
2.1.4 알루미늄 합금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759에 적합하여야 한다.
2.1.5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KS D 3566 2종 SPS41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지고 있는 것 이어야 한다.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KS D
3512 1종에 SCP1에 규정된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1.6 반사체에 사용하는 메타크릴수지는 KS M 3152에 규정되어 있는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1.7 반사체 및 반사체 틀 그리고 지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KS M
3153에 규정된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 이어야 한다.
2.1.8 지주용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 수지는 KS M 3353에 규정된 것과 동등 이상
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1.9 반사체 틀 및 지주 등에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FRP는 KS M 3305에 적합하여
야 한다.
2.1.10 반사체 틀 및 지주에 사용하는 PVC 수지는 KS M 3810에 규정된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1.11 반사체 틀에 사용하는 ABS 수지는 KS M 3351에 규정된 것과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2.1.12 반사체의 색은 흰색 또는 노랑색을 적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으로 운전자의

11-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위치에서 볼 때 도로의 오른쪽과 같이 도로와 도로 밖의 경계를 나타내는 곳
에는 흰색의 반사체를 설치하고, 도로의 왼쪽이나 중앙분리대와 같이 반대방 [이동] 설치방법으로 이동
향의 교통류를 분리하는 곳에는 노랑색의 반사체를 설치한다. 단, 도로의 오른
쪽 경계표시에 주․정차 금지를 나타내는 노랑색의 노면표시를 설치하더라도
이곳에는 흰색 반사체를 적용한다.
2.1.13 반사체의 색도는 야간의 색도측정방법에 따라 반사체의 색도측정 시 표 11-6,
그림 11-1의 색도좌표의 범위 이내에 들어와야 한다. 색도측정방법은 “도로안
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의 시선유도시설 편(국토해양부, 이하 ‘시선유도시
설 지침’이라 한다.)에 따른다.
2.1.14 반사체의 반사성능은 시선유도시설 지침의 재귀반사체 반사성능 시험법에 따
라 측정하여야 한다. 반사체의 재료로 합성수지와 반사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는 표 11-7에 제시된 반사성능 이상이어야 하며,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11-7의 반사성능 값에 보정계수 0.5를 곱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표 11-6 색도좌표의 범위

색상 색도좌표의 범위
구분 1 2 3 4 5 6
흰색 x 0.310 0.453 0.500 0.500 0.440 0.310
y 0.348 0.440 0.440 0.380 0.380 0.283

노랑색 x 0.545 0.559 0.609 0.597 - -


y 0.424 0.439 0.390 0.390 - -

11-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0.9
520
530
0.8
540
510

0.7 550

560
0.6
570
500
녹색
0.5
580

590
0.4
노랑색 600
흰색 610
620
0.3 490 640
빨강색 780

청색
0.2

480 2.2 시선유도봉

RS-FITI-2010-032에 따라 인증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0.1
470 2.2.1 시선유도봉은

0
460 380
2.2.2 시선유도봉의 품질기준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또는 RS-FITI- [삭제] 태양열 시선유도기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에서 언급되지 않는 시설로 현재 고속도로전문시방서에
0.1 0.2 0.3 0.4 0.5 0.6 0.7 0.8
2010-032을 참조한다.
그림 11-1 색도 좌표
언급되고 주로 공사구간용에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삭제
[추가] 시선유도봉 품질기준 제정에 따른 기준 추가
표 11-7 반사성능기준
(단위: cd/lx.㎡) [자문] 시선유도봉의 색상이 주황색이 아닌 경우 추가

관측각 입사각 색상 흰색 노랑색


0° β1=10° β2=20° 0° β1=10° β2=20°
0.2° 850 680 510 530 430 310

0.5° 410 340 240 270 220 140

1.5° 13 11 8 8 7 5

2.2 태양열 시선유도기

2.2.1 태양열 시선유도기의 각 재료는 표 11-8과 같다.


2.2.2 광도는 적색일 경우 3,000 mcd, 황색일 경우 2,500 mcd 이상이어야 한다.
2.2.3 태양전지(solar cell)는 싱글 크리스탈 실리콘(단결정) 웨이퍼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며, 태양전지판(solar
module)은 PC 케이스에 넣고 투명 실리콘으로 완전히 밀폐하여 제작하여야

11-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한다. 또한 태양전지 사출시 합성수지(PC)에 자외선 방지제를 첨가하여 퇴색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싸 클 % 미만 방전 기준) 이상이어야 한다. 태양전지
2.2.4 전지의 수명은 2,000 이 (25
의 용량은 맑은날 하루 집광으로 2일(야간)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축
전지 용량은 충전없이 10일 (야간)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점등시간은
10%이어야 한다.
2.2.5 야간 또는 일조량 부족 시 전지의 전류가 태양전지판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2.2.6 외부의 조도는 자동감지하고 외부조명이 200lux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
여야 한다.
2.2.7 확산 렌즈에는 고장에 대비하여 렌즈 가장자리에 폭 10㎜ 이상 재귀 반사체를
설치하여야 한다.
2.2.8 지주는 KS D 3503 SS400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2.2.9 볼트, 너트 및 멈춤나사는 각각 KS B 1002의 2급 4T 및 KS B 1012의 평선 2.3 갈매기표지


24 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2.3.1 갈매기표지의 재료기준은 이 시방서 11-3절 2.1에 따른다.
2.2.10 강재는 KS D 3503 SS400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2.3.2 갈매기표지에 사용하는 반사지의 재료는 반사지와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2.2.11 합성수지로 제작 시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있으며, 이들의 재질은 이 시방서 11-3절 2.1에 따른다.

2.2.12 기초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 14-4 에 따른다. 2.3.3 표지판은 KS D 6701의 A 5052 P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표지판의
두께는 3 mm 이하의 것 이어야 한다.
표 11-8 태양열 시선유도기의 재료
2.3.4 알루미늄 판넬 및 앵글은 KS D 6759의 A 6063S-T5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
구 분 지속점등형 원점형 야 한다.
본체 외형 폴리 프로필린 알루미늄 다이케스팅
2.3.5 결합밴드는 KS D 3698 STS304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태양전지 케이스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카보네이트 2.3.6 볼트, 너트 및 와셔는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렌즈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카보네이트 2.3.7 지주에 사용하는 재료는 KS D 3503 및 KS D 3566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8 지주용 캡은 KS D 3501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 갈매기표지 2.3.9 지주 연결용 강판은 KS D 3503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갈매기표지판의 재료기준은 이 시방서 11-6절 2에 따른다 2.3.10 판넬과 지주 결합용 크립은 KS D 6770 A 6061 FD-T6 의 규정에 적합한 것

2.3.2 갈매기표지에 사용하는 반사체의 재료는 반사지와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이어야 한다.

있으며, 이들의 재질은 이 시방서 11-6절 2에 따른다. 2.3.11 기타 사항은 「도로표지 제작 · 설치 및 관리 지침」을 참조한다.
2.3.12 갈매기표지의 바탕은 황색, 꺾음표시는 흑색으로 하며, 색도측정방법은 KS A
2.3.3 표지판은 KS D 6701의 A 5052 P의 규격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표지판
의 두께는 3㎜ 이하의 것 이어야 한다.
3507의 색도 측정방법에 따라 CIE 표준광원 C를 가지고, 「45/0 조명 및 관 [수정] 하위 기준에 대한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11-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4 알루미늄 챤넬 및 앵글은 KS D 6759의 A 6063S-T5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측」조건하에서 주간의 색도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할 때 림
표 11-3-1 , 그
것으로 한다. 11-3-1 내에 들어와야 한다.
2.3.5 결합밴드는 KS D 3698 STS304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3.13 반사체의 반사성능은 시선유도시설 지침의 재귀반사체 반사성능시 법에 따 험 [수정] 용어 수정
2.3.6 볼트, 너트 및 와셔는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 이어야 한다. 라 측정하여 그 결과가 표 11-3-2의 반사성능 기준 값 이상이어야 한다.
2.3.7 지주에 사용하는 재료는 KS D 3503 및 KS D 3566에 적합한 것 이어야 한다. 0.9
520
530
2.3.8 지주용 캡은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0.8
540
2.3.9 지주 연결용 강판은 KS D 3503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510

2.3.10 챤넬과 지주 결합용 크립은 KS D 6770 A 6061 FD-T6의 규격품을 사용하여 0.7 550

560
야 한다. 0.6

2.3.11 기타 사항은 「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 지침」을 따른다. 500


570

2.3.12 갈매기표지의 바탕은 노랑색, 꺾음표시는 검정색으로 하며, 색도측정방법은


녹색
0.5
580

「한국산업규격 KS A 3507」의 색도 측정방법에 따라, CIE 표준광원 C를 가 노랑색 590


0.4
주황색 600

지고 ‘45/0 조명 및 관측‘ 조건하에서 주간의 색도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시 표 갈색 610


색 620
흰 빨강색

11-9, 그림 11-2내에 들어와야 한다.


0.3 490 640
780

2.3.13 반사체의 반사성능은 시선유도시설 지침의 재귀반사체 반사성능시험법에 따 0.2

라 측정하여 그 결과가 표 11-10의 반사성능 기준값 이상이어야 한다.


청색
480
0.1
0.9 470

520 460 380


530 0
0.1 0.2 0.3 0.4 0.5 0.6 0.7 0.8
0.8
540
510

550
그림 11-3-1 색도 좌표
0.7

0.6
560
표 11-3-1 색도좌표의 범위
500
녹색
570

색 상 구분 색도좌표의 범위 휘도율 ( Y% )
0.5
580
1 2 3 4 하한 상한
노랑색 yx
노랑색 590
0.4
주황색 600
0.498 0.557 0.479 0.438
12 30
610

색 갈색
빨강색 620
0.412 0.442 0.520 0.472
0.3 490 640
780

0.2
청색
480
0.1 표 11-3-2 반사성능기준
470
460 380
0
0.1 0.2 0.3 0.4 0.5 0.6 0.7 0.8

그림 11-2 색도 좌표

11-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1-9 색도좌표의 범위
측광 기하조건 반사성능(cd/㎡·lx)
색도좌표의 범위 휘도율 ( Y% ) 관측각 입사각 (β) 황색
색 상 구분 1 2 3 4 하한 상한 -4° 470
0.2°
+30°
노랑색 yx 0.498 0.557 0.479 0.438 270
12 30
0.412 0.442 0.520 0.472 -4° 110
0.5°
+30° 51

표 11-10 반사성능기준
(단위 : cd/(lux․㎡)) 2.4 표지병

측광 기하조건 반사성능 병
2.4.1 표지 은 KS A 3806에 따라 KS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단 점등형 표 병
[수정] 표지 에 대한 KS기준이 제정되어 있고, 현재 KS 인증
관측각 입사각 (β) 노랑색 지병은 KS A 7715에 따라 KS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받은 제품이 활용되고 있음
-4° 470 2.4.2 표지병의 품질기준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또는 KS A 3806, KS A
0.2°
+30° 270 7715를 참조한다.

-4° 110
0.5°
+30° 51

2.4 표지병

2.4.1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광 학 성질을 가지고 있는 렌즈에 돌출이나 톱니


모양의 자국이 없어야 한다.
2.4.2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개별 유리구 의 고정상 , 슬 태 파손, 긁힘 등이 발생하여서
는 안 된다.
2.4.3 표지병의 몸체는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또는 기타의 재료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충격에 강하고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4.4 표지병의 몸체로 알루미늄 합금 주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008에 따르고
알루미늄 합금 다이케스팅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006과 동등 이상의 품
질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4.5 표지병의 몸체로 메타크릴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KS M 3152, 폴리카아보네
이트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KS M 3153에 따른다.
흰색과 노랑색을 사용하여야 한다. 표지병의 반사체 색상은
2.4.6 반사체의 색상은
노면표시 색채규칙에 따르며, 백색은 길가장자리 구역선 등 동일 방향 교통류
의 분리 및 경계에 사용하고, 황색은 중앙선 등 반대방향 교통류 분리나, 안전

11-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지대, 노상 장애물 등 제한 및 지시 등을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
2.4.7 반사체의 색도는 색도측정방법에 따라 측정 시 표 11-11, 그림 11-3의 색도좌
표 범위 이내에 들어와야 한다. 표지병 반사체의 색도 측정은 시선유도시설지
침에 따른다.

2.4.8 반사체의 반사성능은 재귀반사체의 반사성능 시 법(시선유도시설 지침 참조)
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가 표 11-12 이상이어야 한다. 재귀반사체의 색상계
수는 흰색을 1로, 노랑색을 0.6으로 한다.

표 11-11 색도좌표의 범위

색상 색도좌표의 범위
구분 1 2 3 4 5 6
흰색 x 0.310 0.453 0.500 0.500 0.440 0.301

y 0.348 0.440 0.440 0.380 0.380 0.283

노랑색 x 0.545 0.559 0.609 0.597 - -

y 0.424 0.439 0.390 0.390 - -

그림 11-3 색도좌표

11-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1-12 반사성능기준
(단위 : mcd/lx)
측광기하조건 최소 R 값(mcd/lx)
관측각 입사각 유리 플라스틱 3. 시 공
0.2° 0° - 279
0.2° ±20° 3.1 시선유도표지
- 112

0.3° ±5° 20 220


1° ±10° 10 25
2° ±15° 2 2.5
된 사안
[삭제] 시선유도표지의 제작 및 방식처리는 재료와 관련
있음
3. 시 공 이며 KS에서 반영되어

3.1 시선유도표지

3.1.1 제 작
(1)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 학 성질을 가지고 있는 렌즈에 돌출이나 톱
니모양의 자국이 없어야 하고, 반사체의 뒷면에 물이나 기타 먼지 등이 안으
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2) 합성수지로 제작 시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
다.
(3) 반사지의 경우에는 반사지를틀에 가열하거나 압력을 주어 부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반사지의 표면에 균열, 기포, 얼룩 등이 생기지 않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4)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별 유리구 의 고정상 ,슬 태 파손, 긁힘 등이 없어
야 한다.
(5) 각 제품은 조립 및 시공 후에 눈에 띄일 정도로 유해한 결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6) 철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그라인더(grinder)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야
하며 요철이 없어야 한다.
(7) 완성된 제품은 안전하게 현장까지 운반 및 하차하여야 하며, 적당한 보호재
로 포장하여 파손 및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8) 운반 도중 불량품은 다시 제작하여 납품하여야 한다.
3.1.2 방식처리

11-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강관을 지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연도금을 하고 그 위에 공장에서 마무리
도장을 하는 것으로 한다.
(2) 도장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금면에 인산염 처리 등의 바닥처리를
하여야 한다.

(3) 도료는 열경 성 아크릴 수지 도료 또는 이와 동등한 도료를 사용하며, 도 막
두께는 최소 20 ㎛ 이상이어야 한다.
(4) 피복 강관을 지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강관에 숏블라스트를 하여 접착제를 도
포하고, 유동침적법에 의해 0.5 ㎜ 정도의 염화비닐의 피복층을 만든 후, 강관 3.1.1 반사체의 색은 흰색 또는 노랑색을 적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의 운전자 위치에
에 압출하여 2.0 ㎜ 정도의 두께로 안층은 검은색, 바깥층은 하얀색의 피복층 서 볼 때 도로의 오른쪽과 같이 도로와 도로 밖의 경계를 나타내는 곳에는 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을 폴리에틸렌수지로 표면처리하여야 한다. 색의 반사체를 설치하고, 도로의 왼쪽이나 중앙분리대와 같이 반대방향의 교통 [추가] 시선유도표지를 설치할 때 색상구분 방법
(5) 지주에 사용하는 강관 및 연결장치에 사용하는 강판 등을 용융아연도금 처리 류를 분리하는 곳에는 노랑색의 반사체를 설치한다. 단, 도로의 오른쪽 경계표
Z
할 경우에는 KS D 8308 2종 HD 35에 적합하여야 한다. 볼트, 너트 등의 표 시에 주․정차 금지를 나타내는 노랑색의 노면표시를 설치하더라도 이곳에는

면처리에 관해서는 KS D 8304 2종 2 에 적합하여야 한다. 또한 나사는 도 흰색 반사체를 적용한다.
금 후 홈이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3.1.2 시선유도표지는 현지 지형을 고려하여 감독자가 확인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
3.1.3 설 치 여야 하며, 수목 등 시각적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한 후 설치
하여야 한다.
3.1.3 시선유도표지의 설치 위치는 차도 시설한계의 바 깥쪽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 [수정] (5)에 설명되어 삭제하고, 시각적 장애요인 제 거 추가
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길어깨 가장자리로 부터 2 m 이내의 범위에서 현지
지형에 따라 시인성이 양호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3.1.4 시선유도표지의 설치높이는 노면으로부터 반사체의 중심까지 900 mm 로 설치
(1) 시선유도표지는 현지 지형을 고 하여 려감독원이 확인한 정확한 위치에 설치 하여야 한다. 시선유도표지는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원활한 시선유도 효과가 있
하여야 하며, 주행시험 결과 설치각도가 불량한 것은 재설치하여야 한다. 도록 하며, 도로의 평면곡선반지름에 따른 설치간격은 표 11-3-3에 따른다. 평
면곡선부 가드레일 설치 구간의 간격은 표 11-3-4에 따른다. 직선구간의 최대
(2) 시선유도표지의 설치 위치는 차도 시설한계의 바 깥쪽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 설치 간격은 50 m 로 한다. [추가] 가드레일 설치구간에 대한 기준 추가
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길어깨 가장자리로 부터 2 m 이내의 범위에서 현지 곡선에서 직선 또는 직선에서 곡선으로 연결되는 선형변이
3.1.5 도로의 평면선형이
지형에 따라 시인성이 양호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구간에 대해서는 시선유도표지가 시각적으로 연속성 있게 보이도록 설치 간격
(3) 시선유도표지의 설치높이는 노면으로부터 반사체의 중심까지 900 ㎜로 설치 을 적정하게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세부적 기준은 시선유도시 [수정] 문장수정, 하위 기준에 대한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하여야 한다. 시선유도표지는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원활한 시선유도 효과가 설지침을 참조한다.
있도록 하며, 도로의 곡선반경에 따른 설치간격은 표 11-13에 따른다. 직선구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며, 평면곡선반지름이
3.1.6 설치각도는 자동차의
간의 최대 설치 간격은 50 m로 한다. 작은 구간 등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함으로 인하여 반사성능이 약
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주행조사를 실시하여 설치각도를 변경하여 설 [수정] 한글로 순화

11-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곡선에서 직선 또는 직선에서 곡선으로 연결되는 전이지점에 대해서는 시선 치하여야 한다.
유도표지가 시각적으로 연속성 있게 보이도록 설치 간격을 적정하게 조정하 될 염려가 없도록 바닥을 다져 연직으로 세우고, 매설할 때에도 지
3.1.7 지주가 침하
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세부적 기준은 시선유도시설지침에 따른다. 주 주위를 다져 지주가 기울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지형상 소정
깊이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매립깊이를 최소 450 mm로 하고 지주의 밑 [수정] 한글로 순화, 충분히 삭제
(5) 설치각도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며 곡선반경이 작은 부분에 십자형 앵커 등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구간 등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시 반사성능이 약할 경우에는 주행
조사를 실시하여 설치각도를 변경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6) 지주가 침하 될 염려가 없도록 바닥을 충분히 다져 연직으로 세우고, 매설 시 표 11-3-3 평면곡선부에서 반사형 시선유도표지 설치 간격

에도 지주 주위를 충분히 다져 지주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지형상


평면곡선반지름 시선유도표지 설치간격 평면곡선반지름 시선유도표지 설치간격
(m) (m) (m) (m)
소정 깊이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매립깊이를 최소 450 ㎜로 하고 지주 50 이하 5 406 ∼ 500 22.5

의 밑부분에 십자형 앵커 등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51 ∼ 80 7.5 501 ∼ 650 25


81 ∼ 125 10 651 ∼ 900 30
표 11-13 곡선부에서 반사형 시선유도표지 설치 간격 126 ∼ 180 12.5 901 ∼ 1,200 35
181 ∼ 245 1,201 ∼ 1,550
곡선반경(m) 시선유도표지 곡선반경(m) 시선유도표지 간격 246 ∼ 320
15
1,551 ∼ 1,950
40

간격(m) (m) 17.5 45


321 ∼ 405
406∼500
20 1,951 이상 50
50 이하 5 22.5

∼51 80 7.5 501∼650 25 표 11-3-4 평면곡선부 가드레일 설치구간의 시선유도표지 설치 간격


81∼125 10 651∼900 30 평면곡선반지름 시선유도표지 설치간격 평면곡선반지름 시선유도표지 설치간격
126∼180 901∼1,200
(m) (m) (m) (m) 신
[ 설] 국도변 가드레일구간에 시선유도표지를 설치할 때 가드
406 ∼ 500
12.5 35

181∼245 15 1,201∼1,550 40
50 이하
51 ∼ 80
4
8 501 ∼ 650
20
24
레일 지주 위에 설치하도록 규정 신설
246∼320 17.5 1,551∼1,950 45 81 ∼ 125 8 651 ∼ 900 28
126 ∼ 180 901 ∼ 1,200
321∼405
12 32
20 1,951 이상 50
181 ∼ 245 12 1,201 ∼ 1,550 40
246 ∼ 320 16 1,551 ∼ 1,950 44
321 ∼ 405 20 1,951 이상 48

3.2 시선유도봉

발생의 위험이 높은 곳으로서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3.2.1 시선유도봉은 교통사고 [추가] 시선유도봉 설치방법 및 시공방법 추가
요구되는 장소에 동일 및 반대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위험구간 [자문] 오자 수정
예고 목적으로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한다.

11-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2 시선유도봉의 몸체 색상은 주황색을 사용하며, 반사체의 색상은 설치위치의 노
면표시와 동일한 색상으로 하여야 한다. 몸체 색상을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다
3.2 태양열 시선유도기

3.2.1 발광체의 크기 른 색상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여야 한


(1) 지속점등형 : 100 200 ㎜ 다.


(2) 원점형 : 100 200 ㎜ 앙
3.2.3 시선유도봉은 중 분리대의 분리대 및 안전지대 내에 도로 횡단상으로 차로
3.2.2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의 방식처리는 소부도장을 하여야 한다. 밖의 측대 폭만큼 차선과 이격하여 설치한다.
3.2.3 강재의 방식처리는 성형후 용융아연도금을 하여야 하며, KS D 8308 2종 3.2.4 시선유도봉의 설치간격 및 설치방법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을 참조

HDZ35(최소350 g/㎡)에 따른다. 한다.

3.2.4 볼트, 너트 등의 아연도금은 KS D 8304 2종 2급에 적합하여야 한다. 3.2.5 시선유도봉은 도로면에 접착제 또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앵
3.2.5 기타 방식처리에 대해서는 이 시방서 11-6절 3.2에 따른다. 커볼트는 차량진행방향에 앵커볼트 2개 면을 배치하여 앵커 빠짐을 줄일 수
3.2.6 응달진 곳, 나무 그늘, 터널 내부 또는 적설 시 눈으로 매몰되는 장소에는 태 있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앵커볼트만으로 충분히 고정되지 않을 경우 접착제와
양열 시선유도기를 설치해서는 안 된다. 함께 사용한다.

3.2.7 태양열 시선유도기의 발광색상은 황색으로 하며, 특별한 경고가 필요한 경우


에는 적색을 사용할 수 있다.
3.2.8 태양열 시선유도기 설치는 현지 지형을 고려하여 감독원이 확인한 정확한 위치
에 설치하여야 하며, 주행시험결과 설치각도가 불량한 곳은 재설치하여야 한다.
3.3 갈매기표지

3.2.9 지속점등형 태양열 시선유도기의 설치 간격 및 시공은 이 절 3.1.3에 따른다. 3.3.1 갈매기표지는 도로의 선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간, 공사구간 또는 사고 많
3.2.10 설치위치에서 응달진 곳, 나무 그늘, 터널 내부 또는 적설 시 눈으로 매몰되 은 지점 등과 같은 곳에서 운전자에게 도로의 굽어진 상황에 관한 사전 정보
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제공이 필요한 구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3.3.2 갈매기표지의 설치 위치는 차도 시설한계의 바깥쪽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하 [자문] 내용 보충
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길어깨 가장자리로부터 2 m 이내에서 현지 지형에 따라
3.3 갈매기 표지

3.3.1 갈매기 표지는 도로의 선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간, 공사구간 또는 사고 시인성이 양호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많은 지점 등과 같이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황에 관한 사전 정보제공이 필요한 3.3.3 갈매기표지의 설치높이는 노면으로부터 표지판 하단까지의 높이를 1.2 m로 하

구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여 설치하여야 하며, 주위 환경에 따라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

3.3.2 갈매기 표지의 설치 위치는 차도 시설한계의 바깥쪽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하 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수정] mm단위를 m단위로 수정

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길어깨 가장자리로부터 2 m 이내에서 현지 지형에 따 3.3.4 갈매기표지는 평면곡선구간에서 연속으로 설치하여 시선유도 효과가 있어야
라 시인성이 양호한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하며, 적용구간과 도로의 평면곡선반지름에 따른 설치간격은 표 11-3-5 · 표

3.3.3 갈매기 표지의 설치높이는 노면으로부터 표지판 하단까지의 높이를 1200 ㎜로 11-3-6에 따른다. 방호울타리에 갈매기표지를 설치할 경우에는 설치간격 기준

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주위 환경에 따라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독원과 과 가장 근접한 곳의 지주의 상단에 설치한다.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3.3.5 연결로에서 갈매기표지는 시점에서부터 4개만 곡선반지름별 설치간격에 따라 [자문] 문장 추가

3.3.4 갈매기표지는 곡선구간에서 연속으로 설치하여 시선유도 효과가 있어야 하며, 설치하여야 한다.
3.3.6 표지판의 설치각도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11-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적용구간과 도로의 곡선반경에 따른 설치간격은 표 11-14, 표 11-15에 따른다. 표지의 시인성이 양호하도록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고 [수정] 용어 수정
려하여 설치각도를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3.3.7 표지판의 설치는 지주에 단단히 고정하여 설치 후 바람 등 외압으로 인하여
3.3.5 연결로에서 갈매기표지는 시점에서부터 4개만 곡선반경별 설치간격에 따라 설 설치각도가 변화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치하여야 한다. 3.3.8 지주를 설치할 경우는 이 절 3.1.3 (6)에 따른다.
3.3.6 표지판의 설치각도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표지의 시인성이 양호하도록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고
려하여 설치각도를 감독원과 협의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표 11-3-5 평면곡선부의 최소곡선반지름과 갈매기표지 적용구간의 곡선반지름

3.3.7 표지판의 설치는 지주에 단단히 고정하여 설치 후 바람 등 외압으로 인하여


설계속도(km/시) 최소곡선반지름(m) 갈매기표지 적용 구간 곡선반지름(m)
120 710 770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10 600 650

3.3.8 지주를 설치할 경우는 이 절 3.1.3 (6)에 따른다. 100 460 550
[수정] 용어 수정
90 380 420
표 11-14 곡선부의 최소곡선반경과 갈매기표지 적용 구간의 곡선반경 80 280 340
설계속도(㎞/시) 최소곡선반경(m) 갈매기표지 적용 곡선반경(m) 70 200 250
60 140 180
120 710 770
50 90 120
110 600 650
40 60 80
100 460 550
30 30 45
90 380 420
80 280 340
표 11-3-6 평면곡선부의 갈매기표지 설치 간격
70 200 250
60 140 180 평면곡선반지름 (m) 설치간격 (m) 평면곡선반지름 (m) 설치간격 (m)
246 ∼ 320
50 90 120
50 이하 8 25
40 60 80
51 ∼ 80 12 321 ∼ 405 30 [수정] 용어 수정
81 ∼ 125 406 ∼ 500
30 30 45
15 35
126 ∼ 180 20 501 ∼ 650 38
181 ∼ 245 22 651 ∼ 900 45
표 11-15 곡선부에서 갈매기표지의 설치 간격

곡선반경(m) 설치간격(m) 곡선반경(m) 설치간격(m)


50 이하 8 246∼320 25

51 80 12 321∼405 30
81∼125 15 406∼500 35 3.4 표지병
126∼180 501∼650
노면표시 색채규칙에 따르며, 백색 · 황색을 적용한다. 백색은
20 38
181∼245 22 651∼900 45 3.4.1 반사체의 색상은
진출 · 진입 연결로 고어부 등 동일방향 교통류의 분리 및 경계에 사용하고, 황
색은 중앙선 등 반대 방향 교통류 분리 · 안전지대 · 노상 장애물 등 제한 및 지
시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병
[추가] 표지 을 설치할 때 색상구분 방법

11-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2 앵커형 표지병
3.4 표지병 (1) 설계도서에 명시 된 설치간격을 노면에 표시하고, 천공기로 표지병의 앵커길이
보다 10 mm 정도 더 깊게 구멍을 뚫는다.
(2) 표지병이 접착될 노면은 먼지나 기름 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3) 접착제는 천공된 구멍의 주위 아스팔트 높이만큼 주입한다. [수정] 쐐기 ⇒ 앵커
(4) 표지병의 앵커부분을 삽입하고 표지병 몸체 상부부터 진동기를 통하여 진동

3.4.1 앵커형 표지병 을 준다. 진동을 줌에 따라 앵커 주변과 표지병 안쪽에 접착제가 고루고루 퍼

(1) 설계도서에 명시 된 설치간격을 노면에 표시하고 천공기로 표지병의 쐐기길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북돋운다 ⇒ 주입한다
보다 10 ㎜ 정도 더 깊게 구멍을 뚫는다. (5) 표지병 시공한 후에는 표지병 밖으로 흘러나온 접착제를 제거해 내고 청소를

(2) 표지병이 접착될 노면은 먼지나 기름 따위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히 ⇒ 고루고루
(3) 접착제를 구멍에 부어, 주위 아스팔트 높이만큼 북돋운다. 만
3.4.3 접착제 을 사용한 표지병
(4) 표지병의 쐐기부분을 삽입하고 표지병 몸체 상부부터 진동기를 통해 진동을 (1) 표지병을 설치할 노면은 먼지나 기름 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준다. 진동에 따라 앵커 주변과 표지병 안쪽에 접착제가 충분히 퍼질 수 있 (2) 접착제는 청소가 완료된 노면과 표지병의 바닥에 고르게 바른다. 이때 접착제

도록 하여야 한다. 의 양은 표지병을 노면에 눌러 붙였을 때 접착제가 표지병의 가장자리로 밀

(5) 표지 병 시공 후 표지병 밖으로 밀려나온 접착제는 굳기 전에 제거하여야 한 려나올 정도로 바르고 밀려나온 접착제는 굳기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다. (3) 접착제의 강도는 포장체의 전단력과 동일하여야 한다. 실제 생산되는 에폭시


3.4.2 접착제 을 사용한 표지병 수지의 물리적인 강도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보다 일반적

(1) 표지병을 설치할 노면은 먼지나 기름 따위의 불순물을 깨끗이 제거하여야 한다. 으로 크다.

(2) 접착제는 청소가 완료된 노면과 표지병의 바닥에 고르게 바른다. 이 때 접착 폭


(4) 에 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에는 표지 의 병 노출면으로부터 접착제 “ ”
[수정] 이상적 의 의미 불분명, 문구 수정

제의 양은 표지병을 노면에 눌러 붙였을 때 접착제가 표지병의 가장자리로 거 랄


를 제 하기 위하여 미네 수를 묻힌 천조각이나 등유를 사용하여야 하며, 다
밀려나올 정도로 바르고 밀려나온 접착제는 굳기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른 용제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3) 접착제의 강도는 포장체의 전단력과 동일한 것이 이상적이며, 실제 생산되는 (5) 역청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90 ℃ ~ 218 ℃ 의 온도조절장치에 의하여
애폭시 수지의 물리적인 강도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아스팔트 콘크리트 보다 조정되는 용해장치로부터 추출하고 저어 주어야 한다. 역청접착제는 표지병의

일반적으로 크다. 밑부분보다 약간 큰 덩어리로 만들어 가능한 한 빨리 표지병의 하단에 떨어



(4) 에 시수지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에는 표지 의 병 노출면으로부터 접착제 뜨리며, 접착제 설치 후 5초 이내에 접착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볍게 압력을 [수정] 단위표기 방법 수정, 충분히 삭제

를 제 하기 위하여 미네 수를랄 묻힌 천조각이나 등유를 사용하여야 하며, 주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다른 용제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6) 표지병은 완전히 부착되어 굳을 때까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하며, 표지

(5) 역청접착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90∼218 ℃의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조정되 병의 돌출된 부분은 20 mm 이하가 되어야 하며, 기타 규격 및 형상·설치기준
는 용해장치로부터 추출하고 충분히 저어 주어야 한다. 역청접착재는 표지병 등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시선유도시설 편(국토교통부) 및 교통

의 밑부분보다 약간 큰 덩어리로 만들어 가능한 빨리 표지병의 하단에 떨어 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을 참조한다.
뜨리며, 접착제 설치 후 5초 이내에 시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볍게 압력을

11-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주어 정 한 위치에 고정시 켜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하위 기준에 대한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6) 표지병은 완전히 부착되어 굳을 때까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하며, 표지
병의 돌출된 부분은 20 ㎜ 이하가 되어야 하며, 기타 규격 및 형상, 설치기준
등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시선유도시설편(국토해양부) 및 교통
노면표시설치관리 매뉴얼(경찰청)에 준한다.
11-6 방호울타리 11-4 차량방호안전시설 울
[수정] 방호 타리, 충격흡수시설 등을 통합
11-4-1 노측용 방호울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가드 레일, 가드 케이블, 가드 파이프, 박스형 보, 콘크리트 벽형 강 이 시방은 연성 방호 울타리(가드레일, 가드 케이블, 가드 파이프, 박스형 울
[수정] 가드레일 등을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용어 수정


성 방호 타리 등의 재료와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보 등), 콘크리트 강성 방호울타리의 공사에 적용한다.

1.2 시공 일반사항 1.2 시공 일반사항

1.2.1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라 시행하며, 공사 중 여건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계획 (1)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 라 시행하며, 공사 중 여건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번호체계 수정

도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은 후 이에 따라 엄밀히 시공하여야 한다. 획도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1.2.2 새로운 방호울타리 형상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것 (2) 새로운 방호울타리 형식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것
[수정] 용어 및 문구 수정

으로,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으로서,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KS 용어 변경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6각 볼트
[수정] KS 용어 변경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012 6각 너트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6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3506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수정] 용어 수정
KS D 3514 와이어 로우 프 KS D 3514 와이어 로 프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11-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 방호 안전시설 편 -,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 량방호 안전시설 편(국토교통부) [삭제] 과 거 기준으로 위의 차량방호안전시설 편으로 통합됨
(참고)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방호울타리편 -, 국토해양부
(참고)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중앙분리대 편 -, 국토해양부

2. 재료 2. 재료
2.1 가드 레일 2.1 연성 방호울타리

[수정] 연성 방호 타리는 각 제품의 설계도 및 시방서대로 시

2.1.1 보의 재 은 원칙적으로 KS D 3503 SS40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한 울
2.1.1 연성 방호 타리는 실 차 물 량충돌시험에 합격한 각 제품별 표준설계도와 시방 공
다. 이음부의 길이는 340 ㎜ 이상으로 하고, 이음부는 이음용 구멍을 뚫어야 한다. 서대로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사 수정, 자구 수정, 재료는 삭제
2.1.2 원형 지주인 경우 KS D 3566에 적합하고 SPS400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빔 2.1.2 해당 제품의 도면에서 제시한 재질을 사용하는지를 점검한다. 울 질
[수정] 연성 방호 타리의 품 은 해 당 제품의 설계도에 따른다.
형 지주의 재질은 KS D 3503 SS400 이상이어야 하며,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삭제 - 제품의 품질관리는
허용차는 표준도 및 KS D 3502 중 I형강에 맞아야 한다.
2.1.3 연결쇠의 재질은 2.1.1항에 준한다. [삭제]
2.1.4 볼트, 너트의 재질 및 그 치수는 KS B 1002 및 KS B 1012에 따르며, 기타 부
속품의 재질은 KS D 3503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연결쇠 붙임 볼트는 M20 [삭제]
으로 하고, 보 이음용 및 보 붙임용 볼트는 M16으로 한다. 2.1.3 제품의검사는 다음 항목에 규정된 바에 따라 수행한다.
2.1.5 품질관리 (1) 제품의 검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외관검사, 치수검사 및 부착량
(1) 제품의 검사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외관검사, 치수검사 및 부착량 시험으로 구분한다.
시험으로 구분한다. (2) 외관검사는 제품 모두에 대하여 실시하되, 도금되지 않은 곳· 흠· 변색 등 외
(2) 외관검사는 제품 모두에 대하여 실시하되, 도금되지 않은 곳, 흠, 변색 등 외 관상 결함 유무를 공장에서 검사한다. [수정] 동격의 내용 가운데 점 사용, 결격(필요한 자격을 갖추
관상 결격 유무를 공장에서 검사한다. (3) 치수검사는 방호울타리 200 m 분마다 또는 그 단수(端數)마다 1회를 공장에 고 있지 못함) ⇒ 결함
(3) 치수검사는 방호울타리 200m 분마다 또는 그 단수(端數)마다 1회를 공장에 서 검사하며, 그 허용오차는 설계도서와 재료 규정에 제시된 값의 범위로 한
서 검사하며, 그 허용오차는 표 11-16, 표 11-17의 값 범위로 한다. 제품의 포 다. 오
[수정] 허용 차 등은 각 제품의 설계도서와 재료 규정에 따른
장, 운반 중에 일어나는 형상, 치수의 변화는 방지하여야 하며, 시공 시 이를 · ·화
(4) 제품의 포장 운반 중에 일어나는 형상 치수의 변 는 방지하여야 하며, 시 다.
바로 잡아야 한다. 또한 도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미관 공할 때 이를 바로 잡아야 한다. 또한 도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
상 유해한 결점이 있는 것을 가려내어 교환하여야 한다. 야 하며, 미관상 유해한 결함이 있는 것을 가려내어 교체하여야 한다.
(4) 제품의 시험 (5) 아연 부착량 시험은 일반적으로 전자식 막 두께를 써서 비파괴의 방식으로

11-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 아연 부착 량 시험은 일반적으로 전자식 막 두께를 써서 비파괴의 방식 험
시 하여야 하며, 특히 필요한 경우는 KS D 0201을 준용한다. 그러나 빔, 지
으로 시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특히 필요한 경우는 KS D 0201을 주, 볼트, 너트 및 가드 케이블의 와이어 로프는 KS D 0201의 염화안티몬법 내
[수정] 용을 분할, 결격, 결점 ⇒ 결함, 교환 ⇒ 교체
준용한다. 그러나 빔, 지주, 볼트, 너트 및 가드 케이블의 와이어 로프는 에 따라야 한다.
KS D 0201의 염화안티몬법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6) 막 두께에 의한 시험부재는 방호울타리의 연장 500 m 분 또는 그 단수마다,
나. 막 두께에 의한 시험부재는 방호울타리의 연장 500 m분 또는 그 단수마 염화안티몬법에 의한 시험부재는 300 m 분마다 1회를 시험하여야 하며, 보의
다, 염화안티몬법에 의한 시험부재는 300본 마다 1회를 시험하여야 하 경우 한 단면에 대하여 표면(表面) 6개소, 지주에 대하여는 표면 3개소를 측 “ ”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며, 레일의 경우 한 단면에 대하여 표면(表面) 6개소, 지주에 대하여는 정하여야 한다.
표면 3개를 측정하여야 한다. 질 험 · 복
(7) 재 시 이 필요한 경우 인장 항 강도, 연 신율, 굴곡시험 등을 실시할 수 있
다. 재질 시험은 인장, 항복강도, 연신율, 굴곡시험 등을 실시한다. 다.

표 11-16 레일의 허용오차


질 험
[수정] 필요한 경우에 재 시 을 수행
항 목 허용오차
레일의 폭 ±2 ㎜
레일의 길이 ±5 ㎜
레일의 단면적 -5 % 이내
솟음(평면도상) 1 ㎜(1m에 대하여)
굽음(입면도상) 1 ㎜(1m에 대하여)

표 11-17 가드 레일 원형 지주의 허용오차

항 목 허용오차
폭 ±3 ㎜
길이 ±40 ㎜
두께 ±10 %
솟음(전 방향) 2 ㎜(1 m 당)

2.2 가드 케이블

2.2.1 케이블은 원칙적으로 KS D 3514의 규정에 의한다.


2.2.2 지주(단부 지주 포함. 이하 지주라 칭함) 및 연결쇠는 가드 레일의 관련 항에

[삭제]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적용

준한다.
2.2.3 케이블과 소킷은 조정 나사에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 케이블 1개당 파단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갖는 것이어야 한다.
2.2.4 조정 나사의 재질은 2.1.1항에 준하고, 그 강도는 케이블의 파단 강도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11-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5 볼트, 너트의 재질 및 치수는 2.1.4항에 준한다. 연결쇠 붙임 볼트는 M12로 하
고, 케이블 붙임용 볼트는 M10으로 한다.
2.2.6 품질관리
(1) 가드 케이블의 허용오차는 표 11-18의 값 범위로 한다.

표 11-18 케이블의 허용오차

소선의 직경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


2.24∼3.75㎜
나 선 0.08 ㎜
도금선 0.12 ㎜

(2) 가드 케이블 지주의 허용오차는 표 11-19의 값 범위로 한다.


표 11-19 가드 케이블 지주의 허용오차

항 목 허용오차
길 이 ±10 ㎜
두 께 ±10 %
솟음(전방향) 2 ㎜(1 m 당)

2.3 가드 파이프

2.3.1 파이프의 재질은 KS D 3566에 적합하고 SPS400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3.2 지주의 재질은 2.3.1항에 준한다. 울
[삭제]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적용

2.3.3 연결쇠의 재질은 KS D 3503에 적합하고 SS400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3.4 이음의 재질은 2.3.1과 2.3.3에 준한다.
2.3.5 볼트, 너트의 재질은 2.1.4에 준한다.
2.3.6 가드 파이프의 제품의 검사 및 허용오차는 2.1.5에 준한다.

2.4 박스형 보

질 R
2.4.1 보의 재 은 KS D 3568 SPS 40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4.2 지주의 재질은 KS D 3503 SS400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울
[삭제]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적용

2.4.3 패들 및 이음과 볼트 및 너트에 관해서는 2.1 가드 레일의 관련 항에 준한다.


패들 붙임용 볼트는 M16으로 하고, 이음 볼트는 M20으로 한다.
2.4.4 품질관리

11-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박스형 보의 허용오차는 표 11-20과 같다.
(2) 기타 사항은 2.1.5에 준한다.

표 11-20 박스형 보의 허용오차

부 재 항 목 허용오차
변의 길이 ±1.5 %
두 께 ±10 %
보 길 이 ±5.0 ㎜
솟음(평면도 상) 0.3 % 이하
굽음(평면도 상) 0.3 % 이하

두 께 ±0.7 ㎜
이 음
폭 ±1.0 ㎜
길 이 ±10 ㎜
높 이 ±3.0 ㎜
지 주
두 께 t ± 1.5 ㎜, t ± 1.0 ㎜
솟음(전 방향) 0.2 % 이하
1 2

패 길 이 ±2.0 ㎜

폭 ±2.0 ㎜

2.5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2.5.1 본체는 무근 콘크리트로 하고, 골재의 최대 크기는 19 ㎜로 하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 ㎫(240 ㎏f/㎠) 이상으로 한다.
2.5.2 사용 재료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등의 관계 규정에 부합하여야 한다.

2.5.3 품 관리
벽 철 직선자로 점검한다.
(1) 방호 의 상단부의 요 은 3m
(2) 점검은 방호벽의 중심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장에 걸쳐 실시하여야 하며, 직 2.2 콘크리트 강성 방호울타리
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실시한다. 직선자로 측정해서 6 ㎜ 이상 요철이 발생
한 부분은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요철이 6 ㎜ 이하가 되도록 장
2.2.1 본체는 무근 콘크리트로 하고, 골재의 최대 크기는 19 mm로 하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 MPa 이상으로 한다. [수정] 벽형 강성방호울타리 -> 강성 방호울타리
비를 재정비하여야 한다. 2.2.2 사용 재료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등의 관련 규정에 부합하여야 한다.

3. 시공 울
2.2.3 강성 방호 타리의 상단부의 요 은 3 m 철
직선자로 점검한다. [수정] 번호 조정, 단위표기 병기 삭제
2.2.4 점검은 강성 방호울타리의 중심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실시하

3.1 시공일반 여야 하며,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실시한다. 직선자로 측정해서 6 mm 이상 [수정] 방호벽 ⇒ 강성 방호울타리
요철이 발생한 부분은 제거하고 재시공하여야 한다. 또한 요철이 6 mm 미만 [수정] 한글로 순화

3.1.1 방호 타리는 각 제품별 표준 설계도와 공사 시방서대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은
이 되도록 장비를 재정비하여야 한다.
물론이고, 본래의 방호울타리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성능시험 성적서 [수정] 용어 수정

11-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와 첨부도면 등을 참고하여 주의를 기울여 안전하고 확실하게 시행하여야 한다.
3.1.2 공용중인 도로에서 시공할 때는 보행자 등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3. 시공
3.1.3 구조의 형식 또는 재료를 설계도서의 내용과는 다른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
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조해석 및 충돌시험 등을 통해 형상 및 규격,
3.1 시공일반

재료 등을 결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3.1.1 방호울타리는 각 제품별 표준 설계도와 공사시방서대로 시공하여야 하는 것은

3.1.4 원형 지주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물론이고, 본래의 방호울타리 기능을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성능시험 성
특히, 지주 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캡과 지주의 연결부위가 완전히 밀 적서와 첨부도면 등을 참고하여 주의를 기울여 안전하고 확실하게 시행하여야

폐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다. [수정] 충분히 ⇒ 적합하게


3.1.5 방식처리는 다음의 사항에 따른다. 3.1.2 공용 중인 도로에서 시공할 때는 보행자 등의 안전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1) 일반사항 3.1.3 실물차량충돌시험 조건과 다른 현장조건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할 경우는 컴퓨

① 아연 도금은 사전에 모든 재료 표면의 녹, 먼지, 불순물 등을 완전히 제거한 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수정] 2014년 도로안전시설 지침 개정 사항 (설계도서와 다른
후 시행하여야 한다. 변경이 필요한 경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
② 도금은 전 제품에 대하여 균일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광택에 심한 차이가 3.1.4 원형 지주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캡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중심위 - 문구 수정
있어서는 안 된다. 특히, 지주 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캡과 지주의 연결부위가 완전히 밀폐
③ 제품의 일부가 도금되지 않았을 때는, 도금 부분을 재 도금하여야 한다. 되도록 하여야 한다.

④ 제품의 조립 및 시공 후에 결함이 있어서는 안 되며, 손상되지 않도록 취급 3.1.5 쌓기 구간의 경사시작점(B.P : Break Point) 부근에 설치하는 연성 방호울타
한다. 리는 지주의 수평지지력(현장지지력)을 측정하여야 하며, 그 값이 실물충돌시

⑤ 모든 제품은 성형 가공 후 아연 도금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험장에서 확인된 수평지지력(시험장지지력)의 90 % 이상이어야 한다. 현장지 울
[추가] 방호 타리를 성토부에 설치할 경우 지주의 수평지지력
경우 공장에서 마무리 도장을 하는 것으로 한다. 지력이 시험장지지력의 90 % 이상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지주의 매입깊이 증 측정의무화
(2) 도장 마무리에 의한 경우 대나 기타 보강시설 추가 등의 보강방안을 검토하여 현장지지력을 보강하여야

① 보, 파이프, 연결쇠 및 패들 한다.

가. 보, 파이프, 연결쇠 및 패들은 용융 아연 도금법에 의한 아연 도금을 하 3.1.6 쌓기 구간의 지주의 수평지지력 시험은 유압실린더 등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고 그 위에 공장에서 마무리 도장을 한다. 이 경우 도장의 밀착성을 좋 높이 650 mm에서 횡방향으로 밀어 하중-변위관계를 측정하며, 변위가 350
게 하기 위하여 도금 면에 인산염 처리 등의 바닥 처리를 한다. mm일 때의 하중을 지주의 수평지지력으로 본다. 설치현장은 최소 1개소 이상 [추가] 지주 수평지지력 측정방법 추가
나. 아연의 부착량은 KS D 3506 SGH400에 규정된 부착량 값이 381g/㎡ 이 (1 km마다 2개소) 실시한다.

상이 되도록 한다. 3.1.7 연성 방호울타리의 단부가 발생할 경우 실물충돌시험에 합격한 단부처리시설

다. 사용 도료는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도료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인 도료로 을 설치한다. 해당제품이 없는 경우,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을 참고한

하고 도막 두께는 최소 20㎛로 한다. 다. 울


[추가] 연성 방호 타리 단부처리 기준 추가,
라. 용융 아연 도금의 완전 한 처리를 위해 KS D 9521에 명시된 도금 전 3.1.8 연성 방호울타리와 콘크리트 강성 방호울타리가 연결되는 전이구간은 실물충 [수정] 중심위 - 문구 수정
처리 작업을 행하여야 한다. 돌시험에 합격한 제품으로 전이구간처리를 하여야 한다. 해당 제품이 없을 때
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참고자료(전이구간)을 적용할 수 있다.

11-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지주 3.1.9 곡선반지름이 200 m보다 작은 구간의 방호울타리는 직선구간에 비해 충돌각도 [추가] 전이구간 처리기준 추가
가. 지주의 매입 부분은 토질이 환원성 또는 산화성이 강하여 부식을 유발 가 커질 수 있으므로 충격력을 검토하여 등급을 상향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할 수 있으므로 매입부 내·외면 모두 아연 도금을 하고 그 위에 기름
와니스를 사용하여 도장한다.
③ 볼트, 너트, 케이블 단부 부속물 및 이음
가. 볼트, 너트, 케이블 단부 부속물 및 박스형 보의 이음은 가)항에 따라 [삭제] 방식처리는 재료에서 언급함
용융 아연 도금을 한다.
나. 이상의 규정 외의 케이블 소선에 대하여는 아연 도금을 하며, 부착량은
KS D 3514(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220 g/㎡ 이상으로 한다.
다. 보통 케이블의 도장은 하지 않으나, 특별히 시선 유도가 필요한 구간 또
는 부식될 위험이 있다고 인정되는 구간에서는 도장을 할 때도 있다.
라. 보도용 횡단 방호 울타리의 경우 형상에 따라 용융 아연 도금이 부적합
한 것은 전기 아연 도금법을 채택하여도 좋다. 전기 아연 도금법의 경우
도금 두께는 8 ㎛ 이상으로 한다.
(3) 아연 도금만 하는 경우
① 아연 도금만 하고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보, 연결쇠, 패들, 지주 및 기타의
부재(케이블은 제외)는 성형 가공 후 용융 아연 도금을 한다.
② 아연 부착량은 보, 연결쇠, 패들 및 지주의 경우 KS D 8308의 종류 HDZ
55로 부착량 550 g/㎡ 이상으로 한다. 다른 부재(케이블 제외)의 경우는 종
류 HDZ35로 부착량 350 g/㎡ 이상으로 한다. 케이블의 아연도금 부착량도
KS D 3514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300 g/㎡ 이상으로 한다.
③ 그러나 KS D 8308로 하면 두께 3.2 ㎜ 미만의 소재에서는 편면 550 g/㎡ 이
상 도장하는 것은 부적합한 점이 있으므로 부재의 판 두께가 3.0 ㎜ 미만인
경우는 도장 다듬으로 마무리한다.

3.2 가드 레일

3.2.1 제작
태 길이 및 단면은 설계도서에 맞아야 하며, 이에 일치하도록
(1) 보의 형 , 무게,
구멍이 뚫어져 있어야 한다.

11-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모 든 제품은 소정의 치수에 맞아야 하며, 휘어지거나 요철이 있어서는 안 된다.
(3) 모든 부재는 완성품에다 이음이나, 천공, 용접을 해서는 안 된다.
(4) 절단, 천공, 프레스 작업 중 재료에 굴곡 균열 등이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3.2 연성 방호울타리

(5) 천공은 정확한 위치에 뚫어야 하며, 허용 오차는 0.5 ㎜ 이내 이어야 한다. 3.2.1 제작
(6) 자재는 가공 시 용접, 가열 등으로 인하여 기계적 성질이 변해서는 안 되며, 태
(1) 보의 형 , 무게, 길이 및 단면은 설계도서에 맞아야 하며, 이에 일치하도록 울
[수정]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거친 면이 없이 깨끗이 다듬질되어야 한다. 구멍이 뚫어져 있어야 한다.
3.2.2 방호울타리의 색채는 다음 각 항에 규정한 것으로 한다. (2) 모든 제품은 소정의 치수에 맞아야 하며, 휘어지거나 요철이 있어서는 안 된다.
(1) 강재를 사용한 방호울타리의 색채는 하얀색을 원칙으로 하나, 아연 도금된 (3) 모든 부재는 완성품에다 이음, 천공, 용접을 하여서는 안 된다.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4) 절단, 천공, 프레스 작업 중 재료에 굴곡, 균열 등이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2) 보도용 방호울타리의 색채는 경관의 조화를 고려하여 자유로이 할 수 있으 (5) 구멍은 정확한 위치에 뚫어야 하며, 허용 오차는 0.5 mm 이내이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나, 안전상 운전자의 야간 식별이 뚜렷하도록 명도가 높은 색채를 사용한다. (6) 자재는 가공할 때 용접 · 가열 등으로 인하여 기계적 성질이 변해서는 안 되
며, 거친 면이 없이 깨끗이 다듬질되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천공 ⇒ 구멍
3.2.3 지주 설치 3.2.2 방호울타리의 색채는 다음 각 항에 규정한 것으로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1)흙 속에 설치하는 경우 (1) 방호울타리의 색채는 시선유도 효과를 감안하여 흰색 또는 회색으로 하되 아
① 방호울타리의 지주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한다. 연 도금된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경관을 고려할 경우에는 주변과 조화되
② 지주의 설치 구멍을 파고 되메우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설계도에 표시 는 색채를 사용할 수 있다. [수정] 색채는 흰색 또는 회색
된 위치에 구멍을 파고 지주가 침하하지 않도록 설치 구멍의 저부를 충분히 울 화 려
(2) 보도용 방호 타리의 색채는 경관의 조 를 고 하여 자유로이 할 수 있으나, [자문] 문장 추가
다지고 지주를 설치하여 토사로 되메운다. 이 때 되메우기 한 층의 두께는 운전자의 시각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현란한 색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100 ㎜를 넘어서는 안 되며, 다짐은 KS F 2312(흙의 다짐 시험 방법)에 의


해 건조 밀도의 95 %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흙 속에 설치하는 경우
3.2.3 지주를 [수정] 문장 수정
③ 오거(auger) 등을 사용하여 반 정도 굴착하고 그 후 타입하거나, 처음부터 (1) 방호울타리의 지주는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한다.

타입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망치 또는 바이브로 파일 해머(vibro pile (2) 지주의 설치 구멍을 파고 되메우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설계도에 표시된 후
[수정] 전 와 동일하게 구성체계(제목) 수정
hammer) 등으로 설계도에 의하여 타입하며, 이 때 지주 머리가 손상하지 위치에 구멍을 파고, 지주가 침하되지 않도록 설치 구멍의 저부를 다지고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주를 설치한 후 토사로 되메운다. 이 때 되메우기 한 층의 두께는 100 mm를

④ 지주를 흙속에 매입할 때는 지하 매설물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넘어서는 안 되며, 다짐은 KS F 2312(흙의 다짐 시험 방법)에 의하여 건조밀 [수정] 자구 수정, 충분히 삭제
(2) 콘크리트 중에 설치하는 경우 도의 95 %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① 교량, 옹벽, 암거 등 콘크리트 중의 설치 구멍은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전 (3) 오거(auger) 등을 사용하여 설치깊이의 반 정도 굴착한 후 타입하거나 처음부
에 거푸집을 설계도에 표시한 위치에 배치하여 둔다. 터 타입하는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망치 또는 바이브로 파일 해머(vibro
② 지주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할 때 설치 구멍은 가설 및 보수 작업이 쉽 pile hammer) 등으로 설계도에 표시된 깊이까지 타입하며, 이때 지주 머리가 확 달
[수정] 명 한 의미전 위해 문구 등 수정
도록 지주 지름 보다 60 ㎜ 정도 크게 한다.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③ 구멍 주위의 보강 철근은 구조물이 철근 콘크리트일 경우 꼭 필요하지는 않 (4) 지주를 흙속에 매입할 때는 지하 매설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3.2.4 지주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경우

11-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물 당 부분이 무근 콘크리트 또는 무근에 가까운 상태일 때
지 , 구조 의 해 (1) 콘크리트 구조 에 설치물 될 방호울타리를 선정하고, 성능시험 성적서와 첨부도
는 보강 철근을 설치하여야 한다. 면 등에 따 라 시공하여야 한다. 충분히 삭제
[수정]
④ 설치 구멍 주위에는 보강 철근을 배치하고 그림 11-4와 같이 아래 부분에 (2) 앵커볼트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지주 설치용 거푸집을 설계도에 표시한 위치 [삭제] 기존의 내용은 실물충돌시험에 합격한 제품이 없어 삭제
아스팔트를 뿌리고 주위를 모래로 채운 후 그 위 부분에 다시 아스팔트를 에 설치하여야 한다. 하고, 실물충돌시험에 합격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
뿌리고, 충진재(sealant)를 추가로 채워 완전한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앵커볼트가 옴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때 앵커 는 제품을 선정하고 시공토록 수정 [자문] 약어 수정
볼트의 나사부분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도록 비닐 테이프 등으로 처리하고 양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구 수정

충진재
생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교량·옹벽·암거 등 콘크리트 구조물

아스팔트
(4) 구조물이 무근 콘크리트일 경우에는 접착제로 고정하는 앵커볼트 방식의 제 에 설치하는” 삭제
품을 선정하고 성능시험 성적서와 첨부도면 등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다진 모래

(5) 실물차량충돌시험 조건과 다른 현장조건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할 경우는 컴퓨


터 충돌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시공한
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용어 수정

그림 11-4 지주의 설치(콘크리트 중에 설치하는 경우) 3.2.5 원형 지주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지주 안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⑤ 교량의 연석부에서 소정 매입 깊이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충돌 시 지 캡과 지주의 연결부위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여야 한다.
주가 빠져나가거나 연석이 파괴되지 않도록 방호울타리의 종별 및 연석의
조건에 따라 매입부의 설계를 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시공한다.
3.2.4 연결쇠는 설계도에 따라 지주에 연결쇠용 볼트로 붙인다.
3.2.5 곡선반경이 작은 구간에서의 설치는, 미리 곡선으로 제작된 보를 사용하여야
한다.
붙임은 그림 11-5와 같은 겹침이 되도록 엄밀히 시공하고, 볼트, 너트로
3.2.6 보의
충분히 조여 붙인다. 보의 높이는 설계된 높이의 +30 ㎜, -20 ㎜ 범위에 들어
야 한다.
지주 쇠
3.2.6 연결 는 설계도에 따 라 지주에 연결쇠용 볼트로 붙인다.
3.2.7 곡선반지름이 200 m 보다 작은 구간에서의 설치는 미리 곡선으로 제작된 보를
차량 진행 방향 사용하여야 한다.
3.2.8 보의 붙임은 그림 11-4-1와 같은 겹침이 되도록 엄밀히 시공하고, 볼트, 너트로 [수정] 곡선반지름이 200m보다 작은 구간에 적용
차량 진행 방향
조여 붙인다. 보의 높이는 설계된 높이의 +30 mm, -20 mm 범위에 들어야 한
다.
지주

그림 11-5 보 붙임


3.2.7 방호 타리의 단부는 분리대 개구부 및 접속 도로와의 교차부 등에서 차 이 량

11-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직접 지주에 충돌하거나 방호울타리에 스치는 것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지주

한다.
완료 후, 다음 각 사항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3.2.8 시공 차량 진행 방향

(1) 설계된 위치와 설치한 위치


(2) 차량 진행 방향에 대한 보의 겹이음 상태
차량 진행 방향

(3) 보의 높이
(4) 볼트의 조임 상태
지주

(5) 도장
그림 11-4-1 보 붙임

[수정] 2014 울
도로안전시설 지침에서 방호 타리 설치표지의


3.2.9 방호 타리 양 쪽 단부에는 모델명, 설치등급, 제작회사, 설치년·월·일, 도로관리 화
설치의무 , [자문] 오자 수정
기관을 기입한 설치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설치표지는 알루미늄 판넬
3.3 가드 케이블

3.3.1 종별 및 그 부품 수를 확인하고, 시공에 필요한 공구를 준비한다. 로 제작하고 지주에 리벳으로 부착한다.
3.3.2 단부 지주의 설치 3.2.10 시공 완료 후, 다음 각 사항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1) 단부 지주를 흙 속에 설치할 때는 설계도에 의거, 단부 지주의 설치부를 굴 (1) 설계된 위치와 설치한 위치
착하고 충분히 다진 후 조약돌로 받치고 단부 지주를 소정의 위치 및 높이에 (2) 차량 진행 방향에 대한 보의 겹이음 상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된 후 흙을 덮는다. (3) 보의 높이
이 때 되메우기 흙은 1층의 두께가 100 ㎜를 넘어서는 안 되며, 다짐은 KS F (4) 볼트의 조임 상태
2312(흙의 다짐 시험 방법)에 의해 건조 밀도의 95%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5) 도장 완 후 방호울타리 설치표지 부착
[추가] 시공 료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6) 방호울타리 설치표지 부착 상태 [삭제] 연성 방호울타리로 통합 적용

(2) 단부 지주를 교량, 옹벽, 암거 등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할 때는 설계도대로


해당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에 앞서 단부 지주를 소정의 위치 및 높이에 설
치하고 구조물 콘크리트와 함께 시공하여야 한다.
3.3.3 연결쇠의 붙임은 가드 레일의 경우에 준한다.
3.3.4 케이블의 붙임
(1) 케이블은 설계도에 따라 지주에 붙이고, 이 때 케이블은 비틀림 등이 일어나
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케이블에는 표 11-21과 같은 장력을 주어야 한다.

표 11-21 장력 및 지주 간격에 따른 케이블의 처짐

11-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지주 간격 5m 6m 7m
장력
1t 60∼80 ㎜ 80∼100 ㎜ 100∼120 ㎜

2t 30∼40 ㎜ 40∼50 ㎜ 50∼60 ㎜

비고) 처짐은 중앙 경간에 60㎏을 재하하였을 때 수평선과의 처짐을 말함

(3) 케이블의 높이는 설계도에 표시된 높이의 +30 ㎜, -20 ㎜의 범위에 들어야 한다.
3.3.5 시공 완료 후, 다음 각 사항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1)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와 설치된 위치
(2) 케이블의 초기 장력 및 비틀림 등
(3) 단부 기초 및 주위의 상태
(4) 도장

3.4 가드 파이프

3.4.1 가드 파이프의 시공상 적용 내용은 가드 레일의 경우에 준한다.


3.4.2 파이프 붙임은 설계도대로 지주에 붙이고, 파이프와 파이프의 이음은 볼트, 너
트로 연결하며 균형이 잘 잡히도록 붙인다.

[삭제]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적용

3.4.3 파이프의 높이는 설계도 높이의 +30 ㎜, -20 ㎜ 범위에 들어야 한다.
3.4.4 시공 완료 후, 다음 각 사항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1) 설계도서에 표시된 위치와 설치된 위치
(2) 보의 높이 및 균형
(3) 볼트의 조임 상태
(4) 도장

3.5 박스형 보

3.5.1 박스형 보의 시공상 적용 내용은 가드 레일의 경우에 준한다.


3.5.2 패들은 설계도에 따라 지주에 패들용 볼트로 붙인다.
3.5.3 보 및 이음부는 설계도에 따라 지주에 붙인다.

[삭제]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적용

3.5.4 보와 보의 이음은 볼트로 연결하고 요철이 없도록 붙이고, 보의 높이는 설계


도에 표시된 높이의 +30 ㎜, -20 ㎜ 범위에 들어야 한다.
3.5.5 시공 완료 후, 다음 각 사항에 대하여 점검하여야 한다.

11-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설계도서의 위치와 설치 된 위치
(2) 보의 높이 및 균형
(3) 볼트 조임의 상태
(4) 도장

3.6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3.6.1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는 프리캐스트나 현장 콘크리트 치기로 하며,


슬립폼에 의해서 시공할 수 있다.
3.6.2 방호벽의 단부처리는 도면에 나타난 형상대로 실시하여야 한다.
3.6.3 수축줄눈은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라 설치하며, 특별히 규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6m 이하의 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의 형상은 3.3 콘크리트 강성 방호울타리 [수정] 용어 전체 통일 : 치기 ⇒ 타설
절삭줄눈이나 타입줄눈 형식으로 하고 폭 6 ㎜, 깊이 50 ㎜으로 한다. 3.2.1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는 프리캐스트나 현장 콘크리트 타설로 하며,
3.6.4 방호벽의 기초는 포장 표면으로부터 최소한 200 ㎜ 이상 깊이로 설치하여야
슬립폼에 의해서 시공할 수 있다.
3.2.2 강성 방호울타리의 단부처리는 도면에 나타난 형상대로 실시하여야 한다.
한다.
3.6.5 줄눈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자르는 시기는 콘크리트가 건조 수축으로 3.2.3 수축줄눈은 설계도서 및 공사시방서에 따라 설치하며, 특별히 규정되지 않은
인해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또 자를 때 콘크리트의 다른 부분이 손상을 입지
경우에는 6 m 이하의 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의 형상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경화된 후에 설치하여야 한다. 시공줄눈은 기구로 잘라서 절삭줄눈이나 타입줄눈 형식으로 하고 폭 6 mm, 깊이 50 mm로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팽창줄눈은 기성 팽창줄눈재를 사용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3.2.4 강성 방호울타리의 기초는 포장 표면으로부터 최소한 200 mm 이상 깊이로 설
그 폭은 20 ㎜로 하고 시공줄눈으로 사용한다.
치하여야 한다.
3.6.6 슬림폼에 의한 시공표면 홈의 직경이 15 ㎜ 미만일 경우는 그냥 두어도 되나,
3.2.5 줄눈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자르는 시기는 콘크리트가 건조 수축으로
그 이상인 경우에는 슬립폼을 재정비하여야 한다. 완성된 콘크리트 벽형 강성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또 자를 때 콘크리트의 다른 부분이 손상을 입
[수정] 원문 충분히 삭제
방호울타리를 재정비하기 위해서 물을 추가로 뿌려서는 안 된다. 콘크리트 혼
지 않을 정도로 경화된 후에 설치하여야 한다. 시공줄눈은 기구로 잘라서 설치
합물은 슬럼프치 25 ㎜ 이하로 한다.
하여야 한다. 팽창줄눈은 기성 팽창줄눈재를 사용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그 폭
은 20 mm로 하고 시공줄눈으로 사용한다.
3.2.6 슬림폼에 의한 시공표면 홈의 직경이 15 mm 미만일 경우는 그냥 두어도 되나,
그 이상인 경우에는 슬립폼을 재정비하여야 한다. 완성된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를 재정비하기 위해서 물을 추가로 뿌려서는 안 된다. 콘크리트 혼
합물은 슬럼프치 25 mm 이하로 한다.

11-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9 중앙분리대 11-4-2 중앙분리대용 방호울타리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노면표시 중앙분리대, 녹지 중앙분리대,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그리 이 시방은녹지 중앙분리대,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그리고 가드레일 등의 [수정] 가드레일과 같은 연성 방호울타리를 일반적으로 사용되
고 가드 레일, 가드 케이블, 박스형 보 등의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와 그 부속시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와 그 부속시설물의 공사에 적용한다. 는 방호울타리로 표현, [자문] 노면표시 중앙분리대 삭제

설물을 시공하는 것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1.2 시공 일반사항 1.2 시공 일반사항

1.2.1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 라 시행하며, 공사 중 여건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계획 1.2.1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라 시행하며, 공사 중 여건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계획
도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한 후 이에 따라 엄밀히 시공하여야 한다. 도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이에 따라 엄밀히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2.2 새로운 형상의 중앙분리대 시설물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부합 1.2.2 새로운 형상의 중앙분리대 차량방호 시설물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
[자문] 자구 수정, [수정] 가운데 점 사용

하는 것으로, 실물차량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능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실물차량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
야 한다.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중 분리대 편 -, 국토해양부 량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 방호 안전시설 편(국토교통부) 앙
[삭제] 중 분리대 편은 차량방호안전시설 편으로 통합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량방호 안전시설 편 -, 국토해양부

2. 재료
2. 재료
2.1 노면표시 중앙분리대

2.1.1 노면표시 중앙분리대에 사용되는 노면표시의 재료는 이 시방서 “11-2 노면표 앙


[자문] 중 선 삭제

시”에서 정한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2.1 녹지 중앙분리대
2.2 녹지중앙분리대
[수정] 문구 수정
2.2.1 분리대의 토사는 이 시방서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표토는 잔디 2.1.1 분리대의 토사는 이 시방서의 규정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표토는


식재 및 수목 식재에 알 은 것으로 한다.
잔디 식재 및 수목 식재에 알맞은 것으로 한다.
2.1.2 지하배수시설에 사용하는 재료는 이 시방서의 규정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수정] 문구 수정

2.2.2 지하 수시설에 사용하는 재료는 이 시방서에 적합한 재료이어야 한다.

11-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야 한다.

2.3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2.2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2.3.1 콘크리트 중 분리대에 사용하는 다음의 각 재료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앙
2.2.1 콘크리트 중 분리대에 사용하는 다음의 각 재료는 이 시방서의 규정에 따른다. [수정] 문구 수정

(1) 시멘트 콘크리트 (1) 시멘트 콘크리트


(2) 기성 팽창 조인트 채움재 (2) 기성 팽창 조인트 채움재
(3) 철근 (3) 철근
(4) 양생재 (4) 양생재
(5) 모르타르 (5) 모르타르
(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2.4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2.3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울 앙
2.4.1 방호 타리 중 분리대에 사용하는 다음의 각 재료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울 앙 울
2.3.1 방호 타리 중 분리대에 사용하는 재료는 연성 방호 타리 재료의 시방서 규 [수정] 문구 수정

(1) 가드 레일 정에 따른다. 울
[삭제] 방호 타리의 기준

(2) 가드 케이블
박스형 보
(3)
3. 시공
3. 시공

[자문] 중 선 삭제
3.1 노면표시 중앙분리대

3.1.1 도면에 나타 낸 형상에 따라 이 시방서의 “11-2 노면표시”에서 정한 바와 같이


시공하여야 한다.

3.2 녹지중앙분리대 3.1 녹지 중앙분리대


3.2.1 연 은 현장 콘크리트 치기 또는프리캐스트 제품을 사용한다. 석
3.1.1 연 은 현장 콘크리트 타설 또는프리캐스트 제품을 사용한다. [수정] 용어 통일 : 치기 ⇒ 타설
3.2.2 맹암거 시설은 이 시방서에 적합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1.2 맹암거 시설은 이 시방서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2.3 흙쌓기 및 다짐은 자연침하를 예상하여 불균일한 침하가 발생치 않도록 시공 3.1.3 흙쌓기 및 다짐은 불균일한 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시공하고, 또한 우수가 침 [수정]“자연침하를 예상하여”⇒삭제(불균일한 침하 발생방지의
투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한다. 중요성은 자연침하에 대한 대비책만으로 하는 것이 아
하고 또한 우수가 침투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한다.
님.
3.3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3.2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3.3.1 콘크리트 중 분리대는 프리캐스트나 현장 콘크리트 치기로 한다. 콘크리트 앙
3.2.1 콘크리트 중 분리대는 프리캐스트나 현장 콘크리트 타설로 한다. 콘크리트 중
[수정] 용어 통일 : 치기 ⇒ 타설

11-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중 분리대에 사용할 콘크리트의 배합, 혼합, 마무리, 보호 및 양생은 이 시방 앙분리대에 사용할 콘크리트의 배합, 혼합, 마무리, 보호 및 양생은 이 시방서
서의 해 당 규정에 따른다. 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3.3.2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기초는 포장표면으로부터 최소한 200 ㎜ 이상 깊이의 3.2.2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기초는 포장표면으로부터 최소한 200 mm 이상 깊이의
두께로 설치하여야 한다. 보강철근은 도면에 나타난 대로 설치하여야 한다. . 두께로 설치하여야 한다. 보강철근은 도면에 나타난 대로 배근하여야 한다.
3.3.3 계약자의 제의에 따라 콘크리트의 중앙분리대를 슬립폼에 의해서 시공할 수 3.2.3 콘크리트의 중앙분리대는 슬립폼에 의해서 시공할 수 있다. 표면홈의 직경이 “ 약
[수정] 계 상대자의 제의에 따 라” 불필요한 문장 삭제
있다. 표면홈의 직경이 15 ㎜ 미만일 경우는 그냥 두어도 되나, 그 이상인 경 15 mm 미만일 경우는 그냥 두어도 되나, 그 이상인 경우에는 슬립폼을 재조
우에는 슬립폼을 재조정하여야 한다. 완성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를 재조정하 정하여야 한다. 완성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를 재조정하기 위해서 물을 추가로
기 위해서 물을 추가로 뿌려서는 안 된다.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를 뿌려서는 안 된다.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를 칠 경우 슬럼프치를 25
칠 경우 슬럼프치를 25 ㎜ 이하로 한다. mm 이하로 한다.
3.3.4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단부처리는 도면에 나타난 형상대로 실시하여야 한다. 앙
3.2.4 콘크리트 중 분리대의 단부처리는 도면에 나타 난 형상대로 실시하여야 한다.
3.3.5 줄눈 3.2.5줄눈
(1) 수축줄눈은 6 m 이하 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의 형상 (1) 수축줄눈은 6 m 이하 간격으로 일정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축줄눈의 형상
은 절삭줄눈이나 타입줄눈 형식으로 하고 폭 6 ㎜, 깊이 50 ㎜로 한다. 은 절삭줄눈이나 타입줄눈 형식으로 하고 폭 6 mm, 깊이 50 mm로 한다.
(2) 줄눈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자르는 시기는 콘크리트가 건조 수축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기 전, 또 자를 때 콘크리트의 타부분에 손상을 입지 않 (2) 줄눈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자르는 시기는 콘크리트가 건조 수축으
을 정도로 충분히 경화된 후에 실시하여야 한다. 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기 전, 또 자를 때 콘크리트의 다른 부분이 손상을
(3) 줄눈용 절삭 깊이는 포장 표면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장 표면에 가까 입지 않을 정도로 경화된 후에 실시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충분히 삭제
운 곳으로 갈수록 얇게 한다. (3) 줄눈용 절삭 깊이는 포장 표면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장 표면에 가까
(4) 시공줄눈은 기구로 잘라서 설치하여야 한다. 운 곳으로 갈수록 얕게 한다.
(5) 팽창줄눈은 기성 팽창줄눈재를 사용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그 폭은 20 ㎜로 (4) 시공줄눈은 콘크리트 절단기로 잘라서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얇게 ⇒ 얕게
하고 시공줄눈으로도 사용한다. (5) 팽창줄눈은 기성 팽창줄눈재를 사용해서 시공하여야 하며, 그 폭은 20 mm로 [수정] 자구 수정 [수정] 중심위 - 조사 수정
3.3.6 점검 하고 시공줄눈으로도 사용한다.
(1)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의 요철은 3m 직선자로 점검한다. 3.2.6 점검
(2) 이 점검은 중앙분리대의 중심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장에 걸쳐 실시하여야 하 (1)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상단부의 요철은 3 m 직선자로 점검한다.
며,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실시한다. (2) 이 점검은 중앙분리대의 중심을 따라 연속적으로 전장에 걸쳐 실시하여야 하
(3) 직선자로 측정해서 6㎜ 이상 요철이 발생한 부분은 제거하여야 하고 재시공 며, 직선자를 반 이상 겹쳐서 실시한다.
하여야 한다. 또한 요철이 6㎜ 이하가 되도록 장비를 재정비하여야 한다. (3) 직선자로 측정해서 6 mm 이상 요철이 발생한 부분은 제거하여야 하고 재시공
하여야 한다. 또한 요철이 6 mm 미만이 되도록 장비를 재정비하여야 한다.
3.4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수정] 자구 수정

울 앙
3.4.1 방호 타리 중 분리대, 단부처리 및 연결은 도면에 나타 난 대로 시공하여야 3.3 방호울타리 중앙분리대

한다. 울 앙
3.3.1 방호 타리 중 분리대, 단부처리 및 연결은 도면에 나타 난 대로 시공하여야

11-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2 구조 에 인접 된 중앙분리대는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야 한다. 한다.
3.4.3 모든 지주는 규정된 선형 및 경사가 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물
3.3.2 구조 에 인접 된 중앙분리대는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야 한다.
3.4.4 감독자의 지시나 필요시에는 신, 구 중앙분리대를 도면에 나타난 대로 연결하 3.3.3 모든 지주는 규정된 선형 및 경사에 일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3.3.4 감독자의 지시, 필요할 때에는 신· 구 중앙분리대를 도면에 나타난 대로 연결 [수정] 자구 수정
3.4.5 조립이 끝난 후 레일, 연결대, 부속품 및 볼트 등의 절단된 부분은 승인된 방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법으로 방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3.3.5 조립이 끝난 후 레일, 연결대, 부속품 및 볼트 등의 절단된 부분은 승인된 방
울 앙
3.4.6 교통 통행 중에 방호 타리 중 분리대를 설치하는 경우, 규정에 의한 안전관 법으로 방식처리를 하여야 한다.
리를 시행한 후 임시 교통규제 장치를 설치하고, 지주는 주간에 설치하여야 하 울 앙
3.3.6 교통 통행 중에 방호 타리 중 분리대를 설치하는 경우 규정에 의한 임시
며, 지주에 부착할 레일 부품은 당일 작업이 종료되기 전에 완전히 설치하여야 교통통제시설을 설치하고, 안전관리를 시행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도로공사장관리지침(2012, 국토교통부) 용어
한다. 일일작업 종료 시 시공 현장에 재료와 장비를 방치해 두어서는 안 된다. 3.3.7 지주는 주간에 설치하여야 하며, 지주에 부착할 레일 부품은 당일 작업이 종료 인용, 문장 수정
되기 전에 완전히 설치하여야 한다. 일일작업을 종료할 때 시공 현장에 재료와

3.4.7 방호 타리의 시공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에 따른다. 장비를 방치하여 두어서는 안 된다. [수정] 한글로 순화
(1) 가드 레일의 시공은 11-6장의 3.2에 따른다. 3.3.8 방호울타리의 시공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11-4-1장 3.시공에 따른다.
(2) 가드 케이블의 시공은 11-6장의 3.3에 따른다. 울
[수정] 장번호 변경 및 연성 방호 타리로 통합
(3) 박스형 보의 시공은 11-6장의 3.5에 따른다.

11-10 현광방지시설 11-4-3 현광방지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현광방지시설의 재료와 설치 등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현광방지시설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주어 및 문구 수정(전체 통일)

1.2 시공 일반사항 1.2 시공 일반사항


사용재료의 재 이나 부재의 형상 등은 사용 목적과 설치장소의 특성을 고려하 라 시행하며, 공사 중 여건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수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 [수정]
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달리할 수 있다. 정계획도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이에 따라 엄밀히 시공
하여야 한다.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6각 볼트

11-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012 6각 너트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0201 용융아연도금 시 험방법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30 일반 구조용 경 량 형강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30 일반구조용 경 량형강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601 익스팬디드 메탈 KS D 3601 익스팬디드 메탈
KS D 3706 스테인리스 강봉 KS D 3706 스테인레스 강봉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조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띠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 ⇒띠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6763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봉 및 선
KS D 8304 전기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아연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아연도금 작업표준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M 3152 메타크릴 수지 성형 재료 O 7391 폴리카보네이트(PC) 성형 및 압출재료
KS M IS

O 7391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및 압출재료


KS M IS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량방호안전시설 편(국토교통부) 량
[수정] 차 방호안전시설 편으로 통합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중앙분리대 편 -, 국토해양부

2. 재료 2. 재 료
2.1 팽창 메탈형 2.1 팽창 메탈(expanded metal)형

2.1.1 팽창 메탈형의 구조제원 및 규격은 표 11-22를 표준으로 한다. 2.1.1 팽창 메탈형의 구조 제원 및 규격은 표 11-4-1을 표준으로 한다.
2.1.2 팽창 메탈형에 사용할 재료는 다음 각 항에 규정된 것이어야 한다. 2.1.2 팽창 메탈형에 사용할 재료는 다음 각 항에 규정된 것이어야 한다.

(1) 방현망에 사용하는 팽창 메탈의 재질은 KS D 3601 XS에 적합하고 두께는 (1) 현광방지시설에 사용하는 팽창 메탈의 재질은 KS D 3601 XS 에 적합 하고,

1.6㎜ 판을 다이아몬드형의 그물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두께는 1.6 mm 판을 다이아몬드형의 그물 구조로 만들어야 한다.

(2) 지주의 재질은 KS D 3566 SPS400 이상이어야 하며, 강관의 외경은 50.8 ㎜, (2) 지주의 재질은 KS D 3566 SPS400 이상이어야 하며, 강관의 외경은 50.8 mm,

두께는 1.4 ㎜ 이상으로 품질이 균일하여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두께는 1.4 mm 의 것으로서, 품질이 균일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3)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대(bracket)는 KS D 3503 SS400 또는 동등 (3) 프레임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쇠(bracket)는 KS D 3503 SS400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하며, 두께는 2.3 ㎜ 이어야 한다. 이상의 것이어야 하며, 두께는 2.3 mm 이어야 한다.


(4) 방현 에 사용하는 지주 연결대( base bracket)의 재질은 KS D 3503 SS400 (4) 현광방지시설에 사용하는 지주 연결 ( 쇠 base bracket)의 재질은 KS D 3503
이상의 것이어야 하며 두께는 4.0 ㎜ 이어야 한다. SS400 이상의 것이어야 하며, 두께는 4.0 mm 이어야 한다.

11-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볼트, 너트 및 기타의 재 은 KS D 3706 STS304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이어 (5) 볼트, 너트 및 기타의 부품은 KS D 3706 STS304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야 한다. 한다.

표 11-22 팽창 메탈형 현광방지시설의 구조제원 표 11-4-1 팽창 메탈형 현광방지시설의 구조제원


(단위 : ㎜) 종 류 규 격 (mm) 수량 재 질 비 고

종 류 규 격 수량 재 질 비 고 방현망
496×3,592
×1.6
1개
KS D 3601(익스팬디드 메탈)
KS D 8308 2종 HDZ35
익스팬디드 메탈스탠다드
+ 아연 도금
KS D 3601(익스팬디드 메탈) 익스팬디드 메탈
방현망 496×3,592×1.6 1개
KS D 8308 2종 HDZ35 스탠다드 + 아연 도금
일반 ø50.8×586×1.4 2개 KS D 3566 SPS400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지주
KS D 8308 2종 HDZ35 + 아연 도금
ψ50.8×586×1.4 2개 KS D 3566 SPS400
개구부 ø50.8×657×1.4 2개
일반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지주
개구부 ψ50.8×657×1.4 2개 KS D 8308 2종 HD Z35 + 아연 도금
프레임 30×44×1.6
8.528
KS D 3566 SPS400 또는
KS D 3503 SS400
일반 구조용 탄소강관 또는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m
KS D 3566 SPS400 또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8308 2종 HDZ35 + 아연 도금
프레임 × ×
30 44 1.6
8.528
KS D 3503 SS400 또는 일반 구조용 압연 130×180
m
KS D 8308 2종 HD 35 Z 강재 +
아연 도금 지주
일반
×4.0
2개
KS D 3503 SS400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지주 일반 × ×
130 180 4.0 2개 KS D 3503 SS400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받침대
개구부
200×200
4개
KS D 8308 2종 HDZ35 + 아연 도금

받 Z +
×4.0
침대 개구부 200×200×4.0 4개 KS D 8308 2종 HD 35 아연 도금 100×100 KS D 3503 SS400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연결쇠 8개
×2.3 KS D 8308 2종 HDZ35 + 아연 도금
100×100×2.3
KS D 3503 SS400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이음판 8개
KS D 8308 2종 HD 35 Z +아연 도금 지주 덮개
ø54.8×16
×1.2
2개 KS D 3512 2종 SCP2 냉간 압연강재 + 아연 도금

지주 덮개 × ×
ψ54.8 16 1.2 2개 KS D 3512 2종 S P2C 냉간 압연 강재
+아연 도금 볼트, 너트, 와셔 ø10×25
8조 KS D 3706 STS304(일반) 스테인레스 강
16조 KS D 3706 STS304(개구부) 스테인레스 강
볼트, 너트,
와셔
×
ψ10 25
8조 KS D 3706 STS304(일반)
16조 KS D 3706 STS304(개구부)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앵커볼트 ø10×90 4조 KS D 3706 STS304 스테인레스 강
주) 지주간격이 4m의 경우이며 지주간격이 다를 경우 제원을 변경하여 설치한다.
앵커볼트 ψ10×90 4조 KS D 3706 STS304 스테인리스

2.2 루 버 형
2.2 루버형

2.2.1 루 형 또는 기타 형 의 태 신소재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 목적과 환경적
인 면을 고려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2.2.2 루버형의 재질은 KS D 3501 SHP1 이상으로서, 두께 1.2 mm · 폭 190 mm 를 S
버 질
2.2.1 루 의 재 은 KS D 3501 SHP1 이상의 것으로, 두께 1.2 ㎜, 폭 190 ㎜를 S형 형으로 성형한 것으로 한다. 또 양단 루버의 재질은 KS D 3501 SHP1 이상으

으로 성형한 것으로 한다. 또 양단 루 의 재 은 KS D 3501 SHP1 이상의질 로서, 두께 2.3 mm · 폭 190 mm를 S형으로 성형한 것이어야 한다.
것으로 두께 2.3㎜ 폭 190㎜를 S형으로 성형한 것이어야 한다. 2.2.3 지주의 재질은 KS D 3566 SPS400 이상의 것으로서, 강관의 외경은 50.8 mm · 두

2.2.2 지주의 재 은 KS D 3566 SPS400 이상의 것이어야 하며, 강관의 외경은 50.8㎜, 께는 1.4 mm의 것으로서 품질이 균일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수정] 표 11-4-1의 구조제원은 지주간격이 4m인 것으로 지주간

질 균일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두께는 1.4 ㎜의 것으로서 품 이 2.2.4 프레임의 재질은 KS D 3530 SSC41 또는 그와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격이 다를 경우에는 제원을 변경하여 설치한다. 추가

2.2.3 프레임의 재질은 KS D 3530 SSC41 또는 그와 동등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2.5 볼트, 너트 및 기타 부품은 이 시방서 이 절의 2.1.2항 (5)에 따른다.
2.2.4 볼트, 너트 및 기타 부품은 2.1.2항의 (5)에 따른다.
신 신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정
[ 설]

2.3 합성수지 형
2.3 합성수지형

11-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1 합성수지형의 구조 제원 및 규격은 표 11-23을 표준으로 한다. 2.3.1 합성수지 현광방지시설의 용도별 구조 제원 및 규격은 다음 표 11-4-2에 따른다.

표 11-23 합성수지형 현광방지시설의 구조제원 표 11-4-2 합성수지 현광방지시설의 구조 제원


(단위 : ㎜) 용도별 종 류 규 격 (mm) 단위 수량 재 질
용도별 종 류 규 격 단위 수 량 재 질 지 주 ø50×600×310×5T 2 합성수지
ψ50×600×310×5T
차 광 판 120×509×3T 14 합성수지
지 주 2 합성수지
120×509×3T
프 레 임 40×50×3500×3T 2 합성수지
차 광 판 14 합성수지
프 임
레 40×50×3500×3T 2 합성수지
토공용 중간지주 50×50×600×5T 개 1 합성수지
50×50×600×5T
고 정 핀 ø6×190L 32 합성수지
토공용 중간지주 개 1 합성수지

고 정 ψ6×190L 32 합성수지
앵커볼트세트 M10×90L 4 스테인레스

앵커 세
볼트 트 M10×90L 4 스테인리스
앵커볼트세트 M8×75L 2 스테인레스

앵커 세
볼트 트 M8×75L 2 스테인리스 지 주 ø50×600×310×5T 2 합성수지

ψ50×600×310×5T
차 광 판 120×509×3T 15 합성수지
지 주 2 합성수지
120×509×3T
프 레 임 40×50×3500×3T 2 합성수지
교량용 개
차 광 판 15 합성수지 홀 더 65×63×6T 2 합성수지
량 프 임
레 40×50×3500×3T 2 합성수지 고 정 핀 ø6×190L 32 합성수지
교 용
홀 더 65×63×6T

2 합성수지 앵커볼트세트 M10×90L 4 스테인레스
고 정 핀 ψ6×190L 32 합성수지
앵커볼트세트 M10×90L 4 스테인리스 지 주
차 광 판
ø50×600×310×5T
120×509×3T
2
14
합성수지
합성수지
지 주 ψ50×600×310×5T 2 합성수지 프 레 임 40×50×3500×3T 2 합성수지
120×509×3T
개구부 중간지주 50×50×600×5T 1 합성수지
차 광 판 14 합성수지
프 임 40×50×3500×3T

용 브 라 켓 286×3.2T 2 아연도금철판
레 2 합성수지
50×50×600×5T
고 정 핀 ø6×190L 32 아연도금철판
중간지주 1 합성수지
개구부용
브라켓 286×3.2T

2 아연도금 판 철 볼트너트와셔 M10×90L 4 스테인레스
고 정 핀 ψ6×190L 철 볼트너트와셔 M8×50L 4 스테인레스
32 아연도금 판
볼트너트와샤 M10×90L 4 스테인리스
볼트너트와샤 M8×50L 4 스테인리스
2.3.2 합성수지 현광방지시설 각 재료의 품 질기준은 다음 표 11-4-3에 따른다.

2.3.2 합성수지형 현광방지시설의 각 재료의 품 기준은 표 11-24에 적합한 것이어
야 한다.
표 11-4-3 합성수지 현광방지시설 품질기준
표 11-24 합성수지형 현광방지시설의 품질기준
구 분 지 주 프 레 임 차 광 판
구 분 지 주 프레임 차광판
밀 도 (g/㎤)
밀 도(g/㎥)
0.940 이상 1.510 이상 0.900 이상
0.940 이상 1.510 이상 0.900 이상
인장강도 (MPa) 24 이상 30 이상 21 이상
인장강도{㎫(㎏f/㎠)} 24(240) 이상 30(300) 이상 21(210) 이상
신 장 율 (%) 1,000 이하 250 이하 600 이하
신 장 율(%) 1,000 이하 250 이하 600 이하
듀로미터경도 (HDD) 60 이상 60 이상 60 이상
듀로미터경도(HDD) 60 이상 60 이상 60 이상

2.4 검사 및 시험
2.4 검사 및 확인
2.4.1 현광방지시설의 내구성 및 내식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반입 전 품질검사전문기

11-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망 내구성 및 내식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반입 전 검수원 입회 하에 또
2.4.1 방현 의 뢰
관에 의 하여 합격한 제품이어야 한다.
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합격한 제품이어야 한다. 2.4.2 외관검사는 육안으로 실시하되 사용상 결함이 없어야 한다.
2.4.2 외관검사 : 외관 검사는 육안으로 실시하되 사용상 결함이 없어야 한다. 2.4.3 아연 부착량 시험은 KS D 0201에 의한다.
2.4.3 아연 부착량 : 아연 부착량 시험은 KS D 0201에 의한다. 2.4.4 치수검사는 적정한 계기로 각 부의 치수를 측정하여 제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
2.4.4 치수검사 : 치수검사는 적정한 계기로 각부의 치수를 측정하여 제 조건을 만 다.
족하여야 한다. 2.4.5 팽창 메탈형 현광방지시설의 치수는 그림 11-4-3과 같이 KS D 3601에 따르며,
2.4.5 팽창 메탈형 방현망의 치수 허용치는 KS D 3601에 따르며, 표 11-25의 허용 표 11-4-4의 허용범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범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A
L W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 “감독자 입회하에”
W

[수정] 반 되는 자구 삭제
S [수정] 반복되는 자구 삭제
W [수정] 반복되는 자구 삭제
스트턴드
볼트 단면 A-A
A
T : 판의 두께
T : 판의 두께 W : 자르는 폭
W : 자르는 폭 SW : 메쉬의 단목방향 중심간의 거리
SW : 메쉬의 단목방향 중심간의 거리 LW : 메쉬의 장목방향 중심간의 거리
LW : 메쉬의 장목방향 중심간의 거리
그림 11-4-3 팽창 메탈형의 치수
그림 11-6 팽창 메탈형의 치수 허용치
표 11-4-4 팽창 메탈형의 치수 허용 범위
표 11-25 팽창 메탈형의 치수 허용 범위
구 분 허 용 오 차
구 분 허 용 오 차 W %
S 의 허용차 ( ) ±5
SW의 허용차 ±5 % LW의 허용차 (mm) ±2
LW의 허용차 ±2 ㎜ T 의 허용차 강판 KS에 표시하는 값
T의 허용차 강판 KS에 표시하는 값 W의 허용차 (%) ± 10
W의 허용차 ±10 % 길이의 편차(mm) XS 1000 mm 에 대하여 10
길이의 편차 XS 1000 ㎜에 대하여 10 ㎜
3. 시 공

11-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공 3.1 시공일반

3.1.1 현광방지시설의 차광 각도는 10° 정도로 제작되어야 한다.


3.1.2 현광방지시설은 열팽창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3.1 시공일반

°
3.1.1 현광방지시설의 차광 각도는 10 정도로 하여야 한다. 3.1.3 각 제품은 조립 및 시공 후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해한 치수상의 오
3.1.2 현광방지시설은 열 팽창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차가 없어야 한다.
3.1.3 각 제품은 조립 및 시공 후에 눈에 보일 정도의 유해한 치수 상의 결함이 있 3.1.4 완성된 제품은 안전하게 현장까지 운반 및 하차하여야 하며, 적당한 보호재로
어서는 안 된다. 포장하여 파손 및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4 완성된 제품은 안전하게 현장까지 운반·하차하여야 하며, 적당한 보호재로 포 3.1.5 운반 도중 발생된 불량품은 다시 제작하여 납품하여야 한다.
장하여 파손 및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6 이상 기상일 때 강풍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는 장소에서는 고정장치를 적절히
3.1.5 운반 도중 불량품은 다시 제작하여 납품하여야 한다. 보강하여야 한다.
3.1.6 이상 기상 시 내풍이 우려되는 장소에서는 고정 장치를 적절히 보강하여야 한다.
3.2 팽창 메탈형 및 루버형 제작 [수정] 문구 수정


3.2.1 광 도는 10% ± 3의 광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2.2 스프링 와셔는 경강선재(hard drawn steel wire rod) 로 하며, 특히 스프링 와
3.2 팽창 메탈형 및 루버형 제작


3.2.1 광 도는 10%±3의 광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셔는 5회 압축한 후 높이가 두께의 5/3배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3.2.2 스프링 와셔는 경강 선재로 하며, 특히 스프링 와셔는 5회 압축한 후 높이가 3.2.3 철재 절단 부분 및 용접 부분은 그라인더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야 하며, 요
두께의 5/3배 이상이어야 한다. 철이 없어야 한다.
3.2.3 철재 절단 부분 및 용접 부분은 그라인더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야 하며, 요 3.2.4 지주, 팽창 메탈, 루버, 와셔 및 볼트, 너트는 전 표면을 용융 아연 도금한다.
철이 없어야 한다. 나사부는 도금 후 나사 홈이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3.2.4 지주, 팽창 메탈, 루버, 와셔 및 볼트, 너트는 전 표면을 용융 아연 도금한다. 3.2.5 이 시방 규정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 및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KS D 8308,
그러나 나사부는 도금 후 나사 홈이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KS D 9521에 따른다.
3.2.5 본 규정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 및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KS D 8308, KS D 량 Z
3.2.6 아연 부착 은 KS D 8308 2종 HD 35로 하고, 겉모양의 도금면은 매끄러워야
9521에 따른다. 충 거
하며, 도금이 불 분하 나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량 Z 겉모양의 도금면은 매끄럽고
3.2.6 아연 부착 은 KS D 8308 2종 HD 35로 하고 절단면(상 · 하부)에 대해서는 도금하지 않
3.2.7 위의 3.2.4 규정에 관계없이 지주의
[수정] 전문용어 영문표기 추가

도금되지 않거나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고 고농도 아연계 도료를 바를 수 있다.
3.2.7 위의 네 번째 규정에 관계없이 지주의 절단면(상, 하부)에 대해서는 도금하지 3.2.8 도금의 마무리는 전 제품에 대하여 균일하게 마무리되어야 하고, 광택에 심한
않고 고농도 아연계 도료를 바를 수 있다.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3.2.8 도금의 마무리는 전 제품에 대하여 될 수 있는 대로 균일하게 마무리되어야 3.2.9 제품에 도금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재 도금하여야 한다.
하고, 광택에 심한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3.2.10 제품을 취급할 때 각 제품의 도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3.2.9 제품에 도금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재 도금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3 합성수지 현광방지시설 제작

11-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10 각 제품의 취급은 각 제품의 도금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3.1 차광판 두께는 3 mm로 일정하여야 하고, 뒤틀림 등 변형이 있어서는 안 되며,
상 하 · 프레임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차광
3.3 합성수지형 제작 효과가 양호하도록 계단식의 판넬형이어야 한다. [수정] 해 당 조항 구체적으로 명기. 가운데 점 사용
3.3.1 차광판 두께는 3㎜로 일정하고 뒤틀림 등 변형이 발생해서는 안 되며, 상․하 3.3.2 지주 고정에 사용하는 볼트는 KS B 1002, 너트는 KS B 1012, 앵커볼트는 KS D
프레임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현광방지 효 3702 규격에 따르며,녹 발생이 없는 STS304 재질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구 삭제 : “∼될 수 있는 대로”
과가 양호하도록 계단식의 판넬형이어야 한다. 3.3.3 지주 연결쇠와 프레임 등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제작하여야 한

3.3.2 지주고정에 사용하는 앵커볼트, 너트는 녹 발생이 없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제 다.

품으로 KS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3.3 지주 연결대와 프레임 등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제작하여야 한


다. [수정] 문구 수정

[수정] 구체적인 KS규칙으로 표현

11-8 충격흡수시설 11-4-4 충격흡수시설 [자문] 충격흡수시설(주행복귀형, 주행 비복귀형) 삭제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충격흡수시설의 재료와 설치 등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주행차로를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과 충돌하기 전에 [수정] 문장 수정

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정지하도록 하거나 차량의 방향을 교정하


여 본래의 주행차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시공하는 충격흡수시설 공사에
적용한다.

1.2 시공 일반사항 1.2 시공 일반사항

1.2.1 충격흡수시설의 설치위치와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사용재료의 재질이나 부재 1.2.1 공사는 설계도서에 따 라 시행한다. [수정] 충격흡수시설은 시공시 임의변경 없이 설계도서에 따라
의 형상과 두께 등은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달리할 수 있다. 시행됨.

11-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2 새로운 충격흡수시설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것으 1.2.2 새로운 충격흡수시설의 개발 적용은 그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것으로,
로, 실물차량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실물차량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그 성능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B 1002 육각 볼트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차 방호 안전시설 량 편(국토교통부) [수정] 참조표준 수정

KS B 1012 육각 너트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14 와이어 로 프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M 3014 폴리에틸렌 발포제품 시험방법
KS M 6672 쿠션용 연질 우레탄 폼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차량방호 안전시설 편 - 국토해양부
(참고)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충격흡수시설 편 - 국토해양부

2. 재료 2. 재 료
2.1 교차로 분기부용 및 중앙분리대 단부용 충격흡수시설 " 앙
[삭제] 표준시방서에서 교차로 분기부용 및 중 분리대 단부용

+ 틸렌 합성체의 재질은 KS M 3014의 시험방법에 따르고,


2.1 일반사항
충격흡수시설"은 실물충돌시험을 거지치 않은 제품으로
2.1.1 실물차량충돌시험에 합격한 제품의 재질 기준에 따른다.
2.1.1 폴리우레탄 폴리에
밀도는 0.026 g/㎤ 이상, 압축강도는 3.0 N/㎠(0.3 ㎏f/㎠) 이상으로 한다. 충격흡수시설에서 삭제
2.1.2 품질관리는 실물차량충돌시험 당시 제출한 도면에서 제시한 재질을 사용하였 [신설] 실물차량충돌시험에 합격한 제품에 대한 시방서를 신설
2.1.2 측면판 및 격간판의 재질은 KS D 3503에 적합하고 SS400 이상의 것이어야
는지를 점검한다. [관계기관의견] 용어 수정 : 실물충돌시험 ⇒ 실물차량충돌시험
한다.
질 R
2.1.3 지주의 재 은 KS D 3568에 적합하고 SPS 30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수정] 중심위 : 문장 수정


2.1.4 볼트 및 너트는 KS B 1002 및 KS B 1012에 따르며, 기타 부속품의 재 은
KS D 3503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5 지지용 로 는프 Z꼬임으로 하고 강연선(strand)의 수는 6개로 하고 각 강연선
의 소선은 7개이다. 완성된 로프의 굵기는 절단면의 외접원 직경이 14 ㎜ 이어
야 하고 기타사항에 대해서는 KS D 3514에 준한다.

11-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6 전면판은 노란색 고휘도 반사지와 흑색 테이프의 빗금표지를 부착한다.
2.1.7 표면처리
(1) 측면판, 격간판, 지주 및 볼트, 너트의 도금에 있어서는 그 재료, 전 처리, 도
금 및 후 처리 작업은 KS D 9521에 따라야 한다.
(2) 측면판, 격간판, 지주의 아연부착량은 KS D 8308의 2종 HDZ55로 하고 다른
부재(로프 제외)의 아연도금 부착량은 2종 HDZ35로 한다.
(3) 지지로프의 아연도금 부착량은 소선에 대하여 300 g/㎡ 이상으로 한다.
(4) 아연부착량은 KS D 0201의 염화티몬법에 따라 3개의 시험편에 대하여 측정
한 중량을 시험편의 표면적(시험편이 관일 경우에는 관의 양면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서 3개의 시험편의 평균치를 말한다.
2.1.8 측면판, 격간판, 지주 및 볼트, 너트는 전 표면을 용융 아연 도금을 하여야 하
며, 나사부는 도금 후에 나사 홈이 유지되도록 손질하여야 한다.
2.1.9 도금은 전제품에 대하여 균일하게 마무리되어야 하고 광택에 심한 차이가 있
어서는 안되며, 제품의 일부가 도금되지 않았을 때는 재 도금하여야 한다.
2.1.10 제품은 조립 및 가공 후에 결함이 있어서는 안 되며, 손상되지 않도록 취급
하여야 한다.

2.2 영업소 톨부스용 충격흡수시설

2.2.1 측면 강판의 재질은 KS D 3503에 적합하고 SS400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2.2 완충재로 사용하는 우레탄의 재질은 KS M 6672의 2종에 따른다.
2.2.3 볼트 및 너트의 재질은 KS B 1002와 1012에 따르며 기타 부속품의 재질은
KS D 3503에 적합하고 SS400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2.2.4 전면은 폴리에 틸렌판을 사용하고, 노란색 고휘도 반사지와 흑색 테이프의 빗
금표지를 부착한다.

2.3 기타 충격흡수시설

2.3.1 기타 구조 및 형상의 충격흡수시설은 실물차량충돌시험을 거쳐 인증된 제품별


표준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 시공 3. 시 공

11-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교차로 분기부용 및 중앙분리대 단부용 충격흡수시설 3.1 시공일반

3.1.1 시설의 후면에 지지대가 있을 경우는 그 지지대를 이용하고 없을 경우에는 후 탑승자의 안전과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하여 설치하되, 설치위치 및 기
3.1.1 [수정] 중심위 -문장 수정

방지지대를 제작하여 설치한다. 능(주행복귀형, 주행 비복귀형)을 명확히 하여 당해 기능을 충족하는 실물차량


3.1.2 지지로프의 노면지지를 위하여 노면이 아스팔트인 경우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 충돌시험 합격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여 볼트로 연결하고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바로 볼트로 연결하여 지지시킨 3.1.2 충격흡수시설의 수행도를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유공간을 확보하여야 한
다. 다.
3.1.3 지지레일은 지주가 후방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간격을 주어 바닥에 볼 3.1.3 충격흡수시설의 거동과 구성 부재의 비산 정도 및 충돌 후 차량의 거동 등을
트로 결속시 다.킨 파악하여 후속차량, 인근차로 또는 대향차로의 주행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
3.1.4 시설의 조립은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실시하며 방향은 노면표시의 중심을 향하 록 설치형식과 변형거리, 탈출거리, 등급선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록 하고 현장 여건에 따라 교통류의 흐름과 일치시킨다. 3.1.4 충돌설계속도에 따른 시설 설치 여유공간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차량방호안전시설 편, 국토교통부)의 표 3.2 충돌설계속도에 따른 시설 설치
여유공간과 그림 3.4 연결로 출구 분기점에서의 시설 설치 여유공간을 참조하
3.2 영업소 톨부스용 충격흡수시설

3.2.1 본체 지지를 위한 받침대가 시설의 전면으로 나오지 않도록 설치한다. 여 결정한다.

3.2.2 시설은 완제품으로 제작 운반하여 설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히 부착할 향 량


3.1.5 설치방 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차 방호안전시설편, 국토교통부)
수 있도록 볼트로 연결한다. 의 그림 3.5 충격흡수시설의 설치방향을 참조한다.

3.2.3 설치 시 전면의 반사지에 손상이 입지 않도록 주의하고 기계작업을 원칙으로 3.1.6 유출 연결로 분기점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시설은 본선의 평균주행속도를 고려 [관계기관의견] 용어 수정 : 실 물충돌시험 ⇒ 실물차량충돌시험
한다. 하여 설치한다.

생 당
3.2.4 제작은 공장 산을 원칙으로 하고 상부는 적 한 기 기를 주어 울 물이 고이지 3.1.7 충격흡수시설은 실물차량충돌시험을 거쳐 인증된 제품별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않도록 한다.
3.3 기타 충격흡수시설

3.3.1 기타 충격흡수시설은 실물차량충돌시험을 거쳐 인증된 제품별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11-7 낙석방지 울타리 11-5 낙석방지 울타리 [수정] 낙석방지울타리는 사전에 비탈면보강공법을 수행한 후에
도 만일의 도로변 비탈면에서 떨어지는 낙석을 저지하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사고를 에방하는 시설이며, 시설의 기준이 되는 낙석의


충격에너지는 지반의 종류와 관련이 있을 뿐 일반국도와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고속도로에서 안전성의 차이가 없으므로 고속도로전문시

이 시방서는 암구간의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져 내리는 낙석 등을 저지시켜 사고 이 시방은 비탈면으로부터 떨어져 내리는 낙석 등을 저지시켜 사고를 예 방서 기준을 인용함

11-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낙석방지 울타리 공사에 적용한다. 방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낙석방지 울타리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6각 볼트
KS B 1012 육각 너트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2330 주 용 알루미늄합금 잉곳 KS D 3514 와이어로 프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7018 체인 링크 철망
KS D 3514 와이어 로 프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철선
KS D 7018 체인 링크 철망
KS D 7036 염화비닐 피복 철선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낙석방지시설 편- 국토해양부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 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
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전체 통일

2. 재 료 2. 재 료
2.1 지 주 2.1 지 주

2.1.1 낙석방지 울타리 지주는 H형강으로 KS D 3503의 SS400에 적합하여야 한다. 2.1.1 낙석방지 울타리 지주는 H형강으로서, KS D 3503의 SS400에 적합하여야 한
2.1.2 형강 밑 기타재료도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 다. 인장강도는 400 MPa ∼ 510 MPa , 항복점은 245 MPa 이상이어야 하며,

어야 한다. 연신율은 17 %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추가

2.1.3 아연부착 은 량 편면 600 g/㎡ 이상이어야 한다. 2.1.2 아연부착량은 편면마다 600 g/㎡ 이상이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2.2 와이어 로프 2.2 와이어 로프


2.2.1 와이어 로 의 구조는 직경 18 ㎜로서 강연선 수가 3개, 1개 강연선의 소선수 프 프
2.2.1 와이어 로 는 KS D 3514(와이어 로 )에 적합한 제품으로서, 외접원 직경은
는 7가닥으로 보통 Z형 꼬임(ψ18×3×7)이어야 한다. G종과 A종을 사용한다.
20 mm 이상으로,

2.2.2 아연부착량은 소선에 대해 230 g/㎡이어야 한다. 2.2.2 G종의 경우 183 kN, A종의 경우 197 kN 이상의 하중을 견디어야 한다.

2.2.3 기타 규격은 KS D 3514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2.2.3 와이어 로프의 강연선 수는 6개이며, 1개 강연선의 소선수는 24가닥으로 보통
Z꼬임이어야 한다.
2.2.4 소선의 지름은 0.88 mm 이며, 아연부착량은 G종의 경우 85 g/㎡ 이상 · A종의

11-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경우 70 g/㎡ 이상이어야 한다.
2.3 철 망
2.3 철 망
2.3.1 철망은 KS D 7036(염화비닐 피복철선)과 KS D 7018(체인링크철망)에 적합하
철망은 KS D 7036과 KS D 7018에 적합하여야 하며, 심선의 지름은 3.20∼4.00 ㎜ 여야 한다.
으로 아연도금 후 P.V.C 코팅한 선의 지름은 4.0∼5.0 ㎜이며 망눈의 치수는 50×50 2.3.2 철망 심선의 지름은 3.2 mm ∼ 4.0 mm로 아연도금 후 PVC로 코팅한 선의 지
㎜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50×50 ㎜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름은 4.0 mm ∼ 5.0 mm 이며, 망눈의 치수는 50 mm × 50 mm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수정] 단어표기법 수정, 전체 통일

량 W VG
2.3.3 아연부착 은 S M - S2종을 기준으로 할 때 심선 직경 3.2 mm는 30 g/㎡ [수정] 오타 수정
이상, 심선 직경 4.0 mm는 35 g/㎡ 이상이어야 한다.
2.3.4 피복선의 색은 녹색계통을 사용한다.

2.4 결속선

철망과 같은 규격의 제품을 사용한다.


