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4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
항만(해양)설계 인·허가 서류 및 인·허가 서류 작성
터널설계
작성

교량설계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

항만(해양)설계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상하수도설계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

하천(댐)설계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

지반설계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단지설계 항만(해양)설계 계산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계산서 작성 및
도면 작성
철도설계 항만(해양)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
항만(해양)설계 시방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시방서 작성
관리
항만(해양)설계 사업비 작성 항만(해양)설계 사업비 작성

항만(해양)설계 보고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
1-1. 기초자료 조사・분석 3

• 교수・학습 방법 17

• 평가 18

학습 2. 시설물계획 수립하기
2-1. 시설계획 수립 20

• 교수・학습 방법 36

• 평가 37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
3-1. 수요추정 39

3-2. 비용추정 48

3-3. 경제성 분석 58

• 교수・학습 방법 73

• 평가 74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
4-1. 지역균형발전 분석 76

4-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82

• 교수・학습 방법 87

• 평가 88
학습 5.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
5-1. 사업의 적정성 평가 90

• 교수・학습 방법 97

• 평가 98

참고 자료 100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발주자가 추진하고자 하는 사업의 추진 가능성, 적정사업시기, 사업규모 등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의 경제성 분석, 재무성 분석, 정책적 분석 등을 수행하여 사업추진의 타당성을 분
석·평가할 수 있다

선수학습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1402010501_14v2),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1402010502_14v2),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1402010505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기초자료 기초자료
1-1. 기초자료 조사·분석 1402010503_14v2.1
조사·분석하기 조사·분석하기

2. 시설물계획 수립하기 2-1. 시설물계획 수립 1402010503_14v2.2 시설물계획 수립하기

3-1. 수요추정

3. 경제성 분석하기 3-2. 비용추정 1402010503_14v2.3 경제성 분석하기


3-3. 경제성 분석

4-1. 지역균형발전 분석
4. 정책적 분석하기 4-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1402010503_14v2.4 정책적 분석하기
분석
5. 사업의 적정성 사업의 적정성
5-1. 사업의 적정성 평가 1402010503_14v2.5
평가하기 평가하기

핵심 용어

물동량, TEU, 할인율, 편익, B/C, 경제성 분석, 지역균형발전, 재원조달, AHP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
학습 1
(LM1402010503_14v2.1)
학습 2 시설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3_14v2.2)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3)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4)
학습 5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LM1402010503_14v2.5)

1-1. 기초자료 조사·분석


• 사업의 배경과 목적, 추진경위, 사업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자연조건과 사회·경제적 기초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개발수요 및 요구에 따라 개략적인 사업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추진 상의 법적절차를 간략하게 제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 사업의 배경

(가) 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은 사업의 특성에 따른 각각의 사업 배경 및 목적을 가지


고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부두 신설사업은 제3차 전국항만 기본계획에 따라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어촌·어항 개발, 항만 재개발, 지역균
형개발, 마리나 개발, 관광자원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사업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나) 지역의 숙원사업 해결을 위한 민원으로 사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어


떤 사업은 해당 지역이 갖는 자연환경, 산업의 특성, 문화적 요인 등에 의거하
여 사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2) 사업의 목적

(가) 사업의 필요성과 연관관계가 있으나, 해당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달


성하고자 하는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정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업
의 목적을 명확히 계획서에 제시하여야 한다.

3
(나) 항만시설이나 어항시설 건설사업의 경우는 동 사업이 완료됨으로써 수출입 물
동량 처리, 어선의 안전성 확보 등의 문제가 해결되며 파급효과는 무엇인지,
파급효과가 영향을 주는 공간적 범위는 어디까지인 지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
하여야 할 것이다.

(다) 사업의 주무관청에서 제시한 사업계획서와 문헌조사 및 현장답사 과정에서 얻


은 자료 및 정보를 종합하여 사업의 배경 및 목적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2. 사업의 추진 경위 및 근거

(1) 사업의 추진 경위

(가) 타당성조사 대상사업의 배경과 목적이 명확하여도 사업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


해서는 해당 사업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거쳐 조사의 대상으로 확정되었는
지 경위를 명확히 제시하여야 한다.

(나) 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추진근거는 무엇이며, 사업추진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기관은 어디인 지 조사함으로써 사업추진 상의 쟁점사항 및 사업의 배경 및 목
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 해당 사업의 추진 경위에 대한 파악도 중요하지만 동 사업이 추진될 경우, 사


업추진 주체는 어떻게 되는 지 파악하여야 한다.

(2) 사업의 추진 근거

(가) 타당성조사를 수행 할 경우 해당시설의 사업추진에 대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 추진 근거로는 “항만법”, ‘항만공사법”, “신항만건설촉
진법”, “민간투자법”, “공유수면매립법”,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
에 관한 법률” 등이 있으며, 관련 법률의 근거 조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해당사업의 추진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사업추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

(나) 사업추진에 대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함으로써 사업 추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법적분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3. 사업내용

(1) 해당 사업의 입지적 여건, 시설 규모, 시설의 배치계획, 총사업비, 사업추진방식, 사업추진
기간, 재원조달방식 등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은 사업의 타당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사전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의 공간적 입지, 공사 내역 및 총사업비 규모를 사업계


획서에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공사 내역이나 총사업비 추정은 기본적인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평면계획, 사업규
모, 사업 소요기간, 재원조달 등에 대한 발주기관의 예비조사를 통하여 검토된 주요 내용
을 기술한다.

4
 기초자료 조사·분석

1. 공공투자사업을 추진하거나 타당성 평가를 수행할 경우 사업의 내용 조사를 수행하기


전에 해당 사업지역의 기초조사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은 기본적인 사항이다.

2. 타당성조사를 실시할 경우 조사자는 사업지역의 현장답사와 관련 기관을 통한 지역의


기초자료 수집을 과업수행 초기에 시행하여야 한다. 지역의 기초자료는 크게 자연환경
관련 자료, 생활환경 관련 자료 및 사회․경제적 환경 관련 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3. 항만 시설현황 조사는 반드시 필요한데 무역항, 연안항, 어항 등 항만의 종류 및 과업


내용에 따라 적절한 조사범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외곽시설·접안시설·수역시설 등의
기본시설현황, 등대·등부표 등의 항행보조시설 현황, 부두이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부시설현황 등이며 어항의 경우, 기능시설 현황·여객터미널 현황·기타 친수 공간
현황 등 해당과업 수행에 필요한 시설현황을 조사한다.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그림 1-1] 시설 현황(사례: 어항)

5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그림 1-2] 시설 현황(사례: 무역항)

4. 타당성조사 시에 과업의 목적에 따라 화물선 운영현황, 여객선 운영현황, 어선 입출항


현황, 기타 해당과업과 연관 있는 환경보전지역 현황 등을 조사한다.

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1. 상당한 부분의 SOC 사업 중 사업추진 주체가 해당 사업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 보


다는 정부계획 또는 지방자치단체 계획과 연계되어 있다.

6
2. 상위계획 검토를 통하여 대상 사업이 체계적으로 검토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
위계획에 제시된 투자의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다.

3. 항만기본계획은 「항만법」 제5조에 따라 해양수산부 장관이 항만의 개발을 촉진하고 항


만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계획이다.

 사업의 주요 쟁점에서는 해당사업의 사업시행과 관련하여 조사, 계획, 건설, 운영 등 사업


추진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인 문제, 조사관련 사항, 기술적인 사항, 재원조달,
민원 등의 주요 쟁점사항을 미리 부각시켜서 사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1. 해당시설 주변여건

(1) 조사의 쟁점사항은 사업성격 및 추진 배경과 해당지역의 자연환경, 사회․경제적 여


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기초자료를 정밀하게 분석하게 되면 사업의 쟁점을
파악할 수 있다.

(2) 사업의 성격에 따라 기술적 타당성 여부가 쟁점이 될 수도 있고, 재원조달 가능성
이 쟁점이 되기도 하고, 지역갈등, 안보(국방) 문제 등이 쟁점이 되기도 한다.

2. 타당성분석 관련 쟁점

(1) 가장 중시되어야 할 쟁점은 주무관청에서 제시한 사업계획의 비용 및 편익 분석을


통한 타당성조사를 수행하고 이와 병행하여, 연구진에서 정부의 부담을 줄일 수 있
는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방안 등이 될 수 있다.

(2) 항만수요예측에 있어서 2011년에 확정된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부


산항의 2030년까지 예측 물동량을 기본으로 한 KMI 수요예측센터에서 매년 수정·
발표하는 2014년 품목별 물동량 예측치 적용 여부이다.

(3) 수요 및 편익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최근 장비의 발달로 인해 실제하역능력과 적정


하역능력이 향상되어 해당 부두의 적정 하역능력을 어떻게 보느냐 하는 문제이다.

(4) 사업성이 확보되는 경우 민자유치 가능성 여부가 쟁점이 될 수 있다.

7
수행 내용 /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

재료·자료

Ÿ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해양수산부)

Ÿ 항만설계기준(해양수산부)

Ÿ 과업지시서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 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에서 기초자료 조사·분석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1. 타당성조사를 위한 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2. 타당성조사에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타당성분석 수행절차, 항만설계기


준 수립목적 및 내용, 항만계획 수립절차 등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3. 타당성 조사에 필요한 자료의 종류, 자료수집 방법, 데이터분석 방법, 인터넷 자료 검색
방법 등을 이해한다.

8
 항만계획수립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소개를 통해서 필요한 기초자료
조사·분석 항목이 무엇이며, 어떤 목적으로 이용하는 지 이해한다.

1. 자연환경 분석

(1) 사업의 특성에 의거하여 자연 환경의 영향을 받는 정도는 차이가 날 수 있다. 특히


항만건설 사업은 자연적인 조건, 즉 해당 지역의 지형조건이 항만건설에 타당한 지,
지역의 수심은 얼마인 지, 지질이 점토질이냐, 사질이냐, 암반이냐 등에 의거하여
사업내용 및 비용이 크게 변동될 수 있다.

(2) 자연환경 자료는 기상조건, 지질조건, 해상조건에 대하여 해당사업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사항을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1402010502_14v2)에 제시된 내용을 기
본 데이터로 활용하여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생활환경 분석

(1)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업의 성격에 따라 수질 및 토지오염, 위생, 소음 등 인간의 의


식주 등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활환경 자료를 조사해야 하는 대상사업이 증
가하는 추세이다.

(2) 생활환경 자료는 수질오염, 토지오염, 위생, 공사소음에 대하여 해당사업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사항을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1402010502_14v2)에 제시된 내
용을 기본 데이터로 활용하여 조사된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사회·경제적 환경 분석

(1) 사회․경제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인구 및 산업 구조, 토지이용 현


황, 지역총생산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인구, 산업구조 및 지역총생산 자료는 기초적인 자료이지만 사업의 파급효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이터이다.

(가) 인구밀집지역은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 비하여 수요가 많을 가능성이 크고,


높은 수요에 비례하여 사업의 경제성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나) 지역의 산업구조는 해당 사업위치가 주변 환경과 조화 등 입지의 타당성을 개


략적으로 설명해 주는 자료라 할 수 있다.

(다) 지역총생산 자료는 경제성 및 지역균형개발 평가 시의 중요한 기초자료 이다.

4. 항만시설 및 이용현황

(1) 항만 시설현황 조사는 우선적으로 무역항, 연안항, 어항 등 항만의 종류 및 과업내


용에 따라 적절한 조사범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2) 기본시설인 외곽시설·접안시설·수역시설 등의 현황을 시설위치, 규모, 구조형식


등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를 수행한다.

9
<표 1-1> 항만시설 현황(사례)

전면수심 접안능력
구 분 연장(m) 구조형식 취급화물 비 고
DL.(m) (DWT)
900 - - - 동방파제
외곽시설 혼합식
600 - - - 서방파제
1,200 (-)16.0 50,000×4 컨테이너 #1~4
900 (-)16.0 50,000×3 컨테이너 #5~7
접안시설 중력식
480 (-)12.0 30,000×3 철재 #8~11
280 (-)14.0 50,000×1 철재 #12

(3) 특히, 연안항, 어항시설의 경우 기본시설 현황, 항행보조시설 현황, 상부시설 현황, 여
객터미널 현황, 친수 공간 현황 등 해당과업 수행에 필요한 시설현황을 조사한다.

[그림1-3] 어항 물량장 시설현황

[그림1-4] 부잔교시설 이용현황

10
[그림1-5] 차도선부두 및 양육부두 시설 이용현황

(4) 부두별 취급화물 및 운영사 현황, 항만시설 장비현황, 해당 시설부지의 입지여건 등에


대한 필요성 및 문제점 중심으로 조사한다.

 대상항만의 상위 및 관련계획, 상위계획에서 제시된 항만물동량 전망, 시설확충계획 등을


조사·분석하고, 물동량 추정과 소요규모 산정에 대한 기본적인 추진절차를 이해함으로써
본 사업의 필요성, 물동량 예측, 시설계획의 적정성 등을 검토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항목 간 연관관계를 인지한다.

1.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에 대한 타당성조사 관련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항만기본계획

(가) 국토해양부는 「항만법」 제5조에 의거하여 항만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을 수립 고시하였다.

(나) 기본계획은 주로 우리나라 중장기 항만정책 방향 및 목표 설정, 국내외 항만물


류여건 전망, 중장기 물동량 예측, 그간 추진된 항만정책의 성과 및 미흡한 점
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다) 또한, 항만별 육성 방향 및 기능 재배치, 운영계획 수립, 항만별 중장기 개발규


모 산정, 개발계획 수립, 항만개발 및 운영과 연계한 항만구역 조정방안, 항만
인프라에 대한 중장기 투자 규모 및 계획 등을 수립한다.

11
(2) 대상 항만
<표 1-2>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 대상 항만

구 분 대상 항만

경인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완도항,
무역항
제주항, 서귀포항, 광양항, 여수항, 삼천포항, 통영항, 고현항, 마산항, 진해항, 옥포항,
(29개)
장승포항, 부산항, 울산항, 포항항, 호산항, 삼척항, 동해․묵호항, 옥계항, 속초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비인항, 송공항, 홍도항, 대흑산도항, 팽목항, 갈두항, 추자항,
연안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거문도항, 화흥포항, 신마항, 녹동신항, 나로도항, 중화항,
(25개)
부산남항, 구룡포항, 후포항, 주문진항, 울릉항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 대상항만의 상위 및 관련계획으로 어떤 항목들이 있는 지 이해한다.

(1) 해양수산부와 지자체의 개발계획 관련 상위계획을 위주로 하되, 이를 국가의 종합


개발계획 및 지역의 개발계획과 연계하여 검토한다.

(2)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사례

<표 1-3>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사례

구분 시행청 상위계획 보고서 발행연도


해양수산부 가덕신항만개발 기본계획 1996
해양수산부 전국무역항 기본계획(2002~2011) 2001
KMI 전국 항만물동량 예측 2005
상위계획
해양수산부 제2차(2006~2011) 전국항만 기본계획 수정계획 2006
국토해양부 제3차 전국항만 기본계획(2011~2020) 2011
국토해양부 부산항 기본계획 변경 2012
대한민국정부 제4차(2011~2020)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2011
국가종합
지역관련 국토해양부 국가 기간교통망 계획 제2차 수정계획(2011~2019) 2011
계 획 부산광역시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 2012

3. 항만물동량 전망의 종류에는 총 항만물동량, 항만별 물동량, 품목별 물동량 등이 있으


며, 각 물동량에 대한 구성 항목을 이해한다.

(1) 총 항만물동량

(가) 우리나라 총 항만물동량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2015년부터 ‘20년까지는 연평균 3.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여
제시하였다.

12
(나) 우리나라 항만물동량 전망
<표 1-4> 전국 항만물동량 전망
(단위: 백만톤(RT))

연평균 증가율
구 분 2000 2005 2010 2015 2020
2005~10 2010~15 2015~20
수출입 570 755 966 1,248 1,487 5.1% 5.2% 3.6%

연 안 267 234 244 292 322 0.8% 3.7% 1.9%

총 합 837 989 1,210 1,540 1,808 4.1% 4.9% 3.3%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 항만별 총 물동량

(가) 우리나라 전국항만 총 물동량은 2000년 836백만톤에서 2010년 1,210백만톤에서


2020년에 1,808백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나) 주요 항만별 물동량 전망


<표 1-5> 주요 항만별 물동량 전망
(단위: 천톤(RT))

연평균 증가율
구 분 2000 2005 2010 2015 2020
2005~10 2010~15 2015~20
부산항 117,229 217,217 262,070 339,288 416,721 3.8% 5.3% 4.2%

광양항 139,476 177,483 206,691 266,437 321,374 3.1% 5.2% 3.8%

울산항 151,067 162,414 171,664 228,809 252,611 1.1% 5.9% 2.0%

인천항 120,399 123,453 149,785 156,712 184,979 3.9% 0.9% 3.4%

평택․당진항 31,122 42,514 76,681 134,944 158,952 12.5% 12.0% 3.3%

포항항 51,134 54,692 63,108 75,271 84,695 2.9% 3.6% 2.4%

전 국 836,722 988,849 1,209,790 1,539,540 1,808,181 4.1% 4.9% 3.3%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3) 품목별 물동량

(가) 우리나라는 수출입 화물의 컨테이너화율 증가, 환적화물 증가 등 컨테이너 화물의


증가와 제철, 석유화학 등 관련 원자재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총물동량은 2020년까지 연평균 3.3%대의 증가세로 전망하였다.

13
(나) 품목별 물동량 전망
<표 1-6> 품목별 물동량 전망
(단위: 백만톤, %)

연평균 증가율
구 분 2000 2005 2010 2015 2020
2005~10 2010~15 2015~20
유 류 316.3 308.1 343.9 438.6 463.2 2.2% 5.0% 1.1%
컨테이너 107.9 240.2 313.7 433.6 579.8 5.5% 6.7% 6.0%
잡 화 101.1 117.0 139.7 164.3 192.1 3.6% 3.3% 3.2%
석 탄 65.4 72.4 119.1 131.8 158.9 10.5% 2.1% 3.8%
철 재 49.0 57.6 76.6 95.4 106.8 5.9% 4.5% 2.3%
철 광 석 39.3 52.4 59.7 92.7 107.5 2.6% 9.2% 3.0%
모 래 75.2 48.7 56.5 59.3 65.1 3.0% 1.0% 1.9%
자동차 18.3 30.1 39.3 43.4 48.6 5.5% 2.0% 2.3%
기 타 64.2 62.3 61.3 80.4 86.2 -0.3% 5.6% 1.4%
총 합 836.7 988.8 1,209.8 1,539.5 1,808.2 4.1% 4.9% 3.3%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다) 항만별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표 1-7> 항만별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단위: 천TEU)

연평균 증가율(%)
구 분 2000 2005 2010 2015 2020
2005~10 2010~15 2015~20
부산항 6,383 11,843 14,194 18,022 22,354 3.7% 4.9% 4.4%
광양항 678 1,461 2,088 3,560 5,405 7.4% 11.3% 8.7%
인천항 611 1,149 1,903 2,837 4,270 10.6% 8.3% 8.5%
평택․당진항 1 228 447 873 1,602 14.4% 14.3% 12.9%
울산항 236 316 336 509 729 1.2% 8.7% 7.5%
전국 7,959 15,216 19,369 27,040 36,326 4.9% 6.9% 6.1%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4. 시설확충계획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숙지하고 접안시설, 배후부지시설의 시설확충계


획의 구성항목, 수립방법 등을 이해한다.

