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5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


항만(해양)설계 사업개요 분석
항만(해양)설계 인·허가 서류 및 인·허가 서류 작성
터널설계
작성

교량설계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실험

항만(해양)설계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항만(해양)설계 타당성 검토

상하수도설계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

하천(댐)설계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 항만(해양)설계 기본계획 수립

지반설계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단지설계 항만(해양)설계 계산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계산서 작성 및
도면 작성
철도설계 항만(해양)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
항만(해양)설계 시방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시방서 작성
관리
항만(해양)설계 사업비 작성 항만(해양)설계 사업비 작성

항만(해양)설계 보고서 작성 항만(해양)설계 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

1-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 3

• 교수・학습 방법 35

• 평가 36

학습 2.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하기

2-1.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 38

• 교수・학습 방법 70

• 평가 71

학습 3.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하기

3-1.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 73

• 교수・학습 방법 92

• 평가 93

학습 4. 시공계획 수립하기

4-1. 시공계획 수립 95

• 교수・학습 방법 108

• 평가 109

참고 자료 111
항만(해양)설계 실시설계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기본계획의 제반조건을 바탕으로 전체 평면계획에 대한 시설별 구조형식 및 공법 선정, 단면별


구조해석 및 상세설계, 각종 부대시설의 계획 및 상세설계를 수행하고 구체적인 시공계획을 수
립할 수 있다.

선수학습

항만(해양)설계 현황조사 ・ 실험(1402010502_14v2), 항만(해양)설계 설계기준 설정(1402010504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구조형식 검토·공법 1-1. 구조형식 검토·공법 구조형식 검토·공법


1402010506_14v2.1
선정하기 선정 선정하기

2. 단면 구조해석·상세 단면 구조해석·상세
2-1.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 1402010506_14v2.2
설계하기 설계하기

3. 부대시설 계획·상세 부대시설 계획·상세


3-1.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 1402010506_14v2.3
설계하기 설계하기

4. 시공계획 수립하기 4-1. 시공계획 수립 1402010506_14v2.4 시공계획 수립하기

핵심 용어

구조형식, 공법 선정, 구조해석, 상세설계, 부대시설, 시공계획

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
학습 1
(LM1402010506_14v2.1)
학습 2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2)
학습 3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3)
학습 4 시공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6_14v2.4)

1-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

• 전체 평면배치계획에 따라 각 시설별 기능에 적합한 구조형식과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 대상구조물의 설치목적, 이용조건, 주변여건과 설계조건 등을 고려하여 시설물의
마루높이, 마루폭, 전면수심 등 단면의 기본제원을 결정할 수 있다.
• 구조형식별 적용성 검토를 통해 각 구조형식에 대한 세부구조 형식별 예비타당성
을 평가하고, 항목별 평가가 양호한 구조형식에 대해 세부안별 비교를 시행하여
학습 목표 구조형식 및 공법에 대한 예비선정을 할 수 있다.
• 예비 선정된 기본형식 중 지반여건, 대상선박 특성 및 이용조건, 시공조건, 인접구
조물 형식 등을 감안하여 기본안을 선정하고, 대상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성 등
구조형식별 장단점을 비교·검토할 수 있다.
• 검토된 기본안 가운데 구조적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환경성, 유지관리 측면에서
최적안을 채택하고, 구간별 수심 및 지반조건에 따라 최적의 표준단면을 선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실시설계 과업수행 흐름 이해
실시설계란 공사수행을 위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과정으로서 넓게는 특정 프로젝트 항만
(해양) 설계의 전과정을 가르키는 의미로서 앞단계 사업개요 분석, 현황조사 및 실험, 설계
기준 설정 과정과 필수적으로 연계・이해가 요구된다.
항만시설 중 중력식 계류시설의 실시설계 과업수행 절차도를 [그림 1-1]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전단계 과정 이해를 위하여 특정 지역의 실시설계 과정(인천지역, 2만톤급 잡화부두
설계)을 일관성있게 유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3
주 : 정부에서 발주되는 용역은 3단계 과정 중 실시계획승인신청서 제출 과정이 불필요함.
[그림 1-1] 중력식 계류시설 실시설계 과업수행 절차 예시도

4
 전단계 과정 이해

1. 사업개요 분석
⦁사업의 내용(범위)은 일반적으로 발주처의 과업지시서에 관련 내용이 제시되어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 입지여건 및 과업특성을 고려하여 계획평면을 토대로 주요 공종별로 구
분하여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팀원간 업무분담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항만시설은 5~10년마다 수행되는 항만기본계획에 의거하여 계류시설의 경우에는 선석
및 부지조성 규모, 외곽시설의 경우에는 방파제 배치방향 및 연장 등 개발계획 평면이
결정되어 있다. 다만, 외곽시설의 경우 실시설계 과정에서 항내정온 개선을 목적으로 방
파제 연장 등을 조정하는 경우도 있다.
⦁중력식 계류시설 사업내용과 팀원간 업무분담 계획을 다음 표에 제시하였으나, 항만시
설설계는 다양한 분야의 팀원과 협력하여 과업수행이 진행되므로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적용성은 달라져야 한다.

<표 1-1> 중력식 계류시설 사업의 내용 예시 및 업무분담계획

비 고 업무분담계획
공 종 규 모
(구조형식 및 세부내용) (지원분야)

안 벽 공 000m 케이슨식 구조, 토질

호 안 공 000m 사석경사제식 토질

매립 및 지반개량공 000㎡ PBD & Preloading 토질

포장 및 급배수,
상부시설공 1식 상하수도, 전기
조명시설

준 설 공 000㎥ 준설 및 투기계획 토질

건 축 공 1식 운영건물, 창고 등 건축, 전기

안벽 부속시설,
부대시설공 1식
환경영향 저감시설

⦁사업의 규모가 각종 영향평가 대상사업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고 전문 분야 업체선정 등


수행계획을 수립한다.

-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자연재해대책법)

- 해역이용협의 (해양환경관리법)

-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법)

-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도시교통정비 촉진법)

- 문화재지표조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5
2. 현지조사 내용 분석

(1) 수심 및 지형측량 결과 분석
⦁구조물 축조위치 등 사업구역의 수심현황을 파악하여 단면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기존 지형과 신설 구조물의 접속처리계획 및 진입도로계획을 위한 지형현황을 파악
하여 설계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본 공사와 직접적 영향이 없는지 파
악하고 필요시 이설계획을 수립한다.

(2) 지반조사 결과 분석
⦁구조물 축조위치 및 매립구역의 지반상태에 대한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기초처리 공법 등 연약지반 개량공법 설계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현장조사 후 사업구역의 토층분포를 분석하여 구조물 위치별로 다음표와 같이 정리
한다.

<표 1-2> 안벽구간 토층개요 분석 사례표

구 분 안벽구간 토층개요 분석

층후 8.3~12.6m
퇴적층
성상 실트질 점토 및 점토질 실트가 호층으로 구성
(점토 및 실트)
N값 0/30~22/30 매우 연약~매우 단단함

층후 4.9~11.3m
퇴적층
성상 점토질 및 실트질 모래, 자갈섞인 중립질 모래
(모래 및 자갈)
N값 12/30~50/6 보통 조밀~매우 조밀

층후 1.3~3.4m

풍화토층 성상 황갈색 및 담갈색 실트질 모래

N값 37/30~50/15 조밀~매우 조밀

층후 1.3~4.9m

풍화암층 성상 갈색, 담갈색 및 황갈색의 실트질 모래

N값 50/8~50/3 매우 조밀

층후 지표 하 18.8~25.1m심도 1.8~6.4m 확인

연암층 성상 편암이 보통 풍화~심한 풍화상태

RQD 0~100%, TCR : 0~100%

6
3. 설계조건 설정 분석

(1) 설계조건과 시설별 연관성 이해


⦁항만시설의 설계조건은 각 시설의 성격 및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다음의 설계여건 중
에서 적절하게 선정하고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시설들이 안전하게 될 수 있도록 정
하여야 한다.
⦁다음 표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제2편 설계조건에 있는 항목들을 외곽시설
및 계류시설과의 일반적인 연관성을 정리한 것으로서 해당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적용성은 달라져야 한다.

<표 1-3> 설계조건 및 시설별 연관성

항 목 외곽시설 계류시설

대상선박의 제원 - ○

선박에 의한 외력 (접안력, 계류력) - ○

바람과 풍압 △(상부구조물) △(상부구조물)

파고와 파력 ○ △(잔교식)

조석과 이상조위 ○ ○

흐름과 흐름의 힘 △(지형변동) △(잔교식)

하구수리 및 표사 △(지형변동) -

지 반 ○ ○

지진과 지진력 ○ ○

지반의 액상화 ○ ○

토압 및 수압 ○ ○

자중 및 재하하중 ○ ○

마찰계수 ○ ○

(2) 설계조건 설정하기


⦁사업계획의 성격 현지조사여건, 대상구조물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설계조건은 관련법규 및 적용기준, 항만 및 해안, 토질 및 기초, 토목구조, 상부시설,
건축, 전기 등 분야별로 현지조사 내용 및 설계기준서 등을 활용하여 정리한다.
⦁다음과 같이 설계조건을 설정한다. 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건설> 토목> 토
목설계・감리> 항만(해양) 설계> 항만(해양) 설계 설계기준 설정(1402010504_14v2)'를
참조한다.

7
(3) 항만 및 해안분야 설계조건 설정 사례
⦁항만 및 해안분야 설계조건은 크게 대상입지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자연조건(조위,
조류, 풍속, 파랑 등) 및 하중조건(대상선박, 상재하중), 그리고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하중, 허용 안전율 등을 정리한다.

<표 1-4> 인천항 천문조위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조 위(m) 조 위 표
기 왕 고 극 조 위 (Obs. H.H.W) DL.(+) 10.080
(Approx.
약 최 고 고 조 위 DL.(+) 9.270
H.H.W)
대 조 평 균 고 조 위 (H.W.O.S.T) DL.(+) 8.624

평 균 고 조 위 (H.W.O.M.T) DL.(+) 7.497

소 조 평 균 고 조 위 (H.W.O.N.T) DL.(+) 6.370

평 균 해 면 (M.S.L) DL.(+) 4.635

소 조 평 균 저 조 위 (L.W.O.N.T) DL.(+) 2.900

평 균 저 조 위 (L.W.O.M.T) DL.(+) 1.773

대 조 평 균 저 조 위 (L.W.O.S.T) DL.(+) 0.646


(Approx.
약 최 저 저 조 위 DL.(±) 0.000
L.L.W)

<표 1-5> 설계조류속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항 입 구 본부두지역 비 고

• 피복석 규모 결정
조류속(m/sec) 0.01 ~ 1.0 0.4
• 오탁방지막 설계

<표 1-6> 설계풍속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풍 속(m/s) 비 고

지역별 설계풍속 40.0 건물 및 조명탑

최대풍속 25.7 오 탁 방지 막

<표 1-7> 설계파랑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파고(Hs) 주기(Ts) 파 향 재현기간 비고

안벽 및 호안 0.5m 1.72sec SSW 50년

부 대 공 0.4m 1.65sec SSW 10년

8
<표 1-8> 대상선박 설계조건 사례표

선 종 재하중량 (DWT) 전 장 (m) 형 폭 (m) 만재흘수 (m)

화물 선 20,000 170 21.0 9.8

<표 1-9> 상재하중 설계조건 사례표

구 간 하 중 하중분포도

안벽 상부 2.5 tonf/㎡

야 적 장 4.0 tonf/㎡

주 : 상재하중 크기는 화물취급계획에 따라 적용은 달라질 수 있음

<표 1-10> 사하중 설계조건 사례표


단위중량(tonf/㎥) 단위중량(tonf/㎥)
구 분 구 분
수 상 수 중 수 상 수 중

사석 및 피복석 1.80 1.00 무근콘크리트 2.30 1.30

모 래 1.80 1.00 철근콘크리트 2.45 1.45

배 면 토 사 1.80 1.00 강 재 7.85 6.85

해 수 1.03 석 재 2.60 1.60


주 : 속채움 모래 및 사석의 포화단위중량 : 2.0tonf/m3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372

<표 1-11> 허용안전율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상 시 지 진 시 비 고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p.773, 863


활 동 1.2 1.1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표준서 p.75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p.773, 863


전 도 1.2 1.1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표준서 p.75

지반지지력 (비숍법) 1.2 1.0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p.460

원 호 활 동 1.3 1.0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p.557

마운드(직선) 활동 1.2 1.0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p.562

<표 1-12> 마찰계수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콘크리트와 암 콘크리트와 사석 사석과 사석

마찰계수 0.5 0.5 0.6 0.8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384

9
(4) 토질 및 기초분야 설계조건 설정 사례
⦁ 토질 및 기초분야 설계조건은 대상입지 특성 및 부두이용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원지반 토질정수, 지반개량 조건 및 구조물 안정검토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재료
의 강도 및 굴착 사면경사 등을 정리한다.

<표 1-13> 원지반 토질정수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습윤단위중량 (tf/㎥) 포화단위중량 (tf/㎥) 점착력 (tf/㎡) 내부마찰각 (°)

점토 및 N≤8 0.22×Z+1.54 -
1.873 1.873
실 트 N>8 N/1.6 -

모 래 1.80 2.00 - 30.0

모래자갈 1.80 2.00 - 35.0

풍화 토 1.80 2.00 - 40.0

풍화 암 2.20 2.20 2.0 40.0

연 암 2.30 2.30 5.0 45.0

<표 1-14> 재료의 강도정수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습윤단위중량 (tf/㎥) 포화단위중량 (tf/㎥) 점착력 (tf/㎡) 내부마찰각 (°)

매 립 해 사 1.80 2.00 - 30.0

뒷 채움 사 석 1.80 2.00 - 40.0

케이슨 모래채움 1.80 2.00 - 30.0

필 터 사 석 1.80 2.00 - 35.0

<표 1-15> 지반개량 설계조건 사례표

구 역 구 분 설 계 하 중 허용 잔류 침하량 비 고

야적장 구역 4.0 tf/㎡ 10 cm 일반화물

부두운영 지원 시설구역 2.0 tf/㎡ 10 cm 운영동 및 변전소 등

<표 1-16> 기초굴착 사면경사 설계조건 사례표

점토질 토사 사질 토사 자갈․암반
구 분
N<4 4~8 8~20 N<10 10~30 30~50 자갈 암반
설계기준 1:3~1:5 1:2~1:3 1:1.5~1:2 1:2~1:3 1:1.5~1:2 1:1~1:1.5 1:1~1:1.5 1:1
• 대상지역 상부의 연약퇴적층은 N≒4이므로 1:3 적용하되 원호활동에 의한 준설사면 안정성을
설계
검토
적용
• 연약퇴적층 하부의 N치 10 이상의 단단한 점토층 및 사질토층은 1:1.5 적용
출처 : 해양수산부(2005).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668

10
 항만시설 설계 기초지식 이해

1. 재료 선정 및 특성 이해
구조물 및 그 기초공에 사용하는 재료는 작용하는 물리적인 외력과 열화, 내용연수, 형상,
시공성, 경제성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여야 한다(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2014, pp.389~446).

(1) 강재의 품질규격


강재는 한국산업표준(KS)에 적합하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갖는 것으로써 항만
및 해양 설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재의 품질 규격은 아래와 같다.

<표 1-17> 강재의 품질규격

항 목 규 격 비 고

KSD 3503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


구조용 강재
KSD 3513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460, SM490

강 관 KSD 3566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TK400, STK490

KSF 4602 강관말뚝 STK400, STK490


강 말 뚝
KSF 4603 H형강 말뚝 SKK400, SKK490

KSF 4604 열간 압연 강널말뚝 SY30, SY40


널 말 뚝
KSF 4605 강관 시트 파일 SKY400, SKY490

KSD 4101 탄소강 주강품 SC450


주단조품
KSD 3752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SM30C, SM35C, SM45C

SR24, SR30, SD30A, SD30B,


봉 강 KSD 3504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SD35, SD45, SBCR24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390

(2) 강재의 부식 및 방식
해양 강구조물은 육상의 강구조물에 비해서 가혹한 부식 환경 하에 놓여 있으므로 부
식이 심하게 발생하므로 적절한 방식대책이 필요하며, 이들 강구조물의 장기 수명유지
를 위한 적절한 방식공법을 반드시 강구하여야 한다.

(가) 강재의 부식
강재의 부식속도는 설계기준서에 다음표와 같이 제시되어 있으나, 해수의 염분농도
등 해당해역의 환경조건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유사한 환경의 부식조사 결
과치를 참조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11
<표 1-18> 강재의 부식속도의 표준치

구 분 부식환경 부식속도(mm/년)

A.H.H.W 이상 0.3
A.H.H.W ~ A.L.W.L(-)1.0m까지 0.1 ~ 0.3
해 측
A.L.W.L(-)1.0m ~ 해저부까지 0.1 ~ 0.2
해저 토층 중 0.03

육상 대기 중 0.1
육 측 토중(잔류수위 이상) 0.03
토중(잔류수위 이하) 0.02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402

(나) 강재의 방식
강재의 방식대책은 강재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 곳의 자연상황에 따라서 전기방
식법 또는 피복방식법을 적용한다. 이 경우 APP. L.L.W(약 최저저조위) 이하의 부
분은 전기 방식법, APP. L.L.W(-)1m 이상의 상부는 피복방식법으로 방식대책을 강
구해야 한다.

(3) 콘크리트
방파제 및 계류시설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는 강도설계법을 적용한다.
콘크리트의 구성재료(시멘트, 물, 골재, 혼화재 등)는 한국산업표준(KS)에 적합한 것 또
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적절한 품질을 갖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항만 및 어항시설의 콘크리트 재료 성능에 대한 요구조건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정한 해양 콘크리트 또는 수중 콘크리트의 요구조건에 따르며, 이를 만족하는 재료성
능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해수 또는 해수 물보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준압축강도
는 철근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경우 35MPa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무
근 콘크리트의 경우 30M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공사현장의 여건상 콘크리트
의 품질이 관리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
축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2014, pp.412~418).

2. 항만시설 기초의 이해

기초기반이 연약한 점성토 지반의 경우는 기초의 안정과 침하를 검토하고, 느슨한 모래지
반의 경우는 지진시 액상화 등의 영향을 검토한다. 기초구조의 안정에 지장이 있을 경우
필요에 따라 말뚝기초, 지반의 개량 등 대책공법을 채택해야 한다(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설, 2014, pp.449~634).

