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7

요 약 1

요 약

제 1 장 사업의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의 개요

가. 사업추진의 배경 및 목적

□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생명자원소재 를 개발하기 위해 기


(Bio-based Materials)

초연구성과를 활용한 산업화기술 사업을 추진함


○ 석유화학소재에서 생명자원소재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어 생명자원 활용 개발 ·

능력이 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음


○ 우리나라도 생명자원소재 산업화 사업에 대한 정부투자가 필요함
R&D

나. 사업 추진경위

□ 년부터 추진되어 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됨


2010 2011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개정
· (’10.1)

○ 농림수산식품 농산어촌 비전 발표
· 2020 (’10.2)

○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의결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 ’10.10)

○ 생명자원소재산업화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보고서 작성 (’10.8)

○ 생명자원소재산업화기술개발사업 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2011 (’10.12)

○ 생명자원소재산업화기술개발사업 기획 공청회 (’11.2)

○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으로 사업명 변경


‘ ’ (’11.6)

○ 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및 선정
2011 (’11.9)
2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다. 사업 내용

□ 사업 개요
○ 비전 글로벌 농업생명소재산업 선도
:

○ 목표
억 원 이상 수익 창출 가능 농생명소재 개 이상 창출
- Global Leading Top(1,000 ) 10

-소재별로 개 이상의 상품화소재 억 원 이상 수익 창출 가능 소재 개발


10 (100 )

-글로벌 수준의 소재 산업화를 위한 계측 평가 가공 생산 재료제조 등 기술 개발 · , ,

-소재기술의 지적재산권 확보 논문 건 특허 등록 건 기술이전 건 ( 2,600 , 700 , 300 )

-연간 명의 고용창출 3,000

○ 사업 추진전략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투자 강화 개방형 혁신 전략 추진 형 사업 추진 , , R&BD

○ 사업 추진체계
-추진주관부처 농림수산식품부 :

-추진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 사업비 총 억 원 국고 억 원 민자 억 원
: 5,982 ( 4,636.5 , 1,345.5 )

○ 사업기간 년 년총 년: 2013 ~ 2022 ( 10 )

○ 사업내용
<표 1> 연구개발내용
구분 내용
천연 방부제 유기합성 방부제 시장 대체 천연 방부제 소재 개발
천연 항생제 대체재 무독성 저독성 의 천연 항생제 대체재 개발
( )

천연 소재
5味 천연 기능성 감미 조미료 소재 상용화 기술 개발
·

기능성 아미노산 농축수산업 및 식품산업 부산자원을 원료로 한 유용 아미노산과 펩타이드 개발


기능성 효소 고기능 및 신기능 식품용 및 산업용 효소 개발
천연 장기능 개선제 장 정착능력이 우수한 고 기능성 프리바이오틱스 개발
바이오 향료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향료 개발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 · 친환경 기능성 염료 및 천연도료 기술개발
바이오 플라스틱 범용수지 대체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
바이오 섬유 식물생리활용 융복합 섬유소재와 생화학적 공정을 통한 생분해성 그린섬유소재
개발
요 약 3

비 전

글로벌 농업생명소재산업 선도
목 표
세계시장 선점 가능한 10대 농생명소재 개발

중점 추진 내용

투 입
사업기간 ‘13년~’22년(10년) / 총 사업비 5,982억 원
프로젝트별 년6 (1+3+2) 정부 민간
+ (4,636.5+1,345.5 억 원 투입
)

[그림 1] 사업체계도
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 조사방법

가. 기술적 타당성 분석

기술개발계획의 적절성
(1)

□ 대 소재 분야 선정과정의 적절성 기획 참여자 및 기술수요조사의 적절성 등


10 , pool

에 대해 분석함
○ 소재 분야 선정기준의 적절성 선정기준의 준수 여부 기초연구성과 분석 등 기술
, ,

수요조사의 적절성 등에 대해 분석함


□ 사업목표의 구체성과 목표치의 적절성 등에 대해 분석함
○ 목표의 구체성 소재 분야별 세부 목표의 적절성 논문 특허 등 목표치의 적절성
, , ,

등에 대해 분석함
□ 사업 추진절차 프로젝트 시행 방식 소재 분야별 추진 계획 등 사업 추진전략의 적
, ,

절성에 대해 분석함
○ 연구계획의 적절성 산업화기술개발 전략의 구체성 단계별 프로젝트 탈락 방안의
, ,

적절성 단계 상세기획의 적절성 등에 대해 분석함


, 1

○ 대 소재 분야별 추진계획 및 단계별 로드맵의 구체성 등에 대해 분석함


10

□ 추진 체계의 적절성 프로젝트 과제 관리 체계의 적절성 등에 대해 분석함


, ( )

○ 추진체계의 효율성 추진주체 임기의 적절성 등에 대해 분석함


,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2)

□ 특허 분석을 통해 세계적 기술추세를 분석함


□ 특허 분석 및 전문가 설문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을 분석함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3)

□ 생명소재 분야 사업 대 소재 분야 관련 사업들과의 중복성 여부를 분석함


, 10
요 약 5

나.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정책의 일관성과 추진의지


(1)

□ 동 사업의 목표 및 전략 등을 상위계획과 비교하고 주관부처의 사업 추진의지와 예


,

상 수행기관의 선호도를 분석함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2)

□ 사업참여의향서 분석 등을 통해 민자를 포함한 재원조달 가능성을 분석함


□ 주관부처의 법적 직무 국토해양부의 법적 역할 등을 분석하여 법 제도적 위험요인
, ·

을 분석함

다. 경제적 타당성 분석

비용 추정
(1)

□ 농림수산식품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등을 통해 연구관리비 예산소요 계획의 적절


성을 분석함
□ 소재별 프로젝트 수의 적절성 프로젝트당 예산규모의 적절성 등을 분석하여 연구
, ,

개발비 예산소요 계획의 적절성을 분석함

편익 추정
(2)

□ 시장수요접근법을 사용하여 동 사업으로 인한 편익을 추정함


,

경제성 분석
(3)

□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동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함


6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제 2 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1. 기술개발계획의 적절성

가. 기획 과정의 적절성

□ 주관부처는 후보 소재 조사 소재 선별 그룹핑 등 단계의 기획과정을 걸쳐 대


, , 3 10

소재 분야를 선정함
○ 단계 과정에서는 전문가 수요조사 등 생명자원소재 후보 발굴을 통하여 개 후
1 220

보 농생명소재를 도출함
○ 단계 과정에서는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후보 소재를 선별한 후 유사 소재별로
2 ,

그룹핑함
○ 단계 과정에서는 과제 중복성 및 타 사업 추진 여부 등을 조사하여 대 소재 분
3 10

야를 최종 선정함
<표 2> 10대 소재 분야 발굴 및 선정 과정

1 단계(조사) 단계(선별)
2 3 단계(최종 선정(평가))

220 개 후보 소재 대 소재
30 대 소재
21 대 소재
10

생명자원소재 중점투자 중점투자 대 농생명소재


10
투자후보 발굴조사 1 차 후보소재군 선발 차 후보소재군 선발
2 선정

- 기술개발 추진가능성 ,

전문가 수요 조사 전문가 자문 및 인터뷰 소재군별 작성 성장성 경쟁가능성


, ,
-
선진국 로드맵 유사 소재 분야 그룹핑
-
-
전문가 자문
RFP
중복성 농식품산업
,
-
분석 등
R&D
-
-
유사소재분야그룹핑 연관성 평가
-
- 농생명소재 분야별
포트폴리오 구축
출처 기획보고서
:
요 약 7

□ 소재 분야 선정 단계에서는 후보 생명자원소재 을 도출하기 위해 농생명소재


1 Pool

산업군 리스트에 따라 관련된 소재 리스트를 확보함


○ 서면의견서와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후보아이템을 조사하였으며 농식품부 생명 ,

자원분과 위원 동 사업 차 기획위원이 선정함


, 1

○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하고 성장가능성이 높아 미래 유망하며 우리나라


① , ② , ③

생명자원이 강점을 보유하거나 강점발휘가 가능한 소재이며 국내시장 국산화 , ④ ( )

만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 기존 소재를 개량하는 수준이 아닌 소재로 선정함 ⑤

○ 국내 자생식물 에센셜 오일 바이오미메틱 섬유 박테리아 유래섬유 등 개 후보 , , 220

소재가 선정됨
□ 단계에서는 차 수요조사를 통해 글로벌 소재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소재 개를
2 2 30

선정하고 이를 개로 다시 그룹핑함 21

○ 서면의견서 전화 인터뷰 시장 분석 등을 통해 후보 소재를 조사하였으며 농식품


, , ,

부 생명자원분과 위원 동 사업 차 기획위원이 선정함 , 2

○ 년 시장규모가 조 원 이상으로 미래 시장 성장가능성이 크고 우리나라


① '20 1 , ②

가 집중 투자 시 세계시장 선점 가능성이 높으며 혁신적 기술역량 또는 선행 연 , (

구성과 보유 여부 기술 개발 개발성공 시 ) ③ 산업에의 파급효과 등 Down-stream

산업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소재로 선정함


- 220개 소재 중 개 소재를 개 소재군으로 그룹핑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개
86 27 3

소재군을 신규로 선정하였으며 대 소재군 중 개 소재군을 대 소재군으로 , 30 29 21

재그룹핑함
○ 바이오 향료 소재 합성섬유대체 바이오 섬유 소재 천연물 융복합 섬유소재 등
, , 21

개 후보 소재군이 선정됨
□ 단계에서는 전문가 및 민간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대 소재 분야를 선정함
3 , 10

○ 과제성격상 중복되거나 타 부처 중복 사업에 해당하는 소재군은 제외하고 유사 소


재군을 그룹핑하여 최종 대 소재를 선정함 10

- 21대 소재군 중 개 소재군을 선정하여 대 소재군으로 재그룹핑함


13 10

○ 천연 방부제 천연 항생제 대체재 천연 소재 기능성 아미노산 기능성 효소


, , 5味 , , ,

천연 장기능 개선제 바이오 향료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


, , · · , ,

오 섬유가 개 소재 분야로 최종 선정됨


10
8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기획과정을 검토한 결과 후보 소재 선정기준에 기초연구성과 민간기업 수요 등이


