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3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지반설계 사전자료 검토 지반설계 사전자료 검토

터널설계 지반설계 현황조사 지반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지반설계 사업개요 분석 지반설계 사업개요 분석

항만(해양)설계 지반설계 지반조사


지반설계 지반조사 및
지반설계 지반조사보고서 보고서 작성
상하수도설계
작성
하천(댐)설계 지반설계 기준 작성 지반설계 기준 작성
지반설계 지반구조물 지반설계 지반구조물
지반설계
안정해석 안정해석
단지설계 지반설계 도면 작성 지반설계 도면 작성

철도설계 지반설계 시방서 작성 지반설계 시방서 작성


토목건설사업
지반설계 사업비 산정 지반설계 사업비 산정
관리
지반설계 보고서 작성 지반설계 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관련기준 검토하기

1-1.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제 기준 검토 3

• 교수・학습 방법 26

• 평가 27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

2-1. 과업목적에 따른 설계기준 수립 29

• 교수・학습 방법 41

• 평가 42

학습 3. 표준도 작성하기

3-1. 과업목적에 따른 구조물 표준도 작성 44

• 교수・학습 방법 59

• 평가 60

학습 4. 지반구조물 지지층, 개량범위, 공법 선정하기

4-1. 구조물지지층, 개량공법 및 굴착공법 선정 62

• 교수・학습 방법 76

• 평가 77

참고 자료 79
지반설계 기준 작성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설계자가 지반설계의 설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준용해야 할 각종 설계기준을 체계적으로 분


석하고 사업 및 구조물별로 적합한 설계기준과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선수학습

지반설계 현황조사(1402010802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제 기준 관련 설계기준


1. 관련기준 검토하기 1402010806_14v2.1
검토 검토하기

2-1. 과업목적에 따른 설계기준


2. 설계기준 수립하기 1402010806_14v2.2 설계기준 수립하기
수립

3-1. 과업목적에 따른 구조물


3. 표준도 작성하기 1402010806_14v2.3 표준도 작성하기
표준도 작성

4. 지반구조물 지지층, 지반구조물 지지층,


4-1. 구조물지지층, 개량공법 및
개량범위, 공법 1402010806_14v2.4 개량범위, 공법
굴착공법 선정
선정하기 선정하기

핵심 용어

설계기준, 표준도, 지반구조물, 지지층, 개량범위, 공법

1
관련기준 검토하기
학습 1
(LM1402010806_14v2.1)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LM1402010806_14v2.2)
학습 3 표준도 작성하기(LM1402010806_14v2.3)
지반 구조물 지지층, 개량범위, 공법 선정하기
학습 4
(LM1402010806_14v2.4)

1-1.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제기준 검토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국내・외의 관련 법규 및 설계기준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수립
을 위한 내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관련 법규, 지침, 및 제기준의 상충을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다.
• 지반 구조물의 기능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지형 및 현장 여건, 환경 여건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발주처 요구사항
설계기준을 수립할 때에는 사업에 따라 발주처가 요구하는 사항을 면밀히 감안하여 반영
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1. 설계 적용 요령

(1) 현장조사 철저
◦종횡배수관, 측구, 하수도, 옹벽, 진입로, 적사장 등이 누락되지 않도록 조사
◦특히 마을 진입로 포장은 기존 콘크리트 포장까지 연결
◦현장조사시는 유관기관 및 면사무소, 마을 관계자 등 합동조사로 민원발생 사전 방지
◦책임기술자는 반드시 종합적 검토 필요

(2) 평면 및 종단 선형
◦가능한 전 구간을 규정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과감히 개량하여 원활한 교통소통
도모
◦현장 여건에 부합될 수 있는 여러 개의 선형 검토안을 작성, 검토받고 주민설명회
개최 후 설계 시행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에 맞도록 설계

3
◦종단곡선 설계시 충분한 정지 시거가 확보되도록 설계
◦종단 왕복 측량 확인 및 횡단 레벨 측량 실시
◦대절토부(25m 이상)는 터널, 계곡대 성토부는 가급적 교량으로 설계 검토
◦폐도 부지에 대한 활용 계획 반영
- 현장 크기나 모양 또는 지역 여건에 따라 계획 수립
- 버스 정차대, 차량 대피 공간, 적사장, 간이주차장, 휴게소, 가로공원 등

(3) 토공 및 기초조사
◦교량의 구조물 위치의 암반 기초조사는 정확한 위치에서 시행하여, 주상도를 작성
한다.

[그림 1-1] 암반기초 조사 예

◦횡단상 암반조사는 실제 굴착 조사하여 정확히 표시하고, 절취 방법은 주위 여건을


감안(도로공사노천발파설계지침, 국토해양부) 적용하여 결정
◦대절토 및 대성토 구간 횡단면은 감독관 확인 후 설계 반영
◦연약지반은 누락되지 않도록 조사하고, 대책 공법을 철저히 수립
◦비탈면 보호공은 토질 및 토양 조건, 기상 조건, 비탈면 구배와 높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최적공법을 선정한다. 특히 지하수, 용출수 등을 유공관, 맹암거 등으로 처
리한다.
◦콘크리트, 아스팔트 깨기 재활용은 이동식 크랏샤 설치 검토
◦토량 환산계수(f)는 표준품셈의 토량 환산지수를 참고하되, 토질별로 시험을 거쳐 적
용한다.(단위중량, 함수비, 비중, 다짐시험 등)
◦토량 환산계수(f)의 적산은 단가 보정을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수량 보정을 하
여도 좋으나 중복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토량 배분(운반)시 흙(토사, 리핑암, 발파암 등)의 구성 비율 및 운반거리는 토적표
(토량계산서)와 토적 곡선(유토 곡선, MASS CURVE)에 의하여 계산(Computer 계산)
한다.

4
(b) 토적표 양식

(b) 유토곡선 개념도

[그림 1-2] 토적표 양식(상) 및 유토곡선 개념도(하)

◦토취장 및 사토장은 지역 여건에 부합되도록 선정하고, 완공 후 토지 이용계획(도로부


지, 기타의 용도 등)을 검토 가능한 공사 구간 내의 지형을 면밀히 조사 후 활용한다.
◦위 토취장 및 사토장은 이용 토량, 조경 면적, 조경 방식, 임대료 등 경제적인 측면
을 고려하여 비용을 감안하여 설계한다.
◦절토부와 성토부의 비탈면 경사는 표준품셈의 값을 기준하되, 비탈면 보호 공법의
채택 방식에 따라 현장 여건을 감안하여 가감할 수 있다.(소단 설치 포함)

(a) 성토부 (b) 절토부

[그림 1-3] 성토부(좌) 및 절토부(우) 비탈면 경사 예

5
◦전압을 시행하는 성토는 필요시 층따기를 시행하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반영

[그림 1-4] 층따기 시행 예

◦성토 구간에서는 노상 재료가 양호할 경우 동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성토고 2m


이상 구간에서는 동상방지층을 생략한다. 동상방지층 생략 기준에 대한 세부적인 사
항은 도로 동상방지층 설계지침(국토해양부)에 의거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4) 구조물의 설계

(가) 배수공
◦배수 구조물(배수관, 배수암거, 측구 등)의 위치와 크기는 현지 지형, 강우 특성,
배수량, 배수 목적, 경제성 등 현장의 특성을 면밀히 검토 후 결정한다.
◦종・횡배수관 및 맹암거용 배수관은 상부 차량 하중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최저토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필요할 경우 관 보호공을 설계에 반영한다.
◦L형측구 등 선형(線形) 구조물의 경우, 신축이음을 명시(얇은벽 기준 6~ 9m 간격)
한다.

[그림 1-5] L형측구

◦관로와 맨홀 구조물의 터파기량 계산시 구조물과 관로의 중복 구간 토량을 반드


시 공제한다.

6
◦횡단 배수관 단위 수량 적용시 날개벽과 기초 콘크리트 연장 부분에 대한 중복
을 주의한다.
◦배수관로의 접합은 기밀접합을 하여야 하고, 최종 수압(저압)시험을 수행한다.
◦횡단 배수관의 경우, 침전 퇴적물 등이 물질의 처리 및 유지관리를 고려하여 최
소관경 1000mm 이상으로 한다. 다만, 지형 및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부득이할
경우에는 80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나) 구조물공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계하되 현지 지형에 맞도록 설계한다.
◦획일적이고 경직된 외관을 지양하고, 미적 감각을 살릴 수 있도록 난간, 교명주,
무늬거푸집 등을 사용한다.

[그림 1-6] 교량난간

[그림 1-7] 교명주 [그림 1-8] 무늬거푸집 적용사례

◦구조물의 설계는 설계 방법 및 인용된 기초자료 근거 등을 알기 쉽게 명시한다.


◦교량의 구조 형식 및 설치 위치는 지형과 주위경관을 고려, 경제적이고 미려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하천의 수류로 인하여 세굴의 염려가 있는 교대 기초부는 보강 설계를 하여야
한다(강널말뚝기초, 콘크리트 블록공 등)

7
◦교량의 상부공사비와 하부공사비를 비교, 적정공사비를 산정, 교량경간을 결정하
는 것이 좋다.
◦지반조건이 불리하고 가설조건이 나쁜 곳은 강교를 채택하는 것이 좋으나 부식
방지대책, 유지점검이 용이한 구조형식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도로교는 자동차 주행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적은 상부구
조로 검토한다.(연속교 형식)
◦교량 기초의 설계시 단단한 지지층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법 적용의 문제는 없는
지 충분히 검토하여야 하고, 매 기초부의 지질조사서(Boring Log) 또는 물리탐
사(탄성파검사, 전기탐사 등) 결과를 평가하여야 한다.
◦물막기, 물푸기, 가도 등 현실에 맞게 계상한다.
◦교량은 내진설계를 검토한다.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시설을 설치(교량점검 통로, 대절취부 점검용 사
다리 등)한다.

[그림 1-9] 교량점검 통로

◦철근 순간격 및 피복 두께가 유지되도록 설계한다.


◦옹벽 등 구조물의 신축, 수축 조인트를 정확히 명시한다.
◦농경지 진입로(종배수관 2본) 2필지를 중심하여 반드시 설치한다.
◦구조물 접속부(마무리 철저 - 석축·옹벽 등)의 배수시설이 연결되도록 하여, 주
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교량 가설시에 따른 가도, 가축도 및 동바리 설치에 따른 바닥 버림 콘크리트 누
락이 없도록 한다.

8
◦교량 가설시 검토 및 반영사항
- 교면 방수 및 배수
․ 교면 방수는 가급적 시트 방수 채택
․ 배수관은 배수관 상단이 슬래브 콘크리트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
․ 종단구배가 있는 경우 가장 낮은 곳에는 배수관 반드시 설치
․ 배수관 덮개 설치 지양(낙엽, 짚, 비닐 등에 덮여 막힘)
- 신축 이음장치
․ 신축 이음장치는 방수성이 양호한 종류 선정
․ 신축 이음장치 설치는 평탄성 확보를 위해 아스콘 포장 완료 후 시행
․ 우수에 의한 교대, 교각 오염 방지를 위하여 연석부에도 차수 조인트 설치

[그림 1-10] 신축이음 장치

- 난간
․ 난간은 차량 이탈 방지를 위하여 가급적 콘크리트 방호벽 채택
․ 알미늄 난간인 경우 책형난간은 측면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 확보에
지장이 많으니 시야 확보가 양호한 난간으로 선택
․ 무늬형 난간 등 특수한 형식의 난간은 파손될 경우 구입이 어려우니 설치 지양
- 안전점검 시설
․ 교각뿐만 아니라 높은 교대에 대해서도 교량 점검 시설(알미늄 합금제) 설치
․ 교대 점검시 진입이 쉽도록 법면에 계단 설치
․ 교량에 상수도관, 전선관, 케이블관 등 부착 시설 설치 지양
․ 교각 번호판, 교좌 장치, 방향표지판, 통과하중 표지판 설치

9
[그림 1-11] 교각번호판

(5) 포장공
◦곡선부의 노견 편경사는 본선 구간 편경사로 연장하는 것이 차량 주행에 안전하나,
이 경우 도로 배수에 지장이 없도록 대책을 강구한다.
◦포장 횡단면상 본선부와 노견의 경계면은 구조적으로 취약하므로, 동일 재료 시공을
원칙으로 하여 경제적인 시공 두께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설계 방법은 한국형 포장설계법에 따르고, 동결심도 및
지역계수 등의 적용에 있어서 최근의 기상이변 등을 감안, 보완 설계를 해야 한다.
◦설계 CBR과 노상 지지력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전조사와 현장시험을 충분히
하여야 한다.
◦아스콘 포장에서 아스팔트 혼합물 유동에 기인한 소성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층 아스콘을 #67(굵은골재 최대치수 100% 통과율 25mm, 내유동성)으로 반영한다.
◦전체 노선 노견 포장을 실시한다.
◦마을, 학교 부근 등 필요한 구간은 노견 포장 및 보도를 설치한다.
◦각 현장별 필요시 자전거도로의 별도 설치를 검토한다.
◦현장 여건에 맞추어 길어깨다이크 및 도수로를 설치한다.