항만시설에 있어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구조물 기초 안정 확보를 위해 해상에서 시행하는


치환공법, 심층혼합처리공법, SCP공법이 있으며, 육상지반개량을 위한 연직배수공법, Pre-
loading공법이 있다.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종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12
(1) 치환공법
∙제거방법에 따라 강제, 굴착, 폭파치환 공법으로 분류
∙굴착치환은 시공이 확실하나, 강제치환은 잔류침하의 우려가 있음
∙장비수급 및 공사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국내외 공사에
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공법
∙연약지반 심도가 깊을 경우에는 대량의 치환재료(사석, 모래)가 소요되므로 타공법에
비해 비경제적일 수 있음

(2) Vertical Drain 공법(연직배수공법)

(가) Sand Drain 공법


⦁지반 내의 모래말뚝을 연직으로 타입하여 배수거리를 단축시켜 압밀시간을 단축
하는 공법
⦁개량가능 심도는 최대 30m 정도이고 N치 25 이하 적용
⦁설계 및 시공시 유의사항
- Sand 재료는 투수성을 장기간 발휘할 수 있는 양질의 재료 선정
- Sand Pile 설치시 주변지반이 교란되어 투수성이나 지반강도가 저하되는
Smeer Zone에 대한 영향 검토
- 측방유동 및 침하량 과다로 인한 배수통로의 절단 우려
- 지반의 침하, 융기, 간극수압 등을 시공단계별로 측정 관리
- 압성토 공법과 병행해야 효과가 큼
⦁등가유효원
- 정 삼각형 : 1.05 D (D : drain 간격)
- 정 사각형 : 1.13 D
⦁모래입경(d15)
- 4D15 < d15 < 4D85

(나) Paper Board Drain(PD)/Plastic Board Drain(PBD) 공법


⦁지반내 모래 대신에 Drain Board를 타입하여 배수를 촉진하는 공법
⦁개량심도는 PD 20m, PBD 40m 정도, N치 6~8 이하 적용
⦁장비 진입시 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한 Mat 포설 필요
⦁공기가 길어지면 Drain Board의 기능저하가 우려됨
⦁압성토 공법과 병행하여 적용
⦁Mandrel 인발시 Drain Board가 따라 올라오는 공상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
관리에 유의
⦁시공속도가 빠르고 지반교란이 적으나 Well Resistance 영향에 주의해야 함

13
(다) Pack Drain 공법
⦁Sand Pile을 Polythylene Pack으로 감싸서 배수통로를 보호하기 위한 공법으로
Sand Drain의 약점을 보완한 공법
⦁배수통로 유지와 배수효과가 확실하며 개량심도는 최대 30m
⦁1회 4본 동시 타설로 공사기간 단축 및 모래 절약 가능
⦁장비 진입을 위한 Trafficability 확보를 위하여 저면 Mat를 포설
⦁설계시 Smeer Zone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함

(3) Preloading 공법
⦁설계하중만큼의 중량을 미리 재하하여 압밀침하를 유도하고 지반전단강도를 증진시
키기 위한 공법으로 한계 성토고를 산정하여 단계별로 성토하여야 함
⦁본 공법만으로는 지반개량 소요공기가 길어지므로 Vertical Drain 공법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음

(4) 심층혼합처리공법
⦁연약지반을 심층에서 물리적으로 교반하면서 화학적 안정제인 생석회, 소석회 및
Cement Slurry를 강제로 주입하여 지반강도를 증진시키는 공법
⦁종류 : Block식, 벽식, 격자식, Pile식
⦁대형전용장비를 사용하므로 공기단축 가능
⦁소요지반강도 확보 가능
⦁지반침하 및 변형이 적음
⦁적용범위가 넓음
⦁수질오염의 염려가 있음
⦁시공 및 품질관리가 용이함
⦁치환토사의 소모가 적어 재료가 경제적임

(5) Sand Compaction Pile 공법


⦁대구경 모래말뚝을 지중에 조성하여 다짐, 보강, 압밀효과를 기대하는 공법
⦁개량심도는 최대 40m 정도이며 양질의 모래가 다량 필요
⦁시공중 전단파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공안전관리에 주의
⦁시공중 모래말뚝의 강도관리(N치)에 주의
⦁해상공사의 경우 전용 대형선을 사용하므로 공기가 절감

3. 외곽시설(방파제) 구조형식의 종류 및 특징
방파제는 외곽시설 중 가장 대표적인 구조물로서 수심이 얕은 곳은 사석식(사블럭식) 경
사계, 수심이 깊은 곳은 케이슨식 혼성제로 계획하고 있다.

(1) 경사제
사석이나 Con'c Block 을 사다리꼴로 투입한 것으로서 주로 사면에서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구조

14
(가) 장점
∙ 지반요철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
∙ 연약지반에도 적용 가능
∙ 파랑의 세굴작용에 대하여 비교적 순응성이 있음
∙ 시공설비가 간단하여 시공시 파랑의 영향을 적게 받음
∙ 공종이 단순하고 시공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
∙ 반사파가 적어서 부근 해역을 교란하지 않음

(나) 단점
∙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다량의 사석이 필요
∙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
∙ 항구폭이 넓어지고 투과파랑에 의해 항내가 소란
∙ 표사의 영향이 심한 곳에서는 항내매몰의 우려가 있음

(2) 직립제
앞면이 연직인 벽체를 해저에 거치한 구조이며 주로 파랑의 에너지를 반사시키는 구
조형식

(가) 장점
∙ 사용재료가 비교적 소량이며 유지보수비가 적음
∙ 경사제에 비해 항구폭을 좁게 할 수 있음
∙ 투과파랑과 표사의 영향이 적음
∙ 방파제 내측을 계류시설로 이용 가능함

(나) 단점
∙ 저면 반력이 크고 반사파에 의한 세굴의 염려가 있음
∙ 반사파가 크고 방파제 법선을 따라 파랑구속현상 발생
∙ 악천후시 해상거치 제한으로 공기가 늘어남

(3) 혼성제
사석부 위에 직립제를 설치한 것으로, 파랑에 비해 사석마루가 낮을 때는 경사제, 깊
을 때는 직립제의 기능에 가까운 구조형식임

(가) 장점
∙ 깊은 수심, 연약한 지반에도 적합
∙ 석재와 con'c 자재의 조달 용이성 및 가격을 비교하여 높이 비율을 결정

(나) 단점
∙ 직립부와 사석부의 경계부근에 파력이 집중, 세굴이 발생
∙ 시공방법과 시공설비가 복잡, 다양

15
(4) 구조별 특성

(가) 사석식 경사제


∙ 사석크기의 한계로 파력이 크지 않는 곳에 사용
∙ 파력이 강한 곳에서는 사면을 소파이형블럭으로 피복

(나) 사블럭식 경사제


∙ 중량이 큰 이형블럭을 사용하므로 소요 안정도를 얻을 수 있음
∙ 넓은 블록제작장이 필요

(다) 케이슨식
∙ 제체 전체가 일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파력에 대한 저항력이 큼
∙ 케이슨 제작을 Dry Work으로 하므로 시공이 확실
∙ 케이슨 내부를 값싼 재료로 속채움하여 공사비를 절약
∙ 악천후 일수에 따라 공기에 많은 제약, 시공관리가 복잡
∙ 대형 제작설비, 인양 및 거치를 위한 대형 크레인이 필요

(라) 블록식
∙ 시공이 확실․용이하며 시공설비가 간단하나, 일체성이 부족
∙ 해상작업시간이 길고 넓은 블록제작장이 필요
∙ 하단블럭이 일체가 아닌 경우 지반반력 분포가 불명확

(마) Con'c 단괴식


∙ 시공설비가 간단하고 견고한 지반 외에는 사용이 부적합
∙ 수중 con'c인 경우 시공성이 불확실

(바) 중력식 특수방파제


∙ 방파제의 직립부를 소파기능과 내파안정성 측면에서 개량한 형식
∙ 직립소파블록제, 소파케이슨제(유공케이슨), 상부사면 케이슨제, 반원형 케이슨제
등이 있음

(사) 비중력식 특수방파제


∙ 말뚝의 저항력 등 제체중량 이외의 저항력으로 파랑에 저항하는 형식
∙ 커튼식 방파제, 부방파제, 강관방파제, 공기방파제 등이 있음

16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764
[그림 1-2] 방파제의 구조형식

17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765
[그림 1-2] 방파제의 구조형식(계속)

4. 계류시설 구조형식의 종류 및 특징

(1) 중력식
∙ 토압, 수압 등의 외력에 대하여 벽체자중과 마찰력으로 저항하는 구조
∙ 벽체가 콘크리트 구조이므로 견고하고 내구성이 양호
∙ 수심이 얕고 견고한 지반에 유리하며 수심이 깊어지면 규모가 증대
∙ Precast 콘크리트 구조로 할 때는 육상 제작되므로 품질이 보장되고 시공이 확실하
지만, 넓은 육상 제작장 및 기중기선 등이 필요
∙ 계획수심에 비하여 수심이 얕으면 기초준설량이 증가
∙ 중력식 안벽 배후에서는 내부마찰각이 큰 사석으로 뒷채움하여 수평토압을 저감시
키고 잔류수위를 낮추어 잔류수압을 감소시킨다. 통상 0.001~0.03㎥/ea 준규격석을
사용함.

18
∙ 뒷채움사석 배후에는 Filter층(∅100mm 이하)과 Filter mat를 포석하여 배후의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함.
∙ 종류 : 케이슨, 블록, L형블록, 셀블록, 현장타설식

(2) 널말뚝식
∙ Sheet Pile을 타입하여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로 흙막이 겸 계선안으로 사용
∙ 수중공사가 적어 급속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설비 간단하며, 공사비가 저렴
∙ 수심이 깊어지면 버팀공이 없는 경우 저항력이 약함
∙ 부식에 약하므로 내구성이 불리(강재의 경우)
∙ 종류 : 보통널말뚝, 자립널말뚝, 사항버팀, 이중널말뚝식

(3) 선반식 계선안


∙ 널말뚝 상부에 Slab를 얹어 널말뚝에 걸리는 토압률 감소시키는 구조
∙ 과재하중을 말뚝으로 지지하므로 연약지반에도 성립
∙ 단면이 널말뚝식보다 작아짐
∙ 시공이 복잡하고 공기가 늘어남

(4) 셀식 계선안
∙ 널말뚝 또는 강판을 원형으로 폐합하여 타입하고 속채움을 한 구조
∙ 시공이 간단하고 급속시공에 적합
∙ 비교적 큰 토압에 저항 가능
∙ 지반이 약한 곳 또는 속채움 재료 확보가 곤란하면 채택이 곤란

(5) 잔교식
∙ Pile을 지주로 하고 상부에 Beam과 Slab을 타설한 구조
∙ 구조가 경량이므로 연약지반에 적합
∙ 잔교와 흙막이부가 조합될 경우 공정이 복잡
∙ 항내 반사파 및 부진동을 최소화하여 항내정온도 확보상 유리
∙ 전면구조의 증심이 가능
∙ 강재 Pile을 사용한 경우 부식방지 대책 필요

(6) 부잔교식(Pontoon)
∙ 폰툰과 육상의 호안사이를 도교로 연결한 구조
∙ 조위에 관계없이 접이안이 가능하고 신설 및 이설 간편
∙ 재하력이 작고 하역능력이 작으므로 예선 위주의 소형선박이 주로 이용
∙ 파랑 및 조류가 심한 곳에서는 적용 곤란
∙ 종류로는 강철제, 철근 콘크리트제가 있음
∙ 계류쇄나 앙카 등에 강재를 사용하므로 부식과 기계적인 마모 발생

(7) 돌핀식(Dolphin)

19
∙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수심이 깊은 곳에 말뚝 또는 주상구조물을 만들어 사용하는
독립 계선안으로 주로 초대형 선박을 대상
∙ 소정의 수심에 사용하면 준설이 필요 없고 급속시공이 가능
∙ 주로 석유, 석탄, 시멘트 등의 화물을 대량으로 취급할 경우 적용
∙ Pile식인 경우는 증심이 가능
∙ 강재를 사용한 경우는 부식방지 대책이 필요

(8) 계선부표식(Mooring Buoy)


∙ 주로 박지내의 해저에 Anchor된 선박계류용 부표를 계류시설로 이용하는 방식
∙ 해저가 암반이어서 닻 정박이 불가능한 경우는 해저에 Anchor 또는 Sinker 블록을
설치하여 사용
∙ 이설이 용이하나 시설유지관리비가 많이 듬

(9) 이안식(Detached Pier)


∙ 특수형식의 잔교식으로 Slab 없이 Beam과 Pile만으로 구성
∙ 석탄, 철광석 등 단일품목을 대량으로 취급할 경우 적용(전용부두)
∙ 준설이 거의 없는 대수심 해역에 잔교를 설치하고 그위에 Unloader, Loader 등의 기
초를 설치하여 계선안으로 이용
∙ 강재를 사용할 경우 부식에 따른 방지대책이 필요

20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856
[그림 1-3]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21
수행 내용 /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

재료·자료

Ÿ 기존 항만(해양)설계의 과업지시서 샘플 3개

Ÿ 기존 항만(해양)설계의 실시설계보고서 샘플 5개

Ÿ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 해설 및 관련 전문서적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등 전산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구조물 외적안정 검토)

Ÿ slope W, COSTANAK 등 원호활동 프로그램(원호활동 검토)

안전 ・ 유의 사항

Ÿ 각 조는 기존 항만설계의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샘플로 선정하게 되며 이때 항의


종류와 규모가 다른 조와 다르게 선정하여야 한다.

Ÿ 각 조는 샘플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선정할 때 아주 소규모의 항만설계 및 오래된


설계보고서는 피한다.

Ÿ 각 조는 예제 항만(해양)을 설정할 때 서해, 남해, 동해 등 위치를 다르게 하도록 한다.

Ÿ 계류시설 및 외곽시설의 구조형식별 특성을 관련서적, 설계기준서 등으로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조를 편성한다.

1. 토론 수업 및 협업·발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조를 편성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 학급 학생 수에 따라 5~10명 내외로 조를 편성한다.

3. 각 조는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 기존 항만(해양)설계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 샘플을 정한다.

1. 각 조별로 항만의 종류 및 규모가 서로 다른 기존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선


정한다.
각 조는 권역별로 다른 조와 서로 다른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샘플로 선정한다.

22
2. 샘플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는 최소한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된 사례를 선정
한다.

(1) 외곽시설 실시설계

(2) 계류시설 실시설계

3. 각 조는 샘플 과업지시서 및 실시설계보고서를 선정할 때 아주 소규모의 항만이나 오래


되어 사진이나 표, 도면의 화질이 선명하지 않은 사례는 피한다.

 설계기초자료를 정리한다.

1. 각 조는 항만(해양) 설계 시 각 시설별 구조형식과 공법 선정을 하기위한 전단계 과정


으로서 설계기초자료를 정리하고 시설별 연관성을 정리하여 발표한다.

(1) 조장은 최소한 다음의 항목에 대해서 조원들에게 역할분담을 맡기고 조사하도록 한다.

(가) 사업개요 분석

(나) 현지조사 내용

(다) 설계조건 설정

(라) 외곽시설 종류 및 구조형식

(마) 계류시설 종류 및 구조형식

(바) 지반개량공법 종류

(2) 조원은 본인이 담당한 항목에 대해서 참고서적,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등을


참고하여 자세히 조사한 후 요약 정리한다.

(3) 각 조원들은 본인이 요약 정리한 항목들을 복사하여 조원들에게 배포하고 다른 조


원들에게 조사내용을 설명하면서 공유한다.

(4) 발표자와 조원들은 취합된 자료를 정리하여 협업으로 Power Point Slides를 완성한다.

 구조형식을 검토하고 시설별 공법을 선정한다.

1. 중력식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검토 및 공법선정을 위한 절차를 이해한다.

(1) 구조물 기본제원 결정

(2) 안벽 구조형식 검토・결정

(3) 안벽 기초공법 검토・결정

2. 구조물 기본제원을 결정한다.

계류시설 계획시 구조물의 기본제원 결정요소는 선석수심과 안벽 마루높이를 결정하는 것


이다.

23
(1) 안벽 선석수심 결정
∙ 안벽 선석수심은 부두를 이용하는 최대 대상선박의 만재흘수에 약 10%의 여유를 두
어 계획한다.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에는 선박 종류별 규모별 제원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된다. 하지만 동일한 선박규모라도 그 제원은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부두운영 회사로부터 선박제원을 입수하여 확인할 필요는 있다.
∙ 다음 표는 선박유형 및 규모 중 일부를 수록한 것으로 기타 유형 및 규모는 설계기
준서를 참조한다.

<표 1-19> 선박의 일반적인 치수 및 선석의 제원

선석수심
선박유형 및 규모 전장 (m) 형폭 (m) 만재흘수(m) 선석길이(m)
(DL(-)m)
5,000DWT 107 17.0 6.4 130 7.5
10,000DWT 132 20.7 8.1 160 9.0
화물선 20,000DWT 161 25.1 9.9 210 11.0
30,000DWT 182 28.3 10.5 240 12.0
70,000DWT 233 36.0 13.8 300 15.0
20,000DWT 177 27.1 9.9 220 11.0

50,000DWT 274 32.3 12.7 330 14.0


컨테이너선
100,000DWT 350 42.8 14.7 400 16.0

200,000DWT 400 59.0 16.5 500 18.5

50,000DWT 209 34.3 12.0 270 14.0


유조선 100,000DWT 250 42.7 14.8 360 18.0
300,000DWT 334 59.4 22.4 430 27.0
20,000GT 186 25.7 7.8 220 9.0
50,000GT 255 32.3 7.8 310 9.0
여객선
70,000GT 286 32.3 8.1 340 9.0
100,000GT 324 32.3 8.1 370 9.0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p.29~37. pp.845~848

24
(2) 안벽 마루높이 결정

(가) 마루높이 결정 적용기준


∙ 안벽의 마루높이는 산정방법 및 자연조건 등에 따라 상이하나 야적화물의 특성,
하역특성, 부두 이용목적에 적합한 마루높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산정방법에
의한 검토를 통해 안전한 마루높이를 결정해야 한다.
∙ 다음 그림은 안벽 마루높이 결정 절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곽시설의 경우 적용
성은 달라져야 한다.