, ,

포함되지 않은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기초연구성과 및 년 이내 산업화 가능 여부 원천 특허 확보 여부 개별 민간기업
5 , ,

의 산업화기술 개발의지를 선정기준에 반영하지 않은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시장규모 세계시장 선점 가능성 등 후보 소재 선정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도 여
,

러 번 있었던 것으로 분석됨


○ 단계 후보 소재 선정과정에서 선정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선정
1, 2

된 소재가 있음
-중남미산 참마자 추출 디오스게닌 코코넛 껍질 등은 우리나라 생명자원이 강점을 ,

보유하거나 강점발휘가 가능한 소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개 후보 소재에 선 220

정되었음
-비목재 기능성 한지소재 자생식물 유래 항염증 소재 생물유래 지방분해 촉진소
, ,

재 바이오 기반 환경 정화소재는 시장규모가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조


, , 1

원 이상의 미래 시장이 있어야 선정 가능한 대 소재군에 선정되었음 30

-시장규모가 파악된 후보 소재의 경우도 생명소재기반 제품의 시장규모가 아닌 화


학공정기반 제품의 시장 규모를 제시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됨
□ 사전기획과정에 산업계의 참여가 부족하였으며 일부 소재 분야의 상세기획 참여 전 ,

문가가 다양하지 못 한 것으로 판단됨


○ 사전기획 전문가 풀 명 중에는 산업계 전문가가 전무하였으며 천연 방부제 천
(13 ) , ,

연 소재 천연 장기능 개선제 등 일부 소재 분야의 상세기획에는 산 학 연 전


5味 , / /

문가들의 참여가 다양하지 못 한 것으로 판단됨


□ 소재 분야 선정과정에서 그룹핑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선택과 집중 전 , ‘ ’

략을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 한 것으로 판단됨


○ 개의 후보 소재를 도출하고 선별된 후보소재에 대해 그룹핑하여 진행한 것은
220

적절한 도출 과정으로 판단되지만 계속적인 그룹핑 작업으로 최종적으로 선택과 , ‘

집중 전략이 적용되지 못 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판단됨


개 후보 소재에 대해 이루어진 첫 번째 선별 단계에서


- 220 개 가 선정되었 39%(86 )

으나 개 후보군으로 그룹핑된 이후에는


, 30 가 최종 소재 분야로 선정되 60%(18/30)

었음
요 약 9

□ 기초연구성과 분석이 구체적이지 못하며 민간기업에 대한 기술수요조사가 없어 동 ,

사업 기획과정에서 기술수요조사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 기초연구성과를 연계하여 산업화기술을 개발하는 동 사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 ,

초연구성과와 산업화 장애기술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 동 사업에서 연계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성과들과 산업화기술에 걸림돌이 되는 기
술들에 대한 사전 조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후보 소재 선정과정에서 민간기업의 기술수요조사가 없어 사업 성격에 적절한 기 ,

술수요조사를 실시되었다고 보기 어려움


□ 기초 원천연구 후속 를 위한 타 부처와의 협의는 적절하였으나 일부 부처에서
· R&D ,

연구개발하고 있거나 추진 중인 소재에 대한 협의가 생략된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으로 판단됨
○ 기초 원천연구 후속 지원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와 농촌진흥청과 협의한 것은
· R&D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주관부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기초 원천연구 후속 및 생명공학분야
' · R&D R&BD

협력을 위한 농림수산식품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간 양해각서 및 기초 원천연구 ' ‘ ·

후속 지원을 위한 농림수산식품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간 사업 추진 협약


R&D

서 를 체결하였음

- 주관부처는 농촌진흥청과 차세대바이오그린 사업에서 실용화 산업화 이전 단계


' 21 ·

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산업화 부분은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추진 하기로 의견을


, ‘

조정하였음
○ 해양생물을 이용한 소재 분야 기능성 아미노산 등은 타 부처와의 협의가 필요한 것
,

으로 판단됨
- 해조류를 원료소재로 이용할 예정인 소재 분야의 경우 해양 분야 생명연구자원 ,

활용의 주무부처이며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국토해양부와 사


전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 바이오화학 공정이 주요 개발기술인 소재 분야의 경우 , WPM(World Premier

사업을 추진 중이며 산업기술개발의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와 사전협의


Materials)

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10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나. 목표 설정의 적절성

□ 동 사업은 글로벌 농생명소재산업 선도를 비전으로 세계시장 선점이 가능한 소재 ,

개발 등의 사업목표를 설정함
○ 억 원 이상 수익 창출 가능 소재 개 이상 창출 소재 분야별 억 원 이상
1,000 10 , 100

수익 창출 가능 소재 개 이상 개발을 목표로 함 10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소재 (Global Leading Top)

의 수익 창출 규모를 약 억 원 규모로 도출함 1,000

억 원 이상 수익 창출이 가능한 개 이상의 상품화소재 개발 또한 추가적 목


- 100 10

표로 도출함
<표 3> 사업목적, 목표 및 성과지표

구분 내용 출처
사업비전 § 글로벌 농업생명소재산업 선도 기획보고서
§ Global 농생명소재 개 이상 창출
Leading Top 억 10 (1,000

원 이상 수익 창출 가능 소재 )

§ 소재 분야별로 개 이상의 상품화소재 개발 억 원 이상


10 (100

수익 창출 가능 소재 )

§ 글로벌 수준의 소재 산업화를 위한 계측 평가 가공 생산 · , ,

사업목표 재료제조 등 기술 개발
§ 지표물질 확보 및 공정 기술개발 관련 연구 성과 논문 발표
· ( )


2,600

관련 국내외 특허 등록 건
1
§ 추가제출자료
700

§ 기술이전 건 300

§ 연간 명의 고용창출
3,000

§ 산업화 가능한 농생명소재 개발


§ 소재 산업화를 통한 수익 창출
성과지표 § 기술이전
§ 특허 등록
§ 논문 발표 급 (SCI )

○ 논문 건 발표 및 국내외 특허 등록 건을 동 사업의 목표로 함


2,600 700

-농림수산식품 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 분야


R&D 년까지 투자 대비 논문 `07~`09

및 특허 등록 성과를 기반으로 논문 특허 목표를 도출함 ,


요 약 11

년도 투자 대비 논문 성과 비율은 억 원 당 건이며 특허 등록은 억


- `07~`09 1 0.44 1

원 당 건으로 분석됨
0.12

○ 기술이전 건을 목표로 하였으며 기술료 억 원을 기대효과로 추정함


300 , 1,400

□ 검토 결과 생명소재기반 시장의 확대에 대비하여 산업화 관련 목표 지표를 수립한


, ,

것은 적절하지만 일부 목표는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 산업화 가능한 농생명소재 개발 기술이전 등의 지표는 산업화기술개발사업인 동 사 ,

업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현재의 국내 기술수준을 고려할 때 달성하기 어 , ,

려운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판단됨


- 기초연구성과가 미약하고 대부분의 관련 기업들이 영세한 국내 여건을 고려할 때 ,

억 원 이상 수익 창출 가능 소재 개 이상을 창출하고자 하는 목표는 달성


1,000 10

하기 어려운 목표로 판단됨


○ 소재 분야별 기술수준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대 소재 분야별 목표가 동일한 것은 , 10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천연 장기능 개선제 등 국내 대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소재 분야가
있는 반면 바이오 플라스틱 등 국내 시장의 전량을 수입하는 소재 분야도 존재함
,

- 이러한 기술수준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소재 분야에서 억 원 이상 수익 , 100

창출 가능 소재를 개 이상 창출하고자 하는 목표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10

○ 공급사슬관점에서 동 사업의 결과물에 대한 수혜 주체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


- 공급사슬 원료소재 생산자 중간 가공자 최종생산자 관점에서 원료소재 생산자
( - - )

의 수혜에 대한 구체적인 기획이 필요함


- 농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한 원료소재의 국내 조달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필
요가 있음
○ 산업화기술개발사업인 동 사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논문과 특허의 목표치가 과다하 ,

게 설정된 것으로 판단됨


- 주관부처는 농림수산식품 산업 기술 및 동향 조사 분석 중 바이오산업에
‘ · R&D · ’

해당하는 과제들의 투자 대비 억 원당 논문 특허성과를 이용함 (1 ) ,

- 하지만 산업화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동 사업은 기초원천연구단계를 수행하는


,

타 사업에 비해 논문 특허성과가 적게 도출될 것으로 예상됨 ,

○ 산업화기술개발사업의 구체적인 성과 측정을 위해 기술료를 기대효과가 아닌 사업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됨
12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다. 구성 및 내용의 적절성

사업 추진전략의 적절성
(1)

□ 주관부처는 선택과 집중 개방형 혁신 전략 기업주도의 형 사업 추진 을


‘ ’, ‘ ’, ‘ R&BD ’

동 사업의 추진전략으로 제시함


□ 주관부처는 동 사업을 단계 년 년 년 로 추진하고자 함 3 (1 /3 /2 )

○ 단계 년 에서는 소재 분야별로 개의 프로젝트 과제 를 선정하여 사업화 예측


1 (1 ) 30 ( ) ,

및 상세기획을 실시할 계획임


R&BD

단계 종료 후에는 개 프로젝트 중
- 1 개 을 단계 프로젝트로 선정함 30 60%(24 ) 2

○ 단계 년 에서는 소재 분야별로 선정된 개 프로젝트에 대해 파일럿 공정 및 실


2 (3 ) 18

증기술을 개발할 계획임


단계 후에는 개 프로젝트 중 개 프로젝트 를 단계 프로젝트로 선정함
- 2 18 12 (66%) 3

○ 단계 년 에서는 소재 분야별로 개 프로젝트의 상용화기술을 개발할 계획임


3 (2 ) 12

단계 1 2단계 단계 3
1년 3년 2년
사업화 예측 파일럿 공정 개발 및 실증 ,
상용화 개발 및 데모
R&BD 상세기획
산학연 협력 기업주도 기업주도

소재 분야별 소재 분야별 소재 분야별


개 프로젝트
30 개 프로젝트
18 개 프로젝트
12

프로젝트 선정률 프로젝트 선정률


60% 66%

출처 기획보고서 :

