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2

공개

의안번호 제2호 심
심 의 의
2016. 4. 11.

연월일 ( 제 12 회) 항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대한민국 나노혁신계획2025(안)
(2016~2025, 5+5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교 육 부 장 관 이준식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
제 출 자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 환 경 부 장 관 윤성규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손문기
방위사업청장 장명진 중소기업청장 주영섭
제출 연월일 2016. 4. 11
1. 의결주문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안 을 별지와 같이 의결함
4 ( )

2. 제안이유
○ 나노기술개발 촉진법 제 조 및 동법 시행령 제 조에 따라 나노
4 2

기술 개발의 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향후 년간의 비전 목표 및 중점추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10 ,

3. 주요내용
가. 추진배경
○ 제 차 산업혁명 건강 안전 추구 지구온난화 등 미래 환경 변화에
4 , ,

따라 한계극복을 위한 기술로서 나노기술 활용 필요성 증대


○ 년 축적된 나노기술 역량 을 바탕으로 제조업에서의 나노기술
15
*

융합 확산 촉진 및 미래유망 산업 주도 선도기술에 대한 투자 추진
* ’14년 나노기술수준 미국대비 81%, SCI 논문 4위, 미국특허 3위
나. 미래사회 변화와 나노기술의 역할 증대
○ (정보처리 확대 나노기술 활용으로 대용량 고집적 메모리, 저전력
)

소모 논리소자 개발 및 뇌신경모방소자 개발 등 고도화 (Brain chip)

○ (건강 안전 추구) 고감도 나노 측정기술로 생체 삽입 부착형 센서 및


초고감도 다중검지 진단 기기, 인체친화적인 맞춤형 임플란트 구현
○ (지속가능한 환경) 나노기술은 전기자동차용 고용량 이차전지,
물 부족 해결을 위한 고내구성 수처리막 다공성 촉매 개발에 기여
※ 세계 에너지소비량은 ’12년 석유환산 134억톤에서 ’40년 193억톤으로 증가 전망,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 168억톤 규모까지 감축 필요(아시아/세계 에너지 전망 2014)
- i -
다. 국내외 현황
○ (해외동향) 세계각국은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미래산업 창출 선도적
나노기술 확보노력과 함께 산업화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실행
※ 미국의 나노기술 상용화 계획(NSI, ’11), EU의 Horizon 2020 등
- 실험계산과학 활용 나노팹 구축 등을 통한 R&D 비용 감축 및
,

미확립된 나노안전성이 산업성장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노력


○ (국내현황) 년부터 추격형 연구개발 기반투자를 추진하여
’01

나노기술 연구역량 향상 → 및 관련 산업 성장
(’01, 25% ’14, 81%)
*

* 나노융합산업(’13년) : 매출액 138.7조원, 종사자 수 15.1만명, 기업 수 541개


-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산업이 초정밀 나노기술을 혁신
,

동력으로 발전하였으나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가 부족


※ 특히 차세대 논리소자,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
- 나노소재 분야 기업이 다수이나 개 매출규모가 적고 (46.3%, 234 ) ,

나노바이오의 사업화가 특히 미흡 국내 나노산업의 해외는 ( 0.3%, 10%)

- 나노 산업인력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기술 전문성 증진 필요


라. 정책방향
○ (나노기술 산업화 확산) 상용화 핵심기술 확보로 나노산업화를 촉진
하고 나노기술 사업화 생태계 조성 및 기업의 부담 감소 체계 마련
,

※ 나노기술은 제어가 쉽지 않으며 첨단장비가 요구되어 R&D에 많은 비용 시간 소요


- 나노소재 수요기업간 연계활동 지원 나노바이오 기술의 유효성
- ,

평가 지원 등 사업화의 결정적 공백요인 보완 (Missing Link)

○ (나노혁신 선도) 미래이슈를 해결하는 한계돌파 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적 효율적 R&D 투자 및 도전적 프로젝트 추진
○ (나노혁신 기반확충) 연구선도를 위한 핵심연구인력 현장인력을
양성하고 연구 성과제고를 위한 국제협력체계 구축 주도
,

- 나노안전 관리체계 마련 및 R&D 기간 비용 감소를 위한 체계 구축


- ii -
라. 비전 및 목표

- iii -
마. 추진과제
전략 1 혁신주도 나노산업화 확산

○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미래 新산업 형성이 유망한


7대 전략분야 및 그래핀 산업화 촉진 핵심기술 확보
*

* 강철대비 200배 강도, 높은 전하이동도 투명도 등 특성을 지녀 고강도 경량


소재, 고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유연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가능
○ 우수 나노기술 기업매칭 지원 등 기업의 상용화 R&D를 강화하고 ,

투자유치 전문조직 운영을 통해 중소 벤처기업 민간투자 활성화


○ 기업의 인프라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공정 인프라 확충 및 나노기업
육성 및 기존 산업과의 융합 촉진을 위해 나노클러스터를 활성화
※ IoT 구현 센서용 공정플랫폼 개발, 표준 프로세스 활용 등 팹공정의 스마트화 추진
기술창업 기반 미니 클러스터 육성, 나노융합 국가산단 개발(’16~’20)
○ 나노소재기업과 수요기업의 협력 연계를 활성화하고 나노바이오 기술 ,

특성별 사업화 연계를 지원하는 나노바이오커넥트 사업 추진


※ 유효성 평가를 위한 병원과의 공동연구, 나노팹 활용 시제품 제작 및 기술기반 창업,
양산기술 개발, 동물실험(전임상 단계) 등 지원
전략 2 미래선도 나노기술 확보

○ 나노기초연구의 생태계 조성 및 전략적 투자 강화를 위해 나노


기초연구 발전전략 수립 및 차세대 연구자 나노기초연구 지원 강화
○ 기존산업에 대한 파급력 미래산업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

미래 나노기술 30 을 선정하고 각 부처 출연연이 우선 집중 개발


,

※ 나노소자(광소자 등 6개), 나노바이오(진단 등 5개), 나노에너지 환경(분리막 등 7개),


나노소재(양자점 등 6개), 나노공정 측정 장비(적층공정 등 6개)
- iv -
○ 지능정보화 환경 에너지 등 미래이슈 대응에 핵심적인 나노기술 적용
,

부품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개발하는 4대 나노 챌린지 프로젝트 추진


-(#1 초저전력 미래 반도체) 소모전력 이하 저장능력 및 1/1000 ,

정보처리 속도 배 이상 차세대 나노정보처리소자 개발


100

-(#2 생체 삽입 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 센서 배터리 무선통신 기능이 ,

적용되고 곡면적용이 가능한 유연 나노소자 및 유연 공정시스템 개발


※ 유연 나노공정 기술 개발은 수입에 의존하였던 공정 장비 분야에 나노융합을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
- 초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 회 충전으로
(#3 주행 가능 1 500km

자동차용 이차전지 및 경제성 보유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개발


-(#4 신개념혁신 소재) 국방용 초고성능 컴퓨팅 청정에너지 등, ,

소재혁신이 중요한 분야에서 원천특허를 갖는 신소재 개 개발 28

○ 나노 의 체계화·효율화를 위해 국가나노기술지도의 전략성을


R&D

강화하고 범국가적 추진체계 나노기술발전협의회 구축


, ( )

전략 3 나노혁신 기반 확충

○ 나노기술 연구선도 핵심인력과 수요대응형 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 국민의 친밀도 향상
,

※ 시범학과 프로그램 도입, 온라인 심화이론 교육, 산업인력에 대한 재교육 강화 추진


○ 나노안전 국제공동연구 선도 및 Asia Nano Innovation 체계
*

구축 으로 나노기술의 새로운 중심으로서 아시아의 도약 도모


**

* 표준연과스위스재료연구소간나노안전공동연구센터(’16년)를국제컨소시엄으로확대추진
** 한 중 일 협력을 중심으로 인도, ASEAN, 중동이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 추진
○ 나노안전 관리 및 기업지원체계를 마련하고 기간 비용을 , R&D

감소시킬 수 있는 정보제공 시스템과 계산과학 활용 환경 구축


- v -
바. 기대효과
○ 나노기술 성과 사업화로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

핵심전략기술 집중육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 나노기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을
창출하고 기업 활동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

○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환경 기술 확보를 통해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
4. 참고사항
○ 그래핀 사업화 촉진 기술 로드맵 수립 월 (’15.4 )

○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발표 월 (’15.4 )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추진위원회 운영
4 월
(’15.6~11 )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안 공청회 개최
4 ( ) (’15.11.18)

○ 관계부처 협의 완료 월 월
(’15.10~11 , ’16.2 )

- vi -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대한민국 나노혁신 2025(안)
(2016~2025, 5+5 계획)

2016. 4. 11.

관계부처 합동
목 차

I. 수립 배경 및 경과 ·
··
··
··
··
··
··
··
··
··
··
··
··
··
··
··
··
··
··
··
··
··
··
··
··1

II. 미래사회 변화와 나노기술 ·


··
··
··
··
··
··
··
··
··
··
··
··
··
··
··
··
·3

III. 나노기술 투자와 성과 ·


··
··
··
··
··
··
··
··
··
··
··
··
··
··
··
··
··
··
··
··7

IV. 국내외 현황과 정책방향 ·


··
··
··
··
··
··
··
··
··
··
··
··
··
··
··
··
··10

V. 비전 및 목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VI. 추진 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1. 혁신주도 나노산업화 확산 ·
··
··
··
··
··
··
··
··
··
··
··
··
··
··
··
··
··
··
··
·17

2. 미래선도 나노기술 확보 ·
··
··
··
··
··
··
··
··
··
··
··
··
··
··
··
··
··
··
··
··
··
·27

3. 나노기술 혁신기반 확충 ·
··
··
··
··
··
··
··
··
··
··
··
··
··
··
··
··
··
··
··
··
··
·36

VII.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VIII.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


··
··
··
··
··
··
··
··
··
··
··
··
··
··
··
··
··
··
··41
I. 수립 배경 및 경과

1 수립 배경

미래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나노기술 활용 필요성 증대


○ 막대한 정보량의 처리, 에너지 기후문제 해결, 건강한 장수를 실현
하는 중요기술로서 나노기술 활용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상황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17)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전략기술의 기준
으로서 △편리한 환경 조성 △건강장수시대 구현 △걱정없는 안전사회 구축을 제시
○ 나노기술은 차세대 기술혁명의 원천 으로 제조업의 기술적 한계 *

돌파와 환경 친화적인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


* ’15년 세계지식재산권 보고서(WIPO)는 미래 경제성장을 이끌 3대 기술로
3D 프린트, 나노기술, 로봇기술을 지목
- 나노기술 적용 제품은 고집적화 및 반응속도 증가 등 성능의 혁신적
향상과 저에너지 소모로 고부가가치를 창출 하고 환경에 우호적 *

* 나노융합산업의 1인당 매출액은 9.3억원으로 제조업 5.3억원 대비 1.7배 이상


년 축적된 나노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나노융합 확산 선도 전략 추진
15

○ 년부터 추격형의 연구개발 및 기반 투자를 추진하여 나노기술


’01

선도국가 그룹 미국 일본 독일 등 에 합류
( , , )

※ ’14년 나노기술수준 미국대비 81%, SCI 논문 4위, 미국특허 3위


- 대기업 주도의 전자산업에서 나노기술이 본격적으로 활용 되고 있으나 *

나노소재 장비 및 에너지 환경 바이오 분야는 성장 초기단계


, ,

* 14nm 반도체 공정, 양자점(Quantum Dot) 디스플레이 상용화 등


○ 제조업에서의 나노기술융합 확산을 통해 새로운 활로를 마련하고
미래유망 산업을 주도할 나노 선도기술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필요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따른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마련
○ 나노기술의 연구기반 조성 및 나노기술의 체계적인 육성 발전을
위한 기본시책을 년마다 마련 나노기술개발 촉진법 및 시행령
5 ( )

- 1 -
2 수립 경과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수립(’15년 4월)


○ 기술산업화 선도를 통해 년 나노산업 대 강국 구현 목표 2020 2

대 산업화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한 나노기술기업 육성


- 7 ,

대 인프라 나노팹 계산과학 나노안전 나노제품성능평가 확충


- 4 ( , , , )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1차 추진위원회(6.12)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위원회와 전문분과 구성
4

개 관계부처 산 학 연 전문가로 구성
- 10 ,

총괄 작업팀 회의 회 분과별 회의 회 개최
- 12 , 26

자문위원회 개최(’15.9.25, 10.30)


○ 나노원로전문가로 자문위원회를 구성 추진위원회 논의에 대해 자문 ,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2차 추진위원회(11.6)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4 안 논의 및 검토 ('16~'25) ( )

공청회 개최(’15.11.18), 토론회 개최(‘16.2.18)


○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4 안 에 대한 의견수렴 ('16~'25) ( )

○ 공청회 의견 등을 반영한 수정안에 대한 논의 및 의견수렴


관계부처 의견 수렴(’15.11.16~20, ’16.2.15~18)
○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
, , , ,

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방위사업청 중소


, , , , ,

기업청 의견 수렴
- 2 -
II. 미래사회 변화1)와 나노기술2)

1 지능형 정보처리와 나노소자 기술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지능형 정보처리 기반기술 수요 증대


○ (초연결사회) 사람 프로세스 사물 공간 등이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
, , ,

어디서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 저장할 수 있는 고성능 소자 필요


-

※ 전세계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기기는 ’13년 140억 대에서


’20년 320억 대까지 증가 전망, EMC 디지털 유니버스 보고서, 2014)
○ (빅데이터) 이미지 동영상 등 고용량 정보가 급증하고 네트워크의 ,

발달로 인간이 다루는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


거대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융합기술 필요
-

※ 2년마다 디지털 데이터 양은 2배씩 증가(’13 4.4조GB → ’20 442조GB, EMC


디지털 유니버스 보고서, 2014)
○ (지능화 무인화) 가전기기 자동차 드론 등의 지능화 무인화 시대 도래 , ,

주변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인식하고 습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성적


- ,

추론과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저전력형의 강력한 컴퓨팅 파워 필요


지능정보사회 실현을 위한 나노소자 기술
○ (개념)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 및 감도 대폭향상 등
전자소자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신기능 소자를 개발하는 기술
○ (추세) 컴퓨팅 파워에 비례하여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는 시스템에서
저전력 소모 시스템, 지능형 정보처리 전자소자로 발전 중
○ (활용)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고집적 메모리소자 및
낮은 전력의 고성능 정보처리 소자, 뇌신경모방(뉴로모픽) 소자 구현
초연결사회에 필수적인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신호처리용 광소자
-

모바일에서 착용형
- 으로 발전하는데 필수적인 유연전자소자
(wearable)

국가과학기술 중장기 발전전략 미래이슈분석보고서 참조


나노기술을 개 분야 나노소자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 환경 으로 분류하고 기반에 해당하는
1) (’12.11), (’15.07)

나노소재 공정 안전은 개 분야에 포함하여 기술


2) 3 ( , , ) ,

, , 3

- 3 -
2 웰빙‧고령화 사회와 나노바이오 기술

건강한 장수와 안전한 사회 실현을 위한 기술 수요 증대


○ (건강 안전 추구) 소득수준과 평균수명 증가로 삶의 질 향상 추구
※ ’12년 기준으로 평균수명은 81.4세이나, 건강 수명은 73세에 불과(통계청)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일상생활 환경 내 위험요인을 조기에
-

낮은 농도 등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필요
( )

약화 혹은 파손된 인체조직의 일부를 대체하여 정상 기능을 유지


-

하도록 하는 인체조직 대체 보강 기술 필요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실현에 기여하는 나노바이오 기술
○ (개념)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질병 조기 진단 및
치료 건강한 먹거리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
,

○ (추세) 병원 중심 진단 체액 체취 체외 측정 및 획일적 범용치료 진단


, ,

후 치료 방식에서 개인휴대 중심 진단, 신체 삽입형 측정 및 맞춤형


표적 치료, 진단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발전 중
질병 발생 후 치료보다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
- ,

하는 웰빙 제품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는 기술 수요 증대
○ (활용) 고감도 측정 기술을 활용한 생체 삽입 부착형 센서 및
휴대용 위험인자 유해가스 미세먼지등 센서, 고흡수율 체내 전달체 등
( , )

여러 가지 바이오물질의 극미량 다중검지를 통해 초기에 질병을


-

진단 선제 대응토록 하는 초고감도 다중검지 진단 기기


,

거부감이 적고 인체친화적인 임플란트 소재 및 맞춤형 임플란트


-

나노제형화로 제초제 살충제 등의 사용량을 줄이고 농수산품


- , ,

전염병 박테리아 바이러스 고감도 검지로 건강한 먹거리 생산


( , )

나노구조체를 생리활성 물질의 흡수율을 높이는 전달체로 사용


-

하여 항노화, 미백 등 기능성 화장품 제조


- 4 -
3 기후변화와 나노에너지‧환경 기술

기후변화 관련 미래사회 트랜드와 기술수요


○ (지속가능한 환경 실현) 에너지 고갈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등 , ,

지구적 이슈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


※ 파리기후변화협약(’15.12월, 195개국 참가)과 함께 출범한 新기후변화체제에
따라 우리나라는 ’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 전망치 대비 37% 감소 공약
친환경 에너지 발생, 고효율 에너지 저장, 에너지 사용저감 등에
-

대한 기술과 대기정화 수처리 등에 대한 기술 필요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화합물로 전환하여 탄소 생태계를
-