[그림 1-4] 마루높이 결정 흐름 예시도

(나) 적용기준에 따른 마루높이 산정


∙ 적용기준에 따른 마루높이를 각각 산정하여 아래표와 같이 정리한다.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의한 마루높이는 수심 및 조차의 크기에 따라 적용기준
이 달라지므로 관련 설계기준을 참고한다.

<표 1-20> 적용기준에 따른 마루높이 산정 사례표

구분 항 ․ 설 기준에 의한 마루높이 항내파고 고려시 이상해면 고려시

Hmax
∙ 약 최고고조위 +(0.5~1.5m) ∙ 약 최고고조위+ ∙ 약 최고고조위+최대조위편차
2
∙ 조 건 : 대형선 접안시설 ∙ 조 건 : 최대조위편차(1.09m)
조건 ∙ 조 건 : Hmax= 1.8×H1/3
수심 4.5m 이상
조차 3.0m 이상 H1/3 = 0.5m

마루 9.27 + (0.5~1.5m) 9.27 + (1.8×0.5)×1/2 9.27 + 1.09


높이 = 9.77m = 9.72m = 10.36m

25
(다) 인근지역 마루높이 현황
∙ 인근지역 부두 마루높이를 조사하여 아래표와 같이 작성하고 마루높이 결정에
참고하여야 하며, 특히 인접선석과는 상부 배수체계 등을 고려하여 동일한 마루
높이로 계획함이 적정하다.

<표 1-21> 인근지역 마루높이 현황조사 사례표

시 설 명 시설연장(m) 마루높이(m)

기존 호안 - DL.(+) 9.70m

다목적 부두
840.0m DL.(+)10.50m
(5만톤급 3선석)

목재 및 잡화부두
560.0m DL.(+)10.50m
(5만톤급 2선석)

일반잡화부두
280.0m DL.(+)10.50m
(2만톤급 1선석)

일반잡화부두
700.0m DL.(+)10.50m
(2만톤급 3선석)

목재부두
450.0m DL.(+)10.50m
(2만톤급 2선석)

고철부두
830.0m DL.(+)10.50m
(5만톤급 2선석)

(라) 마루높이 결정
∙ 부두 마루높이는 배후지 여건과 고조위(9.27m) 및 인근부두의 마루높이를 감안하
여 DL.(+)10.5m로 계획한다.

3. 안벽 구조형식을 결정한다.

(1) 기본방향 설정

(가) 대상지역의 입지여건 및 장래계획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구조형식 선정

(나) 구조형식 선정 시 고려사항


∙ 자연조건
- 지반조건, 파랑조건, 조위, 조류 등을 말하며 지반조건은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임
∙ 이용조건
- 시공 후 이용상의 제약으로 접안선박의 규모, 화물의 종류와 연간 처리물량,
하역방법을 말함

26
∙ 시공조건
- 파랑, 조석, 조류, 바람 등에 대한 제약조건을 말함
∙ 경제성

(다) 중력식(케이슨식) 구조일 경우 케이슨 제작장 확보 및 재료의 구득, 해상장비


수급 등 시공여건을 반영하여 최적형식 선정 필요

(라) 안벽 상부구조형식 결정 흐름도


∙ 다음 그림은 일반적인 계류시설 구조형식 결정 절차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업특
성에 따라 적용성은 달라져야 한다.

[그림 1-5] 안벽 상부구조형식 결정 흐름 예시도

27
(2) 상부구조형식 검토

(가) 구조형식별 적용성 검토


∙ 접안시설의 구조형식은 일반적으로 중력식, 잔교식, 널말뚝식, 벽강관식, 원통셀
식, 선반식 등이 있으며 해당 지역에 적용 가능한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선정하여
비교 검토한다.

<표 1-22> 안벽 상부 구조형식별 적용성 검토 사례표

구 분 공법개요 특 성 본 현장 적용성 적용성 평가 선정


∙ 내구성 우수
∙ 벽체 중량과 ∙ 인접시설과 동일
∙ 대형 기중기선
중 력 식 마찰력에 의해 토압 형식으로 적용성 ○
및 넓은 제작장
및 수압에 저항 양호
필요
∙ Pile을 이용하여 ∙ 시공실적을
∙ 항내정온 및 ∙ 인접시설 연계성
해안선에 평행하게 다수 보유하고
해수 유동에 다소 불리하나
잔 교 식 축조 있으며 현장 ○
유리 장래 증심시 유리
∙ 배면토압은 적용성 다소
∙ 부식대책 필요 ∙ 적용성 보통
토류벽이 전담 유리
∙ 강관을
연속타입하여 ∙ 시공장비 간단
벽강관식 ∙ 잔교식과 동일 ○
계선안 및 토류벽 ∙ 부식대책 필요
기능 발휘
∙ 선박에 의한 ∙ 일반적인
토압경감 및 널말뚝에 비해 ∙ 시공실적 부족
∙ 인접시설 연계성,
선 반 식 널말뚝의 구조적으로 유리 및 적용성
적용성 불리
수동토압에 의해 ∙ 시공 복잡, 공기 떨어짐
외력에 저항 길어짐

(나) 예비구상안 평가 및 선정
∙ 상부 구조형식 예비안 선정은 다음표와 같이 주요검토 항목별 가치척도에 의한
비교평가를 하여 중력식(SOLID블록, 일반케이슨), 잔교식(횡잔교), 널말뚝식(벽강
관)등 총 3~4개안을 예비 선정한다.

<표 1-23> 예비 구상안 항목별 비교 검토 사례표


주요 검토 항목별 평가 예 비
예 비 안
안정성 내구성 환경성 시공성 유지관리성 선 정
SOLID 블록 △ ○ △ △ △ ○
CELL 블록 △ △ △ △ △
중력식
일반 케이슨 ○ ○ △ ○ ○ ○
유공 케이슨 ○ △ ○ △ △
잔교식 횡잔교식 ○ △ ○ △ △ ○
널말뚝식 벽강관식 △ △ △ △ △ ○

28
(다) 안벽 상부 구조형식 선정
∙ 아래 표와 같은 내용을 작성하여 가장 적합한 구조형식을 제시하고 채택사유를
작성한다.

<표 1-24> 상부 구조형식 선정 사례표

구 분 제 1 안 케이슨식 제 2 안 방괴블럭식

단면형상

∙ 마루높이 : DL.(+)10.50m ∙ 마루높이 : DL.(+)10.50m


구조개요 ∙ 선석수심 : DL.(-)11.00m ∙ 선석수심 : DL.(-)11.00m
∙ 케이슨규격 : 12.1B×17.5H×9.9L ∙ 블록 9단거치 : 최대 81ton

∙ 퇴적층을 굴착한 후 사석으로 기초마운드


∙ 퇴적층을 굴착한 후 사석으로 기초 마운드
를 형성
를 형성
∙ 소규모 방괴블럭을 9단 규모의 분리형을 설
∙ 일체형 케이슨을 설치하고 상부하중 및 횡
치하여 상부하중 및 횡토압에 저항
구조형식 토압에 저항
∙ 블록간 일체성이 떨어지고 수직, 수평변위
특징 ∙ 지반반력의 감소를 위하여 전면 1격실을 해
에 취약한 약점이 있음
수채움, 후면 2격실은 모래채움으로 계획
∙ 대규모 제작장 및 진수장비가 필요 없음
∙ 기초굴착 구배는 퇴적층(N≤10) 1:3, 사질토
∙ 기초굴착 구배는 퇴적층(퇴적층(N≤10) 1:3,
층(N>10) 1:1.5로 계획
사질토층(N>10) 1:1.5로 계획

∙ 안벽구체가 케이슨에 의해 축조, 견고하고 ∙ 콘크리트 구체로 부식의 우려가 없고 유지


내구성이 양호, 기초부 부등침하 방지에 관리가 용이
유리 ∙ 블록제작장의 소요면적이 적고, 소규모 거
∙ 육상시공으로 품질관리 용이 치장비가 투입
시공성 및
∙ 콘크리트 구체로 부식우려 없고 유지관리 ∙ 공종이 단순하고 시공성이 양호
장․단점
용이 ∙ 분리형 구조로 대수심의 경우 횡토압에 취
∙ 케이슨 제작에 따른 대규모 제작장 및 대 약(법선변위 발생)
형장비가 필요하며 해상조건의 영향 받음 ∙ 블록거치 수량이 많아 공사기간에 영향을
∙ 장래 접안수심의 증설 곤란 미침

∙ 활 동 : 1.34 ∙ 전 도 : 2.41 ∙ 활 동 : 1.82 ∙ 전 도 : 2.45


안 평상시
∙ 지반반력 : 45.21tf/㎡ ∙ 지반반력 : 43.96tf/㎡

∙ 활 동 : 1.19 ∙ 전 도 : 2.30 ∙ 활 동 : 1.47 ∙ 전 도 : 2.26
성 지진시
∙ 지반반력 : 49.13tf/㎡ ∙ 지반반력 : 52.06tf/㎡

경제 성 1.0 0.96

채 택 ◉

채택사유 ∙ 일체식 구조로 내구성 확보가 유리하고, 시공성에서 유리한 제1안 케이슨식 채택

29
<계 속>

구 분 제 3 안 횡잔교식 제 4 안 벽강관식

단면형상

∙ 마루높이 : DL.(+)10.50m ∙ 마루높이 : DL.(+)10.50m


∙ 선석수심 : DL.(-)11.00m ∙ 선석수심 : DL.(-)11.00m
구조개요
∙ PILE : ∅1,000×16t (Fender pile) ∙ 벽강관 : ∅1,600×25t
∅700×14t ~ ∅609.6×14t ∙ 버팀 널말뚝 : ∅900×15t
∙ 선석수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전면준설후 강 ∙ 선석수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전면준설후 퇴
관말뚝을 기초 암반에 근입 적층의 전면세굴 방지를 위하여 기초사석
∙ 선박에 의한 견인력, 접안력 등 수평하중 및 피복석 설치
의 효과적인 저항을 위하여 전면 강관을 ∙ 전면부 토류 말뚝과 배면 널말뚝을 이용하
구조형식 대구경으로 계획 여 수평하중에 저항
특징 ∙ 배면 구조형식은 콘크리트 블록식을 채택 ∙ 기초굴착 구배는 퇴적층(N≤10) 1:3, 사질
하여 배면토의 유출 및 원호활동을 방지 토층(N>10) 1:1.5로 계획
토록 계획
∙ 기초굴착 구배는 퇴적층(N≤10) 1:3, 사질
토층(N>10) 1:1.5로 계획
∙ 말뚝 선단부가 암반층에 지지되므로 부등 ∙ 말뚝 선단부가 암반층에 지지되므로 부등
침하의 우려가 없음 침하의 우려가 없음
∙ 장래 접안수심의 증설이 유리 ∙ 강관간 연결 차수형 구조로 배면침하의 우
∙ 장비 제한성이 없고 작업장 소요규모 적음 려가 없음
시공성 및
∙ 강재구조로 염해부식에 따른 부식방지 및 ∙ 장비의 제한성이 없고 작업장 소요규모가
장․단점
유지관리 필요 적음
∙ 공종이 복잡하고 시공여건이 불량하여 시 ∙ 강재구조로 염해부식에 따른 부식방지 및
공관리가 어려움 유지관리 필요(지중 Tie Cable 관리 불가)
∙ 공종이 복잡하고 시공성 결여
∙ Pile 응력비 : 0.91(최대) ∙ 벽강관 응력비 : 0.95(최대)
안 평상시
∙ 토류벽 원호활동 : 1.399 ∙ 버팀 Pile 응력비 : 0.88(최대)

∙ Pile 응력비 : 0.90(최대) ∙ 벽강관 응력비 : 0.74(최대)
성 지진시
∙ 토류벽 원호활동 : 1.146 ∙ 버팀 Pile 응력비 : 0.66(최대)

경제 성 1.34 1.16

채 택

채택사유 ∙ 일체식 구조로 내구성 확보가 유리하고, 시공성에서 유리한 제1안 케이슨식 채택

30
4. 안벽 기초공법을 결정한다.

(1)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가) 검토개요
∙ 지반개량의 필요성은 목적하는 대상 구조물에 의하여 결정된다.
∙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라 함은 간극비가 큰 실트나 점토, 압축성이 큰 이탄토와
같은 특수토, 액상화가 발생할 수 있는 세립의 사질토지반 등이다.
∙ 이러한 연약지반상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구조물에 생기는 침하 또는 부등침하
- 기초지반의 지지력 부족으로 인한 성토체의 파괴
- 성토 또는 구조물 하중에 의한 측방유동 및 지반의 융기
∙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연약지반 처리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나) 기초처리공법 미적용시 원호활동 검토


∙ 상부 구조물 케이슨을 대상으로 기초처리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상에서 제시하는 최소 사석층 두께 1.0m만 고려하여 기
초처리 미시행시의 원호활동에 의한 안정검토를 수행하여 기초처리의 필요성을
결정한다.
∙ 지층분포를 파악하여 굴착심도 차이가 크면 여러 구간으로 구분하여 검토를 수
행하고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한다.

<표 1-25> 기초처리공법 미 적용시 구간별 원호활동 검토 사례표

구 분 일반구간 대심도 구간

원호활동
결 과

∙ 최소안전율 : 1.035 ∙ 최소안전율 : 1.006


검토결과 ∙ 허용안전율 : 1.3 ∙ 허용안전율 : 1.3
∙ 평가 : NG ∙ 평가 : NG

31
(다) 기초처리공법 미 적용시 지반 지지력 검토
∙ 기초사석 아래 원지반의 허용지지력은 Terzaghi의 수정지지력 공식에 의하여 산
정하는데 원지반에 작용하는 최대접지압이 지반의 허용 지지력 이내인지 검토하
여 아래표와 같이 작성한다.
∙ 원지반에 작용하는 최대 접지압은 다음식과 같다.

L = b + D{tan(30+α) + tan(30-α)}
H
α = tan-1
V
b : 케이슨바닥폭(16.1m)
D : 기초사석 마운드 두께(1.0m)
α : 합력의 경사각(22.2°)

∙ 점성토 지반의 허용지지력은 다음식과 같다.

1
qa = {1.018 ․ k ․ B + 5.14 ․ C0} + γ2 ․ Df
Fs

Fs : 안전율 (2.5)
k : 점착력 증가계수 (0.14)
B : 기초폭 (17.53m)
γ2 : 기초저면 상부지반의 단위중량 (0.97tf/㎥)
Df : 기초의 깊이 (0m)
C0 : 기초밑면의 점착력 (12.5tf/㎡)

<표 1-26> 기초처리 미시행시 지반 지지력 검토 결과 사례표

CASE V(tf/m) H(tf/m) α(˚) b(m) L(m) Pmax(tf/㎡) qa1(tf/㎡) 평 가

상시 402.518 164.277 22.2 16.10 17.53 42.53 26.70 N.G

(라) 검토결과
∙ 원호활동 검토 결과 일반구간 Fs = 1.035, 대심도 구간 Fs = 1.006으로 기준 안전
율 Fa=1.3을 만족하지 못하며, 원지반 점성토의 지지력 검토결과 작용하중에 대
한 지지력이 크게 부족한 상태이다.
∙ 따라서, 안정성 확보 및 지지력, 침하 방지를 위한 별도의 기초처리 공법 도입이
필요하다.

32
(2) 기초처리공법 선정

(가) 기초처리공법 선정 흐름도


∙ 다음 그림은 중력식 계류시설의 일반적인 기초처리공법 선정 절차를 나타낸 것
으로서 사업 특성에 따라 적용성은 달라져야 한다.

[그림 1-6] 기초처리공법 선정 흐름 예시도

(나) 지반조건 검토
∙ 안벽구간 지층 주상도 분석하여 연약층 두께 등 토층구성상태, 지지층 분포상황
을 파악한다.

(다) 관련자료 수집
∙ 인접부두 적용사례에 대한 설계자료를 수집하여 기초처리공법 선정 결과 및 적
용사유를 분석한다.

(라) 비교공법 선정
∙ 넓은 의미의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하중조절공법, 지반강화공법, 지중구조공법으
로 분류할 수 있으나, 대형구조물에서 적용 가능한 지반강화공법을 검토하여 다
음 표와 같이 적용가능 공법을 도출한다.

33
<표 1-27> 지반개량공법의 적용성 비교 사례표
구분 개량원리 주요공법 개량목적 적용지반 적용성
∙ 활동파괴의 방지
점 성 토
치환 굴착치환공법 ∙ 침하의 감소 ○
유기질토
∙ 지반전단변형의 억제
샌드컴팩션 말뚝공법 점 성 토 ○
사 질 토
바이브로 프로테이션공법
∙ 침하의 감소 유기질토
다짐 바이브로탬퍼공법 ∙ 액상화의 방지 사 질 토
지반 ∙ 활동파괴의 방지 점 성 토
쇄석다짐말뚝공법
강화 사 질 토
동압밀공법 사 질 토

석회계 심층혼합처리공법
∙ 활동파괴의 방지 점 성 토
고결 시멘트계 심층혼합처리공법 ∙ 침하의 감소 ○
∙ 지반의 전단변형방지
점 성 토
분사교반공법
사 질 토

(마) 안벽 기초공법 결정
∙ 앞서 선정된 적용가능한 공법들에 대한 공법별 특징을 파악하고 아래표와 같이
비교표를 작성하고 선정사유를 제시한다.

<표 1-28> 기초처리공법 결정 사례표

구 분 굴착치환공법 모래다짐말뚝공법 (SCP) 심층혼합처리공법 (DWM)

단 면
형 상

∙ 연약층내 다짐 모래말뚝을 ∙ 연약층내 HWS고화재를


공 법 ∙ 연약층을 소요심도까지 굴착 ․
타설하여 지지력 증진 및 이용하여 주상 또는 벽식의
개 요 제거하여 양질의 재료로 치환
침하량 저감 유도 개량체 형성
∙ 개량효과 확실 ∙ 지반보강 및 지지효과 우수 ∙ 내구성 저하우려 및 시공사례
∙ 경제성 우수 ∙ 시공법 복잡 적음
특 징
∙ 인근지역 적용사례 많음 ∙ 양질의 모래 필요 ∙ 시공법 복잡 및 해상 오염
∙ 준설토처리 대책 필요 우려
선 정 ◉
∙ 개량효과 확실
선 정 ∙ 선박 접안시 전면수심 확보를 위한 최소굴착심도 DL.(-)12.5m를 기준으로 할 때 실제 개량두께는
사 유 대부분 구역에서 3.0m~4.0m로 얇아 굴착치환 공법 적용시 경제성 우수
∙ 인근지역 적용사례 많고 공종이 단순해 시공성 탁월

34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설계조건 항목별 외곽시설 및 계류시설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고, 외력 작용방향에 대해 지도한다.