(6) 교통안전시설 확충
◦도로표지판 및 각종 표지판 누락되지 않게 충분히 설치한다.
- 도로표지규칙 적용(도로표지관련규정집 및 도로안전시설 및 관리지침, 국토해양부)
- 구간 완결 지구는 전 구간에 대하여 설계 반영
◦교통표지판 및 신호등은 반드시 관할 경찰서와 협의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교차로 지점에는 신호등 또는 점멸등 설치를 검토한다.
◦가드레일, 미끄럼 방지 시설, 표지병, 데리네이터 등을 확충한다.

10
[그림 1-12] 표지병 [그림 1-13] 데리테이터

◦버스정차대가 누락되지 않도록 철저히 조사한다.


◦마을, 학교, 마을 진입로, 정차대 부근에 가로등을 설치한다.
◦주택가 학교에 인접된 도로는 방음벽을 설치하고, 횡단보도 전후에는 가드레일을 설
치한다.
◦4차로 도로공사 중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되는 구간별 휀스 및 안전등 설치
를 설계에 반영한다.
◦도로가 분기, 교차되는 가각 부분에 교통섬, 통로암거, 부체도로, 가·감속차로, 좌회
전 대기차로 등을 설계한다.

[그림 1-14] 교통섬 적용 예

◦철도횡단 과선 도로교 설치시 차량 방호책과 낙하물 방지용 휀스를 설치한다.


◦대성토부 농경지 및 기타 진입을 위한 부체도로 설치를 검토한다.
◦기존도로와 교차 지점의 교차로 세부상세도를 작성한다.
◦암파쇄 방호시설 설계시 구조(H파일 근입깊이 등) 검토를 철저히 한다.
◦상위도로 접속시 진입차선 설계는 관련 도로관리청과 공문 협의 후 시행한다.

11
(7) 수량 및 단가 산출
◦자재 단가는 공사 발주 시점에 맞추어 가격정보 등 근거를 명확히 명기한다.
◦도면 및 수량은 감독의 확인 검토 후 수량을 확정한다.
◦수량 누락 및 산출 근거 오류로 인한 설계 변경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단가 산출은 각 현장별로 작성하여 감독관 확인 후 제출한다.

(8) 기타
◦노선 선형 결정은 현장별 용역 여건에 맞추어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시공성 및 경제성을 감안, 2개 이상의 비교·검토(안)를 작성하여 서면으로 제
출한다.
◦폐기물 처리비 계상(아스콘, 콘크리트 등), 노체 성토용 토적표를 표시한다.
◦문화재지표조사 및 환경영향평가와 사전 환경성 검토 협의(저감 대책) 사항에 대하
여는 설계서에 반드시 반영한다.
◦설계의 용역업체 등은 건설기술관리법 제20조의 2에 의거, 성실하고 정당하게 업무
를 수행한다.
◦도면 작성
- 평면도 및 토공횡단면도는 주변 지형, 지물을 빠짐없이 표기하고, 기존 교량과
신설되는 교량명을 반드시 명기한다.
- 구조물의 상세도는 철근의 위치 및 가공상세도 등 시공에 필요한 사항이 명시되
어야 하며, 시공 방법 등 도면 표기가 곤란한 사항은 문자로 표기한다.
◦폐기물 처리비 계상
◦시방서 작성
- 일반시방서는 시공자가 알 수 있도록 기준을 명기한다.
- 특별시방서는 물량명세서 도면에 표시되지 않는 사항과 기술적인 사항 및 시공
자가 특별히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작성한다.
- 도급자가 건설공사의 진행 단계별로 작성할 시공상세도면의 목록을 명시한다.
- 공사 시행 단계별로 시공 상태를 검토 확인받아야 하는 대상 공종을 명시한다.
◦예정공정표는 NetWork 기법으로 작성하며, 공기 작성에 기초한다.(PERT.CPM)
◦시공 측량 결과와 상이한 사항 및 설계상 중대한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9) 행정절차 이행 및 유관기관 협의


◦현지 노선 측량 실시 전 해당 시군 담당부서 및 읍면동장과 노선 협의 후 측량 실
시 및 선형을 검토한다.
◦노선 선형(안) 결정 후 반드시 지역주민의 설명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최종
노선 선형을 결정한다.

12
◦도로표지판, 교통표지판 등 교통안전 시설 설치는 관계 전문가 및 관련기관의 의견
을 수렴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시설이 되도록 계획 수립한다.
◦배수공의 용배수관은 지역주민 및 관내 리·통장과 공동으로 현지 조사하여, 조사
자 주소, 성명 및 조사 의견을 첨부하여 제출하고, 이를 설계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한다.
◦노선선형 결정 및 교량 형식 결정 등 기타 협의 결정할 사항은 사전 발주처와 승인
을 받은 후 결정 시행한다.
◦착공과 동시에 분야별 참여기술자 명단과 세부 공정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관련법 협의서류 작성 기준(해당기관과 공문으로 사전협의 후 설계서 납품시 첨부)
- 하천법의 규정에 의한 하천공사 시행의 허가 및 점용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공유수면관리법의 규정에 의한 점용 및 사용의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공유수면매립법의 규정에 의한 매립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산지관리법의 규정에 의한 산지 점용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산림법의 규정에 의한 벌목의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사방사업법 규정에 의한 벌목의 벌채 등의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도시계획구역 내 도로는 도시계획 변경 절차 이행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농지법의 규정에 의한 농지 전용의 허가 및 협의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시·군,
한국농촌공사 관할 구역 별도 구분 작성)
- 초지법의 규정에 의한 초지 전용의 허가에 관한 제반서류 작성
- 군사시설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사전협의
- 환경정책법에 의한 사전 환경성 검토 협의 및 협의 결과 반영
- 우·오수 처리 대책 수립시 하수도 기본계획 수립 여부를 확인 후, 사전협의 절
차 이행
- 공원 구역에 대한 공원 계획 변경 절차 및 공원 관련기관 사전협의 이행
- 문화재 보호구역 접촉 여부 조사 후 관련기관 협의 후 제반서류 작성
- 농촌공사 및 농업 관련 시설물의 변경, 이설시 해당 기관과 현지 합동조사 협의
후 결정
- 경지정리 예정 지구는 사업 시행부서와 협의하여 선형 결정
- 사토장, 토취장 부지에 대한 형질 변경 허가 등의 서류 작성(토지주 사용 승락
첨부)
◦실시 설계용역 참여기술자 분야별 명단을 제출(도면작성자 포함-책임한계 명확히 구
분)한다.
◦보조 기층재
- 하천 골재 : 현지조사 후 해당 시군과 사전협의
- 석산 골재 : 허가사항 확인하고 골재 상태 조사(규격별 견적서 첨부)
※ 근거리 석산에서 생산하지 않을시 확인서 첨부

13
◦용역 기간 내 측량법 제29조 및 제34조 동법시행령 제50조의 규정에 의거 공공 측
량 작업 규정 승인 및 심사 절차 이행
- 사전 승인사항 및 협의 절차 이행시에는 반드시 책임기술자와 분야별 참여기술
자가 동행하여 발주처의 의견 수렴
◦기타 타 법령과의 저촉 여부를 빠짐없이 협의하여 성실한 과업 수행에 임한다.

(10) 공사시방서 작성 방법
◦공사시방서는 공사의 질적 요구 조건인 계약도서의 하나로서, 공사에 사용될 자재
(성능, 규격 및 시험 등)에 관한 사항과 시공 방법, 시공 상태 및 허용 오차 등 시공
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 전반에 걸친 유의
사항과 절차 등의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작성한다.
◦설계도면에 표시된 공사의 범위, 시공상세도, 규모, 배치 등 도형으로 설명할 수 없
는 내용의 보완 역할이 충분히 되도록 해당 공사를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
한다.
◦공사 수행 과정에 도급자가 이행하여야 할 절차 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원활한 계약
이행을 도모하도록 작성한다.
◦설계도면과 상충되지 않도록 작성하여 시설물별 시공기준 인용시 중복 또는 상충되
는 내용이 없도록 유의하여 작성한다.
◦적용 기준을 기술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본 공사 시방서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토목공사 일반 표준시방 등을 적용한다.”라고 기술하지 아니한다.
인용할 사항이 있으면 공종별로 인용하되 K.S 규격 외에 표준시방서 등의 인용시에
는 해당 조항과 내용을 당해 공사에 수정·보완하여 풀어서 기술한다.
◦당해 공사 조건에 적합하게 시방서에서 불필요한 내용의 삭제와 필요한 내용의 추
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불필요하거나 적용할 수 없는 본문을 수록하는 것은 공사 기간 중 도급업자가 시방
서를 무시하는 요인이 되고, 입찰자가 공사비에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이로 인하여 본래의 공사범위가 모호해진다.)
※ 책임기술자 및 분야별 책임기술자는 반드시 당해 용역 수행에 참여하여야 한다.

2. 공사설계서 작성

(1) 공사원가계산서

(가) 원가계산
A. 순공사원가 : 노무비 + 재료비 + 경비
B. 일반관리비 : 순공사원가 × 요율
C. 이윤 : (순공사원가 + 일반관리비 - 재료비) × 요율
D. 공사손해보험료 : (순공사원가 + 일반관리비 + 이윤 + 관급자재대) × 요율

14
(나) 제경비 요율
A. 간접노무비 : 직접노무비 × 요율
B. 산재보험료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요율
C. 고용보험료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요율
D. 환경보전비 : (재료비 + 직접노무비 + 산출경비) × 요율
E. 기타경비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재료비) × 요율
F. 산업안전보건관리비 : (직접노무비 + 재료비 + 관급자재) × 요율
G.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부금비 : 직접노무비 × 요율
H. 일반관리비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요율
I. 이윤 : (노무비 + 경비 + 일반관리비) × 요율
J. 건강, 연금보험료 : 직접노무비 × 요율 (국토해양부 고시 2011-271)
K. 공사손해보험료 : 총원가(관급자재, 재료비,노무비, 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요율
L. 공사이행보증수수료

(2) 공사자재

(3) 조달수수료율

(4) 품질시험수수료

(5) 골재 채취료

(6) 노임단가

(7) 기계경비

3. 수량 산출 요령

(1) 토공

(2) 비탈면 안정공

(3) 배수공

(4) 구조물공

(5) 터널공

(6) 포장공

(7) 교통안전 시설공

(8) 부대공

4. 단가 산출 요령

(1) 토공

(2) 비탈면 안정공

15
(3) 배수공

(4) 구조물공

(5) 터널공

(6) 포장공

(7) 교통안전 시설공

(8) 부대공

 국내·외 관련법규 및 설계기준

1. 관련법규 및 지침

(1) 설계서 작성
◦토목공사 원가계산 제경비 요율(조달청)
◦공사 자재단가 : 조달청 및 시중 물가자료(물가자료, 물가정보, 유통물가 등)
◦조달수수료 요율
- 중소기업 간 경쟁물품 5% 할인, 국가를 제외한 수요기관 내자 총액 5% 할인
◦노임, 기계경비

(2) 수량 산출
◦국토해양부의 국도건설설계실무요령
◦발주처별 수량 산출 기준
◦감사 주요 지적사항 사례

(3) 단가 산출
◦표준품셈

(4) 품질 및 환경
◦한국산업표준(KSF 2302, 2303, 2324)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
◦건설폐기물 처리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업무처리지침(환경부)

2. 설계기준
• 전자도면 작성 편람(국토교통부)
•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 지침(국토교통부, 환경부)
• 건설기술진흥법(국토교통부)
• 건설산업기본법(국토교통부)
• 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국토교통부)
• 측량법(국토교통부)

16
• 선로측량지침(국토교통부)
• 도로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철도공사 전문시방서(대한토목학회)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 콘크리트 구조기준(한국콘크리트학회)
• 도로교 설계기준(한국도로교통협회)
• 터널 표준시방서(한국터널공학회)
• 도로교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
• 강구조편람(한국강구조학회)
• 비탈면 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국토교통부)
• 건설폐기물 처리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업무처리지침(국토교통부)
• 철도궤도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국유철도운전규칙(국토교통부)
• 한국산업규격(KS)
• 국제산업규격(ASTM, EURO CODE, ISO, DIN 등)
•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국토교통부)
• 도로설계요령(한국도로공사)
• 도로설계기준(국토교통부)
• 터널설계기준(한국터널공학회)
• 설계, 준공도서의 전자납품 편람(국토교통부)
•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

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분석
설계 대상 지반 구조물 및 현장에 부합한 설계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여건
을 분석한다.