확립하는 이산화탄소 자원화 기술 필요


지속가능한 환경 실현에 기여하는 나노에너지 환경 기술
○ (개념 ) 에너지생산 변환 에너지저장 효율향상 등 에너지 환경
, ,

분야가 직면한 기술적 한계 돌파에 기여하는 나노기술


○ (추세) 대규모 에너지 발전 저장에서 개인용 에너지 변환 저장 방식으로
변화하고 고에너지 소모형에서 저에너지 소모형 수처리 기술로 발전
,

○ (활용)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효율 한계를 극복하는 빛에너지


흡수 소재 시스템 기술 등을 통해 효율성 경제성 확보
,

전기자동차의 확산에 필수적인 고에너지 밀도, 급속 충방전 가능


-

이차전지 전극 소재 및 시스템
지구적 물 부족 해결을 위한 고내구성 수처리 분리막 다공성 나노촉매
-

수소 대량제조 및 이산화탄소의 에탄올 전환을 위한 고효율 나노촉매


-

냉 난방 부하저감을 통해 제로에너지 빌딩을 구현할 수 있는


-

고단열 소재 및 고효율 전력변환 기술


- 5 -
나노기술이 왜 혁신적인가?
동일소재로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 구현
○ 나노입자는 크기에 따라 다른 빛깔을 나타낼 수
있어 기존에 색상을 내는 원소인 희토류 원소
없이도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음 양자점 ( TV)

나노크기 구조로 세상에 없던 특성을 갖는 물질 제조


○ 강한 자석 물질 사이에 나노두께의 얇은 非
자성 금속을 삽입한 구조로 작은 자기장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특성 생성
⇒ 기존 하드디스크 헤드 에서 나노기술 적용 헤드 로 대체
(MR) (GMR)

하드디스크 용량의 획기적 증가 → : 10MB/cm


2
10GB/cm
2

하드디스크 1GB 당 가격 하락 백만불 → 센트 : (’80) 6 (’15)

나노크기 입자는 표면적이 매우 커서 반응속도가 빠르므로 고속 *

충 방전 전지, 고감도 센서 등 구현 가능
* 1cm3 큐브 표면적은 6cm2이지만, 동일부피를 1nm3 큐브
1021개로 만들면 표면적은 60,000,000cm2임

○ 이차전지의 전극 표면을 나노크기 수준에서 올록볼록하게 만듦으로써


표면적을 증가시켜 같은 부피에서 에너지 밀도 증가 및 충 방전 속도 향상
⇒ 나노기술은 현재의 기술적 한계를 돌파하여 전기자동차가 보편화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인 한 번 충전에 500km 주행, 빠른 충 방전 속도,
경제성(15만원/kWh), 작은 크기(700Wh/kg)가 가능하도록 할 것으로 기대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저가의 고효율 촉매 설계, 제조
○ 계산나노과학으로 디자인하여 제조한 나노클러스터
촉매는 낮은 온도 ℃ 이하 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냄
(300 )

⇒ 기존에는 제철소 배기가스 정화를 위해 배기가스를 재가열해


온도를 높여야 했으나 新촉매 사용으로 추가 에너지 소모가 필요 없어짐
,

新촉매 사용시 대형선박의 엔진효율을 적게 떨어뜨리면서 효율적인 배기


가스 저감장치 설치가 가능하여 국제해사기구 배기가스규제 년 건조 (’16

선박 적용 에 직면한 국내 조선업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 6 -
III. 나노기술 투자와 성과

1 나노정책 15년의 흐름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월 이후 선진국 대열 진입을


1 (’01.7 )

목표로 추격형의 연구개발 및 기반 투자 추진


○ 년까지 개 부처·청에서 년간 총 3조 9,831억 원 투자
’01~’14 10 14

※ R&D 3조 1,933억원(80.2%), 인프라 5,635억원(14.1%), 인력양성 2,263억원(5.7%)


○ 민간은 년까지 년간 총 27조 1,074억 원 투자 연평균 증가
’10~’13 4 ( 15% )

제 기 제 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으로 대표되는 00∼’10년 기간


1 , 2 ’

은 연구기반 구축 및 기술경쟁력 확보에 집중


○ 나노기술개발 기반 확보를 위한 나노팹 구축 및 인력양성 추진
※ 6개나노팹(대전수원포항광주전북대구) 구축, 연구인력급증1,100명(’01) →8,498명(’10)
○ 년 선진 개국 이내 기술경쟁력을 목표로 미래 원천기술
’10 5 R&D 추진
※ 프론티어3개사업단출범(’00), 나노핵심기반기술개발사업착수(’02, 現나노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년 이후에는 전자산업 등에서 나노기술이 본격적으로 채용되면서
’10
기술 산업화와 그에 따른 나노안전성 확립을 위한 지원 투자 확대
※ 나노융합2020사업단출범(’12), 나노안전관리종합계획수립(’11), 나노안전성지원센터설립(’14)
- 7 -
2 나노기술 투자성과

나노기술 연구역량 향상
○ 국내 나노기술수준은 미국대비 ‘01년 25%에서 ’14년 81%로 성장
※ 나노분야 SCI급 논문 게재수 5,584편(세계 4위), 피인용 상위 1% 논문 4위(’00~’14)
미국 공개특허 등록건수 : ’01년 81건 ➡ ’14년 522건(세계 3위)
○ 6개 나노팹을 구축 하고 년까지 총 *
, ’05~’14 340,829 건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 관련 서비스 제공
* 종합팹(대전, 수원), 특화팹(포항, 전주, 광주, 대구) 구축
○ 산 학 연 나노기술 핵심 연구인력 과 나노 관련 학과수 의 지속 증가
* **

* 핵심연구인력: 1,100명('01년) ➡ 3,900명('04년) ➡ 5,400명('09년) ➡ 8,548명(‘14년)


** 나노 관련 학과수 : 3개('01년) ➡ 29개('04년) ➡ 43개(‘09년) ➡ 234개(‘14년)
국내 주요 연구성과
○ 미래 태양전지로 손꼽히는 박막형태의 태양전지 소재인 페롭스카이트
원천기술 확보 및 세계 최고 발전 효율 달성 년 (20.1%, ’14 )

※ 사이언스紙 선정 10대 유망기술(2013), 美 신재생에너지 연구소 공인인증 획득


○ 투명유연 디스플레이로 활용 가능한 세계 최고수준의 그래핀
(flexible)

(Graphene) 대면적 제조기술 확보 년 및 단결정 합성 가능성 제시 년


*
(’10 ) (’14 )

* 높은 강도, 전하이동도 등을 지녀 유연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되는 탄소소재로 우리나라는 대면적 그래핀 제조기술 관련 세계 특허 점유율 1위
○ 기존 형광체에 비해 선명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양자점(Quantum
Dot) 적용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세계 최초 양산
*
년 만대 (’15 , 185 )

※ 환경유해물질인 카드뮴이 들어가지 않은 친환경 양자점 개발 및 디스플레이 적용


* 크기별로 다양한 색깔을 낼 수 있는 수 나노미터(nm)의 반도체 결정
○ 높은 성능과 저전력 소비 특성을 갖는 세계 최고성능의 모바일
기기용 반도체 양산 제조 공정기술 확보 나노 핀펫 공정 년 (14 , ’15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00~’10, 1,380억원)에 삼성전자 등 민간이 참여(1,032명,


478억원)하여 세계 최초 40나노 32기가 낸드플래시 핵심기술 등 개발
- 8 -
3 나노기술 산업적용

기술에서 산업으로
○ ’02년부터 전자산업에 나노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여 메모리 소자 *
, ,

디스플레이용 소자 부품은 나노기술 혁신을 통해 성장 **

* 삼성전자는 인텔에 이어 세계 2번째로 90nm 공정기술을 개발(’02.5월)하여,


세계최초로 2GB 낸드플래시 메모리 양산(’02.9월)
** 나노융합제품 총매출 중 LCD용 소자 부품이 50%(70조원), 메모리소자가 30%(42조원) 차지
○ 전자부품 패키징 등을 위한 필름소재, 분산체 및 이차전지, 화장품,
진단제, 나노복합섬유 등으로 나노융합 확산 중
※ 나노기술 적용 제품이 큰 시장을 형성함에 따라 ‘나노융합산업’을 별도산업
으로 분류하고 ’12년부터 산업통계로서 나노융합산업조사 실시
나노융합산업 성장과 제조업內 위상 향상
○ ’10년~’13년 나노융합산업 매출은 연평균 16.4%, 고용은 7.1% 증가
하여 년 매출액 조원 종사자 수 만명 기업 수 개 도달
’13 138.7 , 15.1 , 541

○ 제조업 전체 매출액의 종사자 수의 를 차지하며 특히


9.3%, 5.3% ,

나노전자의 매출은 전자부품 산업 매출의 68.3%를 차지


※ 자료: ’2014 나노융합산업조사’(산업연구원), ‘광업 제조업 조사’(통계청)

- 9 -
IV. 국내외 현황과 정책방향
1 나노 투자국 동향

년 미국의
’00 수립 이후 전 세계 국가들은 환경 에너지 등
NNI
*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및 미래산업 창출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


* 국가나노기술개발전략(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
○ 고령화 사회, 환경 에너지, 초연결사회 등 미래사회 핵심이슈 대응
해결책으로서 태양에너지 수처리 차세대 나노소자 등 연구 추진
, ,

세계적인 제조업 혁신 움직임과 맞물리면서 주요국은 선도적 나노


기술 확보노력 지속과 함께 산업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실행
○ (미국) ’ 년 이후의 나노전자 태양에너지 수집 변환 기술 건강
20 , ,

안전 환경 센서 등에 집중 투자 나노기술 상용화 계획 ( (NSI), ’ 11~’ 15)

○ (EU) 차세대 제조업 에너지 효율향상 저탄소에너지 운송 관련


, ,

연구개발 및 상용화 추진을 위해 억 유로 투자 24 (’07~’14)

○ (일본) 주력산업인 자동차 전자 등과 융합한 신산업 창출과 산업


,

경쟁력 강화를 위한 나노 소재분야의 투자 확대 억엔 (’14, 1,005 )

○ (중국)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 전환을 위한 중국제조 을 ‘ 2025’

수립하고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에 나노산업 거점 구축 추진


,

선진 각국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나노크기에서의 안전성 및 실험


제어가 쉽지 않다는 점이 나노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노력
○ 각국은 화학물질 규제체계 내에서 나노물질 관리를 추진 하는 한편 *
,

나노물질 안전성 평가 시험 측정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연구 추진


* EU는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내에서 나노물질 등록을 시행 중이며, 미국은
독성화학물질관리제도(TSCA) 등에 의거 나노물질 규제
○ 또한 계산과학 등 비실험 방법론 개발 나노팹 등 공유 인프라
, ,

구축 활용 등을 통해 연구 및 제품 개발 기간 비용 감축 도모
- 10 -
2 국내 기술경쟁력

나노기술 수준 최고기술국 대비 상대적 기술수준 평가


( )3)

○ 주력산업과 밀접한 나노소자, 나노소재, 나노에너지 환경, 나노공정 측정


분야 발전에 따라 국내 기술수준은 세계 최고수준 대비 로 상승 81%(’14)

(나노소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관련 산업 발달로 응용 개발연구


- , ,

수준은 높으나 차세대 기술 투자 부족으로 기초연구 수준이 낮은 편 ,

특히 차세대 논리소자 분야는 매우 낮은 수준 (69.6%)

(나노바이오) 꾸준한 기초
- 투자로 기초역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R&D

신종플루 구제역 메르스 등으로 검출, 진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


, ,

하여 응용 개발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 기술수준 상승


(나노에너지 환경 ) 이차전지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춤에
-

따라 에너지 저장을 포함하여 전체 기술수준 상승


(나노소재)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등 전자재료와 에너지
- , ,

소재 분야에서 나노소재 활용 증가로 투자가 확대되어 기술수준 상승


(나노공정) 나노공정 분석 장비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 기술수준이
-

낮은 편이며 특히 계산과학의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


, (68.2%)

< 최고기술국(100) 대비 기술수준 >


구분 나노소자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소재 나노공정
기초연구 78.3 82.7 81.1 81.7 77.5
응용연구 82.9 83.6 84.7 84.8 79.8
개발연구 83.2 82.8 86.9 85.1 78.7
전 체 81.3 83.0 84.0 83.7 78.6

연구인력 및 산업인력
○ 학 연의 핵심연구인력은 최근 5년 간 약 1.6배 증가 명→ 명 (5,400 8,548 )

○ 나노학과 재학생 수도 최근 년간 배 증가 명→ 명 하였 5 4.6 (7,383 34,146 )

으나 양적 증가에 비해 기업이 원하는 전문인력은 부족


※ 64%의 기업이 교과과정과 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업무능력과의 괴리를
지적(2014, 나노융합분야 인력 공급현황 실태조사)
3) 나노기술수준 비교 분석 (2016,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 11 -
3 국내 나노기술 산업화 현황

전자산업 중심 확산 : 나노소자, 나노공정, 나노소재


○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제품 산업이 초정밀 나노제조
,

기술을 혁신동력으로 발전하면서 후방산업에 나노융합을 확산


초정밀 나노기술의 기반이 되는 공정분야와 전자부품 패키징을
-

위한 필름소재 분산체 등 나노소재 분야로 나노기술 융합 확산


,

※ 매출액 상위 30대 나노융합제품 중 장비 8개, 소재 11개


○ (나노소자) 대기업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용 나노소자 부품 메모리 ,

소자 등에서 나노기술 적용이 활발


※ 반도체 소자의 경우 기업 총 매출에서 나노융합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97.2%(’13년 기준)에 달함
○ (나노공정) 대부분 반도체 공정장비는 외국장비에 의존하고 일부 ,

後공정 장비만을 생산하여 나노융합 확산 효과 미약


,

※ 반도체 생산기업은 대부분 ASML, AMAT, TEL, Hitachi 등의 장비에


의존하여, 나노융합산업 중 나노장비 기기 비중은 1.6%에 불과
○ (나노소재) 나노융합제품 생산 기업 중 소재기업이 가장 많지만 ,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기에 매출규모가 미흡한 경우가 다수


※ 나노소재 생산기업 234개(46.3%) 중 193개가 중소기업으로 이들 기업의
나노소재 평균 매출액은 53억원에 불과(’13년 기준)
신산업 분야 :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 환경
○ (나노바이오) 인체에 적용되는 기술 특성상 상용화를 위해 요구
되는 유효성 평가, 임상실험 등과 기업 역량부족 이 사업화에 장애 *

* 의료기기 기업 2,900여개 중 생산액 100억원 이상 기업은 86개에 불과하고


(3%), 생산액 10억원 미만 영세 기업이 2,300여개로 대부분(75%)
○ (나노에너지 환경 )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전극소재 분리막 등 ,

효율성 한계돌파를 위해 나노기술 적용이 확대되는 추세


※ 이차전지제품 매출액 중 나노매출액 비중 : 22.7%(’11) → 34.9%(’13)
- 12 -
4 정책방향

나노기술 산업화 확산
나노기술 활용 확산으로 제조업 혁신 창출
○ 산업화로 연결되는 핵심기술 개발 적용으로 신시장 창출
기존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 ,

나노기술 영역을 발굴하여 산업화를 촉진할 필요


○ 나노기술의 사업화 과정을 촉진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

나노기술 사업화 과정에서 기업 부담을 감소하는 지원체계 마련


※ 나노기술은 제어가 쉽지 않은 크기영역(1~100 나노미터)을 다루며, 첨단장비를 필요로
하여 기술사업화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
○ 나노소재 수요기업간 연계활동 지원 및 나노바이오 기술 유효성
-

평가 지원 등 사업화의 결정적 공백요인(Missing Link) 보완


*

* 신기술이 혈액 등 실제 샘플에서 신뢰성 있게 동작하는지 평가하여 사업화 가능성을 검증


나노기술 혁신선도
나노 선진국가로서 미래 나노기술 발전 주도
○ 주력산업의 도약과 신산업 동력으로써 초연결사회 에너지 자원 ,

고갈 등 미래이슈 해결을 위한 한계돌파 기술 확보


나노산업 분야별 유망 미래기술에 대해 원천 응용연구 및 미래
-

이슈 대응 핵심기술의 선제적 개발을 위한 도전적 프로젝트 추진


나노기초연구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강화하고 효율적 나노
- ,

추진을 위한 범국가적 나노기술발전 추진체계 구축


R&D

나노혁신 기반확충
나노기술과 산업의 지속 발전 토대 마련
○ 나노기술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고급 핵심연구인력 및 현장 전문
인력 양성 연구비용 절감과 성과제고를 위한 국제협력체계 구축 주도
,

○ 나노안전 문제가 산업성장 저해요인이 되지 않도록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나노기술 개발 기간 비용 감소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

- 13 -
- 14 -
V. 비전 및 목표

- 15 -
- 16 -
VI. 추진과제
1 혁신주도 나노산업화 확산
1-1 산업화 촉진 핵심기술 확보

 7 대 전략분야 산업화 촉진
◈ 미래 유망新산업을 실현시킬 수 있는 나노기술 전략분야의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글로벌 신시장 창출 및 나노기술 융합 성장모델 확산

대 전략분야
7
○ ‘미래성장동력’과 ‘친환경 에너지 신산업’에 해당하고 나노기술의
핵심적 활용으로 산업화 및 시장창출에 근접한 기술 분야
※ 이미 사업화 단계에 이르러 정부투자 필요성이 낮은 기술 분야는 제외
미래유망산업 7대 전략분야 비고
① 지능형 로봇
 3D 나노전자소자
② 착용형 스마트기기
나노소자
⑫ 재난안전시스템  IoT 적용 환경 나노센서
미래
⑰ 사물인터넷  식품안전 나노센서
성장동력
 기능성 나노섬유
⑮ 융복합소재  脫귀금속 촉매용 나노소재 나노소재
 脫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
친환경에너지 신산업  저에너지 수처리 시스템 에너지‧환경

산업화를 고려한 기술경쟁력 확보


○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성숙도가 높아 산업군 형성이
가능한 전략분야에 대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확보
성과를 기반으로 기 보유 또는 과제수행 중인 기술을 분석
- R&D ,

공백기술을 도출하여 집중 개발하여 핵심기술군(set) 확보


대 기술 산업화 포럼 운영 등을 통해 산업계의 요구에 부합하
- ‘7 ’

는 기술개발 및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산업화 촉진


※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 을 수립(’15.4월)하여 7대기술 산업화 추진
기대효과
○ 년에 대 전략분야 산업에서 나노융합제품 매출 조 창출
2025 7 15