(1) 접안시설

(가) 항만물류비용의 절감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전국 항만에 대해 화물 및 여


객, 유류, SPM 등을 포함하여 2020년까지 총 288선석의 접안시설을 추가로 확
보하는 등 2020년까지 총 1,076선석, 하역능력 1,400백만톤을 확보할 계획이다.

14
(나) 접안시설 확충계획
<표 1-8> 항만별 접안시설 확충계획
(단위: 선석, 만톤/년)

현재 시설 2011~20 확충계획 2020년 목표 공사 중


구 분
선 석 능 력 선 석 능 력 선 석 능 력 선 석 능 력
총 합 869 91,543 288 52,885 1,076 140,071 89 15,679
부 산 144 25,992 40 15,023 148 38,335 5 3,303
광 양 86 17,734 23 8,092 106 26,404 10 4,047
울 산 101 5,674 32 3,208 132 8,882 11 1,163
인 천 107 9,682 28 4,066 134 12,076 6 1,696
평택․당진 47 6,938 32 3,064 79 10,103 13 1,731
포 항 52 8,665 13 1,275 60 9,909 2 132
군 산 30 2,012 9 1,039 36 2,912 6 503
목 포 28 1,562 6 879 28 2,441 - -
동해묵호 15 2,170 7 1,895 23 4,065 - -
마 산 33 1,673 4 553 26 2,294 4 553
그 외 무역항 122 8,762 67 13,476 178 21,659 30 2,519
연안항 104 679 27 315 126 991 2 32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2) 항만부지

(가) 기업의 물류활동 지원 및 주민생활 지원시설의 건립을 위하여 기존 부지 용도 변


경, 준설토 투기장 활용, 추가 매립 등으로 전국에 총 5,177만㎡의 항만부지를 추
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나) 항만부지 확보계획


<표 1-9> 항만부지 확보계획
(단위: 만㎡)

구 분 개 소 2011~20년 확충계획 비고
합 계 51 5,177
부 산 5 1,113 신항 3단계 등
울 산 1 60 신항 북항지구 등
인 천 9 1,808 영종도 투기장 등
광 양 4 501 3단계 준설토 투기장 등
평택․당진 1 816 내항지구 등
그 외 무역항 14 820
연안항 17 59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15
 부두시설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자료 조사·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별과제를 부여하여
실습을 통해 학습내용을 숙지하고 협업·토론·자료정리·발표능력을 향상시킨다.

1. 실습을 위한 5~10명 내외로 조를 편성한다.

(1)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2) 각 조원별로 적정하게 조사항목을 분배한다.

(3) 조사내용에 대해서는 조원 간 공유하도록 하며, 조사·분석 결과는 조원들 간 토의


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2. 각 조별 예제 항만을 정해주고 조원들이 기존 항만(해양)설계 설계보고서를 선정하여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기초자료 조사·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

(1) 각 조는 샘플 설계보고서와 유사한 항만의 종류 및 규모로 예제 항만을 설정한다.

(2) 각 조의 예제 항만은 서해, 남해, 동해 등 위치를 다르게 설정한다.

(3) 예제 항만(해양)의 설계에 필요한 조사·분석 항목의 과업기간을 정리한다.

(4) 각 조는 예제 항만(해양)의 기존 유사시설 보고서를 참고하고, 미비점을 보완하여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조사·분석 항목을 정리한다.

(가) 사업 추진경위 및 근거

(나) 기초자료 조사·분석

(다)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5) 정리된 자료 조사·분석 내용에 대하여 조원들 간의 토의를 통하여 조사·분석시


유의사항, 성과의 미비점, 보완책 등을 파악하고 성과를 공유한다.

3. 각 조별 예제 항만에 대한 자료 조사·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1) 정리된 자료 조사·분석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Power Point 등을 활용한
발표 자료를 준비한다.

(2) 각 조별 발표를 시행하고, 발표 내용에 대해서 다른 조와 같이 토의하도록 한다.

(3) 결과발표를 통하여 다른 조의 과제 자료조사·분석방법, 보고서 작성방법 등을 습


득하고, 자료조사·분석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등을 정리한다.

16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타당성조사를 위한 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타당성


조사에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항만설계기준, 항만계획, 타당성분석 방법 등의
이론 교과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도록 자료정리, 데이터분석, 인터넷 자료
검색방법 등을 지도한다.

• 항만설계기준, 수요(물동량)추정, 항만계획 등 기본적인 학습을 위하여 사례소개 등을 활용한


이론 강의를 실시한다.

• 자료 조사 및 데이터 분석 자료 샘플을 중심으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지도한다.

• 부두시설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조사 자료를 수집 및 분석 할 수 있도록 조별 과제를 부여하고


스스로 자료를 검색·분류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 및 활용방법을 지도한다.

• 타당성조사의 목적에 맞게 기초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항만설계기준, 수요(물동량)추정, 항만계획 등 계획 관련 기본적인 이론 강의 학습을 통하여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용도, 자료에 관한 이해도를 증진한다.

• 과제별 필요자료에 대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조사·분석 과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자료 수집 및 분석과 관련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단순한 사업을 가정하여 개별적으로 조사·분석


한 내용을 어떤 항목을 수행할 때 적용되는 지와 연계하여 발표한다.

• 시설계획 및 수요추정 관련 자료의 범위, 활용방법 등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 프로세스에 따른 자료의 조사·분석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작성한다.

17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 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의 배경과 목적, 추진경위, 사업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지역의 자연조건과 사회·경제적 기초자료를 조
기초자료 조사·
사하여 분석할 수 있다.
분석
- 개발수요 및 요구에 따라 개략적인 사업범위를 파악
할 수 있다.
- 사업추진 상의 법적절차를 간략하게 제시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시설의 목적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통해 자료 조
사가 수행되었는지 알아보는 조사 수행과정의 적합성
기초자료 조사
- 조사 자료의 용도를 이해하고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자
료 수집여부를 알아보는 조사 자료에 대한 이해도
- 문헌 및 현장 자료 분석의 타당성
기초자료 분석 - 타당성조사 자료 분석 결과인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
인 항목에 대한 합리성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조사 자료의 용도에 대한 이해
기초자료 조사
와 자료 조사 수집 능력
기초자료 분석 - 수집 분류된 자료의 정리 및 분석 결과

18
피드백

1. 사례 연구
-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자료조사가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조사가 수행되었는 지를 평가
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조사 자료의 용도를 이해하고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자료 수집여부를 평가하고 문제점
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문헌 및 현장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인 항목에 대한 합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
을 설명해 준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조사자료의 용도에 대한 이해와 자료조사 수집능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명해 준다.
- 수집 분류된 자료의 정리 및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사항을 설명해 준다.

19
학습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LM1402010503_14v2.1)

시설물계획 수립하기
학습 2
(LM1402010503_14v2.2)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3)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4)
학습 5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LM1402010503_14v2.5)

2-1. 시설물계획 수립
• 사업목적과 시설물의 기능·용도에 따라 목표연도별 시설소요규모를 산정할 수 있다.
• 사업대상지의 여건에 부합되면서 시설 소요규모를 충족하고 장래 확장까지를 고려한
학습 목표
최적의 평면배치계획과 시설물의 종류, 구조형식 등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시설물의 입지위치 및 단계별 추진시기를 계획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계획수립의 적정성 검토

1. 관련계획, 항만시설계획의 적정성, 항만시설 규모 및 운영계획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


로 검토한다.

2. 대상 항만시설이 요구하는 시설기준의 부합 여부 등 설계기준 검토를 위해 평면 및 항


만구조물(안벽, 호안, 물양장, 방파제), 배후부지, 매립, 준설, 지반개량, 포장, 급배수․오
수, 부대시설, 건축공사, 전기 및 통신공사 등에 대한 설계의 적정성 등을 검토하여
PSC 비용의 근거자료로 활용한다.

 설계기준 검토

1. 항만시설의 설계조건은 시설의 성격 및 시설에 주어진 상황에 따라 설계기준 여건에 맞


게 선정하고 이들의 자연조건, 이용상황, 시공조건, 부재의 특성, 시설에 대한 사회적
요청, 자연환경에의 영향 등을 고려하고 시설들이 안전하게 될 수 있도록 정한다.

2. 설계파랑은 항만구조물별 구조계산 시 적용되며, 항만구조물별 파고, 주기, 파향, 재현


기간 등을 검토한다.

20
3. 대상선박의 제원은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을 참조하여 검토하여야 하며,
대상선박이 특수선박(초대형선박)일 경우 사업제안서의 대상선박 또는 국내․외 설계에
적용된 선박 제원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4. 선석 규모는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을 참조하여 검토하여야 하며, 대상


선박이 특수선박(초대형선박)일 경우 사업제안서의 선석 규모 또는 국내․외 설계에 적용
된 선석 규모를 조사하여 검토한다.

5. 적정능력 산정

(1) 항만의 하역능력은 크게 고유능력과 적정능력으로 구분되는데, 고유능력은 항만시


스템이 아무런 휴지 없이 작동된다고 가정하고 산출된 능력으로써 항만의 최대능력
을 의미한다. 즉, 모선당 시간당 능력이 연간 365일, 1일 24시간 최대 가동된다는 가
정 하에서 산출된 능력이다. 이에 비해 적정 하역능력은 현실성 있는 항만능력을 산
정하기 위해 하역장비의 이용률, 허용 가능한 대기시간 등을 감안한 접안율, 실제 가
능한 하역작업시간, 실제 가용한 안벽 작업일수 등을 고려한 것이다.

(2) 적정하역능력은 고유의 하역능력에 대하여 최적의 효율 및 허용 가능한 대기율에서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하지 않는 최적의 선석점유율, 가용한 작업일수, 시간, 장비
효율 및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장치장 점유율 등을 감안하여 안벽 및
장치장의 능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2-1] 적정하역능력의 서비스 수준

21
(3) 국토해양부는 항만하역능력의 과학화를 위해 “항만하역능력산정 재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컨테이너항만의 하역능력 재산정과 신규 개발되는 컨테이너부두의
선석길이 및 장치장폭 당 하역능력을 재산정하였다.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2판)」(KDI, 2013)의 적정하역능력은 국토해양부의
적정하역능력 산정 기준을 따르도록 하고 있다.

 시설규모

1. 항만시설 배치계획 및 배후부지시설 규모의 적정성 검토

(1) 대상항만의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을 검토하여 항만시설 배치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하


여 대상선박의 규모에 적정한 항만시설 규모를 검토한다.

(2) 수요 추정 및 연간 하역능력을 토대로 접안시설 및 배후부지시설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3) 배후부지 시설(운영건물, 야적장, CFS, Gate, 철송장, 검색기, 변전실, 창고 등)

(4) 대상항만의 사회기반시설(도로, 철도, 공급인입시설)과의 연계성을 검토한다.

2. 항만구조물 선정의 적정성 검토

(1) 토목시설은 접안시설, 호안, 물양장, 방파제, 준설, 매립, 연약지반개량, 기반시설공으
로 구분하여 검토하여야 하며, 대상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구조물별 공법 선정의 적
정성을 검토한다.

(2) 건축시설은 공간구성의 합리화, 시설별 연계성, 관리동선의 최적화, 친환경 설계를
기본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세부계획은 관리동, 화물조작장, 창고, 정비소, 정문, 전
력․통신시설, 기타 부속시설로 구분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전기 및 통신시설은 전력감시․조명자동제어 시설, 수․배전반 이상 시 유․무선 음성통


보 시설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부두 접현등, CCTV, 광역피뢰침, 신호등, 램프 등으
로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2
수행 내용 / 시설물계획 수립하기

재료·자료

Ÿ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해양수산부)

Ÿ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해양수산부)

Ÿ 과업지시서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2014년 품목별 항만물동량 예측 연구(한국해양수산개발원)

Ÿ 총사업비 관리지침(기획재정부)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KDI)

Ÿ 항만분야 수익형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조사 세부요령 연구(KDI)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기기(장비·공구)

Ÿ 공학용 계산기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 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Ÿ 컴퓨터바이러스 감염에 주의한다.

Ÿ 각종 자료는 적정한 절차를 거쳐 수집하도록 한다.

23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에서 시설물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1. 시설물계획 수립에 대한 취지와 목적이 무엇인 지 이해한다.

2. 시설물계획에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설계파, 항만시설물의 종류, 전국


항만기본계획 수립의 목적,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작성 목적 및 내용, 품목별 적
정능력 산정기준의 필요성 등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3. 시설물계획 수립에 필요한 자료의 종류, 물동량 추정자료 이용방법, 표준하역능력의 수


립목적, 트리거 룰(tragger rule)설정의 목적 등에 대해 이해한다.

 시설물계획 수립을 위한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항목, 품목별 항만물동량 예측보고서 이


용방법, 기존 항만의 물동량처리능력 조사방법, 적정하역 능력 산정방법, 시설계획 수립절
차 등에 대한 이해와 사례소개를 통하여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1. 시설물계획 수립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사례소개를 통해서 항


만시설계획을 어떻게 하는 지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2. 항만설계기준에 대한 기본적 사항에 대한 이해와 항만시설물의 종류, 항만물동량 품목,


항만시설 운영장비 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하고 사례소개를 통해서 항만시설
계획 및 설치, 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3. 물동량 추정방법과 소요규모 산정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사례소개를


통해서 시설계획 수립 방법을 이해한다.

 시설 소요규모 산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하고 설계기준, 물동량, 선석규모, 시설


소요규모 산정 절차 및 방법 등을 이해한다.

1. 시설 소요규모 산정의 기본방향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대상 항만의 “제3차 전국 무역항, 연안항 기본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과


항만시설 배치계획을 감안하여 사업목적에 부합하게 대상 선박 규모에 적정한 항
만시설 규모를 설정했는 지 검토한다.

(2) 물동량 산정 결과 및 연간 표준하역능력, 기존 부두시설 현황 등을 토대로 접안


시설 및 배후부지 시설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2. 시설 소요규모 산정에서 설계기준 검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자연조건

(가) 설계조위

- 설계조위는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4)과 최근 설계 자료에 근


거하여 결정한다.

24
- 설계고조위는 구조물의 마루높이와 잔류수위 산정 시 매립재의 다짐, 비다짐
의 수량 구분에 적용한다.

<표 2-1> 설계조위

조 위(DL.(+),cm)
구 분 기초 무역항 편차 조위표
자료 기본계획
삭망평균 만조위(H.W.L) 205.0 204.0 1.0
약최고 고조위(Approx.H.H.W) 190.6 190.6 -
대조평균 고조위(H.W.O.S.T) 178.3 178.3 -
평균 고조위(H.W.O.M.T) 152.0 152.0 -
소조평균 고조위(H.W.O.N.T) 125.7 125.7 -
평균해면(M.S.L) 95.3 95.3 -
소조평균 저조위(L.W.O.N.T) 64.9 64.9 -
평균 저조위(L.W.O.M.T) 38.6 38.6 -
대조평균 저조위(L.W.O.S.T) 12.3 12.3 -
약최저 저조위(Approx.L.L.W) 0.0 0.0 -

<표 2-2> 설계고조위 결정

구 분 산정방법 산정결과 채 택
제1방법 기왕의 고극조위 2.718m
App. HHW + 최대조위편차 2.832m
제2방법
App. HHW + 폭풍해일고 3.076m ○
제3방법 확률분석에 의한 고극조위 2.658m

(나) 설계파랑

- 설계파랑은 「전해역 심해설계파 추정보고서」(한국해양연구원, 2005)에 따른 심


해설계파의 상향에 대한 고려 및 최근 설계자료에 근거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실시설계 시에는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구조물별 설계파고를 산정하여 적용
한다.

- 설계파랑은 항만 구조물별 구조계산 시 적용되며, 항만 구조물별 파고, 주기,


파향, 재현기간 등을 검토한다.

(다) 지반조건

- 항만시설에서 지반조건은 구조물의 형식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계의 진행단계별 기준에 의거하여 시추조사, 탄성파조사 등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 품질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실내시험 등을 통하여 지


반의 특성을 분석한다.

25
- 다만, 기본계획 이전 단계에서는 시추조사를 실시하지 못한 부득이한 경우에는
주변지역의 지반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해당지역의 지층분포 및 지반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2) 이용조건

(가) 대상선박 규모

대상 선박의 제원은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4)을 참조하여 검


토하여야 하며, 대상 선박이 특수선박(초대형선박)일 경우 사업계획의 대상 선
박 또는 국내외 설계에 적용된 선박 제원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나) 하중조건

항만구조물별 하중조건은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4)을 참조하


여 검토해야 하며, 항만구조물별 APRON, 야적장, 도로 및 기타 구역으로 구분
하여 검토한다.

(3) 주변여건

대상지 주변의 항만개발현황, 접근성, 파랑조건, 시설물의 규모 결정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는 지형조건, 보상비와 연계된 양식어업현황, 인근 지역의 현황분포, 공사용
적출장, 작업여건, 재료원의 위치 등 비용 산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시행하여야 한다.

[그림2-2] 노후화된 방파제 시설현황

26
[그림2-3] 부잔교시설 시설현황

3. 시설 소요규모 산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물동량 산정

(가) 타당성조사 분석 시 항만물동량 수요는 총량적 접근방법(Top-down)과 개별 항


만별 접근방법(Bottom-up)으로 추정할 수 있다. 총량적 접근방법(Top-down)은
전국의 총항만물동량을 각 품목별 특성에 따른 계량모형을 통해 추정하고, 이
것을 전국 69개의 권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항만 기종점(O/D)에 따라 향후 권
역별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개별 입지 변화를 반영하여 체계적인(systematic) 방
법으로 배분함으로써 전국 모든 항만의 물동량을 동시에 추정할 때 사용한다.

(나) 개별 항만별 접근방법(Bottom-up)은 과업대상인 특정 항만을 대상으로 해당 항


만의 기능과 역할에 따른 배후세력권을 설정한 후 세력권 내에서 창출될 물동
량 중에서 해당 항만에서 처리하게 될 물동량을 예측하게 된다.

(다)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제2판)」(KDI, 2013)


에서 제시하는 항만수요 추정대상은 12개 전용화물 수요, 국제 및 연안여객 수
요에 한정되어 있다. 동 지침에서 제시한 설명변수(parameter)를 충분히 고려하
여 대상사업에 대한 항만수요를 예측해야 할 것이다.