1. 지반 구조물의 기능

2. 지형 여건

3. 현장 여건

4. 환경 여건

17
수행 내용 / 관련 설계기준 검토하기

재료·자료

Ÿ 발주처별(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설계기준

Ÿ 공사설계도서 샘플(기본·실시설계보고서 등)

Ÿ 설계 과업지시서 샘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Ÿ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한글, 엑셀)

안전 ・ 유의 사항

Ÿ 컴퓨터 작업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Ÿ 인터넷이나 참고 자료에서 지반조사의 종류 및 시추조사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한다.

수행 순서

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알아본다.


설계를 위한 요구사항은 설계 용역의 발주와 함께 각 발주처에서 제시하는 설계 요령, 과
업지시서 등에 따른다. 과업지시서에 포함되는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과업명

2. 과업의 목적
궁극적인 건설사업의 목적 기술

3. 과업의 내용
(1) 과업 내용
사업의 위치, 면적, 규모(주요 구조물, 노선 연장 등), 금회 공사의 범위 등
(2) 과업 범위
사업 추진에 필요한 지반조사 실시 및 각종 인·허가, 신고·승인 등 대관 업무, 설계
의 경제성 검토 업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 과업 기간
- 착수일로부터 ㅇㅇ개월
- 과업 기간의 연장시 불가피한 사유 조항(예: 천재지변, 발주처의 사업 변경 등)

18
(4) 예정공사비
사업을 수행할 기준 공사비로, 이 비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4. 일반사항
과업수행에 관련된 일반적 사항을 기술

(1) 용어의 정의

(2) 용역 수행자의 의무

(3) 성과품 하자시 책임 조항

(4) 과업지시서 누락 사항에 대한 처리 방법

(5) 과업 중단시 정산 조항

(6) 중대한 이유로 인한 과업의 범위, 비용, 과업 기간 변경 조항

(7) 과업 수행중 제3자의 피해 발생에 대한 처리 조항

(8) 과업지시서 불포함 사항에 대한 조항

(9) 관련 서류의 폐기 방법

(10) 과업과 유사한 사례 조사 및 활용 권고

(11) 설계 변경 조건

(12) 공정 보고

(가) 착수 보고

(나)) 월간 진도보고

(다) 기타 보고

5. 특별사항

(1) 설계의 지침 및 방향

(2) 업무 수행

(3) 책임의 한계

6. 설계도서의 작성 기준 및 범위

(1) 작성 기준 및 범위

(2) 공통 분야

(3) 세부 분야(토목, 건축, 토목, 조경, 기계설비, 전기 및 통신설비, 현장조사 및 지질조사 등)

7. 용역 성과품

(1) 설계보고서

19
(2) 설계설명서(공통 및 분야별)

(3) 각종 계산서

(4) 설계도면

(5) 성과품의 제출 목록 (종류, 규격, 부수 등)

8. 계약 해지

(1) 계약 해지 사유

(2) 용역 수행자의 책임

 국내·외 관련법규 및 설계기준을 알아본다.

1. 관련법규 및 지침

(1) 설계서 작성
◦제경비 요율 및 수수료 요율은 조달청 기준을 기본으로 하며, 각 발주처의 작성 기
준에 따른다.
◦공사 자재의 단가는 조달청의 단가와 시중 물가자료(물가자료, 물가정보, 유통물가
등)를 검색하여 결정한다.

[그림 1-15] 시중물가자료지

(2) 수량 산출
◦국도(도로)의 경우 국토해양부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고속도로, 댐, 항만 등은
발주처별 수량 산출 기준에 따른다.

20
[그림 1-16]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3) 단가산출
◦표준품셈을 검색하여 각 자재의 단가를 산출한다.

[그림 1-17] 건설공사 표준품셈

(4) 품질 및 환경
◦품질분야의 경우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설계한다.
◦e나라표준인증(www.standard.or.kr)에서 검색할 수 있다. 건설 분야의 코드는 KS F
0000이다.
◦환경 분야의 경우 소음․진동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
건설폐기물 처리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업무처리지침(환경부) 등 환경부에서 제정
한 규칙 및 지침에 따라 설계한다.

21
출처: 홈페이지명(http://https://standard.go.kr). 2016년 스크린샷.
[그림 1-18] e나라표준인증 검색창

2. 설계기준
건설공사의 종류별로 적합한 설계기준을 선택하여 그에 따라 설계하고, 해당 설계기준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그 상위 설계기준에 따른다. 다음은 주요 공사의 종류별 설계기준
선정의 예이다.

(1) 공통(상위 설계기준)


• 전자도면 작성편람(국토교통부)
• 건설기술진흥법(국토교통부)
• 건설산업기본법(국토교통부)
• 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국토교통부)
• 측량법(국토교통부)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한국콘크리트학회)
• 콘크리트 구조기준(한국콘크리트학회)
• 터널 표준시방서(한국터널공학회)
•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
• 강구조편람(한국강구조학회)
• 비탈면 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지침(국토교통부)
• 건설폐기물 처리기준 및 방법 등에 관한 업무처리지침(국토교통부)
• 한국산업규격(KS)
• 국제산업규격(ASTM, EURO CODE, ISO, DIN 등)
• 도로설계기준(국토교통부)

22
• 터널 설계기준(한국터널공학회)
• 설계, 준공도서의 전자납품 편람(국토교통부)
•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교통부)
• 도로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도로교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도로교 설계기준(한국도로교통협회)

(2) 철도
• 철도설계기준(국토교통부)
• 선로측량지침(국토교통부)
• 철도공사 전문시방서(대한토목학회)
• 철도궤도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 국유철도운전규칙(국토교통부)

(3) 고속도로
• 도로설계요령(한국도로공사)
(4) 도로 (국도)
•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 지침(국토교통부, 환경부)
•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국토교통부)
(5) 항만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양수산부)
• 항만 및 어항공사 표준시방서(해양수산부)
•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한국항만협회)

(6) 댐
• 댐 설계기준(한국수자원학회)
• 댐 설계기준 해설(한국수자원학회)

(7) 하천
• 하천 설계기준(한국수자원학회)

 공정별로 설계기준 수립을 위해 분석한다.

1. 지반 구조물의 기능
다음과 같은 지반 구조물별 기능을 파악하여 적합한 설계기준을 선정한다.

23
<표 1-1> 주요 지반 구조물의 기능

필요 기능 지반 구조물(또는 공법) 비고

지지력 안정 구조물 기초, 도로, 안벽 교량 기초(도로, 철도 등)

침하 방지 연약지반 처리 도로 및 철도 하부 지반

활동 안정 비탈면 각종 공사의 절·성토면

·옹벽-각종 공사의 절·성토면


토압 지지 옹벽, 흙막이, 터널
·흙막이-지반 굴착시

파압 지지 방파제

2. 지형 및 현장 여건
구조물 계획시 지형 및 현장 여건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이 유리한 지반 구조물을 선정
하여야 하며, 통상 주요 지형에 따라 적용되는 구조물은 다음과 같다.

<표 1-2> 지형 및 현장 여건에 따른 지반 구조물

지형상태 지반 구조물(또는 공법) 비고

완경사지 단순절토 또는 성토

급경사지 옹벽, 피암터널 흙막이(임시 가시설) 병용

높은 토피고 통과 터널, 비탈면(대절토)

낮은 토피고 통과 비탈면, 개착 구조물 흙막이(임시 가시설) 병용

흙막이 및 가물막이(임시 가시설)


깊은 하천 통과 교량
병용

얕은 하천 통과 수로암거, 관로

깊은 연약지반 지반 개량(연직배수공법)

얕은 연약지반 굴착 치환

해상(수중) 연약지반 굴착 치환, 강제 치환, 지반 보강 안벽, 방파제 구조물 등

3. 환경여건
설계가 이루어지는 현장의 주변 여건을 면밀히 조사하여, 적절한 지반 구조물 시공을 위
한 공법을 선정함으로써 민원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24
<표 1-3> 환경 여건에 따른 지반 구조물(공법)

환경여건 지반구조물(또는 공법) 비고

화약 발파, 기계 굴착(브레이커) 굴착/터널공사


산지 또는 나대지
항타공법 파일(말뚝)기초

무진동 또는 미진동 발파 굴착/터널공사


주택, 축사, 학교 등의 인
근 지역
매입공법 파일(말뚝) 기초

수행 tip

• 기반 시설의 종류와 그 건설 주체(정부 또는 공기업)


를 조사해 보면 설계기준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 인터넷 등으로 지반 구조물의 종류를 조사해 보면
관련 설계기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25
학습 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우선 정의하여 설명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토목공사 발주처의 개념을 국내 정부기관 및 공기업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각 기관에서 발주한


토목공사의 사례를 제시하여 이해시킨다.

• 각 발주처에서 발간한 설계기준 및 시방서, 설계지침 등을 설계 대상 및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소개한다.

• 설계에 반영되는 관련 건설, 품질 및 환경 법규의 종류와 내용을 소개한다.

• 대표적인 지반 구조물의 종류별 기능을 사진과 삽화를 통하여 이해시킨다.

• 목적에 맞는 설계기준 수립의 예를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숙지한다.

• 공사를 발주하는 국내의 건설 관련 정부기관 및 공기업을 조사해 본다.

• 대표적인 설계기준 및 시방서의 용도와 목차를 조사·정리하고, 각 설계기준 및 시방서의 내용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파악해 본다.

• 건설 관련 품질 및 환경 법규에 대하여 알아본다.

• 기반 시설(토목 구조물) 및 지반 구조물의 종류와 기능을 조사하여 발표해 본다.

• 구조물별로 적용할 수 있는 설계기준을 선정해 본다.

26
학습 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국내·외의 관련 법규 및 설계


기준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
석할 수 있다.

설계기준 수립을 - 관련 법규, 지침, 및 제기준의 상충을 검토하고, 분석


위한 제기준 검토 할 수 있다.

- 지반 구조물의 기능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지형 및 현


장 여건, 환경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기
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국내·외의 관련 법규 및 설계


기을 검토를 통한 설계기준 수립 능력

설계기준 수립을
- 관련 법규, 지침, 및 제기준의 상충을 검토하는 능력
위한 제기준 검토

- 지반 구조물의 기능적인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석하는 능력

27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국내·외의 관련 법규 및 설계


기준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
석할 수 있는지 여부

설계기준 수립을 - 관련 법규, 지침, 및 제기준의 상충을 검토하고, 분석


위한 제기준 검토 할 수 있는지 여부

- 지반 구조물의 기능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지형 및 현


장 여건, 환경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기
준 수립을 위한 내용으로 분석할 수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평가자가 보충 설명 및 질의응답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28
학습 1 관련기준 검토하기(LM1402010806_14v2.1)

설계기준 수립하기
학습 2
(LM1402010806_14v2.2)
학습 3 표준도 작성하기(LM1402010806_14v2.3)
지반 구조물 지지층, 개량범위, 공법 선정하기
학습 4
(LM1402010806_14v2.4)

2-1. 과업 목적에 따른 설계기준 수립


• 설계 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이 관련 기준서와 규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구조물을 선정할 수 있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도로 설계기준, 터널 설계기준, 지반 실무
학습 목표 적용 등의 각종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하중, 재료 조건 및 허용 안전율 등을 분석하
여 구조물 설계기준을 선정할 수 있다.
• 설계 목표에 따라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설
계 적용의 조정 및 변경 등 설계에 필요한 내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허용안전율 기준

1. 쌓기 비탈면

국내 각종 기관에서 제시하는 쌓기 비탈면에 대한 허용안전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2-1> 쌓기 비탈면 기준 안전율(도로설계요령, 2009)

구분 기준 안전율 참 조
건기시 FS > 1.5 -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함.
- 일반적인 쌓기 비탈면은 별도의 지하수위 조건 없음.
- 한쪽 쌓기, 한쪽 깎기 비탈면에서는 측정한 지하수위 또는 침투
우기시 FS > 1.3 해석을 통한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해석함.
- 쌓기 표면에 강우 침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강우 침투를 고려
한 해석을 실시함.