- 17 -
7대 전략분야
 3D 나노전자소자
사물이나 생체 등 원하는 표면위에 형성 및 부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3차원(3D) 나노전자소자
※ 3차원 나노소자는 웨어러블 전자제품, 로봇용 촉각센서 구현의 핵심기술로
로봇용 촉각센서 시장은 ’20년 13억 달러로 전망됨(World Robotics 2011)
 IoT 적용 환경 나노센서
실시간 대기, 수질, 토양 등 환경에 대한 정보 수집, 분석,
전송이 가능한 초소형 및 저전력 지능형 센서
※ 사회적 이슈가 되는 유해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를 대중이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식품안전 나노센서
저장, 가공, 유통 중인 식품에서 배출되는 미량의 유해
성분을 분자 수준에서 검출하고 모니터링 하는 센서
※ 식품산업과 유통시장의 확대에 따라 소비자의 접근이 가능한 높은 신뢰도의
식품안전 모니터링 수요 증가(’18년 식품 유해화합물 검사 시장 : 2조 6천억원)
 기능성 나노섬유
인체정보에 반응하는 감응형 나노섬유 및 광 기능, 전기적
기능, 에너지 포집 기능을 갖는 나노섬유 소재
※ 유연전자산업과 호응하여 웨어러블 시스템, 기능성 신발 의류 등 관련 산업에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
 脫귀금속 촉매용 나노소재
백금(Pt) 등 부존량이 적은 귀금속 원소를 표면에만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최소화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나노소재
※ 전세계 백금 생산량 중 50% 이상이 촉매로 사용되는 등 귀금속은 다양한 산업
에서 촉매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료전지 등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
 脫희유원소 산업용 나노소재
인듐(In) 등 희유원소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카드늄(Cd) 등
인체‧환경 유해원소를 완전 대체하는 지속가능 나노기능소재
※ 터치스크린 등에 사용되는 ITO(인듐주석산화물)필름을 그래핀 등 나노소재로
대체하는 등 나노 신소재 또는 패터닝 등을 통해 희유원소 대체 기대
 저에너지 수처리 시스템
나노구조 분리막 혹은 나노구조 전극을 채택하여 에너지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낮춘 물 정화 시스템
※ 인구증가, 도시화에 따라 물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 세계 거의 모든
지역에서 수자원이 부족(세계 담수화 산업 규모 : ’10년 23조원 → ’20년 55조원)
- 18 -
 그래핀 사업화 추진
◈ 기술력과 수요기반에서 우위를 지닌 나노소재인 그래핀*의 원소재
공급체계 구축 및 응용제품의 전략적 상용화로 세계 시장 선점

* 강철대비 200배 강도, 높은 전하이동도 투명도 등 특성을 지녀 고강도 경량


소재, 고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유연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가능
그래핀 원소재 공급체계 구축
○ 그래핀 응용제품 경쟁력의 핵심인 가격경쟁력 신뢰성 있는 원소재
양산기술을 확보하여 공급체계 구축
그래핀은 차세대 신소재로 세계적으로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하나
-

기대되는 뛰어난 물성을 구현한 원소재 양산기술은 아직 미개발 상태


그래핀 응용제품의 전략적 조기 상용화
○ 우리나라가 보유한 기반기술 을 바탕으로 선도기술 확보 가능성이 *

높은 전략분야 6개 응용제품을 선정하여 조기 상용화


**

* 특허 : CVD 세계 1위, 플레이크 세계 2위(그래핀은 생산방식에 따라 2가지로 분류)


** 국내 수요기반이 있고 기술개발 가능성이 높은 분야: 복합소재, 디스플레이, 에너지산업
< 전략분야 6개 응용제품 >
전략분야 복합소재 에너지 디스플레이
• 전자파차폐 필름
• 슈퍼 커패시터 • 그래핀 기반 터치패널
응용제품 • 고내식 다기능 코팅 강판,
전극 • 그래핀 응용 OLED 패널
• 고기능성 배리어 복합필름

기업 주도의 산학연 유기적 협력 체계 운영


○ 수요기업협의체 를 운영하여 기업 주도의 사업과제 수립 세부
‘ ’ ,

기술별 연계를 강화한 산 학 연 통합형 기술개발 추진


※ 그래핀 수요기업협의체 발족(’15.11월)
기대효과
○ 년에 세계 일등제품 건 개발 억원 매출 달성
2020 6 , 6,000

○ 년에 글로벌 기업 개 육성 조 매출 달성
2025 20 , 19

- 19 -
1-2 기업의 기술 사업화 지원

 기업 상용화 R&D 지원
◈ 연구성과로 개발된 나노기술의 사업화 및 기업의 제품개발 현안
해결 지원을 통해 우수 나노기술의 사업화를 촉진

우수 나노기술 기업매칭 지원
○ 실험실에 머무르고 있는 우수기술을 발굴하여 기술 보유 연구기관과
기업이 함께 제품을 개발하거나 기존 제조공정을 혁신하도록 지원
※ 나노융합 2020사업(’12~’21)을 통해 사업화를 지원중이며, ㈜크루셜텍의 지문인식
모듈은 구글,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등에 공급되어 1,500억원 이상의 매출 발생
- 공공부분 성과 사업화를 위한 산학연 기술교류회 개최(연 2회 이상)
-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전 과정에서 현장기술자문을 제공하는
한편 특허전략 컨설팅 및 민간 투 융자 금융 연계 지원
,
* **

* 특허청 ‘IP-R&D 전략 지원사업’ 연계 및 특허전문기관의 특허분석 진단 지원


** 사업화가 확실시되는 우수 과제에 대해 기업은행, ID 벤처스(VC) 등에 추천
○ 기존의 융합에서 NT-BT 융합으로 분야 확대 및 기업
NT-IT, NT-ET

연구성과 실용화, 개발자의 창업을 통한 사업화로 지원 대상 확대


기업 현안해결 전문가 기술지원 및 응용기술 개발 지원
○ 최적의 전문가 매칭을 통해 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현장자문 및 단기 R&D(1년 이내) 지원
- 기술지원 제공 전문가 풀을 다양한 분야로 확대 하여 산업성장에 *

따라 다변화되고 증가하는 기술적 지원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


※ 4개 분야(Post CMOS형 차세대반도체, 나노유연소자, 고효율 에너지변환기술,
물환경/자원 처리기술)를 약 10여 개의 전문 나노기술로 세분화하여 맞춤형 지원
○ 기술개발성과의 제품화 및 수요 공급 연계 등 응용기술 개발 지원 -

- 시제품제작 최대 백만원 성능평가 최대 백만원 지원 시제품


( 40 ), ( 30 ) ,

상설 시연장 운영 개 기업 개 우수 나노융합제품 시연 중
(121 , 171 )

- 20 -
중소·벤처기업 민간투자 활성화
◈ 투자유치 전문조직 구성· 운영을 통해 투자유치의 기반을 마련하고,
Two-Track(①IR개최,②투자연계기술개발)으로 중소기업 투자를 활성화

투자유치 전문조직 구성․운영


○ 신산업투자기관 협의회 를 구성, 투자유치를 위한 전문조직으로
*

활용하여 유망 나노기업의 상시 발굴 및 육성체계 구축


* 신산업(바이오 나노분야)의 중소 벤처기업 자금수요 대응을 위해 투 융자
전문기관,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법률 특허법인 등이 참여한 협력 네트워크
- 신산업분야 관심 투자기관간 정보교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투자설명회를 개최하고 사업성 평가를 통해 정보 투명성 제고
,

※ 목표 : IR개최 4회/년, 투자포럼 1회/년, IR컨설팅 20개 기업/년, 투자유치 100억/년


중소․벤처기업 투자유치 강화
○ 산발적으로 기관별로 나노조합 사업단 등 추진 중인 투자유치
( , 2020 )

설명회(IR)를 통합 운영하고 정부 정책과 IR 의 연계를 지원


,

정부과제 참여 우수기업의 IR 활동을 지원하고 투자기관이 현장


- ,

에서 직접 시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나노코리아에서 IR을 개최


○ 초기자본이 부족한 나노 벤처기업의 우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기
위한 투자자 연계형 기술개발 지원
투자유치 전문기관들과 투자계약 체결이 가능한 기업을 대상으로
-

기술성과 사업성을 평가하여 지원


※ 과제당 3억원 이내 / 정부 30%, 자체 20%, 투자기관 50% / 1사-1회 지원

- 21 -
1-3 나노융합 확산 인프라 강화

 나노팹 공정 확충 및 효율화
◈ 기업의 R&D 인프라 부족을 보완할 수 있는 신공정 플랫폼 인프라
확충 및 팹공정의 효율화 추진

나노팹 선도ㆍ특화공정 제공
○ 초연결사회의 도래에 부응하여 IoT 구현을 위한 초절전 초미세 소자
및 고집적 고감도 고성능 센서용 신공정 플랫폼을 개발하여 지원
※ 8대 IoT용 센서 중 이미지센서(자급률 50%), 가스 수질 화학센서(5~10%), 광섬유 기반
광학센서(5~10%)를제외한나머지센서(압력, 관성, 자기, 영상, 레이더)는전량수입에의존
< IoT 구현 신공정 플랫폼 기술 >
구 분 5개 분야 공정 플랫폼 기술
원 천 • 차세대 초절전 집적 공정 플랫폼 기술
• 초소형 NEMS 공정 플랫폼 기술
응 용 • 초미세 CMOS 공정플랫폼 기술
• 고감도‧고성능‧극한환경 센서용 공정 플랫폼 기술
기 반 • 고집적‧다차원 센서 공정 플랫폼 기술

○ 지역별 나노팹을 기반으로 특화 공정을 개발하고 혁신제품 제작을 지원


※ 대전 수원 포항-반도체 SiC/GaN공정, 광주-광소자, 전북-인쇄전자, 대구-나노분말
팹공정의 스마트화 추진
○ 사례 분석을 통해 자주 사용되는 간단한 제작공정 및 특성분석을
위한 표준 프로세스를 개발 제공하여 공정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간단한 소자로서 모든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에 대해 재료의 특성에
따른 제작 표준 프로세스 등을 개발하여 소재 개발 연구자, 기업 등에 제공
○ 데이터 분석 및 공정 시뮬레이션 활용을 통해 새로운 공정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신뢰성 향상을 도모
,

○ 나노공정기술 및 정보 활용을 위한 나노팹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개 나노팹 장비현황 및 누적 데이터 중 공개 가능 정보의 경우
- 6

연구자 및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


- 22 -
 나노혁신 클러스터 활성화
◈ 나노기업 육성 및 기존 산업과의 융합 촉진을 위해 나노팹, 연구 및
인력양성 기관, 나노기술 활용 기업이 집적된 나노 클러스터를 활성화

기술창업 기반 미니 클러스터 육성
○ 나노 인프라를 중심으로 지식-인력-시장 나노기술 활용기업 이 결합된 ( )

소규모 나노융합 클러스터를 활성화하여 지역전략 산업 육성 촉진


지역전략 산업 분야 첨단센서 생체센서 소재 등 기술의 상용화
- ( , , )

및 시제품 제작을 위한 공정을 개발하여 서비스 확대


R&D

※ 대전 포항 : MEMS 설계 공정 인프라 확충, 수원 : 8인치 공정 일괄라인 구축 추진


- 팹 시설 활용 및 교육 기업수요 연계를 통한 대학 연구기관의 인력양성 촉진
,

< 나노융합 미니 클러스터(안) >


인 프 라 인 력 시 장 나노팹 제공 서비스
대전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 첨단센서 설계,
나노종합기술원
KAIST, 충남대
(ICT, 첨단센서) 제작공정, 신뢰성검증
수원 서울대 융합기술원 광교테크노밸리 IoT 및 나노바이오
(재)한국나노기술원 아주대, 경기대 (ICT, 바이오) 생체센서 시제품 제작
포항 포항 창조경제혁신센터 신소재 3차원 종합분석
나노융합기술원
포항공대
(에너지, 소재) 및 시제품 제작

○ 나노분야 창업기업에게 입주공간을 제공하여 첨단 고가 연구장비


시설 전문인력 맞춤형 교육 경영지원 등 종합 근접지원
, , ,

※ 1인 나노분야 창업지원 사업(수원), 입주기업 사업화 지원(대전, 포항)


나노융합 산업단지 조성
○ 나노융합 산업 거점지역을 통해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 및 타 산업
분야로의 나노기술 확산 추진
※ 제6차 국토정책위원회,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단 개발 확정(’14.12월)
- 인접 산단의 주력 업종 기계 전자 조선 화학 과의 융합을 통해
( , , , )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 신산업 창출을 도모


※ 산단 운영계획 수립, 기업유치 등 지원을 위하여 산업부 등 정부, 지자체, 산단공,
민간위원이 참여한 국가나노융합산단 운영·지원 협의체 를 구성, 운영 예정(’16년~)
- 23 -
1-4 사업화 장애요인 돌파

 나노소재-수요기업 연계를 통한 공급사슬 구축


◈ 원소재, 중간재 생산 나노기업과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수요기업과의
협력 및 연계 활성화를 통해 나노소재 산업의 성장 환경 조성

수요연계 기반 조성
○ 개발 단계에서부터 나노소재-수요기업의 연계활동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을 구축하여 공급사슬 형성 촉진
나노중소기업이 생산하는 원소재 중간재 등은 수요기업에 의해
- ,

채택되어 최종제품에 적용 신뢰성이 확보되어야만 매출 창출 가능


,

< 나노제품 공급사슬과 정보의 흐름 >

○ 지역산업육성 지원기관 을 중심으로 소재-수요기업의 연계망을 구축하고


*

의견교류의 장으로서 기술 산업분야별 산업화포럼 개최 연 회 이상 **


( 4 )

* 지역 테크노파크, 지역 나노팹, 지역 전략진흥기관(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


** 例) 기술 :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임프린트 등 / 산업 :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수요연계형 기술개발 지원
○ 우수 소재 보유 기업과 수요기업간 공동 협력형 기술개발 지원
(메가트렌드형 ) 나노소재의 적용 가속화 및 기존 소재 변동성이
-

예측되는 분야 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 지원


*

* 例) 전기차, 유연 디스플레이, 고강도 경량소재, 첨단 IT 부품소재 등


- (대-중소협력형) 우수 소재를 보유한 기업과 이를 구매하는 국내
대 중견 수요기업과 협력형 공동 활성화 R&D

- (해외진출형 ) 국내 소재기업과 해외수요가 확보된 중간부품기업 *

(중소기업 가능 등과의 연계 를 지원하여 글로벌 수요에 대응


) R&D

* 중간부품기업은 구매의향서, 기술개발요구서 등을 통해 해외기업의 수요를 증빙


- 24 -
 나노바이오 사업화 연계지원( 나노바이오커넥트 사업)
◈ 우수 나노바이오 기초원천기술을 발굴하고 특성에 맞는 유효성 평가
및 사업화 연계 지원을 통해 나노바이오 산업 육성 토대 마련

우수 나노바이오 기술의 사업화 장애요인 해소


○ 유효성 평가, 임상시험이 요구되는 바이오‧의료 분야의 특수성 을 *

고려하여 우수 나노바이오 기술의 사업화 연계 지원


* 나노바이오 기술은 뛰어난 기술 원천성이 있어도 임상 환경 적용성(정확도,
부작용 유무 등)이 검증되어야 기업 투자 유치가 가능
-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나노바이오 기초원천 연구역량을 보유
하고 있으나 이를 토대로 한 기술의 실용화 및 산업화는 미약
,

※ 국내 나노바이오 기술수준은 83.0(최고 100 기준)에 달하나, 나노융합제품


매출에서 나노바이오 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0.3%(4,126억원)에 불과
나노바이오 기술 유형별 지원
○ (진단기기군) 최종 수요자가 병원이 되는 분야로 임상에서의 수요를
고려하여 우수 기술을 발굴하고 병원과의 공동연구 지원
※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등은 기기형태를 갖춘 시제품 개발 및 혈액, 소변
등 임상 샘플에 대한 유효성 평가가 필요
○ (분석장비군) 바이오 연구현장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는 분야로
나노팹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 및 기술기반 창업을 지원
※ 차세대 유전체분석기 등 분석장비는 첨단기술을 기기화해 안정된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제품 제작이 핵심이며 해외에서는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사업화가 활발
○ (치료물질군) 다국적 기업에 기술이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양산
기술 개발, 유효성 평가 및 동물실험(전임상 단계) 지원
※ 조영제, 약물전달체 등 체내 적용 물질은 재현성 있는 양산기술 개발, 유효성
평가와 함께 독성 안정성 등에 대한 동물실험이 필요
- 25 -
나노바이오 융합 촉진 방향
세계 나노바이오 시장 현황과 전망
○ 나노바이오 기술은 조기진단 및 치료의 난제를 극복할 수 있는 돌파기술
로 부상하여 관련 산업이 거대한 시장을 형성
(breakthrough technology)

※ 세계 나노융합시장 매출의 9%(1,396억 달러)를 나노바이오산업이 차지(Lux Research 2016)


-재택진단 및 생체이식 비침습적 방식의 질병 진단 치료 나노구조체
, ,

이용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등이 바이오산업 혁신 주도 전망


국내 나노바이오 산업 현황 및 전망
○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바이오센서 바이오칩 바이오소재 분야 ,

등에 다수의 기초원천기술을 확보 하였으나 사업화 기술 경험은 미흡 *

* ’07~’14년 나노바이오분야 등록 특허 527건


○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는 IT 분야와 융합을 통해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이 유망한 분야로 성장하고 급속히 성장중인 뷰티 산업에서도 ,

나노바이오 기술의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 국내 산업을 주도했던 IT, 반도체 관련 기업(삼성, SK 등)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투자를 진행 또는 계획 중에 있음
나노바이오 융합 촉진 전략
○ (사업화 촉진) 임상 환경 적용성이 검증되어야 투자 유치가 가능한
바이오 의료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효성 평가 등을 지원

○ (전략분야 투자)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생체


삽입 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 분야를 나노 챌린지 프로젝트 로 추진 *

* 미래이슈 대응에 나노기술이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집중 투자를 통해 5~10년 내


