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기계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설명]

작성일자 2022. 11.


목차
1. 내진설계 관련 기준
1-1. KDS 41 17 00 신ᆞ구조문대비표
1-2.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 비교

2. 내진설계 기준 검토
2-1. 기능수행의 정의 (KDS 41 17 00)

3. 내진 적용 항목
3-1.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3-3. 유사현장 설계 기준
3-4.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분류
3-5. 덕트 내진설계 기준 (KDS 41 17 00)

4. 내진 설계방법
4-1. 내진 계산서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장치 및 설치 상세도
5-2. 내진장치 설치 사진
5-3. 기계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용역
5-4. 기계 비구조요소 구조해석

별첨.
1. 내진설계 관련 기준
1-1. KDS 41 17 00 신ᆞ구조문 대비표

18.1.1 KDS 41 17 00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항목 현행 제정(안) / 개정(안) 근거 / 사유
18.1 18.1 일반사항 18.1 일반 현재도 수화수조는 18.1
일반사항의 문구를 근거로
건축구조물에 영구히 설치되는 건축, 기계 및 전기설비 등의 비구조요소와 그 지 (1) 건축구조물에 영구히 설치되는 건축, 기계 및 전기설비 등의 비구조요소와
19장의 규정에 따라 설계가
지부 및 연결부는 이 절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단, 구조물 유효중량의 그 지지부 및 연결부는 이 절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단, 구조물 유효중
이루어지고 있음. 검토자의
25%를 초과하는 비구조요소는 건물외구조로 분류하여 19장의 규정을 따른다. 량의 25%를 초과하는 비구조요소는 건물외구조로 분류하여 19장의 규정을 따 의견을 반영하여설계절차를
또한 기계 혹은 전기 비구조요소를 내장하고 있는 높이 1.8m 이상의 모듈형 공 른다.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18.1
일반사항의 해당문구를
장제작품으로서 18장에 해당 설계규정이 없는 경우 19장의 건물과 유사한 건물 (2) 또한 기계 혹은 전기 비구조요소를 내장하고 있는 높이 1.8m 이상의 모듈형
아래와 같이 수정함.
외구조물의 규정에 따른다. 하지만 모듈형 시스템에 내장되거나 모듈형 시스템 공장제작품으로서 18장에 해당 설계규정이 없는 경우 19장의 건물과 유사한 건
에 의해 지지되는 비구조요소는 18장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물외구조물의 규정에 따른다. 하지만 모듈형 시스템에 내장되거나 모듈형 시스
건물외구조물(창고용 선반과 탱크 포함)은 19장의 규정에 따라 설계된다. 템에 의해 지지되는 비구조요소는 18장의 규정에 따라 설계되어야 한다.
(3) 창고용 선반과 탱크, 소화수조는 19장의 규정에 따라 설계한다.

18.1.1 18.1.1 적용범위 18.1.1 적용범위 [수정] 적용범위를 해석하는


적용범위 데에 어려움이 있
다음의 비구조요소는 18장의 규정에 따라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1) 다음의 비구조요소는 18장의 규정에 따라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어(다수의 민원 발
(1) 중요도계수 가 1.5인 비구조요소 ① 중요도계수 가 1.5인 비구조요소
생), 문구 수정 및
(2) 파라펫, 건물외부의 치장 벽돌 및 외부치장마감석재 ② 파라펫, 건물외부의 치장 벽돌 및 외부치장마감석재 번호체계 수정 필
위의 규정에 속하지 않는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 여부는 건축주와의 협의에 따 (2) 상기 (1)에 속하지 않으면서, 다음에 해당하는 전기 및 기계비구조요 요

른다. 소는 18장의 규정에 따른 설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전기 및 기계비구조요소는 이 조항을 적용하지 않는다. ① 중요도계수 가 1.0이면서 바닥으로부터 설치높이 1.2m 이하, 중량
(1) 중요도계수 가 1.0이면서 바닥으로부터 설치높이 1.2m 이하, 중량 1,800N 이하이고 덕트나 파이프와의 연결부가 유연한 재료로 구성
1,800N 이하이고 덕트나 파이프와의 연결부가 유연한 재료로 구성 되어 있는 경우
되어 있는 경우 ② 중량 100N 이하, 단위길이당 중량이 70 N/m 이하인 경우
(2) 중량 100N 이하, 단위길이당 중량이 70 N/m 이하인 경우 (3) 상기 (1)과 (2)에 속하지 않는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 여부는 건축주
와의 협의에 따른다.
1. 내진설계 관련 기준
1-1. KDS 41 17 00 신ᆞ구조문 대비표