- 지진 관성력은 파괴 토체의 중심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함.


지진시 FS > 1.1
- 지하수위는 실제 측정 또는 침투 해석을 수행한 지하수위임.

단기 FS > 1.1 - 1년 미만의 단기간의 안정성 검토시


출처: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2권』. 한국도로공사. p.88

29
<표 2-2> 연약지반상 흙쌓기의 기준안전율(도로설계요령, 2009)

구분 최소안전율 참 조
공용 후 FS > 1.3 지하수위 원지반 지표 포화
시공 중 FS > 1.2 지하수위 원지반 지표 포화
지진 시 FS > 1.1 실제 측정된 원지반 지하수위
단기 FS > 1.0~1.1 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
출처: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2권』. 한국도로공사. p.398

<표 2-3> 일반쌓기비탈면 기준 안전율(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2011)

구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 > 1.5 - 쌓기체 내에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지하수위 조건은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건 및 배수조건 등을 종
합적으로 판단하여 안정성에 가장 불리한 상태가 발생하는 조건
에 대항 수행
장 - 한쪽쌓기 한쪽깎기 비탈면에서는 상기조건에 따라 산정한 지하
우기 FS > 1.3
기 수위 또는 침투해석을 통한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해석
- 쌓기표면에 강우침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설계계획 빈도에 따
른 해당지역의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강우침투
를 고려한 해석실시
- 지진관성력은 파괴 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 FS > 1.1
- 지하수위는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 1년 미만의 단기적인 안정성(시공중 포함)
단기 FS > 1.1
- 지하수 조건은 장기안정성 검토의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출처: 국토해양부(2011).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구미서관. p.23

<표 2-4> 연약지반 쌓기비탈면 기준 안전율(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2011))

구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 > 1.3 - 쌓기체 내에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지하수위 조건은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건 및 배수조건 등을 종
합적으로 판단하여 안정성에 가장 불리한 상태가 발생하는 조건
에 대항 수행
장 우기 FS > 1.2 - 한쪽쌓기 한쪽깎기 비탈면에서는 상기조건에 따라 산정한 지하
기 수위 또는 침투해석을 통한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해석
- 쌓기표면에 강우침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강우침투를 고려한
해석실시
- 지진관성력은 파괴 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 FS > 1.1
- 지하수위는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 1년 미만의 단기적인 안정성(시공중 포함)
단기 FS > 1.1
- 지하수 조건은 장기안정성 검토의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출처: 국토해양부(2011).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구미서관. p.24

30
2. 깎기비탈면
국내 각종 기관에서 제시하는 깎기 비탈면에 대한 허용 안전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2-5> 깎기비탈면 안전율 기준(철도설계편람, 2011)

구 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 > 1.5 -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암반 비탈면은 인장균열의 1/2심도까지 지하수를 위치 시키고 해
석 수행
- 토층 및 풍화암으로 구성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시, 지하수 조건은
FS > 1.2 지반 및 지형조건 등 현장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안정성에
우기 또는 가장 불리한 상태가 발생하는 조건으로 설계하되, 지하수 조건을
FS > 1.3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지표면에 지하수를 위
치시켜 안전측으로 해석 수행(FS=1.2)
-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 (FS=1.3적용)
- 위 두가지 조건 중 선택적으로 1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시 FS > 1.1
- 지하수위는 실제측정 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측정
단기 FS > 1.0 - 1년 미만의 단기적 안정성 검토시
출처: 한국철도시설공단(2011). 『철도설계편람(노반편)(II)』. 한국철도시설공단. p.3-15

<표 2-6> 깎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2011))

구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 > 1.5 -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연암 및 경암 등으로 구성된 암반비탈면의 경우, 인장균열 내 지


하수 포화 높이나 활동면을 따라 지하수로 포화된 비탈면 높이의
½심도까지 지하수를 위치시키고 해석을 수행하며 이 경우 FS=1.2
를 적용
- 토층 및 풍화암으로 구성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은 지하수위를 결정
FS > 1.2 하여 해석하는 방법 또는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방법 사용 가능
장 우기 또는 -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석하는 경우에는 현장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
기 FS > 1.3 건 및 배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하수위를 결정하고 안정
해석을 수행하며, 지하수위를 결정한 근거를 명확히 기술 (FS=1.2적용)
-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현장 지반조
사 결과, 지형조건, 배수조건과 설계계획빈도에 따른 해당지역의
강우강도, 강우지속 시간 등을 고려하여 안정해석을 실시하며, 해
석시 적용 한 설계정수와 해석방법을 명확히 기술 (FS=1.3적용)
-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 FS > 1.1
- 지하수위는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 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 (시공중 포함)
단기 FS > 1.1
- 지하수 조건은 장기안정성 검토의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출처: 국토해양부(2011).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구미서관. p.32

31
<표 2-7> 땅깎기비탈면 최소안전율 기준(도로설계요령, 2009)

구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 > 1.5 - 지하수위가 없는 것으로 해석
- 암반 비탈면은 인장균열의 1/2심도까지 지하수를 위치시키고 해
FS > 1.2 석 수행, 토층 및 풍화암은 지표면에 지하수를 위치시키고 해석
우기 또는 수핼(FS=1.2적용)
FS > 1.3 -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FS=1.3적용)
- 위 두가지 조건 중 선택적으로 1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함
-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 시 FS > 1.1
- 지하수위는 실체 측정 또는 평상 시 지하수위 측정
단기 FS > 1.0 - 기간 1년 미만의 단기간의 안정성 검토 시
출처: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2권』. 한국도로공사. p.157

(1) 강우침투 고려 방법
지층의 투수계수, 최근 50년 동안 해당지역의 일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기점으
로 하여 1개월 동안의 지속시간을 강우조건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3. 교대 측방유동
측방유동 가능성이 있는 교대부에 대하여 측방유동지수(F), 측방유동판정값(IL), 원호활동
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우선 수행하고, 연약지반의 경우 지반 개량으로 인한 강도 증
가를 고려하여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다. 안정성 검토 결과 측방유동의 우려가 있는 경우
대책 공법을 검토하여, 안정성의 재검토를 실시한다.

(1) 교대의 측방유동 검토 순서

[그림 2-1] 측방유동의 검토 순서

32
(2) 측방유동 판정 기준

<표 2-8> 측방유동 판정 기준

구 분 기 준 판정법 판정식 판정 기준

도로 교 측방유동지수 cu 
F   ×  ×  < 4 F < 4 : 측방유동 가능성
설계요령 (F) tH D
측방
측방유동 t H
유동식 도로 교 IL   ⋅ ⋅ ⋅ 
판정값 cu IL ≥ 1.2 : 측방유동 가능성
시방 서
(IL) > 1.2
• 말뚝 효과 미고려시 기준:
FS>1.5
원호
홍원표 활동에 대한 MR ⇒ 측방유동 가능성 없음
활동 Fs  
(1994) 안전율(FS) MD • 말뚝효 과 고려시 기준:
이용
FS>1.8
⇒ 측방유동 가능성 없음

 말뚝 기초재료

1. 말뚝 재료 허용력

(1)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말뚝 기초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허용응력을 가지


고 있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말뚝 기초의 재료로는 강관말뚝의 경우 STK400과
STK490이 있으며, 콘크리트말뚝의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고강도 콘크리트말
뚝인 PHC 말뚝이 대표적이다. 국내에 주로 사용되는 말뚝 재료의 허용압축응력은
아래와 같이 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표 2-9> 파일 재료의 설계 허용압축응력(조천환, 2010)

말뚝 재료 설계 허용압축응력(MPa)

RC 말뚝  /4

기성 콘크리트말뚝 PSC 말뚝  /4-

PHC 말뚝  /4-

STK400 강관말뚝 140


강관말뚝
STK490 강관말뚝 190

현장 타설말뚝  /4(≦8.5)+0.4

(2) 말뚝 기초가 항타에 의해 시공되는 경우 항타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은 말뚝의 허용


항타응력을 넘지 않아야 하며, 아래 표는 말뚝 재료에 따른 허용항타응력을 보여준다.

33
<표 2-10> 말뚝재료에 대한 허용항타응력

구분 강관말뚝 PHC말뚝

허용압축항타응력  × 60%


 (강재의 항복강도) × 90%
허용인장항타응력  +0.8 
 (kg/cm²)

2. 강관말뚝의 허용압축응력

(1) 말뚝 기초가 갖는 구조 재료로서의 장기 허용압축하중은 말뚝 재료의 허용압축응력


에 말뚝의 유효 단면적을 곱한 값을 기본으로 산정한다. 그러나 말뚝 재료의 실제
허용압축응력은 재료의 특성에 따라 산정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취
급할 수 는 없으므로 말뚝 재료별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2) 국내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강관말뚝의 재료로 주로 STK400 및 STK490의 두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구조물 기초설계기준해설(2015)에서는 이들 강재의 허용압축
응력을 각각 140MPa 과 190MPa으로 제시하고 있다. 강관말뚝 재료의 허용압축하중
은 허용압축응력에 재료의 직경 및 두께를 고려한 순단면적을 곱한 값으로 한다.

3. PHC 말뚝의 허용압축응력

(1) 기성 콘크리트 말뚝 중 철근콘크리트(RC)말뚝은 원칙적으로 콘크리트 압축 강도의


최대 25%까지를 말뚝 재료의 장기 허용압축응력으로 사용한다. 기성 콘크리트말뚝
은 일반적인 지반조 건의 경우 부식이 거의 문제되지 않기 때문에 재료의 단면적을
100%로 사용할 수 있으나, 부식성이 특별히 높은 지하수 조건인 경우에는 부식 방
지공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

(2)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기성 콘크리트말뚝은 거의 대부분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PC 또는 PHC 말뚝으로 제작되고 있다. 프리스트레싱이 기성 콘크리트 말뚝 재료의
장기 허용압축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제안들이 있지만, 아직까
지 분명한 이론이 정립되지 못하였다. 설계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B종 PHC 말뚝
의 장기 허용압축응력은 24MPa이며, 아래 표는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
는 PHC 말뚝의 규격별 장기 허용압축하중을 나타낸다.

34
<표 2-11> PHC 말뚝(B종)의 제원 및 허용압축하중

유효
허용압축하중
직경(mm) 두께(mm) 단면적(mm) 프리스트레싱
(kN)
(MPa)

350 60 0.0547 7.8 920

400 65 0.0684 7.9 1,150

450 70 0.0836 8.2 1,410

500 80 0.1056 7.8 1,780

600 90 0.1442 7.9 2,430

700 100 0.1885 8.2 3,180

800 110 0.2385 8.2 4,020

※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 ) = 80MPa(A종), 85MPa(B, C종)


※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 =  /4

35
수행 내용 / 설계기준 수립하기

재료·자료

Ÿ (사)한국지반공학회.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구미서관.

Ÿ 한국시설안전공단.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씨아이알.

Ÿ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요령 2』

Ÿ 공사설계도서 샘플(지반조사보고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Ÿ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한글, 엑셀)

안전 ・ 유의 사항

Ÿ 컴퓨터 작업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Ÿ 인터넷이나 참고 자료에서 지반조사의 종류 및 시추조사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한다.

수행 순서

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을 수립한다.

1. 허용지지력 산정 방법 및 적용 안전율 결정

(1) 구조물 기초의 허용지지력 산정 방법은 아래의 표와 같이 기초의 형식에 따라 다양


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대상 기초 구조물의 형식과 지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
절한 지지력 산정 공식을 선정한다.

<표 2-12> 기초형식 별 안정성 계산 공식

구 분 말뚝기초 우물통기초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08)


∙구조물 기초설계기준(2009.3)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2008)
적용공식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 설계기준(한국도로 ∙구조물 기초설계기준(2009.3
공사, 2002.7) ∙Bell의 지지력 산정식
∙Canadian Foundation Engineering Manual

36
(2)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안전율 기준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으며, 기준서에 상관
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13> 안전율 기준 결정

도로교설계 구조물기초 고속도로 일본 도로교


구 분 적 용
기준 설계기준 설계실무 지침서 시방서

평상시 3.0 3.0 3.0 3.0 3.0


안전율
지진시 2.0 2.0 2.0 2.0 2.0

2. 적용하중 및 허용변위 기준

(1) 연직변위 기준 결정
구조물 기초의 연직변위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조물의
형식 및 기초 지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허용변위 기준을 선정한다.

