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6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ㆍ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교량설계 사전자료 검토

터널설계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사업개요 분석

교량설계 교량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현황조사

항만(해양)설계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교량설계 기본계획 수립

상하수도설계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교량설계 형식·공법 결정

하천(댐)설계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교량설계 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교량설계 도면 작성 교량설계 도면 작성

단지설계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교량설계 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교량설계 사업비 산정


토목건설사업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교량설계 보고서 작성
관리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국내외 유사교량사례 조사하기

1-1. 교량사례 수집, 분석 및 정리 3

• 교수・학습 방법 15

• 평가 17

학습 2.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
2-1. 상부형식 결정 19

2-2. 상부 단면계획 결정 29

2-3.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결정 41

• 교수・학습 방법 46

• 평가 48

학습 3.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
3-1. 하부형식 결정 및 단면계획 51

3-2. 내진설계 63

• 교수・학습 방법 72

• 평가 74

학습 4.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
4-1. 시설부지 규모결정 76

4-2. 가설장비 및 가설공법 결정 81

• 교수・학습 방법 93

• 평가 95
학습 5. 교량 부대시설 형식 선정하기
5-1. 교량 부대시설 선정 97

5-2. 교량 유지관리시설 선정 110

• 교수・학습 방법 117

• 평가 119

참고 자료 121
교량설계 형식ᆞ공법 결정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가설위치의 현황조건에 부합하는 최적의 교량형식 및 공법을 선정하여 교량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선수학습

교량공학, 토목시공학,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학습모듈의 내용 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국내외 유사교량 1-1. 교량사례 수집, 분석 및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1402010405_14v2.1
사례 조사하기 정리 조사하기

2-1. 상부형식 결정
2. 교량 상부형식 2-2. 상부단면계획 결정 교량 상부형식
1402010405_14v2.2
선정하기 2-3.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선정하기
결정
3-1. 하부형식 결정 및 단면
3. 교량 하부형식 교량 하부형식
계획 1402010405_14v2.3
선정하기 선정하기
3-2. 내진설계
4-1. 시설부지 규모결정
4. 교량 가설공법 교량 가설공법
4-2. 가설장비 및 가설공법 1402010405_14v2.4
결정하기 결정하기
결정
5. 교량 부대시설 5-1. 교량 부대시설 선정 교량 부대시설
1402010405_14v2.5
형식 선정하기 5-2. 교량 유지관리시설 선정 형식 선정하기

핵심 용어

상부형식, 하부형식, 기초형식, 내진설계, 가설공법, 부대시설, 유지관리시설

1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405_14v2.1)

학습 2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2)
학습 3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3)
학습 4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LM1402010405_14v2.4)
학습 5 교량 부대시설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5)

1-1. 교량사례 수집, 분석 및 정리

• 국내외 유사교량에 대한 사례를 수집하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최근의 설계 동향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분석결과를 교량의 세부구조 결정을 위한 설계 진행 단계별 참고 자료로 정리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의 이해
도로, 철도, 수로와 같은 운송로에 장애가 되는 하천, 계곡, 호수, 해안, 해협 등을 건너거나,
또는 다른 도로, 철도, 수로, 농경지, 교차로 등을 통과하는 시설물을 교량이라 한다.

1. 교량의 구성
교량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구분되며 상부구조 중에 도로교에서는 승용차, 트럭 등 차
량하중, 철도교에서는 열차하중, 보도교에서는 보행자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이
다. 도심지와 같이 보행자의 이동이 많은 곳에 위치하는 도로교는 차량하중과 보행자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하부구조는 상부구조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교대, 교각 및 기초로 구분할 수 있다.
교대는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고 교각은 연속교의 경우 교량 중간부에 설치되며 교량
의 연장이 짧은 단경간 교량은 교각이 설치되지 않는다.
기초는 교대 및 교각으로 전달되는 상부하중을 지반의 지지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지
지층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직접기초, 말뚝기초, 우물통기초 등을 적용할 수 있다.

3
교량받침

[그림 1-1] 교량의 종단면도(거더교)

교량 폭원

연석폭 차로 폭원 연석폭

차량방호책
바닥판 포장

형고(거더높이)
PSC 거더
가로보
(Cross Beam)

[그림 1-2] 교량의 횡단면도(거더교)

 교량의 분류

1.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
교량을 분류할 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상부구조 형식에 따른 분류이다. 교량의 상부형식
은 가설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각 형식의 구조적 특성이 다르다.

(1) 거더교(Girder Bridge)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으로 거더를 교축방향(차량진행방향)으로 가설하
고 상부 바닥판을 설치한 교량형식이다.
대표적인 거더교 형식으로 강교 계열은 강박스거더교, 강상판형교, 플레이트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강박스거더교 정모멘트부의 상부 플랜지를
설치하지 않는 개구형의 강교가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여 많이 채택되고 있다.
콘크리트 계열은 PSC거더교, PSC박스거더교 등이 있다.

PSC거더교 PSC박스거더교
[그림 1-3] 거더교

4
(2) 슬래브교(Slab Bridge)
상부구조가 슬래브로 형성된 교량으로 슬래브 구조에 따라 RC 슬래브교, PSC 슬래브
교, 중공 슬래브교 등이 있다.
최근에는 교량형식을 선정할 때 많이 적용되지 않는다.

(3) 라멘교(Rahmen Bridge)


교량의 상부 슬래브와 하부 벽체를 일체화하여 강결로 연결함으로 전체 구조의 강성
을 높이며 상부 슬래브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줄이고 교대나 교각에 분담하게 하는
교량형식이다.
라멘교의 종류로 문형라멘, 연속라멘, π형라멘 등 다양한 형상이 있으며 사용재료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구조, PSC구조, 강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기술개발을 통해 PSC거더, 프리플렉스거더, Ⅰ형 강거더와 합성시킨 합성형
라멘교가 신형식 교량으로 개발되어 많이 적용되고 있다.

(4) 트러스교(Truss Bridge)


직선으로 된 여러 개의 부재를 삼각형으로 한 평면 내에서 뼈대 구조로 조립한 것을
트러스라 하며 주형 대신 트러스를 사용한 교량을 트러스교라 한다.
트러스는 형상에 따라 Warren Truss, Pratt Truss, Howe Truss, K Truss 등이 있으며
Warren Truss, Pratt Truss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림 1-4] 트러스교

(5) 아치교(Arch Bridge)


보강형과 아치리브, 수직재로 구성되며 양단의 지점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
록 하며 아치를 주부재로 하는 교량형식이다.
사용재료에 따라 콘크리트교와 강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교의 경우는 일반적
으로 상로교에 적용되고 있다.
강아치교는 구조형식에 따라 타이드아치, 랭거아치, 로제아치, 닐센아치교 등으로 분류
되며 타이드아치교는 아치의 양단을 타이로 연결한 형식이며 랭거아치교는 아치부재
의 단면이 작고 축력만 작용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로제아치교는 랭거교와 달리 아치
부재에 축력, 휨모멘트 및 전단력이 발생하도록 설계하며 아치부재의 단면이 크다.

5
닐센아치교는 아치부재와 보강형을 연결하는 수직재를 케이블로 대체하고 경사지게
배치한 교량형식이다.

[그림 1-5] 아치교

(6) 엑스트라도즈교(Extradosed Bridge)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지점부 구간에서 PS 강재로 인해 단면에 도입되는 축력과 모멘
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낮은 주탑을 설치하고 PS 강재의 편심량을 증가시켜 구조 효율
성을 증대시킨 교량형식이다. 엑스트라도즈교는 거더 유효높이 이상으로 PS강재의 편
심을 확보하여 PSC박스거더교에 비해 장경간화할 수 있으며 상부구조도 경량화가 가
능하다.
사장교와 형상은 유사하나 주탑의 높이가 사장교에 비해 낮고 100∼200m의 경간장에
적용되고 있으며 케이블 노출 여부에 따라 콘크리트 내에 배치한 사판교와 외부에 노
출한 사장외 케이블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림 1-6] 엑스트라도즈교

(7) 사장교(Cable Stayed Bridge)


장경간이 요구되는 하천 및 해상에 가설되며 높은 주탑과 고장력 케이블을 이용하여
보강형에 작용하는 주하중을 지지하는 교량형식으로 장경간화에 따른 고정하중의 단
면력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조계이다.
보강형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케이블의 인장력으로 지지되며 케이블이 정착되는
보강형은 탄성지지된 구조물로 거동한다.
재료에 따라 강사장교, 콘크리트 사장교로 구분되며 케이블 배치에 따라 방사형, 하프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6
[그림 1-7] 사장교

방사형 하프형 혼합형


출처: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p.부록A1-7.
[그림 1-8] 사장교 케이블 배치형상

(8) 현수교(Suspension Bridge)


사장교와 같이 장경간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형식으로 사장교보다는 경간장을
더 크게 계획할 수 있다. 주케이블은 주탑을 이용하여 앵커리지 블록에 정착하고 보강
거더를 행거에 의해 주케이블에 매다는 형식으로 경간을 길게 할 수밖에 없는 지형에
적합하다. 주케이블이 앵커리지 블록을 통해 지중에 정착되는 형식을 타정식 현수교라
하며 주케이블이 보강거더에 결합되는 자정식 현수교가 있다. 대부분의 현수교는 타정
식 현수교이며 자정식 현수교는 국내에 영종대교가 있다.

타정식 현수교 자정식 현수교


출처: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p.부록A1-10.
[그림 1-9] 현수교의 종류

2. 가설위치에 따른 분류
교량은 하부에 하천, 계곡, 해상 및 다른 도로, 농경지, 교차로 등과 같은 지형 및 시설물을
통과하므로 교량이 가설되는 위치에 따라 교량을 분류하기도 한다.

(1) 하천교
국가하천, 지방하천, 소하천 등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으로 하천설계기준에 의거 형하
여유고 및 경간장을 확보하여야 한다.

7
(2) 과선교, 가도교
고속철도, 일반철도 등 철도선로를 횡단하는 교량을 과선교라 하며 고속도로, 국도 및
일반도로 등 도로를 횡단하는 교량을 가도교라 한다.

(3) 고가교
도심지 도로를 따라 설치되거나 농경지 구간에 설치되는 교량으로 대표적으로 지금은
철거된 청계천 고가교가 있다.

(4) 연육교 및 연도교


해상에 설치되는 교량으로 육지와 섬을 연결할 경우는 연육교, 섬과 섬을 연결할 때는
연도로라 하며 설계 시 선박충돌 및 파압의 영향 등 해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조건 등
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3. 사용재료에 따른 분류
교량의 상부구조는 사용재료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와 강재를
사용하는 교량이 대부분이다.

(1) 목교
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한 교량으로 현재는 등산로나 관광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보도
교로 주로 활용된다.

(2) 석교
돌을 이용하여 만든 교량으로 경간장이 짧으며 예전에 아치교에 많이 적용되었다.
거더교로 적용된 대표적인 예가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살곶이 다리(전곶교, 사적160호)
이며 아치교의 경우는 해외에 적용된 사례가 많이 있다.

(3) 철근콘크리트교
시멘트, 자갈, 모래로 구성되는 콘크리트에 철근을 배치하여 내하력을 향상시킨 교량
형식으로 다양한 형상을 만들 수 있어 많이 적용되고 있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


고강도의 철근콘크리트 및 고장력의 PS강재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내하력을 향상시킨 교량이다. 거더교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거더가 개발되고 있다.

(5) 강교
용접구조용 압연강재(SM강재)나 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강재)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교량으로 거더교 형식이 대부분이다. 강재의 연결을 용접이나 볼트를 이용하며 장경간
교량에 적용되고 있다.

4. 평면 형상에 따른 분류
도로의 평면선형에 따라 기본적인 교량의 상부형상이 결정된다. 교량이 하천이나 도로 등을

8
횡단하는 경우 도로의 평면선형과 교량 하부에 위치한 하천 및 도로와의 교차각에 따라
상부 평면형상이 결정된다.

(1) 직선교 및 곡선교


도로의 평면선형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직선구간에 위치한 교량은 직선교,
곡선구간에 위치한 교량을 곡선교라 한다.

(2) 직교 및 사교
교량의 상부가 평면상 교량하부에 위치한 하천이나 도로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교량을
직교라 하며 사각으로 배치되는 교량을 사교라 한다.
곡선교의 경우도 하부 통과 여건에 따라 직교와 사교로 구분된다.

5. 노면 위치에 따른 분류
차량이 통과하는 노면의 위치에 따라 교량을 분류하며 복층교량으로 적용되는 경우도 있
다. 대표적으로 영종대교와 청담대교가 복층교량으로 시공되어 있다.

(1) 상로교
차량의 바퀴가 통과하는 노면이 교량의 상면에 위치한 교량을 상로교라 하며 슬래브교,
라멘교, 거더교는 거의 모든 교량이 상로교 형식이다. 사장교와 현수교도 상로교 형식을
채택하며 아치교나 트러스교는 상로교로 적용할 수 있다.

(2) 중로교
노면이 교량 상부구조의 중간부를 통과하는 교량을 중로교라 하며 아치교에 주로 적용
되고 있다.

(3) 하로교
노면이 교량 상부구조의 하단에 위치하는 교량을 하로교라 하며 일반적인 교량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아치교와 트러스교에 적용된다.

수행 내용 / 교량사례 수집, 분석 및 정리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9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구조물기초 설계기준해설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Ÿ 각종 건설지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Ÿ 사진기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 및 참고문헌을 통해 조사한 사진, 이미지 등을 문서로 작성하여 외부 유출 시 「저작권법」에


의해 타인의 지적 재산권을 표절하게 되므로 주의한다.

수행 순서

 국내외 유사교량에 대한 사례를 수집한다.

1. 사례조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1) 조사 내용을 결정한다.


사례조사는 계획되는 교량의 안전성 및 시공성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기 위해 교량의
가설위치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세부구
조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교량은 구조형식, 가설위치, 평면형상 및 사용재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조사할 내용이 항목별로 구분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
으로 복합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사례조사를 시행할 때는 어떠한 목
적을 위해 무엇을 조사할지 의도를 명확히 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가) 교량 형식을 조사한다.


거더교, 슬래브교, 라멘교와 같은 형식을 일반교라 하며 트러스교, 아치교, 엑스트
라도즈교(E/D교),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형식을 특수교라 한다. 특수교중 아치교,
E/D교, 사장교, 현수교는 해상교량인 연도교, 연육교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10
구분하여 조사한다. 또한 계획되는 교량의 형식을 결정할 때 교량 가설지역과 인접
한 주변의 교량형식을 조사하여 계획교량 형식을 결정할 때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나) 가설공법을 조사한다.


교량의 가설공법은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다양한 공법이 적용된다. 동바리 가설,
크레인 가설이 대표적인 가설공법이며 PSC박스거더교 및 특수교의 경우는 상부 형
식별로 특수한 공법이 적용되므로 교량형식별 적용공법도 동시에 조사한다.

(다) 교량 연장 및 경간장을 조사한다.


교량을 계획할 때는 총연장을 적정 경간장 범위 내에서 분할하여 계획한다.
교량은 상부 형식별로 적용되는 경간장의 범위가 다르므로 조사되는 교량의 경간
장을 분석하면 계획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형식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교량
의 경간구성 및 경간장을 조사한다.
최근 계획되는 사장교나 현수교의 경우는 기술의 발전으로 장경간화하는 추세이므
로 최신 자료를 조사한다.

(라) 상부거더 형식 및 횡단면(폭원, 형고)을 조사한다.


거더교의 경우는 상부거더 형식별로 횡단면 구성을 조사하여 거더의 배치간격, 경
간장에 따른 거더의 형고 등을 조사한다.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경우는 상부거더 형식(콘크리트교, 강교)에 따라 시공성, 경
제성에 영향을 미치며 상부 횡단면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안전성 확
보를 고려하여 다양한 단면이 채택되고 있으므로 중앙 경간장과 연계하여 거더형
식, 형고, 폭원 및 단면형상 등을 조사한다.

(마) 시공실적을 조사한다.


교량계획 시 상부, 하부 및 기초형식을 선정할 때 비교되는 형식의 시공실적을 통
해 계획의 적정성 및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시공실적을 조사해
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신형식의 거더교들이 많이 개발되면서 상부형식을 선정하
는 데 있어 시공실적은 중요한 항목으로 분류된다.

(바) 부대시설 및 기타항목을 조사한다.


일반적인 교량에 대해서는 크게 조사할 내용은 없으나 해상교량과 같은 특수교량의
경우는 교량받침, 케이블 등 교량 특성을 고려한 부대시설을 조사한다.
또한 최근에 주변 환경과 조화를 고려한 경관설계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미관 측면
을 고려하여 주탑의 형상, 높이 및 케이블 배치 등을 조사한다.

(2) 조사 방법을 결정한다.


조사할 내용에 대해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조사할 것인지 결정한다. 국내사례를 조
사하는 경우와 해외사례를 조사하는 경우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에 출판된 교
량관련 문헌,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회지 및 논문을 통해 조사한다.

11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등을 통해 국내외 사례를 조사
한다.

2.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정리한다.

(1) 육상교량과 해상교량을 구분한다.


사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육상에 위치한 교량과 해상에 위치한 교량으로 분류
한다. 육상에 위치한 교량은 하천교, 과선교, 가도교, 고가교 등으로 구분하며 해상교
량은 연도교, 연육교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2) 상부 형식별로 구분한다.

(가) 거더교 형식
강교 계열은 강박스거더교, 강상판형교, 플레이트거더교 등 형식별로 구분하고 형
식별 최대 경간장, 곡선교 적용 시 곡선반경, 상부폭원 및 형고 등을 정리한다.
PSC거더교와 프리플렉스거더교는 공법별 적용 경간장, 상부폭원에 따른 거더배치
간격 및 형고 등을 정리하고, PSC박스거더교는 가설공법을 구분하여 경간장, 교량
가설 높이, 상부폭원에 대한 거더배치 등을 정리한다.

(나) 라멘교 형식
라멘교는 교량의 형상 및 콘크리트, 강재 등 사용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한다.
특히 최근 많이 적용되고 있는 합성형 라멘교는 상부거더의 형식를 구분하고 교량
연장, 경간장, 형고 등을 정리한다.

(다) 아치교 형식
아치교는 상로교, 중로교, 하로교로 구분하며 사용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한다.
최근 적용되는 아치교는 로제아치교 및 닐센아치교가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연장에
따른 아치리브의 높이가 중요한 변수이므로 교량 연장, 라이즈비, 행거 배치방법,
아치리브 형상 등을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라) 엑스트라도즈교 형식
구조적 특징은 다르나 외관상 사장교와 유사한 형식인 엑스트라도즈교의 사용재료는
콘크리트가 대부분이며 상부 폭원에 따라 단면형상에 변화가 많다.
경관성 및 구조특성을 고려하여 주탑이 1면인 경우와 2면인 경우가 있으므로 주탑
면수 조사가 필요하고 경간장에 따른 주탑 높이, 전체 연장에 따른 경간구성, 사재
배치 형상 및 횡단구성 등을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마) 사장교 형식
사장교는 해상교량에 적용된 경우가 많으며 교량 대부분이 직선교로 계획되어 있
다. 곡선구간 사장 케이블 배치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곡선교
에 적용된 사례는 거의 없다. 그러나 1면 주탑을 채택하는 경우는 곡선교에 적용된

12
사례가 있으므로 평면선형 조건을 조사하고 정리한다.
대부분의 사장교는 2주탑으로 대칭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들어 중소규모의 사
장교는 1주탑으로 비대칭 구조로 계획되어 시공되고 있으므로 주탑의 형상 및 주탑
배치현황을 정리해야 한다. 또한 상부구조의 재료 및 단면구성, 케이블 배치간격,
전체 경간 및 주경간장, 주탑 높이 및 상부 시공방법 등을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바) 현수교 형식
현수교는 사장교와 같이 해상에 적용되는 교량형식으로 육상구간에 적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보도교에는 현수교 형식을 적용한 사례가 있다.
현수교는 대부분의 교량이 3경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탑형상도 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수교는 중앙경간장이 길기 때문에 상부 보강거더의 폭원이 주요한 변수 중
의 하나이다. 폭원에 대한 중앙경간장에 대한 비율을 변장비라 하며 상부 보강거더
의 횡단구성을 조사해야 한다. 또한 주케이블의 정착을 위해 앵커리지가 설치되는
데 앵커리지의 구조 및 형상을 조사하고 보강거더 높이, 주탑 높이 등을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설계동향과 특성을 파악한다.

1.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다.

(1) 교량 형식별 정리자료 분석이 가능하도록 도표화한다.


교량의 연장, 폭원 등 교량제원을 항목별로 세분화하여 표로 정리한다. 표로 정리할
때는 조사한 항목이 비교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다.

(2) 사진, 이미지 등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한다.


교량 형식별로 조사된 완공 또는 공사 중인 교량의 사진 및 이미지를 정리하여 교량
의 형상과 시공방법 등을 분석한다.
장대교량의 경우 공사 완료 후 건설지 등을 현장에서 작성하는데 공사개요 및 시공방
법 등 자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시공단계별 문제점 등이 언급되어 있어 해당공
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므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2. 설계 동향과 특성을 파악한다.


교량 사례를 조사할 때 조사항목 중 교량의 설계시기 또는 공사 준공연도를 조사한다.
교량의 형식 및 공법은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 신형식, 신기술로 개발된 교량은 설계단
계에서 채택되어 시공되므로 교량의 설계시기 및 준공연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량은 기술의 개발을 통해 장경간화하고 있고 공법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므로 교량 형
식별로 정리한 자료를 확인하여 최근 적용되는 형식을 분석하고 트렌드를 파악한다.

13
 교량의 세부구조 결정을 위한 참고 자료로 정리한다.

1. 교량의 세부 항목별로 조사자료를 정리한다.


교량의 구성요소 및 세부구조를 이해하고 조사자료를 정리할 때 향후 교량계획 시 정리된
자료를 활용하여 교량형식을 선정할 수 있도록 표로 작성한다.

2. 설계 진행단계별 참고 자료로 정리한다.


교량설계 흐름은 관련 자료 및 가설위치 현황 등 기본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교량가설 위치
에 적합한 상부, 하부 및 기초형식을 선정한다.
가설위치의 여건을 고려하여 교량의 연장 및 경간장을 결정하며 상부형식은 경간장을 고
려하여 선정된다. 사례조사를 통해 정리한 자료를 참고하여 계획되는 경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형식을 선정할 수 있으므로 조사자료 정리 시 항목별로 명확하게 정리해야 한다.

수행 tip

Ÿ 교량의 사진 및 시공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면 쉽게


조사할 수 있다.
Ÿ 교량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량관련 서적을
숙지해야 하며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교량
의 구성 및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좋다.
Ÿ 교량 형식별 자료정리를 위해 항목별로 전체를 나열
하고 교량별 해당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14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의 구성 및 분류를 정의하고 상부 형식별로 교량의 특징을 설명하여 사진 및 이미지만으로도


교량형식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 형식별로 가설공법에 대해 주요 사항을 설명하고 시공 동영상 등 관련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량의 구성요소, 교량의 형식 및 가설공법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답사를 준비하여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 사례조사 목적을 설명하고 조사내용(항목) 선정 시 중점 고려사항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관련 자료가 수록된 참고문헌, 홈페이지(블로그) 등을 제시하여 사례조사 시 참조할 수 있도록


정보검색 능력을 지도한다.

• 국내외 유사교량의 사례조사 자료를 형식별, 연도별로 분류하여 교량의 변화 트렌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문헌 및 사례조사 자료를 교량 형식별로 구분하고 경간장, 형고 등 세부 항목별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하는 기술을 지도한다.

• 학습자가 조사자료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지 관찰하고 정리방법이 잘못되었을 경우 피드백을


제공한다.

