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20 │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토목시설물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Objectives
of Civil Facilities

김익현 | Ickhyun Kim |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1. 서 론 계가 먼저 수행되기 시작하였으며, 1991년에 2. 내진설계의 위계


고속철도, 1992년에 도로교, 1993년에 댐 순
지진에 대한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대비 으로 주요 시설물에 한해서 내진설계가 수행 우리나라 시설물의 내진설계는 관계법령에 의
는 신설 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와 기존 시설 되었다. 그 후 1995년 일본 고오베 지진을 계 해서 규정된 내용과 내진설계기준에 의해서
물에 대한 내진보강이다. 신설 시설물은 시설 기로 지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고조되기 시 규정된 것이 있다. 내진설계기준은 모든 시설
물별로 제정된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함으 작하였으며 중앙정부에서도 자연재해대책법 물의 내진설계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로써 쉽게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내진설 (1997년)을 제정하여 20종의 시설물에 대하여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공통기준으로서의 내진
계가 수행되지 않은 기존시설물의 경우도 신 내진설계를 실시하도록 법제화하였으며, 국 설계기준(“내진설계 공통기준”)이 있으며, 시
설 시설물의 내진성능과 동등한 수준의 내진 토교통부에서는 시설물의 내진설계의 일관성 설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 내진설계 공통기
성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위 상위기준으로 알려 준에 부합되도록 작성하는 시설물 내진설계기
지진발생이 빈번한 지각판의 경계부에서 떨어 진 매뉴얼(내진설계기준연구 II, 1997)을 작성 준이 있다(그림1 참조).
진 판 내부(유라시아 판)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 하였다. 대부분의 시설물은 이 매뉴얼에 따라
진세기가 크지 않아서 내진설계가 수행되지 내진설계기준을 정비하였다. 당시 이러한 시
않은 시설물도 설계지진에 대해 안전한 경우 설물의 내진설계기준은 기술력 부족으로 해외 지진·화산재해대책법 및 시행령
가 많다. 따라서 기존시설물에 대해서 합리적 강진지역의 내진개념과 설계법을 도입하여 적
으로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내 용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와 같은 중약진의
진성능을 평가하고 내진성능이 부족한 경우 지진환경에는 잘 맞지 않는 요소가 많았다. 최 내진설계 공통기준_ 상위기준
에 한하여 소요내진성능을 확보하는 보강작업 근에는 내진설계와 관련한 연구 성과가 많이
을 수행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시 축적되어서 상당부분 우리나라 고유의 내진설
시설물 내진설계기준_ 기술기준
설물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내진성능평가와 내 계개념과 설계기법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내
진보강이 가능하도록 관련 요령(매뉴얼)을 구 진설계 대상시설물도 20종에서 31종으로 확

비하여 내진보강 기본계획에 따라 계획적으로 대되어서 대부분의 주요시설물에 대해서 내진



내진보강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설계가 수행되고 있다.


*
*
*
*

우리나라의 내진설계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 이 원고에서는 신설구조물에 대한 현행 내진


다. 원자력시설물의 경우는 도입과 함께 내진 설계와 내진성능목표에 대해서 고찰하였으며


설계가 수행되었지만 다른 일반시설물은 내진 향후 체계적인 지진재난관리를 위한 보다 진
설계가 수행되지 않았다. 1988년 멕시코 지진 일보한 내진설계개념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재료기준 (콘크리트, 강구조,…)

에 대한 경각심으로 건축물에 대해서 내진설 그림 1. 내진설계와 관련한 위계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 21