(라) 연안항의 경우 대부분 연안여객과 어선들이 주로 이용하는 항만으로 화물에 대


한 수요가 크지 않다. 더욱이 연안항의 화물처리 통계는 D/B화가 미비하기 때
문에 표준적인 수요추정 지침을 제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연안항의
경우에는 현장 실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조사·분석한다. 시계열 자료의 확보가
곤란하여 시계열 분석모형 구축이 가능한 D/B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
로 연평균 증가율을 적용하여 예측하는 것으로 한다.

(2) 선석 규모

선석 규모는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양수산부, 2014)을 참조하여 검토하여야 하


며 대상 선박이 특수선박(초대형선박)일 경우, 사업제안서의 선석 규모 또는 국내외
설계에 적용된 선석 규모를 조사하여 검토한다.

27
(3) 시설 소요규모 산정

(가) 해당 항만의 시설 소요규모 산정은 해당항만의 대상사업의 품목별 물동량 산정


결과에서 해당 항만의 품목별 처리 능력을 산정한 후, 기존 항만시설로 처리할
수 없는 물동량을 대상사업의 물동량으로 한다. 이렇게 산출된 대상사업의 물
동량을 대상선박을 기준으로 한 연간 적정하역능력을 토대로 시설규모의 적정
성을 검토한다.

(나) 대상물동량을 연간 적정하역능력으로 나눈 소요선석 규모가 운영개시 목표연도


를 기준으로 0.5 이상일 경우, 소요선석을 기준으로 한 부두신설의 타당성이 있
는 것으로 한다. 소요선석 규모가 0.5 미만일 경우 해양수산부에서 적용하는 트
리거 룰(tragger rule)에 의거하여 0.5 이상이 될 때까지 운영개시 연도를 지연
시키는 부두시설 공급의 탄력적인 운영정책이다.

 평면배치 및 시설계획 수립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인지하고 평면배치계획 수립방법, 세


부시설 항목별 시설계획의 종류, 적정성 검토방법 등을 이해한다.

1. 항만시설 배치계획 및 배후부지 시설계획 검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대상 항만의 “제3차 전국 무역항, 연안항 기본계획” 등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과


항만시설 배치계획을 감안하여 사업목적에 부합하게 대상 선박 규모에 적정한 항만
시설 규모를 설정했는 지 검토한다.

(2) 수요추정 및 연간 표준하역능력을 토대로 접안시설 및 배후부지시설(운영건물, 야적


장(장치장), CFS, Gate, 철송장, 검색기, 변전실, 창고 등)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3) 기존 항만시설 및 주변 여건과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자연 및 지반조건이 고려된


운영의 안전성, 비용, 시공성 등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경제
적인 평면배치계획이 될 수 있도록 한다.

(4) 대상 항만의 사회기반시설(도로, 철도, 공급인입시설(급수, 배수, 오수, 전기, 통신, 가


스))과의 연계성을 검토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배치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한다.

28
[그림2-4] 배후단지부지 및 컨테이너부두 이용현황

출처: 국토해양부(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그림2-5] 신항만 평면배치계획

[그림2-6] 컨테이너부두 운영 현황

29
2. 시설계획의 적정성 검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방파제 시설

(가) 방파제 시설은 항내 정온도, 항로수심 유지, 해안의 흠괴(欠壞) 방지, 폭풍해일
및 쓰나미에 의한 항내 및 배후지의 수위상승 제어에 탁월하며, 친수성, 친환경
성 등을 고려한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나) 방파제시설의 건설 시 부근의 수역, 시설, 지형, 해수유동 및 환경에 미치는 영


향을 고려하여 배치 및 구조형식(직립식, 혼성제, 경사제 등)을 결정한다.

[그림2-7] 방파제 시설현황

(2) 접안시설

(가) 안벽시설은 안전하고 경제적인 구조형식을 선정하여 환경친화적인 기술을 기본


으로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나) 인접 부두의 기 개발 현황 및 장래 개발과의 연계성 및 시공성을 충분히 고려


한 구조형식을 선정한다. 장래 선박의 대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접안이 가능한
선석수심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제1안 제2안 제3안


구 분
콘크리트 블록식 잔교식 케이슨식

단 면
형 상

–공종이 단순하여 시공성 우수–반사파 저감에 유리 –내구성 유리


단 면 –국내 시공경험이 풍부 –대규모 천공 필요 –국내 시공경험이 풍부
특 성 –반사파 저감에 불리함 –경제성이 다소 불리 –안정성이 우수하며, 인접부두
–유지관리 보통 –유지관리 불리 와 연계성에서 우수
–유지관리 우수○
선정
[그림2-8] 안벽 구조형식

30
제1안 제2안 제3안
구 분
일반 케이슨식 평면 Slit케이슨식 다각 Slit케이슨식

단 면
형 상

–내구성 및 유지관리 측면 –내구성 양호 –내구성 양호


유리 –국내 시공경험이 다소 있음 –최신 구조형식으로 대산항 1
단 면 –국내 시공경험이 풍부 –안정성 및 경제성이 다소 단계 2차 시공중
특 성 –시공성 및 인접부두와 연계 유리 –안정성 및 경제성이 월등히
성에서 우수 –인접부두와 연계성에서 우수 우수
–반사파 제어기능이 양호
선정 ○
[그림2-9] 케이슨 구조형식

(3) 호안시설

호안시설은 부지매립에 따른 토압에 대한 안정성과 장래 인접 부두 개발과의 연계성


및 시공성을 충분히 고려한 구조형식(직립식, 혼성제, 사석경사제 등)을 선정한다.

(4) 준설 및 투기계획

(가) 준설계획은 자연조건과 지반조건을 사전에 충분히 조사하고 준설목적, 준설토


량, 공사기간, 투기조건 및 장소와 공사지역의 여건 등을 감안하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준설방법과 준설장비의 선정, 적정 선단 배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준설구역은 안벽 및 호안, 물양장, 방파제 등의 기초굴착과 박지준설, 항로준


설로 구분된다.

- 인접 부두의 기 수행된 수치모형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준설심도를 결정한다.

- 대상 선박의 규모에 따라 박지준설의 심도를 결정한다.

- 준설공법은 토질 특성, 투기거리 등 공사여건을 반영하여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준설장비(펌프준설, 그래브준설, 호퍼준설) 투입계
획을 수립한다.

(나) 대상 항만에서 발생되는 준설토(기초굴착, 항로 및 박지 준설)의 처리를 위하여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인접지역의 준설토 투기장 현황 및 투기계획)을 검토하
여 준설토 투기계획을 수립한다.

31
(5) 기반시설

(가) 포장시설

- 대상 항만 부두의 운영방식, 장비 사용성,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포장형식


을 선정한다.

- APRON 구간은 중차량에 대한 적응성을 고려하여 강성포장으로 계획을 수립


하고, 야적장 구간은 부분 보수가 용이하고 품질관리가 용이한 연성포장으로
계획을 수립한다.

(나) 급수시설은 대상 항만에 급수가 가능한 배수지를 선정하여 용수공급계획을 수


립하여야 하며, 급수관종은 염해피해, 유지관리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급수관
정을 선정한다.

(다) 배수시설은 배후부지를 포함하여 배수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우수배제방식은


시설유지관리,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등을 감안하여 배수방식(분류식, 합류식)을
결정한다.

(라) 오수시설은 인근 지역의 오수처리가 가능한 오수처리장을 선정하여 오수처리계


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오수처리장의 확보가 곤란할 경우 자체 정화설비를 설
치하여 오수처리계획을 수립한다.

(마) 방충재 및 계선주는 대상 선박의 규모 및 항만구조형식에 적정한 규모로 설치


하여야 하며, 접안력 및 계류력을 고려하여 안정한 형식으로 계획한다.

구 분 Cell Type TTV Type BP Type

형상

규격
–패널설치로 선박에 작용–패널설치로 선박에 작용
1,400H(2EA) 1,600H×3,000L 1,300H×2,500L

하는 접지압 분산 하는 접지압이 분산되나–방충재 접지면적이 적어


–방충재 전면이 벽체이므 패널이 작아 Cell Type보 조선자가 느끼는 안정감
안정성 로 조선자가 느끼는 안정 다 불리함 이 불안
감 우수 –방충재 전면이 벽체이므–반력이 크므로 구조물 안
–반력이 작아 구조물 안정 로 조선자가 느끼는 안정 정에 불리함
–에패널유리설치로 선체 유동에–감패널우수설치로 선체 유동에–선박이 고무방충재에 직접
유지관리 따른 탄력성이 양호하므 따른 탄력성이 양호하므 접촉하여 방충재 파손이
로 유지관리 유리 로 유지관리 유리 잦으므로 유지관리 불리
선정 ◉
[그림2-10] 방충재 구조형식

32
구 분 곡 주 Quick Release Hook Horn Type

형상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임 ––선박의 신속이격 가능


–국내 주문제작
특성
–유지보수 유리 –유류부두에 주로 이용 –국내 적용사례 없음
계류시 모니터링 가능

선정 ◉
[그림2-11] 계선주 구조형식

(6) 연약지반개량

대상 항만의 연약지반 토층분포, 심도, 토질조건 및 상부 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반개량 구역 및 공법을 선정한다.

(7) 건축시설

(가) 건축시설은 공간구성의 합리화, 시설별 연계성, 관리동선의 최적화, 친환경 설


계를 기본으로 계획한다.

(나) 관리동, 화물조작장, 창고, 정비소, 정문, 전력․통신 시설, 기타 부속시설로 구분


하여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다) 야드 내 작업공간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고 통행차량, 통행장비 동선과의 교


차를 최소화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한다.

(라) 개별 화물, 운송용 트럭, 승용차, 야드장비 등 기능에 따른 동선 분리를 고려


한다.

(8) 전기통신시설

전기 및 통신시설은 전력감시․조명자동제어 시설, 수․배전반 이상 시 유․무선 음성통


보시설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부두 접현등, 모니터링 CCTV, 광역피뢰침, LED 신호
등, 고효율 램프 등으로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 한다.

3. 운영장비의 적정성(컨테이너부두 기준)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안벽장비(C/C)

(가) C/C는 안벽에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양적·하 하는 장비로써 안벽에


설치된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장비이다.

(나) 크레인의 소요 대수 산정은 장치 단적수와 장치기간에 따른 장치장 능력의 계


산 후 이를 기준으로 터미널 능력이 산정되면 선석에 설치할 크레인 소요 대수
를 산정할 수 있다.

33
(2) 야드장비(RMGC, RTGC)

(가) 야드장비는 장치장에 설치된 레일 및 주행로를 주행하며, 전원공급을 위한 케


이블 릴을 장착하고 운전실이 부착된 트롤리는 자주식으로 횡행운전하여 컨테
이너를 Yard Chassis에 권상, 권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장비이다.

(나) 야드장비의 소요 대수 산정은 부산항 신항만 시뮬레이션 결과를 참조하면 야


드장비 시스템의 경우 C/C 1기당 3.22대의 야드장비가 배치될 때 가장 효과적
인 것으로 제시되어 이를 기준으로 야드장비 소요 대수를 산정할 수 있다.

(3) 기타 운영장비

기타 운영장비는 선박과 장치장 사이의 이송작업을 위한 야드 트랙터, 야드 샤시


가 필요하며, 공컨테이너, 위험물컨테이너, 특수 컨테이너 장치장에서는 리치 스태
커가 필요하다.

 사업의 추진계획 수립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습득하고 사례소개를 통해서 건설기간, 사


업비, 공정투입계획 등 관련 내용을 이해한다.

1. 연차별 투자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사업계획의 목표연도를 기준으로


설계단계 및 시공단계에 소요되는 예정공정을 수립한다.

2. 설계단계는 시공단계에 앞서 시행되어야 하는 단계로 공사설계를 위한 기간을 의미하


며, 설계단계의 예정공정에 따라 부대비(설계비, 조사 및 측량비, 감리비)를 배분하여
산정한다.

3. 건설기간 중 연차별 투자비는 총건설기간을 고려하여 예정공정에 따라 공종별 공사비를


배분하여 연차별 투자비를 산정한다.

4. 유지운영비는 예비타당성조사 사업계획의 목표연도(개장연도)부터 계약된 운영기간 동


안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5. 대체투자비는 해당 설비의 내구연한에 따라 재투자가 필요한 시점에 반영하고 분석기간


말년에는 설비의 잔존가치와 토지의 잔존가치를 음(-)으로 반영한다.

6. 연차별 투입계획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계획과 포함되지 않은 계획을 각각 제시한다.


<표2-3> 연차별 투입계획
(단위: 백만원)
운영 대체
구 분 공사비 부대비 설비비 보상비 예비비 운영비 투자비 합계
2017
2018
․․․․․
2049
2050

34
 타당성조사단계에서 시설물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조별과제를 부여하여 실습을 통해 학
습내용을 숙지하고 협업·토론·자료정리·발표능력을 향상시킨다.

1. 실습을 위한 5~10명 내외로 조를 편성한다.

(1)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2) 각 조원별 적정하게 시설계획수립 조건 및 대상항만을 분배한다.

(3) 조사 및 계획수립 내용에 대해서는 조원 간 공유하도록 하며, 조사·분석 결과 및


시설물수립 계획은 조원들 간 토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2. 각 조별 예제 항만을 정해주고 조원들이 기존 항만(해양)설계 설계보고서를 선정하여


시설물계획 수립을 위한 단계별 자료 분석결과 및 시설물계획을 제시하도록 한다.

(1) 각 조는 샘플 설계보고서와 유사한 항만의 종류 및 규모로 예제 항만을 설정한다.

(2) 각 조의 예제 항만은 서해, 남해, 동해 등 위치를 다르게 설정한다.

(3) 예제 항만(해양)의 시설계획 수립에 필요한 과업기간을 정리한다.

(4) 각 조는 예제 항만(해양)의 기존 유사시설 보고서를 참고하고, 제시된 조건을 바탕


으로 시설물계획수립에 필요한 물동량 추정, 기존 항만시설 처리능력, 적정처리능
력, 소요선석 규모 등 조사·분석 결과를 정리한다.

(가) 시설물계획수립에 필요한 물동량 추정

(나) 기존 항만시설 처리능력 조사·분석

(다) 적정처리능력 조사

(라) 소요 선석 규모 산정 결과제시

(5) 정리된 결과물에 대하여 조원들 간의 토의를 통하여 조사·분석 및 계획수립 과정


의 유의사항, 성과의 미비점, 보완책 등을 파악하고 성과를 공유한다.

3. 각 조별 예제 항만에 대한 조사·분석 및 시설계획수립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1) 정리된 조사·분석 및 시설계획수립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Power Point
등을 활용한 발표 자료를 준비한다.

(2) 각 조별 발표를 시행하고, 발표 내용에 대해서 다른 조와 같이 토의하도록 한다.

(3) 결과발표를 통하여 다른 조의 과제 조사·분석방법, 시설계획 수립, 보고서 작성방


법 등을 습득하고, 과제 작성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등을 정리한다.

35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시설물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


고, 시설물계획 수립에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항만설계기준, 물동량 추정, 적정하
역능력 산정기준, 소요규모 산정방법 등의 이론 교과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도를 증진시
키도록 지도한다.

• 항만설계기준, 수요(물동량)추정, 적정하역능력 산정기준, 소요규모 산정방법, 시설물계획 수립


등 기본적인 학습을 위하여 사례소개 등을 활용한 이론 강의를 실시한다.

• 항만시설물의 종류, 항만물동량의 품목, 항만설계기준 활용방법 등을 지도한다.

• 부두 시설물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분석의 조건을 제시한 조별 과제를 부여하고 스스로 자료


조사·분석하고 분석 데이터 활용방법을 익히고 시설물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무
적응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타당성조사의 목적에 맞게 시설물계획 수립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항만설계기준, 수요(물동량)추정, 적정하역능력 산정기준, 소요규모 산정방법, 시설물계획 수립


등 계획 관련 기본적인 이론 강의 학습을 통하여 시설물 계획에 관한 이해도를 증진한다.

• 과제별 필요자료에 대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조사·분석 및 시설물 계획 과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 지 알아본다.

• 자료 수집 및 분석과 관련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수행하였는 지 과정도 병행하여 발표한다.

• 설계파의 종류, 항만시설물 종류, 항만물동량 품목, 물동량, 적정하역능력, 소요규모 산정, 트리거
룰 등의 기본적인 내용 및 활용방법 등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 프로세스에 따른 시설물계획 수립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작성한다.

36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목적과 시설물의 기능·용도에 따라 목표연도별
시설소요규모를 산정할 수 있다.
- 사업대상지의 여건에 부합되면서 시설 소요규모를 충
족하고 장래 확장까지를 고려한 최적의 평면배치계획
시설물계획 수립
과 시설물의 종류, 구조형식 등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시설물의 입지위치 및 단계별 추진시기를 계획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시설의 목적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통해 조사·
분석이 수행되었는 지 알아보는 수행과정의 이해도
- 시설 소요규모 산정 방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조
사·분석을 수행하였는 지 분석결과에 대한 적합성
시설물계획 수립
- 시설 소요규모를 활용한 시설계획 및 평면배치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적합성
- 시설물계획 수립 결과인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인 항
목에 대한 논리의 적합성 및 표현 능력

37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 물동량추정, 적정하역능력산정기준, 시설소
요규모 산정에 대한 이해도 및 연계방법 인지 여부
시설물계획 수립
- 평면배치계획 및 시설물계획의 계획수립 절차, 계획수
립 방법에 대한 이해도, 계획수립 논리의 합리성

피드백

1. 사례 연구
- 설계기준, 물동량 추정, 품목별 적정하역능력 산정, 시설소요 규모 산정에 대해 전반적
으로 이해하고 있는 지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시설 소요규모 산정에 필요한 항목별 분석 자료에 대한 용도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지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인 항목에 대한 합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
을 설명해 준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설계기준, 물동량추정, 적정하역능력산정기준, 시설소요규모 산정에 대한 이해 및 연계
방법인 지 여부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명해 준다.
- 시설소요규모 산정 결과를 이해하고 적정한 시설물계획 수립에 대한 이해 및 활용방법
을 인지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사항을 설명해 준다.

38
학습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LM1402010503_14v2.1)
학습 2 시설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3_14v2.2)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3)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4)
학습 5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LM1402010503_14v2.5)

3-1. 수요 추정
•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항만(해양) 개발수요를 추정하고 수요추정치에 대한
학습 목표
적정성을 판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항만수요추정의 개요

1. 항만시설은 국민의 생산 및 소비활동, 부가가치 창출 및 국민복지 증진 등 국가의 경제


사회 전반에 끼치는 영향이 지대하며, 공공제의 성격이 큰 국가의 주요 기간산업시설로
분류할 수 있다.