• 학습자가 조사, 정리 및 분석결과를 발표하여 적정성을 평가해 주며 다른 학습자가 내용을 공유하도


록 하고 참고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5
학습 방법

• 교량의 구성요소와 교량의 분류를 이해하고 상부 형식별로 교량의 특징을 숙지하여 교량의
특징을 파악하고 다른 학습자와 토론을 통해 교량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교량의 구성요소 및 교량의 형식 등 분류 항목을 숙지하고 상부 형식별로 사진 및 이미지 등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교량에 대한 가설공법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시공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현장답사를 통해 교량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구성요소별 역할을 이해하며 상부 형식 및 가설방


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관찰한다.

• 필요한 조사항목을 정리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조사자료를 형식별, 연도별로 분류하고 최근 설계되는 자료와 과거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변화되는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교량 형식별로 조사하는 항목이 다르므로 세부 항목별로 정리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다른 학습자가 조사한 내용을 숙지하고 본인이 조사한 내용과 비교분석을 하여 적정성을 파악하고
서로 토론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

• 해외사례 조사 시 필요한 기초적인 어학능력을 학습한다.

16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국내외 유사교량에 대한 사례를 수집하고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정리할 수 있다.

교량사례 수
-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최근의 설계 동향과 특성을
집, 분석 및
파악할 수 있다.
정리

- 분석결과를 교량의 세부구조 결정을 위한 설계 진행


단계별 참고 자료로 정리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 관련 사진, 이미지 등 정리 상태

교량사례 수 - 교량 형식별 조사항목 및 조사내용의 완성도


집, 분석 및
정리 -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여 설계동향 파악 능력

- 교량 세부구조 결정을 위한 조사자료의 정리 상태

17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의 구성 및 분류
교량사례 수
집, 분석 및 - 교량 상부 형식별 특징
정리
- 교량 형식별 조사항목의 선정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18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405_14v2.1)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
학습 2
(LM1402010405_14v2.2)
학습 3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3)
학습 4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LM1402010405_14v2.4)
학습 5 교량 부대시설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5)

2-1. 상부형식 결정

• 검토된 교량 상부형식들에 대해 특징과 경제성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발주처와


학습 목표
의 협의를 통하여 현지 여건에 적합한 최적의 상부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상부형식 결정 시 고려사항
교량의 상부형식은 지형적 특징을 감안하여 기능성, 시공성, 경제성, 주변 경관과의 조화성,
구조 안전성 및 장래 유지관리 편의성 등 제반 여건을 충분히 고려해서 선정해야 한다.
시각적인 안정감 및 기능미, 교량 가설지점의 자연적인 배경과 전체적인 조화감, 지간의 크
기, 부재 배치의 구성에 따른 비례적 조건 등 기술적인 면에 비중을 두어 교량의 상부형식을
검토해야 한다.

1. 사용재료에 따른 교량형식의 구분
교량은 사용재료에 따라 콘크리트교와 강교로 구분되며 도로의 선형조건 및 가설위치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사용재료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여 상부형식을 선정해야 한다.

(1) 콘크리트교
콘크리트교는 철근콘크리트교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로 구분되며 철근콘크리트
교는 라멘교, 슬래브교, T형거더 및 박스거더교 형식이 있으나 최근에는 라멘교 형식만
주로 적용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교는 슬래브교, 거더교 등이 대표적이며 거더교는 PSC거더와
PSC박스거더로 크게 구분된다.

19
콘크리트교는 현장에서 타설되는 형식으로 슬래브교와 라멘교는 선형조건에 제약이
없으나 PSC거더교는 직선으로 제작된 상태로 거치되므로 평면선형이 곡선인 구간에서
적용할 경우 세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PSC박스거더교는 가설공법에 차이는 있으나 현장
에서 타설되는 공법이 대부분이며 공장에서 세그먼트를 제작해서 현장에서 가설하는
프리캐스트공법도 있다.

(2) 강교
강교는 플레이트거더교, 강박스거더교, 강상판형교 등으로 구분되며 강판을 용접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부재를 연결하고 제작되므로 모든 선형조건에서 적용성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는 형식으로 강박스거더교는 40∼80m 경간장의 교량에 적용성이
우수하였으나 공사비가 고가이므로 최근 PSC거더교가 신기술 및 특허공법으로 개발되
면서 50m 이하의 경간에 강교를 대체하는 형식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제성 확보를 위해 강박스거더교에서 정모멘트구간 상부 플랜지를 배제한
개구형의 박스거더교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곡선반경이 작은 IC 및 JCT구간의
Ramp교량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2. 상부형식의 특징

(1) 거더교

(가) PSC거더교
PSC Beam교는Ⅰ형 단면형상의 거더에 강연선을 배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한 교량형
식으로 25m, 30m, 35m 연장에 적용되었다. Beam 제작 시 1회 긴장력을 도입함으
로써 Beam의 형고가 높아 형하공간 확보가 어려운 곳에서는 적용성이 부족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Beam의 단면형상을 개선하고 긴장력을 1회 도입하지 않고 시
공단계별로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거더들이 설계에
적용되고 있다.
신형식 교량은 단면형상 개선 및 시공순서에 따른 강연선 도입 등을 통해 거더의
형고를 줄이고 장경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PSC거더교는 30∼50m의 경간장에 많이 적용되므로 형식 선정 시 경간장을 확인하여
적용성을 검토해야 하며 적용 교량이 도로, 철도 및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거더의
형고를 확인하여 형하여유고 확보가 가능한지 검토해야 한다.
또한 거더교는 직선으로 제작되므로 직선교의 경우는 적용성에 문제가 없지만 곡
선반경이 작은 경우 거더배치 시 문제가 발생하므로 도로의 선형을 확인해야 한다.

(나) PSC박스거더교
PSC박스거더교 형식을 선정할 때에는 교량이 가설되는 지형적 여건을 면밀하게 분
석하여야 한다. 박스거더는 현장에서 제작하는 현장타설 방식과 공장에서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구분된다.

20
현장타설 방식의 가설공법은 FSM, ILM, MSS 및 FCM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법별로 시공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설위치, 도로의 선형조건 등을 확인하여 적
용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육상구간 동바리 설치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FSM 공법 적용이 가능하며 선형에 제
약을 받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다. ILM공법의 경우는 선형적인 제약조건을 많이 가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선형이 직선이며, 종단선형도 직선인 구간에 많이 적용
한다. 곡선구간에 적용도 가능하나 곡선반경이 커야 하며 단곡선으로 구성된 선형에
서 적용이 가능하다. MSS공법은 이동이 가능한 장비를 교각부에 고정시켜 거더를
시공하는 공법이다. FSM, ILM, MSS공법으로 적용되는 경우 경간장은 40∼60m로 구
성된다. FCM공법은 F/T장비를 이용하여 시공되는데 다른 가설공법보다 장경간 시
공이 가능하다. 최대 경간장은 국내에 180m까지 시공사례가 있다. FSM공법을 제외
한 나머지 공법은 하부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해상교량의 접속교에 많이 적
용되고 있으며 형하고가 높은 계곡부에 적용성이 우수하다.

(다) 프리플렉스거더교
프리플렉스거더는 I형 단면의 강재를 콘크리트 거더에 매입하고 강연선을 설치하여
긴장력을 도입한 거더교이다. 일반적으로 PSC거더교에 비해 형고가 낮기 때문에
도로나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와 같이 형하여유고 확보가 필요한 위치에 많이 적용
되나 공사비가 비싼 단점이 있다.

(라) 강교
강교는 재료가 균질하고 제작에 따른 구조물에 대한 신뢰도가 높으며 자중이 가벼워
운반, 가설이 용이하고 공장제작으로 품질관리가 우수하며 현장작업이 적어 시공성
측면에서 유리한 형식이다. 자중이 가벼워 콘크리트교보다 장대경간에 적용성이 좋
으나 반면에 도장 등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공사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강교로 적용되는 상부단면은 대부분이 거더교 형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크게 플레
이트거더와 박스거더로 구분된다. 플레이트 거더는 일반교량에서는 최근 적용이 줄
어들고 있으나 사장교에서 강합성 단면을 채택할 때 주로 적용되고 있다. 박스단면
형태가 강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정모멘트구
간 상부 플랜지를 설치하지 않는 개구형의 단면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2) 라멘교
교량의 상부와 벽 또는 기둥부재가 강결되도록 결합한 구조이며 절점에 발생하는 부
모멘트가 일반 연속교에 비해 경감되고 단순교에 비해 상부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상‧하부 구조를 일체화시켜 교량받침 및 신축이음이 설치되지
않는 구조형식이다.
형하고가 높지 않고 폭원이 작은 하천, 도로를 횡단하는 8∼15m 연장의 경우에 철근

21
콘크리트 라멘교를 많이 적용하고 있으나 신기술 개발로 인해 PSC거더, 프리플렉스거더,
강거더와 합성된 라멘교가 개발되어 형하고 확보가 필요한 장경간 교량에 적용되고
있다.

(3) 특수교
특수교 형식은 아치교, 트러스교, 엑스트라도즈교, 사장교, 현수교로 구분된다.
아치교는 콘크리트아치교와 강아치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아치교는 계곡부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상부단면은 박스형 단면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강아치교는
평지, 하천횡단 및 해상구간에 적용되고 있으며 보강형과 아치리브는 박스형 단면을
적용한다. 트러스교는 상현재, 하현재 및 복부재로 구성되며 강교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엑스트라도즈교는 PSC박스거더교의 FCM공법을 적용하여 시공되는 형식으로 상부거더는
PSC박스거더교 형식을 적용한다. 사장교 및 현수교는 경간장 200m 이상의 교량에 적
용되며 사장교의 상부형식은 콘크리트박스, 플레이트거더 및 강상판형교 형식이 적용
되며, 현수교는 사장교에 비해 경간장을 길게 계획하므로 상부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자중이 작은 강박스 또는 트러스 형식이 적용된다.

 경제성 분석

1. 개요
교량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경제성 검토는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며 설계단계에서
수행하는 경제성 검토는 일반적으로 대안비교를 위해 수행된다.
과거의 경제성 검토 및 분석은 초기공사비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교
량의 계획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 및 폐기까지 소요되는 교량의 전 생애기간 동안
발생하는 총 비용인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을 고려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또한 교량공사를 포함한 건설공사의 경제성 분석에 대해서 국토교통부는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시행지침”에 의거 가치공학(VE: Value Engineering) 기법을 적용하도록 규
정하고 있으며 이때 경제성 분석은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1) 설계VE 시행사업(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38조 13항)

(가) 총 공사비가 100억 이상인 건설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

(나) 공사 시행 중 공사비 증가가 10% 이상 발생하여 설계변경이 요구되는 건설공사

(다) 기타 발주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2. 교량의 경제성 분석목적

(1) 설계단계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교량형식, 적용공법, 부재, 재료, 신기술 적용 여부에 대한 효율
성을 판단한다.

22
(2) 유지관리단계
공용 중 교량의 유지관리전략 및 공법 선정, 유지보수율, 예산투자 우선순위 등을 선
정한다.

3. 경제성 분석
교량의 설계에서 최종적인 대안의 선정은 교량의 경제성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교량의 설계가 목적하는 성능(P: Performance)과 경제성(C: Cost)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고의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설계안을 선정하는 것이다.

 발주처 협의
교량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설계 단계별 모든 사항은 발주처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교량설계를 위한 설계기준, 교량형식, 부대시설, 가시설 형식 등 공법 및 시설물에 대해 항목
별 비교안을 작성하여 발주처와 협의하여 최적안을 선정하고 발주처와 협의된 공법 및 시설
물에 대해서는 심의 및 자문을 거쳐 최종안이 결정된다.
최근에 신기술 및 특허 교량들이 개발되면서 국토교통부에서 특정공법 심의제도가 신설되었
다. 신기술 및 특허로 개발되는 교량을 최적안으로 선정하고자 할 때는 당해공사의 부합성,
공법의 적정성 등에 대해 심의를 시행하는 제도이다.
심의 요청 시 설계에 반영하는 신기술 또는 특정공법의 비교 검토서, 시험시공 현황 및 활용
실적, 공법적용의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 등의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수행 내용 / 상부형식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23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지하매설물 조사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지하매설물 관리주체와 협의하여 관련도면을


수집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매설위치를 확인해서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 가설위치 현황을 분석한다.


교량은 도로상에 위치하는 구조물로서 도로의 선형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로의 선형
은 여러 지장물을 고려하여 최적화되도록 계획하지만 부득이하게 고속도로, 국도와 같은 도
로, 농경지, 계곡, 하천, 호수, 해안 및 해상 등을 통과하거나 횡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교량은 이러한 지장물과 저촉이 최소화되도록 계획되어야 하므로 교량의 가설위치는 교량형식
및 경간장, 시공방법을 결정하는 데 주요한 변수가 되므로 가설위치 현황을 우선적으로 검토
해야 한다.

1. 도로의 노선계획을 검토한다.


교량의 형식을 선정하기 전에 도로의 노선계획 시 검토된 교량위치를 분석하여 교량이 통
과하는 하부 지장물 현황을 파악하고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을 검토하여 현장조사 시 중점
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항목을 정리한다.
또한 노선도 자료를 활용하여 교량의 시종점 위치, 경간구성 등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여 현
장조사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2. 현장조사를 수행한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지장물 현황 등을 파악하고 교량의 시공과 관련된 주변지형 여건을 분
석하여 개략 검토된 교량위치, 경간구성이 적정한지 판단한다.
지장물은 지상 지장물과 지하매설물로 구분되는데 도로, 하천 등 노출된 지장물 현황뿐만
아니라 지중에 매설된 상수관로, 전력구 등의 현황도 파악해야 한다. 교량 계획단계에서
검토된 교대 및 교각의 위치가 시공 중 지하 매설물에 저촉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교량
설치구간 지하매설물의 존재 여부를 필히 확인해야 한다.

24
(1)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계획교량이 도로 및 철도 등을 단순하게 통과하는 경우 도로선형의 계획고를 고려하여
단경간이 적정한지 연속교 형식이 적정한지 판단해야 한다. 경제성을 고려하면 단경간
교량이 우수할 수 있으나 지형적인 여건, 주변 환경과 조화성 등을 고려할 경우 연속
교 형식이 타당할 경우도 있으므로 경간구성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2)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는 하천의 제방폭 및 법면 등의 주변 여건을 확인해야 하며 하천
의 홍수량 등 관련 자료를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하천구간에 지하매설물이 많이 설치
되어 있으므로 필히 확인한다.

(3) 계곡부에 가설되는 경우


계곡부에 설치되는 경우는 교량 시공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시종점 위치를 확
인해야 하며 교량형식 선정 시 상부가설이 가능한지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

(4) 해상에 가설되는 경우


해상에 교량이 계획되는 경우는 통항선박의 규모, 항로, 조석에 따른 수위변화 등을
필히 확인하여야 한다.

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형식을 도출한다.


현장조사 내용 및 교량가설 위치의 사진 등을 정리하여 사진첩을 작성하고 조사된 내용을 분
석하여 교량별 적용 가능한 형식을 도출한다.

1. 교량계획에 필요한 일반사항을 검토한다.

(1) 설계 및 시공성이 확보되며 도로선형에 적합한 형식으로 선정한다.

(2) 교장, 지간, 교대, 교각의 위치와 교량 하부공간 등에 적합한 형식을 선정한다.

(3) 구조상 안전하며 상‧하부공을 모두 고려하여 경제적인 형식으로 선정한다.

(4) 공사비가 같을 경우 시공성과 경관이 우수한 형식을 선정한다.

(5) 상부구조는 차량 주행 시 쾌적성을 고려하여 연속구조가 되도록 계획한다.

2. 적용 가능한 교량형식 도출 시 고려할 내용을 파악한다.

(1) 콘크리트교

(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와 라멘교의 적용지간은 일반적으로 15m 이하로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의 경우 속 찬 단면과 속 빈 단면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속 빈 단면의 경우 시공 중 중공관 부상 등의 문제점으로 최근에 설계 및 시공
되는 경우가 없다.

25
(다) 라멘교는 기초의 부등침하, 수평이동 또는 회전이 있는 경우 구조적 안전성에 치
명적인 영향이 발생하므로 견고한 지반 또는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지반에 계
획하는 것이 적합하다.

(라) PSC슬래브교는 주로 단순교 또는 20m 이상의 연속교에 적용한다.

(마) PSC거더교는 설계 및 가설 실적이 많은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형식은


PSC I형 거더교 와 PSC박스거더교이다.

(바) PSC거더교는 다양한 형식의 교량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30∼50m까지


적용되며 특수한 경우에 70m까지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사) PSC박스거더교는 교량 하부조건에 따라 시공법이 결정되며 캔틸레버공법(FCM)으


로 시공되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연속교로 하고 교각의 높이가 높은 경우는 상부
와 교각을 일체화하는 강결구조로 하며, 교각 높이가 낮은 경우는 교각에 교량받
침을 설치한다.
또한 이동식 지보공법(MSS) 및 연속압출공법(ILM)으로 시공되는 경우는 사전에
선형조건, 시공규모, 가설상의 제약조건 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2) 강교

(가) 강교의 형식은 가설조건에 따라 형식 선정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강교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는데 현장 이음부의 위치, 거더높이
및 거더폭 등이 운반 시 도로 여건에 따라 운반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형
식 선정 시 검토하여야 하며, 가설 위치에 따른 환경조건, 장래 유지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정해야 한다.

(나) 강박스거더 형식은 비틀림 강성이 커서 곡선교, 램프교에 적용성이 있으며 장지


간이 가능하여 횡단육교, 과선교 등에 적합하다.

(다) 곡선부에 거더를 가설할 경우 횡방향 전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단경간 곡선


교에 적용할 경우 부반력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사각이 심한 경
우에 적용될 경우도 교량 받침에서 부반력이 발생하므로 거더배치를 조정하거나
부반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라) 트러스교 및 아치교는 직교에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도출된 형식에 대해 경제성을 검토한다.

1. 사업비 예산을 분석한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모든 사업은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고 사업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될 경
우에 설계 및 시공을 시행한다. 발주처에서 설계를 발주하는 경우는 사업 시공에 따른 공

26
사비 예산을 책정하고 시행하기 때문에 설계 초기단계에서 도로의 연장과 폭원 등은 사업
비 예산 내에서 소화가 가능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교량은 적용형식에 따라 공사비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형식 선정 시 경제성을 검토하
여 확보된 사업비에 근접할 수 있도록 형식을 결정해야 한다.

2. 교량 형식별 공사비를 검토한다.


설계단계에서 설계VE를 시행하고 있으나 설계자가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발주처에서
설계VE 업체를 선정하여 별도로 시행한다.
설계자는 설계VE 이전 단계로 형식별 공사비를 검토해야 한다. 형식별 공사비는 공법별 초
기공사비를 기준으로 우선 공사비를 비교 검토한다.
공사비는 상부공사비와 하부공사비로 구분되며 일반적인 육상구간의 경우는 상부공사비가
하부공사비보다 크게 발생한다. 그러나 교량가설위치의 지반조건상 지지층의 깊이가 아주
깊을 경우 말뚝의 길이 증가로 공사비가 증가하여 하부공사비가 상부공사비보다 커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해상교량과 같이 가설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할 경우 하부공사비가 상부
공사비보다 커지므로 공사비 검토 시 가설지역 현황을 고려하여 검토해야 한다.

 발주처와 협의하여 최적 교량형식을 결정한다.


교량형식을 선정할 때 우선적으로 교량형식 비교안을 작성하여 발주처와 협의한다. 발주처
내부 협의 후 자문이나 심의를 통해 최종형식을 결정한다.

1. 교량형식 비교안을 작성한다.


교량형식 비교안에는 형식에 대한 비교표와 도면을 수록한다.
비교표에는 교량현황 및 교량별로 교량위치의 평면 및 종단선형 조건, 사각, 하부 통과여건,
형식, 가설공법, 경간구성, 폭원, 형고, 비교안별 특징 및 공사비 내용을 수록한다.
또한 도면으로 교량에 대한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를 작성하여 수록한다.

2. 발주처에 보고한다.
작성된 교량형식 비교안에는 비교안별 특징 및 공사비가 비교되어야 하며 설계자의 입장
에서 건의안을 선정하여 발주처에 보고한다.
보고 시는 가설위치 현황 등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되어야 하며 발주처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자문 및 심의를 통해 최적 교량형식을 결정한다.


발주처 보고 후 선정된 교량형식에 대해 자문이나 심의를 통해 최종형식을 선정한다.
특정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특정공법에 대한 심의를 별도로 수행하여야 한다.

27
수행 tip

Ÿ Beam과 거더는 동일한 의미이며 신형식 교량들이


거더교로 불리므로 거더교로 표현한다.
Ÿ 교량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량관련 서적을
숙지해야 하며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교량
의 구성 및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좋다.
Ÿ 고속도로 통행시 IC 및 JCT라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IC는 고속도로와 국도가 연결되는 위치를 말하며 JCT
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연결되는 위치를 말한다.
Ÿ 지간장은 받침과 받침 사이의 거리를 말하며 경간장
은 교각기둥 사이의 거리를 지칭한다. 연속교의 경우
교각에 받침이 1개소 설치되는 경우는 지간장과 경
간장은 같다.

28
2-2. 상부단면 계획 결정
• 적용할 지간장을 파악하고 예비 구조검토를 통하여 교량 단면의 형고를 결정할 수 있다.
• 횡방향 단면설계를 통하여 횡단면상의 주요치수와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다수의 교량설치 시 설계의 일원화와 시공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각 상부구조 형상 치수
를 표준화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형식별 적용 지간장
일반적으로 형식 결정에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항목은 교량의 경간분할이다. 교량의 시‧종점
위치를 고려하여 교각의 설치간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이다.
교량의 하부에 도로, 철도 및 하천 등이 위치하는 경우 교각은 도로 및 철도구간을 피하고
하천구간은 하천설계기준을 고려하여 교각이 배치된다. 즉, 교량 하부의 지장물을 고려한 교
각 위치에 따라 교량의 경간장이 결정되며 해당 경간장에 적용 가능한 형식을 비교 분석하여
상부 형식을 선정한다. 교량의 경간장 검토는 상부형식 선정 이전에 교량 계획단계에서 우선
적으로 검토된다.

<표 2-1> 상부형식에 따른 적용지간


지 간 (m)
교량형식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이상
200

PSC거더교

프리플렉스거더교

PSC박스거더(FSM,ILM,MSS)

PSC박스거더(FCM)

강박스거더교

강상판형교

트러스교
250

아치교(닐센)
400

엑스트라도즈교
400

사 장 교
1000

현 수 교
출처: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권 교량. pp.503-505.

29
 예비 구조검토
예비 구조검토는 일반적인 교량에서는 필요가 없고 특수교를 교량형식으로 선정했을 때 시행
한다. 슬래브교나 라멘교는 경간장에 따라 슬래브 두께가 결정되며, PSC거더교, 프리플렉스거
더교와 같은 거더교 형식의 슬래브 두께는 일정하며 상부폭원에 따라 다소 변화는 있지만 거
더의 배치간격은 2.5∼2.8m 범주에 배치하고 있으며 거더의 형고도 경간장에 따라 공법별로
표준화되어 있어 상부단면을 계획하는 데 별도의 구조검토를 시행할 내용은 없다. 단, 강교의
경우는 거더를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에 따라 강재중량에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강종을 달리하여 예비 구조검토를 시행하고 강재중량을 검토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PSC박스거더교도 상부폭원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로교 설계기준에 제시하는 범주 안에
서 정의하면 예비 구조검토의 필요성은 없다.
그러나 아치교, 엑스트라도즈교, 사장교 및 현수교의 경우는 계획되는 단면에 대해 부재의 배
치간격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단면력 등에 변화가 발생되므로 전체 구조계를 고려하여 예비
구조검토를 시행한다.

 상부거더 형고
상부단면은 일반적으로 거더와 바닥판으로 구성되며 슬래브교와 라멘교를 제외하고 상부단면
은 항상 거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부거더의 형고는 교량의 구조 형식별로 차이가 있으
며 동일 형식이더라도 경간장에 따라 형고는 달라진다. 경간장이 짧은 경우는 형고가 작고 경
간장이 길어질수록 상부단면의 강성 확보를 위해 형고가 커지게 된다.
거더교의 형고를 결정할 때 하천이나 도로횡단구간 등 형하여유고 확보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
다. 하천횡단구간은 홍수량에 따라 형하여유고가 달리 적용되고 있으며 도로를 횡단하는 경
우는 4.7m 이상 확보하게 하는 설계기준은 제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5m 정도를 시설한계
로 규정하고 있다.