[그림 2] 단계별 사업 내용
□ 주관부처는 순차적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자 함
○ 사업 첫 해 소재별 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다음 해 부터는 년 간 소재별 개
, 10 , 5 5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임


요 약 13

<표 4> 소재별 연간 추진 프로젝트 수

연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총합
1단계 착수
누적
10

10
5

5
5

5
5

5
5

5
 

 
 

 
 

 
 

 
 

 
30

2단계 착수
누적
 

 
6

6
3

9
3

12
3

9
3

9
 

6
 

3
    18

3단계 착수
누적
 

 
 

 
 

 
4

4
2

6
2

4
2

4
2

4 2
12

출처 기획보고서
:

□ 추진전략 검토 결과 소재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연구계획은 적절


,

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됨
○ 기초연구성과 국내 기술수준 등 소재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계별 기간
, , ,

프로젝트 수 등을 동일하게 설정한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기초연구성과 및 국내 기술수준이 산업화기술개발에 적합하지 않은 소재 분야의
-

경우 동 사업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음


,

기초연구성과 후보 소재별 인프라 구축비용 등을 고려하여 소재 분야별 프로젝트


- ,

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음
□ 기초연구성과 분석 기술개발 계획 등 산업화기술개발 전략이 구체적이지 못하여
, ,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목표 소재에 대한 철저한 시장 수요조사 및 타당성 검증 기초연구성과 확인 특허 , ,

획득 방안 등 보다 구체적인 산업화 전략이 필요함


특허맵 기술개발 로드맵 등을 명확하게 작성하여 특허 확보를 통한 원천기술 확
- , ,

보 방안 경쟁사 특허 회피를 통한 기술개발 방안 등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기초연구성과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산업화에 걸림돌이 되는 장애기술을 파


-

악하는 등의 선행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소재 분야 특성 상 중소기업이 아닌 대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인 분야도 있으므로
- ,

중소기업 육성 방안뿐만 아니라 대기업 참여 방안도 마련되어야 함


□ 상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단계의 경우 연구비 규모와 민간 매칭 비율이 조정될 필
3 ,

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1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상용화 기술 개발은 데모 공정 설치 등을 포함하므로 연구비 규모를 늘리고 민간 ,

매칭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
-일부 소재 분야의 경우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해 하나의 후보 소재당 수십억 원에
,

서 수백억 원의 인프라 구축비용이 필요함


○ 프로젝트별 소요 예산 규모를 고려하여 프로젝트별 연구비 규모를 조정할 필요가 ,

있는 것으로 분석됨
-시장 수요 수익성 성장성 글로벌 경쟁력 등을 토대로 후보 소재를 압축하여 프
, , , ,

로젝트별 예산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


□ 프로젝트 단계별 평가 방안 단계별 프로젝트 탈락 방안 등 단계별 추진전략을 변경
,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소재 분야별 특성이 상이하므로 대 소재별 주관 하에 소재 분
, 10 Project Operator

야별 전문평가위원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소재 분야별 전문가 그룹이 포함된 소재 분야별 전문평가위원회에서 단계 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 산업화기술개발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재 분야 기업연구자 등 민간 전문가들 ,

의 전문평가위원회 참여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됨


○ 단계별 평가 방안의 경우 사업목표와 연계된 단계별 평가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

있는 것으로 판단됨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목표와 연관된 관리지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
,

으로 판단됨
○ 구체적인 근거 없이 단계별 프로젝트 탈락률을 미리 지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
,

은 것으로 판단됨
-주관부처는 차 추가제출자료를 통해 단계별 통과율 이 임의로 산정되었다고
1 (60%)

밝힘
-구체적인 근거 없이 단계별 프로젝트 통과율을 미리 정하여 유망한 프로젝트의 ,

다음 단계 진입을 가로막거나 유망하지 않은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를 허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원료소재 공급 관점과 농림수산식품부 직무 관점에서의 사업 추진전략이 구체적으
로 마련되지 못 한 것으로 판단됨
○ 원료소재의 대부분은 국내 가용양이 한정적이거나 우리나라의 원료소재 생산 경쟁
력이 중국 동남아시아에 비해 많이 뒤처짐
,
요 약 15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소재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 우선적으로


-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농림수산식품부의 직무 농어업인의 소득 및 경영안정과 복지증진 등 를 고려할 때
( ) ,

국내 농어업인의 소득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현재 국내 대기업의 경우 원료소재 생산비용이 국내보다 저렴한 중국 베트남 인
- , , ,

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

□ 주관부처가 단계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세부기획은 예비타당성조사 이전에 완료될


1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주관부처는 동 사업 시행 후 단계 년 에서 사업화 예측 및 상세기획을 진
1 (1 ) R&BD

행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상세기획은 예비타당성조사 이전에 완료되어야 하는 것


,

으로 판단됨
대형 사업으로 기획된 동 사업의 경우 기획 과정에서 소재 분야별 사업화
- R&D ,

예측 및 상세기획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R&BD

기초연구성과 원천 특허 획득 방법 연구단계별 국내 수준 민간의 참여 의지 등


- , , ,

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사업 기획이 예비타당성조사 이전에 완료되어야 함


○ 소재 분야별 상세기획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추진 전략 기술개발 계획 등이 구체 ,

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음


각 소재 분야의 상세기획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추진전략 연구단계별 지원전
- ,

략 프로젝트별 연구비 규모 프로젝트 수 민간 매칭 비율 등을 구체적으로 수립


, , ,

할 필요가 있음

기술개발계획의 완성도
(2)

□ 주관부처는 대 소재 분야별 추진계획 및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하였음


10

○ 소재 분야 단위로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시장 및 기술동향 품목별 원료소재 기술 , , ,

개발 추진전략 세부 기술별 로드맵 연구개발 목표 기대 효과를 제출함


, , ,
16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표 5> 소재 분야별 연구 추진내용

구분 주요 내용 소재
천연 유기합성 방부제 시장 대체 천연 방부제 소재 개발
방부제 농작물 보존및및화장품
식품
-
-
첨가 첨가물용 천연 방부제 개발
항균 항진균 항산화용 천연 방부제 개발 · ·
생활소재
천연 무독성(저독성 )의 천연 항생제 대체재 개발
항생제 미생물 생균제 항생제 대체재 동물건강소재
대체재 약용식물 허브 추출물 항생제 대체재
- ( )

농산물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항생제 대체재


- ( )
-

천연 5味 천연 기능성 감미·조미료 소재 상용화 기술 개발


항당뇨 비만 충치 감미료 소재 생산 기술 확보 식품소재
소재 천연 고감미료 농산업소재
,

혼합 감미제 확보
-
- ( )

농축수산업 및 식품산업 부산자원을 원료로 한 유용 아미노산과 동물건강소재


기능성 펩타이드 개발 농산업 소재
,

아미노산 신부가가치의 건강식품용 화장품용 사료용 등의 항균 항비만 항당뇨 항 생활소재


,

치매 기능의 펩타이드 개발 식품소재


- , , / / / ,

고기능 및 신기능 산업효소 개발 농산업소재


기능성 가축 사료용 효소 개발 생활소재
,

효소 식품첨가물 효소 개발
-

동물건강소재
,

펄프 세제 섬유 제조를 위한 효소 개발
-
- , ,

장 정착능력이 우수한 고 기능성 프로&프리 바이오틱스 개발


천연 고기능성 프로 프리 바이오틱스 확보
장기능 전통 발효 식품 유래 프로 프리 바이오틱스 확보 식품소재
- &

개선제 인체 적합성이 높은 맞춤형 프로 프리 바이오틱스 확보


-

유전체 기반 식이섬유 및 올리고당류 개발


- &
-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 향료 개발


바이오 식 음료 및 향장품용 바이오 향료 개발 생활소재
향료 융복합용 및 의료용 바이오 향료 개발 식품소재
- · ,

바이오 공조향료 및 한방 향료 개발
-
-

바이오 친환경 기능성 색소·염료·도료 기술개발


색소·염 천연 염료의 고생산성을
천연 염료의 위한 작물자원 확보 생활소재
료·도료 천연 염색법 개발 섬유용 제지용추출법
안정화 및 고수율 개발 식품소재
- ,

목재용
-
- ( , , )

바이오 범용수지 대체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 농산업소재


플라스틱 식품 포장재용이상바이오
생분해 및 재생 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 생활소재
,

플라스틱 개발
- (95% )
-

식물생리활용 융복합 섬유소재와 생화학적 공정을 통한 생분해


성 그린섬유소재를 개발
바이오 식물 생리활성물질 활용 융복합 섬유 확보 생활소재
섬유 조직재생용 섬유 확보 농산업소재
- ,

셀룰로오스 기반 용융방사용 그린섬유 확보


-

동식물 단백질 바이오매스 기반의 섬유 확보


-
- /

출처 기획보고서
:
요 약 17

<표 6> 단계별 세부기술 로드맵 예시 (천연 방부제 분야)


중점연구영역 단계별 연구목표
총괄 핵심연구분야 Phase I Phase II Phase III
연구목표 미생물 기반의 친환경 식품 화장품 농산물 보존용 방부소재 개발
( ) , ,

미생물 화학
라이브러리로부 선택적 처리환경 검정
소재별 방부효과
발굴된
기법 확보
소재의 효과 증진
- , - QC

터 방부소재 진균 세균 친환경 제재화 기술 개발


-
및 등록시험을 상품성 분석
-

미생물 기반 발굴
-

타겟발굴
,

천연 방부제 미생물 및 평가
소재 개발 대산산물 천연물 이형생산균주 개발 및 균주
소재의 경제성 유도체 개량 기법연구
-
-

확보를 위한 발굴 및 유효성분의 생산기전연구 및 균주개량 개발 연구


및 산업용 균주 -

약효 및 발효공학연구
-

생산수율 증진 평가 제재화 효율성 검정


기술연구
-

(연구목표 식물 기반의 친환경 식품 화장품 농산물 보존용 방부소재 개발


) , ,

식물 기법 확보
천연물로부터 식물천연물 제재화 기술개발 발굴된 소재의 효과 증진
- QC

식물 기반 의 방부소재 및 등록시험을 상품성 분석


- -

천연 방부제 개발 식물 기반
방부제
-

소재 개발
식물소재의 소재 발굴 식물 방부소재의 유효성분 분리 재배환경과
비생물적
생물적
요인을 고려한
-

생산 시스템 및 평가 기법 및 제재화 기술 개발
-

연구 방부소재의 대량 밀식 재배시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제작


안정적 생산 프로토콜
환경 콘트롤 기술 개발
-

식물소재보호 기술 개발
-

연구목표 생물학적 친환경 식품 화장품 농산물 보존용 방부소재 개발


( ) , ,

생물학적 생물적
방부기술 생물학적 방부제 생물 방부제 제재화 기술개발 기법 확보
-

개발 방부기술 개발 후보 생물제재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발굴된 소재의 효과 증진