2. 항만시설의 정비 및 확충은 방대한 규모의 투자를 수반하게 되며, 항만시설 건설에 따


르는 리드타임(lead time)이 길기 때문에 실수요의 발생시점에 앞서 충분한 공사기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3. 과거의 실적과 미래의 비전이 투영된 중장기 항만수요의 합리적 예측과 이에 기초한 사
전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4. 항만에 대한 수요 추정은 항만개발규모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분석을 통해 항


만투자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게 된다.

 항만수요 추정의 절차

1. 관련기관의 역할

(1) KMI 항만수요예측센터는 항만 기본계획을 위한 물동량뿐만 아니라 트리거룰(Trigger


Rule·물동량 연동 항만개발제도)를 위해 매년 항만 물동량의 연도별 중장기를 예측
하여 항만개발계획에 반영하고 있다.

39
(2) KMI 항만수요예측센터는 매년 전국항만의 여건변화를 반영하여 장래 항만물동량을
수정・예측하기 때문에 항만부문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5년 단위로 발표하는 항
만 기본계획뿐만 아니라 최신 예측치도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2. 항만수요 추정절차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항만물동량 수요는 총량적 접근(Top-Down)과 개별 항만별 접근방법(Bottom-Up)의


두 가지 방법에 추정될 수 있다.

(2) 총량적 접근방법(Top-Down)은 전국의 총 항만물동량을 각 품목별 특성에 따른 계량


모형을 통해 추정을 하고 이것을 전국 69개의 권역을 중심으로 구성된 항만 기종점
(O/D)에 의거하여 향후 권역별 산업단지 개발계획 및 항만별 입지여건 변화를 반영
하여 체계적인(systematic) 방법으로 배분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전체 항만 물동량을
동시에 추정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3) 개별 항만별 예측방법(Bottom-Up)은 과업대상인 특정 항만을 대상으로 해당 항만의


기능과 역할에 따른 배후세력권을 설정한 후 세력권 내에서 창출될 물동량 중에서
해당 항만에서 처리하게 될 물동량을 예측하게 된다.

3. 항만수요 추정방법별 단계별 세부추정절차

(1) 총량적 접근방법(Top-Down)

(가) 전국 총항만물동량을 32개 품목별로 예측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물동


량과 비컨테이너 물동량을 추정해야 한다.

(나) 전국총량으로 예측된 컨테이너 및 비컨테이너 물동량을 이용하여 각 항만의 과


거 항만물동량 처리실적, 항만별 배후산업단지 조성계획 및 지역경제․산업여건
변화, 대규모 교통시설 계획 등을 고려하여 개별항만의 물동량을 추정해야 한다.

(2) 개별 항만별 예측방법(Bottom-Up)

(가) 개별 항만별 예측방법(Bottom-Up)은 국가단위의 품목별 물동량을 예측해서 일정


한 기준에 의해서 항만별로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항만에서 처리하는 품목
들에 대한 과거 실적치와 다양한 설명변수를 사용하여 품목별로 추정한 후 모든
항만의 추정치를 합산하여 전국 단위의 물동량을 산정한다는 것이다.

(나) 장래 항만물동량 예측치를 크게 기존 발생물동량(타 항으로부터의 이전가능 물


동량 포함), 신규 산업단지 발생물동량 및 항만배후단지 및 산업단지 조성에 의
해 창출되는 물동량 등 3가지로 구분하여 물동량을 산출하고 이를 기존 결과와
비교한다.

40
물동량 예측

신규조성 산단 배후물류단지
기존 발생물동량
발생물동량 창출 물동량

현행 이전 가능 배후단지
신규
항만물동량 물동량 창고시설,
산단
유통단지입지
조성
가능성
계획
기존 통계 설문 및
조사
전산자료 현장심사

업종별 화물발생 물류기지 입지에


과거 화물 이전가능 물동량
원단위 및 따른 화물발생량
처리실적 기준 조사·분석
수입투입계수 적용 추정

개별 항만 물동량 예측
기본계획
물동량
예측치와
비교
전국단위 물동량 산정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 3-1] 개별항만별 접근방법(Bottom-Up)의 수요예측

 항만수요 추정방법

1. 항만수요 추정대상은 컨테이너 및 일반잡화 수요, 국제 및 연안여객 수요 등 12개 전용


화물 별 수요를 추정해야 한다.

2. 연안항의 경우에는 현장 실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조사·분석하고, 시계열 자료의 확보


가 곤란하여 시계열 분석모형의 구축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근 5년간의 연평
균 증가율을 적용하여 예측하는 것으로 한다.

41
수행 내용 / 수요 추정하기

재료·자료

Ÿ 품목별 항만물동량 예측 연구(KMI 각 년도)

Ÿ 항만기본계획(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해양수산부)

Ÿ 해양수산부 발간 각종 통계연보 및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SP-IDC)

Ÿ 우리나라 인구 추계현황(통계청)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Ÿ 연안해운통계(해운협회)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KDI)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회기분석모형(VMR: variable mean response)

Ÿ 자기회귀 확률과정모형(AR process model)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 통계청, KDI, 한국은행 등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수요추정 모형의 기본적인 이론을 알아본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를 고려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42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에서 항만수요 추정의 개요 및 전제조건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타당성조사를 위한 항만수요 추정의 개요는 “학습내용 3-1의 필요지식”을 참조하여


수요추정의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2. 항만 수요추정의 적용범위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을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에서는 무역항과 연안


항으로 구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장관은 무역항을 체계적,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하여 수출입 물동량, 개발계획, 지역균형발전 등을 감안하여 국가관리무역항(14
개)과 지방관리무역항(17개)으로 구분하고, 연안항 역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
리·운영하기 위하여 지역의 여건 및 특성, 항만기능 등을 고려하여 국가관리연안
항(11개), 지방관리연안항(18개)으로 구분하고 있다.

(2) 수요추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사업은 무역항, 여객부두 및 터미널만으로 한정한다.


또한, 연안항 및 어항에 대해서는 적용을 제외한다.

(3) 이는 연안항의 성격은 수출입 화물의 취급이 주기능인 무역항과 달리 도서민 정주


체계 확보 및 연안항 주변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기능이 주가 되기 때문이다.

3. 수요추정을 위한 권역(Zone) 설정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전국의 권역구분은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 가능성 및 개별 항만수요 산출의 합목


적상 시․군 행정구역을 기준(제주도 제외)으로 69개의 소권역으로 나누는 것이 합리
적이며, 이를 다시 30개의 중권역 및 9개의 대권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2) 수출입 화물통행량 기종점(O/D) 자료는 69개의 권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전국 교통수요 기종점(O/D) 132개 죤구분 내역보다 구분단
위가 크다. 따라서, 전국 교통수요 기종점(O/D)의 죤(Zone)구분 내역은 수출입화물통
행량 기종점(O/D) 권역구분 내역의 체계를 따르기로 하고, 132개의 권역을 69개의
권역으로 통합하였다.

(3) 여기서, 전국 교통수요 기종점(O/D)의 죤(Zone)구분 내역을 수출입화물통행량 O-D의


죤구분 내역에 따라 통합할 경우 항만물동량의 특성을 고려해 69개의 권역을 다시
63개의 권역으로 통합할 수 있다.

4. 화물부두의 품목구분 방법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항만별 품목별 물동량은 1993년까지는 17개 품목으로 분류하였으며, 1994년부터 이


를 32개 품목으로 확대해서 분류하고 있다. 32개 품목은 관세청의 수출입화물 분류
방법인 HS(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체계를 기준으로 분
류한 것이다.

43
(2) 해양수산부의 품목분류는 관세청의 품목번호 분류 기준인 32개 품목으로 재구성하
고 있다. 소분류의 32개 품목은 전용부두별 개발규모를 산정하기 위하여 12개 품목
전용부두로 분류할 수 있다.
<표 3-1> 전용부두별 품목구분

전 용 부 두 소 분 류
양 곡 부 두 양 곡
시 멘 트 부 두 시멘트
석 탄 부 두 석 탄
목 재 부 두 목 재
모 래 부 두 모 래
철 광 석 부 두 철광석
자 동 차 부 두 자동차
고 철 부 두 고 철
철 재 부 두 철 재
유류, 기타광석, 음료 및 주류, 어패․갑각류, 비철금속, 기계부품,
일 반 잡 화 부 두 전기기기, 항공기․선박부품, 육류, 제분생산품, 기타동식물성
생산품, 화학생산품, 플라스틱․고무류, 피혁류, 방직용 섬유, 기타
컨 테 이 너 부 두 컨테이너화물
유 류 부 두 원유 및 석유, 석유정제제품, 석유가스류

5. 수요추정을 위한 사회․경제적 지표의 연관성 및 활용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


한다.

(1) 항만수요는 화물 및 사람의 이동, 위락시설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파생수요


(derived demand)로써 사람 및 화물의 이동과 관련한 토지이용, 인구 및 고용자 수,
산업활동 등 사회․경제적 지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항만수요 분석의 경우 사회․경제적 자료가 가장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항만수요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사회․경제적 지표로는 인구, 국내총생산
(GDP), 지역총생산(GRP), 지역의 산업구조 등을 들 수 있다.

(3) 사회․경제적 지표들에 대한 중장기 예측치는 기본적으로 이들 지표의 산출 및 예측


을 담당하고 있는 통계청, KDI 및 한국은행의 공식적인 자료를 반영하되 IMF나
WEFA, OECD, World Bank, EIU, IHS Global Insight 등 관련 외국연구기관의 예측치도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 타당성조사의 기본이 되는 항만수요 추정 절차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타당성조사에서 항만 수요추정 절차는 전항 필요 지식의 “항만수요 추정의 절차”를 참
조하여 수행절차의 일반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의 기본이 되는 항만수요 추정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44
항만수요 추정대상은 12개 전용화물 중 컨테이너 및 일반잡화 화물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자 한다.

1. 컨테이너 화물수요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컨테이너 운송의 형태(수입, 수출, 환적, 연안)별 특징에 따라 각 형태별로 다른 예측 방법
을 적용한다.

(1) 수출입 물동량

(가) 컨테이너 물동량은 크게 적컨테이너와 공컨테이너로 나눌 수 있는데, 적컨테이


너의 경우 상품의 직접적인 수출입에 의해 발생하며, 공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회수 및 반출 차원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적컨테이너는 GDP와 상관관계가 있지
만, 공컨테이너는 적컨테이너의 수출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나) GDP를 이용하여 수출 적컨테이너 물동량과 수입 적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하


고, 수출과 수입 적컨테이너 물동량 차이를 이용하여 공컨테이너 물동량을 예
측한다. 적컨테이너 물동량과 공컨테이너 물동량을 서로 더함으로써 수출입 컨
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한다. 수입 및 수출 적컨테이너 물동량의 예측 모형은 다
음과 같다.

<표 3-2> 수출입 적컨테이너 추정모형

구분 추정모형 결정계수
수입
ln _      × ln  
적컨테이너
수출
ln  _      × ln  
적컨테이너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다) 공컨테이너는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


며, 이밖에 국내에서 생산된 컨테이너 용기의 수출과 일부 중고 컨테이너 용기
의 수출입 물동량이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용기의 생산이 대부분 중국으로 이
전됨에 따라 공컨테이너는 수출입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공컨테이너 수입은 수출된 컨테이너의 회수, 공컨테이너 수출은 수입컨테
이너의 반출로 인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수출입 적컨테이너 물
동량 수입 및 수출 적컨테이너 물동량의 차이, 전년도 공컨테이너 물동량을 설
명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구축 후 공컨테이너 물동량을 예측한다.

45
<표 3-3> 수출입 공컨테이너 추정모형

구분 추정모형

          
컨테이너

주)  은 수입 적컨테이너 물동량과 수출 적컨테이너 물동량의 차이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2) 환적 물동량

(가) 부산항과 광양항의 경우, 주요 환적 물동량 발생 국가의 GDP 및 기항 선사의


전략(기항지 변경 등), 주변 국가의 항만 정책 변화 등을 반영한다. 기항 선사의
전략 및 주변국의 항만 정책 등은 더미 변수 형태로 모형에 포함되어야 한다.

(나) 인천항, 평택․당진항, 울산항 등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이 적은 항만은 과거 수출


입 컨테이너 물동량 대비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비율에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치를 곱하여 환적 물동량을 예측한다. 결국 환적물동량은   가 된다.

이때 i는 1에서 n까지이다.

<표 3-4>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추정 모형

구 분 추정모형 결정계수
중국      ×    × 
북미      ×    × 
일본      ×    × 
기타 국가      ×    × 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3) 연안 물동량

(가) 연안 컨테이너 물동량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예측한다. 첫째, 수출입화물의 피


더운송으로 인한 발생 물동량, 둘째, 제주-내륙 간 연안 물동량, 셋째 수도권-
남부권 간 국내화물의 연안 운송으로의 전환 물동량이다.

(나) 연안 컨테이너 물동량은 수출입화물의 피더선 운반으로 인한 발생이 많기 때문


에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 대비 연안 컨테이너 물동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주
로 예측한다.

46
2. 일반잡화 물동량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수출·입 물동량

(가) 일반잡화(16개 품목)의 수입물동량은 다양한 품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물동


량 예측에 있어서 품목의 특징을 반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각 항만
의 배후 지역 GRDP를 적용하여 원단위 물동량을 추정하는 Bottom-Up 방법을 활
용하여 예측한다.

(나) 항만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사회·경제적 지표 중 권역별


(Zone) 지역총생산(GRDP)을 고려하여 항만물동량을 예측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다) 항만별 잡화(16개 품목) 물동량 비중의 5년 평균(‘05∼’09)이 1% 이상인 항만에 대


해서 GRDP 원단위를 적용하며, 이 경우 3년 가중 평균의 원단위(물동량/GRDP)를
기준 값으로 하여 추정한다. 항만별 잡화(16개 품목) 물동량 비중의 5년 평균(‘05
∼’09)이 1% 미만인 항만은 5년간 평균 항만물동량을 예측값으로 사용한다.

(2) 연안물동량

(가) 제주항은 연안 카페리 처리 물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연안 카페리 처리 물동량을


제주도의 지역총생산(GRDP)으로 나눈 원단위 값을 적용하여 사용하여 예측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나) 기타항 연안물동량은 (기타항 물동량/기타항 제외 항만의 물동량) 최근 10개년 평


균치를 기준값으로 설정한 후, 기타항 제외 항만 물동량 예측치를 곱하여 연안물
동량을 예측해야 한다.

47
3-2. 비용 추정
• 항만(해양) 개발수요에 따라 사업내용을 구체화하고 각 시설별 공사비를 산정하여
학습 목표
개략적인 총사업비를 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비용추정

1. 개요

기본적으로 항만사업 타당성조사의 비용은 공사비, 부대비 등 건설기간 중에 발생하는


비용과 운영기간에 발생하는 운영비로 구분할 수 있다.

2. 비용항목

(1) 총사업비는 공사비와 조사비, 설계비․ 감리비 등이 포함된 부대비, 어업권보상비, 용


지보상비 등이 포함된 보상비로 구성된다. 운영비는 인건비, 일반경비, 운영관리비,
유지관리비 등으로 구성된다.

(2) 운영비는 인건비, 일반경비, 운영관리비, 유지관리비 등으로 구성된다.

<표 3-5> 항만부문 사업의 비용항목

구분 항목
공사비
설계비
부대비 감리비
조사 및 측량비
총사업비 용지보상비
보상비 어업권보상비
기타보상비
비용 운영설비비
예비비
운영관리비
유지운영비
유지관리비
운영비 인건비 및 일반경비
유지준설비
대체투자비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48
 총사업비 추정

1. 공사비 추정

(1) 제공사비에는 항만기능의 역할 수행을 위한 모든 시설물에 대한 건설비용이 포함되


어야 한다. 기초준설, 안벽, 항로준설 등의 토목공사비뿐만 아니라 시설의 운영을
위한 운영건물 건축비 등 상부시설 공사비도 포함되어야 한다.

(2) 공사비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의 규정에 의한


재료비, 노무비, 경비, 일반관리비 및 이윤으로 구성되며, 공사비 항목 중 이윤 및
매입 부가가치세는 이전지출로 가정하여 경제성 분석 시에 비용항목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2. 부대비 추정

(1) 타당성조사 부대비는 설계비(기본설계비, 실시설계비), 감리비, 측량비 및 조사비로


구분한다.

(2) 타당성조사에서 부대비는 ‘공사비요율에 의한 방식’을 적용하는데, 이는 공사비


에 일정 요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에 부가가치세를 합산하여 대가를 산출한다. 다
만, 사전계획의 구체화 정도나 각 사업의 특성에 따라 관련법이나 고시에 제시하는
‘정액적산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보상비 추정

(1) 항만부문의 보상비는 부지매입 이외에도 용지구입, 지장물보상, 이주대책, 임차, 지


역권, 광물취득권, 어업권보상 등을 포함한다.

(2) 보상비와 관련하여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과 수산업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규정된 보상기
준을 준용한다.

4. 운영설비비 추정

(1) 운영설비는 크게 하역장비, 야드 내 운송장비, 운영정보시스템 등으로 구분되는데,


주무관청이 적정 규모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을 선정하여 효율적인 운영설비
계획을 수립하였는 지 검토해야 한다.

(2) 운영설비는 사업의 규모 및 운영계획을 감안하여 운영기간 중 필요한 운영설비의


취득가액을 산정한다.

(3) 하역장비의 단가는 정부의 물가자료나 제조업체의 자료 등을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하역장비 단가자료의 제공이 어려울 경우 유사 사례를 조사하여 하역장비
단가를 적용한다.

49
 운영비 추정

1. 정부의 운영비 산정

(1) 운영단계의 비용부담 주체는 계약에 따라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재정사업에서 정부는


하부시설 건설비용 및 유지준설을 포함한 하부시설 유지관리비를 부담하고 부두시설에
대한 임대수수료를 받는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2) 부두 운영회사는 상부시설을 설치하고 부두를 운영하며, 선사 및 화주로부터 사용


료를 운영수입으로 받는 20∼30년간의 장기 운영계약을 체결한다.

<표 3-6> 투자 주체에 따른 운영비 구분

항 목 정부(항만공사) 민간 운영사
인건비 - ○
제경비 - ○
운영관리비(정부지출비용) ○ -
유지관리비 ○ ○
대체투자비 - ○

2. 장비 대체비 산정

(1) 장비 대체비는 총사업비에서 추정한 운영설비비를 기준으로 각 장비별 내용연수를


감안하여 해당 연도에 투입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2) 내용연수는 국제연합무역개발협의회 (United Nations Conference Trade Development:


UNCTAD)에서 제공한 기준과 항만부문 민간투자사업의 운영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한국개발연구원, 2009) 등에서 제시된 내용을 참고하여 결정한다.