1. PSC거더와 프리플렉스거더교의 형고
PSC거더는 거더상부에 바닥판이 별도로 설치되나 프리플랙스거더교는 바닥판이 거더의
일부로 PSC거더보다 형고를 작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천구간, 도로횡단구간 형하
여유고 확보가 필요한 경우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PSC거더교 프리플렉스거더교

[그림 2-1] 상부단면 구성

30
2. 상부형식별 형고 비교
상부구조는 거더와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형고는 거더의 형고를 표현한다.
형고는 경간장 및 거더의 배치간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PSC거더나 프리플렉스거더의
경우는 제작사 별로 조금씩 형고에 차이가 있다.

(1) 슬래브교 및 라멘교


슬래브교 및 라멘교는 거더형식을 채택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바닥판의 두께를 형고로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단순교의 경우 8∼15m까지 적용하고 있으며 바닥판 두께는 0.7
∼1.0m를 적용한다.

(2) PSC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


거더교 형식의 교량으로 바닥판 두께는 일반적으로 24cm를 적용하고 있으며 PSC거더
교는 거더상면에 바닥판이 별도로 설치되지만 프리플렉스거더교는 거더 높이가 바닥
판 두께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형하고 확보가 필요한 구간에 공사비는 고가이지
만 PSC거더교를 대체하여 적용된다.
PSC거더교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PSC BEAM교를 많이 적용하였으며 적용 경간장은
25m, 30m, 35m에만 적용하였다. 형고도 높기 때문에 PSC거더교가 개발되면서 적용되는
추세가 감소하고 있다.
<표 2-2> 거더교 형고비교

연장(m) PSC거더교(바닥판두께 제외) 프리플렉스거더교(바닥판두께 포함)


30 1.1∼1.4 1.2∼1.3
35 1.4∼1.7 1.3∼1.5
40 1.6∼1.9 1.5∼1.7
45 1.9∼2.3 1.8∼1.9
50 2.1∼2.8 2.0∼2.1

(3) PSC박스거더교
PSC박스거더교는 상부거더의 폭원 및 박스의 배치형상에 따라 형고가 달리 적용된다.
FCM공법은 가설공법의 특성상 교각 지점부의 형고가 높고 경간 중앙부는 낮게 계획
하며 MSS공법, ILM공법은 지점부, 중앙부 구분 없이 동일한 형고를 적용한다.
거더의 높이에 대한 경간장의 비를 형고비라 하며 형고비는 경제성과 미관에 영향을
주므로 일반적으로 형고비를 낮추고 거더 내부에 배치되는 강연선의 물량을 줄이는
것이 경제적이다.

31
<표 2-3> PSC박스거더교 형고비

구분 일반범위 적용범위 비고

16∼24 18∼20 지점부 단면


FCM
30∼60 40∼50 중앙부 단면

MSS, ILM 15∼30 18∼22


출처: 오제택(2010). 교량의 계획과 설계 2. 반석기술. p.90.

(4) 강박스거더교
강박스거더교의 상부단면은 박스형 거더 단면을 채택하고 있다. 강교 특성상 상부거더
는 공장에서 운반이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반입된다. 강교 제작공장과 현
장 사이의 운송로를 고려할 때 거더의 높이가 높으면 운반이 안 되는 경우가 있기 때
문에 거더의 형고는 운반이 가능한 높이로 결정되어야 한다. 계획교량의 경간장이 길
어 형고가 운반이 불가능한 높이로 계획될 경우는 복부에 볼트이음을 주고 상부플랜
지와 하부플랜지를 나누어 운반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형고비는 20∼25 정도를 적용하고 있으며 내부 유지관리를 위해 점검이
가능하도록 거더의 최소높이는 1.8m 이상 적용하는 것이 좋다.

 상부 횡단면 구성
상부의 횡단면은 상부 폭원에 따라 차이가 많이 발생된다. 상‧하행 일체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와 상‧하행 분리구조로 적용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4차로의 경우 거더본수
축소를 위해 상‧하행 일체구조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상부 횡단면을 구성할 때
고려할 사항은 거더배치 간격 및 캔틸레버 길이의 결정이다.

상 하행 분리단면 적용(예) 상 하행 일체단면 적용(예)

[그림 2-2] 상부 횡단면 구성

1. PSC거더교/프리플렉스거더교
일반적으로 거더의 배치간격은 2.5∼2.8m 정도로 배치되며 상부폭원에 균등하게 배치한다.
상부폭원에서 거더간격을 제외한 길이를 양측에 균등하게 배분하여 캔틸레버 길이로 결정
한다. 캔틸레버 길이는 차량하중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상부 노
면의 우수를 처리할 수 있는 배수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32
아스팔트포장
(T=80MM)

배수구

1.3m 2.5 ~ 2.8m

[그림 2-3] 거더교 횡단구성

2. PSC박스거더교
일반적으로 박스거더 횡단면의 형상에 의해 단일박스, 다중박스, 다주박스로 단면을 구성
한다. 다중박스의 경우는 cell수에 따라 2실, 3실 등으로 적용하기도 하며 다주박스는 2주
형박스, 3주형박스로 적용한다.

단일박스 다중박스 다주형박스

[그림 2-4] PSC박스거더 횡단면 형상

교량의 상부폭원에 따라 적용되는 횡단면 유형에 대해서는 적용기준은 없으나 설계자가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표 2-4> 교량폭원에 따른 횡단면 적용범위

횡단면 유형 적용교량 폭원
단일 박스 B ≤ 13.0m
다중 박스 13.0 < B ≤ 18.0m
다주형 박스 18.0 < B ≤ 25.0m
출처: 오제택(2010). 교량의 계획과 설계 2. 반석기술. p.93.

최근에는 폭원이 넓은 교량인 경우도 브라켓 또는 파이프 등을 적용하여 캔틸레버구간을


보강하는 단면으로 단일박스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중 앙 부 지 점 부 중 앙 부 C
L 지 점 부
CL

브라켓
파이프

브라켓 설치 파이프 설치

[그림 2-5] PSC박스거더 보강단면

33
박스거더 횡단면 형상은 교량 폭과 하부 교각의 형상, 지형여건, 시공성, 경제성 및 교량의
경관 등을 고려하여 박스거더 복부를 경사지게 계획하기도 한다.
박스의 복부를 경사지게 계획하면 박스의 하부 플랜지가 작아져 하부교각의 단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ILM공법이나 MSS공법 등을 적용하는 경우는 복부를 경
사지게 계획하며 FCM공법을 적용하는 경우는 시공성을 고려하여 복부를 직각으로 계획하기
도 한다.

중 앙 부 CL 지 점 부 중 앙 부 CL 지 점 부

직각으로 계획하는 경우 경사지게 계획하는 경우

[그림 2-6] PSC박스거더 횡단면도

3. 강박스거더교
강박스거더교는 횡단면 형상에 따라 단일박스, 다중박스, 다주형박스로 단면이 구성되며
상부의 폭원을 고려하여 박스의 배치형상을 결정한다. 또한 브라켓(Bracket) 및 세로보
(Stringer)의 배치에 따라 횡단면 형태가 다양하게 변한다. 다중박스의 경우 적용되는 경우
가 거의 없다.

일반적인 단면(세로보 설치) 브라켓 설치단면

[그림 2-7] 단일 박스거더 횡단면도

바 닥 판
상부플랜지

Diaphragm
가 로 보
(Cross Beam)
하부플랜지

1.3m 3.0 ~ 3.5m

[그림 2-8] 다주형박스 거더교 횡단면도

34
박스거더의 폭원은 상부폭원 내에서 거더간격, 세로보 및 브라켓 설치 여부 등 다양한 변수
에 의해 결정된다. 다주박스의 경우는 거더간 간격을 일반적으로 3.0∼3.5m 이내로 계획하
는 것이 보통이나 세로보가 설치되는 경우는 세로보와 박스간격을 3.0m 이내로 계획한다.
박스의 폭원은 일반적으로 2.4m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박스 배치를 고려하여 폭원을
넓게 또는 좁게 계획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박스거더의 복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경관성 및 하부구
조의 규모 축소를 위해 복부를 경사지게 계획하는 경우도 있다.
강박스거더교는 곡선교에 많이 적용되는 형식으로 곡선교에 적용 시 편경사에 의해 슬래
브배치에 따라 박스거더 단면이 변하게 된다. 박스거더의 상부플랜지를 수평으로 계획하
면 상부 바닥판이 두꺼워지며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박스거더의 응력이 증가한다. 반면에
상부플랜지를 도로의 편경사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하면 바닥판 두께를 일정하게 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 편경사가 큰 경우는 바닥판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플랜지를 경사
지게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부 지점부 일반부 지점부

S=VAR.% S=VAR.%

상부플랜지를 수평으로 배치 상부플랜지를 경사지게 배치

[그림 2-9] 곡선교의 박스거더 단면형상

일반적으로 강박스거더교는 공사비가 고가인 교량형식이다. 상부형식 선정 시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강교형식을 채택하지 않고 있으나 가설위치 여건상 강교형식을 선정한
경우는 박스거더를 폐합단면으로 구성하지 않고 경간 중앙부의 상부플랜지를 설치하지 않은
개구단면 형상의 박스거더를 적용하고 있다.

[그림 2-10] 개구단면의 박스거더

35
수행 내용 / 상부단면 계획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교량하부에 도로나 철도, 하천 등이 위치하여 교량이 횡단하는 경우에는 거더의 형고를 필히


확인하여 교량하부의 형하여유고가 확보되는지 검토해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의 종평면도를 검토한다.

1. 연장 및 경간구성을 검토한다.
종평면도를 통해 계획되는 교량의 전체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평면도를
검토하여 교량의 상부폭원, 경간구성 및 경간장 등을 확인한다.

2. 상부거더 배치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상부구조형식에 따라 거더의 형상 및 배치간격이 적정하게 계획되었는지 검토한다.
PSC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는 상부폭원에 따른 거더간 간격, 바닥판 두께를 고려하여
캔틸레버 길이가 적정한지 검토하며, 강박스거더교의 경우는 박스거더의 규격 및 거더간
간격의 적정성 등을 확인한다.

36
 예비구조검토를 수행한다.
슬래브교, 라멘교, PSC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의 형식은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예비구
조검토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강교의 경우는 상부고정하중 및 차량하중에 대한 거더의
응력을 검토하기 위해 예비구조검토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강교의 허용응력은 도로교 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으며 적용되는 강재의
종류에 따라 허용응력은 서로 다르다.
강교설계 시 상부거더의 단면두께를 개략적으로 가정하여 구조검토를 수행한 후 작용하중에
대한 거더의 응력을 검토한다. 이때 거더의 응력이 허용응력과 비교하여 응력에 여유가 있는
부분도 있고 부족한 부분도 발생한다. 강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거더의 응력을 허용응력대비
90% 수준으로 설계하고 있으며 구조검토를 통해 발생한 응력을 확인하여 가정한 강재 두께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두께를 조정해 가면서 응력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예비구조검토를 수행
하는 것이다.
특수교는 주탑 및 케이블 배치 등 기하구조적인 측면에서 예비구조검토를 수행한다.
현수교의 경우는 주탑 높이와 주케이블 배치를 고려한 Sag비 검토, 중앙경간 및 측경간장 비
율, 수직부재인 행어의 간격, 주탑과 보강거더의 지지시스템 등 다양한 항목들에 대해 예비검
토를 수행하고 있다.

[그림 2-11] 현수교 Sag비 검토

 거더의 형고를 결정한다.


PSC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의 경우는 경간장별 거더의 형고가 어느 정도 표준화되어 있
으므로 계획 교량의 경간장을 확인하고 형고를 결정한다.
PSC박스거더교는 거더형고에 대한 경간장비(형고비) 범주 안에서 형고를 결정한다. 일반적으
로 고속도로 교량의 상‧하행 분리차로인 50∼60m 경간장의 경우 거더형고를 3.0∼3.2m를 적
용하고 있다. FCM공법으로 적용되는 경우는 대부분 교각부와 경간 중앙부의 형고를 달리 적
용하여 변단면으로 계획한다.

37
강교의 형고는 거더배치수에 따라 형고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현장까지의 운반, 거더배치
간격 등을 고려하여 형고를 결정한다. 연속교인 경우 동일한 형고로 계획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점부와 경간중앙부의 형고를 다르게 변단면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계획교량의 현
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등단면의 거더

변단면의 거더
[그림 2-12] 거더의 단면변화

 횡방향 단면에 대한 주요치수와 규격을 결정한다.

1. PSC거더교/프리플렉스거더교
PSC거더교 및 프리플렉스거더교는 거더와 바닥판이 합성된 교량형식으로 바닥판의 설계
가 가능하게 거더의 간격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거더의 간격은 2.5∼2.8m 간격으로 배
치한다. 캔틸레버부 길이는 설계 시 적용되는 바닥판의 두께 24cm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캔틸레버 길이를 길게 하면 차량하중 작용점 길이가 길어져 바닥판 최소두께 검토 시
24cm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1.3m 이내 길이로 적용한다.

<표 2-5> 차도부분 바닥판 최소두께(캔틸레버부)

구분 바닥판 최소두께(mm) 비고

L ≤ 0.25 280L+180

L > 0.25 80L+230

L: 트럭하중에 대한 바닥판의 지간
출처: 대한토목학회,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08).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585.

2. PSC박스거더교
상부플랜지의 캔틸레버 길이는 복부 중심선 사이 경간장의 0.45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계
획하고 부득이 횡단면 계획상 초과할 경우는 상세한 구조해석을 수행해야 한다.
상부플랜지의 두께는 복부나 헌치 순간격의 1/30 이상, 200m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바닥판

38
최소두께 기준을 적용하여 30L+130(L:복부사이 순경간) 이상 확보되도록 계획한다.
하부플랜지는 복부나 헌치 순간격의 1/30이상, 140mm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복부두께는 종방향이나 수직방향에서 한 방향으로 긴장재가 있는 경우는 300mm 이상, 양
방향으로 긴장재가 있는 경우는 400mm 이상으로 계획한다.
복부나 헌치 순간격이 4.5m 이상일 때는 적절한 방법으로 횡방향 프리스트레싱 도입 여부
를 검토해야 하며 이때 상부플랜지 두께는 23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중 앙 부 CL 지 점 부 상부플랜지

복 부

하부플랜지

[그림 2-13] PSC박스거더 횡단면도

3. 강박스거더교
강박스거더교는 박스의 규격, 세로보 설치 여부, 브라켓 설치 등에 따라 횡단면 구성을 다
양하게 할 수 있다. 캔틸레버 길이는 PSC거더교와 같이 1.3m 이내로 계획한다.
상부폭원을 고려하여 캔틸레버 길이 결정후 거더의 배치를 검토하고 거더의 폭원을 결정
한다. 박스 간 간격은 3.0∼3.5m 이내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바 닥 판
상부플랜지

Diaphragm
가 로 보
(Cross Beam)
하부플랜지

1.3m 3.0 ~ 3.5m

[그림 2-14] 강박스거더 횡단면도

 설계의 일원화 및 시공능률 향상을 위해 구조물의 치수를 표준화한다.


교량의 구조부재는 작용하중에 대해 최적의 단면을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각 부재의 최적
단면 결정 시 부재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되면 시공적인 측면에서는 부재별로 다른 규격의 거
푸집 운영 등 시공성이 저하된다.
PSC거더교인 경우 동일교량 내에서 경간장을 다르게 적용하면 서로 다른 경간장으로 인해
거더의 형고가 다르기 때문에 거더 제작을 2종류로 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39
PSC거더교를 적용할 경우는 등경간으로 계획해야 한다. 부득이 상부형식은 PSC거더교를 적
용하고 현장 여건상 부등경간으로 계획되는 경우도 있으나 시공성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다.

수행 tip

Ÿ 거더교의 경우 제작사의 카탈로그를 활용하면 공법별


특징 및 단면제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Ÿ 곡선교에서 PSC거더와 프리플렉스거더 형식을 적용
할 때 거더배치가 가능한지 검토하며 단부 및 중앙
부의 캔틸레버길이가 적정한지 검토한다. 곡선반경이
너무 작은 경우는 거더배치가 불가능하다.
Ÿ PSC거더교는 PSC합성거더교로 강박스거더교는 강합
성상형교로 불리워지며 합성의 의미는 거더와 바닥
판이 전단연결재로 연결되어 거더와 바닥판이 합성
거동을 한다는 의미이다.

40
2-3.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결정
• 디자인 콘셉트에 따라 구조물의 형식과 조형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지간구성과 형상,
학습 목표
부재의 배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경관설계

1. 개요
교량은 기능성, 구조적 안전성, 유지관리의 편의성, 경제성,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하여 가설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하며 지역주민과 도로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아름답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를
교량의 경관설계라 한다.
교량의 경관설계는 교량 자체의 미적 고려는 물론 지역의 역사ㆍ문화를 기초로 주변 경관과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계획되고 있다.

2. 주요 고려사항
교량 경관설계는 교량 자체의 미적 가치를 중시하는 내적 요구와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외적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 즉, 교량에 대한 미적 조형원리와 상징성이 주요 고
려사항이다.
경관설계 시 고려되는 기본적인 미적 조형원리에는 비례, 균형, 대칭, 내부 및 외부의 조
화 등이 있으며 기능미에는 간결성과 명료성이 있다.

(1) 비례
비례는 교량에서 구조적 안정감은 물론 시각적 아름다움을 주는 조형원리로 작용하며
경관설계에서 고려되는 중요한 검토항목이다.
교량 설계에 있어서 비례는 지간분할, 특히 중앙경간과 측경간의 분할, 그리고 교량연
장에 따른 교고 또는 거더의 높이, 교각과 교각 사이의 간격 등에 활용된다.

(2) 균형과 대칭
균형이란 구조물에 작용하고 있는 힘이 평형상태를 이루는 역학적 개념으로서 역학적인
균형이 시각적인 균형으로 인지되는 조형원리 기본개념으로 비례와 관계가 있다. 대칭은
좌우대칭인 정적 균형과 비대칭의 동적 균형으로 구분되며 정적 균형은 단순하고 명확
하게 안정감이 있는 교량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형상이 좌우에 위치한다. 비대
칭은 동적 균형은 운동과 성장의 역동적이고 현대적인 조형미를 이룬다.

41
일반적인 교량설계는 좌우대칭의 정적 균형을 고려하고 있으나 상징성을 부여하고 세
련된 교량을 설계할 경우는 비대칭 사장교와 같이 동적 균형미를 고려할 수도 있다.

(3) 조화
교량은 내적 조화와 외적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적
조화란 교량을 구성하는 부재가 교량의 다른 구성요소와 조화를 이뤄야 하는 것을 의
미하며, 외적 조화는 교량이 주변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
미한다.
교량은 경간장, 거더의 높이, 교각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시각 및 공간적인
조화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교량을 구성하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는 상호 조화와 균
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부형식 선정 시 적용개념
교량 경관설계에서 상부구조 형식은 교량자체 경관은 물론 전체 경관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
소이다. 경관을 고려한 교량설계에서 교량형식 선정은 다음 항목을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배경교량 개념
교량을 전체 경관의 한 요소로 가정하여 교량이 강조되지 않도록 교량형식을 선정하는 방
법이다. 이 경우 교량의 구조형식은 단순한 구조형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강조교량 개념
교량을 전체 경관에서 강조할 수도 있도록 교량형식을 선정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교량
자체의 경관미를 고려하게 되므로 교량의 형식은 거더교 형식이 아닌 특수교 형식이 채택
되며 교량 가설 위치에서 상징적인 구조물로 계획되거나 랜드마크화할 때 적합하다.

수행 내용 /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42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Ÿ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

Ÿ 아름다운 교량설계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경관설계는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이 특수교량을 계획할 때 주변 환경, 문화적 특징. 상징성과


연계하여 경관콘셉트 도출 등 조형적인 측면에서 검토되는 항목으로 일반설계를 시행할 때는
적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경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설계자가 교량의 규모,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강조교량, 배경교량 등을 판단하고 상부형식을 선정하고 경간구성 등 교량의 형상을
결정한다.

수행 순서

 디자인 전략을 이해한다.

1. 교량 디자인 콘셉트를 검토한다.


산지의 스카이라인 또는 평야의 수평경관 등 교량이 설치되는 지형의 특성과 어우러지는
교량 형식을 선정하며 인공구조물의 위압감을 줄이기 위해 과도한 디자인을 억제하고 간
결하고 슬림한 디자인으로 자연에 순응하도록 한다.
주행자의 조망을 고려하여 인공구조물에 대한 시각적 위압감을 완화하고 교량 주변 이용
자의 조망특성을 고려하여 개방감 있는 교량 디자인을 연출하도록 한다.
교량이 설치되는 지역의 디자인 모티브를 추출하고 지역정체성을 살린 경관을 연출하며
교량구성요소에 문화이미지를 반영한 디자인 연출로 이용자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
도록 한다.

43
2. 상부형식별 디자인 범위를 검토한다.

(1) 거더교 및 라멘교


거더의 형태, 경간분할, 측면 및 하부구조가 일체감이 확보되는지 검토한다.

(2) 아치교
아치의 형태 및 배치, 접속부가 조화로운지 검토한다.

(3) 사장교, 엑스트라도즈교


주탑의 형태, 규모, 배치, 케이블 디자인, 경간분할을 검토한다.

(4) 현수교
주탑의 형태, 규모, 배치, 앵커리지 디자인, 경간분할을 검토한다.

(5) 트러스교
트러스 부재의 형태 및 배치를 통한 구조물이 간결하고 조화로운지 검토한다.

 구조물의 지간구성과 형상, 부재의 배치를 결정한다.

1. 교량의 지간구성을 결정한다.


교량을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한 치수의 구성에 따라 교량의 형태가 변화하므로 구성비에
따라 미적,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주므로 합리적인 구성요소로 비례배분 한다.

(1) 미적 비례조화의 법칙을 검토한다.


도형이나 물체의 미적 조화를 위해 세로와 가로 치수를 조화 있게 구성하는 비례에 대
한 연구가 거듭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비례조화법칙은 황금분할과 피보나치 급수이다.
두 치수의 비가 1.618/1 = 5/3을 만족할 때 가장 좋은 조화를 이룬다.

(2) 대칭성을 검토한다.


교량은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구조물 전체에 대한 비례배분을 고려하며
대칭성을 이루는 것이 미관상이나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대칭성을 이룰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경간분할을 검토한다.


교량은 교각 배치의 제약 때문에 경간분할이 자유로운 것은 아니지만 미적 관점을 고
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속교는 중앙경간을 측경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보통이며, 3경간일 경우
에는 3:5:3 정도의 비율이 좋으며 4경간의 경우는 3:4:4:3의 비율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간분할 시는 교량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홀수경간을 배치하는 것이
좋으며 짝수 경간일 경우는 중앙교각에 의해 좌우가 단절된 느낌을 준다. 그러나 교량의
연장이 긴 경우는 짝수와 홀수의 미적 차이는 없어진다.

44
2. 교량의 형상을 결정한다.
교량은 수평방향으로 길고 세장한 구조이므로 부분적이 아닌 교량 전체에 대해 비례배분을
검토한다. 경간장이 길어질수록 교량은 양 단부만 지지할 수 없으므로 교각과 같이 중간에
지점이 설치되므로 다수의 부재를 조립, 구성해야 한다.
교량의 형태를 분석할 경우 교량 자체에 관련된 것과 환경 및 경관에 관련된 것이 같이
검토되어야 한다. 즉, 교량은 단독적인 것으로 볼 수가 없고 가설지점의 자연환경이나 인
공물과 함께 보아야 하기 때문에 환경이나 경관의 전체 형상을 고려하여 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상을 검토한다.