• 항만구조물 설계시 강재 부식에 대한 반영 및 단면이차모멘트 등 단면특성 저감고려, 구조물


별 콘크리트 설계기준 강도 적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 중력식 구조물의 기초 지지력 산정 공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사면안정해석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및 프로그램 활용을 설명한 후 간단한 예제를 과제로 제출토록 지도한다.

• 외곽시설 및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종류 및 특징에 대해서는 관련사진, 표준단면 등의 자료로


시청각 강의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지도검색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한 국내 항만시설 현황
등에 대한 강의계획을 수립한다.

• 선석수심 결정, 마루높이 산정 등 구조물 기본제원 결정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지


개별적으로 질문한다. 그리고, 상부 구조형식 선정 및 하부 기초공법 결정 절차를 먼저 이해시
키고 결정 과정 시 고려하는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설계외력 중 중력식 계류시설에 있어서는 토압 및 잔류수압에 대한 산정방법, 외곽시설에 있어서


는 파압 및 양압력에 대한 산정방법을 숙지한다.

• 강관파일 등의 강재는 부식두께를 고려한 단면특성을 재산정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경우에는


구조물 별 설계기준강도 적용에 대하여 이해한다.

•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직력 및 수평력의 크기가 지반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반복 검토하고, 사면안
정 해석 프로그램 매뉴얼을 숙지하고 실행한다.

• 외곽시설 및 계류시설 구조형식 종류 및 특성, 연약지반 개량공법 종류 및 특성에 대하여 인터넷


이나 기타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 구조물 기본제원 결정 내용을 다른 조 결과와 비교하고 차이점을 이해한다. 그리고, 상부 구조형


식 선정 및 하부 기초공법 결정과정에 대한 의문사항을 질문한다.

35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전체 평면배치계획에 따라 각 시설별 기능에 적합한
구조형식과 공법을 선정할 수 있다.
- 대상구조물의 설치목적, 이용조건, 주변여건과 설계조
건 등을 고려하여 시설물의 마루높이, 마루폭, 전면수
심 등 단면의 기본제원을 결정할 수 있다.
- 구조형식별 적용성 검토를 통해 각 구조형식에 대한
세부구조 형식별 예비타당성을 평가하고, 항목별 평가
가 양호한 구조형식에 대해 세부안별 비교를 시행하
구조형식 검토・
여 구조형식 및 공법에 대한 예비선정을 할 수 있다.
공법 선정
- 예비선정된 기본형식 중 지반여건, 대상선박 특성 및
이용조건, 시공조건, 인접구조물 형식 등을 감안하여
기본안을 선정하고, 대상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성 등
구조형식별 장단점을 비교·검토할 수 있다.
- 검토된 기본안 가운데 구조적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환경성, 유지관리 측면에서 최적안을 채택하고, 구간
별 수심 및 지반조건에 따라 최적의 표준단면을 선정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논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설물의 마루높이, 마루폭, 전면수심 등 단면의 기본
제원을 결정하였는지 확인
- 각 구조형식에 대한 세부구조 형식별 예비타당성을
구조형식 검토・
평가하고, 구조형식 및 공법에 대한 예비선정을 하였
공법 선정
는지 확인
- 예비선정된 기본형식 중 대상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
성 등 구조형식별 장단점을 비교·검토하였는지 확인

36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설물의 마루높이, 마루폭, 전면수심 등 단면의 기본
제원을 결정하였는지 확인
- 각 구조형식에 대한 세부구조 형식별 예비타당성을
구조형식 검토・
평가하고, 구조형식 및 공법에 대한 예비선정을 하였
공법 선정
는지 확인
- 예비 선정된 기본형식 중 대상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
성 등 구조형식별 장단점을 비교·검토하였는지 확인

피드백

1. 논술형시험
-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에 대한 이해와 성취수준이 부족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
출을 통해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대상구조물에 대한 단면 기본제원 결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계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 구조형식 및 공법에 대한 예비선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시설별 구조형식 종류 및
특성에 대하여 이해가 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37
학습 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LM1402010506_14v2.1)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하기
학습 2
(LM1402010506_14v2.2)
학습 3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3)
학습 4 시공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6_14v2.4)

2-1.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
• 구조물의 세부규격은 설계조건과 현지여건 등을 고려하여 구조단위를 검토하고 구
조물의 제원과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 시공시, 완공시, 이상시(폭풍시, 지진시)의 조건에 대하여 단계별로 구분하여 구조
물의 안정성을 검토할 수 있다.
• 외적 안정조건 검토 후 부재의 상세설계를 수행할 때, 대상부재에 대하여 작용하
는 각각의 하중조건을 시공시와 완공시, 이상시로 구분하여 구조물 각 부재에 대
학습 목표 한 각 부위별 모멘트와 철근량을 산정할 수 있다.
• 구조물의 단면과 부재에 대하여 세부 구조해석을 실시한 후, 구조물 형상 및 사용
재료의 특성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보완 및 수정할 수 있다.
• 지진시 시설물의 동적거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기준과 시설물의 특성에
맞는 지진해석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 각 시설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제약조건 및 중점 고려사항을 파악하여 구조
계산 시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기본방향
항만시설의 경우 외곽시설과 계류시설이 가장 대표적인 구조물이며, 계류시설 중 중력식
안벽(케이슨식 구조) 설계 사례를 기준으로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케이슨 제원 결정 (케이슨 상단고, 케이슨 폭, 케이슨 길이 결정 등)

2. 제체 안정검토 (완성시 안정검토, 부유시 안정검토)

3. 단면 세부설계 (케이슨 부재별 작용외력 및 철근량 산정)

4. 안벽 상세제원 결정 (굴착 심도 및 폭, 사석 규격 및 경사, 필터매트 계획 등)

38
 케이슨 설계 기초지식 이해

1. 케이슨 설계

(1) 개요
∙ 케이슨은 방파제 또는 대형안벽의 중력식 구조로 많이 사용되며, 구조물 전체가
일체로 작용하여 파랑 또는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므로 소요안정도 확보상
유리한 구조체이다.
∙ 케이슨은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된 상자모양의 것으로서 부양식 독(dock)이나 육상에
서 제작되고 해상을 예항선 또는 기중기선에 의해 현장으로 운반되어 방파제 또는
중력식 구조의 안벽 본체로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모래나 사석, 슬래그로 케이슨 내
부를 채운다.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2014, p.273)
∙ 케이슨은 그 자체가 큰 단면을 가지며 말뚝 기초에 비해 지지력이나 수평 저항력이
크고 또 수중시공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2) 케이슨 설계 순서
∙ 설계조건의 결정
∙ 단면가정 : 케이슨 각부의 형상 및 치수
∙ 부유시 안정검토
∙ 설계외력의 계산 : 부유시, 거치시, 완성 후에 대한 계산
∙ 부재의 설계 : 외벽, 저판, 격벽, footing에 대한 설계
∙ 부대설계 : 급수전, 임시뚜껑, 윈치기초, 예항용 매입철근

(3) 케이슨 설계시 고려사항

(가) 케이슨 제작시설의 능력


∙ 함대의 크기 및 치수 - 부선거 이용한 설계시
∙ 기중기선의 능력 - 기중기선에 의한 방법 적용시
∙ 콘크리트 타설능력 - 단위당 제작함수 판단기준
∙ 진수능력 등

(나) 제작시설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시설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시공규모에 따라서


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신설 또는 개량하여 사용가능

(다) 각 부재의 소요치수


∙ 외벽두께 : 35~40cm (방파제 파압을 받는 전면벽은 50~60cm)
∙ 격벽두께 : 20~30cm ∙ 저판두께 : 40~60cm
∙ 격벽간격은 5m 내외를 표준으로 함

(라) 케이슨 마루높이는 사석마운드상에 케이슨 거치 후 상치 Con'c 작업이 수상에


서 가능하도록 H.W.L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39
(마) 만재흘수시 케이슨 바닥과 사석 Mound 상부표고와의 Clearance는 0.5m 이상으
로 계획한다. 이때 기준조위는 M.S.L을 적용

(바) 케이슨 각 부재의 형상, 치수 설계시 고려사항


∙ 케이슨을 제작하는 시설의 능력
∙ 케이슨의 홀수와 거치장소의 수심(사석 Mound 마루의 수심)
∙ 자력으로 부유하는 케이슨의 경우에는 부유시의 안정
∙ 예항 및 거치시의 작업조건 : 조류, 파랑, 바람 등
∙ 케이슨 거치 후 의 작업조건 : 속채움 및 상부공의 시공
∙ 부등침하의 검토
∙ 케이슨이 받는 휨, 비틀림의 검토

(4) 부유시 안정검토


∙ 자력으로 부상해야 하는 케이슨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며 안전을 위하여 GM은 만
재홀수의 5% 이상으로 계획함
Iy
     ×D (만재흘수)
CG  GM f
V
- 여기서, V : 배수용적(㎥)
Iy : 흘수면의 장축에 대한 단면2차 모멘트(m⁴)
C : 부심
G : 중심
M : 경심

(5) 설계외력

(가) 부유시의 외력
∙ 측벽, 저판에 대하여 계산한다.
∙ 외력은 만재흘수에 1m 여유를 더한 높이의 정수압을 사용한다.
∙ 외벽에 작용하는 수압은 케이슨 상부에서 저판중심선까지의 거리를 저변으로 하
는 삼각형분포로 한다.

(나) 예항시의 외력
wo
∙ 견인력 T   ⋅CD ⋅A⋅u
g

(다) 거치시의 외력
∙ 격벽에 대하여 검토를 시행하며 통상 격벽간의 수위차는 1.0m로 본다.
∙ 거치시에는 격실간 수위차가 1.0m를 넘지 않도록 시공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40
(라) 완성 후의 외력 - 외벽
∙ 속채움 토압 계산시 토압계수는 0.6으로 하고, 내부토압은 내벽거리와 같은 깊이
까지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계산한다.
∙ 내부수압은 케이슨 내 수위와 L.W.L과의 수위차를 고려하여 적용하고 방파제의
경우에는 제체전면에 파곡이 오는 경우를 고려한다.
∙ 파력은 방파제 케이슨에 대하여 Goda 공식 등을 적용하고 속채움 사석 및 내부
수압을 저항력으로 보고 계산한다.

(마) 완성 후의 외력 - 저판 및 Toe
∙ 저판의 설계외력으로 저면반력, 정수압, 부력, 속채움 중량, 뚜껑중량, 저판중량,
상재하중, 양압력 등을 합성하중으로 환산하여 적용한다
∙ toe는 저면반력, Footing 중량, 재하중을 합성하중으로 사용한다.

(바) 완성 후의 외력 - 격벽
∙ 외벽 및 저판의 격벽으로부터 분리여부를 검토한다.
∙ 외력으로는 속채움 토압, 내부수압, 속채움중량, 재하중, 저판중량, 뚜껑중량, 저
면반력, 양압력, 정수압 등이 접합부에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6) 부재의 설계

(가) 외벽
∙ 3변고정 1변자유 Slab로 해석하며 변장비가 1:5 이상인 경우 1:5 값을 사용한다.
∙ 불균형 모멘트는 외벽의 강비 비율로 분배한다.
∙ 계산에 쓰이는 지간은 벽체간 중심간격으로 한다.
∙ 주철근 덮개는 외측 7cm, 내측 5cm 이상으로 한다.

(나) 저판 및 Toe
∙ 저판은 4변고정 Slab로 설계하고 지간은 벽체간 중심간격으로 한다.
∙ Toe는 캔틸레버로 계산하고 단면은 외벽전면으로 한다.
∙ 주철근 덮개는 외측 7cm, 내측 5cm 이상으로 한다.

(다) 격벽
∙ 거치시의 하중에 대하여 3변고정 1변자유 Slab로 설계한다.
∙ 지간은 중심간격으로 하고 주철근 덮개는 5cm 이상으로 계획한다.

(7) 부대설계
∙ 급수전, 임시뚜껑, winch 기초, 예항용 매입철근, Lifting device 등

2. 케이슨 제작 공법
케이슨 제작은 제작 거푸집의 형태별로 유로폼, 강재거푸집, 슬립폼 등이 있다.

41
<표 2-1> 케이슨 제작공법

구 분 유 로 폼 강 재 거 푸 집 슬 립 폼
∙ 비계는 지상에서 조립하여 ∙ 거푸집을 탈착하지 않고 콘
∙ 대형화, 블록화된 단위거푸집
설치하고, 소형 단위거푸집 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연속적
공법 과 벽체 마감공사를 위한 비
을 조립・해체하면서 구조물 으로 움직이며 잭로드에 의
개요 계틀을 일체로 조립하여 크
을 축조하는 공법 해 상승시켜 가는 공법
레인 등으로 설치하는 공법

∙ 거푸집이 소형으로 대형장비 ∙ 설치와 탈형만을 시행하여 ∙ 전천후 제작 및 시공속도 빠름


불필요 공종이 단순(폼 Shift가 단순) ∙ 작은 규모 제작장 소요
∙ 초기 투자비가 적고 거푸집 ∙ 별도의 비계 설치 불필요 ∙ 시공이음이 없으므로 수밀성,
손료 저렴 ∙ 이음부 감소로 면품질 향상 차페성이 높음
장 점
∙ 국내에 숙련된 기능인력 수 ∙ 시공속도 빠름 ∙ 품질관리가 용이
급 용이 ∙ 고소작업시 안정성 높음 ∙ 대형 케이슨 제작에 유리
∙ 타 거푸집 시스템과의 조합
유리
∙ 이음부를 통한 시멘트 페이스 ∙ 자중이 과중량으로 조립 설 ∙ 대규모 가설공사 필요
트의 누출로 품질관리 불리 치시 대형장비 필요 ∙ 초기 조립시간 및 이동설치
∙ 거푸집 구조적 검토 곤란 ∙ 거푸집 변형시 복구작업 곤란 시간 과다
∙ 고소작업시 비계발판을 사용 ∙ 재질이 강재이므로 외부온도 ∙ 작업중단시 재작업 준비에
단 점
해야 하므로 안전성 취약 에 민감 어려움 발생
∙ 시공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거푸집 면의 청소 및 관리가 ∙ 24시간 연속작업 운영에 따
∙ 많은 인력작업이 필요 어려움 라 정밀한 안전 및 품질관리
필요

자료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 287

3. 케이슨 진수방법의 종류

(1) 개요
∙ 조차가 크고 계획수심이 깊을 경우 중력식 구조물 설계에 있어 대형케이슨의 설계
가 불가피하게 된다. 대형케이슨은 일반적으로 제작장 및 진수공법 결정이 가장 어
렵고 전체 공정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2) 진수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가) 케이슨의 규모

(나) 제작수량

(다) 공기 및 공사비

(라) 자연조건 (설치위치의 지형, 수심여건)

(마) 현지조건 (설치장소까지의 거리와 운반방법)

42
(3) 진수공법의 종류

(가) 기중기선에 의한 방법

(나) 기중기선에 의하지 않는 방법


∙ 기(선박)시설 이용 - 건선거, 부선거, Syncrolift
∙ 지형지물 이용 - 경사로, 사상진수, 가체절

(4) 경사로에 의한 방법

(가) 공법개요
∙ 육상에서 해면으로 경사진 사로를 설치하고 대차를 놓아 케이슨을 제작한 후
사로상을 활강시켜 케이슨을 진수하는 방법

(나) 특징
∙ 경사로 전면수역은 정온하고 수면적 및 수심이 충분하여야 하며 사로경사는
1/15~1/30 범위로 계획
∙ 제작장 겸용으로 할 경우 공사비가 싸고 공사도 용이
∙ 진수대차를 사용하는 경우 제작능력이 커짐
∙ 사로의 부등침하에 따른 이탈, 전도에 대비가 필요
∙ 경사로 선단부 세굴방지 대책수립 필요
∙ 경사로 끝은 최저수위보다 깊게 수중에 위치
∙ 진수시 인근 항행 선박과의 안전 유의

(5) 건선거(Dry Dock)에 의한 방법

(가) 공법개요
∙ 건선거 내에서 케이슨을 Dry 상태로 제작하며 제작완료 후에는 선거 내에 물을
주입하여 케이슨을 부상시켜 선거 밖으로 진수

(나) 특징
∙ 건선거는 시설비가 많이 들고 공사기간도 길어서 케이슨 제작만을 위해 건선거
를 만드는 것은 비경제적이므로 통상 인근 조선소를 임대하여 사용
∙ 한번에 여러 개의 케이슨 제작이 가능하고 진수작업이 매우 안전

(6) 부선거(Floating Barge)에 의한 방법

(가) 공법개요
∙ 부선거를 부상시켜 계류하고 선거갑판상에서 케이슨을 제작한 뒤 진수가능 위
치로 부선거를 예인한 후 부선거를 침강시키고 케이슨을 부상시키는 방법
(나) 특징
∙ 1회 제작수량이 1~2함이므로 대규모 공사에 부적합
∙ 부선거 건조비 및 유지보수비가 많이 들며 접안설비가 갖추어져야 함

43
(7) 가체절(가물막이)에 의한 방법

(가) 공법개요
∙ 가물막이 내에서 케이슨을 Dry 상태로 제작하며 제작 완료 후에는 가물막이 내
물을 주입하여 케이슨을 부상시켜 진수

(나) 특징
∙ 설비는 간단하지만 공기가 길고 제작용량이 작음
∙ 정온하고 조위차가 큰 연안에서 적용가능하고 케이슨 진수시 가물막이 내로 주
수량 조절이 잘 안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음

(8) 사상진수법

(가) 공법개요
∙ 굴입식 항만건설시 항로 또는 박지로 계획된 지점의 모래지반 위에 케이슨을 제
작한 후 pump 준설선으로 준설하여 일정한 수심이 확보되면 케이슨을 부상하여
진수가능하게 됨

(나) 특징
∙ 진수시 케이슨이 기울어져 전도될 수 있음
∙ 준설 중 준설장비와 케이슨의 충돌위험이 있으므로 주의

(9) Ship System (= syncrolift, Aero-go 시스템)