- - QC

생물군 처리 기법연구 및 등록시험을 상품성 분석


- -

발굴
연구목표 천연물 유래 방부소재 약효 검정 기술 확립
( )

안전성 검증 천연물 소재 천연방부소재의 및 약효


검정 기술 개발 천연방부소재의 등록시험과
- QC

연구 방부제 안정성 천연방부소재의 안정성 심사 심사를 위한 프로토콜 확립


-

검증기술 개발 기준 및 검정기술 개발
-

연구목표 천연물 방부소재 기반 유도제 대량 생산 기술개발


천연 천연 방부소재
( )

방부소재 유도체 천연물 천연물 유도체의 방부활성


기반 유도체 기반 최적화 발굴된 소재의 등록시험을
-

라이브러리 천연물 유도체의 물성 최적화 위한 상품성 분석


-

유도체
-

개발 및 개발 발굴 및
대량생산기술
-

연구 식물소재의 평가 방부물질의 환경친화적 반합성 대량생산을 위한 합성 기술


유기합성 연구 기법 연구 개발 연구
- -

출처 기획보고서
:
18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대형 사업을 추진하기에 기술개발 로드맵이 구체적이지 못하며 단계별 연구


R&D ,

목표가 너무 광범위한 것으로 판단됨


○ 대형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과정에서 개략적인
R&D RFP(Request

가 마련될 필요가 있음
For Proposal)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본래 정부의 역할을 타 주체가 대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


이므로 사업계획이 추상적인 관념이나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함
,

○ 각 단계의 연구목표가 정량적으로 표현되지 않아 향후 평가에 어려울 것으로 예


,

상됨
-단계별 연구 목표는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이며 정량적인 목표로 이
루어져야 함
-아울러 각 단계별 연구목표뿐만 아니라 각 단계를 연차별로 재구성하여 각 연차
, ,

의 목표 제시를 통해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 소재 분야별 기술 전문가 인터뷰 결과 기술개발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으며 적절하지
,

않은 것으로 분석됨
○ 예를 들어 천연 방부제 분야의 경우 국내 산업기반이 취약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

투자도 미흡한 실정이므로 산업화 후보물질을 선발하는 것이 우선시 되는 것으로


,

판단됨
-기존의 연구들은 항균활성 소재 탐색 수준에 머물러 있고 효능 미흡 또는 안정성 ,

부족 적용 스펙트럼의 한계 등에 의해 소재화가 되지 않고 있으므로 기존 연구


, ,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효능 증진 안정화 등의 기술 개발을 통해 소재화가 가능


,

한 후보물질을 선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활성증진 구조변형 및 생산기술 관련 소재화 연구 실적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

분석되며 발효와 추출의 경우 제조 원가적인 측면에서 대량 생산 설비 등이 필요


,

하므로 중국산 제품과 경쟁 시 가격 경쟁력을 가지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천연물화학 및 합성을 위한 제제를 위한
CT(Chemistry Technology), NT (Nano

활성검정 및 유전자 조작을 통한 활성물질 생산 증진을 위한


Technology), BT(Bio

등의 융합기술이 필요한 분야이지만 국내 기업들은 아직 초기단계에


Technology) ,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요 약 19

라. 추진 체계의 적절성

□ 동 사업의 추진체계는 농림수산식품부의 관리 하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운영본부를 구성하여 각 프로젝트를 총괄 관리하는 체계임
○ 운영위원회는 총괄 운영계획 수립 및 조정 예산운용계획 수립 세부 추진계획 적 , ,

절성 점검 등을 수행함
-농림수산식품부의 담당국장 위원장 과 과학기술정책과장 농촌진흥청의 생명자원관
( ) ,

리과장 교육과학기술부의 미래원천과장 동 사업의


, , Project Manager, Project

등을 포함하여 인 내외로 구성됨


Operator 15

-비상설조직으로 구성 운영되며 사업의 추진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책적 판단 및 의


·

사 결정을 위해 필요시 수시로 개최됨


○ 운영본부는 사업의 총괄 기획 관리하는 운영단장 명 와 프로젝
· Project Manager( , 1 )

트를 발굴 기획하고 평가 관리하는 소재 분야별


, · 명 관리직원 Project Operator(10 ),

명 으로 구성됨
(4 )

[그림 3]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거버넌스 구조


출처 기획보고서
:
20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표 7> 추진주체별 주요 역할


구분 주요 역할
최상위 의사결정기관
-
사업의 추진과 관련된 정책적 판단 및 의사결정
-
농림수산식품부 사업 시행계획 수립
-
사업 투자 운선순위 결정
-
농생명소재 산업화 기반 기술 확립 업체 참여 상용화 중점추진
- ( , )

구성 농림수산식품부 담당국장 민간전문가


- : +

운영위원회 ⋅예산 및
⋅사업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운영 계획 통합관리방안 등 협의
운용계획 수립 등 총괄 계획 수립 및 조정 역할 수행
,

⋅세부추진계획 적절성 점검
총괄운영 - 민간전문가 : Project Manager ( )
역할 사업 총괄 관리 및 운영 통합 관리
- :
농림수산식품 예산 운용계획 수립 등 총괄 기획 관리
-
기술기획평가원 프로젝트 운영의 평가 관리
-
농생명소재개발 프로젝트를 발굴 기획하고 평가관리 기능을 수행
- ,
⋅ 대 소재 분야별로 명의 담당자를 구성하여 수행 민간전문가
10 1 (PO, )

프로젝트리더 세부연구프로젝트 수행
-

출처 : 기획보고서
□ 동 사업의 추진체계는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상시 평가 시스템 , , Project


Manager 의 임기 등은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Project Operator

○ 와
Project Manager 의 자격 및 선정절차 등은 구체적으로 마련되
Project Operator

어 있으며 사업 추진주체의 역할 분담 등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 일정 기간마다 단계별 공개경쟁과 동시에 상시 평가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은 현장


연구자의 연구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음
○ 와
Project Manager 에 대한 중간 평가 없이
Project Operator와 , Project Manager

의 임기를 사업 기간 년 과 동일하게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Project Operator (10 )

으로 판단됨
요 약 21

2.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가. 기술추세 분석

□ 기술추세 분석은 대규모 기술개발 활동이 발생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동향 기술개 ,

발의 추진준비 기술개발 결과물을 활용하기 위한 경제 사회적 상황 등을 동태적


, ·

관점에서 분석한 것을 의미함


(dynamic)

○ 국내 기술수준과는 무관한 세계적 기술 추세를 분석하며 본 조사에서는 특허 분 ,

석을 통해 기술추세를 분석함
□ 특허 분석 결과 대부분의 소재 분야에서 미국 일본 유럽은 쇠퇴기이나 우리나라에
, , ,

서만 성숙기인 것으로 분석됨


<표 8> 10대 소재 분야별 특허 추세

소재 분야 특허 추세
- 전반적으로 꾸준한 특허활동 추이를 보임
천연 방부제 - 일본과 유럽은 쇠퇴기임 년대 중반 이후 감소 (`90 )
- 한국은 년대 초반 폭등 이후 감소하였으며 최근 재상승 흐름을 보이는 성숙기임
2000

천연 항생제 - 일본이 초기 강세였으나 최근 주춤하며 미국과 유럽은 활동이 저조함 ,

대체재 - 일본과 유럽은 쇠퇴기임 년대 초반 이후 감소 (`90 )


- 한국은 년대 중반이후 시장진입을 하면서 성장기임
`90

천연 - 일본과 미국 미국은 년부터 활동이 활발 은 강세이며 유럽이 상대적으로 저조함


( 2000 ) ,
5味
소재 - 유럽은 쇠퇴기 미국은 성숙기임 ,
- 한국은 년대 초반에 진입하였으며 최근에는
`90 성장기임 , (‘07~)

기능성 - 전 세계적으로 특허활동이 활발한 분야는 아니며 일본이 상대적인 강세임 ,

아미노산 - 일본은 쇠퇴기이며 미국과 유럽은 성숙기임


- 한국은 년대 중반 시장진입하면서 최근에는
‘90 성장기임 , (‘07~)

- 전세계적으로 특허활동이 활발한 분야이며 미국과 일본이 다소 강세임 ,


기능성 효소 - 유럽은 쇠퇴기이며 일본과 미국은 성숙기임 ,
- 한국은 년대 후반부터 증가하여 년경에 저조하였다가 최근에는 성장기임
‘90 , `05

천연 장기능 - 전 세계적으로 년대부터 특허활동이 활발하며 미국과 한국이 다소 강세임


`00 ,

개선제 - 유럽은 쇠퇴기이며 일본과 미국은 성숙기임 ,


- 한국은 년대 후반부터 증가하여 년경에 저조하였다가 최근에는 성장기임
‘90 , `05
22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소재 분야 특허 추세
- 전 세계적으로 일본이 강세이며 미국은 감소 추세이며 유럽은 저조함
, ,
바이오 향료 - 일본은 쇠퇴기이며 유럽과 미국은 성숙기임
,
- 한국은 년대 후반 이후 증가하여 년 저조하였다가 최근에는 성숙기임
`90 , ’05

바이오 - 전 세계적으로 한국이 강세이며 미국 일본 유럽은 저조함 , , ,


색소 염료
· · 일본과 유럽은 쇠퇴기이며 미국은 최근 감소중임
도료
- ,
- 한국은 년대 후반 이후 폭증하여 년경에 저조하였다가 최근에는 성숙기임
`90 , `05