3. 부재의 배치를 결정한다.


교량은 많은 부재들로 조립되고 이들 조립된 부재 중심으로 힘을 전달시켜 교량 전체의
안전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설계 시 전체적인 힘의 흐름을 합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1) 구성 부재는 역학적 기능을 갖는 최소한의 단순 부재로 하며 시작과 끝이 명확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2) 힘은 구성 부재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3) 비례, 균형, 안정, 평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교량의 전체적인 미적구성을 위하여 비례배분, 구조요소의 반복, 구조요소와 노면의
조화 등을 고려한다.

수행 tip

Ÿ 턴키설계나 대안설계 관련 보고서를 참조하면 경관


설계에서 검토되는 항목을 이해하기 쉽다.
Ÿ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공공디자인매뉴얼을 기준으로
경관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45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 가설위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현장조사 시 어떤 항목에 대해 조사를 수행해야 하는지


학습자가 이해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현장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교량 상부형식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여 적용 경간장에 적합한 상부구


조형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경제성 분석을 시행하는 목적 및 설계VE 및 LCC분석을 통해 도출되는 특징을 설명하고 교량형식


별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발주처 보고를 위해 필요한 서류목록을 파악하여 비교안 작성 시 고려할 사항을 설명한다.

• 예비설계를 시행하는 목적을 설명하고 강재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강박스거더교에 대해 예비설계


하는 과정을 지도한다.

• 종평면도를 검토하여 계획교량에 대한 경간장을 확인하고 적용 경간장에 적합한 거더의 형고를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상부형식별 횡단면에서 거더의 배치방법이 다양하므로 적용 형식별 상부에 대해 횡단면을 구성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거더의 배치간격, 캔틸레버 길이, 부재의 두께 등 횡방향 단면에 대한 주요 치수와 규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교량 계획 시 경관설계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상부형식별 디자인 범위 및 조형성을 고려하여


지간구성, 부재배치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에 대한 각종기준과 지침, 편람, 시방서, 요령 등의 참고 자료 등 관련 자료에 대해 구성과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46
학습 방법

• 현장조사에 필요한 조사항목을 파악하고 현장조사를 시행하여 교량 가설위치 현황을 분석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교량 상부형식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고 교량 가설조건에 적합하며 적용 경간장에 부합되는


상부형식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설계VE 및 LCC분석을 통해 경제성 분석의 목적을 이해하고 교량형식별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발주처에 보고할 항목을 분석하고 비교안 등 보고 자료를 작성하여 보고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예비설계를 시행하는 목적을 이해하고 강박스거더교에 대해 예비설계를 수행하여 예비설계를


통해 도출되는 내용이 무엇인지 학습한다.

• 계획교량의 경간장에 부합되는 거더의 형고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상부형식별 횡단면에서 거더의 배치방법이 다양하므로 적용 형식별 상부에 대해 횡단면을 구성


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교량 계획 시 경관설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상부형식별 디자인 범위 및 조형성을 고려하여


지간구성, 부재배치를 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47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검토된 교량 상부형식들에 대해 특징과 경제성 분석결과


상부형식
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발주처와의 협의를 통하여 현
결정
지 여건에 적합한 최적의 상부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 적용할 지간장을 파악하고 예비 구조검토를 통하여 교량


단면의 형고를 결정할 수 있다.

상부단면 - 횡방향 단면설계를 통하여 횡단면상의 주요치수와 규격을


계획 결정 결정할 수 있다.

- 다수의 교량설치 시 설계의 일원화와 시공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각 상부구조 형상 치수를 표준화할 수 있다.

지간구성 및 - 디자인 콘셉트에 따라 구조물의 형식과 조형성을 고려하


부재배치 여 구조물의 지간구성과 형상, 부재의 배치 등을 결정할
결정 수 있다.

48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현장조사자료 분석을 통한 상부형식 도출 능력


상부형식
- 교량형식별 공사비 산출 능력
결정
- 발주처 협의자료 작성의 완성도

- 교량형식별 거더형고의 정리상태

상부단면 - 계획교량의 경간장에 따른 상부형식 도출 능력


계획 결정
- 설계일원화와 시공성 향상을 위해 상부단면을 표준화
할 수 있는 능력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 상부형식별 검토할 디자인 범위 정리 능력
결정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별 상부형식의 특징에 대한 이해도

상부형식
- 사용재료별 교량형식의 분류
결정

- 교량형식별 공사비 산출

- 교량형식별 적용 가능한 경간장 및 형고 산정

상부단면
- 제시된 폭원에 대한 형식별 횡단면 구성
계획 결정

- 종평면도를 분석하여 상부단면계획의 적정성 분석

지간구성 및
부재배치 - 교량계획 시 경관을 고려하여 검토할 항목
결정

49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50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405_14v2.1)
학습 2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2)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
학습 3
(LM1402010405_14v2.3)
학습 4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LM1402010405_14v2.4)
학습 5 교량 부대시설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5)

3-1. 하부형식 결정 및 단면계획


• 검토된 교량 하부형식들에 대해 특징과 경제성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발주처
와의 협의를 통하여 현지 여건에 적합한 최적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 교량의 특성과 지반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상부구조와 조화를 이루는 하부 형식을 결정할
학습 목표
수 있다.
• 다수의 교량설치 시 설계의 일원화와 시공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각 하부구조 형상 치수
를 표준화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부형식 결정 시 고려사항
하부구조는 상부구조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기초
에 전달할 수 있는 형식으로 선정되어야 하며 교대, 교각, 기초로 구분할 수 있다.
하부구조는 경제성, 시공성, 구조 안전성, 미관, 기초구조와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
치 및 형상을 결정해야 한다. 또한 하부구조는 지반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으므로 형식 결
정 시 지반조건을 검토하여 결정해야 한다.

1. 교대

(1) 교대설치 지점의 지형 및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교대 위치를 결정한다.

(2) 교대 위치에서 종‧횡단 지형변화를 고려하여 단면을 계획한다.

(3) 절토지반에 교대가 설치될 경우 지반변화를 고려하여 교대 높이를 결정한다.

2. 교각

(1) 하천에 위치할 경우 유수방향 및 유속을 고려하여 단면계획을 수립하고 교각 위치를

51
결정해야 한다.

(2) 교각단면을 통일하여 시공성, 구조 안전성 및 유지관리 편의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3) 내진성능 확보 및 지질에 따른 교각 높이 변화에 대응하는 단면을 선정해야 한다.

(4) 상부반력이 집중되는 교각 코핑부는 구조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단면으로 계획


한다.

3. 기초

(1) 기초의 저면은 기초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적절한 지반에 위치해야 한다.

(2) 지질조사 내용에 의거 교대, 교각 설치 위치에 적합한 기초형식을 결정한다.

(3) 말뚝기초 적용 시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시공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 하부형식의 구분

1. 교대
교대는 교량의 시‧종점부에 설치되며 배면의 흙과 접촉되고 상부구조로부터 하중과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일종의 옹벽 구조물이다. 또한 교대의 배면토사를 보호하기 위해 교대
측면에 날개벽이 설치된다.

(1) 교대의 종류

(가) 중력식 교대
자중에 의하여 안정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형식으로 지지지반이 양호한 경우에 주
로 사용된다. 구조가 간단해서 시공이 간편하지만 매스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수화
열의 악영향과 과도한 자중에 의한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
렵다. 교대 높이가 5m 이하인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나) 반중력식 교대
중력식과 유사한 형식이나, 철근을 배치하여 구체단면의 일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
을 담당하게 한 구조로서 6m까지의 교대 높이에 자주 사용된다.

(다) 역T형 교대
교대높이 6∼12m의 경우에 많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고 교대 배면 흙의 자중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나 터파기, 되메우기 등의 토공량이 증가하며 중력식보다는 철근량이 증가
하여 철근가공 및 조립, 형틀제작 등의 시공과정이 추가된다.

(라) 부벽식 교대
높이가 13m 이상인 경우 역T형 교대보다 구조 안전성 및 경제성에 유리하며, 수직

52
벽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부벽이 담당하도록 설계된 구조로서, 부벽의 위치는 입지
조건에 따라 수직벽의 앞이나 뒤로 결정된다.

(마) 라멘식 교대
상부구조에서 큰 수평력이 하부구조로 전달되는 경우나 구체가 높아서 토압이 큰
경우에는 라멘 형상의 교대를 설치한다. 12∼15m의 높이에 많이 이용된다.

<표 3-1> 교대형식별 단면형상 및 적용높이


구 분 반중력식 역T형 뒷부벽식 라멘식

개요도

적용높이 6m이내 6∼12m 10∼20m 12∼15m

(2) 날개벽
교대 배면토사의 보호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교대 날개벽의 형상 및 길이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뒷채움의 침하, 유실로 인한 교량 접속부의 손상방지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날개벽 형상은 교량과 인접한 토공계획에 따라 옹벽이 설치되는 경우
와 설치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된다.

2. 교각
교각은 교량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부구조의 하중을 기초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교량상부 구조와 조화를 이루어 교량의 미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교각은 설치 위치에 따라 주변 경관과의 조화는 물론 교량하부 공간의 사용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교량의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형상도 여러 각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교각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하천유수흐름에 유리하게 설치
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도심지나 고수부지 내에서는 최대한 교량 하부공간 사용이 가능하도
록 계획한다.

(1) 형상에 따른 분류
교각 형상은 상부구조의 폭원과 연관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교각형상은 T형
교각, π형교각 등이 많이 적용된다. 교량 상부의 폭원이 작은 경우는 T형 교각을 적
용하며 상부폭원이 넓어지게 되면 교각의 코핑길이가 길어져 T형교각을 적용하지 못
하고 π형 교각을 적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π형교각의 기초를 분
리해서 적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기초에 대한 부등침하 영향을 검토해야 한다.
상부구조가 PSC 박스거더교인 경우는 대부분의 교각이 벽식교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53
T형이나 π형의 기둥은 원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벽식교각은 사각 또는 육각단
면 등 경관성을 고려하여 단면형상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벽식교각은
중공단면으로 구성된다.

T형교각 π형교각(기초일체형) π형교각(기초분리형)


[그림 3-1] 교각의 형상

(2) 교각 기둥형상에 따른 적용높이


교각의 높이에 따른 단면형상을 결정할 때에는 상부구조와 조화성 등과 같이 경관적
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하며 구조적 안전성도 확보하여야 한다. 높이에 따른 단면형상
결정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준을 설정하기는 어려우므로 설계실적 및 시공사례를 조사
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 기초
기초형식은 직접기초, 말뚝기초 및 우물통기초가 있으며 기초 근입깊이에 따라 얕은기초와
깊은기초로 구분되며 얕은기초는 직접기초, 깊은기초는 말뚝기초와 우물통기초로 분류된다.

(1) 직접기초
직접기초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비교적 작거나 하중을 지지할 만한 양질의 토
층이 지표면 부근에 있을 때 구조물을 직접 지반 위에 지지하게 하는 형식의 기초를
말한다.

(2) 말뚝기초
말뚝기초는 지반이 견고하지 못하고 지지층의 심도가 깊어 직접기초로 적용이 어려울
경우 지지층까지 말뚝을 설치하여 하중을 분포시키는 기초형식이다.
말뚝기초는 PHC말뚝, 강관말뚝, 현장타설말뚝으로 구분된다. 말뚝기초는 종류별로 적
용하는 기준이 서로 다르며 지층의 상태 및 가설 위치 여건을 고려하여 기초형식을
선정해야 한다.
PHC말뚝기초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취급이 손쉽고 수평력이 작은 교각에 많이 적용
되고 있다. 수평변위에 대한 저항성이 적고 이음부에 취약점이 있으며 N치 40 이상의
지반에는 항타가 어려우나 매입공법 등을 적용할 경우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최근
에는 수평력을 보강한 합성말뚝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경제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54
강관말뚝기초는 시공이 편리하고 이음 등 취급이 간단하고 구조적으로 수평변위에 대
하여 저항력도 큰 편이므로 교대의 기초에 많이 적용된다. N치 50까지도 전석층이 없
다면 타입이 가능하며 연약층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강관말뚝만 적용할 경우 경제성이
고가이므로 수평력이 확보되는 일부 구간은 강관말뚝을 적용하고 나머지 구간은 PHC
말뚝을 적용하는 복합말뚝이 개발되어 많이 적용되고 있다.
현장타설말뚝기초는 주변 지반에 대한 교란을 최소화하고 확실한 지지층에 도달할 수
있으며 본당 지지력이 크므로 깊은기초에 유리하다. 현장타설말뚝은 RCD(Reverse
Circulation)공법, Earth Drill 공법, All Casing공법 등이 있다.

(3) 우물통기초
자중 혹은 강제하중에 의해 지반에 침하시켜 견고한 지지층까지 근입하는 공법으로
크램쉘에 의한 기계화 굴착으로 작업이 용이하나 기초의 정위치 시공등 확실성에 문
제가 있고 수중작업을 해야 한다. 연약층 시공이 곤란하며 역학적인 구조특성은 근입
측압이 클 경우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나 구조물의 유연성은 기대할 수 없다.

<표 3-2> 기초형식 비교


깊 은 기 초
기초형식 직 접 기 초
말뚝기초 케이슨 기초

∙연직력: 저면반력 ∙연직력: 전단저항 및 ∙연직력: 저면반력


하 중
∙수평력: 기초저면 전단 주면마찰 저항 ∙수평력: 측면반력 및 전
지 지
저항(마찰저항) ∙수평력: 말뚝 휨강성 주 단저항(마찰저항)
개 념
변 지반의 수동저항

∙기초심도: 5.0m 내외 ∙기초심도: 5m 이상 ∙기초심도: 6~30m


∙연직하중: 제한 없음 ∙연직하중: 말뚝 1본당 ∙연직하중: 1,500tonf 이상
∙터파기 영향권 내 장애 기성말뚝 100tonf 내외 ∙지하수 영향 큰 지역,
적 용 물이 없고 시공 중 배 현타말뚝 500~1000tonf 하상, 수상 등 특수지역
기 준 수처리가 곤란하지 않을 내외
것 ∙현장조건 및 하중조건에
따라 기성말뚝과 현타말뚝
으로 나누어 적용

∙독립기초 ∙항타말뚝 ∙오픈케이슨


∙복합기초 ∙매입말뚝 ∙공기케이슨
공법별
∙줄기초 ∙속파기 말뚝 ∙특수케이슨
구 분
∙전면(Mat)기초 ∙현장타설 말뚝(All Casing,
Earth Drill, RCD 등)

55
 지반조사

1. 개요
교량의 안전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고 경제적인 기초형식, 규모를 결정하여 지반조건에
적합한 시공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지반조사를 시행한다.
지반조사를 통해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여 흙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실
내 토질시험을 실시한다.

2. 지반조사의 방법

(1) 시추조사
지반의 공학적인 특성과 기반암의 암종, 지질구조, 단층파쇄대의 존재 여부, T.C.R 및
R.Q.D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설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시추조사를 시행한다.
또한 각 시추공에서 채취된 시료는 기반암의 암질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설계에 반
영할 수 있도록 TCR, RQD, N치, 색조, 누수상태 등을 시추 주상도에 기록한다.

(2) 지하수위 측정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수압 및 유효상재하중을 고려하여 구조물 기초 안정해석을 위
해 각 시추공에서 지하수위를 측정한다. 지하수위 측정은 시추작업 종료 후 케이싱 내

에서 1차로 실시하고 시추작업 완료 후 24 48시간 경과한 후에 2차 측정을 실시하여
안정된 지하수위를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지하수위는 계절 및 기상현상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다.

(3) 표준관입시험
시추조사와 병행하여 한국산업규격(KS F 2307)의 규정된 방법에 의거하여 1.5m 간격으
로 표준관입시험을 실시한다. 시험방법은 공저를 깨끗이 청소한 후 Rod 선단에 샘플러
를 부착하고 63.5kg의 해머를 76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샘플러가 30cm 관입하는
데 소요되는 타격횟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30cm 관입에 소요되는 타격횟수를 관입저
항치(N치)로 하여 주상도에 기입하며 타격횟수가 50회인 경우에도 30cm가 관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타격횟수 50회 시의 관입량을 측정하여 시추 주상도에 기록한다.
<표 3-3> N치에 의한 판정 및 추정사항

구 분 판정 및 추정사항
∙ 지반 내 토층분포 및 토질의 종류
조사결과로 파악할 수 있는 사항 ∙ 지지층 분포심도
∙ 연약층의 유무(압밀침하층의 두께)
∙ 상대밀도(Dr), 내부마찰각(ø)
N치로 사 질 토 ∙ 기초지반의 탄성침하
추정할 수 있는 ∙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
사항 ∙ 일축압축강도(qu), 비배수점착력(cu)
점 성 토
∙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

56
수행 내용 / 하부형식 결정 및 단면계획 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구조물기초 설계기준해설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교량 설계를 위한 지반조사는 교대 및 교각 위치에 최소 1공 이상 조사를 수행하여야 하나 지반조


사 과정에서 주민의 반대 등의 이유로 조사를 못했을 경우 설계 시에 인근 지반조사자료를 인용하
여 추정된 지지층을 적용해야 하나 실제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와 다를 수 있으며 공사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설계 시 유의해야 한다.

수행 순서

 교량의 종평면도를 검토한다.


교량의 종평면도는 교량의 계획을 전반적으로 표현한 도면으로 교량설계 시 우선적으로 작성
되는 도면이다. 교량의 종평면도를 통해서 교대 및 교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부구조와 조화
될 수 있는 하부구조 계획을 수립한다.

1. 교량의 폭원 및 상부구조형식을 확인한다.


교량의 폭원은 도로폭원에 방호울타리 폭을 더하여 교량의 폭원이 산정된다. 상부구조 형

57
식은 가설 위치 여건 및 시공조건 등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데 결정된 상부구조
는 계획되는 교량폭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교량폭원 및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하부구조 특히, 교각의 형상이 결정되므로 종평면도의
횡단구성을 우선 확인하여야 한다.

PSC 합성거더교의 경우 PSC박스거더교의 경우


[그림 3-2] 상부구조형식에 따른 교각형상

2. 교대 및 교각의 기초 위치(EL)를 확인한다.

(1) 교대의 위치를 확인한다.


교대는 교량 시‧종점부에 설치되며 농경지를 통과하는 교량인 경우는 평지구간에 위치
하며, 계곡부를 통과하는 경우는 산지 경사면에 위치하는 등 교량가설 위치에 따라 지
형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교대는 높이에 대한 제약이 있으므로 교대 위치가 적정하게
계획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종평면도에는 지반조사 결과인 지질주상도를 수록하고 있으므로 계획되는 교대의 기
초형식 등이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지층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2) 교각의 위치를 확인한다.


교각은 교대와 달리 높이에 대한 제약이 없는 편으로 교고가 높을 경우 교각의 기둥
길이를 변화시켜 계획한다. 그러므로 교각은 하부 지장물의 저촉 여부 확인이 필요하
고 교각 설치 위치의 지지층 위치를 확인하고 교각의 기초위치가 적정한지 판단한다.

 교대의 형식 및 단면을 결정한다.

1. 교대의 형식을 결정한다.


교량 계획 시 교대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6∼12m 내외로 계획하며 형식은 역T형 교대가
되도록 계획한다. 교대설치위치의 지형여건상 부득이하게 높게 계획되는 경우는 부벽식
교대 또는 라멘식 교대를 적용하기도 한다.

58
2. 교대 단면을 계획한다.
교대는 흉벽, 벽체, 기초, 교좌면 및 날개벽으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역할을 파악하고 적정
단면이 되도록 계획한다.
교대는 활동, 전도,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1) 교대의 높이 및 기초폭을 결정한다.


교대의 높이는 흉벽 상단부터 기초(Footing) 하단까지의 길이로 정의되며 도로의 종단
계획과 지반의 지지층 위치에 의해 교대 높이가 결정된다.
기초폭은 직접기초의 경우 일반적으로 높이의 0.65배를 적용하면 기초단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말뚝기초의 경우는 필요한 말뚝배치를 고려하여 기초폭을 산정한다.

(2) 교좌면 폭을 결정한다.


상부구조의 형식을 고려하여 교량받침을 선정한 후 연단길이, 받침크기, 상부구조 여
유간격, 지진에 의한 받침지지길이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좌면 폭을 산정한다.

(가) 받침 연단길이를 검토한다.


받침면(교좌면)은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받침을 통해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부위로서 집중하중을 받으며 지진 시 큰 수평력이 작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받침 끝에서 정부연단까지 거리가 작으면 가동단에서 받침이 이탈되어 낙
교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단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
거더의 경간길이 100m 이하: S3 = 200 + 5L
거더의 경간길이 100m 이상: S3 = 300 + 4L

S1: 주형 끝에서 받침중심까지의 거리


S2: 받침길이의 1/2
S3: 받침 연단거리
N: 최소받침 지지길이
u: 상부구조 여유간격

출처: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pp.508-509.


[그림 3-3] 교대의 연단 및 받침지지길이

(나) 최소 받침지지길이 및 상부구조 여유간격은 “3-2 내진설계”편을 참조한다.

(3) 벽체 및 기초단면을 검토한다.


교대의 벽체는 흉벽두께와 받침면 길이로 결정되며 흉벽두께는 일반적으로 500mm를
적용한다. 교대 벽체는 배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교대 높이에 따라
토압의 영향으로 작용하중이 변화되어 단면두께가 달리 적용되어야 하나 시공성 측면
을 고려하여 흉벽과 받침면의 길이로 벽체두께를 결정한다.

59
확대기초두께는 작용하중에 대해 부재로서 필요한 적정두께를 확보해야 하며 강체로
취급되는 두께 이상이 되도록 단면을 결정한다.
사교의 경우 교대는 경사교대로 계획되며 이때의 확대기초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하게 되는데 사각이 75°보다 작거나 교대폭이 좁은 경우는 토압의 합력에 의해 교대
가 회전을 고려하여 교대의 기초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교각의 형식 및 단면을 결정한다.

1. 교각의 형식을 결정한다.


교각은 상부구조가 2경간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설치되며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하중
과 교각의 자중을 안전하게 기초지반에 전달하는 구조물이므로 상부구조 형식, 지반조건
및 주변경관과 조화성을 고려하여 형식을 결정한다.
교각의 형식은 상부의 폭원 및 상부구조형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결
정한다.

2. 교각 단면을 계획한다.
교각은 코핑, 기둥 및 기초로 구성되며 작용하중에 대해 적정단면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활동, 전도,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교각의 코핑부의 폭원은 교대의 받침면과 같이 받침연단거리, 최소 받침지지길이 등을 고
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코핑 길이는 상부구조의 하중을 전달하는 교량받침 배치에 따라
변화되므로 상부구조형식 및 받침배치를 고려하여 길이를 결정한다.
기둥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형기둥을 적용하며 상부구조가 PSC박스거더교인 경우는 벽
식기둥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부구조형식 및 가설 여건을 고려하여 기둥단면을
결정한다.
하나의 교량에서도 각각의 교각은 작용하중 및 높이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교각 단면두께
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나 거푸집 운용 등 시공성을 고려하여 최적 단면을 결정하여 동
일한 단면이 되도록 계획한다.

 기초의 형식 및 단면을 결정한다.

1. 기초의 형식을 결정한다.


기초는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에 작용하는 고정하중, 활하중, 토압 및 수압 등의 모든 하중
을 확실하게 지지지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기초형식은 직접기초, 말뚝기초 및 우물통기초 등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기초형식 선정
에 있어서는 지반조사결과를 토대로 여러 가지 조건을 상세히 검토한 후 형식을 결정한

60
다. 일반적으로 지지층이 얕은 경우는 직접기초를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경제적이다.
그러나 지지층 심도가 깊어 직접기초의 적용이 어려운 경우는 말뚝기초나 우물통기초를
적용한다. 우물통기초는 해상구간이나 하천구간 등 수심이 깊은 경우에 적용하는 형식으
로 적용성을 면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해상 및 하천구간에 현장타설말뚝기초
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육상구간이나 수심이 깊지 않는 하천의 경우는 대부분 말뚝기초를 적용하고 있으며 강관
말뚝, PHC말뚝, 복합말뚝, 합성말뚝 등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형식 선정 시 작용하중
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며 경제성을 비교 검토하여 형식을 결정한다.