(가) 공법개요
∙ 케이슨을 선로 상의 대차 위에서 제작하고 제작된 케이슨을 레일을 따라 운반되
어 platform에 실리고 이 platform을 하강시킴으로써 케이슨을 부상시키는 방법
∙ 쉽 리프트 플랫폼 (Ship Lift Platform) 시스템의 진수설비는 플랫폼, 체인 잭
(Chain Jack : Hoist Winch), 체인으로 구성되고, 운반설비는 종횡방향의 레일설
치, 대차, 운반기기로 이루어진다. 육상의 레일대차 상에서 케이슨이 제작되면
레일을 따라 운반된 케이슨은 플랫폼에 실리게 되고 플랫폼은 호이스트 윈치에
의해 체인이 서서히 풀리면서 수면 밑으로 하강하여 일정 수심까지 내려가면 케
이슨은 부력에 의해 진수가 가능하게 됨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2014, p.289)

(나) 특징
∙ 대량제작이 가능하나 임시제작 설비로는 비용이 높음

(10) 기중기선에 의한 방법

(가) 공법개요
∙ 케이슨 제작장에 인접하여 기중기선이 접안가능하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케이슨 제작 후 기중기로 케이슨을 인양하고 거치위치까지 예항하거나 진수가능
수심까지 진수

44
(나) 특징
∙ 기중기선이 접안할 수 있는 충분한 수심과 수면적 확보 필요
∙ 케이슨은 기중기의 권상작업이 가능한 Boom 길이 범위 내에서 제작
∙ 제작장 건설비가 저렴하고 케이슨 공기를 최소화 할 수 있음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수방법

(다) 제작시 고려사항


∙ 연간 제작함수를 고려하여 제작공정계획 수립
∙ 제작에 필요한 제작장(면적) 확보 및 제작방법 결정
∙ 콘크리트의 일 타설능력 조사 및 필요시 현장 B/P 설치
∙ 기중기선이 접안 가능한 수심 및 접안시설 확보
∙ 기중기선의 권상작업이 가능한 Boom 길이 범위 내에 작업장 배치
∙ 기중기선의 확보

(라) 거치시 고려사항


∙ 케이슨 거치시기는 3일간 연속적으로 거치위치의 파고가 0.5m 이하인 시기를 택
한다.
∙ 해상조건이 비교적 양호한 곳에서는 소형 기중기선과 winch를 이용하여 거치하
고, 해상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대형기중기선과 예선을 이용하여 거치한다.
∙ 거치위치까지 케이슨을 기중기선에 의해 예항할 것인지 아니면 진수가능 수심까
지만 예항하고 나머지는 부유상태로 예인선에 의해 예항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 거치를 하기 위한 주수시 격실간 수위차는 1m 이하가 되도록 시공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거치작업이 완료되면 곧바로 속채움작업을 시행하여 파랑에 의한 피
해를 방지한다.

45
수행 내용 / 단면 구조해석・상세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기존 항만(해양)설계의 실시설계보고서 샘플 5개

Ÿ 구조해석 프로그램(MIDAS 등) 사용자 매뉴얼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등 전산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구조물 외적안정 검토)

Ÿ SAP, MIDAS 등의 구조해석 프로그램(구조물의 부재력 검토)

안전 ・ 유의 사항

Ÿ 중력식 케이슨 구조물의 경우 제작장 확보 및 기중기 규모 결정에 따라 케이슨 제원이 달라지므로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해야 한다.

Ÿ 일반적으로 상재하중이 있을 경우 활동 및 전도 검토에서는 유리하지만 지지력 검토에서는


불리하므로 구조물 안정계산을 위한 외력의 하중조합은 구조물 안정에 불리한 여러 CASE를
조합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조를 편성한다.

1. 토론 수업 및 협업·발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조를 편성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 학급 학생 수에 따라 5~10명 내외로 계류시설과 외곽시설로 크게 구분하여 조를 편성


한다.

3. 각 조는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 구조물(케이슨) 제원을 결정한다.

1. 케이슨 규격 결정 절차를 이해한다.


∙ 제작・진수공법 및 기중기선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케이슨 규격을 결정
한다.

46
[그림 2-1] 케이슨 규격 결정 흐름 예시도

2. 케이슨 단면을 가정한다.

(1) 안벽 돌출거리 결정

(가) 검토개요
∙ 접안선박의 선체동요시 케이슨 벽체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치 콘크리트
를 해측으로 돌출
∙ 항내에서 발생하는 파고 하에서 만재된 선체의 최대 Rolling에 의한 동요량 검토.
∙ 이에 따른 계류시 안벽과 선체의 충돌 발생 검토

<표 2-2> 일반화물선에 대한 선체동요 기준

선 종 전후동요 좌우동요 상하동요 횡방향동요 종방향동요 선수동요

일반화물선 ± 1.0m ± 0.75m ± 0.5m ± 2.5° ± 1.0° ± 1.5°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712

47
(나) 계류선박의 Rooling에 의한 선체 이동거리 검토
∙ 선박이 안벽에 계류할 경우 바람 및 조류 등에 의해 동요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른 안벽과의 충돌 모식도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852


[그림 2-2] 선체 동요에 의한 안벽과의 충돌 모식도

∙ Rolling에 의한 동요량(L)은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L = Df×Tanα
여기서, Df : 대상선박의 만재홀수(9.8m)
α : Rolling 최대각도(±2.5°)
- L = 9.8×Tan 2.5°=0.43m
(안전율 고려 0.43m×2=0.86m)

(다) 안벽 돌출거리 결정
∙ 만재 선박의 최대 Rolling에 의한 동요량에 대하여 선체와 충돌로부터 안전할 것
으로 판단되는 안벽 돌출거리를 다음표와 같이 검토하여 결정한다.

<표 2-3> 안벽 돌출거리 결정 사례표

방충재변형시 상치 0.5m 돌출시 선체이동 여유거리


방충재 적용
(50%) 높이 안벽과의 거리(ⓐ) 거 리(ⓑ) (ⓐ-ⓑ)

BP-1,000H 0.50m 1.00m 0.86m 0.14m

주 : 여유거리=(방충재 변형시 안벽과의 거리+상치돌출)-선체이동 거리

48
(2) 케이슨 상단고 결정
∙ 케이슨 상단고는 케이슨 거치 및 거치 후 후속작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수상으
로 노출되어야 한다.
∙ 따라서 케이슨 상단고는 상치콘크리트 타설, 방충재 취부 등 육상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시공성과 인근의 케이슨 거치 마루높이 사례를 분석하여 결정한다.

(3) 기초사석 Mound Elevation 결정


∙ 혼성제 단면의 경우 사석마운드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최적단면 선정이 가능하다.
∙ 중력식 계류시설은 선석규모에 따라 사석부 마루높이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석
부 마루높이가 높을수록 경제적이지만, 마루높이를 깊게 계획하면 장래 대형선박 입
항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기중기선의 이용성을 고려하여 중량이 약 1,500톤/함 이하가 되도록 케이슨 제원을
가정한다.
∙ 경제성 및 부두 운영시 장래 확장을 고려, 최적의 기초사석 Mound Elevation을 다음
표와 같이 작성하여 비교·검토하고 채택사유를 제시한다.

<표 2-4> 기초사석부 Elevation 조정에 따른 비교 ․ 검토 사례표

비교1안 비교2안
구 분 비 고
(DL.(-)11.50m) (DL.(-)12.50m)

활 동 1.34 / 1.19 1.31 / 1.17 상시/지진시


안정성
검토 전 도 2.46 / 2.30 2.36 / 2.19 상시/지진시
결과
지반반력(tf/㎡) 45.21 / 49.13 48.05 / 52.62 상시/지진시

규 격(B×H×L, m) 12.1×17.5×9.9 12.4×18.5×9.9


케이슨
제 원 중 량(ton) 1,396 1,475

경 제 성 1.0 1.05

채 택 안 ◉

∙ 기초사석부 Elevation이 높을수록 케이슨 중량의 감소


채택사유 및 케이슨 폭의 감소로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비교1안 채택

49
(4) 케이슨 폭(B) 결정
∙ 케이슨 폭을 결정하기 위해 폭을 제외한 다른 부재들에 대해 임의로 가정하여 안정
성과 지반 반력 등을 개략 산정함으로써 적정폭의 범위를 검토한다.
∙ 이때, 케이슨 제원의 가정치는 케이슨의 높이가 비교적 높고, 인천지역의 조위차가
크기때문에 인해 배면토압 및 수압이 커지는 점을 고려하여 폭을 3열로 배열한다.
∙ 기본제원 가정은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2-5> 케이슨 기본제원 가정 사례표

구 분 제 원 케이슨 단면
Toe 길이(편측) 2.0m

외벽체두께 40cm

내측격벽두께 25cm

바닥슬래브두께 60cm

케이슨 상단고 DL.(+) 6.00m

사석마운드 Elevation DL.(-)11.50m

∙ 케이슨 폭원별 안정성, 경제성 등을 다음표와 같이 작성하고 채택 사유를 제시한다.

<표 2-6> 케이슨 폭 결정 사례표

케이슨 폭(m)
구 분 비 고
11.6 12.1 12.6

활 동 1.29 1.34 1.38 > 1.2

상 시 전 도 2.31 2.46 2.62 > 1.2

지지력(tf/㎡) 47.46 45.21 43.15 < 50

활 동 1.17 1.19 1.22 > 1.1

지 진시 전 도 2.18 2.30 2.42 > 1.1

지지력(tf/㎡) 51.35 49.13 47.09 < 66.7

경 제 성 0.99 1.0 1.01

채 택 ◉

∙ 케이슨 폭이 클수록 안정성 확보에 유리하나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함


∙ 또한 케이슨 폭이 너무 작을 경우 지반반력이 허용 지지력에 너무 근접할
채택사유
경우에는 이상하중에 대한 안정 확보가 곤란한 점을 감안하여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12.1m 채택

50
3. 제작・진수공법을 결정한다.
∙ 선정된 케이슨에 대하여 제작·진수공에 대한 공법특성, 적용성을 다음표와 같이 작성
하고 채택사유를 제시한다.

<표 2-7> 케이슨 제작 ․ 진수공법 검토 사례표

제1안 제2안 제3안


구 분
기중기선에 의한 공법 Dry Dock에 의한 공법 Floating Dock에 의한 공법

개념도

∙ 안벽이나 호안에 근접한 ∙ 기존 조선소의 Dry Dock ∙ 부선의 척수 및 크기에


장소에서 육상 케이슨 내 및 신규 Dock를 건설 제한을 받아 다량 동시
제작 제작 하여 케이슨을 제작 제작에 부적합
∙ 정온한 수면적 및 진수
시 충분한 수심필요

공법
특성 ∙ 케이슨 제작용 부선에서
∙ 제작 완료 후 해상 기중 ∙ 제작 완료 후 Dock 충수
케이슨을 제작한 후 부
기선으로 인양하여 해상 시 케이슨이 부양되면
선을 침수시켜 케이슨을
에 띄워 예인하거나 그 현장까지 운반하여 진수
진수 진수 예인
대로 현장까지 운반하여
진수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적용

∙ 대상지역 인근에 제작가 ∙ 인근에 이용가능한 기존 ∙ 정온수역이 전제되어야


능한 부지 및 전면수심 Dock 이용의 불확실성과 하고 장비수급의 한계
적용성 이 확보가 용이하고 장 시기조정의 제한 및 신 로 채택이 곤란
검 토 비수급에 무리가 없음 규 건설시 Dock 건설비
및 공기 등을 감안할 때
적용이 곤란

채 택 ◉

∙ 케이슨 제작 및 진수시 인양 장비수급이 용이하고 타공법에 비해 경제적인 제1안 해


채택사유
상기중기선을 이용하는 공법 채택

51
4. 케이슨 길이를 결정한다.

(1) 고려사항
∙ 케이슨 길이(L)는 길수록 중량이 커지고 일체성이 증대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지
고 경제성도 유리해지나, 변장비가 너무 커지면 큰 중량으로 인해 길이 방향의 부등
침하 발생 및 권양시 들고리 장력이 커져 불리할 뿐 아니라 기중기선 선정에도 제
한을 받는다.
∙ 따라서, 케이슨의 길이와 중량에 대해 상호관계를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케이
슨 길이 및 중량을 결정한다.

(2) 케이슨 길이 결정
∙ 케이슨의 안정검토 조건을 만족하는 케이슨 제원에 대하여 중량과 사용 가능한 기
중기선을 다음표와 같이 장·단점을 검토하고 채택사유를 제시한다.

<표 2-8> 케이슨 중량에 따른 길이 결정 사례표

구 분 2,000 ton 급 3,000 ton 급

케이 슨
12.1B×17.5H×9.9L 12.1B×17.5H×20.9L
제 원
케이 슨 1,326.1 ton 2,499.3 ton
중 량 (인양중량 1,540.2 ton) (인양중량 2,852.2 ton)
가 능
삼호(3000,2000), 설악호, 삼성호 삼성호, 삼호3000
기중기선

소요함수 42 20

∙ 가용 기중기선이 많아 장비운영이 탄력적 ∙ 거치함수가 적어 공사품질이 양호하고,


장 점
∙ 국내 시공사례 풍부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경제적

∙ 소요함수가 많아 공사기간이 길어 경제성 ∙ 가용 기중기선이 삼성호 한 가지로 케이슨


저하 거치와 관계된 모든 공종이 삼성호의
단 점
일정에 차질 우려
∙ 부등침하에 불리

채 택 ◉

∙ 장비 운영성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전체 공정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고 부등침하


채택사유
등의 안정성에서도 유리한 2,000 톤급 케이슨을 선정

52
5. 케이슨 부재 규격을 결정한다.

(1) 복철근 배근 시 최소 격벽두께(tmin) 검토


∙ tmin = (2 × C) + d1 + (2 × d2) + dm
= (2 × 7) + 1.9 + (2 × 1.9) + 3.33
= 23.03cm → 25cm
∙ 표면부터 수평철근 도심까지 거리(C)
≥ 최소 피복두께(tc) + d1/2 = 5 + 1.9/2 = 5.95cm
→ 7cm : 피복두께 증가로 내구성 강화
∙ 철근 순간격(dm) : 굵은 골재 최대치수(25mm)의 3/4이상
→ 3.33cm

[그림 2-3] 최소 격벽두께 산정 개념 예시도

(2) 벽체 두께 결정
∙ 케이슨 부재별 벽체두께를 다음표와 같이 작성하고 적용사유를 제시한다.

<표 2-9> 케이슨 부재 규격 결정 사례표

구 분 외 벽 저 판 격 벽

설계기준서 추천값 30~60cm 40~80cm 20~30 cm

금회 적용 두께 40 cm 60 cm 25 cm

∙ 설계기준서 추천값
적용사유 ∙ 설계기준서 추천값 ∙ 설계기준서 추천값 ∙ 복철근 배근시 최
소 두께 25cm

53
 지진해석방법을 결정한다.

1. 내진검토 적용기준

(1) 상위개념 : 내진설계 기준연구(Ⅱ) - 건설교통부(1997)

(2) 하위개념 :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 표준서 - 해양수산부(1999.3)

2. 내진 성능기준 결정

(1) 등급 : 내진 2등급 (입지여건 및 대상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달리 적용한다.)

(2) 설계거동한계 : 붕괴방지수준(CLE) - 재현주기 500년

(3) 내용 : 제한적인 구조적 피해는 발생하나, 단기간에 항만시설로써 회복

3. 설계 지반운동 수준 및 구조물 해석방법 결정

(1) 설계지반운동 수준은 설계기준서 상의 구역계수 및 위험도 계수를 고려하여 선정할


수 도 있으나 가급적 지진응답 해석을 수행하여 결정한다.

(2) 중력식 구조물 해석방법은 일반적으로 등가 정적해석법에 의하며, 설계수평지진 가


속도는 최대가속도의 1/2을 적용한다.

4. 액상화 설계기준 설정

(1) 대상지반이 아래표와 같은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액상화 설계기준을 설정한다.

<표 2-10> 액상화 설계기준 사례표

구 분 간 략 예 측 법 상 세 예 측 법

∙ 지진구역 Ⅰ에서의 내진 2등급 항만구조물 ∙ 대상지반의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이


∙ 지층분류가 SE 또는 SF지반으로 지하수위 FS<1.5인 경우
아래의 사질토 지반 ∙ 내진 1등급 구조물인 경우
∙ 주상도상의 표준관입저항치(N)가 20미만인
적용기준
지층
(하나 이상에
∙ 대상지반심도가 20m 이하인 지층
해당되는 경우)
∙ 소성지수(PI)가 10 이하이고 점토성분이
20% 미만인 지층
∙ 세립토 함유량이 35% 미만인 지층
∙ 상대밀도(Dr)가 80% 미만인 지층

본 항만의
∙ 안벽, 호안 ∙ 간략 예측법에 의해 FS < 1.5 인 경우
대상구조물

∙ FS ≥ 1.5 : 액상화에 대하여 안전 ∙ FS ≥ 1.0 : 액상화에 대하여 안전


액상화 판정
∙ FS < 1.5 : 액상화 상세예측 필요 ∙ FS < 1.0 : 대책공법 수행 및 수행후
안전율 기준
지반에 대한 액상화 재평가 필요

54
 제체 안정을 검토한다.

1. 케이슨 단면의 안정검토를 수행한다.

(1) 검토개요
∙ 안벽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는 단면 특성 및 안벽 운영 특성을 고려한다.
∙ 안정 해석은 설계 기준상의 하중조합과 안벽 특성을 고려하여 각 하중 CASE에 대해
제체의 활동, 전도 및 지지력, 원호활동 등 안정성을 검토한다.
∙ 지진시는 등가정적 해석법에 의한 방법으로 검토한다.
∙ 케이슨에 작용하는 외력은 수평력으로 토압과 잔류수압 및 견인력이 작용하며 수직
력으로는 케이슨의 자중과 상재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 이러한 외력들은 평상시와 지진시를 고려하여 다음표와 같이 설정한다.