바이오 - 전 세계적으로 특허활동이 활발한 분야이며 일본이 강세임 ,

플라스틱 - 일본과 유럽은 쇠퇴기이며 미국은 성장기임 ,


- 한국은 년대 초에 진입하여 년 이후 활발한 성장기임
‘90 ‘00

- 전 세계적으로 일본과 미국의 특허활동이 활발하며 유럽과 한국은 저조함 ,


바이오 섬유 - 일본은 쇠퇴기이며 미국 유럽은 성숙기임
, ,
- 한국은 년대 말 증가 이후 꾸준한 활동을 보이는 성장기임
`90

나. 기술수준 분석

□ 기술수준 분석은 기술선진국과 기술후발국간의 성장원천이 다르다고 설명하는 기술


격차이론에서 착안한 것으로 투자 우선순위의 판단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

우열에 대한 분석을 의미함


○ 세계적 기술수준과 비교한 국내의 기술수준을 분석하며 본 조사에서는 논문 분석 , ,

특허 분석 전문가 설문 등을 통해 기술수준을 분석함


,

□ 특허 분석 결과 대부분의 소재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세계적인 수준과


,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됨


○ 한국 국적 출원인의 세계시장 특허활동은 거의 없음
-한국 국적 출원인의 우리나라 특허 수는 건 전체 건의 이지만 일본 1,806 ( 2,307 78%) ,

특허와 미국 특허는 각각 건 전체 건의 19 건 전체 건의
( 5,424 0.35%), 21 ( 3,647 0.58%)

에 불과함
-우리나라의 특허수가 일본이나 미국의 특허수보다 많은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의 · ·

경우에도 일본과 미국에서의 한국인 특허는 각각 건 건에 불과함


, 5 , 0

-우리나라 상위 명의 주요 출원인이 미국에 등록한 특허 건수는 바이오 플라스틱


3

분야의 한 건이 유일함
요 약 23

<표 9> 한국 국적인의 세계 특허 현황

특허 건수
10대 소재 분야 한국 특허 일본 특허 미국 특허
전체 한국인 전체 한국인 전체 한국인
천연 방부제 118 111 194 0 44 1

천연 항생제 대체재 141 117 506 1 371 9

천연 소재 5味 246 224 640 0 522 3

기능성 아미노산 193 124 533 5 283 2

기능성 효소 303 239 468 4 491 1

천연 장기능 개선제 283 255 193 1 411 1

바이오 향료 211 194 1,217 2 627 3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
392 371 199 5 46 0

바이오 플라스틱 258 171 696 1 112 1

바이오 섬유 162 119 778 0 470 2

계 2,307 1,806 5,424 19 3,647 21

□ 동 사업과 관련성이 높은 중점과학기술들에 대하여 논문 분석 특허 분석 전문가 , ,

설문 등을 통해 기술수준을 평가한 결과 세계적인 기술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

분석됨
○ 동 사업과 관련성이 높은 중점과학기술들은 단백체 대사체 응용기술 식품 안정성 · · ,

평가기술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생명 소재 및 공정기술 식품자원


, , ,

활용 및 관리기술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임 ,

○ 분석 결과 일부 기술에 대한 특허의 양적 성과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기술수


,

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됨
특허 수의 비중은 모두 위 이내이나 수준지수는 모두 위 이하인 것으로 조사됨
- 7 6

세계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년 기준 년 이상의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음


- `08 7
2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표 10> 동 사업 관련 중점과학기술의 기술수준

논문분석 특허분석 전문가 설문에 따른


기술격차 1)

중점과학기술 현재 년
논문 수 수준 특허 수 수준 년후
(‘08 )
5
비중 (%) 지수 2) 비중 (%) 지수 년 년 ‘10 3) ( )

단백체 대사체 응용
· · 2.31 0.477 6.92 0.000
기술 (10 위 ) (9위 ) (5위 ) (10 위 )
7.6 6.8 7.4

식품 안정성 평가 1.18 0.409 3.44 0.122


기술 (19 위 ) (11 위) (7위 ) (10 위 )
7.6 4.0 6.1

농수축임산물 자원 1.06 0.563 11.14 0.026


개발 및 관리기술 (21 위 ) (11 위) (4위 ) (8 위 )
7.5 6.8 7.3

생명 소재 및 공정 3.14 0.875 2.87 0.078


기술 (8 위 ) (7위 ) (7위 ) (9 위 )
7.0 4.6 6.1

식품자원 활용 및 3.24 0.370 26.51 0.058


관리기술 (10 위 ) (10 위) (2위 ) (6 위 )
7.2 6.7 5.8

자원활용 고효율화 2.72 0.698 7.16 0.065


기술 (10 위 ) (9위 ) (4위 ) (8 위 )
7.1 5.1 7.7

1) 세계최고기술보유국의 해당 시점 소요시간과 우리나라의 해당 시점 소요시간의 차 년 ( )

2) 특정 기술 분야 전체 논문 특허 의 평균 피인용 수에 대한 특정 국가 발표 논문 특허 의 평균 피인용 수의
( ) ( )
비율로 피인용 수에 기반을 둔 질적 수준 평가지표
3) 교육과학기술부 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 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KISTEP(2011), “2010 에서와 달
" ·KISTEP(2009)
리 기준시점과 년 후의 기술수준을 비교하지 않았으며 년과 년의 기술수준을 비교하였음 따라서
5 2008 2010 .
년의 기술수준을 현재의 하위 항목으로 추가하였음
2010
요 약 25

3.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가. 중복성 분석 대상 후보군 도출

□ 농생명소재 분야 사업과 대 소재 분야별 사업으로 구분하여 중복성 분석 대상 후10

보군을 도출한 후 중복 후보 사업들을 주관부처 사업과 타 부처 사업으로 구분하여


,

동 사업과의 중복성을 분석함


○ 농생명소재 분야 사업들의 예산요구서 중장기 연구개발 계획서 주관부처의 추가 , ,

제출자료 기획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후보군을 도출함


,

○ 에서 제공하는 국가 사업 및 과제 정보를 이용하여 대 소재 분야별


NTIS4) R&D 10

연구목표 기술개발 내용 등을 기준으로 유사한 과제가 속한 사업으로 후보군을 도


,

출함
○ 최종적으로 구성된 중복성 분석 대상 사업 후보군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
,

하여 누락된 사업을 추가함으로써 중복가능성 분석 대상 사업을 확정함


중복성 분석 대상 사업을 주관부처 사업과 타 부처 사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함
-

나. 주관부처 사업과의 중복성 검토

□ 주관부처 사업 농촌진흥청 포함 과의 중복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업의 목적


( ) ,

추진방법 지원분야 지원대상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


, ,

○ 주관부처의 중복성 검토대상 사업으로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 전 농림기술개발사 (

업 기술사업화지원사업 농업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바이오그린 사업 차세대바이


), , ( 21 ),

오그린 사업이 선정됨21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의 세부분야는 생명자원활용과


천연의약 신소재 개발과제인 것으로 판단됨
○ 동 사업과 기술사업화지원사업은 기존 선행기술의 산업화와 실용화 연구를 진행한
다는 점에서 중복가능성이 존재함 ,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농업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바이오그린 사업 의 세부 ( 21 )

분야는 농업생명공학 기반기술 개발 분야와 농업생명공학 실용화 촉진 분야인 것


으로 판단됨
4)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26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차세대바이오그린 사업의 세부분야는 차세대 유전21

체연구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연구 시스템합성 농생명공학연구 분야인 것으


, ,

로 분석됨
□ 주관부처 사업과의 중복성을 검토한 결과 주관부처의 사업들은 연구단계가 다르거
,

나 타 분야에 대한 연구로 동 사업의 중복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주관부처는 차 추가제출자료를 통해 동 사업에서 추진하는 대 소재 이외의 소
- 2 , 10

재를 타 사업에서 추진하기로 하는 방안을 제출하였음


또한 유망 농생명소재 및 산업화 이전단계의 기술들은 산업화 기술개발에 중점을
-

두고 있는 동 사업을 통해 산업화 기술로 연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표 11> 농림수산식품부 R&D사업 연구개발 단계에 따른 역할 분담

기초 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 산업화 연구 상용화연구


실용화
( ) 공정 ( ) (대량연구)

농생명소재 후보기술 10대 농생명소재 10대 소재


산업화기술 사업화 예측 및 기술 실증 및 상용화 개발
개발사업 상세기획 생산기술 및 데모
생명자원 활용
생명자원 기술 개발 지원 생명자원 활용 기술 개발 지원
생명 활용 대 소재
(10 (10대 소재 제외)*
산업 제외 )

기술 10대 소재
개발
사업 기초연구
성과후속
이외의 기초
지원 연구성과
후속지원*
기술사업화 억원 이상 매출 가능 시장
100
지원사업 히트상품 개발지원
출처 기획보고서
:
요 약 27

나. 타 부처 사업과의 중복성 검토

□ 타 부처 사업과의 중복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업의 목적 추진방법 지원분야 , , ,

지원대상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함


○ 타 부처 사업의 중복성 검토대상으로 지식경제부의 WPM(World Premier

사업과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국토해양부의 해양생명공학기술사업이


Materials) ,

선정됨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지식경제부의 사업의 세부분야는 바이오 메디
WPM

컬 소재 분야인 것으로 분석됨


-해당 분야의 기능성 아미노산 분야는 양산공정 개발 및 효율화 기술 개발을 위해
서 기 추진되고 있음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지식경제부의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세부분야
는 바이오 플라스틱 분야인 것으로 분석됨
○ 동 사업과 중복가능성이 있는 국토해양부 해양생명공학기술사업의 세부분야는 해
양바이오프로세스연구 분야와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연구 분야로 분석됨
-동 사업에서는 천연 방부제 천연 항생제 대체재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바이오
, , · · ,

플라스틱 등의 원료소재로 해양생물을 사용하고자 계획하고 있으며 해양생물자 ,

원 개발의 주관부처는 국토해양부임


□ 타 부처 사업과의 중복성을 검토한 결과 동 사업은 기능성 아미노산 바이오 플라
, ,

스틱 천연 방부제 천연 항생제 대체재 천연 소재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분야