<표 3-4> 깊은기초형식 비교


구분 우물통기초 현장타설말뚝기초 강관말뚝기초

개요도

∙모든 지층에 가능 ∙대부분 지층에 가능 ∙모든 지층에 가능


∙지층의 변화가 심한 곳에 ∙직경 30cm 이상의 호박돌, ∙직경 30cm 이상의 전석층
서는 적용불량 전석등이 중간층에 존재 이나 극경화층이 중간층
적용
∙지지층의 깊이가 30m 이 하는 경우 Casing 적용 에 존재하는 경우 선굴착
지층
상인 곳에서는 침하작업 ∙최대심도 60m 이상 시공 또는 속파기 적용
효율이 극히 불량 가능 ∙지지층 심도: 용접이음으
로 60m 이상 시공가능
∙지지층 확인이 육안으로 ∙저소음 무진동으로 주변 ∙공사비 가장 저렴
가능 영향이 적음 ∙시공속도 빠름
∙강체기초로 강성이 큼 ∙지지층 확보가 비교적 용이 ∙시공용이
∙부식에 대한 영향 적음 ∙부식에 대한 영향이 적다 ∙품질관리 용이
특징 ∙세굴의 가능성이 큰 곳에 ∙구조적 안정성 양호 ∙지지층 확인 다소 난이
특히 유리 ∙공사비가 다소 고가 ∙부식방지 대책 필요
∙공기 증가 및 공사비 고가 ∙철저한 시공관리 필요 ∙소음진동 대책 필요
∙지지층 심도가 30m 이상 ∙비교적 넓은 작업공간 필요
시공곤란

2. 기초의 단면을 결정한다.


기초단면은 기초형식 선정 후 기초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작용하중에 대해 최적의
단면이 되도록 결정한다.

61
 설계의 일원화 및 시공능률 향상을 위해 구조물의 치수를 표준화한다.
교량의 구조부재는 작용하중에 대해 최적의 단면을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부재별 최적 단면
결정 시 부재규격이 서로 상이하게 되므로 시공적인 측면에서는 부재별로 다른 규격의 거푸
집 운영 등 시공성이 저하된다.
교각의 경우 작용하중 및 높이가 다르므로 최적단면 적용 시 단면규격을 서로 달리 적용해야
하나 시공 효율성을 고려하여 대표할 수 있는 최적단면을 결정하고 단면규격을 동일하게 적
용하여 구조물의 치수를 표준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말뚝기초의 경우도 규격 및 재질을 통일하고 적용되는 본수를 조정하여 최적화하도록 검토해
야 한다.

수행 tip

Ÿ 교대설치위치가 급경사면에 위치할 경우 지반선은


종‧횡방향으로 변화되므로 종단면도상의 지반선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교대폭원 내의 등고선과의 관
계를 확인해야 교대기초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Ÿ 고성토부 교대는 일반적으로 교대높이를 최소화하고
말뚝기초로 적용되는데 이때 성토교대에 대한 측방
유동을 검토해야 한다.
Ÿ 교대의 벽체 단면은 높이가 낮은 경우도 헌치를 주
지 않고 수직으로 계획하여 단면이 비효율적으로 계
획하는 데 물량절감 보다는 시공적인 측면을 고려하
여 직벽으로 계획한다.

62
3-2. 내진설계

학습 목표 • 내진설계를 고려하여 상․하부 연결부를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내진설계 일반사항

1. 기본방향
내진설계기준은 구조물의 내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최소 설계요구조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지진 발생 시 교량이 입는 피해의 정도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량 또는 교량부재들은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에 의해 일부 부재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붕괴될 확률이 낮아야 한다.
내진설계기준의 기본원칙은 중‧소규모의 지진 발생 시에는 구조부재들이 탄성영역 내에서
저항하여 심각한 손상을 받지 않아야 한다. 또한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에
의해서도 교량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붕괴되어서는 안 되며 가능하면 지진에 의한 피해의
예측이 가능하고 피해조사와 보수를 위해 현장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 및 시공되어야 한다.

2. 내진설계기준
설계기준에 사용되는 위험도계수와 지진구역계수, 내진등급별 설계지진수준 등은 국가기간
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성능기준인“내진설계기준연구(Ⅱ)(건설교통부, 1997. 12)”의
내용을 참조하여 결정하였다.

(1) 가속도계수(A)
가속도계수는 내진설계에 있어서 설계지진력을 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교량이 위치
할 부지에 대한 지반운동의 가속도계수 A는 내진등급별 설계지진의 재현주기에 해당
하는 위험도계수를 지진구역에 따른 지진구역계수에 곱하여 계산한다.
A = 위험도계수×지진구역계수

<표 3-5> 위험도계수

재현주기(년) 500 1,000

위험도계수, Ⅰ 1.0 1.4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10.

63
<표 3-6> 지진구역계수

지진구역 Ⅰ Ⅱ

구역계수 0.11 0.07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10.

<표 3-7> 지진구역 구분

지진구역 행 정 구 역(5)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남부(1),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동부(2)

Ⅱ 도 강원도 북부(3), 전라남도 남서부(4), 제주특별자치도

주: (1) 강원도 남부(군,시): 영월, 정선, 삼척시, 강릉시, 동해시, 원주시, 태백시
(2) 전라남도 북동부(군,시): 장성, 담양, 곡성, 구례, 장흥, 보성, 화순, 광양시, 나주시
여수시, 순천시
(3) 강원도 북부(군,시): 홍천, 철원, 화천, 횡성, 평창,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춘천시
속초시
(4) 전라남도 남서부(군,시): 무안, 신안, 완도, 영광, 진도, 해남, 영암, 강진, 고흥
함평, 목포시
(5) 행정구역의 경계를 통과하는 교량의 경우에는 구역계수가 큰 값을 적용한다.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9.

(2) 내진등급과 설계지진수준


내진등급은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Ⅰ등급과 내진Ⅱ등급으로 분류한다. 단, 교량의
관할기관에서 교량의 내진등급을 정할 수 있다.
교량은 내진등급별로 규정된 평균재현주기를 갖는 설계기진에 대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표 3-8> 도로의 내진등급과 설계지진


설계지진의
내진등급 교 량
평균재현주기

∙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특별시도, 광역시도 또는


일반 국도상의 교량
∙ 지방도, 시도 및 군도 중지역의 방재 계획상 필요한
내진Ⅰ등급교 1,000년
도로에 건설된 교량, 해당 도로의 일일계획 교통량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중요한 교량
∙ 내진Ⅰ등급교가 건설되는 도로 위를 넘어가는 고가교량

내진Ⅱ등급교 내진Ⅰ등급교에 속하지 않는 교량 500년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8-10.

64
(3) 지반의 분류
지반의 영향은 교량의 지진 하중을 결정하는 데 고려되어야 한다. 지반종류는 과거 발
생한 지진의 진앙지에 가까운 지반에 대한 스펙트럼형상의 통계적 연구를 근거로 하
여 선택된 대표적인 값들이다.

<표 3-9> 지반계수


지반계수
지반종류 지반종류의 호칭
내진설계 시 기초분리설계시

Ⅰ 경암지반, 보통암지반 1.0 1.0

Ⅱ 매우 조밀한 토사지반 또는 연암지반 1.2 1.5

Ⅲ 단단한 토사지반 1.5 2.0

Ⅳ 연약한 토사지반 2.0 2.7

Ⅴ 부지 고유의 특성평가가 요구되는 지반 - -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11, pp.8-86.

 내진해석

1. 개요
지진해석의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응답스펙트럼 해석법과 시간이력 해석법이 사용된다.
해석방법의 선택은 해당 교량의 설계에 대한 요구사항, 내진 구조설계의 수준 및 경제적
인 이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교량의 형태가 간단한 것에서부터 복잡
한 것으로, 단경간에서 장경간으로 또한 교량의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정밀한 해석
법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2. 내진해석방법

(1) 응답스펙트럼 해석법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은 그 해석법이 간편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는 장점으로 인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구조물의 시간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을 알 수 없는 단점
이 있다.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한 해석은 단일모드스펙트럼 해석법과 다중모드스펙트럼
해석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은 교량의 동적거동이 비교적
단순한 보통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형상이 복잡하여 모드의 형상을 단
순히 종방향 혹은 횡방향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교량에 대해서는 다중 모드 스펙트럼
해석법을 수행한다.

(2) 시간이력 해석법


시간이력 해석법은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 때 구조물의 거동을

65
알아내는 정확한 해석방법이지만 예상되는 지진의 지반운동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
우므로 기존의 지진기록을 사용하거나 합성된 지진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막대한 계산양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교량의 설계를 위한 해석방법으로는 적절하지 못하고 극히 중요한
구조물의 해석이나 구조물의 비선형 해석 등 정밀해석이 필요한 경우 혹은 이미 설계된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안전점검의 수단으로 주로 쓰는 방법이다.

 내진 및 지진격리설계 비교
내진교량과 지진격리교량은 구조물을 지진에 대비하여 안전하게 건설한다는 설계개념은 동일
하며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단면력을 구조물이 저항하도록 하는 것이 내진설계이며, 지진격
리받침을 적용하여 교량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여 지진력을 줄여주는 것이 지진격리설계이다.

<표 3-10> 내진 및 지진격리설계 비교

구 분 내진설계 지진격리설계

∙고유주기가 짧으므로 유발되는 지지력이 ∙고유주기가 길게 되어 유발되는 지진력


크며 고정단에 지진력이 집중된다. 이 작게 되며, 각 교각과 교대에 지진
력을 분산한다.

개념 도

∙설계지진력 크기를 능가하는 구조물의 ∙면진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의 고유


저항능력을 갖추도록 설계 주기(진동주기)를 길게함으로써 설계
개 념
∙교각의 부분적 파손(소성힌지)은 인정 지진력을 작게 함
하나 교량전체의 붕괴는 방지함 ∙교량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함

∙부재단면 증가 ∙부재단면에 상시수준으로 설계가능


장․단점
∙하부공사비 비율이 큰 교량에 불리 ∙하부공사비 비율이 큰 교량에 유리

∙교각이 높아서 원래부터 장주기인 ∙인접한 교각높이 차가 커서 짧은 교각


교량 에 작용하는 지진력이 커질 경우
∙교량의 부정정 치수가 높아서 구조적 ∙구조적 거동이 Simple한 교량
적용 성
거동이 복잡한 교량 ∙1~2개 고정단 설치로도 교좌장치 및
∙1~2개 고정단 설치로도 하부 강성증 하부 강성이 비대해져 지진력 분산이
대 없이 가능한 교량 필요한 교량

해석방법 ∙다중모드 해석법(선형탄성해석) ∙시간이력해석법(비선형 비탄성 해석)

66
수행 내용 / 내진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구조물기초 설계기준해설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교량의 내진설계는 교량받침을 일반받침을 적용하는지 지진격리받침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내진


해석 방법이 달라지므로 하부교각의 높이 등 기하적인 조건을 검토하여 최적의 내진설계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계획교량의 내진설계 적용기준을 확인한다.

1. 내진등급 및 설계지진 수준을 파악한다.


교량의 내진등급은 교량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 Ⅰ등급과 내진 Ⅱ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으
므로 계획교량의 내진 등급을 결정한다. 현재 설계되고 시공되는 대부분의 교량은 내진
Ⅰ등급교로 적용된다. 내진 등급별로 규정된 평균재현주기를 갖는 설계지진에 대해 설계
한다. 위험도 계수는 재현주기를 기준으로 결정하며 지진구역계수는 계획교량의 가설위치
를 검토하여 결정한다. 설계지진력을 산정하기 위한 가속도 계수는 위험도 계수와 지진구
역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67
2. 기초위치의 지반조건을 고려하여 지반계수를 결정한다.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반조건은 내진해석 시 구조물 응답에 영향을 미친다. 가속도 계수를
수정하는 데 이용되는 지반계수는 5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지반
종류를 정의하고 지반계수를 결정한다.
결정된 지반계수는 내진해석과정에서 탄성지진응답계수에 지반조건의 영향을 포함시키는
데 사용된다. 지진격리교량으로 설계하는 경우는 연약지반에 적용하는 경우를 줄이며 안
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반계수를 증가시켜 적용한다.

 내진설계를 수행한다.

1. 지진설계방법을 결정한다.
교량의 지진설계방법은 내진설계와 지진격리설계로 구분할 수 있다. 내진설계는 설계지진
력을 구조물이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며 지진격리설계는 수평지진력에 의한 지
진 시 교량의 응답을 줄일 목적으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지진격리받침을 적용하
여 교량의 고유주기를 길게 하여 교량에 작용하는 지진력을 줄여 설계하는 방법이다.
교량에 대해 내진설계를 할 것인지 지진격리설계를 할 것인지는 교량의 규모 및 형식을
고려해야 하며 하부구조의 고유주기, 기초주변의 지반상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설계방
법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내진설계를 통해 하부구조 및 기초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검토결과 지진하중이
과다하여 구조물의 효율적인 단면계획이 어려울 경우에 지진격리받침을 적용하여 지진력
을 재산정하고 하부구조 설계 시 문제점을 검토하여 지진격리설계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

2. 지진해석방법을 결정한다.
교량의 지진해석 방법은 응답스펙트럼해석법과 시간이력해석법으로 구분된다. 응답스펙트
럼해석법은 단일모드스펙트럼해석법과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으로 분류되며 단일모드스
펙트럼 해석법을 적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정밀한 해석이 필요한 교량에서는 다중모
드스펙트럼해석법 또는 시간이력해석법을 적용하여 지진해석을 수행한다.

(1) 응답스펙트럼 해석법

(가) 단일모드스펙트럼해석법
구조물의 형상이 단순하여 기본모드가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대표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하여 교량의 기본 주기로부터 탄성지지력 및 변위를 예측한다.
간략한 해석법으로 수계산이 가능하며, 형상이 단순한 단순교나 연속교에 적용한다.

(나) 다중모드스펙트럼해석법
기본모드 이외의 여러 개의 진동모드가 구조물의 전체 거동에 기여하므로 동적거동

68
에 대한 기여도가 큰 경우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경간의 연속교에
적용하며 장대교나 특수교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2) 시간이력해석법
지진격리받침을 적용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해석법으로 비선형비탄성해석 해석방법을
적용하며 사장교, 현수교와 같이 특수한 형식의 교량에 주로 적용한다.

3. 단경간교 및 지진구역Ⅱ에 위치한 내진Ⅱ등급교의 지진력을 산정한다.

(1) 단경간교의 지진력을 산정한다.


상부구조와 교대 사이의 연결부에 대해 고정하중 반력에 가속도계수와 지반계수를 곱한
값의 수평지진력이 작용한다고 보고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해 안전하도록 설계한다.
단경간교의 수평지진력: 고정하중 × 가속도계수(A) × 지반계수(S)

(2) 지진구역Ⅱ에 위치한 내진Ⅱ등급교의 지진력을 산정한다.


지진구역Ⅱ에 위치하는 내진Ⅱ등급교에서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연결하는 교량받침은
고장하중의 20%에 해당되는 수평지진력이 구속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이에 저항하
도록 설계한다.

 상ㆍ하부 연결부를 검토한다.

1. 탄성설계 및 소성설계 적용성을 검토한다.


내진설계를 통해 발생한 수평 지진력에 대해 교각 등 구조물에 대해 탄성설계를 할 것인지
소성설계를 할 것인지 검토한다.
상시조건을 만족하는 단면에 대해 내진설계를 통해 발생한 수평지진력을 고려하여 구조물
단면의 안전성을 검토한다. 수평지진력을 고려했을 때 상시조건의 단면이 안전성을 확보
할 경우 탄성설계를 수행한다. 만약, 수평지지력에 대해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는 소성설계를 수행한다.
소성설계는 탄성지진력을 응답수정계수로 나누어 적용하며 교각 등 기둥부에 상시와 달리
소성힌지구역에 심부구속철근을 배근한다. 콘크리트 기둥에 내진설계에서 규정하는 응답
수정계수를 적용하는 경우에 휨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기둥이 항복한 이후에도 충분한 연
성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횡방향 철근을 배치한다.

69
<표 3-11> 탄성설계와 소성설계 비교

구 분 탄성설계 소성설계
∙탄성지진력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관성 ∙지진발생시 교각에 소성힌지의 발생
설 계
력을 교각의 공칭단면으로 저항 을 유도하여 부재의 여용력과 연성에
개 념
의한 극한내력으로 수평관성력에 저항
∙가동교각, 저교각, 교대 및 연결부 ∙고정교각, 일부 고교각
∙심부구속철근 생략 ∙탄성지진력에 응답수정계수(R)를 적용
적 용 ∙교대연결부의 경우는 증가된 탄성 하여 단면의 소요강도가 설계강도 이내
지진력(R=0.8)에 저항하도록 설계 에 들도록 설계하고 소성힌지 발생구간
에 심부구속 철근을 적용

(1) 응답수정계수
응답수정계수(R)는 하부구조의 연성능력과 여용력을 고려하여 기둥 또는 교각에 설계
지진력에 의한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으로 탄성해석에 의한 설계 단면력과
소성해석에 의한 설계 단면력의 비를 가정한 것이다. 다만, 하부구조의 경우 축방향력과
전단력은 응답수정계수를 적용하지 않는다.
연결부분에 해당하는 R값은 1.0 및 0.8인 것은 연결부분의 경우는 탄성지진력과 같은
힘에 대해서 그리고 교대인 경우는 탄성지진력보다 큰 힘에 대해 설계하여야 되는 것
을 의미한다. 교량이 비탄성거동을 할 때 발생하는 힘의 재분배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것이며 지진 시에 중요한 연결부는 완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표 3-12> 응답수정계수

하부구조 R 연결부분 R

벽식교각 2 상부구조와 교대 0.8


철근 콘크리트 말뚝 가구(Bent)
상부구조의 한 지간 내의
1. 수직말뚝만 사용한 경우 3 0.8
신축이음
2. 한 개 이상의 경사말뚝을 사용한 경우 2
기둥, 교각 또는 말뚝 가구와
단일 기둥 3 1.0
캡빔 또는 상부구조
강재 또는 합성강재와 콘크리트 말뚝가구
1. 수직말뚝만 사용한 경우 5
2. 한 개 이상의 경사말뚝을 사용한 경우 3 기둥 또는 교각과 기초 1.0

다주 가구 5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12.

2. 상ㆍ하부 연결부를 검토한다.

(1) 최대 탄성변위 검토를 검토한다.


상부 및 하부구조를 포함하여 교대 측에서 일어나는 탄성변위를 구하여 받침면 받침의
지지길이와 비교하여 주형이 낙교하지 않도록 검토한다.

70
(2) 최소 받침지지길이를 확보한다.
교량의 단부에서 지진 시 낙교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 받침지지길이를 확보한다. 최
소 받침지지길이 N(mm)은 다음 값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N = (200+1.67L+6.66H)(1+0.00125θ2)
L: 인접 신축이음부까지 또는 교량단부까지의 거리. 다만, 지간 내 힌지가
있는 경우의 L은 힌지 좌우방향의 거리인 L1과 L2의 합
H: 기둥의 평균높이(단경간교의 평균높이는 0)
θ: 받침선과 교축직각방향의 사이각(도)

출처: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p.8-20.


[그림 3-4] 최소 받침지지길이 규정에 관한 치수

(3) 상부구조 여유간격을 검토한다.


지진 시 교량과 교대 또는 인접하는 교량 간 충돌에 의한 주요 구조부재의 손상을 방
지하고 설계 시 고려된 내진성능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교량의 단부에는 여유간
격을 설치한다.
Δli = d + Δls + Δlc + 0.4Δlt

여기서, Δli = 상부구조의 여유간격(mm)


d = 지반에 대한 상부구조의 총변위(di+dsub(mm)
Δls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이동량(mm)
Δlc =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의한 이동량(mm)
Δlt = 온도변화로 인한 이동량(mm)

수행 tip

Ÿ 내진설계 개념은 붕괴방지수준과 기능수행수준으로


구분되며 교량은 붕괴방지수준으로 적용한다.

71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부형식은 교량가설위치 현황을 고려하여 결정하므로 형식 선정 시 고려되는 지형조건, 지반현


황에 대해 어떻게 연계되어 검토되는지 그 과정을 설명한다.

• 하부형식의 종류를 구분하고 하부구조의 형상, 부재의 명칭을 설명하여 하부구조의 기능을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계획된 교량의 종평면도에 제시된 교대 및 교각의 위치를 고려하여 하부구조의 규모, 기초의
심도를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 다른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지반조사 자료인 시추주상도를 보는 방법과 시추주상도에서 지층의 성분, 지하수위 등 기초계획


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설명한다.

•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와 연계되어 단면이 결정되므로 상부구조형식에 따라 교각 형상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교각 형상 결정 시 주변환경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설명한다.

• 교대의 설치위치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적용하므로 교대설치 위치의 현황을 분석하여 교대높이
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대 및 교각 가설위치의 지층여건을 분석하여 안전성,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기초형식을 선정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발주처와 협의할 사항을 지도한다.

• 내진설계의 필요성 및 기준을 이해하고 계획교량의 내진등급, 설계지진수준, 지반을 분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내진해석방법을 결정하고 내진해석을 통해 산정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탄성설계, 소성설계 등


설계방향을 결정하고 상‧하부 연결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량의 구성요소, 교량의 형식 및 가설공법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답사를 준비하여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 교량에 대한 각종기준과 지침, 편람, 시방서, 요령 등의 참고 자료 등 관련 자료에 대해 구성과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72
학습 방법

• 하부형식 선정 시 지형조건, 지반현황의 어떠한 항목을 고려할 것인지 검토하고 적용항목을


고려하여 하부형식을 선정하는 실습을 수행한다.

• 하부형식의 종류 및 기능을 이해하고 하부구조의 형상, 부재의 명칭을 숙지하여 하부구조 형식선
정 시 활용한다.

• 지반조사 자료를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특히, 시추주상도의 지층구성을 확인하여 기초형식
선정 시 참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교량가설지역의 환경조건 및 상부구조형식과 연계하여 교각형상을 결정할 수 있도록 실습을


수행한다.

• 내진설계의 필요성 및 기준을 이해하고 계획교량의 내진등급, 설계지진수준, 지반을 분류할


수 있으며 내진해석방법을 결정하고 내진해석을 통해 산정된 지지력을 이용하여 탄성설계, 소성
설계 등 설계방향을 결정하고 상‧하부 연결부를 검토할 수 있도록 실습을 수행한다.

• 교량에 대한 각종기준과 지침, 편람, 시방서, 요령 등의 참고 자료 등을 숙지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한다.

73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검토된 교량 하부형식들에 대해 특징과 경제성 분석결과


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발주처와의 협의를 통하여 현지
여건에 적합한 최적의 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하부형식 결
정 및 단면 - 교량의 특성과 지반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상부구조와 조
계획 화를 이루는 하부 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 다수의 교량설치 시 설계의 일원화와 시공능률의 향상을


위하여 각 하부구조 형상 치수를 표준화할 수 있다.