가시적인 성과 창출이 가능한 도전적인 전략분야를 도출하여 임무완성형 통합연구 추진
○ (유망 기반기술 개발) 나노바이오 관련 미래 환경 시나리오에 따라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원천 및 응용연구 추진
- 농수산 제품 고도화 웰빙제품 나노진단 생체분자 나노분석 지능형 나노치료
, , , ,

- 26 -
2 미래선도 나노기술 확보

 전략적 나노기초연구 추진
◈ 기초연구를 위한 기술, 수단 중심에서 기초연구 핵심 분야로서 나노
기초를 발전시키기 위한 나노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및 전략적 투자 강화

정부 나노기초투자의 전략성 강화
○ 연구수단으로서의 나노기술을 넘어서 나노 현상 및 원리 나노물질 , ,

나노장비 등 전 영역을 포괄하는 나노기초연구 발전전략 마련


여러 분야에 흩어진 나노 분야 기초연구자와 연구성과를 결집하고
-

집단연구 등을 통한 나노기초연구 활성화 추진


* 집중 육성이 필요한 나노기초연구 분야를 지정, 개인연구-전략과제, 집단연구로 지원
○ 대학원생 포닥 신진연구자 등 차세대 연구자 대상 나노기초연구
, ,

지원을 강화하여 우리나라 나노기초연구의 수월성을 지속 발전


(연구수월성)
< 기초연구 분야별 연구수월성 및 특허연계성 분석 결과 >
나노과학기술 ◎ ◎ 생물의료공학
환경공학◎ ◎ 고체물리 응용물리 ◎
◎ 입자/장 물리 ◎ 수리물리 세포조직공학 ◎ 전기전자공학◎

지구과학◎
지질공학◎ ◎합성물재료 ◎약물화학
◎기생충학 ◎해양학 전염병◎ 임상신경학◎
◎곤충학
(특허연계성)

나노분야 연구자 네트워크 형성과 연구교류의 장 마련


○ 나노혁신 활동주체 기업 연구자 정부 등 간 교류 활성화로 나노
( , , )

혁신 기초연구 발전을 위한 민 관 협력강화


나노기술 분야 별로 정기적으로 월 회 연구동향, 발전전략 등을
-
*
( 1 )

공유 협의하는 모임 신설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주관 ( )

*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 환경, 나노정보소자, 나노매뉴팩쳐링, 나노소재


- 나노기술 전체 연구자가 참여하는 학술대회 (Nano Convergence

를 개최하여 한 해의 성과 발표 및 확산 추진
Conference)

- 27 -
 미래 나노기술 30 개발
◈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거나 새로운 시장 형성이 기대되는
나노산업 분야별 유망기술에 대해 원천 및 응용연구 추진

미래 나노기술 30 선정 및 개발
○ 산·학·연 전문가 위원회 명 가 분야별 미래환경 시나리오 전개
(67 )

및 기술수요 예측을 통해 선정한 우선 투자 기술 중


- 기존 산업군에 대한 기술적 파급력, 미래산업으로의 성장 가능성,
사회적 문제 해결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미래 나노기술 선정 30

< 미래 나노기술 30 >


분 류 미래 나노기술
초저전력 메모리, 초고속‧저전력 논리소자, 나노환경센서,
나노소자
신개념 나노물질‧구조 나노소자, 유연소자, 나노 광소자

농수산 제품 고도화, 웰빙 제품, 나노진단, 생체분자 나노분석,


나노바이오
지능형 나노치료

나노태양전지, 나노구조 이차전지, 나노구조 연료전지, 나노


나노 에너지‧환경
분리막, 열전소자, 극미소전원, 해수기반 나노융합에너지

양자점 소재, 나노탄소소재, 인쇄전자용 소재, 생체모방소재,


나노소재
환경촉매 소재, 희유금속 대체물질

유연소자공정, 나노구조 패터닝, 고분해능 측정, 나노적층공정,


나노 공정‧측정‧장비
하이브리드 검사, 스마트공정

※ 미래 나노기술 30 은 우리나라 나노 R&D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중분류


나노기술 분야로 각 중분류 내의 모든 개별기술의 R&D가 수행되는 것은 아님
○ 나노 R&D 시행부처 및 출연연이 우선적으로 집중하여 개발 추진
※ 매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점검 및 협의
시장을 고려한 연구개발 설계 및 사업화 연계성 강화
○ 산업체 수요조사에 따른 기술수준 민간투자를 반영하여 과제를
설정 수행하고 부처간 협조를 통해 사업화를 위한 후속연구와 연계
,

- 28 -
 4 대 나노 챌린지 프로젝트 추진
◈ 지능정보화‧고령화 사회, 환경‧에너지 등 미래이슈 대응, 제조업 기술
·
혁신,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개발

나노 챌린지 분야 도출
○ 미래이슈 대응에 나노기술이 적용된 부품 기기 또는 시스템(나노
제품)이 핵심 역할을 하여 큰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목적지향적이고 체계적인 융합 집중 연구를


통해 5~10년 내 가시적인 성과 창출이 가능한 도전적인 전략분야
< 미래이슈와 전략기술 분야 >

① 초저전력 미래 반도체(나노 챌린지 #1)


○ 초연결사회 빅데이터 지능화 무인화 시대 실현을 위해서는 대용량
, ,

데이터를 적은 에너지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新개념의 반도체 필요


차세대 논리소자 분야는 투자 부족으로 기술수준이 낮은 편 최고
- (

수준 대비 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 상실 우려
69.6%)

※ 미국, 유럽 등은 새로운 개념의 초저전력 고성능 소자 개발을 추진중이며,


중국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을 확장하며 국내 반도체 산업을 위협
- 29 -
② 생체 삽입 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나노 챌린지 #2)
○ 삶의 질 향상 및 장수명 시대에 따라 인체정보 검출을 위한 부착
및 삽입형 바이오센서, 메모리소자, 초소형 배터리 수요 급증 예상
○ 유연 디스플레이 유연센서 메모리 특수소재 등 시장의 성장에
, ,

따라 기반기술로서 유연 나노공정 기술 확보 필요
- 유연공정 기술은 세계적으로 도입초기이므로 수입에 의존하였던
공정 장비 분야로 나노융합을 확산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
③ 초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나노 챌린지 #3)
○ 신기후체제 파리 기후변화 협약
( 월 등 지속가능한 환경 실현
, ’15.12 )

노력에 따라 이차전지 수요가 자동차 전력저장 등으로 대용량화 ,

※ 기후변화대응 6대 핵심기술에 차세대 이차전지 포함(과학기술자문회의, ‘14),


이차전지 시장규모는 ‘10년 360억불에서 ’20년 1175억불로 확대 예상
- 기존 이차전지로는 경제성 확보가 어려워 획기적인 가격저감과
고성능화가 가능한 새로운 소재 및 제조기술 개발이 필요
④ 신개념혁신 소재(나노 챌린지 #4)
○ 첨단산업의 소재 기여율은 이상으로 제조업의 혁신 및 미래
50%

시장 선점을 위해 신소재 개발이 필수


※ 미국은 2011년부터 신연구방법론 기반 소재 원천기술 개발 프로그램
(Material Genome Initiative)을 추진하여, 최근 3년간 2.5억$ 투입
추진 방향
○ 나노제품의 기대성능 확보를 위해서 기존 기술의 개선 수준이 아닌
본질적인 소재 구조의 변경과 공정 전반의 혁신이 요구되므로 기대
성능의 높은 문턱을 넘기 위한 임무완성형 통합연구 추진 *
(#1~#3)

* 소재, 소자 등 분야별 연구가 아닌 소재의 탐색 개선, 소자설계, 공정 개선


등 필요한 분야의 기술 개발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R&D
○ 하나의 소재가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시장 진입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신소재 개발은 독립된 연구로 추진 (#4)

※ 기 발견소재의 탐색 개선은 각 임무완성형 통합연구에서 수행하되, 새로운 소재의


개발은 독립된 신개념혁신 나노소재 개발 연구단에서 추진
- 30 -
나노 챌린지 #1

① 초저전력 미래 반도체
: 초연결사회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현실 인공지능 등
, , , ,

정보처리가 폭증하는 기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적


IoT

에너지 절감형 고성능 차세대 나노 정보처리 소자 개발


* 연결된 사물 수 ’13년 26억개 ➡ ’20년 260억개로 증가(Stracorp, 가트너, 2013)
** ’13년 미국 내 데이터 센터 운영에 원전 17기 전력 사용(미국 천연자원보호협회)
추진 목표 (’16~25)
○ 소모전력은 현재의 이하 메모리 저장능력 및 정보처리
1/1000 ,

속도는 배 이상으로 향상된 차세대 나노 정보처리소자 개발


100
*

* 초고성능 초저전력 소모 메모리소자, 로직소자, 메모리와 로직 통합소자


※ ’16년 예산 50억원, ’17년 이후 예산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
추진 전략 및 로드맵
○ 실리콘 소재 폰노이만 구조 기반의 성능개선은 한계에 도달하여
,
*

소재와 논리구조의 변경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새로운 구조를 모색


하고, 이를 전체 설계 공정 분야와 연계하여 체계적 연구 추진
* 주기억 장치, 중앙처리 장치, 입출력 장치의 3단계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컴퓨터 기본구조
○ 학 연 연구단 중심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는 기반기술 개발단계부터
산업계가 수요연계를 위해 참여하도록 하여 상용화 연계 모색
* 삼성, SK, LG 등이 수요반영그룹으로 과제설계 등에 참여 예정

- 31 -
나노 챌린지 #2

② 생체 삽입‧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
: 구현이 되며 생체 삽입 부착과 곡면적용이 가능한 유연소재
IoT

기반 고감도 바이오소자 및 유연기판 대응 나노공정장비 개발


※ 공정 및 장비 기술은 소자의 기반기술로서 유연소재 기반 바이오소자
시장 점유를 위해서는 유연기판 대응 나노공정 시스템 확보 필요
추진 목표(’17~’25)
○ 센서 배터리 무선통신 기능이 적용된
, , 유연소자 및 유연 Multilayer

나노공정 시스템 개발
추진 전략 및 로드맵
○ 나노소자의 기판 자체가 단단한 실리콘에서 곡면적용이 가능하고 생체
부작용이 없는 유연 신소재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안정성 확보 회로 ,

적용을 위해 소자개발과 장비 공정 개발을 병행 추진


○ 미션 견인형 프로젝트 수행 수요 분석에 근거한 미션 도출
,

-전체 시스템을 위해 필요한 개별 목표 스펙을 제시하고 다양한 도전 ,

과제 중 단계별 평가를 통해 목표기준을 충족한 과제를 지속 지원


-유연 나노공정 기술의 다양성과 임의성을 고려하여 매 단계에서 수요
분석을 추진하고 초기 계획에서 예상치 못한 수요에 의한 과제를 포괄
,

- 32 -
나노 챌린지 #3

③ 초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


: 자동차 에너지원으로 사용시 내연기관 대비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수준의 에너지 밀도 내구성 등을 보유한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
,

※ 전기자동차의 경우 내연기관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해 현재 대비 2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 내구성, 가격경쟁력 확보 필요
추진 목표(’17~’25)
○ 회 충전으로
1 주행 가능한 자동차용 중대형 이차전지 개발
500km

및 배 이상 경제성을 갖는 전력저장용 대형 이차전지 개발


7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고에너지밀도 이차전지로서


리튬 공기전지 개발 - 사이클(700Wh/kg, 300 )

-경제성 확보를 위한 전력저장용 비리튬계 이차전지로서 나트륨이온 /

플로우전지 개발 (<$100/kWh)

※ ’17년부터 다부처공동기획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획중


추진 전략 및 로드맵
○ 리튬이온 소재 기반으로는 경제성 확보에 한계가 있으며 소재에 따라
구조 공정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별기술 단위가 아닌 전지를 구성
하는 전체 시스템 단위의 연구 추진
○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전략적으로 3대 중점영역 고에너지化 고내구성化 ( , ,

저가격化 의 목표와 연구주제를 Top-down 방식으로 제시


)

- 33 -
나노 챌린지 #4

④ 신개념혁신 나노소재
: 창의적 아이디어와 ICT 기반 新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설계 기법을
소재개발에 도입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나노소재 개발
추진 목표(’15~’24)
○ 국방용 초고성능 컴퓨팅 청정에너지 생체모방 등 국내 연구역량이 다소
, , ,

부족하나 소재혁신이 중요한 분야에서 원천특허를 갖는 신소재 개 개발 28

※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사업을 중심으로 28개 연구단(3+3) 운영, ’16년 사업비


132억원, 총 사업규모 3,066억원
추진 전략 및 소요예산
○ 계산과학 등 新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개발 기간과 비용 감축
○ 소재발견에서 사업화 가능성 검증까지 신속한 수행이 가능하도록
다학제적 전문가를 하나로 묶는 융합형 연구단 운영
※ 기존의 선형적인 R&D 수행체계에서는 소재발견–물성개발–시험검정-양산의
전 과정에 약 20년 이상 소요
○ 다양한 과제 선정 방식 을 도입하여 *

연구자의 창의적 아이디어 반영 및 국가적 차원의 소재 개발 수요 반영


(Top-down, Middle up-down , Bottom-up)

* 전문가 기업 자문그룹을 활용하여 국내 연구역량이 부족한 분야를 선정, 필요


소재 스펙을 결정 제시하고, 후보물질은 연구자가 제안
※ 해당연도 연구단 출범을 위해 기획과제는 그 전년에 실시
○ 연구성과 연동 지표 재조정 실시
단계 년 결과에 따라 단계 년 방향 결정 지속 중단 조기 기술이전
- 1 (3 ) 2 (3 ) ( , , )

※ 예타보고서 계획 예산 기준
- 34 -
 국가 나노기술 투자의 체계화
◈ 국가나노기술지도의 전략성 강화 및 민·관 R&D 협의체제 마련을
통해 선도기술의 체계적·효율적 확보 및 산업확산의 효과성 제고

국가나노기술지도를 기반으로 각 부처 R&D의 전략성 강화


○ 개 부처·출연 연 등이 억원 년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기준 의
10 ( ) 5,274 (‘15 )

정부 예산을 투자하여 각 부처의 임무에 따른 나노 관련 R&D 수행 중


* 미래부(53.8%), 산업부(24.4%), 교육부(8%)가 전체 연구개발비의 86.2%(‘14)
연구개발단계 비중(‘14) : 기초연구(47.2%), 개발연구(32.4%), 응용연구(17.2%) 순
- 국가나노기술지도 를 통해 기술발전 및 연구개발 방향을 보여주고
*

있으나 전략적 투자방향 제시 및 나노 R&D 정책과의 연계성 미흡


,

* 나노기술개발촉진법(제6조)에 근거, 5년 단위로 기술지도 작성(제1기 ‘08.4, 제2 ’14.2 수립)


○ 종합발전계획 진행현황 시장변화 등을 분석하여 우선 확보할 핵심 ,

기술을 제시·관리하는 전략적인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추진 제 기 예정 ( 3 , ‘18.3 )

각 부처의 연구개발 전담조직이 기술지도 작성에 참여하고 부처의


- ,

임무를 고려한 기술개발 로드맵 제안을 통해 정부 정책 연계성 강화


부처 핵심 나노 사업에 반영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을 통해 협의·점검
- ,

정부투자의 효율적 운영 및 민간 혁신활동과 연계


○ 나노기술 개발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민·관 협의체인 나노기술
발전협의회 를 구성하여 나노기술개발 사업간 연계성 강화
*

* 미래부-산업부 나노융합확산전략(’14.1)에 따라 운영중인 나노융합확산 민관


협력위원회 를 나노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모든 부처(’16년, 10개 부처)로 확대
- 나노혁신 비전 및 성공사례 공유 각 부처의 사업별 기술 확보 계획 논의· ,

조정 나노활동 사업·홍보 등 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나노기술 가치와


, ( )

잠재력을 가시화하고 원천·상용화 기술개발과 확산에 민간 참여 촉진


- 나노안전 표준화 인증 등 국가간 협력이 필요한 부문은 전략적으로
, ,

주요 국가별 대륙별 공조체제를 마련하여 관련 활동을 제안하고 주도


,

- 35 -
3 나노혁신 기반 확충

 현장형 나노인 양성
◈ 나노기술의 차세대 핵심연구인력 및 수요대응형 산업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나노기술에 대한 일반국민의 친밀도 향상
차세대 나노융합 연구인력 양성
○ 특정 나노분야 에 대해 일정 수준의 전문성을 기대할 수 있는 나노
*

분야 전문 교육과정을 학부과정에 적용하는 시범학과 프로그램 도입


* 5대나노분야(나노소자, 나노소재, 나노바이오, 나노에너지환경, 나노공정측정장비)로운영
나노 관련학과 물리 화학 재료 전자 등 재학생 중 일정비율이 전문
- ( , , , )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조건으로 실험 실습비 등을 해당 대학에 지원


○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심화이론 교육 프로그램 및 나노팹
시설을 활용한 연구 실습중심 교육 프로그램 운영
※ e-Nanoschool, 국가나노인프라를 활용한 전문인력 양성사업(’10년~)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 지역별 나노팹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대상 나노공정 측정 분석 교육을
확대하고 기존 산업인력에 대한 나노공정 장비 이론 실습 교육 강화
,

※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13~’18년), 4-ever NT School(’13~’17년), 나노


바이오 융합현장교육(’16~’22년)
나노기술 체험문화 확산
○ 초중고 학생 대상 비정규 창의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현직 과학
교사를 위한 실험 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나노교육 전문교사 양성
※ 교과과목과 융합 가능한 온라인 콘텐츠와 ‘방과후 학교’용 오프라인 교재,
실험 키트 개발 및 나노과학캠프 사업 등 추진
○ 나노기술 및 제품에 대한 기획기사 및 방송특집 대중이 쉽게 접근할 ,

수 있는 전시 행사 등 일반인 대상 나노기술 지식 확산 제고
※ 매년 개최하는 나노코리아 행사에서 ‘생활 속의 나노기술’의 전시 등 추진
- 36 -
 新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 선진국 주도의 국제 협력체제에‘참여하는 국가’에서 주요 아젠다를
선점하고‘주도하는 국가’로 새로운 위상정립