<표 2-14> 부정정 구조물의 허용연직침하량 기준

지지층 최대변위량(mm) 부등침하량(mm) 허용침하량

모래지반 기초 25
∙최대변위량 ➜ 25mm
점토지반 기초 50 20
적용
복합지반 기초 30
출처: 한국도로공사(2009). 『고속도로 설계실무 지침서』. 한국도로공사

<표 2-15> 배수구조물의 허용연직침하량

구 분 최대침하량 적 용

배수시설 15.0~30.0cm 15.0cm


출처: (사)한국지반공학회(2009).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 구미서관

<표 2-16> 허용각변위 기준

구조물기초 국도건설공사
구 분 도로설계요령 적 용
설계기준 설계실무요령

각변위기준 1/200~1/250 1/300~1/600 1/250~1/400 1/250

37
(2) 수평변위 기준 결정
구조물 기초의 수평변위는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기초의 형식 및 크기에 따라 안전측의 값
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표 2-17> 수평변위 기준

구 분 말뚝기초 우물통기초
∙말뚝지름의 1%
허용수평변위 ∙기초 폭의 1%(최대 50mm)
(지름 1,500mm 이하는 15mm)
출처: 대한토목학회(2008).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기문당. p.831

 비탈면 설계 기준을 수립한다.

1. 검토 기준
일반적인 비탈면 안정 검토는 20m 이상의 깎기 비탈면과 10m 이상의 쌓기 비탈면을 대
상으로 실시하였다.

(1) 안정성 검토를 필요로 하는 쌓기 비탈면


Ÿ 비탈면의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
Ÿ 비탈면 경사가 표준경사보다 급한 경우
Ÿ 쌓기 재료의 함수 특성이 높고, 전단 강도가 낮은 경우
Ÿ 붕괴시 복구가 장시간 소요되거나 주변 인접 시설물에 중대한 인명, 재산상 피해를
주는 경우
Ÿ 지형 특성으로 인하여 쌓기 토체 내부로 지속적인 지하수의 유입이 발생하는 경우
(경사지반, 계곡부 쌓기 등)
Ÿ 홍수시 비탈면이 침수되거나 비탈 끝이 침식되는 경우
Ÿ 쌓기 비탈면의 원지반이 양호하지 못한 경우(연약지반 등)
Ÿ 내진 안정 해석이 필요한 경우
Ÿ 위 조건 외에 설계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2) 안정성 검토를 필요로 하는 깎기 비탈면


Ÿ 비탈면의 높이가 20m 이상인 경우
Ÿ 비탈면 경사가 표준경사보다 급한 경우
Ÿ 비탈면 지반이 붕적토로 이루어진 경우
Ÿ 암반의 풍화가 심하고 용수가 많은 경우
Ÿ 불연속면이 비탈면 방향으로 경사진 지질 조건의 경우
Ÿ 붕괴시 복구가 장시간 소요되거나 주변 인접 시설물에 중대한 인명, 재산상 피해를
주는 경우

38
Ÿ 내진 안정 해석이 필요한 경우
Ÿ 불안정 요인을 갖는 지형·지질 조건인 경우

 연약지반 설계기준을 수립한다.

1. 연약지반 처리 기간
전체 공사 기간 중 구조물, 포장 및 부대 공사 등 전후 공정과 시공중 교통량 확보, 공사
기간을 고려하여, 순수 지반 개량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24개월로 설정하였다.

<표 2-18> 연약지반 처리 기간 설정

공사 준비 기간 연약지반 처리 기간 연약지반 총 공사 기간

부지 정리 및 Sand매트 포설 쌓기 및 방치 기간
24개월
1개월 Var.

2. 적용 연약지반 판단 기준
상기의 연약지반의 판정 기준에 따르면 연약지반은 10m 미만의 경우 N-Value가 4 이하,
10m 이상의 경우 N-Value가 6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본 과업 노선에 대해 콘관입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여 표준관입시험 및 불교란 시료의 역학시험 결과를 토대로, 국도건
설공사 설계실무요령을 적용하여 10m 미만의 경우 N=4 이하, 10m 이상의 경우 N=6 이하
를 연약지반 판정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3. 쌓기 속도

<표 2-19> 토질상태에 따른 쌓기속도 기준 결정

토질 상태 쌓기 속도 적 용

점성토층이 두꺼운 경우 및 유기질토가 두꺼운 이탄


3.0cm/일 (0.9m/월)
질 지반

보통의 점토질 지반 5.0cm/일 (1.5m/월) ◎

점성토층이 얇은 경우 및 유기질토가 거의 없는 이탄
10.0cm/일 (3.0m/월)
질 지반

39
4. 허용잔류침하량
허용잔류침하량은 구조물의 사용 목적, 중요도, 공사 기간, 지반의 특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에서 제시하는 값은 아래와 같다.

<표 2-20> 허용잔류침하량 기준

조건 허용잔류침하량(cm)
도로공용시 10
배수박스 30
출처: 국토교통부(2013).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국도교통부. p.66

5. 상재하중 재하 방법
설계시 적용되는 상재하중은 4가지의 Case로 분류하며, 하중 조건에 따라 침하량 계산 결
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한국도로공사 설계실무 자료집에서는 침하량 산정시 상재하
중을 성토하중, 교통하중, 포장하중 및 침하토하중을 고려하도록 추천하고 있으며, 침하토
하중이란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토량을 성토시 미리 재하하는 성토량을 말한다. 본 설계에
서는 침하토가 적어 여성고 이내로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어 Case-4의 하중 조건을 적용
하였다.

<표 2-21> 상재하중 재하 기준 결정

구분 하중 조건 적용
Case-1 쌓기하중+포장하중
Case-2 쌓기하중+포장하중+침하토하중
Case-3 쌓기하중+포장하중+교통하중+침하토하중
Case-4 쌓기하중+포장하중+교통하중 ◎

수행 tip

• 실제 적용된 설계도서와 설계기준서를 비교하면 설


계기준 수립에 대한 이해가 쉽다.

40
학습 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우선 정의하여 설명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설계기준 선정 결과에 따라 토목 구조물의 설계 결과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 설계 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에 대한 관련 기준서와 규정을 설명한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각종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하중, 재료 조건 및 허용안전율 등을 설명한다.

• 기존 보고서를 인용하여 설계기준 선정 사례의 예시를 제시하고,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학습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숙지한다.

• 설계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이 관련 기준서와 규정을 조사해 본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각종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하중, 재료 조건 및 허용안전율 등으로부터 구조물


설계기준을 선정해 본다.

• 설계 목표에 따라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었는지 판단하고, 조정 및 변경 등 설계에


필요한 내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본다.

•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었는지 판단하는 학습을 한다.

41
학습 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 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이 관


련 기준서와 규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구
조물을 선정할 수 있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도로 설계기


준, 터널 설계기준, 지반실무 적용 등의 각종 구조물
과업 목적에 따른
설계에 필요한 하중, 재료 조건 및 허용안전율 등을
설계기준 수립
분석하여 구조물 설계기준을 선정할 수 있다.

- 설계 목표에 따라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


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설계 적용의 조정 및 변
경 등 설계에 필요한 내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 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이 관


련 기준서와 규정에 적합한지 판단

- 과업 목적에 따라 각종 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하중,


과업 목적에 따른 재료 조건 및 허용안전율 등으로부터 구조물 설계기
설계기준 수립 준을 선정 능력

- 설계 목표에 따라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


었는지 판단하고, 조정 및 변경 등 설계에 필요한 내
용으로 체크리스트 작성

42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 목표에 따라 계획 구조물의 용도 및 목적이 관


련 기준서와 규정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구
조물을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도로 설계기


준, 터널 설계기준, 지반실무 적용 등의 각종 구조물
과업 목적에 따른
설계에 필요한 하중, 재료 조건 및 허용안전율 등을
설계기준 수립
분석하여 구조물 설계기준을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설계 목표에 따라 관련 설계기준이 적합하게 선정되


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실시설계 적용의 조정 및 변
경 등 설계에 필요한 내용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평가자가 보충 설명 및 질의응답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43
학습 1 관련기준 검토하기(LM1402010806_14v2.1)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LM1402010806_14v2.2)

학습 3 표준도 작성하기(LM1402010806_14v2.3)
지반 구조물 지지층, 개량 범위, 공법 선정하기
학습 4
(LM1402010806_14v2.4)

3-1. 과업 목적에 따른 구조물 표준도 작성


• 관련설계기준에 따라 구조물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계획 가능한 높
이와 평면적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 구조물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구조물의 위치, 형태, 크기 등이 파악될 수 있도록 표
학습 목표
준도에 구체적인 치수와 주요 재료를 표기할 수 있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설계 방법, 재료의 종류, 강도 등과 같은 설계 조건과 시
공시 유의 사항 등을 표준도에 수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연약지반 처리 표준도 및 수량

1. P.P 매트
◦P.P 매트는 쌓기 비탈면 끝단에서 4.0m씩 여유 있게 적용한다.
◦현장 봉합의 겹이음은 구입 제품에 포함된 수량이다.

[그림 3-1] P.P 매트 설치 표준도

44
2. P.E.T 매트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단계 흙쌓기시 적용한다.
◦현장 봉합의 겹이음은 구입 제품에 포함된 수량이다.
◦제 수량은 수평거리로 산출한다.

[그림 3-2] P.E.T 매트 설치 표준도

3. 샌드 드레인, 샌드 콤팩션 파일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심도는 Sand Mat층을 포함한다.
◦모래 수량은 Sand Mat층을 제외하여 산출한다.

4. 팩 드레인
◦연약지반 구간에서 팩 드레인 공법 사용시 적용하며, 팩 드레인의 길이는 시공관리를
위하여 샌드매트 상단에서 50cm가 노출되도록 산출한다.

5. 표토 제거
◦표토 제거 수량은 수평거리로 산출한다.
◦연약지반 구간 쌓기 재료로 부적합한 지표(초근, 갈대, 습지 등)를 표토 제거 T=20cm로
반영한다.
◦연약지반에서 표토 제거로 발생된 토사는 사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유용이 가능하
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장 여건에 따라 유용할 수도 있다.

 연약지반 계측 표준도 및 수량

1. 침하판, 침하 측정봉 및 보호관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100m씩 등간격으로 3개소(중앙에 1개소, 좌우길 어깨에 각각
1개소씩)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되, 발주처와 협의하여 설치 간격 및 개소수를 조정
할 수 있다.

45
2. 경사계 설치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쌓기 좌우 비탈면과 교대 중앙부에 설치하며, 계측관리
casing pipe 설치는 지층까지의 깊이로 한다.
◦설치 구간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전단파괴 예상 지점에 설치한다.

3. 간극수압계 설치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계측관리 Tube 설치는 연약지반층 중간 깊이로 설치, 간격
은 200m로 한다.
◦연약지반 두께가 5m 미만인 경우 공당 1소자, 5~10m인 경우 공당 2소자, 10m 이상인
경우 공당 3소자를 설치한다.
◦설치 구간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전단 파괴 예상 지점에 설치한다.

4. 수위측정기 설치
◦연약지반 구간에 적용하며, 계측관리 Tube 설치는 연약지반 층 중간 깊이로 설치, 간격
은 200m로 한다.
◦설치 구간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전단 파괴 예상 지점에 설치한다.

5. 층별 침하계 설치
◦연약지반 구간에 설치하며, 설치 간격은 200m씩 등간격으로 설치한다.
◦연약지반 두께가 5m 미만인 경우 공당 1소자, 5~10m인 경우 공당 2소자, 10m 이상인
경우 공당 3소자를 설치한다.

46
수행 내용 / 표준도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국토교통부(2013).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국도교통부.

Ÿ 공사설계도서 샘플(지반조사보고서)

Ÿ 지반조사 관련 각종 사진 및 동영상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Ÿ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한글, 엑셀)

안전 ・ 유의 사항

Ÿ 컴퓨터 작업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Ÿ 인터넷이나 참고 자료에서 지반조사의 종류 및 시추조사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한다.

수행 순서

 연약지반 표준도를 작성한다.