시설물 유형 관계법령 및 대상시설 관련내진기준


• 건축법(국토교통부)
1. 건축물 • 건축구조기준
• 3층이상, 연면적 500m2 이상 건축물 등
• 방조제 관리법(농림축산식품부) 공유수면 관리 및
2. 배수갑문 매립에 관한 법률(국토교통부) • 농지개량사업계획 설계기준
• 방조제(배수갑문 포함)
• 항공법(국토교통부)
3. 공항시설 • 공항시설 내진설계기준
• 건축물, 교량, 지중구조물, 비행장, 기타시설물 등
• 하천법(국토교통부)
4. 수문(국가하천) • 하천설계기준
• 수문(국가하천)
5. 농업생산 • 농어촌정비법(농림축산식품부)
•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_필댐편
기반시설 • 높이 15m, 총 저수량 50만톤 이상 저수지
• 댐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등에 관한 법률(국토교통부)
6. 다목적댐 • 댐 설계기준
• 다목적댐
•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국토교통부)
7. 일반댐 • 댐 설계기준
• 용수전용, 홍수조절용
• 도로법(국토교통부)
8. 도로시설물 • 교량(고속, 일반국도, 지방도), 터널(고속, 일반국도, • 도로교설계기준
지방도)
• 도시가스사업법,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액화석유
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산업통상자원부) • 가스시설 내진설계 기준
9. 가스시설물
• 액화석유가스저장탱크, 고압가스저장탱크, • 가스배관 내진설계 기준
도시가스저장태크, 지지구조물 및 기초 및 배관
• 도시철도법(국토교통부)
10. 도시철도 •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 교량, 터널, 역사
•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
11. 압력용기 •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고시
• 유체압력을 받는 밀폐된 용기
•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
12. 크레인 • 천장주행 및 갠트리 크레인, 호이스트, 타워크레인, •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고시
지브형크레인
•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
13. 리프트 •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고시
• 건설작업용, 일반작업용 및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
•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산업통상자원부)
14. 석유저장시설 • 가스시설 내진설계기준
• 석유생산시설, 정제시설 및 비축시설
• 송유관 안전관리법(산업통상자원부)
15. 송유관 • 송유관설치공사의 내진설계기준
• 송유관
•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환경부)
16. 폐수종말시설 • 폐수종말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관리지침
• 폐수 송·배수시설, 폐수처리시설
• 수도법(환경부)
17. 수도시설 • 상수도시설기준
• 취수, 정수, 저수, 도수, 송수 및 배수시설
• 어촌·어항법(해양수산부)
18. 어항시설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 방파제, 파제제, 호안, 물양장, 선착장, 선양장, 부잔교 등
19. 원자로 및 • 원자력법(원자력안전위원회)
• 원자로시설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
관계시설 • 원자로,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 및 관계시설 등
• 전기사업법(산업통상자원부), 건축법(국토교통부) • 전기설비 기술기준
20. 전력시설
• 수력설비, 화력설비, 송변전설비, 변전소건축물 등 • 건축구조기준
• 철도산업발전기본법(국토교통부)
21. 철도시설 •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 교량, 터널, 역사
• 폐기물관리법(환경부)
22. 매립시설 • 폐기물 매립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연구
• 축대벽, 저류시설, 차수시설, 집배수시설, 침출수처리장 등
23. 공공하수 • 하수도법(환경부)
• 하수도시설기준
처리시설 • 하수관거, 중수도, 배수설비, 분뇨처리시설 등
• 철도건설법(국토교통부) • 고속철도설계기준
24. 고속철도
• 교량, 터널, 역사 • 도시철도 내진설계기준
• 항만법(해양수산부)
25. 항만시설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 갑문, 안벽, 방파제, 도로교량, 여객선터미널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교통부)
26. 공동구 • 지하공동구 설계기준
• 공동구
• 학교시설사업 촉진법(교육부)
27. 학교시설 • 학교시설 내진설계기준
• 초등, 중등 및 특수학교 등
• 궤도운송법(국토교통부)
28. 삭도 및 궤도 • 궤도시설의 건설에 관한설비기준
• 사면, 옹벽, 기초구조물, 지주, 정거장 및 건축물
• 관광진흥법(문화체육관광부) • 유기시설·유기기구의 안전성 검사의
29. 유기시설
• 유기시설, 유기기구 기준 및 절차
• 의료법(보건복지부)
30. 병원시설 • 건축구조기준
•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 전기통신기본법(미래창조과학부) • 방송통신설비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31. 전기통신설비
• 통신국사, 전원설비 대한 기술기준