18.1.1 KDS 41 17 00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항목 현행 제정(안) / 개정(안) 근거 / 사유
18.1.2 18.1.2 중요도계수 18.1.2 중요도계수 [추가] 지진시 물의 슬로싱(sloshing)에 의해 수조가 파괴될 수 있
중요도계수 으므로, 소화수조에 대한 내진설계 적용 필요
비구조요소의 중요도계수 는 1.0으로 한다. 단, 다음에 해당할 경 (1) 비구조요소의 중요도계수 는 1.0으로 한다. 단, 다음에
또한,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소방청 고시)에서도
우 를 1.5로 한다. 해당할 경우 를 1.5로 한다.
“수조는 지진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과도한 변위가 발생
(1) 소화배관과 스프링클러 시스템 등 인명안전을 위해 지 ① 소화배관과 스프링클러 시스템, 소화수조 등 인명안 하지 않도록 기초(패드 포함), 본체 및 연결부분의 구조
진 후에도 반드시 기능하여야 하는 비구조요소. 또한 전을 위해 지진 후에도 반드시 기능하여야 하는 안전성을 확인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있어, 건축구조
기준에서도 내진설계 대상으로 통일 필요
피난경로상의 계단, 캐노피, 비상유도등, 중량칸막이 비구조요소. 또한 피난경로상의 계단, 캐노피, 비
“중량칸막이벽”에서 공식용어가 아니고 중량의 정의가 모호하므로
벽 등 손상시 피난경로확보에 지장을 주는 비구조요소 상유도등, 칸막이벽 등 손상시 피난경로확보에
“칸막이벽”으로변경
와 대형 창고형 매장 등에 설치되어 일반대중에게 개 지장을 주는 비구조요소와 대형 창고형 매장 등
방된 적재장치 에 설치되어 일반대중에게 개방된 적재장치

18.1.2 중요도계수

③ 표 2.2-1의 내진특등급에 해당하는 구조물에서 시설물의 지속적인 기능수행을 위해 필요하거나 손상시 시설물의 지속적인 가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비구조
요소

<표2.2-1> 내진등급과 중요도계수


건축물의 중요도1) 내진등급 내진설계 중요도계수(IE )
- 내진특등급 내 대부분의 비구조요소는 중요도 Ip 를 1.5
중요도(특) 특 1.5
로 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기능유지와 상관없는 비구조요
중요도(1) Ⅰ 1.2 소의 경우 비구조요소 자체가 정상작동하지 않더라도 위
중요도(2), (3) Ⅱ 1.0 치유지(탈락방지)를 위해 장착부는 중요도계수 Ip를 1.5로
설계되어야 한다.
1) KDS 41 10 05(3.)에 따름.
1. 내진설계 관련 기준
1-2.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 비교

1.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 비교자료

항목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별표 11] KDS 41 10 05:2022 건축구조기준 총칙 비고