50
<표 3-7> 주요 항만 시설 및 장비의 내용연수

시설 및 장비 내용연수 시설 및 장비 내용연수
Breakwaters 50 Ship-loader 25
Wharfs : Stacker and Reclaimers 25
- Concrete 40 Belt conveyors 20
- Steel 25 - Belts 3
- Rubber fenders 10 - Idlers 7
Tug 20 Mobile mechanical shovels 6
Pilot launches 20 Straddle-carriers 6
Warehouse and sheds 25 Tractor and trailers 8
Crane Ro/ro ramps 15
- Grabbing 20 Fork-lift trucks 8
- Quay 20 Dump trucks 6
- Gantry 15
- Mobile 8
- Mobile tower 15
- Floating 20

출처: UNCTAD(1985), Port Development, UNCTAD.

수행 내용 / 비용 추정하기

재료·자료

Ÿ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

Ÿ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Ÿ 과업지시서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설계내역서 등 각종 설계도서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Ÿ 총사업비 관리지침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KDI)

Ÿ 항만분야 수익형 민간투자사업 적격성조사 세부요령 연구(KDI)

51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항만부문 적산 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Ÿ 컴퓨터바이러스 감염에 주의한다.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에서 발생하는 총사업비 및 운영비 등 비용의 세부항목을 이해한다.

1. 타당성조사를 위한 비용 추정의 개요는 “학습내용 3-2 필요지식”을 참조하여 비용추


정의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2. 타당성조사에 관련된 총사업비 산출단계의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비용은 총사업비와 운영비로 구분하며, 총사업비는 공사비, 부대비, 보상비, 하역장비비,


예비비로 구분한다. 보상비는 항만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용지보상비, 어업권보상비,
기타 보상비로 구분하여 사업의 특성을 반영한다.

(1) 사업계획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초자료조사(현황조사 및 현지조사), 관련 계획


및 관련 법규 등을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연구진은 사업계획이 적절하게 수
립되어 있는 지, 사업추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없는 지를 판단해야 한다.

(2) 제시된 사업의 평면배치계획 및 시설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보완해야 한다. 사업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누락되었거나 중
복되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보완할 수 있다.

(3) 사업계획의 공종별 표준단면도를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보완하여야 한다. 만


약 사업계획에 표준단면도가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 유사 사례를 조사하여 안정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표준단면도를 설정해야 한다.

52
(4) 사업계획의 공종별 수량 및 단위 공사비 산출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보완하
여야 한다. 만약 사업계획에 공종별 수량 및 단위 공사비가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
기존 유사 사례를 조사하여 세부 공종별 수량 및 단위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업계획에 따라 건축, 전기․통신, 상부시설의 규모를 검토하고 공사비를 추정한다.

(5) 추정된 공사비를 바탕으로 설계비, 감리비 등 해당 공정에 필요한 부대비를 추정한다.

(6) 보상비는 해당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고 비용을 추정한다. 항


만사업은 바다를 매립하여 부지를 조성할 때는 용지보상비가 발생하지 않으나, 부
지매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지침에서 제시하는 용지보상비 산정방식을 적용하여
추정한다.

(7) 사업계획에 제시된 하역장비 설치비 등 운영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한다. 운


영설비비가 사업계획에 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업의 특성에 따라 사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장비가 필요하다면 적절한 비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8) 추정된 공사비, 부대비, 보상비, 운영설비비를 바탕으로 예비비를 추정하여 총사업
비를 제시한다.

3. 항만부문 사업비 산출의 흐름도를 이해한다.

53
사업계획 파악

현황조사 및 현지조사

관련 계획 및 관련 법규 검토

평면배치계획 및 시설규모의
적정성 검토․보완

공종별 표준단면도 검토 및 보완
(안벽, 방파제, 호안, 물양장 등)

공종별 수량 산출 검토 및 보완 보상비 항목 설정
(방파제, 호안, 안벽, 물양장 등) (용지, 어업권, 기타)

공종별 단위 공사비 산출 지역별․항목별 보상비 산정


검토 및 보완

공종별 공사비 산출 보상비 산출


(건축, 전기․통신, 상부시설 포함) (용지, 어업권, 기타 보상비)

부대비용 산출 운영설비비 산출
(조사․설계비, 감리비 등) (하역장비비, 시스템 설비비)

예비비 산출
(공사비+부대비+보상비+운영설비비)의 10%

총사업비 산출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 3-2] 항만부문 사업비 산출 흐름도

 타당성조사에서 총사업비 추정에 필요한 세부항목 및 항목별 추정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1. 총사업비는 크게 공사비, 부대비, 보상비, 운영설비비, 예비비로 구분된 세부항목은 무


엇인지 항목구성과 항목별 필요성을 이해한다.

54
<표 3-8> 항만사업의 총사업비 항목

총사업비 세 부 항 목 비 고

∘ 토목공사비
­ 외곽시설 ­ 수역시설
­ 접안시설 ­ 항행보조시설
공 사 비 ­ 임항교통시설 ­ 기타 시설
­ 항만 배후부지 조성
∘ 상부시설 공사비
­ 건축 및 전기․통신

설계비 ∘ 기본 및 실시설계비

∘ 설계감리비
감리비
∘ 책임감리비

부 ∘ 조사비(수심 및 지형 측량, 지반조사)



∘ 환경영향평가 ∘ 설계경제성(VE)검토

조사 및 ∘ 해상교통안전진단 ∘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측량비 ∘ 수치모형실험 ∘ 문화재지표조사
∘ 사전재해영향성검토 ∘ 수리모형실험
∘ 에너지사용계획 등 ∘ 전략환경영향평가
∘ 도시관리계획

∘ 용지보상비
보 상 비 ∘ 어업권보상비
∘ 기타보상비

운영설비비 ∘ 하역장비비 ∘ 시스템 설치비

예비비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2. 공사비 추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공사비 산출방법 및 과정에 대한 기본적


인 내용을 이해한다.

(1) 공사비는 기술적 검토 및 공종별 수량, 단가(실적공사비, 시설물별 단위 공사비) 검


토를 통해 공사비를 재검토하여야 한다.

(2) 공사비는 공사의 시행을 위한 노무비, 재료비, 경비, 일반관리비 및 이윤의 합계액
으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조에 의한 예정가격결정
기준, 정부표준품셈 및 단가, 유사 시설의 실적단가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3) 기초단가는 노무비, 재료비, 경비 및 중기사용료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공사비는 각


공종별로 설계수량과 원가계산 공사비 및 실적공사비에 의해 산출한다. 실적공사비 및
원가계산 공사비의 적정성 못지않게 오류가 없는 수량 산출이 중요하므로 정확한
공사비 산출을 위해 각 공종별 수량 산출서를 최근의 설계기준 등을 적용하여 검토
하여야 한다.

55
(4) 설계개선 사항들을 VE(Value Engineering)와 LCC(Life Cycle Cost) 개념을 도입하여 수
량 산출과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5) 단가산출은 공사비를 산출하는 최종과정으로 크게 건설표준품셈에 의한 원가계산


방식과 과거 공사를 수행한 실적자료를 토대로 산정한 실적단가계산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6) 공사비의 산출방법은 시설별 표준단면도의 검토 및 보완 후 확정된 시설별(방파제, 호


안, 안벽, 물양장, 준설, 매립 등) 표준단면도를 토대로 세분화된 공종별 물량을 산출하
여 공종별 원단위 단가를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한다.

(7) 세부 공종별 원단위 단가는 예비타당성조사 시 기준연도를 설정하여 노무비, 재료비,


경비 등의 원단위 단가를 산출하되 공사비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재산정한 공사비에 제
경비(20∼25%)를 추가하여 공사비를 산출한다.

3. 부대비 추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부대비 산출방법 및 과정에 대한 기본적


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설계비는 기본설계비와 실시설계비로 구분되며, 기본설계비는 설계 수행지침, 예비


설계 및 개략 공사비 산정, 설계요강 결정, 설계지침 작성, 공공건설사업 시행절차
규정에서 정하는 사항 등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실시설계비는
기본설계 검토, 자료 수집, 설계요강 결정, 설계지침 작성, 도면 및 계산서 작성, 시
방서 및 예정공정표 작성, 수량 산출 및 공사비 내역서 작성, 공공건설사업 시행절
차 규정에서 정하는 사항 등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2) 감리비는 설계감리와 공사감리가 있으며, 설계감리비는 건설기술관리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령 제72조에 의거하여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설계감리비는 필요시 「설계
감리대가기준」의 공사비 요율에 의한 방법으로 산출하며 사업의 특성에 따라 실비
정액가산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항만사업은 「건설기술관리법」 제27조와 동법 시행
령 제102조에 따라 건설공사의 품질 확보 및 향상을 위하여 전면책임 감리용역 대
상 사업이며, 용역대가는 「건설공사 감리대가기준」(국토교통부)에 따라 산출한다.

(3) 조사 및 측량비는 각종 측량, 지반조사, 시험 및 검사, 문화재지표조사, 환경․재해․교


통 등에 관한 영향평가 등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포괄한다. 과거 항만사업에 적용된
조사 항목 및 비용을 세부항목별로 명확하게 산정하여 비용을 추정하여 제시한 경
우가 아니면,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한국개
발연구원, 2014)과 동일하게 공사비의 1%를 조사 및 측량비로 적용한다.

4. 타당성조사를 위한 보상비 추정은 “비용 추정의 필요지식”을 참조하여 보상비추정의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보상배율 적용방법은 감정평가나 사업지 주변에 기 보상자
료가 있으면 우선적으로 적용하며, 약식 감정평가서나 사업지 주변의 기 보상 자료가

56
없거나 자료로써의 가치가 없는 경우에는 표준 보상배율을 적용한다. 이 경우 적용되는
보상배율은 사업지 또는 인근의 지목별 표준지의 공시지가를 적용한다.

5. 운영설비는 사업의 규모 및 운영계획을 감안하여 운영기간 중 필요한 운영설비의 취득


가액을 산정한다.

(1) 컨테이너의 경우 물동량 추정치, 선석 규모, 부두 활용도를 고려하여 항만의 적정하


역능력을 도출하고 항만의 적정하역능력을 도출한 이후 연간 최대 화물량 처리를
목표로 산정한다. 장비구성은 설비의 시간당 능력, 작업 효율, 작업 시간, 선석 점
유율, 기계 가동률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성이 있도록 한다.

(2) 하역장비의 단가는 정부의 물가자료나 제조업체의 자료 등을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다. 다만, 하역장비 단가자료의 제공이 어려울 경우 기존 유사 사례를 조사하여
하역장비 단가를 적용한다.

 타당성조사에서 운영비 추정은 “학습내용 3-2 필요지식”을 참조하여 사례소개를 통해서


컨테이너, 일반화물 등 화태별 운영방법, 비용추정 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57
3-3. 경제성 분석

학습 목표 • 다양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개요

1. 경제성 분석의 지표는 육상교통사업과 공항시설사업, 항만시설사업의 구분 없이 공통적


으로 NPV, B/C, IRR을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2. 비용편익분석은 분석과정에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가장 적고 균일한 척도인


화폐가치로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사업 평가에 적합한 방법이다.

3. 일반적인 비용편익분석의 지표는 사업시행에 따른 할인율이 적용된 총비용과 총편익의


차이인 순현재가치(NPV), 할인된 총편익과 총비용의 비율인 편익/비용 비 (B/C), 내부수
익률(IRR) 등이 있다.

 편익 산정

1. 항만분야 편익의 추정 방법론

(1) 항만분야의 편익산정은 기본적으로 항만의 건설 또는 시설 변경을 통해 발생되는


경제적 가치의 변화를 적절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경제적 가치를 적절하게 측정하
는 방법은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소위 ‘경제적 잉여(social surplus)’의 변화를 추정
하는 것이다.

(2) 경제적 잉여는 ‘소비자 잉여(consumer surplus)’와 ‘생산자 잉여(producer


surplus)’로 구분된다. 소비자 잉여는 소비자가 지불하려는 금액(WTP)에서 소비자가
실제 지불하는 금액을 차감한 것이며, 생산자 잉여는 항만의 이용과 관련된 제반
경영비용의 감소가 주된 분석대상에 해당한다.

(3) 항만개발의 경제적 총가치는 사용가치와 비사용가치로 구분된다. 사용가치는 항만


의 직접적 이용과 관련된 가치이며, 비사용가치는 항만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
더라도 항만을 보존하거나 후세대에 유산으로 넘겨줄 수 있는 가치를 말한다.

(4) 소비자 잉여는 기존 항만 이용자의 잉여 뿐 아니라 신규 소비자 증대를 통한 잉여


증대를 포함하게 된다.

58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 3-3] 소비자 잉여를 통한 편익의 변화

항만시설의 투자 증가로 항만시설 이용료가 P1(without)에서 P2(with)로 하락할 경우


당초의 △AP1C 면적이었던 소비자잉여가 △AP2F가 되면 ⃞P1P2CF만큼의 편익이 증가
하게 된다. 이 부분이 본 항만투자사업의 이용자 편익에 해당한다. 늘어난 잉여 가
운데 ⃞P1P2EC 부분은 기존 이용자에게 추가된 편익 부분이며, △CEF 부분은 항만시
설 이용료의 하락에 따라 새로 발생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편익이다. 따라서 항만
이용자 편익은 기존 이용자와 신규 이용자 모두에서 발생하게 된다.

(5) 생산자 잉여는 공급곡선이 장기적으로 기업의 비용함수라는 측면에서 비용구조의


감소는 공급곡선의 하락을 통해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킨다.

항만시설의 투자 증가는 항만시설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공급자(항만당국, 항만공


사, 하역사 등)의 투입비용구조를 감소시킨다. 시장 공급곡선이 장기적으로 기업의
비용함수라는 측면에서 비용구조의 감소는 공급곡선의 하락을 통해 다음 그림과 같
이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킨다. 항만시설의 투자 증가로 공급함수가 공급1(without)에
서 공급2(with)로 증가하면 당초 △P2BE였던 생산자 잉여가 △P2AF로 증가하게 된다.
만일 항만의 공급이 경쟁적이라면 ▱ABCE는 기존의 항만 공급자에게서 편익이 발
생하며, △CEF는 신규 항만 공급자에게서 발생한다.

59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 3-4] 생산자 잉여의 변화를 통한 편익 변화

3. 항만사업 주요항목 편익 추정방법

(1) 선박대기비용 절감효과

(가) 선박대기비용 절감효과는 입출항 선박이 항만시설 여건의 미비 등으로 불필요하


게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선박이 도착한 시각에 이용하려는 선
석이 다른 선박에 의해 점유되었을 때 정박지에서 이용대상 선석의 다른 점유선
박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나) 선박 대기비용은 추정된 단위 선박당 대기시간을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대기시간 추정방법은 전체 선박입출항 실적을 조사하여 평균 대기시간을 산출하
는 방법, 대기행렬이론(Queueing Theory)을 적용하여 이론적 확률분포와 실제분
포를 통계검정(Goodness-of-Fit Test)하여 추정하는 방법, 실제분포를 이용하거나
이론분포를 재생한 시뮬레이션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으로 계량화 할
수 있다.

(2)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

(가)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는 선박이 선석에 접안하여 하역서비스를 받는 동안에 발


생하는 비용으로 하역시간의 장단에 따라 선박재항비용이 크게 좌우된다. 따라
서 항만개발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without case)와 항만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with case)의 선박재항시간의 차이에 의해 절감효과를 산출한다.

60
(나) 항만개발이 미시행될 경우 선석의 부족으로 접안하역 대신 부선하역이 불가피하
고 이에 따른 선박의 재항시간 증가를 편익산출의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3) 하역비용 절감효과

(가) 항만시설이 건설되지 않을 경우(without case) 부선하역에 의존하기 때문에 선박


에서 부선으로의 부선요금과, 다시 부선에서 육상으로의 부선양적요금 등 2중의
하역비용이 발생되는데 항만을 건설할 경우, 이러한 추가적 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이다.

(나) without case에서는 초과물량을 부선작업에 의해 하역하거나 인근 항만으로 전이


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화물의 특성, 배후지 여건 등을 감안할
때 추가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해당 항만을 이용하여야만 하는 고정화물(fixed
cargo)은 비용이 증가한다.

(4) 운송비용 절감효과

(가) 기존 시설의 확장, 전용부두 혹은 하역시설의 개선이 없을 경우(without case) 다


른 항만으로 전이되었을 초과물동량이 개발항만에서 처리됨으로써 화물의 수요
지 혹은 발생지까지의 내륙수송비가 절감되는 효과와 교통혼잡비용의 감소에 따
른 혼잡비용 절감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나) 국가교통DB의 「해상화물 내륙 기종점」에서는 29개 무역항의 32개 품목에 대해


245개 시군별로 수출입 물동량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경우 쉽게 산
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항만사업 유형별 추정 편익

(1) 이용자 측면에서 선박대기비용과 선박재항비용 절감, 하역비용 절감, 선박운항거리


단축, 내륙운송시간 절감, 피항비용 절감효과 등이 있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환적화
물 유입에 따른 항만이용료 증대효과 등이 있다. 기타로 신규 조성토지의 활용도에
따른 토지조성효과와 대기오염 및 소음 방지 등의 환경비용 절감효과 등이 있다.

(2) 지역경제에 미치는 편익 등 간접적인 편익은 앞에서 언급한 금전적 외부효과에 해


당하는 것으로 편익에는 고려하지 않으며, 지역경제 파급효과 등 정책적 측면에서
고려한다.

61
<표 3-9> 항만건설사업의 편익항목

편익의 분류 편익항목 편익산정방법


선박대기비용 절감 항만체증 완화
선박재항비용 절감 비용 절감 추정
하역비용 절감효과 비용 절감 추정
이용자 측면
선박운항비용 절감효과 비용 절감 추정
직접편익 내륙운송비용 절감효과 비용 절감 추정
화물운송시간 절감효과 시간 절감 추정
공급자 측면 환적화물 수입증대효과 환적화물 유입
기타 토지조성효과 신규 조성토지의 가치
건설부문의 고용․소득 증가
관련 산업의 고용․소득 증가
간접편익 지역경제 파급효과로 산정
지역산업의 안정․성장
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공공부문 조세 지방세․국세의 증가 이전지출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62
수행 내용 / 경제성 분석하기

재료·자료

Ÿ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해양수산부)

Ÿ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해양수산부)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Ÿ 총사업비 관리지침(기획재정부)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KDI)

Ÿ 국가교통 DB(교통연구원)

Ÿ 항만개발투자의 경제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를 위한 경제성분석 개요 및 편익추정 방법론은 “경제성 분석의 필요지식”을


참조하여 경제성 분석의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 경제성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주요 전제사항의 종류 및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63
1. 분석기간 및 기준연도

(1) 현재 육상교통에서는 30년을 분석기간으로 하여 수요예측, 편익추정, 비용추정, 경


제성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항만사업의 경우도 육상교통과 동일한 30년을 기준으
로 반영한다.

(2) 할인이 되는 분석의 기준을 해당 사업의 분석이 착수된 전년도 말(예: 2016년도에
착수된 사업일 경우 2015년 말 적용)을 적용한다.

2. 사회적 할인율

(1)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발생하는 편익과 비용 모두 동일 시점을 기준으로 할인해


야 한다. 즉, 편익과 비용은 발생시점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할인율을 이용하
여 동일 시점의 가치로 일치시켜야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2) 공공투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되고 있는데.