2.4 고정구 볼트․너트
2.5 와이어로프 단부 고정장치
고정구 볼트․너트는 KS B 1012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5.1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에 적합한 SS400 이상의 제품을 사용한다.
2.5 고정구 2.5.2 아연도금은 600 g/㎡ 이상이어야 한다.
물 CC
3. 시 공
고정구는 주 용 알루미늄 합금 지금으로 KS D 2330의 A 4 .2로서 인장하중
1,300 ㎏f이상, 압축하중 4,700 ㎏f이상이어야 한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낙석방지울타리 지주는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1 시공일반 3.1.2 와이어 로프는 시공완료 후 초기장력이 500 kg/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1.1 낙석방지 울타리가 설치되는 L형 옹벽(L-2 또는 L-3형 측구)의 배면에는 울타리 지 3.1.3 결속선은 철망과 철망이 겹치는 부위와 철망과 와이어 로프를 결속하는 경우에

주의 기초 콘크리트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을 노출시켜 놓아야 한다. 사용하는 것으로서, 철망과 같은 규격의 제품을 사용하여 풀리지 않도록 지주

3.1.2 L형 옹벽 뒤채움 실시 이후 고정구를 사용하여 지주에 와이어 로프를 견고하 경간 길이의 20 % 이상 망눈에 맞추어 망눈마다 와이어 로프와 일체가 되게

게 고정하여 로프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3.1.3 PVC 코팅 철망을 설치 시에는 와이어 로프에 무리한 힘을 주어서는 안 되며, 3.1.4 망과 망이 겹치는 부위는 500 mm 이상 겹이음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겹이음

지주와 고정구 및 와이어 로프를 완전히 일치시킨 후 팽팽히 당겨 결속선으로 부위 중앙부 상단에서 하단까지 망눈마다 감는 형식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결속 후 늘어짐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5 깎기부의 연장이 긴 경우에는 60 m ∼ 100 m 간격으로 나누어 설치하고, 낙석

11-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와이어로 는 지주에 구 을 멍 뚫어 고정시키거나 U형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 방지 타리울 배면이나 깎기부의 유지관리를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하며, 깎
켜야 하며, 가급적 U형 볼트를 사용토록 한다. 기부의 연장이 긴 경우에는 깎기 높이와 토질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른 형식의
3.1.5 낙석방지 울타리는 충격하중 24.5N/m (2.5tonf/m)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낙석방지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한다. 3.1.6 낙석방지울타리의 모든 나사부에는 방청을 위한 그리스를 칠하여 유지관리할
3.1.6 계약상대자는 반드시 낙석방지 울타리의 설치위치 및 연장을 감독자와 사전 때 해체가 용이하게 하여야 한다.
협의를 거친 후 현장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3.1.7 계약상대자는 반드시 낙석방지울타리의 설치 위치 및 연장을 감독자와 사전
3.1.7 불필요한 위치에 계약상대자 임의로 설치한 낙석방지 울타리 시설은 계약상대 협의를 거친 후 현장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자 부담으로 철거하여야 한다. 3.1.8 불필요한 위치에 계약상대자 임의로 설치한 낙석방지울타리 시설은 계약상대
3.1.8 발파암 및 풍화암 등 혼합고의 높이가 6m 이상인 경우 현장여건에 따라 낙석 자 부담으로 철거하여야 한다.
방지 울타리를 설치하며, 6m 이하 구간이라도 낙석이 우려될 경우에는 공사
감독자의 승인을 득하여 설치할 수 있다.
3.1.9 지주 기초의 시공을 할 때는 주변의 지반이 이완하거나 활동하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3.1.10 유지관리 및 케이블 장력유지를 위하여 단부 지주는 100m 이내로 하여야 한다.
11-11 도로반사경 11-6 도로반사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

이 시방서는 도로반사경의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도로반사경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도로반사경 편 -,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도로반사경 편(국토교통부)
2. 재료 2. 재료
2.1 구조 및 형상 2.1 구조 및 형상

2.1.1 도로반사경의 형식은 둥근형과 사각형을 사용하며, 둥근형의 거울면 형상은 2.1.1 도로반사경의 형식은 둥근형과 사각형을 사용하며, 둥근형의 거울면 형상은 상

11-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상하방 의 시계와 좌우방향 시계가 같고, 사각형의 거울면 형상은 상하방향 향
하방 의 시계와 좌우방향 시계가 같고, 사각형의 거울면 형상은 상하방향의
의 시계가 좌우방향의 시계만큼 필요가 없는 장소나 두 면의 영상을 연결해서 시계가 좌우방향의 시계만큼 필요가 없는 장소나 두 면의 영상을 연결해서 보
볼 경우에 사용한다. 여주어야 할 경우에 적용한다.
2.1.2 거울면의 크기와 곡률반경은 표 11-26을 적용한다. 거울면의 크기는 도로반사 2.1.2 거울면의 크기와 곡선반지름은 표 11-6-1을 적용한다. 거울면의 크기는 도로반 [수정] 문구 수정

경 자체가 쉽게 눈에 뜨이는지 여부와 시계에 연관이 되어있고, 거울면의 곡 사경 자체가 쉽게 눈에 뜨이는지 여부와 시계에 연관이 되어있고, 거울면의 곡
률반경은 영상의 크기와 시계에 관련이 되어있다. 현장여건에 부합한 조합을 선반지름은 영상의 크기와 시계에 관련이 되어있다. 현장 여건에 적합한 조합
적용하여야 한다. 을 적용하여야 한다.
[수정] 곡률반경 -> 곡선반지름, 자구 수정

2.1.3 도로반사경의 선정에 있어서는 영상의 시인성과 시계를 고려하여 확인하여야 2.1.3 도로반사경의 선정에 있어서는 영상의 시인성과 시계를 고려하여 확인되어야
할 위치에 있는 물체가 충분히 확인될 수 있는 시인성을 갖는 도로반사경 형 할 위치에 있는 물체가 확인될 수 있는 시인성을 갖는 도로반사경 형식을 선
[수정] 문구수정, 충분히 삭제
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거울면의 곡률반경은 표 11-27을 적용한다. 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거울면의 곡선반지름은 표 11-6-2를 적용한다.
2.1.4 시계에는 확인하여야 할 차량은 물론이고 그 부근의 교통 및 도로의 상황을 2.1.4 시계에는 확인되어야 할 차량은 물론이고 그 부근의 교통 및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가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시계는 거울면의 곡률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가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시계는 거울면의 곡선
[수정] 자구수정

반경, 거울면 수, 거울면 형상 및 거울면의 크기에 관련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반지름, 거울면 수, 거울면 형상 및 거울면의 크기에 관련되었기 때문에 각각
[수정] 용어 수정

특징과 상호연관성에 유의하여 시설물을 설치한다. 의 특징과 상호연관성에 유의하여 시설물을 설치한다.
2.1.5 거울면 수는 주행부는 일면경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교차로에서 1방향만을 2.1.5 거울면 수는 주행부는 일면경을 사용하고, 교차로에서 1방향만을 확인하는 경
확인하는 경우는 일면경을, 2방향을 확인하는 경우는 이면경으로 한다. 우는 일면경을, 2방향을 확인하는 경우는 이면경으로 한다.
“ ”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표 11-26 거울면의 크기 및 거울면의 곡률반경 표 11-6-1 거울면의 크기 및 거울면의 곡선반지름


(단위 : ㎜) 거울면의 형상 거울면의 크기(mm) 거울면의 곡선반지름(mm)
거울면의 형상 거울면의 크기 거울면의 곡률반경률반경 ø 600
ø 600 둥근형 ø 800 1,500

둥근형 ø 800 1,500


ø 1,000 2,200

ø 1,000 2,200 □ 450×600 3,000

□ 450×600 3,000 사각형


□ 600×800 3,600 이상

사각형
□ 600×800 3,600 이상

표 11-6-2 곡선반지름

표 11-27 곡률반경 필요한 시거(D) D < 40 m 40 m ≦ D ≦ 60 m D > 60 m


필요한 시거(D) D < 40m 40m ≦ D ≦ 60m 60m < D 거울면의 1,500
[수정] 표 내용 및 시거 표시 수정
곡선반지름(mm) 2,200
3,000 3,600 이상

거울면의 곡률반경(㎜) 1,500


2,200
3,000 3,600 이상

2.2 재료의 품질기준


2.2 재료의 품질기준

① 거울면의 두께는 거울면 형상, 거울면의 크기 및 재료에 따라 표 11-28에 2.2.1 거울면의 두께는 거울면 형상, 거울면의 크기 및 재료에 따라 표 11-6-3에 의

11-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의 하여 선정한다. 거하여 선정한다.
표 11-28 거울면의 두께의 표준 표 11-6-3 거울면의 두께의 표준
(단위 : ㎜)
거울면의 거울면의 메타크릴재료별폴리카보네
거울면 두께의 표준(mm)
재 료 형상 크기
거울면의 거울면의 메타크릴 폴리카보네이 수지 이트수지 스텐인레스 유리 텐 ⇒ 스테인레스
형상 크기 수지 트수지 스텐레스 유리 ø 600
[수정] 용어 수정 : 스 레스

둥근형 ø 800
3 3 0.8 5
[관계기관의견반영]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두께가 얇으면 동결
ø 600 3 3 0.9 5
이나 차량과의 충돌시 파손의 가능성이 커 유사한 재질인
ø 1,000
3 2 0.8 5
둥근형 ø 800 3 3 1.0 5
메타크릴 수지와 같이 두께를 2mm → 3mm로 상향
3 2 0.9 5
ø 1,000 3 2 1.0 5 □ 450×600 3 3 0.8 5

□ 450×600 3 2 0.8 5
사각형
□ 600×800 3 3 0.9 5
사각형
□ 600×800 3 2 0.9 5

② 지주는 KS D 3503 또는 KS D 3566에 적합하여야 한다. 도로 반사경의 지 2.2.2 지주는 KS D 3503 또는 KS D 3566에 적합하여야 한다. 도로 반사경의 지주
주는 경면 형상 및 거울면의 크기 등에 따라 표 11-29에 따라 선정한다. 거울면 형상 및 거울면의 크기 등에 따라 표 11-6-4에 따라 선정한다.
③ 도로반사경의 지주 등의 색채는 주황색을 원칙으로 한다.

2.2.3 도로반사경의 지주 등의 색채는 주황색으로 한다.
[수정] 용어 수정 : 경면 ⇒ 거울면
“ ”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표 11-29 지주(강관)의 제원 표 11-6-4 지주(강관)의 제원
(단위 : ㎜) 거울면의 거울면의 일 면 경(mm) 이 면 경(mm)
거울면의 거울면의 일면경 이면경 형상 크기 외경 두께 길이 외경 두께 길이
형상 크기 외경 두께 길이 외경 두께 길이 ø 600 76.3 3.2 3,600 76.3 3.2 4,000
ø 600 76.3 3.2 3,600 76.3 3.2 4,000 둥근형 ø 800 76.3 3.2 4,000 89.1 3.2 4,400
둥근형 ø 800 76.3 3.2 4,000 89.1 3.2 4,400 ø 1,000 89.1 3.2 4,400 101.6 4.0 4,800
ø 1,000 89.1 3.2 4,400 101.6 4.0 4,800 □ 450×600 76.3 3.2 3,600 76.3 3.2 4,000
□ 450×600 76.3 3.2 3,600 76.3 3.2 4,000
사각형
□ 600×800 76.3 3.2 4,000 89.1 3.2 4,400
사각형
□ 600×800 76.3 3.2 4,000 89.1 3.2 4,400
2.2.4 거울면의 재질 기준은 다음과 같이 하며,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동등 이상의 신
[ 설] 2011년 개정된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거울면
품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재질 기준을 추가
(1) 메타크릴 수지
KS M 3811(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
(2) 스테인레스 강
[관계기관의견] 용어수정 : 스 틸⇒강
KS D 3698(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STS 304 또는 STS 304를 사용
한 접합강판에 표면다듬질 BA 또는 No.2B를 실시한 것
접합강판의 경우는 추가로 표 10-6-5의 시험 기준 이상의 것을 사용할 것
(3) 유리

11-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L 2002(강화 유리) 중 플로트 강화 유리로 두께 5 mm인 것
표 11-6-5 스테인레스 강 접합강판 추가시험 기준

항목 시험방법 평가기준 시험법


평균 박리력 KS11339
M ISO
접착강도 온도별 (-40 / 100 67.8 N
°C)
KS M 3718
염수분무시험 5% NaOH x 500 hr 구멍, 균열, 부풂 KS D 9502
촉진내후성 SunArc법,
shine Carbon 변색, 박리, 부풂
500 hr KS F 4751 풀림 -> 부풂 (KS F 4751)
[수정] 부

3. 시공
3. 시공
① 거울면의 설치 높이는 거울면 하단에서 노면까지의 높이로 2.5 m를 표준으 3.1 일반시공

로 하며, 주의판을 설치할 때는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3.1.1 거울면의 설치 높이는 거울면 하단에서 노면까지의 높이로서, 2.5 m를 표준으
② 거울면의 설치 각도로, 상하 방향과 좌우방향의 각도는 필요로 하는 시계의 로 하며, 주의판을 설치할 때는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범위에 따라 정한다. 그리고 대형차와 소형차, 어른과 어린이 등의 눈의 높 3.1.2 거울면의 설치 각도로,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의 각도는 필요로 하는 시계의 범

이에 따른 차이 및 도로반사경에 가까이 감에 따라 변화하는 시선의 입사각 위에 따라 정한다. 대형차와 소형차, 어른과 어린이 등의 눈의 높이에 따른 차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 및 도로반사경에 가까이 감에 따라 변화하는 시선의 입사각 등도 고려하여

③ 거울면을 최적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굽은 지주나 금속구조물 등을 사용하 야 한다.

고, 1개의 지주에 이면경을 설치하는 경우 가로로 설치한다. 3.1.3 거울면을 최적 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굽은 지주나 금속구조물 등을 사용하
④ 도로반사경은 교차하는 차량, 보행자, 장애물 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위치 고, 1개의 지주에 이면경을 설치하는 경우 가로로 설치한다.

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도로의 시설한계를 고려해서 거울면이나 지주 량


3.1.4 도로반사경은 교차하는 차 , 보행자, 장애 물 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등이 차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이 때 도로의 시설한계를 고려해서 거울면이나 지주 등이 차

⑤ 도로반사경의 기초는 거울면, 지주 등의 자중, 풍하중을 고려해서 설계하여 량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시공에 관련 된 내용이므로 “설치하여야 한다”로변경
야 한다. 기초의 표준 근입 깊이는 표 11-30의 값으로 한다. 3.1.5 도로반사경의 기초는 거울면, 지주 등의 자중, 풍하중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⑥ 설계풍속은 40 m/초를 표준으로 한다. 한다. 기초의 표준 근입 깊이는 표 11-6-6의 값으로 한다.

⑦ 지주에는 전면반사식 주의판 및 시설 관리표를 붙인다. 주의판의 치수는 3.1.6 설계풍속은 40 m/초를 표준으로 한다.

11-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 180 ㎜, 시설 관리표는 200 ㎜×150 ㎜를 표준으로 한다.
600 ㎜ 3.1.7 지주에는 전면반사식 주의판 및 시설관리표를 붙인다. 주의판의 치수는 600

표 11-30 기초의 표준 근입 깊이
mm × 180 mm, 시설관리표는 200 mm × 150 mm로 한다. [수정] 시방서의 전체 내용이 원칙이고, 표준임.
(단위 : ㎜) 표 11-6-6 기초의 표준 근입 깊이

종 류 일 면 경 이 면 경 종 류 일면경(mm) 이면경(mm)
ø 600 600 900 ø 600 600 900
둥근형 ø 800 900 1200 둥근형 ø 800 900 1200
ø 1,000 1200 1500 ø 1,000 1200 1500

□ 450×600 600 900 □ 450×600 600 900


사각형
□ 600×800 900 1200
사각형
□ 600×800 900 1200

비고) 기초폭 500 mm


비고) 기초폭 500 ㎜

11-13 과속방지턱 11-7 과속방지턱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과속방지 의 재료와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과속방지 턱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전체 통일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 과속방지 턱 편 -,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 과속방지 턱 편(국토교통부)
1.3 설치위치 신 년 개정된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과속방
[ 설] 2011
지턱 설치장소 기준을 추가. [수정] 용어 수정 : 국도 ⇒

1,3,1 과속방지 은 일반도로 중 집산도로, 국지도로의 기능을 가진 도로에 도로·교
통상황과 생활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관리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
일반국도

소에 한하여 최소한으로 설치한다.


1.3.2 과속방지턱은 간선도로 또는 보조간선도로의 이동성 기능을 갖는 도로에는 설
치할 수 없다. 단, 왕복 2차로 이동성 기능을 가진 일반국도에서 보행자 안전
을 위하여 제한속도가 30 km/h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구역에서 보행자 무단

11-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횡단 금지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경우 교통정온화시설의 하나로 과속방지턱
설치를 검토할 수 있다.

2. 재료 2. 재료

2.1.1 과속방지 은 도로의 노면포장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써 노면과 일체가 되도록 턱
2.1.1 과속방지 은 도로의 노면포장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노면과 일체가 “
[수정] 문구 수정, 원칙으로 삭제 ”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고무, 플라스틱, 기타 재료로 과속방지턱을 제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고무, 플라스틱, 기타 재료로 과속방지턱을 제
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타이어와의 마찰계수가 인접도로의 노면 마찰계수 작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타이어와의 마찰계수가 인접 도로의 노면 마찰계
보다 커지도록 하여 볼트 등으로 노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각 재료의 품질 수보다 커지도록 제작하여 볼트 등으로 노면에 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각
기준은 이 시방서의 해당 항목에 따른다. 재료의 품질 기준은 이 시방서의 해당 항목에 따른다.
2.1.2 과속방지턱의 표면은 반사성 도료로 도색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과속방지 2.1.2 과속방지턱의 표면은 반사성 도료로 도색하여야 한다. 다만, 과속방지턱을 유 “ ”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턱을 유색포장 재료로 만들거나 유색 블럭으로 표면처리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색포장 재료로 만들거나 유색 블럭으로 표면을 처리한 경우에는 도색을 생략
아니한다. 할 수 있다.
2.1.3 반사성 도료의 재료 기준은 11-2 노면표시의 재료 기준에 따른다. 2.1.3 반사성 도료의 재료 기준은 11-2 노면표시의 재료 기준에 따른다.

3. 시공 3. 시공
3.1.1 자동차의 통과속도를 30㎞/h 이하로 유지하고자 하는 도로상에 설치하는 과 3.1.1 자동차의 통과속도를 30 km/h 이하로 유지하고자 하는 도로에 설치하는 과속
속방지턱의 제원은 길이 3.6 m, 높이 100 ㎜의 원호형으로 하여야 한다. 방지턱의 제원은 길이 3.6 m, 높이 100 mm의 원호형으로 하여야 한다.
3.1.2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을 충분한 시인할 수 있도록 흰색과 황색의 반사성 도료 3.1.2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흰색과 황색의 반사성 도료를
[수정] 자구 수정
를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에 따라 빗금으로 도색한다.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을 참조하여 빗금으로 도색한다.
[수정] 충분한 삭제, 하위 기준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3.1.3 도로상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였을 때는 통행안전을 위하여 운전자에게 알리 3.1.3 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통행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에게 알리 [수정] 자구 수정
는 관련 교통표지와 노면표시를 하여야 한다. 는 관련 교통표지와 노면표시를 하여야 한다.
3.1.4 과속방지턱의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명시설을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 3.1.4 과속방지턱의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명시설을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
다. 다.
턱 폭 걸쳐서 설치하고 도로폭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다
3.1.5 과속방지 은 차도 전 에 턱 폭 걸쳐서 설치하고 도로폭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다
3.1.5 과속방지 은 차도 전 에
만 차도에 L형측구 등 배수시설이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제외한 포장폭을 대 만, 차도에 L형측구 등 배수시설이 포함된 경우에는 이를 제외한 포장폭을 대
상으로 한다. 상으로 한다.
3.1.6 기존 아스팔트와 과속방지턱이 맞닫는 부분은 깨지기 쉬우므로 기존 아스팔트 턱 ·
3.1.6 과속방지 의 시 종점부는 깨지기 쉬우므로 기존 아스팔트를 파내고 설치한 [수정] 문구 수정
를 파내고 설치한다. 다.
3.1.7 과속방지턱의 시공 후 충분한 강도로 굳을 때까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턱 후 적정한 강도로 굳을 때까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야
3.1.7 과속방지 의 시공 [수정] 충분한 ⇒ 적정한, 자구 수정
하며 과속방지턱의 강도를 확인한 후 골재의 회수 및 청소가 끝난 다음, 감독 하며, 과속방지턱의 강도를 확인한 후 골재의 회수 및 청소가 끝난 다음 감독
자의 승인을 얻어 교통을 개방한다. 자의 승인을 받은 후 교통을 개방한다.

11-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12 미끄럼방지포장 11-8 미끄럼방지포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미 끄럼방지포장의 재료와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미 끄럼방지포장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1.2 시공 일반사항 1.2 시공 일반사항

미끄럼방지포장의 형식 및 재료는 설치장소와 사용 목적에 따라, 감독자의 승인 미끄럼방지포장의 형식 및 재료는 설치장소와 사용 목적에 따라, 감독자
을 얻어 달리할 수 있다. 의 승인을 얻어 달리할 수 있다.

1.3 참조규격 1.3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3.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KS F 2503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 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 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 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 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 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 방법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미끄럼방지포장 편 -,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미끄럼방지포장 편(국토교통부)

2. 재료 2. 재료
2.1.1 미끄럼방지포장용 골재는 마찰계수가 크고 능각이 많은 내마모성의 경질 골재 2.1.1 미끄럼방지포장용 골재는 마찰계수가 크고 파쇄각이 많은 내마모성의 경질 골 본 풍
[수정] 일 어 의 용어 수정 : 능각( 稜角) ⇒ 파쇄각
로서, 표 11-31과 같은 물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재로서, 표 11-8-11과 같은 물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2.1.2 수지계 결합재 재료의 품질기준은 제15장 공사용 재료 표 15-105와 같은 물성 2.1.2 수지계 결합재 재료의 품질기준은 제15장 공사용 재료 표 15-105와 같은 물성
을 만족하여야 한다. 을 만족하여야 한다.
2.1.3 결합재는 온도가 높은 곳이나, 직사일광의 영향을 받으면 주제, 경화제 성분이 2.1.3 결합재는 온도가 높은 곳이나 직사일광의 영향을 받으면 주제, 경화제 성분이
변질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30 ℃ 이하의 통풍이 좋은 장소에 밀폐 보관하 변질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30 ℃ 이하의 통풍이 좋은 장소에 밀폐된 상태 [수정] 자구 수정, 줄임말 수정
여야 한다. 제조 후 일정기간(제조 회사별 사양참조, 일반적으로 6개월)이 경 로 보관하여야 한다. 제조 후 일정기간(제조 회사별 사양 참조, 일반적으로 6
과한 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재확인 후 사용토록 하여야 한다. 개월)이 경과한 제품에 대해서는 품질을 재확인 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표 11-31 골재의 물성 표 11-8-1 골재의 물성

11-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구 분 기 준 시험 방법 구 분 기 준 시험 방법
흡수량 2.0 % 이하 KS F 2503 흡수량 2.0 % 이하 KS F 2503

입도 o ∼ %
N . 4(4.76 ㎜) 통과 90 100
입도 o
N . 4(4.76 mm) 통과 90 % ∼ 100 %
o 잔
N . 7(2.83 ㎜) 류 90 100∼ % KS F 2502
o 잔
N . 7(2.83 mm) 류 90 % ∼ 100 % KS F 2502
[수정] 단위표기 수정
마모율 20 % 이하 KS F 2508 마모율 20 % 이하 KS F 2508

유해물 함유량 점토, 0.25 % 이하 유해물 함유량 점토, 점토괴 0.25 % 이하 KS F 2512
점토괴, 연한 석편 5.0 % 이하 연한 석편 5.0 % 이하
KS F 2515
KS F 2516

3. 시공 3. 시공
3.1 시공일반


3.1.1 시공준 를 위하여 시공구간의 교통을 차단하고, 노면을 깨끗이 청소하여 포 3.1.1 공용 중인 도로에 설치할 때에는 시공구간의 교통을 차단하고, 노면을 깨끗이 [수정] 문 상맥 신설도로가 아니므로 문장을 적합하게 수정,
장면과 수지간의 접착이 완전히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노면의 건조상태를 청소하여 포장면과 수지간의 접착이 완전히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노면의 차선부 ⇒ 차선으로 자구 수정
확인하고, 도포면외측 노면 및 차선부에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여 불필요한 건조상태를 확인하고, 도포면 외측 노면 및 차선에는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
장소에 시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여 불필요한 장소에 시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2 도포면적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 및 분말의 혼합량을 미리 배합율에 따라 계산 3.1.2 도포 면적에 따라 주제와 경화제 및 분말의 혼합량을 미리 배합율에 따라 계

하고 이에 따라 주제와 분말을 전동식 핸드 믹서를 사용하여 충분히 혼합한 산하고, 이에 따라 주제와 분말을 전동식 핸드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경 [수정] 충분히 삭제, 일본식 표기 수정 : 레끼 ⇒ 레이크
후 경화제를 첨가하고 다시 혼합하여야 한다. 혼합이 완료된 수지는 시공 부 화제를 첨가하고 다시 혼합하여야 한다. 혼합이 완료된 수지는 시공 부위에 쏟
위에 쏟아 놓고 철제 또는 고무레끼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아 놓고 철제 또는 고무 레이크 등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야 한다.

3.1.3 골재는 수지의 도포가 끝난 직후 삽을 이용하여 살포량이 표준 7 ㎏f/㎡가 되도록 3.1.3 골재는 수지의 도포가 끝난 직후 삽을 이용하여 살포량이 표준 7 kgf/㎡가 되

인력으로 살포하고, 30 ㎏의 수동식 다짐롤러를 사용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도록 인력으로 살포하고, 30 kg의 수동식 다짐롤러를 사용하여 다짐을 하여야
한다.

3.1.4 골재 살포 후 다짐작업이 완료된 직후 테이프를 제거하고, 수지의 경화 후 잔 짐 완료된 직후 테이프를 제거하고, 수지의 경화 후 잔류하고 있는 골
3.1.4 다 작업이

류골재는 재사용토록 삽, 비 등을 사용하여 1차 회수하여야 한다. 1차 회수후 재는 재사용할 수 있도록 삽, 비 등을 사용하여 1차 회수하여야 한다. 1차 회

에도 잔류하고 있는 상당량의 골재는 콤프렛사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2차 회수 수 작업 후에도 잔류하고 있는 골재는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2차 회수 및 노면 “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문구 수정, 공기압을 이용하여 불 ”
겸 청소를 하여야 한다. 청소를 하여야 한다. 필요

11-9 노면요철포장 신 졸음운전 예방을 위해 설치하는 노면요철포장을 포함


[ 설]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 시방은 운전자의 부주의 및 졸음 운전으로 인하여 차량이 차로를 이탈 [수정] 내용 정리 수정
하려 할 때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켜 주행차로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면요
철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노면요철포장 편(국토교통부)


2. 재 료

해 당사항 없음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설치위치는 운전자의 부주의, 지루함, 피로 및 졸음에 의한 차로이탈사고가 우


려되는 구간에 일반적으로 설치한다.
3.1.2 길어깨나 중앙선(복선)의 포장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인 경우 포장의 표층 신
[ 설] 2011 년 노면요철포장 지침 개정에 따라 설치위치는 길어
두께가 최소 60 mm 이상이 되어야 적용이 가능하다. 깨 또는 중앙선(복선)으로 개정
3.1.3 다음 구간은 설치를 금지하거나 주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출입시설 구간은 진입연결로 및 진출연결로 전후 200m 구간 포함하여 설치
금지
(2) 잔존수명이 3년 이하인 길어깨는 설치 금지
(3) 주거지역은 거주자의 소음피해를 고려하여 가급적 설치 금지
(4) 방음벽 설치구간은 전후 100 m 구간을 포함하여 설치 금지
(5) 구조물(터널, 교량) 구간은 설치 금지
(6) 공사 중 교통우회가 예상되는 구간은 설치시기를 조정
(7) 공용 중인 구간은 가급적 재포장 또는 재표면 처리시기에 맞추어 시공
3.1.4 노면요철포장의 종류는 절삭형과 다짐형을 기본으로 하며, 적용 유형은 설치구 [자문] 적용 유형 대한 설치방법 제시

간의 도로 환경 및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서 선택하여야


한다.

3.2 절삭형 노면요철포장

11-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1 시공장
(1) 절삭장비는 규정된 폭, 간격 및 깊이를 형성할 수 있는 절삭드럼을 갖춘 장비
이어야 한다.
(2) 절삭장비의 최대 공칭외경은 600 mm 이어야 하며, 공칭폭이 300 mm 인 절삭
드럼으로 구성된다.
(3) 절삭드럼으로 절삭된 홈의 깊이는 13 mm 미만이어야 한다.
(4) 길어깨 노면이 불규칙한 지점이나 경사진 구간에서도 기울어지지 않도록 자체
현가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2.3 시공방법

(1) 아스 트 포장 노면의 찢김, 긁힘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2) 아스팔트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길어깨 차선의 우측 끝단에서 100 mm 이
격시켜 절삭한다.
(3) 설치규격은 폭(차량 진행방향 길이) 180 mm , 설치길이(차량 진행방향의 직각
방향) 300 mm, 최대 홈 깊이 13 mm, 중심간격 300 mm 로 하며, 절삭된 부분
은 원형의 오목한 형상을 가져야 한다.
(4) 드럼의 직경에 따라 도면에 맞게 길이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5) 작업구간의 절삭된 입자들은 노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야 한다.
(6) 공사완료 후 노면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개방하여야 한다.

3.3 다짐형 노면요철포장


3.3.1 시공장
(1) 다짐장비는 규정된 폭, 간격 및 깊이를 형성하기에 적당한 크기와 중량을 가
져야 한다.
(2) 각 봉강의 길이는 300 mm 이며, 양 끝단은 100 mm 의 경사가 포함되어야
한다.
럼 배열하여야 한다.
(3) 각 봉강의 중심간격은 300 mm가 되도록 드 에
(4) 각 봉강은 균일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드럼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5) 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틀형(formed type) 노면요철포장을 시공하
며, 일정 모양의 틀을 제작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동시에 노면요철포장
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3.3.2 시공방법

11-6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짐 때에는 규정된 형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 다 할 화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한글
(2) 이상적인 다짐온도는 80 ℃ 이며, 온도관리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3) 필요할 때에는 시공선 유지를 위한 유도장치를 설치한다.
(4)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은 길어깨 차선의 우측 끝단에서 100 mm 이격시켜
설치한다.
(5) 작업 중 손상된 곳이나 파손된 곳은 즉시 원상복구 시킨다.
(6)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의 틀형 노면요철포장은 길어깨 차선의 우측 끝단
에서 100 mm 이격시켜 설치하며, 적용규격은 설치길이 250 mm, 폭 100 mm,
최대 홈 깊이 10 mm, 중심간격 200 mm로 한다.

11-10 긴급제동시설 신 긴급제동시설의 시방을 규정함


[ 설]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자동차가 주행 중에 제동장치가 고장 날 경우 자동차의 도로


이탈 및 충돌사고, 승객 및 차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지
부의 내리막 급경사가 연속된 곳에 설치하는 긴급제동시설 공사에 적용
한다.

1.2 참조표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긴급제동시설 편(국토교통부)


2. 재 료
2.1 골 재

진입차량 제동 효과와 배수, 동결을 감안하여 반드시 소요입경의


2.1.1 사용재료는
둥근 모양의 자갈(pea gravel)을 부설한다.

11-6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2 골재의 입도는 13 mm ∼ 19 mm의 단일 입도를 사용하여야 한다. 복 기술 불필요
[자문] 2.1.1과 용어반

2.2 이탈방지둑

2.2.1 이 탈방지둑의 재료는 유지관리를 위하여 골재부설구간 부설재료와 동일재료


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긴급제동시설의 설치 위치 및 형태는 피난과정에서 핸들조작에 의한 도로 본


선으로의 침입, 인접한 시설물(가옥 등)로의 추락으로 인한 2차 사고의 우려가
없는 곳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3.1.2 골재부설구간의 종단경사는 현지 여건을 고려하되 10 % ∼ 25 %의 기울기로
설치하여야 하며, 골재부설구간의 연장은 참조표준에서 제시하는 AASHTO 식 O
[자문] AASHT 식 추가 적용
과 펜실베니아 식을 현장 여건에 맞게 선정 적용하여 결정한다.
3.1.3 부설된 골재에 대하여 다짐을 실시하지 않으며, 제동능력의 확보를 위하여
주기적인 밭갈이 작업 등의 유지관리를 실시한다.
3.1.4 골재부설구간은 동결과 골재의 공극 막힘으로 인한 성능감소를 최소화하기 위
하여 반드시 배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1.5 소요 정지거리 확보가 곤란한 곳은 감속보조시설 설치에 대한 세밀한 검토 · 분
석 후 골재부설구간+이탈방지둑, 골재부설구간+감속원통+이탈방지둑 등으로
긴급제동시설을 구성한다.
3.1.6 이탈방지둑은 높이 2.5 m, 상단폭 0.5 m, 하단 폭 5 m 이상으로 설치한다.
3.1.7 감속원통의 규격은 0.63 ㎥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3.1.8 제동장치 고장차량 운전자에게 긴급제동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고표지를 2 km 전방, 1 km 전방, 400 m 전방에 설치하고 진입표지를 진입
부에 설치한다.

11-11 장애인 안전시설 신


[ 설] 장애인 안전시설의 시방을 추가함

1. 일반사항

11-6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장애인 등에게 보행 및 이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원 활한


보행과 이동에 대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장애인 안전시설 중 도로상에
설치되는 보도, 턱낮추기, 연석경사로, 점자블록 설치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블록
KS F 4561 시각장애인용 점자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보건복지
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안전행정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장애인 안전시설 편(국토교통부)

2. 재 료
2.1 점자블록

블 태
2.1.1 점자 록은 시각장애인이 보행상 에서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으로
그 존재와 대략적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는 시설로 정해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돌기를 붙인 것이다.
2.1.2 점형블록은 위치 감지용으로 횡단보도, 대기지점, 목적지점, 보행동선의 분기
점 등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장애물 주위에 설치하여 위험 지점을 알리는 경
고용, 선형블록과의 시작, 교차, 굴절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방향 전환 지시용
으로 사용한다.
블 향 유도용으로 보행동선의 분기점, 대기지점, 횡단지점에 설치
2.1.3 선형 록은 방
된 점형블록에 연계하여 목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까지 설치하여 보행방향
을 지시하거나 보도에 연속 혹은 단속적으로 설치하여 보행동선을 확보·유
지한다.

2.1.4 점자 록은 KS F 4561에 따 라 인증받은 제품을 사용한다. 점자블록의 미끄럼
저항은 40 BPN 이상이어야 한다.
2.2 보도

11-6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닥 표면은 장애인 등이 넘어지지 않도록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재
2.2.1 보도 등의 바
질로 평탄하게 마감한다. 특히 경사로의 보도 재질의 미끄럼 저항은 40 BPN
이상이어야 한다.
2.2.2 보도등과 차도의 경계부분에는 연 석, 방호울타리, 기타 차도와 분리할 수
있는 공작물을 설치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바닥재의
질감을 달리한다.
2.3 경사로 손잡이

2.3.1 경사로의 길이가 1.8 m 이상이거나 수직높이가 0.15 m 이상인 경우에는 양측


면에 연속으로 손잡이를 설치한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오타 수정
2.3.2 경사로의 시작과 끝부분에 수평 손잡이를 0.3 m 이상 연장하여 설치한다.
2.3.3 손잡이의 높이는 일렬일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0.8 m ~ 0.9 m 로 하며 이
열일 경우 위쪽 손잡이는 0.85 m 내외, 아래쪽 손잡이는 0.65 m 내외로 한다.
2.3.4 손잡이의 지름은 3.2 m ∼ 3.8 m 로 한다.
2.3.5 손잡이의 양끝 부분 및 굴절 부분에는 점자표지판을 부착할 수 있다.

3. 시 공
3.1 보도 시공


3.1.1 보도 및 접 로(이하, 보도 등)의 유 효폭은 1.5 m 이상으로 한다. 부득이하게
보도 등의 폭이 좁은 경우 휠체어사용자간 또는 유모차 등이 교행할 수 있도
록 50 m 마다 1.5 m × 1.5 m 이상의 교행구간을 설치할 수 있다.
3.1.2 경사진 보도 등이 연속될 경우 30 m 마다 1.5 m × 1.5 m 이상의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할 수 있다.
3.1.3 보도 등의 종단경사는 18분의 1 이하로 한다. 단 지형상 곤란한 경우 12분의 1
까지 완화할 수 있다.
3.1.4 보도 등의 횡단경사는 25분의 1 이하로 한다.
3.1.5 보행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 1.5 m 이상의 보도폭과 높이 2.5 m 이상의 공
간을 연속적으로 확보한다.
3.1.6 연석의 높이는 250 mm 이하로 하며, 색상은 바닥재와 달리 설치할 수 있다.
3.1.7 보도블록 등으로 포장하는 경우에는 이음새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보

11-6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도면이 평탄하게 시공한다.
3.1.8 장애인이 빠질 위험이 있는 곳에는 덮개를 설치하되, 그 표면은 보도 등과 동
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고, 덮개에 격자구멍 또는 틈새가 있는 경우에는 그 간
격이 20 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1.9 가로등, 가로수 등과같은 보행장애물은 최소 1.5 m 이상의 보도의 유효폭을
확보한 후 차도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설치한다.
3.1.10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위에 장애물을 설치하여서는 안 된다.

3.2 턱낮추기 시공

3.2.1 횡단보도 진입 지점이나 횡단보도 중앙에 설치된 안전지대 등에 보행 횡단할


보도와 차도의 높이차를 줄이기 위하여 턱낮추기를 실시한다.
3.2.2 턱낮추기를 실시할 때 보도와 차도간의 높이차를 극복하기 위해 연석경사로를
설치한다.
3.2.3 턱낮추기 및 연석경사로는 횡단보도 진입지점, 안전지대, 건물 진입 부분, 보도
와 차도의 경계구간, 기타 턱낮추기 및 연석경사로의 설치가 필요한 구간 등에
설치한다.

3.3.4 연 경사로의 유 효폭은 횡단보도와 같은 폭으로 한다. 부득이한 경우 연석경사
효폭은 0.9 m 이상으로 한다.
로의 유
3.3.5 연석경사로의 기울기는 20분의 1 이하가 바람직하며, 최대 12분의 1 이하로 한
다. 부분 경사로를 설치할 경우 경사로 옆면의 기울기는 10분의 1 이하로 한
다.
석 울 향 향
3.3.6 연 경사로의 기 기의 방 은 보행자의 통행 동선의 방 과 일치하도록 한다.
3.3.7 턱낮추기를 하는 경우 보도 등과 차도의 경계구간은 높이차를 20 mm 이하로
하고, 우천일 때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3.3.8 연석경사로의 바닥표면은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평탄하게 마무리하며, 보도
등의 질감과 달리할 수 있다.
3.3.9 횡단보도, 곡선부, 안전지대, 교통섬 등에서 설치방법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장애인 안전시설 편을 참조한다.

3.3 경사로 시공

3.3.1 경사로의 유 효폭은 1.5 m 이상으로 한다.

11-6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2 경사로의 기 기는울 최대 12분의 1 이다. 도로에 설치하는 경사로의 기울기는
20분의 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3 경사로의 시작과 끝, 굴절 부분 및 참에 1.5 m × 1.5 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한
다. 경사로의 방향을 전환하는 굴절부의 참은 반드시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설
치한다.
3.3.4 높이가 750 mm를 넘는 경사로의 경우 바닥으로부터 750 mm 이내(경사로 기
울기가 최대 1/12일 경우, 길이 9 m 이내)마다 수평면의 참을 설치한다.
3.3.5 경사로의 양측면에는 휠체어의 바퀴가 경사로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지 않도록
50 mm 이상의 추락방지턱 또는 측벽을 설치할 수 있다.
3.3.6 휠체어의 벽면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벽에 매트를 부착할 수
있다.
3.3.7 경사로의 시작과 끝 부분에 시각장애인 유도를 위한 점자블록을 설치할 수 있
다.

3.4 점자블록 시공

블 높이는 바닥재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3.4.1 점자 록의
3.4.2 점형블록과 선형블록이 연결되는 부분은 간격을 두지 않고 붙여서 설치한다.
3.4.3 점자블록 위에 다른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이동식 장애물을 놓아 두어서는 안
된다.
3.4.4 횡단보도, 곡선부, 안전지대, 교통섬 등에서 점자블록 설치방법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장애인 안전시설 편을 참조한다.

11-12 무단횡단금지시설 신 횡
[ 설] 무단 단금지시설의 시방을 규정함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중앙분리대 내에 설치하여 방호울타리의 기능은 없지만 교통


사고 잦은 구간에서 보행자의 무단횡단, 차량 및 이륜차의 불법유턴을 예
방하기 위한 무단횡단금지시설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1-6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무단 횡단금지시설 편(국토교통부)
2. 재 료
2.1 일반사항

횡단금지시설은 횡방향 부재를 가진 난간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또


2.1.1 무단
한 횡당향 부재의 상단 높이는 노면에서 900 mm를 표준으로 하며, 동일 높
이로 설치하여 연속적인 시선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횡 질
2.1.2 무단 단금지시설의 재 은 차 이 량 충돌할 때 부러지지 않는 재료로서 시선유
도봉 재질의 품질기준을 따르며, 지주의 품질기준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
리 지침 또는 RS-FITI- 2010-032을 참조한다.
2.1.3 무단횡단금지시설의 지주는 RS-FITI-2010-032에 따라 인증 받은 제품을 사용
한다.
횡단금지시설의 지주의 색상은 무채색을 기본으로 하고, 부착되는 반사
2.1.4 무단
지는 황색이고, 고휘도급 반사지를 사용한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횡 횡
3.1.1 무단 단금지시설의 설치위치는 보행자 무단 단 및 불법유 턴 등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많은 구간 등의 중앙분리대에 설치할 수 있다.
3.1.2 다음의 네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한 구간에만 설치할 수 있다.
(1) 도로주변 여건으로 인해 보행자 무단횡단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되는 구간
(2) 무단 단횡 예방을 위한 횡단보도 및 보행자 신호체계 개선이 불가능한 구간
(3) 보도 측에 보행자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할 수 없는 구간
(4) 최소한 무단횡단시설 폭과 양방향 측대 폭(0.5 m) 이상 확보가 가능한 구간
3.1.3 무단횡단금지시설을 시공할 때 차량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조치하고, 형태 및
재료, 설치방법은 설계도면을 따른다.

11-5 도로조명시설 11-13 조명시설

11-6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5-1 가로등 시설 11-13-1 가로등 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관계기관의견반영] 도로안전시설 지침에서 언급한 연속조명, 국
이 시방서는 도로조명시설에 대한 시공의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도로조명시설(연속조명, 국부조명)의 공사에 적용한다. 부조명에 적용토록 적용범위 명시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3701 도로조명기준 KS A 3701 도로조명기준
KS A 3011 조도기준 KS A 3011 조도기준
KS C IEC 60050-845 조명용어 KS C IEC 60050-845 조명용어
KS C 4805 전기기기용 커패스트 KS C 4805 전기기기용 커패스트
KS C 7601 형광램프(일반조명용) KS C 7601 형광램프(일반조명용) [삭제] 고압 수은 램프
KS C 7604 고압 수은 램프
KS C 7607 메탈할라이드 램프 KS C 7607 메탈 핼라이드 램프
KS C 7610 나트륨 램프 KS C 7610 나트륨 램프 [추가] 무전 극 형광램프
KS C 7801/7802 무전극 형광램프 [추가] LED
KS C 7658 LED 가로등 및 보안등 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KS C 7611 도로조명기구 KS C 7611 도로조명기구 [삭제] 램프종류별 안전기 기준
KS C 8104 고압 수은 램프용 안정기 KS C IEC 61347-2-9 방전등용 안전기-개별요구사항 [추가] 통합된 안전기 기준
KS C 8108 나트륨 램프용 안정기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C 8109 메탈할로이드 램프용 안정기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600 철재 가로등주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KS D 8308 용융 아연도금
KS D 3600 철재 가로등주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D 8308 용융 아연도금 전기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전기공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전기사업법 동시행령 및 시행규칙 전기설 비 기술기준령 및 시행규칙 및 관련 자료에 관한 KS C (전기부분)
전기공사업법 동시행령 및 시행규칙 의 기준
전기설 비 기술기준령 및 시행규칙 및 관련 자료에 관한 KS C (전기부분)의 기준 전기설 비 기술기준

11-7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전기설 비 기술기준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 급 약관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 급 약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조명시설 편(국토교통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조명시설 편 - 국토해양부 건축전기설비공사표준시방서
2. 재료 2. 재료
2.1 철재 가로등주 2.1 가로등주
[수정] 철재 및 스테인레스강 등 재료를 통합
2.1.1 가로등주는 KS D 3600 규격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량
2.1.1 가로등주는 등기구의 중 에 따른 비틀림, 풍력에 의한 모멘트, 지진에 의한 흔
(1) 재료는 KS D 3503의 제2종(SS41)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들림, 차량 충돌 등의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철판은 이음매 없는 ROLL 철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단, 일반구조용 강관을 2.1.2 가로등주가 철재인 경우 KS D 3600 규격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사용할 경우에는 KS D 3566에 의한다. 한다.
(2) 플랜지 및 보강재는 KS D 3503의 제2종(SS 41)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 2.1.3 철재 가로등주의 볼트, 너트 등은 용융 KS D 9521에 따라 아연도금제품 또는 [추가] 가로등주 재료의 성능 규정, 용어 수정 : 아연도금 ⇒아
연도금제품
용하여야 한다.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유도관( 부 취 파이프) 및 연결관은 KS D 3503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 2.1.4 가로등주가 스테인레스강인 경우, STS 304N1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
[삭제] KS에 있는 철재 가로등주의 규정 생략
[추가] 스테인레스강 가로등주 규정
하여야 한다. 야 한다.
(4) 도금용 아연도금은 KS D 8308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 등기구 2.2 등기구

2.2.1 등기구는 KS C 7611에 따라 제작되어야 하고 재질 및 특성은 아래 각 규정에 2.2.1 등기구는 KS C 7611에 따르고, 도로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조명성능의 달성 [수정] 다양한 종류의 등기구가 개 되고발 있기 때문에 도로의
종류나 특성에 맞는 제품을 선정토록 하였음
맞아야 한다. 여부, 눈부심 제한, 빛공해 방지,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것을 선정한다.
(1) 몸체는 고순도(99%) 알루미늄 정재판을 기계적으로 성형 가공한 규격품이거
나 다이케스팅으로 제작된 규격품이어야 한다.
(2) 반사판은 고순도(99%) 알루미늄 판을 기계적으로 성형 가공하여 80S 이상으
로 표면을 연마한 후 특수 규소질 피막처리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여야
한다.
(3) 투명 커버가 아크릴판인 경우에는 특수금형에 의한 진공가열 가압방식에 의하
여 기계적으로 가공하여 주름과 구름현상이 없는 고운면을 가져야 하고 12
0℃의 내열성을 가진 특수 아크릴이어야 한다.

2.3 램프 및 안정기 2.3 램프 및 안정기

2.3.1 가로등 광원으로 사용하는 램프 및 안정기는 다음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가로등의 광원은 LED를 사용하며, 기술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고압나트륨 램

11-7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고압수은 램프는 KS C 7604에 적합하고 고압수은 램프에 사용하는 안정기는 프, 메탈 헬라이드 램프, 콤팩트 메탈핼라이드 햄프, 무전극 형광램프 등을 사 [수정] 고압수은 램프 삭제하고 LED 추가, [자문] 오자 수정
C 8104의 규정에 따른다.
KS 용할 수 있다.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2) 메탈 할로이드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07, KS C 8109의 규정에 적합하여 2.3.2 안정기는 방전램프가 점등될 때의 전류를 제한시키는데 사용되며, 안정기의 성 [삭제] 램프별 KS 규정 삭제, 한글로 순화
야 한다. 능에 대해서는 KS C IEC 61347-2-9에 의한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을 선정한
(3) 나트 륨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10, KS C 8108의 규정에 맞아야한다. 다.
(4) 안정기에 사용하는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KS C 4805에 규정하는 것 또는 이 절
2.3.3 초 전용 램프 및 안정기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5) (1)에서 (4)항의 기준을 충족하는 초절전용 램프 및 안정기는 감독관의 승인
을 받아 설치할 수 있다.

2.4 기타 재료

(1) 케이블, 전선관 및 부속자재는 K.S 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4 기타 재료

(2) 가로등주에 사용되는 볼트, 너트 등은 KS D 9521에 따라 용융도금을 한 것 2.4.1 케이블, 전선관 및 부속자재는 KS 규격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또는 스테인리스강 볼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삭제] 볼트, 너트는 가로등주에서 규정

(3) 가로등 기초는 일반 구조용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압 강도는 21 (210 ㎫ ㎏f/㎠) 이
상이어야 한다. 축
2.4.2 가로등 기초는 일반 구조용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압 강도는 21 MP a 이상이
어야 한다.
3. 시공
3. 시공
3.1 조명기구의 배치 배열


3.1.1 조명기구의 설치 이는 10m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KS A 3701에서 정하는 예 3.1 조명기구의 배치 배열

외 규정에 따라 그 이하로 할 수 있다. 3.1.1 조명기구의 설치 이는 높 균제도와 글레어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높이로 선정한 [수정] 가로수, 빛공해 예방을 위해 원칙적으로 설치높이 기준
3.1.2 조명기구의 경사각도는 0도 이상 5도 이하로 한다. 다. 10m 삭제
3.1.3 설치장소, 간격 등 기타 도로 조명에 관한 사항은 KS A 3701에 따른다. 3.1.2 조명기구의 경사각도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수정] 조명설계도의 조명기구 경사각도에 따름
3.1.3 설치장소, 간격 등 기타 도로 조명에 관한 사항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수정] 도로안전시설 지침 및 KS 기준 참조, 하위 기준에 대한
지침 또는 KS A 3701을 참조한다.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3.2 조도기준
3.2 도로조명 등급
3.2.1 장소별 조도기준은 KS A 3701 및 KS A 3011 에서 정하는바에 따른다.

3.2.1 도로조명의 등 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또는 KS A 3701을 참조한 [수정] 조도기준 ⇒ 도로조명등급
다. 급
[수정] 가로등 설치 기준은 도로조명등 에 따른다. 하위 기준에
3.3 지주 설치
대한 내용은 “참조한다‘로 변경
3.3 가로등주 설치

11-7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1 지주의 설치 간격, 위치 및 높이는 KS A 3701,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 3.3.1 가로등주의 설치 간격, 위치 및높이는 KS A 3701,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
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침과 설계도서에 따 리 지침과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3.3.2 지주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관 및 설치 시 주의하여야 한다. 3.3.2 가로등주를 보관, 설치할 때에는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3.3 도로의 미관을 고려하여 지주의 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3.3.3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주로 인하여 발생되는 선형은 도로의 미관을 고려 [수정] 문구 수정, 위치 변경, 한글로 순화
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확
[수정] 명 한 의미전 달 위해 문장 수정
3.3.4 안정기 부착구는 차량진행 방향의 반대편이 되도록 설치한다. 3.3.4 안정기 부착구는 도로의외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3.5 지주 접지를 시행하고, 안정기 외함과 철주는 본딩토록 하며, 접지가 용이토록 3.3.5 가로등주 접지를 시행하고, 안정기 외함과 철주는 접합하여야 하며, 접지가 용 [수정] 의미전 달 위해 문구 수정
단자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하도록 단자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3.6 등주 부에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 부하를 보호하고 개별 소등이 가능하도 내
3.3.6 등주 부에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 부하를 보호하고 개별 소등이 가능하도
록 한다. 록 한다. [수정] 줄임말 수정
3.3.7 앙카 볼트 · 너트는 아연용융도금이 된 것을 사용하고 기초면에서 50∼60 ㎜가 3.3.7 앵커 볼트 · 너트는 아연용융도금이 된 것을 사용하고, 기초면에서 50 mm ∼
돌출 되도록 설치한다. 60 mm가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수정] 용어 수정, 단위 표현 수정
3.3.8 와샤는 지주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를 갖추어야 한다. 3.3.8 와셔는 규정에 적합한 크기와 두께를 갖추어야 한다.
3.3.9 램프 및 안정기는 점등 및 동작시험을 필한 후 설치한다. 3.3.9 램프 및 안정기는 점등 및 작동시험을 실시한 후 설치한다. [수정] 문구 수정
[수정] 동작시 험 ⇒ 작동시험, 필한 후 ⇒ 실시한 후
3.4 전선 및 배관 3.4 전선 및 배관

3.4.1 지주 내부의 케이블 결선 부위는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테이프 처리한 3.4.1 가로등주 내부의 케이블 결선 부위는 적정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테이프 처리를
다.(단, 전선관 내에서는 절대로 케이블 접속개소가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한다. 단, 전선관 내에서는 절대로 케이블 접속개소가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충분한 ⇒ 적합한, 괄호 생략
3.4.2 전선관의 깊이는 지표로부터 도로에 연할 때 0.6m 이상, 도로횡단 시 1.2m 이 3.4.2 전선관의 깊이는 도로를 따라 설치할 때에는 지표로부터 0.6 m 이상, 도로를
상으로 한다. 횡단할 때는 1.2m 이상으로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4.3 전선관과 부속품은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3.4.3 전선관과 부속품은 전기적 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4.4 입선을 할 때 윤활재로서 기름이나 그리스 등과 같은 고무나 비닐을 상하게 3.4.4 입선을 할 때 윤활재로서 기름이나 그리스 등과 같은 고무나 비닐을 상하게
하는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하는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5 지주 기초 3.5 가로등주 기초

3.5.1 앵커볼트에 테이핑을 하여 콘크리트 치기로 인하여 볼트의 나사가 손상되지 3.5.1 앵커 볼트에 테이핑을 하여 콘크리트 타설로 인하여 볼트의 나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않도록 한다. [수정] 치기 ⇒ 타설
3.5.2 가로등 기초는 현장치기를 원칙으로 하나 여건에 따라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3.5.2 가로등주 기초는 현장 타설로 하여야 하나 여건에 따라 제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있다. [수정] 가로등, 지주 ⇒ 가로등주, 치기 ⇒ 타설, “원칙으로” 삭
3.5.3 기초 상단면이 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3.5.3 기초 상단면이 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제,

3.5.4 가로등 콘크리트 치기 시 접지용 배관을 선시행하여 접지를 용이하게 한다. 3.5.4 가로등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접지용 배관을 선시행하여 접지를 용이하게 한다.

11-7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치기 ⇒ 타설
11-5-2 조명탑 시설 11-13-2 조명탑 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가로등을 설치할 수 없는 도로주변상 황 등에 따라 인터체인지 및 이 시방은 가로등을 설치할 수 없는 도로 주변상 황 등에 따라 인터체인지
분기점, 넓은 도로, 광장 등에 설치하는 조명탑 시설에 대한 시공의 일반사항을 및 분기점, 넓은 도로, 광장 등에 설치하는 조명탑 시설의 공사에 적용한 [수정] 문구 수정

규정한다. 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이 시방서 11-5-1의 1.2에 따른다. 이 시방서 11-11-1의 1.2에 따른다.

2. 재료 2. 재료
2.1 전주 2.1 지주

(1) 지주는 KS D 3566 외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종 (SS41) 또는 이 (1) 지주는 KS D 3566외 KS D 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 2종 (SS41) 또는 이 [수정] 용어 수정

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2) 플랜지 및 플랜지 보강재는 강판 KS D 3503의 제2종 (SS41) 또는 이와 동 (2) 플랜지 및 플랜지 보강재는 강판 KS D 3503의 제2종 (SS41) 또는 이와 동등
등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3) 각 부재의 내외표면은 산 처리 후 불순물과 용접개소의 용재를 완전 제거한 (3) 각 부재의 내외표면은 산 처리 후 불순물과 용접 개소의 용재를 완전 제거하
후 도금은 KS D 8308에 맞아야 하며, 부재별 2등급 분할 도금은 하지 않아 여야 하며, 도금은 KS D 8308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하고, 부재별 2등급 분할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도금은 하지 않아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4) 도금 부착 은 550 g/㎡ 이상이어야 한다. (4) 도금 부착량은 550 g/㎡ 이상이어야 한다.

2.2 투광등기구 2.2 투광등기구

(1) 몸체는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하여야 하며, 두께는 5.0 ㎜ 이어야 하며, 지지대 (1) 몸체는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하여야 하며, 두께는 5.0 mm 이상이어야 하며,
를 부착 상하작동이 용이하여야 한다. 지지대를 부착 상하작동이 용이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2) 지지대 및 손잡이는 평철로 제작하고 도금은 KS D 8308의 규격에 맞게 처 (2) 지지대 및 손잡이는 평철로 제작하고, 도금은 KS D 8308의 규격에 맞게 처
리하여야 하며, 각도조절과 등기구 조정이 원활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리하여야 하며, 각도조절과 등기구 조정이 원활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11-7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각종패킹은 내열성 제품인 내오프랜 패킹이어야 한다. (3) 각종 패킹은 내열성 제품인 내오프랜 패킹이어야 한다.
(4) 전면유리는 투명경질 유리로 두께 3 ㎜ 이상이어야 한다. (4) 전면 유리는 투명경질유리로 두께 3 mm 이상이어야 한다.
(5) 전면 반사판은 알루미늄 판으로 두께 2 ㎜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반사판 (5) 전면 반사판은 알루미늄 판으로 두께 2 mm 이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반사

과 표면은 전해 연 처리로 높은 반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 마
판과 표면은 전해 연 처리로 높은 반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다. 한다.

2.3 램프 및 안정기 2.3 램프 및 안정기

탑 광원으로 사용하는 램프 및 안정기는 다음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조명 탑 광원으로 사용하는 램프 및 안정기는 다음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조명
(1) 메탈 할로이드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07, KS C 8109에 적합하여야 한다. (1) 메탈 할로이드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07, KS C 8109에 적합하여야 한다.
(2) 나트륨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10, KS C 8108에 맞아야 한다. (2) 나트륨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10, KS C 8108에 맞아야 한다.
(3) 안정기에 사용하는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KS C 4805에 규정하는 것 또는 이 (3) 안정기에 사용하는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KS C 4805에 규정하는 것 또는 이
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3. 시공 3. 시공
3.1.1 조명탑 위치선정은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중심과 지면의 높이를 고려하 3.1.1 조명탑 위치선정은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중심과 지면의 높이를 고려하
여 결정하며,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여 결정하며,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3.1.2 지반이 연약한 경우 기초 콘크리트는 반드시 지반을 보강한 후 친다. 3.1.2 지반이 연약한 경우 기초 콘크리트는 반드시 지반을 보강한 후 타설한다. [수정] 치기 ⇒ 타설
3.1.3 조명탑(20m 이상)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1.3 조명탑(20 m 이상)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1.4 모든 접지공사는 전기설비기준, 내선규정, 배전규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 3.1.4 모든 접지공사는 전기설비기준, 내선규정, 배전규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
준에 적합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준에 적합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1.5 도로이용자가 눈부시지 않도록 등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1.5 도로 이용자가 눈부시지 않도록 등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3.1.6 투광기 등을 설치할 경우 지지물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금속부분은 아 3.1.6 투광기 등을 설치할 경우 지지물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금속부분은 아
연도금을 하거나 녹막이 도료를 도포하여야 한다. 연도금을 하거나 녹막이 도료를 도포하여야 한다.

11-5-3 터널 조명시설 11-13-3 터널 조명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터널내부에 설치하는 터널조명시설에 대한 시공의 일반사항을 규정 이 시방은 터널내부에 설치하는 터널조명시설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전체 통일

한다.

11-7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3703 터널조명기준 KS A 3703 터널조명기준


KS C 4805 전기기기용 커패스트 KS C 4805 전기기기용 커패스트
KS C 7610 나트륨 램프 KS C 7601 형광램프(일반조명용) [수정] 참조 규격 수정

KS C 7611 도로조명기구 KS C 7607 메탈 핼라이드 램프


KS C 8108 나트륨 램프용 안정기 KS C 7610 나트륨 램프
전기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KS C 7801/7802 무전극 형광램프
전기공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KS C 7658 LED 가로등 및 보안등 기구의 안전 및 성능요구사항
전기설비 기술기준령 및 시행규칙 및 관련재료에 관한 KS C (전기부분)의 기준 KS C 7611 도로조명기구
전기설비 기술기준 KS C 7611 도로조명기구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급 약관 KS C 8108 나트륨 램프용 안정기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조명시설 편 -, 국토해양부 전기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전기공사업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전기설비 기술기준령 및 시행규칙 및 관련재료에 관한 KS C (전기부분)의 기준
전기설비 기술기준
한국전력공사의 전기공급 약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조명시설 편(국토교통부)
건축전기설비공사표준시방서
2. 재료 2. 재료
2.1 등기구 2.1 등기구


2.1.1 등기구는 고압방전등으로 사용하는 고압 널 등기구와 저압방전등으로 사용하 2.1.1 터널용 등기구의 광원은 효율, 광색, 연색성, 주위 온도 특성, 수명 등이 터널 [삭제] 터널용 등기구에서 저압터널 등기는 현재 설치하지 않으
는저압터널 등기구로 분류한다. 조명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므로 고압용 등기구로 한정
2.1.2 고압터널 등기구 2.1.2 터널용 등기구는 배광, 눈부심 제어, 조명률, 구조 등이 터널 조명에 적합한 것
(1) 몸체는 주물재 또는 F.R.P 제품으로서 표면이 미려하고 변색이나 변형이 없
을 사용한다.
어야 한다.
몸체와 아크릴커버 사이에 부착하는 패킹은 특수내열성 패킹을 사용하며, 램 2.1.3 터널용 등기구 설치는 노면 및 벽면의 휘도 분포가 균일하도록 설치하고, 운전
자에게 불쾌한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2)
프의 발열에 의한 변색이나 변형이 없고 방수 및 방진, 방충의 역할이 충분 [수정] 영문표기 추가

하여야 한다.

11-7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전면 투명 커버가 내열성 아크릴인 경우는 두께 3 ㎜ 이상으로 제작하며, 표면

이 미 하고 일정하여야 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열에 의한 변형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4) 반사판은 0.8 ㎜ 이상의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며, 램프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한 변색 또는 반사 효율의 저하가 없어야 한다.
2.1.3 저압터널 등기구의 몸체 및 뚜껑
(1) SMC(sheet molding compound) 성형방식을 사용한 FRP제 이어야 한다.
(2) 4.0 ㎜ 이상의 두께를 지녀야 하며 허용오차 범위는 ±5 % 이내로 한다.
(3) 내충격, 내산, 내열, 내식성으로서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야 한다.
(4) 일정한 규격품으로서 기계적 유압금형에 의한 가열, 가압방식으로 성형한 것
이어야 하며, 변색이나 변형이 없어야 한다.
(5) 몸체와 뚜껑의 탈착은 특수한 크립에 의한 것으로서 쉽고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어야 하고 열고 닫기가 용이하여야 하며, 열었을 때 뚜껑이 몸체에 매
달린 구조이어야 한다.
(6) 내부에는 반사판, 안정기, 단자판, 퓨즈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몸체 성
형시 조립용 볼트, 너트가 부착되어져야 한다.
(7) 전면유리는 커버 몸체와 견고히 부착되어 이탈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8) 오물이나 매연이 등기구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2.1.4 전면유리
철 화
(1) 5 ㎜ 이상의 요 면이 없는 투명강 유리로 KS 표시품 이어야 한다.
(2) 내열강화 유리로 투과율이 99 % 이상이어야 한다.
(3) 오물이나 매연 등에 의하여 등기구가 더러워졌을 시 물로써 청소할 때 수압
(19.6 N/㎠(2 ㎏f/㎠))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1.5 F.R.P 적층판의 기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N/㎟(㎏f/㎟)) : 58.8(6) 이상
(2) 굴곡강도(N/㎟(㎏f/㎟)) : 147.0(15) 이상
(3) 굴곡탄성(N/㎟(㎏f/㎟)) : 9604(980) 이상
(4) 압축강도(N/㎟(㎏f/㎟)) : 127.4(13) 이상
(5) 충격강도(N/㎟2(㎏f/㎟)) : 539(55) 이상
2.1.6 반사판
순 마
(1) 두께 0.8 ㎜ 이상의 고 도 알루미늄 연 판이어야 한다.
(2) 일정하게 절단 후 눈부심 방지 및 많은 빛의 확산과 난반사 방지를 위하여
반사면을 샌딩처리 후 전해연마로써 특수피막처리를 하여야 한다.
2.1.7 빛의 분포는 조도계산서의 배광곡선도와 같이 유지되어야 한다.
2.1.8 휴즈 홀더를 부착시키기 위한 휴즈 구멍과 나사 지지구멍을 일정한 위치에 만

11-7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들어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2.2 케이블 트레이


2.2 케이블 트레이

2.2.1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 규격 및 형상은 설계 시 작성한 공사시방서에 의한다. 2.2.1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 규격 및 형상은 설계할 때 작성한 공사시방서에 의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2.2.2 재질은 아연도강판제(용융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를 사용한다.
2.2.2 재질은 아연도강판제(용융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를 사용한다.

2.3 램프 및 안정기
2.3 램프 및 안정기

2.3.1터널광원으로 사용하는 램프 및 안정기는 다음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터널용 등기구의 광원은 LED를 사용하며, 기술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고압나트 [수정] 가로등 등기구와 같은 종류의 광원 사용
(1) 나트륨 램프 및 안정기는 KS C 7610, KS C 8108에 맞아야 한다.
륨 램프, 메탈 헬라이드 램프, 콤팩트 메탈핼라이드 햄프, 무전극 형광램프 등을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문장 수정

사용할 수 있다.
(2) 안정기에 사용하는 역률 개선용 콘덴서는 KS C 4805에 규정하는 것 또는 이
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2.3.2 안정기는 방전램프가 점등될 때 전류를 제한시키는데 사용되며, 안정기의 성능 [수정] 문장 수정, 한글로 순화
에 대해서는 KS C IEC 61347-2-9에 의한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을 선정한다.
(3) 기타 부속자재는 KS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2.3.3 기타 부속자재는 KS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공 3. 시공
3.1 터널조명 등기구
[자문] 띄어쓰기 수정
3.1 터널조명등기구
3.1.1 등기구의 설치 위치는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3.1.1 등기구의 설치 위치는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3.1.2 터널등 기구는 하단이 도로 포장면으로부터 4.5 m 이상 시설한계를 확보하도 [수정] 여유 : 시설한계 고 ,려
3.1.2 터널 등기구의 하단이 도로 포장면으로부터 4.5 m 이상이 되도록 설치한다.
록 설치한다.
3.1.3 차량 진동을 감안하여 등기구를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1.3 차량진동을 감안하여 등기구를 견고하게 취부하여야 한다. 3.1.4 터널 입구에서 출구까지 접지선을 연장 배선하며, 조명기구까지의 접지선은 등
3.1.4 터널입구에서 출구까지 접지선을 연장 배선하며 조명기구까지의 접지선은 등
기구 인입선으로 분기 접속한다.
기구 인입선으로 분기 접속한다.
3.1.5 터널 내부의 조명등 제어는 외부의 휘도에 따라 세분화되어 단계별 제어가 이
3.1.5 터널내부의 조명등 제어는 외부의 휘도에 따라 세분화되어 단계별 제어가 이
루어져야 한다.
루어져야 한다.
3.1.6 터널 라이닝에 부착된 등기구는 일정한 선형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1.6 터널라이닝에 부착된 등기구는 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3.2 케이블 트레이


3.2 케이블 트레이
3.2.1 케이블 트레이의 고정지지물의 간격은 1.0 m ∼ 2.0 m로 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3.2.1 케이블 트레이의 고정지지물의 간격은 1.0∼2.0 m로 하여야 한다. 3.2.2 케이블이 외력을 받아 위험 및 손상될 염려가 있는 곳에 트레이를 설치할 경 [수정] 조사 및 문구 수정
3.2.2 케이블의 외부 외적응력을 받아 위험 및 손상될 염려가 있는 곳에 트레이를

11-7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 안전시설을 고 하여야 한다. 려
우에는 별도 안전시설을 고 하여야 한다.
3.2.3 케이블이 외부 외적응력을 받아 위험 및 손상될 염려가 있는 곳에 트레이를 복 기술내용 삭제
[삭제] 중
설치할 경우에는 별도 안전시설을 고려하여야 한다.
3.2.3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 보수할 때 식별이 편리하도록 각 굴 [수정] 한글로 순화, 가운데 점 사용
3.2.4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보수 시 식별이 편리하도록 각 굴
곡 개소 및 일정 수평거리마다 소정의 회로 명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곡 개소 및 일정 수평거리마다 소정의 회로 명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11-14 교통관리시설
11-3 교통신호기 11-14-1 교통신호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교통 호기의 재료와 설치 등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신
1.1.1 이 시방은 교통 호기의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1.1.2 이 시방서는 주로 신호기, 제어기, 검지기의 재료 및 시공에 관한 사항이며, 1.1.2 이 시방은 주로 신호기, 제어기, 검지기의 재료 및 시공에 관한 사항이며, 신호
신호기의 종류, 만드는 방식, 설치하는 곳, 신호의 종류, 신호의 뜻, 신호등의 기의 종류 · 만드는 방식 · 설치하는 곳· 신호의 종류 · 신호의 뜻· 신호등의 배 [수정] 동격의 내용에 대해 가운데 점 사용
배열, 신호순서 등은 도로교통법 및 동시행령, 교통신호기설치 관리 매뉴얼(경 열 · 신호순서 등은 도로교통법 및 동 시행령, 교통신호기설치 관리 매뉴얼(경
찰청)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찰청)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6각 볼트 [수정] KS 용어변경

KS B 1012 육각 너트 KS B 1012 6각 너트 [수정] KS 용어변경

KS C 3304 비닐 코드 KS C 3304 비닐 코드
KS C 8302 소켓 KS C 8302 소켓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 험 방법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판 및 조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판 및 조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 ⇒띠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D 9521 용융아연 도금 작업 표준

11-7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M IS O 7391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및 압출재료 KS M IS O 7391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및 압출재료
UL 1007 AWG 22 UL 1007 AWG 22
UL 1015 AWG 16 UL 1015 AWG 16
UL 1015 AWG 10 UL 1015 AWG 10
도로교통법 및 동시행령 도로교통법 및 동 시행령

교통 호기설치 관리 매뉴얼, 경찰청 교통 신호기설치 관리 매뉴얼(경찰청)
LED교통신호등 표준지침(경찰청) [추가] LED교통신호등 추가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서(경찰청)
건축전기설비공사표준시방서
1.3 구조 및 형상

신호기의 구조, 형상 및 색상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및 교통신호기설치 관리 1.3 구조 및 형상

매뉴얼(경찰청)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제작 · 설치하여야 한다. 신호기의 구조, 형상 및 색상은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및 교통신호기설치
관리 매뉴얼(경찰청)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제작 · 설치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2.1 재료의 품질 기준 2.1 재료의 품질 기준

2.1.1 모든 자재는 규격품, KS 표시품, 전자표시품 등 우수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1.1 모 든 자재는 규격품, KS 표시품, 전자표시품 등 우수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한 ⇒ 필요한, 관리유지 ⇒ 유지관리
2.1.2 신호기 2.1.2 신호기
신호기의 등기 및 지주에 사용되는 재료는 충분한 강도를 갖고 내구성이 우수 신호기의 신호등 및 지주에 사용되는 재료는 필요한 강도를 갖고 내구성이 [수정] 등기 ⇒신호등
하며, 관리유지가 용이하고 부근 상황에 잘 조화되는 재질이어야 한다. 우수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부근 상황에 잘 조화되는 재질이어야 한다. [수정] 신호등의 등기⇒신호등두 함체
(1) 등기 (1) 신호등
① 신호등의 등기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알루미늄 합금판 및 폴리카보네이트이 ① 신호등두 함체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알루미늄 합금판 및 폴리카보네이트
며,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이며,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② 소켓은 KS C 8302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② 소켓은 KS C 8302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③ 단자판 및 배선은 KS C 3304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③ 단자판 및 배선은 KS C 3304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2) 지주 (2) 지주
신호기의 지주로 사용되는 철주류는 KS D 3507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신호기의 지주로 사용되는 철주류는 KS D 3507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신호등 외함의 규격 및 재료는 표 11-3과 같다. (3) 신호등 외함의 규격 및 재료는 표 11-12-1과 같다.
(4) 신호등 광학장치의 규격 및 재료는 표 11-4와 같다. (4) 신호등 광학장치의 규격 및 재료는 표 11-12-2와 같다.
2.1.3 제어기 2.1.3 제어기

11-8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사양 [수정] 불필요한 제목 삭제
제어기의 기본 및 모든 사양은 다음과 같다. 본 및 모든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제어기의 기
① 사용전원 : 100 V AC(95 - 135 V AC) 혹은 220 V AC(190 - 250 V AC) ① 전압 범위 : 100 V AC(95 V ∼ 130 V), 220 V AC(190 V ∼ 250 V) 겸용
② 주파수 범위 : 60Hz±3Hz ② 주파수 범위 : 60 Hz ± 3.0 Hz
③ 소모전력 : 15 WATT 또는 17 WATT
④ 작동온도 : -34℃∼+74℃ ③ 작동온도 : -34 ℃ ∼ +74 ℃
[삭제] 소모전력 삭제

⑤ 상대습도 : 95%이상(+4.4℃∼44.4℃) ④ 상대습도 : 95 % 이하


표 11-3 신호등 외함의 규격 및 재료
부품명 형 식 규 격 재 료 표 11-12-1 신호등 외함의 형식, 규격 및 재료
가로×세로
폭 × ±
355 355 ㎜ 5
부품명 형 식 규 격 재 료
300 ㎜형
두께 ±
220 ㎜ 이상
3.5 ㎜ 0.2 O ×세로 × ±

KS M IS 가로 355 355 ㎜ 5
가로×세로 × ±
원형
±
7391 300 ㎜형 220 ㎜ 이상
함체 200 ㎜형 폭 255 255 ㎜ 5
±
160 ㎜ 이상 두께 3.5 ㎜ 0.2
O
KS M
가로×세로 × ±
두께 3.5 ㎜ 0.2 원형 IS 7391
가로
폭×세로 × ±
355 355 ㎜ 5
KS D 6701
함체 200 ㎜형 폭
두께
255 255 ㎜ 5
±
160 ㎜ 이상
3.5 ㎜ 0.2 KS D
사각형 300 ㎜형
두께
220 ㎜ 이상
±
3.5 ㎜ 0.2
×세로 × ± 6701

300 ㎜형 가로×세로
두께
290×290 ㎜ ±5
3.5 ㎜ ±0.2 KS M ISO 사각형 300 ㎜형
가로
두께
폭 355 355 ㎜ 5
220 ㎜ 이상
±
3.5 ㎜ 0.2
가로×세로 190×190 ㎜ ±5 가로×세로 290×290 ㎜ ±5
원형 7391
3.5 ㎜ ±0.2 3.5 ㎜ ±0.2 O
문(개구부) 200 ㎜형 두께 300 ㎜형 KS M
두께 IS 7391
가로×세로 190×190 ㎜ ±5 가로×세로 190×190 ㎜ ±5
KS D 6701 원형
사각형 300 ㎜형 두께 3.5 ㎜ ±0.2 문(개구부) 200 ㎜형 두께 3.5 ㎜ ±0.2
둘길레이 300° 가로×세로 190×190 ㎜ ±5
KS D
6701
사각형 300 ㎜형 3.5 ㎜ ±0.2
3.5 ㎜ ±0.2
300 ㎜형 240 ㎜ 이상 두께
하향 경사도
두께
4° KS M ISO 둘길레이 300°


원형
둘길레이 300° 7391 300 ㎜형 3.5 ㎜ ±0.2
240 ㎜ 이상
하향 경사도 4°
두께
3.5 ㎜ ±0.2 O
200 ㎜형 180 ㎜ 이상 KS M
하향 경사도 4° 둘길레이 300°
두께 KS D 6701 원형 IS 7391

길두께이 챙 3.5 ㎜ ±0.2


180 ㎜ 이상
3.5 ㎜ ±0.2
240 ㎜ 이상 200 ㎜형
하향 경사도 4°
두께 KS D
하향 경사도 4°
사각형 300 ㎜형
6701

배면판 폭 110 ㎜ ±0.2 길두께이 3.5 ㎜ ±0.2


240 ㎜ 이상
2.0 ㎜ ±0.2
하향 경사도 4°
두께 KS D 6701 사각형 300 ㎜형

표 11-4 신호등 광학장치의 규격 및 재료 배면판 폭


두께
110 ㎜ ±0.2
2.0 ㎜ ±0.2
KS D
6701

표 11-12-2 신호등 광학장치의 형식, 규격 및 재료

11-8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부품명 형 식 규 격 재 료 부품명 형 식 규 격 재 료
300 ㎜형 직두 경
±±
300 ㎜ 2 직 경 ±
300 ㎜ 2
3 ㎜ ±0.2 O
께 3 ㎜ 0.2 300 ㎜형 KS M

렌즈
원형
직두 경 200 ㎜ ±2
3 ㎜ ±0.2
원형



200 ㎜ ±2
IS

렌즈
200 ㎜형 7391
LED로 인해 전구형 신호등에 대한 규격 및 재료 수정
께 경
가로×세로 300×300 ㎜ ±2 3 ㎜ ±0.2
200 ㎜형 [수정]
두 께
사각형 300 ㎜형 두 께 3 ㎜ ±0.2 가로 ×세로 300×300 ㎜ ±2 KS D
300 ㎜형 직두 경께 0.6㎜ 300 ㎜ ±2 사각형 300 ㎜형
두 께 3 ㎜ ±0.2
6701

원형
직두 경께 0.6200㎜㎜이상
이상
±2 KS C
반사경 200 ㎜형 단자판 및
배선 공칭 단면적 1.5㎜ 2
이상 IEC
사각형 300 ㎜형 가로×세로 300×300 ㎜ ±2 60227-3
두 께 0.6 ㎜ 이상
전압 110 V 또는 220 V

차 등 전력 100 W-150 W
전광속 1,400루멘 이상
수명 4,000시간 이상
전구
VW W V
전압 110 또는 220
전력 60 -100
보행등 전광속 700루멘 이상
수명 4,000시간 이상

배선
단자판 및

(2) 함체
① 재질은 KS D 3512에 적합하고 2종 SPC2 이상인 것으로 하고, 두께는 2.0
(2) 함체
① 재질은 KS D 3512에 적합하고 2종 SPC2 이상인 것으로 하고 두께는 2.0㎜
mm 이상으로 한다.
② 외부도색은 방식용 초벌 페인트를 칠한 다음 색채 페인트를 그 위에 칠하고
이상으로 한다.
② 외부도색은 방식용 초벌 페인트를 칠한 다음 색채 페인트를 그 위에 칠하고
열처리한다.
③ 함체에는 내부 기기들을 볼 수 있고 보호할 수 있는 주 덧문과 긴급 제어를 [수정] 자구 수정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제 스위치가 장치된 소형문으로 제작되어 있어야 한 순화, 용어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소부처리한다.
③ 함체에는 내부 기기들을 볼 수 있고 보호할 수 있는 주 덧문과 긴급 제어
[수정] 한글로
다.(함체문의 경첩은 상 · 하반부에 한 개씩 두 개로 되어 있어야 함)
시 사용할 수 있는 제 스윗치가 장치된 소형문으로 제작되어 있어야 한다.
④ 주 덧문의 상단 혹은 하단부에는 공기 흡입용 창구가 있으며, 덧문 내측에
(함체문의 경첩은 상, 하반부에 한 개씩 두 개로 되어 있어야 함)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재사용이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로 만들어진 필터가 있어 먼지가 들어오는
④ 주 덧문의 상단 혹은 하단부에는 공기 흡입용 창구가 있으며, 덧문 내측에 것을 방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재사용이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로 만들어진 필터가 있어 먼지가 들어오는
⑤ 함체문 안쪽에 먼지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가스켓이 부착되
것을 방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어 있어야 한다.
⑤ 함체문 안쪽에 먼지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고무 가스켓이 부착되 ⑥ 모든 함체는 자동 온도 조절과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는 팬을 장착한다. (14
어 있어야 한다.
℃ ∼ 60 ℃ 사이에서 작동)
⑥ 모든 함체는 자동 온도 조절과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는 팬을 장착한다. ⑦ 신호등 전원 차단용 스위치, 신호등 점멸 스위치는 120 V, 15 A 이상 전류가
(14℃ ∼ 60℃ 사이에서 작동)
흐를 수 있는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⑦ 신호등 전원 차단용 스위치, 신호등 점멸 스위치는 120 V, 15 A 이상 전류

11-8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 흐를 수 있는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3) 도선
(3) 도선 제어기의 단자함에 사용 된 모든 도선은 통신용 PVC 나일론 도선으로 그 규격
제어기의 단자함에 사용 된 모든 도선은 통신용 PVC 나일론 도선으로 그 규 은 표 11-12-3과 같다.
격은 표 11-5과 같다. 표 11-12-3 단자함 도선 규격표
표 11-5 단자함 도선 규격표
번호 배선 구분 사용 도선 규격
번호 배선 구분 사용 도선 규격 1 단자함, 일반 선배 UL 1007 AWG 22
배 UL 1007 AWG 22 2 신호등 구동기에서 신호등 단자함까지 내선 UL 1015 AWG 16
점멸기에서 신호등 단자판까지 배선 UL 1015 AWG 16
1 단자함, 일반 선
신호등 구동기에서 신호등 단자함까지 내선 UL 1015 AWG 16 3
기지 단자함에 관련된 배선 UL 1015 AWG 16
2
점멸기에서 신호등 단자판까지 배선 UL 1015 AWG 16 4
No. 234의 COMMON 배선 UL 1015 AWG 16
3
기지 단자함에 관련된 배선 UL 1015 AWG 16 5
전원차단기에서 AC POWER BUS BAR까지의 UL 1015 AWG 10
4
No. 234의 COMMON 배선 UL 1015 AWG 16 6
모든 배선
5
전원차단기에서 AC POWER BUS BAR까지의 UL 1015 AWG 10
No. 6의 모든 COMMON 배선 UL 1015 AWG 10
6
모든 배선
7

7 No. 6의 모든 COMMON 배선 UL 1015 AWG 10


2.1.4검지기
2.1.4 검지기 (1) 검지기는 루프검지기, 초음파검지기, 초단파검지기, 화상검지기, 적외선검지기
[수정] 검지기 종류 추가
(1) 검지기의 재료로는 루프 코일을 사용한다. 를 사용한다.

2.3 재료의 검수
2.3 재료의 검수 약
2.3.1 계 상대자는 신호 기자재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할 기자재가 KS 관련 규격, [수정] 용어 수정

2.3.1 계 자는 신호 기자재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할 기자재가 KS 관련 규격, 경찰 경찰청 규격에 적합한가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승인
청 규격에 적합한가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승인을 얻 을 얻어야 한다.
어야 한다.
3. 시공
3. 시공
3.1 제작
3.1 제작
3.1.1 지주는 이음부가 없어야 하며, 부득이 이음할 경우는 지하매몰부분 1개소에 한 [수정] 문장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3.1.1 지주는 이음부가 없는 것으로 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 이음할 경우는 지하 하며, 견고하게 용접 처리하여야 한다.
특히 견고하게 용접 처리하여야 한다.
매몰부분 1개소에 한하며, 이음 시에는 3.1.2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그라인더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야 하며, 요철
3.1.2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그라인더로 표면을 매끈하게 하여야 하며, 요철 이 없어야 한다.
이 없어야 한다.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3.1.3 볼트, 너트,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3.1.3 볼트, 너트,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3.1.4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하여 [수정] 줄임말 수정

11-8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해 강재의 강도가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강재의 강도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3.1.5 캡은 지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점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떨어
3.1.5 캡은 지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점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떨어 지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지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1.6 모든 용접은 공장 용접을 하여야 하며, 부득이 한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현 [수정] 원칙으로 삭제,
3.1.6 모든 용접은 공장 용접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 한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장 용접을 시행할 수 있다.
현장 용접을 시행할 수 있다. 3.1.7 신호기 및 지주를 제작할 때의 용접은 중소기업청 용접작업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 순화
3.1.7 신호기 및 지주 제작 시 용접은 공업진흥청 용접작업 기준에 의하여야 한다. 3.1.8 교통신호등과 제어기는 최소한 아래와 같은 내구연한 이상 견딜 수 있도록 설 [수정] 용어 수정
3.1.8 교통신호등과 제어기는 최소한 아래와 같은 내구년한 이상 견딜 수 있도록 설 계 제작되어야 한다.
계 제작되어야 한다. 신
(1) 교통 호등

(1) 교통 호등 ① 외함 : 10년
① 외함 : 10년 ② 렌즈 : 5년
② 렌즈 : 5년 ③ 반사경 : 10년
③ 반사경 : 10년 (2) 교통신호제어기
(2) 교통신호제어기 ① 전자장비 : 10년
① 전자장비 : 10년 ② 함체 : 10년
② 함체 : 10년 (3) 차량검지장치(루프검지기) 18개월 프검지기 내구연한 18개월로 변경
[수정] 루
(3) 차량검지장치 6년
3.2 표면처리
3.2 표면처리
3.2.1 표면은 외관상 흠이 없고 요철이나 얼룩이 없어야 한다. 복 ⇒ 요철
[수정] 기

3.2.1 표면은 외관상 흠이 없고 기복이나 얼룩이 없어야 한다. 3.2.2 도료의 표준 색상은 NO. 80740으로 한다.
3.2.2 도료의 표준 색상은 NO. 80740으로 한다. 3.2.3 도장을 계속할 때는 시 전회 도장 후 1시간 이상 경과 후에 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3.2.3 도장을 계속할 시 전회 도장 후 1시간 이상 경과 후에 하여야 한다. 3.2.4 지주는 지상에서 2.5 m까지 스티커가 붙지 않는 도료로 도색한다.
3.2.4 지주는 지상에서 2.5 m 까지 스티커가 붙지 않는 도료로 도색한다. 3.2.5 보행, 보조 등의 보호금구는 무광 흑색으로 도장한다.
3.2.5 보행, 보조 등의 보호금구는 무광 흑색으로 도장한다.
3.3 설치
3.3 설치
3.3.1 일반사항
3.3.1 일반사항 (1) 신호기는 운반 도중 페인트가 벗겨지지 않도록 포장을 하고, 얼룩이나 흠이 [수정] 자구 수정

(1) 신호기는 운반 도중 페인트가 벗겨지지 않도록 포장을 잘하고 얼룩이나 흠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신호기의 설치위치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고 시인성이 좋은 위
(2) 신호기의 설치위치는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르고 시인성이 좋은 위 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신호기 설치를 위한 굴착을 할 때 비탈면 · 포장 등 기존 시설물에 손상을 주 [수정] 한글로 순화, 동일 중복은 가운데 점 사용

11-8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신호기 설치를 위한 굴착 시 비탈면, 포장 등 기존 시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 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되메우기는 층상으로 다짐을 실시하여 붕괴의 원
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되메우기는 층상으로 다짐을 실시하여 붕괴의 원인이 인이 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하며, 손상된 부분은 계약상대자 부담으 [수정] 용어 수정
되지 않도록 특별히 유의하여야 하며, 손상된 부분은 계약자 부담으로 원상 로 원상복구 하여야 한다.
복구 하여야 한다. (4) 도로 이용자가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시야가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수정] 충분히 ⇒ 쉽게
(4) 도로 이용자가 충분히 판독할 수 있도록 시야가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야 한 곡선구간, 땅깎기 비탈면 및 수림 등으로 시야가 제약되는 곳은 피하여 설치
다. 곡선구간, 땅깎기 비탈면 및 수림 등으로 시야가 제약되는 곳은 피하여 한다.
설치한다. (5) 지주 타 입 전에는 반드시 도로관리청 등과 협의하여 매설물 위치를 확인하여
(5) 지주 타입 전에는 반드시 도로관리청 등과 협의하여 매설물 위치를 확인하여 지주 타입으로 인한 지하 매설물 손상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지주 타입으로 인한 지하 매설물 손상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3.2 기초 앵커 설치
3.3.2 기초 앵커 설치 (1) 기초 터파기
(1) 기초 터파기 ① ø350 mm 다단식 : 1.8 m × 1.2 m × 1.2 m
① ø350 ㎜ 다단식 : 1.8 m×1.2 m×1.2 m ② ø250 mm : 1.8 m × 1.2 m × 1.2 m
② ø250 ㎜ : 1.8 m×1.2 m×1.2 m ③ ø200 mm : 1.5 m × 1.0 m × 1.0m
③ ø200 ㎜ : 1.5 m×1.0 m×1.0 m ④ ø150 mm : 1.2 m × 0.8 m × 0.8 m
④ ø150 ㎜ : 1.2 m×0.8 m×0.8 m ⑤ ø125 mm : 0.8 m × 0.6 m × 0.6 m(깊이 × 가로 × 세로)
⑤ ø125 ㎜ : 0.8 m×0.6 m×0.6 m (2) 신호등 지주 설치를 위한 터파기를 할 때 다른 시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시공 [수정] 용어 수정, 한글로 순화
(2) 신호등 철주류 설치 터파기 시 다른 시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시공하고 하고, 잔토 정리 및 구덩이에 빠지는 안전사고 등이 없도록 즉시 조치하여야 한다.
잔토 정리 및 구덩이에 빠지는 안전사고 등이 없도록 즉시 조치하여야 한다. (3) 기초 앵커를 설치할 때 주의사항 [수정] 한글로순화
(3) 기초 앵커 설치 시 주의 사항 ① 앵커 상판(플렌지) 수평자를 사용, 수평이 유지되도록 정밀성을 기하여 철주 [수정] 용어수정 : 후렌치 ⇒ 플렌지
① 앵커 상판(후렌치) 수평자를 사용, 수평 유지토록 정밀성을 기하여 철주가 가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수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② 기초 콘크리트는 도면상 상단 돌출부분은 규격에 맞게 거푸집을 완비한 후
② 기초 콘크리트는 도면상 상단 돌출부분은 규격에 맞게 거푸집을 완비한 후 정밀 시공하고 미관상 미려하게 한다.
정밀 시공하고 미관상 미려하게 한다. 3.3.3 철주 설치
3.3.3 철주 설치 (1) 철주를 결합할 때에는 기초앵커 상단 플렌지의 용접 부스러기, 시멘트 가루 [수정] 한글로 순화, 후렌치 ⇒ 플렌지
(1) 철주 결합 시 기초앵커 상단 후렌치의 용접 부스러기, 시멘트 가루 등 이물 등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결합시킨다.
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결합시킨다. (2) 부착대를 결합할 때 각 와이어의 인장력은 균형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2) 부착대 결합 시 각 와이어의 인장력은 균형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3) 철주 수직유지를 위하여 와셔 고임은 최소화하고, 4방향 균형있게 고인다. 볼
(3) 철주 수직유지를 위하여 와셔 고임은 최소화하고, 4방향 균형있게 고인다. 볼 트와셔는 규격품(65 mm × 6 t)을 사용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트와셔는 규격품(65 ㎜×65 ㎜×6 t)을 사용한다. (4) 철주 하단 배선문은 반드시 부착한다. [수정] 용어 순화 : 필히 ⇒ 반드시
(4) 철주 하단 배선문은 필히 부착한다. 3.3.4 신호등 설치
3.3.4 신호등 설치 (1) 차량신호등 설치

11-8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차량신호등 설치 ① 지상으로부터 5.5 m ∼ 6 m 간격을 유지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① 지상으로부터 5.5 m∼6 m 간격을 유지한다. ② 등과 등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② 등과 등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2) 보행신호등 설치 : 지상으로부터 3 m 이내에 설치한다.
(2) 보행신호등 설치 : 지상으로부터 3 m 이내에 설치한다. (3) 보조신호등 설치 : 보행등 밑으로 밀착하여 부착한다.
(3) 보조신호등 설치 : 보행 등 밑으로 밀착하여 부착한다. 3.3.5 전원선 설치
3.3.5 전원선 설치 (1) 도로 굴착 : 설계도서에 따라 굴착하고, 관계 법규의 제 규정에 의하여 되메
(1) 도로 굴착 : 설계도서에 따라 굴착하고, 관계 법규의 제 규정에 의하여 되메 우기 한다.
우기 한다. 팔
(2) 아스 트 포장의 절단 : 설계도서에 따라 절단하고 케이블 매설 후 에폭시를 [수정] 한글로 순화
팔 절단 : 설계도서에 따라 절단하고 케이블 매설 후 에폭시를 주입하
(2) 아스 트 주입하여 케이블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 케이블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3) 가공 배선 : 가공선은 조가선을 설치한 후 700 mm 마다 바인더선을 묶어 늘
(3) 가공 배선 : 가공선은 조가선을 설치한 후 700 ㎜ 마다 바인더선을 묶어 늘 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4) 전주 및 철주에 전선을 연결 접속할 때에는 반드시 밴드, 애자를 사용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4) 전주 및 철주에 전선 연결 접속 시에는 반드시 밴드, 애자를 사용한다. 3.3.6 맨홀 설치
3.3.6 맨홀 설치 (1) 맨홀은 케이블의 차도 횡단 양측에 반드시 설치하고, 연동구간은 50 m ∼ 60 [수정] 용어수정 : 필 히 ⇒ 반드시
(1) 맨홀은 케이블의 차도 횡단 양측에 필히 설치하고 연동구간은 50∼60 m에 1 m에 1개씩 설치한다.
개씩 설치한다. (2) 맨홀은 설계도서와 같이 규격품을 사용하고, 고장일 때 정비가 용이하도록 내 [수정] 한글로 순화
(2) 맨홀은 설계도서와 같이 규격품을 사용하고 고장 시 정비가 용이하도록 내부 부를 깨끗이 정리한다.
를 깨끗이 정리한다. 3.3.7 제어기 좌대 설치
3.3.7 제어기 좌대 설치 (1) 좌대의 규격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1) 좌대의 규격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 외관상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견고하고 깨끗하게 설치하여 콘크리
(2) 외관상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견고하고 깨끗하게 설치하여 콘크리 트 양생 중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한다.
트 양생 중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한다. (3) 좌대 안전표시 페인팅은 간격과 각도를 일정하게 한다.
(3) 좌대 안전표시 페인팅은 간격과 각도를 일정하게 한다.

11-14 도로전광표지 11-14-2 도로전광표지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전광표지의 재료와 설치 등 시공에 관한 일반사항을 규정한다. 이 시방은 도로전광표지의 공사에 적용한다. [동일] 문장 수정 : 전체 통일

11-8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KS 용어변경

KS B 1002 육각 볼트 KS B 1002 6각 볼트
KS C ICE 60227-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KS C ICE 60227-3 염화비닐 절연 케이블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험 방법 KS D 0201 용융 아연 도금 시험 방법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1 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6 스테인리스 강봉 KS D 3706 스테인리스 강봉 [수정] 중심위 의견 반영 : 조 ⇒띠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판 및 조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띠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59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압출형재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단조품 KS D 6770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단조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4 전기아연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D 9521 용융 아연 도금 작업 표준
KS M 3811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 KS M 3811 일반용 메타크릴 수지판 [수정] 규칙명 및 기관명 수정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 국토해양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관련 지침(국토교통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 도로전광표지 편 -. 국토해양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 도로전광표지 편(국토교통부) [수정] 중심위 : 참조표준 추가

ITS 사업시행지침-도로전광표지(VMS) 설치·운영 및 유지·관리편


(국토교통부)
건축전기설비공사표준시방서
2. 재료 2. 재료
2.1 재료의 품질기준 2.1 재료의 품질기준
[수정] 용어 수정, 자구 수정

11-8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약 신호 기자재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할 기자재가 KS 관련 규격, 설계
2.1.1 계 자는 약 신호 기자재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할 기자재가 KS 관련 규격,
2.1.1 계 상대자는
도서의 규격에 적합한가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승인 설계도서의 규격에 적합한가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고 [수정] 자구 수정
을 얻어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2 알루미늄 찬넬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759의 A6063S-T5 규격품을 사용하 2.2.2 알루미늄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는 KS D 6759의 A6063S-T5 규격품을 사용하
며, 찬넬과 지주결합용 크립은 KS D 6701의 A6061FD-T6 또는 용융도금한 며, 채널과 지주결합용 크립은 KS D 6701의 A6061FD-T6 또는 용융도금한
KS D 3051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KS D 3051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밴드는 KS D 3698의 STS304 또는 용융도금한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 2.2.3 밴드는 KS D 3698의 STS304 또는 용융도금한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2.2.4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D 3706 STS304 NI-B에 준하며, 그 형상은 KS B 2.2.4 볼트, 너트 및 와셔는 KS D 3706 STS304 NI-B에 준하며, 그 형상은 KS B
1002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1002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5 표지에 사용되는 지주는 KS D 3566 및 KS D 3503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5 표지에 사용되는 지주는 KS D 3566 및 KS D 3503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6 지주용 캡은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며, 지주연결용 강판은 KS D 3503 2.2.6 지주용 캡은 KS D 3501의 규격품을 사용하며, 지주연결용 강판은 KS D 3503
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2.7 기초에 사용할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2.2.7 기초에 사용할 콘크리트는 이 시방서에 따른다.

2.2.8 그 이 의 재료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외
2.2.8 그 이 의 재료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3. 제작 및 시공 3. 제작 및 시공
3.1 구조물 3.1 구조물 [수정] 충분히 삭제, 문구 수정, 가운데 점 사용
3.1.1 지주와 가로보는 적재 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제작 설치하여야 한다. 3.1.1 지주와 가로보는 적재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 ·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문구 수정(설계는 시방서에 적합하지 않음)
3.1.2 기초는 적재 하중과 노반 조건에 맞게 설계 시공하여야 한다. 3.1.2 기초는 적재 하중과 노상 조건에 맞게 설계된 대로 시공하여야 한다.
3.1.3 표시면의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6 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3.1.3 표시면의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6 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 ”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수정] 한글로 순화
3.1.4 지주는 이음부가 없는 것으로 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 원형지주를 이음할 3.1.4 지주는 이음부가 없어야 하며, 부득이 원형지주를 이음할 경우는 지하매설부분
경우는 지하매설부분 300 ㎜ 이하의 1개소에 한하며, 이음 시에는 특히 견고하 300 mm 이하의 1개소에 한하며, 이음할 때에는 특히 견고하게 용접 처리하여
게 용접 처리하여야 한다. 지주를 H형강으로 할 경우 이음부는 표지판 하단 야 한다. 지주를 H형강으로 할 경우 이음부는 표지판 하단에 일치되도록 하여
에 일치되도록 하여야 하며, 전면에는 이음부가 보이지 않아야 한다. 않아야 한다.
야 하며, 전면에는 이음부가 보이지
3.1.5 볼트, 너트,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3.1.5 볼트, 너트, 와셔는 아연도금이 되고, 비틀림과 휨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수정] 약어 수정
3.1.6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해 3.1.6 모든 강재는 제작 도중 휘어지거나 요철이 생겨서는 안 되며, 용접으로 인하여
강재의 강도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강재의 강도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3.1.7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미끈하게 그라인더로 표면처리 하여야 하며, 삼 3.1.7 강재 절단부분 및 용접부분은 미끈하게 그라인더로 표면처리 하여야 하며, 삼
각형 및 원형 표지판의 단부 마무리는 도면과 관계 법령에서 지시하는 치수와 각형 및 원형 표지판의 단부 마무리는 도면과 관계 법령에서 지시하는 치수와
각도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각도에 일치하도록 구부러지게 제작되어야 한다.

11-8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 표시판의 구성 3.2 표시판의 구성

3.2.1 표지의 글자의 자형, 크기 및 배치는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과 3.2.1 표지의 글자의 자형, 크기 및 배치는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과
관계법령 및 설계도서에 따른다. 관계 법령 및 설계도서에 따른다. [수정] 도로안전시설 지침-도로전광표지 편을 근거
3.2.2 표지판의 모 듈 등 정보 표출방법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과 관 3.2.2 표지판의 모 듈 등 정보 표출방법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도로전광표 [관계기관의견] 오타 수정 : 도로안전시시설 ⇒ 도로안전시설

계법령 및 설계도서에 따른다. 지 및 설계도서에 따른다.

3.3 표시면 함체 3.3 표시면 함체

3.3.1 여름철 함체 내부의 고온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3.3.1 여름철 함체 내부의 고온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용량의 환기 팬을 설치하고, 비, 습기,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교체 는 용량의 환기 팬을 설치하고, 비· 습기 ·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교


가능 필터를 부착하여야 한다. 체 가능 필터를 부착하여야 한다.
3.3.2 표시면 함체 내부에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기준 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팬이 3.3.2 표시면 함체 내부에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기준 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팬 확 달
[수정] 명 한 의미전 위해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가동되며, 정지 시에는 환기구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자동으로 가동되어야 하며, 정지할 때에는 환기구를 통한 이물질 유입을 방
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3.3 가로보 등 구조 과의 고정은 프레임 밑면 철판과 구조물 상단에 볼트로 견고 물
3.3.3 가로보 등 구조 과의 고정은 프레임 밑면 철판과 구조물 상단에 볼트로 견고
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3.3.4 상단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표시면 함체와 구조물을 연결하여 접지한다. 3.3.4 상단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표시면 함체와 구조물을 연결하여 접지한다. 확 달
[수정] 명 한 의미전 위해 문구 수정

3.3.5 표시면 함체는 도난 방지용 녹 방지 시건 장치를 하여 외부인의 접근으로부터 3.3.5 표시면 함체는 녹 방지 기능이 있는 도난 방지용 시건 장치를 하여 외부인의
보호하여야 한다. 접근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3.3.6 표시면 함체의 외함은 도로의 안전을 위하여 무게, 풍압 등에 견딜 수 있도록 3.3.6 표시면 함체의 외함은 도로의 안전을 위하여 무게, 풍압 등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 설치하여야 한다. 견고하게 제작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충분한 삭제, 위치 변경 - 관리자를 위한
흐름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관리
3.3.7 유지 보수 시 차도 차단으로 인한 교통 3.3.7 유지 보수를 할때 차도 차단으로 인한 교통 흐름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를 위한 충분한 표시면 내부 공간 및 표시면 후면에 그릴망 발판을 확보하 표시면 내부 공간 및 표시면 후면에 관리자를 위한 그릴망 발판을 확보하여야
여야 하며, 이에 따른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지주에 설 하며, 이에 따른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지주에 설치된 유
치된 유지 보수용 사다리와 함체 사이는 관리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발판을 연 지 보수용 사다리와 함체 사이는 관리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발판을 연결 설치
결 설치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 야간 시의 ⇒ 야간의
3.3.8 야간 시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간이 조명을 설치하여야 한다. 3.3.8 야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간이 조명을 설치하여야 한다.

3.4 제어기 3.4 제어기

3.4.1 도로전광표지의 제어기는 시설 보안상 표시면 함체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나, 3.4.1 도로전광표지의 제어기는 시설 보안상 표시면 함체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할 수도 있다.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할 수도 있다.

11-8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2 외부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설 보안이 보장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 3.4.2 외부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설 보안이 보장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
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당
[수정] 설계에 해 되는 내용은 삭제
3.4.3 제어기 함체는 도로전광표지의 전원 및 통 신 배선부, 제어기, 전원 장치, 통신
뎀 등 구성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하여야 한다.

3.4.4 제어기 함체에는 회로도, 지침서, 유지 보수용 비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프 3.4.4 제어기 함체에는 회로도, 지침서, 유지 보수용 비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프
레임을 부착하여야 한다. 임
레 을 부착하여야 한다.
3.4.5 제어기 함체는 외부 환경(온도, 습도, 비, 먼지 등)에 대하여 녹이 슬지 않는 3.4.5 제어기 함체는 외부 환경(온도, 습도, 비, 먼지 등)에 대하여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설치한다. 질
재 로 설치한다.

3.5 보호 설비
3.5 보호 설비

3.5.1 낙뢰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서, 피뢰 및 전원․통신 써지 방지 장치를 3.5.1 낙뢰 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서, 피뢰 및 전원, 통신 써지 방지 장치를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피뢰기 보호각은 45°이하로 하며, 접지는 10 Ω 이하의 1종 접지를 하여야 한다. 3.5.2 피뢰기 보호각은 45° 이하로 하며, 접지는 10 Ω 이하의 1종 접지를 하여야 한다.
3.5.2
[수정] 한글로 순화
3.6 현장에 설치할 때의 유의사항
3.6 현장 설치시 유의사항


3.6.1 구조 의 안전과 관련된 다음의 문제점을 검토하여야한다 물
3.6.1 구조 의 안전과 관련 된 다음의 문제점을 검토하여야 한다.
(1) 광선로, 가스관 등의 지하 매설물 통과 여부 확인
(1) 광선로, 가스관 등의 지하 매설물 통과 여부 확인
(2) 설계도서와 상이한 연약지반이나 지하수 용출 여부 확인
(2) 설계도서와 상이한 연약 지반이나 지하수 용출 여부 확인
(3) 옹벽, 지하 구조물의 전도 및 붕괴 우려 유무 점검
(3) 옹벽, 지하 구조물의 전도 및 붕괴 우려 유무 점검
[수정] 중심위 : 유의사항 추가

(4) 설치지점이 시인성 확보에 불리한 곡선부인지 여부


(5) 도로표지 등 유사형태의 다른 시설물과 시인 간섭 유발 여부
[수정] 한글로 순화
3.6.2 현장에 설치할 때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3.6.2 현장 설치 시 안전성확보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1) 시설설치 중 공사 안내, 교통 통제 등에 필요한 안전시설을 설치한 후 안전하


(1) 시설 설치 중 공사 안내, 교통 통제 등에 필요한 안전시설 설치 후 안전하게
게 교통 통제를 실시하여야 한다.
교통 통제 실시

(2) 교통 통제 기간은 가능한 단 하여야 하여야 하며, 교통 수요에 맞추어 탄력적 축
(2) 교통통제기간은 가능한 단 하여야 하여야 하며, 교통 수요에 맞추어 탄력적 [수정] 문구 수정

으로 통제하여 교통 혼잡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는 교통관리기법을 적용하여


으로 통제하여 교통 혼잡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는 설치 방법을 취하여야 함
야 한다.

3.6.3 설치 지점에 인접해 있는 도로면, 가드 레일 등 기존 구조물 변경 및 훼손이 3.6.3 설치 지점에 인접하여 있는 도로면, 가드 레일 등 기존 구조물의 변경 및 훼손 확 달
[수정] 명 한 의미전 위해 문장 수정

이 불가피할 경우 관련 부서와 사전 협의를 하여 대책을 수립한 후 설치하여


불가피할 경우 관련 부서와의 사전 협의 하여야 한다.
야 한다.

11-90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2 장 환경관리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12장 환경관리공 제12장 환경관리공사
12-1 건설환경관리 일반 12-1 환경관리공사 일반
12-2 항목별 환경관리 12-2 항목별 환경관리
12-3 비산먼지 방지시설공 12-3 비산먼지 방지시설
12-4 공사장폐수 처리시설공 12-4 공사장 폐수처리시설
12-5 토사유출 저감시설공 12-5 토사유출 저감시설
12-6 가설사무실 오수 처리시설공 12-6 가설사무실 오수처리시설
12-7 항타, 발파 시 소음·진동 방지시설공 12-7 항타, 발파할 때의 소음·진동 방지시설
12-8 공사장비 소음 저감시설공 12-8 공사장비 소음 저감시설
제 12 장 환경관리공 제 12 장 환경관리공사 [수정] 제목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 수정

12-1 건설환경관리 일반 12-1 환경관리공사 일반 [수정] 제목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 수정함.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도로건설 시 환경관리는 환경정책기본법, 환경영향평가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 1.1 도로를 건설할 때 환경관리는 환경정책기본법, 자연재해대책법, 환경영향평가 [수정] 최근 법 개정 내용으로 수정하고 인용하고 있는 법률 추가 반영.
·
전에 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 소음 진동규제법 등의 기준과 환경정책기본법 ·
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 소음 진동관리법, [수정] 중심위 : 관련 법령 수정

상 환경기준 및 건설기술관리법상 환경관련 기준(환경관리표준시방서)에 따라 자연환경보전법, 토양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야 한다. 관한 법률 등의 기준과 환경정책기본법상 환경기준 및 건설기술진흥법상 환

1.2 이 시방서에 기술되지 않은 환경관리에 관한 사항은 별도로 작성되어 있는 환 경관련 기준(환경관리표준시방서)에 따라야 한다.

경관리표준시방서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1.2 이 시방서에 기술되지 않은 환경관리에 관한 사항은 별도로 작성되어 있는
환경관리표준시방서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1.3 전략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중점검토 항목 및 방법 등에 관 [추가] 최근 법 개정 내용과 도로건설공사에 따른 사업규모에 대한

한 사항 고시, 환경영향평가서등에 관한 협의업무 처리규정의 내용을 준수하 협의 내용을 적용하도록 추가내용 반영.
[수정] 중심위 : 관련 예규(행정규칙)명 수정
여야 한다.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3. 시공
(해당사항 없음) 3. 시공
해당사항 없음

1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2 항목별 환경관리 12-2 항목별 환경관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대기질 1.1 대기질

1.1.1 계약상대자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공사장 주변의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 1.1.1 계약상대자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공사장 주변의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
하기 위해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에 의한 환경기준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성하기 위하여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에 의한 환경기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자문] 환경 정책기본법 조항 인용 오류 수정

야 한다.

1.1.2 계약상대자는 건설사업 수행 시 일정한 배출구 없이 대기 중에 비산먼지를 발 1.1.2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일정한 배출구 없이 대기 중에 비산먼
생시키는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 지를 발생시키는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
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을 설치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1.3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행하는 모든 차량은 대기환경보전법 제57조의 운행차 배 1.1.3 건설공사 현장에서 운행하는 모든 차량은 대기환경보전법 제57조의 운행차
출허용기준에 적합하게 운행하여야 한다.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게 운행하여야 한다.

1.1.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 수행 시 악취를 발생하는 물질을 소각하고자 할 때에는 1.1.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악취를 발생하는 물질을 소각하고자 할 [자문] 문구 수정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하는 적합한 소각시설을 이용하여 이를 소각하여야 한다. 때에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하는 적합한 소각시설을 이용하여 이를 소각하
여야 한다.

1.2 수질 1.2 수질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장주변의 하천, 호소, 해역 등 공공수역에 수질오염물질배출 1.2.1 계약상대자는 공사장주변의 하천, 호소, 해역 등 공공수역에 수질오염물질배
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32조 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
에 의한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여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수질환경기준을 유 32조에 의한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여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수질환경기
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준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1.2.2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 수행 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을 공종별 특성에 맞는 1.2.2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에 대하여 공종 [자문] 문구 수정
적절한 수질오염방지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수질오염방지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1.2.3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수질 및 수생 1.2.3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 폐수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수질 및
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설치허가 및 신고를 득하고 시설을 운영하여야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신고 및 설치허가를 받은 후 시설을 운 [수정] 문구수정, 한글화
한다. 영하여야 한다.
1.2.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 수행 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이 유출되어 상수원 1.2.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물질이 유출되어
또는 하천 호소 해역 등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하여 수질오염 방지시설을 설치 상수원 또는 하천 호소 해역 등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하여 수질오염 방지

1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1.3 소음·진동 1.3 소음·진동

1.3.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소음 진동규제법 제21조의 생활소음 1.3.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소음 진동관리법 제21조의 생활소음과 [수정] 법령 내용 수정

과 진동의 규제 기준을 준수하여 현장에 투입되는 공사장비에 의한 소음 진동 진동의 규제 기준을 준수하여 현장에 투입되는 공사장비에 의한 소음 진동
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의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1.3.2 계약상대자가 건설현장 내에 소음 진동 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소 1.3.2 계약상대자가 건설현장 내에 소음 진동 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수정] 법령 수정, 문구 수정, 한글화
음 진동규제법에 의해 설치허가 및 신고를 득하고 시설을 운영하여야 한다. 소음 진동관리법에 의하여 신고 및 설치허가를 받은 후 시설을 운영하여야
한다.

1.3.3 계약상대자는 공사차량운행으로 인한 소음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차량의 1.3.3 계약상대자는 공사차량운행으로 인한 소음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속도를 제한하거나 소음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변생활환경지역의 영향을 의 운행속도를 제한하거나 소음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주변생활환경지역의

최소화하여야 한다.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1.3.4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발파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굴착에 앞 [수정] 문구 수정


1.3.4 계약상대자는 건설활동을 위하여 발파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굴착에 앞서 시
험발파를 실시하여 인근 보안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근에 피해를 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인근 보안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근에

방지하기 위한 발파공법, 천공장, 천공배치, 화약의 종류, 지발당허용장약량 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발파공법, 천공장, 천공배치, 화약의 종류, 지발당허용

의 발파작업계획과 적정한 소음 진동저감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장약량 등의 발파작업계획과 적정한 소음 진동저감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1.4 폐기물 1.4 폐기물

1.4.1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적정하게 1.4.1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폐기물관리법에 의하여 적
수집, 운반, 보관, 처리하여야 한다. 정하게 수집, 운반, 보관, 처리하여야 한다.

1.4.2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시설 등 1.4.2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시설
을 설치할 경우 폐기물관리법에 의해 적정한 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등을 설치할 경우 폐기물관리법에 의하여 적정한 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1.4.3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이 1.4.3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이
“폐기물관리법 및 건설폐기물의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에 의해 처리되도록 시 “폐기물관리법 및 건설폐기물의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공전에 충분한 처리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시공 전에 충분한 처리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1.4.4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재를 폐기물관리법, 건설폐기물의 1.4.4 계약상대자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건설폐재를 폐기물관리법, 건설폐기물
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제12조 및 건설폐재배출사업자의 재활용 지침 등에 따 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3조 및 건설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 관련 [수정] 중심위 : 관련 예규(행정규칙)명 수정

1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라 적정하게 처리 가능하도록 대책을 수립 처리하여야 한다. 업무처리지침 등에 따라 적정하게 처리 가능하도록 대책을 수립 처리하여
야 한다.

1.5 토양보전 1.5 토양보전

[수정] 문구 수정
1.5.1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토양오염유발시설
1.5.1 계약상대자는 건설활동 수행 시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토양오염유발시설에 대
에 대하여 토양환경보전법 제4조의 2와 제16조의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
[관계기관의 견 반영] 조사 수정
해 토양환경보전법 제4조의 2와 제16조에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에
의거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책기준에 의거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1.5.2 계약상대자는 토공작업 시 반드시 목적하는 바에 따라 사전에 토양조사를 실 1.5.2 계약상대자는 토공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목적하는 바에 따라 사전에 토 [수정] 한글로 순화, 이하표기 생략
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옥도가 높은 토양을 일정장소에 수집, 보관하여 녹 양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비옥도가 높은 토양을 일정장소에 수집,

화공사 시 식재토양으로 재활용하여야 한다. 보관하여 녹화공사를 할 때 식재토양으로 재활용하여야 한다.

1.5.3 계약상대자는 비탈면에 대한 녹화 및 피복처리는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하고 1.5.3 계약상대자는 비탈면에 대한 녹화 및 피복처리는 가능한 한 조기에 실시하

토사의 운반은 가능한 우기를 피하여야 한다. 고 토사의 운반은 가능한 우기를 피하여야 한다.

1.6 생태계보전 1.6 생태계보전

1.6.1 계약상대자는 건설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환경친화적 1.6.1 계약상대자는 건설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환경친화

건설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적 건설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1.6.2 계약상대자는 건설사업 시행에 따른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사용 1.6.2 계약상대자는 건설사업 시행에 따른 식생의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

가도로, 가시설물 설치 시에 주변 환경여건을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하며, 이식 사용 가도로, 가시설물을 설치할 때 주변 환경여건을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이 가능한 수목은 이식지역을 선정하여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하며, 이식이 가능한 수목은 이식지역을 선정하여 최대한 활용하도록 한다.

1.6.3 건설지역에 따라 동 식물의 서식지, 이동로의 단절 등이 최소화되도록 설계 1.6.3 건설지역에 따라 동 식물의 서식지, 이동로의 단절 등이 최소화되도록 설계

시는 물론 시공 전에 철저한 조사 및 대책수립 후 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할 때는 물론 시공 전에 철저한 조사 및 대책수립 후 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1.6.4 설계도에 보전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규정된 교목, 관목, 덩굴식물, 잔디, 1.6.4 설계도에 보전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규정된 교목, 관목, 덩굴식물, 잔

토양 형태 및 다른 경관 구조물은 판자 또는 기타 다른 승인을 받은 기술로 디, 토양 형태 및 다른 경관 구조물은 판자 또는 기타 다른 승인을 받은 기

표시하고, 담을 만들고, 둘러쌈으로써 분명히 구분하여야 한다. 계약상대자는 술로 표시하고, 담을 만들고, 둘러쌈으로써 분명히 구분하여야 한다. 계약상

승인받은 작업 지역 경계 바깥의 시공 중에 손상되거나 파괴된 경관구조물을 대자는 승인받은 작업 지역 경계 바깥의 시공 중에 손상되거나 파괴된 경

복구하여야 한다. 관구조물을 복구하여야 한다.