표 1. 시설물별 관계법령 및 내진설계기준

제65권 제4호 2017년 4월


22 │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자연재해대책법(1997년), 제5장 지진방재대책 분류기준


지반
의 제34조에는 20종의 시설물에 대해서는 내 지반종류의 호칭
종류 기반암* 깊이, H (m)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 VS,Soil (m/s)
진설계를 실시하도록 법정 내진설계 대상시설
S1 암반 지반 1 미만 -
물로 지정하였으며 이후 자연재해대책법에서
S2 얕고 단단한 지반 260 이상
지진재해를 독립하여 새롭게 지진재해대책법 1∼20 이하
S3 얕고 연약한 지반 260 미만
을 제정하였으며(2008) 현재의 지진·화산재
해대책법에 이르고 있다. 이 지진·화산재해대 S4 깊고 단단한 지반 180 이상
20 초과
책법 제4장 내진대책의 제14조(내진설계기준 S5 깊고 연약한 지반 180 미만

의 설정)에서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 S6 부지 고유의 특성 평가 및 지반응답해석이 요구되는 지반


진이 발생할 경우 재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다 표 4. 지반분류 체계
음 각 호의 시설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표1 참조)에 대하여 관계 법령 등에 내진설계
기준을 정하고 그 이행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 지진구역 중 현행 기준에서 전라남도 남서부 다) 설계지반운동의 특성표현
도록 규정하고 있다. 는 지진II구역이었으나 공표될 고시안에는 지 암반지반인 S1과 토사지반인 S2, S3, S4, S5 지
진I구역으로 변경된다. 설계지진으로서 재현주 반의 5% 감쇠비에 대한 수평설계지반운동의 가
3. 내진설계 공통적용사항 기 4800년 지진이 새롭게 규정될 계획이며 위 속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각각 다음 그림
험도계수는 2.6이다. 과 같다.
「지진·화산재해대책법」 제14조(내진설계기
준의 설정)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에 따라 「내 나) 지반분류
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을 다음과 같이 고 국지적인 토질조건, 지표 및 지하 지형이 지반
시로서 정할 예정이다(국민안전처, 2017. 3월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토질
예정) 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분류한다. 이를 현행
의 지반분류와 비교하면 대폭적으로 수정된
가) 지역에 따른 설계지진의 세기 다. 현행 지반분류기준은 기반암까지의 깊이
우리나라의 지진구역과 재현주기 500년 지진 가 매우 깊은 미국 캘리포니아지역을 대상으
의 설계지반가속도의크기를 나타내는 지진구 로 한 구분으로서 우리나라와 같이 기반암의 A 전이주기(sec)
역계수(Z)과 재현주기 500년 지진에 대하여 깊이가 깊지 않은 지반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 (단주기스펙트럼
증폭계수) TO TS TL
각기 다른 재현주기를 갖는 설계지진의 지반 합하다. 이에 그 동안의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2.8 0.06 0.3 3
가속도의 비를 나타내는 위험도계수(I)는 각각 기반암까지의 깊이를 반영한 새로운 지반분류
그림 2. 암반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다음과 같다. 체계를 구축하였다.