내진설계 - 내진설계를 고려하여 상ㆍ하부 연결부를 검토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상부형식과 조화되는 하부구조의 계획 능력

- 교량의 종평면도를 분석하여 하부구조의 규모, 기초의 형


하부형식 결
식 및 지지층 위치의 결정 능력
정 및 단면
계획 - 지반조사의 목적을 이해하고 조사자료의 분석 능력

- 설계 일원화와 시공능률 향상을 위해 부재의 규격을 표준


화할 수 있는 능력

- 내진설계 기준을 정리할 수 있는 능력


내진설계
- 계획교량에 대해 내진설계에 적용할 계수의 결정 능력

74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하부구조의 종류를 구분하고 구조부재의 명칭 이해 정도


하부형식 결
정 및 단면 - 기초형식의 분류 및 특징
계획
- 지반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기초형식 결정

- 내진설계기준의 이해 정도

내진설계 - 내진설계와 지진격리설계의 차이점

- 내진을 고려하여 상‧하부 등 연결부 검토 항목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75
학습 1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조사하기(LM1402010405_14v2.1)
학습 2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2)
학습 3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3)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
학습 4
(LM1402010405_14v2.4)
학습 5 교량 부대시설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5)

4-1. 시설부지 규모결정

• 교량 가설지역의 현황조건 분석을 통하여 교량 가설 시 필요한 시설부지의 규모를 결정


학습 목표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교량 가설지역 현황분석의 필요성


교량의 가설공법은 가설지점의 지형조건 및 하부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교량형식 선정
시 가설지점의 지형 여건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교량의 가설공법도 상부형식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교량의 가설공법은 주변 환경이 비슷하더라도 미세한 지형변화에 따라 동일 공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공사비의 차이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선정된 가설공법이 지형조건에
적합하지 않으면 시공 중 가설공법이 변경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가설위치 현황을 면밀히 분
석하여 교량형식 및 가설공법을 결정해야 한다.

 교량 가설 시 필요한 시설부지의 종류 및 규모

1. 현장사무실
현장사무실은 현장운영을 위해 필요한 공간으로 내부 구성은 일반적으로 감독사무실, 시
공사 사무실, 감리단 사무실, 시험실, 안전체험장 및 숙소 등의 시설물이 배치된다.
현장사무실은 공사구간에 인접하여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주거지와 이격되어 민원이 최소
화되는 위치로 선정하며 정리된 부지를 사용하여 조기설치가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76
현장사무실의 규격은 현장근무인력에 따라 사무실 면적을 산정해야 한다.

[그림 4-1] 현장사무실 배치 예

2. 작업장
교량 가설을 위한 작업장은 계획교량이 육상교량인지 해상 또는 한강과 같이 규모가 큰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작업장 위치 및 규모를 계획해야 한다.
PSC거더의 경우는 가설위치 인근 작업장에서 거더를 제작하고 양생시키며, 강교의 경우는
공장에서 제작된 일정길이의 거더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작업장 내에서 용접 및 볼트로 연
결하여 현장에서 거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육상구간의 작업장은 거더 운반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육상교량은 교량가설위치 인근에 농경지 등
을 임대하거나 공사용 부지 내 여유공간을 작업장으로 활용한다.
반면에 해상이나 큰 규모의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은 작업현장과 인접한 육상구간에 작업
장을 별도로 계획한다. 해상교량의 경우는 작업장 설치 시 자재운반 등을 고려한 바지선
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접안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3. 공사용 가도 및 가교
하천횡단교량인 경우는 교량 시공 시 장비 진입 및 상부가설을 위해 가도가 계획되어야
한다. 소하천인 경우는 가도를 계획하고 흄관을 설치하여 통수단면을 확보하는 경우도 있
으나 하천의 유량이 많은 경우는 평상시 하천의 통수단면 확보를 위해 가교를 계획하여야
한다.
하천횡단 교량뿐만 아니라 산지부의 급경사면에 교각 및 교대가 시공되는 경우에도 자재
운반 및 장비 진입을 위해 공사용 가도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공사용 가도 및 가교에 대한 통일된 기준은 없으며 설계 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수준으
로 적용되고 있다. 다음은 기준을 정리한 내용이다.

77
<표 4-1> 가도 및 가교 적용기준

국도건설공사 가설공사 하천공사 설계


구분
설계실무요령('13.5) 표준시방서('14.5) 실무요령('09.12)
100m 이상 하천: 가교 100m 이상 하천: 가교
기준 100m 이하 하천: 가교 - 100m 이하 하천: 가교
또는 가도+축도 또는 가도+축도

계획고 평수위 + 0.5m - 평수위 + 여유고 (0.5m)

8m(축도4m) 최소 폭 4m 이상
가도
장비 및 작업인원의 통행 현장 여건에 따라 결정
폭원 -
확보와 현지 여건에 따라
적용
평수위 +여유고
계획고 - -
(1.0m이상)
가교 사용 장비의 규격, 현장 최소 폭 4m 이상
폭원 여건에 따라 적정 폭으로 - 현장 여건에 따라 결정
설치

가교는 폭원 100m 이상인 하천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폭원 100m 이하인 하천


에는 가도 축조 후 흄관 부설을 원칙으로 한다. 가도 계획고는 평수위+0.5m를 원칙으로
하고, 가교 계획고는 평수위+여유고(1.0m)를 원칙으로 하되 수리검토, 관련기관 협의 등을
고려하여 조정한다.
가교 폭원은 진입장비의 규모를 검토하여 폭원을 결정해야 한다. 거더가설 등을 위한 크
레인 용량검토를 통해 크레인의 진입 여부를 판단해서 가교의 폭원을 계획해야 한다.

수행 내용 / 시설부지 규모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78
Ÿ 구조물기초 설계기준해설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장지간 가교형식은 신기술 및 특허공법으로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발주처와 협의 후


특정공법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수행 순서

 가설지역 현황을 분석한다.

1. 현황분석을 위한 조사항목을 선정하고 조사한다.

(1) 가설지점의 지형, 지질, 기상, 해상조건 등을 분석한다.

(2) 가설공사 현장의 환경조건을 조사한다.

(3) 육상 및 해상 진입로 설치 여부를 조사한다.

(4) 자재보관 장소 및 적치장 등 작업장 부지를 조사한다.

(5) 가설시기 및 전체공사기간을 분석한다.

2.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계획교량에 필요한 시설부지 항목을 결정한다.

 현장사무실 및 작업장 부지를 검토한다.


설계단계에서 현장사무실 및 작업장 부지를 직접 선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공사를 위해
시공사가 선정되면 현장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적정한 위치에 시공사가 부지를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계 시는 현장사무실 및 작업장 면적을 고려하여 공사 중 유용이 가능하
도록 설계예산서에 비용만 산정한다.
그러나 해상공사나 큰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는 바지선 운영 등 접안시설이 필요하며 이 경우
는 작업장 부지조성이 필요하므로 설계단계에서 작업장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79
 공사용 가도 및 가교를 계획한다.

1. 가도 및 가교 폭원을 검토한다.
가교의 폭원은 현장에 활용되는 장비의 규모를 고려해서 결정한다. 가교구간에서 상부거
더를 거치할 경우 거더의 인양중량을 사전에 검토하여 적용 가능한 크레인 용량을 확인한
다. 크레인 용량에 따라 크레인의 규모가 다르므로 가교 폭원 계획 시 이를 고려하지 않
고 계획할 경우 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교폭원을 계
획한다. 일반적인 자재운반을 위한 가교폭원은 8m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가도폭원은 가교폭원 및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가교의 형식을 결정한다.


가교는 일반적으로 H-Pile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데 일반가교는 H-Pile 간격을 6m 기준으로
적용한다. 최근 새로운 가교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므로 가교설치위치의 현장 여
건 등을 검토하여 가교형식을 결정한다.

<표 4-2> 가교형식 비교

구 분 장지간 가교 일반 가교

개요도

∙지반조건에 제약 없이 시공가능 ∙지반조건에 제약 없이 시공가능


∙장경간 구성이 가능 ∙장경간 구성이 불가
특징
∙부재수가 적어 시공성 양호 ∙경간장이 6m로 지지말뚝의 증가 및
부재의 수가 많아 시공성 불량

수행 tip

Ÿ 상부가설을 위한 크레인은 타이어크레인과 크롤러크


레인으로 구분되는데 타이어크레인은 부재 인양 시
아웃트리거를 설치해서 작업을 하므로 크레인 폭원
보다 넓은 폭원이 필요하므로 가교폭원 계획 시 이
를 고려하여야 한다.
Ÿ 교량 가설 시 필요한 시설부지는 현장답사를 통해 현
장사무실 및 작업장 부지 등 확인하면 이해하기 쉽다.

80
4-2. 가설장비 및 가설공법 결정

• 교량 시공 시 가설규모를 파악하여 가설 장비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가설공법별 특징을 분석하여 해당지역에서 가장 효율적인 가설공법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상부구조 가설공법

1. 콘크리트교 가설공법
슬래브교, 라멘교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교량은 현장에서 제작되므로 일반적으로 동바리
공법이 적용된다. PSC 박스거더교는 공사비 절감과 공기단축이 가능한 공법이 개발되어
이동식비계공법, 연속압출공법, 캔틸레버공법, 프리캐스트 세그멘탈공법 등이 적용되고 있
다. PSC거더교와 같은 I형 단면의 거더교는 현장에서 제작된 30∼50m의 거더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설한다. 그러나 교고가 높은 경우는 크레인 가설공법 적용이 불가하므로 런칭
거더를 이용하여 가설하는 경우도 있다.

(1) 동바리 공법(Full Staging Method: FSM)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간 전체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콘크리트의 자중 및 거푸집 등의 하중을 동바리가 지지하는 방식이다.
슬래브교와 라멘교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교량과 PSC박스거더교 중 횡단면이 확폭단면
으로 계획되는 경우, 교고가 높지 않고 지형이 평탄할 경우에 동바리 공법을 적용한다.
동바리 공법은 강관동바리를 이용하는 전체지지식과 강재동바리(가설벤트)를 이용하는
지주지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4-3> 동바리공법 비교

구 분 가설벤트 공법 강관동바리 공법

개요도

∙하부공간 활용 용이 ∙하부공간 이용 불가(전 구간 동바리 설치)


특징
∙침하에 유리(기초 파일 시공) ∙축도상에 기초 설치로 침하발생 우려

81
(2) 이동식 비계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MSS)
이동식 비계공법은 교량 상부구조를 시공할 때 거푸집, 동바리 등의 조립 및 해체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한 이동식 비계를 이용하여 한 경
간씩 시공해 나갈 수 있도록 개발된 공법이다.
교각을 활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교량의 하부조건에 관계가 없어 별도의 공사용
도로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동식 비계의 장비가 대형이며 장비의 제작비가 고가이므로 장비의 활용도를 고려할
경우 1km 이상의 연장에 적용되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연속압출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LM)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교대 후방에 설치된 제작장에서 1개 세그먼트씩 제작하여 교대
에 설치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를 교축방향으로 밀어내는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압출시공 시 거더에 발생되는 단면력을 저감시키며 거더의 압출이 원활해
지도록 거더의 선단에 강재로 제작된 추진코(Lanuching Nose)를 설치한다.
압출공법으로 시공되는 교량에 있어서 부재단면의 응력검토뿐만 아니라 압출 시공 중
발생하는 거더의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안정성도 검토해야 한다.

(4) 캔틸레버공법(Free Cantiliver Method: FCM)


시공된 교각을 중심으로 좌우로 평형을 맞추면서 세그먼트 제작에 필요한 설비를 갖
춘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상부구조를 시공한 후 경간 중앙에서 캔틸
레버 거더를 연결시키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3∼5m씩 세그먼트를 나누어 시공하므로
상부구조의 변단면 시공이 가능하며 이동식 작업차를 이용하므로 커다란 장비가 필요
하지 않아 60∼180m까지 장경간 교량의 시공이 가능한 공법이다.

(5) 프리캐스트 세그멘탈공법(Precast Segmental Method: PSM)


캔틸레버공법의 일종으로 일정한 길이로 분할된 세그먼트를 공장에서 제작하고 가설
현장에서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상부구조를 완성하는 공법이다.
세그먼트는 공장 또는 일정한 현장에서 제작되므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세그먼트를 연속적으로 제작하므로 거푸집 전용에 유리하며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 제
작도 가능하다. 또한 세그먼트 제작을 하부공사와 병행해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현장
타설 공법에 비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6) PSC거더교 가설공법


공장 또는 현장에서 제작된 거더를 가설지점으로 운반하여 크레인을 이용하여 가설한
다. 거더의 제작방식은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과 포스트텐션(postension) 방식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포스트텐션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교량 가설 시 경간 길이당 가설하므로 시공속도가 빠르며 최근에 장경간 PSC거더교들
이 개발되면서 거더당 가설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82
교량가설 위치가 크레인 작업이 불가한 경우 교각에 런칭거더를 가설하여 상부거더를
가설하는 방안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2. 강교 가설공법
강교는 제작 및 운반이 편리하고 중량이 적은 장점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교에 비해 다양
한 가설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경우는 크레인 가설공법을 적용한다.
강교의 가설은 부재의 조립과정과 현장이음 및 거치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장이음
은 볼트 및 용접이음으로 구성되는데 가설 시 작업을 병행하게 된다.
강교의 가설은 동바리공법, 캔틸레버공법, 케이블식 공법, 송출공법 및 대블럭 가설공법
등이 있으나 대부분 크레인 가설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다. 또한 해상교량의 경우는 해상크
레인을 이용하여 대블럭 가설공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표 4-4> 가설공법 비교

구 분 Quick-Splice를 이용한 일괄가설 Bent를 이용한 부분가설

∙Steel Box Girder 1경간 지상 조립한 ∙Bent를 조립 설치한 후 Steel Box


공법개요 후 대형 Crane을 이용하여 경간단위로 Girder를 Segment 단위로 Bent 위에
일괄가설 가설하고 연결조립

개 요도

∙경간단위로 가설하므로 시공속도가 ∙Segment 중량이 대체로 50ton 미만


빠르다. 이므로 대형장비 불필요
특 징 ∙대형장비 필요 ∙시공속도가 느리며 고소작업이 많음
∙고교량의 경우 작업에 제한을 받음 ∙Camber의 조정이 용이함
∙작업공정 단순 ∙일반적인 공법임

[그림 4-2] 대블럭 일괄가설

83
 하부구조 가설공법
교대는 일반 합판거푸집 및 유로폼을 이용하여 시공되며, 교각의 일반 형상인 T형교각이나
π형교각의 코핑이나 기둥부는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교각의 가설공법 중 중공벽식 교각은 교각높이가 높아 안전관리, 시공관리 등을 고려하여 특수
거푸집을 적용하기도 한다. 특수거푸집은 공법별 각각의 특징이 있으므로 전체공기, 안전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표 4-5> 교각 거푸집 비교

구분 강재거푸집 이동식거푸집 일반거푸집

개요도

∙별도의 비계 필요 ∙거푸집과 발판을 일체로 ∙시공경험 풍부


∙자유로운 형상이 가능 조립 및 이동 ∙자유로운 형상이 가능
특징 하며 공사비 저렴 ∙고교각 시공 시 유리 하며 공사비 보통
∙H=30m 이내에서 적정 ∙높이가 낮은 경우 효율성 ∙비계 및 동바리 필요
불리 ∙안전사고 위험성 내재

 기초 가설공법
교량의 기초는 직접기초, 말뚝기초 및 우물통기초로 구분되며 직접기초의 경우는 특별한 가
설공법이 없으며 깊은기초는 지층의 조건, 지지층 심도 등을 고려하여 가설공법을 결정해야
한다. 말뚝기초는 시공법에 따라 기성말뚝과 현장타설말뚝으로 분류되며 현장의 지층 여건을
면밀히 분석하여 가설공법을 결정해야 한다.

1. 기성말뚝
기성말뚝은 대표적으로 PHC말뚝, 강관말뚝이 적용되며 지층에 따른 항타조건, 항타장비,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 시공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기성말뚝의 시공은 햄머와 같은 타격기구로 지반속에 말뚝을 시공하는 타입말뚝공법과 오
거와 같은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을 굴착하고 말뚝을 관입시킨 매입말뚝공법으로 구분
된다.
소음 및 진동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구간은 매입말뚝공법을 적용해야 하며 매입말뚝공법
적용 시도 전석층 존재 여부 등 지층의 구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공법을 결정해야 한다.
국내에 주로 사용되는 매입말뚝공법은 SIP공법, SDA공법, PRD공법이 주로 적용된다.

84
(1) SIP공법(Soil-cement injected precast Pile)
SIP공법은 선굴착 시멘트풀 주입공법으로 불리며 최종 경타를 실시하는 것과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구분된다. 말뚝직경보다 100mm 정도 큰 오거로 선굴착하고 시멘트풀을
굴착공 내에 주입한다. 오거를 인발하고 말뚝을 삽입하며 최종 경타를 실시한다. 최종
경타를 실시하는 경우는 주변의 환경조건이 경타를 허용할 수 있는 조건이여야 한다.
경타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는 주면고정액과 선단고정액을 별도로 주입하고 말뚝은 굴
착면 하부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하며 확실한 주면마찰력이 발현되어야 한다.

(2) SDA공법(Separated Doughnut Auger)


SDA공법은 이중오거공법으로 불리며 SIP공법에서 굴착 공벽의 붕괴에 따른 문제와 선
단지지층의 확인이 곤란한 점을 개선한 공법이다. 상호 역회전하는 내부 스크류 오거
와 외부케이싱 스크류의 독립된 이중 굴진방식을 채택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케이싱은 말뚝지경보다 50∼100mm 정도 크게 적용하며 굴착된 토사
는 오거와 압축공기로 배출되는데 굴착토사를 관찰하여 지층의 확인이 가능하다.
지반조사결과 전석층과 같이 오거로 굴착하기 어려운 지반은 오거로드 끝에 오거비트
대신 에어해머(일명 T-4)를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SDA공법은 경타가 아닌 압입으로 말뚝을 지지층에 근입시키므로 경타로 인한 민원을
줄일 수 있다.

(3) PRD공법(Percussion Rotary Drill)


PRD공법은 암반 천공장비를 말뚝의 내부에 넣고 말뚝 선단부의 지반을 굴착하면서 말
뚝을 회전 압입하는 공법이다. PRD공법은 강관안에 굴삭기를 직접 넣고 천공한다는
점에서 속파기 공법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PRD공법은 강관말뚝을 사용하는 공법으로
개발되었으며 강관말뚝 자체가 케이싱으로 사용되므로 공벽이 붕괴하지 않으며 지하
수위가 높은 지반에서도 동일한 시공성 확보가 가능하다. PRD공법은 강관을 지지층
(암반층)까지 설치하기 때문에 지지력은 선단지지력에 의해 발현된다.

2. 현장타설말뚝
현장타설말뚝은 기성말뚝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나 주된 차이점은 시공방법에 있다. 시공
중 굴착된 흙을 이용하여 지지층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약한 지층을 지나 견고한
지지층에 기초를 설치하여 비교적 큰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확실한 공법이다.
현장타설말뚝은 올케이싱공법, RCD공법, 어스드릴공법 등이 있으며 각각 특징과 서로 다
른 장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현장조건에 따라 적절한 공법을 선택해야 한다.

3. 우물통
우물통이란 지상에서 구체를 구축하거나 지중에 소정의 지지층까지 속파기공법 등에 의하
여 구체를 침하시킨 후 바닥을 콘크리트로 막고 속을 채우는 중공 대형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기초형식이다. 우물통 기초는 대기압에서 내부 바닥을 굴착하는 오픈케이슨

85
과 우물통과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케이슨 내에 침입하는 물을 막으면서 시공하는 공기 케
이슨 두 가지 종류가 있다. 공기케이슨은 많은 특수장비와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공사비가
고가이므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용하지 않는다.

수행 내용 / 가설장비 및 가설공법 결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Ÿ 구조물기초 설계기준해설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크레인 용량 검토 시는 구조물의 인양중량, 작업반경에 의한 붐의 인상높이, 인양 시 후크와 와이어


에 의한 여유고 및 충격하중을 고려하여 인양 시 크레인이 전도되지 않도록 안전에 유의하여야
한다.

86
수행 순서

 가설규모를 파악하여 가설장비를 결정한다.

1. 가설규모를 파악한다.

(1) 가설중량을 검토한다.


크레인 가설을 위해서는 가설하고자 하는 상부거더의 중량을 파악해야 한다. 상부거더의
중량은 기본적으로 크레인 용량을 산정하는 기준이 된다.
강박스거더교는 공장에서 제작된 거더를 현장까지 운반하기 위해 6∼12m 내외의 길이
로 현장에 반입된다. 현장에 반입된 거더는 1편당 가설벤트를 설치하여 거치하는 경우
도 있으나 시공성도 불량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므로 4∼5편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경
간당 가설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강재는 콘크리트에 비해 자중이 가벼우므로 크레인
용량 산정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PSC거더교는 일반적으로 1경간씩 가설하며 계획되는 교량의 경간장에 따라 거더의 길
이가 달라지며 가설중량도 차이가 많이 발생하므로 거더 1본당 가설중량을 검토해야
한다.

(2) 작업반경 및 가설높이를 검토한다.


크레인은 작업반경 및 가설높이에 따라 인양중량에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동일한 중
량일 경우에도 작업반경 및 가설높이에 따라 크레인의 용량이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
에 가설위치에서의 작업반경 및 가설높이를 검토해야 한다.
작업반경은 가설위치와 인접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우선이나 지장물에 의해 크레인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가설위치의 현황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2. 가설장비를 검토한다.

(1) 크레인 용량을 검토한다.


크레인 장비 선정 시 작업위치 선정에 따른 붐의 길이, 각도 등을 고려하여 인양중량
에 맞는 장비를 선정한다. 크레인 용량 산정 시는 거더의 인양 중량과 인상시 충격하
중을 추가로 고려해야 하며 붐의 인상높이는 인양 시 훅크와 와이어 등을 고려하여
여유고를 확보하도록 한다.

(2) 크레인 가설이 불가능한 경우는 다른 가설장비를 검토한다.


교량의 가설높이는 교량계획 시 판단이 가능하므로 크레인으로 작업가능한 높이인지
우선 판단하고 교고가 높아 크레인 가설이 불가하면 Launching Girder와 같은 별도의
가설장비를 검토하여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87
<표 4-6> 거더교 가설공법 비교

구 분 Crane 일괄가설 공법 Launching Girder 공법


∙Beam(Girder)을 가설지점 하부로 운 ∙Beam(Girder)을 교대 후면 또는 가설
반한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각에 지점 하부로 운반한 뒤 후 Launching
공법개요
인양거치 Girder를 이용하여 가설위치까지 운
반 설치

개 요도

∙경사가 급한 산지 또는 하천의 경우, ∙고교량, 산지 등 크레인의 진입이 어려


고교량의 경우는 작업이 곤란 운 곳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특 징 ∙시공속도가 빠름 ∙교량연장이 길 경우 시공속도는 매우
∙평면선형 조건과 관계없이 시공가능 느림
∙초기 투자비가 필요

 가설공법의 특징을 분석하고 가설공법을 결정한다.

1. PSC 박스거더교 가설공법을 결정한다.


PSC박스거더교의 경우는 교량형식 선정 시 상부형식의 특징보다는 가설공법의 특징을 검
토하여 결정한다. 즉, 다른 형식과 비교하여 PSC 박스거더교 형식이 결정되면 계획교량의
가설위치 여건 등을 고려하여 가설공법이 결정되는 것이다.

(1) 동바리공법(FSM공법)
지형이 평단하고 교고가 높지 않은 경우에 적용하는 공법으로 공사비가 저렴하며
확폭구간 시공성이 유리하고 시공 중 캠버관리가 용이하고 공사비가 가장 저렴한
공법이다.