1.6.5 시공활동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감독, 관리, 통제 하에 이 1.6.5 시공활동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감독, 관리, 통제 하

져 학
루어 야 한다. 독성 또는 유해 화 물질은 토양 또는 식물에 살포해서는 안 져 학
에 이루어 야 한다. 독성 또는 유해 화 물질은 토양 또는 식물에 살포하
된다. 건설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든 수역에 대해 계약상대자는 모니터 여서는 안 된다. 건설 활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모든 수역에 대하여 계약

1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대자는 모 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1.7 기타 1.7 기타

1.7.1 계약상대자는 비탈면 발생지역의 안전을 도모하고 산사태를 방지하여야 하며, 1.7.1 계약상대자는 비탈면 발생지역의 안전을 도모하고 산사태를 방지하여야 하
연약지반 등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방지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며, 연약지반 등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방지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1.7.2 계약상대자는 공사 시 자연경관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하여 과도한 지형의 변 1.7.2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를 수행할 때 자연경관의 훼손을 저감하기 위하여 과
형, 수목벌채를 금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벌채를 금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도한 지형의 변형, 수목

1.7.3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주변의 주거지역 등 공사 중 각종 환경오염의 피해대상 1.7.3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주변의 주거지역 등 공사 중 각종 환경오염의 피해대
지역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고, 생활환경보전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상지역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고, 생활환경보전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1.7.4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주변에 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문화재의 훼손을 사전에 1.7.4 계약상대자는 공사장 주변에 공사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화재의 훼손
방지하기 위해 관련법령에 의해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관련법령에 의하여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7.5 계약상대자는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사전환경성검토,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1.7.5 계약상대자는 환경영향평가법에 의한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및 [수정] 중심위 : 관련 법 해당내용 수정

협의 결과를 이행하여야 한다.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을 이행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공 3. 시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3 비산먼지 방지시설공 12-3 비산먼지 방지시설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공사장 진 출입로, 토사적치장,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시설, 골재 이 시방은 공사장 진 출입로, 토사적치장,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시설, 골

파 시설, 가설도로 건설, 토사운반, 구조물 철거 등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공종 쇄
재파 시설, 가설도로 건설, 토사운반, 구조물 철거 등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에 적용한다. 공종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대기환경보전법 제43조 (비산먼지의 규제) 대기환경보전법 제43조 (비산먼지의 규제)


동법시행령 제44조 (비산먼지 발생사업) 동법시행령 제44조 (비산먼지 발생사업)
시행규칙 제57조 제2항 관련 별표 13, 14, 15 시행규칙 제57조 관련 별표 13 [자문] 법 조항 인용 오류내용 수정
8
시행규칙 제5 조 제4항 제5항 관련 별표 14, 15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다음의 공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계약상대자는 비산먼지발생사업 신고서를 관 1.4.1 다음의 공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계약상대자는 비산먼지발생사업 신고서 [수정] 제출물에 대한 내용을 세부적인 절차와 내용을 구체화 한 것
를 착공 전 관할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으로 한글화 되도록 수정, [관계기관의견 반영] 띄어쓰기 수정
할 시 도에 제출한다.
(1) 건물건설공사(연건평 1,000 ㎡ 이상에 한한다) 청
구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신고한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비산먼
[수정] 중심위 :


(2) 굴정공사( 연장 200 m 이상 또는 굴착토사량 200 ㎥ 이상에 한한다) 지발생사업 변경신고서를 변경 전에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3) 토목건설공사(구조물 용적합계 1,000 ㎥ 이상・공사면적 1,000 ㎡ 이상 또는 총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자문]용어 오타 수정 : 천 축물축조공사 ⇒ 건축물축조공사
연장 200 m 이상에 한한다) (1) 건축물축조공사(건축물의 증⋅개축 및 재축을 포함하며, 연면적 1,000 ㎡ 비산 먼지 발생사업 변경신고서 내용으로 수정

(4) 조경공사(면적합계 5,000 ㎡ 이상에 한한다) 이상인 공사에 해당한다. 다만, 굴정공사는 총연장 200 m 이상 또는 굴착
8
토사량 200 ㎥ 이상인 공사만 해당한다.)
[수정] 중심위 : 대기환경보전법 인용(시행규칙 제5 조, 시행규칙 별
(5) 건물해체공사(연건평 3,000 ㎡ 이상에 한한다) 표 13)
(6) 토공사 및 정지공사(공사면적 합계 1,000 ㎡ 이상에 한한다) (2) 토목공사(구조물의 용적합계가 1,000 ㎥ 이상이거나 공사면적이 1,000 ㎡
이상 또는 총연장 200 m 이상인 공사만 해당한다.)
(3) 조경공사(면적합계 5,000 ㎡ 이상인 공사만 해당한다.)
(4) 지반조성공사 중 건축물해체공사(연면적이 3,000 ㎡ 이상인 공사만 해당한

1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토공사 및 정지공사(공사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인 공사만 해당
농지정리를 위한 공사는 제외한다.)
하되,
(5) 그 밖에 공사(1항부터 4항까지의 공사에 준하는 공사로서 해당 1항부터 4
항까지의 공사규모 이상인 공사만 해당한다.)
1.4.2 계약상대자는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4.2 계약상대자는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4.3 계약상대자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 살수차 운행일지 1.4.3 계약상대자는 다음 사항을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2) 흙, 먼지 공사장 관리일지


(1) 살수차 운행일지
(2) 흙, 먼지 공사장 관리일지

2. 재료
2. 재료
2.1 방진덮개
2.1 방진덮개, 방진망, 방진벽(이하 ‘방진덮개 등’이라 한다.) [수정] 내용이 같은 것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추가 항목 반영

2.1.1 방진 개는 탄력성이 좋고 튼튼한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제품이어야 한다.

2.1.1 방진 개 등은 비산먼지 확산을 저감할 수 있고 탄력성이 좋으며, 튼튼하게 [수정] 문장 수정


2.1.2 현장에 적용되는 방진 개는 용도, 설계조건, 시공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만들어진 제 이어야 한다.


제 을 선정하여야 한다. 덮
2.1.2 현장에 설치하는 방진 개 등은 용도, 설계조건, 시공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 [수정] 문구 수정

2.1.3 방진덮개는 용도와 시공 편의성을 고려한 규격으로 현장 접합량을 최소화하고



절한 제 을 선정하여야 한다.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덮


2.1.3 방진 개 등은 용도와 시공 편의성을 고려한 규격으로 현장 접합량을 최소 [수정] 문구 수정

2.1.4 납품된 방진덮개는 현장에 깔기 전까지 햇빛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인공 조


급 및 보관이 용이하여야 한다.
화하고 취
[수정] 문구 수정

명에 노출되지 않고 지면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도 2.1.4 방진덮개 등은 햇빛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인공조명에 노출되지 않고 지
[수정] 문구 수정

면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한다.


[자문] 문구 수정
록 하여야 한다.

2.2 방진망 [ 삭제]


2.1에 통합 적용하 였음.
망 탄력성이 좋고 튼튼한 합성섬유로 만든 제품으로서 풍속을 저하시켜
2.2.1 방진 은
먼지확산을 저감할 수 있는 적절한 것을 사용한다.

2.2.2 방진망은 용도와 시공편의성을 고려한 규격으로 현장 접합량을 최소화하고 취


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포함되어 납품되도록 하여야 한다.
2.2.3 납품된 방진망은 현장에 설치 전까지 햇빛이나 자외선을 방사하는 인공조명에
노출되지 않고 지면과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며,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
여야 한다.

1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방음 의 재질 및 규 (예) 격
①재 질 : 고밀도 폴리에틸렌
②규 격 : 1.5 m× 100 m, 1.8 m× 100 m
3. 시공
3. 시공
3.1 토사운반
3.1 토사운반

3.1.1 적재함에 최대한 밀폐할 수 있는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외부에서 보이 [추가] 문장 추가


흘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지 않고

송 송
3.1.1 수 함에 수 물 적재 시에는 적재함 상단으로 부터 수평 5㎝ 이하까지만 적재 3.1.2 적재함 상단으로부터 0.05 m 이하까지 적재물을 수평으로 적재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자문] 단위표기 방법 수정( 부분 반영) cm단위 미
함 측면에 닿도록 적재하여야 한다.
사용

3.1.2 토사를 수송할 때에는 적재함에 반드시 덮개를 설치하여 운행하여야 한다. 송
3.1.3 토사를 수 할 때에는 적재함에 반드시 덮개를 설치하여 운행하여야 한다.
3.1.3 공사차량 운행 시에는 세륜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1.4 공사차량을 운행할 때에는 세륜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화

3.1.4 공사장 출입구에 환경전담요원을 고정배치하여 출입차량의 세륜・세차이행을 3.1.5 공사장 출입구에 환경전담요원을 배치하고 순회감독을 실시하여 출입차량 [수정] 문구 수정
통제하고 공사장 밖으로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다만, 통행 의 세륜・세차 이행을 통제하고 공사장 밖으로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관
도로를 포장할 수 없을 경우 살수차 등을 운영하여 비산먼지를 최대한 억제하 리하여야 한다. 다만, 통행도로를 포장할 수 없을 경우 살수차 등을 운영하
여야 한다. 여 비산먼지를 최대한 억제하여야 한다.

3.1.5 도로가 비 장 사설 도로인 경우 비 장 사설 도로로 포
부터 반경 500 m 이내에 포 포
3.1.6 도로가 비 장 사설도로인 경우 비 장 사설도로로 부터 반경 500 m 이내에
10가구 이상의 주거시설이 있을 때에는 해당 마을로부터 반경 1 ㎞ 이내는 포 10가구 이상의 주거시설이 있을 때에는 해당 마을로부터 반지름 1 km 이내 [수정] 문구 수정

장하여야 하며, 공사장 내 차량통행도로는 가능한 한 다른 공사에 우선하여 의 경우에는 포장, 간이포장, 또는 살수 등을 하여야 한다.
포장하여야 한다.
3.1.6 통행차량은 먼지가 흩날리지 않도록 공사장 안에서 시속 20 ㎞ 이하로 운행하 3.1.7 통행차량은 먼지가 흩날리지 않도록 공사장 안에서 시속 20 km 이하로 운 [자문] 항목 번호 오류 수정
여야 한다. 행하여야 한다.


3.1.7 통행차량의 운행기 중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에는 수시로 살수토록 하여 먼지 8 간
3.1. 통행차량의 운행기 중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에는 1일 1 회 이상 살수를 하 [수정] 문장 수정
의 비산을 방지하여야 한다. 여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여야 한다.

3.2 자동식 세륜・세차시설 3.2 자동식 세륜・세차시설

3.2.1 금속지지대에 설치된 롤러에 차바퀴를 닿게 한 후 전력 또는 차량의 동력을 3.2.1 금속지지대에 설치된 롤러에 차바퀴를 닿게 한 후 전력 또는 차량의 동력

1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용하여 차바 를퀴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차바퀴에 묻은 흙 등을 제거할 수 있 퀴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차바퀴에 묻은 흙 등을 제거할
을 이용하여 차바 를
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1) 설치도면에 의거 기 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다. (1) 설치도면에 의거 기 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한다.
(세륜기가 안착될 밑면은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세륜기가 안착될 바닥면은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2) 세륜기가 안착될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2) 세륜기가 안착될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3) 기초 콘크리트에 크레인이나 지게차로 세륜기를 기울거나 흔들림 없이 안착 (3) 기초 콘크리트에 크레인이나 지게차로 세륜기를 기울거나 흔들림 없이 안
시킨다. 착시킨다.
(4) 전원 케이블을 세륜기 운전반 내 단자반에 연결한다.(3상4선식 380/220V) (4) 전원 케이블을 세륜기 운전반 내 단자반에 연결한다.(3상4선식 380/220 V)
(5) 용수공급 배관을 연결한다. (5) 용수공급 배관을 연결한다.
(6) 정상작동 여부를 시운전한다. (6) 정상작동 여부를 시운전한다.

3.2.2 자동식 세륜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규격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2.2 자동식 세륜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규격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1) 측면살수시설은 수송차량의 바퀴부터 적재함 하단부 높이까지 살수할 수 있 (1) 측면살수시설은 수송차량의 바퀴부터 적재함 하단부 높이까지 살수할 수
어야 한다. 있어야 한다.
(2) 측면살수시설의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2) 측면살수시설의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살수압 3.0 ㎏/㎠ 이상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살수압 3.0 ㎏/㎠ 이상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측면살수시설의 전원은 220 V 혹은 380 V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측면살수시설의 전원은 220 V 혹은 380 V를 사용하여야 한다.
(5) 측면살수시설의 슬러지는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배출이 가능한 시설을 설치하 (5) 측면살수시설의 슬러지는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배출이 가능한 시설을 설치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6) 세륜시간은 25∼45 sec/대를 만족하여야 한다. (6) 세륜시간은 25 sec/대 ∼ 45 sec/대를 만족하여야 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7) 용수공급은 우수를 모아서 사용함과 공사용수를 활용함을 원칙으로 하되, 단 (7) 용수공급은 우수를 모아서 사용함과 공사용수를 활용함을 원칙으로 하되,
지내 지하수로 전환이 가능한 지구는 기 개발된 지하수를 이용하고, 부존 지 단지내 지하수로 전환이 가능한 지구는 기 개발된 지하수를 이용하고, 부
하수량이 부족한 지구는 상수도를 이용하며 용수는 자체순환식으로 이용하여 존 지하수량이 부족한 지구는 상수도를 이용하며 용수는 자체순환식으로
야 한다. 이용하여야 한다.

세륜시설은 다음과 같이 운영・관리하여야 한다.


3.2.3 자동식 세륜시설은 다음과 같이 운영・관리하여야 한다.
3.2.3 자동식
(1) 저수조에 항시 10톤 이상의 물을 채우고 용수가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1) 세륜수조의 용수를 교체할 때에는 간이침전시설을 활용하여 부유물 및 기 [수정] 문장 수정

름띠 제거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필요할 때에 재활용하거나 방류할


수 있다.
(2) 세륜후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슬러지는 건조대에서 건조 후 폐기물처리 (2) 세륜 후 컨베이어에 의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는 건조대에서 건조 후 폐기물
업체에 위탁처리한다. 처리한다. 다만, 쌓기재료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험⋅분석하여 [수정] 문장 수정
유해성이 없음을 확인 후 사용하여야 한다.

1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매일 세륜시설 가동 전에 1일 출입차량 30대를 기준으로 침전제(황산반토, 고 (3) 매일 세륜시설 가동 전에 1일 출입차량 30대를 기준으로 침전제(황산반토,
분자 응집제)를 투입하여 항시 세륜용수의 탁도가 20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 고분자 응집제)를 투입하여 항시 세륜용수가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수정] 문구 수정
도록 한다.
※ 탁도 20도 : 처리수의 내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 삭제] 문장 삭제
[

(4) 세륜시설 가동 운영일지를 비치하여 일일 가동시간, 출입차량대수, 침전제 투


입량, 슬러지 발생량 등을 매일 기록하여 3년간 보존한다.
(5) 세륜시설 출구에 부직포 등을 포설하여 세륜 시 바퀴에 묻은 물이 외부로 유 (4) 세륜시설 출구에 필요에 따라 부직포 등을 포설하여 세륜할 때 바퀴에 묻 [관계기관의 견 반영] 문구 수정, 한글화
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 3.3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

3.3.1 콘크리트로 만든 수조에 물을 채우고 차량이 통과함으로 인하여 바퀴를 세척 3.3.1 콘크리트로 만든 수조에 물을 채우고 차량이 통과하게 하여 바퀴를 세척한
한다. 다.
(1)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수조의 넓이는 수송차량의 1.2배 이상이 되어야 (1)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수조의 넓이는 수송차량의 1.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다.
(2)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수조의 깊이는 200 ㎜ 이상이어야 한다. (2)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수조의 깊이는 0.20 m 이상이어야 한다. [자문] 단위표기수정
(3) 수조의 길이는 수송차량 전장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수조의 길이는 수송차량 전장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설치 시에는 수조수 순환을 위한 침전조 및 배관 (4)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을 설치할 때에는 수조수 순환을 위한 침전조 및
을 설치하거나 물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배관을 설치하거나 물을 연속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5)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의 설치 시에는 위 1.3.2 (2)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하 (5) 수조를 이용한 세륜시설을 설치할 때에는 위 3.2.2의 측면살수시설을 설치 [자문] 인용내용 수정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3.2 수조식세륜시설은 다음과 같이 운영・관리하여야 한다. 3.3.2 수조식세륜시설은 다음과 같이 운영・관리하여야 한다.
(1) 수조의 세륜용수는 수송차량의 바퀴부분이 1/2정도 침수될 수 있도록 항시 (1) 수조의 세륜용수는 수송차량의 바퀴부분이 1/2정도 침수될 수 있도록 항시
일정하게 유지한다.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수조수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통상 탁도 20이하)할 수 있도록 교환 및 보충을 (2) 수조수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교환 및 보충하여야 한다.
실시한다.
※ 탁도 20도 : 처리수의 내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 [수정] 불필요한 용어설명 삭제
(3) 수조내의 수조수 및 슬러지는 1일 1회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슬러지 (3) 수조 내의 수조수 및 슬러지는 1일 1회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슬 [수정] 띄어쓰기 수정
가 수조 바닥에 설치된 침사지에 80% 정도가 차면 제거하여 건조대에서 건 러지가 수조 바닥에 설치된 침사지에 80 % 정도가 차면 제거하며 위 3.2.3 [자문] 단위표기, 인용내용 수정

조 후 폐기물처리 업체에 위탁 처리한다. 의 (2)항에 따른다.


(4) 세륜시설 출구에 부직포 등을 포설하여 세륜 시 바퀴에 묻은 물이 외부로 유 (4) 세륜시설 출구에 필요에 따라 부직포 등을 설치하여 세륜할 때 바퀴에 묻 [수정] 문구 수정, [관계기관의 견 반영] 필요할 때 ⇒ 필요에 따라
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은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2-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세륜시설 가동 운영일지를 비치하여 일일 출입차량대수 및 세륜용수 교체시 삭제] 문장 삭제
[
기 등을 매일 기록하고 3년간 보존한다.

3.4 방진덮개 3.4 방진덮개

3.4.1 계약대상자는 방진 개의 덮
접합, 깔기 방법, 장비투입 계획, 공정 및 품질관리 덮
3.4.1 계약상대자는 방진 개를 설치하기 전에 돌출물, 잡목 등을 제거하고 평탄 [수정] 용어 변경
에 관한 사항을 명시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게 한다.
삭제] 문장 삭제
3.4.2 방진덮개를 깔기 전에 토사더미의 돌출물, 잡목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다.
[

3.4.3 방진덮개의 현장 봉합 시 봉합사는 가급적 방진덮개의 구성 재질과 동일하게 덮


3.4.2 방진 개를 현장에서 봉합할 때 봉합사는 가급적 방진덮개의 구성 재질과 [수정] 문구 수정

한다. 또한,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봉합대신 일정길이 이상 단부를 겹치게 하 동일하게 하며,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봉합대신 일정길이 이상 단부를 겹치
는 방법으로 방진덮개를 연속적으로 깔 수 있다. 게 하는 방법으로 방진덮개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3.4.4 방진덮개를 깔 때에는 주름이 지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4.3 방진덮개를 설치할 때에는 주름이 지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바 [수정] 문장 추가
람 등에 의하여 벗겨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3.4.5 계약대상자는 방진 개 덮 깔기에 필요한 각종 기구와 부품을 사전에 충분히 준 3.4.4 계약상대자는 방진덮개 설치에 필요한 각종 기구와 부품을 사전에 충분히 [수정] 용어, 문구 수정

비하여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준비하여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3.4.6 방진 개는 수시로 점검하여 찢어지거나 벗겨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덮
3.4.5 방진 개는 수시로 점검하여 찢어지거나 벗겨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
다.

3.5 야적 3.5 야적

3.5.1 야적물질은 방진 개로 덮 덮어야 한다. 방진덮개의 시공방법은 12-3의 3.4에 따른다. 3.5.1 야적물질을 1일 이상 보관하는 경우에는 방진 개로 덮 덮어야 하며, 방진덮개의 [수정] 문장 수정
시공방법은 위의 3.4에 따른다.

/ 벽
3.5.2 야적물질의 최고저장높이의 1 3 이상의 방진 을 설치하고, 최고저장높이의 / 벽
3.5.2 야적물질의 최고저장높이의 1 3 이상의 방진 을 설치하고, 최고저장높이의

망막 축 축
1.25배 이상의 방진 ( )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 물 조 및 토목공사 망 축 축
1.25배 이상의 방진 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건 물 조 및 토목공사장,
[수정] 용어 수정

장, 조경공사장, 건축물 해체공사장의 공사장 경계에는 높이 1.8m 이상의 방진 축 체


조경공사장, 건 물 해 공사장의 공사장 경계에는 높이 1. 8 m 이상의 방진
벽을 설치하되, 둘 이상의 공사장이 붙어있는 경우의 공동경계면에는 방진벽 벽을 설치하되, 둘 이상의 공사장이 붙어있는 경우의 공동경계면에는 방진
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벽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3.5.3 야적된 골재의 함수율은 항상 7∼10 % 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살수시설을 설치 3.5.3 야적된 골재의 함수율은 항상 7 % ∼ 10 % 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살수시설 [수정] 단위표기 방법 수정

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을 설치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3.5.4 3.5.1 내지 3.5.3 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 3.5.4 3.5.1 내지 3.5.3 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치를 하는 경우에는 3.5.1 내지 3.5.3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3.5.1 내지 3.5.3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를 제 한다. 조치를 제 한다.외

12-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6 싣기 및 내리기 3.6 싣기 및 내리기

3.6.1 싣거나 내리는 장소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살수시설(살수반경 5 m 이상, 3.6.1 싣거나 내리는 장소 주위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살수시설(살수반지름 5 m
수압 3 ㎏/㎠)을 설치, 운영해서 작업 중 재비산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 수압 3 ㎏/㎠)을 설치, 운영하여 작업 중 다시 흩날리지 않도록 하여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3.6.2 풍속이 평균 초속 8 m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3.6.2 풍속이 평균 초속 8 m 이상일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3.6.3 주행차량에 골재 적재 시 적재함 상단 50 ㎜ 이하까지만 적재하여야 한다. 3.6.3 주행차량에 골재를 적재할 때 적재함 상단 0.05 m 이하까지 적재물을 수평 부
[수정] 문장 수정 [자문] 단위표기수정( 분반영), cm 단위 미사용
으로 적재하여야 한다.

3.7 이송 3.7 이송

3.7.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야외 이송시설은 밀폐화하여 이송 중 혼합물이 흘러내리 3.7.1 야 외 이송시설은 밀폐하여 이송 중 먼지의 흩날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지 않도록 덮개장치를 하여야 한다.

3.7.2 이송시설은 낙하, 입출구 및 국소배기부위에 적합한 집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송


3.7.2 이 시설은 낙하, 입·출구 및 국소배기부위에 적합한 집진시설을 설치하고, 포 [수정] 문장 수정

집된 먼지는 흩날리지 않도록 제거하는 등 적절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3.7.3 기계적( 벨트 콘베어, 버킷 엘리베이터 등)인 방법이 아닌 시설을 사용할 경우 3.7.3 기계적(벨트 콘베어, 바켓 엘리베이터 등)인 방법이 아닌 시설을 사용할 경
에는 살수 또는 기타 제진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우에는 살수 또는 기타 제진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3.7.4 3.7.1 내지 3.7.3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 3.7.4 3.7.1 내지 3.7.3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치를 하는 경우에는 3.7.1 내지 3.7.3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3.7.1 내지 3.7.3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를 제 한다. 외
조치를 제 한다.

3.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생산 3.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생산

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생산 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집진시설


3. .1 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집
3. .1
(더스트부스트)를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진시설(더스트부스트)를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3.8.2 골재파쇄시설의 원석 투입 및 골재 배출구에 고정식 살수시설을 설치 운영하 3.8.2 골재파쇄시설의 원석 투입 및 골재 배출구에 고정식 살수시설을 설치 운영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9 살수 3.9 살수

9 율 ∼%
3. .1 가설도로 및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의 함수 은 항상 7 10 를 유지토록 한다. 9
3. .1 가설도로 및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는 비산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습윤상태 [수정] 문장 수정, [수정] 중심위 :충분히 삭제

12-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유지하도록 한다.

9
3. .2 가설도로 및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에는 수시로 살수하여야 한다. 9
3. .2 가설도로 및 공사장 안의 통행도로에는 수시로 살수하여야 한다.
3.9.3 3.9.1 내지 3.9.2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 3.9.3 3.9.1 내지 3.9.2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시설의 설치 또는

치를 하는 경우에는 3.9.1 내지 3.9.2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조치 조치를 하는 경우에는 3.9.1 내지 3.9.2 중 그에 해당하는 시설의 설치 또는

를 제외한다. 조치를 제외한다.

3.10 방진망 3.10 방진망

망 람
3.10.1 방진 은 바 에 의하여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망 람
3.10.1 방진 은 바 에 의해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3.10.2 방진망을 봉합할 때의 봉합사는 가급적 방진망의 구성 재질과 동일하게


3.10.2 방진망의 봉합시 봉합사는 가급적 방진망의 구성 재질과 동일하게 한다.
한다.
3.10.3 방진망은 수시로 점검하여 찢어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3.10.3 방진 은 수시로 점검하여 찢어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3.10.4 방진망의 설치는 가설방음 판넬을 설치할 때 그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추가] 문장 추가

12-4 공사장폐수 처리시설공 12-4 공사장 폐수처리시설 [수정] 제목 변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건설현장 중 폐수가 발생되는 터널침출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 이 시방은 건설현장 중 폐수가 발생되는 터널침출수 처리시설, 레디믹스트 콘 [수정] 용어 수정
시설 등에 적용한다. 크리트 제조시설 등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32조(배출허용기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32조(배출허용기준)

12-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동법 시행규칙 제34조(배출허용기준) 동법 시행규칙 제34조(배출허용기준)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폐수처리시설 설치허가신 서(또는 신고서)를 작성하여 시 도지사의 허가를 ⋅
1.4.1 폐수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변경허가를 받거나 설치신고를 하려는 자는 배 [수정] 문장 수정
받거나 신고하여야 한다. ⋅ 청
출시설 설치허가 변경허가신 서 또는 배출시설 설치신고서를 시 도지사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4.2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신 서(신고서)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청
1.4.2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신 서(신고서)에 포함하여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폐수배출시설의 위치도 및 폐수배출공정 흐름도 1부 (1) 폐수배출시설의 위치도 및 폐수배출공정 흐름도
(2) 원료(용수포함)의 사용명세 및 제품의 생산량과 오염물질 발생예측서 1부 (2) 원료(용수 포함)의 사용명세 및 제품의 생산량과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관계기관의 견 반영] 신고서 내용 수정
(3) 오염물질 처리계획서(선택) 수질오염물질의 내역서 [수정] 중심위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인용(시행령 제

① 방지시설 설치내역서와 그 도면 1부 세
(3) 방지시설의 설치명 서와 도면 (다만, 설치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도면을 31조 제5항)

② 방지시설 설치면제 관련 서류 1부 배치도로갈음할 수 있다) [관계기관의 견 반영] 문장 및 오타 수정


③ 자가방지시설 설계시공 관련서류 1부 (4) 배출시설 설치허가증 (변경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제출한다)
④ 공동방지시설 설치 관련서류 1부
2. 재료 2. 재료
2.1 침사조, 유량조정조, 응집 응결, 침전조, 저류조, 방류조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2.1 침사조, 유량조정조, 응집 응결, 침전조, 저류조, 방류조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사용 시는 에폭시 등으로 피복된 수밀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사용할 때에는 필요할 때 에폭시 등으로 피복된 수밀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다만, 강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수정] 문장 추가
한다.

2.2 스크린, 교반기 등 물과 접촉이 되는 장치는 부식에 강한 STS300 계열 이상의 2.2 스크린, 교반기 등 물과 접촉이 되는 장치는 부식에 강한 STS300 계열 이상
재질을 사용한다. 의 재질을 사용한다.

2.3 난간, 경사안전사다리 등 부속시설물 등은 SS400 계열 이상의 재질을 사용한다. 2.3 난간, 경사안전사다리 등 부속시설물 등은 SS400 계열 이상의 재질을 사용한
다.

3. 시공 3. 시공
3.1 조목스크린 3.1 조목스크린

3.1.1 유입수 중 포함되어 있는 조대부유물질 및 협잡물의 제거를 위하여 조목스크 3.1.1 유입수 중 포함되어 있는 조대부유물질 및 협잡물의 제거를 위하여 조목스

12-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린을 설치하여야 한다. 크린을 설치하여야 한다.
3.2 침사설비 3.2 침사설비

3.2.1 모 래 및 무기물의 침적을 위하여 침사설비를 두어야 한다. 3.2.1 모 래 및 무기물의 침적을 위하여 침사설비를 두어야 한다.
3.3 유수분리시설 3.3 유수분리시설

3.3.1 터널공사에 따른 폐수는 물과 유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분을 제거하여야 3.3.1 터널공사에 따른 폐수는 물과 유분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유분을 제거하여
한다. 야 한다.

3.4 유량조정조 3.4 유량조정조

3.4.1 적정처리수량의 확보를 위하여 유량조정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3.4.1 적정처리 수량의 확보를 위하여 유량조정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3.5 응집 응결조 3.5 응집 응결조

3.5.1 물리 화 적 학 응집을 위하여 교반시설이 있는 응집 응결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3.5.1 물리적 화 적 학 응집을 위하여 교반시설이 있는 응집 응결조를 설치하여야 한 [수정] 문구 수정
다.

3.5.2 응집조는 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을 고려하여 설치, 제작하여야 한다. 3.5.2 응집조는 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을 고려하여 설치·제작하여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수정
3.5.3 응집 응결조의 교반기 및 교반기 지지대는 견고하게 설계, 제작하여야 한다. 3.5.3 응집 응결조의 교반기 및 교반기 지지대는 견고하게 설계·제작하여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수정

3.6 침전시설 3.6 침전시설

학 응집에 의한 오니의 침전을 위하여 침전조를 설치한다.


3.6.1 물리 화 적 학 응집에 의한 오니의 침전을 위하여 침전조를 설치한다.
3.6.1 물리적 화 적 [수정] 문구 수정

3.6.2 침전조는 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을 고려하여 설치 제작하여야 한다. 3.6.2 침전조는 변형 및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 제 [수정] 문구 수정
작하여야 한다.

3.6.3 발생되는 슬러지는 CAKE로 탈수처리한다. 3.6.3 발생되는 슬러지는 탈수 후 위탁 또는 폐기물 관리법에 적합하게 처리하여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3.7 방류조 3.7 방류조

3.7.1 방류조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사용 시는 에폭시 등으로 코팅이 되어야 하며, 3.7.1 방류조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사용할 때에는 에폭시 등으로 코팅이 되어야
배출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여야 한다. 하며, 배출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여야 한다.

12-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5 토사유출 저감시설공 12-5 토사유출 저감시설 [수정] 제목 변경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건설현장의 토사가 발생되어 방류하천에 영향이 예상되는 것을 저 이 시방은 건설현장의 토사가 유출되어 방류하천 및 하수도에 악영향이 예상 [수정] 문구 수정
탁 망
감하기 위한 시설인 침사지 및 오 방지 의 설치 시 적용한다. 되는 것을 저감하기 위한 시설인 침사지 및 오 방지 을 설치할 때 적용한 탁 망 [수정] 중심위 : 조사 수정
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K 0415 실의 겉보기 번수 측정방법 KS K 0415 실의 겉보기 번수 측정방법
KS K 0511 직물의 밀도 측정방법 KS K 0511 직물의 밀도 측정방법
KS K 0520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 시험방법 KS K 0514 천의 무게 측정방법 : 작은 시험편법 [수정] 기술 순서 조정
KS K 0514 천의 무게 측정방법 : 작은 시험편법 KS K 0520 직물의 인장강도 및 신도 시험방법
KS K 0536 직물의 인열강도 시험방법 : 텅법 KS K 0536 직물의 인열강도 시험방법 : 텅법
KS K 0601 직물의 수축률 시험방법 : 상온수 침지법 KS K 0601 직물의 수축률 시험방법 : 상온수 침지법
KS F 2126 지반용 섬유의 유효구멍 크기시험 방법 KS F 2126 지반용 섬유의 유효구멍 크기 시험방법 [수정] 띄어쓰기 수정
KS F 2128 지반용 섬유의 수직투수성 시험방법 KS F 2128 지반용 섬유의 수직투수성 시험방법
ISO 12956 Geotextilies and geotextile-related products - Determination of the ISO 12956 Geotextilies and geotextile-related products - Determination of
characteristic opening size the characteristic opening size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2-1-4 오탁방지막시설’ 의 해당요건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오탁방지막시설’ 의 해당요건 [수정] 목차 번호 삭제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15조 (배출 등의 금지) 제1항 제4호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15조 (배출 등의 금지) 제1항 제4호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 (환경기준의 설정)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 (환경기준의 설정) [수정] 중심위 : 관련 법 조항 수정
환경정책기본법 동법 시행령 제2조 (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동법 시행령 제2조 (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제11조 (환경기준의 유지) 환경정책기본법 제13조 (환경기준의 유지)
굴착공사 표준안전지침(고시 제1 4 1호) 99 - 삭제] 지침(하위기준) 관련사항은 삭제
[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계약대상자는 공사기 간 중 공사지역 내에서 침사지를 설치할 경우에는 다음 1.4.1 계약상대자는 공사기 간 중 공사지역 내에서 침사지를 설치할 경우에는 다 [수정] 용어 수정

12-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사항이 포함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음 사항이 포함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1) 공사지역의 가배수로 및 가물막이 위치도 (1) 공사지역의 가배수로 및 가물막이 위치도
(2) 가물막이 및 배수 구조물의 공법, 수리 및 구조계산을 포함하는 시공계획서 (2) 가물막이 및 배수 구조물의 공법, 수리 및 구조계산을 포함하는 시공계획서
(3) 시공범위, 시공순서, 시공방법 등이 포함된 시공계획서 (3) 시공범위, 시공순서, 시공방법 등이 포함된 시공계획서
(4) 침사지 용량을 포함한 명세서 (4) 침사지 용량을 포함한 명세서
(5) 관련전문가의 확인을 필한 검증서류 (5) 관련전문가의 확인을 받은 검증서류 [수정] 문구 한글화 수정

1.4.2 계약대상자는 오탁방지막 설치에 필요한 재료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시행한 1.4.2 계약대상자는 오탁방지막 설치에 필요한 재료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시 [수정] 관련 근거 삭제
시험성적서를 사용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하다.(하천공사 행한 시험성적서를 사용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하다.
표준시방서)

2. 재료 2. 재료
2.1 가마니, 마대 2.1 가마니, 마대

2.1.1 가마니, 마대 등은 모래를 담아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2.1.1 가마니, 마대 등은 모래를 담아 사용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2.2 시멘트 콘크리트 2.2 시멘트 콘크리트

2.2.1 시 멘트 콘크 트
리 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 성 등을 가지고 밀 품질이 균일한 2.2.1 시멘트 콘크 트 밀
리 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 성 등을 가지고 품질이 균일한

재 를 사용하여야 한다. 료
재 를 사용하여야 한다.

2.3 오탁방지막 2.3 오탁방지막

탁 막 광 노
2.3.1 오 방지 은 수중 및 일 에 출된 상태에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여과성이 탁 막
2.3.1 오 방지 은 수중 및 햇빛 노
에 출된 상태에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여과성이 였으며,
혼탁확 폴 스텔 섬
[수정] 문장을 분리하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내용을 준용하는
양호하여 수중의 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고강도의 리에 계 합성 양호하여 수중의 혼탁확
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료 제시는 삭제함
얻 -
것으로 기술하고 별도의 자
유 재질로서 반드시 감독자의 승인을 어 사용한다. 시험항목은 표 12 1에서
탁 막
2.3.2 오 방지 의 재질은 하천공사 표준시방서의 오 방지 탁 막 시설에서 요구하는
정하는 바에 따른다.
표 12-1 오탁방지막재료의 시험방법

조건을 만 하여야 한다.

항목 시험방법 비고
인장강도 KS K 0520 그래브법
신도 KS K 0520 〃
인 강도열 KS K 0536 텅법
중량 KS K 0514
투수계수 KS F 2128
수 축율 KS K 0601 온
상 수 침지법
유효구멍 KS F 2126, ISO 12956
섬도 KS K 0415
밀도 KS K 0511
조직 일반시험법

12-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공
3. 시공
3.1 침사지
3.1 시공일반 [수정] 시공일반을 별도항목으로 구성
3.1.1 시공일반

(1)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사 시 발생되는 절 성토면 · 3.1.1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사할 때 발생되는땅깎기
의 안정화 작업을 우선 시행하고 유출이 예상되는 부분에는 가마니나 비닐 ⋅흙쌓기 비탈면의 안정화 작업을 우선 시행하고 유출이 예상되는 부분에
등을 덮고 상·하부에는 가배수로 및 물막이공을 토사유출이 예상되는 지점에 는 가마니나 비닐, 토목섬유 등을 덮고 상·하부에는 가배수로 및 물막이공
설치하여야 한다. 을 토사유출이 예상되는 지점에 설치하여야 한다.
(2) 통상 토사유출방지시설은 조기에 설치토록 하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매몰되 3.2.2 통상 토사유출 방지시설은 조기에 설치하도록 하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매
거나 토사가 퇴적될 시에는 수시로 준설토록 한다. 몰되거나 토사가 퇴적될 경우에는 수시로 준설하도록 한다.
3.1.2 가마니・마대쌓기
(1) 절토면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는 경사면을 가마니 쌓기, 비닐 덮기 등의 보호
조치를 하여야 한다. 3.2 침사지 [수정] 침사지에 해당되는 내용을 별도로 기술 조정
(2) 가 마니·마대는 일정폭을 유지하면서 단단하게 쌓아 쌓은 가마니가 붕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2.1 산계 곡부 하단부 등 자연상태 개거에서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유입구에는
반드시 침사지를 설치하고, 바위 등이 굴러와서 하수관거를 막는 일이 발생
(3) 가 마니·마대 쌓기를 한 후 가마니 사이로 저류수의 유출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하지 않도록 침사지 입구에 스크린 또는 방지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침사지 내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과 침사지내의 흐름, 침전 등을 고려하여
침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사지 내에 수류경사판을 설치할 수 있다. 3.2.2 침사지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유입량과 침사지 내의 흐름, 침전 등을 고려하
여 적정용량의 침사지를 설치하여야 하며, 필요할 때에는 침전율을 향상시
3.1.3 시멘트 콘크리트 둑
(1) 시멘트 콘크리트는 프리캐스트나 현장타설로 한다.
키기 위하여 침사지 내에 수류경사판을 설치한다.

(2) 침사지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과 침사지내의 흐름, 침전 등을 고려하여 침


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사지 내에 수류경사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3.2 오탁방지막 3.3 오탁방지막

3.2.1 토목공사 및 수중공사 중 발생하는 토사, 세립토가 해양 및 하천으로 확산 우 3.3.1 토목공사 및 수중공사 중 발생하는 토사, 세립토가 하천, 호수 및 해양으로
려가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확산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3.3.2 사업지역 내 또는 하류 10km 이내에 상수원보호구역이 위치한 경우에는 상 [추가] 하수도 관련법에 따라 관련내용 추가 반영
수원보호구역의 유입부에 오탁방지막을 설치하여야 한다.

12-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탁 막 설치는 실시 전에 시공 계획을 수립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소요의
3.2.2 오 방지 탁 막
3.3.3 오 방지 의 설치는 실시 전에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소
[수정] 자구 수정

목적을 최대한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감독자와 합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요의 목적을 최대한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감독자와 합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탁 막 간
3.3.3 오 방지 의 설치기 은 공사내용, 현지여건을 감안한 구조계산과 경험적인 탁 막 간
3.3.4 오 방지 의 설치기 은 공사내용, 현지여건을 감안한 구조계산과 경험적

안전율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인 안전율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3.3.4 계약대상자는 오탁방지막 설치 예정위치에 대하여 수심과 홍수 시 유속 등 수 3.3.5 계약상대자는 오탁방지막 설치 예정위치에 대하여 수심과 홍수 때의 유속 [수정] 용어 수정

리현상을 파악하여 현지여건을 맞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등 수리현상을 파악하여 현지여건을 맞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탁 막
3.3.5 설치계획선에 따라 오 방지 을 설치하고 유수에 의하여앵커가 이동하거나 탁 막
3.3.6 설치계획선에 따라 오 방지 을 설치하고 유수에 의하여 앵커가 이동하거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이음부는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히 연결하여야 한다. 부
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이음 는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히 연결하여야 한
다.

탁 막 람 랑 등에 의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3.3.6 오 방지 의 설치 후 바 , 유수 및 파 탁 막 람 랑 등에 의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하
3.3.7 오 방지 의 설치 후 바 , 유수 및 파
야 하며, 투수성이 좋도록 해충, 해초류, 부유물질 부착 제거 등 항상 유지관 여야 하며, 투수성이 확보되도록 해충·해초류·부유물질 부착 제거 등 항상 [수정] 문구 수정

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3.3.7 공사장을 통과하는 하천수의 부유물질(SS) 함유량은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8


3.3. 공사장을 통과하는 하천수의 부유물질(SS) 함유량은 환경영향평가 또는 전 [수정] 관련법에 따라 관련내용 수정

관한 법률의 배출허용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략환경영향평가의 협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12-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6 가설사무실 오수 처리시설공 12-6 가설사무실 오수처리시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가설사무실의 생활오수를 처리하기 1.1.1 이 시방은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모든 가설사무실의 생활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시 적용한다. 위한 시설을 설치할 때 적용한다.

1.1.2 오수를 배출하는 건물 등을 설치하는 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오수처리시설 1.1.2 하수처리구역 밖에서 1일 오수 발생량이 2 ㎥를 초과하는 건물⋅시설(이하 [수정] 하수도 관련법에 의한 관련내용 추가


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수 식 화장실이 설치되지 아니한 건물 기타 시설 ‘건물 등’이라 한다) 등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오수처리시설(개인하수처리
물(건물)로써 1일 오수발생량이 1 ㎥ 이하인 건물은 설치를 면제한다. 시설로서 건물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설치하여야 하며, 2 ㎥ 이하인 건물 등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정
화조(개인하수처리시설로서 건물 등에 설치한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하는 오
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이하 같다)를 설치하여야 한다.


1.1.3 수 식화장실을 설치하는 자는 단독정화조를 설치(오수처리시설로 유입, 하수 1.1.3 하수처리구역 안에서(합류식 하수관거 설치지역만 해당한다) 수세식 변기를 [수정] 관련내용 추가

말 외
또는 폐수종 처리장 유입 시는 제 )하여야 한다.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정화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자문] 오타 수정 : 성치하려는 ⇒ 설치하려는

1.1.4 특별대책지역, 수변구역에서 수 식 변기를 설치하거나 1일 오수발생량이 1
㎥를 초과하는 건물 등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오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하수도법 제7조 (방류수 수질기준) 하수도법 제7조 (방류수 수질기준)


동법 시행령 제24조의 2 (개인하수시설의 설치기준), 별표 1 하수도법 제34조 (개인하수시설의 설치)
[수정] 하수도 관련 법 변경
동법 시행규칙 제55조 관련 별표 12 동법 시행령 제24조 (개인하수시설의 설치기준), 별표 1
[수정] 중심위 : 조항 수정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오수처리시설의 설치 시에는 다음의 서류를 구비하여 관할시장 군수 구청장에 1.4.1 개인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할 때에는 신고서에 다음의 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수정] 중심위 : 문장 수정, 하수도법 인용
게 제출하여야 한다.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오수처리시설의 설계도서 (1)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설계도서 [수정] 용어 수정

12-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건물 등의 배수계통도 ⋅
(2) 건물 시설 등의 배수계통도

(3) 건물 등의 평면도, 건 물 대장의 사본 (3) 건물⋅시설 등의 평면도, 건축물 대장의 사본

2. 재료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하수도법 시행령 제 32조 (개인하수처리시설제조업) (별표 6) 재질 및 성능검사 [수정] 관련 내용(법 조항) 추가
대상 [수정] 중심위 : 근거 수정

3. 시공 3. 시공 [수정] 용어 수정

3.1 오수처리시설 3.1 개인하수처리시설


[수정] 용어 수정

3.1.1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처리능 을 력 갖춘 구조・규 3.1.1 개인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처리능 을 력 갖춘
격이어야 한다. 격
구조・규 이어야 한다.
[수정] 기술내용 수정
3.1.2 오수처리시설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구조・규 격 및 부품을 갖추어야 한다. 품
3.1.2 개인하수처리시설 제조제 의 구조・규 격⋅재질 및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3.2 단독정화조 3.2 유지관리 관로
[수정] 기술내용 수정
3.2.1 단독정화조의 방류수수질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처리능 을 력 갖춘 구조 규격이 3.2.1 개인하수처리시설은 1회/년 청소를 실시하고, ⋅
정상적으로 유지 관리하여
어야 한다. 관련법의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3.2.2 단독정화조의 설치기준에 적합한 구조 규 격 및 부품을 갖추어야 한다.

12-7 항타, 발파시 소음·진동 방지시설공 12-7 항타, 발파할 때의 소음·진동 방지시설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부지 정지 작업 시의 발파 및 구조물 설치를 위한 항타 공종에 적용 이 시방은 부지정지 작업을 할 때의 발파 및 구조물 설치를 위한 항타 공종에 [수정] 문구 수정

한다.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환경기준의 설정)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환경기준의 설정) [자문] 법 조항 인용 오류 수정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제11조(환경기준의 유지) 환경정책기본법 제13조(환경기준의 유지)
소음・진동규제법 제21조(생활소음과 진동의 규제) 소음・진동관리법 제21조(생활소음과 진동의 규제)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 제20조(생활 소음・진동의 규제)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20조(생활소음・진동의 규제)
제21조(특정공사의 사전신고) 제21조(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등) [자문] 관련조항 수정 : 사전 신고 ⇒ 사정신고 등
제22조(저소음 건설기계의 범위 등) 제22조(저소음 건설기계의 범위 등)
제274(폭약 사용 규제 요청) 제24조(폭약사용 규제 요청) [수정] 관련 조항 수정

1.4 제출물 1.4 제출물

1.4.1 항타기 등의 다음 장비를 2일 이상 사용하는 공사로서 소음・진동규제법 시행 1.4.1 항타기 등의 다음 장비를 2일 이상 사용하는 공사로서 소음・진동관리법

규칙 제33조 제1항에 해당하는 특정공사는 공사개시 3일전 지 특정공사 사전 제22조 제1항에 해당하는 특정공사는 공사 시행 전(건설공사의 경우 착공 [수정] 기술내용 수정
신고서를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전) 까지 특정공사 사전신고서를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 [수정] 중심위 : 문장 수정, 하수도법 인용

⋅군수⋅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항타기・항발기 또는 항타 항발기( 입식 항타 항발기를 제 한다)외 (1) 항타기・항발기 또는 항타항발기(압입식 항타항발기를 제외한다)
[수정] 중심위 : 띄어쓰기 수정, 장비명 수정
(2) 병타기 (2) 천공기 [수정] 장비명 수정
(3) 착암기 (3) 공기압축기(공기토출량이 분당 2.83 ㎥ 이상의 이동식으로 한정한다)
(4) 공기압축기(공기토출량이 분당 2.83㎥ 이상의 이동식인 것에 한한다) (4) 브레이커(휴대용을 포함한다) [자문] 괄호 표기 오류 수정
(5) 건물파괴용 강구 (5) 굴삭기
(6) 브레이커(휴대용을 제외한다) (6) 발전기
(7) 굴삭기 (7) 로 더
(8) 발전기 (8) 압쇄기
(9) 로우더 (9) 다짐기계 [자문] 장비명 수정

(10) 압쇄기 (10) 콘크리트 절단기


(11) 콘크리트 펌프

1.4.2 폭약을 사용할 경우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여야 한다. [수정] 위치 이동

1.4.3 특정 공사 사전신고서 제출 시 첨부할 서류는 다음과 같다. 첨부하여야 한다.


1.4.2 특정공사 사전신고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수정] 문장 수정

(1) 특정 공사의 개요(공사 목적 및 공사일정표 포함) (1) 특정공사의 개요(공사목적 및 공사일정표 포함)

12-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공사장 위치도(공사장의 주변 주 택 등 피해대상 표시) (2) 공사장 위치도(공사장의 주변 주 택 등 피해대상 표시)
(3) 방음・방진시설의 설치내역 및 도면 ·
(3) 방음 방진시설의 설치명 세 및 도면
(4) 기타 소음・진동 저감대책 (4) 기타 소음・진동 저감대책

1.4.3 폭약을 사용할 경우 관할 경찰서에 신고하여야 한다. [수정] 기술순서 변경


2. 재료 2. 재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3. 시공 3. 시공
3.1 항타시 소음・진동 방지 3.1 항타할 때의 소음・진동 방지

3.1.1 차입공법과 매입공법 중 소음・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적합 3.1.1 타입공법과 매입공법 중 소음・진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수정] 용어 수정
한 공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적합한 공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3.1.2 저소음 공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3.1.2 저소음 공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3.1.3 기성말뚝 시공 시 중굴공법, 프리보링(pre-boring) 공법을 원칙으로 한다. 3.1.3 기성말뚝을 시공할 때에는 중굴공법, 프리보링공법을 원칙으로 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괄호 내 영문 삭제
3.1.4 항타기는 유압해머, 초고주파 항타기 등 방음대책이 강구된 항타기를 사용하 3.1.4 항타기는 유압해머, 초고주파 항타기 등 방음대책이 강구된 항타기를 사용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5 말뚝을 하역하거나 달아올리는 작업 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3.1.5 말뚝을 내리거나 달아올리는 작업을 할 때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치 않도록 [수정] 문구 수정, 한글로 순화
한다.

3.2 발파시 소음・진동 방지 3.2 발파할 때의 소음・진동 방지 [수정] 한글화

3.2.1 발파계획 3.2.1 발파계획


(1) 건설공사의 발파작업은 발파원으로 부터 소음・진동 등의 환경공해와 민원발 (1) 건설공사의 발파작업은 발파원으로 부터 소음・진동 등의 환경공해와 민원
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발파공법을 계획하고 시공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공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발파공법을 계획하고
에 앞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발파계획의 적정성 및 조정검토가 시행되어야 시공에 앞서 시험발파를 실시하여 발파계획의 적정성 및 조정검토가 시행
한다. 되어야 한다.
(2) 발파계획서는 주변의 환경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천공장, 천공배치, 화약의 (2) 발파계획서는 주변의 환경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천공장, 천공배치, 화약
종류, 장약량 등의 발파 패턴과 보안시설물과의 이격거리별 지발당허용장약량 의 종류, 장약량 등의 발파 패턴과 보안시설물과의 이격거리별 지발당 허용
및 소음・진동대책 등이 수립되어야 한다. 장약량 및 소음・진동대책 등이 수립되어야 한다.

12-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한글화
3.2.2 시험발파 3.2.2 시험발파

(1) 시험발파의 목적은 발파작업 시에 발생하는 진동・소음( 음)의 수준이 지질, 폭
(1) 시험발파의 목적은 발파작업을 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소음( 음)의 수준
암반의 강도, 발파방법, 지형 등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발파대상 암반을 대 이 지질, 암반의 강도, 발파방법, 지형 등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발파대
상으로 천공규모, 장약량 등을 달리 시행함으로써 파쇄효과와 공해발생정도 상 암반을 대상으로 천공규모, 장약량 등을 달리 시행함으로써 파쇄효과와
를 파악하여 현지에 적합한 발파공법과 발파패턴을 계획하는데 있다. 공해발생정도를 파악하여 현지에 적합한 발파공법과 발파패턴을 계획하는
데 있다. [수정] 한글화


(2) 시험발파 시에는 장약량에 따른 거리별로 진동과 소음에 대한 계 을 실시하 (2) 시험발파를 할 때에는 장약량에 따른 거리별로 진동과 소음에 대한 계측을
여야 하며, 최소한 30개 이상의 계측자료를 획득하여 발파영향권을 분석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최소한 30개 이상의 계측자료를 획득하여 발파영향권을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분석하여야 한다.
측 회
(3) 시험발파 시 계 결과가 상 할 때는 천공장, 천공 간격, 공당 장약량 및 지발 측 회
(3) 시험발파의 계 결과가 기준치를 상 할 때는 천공장, 천공 간격, 공당 장약
당 장약량을 조정하는 등의 별도의 저감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량 및 지발당 장약량을 조정하는 등의 별도의 저감대책이 수립되어야 한
다.

3.2.3 발파작업 3.2.3 발파작업


(1) 발파작업은 미리 정해진 발파 패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1) 발파작업은 미리 정하여진 발파 패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발파작업은 인근 보안시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각 (2) 발파작업은 인근 보안시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하며, 각
보안시설물의 진동과 허용기준은 설계 적용기준에 의거 설정하여야 하며, 시 보안시설물의 진동과 허용기준은 설계 적용기준에 의거 설정하여야 하며,
공시에 규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시공할 때 규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매 발파작업 시에는 발파진동・소음(폭음)의 계측작업을 실시하고, 계측자료 (3) 발파작업을 할 때마다 발파진동・소음(폭음)의 계측작업을 실시하고, 계측
는 발파횟수별 발파시간과 일자별로 기록・정리하여 보관한다. 자료는 발파횟수별 발파시간과 일자별로 기록・정리하여 보관한다.

12-8 공사장비 소음 저감시설공 12-8 공사장비 소음 저감시설 [수정] 제목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건설현장의 공사장비 가동 시 공사소음을 저감할 목적으로 설치하 이 시방은 건설현장의 공사 장비를 가동할 때의 공사소음을 저감할 목적으로 [수정] 문구 수정
는 가설방음 벽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설치하는 가설방음 벽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해당사항 없음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0228 강재의 제품분석 및 그 허용변동치 [수정] 가설 방음 벽 기준이 다양하므로 기존 표준 내용 삭제함.
KS D 3520 도장용융아연 도금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
KS F 8002 강관조인트
KS F 8014 클램프
1.3 적용기준 1.3 적용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환경기준의 설정)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환경기준의 설정) [수정] 중심위 : 조항 수정

환경정책기본법 시행규칙 제2조(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규칙 제2조(환경기준)

환경정책기본법 제11조(환경기준의 유지) 환경정책기본법 제13조(환경기준의 유지)

소음・진동규제법 제21조(생활소음과 진동의 규제) 소음・진동관리법 제21조(생활소음과 진동의 규제) [수정] 법령 수정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 제20조(생활 소음・진동의 규제)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 제20조(생활소음・진동의 규제) [수정] 법령 수정

1.4 제출물 1.4 제출물

품 료
이 시방서에 따라 계약대상자는 시공계획에 맞추어 제 자 , 시험성적서를 감 품 료
1.4.1 계약상대자는 시공계획에 맞추어 공사장비에 대한 제 자 , 시험성적서를
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감독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재료 2. 재료
[수정] 제목 수정
2.1 가설방음벽 공사에 사용하는 재료의 기준은 다음 각 항의 규정에 적합한 2.1 가설방음벽공사에 사용하는 재료의 기준

것이어야 한다.

직 너 KS D 3520을 사용하여야 한다.


2.1.1 가설방음판 및 수 조이 는 직 너 KS D 3520을 사용하여야 한다.
2.1.1 가설방음판 및 수 조이 는

2.1.2 강관의 재질은 KS D 3566에 적합하고 그에 준하는 제품을 사용하며, 흠이 없 2.1.2 강관의 재질은 KS D 3566에 적합하고 그에 준하는 제품을 사용하며, 흠이
어야 하며, 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없어야 하고, 아연도금을 하여야 한다.

2.1.3 클램프는 KS F 8014에 적합하여야 하며, 강관조인트는 KS F 8002에 적합하 2.1.3 클램프는 KS F 8014에 적합하여야 하며, 강관조인트는 KS F 8002에 적합
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 시공 3. 시공

12-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띄어쓰기 수정
3.1 시공전 점검 3.1 시공 전 점검
[수정] 문구 수정

3.1.1 설치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공사의 배치계획 및 위치를 확인한다. 벽


3.1.1 가설방음 의 설치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공사의 배치계획 및 위치를 확인
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1.2 지주 설치 전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확인한다. 3.1.2 지주를 설치하기 전에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지하 매설물의 위치를 확인하
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3.1.3 공사를 준비, 진행할 수 있는 현장요건인지 확인한다. 3.1.3 감독자는 공사를 준비, 진행할 수 있는 현장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3.1.4 현장상 에 대해 발주기관에게 서면으로 보고한다. 황
3.1.4 현장상 에 대해서는 감독자에게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3.2 시공전 준비 3.2 시공 전 준비


3.2.1 가설방음 을 설치하기 전에, 가설방음벽 계획위치의 중심선 양측 최소 1m 이 벽
3.2.1 가설방음 을 설치하기 전에, 가설방음 벽 계획위치의 중심선 양측 최소 1m [수정] 자구 수정

내의 모든 나무류, 잡목, 뿌리들, 통나무 및 부스러기 등 공사에 방해가 될 수 이내의 모든 나무, 잡목, 뿌리, 통나무 및 부스러기 등 공사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것을 제거한다. 있는 것을 제거한다. [수정] 문장 수정, [관계기관의 견 반영] 오타 수정 : 평단⇒평탄
3.2.2 일반적으로 지반의 윤곽선을 따라 평탄작업을 한다. 탄
3.2.2 설치하는 지점의 평 작업은 일반적으로 지반의 윤곽선을 따라 실시한다.
3.2.3 지반의 불규칙한 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곳은 땅을 정지하여 반듯하게 고 3.2.3 지반의 불규칙한 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곳은 땅을 정지하여 반듯하게
른다. 고른다. 삭제] 기존 3.2.4항은 현장 적용성이 떨어지므로 삭제
[

3.2.4 지반이 경사진 곳에는 가설방음벽 하단에 모래나 흙주머니를 쌓아 틈새가 없


도록 한다.

3.3 설치 3.3 설치 [수정] 용어 추가

3.3.1 지주는좌우 이동이 없도록 견고히 설치하여야 한다. 벽


3.3.1 가설방음 의 지주는 좌우로 이동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추가

3.3.2 방음판은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3.3.2 설치되는 방음판은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킨다. [수정] 문구 수정

3.3.3 공사 시 안전에 유의하여야 하며, 감독자 및 현장 안전수칙에 따른다. 3.3.3 설치공사를 할 때 안전에 유의하여야 하며, 감독자의 지시와 현장의 안전수
칙에 따른다.

12-26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3 장 조경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제13장 식재공사 제13장 조경공사 [수정] 제목 수정
13-1 식재일반 13-1 식재일반
13-2 수목굴취 13-2 수목굴취
13-3 수목운반 13-3 수목운반
13-4 수목가식 13-4 수목가식
13-5 수목식재 13-5 수목식재
13-6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13-6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13-7 벽면녹화 13-7 벽면녹화
13-8 가로수 식재 13-8 가로수 식재
13-9 식재 후 관리 13-9 식재 후 관리
13-10 훼손지 복구 13-10 훼손지 복원
13-11 비탈면 녹화
[수정] 제목 수정

13-12 목재 데크
[수정] 항목 추가 - 자문회의 검토(추가여부) 요청 항목⇒삭제

13-13 식생옹벽
[수정] 항목 추가 - 자문회의 검토(추가여부) 요청 항목⇒삭제
[수정] 항목 추가 - 자문회의 검토(추가여부) 요청 항목⇒삭제

제 13 장 식재공사 제 13 장 조경공사 [수정] 장 명칭 수정 : 적용범위의 확대에 따른 조정

13-1 식재일반 13-1 식재일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의 환경시설대 등의 조성을 위하여 시행하는 식재공사에 적용 1.1.1 이 시방은 도로의 환경시설대와 녹지 등 외부공간에 시행하는 식재공사와 조경 [수정] 문장 수정
한다. 시설물과 관련된 공사에 적용한다.
1.1.2 노거수(老巨樹), 대형목 등 특수목에 대한 굴취, 운반, 식재는 관련 공사시방서에 [신설]
따른다.
1.2 관련규정
[수정] 용어 조정

1.2 참조규격 1.2.1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4521 건축용 턴버클 (1) 한국산업표준 [수정] 항목 구분

KS M 3498 재생 플라스틱 수목 보호판 및 지주대 KS F 4521 건축용 턴버클

13-1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농진청고시, 비료공정규격 KS M 3498 재생플라스틱 수목보호판 및 지주대
비료공정규격(농촌진흥청)
1.2.2 관련규정
(1) 조경설계기준(국토교통부)
(2) 가로수 조성 및 관리규정(국립산림과학원)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시방서 전체 통일

여 제출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3.2 식물재료를 반입할 때에는 산지, 규격, 수량 등 관련사항이 명기된 자재수급계획 [추가] 관련 내용 추가
1.4 관련시방의 적용
서를 감독자에게 사전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에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국토해양부 제 1.3.3 식재지의 토양관련 시험, 검사, 확인 보고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의 규정에 따른다.
1.3.4 기타 부자재의 견본 또는 제품 관련 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5 요구조건 1.4 요구조건

1.5.1 식물재료는 식재지역의 기후, 토양 등을 비롯한 제반 생육환경여건에 부합하 1.4.1 계약상대자는 식재를 실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하여서는 공사착공에 앞서 현 [수정] 해당 내용 보완, 위치 수정

도록 선정한다. 장여건을 잘 파악하고 식재공사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공사착수 전에 정비


1.5.2 수목의 기능적 미적 가치 및 구입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수종을 선정하되, 향 하여 두어야 한다.
토성이 강한 수종을 선정한다. 1.4.2 특히, 토목공사· 건축공사 등 타 공사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시공일정과 식재지
1.5.3 수목은 식재지의 공간 크기 및 각 공간에 요구되는 식재기능, 수목의 생육특 의 사전 정비요건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 공사를 시행하여야
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 식재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식한다. 한다.
1.5.4 식재를 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하여는 착공에 앞서 현장여건을 잘 파악하고 식 1.4.3 식재지 토양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단립구조로서 일정 용량 중 토양입자 50
재공사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미리 식재기반을 조성하며, 이 때, 식생에 %, 수분 25 %, 공기 25 %의 구성비를 표준으로 한다.
불합리한 경우에는 토양개량 또는 통기파이프 설치 등으로 식생환경에 적합한 1.4..4 식물재료의 굴취에서 운반, 식재까지의 기간은 수목생리상 지장이 없는 범위 내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에서 신속하게 행하여야 한다.
1.5.5 건축· 토목공사 등 타 공사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시공일정과 식재지의 사전 1.4.5 수목은 식재지의 넓이 및 각 공간에 요구되는 식재기능, 수목의 생육특성 등을
정비요건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감독자와 사전에 충분히 협의한다. 고려하여 적정 식재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식한다.
1.5.6 식재기반조성 및 객토를 위한 표토를 미리 채취하여 보관하였다가 재활용한다. 1.4..6 식재공사의 하자를 줄이고 기계화 시공을 촉진하기 위하여 식물재료는 포트, 콘
테이너 등의 용기 재배품을 우선적으로 채용한다.

13-2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5.7 계약상대자는 식재시공에 앞서 식재지역 토양의 식재적합도를 판단하고 조치 1.4.7 계약당사자는 식재에 앞서 조경공사표준시방서의 관련 항목에 따라 식재지역 [수정] 중심위 : 용어 수정,

하여야 한다. 식재지토양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단립(團粒)구조로서 일정 토양의 식재적합도를 검토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용량중 토양입자 50%, 수분 25%, 공기 25%의 구성비를 표준으로 한다. 1.4.8 토양이 부적합할 경우에는 객토, 토양개량제 혼합, 암거 설치, 마운딩 처리 등을 [수정] 중심위 : 주어 추가

1.5.8 부적합 시는 객토, 토양개량제 처리, 적정 암거의 설치, 마운딩(mounding) 처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조경공사표준시방서의 관련 항목에 따
리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시행하여야 한다. 른다.
1.5.9 공사착수 전에 설계도서에 따라 정확한 식재위치를 감독자 입회 하에 결정한다. 1.4.9 공사착수 전에 설계도서에 따라 식재 위치를 감독자와 협의 하에 결정한다.
1.5.10 식물재료의 굴취에서부터 식재까지의 기간은 수목생리상 지장이 없도록 시행 [수정] 중심위 : 중복 내용 삭제
한다.
1.6 식재시기 1.5 식재시기

1.6.1 식재는 적기에 식재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 활착이 어려운 부적기에 1.5.1 식재는 수목의 활착에 지장이 없는 온도와 습도 및 토양상태를 고려하여 양호 [수정] 해당 내용 보완, 추가

식재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보호 등 특별한 조치를 한다. 한 시기에 식재한다.


1.5.2 부득이 활착이 어려운 시기에 식재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보호 등 특별한 조치
를 취하여야 한다. 단, 기후 및 현장여건에 따라서 감독자와 협의하여 식재시기
를 조정할 수 있다.
1.6.2 식재적기는 다음 표의 기간으로 한다. 단, 이 기준은 구체적인 공사지역, 기후 1.5.3 식재시기는 다음 표의 기간을 기준으로 하며, 이 기준에 따른 식재시기의 결정
여건, 수종 등을 감안하여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은 기후 및 현장여건에 따라서 감독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표 13-1 식재적기 판단기준 *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2013년 개정) 변경내용 수록
표 13-1 식재적기 판단기준

구 분 해당지역 식재적기 구 분 해당지역 식재적기


3월 25∼5월 31일, 중북부지역 경기북부, 강원 3월 20일 ∼ 5월25일,
중북부 지역 경기북부, 강원 9월 16일∼11월 20일 9월 25일 ∼ 11월 20일
경기남부, 서울, 인천, 충북, 3월 15∼5월 25일, 중부지역 경기남부, 서울, 인천, 충북, 3월 10일 ∼ 5월 20일,
중 부 지역 충남북부, 경북북부 9월 26일∼11월 30일 충남북부, 경북북부 10월 1일 ∼ 11월 30일
동해안, 충남남부, 대전, 전북, 전남, 3월 5∼ 5월 20일, 남부지역 동해안, 충남남부, 대전, 전북, 전남, 광주, 3월 1일 ∼ 5월 15일,
남 부 지역 광주, 경북, 대구, 경남, 울산 10월 1일∼12월 10일 경북남부, 대구, 경남, 울산 10월 5일 ∼ 12월 10일
남해안 지역 전남 경남의 해안, 부산 및 도서 2월 20∼5월 15일, 남해안지역 전남․경남의 해안, 부산 및 도서지구 10월 2월 20일 ∼ 5월 10일,
지구 10월 10일∼12월 20일 10일 ∼ 12월 20일
제 주 지역 제주 2월 10∼5월 10일, 제주지역 제주 2월 10일 ∼ 5월 5일,
10월 20일∼ 1월 10일 10월 20일 ∼ 1월 10일

13-3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7 기존 식생보전 1.6 기존 식생보전

1.7.1 기존식생을 보존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공사 중 손상을 입지 않게 관리한다. 1.6.1 가급적 기존식생을 보존시켜야 하며, 공사로 인한 주변 환경과 자연생태계의 훼 [수정] 기술내용 수정, 보완
손 및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1.6.2 보존시켜야 할 식생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별도로 구분하고, 공사 중 손상을 입
지 않도록 관리한다.
1.7.2 이식가능 수목은 이식하여 가식 등 보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전정, 증산 1.6.3 이식이 가능한 수목은 이식하여 가식 등 보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전정, 증 [수정] 자구 수정

억제제 처리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한다. 산억제처리 등을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행한다.


1.6.4 공사용 가도, 진출입로, 가설시설 등을 위한 부지는 주변녹지의 훼손이 최소화될 [추가] 해당내용 추가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7.3 기존수목 주변을 성토할 때에는 뿌리가 기존의 위치 이상으로 묻히지 않도록 1.6.5 기존수목 주변을 흙쌓기 할 때에는 뿌리가 기존 위치 이상으로 묻히지 않도록 [수정] 용어, 문구 등 수정

하고, 돋우는 흙은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를 사용한다. 기존수목의 수간이 묻 하고, 돋우는 흙은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를 사용한다. 흙쌓기를 할 때 기존 수
힐 경우에는 수간이 흙으로 매몰되지 않도록 굵은 자갈 등으로 채워 공기, 수 목의 수간이 묻힐 경우에는 수간 주위에 수목의 밑동이 흙으로 매몰되지 않도록 * 한글로 순화

분, 양분 등이 잘 공급되도록 하고 필요한 배수시설을 한다. 굵은 자갈 등으로 채워 공기, 수분, 양분 등이 잘 공급되도록 한다.


1.7.4 기존 수목의 주위를 땅깎기할 때에는 수관폭 이내의 지반을 땅깎기하지 않도 1.6.6 기존수목의 주위를 땅깎기 할 때에는 최소한 수관폭 이내의 지반을 깎지 않으 [수정] 자구 추가

록 하고 뿌리가 노출된 경우에는 흙이나 물에 적신 거적 등으로 덮어 씌워 보 며, 뿌리가 노출된 경우에는 흙이나 물에 적신 거적 등으로 덮어 보양하는 등의 [수정] 문장 수정

양조치를 시행한다. 조치를 취하여 뿌리가 노출된 상태로 수일간 방치되지 않도록 한다.
1.7 고사식물의 하자보수
1.8 고사식물의 하자보수

수목은 수관부 가지의 약 2/3 이상이 고사하는 경우에 고사목으로 판정하고 지 1.7.1 수목은 수관부 가지의 약 2/3 이상이 고사하는 경우 고사목으로 판정하고, 지 [수정] 기술내용을 구분하여 항목을 조정

피 초화류는 식물의 특성상 해당 공사의 목적에 부합되는가를 기준으로 고사여 피․초화류는 식물의 특성상 해당공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를 기준으로 고사여 [수정] 중심위 : “일상적으로” 삭제

부를 판정한다. 고사여부는 감독자와 계약상대자가 함께 입회한 자리에서 판정 부를 판정한다.


하며, 하자보수식재는 하자가 확인된 차기의 식재적기 만료일 전까지 이행하고 1.7.2 고사여부는 계약상대자와 감독자가 함께 입회한 자리에서 판정한다.
식재종료 후 검수를 받아야 한다. 하자보수 시의 식재수목규격은 원설계 규격으 1.7.3 하자보수 식재는 하자가 확인된 후 다음의 식재적기 만료일 전까지 이행하고
로 한다. 식재종료 후 검수를 받아야 한다. 이때 하자보수 의무의 판단은 고사확인 시점
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부득이 부적기에 식재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보호 등
특별한 조치를 하며 이에 따른 비용은 원인자가 부담한다.
1.7.4 하자보수할 때의 식재수목 규격은 원설계 규격 이상으로 한다.
1.8.1 하자보수의 대상 1.7.5 하자보수의 대상

13-4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 하자보수의 대상이 되는 식물은 수목이나 지피류, 숙근류 등의 다년생 초화류 (1) 하자보수의 대상이 되는 식물은 수목, 다년생 초화류(지피류, 숙근류 등 다년생 [수정] 문구 수정

를 말한다. 식물)를 말한다.


(2) 전쟁, 내란, 폭동 등에 준하는 사태, 천재지변과 이의 여파에 의한 경우 등을 (2) 전쟁, 내란, 폭동 등에 준하는 사태, 천재지변(폭풍, 홍수, 지진)과 이의 여파에 [수정] 상세내용 추가
제외하고는 식재식물의 고사는 보수의 대상이다. 의한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식재식물의 고사는 보수의 대상이 된다.
(3) 위의 범위에 대해 화재, 낙뢰, 파열, 폭발 등에 의한 경우는 모두 보수의무에 (3) 위의 범위에 대하여 화재, 낙뢰, 파열, 폭발 등에 의한 경우는 모두 보수의무에 [수정] 줄임말 수정
서 제외된다. 서 제외된다.
(4) 폭풍, 홍수, 한해, 염해 등의 경우에는 식재된 상태로 고사한 경우에 한하여 (4) 준공 후 유지관리비를 지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혹한, 혹서, 가뭄, 염해(염화칼 [수정] 기술내용 보완

보수의무를 가지며, 유실, 훼손 등의 경우는 보수대상에서 제외한다. 슘) 등에 의한 고사, 인위적인 원인(교통사고, 동물침입)으로 인한 수목고사의
경우는 보수대상에서 제외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3-2 수목굴취 13-2 수목굴취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이 시방서는 농장에서의 굴취, 야생수의 굴취 등의 공사에 적용한다. 1.1.1 이 시방은 농장에서 굴취와 야생수의 굴취 등의 공사에 적용한다.
1.2 뿌리돌림이나 뿌리분의 규격에 대한 예외 조치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1.1.2 뿌리돌림이나 뿌리분의 규격에 대한 예외조치는 관련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수정] 문구 조정

2. 재료
2. 재 료
2.1 재료일반 [수정] 재료일반으로 구분, 구성체계 수정
2.1 식물생장조절제, 상처유합제

식물생장조절제, 상처 유합제는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유제로, 식물에 유해하지 2.1.1 식물생장조절제, 상처유합제는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유제로서 식물에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않아야 한다.
2.1.2 뿌리분 보호를 위한 말목은 육송원목을 사용한다
2.2 수간보호 및 결속재
2.1..3 뿌리분 및 줄기보호를 위한 마대는 천연섬유 시트를 사용한다.

13-5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2.1 보호마대는 자연소재로 만든 천연섬유 시트를 사용한다. 2.1.4 결속재료는 새끼, 천연섬유 노끈, 고무밴드, 철선 등을 사용한다..
2.2.2 결속끈은 직경 6㎜의 천연섬유 끈을 사용한다. 2.1.3 가지주재로 통나무, 각재, 대나무, 플라스틱재, 강관, 철선 등을 사용한다.
2.2.3 고무밴드는 폐관을 폭 30㎜가 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시판용 고무밴드
를 활용한다. 2.2 식재지 피복재
[수정] 별도 항목으로 구분
2.2.4 기타 결속재는 새끼, 철선, 가마니, 보습재 등을 사용한다. 2.2.1 식재지 피복재는 볏짚, 왕겨, 수목의 대팻밥 등의 썩지 않고 잘 건조된 것으로 [수정] 중심위 : 조사 수정

2.3 가지주재로 통나무, 각재, 대나무, 플라스틱재, 강관, 철선 등을 사용한다.


잡초종자나 식물생육에 해로운 물질이 섞이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2.2 식재지에 설치하는 차광막의 차광율은 일정하여야 한다.
2.2.3 피복재로 사용하는 부직포는 내구성이 있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2.2.4 바크퇴비는 충분히 건조한 것으로서 바람에 날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뿌리돌림
3.1 뿌리돌림

3.1.1 뿌리돌림은 수종 및 이식시기를 충분히 고려하여 일부의 큰 뿌리는 절단하지 3.1.1 뿌리돌림은 수종 및 이식시기를 고려하고, 큰 뿌리는 절단하지 않도록 하며 적 [수정] 충분히 삭제, 자구 수정

않도록 하며, 적절한 폭으로 형성층까지 둥글게 다듬어야 한다. 절한 폭으로 형성층까지 둥글게 다듬어야 한다.
3.1.2 뿌리돌림의 시기는 설계서에 따르되, 최소 이식 1년 전 휴면기에 실시하여야 한 [수정] 기술내용 추가
다.
3.1.2 뿌리돌림 시 수종의 특성에 따라 가지치기, 잎 따주기 등을 하고 필요한 경우 3.1.3 뿌리돌림을 할 때 수종의 특성에 따라 가지치기, 잎따주기, 증산억제제 살포 등
에 가지주를 설치한다.
[수정] 한글화, 기술내용 추가
을 하고 필요한 경우 가지주를 설치한다.
3.2 굴취
3.2 굴취

3.2.1 수목 굴취 시 수고 4.5m 이상의 수목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가지주를 설치하고 3.2.1 수목을 굴취할 때 수고 4.5 m 이상의 수목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가지주를 설치
하고 가지치기 등 기타 양생을 하여 작업에 착수한다.
[수정] 한글로 순화, [협회] 자구 수정 검토 필요

가지치기, 기타 양생을 하여 작업에 착수한다.


3.2.2 표준적인 뿌리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4배를 기준으로 하며, 분의 깊이는 세 3.2.2 표준적인 뿌리분의 크기는 근원직경의 4배를 기준으로 하며, 분의 깊이는 세근
의 밀도가 현저히 감소된 부위로 한다.
근의 밀도가 현저히 감소된 부위로 한다.
3.2.3 뿌리분의 형태는 아래 그림에 따른다. 3.2.3 뿌리분의 형태는 아래 그림에 따른다.

13-6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보통분(일반 수종) 조개분(심근성 수종) 접시분(천근성 수종) 보통분(일반수종) 조개분(심근성수종) 접시분(천근성수종)


그림 13-1 뿌리분의 형태
그림 13-1 뿌리분의 형태

3.2.4 표준규격을 벗어나거나 뿌리분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독 3.2.4 표준규격을 벗어나거나 뿌리분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감독
자와 협의하여 승인 받는다. 자와 협의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3.2.5 기계굴취의 경우에는 기계에 의해 굴취수목이 손상되지 않게 한다. 3.2.5 기계굴취의 경우에는 기계에 의하여 굴취수목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정] 약어 수정

3.2.6 뿌리분의 둘레는 원형으로, 측면은 수직으로, 저면은 둥글게 다듬는다. 3.2.6 뿌리분의 둘레는 원형으로, 측면은 수직으로, 저면은 둥글게 다듬는다.
3.2.7 뿌리분의 외부로 돌출한 굵은 뿌리는 약간 길게 톱질하여 자르며, 절단면은 3.2.7 뿌리분의 외부로 돌출한 굵은 뿌리는 약간 길게 톱질하여 자르며, 절단면은 거
거적 등으로 충분히 양생하고 세근이 밀생한 곳은 이를 뿌리분에 붙여 보존한 적 등으로 양생하고, 세근이 밀생한 곳은 이를 뿌리분에 붙여 보존한다. 절단된 [수정] 충분히 삭제
다. 절단된 뿌리부분이 일그러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을 받는 곳은 예리한 칼 뿌리 부분이 일그러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을 받는 곳은 예리한 칼로 절단하고
로 절단하고 석회유황합제 등으로 방부처리한다. 석회유황합제 등으로 방부처리한다.
3.2.8 뿌리분은 분이 부서지지 않도록 결속재료로 잘 고정시켜 뜬다. 3.2.8 뿌리분은 분이 부서지지 않도록 결속재료로 고정시켜 분이 잘 형성되도록 굴취 [수정] 문구 수정
한다.
3.2.9 지엽이 지나치게 무성한 수목은 굴취 시 수형의 기본형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 3.2.9 지엽이 지나치게 무성한 수목은 굴취할 때 수형의 기본형이 변형되지 않는 범
위 내에서 지엽을 정지하고, 필요한 경우 수목운반 전에 증산억제제 등의 약품
[수정] 한글화, 문장 수정

내에서 지엽을 정지하고, 수목 운반 전에 증산억제제를 처리한다. 을 처리하여 증산억제 및 운반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3.2.10 운반에 지장을 받지 않게 새끼, 밧줄 등으로 잡아맨다. 3.2.10 굴취하는 수목은 운반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새끼, 밧줄 등으로 잡아맨다. [수정] 문구 수정
3.2.11 굴취 후 지반을 고르게 정리하여야 하며 정리방법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다. 3.2.11 굴취 후에는 지반을 고르게 정리하여야 하며, 정리방법은 감독자의 지시에 따른 [수정] 문구 수정
다.

13-3 수목운반 13-3 수목운반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조항 신설

13-7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이 시방서는 굴취장 등으로부터 공사현장까지의 원거리운반과 가식장, 하치장 등 1.1.1 이 시방은 수목의 포장, 굴취장 등으로부터 공사현장까지의 원거리 운반과 가식 [수정] 문구 수정

에서 식재위치까지의 근거리운반 등 수목의 제반 운반작업에 적용한다. 장, 하치장 등에서 식재위치까지 근거리 운반 등 수목의 제반 운반작업에 적용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기기 2.1 재료일반 [수정] 재료일반 항목 신설

체인블록, 크레인, 운반차량 2.1.1 수목운반에 사용하는 기기는 체인불록, 크레인, 운반차량 등이 있다. [수정] 문장 구분, 수정

2.2 결속 완충재 2.1.2 수목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결속․완충재는 새끼, 철선, 고무바, 가마니, 보습재,
새끼, 철선, 고무바, 가마니, 보습재, 기타 보토재료 기타 보토재료 등이 있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수정] 시공일반으로 항목 구분

운반 시에는 수목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새끼, 밧줄로 결속 3.1.1 운반할 때에는 수목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여 운반하고, 필요에 따라 새 [수정] 내용 구분, 수정
하며 거적이나 시트로 덮어 보호한다. 운반 중 손상을 입거나 가지가 부러져 원형 끼· 밧줄 등으로 감거나 건조방지 위하여 거적· 시트 등으로 덮어 보호한다.
이 심하게 손상된 수목은 동종 규격품으로 교체하고, 경미한 가지부러짐에는 감독 3.1.2 운반 중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입거나 가지가 부러져 원형이 심하게 손상된 수
자의 지시에 따른다. 수목의 상·하차는 인력에 의하거나 대형목의 경유 체인블록, 목은 동종 규격품으로 교체하고, 경미한 가지부러짐 등에 대해서는 감독자의 지
크레인을 사용한다. 시에 따라 조치한다.
3.1.3 수목의 상·하차는 인력에 의하거나 대형목의 경우 체인블록이나 크레인 등 중기
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다룬다.
3.2 운반 중 보호조치
3.1 운반 중 보호조치

3.1.1 뿌리분의 보토를 철저히 한다. 3.2.1 운반 중 뿌리와 수형이 손상되지 않도록 뿌리분의 보토를 철저히 한다. [수정] 문장 수정

3.1.2 세근이 절단되지 않도록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3.2.2 세근이 절단되지 않도록 충격을 주지 않아야 한다.
3.1.3 지조는 간편하게 결박한다. 3.2.3 가지는 가볍게 결박하고, 수형의 손상을 고려하여 이중적재를 하지 않는다. [수정] 문장 수정

3.1.4 이중적재를 금한다. [수정] 문장 통합, 삭제

3.1.5 비포장도로로 운반할 때는 뿌리분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흙, 가마니, 짚 등의 3.2.4 비포장도로로 운반할 때는 뿌리분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흙, 가마니, 짚 등의 완

13-8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완충재료를 깐다. 충재료를 깐다.
3.1.6 수목과 접촉하는 고형부에는 완충재를 삽입한다. 3.2.5 수목과 접촉하는 고형부에는 완충재를 삽입한다.
3.1.7 운반 중 바람에 의한 증산을 억제하며, 강우로 인한 뿌리분의 토양유실을 방 3.2.6 운반 중 바람에 의한 증산을 억제하며, 강우로 인한 뿌리분의 토양유실을 방지
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씌우는 등 조치를 취한다. 하기 위하여 덮개를 씌우는 등 조치를 취한다.
3.1.8 차량의 용량과 수목의 무게 및 부피에 따라 적정 수량만을 적재한다. 3.2.7 운반차량의 용량과 수목의 무게 및 부피에 따라 적정 수량만을 적재한다. [수정] 용어 수정

13-4 수목가식 13-4 수목가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항목 신설

이 시방서는 반입수목 또는 이식수목의 당일 식재가 불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 1.1.1 이 시방은 반입수목 또는 이식수목의 당일 식재가 불가능한 경우에 적용한다. [수정] 문장 구분, 수정
하절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수목증산억제제 살포, 전정 등의 조치를 취하여 1.1.2 하절기에는 수목증산억제제 살포, 전지전정, 배수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야 하며, 동절기에는 동해방지를 위해 거적, 짚 등을 이용하여 보온 조치한다. 동절기에는 동해방지를 위하여 거적, 짚 등을 이용하여 보온을 위한 조치를 한
다.
2. 재 료 2. 재 료
가지주재는 이 시방서 13.2.2에 따른다.
[수정] 항목 신설 및 기술내용 조정
2.1 재료일반
2.1

2.2 관수 및 배수시설, 수목의 유지관리 관련 자재는 해당 시방서 항목에 따른다. 2.1.1 관수 및 배수시설, 수목의 유지관리와 관련되는 자재는 해당 시방서의 항목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수정] 항목 신설
3.1 시공일반

3.1 가식장소는 공사시방서에 정하는 바가 없을 때에는 사질양토로서 배수가 잘되 3.1.1 가식장소는 공사시방서에서 별도로 정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질지반의 양질 [수정] 문구 수정

는 곳으로 하여야 하며, 배수가 불량할 때에는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토사로서 배수가 잘되는 곳으로 하여야 하며, 배수가 불량할 때에는 별도의 배
수시설을 설치하도록 한다.
3.2 가식수목 간에는 원활한 통풍을 위한 식재간격을 확보한다. 3.1.2 가식된 수목 사이의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충분한 식재간격을 확보한다. [수정] 문구 수정

13-9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3 가식장은 관수 등 가식기간중의 관리를 위한 작업통로를 설치한다. 3.1.3 가식장은 관수 등 가식기간 중의 관리를 위한 작업통로를 설치한다.
3.4 가식수목의 뿌리분은 충분히 복토하여 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게 한다. 3.1.4 가식수목의 뿌리분은 복토하여 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수정] 충분히, 완전히 삭제

3.5 가식 후에는 뿌리분 주변의 공기가 완전히 방출되도록 충분히 관수한다. 3.1.5 가식 후에는 뿌리분 주변의 공기가 방출되도록 관수한다. [수정] 문구 수정

3.6 가식장의 외주부 수목은 가지주 및 연결형지주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게 설치한다. 3.1.6 가식장의 외주부 수목은 가지주 또는 연결형 지주를 설치하여 수목이 바람 등에 흔
들리지 않도록 한다.
3.2. 가식장 확보 [수정] 항목 신설

3.2.1 가식장은 작업장 여건 및 추후 관리를 고려하여 공사구간 내의 용지가 이용이 [수정] 중심위 : 문장 수정

가능한 경우 최우선으로 활용하고, 곤란한 경우 인근 부지 등을 임대하여 사용


한다.
3.2.2 가식장은 공사구간 내의 용지가 이용이 가능한 경우, 최우선으로 활용한다.
[수정] 항목 신설

3.3 자생수목 이식

3.3.1 활용이 가능한 자생수목은 환경영향평가 이행에 따른 자연자원 보존 및 공사원


가절감을 위하여 이식 또는 채취, 관리 후 조경공사에 활용한다.
3.3.2 해당지역의 자생수목으로서 조경적 가치가 있는 수종을 선정하며, 수형과 규격
이 적절한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13-5 수목식재 13-5 수목식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항목 신설

이 시방서는 모든 수목의 식재공사에 적용하며, 특수목식재 및 인공지반식재는 별 1.1.1 이 시방은 교목, 관목 등 수목의 식재공사에 적용하여, 특수목 식재 및 인공지반 [수정] 문장 수정
도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식재의 경우에는 관련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 재 료 2. 재 료

13-10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수정] 항목 신설
2.1 식물재료

2.1.1 식물재료의 명칭은 우리말 관용명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학명을 명기한다.


2.1.2 식물재료의 검사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와 지정장소 반입 후 검사로 구분하
여 시행한다.
2.1.3 사전 검사에 합격하여도 굴취, 운반, 포장 등의 취급이 나쁘거나 굴취 후 장기간
이 경과한 것은 지정장소 반입 후, 검사에서 합격품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다
만 경우에 따라서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야생수목은 굴
취할 때 검사하여 사전검사를 대신할 수 있다.
2.1 수목재료 2.2 수목재료
[삭제] 시방서에 불필요한 문장 삭제
2.1.1 식물재료의 명칭은 우리말 관용명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학명을 병기한다. [수정] 문구 조정

2.1.2 지정된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서 발육이 양호하고 지엽이 치밀하며, 수종별로 2.2.1 수목재료는 지정된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서 발육이 양호하고 지엽이 치밀하며,
고유의 수형을 유지 한다. 수종별로 고유의 수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2.1.3 병충해의 피해나 손상이 없고 건전한 생육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2.2 병충해의 피해나 손상이 없고 건강한 생육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되, 병충해의 감
염정도가 미미하고 심각한 확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 적절한 구제조치를 전제로
선정할 수 있다. [수정] 문장 수정 및 삭제

2.1.4 활착이 용이하도록 미리 이식 또는 단근작업과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2.2.3 농장에서 활착이 용이하도록 공사착수 전에 이식 또는 완전한 단근작업과 뿌리돌
발달한 재배품이어야 한다. 포트, 콘테이너 등의 용기 재배품인 경우에는 지정 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발달한 재배품이어야 한다.
규격에서 10%범위까지를 기준으로 채택할 수 있다. [수정] 믄구 수정

2.1.5 자연산 굴취수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뿌리분을 갖추고 수형, 지엽 등 2.2.4 부득이 자연산 굴취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뿌리분을 갖추고, 수형․지엽
이 표준이상으로 우량하며, 지정된 분의 크기 이상에 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등이 표준 이상으로 우량하며, 설계도서에 의하여 지정된 분의 크기 이상인 제품에
얻어 채택할 수 있다. 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선정할 수 있다.
2.1.6 수목재료 측정을 위한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지엽 등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2.2.5 수목재료는 수종 및 성상에 따라 철저히 검사하며, 감독자가 지엽 등의 제거를 지
제거 전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진 등으로 촬영하여 제출한다. 시할 경우에는 제거 전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진 등으로 촬영하여 제출한
(1) 검사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와 지정장소 반입 후 검사로 구분하여 시행한 다. [수정] 제목 신설
다. 사전검사에 합격해도 굴취, 운반 등의 취급이 나쁘거나 굴취 후 장기간이
경과한 것은 지정장소 검사에서 합격품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다만 경우에 2.2.6 용어의 정의
따라서는 재배지에서의 사전검사를 생략할 수 있으며, 야생수목은 굴취시에
검사하여 사전검사로 대신할 수 있다.

13-11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 수고(H)는 지표에서 수목 정단부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도장지는 제외한다. 단, (1) 수고(H)는 지표면에서 수관 정상부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도장지는 제외한다. [수정] 문장 수정
소철, 야자류 등 열대 아열대 수목은 줄기의 수직 높이를 수고로 한다.(단위:m) 단, 덩굴식물은 줄기의 가장 길게 자란 것을 말하며, 측정할 때에는 측량용 스타프
를 사용한다. [수정] 문장 통합, 수정

(3) 흉고직경(B)은 지표면으로부터 1.2m 높이의 수간 직경을 말한다. 단, 둘 이 (2) 흉고직경(B)은 근원으로부터 1.2 m 높이의 수관 직경을 말한다. 쌍간 이상의
상으로 줄기가 갈라진 수목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단위:㎝). 수목에 있어서는 각 수관이 흉고직경 합의 70 %가 해당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
가. 각 수간의 흉고직경 합은 70%가 그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보다 클 때는 흉 보다 클 때는 이를 선정하며, 작을 때는 최대 흉고직경을 그 수목의 흉고직경
고직경합의 70%를 흉고직경으로 한다. 으로 선정한다. 또한 흉고에서 분지하는 경우는 그 상단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나. 각 수간의 흉고직경의 합은 70%가 그 수목의 최대 흉고직경보다 작을 때 하며, 흉고직경을 측정할 때에는 수목직경 측정용 직경자나 줄자로 된 π자를
는 최대 흉고직경을 그 수목의 흉고직경으로 한다. 사용하여야 한다.
(4) 근원직경(R)은 수목이 굴취되기 전 재배지의 지표면과 접하는 줄기의 직경을 (3) 근원직경(R)은 흉고직경을 측정할 수 없는 관목이나 흉고 이하에서 분지하는
말한다. 가슴높이 이하에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성질이 있는 수목 성질을 가진 교목성 수종· 만경목· 어린 묘목 등에 적용하며, 지표면(또는 최
인 경우 흉고직경 대신 근원직경으로 표시한다(단위:㎝). 초발근지점) 줄기의 굵기를 말하고 측정부위가 원형이 아닐 경우 최대치와 최
소치의 산술평균치를 채택한다. 단, 쌍간 및 다간일 경우 흉고직경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한다. 직경이 거의 완전한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줄자로 된 π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보완
(5) 수관폭(W)은 수관의 직경을 말하며 타원형 수관은 최대층의 수관축을 중심 (4) 수관폭(W)은 수관이 가장 넓은 높이에서의 직경을 말하며, 타원형 수관은 최대
으로 한 최단과 최장의 폭을 합하여 나눈 것을 수관폭으로 한다(단위:m). 폭의 수관축을 중심으로 한 최단과 최장의 폭을 합하여 나눈 것을 수관폭으로
한다. 또한 여러 가지 형태로 조형한 교목이나 관목도 이에 준하며 도장지는
제외한다. 수관이 길게 일정방향으로 성장하였거나 조형한 것은 수관폭과 수관
길이로 표시한다. 수관폭의 경우 측정도구는 스틸자나 줄자를 사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보완

(6) 수관길이(L)는 수관의 최대길이를 말한다. 특히, 수관이 수평으로 생장하는 (5) 수관 길이(L)는 수관의 최대길이를 말하며, 수관이 수평 혹은 능수형 등 세장하
특성을 가진 수목이나 조형된 수관일 경우 수관길이를 적용한다(단위:m). 는 성장특성을 가진 수종이나 이에 준하여 조형한 수관은 최대길이를 수관길
이로 한다. 수관이 불규칙하게 성장하는 특징을 가진 수목이나 조형된 수관일
경우 수관길이를 적용하되 도장지는 제외한다. [수정] 문장 수정

(7) 지하고는 지표면에서 역지 끝을 형성하는 최하단 지조까지의 수직거리를 말 (6) 지하고는 수관을 구성하는 가지 중에서 맨 아래가지로부터 지면까지의 수직거
하며 능수형은 최하단의 지조 대신 역지의 분지된 부위를 채택한다. 리를 말하며, 능수형은 최하단의 지조 대신 역지의 분지된 부위를 채택한다. [수정] 문장 수정
(8) 수목규격의 허용범위는 수형, 수세, 수령, 미적구조건을 고려하여 지정된 규격 (7) 수판고는 역지 끝을 형성하는 최하단의 지조에서 정상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
의 10% 이내로 할 수 있다. 단, 10%이내라 하더라도 감독자가 승인한 경우 다. 능수형은 최하단의 지조 대신 역지의 분지된 부위를 채택한다.
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8) 줄기의 수는 교목류의 경우 주간에서 뻗어 나온 가지 수를 말하며, 관목류의
경우 지표면에서 분지한 주지수(主枝樹)를 말한다. 이때, 성장이 불량한 가지는
제외한다.

13-12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1.7 수목규격의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2.2.7 수목규격의 명칭과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교목류의 규격표시 (1) 교목류의 규격표시
① 수고(m)×흉고직경(㎝) 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수관폭, 수관의 길이, ① 「수고(m)×흉고직경(cm)」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수관 폭· 수관길이· 지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근원직경으로 규격 하고· 뿌리분의 크기· 근원직경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근원직경으로 규격이
이 표시된 수목은 수종의 특성에 따른 「흉고직경-근원직경」 관계식을 구 표시된 수목은 수종의 특성에 따른 「흉고직경-근원직경」관계식을 구하여
하여 산출하되, 특별히 관련성이 구해지지 않은 경우 R=1.2B의 식으로 흉 산출하되, 특별히 관련성이 구해지지 않은 경우 R = 1.2B의 식으로 흉고직경
고직경을 환산, 적용할 수 있다. 을 환산· 적용할 수 있다.
② 곧은 줄기가 있는 수목으로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수 ② 곧은 줄기가 있는 수목으로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수고
고H(m)×흉고직경B(㎝)」또는「수고H(m)×수관폭W(m)×근원직경R(㎝)」 H(m)×흉고직경 B(cm)」또는 「수고 H(m)×수관폭 W(m)×흉고직경 B(cm)」
으로 표시한다. 으로 표시한다.
③ 줄기가 흉고부 아래에서 갈라지거나 다른 이유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③ 줄기가 흉고부 아래에서 갈라지거나 다른 이유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수 없는 수목은「수고H(m)×근원직경R(㎝)」또는 「수고H(m)×수관폭 없는 수목은 「수고 H(m)×근원직경 R(cm)」또는 「수고 H(m)×수관폭
W(m)×근원직경R(㎝)」으로 표시한다. W(m)×근원직경 R(cm)」으로 표시한다. [수정] 문구 수정

④ 상록성 침엽수로서 가지가 줄기의 아랫부분부터 자라는 수목은 「수고 ④ 상록수로서 가지가 줄기의 아래 부분부터 자라는 수목은 「수고 H(m)×수관폭
H(m)×수관폭W(m)」으로 표시한다. W(m)」으로 표시한다.
(2) 관목류의 규격표시 (2) 관목류의 규격표시 [수정] 가운데 점 사용

① 수고H(m)×수관폭W(m) 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뿌리분의 크기, 지하 ① 「수고 H(m)×수관폭 W(m)」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뿌리분의 크기·지하
고, 가지수(주립수), 수관길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고·가지수(주립수)·수관길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② 일반적인 관목류로서 수고와 수관폭을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② 일반적인 관목류로서 수고와 수관폭을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수
「수고H(m)×수관폭W(m)」으로 표시한다. 고 H(m)×수관폭 W(m)」으로 표시한다.
③ 수관의 한쪽 길이 방향으로 성장이 발달하는 수목은 「수고H(m)×수관폭 ③ 수관이 한쪽 길이 방향으로 성장이 발달하는 수목은 「수고 H(m)×수관폭
W(m)×수관길이L(m)」로 표시한다. W(m)×수관길이 L(m)」로 표시한다.
④ 줄기의 수가 적고 도장지가 발달하여 수관폭의 측정이 곤란하고 가지수가 ④ 줄기의 수가 적고 도장지가 발달하여 수관폭의 측정이 곤란하고 가지수가 중요
중요한 수목은 「수고H(m)×수관폭W(m)×가지수(지)」로 표시한다. 한 수목은 「수고 H(m)×수관폭 W(m)×가지수(지)」로 표시한다.
⑤ 수고H(m) ⑤ 수고 H(m)
⑥ ○년생×가지수(지) ⑥ ○년 생×가지수(지)
(3) 만경류의 규격표시 (3) 만경류의 규격표시
① 수고H(m)×근원직경R(㎝) 으로 표시하여, 필요에 따라 「흉고직경B(㎝)」 ① 수고H(m)×근원직경 R(m) 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흉고직경B(㎝)」을
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할 수 있다.
② 그밖에 「수관길이L(m)×근원직경R(m)」,「수관길이L(m)」 또는 「수관길 ② 다른 표시방법으로는 「수관길이L(m)×근원직경R(m)」,「수관길이L(m)」 또
이 L(m)×○년생」 등으로 표시한다. 는 「수관길이 L(m)×○년생」 등으로 표시한다.

13-13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4) 묘목의 규격표시 (4) 묘목의 규격표시
수간길이(幹長) 와 묘령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근원직경」을 적용할 ① 수간길이(幹長) 와 묘령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근원직경」을 적용할
수 있다. 수 있다.
(5) 초화류의 규격표시 (5) 초화류의 규격표시
분얼 또는 포트 규격으로 표시하며 뿌리성장이 발달하여 뿌리나누기로 번식 ① 분얼 또는 포트 규격으로 표시하며 뿌리성장이 발달하여 뿌리 나누기로 번식
이 가능한 초종에 적용한다. 이 가능한 초종에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내용 삭제

(6) 수목의 규격과 명칭은 다음과 같다.

그림 13-2 수목 규격 명칭
그림 13-2 수목 규격 명칭 [수정] 자구 추가

2.1.8 특수한 수형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2.8 특수한 수형이나 용기재배품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설계도면과 공사시방
서에 따른다.

2.2. 지주재 2.3 지주재


[수정] 문장 수정

2.2.1 지주재는 통나무나 각재 또는 대나무 등을 사용하며, 특별히 고안된 지주를 2.3.1 지주재는 소정의 박피통나무, 각목, 대나무 또는 특별히 고안된 재료(각종 파이
사용할 수 있다. 프, 와이어, 플라스틱)로 한다. [수정] 문장 수정

2.2.2 지주목 목재는 내구성이 강한 것으로 하며, 지주용 통나무는 마구리를 가공하 2.3.2 지주목 목재는 내구성이 강하고 방부처리된 것으로 하며, 말뚝용 통나무는 마구
고 절단면과 측면을 다듬어 사용한다. 리를 가공하고 절단면과 측면을 골고루 잘 다듬는다.
2.2.3 지주목 대나무는 3년생 이상으로, 강도가 뛰어나고 썩거나 벌레먹음, 갈라짐이 2.3.3 지주목 대나무는 3년생 이상으로, 강도가 뛰어나고 썩거나 벌레먹음, 갈라짐이
없어야 한다. 없어야 한다.
2.2.4 당김줄은 12게이지의 담금질한 아연도금 강선으로 하며, 당김줄 중간에 부착 2.2.4 당김줄은 12게이지의 담금질한 아연도금 강선으로 하며, 당김줄 중간에 부착하

13-14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하는 턴버클은 KS F 4521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는 턴버클은 KS F 4521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2.2.5 노끈, 새끼줄 등의 결속재료는 잘 짜여진 튼튼한 것으로 결속 후 쉽게 풀리지 2.2.5 노끈, 새끼줄 등의 결속재료는 잘 짜여진 튼튼한 것으로 결속 후 쉽게 풀리지
않아야 한다. 않아야 한다.
2.3 객토용 흙 2.4 객토용 흙 [수정] 항목(번호) 추가, 문구 수정

객토용 흙은 공사시방서에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경우 부식질이 풍부하고 식물 2.4.1 객토용 흙은 공사시방서에 별도로 명기하지 않은 경우, 부식질이 풍부하고 식물
의 생육을 저해하는 물질이 없는 사질양토를 사용한다. 의 생육을 저해하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사질지반의 양질토사를 사용한다.
[수정] 제목 수정

2.4 농약 비료 토양개량제 2.5 농약, 비료, 토양개량제, 식물생장조절제 등

2.4.1 설계도서에 지정된 것 또는 동등품 이상의 것으로 하며 사용 전에 견본 등을 2.5.1 설계도서에 지정된 것 또는 동등품 이상의 것으로 하며, 사용 전에 견본 등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는다.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4.2 유효기간내의 것으로서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정된 성분을 함유하며, 변 2.5.2 유효기간 내의 것으로서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정된 성분을 함유하며, 변질
질되지 않고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아야 한다. 되지 않고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아야 한다.
2.4.3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 또는 용기에 넣어져 있는 것으로 성분, 용량이 2.5.3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 또는 용기에 넣어져 있는 것으로 성분, 용량 등이
명기되어야 한다. 명기되어야 한다. [수정] 기술내용 추가

2.5.4 식재 될 토양의 영양공급 및 물리성이 개선될 수 있어야 한다.


2.5.5 제초제, 살충제 등은 잔류기간이 짧고 속효성인 것을 사용한다.
2.5.6 수목의 활력조절을 위한 생장조절제의 제품기준은 별도의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5.7 비료관리법과 농약관리법에 따라 제조공정과 제품이 등록된 것이어야 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자구 수정
2.4.4 유기질비료는 양질의 소재로 비료성분에 손실이 없도록 제조하고 유해물, 기 2.5.8 유기질 비료는 양질의 소재로 비료성분에 손실이 없도록 제조하고, 유해물· 기
타 다른 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충분히 건조하고 완전 부숙 되어야 한다. 타 다른 물질이 혼합되지 않았으며, 건조하고 완전 부숙된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식재구덩이의 굴착
3.1 식재구덩이 굴착
3.1.1 식재 구덩이는 식재 당일에 굴착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공사착수 전에 굴착
3.1.1 식재구덩이는 식재 당일에 굴착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사전에 굴착할 수
[수정] 기술내용 추가, 문구 수정

13-15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있으며 이 때는 감독자와 충분히 협의하여 안전대책을 수립한다.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안전대책을 수립한다. [수정] 원칙으로 삭제, 문구 수정

3.1.2 식재구덩이의 위치는 설계도서의 식재위치를 원칙으로 한다. 단, 다음의 경우 3.1.2 식재 구덩이의 위치는 설계도서에 의거 식재위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단, 다음의
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그 위치를 다소 조정할 수 있다.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그 위치를 다소 조정할 수 있다.
⑴ 암반, 구조물, 매설물 등과 같은 지장물로 인하여 굴착이 불가능한 경우 (1) 암반, 구조물, 매설물 등과 같은 지장물로 인하여 굴착이 불가능한 경우 [수정] 문구 수정

⑵ 지하수 등으로 인하여 식재 후 생육이 불가능한 경우 (2) 지하수 등으로 인하여 식재 후 생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정] 내용 수정

⑶ 경관에 필요한 경우 (3) 배식미를 위하여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3.1.3 식재구덩이의 크기는 너비를 뿌리분 크기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깊이는 분의 3.1.3 식재 구덩이의 크기는 너비를 최소한 분 크기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깊이는 분 [수정] 용어 수정

높이와 구덩이 바닥에 깔게 되는 흙, 퇴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깊이를 확보 의 깊이(높이)와 구덩이 바닥에 깔게 되는 흙, 퇴비 등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
한다. 한 깊이를 확보한다.
3.1.4 식재구덩이를 굴착할 때는 표토와 심토는 따로 갈라놓아 표토를 활용할 수 있 3.1.4 식재 구덩이를 팔 때는 표토와 심토는 따로 갈라놓아 표토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록 조치한다. 조치한다.
3.1.5 식재구덩이는 굴착 후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 객토 및 식재 한다. 3.1.5 식재 구덩이는 굴착후 감독자의 검사를 받아 객토 및 식재를 한다. [수정] 한글화, 자구 수정

3.1.6 기계, 인력 병행의 굴착 시에는 기존의 공작물 및 매설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 3.1.6 기계, 인력 병행의 굴착을 할 때에는 기존의 공작물 및 지하매설물에 손상을 주
록 특히 주의하여 시공한다. 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여 시공한다. [수정] 약어 수정, 문장 삭제

3.1.7 굴착에 의해 발생된 토사 중 객토 또는 물집에 사용하는 토사는 생육에 지장 3.1.7 굴착에 의하여 발생된 토사 중 객토 또는 물집에 사용하는 토사는 생육에 지장
을 주는 토질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객토와 물집 만들기에 사용하지 않는 토 을 주는 토질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사의 처리는 이 시방서 2.3.7에 따른다.
3.1.8 대형목 등 특수목 식재를 위한 구덩이의 굴착방법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1.8 대형목 등 특수목 식재를 위한 구덩이는 수종 및 수목크기에 따라 굴착한다.
3.2 객토 3.2 객토 [수정] 문구 수정

3.2.1 식재지의 토질이 수목생육에 부적합한 경우의 채움흙은 전량 객토한다. 토질 3.2.1 식재지의 토질이 수목생육에 부적합한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처리하고, 채움 [수정] 문장 통합, 한글화
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사질양토를 표준으로 한다. 흙은 전량 객토 한다. 토질은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은 사질지반의 양질토사를
3.2.2 객토용 흙은 현장 반입 시 차량에 적재된 채로 검수받는다. 표준으로 한다.
[수정] 한글화, 기술내용 수정

3.2.3 활성추비, 비료 등은 현장반입 시에 감독자에게 수량을 확인 받는다. 3.2.2 활성추비, 비료 등은 현장에 반입할 때 감독자에게 수량을 확인 받는다. [수정] 문장 수정
3.2.4 혼합토 사용 시의 혼합재료 선정비율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2.3 혼합토를 사용할 때의 혼합재료 선정비율이 설계도서에 없을 경우에는 식재식
물의 관련자료를 감독자에게 제출한 후 승인을 받아 시행한다.
3.3 식재

13-16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3.1 수목을 가식 또는 보양조치 하였다가 식재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야 [자문] 문장 수정, 오타 수정 아감독자 ⇒ 감독자
3.3 식재
한다.
3.3.1 수목의 굴취, 운반, 식재는 같은 날에 완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부득이한 3.3.2 보습, 보온 및 부패방지 등을 위한 활착보조재는 제품별 용법에 따라 식재 구덩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가식 또는 보양조치 후 식재한다. 이에 넣거나 뿌리부분에 도포하여 식재한다.
3.3.2 보습, 보온 및 부패방지 등을 위한 활착보조재는 제품별 용법에 따라 식재구 3.3.3 식재지 표토의 최소토심은 식재할 식물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깊이 이상이어야 [추가] 기술내용 추가

덩이에 넣거나 뿌리부분에 접착시켜 식재한다. 한다.


3.3.4 흙쌓기 또는 땅깎기를 할 때 수거한 표토는 식재할 때에 식재 구덩이에 넣어 [추가] 기술내용 추가

식재하거나 잔디면에 복토한다.


3.3.5 기비는 완숙된 유기질비료를 식재 구덩이 바닥에 넣어 수목을 앉히며, 흙을 채
울 때에도 유기질 비료를 혼합하여 넣는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3.3.3 기비는 완숙된 유기질비료를 식재구덩이 바닥에 넣어 수목을 앉히며, 흙을 채


울 때에도 유기질비료를 혼합하여 넣는다. 시비량은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 3.3.6 식재는 뿌리를 다듬고 주간을 정돈하여 굴취 전 방향을 고려하여 식재구덩이의 [수정] 기술내용 수정

에 따른다. 중심에 수직으로 식재한다. 이 때 분의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3.4 식재는 뿌리를 다듬고 주간을 정돈하여 식재구덩이의 중심에 수직으로 식재한 3.3.7 식재할 때에 뿌리분을 감은 거적과 고무바, 비닐끈 등 분해되지 않는 결속재료 [수정] 한글화, 문장 수정

다. 는 완전히 제거한다. 단, 이들의 제거로 뿌리분 등에 심각한 손상이 예상되는


3.3.5 식재 시에는 뿌리분을 감은 거적과 고무밴드, 비닐끈은 제거 한다. 단 뿌리분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최소량을 존치시켜 식재할 수 있으나 이때에도 근
등에 심각한 손상이 예상되는 대형목의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존치시킨다. 원경 결속부분은 제거하고 잔여재료가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말끔히 정리
하여야 한다.
3.3.8 식재할 때 수목이 묻히는 근원부위는 굴취 전에 묻혔던 부위에 일치시키고, 식 [수정] 한글화

재방향은 원래의 생육방향과 동일하게 식재한다. 다만 경관, 기능 등을 고려하여


3.3.6 식재 시 수목이 묻히는 근원부위는 굴취 전에 묻혔던 부위에 일치시키고 식재 적절히 조정하여 식재할 수 있다. [수정] 문구 수정

방향은 원래의 생육방향과 동일하게 식재 한다. 다만 경관, 기능 등을 고려하 3.3.9 식재구덩이를 판 후 수목의 생육에 해로운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바닥을 부드 [수정] 문장 수정
여 조정할 수 있다. 럽게 파서 좋은 흙을 넣고 고른다.
3.3.7 식재 시 식재구덩이 내의 불순물을 제거한 양질토사를 넣고 바닥을 고른다. 3.3.10 수목의 뿌리분을 식재구덩이에 넣어 방향을 정하고 원지반의 높이와 분의 높
이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나무를 앉힌다. 잘게 부순 양질토질 흙을 뿌리분 높 [수정] 용어 수정

3.3.8 수목의 뿌리분을 식재구덩이에 넣어 방향을 정하고 원지반의 높이와 분의 높 이의 1/2 정도 넣은 후, 수형을 살펴 수목의 방향을 재조정하고, 다시 흙을 깊
이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나무를 앉힌다. 잘게 부순 양토질 흙을 뿌리분 높 이의 3/4 정도까지 추가하여 넣은 후 잘 정돈시킨다. [수정] 약어 수정

이의 1/2 정도까지 넣은 후, 수형을 살펴 수목의 방향을 재조정하고, 다시 흙 3.3.11 수목 앉히기가 끝나면 식재구덩이에 물을 넣고, 각목이나 삽으로 저어 흙이 뿌 [수정] 문구 수정

을 깊이의 3/4 정도까지 추가해 넣은 후 잘 정돈시킨다. 리분에 완전히 밀착되고 흙속의 기포가 제거되도록 한다.

13-17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3.9 수목앉히기가 끝나면 물을 식재구덩이에 충분히 붓고 각목이나 삽으로 저어 3.3.12 물조임이 끝나면 고인물이 완전히 흡수된 후에 흙을 추가하여 구덩이를 채우고 물
흙이 뿌리분에 완전히 밀착되고 흙속의 기포가 제거되도록 한다. 넓이를 낸 다음 식재구덩이의 주변을 정리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3.3.10 물조임이 끝나면 고인물이 완전히 흡수된 후에 흙을 추가하여 구덩이를 채우
고 물받이를 낸 다음 식재구덩이의 주변을 정리한다.
3.3.11 흙다짐은 흙이 습하여 뿌리가 쉽게 썩는 수종에 한하여 행하며, 관수없이 흙
을 계속 넣어가며 각목 등으로 다지고 뿌리분과 흙이 밀착되게 한다. 흙다짐
대상수종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3.13 배수, 지하수위 등의 식재조건이 열악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필요 [수정] 기술내용 수정

3.3.12 가로수식재의 마감면은 보도연석면 보다 30㎜이하로 끝마무리한다. 한 조치를 취한다.