, , , 5味 , · ·

에서 타 부처 사업과 중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유관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관련 연구성과의 연계 과
, , ,

제 조정 등으로 중복성을 해결할 필요가 있음


28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제 3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1.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가.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 상위계획과의 부합성은 과학기술정책분야 및 기술개발분야의 범부처 계획을 대상으


로 수행함
□ 과학기술분야 최상위 계획인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 과 동 사업과 가장 관
‘ ’

련성이 높은 중장기 계획인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을 검토한 결과


‘ ’ ,

두 계획 모두 동 사업과의 부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표 12> 상위계획과의 부합성 평점

과학기술기본계획 부합도 낮음 부합도 보통 부합도 높음


농림기술육성계획
부합도 높음 보통 일부 적절 적절
부합도 보통 일부 부적절 보통 일부 적절
부합도 낮음 부적절 일부 부적절 보통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
(1)

□ 동 사업은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 의 대 중점 분야 중 신산업 창출


‘ ‘ 7 R&D ’

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강화 현안관련 특정분야 연구개발 강화 분야 글로벌 이


‘, ‘ ‘, ’

슈 관련 연구개발 추진분야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됨 ‘

○ 대 소재 분야별 연관 중점과학기술을 검토한 결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핵심기


10 , ’

술 개발 강화 의 단백질 대사체 응용기술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과 현안관련


‘ ’ · ‘, ’ ‘ ‘

특정분야 연구개발 강화 분야 의 식품 안정성 평가 기술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 ’ ‘ ’, ‘

기술 농수축임산물 자원개발 및 관리기술 글로벌 이슈 관련 연구개발 추진분야


’, ‘ ’, ‘

의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등이 동 사업과 관련이 많은 것으로 분석됨


‘ ’ ‘
요 약 29

<표 13> 10대 소재분야별 연관 90대 중점과학기술

구분 대 중점과학기술
90 구분 90대 중점과학기술
단백체 대사체 응용 기술
14) · 14) 단백체 대사체 응용 기술

인체안전성위해성평가기술
24) ·
천연 24) 인체 안전성 위해성 평가 기술
·
천연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25)
장기능 25)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방부제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개선제
26) 55) 유전체 응용기술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56) 56)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65) 65)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단백체 대사체 응용 기술
14) · 24) 인체안전성 위해성평가기술
·
인체안전성위해성평가기술
24) · 25)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천연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25) 26)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항생제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바이오
26) 56)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대체재 생물
56)소재 및 공정기술 향료 60) 한방 의약 및 치료기술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65) 64) 나노바이오 소재
동식물 병해충 예방 및 방제기술
66) 65)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78) 78)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25)
바이오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천연 5味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색소
26)
염료
26)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소재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56)
도료
· · 56)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65)
78)

단백체 대사체 응용 기술
14) ㆍ
신약 타겟 및 후보물질 도출 기술
16)
식품 안전성 평가 기술
25)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26) 26)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기능성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56) 바이오 56)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아미노산 해양생물자원보존 및
57) 플라스틱 64) 나노바이오 소재
해양생명공학이용기술 78)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식품자원 활용 및 관리기술
65)
동식물 병해충 예방 및 방제기술
66)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78)

단백체 대사체 응용 기술
14) ㆍ 26)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농수축임산물 자원 개발 및 관리기술
26) 56)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기능성 유전체 응용기술
55) 바이오 57) 해양생물자원보존 및
효소 생물 소재 및 공정기술
56) 섬유 해양생명공학이용기술
나노바이오 소재
64) 64) 나노바이오 소재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78) 78) 자원활용 고효율화 기술
출처 차 추가제출자료
: 2
30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2)

□ 본 계획은 농림수산식품 분야 정책의 총괄 계획이며 지식기반형 농림수산식


R&D ,

품 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대 핵심전략과 개 산업분야 대 부문 의 기술개발 추진


6 7 (20 )

전략을 제시함
○ 농림수산식품산업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와 지식기반형 생산 산업구조로의 전 ·

환 환경자원 생태의 공익적 가치를 제고하려는 목표를 지님


, ·

비 전
지식기반형 일류 농림수산식품 산업 육성

목 표
농림수산식품산업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 기술수준(기술격차) : (’09) 67%수준(6.1년) →(’14) 83%수준(3년)
지식기반형 생산·산업구조로의 전환 촉진
◦ 기술의 1인당 GDP 성장기여도 : ( 09) 6% → (’14) 20% 이상

환경자원·생태의 공익적 가치 제고
◦ 탄소원흡수, 산림, 휴양등생태·문화적가치평가액: (’09) 66조원→(’14) 80조원

6대 핵심 추진전략

1. R&D 정책 종합조정체계 강화 4. 민간투자 및 실용·산업화 촉진


2. 수요자 중심의 R&D 관리체계 개편 5. 지역 R&D 활성화
3. 연구주체의 핵심역량 강화 6. 생산현장 기술보급 체계 고도화

[그림 4]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의 비전과 목표


출처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
요 약 31

<표 14>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의 7대 산업분야

대 산업분야 대 세부산업 7 (20 )

1.생산 시스템 기계 설비 자재산업 종자산업 비료 농약산업 : ․ ․ , , /


2.자원 환경 생태 기반 기후변화대응 환경생태 토양 수자원 관리 재해 질병방제
․ ․ : / , ․ , ․
3.생산 가공 식량작물 생산 원예 특용작물 생산 축산물 생산 산림자원 조성 생산 양
․ : , ․ , , ․ ,
식업 해외농림수산업 목재 산업
, ,
4.유통 식품 전통식품 한식세계화 식품안전 식품가공 제조
․ : ․ , , ․
5.바이오 동물 식의약품 및 소재 바이오에너지: ․ ,
융합 융복합 정보기술
6. IBT : ․
7.문화 문화 관광 휴양 : ․ ․

출처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

□ 동 사업은 대 산업분야 대 부문 중 유통 식품 분야 와 바이오 분야 와 연관성이


7 (20 ) ‘ · ’ ‘ ’

높은 것으로 판단됨
○ 천연 방부제 천연 소재 천연 장기능 개선제 등은 유통 식품분야 의 식품가 , 5味 , ‘ · ’ ‘

공 제조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 ’

식품가공 제조 분야의 세부기술 중 식품 가능성 탐색 및 특수목적 식품 개발 식


- ‘ · ’ ,

품 신소재 개발 분야 세부기술들이 동 사업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 바이오 향료 천연 항생제 대체제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
, , · · , ,

오 섬유 등은 바이오 분야의 동물 식의약품 및 소재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 ‘ ’ ‘ · ’

로 판단됨
동물 식의약품 및 소재 의 세부기술 중 융합기술 산업화 기술 분야와 기능성
- ‘ · ’ BT

신소재 개발 분야 세부기술이 동 사업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나. 사업 추진의지 및 선호도

□ 주관부처의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등 정책의 일관성과 예비타당성조


사 과정의 대응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동 사업에 대한 주관부처의 추 ,

진의지와 예상 연구수행주체들의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됨


○ 주관부처는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농림수산식품 농산
‘ (2010-2014)’, ‘ ·

어촌 비전 등에서 생명소재 분야를 중점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 선정함2020’

범부처 차원에서 마련한 국가 생명자원확보관리 활용 마스터 플랜 에서 생명자원


- ‘ ’ ‘

의 산업적 활용체계 강화 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생명자원소재산업화를 가속화시 ’

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개입을 주장함


32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교육과학기술부 농촌진흥청 등의 우수 기초연구성과를 연계하여 산업화를 지원하


,

는 사업을 기획 추진하기 위해 사전 협의를 진행을 하는 등 적극적인 사업


R&D ㆍ

추진 의지를 보임
-주관부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기초 원천연구 후속 및 생명공학분야 · R&D R&BD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연구성과를 연계하여 ,

산업화로 추진하기로 함
-주관부처는 농촌진흥청과 부 청간 정책의 연계성 및 일관성을 확보를 위해
· R&D

상호 협의함
<표 15> 교육과학기술부와의 협의 경과
일시장소 협의결과
◦ 농식품부 교과부 협력을 위한 체결 장관 양청장 소속
ㆍ R&D MOU ( , ,

서울
'10. 6. 25 연구기관장 출연연구기관장 등 , , )

연계사업 공동기획 및 교과부 소속 출연연과의 협력


-

서울 ◦
'10. 7. 23
교과부 프론티어사업단 연계하여 기획 사업단 기획담당 참석
◦ 유전자동의보감 연구내용 포함에 대한 검토
‘ ’
( )

농기평 ◦ 유전자동의보감 연구내용 포함하기로 협의 교과부 참석


'10. 8. 24 ‘ ’ ( )

서울 ◦ 생명자원소재 산업화기술개발 에 기초분야 포함비율 협의 기획회의


'10. 10. 7 “ ” ( )

월 과천 ◦
'10. 10 ~ 12
농식품부는 교과부 연구성과를 이어받아 산업화 추진
◦ 생명자원연구 기초연구는 교과부가 별도 기획 추진하기로 결정 ㆍ
서울 ◦ 국과위 사회기반분과 김대경 위원장이 농식품부 교과부 협의사항 확인
'10. 12. 30 ㆍ

출처 차 추가제출자료
: 1

<표 16> 농촌진흥청과의 협의 결과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시 부청 의견조정 결과(농촌진흥청 생명자원관리과
-291(2010.6.25), 농림수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2420(2010.6.25))
○ 차세대바이오그린 사업은 대부분 실용화 및 산업화 이전단계의 연구개발사업이며 산업화 부
21 ,

분은 농식품부에서 추진
-농촌진흥청은 바이오소재 개발 및 현장실용화 기반구축 효소 시약 진단용 항체 천연 항생제 ( , , ,

등 의료용 단백질 및 바이오신약 생산기술 확립 임상 전단계 농식품자원 기능성 소재개발


), ( ),

및 현장실용화 분야 등을 담당
-농림수산식품부는 천연활성물질 대량생산 및 산업화 의약품 바이오시밀러 포함 개발 및 대 , ( )