[그림 4-3] FSM공법

(2) 이동식비계공법(MSS공법)
이동식 비계공법은 거푸집이 부착된 특수한 이동식 비계를 이용하여 한 경간씩 시공
하는 공법으로 적용 경간장은 40∼60m이다.
고도의 기계화된 비계와 거푸집을 사용하므로 급속시공 및 안전시공 가능하며 동바리
공이 필요 없어 하천, 계곡, 도로 등 교량의 하부조건과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한 곳에
적용한다. MSS 시스템의 종류는 크게 Support Type(Below Type)과 Hanger Type(Above

88
Type)로 구분되므로 하부공간의 제약 등 안전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선정
한다.
<표 4-7> MSS 시스템 종류

구 분 Below Type Above Type

개요도

∙Main Box, Truss Girder가 교각 하부에 ∙Main Box, Truss Girder가 교각상단
2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Pier Bracket이 Center에 1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Pier
특 징
코핑 하단에 위치하여 거푸집지지 Support가 코핑 상단에 위치하여 거
푸집 지지

[그림 4-4] MSS공법

(3) 연속압출공법(ILM공법)
연속압출공법은 시점부 또는 종점부, 즉 종단경사가 낮은 곳에 제작장을 설치하여 PSC
박스를 제작하여 1개 세그먼트씩 밀어내는 공법이다. 1개 세그먼트의 길이는 경간장의
1/2 길이로 계획한다.
압출 NOSE의 길이는 시공 시 주형의 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최대 경간장 통과
시에 발생하는 주형의 단면력 등을 고려하여 길이를 산정한다. 압출 NOSE의 길이는
시공 시 최대 경간장의 0.6~0.7배보다 짧게 하면 압출시공 시 부모멘트가 급격히 증가
하고, 이것보다 길게 하면 부모멘트의 크기가 약간 변화할 뿐이므로 압출 NOSE의 길
이는 최대 경간장의 0.6~0.7배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SEG 4 SEG 3 SEG 2 SEG 1

A1

[그림 4-5] ILM공법

89
(4) 캔틸레버공법(FCM공법)
캔틸레버공법은 교량하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특수한 가설장비인 F/T(Form
Traveller)를 이용하여 교각부에서 1세그먼트씩 캔틸레버 구조로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
이다. 세그먼트의 길이는 3∼5m 정도로 구성되어 변단면 시공이 가능하며 다른 PSC박
스거더교보다 장경간화 할 수 있어 경관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공법이다.
세그먼트 길이는 가설장비인 Form Traveller의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FCM공법을 적용할 때는 전체 공사기간을 확인하고 F/T 장비의 투입대수를 검토해서
교량가설을 전체 공사기간 내에 끝낼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그림 4-6] FCM공법

(5) 프리캐스트 세그멘탈공법(PSM공법)


프리캐스트 세그멘탈공법은 타 공법에 비해 공기단축이 가능한 공법으로 분할된 세그
먼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제작장이 필요하며 세그먼트의 운반 및 인양에 필
요한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므로 적용성을 면밀히 검토한다.

[그림 4-7] PSM공법

2. 하부가설공법을 결정한다.
하부가설공법으로 강재거푸집, 이동식거푸집 및 일반거푸집 공법이 있으며 대부분의 교각
은 강재거푸집을 적용한다. 그러나 교고가 높아 강재거푸집 적용이 불가능할 경우는 이동
식 거푸집을 비교 검토하여 적정 공법을 결정한다. 이동식거푸집은 1회에 3.6m 정도를 타
설하고 2일 정도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하고 수직 상승시켜 반복작업을 시행하는
Climbing Form공법과 최초 1.2m를 타설하고 1회에 30cm씩 연속적으로 타설하는 Slip
Form공법으로 구분된다.

90
3. 기초가설공법을 결정한다.

(1) 지반조사자료를 검토한다.


기초가설공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기초위치에서 시행한 지반조사자료를 검토해야 한다.
지반조사자료에서 토층별 지층의 구성을 검토해야 하며 전석층 및 자갈층 혼입 여부
를 확인한다.
기성말뚝공법의 시공방법을 결정할 때 타입공법인지 매입공법인지 여부는 소음, 진동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도 고려되어야 하지만 지층의 구성에 따라 시공방법이 결정되기
때문에 지반조사자료를 확인한다.

(2) 기성말뚝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교량기초는 말뚝기초를 적용하고 있으며 적용되는 말뚝기초의 형식은 PHC말
뚝, 강관말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작용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안정성이 확보된
말뚝 형식을 선정하고 시공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지반조사자료를 검토하여 타입말뚝, 매입말뚝 여부를 우선 검토해야 하며 매입말뚝의
경우는 시공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표 4-8> 매입말뚝공법 비교

선굴착 매입공법 내부굴착식 회전 선굴착 매입공법


구 분
(SIP공법) 압입공법(PRD 공법) (Auger T-4공법)

∙스크류 Auger 장비를 사용 ∙말뚝 내부지반을 천공 후 ∙Auger 및 T-4 장비를 사용


지지지층까지 굴착 Casing Shoe를 부착한 지지층까지 선굴착
공법
∙주면 고결액을 주입한 강관파일을 회전하여 관입 ∙선단부 슬라임 제거 및
개요
후 말뚝을 자중에 의해 말뚝압입 시키고 경타
관입 시키고 최종 경타

∙저소음 및 저진동 공법 ∙저소음 및 저진동 공법 ∙선굴착하므로 지층의 조


∙선굴착하므로 지지층 확인 ∙지층에 따른 제약이 없 건에 따른 제약이 적음
이 용이 으며 최대 30m까지 시공 ∙확실한 선단지지
장점
∙말뚝주면을 고결시키므로 가능 ∙선굴착 공법 중 공정이
주면 마찰력 및 횡방향 ∙자갈 및 호박돌층에서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
저항에 유리 작업가능

∙선단부 잔류슬라임에 의한 ∙공사비가 비교적 고가 ∙전석층 분포 시 부분적


품질 저하우려 ∙시공속도는 빠르나 말뚝 케이싱 필요
∙말뚝관입 후 두부까지 매본당 장비 Setting 시간이 ∙배토 시 고압Air 사용으
그라우팅 충진 후속작업 길다 로 선단부 및 주면부의
단점 필요 ∙품질관리에 다소 어려움이 교란에 따른 지지력 저하
∙시공 시 말뚝 지지력의 있음 우려
즉시 확인이 어려움 ∙선단지지력 확보를 위해
∙직경 10cm 이상의 자갈 최종 경타 필수적
층에서는 천공곤란

91
(3)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현장타설말뚝은 올케이싱공법, RCD공법, 어스드릴공법 등이 있으며 각각 특징과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갖고 있으므로 현장조건에 따라 적절한 공법을 선정한다.

<표 4-9> 현장타설말뚝 공법비교

구 분 All Casing공법 RCD공법 Earth Drill 공법

공 법
개 요도

기초직경 1.0∼3.0m 1.0∼3.0m 1.0∼2.0m

굴착한계 40∼50m 60∼90m 40m 이내


∙호박돌을 포함한 연약지반, ∙대심도 시공이 가능 ∙옥석, 호박돌층 곤란
전석지반, 암반 등 전 지 ∙지층에 따른 제약은 없 ∙비교적 소형의 장비로
적용범위 층에 사용가능 으나 피압수, 복류수가 도심지 시공에 적합
있는 경우 지반개량이 ∙토사층에서 공기가 빠름
필요함
∙All Casing으로 공벽 유지가 ∙대구경 대심도 굴삭이 ∙소음 및 진동이 매우 적음
확실함 가능하고 깊이가 깊을수 ∙안정액의 관리가 어렵고
∙선단지지층은 굴삭경 크기 록 유리함 공벽 붕괴의 우려가 있음
특징 로 채취되므로 확실하게 ∙장비의 중량이 비교적 ∙굴착공의 연직도 유지에
확인이 가능함 적어 시공이 유리하며 어려움
∙지지층심도가 깊은 경우 응용범위가 넓음
시공성 저하됨

수행 tip

Ÿ PSC박스거더 가설공법 중 ILM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에 가설장비가 설치되는 교대의 위치는 종단계획상
계획고가 낮은 곳으로 선정한다.
Ÿ 엑스트라도즈교의 가설공법은 FCM공법을 이용하여
상부거더를 가설한다.
Ÿ 사장교, 현수교 등 특수교의 가설공법에 대해서는 인
터넷을 이용하면 자료조사가 용이하다.
Ÿ 교량의 가설공법에 대한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량관련 서적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좋다.

92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시설부지 규모를 결정하기 위해 가설지역 현황분석의 필요성 및 교량 가설 시 필요한 시설부지의


종류를 설명한다.

• 계곡부 교량의 경우 하부구조 및 상부구조 가설을 위해 공사용 가도가 필요하므로 현황분석을


통해 공사용 가도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횡단교량의 경우는 가도 및 가교가 필요하므로 설계기준을 설명하고 가도 및 가교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PSC거더교 및 강교와 같이 크레인으로 가설되는 교량은 인양중량을 검토하여 크레인 용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PSC박스거더교의 가설공법을 설명하고 시공사례 등을 제시하여 가설위치의 여건을 고려하여


가설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특수교량의 가설공법은 사례조사 및 관련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교각의 가설공법은 강재거푸집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고교각 등에 적용되는 이동식거푸집에


대해 설명하고 어떠한 경우에 적용되는지 설명한다.

• 기성말뚝기초는 타입말뚝과 매입말뚝의 적용기준을 설명하고 매입말뚝 적용 시 지층조건을


고려하여 말뚝기초 시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현장타설말뚝과 우물통기초를 적용할 경우 가설 여건의 현황분석을 통해 적정 공법이 선정될


수 있도록 지도하고 해상교량에 적용된 현장타설말뚝의 시공사례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 교량에 대한 각종기준과 지침, 편람, 시방서, 요령 등의 참고 자료 등 관련 자료에 대해 구성과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93
학습 방법

• 공사 중 필요한 시설부지의 종류를 파악하고 가설지역 현황분석을 통해 작업장, 공사용 가도


및 가교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하천횡단교량의 가교는 상부가설을 위해 크레인이 필요하며 크레인 용량에 따라 폭원이 결정되


므로 크레인에 대한 제원을 파악한다.

• 크레인을 활용하여 인양중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PSC박스거더교의 가설공법을 이해하고 가설위치의 여건을 고려하여 가설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특수교량의 가설공법은 사례조사 및 관련 자료 통해 학습한다.

• 이동식 거푸집의 특징을 파악하고 강재거푸집과 비교 검토를 통해 경제성을 고려하여 교각


가설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지층조건을 고려하여 매입말뚝의 공법을 검토하여 시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현장타설말뚝과 우물통기초를 비교 검토하여 가설여건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


한다.

94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시설부지 - 교량 가설지역의 현황조건 분석을 통하여 교량 가설 시


규모결정 필요한 시설부지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 교량 시공 시 가설규모를 파악하여 가설 장비의 규모를


가설장비 및 결정할 수 있다.
가설공법
결정 - 가설공법별 특징을 분석하여 해당지역에서 가장 효율적인
가설공법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시설부지 - 교량가설지역의 현황 분석을 위한 조사항목 정리상태


규모결정
- 가교계획 시 고려할 사항 정리상태

- 교량형식별 가설공법의 정리상태

가설장비 및 - 크레인을 이용한 가설공법 적용 시 인양중량을 고려한 크


가설공법 레인 선정 능력
결정 - 사장교, 현수교와 같은 특수공법 가설공법 정리

- 지반조건을 고려한 기초공법 선정 능력

95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가설지역 현황분석의 필요성 및 시설부지의 종류


시설부지
규모결정
- 가도 및 가교의 설치기준의 이해

- PSC박스거더 가설공법의 특징 및 적용성

가설장비 및 - 제시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건별 인양하중 산정


가설공법
결정 - 교각 거푸집의 공법별 특징 및 적용성

- 기초형식별 가설공법의 특징 및 적용성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96
국내외 유사교량 사례 조사하기
학습 1
(LM1402010405_14v2.1)
학습 2 교량 상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2)
학습 3 교량 하부형식 선정하기(LM1402010405_14v2.3)
학습 4 교량 가설공법 결정하기(LM1402010405_14v2.4)

교량 부대시설 형식 선정하기
학습 5
(LM1402010405_14v2.5)

5-1. 교량 부대시설 선정
• 교량형식의 특성에 맞게 교량받침, 신축이음장치, 가시설 등 부대시설의 형식을 선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관련법규에 의해 결정되는 방호울타리, 방음벽, 배수시설 등 부대시설의 크기, 재질 및
규모 등을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부대시설의 종류 및 특징

1. 교량받침

(1) 개요
교량받침은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는 동시에 온도변화, 처짐 등에 의한
상‧하부 간의 상대변위 및 상부구조의 회전변형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교량마다 최적의 받침형상을 단적으로 규정하기에는 매우 어려우나 기능성, 내구성,
내충격성, 경제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교량의 특성에 적합한 받침을 선정해야 한다.

(2) 받침의 기능

(가) 하중전달 기능
받침은 상부구조의 하중을 확실히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에
원활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나) 수평이동 기능
상부구조는 하중의 재하,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크리프, 건조수축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신축하므로 받침은 상‧하부 구조에 생기는 수평변위에 대해 수용할 수 있는

97
기능을 가져야 한다.

(다) 회전기능
상부구조는 하중의 재하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며 처짐으로 인해 받침부는 회전변
위를 일으키므로 받침은 회전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표 5-1> 받침의 기능별 분류

종류 기능

고정단 ∙ 수직, 수평하중 전달, 회전변위 흡수, 상부구조 이탈방지

일방향 ∙ 수직, 일방향 하중 전달, 회전 및 일방향 변위 흡수


가동단
양방향 ∙ 수직하중 전달, 회전 및 양방향 변위 흡수

2. 신축이음장치

(1) 개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는 직접적으로 차량하중의 충격을 받아 파손이 심한 부분으로서
결함의 노출 시 통행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교량구조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는 상부구조의 신축을 수용하는 구조로
서 내구성, 주행성, 방수성, 보수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2) 신축이음량 산정
교량의 신축이음량은 온도변화, 콘크리트 건조수축 및 크리프의 영향, 보의 처짐 및
여유량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신축장이 100m 미만인 교량과 100m를 초과하는 교량에
대해 산출기준을 달리 적용하고 있다.

<표 5-2> 신축량 산정

구분 신축장 100m 미만 교량 신축장 100m 초과 교량

기본신축량 온도신축+건조수축+크리이프 온도신축+건조수축+크리이프+빔의회전

설치여유량(기본신축량의 20%)
여유량 설치여유량(10mm)+ 부가여유량(20mm)
+ 부가여유량(10mm)

콘크리트교: 0.6L+10 콘크리트교: 0.5L+(2000H/3)/300+30


계 PSC교 : 0.84L+10 PSC교 : 0.7L+(2000H/3)/300+30
강교 : 072L+10 강교 : 0.6L+(2000H/3)/150+30

∙여유량이 정률(20%)과 정량(10mm) ∙여유량이 정량(±30mm)


특징
∙빔의 회전에 의한 신축량 미고려 ∙빔의 회전에 의한 신축량 고려

L:
신축하는 거더의 길이(m), H: 보의 높이(m)
출처: 한국도로공사(2008).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p.774.

98
(3) 신축이음장치 규격별 적용방안
신축량 100mm 이하 규격은 레일식을 적용하거나 강핑거 형식을 적용하며 신축량
100mm 초과 규격은 중간레일 및 지지빔이 있는 레일식을 가급적 지양하고 지지구조
가 단순한 핑거식으로 적용한다.
핑거형 설치 시는 곡선교 및 사교에 의거 받침방향 및 사각의 크기에 따라 적용 여부
를 별도 검토하고 종단경사가 심한 교량은 가동단에서 수평이동으로 인한 핑거간 단
차 발생을 고려하여 적용가능 여부를 시공 전에 검토하여야 한다.

<표 5-3> 신축이음장치 규격별 적용방안

형식 고무형식 강재형식

차륜접지면이 강재
종류 TF/NB(ACE) 레일식(강핑거) 강핑거
인 모노셀 타입
규격
- 60 이하 100 이하 100 초과
(m/m)
연약지반 및 기존 분절부 방수기능이 누수방지 및 내구성 강핑거 적용이 불가
적용 시
형식 교체 시 사 우수한 형식 적용 우수 한 경우 레일식 적용
참고사항
용 가능
출처: 한국도로공사(2009). “신축이음장치 개선 적용방안”

3. 교면포장

(1) 개요
교면포장은 교통하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교량 바닥판을 보호해야 하며 빗물 등 기
타의 기상조건에 대한 바닥판의 내구성 및 통행차량의 쾌적한 주행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2) 교면포장 형식
교면포장은 크게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
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두께는 8cm,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는 5cm 두께를 적용한다.

<표 5-4> 포장형식 비교

구분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SMA공법) 콘크리트 포장

개요도

∙ 내구성 및 내유동성 우수 ∙ 강도 및 밀도가 증진


특징 ∙ 슬래브와 접촉성 양호 ∙ 교량 바닥판 단면력 증진
∙ 미끄럼 및 소성변형 저항성 우수 ∙ 균열억제 및 방수효과 우수

99
4. 강교도장

(1) 개요
강재는 자연 환경 중에 노출되면 불가피하게 부식하여 강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불쾌감을 주므로 가설지점의 부식환경 정도, 유지관리 보수 및 도장주기를
고려하여 도장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도장의 목적은 강재의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
을 증대시키며 착색기능으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데 있다.

(2) 도장형식 선정
강교의 도장은 외부도장과 내부도장으로 구분되며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는 부분은
외부도장이다. 외부도장을 적용할 경우 일반환경과 특수환경을 구분하여 적정 도장방
식이 적용되어야 하며 설계 시 경제성, 재도장의 용이성, 주변 환경 및 경관 등을 종
합적으로 고려하여 발주처와 협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가) 일반환경
전원, 산간계곡 및 도시: 강재의 부식이 경미하다고 예측되는 지구

(나) 특수환경
해안지구: 해염입자의 영향으로 강재의 부식이 빠른 지구
공장지구: 공장과 근접하여 강재의 부식이 빠른 지구
대기오염지구: 대기오염도가 높아서 강재의 부식이 빠른 지구
해상지구: 해상 설치 또는 이와 동등한 부식환경에 놓여있는 지구
해안공업지구: 해안과 공장의 환경조건이 중복된 지구

<표 5-5> 도장방식 적용

적용도장
도장환경
우레탄계 세라믹계 불소수지계 메탈라이징

일반환경 ○ ○ - -

특수환경 ○ ○ ○ ○
출처: 한국도로공사(2010). "강교도장 설계적용방안 검토“

 가시설 공법
가시설은 교대, 교각 및 기타 구조물 시공을 위한 임시 시설물로서 시공 시 현장 여건에 따
라 변경될 수 있으며 설계 시 주변현황 및 지반조사 자료를 토대로 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구조물 시공을 위해 터파기를 시행할 경우 터파기 영향으로 기존 시설물이 저촉될 경우 지형
적 여건을 면밀히 검토하여 가시설 계획을 수립한다.
가시설 공법은 크게 육상구간인 경우와 하상구간에 설치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육상

100
구간은 H-Pile+토류판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하상구간은 차수를 목적으로 Sheet Pile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 방호울타리

1. 개요
방호울타리는 주행 중 정상적인 주행 경로를 벗어난 차량이 길 밖, 대향 차로 또는 보도
등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도로 줄이
고 차량을 정상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사용목적에 따라 난간, 차량 방호울타리 및 난간겸용 차량 방호울타
리로 구분되며 기능, 경제성, 시공조건, 미관 및 유지관리 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2. 방호울타리 적용기준

(1) 보차도 구별이 있는 경우


교면상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있는 경우는 보차도 경계부인 연석위에 차량방호 울타
리를 설치하고, 교량의 최외측 단부의 연석 위에는 난간을 설치한다. 단, 기존의 교량 등
보도 등의 폭이 좁아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최외측에 연석에
난간겸용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한다.

(2) 보차도 구별이 없는 경우


국도, 고속국도 등 자동차 전용교량인 경우에는 보도나 차도의 구별이 없으며 교량의
최외측 단부에 반드시 차량방호울타리 또는 난간겸용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난간의 높이는 1.1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며 차량방호울타리의 최소높이는 65cm로
한다.

3. 차량 방호울타리의 종류
차량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와 철재 방호울타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교량가설
위치가 특수구간인지 일반구간인지 고려하여 방호울타리 높이를 달리 적용하고 있다.
일반구간은 포장 면에서 높이 1.0m, 특수구간은 1.27m를 적용하고 있다.

101
<표 5-6> 차량 방호울타리(특수구간 적용 예)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구분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철재 방호울타리
(조합형)

개요도

조망이 필요치 않은 구간, 조망이 필요한 구간(보통), 상징성, 조형미 등 조망이


적설․한랭지역이 아닌 곳, 적설․한랭지역으로 교량 특별히 필요한 구간
터널과 터널 사이 교량 노면 결빙우려 구간, 민원 적설․한랭지역으로 교량
적용
등 등으로 설계자가 필요하 노면 결빙우려 구간, 민원
다고 판단되는 구간 등으로 설계자가 필요하다
고 판단되는 구간

 특수구간 적용 범위
․철도, 고속도로, 국도와 교차하는 구간
․위험물 저장시설을 교차 또는 근접 통과하는 구간
․기름이 유출될 경우 심각한 피해발생이 우려되는 하상(소규모 하천구간 제외) 및 해상을
횡단하는 구간
․가옥이 밀집된 지역 중 차량이 떨어져 가옥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구간
․기타 특별한 사유로 인하여 큰 강도의 방호울타리 설치를 요하는 구간

 방음벽

1. 개요
방음벽은 계획되는 교량 주변에 주택가, 축사 등과 같은 정온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향후
교량설치 후 차량의 소음으로 인해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교량 계획
시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2. 방음벽의 높이 및 규모 결정
방음벽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에 대한 소음분석을 통해 설치되는 방음벽의 높이
및 연장이 결정된다. 교량을 계획할 때는 방음벽 계획 여부를 확인하고 적용해야 한다.
방음벽은 교량 방호책구간에 설치되며 교량설계 시 방음벽 설치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소음분석 시 계산되는 방음벽 높이는 교면에서의 높이로 산정되며 교량
구간 방음벽은 방호책 상단에 설치되므로 실질적인 방음벽은 방호책 높이를 제외한 높이를
적용한다.

102
방음벽기초

[그림 5-1] 교량구간 방음벽 설치단면

 배수시설
배수시설은 교량의 교면상에 우수에 의해 발생하는 노면수를 배제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하천
용과 육교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수구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재질을 적용하며 배수관은 자중 및 통수에 대하여 충분
한 내하력을 가지며 변형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유지관리에 용이한 재질로
선정해야 한다.
<표 5-7> 배수시설 구분

구분 하천용 육교용

개요도

설치
사례

103
수행 내용 / 교량 부대시설 선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교면포장형식은 도로포장형식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있으며 교면포장 형식에 따라 포장두께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전에 도로포장형식을 확인해야 한다.

Ÿ 배수시설 계획 시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처리를 위해 하천구간도 육교용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설치 여건을 확인하여 배수형식을 결정한다.

수행 순서

 교량의 부대시설 형식을 선정한다.

1. 계획교량의 부대시설 적용현황을 정리한다.


교량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하부 및 기초 등 구조물 외에 다양한 종류의 부대시설물
이 필요하다. 계획교량에 적용되어야 할 부대시설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적용현황을 정리
하여 부대시설 선정 시 기본자료로 활용한다.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부대시설로는 교량받침, 신축이음장치, 교면포장, 교면방수, 방
호울타리, 중앙분리대, 배수시설 및 점검시설 등이 있으며 상부구조형식이 강교인 경우는
강교도장이 포함된다.

104
2. 적용 부대시설을 선정한다.
교량의 부대시설은 기능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내구성, 유지관리성 및 경제성을 종합적으
로 검토하여 선정한다.

(1) 교량받침을 선정한다.


교량받침은 온도변화, 하중, 처짐 등에 의한 신축 및 회전전달이 원활하며 고강도, 고
경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선정한다. 또한 지진 시 발생 수평력과 발
생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정 규격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관리상 문제가 없는
형식을 선정한다.
교량받침은 상부형식에 따라 적용성을 검토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PSC거더교, 프리플
렉스거더교와 같이 I형 단면을 갖는 거더교는 탄성받침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PSC
박스거더교 및 강교는 강재받침을 사용한다. 지진격리설계는 지진하중을 모든 교각에
분산시키며 별도 제작된 특수받침을 적용하므로 계획교량의 상부형식과 교각높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받침을 결정한다.
교량받침 용량 결정은 상부에서 작용되는 고정하중, 활하중 등의 수직하중과 내진설계
시 발생하는 수평지진력을 확인하여 교량받침의 성능이 확보되는 제품을 선정한다.
교량받침 교체 등 유지보수 시 JACK 설치가 가능하도록 교량받침면과 상부거더 하면
사이는 40cm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게 한다.