글로벌 협력 참여국에서 주도국으로 전환


○ 유럽 나노안전 선도연구기관과 공동연구센터 를 바탕으로 미국 독일 *
, ,

호주 등 주요국이 참여하는 국제공동연구 컨소시엄으로 확대 추진


* 표준과학연구원과 스위스 재료과학기술연구소간 공동연구센터 운영(’16년~)
○ 한·중·일 협력체계 기반으로 Asia Nano Innovation 체계를
*

구축하여 나노기술의 새로운 중심으로서 아시아의 도약 도모


한 중 일 협력에서 인도
- 중동이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 추진
, ASEAN,

* 한(나노기술연구협의회/나노인프라협의체)·중(국가나노기술센터)·일(재팬나노
테크실행위원회) 나노기술 공동협력 MOU 체결(’15.7.1)
나노산업화 협력 추진
○ 한 미, 한 EU 협력은 정보교환과 연구자 교류단계를 넘어 나노
산업화를 목표로 하는 공동연구 및 시장창출 협의체제 구축 추진
나노기술력과 수요산업 기반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을 바탕으로
- ( , )

세계시장 형성을 주도할 수 있는 글로벌 산 학 연 협의체 형성 추진


※ 미국과는 수처리 시스템, 2차원 및 복합 나노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EU는
나노전자소자 산 학 연 협력을 중심으로 추진중(’15년~)
나노기업 해외진출 지원
○ 전 세계 나노기업 네트워크 와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현지 거점 확보
*
,

나노분야 대규모 국제행사인 나노코리아 에 해외 바이어 적극 유치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은 CzechInvest(체코, ’12.8월), NPNT(대만, ’13.7월),
Nanopolis(중국, ’14.7월) 등의 해외 기관들과 MOU를 체결 중
○ 등 글로벌 거점 보유기관들의 국내외 기업간 협력사업에
KOTRA

나노기업 참여 지원 B2B e-마켓 등 을 통한 해외 진출 지원


*
, (ebay )

* KOTRA의 글로벌 기업(종합상사 등)과의 협력지원 사업을 통해 나노기업


16개社가 미츠이물산과 일본시장 진출에 대한 협력을 추진 중(’14.10.~)
- 37 -
 나노안전 관리체계 확보
◈ 나노물질의 위해 가능성 연구와 측정 표준화로 국민건강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동시에 산업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관리체계 마련

나노안전 평가기술 표준화 및 국제협력 확대


○ 나노안전성 관련 체계적 연구를 위해 나노물질 특성과 독성평가에
적합한 표준측정 기술개발 및 국제공인 평가기술 확보 보급
○ 그동안 축적된 나노안전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기 위한 공동연구체계 구축
- 유럽과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스위스와 공동연구센터 운영
,

나노안전 규제 대응을 위한 기업지원체계 구축


○ 나노소재 제품의 평가 및 나노안전 규정에 의한 신고 등록 지원을
위한 가상(virtual)조직 형태의 나노제품평가 기업지원센터 운영
*

※ 성능(전자부품연 등 전문연구소, 나노팹), 안전성(GLP인증기관, 나노안전


기술지원센터) 평가기관을 연결하여 기업지원 서비스를 제공 운영
○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거점 센터를 구축 하여 *

글로벌 규제동향 제공 및 해외등록 업무 지원


* ‘EU 나노안전 협력센터’(’15년 설립, KIST-유럽 내), 규제 수요에 따라 미주지역
협력센터 설치 확대 추진(후보지 : KIC-워싱턴)
나노 안전관리 제도화 기반 구축
○ 표준측정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소재 특성 구축 나노제품 DB (’17~),

를 구축하고 독성 환경평가 와 통합 제공
DB(’16~) , DB, DB (’17~)

○ 나노물질 제품 전주기 안전관리 방안 마련 나노 안전성 및 나노 ,

기술 영향평가 실시 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홍보 등 추진


,

※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해성으로부터 국민 건강과 생태계를 보호하고, 나노산업


발전 지원을 위한 제2차 나노 안전관리 종합계획(’17~’21) 수립(’16년)
- 38 -
 혁신지원 정보체계 구축
◈ 일원화된 정보제공 시스템과 계산나노과학의 보편적 활용이 가능한
환경 구축을 통해 기술 개발 기간‧비용 절감과 기업 사업화를 촉진

나노정보체계 일원화 및 고도화


○ 정보보유 제공 기관간 연계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일원화된 정보
제공 체계를 마련하고 다양한 기술·정책 정보 산업정보 등 생산 제공
*
,
**

* 기술 정책정보 : 해외 R&D 및 정책동향, 트랜드 분석, 주요 이슈 등


** 산업정보 : 신기술, 제품 시장, 연구장비 정보, 통계, 기업성과 등
- 나노인(나노기술정보시스템)과 나노넷(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을 연계하여
나노지식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고급정보의 적극적 제공 기능 강화
,

※ 기업 대상 나노인 뉴스레터 및 연구자 대상 나노인포 발송


○ 나노융합산업조사 를 고도화하여 산업통계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산업적 시사점을 도출


,

* 나노융합산업의 기초 통계로써 매출액, 고용, 투자, 생산성, 나노융합산업의


비중 등을 2013년부터 발표(통계청 승인통계 11531호)
나노기술·기업·제품의 정의 범위 및 분류체계 개선안을 마련하고
- ,

조사의 범위를 기업중심에서 투자 및 제품현황(소재·제품)까지 확대


개방형 계산나노과학 플랫폼(vFab) 구축
*

○ 나노기술 및 상용화 공정개발에서 계산과학을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 기간과 비용의 획기적 축소 도모
* IT 및 모델링을 융합한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기술과 정보학 기술을 통해
나노 공정과 시스템을 설계, 예측, 최적화 하는 기술
○ 계산나노과학을 쉽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험연구자에게
익숙한 웹기반의 가상실험 플랫폼 환경 구축 제공
다양한 계산 소프트웨어를 개발 연동하여 가상실험의 수단으로
-

제공하는 ‘웹기반 계산 나노팹(Nano Virtual Fab) 기술’을 개발하고 ,

계산과학 활용도가 높은 분야부터 특화 응용 플랫폼을 구축 개방


※ 1단계 : 이차전지 시범플랫폼(’15년~), 2단계 : 탈귀금속 탈희유원소 나노
소재, 환경 식품 나노센서 플랫폼, 3단계 : 유망 산업분야로 확장
- 39 -
VII. 기대효과

나노혁신 기술 확보와 산업현장 확산으로 제조업 활로 및 미래동력 확보


○ 나노기술 성과가 다른 산업으로 융합 확산됨에 따라 지속적인
혁신을 유도하고 국내 제조업의 질적 성장을 견인
-첨단 나노소재의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소재기업과 최종 수요
기업의 경쟁력 동반 상승
○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전략기술에 대한 나노챌린지 프로젝트 으로
‘ ’

미래 제조업의 새로운 혁신동력 확보


○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으로 사업영역 확대 신사업 창출 ( )

-나노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헬스산업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성장
-전기자동차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 등 에너지 활용 효율 향상
,

분야 수처리 시스템 등이 미래 고부가가치 신산업으로 부상


,

나노기반 미래 신산업 창출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충


○ 나노기술 기업의 성장 및 제조업 성장 촉진으로 신규 고용 창출
○ 전통 제조기업의 나노기업으로의 전환 등 기업 활동의 고부가
가치화를 통해 고용의 질 제고
미래세대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기반 구축
○ 안전한 나노기술개발로 나노기술에 의한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사회 안전 제고


○ 나노기술 기반의 에너지 발생 변환 저장 절감기술 개발을 통해
, , ,

에너지 자립도 향상
○ 나노기술 기반의 대기 및 수질 오염 제거 기술 개발을 통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문제 최소화
- 40 -
VIII. 세부과제별 추진일정

전략 중점과제 추진 일정 담당 부처

1-1. 산업화 촉진 핵심기술 확보

 7대 전략분야 산업화 촉진 ’15~’20


미래부, 산업부
 그래핀 사업화 추진 ’14~’20

1-2. 기업의 기술 사업화 지원

 기업 상용화 R&D 지원 ’12~ 미래부, 산업부

 중소·벤처기업 민간투자 활성화 ’17~ 산업부

전략 1. 1-3. 나노융합 확산 인프라 강화

 나노팹 공정 확충 및 효율화
혁신주도
나노산업화 ◦나노팹 선도‧특화공정 제공 ’15~’20
확산 미래부, 산업부
◦팹공정의 스마트화 추진 ’17~

 나노혁신 클러스터 활성화


미래부, 산업부,
◦기술창업 기반 미니 클러스터 육성 ’16~ 중기청
◦나노융합 산업단지 조성 ’16~’20 산업부

1-4. 사업화 장애요인 돌파

 나노소재-수요기업 연계를 통한 공급사슬 구축 ‘15~ 산업부

 나노바이오 기술 사업화 연계 지원(나노바이오커넥트 사업) ’16~ 미래부, 복지부

 전략적 나노기초연구 추진

◦정부 나노기초투자의 전략성 강화 ’16~


미래부
◦나노분야 연구자들의 네트워크 형성과 연구교류의 장 마련 ’16~
전략 2.
 「미래 나노기술 30」 개발

미래선도 ◦미래수요대응 차세대 나노소자 기술


나노기술
◦건강한 삶을 구현하는 나노바이오 기술
확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나노에너지․환경 기술 계속 범부처

◦미래산업의 기반이 되는 나노소재 기술

◦제조업을 선도하는 나노공정․측정․장비 기술

- 41 -
 4대 「나노 챌린지 프로젝트」 추진

◦초저전력 미래 반도체 ’16~’25

◦생체 삽입·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 ’17~’25


전략 2. 미래부, 산업부
◦초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 ’17~’25
미래선도
나노기술 ◦신개념혁신 나노소재 ’15~’24
확보
 국가 나노기술 투자의 체계화

◦R&D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18 미래부

◦범정부 협력‧추진체계 구축 ’16~ 범부처

 현장형 「나노인」 양성

◦차세대 나노융합 전문인력 양성 미래부, 교육부

◦현장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계속 산업부, 고용부

미래부, 교육부,
◦나노기술 체험문화 확산 산업부

 新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글로벌 협력 참여국에서 주도국으로 전환 ’16~ 미래부

전략 3. ◦나노산업화 협력 추진 ’16~
미래부, 산업부
◦나노기업 해외진출 지원 계속
나노혁신
기반 확충
 나노안전 관리체계 확보

◦나노안전 평가기술 표준화 및 국제협력 확대 계속

◦나노안전 규제 대응을 위한 기업지원체계 구축 ’15~ 범부처

◦나노 안전관리 제도화 기반 구축 계속

 혁신지원 정보체계 구축

◦나노정보체계 일원화 및 고도화 ’16~


미래부, 산업부
◦개방형 계산나노과학 플랫폼(vFab)구축 ’16~

※ 범부처 : 미래부, 산업부, 교육부, 농림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식약처, 방사청, 중기청
- 42 -
붙임 Part 1. 과제 관련 참고자료

- 43 -
붙임1 우수기술 사업화 추진 : 나노융합 2020사업 현황

사업개요
○ 사업목적 나노분야 정부 성과를 바탕으로 신산업·신시장 조기 창출을
( ) R&D

위한 전주기적 나노융합기술 상용화 사업 미래부·산업부 공동사업 R&BD ( )

※ 지원분야 : NT-IT 융합분야 (①Post CMOS형 차세대반도체, ②나노유연소자),


NT-ET 융합분야 (③고효율 에너지변환기술, ④물환경/자원 처리기술)
○ 사업규모
( 년 년
) 억원 정부 억원 민간 억원
‘12~’20 (9 ) / 5,130 ( 4,322 , 808 )

* 2016년도 사업비 : 219.62억원 (미래부 70억원, 산업부 149.62억원)

추진현황
○ 추진 성과 (2012.9~2014.12)

연도 사업화 성공 기업 특허출원 건 ( 특허등록 건 고용창출 기술이전


개 매출액 억원 국내 국외 계 국내 국외 계 명 건수 기술료 억원
(
)

)
( ) ( )

( )
*

( )

‘13 1 16 41 12 53 - - - 78 18 16.35

‘14 5 277 49 1 50 11 - 11 123 14 9.45

46

‘15.9 6 525 42 4 9 - 9 64 10 9.2

12 818 132 17 149 20 0 20 265 42 35

* 과제 착수(협약) 전, 기존 연구성과(IP)를 제품개발로 연계하는 사업 방식에


따라 핵심기술을 보유한 학·연에서 주관기관(기업)으로 기술이전 성과 도출
○ 우수 사업화 사례
사업화명 지원금액
핵심성과 내용 사진
(기업명) (지원기간)

• 세계 최초·유일의 나노기술 기반의 키트형 가짜석유 식별


센서 제품의 사업화
가짜석유 판별키트 • 별도로 채취하여 온 시료를 전문가들이 고가의 분석
850백만원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식과 달리 다공성 나노섬유
(㈜에코메트론) 식별센서가 가짜 석유 속의 법정 식별제와 반응하여 언제 (‘13.07~’15.06)
어디서든 현장에서 쉽고 빠르게 판별 가능
• 2015 나노코리아 전시회 산업부장관상 수상 (‘15.7)

• 세계 선도형 고전도성 메탈잉크를 이용한 중대형 투명전극


1,000 ㎜ 폭 컨베이어(conveyor)식 정전기젯 프린팅 장비 사업화
• IR52 장영실 상 수상(‘14.2)
고전도성 메탈잉크를 =========================================
이용한 유연 투명전극 • 세계 최초로 중대형 투명전극 제조용 500 ㎜ 폭 컨베이어식
2,300백만원
및 프린팅/코팅 설비 정전기젯 코팅 장비 사업화 (‘12.12~’15.09)
• 기존 건식 증착 방식을 습식 방식으로 전환한 신패러다임에
(엔젯㈜)
해당하는 독보적인 나노코팅기술로 공정의 생산성을 30% 증대
하고 단가를 50% 인하하여 경쟁력 확보
• 대한민국 우수 특허 대상 수상(‘14.6)

- 44 -
붙임2 T2B*활용 나노융합 R&BD촉진사업
* T2B란? : Nano Technology 적용 제품(Product)의 사업화(To Business)를 의미,
‘T’는 나노기술이 체화/적용된 제품을 상징적으로 의미(Product based on nanotechnology)
사업개요
○ 사업목적 나노기업 기술개발성과를 제품화 시제품 성능평가 하고
( ) ( / ) ,

적용 가능한 수요 공급 연계 융합 등의 응용기술개발을 지원
- , R&D

○ 사업규모( 년 ) 억원 정부 억원 지자체 억원
’15~’21(6 ) / 191.4 ( 174 , 17.4 )

< T2B사업을 통한 나노기업 지원 영역 >

년도 추진실적
2015
○ 성능평가 시제품제작 성과 창출 개사 시제품 종 성능평가 종
/ (23 - 20 , 13 )

수요기업과의 제품거래 건 억 제품거래 논의 건 약 억


- 30 (11 ), 54 ( 680 ),

협력계약체결 건 특허출원 건 등록 건
(MOU/NDA) 11 , 4 , 1

○ 우수 나노제품 발굴·상설시연 개사 개 제품 에 의한 성과창출 (28 , 33 )

나노 수요기업 간 수요연계에 의한 제품거래 총 건 억


- - ( 21 , 11 )

투자유치 성과 건 억원 엔트리움 억 나노미래생활 억 등


- (2 , 40 ) : (10 ), (30 )

수요연계에 의한 공동개발 협력 에 의한 공동 개발 건
- T2B (NDA) (6 )

나노기술인력양성지원 명 특성화고등학교 대상
- : 74 ( )

- 45 -
붙임3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

사업개요
○ 위 치 경남 밀양시 부북면 일원
:

○ 개발 방식 단계별 개발:

【 단계 】
1 【 단계 】 2

-사업량 천㎡ 만평
: 1,650 (50 ) 사업량
- 천㎡ 만평
: 1,780 (54 )

-사업비 억 원 예상
: 3,350 ( ) 단계 입주수요 추이에 따라
- 1

-사업기간 년
: 2016~2020 . 단계 개발 2

○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 :

추진경과 및 계획
○ 국무총리 주관 제 차 국토정책위원회 확정 발표
2014. 12. 17 : 6

○ 년 국가산단 개발계획 승인
2016 :

○ 년 토지보상 및 공사착수
2017 :

○ 년 산업용지 공급
2018 :

○ 년 공사준공
2020 :

< 위치도 및 토지이용계획도 >

- 46 -
붙임4 미래 나노기술 30

1 나노기술 5개 분야 분석

① 미래수요대응 차세대 나노소자 기술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이나 구조가 갖는 독특한 성질과 현상을
:

이용하여 기존 소자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국내


IT IT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기술


○ 기존 부품 산업의 기술적 한계 도달
IT

-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을 비롯한 전자산업이 기술적 한계 에 도달


, IT
*

함에 따라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대량의 고속 정보처리가 가능한


차세대 나노소자 개발 수요 급증
* 처리속도한계, 비유연성/비투광성, 손실 전류 발생, 발열 등
○ 유연한 플랫폼에서 구동하는 새로운 개념 및 융합기능 (fusion &

의 소자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기반한 혁신제품의 개발을


convergence)

지원할 수 있는 연구 추진
- 사물인터넷 용 초소형 소자 및 에너지 헬스케어 보안 통신 자
(IoT) , , , ,

동차 등의 구동 및 검지 소자 시장 확대
② 건강한 삶을 구현하는 나노바이오 기술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바이오 및 의료 분야에
:

활용함으로써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가 가능하고 관련 제품과


/ /

서비스의 확대가 가능한 기술


○ 고령화에 따른 건강한 생명연장의 욕구
- 식품 및 생활용품의 건강기능성 부여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대
- 고감도 검지 및 표적치료가 가능한 나노기술에 대한 기대 증가
○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효과적 방어수단 마련
- 메르스 조류독감 신종플루와 같은 신종 감염병을 조기 진단하고 치
, ,

료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


- 47 -
③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나노에너지·환경 기술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에너지 생산과 안정적이고 깨끗한 수자원
: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고성능 저비용 나노기술