항만사업도 현재는 타 교통사업과 동일한 5.5%를 적용한다.

 경제성 분석을 위한 주요 편익 항목 산정방법에 대한 이해와 사례설명을 통하여 이론을


겸비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항만편익 관련 경제적 가치 추정 방법론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항만건설의


편익추정도 주로 시장가격분석에 의존하였으며, 이의 산출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대체
비용(RC)이나 간접기회비용(IOC)의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동량 관문
의 항만기능에서 벗어나 항만 재개발을 통한 친수공간으로써 항만 등이 강조되면서 경
관 조성과 재해 방지 등 비시장가치의 추정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조건부가치
측정법(CVM)이나 여행비용평가법(TCM) 등의 이용도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E. B., Barbier, “Economic Evaluation of Tropical Wetland Resources: Applications in Central
America”, Prepared for IUCN and CATIE, London Environmental Economics Center, London. 1989.
[그림 3-5] 항만 편익 관련 경제적 가치 추정방법론

64
2. 항만사업 주요항목 편익 추정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선박대기비용 절감효과

(가) 대기행렬 이론을 이용한 대기시간 도출


항만에서의 선박 입출항 형태는 일반적으로 대기행렬시스템과 거의 흡사하므로 대
기행렬이론을 적용하여 선박 대기비용을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항만대기비용 산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기행렬이론을 이용해서 평균 대
기시간을 산출하며, 평균 대기시간은 다음 과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1) 선박의 도착시간 확률분포 분석
선박 입출항 실적을 조사한 후 도착시간 간의 확률분포를 도출하여야 하며, 구
해진 확률분포의 형태모수(shape parameter) 결정을 위하여 이론상 분포인 얼랑
분포(er1angian distribution)의 누적분포함수(cum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를 적용하여 적합도 검정(  -test)을 실시해야 한다.
아래의 식은 얼랑분포의 누적분포함수(cdf)이다.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형태모수(shape parameter), λ: 도착률

2) 선박에 대한 서비스 시간의 확률분포 파악


서비스 시간의 확률분포를 구하여 Parameter 결정을 하기 위해   -test를 실시
해야 한다.
3) System 형태결정
상기 식에서 검정한 확률분포 및 선석 수를 이용하여 행렬 system 형태를 구분
하면 다음과 같다.
- M/M/C: 대기행렬 시스템 중 기본적인 형태로 도착 간 시간분포는 지수분포(
Erlang k=1), 서비스 시간분포 또한 지수분포 형태
- M/  /C: 도착 간 시간분포는 지수분포이며 서비스 시간분포는 Parameter=k인
얼랑분포인 형태
-   /M/C: 도착 간 시간분포는 Parameter=m인 얼랑분포이며 서비스 시간분포는
지수분포 형태
-   /  /C: 도착 간 시간분포와 서비스 시간분포 모두 Parameter가 m과 k인 얼
랑분포인 형태
4) 대기시간 산정
결정된 시스템 형태를 반영한 대기행렬이론의 일반식을 적용하여 단위 시간당

65
평균 대기척수(Lq), 단위 선박 당 평균 대기시간(Wq), 부두 접안율(p), 단위 선박
당 평균 서비스 시간에 대한 평균 대기시간의 비율(WRS)을 구하여 대기시간을
추정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에서   (  ′ ):  년도의 with—Case, Without-case의 대기시간


  (  ′ ):  년도의 With-case , Without-case의 서비스 시간
  (   ′ ):  년도의 With-case, Without-case 서비스 시간에 대한 평균대기시
간의 비율
  (  ′ ):  년도의 With-case, Without-case의 대기비용
 : 표준선박의 단위시간당 재항비용
 :  년도의 대기비용 절감효과

상기 절차에 따라 사업시행 시(with-case)와 사업미시행 시(without-case) 각각의


총 대기비용을 산출하여 차액을 산출함으로써 선박대기비용 절감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나) 입출항 실적에 의한 평균 대기시간 절감효과 도출


선박의 대기시간 절감효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국토해양부의 항만운영시스템
(Port-MIS)에 의한 입항 선박별․선종별․부두별 평균 대기시간을 도출하고 부두건설에
따른 평균적 대기시간 절감효과를 산출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
다. 가장 간편한 방법은 해당 부두에 선석이 늘어난 실적이 있을 경우 선박의 대기
시간을 종속변수로 하여 입항선박척수, 선석의 수를 설명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통
해 평균 대기시간의 증감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입항선박의 증가에 따른 대
기시간 증가분과 선석의 증가에 따른 대기시간 감소분이 설명될 수 있으므로 항만
시설 부족에 따른 평균 대기시간 증가분의 도출이 가능하다.

(다) 대기비용 요율의 적용


선박의 대기비용은 대기에 따른 기회비용으로써 선박의 1일 용선료를 대리변수로
활용하여 산정한다.
선박의 용선료는 용선형태에 따라 또한 선종과 선령 그리고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선복량과 화물량에 따라 시장에서 변동한다. 경기상승 시에 화물량이 많거
나 선복의 공급량이 감소할 때에는 용선료가 상승하게 되며, 신조선과 선박해체량

66
의 감소로 선복이 증가하거나 불황기에 화물량이 감소하게 되면 용선료가 하락하
게 된다.

(2)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

(가) 선박재항비용은 선박이 선석에 접안하여 서비스를 받는 동안 발생하는 비용


으로써 하역생산성을 향상으로 발생하는 비용절감효과이다. 항만개발이 시행
되지 않는 without case는 현재 부두의 처리능력에 초과되는 화물은 해상에
서 부선하역 되어 소규모접안시설에서 다시 하역됨으로써 with case의 경우보
다 생산성이 낮다. 즉, without case는 물동량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
해 선박의 재항시간 증가로 재항비용이 with case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선박
재항비용 절감효과는 현 부두의 처리능력을 초과하는 물량을 부선하역함으로
물량 과다로 인해 하역생산성이 저하되어 선박재항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
생하는 차이를 산정한 것으로 식 (1)과 같다. 이때 표준선박의 1일 재항비용
은 선박대기비용 절감효과에서 제시한 1일 용선료를 기회비용으로 적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단,  :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


 : 표준선박의 1일 재항비용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 년도 선석에서의 처리물동량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 년도 부선에서의 처리물동량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선석당 1일 하역생산성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부선 1일 하역생산성

(나)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부선의 하역생산성에 대한 정확


한 자료가 필요하다. 부선의 하역생산성은 통상 접안하역에 비해 절반의 효
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며, 이전의 항만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
서도 부선의 하역생산성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이 산출 결과만 제시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의 “항만적정하역능력 산정 재검토”에서도 부선에 대한
하역능력의 언급이 없어 선박재항비용 절감효과의 정확한 편익산출을 위해서
는 품목별(또는 부두 종류별) 부선의 하역능력에 대한 표준의 산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67
<표 3-10> 일반잡화부두의 부선에 의한 연간 하역능력(예시)

전용선석의 표준선형 5만톤급 3만톤급 2만톤급 1만톤급 5천톤급 3천톤급


톤급별 적정 부선선형 10,000 5,000 5,000 3,000 3,000 1,500
1일 작업시간(시간) 16 16 16 16 16 16
연간 작업일수(일) 300 300 300 300 300 300
모선별 시간당 처리능력 101 77 77 67 33.5 33.5
선석 점유율 0.6 0.6 0.6 0.6 0.6 0.6
실 작업비율 0.72 0.72 0.72 0.72 0.72 0.72
연간 하역능력(톤) 209,434 159,667 159,667 138,931 69,466 69,466
1일 처리능력(톤) 698 532 532 463 232 232

(3) 하역비용 절감효과

(가) 하역비용 절감효과는 without case와 with case에 해상하역비용과 접안하역비


용 간의 차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즉, 접안하역은 선박에서 육상
으로 직접 하역이 가능하여 1회의 하역작업이 발생하며, 해상하역은 선상에
서 부선으로 하역하여 이동 후 다시 육상에 하역함으로써 접안하역 대비 부
선운송요금과 부선양적요금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나) 하역비용 절감효과 산정은 고정화물의 경우 현재의 하역능력을 초과하는 물


동량은 부선작업을 실시하는 대안으로 가정하여 with case의 하역비용과
without case의 부선작업이 포함된 하역비용 간의 차이를 산출하면 하역비용
절감효과를 산정할 수 있다. 현행 하역능력을 초과하는 물동량에 대해 부선
작업을 행하는 대안을 설정하여 그 차이를 구하여 식 (2)와 같이 산정한다.
단, 정상이윤과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후 적용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단   : 하역비용 절감효과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 년도 선석에서의 처리물동량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 년도 부선에서의 처리물동량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접안하역시 톤당 하역비용
   ′   : with case, without case의 부선하역시 톤당 하역비용

(다) 접안하역과 부선하역의 톤당 하역비용은 국토해양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항


만하역요금표」의 품목별 하역요금을 준용한다. 여기서 접안하역시 발생하는
하역요금은 선내요금이며, 해상하역시 발생하는 하역요금은 선내요금, 예부

68
선요금 및 부선양적요금을 합한 금액으로 항만개발에 의한 편익은 해상하역
요금과 접안하역요금의 차이가 된다.

(4) 운송비용 절감효과

(가) 신규 항만의 개발로 기존 항만을 이용하고 있던 화물이 인근의 항만으로 전이되


는 경우 개발되지 않는 경우(without case)에 비해 화물의 운송거리가 단축되며
이에 따라 운송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타 항만(개발항만)올 통해 수송할 경우 내륙  지역까지의 수송거리


  :  지역의 물동량
     : 타항만(개발항만)과  지역 간 수송수단의 톤당 거리당 수송비
   : 타 항만(개발항만)과  지역 간의 총내륙수송비용
 : 내륙수송비용 절감효과

(나) 내륙운송은 도로운송과 철도수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철도운송요금은 한국철도


공사(KORAIL)의 화물운임 계산방식에 따라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로 구분하
여 산정한다. 철도화물의 요율은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표 3-11> 철도수송 화물운송요율

구분 운임단가 수송거리 요율산출방식 최저운임


사용화차
톤당 42.50원/km 운임단가×수송거리
일반화물 1km 단위 최대적재중량의
(100원 단위) ×화물중량(톤)
100km 운임
1개당 1km 기준
20ft: 449원
컨테이너 40ft: 741원 운임단가×수송거리 컨테이너 규격별
1km 단위
화물 45ft: 876원 ×컨테이너 개수 100km 해당 운임
(공컨테이너는
단가의 74% 적용)

출처: 한국철도공사(KORAIL) 홈페이지.

(다) 도로수송의 경우 화물운송요율은 한국하주협회에서 발표하는 물류요금이 있으나


이는 시장가격으로써 가변성이 커서 경제적 편익으로 산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
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화물운송요율은 철도투자평가편람 전면개
정 연구(한국철도시설공단․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 결과 중 대형트럭의 차량 운
영비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69
예를 들어 2010년 기준으로 항만화물의 도로운송비 절감편익의 대상 차종은 8톤
이상의 대형트럭으로 볼 수 있으며 시속 80km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시속 80km를 기준으로 km당 433.23원이며 시간을 기준으로 할 경우
34,658.4원/시간으로 산출된다. 이렇게 산출된 시간당 운영비에 인건비를 포함한
총차량운행비를 산출하여 이를 내륙운송비용 절감효과의 지표로 활용한다.

 비용산출, 수요추정, 편익산출 등이 경제성분석 시에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대한 이해와 경


제성 분석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체계를 이해한다.

1. 경제성 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일반적인 비용편익분석의 지표는 사업시행에 따른 할인율이 적용된 총비용과 총편익의 차
이인 순현재가치(NPV), 할인된 총편익과 총비용의 비율인 편익/비용 비 (B/C), 내부수익률
(IRR) 등이 있다.

(1)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

(가)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는 각 연도별 편익과 비용을 산출하여 각 연도마


다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편익과 비용 합계의 차액으로 나타낸 것이다.

(나) 순현재가치가 0보다 크면, 사업에 소요되는 비용보다 편익이 크므로 수익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0보다 작으면 수익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여 투자의 타
당성이 없게 된다. 순현재가치의 산출식은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다.

   
순현재가치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년도의 편익
  년도의 비용
  이자율 할인율 
  평가기간

(2) 편익/비용 비(Benefit Cost Ratio: B/C)

(가) 각 연도의 비용과 편익을 산출하여 각 연도마다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출된 편


익과 비용의 비로 나타낸 것이 편익/비용 비(Benefit/Cost ratio)이다.

(나) 현재가치로 환산된 총편익과 총비용의 비로써 이 값이 1보다 크면 사업에 소요


되는 비용보다 편익이 크므로 수익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1보다 작으면 수
익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익/비용 비는 아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70
 

   


편익  비용비      
 
 

   


여기서    년도의 편익
  년도의 비용
  이자율 할인율 
  평가기간

(3)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

(가) 내부수익률(IRR)은 해당 사업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의 현재가치의 합이 동일


하게 만드는 할인율이다.

(나) IRR은 순현재가치가 0이 되도록 하는 할인율을 의미하며, 다음 식을 만족시키는


할인율  가 IRR이 된다. IRR이 실제 사회적 할인율보다 크게 도출될 경우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  

   



여기서    년도의 편익
  년도의 비용
  할인율
  평가기간

2. 타당성조사의 수행오류를 가정하여 민감도 분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타당성 평가 수행에 있어 경제성 평가를 위한 기본가정 설정 등 편익과 비용 산정


에는 다양한 형태의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한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시행한다.

(2) 민감도 분석은 경제성 분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인 편익과 비용 및


할인율의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타당성의 변동 정도를 사전적으로 보여줌으
로써 사업 착수로 인한 위험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3) 구축된 수요예측모형에서 투자비나 경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인


총사업비, 운영비, 물동량, 할인율 등에 대해서 각 변수 혹은 계수가 일정수준 변경
되었을 때를 가정한 경제성의 변화를 바탕으로 유의성을 검토한다.

 단순한 부두시설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경제성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별과제를 부여하


여 실습을 통해 학습내용을 숙지하고 협업·토론·자료정리·발표능력을 향상시킨다.

1. 실습을 위한 5~10명 내외로 조를 편성한다.

(1)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71
(2) 각 조원별로 적정하게 조사항목을 분배한다.

(3) 조사내용에 대해서는 조원 간 공유하도록 하며, 조사·분석 결과는 조원들 간 토의


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2. 각 조별 예제 항만을 정해주고 조원들이 기존 항만(해양)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선정하


여 경제성분석에 필요한 자료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도록 한다.

(1) 각 조는 샘플 타당성조사 보고서와 유사한 항만의 종류 및 규모로 예제 항만을 설


정한다.

(2) 각 조의 예제 항만은 서해, 남해, 동해 등 위치를 다르게 설정한다.

(3) 예제 항만(해양)의 경제성분석에 필요한 조사·분석 항목의 과업기간을 정리한다.

(4) 각 조는 예제 항만(해양)의 기존 유사시설 보고서를 참고하고, 미비점을 보완하여


경제성분석에 필요한 조사·분석 항목을 정리한다.

(가) 대상사업의 비용 및 물동량 등 기존보고서의 기초자료 조사·분석

(나) 대상사업의 편익 항목설정 및 편익의 원단위 산정방법

(다) 대상사업의 경제성분석 방법

(5) 정리된 조사·분석 내용에 대하여 조원들 간의 토의를 통하여 조사·분석 시 유의


사항, 성과의 미비점, 보완책 등을 파악하고 성과를 공유한다.

3. 각 조별 예제 항만에 대한 자료 조사·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1) 정리된 자료 조사·분석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Power Point 등을 활용한
발표 자료를 준비한다.

(2) 각 조별 발표를 시행하고, 발표 내용에 대해서 다른 조와 같이 토의하도록 한다.

(3) 결과발표를 통하여 다른 조의 과제 자료 조사·분석방법, 보고서 작성방법 등을 습


득하고, 자료 조사·분석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등을 정리한다.

72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경제성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등 기본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경제성분석 과정을 체계적으로 접해볼 수 있도록
기초자료조사,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경제성분석 등의 이론적인 교과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도록 지도한다.

• 기초자료조사,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경제성분석 등 기본적인 학습을 위하여 사례소개


등을 활용한 이론 강의를 실시한다.

• 경제성분석과 수요, 비용, 편익, 할인율 등의 연관성 및 개별 항목의 활용방법 등을 지도한다.

• 사업시설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석의 조건을 제시한 조별 과제를 부여하고


샘플보고서를 활용하여 자료 조사·분석,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등을 활용한 경제성분석
을 직접 수행토록 하여 실무적응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타당성조사의 목적에 맞게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및 경제성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경제성분석 등 이론 강의 학습을 통하여 기본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이해하고,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경제성분석 등 개별 항목별
수행체계 및 방법을 습득하여 경제성분석에 관한 이해도를 증진한다.

• 과제별 필요자료에 대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조사·분석 및 경제성분석 과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자료 수집 및 분석과 관련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수행하였는 지 과정도 병행하여 발표한다.

• 물동량 추정, 항만시설물 종류별 비용추정, 항만시설별 편익설정, 경제성 분석의 전제조건 및
기법 등의 기본적인 내용 및 활용방법 등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 프로세스에 경제성분석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작성한다.

73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 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항만(해양) 개발수요를 추정


수요추정
하고 수요추정치에 대한 적정성을 판별할 수 있다.

- 항만(해양) 개발수요에 따라 사업내용을 구체화하고 각 시설


비용추정
별 공사비를 산정하여 개략적인 총사업비를 산정할 수 있다.

- 다양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분석


경제성 분석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시설에 적절한 수요추정 절차 및 추정방법에 대


한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보는 수행과정의 이해도
수요추정
- 수요예측센터의 결과 이용과 수요추정의 통계적 방법
사용여부 등 분석과정 및 결과에 대한 적합성

- 항만 개발 수요에 따른 총사업비 및 운영비 등 비용


의 세부항목 설정 및 산출방법에 대한 이해도
비용추정
- 개발수요에 따른 사업내용을 구체화하고, 시설별 공사
비 등 비용 산정방법의 적정성

- 해당 사업에 적절한 편익항목 설정과정에 대한 이해


및 경제성분석 절차에 대한 이해도
경제성 분석
- 경제성분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발표 준
비정도 및 발표결과에 대한 신뢰도

74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수요추정 과정에 대한 이해 및 통계적 방법 사용여부
수요추정
등 분석결과에 대한 적합성
- 개발수요에 따라 사업내용을 구체화하고 각 시설별
비용추정
개략적인 총사업비 산정 절차 및 방법의 적정성
- 편익항목 설정과정 및 경제성분석 절차에 대한 이해
경제성분석
와 사업의 경제성 분석 결과의 합리성

피드백

1. 사례연구
-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지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경제성분석에 필요한 항목별 분석 자료에 대한 용도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 평
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인 결과에 대한 합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
을 설명해 준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수요추정, 비용추정, 편익산정, 경제성분석에 대한 이해 및 연계방법 인지 여부를 평가
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명해 준다.
- 대상사업별 적절한 편익 항목설정방법, 경제성분석 과정에 대한 이해 및 활용방법을 인
지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사항을 설명해 준다.