1. 작성 방법

(1) 연약지반처리계획도(종평면도)
◦연약지반 설계를 위해 수행된 시추조사의 위치 및 시추주상도를 표현
◦다음의 연약지반 판정 기준을 바탕으로 시추 결과로부터 연약지반의 수직 및 수평
적 분포 상태 표현
◦연약지반의 두께 및 특성 분포를 바탕으로 연약지반의 설계 구간 설정

(2) 연약지반처리계획도(표준횡단면도)
◦연약지반의 특성 및 분포를 고려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대표 횡단면도 선정
◦연직 배수재, 샌드매트, PET매트 등 연약지반 적용 처리 공법을 횡단면상에 표현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시공 및 방치 기간 등 시간적 계획 표현
◦연약지반 처리 공법 시공시 주의사항 및 고려 사항 노트 작성

(3) 연약지반 시공순서도


◦연약지반의 처리 공법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
◦시공 전부터 연약지반 처리 완료까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작성

47
◦표현이 어려운 구간은 부분상세도를 작성하여 표현

(4) 연약지반 계측 계획도


◦연약지반의 분포 및 설계 대표 단면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계측 위치를 표현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계측 기준에 적합하게 계측기 종류별 수량을 계획하고 요약
하여 표기

(5) 연약지반 계측기 배치 표준단면도 및 상세도


◦연약지반 설계 및 시공중 처리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횡단면상에 계측기
배치를 조합하여 표시
◦일반 성토 구간 및 교량 교대 구간 등 토목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
◦각각의 계측 장비에 대한 이해를 위한 장비의 상세도 작성
◦연약지반처리 계획도(종평면도)는 49쪽의 [그림 3-3]을 참고한다.
◦연약지반처리 계획도(표준 횡단면도)는 50쪽의 [그림 3-4]를 참고한다.
◦연약지반처리 시공순서도는 51쪽의 [그림 3-5]를 참고한다.
◦연약지반처리 계측계획도는 52쪽의 [그림 3-6]을 참고한다.
◦연약지반처리 계측기 상세도는 53쪽의 [그림 3-7]을 참고한다.

48
2. 연약지반 처리계획도(종평면도)

[그림 3-3] 연약지반처리 종평면도 예

49
3. 연약지반처리계획도(표준횡단면도)

[그림 3-4] 연약지반처리 표준횡단면도 예

50
4. 연약지반처리 시공순서도

[그림 3-5] 연약지반처리 시공순서도 예

51
5. 연약지반 계측계획도

[그림 3-6] 연약지반처리 계측계획도 예

52
6. 연약지반 계측기 배치 표준단면도 및 상세도

[그림 3-7] 연약지반 계측기 상세도 예

53
 비탈면 표준도를 작성한다.

1. 작성 방법

(1) 비탈면 보강 상세도


◦평면상에 비탈면 보강 구간의 위치를 알기 쉽게 표현
◦횡단면에 비탈면 보강재의 위치 및 길이, 간격 등을 상세히 표현
◦비탈면 보강 전개도를 작성하여 비탈면 구간에 대한 보강공법의 적용을 한눈에 파
악할 수 있도록 작성
◦보강구간에 따라 보강재의 규격, 간격, 길이 등과 함께 보강 공법의 전체 수량을 확
인할 수 있는 수량집계표 작성
◦비탈면 보강 공법 시공시 주의사항 및 고려사항 노트 작성

(2) 쏘일 네일링 상세도


◦보강재의 시공 모습 및 각 부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설계된 보강재의 적합한 규격과 형상 표현

(3) 비탈면 계측 상세도


◦일반 쌓기 및 깎기 비탈면, 터널 갱구부 깎기 비탈면 등 토목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
◦비탈면 시공중 안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종·횡단면상에 계측기를 적절히
조합하여 배치
◦각각의 계측 장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장비의 상세도 작성
◦비탈면 보강 상세도는 55쪽의 [그림 3-7]을 참고한다.
◦쏘일 네일링 상세도는 56쪽의 [그림 3-8]을 참고한다.
◦비탈면 계측 계획도는 57쪽의 [그림 3-9]를 참고한다.

54
1. 비탈면 보강 상세도

[그림 3-8] 비탈면 보강 상세도 예

55
2. 쏘일네일링 상세도

[그림 3-9] 쏘일네일링 상세도 예

56
3. 비탈면 계측 계획도

[그림 3-10] 비탈면 계측 계획도 예

57
수행 tip

• 실제 적용된 설계도면 샘플을 참고하면 표준도 작


성에 대한 이해가 쉽다.

58
학습 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우선 정의하여 설명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지반설계시 작성된 설계표준도 내용과 시공중 활용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설계표준도 작성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기존 설계 성과품을 인용하여 설계표준도 작성에 대한 사례의 예시를 제시한다.

• 구조물의 위치, 형태, 크기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치수와 주요 재료가 표기된 표준도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표준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설계 방법, 재료의 종류, 강도 등과 같은 설계 조건과 시공시 유의


사항 등에 대해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숙지한다.

• 구조물 계획에 따른 관련 설계기준을 조사해 본다.

• 설계표준도에 표현되어야 할 항목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하고 요약·정리해 본다.

•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표준도에 기입된 설계 조건 및 시공시 유의사 항을 조사해 본다.

• 기존 설계보고서를 바탕으로 표준도를 작성하고, 구조물의 치수와 재료를 표기해 본다.

59
학습 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관련 설계기준에 따라 구조물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


도록 구조물의 계획 가능한 높이와 평면적 범위를 파
악할 수 있다.

과업 목적에 따른 - 구조물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구조물의 위치, 형태, 크


구조물 표준도 기 등이 파악될 수 있도록 표준도에 구체적인 치수와
작성 주요 재료를 표기할 수 있다.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설계 방법, 재료의 종류, 강


도 등과 같은 설계 조건과 시공시 유의 사항 등을 표
준도에 수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구조물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계획 가


능한 높이와 평면적 범위 파악

과업 목적에 따른 - 구조물 규모 및 용도에 따라 표준도에 구체적인 치수


구조물 표준도 와 주요 재료를 표기
작성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설계 방법, 재료의 종류, 강
도 등과 같은 설계 조건과 시공시 유의 사항 등을 표
준도에 수록

60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관련 설계기준에 따라 구조물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


도록 구조물의 계획 가능한 높이와 평면적 범위를 파
악할 수 있는지 여부

과업 목적에 따른 - 구조물 규모 및 용도에 따라 구조물의 위치, 형태, 크


구조물 표준도 기 등이 파악될 수 있도록 표준도에 구체적인 치수와
작성 주요 재료를 표기할 수 있는지 여부.

- 과업 목적에 따라 구조물 설계 방법, 재료의 종류, 강


도 등과 같은 설계 조건과 시공시 유의 사항 등을 표
준도에 수록할 수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평가자가 보충 설명 및 질의응답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61
학습 1 관련기준 검토하기(LM1402010806_14v2.1)
학습 2 설계기준 수립하기(LM1402010806_14v2.2)
학습 3 표준도 작성하기(LM1402010806_14v2.3)
지반 구조물 지지층, 개량 범위,
학습 4
공법 선정하기(LM1402010806_14v2.4)

4-1. 지지층, 개량 공법 및 굴착 공법 선정
• 설계기준에 따라 시추조사 내용을 분석하고 하중 조건 및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검토하여, 정확한 지반 구조물 지지층을 선정할 수 있다.
• 지반 구조물의 적용 기준에 따라 구조물 규모 및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지반 개량
학습 목표
공법의 적용성을 판단하고 적용 범위 및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 과업지지서에 따라 시추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굴착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지반 구조물의 지지층 선정

1. 푸팅의 근입 깊이

(1) 직접 기초는 원칙적으로 양질의 지지층에 지지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양질(점성토


N > 20, 사질토 N > 30)인 지반이 지표면 아래 5m 이내에 있으면 직접기초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중간층을 지지층으로 하는 경우, 물막이 등이 곤란한 경우 또는 지
표면 아래 5~10m에 지지층이 있을 경우 충분히 검토한 후에 근입 깊이를 정하여야
한다.

(2) 푸팅의 근입 깊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동결 및 세굴심도 아래에 푸팅 하단이 위치


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직접 기초의 푸팅 하단 근입 깊이는 동결심도 + 500㎜
또는 세굴심도 이상으로 하고, 말뚝 기초의 푸팅 하단 근입 깊이는 동결심도 또는
세굴심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력 및 침하량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심도까지 근입해야 한다. 향후 교량 하부 공간 활용이 예상되는 경우,
푸팅 상단이 지표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밖에 푸팅의 근입 깊이는 다음을 항
목을 충분히 검토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62
◦하천의 흐름, 바다, 호수의 파랑에 의한 세굴과 하상 저하
◦압밀침하를 일으키는 깊이
◦지하 매설물 및 인접 구조물의 영향
◦동결 작용을 받는 깊이
◦지하수위
◦시공성과 경제성

[그림 4-1] 직접기초 푸팅의 근입깊이

[그림 4-2] 말뚝기초 푸팅의 근입깊이

2. 말뚝 기초의 지지층 선정

(1) 말뚝 기초는 양질인 지지층에 지지시키는 선단 지지 말뚝을 원칙으로 한다. 양질인


지지층이 매우 깊은 경우는 상부구조의 규모 및 형식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하여 마
찰 말뚝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침하에 대하여 검토하고 상부구조에 지장이 없
도록 해야 한다.

(2) 양질인 지지층의 두께가 얇고 그 아래에 연약한 층이 있는 경우 지지력 및 압밀침


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지층의 심도가 얕은 경우에는 견고한 층을
지지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말뚝의 근입 깊이는 설계 지지력·재하시험 결
과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63
(3) 마찰 말뚝의 사용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서 재하시험을 실시하고 허용지지력을 결
정한다. 마찰 말뚝에 대해서는 특히 장기간의 지지력 특성, 침하 성상에 명확하지
않은 점이 있다. 따라서, 재하시험 결과 지지력이 충분하다고 너무 짧은 말뚝으로
하지 말고, 말뚝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침하의
가능성이 있는 점토층이 매우 두꺼우면 예측하지 못한 큰 침하가 생기거나 2차 압
밀을 포함한 장기간에 걸친 침하가 지속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구조도
정정 구조로 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다.

(4) 양질인 지지층의 층두께는 말뚝 선단에서 말뚝 기초를 가상 케이슨으로 생각한 최


소 폭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또 최소 폭의 3배 이내에 연약한 층이 존재하는 경
우 소위 얇은층이 지지하는 말뚝으로 생각하여, 지지력 및 압밀침하에 대해서 검토
하여야 한다.

 대책 공법의 선정
대책 공법 선정은 지반 및 구조물의 특성과 시공 조건, 주변에 미치는 영향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공법을 비교한 후 경제적인 공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특히, 대책 공
법의 선정은 공학적 판단과 시공 사례 등의 경험적 판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결
정하여야 한다.

1. 대책 공법의 종류와 효과
연약지반 대책 공법은 크게 침하에 대한 대책 공법과 기초 지반의 활동 파괴 방지를 목적
으로 한 공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치환공법, 진공압밀공법, 침투압밀공법 및 고결
공법 등은 대규모 지반 개량 구간에 적용할 경우 경제성에서 매우 불리하므로, 일반적인
개량 공법이 불가능한 구간이나 구조물 기초 및 접속부와 같은 한정된 장소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대책 공법 선정시 유의 사항
대책 공법 선정시 주요 고려 사항으로는 지반 조건, 도로 조건, 시공 조건, 환경 조건 등
이 있다.

(1) 지반 조건
◦사질토는 중력과 입자간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구조를 형성하므로 진동·충격과
같은 동적인 개량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입자와 간극수의 전기·화학적
결합에 의해 구조를 형성하는 점성토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쉽게 교란되어 강도
저하가 발생하므로 정적인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점토의 예민비가 클수록 교란에 의한 강도 저하 현상이 현저하므로 지반 조건에 적
합한 공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완속 시공에 의해 강도 증가를 도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인접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파일네트(pile net) 공법과
같은 특수한 공법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64
(2) 도로 조건
◦도로 조건으로는 쌓기 높이나 구조물과의 접속부와 같은 위치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야 한다.
◦일반적으로 쌓기 구간은 잔류침하가 허용치 이상일 경우에도 부등침하가 크지 않다
면 노면의 평탄성이 확보되므로 도로 기능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구조
물과의 접속부에서 잔류침하로 인한 단차가 발생할 경우에는 도로의 기능에 큰 문
제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말뚝을 설치한 교대에서는 측방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조물과의 접속부 개량 공법은 매우 중요하다.
◦쌓기 높이가 낮은 흙쌓기 구간에서는 잔류침하에 대해서 안전하다 할지라도 교통하
중에 의해 노면이 굴곡되어 도로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낮은 흙쌓
기 구간에서는 차량으로 인한 충격 하중을 고려하여, 과재 쌓기 높이를 계획하고 노
상의 최소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치환공법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공
사용 가도와 같은 임시 구조물은 공사중 유지관리가 가능하므로, 특수한 경우를 제
외하고는 별도의 개량 공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공사 중 유지관리를 시행하는 것으
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시공 조건
◦공사 기간 : 지반 개량 기간은 가능한한 충분한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공사 기간을 고려하여 대책 공법을 선정한다.
◦재 료 : 공법에 사용하는 재료의 확보 가능 여부와 경제성 등을 충분히 검토한다.
◦시공심도 : 공법별로 시공 한계 심도를 고려한다.