3.3.13 배수, 지하수위 등의 식재조건이 열악한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배수시
설을 설치한다. [수정] 위치 조정 : 3.4 ⇒ 3.8

3.4 약제살포

3.4.1 부적기에 식재한 수목은 뿌리 절단부위에 발근촉진제를 처리하여야 하며, 식


재 후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영양제, 증산억제제를 살포주입하여 보호한다.
3.4.2 식재수목에서 병충해가 발견되는 경우 즉시 약제를 뿌려 구제하고 확산을 방
지한다. 3.4 지주세우기

3.4.1 지주목과 수목을 결박하는 부위에는 수간에 완충재를 대어 수목의 손상을 방지


3.5 지주세우기
한다.
3.5.1 지주목과 수목을 결속하는 부위에는 수간에 완충재를 대어 수목의 손상을 방 3.4.2 대나무 지주의 경우에는 선단부를 고정하고, 결속부에는 대나무에 흠집을 넣어
지한다. 유동을 방지한다.
3.5.2 대나무 지주의 경우에는 선단부를 고정하고 결속부에는 대나무에 흠집을 넣어 3.4.3 삼각형 지주 등은 수간, 주간 및 기타 통나무와 교착하는 부위에 2곳 이상 결속
유동을 방지한다. 한다.
3.5.3 삼각형 지주 등은 수간, 주간 및 기타 통나무와 교착하는 부위에 2곳 이상 결 3.4.4 특수지주는 그 기능을 잘 이해하여 움직임이나 기울어짐이 없도록 시공한다. 지 [수정] 문장 수정

속한다. 중부는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5.4 당김줄은 수목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말뚝을 박고 이를 수목높이의 1/2
지점과 연결하여 고정한 후 팽팽하게 당겨주기 위하여 당김줄 중간에 턴버클
을 부착한다. 수목과 접하는 부위에는 고무나 플라스틱 호스 등의 마찰방지재 3.4.5 식재지역에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침하 후 지주목이 유동하지 않도록
를 사용하여 수간을 보호한다. 조치한다.
3.5.5 식재지역에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침하 후 지주목이 유동하지 않도록

13-18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조치한다.
3.5 양생
[수정] 문장 수정
3.6 양생
3.5.1 기후나 물리적 원인에 의해서 수목의 수피의 손상이 우려되는 수목에 대하여서
3.6.1 수간감기가 필요한 수목에 대해서는 주간 및 주지의 일부를 새끼 또는 거적 는 주간 또 주지의 일부를 새끼 또는 거적 등을 사용하여 탈락하지 않도록 감
등으로 감싸준다. 싸주어야 한다.
3.5.2 식물의 보호양생에 증산억제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제 및 사용방법에 대하
3.6.2 식물의 보호양생에 증산억제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종류 및 방법에 대하여 감 여 감독자와 협의한다.
독자와 협의한다. 3.6 관수 [수정] 문구 수정
3.7 관수
3.6.1 식재 후에는 물집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관수한다.
3.7.1 식재 후에는 물받이가 손상되지 않게 하고 관수한다. 3.6.2 여름의 관수는 정오 전후의 직사일광이 강한 시간대는 가능한 한 피한다. 또 겨
3.7.2 여름의 관수는 정오 전후의 직사일광이 강한 시간대는 가능한 한 피한다. 또 울에는 따뜻한 날에 관수하며, 혹한기는 피하도록 한다. [수정] 용어 조정
겨울에는 따뜻한 날에 관수하며 혹한기는 피한다. 3.7 모양잡기
[수정] 기술내용 추가
3.8 수형정리
3.7.1 수목식재 후에는 수형을 정리하고 적정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하여 전지․전정
3.8.1 수목식재 후에는 수형을 정리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하여 정지 전 한다. 전지․전정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돌아가면서 다음의
정한다. 정지 전정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돌아가면서 시행 공통 사항을 지켜 시행하며, 감독자의 특별한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한다. 다.
(1) 고사지나 병든 가지는 제거한다.
(2) 통풍과 일광이 양호하도록 가지를 솎아준다.
(3) 수세가 고르게 수형의 균형을 잡아준다.
(4) 그 나무 고유의 수형이나 이식전의 수형을 잘 살펴서 다듬는다. [수정] 용어 조정 : 전망 ⇒ 조망

3.7.2 가로수의 경우에는 보·차도의 통행 및 조망에 지장이 없도록 가지를 제거한다.


3.8.2 가로수는 보차도의 통행 및 전망에 지장을 주는 가지를 제거한다. 3.7.3 가지의 제거는 잔가지부터 자르고, 굵은 가지를 제거한 경우에는 유합제를 도포
3.8.3 가지의 제거는 잔가지부터 자르고, 굵은 가지를 제거한 경우에는 유합제를 도 하여 부패를 방지한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포하여 부패를 방지한다. 3.7.4 생울타리, 관목을 열식한 경우에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형상
3.8.4 생울타리, 관목을 열식한 경우에는 지정된 높이로 전정한다. 과 규격을 확인한 후 지시된 높이로 전정한다.
[수정] 약제살포 위치 조정 : 3.4 ⇒ 3.8
3.8 약제살포

13-19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8.1 부적기에 수목을 식재하여야 할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뿌리 절단부위에 발근
촉진제를 처리하여야 하며, 식재 후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영양제, 증산억제제
를 살포 주입하여 수목을 보호한다.
3.8.2 식재수목에서 병충해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약제를 뿌려 구제하고 확산을 방지
한다.

13-6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13-6 지피류 및 초화류 식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잔디 및 비탈면녹화를 제외한 지피류와 초화류의 식재공사, 화단조 1.1.1 이 시방은 비탈면 녹화를 제외한 지피류와 초화류의 식재공사 등에 적용한다. [수정] 항목 신설
성공사 등에 적용한다. 1.1.2 식재에 적용되는 재료에 따른 다양한 생육 및 재배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1.2 설계요구조건
1.2 주요내용 [수정] 항목 신설
식재지역에 여러 종류의 지피류, 초화류를 혼식하는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각 초
종별 식재위치와 소요수량을 명기하여야 한다. 1.2.1 식물재료
1.2.2 식재
1.3 재료에 따른 다양한 생육 및 재배조건을 충족시킨다.

2. 재 료 2. 재 료
2.1 식물재료 2.1 식물재료

2.1.1 지피류 및 초화류 소재는 종자 및 1년생, 2년생, 숙근류, 구근류 등으로 구분한 2.1.1 지피류 및 초화류 소재는 종자 및 1년생, 2년생, 숙근류, 구근류 등으로 구분된
다. 다
2.1.2 종자의 규격은 중량단위의 수량과 순량률 및 발아율로, 초화류의 규격은 분얼, 2.1.2 종자의 규격은 중량단위의 수량과 순량률 및 발아률, 초화류의 규격은 분얼, 포
포기 등으로 표시한다. 기 등으로 표시한다.

13-20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1.3 종자는 신선하고 병충해가 없으며, 잡초의 종자가 혼합되지 않고 발아율이 양 2.1.3 종자는 신선하고 병충해가 없으며, 잡초의 종자가 혼합되지 않고 발아률이 양호 [수정] 문구 수정

호하여야 한다. 한 것이어야 한다.


2.1.4 지피류 및 초화류는 지정된 규격에 맞아야 하고 줄기, 잎, 꽃눈의 발달이 양호 2.1.4 지피류 및 초화류는 원래의 형태와 성상을 유지하고 병충해․상해가 없으며 건 [수정] 문장 수정

하며, 병충의 피해가 없고 뿌리가 충실하여 흙이 충분히 붙어 있어야 한다. 전한 생육을 유지하여야 한다.
2.1.5 지피류, 초화류, 야생초화류 및 습생초화류는 포트로 재배한 것을 사용하며, 2.1.5 지피류 및 초화류는 지정된 규격에 맞아야 하고, 줄기․잎․꽃눈의 발달이 양호 [수정] 문장, 통합 수정
야생채취가 허용된 경우에는 재배품이상의 품질을 지녀야 한다. 하며, 뿌리가 충실하여 적정량의 흙이 붙어 있어야 한다.
2.1.6 분얼규격은 지정 수치의 분얼을 가져야 하며, 발육상태는 균일하고 분얼되어
일정기간 성장한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지반조성 [수정] 항목 신설

3.1 식재에 앞서 지반을 충분히 정지하고 쓰레기, 낙엽, 잡초를 제거한 후 관수하여 3.1.1 식재에 앞서 지반을 정지하고, 쓰레기․낙엽․잡초 등을 제거한 후 적당하게 관
수하여 식재상을 조성한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식재상을 조성한다.
3.2 객토는 양토, 사질양토를 사용하며, 지피류, 초화류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부식
3.1.2 객토는 일반적인 객토용 사질양토를 사용하여야 하나 지피류, 초화류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부식, 부엽, 이탄토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화분재배의 경우에는
[수정] 기술내용 조정

토, 부엽토, 이탄토 등의 유기질토양을 첨가한다. 인공적으로 생산되는 특수토양 등으로 배양토를 조성하여 사용한다.
3.3 토심은 초장의 높이와 잎, 분얼의 상태에 따라 다르나 표토 최소토심은 300∼
3.1.3 토심은 초장의 높이와 잎, 분얼의 상태에 따라 다르나, 표토 최소토심은 300
400㎜내외로 한다. mm ∼ 400 mm 범위로 한다. [수정] 단위표기방법, 자구 수정

3.2 식 재
[수정] 항목 신설

3.4 식재하기 전 생육에 해로운 불순물을 제거한 후 바닥을 부드럽게 파서 고른다. 3.2.1 식재 전에 먼저 생육에 해로운 불순물을 지표면으로부터 제거한 후 바닥을 부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근원부위를 잡고 약간 들어올리는듯 하면서 드럽게 파서 고른다.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근원부위를 잡고 약간 [수정] 문구 수정

재배용토가 뿌리사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심고 관수한다. 들어올리는 듯 하면서 재배용 흙이 뿌리사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심고 관수
한다.
[수정] 용어 수정

3.5 왜성 대나무류 및 지피류 식재간격은 설계도서에 지정되지 않은 경우 150㎜(44 [수정] 3.5 3.6 위치 조정
주/㎡)를 표준으로 한다.
3.6 지피류 및 초화류를 뗏장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경우에는 제조업체의
제품시방서에 따른다.
3.7 덩굴성 식물은 식재 후 주요 장소를 대나무 또는 지정재료로 고정한다. 3.2.2 덩굴성 식물은 식재 후 필요한 경우 주요장소를 대나무 또는 지정재료로 고정 [수정] 자구 추가

13-21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한다.
3.8 종자의 파종은 재료별 파종방법에 따라 화단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파종하며,
파종시기는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파종직후 강우에 의해 종자가 유출되지 않고 3.2.3 종자의 파종은 각 재료별 파종방법에 따라 화단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파종하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도록 양생 관리하여 발아를 촉진시킨다. 며, 파종시기는 기후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파종직후 강우에 의하여 종자가 유
3.9 특수한 식물의 식재와 파종에 대해서는 각 식물별 재식 및 파종방법 또는 공사
출되지 않고,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도록 양생․관리하여 발아를 촉진시킨다.
시방서를 따른다. 3.2.4 특수한 식물의 식재와 파종에 대해서는 각 식물별 재식 및 파종방법 또는 공사
시방서를 따른다.
3.2.5 야생화를 식재할 때에는 원래 식재되어 있던 지역의 토질조건, 음양성, 습윤상태
등 모든 생육조건을 고려하여 그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 후 식재한다. [수정] 기술내용 추가

3.2.6 왜성 대나무류 및 지피류 식재간격은 설계도서에 지정하지 않은 경우 150


mm(44 주/㎡)를 표준으로 한다. [수정] 위치 조정

3.2.7 지피류 및 초화류의 식재 후에는 멀침재를 사용하여 냉해나 건조피해를 막아주


어야 한다. [수정] 기술내용 추가

3.2.8 지피류 및 초화류 뗏장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식재하는 경우에는 제조업체의


관련 제품시방서에 따른다. [수정] 위치 조정

13-7 벽면녹화 13-7 벽면녹화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항목 신설

이 시방서는 건물 외벽, 담장, 방음벽, 옹벽 및 석축 등 각종 수직면의 구조벽면에 1.1.1 이 시방은 방음벽, 옹벽 등 각종 수직면의 구조 벽면에 식재하여 미관 향상, 경 [수정] 기술 내용 수정

식재하여 경관의 향상, 건물벽면의 온도 완화, 표면 반사의 조절, 차음 등의 효과 관 향상, 시설물 벽면온도 완화, 표면반사 조절, 차음 등의 효과를 기대하는 녹
를 기대하는 녹화방법 식재공사에 적용한다. 화 식재공사에 적용한다.
1.1.2 주요내용은 방음벽 녹화, 옹벽(석축) 녹화, 구조물 녹화(교대, 교각 등), 담장, 도
1.2 설계요구조건
로변 시설물의 녹화 등에 해당된다.
1.2.1 수목 및 식재지의 생육조건이 충족되도록 식재공간과 기반을 확보다.

13-22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2.2 녹화대상벽면은 미관과 병충해 발생우려 등을 고려한다.
1.2.3 넓은 벽면을 피복하는 경우, 경관미를 고려하여 주수종으로 전면피복하고 보
조수종을 도입하는 기법을 적용한다.
[수정] 제목 수정
1.2 요구조건
1.3 이행요구조건

1.3.1 능소화의 꽃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람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위치와 높이로 1.2.1 능소화의 꽃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람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위치와 높이로
한다. 한다.
1.3.2 격자형 등반보조시설은 어린이들의 놀이에 이용되지 않도록 안전성에 유의한다. 1.2.2 격자형 등반보조시설은 어린이들의 놀이에 이용되지 않도록 안전성에 유의하여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1.3.3 벽면녹화의 대상공간 시공 시 관련 공종(건축, 토목공사 등)과 협의한다. 1.2.3 벽면을 녹화할 때에는 관련되는 공종과 협의한 후 시공하여야 한다. [수정] 기술 내용 조정

2. 재 료 2. 재 료
2.1 식물재료 2.1 식물재료

2.1.1 녹화식물은 송악, 줄사철, 담쟁이덩굴, 덩굴장미, 능소화 등의 부착형과 인동덩 2.1.1 자력등반 수종은 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 송악, 헤데라류, 마삭줄, 줄사철, 능소 [수정] 기술 내용 조정

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나무 등의 줄기감기형으로 구분한다. 화 등으로 구분핳 수 있다.


2.1.2 열악한 식재지 환경에 적응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뿌리의 발 2.1.2 보조등반 수종은 포도나무, 등나무, 노박덩굴, 인동덩굴, 칡나무, 오미자 으름덩
달이 좋아야 한다. 굴 등 으로 구분할 수 있다.
2.2 관수 및 배수시설, 관리시설, 등반보조시설(trellis) 등 관련 자재는 설계도서에 2.1.3 하수형 식물은 개나리, 참싸리, 황매화 등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정] 중심위 : 용어(덩굴성) 수정

따른다.
2.2 등반보조재 [수정] 항목 신설

2.3 농약 및 비료, 토양개량제 등


2.2.1 목재 등격자틀은 두께 0.10 m ∼ 0.30 m 범위의 것을 0.40 m의 간격으로 설치
2.3.1 설계도서에 지정된 것 또는 동등품 이상의 것으로 하며, 사용 전에 견본 등을 한다.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는다. 2.2.2 철망형 와이어메쉬는 0.10 m ∼ 0.30 m 간격의 것으로, 녹방지처리가 된 제품을
2.3.2 유효기간내의 것으로서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정된 성분을 함유하며, 변 사용한다.
질되지 않고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아야 한다. 2.2.3 네트형은 0.40 m 간격으로, 와이어로프· 턴버클 등을 이용하여 그물망이나 선형
2.3.3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 또는 용기에 넣어져 있는 것으로 성분, 용량이 으로 벽에 설치한다.
명기되어야 한다.
2.3.4 유기질비료는 양질의 소재로 비료성분에 손실이 없도록 제조하고 유해물, 기

13-23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타 다른 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충분히 건조하고 완전 부숙 되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수정] 항목 구분
3.1 공사준비
3.1 식재지의 공간이 협소하고 수목의 생육기반이 불량한 경우 사질양토로 객토하
고, 필요할 경우 토양개량제를 사용하여 시공한다. 3.1.1 기존 구조물의 벽면을 녹화할 때에는 기존 구조물의 안전, 포장재 철거 등에 따 [수정] 기술내용 수정, [수정] 중심위 : 문구 수정

3.2 등반보조시설은 녹화하는 목적 등을 고려하여 당김줄형과 격자형으로 구분하여 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고 시공하여야 한다.
사용하고 필요 시 복합적으로 설치한다. 3.1.2 방음벽, 옹벽, 석축 등의 관련 공사와 연관성을 긴밀히 검토하여 누락 및 중복이 [수정] 중심위 : “설계와 관련하여” 삭제

3.3 당김줄형 등반보조시설은 벽면 상하에 앵커로 고정시킨 후 와이어 로프를 수직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연결하고 턴버클로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1.3 식재지의 공간이 협소하고 수목의 생육기반이 불량한 경우 사질양토로 객토하
3.4 격자형 등반보조시설은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구를 박아 고정시킨 후 와이
고, 필요할 경우 토양개량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어로프 등을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2 등반보조재 설치
[수정] 항목 신설

3.2.1 보조재를 설치할 때에는 벽면에 간격을 두어 식물이 감고 올라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2.2 겨울철 미관을 고려하여 보조재의 형태 변화를 고려한 시설의 경우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3.2.3 현장여건상 보조재의 사용을 줄여야 할 경우 자력 등반이 가능한 수종을 혼식
한다.
3.2.4 등반보조시설은 녹화하는 목적 등을 고려하여 당김줄형과 격자형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필요할 때에는 복합적으로 설치한다.
3.3 옹벽, 석축 녹화 [수정] 항목 신설

3.3.1 식재지에 이물질이 포함되거나 식물생육에 부적합한 토양일 경우 전면객토 또


는 토양개량을 실시한다.
[수정] 항목 신설
3.4 방음벽 녹화

3.4.1 대부분 긴 구간으로서 시각적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종을 혼식할
경우, 생육속도와 계절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띄어심기를 한다.
3.4.2 투시형 방음벽의 전면에 녹화를 할 경우에는 방음벽의 프레임을 활용한 식재를

13-24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적용하여 조망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3.5 담장 녹화
[수정] 항목 신설

3.5.1 투시형 담장일 경우 투시형 담장을 등반보조재로 활용하여 성장에 따른 유인대


책이 필요하다.
3.5.2 폐쇄형 담장의 경우 벽면의 안전성을 검토 한 후 보조재를 설치한다.

13-8 가로수 식재 13-8 가로수 식재

1. 시공일반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항목 신설

이 시방서는 가로경관의 조성, 환경오염의 저감과 녹음제공, 자연생태계와의 연결 1.1.1 이 시방은 가로경관의 조성, 환경오염 저감과 녹음제공, 생활환경과 교통환경의 [수정] 기술 내용 수정

등을 위하여 가로구역 또는 그 주변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개선, 자연생태계와의 연결 등을 위하여 도로구역, 가로구역 또는 그 주변에 가
로수를 식재하는 공사에 적용한다.
1.2 요구조건
[수정] 항목 신설

1.2.1 도로의 폭, 도로 주변의 장애물 등 주변여건에 따라 보행자와 자동자 운전자의


안전 그리고 가로(街路)에 설치된 각종 장치물 등에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시공되도록 사전에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1.2.2 가로수 식재 전 선행개발용지 또는 토목공사와 복합공정으로 시공되는 식재구
간에는 시공일정, 식재위치와 수량의 증감내용 등 현장여건을 파악하여 식재공
사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1.2.3 식재간격은 설계도면을 따르되, 식재지역 상층부 및 하층부의 환경조건, 가로수
의 수관 폭과 생장속도, 가로수에 대한 생활환경의 피해문제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식재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13-25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식물재료 2.1 식물재료

2.1.1 발육이 양호하고 수형이 정돈되어 있으며, 가지와 잎이 치밀하고 병충의 피해 2.1.1 발육이 양호하고 수형이 정돈되어 있으며, 가지와 잎이 치밀하고 병충의 피해가
가 없으며, 가급적 대기 중 공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수목을 우선으로 한다. 없으며, 가급적 대기 중 공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수목을 우선으로 한다.
2.1.2 이식이 활착이 용이하도록 단근작업 또는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발달된 2.1.2 이식을 할 때에는 활착이 용이하도록 단근작업 또는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 [수정] 문구 수정

재배품이어야 한다. 이 발달된 재배품이어야 한다.


2.2 수목보호재료 2.2 수목보호재료

2.2.1 가지주대는 본장 13-2의 2.3 해당항목을 따른다. 2.2.1 가지주대는 이 시방서의 ‘수목식재’ 편의 해당항목을 따른다. [수정] 인용 문구 수정

2.2.2 관리․보양시설로는 가로수 보호틀과 보호덮개 및 보호대 등을 사용한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2.2.2 관리. 보양시설로는 가로수 보호 틀과 보호덮개 및 보호대 등을 사용한다.
2.3 기 타 2.3 기 타

2.3.1 관수. 배수시설 등 관련 자재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2.3.1 기타시설로는 관수․배수시설 등이 있다. [수정] 기술내용 조정

2.3.2 농약 및 비료, 토양개량제 2.3.2 가로수 식재 후 농약 및 비료, 토양개량제 등을 사용한다.


(1) 설계도서에 지정된 것 또는 동등품 이상의 것으로 하며, 사용 전에 견본 등을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얻는다.
(2) 유효기간내의 것으로서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정된 성분을 함유하며, 변
질되지 않고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아야 한다.
(3)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포장 또는 용기에 넣어져 있는 것으로 성분, 용량이
명기되어야 한다.
(4) 유기질비료는 양질의 소재로 비료성분에 손실이 없도록 제조하고 유해물, 기
타 다른 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충분히 건조하고 완전 부숙 되어야 한다.
[수정] 항목 추가
2.4 수목검수를 위한 규격기준

2.4.1 지하고는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야 하므로 수관고의 최하단


까지를 기준으로 한다.
2.4.2 수고는 충분한 지하고 확보를 위하여 일정규격 이상의 수목을 사용한다.

13-26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4.3 도로의 가로수나 공원, 휴게소의 가로수로 사용되는 경우 지하고의 높이는 수고
의 1/2 ∼ 1/5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2.4.4 수관의 가지가 편기되지 않아야 하며, 주간에서 편기된 수관 단변의 거리가 전
체 수관 폭의 20 % 이상인 것은 양호한 수형으로 판정한다. 단, 고유한 특성이
있는 일부 수종은 편기의 기준을 달리할 수 있다.
3. 시 공 3. 시 공
3.1 일반 사항 3.1 시공일반 [수정] 용어 수정

3.1.1 가로수는 교통장애가 없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선형을 유지하여야 하며, 구간 3.1.1 가로수는 교통장애가 없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선형을 유지하여야 하며, 구간별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별 수형 및 수고, 지하고가 유사한 수목을 반입하여 시공 한다. 수형 및 수고․지하고가 유사한 수목을 반입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2 도로의 길어깨, 도로의 곡선구간 중 내측지역, 수려한 자연경관을 차단하는 구 3.1.2 도로의 길어깨, 도로의 평면곡선구간 중 내측지역, 수려한 자연경관을 차단하는
간, 신호등 등과 같은 도로안전시설의 시계를 차단하는 지역, 장거리이동을 주 구간, 신호등 등과 같은 도로안전시설의 시계를 차단하는 지역, 장거리 이동을
기능으로 하는 교외지역 일반국도의 도로구역과 그 주변 지역, 교차로의 교통 주기능으로 하는 교외지역 일반국도의 도로구역과 그 주변지역, 교차로의 교통
섬 내부, 농작물 피해 우려지역, 전기·통신시설물의 지하매설 또는 이설이 불 섬 내부, 농작물 피해 우려지역, 전기· 통신시설물의 지하매설 또는 이설이 불가
가능할 경우 등은 감독자와 협의한 후 가로수의 식재위치를 변경하거나 식재 능할 경우 등은 감독자와 협의한 후 가로수의 식재위치를 변경하거나 식재수량
수량을 제한하여 시공한다. 을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다. [수정] 문구 수정

3.1.3 식재지역 상층부 및 하층부에 전기·통신시설 등으로 가로수의 정상적인 생육 3.1.3 식재지역 상층부 및 하층부에 전기· 통신시설 등으로 가로수의 정상적인 생육이
이 곤란할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유지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하며, 경 곤란할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유지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하며, 경관을
[수정] 목적어 수정

관미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지치기 등으로 수고, 수관 폭을 조절하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지치기 등으로 수고, 수관 폭을 조절하여 시공할
여 시공한다. 수 있다.
3.1.4 가로수 식재기반이 불투수층, 쓰레기매립지 등 불량토층을 형성할 경우 배수 3.1.4 가로수 식재기반이 불투수층· 쓰레기 매립지 등 불량토층을 형성할 경우 배수시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시설을 도입하거나 객토 등의 방법으로 수목의 하자를 방지토록 하되, 식혈작 설을 설치하거나 객토 등의 방법으로 수목의 하자를 방지하도록 하되, 식혈작업 [수정] 자구 수정, 한글화
업 시 굴취된 부적합 토양과 모래 등은 전량 반출하고 양질의 토사를 반입하 을 할 때 굴취된 부적합 토양과 모래 등은 전량 반출하고 양질의 토사를 반입하
여 식재한다. 여 식재하여야 한다.
3.1.5 수목보호대 및 보호덮개의 설치상태와 지주목설치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고, 3.1.5 수목보호대 및 보호덮개의 설치상태와 지주목 설치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고, 관 [수정] 띄어쓰기 수정

관수·배수시설 및 관리시설의 하자 및 손·망실처리에 대한 책임한계를 감독자 수· 배수시설 및 관리시설의 하자 및 손· 망실처리에 대한 책임한계를 감독자와
와 협의한다. 협의하여야 한다.
3.1.6 가을철 식재공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동해를 고려하여 수간을 녹화마대 등으로 3.1.6 가을철 식재공사를 시행할 경우에는 동해를 고려하여 수간을 녹화마대 등으로
감싸는 등의 보양조치를 한다. 감싸는 등의 보양조치를 하여야 한다.

13-27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1.7 보도가 없는 도로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경우에는 길 어깨 끝으로부터 수평거 3.1.7 보도가 없는 도로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경우에는 길어깨 끝으로부터 수평거리 2 [수정] 자구 수정
리 2 m이상 떨어지도록 하여 식재하여야 한다. 다만, 현지 여건상 불가능할 m 이상 떨어지도록 식재하여야 한다. 다만, 현지 여건상 불가능할 경우에는 가 [수정] 가운데 점 사용
경우에는 가지치기 등을 통해 수고, 지하고, 수관폭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지치기 등을 통하여 수고· 지하고· 수관폭 등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여 감 [수정] 단위표기 수정

수립하여 감독자의 승인 하에 1∼2 m 범위에 식재한다. 독자와 협의하여 1 m ∼ 2 m 범위에 식재할 수 있다.
3.1.8 식재 후 보행과 운전, 자전거의 이용 등에 지장을 주는 가로수의 지하고 이하 3.1.8 식재 후 보행과 운전, 자전거 이용 등에 지장을 주는 가로수의 지하고 이하 가
가지 및 하향지 등은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제시한 지정 높이 이상으 지 및 하향지 등은 설계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제시한 지정 높이 이상으로
로 제거한다. 제거하여야 한다.
3.1.9 식재공사 완료 후 각종 공사로 인한 가로수의 훼손, 제설제 등 화학약품에 의 3.1.9 식재공사 완료 후 각종 공사로 인한 가로수의 훼손, 제설제 등 화학약품에 의한
한 약해, 차량 등으로부터의 물리적 피해 등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하자 및 약해, 차량 등으로부터의 물리적 피해 등은 감독자와 협의하여 하자 및 손· 망
손·망실 처리에 대한 책임한계를 설정하고 훼손자에게 원상복구 하도록 조치 실 처리에 대한 책임한계를 설정하고 훼손자에게 원상복구 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한다.

13-9 식재 후 관리 13-9 식재 후 관리

1. 시공일반 1. 시공일반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1.1.1 식재 후 준공까지의 모든 수목 및 지피. 초화류의 관리에 적용한다. 1.1.1 식재 후 준공까지의 모든 수목 및 지피. 초화류의 관리에 적용한다.
1.1.2 관수, 전정, 수간보호, 월동보호, 병충해구제, 시비 및 농약처리, 고사목처리를 1.1.2 관수, 전정, 수간보호, 월동보호, 병충해구제, 시비 및 농약처리, 고사목처리를 포
포함한다. 함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비료 2.1 비료

2.1.1 복합비료는 질소(N), 인산(P2O5), 칼리(K2O)의 성분이 규정된 혼합비를 가진 2.1.1 복합비료는 질소(N), 인산(P2O5), 칼리(K2O)의 성분이 규정된 혼합비를 가진 복
복합비료를 사용한다. 합비료를 사용한다.
2.1.2 조경용 유기질비료는 퇴비, 부엽토, 부숙왕겨 또는 톱밥 등을 완전히 부숙한 2.1.2 조경용 유기질비료는 퇴비, 부엽토, 부숙왕겨 또는 톱밥 등을 완전히 부숙한 부
부산물비료로서, 악취를 방지하거나 물리적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첨가제 산물비료로서, 악취를 방지하거나 물리적 성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를
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기물 함량이 25 % 이상, 유기물 대 질소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유기물 함량이 25 % 이상, 유기물 대 질소의 비가
비가 50% 이하가 되어야 한다. 50 % 이하가 되어야 한다.

13-28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2 농약 2.2 농약

2.2.1 농약은 농약관리법 제 3조 1항에 따라 등록된 제조업체의 제조품목 중 병충해 2.2.1 농약은 농약관리법 제 3조 1항에 따라 등록된 제조업체의 제조품목 중 병충해
의 증상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의 증상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 살충제는 속효성이며 접촉성 유기인제를 사용한다. (1) 살충제는 속효성이며 접촉성 유기인제를 사용한다.
(2) 제초제는 선택성 잡초 발생 전 토양처리제를 사용한다. (2) 제초제는 선택성 잡초 발생 전 토양처리제를 사용한다.
2.3 멀칭제 2.3 멀칭제

2.3.1 잡초나 곰팡이 먹은 것 기타 유해한 것이 없는 짚이나 거적 또는 비닐을 사용 2.3.1 잡초나 곰팡이 먹은 것 기타 유해한 것이 없는 짚이나 거적 또는 비닐을 사용
한다. 한다.
2.4 물 2.4 물

2.4.1 깨끗한 시냇물이나 상수도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오염되거나 식물생육에 유 2.4.1 깨끗한 시냇물이나 상수도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오염되거나 식물생육에 유해
해한 물질이 섞여 있는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한 물질이 섞여 있는 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시 공 3. 시 공
3.1 관 수 3.1 관 수

3.1.1 혹서기에는 매일 관수 및 잎세척을 위한 엽면관수를 실시한다. 3.1.1 혹서기에는 매일 관수 및 잎세척을 위한 엽면관수를 실시한다.
3.1.2 전문적인 관리인이 토양의 보습상태를 점검하여 필요 시 추가 관수한다. 3.1.2 전문적인 관리인이 토양의 보습상태를 점검하여 필요할 때 추가 관수한다. [수정] 한글화

3.2 전 정 3.2 전 정

3.2.1 식물류별(상록/낙엽, 교목/관목/초화류 등)과 크기(대/중/소)를 기준으로 구 3.2.1 식물류별(상록/낙엽, 교목/관목/초화류 등)과 크기(대/중/소)를 기준으로 구분하
분하여 관리한다. 여 관리한다.
3.2.2 교목과 관목은 연 2회 이상 수세와 수형을 고려하여 정지·전정하여 형태를 유 3.2.2 교목과 관목은 연 2회 이상 수세와 수형을 고려하여 정지·전정하여 형태를 유지
지시킨다. 시킨다.
3.2.3 교목류 중 일부 수종은 기본전정과 적심 및 잎 따기를 병행한다. 3.2.3 교목류 중 일부 수종은 기본전정과 적심 및 잎 따기를 병행한다.
3.2.4 초화류는 잎 따기를 실시하여 항상 건강한 잎을 유지시킨다. 3.2.4 초화류는 잎 따기를 실시하여 항상 건강한 잎을 유지시킨다.
3.2.5 정지·전정의 부산물은 즉시 수거하여 처리한다. 3.2.5 정지·전정의 부산물은 즉시 수거하여 처리한다.
3.3 수간보호 3.3 수간보호

13-29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3.1 포장지역에 식재한 독립교목은 태양열 및 인위적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3.3.1 포장지역에 식재한 독립교목은 태양열 및 인위적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1.5m높이까지의 수간에 수간보호 재감기를 실시한다. 1.5 m 높이까지의 수간에 수간보호재 감기를 실시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3.4 월동보호 3.4 월동보호

3.4.1 겨울의 추위나 건조한 강풍에 피해가 예상되는 수목은 11월 중에 지표로부터 3.4.1 겨울의 추위나 건조한 강풍에 피해가 예상되는 수목은 11월 중에 지표로부터
1.5 m 높이까지의 수간에 모양을 내어, 짚 또는 녹화마대로 감싸준다. 1.5 m 높이까지의 수간에 모양을 내어, 짚 또는 녹화마대로 감싸준다.
3.4.2 강풍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는 관목식재지역에는 방풍벽을 설치한다. 3.4.2 강풍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는 관목식재지역에는 방풍벽을 설치한다.
3.4.3 관목류에는 월동보호약제를 시기, 용량, 수종을 고려하여 처리한다. 3.4.3 관목류에는 월동보호약제를 시기, 용량, 수종을 고려하여 처리한다.
3.5 병충해구제 3.5 병충해구제

3.5.1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병충해 예방을 위한 약제를 살포하며, 병충해 발생 3.5.1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병충해 예방을 위한 약제를 살포하며, 병충해 발생 시
시에는 초기에 대처한다. 에는 초기에 대처한다.
3.5.2 주변 연계녹지로부터의 전염을 각별히 관찰하고 예방한다. 3.5.2 주변 연계녹지로부터의 전염을 각별히 관찰하고 예방한다.
3.6 시비 및 약제살포 3.6 시비 및 약제살포

3.6.1 농도, 시용시기, 시용량, 사용방법 등 시용기준을 반드시 준수하며, 시용 후에 3.6.1 농도, 시용시기, 시용량, 사용방법 등 시용기준을 반드시 준수하며, 시용 후에 발
발생하는 포장재 및 용기는 안전하게 폐기한다. 생하는 포장재 및 용기는 안전하게 폐기한다.
3.6.2 독성이 강한 농약류는 별도의 농약보관소에 보관한다. 3.6.2 독성이 강한 농약류는 별도의 농약보관소에 보관한다.
3.6.3 수목의 시비는 토성을 개선할 수 있는 완숙된 상토를 사용하며, 연 2회로 분 3.6.3 수목의 시비는 토성을 개선할 수 있는 완숙된 상토를 사용하며, 연 2회로 분할
할하여 기비와 추비로 사용한다. 하여 기비와 추비로 사용한다.
3.7 멀칭 및 차광막설치 3.7 멀칭 및 차광막설치

3.7.1 동해 방지 및 보습, 토양고결, 잡초발생억제 등을 위해 멀칭재료를 사용한다. 3.7.1 동해 방지 및 보습, 토양고결, 잡초발생억제 등을 위해 멀칭재료를 사용한다.
3.7.2 숙근지피류는 필요한 경우 하절기 직사광노출 등에 의한 생육장애가 발생하지 3.7.2 숙근지피류는 필요한 경우 하절기 직사광노출 등에 의한 생육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광막 등을 설치한다. 않도록 차광막 등을 설치한다.

13-30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3-10 훼손지복구 13-10 훼손지 복원 [수정] 제목 조정: 복구 ⇒ 복원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수정] 항목 신설

1.1 이 시방서는 인공적인 복원이 필요한 등산로, 채석장, 임야 등의 생태복원공사, 1.1.1 이 시방은 인공적인 복원이 필요한 도로, 채석장, 토취장, 사토장, 임야, 생태통 [수정] 기술내용 조정
훼손된 등산로 및 임야 등의 지반안정화와 식생복원공사, 생태이동통로 및 인 로, 절개지 등과 산불, 홍수 등 자연재해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 등의 생태복원
공숲 조성공사 등에 적용한다. 공사에 적용된다.
1.2 등산로나 배수시설 외 전 지역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한다. [수정] 삭제

1.3 훼손지 주변의 현존식생조사를 토대로 추정되는 원식생을 복원한다. 1.1.2 훼손지 주변의 현존 식생조사를 토대로 추정되는 원식생을 복원한다.
1.4 야생풀포기심기를 위주로 하고 파종공법을 병행한다.
1.1.3 야생풀포기 심기를 위주로 하고, 파종공법을 병행한다.
1.5 단계별 식생복원사업을 시행하되, 1단계 사업에서는 초본류, 2단계 사업에서는
1.1.4 단계별 식생복원사업을 시행하되, 1단계 사업에서는 초본류, 2단계 사업에서는
목본류를 식재한다. 목본류를 식재한다.
1.1.5 개량표토는 대상지 외부에서 조제하여 반입한다.
1.6 개량표토는 대상지 외부에서 조제하여 반입한다.
1.1.6 대상지 미기후(微氣候)의 특성을 고려한다.
1.7 대상지 미기후의 특성을 고려한다.
1.1.7 훼손지에 대한 단계적 복원계획을 수립한 후 일정기간 유지관리에 대한 계획을 [수정] 기술내용 추가 [수정] 중심위 : 문구 수정

시행하여야 한다.
1.2 관련규정 [수정] 항목 신설

1.2.1 토양환경보전법
1.2.2 수질 및 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1.2.3 농촌진흥청 비료공정규격(농촌진흥청)
1.2.4 환경친화적인 생태통로 설치지침

2. 재 료
2. 재 료

13-31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1 사용기준 [수정] 항목 신설

2.1 훼손지와 또는 경관적으로나 동식물 생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재료를 선정하여 2.1.1 훼손지 주변의 식생, 동식물, 경관, 토양, 기후 등 자연환경에 부합하는 재료를 [수정] 기술내용 조정

야 한다. 선정하여야 한다.


2.2 모든 자재는 부지인근이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어야 한다. 2.1.2 도입식생은 인근의 자연군락과 생태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경관적으로 미적 가
치가 높은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2.3 목재계단용 통나무는 말구직경 100㎜이상의 방부처리된 박피원목을 사용하고
침목은 계단용으로 제재하여 사용한다. 2.1.3 훼손지 복원을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를 구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훼손이나 오염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1.4 식물재료는 훼손지 토질과 환경조건에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어야 하며, 초기에
정착시킨 식물이 훼손지의 안정성을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삭제] 항목 삭제

3.1 기반 안정화

3.1.1 원지표면으로부터 깊이 150㎜이상 훼손된 지역은 먼저 깊이 300㎜까지는 잡


석 채우기, 깊이 300㎜에서 150㎜까지는 왕모래 잔자갈 채우기로 기반안정공
사를 실시한다.
3.1.2 경사도 30%이상의 침식지에는 연결지주형식의 통나무(ø10㎜:방부무처리) 묻
기 공사를 실시한다.
3.1.3 동일 배수유역인 경우에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공사를 진행한다.
3.1.4 구역 내 모든 잔존식생은 공사 전에 가식하였다가 야생풀포기식재공사에 사용
한다.
3.2 식생복원 3.1 식생복원

3.1.1 시공일반 [수정] 내용 조정

(1) 훼손으로 인한 식생복원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2) 훼손지 주변의 현존식생조사를 토대로 추정되는 원식생을 복원한다.
(3) 야생풀 포기심기를 위주로 하고 파종공법을 병행한다.
(4) 단계별 식생복원사업을 시행하되, 1단계 사업에서는 초본류, 2단계 사업에서는

13-32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목본류를 식재한다.
(5) 개량 표토는 대상지 외부에서 조제하여 반입한다.
(6) 미기후(微氣候)를 고려한다.
3.1.2 생육지반조성 및 보호
3.2.1 생육기반조성 및 보호 (1) 깊이 0.15 m 미만으로 침식된 훼손지에는 원지형선까지 깊이 0.15 m 이상 침식 [수정] 단위 조정

(1) 깊이 150㎜미만으로 침식된 훼손지에는 원지형선까지 깊이 150㎜이상 침식 된 지역에는 지반안정공사 후 0.15 m 두께의 개량된 표토를 깐 뒤, 다짐처리하
된 지역에는 기반안정공사 후 150㎜두께의 개량된 표토를 깐 뒤, 다짐처리하 고 땅고르기를 한다. [수정] 띄어쓰기, 가운데 점 사용
고 땅고르기한다. (2) 지형 안정, 미기후(微氣候) 조절기능을 하는 기존 암석· 돌 등은 그 자리에 놓
(2) 지형안정, 미기후조절기능을 하는 기존암석, 돌 등은 그 자리에 놓은 채 기반 은 채 지반 안정, 표토 깔기를 실시한다.
안정, 표토깔기를 실시한다. (3) 표토를 깔 때, 소반상(小斑狀) 또는 방석모양으로 분포하는 잔존식생은 그 자리
(3) 표토를 깔 때, 소반상(小斑狀) 또는 방석모양으로 분포하는 잔존식생은 그 에 보존하면서 표토를 채워 지면높이를 맞춘다. 그러나 불가피한 경우는 잔존
자리에 보존하면서 표토를 채워 지면높이를 맞춘다. 그러나 불가피한 경우는 식생을 떼어 한쪽에 가식하였다가 야생풀포기 심기에 사용한다.
잔존식생을 떼어 한쪽에 가식하였다가 야생풀포기심기에 사용한다. (4)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 지역에는 방풍울타리를 설치하여 초기 식생
(4) 강한 바람맞이 지역이나 바람통로지역에는 방풍울타리를 설치하여 식생활착 활착을 위한 미기후를 조성한다.
에 필요한 미기후를 조성한다. 3.1.3 표토개량 [수정] 띄어쓰기
3.2.2 표토개량 (1) 표토가 유실된 훼손지에는 지반안정공사 후 주변 식생지역의 토양수준으로 개
(1) 표토가 유실된 훼손지에는 기반 안정 공사 후 주변 식생지역의 토양수준으로 량한 표토를 깔며, 개량표토의 기준항목은 다음과 같다.
개량한 표토를 깔며, 개량표토의 양료 기준 항목은 다음과 같다. 단, 개량토
양의 양료기준은 유사지역 대조구의 토양과 동일한 수준으로 감독자와 협의
하여 결정한다. ① 토성
① 토성 ② 토양산도(㏗)
② 토양산도(㏗) ③ 유기질(%)
③ 유기질 (%) ④ 전질소(%)
④ 전질소(%) ⑤ 인산(P2O5)
⑤ 인산(P2O5) ⑥ 치환성양이온:K+, Na+, Ca++, Mg++
⑥ 치환성양이온:K+, Na+, Ca++, Mg++ ⑦ 염기총량(CEC)
⑦ 염기총량(TDS) ⑧ 기타
⑧ 기타 (2) 개량토는 녹지 외부에서 반입한 사양토성의 심토에 피트모스를 15 ℓ/㎥, 특수
(2) 개량토는 녹지 외부에서 반입한 사양토성의 심토에 피트모스를 15ℓ/㎥, 특수 코팅된 완효성 복합비료(14-14-14) 30 ㎏/㎥ 등을 잘 섞은 토양 또는 감독자가 [수정] 자구 수정

코팅된 완효성 복합비료(14-14-14) 30㎏/㎥ 등을 잘 섞은 토양이나, 감독자가 인정하는 기준을 따른다.


인정하는 기준을 따른다. (3) 토양이 오염된 경우는 별도의 오염처리 공사를 먼저 시행한 후 양질의 토양을 [수정] 문장 추가

13-33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반입하여 식생기반을 조성한다.
3.1.4 야생풀포기 심기 [수정] 띄어쓰기 수정
3.2.3 야생풀포기심기 (1) 겨울철의 동해를 막기 위하여 식재공사는 현지에 자생하는 야생풀포기로 4월
(1) 겨울철의 동해를 막기 위한 식재공사는 현지에 자생하는 야생풀포기로 4∼5 ~ 5월 사이에 실시한다. [수정] 단위 표기 조정

월 사이에 실시한다. (2) 야생풀포기 심기는 경사도 20 % 이상이거나 훼손이 심한 지역에 우선적으로
(2) 야생풀포기심기는 경사도 20%이상이거나, 훼손이 심한 지역에 우선적으로 실시한다.
실시한다. (3) 대상지 주변의 초원지대, 관목지대에서 0.10 m × 0.20 m 정도의 야생풀포기를
(3) 대상지주변의 초원지대, 관목지대에서 100×200㎜정도의 야생풀포기를 떼어 떼어내어 줄심기를 하며, 줄간격은 0.15 m 정도로 한다.
내어 줄심기를 하며, 줄간격은 150㎜정도로 한다. (4) 야생풀포기는 가능한 탐방객들의 시야에서 벗어난 곳에서 채취하며, 야생풀포
(4) 야생풀포기는 가능한 탐방객들의 시야에서 벗어난 곳에서 채취하며, 야생풀포 기를 떼어낸 다음 반드시 개량된 표토를 원지표선까지 채우고 다짐을 한다.
기를 떼어낸 다음 반드시 개량된 표토를 원지표선까지 채우고 다짐을 한다. (5) 야생풀포기를 떼어 낼 때는 0.30 m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하고, 연속적으로 떼어
[수정] 300mm ⇒ 0.30m

(5) 야생풀포기를 떼어 낼 때는 300㎜이상 거리를 두어야 하고, 연속적으로 떼어 내지 않는다.


내지 않는다. (6) 풀포기를 두께 50 mm 정도로 떼어내고, 가능한 뿌리흙을 부착시킨 채 운반한
(6) 풀포기를 두께 50㎜정도로 떼어내고, 가능한 뿌리흙을 부착시킨 채 운반한다. 다.

3.1.5 파종 [수정] 위치 조정

3.2.4 파종
(1) 파종식물은 가능한 훼손지에서 잘 생육하는 선구식물종과 식생천이계열상 중
기식물종을 중심으로 선정한다. (1) 현지에서 채종한 식물의 종자를 사용하며, 채종량의 범위 안에서 10종 ~ 15종
(2) 현지에서 채종한 식물의 종자를 사용하며, 채종량의 범위안에서 10∼15종으 으로 혼파한다.
로 혼파한다. (2) 발아율을 높이기 위하여 파종공사는 4월 중순부터 5월 사이에 실시한다.
(3)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파종공사는 4월 중순부터 5월 사이에 실시한다. (3) 볏짚식생매트는 피도 75 %, 전 중량 250 g/㎡ 정도의 볏짚거적에 현지에서 채
(4) 볏짚식생매트는 피도 75%, 전 중량 250g/㎡ 정도의 볏짚거적에 현지에서 채 종한 종자, 2겹의 식생용지, 완효성 특수코팅복합비료(14-14-14) 30 g/㎡를 부
종한 종자, 2겹의 식생용지, 완효성 특수코팅복합비료(14-14-14) 30g/㎡를 부 착시켜 제조한다.
[수정] 한글화
착시켜 제조한다. (4) 파종용 종자는 선별 후 1 ℃의 저온에 저장 후, 파종할 때 호마이수화제 등으
(5) 파종용 종자는 선별 후 1℃의 저온에 저장 후, 파종 시 호마이수화제 등으로 로 소독처리한 후 볏짚식생매트에 부착시킨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한글화

소독처리한 후 볏짚식생매트에 부착시킨다. (5) 미세종자(1 g마다 100립 이상)는 삶아 말린조와 부피비율 1 : 1,000 이상으
(6) 미세종자(1g당 100립 이상)는 삶아 말린 ‘조’와 부피비율 1:1,000이상으로 혼 로 혼합한 후에 부착시킨다.
합한 후에 부착시킨다. (6) 개량표토를 깐 생육지반공사지에 볏짚식생매트를 깔고, 그 위에 개량한 표토를
(7) 개량표토를 깐 생육기반공사지에 볏짚식생매트를 깔고 그 위에 개량한 표토 10 mm 정도의 두께로 살포한다. 그리고 볏짚식생매트 위에 거친 황마그물로
를 10㎜정도의 두께로 살포한다. 그리고 볏짚식생매트위에 거친 황마그물로 멀칭한 후, 2 m 간격으로 녹화핀을 꽂아 고정한다. [수정] 단위 조정

13-34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멀칭한 후, 2m간격으로 녹화핀을 꽂아 고정한다. (7) 멀칭재료는 규격 6.5세선/0.10 m × 4.5세선/0.10 m의 황마로 짠 그물로서, 차광
(8) 멀칭재료는 규격 6.5세선/100㎜×4.5세선/100㎜의 황마로 짠 그물로서 차광률 률 35 %, 중량 520 g/㎡ 정도이다.
35%, 중량 520g/㎡정도이다. (8) 녹화핀은 끝을 ‘U을'자형으로 구부린 철근으로서, 동결심도(약 0.30 m) 이상으
(9) 녹화핀은 끝을 ‘U'자형으로 구부린 철근으로서, 동결심도(약 300㎜) 이상으로 로 충분히 길고(ø10 mm, L0.45 m), 끝은 뾰족하게 다듬어야 한다.
충분히 길고(ø 10㎜, L 450㎜), 끝은 뾰족하게 다듬어야 한다. (9) 파종에 사용할 혼합종자는 20종으로 파종공사 직전에 저장창고에서 꺼내어 1
(10) 파종에 사용할 혼합종자는 20종으로 파종공사 직전에 저장창고에서 꺼내어 ㎡마다 2 g의 야생식물종자를 삶은 ‘조’와 함께 파종한다.
1㎡당 2g의 야생식물종자를 삶은 ‘조’와 함께 파종한다. (10) 파종식물은 가능한 훼손지역에서 잘 생육하는 선구식물종과 식생천이 계열상 [수정] 위치 조정

중기식 물종을 중심으로 선정한다.

3.1.6 야생초본류 뗏장 심기
[수정] 띄어쓰기
[수정] 띄어쓰기

3.2.5 야생초본류뗏장심기 (1) 뗏장용 식물은 훼손지 주위에서 야생하는 초본류를 중심으로 선정하며 일부 관
(1) 뗏장용 식물은 훼손지주위에서 야생하는 초본류를 중심으로 선정하며, 일부 목류도 포함한다.
관목류도 포함한다. (2) 현지에서 채종한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여 뗏장을 만들되, 한 가지 식물만을 이
(2) 현지에서 채종한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여 뗏장을 만들되 한 가지 식물만을 (3) 뗏장의 용한 단용 뗏장과 여러 식물을 혼파한 혼용 뗏장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용한 단용 뗏장과 여러 식물을 혼파한 혼용 뗏장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조기 성숙을 위하여 잔디류를 혼파하여 뗏장을 생산한다 [수정] 단위 조정
(4) 땟장의 규격은 가로 0.3 m, 세로 0.3 m, 두께 0.03 m의 것을 기준으로 하되, 반
(3) 뗏장의 조기성숙을 위하여 잔디류를 혼파하여 뗏장을 생산한다. 입되는 잔디가 소규격인 경우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공한다..
(4) 뗏장의 규격은 가로300㎜, 세로300㎜, 두께30㎜ 의 것을 기준으로 하되, 반 (5) 야생초본류의 뗏장심기는 관련 시방서의 조항에 따른다.
입 잔디가 소규격인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시공한다. (6) 시공 후 뗏장이 활착할 때까지 1일 1회 관수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표현 조정
(5) 야생초본류의 뗏장심기는 이 시방서 제 7장에 따른다.
(6) 시공 후 뗏장이 활착할 때까지 1일 1회 충분히 관수 한다. [수정] 항목 신설
3.2 폐기된 부지의 생태복원

3.2.1 일반사항
(1) 적용범위
페기된 부지는 토취장· 사토장· 채석장 · 폐기된 도로 등 개발사업 후 용도가 없이 버
려진 땅으로서, 경관적· 생태적으로 복원이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2) 관련 규정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 설계 및 시공 지침(국토교통부)
도로 유휴부지 활용방안(국토교통부)
3.2.2 재료 일반
(1) 복원에 사용되는 재료는 표층토, 이식수목, 식물의 잔재물을 파쇄한 우드칲 등 재

13-35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활용 재료를 최대한 이용한다.
(2) 표토는 잠재종자가 포함되어 있는 표층토와 물리성이 양호한 양질 표토로 구분
하여 재활용한다.
(3) 표층토는 잠재종자의 발아를 돕기 위하여 별도의 위치에 보관한다.
(4) 양질 표토는 복원지역의 토층 상부에 포설될 수 있도록 보관 및 적치한다.
3.2.3 시공
(1) 일반사항
① 개발사업을 시행할 때에는 사업종료 후 자연환경의 복원을 고려하여 시행하
여야 한다.
②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표토의 재활용 및 이식수목에 대한 조사와 활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③ 표토를 활용할 때에는 토양조사를 실시하여 표층토와 양질 표토의 깊이를 측
정하고, 표층토와 양질표토의 활용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④ 수목을 이식 활용할 때에는 표층토를 우선 채취하고, 초본· 관목· 교목을 굴
취한 후 양질표토를 채취하며, 식생복원 할 때에는 이의 역순으로 시행한다.
⑤ 식재방법은 다층구조로 이식하며, 표토는 잠재종자의 발아가 용이하도록 토층
의 상부에 포설하여야 한다.
[수정] 항목 신설
3.3 생태통로의 복원

3.3.1 일반사항
(1) 적용범위
① 이 장은 교량형, 암거형, 지하통로형, 구조물 부착형 등 생태계 복원과 관련되
는 생태통로 조성공사에 적용한다.
② 동물이동경로 연결을 위한 생태통로는 환경조건과 목표생물의 이동습성에 맞
추어 구조를 선택하여 조성하여야 한다.
3.3.2 재료
(1) 선정기준
① 생태통로에 사용하는 재료는 주변의 토양, 돌, 자생 향토수종을 활용한다.
② 표층토는 낙엽과 낙지를 제거하고 잠재종자가 있는 시드뱅크(seed bank) 부분
만을 이용한다.
3.3.3 시공
(1) 일반사항

13-36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① 생태통로의 설치위치는 능선이나 건조한 지역을 선호하는 종과 계곡이나 습한
지역을 선호하는 종에 대한 생태적 특성에 따라 선정하므로 공사 중 추적조사
를 병행하여 생태통로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하는 생태통로는 콘크리트 측구를 설치할 때 기울기를
주어 파충류, 양서류 등이 빠지더라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
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사 중 모니터링을 병행하여야 한다.
(2) 표토 모으기 및 활용
① 부식되지 않은 낙엽과 낙지를 제거한 후 표층의 50 mm ∼ 100 mm 부위의
표토를 인력으로 채취하여 활용한다.
② 표층토를 채취한 후 양질의 표토를 공사시방서에 따라 보전 활용하여야 한다.
(3) 인공지반의 조성
① 인공지반의 배수 및 흙쌓기는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② 도로로부터 반사되는 빛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흙쌓기 하여
아늑하게 조성한다.
③ 양질의 토사로 식재 토심을 확보한 후 수목을 식재한다.
④ 수목은 주변의 산림과 유산한 종과 층위로 식재하며, 이식 수목과 표토를 적극
활용한다.
(4) 박스형 통로의 설치
① 통로바닥의 포장재료는 야생생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자연상태와의 이질감을 최
소화할 수 있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② 시․종점부 양측 일정거리에는 주변과 유사한 유도식재와 침입방지유도울타리를
설치하여 동물이 도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5) 측구 경사로의 설치
① 측구 경사로의 재질은 요철이 있어 미끄럽지 않아야 하며, 기울기는 30° ∼ 45° 이
하로 하여 소형동물의 탈출이 쉽도록 하여야 한다.
(6) 식생의 도입
① 생태통로 주변의 식생은 기존의 식생을 이식 활용하여야 하며, 입구에는 주변과
의 이질감이 없도록 주변 환경과 유사한 식생으로 복원한다.
② 생태통로 주변에 식재되는 수종은 향토수종이나 자생 초화류를 선정하여 식재하
여야 하며, 공사를 할 때 발생하는 나무 그루터기나 부산물을 적극 재활용하여야
한다.
(7) 침입방지유도울타리의 설치
① 유도울타리는 이질적이지 않도록 주변 자연과 조화된 색상으로 한다.

13-37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3-11 비탈면 녹화 [수정] 항목 신설 : 전체


[삭제] 제3장 비탈면안정공사

1. 일반사항 3-1 비탈면 녹화와 중복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인공적으로 축조 또는 땅깎기 및 흙쌓기 된 비탈면과 물이나 중력에


의한 침식으로 이루어진 자연비탈면 등 모든 비탈면의 녹화공사에 적용한다.
1.1.2 사업의 대상지를 조형적으로 조성하거나 식물군락이 지속적으로 건강하게 생존
하는 생태적인 복원 및 경관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시공에 관한 일반적 사항
을 포함한다.
1.1.3 주요내용은 도로공사에 의해 발생되는 비탈면에 대한 초본류 식재, 씨앗뿜어 붙
이기, 수목 식재 등에 해당한다.
2. 재 료
2.1 종자, 식생상 등

2.1.1 초본류 종자중 향토초종은 발아율 30 % 이상, 순량률 80 % 이상이어야 한다.


2.1.2 목본류 종자는 발아율 20 % 이상, 순량률 50 % 이상이어야 한다.
2.1.3 생육기반재는 동․식물에 무해하고 토양 및 수계를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유
기물 함량이 건조중량비로 5 % 이상, 토양경도가 24 mm 이하, 공극률이 60 %
이상이어야 한다.
2.1.4 차폐 식재공사에 사용되는 수목은 교목, 관목 및 타 수목에 피해를 주지 않는 덩
굴식물 등으로 차폐특성을 갖춘 수종으로 한다.
2.1.5 식생상을 공사할 때 소규모 식생분을 사용하거나, 식생혈공 공사를 할 때 수목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2년 이상 강건 육묘된 것을 사용한다.
2.1.6 식생상은 인조목· 통나무· 철근콘크리트· 각종 합성수지 등이 사용되며, 각각 한국
산업표준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이어야 하고, 식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배수

13-38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를 고려하고 견고하게 제작한다.
2.1.7 각종 고분자재는 동· 식물에 무해하고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한다,
2.1.8 기타 재료의 품질 등은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이를 변경· 조정하고
자 할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시행한다.
3. 시 공
3.1 토사비탈면 녹화공사

3.1.1 비탈면 잔디 식재
(1) 잔디생육에 적합한 토양의 비탈면 기울기가 1:1 보다 완만할 떄에는 비탈면을
일시에 녹화하기 위하여 흙이 붙어 있는 재배된 잔디를 사용하여 붙인다.
(2) 비탈면 전면(평떼)붙이기는 줄눈을 틈새 없이 붙이고 십자줄이 형성되지 않도록
어긋나게 붙이며, 잔디 소요면적은 비탈면 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3) 비탈면 줄떼 다지기는 잔디폭이 0.10 m 이상 되도록 하고, 비탈면에 0.10 m 이
내 간격으로 수평골을 파서 수평으로 심고 다짐을 철저히 한다.
(4) 선떼붙이기는 비탈면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단끊기 후 되메우기한 앞면에
떼를 세워 붙이되, 흙층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다지기를 하고 줄눈이 수평이 되
도록 시공하며, 침하율을 감안하여 계획높이보다 덧쌓기를 하고, 부위별 떼의
규격은 설계도서 및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정한다.
(5) 잔디고정은 떼꽂이를 사용하여 잔디 1매마다 2개 이상 견실하게 고정하며, 시
공 후에는 모래나 흙으로 잔디붙임면을 얇게 덮은 후 달구판으로 고루 두들겨
다져준다.
(6) 잔디판 붙이기는 비탈면의 침식방지 및 활착이 용이하도록 잔디판을 비탈면에
밀착· 고정한다.
3.1.2 비탈면 수목 식재
(1) 비탈면의 안정적이고 생태적인 녹화를 조기에 달성하기 위하여 비탈면에 수목
을 도입하여 식재· 시공한다.
(2) 식재구덩이, 수목식재, 굴취 및 관수작업 등의 식재와 관련된 작업을 할 때에는 비
탈면 유지와 관련된 시설에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3) 비탈면에서의 작업은 장비 및 인원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감독자와 사전에
협의하여야 한다.

13-39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3.1.3 종자뿜어 붙이기
(1) 비탈면에 종자를 기계적으로 뿜어 붙여 일시적으로 조기에 녹화될 수 있도록
시공한다.
(2) 종자뿜어붙이기 할 비탈면은 표면의 잡석을 제거하고 면정리를 하여야 한다.
(3) 파종 2개월 이내에 골고루 발아가 되지 않거나, 일부만 발아되었을 때에는 재
파종한다. 단, 10월 이후 시공할 때에는 다음해 6월 초순 이전에 재 파종 여부
를 결정한다.
(4) 시공시기는 동절기(11월 ~ 2월)를 제외하고 연중 시행가능 하나 보통 봄(3월
~ 6월), 가을(8월 ~ 11월)에 시행한다.
(5) 종자뿜어붙이기 후 침식이 우려될 때에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 피복재를 전면에
덮도록 하며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잘 고정하여야 한다.
(6) 종자뿜어붙이기용 장비는 살포할 때 균일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믹싱엔진
을 갖춘 고압분사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7) 종자뿜어붙이기를 시공할 때 종자가 비탈면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분사공은
대상지를 면밀히 살피면서 골고루 살포하여야 하며, 지형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여러 번 고르게 기준량을 살포하여야 한다.
3.2 식생관리

3.2.1 도로공사에서 시행하는 비탈면 녹화공사에 대하여 비탈면 조건 및 지역적· 기후


적 조건에 따라 멀칭 및 관수, 시비 등을 준공시점까지 시행하여야 한다.
3.2.2 지역적 특성 및 복원 목표에 따라 풀베기 등을 시행한다.
3.2..3 복원목표에 따라 별도의 식생관리계획 따라 추가 보식을 시행할 수도 있다.

13-12 목재 데크 [신설] 항목 신설 :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참조


[협회] 도로공사의 범위에 포함시킬지에 대한 검토 필요

1. 일반사항 [삭제] 조경공사표준시방서와 중복

13-40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목재를 활용한 전망대, 보도교, 보행데크, 계단 등 데크 관련 공사에


적용한다.
2. 재 료
2.1 재료일반

2.1.1 재료에 관한 사항은 재료는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의 제5장 조경시설물 5.2 현장


제작설치시설 5-2-1 목재시설의 해당 항목에 따른다.
3. 시 공
3.1 목재깔기

3.1.1 콘크리트에 장선을 설치시에는 설계도서와 시방서에 따른 목재를 조립하고, 종


횡 간격을 현장의 여건에 조화되도록 하여 설치효과가 떨어지지 않도록 오물,
먼지, 물기 등을 완전히 제거한 후 목재를 설치한다.
3.1.2 목재와 목재 사이는 기둥부재에 접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바닥 및 난간 설치 틈
새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3.2 이음과 접합

3.2.1 목재와 목재의 직접이음 및 맞춤의 접촉면은 필요이상의 끝파기, 깎아내기 등을


하지 않도록 주의 한다.
3.2.2 목재는 이음은 엇갈림 배치로 하고 이음맞춤의 물림정도는 꼭 맞게 한다.
3.2.3 이음으로 생긴 거스러미 등의 위험성이 있는 부분은 사포로 매끄럽게 처리한다.
3.3 목재의 접합

3.3.1 이음철물의 재질 및 치수는 한국산업규격에 따른다.


3.3.2 접합에 사용되는 철물 및 이음재료는 도금이 된 것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녹슬

13-41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3.3.3 철물구멍의 위치를 정확히 하고 그 구멍의 지름은 기준을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3.4 구조재의 못은 틀어막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때려 박는 것은 피하도록 한다.
3.3.5 접합부분 또는 돌출부분은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불가피한 경우
돌출부위는 캡을 씌우도록 한다.
3.4 설치

3.4.1 설치위치는 설계도면에 따르며, 감독자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3.4.2 설치할 때에는 수직, 수평이 잘 맞아야 하고 뒤틀림이 없이 직선이어야 한다.
3.5 도장 및 마무리

3.5.1 도장공사는 사용목재의 종류 및 사용 환경에 따라서 설계도서 및 본 시방서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5.2 도면, 시방서, 내역서의 내용이 상이하거나 관련되는 공사와 부합되지 않을 때,
시방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13-13 식생옹벽 [수정] 항목 신설 :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참조


[삭제] 조경공사표준시방서와 중복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은 식생옹벽의 시공에 적용한다.


2. 재 료
2.1 재료일반

13-42
현행(2009) 개정 안(2014) 사유(근거)
2.1.1 재료에 관한 사항은 조경공사 표준시방서의 해당 조항을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일반

3.1.1 식생옹벽에 사용되는 조립식 블록은 모양과 색상이 균일하고 비틀림이나 균열


등이 없는 양질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3.1.2 기초는 옹벽 높이의 1/2만큼 터파기하고 부등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잡석다짐
또는 버림콘크리트 기초를 하여야 한다. 이때 기초주변은 배수가 잘 되도록 자
갈층 또는 맹암거 등의 배수시설을 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
다.
3.1.3 식생옹벽의 기울기는 설계도면에 따르고 옹벽용 블록은 선형과 수평이 일정하
게 유지되도록 하며, 뒷채움 시공에는 옹벽 매 단높이 마다 1톤 이상의 소형 평
면진동기로 2회 이상 균질하게 다짐하여야 한다.
3.1.4 옹벽구체 보강토는 배수에 유리한 화강풍화토(마사토) 성분의 사질양토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뒷채움용 골재는 투수성과 내구성이 양호한 자갈, 쇄석 등으로
석분이 함유되지 않은 재료이어야 한다.
3.1.5 식재공사시에는 식물생육에 적합한 사질양토를 블록 내부로 충진시킨 후 설계
도면에 명시된 수목 및 초화류를 식재하여야 하며, 갈수기에 원활한 수분 공급
을 위해 보습제를 동시에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옹벽 상단부에 점적관수시설을
도입하여야 한다.
3.1.6 옹벽에 도입되는 식물의 경우, 하단부는 부착되어 올라가는 만경류를 식재하고
중간단은 관엽이나 초화류를, 상단은 인동, 줄사철 등 늘어지는 수종 또는 철쭉,
눈주목, 눈향 등 조형미가 있는 수종을 선택하여 조기에 녹화가 가능하도록 한
다.

13-43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4 장 부대공사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14장 부대공사 제14장 부대공사
14-1 콘크리트 블록포장 14-1 콘크리트 블록포장
14-2 방 음 벽 14-2 방 음 벽
14-3 방음터널 14-3 방음터널
14-4 생태통로 14-4 생태통로
14-5 표토덮기 14-5 표토덮기
14-6 가설 사무실 14-6 가설 사무실
14-7 우회도로공 14-7 우회도로공
14-8 기타포장
14-8-1 일반사항 [삭제] 2009년 개정시 신설된 내용이었으나 국가 건설공사기준인
14-8-2 조립블록문양포장 표준시방서에 반영될 만큼 표준화된 내용 및 하위 기준 등
14-8-3 자갈(콩자갈)포장 이 없으며, 적용범위에 있어 도로법에 규정된 도로와 무관
14-8-4 벽돌포장
14-8-5 흙(화강토)경화포장 한 내용 위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삭제함.

14-8-6 석재 및 타일포장
14-8-7 합성수지포장
14-8-8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14-8-9 경계블록
14-9 가드펜스 14-8 가드펜스
제 14 장 부대공사 제 14 장 부대공사
14-1 콘크리트 블록포장 14-1 콘크리트 블록포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블록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콘크리트 블록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시방서 전체 동일하게 적용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방법


KS F 2408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 방법(단순보의 중앙점 하중법) KS F 2408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 방법(단순보의 중앙점 하중법)
KS F 4001 보도용 콘크리트판 KS F 4001 보도용 콘크리트판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1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시 멘 트 2.1 시 멘 트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1절에 따른다.


2.2 골 재 2.2 골 재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3절에 따른다.


2.3 혼화재료 2.3 혼화재료

이 시방서는 15-6절에 따른다. 이 시방서 15-6절에 따른다.


2.4 유색용 안료 2.4 유색용 안료

유색용 블록을 만들기 위한 재료는 콘크리트 품질에 지장이 없는 안료를 사용하 유색용 블록을 만들기 위한 재료는 콘크리트 품질에 지장이 없는 안료를 사용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블록의 제조 3.1 블록의 제조

3.1.1 콘크리트의 물․시멘트 비는 25% 이하이어야 한다. 3.1.1 콘크리트의 물․시멘트 비는 25 % 이하이어야 한다.
3.1.2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은 중량으로 하며, 물 또는 액상의 혼화제는 용적 또는 3.1.2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은 중량으로 하며, 물 또는 액상의 혼화제는 용적 또는
기타 확실한 방법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기타 확실한 방법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3.1.3 입도와 함수비를 탐지할 수 있는 정밀 혼합기로 혼합된 재료는 자동계량시스 3.1.3 입도와 함수비를 탐지할 수 있는 정밀 혼합기로 혼합된 재료는 자동계량시스
템에 의해 몰드에 투입되고 진동과 유압에 의거 성형된 제품을 동시에 탈형시 템에 의하여 몰드에 투입되고 진동과 유압에 의거 성형된 제품을 동시에 탈형
켜 변형이 오지 않게 하여야 한다. 시켜 변형이 오지 않게 하여야 한다.
3.1.4 블록은 소요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양생하여야 하며, 진동유압에 의한 발열상 3.1.4 블록은 소요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양생하여야 하며, 진동유압에 의한 발열상
태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양생을 거친 후 소요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태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양생을 거친 후 소요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자연양생을 하여야 한다. 자연양생을 하여야 한다.
3.1.5 형 상 3.1.5 형 상
(1) 블록은 그 질이 치밀하여 논-슬립(non-slip)을 유지하며, 해로운 흠이 없어야 (1) 블록은 그 질이 치밀하여 논-슬립(non-slip)을 유지하며, 해로운 흠이 없어야

1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고, 아랫면은 평형하고 균질하여야 한다. 하고, 아랫면은 평형하고 균질하여야 한다.
(2) 블록표면의 가장자리는 미려한 모접기를 할 수 있다. (2) 블록표면의 가장자리는 미려한 모접기를 할 수 있다.
(3) 유색불록은 전체가 일정하여야 하며, 변색· 얼룩이 없어야 한다. (3) 유색불록은 전체가 일정하여야 하며, 변색· 얼룩이 없어야 한다.
3.1.6 허용치수 3.1.6 허용치수
(1) 블록의 허용치수는 표 14-1과 같다. (1) 블록의 허용치수는 표 14-1-1과 같다.
표 14-1 블록의 허용 치수 표 14-1-1 블록의 허용 치수

구 분 폭 양 빗면 중심거리 두 께 구 분 폭 양 빗면 중심거리 두 께
단 위(㎜) ±2 ±2 ±2 단 위(mm) ±2 ±2 ±2

3.1.7 품질기준 3.1.7 품질기준


(1) 블록의 강도는 휨강도 0.5kN/㎠ (50㎏f/㎠) 이상이어야 한다. (1) 블록의 강도는 휨강도 0.5 kN/㎠ (50㎏f/㎠) 이상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 휨강도(단순보의 중앙점 하중법) 시험 방법에 따른다. (2) 콘크리트 휨강도(단순보의 중앙점 하중법) 시험 방법에 따른다.
3.1.8 블록의 검사 3.1.8 블록의 검사
(1) 휨강도 검사는 1,980개(180㎡)를 한 샘플로 하고 무작위로 3개를 채취하여 채 (1) 휨강도 검사는 1,980개(180 ㎡)를 한 샘플로 하고 무작위로 3개를 채취하여
취시료가 전부 규격에 맞으면 대표하는 샘플 전부를 합격으로 한다. 채취시료가 전부 규격에 맞으면 대표하는 샘플 전부를 합격으로 한다.
(2) 상기(1)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그 샘플에서 무작위로 3개의 시료를 추가로 채 (2) 상기(1)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그 샘플에서 무작위로 3개의 시료를 추가로 채
취하여 채취시료가 전부 규격에 맞으면 전항의 시험에 불구하고 샘플 전부를 취하여 채취시료가 전부 규격에 맞으면 전항의 시험에 불구하고 샘플 전부를
합격으로 한다. 합격으로 한다.
3.1.9 시공상태 검사 3.1.9 시공상태 검사
블록 표층의 평탄성, 경사, 블록의 고저차 및 계획고의 허용오차는 표 14-2와 블록 표층의 평탄성, 경사, 블록의 고저차 및 계획고의 허용오차는 표 14-1-2
같다. 와 같다.
표 14-2 블록 포장의 시공허용 오차 표 14-1-2 블록 포장의 시공허용 오차

항 목 단 위 허용오차 항 목 단 위 허용오차
평탄성 ㎜ 10 평탄성 mm 10
구 배 % ±0.4 경 사 % ±0.4 [수정] 용어 수정

고저차 ㎜ ±2 고저차 mm ±2
계획고 ㎜ ±20 계획고 mm ±20

3.1.10 표 시 3.1.10 표 시

1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블록에는 제조 공장명 및 제조년월일을 명기하여야 하며, 개개의 표시가 곤 블록에는 제조 공장명 및 제조년월일을 명기하여야 하며, 개개의 표시가 곤
란할 경우에는 별도의 방법을 강구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란할 경우에는 별도의 방법을 강구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3.2 블록의 시공 3.2 블록의 시공

3.2.1 안정층(sand cushion) 3.2.1 안정층(sand cushion)


(1) 블록설치 전 시공 완료된 기층위에 모래(입도 0∼8 ㎜)를 깔아 안정층을 형성 (1) 블록설치 전 시공 완료된 기층위에 모래(입도 1 mm ∼ 8 mm)를 깔아 안정 [수정] 오타, 단위표기 수정
하여야 한다. 층을 형성하여야 한다.
(2) 모래의 깔기 두께는 40㎜(I.L.B는 50㎜)로 하고, 다짐 후 두께는 30 ㎜(I.L.B (2) 모래의 깔기 두께는 40 mm(인터록킹블록은 50 mm)로 하고, 다짐 후 두께는 [수정] 용어 수정
는 40㎜)로 한다. 30 mm(인터록킹블록은 40 mm)로 한다.
(3) 다짐은 평면진동기를 이용하며, 최초 110∼200 ㎏ 이하로 다짐하여야 한다. (3) 다짐은 평면진동기를 이용하며, 최초 110 kg ∼ 200 kg 이하로 다짐하여야 [수정] 단위표기 수정
한다.
(4) 모래는 횡단경사와 시공기준선을 기준으로 깔고 수평고르기를 하여야 한다. (4) 모래는 횡단경사와 시공기준선을 기준으로 깔고 수평고르기를 하여야 한다.
3.2.2 블록깔기 3.2.2 블록깔기
(1) 블록의 수평 및 평형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정층 윗면으로부터 100㎜위에 기 (1) 블록의 수평 및 평형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정층 윗면으로부터 100 mm 위에
준이 되는 실줄을 설치하여야 하며, 블록은 설치된 실줄에 따라 깔아야 한다. 기준이 되는 실줄을 설치하여야 하며, 블록은 설치된 실줄에 따라 깔아야 한
다.
(2) 블록의 간격은 2∼3㎜ 이내로 유지하고 넓이와 각도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한 (2) 블록의 간격은 2 mm ∼ 3 mm 이내로 유지하고, 넓이와 각도를 수시로 확인 [수정] 단위표기 수정
다. 하여야 한다.
(3) 블록은 보행 또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마감부부터 연속적으로 설치하여야 (3) 블록은 보행 또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마감부부터 연속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한다.
(4) 블록의 경계부는 표준블록보다 약간 낮게 설치하여야 하며, 경계부와 모서리 (4) 블록의 경계부는 표준블록보다 약간 낮게 설치하여야 하며, 경계부와 모서리
의 마감부분은 콘크리트 절단기로 그 형상에 맞게 절단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의 마감부분은 콘크리트 절단기로 그 형상에 맞게 절단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2.3 표면다짐 3.2.3 표면다짐
(1) 블록깔기 완료 후 표면에 약간의 모래(입도 0∼3㎜)를 살포하여 충전시켜가 (1) 블록깔기 완료 후 표면에 약간의 모래(입도 1 mm ∼ 3 mm)를 살포하여 충 [수정] 단위표기 수정, 오타 수정
며, 진동다짐을 하고 청소하여야 한다. 전시켜가며, 진동다짐을 하고 청소하여야 한다.
(2) 블록의 표면은 진동다짐으로 3∼4회 실시하여야 한다. (2) 블록의 표면은 진동다짐으로 3회 ∼ 4회 실시하여야 한다.

1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2 방음벽 14-2 방음벽 [수정]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12)참조
감사원「도로안전시설 등 부속시설공사 관리실태」감사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과(건설환경감시국 제4과-1392,


면 수정
2011. 07.27)에 따라 전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통소음을 저감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방음벽 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교통소음을 저감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방음벽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


KS D 3502 열간 압연형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B 1012 6각 너트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수정] 참조표준 수정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B 1016 기초 볼트
KS F 2274 건축용 합성수지재의 촉진 노출 시험 방법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F 2808 실험실에서의 음향 투과손실 측정방법 KS D 3506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F 2805 잔향 실내 흡음율 측정 방법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판 및 조
ASTM D 4060-95 Abrasion resistance of organic coatings by the abraser KS F 2274 건축용 합성수지재의 촉진 노출 시험 방법
KS F 2805 잔향실법 흡음률 측정방법
KS F 2808 건물 부재의 공기 전달음 차단 성능 실험실 측정 방법
KS F 4770-1 방음판-금속재
KS F 4770-2 방음판-금속재컬러
KS F 4770-3 방음판-비금속재컬러
KS F 4770-4 방음판-목재
KS L 2004 접합 유리
KS L 2513 유리 섬유 일반 시험 방법
KS L 2514 판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 반사율, 태양열 취득률 시험 방법
KS M 3026 플라스틱의 황색도 및 황변도 시험 방법
KS M 5982 도료의 촉진 내후성 시험 방법(형광 UV 응축 방식)
KS M ISO 75-2 플라스틱 하중 변형 온도의 측정-제2부 : 플라스틱 및 에보
나이트
KS M ISO 4892-3 플라스틱-실험실 광원에 의한 폭로 시험 방법-제3부 자외
선 형광 램프
KS M ISO 5470-1 고무 또는 플라스틱 피복 직물-내마모성 측정 방법-제1부

1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테이버 마모 시험기
KS M ISO 9352 플라스틱-연마륜에 의한 내마모성의 측정
KS M ISO 14782 플라스틱-투명재료의 흐림도 측정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료 [수정] 재료의 전체 구성 내용 수정

2.1 반사형 방음벽 2.1 공통사항 [수정]

2.1.1 방음판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조립 시 접속부에서 소음누출을 최소로 (1) 방음판은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조립할 때 접속부에서 소음누출이 없는
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구조이어야 한다.
2.1.2 지주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로서 KS D 3503의 SS400 강판 및 형강에 적합한 [수정] 내용 삭제, 반복 기술
것이어야 한다.
2.1.3 방음판에 대한 투과손실 측정은 KS F 2808에 따라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측 2.1.2 방음벽의 방음판 투과손실 측정은 KS F 2808에 따라 품질검사 전문기관에서
정하여야 하며, 방음벽의 투과손실은 수음자 위치에서 방음벽에 기대하는 회절 측정하여야 하며, 방음벽의 투과손실은 수음자 위치에서 방음벽에 기대하는
감쇠치에 10dB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하거나, 500Hz의 음에 대한 25dB 이상, 회절감쇠치에 10 ㏈을 더한 값 이상으로 하거나, 500 ㎐의 음에 대하여 25 ㏈
1,000Hz의 음에 대하여 30dB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이상, 1,000㎐의 음에 대하여 30㏈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1.4 방음판의 구조는 판의 중심부에서 2.94kN/㎡(300 ㎏f/㎡)의 풍압에 견딜 수 있 2.1.3 흡음형 방음판에 대한 흡음률 측정은 KS F 2805에 따라 품질검사전문기관에
는 구조이어야 한다. 서 측정하여야 하며, 흡음률은 시공 직전 완제품 상태에서 250 Hz, 500 Hz,
2.1.5 칼라 반사형 방음벽의 방음판은 색소를 혼합하거나 표면도장을 한 것으로 표 1,000 Hz, 2,000 Hz의 음에 대한 흡음률의 평균이 70 % 이상인 것을 표준으로
14-3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다.
2.2 흡음형 방음벽
2.1.4 하중 변위시험
(1) 방음판의 구조는 지역별 풍속을 고려하여 조정하며, 하중 변위 시험은 KS F
2.2.1 방음판의 구조는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시키고 그 후면에는 옥타브 밴드 4770의 탄성 변위 시험 및 영구 변위 시험에 따라 수행하여 표 14-2-2를 만
(octave band)의 중심 주파수 250Hz에서 1,000 Hz의 소음에 가장 효과적일 수 족하여야 한다. 시험 중 지지대로부터 방음판이 시험 하중에 의하여 분리되
있는 공기층을 두어야 하며, 방음판의 중심부에서는 2.94kN/㎡(300㎏f/㎡)의 거나 방음판의 좌굴 등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풍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투명 방음판의 경우는 건조 모래, 강구 등을 채운 주머니를 하중체로 사용하
표 14-3 반사형 칼라 방음벽 품질기준 여 등분포 하중과 유사한 조건이 되도록 재하하고, 방음판 길이 방향의 중간

1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험종목 시 험 방 법 판정결과 의 양 끝단에서 처짐량을 측정한다. 시험 중 투광부재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촉진 내후성 시험 촉진내후성 시험기에서 1,000시간 노출 후 색의 ΔE=2 이하 이탈되거나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QUV TEST) 변화를 측정 (3) 시험용 방음판은 현장에서 설치되는 형식 및 횡단면이 동일한 방음판 중 가
내충격 시험 1㎏의 추를 300㎜ 높이에서 자유낙하 균열이 없을 것 장 긴 것을 선택한다.
광택 시험 광택계(반사각 60°)로 측정 10% 이하 표 14-2-1 지역별 풍속에 따른 내하중 등급
기본 설계 하중 시험 하중 내하중
2.2.2 방음판의 재질은 다음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지 역 지 명 풍속
(m/s) (kN/㎡) (kN/㎡) 등 급
(1) 전면판 : 알루미늄 합금판으로서 KS D 6701의 A5005P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서울, 대구, 대전, 춘천,
내 륙 수원, 추풍령, 전주, 30 1.2 1.6 5호
(2) 후면 및 측면판 : 아연도 강판으로서 KS D 3506의 Z2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익산, 진주, 광주
2.2.3 지주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로서 KS D 3503의 SS400 형강 및 강판에 적합한 서해안 서산, 인천 35 1.7 2.2 4호
서남해안 군산 연수, 충무,
것이어야 한다. 남해안
동남해안 부산, 포항, 울산
40 2.2 2.9 3호
2.2.4 방음판의 내부에 사용되는 흡음재는 발암물질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 동해안
하지 아니한 것으로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햇빛 반사가 적고 부식되거나 동 제주지역 속초, 강릉, 제주,
서귀포, 목포 45 2.8 3.6 2호
특수지역
결융해 등으로 인하여 변형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유리면 및 기타지역 울릉도 50 3.4 4.4 1호
암면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흡음재를 사용 시에는 보호피막을
씌워 대기 중으로 누출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 흡음용 구멍은 빗물
및 자외선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천공되어야 한다. 표 14-2-2 최대 변위량
단위 : mm
2.2.5 방음판에 대한 투과손실 측정은 KS F 2808에 따라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측 항목 탄성 변형량 영구 변형량
정하여야 하며, 방음벽의 투과손실은 수음자 위치에서 방음벽에 기대하는 회 최대 변위량 50 
절감쇠치에 10dB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하거나, 500Hz의 음에 대하여 25dB




이상, 1000 Hz음에 대하여 30 dB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LA : 시험용 방음판의 최대 길이(mm)
2.2.6 방음판에 대한 흡음율 측정은 KS F 2805에 따라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측정 2.1.5 방음판의 내충격 시험은 KS F 4770의 충격시험에 따라 시험하여 충격원이 방
하여야 하며, 흡음율은 시공직전 완제품 상태에서 250Hz · 500 Hz · 1,000Hz · 음판을 관통하거나 방음판 내부의 흡음재를 손상시켜서는 안 되며, 방음판 표
2,000Hz의 음에 대한 흡음율의 평균이 70% 이상인 것을 표준으로 한다. 면의 사소한 균열 발생은 허용한다. 다만, 투명 방음판의 내충격 시험은 2.5.5
2.2.7 칼라 방음판의 내판재질은 알루미늄 혹은 아연도금 강판에 분체정전도장을 한 에 따른다.
것으로 품질기준은 표 14-4에 따른다. 2.1.6 흡음형 방음판의 내부에 사용되는 흡음재는 발암물질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
표 14-4 흡음형 칼라 방음벽 품질기준 을 함유하지 아니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햇빛 반사가 적고 부식
되거나 동결융해 등으로 인하여 변형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단,
유리면 및 암면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흡음재를 사용할 경우에
는 흡음재 보호재를 씌워 대기 중으로 누출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흡

1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험항목 시 험 방 법 판 정 결 과 음재 보호재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이 침투되지 않고 내구성을 가진 것으로 한
분체정전도장 다. 또한 흡음용 구멍은 빗물 및 자외선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천
촉진 내후성 시험 촉진내후성 시험기에서 1,000시간 노출 후 색 불소수지 ΔE=2 이하 공되어야 한다. 흡음재의 연소 시험은 KS L 2513에 따라 시험하여 표 14-2-3
(QUV TEST) 의 변화를 측정 기 타 ΔE=5 이하
염수 분무 시험 Cross cut후 5% NaC1 용액(35℃)으로 500시간 녹발생이 cut 부위에서 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SST) 분무 5㎜ 이내 일 것
표 14-2-3 흡음재의 연소성 평가
도막두께 시험 도막두께 측정기 60㎛ 이상
내충격 시험 1㎏의 추를 300㎜ 높이에서 자유낙하 균열이 없을 것 평가 항목 평가 방법
부착 시험 Cross cut(1 ㎜ 간격) 후 셀로판 테이프로 시험 100개 중 1개이하 박리 잔염 시간 (s) 20 이하
내산성 시험 황산 5% 용액(20℃)에 120시간 침적 외관변화 없을 것 잔진 시간 (s) 30 이하
내알카리성 시험 가성소다 5% 용액(20℃)에 120시간 침적 외관변화 없을 것 탄화 면적 (㎠) 50 이하
광택 시험 광택계 (반사각 60°)로 측정 10% 이하 탄화 길이 (㎝) 20 이하
2.2 금속재 및 금속재 컬러 방음판

2.2.1 방음판의 전면판 및 후면판이 금속 재질로 제작된 금속재 방음판의 재질은 표


14-2-4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표 14-2-4 금속재 방음판의 재질기준

구 분 품질기준
전면판 KS D 6701의 A5005P 또는 A5052P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두께 1.0 mm 이상의 것
금속재
후면판 KS D 3506의 SGHC로서 두께 1.6 mm 이상, 아연
도금 양면 최소 부착량이 Z27 이상의 것
KS D 6701의 A5005P 또는 A5052P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두께 1.0 mm 이상의 것
전면판
금속재 KS D 3506의 SGCC로서 두께 0.6 mm 이상, 아연
컬 러 도금 양면 최소 부착량이 Z27 이상의 것
후면판 KS D 3506의 SGHC로서 두께 1.6 mm 이상, 아연
도금 양면 최소 부착량이 Z27 이상의 것

2.2.2 금속재 방음판의 전면과 후면의 표면을 내구성 있는 컬러 합성수지 도료로 균

1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일하게 도장한 후 열처리한 금속재 컬러 방음판은 도장 후 생성된 도막에 대
한 품질이 표 14-2-5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표 14-2-5 금속재 컬러 방음판의 도막 품질 평가

평가항목 평가방법 비 고
광택도 40 % 이하이어야 함 KS M 5000
(60° 경면 광택도)
염수 분무 시험 ‘X’표시 부위면측 5 mm KS D 9502
(500시간) 이외에서 녹발생이 없어야 함
촉진 내후성 시험 도막이 벗겨지지 않아야 하고, KS M 5982
(형광 UV 응축 방식, 색차 표시 방법에 의한 KS A 0063
500시간)   가 2.0 이하이어야 함



밀착성 시험
(바둑판 눈금 시험) 도막이 벗겨지지 않아야 함 KS D 3520

2.3 비금속재 컬러 방음판

2.3.1 방음판의 전면판 및 후면판이 플라스틱 수지로 제작된 비금속재 컬러 방음판


의 재질은 전면판이 두께 2 mm 이상, 후면판이 두께 2.5 mm 이상의 것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2.3.2 비금속재 컬러 방음판은 KS M 5982의 형광 UV 시험을 500시간 하거나, KS
F 2274의 시험 중 자외선 카본으로 600시간 시험하여 황변도(△YI)가 3 이하
이어야 한다.
2.4 목재 방음판

2.4.1 방음판 제작 및 설치에 사용되는 목재는 부패 방지를 위한 방부· 방충 처리된


목재(합성목재 포함)를 사용하여야 한다. [관계기관의견 반영] 문구(합성목재 포함) 추가

2.4.2 외장형 흡음재는 KS F 4770-4의 흡수량 시험을 실시하여 흡수된 물의 양이 4


시간 후에는 1.0 kg/㎡, 28일 후에는 4.0 kg/㎡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2.5 투명 방음판
2.3 투명방음벽

2.3.1 방음판의 중심부에서 2.94kN/㎡(300㎏f/㎡)의 풍압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 2.5.1 투명 방음판의 투광부재는 투광성의 재료를 사용한 판재로서 폴리메틸메타크

1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어야 한다. 릴레이트(PMMA)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수지 또는
2.3.2 방음판은 충분한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가시광선 투과율 시험방법 KS L 접합 유리를 사용하며, 한국산업표준에 품질규정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 품질을
2514에 의한 가시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만족하여야 한다.
2.3.3 투명판에 대한 투과손실 측정은 KS F 2808에 따라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측 2.5.2 투광부재를 고정하는 데 이용되는 프레임 부재는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지 않
정하여야 하며, 방음벽의 투과손실은 수음자의 위치에서 방음벽에 기대하는 는 소재 또는 적절한 방법에 의하여 방청 처리된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회절감쇠치 10dB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하거나, 500 Hz의 음에 대하여 25 dB 2.5.3 방음판은 충분한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가시광선 투과율 시험방법 KS L
이상, 1000Hz음에 대하여 30dB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514에 의한 무색 투광부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85 %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3.4 투명 방음판은 햇볕에 노출되어 설치되므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황변현 2.5.4 투광부재에 대한 촉진 내후성 시험은 KS M ISO 4892-3에 따라 시험하여 표
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양면에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방지처리를 14-2-6을 만족하여야 한다. 황변도는 KS M 3026에 따라 측정하며, 흐림도는
하여야 하며, 품질기준은 표 14-5 에 따른다.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품질시험 KS M ISO 14782에 따라 측정한다. 촉진 내후성 시험 후 백색을 배경으로 검
에 합격되었더라도 10년 이내에는 황변현상에 의해 불투명하게 되지 않도록 사했을 때, 현저한 변색 및 사용상 지장이 있는 기포, 흐림 등이 없어야 한다.
품질을 보증하여야 한다. 투광부재의 소재가 동일하더라도 내후성에 관한 첨가제, 표면처리 방법 등이
표 14-5 황변도 시험방법 및 기준
다른 경우에 대해서는 동일 재료로 간주하지 않으며, 내후성 시험 결과는 동
시험내용 시험방법 시험시간 시험결과 일 재료의 다른 두께에 대해서도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현장에 반입되
촉진 내후성 시험 KS F 2274 300시간 변화 없음 는 투명 방음판 자재는 투광부재의 제조회사별, 재질별로 2,000 ㎡ 마다 촉진
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여야 한다.
표 14-2-6 투광부재의 내후성 평가기준

시험항목 평가기준 비고
촉진내후성시험 흐림도 황변도(△YI) 3 이하 KS M 3026
변화(△H) 10%
(1,500시간) (자외선형광램프, 폭로방식 1)이하 KS M ISO 14782

2.5.5 투광부재에 대한 내충격 시험


(1) 낙구 충격 시험 : KS L 2004의 낙구 충격 시험에 따라 시험하여 충격 후 균
열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강구는 KS B 2001에 규정하는
호칭 2¹/₂의 강구 중에서 무게 1,040±10 g인 것을 사용하고, 낙하 높이는 1.2
m로 한다.
(2) 진자 충격 시험 : KS L 2004의 쇼트백 충격 시험에 따라 시험하여 충격 후
파편의 결락(缺落)에 따른 노출 부분이 없어야 한다. 다만, 시험 장치의 가격

14-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체는 무게가 45±0.1 kg인 원형 강구로 한다. 이때, 가격체의 낙하 높이는 가
격체 최대 지름의 중심이 정지 상태의 위치로부터 480 mm가 되도록 한다.
2.3.5 투명 방음판은 청소 등에 의하여 긁힘(scratch)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절한 표면강 2.5.6 내마모용 투광부재는 KS M ISO 5470-1, KS M ISO 9352에 따라 CS-10F 마
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측정한 값은 표 14-6에 따른다. 모륜을 사용하여 시험편에 4.9N의 하중을 가하면서 100회전시킨 후, 흐림도의
표 14-6 표면강도 기준
변화(△H)가 15 % 이하를 만족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마모륜의 표면을 재
생할 때에는 ST-11 Refacing Stone (Fine Side)을 사용한다. 투광부재의 소재가
시험내용 시험방법 시험결과 비 고
Whee1 : CS-17 동일하더라도 두께나 내마모성에 관한 표면처리 등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는
내마모 감량성 ASTM D4060-95 3mg 이하 회전수 : 100회 동일 재료로 간주하지 않는다.
무 게 : 250g
긁힘(scratch) 압 력 : 98.06kN/㎡ 2.5.7 투광부재의 내열성은 표 14-2-7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발 생 도 - 발생 안 함 (1㎏f/㎠)
10회 왕복 표 14-2-7 투광부재의 내열성 평가기준
연필경도 KS D 3502 6H 이상
2.3.6 투명방음판은 양호한 투시를 위하여 굴절율이 1.5 이하이어야 한다. 구 분 평가기준 비 고
플라스틱 KS M ISO 75-2
2.3.7 투명방음판의 열변형 온도는 100 ℃ 이상이어야 한다. 수지 하중변형온도 85 ℃ 이상 PC 수지 : 방법 A
PMMA 수지 : 방법 B
내열성 시험 후 시료의 유리 부분에
균열이 생기는 것은 허용하나, 시료의
접합유리 가장자리 또는 균열된 곳으로부터 13 KS L 2004
mm를 초과하는 곳에 사용상 지장이
있는 기포 또는 그 밖의 결점이 없을 것

2.4 지주 및 앙카 볼트 너트 2.6 지주 및 앙카 볼트 너트

2.6.1 지주는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로서 KS D 3503의 SS400 강판 및 형강에 적합 [수정] 문장 추가


한 것이어야 한다.
2.4.1 지주의 아연도금은 설계도서에 따른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며, 지주 전 2.6.2 지주의 아연도금은 설계도서에 따른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며, 지주 전
체가 골고루 도금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체가 골고루 도금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4.2 지주 제작 시 용접 및 천공에 따른 사항은 이 시방서 강교제작 기준에 따라 2.6.3 지주를 제작할 때 용접 및 천공에 따른 사항은 이 시방서 강교제작 기준에 따 [수정] 자구 수정

제작하여야 한다. 라 제작하여야 한다.


2.4.3 앙카 볼트· 너트는 녹 발생이 없어야 하며, KS규정에 적합한 강재를 사용하 2.6.4 앙카 볼트· 너트는 녹 발생이 없어야 하며, KS규정에 적합한 강재를 사용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14-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3.1 일반사항 3.1 일반사항

3.1.1 방음벽 구간의 노면수 배수를 위한 배수로 설치는 음의 누출이 없도록 설치하 [수정] 내용삭제

여야 한다.
3.1.2 방음벽 기초옹벽 상단면과 판 사이에는 소음의 유출이 없도록 정교하게 시공 3.1.1 방음벽 기초옹벽 상단면과 판 사이에는 소음의 유출이 없도록 정교하게 시공
하여야 하며, 불량재질의 사용이나 틈이 있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 하여야 하며, 불량재질의 사용이나 틈이 있는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
로 고무판· 접착제· 실런트 등을 사용하여 소음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도 로 고무판· 접착제· 실런트 등을 사용하여 소음의 유출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록 하여야 한다.
3.1.3 방음벽 후면의 비탈면은 빗물에 침식이 없도록 법면다짐을 하여야 한다. 3.1.2 방음벽 후면의 비탈면은 빗물에 침식이 없도록 비탈면 다짐을 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1.4 방음벽의 설치연장이 500m이상 되는 구간은 유지관리 및 교통사고 시 비상 3.1.3 방음벽의 설치연장이 500m이상 되는 구간은 유지관리 및 교통사고가 발생하 [수정] 문구 수정

통로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방음벽의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출입문의 설 였을 때 비상통로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방음벽의 출입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치간격을 최소 250 m 마다 1개소, 출입문의 형식은 포장면으로 부터 200㎜ 높 출입문의 설치간격을 최소 250m 마다 1개소, 출입문의 형식은 포장면으로 부
이에 1.0×2.0m 이상으로 하며, 위치선정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감독자와 협 터 200mm 높이에 1.0 m × 2.0 m 이상으로 하며, 위치선정은 현장여건을 고
의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려하여 감독자와 협의한 후 설치하여야 한다.
3.1.5 방음벽의 기초는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을 하여야 하며, 되메우기 시에 3.1.4 방음벽의 기초는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을 하여야 하며, 되메우기를 할 [수정] 문구 수정

도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주변다짐을 하여야 한다. 때에도 풍압에 견딜 수 있도록 주변다짐을 하여야 한다.
3.1.6 방음벽의 설치위치 및 높이는 수음점의 위치와 교통소음 발생량에 따라 결정 3.1.5 방음벽의 설치위치 및 높이는 수음점의 위치와 교통소음 발생량에 따라 결정
되므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설계위치와 높이를 변경할 경 되므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위치와 높이를 변경할 경 [수정] 자구 수정

우에는 시공계획서를 공사 착공 전에 제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우에는 시공계획서를 공사 착공 전에 발주청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1.7 방음판은 바닥이 평평한 곳에 받침목을 설치한 후 적재하여야 하며, 한 곳에 3.1.6 방음판은 바닥이 평평한 곳에 받침목을 설치한 후 적재하여야 하며, 한 곳에 [수정] 중심위 : 번호오류 수정
많이 적재하여 방음판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많이 적재하여 방음판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8 방음벽이 완료되면 방음판의 틈새와 볼트 조임 등을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 3.1.7 방음벽의 설치가 완료되면 방음판의 틈새와 볼트 조임 등을 점검하여 이상 유 [수정] 문구 수정
인하여야 한다. 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3.1.9 방음벽의 상단부 구부림은 차량의 통과높이를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1.8 방음벽의 상단부 구부림은 차량의 통과높이를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1.10 칼라 방음판 전면의 색상은 차량의 이동속도와 운전자의 시각피로를 최소화 3.1.9 칼라 방음판 전면의 색상은 차량의 이동속도와 운전자의 시각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칼라와 디자인을 고려하여야 하며, 방음판 후면의 색상은 주위환 할 수 있는 칼라와 디자인을 고려하여야 하며, 방음판 후면의 색상은 주위
경과 조화를 이루고 도시미관 개선 및 산뜻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칼 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도시미관 개선 및 산뜻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라합성 사진을 제출하여 감독자와 협의한 후 선정하고 그에 따라 칼라배열을 감독자와 협의한 후 선정하고, 그에 따라 색상배열을 결정하고 색상배열에 [수정] 문장 수정

14-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결정하여야 한다.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방음벽은 결정된 칼라배열에 따라 시공하며, 시공 후 감독자에게 확인을 받 3.1.10 방음판은 제품이 0.5 m 단위로 생산되므로 높이 간격을 0.5 m 단위로 조정 [수정] 내용 추가
아야 한다. 하여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1.11 방음판의 길이는 현장여건, 칼라그래픽 특성 및 건설원가의 절감 등을 고려 3.1.11 방음벽의 단부처리는 동일한 방음벽 구간에서 높이별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 [수정] 삭제 및 내용 추가
하여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록 높이 변화구간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조정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3.2 투명 방음벽 설치기준
3.2 투명 방음벽 설치기준

3.2.1 구조물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기초 구조물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받침판을 3.2.1 구조물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기초 구조물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받침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3.2.2 지주고정 받침판(gauging jig)에 적합한 드릴작업을 하여야 한다. 3.2.2 지주고정 받침판(gauging jig)에 적합한 드릴작업을 하여야 한다.
3.2.3 용접부의 슬래그(slag)는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며, 비드(bead)는 모양이 깨끗 3.2.3 용접부의 슬래그(slag)는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며, 비드(bead)는 모양이 깨끗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2.4 지주는 수직, 수평을 맞춘 후 너트를 조여야 한다. 3.2.4 지주는 수직, 수평을 맞춘 후 너트를 조여야 한다.
3.2.5 고무판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전 접착시켜야 하며, 지주 위에서부터 지주 아 3.2.5 고무판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전 접착시켜야 하며, 지주 위에서부터 지주 아
래로 프레임이 조립된 투명판을 삽입하고 고정하여야 한다. 래로 프레임이 조립된 투명판을 삽입하고 고정하여야 한다.
3.2.6 방음판 설치 후에는 상단부가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며, 방음판 설치 3.2.6 방음판 설치 후에는 상단부가 수직과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며, 방음판 설치
후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2.7 마감부분은 일직선이 되도록 맞추며, 접합부 등 틈새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음 3.2.7 마감부분은 일직선이 되도록 맞추며, 접합부 등 틈새가 발생한 경우에는 소음
차단을 위해 밀폐처리 하여야 한다. 차단을 위하여 밀폐처리 하여야 한다.
3.2.8 투명 방음판을 감싼 보호 피막지는 투명판 설치완료 후 제거하여야 한다. 3.2.8 투명 방음판을 감싼 보호 피막지는 투명판 설치완료 후 제거하여야 한다.
[수정] 한글화
3.3 방음벽을 시공할 때 주의사항
3.3 방음벽 시공시 주의사항

3.3.1 방음벽 기초의 구체콘크리트 상단부와 방음판을 밀착시킨다. 3.3.1 방음벽 기초의 구체콘크리트 상단부와 방음판을 밀착시킨다.
3.3.2 앵커볼트 시공 시 방음벽의 앵커볼트와 지주의 기초판 홈이 일치되도록 하여 3.3.2 앵커볼트를 시공할 때 방음벽의 앵커볼트와 지주의 기초판 홈이 일치되도록 [수정] 문구 수정

야 한다. 하여야 한다.


3.3.3 앵커볼트의 녹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아연용융도금 또는 녹 발생이 억제되는 3.3.3 앵커볼트의 녹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아연용융도금 또는 녹 발생이 억제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3.3.4 방음벽의 높이가 8m(방음판 7 m) 이상인 경우에는 기초판 하부콘크리트에 보 3.3.4 방음벽의 높이가 8 m(방음판 7 m) 이상인 경우에는 기초판 하부콘크리트에
강철근(D13 : 철근중심과 철근중심간의 거리 100 ㎜)을 삽입하여 허용 지압응 보강철근(D13 : 철근중심과 철근중심간의 거리 100 mm)을 삽입하여 허용 지

14-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력을 상향시켜야 한다. 압응력을 상향시켜야 한다.
3.3.5 방음벽의 높이가 5.5m(방음판 4.5 m) 이상인 경우에는 지주의 좌굴방지를 위 3.3.5 방음벽의 높이가 5.5 m(방음판 4.5 m) 이상인 경우에는 지주의 좌굴방지를 위
해 2∼3m 간격으로 보강판(강판두께 6 ㎜)을 부착하여야 한다. 하여 2 m ∼ 3 m 간격으로 보강판(강판두께 6 mm)을 부착하여야 한다.
3.3.6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 방음판의 파손, 도장부위의 손상 등을 없게 하여야 한다. 3.3.6 계약상대자는 시공 중 방음판의 파손, 도장부위의 손상 등을 없게 하여야 한다.
3.3.7 방음벽의 기초는 기초상부와 방음판, 지주와 방음판 및 방음판과 방음판 사이 3.3.7 투명방음벽을 설치하는 지역이 조류서식지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수정] 내용 수정
에 틈새가 없도록 밀폐용 자재를 삽입하여야 한다.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방음벽에 조류가 인식할 수 있는 무늬를
붙이거나 고무링이 삽입된 방음판을 설치한다.
3.3.8 방음시설의 적정한 유지관리를 통하여 설치 초기의 음향특성, 안전성, 가시광 3.3.8 방음벽의 적정한 유지관리를 통하여 설치 초기의 음향특성, 안전성, 가시광선
선 투과율(투명방음벽에 한함) 및 미관 등이 설계 목표년도까지 항상 유지되 투과율(투명방음벽에 한함) 및 미관 등이 공사시방서에 제시된 기간까지 유지 [수정] 내용 수정

도록 하여야 한다. 되도록 하여야 한다.


3.4 방음시설의 성능평가 및 사후관리 3.4 방음시설의 성능평가 및 사후관리

3.4.1 계약상대자는 표 14-7의 방음시설 성능평가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3.4.1 계약상대자는 표 14-2-8의 방음시설 성능평가서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3.4.2 방음시설 시공 후의 성능평가는 보호대상시설의 소음환경기준 적합여부로 한다. 3.4.2 방음시설 시공 후의 성능평가는 보호대상시설의 소음환경기준 적합여부로 한다.
3.4.3 방음시설 설치목표를 환경기준에 두지 않는 경우에는 삽입손실측정으로 방음 3.4.3 방음시설 설치목표를 환경기준에 두지 않는 경우에는 삽입손실측정으로 방음
시설의 성능평가를 할 수 있다. 시설의 성능평가를 할 수 있다.
표 14-7 방음시설 성능평가서 표 14-2-8 방음벽 성능평가서 [수정] 표 번호 및 내용 수정

평가항목 검토항목 세 부 검 토 항 목 평가항목 검 토 항 목 세 부 검 토 항 목


1. 방음시설설계자(감리자)의 인적사항 1. 방음벽 설계자의 인적사항
- 음향 및 구조 - 음향 및 구조
일반사항 - 예술분야 일반사항 - 예술분야
2. 부지도면(수음점과 소음원과의 위치관계) 2. 부지도면(수음점과 소음원과의 위치관계)
3. 방음시설 설치지점의 지반상태 3. 방음벽 설치지점의 지반상태
4. 도로 상황 및 교통량(대/hr) 4. 도로 상황 및 교통량(대/hr)
5. 방음시설의 높이, 설치길이 5. 방음벽의 높이, 설치길이
음향설계서 6. 방음벽 설치에 따른 차음효과(고층일 경우 층별
음 향 설 계 음향설계서 6. 방음시설설치에 따른 차음효과(고층일 경우 층별 계산)
사용된 소음도 예측식 및 계산과정 계산) 사용된 소음도 예측식 계산과정
7. 동일수음점·동일조건에서의 설치 전·후
성능평가 7. 동일수음점․동일조건에서의 설치 전․후 소음도dB(A) 소음도dB(A)
투과손실 성능평가 -설치 전 : 낮 dB(A), 밤 dB(A)
방음판 흡 음 률 8. 시험성적서 및 검토자료. -환경기준 : 낮 dB(A), 밤 dB(A)
-설계기준 : 낮 dB(A), 밤 dB(A)
기 타 9. 재질, 충격강도, 빛의 반사도 등 -설치 후 : 낮 dB(A), 밤 dB(A)
구 조 구조설계서 10. 풍하중, 기초공법, 통로설치 여부 등 투과손실 8. 시험성적서 및 검토자료
시 공 시공도면 11. 시공계획서(시공상세도) 방음판 흡 음 률
기 타 9. 재질, 충격강도, 빛의 가시도, 가시광선 투과율 등
미 관 설치시 투시도
예술적 고려
12. 색채 및 형태
13. 방음벽 전․후면에 대한 색채 및 형태
구 조 구조설계서
시 공 시공도면
10. 풍하중, 기초공법, 통로설치 여부 등
11. 시공계획서
안 전 성 안전설계서 14. 방호시설 설치여부 등 주위경관고려
미 관 시각적효과고려 12. 수림대 조성, 덩굴식물 식재, 화분 설치여부 등
13. 방음벽 전·후면에 대한 색채 및 형태
안 전 성 안전설계서 14. 방호시설 설치여부 등

14-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방음벽 기초 [수정] 내용 추가

3.5.1 방음벽의 기초의 뒷채움재는 뒷채움 부분이 길어깨에 해당되어 차도부의 포장


층 구성과는 시공할 때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포장두께에 따라 해당되
는 포장층이 상이하게 되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뒷채움재는 노상으로 시공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3.5.2 방음벽의 기초의 콘크리트 피복두께는 방음벽 기초가 지중면과 노출면을 동시
에 가진 구조물임을 감안하여 시공성을 고려하고 기초전체를 지중면으로 하여
철근피복두께 60 mm가 확보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5.3 방음벽의 기초는 기초상부와 방음판, 지주와 방음판 및 방음판과 방음판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밀폐용 자재를 삽입하여야 한다.

14-3 방음터널 14-3 방음터널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교통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터널형 방음시설의 제작 및 설 이 시방은 교통소음 저감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터널형 방음시설의 공사에 적 [수정] 내용수정
치에 적용하며, 공장소음, 공사장소음, 생활소음 저감시설의 제작 및 설치에 준 용한다.
용할 수 있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02 열간 압연형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KS F 2274 건축용 합성 수지재의 촉진노출 시험 방법
[수정] 표준 수정

KS F 2274 건축용 합성수지재의 촉진 노출 시험 방법

14-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808 실험실에서의 음향 투과손실 측정방법 KS F 2805 잔향 실내 흡음률 측정 방법
KS F 2805 잔향 실내 흡음률 측정 방법 KS F 2808 건물 부재의 공기 전달음 차단 성능 실험실 측정 방법
ASTM D 4060-95 Abrasion resistance of organic coatings by the abraser KS F 4770-1 방음판-금속재
KS F 4770-2 방음판-금속재 컬러
KS F 4770-3 방음판-비금속재 컬러
KS F 4770-4 방음판-목재
KS M ISO 5470-1 고무 또는 플라스틱 피복 직물-내마모성 측정 방법-제1부
: 테이버 마모 시험기
KS M ISO 9352 플라스틱-연마륜에 의한 내마모성의 측정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방음터널 2.1 방음터널

2.1.1 방음터널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지붕재와 강재· 외장판 등으로 구성되며, 방음 2.1.1 방음터널을 구성하는 시스템은 지붕재와 강재· 외장판 등으로 구성되며, 방음
터널의 방음성능은 흡음형 방음판의 음향성능으로 대체하고, KS F 4770 기준 터널의 방음성능은 흡음형 방음판의 음향성능으로 대체하고, KS F 4770 기준
흡수율 1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흡수율 1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표 14-8 방음터널 시스템의 구성 표 14-3-1 방음터널 시스템의 구성

구 분 지붕재 강 재 외장판 구 분 지붕재 강 재 외장판


방음터널 시스템 투명 방음판 H-Beam 현장요구 시 흡음형, 방음터널 시스템 투명 방음판 H-Beam 현장에서 요구될 때 [수정] 특정 조건(PC 10T 이상) 삭제
(PC 10T 이상) (SS400) 투명형을 적용 (SS400) 흡음형, 투명형을 적용

2.1.2 강재는 KS D 3503의 SS400 규격과 재질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2 강재는 KS D 3503의 SS400 규격과 재질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3 강재의 표면처리는 탈지· 산세· 수세 등의 공정을 거친 후 용융아연도금을 하 2.1.3 강재의 표면처리는 탈지· 산세· 수세 등의 공정을 거친 후 용융아연도금을 하
여야 하며, 아연 부착량은 550g/㎡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여야 하며, 아연 부착량은 550 g/㎡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2 흡음형 방음판 2.2 흡음형 방음판

2.2.1 흡음형 방음판은 KS F 4770에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른 기준을 만족하는 재질 2.2.1 흡음형 방음판에 대한 기준은 14-1절 방음벽의 2.1 공통사항의 기준에 따 [수정] 내용수정 [수정] 중심위 : 절 명칭 구체화

14-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어야 한다. 른다.
2.2.2 흡음형 방음판의 재질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서 품질시험에 합격한 불연재료를 2.2.2 흡음형 방음판의 재질은 KS F 4770-1∼4 규정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것 [수정] 내용수정
사용하여야 한다. 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흡음형 방음판의 색상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2.2.3 흡음형 방음판의 색상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1) 방음판 재질에 따라 조립 전에 양면에 정전분체도장을 하거나, 원료에 안료 (1) 방음판 재질에 따라 조립 전에 양면에 정전분체도장을 하거나, 원료에 안료
및 UV 안정제를 배합하여 용융 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한다. 및 UV 안정제를 배합하여 용융 후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한다.
(2) 색상 조화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색상을 동일하게 하거나, 전면판은 차량이동 (2) 색상 조화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색상을 동일하게 하거나, 전면판은 차량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칼라디자인을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주어 과속 및 속도를 고려하여 칼라디자인을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고, [수정] 문구 수정
교통사고를 예방하며 후면판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전면판과 후면판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전면판과 색상을 달리할 수도
색상을 달리할 수도 있다. 있다.
(3) 색상지정은 칼라합성사진을 제출하여 협의한 후 결정하며, 결정된 칼라합성사 (3) 색상 지정은 칼라합성사진을 제출하여 협의한 후 결정하며, 결정된 칼라합성
진을 근거로 칼라배열시트를 제출하여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사진을 근거로 칼라배열시트를 제출하여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4) 색상검사는 육안으로 검사하여 색의 번짐 및 주름현상이 없어야 하며, 또한 (4) 색상검사는 육안으로 검사하여 색의 번짐 및 주름현상이 없어야 하며, 또한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규격을 만족하여야 하고 결과를 증명하기 위해 KS F 4770에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른 시험을 실시하여 규격을 만족하여야 [수정] 문장 수정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하고 결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3 투명형 방음판 2.3 투명형 방음판

2.3.1 투명형 방음판은 일정한 기간 이내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적 2.3.1 투명형 방음판은 일정한 기간 이내에도 황변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적
정한 표면강도와 가시광선 투과율 등 일정한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정한 표면강도와 가시광선 투과율 등 일정한 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2.3.2 투명형 방음판의 품질과 성능에 관한 사항은 14-2 방음벽의 2.3 투명방음벽에 2.3.2 투명형 방음판의 품질과 성능에 관한 사항은 14-2 방음벽의 2.3 투명방음벽에
기술된 사항에 따른다. 기술된 사항을 따른다. [수정] 조사 수정

3. 시 공 3. 시 공
3.1 일반사항 3.1 일반사항

3.1.1 자재의 손상으로 방지하고 상 하차가 용이하도록 운반 자재의 하부에 운반용 3.1.1 자재의 손상으로 방지하고 상 하차가 용이하도록 운반 자재의 하부에 운반용
파렛트를 사용하며, 운반하는 자재는 견고하게 묶어서 운반 도중에 파손이나 파렛트를 사용하며, 운반하는 자재는 견고하게 묶어서 운반 도중에 파손이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3.1.2 자재를 하차하는 방법은 각 현장 조건에 맞추어 시행하되 장비를 이용하여 하 3.1.2 자재를 하차하는 방법은 각 현장 조건에 맞추어 시행하되 장비를 이용하여 하
차하고 현장에 반입된 자재의 인양은 크레인을 사용한다. 차하고 현장에 반입된 자재의 인양은 크레인을 사용한다.