○ 중장기적 관점의 미래 에너지 개발
-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고 화석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을 확보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술 수요 상존
○ 물부족 국가에서 수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기술적 해결이 필요
- 나노기술을 적용한 정화 및 담수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안정적인 양질의 수자원 공급의 필요성 확대
④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되는 나노소재 기술
소재를 나노미터 수준에서 계산·설계함으로써 기존 물성과 기능을 뛰
:

어넘는 창의적 소재를 개발하는 기술


○ 제조공정의 혁신에 따른 소재개발의 필요성 확대
- 프린팅 인쇄전자 유연 등의 새로운 제조 공정에 적합한 맞춤형
3D , ,

소재의 개발수요 확대
○ 산업경쟁력의 원천이 완제품·부품산업 중심에서 소재산업으로 이동
※ 제품원가 중 소재 비중(%) : 태양전지(82), LCD(55), 리튬2차전지(53)
⑤ 제조업을 선도하는 나노공정·측정·장비 기술
나노기술 분야에서 부품 및 소재 제조에 필요한 합성 증착 형상
: , ,

화 등의 구현 및 이와 관련된 물성측정 기술
○ 나노수준의 정밀도로 형상화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 제조업의 선
진화 첨단화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는 추세
, ,

- 반도체 등 전자부품의 고집적화에 따른 나노수준의 정밀 제작 기법


적용이 필요
- 제조공정 혁신에 필요한 정밀 측정기술의 수요 확대 나노
※ 나노 IT소자, 나노 바이오, 나노 에너지 환경 기술을 구현하는 도구적 기술

- 48 -
2 미래 나노기술 30 국내역량 및 기술유형

국내역량
선도적 유망기술 분야(30개)
기술수준 인력규모 성숙도
미래수요대응 차세대 나노소자 기술
고속 대용량 초저전력 나노 메모리소자 ◕ ◕ ◔
신개념 초고속·저전력 나노 논리소자 ◕ ◕ ◔
고감도 초소형 복합기능 나노 환경센서 ◯ ◔ ◔
신개념 나노물질·구조 활용 나노 전자소자 ◯ ◔ ●
모바일 전자기기 대응 나노기반 유연소자 ◒ ◕ ◒
광대역 신호처리용 능동형 나노 광소자 ◒ ◒ ◔
건강한 삶을 구현하는 나노바이오 기술
나노기반 농수산 제품 고도화 기술 ◒ ◒ ◔
나노 웰빙 제품생산 및 서비스 기술 ◒ ◔ ◔
나노진단 및 현장검출 기술 ◯ ◔ ◔
지능형 나노예방·치료 기술 ◒ ◔ ◒
생체분자 나노측정·분석·제어 기술 ◔ ◒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나노에너지·환경 기술
저비용 고효율 고내구성 차세대 태양전지 ◔ ◔ ◯
고에너지 미래형 이차전지 ◒ ◔ ◯
고성능 나노구조 연료 전지 ◒ ◔ ◔
고효율 고내구성 수처리 나노 분리막 ◔ ◔ ◔
폐열활용 열전발전용 나노구조 열전소자 ◔ ◒ ◒
에너지 자립형 극미소 전원 ◔ ◒ ◕
해수기반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시스템 ◕ ● ●
미래산업의 기반이 되는 나노소재 기술
첨단산업용 양자점 소재 대량 합성 기술 ◔ ◒ ◒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기반 나노탄소소재 ◒ ◒ ◕
2D·3D 인쇄전자용 나노소재 ◔ ◒ ◒
자연친화형 생체모방 나노소재 ◒ ◒ ◒
그린나노화학 및 수처리용 다공성 나노촉매 ◒ ◕ ◒
희유금속 대체 고성능 나노소재 ◔ ◔ ◒
제조업을 선도하는 나노공정·측정·장비 기술
유연 나노소자를 위한 대면적 3D 나노 패터닝 기술 ◔ ◔ ◒
기능성 나노구조물 직접 패터닝 기술 ◒ ◒ ◒
초고분해능 고속 나노 측정·분석기술 ◕ ◕ ◕
고품위 나노박막 적층 공정 기술 ◔ ◔ ◒
대면적 3D 나노소자의 하이브리드 검사기술 ◕ ◕ ◒
스마트공정 (나노코팅, 자기조립, 바이오접합) 기술 ◔ ◔ ◕

* ●◕◒◔◯ 수준 향상 좌→우
: ( )

- 49 -
3 제3기 미래기술과 제4기 미래 나노기술 비교
구분 제3기 미래기술 비고 제4기 미래 나노기술
집적도를 높여 저장용량을 획기적으로 고속 대용량 초저전력 나노 메모리
증가시킨 나노기억소자 ➜ 소자
세계 최고수준의 초고속, 저전력
나노CMOS 로직소자 ➜ 신개념 초고속·저전력 나노 논리소자
환경 및 생체응용을 위한 고감도 초소형
나노
나노센서 ➜ 고감도 초소형 복합기능 나노 환경센서
소자 신개념 나노물질 또는 나노구조를 이용한
나노전자소자 ⇒ 신개념 나노물질·구조 활용 나노 전자소자

모바일 전자기기 대응 나노기반 유연소자 ⇒ 모바일 전자기기 대응 나노기반 유연소자


광대역의 광신호를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나노광전소자 ⇒ 광대역 신호처리용 능동형 나노 광소자
고품질 농·수·축산제품을 생산하는 나노기반
농수산 고도화 기술(Nano Agriculture) ⇒ 나노기반 농수산 제품 고도화 기술
건강기능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나노
나노 웰빙 제품 생산 기술 ⇒ 나노 웰빙 제품생산 및 서비스 기술

바이오 개인 맞춤형 나노진단 ➜ 나노진단 및 현장검출 기술


신개념 지능형 나노치료제(Smart Nanodrug) ➜ 지능형 나노예방·치료 기술
생체분자 나노분석 및 제어 ⇒ 생체분자 나노측정·분석·제어 기술
저비용, 고효율 나노태양전지 ➜ 저비용 고효율 고내구성 차세대 태양전지
고성능, 고출력, 급속충전이 가능한
나노구조 이차전지 ➜ 고에너지 미래형 이차전지

나노 청정에너지 확보를 위한 고성능 나노구조 연료 전지 ⇒ 고성능 나노구조 연료 전지


물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물 정화용
에너지
고효율 고내구성 나노구조 분리막 ⇒ 고효율 고내구성 수처리 나노 분리막
‧환경 고폐열 발생 시스템을 갖는 장치의 효율
개선을 위한 나노구조 열전소자 ⇒ 폐열활용 열전발전용 나노구조 열전소자

충전, 교체, 연료보급이 필요없는 극미소 전원 ⇒ 에너지 자립형 극미소 전원


- ★ 해수기반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시스템
향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첨단산업용 양자점 소재 대량 합성
나노소재의 대량생산 ➜ 기술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등 기능성 탄소소재 ⇒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 기반 나노탄소소재
저비용 인쇄전자용 나노소재 ➜ 2D·3D 인쇄전자용 나노소재
나노 열, 진동, 전자기파등을 전기에너지로 변화
시키는 기술인 에너지하베스팅을 위한 나노소재 ★  -
소재 생체 현상들을 이해하고 이를 모사한
나노생체모방 기술 ⇒ 자연친화형 생체모방 나노소재
그린나노화학, 환경소재 적용을 위한 그린나노화학 및 수처리용 다공성
나노촉매 및 다공성물질 ⇒ 나노촉매
희토류등 희귀자원 확보를 위한 자원
회수기술 및 대체물질 ★ 희유금속 대체 고성능 나노소재
유연 나노소자 제작을 위한 대면적 제조 유연 나노소자를 위한 대면적 3D
기술 ➜ 나노 패터닝 기술

나노
기능성 나노구조물 직접 패터닝 기술 ⇒ 기능성 나노구조물 직접 패터닝 기술
나노구조체의 성능, 신뢰성, 안전성을
공정 확보하기 위한 나노공정용 측정기술 ➜ 초고분해능 고속 나노 측정·분석기술
전자제품의 다기능화 및 스마트화를 위한
‧측정 고품위 나노박막 공정 기술 ⇒ 고품위 나노박막 적층 공정 기술
‧장비 나노소자 및 나노공정의 설계를 위한 대면적 3D 나노소자의 하이브리드
멀티스케일 전산모사 기술 ★ 검사기술
신기능, 고기능 소재개발을 위한 스마트 스마트공정 (나노코팅, 자기조립, 바이오

⇒ 조정, ➜ 변경, ★ 삭제 신규
공정(코팅, 자기조립, 바이오접합) 기술 접합) 기술

- 50 -
붙임5 나노 챌린지 프로젝트 선정

1 미래이슈 대응 전략기술 도출

초연결 사회의 기반이 되는 초저전력 미래 반도체


○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에서는 네트워크 플랫폼으로서 고성능 하드웨어가 필수
에너지 및 시간적 제약 극복을 위해 초절전 고성능 나노정보소자 개발 필요
-

○ 초저전력 고성능 나노정보소자는 사람 간 사물 간 사람과 사물 간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편리한 지능형 생활공간 구현을 촉진
, ,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생체 삽입 부착형 나노바이오소자


○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확산에 따라 개인의 건강정보
및 주변 환경의 모니터링 및 송수신이 가능한 소자에 대한 수요 증대
인체 부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을 보유한 나노소자 개발이 필요
-

○ 환경 또는 인체의 위협요소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회안전 확보 및 개인 맞춤형 보건 복지에 기여
지속가능한 환경유지를 위한 초고용량 차세대 이차전지
○ 과도한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의 빈번한 발생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기반의 전기에너지 사용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대
전기에너지 사용 확산을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고용량화 및
저가화가 필수적이므로 초고용량 이차전지 개발이 필요
-

○ 에너지 저장장치의 고용량화를 통해 에너지 사용의 효율화 및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이 가능
,

산업고도화 및 미래 융합신산업 창출의 기초가 되는 신개념혁신 나노소재


○ 제조업 혁신을 위해서는 글로벌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 확보가 필수
기존 소재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나노소재 개발이 필요
-

○ 한계돌파형 나노소재 개발을 통해 산업고도화, 미래 융합신산업의 초석을


다지고 전문소재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고용을 확대
, ,

- 51 -
2 미래이슈 보고서의 미래이슈와 나노챌린지 간의 연계성

- 52 -
3 제3차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 국가전략기술과 나노챌린지 간의 연계성

- 53 -
붙임6 나노제품평가 기업지원센터

○ 신제품 개발 나노기업의 납품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품의 평가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가상(virtual)조직 형태의 기업지원센터 운영
-기존의 성능·안전성 평가기관 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나노소재·
*

제품의 평가 관련 정보를 통합 나노기업들에게 체계적으로 제공


,

* 성능(전문연구소, 나노인프라 등), 안전(GLP인증기관, 나노안전기술지원센터 등)


○ 기관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가 풀 을 구축하고 기업의 평가 (pool) ,

요청 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시험법 자문 및 개발 지원


평가방법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급효과가 크고 다수의 기업
- ,

지원이 가능한 평가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험법 개발 추진


○ 국내외 안전성 규제 정보를 제공하고 나노물질 정보 등록을 지원 ,

※ 안전시험기관(KCL, KIT 등), 표준연구기관(KRISS), 해외등록 지원기관(KIST-Europe) 연계


<나노제품 평가 기업지원센터 운영 방안>

- 54 -
붙임7 나노지식정보시스템 운영

포털체계화) 통합정보시스템 나노인 을 기업 중심으로 개편하여


( ( ) ,

기업들에게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역할을 수행


○ 기존의 정보보유 기관들 나노정책센터 나노조합 등 과 정보공유를 통해
( , )

나노인에 다양한 산업·정책 지식정보를 구축

활용체계) 나노기업 기술사업화의 효과적 지원을 위해 기획 분쟁


( R&D ,

특허 시장분석 기술가치 등 수요자 맞춤형 정보수집 생산 제공체계 구축


, ,

○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해 나노인뉴스레터 기업체 와 나노인포 연구자 ( ) ( )

등의 핵심 요약 및 고급정보 제공기능을 강화
서비스 구분 세부 내용
정 산업정보 기술·시장동향, 기업정보(회사소개, 제품, 연구개발 정보) 등을 구축
보 인프라정보 나노인프라협의체와 연계하여 웹상의 장비활용 컨텐츠를 공유

축 정책정보 정부(산업부, 미래부 등)의 나노정책보고서 및 나노통계 제공
NT Biz Science 다양한 분야(소재, 에너지 등)의 신기술 및 연구자 정보
정 Intelligence Technology 사업화를 위한 소재/부품/공정/디자인 등의 종합적 정보
보 (4회/년) Business 사업화 아이디어·전략, 시장 정보, 글로벌 기업 동향 등
생 *심층보고서 Society 국가 나노정책변화 동향, 국가 연구개발과제 정보 등

나노융합 이슈리포트 나노융합분야 주요 이슈에 관한 조사․분석 보고서 발간
(정기)
정 나노셀 온라인에서 연구자 및 산업계의 자유로운 참여를 통한 정보 교류
보 *나노지식인 참여
확 나노인 뉴스레터 최신의 나노기술/시장/정책 동향 정보 제공
산 (1회/주) *요약보고서
- 55 -
붙임8 개방형 계산나노과학 플랫폼(vFab)

개방형 계산나노과학 플랫폼(vFab) 구축


○ (필요성) 원자 분자수준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나노분야에서는 실험적
연구방법과 계산 연구방법의 상호보완적 활용이 필수적이나 계산 ,

연구의 진입장벽 이 높아 실제 연구개발 활용에 장애


*

* 양자역학 등 물리화학의 기초이론부터 수치해석 프로그래밍, 슈퍼컴퓨팅 OS 등 고도의


계산 기법에 이르기까지 계산나노과학 연구를 위한 선행지식의 폭이 넓고 난이도가 높음
○ (추진) ‘웹기반 계산 나노팹(Nano Virtual Fab) 기술’을 개발하고 ,

계산과학 활용도가 높은 분야부터 특화 응용 플랫폼을 구축


단계(’16년~) 추진과제 >
< 2
추진과제 세부과제
웹기반 Nano Virtual • 첨단 시뮬레이션 이론, 소재물성 빅데이터 인포메틱스 기술 개발
Fab 개발 및 역량 강화 • 다양한 원소조합을 다루는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개발 DB화
• 빠르고 정확한 계산기법 개발 등 계산능력 강화
脫귀금속 희유원소 • 웹기반 촉매 소재설계 플랫폼 구축
나노소재의 설계 응용 • 웹기반 합금 촉매 및 양자점 소재 인포메틱스 플랫폼 구축
환경 식품안전 • 웹기반 나노바이오 현상 해석 플랫폼 구축
나노센서 설계 및 • 센싱최적화를 위한 도킹 물질 스크리닝 플랫폼 구축
공정 최적화 응용 • TCAD 방식의 나노바이오 소자 설계 플랫폼 구축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
○ 첨단 계산방법론 나노 인포메틱스 등 취약 부분을 보완하고 강점분야인
, ,

태스크 중심 플랫폼 기술 계산나노과학 응용 분야에서 국제적 위상 제고


,

< 계산과학 국제협력 네트워크 계획 >

- 56 -
붙임 Part 2. 분석 관련 참고자료

- 57 -
붙임9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성과 분석

총괄 나노기술수준의 선도그룹 진입 및 성장속도 둔화

○ 나노과학기술경쟁력의 지속 발전으로 선도그룹 미국 일본 독일 에 진입 ( , , )

하였으나 제 기 제 기 계획 기간 년 의 급격한 성장속도는 둔화


1 ~ 2 (’01~’10 )

-나노과학기술수준 → → 75%(’09) → 81%(’14)25%(’01) 66%(’04)

-과학기술수준 평가 산출지표는 기존 증가율을 유지하며 목표했던


실적을 나타내 R&D 투자 및 수행은 계획대로 추진된 것으로 평가
미국특허등록건수 SCI 게재 논문 수 SCI 논문 피인용도
목표 2,000(’11~’20) 4,604(13% 증가) 5위 이내(’20)
실적 2,701(’05~’14) 5,584(15% 증가) 피인용 상위 1% 논문 4위
○ 핵심연구인력 년 목표는 명 년 명의 배 이나 *
’20 20,000 (’09 5,400 3.7 ) ,

년 명 배 을 기록하였으며 최근 증가세 미미 년 명
’14 8,548 (1.6 ) (’11 8,521 )

* 공공 연구기관 및 전국 대학의 나노기술 관련 연구인력


- 1,100 명 → (’01) 3,900 명 →
(’04) 5,400 명 → 8,521명(’11) → 8,548명(’14)
(’09)

기 방향 >
< 4
나노기술 선도그룹 진입에 따라 나노과학기술수준과 핵심연구인력의 최종 목표 설정이
필요하여 국가규모, 전체 R&D 투자액 및 과학기술인력의 규모를 고려하여 최종 목표 설정
⇨ 나노과학기술 수준 : 2위 그룹/기술수준 92%(일본, 독일) 진입 및 유지
⇨ 나노 핵심연구인력 : 전체 과학기술 핵심연구인력(128,459명)의 10% 수준(12,000명)

과제 1 미래 사회 수요해결형 30개 미래기술 중점 육성

○ 년 기준 대 분야 개 미래기술 에 총 1조 6,821억원이
’11~`14 , 5 30

투자되었으며 전체 나노기술연구비 조 억원 중 62.4% 차지


, (2 6,957 )