1.연면적 1,000m2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ㆍ국가 또는 (1) 연면적 1,000 ㎡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건축물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별표 11]
지방자치단체의 청사ㆍ외국공관ㆍ소방서ㆍ발전소ㆍ방송국ㆍ전신 (2) 연면적 1,000 ㎡ 이상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
전화국ㆍ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센터 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데이터센터 비고: 중요도(특)에 해당하는 데이터센터는 국가
2.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3)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구축이나 운영에
중요도(특) (4)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 관한 권한 또는 업무를 위임ㆍ위탁한
축물 데이터센터를 포함한다.
(5) 중요도(특)으로 분류된 건축물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부
속 건축물 및 공작물
1. 연면적 1,000㎡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ㆍ국가 또는 지 (1) 연면적 1,000 ㎡ 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방자치단체의 청사ㆍ외국공관ㆍ소방서ㆍ발전소ㆍ방송국ㆍ전신전 (2) 연면적 1,000 ㎡ 미만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
화국ㆍ중요도(특)에 해당하지 않는 데이터센터 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데이터센터
2. 연면적 5,000㎡이상인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전시장ㆍ운동 (3) 연면적 5,000㎡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전시장·운동시설·
시설ㆍ판매시설ㆍ운수시설(화물터미널과 집배송시설은 제외함) 판매시설·운수시설(화물터미널과 집배송시설은 제외함)
중요도(1) 3. 아동관련시설ㆍ노인복지시설ㆍ사회복지시설ㆍ근로복지시설 (4) 아동관련시설·노인복지시설·사회복지시설·근로복지시설
4. 5층 이상인 숙박시설ㆍ오피스텔ㆍ기숙사ㆍ아파트ㆍ교정시설 (5) 5층 이상인 숙박시설·오피스텔·기숙사·아파트
5. 학교 (6) 학교
6. 수술시설과 응급시설 모두 없는 병원, 기타 연면적 1,000㎡이상 (7) 수술시설과 응급시설 모두 없는 병원, 기타 연면적 1,000㎡이
인 의료시설로서 중요도(특)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상인 의료시설로서 중요도(특)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중요도(2) 1. 중요도 (특), (1), (3)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1) 중요도(특), (1), (3)에 해당하지 않는 건축물
1. 농업시설물, 소규모창고 (1) 농업시설물, 소규모창고
중요도(3) 2. 가설구조물 (2) 가설구조물

국토교통부 답변 (1AA-2211-0063451)
- 우측 국토교통부 질의 답변에 의거하여 KDS 41 10 05:2022의 중
요도(특)에 해당하는 데이터센터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데
이터센터를 의미함.

- (4),(5) 항목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과의


차이에 대한 부분은 별도 국토부 질의 진행중
(22년 11월 22일 답변 예정)
2. 내진설계 관련 적용항목
2-1. 기능수행의 정의 (KDS 41 17 00)

1. 기능 수행 고려사항

- KDS 41 17 00 중 18.1.2 중요도 계수 (3)항에서 언급되는 시설물의 지속적인 기능수행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20. 기능수행 고려사항


20.1 일반사항
(1) 기능수행 성능수준은 지진 이후에도 건축물이 그 용도에 따른 고유한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여 지진 이전과 다름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적 안전성 외에도 건축물의 용도와 관련된 각종 설비 및 내용물이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능수행 성능수준에서 기능수행이 요구되는 비구조요소의 최소범위는 18.1.2에서 를 적용하도록 요구되는 비구조요소이다.
(3) 발주자가 요구하는 경우 15장에 따라서 성능목표, 지진위험도를 결정하고 해당 지진위험도에 대하여 비구조재의 기능수행 수준을 만족하도록
설계한다.
(4) 기능수행 성능수준이 요구되는 건축물은 이 기준에서 정한 수준의 지진 발생 직후 처짐, 횡변형 또는 다른 변형이 해당 시설물의 기능 장애를
유발하지 않도록 구조시스템과 부재 및 연결부가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5) 기능수행 성능수준이 요구되는 비구조요소의 시스템 및 그 정착부는 이 기준에서 정한 수준의 지진 발생 직후 해당 시설물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6) 기능수행 성능수준이 요구되는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의 시스템 및 그 구성요소는 이 기준에서 정한 수준의 지진 발생 직후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인증되거나 또는 보호되어야 한다.

20.4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의 기능수행


(1) 20.1(2)에 따라 기능수행이 요구되는 비구조요소 중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는 18.1.3.2 및 18.1.3.4에 따라 기능수행에 해당되는 내진성능
을 입증하여야 한다.
(2) 기능수행이 요구되지 않는 내진설계대상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는 18장에 따라서 내진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3. 내진 적용 항목
3-1.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1.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 기계설비법에 따른 12종류의 기계설비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내진설계 대상 선정