지진구역 행정구역 지진구역 계수(Z)

Ⅰ 시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 세종


0.11g
도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남부*

Ⅱ 도 강원 북부**, 제주 0.07g

* 강원 남부 : 영월, 정선, 삼척, 강릉, 동해, 원주, 태백 S 단주기 장주기


** 강원 북부 : 홍천, 철원, 화천, 횡성,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 속초 증폭계수, Fa 증폭계수, Fv

지반 ≤ 0.1 0.2 0.3 ≤ 0.1 0.2 0.3


표 2. 지진구역 계수
S2 1.4 1.4 1.3 1.5 1.4 1.3

S3 1.7 1.5 1.3 1.7 1.6 1.5


재현주기 50년 100년 200년 500년 1,000년 2,400년 4,800년
S4 1.6 1.4 1.2 2.2 2.0 1.8
위험도계수(I) 0.4 0.57 0.73 1.0 1.4 2.0 2.6 S5 1.8 1.3 1.3 3.0 2.7 2.4

표 3. 위험도 계수 그림 3. 토사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 23

기반암에서의 수평지반운동수준(S)을 반영하여 단주기영역과 장주기영역에서의 지반 증폭계수(Fa,


Fv)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수평지반운동수준(S)가 증가함에 따라 지반의 비선형거동에 의해서 응
답이 감소하는특성도 함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응답스펙트럼의 변화는 지반분류의 변화와
함께 설계지진력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내진성능수준 정의

설계지진하중 작용 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발생한 손상이 경미하여 그 구조물이나


기능수행
시설물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성능수준

설계지진하중 작용 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발생한 손상이 경미하여 그 구조물이나


즉시복구
시설물의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성능수준

설계지진하중 작용 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간의


장기복구/
복구를 통하여 기능 회복이 가능하거나, 시설물에 상주하는 인원 또는 시설물을
인명보호
이용하는 인원에 인명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성능수준

설계지진하중 작용 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매우 큰 손상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구조물


붕괴방지
이나 시설물의 붕괴로 인한 대규모 피해를 방지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성능수준

표 5. 내진성능수준

라) 내진성능수준 분류체계
내진성능수준은 ‘기능수행’, ‘즉시복구’, ‘장기복구/인명보호’, ‘붕괴방지’의 4가지로 분류하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 현행에서는 ‘기능수행’과 ‘기능수행’ 수준의 2가지 성능만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추
가하여 ‘즉시복구’, ‘장기복구/인명보호’ 수준이 새롭게 규정되었다. 이는 향후 손상수준제어 내진설
계를 대비하여 새롭게 규정한 것이다.

마) 설계지진분류체계
시설물의 사용연한과 해당 기간 내 지진의 초과발생확률로서 다음과 같이 정한다.
① 평균재현주기 50년 지진지반운동 (5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② 평균재현주기 100년 지진지반운동 (1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③ 평균재현주기 200년 지진지반운동 (2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④ 평균재현주기 500년 지진지반운동 (5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⑤ 평균재현주기 1000년 지진지반운동 (10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⑥ 평균재현주기 2400년 지진지반운동 (25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⑦ 평균재현주기 4800년 지진지반운동 (500년내 초과발생확률 10%)

바) 내진등급 분류체계
시설물의 중요도에 따라서 내진특등급, 내진I 내진성능수준 정의
등급, 내진II 등급의 3가지 등급으로 다음과 같
지진 시 매우 큰 재난이 발생하거나, 기능이 마비된다면
내진특등급
이 분류하며 구체적인 내진등급 분류기준은 사회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의 등급
시설물별 내진성능기준에서 정의한다. 현행의 지진 시 큰 재난이 발생하거나, 기능이 마비된다면 사회적으로
내진I등급
내진등급 분류체계와 동일하지만 정의가 좀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의 등급
더 분명하게 정의되었다. 지진 시 재난이 크지 않거나, 기능이 마비된다면 사회적으로
내진II등급
영향이 크지 않은 시설의 등급

사) 시설물 내진성능목표 표 6. 내진등급 분류체계

시설물의 내진등급별 최소 내진성능수준은 다


음과 같으며 내진등급에 따라 기능수행수준을
포함하여, 즉시복구, 장기복구/인명보호, 붕괴
방지 수준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성능수준을 선