75
학습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LM1402010503_14v2.1)
학습 2 시설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3_14v2.2)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3)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4)
학습 5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LM1402010503_14v2.5)

4-1. 지역균형발전 분석

학습 목표 • 사업진행 결과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개요

1. 타당성조사시에 B/C로 대표되는 경제성 분석 결과로만 사업의 타당성 확보여부를 평가


하면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경제성 분석 구조는 지역발
전이 떨어진 낙후지역일수록 타당성이 낮게 평가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2. 타당성조사에서는 지역 간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제도를 도입


하여 지역낙후도 등 국가정책을 반영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3. 지역균형발전 반영방안으로 지역낙후도 지수, 사업시행의 파급효과를 반영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1) 지역균형발전 분석 수행의 취지는 낙후지역, 사업시행으로 인한 해당 지역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사업에 가점을 부여함으로써 경제성이 조금 낮은 사업이라도 낙후지
역, 지역파급효과가 큰 사업은 사업추진이 가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 간 불균
형 상태를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2)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가치를 반영하여 사업의 시행 여부를 판단


하기 위해 지역낙후도 분석, 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등을 수행한다. ‘지역
균형발전’ 중분류 평가항목에는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포함한다.

76
 지역낙후도

1. 지역낙후도 지수는 낙후 정도를 구성하는 지표들의 가중평균값으로써, 지역낙후도지수


를 구성하는 지표는 건설교통부가 지역개발사업에 관한 업무지침(2003)에서 제시한
개발촉진지구 지정에 사용되는 8개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2. 8개 지표는 인구증가율, 제조업 종사자 비율, 도로율, 승용차등록대수, 인구 당 의사 수,


노령화 지수, 재정자립도, 도시적토지이용 비율에 대한 지표와 가중치를 바탕으로 지역
낙후도 순위를 결정하여 시․도별 및 시․군별 지역낙후도를 산정한다.

 지역경제 파급효과

1.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해당 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생산량, 부가가치, 고용 등


의 증가를 계량화된 수치로 표현된 것이다.

2. 타당성조사에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측정을 위해 2003년 기준의 6개 권역 지역 간 산


업연관표(IRIO)를 작성, 발표함에 따라 IRIO 모형을 기반으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
하고 있다.

3. 산업연관모형(Input Output Model)은 한 경제에서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산업 간 거


래관계, 즉 일정 기간 중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각 산업 간 거래를 일정한 체계
에 따라 정리한 일반균형 통계체제를 말한다.

4. 산업연관모형(Input Output Model)을 국가경제가 아닌 국가의 특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정하여 산정하면 ‘지역산업연관모형(Regional Input Output Model)’으로 변환된다.

77
수행 내용 / 정책적 분석하기

재료·자료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Ÿ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Ÿ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업무지침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Ÿ 통계청 통계자료

Ÿ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Ÿ 총사업비 관리지침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를 위한 정책적분석의 하나인 지역균형발전 분석을 위해서 지역낙후도 및 지역


경제 파급효과 산정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78
 지역균형발전 분석의 요소의 하나인 지역낙후도 산정방법 등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지역낙후도 지수는 낙후 정도를 구성하는 지표들의 가중평균값으로써, 지역낙후도지수


를 구성하는 지표는 건설교통부가 지역개발사업에 관한 업무지침(2003)에 제시된 개
발촉진지구를 지정할 때 적용하는 8개 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표 4-1>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에 사용되는 지표의 개요

자료 출처
부 문 지 표 측정방법
기 존 변 경
통계청, 시․군․구 통계청
인 구 인구증가율 최근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주요통계지표 홈페이지
통계청, 사업체
제 조 업 각 시도, 사업체
산 업 (제조업 종사자 수/인구)×100 기초통계조사
종사자 비율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보고서
지 역 (법정도로연장/행정구역면적) 통계청, 시․군․구 각 시도,
도 로 율
기반시설 ×100 주요통계지표 통계연보
승 용 차 통계청, 시․군․구 각 시도,
교 통 (승용차 등록대수/인구)×100
등록대수 주요통계지표 통계연보
인구당 통계청, 시․군․구 각 시도,
보건 (의사 수/인구)×100
의사 수 주요통계지표 통계연보
사 회
노령화 통계청, 시․군․구 통계청
보 장 (65세 이상/0~14세 인구)×100
지수 주요통계지표 홈페이지
(지방세+세외수입/일반회계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재정자립도1) 세입총계)×100 ;
행․재정․기 지방재정연감 지방재정연감
최근 3년간 평균

도 시 적 지목상(대지+공장용지+ 한국감정원, 각 시도,
토지이용비율 학교용지) /행정구역 면적×100 지적통계연보 통계연보

주: 항만사업의 경우도 육상교통과 동일한 30년을 기준으로 반영한다.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2.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해서는 지표별 가중치가 필요한데 가중치 설정을 위하여 관련


학회, 연구소, 예비타당성조사 수행경험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표 4-2> 지역낙후도지수 산정을 위한 지표별 가중치

지 표 가중치(%) 지 표 가중치(%)
인구증가율 8.9 승용차 등록대수 12.4
노령화지수 4.4 도로율 11.7
재정자립도 29.1 인구당 의사 수 6.3
제조업 종사자 비율 13.1 도시적 토지이용비율 14.2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KDI.

79
3. 타당성조사 종합평가에 있어서 지역낙후도 반영방법은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
방법론의 하나인 분석적 계층화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고 있다.
AHP 분석 시 가중치 범위는 경제성 분석과 정책성 분석, 지역균형발전 분석 등 3가지
범주로 구성되며, 각 범주별 가중치 범위는 다음과 같다.

<표 4-3> 예비타당성조사 평가부문별 가중치 범위


(단위: %)
평가 부문
사업유형
경제성 기술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건 설 40 ~ 50 - 25 ~ 35 20 ~ 30
B/C 40 ~ 50 30 ~ 40 20 ~ 30 -
정보화 사업
E/C 30 ~ 40 40 ~ 50 20 ~ 30 -
기타 재정사업 25 ~ 50 - 50 ~ 75 -

주: 기획재정부(2012), 2012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 경제성 분석을 위해서는 발


생하는 모든 편익과 비용을 동일한 시점을 기준으로 할인해야 한다.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4. 지역낙후도 지수 산정 결과는 16개 시․도별 및 170개 시․군별 지역낙후도 순위는 예비타


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에서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중 16개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수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4-4> 시․도별 지역낙후도 지표 및 순위

인 구 경 제 기 반 시 설 종 합 종합
제조업 도시적 지 역 지역
지 역 인 구 노령화 재 정 승 용 차
종사자 도로율 의사수 토 지 낙후도 낙후도
증가율 지 수 자립도 등록대수
비 율 이용률 지 수 순 위
서 울 0.340 38.815 80.767 2.701 22.887 13.342 0.185 39.998 1.194 1

별 부 산 -0.605 46.493 52.870 5.266 23.828 3.517 0.148 17.260 -0.061 9
시 대 구 -0.242 37.403 52.979 5.892 27.899 2.641 0.152 12.404 0.233 6
․ 인 천 1.101 30.805 66.596 7.547 24.284 3.060 0.117 11.641 0.384 5
광 광 주 0.546 29.204 51.055 3.153 26.346 3.115 0.159 15.354 0.204 7
역 대 전 0.650 30.171 61.377 3.191 29.285 4.278 0.153 14.218 0.549 3

울 산 0.755 22.103 68.819 13.225 30.278 1.539 0.103 8.859 0.837 2
경기도 1.967 29.836 67.491 8.273 26.188 1.096 0.122 6.530 0.496 4
강원도 -0.041 60.141 27.348 2.755 27.247 0.474 0.126 1.137 -0.672 14
충 북 0.649 53.121 32.908 8.963 27.022 0.693 0.100 2.976 -0.255 11
충 남 1.015 64.770 34.313 9.833 26.699 0.776 0.114 4.085 -0.187 10
도 전 북 -0.435 62.409 20.989 4.968 25.447 0.794 0.143 3.262 -0.774 15
전 남 -0.610 78.054 17.988 4.713 22.777 0.727 0.095 2.881 -1.086 16
경 북 -0.099 68.618 26.236 9.323 27.281 0.543 0.091 2.110 -0.504 13
경 남 0.832 46.803 39.635 11.307 29.363 0.858 0.104 3.280 0.121 8
제 주 0.380 42.025 31.040 1.504 28.198 0.498 0.115 3.454 -0.480 12

주: 기장군은 부산광역시에, 달성군은 대구광역시에, 강화군과 옹진군은 인천광역시에, 울주군은 울산광역시에


포함하였음.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80
 지역균형발전 분석요소의 하나인 지역경제파급효과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은 해당사업 시행으로 인한 생산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 및 취업 유발효과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 경제 파급효과
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8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5년 기준의 16개 시도 지역간산
업연관표를 보완하여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2. 해당 사업에서 도출된 투자비 내역에 따른 생산 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 및


취업 유발효과를 제시하고 그 효과가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 제시한다.

3.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 가늠하기 위해 경제 활성화 효과지수를 활용하는데, 지역경제 활


성화 효과는 사업 해당지역 내의 부가가치 유발액을 GRDP추계액(사업해당 지역의 추계
액)으로 나눈 지수이다.

4.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표 4-5>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예시)
단위: 억원)
(

예비타당성조사
구분
ㅇㅇ광역시
투입액 512.11
지역내 부가가치 유발액 280.77
지역내 총생산
615,683.35
(GRDP, 2012년 추정)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지수 0.0456%

주: 1) 투입액 및 지역내 총생산은 모두 2012년 기준 가격임.


2)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지수는 AHP 설문지 응답을 위한 것으로써 위 투입액에 대한 사업 해당 지역의 지역내
부가가치 유발액을 사업 해당지역의 GRDP 추계액으로 나눈 지수임.
3) 2008년~2010년 135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지수의 평균은 0.3431%임.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81
4-2.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 상위계획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수 있다.
• 사업추진 경위 등을 파악하여 발주자의 정책과 일관성, 선호도 및 추진의지를 평가
학습 목표 할 수 있다.
• 재원조달 방안으로 국고지원의 적합성과 민자유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일간신문, 보도자료 검토를 기반으로 지역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개요

1. 타당성조사에서는 정책성 분석의 ‘기본 평가항목’으로 관련 계획 및 정책방향과의 일


치성, 사업 추진의지 및 선호도, 재원조달 가능성, 환경성 평가, 고용의 질 개선효과, 고
용창출효과 등을 고려한다.

2.‘사업특수 평가항목’은 대상 사업을 평가하는데 특별히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특수


평가항목으로써 국방․문화․도시문제 등 사업 내용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평가항목에는 관련 계획 및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


진 의지 및 선호도, 사업의 준비 정도 등을 평가항목에 포함한다.

1. ‘관련 계획 및 정책방향과의 일치성’의 경우 대상 사업이 상위계획에 반영여부를 조


사·분석함으로써 대상 사업이 정책적 일관성을 확보하고 추진되고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이다.

2.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는 주무관청,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등 사업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주체들의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 및 선호도를 고려한다.

3. ‘사업추진 상의 위험 요인’의 평가 항목으로는 주무관청의 재원조달 가능성, 공사 및


운영기간 중 환경적 요인, 기타 사업추진 상의 중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평가항목에
포함한다.

4. ‘민자유치 가능성’은 해당 사업이 경제성이 있고, AHP 평점이 0.5 이상인 경우 법적


적합성, 재정여건, 사용료수준, 정책방향 등을 고려하여 정부고시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다.

5. 고용효과는 고용유발효과와 고용의 질 개선효과로 구분하여 분석․평가한다.

(1) 고용유발효과는 건설기간동안의 고용유발효과와 운영기간의 직접 고용효과를 분석․


평가한다.

82
(2) 고용의 질 개선효과는 건설 기간 및 운영기간 동안의 고용여건, 고용안정, 훈련 및
교육, 임금 및 복리후생, 건강 및 안전, 고용평등기회, 갈등해결 등 총 7개 항목에
대해 고용의 질을 분석․평가한다

 ‘사업특수 평가항목’은 해당 사업의 평가에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업의 특수평가항목을 추가한다.

수행 내용 /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하기

재료·자료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Ÿ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업무지침

Ÿ 해당시설 지방자치단체 통계연보 등 관련 자료

Ÿ 통계청 통계자료

Ÿ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Ÿ 항만분야를 위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개별프로젝트에 적합한 지역과 시기가 고려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한다.

83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를 위한 정책적분석의 하나인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에 대한 개략적인 내


용을 이해한다.

1. 관련계획 및 정책방향과의 일치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대형 공공투자사업의 경우 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기까지 많은 단계의 주


무부처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계획에 대한 수렴과정을 거친다. 실제적인 사업구상이
이루어지기까지 주무관청에서 체계적인 사업추진 과정을 거쳤는 지 여부에 대한 평
가를 수행할 수 있다.

(2) 구체적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일련의 작업은 상위계획 또는 관련 계획에 반영된다.


즉, 대상 사업이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에 반영되었는 지 여부를 검토함으로써 대
상 사업의 정책적 일관성 확보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3) 항만사업의 주요 상위계획으로는 항만기본계획이 있다. 항만기본계획은 항만법 제5


조, 제7조에 따라 항만시설을 적기에 개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관리를 할 수 있도
록 지정항만에 대한 항만기본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으며, 항만기본계획
수립 후 매 5년 마다 항만기본계획에 대한 타당성 확보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4) 그 밖에도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항만재개발 기본계획」 등이 있으며, 부


정기적이지만 「전국 무역항 개발계획 수립」, 「항만별 투자 우선순위 평가」 등이 있
으므로 최근에 발표된 정책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해야 한다.

(5) 대상 사업 추진주체인 주무관청의 정책방향과 일치하는 지 여부를 검토하여야 한


다. 해당 사업에 대한 명시적인 계획이 수립되었을지라도 주무관청의 정책목표는
사업추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2.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공공투자사업 추진의 적정성을 판단할 때 주무관청과 인근주민의 사업추진에 대한


기대감 및 태도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모든 공공투자사업은 사업 시행을 위한 부
지가 필요하고, 사업시행 파급효과는 지리적 여건에 따라 상이하다.

(2) 비록 사업의 타당성이 확보된다고 하여도 지역주민 또는 주무관청의 사업추진의지


가 없거나 소극적인 경우 사업추진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타당성평가 과정에서 주무관청을 방문하여 사업추진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


에서 주무관청의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에 대한 판단 근거를 수집할 수 있다. 또
한 대상시설 이해당사자의 사업 선호도 반영은 가능하다면 공식문서 등 객관화 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84
3. 사업의 준비 정도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대상 사업의 준비 정도는 사업계획의 구체성, 사전적인 조사의 시행정도, 주무관청


의 재원투입 정도 등 사업추진에 대한 구체성을 판단할 수 있다.

(2) 사업계획서는 사업의 입지, 사업수행의 목적 및 효과, 사업추진 방안, 추정 총사업


비, 사업추진의 파급효과 등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사업의 준비 정도가 높을수
록 사업의 목적이 정책방향에 부합되고, 주무관청의 사업추진의지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타당성조사를 위한 정책적분석의 하나인 사업추진상의 위험 요인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재원조달 가능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재원조달 가능성은 현실적인 제도여건과 재정여건을 감안하는 기술적이고 시간인


측면의 분석이며 대규모 투자사업 추진에 있어 국가 및 지방재정 여건을 고려한 투
자의사 결정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중앙정부 외에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이 투자 또는 운영에 참여하는 경우, 모든 사업주체에 대해 재원조달 가능성을 검
토하도록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2) 항만사업의 재원조달 가능성은 기본적으로 국가재정운용계획과 해양수산부의 예산


및 투자계획, 항만기본계획의 중장기 투자계획에서 제시된 연차별 투입액과 비교하
혀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SOC 사업은 건설비용뿐만 아니라 운영개시 후
운영비가 발생하므로 운영비에 대한 사업주체의 재원조달 가능성도 검토해야 한다.

2. 환경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환경성 평가는 사업을 시행할 경우 공사 및 운영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문제


를 파악하여 타당성평가에 반영하고 향후 사업이 추진될 경우, 사업시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문제점을 미리 인지토록 함으로써 사업추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2) 향후 환경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는 사업은 환경전문가의 자문 및 지역주민과


의 협의 등을 통하여 환경문제 해결방안을 검토한 후 객관적인 입장에서 해당 사업
에 대한 환경성 평가를 시행한다.

 타당성조사를 위한 정책적분석의 하나인 고용효과 분석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1. 고용효과는 고용유발효과와 고용의 질 개선효과로 구분하여 분석․평가한다.

2. 고용유발효과는 건설기간동안의 고용유발효과와 운영기간의 직접 고용효과를 분석․평가


한다. 건설기간동안의 고용유발효과는 IO분석을 통하여 재정 투입으로 인한 고용유발(취

85
업유발)효과 분석하며, 운영기간 동안의 직접 고용효과는 주무부처의 운영계획안을 준
용한다.

3. 고용의 질 개선효과는 건설 기간 및 운영기간 동안의 고용여건, 고용안정, 훈련 및 교


육, 임금 및 복리후생, 건강 및 안전, 고용평등기회, 갈등해결 등 총 7개 항목에 대해
고용의 질을 분석․평가한다.

<표 4-6> 고용의 질 평가항목

대항목 세부항목
신규 취업자 전년도 증가율
1. 고용여건
평균 근로시간(월)
비정규직 비율
2. 고용안정
근속년수
3. 훈련 및 교육 노동 비용에서 교육훈련비의 비중
평균 임금
4. 임금 및 복리후생 최저 임금 준수 비율
4대 보험 가입비율
5. 건강 및 안전 재해발생율
여성 고용 비율(대졸 이상)
6. 고용평등기회 고령층 고용
남성 대비 여성의 임금 비율
7. 갈등해결 노동조합 조직률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정책적 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별과제를 부여하여 학습내용을


숙지하고 자료정리·분석능력을 향상시킨다.

1. 기존 항만(해양)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찾아보고 정책적 분석에 필요한 자료에 대한 조


사·분석 과정을 알아보고 주어진 조건을 바탕으로 실제 수행해 보도록 한다.

(1) 샘플 타당성조사 보고서와 유사한 항만의 종류 및 규모로 예제 항만을 설정한다.

(2) 유사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참고하여 정책적 분석의 이해와 수행과정을 알아본다.

(3) 예제 항만을 기준으로 정책적분석의 목적 및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4) 정리된 조사·분석 내용에 대하여 조사·분석 시 유의사항, 성과의 미비점, 보완사
항 등을 파악한다.