- 58 -
< 정부 나노기술 R&D 성과 >
구분 SCI 국내특허 해외특허 기술이전 사업화
출원 등록 출원 등록 건수 건수
4,201 783 408 209 52 40 66
나노소자 고효율 양자점 발광소자 개발, 실리콘반도체 1% 두께의 반도체 p-n 접합구현, 거미
모방한 초고감도 전자센서 개발, 고효율 OLED 플렉시블 조명 제작 기술 개발 등
4,355 674 388 185 38 71 124
나노바이오 다기능 초감도 센서 개발, 나노메디컬 항암 면역세포치료 신기술 개발, 세포막 넘
나드는 나노 움직임 실시간 관찰 기술 개발, 피부 부착형 차세대 웨어러블 나노디
바이스 개발, 나노입자 활용 개별 세포 능동제어 기술개발
5 3,223 760 272 187 22 38 50
대 나노 에너지․환경 플렉서블 2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산화물 활용 리튬이온전지 용량 3배 규명,
세계 최고 효율 박막 태양전지 개발, 철 기반 나노소재 환경위해성 최초
향상
분 기술 개발, 그래핀 기반 차세대 이산화탄소 분리막 개발 등
야 11,024 2,325 919 487 96 343 601
나노소재 그래핀 필름 제조 기술 개발, 38.6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물질 개발, 광촉매 특
성 극대화로 '인공광합성' 효율 증대 원리발견, 새로운 접착 물질 초분자 벨크
로 개발, 다양한 형광색 표현 나노입자 개발
4,658 1,152 484 192 34 178 256
섬유 위에 나노구조물을 붙일 수 있는 기술 최초 개발, 양성자(陽性子)
나노공정․측정․장비 射)로 3차원 나노 패터닝 기술 개발, 나노화학펜 기술 개발, 고분자 유기발광소 조사(照
자 발광효율 높이는 공정 개발, 소금쟁이에서 나노 신기술 개발
합계 22,237 4,480 1,970 998 194 541 883
과제 2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 핵심연구인력 의 증가세는 둔화되었으나 인력양성 프로그램 확대를


*

통해 나노기술 지식을 보유한 인력의 전 연구현장 분포 확대


* 공공 연구기관 및 전국 대학의 나노기술 관련 연구인력
※ 제3기 계획 인력양성 투자목표 191억 → 투자액 507억원
2011 2014 증 감
핵심연구인력 8,521명 8,541명
- 정부출연 1,443명 1,873명 0.23%
- 대학연구실 7,048명 6,675명
대학 나노관련학과 73개 234개 220.5%
나노학과 재학생수 9,195명 34,146명
- 학부 7,354명 29,533명 271.4%
- 석박사 1,642명 4,613명
산업체 종사수 122,187명(‘10) 150,147명(‘13)
※ 나노융합통계조사 2012-2014,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2011-2015
⇨ 꾸준한 투자에 따라 나노기술 산업인력은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전문인력 양성은 미흡하여 이에 대한 보완 필요
※ 64%의 기업이 나노관련 학과의 교과과정과 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업무
능력과의 괴리를 지적(2014, 나노융합분야 인력 공급현황 실태조사)
- 59 -
과제 3 나노인프라 운영 활성화

○ 나노인프라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 기반구축 이용자의 장비 직접 *


,

사용 확대 공공 민간 연구개발기관 연계 추진
,

*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설립(’11.12)
2011년 2014년
장비구축 투자금액 396.6억원 70억원
장비개방율 39.4% 76.8%
장비가동율 83.2% 86.3%
기술이전 건수/이전료 6건/1.05억원 11건/1.86억원
이용 건수 48,794건 50,621건
⇨ 연구기관뿐 아니라 기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공정기술 고도화
및 기업 친화적 서비스 확대 필요
과제 4 나노기술 연구개발의 사회적․윤리적 책무성 강화

○ 범부처 나노안전 정책 및 정보공유 체계 구축을 통해 대응 방안 마련


※ 제1회 나노안전관리종합계획(2012-2016) 수립(‘11년), 범부처 나노안전 정책
협의회(반기별) 개최, 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 설립(’14년)
○ 나노물질 물성측정 및 안전성평가 원천기술 확보 및 국제 나노
활동을 통해 공동연구추진
EHS 참여 (EU NANOREG )

※ OECD WPN, WPMN, ISO/TC229, ISO/TC201(표면화학분석) 등


과제 5 효과적 지원체제 강화

○ 년부터 년까지 나노분야 정부투자를 연평균


‘11 ’14 14% 씩 증가 총
,

연구개발 예산의 까지 지속적으로 확대4%

※ 부문별 예산 연평균 증가율(‘11∼’14): R&D 14%, 인프라 16%, 인력양성 16%


○ 정책수립 지원 및 나노융합산업을 촉진을 위해 기반 구축 중이나
제품평가 등 기업지원을 위한 체계 확대 필요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지정(‘10년8월), 나노융합통계조사(‘12. 국가통계),
나노융합산업협력기구(’09.10), 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14.6), T2B 사업 등
⇨ 미국 등 나노기술 선진국과 협력체계를 운영중이나 한 중 일
, EU

및 아시아와 협력 체계를 마련하여 국제협력을 주도할 필요


※ 한-미 한-EU 정기포럼/워크숍, ANF ANC 매년 참석, 한중일 협력 MOU 체결(‘15.7)
- 60 -
붙임10 국내 추진실적 및 현황('01~'14)
1 (투입) 정부 R&D 투자 현황

나노기술 개발이 본격화된 '01년부터 '14년까지 정부는 총 3조


9,831억원 투자

○ 부처별로는 미래부 교육부 舊교과부 가 년 간 , 억 ( ) 14 20,546 (51.6%),

산업부가 억원 환경부가 억원 을 투자
7342 (18.4%), 1,816 (4.6%)

※ 미래부, 교육부, 산업부 투자 비율이 70%를 차지


<나노분야 기관별 총 투자액 (‘01~’14), 억원 >

부 처 `01~ 투자액(억원) 비율
`13~ 합계 (%)
미래부 15,972 3,578
` 12 ` 14

교육부 (舊교과부) 996 20,546 51.6


농축산부 226 54 280 0.7
산업부 6,247 1,095 7,342 18.4
복지부 179 20 199 0.5
환경부 1,521 295 1,816 4.6
고용부 2 7 9 0.02
식약처 105 33 138 0.3
방사청 138 56 194 0.5
중기청 - 971 971 2.4
출연연 4,883 3,453 8,336 20.9
총계 29,273 10,558 39,831 100
○ 연도별로는 년 ‘01 1,052 억원에서 년 억원으로 연평균'12 2,623 8.7%

증가되었으며 , ’13~’14 년에는 증가 1.3%

※ ’13년부터 R&D 투자액 통계가 특정분야에 대한 사전기획 투자액 기준에서 연구자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입력한 분야 기준으로 변경됨에 따라 기획단계가
없는 기초분야 R&D 투자액이 각 원천기술 분야(NT, IT, ET 등) R&D 투자액으로 포함됨
(단위 : 억원,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15
구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계획)
투자액
합계 1,052 2,121 2,375 2,480 2,676 2,788 2,814 2,629 2,543 2,427 2,534 2,834 5,245 5,313 5,274
R&D 955 1,589 1,644 1,631 1,700 1,938 2,045 1,964 2,303 2,075 2,178 2,623 4,692 4,596 4567
인프라 30 456 626 702 840 688 610 526 110 224 226 181 210 206 200
인력양성 67 76 105 147 136 162 159 139 130 128 130 30 343 511 507
- 61 -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수립 기간별로는 제 기 ~ 년 기간에 1 (‘01 ’05 )

1조 억원 제 기 ~ 년 기간에 조 억원 제 기 ~ 년
704 , 2 (‘06 ’10 ) 1 3,201 , 3 (‘11 ’15 )

기간에 조 억원 투자
2 1,200

○ 부문별로는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프라 부문


R&D ,

투자는 년 이후 감소 인력양성부문은 년 이후 증가
‘05 , `12

- 62 -
2 (R&D 성과) 나노기술 역량 향상

기초․원천기술 수준 향상
○ 우리나라 나노기술수준은 최고수준인 미국대비 ‘08 년 75% 에서
년 로 성장
’14 80% 4)

※ 미국대비 기술 기술수준: 25%(‘01년) → 75%(’09년) → 81%(‘14년)


’14년 국가별 기술수준: 미국(100%), 일본(90.3%), 독일(88.1%), 한국(80%), 중국(69.1%)
SCI저널게재 논문의 양적 성장 및 질적 향상 5)

○ 년 나노분야 급 논문 게재수는 '00년 대비 17배 이상 증가한


'14 SCI

5,584편으로 세계 4위
※ 나노분야 연간 SCI 논문 발표 수 : 318편('00년) ➡ 2,093편('06년) ➡ 2,499편('14년)
나노분야 논문 세계 점유율 순위 : 9위('00년) ➡ 5위('06년) ➡ 4위('14년)
※ '14년도 : 1위 중국(24,927), 2위 미국(14,854), 3위 인도(6,570), 5위 이란(4,539)
<한국의 SCI 논문건수 및 국가순위 변화>

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나노기술수준비교분석연구(2015)
5) 미국 Thomson사 SCIE Data Base (2015.2)

- 63 -
○ 논문의 피인용수를 적용한 순위(정성적평가)는 세계6위 수준으로
우리나라 논문 평균 질적 수준 보다 높음
SCI
*

* 한국의 SCI 논문 평균 피인용수는 '13년 4.55로 세계 32위 수준


※ 나노분야 SCI 논문의 논문당 피인용수 순위 : 7위('09년) ➡ 6위('14년)
※ ’10년 이후 발표된 나노분야 SCI 논문의 논문당 피인용수: 미국(12.66), 영국(11.12),
독일(10.26), 중국(9.17), 프랑스(8.97), 한국(8.45), 일본(8.14), 인도(6.26), 이란(6.19)
미국특허 등록 점유율 증가 6)

○ 미국 특허청 특허 등록건수는 '01년 6위에서 건수와 점유율이


(USPTO)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08년 이후 현재까지 3위 유지


※ 연간 미국 특허 등록 : 25건('01년, 6위) ➡ 3,947건('08년, 3위) ➡ 522건(`14년, 3위)
<우리나라 미국특허등록 추이 (‘00~’14)>

○ 년 이후 미국특허 등록 누적건수는 미국이 절대다수(63.4%)를


'00

점유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3.9%로 일본에 이어 4위 수준


※ ’00년 이후 누적: 237건('05년, 1.9% 점유) ➡ 2,879건('14년, 3.9%, 세계 3위)
6) Wips社 USPTO Data Base (2015.2)

- 64 -
3 (인력) 나노기술 인력 증가

핵심연구인력의 지속적 증가
○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연구실 등에서 나노기술을 연구하는 핵심
,

연구인력은 최근 5년 간 약 1.6배 증가
※ 1,100명('01년) ➡ 3,900명('04년) ➡ 5,400명('09년) ➡ 8,548명('14년)
나노학과 및 재학생의 양적 증가
○ 나노학과 개설대학 및 나노관련학과 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7)

있으며 재학생 수도 최근 5년간 4.6배 증가


,

※ 나노학과 개설대학수 : 3개('01년) ➡ 29개('04년) ➡ 43개('10년) ➡ 78개('15년)


※ 나노관련학과 수 : 3개('01년) ➡ 43개('06년) ➡ 66개('10년) ➡ 234개('15년)
※ 나노관련학과 재학생 수 : 1,804명('04년) ➡ 7,383명('10년) ➡ 34,146명('15년)
<대학별 나노학과 설치 현황 ('15년 )>
구 분 대 학
학 부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양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13개 대학) 목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신라대학교, 영남대학교, 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성대학교
대학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우석대학교, 한양대학교,
(6개 대학) 홍익대학교
가천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경기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경상대학교, 경운대학교, 경일대학교,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주대학교, 국민대학교, 군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대전대학교,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명지대학교,
학부+대학원 목포대학교, 배재대학교, 부경대학교,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밀양캠퍼스),
(59개 대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종대학교, 수원대학교,
순천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아주대학교, 안동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원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인제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창원대학교, 충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교통대학교 (前충주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호서대학교
7) 나노관련학과 : 학과명에 ‘나노’가 포함된 학과 및 나노기술 관련 교과목을 개설·운영하는 유관 학과를 포함. (반도
체, 신소재, 물리, 화학 등)

- 65 -
4 (나노팹) 활용도 향상

나노팹 이용의 지속적 증가


○ 나노팹 구축 이후 년 년까지 총 건 산업체 대학, ‘05 ~ ‘14 340,829 ( 47 %,

연구소 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 관련 장비서비스 제공


38%, 15%)

※ 이용건 수 : 2,807건(‘05년) ➡ 40,928건(‘10년) ➡ 50,261건(‘14년)


※ 이용자 수 : 513명(‘05년) ➡ 4,554명(‘10년) ➡ 4,959명(‘14년)
○ 년 기준 나노팹의 이용시간은
‘14 시간 이며 이용기관은 512,505( ) ,

1,315 개로 집계
< 나노팹 활용 현황(’14년 기준) >
이용 시간 이용건 수 이용자 수 이용기관수 인력양성 수
시간
512,505 건50,621 명
4,959 개
1,315 명
1,817

나노팹의 연구개발 및 상용화 지원 확대


○ 연구지원 년 년까지 건의 대학 및 출연연 연구자 지원
: ‘05 ~’14 181,990

< 연구지원 건수 > (단위 : 건)


‘05 년 ‘06 년 ‘07 년 ‘08 년 ‘09 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년 계
1,889 5,825 9,352 14,055 20,530 22,201 23,872 27,336 28,601 28,329 181,990

※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09~’14, 연간 10억원)을 통한 대학연구자의 기초·원천기술개발


지원 추진(미래부)
- 국내·외 논문게재 781건, 학술대회 발표 1,094건, 특허출원 225건 지원
○ 상용화지원 : ‘05 년 년까지~’14 158,839 건의 기업체 지원
< 상용화지원 건수 > (단위 : 건)
‘05 년 ‘06 년 ‘07 년 ‘08 년 ‘09 년 ‘10 년 ‘11 년 ‘12 년 ‘13 년 ‘14년 계
918 4,637 9,043 13,407 16,768 18,727 24,922 23,909 24,216 22,292 158,839

- 기술이전 (’10~’14) 활성화 총 건 기술료 수입


: 43 / 1,395 백만원
- 66 -
5 (나노안전) 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

설립 목적
○ 표준나노물질의 체계적인 독성평가 방법을 확립함으로써 나노안전
관리의 바탕이 되는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한 체계적 연구 추진
조직구성 및 예산
○ 조직 정직원 명 표준연구원 소속 개 위탁연구기관
: 16 ( ) + 12

○ 예산 억원 년 미래부 억원 표준연구원 매칭
: 15 / ( ) + 10 ( )

○ 총 사업기간 년 단계 년 단계 년 단계 년
: 10 (1 3 ; 2 4 ; 3 3 )

주요 연구분야(4개 분야)
○ 표준물질 제조 & 인증, 특성분석 및 평가, 독성 DB구축, 국제협력
표준물질 제조 인증 표준연 중심으로 연구 수행
- ( & ) ,

특성분석 및 평가 독성 연구 위탁연구과제로 연구수행


- ( , DB )

국제협력 한 과기공동위에 따라
- ( ) EU 참여 스위스 NANOREG ,

연구소에 거점을 둔 공동연구센터 설립 추진 년


EMPA (’16 ~)

< 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 사업추진 로드맵 >

- 67 -
붙임11 국외 나노기술동향

1 미 국

제조업 분야 글로벌 리더십 회복을 목표로 나노기술 상용화 추진


○ 기초 응용 연구를 넘어선 기술의 상업화 전략 강조
※ 제5차 NNI 평가보고서(’14) : ‘NNI 2.0시대로 돌입’, ‘본격적인 상업화 전략’ 강조
○ 태양 에너지를 위한 나노기술 지속가능한 나노제조 년 이후를 위한 , , 2020

나노전자소자 등을 최우선 투자분야로 육성 나노기술 상용화 계획 ( ’11~’15)

※ 태양에너지분야 투자 : 7,320백만 달러(’14)→7,700만 달러(’16)


2 E U

의 나노기술 관련 프로그램
Horizon 2020 을 통해 기술혁신을 (NMPB)
*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및 지식기반경제 구축 추진
-나노기술 관련 대 분야 나노소재 및 시스템 나노안전 나노기술의
5 ( , ,

사회적 차원 나노소재의 효율적 생산 첨단기술 측정 및 장비 에 주력


, , )

* NMPB : 나노기술, 소재, 첨단생산, 및 바이오기술


차세대 제조업 에너지 효율향상 저탄소에너지 운송관련 및 상용화
, ,

추진을 위해 억 유로 투자 년
7.7 (’14~’15 )

3 일 본

일본의 성장동력 산업 자동차 전자 등 과 융합한 신산업 창출과 산업


( , )

및 국제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나노 소재분야의 투자 확대


○ 년 나노 소재분야
’14 예산 증액 전체 예산 증액 R&D 10% ( R&D 5% )

※ ‘11년(814억엔)→‘12년(883억엔)→‘13년(919억엔)→‘14년(1,005억엔)
나노 소재분야는 자원 에너지 등 환경문제의 극복과 및 지진피해의
,

부흥 및 재생을 위한 혁신기술로 인식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


- 68 -
4 중 국

중국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중국제조 2025’계획 수립


○ 중국의 제조강국 건설을 위한 향후 년 년 의 중장기 계획에 대한 30 (~’45 )

단계 전략 중 첫 단계 행동 계획
‘3 ’

○ 제조 산업구조의 업그레이드 및 질적 성장 목표를 위해 대 핵심 10

산업 분야 선정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지역 및 연안지역에 나노기술 산업화 거점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나노기술 산업화 발전 추진
5 러시아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나노산업 발전 전략 2단계 ‘2012~2015


러시아 나노산업 발전 프로그램’ 추진
○ 는 주요 나노산업 발전 추진 기관으로서 나노산업과
RUSNANO

혁신 인프라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활동을 수행


※ 러시아 나노산업 발전 프로그램 예산: 약 1061.6억 루블 (32.3억 달러)
RUSNANO의 나노산업 발전 프로젝트 지원 예산: 805억 루블(약 24.5억 달러)
6 인 도

나노과학기술 역량강화를 위해 2001년 나노과학기술계획(NSTI)과


나노임무계획(NMI)를 추진하여 최근 나노기술수준이 급성장
○ 연 만 달러 투자 년 억달러 투자 년 논문 수 세계
3,500 (’01-’15 5 ), ’14 SCI