제65권 제4호 2017년 4월


24 │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택하여 적용 할 수 있다. ‘즉시복구’와 ‘장기복 내진성능수준


설계지진
구/인명보호’를 구현할 구체적인 설계기법이 재현주기(년) 기능수행 즉시복구 장기복구/인명보호 붕괴방지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이런 내진성능수준을 구
50 내진 Ⅱ등급
현하기는 어렵다. 향후 이러한 내진성능수준을
100 내진 Ⅰ등급 내진 Ⅱ등급
확보할 수 있는 손상수준제어 내진설계방법에
200 내진 특등급 내진 Ⅰ등급 내진 Ⅱ등급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500 내진 특등급 내진 Ⅰ등급 내진 Ⅱ등급

4. 주요 토목시설물의 내진설계 1000 내진 특등급 내진 Ⅰ등급

2400 내진 특등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4800 내진 특등급
내진설계는 1997년 상위기준(내진설계기준연 표 7. 내진성능목표
구II)이 작성되면서 부터이다. 그러나 주요시설
물의 경우에는 이전부터 내진설계가 수행되어 과 다르다. 재현주기 2400년 지진의 위험도계 답스펙트럼을 수정하였으나 우리나라 도로교
독립적인 기준에 따라 실시되어왔다. 따라서 수가 2.0이므로 이것의 2/3는 1.33이며, 중요도 설계기준에서는 이를 아직 반영하고 있지 못
시설물간에는 서로 상이한 부분이 존재한다. 계수가 내진 II등급, 내진 I등급, 내진특등급에 대 하다. 건축의 경우에는 UBC(Uniform Building
표 8은 주요토목시설에 대한 내진설계기준의 해서 각각 1.0, 1.2, 1.5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위 Code)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사용하다가 최
주요항목을 비교한 것이다. 상위기준에서는 험도계수를 산정하면 각각 1.33, 1.6, 2.0이 된 근 IBC(International Building Code)의 것으로 수
내진등급을 내진특등급, 내진 I등급, 내진 II등 다. 즉 내진 II등급, 내진 I등급 건축물의 설계지 정하여 이를 적용하고 있다.
급의 3개 등급으로 분류하지만 시설물에 따라 진은 다른 시설물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며 내진 이와 같이 시설물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규정을
서는 시설물의 중요도 및 특성 등을 고려하여 특등급의 설계지진은 다른 시설물과 동일하다. 적용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는 우리나라의
이중 일부분만 지정한 시설물이 다수 있다. 표 설계응답스펙트럼의 경우에는 3가지 다른 설 일관성 있는 내진설계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8의 시설물 중에서 3개 내진등급으로 모두 분 계응답스펙트럼이 적용되고 있다. 도로교의 관계법령에 따라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을
류하는 체계를 갖춘 시설물은 공항과 건축물 경우에는 AASHTO 2011년 이전 버전의 것을 규정하여 공표할 계획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보
이 있다.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철도교에서도 이 다 일관성 있는 내진설계기준이 확립될 것으로
내진성능목표는 기능수행수준과 붕괴방지수 를 사용하고 있다. AASHTO는 2011년 설계응 생각된다.
준을 정의하고 있지만 도로교, 철도교, 터널,
댐, 공동구, 궤도 및 삭도 등 많은 시설물에서 시설물 기준 내진등급 내진성능 목표
설계지진
설계스펙트럼
(재현주기, 년)
는 붕괴방지수준만 정의하고 있다. 시설물에
내진I등급/ - -
도로교 도로교 설계기준 도로교
따라서는 붕괴방지수준을 만족하면 자연스럽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1000
게 기능수행수준이 만족할 것으로 생각되어 철도교 철도설계기준
내진I등급/ - -
도로교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1000
기능수행수준을 생략하거나, 아니면 과거부터
내진I등급/ - -
붕괴방지수준만의 내진설계만을 해 온 설계관 터널 터널설계기준 상위기준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1000
습 때문이다. 내진특등급/ - -
댐 댐설계 기준 상위기준
내진I등급 붕괴방지 500/1000
설계지진은 내진등급과 내진성능수준에 따라
내진I등급/ 기능수행/ 50, 100/
결정되며 상위기준과 동일하게 결정된다. 그러 수문 하천설계기준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 1000
상위기준