14-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지붕에 자재를 인양할 경우는 지붕구조물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요 3.1.3 지붕에 자재를 인양할 경우는 지붕구조물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요
물량만큼 분산하여 적재한다. 물량만큼 분산하여 적재한다.
3.1.4 현장에 반입되는 자재는 작업예정 근접위치에 적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3.1.4 현장에 반입되는 자재는 작업예정 근접위치에 적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자재가 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평탄한 곳을 택하여 3개소 이상 고임목을 설 자재가 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평탄한 곳을 선택하여 3개소 이상 고임목을 [수정] 자구수정
치한 후 자재를 적재한다. 설치한 후 자재를 적재한다.
3.1.5 현장 내 적재한 자재는 보호조치를 충분히 하여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 오염 등 3.1.5 현장 내 적재한 자재는 보호조치를 충분히 하여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 오염 등
으로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며, 적재 장소는 감독자와 사전 협의하여 결정한다. 으로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며, 적재 장소는 감독자와 사전 협의하여 결정한다.
3.2 설치 및 검사 3.2 설치 및 검사

3.2.1 계약대상자는 시공 전 정밀한 현장 실측을 하여 필요 시 설계안에 부합되며, 3.2.1 계약대상자는 시공 전 정밀한 현장 실측을 하여 필요할 때에 설계도서에 부합 [수정] 문구수정

시공에 유리한 시공계획 및 도면을 작성하여 감독자와 협의한다. 되며, 시공에 유리한 시공계획 및 도면을 작성하여 감독자와 협의한다.
3.2.2 앵커볼트의 시공에 있어서 기초볼트(anchor bolt)는 구조설계에 따라 지주 1개 3.2.2 앵커볼트의 시공에 있어서 기초볼트(anchor bolt)는 구조설계에 따라 지주 한 [수정] 문장분리
소 당 4개 또는 6개 설치하며, 기초볼트 설치간격은 중심점이 각각 2,000㎜ ( 군데마다 4개 또는 6개 설치한다.
=2m 기준) 간격으로 수직· 수평을 맞추어 기존 철근에 용접하여 설치하되, 3.2.3 기초볼트 설치간격은 중심점이 각각 2 m 간격으로 수직·수평을 맞추어 기존 철 [수정] 문장수정
기초볼트가 구조물에서 노출되는 길이는 와셔· 너트를 조이고 나서 10 ㎜ 정 근에 용접하여 설치하되, 기초볼트가 구조물에서 노출되는 길이는 와셔·너트를
도 여유 있게 높이를 정한다. 조이고 나서 10 mm 정도 여유 있게 높이를 정한다.
3.2.3 철골작업은 구조물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높은 부분은 절단하고 낮은 부 3.2.4 철골작업은 구조물 마감선의 수평을 확인하고, 높은 부분은 절단하고 낮은 부
분은 무수축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기초판과 구조물이 완전히 밀착되게 지주를 분은 무수축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기초판과 구조물이 완전히 밀착되게 지주를
설치한다. 설치한다.
3.2.4 지주의 수직 수평을 맞추어 너트를 조이며, 지붕 골조용 부재를 양쪽 지주의 3.2.5 지주의 수직, 수평을 맞추어 너트를 조인다. [수정] 문장 분리

이음부에 정확히 밀착시킨 후, 고장력 볼트 또는 토크쉐어 볼트로 연결· 고정 3.2.6 지붕 골조용 부재를 양쪽 지주의 이음부에 정확히 밀착시키고, 고장력 볼트 [수정] 문장 분리
시킨다. 또는 토크쉐어 볼트로 연결, 고정시킨다.
3.2.5 변위 방지용 sub-beam은 지붕 골조에 수평간격을 정확히 맞추며 고장력 볼트 3.2.7 변위 방지용 서브 빔(sub-beam)은 지붕 골조에 수평간격을 정확히 맞추며 고 [수정] 영문표기 방법 수정
또는 토크쉐어 볼트를 사용한다. 장력 볼트 또는 토크쉐어(torque shear)볼트를 사용한다.
3.2.6 터널 투명판은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절단하여야 한다. 3.2.8 터널 투명판은 열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절단하여야 한다.
3.2.7 상 하부 및 측면 후레임의 접합은 일정길이 높이 두께의 사각 밀폐형으로 녹 3.2.9 상·하부 및 측면 프레임의 접합은 일정 길이· 높이· 두께의 사각 밀폐형으로 [수정] 문장 분리
이 나지 않는 합금재 볼트(∅4 ㎜)를 사용하여 조립하며, 상 하 후레임을 한쪽 서 녹이 발생되지 않는 합금재 볼트(∅ 4 mm)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방향으로만 날개 형식으로 하여 이음새가 잘 들어맞도록 하고 투명판넬을 연 3.2.10 상·하 프레임을 한쪽 방향으로만 날개 형식으로 하여 이음새가 잘 들어맞도
[수정] 문장 분리

14-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결 시 뒷면 이음새 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작하여 밀착될 수 있도 록 하고, 투명 판넬은 연결할 때 뒷면 이음새 부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록 한다. 제작하여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3.2.8 후레임에 투명판을 정위치에 놓고 후레임을 조립한 후 알루미늄 프레임과 투 3.2.8 프레임을 조립한 후 알루미늄 프레임과 투명판 사이를 탄력성과 밀착성이 뛰 [수정] 용어수정

명판 사이를 탄력성과 밀착성이 뛰어난 재료로 투명판을 밀착 결합하고, 조립 어난 재료로 투명판을 밀착 결합하고, 조립된 패널은 현장에서 투명원판의 보
된 패널은 현장에서 투명원판의 보호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후레임과 투 호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후레임과 투명판 이음매 사이를 자른다.
명판 이음매 사이를 자른다.
3.2.9 근각고정볼트를 브라켓에 고정하고 투명판 안전 고정핀을 이용한 가부착 상태 3.2.12 근각고정볼트를 브라켓에 고정하고 투명판 안전 고정핀을 이용한 가부착 상 [수정] 용어 및 영문표기 수정

에서 화스너를 간극 조정하고 화스너를 끼워 고정하며, 화스너와 middle 태에서 파스너(fastener)를 간극 조정하고 파스너를 끼워 고정하며, 파스너와
cover, top cover에는 우수방지를 위한 완충 고무재질인 부싱(우레탄 재질)을 미들 커버(middle cover), 탑 커버(top cover)에는 우수침투 방지를 위한 완
충 고무재질인 부싱(bushing, 우레탄 재질)을 삽입하고 볼트를 체결한다.
삽입하고 볼트 체결을 하며, middle cover를 볼트 홀에 고정하고 top cover인
와형캡을 끼워 고정한 후 풀림장지 너트를 고정하고 캡볼트 조임으로 마감처 3.2.13 미들 커버를 볼트 홀에 고정하고 탑 커버인 와형 캡을 끼워 고정한다. [수정] 문장 분리
리한다. 3.2.14 풀림방지 너트를 고정하고, 캡 볼트 조임으로 마감 처리한다. [수정] 문장 분리

3.2.10 지붕과 벽체의 우수관 주변에는 강판을 사용하여 누수 및 소음차단의 목적으 3.2.15 지붕과 벽체의 우수관 주변에는 강판을 사용하여 누수 및 소음차단의 목
로 코킹 마감하며, 기초앵커볼트를 가리기 위해 볼트캡을 여건에 맞게 감독 적으로 코킹 마감한다. [수정] 문장 분리

자와 협의하여 설치한다. 3.2.16 기초앵커볼트를 가리기 위한 볼트 캡은 여건에 맞게 감독자과 협의하여 설치 [수정] 문장 분리

한다.
3.2.11 설치가 완료된 방음터널은 감독자로부터 다음 사항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3.2.11 설치가 완료된 방음터널은 감독자로부터 다음 사항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1) 설치위치의 적정성 (1) 설치위치의 적정성
(2) 기초볼트 고정상태 (2) 기초볼트 고정상태
(3) 각 방음판의 손상 및 오염 (3) 각 방음판의 손상 및 오염
(4) 각 설치 부자재의 조립 및 결합상태 (4) 각 설치 부자재의 조립 및 결합상태
(5) 기초 및 방음시설 전 구간에 걸친 밀폐여부 (5) 기초 및 방음시설 전 구간에 걸친 밀폐여부
(6) 설치 전 최종 검측 (6) 설치 전 최종 검측

14-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4 생태통로 14-4 생태통로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건설로 인한 동물 서식지 회복 및 이동통로 설치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도로건설로 인한 단절된 구간을 연결하여 동물 서식지 회복 및 이동 [수정] 문구 추가

통로 설치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공통재료 2.1 공통재료

재료는 자연재료를 사용하되 안전, 기능 등 특별한 경우 치수목적 등으로 인공 재료는 자연재료를 사용하되 안전, 기능 등을 고려하여 특별한 인공재료(콘크리 [수정] 문구수정
재료(콘크리트, 블록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생태 복원을 전제로 제시된 재료이 트, 블록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생태 복원을 전제로 제시된 재료이어야 하며,
어야 하고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사용하여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터널형 생태통로 3.1 터널형 생태통로

3.1.1 암거형 통로는 도로통과 지역 중 흙쌓기에 의하여 농수로· 늪지· 개울 등이 3.1.1 암거형 통로는 도로통과 지역 중 흙쌓기에 의하여 농수로· 늪지· 개울 등이
단절되는 지역에 소형동물의 이동이 많은 지역의 골짜기를 따라 설치하며, 동 단절되는 지역에 소형동물의 이동이 많은 지역의 골짜기를 따라 설치하며, 동
물전용과 수로겸용 암거로 구분한다. 물전용과 수로겸용 암거로 구분한다.
3.1.2 동물전용 암거의 설치규격은 흙쌓기 높이, 주변지형, 주요 이동동물에 따라 변 3.1.2 동물전용 암거의 설치규격은 흙쌓기 높이, 주변지형, 서식지, 주요 이동동물에 [수정] 내용추가
화될 수 있으나 최소규격은 2.5 × 2.5 m로 한다.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최소규격은 2.5 m × 2.5 m로 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14-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수로겸용 암거는 수로가 형성되도록 물길을 형성해주고 선반을 설치하여 야생 3.1.3 수로겸용 암거는 수로가 형성되도록 물길을 형성해 주고 선반을 설치하여 야
동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생동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통로를 분리되도록 설치한다. [수정] 문구추가

3.1.4 파이프형 이동통로는 작은 소택지를 따라 이동통로를 연결하며, 동물전용과 3.1.4 파이프형 이동통로는 작은 소택지를 따라 이동통로를 연결하며, 동물전용과
수로겸용 파이프형 이동통로로 구분하여 설치한다. 수로겸용 파이프형 이동통로로 구분하여 설치한다.
3.1.5 생태통로 입구주변은 야생동물과 파충류의 이동 시 은폐를 위하여 인근 자생 3.1.5 생태통로 입구주변은 야생동물과 파충류가 이동할 때의 은폐를 위하여 인근
수목과 유사한 수목을 식재하여 수림을 조성하여야 한다. 자생수목과 유사한 수목을 식재하여 수림을 조성하여야 한다.
3.1.6 동물이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옹벽부에 경사로를 설치하여 이동로를 3.1.6 동물이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옹벽부에 경사로를 설치하여 이동로를
확보하며, 야생동물이 옹벽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적정 간격의 이동로를 확보하며, 야생동물이 옹벽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적정 간격의 이동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한다. [수정] 자구수정

3.2 육교형 생태통로 3.2 육교형 생태통로

3.2.1 도로건설로 인하여 생태계 단절이 예상되는 곳에 육교형 통로를 설치하여 단 3.2.1 도로건설로 인하여 생태계 단절이 예상되는 곳에 육교형 통로를 설치하여 단
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편화된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2.2 육교형 통로 설치 시 중앙부의 폭은 30m를 최소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3.2.2 육교형 통로를 설치할 때 중앙부의 폭은 30 m를 최소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입 출구부는 넓게 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다만 지형적 하며, 입 출구부는 넓게 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다만
인 여건에 따라 최소 폭을 30 m 이하로 설치할 수 있다. 지형적인 여건에 따라 최소 폭을 30 m 이하로 설치할 수 있다.
3.2.3 육교형 통로가 설치되는 지역에 땅깎기에 의한 비탈면이 발생하는 경우 환경 3.2.3 육교형 통로가 설치되는 지역에 땅깎기에 의한 비탈면이 발생하는 경우 환경
친화적인 비탈면 녹화, 안정화 방안과 동시에 유도휀스, 유도식재 등 다양한 친화적인 비탈면 녹화, 안정화 방안과 동시에 유도휀스, 유도식재 등 다양한
형식의 보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형식의 보조시설을 설치한다. [수정] 문장 어미 수정

3.3 유도울타리 3.3 유도울타리

3.3.1 중 대형 동물을 대상으로 한 울타리 설치 시 울타리의 높이규격은 1.0∼1.5m 3.3.1 중 대형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울타리를 설치할 때 울타리의 높이규격은 1.0 [수정] 한글화, 단위표기 수정

를 기본으로 하며, 도약력이 뛰어난 동물은 적설 등으로 인해 평탄지역에서 m ∼ 1.5 m를 기본으로 하며, 도약력이 뛰어난 동물은 적설 등으로 인하여
도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이 1.5 m로 할 경우에도 뛰어넘을 수 있으므로 이 평탄지역에서 도약이 필요한 경우에는 높이 1.5 m로 할 경우에도 뛰어넘을
경우 높이 2.5m 이상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높이 2.5 m 이상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3.3.2. 대형동물을 대상으로 한 울타리 설치 시 울타리의 격자(mesh)규격은 생태통 3.3.2. 대형동물을 대상으로 한 울타리를 설치할 때 울타리의 격자(mesh)규격은 생
로설치 관리지침(환경부)을 준용한다. 태통로설치 관리지침(환경부)을 참조한다. [수정] 문구수정

3.3.3 소형동물의 도로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 설치 시 울타리의 높이 규격은 3.3.3 소형동물의 도로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를 설치할 때 울타리의 높이 규
1.0m의 울타리를 설치한다. 격은 1.0 m의 울타리를 설치한다.

14-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3.4 소형동물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울타리의 격자(mesh)규격은 생태통로설치 관 3.3.4 소형동물을 대상으로 설치되는 울타리의 격자(mesh)규격은 생태통로설치 관
리지침(환경부)을 준용한다. 리지침(환경부)을 참조한다. [수정] 문장 어미 수정
3.3.5 멧토끼와 오소리 등 일부 동물이 땅을 파고 침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필요한 3.3.5 멧토끼와 오소리 등 일부 동물이 땅을 파고 침입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울타리 아랫면이 땅 속에 200㎜ 이상 묻히도록 설치하거나 접지면에 콘 경우 울타리 아랫면이 땅 속에 200mm 이상 묻히도록 설치하거나 접지면에
크리트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등의 시설물을 설치한다. [수정] 문장 어미 수정

3.3.6 양서 파충류 등을 대상으로 한 울타리 설치 시 높이 규격은 0.3 m이하로 하 3.3.6 양서 파충류 등을 대상으로 한 울타리를 설치할 때 높이 규격은 0.3 m이하로
고, 이곳에 직경 30㎜ 이상의 주변과 어울리는 재질로 된 가로대 등을 설치하 하고, 이곳에 직경 30 mm 이상의 주변과 어울리는 재질로 된 가로대 등을 설
여 양서류가 기어올라 울타리를 넘지 못하도록 하고, 울타리의 격자(mesh)규 치하여 양서류가 기어올라 울타리를 넘지 못하도록 하고, 울타리의 격자
격은 생태통로설치 관리지침(환경부)을 준용한다. (mesh)규격은 생태통로설치 관리지침(환경부)을 참조한다.
3.4 도로 침입방지벽 3.4 도로 침입방지벽

3.4.1 개구리류는 산란장소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으며, 도로건설로 이동로가 단절되 3.4.1 양서류와 파충류는 산란장소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도로건설로 이동로 [수정] 문구수정

어 도로 횡단에 의한 충돌사고가 예상되는 구간에 설치하여야 한다. 가 단절되어 도로 횡단에 의한 충돌사고가 예상되는 구간은 침입방지벽을 설
치한다.
3.5 야생동물 탈출구 3.5 야생동물 탈출구

3.5.1 측구 등은 가능한 한 소동물이 낙하하지 않거나 낙하하더라도 탈출할 수 있는 3.5.1 측구 등은 가능한 한 소동물이 낙하하지 않거나 낙하하더라도 탈출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며, 측구 탈출경사로 기울기는 30∼45 ˚ 정도로 하고, 경사로에서 미 구조로 하며, 측구 탈출경사로 기울기는 30˚ ∼ 45 ˚ 정도로 하고, 경사로에서 [수정] 단위표기 수정

끄러지지 않게 울퉁불퉁하게 하여 탈출하기 쉽게 한다. 미끄러지지 않게 울퉁불퉁하게 하여 탈출하기 쉽게 설치한다. [수정] 문구수정

3.5.2 두더지, 도마뱀 등 동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집수정에도 뚜껑을 씌우거나 낙하 3.5.2 두더지, 도마뱀 등 동물의 보호를 목적으로 집수정에도 뚜껑을 씌우거나 낙하
하였을 때 자력으로 탈출할 수 있게 오름구조나 거치목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하였을 때 스스로 탈출할 수 있게 경사로 거치목 등을 설치한다. [수정] 문구수정

14-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5 표토덮기 14-5 표토덮기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표토의 운반 및 부설공사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표토의 운반 및 부설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표 토 2.1 표 토

2.1.1 표토로 사용하는 흙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적절한 것이어야 하며, 공극이 있고 2.1.1 표토로 사용하는 흙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적절한 것이어야 하며, 공극이 있고
부서지기 쉬운 토양으로 암석· 쓰레기· 나무뿌리· 잡초나 덤불 등 식물성장을 부서지기 쉬운 토양으로 암석· 쓰레기· 나무뿌리· 잡초나 덤불 등 식물성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포함하여서는 안 된다. 저해하는 물질을 포함하여서는 안 된다.
2.1.2 표토용 흙의 ㏗는 최소 3, 최대 8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입도는 표 14-9에 따 2.1.2 표토용 흙의 ㏗는 최소 3, 최대 8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입도분포는 표 [수정] 용어수정
른다. 14-5-1에 따른다.
표 14-9 표토용 흙의 입도 표 14-5-1 표토용 흙의 입도

호칭 치수(㎜) 공칭 입경에 대한 체 통과중량 백분율 (%) 호칭 치수(mm) 공칭 입경에 대한 체 통과중량 백분율 (%)
25 100 25 100
5 97 ∼ 100 5 97 ∼ 100
2.5 80 ∼ 100 2.5 80 ∼ 100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14-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1 비탈면의 경사가 1:3보다 급한 경우에는 공사 전에 설계도서에 표시된 깊이까 3.1.1 비탈면의 경사가 1: 3보다 급한 경우에는 공사 전에 설계도서에 표시된 깊이
지 비탈면을 긁어 일으켜야 한다. 까지 비탈면을 긁어 일으켜야 한다.
3.1.2 비탈면의 정리가 끝나면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소정의 두께로 표토를 부설 3.1.2 비탈면의 정리가 끝나면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소정의 두께로 표토를 부설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1.3 지반 또는 표토가 얼었거나 심하게 젖어 있을 때에는 표토용 흙을 부설하여서 3.1.3 지반 또는 표토가 얼었거나 심하게 젖어 있을 때에는 표토용 흙을 부설하여서
는 안 된다. 는 안 된다.
3.1.4 운반 및 부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노면을 손상하거나 더럽히지 않도록 주 3.1.4 운반 및 부설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노면을 손상하거나 더럽히지 않도록 주
의하여야 한다. 의하여야 한다.
3.1.5 부설 작업이 끝나면 큰 덩어리, 큰 돌, 나무뿌리, 그루터기 및 기타 불순물은 3.1.5 부설 작업이 끝나면 큰 덩어리, 큰 돌, 나무뿌리, 그루터기 및 기타 불순물은
긁어내어 제거하여야 한다. 긁어내어 제거하여야 한다.

14-6 가설 사무실 14-6 가설 사무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건설관리사무실 감독자사무실, 현장사무실, 현장시험실 등 가설건물 이 시방은 건설관리사무실, 감독자사무실, 현장사무실, 현장시험실 등 가설건물 [수정] 쉼표 추가

의 설치 및 유지관리공사에 적용한다. 의 설치 및 유지관리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 [수정] 문구 수정
여 제출하여야 한다. 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14-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설사무실 재료는 공사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사용한다. 가설사무실 재료는 공사 전에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사용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건설관리사무실 3.1 건설관리사무실

3.1.1 계약상대자는 건설관리사무실 위치 선정 시 발주청과 협의하여 교통소통이 양 3.1.1 계약상대자는 건설관리사무실 위치를 선정할 때에는 발주청과 협의하여 교통 [수정] 문구 수정
호하고, 공사 관리에 지장이 없는 부지를 선정하여야 한다. 소통이 양호하고, 공사 관리에 지장이 없는 부지를 선정하여야 한다.
3.1.2 건설관리사무실 가설건물 (상황실 및 기타 제반사항)은 설계도서에 규정한 대 3.1.2 건설관리사무실 가설건물 (상황실 및 기타 제반사항)은 설계도서에 규정한 대
로 시공하고, 해당노선의 도로 건설공사가 완료 될 때까지 잘 유지시켜야 한 로 시공하고, 해당노선의 도로 건설공사가 완료 될 때까지 잘 유지시켜야 한
다. 다.
3.2 감독자사무실 3.2 감독자사무실

3.2.1 감독자사무실의 건물은 내구적이어야 하며, 계약상대자가 사용하는 사무실과 3.2.1 감독자사무실의 건물은 내구적이어야 하며, 계약상대자가 사용하는 사무실과
분리되어야 한다. 분리되어야 한다.
3.2.2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사무실에 상황판, 회의용 탁자, 캐비넷, 책상, 컴퓨터, 프 3.2.2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사무실에 상황판, 회의용 탁자, 캐비넷, 책상, 컴퓨터, 프
린터, 팩시밀리, 난로, 에어컨, 텔레비전, 냉장고 등 감독자의 업무수행에 필요 린터, 팩시밀리, 난로, 에어컨, 텔레비전, 냉장고 등 감독자의 업무수행에 필요
한 비품을 비치하여야 한다. 한 비품을 비치하여야 한다.
3.3 현장 사무실 3.3 현장 사무실

현장사무실은 현장관리에 필요한 기능이 확보될 수 있는 시설이어야 한다. 현장사무실은 현장관리에 필요한 기능이 확보될 수 있는 시설이어야 한다.
3.4 현장 시험실 3.4 현장 시험실

3.4.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각종 시험을 할 수 있는 현장시험실 3.4.1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각종 시험을 할 수 있는 현장시험실
을 설치하여야 한다. 을 설치하여야 한다.
3.4.2 계약상대자는 시험실의 면적을 설계도서에 명시된 면적 이상으로 현장시험 및 3.4.2 계약상대자는 시험실의 면적을 설계도서에 명기된 면적 이상으로 현장시험 및
공사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면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공사의 품질관리에 필요한 면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3.4.3 계약상대자는 현장시험에 필요한 시험사무실, 양식함, 시료보관대, 공시체 양 3.4.3 계약상대자는 현장시험에 필요한 시험사무실, 양식함, 시료보관대, 공시체 양
생수조, 시험 작업대 및 시험기기 등을 준비하여야 한다. 생수조, 시험 작업대 및 각종 시험기기 등을 비치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3.5 기타 임시사무실 3.5 기타 임시사무실

14-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계약상대자는 장대교량의 관리사무실, 터널의 상황실, 플랜트의 관리사무실, 계 계약상대자는 장대교량의 관리사무실, 터널의 상황실, 플랜트의 관리사무실, 계
측관리실, 홍보관(정보화 비품 포함) 등이 필요 시 필요한 시설물을 확보하여야 측관리실, 홍보관(정보화 비품 포함) 등이 필요할 때에 시설물을 확보하여야 한 [수정] 한글화, 반복내용 삭제

한다. 다.
14-7 우회도로공 14-7 우회도로공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기존 도로의 종단 및 평면선형 개량, 구조물의 확장, 신설, 개량보수 이 시방은 기존 도로의 종단 및 평면선형 개량, 구조물의 확장, 신설, 개량보수
등으로 기존교통을 우회시키기 위해 시공하는 우회도로와 교량, 암거 및 횡단구 등으로 기존교통을 우회시키기 위하여 시공하는 우회도로와 교량, 암거 및 횡단
조물 시공을 위한 축도 및 가도, 가교 공사에 적용한다. 구조물 시공을 위한 축도 및 가도, 가교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총칙편 1-2-4절 1.3에 따라 해당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문구 수정
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한 후 제출하여야 한다.
1.3.2 가설구조물의 구조계산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1.3.2 가설구조물의 구조계산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우회도로 공사용 재료는 이 공사용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우회도로 공사용 재료는 이 공사용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우회도로 3.1 우회도로

3.1.1 계약상대자는 우회도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 3.1.1 계약상대자는 우회도로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
공하여야 한다. 공하여야 한다.
3.1.2 우회도로의 선형 기준은 설계속도에서 20 ㎞/hr를 감한 속도를 기준으로 한다. [삭제] 설계기준이므로 삭제

14-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3 가도의 폭원 및 포장 두께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3.1.2 가도의 폭원 및 포장 두께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3.1.4 시선유도용 반사체는 야간의 안전운행을 고려하여 충분히 설치하여야 한다. 3.1.3 시선유도용 반사체는 야간의 안전운행을 고려하여 충분히 설치하여야 한다.
3.1.5 우회도로 구간은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한다. 3.1.4 우회도로 구간은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한다. [수정] 문구수정, 원문의 “잘 되도록 ” 삭제

3.2 가교 3.2 가교

3.2.1 계약상대자는 가교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 3.2.1 계약상대자는 가교 시공계획서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3.2.2 가교의 설계하중은 DB-24, 대형공사용 기계의 상재하중, 공사용 기계의 수평 3.2.2 가교의 설계하중은 DB-24, 공사용 대형차량의 상재하중, 공사용 기계의 수평 [수정] 문구수정
하중 및 기타 유수, 파도, 바람에 의한 수평력을 기준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하중 및 기타 유수, 파도, 바람에 의한 수평력을 기준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2.3 가교의 폭원은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통소통과 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3.2.3 가교의 폭원은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교통소통과 안전운행 및 작업공간에 [수정] 문구추가
시공하여야 한다. 지장이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2.4 가교는 공용기간 중 파손이 없는 포장단면을 갖춰야 하며, 충격완화용 성토재 3.2.4 가교는 공용기간 중 파손이 없는 포장단면을 갖춰야 하며, 충격완화용 쌓기재 [수정] 용어수정
료를 500㎜두께로 시공하여야 한다. 이 때에는 재료가 유실되지 않도록 부직 료를 500 mm두께로 시공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재료가 유실되지 않도록 부
포를 설치할 수 있다. 직포를 설치할 수 있다.
3.2.5 가교의 좌·우측에는 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난간의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1m 3.2.5 가교의 좌·우측에는 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난간의 높이는 노면으로부터 1
이상으로 하고, 차량방지책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2단 이상의 강재 레일을 m 이상으로 하고, 차량방호용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2단 이상의 강재 레일을 [수정] 용어수정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여야 한다.


3.2.6 난간의 재질은 차량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구조용 3.2.6 난간의 재질은 차량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며, 구조용
강재를 용접하여 강결하고, 좌·우측을 와이어로프 등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강재를 용접하여 강결하고, 좌·우측을 와이어로프 등으로 결속하여야 한다.
3.2.7 가교의 좌·우측 난간에는 야간 반사체를 4m 간격으로 포장면으로부터 0.9 m 3.2.7 가교의 좌·우측 난간에는 야간 반사체를 4 m 간격으로 포장면으로부터 0.9 m
높이에 설치하여 차량시선을 유도하여야 한다. 높이에 설치하여 차량시선을 유도하여야 한다.
3.2.8 가교의 하부기초는 소요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시공하여 차량통행 시 침하가 3.2.8 가교의 하부기초는 소요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시공하여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수정] 자구 수정

없도록 하여야 한다. 침하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3.2.9 가교설치 시 포장노면의 계획고는 평수위(M.W.L.)를 감안하여 1m 이상 여유 3.2.9 가교를 설치할 때 포장노면의 계획고는 평수위(M.W.L.)를 감안하여 1 m 이상
고를 확보하여야 하며, 하천상의 가교 설치 시 유수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 여유고를 확보하여야 하며, 하천상의 가교를 설치할 때에는 유수의 흐름에 방 [수정] 한글화
도록 가교의 설치에 대한 관할 하천관리기관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평수위 해가 되지 않도록 가교의 설치에 대한 관할 하천관리기관과 협의 및 의견수렴 [수정] 문장 수정
(M.W.L.)에 대한 자료가 없거나 관측이 곤란한 경우 가교 설치기간을 고려한 을 하여야 한다. 평수위(M.W.L.)에 대한 자료가 없거나 관측이 곤란한 경우
설계빈도로 홍수위를 산정한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 가교 설치기간을 고려한 설계빈도로 홍수위를 산정한 후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14-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여야 한다.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3.2.10 횡단도로상의 가교는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통과높이를 확보하고 차로수 3.2.10 횡단도로상의 가교는 차량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통과높이를 확보하고 차로 [수정] 용어수정
및 폭원이 유지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및 폭원이 유지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2.11 가교의 교대부분에는 기존도로 및 접속도로의 토공부에 손상이 없도록 토류 3.2.11 가교의 교대부분에는 기존도로 및 접속도로의 토공부에 손상이 없도록 토류
벽 등 보호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벽 등 보호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2.12 가교 접속부 포장은 기존도로와 단차가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2.12 가교 접속부 포장은 기존도로와 단차가 없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3 축도 및 가도 3.3 축도 및 가도

이 시방서 6-3-1절의 규정에 따른다. 이 시방서 6-3-1절의 규정에 따른다.

14-8 기타포장 [삭제] 2009년 개정시 신설된 내용이었으나 국가 건설공사기준인


표준시방서에 반영될 만큼 표준화된 내용 및 하위 기준 등
이 없으며, 적용범위에 있어 도로법에 규정된 도로와 무관
14-8-1 일반사항 한 내용 위주로 기술되어 있으므로 삭제함.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보도, 자전거도로, 산책로, 공원도로 등의 도로포장 및 광장, 주차


장 등의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1.1.2 이 시방서는 다음의 포장형식을 포함한다.
(1) 조립블록 문양포장
(2) 자갈(콩자갈)포장
(3) 벽돌포장
(4) 흙(화강토) 경화포장
(5) 석재 및 타일포장
(6) 합성수지 포장
(7)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포장
(8) 경계블록

14-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7017 용접철망
KS F 2302 흙의 입도시험방법
KS F 2306 흙의 함수량 시험방법
KS F 2310 도로의 평판재하 시험방법
KS F 2311 현장에서의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중량 시험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방법
KS F 2320 노상토 지지력비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체를 통과하는)시험방법
KS F 2525 도로용 부순돌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28 비포장 도로용 흙골재 재료
KS F 2530 석재
KS F 2538 콘크리트포장 및 구조용 신축이음 채움채
KS F 4006 콘크리트 경계블록
KS F 4419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KS F 4910 건축용 실링재
KS L 1001 도자기질 타일
KS L 4201 점토벽돌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M 2201 스트레이트아스팔트
KS M 5322 상온형 도로표지용 도료
KS M 6951 재생고무블록
국토해양부,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국토해양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1.3 요구조건

14-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1 이행요구조건
(1) 공사 착공에 앞서 시공구역내의 지장물 유무 및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형상을
조사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2) 포장의 표면배수 기울기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다음을 적용한다.
① 보도, 자전거도로 : 1.5 ∼ 2.0%
② 광장, 주차장 : 0.5 ∼ 1.0%
(3) 포장줄눈은 설계도면에 명시된 대로 설치한다.
(4) 포장문양은 설계도면에 따르되, 필요 시 문양 예시도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
인을 받은 후에 시행한다.
(5) 착공에 앞서 시공구역 내의 지장물 유무 및 지하매설물의 위치와 형상을 조
사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1.3.2 환경요구조건
(1) 동결되거나 서리를 맞은 재료나 혼합물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 언 땅 위에 시공하거나 기층을 형성해서는 안 되며, 서리 또는 결빙으로 손상
된 포장은 이를 제거하고 재시공한다.
(3) 작업 중 비가 오거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비닐을 덮어 보호한다.
1.4 제출물

1.4.1 시공계획서
① 시공구간과 시공일시를 포함하는 일정계획
② 시험포장 계획서(필요 시)
③ 장비 사용계획서 및 다짐관리 기준 : 다짐두께, 다짐장비, 다짐횟수, 다짐속
도, 시공함수비 등
1.4.2 추가 제출물
(1) 자재 제품자료
① 골재원의 위치, 운반거리, 재료의 품질시험성과표, 일일생산량, 생산가능량
등을 포함하는 골재원 선정자료를 제출한다
② 포장의 재료 및 제조방법, 문양, 치수 등에 관한 제품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2) 샘플
① 보조기층 재료 10㎏ 이상
② 지정된 종류· 색상· 표면마감이 실제 제품과 동일하게 제작된 견본을 제출

14-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하여야 하며, 반입된 자재가 견본과 동일하여야 한다.
(3) 시험성적서
표준화된 시험성적서를 시험완료 후(의뢰시험의 경우 시험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제출한다.
(4) 납품서
자재의 출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납품서를 반입과 동시에 제출한다.
1.5 운반, 보관 및 취급

1.5.1 운반, 보관 및 취급
(1) 각종 포장재와 그 부속자재는 적정장소를 선정하여 종류별, 규격별로 보관한다.
(2) 비· 눈 또는 지표수에 젖지 않도록 하고, 오물이나 흙· 기타 재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과 시공 중에 포장재료와 골재를 보호한다.
1.6 청소

포장공사가 끝나면 깨끗이 청소하고 여분의 자재나 기타 쓰레기는 반출한다.


2. 재 료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4-8-2 조립블록문양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고압블럭, 점토블럭 등의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2. 재 료

14-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재료일반

2.1.1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블록은 KS F 4419에 적합하게 제작된 한국산업


규격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한다.
2.1.2 포장용 점토블록은 점토, 혈암 또는 기타 점토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KS L
4201에 적합한 훈련, 성형, 건조, 소성시킨 한국산업규격 표시품 또는 동등 이
상의 제품으로 한다.
2.1.3 블록 깔기용 모래의 입도는 2∼8㎜, 블록 줄눈 채움용 모래의 입도는 3 ㎜이
하를 기준으로 한다.
2.1.4 기층 및 보조기층용 골재는 견고하며, 내구적인 부순 돌 또는 부순 자갈· 기타
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하고 보조기층용 골재의 최대입경은 50㎜ 이하로 하
되, 유기물이나 불순물을 함유해서는 안 된다.
2.1.5 블록의 형상, 규격 및 색상은 설계도면에 의한다.
2.2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2.2.1 블록의 품질은 KS F 4419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2.2.2 색상은 원칙적으로 황색계통을 사용하여야 하나 상황에 따라 주변 바닥재의
색상과 구별이 용이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3. 시 공
3.1 블록깔기

3.1.1 블록을 깔기 전에 최종 바닥높이 100㎜위에 수평 및 평형을 위한 실눈을 띄


워야 한다.
3.1.2 블록을 깔지 전에 보조기층의 다짐 후 두께는 공사시방서에 명기되지 않은 경
우, 주차장 또는 차도지역은 150㎜, 보도포장지역은 100 ㎜로 한다. 이 때 다
짐도 90% 이상으로 한다.
3.1.3 블록의 설치는 보행 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설계도에 명시된 문양
으로 마감부부터 연속적으로 포설하여야 하며, 시각장애인 유도블록을 함께
설치한다. 이 때 블록과 블록 사이의 간격을 2∼5 ㎜를 기준으로 한다.

14-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곡선부위나 블록이 한 장 미만으로 설치되어야 할 부분은 규격에 맞게 제작된


것이 있으면 규격 제품을 사용하고, 없는 경우에는 절단기로 정교하게 절단하
여 잘 맞추어 미관을 좋게 하여야 한다.
3.1.5 포장용 블록의 설치 시 다짐 후 설계도에 명시된 두께가 되도록 모래를 포설
하여야 하며, 블록을 깐 직 후 작은 입도의 모래를 표면에 살포하고 비 등으
로 줄눈 안에 쓸어 넣어 줄눈 틈을 채우고 여분의 모래는 제거하여야 한다.
3.1.6 모래깔기는 1일 시공분량만큼만 깔도록 하고, 고른 모래 위로 차량이나 사람
이 통행해서는 안 된다.
3.1.7 깔기가 끝난 후 반드시 평면진동기로 바닥이 고를 때까지 다지며, 이 때 경계
석이나 인접한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3.2 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설치

3.2.1 선형블록은 유도방향에 따라 평행하게 연속해서 부설하여야 한다.


3.2.2 횡단보도 진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점형블록은 횡단보도 폭 전면에 걸쳐 보 차
도 경계석과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14-8-3 자갈(콩자갈)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자갈(콩자갈)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2. 재 료
2.1 자갈(콩자갈)

콩자갈은 마모에 잘 견디는 자연 그대로의 질감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원산지


공장에서 세척하여 건조된 지름 5∼8 ㎜의 것을 사용한다.

14-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1 공사준비

3.1.1 표층을 지지하는 하부층의 구조 및 재료는 일반 토목공사 시방에 따라 목적에


적합한 강도와 충분한 다짐으로 안정된 지반이 되도록 시공한다.
3.1.2 보조기층 조성은 이 시방서 8-2 보조기층의 3.시공에 따른다
3.2 콘크리트 타설

3.2.1 콘크리트 층은 요철이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마무리 한다.


3.2.2 콘크리트층 표면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경사를 두어 시공한다.
3.2.3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수축줄눈 작업을
한다.
(1) 수축줄눈의 간격은 5m×5m를 기준으로 한다.
(2) 하층 콘크리트 포장이 이형구조물 또는 구조물과 접하는 부위에는 반드시 수
축줄눈을 고려한다.
3.3 자갈(콩자갈)포장재 타설

3.3.1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의 오일, 먼지 등을


제거한다.
3.3.2 자갈(콩자갈)박기의 경우 붙임모르타르 시공과 병행하여 노출되는 자갈의 높
이가 일정하도록 박아 나간다.
3.3.3 모르타르와 혼합하여 포설할 경우 상부 면이 평탄하게 하며, 완전히 경화되기
전 씻어내기를 하여 노출되는 면이 자연스럽도록 시공한다.
14-8-4 벽돌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4-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1 이 시방서는 벽돌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2. 재 료
2.1 포장용 벽돌은 KS L 4201에 규정된 기준 이상이어야 한다.

3. 시 공
3.1 모래포설 및 다짐

3.1.1 원지반 다짐 후 50∼80㎜ 두께로 모래를 깔고 물을 살포한 후 평면진동기를


사용하여 3∼4회 다진다.
3.1.2 굵은 실과 말뚝으로 최종높이를 정한 후 양쪽의 레일을 따라 긴 판자를 사용
하여 모래를 잘 고르고 평면을 맞춘다.
3.1.3 평면을 맞춘 모래위로 사람이 통행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모래포설은 하루
에 벽돌을 시공할 수 있는 만큼 깔아야 한다.
3.2 벽돌 깔기

3.2.1 평면을 맞춘 모래 위에 한 줄씩 벽돌을 놓는다.


3.2.2 벽돌의 간격은 2∼3㎜를 유지하며, 작업이 끝나면 가는 모래를 표면에 골고루
깔고 벽돌 사이의 이음공간에 모래가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빗자루로 쓸어 넣
는다.
3.3 정리 및 평탄 작업

3.3.1 벽돌을 깐 후 24시간 경과 후 바닥을 깨끗이 쓸어낸다.


3.3.2 가는 모래를 또 한번 바닥 위에 깔고 이음공간을 완전히 채운 후 마지막으로
정리한다.
3.4 배수

3.4.1 벽돌 시공 시 물의 흐름은 건축물을 향하게 하지 말아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


물의 흐름이 건축물 주위에 도달하기 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배수구를 만들어
준다.

14-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4-8-5 흙(화강토)경화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화강토 보관 시 강우 또는 비산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덮개가 있고 작업에 방


해가 되지 않는 일정 장소에 보관하여야 한다.
1.1.2 화강토 및 혼합토 포장은 토공사 및 인접한 배수시설과 구조물 공사가 완료된
다음에 실시하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감독자와 협의하여 배수시설을 설치하
고 설계변경에 반영할 수 있다.
1.1.3 이 시방서는 흙(화강토) 경화포장 공사에 적용한다.
2. 재 료
2.1 재료 일반

2.1.1 화강토는 점토량이 많거나 유기질토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풍화가 낮은 화


강암질 풍화토인 양질의 토양을 사용한다.
2.2 화강토

2.2.1 화강토는 화강암이 풍화된 것으로 5㎜체(No.4)를 통과하는 입도를 가져야 하


며, 골재성분이 고루 함유되어 다짐과 배수가 용이하여야 한다.
2.2.2 먼지, 점토, 유기불순물 등이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2.3 혼합용 흙재료

2.3.1 혼합하여 사용될 원지반 토질은 점토 성분이 과다하거나 사력, 암 또는 유기


물함량이 과다하게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2.3.2 위 항에 해당되는 경우 계약대상자는 감독자와 협의 하에 포장에 적합한 양질
토사를 필요량만큼 치환하거나 추가 부설할 수 있다.
2.4 경화용 혼합재

14-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1 경화용 혼합재료는 공사시방서 또는 제조업체의 제품시방서에 따른다.
3. 시 공
3.1 시공준비

3.1.1 소정 높이 및 횡단면이 일치하고 기층의 다짐은 이 시방서 8-3에 따른다.


3.1.2 포설하기 전에 기층이 연약하거나 용수로 인하여 하자 발생이 우려되는 부위
는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보강 처리하여야 한다.
3.2 혼합

3.2.1 혼합비는 설계에 의한 중량 배합비에 의하며, 포설 시 자연건조 함수량 1∼1.5


%의 함수량을 가하여 집중 혼합방식으로 흙 혼합용 믹서기로 정확히 혼합
하여야한다.
3.2.2 혼합 시 돌 또는 흙덩이의 체가름을 위하여 20㎜ 이내의 체를 믹서기 흙 투
입구에 부착하여 상기 체에 통과한 것만으로 혼합하여야 한다.
3.2.3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정확히 혼합한 것을 10 a 당 1회 이상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현장 혼합물을 공시체(몰드)로 만들어 일축압축 강도시험 (3일 강도, 7일
강도)을 하도록 한다.
3.3 포설

3.3.1 포설에 사용하는 장비 및 기구는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장비 및 기구여야 한다.


3.3.2 전압 시 포설의 두께는 30%의 전압을 받으므로 설계두께(주어진 포장두께)에
30%를 가한 두께로(150㎜ 시 195㎜의 두께) 균일하게 포설하여야 한다.

3.3.3 포설 시 잔돌이나 잔 흙덩이가 위 면에 오르지 않게 하기 위하여 도구를 이용


하여 표면을 곱게 고르게 골라야 한다.
3.4 다짐

3.4.1 다짐은 한번 다진 다음에 덧씌워 재다짐하여 박리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야 한다.

14-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2 재료를 균일하게 포설하여 롤러 다짐으로 최대건조밀도 90 %이상의 다짐이
되어야 한다.
3.4.3 다짐은 혼합 후 2∼3시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한다.
3.4.4 다짐 시 다짐 롤러는 너무 무거운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탠덤롤러나 콤비
롤러 3.5ton 내지 4.5ton 롤러 사용이 최적임)
3.4.5 화강토층이나 다짐대상지반이 과다 또는 과소 함수비일 경우 최적 함수비상태
의 작업이 되도록 흙 말림 또는 살수 후 에 다짐하여야 한다.
3.4.6 집수정, 구조물 주변 등과 같이 다짐이 어려운 지역은 소형 평면다짐기 또는
인력다짐으로 철저히 다져야 한다.
3.5 시공이음 및 줄눈

3.5.1 매일 작업이 완료된 때에는 전압 다짐 완료 후 수직으로 절단하여 다음 시공


할 부분의 포설다짐을 할 때에 이미 기 시공한 부분의 손상이 되지 않도록 주
의하여야 한다.
3.6 마무리

3.6.1 본 포장은 설계도면에 표시된 경사 및 횡단면과 일치 되도록 마무리되어야 한다.


3.6.2 완성된 마무리표층 두께는 ±10% 이상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되며, 이 이상의
얇은 부분은 파내고 재시공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6.3 포장마감면 조성 시 주변경계블록 계획고 및 포장계획고를 감안하여 필요한
경우 감독자의 승인에 따라 자연스런 표면배수경사가 되도록 조정한다.
14-8-6 석재 및 타일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석재, 타일, 판석 등의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2. 재료

14-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석재

2.1.1 포장용 석재는 KS F 2530에 규정된 기준 이상이어야 하며, 내구적이고 흠이


없는 석재로 가공· 제작된 것으로 한다.
2.2 타일

2.2.1 타일은 금이나 박리층, 갈라짐, 깨어짐 등이 없는 한국산업규격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으로 한다.
2.3 줄눈재

2.3.1 줄눈용 판재는 폭 10㎜의 육송판재로 한다.


2.3.2 포장줄눈용 실링재는 KS F 4910의 규정에 적합한 것으로 용도 및 피착재의
종류에 적합하여야 한다.
2.3.3 채움재는 KS F 2538의 규정에 적합한 신축이음 채움재로 한다.
3. 시공
3.1 콘크리트타설

3.1.1 원지반 다짐 후 콘크리트 포장에 준하여 지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


생한 후 모르타르를 지정두께로 발라 바탕면을 만든다. 이 때 지반이 연약한
곳은 콘크리트 치기할 때 용접철망(wire mesh)으로 보강한다.
3.2 판석깔기

3.2.1 고름 모르타르 바탕위에 붙임 모르타르를 펴고 기준틀에 따라 판석을 깔고 모


르타르가 잘 밀착되도록 고무망치로 두들겨 넣고 수평되게 한 후 판석 사이에
붙임 모르타르를 빈틈없이 채워 넣어 마무리한다.
3.3 포석깔기

3.3.1 포석은 바탕 모르타르가 굳기 전에 세척된 포석을 올려 놓고 밀착되게 가볍게


두들겨 넣고 모르타르가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물을 뿌려 포석을 고정시킨
다음 연결 모르타르로 줄눈 채움 작업으로 마무리한다.

14-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4 타일붙이기

3.4.1 바탕면 청소 및 물 축임 후 붙임 모르타르를 펴고 기준에 따라 타일을 붙여


붙임 모르타르가 배어나올 정도로 고무망치로 가볍게 두들겨 줄눈이 바르고
수평되게 붙여나간다.
3.5 팽창줄눈

3.5.1 팽창줄눈은 기초콘크리트의 팽창줄눈에 맞게 나누기 하고, 백업재(발포성합성


수지)를 채운 뒤에 실링재(sealant)를 충진하여 마무리한다.
3.5.2 수축줄눈은 포장면 상단에서 명시된 깊이까지 절단하고, 절단된 내부를 깨끗
이 청소하고 완전히 건조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3.6 마무리

3.6.1 석재나 타일 마감 후 표면에 묻은 모르타르를 닦아내고, 양생될 때까지 통행


을 금한다.

14-8-7 합성수지포장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칼라세라믹 포장, 자연자갈수지 포장 등의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2. 재료
2.1 재료 일반

2.1.1 합성수지포장에 사용하는 재료는 한국산업규격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


으로 한다.
2.2 칼라세라믹(색조)포장

14-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1 칼라세라믹의 유색골재는 천연 또는 인공의 유색골재를 사용하되, 마모에 잘
견디는 자연 그대로의 질감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원산지 공장에서 세척하여
건조된 것을 사용한다.
2.2.2 골재를 접착시켜는 에폭시계 수지바인더는 탄소 결합구조가 선형구조로 연결
되어 있는 것으로 경화제와 하도제를 함께 사용한다.
2.2.3 색소는 설계서에 지정된 색상으로 하되, 사용품질에 지장이 없고 시공 후 탈
색 또는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물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색소
를 사용하여야 한다.
2.3 자연자갈

2.3.1 자연자갈의 수지 포장 사용되는 자갈은 입도가 균일하고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은 세척된 제품이어야 한다.
2.3.2 골재를 접착시키는 에폭시계 수지바인더는 탄소 결합구조가 선형구조로 연결
되어 있는 것으로 경화제와 하도제를 함께 사용한다.
3. 시공
3.1 시공조건

3.1.1 표층을 지지하는 하부층의 구조 및 재료는 일반 토목공사 시방에 따라 목적에


적합한 강도와 충분한 다짐으로 안정된 지반이 되도록 시공한다.
3.1.2 보조기층 조성은 이 시방서 8-2에 따른다.
3.1.3 표층과의 접착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콘크리트층 표면에는 오일, 먼지, 레이턴
스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3.1.4 콘크리트층은 가능한 ±2 ㎜정도의 요철을 가진 거친 면 마무리 상태가 되도록
한다.
3.1.5 콘크리트층 표면을 배수가 용이하도록 경사를 두어 시공한다.
3.1.6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수축줄눈 작업을
한다.
(1) 수축줄눈의 간격은 5m×5m를 기준으로 한다.

14-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하층 콘크리트 포장이 이형구조물 또는 구조물과 접하는 부위에는 반드시 수
축줄눈을 고려한다.
3.2 작업준비

3.2.1 시공 전 일기상태, 자재확보, 장비, 인원 등을 확인한다.


3.2.2 다양한 색상이 요구되는 디자인 시공일 경우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작업
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3.2.3 작업 후 완전 양생까지 작업장 내 출입금지 구역을 조성한다.
3.2.4 시공 시 매 공정마다 온도 및 소요시간을 점검하여 기록한다.
3.2.5 시공 도중 갑작스런 기후 변동을 감안하여 비닐, 보온용 천막 등을 준비한다.
3.3 시공순서

3.3.1 형틀작업
형틀작업은 원하는 디자인으로 매끄러운 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유
연한 고무재료를 콘크리트 면에 본드 또는 못박기를 하여 완전히 고정시킨다.
3.3.2 프라이머(primer) 도포
(1) 수분 및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롤러(fiber roller)를 사용하여 표면에 고르게
도포 한다.
(2)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은 최대 8%이하여야 한다.
(3) 프라이머(primer)는 가연성, 휘발성이 크므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한
다.
3.3.3 자연석 콩자갈 (칼라세라믹) 포장재 제조
(1) 현장 믹서기의 용량 및 포장 소요량을 감안하여 골재와 수지 바인더를 혼합
비율에 따라 각각 계량한다.
(2) 계량된 수지 바인더에 경화제를 혼합비율에 따라 투입한 후 핸드믹서기로 1
∼2분정도 혼합한다.
(3) 계량되어 믹서기에 투입한 골재(자연콩자갈, 칼라세라믹)에 위에서 제조된 혼
합 수지 바인더를 투입한 후 믹서기를 가동시켜 약 2∼3분 가량 혼합한다.
(4) 수지 바인더의 경화시간에 유의하여 작업의 신속· 정확성을 기하여야 하며,

14-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경화제 및 주제의 계량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
(5) 색상이 다른 골재의 혼합이 계속 진행될 경우 믹서기 내의 잔유물을 완전히
제거 하여야 한다.
(6) 수지바인더와 골재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을 경우 시공 후 골재의 탈리 현상
이 발생하므로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3.3.4 포설 및 미장작업
(1) 운반된 골재를 깨끗한 T형 가래 등으로 일단 펼침을 하고 스테인리스 미장칼
로 표면 평탄작업을 한다.
(2) 포장면적이 넓을 경우(동일색의 포장면적 기준) 기계식 자동/다짐 피니셔를
사용하면 작업효율이 좋다.
(3) 넓은 지역의 바닥포설에 있어 일정 두께의 균일한 포장을 위하여 수평판 (두
께 10 ㎜, 폭 50 ㎜)을 이용하며,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골재의
혼합시간과 미장작업 속도를 감안하여 작업인력을 배치한다.
(4) 표면 미장작업을 할 때 미장칼 등 마감 기기들은 포장 혼합물과의 부착방지
를 위해 이형제로 닦으면서 작업한다.
(5) 미장방식은 수직방향으로 톡톡 두드리며 다짐을 하고, 평탄면 조성을 위해 수
평방향의 힘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각진 부분, 경계석, 색 경계 부근에
서는 수직방향으로 압착하면서 미장하도록 한다. 표면 레벨(level)이 평탄하
게 되도록 하여야 하며, 레벨이 낮은 곳은 경화가 진행되기 전에 골재 보충
후 압착마감 처리토록 한다.
(6) 운반된 골재 혼합물은 20∼25분 내에 미장을 완료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골재 혼합물이 서서히 경화되기 때문에 미장에 지장이 있다.
3.3.5 양생
(1) 경화시간동안 사람, 차량, 기타 동물 등의 통행이 금지되도록 금지 구역을 조
성한다.
(2) 양생시간동안 비닐이나 얇은 천막으로 덮어 탑코팅(top coating) 시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로부터 표면을 보호하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습기 생성을 방
지한다.
(3) 경화시간은 반드시 준수하며, 양생시간은 온도별로 표 14-10 에 준한다.
표 14-10 표면온도에 따른 양생시간

14-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온도 (℃) 양생시간 (hr) 온도 (℃) 양생시간 (hr)
5 26 25 8
10 22 30 6
15 18 35 4
20 12 40 2
(주) 상기 양생시간은 형틀제거 및 초기 보행 가능시간으로 완전 개방을 의미하지 않는다.

(4) 시공 직후 족적이나 흠집이 생긴 경우에는 미장용 칼로 흠집부위를 수정한다.


(5)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을 시는 경화가 완전히 된 후 덮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포장면 수지바인더와 비닐· 천막이 부착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완전양
생이 안 될 경우는 지지대를 통해 포장면과 비닐· 천막의 통풍 공간을 유지
하여 비닐과 수지 바인더 부착을 방지하며, 습기 생성도 방지한다.
3.3.6 탑코팅 (top coating) 작업
(1) 표층의 표면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양생 후 무첨가제 순수 액상 경화제를
혼합한 코팅제로서 1차 0.3㎏/㎡으로 표면을 도포한다.
(2) 탑코팅은 1차· 2차에 걸쳐 실시하며, 시기는 양생시간 경과 후 바로 실시한다.
(3) 탑코팅 후 개방까지의 경화시간은 최대 1일 유지한다.
(4) 경화시간이 짧은 점을 감안하여 코팅재를 1회에 많은 양을 제조하지 않도록
한다.
(5) 탑코팅은 전체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주의한다.
3.3.7 줄눈작업
(1) 하층 콘크리트 수축줄눈과 일치되게 직선 컷팅을 하며, 컷팅된 부분은 실리콘
과 같은 실란트로 틈메움을 한다.
(2) 컷팅 주위가 컷팅 시 발생되는 세라믹 흰가루로 오염되지 않게 물을 뿌려가
면서 컷팅을 한다.
3.4 기구정리 및 주변정리

3.4.1 사용한 장비 및 기구는 아세톤 등으로 깨끗이 닦아준다.


3.4.2 사용 후 남은 자재(골재, 수지바인더, 경화제, 아세톤)는 관련 법규나 규정에
의거 폐기 처분한다. 아세톤 및 수지바인더· 경화제 등은 화기(특히 담배불)에
가까이 하지 않도록 하며, 외부 접촉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물로 깨끗이 닦는
다.

14-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5 보수 및 재시공

3.5.1 부분철거 및 복원
(1) 포장지역에서 철거 및 복원할 지역을 커터기로 매끄럽게 컷팅하여 하부층까
지 철거한 후 복원 시에는 하층부 다짐을 이 시방서 8-2 보조기층에 따라 다
짐하며 하여 부분 지반 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한다.
(2) 지역여건에 따라 수지바인더는 속경화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2 표층골재의 부분이탈
(1) 탈리된 골재를 완전히 제거한다.
(2) 동일한 색상의 신규 소재를 수지바인더와 혼합하여 1차 2/3정도 채우고 경화
시킨다.
(3) 나머지 1/3 부위는 가능한 좀 더 세밀한 입자의 골재를 사용하여 채우고 탑
코팅 후 경화시킨다.
3.5.3 표층의 부분훼손
(1) 소형 커터기로 파손된 표층을 절단한 후 하층상태를 점검한다.
(2) 하층상태가 양호한 경우 부분철거 및 복원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원한다.
3.5.4 표층 및 하부층의 파손
(1) 소형 커터기로 표층의 파손부위를 절단한 후 하층상태를 점검한다.
(2) 하층의 파손 또는 크랙부위 전체를 커터기로 절단 제거한 후 보조기층 다짐부
터 재시공 한다. 이 때 절단부위 둘레에는 필히 수축줄눈을 고려하도록 한다.
3.5.5 표층 미세크랙 (1.0 ㎜이하)
(1) 표층을 컷팅하지 않고 속경화성 수지 바인더를 통째로 주입하여 골재의 탈리
진행을 방지한다.
(2) 칼라세라믹 포장의 동일 색상의 칼라세라믹 분말을 수지바인더와 혼합하여
틈메움을 할 수 있다.
3.5.6 표층 백화현상
(1) 플라스틱과 같은 약간 거친 솔로 물청소하고 표면을 완전 건조시킨 후 탑코
팅 한다. (도포량은 0.05 ㎏/㎡)
14-8-8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1. 일반사항

14-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보도, 자전거도로, 산책로, 공원도로 등의 도로포장 및 광장, 주차


장 등의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사에 적용한다.
2. 재료
2.1 기층용 재료는 단입도의 부순돌을 사용한다.
2.2 아스팔트는 KS M 2201에 의한 침입도 60∼100의 포장용 석유아스팔트를 사용
하되, 혼합물 전체 무게에 대한 아스팔트비율이 3.5∼5.5% 범위 내에 있어야 하
며, 투수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는 제조업자의 기준에 따른다.
2.3 콘크리트용 재료의 품질은 콘크리트공에 의하며, 굵은 골재 최대치수 19㎜· 공
극률 8% 이상으로 하여 설계기준강도가 180㎫이상이어야 한다.
2.4 색소는 설계서에 지정된 색상으로 하되, 사용품질에 지장이 없고 시공 후 탈색
또는 강도의 저하가 없으며, 물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없는 색소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지반조성

3.1.1 노상토가 설계상의 것과 상이할 때 또는 상태가 나쁠 때에는 환토하여야 하


며, 노상면은 깨끗하게 정리한다.
3.1.2 모래 및 화강풍화토층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롤러 및 콤팩트 등으로 전압한다.
3.1.3 부순돌 골재층은 재료의 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기계를 사용하여 충분히 전압
한다.
3.1.4 표층의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설하기 전에 노반을 깨끗이 정리하여야
하며, 포설 및 전압 시 온도의 저하에 대한 고려를 하여야 한다.
3.2 포설

3.2.1 포설은 그 하층표면이 젖어 있을 때 시공하여야 하며, 비가 올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14-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2.2 혼합물은 재료의 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포설하여야 하며, 롤러 등
의 기계를 사용하여 신속히 전압하여 평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마무리 면은
20m마다 임의 1점에 있어서 두께 차이가 9㎜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3.2.3 투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할 경우 주변의 토사유입으로 인하여 투수공
이 막혀 투수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경계부에 경계석을 설치하여야 하며, 경
계석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주변의 토사 유입으로 인하여 투수공이 막혀 투수
효과가 저하되지 않도록 다소 높게 시공한다.
3.2.4 마무리면은 20m 마다 임의의 1점에 있어서 두께 차이가 9㎜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3.2.5 양생은 최종전압 완료 후 최소 24시간 동안 마감면 위에 하중에 의한 통행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14-8-9 경계블록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1 이 시방서는 경계블록 등 포장의 경계부시설의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2. 재료
2.1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KS F 4006의 규정에 적합한 한국산업규격 표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제품이어야 한다.
2.2 화강석 경계블록은 KS F 2530에 의한 화강석 재질로 균열이나 결점이 없어야
한다.
2.3 조경 경계블록은 KS F 4419의 규정에 따라 보· 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
록에 준하여 제작된 제품으로 한다.
2.4 인조화강석 경계블록은 제조업체의 제품시방서에 따른다.

3. 시공

14-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 목재류, 강재류, 합성수지류 등의 각 재료별 경계처리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3.2 곡선부위는 미관을 고려하여 곡선형 제품을 사용한다.

3.3 도로경계석은 차량의 바퀴가 올라설 수 없는 높이로 한다.

3.4 서로 다른 재료의 연결부에서는 재료의 뒤섞임이 생기지 않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3.5 경계블록의 마무리면은 평탄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줄눈 모르타르의 강도가 충


분히 확보된 후가 아니면 경계블록의 뒤채움을 해서는 안된다.

14-9 가드펜스 14-8 가드펜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에 연도 주민이나 동물의 진출입을 규제하고 오물을 방지코자 이 시방은 도로에 연도 주민이나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가 [수정] 문장 수정
설치하는 가드펜스 공사에 적용한다. 드펜스 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삭제


KS D 3552 철선 KS B 1002 6각 볼트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B 1012 6각 너트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6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KS B 1002 육각 볼트 KS D 7018 체인링크 철망 [수정] 참조표준 수정
KS B 1012 육각 너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3에 따라 이 절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 1.3.1 이 시방서 총칙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4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 [수정] 문구 수정
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획에 맞추어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14-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네 트 2.1 네 트

2.1.1 네트는 KS D 3552에 적합한 #10 철선을 사용하며, 철선은 설계도서에 명시한 2.1.1 네트는 KS D 7018에 적합한 체인링크 철망을 사용한다. [수정] 문장 수정

규격으로 하여야 한다. 2.1.2 철망의 철선은 지름 2.5 mm ∼ 4.0 mm 이상의 제품으로서 아연도금 이상의 [수정] 문장 수정

2.1.2 네트의 철선은 녹색 염화비닐 코팅 또는 은색 아연용융도금 등을 사용하여야 방청대책이 완비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며, 코팅이나 도금방법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1.3 네트의 폭에 대한 허용오차는 네트 양단간의 길이를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25㎜ 이내이어야 한다.
2.2 지 주 2.2 지 주

2.2.1 지주는 그 형태· 무게· 길이 및 단면이 설계도서와 일치하여야 하며, 재질은 2.2.1 지주는 KS D 3566 중 SPS400 이상의 용융아연도금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 [수정] 문장 수정
KS D 3566 중 SPS400 이상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2.2.1 지주에 대한 아연도금이나 도장 등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2.2 구체적인 규격은 설계도서에 따른다.
2.3 기타 자재 2.3 기타 자재

2.3.1 기타 자재는 프레임, L-볼트, S-후크 프레임 스트라이크 등이 있다. 2.3.1 볼트는 KS B 1002, 너트는 KS B 1012에 적합한 제품으로서 녹 방지를 위 [수정] 문장 수정
2.3.2 프레임은 KS D 3512에 규정된 재질의 강판을 사용하여야 하며, 성형 절단 시 하여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질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2.3.2 기타 자재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2.3.3 L-볼트· S-후크 등의 형태는 설계도서에 따라야 하며, 볼트는 KS B 1002· 너
트는 KS B 1012에 적합하고, 녹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3.1 시공일반 3.1 시공일반

3.1.1 네트는 동일 제조회사의 제품을 사용하여 형태 및 색상이 동일하도록 하여야 3.1.1 지주와 철망 및 기타 부속품은 서로 일체가 되도록 견고히 고정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한다.
3.1.2 프레임 스트라이크는 프레임의 돌출부분을 눌러서 조립하였을 때 프레임이 지
주에 밀착 되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3.1.3 기초 콘크리트는 치기 시 재료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1.2 기초 콘크리트는 타설할 때 재료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14-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1.4 가드펜스는 설치 목적에 적합하도록 현장 지형조건을 상세히 조사하여 시공하 3.1.3 가드펜스는 설치 목적에 적합하도록 현장 지형조건을 상세히 조사하여 시공하
여야 한다. 여야 한다.
3.1.5 기초의 상단면은 지면으로부터 100㎜ 정도 돌출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3.1.4 기초 콘크리트의 상단면은 지면으로부터 30 mm 정도 돌출되도록 시공하여 [수정] 내용 수정

야 한다.

14-50
도로공사표준시방서
- 제 15 장 공사용 재료 -
(2015. 5. / 중심위용 신구대비표)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제15장 공사용 재료 제 15 장 공사용 재료


15-1 시 멘 트 15-1 시 멘 트
15-2 역 청 재 15-2 역 청 재
15-3 골 재 15-3 골 재
15-3-1 콘크리트용 골재 15-3-1 콘크리트용 골재
15-3-2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골재
15-3-2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15-3-3 스크리닝스
15-3-3 스크리닝스 15-3-4 순환골재 [신설]
15-4 시멘트 콘크리트 15-4 시멘트 콘크리트
15-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5-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5-6 혼화재료 15-6 혼화재료
15-7 줄눈재료 15-7 줄눈재료
15-8 콘크리트 양생재
15-8 콘크리트 양생재 15-8-1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피막 형성제
15-8-1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형성제 15-8-2 분리막
15-8-2 분리막 15-9 말 뚝
15-9 말 뚝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15-10-1 일반철근
15-10-2 에폭시 피복 철근
15-10-1 일반철근 15-11 PS 강재
15-10-2 에폭시 피복 철근 15-12 구조용 강재
15-11 PS 강재 15-13 리 벳
15-12 구조용 강재 15-14 고장력 볼트
15-13 리 벳 15-15 도 료
15-14 고장력 볼트 15-15-1 노면 표시용 도료
15-15-2 미끄럼방지포장
15-15 도 료 15-15-3 강교용 방청도료 [신설]
15-15-1 노면 표시용 도료 15-15-4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 [신설]
15-15-2 미끄럼방지포장 15-15-5 아연 알루미늄 용사 [신설]
15-16 도로표지 도료용 유리알 15-15-6 터널 내오염 도장 도료 [신설]
15-16 도로표지 도료용 유리알
15-17 콘크리트용 표면보호재료 [신설]

제 15 장 공사용 재료 제 15 장 공사용 재료
15-1 시 멘 트 15-1 시멘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토목공사에 사용하는 시멘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은 도로공사에 사용하는 시멘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이하 전체 통일), 도로공사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5- 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L 5101 시멘트의 시료채취 방법 KS L 5101 시멘트의 시료 채취 방법

KS L 5105 수경성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KS
L
L
5105 수경성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ISO 679 시멘트의 강도시험 방법 [추가]
KS L 5106 공기투과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방법 KS L 5106 공기 투과 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 방법

KS L 5107 시멘트의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방법 KS L 5107 시멘트의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 방법

KS L 5108 비카 침에 의한 수경성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방법


KS L 5108 비카트 침에 의한 수경성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 방법 [수정] 용어 수정

KS L 5117 표준체 90㎛에 의한 시멘트 분말도 시험방법 [관계기관의견 반영] 밑줄 삭제

KS L 5120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 분석 방법 KS


KS
L
L
5120
5121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 분석 방법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열 시험 방법
KS L 5121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열 시험방법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5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205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시 시멘트

KS L 5210 고로슬래그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시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1.3 제출물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류를 작성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해당 내용 수정
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포장 및 운반
2.1 포장 및 운반

포대시멘트는 KS A 1542 · KS A 1543· KS A 1553 또는 시멘트 포장에 적합한


포대에 넣어 실무게 40㎏으로 포장하여야 하며, 포장시멘트는 지대 바깥면에,
포대시멘트는 KS T 1065, KS T 1066, KS T 1073 또는 시멘트 포장에 [수정] 해당내용 수정
적합한 포대에 넣어 실무게 40 kg으로 포장하여야 하며, 포장시멘트는 지
비포장 시멘트는 납품서에 시멘트의 종류· 제조자 명· 상표· 실무게 및 제조년 대 바깥면에, 비포장 시멘트는 납품서에 시멘트의 종류 · 제조자 명 · 상표 ·

월일 또는 출하년월일을 명시하여야 한다. 시멘트를 차량으로 장거리 운반할 때 실무게 및 제조년월일 또는 출하년월일을 명기하여야 한다. 시멘트를 차
량으로 장거리 운반할 때에는 방습포 등으로 씌워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
에는 방습포 등으로 씌워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비포장 시 도록 하여야 한다. 비포장 시멘트는 방수, 방풍이 된 전용시설에 수용하
멘트는 방수, 방풍이 된 전용시설에 수용되어야 한다. 여야 한다.

2.2 저 장
2.2 저 장

2.2.1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이로 또는 창고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


2.2.1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이로 또는 창고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15- 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2 시멘트 사일로(silo)의 용량은 1일 평균 작업량의 3일분 이상을 저장 할 수 있 2.2.2 시멘트 사이로의 용량은 1일 평균 작업량의 3일분 이상을 저장할 수

는 크기이어야 한다.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2.2.3 포대시멘트는 지상 300 ㎜이상 되는 마루에 쌓아올려서 검사나 반출에 편리하 2.2.3 포대시멘트는 지상 300 mm 이상 되는 마루에 쌓아올려서 검사나 반
출에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쌓는 포대수는 12포대 [수정] 13포대 → 12포대
도록 배치하여 저장하여야 하며, 13포대 이상 쌓아 올려서는 안 된다. 이하이어야 한다.

2.2.4 저장 중에 약간이라도 굳은 시멘트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제조일로부터 3개월이 2.2.4 저장 중에 약간이라도 굳은 시멘트를 공사에 사용해서는 안 되며, 제
상 저장한 시멘트는 사용하기 전에 시험을 실시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여야 한다. 조일로부터 3개월 이상 된 시멘트는 사용하기 전에 시험을 실시하여

2.2.5 포대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야적하고자 할 때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그 품질을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에 방습포로 덮어야 한다. 2.2.5 포대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야적하고자 할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때에는 방습포로 덮어야 한다.
2.2.6 벌크시멘트는 저압력(3.528N∼6.958N)에서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20m 높이
까지 배출해 낼 수 있는 공기압 벌크탱크에 저장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벌크 2.2.6 벌크시멘트(bulk cement)는 저압력(0.035 MPa ~ 0.070 MPa)에서도 [수정] 영문표기, 단위표기 수정

탱크는 중력에 의하여 계량홉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급적 높게 설치하여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20 m 높이까지 배출해 낼 수 있는 공기압 벌크
탱크에 저장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벌크탱크는 중력에 의하여 계량
하며, 외기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적절한 온도장치를 하여야 한다. 홉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급적 높게 설치하여야 하며,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적절한 보온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2.3 검 사 2.3 검 사

2.3.1 모든 시멘트는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2.3.1 모든 시멘트는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2.3.2 계약상대자와 시멘트 공급자는 시료 채취 및 검사에 필요한 모든 시 [수정] 자구 수정
2.3.2 계약상대자는 시료채취 및 검사에 필요한 모든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2.3.3 최초검사에 합격한 시멘트일지라도 품질의 변동이 예상되어 재시험을 한 결


2.3.3 검사에 합격한 시멘트일지라도 품질의 변동이 예상되어 재시험을 한 [수정] 자구 수정
결과, 품질 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시멘트로 대체하여야
과, 품질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시멘트로 대체하여야 한다. 한다.

2.4 시멘트의 종류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 참조, 내용 전면 수정


2.4 시멘트의 종류

시멘트의 종류는 대단히 많기 때문에 완전히 분류하기가 어렵다. 시멘트는 혼합 시멘트는 혼합재의 유무, 화학 성분의 함유량 내지는 혼합 상태에 따라 표 [삭제] 불필요한 문장 삭제

재의 유무, 화학성분의 함유량 또는 혼합상태에 따라 표 15-1과 같이 구분한다.


15-1-1과 같이 구분한다. [수정] 표 번호

표 15-1-1 시멘트의 종류
표 15-1 시멘트의 종류

15- 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구 분 종 류 관련규격 구 분 종 류 비 고
1종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1)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종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1)
포틀랜드 3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KS L 5201 2종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시멘트1) 포틀랜드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4종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3종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5종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시멘트1)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KS L 5201
4종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특수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 5종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 KS L 5205


형)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KS L 5204
실리카 시멘트 - 특수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 KS L 5205

혼합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 애시 시멘트
KS L 5210
KS L 5211 혼합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시 시멘트
KS L 5210
KS L 521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KS L 5401 저열 혼합시멘트 - [추가] 저열 혼합시멘트 추가
1)
주 1) ( )의 저 알칼리형은 KS L 5201의 부속서에 따라 부기한 것이다. 주 ( )의 저알칼리형은 KS L 5201의 부속서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에 따라

2.4.1 포틀랜드 시멘트 부기한 것이다.

KS L 5201의 규격에 의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말한다. 포틀랜드 시멘트는 2.4.1 포틀랜드 시멘트

표 15-1과 같은 종류가 있으며, 품질은 표 15-2 및 15-3에 적합하여야 한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리 성능은 표 15-1-2, 화학성분은 [수정] 문장 및 표 내용 수정
표 15-1-3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2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성분 표 15-1-2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리 성능

종 류 1 종 2 종 3 종 4 종 5 종
종류
1종 2종 3종 4종 5종
항 목 항목

분말도
비 표면적 (Blaine)
2800 이상 2800 이상 3300 이상 2800 이상 2800 이상
(㎠/g)

산화마그네슘(MgO) (%) 5.0이하 5.0이하 5.0이하 5.0이하 5.0이하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0.8 이하 0.8 이하 0.8 이하 0.8 이하 0.8 이하

삼산화황(SO3) (%) 3.5이하 3.0이하 4.5이하 3.5이하 3.0이하


안정도
르샤틀리에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Lechatelier) (mm)

강열 감량 (%) 3.0이하 3.0이하 3.0이하 3.0이하 3.0이하 비카트


초결 (분) 60 이상 60 이상 45 이상 60 이상 60 이상

C3S (%) 50이하


응결시간
시 험
종결(시간)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10 이하

C2S (%) 40이상 수화열 7일


-
290 이하
-
250 이하
-
(J/g) 28 일 340 이하 290 이하

C3A (%) 8 이하 6.0이하 4.0이하 1일 - - 10.0 이상 - -


압축강도 3일 12.5 이상 7.5 이상 20.0 이상 - 10.0 이상

전 알칼리 1) 2) (%) 0.6이하 0.6이하 0.6이하 0.6이하 0.6이하 MPa


(N/mm2)
7일
28 일
91 일
22.5 이상
42.5 이상
-
15.0 이상
32.5 이상
-
32.5 이상
47.5 이상
-
7.5 이상
22.5 이상
42.5 이상
20.0 이상
40.0 이상
-
비고) 1. 이표는 2009년 1월1일부터 적용한다
비고 : 1. 안정도 시험방법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시험과 르샤틀리에 시험
2. 화학성분을 기호로 표시할 때, C= CaO, S=SiO2, A=Al2O3, F=Fe2O3로 한다.
중 택일하여 실시한다.
보기를 들면 C3A=3CaO ․ Al2O3
2. 중용열 시멘트의 28일 수화열은 수요자의 요구가 있을 때에 적용한다.
3. Al2O3 와 Fe2O3 의 함량비{Al2O3(%)/Fe2O3(%)}가 0.64 이상일 경우에 규산3석회 3. 3일 강도는 1일 강도보다, 7일 강도는 3일 강도보다, 28일 강도는 7일 강도보다
(C3S), 커야 한다.

15- 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규산2석회 (C2S) 및 알루민산3석회(C3A)는, 화학분석 결과에서 다음식에 따라 계산 4. 압축강도 중 포장시멘트의 28일 강도, 비포장 시멘트의 7일, 28일 강도는
한다. 수요자가 요구하지 않을 때는 생략할 수 있다.
C3S={4.071×CaO(%) - 7.600×SiO2(%)} - {.718×Al2O3(%)} -
{1.430×Fe2O3(%)} - {2.852×SO3(%)}
C2S={2.867×SiO3(%)} - {0.7544×C3S(%)}
C3A={2.650×Al2O3(%)} - {1.692×Fe2O3(%)}
주 1) 전 알칼리량은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에만 적용한다.
2) 전 알칼리(%)는 화학분석의 결과로부터,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고, 소수점 이하 1자리
에서 끝맺는다.
R2O=Na2O + 0.658 K2O
여기에서, R 2O :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중의 전 알칼리(%)
Na2O :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중의 산화나트륨의 질량(%)
K2O : 포틀랜드 시멘트(저 알칼리형) 중의 산화칼륨의 질량(%)
표 15-3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리성능 표 15-1-3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성분

종 류1 종 2 종 3 종 4 종 5 종
종 류
1종 2종 3종 4종 5종
항 목 항 목
산화마그네슘(MgO, %) 5.0 이하 5.0 이하 5.0 이하 5.0 이하 5.0 이하
분말도 비 표면적(Blaine) (㎠/g) 2800이상 2800이상 3300이상 2800이상 2800이상 삼산화 황(SO3, %) 3.5 이하 3.0 이하 4.5 이하 3.5 이하 3.0 이하
오토클레이브팽창도(%) 0.8이하 0.8이하 0.8이하 0.8이하 0.8이하
안정도 강열감량(%) 3.0 이하 3.0 이하 3.0 이하 3.0 이하 3.0 이하

르샤틀리에(Lechatelier)(㎜) 10이하 10이하 10이하 10이하 10이하 C3S 50 이하

응결 시간 비 카 초 결 (분) 60이상 60이상 45이상 60이상 60이상 C2S 40 이상

시 험 종 결 (시간) 10이하 10이하 10이하 10이하 10이하 C3A 8 이하 6.0 이하 4.0 이하

수화열 7일 - 290이하 - 250 이하 -


(J/g) 28 일 340이하 290 이하
1일 - - 10이상 - -
압축 강도 3일 13이상 8이상 20이상 - 10이상
(㎫) 7일 23이상 15이상 33이상 8이상 20이상
28 일 43이상 33상 48이상 23이상 40이상
91 일 - - - 43이상 -
비고) 1. 이 표는 2009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2. 안정도 시험방법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시험과 르샤틀리에 시험 중
택일하여 실시한다.
3. 중용열 시멘트의 28일 수화열은 수요자의 요구가 있을 때에 적용한다.
4. 3일 강도는 1일 강도보다, 7일 강도는 3일 강도보다, 28일 강도는 7일 강도보다 커야
한다.
5. 압축강도 중 포장시멘트의 28일 강도, 비포장 시멘트의 7일, 28일 강도는 수요자가
요구하지 않을 때는 생략할 수 있다.

2.4.2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2.4.2 특수 시멘트

KS L 5204의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를 말한다. 해당 KS 규격에 따른다.

15- 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3 플라이 애시 시멘트 2.4.3 혼합 시멘트

KS L 5211의 플라이 애시 시멘트를 말한다.


(1)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KS L 5210에 규정된 품질기준에 따른다.
(2) 플라이애시 시멘트는 KS L 5211에 규정된 품질기준에 따른다.

2.4.4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3)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는 KS L 5401에 규정된 품질기준에 따른다.
(4) 저열 혼합시멘트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 플라이애시 등을 혼합하여 제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쉼표 추가
KS L 5401의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를 말하며, 포틀랜드 시멘트 크링커에 조되는 시멘트로서,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발생을 완화시켜 수화열

실리카질 혼합재를 혼합한 것이다. 에 의한 균열저감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단, 염해 · 제설제 등이 사용 [관계기관의견 반영] 가운데 점 간격 조정
되는 매스 구조물의 경우 별도의 내구성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저
2.4.5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 열혼합시멘트의 물리성능 및 화학성분은 표 15-1-4에 적합하여야 한

KS L 5205의 내화물용 알루미나 시멘트를 말한다. 다.

2.4.6 고로슬래그 시멘트 표 15-1-4 저열 혼합시멘트의 물리성능 및 화학성분

KS L 5210의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말한다. 항 목


비표면적(Blaine, ㎠/g)
품질기준
3,000 이상
시험방법
KS L 5106

응결시간 초결(분) 60 이상
KS L 5108
(비카시험) 종결(시간) 10 이하
오토클레이브(%) 0.8 이하
오토클레이브 KS L 5107
르샤틀리에(㎜) 10 이하
3일 7.5 이상
압축강도 7일 15.0 이상
KS L ISO 679
(MPa) 28일 32.5 이상
91일 42.5 이상
1)
3일 230 이하 미소열량계법
수화열
7일 250 이하 KS L 5121
(J/g)
28일 290 이하 (용해열법)

삼산화황(SO3) 4.0 이하
화학성분 산화마그네슘(MgO) 6.0 이하 KS L 5120
(%)
강열감량
3.0 이하
(1g loss/%)

1)
주 : 재령 3일 미소열량계에 의한 수화열 측정방법은 다음 조건에 따라 실시한다.
- 시험방법 : PCA에서 제정한 시멘트 수화열 측정방법 초안(A법)
DRAFT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Heat of Hydration of
Hydraulic Cementitious Materials Using Isothermal Conduction Calrorimetry
- 온도 : 23.0±1.0 ℃ [관계기관의견 반영] 단위표기 수정
- 시멘트 및 시멘트계 재료 : 10 g(0.01 g 정밀도로 측정 및 기록)
- 물-결합재비 : 50 %

15- 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5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2.5.1 시료 채취

2.5.1 시료채취 시멘트의 시료 채취는 KS L 5101에 따른다.


2.5.2 화학 성분
시멘트의 시료채취는 KS L 5101에 따른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 분석은 KS L 5120에 따른다.

2.5.2 화학성분 2.5.3 분말도


공기 투과 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은 KS L 5106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 분석은 KS L 5120에 따른다. 에 따른다.

2.5.3 분말도
2.5.4 안정도
시멘트의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은 KS L 5107에 따른다.
공기 투과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은 KS L 5106에 따른다. 2.5.5 응결시간
비카트 침에 의한 수경성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은 KS L 5108에 따 [수정] 관련 내용 수정
2.5.4 안정도 른다.

시멘트의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은 KS L 5107에 따른다. 2.5.6 압축 강도


시멘트의 압축 강도 시험은 KS L ISO 679에 따른다.
2.5.5 응결시간 2.5.7 수화열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은 KS L 5108에 따른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열 시험은 KS L 5121에 따른다.

2.5.6 압축강도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L ISO 679에 따른다.
2.5.7 수화열
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열 시험은 KS L 5121에 따른다.
2.5.8 체분석
표준체 90㎛에 의한 시멘트 분말도 시험은 KS L 5117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2 역 청 재 15-2 역청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 포장용 역청재에 대하여 적용하며, 도로 포장용 역청재에는 도로 이 시방은 도로포장용 역청재에 대하여 적용하며, 도로 포장용 역청재에는
포장용 아스팔트· 컷 백 아스팔트·유화 아스팔트 및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있다.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 및 블론 아스팔트 등이 있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5101-1, 금속망체
KS F 2525 도로용 부순골재 KS A 5101-1 시험용체-제1부 : 금속 망 체

KS L 5201 포틀랜드 시멘트


KS F 2525 도로용 부순골재
KS F 2389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
KS M 2001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 방법
[수정] 위치 변경

KS M 2010 원유 및 석유제품 인화점 시험방법 KS M 2001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 방법


KS M 2013 원유 및 석유제품의 세이볼트 점도 시험방법 KS M 2010 원유 및 석유제품 인화점 시험방법 - 테그밀폐식 시험방 [수정] 표준내용 수정

KS M 220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법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KS
M
M
2013
2201
원유 및 석유제품의 세이볼트 점도 시험방법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KS M 2204 블로운 아스팔트 KS M 2203 유화 아스팔트

KS M 2208 점도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KS M 2204 블론 아스팔트

KS M 2247 아스팔트의 절대점도 시헙방법


KS M 2208 점도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KS M 2247 아스팔트의 절대점도 시헙방법
KS M 2248 아스팔트의 동점도 시험방법 KS M 2248 아스팔트의 동점도 시험방법

KS M 2250 역청재료의 연화점 시험방법(환구법) KS


KS
M
M
2250
2252
역청재료의 연화점 시험방법(환구법)
역청재료의 침입도 시험방법
KS M 2252 역청재료의 침입도 시험방법 KS M 2254 역청재료의 신도 시험방법

KS M 2254 역청재료의 신도 시험방법 KS M 2255 기름 및 아스팔트질 혼합물의 증발감량 시험방법

KS M 2255 기름 및 아스팔트질 혼합물의 증발감량 시험방법


KS M 2256 역청재료의 트리클로로에탄에 대한 용해도 시험방법
KS M 2258 아스팔트계 재료의 박막 가열 시험방법
KS M 2256 역청재료의 트리클로로에탄에 대한 용해도 시험방법 KS M 2259 아스팔트성 재료의 로울링 박막가열 시험방법

KS M 2258 아스팔트계 재료의 박막 가열 시험방법 (이동 아스팔트막에 미치는 열과 공기의 영향)

KS M 2259 아스팔트성 재료의 롤링 박막가열 시험방법


(이동 아스팔트 막에 미치는 열과 공기의 영향)
KS F 2389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

15- 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류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포장 및 운반
2.1 포장 및 운반 역청재를 용기에다 포장할 때에는 보기 쉬운 곳에 품명, 종류, 무게, 제조

역청재를 용기에다 포장할 때에는 보기 쉬운 곳에 품명, 종류, 무게, 제조회사명 회사명이나 상표 및 제조년월일 또는 로트 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벌
크로 운반할 경우에는 품명, 종류, 용량, 제조년월일 등이 명기된 제조회
이나 상표 및 제조년월일 또는 로트 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벌크로 운반할 경 사의 확인서를 별도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용어 전체 통일 : 감독원 ⇒ 감독자
우에는 품명, 종류, 용량, 제조년월일 등이 명기된 제조회사의 확인서를 별도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2 저 장

2.2.1 용기에 포장된 역청재는 마개 부분이 아래로 가지 않도록 하여 세워


2.2 저 장 서 저장하여야 한다.

2.2.1 용기에 포장된 역청재는 마개 부분이 아래로 가지 않도록 하여 세워서 저장하 2.2.2 입하 순으로 식별할 수 있고 검사에 편리하도록 분류하여 저장하여야

여야 한다. 한다.

2.2.2 입하 순으로 식별할 수 있고 검사에 편리하도록 분류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2.2.3 유화 아스팔트는 2개월 이상 저장하여서는 안 되며, 저장 도중 때때로
흔들어서 유제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2.2.3 유화아스팔트는 2개월 이상 저장하여서는 안 되며, 저장 도중 때때로 흔들어
서 유제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2.2.4 겨울철에는 얼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2.4 겨울철에는 얼지 않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3 검 사

2.3.1 현장에 반입된 역청재는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2.3 검 사

2.3.1 현장에 반입된 역청재는 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2.3.2 계약상대자와 역청재 공급자는 시료 채취 및 검사에 필요한 모든 편 [수정] 문구 수정
의 및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2.3.2 계약자는 시료채취 및 검사에 필요한 모든 편의 및 시설을 제공하여야 한다. 2.4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2.4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원유를 상압 · 감압 증류장치 등을 통하여 경질분을 제거하고 얻은 균질하 [수정] 가운데 점 사용

원유를 상압, 감압 증류장치 등을 통하여 경질분을 제거하고 얻은 균질하고 수


고 수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아스팔트를 말하며, 180 ℃ 까지 가열하여
도 거품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분류 방법에는 침입
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아스팔트를 말하며, 180℃까지 가열하여도 거품이 생 도에 의한 방법과 공용성 등급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아스팔트 선정할 때 [수정] 문장 수정

기지 않아야 한다.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분류 방법에는 침입도에 의한 방법, 에는 공용성 등급을 적용한다. 공용성 등급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감
독자의 승인을 받은 후 침입도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공용성 등급에 의한 방법 및 점도에 의한 방법이 있다.

15- 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1 침입도 분류에 의한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2.4.1 침입도 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1) KS M 2201에 따르며, 그 종류에 따른 품질기준은 표15-4에 적합하여야 한다.


(1) KS M 2201에 따르며, 그 종류에 따른 품질기준은 표 15-2-1에 적합
하여야 한다.

표 15-4 침입도 분류에 의한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품질기준 표 15-2-1 침입도 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품질기준 [수정] 표번호

신도 톨루엔 인화점 질량박막 가열침입도 질량 증발후의침입 밀도


신 도 박막가열 증발

항목 침입도 연화점
톨루엔
항 목 밀도
(15℃) (25℃) 가용분 (15℃)
질량 질량
침입도 연화점 가용분 인화점 침입도 후의침
종류 (25℃) (℃) (㎝) (㎝) (무게 %) ℃ (무게%) 변화율 잔류율 변화율 도비 (㎏/㎤) (25℃) (℃)
15℃ 25℃
무게 (℃)
변화율
잔유율
변화율
입도비
(15 ℃)

(%) (무게%) (%)


종 류 (cm) (cm) (무게 (무게 kg/㎥
(%) (%) (%)
%) %)

0∼10 100 이상 이하 - - - - - 0-10


0이상
10이하 55.0
- - - - -

55.0 이상
10∼20 20 초과
10 10초과 이상 5 0.3

이하 - 5 이상 - - 0.3 이하 - 10-20
20이하
-
이상
- -
이하
-

20∼40 40 초과
20 50.0 ∼
20초과 55.0~ 50
20-40 - - - -

이하 65.0 - 50 이상 - - - 40이하 65.0


40초과 47.0~ 10
이상
260 58

40∼60 60 초과
40 47.0 ∼
40-60 - -
60이하 55.0 이상 이상 이상

이하 55.0 10 이상 - 260 이상 58 이상 - 60-80


60초과 44.0~
-
55
-

60∼80 6080 초과 44.0 ∼


80이하 52.0 99.0 0.6 이상 110 1000

이하 52.0 - 55 이상 - 1000 80-100


80초과 42.0~
-
이상 이하
-
이하 이상

99.0 이상 0.6 이하 110 이하 100이하 50.0 50

80∼100 100 초과
80 42.0 ∼ - - 이상 100초과 40.0~ 이상

이하 50.0
100-120 - -
120이하 50.0 100
50 이상
100∼120 100120 초과 40.0 ∼ 120초과 38.0~ 이상 0.5

이하 50.0 - - 120-150
150이하 48.0
-
240
- -
이하
-

100 이상 150초과 이상

120∼150 150 초과
120 38.0 ∼ 150-200 - - - -

이하 48.0 - - - 0.5 이하 - 200이하 30.0~ 1.0

240 이상
200초과 45.0 210 이하
200-300 - - - -

150∼200 200 초과
150 300이하 이상

이하 30.0 - - - -
1.0 이하
비고 :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종류 40~60, 60~80, 80~100 및 100~120에 대하여는 120

200∼300 300 초과
200 ∼45.0 - 210 이상 - - -
℃, 150 ℃, 180 ℃ 의 각각 동점도를 시험표에 부기하여야 한다.

이하
비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종류 40∼60, 60∼80, 80∼100 및 100∼120에 대하여는 12
0℃, 150℃, 180℃의 각각 동점도를 시험표에 부기하여야 한다.
(2)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2)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료채취는 KS M 2001에 따른다.


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료채취는 KS M 2001에 따른다.
②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험 방법은 KS M 2201에 따른다.
②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험방법은 KS F 2389에 따른다.
(3) 취급상의 주의사항 (3) 취급상의 주의사항
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는 인화점 이상 가열하지 않아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는 인화점 이상 가열하지 말아야 한다. ② 용융 아스팔트가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작업

② 용융 아스팔트가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으므로 작업 중에는


중에는 장갑이나 기타 보호 장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장갑이나 기타 보호 장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③ 용융 아스팔트는 물과 접촉되면 튀기 때문에 수분이 혼입되지 않도록
③ 용융 아스팔트는 물과 접촉되면 튀기 때문에 수분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 주의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④ 옥내에서 아스팔트를 용융할 경우에는 충분히 환기시키고 화기에 주


④ 옥내에서 아스팔트를 용융할 경우는 충분히 환기시키고, 화기에 주의하여야 의하여야 한다.
한다.

15- 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4)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품명, 종류, 실무게,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및 (4) 표 시

제조연월일 또는 로트 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품명, 종류, 실무게, 제조자명 또는 그 약
호 및 제조년월일 또는 로트 번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2.4.2 공용성 등급에 의한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 2.4.2 공용성 등급(P.G)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수정] 영문표기 추가
(1) KS F 2389에 따라 그 종류는 표15-5와 같다. KS F 2389에 따르며, 그 종류에 따른 품질기준은 표 15-2-2에 적
합하여야 한다.
표 15-5 공용성 아스팔트 등급
표 15-2-2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에 대한 기준 [수정] 표 번호, 공용성 등급 내용 추가
고온등급 저온 등급
PG 46 - 34, 40, 46 PG 46 PG 52 PG 58 PG 64

PG 52 - 10, 16, 22, 28, 34, 40, 46 공용성 등급 -22


-34 -40 -46 -10 -16 -22 -28 -34 -40 -46 -16 -22 -28 -34 -40 -40 -16

PG 58 - 16, 22, 28, 34, 40


2

7일간 평균최고
PG 64 - 10, 16, 22, 28, 34, 40 < 46 < 52 < 58 < 64
포장설계온도 ℃(1)

PG 70 - 10, 16, 22, 28, 34, 40 >


> > > > > > > > > > > > > > > > >

PG 76 - 10, 16, 22, 28, 34


최저포장설계온도 ℃(1) -34 -40 -46 -10 -16 -22 -28 -34 -40 -46 -16 -22 -28 -34 -40 -10 -16
-22
2

PG 82 - 10, 16, 22, 28, 34 원아스팔트


인화점,
230
KS M 2010 : ℃

(2)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점도 KS F 2392(2)
3Paㆍ초 이하 135

①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료채취는 KS M 2001에 따른다.


시험온도, ℃
동적전단, KS F 2393

②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시험방법은 KS F 2389에 따른다. G*/sin δ , 1.0kPa 이상 46 52 58 64


시험온도@ 10rad/초, ℃

2.4.3 점도분류에 의한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로울링 박막 오븐(KS M 2259) 또는 박막 오븐(KS M 2258) 노화 후 잔사

(1) KS M 2208에 따르며, 그 종류는 표 15-6과 같이 분류하고, 각각의 품질기준


질량손실, % (이하) 1.0
동적전단, KS F 2393 :

은 표 15-7 · 15-8· 15-9에 적합하여야 한다. G*/sin δ , 2.2kPa 이상 46 52 58 64

(2)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시험온도
@10 rad/초, ℃

①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는 KS M 2001에 따른다.


압력노화 용기(PAV) 노화 후 잔사(KS F 2391)
(3)
압력노화 온도, ℃ 90 90 100 100

② 시험 방법은 KS M 2208에 따른다. 동적전단, KS F 2393 :


G*sin δ , 5,000kPa 이하 10 7 4 25 22 19 16 13 10 7 25 22 19 16 13 31 28 25
시험온도
표 15-6 점도 분류에 의한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의 종류 @10rad/초, ℃

종 류 명 칭 (점도 분류) 물리적 경화 보 고

휨크리프강성, KS F
2390 :
1 종 AC-2.5, AC-5, AC-10, AC-20, AC-40
S, 300MPa 이하 -224 -330 -336 0 -6 -112 -118 -224 -330 -336 -6 -112 -118 -224 -330 0 -6 -112
2 종 AC-2.5, AC-5, AC-10, AC-20, AC-30, AC-40 m값, 0.3 이상
3 종 AR-1000, AR-2000, AR-4000, AR-8000, AR-16000 시험온도 @ 60초, ℃

비고) 1종, 2종은 원래의 아스팔트에 기초를 둔 분류이고, 3종은 롤링 박막 가열 시험 후 잔


류물에 기초를 둔 분류이다.

15- 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2-2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에 대한 기준 (계속)


표 15-7 1종의 품질기준(점도 분류)

항 목 명 칭 공용성 등급
PG 70 PG 76 PG 82

AC-2.5 AC-5 AC-10 AC-20 AC-40 -


10
-
16
-
22
-
28
-
34
-
40
-
10
-
16
-
22
-
28
-
34
-
10
-
16
-
22
-
28
-
34

60℃, ㎩․S 25±5 50±10 100±20 200±40 400±80


7일간 평균최고
포장설계온도 < 70 < 76 < 82

점 도 ℃(1)

135℃, ㎟/s 80 이상 110 이상 150 이상 210 이상 300 이상 최저포장 > > > > > > > > > > > > > > > >
설계온도℃(1) - - - - - - - - - - - - - - - -
10 16 22 28 34 40 10 16 22 28 34 10 16 22 28 34

침 입 도 (25℃, 100g, 5초) 200 이상 120 이상 70 이상 40 이상 20 이상 인화점, KS M


원아스팔트

230
인 화 점 ℃ (COC) 163 이상 177 이상 219 이상 232 이상 232 이상
2010 : ℃

점도 KS F 2392(2)

삼화에틸렌 가용분 (%)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3Paㆍ초 이하 135
시험온도, ℃

박막가열 시험 후 점도 (60℃) ㎩․S 125이하 250이하 500이하 1000이하 2000이하


동적전단, KS F 2393
G*/sin δ , 1.0kPa 이상 70 76 82

잔류물에 대한시험 신도(25℃,5㎝/min)㎝ 100 1)이상


시험온도

100 1)이상 50 이상 20 이상 10 이상 @10rad/초, ℃


로울링 박막오븐(KS M 2259) 또는 박막오븐(KS M 2258) 노화 후 잔사

주 1) 신도가 100 미만이어도 15.5℃에서 신도가 5㎝/min 인장 비율로 100 이상이면 관계없 질량손실, 최대, % 1.0
다. 동적전단, KS F 2393 :
표 15-8 2종의 품질기준(점도 분류) G*/sin δ , 2.2kPa 이상 70 76 82
시험온도 @10rad/초, ℃

항 목 명 칭 압력노화 용기(PAV) 노화 후 잔사(KS F 2391)


AC-2.5AC-5 AC-10 AC-20 AC-30 AC-40 압력노화 온도, ℃
(3) 100(110) 100(110) 100(110)

도 60℃, ㎩․S 25±5 50±10 100±20 200±40 300±60 400±80 동적전단,


KS F 2393 :

135℃, ㎟/s 125이상 175이상 250이상 300이상 350이상 400이상 G*sin δ , 5,000kPa
이하
34 31 28 25 22 19 37 34 31 28 25 40 37 34 31 28

침 입 도 (25℃, 100g, 5초) 220이상 140이상 80이상 60이상 50이상 40이상 시험온도 @10rad/초, ℃

인 화 점 ℃ (COC) 163이상177이상 219이상 232이상 232이상 232이상


물리적 경화 보 고
휨크리프강성, KS

삼화에틸렌 가용분 (%) 99이상99이상 99이상 99이상 99이상 99이상


F 2390 ;
S, 300MPa 이하 0 -
-6 12 - - - 0 -
-6 12 - - 0 -
-6 12 - -
m값, 0.3 이상 18 24 30 18 24 18 24

박막가열 시험 후
점 도 125이하 250이하 500이하 1000이하 1500이하 2000이하
시험온도 @ 60초,

잔류물에 대한
(60℃) ㎩․S 주 (1)
포장온도는 대기온도로부터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관의 규정에 약술된 절차에 [수정] 문구 수정 : 원문 - “추정하여도 좋으며”

시험 도 따라 조사하여도 된다. 포장온도는 대기온도의 약 1.8배이다.

(25℃,5㎝/min)㎝ 100 이상 100 이상 75이상 50이상 40이상 25이상


신 1) 1) (2)
아스팔트가 모든 안전기준을 만족하는 온도에서 적절히 압송되고 혼합된다는 것을
생산자가 보장한다면 생산자의 시험성적서로 갈음할 수 있다.
(3)
주 1) 신도가 100 미만이어도 15.5℃에서 신도가 5 ㎝/min 인장 비율로 100 이상이면 관계 압력노화온도는 가상 기온조건에 근거하였으며, 90 ℃ · 100 ℃ · 110 ℃의 3종류 중
없다. 하나로 하였다. PG 64-xx 이상의 등급에 대하여는 노화온도가 100 ℃이며,
사막기후에 사용할 포장재료는 예외로 110 ℃로 적용한다.

15- 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9 3종의 품질기준(점도 분류)

롤링 박막가열 시험 후2) 명 칭
잔류물에 대한 시험 AR-1000 AR-2000 AR-4000 AR-8000 AR-16000
도 135℃, 60℃, ㎩․S 100±25 200±50 400±100 800±200 1600±400
㎟/s 흑색 140 이상 200 이상 275 이상 400 이상 550 이상

침 입 도 (25℃, 100g, 5초) 65 이상 40 이상 25 이상 20 이상 20 이상


원침입도의 비(25℃, %) - 40 이상 45 이상 50 이상 52 이상
신도 (25℃,5㎝/min)㎝ 100 1)이상 100 1)이상 75 이상 75 이상 75 이상
원아스팔트에 인화점℃(COC) 205 이상 219 이상 227 이상 232 이상 238 이상
대한 시험 삼화에틸렌 가용분(%)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99 이상
주 1) 신도가 100 미만이어도 15.5℃에서 신도가 5 ㎝/min 인장 비율로 100 이상이면 관계없
다.
2) 박막가열 시험으로도 좋지만, 롤링 박막가열 시험에서 규정된 방법에 따라야 한다.
(3) 표 시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품명, 종류, 명칭, 실부피,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제
조년월일을 표시하여야 한다.
2.5 유화 아스팔트 2.5 유화 아스팔트

2.5.1 유화 아스팔트 종류 2.5.1 유화 아스팔트 종류

아스팔트를 유화제 또는 안정제 등을 사용하여 물속에 분산시킨 것으로 KS 아스팔트를 유화제 또는 안정제 등을 사용하여 물속에 분산시킨 것으
로 KS M 2203에 따른다. 유화 아스팔트의 종류에는 그 성상에 따라
M 2203에 따른다. 유화 아스팔트의 종류에는 그 성상에 따라 양이온계 유화아 양이온계(카티온, cation) 유화아스팔트와 음이온계(아니온, anion) [수정] 용어, 영문표기 수정

스팔트·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와 비이온계 유화아스팔트로 나누고, 표 15-10


유화 아스팔트와 비이온계 유화아스팔트로 나누고, 표 15-2-3과 같 [수정] 번호수정

과 같이 구분한다. 이 구분한다.

15- 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2-3 유화 아스팔트의 종류
표 15-10 유화아스팔트의 종류 종 류

종 류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용 도

양이온계 유화 음이온계 유화 비이온계 유화 용 도 유화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

아스팔트 아스팔트 아스팔트 RS(C) - 1 RS(A) - 1 -


보통(온난기) 침투용 및 표면처리용

보통 침투용 및 표면처리용
(겨울철용은 제외)

RS(C) - 1 RS(A) - 1 - (겨울철용은 제외) RS(C) - 2 RS(A) - 2 - 한랭기(겨울철)침투용 및 표면처리용

겨울철 침투용 및 겨울철 표면


RS(C) - 2 RS(A) - 2 -
프라임 코트용 및 시멘트 안정처리층
RS(C) - 3 RS(A) - 3 -
처리용
양생용

프라임 코트용 및 시멘트 안정


RS(C) - 4 RS(A) - 4 - 택 코트용
RS(C) - 3 RS(A) - 3 - 처리층 양생용 MS(C) - 1 MS(A) - 1 - 조립도 골재 혼합용

RS(C) - 4 RS(A) - 4 - 택 코트용 MS(C) - 2 MS(A) - 2 - 밀입도 골재 혼합용


MS(C) - 1 MS(A) - 1 - 조립도 골재 혼합용 MS(C) - 3 MS(A) - 3 - 흙덩어리(토양) 골재 혼합용
MS(C) - 2 MS(A) - 2 - 밀입도 골재 혼합용
MS(C) - 3 MS(A) - 3 - 흙덩어리(토양) 골재 혼합용
- - MS(N) - 1 시멘트 유화 아스팔트 안정처리 혼합용

- - MS(N) - 1 시멘트․유화아스팔트 안정처리


혼합용 비고 : C : 양이온계 유제 (cationic emulsion)
A : 음이온계 유제 (anionic emulsion)
N : 노이온 유제 (nonion emulsion)
[수정] 비고의 불필요한 내용 삭제
비고) P : 침투용 유제 (Penetrating Emulsion)
M : 혼합용 유제 (Mixing Emulsion)
C : 카티온 유제 (Cationic Emulsion)
A : 아니온 유제 (Anionic Emulsion)
N : 노니온 유제 (Nonionic Emulsion)

2.5.2 품질기준
2.5.2 품질기준

양이온계(카치온, Cation) 유화 아스팔트는 표 15-11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는 표 15-2-4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하 [수정] 번호 수정

하고, 음이온계(아니온, Anion) 유화 아스팔트와 비이온계 유화 아스팔트는 표 고,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는 표 15-2-5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15-12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한다.

15- 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2-4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표 15-11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종 류 RS(C) MS(C)

종 류 RS(C) MS(C) 항 목
엥글러 도(25 ℃) (점도)
1
3~15
2 3
1~6
4 1 2
3~40
3

항 목 1 2 3 4 1 2 3 체잔류분 (1.18 mm)질량(%)


저장 안정도(24 hr) 질량(%)
0.3 이하
1 이하

도(25℃) (점도) 3∼15 1∼6 3∼40


부 착 도 2/3 이상 -
엥글러 거친입자
동결 안정도 (-5 ℃) - 덩어리가 -

체 잔류분 (1.18㎜) 질량 (%) 0.3 이 하 조립도 골재 혼합성


없을 것.
- 균등할 것 -

저장 안정도(24hr) 질량 (%) 1 이 하
밀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것 -
흙덩어리 골재혼합성 질량(%) - 5 이하
입자의 전하 양 (+)

부 착 도 2/3 이상 - 증발 잔류분 질량 (%)


증 침입도 (25 ℃) 1/10 mm
60 이상
100~ 150~
50 이상
100~ 60~ 60~
57 이상
60~ 60~
발 200 300 300 150 200 200 300
거친입 잔

신 도 (15 ℃) cm 40 이 상

- 자,덩어
물 톨루엔 가용분 질량 (%) 98 이상 97 이상
동결 안정도 (-5℃) 리가없 - 비고 : 엥글러도가 15 이하인 유화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의 6.3에 따라 구하고, 15를

을 것. 초과하는 유화 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의 6.4에 따라 점도를 구하여


엥글러도로 환산한다.

조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것 -


밀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것 -
흙덩어리 골재 혼합성 질량(%) - 5이하
입자의 전하 ()
양 +

증발 잔류분 질량 (%) 60 이 상 50 이 상 57 이 상
침입도 (25℃) 1/10 ㎜ 100∼ 150∼
200 300
100∼ 60∼ 60∼ 60∼ 60∼
300 150 200 200 300
증발
잔류
신 도 (15℃) ㎝ 40 이 상

톨루엔 가용분 질량(%) 98 이 상 97 이 상
비고) 엥글러도가 15이하인 유화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 6.3에 따라 구하고, 15를
초과하는 유화 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 6.4에 따라 점도를 구하여 엥글러 도
로 환산한다.

15- 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 음이온계 및 비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표 15-2-5 음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제목 수정

종 류 RS(A) MS(A) MS(N) 항 목


종 류
1 2
RS(A)
3 4 1
MS(A)
2 3
항 목 1 2 3 4 1 2 3 1 엥글러도(25 ℃) (점도)
체잔류분 (1.18 mm)질량(%)
3~15 1~6
0.3 이하
3~40

엥글러 도(25℃) (점도) 3∼15 1∼6 3∼40 2∼30 저장 안정도(24 hr) 질량 %


골재 피막도(40 ℃, 5 min)
1 이하
2/3 이상
체잔류분 (1.18㎜) 질량 (%) 0.3 이 하 0.3이하 거친입
자,덩어
저장 안정도(24hr) 질량 (%) 1 이 하 1 이하
동결 안정도 (-5 ℃) - -
리가
없을 것.

골재 피막도(40℃, 5min) 2/3 이상 - 조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것


밀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것 -

거친입 흙덩어리 골재혼합성 질량 % - 2 이하

- 리가덩없어
자,
입자의 전하 음(-)

동결 안정도 (-5℃) - - 증발 잔류분 질량 (%)


침입도 (25 ℃) 1/10
60 이 상
100~ 150~
50 이 상
100~ 60~ 60~
57 이상
60~ 60~

을것.
증발 mm 200 300 300 150 200 200 300
잔류
물 신 도 (15 ℃) cm 40 이상

조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


톨루엔 가용분 질량 (%) 98 이상
비고 : 엥글러도가 15 이하인 유화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의 6.3에 따라 구하고, 15를
97 이상

것 초과하는 유화 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의 6.4에 따라 점도를 구하여 엥글러도로

밀립도 골재 혼합성 - 균등할 - - 환산한다.

흙덩어리 골재 혼합성 질량(%) - 2이하 -


시멘트 혼합성 질량(%) 1.0이하
입자의 전하 음(-)
증발 잔류분 질량(%) 60 이 상 50 이 상 57 이상 57이상
증발
침입도 (25℃) 1/10 ㎜ 100∼ 150∼ 100∼ 60∼ 60∼ 60∼ 60∼ 60∼
200 300 300 150 200 200 300 300
잔류
신 도 (15℃) ㎝ 40 이 상 40이상

톨루엔 가용분 질량(%) 98 이상 97 이상 97이상
비고) 엥글러도가 15 이하인 유화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 6.3에 따라 구하고, 15를
초과하는 유화 아스팔트에 대하여는 KS M 2203 6.4에 따라 점도를 구하여 엥글러도로
환산한다.

2.5.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5.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1) 시료채취 :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는 KS M 2001의 11.5에 따른다. (1) 시료채취 :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는 KS M 2001의 11.5에 따른

(2) 시험방법 : KS M 2203에 따른다.


다.
(2) 시험방법 : KS M 2203에 따른다.

2.5.4 취급상의 주의 사항 2.5.4 취급상의 주의 사항


(1) 다른 종류의 유제를 혼합하지 않아야 한다. (1) 다른 종류의 유제를 혼합하지 않아야 한다.

(2) 저장 중에는 물이나 이물질을 혼입시키지 않아야 한다. (2) 저장 중에는 물이나 이물질을 혼입시키지 않아야 한다.

15- 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사용 전에는 반드시 혼합하여야 한다. (3) 사용 전에는 반드시 혼합하여야 한다.

(4) 겨울철에 보관하는 경우는 시트 등으로 싸서 보온을 하여 동결되지 않도록 (4) 겨울철에 보관하는 경우는 시트 등으로 싸서 보온을 하여 동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5) 가열은 8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 가열은 80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6) 저장 후 2개월 이상 경과한 것은 규격에 적합한 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6) 저장 후 2개월 이상 경과한 것은 규격에 적합한가를 확인하여야 한다.

2.5.5 표 시 2.5.5 표 시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명칭 및 종류 또는 그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명칭 및 종류 또는 그 기호, 기호, 용량,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를 표시

용량,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2.6 블로운 아스팔트 2.6 블론 아스팔트 [수정] 용어 수정

2.6.1 블로운 아스팔트의 종류


석유 아스팔트에 공기를 취입하여 가공한 아스팔트를 말하며, KS M 2204에 2.6.1 블론 아스팔트의 종류
석유 아스팔트에 공기를 취입하여 가공한 아스팔트를 말하며, KS M
따른다. 종류는 침입도(25℃에서)의 정도에 따라 표 15-13와 같이 5가지로 구 2204에 따른다. 종류는 침입도(25 ℃ 에서)의 정도에 따라 표 15-2-6 [수정] 번호 수정

분한다. 과 같이 5가지로 구분한다.