위 3 년연 성장 년 이후 누적 논문 세계 위
(’10~’14 20.7% ), ’00 SCI 6

※ SCI 논문 수 순위: 중국 1위, 미국 2위, 한국 4위, 독일 5위


과학기술수준에 비해 상용화는 미흡하여 특허부분 10위권 밖이며
물, 의료, 농업 등 국가의 사회수요 해결에 초점
- 69 -
붙임12 나노기술수준 비교분석8)

나노기술수준 조사 개요
○ 나노의 중분류 개 세부 개 기술에 대해 주요 개국 한국 미국 일본
6 , 30 5 ( , , ,

독일 중국 의 상대적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비교분석


, )

전체 나노기술의 수준은 개 중분류별 가중치와 기초 응용 개발


- 6 , ,

연구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고기술국 대비 기술수준을 계산


나노 전체 기술수준 및 격차
○ 한국의 나노기술수준은 세계최고수준대비 년 에서 년 ‘09 75% ’14

로 상승
81.5%

최고기술국 미국대비 우리나라는 년의 기술격차가 나고 중국


- 3.0 ,

과는 년의 차이를 보임 1.4

단위 년 ( : %, )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구분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나노 81.5 3.0 100 0 91.9 1.3 89.4 1.6 71.0 4.4

8) 나노기술수준 비교 분석 (2016,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 70 -
중분류 단위 기술수준 비교
○ 개 중분류 기술에 대해 미국이 최고기술을 보유한 국가로 평가되었고
6 ,

일본은 나노소재 나노소자 나노에너지 분야에서 위를 차지


, , 2

- 우리나라는 개 중분류 분야 중 나노에너지가 로 기술수준이


6 84%

가장 높게 평가
- 우리나라와 최고기술국인 미국과의 격차보다 중국과의 기술차이가
좁혀지고 있고 특히 나노소재와 공정은 년의 기술격차를 보임
, 1

한국 미국 일본 독일 중국
구분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상대 격차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수준 기간
나노소재 83.7 2.8 100 - 93.5 1.0 86.2 2.1 77.0 3.8

나노소자 81.3 2.5 100 - 94.0 0.9 88.0 1.5 65.0 4.2

나노바이오 83.0 3.7 100 - 85.2 2.9 88.3 2.7 75.8 5.0

나노에너지 84.0 2.3 100 - 97.0 0.4 92.0 1.0 70.5 4.1

나노공정 78.6 3.8 100 - 93.2 1.2 94.6 0.9 70.8 4.8

나노안전성 72.3 3.1 100 - 81.2 2.2 89.1 1.2 60.7 5.5

년 기술수준 비교
‘09

○ 년 대비 기술수준은 개 분야 모두 상승하였고 두드러지게 상승한


‘09 6

분야는 나노에너지 와 나노바이오 분야임 (9.5%) (7.2%)

-나노소재 분야의 상승폭이 가장작고 나노소자 나노공정


(2.7%) , , ,

나노안전 순으로 차이를 보임

- 71 -
붙임13 국내 나노융합산업 현황

1 2014년 나노융합산업조사* 요약
* 조사대상기간 : 2012년 1월1일 ~ 2013년 12월 31일 (2년간)
분야별 매출액 현황(2013년)
○ 나노전자가 조원 으로 가장 많고 나노소재 조원
121.6 (87.7%) , 14.4 (10.4%),

나노장비·기기 조원 나노바이오·의료 억원 순
2.3 (1.6%), 4,126 (0.3%)

○ 나노융합기업들의 총매출에서 점하는 나노융합제품 매출 비중


은 년 (A/B) 에서 년
2012 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42.2% 2013 41.2%

매출비중이 높은 나노전자의 증가율이 낮아서 나타난 현상으로


대부분의 분야에서 나노융합제품의 매출 비중이 상승
대기업에서 나노소재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모두 나노
- , ,

매출이 의 높은 증가율 기록
37~53%

단위 억 원 ( : , %)


2012 2013년 나노
매출액
나노 총 비중 나노 총 비중 증감율
매출액(A) 매출액(B) (A/B) 매출액(A) 매출액(B) (A/B) (%)
나노소재 97,103 792,514 12.3 144,391 902,651 16.0 48.7

나노전자 1,184,225 2,249,361 52.6 1,215,753 2,412,884 50.4 2.7

나노바이오 의료 3,211 11,619 27.6 4,126 14,340 28.8 28.5

나노장비 기기 17,029 30,339 56.1 22,669 37,818 59.9 33.1

합계 1,301,569 3,083,834 42.2 1,386,939 3,367,693 41.2 6.6

나노소재 9,483 33,816 28.0 10,313 34,584 29.8 8.8

나노전자
중·소 나노
8,459 12,800 66.1 8,973 12,813 70.0 6.1

기업 바이오 의료 2,056 6,528 31.5 2,432 6,558 37.1 18.3

나노
장비 기기 8,328 18,750 44.4 10,759 22,212 48.4 29.2

소계 28,325 71,894 39.4 32,478 76,167 42.6 14.7

나노소재 87,620 758,698 11.5 134,078 868,067 15.4 53.0

나노전자
나노의료
1,175,766 2,236,562 52.6 1,206,779 2,400,071 50.3 2.6

대기업 바이오 1,155 5,091 22.7 1,694 7,782 21.8 46.7

장비나노기기 8,702 11,589 75.1 11,910 15,606 76.3 36.9

소계 1,273,244 3,011,940 42.3 1,354,461 3,291,526 41.1 6.4

- 72 -
기업 규모별 매출액 현황
○ 대기업이 조 억원으로 전체 나노융합제품 매출액의 를
135 4,461 97.7%

차지하며 중기업 조 억원, 소기업 억원 순 2 6,887 (1.9%), 5,590 (0.4%)

-나노융합기업중 를 점하는 대기업 개 의 매출규모가 전체


12.8% (69 )

매출에서 로 대부분을 점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기업체수에서


97.7% ,

개로 를 점하고 있지만 매출비중이 로 매우 미미


472 87.2% 2.3%

-중소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기에 미흡한 매출규모를 보여 ,

초기 시장 창출 및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적정 매출규모를 확보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단위 억 원 : , %)

2012 년 2013 년
나노융합제품 나노융합 나노융합제품 나노융합 매출액
매출 제품매출/ 매출 제품매출/ 증감율
비 중 총매출비중 비 중 총매출비중
소기업 5,659 0.4 46.8 5,590 0.4 47.2 -1.2

중기업 22,666 1.7 37.9 26,887 1.9 41.8 18.6

대기업 1,273,244 97.9 42.3 1,354,461 97.7 41.1 6.4

합계 1,301,569 100.0 42.2 1,386,939 100.0 41.2 6.6

연구개발투자 현황
○ 년 나노융합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는 조 억원이며 나노
’13 8 4,292 ,

전자의 투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증가 35.9%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투자가 조 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크게 8 1,472

늘어났으며 전체 투자의 로 대부분을 차지


, 96.7%

- 중소기업은 억원의 연구개발투자가 이루어졌으며 중기업


2,820 ,

억원
1,943 소기업 억원 (2.3%), 877 (1.0%)

○ 년 나노융합산업의 집약도 연구개발투자 매출액 는 이며


2013 R&D ( / ) 6.1% ,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이 로 높은 수준이지만 매출규모를 고려 8.7% ,

하면 절대규모면에서는 부족한 실정임 .

- 중소기업에서는 나노장비 기기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

대기업에서는 나노전자에 이어 나노소재 분야의 연구개발 규모가 큰 편


- 73 -
2 나노융합산업조사 개요

조사 배경
○ 국내 나노융합산업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국내 나노융합산업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산업발전단계 분석 국제비교의 근거 마련
, ,

○ 나노융합 사업체들의 생산구조 및 투자 등 분석 및 제조업 R&D

일반기업들과의 비교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 생산


조사 근거
○ 통계법 제 조에 의한 일반통계 통계청 승인 제 호 로 나노융합
3 ( 11531 )

산업협력기구 주관으로 산업연구원이 년부터 매년 조사 수행 2012

분류체계 대 분류 중분류 소분류


- : 4
*
, 18 , 48

* 나노소재, 나노전자, 나노바이오․의료, 나노장비․기기


조사 대상
○ 나노융합산업 분야와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고 나노융합제품 에 *

의한 매출이 발생하는 제조업체


년 조사 대상 개 업체 휴 폐업 인수합병 기업 명단 제외
- 2014 : 920 ( , )

* 나노융합기업/제품 :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기존제품을 개선·혁신(Nano-enabled)


하거나 전혀 새로운 나노기능을 발현(Nano-dominated)하는 기업/제품
조사 방법
○ 면접조사 전화조사 우편조사 팩스 인터넷조사
, , ( ),

조사 항목
○ 사업체 일반현황 개 항목 고용현황 개 항목 생산 및 거래구조
5 , 3 ,

개 항목 투자현황 개 항목 연구개발 현황 개 항목
3 , 3 , 6

- 74 -
< 나노융합산업조사 조사항목 >
연번 대항목 중항목 소항목
사업체 ▶ 종업원수는 상시근로자수(비정규직 포함) 기준
1 일반 사업체 일반 현황 ▶ 설립년월은 법인 설립년도 기준으로 작성
현황
▶ 각 년도 결산일 기준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수출

사업체 전체 재무현황 액, 수입액을 백만원 단위로 작성


▶ 제조원가 비중은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제조원가는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를 포함
▶ 각 년도 결산일 기준으로 나노융합제품에 대한
매출액, 영업이익, 수출액, 수입액을 백만원 단위
사업체의 로 작성
나노융합제품관련 ▶ 제조원가 비중은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고용 재무현황 제조원가는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를 포함함.
2
현황
▶ 유형자산, 무형자산은 회계상 수치 기입

▶ 비정규직을 포함한 상시인력 기준으로 각 년도


사업체 전체 고용현황 말을 기준으로 작성
▶ 비정규직을 포함한 상시인력 기준으로 각 년도
사업체의 나노융합제품 말을 기준으로 작성
관련 고용현황 ▶ 나노융합제품 관련 고용자수를 남, 여를 구분하여
작성
▶ 나노융합제품 분류번호는 첨부의 나노융합산업
생산 및 표준분류표를 참고
3
거래구조 나노융합제품 생산․수출
▶ 제품별 순위는 생산액 기준으로 결정

▶ 투자는 설비투자와 R&D 투자로 구분하여 각


사업체 전체 및 연도별로 총액을 작성
나노융합제품 관련 ▶ 총 R&D 투자 중 정부의 지원금액이 차지하는
투자현황
투자 비중 작성
4
현황 ▶ 투자실적이 있을 경우 기업내부 조달 비중과 외부
나노기술 또는 조달 비중을 각각 기입
나노융합제품 부문에
투자한 재원 조달 ▶ 투자실적이 없으면 0%, 기업 내부조달 비중 + 외부
방법 조달 비중 = 100%임.
연구개발 ▶ 전체 특허는 업체 설립이후 2013년 말까지 취득한
5
현황 전체특허 전체 특허에 대해 응답
- 75 -
3 나노기술 사업화 장애요인 조사

조사 개요
○ 대상기업 개 기업 답변 모집단 나노기업 개
: 159 ( : 570 )

○ 답변자 임원 연구소장
: CEO/ /CTO/

○ 조사방법 사업화 장애요인을 자본 기술 인프라 관점에서 개


: , , 19

항목으로 분류하여 제시 복수응답 다섯 가지 선택 , ( )

※ (재)나노융합2020사업단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공동조사, 2015.1

나노기술 사업화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방향


장애요인(순위별) 해결 방안
부족한(불충분한) 투자 자본 기술 및 시장 관련 정보의 교류 활성화
사업화에 이르기까지의 긴 과정 시제품 제작, 성능 평가 등에 소요되는 기간 단축
양질의 기술인력 부족 제품화 관련 현장인력 육성(설계, 분석․평가 등)
높은 공정(처리) 비용 수요연계로 비효율 제거 및 공정단순화 기술
개발
경제적 대량생산에 필요한 공정 확장성이 큰 공정설계 기술 개발
확장성 부족
지속 가능한 협력 관계/공급 체인의 공급-수요연계 강화 지원
구축 정보보호 제도 강화
환경 안전성 문제 및 인체 예방적 관점의 안전성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유해성에 대한 우려 나노기술에 대한 홍보
전망이 좋지 않은 시장성(잠재력) 기술 및 시장 정보의 교류 활성화
소재/제품의 변동성 물질특성 및 신뢰성 평가 지원시스템 및 최적
설계 시스템 구축
- 76 -
붙임14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추진위원

구 분 성 명 소 속 직 위
정 부 이진규 미래창조과학부 국 장
연구개발정책관
정 부 송경희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융합기술과 과 장
정 부 이현정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융합기술과 사무관
정 부 유의택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
바이오나노과
황경현 한국기계연구원 우수연구원
임한조 아주대학교 명예교수
한민구 서울대학교 교수
김학민 한국과학기술원 감사
자문위원(10명 ) 이조원 한양대학교 교수
국양 서울대학교 교수
박영준 서울대학교 교수
서상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상록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홍순형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팀장 최영진 세종대학교 교수
조진우 전자부품연구원 센터장
김선재 한국연구재단 단장
정종일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팀장
윤완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총괄작업 팀원명) 고병철 한국산업관리평가원 나노PD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실장
(12
김주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광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권장연 연세대학교 교수
강상규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실장
김태연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연구원
분과장 김기범 서울대학교 교수
부분과장 송용설 ㈜아모그린텍 부사장
지원 윤진선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선임연구원
김준현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연구원
팀장 최철진 재료연구소 본부장
간사 장호원 서울대학교 교수
소재 정찬영 ㈜아데소 대표
(6명 )
팀원 최택집 세종대학교 교수
한종훈 전남대학교 교수
R&D 분과 김성인 철원플라즈마연구소 원장
이병훈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팀장 전상훈 고려대학교 교수
박성준 삼성종기원 상무
소자 최창환 한양대학교 교수
명)
(9 간사 노용영 중앙대학교 교수
장문규 한림대학교 교수
팀원 박배호 건국대학교 교수
박경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터장
- 77 -
김학성 한양대학교 교수
팀장 정봉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장
간사 윤완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정건 삼성종기원 책임연구원
민준홍 중앙대학교 교수
바이오 강건욱 서울대학교 교수
명)
(10
팀원 목혜정 건국대학교 교수
김민석 건양대학교 교수
이태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석현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센터장
백규원 ㈜아모그린텍 이사
팀장 이재종 기계연구원 본부장
간사 김석민 중앙대학교 교수
조상준 파크시스템즈 소장
공정측정장비 김선희 새론테크놀로지 차장
(8명 ) 이인섭 나노옵틱 대표
팀원 양준모 나노종합기술원 실장
박경호 한국나노기술원 실장
이성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팀장 박남규 성균관대학교 교수
간사 고민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이유진 ㈜티지오테크 이사
에너지 심준형 고려대학교 교수
환경
(9명 )
남기태 서울대학교 교수
팀원 황태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류정호 재료연구소 책임연구원
이종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순일 한국세라믹기술원 선임연구원
팀장 송남웅 표준연구원 센터장
간사 김준성 바이테리얼즈 대표
박광식 동덕여자대학교 교수
윤태현 한양대학교 교수
나노 이성규 안전성평가연구소 박사
안전성 최인홍 연세대학교 교수
(12명 ) 팀원 김영훈 광운대학교 교수
임수정 세종대학교 교수
양성익 경희대학교 교수
최수진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최진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송경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박사
팀장 이광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계산과학 간사 양준모 나노종합기술원 실장
(4명 ) 김경섭 신산업투자기관협의회 변호사
팀원 조금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센터장
분과장 김재신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소장
부분과장 송남웅 한국표준과학연구소 센터장
지원 배성훈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책임연구원
신광민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선임연구원
정책분과
/제도 팀장 장동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정책․법․ 간사 문희성
신민수
LG경제연구원
한양대학교
책임연구원
교수
제도
(8명 ) 양현모 ㈜기술과가치 본부장
팀원
정은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78 -
이종영 중앙대학교 교수
김민관 한양대학교 교수
이기광 단국대학교 교수
팀장 이해원 한양대학교 교수
간사 안치원 나노종합기술원 책임연구원
국제협력 심우영 연세대학교 교수
(5명 )
팀원 남좌민 서울대학교 교수
신훈규 포항나노기술원 실장
팀장 송경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간사 박준우 안전성평가연구소 책임연구원
표준화 정상한 파크시스템즈 박사
(7명 ) 박원규 나노기술원 본부장
팀원 송남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유일재 호서대학교 교수
조창애 국가기술표준원 선임연구원
팀장 이중원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간사 송경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나루 안전보건공단 연구위원

EHS/ELSI
김정호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
서기관
(6 )
팀원
최수진 서울여자대학교 교수
김영훈 광운대학교 교수
팀장 성원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부장
간사 정종일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팀장
정가섭 나노융합협력기구 선임연구원
나노정보 양준모 나노종합기술원 실장
네트워크 이천무 나노종합기술원 실장
(9명 ) 팀원 이광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박보근 한국화학연구원 박사
이정환 재료연구원 박사
김경자 한국세라믹기술원 센터장
분과장 이재영 나노종합기술원 원장
부분과장 박경완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지원 김민정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선임연구원
정연진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연구원
팀장 황윤회 부산대학교 교수
교육 /인력 민준홍 중앙대학교 교수
양성
(4명 ) 팀원 심정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박사
황욱중 나노종합기술원 센터장
인력분과
․인프라
팀장 김상익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국장
나노팹 간사 이천무 나노종합기술원 실장
(5명 )
박재민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팀장
팀원 이희덕 충남대학교 교수
신훈규 나노융합기술원 실장
팀장 정명영 부산대학교 교수
간사 황상근 밀양시청 팀장
산업단지 조유섭 경남TP 단장
(6명 ) 이재용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장
팀원 최병주 알씨앤이 대표
유석 경남TP 전임연구원

- 79 -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정책실
융합기술과
담당자 이현정 사무관
연락처 전 화
E-mail
: 02-2110-2414

: hjlee0802@korea.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