<표 2-11> 외력산정 기준 사례표

구 분 상 시 지 진 시

∙ 상시(Rankine식 적용)
∅)
Kai = tan²(45-
2
∙ 지진시(Mononobe Okabe식 적용)
토 압
cos2(∅i-θ)

Kai =
cosθ․ cos(δ+θ) (1+ sin(∅i+δ) ․ sin(∅i-θ) )
cos(δ+θ)2

수평력 ∙ 잔류수압 ∙ 잔류수압


(Approx.H.H.W - App.L.L.W) ×1/2 (Approx.H.H.W - App.L.L.W) ×1/2
수 압 ∙ 동수압
7
Pcw = ± kγH²
12

견 인 력 ∙ 70톤(수평력 70톤) / 1함당 ∙ 견인력 제외

관 성 력 - ∙ 제체중량 × Kh (설계진도)

제체중량 ∙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상재하중 ∙ 케이슨, 상치콘크리트, 상재하중

부 력 ∙ 정수면이하 수중체적으로 계산 ∙ 정수면이하 수중체적으로 계산


연직력
∙ 케이슨 직상부 : 2.5tf/㎡
상재하중 ∙ 상시의 1/2 적용
∙ 배면 배후지 : 4.0tf/㎡

55
(2) 하중조합
∙ 안벽구조물이 가장 위험한 하중조건에서 충분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력과
저항력을 구성하는 하중 조합 Case를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2-12> 하중조합 CASE 사례표


연 직 력 수 평 력
구 분 상재 잔류
자중 부력 견인력 토압-1 토압-2 동수압 관성력 견인력
하중 수압
CASE-1 ○ ○ ○ ○ ○ - ○ - - ○

CASE-2 ○ ○ ○ ○ - ○ ○ - - ○
상 시
CASE-3 ○ ○ - ○ ○ - ○ - - ○

CASE-4 ○ ○ - ○ - ○ ○ - - ○

CASE-5 ○ ○ ○ - ○ ○ ○ ○ -

CASE-6 ○ ○ ○ - ○ ○ ○ ○ -
지진시
CASE-7 ○ ○ - - ○ ○ ○ ○ -

CASE-8 ○ ○ - - ○ ○ ○ ○ -
주 : 1. 토압-1 : 상재하중을 미고려한 토압
2. 토압-2 : 상재하중을 고려한 토압

(3) 완성시 안정검토

(가) 작용외력 산정결과


∙ 하중조합 CASE별 작용외력을 계산하여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2-13> 하중조합 CASE별 작용외력 사례표


연 직 력 수 평 력
구 분
하중(tonf) 모멘트(tf․m) 하중(tonf) 모멘트(tf․m)

CASE-1 402.52 3,766.43 145.15 1,188.75

CASE-2 402.52 3,766.43 164.28 1,399.21


상 시
CASE-3 366.02 3,445.23 145.15 1,188.75

CASE-4 366.02 3,445.23 164.28 1,399.21

CASE-5 412.64 3,968.54 188.29 1,539.12

CASE-6 415.30 4,011.47 199.48 1,676.49


지진시
CASE-7 394.39 3,807.94 188.29 1,539.12

CASE-8 397.05 3,850.87 199.48 1,676.49

56
(나) 안정검토 방법
∙ 활동 검토
ΣV (연직력)
Fs = × μ (μ= 마찰계수)
ΣH (수평력)
∙ 전도 검토

ΣMr (연직력에 의한 저항모멘트)


Fo =
ΣMo (수평력에 의한 전도모멘트)

∙ 사석 Mound 지지력에 대한 검토

ΣMr - ΣM0
- x =
ΣV

B B
- e = - x ≤ 일 경우
2 6

6 ․ e ΣV
q = (1± ) × (사다리꼴 분포)
B B

B B 2 ΣV
- e = - x > 일 경우 q = × (삼각형 분포)
2 6 3 (B/2-e)

- 삼각형 분포시 분포폭 b = 3 × (B/2 - e)


∙ 연직력과 수평력의 합성하중에 의한 사석 Mound에 작용하는 지지력 분포 개념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4] 사석 Mound 지지력 분포 개념도

57
(다) 안정검토 결과
∙ 하중조합에 따른 활동, 전도, 지지력 안정검토 결과를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 작성결과 안전율이 허용안전율 대비 과다하거나 과소하면 제원을 재가정하여 안
정검토를 재수행한다.

<표 2-14> 안정검토 결과 사례표


활 동 전 도 사석 마운드 지반반력 (tf/㎡)
구 분
안전율 검토결과 안전율 검토결과 p₁( p₂) 검토결과
CASE-1 1.66 > 1.2 O.K 3.17 > 1.2 O.K 40.34 (9.66) < 50 O.K

상 CASE-2 1.47 > 1.2 O.K 2.69 > 1.2 O.K 45.21 (4.79) < 50 O.K
시 CASE-3 1.51 > 1.2 O.K 2.90 > 1.2 O.K 38.71 (6.76) < 50 O.K

CASE-4 1.34 > 1.2 O.K 2.46 > 1.2 O.K 43.58 (1.89) < 50 O.K

CASE-5 1.31 > 1.1 O.K 2.58 > 1.1 O.K 46.29 (4.98) <66.7 O.K

지 CASE-6 1.25 > 1.1 O.K 2.39 > 1.1 O.K 49.13 (2.46) < 66.7 O.K

시 CASE-7 1.26 > 1.1 O.K 2.47 > 1.1 O.K 45.47 (3.53) <66.7 O.K

CASE-8 1.19 > 1.1 O.K 2.30 > 1.1 O.K 48.32 (1.01) < 66.7 O.K

(라) 사석 Mound 직선활동 검토


∙ 사석 마운드의 직선활동에 대한 검토는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하여 가장 불리
한 하중조건인 CASE-4와 CASE-8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W ․ cosθ- P ․ sinθ
SF = ×μ
W ․ sinθ+ P ․ cosθ

여기서, μ : 마찰계수(=0.8)

[그림 2-5] 사석 Mound 직선활동 검토 개념도

<표 2-15> 사석 mound 직선활동 검토결과 사례표

구 분 θ(°) W1 (tonf) W2 (tonf) ΣW (tonf) ΣH (tonf) 검토결과

상 시 8.80 366.02 41.39 407.41 164.28 1.41 > 1.2 - O.K

지 진시 8.80 397.05 41.39 438.44 199.48 1.28 > 1.0 - O.K

58
2. 케이슨 부유시 안정검토
∙ 케이슨을 제작장에서 현장까지 운반할 경우 해수를 채우지 않을 경우에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안정이 확보되지 않으면 격실 내 주수높이를 가정한 후 운반시 안정
성을 확보한다.
∙ 다음 내용은 케이슨 부유시 안정검토 사례로서 계산 편의를 위하여 Toe 및 헌치는 없
는 단면으로 계획하였다.

(1) 케이슨 단면가정

단 평
면 면

[그림 2-6] 부유시 안정검토를 위한 케이슨 단면도

(2) 해수를 채우지 않을 경우

(가) 케이슨 무게중심(G) 산정

<표 2-16> 내부를 충수하지 않을 경우 케이슨 무게중심 산정 사례표

구 분 체 적 거 리 모 멘 트

저 판 7.5×15.0×0.5 = 56.25 0.5×1/2 = 0.25 14.06


(7.5×15.0-6.4×13.6)×12.0
벽 체 0.5+12.0×1/2 = 6.50 1,985.88
= 305.52
소 계 361.77 5.53 1,999.94

(나) 케이슨 흘수 및 부심 산정
∙ 케이슨 중량(W)
- 361.77×2.45 = 886.34tf
∙ 케이슨 흘수(d)
- W = B(부력) → 886.34 = 7.5×15.0×d×1.03
∴ d = 7.65m
∙ 부심(OC)
- OC = d/2 → 7.65/2 = 3.83m

59
(다) 부유시 안정검토
∙ 케이슨의 단면 2차 모멘트 (I)
l x b³ 15.0 × 7.5³
-I = = = 527.34m⁴
12 12
∙ 안정검토
I 527.34
- GM = - GC = - (5.53-3.83)
V 7.5×15.0×7.65

= -1.09m < 0.05d = 0.38m ∴ N.G

(3) 해수를 채울 경우(충수높이 3m 가정)

(가) 케이슨 무게중심(G) 산정

<표 2-17> 내부를 3m 충수할 경우 케이슨 무게중심 산정 사례표

구 분 주수시 케이슨 중량 거 리 모 멘 트

케이슨 886.34 5.53 4,901.46

주수량 6.4×13.6×3.0×1.03 = 268.95 0.5+3.0×1/2 = 2.0 537.90

소 계 1,155.29 4.71 5,439.36

(나) 케이슨 흘수 및 부심 산정
∙ 케이슨 흘수(d)
- W = B(부력) → 1,155.29 = 7.5×15.0×d×1.03
∴ d = 9.97m
∙ 부심(OC)
- OC = d/2 → 9.97/2 = 4.99m

(다) 부유시 안정검토


I 527.34
- GM = - GC = - (4.71-4.99)
V 7.5×15.0×9.97

= 0.75m 〉 0.05d = 0.50m ∴ O.K

60
수 단면 세부설계를 수행한다.

1. 케이슨 부재설계를 수행한다.

(1) 개요
∙ 케이슨의 부유시, 거치시 및 완성시의 외력조건에 대해서는 강도설계법에 의하여 케
이슨 부재설계를 수행하며, 균열폭 검토 등 사용성 검토는 허용응력 설계법으로 수
행하며 부재설계 흐름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7] 케이슨 부재설계 흐름도

(2) 케이슨 표준단면

[그림 2-8] 케이슨 각부의 명칭

61
(3) 하중조건 설정
∙ 구조계산은 최대 부재력 발생시에도 안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부유시, 거치시 및
완성시 등 시공 단계별로 구분하여 검토하며 각각의 단계에 따른 하중조건은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따라 적용한다.

(가) 부유시의 외력
∙ 케이슨 거치를 위해 예인할 경우 부유시의 외력은 계산상의 흘수에 1.0m의 여유
를 감안한 정수압을 적용.
∙ 외벽에 작용하는 수압은 저판중심선에서 정수압을 높이로 하고 케이슨 상단까지
를 저변으로 한 삼각형 하중이며, 저판에 작용하는 수압은 상기 정수압에서 저판
의 자중을 뺀 값으로 산정.

(나) 거치시의 외력
∙ 외벽 또는 저판은 거치시의 외력보다는 부유시 및 거치 후의 외력이 더 큰 하중
이 되므로 검토를 생략하고 있으나, 후면벽의 경우 거치 후 속채움시 토압에 대
하여 검토를 시행.
∙ 격벽의 경우 내부 수위차를 1.0m로 가정하여 설계하며, 내부토압과 수압에 저항
할 수 있도록 측벽 및 저판과 격벽과의 연결부에 대해서도 검토함.

(다) 완성 후의 외력 (외벽)
∙ 외벽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는 속채움 토압과 내부수압을 검토.
∙ 속채움 토압
- 토압계수(K) : 0.6
- 토압은 벽의 내면거리(b)와 같은 깊이까지 증가하나 그 이후에는 증가하지 않음.

(라) 완성 후의 외력 (저판)
∙ 외벽과 격벽에 에워싸인 고정부에는 저면반력, 정수압, 양압력, 속채움 중량, 뚜
껑 콘크리트 중량, 저판중량 및 재하중을 고려.
∙ Toe에 작용하는 하중은 저면반력, Toe의 중량(부력을 고려) 및 Toe 위에 재하중
을 고려.

(4) 케이슨 부재설계

(가) 해석방법
∙ 강도설계법으로 부재단면을 검토하여 하중조합별 안전측의 결과를 적용함.
∙ 최대 부재력 발생시에도 안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부유시, 거치시, 완성시 등
시공단계별로 구분하여 검토.
∙ 종래에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의 수표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최근
에는 MIDAS 프로그램에 의한 3차원 해석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음.

62
(나) 작용외력 모식도
∙ 다음 그림은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서 제시된 케이슨 부재 위치별 작용외력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저판의 경우에는 작용외력이 다양하므로 설계기준서
를 참고한다.

부유시 (측벽) 부유시(저판)

거치시 (격벽) 완성시 (속채움 토암)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p.645~648

[그림 2-9] 작용외력 모식도

(다) 철근량 산정
∙ 케이슨 부재 위치별 작용외력을 고려하여 철근량을 산정한다.
- 외벽 (전면벽, 후면벽, 측면벽)
- 격벽 (종격벽(해측), 종격벽(육측), 횡격벽)
- 저판 및 Toe
∙ 철근의 간격은 배근 시공성을 고려하여 10cm 혹은 20cm로 설정하며, 균열에 대한 사
용성 검토를 수행하여 배근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또한 종방향 부등침하 발생시 케이
슨 단면의 안정성을 케이슨의 길이 또는 폭의 1/3을 캔틸레버로 보고 일체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63
2. 안벽 상세제원을 결정한다.
∙ 기초굴착 폭원, 기초사석 및 고르기, 뒷채움 사석 및 필터사석, 안벽 전면 피복공, 사석
유출 방지공 등에 대한 상세제원 결정 내용을 아래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2-19> 안벽 상세제원 결정 사례표


구 분 내 용

∙ 원지반 지지력을 확인하고 편심 경사하중에 의한 마운드 안전율 1.2를 확


① 기 초굴 착
보한 상태에서 모래층 N>30 이상을 지지층으로 선정

∙ 0.015~0.03㎥/EA 규격석 적용, 상단고 : DL.(-)11.50m


② 기 초사 석
∙ 사석층을 1.5~2.0m를 유지하고 진동기를 이용한 진동다짐

∙ 0.001~0.03㎥/EA 준규격석 적용
③ 뒷채움 사석
∙ 해상 기중기 투하

∙ ∅100mm 쇄석 1:1.3 구배로 포설


④ 필 터사 석
∙ 필터사석 후면에 Filter Mat(10tf/㎡) 포설

∙ 전면 소단부 3.0m
⑤ 피 복 석 ∙ 케이슨 Toe부 전면에 선박에 프로펠러에 의한 전면세굴 방지를 위해 피복
석 0.1㎥/EA급 설치

⑥ 사석유출방지공 ∙ 케이슨 접속부 후면에 필터매트(10톤급) 2겹을 설치


∙ 케이슨 제작시 DL.(+)5.00 위치에 제작
⑦ 해수유입구 ∙ 해수의 유실시 조위를 이용한 만조시 자체 보충 되도록 P.V.C PIPE(∅
100m/m) 설치

64
(1) 기초굴착 폭원 결정
∙ 안벽구조물 축조지역은 구간별 연약종 두께가 상이하므로 허용지지력 확보 및 허용
침하량을 만족하는 기준으로 준설치환 심도를 계획하며, 이에 따른 사석마운드 층의
두께가 구간별로 달라지게 된다.
∙ 따라서, 기초굴착 심도별 폭원을 상부구조물의 지지력에 의한 하중분포폭에 의하여
검토하여 다음표와 같이 구간별로 기초굴착 폭원을 산정한다.

[그림 2-10] 기초굴착 폭원 결정 개념도

ΣH
- θ = tan-1
ΣV

- 전면부 (θ값은 최대치 적용) : 24.18°


- 후면부 (θ값은 최소치 적용) : 10.17°

<표 2-20> 구간별 기초굴착 폭원 산정결과 사례표

구 간 1구간 2구간 3구간 4구간 5구간 6구간

마운드 상단고 DL.(-)11.50 DL.(-)11.50 DL.(-)11.50 DL.(-)11.50 DL.(-)11.50 DL.(-)11.50

굴 착
DL.(-)13.50 DL.(-)16.50 DL.(-)20.60 DL.(-)15.50 DL.(-)18.50 DL.(-)14.00
심 도
마운드 두께 2.0 5.0 9.1 4.0 7.0 2.5
전면폭(m) 2.77 6.93 12.60 5.54 9.69 3.46
후면폭(m) 0.36 0.90 1.63 0.72 1.25 0.44
적 용
3.0+16.1+0.5 7.5+16.1+1.0 13.0+16.1+2.0 6.0+16.1+1.0 10.0+16.1+1.5 4.0+16.1+0.5
(전면폭+
= 19.6 = 24.6 = 31.1 = 23.1 = 27.6 = 20.6
제체폭+후면폭)

65
(2) 기초사석 및 고르기
∙ 케이슨 기초인 기초사석은 DL.(-)13.50 ~ DL.(-)20.6m까지 0.015 ~ 0.03㎥/EA급
규격석을 시공한다.
∙ 해상투하시 사석의 느슨한 배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다짐기를 이용하여 사
석층 수축침하를 사전에 유도한다.
∙ 케이슨 기초고르기는 양측으로 각각 1.0m씩 여유를 고려한다.

(3) 뒷채움 사석 및 필터사석


∙ 설치높이는 포장, 급수 및 기타시설의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DL(+)9.75m까지
0.001~0.03㎥/EA급 준규격석을 포설한다.
∙ 사석 투하시 케이슨 본체 손상방지를 위하여 해상기중기를 이용하여 투하 계획
을 수립한다.
∙ 뒷채움 사석에 의하여 Mat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100mm 필터사석을 포설한다.
∙ 필터사석 배면에 매립토사 유출방지를 위하여 필터매트(10tf/㎡)를 포설한다.
∙ 다음 그림은 뒷채움 사석 및 필터사석 투하, 필터매트 포설, 배면토사 매립 전
경을 시공순서대로 나타내었다.

[그림 2-11] 뒷채움 사석 투하 전경 [그림 2-12] 필터사석 투하 전경

[그림 2-13] 필터매트 포설 전경 [그림 2-14] 배면토사 매립 전경

66
(4) 안벽 전면 피복공
∙ 직립부 하부의 세굴 또는 대형선박의 스크류 회전에 의해 흡출되면 직립부의 활
동 및 붕괴 우려가 있다.
∙ 따라서, 기초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전면 소단부 폭원을 3.0m를 계획하고 근고부
중량을 다음표와 같이 산정하고 케이슨 Toe 전면에 피복석(0.1㎥/EA) 설치한다.

<표 2-21> 근고부 중량산정 결과 사례표

구 분 계 산 식 계산결과

ρr×Hy33
다니모또 공식 M = 0.001㎥/EA
피복석 Ns3 ․ (Sr-1)3
중량
π․ ρ․ V6
흐름에 의한 단위중량 M = 0.03㎥/EA
48g ․ y × (Sr-1) ․ (con x - sin x3)
3 6

(5) 사석유출 방지공


∙ 케이슨과 케이슨 이음부를 통한 뒷채움 사석 유출로 인한 후면 매립지의 침하
발생 우려가 있다.
∙ 따라서, 케이슨 육측 후면에 필터매트(10톤급) 2겹을 설치하여 사석유출 방지를
도모한다.