나 댐의 경우에는 내진등급은 특등급으로 분류 항만 및 어항 내진I등급/ 기능수행 /50, 100/


갑문 상위기준
하지만 고려하는 설계지진은 재현주기 2400년 설계기준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 1000
항만 및 어항 내진I등급/ 기능수행 /50, 100/
지진이 아닌 1000년 지진을 설계지진으로 사 항만
설계기준 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 1000
상위기준

용하고 있다. 다른 시설물의 경우 소성설계가 내진특등급/ 기능수행/ 50, 100, 200/


공항 공항시설 설계기준 상위기준
가능하지만 댐의 경우에는 탄성설계를 하기 때 내진I등급/내진II등급 붕괴방지 500, 1000, 2400
내진특등급/ 즉시거주/ 2400년의 2/3
문에 재현주기 2400년 지진을 설계지진으로 건축물 건축구조기준 내진I등급/ 인명안전/ (중요도계수; 건축물
규정하는 경우 설계지진력이 지나치게 커지기 내진II등급 붕괴방지 1.0, 1.2, 1.5)

때문에 설계지진의 재현주기를 줄인 것으로 사 - -


공동구 공동구 설계기준 내진I등급 상위기준
붕괴방지 1000
료된다. 건축물의 경우에는 기준지진을 재현주 궤도시설의 건설에 - - 상위기준(지반
궤도 및 삭도 내진II등급
기 2400년의 2/3으로 규정하고 건물의 중요도 관한 설계기준 붕괴방지 500 증폭계수 상이)

에 따른 계수를 반영하고 있어서 다른 시설물 표 8. 시설물의 내진설계기준 비교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pecial Feature Ⅲ │ 특집기사 3 │ 25

5. 손상수준제어 내진성능기준

현재 우리나라 시설물에 요구되는 내진성능목


표는 ‘기능수행’과 ‘붕괴방지’ 성능수준을 목표
로 하고 있고, 동일한 성능수준에 대해 내진등
급에 따라 설계지진의 크기(재현주기)를 다르 그림 4. 현행 내진설계의 개념 그림 5. 지진재난관리 측면에서의 현행 내진설계의 문제점
게 하고 있다. 두가지 성능수준 중 붕괴방지수
준에 대해서 소성설계를 하는 시설물(예/ 교
량)의 설계개념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에 보인 바와 같이 내진특등급 시
설물의 경우 설계지진의 재현주기가 크므로 내
그림 6. 손상수준제어 내진설계의 개념
진I등급이나 내진II등급 시설물에 비해서 보다
큰 강도를 갖도록 설계한다. 이러한 설계개념 성능수준 장기복구/
기능수행 즉시복구 붕괴방지
재현주기 인명보호
은 시설물 관점에서의 내진설계 개념으로 가 설
50년 II 등급

장 큰 특징은 내진설계 방법이 쉽다는 것이다. 지 작은 지진 100년 I 등급
하지만, 현행의 내진설계방법은 그림 4와 같이 진 200년 특 등급
하나의 관리기준지진(예를 들면 재현주기 500 관리기준지진 500년 특등급 I 등급 II 등급