(4) 환경 조건
대책 공법 선정은 공법 적용시 주변에 미치는 영향과 진동, 소음 및 지하수 오염과 같
은 환경적 요인까지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가) 강제치환공법
지반을 밀어내서 치환하므로 주변 지반에 heaving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주변 시설물의 피해를 고려하여야 한다.

(나) 지하수위 저하공법


주변 지반의 지하수위가 저하되므로, 침하 영향 범위가 넓어진다.

(다) 연직배수 공법, 다짐말뚝 공법


타설 방법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이나 주변 지반의 변형이 문제가 된다.

(라) 고결 및 심층혼합처리
사용 재료에 따라 주변 농작물 피해나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65
 시추조사로부터 굴착 공법 선정
지반의 굴착 방법은 지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며, 백호우나 불도저로 가능한 토
사 지반과 불도저에 장착된 리퍼(ripper)로 작업이 가능한 리핑암, 그리고 발파를 이용한
굴착이 요구되는 발파암으로 구분하고 있다.
토사, 리핑암 및 발파암은 절취 방법의 선택 및 절취 시공단가를 산정하기 위하여 시공의
난이도에 따라서 구분한다. 이들의 구분은 공사비나 공기에 중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설계시 시추조사 결과를 충분히 검토하고, 현지조사나 주변의 공사 기록·탄성파 속도 등
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1. 굴착 공법의 분류

(1) 토공의 적산 및 시공계획에서는 시공의 난이도에 따라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분


류한다.

(2)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최종적인 구분은 시공시 사용할 불도저의 가동 능률을 기준
하여 판정한다.
◦토사와 리핑암의 판정은 배토판을 사용한 불도저의 착암 능력에 따라 구분하고, 리
핑암과 발파암에 대해서는 불도저에 정착된 리퍼(ripper)의 능력에 따라서 구분한다.
◦토사는 불도저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흙·모래·자갈 및 호박돌이 섞
인 토질이고, 리핑암은 불도저에 정착된 유압식 리퍼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을 정
도로 풍화가 진행된 지층이며, 발파암은 발파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지층으로
정의된다.
◦설계 단계에서의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구분은 보링 조사 자료 등으로 추정하기
때문에, 시공 단계에서는 이들의 구분이 변경되기 쉬워 설계시에 신중한 검토가 필
요하다.

2.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구분 방법


설계에서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구분은 아래의 항목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결정할 필
요가 있다.

(1) 현지답사
현지답사에서는 굴착 예정 지점의 노두를 조사하고, 지질·암질·균열의 크기 및 간
극·풍화의 정도 및 굴착 작업의 난이 등을 판정한다. 풍화가 진행되는 경향은 주변
도로 등의 땅깎기 비탈면의 상태 및 비탈 끝에 모아진 암석의 풍화 상황에 유념하여
조사하는 것이 좋다.

(2) 시추조사
시추조사 결과는 토사, 리핑암, 발파암 구분의 지표가 된다. 그러나 조사 수량 및 결과
의 검토 부족, 토질의 복잡성 등으로 인하여 시공시 토사, 리핑암, 발파암 구분에 대한
변경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아래 사항에 충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66
(가) 위치 및 빈도
◦시추조사의 위치 및 빈도는 신중히 결정하여야 하며, 최소한 동일 땅깎기 구간에
서 1~2개소는 실시할 필요가 있다. 땅깎기가 긴 구간이 연결되는 경우나 지형,
지질이 난이한 곳에서는 조사 위치를 충분히 검토하여 유효한 위치를 선정한다.
◦상황에 따라서 보링 개소를 증가시키거나 탄성파 탐사 등을 실시하여 조사의 신
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퇴적암이나 풍화암 등은 지층이나 지질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설계시 주의하여야 한다.

(나) 코아 시료의 관찰
◦코아 시료의 관찰은 판별에서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코아의 길이나 경도, 풍화의
정도 등에 대하여 유념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연한 응회암은 긴
봉모양의 코아가 얻어지지만 균열이 발달한 것은 암질이 경질이라도 봉모양의
코아가 채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굳은 암석 등은 햄머로 타격하여 금속음을 내는 것이 많다.

(다) 코아 회수율 및 R.Q.D


◦암반의 풍화 상태와 불연속면의 발달 정도는 코아 회수율(T.C.R) 및 R.Q.D로 표
시되며, 단층·균열이 많은 것, 풍화 변질이 심한 것, 퇴적암 등에서 얇은 층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값이 적다.
◦반대로 균열이나 풍화 변질이 작은 양질의 암은 값이 크다. 그 밖에 이러한 값들
은 기계 기구의 상태, 작업원의 능력이나 숙련 정도, 암질의 차이에 따라서도 변
화하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라) 굴진 속도
굴진 속도는 암질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경암 등은 낮다. 그러나 굴진 속도는
사용하는 시추 비트의 종류나 작업원의 기능 정도, 전석의 유무 등에 따라서도 다
르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마) 표준관입시험 (N치)


◦토사와 리핑암의 경계를 표준관입시험 값인 N치로 판단할 때에는 SPT 수치가 50
타일 때 100mm를 경계로 하여 샘플러가 50회/100mm 이상 관입하면 도져 굴착 작
업이 가능한 토사층으로 구분하고, 그 보다 적게 관입하면 리핑암으로 구분한다.
◦설계시에 토사로 판정되었더라도 시공에서는 작업 능률이 나쁜 리핑암 또는 연
암으로 판정(잘 다져진 토사 등)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암석의 일축압축강도는 퇴적암이나 변성암과 같이 이방성이 강한 암석은 층리면이
나 편리면에 직각인가 또는 수평인가에 따라 다르고, 일반적으로 이들의 면에 직각
방향인 것이 강하다. 또한, 함수량에 따라 영향을 받고, 함수량이 많은 것은 강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67
(3) 공사 기록의 조사
주변 도로, 철도 등의 시공 기록이 있는 경우 암질, 풍화 변질의 정도, 굴삭 방법 등을
조사한다. 또한 동일한 지질 조건을 가진 장소의 시공 기록 등도 참조가 된다.

(4) 탄성파탐사
터널 및 대규모 땅깎기 구간 등의 탐사에서 탄성파탐사를 하는 경우에는 탄성파 속도
에 의하여 시공의 난이를 대체로 추정할 수 있다.

3.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구분 기준


토사, 리핑암, 발파암은 위의 내용과 시공성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구분하게 된다. 일반적
인 설계에 적용되는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토사와 리핑암은 표준관입시험(N치) 50타/100mm를 경계로 구분한다.

◦리핑암과 발파암은 암반의 굴착 특성을 결정하는 불연속면의 발달 빈도(TCR, RQD)


와 탄성파 속도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아래 표와 같이 구분한다.

<표 4-1> 토사, 리핑암, 발파암의 분류

구분 토공작업
토사 리핑암 발파암
표준관입시험
50/10 미만 50/10 이상 -
(N치,회/mm)
T.C.R = 5% 이하이고 T.C.R = 5~10% 이상이고
BX규격 -
불연속면의 R.Q.D = 0% 정도 R.Q.D = 5% 이상
발달빈도 T.C.R = 25% 이하이고 T.C.R = 25% 이상이고
NX규격 -
R.Q.D = 0% 정도 R.Q.D. = 10% 이상

A그룹 700m/sec 미만 700~1200m/sec 1200m/sec 이상


탄성파속도
B그룹 1000m/sec 미만 1000~1800m/sec 1800m/sec 이상

※ A그룹 암종 : 편마암, 사질편암, 녹색편암, 석회암, 안산암, 현무암, 유문암, 감람암, 화강암
※ B그룹 암종 : 흑색편암, 휘록응회암, 셰일, 이암, 응회암, 집괴암

68
수행 내용 / 지반 구조물 지지층, 개량 범위, 공법 선정하기

재료·자료

Ÿ 국토교통부(2013).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국도교통부.

Ÿ 공사설계도서 샘플(지반조사보고서)

Ÿ 지반조사 관련 각종 사진 및 동영상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Ÿ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한글, 엑셀)

안전 ・ 유의 사항

Ÿ 컴퓨터 작업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Ÿ 인터넷이나 참고 자료에서 지반조사의 종류 및 시추조사와 관련된 자료를 검색한다.

수행 순서

 구조물 기초의 지지층을 결정한다.

1. 교량 기초 지지층 선정 기준
∙ 설계기준 및 교량 상부하중을 분석하여 작용 하중에 대해 유해한 침하나 변위가 없는
지층을 지지층으로 선정
∙ 국내 설계기준은 하중의 크기나 허용변위량에 대한 제한 없이 표준적으로 양호한 지반으로 규정
∙ 교량 기초 지지층은 상부구조물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교량 기초 시공시 굴착
으로 인한 지반 이완 및 지하수 침투 등에 의한 지지력 저하 요인 등을 고려하여 최소
풍화암 이상 지반을 지지층으로 선정

구 분 설계 기준 비 고

∙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적절한 기초 시공이 가능한 지층


구조물 기초
∙ 지지층은 전단 파괴나 과도한 침하 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과압
설계 기준
밀된 세립토층이나 상대 밀도가 큰 조립토층

∙ 점성토층 : N≥20, qu≥4kN/cm2 ∙ 사질토층 : N≥30


도로교 지지층에 대한
∙ 암반층 : 신선한 암반, 불연속면이 존재하거나 슬래킹 등의 영향을 받
설계 기준 최소기준 제시
기 쉬운 경우 이들 영향에 대하여 사전에 검토 후 지지층 선정

69
<표 4-2> 교량 지지층에 대한 설계기준

구 분 설 계 기 준 비 고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적절한 기초 시공이 가능한 지층
구조물 기초
∙지지층은 전단파괴나 과도한 침하없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과 -
설계기준
압밀된 세립토층이나 상대밀도가 큰 조립토층
∙점성토층 : N≥20, qu≥4kN/cm2 ∙사질토층 : N≥30
도로교 지지층에 대한
∙암반층 : 신선한 암반, 불연속면이 존재하거나 슬래킹 등의 영향을
설계기준 최소기준 제시
받기 쉬운 경우 이들 영향에 대하여 사전에 검토 후 지지층 선정

2. 지지층에 따른 기초형식 선정
설계기준에 의하면 지지층에 따른 기초형식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으며 지지층에 따
른 기초 형식의 적용 방안은 아래 표와 같다.

<표 4-3> 설계기준에 의한 기초형식

구 분 설 계 기 준

구조물 기초 ∙직접기초는 기초의 최소폭(B)과 근입깊이(Df)의 비가 대체로 1.0(Df/B≤1.0)인 경우


설계기준 ∙Df/B ≤ 3.0 ~ 4.0 이하인 경우에도 직접기초의 범주에 속함

∙직접기초와 우물통기초의 차이는 근입깊이이며, 근입깊이와 기초폭의 비에 따라 구분


도로교 ∙Df/B > 1/2의 기초라도 근입부 전면의 저항이 기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직접기
설계기준 초로 설계
∙우물통기초와 말뚝기초 설계방법 구분은 원칙적으로 시공법에 의함

<표 4-4> 지지층에 따른 기초 형식 적용방안

얕 은 기 초 깊 은 기 초
구분
직 접 기 초 말 뚝 기 초 우물통 기초

개요도

∙육상 또는 해상구간 일부 ∙지지층이 깊은 구간에 유리 ∙지지층이 조기 출현하고


에서 수심이 얕고 기초 ∙말뚝시공시 케이싱 적용 수심이 깊은 경우 적용가
특징
지지층이 조기 출현할 경 으로 해상구간 공벽붕괴 능
우 적용가능 방지대책 필요
∙직접기초 : 지지층 심도가 지표면하 GL.-6.0m 이내로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적용
적용 ∙말뚝기초 : 지지층 심도가 지표면하 GL.-6.0m 이상인 육상 및 해상구간에 적용
기준 ∙우물통기초 : 해상의 대형구조물에 적용가능, 지반조건(지지층심도 등) 및 시공조건의
종합분석 후 적용

70
2. 지지층 및 기초형식 선정을 위한 현황분석

(1) 구간별 주요 현황

[그림 4-3] 구간별 주요 현황 예

구 분 수심조건 기반암 출현심도 경사진 기반암 교대부

개념도

∙매우강한(97.7MPa) 기
∙수심(20.2~22.9m)깊음 ∙암반 조기출현(<4.7m) 반암 ∙암반 0.5m 이내 출현
특징
∙차수성 우수한 기초 ∙안정성이 우수한 기초 ∙암반굴착 우수한 기초 ∙직접기초 적용
시공법
∙대수심 조건에서 차수공법 없이 안전하며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인 기초형식 선정
고려
∙매우 강한(Very Strong) 암반층에 거치하여 안정하고 암반굴착이 우수한 기초형식 선정
사항
∙교대 A1, A2는 기반암이 지표면 아래 0.5m 이내 출현하므로 직접기초 적용

(2) 지지층 및 기초 형식 선정 결과
∙현장 여건(해상, 육상)과 지반 조건 등을 고려한 경제성, 시공성, 안정성이 우수한 우
물통 기초와 직접 기초 선정
∙우물통 기초는 주탑 조건을 고려하여 원형 1열 강재 우물통을 선정

구 분 지지층 지지층심도(GL.-m) 수심(m) 기초형식 기초제원(m)

A1 경암 0.5 - 직접기초 8.5×18.36

PY1 연암 2.4 22.9 우물통기초 15(저면 19)

PY2 연암 4.7 20.2 우물통기초 15(저면 19)

A2 경암 0.5 - 직접기초 8.5×18.36

71
 지반 개량 구간을 분할한다.