2. 정리된 자료 조사·분석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보고서 작성 과정을 통하여 정책적 분석에 대한 자료 조사·분석방법, 보고서 작성방


법 등을 습득하고, 자료 조사·분석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등을 정리한다.

86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정책성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 기본자료


조사·분석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정책성분석 과정을 체계적으로
접해볼 수 있도록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파급효과, 관련계획 및 정책방향과의 일치성, 사업추진
의지 및 선호도, 사업추진상의 위험요인, 민자유치 가능성, 고용효과 등의 이론적인 교과를 진행
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도록 지도한다.

•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 기본적인 학습을 위하여 사례소개 등을


활용한 이론 강의를 실시한다.

• 정책성분석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을 지도한다.

• 기 시행된 타당성조사보고서의 분석 조건을 일부 변경하여 제시한 조별 과제를 부여한다. 과제


수행을 통하여 스스로 자료 조사·분석, 분석 결과 활용방법 등을 익히고, 평가계획을 수립,
정책성 평가를 직접 수행토록 하여 실무적응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타당성조사의 목적에 맞게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 이론 강의 학습을 통하여 정책성 평가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이해하고,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 개별 항목별 수행체계 및 방법을 습득하여 정책성 평가에 관한 이해도를 증진한다.

• 과제별 필요자료에 대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조사·분석 및 정책성 평가 과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자료 수집 및 분석과 관련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수행하였는 지 과정도 병행하여 발표한다.

•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 등 정책성 분석의 기본적인 내용 및 활용방


법 등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 프로세스에 정책성 평가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작성한다.

87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 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역균형발전 - 사업진행 결과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검토
분석 할 수 있다.
- 상위계획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수 있다.
- 사업추진 경위 등을 파악하여 발주자의 정책과 일관
정책의 일관성 및 성, 선호도 및 추진의지를 평가할 수 있다.
추진의지 분석 - 재원조달 방안으로 국고지원의 적합성과 민자유치 가
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 일간신문, 보도자료 검토를 기반으로 지역동향을 파악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논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파급효과 도입의 목적 및 파급
지역균형발전 효과에 대한 인지여부 및 논리적 합리성
분석 - 해당시설에 적절한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파급효과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보는 수행과정의 이해도
- 정책의 일관성, 사업 추진의지, 재원조달방안의 목적
정책의 일관성 및 및 파급효과에 대한 인지여부, 논리적 합리성
추진의지 분석 - 정책의 일관성, 사업 추진의지, 재원조달방안 대한 기
본적인 사항을 수행과정에 대한 이해도

• 서술형 검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지역균형발전 - 지역균형발전 분석의 목적, 지역낙후도, 지역경제 파급
분석 효과에 대한 이해 및 분석방법에 대한 이해도
정책의 일관성 및 - 정책의 일관성, 사업 추진의지 등 정책성분석에 대한
추진의지 분석 이해 및 분석방법에 대한 적합성

88
피드백

1. 논술형 시험
- 정책성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에 대
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지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정책성분석에 필요한 항목별 분석 자료에 대한 용도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 평
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보고서에 대한 합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해 준다.

2. 서술형 검사
- 지역균형발전 분석,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분석에 대한 이해 및 연계방법 인지 여
부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명해 준다.
- 대상사업별 정책성분석에 필요한 항목별 분석과정에 대한 이해 및 평가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사항을 설명해 준다.

89
학습 1 기초자료 조사・분석하기(LM1402010503_14v2.1)
학습 2 시설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3_14v2.2)
학습 3 경제성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3)
학습 4 정책적 분석하기(LM1402010503_14v2.4)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


학습 5
(LM1402010503_14v2.5)

5-1. 사업의 적정성 평가


• 사업에 대한 경제적·정책적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추진여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타당성 판단기준

1. 경제성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비용 및 수요, 편익을 추정하여 경제


적 타당성을 평가하며, 정책적 분석은 지역낙후도, 재원조달 가능성, 지역경제 파급효과
추정, 사업의 추진의지 및 선호도, 관련 계획 및 정책과의 일치성 등 기본 평가항목과
사업의 특수성이 있는 사업에 한하여 사업특수 평가항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타당
성조사의 최종적인 판단은 경제성 분석과 정책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는 AHP분석을 통
하여 사업의 타당성 확보 여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을 도출한다.

2. 경제성 및 정책성 분석을 종합한 AHP 분석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1) 정량적 분석 결과와 정성적 분석 결과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이다. 즉 B/C
비율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상위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사업을 어떻게 종합적
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2) 정량적 분석의 경우도 서로 다른 척도(scale)의 평가항목을 어떤 방법으로 통합하는
해야하는 것이 적정한 가에 대한 문제이다. 즉, 사업의 B/C 비율은 1.0보다 작은 0.9
로 분석되었지만 3천명이라는 많은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경우, 어떤 기준으로 사
업시행 여부에 대한 최종판단을 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3) 평가의 일관성과 배치될 수 있는 사업의 특수성 반영 여부에 대한 문제이다. 타당
성조사 대상 사업 중 국가전략 차원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 경제성 분석으로 계량
화할 수는 없지만 특수 평가항목이 중요시되는 경우이다.

90
(4) 종합평가 참여자에 대한 의견을 종합해서 최종적 결론을 도출의 문제이다. 특히 개
별 연구진간 대상 사업의 시행 여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갖는 경우 최종적인
결론을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5) 이러한 한계점 극복을 위해 다기준분석(multi-criteria analysis)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다기준분석은 여러 가지의 속성들(multi-attributes)을 적절하게 반영된 다차원의 목적
들(multi-objectives)을 충족할 수 있는 최적결과를 도출하는 의사결정기법이다.

 AHP 분석을 통한 타당성 종합 판단

1. 경제성 분석 결과와 정책적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업의 추진 여부에 대해 최종적인


타당성 종합 판단을 내리기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에서 제시된 AHP 기법을 이용한다.

2. AHP 기법은 평가의 개념화(Conceptualizing) ⇒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


(Structuring) ⇒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 대안 간 선호도 측정(Scoring) ⇒ 종
합점수 산정(Synthesizing) ⇒ 환류과정(Feedback) ⇒ 종합결과 및 정책제언 (Concluding)
의 절차로 수행된다.

3. AHP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자 선정은 평가결과의 전문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평가자는 대상 사업에 대한 일정수준 이상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해당분
야 전문가로 구성하여야 한다.

4. 해당 사업의 분석에 직접 참여하는 전문가 그룹, 예를 들어 해당 사업의 연구책임자


(PM), 수요, 비용 및 금융․회계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AHP 평가에
7~8인의 전문가가 참여하도록 하며, 평가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부여한 평가자 점수를
제외한 5~6인의 응답결과를 가지고 종합평점을 도출하도록 한다.

5. AHP 분석의 최종적인 도출결과는 ‘사업 시행’ 대안과 ‘사업 미시행’ 대안의 각 평
가기준별 가중치와 기준별 대안들의 평가점수를 곱해서 산출되는 대안별 종합평가점수
(weighted sum)이다. 사업시행 대안이 종합평가점수 0.5 이상이면, 사업의 타당성이 확보
된다고 판단한다. 다만, 최종 판단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위해 회색영역을 설정하였다.
회색영역이란 연구진 구성이 달라질 경우, 현재의 종합평가점수의 결과가 변경될 여지
가 있는 영역이다.

91
수행 내용 / 사업의 적정성 평가하기

재료·자료

Ÿ 해당시설의 기본계획 보고서, 기본설계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

Ÿ 해당시설의 경제성분석, 정책성분석 수행 결과

Ÿ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Ÿ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Ÿ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Ÿ 총사업비 관리지침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인터넷 연결), 복사기, 프린트 등

Ÿ 워드작성용 프로그램, 엑셀프로그램 등

Ÿ 필기도구 등 기타 문구용품

안전 ・ 유의 사항

Ÿ 인터넷을 이용한 해양수산부의 각종통계자료 검색방법을 익힌다.

Ÿ 각종 자료의 보관, 편집, 정리하는 방법을 익히고 자료 유실에 주의한다.

수행 순서

 타당성조사의 결과를 도출을 위한 사업의 적정성 평가방법으로 타당성판단 수행절차 및


AHP 분석을 통한 타당성 종합 판단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 분석적 계층화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수행 절차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


한다.

1. AHP기법은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하나의 기법으로써 평가 항목별 서로 상이한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는 평가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체계적인 평가가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된 의사결정 기법이다. AHP기법은 의사결정 요소의 유사항목을 군집화하고, 3단계
의 수준(level)으로 계층화하여, 각 수준별 분석결과를 종합화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92
2. AHP 수행 절차

(1) 평가대상 사업의 개념화(Conceptualizing)

(2) 평가기준 확정 및 계층구조 설정(Structuring)

(3)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

(4) 대안 간 선호도 측정(Scoring)

(5) 종합점수 산정(Synthesizing)

(6) 환류과정(Feedback)

(7)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 AHP 구조 및 평가항목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AHP 분석의 목표는 경제성 분석 및 정책성 분석 결과를 객관적인 관점에서 종합평가하


여 사업 시행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경제성 분석은 비용·편익분석을 통하여
B/C 비율로 도출되며, 정책성 분석은 비용·편익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요소 중 공공투
자사업의 타당성 평가에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항목의 구성한다.

2. 예비타당성조사 AHP 분석의 기본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다. 제1계층은 경제성 분석, 정


책성 분석 및 지역균형발전 분석으로 구분된다. 제2계층은 정책성 분석을 구성하는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 의지’,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사업특수평가’로 이
루어진다. 제3계층은 정책성 분석의 제2계층을 구성하는 세부 평가항목과 지역균형발전
분석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된다.

93
출처: 한국개발연구원(2013), 「항만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KDI.
[그림 5-1] 예비타당성조사의 AHP 기본구조

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평가기준 가중치 측정(Weighting)은 계층구조의 각 수준별로 각 항목 간 상대적 중요도


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2. 제1계층인 경제성 분석과 정책성 분석 가중치는 종합평가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


문에 평가자간 주관적인 편향을 줄이기 위해 사전에 가중치의 범위를 부여한다.
<표 5-1> 사전가중치 산정범위

구 분 경제성 기술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건설사업 40~50% - 25~35% 20~30%


R&D, B/C 분석시 40~50% 30~40% 20~30% -
정보화 사업 E/C 분석시 30~40% 40~50% 20~30%
기타 B/C 분석시 25~50% - 50~75% -
재정사업 E/C 분석시 20~40% - 60~80%

출처: 기획재정부(2014), 「201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

3. 제2계층, 제3계층 평가항목의 가중치는 Saaty의 9점 척도를 적용하여, 상호간 비교를 통


해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고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평가항목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도
출한다.

94
 최종적인 타당성 조사의 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1. AHP기법의 마지막 단계는 도출된 종합평점을 근거로 ‘사업시행’ 대안의 적정성 여부


를 평가하고, 정책제언을 제시하여 해당사업에 대한 정책결정에 참고하도록 한다.

2. AHP 분석의 최종결과는 ‘사업시행’ 대안과 ‘사업미시행’ 대안의 항목별 가중치와


평점을 곱해서 산출되는 대안별 종합평가점수(Weighted sum)이다. 과거에는 사업시행
대안이 사업미시행 대안의 종합평가점수 0.5 이상이면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으
로 판단하였다.

3. 최종적인 판단에 신중하기 위하여 다음의 회색영역을 설정하였다.


0.5 - 0.05 < AHP 종합평점 < 0.5 + 0.05,
즉, 0.45 < AHP 종합평점 < 0.55

회색영역은 연구진 구성이 달라질 경우 현재의 종합평가점수가 변경될 수 있는 영역으


로 볼 수 있다. 종합평가점수가 회색영역에 있을 경우 연구진은 AHP 분석에 따른 종합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4.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은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종합하는 부분으로써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1)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사업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한다. 경제성 분석 및 정책성 분석


의 주요 내용과 AHP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보여준다. 특히, 사업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2) 예비타당성조사 수행과정에서 얻은 정량적․정성적 정보를 기초로 예산부처 또는 주


무부처에서 유의할 사항 등을 기술한다.

 타당성조사에 필요한 사업의 적정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조별과제를 부여하여 실습


을 통해 학습내용을 숙지하고 협업·토론·자료정리·발표능력을 향상시킨다.

1. 실습을 위한 5~10명 내외로 조를 편성한다.

(1)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2) 각 조원별 적정하게 조사항목을 분배한다.

(3) 조사내용에 대해서는 조원 간 공유하도록 하며, 조사·분석 결과는 조원들 간 토의


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도록 한다.

2. 기존 항만(해양)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찾아보고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필요한 자료에


대한 조사·분석 과정을 알아보고 주어진 조건을 바탕으로 실제 수행해 보도록 한다.

(1) 사업의 적정성평가를 제외한 샘플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과제수행을 위한 예제 항만


사업으로 설정한다.

95
(2) 유사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참고하여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대한 이해와 수행과정을
알아본다.

(3) 예제 항만을 기준으로 사업의 적정성 목적, 방법, 결론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4) 각 조는 예제 항만(해양)의 기존 유사시설 보고서를 참고하고, 미비점을 보완하여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필요한 조사·분석 항목을 정리한다.

(가) 분석적 계층화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수행 절차

(나) 대상사업의 AHP 구조 및 평가항목 기초자료 조사·분석

(다) 대상사업의 사업의 사업성 평가

(라)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Concluding)

(5) 정리된 조사·분석 내용에 대하여 조원들 간의 토의를 통하여 조사·분석시 유의사
항, 성과의 미비점, 보완책 등을 파악하고 성과를 공유한다.

3. 각 조별 예제 항만에 대한 자료 조사·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도록 한다.

(1) 정리된 자료 조사·분석 내용을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고, Power Point 등을 활용한
발표 자료를 준비한다.

(2) 각 조별 발표를 시행하고, 발표 내용에 대해서 다른 조와 같이 토의하도록 한다.

(3) 결과발표를 통하여 다른 조의 과제 자료 조사·분석방법, 보고서 작성방법 등을 습


득하고, 자료 조사·분석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등을 정리한다.

96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사업의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적정성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 및 정책제
언 도출 등 적정성 평가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사업의 적정성
평가 과정을 체계적으로 접해볼 수 있도록 자료조사,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 방법 등의 이론적인 교과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도록 지도한다.

• 자료조사, 사업의 적정성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 및 정책제언 도출 등 기본적인
학습을 위하여 사례소개 등을 활용한 이론 강의를 실시한다.

• 사업의 적정성 평가와 경제성분석, 정책성분석, AHP 분석, 종합평가 등의 연관성 및 개별 항목의
활용방법 등을 지도한다.

• 기 시행된 타당성조사보고서 분석의 조건을 일부 변경하여 제시한 조별 과제를 부여한다. 과제


수행을 통하여 스스로 자료 조사·분석, 분석 결과 활용방법 등을 익히고, 평가계획을 수립,
적정성 평가를 직접 수행토록 하여 실무적응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타당성조사의 목적에 맞게 AHP 분석, 종합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 등 이론 강의 학습을 통하여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대한 취지와 목적에 대하여 이해하고,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 등 개별 항목별
수행체계 및 방법을 습득하여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관한 이해도를 증진한다.

• 과제별 필요자료에 대한 자료출처, 자료조사 방법,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 등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조사·분석 및 사업의 적정성 평가 과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자료 수집 및 분석과 관련한 정보 교류를 위하여, 제시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조사·분석한 내용을 어떻게 수행하였는 지 과정도 병행하여 발표한다.

•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평가위원 선정, AHP 종합판단의 전제조건 및 기법 등의 기본적인


내용 및 활용방법 등을 이해한다.

• 타당성조사 프로세스에 사업의 적정성 평가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여 작성한다.

97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에 대한 경제적·정책적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사업의 적정성
평가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추진여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의 적정성 평가 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본적


인 사항을 알아보는 수행과정에 대한 이해도

사업의 적정성 - AHP 분석에 적용되는 경제성분석, 정책성 분석 결과


평가 활용방법 인지 등 분석과정 및 결과에 대한 합리성

- AHP 분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발표 준비


정도 및 논리적 표현능력

• 평가자 질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사업의 적정성 평가 과정에 대한 이해, 평가자 선정
사업의 적정성
방법 및 통계적 방법 사용여부 등 분석결과에 대한
평가
적합성

98
피드백

1. 사례 연구
-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지 평가하
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사업의 적정성 평가에 필요한 항목별 분석 자료에 대한 용도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
는 지 평가하고 문제점을 표시하여 점검해 준다.
- 보고서, 발표 등 종합적인 결과에 대한 합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안
을 설명해 준다.

2. 평가자 질문
-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에 대한 이해 및 연계방법 인지 여부를 평가하
고 문제점을 보완하고 설명해 준다.
- 평가 절차, AHP 분석기법, AHP 종합판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활용방법을 인지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에 대한 보완사항을 설명해 준다.

99
∙ 건설교통부(2003년). 『지역개발사업에 관한 업무지침』. 건설교통부.

∙ 국토해양부(2010년). 항만 적정하역능력 산정 재검토.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12년). 『제3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국토해양부.

∙ 기획재정부(2010년). 『예정가격 작성기준』. 기획재정부.

∙ 기획재정부(2014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

∙ 기획재정부(2015년). 『총사업비 관리지침』. 기획재정부.

∙ 장성용(1987년). 『항만개발투자의 경제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원. 제28호,


P.63.
∙ 한국개발연구원(2001년).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 분석 방안 연구(Ⅱ), KDI.
∙ 한국개발연구원(2008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 KDI.

∙ 한국개발연구원(2009년). 『항만부문 민간투자사업의 운영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KDI.

∙ 한국개발연구원(2013년). 『항만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KDI.

∙ 한국개발연구원(2013년). 『항만분야 수익형 민간투자사업 적격성조사 세부요령 연구』. KDI.

∙ 한국철도공사(KORAIL) 홈페이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6년). 비관리청 항만공사 제도개선 방안수립, KMI.

∙ 해양수산부(2011년).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 해양수산부(2014년).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해설』. 해양수산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4년). 『2014년 품목별 항만물동량 예측 연구』. KMI.

∙ E. B., Barbier(1090), 『Economic Evaluation of Tropical Wetland Resources: Applications in Central


America』, Prepared for IUCN and CATIE, London Environmental Economics Center.

∙ UNCTAD(1985년). 『PORT DEVELOPMENT』. UNCTAD.

100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박현주(신구대학교)* 곽문수(명지전문대학)* 윤현덕(명지대학교)
권혁주(㈜유신)* 이동수(㈜씨테크알엔디)
김세용(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이한배(㈜건화)
김호상(㈜건일엔지니어링) 이호근(영광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유재흥(경승 D.C.I)* 조재희(㈜이산)
이두성(㈜대영엔지니어링)*
이 원(일진인터내셔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곽문수(명지전문대학)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현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영인(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윤재(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