년 지진)에 대해 각 내진등급의 시설물에 어느 표 9. 내진성능수준별 설계지진

정도의 손상이 발생하는지 알 수가 없다. 따라


서 지진피해 예측이 어려워서 합리적인 지진재 (2010.2)에서 보듯 지진에 대한 대비가 매우 중 설계가 가능하도록 규정하였다. 현행의 내진기
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기가 쉽지 않다. 요함을 알 수 있다. 지진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술수준으로는 손상수준제어 내진설계가 불가
합리적인 지진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종합대책에는 예방대책, 긴급대응대책, 복구대 능하지만 향후 보다 합리적인 지진재해대책을
서는 관리기준지진에 대해서 지진피해지역 내 책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 시설물의 내 확립할 수 있도록 손상수준제어 내진설계 대한
의 피해수준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관 진성능을 사전에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연구가 조속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리기준지진에 대해 모든 시설물의 손상수준이 중앙정부에서도 이를 인식하고 시설물에 대한
예측 가능하도록 내진성능을 부여하여 실현 내진설계를 법제화하고 대상시설물도 확대하여
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개념을 그림으로 나타 충실하게 대비하고 있다. 통합된 내진설계 개념
내면 그림 5과 같은데, 하나의 관리기준지진에 을 확립하고 일관성 있는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참고자료
대해서 시설물의 내진등급별로 다른 손상수준 위해서 상위기준을 작성한 바 있지만 기존의 설
1 "STANDARD SPECIFICATIONS FOR HIGHWAY
(내진성능I, 내진성능II, 내진성능III)을 부여하는 계관습과 연구부족으로 이를 전체 시설물에 적 BRIDG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1996
것이다. 이 개념의 가장 큰 장점은 시설물의 손 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2 “Preliminary evaluation of methods for defining
상수준이 정량화 되어서 지진 시 피해수준이 performance”, ATC58-2 Report, 2003.
현재 내진설계 대상시설물로 지정된 시설물에
3 “ACTION PLAN FOR PERFORMANCE BASED SEISMIC
예측 가능하다는 점이다. 대해 충분하게 검토하여 추가적인 시설물이 있 DESIGN”,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0
그림 5의 개념을 내진성능목표 매트릭스로 나 다면 이를 포함시켜야 할 것이며, 일관성 있는 내 4 “性能規定型耐震設計法의 現象과 課題”, 日本地震工學會, 2004.
5 “국가내진성능 목표설정 연구개발”,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타내면 표9와 같다. 단, 그림5의 내진성능I, 내진 진성능 확보를 위해 내진설계기준의 통합화도 2009. 5
성능II, 내진성능III은 각각 ‘즉시복구’, ‘장기복구/ 필요하다. 다행스럽게도 강진지역의 내진설계에
인명보호’, ‘붕괴방지’로 정의된다. 향후 국가지 적합한 현행의 내진설계개념에서 벗어나 우리나
진재난관리 측면을 고려하여 보다 합리적이면 라의 지진환경을 고려하고 지금까지 얻어진 연 WRITER INTRODUCTION

서 진일보된 내진설계인 ‘손상수준제어 내진설 구성과를 반영하여 보다 합리적인 내진설계기준 김익현 교수는 동경대 토목공학과에서 프
레임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에 관한 연
계’가 구현될 수 있도록 기술체계 확립과 개발 을 확립할 수 있도록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 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서울대 지
이 필요하다. 항’이 곧 공표될 예정이다. 진공학연구센터의 전임연구원, 서울대
BK21사업단의 계약교수를 거쳐 2001년
지진에 대한 대비가 충실한 선진국에서는 시설 부터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 근무
6. 맺음말 물의 손상을 제어할 수 있는 내진설계로 패러다 중이다. 연구분야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 내진성능,
내진보강 및 지진대응이다. 한국지진공학회 부회장이며 우리
임을 변경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반영
학회 영문논문편집위원회의 SE(Senior Editor)이다.
지진 시 피해규모는 지진의 규모와 밀접한 관 하여 공표안에는 새로운 내진성능수준을 추가 ickhyun@ulsan.ac.kr

계가 있지만 아이티지진(2010.1)과 칠레지진 하였으며 내진성능목표도 손상수준제어 내진 기획│이태형 편집부위원장 thlee@konkuk.ac.kr

제65권 제4호 2017년 4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