- 국내ㆍ외 기계설비 내진설계기준을 조사하여 분류별 설계 여부를 결정

< 기계설비별 내진설계 대상 선정 >

열원설비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위생설비 오수정화설비 우수배수설비

냉동기 팬코일유니트 공기조화기 저수조 블로워 우수조


보일러 컨벡터 급배기팬 급수·배수펌프 에어펌프 우수배수펌프
냉온수기 등 냉난방배관 등 전열교환기 등 급수·배수배관 등 오수배관 등 우수배관 등

보온설비 덕트설비 자동제어설비 방음·방진·내진설비 플랜트설비 특수설비

장비보온설비 공조덕트 DDC 판넬 방음설비 산업생산시설 냉동·냉장설비


배관보온설비 급배기덕트 감시반 설비 방진설비 환경시설 특수청정설비
덕트보온설비 등 덕트기구류 등 제어기기류 등 내진설비 등 발전소설비 등 폐기물설비 등

*기계설비법 시행령[별표1]에 따른 기계설비 종류


3. 내진 적용 항목
3-1.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장비

2. 기계설비별 내진설계 대상 선정 방법
-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KCS 31 50 10 15 「내진설비공사」 를 바탕으로 대상 선정

- 구체적인 내진설계 대상 선정은 국외 Code 참고


□ 국내의 건축 구조 기준:
-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 KCS 31 50 10 15 내진설비공사 표준시방서
-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소방청 고시 제2017-1호)

□ 국외의 건축구조 기준:


- ASCE/SEI 7-10: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 ASCE 41 Seismic Evaluation and Retrofit of Existing Buildings
- Eurocode 8 : Design of structure for earthquake resistance -ISEC
- FEMA 412: Installing Seismic Restraints for Mechanical Equipment
- FEMA 413: Installing Seismic Restraints for Electrical Equipment
- FEMA 414: Incremental Seismic Restraints for Duct and Pipe
- UFC 3-310-04 Seismic Design of Buildings – WBDG
- ASHRAE / ICC : Practical Guide to SEISMIC RESTRAINT
- 建築設備耐震設計. 施工指針 -日本建築센터

<KDS 41 17 00> <ASCE 7-10> <ASHRAE/ICC> <建築設備耐震設計>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1. 열원설비
- 건축물등에서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가열, 냉각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냉동기, 보일러, 냉각탑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 기계 및 전기 비구조 요소의 설계 계수 표에 대상 표기
KDS 41 17 00 ○
 18.4.7 보일러와 압력저장시설

 2.2 냉각탑 내진장치

KCS 31 50 10 15 ○  2.3 냉동기류 내진 장치
 2.4 냉온수 유닛 내진장치

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매달린 장비)


ASHRAE ★  Chapter11-Floor Mounted equipment (바닥 고정형 장비)

 장비 설치 형태에 따라 기준 명시함

 장비(Air Conditioning Units and Heat Pumps , Boilers, Chillers ,


FEMA 412 (기계) ★
Coils and Heat Exchangers ) 의 내진 설치 방법 지침 명시

내진 대상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2. 냉난방설비
- 건축물 등에서 일정한 실내온도 유지를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팬코일유니트, 컨벡터, 냉난방 배관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KDS 41 17 00 ○  기계 및 전기 비구조 요소의 설계 계수 표에 대상 표기



 2.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에 “ 중요도가 높은 장비와 같이 설

KCS 31 50 10 15 ○ 치되는 냉난방 공조장비와 연결된 배관은 해당실 (기계실, 공조실) 내
전체 내진장치를 설치한다"

 Chapter8- Suspended Piping (매달린 배관)


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매달린 장비)
ASHRAE ★  Chapter11- Floor Mounted equipment (바닥 고정형 장비)

 장비 설치 형태에 따라 기준 명시함

 배관 재질별 Bracing 간격 명시함

FEMA 412 (기계) ★  장비(Fan-coil Units) 의 내진 설치 방법 지침 명시

내진 대상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3. 환기설비
- 건축물 등에서 온도,습도, 청정도, 기류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공기조화기 급배기팬, 전열교환기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KDS 41 17 00 ○  기계 및 전기 비구조 요소의 설계 계수 표에 대상 표기



KCS 31 50 10 15 ○  (공조기 및 송풍기) 바닥, 천장 설치형으로 구분

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매달린 장비)


ASHRAE ★  Chapter11- Floor Mounted equipment (바닥 고정형 장비)

 장비 설치 형태에 따라 기준 명시함

FEMA 412 (기계) ★  장비(Air Handling Units, Fans) 의 내진 설치 방법 지침 명시

내진 대상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4. 환기설비
- 건축물등에서 위생과 냉수ㆍ온수 공급, 오배수, 오배수관 통기(通氣) 등을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저수조, 급수ㆍ배수펌프,