3. 상부시설 계획을 수립한다.


∙ 계류시설 계획에 있어서는 부두뜰 및 매립부지에 대한 포장, 배수, 급수 시설에 대한 계
획이 요구된다.

(1) 부두뜰 (Apron) 계획


∙ 부두뜰은 선박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공간으로서 크레인 작업공간, 화물 가치공
간, 화물 적재공간으로 구성되며 설계기준서에 제시되어 있는 안벽의 표준 부두
뜰 폭원은 다음과 같다.

<표 2-22> 부두뜰의 폭원 표준치

선석수심 4.5m 미만 4.5~7.5m 미만 7.5m 이상


10 ~ 20 15 ~ 25 20 ~ 30
∙ 잡화부두(일반적인 경우)
부두뜰 폭원
- 크레인을 위한 공간, 가치공간, 화물적재공간, 교통로 등을 고려
- 배후에 상옥이 있고, ForkLift를 사용하는 경우 15~20m 이상 고려
자료 : 항만 및 어항 설계 기준, p.1108

67
∙ 부두뜰 폭원은 접안시설의 이용형태, 대상화물의 특성, 하역작업시 장비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되며 최근에는 하역장비의 다양화 및 작업의 원활화를 위하여
점차 그 폭이 증대되고 있으며 폭원 산정 개념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15] 부두뜰 폭원 산정 개념도

(2) 포장 설계
∙ 포장형식은 경제성, 시공성,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포장형식을 결정한다.
∙ 일반적으로 에이프런 구간은 중차량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시멘트 콘크
리트 포장(강성포장)으로 계획하며, 배후부지 구역은 연약지반으로 형성되어 장
기침하가 우려되므로 입밀침하 발생시 지반변 위에 적응력이 좋고 부분 보수가
용이한 아스팔트 포장으로 계획한다.
∙ 운영건물 등이 설치되는 관리동 주변은 미관을 고려하여 소형고압블럭 포장으
로 계획하는 경우도 있으며 포장 형식별 단면도는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2-16] 아스팔트 포장 단면도 [그림 2-17] 소형 고압블럭 포장 단면도

68
(3) 배수 설계
∙ 항만부지에서 발생되는 모든 우수는 자연 유하식으로 관로를 통하여 바다로 유
출시키되 최종 방류부는 초기우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유출되도록 계획한다.
∙ 계획 우수량 산정시 강우강도는 하수도 시설기준 등에 의하며 우수 유출량 산
정은 합리식 및 Manning 공식을 설계 사용하고 있다.
∙ 배수관은 흄관, PC관, 닥타일 주철관, PE관 등을 비교하여 시공여건, 경제성 등
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 다음 그림은 배수시설 계획 설계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강우강도, 지속시간,
배수구역 지형검토를 통한 우수관망체계 분석을 통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림 2-18] 배수시설 계획 흐름도

(4) 급수 설계
∙ 급수시설 계획시 소요 급수량은 부두운영에 종사하는 직원들과 이용인구를 위
한 생활용수, 선박에 공급하는 선박급수 또는 선박 화재시에 대비한 소화용수에
대하여 설계기준서에 의거하여 산정하고 있다.
∙ 급수관로 인입계획은 인근지역에서 인입이 가능한지 엄밀히 검토하여야 하며,
관종의 결정은 위생성, 관부설 조건,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69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케이슨 단면 가정 시 안벽 돌출거리 결정, 케이슨 상단고 결정, 케이슨 폭원 결정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2만톤급 이상의 케이슨식 계류시설 구조에서는 동일한 폭원일 경우 전면격실을 모래채움
할 경우가, 해수채움과 대비하여 지반반력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제체폭을 크게 계획하게 되므
로 채움재 비교에 따른 안정계산을 과제로 준비한다.

• 케이슨 제작・진수공법을 설명하고, 가능한 현장이 있는 경우 현장견학을 준비한다.

• 단면 안정검토를 위한 토압 및 파력 등 각종외력 작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설명하고, 구조물


안정측면에서 가장 불리한 하중조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

• 상시, 지진시 및 시공단계별 안정검토 시 허용기준율의 차등 적용 및 하중 등의 외력 적용 차이점


을 설명한다. 또한, 케이슨 부유시 부체구조물의 안정검토 방법을 설명하고 간단한 예제를 과제
로 준비한다.

• 부유시, 거치시, 완성 후 외력에 대한 하중조건을 설명하고 부재 위치별 단면력 산정과정을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케이슨 폭원 별 안정검토를 엑셀 프로그램 등으로 수행하여 허용안전율에 최적인 폭 결정 과정을


숙지한다.

• 케이슨 제작・진수공법에 대해서는 참고자료, 인터넷 등으로 관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한다.

• 설계외력 중 토압에 대해서는 항만 설계기준 및 기타 관련서적을 통하여 구조물 높이별 토압


강도를 산정하고, 파력에 대해서는 외곽시설 형상에 따른 구조물 높이별 파압강도를 산출한다.

• 케이슨 부유시 안정검토를 충수전 및 충수 높이별로 반복 계산하여 부체구조물의 안정검토


방법을 숙지한다.

• 부유시, 거치시, 완성시 작용외력에 대한 케이슨 부재 위치별 단면력 산정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질문한다.

70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구조물의 세부규격은 설계조건과 현지여건 등을 고려


하여 구조단위를 검토하고 구조물의 제원과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 시공시, 완공시, 이상시(폭풍시, 지진시)의 조건에 대


하여 단계별로 구분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할
수 있다.

- 외적 안정조건 검토 후 부재의 상세설계를 수행할 때,


대상부재에 대하여 작용하는 각각의 하중조건을 시공
시와 완공시, 이상시로 구분하여 구조물 각 부재에 대
단면 구조해석・ 한 각 부위별 모멘트와 철근량을 산정할 수 있다.
상세설계
- 구조물의 단면과 부재에 대하여 세부 구조해석을 실
시한 후, 구조물 형상 및 사용재료의 특성 등을 전반
적으로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보완 및 수정할 수
있다.

- 지진시 시설물의 동적거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기준과 시설물의 특성에 맞는 지진해석방법을 적
용할 수 있다.

- 각 시설물에 작용하는 각종 하중과 제약조건 및 중점


고려사항을 파악하여 구조계산 시 반영할 수 있다.

71
평가 방법

• 논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케이슨의 제원과 규격을 결정하였는지 확인.

- 시공시, 완공시, 이상시 단계별로 구분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
단면 구조해석・
- 시공시와 완공시, 이상시로 구분하여 구조물 각 부재
상세설계
에 대한 각 부위별 모멘트와 철근량을 산정하였는지
확인.

- 구조물 상세제원 결정하였는지 확인.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케이슨의 제원과 규격을 결정하였는지 확인.

- 시공시, 완공시, 이상시 단계별로 구분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는지 확인.
단면 구조해석・
- 시공시와 완공시, 이상시로 구분하여 구조물 각 부재
상세설계
에 대한 각 부위별 모멘트와 철근량을 산정하였는지
확인.

- 구조물 상세제원 결정하였는지 확인.

피드백

1. 논술형시험
-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에 대한 이해와 성취수준이 부족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
출을 통해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 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대상구조물에 대한 하중조건 설정 및 하중조합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
계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 케이슨 각 부재에 대한 각 부위별 모멘트와 철근량 산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이해
가 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72
학습 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LM1402010506_14v2.1)
학습 2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2)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하기
학습 3
(LM1402010506_14v2.3)
학습 4 시공계획 수립하기(LM1402010506_14v2.4)

3-1.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


• 설계기준에 따라 시설물의 사용성과 유지관리를 위한 부대시설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 각종 부대시설의 특징과 장단점을 파악하여 경제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유리한 형
식을 결정할 수 있다.
• 현지여건 및 시설 특성을 고려하여 부대시설의 설치위치 및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환경영향피해 저감시설과 원활한 공사추진을 위한 적출장, 제작장, 공사용 도로 등
기타 부대시설을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구조물에 대한 상세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항만 및 어항시설의 경우 부두 특성 및 대상선박 규모와 소요규정과 설계기준에
따라 직주 및 곡주, 방충재, 차막이 등과 같은 부속설비의 적정한 규격과 배치간
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부대시설 종류 및 특성 이해

1. 방충재
∙ 선박의 접안 또는 계류시 선박과 안벽 사이의 충돌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선박과 안벽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다.
∙ 방충재 종류로서는 고무 방충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기(Pneumatic) 방충
재, Foam Filled 방충재 등이 있으며 소형 어선부두에서는 폐타이어를 방충재로 활용하
는 경우도 있다.
∙ 방충설비에는 접안력 등의 반력이 선박에 집중되지 않도록 필요한 경우 방충재에 단위
면적당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Protection Panel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1) 종류
∙ Wooden Pile Type : Rubber fender가 나오기 전 사용한 형식
∙ Rubber Type : 가장 일반적인 형식

73
- 고무의 변형에 의한 접안에너지를 흡수하는 형식으로 특히 조위차가 큰 지역의
잔교식 부두에서는 Fender Pile과 동시 사용
- V, Cell, Bumper, Cylinderical-Type
∙ Pneumatic Fender
- 조위변화에 유동성이 양호하며, 특히 선박계류시 동요가 심한 항만에 사용하면
효과가 탁월
∙ Foam Filled Fender

(2) 방충재 설계순서


∙ 설계조건의 결정 - 대상선박 제원, 접안조건
∙ 방충재의 배치가정
∙ 접안에너지 산정
∙ 방충재의 형식 선정
∙ 방충재의 흡수에너지, 반력, 변형량 계산
∙ 선박의 판변형 검토 - 방충재의 접지압, 허용선복지압
∙ 방충재 선정

(3) 형식 선정시 고려사항


∙ 접안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하며, 잔교식 구조는 반력이 작은 것을
선택
∙ 선체 동요에 대한 유연성이 좋고, 내구성, 유지관리, 경제성이 양호한 형식 선택
∙ 반력이 허용선복지압 초과시 Protection Panel을 설치

2. 계선주
∙ 선박 접안시 계류용 밧줄을 걸기 위한 시설로서, 선좌 양측에 부두 내측으로 멀리 이격
하여 설치하는 직주와, 그 사이에 보조용이나 소형 선박의 계류를 위해 안벽법선에 설
치되는 곡주가 있다.
∙ 안벽시설에서는 평상시의 계류용이나 이・접안시의 조선용으로 사용되는 계선주는 계류
밧줄이 부두뜰에 걸쳐지면 하역작업에 장애가 되므로 수제선 가까이에 곡주만 설치하
는 경우도 있다.
∙ 어항시설에서 소형어선의 경우는 마루높이와 선박의 갑판이 거의 같은 높이가 되므로
계류밧줄이 위로 끌리지 않으므로 직주를 쓰는 경우도 있으며, 종접안하는 휴식부두에
서는 계선고리(계선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돌핀식 구조인 대형 유류부두에서는 비상시 신속한 선박 대피를 위하여 자동 풀림 장치
Q.R.H(Quick Release Hook)를 계선주로 사용하고 있다.
∙ 다음 그림은 계선주 종류별로 설치된 전경을 나타내었다.

74
[그림 3-1] 계선직주 설치 전경 [그림 3-2] 계선곡주 설치 전경

[그림 3-3] 계선환 설치 전경 [그림 3-4] Q.R.H 설치 전경

3. 오탁방지막
∙ 오탁방지막은 해양이나 호안, 또는 하천 등을 준설․매립하거나 항만구조물을 건설할 경
우에 발생되는 토립자와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여 주변지역의 자연환경과 수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고강도 합성섬유로 제작된 토목섬유이다.
∙ 오탁방지막 막체는 투수성으로써 유속을 저감시켜 공사시 발생하는 토립자를 방지막 내
측에서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침강비율이 증가하고 외측 확산의 양도 줄어들게 되
는 구조를 갖고 있다.
(1) 구성
∙ 막체부(Canvas)
∙ 부유부(Float)
∙ 앵커부(Anchor)
∙ 1경간 길이 : 10~20m
(2) 특징
∙ 고강도의 다양한 막체를 생산하여 해상조건에 따라 막체 선정이 자유롭다.
∙ 오탁수의 침강 촉진과 확산방지가 탁월하다.
∙ 5~20kg/m의 경량으로 조립, 설치, 철거가 용이하다.
∙ 파랑에 대한 순응성이 양호하다.

75
(3) 용도
∙ 매립공사시 발생하는 토사와 세립토의 확산 방지
∙ 항로준설, 하상정비 주변의 오탁확산 방지
∙ 항만, 호안 공사시 인근지역의 오탁방지
∙ 해상공사 주변의 양식장과 해수욕장 피해방지

(4) 설치방법
∙ 설치수역 선정
- 오탁발생 기점으로부터 조류방향, 조류속도 등 현장조건을 감안하여 적정위치를
선정, 표시한다.
∙ 앵커 배치
- 해저면의 토질, 해상조건을 고려하여 앵커를 배치한다.
- 앵커의 수중중량은 외력에 의해 막체가 받는 전하중보다 커야 한다.
∙ 방지막 운반 및 배치
- 대형 바지선으로 해당 수역까지 운반한 후 소형 예인보트를 이용하여 정위치로
수상 배치한다.
∙ 현장 설치
- 해저면의 앵커와 오탁방지막의 하부 연결부 간에 설계된 강도와 길이의 와이어
로프로 연결하여 외력에 의한 유동을 방지한다.

(5) 앵커형식
∙ 닻형
- 닻을 이용하여 지반의 점착력에 의한 저항력으로 막체를 고정
- 사질토나 암반 지형에는 적용할 수 없음.
∙ 콘크리트 블록형
- 콘크리트 블록 자중으로 막체를 고정시키거나 사용 후 폐기물이 발생하는 단점
이 있음.
- 폐기물 발생이 없도록 T,T,P 등 유용 가능한 블록을 앵커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 톤백형
- 톤백에 토사 또는 골재를 채워 막체에 연결하며 자중에 의해 고정.
- 콘크리트 블록 형식과 달리 톡백 이외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나, 사용시 특허료
를 지불해야 함.

76
4. 기타 환경영향 저감시설

(1) 세륜세차 시설

∙ 공사차량의 차량 하부 토사 및 이물질 제
거로 공사장 주변도로 청결 도모를 위해
설치하는 시설로서 현장 출입부에 설치
∙ 공사 재료원이나 제작장 입구에도 설치하
며 공사 준공 후 철거

[그림 3-5] 세륜세차시설 운영 전경

(2) 가설 방진막

∙ 공사시행에 따른 차량 이동, 각종 공사장비


운영 등 사업지구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
저감을 위하여 공사장 주변 외곽에 설치

[그림 3-6] 가설 방진막 설치 전경

(3) 초기 우수처리 시설

∙ 초기 우수는 유역 내 산재되어 있는 비점
오염원 등 각종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
으므로 초기 우수 및 월류수 처리 등 비
점 오염원을 차단하여 해양오염 방지를
위하여 배수로 끝단부에 설치

[그림 3-7] 초기 우수처리시설 모식도

(4) 선박육상전원 설비 (AMP : Alternative Maritime Power)

∙ 선박이 항만에 접안하는 동안에 필요한


동력을 육상에서 공급받는 설비로서 정박
중 선박의 대기오염물질 및 소음발생 차
단을 위하여 부두 에이프런에 설치

[그림 3-8] 육상전력 공급 개념도

77
수행 내용 / 부대시설 계획·상세 설계하기

재료·자료

Ÿ 기존 항만(해양)설계의 실시설계보고서 샘플 5개

Ÿ 방충재 종류 및 규격별 흡수에너지 및 반력이 표기된 방충재 카달로그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등 전산장비

Ÿ 공학용 계산기,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접안에너지 산정, 오탁방지막 작용 외력 등 부대시설


규모 검토)

안전 ・ 유의 사항

Ÿ 방충재의 규격은 이용선박 중 최대 선박을 대상으로 산출된 접안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규격을 선정하며, 방충재의 배치간격은 이용가능 선박 중 최소형 선박을 대상으로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계획한다.

Ÿ 차막이, 울타리 등 부대시설의 경우 특성 및 종류가 다양하므로 해당 입지특성에 맞는 제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조를 편성한다.

1. 토론 수업 및 협업·발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조를 편성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 학급 학생 수에 따라 5~10명 내외로 안벽 부속시설 및 환경관련 부대시설로 크게 구분


하여 조를 편성한다.

3. 각 조는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 안벽 부속시설을 설계한다.

1. 방충재 규격 및 배치간격을 결정한다.

(1) 개 요
∙ 선박이 접안시 또는 계류중에는 파랑, 조류 및 바람 등의 영향으로 선박은 동요되며,
이로 인해 선체와 안벽사이에 충격력 및 마찰력이 작용.
∙ 이들로부터 선체 및 안벽구조물의 손상방지를 위해 안벽전면에 방충재 시설을 설치.
∙ 방충재의 규격은 이용선박 중 최대 선박을 대상으로 산출된 접안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규격을 선정.

78
∙ 방충재의 배치간격은 이용가능 선박 중 최소형 선박을 대상으로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계획.
∙ 방충재의 형식 선정은 흡수에너지, 반력 등 물리적 특성 및 경제성, 유지관리
용이성 및 내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형식을 결정.

(2) 검토순서
∙ 방충재 결정은 다음 그림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한다.

[그림 3-9] 방충재 결정 흐름 예시도

(3) 대상선박 제원
∙ 대상 선박은 부두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및 최소 선박 제원을 다음표와 같
이 정리한다.

<표 3-1> 대상선박 제원 사례표

선박규모 선박제원(m)
구 분 전면수심(m)
DWT 전 장 형 폭 만재흘수
최대선형 20,000 170.0 21.0 9.8 DL.(-)11.0

최소선형 5,000 109.0 16.8 6.5 DL.(-)11.0

79
(4) 선박의 접안에너지

(가) 접안에너지 산정 공식

Ms ․ v2
• Ef =( )․ Ce ․ Cm ․ Cs ․ CC
2

여기서,

Ef : 선박의 접안에너지(KJ) v : 선박의 접안속도(m/s)


Ms : 선박의 질량(t) Ce : 편심계수
= 선박의 배수량(Ws)/중력가속도(g) Cm : 가상질량계수
Ws : 선박의 배수량(tf) Cs : 유연성계수 (1.0 표준)
g : 중력가속도(m/s2) Cc : 선석의 형상계수 (1.0 표준)

(나) 접안속도
∙ 선박의 접안속도는 대상선박의 선형, 화물적재상태, 계류시설의 위치 및 구조, 기상 및
해상상황, 끌배의 유무, 크기 등을 고려하여 실측치 또는 기왕의 접안속도 실측자료에
의하여 정한다.
∙ 본 부두는 일반잡화부두로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제시된 접안속도를 검토하여 접안
속도를 V=0.15m/s로 결정한다.