표 15-2-6 블론 아스팔트의 종류 [수정] 번호수정

표 15-13 블로운 아스팔트의 종류

종 류 0∼5 5 ∼ 10 10 ∼ 20 20 ∼ 30 30 ∼ 40 종 류 0∼5 5 ∼ 10 10 ∼ 20 20 ∼ 30 30 ∼ 40
침입도(25℃) 0이상 5초과 10 초 과 20 초 과 30 초 과
5이하 10 이 하 20 이 하 30 이 하 40 이 하
침입도(25 ℃) 05 이상
이하
5 초과
10 이하
10 초과
20 이하
20 초과
30 이하
30 초과
40 이하
2.6.2 품질기준
균질하고 수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175℃까지 가열하여도 거품이 생 2.6.2 품질기준
기지 않아야 하며, 표 15-14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균질하고 수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175 ℃ 까지 가열하여도 [수정] 띄어쓰기 수정
거품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표 15-2-7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번호수정

15- 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4 블로운 아스팔트 품질기준 표 15-2-7 블론 아스팔트 품질기준 [수정] 번호수정

종 류 0∼5 종 류 0 ∼ 5 5 ∼ 10 10 ∼ 20 20 ∼ 30 30 ∼ 40
항 목 5 ∼ 10 10 ∼ 20 20 ∼ 30 30 ∼ 40 항 목

침 입 도 (25℃) 0 이상 5 초과 10 초과 20 초과 30 초과 침 입 도 (25℃) 05 이상 5 초과 10 초과 20 초과 30 초과
이하 10 이하 20 이하 30 이하 40 이하
5 이하 10 이하 20 이하 30 이하 40 이하 연 화 점 (℃) 130.0 이상 110.0 이상 90.0 이상 80.0 이상 65.0 이상
연 화 점 (℃) 130.0 이상 110.0 이상 90.0 이상 80.0 이상 65.0 이상
도 (25℃) (㎝) 0 이상 0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신 도 (25℃) (cm) 0 이상 0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증발질량 변화율

증발질량 변화율 (질량 %) 0.5 이 하 (질량 %) 0.5 이하
침입도 지수 2.5 이상 3.0 이상 2.0 이상 0.5 이상 침입도 지수 2.5 이상 3.0 이상 2.0 이상 0.5 이상
톨루엔 가용분(%) 98.5 이 상 톨루엔 가용분 (%) 98.5 이상
인 화 점 (COC) (℃) 210 이 상 인 화 점 (COC) (℃) 210 이상

2.6.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1) 시료채취 :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는 KS M 2001의 12.4에 따른다. 2.6.3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1) 시표채취 : 원유 및 석유제품 시료채취는 KS M 2001의 11.4 에 따른
(2) 시험방법 : KS M 2204에 따른다. 다.
(2) 시험방법 : KS M 2204 에 따른다.
2.6.4 취급상의 주의사항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취급상의 주의사항과 동일하다. 2.6.4 취급상의 주의사항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취급상의 주의사항과 동일하다.
2.6.5 표 시
[수정] 용어 수정

도로포장용 아스팔트의 표시와 동일하다. 2.6.5 표 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표시와 동일하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3 골 재 15-3 골재

15-3-1 콘크리트용 골재 15-3-1 콘크리트용 골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굵은골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은 콘크리트용 잔골재 및 굵은골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5101-1 금속망체 KS A 5101-1 시험용체-제1부 : 금속 망 체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8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방법


KS F 2408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방법
KS F 2456 급속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방법
KS F 2456 급속 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방법 KS F 2501 골재의 시료채취 방법

KS F 2501 골재의 시료채취 방법 KS


KS
F
F
2502
2503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5 골재의 단위 용적 질량 및 실적률 시험방법

KS F 2503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KS
F
F
2507
2508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로스엔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05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실적률 시험방법 KS F 2510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mm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 량의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F 2510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KS
F
F
2515
2516
골재 중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방법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방법 KS F 2523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KS
F
F
2526
2527
콘크리트용 골재
콘크리트용 부순골재
KS F 2514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의한 유기 불순물을 함유한 잔골재 시험방법 KS F 2544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골재

KS F 2515 골재 중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방법(화학적 방법)

KS F 2516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방법(모르타르 봉 방법)
KS F 2575 굵은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23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 [수정] 추가 -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 참조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825 골재의 알칼리 실리카 반응성 신속 시험방법
(콘크리트 생산공정 관리용)
KS F 2527 콘크리트용 부순골재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15- 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544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골재 Aggregates (Mortar-Bar Method)

KS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잔골재
2.1 잔골재

콘 크리트용 잔골재란 5㎜체를 다 통과하고, 0.08㎜체에 다 남는 골재 또는 10㎜ 콘크리트용 잔골재란 5 mm 체를 다 통과하고, 0.08 mm 체에 다 남는 골

체를 전부 통과하고 5㎜체를 거의 다 통과하며, 0.08㎜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를


재 또는 10 mm 체를 전부 통과하고 5 mm 체를 거의 다 통과하며, 0.08
mm 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를 말한다. 잔골재에는 자연모래, 부순모래,
말한다. 잔골재에는 자연모래, 부순모래, 해사, 고로슬래그 잔골재 및 그 혼합물 해사, 고로슬래그 잔골재 및 그 혼합물이 있다.

이 있다.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고, 알맞은 입도를 가져야 하며, 먼지


· 흙 · 유기불순물 · 염화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고, 알맞은 입도를 가져야 하며, 먼지· 흙 · 자연모래란 빙하작용 또는 물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인하여 생성된 잔골재

유기불순물· 염화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를 말하며, 부순모래란 암석을 기계적으로 파쇄하여 단단한 입방체 모양

자연모래란 빙하작용 또는 물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인하여 생성된 잔골재를 말


의 입자로 만든 잔골재를 말한다. 해사는 바다에서 채취하여 물로 세척한
모래를 말한다.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하며, 부순모래란 암석을 기계적으로 파쇄하여 단단한 입방체 모양의 입자로 만 용융 슬래그를 서서히 냉각시켜 부순 것이다.

든 잔골재를 말한다. 해사는 바다에서 채취하여 물로 세척한 모래를 말한다. 고


로슬래그 잔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 슬래그를 서서히
냉각시켜 부순 것이다.

2.1.1 잔골재의 입도
잔골재는 대소의 알이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도는 표 15-15
2.1.1 잔골재의 입도
잔골재는 대소의 알이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자는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수정] 인용 절 및 표 번호 확인, 해당 내용 삭제
10-1-2절 표 10-1-3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표 15-15 잔골재의 입도

15- 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체의 호칭치수1) (㎜) 체를 통과한 것의 중량백분율(%)


10 100
5 95 ∼ 100
2.5 80 ∼ 100
1.2 50 ∼ 85
0.6 25 ∼ 60
0.3 10 ∼ 30
0.15 2 ∼ 10
비고) 1. 표 15-16의 입도 적용은 잔골재가 전량이 자연사, 해사이거나, 자연사와 부순 잔골
재 또는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혼합물일 경우 적용한다.
2. 잔골재의 전량이 부순 잔골재이거나 고로슬래그 잔골재일 때는 각각 KS F 2527 또
는 이 시방서 15-3절 1.1의 2.1.4, KS F 2544 또는 15-3절 1.1의 2.1.5에 따른다.
3. 콘크리트 1㎥당 시멘트를 250㎏ 이상 함유한 AE 콘크리트2)나 300㎏f 이상 함유한
콘크리트 또는 0.3㎜체와 0.15㎜체를 통과한 골재의 부족량을 승인된 광물질 혼화재
로 보충한 콘크리트에서는 0.3㎜체와 0.15㎜체 통과백분율의 최소량을 각각 5% 및
0% 로 감소해도 좋다.
주 2) AE 콘크리트란 AE 시멘트 또는 AE제를 혼합한 것으로서, 공기량이 3% 이상
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4. 표 15-16의 연속된 두 체사이의 잔류량이 45% 이고, 조립율이 2.3∼3.1인 것이어야
한다.
5. 체가름 및 조립율 규정에 맞지 않는 잔골재라도 이 잔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
가 위의 규정에 맞는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일하고 적합한 성질을 가졌다고
증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해도 좋다.
6. 잔골재의 조립율이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의 조립율에 비하여 ±0.20 이상의 변화를 나
타내었을 때는 배합을 변경시키지 않고서는 그 잔골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4.75, 2.36, 1.18,
0.6, 0.3, 0.15 ㎜에 해당한다.

2.1.2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2.1.2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1)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는 표 15-16 같으며, 물리적 성질은 표 (1)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는 표 15-3-1과 같다. [수정] 표 번호 수정

15-17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1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값 [수정] 용어 수정

표 15-16 잔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종 류 시험 방법 기준(%)


종 류 전체시료에 대한 최대무게 백분율(%) 점 토 덩 어 리 1)
KS F 2512 1.0 [수정] 시험방법 추가
KS F 2511
점 토 덩 어 리 1) 1.0 3.0
0.08 mm 체 통과량

0.08㎜체 통과량
- 콘크리트의 표면이 마모작용을 받는 경우
- 기타의 경우 5.0
- 콘크리트의 표면이 마모작용을 받는 경우 3.0
- 기타의 경우 5.0 KS F 2513
석탄, 갈탄등으로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밀도 2,000 kg/m3의 액체에 뜨는 것
- 콘크리트의 표면이 중요한 경우 0.5
- 콘크리트의 표면이 중요한 경우 0.5 - 기타의 경우 1.0
- 기타의 경우 1.0 염화물 (NaCl 환산량)2) KS F 2515 0.04
염화물(NaCl 환산량)2) 0.04 주 1)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이 5 %를 넘으면 안 된다.
주 1)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이 5%를 넘으면 안 된다. 2)
무근 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 무근 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5- 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3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 [추가]


(1)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품질기준은 표 15-3-2와 같다. [수정] 표 번호
표 15-17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

구 분 규 정 값
표 15-3-2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 [추가] 시험방법 및 소성지수 항목 추가
구 분 시험 방법 규 정 값
밀도 (절대건조. g/㎤) 2.5 이상 밀도 (절대건조, kg/㎥) KS F 2503 2,500 이상
흡 수 율 (%) 3.0 이하 흡 수 율 (%) KS F 2503 3.0 이하
안 정 성1) (%) 10 이하 안 정 성 1) (%) KS F 2507 10 이하
주 1)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을 하며, 손실량은 입도로 규정한 각 시료별 합산값을 말한다. 소 성 지 수 2) KS F 2303 9 이하
1)
주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을 하며, 손실량은 입도로 규정한 각 시료별 합산값을

(2) 유기불순물 2)
말한다.
소성지수는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의 잔골재에 적용한다.

잔골재는 유기불순물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유기불순물은 KS F


2510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 때 모래위에 있는 용액의 색깔은 표준색
(2) 유기불순물
잔골재는 유기불순물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유기불순물
보다 엷어야 한다. 용액의 색깔이 표준색보다 진한 경우라도 그 모래로 만든 은 KS F 2510에 의하여 시험하여야 하며, 이때 모래위에 있는 용액

모르타르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그 모래를 3%의 수산화나트륨에 씻고 다시 의 색깔은 표준색보다 엷어야 한다. 용액의 색깔이 표준색보다 진한
경우라도 그 모래로 만든 모르타르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그 모래를 3
물로 씻어서 사용한 모르타르 공시체의 압축강도의 90% 이상 된다면 감독관 %의 수산화나트륨에 씻고 다시 물로 씻어서 사용한 모르타르 공시체의

의 승인을 받아 그 모래를 사용해도 좋다. 이 때 모르타르 공시체의 재령은 압축강도의 90 % 이상 된다면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그 모래를 사용하
여도 좋다. 이때 모르타르 공시체의 재령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중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중용열 포트랜드 시멘트 및 혼합시멘트에 대해서는 7 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및 혼합시멘트에 대해서는 7일과 28일, 조강포

일과 28일, 조강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해서는 3일과 7일로 한다. 틀랜드 시멘트에 대해서는 3일과 7일로 한다.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골재가 젖어 있거나 습한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골재가 젖어 있거나 습한 대기 중에 노출되거
나 또는 습지에 접속하는 콘크리트에 사용될 경우에 잔골재는 시멘트
습지에 접속하는 콘크리트에 사용될 경우에 잔골재는 시멘트 중의 알카리와 중의 알칼리와 반응하는 유해물질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과잉

반응하는 유해물질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의 과잉팽창을 일으킬 정도로 팽창을 일으킬 정도로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이러한 재료의 유
해량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수산화나트륨으로 계산한 알칼리량이 0.6
함유해서는 안 된다. 다만, 이러한 재료의 유해량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수산 % 이하인 시멘트와 같이 사용하거나 또는 알칼리와 골재의 반응으로

화나트륨으로 계산한 알카리량이 0.6% 이하인 시멘트와 같이 사용하거나 또 인한 과잉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혼화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
에는 예외로 한다.
[수정] 자구 수정

는 알칼리와 골재의 반응으로 인한 과잉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혼화재를 사


용한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2.1.3 내구성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5회 반복했을 때, 잔골재의 손실중량 백분 2.1.4 내구성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5회 반복하였을 때, 잔골재의 손실 [수정] 줄임말 수정
율의 한도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손실중량이 이 한도를 넘는 잔골재라 할지 중량 백분율의 한도는 10 % 이하이어야 한다. 손실중량이 이 한도를 [수정] 띄어쓰기 수정

라도 이것을 사용한 같은 정도의 콘크리트가 예상되는 기상작용에 대하여 만 넘는 잔골재라 할지라도 이것을 사용한 같은 정도의 콘크리트가 예상되

족스러운 내구성을 나타낸 실례가 있거나 또는 실례가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는 기상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내구성을 나타낸 실례가 있거나 또
는 실례가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동결융해시험결과 만족할 만한 것이
동결융해시험결과 만족할만한 것이라고 인정이 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라고 인정이 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받아 사용할 수 있다.

15- 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4 부순 잔골재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잔골재로 KS F 2527의 규격에
2.1.5 부순 잔골재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잔골재로 KS F 2527의
적합하여야 한다. 부순 잔골재는 현무암, 안산암, 사암, 석회암 또는 이에 준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부순 잔골재는 현무암, 안산암, 사암, 석회암

는 석질로 만들어진다. 연질의 사암, 연질의 응회암, 풍화한 암석 등 석질이 또는 이에 준하는 석질로 만들어진다. 연질의 사암, 연질의 응회암, 풍
화한 암석 등 석질이 약한 것 또는 부술 때 결정 사이에 균열이 남아 있
약한 것 또는 부술 때 결정 사이에 균열이 남아 있을 우려가 있는 것은 사용 을 우려가 있는 것은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하여서는 안 된다.
(1) 부순 잔골재의 종류는 알칼리 골재 반응에 따라 A형은 알칼리 골재 반응 시
험결과 무해한 것을 말하고, B형은 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으 (1) 부순 잔골재의 종류는 알칼리 골재 반응에 따라, A형은 알칼리 골재

로 판정이 나지 않은 것 또는 이 시험을 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을 말하고, B형은 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
과 무해한 것으로 판정이 나지 않은 것 또는 이 시험을 하지 않은 것
(2) 부순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진흙 · 유기 불순물 등의 을 말한다.

해로운 양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KS F 2527의 6.2∼6.5에 따라 시험했을 (2) 부순 잔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 진흙 · 유기불순물
등의 해로운 양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KS F 2527의 6.2~6.5, 6.7 [수정] 인용 표준 수정
때 표 15-18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표 15-3-3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15-18 부순 잔골재의 품질기준


표 15-3-3 부순 잔골재의 품질기준
시 험 항 목 규 정 치
절 대 건 조 밀도 (g/㎤) 2.5 이상 시 험 항 목 규 정 치

수 율 (%) 3 이하
절 대 건 조 밀 도(kg/㎥) 2,500 이상
흡 흡 수 율 3 % 이하
안 정 성1) (%) 10 이하 안 정 성 1)
10 % 이하
0.08㎜체 통 과 량 (%) 4 이하 부순
0.08 mm 체 통과량 4 % 이하
조 립 율 2.3 ∼ 3.1 (±0.15) 모래
조 립 율 2.3 ~ 3.1 (±0.15)
입자모양 판정 실적율 (%) 55 이상 입자모양판정 실적율 55 % 이상
알카리 골재 반응시험 이 상 없 음 알칼리 골재 반응시험2) 팽창율 0.1 미만
콘크 80 % 이상
비고) 종류 A 의 부순 잔골재는 KS F 2527의 6.8에 따라 시험했을 때 해가 없어야 한다. 동결융해 저항성 시험 [추가] 콘크리트 내용 추가
리트 (300 cycle 적용할 때)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한다.
1)
주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한다.
2)
촉진 알칼리 골재 반응성 시험(ASTM C 1260)에 의한 시험결과 팽창율 0.1 % [수정] 알칼리 골재반응 시험에 대한 주의사항 추가
미만이어야 한다.

(3) 부순 잔골재의 입도는 표 15-19에 적합하여야 한다. (3) 부순 잔골재의 입도는 표 15-3-4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4) 부순 잔골재의 조립율 변동 허용범위는 생산자가 정한 조립율에 대하여 ± 0.15


(4) 부순 잔골재의 조립율 변동 허용범위는 생산자가 정한 조립율에 대하
여 ±0.15 로 한다. 부순 잔골재는 표 15-3-4에 나타낸 어떤 체에서
로 한다. 부순 잔골재는 표 15-19 에 나타낸 어떤 체에서도 인접한 체에 남 도 인접한 체에 남아 있는 양과의 차이가 45 % 이상이 되어서는 안

아 있는 양과의 차이가 45%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된다.


(5) A형 부순 잔골재는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신속 시험방법(KS [추가] 내용 수정 및 추가

(5) 부순 잔골재의 입형은 KS F 2527의 6.7에 따라 시험을 하여 그 값이 53%이 F 2825)에 따른 결과가 무해하여야 하며, 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

상 이어야 한다. (ASTM C 1260)에 따른 팽창율이 0.1% 미만이어야 한다.


(6) 급속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방법(KS F 2456)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그 값이 80 % 이상(300 cycle 적용 할 때)이어야 한

15- 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수정] 표 번호
표 15-19 부순 잔골재의 입도 표 15-3-4 부순 잔골재의 입도

체의 호칭 치수1) (㎜) 체를 통과한 것의 중량백분율(%) 체의 호칭 치수(1) (mm)


10
체를 통과한 것의 중량백분율 (%)
100
10 100 5 90 ~ 100
5 90 ∼ 100 2.5 80 ~ 100
2.5 80 ∼ 100 1.2 50 ~ 90
1.2 50 ∼ 90 0.6 25 ~ 65
0.6 25 ∼ 65 0.3 10 ~ 35

0.3 10 ∼ 35 0.15 2 ~ 15

0.15 2 ∼ 15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mm, 4.75 mm, 2.36
mm, 1.18 mm, 0.6 mm, 0.3 mm, 0.15 mm 에 해당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4.75, 2.36, 1.18㎜, 600,


300, 150㎜에 해당한다.

2.1.5 고로슬래그 잔골재 2.1.6 고로슬래그 잔골재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하는 용융 슬래그를 물,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하는 용융 슬래

공기 등으로 급냉한 다음 입도 조정한 것이다. 그를 물, 공기 등으로 급냉한 다음 입도를 조정한 것이다.


(1)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KS F 2544에 적합한 골재를 말하며, 표
[수정] 목적격 조사 추가

(1)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KS F 2544에 적합한 골재를 말하며, 표 15-20과 같은 15-3-5와 같은 종류가 있다.

종류가 있다. 표 15-3-5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종류 [수정] 표 번호, 단위표기 수정

표 15-20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종류

종 류 입자의 크기 (㎜) 종 류 입 자의 크기 (mm)


5㎜ 고로슬래그 잔골재 5 이하 5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5 이 하
2.5㎜ 고로슬래그 잔골재 2.5 이하
1.2㎜ 고로슬래그 잔골재 1.2 이하 2.5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2.5 이 하
5 ∼ 0.3㎜ 고로슬래그 잔골재 5 ∼ 0.3 1.2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1.2 이 하
5 mm ∼ 0.3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5 ∼ 0.3

(2)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양의 물 (2) 고로슬래그 잔골재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질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그 품질은 KS F 2544의 5.2∼5.4에 따라 시험했 양의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그 품질은 KS F 2544의
5.2~5.4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표 15-3-6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을 때 표 15-21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21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품질기준 표 15-3-6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품질기준

15- 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항 목 규 정 값 항 목 규 정 값

산 화 칼 슘(CaO) 45.0 이하 산화칼슘 (CaO) 45.0 이하

화학성분 황 (S) 2.0 이하


화학성분
황 (S) 2.0 이하

총 함유량
총함유량

삼 산 화 황(SO3) 0.5 이하
삼산화황 (SO3) 0.5 이하
(%) (%)
철 (FeO) 3.0 이하
철 (FeO) 3.0 이하 절대건조밀도 (g/㎤) 2.5 이하
절대건조비중 2.5 이하 물리적 성질 흡수율 (%) 3.5 이하

물리적 성질 흡 수 율 (%) 3.5 이하 단위용적질량 (kg/㎥) 1,450 이상 [수정] 단위계 변환

단위용적질량(㎏/L) 1.45 이상 [수정] 표 번호


(3)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입도는 KS F 2544의 5.5에 따라 시험하여 표

(3)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입도는 KS F 2544의 5.5에 따라 시험하여 표 15-22의


15-3-7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7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입도


[수정] 표번호 스타일
체의 호칭치수
표 15-22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입도 체를 통과한 것의 질량 백분율 (%) [수정] 용어 수정
(mm)

체의 호칭치수(㎜) 체를 통과한 것의 무게 백분율 (%) 종 류 10 5 2.5 1.2 0.6 0.3 0.15

종 류 10 5 2.5 1.2 0.6 0.3 0.15 5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0~100 80~100 50~90 25~65 10~35 2~15
2.5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5~100 85~100 60~95 30~70 10~45 2~20

5㎜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0∼100 80∼100 50∼90 25∼65 10∼35 2∼15 1.2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 100 95~100 80~100 35~80 15~50 2~20

2.5㎜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5∼100 85∼100 60∼95 30∼70 10∼45 2∼20 5~0.3 mm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5~100 65~100 10~70 0~40 0~15 0~10

1.2㎜ 고로슬래그 잔골재 - 100 95∼100 80∼100 35∼80 15∼50 2∼20


5∼0.3㎜ 고로슬래그 잔골재 100 95∼100 65∼100 10∼70 0∼40 0∼15 0∼10 (4)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조립율은 공급원을 승인할 때의 시험결과에 따 [수정] 문구 수정
른 조립율과 비교하여 ±0.20 이상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4) 고로슬래그 잔골재의 조립율은 구입할 때에 생산자가 제출한 견본품에 대하


여 시험하여 구한 조립율과 비교하여 ±0.20 이상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2.1.6 해 사 2.1.7 해 사
(1) 해사에 포함되는 염화물의 허용한도는 KS F 2515에 따라 시험했을 때 해사 (1) 해사에 포함되는 염화물의 허용한도는 KS F 2515에 따라 시험하였

의 절대건조중량에 대하여 NaCl로 환산하여 0.04%이하로 한다. 0.04%를 초 을 때 해사의 절대건조중량에 대하여 염화나트륨(NaCl)로 환산하여
0.04 % 이하로 한다. 0.04 %를 초과한 것에 대해서는 감독자의 승인
[수정] 한글표기 추가(영문 괄호로 표기)

과한 것에 대해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을 받아야 한다.

(2) 상기의 허용한도를 초과하는 해사는 물로 씻거나 기타의 방법을 써서 허용한 (2) 상기의 허용한도를 초과하는 해사는 물로 씻거나 기타의 방법을 써서

도 이하로 해서 쓰거나 또는 염화물 함유량의 정도에 따라 감독자의 지시에


허용한도 이하로 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염화물 함유량의 정도에 따라 [수정] 문구 및 자구 수정
감독자의 지시에 의하여 적당한 조치를 강구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의하여 적당한 조치를 강구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3) 해사를 사용할 때는 큰 조개껍질 조각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수정] 자구 수정
(3) 해사를 사용함에 있어서 큰 조개껍질 조각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4) 무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콘크리트는 염화물 함유량의 허용한도
를 따로 정하지 않아도 좋으나 이 경우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
(4) 무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콘크리트에 있어서는 염화물 함유량의 허용한 다.

도를 따로 정하지 않아도 좋으나 이 경우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5) 조개껍질의 혼입에 대해서는 10 mm 이하의 트롬멜(trommel)을 통과
시켜 사용한다.
[수정] 영문표기 추가

15- 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 조개껍질의 혼입에 대해서는 10㎜ 이하의 트롬멜을 통과시켜서 사용한다. (6) 조개껍질 최대크기가 5 mm ~ 13 mm일 경우에는 조개껍질 함유율이 [추가]
4 % 이하이어야 하며, 최대크기가 5 mm 이하일 경우에는 함유율이
20 % 이하이어야 사용할 수 있다.

2.2 굵은골재
2.2 굵은골재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란 5 mm 체에 다 남거나 또는 거의 다 남는 골재를
콘 크리트용 굵은골재란 5㎜체에 다 남거나 또는 거의 다 남는 골재를 말하며, 말하며, 부순골재 · 자갈 · 고로슬래그 및 그 혼합물이 있다. 굵은골재는 깨끗

부순골재· 자갈 · 고로슬래그 및 그 혼합물이 있다. 굵은골재는 깨끗하고 강하고 하고 강하고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얇은 석편 · 먼지 · 흙 · 유기
불순물 · 염화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굵은골재로 사용할 [수정]줄임말 수정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얇은 석편· 먼지· 흙 · 유기불순물· 염화물 등 부순골재는 KS F 2527에 적합하여야 하며, 자갈은 사용 전에 물로 깨끗이

의 유해량을 함유해서는 안 된다. 굵은골재로 사용할 부순골재는 KS F 2527에 씻어야 한다.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로 사용할 슬래그는 고로슬래그로써 강하
고 내구적이고 균일한 재질과 밀도를 가지며, 얇은 조각 · 가느다란 토막 · 유
적합하여야 하며, 자갈은 사용 전에 물로 깨끗이 씻어야 한다. 콘크리트용 굵은 리질의 슬래그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골재로 사용할 슬래그는 고로슬래그로서 강하고 내구적이고 균일한 재질과 밀도


를 가지며, 얇은 조각 · 가느다란 토막 · 유리질의 슬래그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여
서는 안 된다. 2.2.1 굵은골재의 입도
2.2.1 굵은골재의 입도 굵은골재는 대소의 알이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도는

굵은골재는 대소의 알이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입도는 표 15-23


표 15-3-8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수정] 표 번호

의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표 15-3-8 굵은골재의 입도

표 15-23 굵은골재의 입도

15- 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골재 체의 호칭치수 각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


1)
(㎜)
번호 체의 크기(㎜) 100 90 75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골재
체의 호칭치수(1)
(mm)
각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

번호

90-10 25-60 0-15 0-5


체의크기 (mm) 100 90 75 65 50 40 25 20 13 10 5 2.5

1 90 ∼ 40 100 0 35-70 0-15


100 90-10 0-5
1 90 ~ 40 100 90-100 25-60 0-15 0-5

2 65 ∼ 40 0 0 90-10 35-70 0-15 0-5


2 65 ~ 40 100 90-100 35-70 0-15 0-5

3 50 ∼ 25
3 50 ~ 25 100 90-100 35-70 0-15 0-5

357 50 ∼ 5 100 95-10 90-10 35-70 10-30 0-5


357 50 ~ 5 100 95-100 35-70 10-30 0-5

4 40 ∼ 20 100 0 0 20-55 0-15 0-5 4 40 ~ 20 100 90-100 20-55 0-15 0-5 [수정] 생략된 단위 추가

100 95-10 95-10 35-70 25-60 10-30 0-5


467 40 ~ 5 100 95-100 35-70 10-30 0-5

467 40 ∼ 5 57 25 ~ 5 100 95-100 25-60 0-10 0-5

57 25 ∼ 5 100 0 0 90-10 0-10 0-5


67 20 ~ 5 100 90-100 20-55 0-10 0-5

67 20 ∼ 5 20-55
100 100 0 90-10 40-70 0-10 0-5
7
8
13 ~ 5
10 ~ 2.5
100 90-100 40-70 0-15 0-5
100 85-100 10-30 0-10

7 13 ∼ 5 100 0 85-10 0-15 0-5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하는 표준체 106 mm, 90 mm, 75 mm, 63

8 10 ∼ 2.5 100 0 10-30 0-10 0-5


mm, 53 mm, 37.5 mm, 26.5 mm, 19 mm, 13.2 mm, 9.5 mm, 4.75 mm, 2.36 mm
및 1.18 mm에 해당한다.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망체 106, 90, 75, 63, 53, 37.5, 26.5,
19, 13.2, 9.5, 4.75, 2.36 및 1.18㎜에 해당한다.

2.2.2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는 표 15-24 같다.
2.2.2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는 표 15-3-9와 같다. [수정] 표 번호
표 15-24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표 15-3-9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종 류 전 시료에 대한 최대중량 백분율(%) 전 시료에 대한
[수정] 표 번호

점 토 덩어리1) 0.25 종 류
최대중량 백분율 (%)

연한 석편1) 5.0 점토 덩어리(1) 0.25


연한 석편(1) 5.0
0.08㎜체 통과량 1.0 0.08 mm 체 통과량 1.0

석탄, 갈탄 등으로 비중 2.0의 액체에 뜨는 것


3
석탄, 갈탄 등으로 밀도 2,000 kg/m 의 액체에 뜨는 것

- 콘크리트의 표면이 중요한 경우 0.5


- 콘크리트의 표면이 중요한 경우 0.5
- 기타의 경우 1.0
- 기타의 경우 1.0 주 (1)
이 허용치는 굵은골재의 연한 석편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 보기를 들면 육중한 상판 표면의 경도가 특별히 요구되는 노출면에 적용된다.
주 1) 이 허용치는 굵은골재의 연한 석편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
다만,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이 5 % 넘으면 안 된다.
보기를 들면 육중한 상판 표면의 경도가 특별히 요구되는 노출면에 적용된다. 다만, 점
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이 5% 넘으면 안 된다.

2.2.3 알칼리 함유량


젖어있거나 습한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또는 습지에 접속하는 콘크리트에 사 2.2.3 알칼리 함유량

용할 굵은골재는 시멘트 중의 알칼리와 반응하는 유해물질을 모르타르 또는 젖어있거나 습한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또는 습지에 접속하는 콘크

콘크리트가 과잉 팽창을 일으킬 정도로 함유해서는 안 된다. 다만, 이러한 재


리트에 사용할 굵은골재는 시멘트 중의 알칼리와 반응하는 유해물질을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가 과잉 팽창을 일으킬 정도로 함유하여서는
료의 유해량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수산화나트륨으로 계산한 알칼리량이 0.6%
[수정] 줄임말 수정
안 된다. 다만, 이러한 재료의 유해량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수산화나 [수정] 단위표기수정
트륨으로 계산한 알칼리량이 0.6 % 이하인 시멘트와 같이 사용하거

15- 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이하인 시멘트와 같이 사용하거나, 또는 알칼리와 골재의 반응으로 인한 과잉 나 또는 알칼리와 골재의 반응으로 인한 과잉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는 예외로 한다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인 경우는 예외로 한다.

.
2.2.4 내구성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표 15-25에 적합하여야 한다.
2.2.4 내구성

(1)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표 15-3-10에 적합하여야 한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15-25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 다.

구 분 규 정 값 표 15-3-10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물리적 성질

절대 건조 밀도 (g/㎤) 2.5 이상 구 분 시험방법 규 정 값

수 율 (%) 3.0 이하
3
밀 도 (절대건조, g/cm ) KS F 2503 2.5 이상

안 정 성1) (%) 12 이하
흡 수 율 % KS F 2503 3.0 이하
안 정 성(1) % KS F 2507 12 이하
마 모 율2) (%) 마 모 율(2) % KS F 2508

- 포장용 35 이하
- 포장용 25 이하
- 기 타 40 이하
[수정] 25 이하로 수정

-기 타 40 이하 주 (1)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을 하며, 손실량은 입도로 규정한 각 시료별 합산 값을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말한다.
주 1)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을 하며, 손실량은 입도로 규정한 각 시료별 합산값을 말한다. (2)
마모율도 콘크리트에 사용된 입도에 따라 측정한다. 하나 이상의 입도를 콘크리트에
2) 마모율도 콘크리트에 사용된 입도에 따라 측정한다. 하나 이상의 입도를 콘크리트에 사
사용할 경우에 마모율의 허용 값은 각각의 입도에 적용한다.
용할 경우에 마모율의 허용값은 각각의 입도에 적용한다.

(1) 안정성의 손실량이 표 15-25 한도를 넘는 굵은골재라 할지라도 이것을 사용


한 같은 정도의 콘크리트가 예상되는 기상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내구성 (2) 안정성의 손실량이 표 15-3-10의 한도를 넘는 굵은골재라 할지
라도 이것을 사용한 같은 정도의 콘크리트가 예상되는 기상작용에 대하
[수정] 표 번호 수정

을 나타낸 실례가 있거나 또는 실례가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동결융해 시험 여 만족스러운 내구성을 나타낸 실례가 있거나 또는 실례가 없는 경우

결과 만족할만한 것이라고 인정이 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라 할지라도 동결융해 시험결과 만족할만한 것이라고 인정이 될 경우

수 있다. 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2.2.5 부순 굵은골재
부순 굵은골재는 KS F 2527에 적합한 굵은골재를 말한다.
(1) 부순 굵은골재는 현무암 · 안산암 · 경질 사암 · 경질 석회암 또는 이에 준한
2.2.5 부순 굵은골재
부순 굵은골재는 KS F 2527에 적합한 굵은골재를 말한다.
석질을 가진 암석으로 만든 골재로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흙 ·
유기 불순물· 얇고 가느다란 석편 등의 해로운 양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1) 부순 굵은골재는 현무암․안산암․경질 사암․경질 석회암 또는 이에 준한
석질을 가진 암석으로 만든 골재로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먼
(2) 부순 굵은골재의 종류는 크게 알칼리 골재 반응에 따라 A형(알칼리 골재 반 지․흙․유기 불순물․얇고 가느다란 석편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 B형(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으로 판 한다.

정되지 않은 것 또는 이 시험을 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며, 입자의 크기에


(2) 부순 굵은골재의 종류는 크게 알칼리 골재 반응에 따라 A형(알칼리 골
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것), B형(알칼리 골재 반응 시험결과 무해한
따라 표 15-26 같이 분류한다. 것으로 판정되지 않은 것 또는 이 시험을 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한
다.

15- 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정] 입자 크기 표와 입도 범위 표를 종합 정리
표 15-26 부순 굵은골재의 입자 크기에 따른 종류

골 재 번 호 입자 크기의 범위 (㎜)
부순 굵은골재 1 90 ∼ 40
부순 굵은골재 2 65 ∼ 40
부순 굵은골재 3 50 ∼ 25
부순 굵은골재 357 50 ∼ 5
부순 굵은골재 4 40 ∼ 20
부순 굵은골재 467 40 ∼ 5
부순 굵은골재 57 25 ∼ 5
부순 굵은골재 67 20 ∼ 5
부순 굵은골재 7 15 ∼ 5
부순 굵은골재 78 13 ∼ 2.5
부순 굵은골재 8 10 ∼ 2.5
비고) 명칭 및 종류의 표기 (보기: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골재 67 A)
(3) 부순 굵은골재의 품질은 KS F 2527의 6.2~6.5에 따라 시험하였을
(3) 부순 굵은골재의 품질은 KS F 2527의 6.2∼6.5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15-27 때 표 15-3-11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11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표 15-27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시 험 항 목 규 정 값

시 험 항 목 규 정 값 절대건조밀도 (g/c㎥) 2.5 이상


절대 건조 밀도 (g/㎤) 2.5 이 상 흡 수 율 (%) 3 이하
수 율 (%) 3 이 하 안 정 성(1) (%) 12 이하

안 정 성1) (%) 12 이 하 0.08mm 체 통과량 (%) 1.0 이하
마 모 율 (%) 마 모 율 (%)
- 포장용 35 이 하 -포장용 25 이하
-기 타 40 이 하 -기 타 40 이하
[수정] 중심위 : 마모율 수정

0.08㎜ 체 통 과 량 (%) 1.0 이 하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한다.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시험한다.
(4) A형 부순 굵은골재는 KS F 2825의 시험방법에 따른 결과가 무해하여 [수정] 해당내용 수정, 추가
(4) A형 부순 굵은골재는 알칼리 골재반응 시험을 한 결과 해가 없어야 한다. 야 하며, ASTM C 1260에 따른 팽창율이 0.1 % 미만이어야 한다.

(5) 부순 굵은골재의 입도는 표 15-28 범위로 한다. (5) 부순 굵은골재의 입도는 표 15-3-12의 범위로 한다.

(6) 부순 굵은골재의 입형은 KS F 2527의 6.7에 따라 시험을 하여 그 값이 55% (6) 부순 굵은골재의 입형판정 실적율은 KS F 2527의 6.7에 따라 시험을 [수정] 문구 수정
하여 그 값이 55 % 이상이어야 한다.
이상이어야 한다.
표 15-3-12 부순 굵은골재의 입도 [수정] 표 번호
표 15-28 부순 굵은골재의 입도

15- 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체의 호칭치수1) 각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


(㎜)
체의호칭
치수(1) 각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 [수정] 입자의 크기 범위를 추가하여 종합적인 표 작성
부순 굵은 부순굵은 (mm)

골재 번호 90 75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골재번호


체의크기) 90 75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1 90-100 25-60 0-15 0-5


(mm)

2 100 90-100 35-70 0-15 0-5


0-15
90-10 25-60

3 100 90-100 35-70 0-15 0-5


1 90~40 35-70 0-15 0-5
0 90-10

357 100 95-100 35-70 10-30 0-5


2 65~40 100 90-10 35-70 0-5 0-5
0 0-15

4 100 90-100 20-55 0-15 0-5


3 50~25 0 10-30
100 35-70

467 100 95-100 35-70 10-30 0-5


357 50~5 95-10 90-10 0-5
100 20-55 0-5

57 100 95-100 25-60 0-10 0-5


4 40~20 0 0 0-15
10-30

67 100 90-100 20-55 0-10 0-5


467 40~5 100 95-10 35-70 25-60 0-5
95-10

7 100 90-100 40-70 0-15 0-5


57 25~5 100 0 0-10 0-5
0 20-55
67 100 90-100 90-10 0-10 0-5
78 100 90-100 40-75 5-25 0-10 0-5
20~5
100 40-70
7 100 0 0-15 0-5
8 100 85-100 10-30 0-10 0-5
15~5
40-75
78 13~2.5 100 90-10 5-25 0-10 0-5
85-10
8 10~2.5 0 10-30 0-10 0-5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시험망체 90, 75, 63, 53, 37.5, 26.5, 0
100
19, 13.2, 9.5, 4.75, 2.36, 1.18 ㎜에 해당한다. (1)
주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0 mm, 75 mm, 63 mm, 53
[수정] 단위표기 수정
mm, 37.5 mm, 26.5 mm, 19 mm, 13.2 mm, 9.5 mm, 4.75 mm, 2.36 mm, 1.18

2.2.6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mm 에 해당한다.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 슬래그를 서 2.2.6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서히 냉각시켜 부순 것이다.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용광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 슬


래그를 서서히 냉각시켜 부순 것이다.
(1)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종류는 표 15-29 같으며, 표 15-30 같이 분류한다. 굵
은골재로 사용할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KS F 254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표 15-3-13과 같이 분류한다. 굵은골재로
사용할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KS F 254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수정] 입자크기 표와 입도범위 표를 종합 정리

표 15-29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종류

종 류 입자 크기의 범위 (㎜)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67 40 ∼ 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 40 ∼ 20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57 25 ∼ 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67 20 ∼ 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7 13 ∼ 5
표 15-30 로슬래그 굵은골재의 분류

항 목 절대건조밀도1) 흡 수 율1) (%) 단위용적질량2) 표 15-3-13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분류 [수정] 절대건조밀도 단위 삽입, SI 단위계 사용
분 류 (㎏/㎥) (㎏/L) 항 목 절대건조밀도(1)
흡 수 율(1) (%)
단위용적질량(2)
분 류 (kg/㎥) (kg/㎥)
A 2.2 이 상 6이하 1.25 이 상 A 2,200 이상 6 이하 1,250 이상
B 2,400 이상 4 이하 1,350 이상
B 2.4 이 상 4이하 1.35 이 상 주 (1)
KS F 2544의 5.3에 따른다.

15- 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주 1) KS F 2544의 5.3에 따른다. KS F 2544의 5.4에 따른다.
2) KS F 2544의 5.4에 따른다.

(2)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함유 (2) 고로슬래그 굵은골재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물질

하지 않아야 하며, KS F 2544의 5.2∼5.4에 따라서 시험했을 때 표 15-31 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KS F 2544의 5.2~5.4에 따라서 시험하였
을 때 표 15-3-14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조정

표 15-31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표 15-3-14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조정

항 목 규 정 값 항 목 규 정 값

A B 화학
산화칼슘 (CaO) 45.0 % 이하

산화칼슘 (CaO) 45.0 % 이하 성분


총함
황 (S) 2.0 % 이하

화학성분 황 (S) 2.0 % 이하


삼산화황 (SO3) 0.5 % 이하
유량
철 (FeO) 3.0 % 이하
총함유량 3산화황 (SO3) 0.5 % 이하 수중침지시험 균열, 분해, 진흙화, 분화 등의 현상이 없을 것

철 (FeO) 3.0 % 이하 자외선(360.0 nm) 조사시험 발광하지 않거나 또는 균일한 자주색을 띠고 있을 것

절대건조밀도(㎏/㎥) 2.2 이하 2.4 이하


물리적 흡수율 6.0 이하 4.0 이하
성 질
단위용적질량(㎏/L) 1.25 이하 1.35 이하
수중 침지 시험 균열, 분해, 니상화, 분화 등의 현상이 없을 것
자외선(360.0nm) 조사시험 발광하지 않거나 또는 균일한 자색을 띠고 있을 것

(3)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는 KS F 2544의 5.5에 따라 시험하고, 대소입자 (3)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는 KS F 2544의 5.5에 따라 시험하고, 대소
[수정] 표 번호 조정

가 적당히 혼합된 것으로서 표 15-32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입자가 적당히 혼합된 것으로서, 표 15-3-15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
다.

표 15-32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 [수정] 표 번호 조정

체의호칭 치수1)
표 15-3-1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입도

(㎜)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 백분율 (%) 체의호칭 치수(1)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 백분율 (%)
종류 및
(mm)

입자 크기의 범위 (㎜) 50 40 25 20 16 10 5 2.5 종류 및


입자 크기의 범위 (mm) 50 40 25 20 16 10 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67 40∼5 100 95∼100 - 35∼70 - 10∼30 0∼5 -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 40∼20 100 90∼100 20∼55 0∼15 - 0∼5 - -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67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4
40~5
40~20
100 95~100 - 35~70
100 90~100 20~55 0~15
-
-
10~30
0~5
0~5
-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57 25∼5 - 100 95∼100 - 30∼70 - 0∼10 0∼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57 25~5 - 100 95~100 - 30~70 - 0~10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67 20∼5 - - 100 90∼100 - 20∼55 0∼10 0∼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67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7
20~5
13~5
-
-
-
-
100 90~100
-
- 20~55
100 90~100 40~70
0~10
0~15
고로슬래그 굵은골재 7 13∼5 - - - 100 90∼100 40∼70 0∼15 0∼5 (1)
주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53 mm, 37.5 mm, 26.5 [수정] 단위표기 수정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시험용 망체의 호칭치수 53, 37.5, 26.5, 19, mm, 19 mm, 16 mm, 9.5 mm, 4.75 mm에 해당한다.
16, 9.5, 4.75㎜에 해당한다.

(4)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조립율은 구입 시에 생산자가 제공한 견본품에 대하 (4) 고로슬래그 굵은골재의 조립율은 공급원을 승인할 때의 시험결과에 따

15- 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여 시험해서 구한 조립율과 ±0.3 이상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른 조립율과 비교하여 ±0.3 이상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2.3 골재의 저장
2.3 골재의 저장
2.3.1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따로
2.3.1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따로 저장하 저장하여야 한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40 mm 이상인 경우에는 적 [수정] 생략된 단위 추가

여야 한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적당한 체로 2종 이 당한 체로 2종 이상으로 체가름하여 따로따로 저장하여야 한다.

상으로 체가름하여 따로따로 저장하여야 한다.


2.3.2 골재의 반입 · 저장 및 취급 시에는 대소의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또 먼지· 2.3.2 골재의 반입, 저장 및 취급할 때에는 대소의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수정] 한글로 순화
잡물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하고, 먼지 · 잡물 등이 혼입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3.3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표면수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 2.3.3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표면수가 균일하게

여야 하며, 또한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되도록 하여야 하며, 사용에 편리하여야 한다.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2.3.4 골재의 저장설비는 겨울에는 빙설의 혼입 또는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2.3.4 골재의 저장설비는 겨울의 빙설 혼입이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 [수정] 불필요한 자구 삭제, 문구 수정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2.3.5 여름에는 골재의 건조나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사광선을 막는 적 2.3.5 여름에는 골재의 건조나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사광선을

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막는 적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2.3.6 골재는 완성된 노상 위, 보조기층 또는 길어깨 위 등에 저장해서는 안 된다. 2.3.6 골재는 완성된 노상 위, 보조기층 또는 길어깨 위 등에 저장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문구 수정

2.4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4.1 시료채취 : 골재의 시료채취는 KS F 2501에 따른다. 2.4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4.2 입 도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4.1 시료채취 : 골재의 시료채취는 KS F 2501에 따른다.

2.4.3 0.08㎜체 통과량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0.08㎜체를 통과하는) 시험은 KS F 2.4.2 입 도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511에 따른다. 2.4.3 0.08 mm 체 통과량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0.08 mm 체를 통과하
2.4.4 유기불순물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은 KS F 는) 시험은 KS F 2511에 따른다.

2510에 따른다. 2.4.4 유기불순물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 시험은


2.4.5 모르타르에 의한 성질측정 :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에 의한 잔골재 시험은 KS KS F 2510에 따른다.

F 2514에 따른다.
[삭제]

2.4.6 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2.4.5 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2.4.7 휨강도 :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2.4.6 휨강도 :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2.4.8 안정성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KS F 2507에 따른다. 2.4.7 안정성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KS F 2507에 따른다.

15- 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9 점토덩어리 :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은 KS F 2512에 따른다. 2.4.8 점토덩어리 :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은 KS F 2512에
따른다.

2.4.10 석탄 및 갈탄 :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2.4.9 석탄 및 갈탄 :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2.4.11 슬래그의 중량 :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시험은 KS F 2505에 따른다. 2.4.10 슬래그의 질량 : 골재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극율 시험은 KS F 2505에
따른다.
2.4.12 굵은골재의 마모 :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은 KS F 2.4.11 굵은골재의 마모 :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은

2508에 따른다. KS F 2508에 따른다.

2.4.13 조립율 :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는 KS F 2523에 따른다. 2.4.12 조립율 :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는 KS F 2523에 따른다.

2.4.14 연석량 :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은 KS F 2516에 따른다. 2.4.13 연석량 :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은 KS F 2516에 따른

2.4.15 골재반응 :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화학적 방법)은 KS F 2545에 따른다. 다.


2.4.14 알칼리 골재반응 :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화학적 방법)은 KS [수정] 알칼리 골재반응성 시험방법 추가
F 2545, 골재의 알칼리 잠재반응 시험(모르타르
봉 법)은 KS F 2546,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
응성 신속 시험 방법은 KS F 2825 및 골재의 촉진
알칼리 반응성 시험은 ASTM C 1260에 따른다.
2.4.16 동결융해 : 급속 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은 KS F 2456에 따른다. 2.4.15 동결융해 : 급속 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 저항 시험은 KS F 2456에

2.4.17 비중 및 흡수량 :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은 KS F 2503에 따른다.


따른다.
2.4.16 밀도 및 흡수량 :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은 KS F 2503에 따른 [수정] 용어 수정

2.4.18 세장 또는 편평석편 : 굵은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시험은 KS F 2575에 따르 다.


2.4.17 세장 또는 편평 석편 : 굵은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은 KS F 2575 [수정] 띄어쓰기 수정
며,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실시한다. 에 따르며,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 [수정] 자구 수정

2.4.19 혈암 : 육안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며, 감독자가


한다.
2.4.18 혈암 : 육안 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며 감독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2.4.20 유리질입자 : 육안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며, 감독 2.4.19 유리질입자 : 육안 판단에 의하여 손으로 가려내어 그 중량을 측정하

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며, 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 실시한다.


2.4.20 철 입자 : 철 입자 함유량은 양질의 자석을 사용하여 철 입자를 가려 [수정] 띄어쓰기 수정
2.4.21 철입자 : 철입자 함유량은 양질의 자석을 사용하여 철입자를 가려내어 그 중 내어 그 중량을 측정한다. 철 입자를 함유한 슬래그는 모두

량을 측정한다. 철입자를 함유한 슬래그는 모두 철로 간주한다. 철로 간주한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3-2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15-3-2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골재 [수정] 용어 수정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역청포장 혼합물용 잔골재 및 굵은골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 및 굵은골재에 대하여 적용한 [수정] 자구 및 용어 수정
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5101-1 금속망체 KS A 5101-1 시험용체-제1부 : 금속 망 체 [수정] 표준내용 수정


KS F 2357 역청포장 혼합물용 골재 KS F 2340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방법

KS F 2501 골재의 시료채취 방법 KS


KS
F
F
2357
2384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다져지지 않은 잔골재의 공극률 시험방법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1 골재의 시료채취 방법

KS F 2503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2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

KS F 2505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실적률 시험방법 KS


KS
F
F
2503
2504
굵은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5 골재의 단위 용적 질량 및 실적율 시험방법

KS F 2508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 방법 KS


KS
F
F
2507
2508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로스엔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 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mm 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방법


KS F 2516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KS F 2513 골재에 포함된 경량 편 시험방법

KS F 2523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 KS


KS
F
F
2516
2523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 골재의 연석량 시험방법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

KS F 2575 굵은 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2575 굵은골재 중 편장석 함유량 시험방법

KS F 3501 역청 포장용 채움재 KS F 3501 아스팔트 포장용 채움재


ASTM D 582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fractured particles in coarse aggregate (굵은 골재의 파쇄면 함유
ASTM D 5821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Fractured Particles in Coarse Aggregate
량 결정을 위한 시험)

15- 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재료 편 전체 통일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잔골재 2.1 잔골재

역 청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에는 자연모래· 암석· 자갈 등을 깨어 얻어진 부순모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에는 자연모래 · 암석이나 자갈 등을 깨어 [수정] 가운데 점 수정

래 또는 그 혼합물로서 단단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부착물이 없어야 하고, 점 얻어진 부순모래 또는 그 혼합물로서 단단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부착물이
없어야 하고, 점토나 실트 · 기타 해로운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
토나 실트· 기타 해로운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야 한다.

2.1.1 잔골재의 입도 2.1.1 잔골재의 입도


역청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의 입도는 표 15-33 범위를 표준으로 하며, 품질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의 입도는 표 15-3-16의 범위를 표

기준은 표15-34 따른다. 준으로 하며, 품질 기준은 표 15-3-17에 따른다. [수정] 표 번호

표 15-33 역청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의 입도


표 15-3-16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의 입도

체의 호칭치수 1) 각 체를 통과하는 중량백분율 (%) 각 체를 통과하는 중량백분율 (%)


입도 No.1 입도 No.2 입도 No.3 입도 No.4 입도 No.5 체의 호칭치수(1)
입도 No.1 입도 No.2 입도 No.3 입도 No.4 입도 No.5

10㎜ 100 100 10 mm 100 100


5㎜ 95 ∼ 100 100 100 80 ∼ 100 100 5 mm 95 ~ 100 100 100 80 ~ 100 100

2.5㎜ 70 ∼ 100 75 ∼ 100 95 ∼ 100 65 ∼ 100 85 ∼ 100 2.5 mm


1.2 mm
70
40
~ 100
~ 80
75 ~ 100
50 ~ 74
95 ~ 100
85 ~ 100
65
40
~ 100
~ 80
85 ~ 100

1.2㎜ 40 ∼ 80 50 ∼ 74 85 ∼ 100 40 ∼ 80 0.6 mm 20 ~ 65 28 ~ 52 65 ~ 90 20 ~ 65 25 ~ 55

0.6㎜ 20 ∼ 65 28 ∼ 52 65 ∼ 90 20 ∼ 65 25 ∼ 55 0.3 mm 7 ~ 40 8 ~ 30 30 ~ 60 7 ~ 40 15 ~ 40

0.3㎜ 7 ∼ 40 8 ∼ 30 30 ∼ 60 7 ∼ 40 15 ∼ 40 0.15 mm
0.08 mm
2
0
~ 20
~ 10
0 ~ 12
0~ 5
5 ~ 25
0~ 5
2
0
~ 40
~ 10
7
0
~
~
28
20
0.15㎜ 2 ∼ 20 0 ∼ 12 5 ∼ 25 2 ∼ 40 7 ∼ 28
0.08㎜ 0 ∼ 10 0 ∼ 5 0 ∼ 5 0 ∼ 10 0 ∼ 20 비고 : 다른 종류의 잔골재와 혼합 사용할 때, 입도는 혼합한 후 위 규격에 만족하여야 한다.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mm, 4.75 mm, 2.36
mm, 1.18 mm, 0.6 mm, 0.3 mm, 0.15 mm, 0.075 mm 에 해당한다. [수정] 생략된 단위 추가
비고) 다른 종류의 잔골재와 혼합 사용할 때, 입도는 혼합한 후 위 규격에 만족하여야 한다.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망체 9.5, 4.75, 2.36, 1.18, 0.6, 0.3,
0.15, 0.075㎜에 해당 한다.
(1) 이 규격에 맞지 않는 잔골재가 어떠한 경우에는 충분한 결과를 얻을
(1) 이 규격에 맞지 않는 잔골재가 어떠한 경우에는 충분한 결과를 얻을 때가 있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 경험이나 현장에서 사용할 재료에

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경험이나 현장에서 사용할 재료에 대한 배합설계가 대한 배합설계가 품질상 혼합조건에 적합한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이라
고 증명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 사용하여도 좋다.
[수정] 용어 수정

품질상 혼합조건에 적합한 역청 혼합물이라고 증명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해서 [수정] 줄임말 수정

사용해도 좋다.
(2) 골재원에서 채취한 잔골재의 입도는 사용할 골재원에서 대표적으로 채취한 (2) 골재원에서 채취한 잔골재의 입도는 사용할 골재원에서 대표적으로

15- 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시료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대표적 시료의 조립율이 ±0.25이상 변동되었 채취한 시료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대표적 시료의 조립율이 [수정] 줄임말 수정

을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재배합 설계를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0.25 이상 변동되었을 때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 배합설계를 재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15-34 역청 포장혼합물용 잔골재의 품질기준 표 15-3-17 가열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잔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표번호 스타일

구 분 품질기준 목
항 시험방법 기준치
도 (g/㎤) 2.5 이상 모래당량(%) KS F 2340 최소 50 [수정] 표 내용 수정
잔골재 입형(%) KS F 2384 최소 45


흡 율 (%) 3.0 이하 절대건조밀도(kg/m3) KS F 2504 2,500 이상
모래 량
당 (%) 50 이상 흡수율 (%) KS F 2504 3.0 이하
안 성
정 1) (%) 15 이하 안정성1) (%) KS F 2507 15 이하
잔골재공 극률 (%) 45 이상 1)
주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반복 시험한다.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반복 시험한다.

2.1.2 내구성 2.1.2 내구성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시험을 5회 반복하였을 때 잔골재의 손실중량 백분


황산나트륨에 의한 안정성 시험을 5회 반복하였을 때 잔골재의 손실 [수정] 띄어쓰기, 단위표기 수정
중량 백분율의 한도는 15 % 이하로 한다.
율의 한도는 15% 이하로 한다.

2.2 굵은 골재 2.2 굵은 골재

역 청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에는 부순돌, 부순자갈이 있다. 굵은골재는 단단하 2.2.1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에는 부순자갈이 있다. 굵은골재는 단
고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어야 하며, 먼지· 흙 · 유기불순물 등 유해물을 함유 단하고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어야 하며, 먼지 · 흙 · 유기불순물 등

하여서는 안 된다. 유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다.

2.2.1 굵은골재의 입도 2.2.2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는 골재를 일정 크기별로 생산하는 [수정] 원칙으로 ⇒ 표준으로 : 시방서 전체에 대해 “원칙으로” 미
역청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의 입도는 KS F 2357에 따라 표 15-35 범위를 표
단입도 관리를 표준으로 한다. 사용 통일

준으로 하며, 품질기준은 표 15-36에 적합하여야 한다. 2.2.3 입도는 표 15-3-18의 범위를 표준으로 하며, 품질기준은 표

2.2.2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


15-3-19에 따른다.

역청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에 대한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는 표 15-24의 콘


크리트용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치와 동일하다.

15- 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35 역청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의 입도 표 15-3-18 가열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의 입도 [수정] 표 번호

골재 체의 호칭치수(㎜)1)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의 중량백분율 (%) 체의 각 체를 통과하는 것의 중량백분율 (%)

번호 입도범위(㎜) 65
호칭치수1)
50 40 25 20 13 10 5 2.5 1.2 골재
번호
(mm)

3 50 ∼ 25 100 90-100 35-70 0-15 0-5 입도범위


(mm)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357 50 ∼ 5 100 95-100 35-70 10-30 0-5 3 50 ∼ 25 100 90-100 35-70 0-15 0-5
4 40 ∼ 20 100 90-100 20-55 0-15 0-5
467 40 ∼ 5 100 95-100 35-70 10-30 0-5 4 40 ∼ 20 100 90-100 20-55 0-15 0-5
5 25 ∼ 13 100 90-100 20-55 0-10 0-5
57 25 ∼ 5 100 95-100 25-60 0-10 0-5 5 25 ∼ 13 100 90-100 20-55 0-10 0-5
6 20 ∼ 10 100 90-100 20-55 0-15 0-5 5-1 25 ∼ 20 100 90-100 0-10
67 20 ∼ 5 100 90-100 20-55 0-10 0-5
68 20 ∼ 2.5 100 90-100 30-65 5-25 0-10 0-5 6 20 ∼ 10 100 90-100 20-55 0-15 0-5
7 13 ∼ 5 100 90-100 40-70 0-15 0-5 6-1 20 ∼ 13 100 90-100 0-10
78 13 ∼ 2.5 100 90-100 40-75 5-25 0-10 0-5
8 10 ∼ 2.5 100 85-100 10-30 0-10 0-5 7 13 ∼ 5 100 90-100 40-70 0-15 0-5
주 1)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망체 63, 53, 37.5, 26.5, 19, 13.2, 9.5,
4.75, 2.36, 1.18㎜에 해당한다.
8 10 ∼ 2.5 100 85-100 10-30 0-10 0-5
1)
주 여기에서 체는 각각 KS A 5101에 규정한 표준망체 63 mm, 53 mm, 37.5 mm, 26.5 [수정] 생략된 단위 추가
2.2.3 내구성 mm, 19 mm, 13.2 mm, 9.5 mm, 4.75 mm, 2.36, 1.18mm에 해당한다.

역청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에 대한 안정성, 마모에 대한 규격은 표 15-36과 표 15-3-19 가열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같다.
항목 시험방법 기준치

표 15-36 역청 포장 혼합물용 굵은골재 품질기준 기 층 용 : 40 이하

구 분 굵 은 골 재 마모율(%) KS F 2508 중간층, 표층용 : 35 이하


SMA : 30 이하
표 층 기 층

밀 (g/㎤) 2.5 이상 안정성(Na2SO4) 1) (%) KS F 2507 12 이하


흡 율 (%) 3.0 이하 파쇄면 2면 이상 비율(%) ASTM D5821 85 이상

마모 율 (%) 35 이하 40 이하 피막박리시험에 의한 피복면적(%) KS F 2355 95 이상


안 성
정 1) (%) 12 이하 흡수율(%) KS F 2503 3.0 이하

파쇄 (%) 85 이상
편장석 함유량 2) 3) (%) 30 이하
3
절대건조밀도(kg/m ) KS F 2503 2,500 이상

1등급 : 10 이하
주 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반복시험 한다.
편장석 함유량 2)(%) KS F 2575 2등급 : 20 이하
2) 편장석 함유량 시험은 KS F 2575에 따른 장비를 사용하며, 편장석은 골재의 최대길이
에 대하여 1/3 길이의 시험기 간격을 통과하는 골재이다. 3등급 : 30 이하
3) 표 9-3에 따른다.
주1) 안정성 시험은 황산나트륨으로 5회 반복 시험한다.
주2) 1등급 골재는 4차로 이상의 도로(신설 및 덧씌우기), 중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
발주청에서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도로,
2등급 골재는 2차로 이하의 일반국도, 발주청에서 중요하다고 인정하는 도로,
수 중심위 의견 반영, 용어 수정
[ 정]
3등급 골재는 2차로 이하의 지방도, 군도, 1등급 및 2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등

15- 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채 움 재

청 포장 혼합물용 채움재는 석회석분,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플라이 애시,


2.3 채움재
역 채움재의 품질기준, 입도 등은 이 시방서 8-4절 2.1.3에 따른다. [수정] 해당 인용 절 수정
회수더스트, 전기로 제강더스트, 주물더스트, 각종 소각회 및 기타 적당한 광물
성 물질의 분말이어야 한다.
사용 시에는 먼지, 진흙, 유기물, 덩어리진 미립자 등의 해로운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2.3.1 입 도
채움재의 입도는 표 15-37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7 채움재의 입도

체의 호칭치수 (㎛) 체 통과 무게 백분율 (%)


600 100
300 95 이상
150 90 이상
75 70 이상
2.3.2 수분은 1.0% 이하이어야 한다.
2.3.3 석회석분, 포틀랜드 시멘트, 소석회 이외의 것을 채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 15-38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8 채움재의 품질기준

항 목 기 준
소 성 지 수 6 이하
흐 름 시 험 50% 이하
침 수 팽 창 3% 이하
박 리 저 항 성 1/4 이하
2.4 골재의 저장

2.4.1 잔골재, 굵은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2.4 골재의 저장
골재의 저장은 이 시방서 8-4절 2.4에 따른다.
[수정] 해당 인용 절 수정
2.4.2 골재의 취급 시에는 대소의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또 먼지· 잡물 등
이 혼입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4.3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절한 배수시설을 하고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2.4.4 채움재의 저장은 15-1절 2.2에 따른다.

15- 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5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5.1 시료채취 : 골재의 시료채취는 KS F 2501에 따른다. 2.5.1 시료채취 : 골재의 시료채취는 KS F 2501에 따른다.

2.5.2 입 도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5.2 입도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에 따른다.

2.5.3 슬래그의 중량 : 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시험은 KS F 2505에 따른다. 2.5.3 슬래그의 중량 : 골재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극율 시험은 KS F 2505에
따른다.
2.5.4 안정성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KS F 2507에 따른다. 2.5.4 안정성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KS F 2507에 따른다.

2.5.5 굵은골재의 마모 :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은 KS F 2.5.5 굵은골재의 마모율 : 로스앤젤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
2508에 따른다. 은 KS F 2508에 따른다.

2.5.6 0.08㎜체 통과량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0.08㎜체를 통과하는) 시험은 KS F


2511에 따른다.
2.5.6 0.08 mm 체 통과량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0.08 mm 체를 통과하 [수정] 단위표기 방법 수정
는) 시험은 KS F 2511에 따른다.

2.5.7 점토덩어리 :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은 KS F 2512에 따른다. 2.5.7 점토덩어리 :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은 KS F 2512에
2.5.8 석탄 및 갈탄 :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따른다.

2.5.9 연석량 :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은 KS F 2516 에 따른다. 2.5.8 석탄 및 갈탄 : 골재에 포함된 경량편 시험은 KS F 2513에 따른다.
2.5.9 연석량 : 긁기 경도에 의한 굵은골재의 연석량 시험은 KS F 2516 에 따
2.5.10 비중 및 흡수량 :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은 KS F 2503에 따른다. 른다.
2.5.10 비중 및 흡수량 : 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은 KS F 2503에 따
2.5.11 세장 또는 편평석편 : 15-3-1절 2.4.18에 따른다. 른다.

2.5.12 혈암 : 15-3-1절 2.4.19에 따른다. 2.5.11세장 또는 편평석편 : KS F 2575에 따른다. [수정] 인용오류 수정

2.5.13 유리질입자 : 15-3-1절 2.4.20에 따른다.


2.5.14 철입자 : 15-3-1절 2.4.21에 따른다.
2.5.15 채움재의 입도, 수분 : KS F 3501에 따른다.
3. 시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3-3 스크리닝스
15-3-3 스크리닝스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린콘크리트와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용 잔골재인 스크리닝스에 대 이 시방은 린콘크리트와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용 잔골재인 스크리닝스에

하여 적용한다.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303 흙의 액성·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303 흙의 액성 · 소성한계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07 골재의 안정성 시험방법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 mm 체를 통과하는) 시험방 [수정] 0.08mm → 0.08 mm
KS F 2511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0.08㎜체를 통과하는) 시험방법 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방법 KS F 2512 골재 중에 함유되는 점토덩어리량의 시험방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문장 수정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스크리닝스의 원석 2.1 스크리닝스의 원석

스크리닝스는 구조물용 및 포장용 골재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5㎜이하의 스크리닝스는 구조물용 및 포장용 골재를 생산할 때 부산물로 얻어지는 5 [수정] 한글로 순화

골재 부산물을 말한다. 스크리닝스의 원석은 강경하고 내구적인 석질을 지닌 것


mm 이하의 골재 부산물을 말한다. 스크리닝스의 원석은 강경하고 내구적 [수정] 5mm → 5 mm
인 석질을 지닌 것으로 하고, 파쇄를 할 때에 결정 간에 균열이 생기지 않
으로 하고, 파쇄 시에 결정 간에 균열이 생기지 않아야 하며, 풍화한 암석 등 석
[수정] 한글로 순화
아야 하며, 풍화한 암석 등 석질이 연약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스

질이 연약한 것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스크리닝스의 원석에는 표토 및 기타 크리닝스의 원석은 표토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불순물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 불순물의 제거
2.2 불순물의 제거
스크리닝스는 깨끗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진흙 · 유기불순물 등이 포함되지 않아 스크리닝스는 깨끗하고 내구적이며, 먼지 · 진흙 · 유기불순물 등이 포함되

야 한다. 지 않아야 한다.

15- 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스크리닝스의 품질기준 2.3 스크리닝스의 품질기준


스크리닝스는 표 15-3-20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하며, 이 기준을 만족하지 [수정] 표 번호
스크리닝스는 표 15-40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하며, 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 못할 경우 천연모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비는 시험에 의하

우 천연모래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비는 시험에 의하여 구한다. 여 구한다.

표 15-3-20 스크리닝스의 품질기준


표 15-39 스크리닝스의 품질기준
시험항목 규정치
시험항목 규정치 소 성지수 9 이하
소성지수 9 이하 안정성 시험(%) (황산나트륨 사용) 10 이하
안정성 시험(%) (황산나트륨 사용) 10 이하 0.08 mm 체 통과량 (%)
린 콘크리트용 7 이하 [수정] 0.08mm → 0.08 mm
골재 씻기 시험 손실율(0.08㎜ 체 통과량) (%) - 린콘크리트용 7 이하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용 10 이하 - 보조기층 및 동상방지층용 10 이하
점토덩어리 함유량 (%) 1 이하 점토덩어리 함유량 (%) 1 이하
밀도 2.0(g/㎤)의 액체에 뜨는 것 (%) 0.5 이하 밀도 2.0(g/㎤)의 액체에 뜨는 것 (%) 0.5 이하
2.4 스크리닝스의 저장
2.4 스크리닝스의 저장

2.4.1 스크리닝스의 반입 · 저장 및 취급 시에는 먼지· 잡물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2.4.1 스크리닝스의 반입 · 저장 및 취급할 때에는 먼지 · 잡물 등이 혼입되지
주의하여야 하며,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표면수가
[수정] 한글로 순화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골재의 저장설비는 적당한 배수시설을 설치하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고, 표면수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2.4.2 스크리닝스의 투입을 위한 저장 빈에는 빗물에 의한 응집현상을 억제
2.4.2 스크리닝스의 투입을 위한 저장 빈에는 빗물에 의한 응집현상을 억제하기 위 하기 위하여 천장 덮개 등의 우수방지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하여 천장 덮개 등의 우수방지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15- 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3-4 순환골재 [추가] 국토해양부 공고 제2009-772호(2009.08.21.)「순환골재품질기


준」반영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순환골재라 함은 “건설폐기물의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 제2조제7호의 규
정(건설폐기물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 등을 거쳐 제35조의 규정
에 의한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한 것)에 적합한 골재를 말한다. 이 시방에
서는 노체, 노상, 되메우기 및 뒷채움,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빈배합 콘크
리트 기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2. 흙쌓기(노체 및 노상)
2.1 품질기준
2.1.1 흙쌓기에 사용되는 순환골재 품질기준은 표 15-3-21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5-3-21 흙쌓기용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품질목표 노체 노상 비고
최대치수 (mm) 100 이하 -
수정CBR(시방다짐) 2.5 이상 10 이상 KS F 2320
5 mm 체 통과율 (%) 25∼100 -
0.08 mm 체 통과율(%) 0∼25 KS F 2301, KS F 2309
소성지수(PI) 10이하 KS F 2303
유기이물질(용적비, %) 1 이하 1 이하 KS F 2576( 용적비)
2.1.2 노체용 순환골재의 품질 규정은 순환골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CBR값을 2.5 이상으로 하였다. 또한, 순환골재의 최대치수는 「건설폐
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제3호 나목의 규정에
따른다.
2.1.3 흙쌓기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은 KS F 2576(순
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방법)에 의하여 목재 · 천조각 등 유기성
이물질 시험결과, 총 골재용적의 1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고, 기
타 환경 및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된
다.

2.2 시공
2.2.1 석축 쌓는 부분을 제외하고 노체 비탈면에 순환골재가 노출되면 경관
상 좋지 않으며, 순환골재에 묻어있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강알카리성
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수의 알카리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

15- 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에 지장을 준다. 따라서 비탈면에 1 m 이상 양질의 토사를 덮고 다짐


하여 식생이 가능하도록 조치한다.
2.2.2 노체용 순환골재는 일반적으로 1차 파쇄만으로 제조되므로 다량의 모
르타르가 부착되어 있으며, 흡수율이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시공
중 적정함수비 관리를 위해서 살수하는 경우 순환골재의 흡수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함수율 관리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의 생산
및 보관 중에 프리웨팅과 같은 방법으로 함수비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2.2.3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재료는 원재료가 동일한 것이 아닐 경우 품질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시험성과가 재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지를 검토하여야 하며, 품질관리는 수시로 각종 시험을 엄격히 하여 사
용 중에 품질상태에 대한 의심이 없도록 한다.
2.2.4 기타 시공과 관련한 사항은 이 시방서 토공사 편 2-5절 흙쌓기에 규 [수정] 해당 절 수정
정된 시공사항을 따른다.

3. 되메우기 및 뒷채움
3.1 품질기준
3.1.1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순환골재가 우수 또는 지하수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에 사용되는 경우 유수의 pH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농업용수 등
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작물의 생육에 문제가 될 수 있다.
3.1.2 따라서 땅깎기부 등과 같이 지하수가 용출되는 지역에서 순환골재의
사용은 가급적 억제하며 부득이한 경우 맹암거 설치 등으로 유수의 유
입을 방지하거나 유입수가 농수로 등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처리에
주의한다.
3.1.3 되메우기 재료로 순환골재를 사용하는 경우 품질기준은 시공위치에
따라 표 15-3-21의 노체 또는 노상의 품질기준에 따른다.
3.1.4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 시험은 KS F 2576(순환골재의 이물질 함
유량 시험방법)에 의하여 목재 · 천조각 등 유기성 이물질 시험결과, 총
골재용적의 1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고, 기타 환경 및 품질에 악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물을 함유하여서는 안 되며, 표 15-3-22의 품
질기준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표 15-3-22 뒤채움용 순환골재 품질기준


선택층 재료 양질의 토사
구 분 피토고1) 피토고
(3.5 m 미만) (3.5 m 이상)
최대치수(mm) 100 이하
5 mm 통과량(%) 이 시방서 제 8장 25~100
0.08 mm 통과량(%) 표 8-2-1. 8-2-2 15 이하
보조기층재료
소성지수 (SB-1) 10 이하
수정CBR (%) 10 이상
유기이물질(용적비, %) 1.0 이하
1)
주 피토고 산정기준은 암거 중심선의 상단에서 길어깨부를 제외한 도로

15- 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유효 폭원까지의 최소높이를 말한다.


3.1.5 순환골재는 다량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흡수율이 크기 때문에 시공
중 적정 함수비 관리를 위해서 살수하는 경우 순환골재의 흡수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함수율 관리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의 생산
및 보관 중에 프리웨팅과 같은 방법으로 함수비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3.1.6 기타 시공에 관한 사항은 이 시방서 토공사 편 3-7절 구조물 기초 터
파기, 되메우기, 뒷채움 편에 규정된 사항을 따른다.

4. 동상방지층
4.1 품질기준
4.1.1 동상방지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는 표 15-3-23의 품질기준에 따른
다.

표 15-3-23 동상방지층용 순환골재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소성지수 KS F 2303 10 이하

수정 CBR 값 (%) KS F 2320 10 이상

모래당량 KS F 2340 20 이상
이물질 유기이물질 KS F 2576
1.0 이하(용적 기준)
함유량(%) 무기이물질 5.0 이하(질량 기준)
4.1.2 동상방지층용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은 폐아스팔트콘크리트를 제
외한 적벽돌, 폐타일 등 무기이물질에 대하여 전체 골재에 대한 질량비
5% 이하이어야 하며, 목재, 천조각 등 유기 이물질은 총 골재용적의
1%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4.1.3 무기이물질에 대한 시험은 KS F 2576에 의해 분리 선별된 이물질에
대해 105± 5 ℃에서 24시간 항량시킨 후 질량을 측정한다.
4.1.4 동상방지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동상방지층, 보
조기층 및 기층공사 편 8-2절 보조기층에 규정된 표 8-2-2에 따른
다.

4.2 시 공
4.2.1 현장 이동식 파쇄기로 1차 파쇄만으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경우 재
료분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SB-2 입도를 권장하며, 생산
중 재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SB-1 입도를 사용할 수 있다.
4.2.2 순환골재는 다량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흡수율이 크기 때문에 시공
중 적정 함수비 관리를 위해서 살수하는 경우 순환골재의 흡수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함수율 관리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의 생산
및 보관 중에 프리웨팅과 같은 방법으로 함수비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4.2.3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재료는 원재료가 동일한 것이 아닐 경우 품질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시험성과가 재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15- 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지를 검토하여야 하며, 품질관리는 수시로 각종 시험을 엄격히 수행하


여 사용 중에 품질상태에 대한 의심이 없도록 한다.
4.2.4 기타 시공에 관한 사항은 이 시방서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
사 편 8-1절에 규정된 사항을 따른다.

5. 보조기층
5.1 품질기준
5.1.1 보조기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은 표 15-3-24에 따른다.

표 15-3-24 보조기층용 순환골재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구 분 시험방법 기 준
소성지수 KS F 2303 6 이하
수정CBR치 (%) KS F 2320 30 이상(1)
마모감량 (%) KS F 2508 50 이하
모래당량 KS F 2340 25 이상
액성한계 (%) KS F 2303 25 이하

이물질 유기이물질 1.0 이하(용적 기준)


함유량 무기이물질 KS F 2576 5.0 이하(질량 기준)
(%)
(1) 시멘트콘크리트포장 공법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바로 밑에 사용되는 보
조기층은 수정CBR치가 80 이상이어야 한다.
5.1.2 보조기층용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은 폐아스팔트콘크리트를 제외
한 적벽돌 · 폐타일 등 무기이물질에 대하여 전체 골재에 대한 질량비 5
% 이하이어야 하며, 목재 · 천조각 등 유기이물질은 총 골재용적의 1
%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5.1.3 무기이물질에 대한 시험은 KS F 2576에 의해 분리 선별된 이물질에
대해 105±5 ℃에서 24시간 항량시킨 후 질량을 측정한다.
5.1.4 보조기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동상방지층, 보조
기층 및 기층공사편 8-2절 보조기층에 규정된 표 8-2-2에 따른다.
다만, 현장 이동식 파쇄기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경우 재료분리가 발
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SB-2 입도를 권장한다. 단, 조합형 파쇄
기(1차 죠크러셔, 2차 콘 또는 임팩트 크러셔)를 사용하고, 생산 중 재
료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경우 SB-1 입도도 가능하다.

5.2 시공
5.2.1 순환골재는 다량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흡수율이 크기 때문에 시공
중 적정 함수비 관리를 위해서 살수하는 경우 순환골재의 흡수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함수율 관리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골재의 생산
및 보관 중에 프리웨팅과 같은 방법으로 함수비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15- 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5.2.2 폐콘크리트를 파쇄한 재료는 원재료가 동일한 것이 아닐 경우 품질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시험성과가 재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5.2.3 기타 시공에 관한 사항은 이 시방서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
사편 8-2절에 규정된 사항을 따른다.

6. 빈배합콘크리트 기층
6.1 품질기준
6.1.1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에 사용되는 순환골재의 품질은 표 15-3-25 및
표 15-3-26에 따른다.

표 15-3-25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순환 굵은골재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구분 시험방법 기준
점토덩어리 함유량 (%) KS F 2512 0.25 이하

연한석편 (%) KS F 2516 5.0 이하

밀도 2.0 g/㎤의 액체에 뜨는 것 (%) KS F 2513 0.5 이하

흡수율(%) KS F 2503 7 이하
(8 이하)(1)
밀 도 KS F 2503 2.2 이상

마모감량 (%) KS F 2508 50 이하

유기이물질 1.0 이하(용적 기준)


이물질 함유량(%) KS F 2576
무기이물질 5.0 이하(2)(질량 기준)
주(1) : 도로공사 중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현장파쇄 순환골재에 대하여 8.0 % 이하로 할 수 [수정] 원문 고속도로공사 ⇒ 도로공사 중으로 수정
있다.
(2)
: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부스러기의 한계 혼합율은 10 % 이하로 한다.

15- 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3-26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 잔골재 품질기준 [수정] 표 번호

구분 시험방법 기준
소성지수 KS F 2303 9 이하
안정성 시험(%)(황산나트륨 사용) KS F 2507 10 이하

골재씻기 시험 손실률 (0.08 mm 체 통과량)(%) KS F 2511 3 이하


점토덩어리 함유량(%) KS F 2512 1 이하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의 1.0 이하
이물질 이질재료 (용적 기준)
함유량(%) KS F 2576
폐아스콘, 적벽돌, 폐타일 등 5.0 이하(1)
(질량 기준)
주(1) :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부스러기의 한계 혼합율은 10 % 이하로 한다.

6.1.2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용 골재의 입도는 이 시방서 시멘트콘크리트포


장 편 10-1-1절 빈배합 콘크리트 기층에 규정된 표 10-1-1에 따른
다. 다만, 현장파쇄 순환골재는 가급적 최대치수를 낮추는 것이 골재에
부착된 모르타르 함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화한 후 역학적 특성
을 양호하게 하므로 입도 선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6.1.3 순환골재의 골재의 입도는 빈배합콘크리트의 다짐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요 입도를 얻을 수 있도록 파
쇄 시스템을 선정하여야 한다.
6.1.4 현장 이동식 임팩트 크러셔나 조합형 크러셔로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5 mm 이하 미분량 발생이 증가하여 다짐효율이 낮아질 수
있으나 잔골재의 미분량 부족으로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 합성입도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다짐효율을 고려하여 5 mm 이하
미분을 전체 골재질량의 10 %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빈배합콘크리트의 최적함수비 증가, 최대건조밀도, 압축
강도 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실험에 의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6.1.5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은 콘크리트 포장의 하부에 위치하며 포장층의
두께가 300 mm ~ 350 mm 정도이고, 불투수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이 동결융해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한 흡수율 6 % ~ 8 %인 순환골재를 대상으로 실시한
안정성 시험결과 대부분 40 % 이상을 나타내고 있어 동해를 받는 일
반콘크리트용 골재로서 활용은 불가능하지만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의
압축강도는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배합콘크
리트 기층용 순환골재의 안정성 시험을 삭제하였다.
6.1.6 순환골재는 모재 콘크리트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흡수율
이 증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흡수율 7 % 이하, 도로공사 중 발
생된 폐콘크리트를 현장파쇄하여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8 % 이하로 규정하였다.
6.1.7 빈배합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이물질 함유량은 폐플라스틱, 폐비닐 등
환경오염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유기 이물질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에 따라 용적비 1 % 이하로 규정하였다.

15- 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6.1.8 적벽돌, 폐타일 등 무기이물질에 대하여 전체 골재에 대한 질량비 5 %


이하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고속도로 공사 중 발생한 폐콘크리트를 현
장파쇄하기 위하여 적치, 운반 파쇄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혼입되
는 경우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부스러기의 한계 혼합율을 10 % 이하로
하였다.

6.2 빈배합콘크리트 기층 배합설계


6.2.1 순환골재는 모르타르 부착량이 많아 흡수율이 6 % ~ 8 %로서 높은
특징이 있어 혼합수의 상당수가 순환골재에 계속 흡수되므로 순환골재
를 사용한 빈배합콘크리트 기층의 배합설계를 할 때 골재의 함수상태
는 표면건조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6.2.2 기타 배합설계에 관한 사항은 이 시방서 시멘트콘크리트포장공사 편
10-1절에 따른다.

6.3 시공
6.3.1 순환골재는 흡수율이 크므로 프리웨팅을 실시하여 함수율 변동에 따 [수정] 중심위 : 큰 관계로 ⇒ 크므로
른 품질변화를 최소화하고, 균일한 함수상태 유지를 위한 방안을 강구
하여야 한다.
6.3.2 순환골재는 흡수율이 큰 크므로 천연골재에 비하여 건조속도가 빠르
므로 함수율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6.3.3 기타 시공에 관한 사항은 이 시방서 2-7절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
우기, 뒷채움 편에 규정된 사항을 따른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4 시멘트 콘크리트 15-4 시멘트 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현장배합용 시멘트 콘크리트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현장배합용 시멘트 콘크리트에 적용한다. [수정] 자구 수정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 방법 KS F 240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 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 F 240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KS F 2403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KS F 2403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15- 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 KS F 2408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 방법

KS F 2409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기량 시험방법(질량방법) KS F 240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기량에 의한 시험 방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공기실 압 법 (질량방법)


KS F 2421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
력방법)
KS F 2455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골재량의 변화율(차) KS F 2455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율 [수정] 표준 내용 수정

시험 방법 (차) 시험 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 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 방법

1.3 제 출 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4절 1.2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품
1.3.1 이 시방서 1-4절 1.2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품질시험성과표를 작 질시험성과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콘크리트의 강도
콘크리트의 소요강도는 설계도서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표준양생을 한 콘
2.1 콘크리트의 강도
크리트 공시체의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포장 콘크리트의
콘 크리트의 소요강도는 설계도서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표준양생을 한 콘크리트 강도는 재령 28일의 휨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감독자

공시체의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포장 콘크리트의 강도는 재령 의 승인을 받아 조기재령에 따른 장기강도 환산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물질 혼화재를 사용한 경우 재령 28일 이후 장기재령에서 강도증
28일의 휨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조 진율이 큰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설계기준재령을 재령 56일 또
[추가] 광물질 혼환재 사용에 따른 설계기준검토 재령 변경
가능(콘크리트 시방서)
기재령에 따른 장기강도 환산 식을 적용할 수 있다. 는 91일로 정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르고,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르고,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따른다.
2.2 콘크리트의 재료

2.2 콘크리트의 재료
2.2.1 시멘트

2.2.1 시멘트 시멘트는 이 시방서 15-1절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5-1

시멘트는 15-1절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15-1절에 규정된 시멘트 이


절에 규정된 시멘트 이외의 시멘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독
자의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외의 시멘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서면 승인을 받아야 한다.
2.2.2 골재 2.2.2 골 재
잔골재는 15-3-1절 2.1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굵은골재는 15-3-1절 잔골재는 이 시방서 15-3-1절의 2.1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

2.2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며, 굵은 골재는 15-3-1절의 2.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물
물은 깨끗하여야 하며, 기름 · 산· 염류· 유기불순물 등 콘크리트의 품질에 영 2.2.3 물
물은 깨끗하여야 하며, 기름 · 산 · 알칼리 · 염분 · 유기 불순물 등 콘크
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해량을 함유한 것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철근 콘크리 리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유해량을 함유한 것을 사용하여

15- 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트에는 해수를 혼합수로 사용할 수 없다. 서는 안 되며, 철근 콘크리트에는 해수를 혼합수로 사용할 수 없다.

2.2.4 혼화재료 2.2.4 혼화재료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는 15-6절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 전에 그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는 이 시방서 15-6절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사용 전에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품질을 확인하고, 그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한다.

2.3 콘크리트의 배합
2.3 콘크리트의 배합

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작업에 알맞는 워커빌리티


콘크리트의 배합은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작업에 알맞는 워커빌
콘 리티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하
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이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하여야 하며, 여야 하며,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질량에 의하여야 한다. [수정] KS 표준용어 사용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중량에 의하여야 한다.


2.3.1 골재의 표면수량으로 인한 중량조절
골재를 계량할 때 골재의 표면수에 대한 중량을 감안하여 조절하여야 하며,
2.3.1 골재의 표면수량으로 인한 질량 조절 [수정] KS 표준용어 사용
골재를 계량할 때 골재의 표면수에 대한 질량을 감안하여 조절하여야
골재의 표면수량은 골재 저장장소로부터 채취해 온 시료의 시험 결과를 기준 하며, 골재의 표면수량은 골재 저장 장소로 부터 채취하여 온 시료의
으로 하여야 한다. 실험결과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2.3.2 배합설계 2.3.2 배합설계

(1) 계약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콘크리트 치기 최소한 1 (1)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배합설계를 콘크리트 타설 최소한 1

주일 이전에 완료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국


주일 이전에 완료하여야 한다. 배합설계는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규
정에 따른다.
토해양부 제정)에 따른다.
(2) 배합설계 시에는 당해 공사에 사용할 재료들로 배합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배 (2) 배합설계를 할 때에는 당해 공사에 사용할 재료들로 배합하여야 하며, [수정] 한글로 순화
배합설계결과가 시방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의 서
합설계 결과가 시방기준에 맞지 않을 경우 계약자는 감독자의 서면 승인을 면 승인을 받아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3) 각종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결과는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 감독자에게 제
(3) 각종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결과는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 감독자에게 제출하 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하며, 승인된 배합설계 결과는 감독자의 승인없이

여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일단 승인된 배합설계 결과는 감독자의 승인 없이 계약상대자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다.

계약자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다. (4) 시멘트 콘크리트 배합의 표시법은 표 15-4-1과 같다. [수정] 표번호 수정

(4) AE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공기량은 4∼7%로 한다.


(5) 시멘트 콘크리트 배합의 표시법은 표 15-40과 같다.

15- 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4-1 콘크리트 배합 표시법


표 15-40 시멘트 콘크리트 배합 표시법 [수정] SI 단위계 사용, 용도에 맞게 수정
굵은 물- 단 위 량 (㎏/㎥)

굵은골재 슬럼프의 공기량의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단 위 량 (㎏/㎥) 골재의


슬럼프의 공기량의
범위 범위
결합재비,
잔골재율,
S/a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혼화재료(1)

의 (S/a)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G) 혼화재료


최대치수 W/B mm- mm- 혼화제(2
(mm) (%) (%)

최대치수 범(㎜)위 범(%)위 (w/c)


(mm) (%) 혼화재 )
(W) (C) (S) mm mm

(㎜) (%) (%) (W) (C) (S) ㎜∼ ㎜∼ 혼화재 1) 혼화제 2)


㎜ ㎜
(1)
주 같은 종류의 재료를 여러 가지 사용할 경우 각각의 난을 나누어 표시한다.
(2)
혼화재의 사용량은 ml/㎥ 또는 g/㎥ 으로 표시하며, 희석시키거나 녹이거나 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주 1) 포졸란 반응성 및 잠재수경성을 갖는 혼화재를 사용할 경우 w/c비는 물-결합재 비로
된다.
2) 혼화제는 물에 타지 않는 것을 g/㎥으로 표시한다. 2.3.3 현장 배합 실시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승인된 배합설계 결과
2.3.3 현장배합실시 를 최종적으로 현장실정에 맞도록 조정하기 위하여 규정된 믹서와

계약자는 콘크리트 공사를 착수하기 전에 승인된 배합설계 결과를 최종적으로 재료혼합과정 전부가 장치된 배치 플랜트를 설치하여 현장시험배합
을 실시하여야 한다. 현장시험배합은 감독자 입회하에 실시하여야
현장실정에 맞도록 조정하기 위하여 규정된 믹서와 재료혼합과정 전부가 장치 하며 현장 시험배합에 소요되는 모든 재료, 장치 및 작업은 계약상

된 배치플랜트를 설치하여 현장시험배합을 실시하여야 한다. 현장시험배합은 대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감독자 입회 하에 실시하여야 하며, 현장시험배합에 소요되는 모든 재료· 장


치 및 작업은 계약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2.3.4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 배치 의무
2.3.4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 배치 의무 계약상대자는 콘크리트 배합설계, 골재의 품질시험과 입도 조정 · 공기량

계약자는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실시하고, 골재의 품질시험과 입도를 조절하며, 시험 · 슬럼프 시험 · 휨 강도 또는 압축 강도 시험 등을 실시하고, 배치플
랜트의 운영과 콘크리트 운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상당한 기술과 경
[수정] 플랜트 → 배치플랜트

공기량· 슬럼프 · 휨강도 또는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한다. 플랜트의 운영과 콘크


[수정] 문구 수정 : 총칙의 내용과 통일,
험이 있는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들을 작업장에 배치하여 콘크리트 혼합 “숙달된” ⇒ “상당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리트 운반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숙련된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들을 작업장 물이 규정된 시방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은 상기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감독자에게 보
에 배치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이 규정된 시방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하고 지시를 받아야 한다.

콘크리트 품질관리요원은 상기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지


시를 받아야 한다.
2.4 재료의 계량

2.4 재료의 계량
콘크리트의 각 재료는 정확하게 계량 및 기록이 되어야 하며, 계량장치는

콘크리트의 각 재료는 정확하게 계량 및 기록되어야 하며, 계량장치는 공사개시 공사개시 전 및 공사 도중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재료는 계량하기 전
에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고 현장배합에 따라 계량하여야 한다. 시
전 및 공사 도중 정기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재료는 계량하기 전에 시방배합 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칠 경우에는 골재의 함수상태, 잔골재 중 5 mm 체에 남

을 현장배합으로 고치고 현장배합에 따라 계량하여야 한다. 시방배합을 현장배 는 양과 굵은골재 중 5 mm 체를 통과하는 양 및 혼화제를 물에 희석시키는 수량
을 고려하여야 한다.
합으로 고칠 경우에는 골재의 함수상태, 잔골재중 5㎜체에 남는 양과 굵은골재
중 5㎜체를 통과하는 양 및 혼화제를 물에 희석시키는 수량을 고려하여야 한다.

15- 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4.1 시멘트 2.4.1 시멘트

(1) 시멘트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계량장치는 다른 재료의 계량과 겸용하 (1) 시멘트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계량장치는 다른 재료의 계량과 겸

지 말고 별개의 계량기를 써야 한다. 용하지 말고 별개의 계량기를 써야 한다.

(2) 시멘트의 계량은 골재계량 홉퍼 속에 또는 분리된 칸막이 속에 별도로 실시 (2) 시멘트의 계량은 골재 계량 호퍼 속에 또는 분리된 칸막이 속에 별도

할 수도 있으며, 골재와 동시에 믹서 속에 투입해도 좋다. 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골재와 동시에 믹서 속에 투입하여도 좋다.

(3) 시멘트의 계량 허용오차는 ±1% 이내이어야 한다. (3) 시멘트의 계량 허용오차는 ±1 % 이내이어야 한다.

2.4.2 골 재
(1) 골재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한 배치분 골재의 중량은 표면건조포화상 2.4.2 골 재

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 골재는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한 배치분 골재의 중량은 표면건조 [수정] 표준용어 사용
(2) 골재의 계량은 표면수량의 무게를 고려하여야 한다. 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3) 골재의 계량허용오차는 ±3% 이내이어야 한다.


(2) 골재의 계량은 표면수량의 무게를 고려하여야 하며, 골재의 표면수량 [수정] 내용 추가
은 골재 저장소로부터 채취하여 온 시료의 실험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야 한다.
(3) 골재의 계량 허용오차는 ±3 % 이내이어야 한다.

2.4.3 물 2.4.3 물
물은 용적 또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계량 허용오차는 ±1 % 이
물은 용적 또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계량 허용오차는 ±1% 이내이어야 내이어야 한다. 계량장치는 중량이 자동으로 계량되고 정하여진 양의

한다. 계량장치는 중량이 자동으로 계량되고 정해진 양의 물이 믹서의 드럼 물이 믹서의 드럼 안에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것이어야 한다.

안에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것이어야 한다.


2.4.4 혼화재료 2.4.4 혼화재료
혼화제는 용적 또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혼화제에 물을 혼합
혼화제는 용적 또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혼화제에 물을 혼합하여 사용 하여 사용할 경우 물은 단위수량의 일부로 본다. 계량장치에는 계량

할 경우 물은 단위수량의 일부로 본다. 계량장치에는 계량하는 도중에 혼화제 하는 도중에 혼화제가 계량기 안에 들어오지 않도록 안전밸브가 부착
되어 있어야 하며,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는 ±3 % 이내이어야 한다. [수정] 단위 띄어쓰기 수정
가 계량기 안에 들어오지 않도록 안전밸브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혼화제의
계량허용오차는 ±3% 이내이어야 한다.
2.5 배치 플랜트
2.5 배치 플랜트

배치 플랜트를 포함한 콘크리트 작업에 필요한 모든 장비 및 시설은 공사 착수 배치 플랜트를 포함한 콘크리트 작업에 필요한 모든 장비 및 시설은 공
사착수 전에 그 성능, 용량, 상태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 및 승인을
전에 그 성능, 용량, 상태 등에 대하여 감독자의 검사 및 승인을 받아야 한다. 받아야 한다. 또한, 배치 플랜트는 다음의 조건에 맞아야 한다.

또한, 배치플랜트는 다음의 조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2.5.1 골재나 시멘트의 계량장치에 붙어 있는 저울의 최소눈금은 저울 전체 용량의
1/200보다 커서는 안 되며, 저울의 정밀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품질검사전문 2.5.1 골재나 시멘트의 계량장치에 붙어 있는 저울의 최소눈금은 저울 전체
용량의 1/200보다 커서는 안 되며, 저울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인기관의 검정을 받은 20 ㎏ 짜리 추 10개 이상, 1 kg 표준분동 5 [수정] 고품질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현장배치 플랜트 사양서 기준 적용

15- 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기관의 교정을 받은 20㎏ 짜리 표준분동 10개 이상을 항상 비치하여야 한다. 개 이상을 항상 비치하여야 한다.

2.5.2 계약자는 배치 속에 들어 있는 재료의 정확한 중량을 플랜트 조종원과 감독자 2.5.2 계약상대자는 배치 속에 들어 있는 재료의 정확한 질량을 배치플랜트 [수정] 중량 → 질량
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계량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조종원과 감독자가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위치에 계량기를 설치하여
야 한다.
플랜트 → 배치플랜트

2.5.3 자동식 배치 플랜트는 완전 자동식이고, 시멘트· 골재· 물을 한 배치분씩 자동


2.5.3 계량장치
(1) 자동식 배치 플랜트는 완전 자동식이며, 시멘트, 골재, 물을 한 배치 [수정] 구성 체계, 내용 수정
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하며, 혼화재료의 계량 및 투입 또한 자동이어야 한다. 분씩 자동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하고, 혼화재료의 계량 및 투입 또
한 자동이어야 한다.
(2) 또한 계량시간 및 정밀도 유지를 위하여 90 %용 및 10 %용의 2게
이트 형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3) 하중감지장치의 교체 및 추락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
여야 한다.
(4) 하중감지장치는 접지선으로 반드시 연결하여 파손 및 오작동을 방
지하여야 한다.
(5) 혼화제 계량장치는 종류별로 구성되며, 단독 계량하여야 한다. 또한
과다 계량 방지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2.5.4 저장시설 [수정] 구성 체계, 내용 수정


(1) 굵은골재는 서중 콘크리트 생산을 위하여 살수장치를 구비한다.
(2) 중간 저장시설은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4 % 이상 경사와 서중 및
한중 때를 대비하여 수분 및 온도 변동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3) 굵은골재 세척시설을 구비하여야 한다. 단, 이송 및 낙하에 의한 재
료분리 방지설비가 부착되어야 한다.
(4) 시멘트 및 광물질 혼화재의 인수 검사 및 사용 중 품질변동을 수시
로 검사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시료채취 설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5) 화학혼화제 저장시설은 자동 온도조절장치 · 잔량확인장치 · 교반장
치 · 희석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침전물 등을 청소할 수 있는 설비
를 구축하여야 한다.
(6) 회수수를 사용할 경우 KS F 4009 부속서 2에 규정한 품질기준에
적합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슬러지수는 고형분율 3 %(단위결합재
량 질량비)를 초과할 수 없다. 또한 슬러지 고형분율 1 %를 초과하
여 사용하는 경우 콘크리트 배합을 보정하여야 한다.
(7) 서중 및 한중 때를 고려하여 혼합수 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야 한
다.
(8) 잔골재의 표면수율 변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수 측
정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측정 센서의 신뢰도는 실측 표면수율 대비

2.5.4 자동식 배치 플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배치마다 투입되는 골재, 시멘트, 1 % 이하이어야 한다.
2.5.5 자동식 배치 플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배치마다 투입되는 골재, 시멘
물 및 혼화재료의 양을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장치가 부 트, 물 및 혼화재료의 양을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기록장

착되어 있어야 한다. 배치의 각종 기록결과는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배치의 각종 기록결과(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수정] 해당 내용 추가

① 각 배치의 일자 및 시간
슬럼프, 공기량, 물-결합재비, 각종 단위 재료량)는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야 한다.
(1) 투입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료의 각 배치분의 질량, 골재 표면수율,

15- 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콘 크리트 등급의 표시 입도보정비율 등

③ 각 배치의 일련번호
(2) 각 배치의 일자 및 시간
(3) 콘크리트 등급의 표시
④ 투입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료의 각 배치분의 중량 (4) 각 배치의 일련번호

2.5.5 플랜트 장에 규정된 시험을 실시하기에 충분한 시설과 공간을 갖춘 시험실을 2.5.6 배치플랜트장에는 규정된 시험을 실시하기에 충분한 시설과 공간을 [수정] 용어 수정

설치하여야 한다. 갖춘 시험실을 설치하여야 한다.


2.5.7 고강도, 내염해성 등 맞춤형 콘크리트 생산이 가능한 설비 구축
(1) 혼화재 혼입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에는 혼화재 저장용 사일로 별도 설치 [수정] 한글로 순화
(150 t 이상)
(2) 혼화제 저장탱크 3기 이상 설치
(3) 골재저장시설 및 골재투입빈 5칸으로 설치
2.5.8 시멘트 콘크리트 믹서
2.6 시멘트 콘크리트 믹서
(1) 믹서형식 : 강제식 이축형식(rpm 30회 이상) [수정] 구성체계 및 내용 수정

2.6.1 시멘트 콘크리트 믹서에는 물을 계량하는 장치와 반죽된 콘크리트를 배출해내 (2) 혼합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믹서 혼합상태 확인용 웹 카메라 설치 등
전자동 생산 시스템 설치
는 적절한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3) 믹서의 성능은 KS F 2455에 따라 시험한 값이 다음 값 이하여야 하

2.6.2 믹서는 KS F 2455에 의하여 비비기 성능시험을 실시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


며,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①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단위용적 질량의 차 : 0.8 %

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② 콘크리트 중의 단위 굵은골재량의 차이 : 5 %


(4) 시멘트 콘크리트 믹서에는 물을 계량하는 장치와 반죽된 콘크리트를
2.6.3 믹서는 그 내부에 단단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믹서 배출하여 내는 적절한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의 날개 마모로 인하여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5) 믹서는 그 내부에 단단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부착되어 있거나 믹
서의 날개 마모로 인하여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
매일 검사하여야 한다. 생하므로 매일 검사를 하여야 한다.

2.6.4 믹서의 날개는 제작 당시의 날개 높이보다 20㎜이상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이 (6) 믹서의 날개는 제작 당시의 날개보다 20 mm 이상 마모되었을 경우
에는 이를 즉시 교체하여야 한다.
를 교체하여야 한다. (7) 혼합수 방출구는 믹서내부의 코팅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축의 전면
에 걸쳐 살수될 수 있도록 분사장치를 설치한다.
2.6.5 현장 기능공은 믹서가동 초기, 중간 및 마지막 무렵에 반죽된 콘크리트 시료 (8) 현장 기능공은 믹서 가동 초기, 중간 및 마지막 무렵에 반죽된 콘크리

를 채취하여 반죽질기(consistency)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트 시료를 채취하여 반죽질기(consistency)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9) 만약 시험한 결과 슬럼프 및 공기량의 값이 규정된 허용치를 초과할
2.6.6 만약 시험한 결과 슬럼프 및 공기량의 값이 규정된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에 경우에는 믹서 가동을 중지하고 조정하여야 한다.

는 믹서 가동을 중지하고 조정하여야 한다. (10) 모든 믹서에는 초 단위 타이머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비비는 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배출 레버를 잠그고, 비비는 시간이 끝나면 자동적
2.6.7 모든 믹서에는 타이머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혼합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으로 배출하게 하여야 한다.

배출레버를 잠그고, 혼합시간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배출하게 하여야 한다. (11) 믹서의 드럼 속에 든 한 배치분의 혼합물은 일체를 비운 후 다음분 배
치 재료를 투입하여야 하며 만약 한 배치 재료 이상이 투입되었을 경

2.6.8 믹서의 드럼 속에 든 한 배치분의 혼합물은 일체를 혼합한 후 다음 분 배치재 우에는 그 재료 전부를 버려야 한다.
(12) 믹서성능시험은 반기마다 1회 실시하여 종별 혼합시간을 조정하여야 [수정] 자구 수정 : 반기 1회 ⇒ 반기마다 1회
료를 투입하여야 하며, 만약 한 배치 재료 이상이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그 재 한다.

료 전부를 버려야 한다. ① 고강도, 저슬럼프, 일반콘크리트에 대한 종별 믹서성능시험을 실시하여


야 한다.
② 자동생산시스템 구축 및 생산기록지를 ‘초’단위로 출력 관리 한다.
(13) 서중 · 한중콘크리트 타설을 대비한 보온시설(보일러, 히팅시설 등) 및

15- 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보냉시설(스프링클러, 칠러 등)을 설치한다.


(14) 계량장치 검 · 교정 : 공인기관 1회/반기, 자체 1회/월(계량정밀도 : 1
% 이내)

2.7 시멘트 콘크리트의 품질기준 [수정] 해당 내용 추가


구조물용에 사용할 콘크리트의 품질기준은 설계도서에 규정된 것과 같아야
한다. 설계도서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이나 규정된 품질기준보다 높은 품
질기준의 콘크리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콘크리트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시멘트 콘크리트는 휨 강도를 기준으로 품
질관리 하여야 하며, 기타 공사용 시멘트 콘크리트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압축 강도를 품질관리기준으로 한다. 시멘트 콘크리트의 품질기준은 표
15-4-2와 같다.
표 15-4-2 시멘트 콘크리트 품질기준 [수정] 표번호 수정
설계 표준 [자문] 표 내용 수정, 도로공사자료 참조
최대
기준 Gmax 공기 슬럼프
구분 W/C 적용 구조물 (일반적 기준) 콘크리트 소구조물 설계기준개선(설계처-2328, 2013.08.01)
강도 (mm) 량 (mm)
(%)
(MPa) (%)
13 40 5 150 PSM교 세그멘트
45
20 40 5 150 FCM교 세그멘트
고강도 PSC Box GR. 및 슬래브, PSC빔,
20 40 5 150
40 Preflex 하부플랜지
25 35.9 5~7 150 교각
30 25 40 6 130 교량 노출 바닥판
130
주형교량 슬래브, PSC빔교 바닥판,
27 25 45 6 150
RC슬래브, Steel Box 거더교, 교각, 중분대기초
구 (80)
25 터널 라이닝 및 필요할 때
교량하부구조(교각, 교대, 우물통본체),
조 24 50 6 150 교량날개벽, RC옹벽, 암거,
30
암거접속슬래브, 방음벽기초,
일반
도수로집수거,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콘크리트
물 450±
4%이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
24 25 50 50
하 (호칭강도 : 30 MPa)
(플로우)
공 50 6 80 땅깎기·흙쌓기 도수로, 도수로집수거,
25
50 6 150 VㆍLㆍU형측구, 중분대 및 길어깨 집수정
21
중력식옹벽, 매스콘크리트, 부대시설기초,
40 55 1~2 80
배수관기초
15 50(40) - 1~2 80 레벨링 콘크리트, 속채움 콘크리트(우물통기초)
30 25 45 6 20~50 중분대 구체, 난간(특수지역), L형측구, 다이크
기계타설 24 25 50 6 20~50 난간(일반지역)
소구조물 L형측구, 다이크
24 25 45 5~7 20~50
(폐유리 첨가)
기계 f  =4. 40 이하
포장 30 45 6
인력 5 80
빈배합 f  =5 40 - 1~2 -
f  =2
10 50 1~2 80~120 강섬유 미첨가
0
숏크리트
f  =4.
10 50 1~2 80~120 강섬유 첨가
5

주 1) 현장여건 및 사용장비에 따라 골재치수는 변경될 수 있다.


2) 상기 품질기준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이며, 특수한 조건의
경우에는 관련 시방서를 적용한다.

2.6.1 조강 콘크리트
설계도서에 조강 콘크리트로 명기된 콘크리트포장 표층 보수공사와 교량

15- 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슬래브 보수공사, 기타 감독자가 서면으로 승인한 콘크리트 공사에 사용


한다.

2.7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7 시료 채취 및 시험 방법

2.7.1 시료채취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는 KS F 2401에 따른다. 2.7.1 시료 채취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는 KS F 2401에 따른다.

2.7.2 슬럼프 시험 : 포틀랜드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에 따른다. 2.7.2 슬럼프 시험 :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은 KS F

2.7.3 공시체 제작 :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은 KS F 2403에 따른다.


2402에 따른다.
2.7.3 공시체 제작 : 콘크리트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은 KS F 2403에 따

2.7.4 압축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른다.


2.7.4 압축 강도 :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은 KS F 2405에 따른다.

2.7.5 휨강도 :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2.7.5 휨 강도 : 콘크리트의 휨 강도시험은 KS F 2408에 따른다.

2.7.6 공기량 시험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기량 시험은 KS F 2.7.6 공기량 시험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기량에 의한

2409에 따르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함유량시험은 KS F 시험은 KS F 2409에 따르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
기함유량 시험(공기실 압력방법)은 및 KS F 2421에 따른다.
2421에 따른다. 2.7.7 믹서의 비비기 성능시험 :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

2.7.7 믹서의 비비기 성능시험 :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중의 모르타르와 굵은골재량 은 골재량의 변화율(차) 시험은 KS F 2455에 따른다.

의 변화율(차) 시험은 KS F 2455에 따른다.


3. 시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5-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설비가 잘된 콘크리트 제조공장에서 굳지 않은 상태로 구입자에게


이 시방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배달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대해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2455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


KS F 2455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중의 모르타르와 굵은골재량의 변화율(차) 율(차) 시험 방법

시험 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량 측정 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 측정방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3 제출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4절 1.2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품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질시험성과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용 재료는 별도 규정하지 않는 한 이 시방서 15-4절의 2.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용 재료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이 시방서
15-4절의 2.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1 콘크리트의 품질에 관한 지정 및 지시 2.1 콘크리트의 품질에 관한 지정 및 지시

2.1.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슬럼프 및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설계도서에 따르 2.1.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 슬럼프 및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설계도

며, 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서에 따르며, 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콘크리트의 강도는 1회의 시험결과 설계도서에 명시된 호칭강도 값의 85% (1) 시험실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는 다음의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되면 [수정] 문장 및 내용 수정
이상이어야 한다. 만족할 만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2) 콘크리트의 강도는 3회의 시험결과 평균치가 설계도서에 명시된 호칭강도 이 ① 3번의 연속강도 시험의 결과 그 평균값이 fck 이상일 때
② 개개의 강도 시험값이 fck≤35 MPa인 경우 (fck-3.5) MPa 이상일 때,
상이어야 한다. 또는 fck>35 MPa인 경우 0.9 fck 이상일 때

(3) 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의 재령은 표준품인 경우 28일, 특주품인 경우 구입자 (2) 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의 재령은 표준품인 경우 28일, 특수품인 경우 구

15- 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가 지정한 일수로 한다. 입자가 지정한 일수로 한다.

(4) 슬럼프 및 공기량은 설계도서에 명시한 값에 대하여 표 15-41, 표 15-42의 (3) 슬럼프 및 공기량은 설계도서에 명기한 것에 대하여 표 15-5-1, 표 [수정] 번호 수정

허용차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15-5-2의 허용차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표 15-41 슬럼프의 허용차 표 15-5-1 슬럼프의 허용차 [수정] 번호 수정

항 목 허 용 차 항 목 허 용 차 (mm)
25 ± 10 25 ±10
슬 슬럼프 50 및 65 ±15
(㎜)
럼 프
50 및 65 ± 15 (mm)
80 이상 ± 25 80 이상 ±25
표 15-42 공기량의 허용차 표 15-5-2 공기량의 허용차 [수정] 표번호 수정

항 목 공 기 량 허 용 차 항 목 공 기 량 (%) 허 용 차 (%)
보통 콘크리트 4.5 ± 1.5 보통 콘크리트 4.5
경량 콘크리트 5.5 ±1.5
공 기 량 경량 콘크리트 5.5 ± 1.5 포장 콘크리트 4.5
(%) 포장 콘크리트 4.5 ± 1.5 고강도 콘크리트 3.5
고강도 콘크리트 3.5 ± 1.5
표 15-5-3 강도 [수정] 강도와 관련된 내용 추가

- 3조 이상 제작할 때

fck ≤ 35 MPa fck > 35 MPa


① 연속 3회 시험값의 ①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압축강도 이상
강 도 ② 1회 시험값이 설계 ② 1회 시험값이 설계
기준압축강도-3.5 기준압축강도의
MPa 이상 90 % 이상
- 3조 미만 제작할 때
: 각 1조(3개)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
강도 이상

(5)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량은 콘크리트 배출 지점에서 염화물 이온(Cl ̄)량 (4)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 함유량은 콘크리트 배출 지점에서 염소 이 [수정] 자구 수정

으로서 0.30㎏f/㎥ 이하이어야 한다. 다만, 구입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온(Cl-)량으로서 0.30 ㎏/㎥ 이하이어야 한다. 다만, 구입자의 승인을

0.60㎏f/㎥ 이하로 할 수 있다.


얻은 경우에는 0.60 ㎏/㎥ 이하로 할 수 있다.

2.1.2 공장은 KS 표시허가공장을 선정하여야 한다. 2.1.2 공장은 원칙적으로 KS 표시허가 인증 공장으로서 재료시험기사의 자 [수정] 문장 수정
격을 가진 기술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지식, 경험이 있는 기술자가
상주하는 공장을 선정하여야 한다.

15- 5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재료의 계량 2.2 재료의 계량

2.2.1 시멘트, 골재, 물 및 혼화재료는 각각의 계량기로 계량한다. 2.2.1 각 시료는


량 시험은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쳐 계량한다. 잔골재의 표면수
KS F 2509에 따라야 한다.
[수정] 내용 전면 수정

2.2.2 시멘트의 계량은 무게로 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 무게의 1% 이내이어야 2.2.2 각 재료는 1회 비비기 양마다 중량으로 계량한다. 단, 물과 혼화제 용

한다. 액은 중량
2.2.3 각 재료의
또는 체적으로 계량한다.
계량오차는 표 15-5-4의 값 이하로 한다.
2.2.3 골재의 계량은 무게로 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3% 이내이어야 한다.
2.2.4 물의 계량은 무게나 부피로 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 무게의 1% 이내이
표 15-5-4 재료의 계량 오차

재료의 종류 허 용 오 차 (%) 비고
어야 한다. 물, 시멘트 ±1
2.2.5 혼화재의 계량은 무게로 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2% 이내이어야 혼 화 재 ±2
한다. 만일, 포대 수로 계량할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골 재 ±3
혼화제 용액 ±3
1포대 미만의 경우에는 반드시 무게로 계량하여야 한다. 2.2.4 혼화재는 중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포대수로 계량할 경우에는 감독자
2.2.6 혼화제는 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무게나 부피로 계량하며, 그 계량오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차는 1회 계량 분량의 3% 이내이어야 한다.


2.3 제조설비
2.3 제조설비

2.3.1 재료저장 설비 2.3.1 재료저장 설비

(1) 시멘트의 저장설비는 종류별로 구분하여, 시멘트의 풍화를 방지할 수 있는 (1) 시멘트의 저장 설비는 품종별로 구분하며, 시멘트의 풍화를 방지할 수

것이어야 한다.
있어야 한다.

(2) 골재의 저장설비 및 저장설비로부터 배치플랜트까지의 운반설비는 균등한 골 (2) 골재의 저장설비 및 저장설비로부터 배치 플랜트까지의 운반설비는
재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골재를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 균등한 골재 ⇒ 골재를 균등하게

① 골재의 저장설비는 종류· 품종별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크고 작은 골재가 ① 골재의 저장 설비는 종류별 · 품종별로 칸막이를 설치하고, 크고 작은 [수정] 명확한 의미전달위해 자구(각각) 추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골재가 각각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② 골재의 저장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하고, 배수시설을 하여야 하며, 이물질


② 골재의 저장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하고, 배수시설을 하여야 하며,
이 혼입되지 않아야 한다.1) 해로운 물질이 혼입되지 않아야 한다.(1)
주 1)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골재에 살수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주(1)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살수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③ 골 재의 저장은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 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를 저 ③ 골재의 저장은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
장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3) 혼화재료의 저장설비는 종류· 품종별로 구분하고, 혼화재료의 품질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3) 혼화재료의 저장설비는 종류별 · 품종별로 구분하고, 혼화재료의 품질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15- 5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2 배치 플랜트 2.3.2 배치 플랜트

(1) 플랜트에는 각 재료별 저장빈(bin)을 구비하여야 한다. (1) 배치 플랜트에는 각 재료별 저장빈(bin)을 구비하여야 한다. [수정] 플랜트 → 배치 플랜트
(2) 계량기는 15-5절의 2.2에 규정한 오차 이하로 각 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정밀 (2) 계량기는 이 시방서 15-5의 2.2에 규정한 오차로 각 재료를 계량할 [수정] 문구 수정

도를 가진 것이어야 하며, 계량한 값을 위와 같은 정밀도로 지시할 수 있는 수 있는 정밀도를 갖는 것이어야 하며, 계량한 값은 정밀도로 지시할 수
있는 지시계를 갖추어야 한다.
지시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3) 모든 지시계는 조종원이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계량기는 조종원이 용이 (3) 모든 지시계는 조종원이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계량기는 조종원
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계량기는 서로 배합이 다른 콘크리트의 각 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 (4) 계량기는 서로 다른 배합의 각 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는 것이어야 한다. 한다.