5. 오수정화설비
- 건축물등에서 오수를 정화하여 배출하거나 정화된 물을 재이용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블로워, 에어펌프, 오수배관 등

6. 우수배수설비
- 건축물등에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우수조, 우수배수펌프, 우수배관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국 KDS 41 17 00 ○  기계 및 전기 비구조 요소의 설계 계수 표에 대상 표기


내 KCS 31 50 10 15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국 ASHRAE ★  배관의 재질별 Bracing 간격 기준 명시함

외 FEMA 412 (기계) ★  장비(Pumps) 의 내진 설치 방법 지침 명시

내진 대상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7. 덕트설비
- 건축물등에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풍량 등을 조절하고 급기(給氣)ㆍ배기 및 환기 등을 위하여 설치된 설비
공조덕트, 급배기덕트, 덕트기구류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 기계 및 전기 비구조 요소의 설계 계수 표에 대상 표기
KDS 41 17 00 ○
 18.4.5 덕트


 2. 자재의 2.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
KCS 31 50 10 15 ○
 3. 내진시공의 3.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

ASHRAE ★  Chapter7- Suspended Ductwork (매달린 덕트) 기준 명시함




FEMA 414 (덕트) ★  덕트의 Bracing, 설치 형태에 따라 기준 명시함

내진 대상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8. 보온설비
- 건축물등에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보온, 보냉, 결로 및 동결 방지 등을 위하여 설치된 설비
장비보온설비, 배관보온설비, 냉온수기 등

9. 방음ᆞ방진ᆞ내진설비
- 건축물등에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소음, 진동, 전도 및 탈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설비
방음설비, 방진설비, 내진설비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KDS 41 17 00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내 KCS 31 50 10 15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ASHRAE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FEMA 412 (기계)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내진 대상 제외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10. 자동제어설비
- 건축물등에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감시, 제어․관리 및 통제 등을 위하여 설치된 설비
DDC 판넬, 감시반 설비, 제어기기류 등
,

11. 프랜트설비
- 건축물등에서 생산물의 제조ㆍ생산ㆍ이송 및 저장이나 오염물질의 제거 및 저장 등을 위하여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산업생산시설, 환경시설, 발전소 설비 등

12. 특수설비
- 건축물등에 설치된 기계ㆍ기구ㆍ배관 및 그 밖에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의 감시, 제어․관리 및 통제 등을 위하여 설치된 설비
냉동ㆍ냉장설비, 특수청정설비, 폐기물설비 등

구분 규격 평가 내용

국 KDS 41 17 00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내 KCS 31 50 10 15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국 ASHRAE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외 FEMA 412 (기계) Ⅹ  명시되어 있지 않음

별도의 내진 적용
3. 내진 적용 항목
3-2. 기계설비 내진설계 대상 분석

13. 국ᆞ내외 기준별 내진설계 대상 분류


내진 내진
설비 국내·외 CODE 설계 설비 국내·외 CODE 설계
대상 대상
KDS 41 17 00 18.4.7 보일러와 압력저장시설 ○ ④ 위생설비 KDS 41 17 00 18.4.6 파이프 및 배관 시스템 ○

2.2 냉각탑 내진장치 ⑤오수정화 KCS 31 50 10 15 - Х

KCS 31 50 10 15 2.3 냉동기류 내진 장치 ○ 설비 ASHRAE Chapter8- Suspended Piping ○ ○


2.4 냉온수 유닛 내진장치 ⑥우수배수
① 열원설비 ○ FEMA Pumps ○
설비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ASHRAE ○
Chapter11-Floor Mounted equipment KDS 41 17 00 18.4.5 덕트 ○

Air Conditioning Units and Heat Pumps , 2.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


FEMA ○ KCS 31 50 10 15 ○
Boilers, Chillers , Coils and Heat Exchangers ⑦ 덕트설비 3.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 ○