<표 5-8> 일반받침 비교(예)

포트 받침 스페리칼 받침 탄성 받침
받침명
(Pot Bearing) (Spherical Bearing) (Elastomeric Bearing)

형 상

∙회전에 따른 하중의 편심 ∙회전기능 우수 ∙설치 및 유지관리 용이


특 징 에 유리 ∙횡방향 이동량에 제한됨 ∙소교량의 받침에 적용
∙마찰계수가 적음

(2) 신축이음장치를 선정한다.


신축이음장치는 온도변화 및 처짐에 적응력이 필요하며 주행성이 우수하고 강성과 내
구성이 크며 방수 및 배수가 완전하고 단순한 구조형식으로 선정한다. 또한 항상 차량
과 접지되는 부재로서 교체 등을 고려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형식을 선정한다.
교량구간 차량이 통과할 때 신축이음부에서 소음이 발생하며 도심지구간의 경우는 소
음발생이 최소화되는 제품을 선정한다.

105
계획교량의 상부형식 및 경간장을 고려하여 신축량을 산정하고 여유량을 고려하여 신
축이음 규격을 결정한다.

(3) 교면포장 및 교면방수를 선정한다.


교면포장을 선정할 때는 우선 포장두께를 결정해야 한다. 교면포장은 아스팔트콘크리
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으로 구분되며 각각 포장두께가 다르므로 포장두께를 우선
결정하고 교면포장 형식을 선정한다.
교량을 계획할 때 계획고를 기준으로 모든 구조물은 EL을 산정하게 되는데 교면포장
상단고가 계획고의 기준이 되므로 설계 중 포장두께가 변경될 경우 모든 구조물의 EL
이 변경되므로 발주처와 협의하여 우선적으로 포장두께를 결정한다.
포장두께 결정 후 각각의 공법에 대해 시공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성을 면밀히 검토하
여 교면포장 형식을 결정한다.
교면에서 바닥판의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면 침투수에 의해 바닥판의 균열이 확
대되며 철근의 부식을 유발하여 콘크리트가 파손되므로 바닥판과 포장층 사이에 교면
방수를 시행한다. 교면방수층은 불투수층이 있어야 하며 교면포장시 열팽창에 의한 재
질변화가 없는 제품을 선정한다.
교면방수 형식은 침투방수, 쉬트방수, 도막방수 등이 대표적이며 라멘교의 경우는 침
투방수를 적용하며, 대부분의 바닥판이 있는 교량은 도막방수를 적용한다.
강바닥팍이 적용되는 강교의 경우는 일반적인 형식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교면
방수공법을 검토하여 적용한다.

(4) 강교도장
강교도장은 가설지점의 부식환경에 시공성, 경제성이 입증된 방식이어야 하며 주변 환
경과 조화 및 환경오염 최소화를 고려하여 도장방식을 선정한다.
도장방식을 결정할 때는 계획교량의 위치에 따른 환경조건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므로 가설위치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한 방식의 도장방식을 선정한다.

(5) 방호울타리
교량의 횡단구성에 보도가 포함된 경우 보차도 경계부는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하고
교량 보도부 외측은 난간을 설치한다. 부득이 보도폭이 좁아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할
경우는 보도부 외측에 난간겸용 차량방호울타리를 설치한다.
(가) 방호울타리는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에 적용되는 방호울타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도심지 구간이나 운전자의 개방감 확보를 고려할 경우는 철재방호울타리를 적
용한다.
(나) 방호울타리의 설치높이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기준에 의거하여
차량의 방호울타리와 충돌했을 때 탑승자의 머리가 방호울타리 부재와 직접 충
돌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100cm 이하로 한다.

106
단, 설계충격강도가 큰 상위 종별의 방호울타리에서 대형차의 유도성을 향상시
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100cm 이상의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표 5-9> 방호울타리 종류
F-shape 조합형
F-shape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구분 방호울타리
Type - 1 (SB5급) Type - 2 (SB6급) Type - 3 (SB6급)

형상

특징 ∙ 설치높이 H=1.0m ∙ 설치높이 H=1.27m ∙ 설치높이 H=1.27m


출처: 한국도로공사(2003). "교량용 방호울타리 적용방안 개선“

(6) 배수시설

(가) 배수구의 배치
배수구의 간격은 집수구 통수능력에 따른 수리검토를 실시하여 간격을 결정하여
하며 원칙적으로 20m 이하로 한다.
교량구간 오목곡선이 있을 경우 최저부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간격은 수리검토를
실시하여 결정하며 3∼10m 간격으로 정수단위로 배치하며 신축이음장치 부근에는
배구수를 설치한다.

(나) 배수관의 형상 및 치수
배수관의 단면은 원칙적으로 원형으로 하고 내경은 150mm 이상, 계획유량의 3배를
유하시킬 수 있는 단면으로 한다.
배수관의 굴곡부 개수는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하고, 굴곡부에 뚜껑을 붙인 청소공을
설치하도록 한다.
<표 5-10> 배수시설 적용기준

배수구 설치 간격 (m)
배수구 형태
최대간격 일반구간 완화곡선, Sag부
10~20 3~10
사각 집수구 20
(5m 단위로) (정수 단위로)

(7) 방음벽
교량에 설치되는 방음벽은 방호울타리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환경성 검토 시
결정된 방음벽높이를 확인하여 방음벽을 설치한다.
환경성 검토 시 제시되는 방음벽 높이는 노면상에서부터 높이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교량구간 방음벽 계획 시 방호책의 높이를 고려하여 방음벽을 계획한다.

107
교량구간 방음벽 설치를 위한 지주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2m 간격으로 배치하며 적용
되는 방음벽 높이를 고려하여 바닥판 검토 등 교량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 교량의 가시설 형식을 결정한다.

1. 가시설 설치위치를 검토한다.


교량의 가시설은 교대 및 교각기초 시공 시 인근 지장물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 설치
되므로 교량 종평면도를 검토하여 가시설 설치위치를 확인한다.

2. 지반조사 자료를 검토한다.


일반적으로 교각이 설치되는 곳은 지반조사를 시행하므로 지반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지층
의 구성 및 지하수위 위치를 파악한다.

3. 가시설 형식을 결정한다.


가시설이 설치되는 위치에 공사 중 차수 여부를 우선 검토하여 가시설 형식을 결정한다.
하천구간에 설치되는 경우 토류가시설을 적용하면 하천수의 유입으로 시공이 불가하므로
차수가시설을 우선 적용한다. 육상구간도 지층이 자갈층으로 구성된 경우는 지하수위의
영향으로 시공성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차수의 필요 여부를 확인하고 적용형식
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는 토류가시설을 적용하고 물푸기를 수량에 반영한다.
<표 5-11> 가시설 공법 비교

구 분 H-Pile + 토류판 Sheet Pile

항타나 천공하여 H-Pile 설치후 항타나 천공하여 강널말뚝을 설치 후


공법개요
굴착하면서 토류판을 설치하는 공법 차수벽과 토류벽 역할을 하는 공법

재 질 H형 강 U형 강널말뚝

강성체로서의 토류벽 역할을 할 수 연속벽형 강성체로서의 차수벽 및 토류


안 정 성
있으나 벽체의 변형이 다소 많음 벽 역할과 재질의 강도 및 내구성 우수

지하수위 등이 있는 지반에서는 별도 재질 자체가 수밀성이며 연결부의


차 수 성
의 차수 그라우팅이 필요 수밀성이 우수하여 차수성이 양호

∙ 공사비 저렴 ∙ 공사비 고가
∙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가 짧다 ∙ 정밀시공이 필요하며 공기가 길다
장․단 점
∙ 말뚝간격의 조정하여 지장물처리 용이 ∙ 변형발생 시 인발이 곤란
∙ 지장물 저촉 시 별도의 보강방안 필요

108
수행 tip

Ÿ 신축량 산정 시는 온도변화를 보통지방을 기준으로


적용한다.
Ÿ 부대시설 종류가 다양하므로 각각의 부대시설에 대한
제품별 특징을 확인하면 부대시설을 이해하기 용이하다.
Ÿ 신축이음장치를 핑거형으로 적용할 경우 종단경사가
심한 교량은 가동단에서 수평이동으로 핑거 간 단차
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선정한다.

109
5-2. 교량 유지관리시설 선정

학습 목표 • 점검통로, 교각 점검시설 등 유지관리 시설을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개요
교량의 유지관리시설로는 교량점검시설이 있으며 교량점검시설은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44조에 의하여 설치되는 교량의 부대시설로, 교량의 구조물 각 부위에 기능상태,
노후 및 결함 등의 확인점검과 유지보수 등 교량관리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한다.

 용어의 정의

1. 점검계단
교량의 상부(노면),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계단식 접근시설

2. 점검통로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설
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

3. 출입사다리
교량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점검통로로 도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승강 사다리

4. 이동식 접근장비
사다리, 점검대차, 굴절식 점검차, 고소작업대 등 고소 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장비

 교량 유지관리시설

1. 점검계단

(1) 설치대상 교량
노면과 교량하부와의 단차가 작거나 지형특성상 별도의 시설물 없이 교량하부에 접근
이 용이한 경우, 교대에 점검통로가 설치되어 있어 교량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교대로
접근이 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교량

110
(2) 설치방법

(가) 교대 상‧하 양측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 교량하부에서의 이동이 용이하고 비교적 짧은 교량은 차량 진행방향 최초로 접


하는 교대측에만 설치한다.

(다) 램프교 등 일방향 교량의 경우 차량 진행방향 우측에만 설치

(라) 앞성토가 있는 경우 거더 하부의 여유공간은 1.5m 정도로 하되 현장여건, 편경사


등을 고려하여 점검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 교좌부 점검이 가능 하도록 한다

(마) 앞성토가 없는 직벽형 교대에 점검통로를 설치하는 경우 교량 양측에 점검계단


을 설치하고 점검계단과 점검통로 연결설치

2. 고정식 점검시설

(1) 형하공간 6.5m 이상인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형하공간이 6.5m 이상인 교량은 상부에서의 점검을 기준으로 하되, 아래의 사항과 같
이 상부에서의 접근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정식 점검시설을 설치한다.

(가)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트러스교 등과 같이 상부에서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이 곤란한 교량

(나) 철도과선교로서 이동식 접근장비를 사용할 때 고압선 또는 철도 차량의 통과 영


향을 받는 교각 또는 교대

(다) 교량점검차의 점검 제원을 초과하는 교량


1) 교량 상부에 방음벽, 가로등, 울타리, 고압선, 방풍벽 등과 같은 부속시설이
노면에서 2m 이상 높이로 설치된 교량
2) 교량 폭원이 일방향 기준 20m 이상인 교량
3) 종단구배가 3% 이상인 교량

(라) 이동식 접근장비 사용 시 교통혼잡이 예상되는 교량


1) 공용 후 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도시지역(수도권, 광역시권 등)에 위치하는
교량(신설 및 확장 교량대상)
2) 이동식 접근장비 사용 시 교통 지・정체로 서비스 수준이 E급 이하로 저하되는
구간에 위치하는 교량(공용 중 교량대상)

(마)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시 안전사고 등이 우려되는 구간의 교량


1) 강풍지역(15m/s 이상이 1년에 6회 이상 발생)에 위치한 교량
2) 안개 잦은 지역(1년에 30일 이상 안개발생)에 위치한 교량
3) IC, JCT, 휴게소 등의 가・감속차로에 설치되는 교량
4) 터널 출구부와 근접(800m 이내)하여 있는 교량

111
(2) 형하공간 6.5m 미만인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
형하공간이 6.5m 미만인 교량은 상부 또는 하부에서의 점검을 기준으로 하되, 상부 또
는하 부에서의 점검이 곤란한 경우 교량점검시설을 설치한다.
(가) 상부에서 점검이 곤란한 경우는 형하공간 6.5m 이상인 교량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나) 하부에서 점검이 곤란한 경우


1) 교량 하부로 이동식 접근 장비의 진입이 곤란한 교량
2) 교량 하부 지반상태가 불량하여 점검 장비의 전도가 우려되는 구간
3) 점검 시 안전에 지장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다리를 이용한 점검은 가급
적 지양

(3) 형하공간에 제한 없이 점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교량점검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당해 구조물 유지관리상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교각
및 교대는 형하공간에 제한 없이 전 구간에 설치한다.
신축이음장치가 있는 교각 및 교대, 교량점검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기존교량을 확장하
는 경우 확장부의 교각 및 교대, 해당교량의 형하공간 변화에 따라 교각 또는 교대 일
부구간에만 점검시설이 미설치되는 경우에는 점검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전체구간에
점검시설을 설치한다.

3. 상부구조 점검시설
교부구조의 주요부재에 근접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통로식 접근로를 제공
하기 위해 교축방향으로 점검통로를 설치한다.
교량 상부구조형식이 사장교, 현수교, 아치교, 트러스교 등인 교량에서 이동식 접근장비로
는 상부의 주요 부재를 점검할 수 없는 교량이나 수시로 점검이 필요한 교량 중에서 굴절
식 점검차 등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 시 교통혼잡이 예상되거나 하부도로의 건축한
계로 인해 교통소통 및 안전에 지장이 예상되는 교량으로 고정식 점검통로의 설치가 필요
하다고 판단되는 교량에 설치한다.

수행 내용 / 교량 유지관리시설 선정하기

재료·자료

Ÿ 교량관련 법규 및 지침
(도로교설계기준ㆍ해설,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112
Ÿ 교량공학 등 관련 서적

Ÿ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교량 종평면도 및 노선도

Ÿ 공법관련 설명서(공법특징 및 단면구성 등 업체가 제공한 자료)

Ÿ 교량관련 홈페이지 및 블로그

Ÿ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트, 복사기, 플로터, 스캐너 등)

Ÿ 문서작성용 S/W(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S/W)

안전 ・ 유의 사항

Ÿ 교각부에 고정식 점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하부도로의 통과차량 간섭이나 하천구간 홍수위


저촉 여부를 확인하여 설치한다.

수행 순서

 교량 점검시설 설치목적을 이해한다.


교량점검시설은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등 도로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지관리시설이다. 교량은 건설 후 교량의 기능, 노후도, 결함 등 구조물 상태의 주기적인 점
검과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교량의 가설위치, 교차조건, 형하고, 하부지지조건 등 제
조건을 감안하여 교통제한 없이 상시 확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교량점검시설을 설치한다.

 교대 점검시설을 검토한다.

1. 교대 점검계단을 설치한다.
점검계단은 교대 및 교량 하부의 유지보수용 접근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노면)
또는 하부(지상)에서 점검계단 없이는 교대로 접근하기 어려운 교량에 설치한다.

(1) 점검계단은 교량 상부(노면)에서 교대 앞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한다. 단, 현장 여건상 교량 하부(지상)에서 교대로 접근하는 것이 교량 상부에
서 접근하는 것보다 용이한 경우에는 교량 하부에서 교대 앞까지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113
(2) 교대에 점검통로가 설치되어 있어 교량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교대로 접근이 가능한
교량이나 교대가 가설된 지형 또는 교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접근장비
나 점검계단 없이도 교대에 접근이 용이한 교량은 점검계단을 설치하지 않는다.

점검계단
1.0M
1:
1.
5
1.0M
1.5M 정도

추가쌓기
도로 교량 도로 1:1
.5

점검로 1:1
. 8
지반고

평면도 측면도

출처: 국토교통부(2013).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그림 5-2] 점검계단 설치 개념도

2. 교대는 일반적으로 토공에 의해 앞성토가 설치되어 점검계단 설치가 가능하나 도심지


고가교량과 같이 교대에 옹벽이 접속 설치되는 교대는 앞성토가 없어 점검계단의 설치
가 불가능하다. 점검차 등 별도의 접근장비로 점검이 곤란한 경우는 고정식 점검시설을
설치한다.

 교각 점검시설을 검토한다.
교량 하부구조, 받침, 신축이음에 근접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통로식 접근시설
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1. 설치조건을 검토한다.
교량에 교량 점검통로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량의 형하고, 상․하부시설, 교통량 등의
조건에 따른 교량 점검통로 설치 의사결정 흐름도에 따라 설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는 이동식 점검차량의 접근성, 점검 시 교통혼잡 여부 등에 대한 객관적 기준 없이 교
량 점검통로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예산낭비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114
출처: 국토교통부(2013).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그림 5-3] 점검통로 설치 의사결정 흐름도(2차로 초과 시)

2. 교각 점검시설을 설치한다.
점검통로는 특별한 보조장비 없이 상시점검을 가능케 하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비용이 고
가이고 미관을 저해하며 점검부위가 한정되어 있어 상부거더를 포함한 전체 교량 점검 시
굴절식 점검차와 같은 이동식 점검수단이 추가로 필요하다. 따라서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
한 점검이 불가능한 교량과 같이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정식 점검통로 설치를 최
소화한다.
교량의 형하공간이 변화하여 일부 교각 또는 교대에만 점검통로가 미설치되는 경우에는
교량전체의 점검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교량관리기관이 점검의 효율성 등을 종합
적으로 판단하여 교량 전체에 점검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강풍지역, 안개지역 등 이동식 접근장비에 의한 점검 시 안전사고 등이 우려되는 구간에
는 설치 조건에도 불구하고 점검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점검통로 설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교량의 경우라도 점검통로 설치 시 교량미관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경우, 차량 등의 원활한 통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홍수 시 통
수를 저해할 우려가 있거나 유송잡물 등이 걸려 교량안전에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경
우는 점검통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115
1.5M

1.5M
교대부 교각부

출처: 국토교통부(2013). 교량점검시설 설치지침.


[그림 5-4] 점검통로 설치 개념도

 상부점검통로를 검토한다.
강교량 및 특수교량의 상부구조의 주요 부재에 근접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통로식 접근시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상부구조 점검통로를 설치한다.

1. 현수교, 사장교, 강아치교, 트러스교 등과 같은 특수교량 중에서 교량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동식 접근장비로는 상부구조의 주요 부재를 점검할 수 없는 교량

2. 수시로 점검이 필요한 교량 중에서 이동식 접근장비 사용 시 교통혼잡 등으로 상부구조


점검통로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량

수행 tip

Ÿ 고정식 점검시설 설치를 지양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설치기준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해야 한다.
Ÿ 강박스거더교, PSC박스거더교의 경우는 내부점검을
위한 시설물이 설치되므로 관련 자료를 확인한다.

116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량받침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받침배치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일반받침과 지지격리받침을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의 종류를 설명한다.

• 교량의 종평면도를 분석하여 신축이음위치를 확인하고 상부의 신축장을 고려한 신축이음량을


계산하여 적정 규격의 신축이음장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신축이음장치 선정 시 교량의 기하구조 및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을 선정할 수 있도록


신축이음장치의 종류를 설명한다.

• 교면포장과 교면방수의 역할을 설명하고 상부구조에 적합한 형식을 선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강교의 도장형식을 선정할 때는 교량가설위치의 환경을 고려하여 도장형식을 검토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교량의 종평면도를 활용하여 가시설 설치위치를 파악하고 가시설 공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방호울타리의 적용기준을 설명하여 난간 및 차량방호울타리의 설치위치를 판단하고 방호울타리


의 종류를 하부도로 통과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의 방음벽은 소음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치되므로 환경성 검토에서 제시되는 방음벽 높이를
방호책 구간에 적정하게 적용했는지 확인한다.

• 배수시설 설치 시 하천용과 육교용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는지 지도한다.

• 교량 유지관리시설의 종류를 설명하고 설치기준에 준하여 시설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량에 대한 각종기준과 지침, 편람, 시방서, 요령 등의 참고 자료 등 관련 자료에 대해 구성과


활용방법을 설명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17
학습 방법

• 교량받침은 고정단, 일방향, 양방향 등 방향성을 갖고 있으므로 교량받침 배치 시 방향성을 고려하


여 받침배치를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받침의 종류를 파악하고 교각 높이를 고려한 내진해석을 통해 일반받침과 지진격리받침을 구분


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교량 상부구조의 신축장을 고려한 신축이음량을 계산하고 신축이음장치의 종류를 파악하여


계산된 신축량에 적합한 신축이음장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실습한다.

• 포장두께를 고려한 교면포장 형식을 선정할 수 있으며 교면방수의 역할을 이해하고 상부구조형
식에 적합한 교면방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강교의 도장형식은 외부도장과 내부도장으로 구분되며 특히 외부도장을 선정할 때는 가설위치의


환경조건을 검토하여 내구성 확보가 가능한 형식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교량의 가시설은 지장물과 저촉이 발생하는 경우에 설치되므로 교대 및 교각의 기초 설치위치를


파악하여 토류가시설 또는 차수가시설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방호울타리의 적용기준을 이해하고 하부도로 통과조건에 만족할 수 있는 방호울타리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교량 유지관리시설의 종류를 파악하고 설치기준을 숙지하여 교량의 유지관리성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실습을 수행한다.

118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 및 평가 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형식의 특성에 맞게 교량받침, 신축이음장치, 가시설


등 부대시설의 형식을 선정할 수 있다.
교량 부대
시설선정 - 관련법규에 의해 결정되는 방호울타리, 방음벽, 배수시설
등 부대시설의 크기, 재질 및 규모 등을 검토할 수 있다.

교량 유지
- 점검통로, 교각 점검시설 등 유지관리 시설을 검토할수
관리시설
있다.
선정

평가 방법

• 포트폴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교량 종평면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부대시설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

교량 부대 - 교량받침의 기능을 이해하고 교량형식별 받침을 배치할


시설선정 수 있는 능력

- 신축장을 고려하여 신축량을 산정할 수 있는 능력

- 부대시설에 대한 조사자료의 정리상태

교량 유지 - 유지관리시설의 종류를 파악하고 배치할 수 있는 능력


관리시설
선정 - 유지관리시설에 대한 조사자료의 정리상태

119
• 서술형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부대시설의 종류 및 기능

- 일반받침과 지진격리받침의 구분
교량 부대
시설선정 - 신축이음량을 계산하고 조건에 맞는 신축이음장치의 선정

- 가설위치 현황을 고려한 가시설 공법 선정

교량 유지 - 유지관리시설의 종류 및 역할
관리시설
선정 - 교량점검시설의 설치기준의 이해

피드백

1. 포트폴리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2. 서술형
- 평가 결과 학습자가 저득점/수행을 잘 못한 경우는 해당 수행 준거를 바탕으로 예제를
통해 보충 학습을 시행하고 재평가한다.
- 평가 결과 학습자가 고득점/수행을 잘한 경우는 다양한 예제를 통하여 응용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심화 학습 방법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120
∙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ㆍ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15).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해설.
건설정보사.

∙ 대한토목학회ㆍ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2008). 도로교설계기준해설. 기문당.

∙ 국토해양부(2008).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 건설정보사.

∙ 한국도로공사(2009). 도로설계요령 제3권 교량.

∙ 오제택(2010). 교량계획과 설계 1, 2. 반석기술.

∙ 조효남(2006). 교량공학. 구미서관.

∙ 한국지반공학회(2015).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해설. 씨아이알.

∙ 국토교통부(2013).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이엔지북.

∙ 한국가설협회(2014). 가설공사표준시방서. 이엔지북.

∙ 한국도로공사(1994). 아름다운교량설계.

∙ 교량점검시설설치지침(2013. 개정). 국토교통부.

∙ 고속도로 공공디자인 매뉴얼(교량편)(2011). 한국도로공사.

121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윤영만(수원과학대학교) 이완훈(청운대학교) 양주경(청운대학교)
신재철((주)동성엔지니어링) 김제인((주)일승하이텍)
신영각((주)한맥기술)* 배을호(케이블텍(주))
서동권((주)건화)* 김량균(케이블텍(주))
김인철((주)동일기술공사) 손석호((주)수성엔지니어링)
이석종((주)비아이티솔루션)*
장유식((주)미호이엔씨)
이승재(한국시설안전공단)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오찬호(수원과학대학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상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문한나(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대호(한국직업능력개발원)
류현경(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