(5) 계량기는 잔골재의 표면수량에 따른 계량값의 보정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치 (5) 계량기는 잔골재의 표면수량에 따른 계량치의 보정을 쉽게 할 수 있는
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2.3.3 믹 서
(1) 믹서는 고정믹서로 한다. 2.3.3 믹 서

(2) 믹서는 소정 슬럼프의 콘크리트를 규정한 용량으로 혼합할 때 각 재료를 충 (1) 믹서는 고정식 믹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분히 혼합하여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1) (2) 믹서는 소정 슬럼프의 콘크리트를 규정한 용량으로 비빌 때 각 재료를
충분히 비벼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2)
주 1) 믹서는 소정의 용량을 소정의 시간에 혼합하여 KS F 2455에 따라 시험한 값 주 (2) 믹서는 소정의 용량을 소정의 시간에 혼합하여 KS F 2455 (믹
이 아래에 표시한 값 이하이면 콘크리트를 균등하게 혼합시킬 성능을 가졌다
서로 비빈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율
고 생각해도 좋다.
콘크리트 중 모르타르와 단위용적중량의 차 ………………………… 0.8% (차)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 값이 다음에 표시한 값 이하이
면 콘크리트를 균등히 비빌 성능을 가졌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수정] 자구 수정 : 생각하여도 ⇒ 판단하여도
콘크리트 중 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 ………………………………… 5%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의 단위용적 질량차 ········ 0.8 %
콘크리트 중의 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 ················ 5 %

2.3.4 운반차 2.3.4 운반차

(1) 콘크리트의 운반차는 트럭 믹서 또는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한다.


(1) 콘크리트의 운반에는 다음 성능을 가진 트럭 믹서 또는 트럭 에지테이터
를 사용한다.
① 운반차는 혼합한 콘크리트를 충분히 균일하게 유지하고, 재료분리를 일으키
지 않고, 쉽고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① 비빈 콘크리트를 충분히 균일하게 유지하고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
도록 쉽고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운반차는 콘크리트의 1/4과 3/4의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1)하여 슬럼프 시
험을 하였을 경우, 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30㎜이내가 되는 것이어야 한다. ② 콘크리트의 1/4과 3/4의 부분에서 각각의 시료를 샘플링(3)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 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30 mm 이내이어야 한다.
주 1) 이 때는 출하되는 콘크리트 흐름의 개개 부분의 절단면을 끊도록 하여 시료 주 (3) 이때는 배출되는 콘크리트 흐름의 개개 부분의 전 단면이 끊어 [수정] 문구 수정

15- 6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를 채취한다. 지도록 시료를 채취한다.

(2) 덤프 트럭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덤프 트럭은 포장용 콘크리트를 덤프 트럭으로 운반하는 계약을 했을

트럭의 적재함 바닥은 평활하고 방수적인 것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바람· 때만


능이
사용할 수 있다. 덤프 트럭의 적재함 바닥은 평활하고 방수성
있는 것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바람 · 비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수정] 문구 수정 : 방수적인 것으로 ⇒ 방수성능이 있는 것으로

비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방수 덮개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방수 덮개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2.4 혼 합 2.4 혼 합

2.4.1 콘크리트는 이 절 2.3.3에서 규정하는 믹서로 공장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2.4.1 콘크리트는 이 절 2.3.3에서 규정하는 믹서로 공장 내에서 균일하게
비비는 것으로 한다.
2.4.2 콘크리트의 혼합량 및 혼합시간은 KS F 2455 에서 규정한 시험을 하여 결정
하는 것으로 한다. 2.4.2 콘크리트의 비빔량 및 비비기 시간은 KS F 2455에서 규정한 시험을
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2.5 운 반 2.5 운 반

2.5.1 콘크리트의 운반은 이 절 2.3.4에서 규정하는 운반차로 운반한다. 2.5.1 콘크리트의 운반은 이 절 2.3.4에서 규정하는 운반차로 운반하여야 한다.

2.5.2 트럭 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는 혼합하기 시작하고 2.5.2 트럭 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는 비비기를 시작
나서 1.5시간 이내에 공사지점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하여야 한다. 그러 하여 1.5시간 이내에 공사지점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하여야 한다.

나,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운반시간의 한도를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1) 감독자의 승인을 받았을 경우에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4)
[수정] 문구 수정

2.5.3 덤프 트럭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할 경우, 운반시간의 한도는 혼합하기 시작하 [수정] 문구 수정
고 나서 1시간 이내로 한다.1)
2.5.3 포장용 콘크리트를 운반할 경우, 덤프 트럭 운반시간의 한도는 비비
기를 시작하여 1시간 이내로 한다.(4)
공사 지점에서 배출할 때, 콘크리트 표면에서 1/3과 2/3의 부분에서 각각 시료 공사 지점에서 배출할 때, 콘크리트 표면에서 1/3과 2/3의 분량에서

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 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20㎜ 이상 각각의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 그 양쪽의 슬럼
프 차가 20 mm 이상 되어서는 안 된다.
되어서는 안 된다. 주 (4) 더운 여름철에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짧게 하는 것이 좋다.

주 1) 더운 여름철에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짧게 하는 것이 좋다.

2.6 혼합 및 운반에 관한 통제 2.6 비비기 및 운반에 대한 통제

2.6.1 한 배치와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치는 시간 간격을 통제하여야 하며, 어떠 2.6.1 한 배치와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치는 시간 간격을 통제하여야 하

한 경우에도 30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며, 어떠한 경우라도 30분을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15- 6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6.2 콘크리트 혼합물의 균질성 확보와 품질관리를 위하여 계약자는 현장과 플랜트 2.6.2 콘크리트 혼합물의 균질성과 품질관리를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현장과 [수정] 플랜트 → 배치플랜트

장 양측에 2방향 통신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배치플랜트 장에 2방향 통신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6.3 콘크리트의 운반거리와 시간을 통제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생산자는 플랜트 장 2.6.3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방향과 시간을 통제하기 위하여 감독자는
배치플랜트 장에서 콘크리트 기록표를 작성하여 트럭 운전자에게 발
[수정] 플랜트 → 배치플랜트
[수정] 용어 수정
에서 콘크리트 기록표를 작성하여 트럭 운전원에게 발부하여야 한다. 부하여야 한다.

2.6.4 콘크리트 기록표에는 플랜트 명칭 및 위치, 한 배치의 크기, 콘크리트의 등급, 2.6.4 콘크리트 기록표에는 배치플랜트 명칭 및 위치, 한 배치의 크기, 콘크 [수정] 플랜트 → 배치플랜트
혼합 완료시간과 필요 시에는 드럼의 회전수도 기록되어야 한다. 리트의 등급, 비비기 완료시간과 필요할 때에는 드럼의 회전수도 기
록하여야 한다.
[수정]한글로 순화

2.6.5 현장 도착 후 트럭 운전원은 콘크리트의 기록표를 치기현장에 있는 감독자에 2.6.5 현장 도착 후 트럭 운전원은 콘크리트의 기록표를 타설 현장에 있는

게 제출하여야 하며, 현장에 도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기록표에 의하여 시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현장에 도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기

방기준에 맞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록표에 의하여 시방기준에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한
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6 혼화재료 15-6 혼화재료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할 혼화재와 혼화제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은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할 혼화재와 혼화제에 대하여 적용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A 5101-1 금속망체 KS A 5101-1 시험용체-제1부 : 금속 망 체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재

KS F 2561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 KS F 2561 철근콘크리트용 방청제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재 KS


KS
F
F
2562
2563
콘크리트용 팽창재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미분말
KS F 2563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미분말 KS L 5106 공기투과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방
KS L 5106 공기투과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방법 법

KS L 5405 플라이 애시 KS L 5405 플라이애시

ASTM C 1017/1017M Chemical Admixtures for Use in Producing Flowing


Concrete
ASTM C 1017/C 1017M Standard Specification for Chemical Admixtures for

15- 6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ASTM C 1107 Packaged Dry, Hydraulic-Cement Grout(Nonshrink) Use in Producing Flowing Concrete
ASTM C 1107 Standard Specification Packaged Dry, Hydraulic-
Cement Grout(Nonshrink)

1.3 제 출 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저장상 유의점

2.1 저장상 유의점


2.1.1 혼화재료는 먼지 기타의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2.1.1 혼화재료는 먼지 기타의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분말상 분말상으로 된 혼화재는 습기를 흡입하거나 굳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

으로 된 혼화재는 습기를 흡입하거나 굳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고, 액 여야 하고, 액체상의 혼화제는 분리되거나 변질되는 일이 없도록 저
장하여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체상의 혼화제는 분리하거나 변질하는 일이 없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1.2 혼화재는 비산하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2.1.2 혼화재는 비산하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2.1.3 혼화재는 방습적인 사이로, 창고 등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입하 순으 2.1.3 혼화재는 방습적인 사이로 · 창고 등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로 사용하여야 한다. 입하 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1.4 혼화재료의 저장기간이 너무 오래되었거나 이상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사 2.1.4 혼화재료의 저장기간이 너무 오래되었거나 이상이 있다고 인정될 경

용하기 전에 시험하여야 한다. 시험결과 규정된 성질을 얻지 못할 때는 그 혼 우에는 사용하기 전에 시험하여야 한다. 시험결과 규정된 성질을 얻

화재료는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지 못할 때는 그 혼화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2.2 혼화재료의 종류 및 품질기준 2.2 혼화재료의 종류 및 품질기준

콘 크리트용 혼화재료에는 혼화재와 혼화제가 있다. 혼화제에는 AE제, AE감수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에는 혼화재와 혼화제가 있다. 혼화제에는 AE제 · AE [수정] 동격의 내용, 가운데 점 사용
고성능AE감수제, 감수제, 응결경화촉진제, 지연제, 급결제, 방수제, 발포제, 접착 감수제 · 고성능AE감수제 · 감수제 · 응결경화촉진제 · 지연제 · 급결제 · 방수

제, 유동화제 및 철근의 방청제, 수중불분리성혼화제, 무수축그라우트제 등이 있 제 · 발포제 · 접착제, 유동화제 및 철근의 방청제 · 수중불분리성혼화제 · 무

으며, 혼화재에는 플라이 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규산백토, 팽창혼화재, 착색


수축그라우트제 등이 있으며, 혼화재에는 플라이애시 · 고로슬래그 미분말
· 천연 포졸란 · 실리카퓸 · 팽창혼화재 · 착색재 등이 있다.
재 등이 있다.
2.2.1 혼화제
(1) 혼화제로 사용할 AE제, AE감수제, 고성능AE감수제 및 감수제는 KS F 2560 2.2.1 혼화제

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 혼화제로 사용할 AE제, AE감수제, 고성능AE감수제 및 감수제는 KS

(2)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종류는 표 15-43과 같다. F 2560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종류는 표 15-6-1과 같다. [수정] 표번호 수정

15- 6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43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종류 표 15-6-1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성능에 따른 구분


종 류 종 류
A E 제 - A E 제 -
표 준 형 표 준 형
감 수 제 지 연 형 감 수 제 지 연 형
촉 진 형 촉 진 형
표 준 형 표 준 형
AE 감수제 지 연 형 AE 감수제 지 연 형
촉 진 형 촉 진 형

고성능 AE 감수제 표 준 형 표 준 형
지 연 형 고성능 AE 감수제 지 연 형
(3) 혼화제의 품질은 KS F 2560의 6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15-39의 (3) 혼화제의 품질은 KS F 2560의 6.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표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5-6-2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표 번호 수정

(4) 유동화제는 별도로 규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규준)에 적합한 (4) 유동화제는 별도로 규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규준)에
것이어야 한다.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5)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는 별도로 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5)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는 별도로 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수중불분리
품질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성 혼화제 품질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 무수축그라우트제는 ASTM C 110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 무수축그라우트제는 ASTM C 110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7) 방청제는 KS F 2561에 따른다. (7) 방청제는 KS F 256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8) (3)∼(7) 이외의 혼화제에 대해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법을 충분히 검
토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8) (3)~(7) 이외의 혼화제에 대하여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표 15-44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품질기준 표 15-6-2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성능 [수정] 표 번호 수정

15- 6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 류 AE 제 감 수 제 AE 감 수 제 고성능AE감수제 감 수 제 AE 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품질항목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품질항목
종 류
AE제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감 수 율 (%) 6 이상 4 이상 4 이상 4 이상 10 이상 10 이상 8 이상 18 이상 18 이상
블리딩 양의 비 (%) 75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70 이하 70 이하 70 이하 60 이하 70 이하 감 수 율 (%) 6 이상 4 이상 4 이상 4 이상 10 이상 10 이상 8 이상 18 이상 18 이상

응결시간의 초 결 -60∼+60 -60∼+90 +60∼+210 +30 이하 -60∼+90 +60∼+210 +30 이하 -30∼+120 +90∼+240 블리딩 양의 비 (%) 75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70 이하 70 이하 70 이하 60 이하 70 이하

차 (min) 종 결 -60∼+60 -60∼+90 +210 이하 0 이하 -60∼+90 +210 이하 0 이하 -30∼+120 +240이하 초 결 -60~+60 -60~+90 +60~+210 +30 이하 -60~+90 -60~+210 +30이하 -30~+120 +90~+240

재령 3일 9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135 이상


응결시간의 차

압축강도의 재령 7일 95 이상
(min)
종 결 -60~+60 -60~+90 +210 이하 0 이하 -60~+90 +210 이하 0 이하 -30~+120 +240 이하

비 (%)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25 이상


재령28일 9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5 이상 압축강도의 비
재령 3일 9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135 이상

길이 변화비 (%)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10 이하 재령 7일 9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25 이상
(%)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80 이상 - - -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재령 28일 9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5 이상

(상대 동탄성계수, %) 길이 변화비 (%)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10 이하

경시 슬럼프(㎜) - - - - - - - 60 이하 60 이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변화량 공기량(%) - - - - - - - ±1.5 이내 ±1.5 이내 (상대 동탄성계수, %)
80 이상 - - -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슬럼프
- - - - - - - 60 이하 60 이하
비고) 1. 슬럼프 80 ㎜ 및 180 ㎜의 어느 콘크리트에 대해서도 위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경시 (mm)
단, AE제 및 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상대 동탄성계수)의 규정값은 슬럼 변화량
공기량 (%) - - - - - - - ±1.5 이내 ±1.5 이내
프 80 ㎜, 고성능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및 경시변화량의 규정값은 슬럼
프 180 ㎜의 콘크리트에 대해 각각 적용한다. 비고 1. 슬럼프 80 mm 및 180 mm의 어느 콘크리트에 대하여서도 위의 규격에
2. 위 표의 규정값은 시험콘크리트(혼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준콘크리트(혼화제를 [수정] 단위 띄어쓰기
적합하여야 한다. 단, AE제 및 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대한 비를 나타낸 것이다.
저항성(상대동탄성계수)의 규정값은 슬럼프 80 mm, 고성능 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상대동탄성계수) 및 경시변화량의 규정값은 슬럼프 180
mm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각각 적용한다.
2. 전체 알칼리양은 0.3 ㎏/㎥ 이하이어야 한다.

2.2.2 혼화재 2.2.2 혼화재

(1) 플라이 애시
① 혼화재로 사용할 플라이 애시는 KS L 540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1) 플라이애시
① 혼화재로 사용할 플라이애시는 KS L 540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수정] 띄어쓰기 수정
② 플라이 애시란 미분탄 연소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재로
서 양질의 플라이 애시를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적절하게 사용하면 콘크리트 ② 플라이애시란 미분탄 연소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재로서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사용할 때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 [수정] 한글로 순화
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수화열로 인한 온도상승 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 수화열로 인한 온도상승을 감소시킬 수

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기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고, 수밀성 증대 및 화학 있고, 장기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밀성 증대 및 화학적 침식에

적 침식에 대한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한 내구성 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플라이 애시의 품질은 KS L 5405의 8 및 KS L 5106에 따라 시험했을 때 ③ 플라이애시의 품질은 표 15-6-3의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표번호 수정

표 15-45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15- 6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6-3 플라이애시의 요구사항


표 15-45 플라이 애시 품질기준 종 류
구 분 항 목 플라이 애시 1종 플라이 애시 2종
플라이애시 1종 플라이애시 2종 비 고
항 목

이산화규소 (%) 45 이 상 45 이 상 이산화규소 (%) 45.0 이상 45.0 이상

화학성분 습 분 (%) 1이하 1이하 수 분 (%) 1.0 이하 1.0 이하


강열감량 (%) 3이하 5이하
비 중 1.95 이 상 1.95 이 상 강열감량 (%) 3.0 이하 5.0 이하

분말도 비표면적1) (브레인 방법) (㎠/g) 4 500 이상 3 000 이상 밀 도 (g/㎤) 1.95 이상 1.95 이상

물리적 45㎛ 체잔분(망체방법)(%) 10 이 하 40 이 하


4.5 ㎛체 잔분
10 이하 40 이하
성질 플로값비 (%) 105 이 상 95 이 상
분말도
(망체 방법)(1)(%)
비표면적
4,500 이상 3,000 이상

활성도 지수(%) 재령 28일 90 이 상 80 이 상 (브레인 방법)(㎠/g)

재령 91일 100 이 상 90 이 상 플로값 비(%) 105 이상 95 이상

활성도 재령 28일 90 이상 80 이상
주 1) 분말도는 KSL 5106에 따라 측정된 비표면적이 제출 견본의 시료치보다 450㎠/g 이상
지수
차이가 있어서는 안 된다.
(%) 재령 91일 100 이상 90 이상

(1)
주 브레인 방법(공기투과 장치에 의한 분말도)에 따르되 망체 방법은 참고값으로
한다.

④ 플라이 애시를 포장할 때는 시멘트용 크라프트지대, 크라프트 신장지대, 크 ④ 플라이애시를 포장할 때는 시멘트용 크라프트 종이포대 등 방습용 포 [수정] 문장 수정

라프트 합성수지 직포대에 넣고, 실무게는 30㎏f 로 한다. 지대 표면에는 명 대를 사용하거나 벌크차를 사용한다. 지대 표면에는 명칭, 무게 또는
부피,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 취급상의 주
칭, 무게 또는 부피, 제조자 명 또는 그 약호, 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 취 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2) 팽창재 (2) 팽창재

① 혼화재로 사용할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① 혼화재로 사용할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에 적합한 것이어
② 콘크리트용 팽창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경화수축 야 한다.

등에 기인하는 균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혹은 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② 콘크리트용 팽창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팽창콘크리트를 만듬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경화수축 등에 기인하는 균열의 발생을 저
[수정]문구 추가

도입하여 균열에 대한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 감할 수 있고 혹은 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균열에 대한 내력

다. 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③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의 6.∼7.에 의해 시험했을 때 표 15-46의 ③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 5.~7.에 의하여 시험하고 표 [수정] 표번호 수정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15-6-4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15- 6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6-4 콘크리트용 팽창재 품질 기준


표 15-46 콘크리트용 팽창재의 품질기준

구 분 항 목 규정값 비 고 항 목 규 정 값 적용 시험항목

화학성분 산화 마그네슘 (%) 5.0 이하


강열 감량 (%) 3.0 이하
산화마그네슘 (%) 5.0 이하 KS F 2562의 6.1
화학 성분

비 표면적 (㎠/g) 2,000 이상 강열 감량 (%) 3.0 이하 KS F 2562의 6.2

1.2㎜ 체 잔분1) (%) 0.5 이하 비표면적 (㎠/g) 2,000 이상 KS F 2562의 7.1

응 결 초 결 (분) 60 이후 1.2 mm 체 잔분 1)
(%) 0.5 이하 KS F 2562의 7.2

종 결 (시간) 10 이내 초 결 (분) 60 이후
물리적 성질 팽창성(길이변화율) 7일 0.03 이상 응 결 KS F 2562의 7.3

(%) 28일 -0.02 이상 종 결 (시간) 10 이내

압축강도 3일 6.9 이상 물리적 성질


팽창성
7일 0.030 이상

7일 14.7 이상
KS F 2562의 7.4
(길이 변화율,%)
(㎫) 28일 29.4 이상
28일 -0.020 이상

3일 6.9 이상
주 1) 1.2㎜체는 KS A 5101-1에 규정하는 시험용체 1.18㎜이다. 압축 강도
7일 14.7 이상 KS F 2562의 7.5
(MPa)
28일 29.4 이상

1)
주 1.2 mm 체는 KS A 5101-1에 규정하는 시험용체 1.18 mm이다.

④ 콘 크리트용 팽창재를 포장할 때는 포장 포대에, 포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 ④ 콘크리트용 팽창재를 포장할 때는 시멘트용 크라프트 종이포대 등 방 [수정] 문장 추가

장에 명칭, 무게 또는 부피,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출하년월일, 취급상의 습포장 포대에 포장하여야 하며, 포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벌크차의
송장에 명칭 · 무게 또는 부피 ·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 제조년월일 또
주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수정] 가운데 점 사용
는 그 약호 · 취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3)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고로 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4) (1), (2) 및 (3) 이외의 혼화재에 대하여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그
(4) (1), (2) 및 (3) 이외의 혼화재에 대해서는 사용 전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법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을 충분히 검토한 후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6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7 줄눈재료 15-7 줄눈재료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신축이음에 사용하는 줄눈판과 주입 줄눈재에 대하여 적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신축이음에 사용하는 줄눈판과 주입 줄눈재에 대하여 적 용한다.

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ASTM C 920 Standard Specification for Elastomeric Joint Sealants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ASTM C 1193 Standard Guide for Use of Joint Sealants

KS F 2471 콘크리트의 신축이음에 쓰이는 미리 성형된 채움재의 시험방법(돌 ASTM D 994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Expansion Joint

출없이 탄력있는 형식)


Filler for Concrete(Bituminous Type)
ASTM D 1752a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Sponge Rubber
KS F 2538 콘크리트 포장 및 구조용 신축이음 채움재 Cork and Recycled PVC Expansion Joint Fillers for

ASTM D 994 Preformed Expension Joint Filler for Concrete(Bituminous Concrete Paving and Structural Construction
ASTM D 2628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Polychloroprene [수정] - 항공유 등이 활용되는 공항포장 등에서 활용되는 기준으로 불
Type) Elastomeric Joint Seals for Concrete Pavements 필요함

ASTM D 1190 Concrete Joint Sealer, Hot-Applied Elastic Type ASTM D 5893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ld Applied, Single - 재료별로 분류된 성형줄눈재 기준을 재료에 상관없이 통합

ASTM D 1752 Preformed Sponge Rubber and Cork Expansion Joint Fillers
Component, Chemically Curing Silicone Joint Sealant 기준으로 전환하기 위한 참고 기준 변경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for Concrete Paving and Structural Construction ASTM D 6690 Standard Specification for Joint and Crack Sealants,

ASTM D 1854 Jet-Fuel-Resistant Concrete Joint Sealer, Hot-Applied Elastic Hot Applied, for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Type
ASTM D 2628 Preformed Polychloroprene Elastomeric Joint Seals for
Concrete Pavements
ASTM D 6690 Standard Specification for Joint and Crack Sealants, Hot
Applied, for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ASTM D 5893-04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ld Applied, Single Component,
Chemically Curing Silicone Joint Sealant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문장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5- 6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줄눈판 2.1 줄눈판

2.1.1 줄눈판은 콘크리트 슬래브 팽창수축에 순응하고 팽창 시에 밀려 빠져나오지 2.1.1 줄눈판은 콘크리트 슬래브 팽창수축에 순응하고 팽창시에 밀려 빠져

않아야 하며, 수축 시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 것이어


나오지 않아야 하며, 수축시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틈이 생기
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줄눈판은 또한 내구적이고 설치할 때나 콘크
야 한다. 줄눈판은 또한 내구적이고 설치할 때나 콘크리트를 다질 때에 부서 리트를 다질 때에 부서지거나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지지 않는 것으로

지거나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지지 않는 것으로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을 사 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용하여야 한다.
2.1.2 줄눈판의 종류에는 목재계, 역청질계, 고무스폰지 및 수지발포체계 등이 있다. 2.1.2 줄눈판의 종류에는 목재계, 역청질계, 고무스폰지 및 수지발포체계 등이

2.1.3 역청질계 줄눈판은 KS F 2538에 적합하여야 하며, 줄눈판의 시험방법은 KS 있다.


2.1.3 역청질계 줄눈판은 KS F 2538에 적합하여야 하며, 줄눈판의 시험방법
F 2471에 따른다. 은 KS F 2471에 따른다.

2.1.4 줄눈재료의 품질에 대한 시방은 KS를 기준으로 하되 KS에 규정되지 아니한 2.1.4 줄눈재료의 품질에 대한 시방은 KS를 기준으로 하되 KS에 규정되지
것은 ASTM D 994, ASTM D 1190, ASTM D 1752, ASTM D 1854, ASTM 아니한 것은 ASTM D 994, D 1752, D 1854, D 2628, D 6690 등을

D 2628 등을 참조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품질시험을 하여 사용하여야 한


참조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품질시험을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다.
2.2 주입줄눈재
2.2 주입줄눈재

2.2.1 콘크리트포장용 주입줄눈재에는 가열시공식과 상온시공식, 특수성형시공식이 2.2.1 콘크리트포장용 주입줄눈재에는 가열시공식과 상온시공식이 있다.

있다.
2.2.2 주입줄눈재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팽창수축에 순응하고, 콘크리트와 잘 부착하
2.2.2 주입줄눈재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팽창수축에 순응하고, 콘크리트와
잘 부착하며, 물에 녹지 않고 방수성이며, 고온일 때 유출되지 않고 [수정] 한글로 순화

며, 물에 녹지 않고 방수성이며, 고온 시에 유출되지 않고 저온 시에도 충격에 저온일 때에도 충격에 잘 견디며, 수분 및 이물질의 침입을 막고 또한

잘 견디며, 토사 등의 침입을 막고 또한 내구적인 것으로서 감독자가 승인한 내구적인 것으로서 감독자가 승인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주입줄눈재용 프라이머는 주입줄눈재에 적합한 품질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주입줄눈재용 프라이머는 주입줄눈재 재질에 따라 적합한 품질의 것을 [수정] 문구 수정
사용하여야 한다.

2.3 성형줄눈재
[수정] 성형줄눈재 항목 신설
2.3.1 콘크리트포장용 성형줄눈재에는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줄눈 폭, 깊이에 맞추어 사전 제작한 후 적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줄눈
에 삽입하여야 한다.

15- 6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2 성형줄눈재는 줄눈 절단 폭에 비하여 충분히 큰 폭의 것을 선택하여


줄눈에 삽입된 후 줄눈이 수축할 때에도 함몰 또는 돌출이 발생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여 수분 및 이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야 한
다.
2.3.3 성형줄눈재용 프라이머는 줄눈재 재질에 따라 적합한 품질의 것을 사
용하여야 한다.

2.3 주입줄눈재 품질기준 2.4 품질기준


2.4.1 아스팔트 계열의 줄눈재료 품질기준은 표 15-7-1과 같다. [수정] 표 번호 수정
2.3.1 아스팔트 계열의 줄눈재료 품질기준은 표 15-47 과 같다.
표 15-7-1 아스팔트 계열 줄눈재료 품질기준 (ASTM D 6690) [수정] 표 번호 수정
표 15-47 아스팔트 계열 줄눈재료 품질기준 (ASTM D 6690) 종 류 Type Ⅰ Type Ⅱ Type Ⅲ Type Ⅳ
-18 ℃, 50 % 신장 -29℃, 50 % 신장 -29 ℃, 50 % 신장

종류 Type Ⅰ Type Ⅱ Type Ⅲ Type Ⅳ


-29 ℃, 200 % 신장
설계사용조건 (extension) (extension) (extension)
(extension)
【D 6690】 【D 3450】 【SS-S1401C】

-18℃, 50 % 신장 -29℃, 50 % 신장 -29℃, 50 % 신장 -29℃, 200 % 신장


콘 침입도
90 이하(max.) 90 이하(max.) 90 이하(max.) 90 ~ 150

설계사용조건 (extension) (extension) (extension)


(25℃)

【D 1190】 【D 3450】 【SS-S1401C】 (extension) 흐름성


(60 ℃,
mm )
5.0 3.0 이하(max.) 3.0 이하(max.) 3.0 이하(max.)

콘 침입도 90 이하(max.) 90 이하(max.) 90 이하(max.) 90∼150


- 18 ℃에서 시편
- 29 ℃에서 시편 -29℃에서 시편

(25℃)
(25.4 mm)시편을 5 - 29 ℃에서 시편 (12.7
(12. 7mm)시편을 (12.7mm) 시편을 200
접착성 0%, mm)시편을 50% ,
50% , 3 회 왕복시 %,
(비침지) 5 회 왕복시험 후 3 3 회 왕복시험 후 3개
흐름성
험 후 3개 모두 이상 3 회 왕복시험 후 3

5.0 3.0 이하(max.) 3.0 이하(max.) 3.0 이하(max.)


개 중 2개 이상 이상 모두 이상 없을 것
없을 것 개 모두 이상 없을 것
(60℃, ㎜) 없을 것
-29℃에서 시편

-18℃에서 시편(25.4 -29℃에서 시편(12. -29℃에서 시편(12.7 -29℃에서 시편 접착성


(12.7mm) 시편을 50%
,

접착성 ㎜)시편을 50%, 7㎜)시편을 50% , ㎜)시편을 50% , (12.7㎜)시편을 200 % ,


- - -
(침수) 3 회 왕복시험 후 3

(비침지) 5 회 왕복시험 후 3개 중 3 회 왕복시험 후 3개 3 회 왕복시험 후 3개 3 회 왕복시험 후 3개


개 모두 이상 없을

2개 이상 이상 없을 것 모두 이상 없을 것 모두 이상 없을 것 모두 이상 없을 것 원상회복률,
(%)
- 60 이상 (min) 60 이상 (min) 60 이상 (min)

-29℃에서 노화시험

접착성 시편(12. 7㎜)시편을 50%,


후 회복률, - - 60 이상 (min) -

( 침수 ) - - 3 회 왕복시험 후 3개 - (%)
아스팔트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모두 이상 없을 것 호환성

원상회복률(%) - 60 이상 (min) 60 이상 (min) 60 이상 (min)


※ 국내 콘크리트 포장체의 온도를 고려 Type Ⅱ 이상 적용 가능하다.
※ 움직임 허용치는 ASTM C 719 및 ASTM C 920에 의거하여 -50/+100으로 한다.

노화시험 후
회복률(%)
- - 60이상 (min) -
아스팔트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이상 없을 것
호환성

※ 국내 콘크리트 포장체의 온도를 고려 Type Ⅱ 이상 적용 가능

2.4.2 실리콘 실란트의 품질기준은 표 15-7-2와 같다. 다만 국내 고속도로 [수정] 내용 추가


여건에 따라 ASTM C 920 규정에 따른 Class 100/50 등급이 사용되
어야 하며, 균일한 두께 유지를 위하여 Self-levelling 타입을 적용하
고 중분대 구체, L형 측구 및 다이크부에는 흐름방지를 위하여
Non-Sag 타입을 적용한다.

15- 7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2 실리콘계(non-sag) 실란트의 품질기준은 표 15-48과 같다. 표 15-7-2 실리콘 실란트 품질기준(ASTM D 5893-04 및 ASTM 920) [수정] ASTM 기준년도 명기
표 15-48 실리콘 실란트 품질기준Ⅰ(ASTM D 5893) 표번호 수정

시험항목 시험방법 실리콘 종류(non-sag) 시험항목 시험방법 품질기준

유동성 ASTM D 2202 ≤7.6㎜ 슬럼프


굴곡 없는
유동성 ASTM C 639
매끄러운 표면

성형율(mL/min) ASTM C 1183 ≥50 성형율(mℓ/min) ASTM C 1183 ≥50

불 점착성(h) ASTM C 679 ≤5 가열처리 후 효과 ASTM C 792


무게변화 10%미만,

접착성 (-29℃, 100 % ext., immersed,


균열, 백탁없을것

non-immersed, oven-aged)
ASTM D 5893 이상 없을 것 불 점착성(h) ASTM C 679 ≤5

경도(-29℃, Type A2) ASTM C 661 ≤25 접착성

경도( 23 ℃, Type A2) ASTM C 661 ≥30


(-29 ℃, 100 % ext., immersed, ASTM D 5893 이상없을 것
non-immersed, oven-aged)

흐름성 ASTM D 5893 No flow 경도(-29 ℃, Type A2) ASTM C 661 ≤25

최대 신장율(%) ASTM D 412(C) ≥600 경도( 23 ℃, Type A2) ASTM C 661 ≥30

인장력(150 %, 23℃, ㎪) ASTM D 412(C) ≤310 흐름성 ASTM D 5893 No flow

촉진내후성(5000시간) ASTM C 793 이상 없을 것 ASTM D

복원력(%) ASTM D 5893 ≥75


최대 신장율, % ≥600
412(C)

줄눈 움직임 허용치 ASTM C 719-93 +100%/-50%


ASTM D
인장력 150 %, 23 ℃, kPa ≤310
412(C)

2.3.3 실리콘계(self-leveling) 실란트의 품질기준은 표 15-49와 같다.


흐름, 끈적함, 필름형성,
촉진내후성, 5,000시간 ASTM C 793 재전환, 수포, 균열, 백탁 등이
없을 것

복원력, % ASTM D 5893 ≥75


표 15-49 실리콘 실란트 품질기준Ⅱ(ASTM D 5893) 흐름, 끈족암, 필름형성,

시험항목 시험방법 실리콘 종류(self-leveling)


움직임 허용치(-50/100%) ASTM C 719 재전환, 수포, 균열, 백탁등이
없을 것

유동성 ASTM D 2202 이상 없을 것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EDS시험 ASTM E 1508 Si>C

성형율(mL/min) ASTM C 1183 ≥50 ※ 촉진내후성 시험은 공급원 승인을 위한 최초 시험단계 단계에서 1회 실시하며 그

불 점착성(h) ASTM C 679 ≤5 결과는 5년간 유효한 것으로 하며 이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EDS [수정] 내용 수정

접착성 (-29℃, 100 % ext., immersed,


시험법(ASTM E 1508)」에 따른 성분분석 시험결과에서 종전의 재료성분과 차이가

non-immersed, oven-aged)
ASTM D 5893 이상 없을 것 나타나면 추가 촉진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경도(-29 ℃, Type A2) ASTM C 661 ≤25


경도( 23℃, Type A2) ASTM C 661 ≥30
흐름성 ASTM D 5893 No flow
최대 신장율(%) ASTM D 412(C) ≥600
인장력(150 %, 23 ℃, ㎪) ASTM D 412(C) ≤310
촉진내후성(5000시간) ASTM C 793 이상 없을 것
복원력(%) ASTM D 5893 ≥75 2.4.3 성형줄눈재의 품질기준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표 15-7-3과 [수정] 내용 추가
줄눈 움직임 허용치 ASTM C 719-93 +100%/-50% 15-7-4를 적용한다.

표 15-7-3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계 성형줄눈재 품질기준


(TL Fug-StB 01)

15- 7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 류 시험방법 품 질 기 준
KS M
경 도 IRHD 또는 듀로미터 경도 60~80(±5)
6784
KS M 내구성 ≥9 MPa 강도 등급에서의 팽창성:
내구성과 팽창성
6782 60/300 %, 70/200 %, 80/125 %
하중을 받지 않는 표본에 대한 최대 변화,
KS M
열 숙 성 IRHD 경도 : -5에서 +8까지
6788
팽창성 : -30에서 +10%까지
저온과 고온 ASTM D
-10℃: ≥ 70-%, 70℃: ≥ 80-%
에서의 회복력 2628-91
과도한 팽창에 초기신장률 2.5 % 이하
*
대한 보호력 300 N에서의 신장률 4.5 % 이하

노화시 인장강도 KS M
≤-20 %
험 변화율 6518
(70±1
℃,96시 신장율 KS M
≤-10 %
간) 변화율 6518

KS M
영구 압축율 ≤-20 %
6518
KS M
영구 신장율 ≤-12 %
6518
※ 시편을 물림거리 500 mm, 인장속도 50 mm/min 으로 시험하여 인장하중이 300 N
이상이 되도록 한 후 기울기가 급격히 변하는 초기점과 300 N에서의 각각의 신장율을
구한다.
표 15-7-4 폴리클로로프렌계 성형줄눈재 품질기준 (ASTM D 2628) [수정] 내용 추가

종 류 시험방법 품 질 기 준
인장강도(최소, MPa) ASTM D 412 13.8
파단시 신장율(%) ASTM D 412 250
오븐 처리후 성능, 70시간, 100℃
인장강도 손실율(최대, %) 최대 20 %
ASTM D 573
신장율 감소(최대,%) 최대 20 %
경도, A형 경도계, point change 1~+10
오일팽윤율, ASTM oil 3, 70시간, 100 ℃
ASTM 471 최대 45 %
무게변화율(최대변화율, %)
오존 저항성, 70시간, 40 ℃,
ASTM D 1147 균열 없을 것
공기중 농도 300 ppm 처리 후 20 % 변형
저온 경화도 7일, -10 ℃
ASTM D 2240 0~+15
경도, A형 경도계, point change
저온회복율(최소, %) 72시간, -10 ℃
ASTM D 2628 88
50 % 굽힘
저온회복율(최소, %) 22시간, -29 ℃
ASTM D 2628 83
50 % 굽힘
고온회복율 70시간, 100 ℃
ASTM D 2628 85
50 % 굽힘
굽힘 압축강도(최소, N/m) 폭의 80 % ASTM D 2628 613

15- 7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8 콘크리트 양생재 15-8 콘크리트 양생재

15-8-1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형성제 15-8-1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피막 형성제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수분의 손실 방지에 사용하는 액상피막 형 [수정] 한글로 순화, 자구 수정 : 적합한 ⇒ 사용하는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양생 시 수분의 손실 방지에 적합한 액상 피막 형성제에 성제에 대하여 적용한다.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F 2406 콘크리트 양생용 재료의 보수능력 시험방법 KS F 2406 콘크리트 양생용 재료의 보수능력 시험방법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종 류
2.1 종 류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형성제에는 다음의 5가지 형식이 있으며, 이들은 굳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에는 다음의 5가지 형식이 있으며, 이들

지 않은 콘크리트의 양생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 제거 후 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양생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 거푸
집 제거 후의 콘크리트 또는 초기 습윤양생 후의 콘크리트 양생제로도 사용 [수정] 문구 수정
의 콘크리트 또는 초기 습윤 양생 후의 콘크리트 양생제로 사용하여도 적합하여 할 수 있어야 한다.

야 한다. 1형 : 투명 또는 반투명
1-D형 : 투명 또는 퇴색이 잘되는 염료를 지닌 반투명

15- 7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형 : 투명 또는 반투명 2형 : 백색안료 사용

1-D형 : 투명 또는 퇴색이 잘되는 염료를 지닌 반투명 3형 : 담회색 안료 사용

2형 : 백색 안료 사용
4형 : 흑색

3형 : 담회색 안료 사용
4형 : 흑색
2.2 품질기준
2.2 품질기준

2.2.1 성분 및 성질 2.2.1 성분 및 성질

(1) 액상 피막 형성제의 성분은 제한되지 않으나, 유독하거나 인화성이어서는 안 (1) 액상 피막 형성제의 성분은 제한되지 않으나, 유독하거나 인화성이 있
어서는 안 된다. 벤젠, 4염화탄소, 메틸알코올, 기타 유독재료는 허용
된다. 벤젠, 4염화탄소, 메틸알코올, 기타 유독재료는 허용될 수 없다. 될 수 없다.

(2) 투명 또는 반투명 1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담색으로, 일시적으로 염료가 함 (2) 투명 또는 반투명 1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담색으로서, 일시적으로 염
료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으며, 콘크리트 표면에 사용 후 적어도 4시
유되어 있어도 좋으며, 콘크리트 표면에 사용 후 적어도 4시간 동안 쉽게 식 간 동안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이 색은 필요하다면 사용 후 7

별할 수 있어야 하고, 이 색은 필요하다면 사용 후 7일 이내에 눈에 띄지 않 일 이내에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

아야 한다. (3) 백색안료를 사용한 2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 백색안료와 전색제


(3) 백색안료를 사용한 2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 백색안료와 전색제로 구성 로 구성되며, 기존 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

되며, 기존 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형성제는 다. 이 형성제는 소정의 적용비율로서 새로운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
우에는 균등한 백색 겉모양을 나타내고, 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
소정의 적용비율로서 새로운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균등한 백색 겉모 로 감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

양을 나타내고, 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우에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
그네시아의 반사능력의 60 % 이상이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에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그네시아의 반사능력의 60% 이상이어야 한다.
(4) 담회색 안료를 사용한 3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 담회색 안료와 전색제로
(4) 담회색 안료를 사용한 3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 담회색 안료와
전색제로 구성되며, 기존 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
구성되며, 기존 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형성 야 한다. 이 형성제는 소정의 비율로 새로운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

제는 소정의 비율로 새로운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우에 균등한 담회색 외관 우에 균등한 담회색 외관을 나타내고, 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콘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
을 나타내고, 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콘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그네

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 시아 반사능력의 50 % 이상이라야 한다. [수정] 50% → 50 %

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그네시아 반사능력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5) 흑색의 4형 액상 피막 형성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이 정해져 있지 않다. (5) 흑색의 4형 액상 피막 형성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이 정하여져 있
지 않다.
2.2.2 피막의 성질
형성제는 습윤 콘크리트에 부착하고,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 연속된 2.2.2 피막의 성질

밀착 박막을 형성하여야 한다. 건조했을 때 피막은 연속하여 유연하고, 찢어지


형성제는 습윤 콘크리트에 부착하고,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
연속된 밀착 박막을 형성하여야 한다. 건조했을 때 피막은 연속하여
거나 구멍이 없어야 한다. 시험 공시체에 대하여 사용 후 적어도 7일간 찢어 유연하고, 찢어지거나 구멍이 없어야 한다. 시험 공시체에 대하여 사용
후 적어도 7일간 찢어지지 않는 피막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액상 피막

15- 7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지지 않는 피막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액상 피막형성제는 콘크리트에 대해 해 형성제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해로운 작용을 하여서는 안 된다.

로운 작용을 하여서는 안 된다. 2.2.3 컨시스턴시(consistency) [수정] 영문표기 추가


2.2.3 컨시스턴시
액상 피막 형성제의 컨시스턴시는 24℃ 이상의 온도에서 분무노즐로 균등한
액상 피막 형성제의 컨시스턴시는 24 ℃ 이상의 온도에서 분무노즐로

피복을 만들 수 있도록 쉽게 살포할 수 있어야 한다.


균등한 피복을 만들 수 있도록 쉽게 살포할 수 있어야 한다.

2.2.4 저장 안정도 2.2.4 저장 안정도

피막 형성제는 변질되지 않고, 3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유제


피막 형성제는 변질되지 않고 3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다
만 유제형의 형성제는 동해에 견딜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다. 형성제
형의 형성제는 동해에 견딜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다. 형성제는 침강하였을 는 침강하였을 때에도 약간의 교반으로 쉽게 균등질성이 되어야 한다.

때에도 약간의 교반으로 쉽게 균등질성이 되어야 한다. 2.2.5 건조시간


2.2.5 건조시간 습윤 콘크리트 면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 피막 형성제는

습윤 콘크리트 면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 피막 형성제는 온도 온도 23±2 ℃, 상대습도 50±10 %, 최대공기유속 180 m/min 표준시
험실 조건에서 4시간 이내에 건조되어야 하며, 붙는 일이 없어야 한
[수정] 띄어쓰기 및 문구 수정

23±2℃, 상대습도 50±10%, 최대공기유속 180m/min 표준시험실 조건에서 4시 다.


간 이내에 건조하여 붙는 일이 없어야 한다. 12시간 후 형성제는 그 위를 걸었을 때 자국이 나거나 붙지 않아야

12시간 후 형성제는 그 위를 걸었을 때 자국이 나거나 붙지 않아야 하며, 미 하며, 미끈미끈한 면이 되어서는 안 된다.

끈미끈한 면이 되어서는 안 된다. 2.2.6 습기유지

2.2.6 습기유지 보수성 시험에서 액상 피막 형성제는 KS F 2406에 따라 시험할 때


72시간 동안 표면에서 물이 0.55 kg/㎡ 보다 더 손실되어서는 안 된
보수성 시험에서 액상 피막 형성제는 KS F 2406에 따라 시험할 때 72시간 동
[수정] 띄어쓰기
다.

안 표면에서 물이 0.55㎏f/㎡보다 더 손실되어서는 안 된다.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3.1 시료채취

2.3.1 시료채취 액상 피막 형성제는 채취하기 전에 용기를 흔들어 잘 교반한다. 각각


의 로트, 배치 또는 제조단위를 대표하는 1개의 용기에서 임의로 1개
액상 피막 형성제는 채취하기 전에 용기를 흔들어 잘 교반한다. 각각의 로트, 의 시료를 채취한다. 다만, 1개의 시료는 8,000 ℓ
이하를 대표하여야 [수정] 띄어쓰기
배치 또는 제조단위를 대표하는 1개의 용기에서 임의로 1개의 시료를 채취한 한다.

다. 다만, 1개의 시료는 8,000ℓ이하를 대표하여야 한다. 2.3.2 시험방법

2.3.2 시험방법 보수성 시험은 KS F 2406에 따른다.

보수성시험은 KS F 2406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2.4 포장 및 표시 액체 피막 형성제는 제조자가 봉인을 하는 용기에 넣어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용기에는 제조자명, 형성제명 및 제조자 배치번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
액체 피막 형성제는 제조자가 봉인을 한 용기에 넣어야 한다. 야 한다. 용기의 내용은 시험한 시료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용기에는 제조자명, 형성제명 및 제조자 배치번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용기의 내용은 시험한 시료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15- 7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8-2 분리막 15-8-2 분리막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포장의 분리막 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서는 콘크리트 포장의 분리막 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T 1093 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M 3509 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M 7501 크라프트지
KS M 7501 크라프트지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구 수정

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종 류
2.1 종 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리막에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크라프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리막에는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과 크라프트지(kraft paper)가 있다.
[수정] 영문표기 추가

2.2 품질기준
2.2 품질기준
분리막은 무근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바닥과 보조기층 면 또는 빈배합 콘크리트
층 면과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슬래브의 팽창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콘크리트 모
분리막은 무근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바닥과 보조기층면 또는 빈배합 콘크
[수정] 문구 수정
르타르의 손실을 방지하며, 보조기층 면이나 빈배합 콘크리트의 이물질이 포장
리트층면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슬래브의 수축 · 팽창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손실을 방지하며, 보조기층면이나 빈배합 콘
용 콘크리트에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재료를 말하며, KS M 3509 크리트의 이물질이 포장용 콘크리트에 혼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KS M 7501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설치하는 재료를 말하며, KS M 3509(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M
7501(크라프트지) 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수정] KS 규격 상세하게

15- 7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9 말 뚝 15-9 말뚝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철근 콘크리트 말뚝, 강재 말뚝에 적용한다.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 말뚝, 강재 말뚝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F 4301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KS F 4301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KS F 4303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 말뚝

KS F 4303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PC 말뚝 KS F 4306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KS F 4306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KS F 4307 프리텐션방식 진동 PC 말뚝
KS F 4602 강관말뚝
KS F 4307 프리텐션 방식 진동 PC 말뚝 KS F 4603 H형강 말뚝

KS F 4602 강관말뚝 KS F 4604 열간 압연강 널말뚝

KS F 4603 H형강 말뚝
KS F 4604 열간 압연강 널말뚝
1.3 제출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문구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기성 철근콘크리트(RC) 말뚝
2.1 철근 콘크리트 말뚝
2.1.1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중공원형단면을 가진 프리캐스트 말뚝을 사 [수정] 용어 및 띄어쓰기 수정
2.1.1 철근 콘크리트 말뚝은 중공 원형단면을 가진 프리캐스트 말뚝을 사용하여야 용하여야 하며, 말뚝의 종류 및 규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

하며, 말뚝의 종류 및 규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 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아야 한다.

15- 7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2 철근 콘크리트 말뚝은 소정의 시설을 갖춘 승인된 제작자에 의하여 원심력 방


법에 의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제작자는 말뚝의 콘크리트 강도 비인장보강에
2.1.2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소정의 시설을 갖춘 승인된 제작자에 의하
여 원심력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제작자는 말뚝의 콘크리
관한 설명서 PS의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싱에 관한 설계서 등 상세한 자료를 트 강도 ‧ 비인장보강에 관한 설명서 등 상세한 자료를 첨부하여야 한

첨부하여야 한다. 철근 콘크리트 말뚝은 KS F 4301의 규정에 합격한 것이어 다.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KS F 4301(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
뚝)의 규격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야 하고, PC 말뚝은 KS F 4303 또는 KS F 4306의 규정에 합격한 것을 사용 2.1.3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선단은 타입에 대하여 충분히 안전함과 동 [수정] 자구 수정 : 알맞은 ⇒ 적합한

하여야 한다. 시에 지반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2.1.4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머리부는 타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
구조라야 ⇒ 구조이어야

야 한다.
2.1.5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은 이음 철구를 이용한 아크용접 이음
으로 한다.

2.2 PSC, PHC 말뚝 [수정] 내용 추가


2.2.1 PSC(Pre-tensioned Spun Concrete) 말뚝은 KS F 4303(프리텐션방
식 원심력 PC말뚝),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말뚝은 KS F 4306(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
트 말뚝)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2.2.2 PSC. PHC 말뚝의 선단은 타입에 대하여 충분히 안전하고 시공법을
고려한 구조임과 동시에 지반에 적합한 구조이어야 한다.
2.2.3 PSC. PHC 말뚝의 머리부분은 타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2.2.4 PSC. PHC 말뚝의 머리부를 절단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미리 말뚝
의 머리부에 말뚝 본체 내 보강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2 강재말뚝

2.2.1 강재말뚝은 말뚝 본체 선단부 및 특별히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타 부분 2.3 강재말뚝


2.3.1 강재말뚝은 말뚝 본체 · 선단부로 구분하며, 특별히 규정되어 있는 경
으로 구성되며, 그 형태는 설계도서에 따라야 한다. 강재말뚝은 이음이 없어야 우 기타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형태는 설계도서에 따라야 한다. 강재

하나 부득이 한 경우에는 이음부분의 길이가 3m 이상 되도록 또는 말뚝머리 말뚝은 이음이 없어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이음부분의 길이가 3
m 이상 되도록 또는 말뚝머리에서 1 m 이상 되는 부분에 이음을 할
에서 1m이상 되는 부분에 이음을 할 수 있다. 이은 말뚝은 길이가 긴 부분이 수 있다. 이음 말뚝은 길이가 긴 부분이 말뚝의 끝단이 되게 타입하여

말뚝의 끝단이 되게 타입하여야 한다. 이음하는 부분의 상세에 대하여는 타입 야 한다. 이음하는 부분의 상세에 대하여서는 타입 전에 감독자의 승

전에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인을 받아야 한다. 강관말뚝은 KS F 460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 [수정] 문구 수정 : 전체 통일
용하여야 하며, H형 강말뚝은 KS F 4603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2.2.2 강관말뚝은 KS F 4602의 규정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H형 강말뚝은 하고, 강널말뚝은 KS F 4604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
다.
KS F 4603의 규정에 합격한 것이어야 하고, 강널말뚝은 KS F 4604의 규정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3.2 강관말뚝 각 부분의 두께는 강도계산상 필요한 두께에다 부식에 의한 [수정] 해당 내용 추가
감소두께를 더한 것으로 결정되는데 최소 9 mm 이상으로 한다. 시공
할 때 말뚝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서는 전단면을 유효한 것으로 한
다.
2.3.3 강관말뚝의 부식감소두께는 말뚝이 흙 혹은 물에 접하는 면에 대하여
서 고려한다. 다만, 강관의 안쪽 면에 대하여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

15- 7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다.
2.3.4 말뚝머리가 타입에 의하여 해로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보강하며, 보강밴드의 두께는 9 mm를 표준으로 하고, 지
반조건(자갈, 호박돌 등) 등으로 말뚝 선단부에 과다 응력이 발생하여
말뚝 손상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선단부 밴드 두께 확대에 대하여 검토
후 적용한다.
2.3.5 말뚝 선단이 장애물 등에 의하여 해로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경
우 혹은 굳은 지반에 쉽게 타입되도록 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보
강한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15-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15-10-1 일반철근 15-10-1 일반철근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는 봉강으로서, 열간압연으로 만든 원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원형 및 이형 봉강에 대하여 적용한 [수정] 문장 수정

형 및 이형 봉강에 대해 적용한다. 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1.3 제출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5- 7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봉강의 종류
2.1 봉강의 종류 이형봉강은 8종류로 하고, 그 종류 및 기호는 표 15-10-1에 따른다.

이형봉강 8종류로 하고, 그 종류 및 기호는 표 15-50에 따른다. 표 15-10-1 봉강의 종류 및 기호


표 15-50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용 도
종 류 기 호 용 도 SD300
SD350
SD300 SD400 일반용
SD350 이형봉강 SD500
SD400 일 반 용 SD600
SD500 SD700
이형봉강 SD600 SD400W 용접용
SD700 SD500W
SD400W 용 용
SD500W 접

2.2 봉강의 치수, 무게 및 허용차 2.2 봉강의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2.2.1 이형봉강의 치수, 무게 및 마디의 허용한도는 표 15-52에 따른다.


2.2.1 이형봉강의 치수, 무게 및 마디의 허용한도는 표 15-10-3의 기준에
표 15-51 표준길이 따른다.

구 분 내 용 표 15-10-2 표준길이

표준길이 3.5, 4.0, 4.5, 5.0, 5.5, 6.0, 6.5, 7.0, 8.0, 9.0, 10.0, 11.0, 12.0
표준길이(m) 3.5, 4.0, 4.5, 5.0, 5.5, 6.0, 7.0, 8.0, 9.0, 10.0, 11.0, 12.0 (m)
비 고 : 코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비고 1) 코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 표준길이 이외의 치수는 주문자와 제조사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2.2 이형봉강의 표준길이는 표 15-51, 길이의 허용차는 표 15-54에 따른다. 2.2.2 이형봉강의 표준길이는 표 15-10-2와 같고, 길이의 허용차는 표
15-10-5와 같다.

2.2.3 이형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는 표 15-55, 1조의 무게 허용차는 표 15-56에 따 2.2.3 이형봉강 무게의 허용차는 계산 중량과 실제 중량과의 차를 계산 중 [수정] 내용 수정

른다. 다만, 1조의 무게 허용차는 사전에 주문자로부터 지정이 있는 경우에 적


량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에 따른다.
용한다. (1) 이형봉강 1개를 선정하여 계량하였을 때의 무게와 표 15-10-3에 규
정한 단위중량에 이 공시체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한 무게와의 차는
표 15-10-6의 허용차 범위 내이어야 한다.

15- 8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이형봉강을 한 묶음으로 하여서 계량하였을 때의 무게와 표


15-10-3에 규정한 단위중량에 길이와 개수를 곱하여 계산한 무게와
의 차는 표 15-10-7의 허용범위 내이어야 한다.

표 15-52 치수, 무게 및 마디의 허용차 표 15-10-3 이형봉강의 치수, 무게 및 마디의 허용차

단위 공칭 공 칭 공칭 마디의 마디 높이 마디틈 마디와


호칭명 무게 지름 단면적 둘 레 평균간격 최소값 최대값 합계의 축선과의
단 위
공 칭 공 칭 공 칭 마디의 마디 높이 마디 틈의
마디와 [수정] 괄호표기 추가
(d) (S) (ℓ) 최 대 값 최대값
지 름 단면적 둘 레 평균간격 합계의
호칭명 무 게 축선과의
(㎏f/m) 각 도
(1)

(㎜) (㎜)
(d) (S) ( ) 최대값 최대값
(㎜) (㎠) (㎝) (㎜) (㎜) (㎏/m)
(mm) (㎠) (㎝) (mm)
최소
(mm)
최대
(mm)
(mm)
각도( °)

D 4 0.110 4.23 0.1405 1.3 3.0 0.2 0.4 3.3 D 4 0.110 4.23 0.1405 1.3 3.0 0.2 0.4 3.3

D 5 0.173 5.29 0.2198 1.7 3.7 0.2 0.4 4.3 D 5 0.173 5.29 0.2198 1.7 3.7 0.2 0.4 4.3

6 0.249 6.35 0.3167 2.0 4.4 0.3 0.6 5.0


D 6 0.249 6.35 0.3167 2.0 4.4 0.3 0.6 5.0
D D 8 0.389 7.94 0.4951 2.5 5.6 0.3 0.6 6.3
D 8 0.389 7.94 0.4951 2.5 5.6 0.3 0.6 6.3 D 10 0.560 9.53 0.7133 3.0 6.7 0.4 0.8 7.5

D 10 0.560 9.53 0.7133 3.0 6.7 0.4 0.8 7.5 D 13 0.995 12.7 1.267 4.0 8.9 0.5 1.0 10.0

D 13 0.995 12.7 1.267 4.0 8.9 0.5 1.0 10.0 D 16 1.56 15.9 1.986 5.0 11.1 0.7 1.4 12.5

16 1.56 15.9 1.986 5.0 11.1 0.7 1.4 12.5


D 19 2.25 19.1 2.865 6.0 13.4 1.0 2.0 15.0
D D 22 3.04 22.2 3.871 7.0 15.5 1.1 2.2 17.5 45
D 19 2.25 19.1 2.865 6.0 13.4 1.0 2.0 15.0 45° D 25 3.98 25.4 5.067 8.0 17.8 1.3 2.6 20.0 이상

D 22 3.04 22.2 3.871 7.0 15.5 1.1 2.2 17.5 이상 D 29 5.04 28.6 6.424 9.0 20.0 1.4 2.8 22.5

D 25 3.98 25.4 5.067 8.0 17.8 1.3 2.6 20.0 D 32 6.23 31.8 7.942 10.0 22.3 1.6 3.2 25.0

29 5.04 28.6 6.424 9.0 20.0 1.4 2.8 22.5


D 35 7.51 34.9 9.566 11.0 24.4 1.7 3.4 27.5
D D 38 8.95 38.1 11.40 12.0 26.7 1.9 3.8 30.0
D 32 6.23 31.8 7.942 10.0 22.3 1.6 3.2 25.0 D 41 10.5 41.3 13.40 13.0 28.9 2.1 4.2 32.5

D 35 7.51 34.9 9.566 11.0 24.4 1.7 3.4 27.5 D 43 11.4 43.0 14.52 13.5 30.1 2.2 4.4 33.8

D 38 8.95 38.1 11.40 12.0 26.7 1.9 3.8 30.0 D 51 15.9 50.8 20.27 16.0 35.6 2.5 5.0 40.0

41 10.5 41.3 13.40 13.0 28.9 2.1 4.2 32.5


D 57 20.3 57.3 25.79 18.0 40.1 2.9 5.8 45.0
D
D 51 15.9 50.8 20.27 16.0 35.6 2.5 5.0 40.0 비고 1) 공칭 단면적, 공칭 둘레 및 단위무게의 산출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 ×d
공칭단면적(s) :  (유효숫자 넷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비고) 1. 표 15-52의 수치의 산출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
 × 공칭둘레(  ) : 0.3142×d (소숫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공칭단면적 (S) =  : 유효숫자 넷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단위무게 : 0.785×S (유효숫자 셋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
공칭둘레 (ℓ) = 0.3142×d : 소수점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1개 무게=단위 무게×길이 (유효숫자 넷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단위무게 : 0.785×s : 유효숫자 셋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2) 마디간격은 그 공칭지름의 70 % 이하로서, 산출 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2. 마디간격 : 공칭지름의 70% 이하로서, 산술값을 소수점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끝맺음한다.
한다. 3) 이형봉강의 마디의 틈1)의 합계는 공칭둘레의 25 % 이하로 하고, 산출값은
3. 마디높이 : 소수점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4. 이형봉강 마디의 틈1)의 합계는 공칭둘레의 25% 이하로 하고, 산출값은 소수점 이하 주 1) : 리브와 마디가 떨어져 있는 경우 및 리브가 없는 경우에는 마디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다. 결손부의 나비를, 또 마디와 리브가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5. 마디의 높이는 표 15-53에 따르고, 산술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끝맺음 한 리브의 나비를 각각 마디의 틈으로 한다.
다. 4) 마디의 높이는 다음 표 15-10-4에 따르고, 산출 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주 1) 리브와 마디가 떨어져 있는 경우 및 리브가 없는 경우에는 머리의 결손부의 나비를, 또 끝맺음한다.
마디와 리브가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브의 나비를 각각 마디의 틈으로 한다.
표 15-10-4 마디의 높이
표 15-53 마디의 높이
치 수 마 디 높 이
치 수 마디 높이 최 소 최 대
최 소 최 대 호칭명 D13 이하 공칭지름의 4.0 %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13 이하 공칭지름의 4.0%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13 초과 D19 미만 공칭지름의 4.5 %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19 이상 공칭지름의 5.0 %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13 초과 D19 미만 공칭지름의 4.5% 최소값의 2배
호칭명 D19 이상 공칭지름의 5.0% 최소값의 2배

15- 8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54 길이의 허용차 표 15-10-5 이형봉강 길이의 허용차

길 이 길이의 허용차 길 이 길이의 허용차


+ 40
7m 이하 + 40㎜, 0
7m 이하 0 mm
7m 초과 길이 1m 및 그 단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의 허용차에 5㎜를 더한다. 길이 1 m 및 그 단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의 허용차에 5
단, 최대값은 120㎜까지로 한다. 7m 초과 mm를 더한다. 단, 최대값은 120 mm까지로 한다.
비고) 1. 코일일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주 1) 코일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주문자는 표기 이외의 허용차를 지정할 수 있다. 2) 주문자는 표기 이외의 허용차를 지정할 수 있다.

표 15-55 이형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 표 15-10-6 이형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

치 수 무게 허용차 적 용 치 수 무게의 허용차 적 용


호칭명 D10 미만 + 규정하지 않음, -8 % 시험체의 채취 방법 및 [수정] 용어 수정
호칭명 D10 미만 + 규정하지 않음, - 8 % 호칭명 D10 이상 D16 미만 ±6% 허용차의 산출방법은 KS
호칭명 D10 이상 D16 미만 ±6% 공시재의 채취방법 및 허용
차의 산출방법은 KS D 호칭명 D16 이상 D29 미만 ±5% D 3504의 9.3의 규격에
호칭명 D16 이상 D29 미만 ±5% 호칭명 D29 이상 ±4% 따른다.
호칭명 D29 이상 ±4% 3504의 9.3 규정에 따른다.
표 15-10-7 이형봉강 1조의 무게 허용차
표 15-56 이형봉강 1조의 무게 허용차
치 수 무게의 허용차 적 용
치 수 무게 허용차 적 용 명 D10 미만
호칭 ±7% 시험체의 채취 방법 및 허
호칭명 D10 이상 D16 이하 ±5%
호칭명 D10 미만 ±7% 용차의 산출방법은 KS D
호칭명 D10 이상 D16 미만 ±5% 공시재의 채취방법 및 허용 호칭명 D16 이상 D29 이하 ±4%
호칭명 D16 이상 D29 미만 ±4% 차의 산출방법은 KS D 호칭명 D29 이상 ± 3.5 % 3504의 9.3의 규격에 따른다.
호칭명 D29 이상 ± 3.5 % 3504의 9.3 규정에 따른다.

2.3 품질 기준
2.3 품질기준 2.3.1 봉강은 모양이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

2.3.1 봉강은 모양이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
함이 없어야 한다.
2.3.2 봉강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0-8에 적합하여야 한다.
야 한다.
2.3.2 봉강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57에 적합하여야 한다.

15- 8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57 기계적 성질 표 15-10-8 봉강의 기계적 성질 [수정] 표번호 수정

항복점 또는 인장강도 인 장
종 류 0.2%항복강도 연신율1) 굽 힘성 항복점 또는
0.2 % 인장강도
굽 힘 성

굽힘
1)
종류 인 장 연신율 굽힘
기 호 (N/㎟=㎫) (N/㎟=㎫) 시 험 편 (%) 각도 안쪽 반지름 기호
항복강도
(N/㎟ = (N/㎟ = ㎫)
시험편 (%) 각도 안쪽 반지름
㎫) ( °)

SD300 300 이상 440 이상 23호호에에 준한 것 16 이상 180°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배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배
SD300 300 이상 440 이상 180
준한 것 18 이상 D16 초과 공칭지름의 2배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D16
D16
초과
이하
공칭지름의 2배
공칭지름의 1.5배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배
2호에 준한 것 18 이상
2호에 준한 것 18 이상 SD350 350 이상 490 이상
3호에 준한 것 20 이상
180 D16 초과 D41 이하 공칭지름의 2배

SD350 350 이상 490 이상 180° D16 초과 D41이하 공칭지름의 2배


D51 초과 공칭지름의 2.5배

3호에 준한 것 20 이상 D51 공칭지름의 2.5배 SD400 400 이상 560 이상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180 공칭지름의 2.5배

SD400 400 이상 560 이상 23호호에에 준한 것 16 이상 180° 공칭지름의 2배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SD500 500 이상 620 이상 90
준한 것 18 이상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500 500 이상 620 이상 23호호에에 준한 12 이상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2호에 준한 것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준한 것 14 이상 90°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600 600 이상 710 이상
3호에 준한 것
10 이상 90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600 600 이상 710 이상 23호호에에 준한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2호에 준한 것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SD700 700 이상 800 이상 10 이상 90

준한것

10 이상 90°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3호에 준한 것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400W 400 이상 560 이상 180 공칭지름의 2.5배

SD700 700 이상 800 이상 23호호에에 준한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준한 것 10 이상 90°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500W 500 이상 620 이상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SD400 400 이상 560 이상 2호에 준한 것 16 이상 180° 공칭지름의 2.5배 주 1)


이형봉강에서 치수가 호칭명 D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하여서는 호칭명 3을 증가할

W 3호에 준한 것 18 이상 때마다 표 15-10-8의 연신율의 값에서 각각 2 % 를 감한다. 다만, 감하는 한도는


4 %로 한다.
SD500 500 이상 620 이상 2호에 준한 것 12 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배
W 3호에 준한 것 14 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배
주 1) 이형봉강에서 치수가 호칭명 D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하여는 호칭명 3을 증가할 때마다
표 15-53의 연신율의 값에서 각각 2%를 감한다. 다만, 감하는 한도는 4%로 한다.

2.2.2 봉강의 화학성분은 KS D 3504의 9.1에 따라 시험하고, 그 레이들 분석값은 2.3.3 봉강의 화학성분은 KS D 3504의 규정에 따른다. [수정]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의 경우 화학성분은 일부 삭제되었음, 화

표 15-58에 적합하여야 한다.


학적 성분까지 규정하여야 되는지 검토 필요
수정 예 : "2.3.3 봉강의 화학성분은 KS D 3504의 규정에 따른
탄소당량 Ceq는 다음식에 따라 구한다. 다."or "....해당 KS 규격에 따른다.“
이하 전체 통일(화학성분의 경우 전부 삭제) 검토 필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서 C, Mn, Cr, V, Mo, Cu 및 Ni는 각 성분의 무게 백분율이다.
표 15-58 화학성분

15- 8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의 화 학 성 분 (%)
기 호 C 1) Si Mn P S N Ceq1)
SD300
SD350 -
SD400 - - - 0.050 이하 0.050 이하 -
SD500
SD600 0.63 이하
SD700 0.63 이하
SD400W 0.22 이하 0.60 이하 1.60 이하 0.05 이하 0.05 이하 0.012 이하 0.50 이하
SD500W
주 1) SD400W와 SD500W에서 치수가 D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는 탄소함량 0.25이하,
탄소당량 0.55 이하로 한다.

2.4 시험편 제작 및 시험방법 2.4 시험편 제작 및 시험 방법

철근 콘 크리트용 봉강의 시험편 제작 및 시험은 KS D 3504에 규정된 방법에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시험편 제작 및 시험은 KS D 3504에 규정된 방
법에 따른다.
따른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8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0-2 에폭시 피복 철근
15-10-2 에폭시 피복 철근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철근을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피복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 철근을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하

한 에폭시 피복 철근에 대하여 적용한다. 여 피복한 에폭시 피복 철근(이하 “피복 철근”이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
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0006 시험 장소의 표준 상태

KS A 0006 시험장소의 표준상태 KS B 5521 인장시험기

KS B 5521 인장시험기
KS D 0001 강재의 검사 통칙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0001 강재의 검사 통칙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KS
KS
D 3565
D 3629
상수도용 도복장 강관
에폭시 피복철근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9502 염수 분무 시험 방법

KS D 3565 상수도용 도복장 강관 KS


KS
F 2403
F 8004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콘크리트 봉형 진동기
KS D 3629 에폭시 피복 철근 KS M 5000 도료 및 관련원료의 시험 방법

KS D 9502 염수 분무 시험(중성, 아세트산 및 캐스 분무 시험)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8004 콘크리트 봉형 진동기
KS M 5000 도료 및 관련원료 시험방법
1.3 제출물 1.3 제 출 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문구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피복 철근에 사용되는 철근은 KS D 3504의 이형철근에 따른다. 다만, 그 이외의 2. 재 료
철근을 필요로 할 때에는 인수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피복 철근에 사용하는 철근은 KS D 3504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피복 철근에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 분체도료는 및 KS D 3629의 부속서 1에 따른다.
다만, 그 이외의 철근을 필요로 할 때에는 인수 ·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피복 철근에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 분체도료는 KS D 3629의 부속서 1에
따른다.

15- 8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종류 및 기호 2.1 종류 및 기호
[수정] 표번호 수정
피복철근 의 종류 및 기호는 표 15-59에 따른다. 피복 철근의 종류 및 기호는 표 15-10-9에 따른다.

표 15-59 종류 및 기호 표 15-10-9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종 류 기 호
SD30A - FBE SD300A - FBE
SD30B - FBE SD300B - FBE
SD35 - FBE 피복 철근 SD350 - FBE
피 복 철 근
SD40 - FBE SD400 - FBE
SD500 - FBE
SD50 - FBE 비고 : 종류 기호는 KS D 3504의 이형 철근 기호 뒤에 FBE(fusion bonded epoxy)의 뜻이다.
비고) 종류 기호는 KS D 3504의 이형철근 기호 뒤에 FBE(Fusion Bonded Epoxy)의 뜻이다.

2.2 품질기준 2.2 품질기준

2.2.1 겉모양 2.2.1 겉모양

피복면은 경화 후 균일하여야 하며, 육안으로 식별되는 구멍 기포 갈라짐


피복면은 경화 후 균일하여야 하며,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구멍 · [수정] 문구 수정

미피복면 등이 없어야 한다.


기포 · 갈라짐 · 미피복면 등이 없어야 한다.

2.2.2 피복두께 2.2.2 피복 두께


피복 두께는 경화 후 KS D 3629의 6.1의 시험을 하여 180±50 ㎛ 이
피복두께는 경화 후 KS D 3629의 6.1 시험을 하여 180±50㎛이어야 한다. 다 어야 한다. 다만, 손상된 피복 수리 부분은 이 절 2.3.4에 따라 보수하
만, 손상된 피복 수리 부분은 이 절 2.3.4에 따라 보수하고 보수된 부분은 이 고, 보수된 부분은 이 한계를 적용시키지 않는다.

한계를 적용시키지 않는다.


2.2.3 핀 홀 2.2.3 핀홀(pinhole) [수정] 영문표기 추가

피복철근의 핀 홀1) 빈도는 KS D 3629의 6.2 시험을 하여 미터당 5개 이하이


피복 철근의 핀홀1) 빈도는 KS D 3629의 6.2의 시험을 하여 미터마 [수정] 한글로 순화
다 5개 이하이어야 한다.
어야 한다. 주 1) 핀홀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고 핀홀 시험기로 감지되는 작은 구멍을 말한다.

주 1) 핀 홀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고, 핀 홀 시험기로 감지되는 작은 구멍을 말한


다.
2.2.4 굽힘성

2.2.4 굽힘성 피복 철근의 굽힘성은 KS D 3629의 6.3의 시험을 하여 구부러진 철

의 굽힘성은 KS D 3629의 6.3 시험을 하여 구부러진 철근의 바깥면


근의 바깥면에 피복의 갈라짐이나 벗겨짐이 없어야 한다.
피복철근
에 피복의 갈라짐이나 벗겨짐이 없어야 한다. 2.2.5 열특성(피복경화)
2.2.5 열특성(피복경화) 피복 철근의 열특성은 KS D 3629의 6.4 및 부속서 2의 시험을 하여

피복철근의 열특성은 KS D 3629의 6.4 및 부속서 2의 시험을 하여 △Tg의 값


ΔTg의 값이 ±5 ℃ 이내이어야 한다.

이 ±5℃ 이내이어야 한다.

15- 8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 제조방법 2.3 제조 방법

2.3.1 전처리 2.3.1 전처리

(1) 철근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은 숏 또는 그릿에 의 (1) 철근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 스케일, 녹, 기타 이물질은 숏 또는 그릿에
의하여 준나금속 브라스트 세정(Sa 1
) 이상으로 처리되어야 하며, 브
해 준나금속 브라스트 세정(Sa)2½이상으로 처리되어야 하며, 브라스팅에 압축
2
2 [수정] 표기방법 수정
라스팅에 압축공기를 사용할 때는 압축공기 중의 기름이나 수분 등을 처
공기를 사용할 때는 압축공기 중의 기름이나 수분 등을 처리하여야 한다. 리하여야 한다.

(2) 브라스트 후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회백색의 금속표면이 나타나야 하며, 피복 (2) 브라스트 후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회백색의 금속표면이 나타나야 하
이 충분한 접착력을 갖도록 앵커패턴을 0.05∼0.10㎜로 하여야 한다. 여기서 며, 피복이 충분한 접착력을 갖도록 앵커패턴2)을 0.05 mm ~ 0.10 [수정] 단위표기 수정
앵커패턴이란 피복의 접착력을 갖도록 표면에 요철을 주는 것을 말한다. mm 로 하여야 한다.

(3) 전 처리된 철근을 육안으로 식별되는 표면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피복하여야


2)
주 앵커패턴이란 피복의 접착력을 갖도록 표면에 요철을 주는 것을 말한다.
(3) 전처리된 철근은 육안으로 식별되는 표면산화가 일어나기 전에 피복하

하며, 8시간 이상 지난 뒤에 피복 작업을 해서는 안 된다. 여야 하며, 8시간 이상 지난 뒤에 피복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2.3.2 예 열 2.3.2 예 열

전 처리된 철근은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예열한다. 이 때의 예열온도는 피복면 전처리된 철근은 인덕션 히터에 의하여 예열한다. 이때의 예열온도는
피복면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는 온도이어야 하며, 과열에 의한 청록산
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는 온도이어야 하며, 과열에 의한 청록산화가 발생하 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지 않도록 한다.
2.3.3 피 복 2.3.3 피 복

에폭시 수지 분체 도료를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예열된 철근에 피복하여 에폭시 수지 분체 도료를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하여 예열된 철근
에 피복하여야 한다.
야 한다.
2.3.4 손상된 도막의 보수 2.3.4 손상된 도막의 보수
(1) 손상된 도막의 보수도장은 철근 0.3m당 최대 표면적 1%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1) 손상된 도막의 보수도장은 철근 0.3 m마다 최대 표면적 1 %를 초과 [수정] 한글로 순화

(2) 제작과 취급 시의 손상된 모든 도막 부위는 보수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한다. 하여서는 안 된다.


(2) 제작과 취급할 때의 손상된 모든 도막 부위는 보수도료를 이용하여 도 [수정] 한글로 순화
(3) 도막의 부착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는 떨어진 도막을 제거하고, 깨끗이 처리 장한다.

한 후 보수재료로 도장하여야 한다. (3) 도막의 부착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는 떨어진 도막을 제거하고 깨끗이

(4) 철근의 절단 부위에도 보수도료를 사용하여 도장하여야 한다.


처리한 후 보수재료로 도장하여야 한다.
(4) 철근의 절단 부위에도 보수도료를 사용하여 도장하여야 한다.

2.4 시 험 2.4 시 험

피복두 께, 핀 홀, 굽힘성 및 열특성(피복경화) 시험은 KS D 3629의 6에 따른다. 피복 두께, 핀홀, 굽힘성 및 열특성(피복경화) 시험은 KS D 3629의 6.에 따
른다.

15- 8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5 검 사
2.5 검 사
겉모양, 피복 두께, 핀홀, 굽힘성, 열특성(피복경화) 및 KS D 3629의 부속서
겉모양, 피복두께, 핀 홀, 굽힘성, 열특성(피복경화)및 KS D 3629의 부속서 상의 상의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력이 KS D 3629의 3. 및 부속서 1의 규정에 적합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력이 KS D 3629의 3 및 부속서 1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


하여야 한다.

다.
2.6 재검사 2.6 재검사

피복두께 검사 및 굽힘성 검사에서 합격하지 못한 피복 철근에 대하여는 다시 2 피복 두께 검사 및 굽힘성 검사에서 합격하지 못한 피복 철근에 대하여서는

개를 샘플링하여 검사하고 2개가 같이 합격하였을 때는 그 로트를 합격으로 한 다시 2개를 샘플링하여 검사하고, 2개가 같이 합격하였을 때는 그 로트를

다.
합격으로 한다.

2.7 표 시
2.7 표 시
피복 철근에는 종류의 기호, 지름 또는 호칭 지름,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피복철근 에는 종류의 기호, 지름 또는 호칭지름,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를 표시 를 표시하여야 한다.

하여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11 PS 강재 15-11 PS 강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PS 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서는 PS 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D 3505 PS 강봉
KS D 3505 PC 강봉 KS D 3509 피아노 선재

KS D 3509 피아노 선재 KS
KS
D
D
3514
7002
와이어 로프
PS 강선 및 PS 강연선
KS D 3514 와이어 로프

15- 8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KS D 7002 PC 강선 및 PC 강연선
1.3 제 출 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PS 강선 및 강연선
2.1 PS 강선 및 강연선

S 강선에는 원형과 이형이 있으며, PS 강연선에는 2연선 3연선 7연선 및 19


P
PS 강선에는 원형과 이형이 있으며, PS 강연선에는 2연선 · 3연선 · 7연선
및 19연선이 있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은 KS D 7002의 규정에 적합한
연선이 있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은 KS D 700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것이어야 한다.

한다. 2.1.1 종 류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 및 기호, 호칭은 표 15-11-1, 표 [수정] 표 번호 수정
2.1.1 종 류 15-11-2와 같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 및 기호, 호칭은 표 15-60, 15-61과 같다.


표 15-11-1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단 면
표 15-60 종류 및 기호
원형선 A종 SWPC1AN, SWPC1AL
S강 B 종 SWPC1BN, SWPC1BL
종 류 기 호 단 면 P 선
이 형 선 SWPD1N, SWPD1L
원형선 A종 SWPC1AN, SWPC1AL ◦
2 연 선 SWPC2N, SWPC2L
PS 강 선 B 종 SWPC1BN, SWPC1BL ◦
이 형 선 SWPD1N, SWPD1L ◦ 이형3연선 SWPD3N, SWPD3L
2 연 선 SWPC2N, SWPC2L ◦
◦ A종 SWPC7AN, SWPC7AL
이형3연선 SWPD3N, SWPD3L ◦◦◦
B 종 SWPC7BN, SWPC7BL
A종 SWPC7AN, SWPC7AL ◦ ◦◦ ◦ PS 강연선 7 연선
PS 강연선 7 연선
◦ ◦◦
C 종 SWPC7CL
B 종 SWPC7BN, SWPC7BL ◦ ◦◦ ◦
D 종 SWPC7DL
◦ ◦◦

19 연 선 SWPC19N, SWPC19L ◦ ◦◦◦ ◦◦


◦◦◦◦◦◦
◦◦◦◦◦◦

19 연 선 SWPC19N, SWPC19L
비고) 1. 원형선 B종은 A종보다 인장강도가 100㎫(10.2㎏f/㎟) 높은 종유를 나타낸다.
비고 1. 원형선 B종은 A종보다 인장강도가 100 MPa 높은 종류를 나타낸다.
2. 7연선 A종은 인장강도 1720㎫(175.5㎏f/㎟)급, B종은 1860㎫(189.8㎏f/㎟)급을 나타
2. 7연선 A종은 인장강도 1720 MPa급, B종은 1860 MPa급, C종은 2160 MPa급,
낸다.
D종은 2400 MPa급을 나타낸다.
3. 릴렉세이션 규격 값에 따라 보통 선은 N, 낮은 선은 L의 기호를 끝에 붙인다.
3. 릴렉세이션 규격 값에 따라 보통선은 N, 낮은선은 L의 기호를 끝에 붙인다.
4. 19연선에서 단면이 28.6㎜인 것은 실형이나 워링톤형으로 하고, 그 외의 19연선 단면
은 실형으로 한다. 4. 19연선에서 단면이 28.6 mm 인 것은 실형이나 워링톤형으로 하고, 그 외의
19연선 단면은 실형으로 한다.

15- 8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1-2 호 칭
표 15-61 호 칭
기 호 호 칭
기 호 호 칭 SWPC1AN
SWPC1AN SWPC1AL
SWPC1AL SWPC1BN (2.9 mm), (3.5 mm), (4 mm), (4.5 mm), 5 mm, (6 mm),
SWPC1BN (2.9㎜), (3.5㎜), (4㎜), (4.5㎜), 5㎜, (6㎜), 7㎜, 8㎜, 9㎜
SWPC1BL 7 mm, 8 mm, 9 mm
SWPC1BL SWPD1N

SWPD1N SWPD1L

SWPD1L SWPC2N
2.9 mm 2연선
SWPC2N 2.9㎜ 2연선
SWPC2L

SWPC2L SWPD3N
2.9 mm 3연선
SWPD3N 2.9㎜ 3연선
SWPD3L

SWPD3L SWPC7AN (7연선 6.2 mm), (7연선 7.9 mm), 7연선 9.3 mm, 7연선 10.8 mm,

SWPC7AN (7연선 6.2㎜), (7연선 7.9㎜), 7연선 9.3㎜, 7연선 10.8㎜, 7연선 12.4㎜,
SWPC7AL 7연선 12.4 mm, 7연선 15.2 mm

SWPC7AL 7연선 15.2㎜ SWPC7BN


SWPC7BL
7연선 9.5 mm, 7연선 11.1 mm, 7연선 12.7 mm, 7연선 15.2 mm
SWPC7BN 7연선 9.5㎜, 7연선 11.1㎜, 7연선 12.7㎜, 7연선 15.2㎜
SWPC7BL SWPC7CL
SWPC7DL
7연선 12.7 mm, 7연선 15.2 mm

SWPC19N 19연선 17.8㎜, 19연선 19.3㎜, 19연선 20.3㎜, 19연선 21.8㎜,


SWPC19L 19연선 28.6㎜
SWPC19N 19연선 17.8 mm, 19연선 19.3 mm, 19연선 20.3 mm, 19연선 21.8
SWPC19L mm, 19연선 28.6 mm
비고) ( )를 붙인 호칭의 선 및 연선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고 : ( )를 붙인 호칭의 선 및 연선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1.2 치수 및 허용차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표준지름과 각각에 대한 허용차, 공칭단면적 및 단
2.1.2 치수 및 허용차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표준지름과 각각에 대한 허용차, 공칭단면적
위무게는 표 15-62 및 표 15-63에 따른다. 이형선의 공칭지름은 SWPC1AN, 및 단위무게는 표 15-11-0-3 및 표 15-11-0-4에 따른다. 이형

SWPCAL, SWPC1BN, SWPC1BL의 표준지름을 적용하고, 그 허용차는 규정 선의 공칭지름은 SWPC1AN, SWPC1AL, SWPC1BN, SWPC1BL의

하지 않는다. 또한, 이형3연선의 바탕선의 표준지름은 2연선의 경우와 같은 것


표준지름을 적용하고, 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형3연선
의 바탕선의 표준지름은 2연선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하고, 그 허용차
으로 하고, 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연선의 꼬는 길이는 연선의 각부에 는 규정하지 않는다. 연선의 꼬는 길이는 연선의 각부에서 일정하고,

서 일정하고, 2연선 및 이형3연선에서는 표 15-63 2연선의 표준지름의 24∼32 2연선 및 이형 3연선에서는 표 15-11-3의 2연선의 표준지름의 24 [수정] 표번호 수정, 단위표기 수정
배 ~ 32배, 7연선 및 19연선에서는 표 15-11-3의 각각의 표준지름의
배, 7연선 및 19연선에서는 표 15-62 의 각각의 표준지름의 12∼18배 이어야 12배 ~ 18배이어야 한다.

한다.

15- 9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1-3 치수 및 허용차
표 15-62 치수 및 허용차 심선 지름과 측선
표준지름 허용차

표준지름 허 용 차 심선 지름과 측선 지름의 차


기 호 호 칭 지름의 차

기 호 호 칭
(mm) (mm) (mm)
(㎜) (㎜) (㎜) (2.9 mm) 2.90 ± 0.03 -

(2.9㎜) 2.90 ± 0.03 - (3.5 mm) 3.50 ± 0.04 -

(3.5㎜) 3.50 ± 0.04 -


(4 mm) 4.00 ± 0.04 -
SWPC1AN
(4.5 mm) 4.50 ± 0.05 -
(4㎜) 4.00 ± 0.04 - SWPC1AL
SWPC1BN
5 mm 5.00 ± 0.05 -

SWPC1AN (4.5㎜) 4.50 ± 0.05 - SWPC1BL


(6 mm) 6.00 ± 0.05 -

SWPC1AL 5㎜ 5.00 ± 0.05 -


7 mm 7.00 ± 0.05 -

SWPC1BN 8 mm 8.00 ± 0.06 -

SWPC1BL (6㎜) 6.00 ± 0.05 - 9 mm 9.00 ± 0.06 -

7㎜ 7.00 ± 0.05 - SWPC2N


SWPC2L
2.9 mm 2연선 2.90 ± 0.03 -

8㎜ 8.00 ± 0.06 - (7연선 6.2 mm) 6.2 +


-
0.4
0.2 0.03 이상

9㎜ 9.00 ± 0.06 - (7연선 7.9 mm) 7.9


+
-
0.4
0.2 0.04 이상

SWPC2N 2.9㎜ 2연선 2.90 ± 0.03 - 7연선 9.3 mm 9.3 + 0.4 0.05 이상
SWPC2L SWPC7AN - 0.2
SWPC7AL + 0.4
7연선 10.8 mm 10.8 0.07 이상
+ 0.4
- 0.2

(7연선 6.2㎜) 6.2 - 0.2 0.03 이 상 7연선 12.4 mm 12.4 +


-
0.4
0.2
0.08 이상
+ 0.4
SWPC7AN (7연선 7.9㎜) 7.9 + 0.4
0.04 이 상
7연선 15.2 mm 15.2 - 0.2 0.08 이상

SWPC7AL - 0.2 7연선 9.5 mm 9.5 +


-
0.4
0.2
0.05 이상

+ 0.4
+ 0.4
7연선 9.3㎜ 9.3 - 0.2 0.05 이 상 SWPC7BN
SWPC7BL
7연선 11.1 mm 11.1 -
+
0.2
0.4
0.07 이상

7연선 12.7 mm 12.7 - 0.2 0.08 이상

7연선 15.2 mm 15.2 + 0.4 0.08 이상


- 0.2
7연선 12.7 mm 12.7 + 0.4 0.08 이상
SWPC7CL - 0.2
SWPC7DL + 0.4
7연선 15.2 mm 15.2 - 0.2 0.08 이상

19연선 17.8 mm 17.8 + 0.6 -


- 0.25
+ 0.6
19연선 19.3 mm 19.3 - 0.25 -
SWPC19N + 0.6
19연선 20.3 mm 20.3 -
SWPC19L - 0.25
19연선 21.8 mm 21.8 + 0.6 -
- 0.25
19연선 28.6 mm 28.6 + 0.6 -
- 0.25
비고 : 7연선 및 19연선의 표준지름은 연선의 외접원의 지름으로 한다.

15- 9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기 호 호 칭 표준지름 허 용 차 심선 지름과 측선 지름의 차


(㎜) (㎜) (㎜)
+ 0.4
7연선 10.8㎜ 10.8 - 0.2 0.07 이 상
+ 0.4
7연선 12.4㎜ 12.4 - 0.2 0.08 이 상
+ 0.4
7연선 15.2㎜ 15.2 - 0.2 0.08 이 상
+ 0.4
7연선 9.5㎜ 9.5 - 0.2 0.05 이 상
+ 0.4
SWPC7BN 7연선 11.1㎜ 11.1 - 0.2 0.07 이 상
SWPC7BL 7연선 12.7㎜ 12.7 + 0.4
0.08 이 상
- 0.2
+ 0.4
7연선 15.2㎜ 15.2 - 0.2 0.08 이 상
+ 0.6
19연선 17.8㎜ 17.8 - 0.25 -
+ 0.6
19연선 19.3㎜ 19.3 - 0.25 -
SWPC19N 19연선 20.3㎜ 20.3 + 0.6
-
SWPC19L - 0.25
+ 0.6
19연선 21.8㎜ 21.8 - 0.25 -
+ 0.6
19연선 28.6㎜ 28.6 - 0.25 -
비고) 7연선 및 19연선의 표준지름은 연선의 외접원의 지름으로 한다.

15- 9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63 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

기 호 호 칭 공칭단면적(㎟) 단위무게(㎏f/㎞)
표 15-11-4 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
공칭단면적 (mm2)
(2.9㎜) 6.605 51.8
기 호 호 칭 단위무게 (kg/km)
(2.9 mm) 6.605 51.8

(3.5㎜) 9.621 75.5 SWPC1AN


(3.5 mm)
(4 mm)
9.621
12.57
75.5
98.7
SWPC1AN (4㎜) 12.57 98.7 SWPC1AL (4.5 mm) 15.90 125

SWPC1AL (4.5㎜) 15.90 125


SWPC1BN
SWPC1BL
5 mm 19.64 154

SWPC1BN 5㎜ 19.64 154


SWPD1N
(6 mm)
7 mm
28.27
38.48
222
302
SWPC1BL SWPD1L

(6㎜) 28.27 222


8 mm 50.27 395
SWPD1N 9 mm 63.62 499

SWPD1L 7㎜ 38.48 302 SWPC2N


SWPC2L
2.9 mm 2연선 13.21 104

8㎜ 50.27 395 SWPD3N


2.9 mm 3연선 19.82 156
9㎜ 63.62 499 SWPD3L
(7연선 6.2 mm) 23.23 182
SWPC2N 2.9㎜ 2연선 13.21 104 (7연선 7.9 mm) 37.42 293

SWPC2L SWPC7AN 7연선 9.3 mm 51.61 405

SWPD3N
SWPC7AL 7연선 10.8 mm 69.68 546

SWPD3L 2.9㎜ 3연선 19.82 156 7연선 12.4 mm


7연선 15.2 mm
92.90
138.7
729
1,101

(7연선 6.2㎜) 23.23 182 SWPC7BN


7연선
7연선
9.5 mm
11.1 mm
54.84
74.19
432
580
(7연선 7.9㎜) 37.42 293 SWPC7BL 7연선 12.7 mm 98.71 774

7연선 9.3㎜ 51.61 405


7연선 15.2 mm 138.7 1,101
SWPC7AN SWPC7CL 7연선 12.7 mm 98.71 774

SWPC7AL 7연선 10.8㎜ 69.68 546 SWPC7DL 7연선


19연선
15.2 mm
17.8 mm
138.7
208.4
1,101
1,652
7연선 12.4㎜ 92.90 729 SWPC19N
19연선 19.3 mm 243.7 1,931

7연선 15.2㎜ 138.7 1,101 SWPC19L


19연선 20.3 mm
19연선 21.8 mm
270.9
312.9
2,149
2,482
7연선 9.5㎜ 54.84 432 19연선 28.6 mm 532.4 4,229

SWPC7BN 7연선 11.1㎜ 74.19 580


SWPC7BL 7연선 12.7㎜ 98.71 774
7연선 15.2㎜ 138.7 1,101
19연선 17.8㎜ 208.4 1,652
19연선 19.3㎜ 243.7 1,931
SWPC19N 19연선 20.3㎜ 270.9 2,149
SWPC19L
19연선 21.8㎜ 312.9 2,482
19연선 28.6㎜ 532.4 4,229

15- 9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64 기 계 적 성 질

기 호 호 칭 0.2%대한영구하중(kN)
연신율에 인장하중(kN) 연신율 릴렉세이션 값(%)
(%) N L
(2.9㎜) 11.3 이상 12.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3.5㎜) 14.2 이상 16.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4㎜) 18.6 이상 21.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N (4.5㎜) 22.6 이상 25.5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L 5㎜ 27.9 이상 31.9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1N (6㎜) 38.7 이상 44.1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1L
7㎜ 51.0 이상 58.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 64.2 이상 74.0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9㎜ 78.0 이상 90.2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N 5㎜ 29.9 이상 33.8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L 7㎜ 54.9 이상 62.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 69.1 이상 78.8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N 2.9㎜ 2연선 22.6 이상 25.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L
SWPD3N 2.9㎜ 3연선 33.8 이상 38.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3L
(7연선 6.2㎜) 33.8 이상 4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7.9㎜) 54.9 이상 64.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N 7연선 9.3㎜ 75.5 이상 88.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L 7연선 10.8㎜ 102 이상 12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4㎜ 136 이상 16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204 이상 24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9.5㎜ 86.8 이상 1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N 7연선 11.1㎜ 118 이상 13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L 7연선 12.7㎜ 156 이상 18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222 이상 26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17.8㎜ 330 이상 38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N 19연선 19.3㎜ 387 이상 45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L 19연선 20.3㎜ 422 이상 49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1.8㎜ 495 이상 57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8.6㎜ 807 이상 949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2.1.3 품질기준 2.1.3 품질기준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품질은 다음 기준에 합격하여야 한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품질은 다음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1) PS 강선 및 PS 강연선에는 해로운 흠이나 결함이 없어야 하며, 표면에 유류 (1) PS 강선 및 PS 강연선에는 해로운 흠이나 결함이 없어야 하며, 표면

및 기타 잡물이 부착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점식되지 않을 정도의 표면 녹 에 유류 및 기타 잡물이 부착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점식되지 않을 정
도의 표면 녹은 무방하다.

15- 9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은 무방하다. (2) PS 강연선은 바인드 없이 절단하였을 때, 흐트러져서는 안 된다.

(2) PS 강연선은 바인드 없이 절단했을 때, 흐트러져서는 안 된다. (3) 이형선은 거의 둥근단면을 가지고 일정한 돌기 또는 오목자국을 연속

(3) 이형선은 거의 둥근단면을 가지고, 일정한 돌기 또는 오목자국을 연속 또는 또는 일정 간격으로 낸 것으로 한다.

일정 간격으로 낸 것으로 한다.


(4)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기계적 성질은 KS D 7002 표 3 및 표
15-11-5에 따른다. [수정] 표 번호 수정
(4)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65에 따른다.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1)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7002에 따른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7002에 따른
다.
표 15-11-5 기계적 성질 [수정] 표 추가

15- 9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0.2 % 영구 릴렉세이션 값 (%)


인장하중 연신율
기 호 호 칭 연신율에 대한
(kN) (%)
하중(kN) N L
(2.9 mm) 11.3 이상 12.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3.5 mm) 14.2 이상 16.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4 mm) 18.6 이상 21.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N (4.5 mm) 22.6 이상 25.5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AL
5 mm 27.9 이상 31.9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1N
SWPD1L (6 mm) 38.7 이상 44.1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7 mm 51.0 이상 58.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 mm 64.2 이상 74.0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9 mm 78.0 이상 90.2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5 mm 29.9 이상 33.8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N
7 mm 54.9 이상 62.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L
8 mm 69.1 이상 78.8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N
2.9 mm 2연선 22.6 이상 25.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L
SWPD3N
2.9 mm 3연선 33.8 이상 38.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3L
(7연선 6.2 mm) 33.8 이상 4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7.9 mm) 54.9 이상 64.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N 7연선 9.3 mm 75.5 이상 88.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L 7연선 10.8 mm 102 이상 12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4 mm 136 이상 16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mm 204 이상 24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9.5 mm 86.8 이상 1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N 7연선 11.1 mm 118 이상 13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L 7연선 12.7 mm 156 이상 18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 mm 222 이상 26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7 mm 182 이상 214 이상 3.5 이상 - 2.5 이하
SWPC7CL
7연선 15.2 mm 255 이상 300 이상 3.5 이상 - 2.5 이하
7연선 12.7 mm 202 이상 237 이상 3.5 이상 - 2.5 이하
SWPC7DL
7연선 15.2 mm 283 이상 333 이상 3.5 이상 - 2.5 이하
19연선 17. 8 mm 330 이상 38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19.3 mm 387 이상 45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N 19연선 20.3 mm 422 이상 49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L
19연선 21.8 mm 495 이상 57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8.6 mm 807 이상 949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5- 9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 PS 강봉 2.2 PS 강봉

S 강봉에는 원형강봉과 이형강봉이 있다. PS 강봉은 KS D 3505의 규정에 적


PS 강봉에는 원형강봉과 이형강봉이 있다. PS 강봉은 KS D 3505의 규정
P 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합한 것이어야 한다.
2.2.1 종류 2.2.1 종 류
PS 강봉의 종류, 기호 및 호칭은 표 15-11-6과 같다.
PS 강봉의 종류, 기호 및 호칭은 표 15-65과 같다.

2.2.2. PS 강봉의 치수 및 허용오차


PS 강봉의 표준지름, 그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은 표 15-66, 표 15-67과 같다. 2.2.2 PS 강봉의 치수 및 허용오차
PS 강봉의 표준지름, 그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은 표 15-11-7, 표
표 15-65 기호 및 호칭 15-11-8과 같다.

종 류 기 호 호 칭 표 15-11-6 기호 및 호칭

A종 2호 SBPR 785/1030 9.2㎜ 11㎜ 13㎜ 종 류 기 호 호 칭

1호 SBPR 930/1080 (15㎜) 17㎜ (19㎜) A종 2호 SBPR 785/1030 9.2 mm 11 mm 13 mm


원형봉강 B종 (21㎜) 23㎜ (15 mm) 17 mm (19 mm)
2호 SBPR 930/1180
1호 SBPR 930/1080
26㎜ (29㎜) 원형강봉 B종
2호 SBPR 930/1180
(21 mm) 23 mm

C종 1호 SBPR 1080/1230 32㎜ 36㎜ 40㎜


26 mm (29 mm)
C종 1호 SBPR 1080/1230 32 mm 36 mm 40 mm
B종 1호 SBPD 930/1080
이형봉강 C종 1호 SBPD 1080/1230 7.4㎜ 9.2㎜ B종 1호 SBPD 930/1080
7.4 mm 9.2 mm
11㎜ 13㎜ 이형강봉 C종 1호 SBPD 1080/1230
11 mm 13 mm
D종 1호 SBPD 1275/1420 D종 1호 SBPD 1275/1420
비고 : ( ) 안에 있는 호칭명의 강봉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고) ( ) 안에 있는 호칭명의 강봉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표 15-66 원형 PS 강봉의 표준지름,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 표 15-11-7 원형 PS 강봉의 표준지름,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
호 칭 표준지름(㎜) 허용차(㎜) 공칭단면적(㎟) 호 칭 표준지름 (mm) 허용차 (mm) 공칭단면적 (mm2)
9.2㎜ 9.2 66.48 9.2 mm 9.2 66.48
11㎜ 11.0 95.03 11 mm 11.0 95.03
13㎜ 13.0 - 0.2, +측은 규정하지 않음 132.7 13 mm 13.0 - 0.2, +측은 규정하지 132.7

(15㎜) 15.0 176.7 (15 mm) 15.0 않음 176.7

17㎜ 17.0 227.0


17 mm 17.0 227.0
(19 mm) 19.0 283.5
(19㎜) 19.0 283.5 (21 mm) 21.0 346.4
(21㎜) 21.0 346.4 23 mm 23.0 415.5
23㎜ 23.0 415.5 26 mm 26.0
- 0.6, +측은 규정하지
530.9

26㎜ 26.0 530.9 (29


32
mm)
mm
29.0
32.0
않음
660.5
804.2
(29㎜) 29.0 - 0.6, +측은 규정하지 않음 660.5 36 mm 36.0 1018.0
32㎜ 32.0 804.2 40 mm 40.0 1257.0
36㎜ 36.0 1 018.0
40㎜ 40.0 1 257.0

15- 9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1-8 이형 PS 강봉의 공칭지름 및 공칭단면적


표 15-67 이형 PS 강봉의 공칭지름 및 공칭단면적
호 칭 공 칭 지 름 (mm) 공칭단면적 (mm2)
호 칭 공 칭 지 름 (㎜) 공칭단면적(㎟) 7.4 mm 7.4 40.0
7.4 ㎜ 7.4 40.0 9.2 mm 9.2 64.0
9.2 ㎜ 9.2 64.0 11 mm 11.0 90.0

11 ㎜ 11.0 90.0 13 mm 13.0 125.0

13 ㎜ 13.0 125
2.2.3 품질기준
(1) PS 강봉의 화학성분은 표 15-68에 따른다. 2.2.3 품질기준

(1) PS 강봉의 화학성분은 해당 KS 규격에 따른다.


표 15-68 PS 강봉의 화학성분

종 류 화 학 성 분 %
P S Cu
원형봉강 및 이형봉강 0.030 이하 0.035 이하 0.30 이하
비고) 위에 적은 불순물의 값은 레이들 분석치 임.

(2)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69에 따른다.


(2)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1-9에 따른다.
표 15-69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
표 15-11-9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
인 장 시 험 릴락세이션 시험
기 호
인 장 시 험 릴렉세이션시험
항복점 또는 내력 인 장 강 도 연신율 릴락세이션 값 기 호 0.2 %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릴렉세이션 값
(㎫) (㎫) (%) (%) (N/㎟) (N/㎟) (%) (%)

SBPR 785/1030 785 이상 10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785/1030 785 이상 10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180 930 이상 118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930/1180 93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R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D
SBPD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1.5 이하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4.0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1.5 이하 SBPD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5 이상 1.5 이하

SBPD 1275/1420 1275 이상 1420 이상 5 이상 1.5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5 이상 1.5 이하

비고) 내력은 0.2% 영구 연신율에 대한 응력을 말한다. SBPD


1275 이상 1275 이상 5 이상 1.5 이하
1275/1420

(3) PS 강봉에는 해로운 흠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비고 : 내력은 0.2 % 영구 연신율에 대한 응력을 말한다.

PS 강봉은 봉상 또는 코일상으로 하며, 원형강봉은 평활한 표면을 가져야 하


고, 이형강봉은 거의 둥근 단면과 일정한 돌기 또는 움푹 들어간 것을 연속
혹은 일정간격으로 가진 것이어야 한다.

15- 9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PS 강봉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3505에 따른다.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PS 강봉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3505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12 구조용 강재 15-12 구조용 강재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와 용접구조용 압연 강재, 교량구조용 압연
이 시방서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와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수정] 문구 수정
강재 및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0021 수치의 맺음법 KS A 0021 수치의 맺음법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
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 평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 치수,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2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KS D 3868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868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KS D 4106 용접 구조용 주강품
KS D 4106 용접 구조용 주강품 KS D 4301 회주철품

KS D 4301 회주철품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수정] 문장 수정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15- 9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 재 료 2. 재 료
2.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2.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03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03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중 SS490은 용접구조에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SS400은 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중 SS490은 용접구조에 사용하여서는 안 되며,
SS400은 용접구조에 사용할 수 있지만 판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강철
용접구조에 사용 할 수 있지만 판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강철의 조직이 거칠 의 조직이 거칠어지고 취성이 증가하며, 수축응력에 따라 다축응력상태로

어지고 취성이 증가하며, 수축응력에 따라 다축 응력상태로 될 염려가 있기 때 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두께 22 mm 이하일 때만 사용하여야 한다.

문에 두께 22㎜ 이하일 때만 사용하여야 한다.


2.1.1 종 류 2.1.1 종 류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1과 같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70과 같다.
표 15-70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 표 15-12-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 [수정] 표 번호 수정

종류의 기호 적 용 종류의 기호 적 용
SS330 강판, 강대, 평강 및 봉강 SS330 강판, 강대, 평강 및 봉강
SS400
SS400 강판, 강대, 형강, 평강 및 봉강 SS490 강판, 강대, 형강, 평강 및 봉강

SS490 SS540 두께 40 mm 이하의 강판, 강대, 형강, 평강 및 지름,


께 40㎜이하의 강판, 강대, 형강, 평강 및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가 SS590 변 또는 맞변거리가 40 mm 이하의 봉강
SS540 두40㎜이하의 봉강 비고 : 봉강에는 코일봉강을 포함한다.

비고) 봉강에는 코일봉강을 포함한다.


2.1.2 품질기준

2.1.2 품질기준 (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03을 따


른다. 다만, 굽힘성의 경우는 그 바깥쪽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 된다.
[수정] 문장 통합

(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치로서 표 15-71과 같다. 표 15-12-2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단위 : %
표 15-7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C Mn P S
종 류의기 호 화 학 성 분 (%) SS330
C Mn P S SS400 - - 0.050 이하 0.050 이하
SS330 SS490
SS400 - - 0.05이하 0.05이하 SS540 0.30 이하 1.6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SS490 SS590
SS540 0.3이하 1.6이하 0.04이하 0.04이하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의 원소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비고) 필요에 따라 위 표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 할 수 있다.

(2)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72와 같다. 다만, 굽힘의 결과


는 그 바깥쪽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 된다.

15- 10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72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기계적 성질 표 15-12-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기계적 성질

인 장 시 험 굽힘성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
굽힘성

종류의 항복점강재의또는두께내력1) (㎜)


(N/㎟) 연신율
(㎫)
인장


(1)
강재의 두께 (mm) 인장 연신율

인장강도 굽힘
종류의 강도 강재의 두께

기호 (N/㎟) 강재의 두께 각도 안쪽 반지름 험편


기호 16 40 100 (mm) 시험편 (%) 굽힘

시험편 %
각도 안쪽 반지름
16이하 16초과 40초과 100
16 초과 초과 초과 (㎫)

40이하 100이하 초과 (㎜) 이하 40


이하 이하
100 하는

( °)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5 이하 5 호 26 이상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5 이하 5호


26
이상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21 이상 180° 두께의 0.5배 1호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21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16 초과 50 이하 1A호 26 이상


이상 두께의

SS330 이상205 이상195 이상175 이상165 330~430


180
26 0.5배
1A호
강판, 평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4 호 28 이상
330 강판, 강대, 평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205 195 175 165 이상
SS330 ∼
이상 이상 이상 이상 28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 호 25 이상


430 강판, 평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지름, 변 또는2.0배 2호
4호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를 초과하는 것 3 호 30 이상 180° 맞변거리의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호
25
이상
지름, 변또는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 호 21 이상


180 맞변거리의
28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하는 것 14A호 2.0배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7 이상 180° 두께의 1.5배 1호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호
21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50 이하 1A호 21 이상


이상

SS400 이상245 이상235 이상215 이상205 400~510 강판, 평강, 형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4 호 23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7
이상
21
180
두께의
1.5배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 호 20 이상 지름, 변 또는1.5배 2호


180° 맞변거리의 SS400
245 235 215 205
400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1A호
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를 초과하는 것 3 호 24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23
510 강판, 평강, 형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4호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 호 19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호


20
이상
지름, 변또는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5 이상 180° 두께의 2.0배 1호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하는 것 14A호
22
180 맞변거리의
1.5배

SS490 이상285 이상275 이상256 이상245 490~610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50 이하 1A호 19 이상
이상
19

강판, 평강, 형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4 호 21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호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 호 18 이상


15

지름, 변 또는 2호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80° 맞변거리의
이상 두께의

2.0배
180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를 초과하는 것 3 호 21 이상 285 275 255 245
490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2.0배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 호 16 이상


SS490 ∼
이상 이상 이상 이상 21
610 강판, 평강, 형강의 두께 40 초과하는 것 4호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3 이상 180° 두께의 2.0배 1호


이상

SS540 이상400 이상390 - - 이540상


18
2호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1A호 17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지름, 변또는
이상
180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 호 13 이상


2.0배
지름, 변 또는 2호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하는 것 14A호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 40 이하 3 호 17 이상 180° 맞변거리의 2.0배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호
16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5 호 14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3
이상
180
두께의
2.0배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1 이상 180° 두께의 2.0배 1호 400 390 540 17

SS590 이상450 이상440 - - 이590상


SS540 - - 1A호
이상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1A호 15 이상
이상 이상 이상
13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 호 10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호 지름, 변또는
지름, 변 또는 2호
이상

180° 맞변거리의
180 맞변거리의

2.0배
16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 40 이하 3 호 12 이상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하는 것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이하


14A호

5호
이상
14
2.0배

이상
주 1) 봉강인 경우, 원형강은 지름, 각강은 변, 육각강 등의 다각강은 맞변거리의 치수로 한
11 두께의
다.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5 초과 16 이하 1A호 180
이상 2.0배
비고 1. 두께 90㎜를 초과하는 강판의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0㎜ 또는 그 끝수를 늘 450 440 590 15
SS590 - - 강판, 강대, 평강, 형강의 두께 16 초과 40 이하 1A호
릴 때마다 표 15-72의 연신율 값에서 1%를 줄인다. 다만, 줄이는 한도는 3%로 한 이상 이상 이상 이상
10
다.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이하 2호
이상 지름, 변또는
180 맞변거리의
12
봉강의 지름, 변 또는 맞변거리 25 초과 40 이하 14A호 2.0배
이상
(1)
주 형강의 경우, 강재의 두께는 KS D 3503 그림 A. 1의 시험편 채취 위치의 두께로 한다.
봉강인 경우, 원형강은 지름, 각강은 변, 육각강은 맞변거리의 치수로 한다.

15- 10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비고 : 1. 두께 90 mm를 초과하는 강판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0 mm 또는 그 끝수를
늘릴 때마다 위 표에서 제시한 연신율 값에서 1 %를 감한다. 다만, 감하는 한도는 3
%로 한다.

2.1.3 치수 및 허용차
2.1.3 치수 및 허용차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와 허용차는 KS D 3051, KS D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와 허용차는 KS D 3051, KS D 3052, KS D 3500, KS D 3502의 규정에 따른다. 이 경우, 강판 및 강대의 [수정] 문장 추가
3052, KS D 3500, KS D 3502의 규정에 따른다. 컷 에지인 경우의 나비 및 강판 길이의 허용차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KS D 3500의 허용차 A에 따른다.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03의 규정에 따른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03의 규
정에 따른다.

2.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2.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평로, 전기로 또는 산소전로에 의한 강괴로부터 제조하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평로, 전기로 또는 산소전로에 의한 강괴로부터 제

여야 하며, 강재를 압연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노 조하여야 하며, 강재를 압연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에

멀라이징 퀜칭 템퍼링 또는 템퍼링을 할 수 있으며,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 따라 노멀라이징, 퀜칭. 템퍼링 또는 템퍼링을 할 수 있으며, 인수 · 인도

의 협의에 따라 열가공제어 또는 적당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열가공제어 또는 적당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1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1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1 종 류 2.2.1 종 류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73과 같다.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4와 같다.

표 15-73 종류의 기호 표 15-12-4 종류의 기호

종류의기호 적 용 두 께 (㎜) 종류의기호 적 용 두 께 (mm)


SM400A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400A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400B
SM400B
SM400C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400C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490A
SM490A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490B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490B SM490C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490C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490YA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490YA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490YB

SM490YB
SM520B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520C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520B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570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520C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570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00 이하
비고 : 1. SM520 B, SM520 C 및 SM570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두께 150
mm까지의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2. SM400C 및 SM490C에 대하여는 두께 75 mm, SM520C에 대하여는 두께 50
비고) 1. 협의에 따라 노멀라이징을 하는 경우 종류의 기호 끝에 N을, 템퍼링을 하는 경우 T
mm까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평강을 제조하여도 좋다.
를 부기한다.
2. 강재에 퀜칭, 템퍼링을 하는 경우 종류의 기호 끝에 Q를, 열가공 제어를 하는 경우
TMC를 부기한다.
3. SM520B, SM520C 및 SM570은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두께 150㎜
까지의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4. SM400C 및 SM490C에 대하여는 두께 75㎜, SM520C에 대하여는 두께 50㎜까지 제

15- 10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조사 사이의 협정에 따라 평강을 제조하여도 좋다

2.2.2 품질기준 2.2.2 품질기준

(1)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 (1)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
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15 규 [수정] KS D 표기 추가

(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값으로서 표 15-74에 따른다. 격에 따른다.

표 15-74 화학성분 표 15-12-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화 학 성 분 (%)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C Si Mn P S 두께 50 mm 이하 0.23 이하
두께 50㎜ 이하 0.23 이하 두께 50 mm 초과 2.5×C 0.035 0.035
SM400A -

SM400A 두께 50㎜ 초과
0.25 이하 이상(1) 이하 이하

0.25 이하 - 2.5×C 이상1) 0.035 이하 0.035 이하 200 mm 이하

200㎜ 이하
두께 50 mm 이하 0.20 이하
두께 50 mm 초과 0.35 0.60~ 0.035 0.035
SM400B
두께 50㎜ 이하 0.20 이하 0.22 이하 이하 1.40 이하 이하
200 mm 이하

SM400B 두께 50㎜ 초과 0.22 이하 0.35 이하 0.60∼1.40 0.035 이하 0.035 이하 SM400C 두께 100 mm 이하 0.18 이하
0.35
이하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200㎜ 이하 두께 50 mm 이하 0.20 이하
0.55 1.60 0.035 0.035
SM400C 두께 100㎜ 이하 0.18 이하 0.35 이하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SM490A 두께 50 mm 초과
0.22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두께 50㎜ 이하 0.20 이하
200 mm 이하

SM490A 두께 50㎜ 초과
두께 50 mm 이하 0.18 이하

0.22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두께 50 mm 초과 0.55 1.60 0.035 0.035
SM490B
0.2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200㎜ 이하 200 mm 이하
0.55 1.60 0.035 0.035
두께 50㎜ 이하 0.18 이하 SM490C 두께 100 mm 이하 0.18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M490B 두께 50㎜ 초과 0.20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SM490YA
두께 100 mm 이하 0.20 이하
0.55 1.60 0.035 0.035

200㎜ 이하 SM490YB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M490C 두께 100㎜ 이하 0.18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SM520B


0.55 1.60 0.035 0.035
SM490YA 두께 100㎜ 이하 0.20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SM520C
두께 100 mm 이하 0.2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M490YB 0.55 1.60 0.035 0.035


SM520B 두께 100㎜ 이하
SM570 두께 100 mm 이하 0.18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M520C 0.20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주(1) C의 값은 레이들 분석값을 적용한다.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 이외의 합금 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SM570 두께 100㎜ 이하 0.18 이하 0.55 이하 1.6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2.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 mm를 초과하고, 150 mm 이하
인 강판의 화학 성분은 주문자,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주 1) C의 값은 레이들 분석값을 적용한다. 3. 제품 분석의 경우 레이들 분석과의 편차는 KS D 0228의 표 1에 따른다.
비고) 1. 필요에 따라 표 15-67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2.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강판의 화학
성분은 인수 ‧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3. 제품분석의 경우 레이들 분석과의 편차는 KS D 0228의 표 1에 따른다.