상생산 등 산업화 관련분야 농식품자원의 기능성소재 제품개발 및 산업화 영역 산업체와 연


, ,

계한 기능성식품 개발 등을 담당
출처 차 추가제출자료
: 2
요 약 33

2.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가. 재원조달 가능성

□ 동 사업은 국고 억 원 민자 억 원을 합한 억 원을 년간
3,636.5 , 1,345.5 5,982 10

투입할 계획을 수립하였음


(2013~2022)

□ 주관부처의 중기사업계획서 ∼ 에 동 사업에 대한 예산이 반영되어 있어


R&D (`12 `16) ,

국고 조달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 반면 연간 약
, 억 원을 조달할 계획인 민간재원 조달 부분의 경우 우리나라
35~250 ,

농생명소재 분야 기업들의 매출액 규모 연구개발예산 규모와 동 사업의 민간 매칭 ,

비율 등을 고려할 때 민간재원 조달의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동 사업의 추진과제 수 개 에 비해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한 기업 수 개 는
(300 ) , (159 )

현격히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 사업기획 과정에서는 개별 기업들에 대한 사업 참여의향 조사가 없었으며 주관부 ,

처는 차 추가제출자료를 통해 기업의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함


1

- 매출액 억 천만 원 미만 기업이
2 5 억 천만 원 이상 억 원 미만 기업은 15%, 2 5 5

로 전체 매출액이 억 원을 넘지 못하는 기업이 전체의 정도를 차지함


9% 5 25%

[그림 5] 참여의향업체의 매출액 분포


3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R&D예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개 기업 중 개 기업의 연간 예산 규


, 159 59 (37%) R&D

모가 억 원 이하로 조사되어 동 사업 참여 가능성이 우려됨


2.5 ,

- 동 사업 단계의 프로젝트당 연간 과제 규모가 억 원이고 매칭비율 임


2, 3 5~10 25%

을 고려할 때 요구되는 민간재원의 최소비용은 연간


, 억 원이므로 해당 1.25~2.5 ,

기업의 동 사업 참여 가능성이 우려됨

[그림 6] 참여의향업체의 R&D 예산 구분

○ 대 소재 분야별 사업 참여 의향 기업 수의 편차가 심하여 일부 소재 분야들은


10 ,

민간재원 조달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됨


-천연 항생제 대체제 분야를 제외한 모든 소재 분야의 사업 참여의향 기업 수는
모두 개 이하였으며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섬유 분야의 경우 개 미만인
40 , , 15

것으로 조사됨
-여러 소재 분야에 참여의향을 보인 기업들이 많은 점을 감안할 때 소재 분야별
프로젝트 수 개 에 비해 사업 참여의향 기업 수가 많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됨
(30 )
요 약 35

<표 17> 10대 소재 분야별 사업 참여 의향 현황 (참여의사 중복 고려)

소재 분야명 중소 대기 벤처 기타 응답 개인 영농 농업 총합
기업 업 기업 없음 기업 법인 회사
조합
법인 계
천연 방부제 30 3 1 3 - 1 - - 38

천연 항생제 대체재 59 5 3 4 3 1 - - 75

천연 소재 5味 26 6 - 1 - - - - 33

기능성 아미노산 27 7 2 - 1 - 1 - 38

기능성 효소 28 2 3 - 2 - 1 - 36

천연 장기능 개선제 30 5 3 1 1 - - - 40

바이오 향료 24 1 - - 1 - - - 26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 · 18 3 1 1 - 1 - 1 25

바이오 플라스틱 8 4 - - 1 1 - - 14

바이오 섬유 10 1 1 1 - - - - 13

응답없음 17 3 2 1 2 - 1 - 26

나. 법·제도적 위험요인

□ 국토해양부의 법적 역할을 고려할 때 해양생명자원을 이용하는 소재 분야의 경우 ,

국토해양부와의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국토해양부는 해양생명자원 개발 및 해양생명공학연구의 주무부처로서 해양생물을
이용하여 생명소재를 개발하는 동 사업 일부 소재 분야의 경우 국토해양부와의 협 ,

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표 18> 국토해양부 관련 법률 조항

<정부조직법 >
제 조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의 수립 조정 국토 및 수자원의 보전 이용 및 개발
) ① · ·
도시 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 하천 항만 및 간척 육운 해운 철도 및 항공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자원개
37 ( , ,
· · · · ·
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 , , ,
,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
제 조 기본시책의 마련 국토해양부장관은 해양 분야 생명연구자원의 확보ㆍ관리 및 활용체제를 조성하고
< >
6 ( ) 6.
이를 지원한다 .
36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농림수산식품부의 법적 직무를 고려할 때 농림수산식품산업이 아닌 다른 산업에 주


로 활용되는 소재 분야의 경우 타 부처와의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바이오 플라스틱 바이오 섬유 등 농림수산식품산업과 관


· · , ,

계가 미약한 소재 분야의 경우 산업화 지원 부처인 지식경제부와의 협의가 필요가


,

한 것으로 판단됨
-옥수수 등 소재 원료로 사용되는 소재의 국내자급률이 낮고 중국 인도네시아 등 ,

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아 동 사업으로 국내 농가의 소득 증대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표 19> 농림수산식품부 관련 법률 조항
<농림수산식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제 조 직무 농림수산식품부는 다음 각 호의 사무를 관장한다


3 ( ) .

1.식량의 안정적 공급과 농수산물에 대한 소비자 안전


2.농어업인의 소득 및 경영안정과 복지증진
3.농수산업의 경쟁력 향상과 관련 산업의 육성
4.농어촌지역 개발 및 국제 농수산업 통상협력 등에 관한 사항
5.식품산업의 진흥 및 농수산물의 유통과 가격 안정에 관한 사항
요 약 37

제 4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1. 비용 추정

가. 연구관리비 예산소요 계획의 적절성

□ 주관부처는 연구관리비 규모를 연구개발비의 로 제시함 5.0%

○ 기획보고서에서는 연구관리비를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으나 추가제출자료를 통해 ,

연구관리비를 소요 계획을 제시함


○ 연구관리비는 연구과제 평가 및 관리비 인건비 경상운영비 기타 25%, 40%, 25%,

로 구성됨
10%

□ 검토 결과 연구관리비 규모가 농림수산식품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을 준수하고


, ‘ ’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농림수산식품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에서는 사업비의 이내 범위 안에서 사업
‘ ’ 5%

관리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나. 연구개발비 예산소요 계획의 적절성

□ 주관부처는 단계별로 차등화된 연간 예산소요 계획을 제출함


○ 단계의 예산규모는 과제 프로젝트 당 연간 억 원이며 단계의 예산규모는 과
1 ( ) 2 , 2, 3

제당 연간 억 원임 5~10

단계의 세부 예산규모는 기술개발 전략 수립 마케팅 전략 수립 생산 공급망 전


- 1 , , ·

략 수립 및 지재권 전략 수립 타당성 분석으로 구성되며 각 만 원 수준임


, , 500

-전문가 자문을 통해 조사된 단계의 예산은 소재 분야별로 상이하나 단계와


2, 3 , 2

단계의 예산은 동일함


3
38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표 20> 소재 분야별 2, 3단계 연간 소요예산 추정

대 소재 분야
10 연간 과제 투자 규모 단위 억 원( : )

천연 방부제 10

천연 항생제 대체재 7

천연 소재 5味 6

기능성 아미노산 8

기능성 효소 7

천연 장기능 개선제 8

바이오 향료 5

바이오 색소 염료 도료 · · 5

바이오 플라스틱 7

바이오 섬유 6

출처 기획보고서
:

□ 검토 결과 주관부처가 제출한 예산계획은 연구내용이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거나


,

예산규모가 과다 추정된 것으로 판단됨


○ 단계에서 추진할 예정인 기술개발 전략 수립 타당성 분석 등은 사업 기획과정에
1 ,

서 수행되었어야 할 업무로 판단됨


-기술개발 전략 수립 과정의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생산 공급망 전략 수립 및 지 , ·

재권 전략 수립의 선행특허조사 타당성 분석의 시장성 분석 등은 사업 시행 후가


,

아닌 기획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할 업무로 판단됨


년 이후의 시장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은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으며 내용적
- 5 ,

으로도 국고 지원의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됨


○ 단계의 경우 기존 사업에서 진행 중인 유사과제의 예산 규모에 비해 과다 책정된
2 ,

것으로 판단됨
-기초연구성과를 연계하여 기술실증 및 생산기술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 2

계의 경우 유사사업 농식품부 생명산업기술개발사업의 생명자원활용 억 원 보


, ( , 5 )

다 과다 책정됨
요 약 39

○ 아울러 소재 분야별 과제 수 개 도 과다한 것으로 판단됨


, (30 )

-주관부처가 제출한 기초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야의 기초연구성과가 , 30

개 이하였으며 개 소재 분야의 경우 기초연구성과가 개 이하인 것으로 분석됨


, 8 10

다. 정부 및 민간 부담 비중의 적절성

□ 주관부처는 단계에서는 연구개발비의 를 국고 지원하고 단계에서는


1 100% , 2, 3 75%

를 국고 지원하는 계획을 제출함


○ 단계는 기업 주도로 진행되며 파일럿 공정 개발과 상용화 개발에 필요한 연구
2, 3

비이므로 민간 부담 비중을 로 설정함


, 25%

□ 하지만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등에 관한 규정 과 연구 내용의 성격을 고려할 때


, ‘ ’ ,

민간 부담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
○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등에 관한 규정 에는 민간 부담 비율을 대기업 중소
‘ ’ 50%,

기업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음
25%

- 주관부처에서 제출한 민간기업들의 사업참여의향서를 검토한 결과 중소기업이 ,

이며 대기업이 영농조합법인이 를 차지하고 있음


76% , 11%, 1%

-그러므로 민간 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인 단계 과제의 경우 연구개발비의


, 2, 3 , 25%

이상을 민간에서 부담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특히 단계의 경우 파일럿 공정의 성격을 고려할 때 민간 부담 비중을 높이는 것
3 , ,

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40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 편익 추정

□ 주관부처는 시장수요접근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편익을 추정함


○ 편익 발생시점은 마지막 프로젝트가 종료하는 년으로 설정하였으며 편익 발생 2023 ,

기간은 농업 및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수명기간 년 을 고려하여 년부터 (10 ) 2023 2032