KDS 41 17 00 18.4.7 보일러와 압력저장시설 ○ ASHRAE Chapter7- Suspended Ductwork ○

KCS 31 50 10 15 2.5 기계실의 배관 및 덕트 내진장치 ○ FEMA Duct ○

② 냉난방 Chapter8- Suspended Piping ⑧ 보온설비 KDS 41 17 00 - Х



설비 ASHRAE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 ⑨ 자동제어 KCS 31 50 10 15 - Х

Chapter11- Floor Mounted equipment 설비 ASHRAE - Х Х

FEMA Fan-coil Units ○ ⑩ 방음·방진·


FEMA - Х
내진설비
KDS 41 17 00 18.4.2.1 기계 비구조요소 ○
KCS 31 50 10 15 2.1 공조기 및 송풍기 내진 장치 ○ KDS 41 17 00 - Х
⑪ 플랜트
③ 환기설비 Chapter10- Suspended equipment ○ KCS 31 50 10 15 - Х
ASHRAE ○ 설비 Х
Chapter11- Floor Mounted equipment ASHRAE - Х
⑫ 특수설비
FEMA Air Handling Units, Fans ○ FEMA - Х

<기계설비 내진설계 기준 대상 분석 결과>


3. 내진 적용 항목
3-3. 유사현장 설계기준

1. 00공항 내진설계 단계별 적용 항목


3. 내진 적용 항목
3-3. 유사현장 설계기준

2. 00데이터센터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리스트


3. 내진 적용 항목
3-4.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분류 장비
1.1 특등급 건물 비구조요소 설계 항목 – 장비 * 일등급 비구조요소는 기본적으로 포함함.

구분 타입 내진 방법 비고
냉동기 내진스토퍼 또는 방진 겸용 마운트 냉동기 외형에 따라 스토퍼 및 마운트 선정
냉각탑 내진스토퍼 또는 방진 겸용 마운트 냉동기 외형에 따라 스토퍼 및 마운트 선정
증기보일러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열교환기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공기조화기, 외기조화기 내진스토퍼 이동방지형 스토퍼
천정형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내진 케이블 4EA, 내진로드(스티프너+클램프) 4EA
팬코일유니트
바닥형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항온항습기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팽창기수분리기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내진 적용 항목 헤더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특등급 건물)
환기유니트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내진 케이블 4EA, 내진로드(스티프너+클램프) 4EA
천정형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내진 케이블 4EA, 내진로드(스티프너+클램프) 4EA
송풍기,배풍기
바닥형 내진스토퍼 이동방지형 스토퍼
탈취유니트 내진스토퍼 이동방지형 스토퍼
탱크 내진스토퍼 또는 내진 앵커볼트 이동방지형 스토퍼 또는 FAZ Ⅱ10,12,16,20
펌프 내진스토퍼 또는 내진 앵커볼트 이동방지형 스토퍼 또는 FAZ Ⅱ10,12,16,20
냉각탑살균장치 내진스토퍼 또는 내진 앵커볼트 이동방지형 스토퍼 또는 FAZ Ⅱ10,12,16,20
천정형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내진 케이블 4EA, 내진로드(스티프너+클램프) 4EA
실내기
바닥형 내진 앵커볼트 FAZ Ⅱ10,12,16,20
실외기 내진 가대 내진 방진 겸용 실외기 가대
기타장비 건물의 지속적인 가동에 필요한 장비 일체 내진 필요
3. 내진 적용 항목
3-4.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분류
1.2 특등급 건물 비구조요소 설계 항목 – 배관 및 덕트 * 일등급 비구조요소는 기본적으로 포함함.

구분 타입 내진 방법 비고
횡/종방향 버팀대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지 않을때 사용
공조, 급수, 급탕, 수평배관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때 사용
환탕, 중수, 보충수 공통가대 철물 공통가대로 지지시에 구조검토로 철물 지지
배관 방진 적용 방진 내진 겸용 마운트 사용 -
입상배관
방진 미적용 4방향 버팀대 -
횡/종방향 버팀대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지 않을때 사용
배수, 오수, 통기, 수평배관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때 사용
우수, 냉매 배관 공통가대 철물 공통가대로 지지시에 구조검토로 철물 지지
입상배관 4방향 버팀대 -
수평배관 (천장형) 내진 브라켓 구조검토 진행

가스배관 수평배관 (측벽 / 바닥지지형) 내진 브라켓 구조검토 진행


입상배관 내진 브라켓 구조검토 진행

2. 일등급 건물 비구조요소 설계 항목
구분 타입 내진 방법 비고
횡/종방향 버팀대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지 않을때 사용
수평배관
유류배관 내진 케이블 및 로드 스티프너 개별배관이며 천정까지 거리가 길때 사용
입상배관 4방향 버팀대 -

특기사항 현장 유류탱크 용량(경유의 경우 1,000 Liter)에 따라 1등급 이하의 건물에서도 내진 필수항목으로 분류.