15- 10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3)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75에 따른다.


(4) 두께 12㎜를 초과하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표 15-76
에 따른다. 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의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5)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은 표 15-77에 따른다. 용접 갈라짐 감
수성 조성은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수 있다.
표 15-12-6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의 기계적 성질
표 15-75 기계적 성질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 신 율
(㎫) (㎫)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N/㎟) 인장강도 (N/㎟) 연 신 율 종류의 (1) 강재의 두께


(1)

종류의 강재의 두께 2) (㎜) 강재의 두께 (㎜) 강재의 두께 2)


강재의 두께 (mm) (1)
2) 기호
(mm) 강재의 두께
시험편 %

기호
(mm)

16 이하 16 초과 40 초과 75 초과 100 초과 160 초과 100 이하 100 초과 (㎜) 시험편 % 16 이하 16


초과 40초과 75초과 100초과 160초과 100이하 100초과
40 이하 75이하 100이하 160이하 200이하 200이하

40 이하 75 이하 100 이하 160 이하 200 이하 200 이하 SM400A 205 195 5 이하 5호 23 이상

SM400A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15 이상 205 이상 195 이상 400-510 400-510 5 초과5 이하16 이하 1A5 호호 2318 이상
이상
245 235 215 215
이상 이상
400∼ 400∼ 5초과 16이하 1A호 18 이상

SM400B
SM400B
이상 이상 이상 이상 510 510 16 초과 50이하 1A호 22 이상

16 초과 50 이하 1A호 22 이상 SM400C - - 50 초과하는 것 4호 24 이상


SM400C - - 40 초과하는 것 4 호 24 이상 SM490A 285 275 5 이하 5호 22 이상

SM490A 325 이상 315 이상 295 이상 295 이상 285 이상 275 이상 490-610 490-610 5 초과5 이하16 이하 1A5 호호 2217 이상
이상
325 315 295 295
이상 이상
490∼ 490∼ 5초과 16이하 1A호 17 이상

SM490B
SM490B
이상 이상 이상 이상 610 610 16초과 50이하 1A호 21 이상

16 초과 50 이하 1A호 21 이상 SM490C - -

SM490C - -
50 초과하는 것 4호 23 이상

40 초과하는 것 4 호 23 이상 5 이하 5호 19 이상

5 이하 5 호 19 이상 SM490YA 365 355 335 325 490∼ 5초과 16이하 1A호 15 이상

SM490YA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 - 490-610 - 16 초과 1650 이하


5 초과 1A호 15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 -
610
-
16초과 50이하 1A호 19 이상

SM490YB 이하 1A호 19 이상 SM490YB


50 초과하는 것 4호 21 이상
40 초과하는 것 4 호 21 이상
5 이하 5 호 19 이상
5 이하 5호 19 이상
SM520B

SM520B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 520-640 - 16 초과 1650 이하


5 초과 1A호 15 이상
365 355 335 325 520∼ 5초과 16이하 1A호 15 이상

-
- - -

SM520C 이하 1A호 19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640 16초과 50이하 1A호 19 이상
SM520C

40 초과하는 것 4 호 21 이상
50 초과하는 것 4호 21 이상

16 이하 5 호 19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SM570 460 이상 450 이상 430 이상 420 이상 - - 570-720 - 16 초과하는 것 5 호 26 이상


460 450 430 420 570∼
SM570 - - - 16 초과하는 것 5호 26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720

20 초과하는 것 4 호 20 이상 주 (1)
형강의 경우 강재 두께는 KS D 3515 부속서A 그림1의 시험편 채취 위치의 두께로
20 초과하는 것 4호 20 이상

주 2) 형강의 경우 강재 두께는 KSD 3515 10. 그림 1의 시험편 채취 위치의 두께로 한다. 한다.
비고) 1. 강대의 양 끝에 대하여서는 표 15-75를 적용하지 않는다. 비고 : 1.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재의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 mm 또는 그
2. 두께 100㎜를 초과하는 강재의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 또는 그 끝수가 증 끝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에서 제시된 연신율 값에서 1 %를 감한다. 다만,
가할 때마다 표 15-72의 연신율 값에서 1%를 감한다. 다만, 감하는 한도는 3%로 한 감하는 한도는 3 %로 한다.
다. 2.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 mm를 초과 150 mm 이하인 강판의
3.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를 초과하고, 150㎜ 이하인 강판의 항복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은 주문자,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점 또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인수․인도 당사자 협의에 따른다. 따른다.

(3) 두께 12 mm 를 초과하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


는 표 15-12-7에 따른다. 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의 시험
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표 15-12-7 샤르피 흡수에너지

15- 10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76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 샤르피 흡수에너지 (J) 시험편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J) 시험편 SM400B 0 27 이상
SM400B 0℃ 27 이상 SM400C 0 47 이상
SM400C 0℃ 47 이상 SM490B 0 27 이상
SM490B 0℃ 27 이상 SM490C 0 47 이상 V노치
SM490C 0℃ 47 이상 SM490YB 0 27 이상 압연방향
SM490YB 0℃ 27 이상 4호 압연방향 SM520B 0 27 이상
SM520B 0℃ 27 이상 SM520C 0 47 이상
SM570 -5 47 이상
SM520C 0℃ 47 이상
SM570 -5℃ 47 이상 (4) 탄소당량 및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① SM570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 균열 감수성
또한 탄소당량의 적용은 퀜칭·탬퍼링의 강재로 한다.
가. 탄소당량
탄소당량은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고, 그 값은 표 15-12-8에 따른다.

     
탄소당량              
     

표 15-12-8 탄소 당량
표 15-77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 강재의 두께 50 이하 50 초과 100을 초과하는 것.
열가공 제어를 한 강판 (mm) 100 이하
퀜칭 템퍼링한 SM490A,SM490YA,SM490B,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탄소당량 (%) 0.44 이하 0.47 이하
SM570 SM490YB,SM490C SM520B, SM520C SM570 협정에 따른다.
구 분
탄소 용접 갈라짐 탄소 용접 갈라짐 탄소 용접 갈라짐 탄소 용접 갈라짐 나. 용접 균열 감수성
당량 감수성 조성 당량 감수성 조성 (%) 당량 감수성 조성 당량 감수성 조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용접 균열 감수성을
(%) (%) (%) (%) (%) (%) (%) 적용할 수 있다. 용접 균열 감수성은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50 이하 0.44 0.28 이하 0.38 0.24 이하 0.40 0.26 이하 0.42 0.27 이하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고, 그 값은 표 15-12-9에 따른다.

적용할 이하 이하 이하 이하
두께 50 초과 0.47 0.30 이하 0.40 0.26 이하 0.42 0.27 이하 0.44 0.29 이하
      
용접 균열 감수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100 초과 인수․인도 당사자 간의 협정에 따른다. 표 15-12-9 용접 균열 감수성
강재의 두께 50 이하 50 초과 100을 초과하는 것.
비고)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mm) 100 이하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i
탄소당량 (%) 0.28 이하 0.30 이하
    
탄소당량(%)=             
협정에 따른다.
    
 i   
 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                 
      

2.2.3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② 열가공 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 균열 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열가공 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15- 10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겉모양, 형상,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3052, 및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수 있는

KS D 3500, KS D 3502의 규정에 따른다.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가. 탄소당량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탄소당량은 KS D 3515 5.1의 식(1)에 따라 KS D 3515 10.1의 레이들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15에 따른다. 분석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10에 따른다.

표 15-12-10 탄소당량
SM490A, SM490YA SM520B, SM520C
종류의 기호 SM490SM490
B, SM490YB
C
적용 50 이하 0.38 이하 0.40 이하
두께 50 초과
(mm) 100 이하 0.40 이하 0.42 이하
비고 : 적용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판의 탄소당량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나. 용접 균열 감수성
용접 균열 감수성은 KS D 3515 5.1의 식(2)에 따라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11에 따른다.

표 15-12-11 용접 균열 감수성
SM490A, SM490YA
종류의 기호 SM490B, SM490YB SM520B, SM520C
SM490C
50 이하 0.24 이하 0.26 이하
적용
두께 50 초과
(mm) 100 이하 0.26 이하 0.27 이하

비고 : 적용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판의 용접 균열 감수성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2.2.3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3052,
KS D 3500, KS D 3502의 규정에 따른다.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15에 따
른다.

2.3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수정] 해당 내용 위치 변경


교량구조용 압연강재는 세립킬드강을 사용하고, 열가공제어압연
(TMCP)하여 제조한다. 다만, 필요할 때에는 알루미늄처리를 실시하여
도 좋다.
필요에 따라 노멀라이징, 퀜칭, 템퍼링 및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라
적당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15- 10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1 종류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12와 같다.

표 15-12-12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mm) 용도


HSB500
HSB500L
HSB500W 100 이하의 강판
HSB600
HSB600L 교량 구조용
HSB600W
HSB800
HSB800L 80 이하의 강판
HSB800W
비고 1. HSB500, HSB600에 있어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재 및 HSB800의
두께 80 mm를 초과하는 두께의 강재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L(Low temperature)을 붙인 것은 저온인성을 가진 강재를 의미한다.
3. W(Weather resistance)를 붙인 것은 내후성을 가진 강재를 의미한다.

2.3.2 품질기준
(1) 교량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
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868에
따른다.

15- 10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3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단위 : %
적용
종류의
두께 C Si Mn P S Cu Cr Ni
기호
(mm)

HSB500
0.18 0.55 1.80 0.020 0.006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HSB500L 100
이하
0.10 0.45 0.05
0.18 0.65 1.80 0.020 0.006
HSB500W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80

HSB600
0.10 0.55 1.80 0.020 0.006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HSB600L 100
이하
0.10 0.45 0.05
0.10 0.65 1.80 0.020 0.006
HSB600W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80

HSB800
0.10 0.55 2.20 0.015 0.006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HSB800L 80
이하
0.10 0.45 0.05
0.10 0.65 2.20 0.015 0.006
HSB800W ~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80

비고 1.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필요에 따라 위의 내용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3. Al, Nb, V 또는 기타의 세립화 원소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다만, 원소 중 Nb, V, Ti의 합계 함유량은 0.12 %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내후성능에 유효한 원소의 첨가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사전
협의에 따른다. 다만, 내후성 지수(l)는 최소 5.8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계산식은 다음에 따른다.
l = 26.01 (% Cu) + 3.88(% Ni) + 1.2(% Cr) + 1.49(% Si) + 17.28(% P)
- 7.29(% Cu)(% Ni) - 9.1(% Ni)(% P) - 33.39(% Cu)2

15- 10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4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의 기계적 성질

적용 항복점 또는 연신율
종류의 인장강도
두께 항복 강도
기호 (MPa)
(mm) (MPa) 두께(mm) 시험편 연신율(%)
16 이하 1A호 15 이상
HSB500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1A호 15 이상
100
HSB500L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이하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1A호 15 이상
HSB500W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HSB600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6 이상
20 초과 4호 20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100
HSB600L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6 이상
이하
20 초과 4호 20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HSB600W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6 이상
20 초과 4호 20 이상
16 이하 5호 15 이상
HSB800 690 이상 8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2 이상
20 초과 4호 16 이상
16 이하 5호 15 이상
80
HSB800L 690 이상 8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2 이상
이하
20 초과 4호 16 이상
16 이하 5호 15 이상
HSB800W 690 이상 8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호 22 이상
20 초과 4호 16 이상

비고 :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의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주문자와 제조사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3) 두께 12 mm를 초과하는 교량구조용 압연 강재의 샤르피 흡수에너지


는 표 15-12-15에 따른다. 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 시험
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15- 10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5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적용두께 시험온도(℃) 르 샤 피
시험편
기호 (mm) 흡수에너지 (J)
HSB500 -5 47 이상
HSB500L 100 이하 -20 47 이상
HSB500W -5 47 이상
HSB600 -5 47 이상 V노치
HSB600L 100 이하 -20 47 이상 시험편
HSB600W -5 47 이상 압연방향
HSB800 -20 47 이상
HSB800L 80 이하 -40 47 이상
HSB800W -20 47 이상
비고 1.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주문자와 제조
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라 시험온도 및 샤르피 흡수 에너지 값
을 지정할 수 있다.

(4) 교량구조용 압연 강재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


른다.
① 탄소당량
강재의 탄소당량은 다음식에 따라 KS D 3868 11.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16에 따른다.

Mn Si Ni Cr Mo V
탄소당량 ( %) = C + + + + + +
6 24 40 5 4 14

표 15-12-16 탄소당량
종류의 기호 HSB500 HSB600 HSB800
적용두께(mm) HSB500L HSB500W HSB600L HSB600W HSB800L HSB800W
80 이하 0.55 이하 0.60 이하
0.40 0.47 0.42 0.47 주문자와 제조자
80 초과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사이의 협의에
100 이하 따른다.
100 초과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② 용접 균열 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탄소당량을 대신하여 용접 균열
감수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 식에 따라
KS D 3868 11.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17에 따른다.

Si Mn Cu N Cr Moi V
용접균열감수성(%)= C + 30 + 20 + 20 + 60 + 20 + 15 + 10 + 5 B

15- 11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7 용접 균열 감수성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mm) HSB500 HSB500W HSHSBB600L
600 HSB600W HSB800 HSB800W
HSB500L HSB800L
80 이하 0.25 0.27
이하 이하
0.20 0.22 0.20 0.22 문자와 제조자
80 초과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주사이의 협의에
100 이하 따른다.
100 초과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3.3 모양, 치수, 무게 및 허용차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 치수, 무게 및 허용차는 KS D 3500 규
정에 따른다.
2.3.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교량구조물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868 규정
에 따른다.

2.4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는 KS D 3529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내후성이라 함은 대기 중에서 부식에 견디는 성질을 말
한다. 필요에 따라 노멀라이징, 퀜칭템퍼링 또는 템퍼링을 하여도 좋다.
또, 전 종류의 기호에 대하여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서 열가
공제어 등의 적당한 열처리를 하여도 좋다.
2.4.1 종류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18과
같다.

15- 11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8 종류 및 기호

종류 기호 적용두께 (mm)
A WP SMA400AW
SMA400AP 내후성을 갖는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1종 B WP SMA400BW 200 이하

SMA400BP
W SMA400CW
C
P SMA400CP 내후성을 갖는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A WP SMA490AW
SMA490AP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 강대, 형강 및 평강

2종 B WP SMA490BW 200 이하

SMA490BP
W SMA490CW
C
P SMA490CP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3종 WP SMA570W
SMA570P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 강대 및 형강 100 이하

비고 : W는 보통 압연한 그대로 또는 녹 안정화 처리를 하여 사용하고, P는 보


통 도장하여 사용한다.

2.4.2 품질기준
(1)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
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29에 따른다.

15- 11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1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화학 성분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Cu Cr Ni 기타

0.18 0.15~ 1.25 0.035 0.035 0.30~ 0.45~ 0.05~


W
이하 0.65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30
SMA
400
A,B,C
0.18 0.55 1.25 0.035 0.035 0.20~ 0.30~
P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35 0.55
각 종류 모
두 내후성에
유효한 원소
0.18 0.15~ 1.40 0.035 0.035 0.30~ 0.45~ 0.05~ 인 Mn, Nb,
W
이하 0.65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30 Ti, V, Zr
SMA 등을 첨가하
490 여도 좋다.
A,B,C 다만, 이들
0.18 0.55 1.40 0.035 0.035 0.20~ 0.30~ 원소의 총계
P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35 0.55 는 0.15 %
를 넘지 않
는 것으로
한다.
0.18 0.15~ 1.40 0.035 0.035 0.30~ 0.45~ 0.05~
W
이하 0.65 이하 이하 이하 0.50 0.75 0.30
SMA
570
0.18 0.55 1.40 0.035 0.035 0.20~ 0.30~
P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35 0.55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에 언급한 것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15- 11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20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기계적 성질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MPa) 연신율

(1)
강재의 두께 (mm) 강재 및 시험편의 적용
인장강도
종류의 기호
16 40 75 100 160 (MPa)
초과 초과 초과 초과 초과
16 두께
시험편 %
이하 (mm)
40 75 100 160 20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5 이하 5호 22 이상
SMA400AW
SMA400AP 245 235 215 215 205 195
SMA400BW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SMA400BP 400~ 16 이하 1A호 17 이상
540

16 초과 1A호 21 이상
SMA400CW 245 235 215 215
- -
SMA400CP 이상 이상 이상 이상
40 초과 4호 23 이상

5 이하 5호 19 이상
SMA490AW
SMA490AP 365 355 335 325 305 295
SMA490BW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이상
SMA490BP 490~ 16 이하 1A호 15 이상
610

16 초과 1A호 19 이상
SMA490CW 365 355 335 325
- -
SMA490CP 이상 이상 이상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SMA570W 460 450 430 420 570~
- - 16 이상 5호 26 이상
SMA570P 이상 이상 이상 이상 720
20 초과 4호 20 이상
비고 : 인장 강도의 상한은 강판, 강대 및 평강에 적용한다. 주문자는 형강에 대하여 지정하여도
좋다.
주(1) 형강의 경우 두께는 KS D 3529 그림 A.1의 시험편의 두께로 한다.

(3) 두께 12 mm를 초과하는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표 15-12-21에 따른다. 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
는 3개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15- 11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21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J) 시험편


SMA400BW 0 27 이상
SMA400BP
SMA400CW 0 47 이상
SMA400CP
SMA490BW 0 27 이상 V노치
SMA490BP 압연 방향
SMA490CW 0 47 이상
SMA490CP
SMA570W -5 47 이상
SMA570P
비고 : 주문자는 위 내용 이상의 샤르피 흡수에너지 값을 지정하여도 좋다
(4)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
은 다음에 따른다.
① SMA570W 및 SMA570P의 탄소당량 및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또한 탄소당량의 적용은 퀜칭템퍼링의 강재로 한다.
가. 탄소당량 : 탄소당량은 다음 식에 따라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
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22에 따른다.

Mn Si Ni Cr Mo V
탄소당량 ( %) = C + + + + + +
6 24 40 5 4 14

표 15-12-22 탄소당량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 초과 100 이하


탄소당량 (%) 0.44 이하 0.47 이하
나. 용접균열감수성 :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
신에 용접 균열 감수성을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용접 균열 감
수성은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값은 표 15-12-23에 따른다.

Si Mn Cu N Cr Mo iV
용접 균열 감수성(%) C + 30 + 20 + 20 + 60 + 20 + 15 + 10 + 5B

표 15-12-23 용접 균열 감수성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 초과 100 이하


용접 균열 감수성 (%) 0.28 이하 0.30 이하

15- 11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② 열 가공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및 용접 가능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열 가공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및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가. 탄소당량 : 탄소당량은 다음의 식에 따라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


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값은 표 15-12-24에 따른다.

Mn Si Ni Cr Mo V
탄소당량 ( %) = C + + + + + +
6 24 40 5 4 14

표 15-12-24 탄소당량

종류의 기호 SMA490AW, SMA490BW, SMA490AP, SMA490BP,


SMA490CW SMA490CP
50 이하 0.41 이하 0.40 이하
적용 50 초과
두께 0.43 이하 0.42 이하
(mm) 100 이하
100 이상 주따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른다. 따른다.
나. 용접균열 감수성 :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의 식에 따라 KS D 3529 9.1
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 그 값은 표 15-12-25에 따
른다.

Si Mn Cu N Cr i
Mo V
용접 균열 감수성(%) C + 30 + 20 + 20 + 60 + 20 + 15 + 10 + 5B

표 15-12-25 용접 균열 감수성

종류의 기호 SMA490AW, SMA490BW, SMA490AP, SMA490BP,


SMA490CW SMA490CP
50 이하 0.24 이하 0.24 이하
적용 50 초과
두께 0.26 이하 0.26 이하
(mm) 100 이하
100 이상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주 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협정 에 따른다.

2.4.3 겉모양, 치수 무게 및 허용차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겉모양, 모양, 차수, 무게 및 그

15- 11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허용차는 KS D 3502, KS D 3500 규정에 따른다. 이 경우, 강판의


길이 및 컷에지(cut edge)의 경우의 나비 허용차는 특별한 지정이 없
는 한 KS D 3500의 허용차 A에 따른다. 또한 SMA570W 및
SMA570D의 강판의 용접보수는 사전에 주문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
에 적용한다.

2.4.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29 규정에 따른다.

2.5 탄소강 단강품


2.3 탄소강 단강품
탄소강 단강품이란 탄소강 강괴를 단조 혹은 압연과 단조에 의하여 성형
탄소 강 단강품이란 탄소강 강괴를 단조 혹은 압연과 단조에 의하여 성형한 재료 한 재료로서, 제조방법 및 품질은 KS D 3710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로서 제조방법 및 품질은 KS D 3710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다.


2.5.1 종 류
2.3.1 종류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26에 따르며, A ‧ B 구분은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78에 따르며, A B 구분은 열처리 차


열처리 차이에 따른다.

이에 따른다. 표 15-12-26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

표 15-78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열처리의 종류


종류의 기호 열처리의 종류 SF340A
SF340A SF390A
SF390A SF440A 어닐링(annealing), 노멀라이징
SF440A 어닐링, 노멀라이징 또는 SF490A 또는 노멀라이징 템퍼링
SF490A 노멀라이징 템퍼링(tempering) SF540A
SF540A SF590A
SF590A SF540B
SF540B SF590B 퀜칭 템퍼링
SF590B 퀜칭 템퍼링 SF640B
SF640B
2.5.2 품질기준
2.3.2 품질기준 (1) 탄소강 단강품은 품질이 균일하며, 사용상 해로운 흠 · 기타 결함이 없
(1) 탄소강 단강품은 품질이 균일하며, 사용상 해로운 흠 기타의 결함이 없어야 어야 한다.

한다. (2)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710에 따른다.


다만, 굴곡의 경우에는 이의 바깥쪽에 균열이 발생하여서는 안 된다.
[수정] 문장 통합

(2)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성분은 표 15-79와 같다.


표 15-79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성분

15- 11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화 학 성 분 (%) 표 15-12-27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적 성질 (단위 : %)

C Si Mn P Si SMn P S
C

0.60 이하 0.15 ∼ 0.50 0.30 ∼ 1.20 0.030 이하 0.035 이하


0.60 이하 0.15∼0.50 0.30∼1.20 0.030 이하 0.035 이하
(3) 탄소강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80, 표 15-81과 같다. 다만, 굴곡의 경 비고 1. 탄소당량은 인수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우에는 이의 바깥쪽에 균열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2. 화학성분은 위의 표 범위 내에서 인수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표 15-80 어닐링, 노멀라이징 또는 노멀라이징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

연신율% 단면수축율(%)
종류의기호 항(N/㎟)
복점 인장강도 경 도1) 표 15-12-28 어닐링, 노멀라이징 또는 노멀라이징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N/㎟) 14 A 호 시험편 (HB) 기계적 성질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연신율 (%)
SF340A 175 이상 340-440 27 이상 23 이상 50 이상 38 이상 90 이상 종류의 항복점 인장강도 14 A 호 시험편 단면수축율 (%) 경 도(1)
SF390A 195 이상 390-490 25 이상 21 이상 45 이상 35 이상 105 이상 기호 (MPa) (MPa) 축방향 절선 축방향 절선 (HB)
방향 방향
SF440A 225 이상 440-540 24 이상 19 이상 45 이상 35 이상 121 이상 SF340A 175 이상 340∼440 27 이상 23 이상 50 이상 38 이상 90 이상
SF490A 245 이상 490-590 22 이상 17 이상 40 이상 30 이상 134 이상 SF390A 195 이상 390∼90 25 이상 21 이상 45 이상 35 이상 105 이상
SF540A 275 이상 540-640 20 이상 16 이상 35 이상 26 이상 152 이상 SF440A 225 이상 440∼540 24 이상 19 이상 45 이상 35 이상 121 이상
SF490A 245 이상 490∼590 22 이상 17 이상 40 이상 30 이상 134 이상
SF590A 295 이상 590-690 18 이상 14 이상 35 이상 26 이상 167 이상 SF540A 275 이상 540∼640 20 이상 16 이상 35 이상 26 이상 152 이상
주 1)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HB30 이하로 하고, 1개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SF590A 295 이상 590∼690 18 이상 14 이상 35 이상 26 이상 167 이상
(1)
편차는 HB30 이하로 한다. 주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HB30 이하로 하고, 1개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편차도 HB30 이하로 한다.

표 15-81 퀜칭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


샤르피 충격치
인장3) 연 신 율(%) 단면수축율(%)
표 15-12-29 퀜칭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열처리시의 공시부 항 복 점 강도 (J/㎠) 경 도 2)
기호 지름 두께 또는 (N/㎟) (N/㎟) 14 A 호 시험편 3호 시험편 (HB)
열처리할 때의 샤르피 충격치

축방향길이(㎜)
연신율%
종류 공시부 단면수축율 (%) (J/㎠) 경 도(1)
항 복 점 인장강도(2)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지름 두께 또는 (MPa) (MPa) 14 A 호 시험편 3호 시험편 (HB)
기호
축방향길이 (mm)
100 미만 335 이상 21 이상 17 이상 45 이상 36 이상 59 이상 39 이상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SF540B 100 이상 250 미만 315 이상 540-690 21 이상 17 이상 43 이상 34 이상 59 이상 39 이상 152 이상 SF540B


100
100
250
미만
이상
미만
335 이상

315 이상
540∼690
21이상 17이상 45이상 36이상 59이상 39이상

21이상 17이상 43이상 34이상 59이상 39이상


152이상

250 이상 400 미만 295 이상 20 이상 16 이상 40 이상 32 이상 49 이상 34 이상 250


400
이상
미만
295 이상 20이상 16이상 40이상 32이상 49이상 34이상

100 미만 360 이상 19 이상 15 이상 43 이상 34 이상 49 이상 34 이상 100 미만 360 이상 19이상 15이상 43이상 34이상 49이상 34이상

SF590B 100 이상 250 미만 335 이상 590-740 19 이상 14 이상 40 이상 32 이상 49 이상 34 이상 167 이상 SF590B


100
250
이상
미만
335 이상
590∼740
19이상 14이상 40이상 32이상 49이상 34이상
167이상

250 이상 400 미만 325 이상 18 이상 14 이상 38 이상 30 이상 39 이상 29 이상


250 이상
325 이상 18이상 14이상 38이상 30이상 39이상 29이상
400 미만

100 미만 390 이상 16 이상 11 이상 40 이상 32 이상 39 이상 29 이상
100 미만 390 이상 16이상 11이상 40이상 32이상 39이상 29이상

640-780
100 이상
360 이상 16이상 11이상 38이상 30이상 39이상 29이상

SF640B 100 이상 250 미만 360 이상 16 이상 11 이상 38 이상 30 이상 39 이상 29 이상 183 이상 SF640B 250


250
미만
이상
345 이상
640∼780

15이상 10이상 35이상 28이상 29이상 25이상


183이상

250 이상 400 미만 345 이상 15 이상 10 이상 35 이상 28 이상 29 이상 25 이상 주 (1)


400 미만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편차는 HB50 이하로 하고, 1개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HB30 이하로 한다.
주 2)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편차는 HB50 이하로 하고, 1개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2)
1개 탄소강 단강품의 인장강도 편차는 100 MPa 이하로 한다.
HB30 이하로 한다.
3) 1개 탄소강 단강품의 인장강도 편차는 100㎫ 이하로 한다.

15- 11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3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2.5.3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탄소강 단강품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710 에 따른다.


탄소강 단강품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710 에 따른다.

2.4 회주철품
2.6 회주철품
회주철 품이란 용선로 전기로 기타 적당한 용해로에서 제조한 재료로서, 그 제 회주철품이란 용선로, 전기로 기타 적당한 용해로에서 제조한 재료로서,

조법 및 품질은 KS D 4301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 제조법 및 품질은 KS D 4301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6.1 종 류

2.4.1 종 류 회주철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30에 따른다.

회주철품의 종류 및 기호는 표 15-82에 따른다.


표 15-12-30 회주철품 종류의 기호

표 15-82 종류 및 기호 회주철 품 종류의 기호


GC100
종 류 기 호 GC150
1 종 GC100 GC200
2 종 GC150 GC250
3 종 GC200
GC300
4 종 GC250
5 종 GC300 GC350
6 종 GC350

2.6.2 품질기준

2.4.2 품질기준 (1) 회주철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 블로우 홀(blow hole) [수정] 영문표기 추가

(1) 회주철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블로우 홀 등이 없어야 한다.


등이 없어야 한다.
(2)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2-31에 따른다. 다만,
(2)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83에 따른다. 다만, 경도는 주문 최대하중, 휨 및 경도는 특히 주문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3) 본체 붙임 공시재 및 실제 강도용 공시재의 인장강도는 KS D 4301


의 6.에 따른다.
[수정] 해당 내용 추가

표 15-83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 표 15-12-31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인장강도 (N/㎟) 브리넬 경도 (HB) 종류의 기호 인장강도 경도


GC100 100 이상 201 이하 (MPa) (HB)
GC100 100 이상 201 이하
GC150 150 이상 212 이하 GC150 150 이상 212 이하
GC200 200 이상 223 이하 GC200 200 이상 223 이하
GC250 250 이상 241 이하 GC250 250 이상 241 이하
GC300 300 이상 262 이하 GC300 300 이상 262 이하
GC350 350 이상 277 이하 GC350 350 이상 277 이하
2.4.3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
회 주철품의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은 KS D 4301에 따른다.
2.6.3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
회주철품의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은 KS D 4301에 따른다.

2.5 주 강 품 2.7 주 강 품

주 강품은 교량 등 구조물의 중요 부분에는 사용하지 않으나 받침부 배수장치 주강품은 교량 등 구조물의 중요부분에는 사용하지 않으나 받침부 · 배수

15- 11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난간 등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탄소강 주강품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 장치 · 난간 등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탄소강 주강품 · 고장력 탄

및 용접 구조용 주강품 등이 있다. 소강 주강품 및 용접 구조용 주강품 등이 있다.

2.5.1 탄소강 주강품 2.7.1 탄소강 주강품(KS D 4101)

(1)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84과 같다. (1)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32와 같다.

표 15-12-32 종류의 기호
표 15-84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 용 종류의 기호 적 용
SC360 일반구조용, 전동기 부품용
SC360 일반구조용, 전동기 부품용 SC410 일반구조용
SC410 일반구조용 SC450 일반구조용
SC450 일반구조용 SC480 일반구조용
SC480 일반구조용 비 고 :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보기 : SC410-CF
비고)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예: SC410-CF)

(2) 제조방법, 모양, 치수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1에 따른다. (2) 제조방법, 모양, 치수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1에 따른다.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흠 갈라짐 주물기공 등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흠 · 갈라짐 · 주물기
공 등이 없어야 한다.
이 없어야 한다. (4) 주강품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치로서, C의 함유량은 0.20 % ~ [수정] 단위표기 수정
(4) 주강품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치로서 C의 함유량은 0.20∼0.40% 이하, P 0.40 % 이하, P 및 S 함유량은 각각 0.04 % 이하이어야 한다.

및 S 함유량은 각각 0.04% 이하이어야 한다. (5) 기계적 성질은 표 15-12-33과 같다.

(5) 기계적 성질은 표 15-85와 같다.


표 15-85 기계적 성질 표 15-12-33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N/㎟)
또는 내구력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 수축률 인장강도 단면 수축률
항복점
(N/㎟) (%) (%) 종류의 기호 또는 내구력 (MPa)
연신율
( ) (%)
(MPa) %
SC360 175 이상 360 이상 23 이상 35 이상 SC360 175 이상 360 이상 23 이상 35 이상
[수정] 단위 수정

SC410 205 이상 410 이상 21 이상 35 이상 SC410 205 이상 410 이상 21 이상 35 이상


SC450 225 이상 450 이상 19 이상 30 이상 SC450 225 이상 450 이상 19 이상 30 이상
SC480 245 이상 480 이상 17 이상 25 이상 SC480 245 이상 480 이상 17 이상 25 이상
(6)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1에 따른다. (6)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1에 따른다.
2.5.2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
이 시방서는 교량의 받침부, 배수장치, 난간 등에 쓰이는 구조용 고장력 탄소 2.7.2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KS D 4102)

강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 시방은 교량의 받침부, 배수장치, 난간 등에 쓰이는 구조용 고장력 탄
소강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1)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86과 같다. (1)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34와 같
다.

15- 12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34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표 15-86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 용
종류의 기호 적 용 SCC3 구조용
SCC3 구조용 SCC5 구조용, 내마모용

SCC5 구조용․내마모용 SCMn1 구조용


SCMn1 구조용 SCMn2 구조용

SCMn2 구조용 SCMn3 구조용

SCMn3 구조용
SCMn5 구조용, 내마모용

SCMn5 구조용․내마모용 SCSiMn2 구조용{주로 앵커 체인 (anchor chain)용}

SCSiMn2 구조용{주로 앵커체인 (Anchor chain)용} SCMnCr2


SCMnCr3
구조용
구조용
SCMnCr2 구조용 SCMnCr4 구조용, 내마모용
SCMnCr3 구조용 SCMnM3 구조용, 강인재용
SCMnCr4 구조용․내마모용 SCCrM1 구조용, 강인재용

SCMnM3 구조용․강인재용 SCCrM3 구조용, 강인재용

SCCrM1 구조용․강인재용 SCMnCrM2 구조용, 강인재용

SCCrM3 구조용․강인재용
SCMnCrM3 구조용, 강인재용
SCNCrM2 구조용, 강인재용
SCMnCrM2 구조용․강인재용
SCMnCrM3 구조용․강인재용 비고 :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보기 : SSC3-CF
SCNCrM2 구조용․강인재용
비고)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예 : SSC3-CF)
(2) 제조방법,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2 중 고장력 탄
(2) 제조방법,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2 중 고장력 탄소강 주 소강 주강품에 따른다.

강품에 따른다.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해로운 흠 또는 블로우 홀(blow hole) 등이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해로운 흠 또는 블로우 호울(blow hole) 등이 없어 없어야 한다.
[수정] 용어 수정

야 한다.
(4)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으로서 표 15-87에 (4)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4102에 따른다.
따른다. (5)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2 에 따른다.
(5)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88과 같다.
(6)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2 에 따른다.

15- 12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2-35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적 성질


표 15-87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성분
단위 : %
종류의 기호 화 학 성 분 (%)
C Si Mn P S Ni Cr Mo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Ni Cr Mo

SCC3 0.30∼0.4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C3 0.30~0.4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C5 0.40∼0.5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C5 0.40~0.5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1 0.20∼0.3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1 0.20~0.3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2 0.25∼0.35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2 0.25~0.35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3 0.30∼0.4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3 0.30~0.4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5 0.40∼0.5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5 0.40~0.50 0.30~0.60 1.0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SiMn2 0.25~0.35 0.50~0.80 0.90~1.2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SiMn2 0.25∼0.35 0.50∼0.80 0.90∼1.20 0.040 이하 0.040 이하 - - - SCMnCr2


SCMnCr3
0.25~0.3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
0.40~0.80
0.40~0.80
-
-

SCMnCr2 0.25∼0.3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40∼0.80 -


SCMnCr4 0.35~0.4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40~0.80 -

SCMnCr3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40∼0.80 -


SCMnM3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20 이하 0.15~0.35

SCMnCr4 0.35∼0.4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40∼0.80 - SCCrM1 0.20~0.3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0.80~1.20 0.15~0.35
SCCrM3 0.30~0.4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0.80~1.20 0.15~0.35
SCMnM3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20 이하 0.15∼0.35
SCCrM1 0.20∼0.3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0.80∼1.20 0.15∼0.35 SCMnCrM2 0.25~0.3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30~0.70 0.15~0.35

SCCrM3 0.30∼0.40 0.30∼0.60 0.50∼0.80 0.040 이하 0.040 이하 - 0.80∼1.20 0.15∼0.35 SCMnCrM3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30~0.70 0.15~0.35

SCMnCrM2 0.25∼0.35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30∼0.70 0.15∼0.35 SCNCrM2 0.25~0.35 0.30~0.60 0.90~1.50 0.040 이하 0.040 이하 1.60~2.00 0.30~0.90 0.15~0.35

SCMnCrM3 0.30∼0.40 0.30∼0.60 1.20∼1.60 0.040 이하 0.040 이하 - 0.30∼0.70 0.15∼0.35 비고 : 특별히 필요한 경우, 규정되어 있지 않은 원소에 대하여는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SCNCrM2 0.25∼0.35 0.30∼0.60 0.90∼1.50 0.040 이하 0.040 이하 1.60∼2.00 0.30∼0.90 0.15∼0.35


비고) 주문자의 지정에 따라서 제품분석을 할 경우의 화학성분의 허용 변동치는 주문자와 제
조자와의 협정에 따른다.

15- 12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88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표 15-12-36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열 처 리 인 장 시 험 열 처 리
항복점 또는 단면
노멀라이징 퀜칭후의
종류의 노멀라이징 퀜칭후의 인장강도 연신율 경 도
종류의기호 3)
후의템퍼링1) 템퍼링의2)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 경 도 기호(3) 후의템퍼링 템퍼링의
내구력
(MPa)
(MPa) (%)
수축률
(%)
(HB)

의 경우 경우 (N/㎟) (N/㎟) (%) 수축률(%) (HB) SCC3A


의 경우(1) 경우(2)
○ - 265 이상 520 이상 13 이상 20 이상 143 이상
SCC3A ○ - 265 이상 520 이상 13 이상 20 이상 143 이상 SCC3B - ○ 370 이상 620 이상 13 이상 20 이상 183 이상
SCC3B - ○ 270 이상 620 이상 13 이상 20 이상 183 이상 SCC5A ○ - 295 이상 620 이상 9 이상 15 이상 163 이상

SCC5A ○ - 295 이상 620 이상 9 이상 15 이상 163 이상


SCC5B - ○ 440 이상 690 이상 9 이상 15 이상 201 이상

SCC5B - ○ 440 이상 690 이상 9 이상 15 이상 201 이상


SCMn1A ○ - 275 이상 54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43 이상
SCMn1B - ○ 390 이상 59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70 이상
SCMn1A ○ - 275 이상 54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43 이상 SCMn2A ○ - 345 이상 590 이상 16 이상 35 이상 163 이상
SCMn1B - ○ 390 이상 59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70 이상 SCMn2B - ○ 440 이상 640 이상 16 이상 35 이상 183 이상

SCMn2A ○ - 345 이상 590 이상 16 이상 35 이상 163 이상 SCMn3A ○ - 370 이상 6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70 이상

SCMn2B - ○ 440 이상 640 이상 16 이상 35 이상 183 이상


SCMn3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97 이상
SCMn5A ○ - 39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0 이상 183 이상
SCMn3A ○ - 370 이상 6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70 이상 SCMn5B - ○ 540 이상 740 이상 9 이상 20 이상 212 이상
SCMn3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97 이상 SCSiMn2A ○ - 295 이상 590 이상 13 이상 35 이상 163 이상

SCMn5A ○ - 39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0 이상 183 이상 SCSiMn2B - ○ 440 이상 64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83 이상

SCMn5B - ○ 540 이상 740 이상 9 이상 20 이상 212 이상 SCMnCr2A


SCMnCr2B

-
-

370
440
이상
이상
590
640
이상
이상
13 이상
17 이상
30
35
이상
이상
170
183
이상
이상
SCSiMn2A ○ - 295 이상 590 이상 13 이상 35 이상 163 이상 SCMnCr3A ○ - 390 이상 640 이상 9 이상 25 이상 183 이상
SCSiMn2B - ○ 440 이상 64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83 이상 SCMnCr3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7 이상
SCMnCr2A ○ - 370 이상 5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70 이상 SCMnCr4A ○ - 41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0 이상 201 이상

SCMnCr2B - ○ 440 이상 640 이상 17 이상 35 이상 183 이상 SCMnCr4B - ○ 54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25 이상 223 이상

SCMnCr3A ○ - 390 이상 640 이상 9 이상 25 이상 183 이상


SCMnM3A ○ - 3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83 이상
SCMnM3B - ○ 49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12 이상
SCMnCr3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7 이상 SCCrM1A ○ - 390 이상 5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70 이상
SCMnCr4A ○ - 41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0 이상 201 이상 SCCrM1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1 이상
SCMnCr4B - ○ 54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25 이상 223 이상 SCCrM3A ○ - 44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5 이상 201 이상

SCMnM3A ○ - 3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83 이상


SCCrM3B - ○ 540 이상 740 이상 9 이상 25 이상 217 이상

SCMnM3B - ○ 49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12 이상


SCMnCrM2A ○ - 44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1 이상
SCMnCrM2B - ○ 54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12 이상
SCCrM1A ○ - 390 이상 5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170 이상 SCMnCrM3A ○ - 540 이상 740 이상 9 이상 25 이상 212 이상
SCCrM1B - ○ 4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1 이상 SCMnCrM3B - ○ 635 이상 830 이상 9 이상 25 이상 223 이상

SCCrM3A ○ - 440 이상 690 이상 9 이상 25 이상 201 이상 SCNCrM2A ○ - 590 이상 780 이상 9 이상 20 이상 223 이상

SCCrM3B - ○ 540 이상 740} 이상 9 이상 25 이상 217 이상


SCNCrM2B - ○ 685 이상 880 이상 9 이상 20 이상 269 이상

SCMnCrM2A ○ - 44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01 이상


(1)
주 노멀라이징 온도 850~950 ℃, 템퍼링 온도 550~650 ℃

SCMnCrM2B - ○ 54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30 이상 212 이상


(2)
퀜칭 온도 850~950 ℃, 템퍼링 온도 550~650 ℃
(3)
기호 끝의 A는 노멀라이징 후 템퍼링을, B는 퀜칭 후 템퍼링을 표시한다.
SCMnCrM3A ○ - 540 이상 75 이상 9 이상 25 이상 212 이상 비 고 : ○표는 해당 열처리를 표시한다.
SCMnCrM3B - ○ 635 이상 85 이상 9 이상 25 이상 223 이상
SCNCrM2A ○ - 590 이상 780 이상 9 이상 20 이상 223 이상
SCNCrM2B - ○ 685 이상 880 이상 9 이상 20 이상 269 이상
주 1) 노멀라이징 온도 850∼950℃, 템퍼링 온도 550∼650℃
2) 퀜칭 온도 850∼950℃, 템퍼링 온도 550∼650℃
3) 기호 끝의 A는 노멀라이징 후 템퍼링을, B는 퀜칭 후 템퍼링을 표시한다.
비고) ○표는 해당 열처리를 표시한다.

2.5.3 용접 구조용 주강품


본 규정은 압연강재, 단강품 또는 주강품과의 용접 구조에 사용하는 특히 용
2.7.3 용접 구조용 주강품(KS D 4106)
이 규정은 압연강재, 단강품 또는 주강품과의 용접 구조에 사용하는
접성이 우수한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특히 용접성이 우수한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15- 12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89와 같다. (1)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12-37과 같다.

(2) 용접 구조용 주강품은 노내에서 각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어니일링 노멀 (2) 용접 구조용 주강품은 노 내에서 각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어닐링 ·
라이징 노멀라이징 후 템퍼링 또는 퀜칭 후 템퍼링 등 어느 것이든 열처리 노멀라이징 · 노멀라이징 후 템퍼링 또는 퀜칭 후 템퍼링 등 어느 것

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든 열처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형상 치수 및 중량은 설계도서에 따르고, 길이 및 두 (3)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형상, 치수 및 중량은 설계도서에 따르고, 길이
께의 허용차는 KS B 0418 에 따른다. 및 두께의 허용차는 KS B 0418 에 따른다.

표 15-89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표 15-12-37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 류 의 기 호 종 류 의 기 호

SCW410 SCW410
SCW450 SCW450
SCW480 SCW480
SCW550
SCW620 SCW550
SCW620
(4) 용접구조용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및 블로우 호울 등
이 없어야 한다. (4) 용접구조용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사용상 해로운 흠 및 블로우

(5) 용접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은 레이들 분석으로서 표 15-90에


홀 등이 없어야 한다.
(5) 용접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은 KS D 4106에 따른다.
따른다. 다만, 탄소당량의 계산방법은 각 성분 다같이 1/100 % 단위의 분석치

다만, 탄소당량의 계산방법은 각 성분 다 같이 1/100% 단위의 분석치를 사 를 사용하여 1/1,000 % 단위까지 산출하고, 더한 값은 1/1,000단위
에서 KS A 0021에 따라 끝맺음한다.
용하여 1/1,000% 단위까지 산출하고 더한 값은 1/1,000단위에서 KS A 0021
에 따라 끝맺음 한다. Mn Si N i Cr Mo V
탄소당량(%) = C + 6 + 24 + 40 + 5 + 4 + 14

탄소당량(%)=            
     i    
     

15- 12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90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 표 15-12-38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

화 학 성 분 (%) 탄소 단위 : %
종류의 당량
기 호 C Si Mn P S Ni Cr Mo V (%)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Ni Cr Mo V
탄소
당량

SCW410 0.22 0.80 1.50 0.040 0.040 - - - - 0.40 0.22 0.80 1.50 0.04 0.04 0.4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CW41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 - - -
이하

SCW450 0.22 0.80 1.50 0.040 0.040 - - - - 0.43 0.22 0.80 1.50 0.04 0.04 0.43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CW45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 - - -
이하
SCW480 0.22 0.80 1.50 0.040 0.040 0.50 0.50 - - 0.45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22 0.80 1.50 0.04 0.04 0.50 0.50 0.45
SCW480 - -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CW550 0.22 0.80 1.50 0.040 0.040 2.50 0.50 0.30 0.20 0.48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0.22 0.80 1.50 0.04 0.04 2.50 0.50 0.30 0.20 0.48
SCW55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CW620 0.22 0.80 1.50 0.040 0.040 2.50 0.50 0.30 0.20 0.50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이하 SCW62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2.50
이하
0.50
이하
0.30
이하
0.20
이하
0.50
이하

(6)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91와 같다. (6)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은 KS D 4106에 따른다.

표 15-91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표 15-12-39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인 장 강 도 충격시험 르 수에너지
샤 피 흡
종류의 항복점 또는 인장강도 연신율 시험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또는
항복점
내력 인장강도 연신율 격 V 노치 시험편

기 호 내력 (N/㎟) 온도 J(㎏f․m)
(%) (℃) (V노치 시험편, 기 호 (MPa) (MPa) (%) 시험온도
(N/㎟) 3개의평균치) (℃) KS D 4101
SCW410 235 이상 410 이상 21 이상 0 27이상
SCW450 255 이상 450 이상 20 이상 0 〃 SCW410 235 이상 410 이상 21 이상 0 27 이상
SCW480 275 이상 480 이상 20 이상 0 〃 SCW450 255 이상 450 이상 20 이상 0 27 이상
SCW550 355 이상 550 이상 18 이상 0 〃 SCW480 275 이상 480 이상 20 이상 0 27 이상
SCW620 430 이상 620 이상 17 이상 0 〃 SCW550 355 이상 550 이상 18 이상 0 27 이상
SCW620 430 이상 620 이상 17 이상 0 27 이상
(7)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6 에 따른다.
(7)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6 에 따른다.

2.6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


[수정] 2.3 으로 위치 이동
교 량 구조용 압연강재는 평로 전기로 또는 산소전로에 의한 강괴로부터 열가공
제어압연(TMCP)하여 제조하여야 하며, 강재를 압연한 상태 그대로 사용 하여
야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처리를 할 수 있다.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868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6.1 종 류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5-92와 같다.

15- 12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92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 용도


HSB500
HSB500L 량 구조용
HSB500W 강판 100 이하

L :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HSB600 W : 내후성능이 우수한 강판
HSB600L
HSB600W

2.6.2 품질기준
(1)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값으로서 표 15-93에 따른다.
표 15-93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C 화학성분 (%)


Si Mn P S Cu Cr Ni
HSB500 0.18 이하 0. 55 이하 1. 80 이하 0.02 이하 0.006 - - -
HSB500L 100㎜ 이하 이하
HSB500W 0.18 이하 0.65 이하 1.80 이하 0.02 이하 0.이하 006 0.10∼0.50 0.45∼0.75 0.05∼0.80
HSB600 0.10 이하 0. 55 이하 1. 80 이하 0.02 이하 0.006 - - -
HSB600L 100㎜ 이하 이하
HSB600W 0.10 이하 0.65 이하 1.80 이하 0.02 이하 0.이하 006 0.10∼0.50 0.45∼0.75 0.05∼0.80
비고) 1. 필요에 따라 표 15-90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2. Al, Nb, V 또는 기타의 세립화 원소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다만, 원
소 중 Nb, V, Ti의 합계 함유량은 0.12%를 넘지 않아야 한다.
3. 내후성능에 유효한 원소의 첨가는 당사자 사이의 사전 협의에 따른다. 단, 내후성 지
수는 최소 5.8 이상이 되어야 하며, 계산식은 다음에 따른다.
ㅣ= 26.01(% Cu) + 3.88(% Ni) + 1.2(% Cr) + 1.49(% Si) + 17.28(% P)
-7.29(% Cu)(% Ni) 9.1(% Ni)(% P) 33.39(% Cu)2
4. 제품분석의 경우 레이들 분석과의 편차는 KS D 0228의 표 1에 따른다.
(3)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94에 따른다.
(4) 두께 12㎜를 초과하는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표
15-95에 따른다. 이 경우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3개의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5)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은 표 15-96에 따른다. 용접 갈라짐 감

15- 12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수성 조성은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수 있다.
표 15-94 기계적 성질

항복점 또는 인장강도 연 신 율
종류의 기호 항복강도 (㎫) 강재의 두께 시험편 %
(㎫) (㎜)
16 이하 1A호 15 이상
HSB500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1A호 15 이상
HSB500L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1A호 15 이상
HSB500W 380 이상 500 이상 16 초과 40 이하 1A호 19 이상
40 초과 4호 21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HSB600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 호 26 이상
20 초과 4호 20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HSB600L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 호 26 이상
20 초과 4호 20 이상
16 이하 5호 19 이상
HSB600W 450 이상 600 이상 16 초과 20 이하 5 호 26 이상
20 초과 4호 20 이상
비고) 1. 두께 100㎜를 초과하는 강판의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인수 ‧
인도 당사자 협의에 따른다.
표 15-95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 에너지 시험편


(J)
HSB500 -5℃ 47이상
HSB500L -20℃ 47 이상
HSB500W -5℃ 47 이상 4호 압연방향
HSB600 -5℃ 47 이상
HSB600L -20℃ 47 이상
HSB600W -5℃ 47 이상

표 15-96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

15- 12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탄소당량(%)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
HSB500 100㎜ 이하 0.40 이하 0.20 이하
HSB500L 100㎜ 이하 0.40 이하 0.20 이하
HSB500W 100㎜ 이하 0.47 이하 0.22 이하
HSB600 100㎜ 이하 0.42 이하 0.20 이하
HSB600L 100㎜ 이하 0.42 이하 0.20 이하
HSB600W 100㎜ 이하 0.47 이하 0.22 이하
비고) 탄소당량 및 용접 갈라짐 감수성 조성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탄소당량(%)= C +
Mn
+
Si
+
i+
N Cr
+
Mo
+
V
6 24 40 5 4 14
Si Mn Cu N Cr Mo V
용접 갈라짐 감수성조성(%)= C + 30 + 20 + 20 + 60 + 20 + 15 + 10 + 5B

2.6.3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겉모양, 형상,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3052,
KS D 3500, KS D 3502의 규정에 따른다.
2.6.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교량 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15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12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3 리 벳 15-13 리벳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리벳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서는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리벳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B 1102 열간 성형 리벳
KS B 1102 열간 성형 리벳
KS D 3557 리벳용 원형강
KS D 3557 리벳용 원형강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수정] 문장 수정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리벳의 종류

강구조물에 쓰이는 리벳의 종류 및 재료는 표 15-97 같다. 2.1 리벳의 종류

강구조물에 쓰이는 리벳의 종류 및 재료는 표 15-13-1과 같다.


표 15-97 리벳의 종류 및 재료
표 15-13-1 리벳의 종류 및 재료
구 분 재 료 주 용 도 구 분 재 료 주 용 도
둥근머리리벳
접 시 머 리 리 벳 둥근머리리벳
둥근접시머리리벳 KS D 3557의 SV330 일 반 용 접 시 머 리 리 벳
납작머리리벳 둥근접시머리리벳 KS D 3557 일 반 용
납작머리리벳
2.2 리벳의 기계적 성질
2.2 리벳의 기계적 성질

2.2.1 리벳의 머리를 약 800℃로 가열하여 머리지름이 호칭지름의 2.5배인 평면이 2.2.1 리벳의 머리를 약 800 ℃ 로 가열하여 머리지름이 호칭지름의 2.5배
되도록 눌렀을 때 가장자리에 터짐이 생겨서는 안 된다.
[수정] 단위표기 수정
인 평면이 되도록 눌렀을 때 가장자리에 터짐이 생겨서는 안 된다.

15- 12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2.2 리벳의 몸통을 상온에서 180°로 구부려서 끝이 닿도록 하였을 때 바깥쪽에 터 2.2.2 리벳의 몸통을 상온에서 180°로 구부려서 끝이 닿도록 하였을 때 바

짐 및 흠이 생겨서는 안 된다.
깥쪽에 터짐 및 흠이 생겨서는 안 된다.

2.3 리벳의 모양 및 치수 2.3 리벳의 모양 및 치수

리벳의 표면은 매끈하고 해로운 터짐 균열 흠 겹침 및 뒤틀림 등의 결함이


리벳의 표면은 매끈하고 해로운 터짐 · 균열 · 흠 · 겹침 및 뒤틀림 등의 결함
이 없어야 하며, 모양 및 치수는 KS B 1102에 따른다.
없어야 하며, 모양 및 치수는 KS B 1102에 따른다.
2.4 검사 및 기타

2.4 검사 및 기타 리벳의 검사방법 및 기타사항은 KS B 1102 에 따른다.

리벳의 검사방법 및 기타사항은 KS B 1102 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14 고장력 볼트 15-14 고장력 볼트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고장력 볼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은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고장력 볼트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B 0201 미터 보통 나사
KS B 0201 미터 보통 나사 KS B 0211 미터 보통 나사의 허용한계치수 및 공차

KS B 0211 미터 보통 나사의 허용한계치수 및 공차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 6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볼트, 육각 너트, 평와셔의 세트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수정] 문장 수정

2. 재 료

15- 13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고장력 볼트의 구성 및 종류 2. 재 료


각 세트는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볼트 1개 마찰 접합용 고장력 육각너트 1개 2.1 고장력 볼트의 구성 및 종류

마찰 접합용 고장력 평와셔 2개로 구성되며, 그 종류 및 등급은 표 15-98과 같 각 세트는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 1개,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
너트 1개, 마찰 접합용 고장력 평와셔 2개로 구성되며, 그 종류 및 등
다. 급은 표 15-14-1과 같다.

표 15-98 고장력 육각볼트의 종류 및 등급


표 15-14-1 고장력 6각 볼트의 종류 및 등급 [수정] 용어 수정
세트의 종류 적용하는 구성부품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트의종류 사용하는 구성 부품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토오크 계수치에 볼 트 너 트 와 셔

기계적 성질에 따른 등급
종류 의한 종류 기계적 성질에 토크 계수값에 볼 트 너 트 와 셔 [수정] 용어 수정

A F 10
따른 종류 따른 종류
1종 F 8T A F10
B (F8) 1종 B
F8T
(F8)
2종 A F 10T 2종 A F10T
F10 F35
B
B
F 10 F 35 (3 종) A (F11T)
(3 종) A (F11T) B
B 4종 A F13T F13

4종 A F 13T F 13
B
주 ( )를 붙인 것은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수정] 자구 수정
B

비고) ( )를 붙인 것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2.2 나 사
2.2 나 사

볼트 및 너트의 나사는 KS B 0201에 규정하는 미터 보통나사로 하고, 그 정밀


도는 KS B 0211에 규정하는 2급으로 한다.
볼트 및 나사는 KS B 0201에 규정하는 미터 보통 나사로 하고, 그 정밀
도는 KS B 0211의 6 H/6 g 으로 한다. [수정] 해당 내용 수정
다만,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하여는 최대허용치수를 표 15-99에 표시하는 값으로 다만,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하여는 최대허용치수를 표 15-14-2에 표시

한다. 또한, 볼트의 나사는 전조에 의하여 가공한 것으로 한다. 하는 값으로 한다. 또한 볼트의 나사는 전조에 의하여 가공한 것으로 한
다.

표 15-99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한 허용치수 표 15-14-2 너트의 유효지름에 대한 허용치수 (단위 : mm)

나 사 의 호 칭 M 12 M 16 M 20 M 22 M 24 나사의 호칭 M 12 M 16 M 20 M 22 M 24
유효지름의 11.063 14.913 18.600 20.600 22.316 유효지름의 11.063 14.913 18.600 20.600 22.316
최대허용치수(㎜) 최대허용치수

2.3 기계적 성질
2.3 기계적 성질

15- 13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3.1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00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3.1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4-3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또한 충격값을 특별히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인수 · 인도 당사자 사이의 [수정] 해당 내용 추가
협의에 따른다.

표 15-100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


표 15-14-3 볼트 시험편의 기계적 성질
볼트의 기계적 성질에 항 복 강 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 수축율 트의 기계적 강도 인장강도 단면 수축율
의한 등급 (N/㎟) (N/㎟) (%) (%) 볼
성질에 따른 등급
항복
(MPa) (MPa)
연 신 율
(%) (%) [수정] 단위 변경
F 8T 627.6 이상 784.5∼980.7 16 이상 45 이상 F8T 640 이상 800∼1,000 16 이상 45 이상
F 10T 882.6 이상 980.4∼1176.8 14 이상 40 이상
F 11T 931.6 이상 1078.7∼1274.9 14 이상 40 이상 F10T 900 이상 1,000∼1,200 14 이상 40 이상
F 13T 1170 이상 1300∼1500 12 이상 35 이상 F11T 990 이상 1,100∼1,300 14 이상 40 이상
F13T 1,170 이상 1,300∼1,500 12 이상 35 이상
2.3.2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01 인장하중(최소) 미만에서 파단 되어서 2.3.2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
는 안 되며, 인장하중을 증가시켰을 때 볼트머리가 떨어져 나가서는 안 된다.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4-4 인장하중(최소) 미만에서
파단되는 일이 없고, 인장하중을 증가시켰을 때 볼트 머리가 떨어져 나 [수정] 문구 수정
가서는 안 된다.
표 15-101 제품의 기계적 성질

볼트의 인 장 하 중 (최소) (kN) 표 15-14-4 볼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


기계적성질에 나사의 호칭 경도 최소 인장하중 (kN)
의한 등급 M12 M16 M20 M22 M24 M27 M30 볼트 등급 볼트 사이즈 경 도
F 8T 66.1 123.6 192.2 237.3 276.6 359.9 440.3 H C 18∼31 M12 M16 M20 M22 M24 M27 M30
8 67.4 125.4 195.8 242.7 282.0 367.0 449.0 HRC 18∼31
R

F 10T 82.67 153.0 240.3 297.1 346.2 450.1 550.2 H C 27∼38


R
F T
[수정] 해당 내용 수정
F 11T 90.91 169.7 264.8 326.5 380.5 495.3 605.1 H C 30∼40
R F10T 84.3 156.7 244.8 303.4 352.5 458.8 561.3 HRC 27∼38
F 13T 109.6 203.7 318.2 394.4 458.3 596.4 729.7 H C 40∼45
F11T 92.7 172.4 269.3 333.7 387.8 504.7 617.4 HRC 30∼40
R

비고) 볼트 제품이 인장시험을 한 것에 대하여는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경도


F13T 109.6 203.7 318.2 394.4 458.3 596.4 729.7 HRC 40∼45
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2.3.3 너트의 기계적 성질


너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02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2.3.3 너트의 기계적 성질
너트 제품의 기계적 성질은 표 15-14-5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 [수정] 자구 수정
다.
표 15-102 너트제품의 기계적 성질 표 15-14-5 너트제품의 기계적 성질

15- 13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너트의 기계적 성질에 경 도 보증하중 너트의 기계적 성질에 경 도


의한 등급 최 소 최 대 따른 등급 최 소 최 대 보증하중
F 8 HRB 85 HRB 100 표 15-89의 볼트 인장 F 8 HRB 85 HRB 100
F 10 HRB 95 HRB 35 하중(최소)과 같다 F 10 HRB 95 표 15-14-4 볼트
HRC 35 인장하중(최
F 13 HRB 30 HRB 40 소)과 같다
F 13 HRC 30 HRC 40
2.3.4 와셔의 경도 2.3.4 와셔의 경도
와셔 제품의 경도는 표 15-103의 규격에 합격한 것이어야 하며, 침탄 담금 와셔 제품의 경도는 표 15-14-6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며, 침 [수정] 자구 수정

질 뜨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탄 · 담금질 · 뜨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표 15-14-6 와셔제품의 경도
표 15-103 와셔 제품의 경도

와셔의 기계적 성질에 의한 등급 경 도 와셔의 기계적 성질에 따른 등급 경 도


F 35 H C 35∼45 F 35 HRC 35∼45
R

(1) 볼트의 표면은 거칠지 않고 사용상 해로운 터짐 흠 끝 굽음 녹 나사 산 (1) 볼트의 표면은 거칠지 않고 사용상 해로운 터짐 · 흠 · 끝 굽음 · 녹 · 나

의 상처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너트와 와셔의 표면도 거칠지 않고 사용 사산의 상처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하며, 너트와 와셔의 표면도 거칠지
않고 사용상 해로운 터짐 · 흠 · 귀 · 녹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상 해로운 터짐 흠 귀 녹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2) 모양 및 치수는 KS B 1010 중 부표 1 ~ 부표 3에 따른다.

(2) 모양 및 치수는 KS B 1010 중 부표 1∼부표 3에 따른다.


2.4 측정 및 시험방법
2.4 측정 및 시험방법

마찰접합용 고장력 육각볼트 세트에 대한 측정 및 시험방법은 KS B 1010에 따 마찰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 세트에 대한 측정 및 시험방법은 KS B [수정] 용어, 띄어쓰기 수정
1010에 따르며, F13T 고장력 볼트 제품의 수소지연파괴 민감도에 대한
르며, F 13T 고장력 볼트 제품의 수소 지연파괴 민감도에 대한 시험방법은 KS 시험방법은 KS B 1010 부속서 1에 따른다.

B 1010 부속서 1에 따른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13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 도 료 15-15 도 료

15-15-1 노면 표시용 도료 15-15-1 노면 표시용 도료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교통표지 선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도료로서, 안료 ․ 수지 ․ 유리 [수정] 문장 수정
1.1 적용범위 알 ․ 충전용 재료 등을 원료로 사용한 도료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 시방서는 도로 표지용 도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1.2 참조규격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판 및 조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E 3605 분괴 혼합물-샘플링 방법 통칙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L 6003 연마지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M 0016 원자 흡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0032 고주파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방출 분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0016 원자 흡광 분석 방법 통칙 KS M 2707 정제 글리세린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KS M 5550 도료용 색 분류 기준
KS M 6080 도로 표지용 도료 KS M 6518 가황 고무 물리 시험방법

KS M 5550 도료용 색 분류 기준 KS M ISO 1513 도료와 바니시-시험용 시료의 검사와 제조방법


KS M ISO 151, 도료와 바니시-시험용 표준판
KS M ISO 2814 도료와 바니시-동형 동색 도료의 은폐율(은폐력) 비

KS M ISO 3251 도료, 바니시 및 플라스틱-비휘발분 함량 측정
KS M ISO 6353-2 화학 분석용 시약-제2부:규격-제1집
KS M ISO 11890-1 페인트와 바니시-휘발성유기화합물 측정-제1부: 다른방

ASTM D4505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Tape for Extended Service Life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 - Road marking performance
1.3 제출물 for road users, 2007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1.3 제출물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종류
도료는 색상에 따라 흰색(색번호 37875) ‧ 노란색(색번호 33538) ‧ 파란색
2.1 종류 (색번호 35250)으로 구분하며, 성상과 시공방법의 차이에 따라 다음의 5

도료는 색상에 따라 흰색(색번호 37875) 노란색(색번호 33538) 파란색(색번호 종류로 나눈다. 단, 재귀 반사용 성능이 요구되는 노면표시용 도료는 2, [수정] 용어 통일 : 노면 표지 ⇒ 노면표시, 문장 추가
4, 5종을 적용한다.
35250)으로 구분하며, 성상과 시공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눈다.

15- 13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종 : 상온형 도로표지용 도료 1종 : 상온건조형 노면표시용 도료

2종 : 수용성 도로표지용 도료 2종 : 수용성형 노면표시용 도료


3종 : 가열형 노면표시용 도료
3종 : 가열형 도로표지용 도료 4종 :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4종 :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 5종 :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도료


차선테이프
[수정] 해당 내용 추가

2.2 품질관리

도료의 품질은 표 15-104의 기준에 합격한 것이어야 한다. 2.2 품질관리


도료의 품질은 표 15-15-1의 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수정] 자구 수정

15- 13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 노면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 [수정] 표 안 제목, 내용 수정


표 15-104 도로 표지용 도료의 품질기준
항목 종 류 (상온건조형 노면표시용
1종 도료) (수용성형 노면표시용 2종 도료) (가열형 노면표시용 3종 도료)
종 류 (상온형 도로표지용1종 도료) (수용성 도로표지용 2종 도료) (가열형 도로표지용 3종 도료)
항목 주 도 (K.U.) 80 ~ 130 80 ~ 120 80 ~ 130
용 기 내 에 서 의 상 태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용 기 내 에 서 의 상 태 한다.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20분
야 한다.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 10분
불 점 착 건 조 성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
2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 10분 후에 타이어에
도료가 불점착
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불 점 착 건 조 성
야 한다. 시험기의
않아야 한다. 붙지
도 막 의 겉 모 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점착성 등이 없고, 핀 홀 작은 입자 등이 많지 않을 것 시험한 후 K.변질되거나,
45°, 0° 확산반사율 흰 색 80 이상 도가 141 U 이상 주
증가
용기 내에서의 상태를 만
열안전성 - 하지 않아야 하며, 내 족하고 주도가 5 K.U 이
흰색 0.90 이상 0.90 이상 0.97 이상 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하이어야 한다.
세척

은 폐 율 노란색 0.80 이상 0.80 이상 0.80 이상 도 막 의 겉 모 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점착성 등이 없고 핀홀, 작은 입자 등이 많지 않을 것
파란색 0.90 이상 0.90 이상 0.90 이상 45°, 0° 확산반사율 흰 색 80 이상
블 리 딩 성 (bleeding) 아스팔트 판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성이 없어야 한다.
흰색 90 이상 90 이상 90 이상
은 (폐%) 율 노란색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내 마 모 성 마모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500mg 이하 파란색 90 이상 90 이상 90 이상
흰 색 160시간
떨어짐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45° 0° 확산 반사율이 70 이상이어야 하고, 갈라짐 부풀음
등이 없어야 한다.
블 리 딩 성 (bleeding) 아스팔트 판 위에 칠했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내 마 모 성 마모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500mg 이하
촉진 내후성
노란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등이 없고, 색변화는 명도 차 6 단 흰 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45°, 0° 확산 반사율이 70 이상이어야 하고, 갈라짐․부
파란색 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촉진 내후성
풀음 ․떨어짐 등이 없어야 한다.
노란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갈라짐․부풀음․떨어짐 등이 없고, 색변화는 명도차 6
내 수 성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파란색 단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내 알 칼 리 성 수산화칼슘, 야 한다.
포화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주름, 변색 등이 없어 내 수 성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다.
내 알 칼 리 성 수산화칼슘 다.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켰을 때 갈라짐, 부풀음, 주름, 변색 등이 없어야 한
주도가 10K.U 이상 상승 또는
냉 동 안 정 성 주도가 10K.U 이상 상승
10%이상의 저하가 없어야 한다. 냉 동 안 정 성 - 또는 10없%어야이상의
비 휘 발 분( 도료 중 % ) 60 이상 55 이상 65 이상 한다.저하가 -
안 료 분 ( 도료 중 % ) 40 - 60 - 50 이상 안 료 분 ( 도료 중 % ) 40 ∼ 60 - 50 이상
불 휘 발 분( 도료 중 % ) 60 이상 55 이상 65 이상
내 세 척 성 - 800회 이상 - 내 세 척 성 - 800회 이상 -
흰색 KS M 5550의 37875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흰색 KS M 5550의 37875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색 상 노란색 KS M 5550의 33538와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색 상 노란색 KS M 5550의 33538와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파란색 KS M 5550의 35250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파란색 KS M 5550의 35250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납 ( 비휘발분 중 % ) 0.06 이하
납 ( 불휘발분 중 % ) 0.06 이하 카드뮴( 비휘발분 중 % ) 0.01 이하
카드뮴( 불휘발분 중 % ) 0.01 이하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 450 g/L 이하 200 g/L 이하 450 g/L 이하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R0 규정 없음
R2 RL≥100

내마모도시험(20 만 회)
흰색 R3 RL≥150
R4 RL≥200
[150 mcd.(㎡․lx 이상]
(흰색 기준) R 5 RL≥300
R0 규정 없음
R1 RL≥80
노란색
R3 RL≥150
R4 RL≥200

비고 1:사용자가 도료에 유리알을 살포 또는 혼합하고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 시험을

15- 13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종류 4종 요구할 수 있다.

항목 (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 a) 유리알 살포 시험 유리알이 도막에 얼룩지지 않고 부착되어야 한다.


b) 유리알 고착률 유리알이 90 % 이상 고착되어 있어야 한다.
비 중 (20/20℃) 2.3 이하 c) 혼합 안정성 혼합하여 (20±0.5)℃에서 48시간 방치했을 때, 주도가 120 K.U

화 점 (℃) 80 이상
이하이어야 한다.
연 비고 2:사용자가 도료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의 1호를 도료 1

불 점 착 건 조 성 3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L에 800 g 비율로 젖은 도막 위에 살포하며, 유리알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KS L 2521의 1, 2호를 도료 1 L에 500 g 비율로 혼합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도막의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한다.

황색도 흰색 0 - 0.1
비고 3:RL 은 반사휘도계수로서, 도로표지에 빛의 반향과 수직이 되는 장소의 조도가 E일
때 관찰 방향의 재귀반사성능 L의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부속서 D 도로표지용

45°, 0° 확산반사율 흰 색 75 이상 도료에 관한 재귀반사성능 관리지침을 따라서 노면이 건조한 상태의 야간시인성에
대한 재귀반사성능을 뜻한다.
내 마 모 성 마모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200mg 이하
압축 강도 (kN/㎠) 1,100 이상
내 알 칼 리성 수산화칼슘 포화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색이 없어
야 한다.
불휘발분 (도료 중 % ) 99 이상
흰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45° 0°확산 반사율이 70 이상이어
촉진 내후성
야 하고,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등이 없어야 한다.
노란색 16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한 후 갈라짐 부풀음 떨어짐 등이 없
파란색 고, 색변화는 명도차 6 단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납 ( 불휘발분 중 % ) 0.06 이하
카 드 뮴 ( 불휘발분 중 % ) 0.01 이하
비휘발전색제분(도료 중 %) 20 이상
흰색 KS M 5550의 37875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색 상 노란색 KS M 5550의 33538와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파란색 KS M 5550의 35250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KS M 5550의 33538(노란색 1종), 35250(파란색)과 비교하여 색상
열 안 정 성 노파락색 란색 및 도막 겉모양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하며, 색 변화는 명도차 5단
위를 넘지 않아야 한다.
1호 15 - 18
유리알의 함유량(무게 %) 2호 20 - 23
(KS L 2521에 따른 1호)
3호 25 이 상
유리알의 겉모양, 모양 구형의 입자로서, 타원, 예각, 불투명, 이물질 및 입자간의 융착 등
의 결점을 갖는 것의 총계가 20%(개수%) 이하일 것
비고:융착식 도로 표지용 도료는 교반기가 달린 탱크에 도료를 넣고 국부 가열을 피하면서
도료를 균일하게 용융 교반하여 시공을 한다. 다만, 노란색과 파란색의 용융 온도는 18
0℃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여 1시간 이내에 사용하여야 한다.

15- 13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 노면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계속)


종류 4종
항목 (융착식 노면표시용 도료)
SP0 -
연 화 점
SP1 ≥ 65
(℃) SP2 ≥ 80
SP3 ≥ 95
SP4 ≥ 110
연화점 변화 (⊿SP) ± 10 ℃ 이내
IN0 규정 없음
IN1 5초 ~ 45초
IN2 46초 ~ 5분
압입시간 IN3 2분 ~ 5분
IN4 6분 ~ 20분
IN5 ≥ 20분
등급 검사온도(℃) 쇠공 검사 통과 시료수
CI0 규정 없음 - 규정 없음
저 온 충 격 성 CI1 0 (66.8 ± 0.2) g 6
CI2 -10±3 (66.8 ± 0.2) g 6
CI3 -10±3 (110 ± 0.2) g 6
불 점 착 건 조 성 3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도막의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UV 노화전 0.80 이상 (흰색) 0.40 이상 (노란색)
색도 UV 노화후 0.05 이하 (흰색) 0.05 이하 (노란색)
(200시간)(⊿)
내열처리 후 UV 노화전() 0.75 이상 (흰색) 0.40 이상 (노란색)
색도 UV 노화후 0.05 이하 (흰색) 0.05 이하 (노란색)
(200℃, 6시간) (200시간)(⊿)
내 알 칼 리성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
색이 없어야 한다.
불휘발분 (도료 중 % ) 99 이상
납 ( 비휘발분 중 % ) 0.06 이하
카드뮴 ( 비휘발분 중 % ) 0.01 이하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색도(좌표) 들어올 것 (흰색) 들어올 것 (노란색)
(초기 및 내열처리 후) x : 0.355, 0.305, 0.285, 0.385 x : 0.494, 0.545, 0.465, 0.427
y : 0.355, 0.305, 0.325, 0.375 y : 0.427, 0.455, 0.535, 0.483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R0 규정 없음
R2 RL≥100
내마모도시험(20만회) 흰색 R3 RL≥150
R4 RL≥200
[ 150mcd.(㎡․lx 이상] R5 RL≥300
(흰색 기준) R0 규정 없음
R1 RL≥80
노란색
R3 RL≥150
R4 RL≥200

15- 13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 노면표시용 도료의 품질기준(계속)


종류 5종
항목 (상온 경화형 플라스틱 도료)
용기 내 상태 내용물에 딱딱한 덩어리 · 이물질이 없어야 하며, 저었을 때
쉽게 균일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막의겉모양 주름, 얼룩, 부풀음, 갈라짐, 떨어짐이 없어야 한다.
내 마 모 성 마모 감량이 100회전에 대하여 300 mg 이하
안 료 분 ( 도료 중 % ) 40 이상
불 점 착 건 조 성
40분 후에 도료가 불점착 시험기의 타이어에 붙지 않아야
한다.
블리딩성 아스팔트 위에 칠하였을 때 심한 블리딩이 없어야 한다.
내 알 칼 리성 수산화칼슘 포화 용액에 18시간 침지시켜도 갈라짐 및 변
색이 없어야 한다.
납 ( 불휘발분 중 % ) 0.06 이하
카드뮴 ( 불휘발분 중 % ) 0.01 이하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 (g/L) 200 이하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색도(좌표) 들어올 것 (흰색) 들어올 것 (노란색)
(초기) x : 0.355, 0.305, 0.285, 0.385 x : 0.494, 0.545, 0.465, 0.427
y : 0.355, 0.305, 0.325, 0.375 y : 0.427, 0.455, 0.535, 0.483
색도(luminance factor) 0.80 이상 (흰색) 0.40 이상 (노란색)
UV 노화 전()
색도(luminance factor) 0.05 이상 (흰색) 0.005 이상 (노란색)
UV 노화 후 (200시간)(⊿)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성능
R0 규정 없음
R2 RL ≥ 100
내마모도시험(20만 회) 흰색 R3 RL ≥ 150
R4 RL ≥ 200
[150 mcd.(㎡․lx 이상]
R5 RL ≥ 300
(흰색 기준) R0 규정 없음
R1 RL ≥ 80
노란색
R3 RL ≥ 150
R4 RL ≥ 200

비고 1:RL 은 반사휘도계수로서, 도로표지에 빛의 반향과 수직이 되는 장소의 조도가 E일


때 관찰 방향의 재귀반사성능 L의 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부속서 D 도로표지용
도료에 관한 재귀반사성능 관리지침을 따라서 노면이 건조한 상태의 야간시인성에
대한 재귀반사성능을 뜻한다.

15- 13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2 차선 테이프 품질기준

목 차선 테이프 품질기준

흰색 노 란색
재귀반사도 RL [ mcd/(㎡․lx) ]
(입사각 : 재귀 반사성능
흰색 노란색
88.76°, 재귀 반사성능 I 500 300

관찰각 (wet recovery) (250) (250)

: 1.05°) 재귀 반사성능 II 250 175

분류 BPN 값
미끄럼저항 Type I BPN ≥ 45
Type II BPN ≥ 55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CIE 색도좌표 범위 내에 들어올 것.
색도 X : 0.355, 0.305, 0.285, 0.335 X : 0.494, 0.545, 0.465, 0.427
Y : 0.355, 0.305, 0.325, 0.375 Y : 0.427, 0.455, 0.535, 0.483
치수 크랙이 없어야 하며, 가장자리가 일정하며, 직선이고, 깨지지 않아야 한다.
시험 온도 접착강도(N)
접착 강도 10 ℃
24 ℃
4.88 이상
4.88 이상
46 ℃ 4.88 이상

구분 등급 재귀반사도 [ mcd/(㎡․lx) ]
R0 규정 없음

내마모도시험 흰색
R2 RL ≥ 100
RL ≥ 150
(20만 회)
R3
R4 RL ≥ 200

[150 mcd / R5 RL ≥ 300

(㎡․lx) 이상] R0
R1
규정 없음
RL ≥ 80
노란색
R3 RL ≥ 150
R4 RL ≥ 200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비고 1. 시멘트콘크리트포장 면에 시공할 때에는 타이닝 설치부분에 틈이 발생되므로

도로 표지용 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M 6080 에 따른다. 공간을 완전히 면처리 후 시공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비고 2.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면에 시공할 때에는 아스팔트 유분 등의 이물질을 완전히
[수정] 문구 수정

제거 후 시공하여야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음.


※ ASTM D4505-05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Retroreflective Pavement
2.4 포장 및 표시 Marking Tape for Extended Service Life) 참조

포장단위는 1종 2종 3종은 실부피를 기준하여 4ℓ 18ℓ 180ℓ 단위로, 4종 ※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 - Road marking performance for raod users,
2007) 참조

은 실무게 25㎏으로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종류 용도 실부피(1종, 2종,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3종) 실무게(4종) 제조년월일 및 로트 번호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를 표시하


노면표시용 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M 6080 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수정] 자구 수정
여야 한다. 포장단위는 1종, 2종, 3종, 5종은 실부피를 기준하여 4  , 8  , 80  단
위로, 4종은 실무게로 10 ㎏ , 20 ㎏, 25 ㎏으로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 종류 · 색상 · 용도 · 실부피(1종, 2종, 3종, 5종) · 실무게(4종) · 제조

3. 시 공 년월일 및 로트 번호 ·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해당사항 없음)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14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2 미끄럼방지포장 15-15-2 미끄럼방지포장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미끄럼방지포장에 대하여 적용한다.

이 시방서는 미끄럼방지포장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KS M ISO 2811-1 도료와 바니시-밀도 측정 방법-제1부 : 비중병 법 KS M ISO 2811-1 도료와 바니시-밀도 측정 방법-제1부 : 비중병

KS M ISO 2555 플라스틱-액상, 현탁상 또는 분산상의 수지-브룩필드법에 의 법


KS M ISO 2555 플라스틱-액상, 현탁상 또는 분산상의 수지
한 겉보기 점도의 측정 -브룩필드법에 의한 겉보기 점도의 측정

KS M ISO 3251 도료와 바니시-도료, 바니시 및 도료와 바니시 결합제의 불 KS M ISO 3251 도료와 바니시-도료, 바니시 및 도료와 바니시

휘발분 함량 측정법
결합제의 불휘발분 함량 측정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 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 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 방법

KS M 3006 플라스틱의 인장성 측정 방법 KS F 2476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 방법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 Road marking performance for
KS F 2476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험 방법 road users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 Road marking performance for road users
ASTM E 303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ASTM E 303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Frictional


Frictional Properties Using the British Pendulum
Tester
Properties Using the British Pendulum Tester ASTM C 109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ASTM C 109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Hydraulic Hydraulic Cement Mortars (Using 2-in. or [50-㎜]
Cube Specimens)
Cement Mortars (Using 2-in. or [50-㎜] Cube Specimens) AASHTO T 237 Standard Specification for Epoxy-Resin

AASHTO T 237 Standard Specification for Epoxy-Resin Adhesives for Adhesives for Bonding Traffic Markers to
Hardened Portland Cement and Asphalt Concrete
Bonding Traffic Markers to Hardened Portland Cement and
Asphalt Concrete
1.3 제출물
1.3 제출물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15- 14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2.1 종 류
2.1 종 류 미끄럼방지포장은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및 시멘트콘크리트포장 위에 적 [수정] 주어 수정
용하며, 수지 종류에 관계없이 품질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미끄럼방지포장의 종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및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
에 적용하며, 수지 종류에 관계없이 품질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2.2 품질기준
2.2 품질기준 미끄럼방지포장의 품질은 표 15-15-3, 표 15-15-4에 적합하여야 한 [수정] 자구 수정
다.

미끄럼방지포장의 품질은 표 15-105, 표 15-106에 합격하여야 한다.


표 15-15-3 미끄럼방지포장의 품질기준 [수정] 표 제목 수정
표 15-105 미끄럼방지포장
구분 시험항목 단위 품질기준 시험방법 구분 시험항목 단위 품질기준 시험방법
밀도(23℃) g/mL 1.0±0.1 KS M ISO 2811-1 프라이머 VOC 함량 % 5 이하 -
프 라이머 점도(25℃) cP 30±20 KS M ISO2555 (primer) 가사시간(25℃) 분 20 ± 10 AASHTO T237
(primer) VOC 함량 % 5 이하 - VOC 함량 % 5 이하 -
가사시간(25℃) 분 20±10 AASHTO T237 건조시간(경화, 25℃) 분 60 이하 KS M 5000
밀도(23℃) g/mL 1.0±0.1 KS M ISO 2811-1 가사시간(25℃) 분 20 ± 10 AASHTO T237
점도(25℃) cP 30±20 KS M ISO 2555 재령1일 20℃ 2 이상
VOC 함량 % 5 이하 - -10℃ 20 이상
건조시간(경화, 25℃) 분 60 이하 KS M 5000 레진 인장강도 재령7일 -10℃ ㎫ 7 이상
KS M 3006
가사시간(25℃) 분 20±10 AASHTO T237 (resin)
-10℃ 0.5 이상
재령1일 20℃ 2 이상 -10℃ 5 이상
레진 -10℃ 20 이상
(resin) 인장강도 ㎫ KS M 3006 신율 재령7일 20℃ % 40 이상 KS M 3006
재령7일 20℃ 7 이상
60℃ 50 이상
60℃ 0.5 이상
촉진내후성(300시간) - 이상 없을 것 KS M 5000
-10℃ 5 이상
흡수율 1 이하 KS F 2476
신율 재령7일 20℃ % 40 이상 KS M 3006 %

EN 1436
60℃ 50 이상 내마모 마모율(50만 회) % 1 이하 EN 13197
촉진내후성(300시간) - 이상 없을 것 KS M 5000 시험
슬러리 미끄럼저항 BPN 표 15-15-4 참조 ASTM E303
흡수율 1 이하 KS F 2476 [수정] 표 일련번호 수정
(slurry) 건조시간(고화, 25℃) 분 120 이하 KS M 5000
%

EN 1436
내마모 마모율(50만회) % 1 이하 EN 13197 압축강도 재령 24시간 ㎫ 20 이상 ASTM C109
시험
슬러리 미끄럼저항 BPN 표 15-106 참조 ASTM E303 접착강도 시멘트콘크리트포장 1.5 이상 KS F 2476
(slurry) 건조시간(고화, 25℃) 분 120 이하 KS M 5000 (20℃)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
아스콘 파쇄까지 KS F 2476
압축강도 재령 24시간 ㎫ 20 이상 ASTM C109
접착강도 시멘트콘크리트포장 1.5 이상 KS F 2476
(20℃)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아스콘 파쇄까지 KS F 2476

15- 14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06 마찰계수 기준등급표(건설교통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표 15-15-4 최소 마찰계수 기준표 [수정] 제목 수정, 국토부 지침과 통일

최소 요구 마찰계수 마찰계 최소 요구 마찰계수 마찰계수


구분 정 의 구분 정 의 위험도 위험도 위험도 의 종류
위험도 위험도 위험도 수의 1 2 3
1 2 3 종류 1) 설계 속도 60 km/h 이상인 도로의 교통
1) 설계 속도 60㎞/시 이상인 도로의 교통신호 또는 횡 신호 또는 횡단보도 접근부
단보도 접근부 S1 2) 도시지역 도로의 교통신호, 횡단보도 또
S1 2) 도시 지역도로의 교통신호, 횡단보도 또는 비슷한 57 67 77 N (마찰력 확보가 3) 5 %비슷한
는 위험개소의 접근부 57 67 77 N
(마찰력 확보가 위험개소의 접근부
BP
BP
이상의
매우 중요한 이 “도로의 구조 내리막 경사에서 곡선반지름
매우 중요한 3) 5% 이상의 내리막 경사에서 곡선 반경이 “도로의 37 44 50 SN 구간) ․시설 기준에 관한 규 37 44 50 SN
구간)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값보다 작 칙”에서 정한 값보다 작게 설계된 곳
게 설계된 곳 4) 고속도로로서, S2의 1), 2)항에 해당하는
4) 고속도로로서 S2의 1), 2)항에 해당하는 구간 구간
1) 설계 속도 60㎞/시 이상이 되는 도로로서 곡선 반경 1) 설계 속도 60km/h 이상이 되는 도로로서,
이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곡선반지름이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S2 값보다 작게 설계된 곳 47 57 67 N
BP
S2
관한 규칙”에서 정한 값보다 작게 설계된
47 57 67 N
(마찰력 확보가 2) 5% 이상의 내리막 경사가 100m 이상인 곳 곳
(마찰력 확보가 2) 5 % 이상의 내리막 경사가 100 m 이상
BP
중요한 구간) 3) 고속도로 일반구간 31 37 44 SN 중요한 구간) 인 곳 31 37 44 SN
4) 상업용 자동차 교통량이 250대/차로/일 이상인 도로 3) 고속도로 일반구간
의 주요 교차로 접근부 4) 상업용 자동차 교통량이 250대/차로/일
직선 또는 곡선 반경이 큰 구간으로서 다음에 해당되는 이상인 도로의 주요 교차로 접근부
S3 도로 32 47 57 BPN 직선 또는 곡선반지름이 큰 구간으로서 다음
(평균 조건) 1) 주요 간선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2) 상업용 자동차 교통량이 250대/차로/일 이상인 일반 21 31 37 SN S3 에1) 주해요당되는

도로
선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
32 47 57 N
BP
도로 (평균 조건) 2) 상업용 자동차 교통량이 250대/차로/일 21 31 37 SN
S4 32 42 47 BPN 이상인 일반도로
(마찰력이 중요 교통량이 적은 도로의 일반 직선 구간
S4 32 42 47 N
하지 않은 구간) 21 27 31 SN (마찰력이 중요 교통량이 적은 도로의 일반 직선 구간
BP

하지 않은 구간) 21 27 31 SN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3.1 시료채취 2.3.1 시료채취

미끄럼방지포장은 프라이머, 레진, 슬러리를 구분하여 채취하여야 한다. 미끄럼방지포장은 프라이머, 레진, 슬러리를 구분하여 채취하여야 한
다.
2.3.2 시험방법 2.3.2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표 15-105에 따른다. 시험방법은 표 15-15-3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2.4 포장 및 표시
미끄럼방지포장의 재료는 제조자가 봉인을 하는 용기에 넣어야 한다.
미끄럼방지포장은 제조자가 봉인을 한 용기에 넣어야 한다.
[수정] 문구 수정
용기에는 제조자명, 형성제명 및 제조자 배치번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

용기에는 제조자명, 형성제명 및 제조자 배치번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 야 한다. 용기의 내용은 시험한 시료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용기의 내용은 시험한 시료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15- 14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3 강교용 방청도료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 참조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교용 방청 도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D 9502 염수분무 시험방법(중성, 아세트산 및 캐스 분무 시험)
KS E 3071 석회석의 화학 분석 방법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980 도료의 흐름 저항성 시험방법
ASTM E 291 Chemical Analysis of Caustic Soda and Caustic
Potash(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
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 류
방청도료의 종류는 무기질 아연말 샵 프라이머, 무기질 아연말 도료, 염
화고무계 중도/상도 도료, 염화고무 MIO 도료, 에폭시계 방청도료, 고
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우레탄계 도료, 불소 수지계 도료, 세라믹계 방
식 도료,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실록산계 도료, 수용성 무기질 아연말
도료,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에폭시계 아연말 도료, 무용제 에폭시계 방
청도료, 수용성 에폭시계 방청도료,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가 있다.

2.2 품질기준
방청도료의 품질은 표 15-15-5 ~ 15-15-23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15-15-5 무기질 아연말 샵프라이머 (SPS-KPIC 5006-1759)


목항 품질 방법
흐름, 핀홀,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상태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덩어리, 응결피막이
용기 내에서의 상태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혼합, h, 20 ℃) 5 이상 SPS-KPIC 5006-1759
건조시간 (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2512
비휘발분 (혼합, 중량 %) 45 이상 KS M ISO 3251
가열잔분(혼합) 중 아연 50 이상 KS M 5000-5171
함량(중량 %) KS M ISO 3549
점 녹이나 도막의
방청성 (168 h) 부풀음 박리가 없을 것 KS D 9502

15- 14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6 무기질 아연말 도료 (SPS-KPIC 5001-1754)


목 항 품질 방법
건조도막의 상태
흐름 , 균열, 주름 등이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덩어리, 응결 피막이
용기 내에서의 상태 없을 것
KS M 5000-2011
비중 (주제, 25 ℃) 1.0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 (주제, 중량 %) 30 이상 KS M ISO 3251
가사시간 (혼합, h, 20 ℃) 5 이상 SPS-KPIC 5001-1754
건조시간 (경화, 혼합, h, 25 ℃) 48 이내 KS M 5000-2511
총고형분 (혼합, 중량 %) 78 이상 KS M ISO 3251
안료분 (총(1)고형분 중, 중량 %) 85 이상 KS M ISO 14680-1
총아연말분 (안료분 중, 중량 %) 87 이상 KS M 5000-5171
총아연말분(1) (총고형분 중, 중량 %) 74 이상 KS M ISO 3549
(1)
주 아연말의 성분은 KS M ISO 3549 (도료용 아연말 안료)에 따른다.

표 15-15-7 염화고무계 중도‧상도 도료 (SPS-KPIC 5007-1760)

목 품질 방법

중도 상도
연 화 도 (N.S) 3 이상 5 이상 KS M 5000-2141
주 도 (KU, 25 ℃) 90~100 70~85 KS M 5000-2122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 중(25 ℃) 1.1 이상 0.9 이상 KS M ISO 2811-1
흐름성(㎛) 300 이상 100 이상 KS M 5980
비휘발분(중량 %) 50 이상 35 이상 KS M ISO 3251
건조시간(경화, h) 24 이내 KS M 5000-2511,2512
표 15-15-8 염화고무 MIO 도료 (SPS-KIPC 5008-1761)
목 항 품질 방법
건조 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주 도(KU,25 ℃) 90~110 KS M 5000-2122
비 중(25 ℃) 1.3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중량 %) 55 이상 KS M ISO 3251
흐름성(㎛) 350 이상 KS M 5980
표 15-15-9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05-1758)
목 항 품질 항 목
흐름, 균열,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상태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주도 (KU, 25 ℃) 80~100 KS M 5000-2122
비중 (혼합) 1.3 이상 KS M ISO 2811-1
비휘발분 (혼합, 중량 %) 65 이상 KS M ISO 3251
흐름성 (혼합, ㎛) 300 이상 KS M 5980
건조시간 (경화, h, 25 ℃) 10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 ℃) 4 이상 SPS-KPIC 5005-1758

15- 14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0 고고형분 에폭시계 도료 (SPS-KPIC 5002-1755)


항 목 품질 방법
조 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건 KS M 5000-2421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혼합성 (혼합) 균일하게 혼합될 것 SPS-KPIC 5002-1755
비중 (주제) 1.3 이상 KS M ISO 2811-1
주도 (주제, KU, 25 ℃) 90 이상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 80 이상 KS M ISO 3251
건조시간 (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 (혼합, h, 20 ℃) 2 이상 SPS-KPIC 5002-1755
흐름성 (혼합, ㎛) 500 이상 KS M 5980
부피 고형분 (%) 80 이상 KS M ISO 3233
표 15-15-11 우레탄계 도료 (SPS-KIPC 5003-1756)

항 품질 방법
건조 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중(주제) 1.1 이상 KS M ISO 2811-1
주도(주제, KU) 70~90 KS M 5000-2122
비휘발분(주제, 중량 %) 60 이상 KS M ISO 3251
연화도(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60˚, %) 8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 2512
가사시간 (혼합, h, 20 ℃) 4 이상 SPS-KIPC 5003-1756
흐름성(혼합, ㎛) 175 이상 KS M 5980
백색
은폐율(%)(1)(2) 기타 색 90 이상 KS M ISO 2814
80 이상
촉진 내후성(300h, (%)) 90 이상 KS M ISO 11507
(1)
주 기타 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을 말한다.
(2)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15- 14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2 불소 수지계 도료 (SPS-KPIC 5004-1757)


항 목 품질 방법
흐름, 균열,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상태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휘발분 백색 50 이상 KS M ISO 3251
(주제, 중량 %) 기타 색 40 이상
연화도 (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 (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경화, h, 25 ℃) 8 이내 KS M 5000-2511, 2512
가사시간(혼합, h, 20 ℃) 5 이상 SPS-KPIC 5004-1757
용제가용분 중의 불소 (주제, %) 15 이상 SPS-KPIC 5004-1757
은폐율(%)(1)(2) 기타 백색 90 이상 KS M ISO 2814
색 80 이상
층간 부착성 (중/상도)(3) 이상 없을 것 KS M ISO 2409
유연성(3) 이상 없을 것 KS M ISO 1519
내알칼리성(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내산성 (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냉열반복시험 (3) 이상 없을 것 SPS-KPIC 5004-1757
내충격성(3) 균열, 벗겨짐이 없을 것 KS M ISO 6272-1
촉진 내후성 광택유지율 (%) 90 이상 KS M ISO 11507
(1,000 h)(3) 쵸킹 1 이하 KS M ISO 4628-6
(1)
주 기타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을 말한다.
(2)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3)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표 15-15-13 세라믹계 방식 도료 (SPS-KPIC 5009-1762)

목 항 품질 방법
용기 내에서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건조시간(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2512
가사시간(혼합, h, 20 ℃) 2 이상 KS M ISO 9514
흐름성(혼합, ㎛) 250 이상 KS M ISO 16862
부피고형분(혼합, %) 60 이상 KS M ISO 3233
비중(주제)(25°/25 ℃) 1.3 이상 KS M ISO 2811-1
주도(주제, KU)(25°/25 ℃) 95 이상 KS M 5000-2122
연화도(주제, NS) 4 이상 KS M 5000-2141
염수분무시험(168 h) 녹과 부풀음이 없을 것 KS D 9502

15- 14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4 세라믹계 우레탄 도료 (SPS-KPIC 5010-1763)


항 목 품질 방법
조 도막의 상태 흐름, 주름, 핀홀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휘발분(주제, 중량 %) 50 이상 KS M ISO 3251
연화도(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 (60°)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2512
흐름성(혼합, ㎛) 175 이상 KS M ISO 16862
백색
은폐율(%)(1)(2) 기타 색 90 이상 KS M ISO 2814
80 이상
내산성(3) (168 h) 도막의벗겨갈짐,라짐,변색부풀음, 주름, 떨어짐,
등이 없을 것 KS M ISO 2812-1
내알칼리성(3) (168 h) 도막의벗겨갈짐,라짐,변색부풀음, 주름, 떨어짐,
등이 없을 것 KS M ISO 2812-1
촉진내후성(3)(300 h, %) 80 이상 KS M ISO 11507
(1)
주 기타 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을 말한다.
(2)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3)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표 15-15-15 실록산계 도료 (SPS-KPIC 5011-1764)


항 목 품질 방법
조 도막의 상태 흐름, 균열,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중(주제, 25 ℃) 1.1 이상 KS M ISO 2811-1
주도(주제, KU, 25 ℃) 80~100 KS M 5000-2122
비휘발분(주제, 중량 %) 60 이상 KS M ISO 3251
연화도(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경화, h, 25 ℃) 24 이내 KS M 5000-2511, 2512
가사시간(혼합, h, 20 ℃) 4 이상 SPS-KPIC 5011-1764
흐름성(혼합, ㎛) 250 이상 KS M 5980
백색
은폐율(%)(1)(2) 기타 색 90 이상 KS M ISO 2814
80 이상
촉진 내후성 광택유지율(%) 90 이상 KS M ISO 11507
(700 h)(3) 쵸킹 1 이하 KS M ISO 4628-6
(1)
주 기타 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을 말한다.
(2)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3)
시험편은 도장계열의 최상층까지 도장한 상태에서 시험한다.

15- 148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6 수용성 무기질 아연말 도료 (SPS-KPIC 5012-1765)

항목 품질 방법
건조 도막의 상태 흐름, 주름 등이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h, 20 ℃) 5 이상 SPS-KPIC 5012-1765
경화건조시간 (h, 25 ℃) 24 이하 KS M 5000-2511
비휘발분 (주제부. 중량%) 18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10 이하 KS M ISO 11890-1, 2
비중 (주제, 25 ℃) 1.0 이상 KS M ISO 2811-1
균열성 이상 없을 것 SPS-KPIC 5012-1765
총고형분(혼합도료 중, 중량 %) 65 이상 KS M ISO 3251
안료분(총고형분 중, 중량 %) 85 이상 KS M ISO 14680-1
총아연말분(안료분 중, 중량 %) 92 이상 KS M 5000-5171
총아연말분(총고형분 중, 중량 %) 85 이상 KS M ISO 3549

표 15-15-17 수용성 에폭시계 도료 (SPS-KPIC 5013-1766)

항 목 품질 방법
흐름, 균열,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상태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에서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h, 20 ℃) 2 이상 SPS-KPIC 5013-1766
경화건조시간 (h, 25 ℃) 24 이하 KS M 5000-2511,2512
비휘발분 (주제부. 중량 %) 55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80 이하 KS M ISO 11890-1, 2
비중 (주제부. 25 ℃) 1.3 이상 KS M ISO 2811-1
주걱으로 저었을 때 쉽게

저장 안정성 (주제) 덩어리짐,균일한 상태로 되며, KS M 5000-2031


엉김, 겔 및 기타
결함이 없어야 한다.
흐름성 (혼합도료, ㎛) 300 이상 KS M 5980
주도 (주제, KU, 25 ℃) 85 이상 KS M 5000-2122

15- 149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18 에폭시계 아연말 도료 (SPS-KPIC 5015-1918)


항 목 품 질 방법
건조 도막의 외관 이상 없을 것 KS M 5000-2421
용기 내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비중 (주제, 25℃) 1.8 이상 KS M ISO 2811-1
주도 (주제, KU, 25℃) 70 이상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 80 이상 KS M ISO 3251
가사시간 (혼합, h, 20℃) 4 이상 SPS-KPIC 5015-1918
건조시간 (경화, 혼합, h, 25℃) 24 이하 SPS-KPIC 5015-1918
총고형분 (혼합, 중량 %) 70 이상 KS M ISO 3251
안료분 (총고형분 중, 중량 %) 83 이상 KS M ISO 14680-1
아연함량 (안료분 중, 중량 %) 93 이상 SPS-KPIC 5015-1918
아연함량 (총고형분 중, 중량 %) 77 이상 SPS-KPIC 5015-1918
표 15-15-19 무용제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6-1917)
항 목 품 질 방법
건조 도막의 외관
흐름 , 균열, 주름 등이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혼합, h, 20℃) 1 이상 SPS-KPIC 5016-1917
건조시간 (경화, h, 25℃) 24 이하 SPS-KPIC 5016-1917
비휘발분 (혼합, 중량 %) 96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80 이하 KS M ISO 11890-1, 2
비중 (주제. 25 ℃) 1.2 이상 KS M ISO 2811-1
염수분무시험(168 h) 녹과 부풂이 없을 것 KS D 9502
흐름성 (혼합도료, ㎛) 300 이상 KS M 5980
주도 (주제, KU, 25 ℃) 140 이하 KS M 5000-2122
표 15-15-20 수용성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7-1919)
항 목 품 질 방 법
흐름, 균열,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외관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가사시간 (혼합, h, 20 ℃) 2 이상 SPS-KPIC 5017-1919
건조시간 (경화, h, ,25 ℃) 24 이하 SPS-KPIC 5017-1919
비휘발분 (주제, 중량 %) 45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80 이하 KS M ISO 11890-1, 2
비중 (주제. 25 ℃) 1.1 이상 KS M ISO 2811-1
염수분무시험(168h) 녹과 부풂이 없을 것 KS D 9502
흐름성 (혼합도료, ㎛) 300 이상 KS M 5980
주도 (주제, KU, 25 ℃ 80 이상 KS M 5000-2122

15- 150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21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SPS-KPIC 5018-1920)


항 품 질 방 법
흐름, 균열, 주름 등이
건조 도막의 상태 KS M 5000-2421
이상 없을 것
용기 내의 상태 덩어리, 응결, 피막이 없을 것 KS M 5000-2011
색상 견본품과 비교하여 차이 없을 것 KS M 5000-3011
비중 (주제, 25 ℃) 1.1 이상 KS M ISO 2811-1
주도 (주제, KU, 25 ℃) 80 이상 KS M 5000-2122
비휘발분 (주제, 중량 %) 40 이상 KS M ISO 3251
VOCs 함량 (g/l) 90 이하 KS M ISO 11890-1, 2
연화도 (주제, NS) 6 이상 KS M 5000-2141
광택 (60˚, %) 70 이상 KS M ISO 2813
건조시간 (경화, h, 25 ℃) 24 이하 SPS-KPIC 5018-1920
가사시간 (혼합, h, 20 ℃) 2 이상 SPS-KPIC 5018-1920
흐름성(혼합, ㎛) 175 이상 KS M 5980
백색 90 이상 KS M ISO 2814
은폐율(%)(1)(2) 기타 색 80 이상 KS M ISO 2814
촉진 내후성(300 h, (%)) 90 이상 KS M ISO 11507
(1)
주 기타 색은 백색을 제외한 나머지 색상을 말한다.
(2)
특녹색이나 특청색과 같이 프탈로시아닌계 아조 또는 디아조계 안료를 사용한
도료는 은폐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표 15-15-22 아연알루미늄 용사 재료규격


표면처리 SSPC-SP10
함 량 아연(Zn) : 알루미늄(Al) : 지르코늄(Zr)
10 % ~ 15 % : 85 % ~ 90 % : 0.5 % 이상
아연(Zn) 순도 99.99 %
알루미늄(Al) 순도 99.7 %
주) 1. KS D ISO 2063 규격 참조

표 15-15-23 고형분 용적비의 관리기준


도료 명칭 고형분 용적비 관리기준 비 고
무기질 아연말계 도료 60 % 이상
에폭시계 방청도료 50 % 이상
고고형분 에폭시계도료 80 % 이상
우레탄계 도료 50 % 이상 KS M ISO 3233
불소수지계 도료 30 % 이상
실록산계 도료 60 % 이상
세라믹계 방식도료 80 % 이상
세라믹계 우레탄도료 50 % 이상

15- 151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24 회수 사용되는 철을 함유한 금속 연마제의 청정도 규격


(Specification for Cleanliness of Recycled Ferrous Metallic Abrasives :
SSPC-AB2 연마제 기준 No.2)
구 분 기 준 비 고
비 마찰재 잔유물 1 % 미만 (by weight)
납 성분함량 0.1 % 미만 (by weight)
수용성 오염물 1000 micro-ohms/cm 미만 전기 전도성
기름함량 물 속에 침지시킬 때 오일이 육안으로
검출되지 않을 것
요구사항 상기 조건이 모두 충족할 때 재사용하며,
불합격하였을 때에는 재정제 되어야 함.

2.2.1 에폭시계 아연말 도료 (SPS-KPIC 5015-1918)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2 무용제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6-1917)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3 수용성 에폭시계 방청도료 (SPS-KPIC 5017-1919)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4 수용성 우레탄계 도료 (SPS-KPIC 5018-1920)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또는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 단체규격에 따른다.
2.2.5 아연알루미늄 용사 재료규격
도료의 품질은 강구조공사 표준시방서 부록2, 도료의 품질관리 기준
에 따른다.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강교용 방청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SPS-KPIC
5001~5014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포장단위는 실부피를 기준하여 1 ℓ, 4 ℓ, 10 ℓ, 16 ℓ, 18 ℓ, 20 ℓ,
180 ℓ 등 각각의 개별 규격에 따라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 단체
표준번호 · 색상 ·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 · 종류 · 용도 · 실부피 · 제조년
월일 및 로트 번호 ·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등을 개별 규격의 표시 사항
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152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4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 참조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강구조물 공사에 사용하는 고장력 볼트에 사용되는 아연 알루
미늄 피막처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ASTM F 1136 Standard Specification for Zinc/Aluminium
Corrosion Protective Coatings for Fasteners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품질기준
품질은 표 15-15-25의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표 15-15-25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


시 험 항 목 품질기준
외 관 이상 없을 것
부착력 (%) 5 이하
부식저항성 (염수분무시험, 720시간) 적청이 없을 것
부풀음 (염수분무시험 후) 부풀음 및 박리가 없을 것
도막두께(㎛) 6 ∼ 12
2.2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아연 알루미늄 피막처리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ASTM F 1136에
따른다.

2.3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153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5 아연 알루미늄 용사 [신설] 고속도로공사전문시방서(2012) 참조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가드레일, 방음벽 지주, 가로등, 낙석방책, 표지판 지주 등의
철구조물에 사용되는 아연 알루미늄 용사 공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D ISO 2063 금속 및 무기질피막 - 아연, 알루미늄 및 합금 열용사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품질기준
아연 알루미늄 용사의 품질은 표 15-15-26의 시방 및 규격에 따른다.

표 15-15-26 아연 알루미늄 용사 시방 규격

구 분 표면처리 도장순서 적용 규격 건 조도막두께


(㎛)
조면형성제(필요할 때) -
외 부 SSPC-SP10 21sndt 아연알루미늄 용사
봉공처리제(실리케이트)
100
5 ~ 10
105 이상
내부 - 기화성 방청제 100 g/㎥ 이상
표 15-15-27 아연 알루미늄 용사

표면처리 SSPC-SP10
함 량 아연(Zn) : 알루미늄(Al) : 지르코늄(Zr)
10 % ~ 15 % : 85 % ∼ 90 % : 0.5 % 이상
아연(Zn) 순도 99.99 %
알루미늄(Al) 순도 99.7 %

15- 154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28 봉공처리제(수용성 실리케이트 도료)

구 분 수용성 오르가노 실리케이트(hydro-organo-silicate )


도막두께(㎛) 5 ~ 10
고형분(%) 20 이상
색 상 무색(투명)
내수성(24 hr) 부풀음 등 이상 없을 것
건조시간
지촉 건조(set to touch) : 4시간 이하
고화 건조(dry-hard) : 24시간 이하
표 15-15-29 기화성 방청제(KS T 1085)

종 류 사용 범위에 따른 구분
철강에 비철금속이 코팅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철강과
1종 L형 비철금속이 조합되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것
2종 L형 철강에 한하여 사용 가능한 것

2.2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아연 알루미늄 용사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ISO 2063에
따른다.

2.3 표 시
포장 용기의 보기 쉬운 곳에 제품명, 종류, 제조년월일 및 제조자명 또는
약호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155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5-6 터널 내오염 도장 도료 [신설] 한국도로공사 자료 참조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터널 내오염 도장 도료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 시험방법
KS M 5980 도료의 흐름 저항성 시험방법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류
내오염 도장재는 폴리우레탄계, 불소수지계, 세라믹 우레탄계 등 품질기
준을 만족하는 재료이어야 한다.

표 15-15-30 터널 내오염 도장 두께

구분 표준두께(㎛)
비 고
공종 불소수지계 세라믹 우레탄계
하 도 50 80 이상
바탕
청소상태에 따라 두께를
처리 퍼 티 - -
달리할 수도 있음
중 도 60 -

상 도 40 75 이상 1회 또는 2회 도장
1. 도장두께는 사용재료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2.2 품질기준
품질은 표 15-15-31의 규격에 적합한 것 이어야 한다.

15- 156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표 15-15-31 터널 내오염 도장 도료

단 품 질 기 준
시험항목 위 시험방법
상 도 중도 하도 퍼티
내알칼리성
- 도막의 갈라짐, 부풀음, - - - KSM 2812-1
(5% NaOH, 7일, 20℃)
주름, 떨어짐, 벗겨짐이
내산성 없을 것
- - - - KSM 2812-1
(5% H2SO4, 7일, 20℃)

내굴곡성 균열, 떨어짐이 생기지


- - - - KSM 5000-3331
(직경 10 mm) 말아야 한다.
도막의 갈라짐, 떨어짐,
촉진내후성 KSM ISO
황변, 초킹(chalking)
4982-3
(QUV 외관 - 현상이 없으며 색상의 - - -
시험법에 변화가 크지 않을 것
따라 (ΔE 2.0 이하)
색차(ΔE)
600시간
시험) 광택유지율 KSM ISO 4982-3,
(%)
- 80 이상 - - -
KSD 8303

내오염성 - ΔL 3.0 이하 - - - KSM 3802

색 상 -
지정된 색상과 큰 차이가 - - - KSM 5000-3011
없을 것
난연성 - 난연3급 이상일 것 - - - KSF 2271

화 연기독성 - 1.6 이하
재 도시철도
안 화염전파 1.5 이상 차량
정 연속지속열 안전기준
성 연기밀도 내장판에 대한 기준치 적용
산소지수 40 이상
불휘발전색제중
불소함량 - 15 이상 - - - 불소도료인 경우

내충격성
(높이 50 cm, 300 g)
- 갈라짐․벗겨짐이 없을 것 - - - KSMJ ISO 6272-1

밀 착 성 - 0급 이상 - - - KSM ISO 2409

백색, 담색 : 0.9 이상
은 폐 율 -
기타 색 : 0.8 이상 - - - KSM ISO 2814

확산반사율 - 80 이상 - - - KSM 5000-3121

2.3 시료 채취 및 시험방법
터널 내오염 도장 도료에 대한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은 SPS-KPIC
5001~5014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포장단위는 실부피를 기준하여 1 ℓ, 4 ℓ, 10 ℓ, 16 ℓ, 18 ℓ, 20 ℓ,
180 ℓ
등 각각의 개별 규격에 따라 포장하며, 포장용기에는 품명 · 단체
표준번호 · 색상 ·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 · 종류 · 용도 · 실부피 · 제조년
월일 및 로트 번호 ·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등을 개별 규격의 표시 사항
에 따라 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사항 없음

15- 157
현행(2009) 개정 안(2015) 사유(근거)

15-16 도로표지 도료용 유리알 15-16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1. 일반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도로표지용 도료에 사용하는 무색 투명한 반사용 유리알에 대하여 이 시방은 도로 표지용 도료에 사용하는 무색 투명한 반사용 유리알에 대

적용한다. 하여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1.2 참조규격
[수정] 불필요한 문장 삭제

1.2.1 다음의 제 기준을 적용한다. KS A 3251-1 데이터의 통계적 해석 방법-제1부 : 데이터의 통계적 기

KS A 5101 표준체 술

KS E 3605 분괴 혼합물의 샘플링 방법 통칙


KS A 5101-1 시험용 체-제1부 : 금속 망 체
KS E 3605 분괴 혼합물-샘플링 방법 통칙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L 2521 도로 표지 도료용 유리알

KS L 6512 연마재의 시료 채취 방법 KS L 6512 연마재의 샘플링 방법


KS M ISO 6353-2 화학 분석용 시약-제2부 : 표준-제1집
KS M ISO 6353-3 화학 분석용 시약-제3부 : 표준-제2집
EN 1436 Road marking materials - Road marking performance for
road users, 2007

1.3 제출물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 편 1-2-4절(공무행정 및 제출물) 1.6에 따라 해당 공사
1.3.1 이 시방서 1-2-4절 1.5에 따라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 요청서 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 재 료 2.1 종류
유리알은 입도에 따라 1호(1종, 2종), 2호(1종, 2종), 3호(1종, 2종)의 6종
2.1 종류 으로 분류한다.

유리알은 입도에 따라 1호(1종, 2종), 2호(1종, 2종), 3호(1종, 2종)의 6종으로 분


류한다. 2.2 품질기준

품질은 표 15-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