년까지로 설정함
-주관부처는 기술개발 이후 제품 양산화까지 걸리는 기술회임기간 를따 (time lag)

로 설정하지 않았음
-주관부처는 관련 보고서 생명공학분야 로열티 결정모형 사전연구 생명공학정책
( ,

연구센터 내용을 인용하여 기술수명기간을 년으로 설정함


) 10

○ 소재 분야별로 미래 시장규모를 예측하였으며 예상시장점유율은 낙관적 중 , (13%),

립적 보수적 인 경우에 대해 시나리오를 적용함


(2%), (0.2%)

- 주관부처는 신제품에 대한 마케팅 능력을 중심으로 예상시장점유율을 예측한


,

사의
Eureka Ranch 을 이용하여 예상시장점유율을
Sale & Marketing Support level

산정함
○ 부가가치율은 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의 기초소재업종 평균 부가가치계
2009 ( , 2011)

수인 를 적용함 19.9%

-주관부처는 석유 및 석탄제품 화학제품 비금속 광물제품 제 차 금속제품 금속


, , , , 1 ,

제품으로 구성된 기초소재업종의 부가가치계수를 이용함


○ 사업 기여율은 기존 종자 투자 규모를 인용하여 로 산정함 R&D 82.3%

○ 기여율은 기술개발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R&D

두 가지 시나리오 를 적용함 (28.1%, 10.9%)

○ 사업화 성공률은 미래지향적 신기술분야의 사업화 성공률인 와


R&D R&D 12.6%

가 부가된 에 대해 시나리오를 적용함


50% 18.9%

○ 기여율R&D 사업화 성공률 가 적용된 중립적 시나리오에서의


28.1%, R&D 12.6%

편익은 억 원임 20,192

<표 21> 편익 시나리오 분석 결과(주관부처)

낙관적 시나리오 중립적 시나리오 보수적 시나리오


억원
131,249 억원
20,192 억원
2,019

출처 기획보고서
:
요 약 41

□ 주관부처가 제출한 편익 추정 방법은 산업화기술개발사업인 동 사업의 목적에 부합


하지만 일부 항목들의 수치가 불합리하여 본 조사에서 인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함
,

□ 본 조사에서는 미래 시장규모 예상시장점유율 부가가치율 사업기여율 편익 발생


, , , ,

기간 등의 항목에 대한 수치를 새롭게 제시하여 편익을 추정함 ,

○ 주관부처가 제출한 기획은 기술적 타당성이 결여되어 편익 발생이 미미할 것으로


추정되며 기술적 타당성이 확보되었을 경우를 가정하고 편익을 추정함
,

- 본 조사에서는 기초연구성과가 풍부하고 구체적인 상세기획이 이루어지는 등 기 ,

술적 타당성이 확보되었을 때의 편익을 추정함


○ 편익은 미래 시장규모 예상시장점유율 부가가치율 기여율 사업화 성공
, , , R&D , R&D

률 사업기여율의 곱으로 추정함


,

편익 = 미래 시장규모 × 예상시장점유율 × 부가가치율 × R&D기여율


× R&D사업화 성공률 × 사업기여율

○ 편익 발생시점은 제품 판매를 통한 편익의 발생시점을 의미하며 중간 시점의 프 ,

로젝트가 종료하는 시점에 년간의 양산화 기간을 고려하여 년으로 설정함


2 2021

○ 편익 발생기간은 특허 분석 결과 해당 소재 분야별 특허가 가장 많이 속한 국 IPC(

제특허분류 하위부문의 기술수명기간을 적용함


)

○ 미래 시장규모는 동 사업으로 인해 직접적인 편익이 발생할 수 있는 시장의 매출


액 전망치로 정의하며 대 소재 분야별 세계 시장규모와 생명소재기반 제품의
, 10

점유율을 고려하여 추정함


- 생명소재 기반 시장규모가 파악되지 않은 소재 분야의 경우 전체 시장 대비 생명 ,

소재기반 제품의 점유율을 적용함


○ 예상시장점유율은 관련 산업의 현재의 시장점유율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전체 시장
에 해당하는 중립적 예상시장점유율 과 가 추가된 낙관적 예상시장점유율 (1.6%) 50%

을 시나리오로 적용함
(2.4%)

○ 부가가치율은 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년 발행 을 이용하여 소재 분야별


2009 ( , 2011 ) ,

해당 중분류 품목의 부가가치율 부가가치액 산출액 을 적용함 ( / )

○ 최종 매출에 대한 기여율은 신태영 를 적용함


R&D 28.1%( , 2004)

○ 사업화 성공률은 농림수산식품부 기존 연구개발 사업의 과제별 성과를 분석한


R&D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성공비율을 적용하며 시나리오 분석을 시행함 ,


42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기초단계의 과제가 다수 포함된 기존 과제의 구성과 기초단계 과제보다 상용화단


계 과제의 사업화 성공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여 기존 과제들의 사
R&D , R&D

업화 성공률 뿐만 아니라 부과된 사업화 성공률 을 시나리


(12.6%) 50% R&D (18.9%)

오로 적용함
○ 사업기여율은 농림수산 부문 공공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율 등을 이용하여 관련 , ,

분야에 대한 국내 전체 연구개발비에서 동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적용함


○ 환율은 년 평균 환율인 원
2010 원 원 등을 적용함
1,156 /$, 13.21 /円, 1,533 /€

○ 할인율은 년도 예비타당성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 보완 연구 제 판 에서


2008 · ( 5 )

제시한 사회적 할인율 를 사용하며 모든 가치를 년 기준 현가로 변환함


5.5% , 2010

□ 예상시장점유율에 대한 두 가지 시나리오 사업화 성공률에 대한 두 가지 시나 , R&D

리오 등 총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편익을 추정함


○ 예상시장점유율 사업화 성공률 일 때의 편익이 중립적인 것으로
1.6%, R&D 18.9%

판단됨
-기초단계 과제보다 상용화단계 과제의 사업화 성공률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 R&D

되어 기존의 사업화 성공률 에 부과된 사업화 성공률이 중립


R&D (12.6%) 50% R&D

적인 것으로 판단됨
-현재 국내 시장점유율이 ∼ 수준인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전체 시장에
10 20%

해당하는 예상시장점유율 이 중립적인 것으로 판단됨 (1.6%)

<표 22> 시나리오별 편익

예상시장점유율 1.6% 예상시장점유율 2.4%

R&D 사업화 성공률 12.6% 억원 566 억원 849

R&D 사업화 성공률 18.9% 849억 원 억원 1,104


요 약 43

3. 경제성 분석

□ 비용편익 분석 결과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비용편익비율의 범위는 ∼ 로


, 0.14 0.31

1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동 사업의 경제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됨


○ 사업 수행기간 중 투입되는 사업비를 년 기준 현가로 변환하였으며 그 결과2010 ,

동 사업의 총 비용은 억 원으로 추정됨 4,104

○ 동 사업의 순현재가치 의 범위는


NPV(Net Present Value, ∼ 억원 ) - 3,539 - 2,832

으로 나타남
<표 23> 시나리오별 비용편익비율 및 NPV

예상시장점유율 1.6% 예상시장점유율 2.4%

R&D 사업화 성공률 12.6% 0.14 (-3,539억원 ) 억원


0.21 (-3,256 )

R&D 사업화 성공률 18.9% 0.21 (-3,256억 원 ) 억원


0.31 (-2,832 )
4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제 5 장 종합분석 및 결론

1. 결론

□ 기술 정책 및 경제적 타당성 부문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 사업의 신규 사


, ,

업 추진 타당성은 확보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 대 소재 분야의 선정기준이 적절하지 않거나 선정기준을 준수하지 않았으며 기
10 ,

획과정에서 기술수요조사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후보 소재 선정기준에 기초연구성과 민간기업 수요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적,

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기초연구성과 특허 확보 방안 산업화 장애기술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판
, ,

단됨
○ 소재 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연구계획이 획일적이며 기초연구성과 분석 , ,

기술개발 계획 등 산업화기술개발 전략이 구체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됨


-원료소재 공급 관점과 농림수산식품부 직무 관점에서의 사업 추진전략이 구체적
으로 마련되지 못 한 것으로 판단됨
-공급사슬관점 원료소재 생산자 중간 가공자 최종생산자 에서 동 사업의 결과물
( - - )

에 대한 수혜를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을 검토한 결과 기능성 아미노산 바이오 플라스틱 등의 분 , ,

야에서 타 부처 사업과 중복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민간재원 조달 부분의 경우 관련 기업들의 매출액 규모 연구개발예산 규모 등을
, ,

고려할 때 민간재원 조달의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비용편익 분석 결과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비용편익비율의 범위는 ∼ 로
, 0.14 0.31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동 사업의 경제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됨


1

□ 제출된 사업계획에 대한 결과는 사업 미시행으로 도출됨AHP

○ 평가자 명 모두 사업계획의 미시행을 선호하였으며 종합평점 결과 미시행에 대


6 ,

한 선호도가 로 시행의 선호도인 보다 우세함


0.711 0.289
요 약 45

<표 24>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의 원안에 대한 AHP 결과

종합 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성


평가자
시행 미시행 시행 미시행 시행 미시행 시행 미시행
종합평점 0.289 0.711 0.260 0.740 0.541 0.459 0.160 0.840

평가자수 0 6 0 6 3 3 0 6
46 농생명소재 산업화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 정책 제언

□ 소재 분야별 기초연구성과 분석 상세기획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산업화기술 개


,

발계획이 마련되어야 함
○ 생명소재 분야에 대한 상세기획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단계별 추진전략 및 지원전
략 등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동 사업 단계에서 추진하고자한 상세기획은 사전기획 단계에서 완성될 필요가
1

있으며 상세기획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연구개발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 국내 기술수준 기초연구성과 등 소재 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소재 분야별 맞춤


,

식 연구개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각 소재 분야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연구비 규모 프로젝트 수 민간 매칭 비율
, , ,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


○ 국내 농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원료소재의 국내 조달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
할 필요가 있음
-국내 농생명자원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타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 유관부처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법적 위험요인을 제거
,

하고 동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