1. 과업 지역 현황에 따른 분할
∙연약지반의 압밀침하 및 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위한 설계지반정수 산정
∙과업 구간 노선 특성, 예정 공기 등을 고려한 연약지반 구간 예비 분할

(1) 노선 특성 고려

[그림 4-4] 노선특성을 고려한 과업구간 분할 예

구 역 1구간 2구간 3구간


현황 ∙기존도로 저성토 근접시공 ∙얇은 연약층내 고성토 ∙깊은 연약층 내 저성토 근접시공

(2) 예정공기 고려

구 분 1 구간 2 구간 3-1 구간 3-2 구간 총 예정공기


공사기간(개월) 10(순차시공) 18(순차시공) 12 12 28(1구간 + 2구간)

2. 연약지반 설계 구간 분할
∙지형 조건, 연약지반 층후, 퇴적 이력 및 공학적 특성을 감안한 구간 분할
∙상부 구조물 및 토공 높이, 예정 공기 등을 고려한 구간 분할을 통한 설계 최적화

[그림 4-5] 연약지반 설계구간 분할 예

72
(1) 구간별 검토단면 선정
구 분 1 구간(0+060) 2구간(0+200) 3-1구간(1+200) 3-2구간(1+280)

검토단면

∙쌓기고 1.8m, 연약층 6.0m ∙쌓기고 8.6m, 연약층 3.5m ∙쌓기고 5.9m, 연약층 4.7m ∙쌓기고 2.4m, 연약층 14.0m

(2) 지반개량 구간 분할 결과

구 분 1구간 2구간 3-1구간 3-2구간


STA.(연장) 0+000~0+140(L=140m) 0+140~0+260(L=120m) 1+160~1+240(L=80m) 1+240~1+345(L=105m)
쌓기고 /
0.1~1.8 / 2.0~6.0m 4.9~8.6 / 2.5~3.5m 0.4~5.9 / 3.4~4.7m 2.4 / 14.0m
연약층
∙기존도로 저성토 근접 ∙기존도로 저성토 근접
∙기존도로 중간성토
시공 ∙얕은연약층내 고성토 시공
특징 근접시공
∙유용토(암버럭) 단계시 ∙지중구조물 시공 ∙연약층이 중간 두께로
∙연약층 깊게 분포
공 분포
∙기존도로 단계시공 ∙1~2구간 토공유용 계획 ∙기존도로 단계시공 계 ∙기존도로 단계시공
착안사항 계획 ∙경제적인 활동방지공 획 계획
∙표층처리공법 검토 검토 ∙압밀촉진공법 검토 ∙압밀 촉진공법 검토

 지반 개량공법을 선정한다.

1. 지반 개량공법 비교

(1) 연직배수 공법 선정
구 분 Plastic Board Drain 공법 Pack Drain 공법 Fiber Drain 공법

모식도

∙배수재(Plastic Borad)를 지중 ∙합성섬유팩에 모래를 충진하여 ∙환경친화 배수재(Fiber Drain)를


공법개요
에 타설하여 배수로 형성 압밀을 촉진시키는 공법 지중에 타설하여 배수로 형성
∙타입시 지반교란이 적음 ∙4축을 동시 시공으로 공기절감 ∙천연재료로 환경친화적 재료
특징 ∙재료수급이 용이 ∙재료확보 및 수급이 어려움 ∙상대적으로 고가
∙타 공법에 비하여 경제적 ∙심도 증가시 통수능 급격 감소

VE/LCC ∙가치점수 ∙가치점수 ∙가치점수


평 가 : 88.7 : 81.5 : 84.1

선정사유 ∙PBD 공법은 자재수급이 원활하며, 시공실적이 풍부하고 공사비도 저렴하여 적용성이 우수함

73
(2) 표층처리 공법 선정
구 분 쇄석 Mat 공법 Sand Mat 공법 Fiber Mat공법

개요도

∙재료의 수급성이 양호 ∙재료의 수급성이 불량 ∙친환경적 재료 ➜ 천연야자, 황마


특 징 ∙투수계수가 매우 양호함 ∙인근지역 수급량 확보 곤란 ∙순성토 구간에서는 토공 발생
∙경제성 양호 ∙경제성 불리 ∙자재수급 안정, 시공사례적음

VE/LCC ∙가치점수 ∙가치점수 ∙가치점수


평 가 : 90.0 : 71.7 : 86.3

∙Fiber Mat 공법은 시공실적이 적고 암버럭 쌓기에 의한 파단시 기능상실 우려 있음


선정사유
∙쇄석매트 공법은 샌드매트 공법 이상의 개량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공사비도 저렴하여 적용성 우수

(3) 활동 방지공법 선정
구 분 고강도 Mat 압성토 공법 다짐말뚝공법

모식도

∙쌓기노체에 고강도 인장 Mat를 ∙쌓기사면부의 일정구간을 추가 ∙모래 또는 쇄석 말뚝을 지중에


공법개요 포설하여 활동에 대한 저항력을 쌓기에 의해 하중 Balance 조절 형성하여 지반강도 증대하여 비
증대하는 공법 하여 활동파괴를 억제 탈면 활동에 저항
∙시공관리가 비교적 용이 ∙압성토를 위한 부지확보가 필요 ∙활동저항에 대한 신뢰도 양호
∙활동방지 효과 우수 ∙압성토 재료값은 저렴하나 별도의 ∙배수효과 동시 기대
∙시공실적 많음 부지매입 비용으로 인한 경제성 저 ∙시공사례 많음
특징
∙경제성 우수 하 ∙시공관리 어려움
∙고성토인 경우 효용 저하로 단계 ∙고성토인 경우 압성토의 규모가 ∙타설장비 대형으로 진입이 다소
쌓기와 병행 커져 경제성 저하 어려움

VE/LCC ∙가치점수 ∙가치점수 ∙가치점수


평 가 : 89.2 : 80.1 : 86.4

∙본 과업구간에는 PL고를 포함한 시공쌓기고가 한계쌓기고 보다 최대 4.3m 크고, 가장 경제적이고


선정사유
안전한 고강도 인장 Mat 공법을 적용

74
2. 구간별 지반 개량공법 선정 결과

적용구간 확 장 도 로
구 분
(STA.) 표층처리 활동방지 PBD타설 간격(m) PL고(m)
1구간 0+000~0+140 쇄석 50cm - 2.5×2.5 0.8
PET Mat
2구간 0+140~0+260 쇄석 50cm - 0.7
1겹(200kN/m)
3-1구간 1+160~1+240 쇄석 50cm - 2.5×2.5 1.0
3-2구간 1+240~1+345 쇄석 50cm - 2.5×2.5 1.2

1구간(0+000~0+140) 2구간(0+140~0+260) 3구간(1+160~1+345)

3. 구간별 지반개량 설계 결과

구 분 1구간 2구간 3구간

구간(연장) 0+000~0+140(L=140m) 0+140~0+260(L=120m) 1+160~1+345(l185m)

최대 연약층 두께 6.0m 3.5m 14.0m

최대계획고 1.8m 8.6m 5.9m

압밀침하량 49.3cm 58.0cm 87.5cm

공사기간(쌓기+방치) 3개월+7개월=10개월 6개월+12개월=18개월 4.3개월+7.7개월=12개월

압밀촉진공법 PBD(2.5×2.5m) - PBD(2.5×2.5m)

활동방지공법 - 고강도매트+2단계쌓기 2단계쌓기

수행 tip

• 실제 적용된 지반조사보고서, 설계도면 등을 참고


하면 구조물 기초 지지층 선정 및 개량 공법 선정
등에 대한 이해가 쉽다.
• 인터넷, 문헌 등에서 구조물 기초 설계 및 시공에
대한 사진, 동영상이나 자료를 참고하면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75
학습 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우선 정의하여 설명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지지층 선정 결과가 구조물 기초의 안정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지지층
선정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기존 설계 성과품을 인용하여 설계표준도 작성에 대한 사례의 예시를 제시한다.

• 구조물의 규모 및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지반 개량 공법이 적절하게 적용된 설계 예시를 제시함으


로써, 지반 개량 공법의 선정 및 설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 굴착 공법의 종류를 설명하고, 시추조사 결과로부터 지반 특성치에 따른 굴착 공법의 선정 기준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숙지한다.

• 구조물의 규모와 종류에 따른 기초의 지지층 적용 사례를 조사한다.

• 지반 개량 공법 선정시 고려되어야 할 항목 및 내용에 대해 조사하고 요약·정리해 본다.

• 지반 개량 공법의 종류에 따른 특징과 장단점을 조사하여 비교한다.

• 기존 설계보고서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규모 및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구간별 최적의 지반 개량


공법을 선정하고 타당한 이유를 정리한다.

• 굴착 공법에 따른 굴착 방법을 이해하고, 기존 설계보고서를 바탕으로 시추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굴착 공법의 종류를 선정해 본다.

76
학습 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에 따라 시추조사 내용을 분석하고 하중 조


건 및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검토하여 정확한 지
반 구조물 지지층을 선정할 수 있다.

구조물 지지층,
- 지반 구조물의 적용 기준에 따라 구조물 규모 및 지
개량 공법 및
반 조건을 고려하여, 지반 개량 공법의 적용성을 판단
굴착 공법 선정
하고 적용 범위 및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 과업지지서에 따라 시추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굴착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추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하중 조건 및 안정성을 만


족하는 구조물의 지지층 결정
구조물 지지층,
개량 공법 및 - 구조물 규모 및 지반 조건을 고려하여, 지반 개량 공
굴착 공법 선정 법을 정리하고, 공법간 장단점 비교 분석

-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굴착 공법 결정

77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에 따라 시추조사 내용을 분석하고 하중 조


건 및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검토하여, 정확한 지
반 구조물 지지층을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구조물 지지층,
- 지반 구조물의 적용 기준에 따라 구조물 규모 및 지
개량 공법 및
반 조건을 고려하여, 지반 개량 공법의 적용성을 판단
굴착 공법 선정
하고 적용 범위 및 공법을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 과업지지서에 따라 시추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굴착 공법을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평가자가 보충 설명 및 질의응답 등을 통하여
학습 도달 여부를 확인한다.

78
∙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https://standard.go.kr에서 2016년 9월 12일 인출.

∙ 국토교통부(2013).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 요령』. 국토교통부.

∙ 국토해양부(2011).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구미서관.

∙ 대한토목학회(2008). 『도로교설계기준 해설』. 기문당.

∙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2권』. 한국도로공사.

∙ 한국철도시설공단(2011). 『철도설계편람(노반편)(II)』. 한국철도시설공단.

79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유승경(명지전문대학) 김홍연(삼부토건㈜) 김규형(㈜용마엔지니어링)
여규권(삼부토건㈜) 문준석(도화엔지니어링)
윤중만(신안산대학교) 이강일(대진대학교)
이상돈(㈜이산) 하성호(서정엔지니어링㈜)
최충락(㈜평화엔지니어링) 한기환(서정엔지니어링㈜)
한상재(㈜지구환경전문가그룹)
홍기권(㈜대한건설ENG)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곽문수(명지전문대학)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현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영인(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윤재(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