비고: 위험물안전 관리법과 소방법에 규정된 지정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내진 필수 항목으로 분류되며, 위험물질별
지정수량은 위험물안전 관리법 시행령 별표 1에 따라 결정된다.
3. 내진 적용 항목
3-5. 덕트 내진설계 기준 (KDS 41 17 00) 덕트
구분 타입 내진 방법 KDS 41 17 00중 18.4.5(2)

찬넬 구조체 검토 또는 내진 케이블 및 로드 18.2의 지진력 및 상대변위에 대한 설계는 다른 덕트 또는 기계 구성 요소와의 충돌을 방지


수평덕트
스티프너 (횡-9m, 종-18m) 하거나 그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덕트를 보호하기 위한 조항이 있는 경우, 혹은 단면적이
덕트
0.6m² 미만이고 무게가 300N/m(≒30kg/m)이하인 덕트가 구조물에 튼튼히 부착된 경우
입상덕트 공동구가대 구조검토
요구되지 않는다.

지지간격 W H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200

500 10.0 kg 12.0 kg 13.0 kg 14.0 kg 16.0 kg 17.0 kg 18.0 kg 20.0 kg 21.0 kg 24.0 kg

600 12.0 kg 13.0 kg 14.0 kg 16.0 kg 17.0 kg 18.0 kg 20.0 kg 21.0 kg 23.0 kg 25.0 kg

700 13.0 kg 14.0 kg 16.0 kg 17.0 kg 18.0 kg 20.0 kg 21.0 kg 23.0 kg 24.0 kg 27.0 kg

800 19.0 kg 21.0 kg 23.0 kg 24.0 kg 26.0 kg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7.0 kg

900 21.0 kg 23.0 kg 24.0 kg 26.0 kg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9.0 kg

1000 23.0 kg 24.0 kg 26.0 kg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7.0 kg 41.0 kg

1m 1100 24.0 kg 26.0 kg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3.0 kg

1200 26.0 kg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5.0 kg

1300 28.0 kg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3.0 kg 47.0 kg

1400 30.0 kg 32.0 kg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3.0 kg 45.0 kg 48.0 kg

1500 32.0 kg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3.0 kg 45.0 kg 47.0 kg 50.0 kg

1600 34.0 kg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3.0 kg 45.0 kg 47.0 kg 48.0 kg 52.0 kg

1700 36.0 kg 37.0 kg 39.0 kg 41.0 kg 43.0 kg 45.0 kg 47.0 kg 48.0 kg 50.0 kg 54.0 kg

* 덕트 W + H = 1600mm 이상인 경우 내진 적용 대상 (실제 현장에 사용되는 자재에 따라 무게는 상이할 수 있음.)


4. 내진 설계 방법
4-1. 내진계산서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부스터 펌프

인라인펌프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열교환기

팽창기수분리기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직교류형
냉각탑

압입송풍형
냉각탑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냉동기

팽창탱크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공기조화기

송배풍기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천정형 실내기

실외기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상세도 비고

송배풍기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적용방안 비고

공통배관

단독배관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1. 내진 장치 및 설치 상세도
장비명 이미지 내진 제품 적용방안 비고

덕트

입상배관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2. 내진장치 설치 사진

<펌프 내진 스토퍼 설치 사진> <입상 배관 내진 스프링 설치 사진> <수평 배관 내진 브레이싱 설치 사진>

<냉각탑 내진 스토퍼 설치 사진> <천정형 실내기 내진 브레이싱 설치 사진> <공조기 내진 스토퍼 설치 사진>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3. 기계비구조요소 내진설계 용역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3. 기계비구조요소 내진설계 용역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4. 기계비구조요소 구조해석
5. 설비별 내진설계 예시
5-4. 기계비구조요소 구조해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