27,406DT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40


[그림 3-10] 선박의 톤급별 접안속도 실적치

80
(다) 선박의 접안에너지 산정
<표 3-2> 접안에너지 산정결과 사례표

구 분 V(m/s) Ms(tf) Ce Cm Cs Cc Ef (tf․m)


40.41
20,000DWT 0.15 2,796 0.684 1.88 1.0 1.0
(44.45)
주 : ( )내는 방충재의 성능오차 10% 고려시

(5) 방충재 형식 선정

방충재 형식 선정 규격 선정 인접시설 사례분석 내구성 증진방안


• 접안에너지를
• BP-Type • 인접부두 Berthing • 선체 및 방충재
흡수할 수 있고
• V-Type Line 고려 손상방지 대책 고려
저반력 발생 규격
• Cell-Type • 유지․관리비 고려
선정
• 흡수에너지
성능오차 10% 고려

∙ 방충재 종류별 흡수에너지 및 반력은 제작회사의 제품소개 카달로그를 입수하여 현장


여건에 맞게 방충재 종류별로 접안에너지를 만족하는 규격을 선정한다.

<표 3-3> 방충재 종류별 흡수 에너지 및 반력 사례표

구 분 압 축 률(%) 흡수에너지(ton.m) 반 력(ton)

BP-800H×1,000L 50 20.8 70.0

BP-1,000H×1,000L 50 32.5 87.5

BP-1,300H×1,000L 50 55.0 113.8

V-800H×1,000L 45 12.0 48.0

V-1,000H×1,000L 45 18.0 60.0

V-1,300H×1,000L 45 31.0 78.0

CELL-1,000H×1EA 52.5 19.2 44.5

CELL-1,150H×1EA 52.5 30.0 58.5

CELL-1,200H×1EA 52.5 37.0 67.2

주 : 방충재의 종류별 흡수에너지 및 반력은 같은 규격이라도 제작회사마다 차이가 있음.

81
∙ 방충재 형식은 방충재 종류별 성능, 특성, 경제성 등을 다음표와 같이 작성하고 적정
형식을 선정한다.

<표 3-4> 방충재 형식 선정 사례표

구 분 BP-TYPE V-TYPE CELL-TYPE

규 격 1,000H×1,500L 1,000H×2,500L 1,150H×2EA



충 압축율(%) 50.0 45.0 52.5

성 흡수에너지(tf․m) 48.75 45.00 60.00

최대반력(t) 131.25 150.00 117.00

• 내구성이 불량 • 접안에너지 흡수능력이 • 개소당 단가 고가


• 선박접안시 반력이 양호 • 시공이 복잡
최대 • 내구성 양호 • 전면 Panel 설치로
• 전면 Panel 설치 • 대형선박에 적합 충격력 분산효과 양호
특 성
불필요 • 시공이 복잡
• 대형 선박접안시 • 유지보수비가 경제적
선박접지압 과다로 손상 • 전면 Panel 설치시
우려 충격력 분산효과 양호

경제 성 1.00 0.68 3.18

선 정 ◉

(6) 방충재의 배치

(가) 배치간격 기준
∙ 방충재 배치는 방충재가 선박의 접안에너지를 흡수하기 이전에 선박이 안벽에
접촉되지 않는 간격으로 배치하며, 이용선박의 규모를 감안하여 결정한다.
∙ 선박은 접안시 어느 정도의 접안각을 가지고 접안하며 선수 또는 선미의 측면곡
률부가 안벽에 최초로 접촉되므로 이용선박의 규모가 작을수록 방충재의 배치간
격이 좁게 된다.
∙ 따라서, 최대선형은 20,000DWT급이나 소형선의 접안시를 고려하여 5,000DWT급
을 기준으로 방충재 간격을 결정한다.

82
(나) 배치간격 결정

[그림 3-11] 방충재 배치간격 산정도

2hr-h2
∙ 2L < 2

여기서, 2L : 방충재 설치간격


h : 선박접안시 방충재 높이 (변형후 높이)
h = 1.0 × 0.5(변형율 50% 적용) = 0.5m (5,000DWT급의 경우 변형률은
25% 적용)
r : 선체곡선 선수부의 곡률반경 (log r = -1.055 + 0.65logDWT) (10°접
안시)
선체곡선 선미부의 곡률반경 (log r = -0.503 + 0.54logDWT) (10°
접안시)

∙ 계획대상 부두에 접안가능 선박은 ∼


20,000 5,000DWT급 화물선으로 배치간격은
다음표와 같이 산정하고, 안벽 이용성 및 케이슨의 규격을 감안하여 방충재 배
치간격을 10m로 결정한다.

<표 3-5> 방충재 배치간격 결정 사례표

r (m)
접안선박 (DWT) h (m) 배치간격 (m)
선 수 선 미

20,000 0.5 55.04 66.66 14.8 ~ 16.3

5,000 0.75 22.35 31.49 11.5 ~ 13.7

83
2. 계선곡주 규격 및 배치간격을 결정한다.

(1) 곡주 규격 선정
∙ 곡주의 규격은 선박의 계류조건 및 안벽시설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70tonf급 규격을 선정한다.

<표 3-6> 곡주 규격 결정 설계기준

직주에 작용하는 곡주에 작용하는


선박의 총톤수 적 용
견인력(tonf) 견인력(tonf)
200톤이상 500톤이하 15 15
500톤이상 1,000톤이하 25 25
1,000톤이상 2,000톤이하 35 25
2,000톤이상 3,000톤이하 35 35
3,000톤이상 5,000톤이하 50 35
5,000톤이상 10,000톤이하 70 50
10,000톤이상 20,000톤이하 100 70 ◉
20,000톤이상 50,000톤이하 150 100
50,000톤이상 100,000톤이하 200 100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51

(2) 배치간격 검토
∙ 안벽 계선주는 대상선박에 따라 달라지며「항만 및 어항설계 기준」에 의하면 20,000
DWT급의 경우 20m 범위 이내로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상치 콘크리트의 신
축이음 간격 및 방충재의 배치 간격 등을 고려하여 20m 간격으로 배치토록 계획한다.

<표 3-7> 곡주 배치간격 설계기준

1선석당 최저
대상선박의 총톤수 곡주의 최대간격(m) 적 용
배치개수(개)

2,000톤미만 10~15 4
2,000톤이상 5,000톤미만 15 5
5,000톤이상 20,000톤미만 20 11 ◉
20,000톤이상 50,000톤미만 20 16
50,000톤이상 100,000톤미만 20 20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1079

84
3. 차막이 형식을 선정한다.

(1) 개요
∙ 차막이는 차량의 추락방지 및 인원의 통행시 안전유도에 필요한 시설이므로 차막이의
구조, 형상, 배치, 재질 및 색상 등은 현장조건에 따라 안전성, 내식성, 내후성, 하역작
업에서의 영향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차막이 형식 선정
∙ 차막이 형식별 특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등을 다음표와 같이 작성하고 채택사유를 작
성한다.

<표 3-8> 차막이 형식별 비교・검토 사례표

구 분 스테인레스 제품 PE 제품

기본형상

∙ 블럭 외부를 얇은 강판 ∙ 폐비닐을 주원료로 한 재활용


(스테인레스 또는 철재) 재질로 제품으로 석분, 카본 등 보강재를
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로 충진 함유하여 품질이 우수하며, 소요
∙ 재질이 철제로서 염분(해수)에 강성과 연성을 갖는 단일제품으로

특 성 약하여 쉽게 부식되고, 내구성이 충격에 강함


부족 ∙ 내화학성으로 염분(해수), 겨울철
∙ 주문제작한 강재 내부에 현장에서 동파, 햇빛 등 온도변화에 강하며
콘크리트 주입 설치하므로 제품의 변색이 없고 내구성이 큼
균일성이 다소 결여

∙ 잡철물 제작설치와 콘크리트 ∙ 경량물로 소운반이 용이하고


타설 등 시공성이 복잡 시공이 간편
∙ 파손 등으로 교체나 유지보수시 ∙ 블럭이 1m단위로 구획되어
시공 성
및 유지보수 기존 잡철물, 콘크리트 등을 파손시 스테인레스 앙카볼트를
파쇄제거 후 신설해야 하므로 풀고 간단히 교체 시공할 수
보수 유지관리가 불리 있어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

채 택 ◉

채택사유 ∙ 안벽 상부 부속시설로서 녹이 슬지 않고 강도가 탁월한 PE 제품을 선정

85
4. 모서리 보호공 재질을 결정한다.
∙ 모서리 보호공은 계류색에 의한 상치콘크리트 모서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서 재
질별 특성, 시공성, 유지관리성에 대하여 다음표와 같이 작성하고 채택사유를 제시한다.

<표 3-9> 모서리 보호공 재질 결정 사례표

구 분 스테인레스 고 무 에폭시판넬 보호공

기본형상

∙ STS재질로 내열에 우수하나, ∙ 고무재질로 충격흡수에 ∙ Epoxy Panel로 강도가 크고


해수에 녹이 발생되는 탁월하며, 염분 해수 환경과 콘크리트와 부착이 양호
성질이 있음 소형선부두 등과 같은 ∙ 부분파손시 유지보수가
∙ 미끄럼마찰이 우수 종접안시에 적합 가능
특 성
∙ 외부 강판재질과 ∙ 부분파손시 유지보수 용이 ∙ 내구성이 우수하나 경제성
콘크리트면에 매입되는 ∙ 충격, 내열, 내한등에 측면에서 불리
앵커로 구성되어 강성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우수하며 견고함 내구성 유지

∙ 상치콘크리트 타설전에 ∙ J-TYPE앵커와 고무모서리를 ∙ 경량이므로 운반이


설치하므로 시공성 및 조립하여 부두 상치작업시 용이하고 조립시공이 간단
부착성이 양호 매입하므로 설치시공이 ∙ 도장이 불필요하고,
∙ 모든 부두에 설치가 간편 기성제품으로 유지보수
시공성 및 가능하며, 가장 보편화되어 ∙ 모든 부두에 설치가 양호

유지관리 있으나 유지보수면에서는 가능하며, 특히 어항 등


다소 불리 종접안이 많이 발생되는
소형선부두에 적합하며
유지보수면에서도 탁월

채 택 ◉

채택사유 ∙ 강성이 우수하며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한 스테인레스 재질을 채택

86
 케이슨 제작장 규모를 산정한다.

1. 케이슨 제작 공정 및 운영방식을 이해한다.


∙ 대상부두에 계획된 케이슨 Type별 규격 및 수량을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한다.
<표 3-10> 케이슨 제작함수 사례표

케이슨 규격 제작 함수 단 면 형 상
A-Type A-Type A1-Type
40함
(12.1B×9.9L×17.5H)
A1-Type
1함
(12.1B×9.9L×17.5H)
B-Type
1함
(12.1B×9.9L×17.5H)
B1-Type B-Type B1-Type
1함
(12.1B×9.9L×17.5H)

계 43함

∙ 케이슨 제작조의 운영방식은 케이슨 총 제작함수 및 제작장 조성여건 등을 감안하여 총


3Cycle로 계획하였으며 케이슨 배치는 1열을 기준으로 한다.
<표 3-11> 케이슨 제작조 운영방식 사례표

구 분 1Cycle 2Cycle 3Cycle 계

제작함수 14함 14함 15함 43함

2. 케이슨 제작장 규모를 산정한다.


케이슨간 최소 이격거리, 차량통행 폭, 철근 및 거푸집 등의 야적장, 기중기선의 접안여
유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 케이슨 저면폭(B=16.1m)을 제작장 법선의 직각 방향으로 배치
∙ 케이슨 제작간격 및 케이슨 그룹간 간격은 2.0m 로 계획
∙ 제작장 소요연장 : 케이슨 15함 + 케이슨 제작간격 + 측면여유
L = (9.9m×15) + (2.0m×14) + (6.5m×2) = 189.5m ≒ 190m
∙ 제작장 소요폭원 : 케이슨 1함 + 전면여유 + 배후작업공간(야적장 및 작업장)
L' = (16.1m×1) + 10.0m + 20.0m = 46.1m ≒ 50m
∙ 1Cycle당 케이슨 제작함수인 15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작장 연장 190m와 폭 50m정
도가 필요한 것으로 산정된 결과를 그림으로 나태내고 현장여건을 확인한다.

87
[그림 3-12] 케이슨 제작장 소요규모 산정 예시도

 환경관련 부대시설을 설계한다.

1. 오탁방지막 규격을 결정한다.

(1) 개요

(가) 설치 목적
∙ 접안시설 축조 및 수역준설시 발생되는 오탁 부유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
여 오탁방지막 설치를 계획한다.
∙ 해상 시공중 발생하는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축조 공사 착수
전에 설치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환경 오염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 특히, 공사위치가 인접부두 및 항로와 인접하므로 설치전에 항만 운영 당국과 충
분한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나) 기능
∙ 오탁방지막의 구조는 FLOAT, CANVAS, ANCHOR로 구성되어 있다.
∙ 투수성이 있는 고강도의 합성 부직포로 형성된 CANVAS로 차단하여 파랑, 바람,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일정 수역 내에서 토립자를 여과, 침강하도록 하
여 오탁수의 유출 확산을 방지한다.
∙ SILT PROTECTOR의 오탁수 확산 방지 효과로는 오탁수의 차단 효과와 오탁입자
의 침강촉진 효과가 있다.

88
(2) 오탁방지막 설계

(가) 설계조건
∙ 오탁방지막 설계는 다음과 같이 설계조건을 설정하고 소요인장 강도를 산정한
후 막체규격을 결정한다.

<표 3-12> 오탁방지막 설계조건 사례표

구 분 단 위 적 용 조 건 비 고

풍 속 (U) m/sec 25.70 최대풍속

조 류 속 (V) m/sec 0.40

수 심 (h) m 20.27 저면고+ App.H.H.W

파 장 (L) m 4.25

파 고 (H) m 0.40 10년 빈도

주 기 (T) sec 1.65 10년 빈도

막 체 폭 (B) m 4.50

Float (d) m 0.50

(나) 제원 결정

<표 3-13> 막체의 소요 인장 강도 및 막체 산정 사례표

소요 인장 강도 적용 막체 인장 강도
20ton/m
11.70 tonf/m
(10.0L×5.0H/span)

<표 3-14> ANCHOR ROPE 및 ANCHOR (닻가지형) 규격 선정 사례표

ANCHOR ROPE ANCHOR

∅12mm (6×24) 40관급

2. 공사용 등부표 규격을 결정한다.

(1) 개요
∙ 주․야간에 작업선이나 항행하는 대․소형선의 안전확보 및 오탁방지막과 그 부속물의
보호를 위해 설치하는 시설이다.
∙ 등부표와 충돌하는 선박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페인트 분사기를 설치하여 유지관리
의 효율성을 제고한다.

89
∙ 외곽 오탁방지막에서 이격거리 25m 지점에 설치한다.
∙ 작업상황을 알리기 위해 공사용 등부표 야간자동 점멸등을 설치한다.

(2) 설계 ․ 검토기준
∙ 항로표지법령(법령 및 규칙)에서 정한 수단 및 종류
∙ 항로표지의 기능 및 규격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고시)
∙ 표준형 부표 제작 및 품질관리기준에 관한 규정(해양수산부 훈령 제251호)
∙ IALA 해상부표식(Maritime Buoyage System Rules)

(3) 공사용 등부표의 제원 결정


∙ 등부표의 제원은 규격별로 수심 및 조류여건을 감안하여 다음표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표 3-15> 공사용 등부표 규격별 설치여건

구 분 LL-24 LS-24 LL-26 LL-28

조류 속 3 Knot이하 3 Knot이하 5 Knot이하 7 Knot이하

해 면 내해역 내해역 전해역 전해역, 강조류

수 심 10~30m 2~20m 10~30m 10~40m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p1418

3. 울타리 형식을 결정한다.

(1) 개요
∙ 항만 시설물 보호 및 인접 부두와의 구획구분의 경계선으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울타
리 시설 계획이 필요하다.
∙ 울타리 시설물의 종류는 외부인의 출입을 저지할 수 있고 부두내 자산보호가 가능하
여야 하며 또한 설치시 타공정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선정한다.

(2) 울타리 형식 선정
∙ 울타리 형식은 제품별로 다음표와 같이 장・단점을 작성하고 채택사유를 제시한다.

90
<표 3-16> 항만부지 울타리 선정 사례표

제 1 안 제 2 안 제 3 안
구 분
I형 펜스 Y형 가시철조망 “바다로 상” 펜스

일반시설물 군부대등 시설물 해양수산부 공모


특 징
울타리용 울타리용 환경 친화적 울타리

∙ 타공정에 간섭 없이 설치 ∙ 타공정에 간섭 없이 설치 ∙ 환경 친화적(미관 고려)


가능 가능 ∙ AL-CASTING이며 도장은
∙ 지주의 재질이 ∙ 가시철조망으로 외부의 불소수지 코팅임
알류미늄이며 철망이 출입이 억제됨
장 ․ 단점
PVC능형망으로 해수에 ∙ 공사비 고가
대한 저항력이 큼 ∙ 미관상 불쾌
∙ 공사비 저렴
∙ 미관상 불쾌하지 않음

채 택 ◉

미관상 특별한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외부의 출입 및 구획구분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채택 사유
수 있으며 공사비가 저렴한 제1안 I형펜스를 채택함

91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방충재, 계선주 등 안벽 부속시설 및 오탁방지막, 등부표 등 환경피해 저감시설의 종류 및 역할에


대해서는 관련 사진 등을 수집하여 시청각 자료로서 설명한다.

• 2만톤급 계류시설의 경우에도 이용선박은 5천톤에서 2만톤까지 다양하므로 안벽 부속시설 규모


결정시 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차막이, 모서리 보호공, 울타리, 공사용 등부표
등 표준화된 제품이 있는 경우 별도의 구조계산이 필요하지 않음을 부연 설명한다.

• 케이슨 제작장 규모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콘크리트 블록 제작장 규모 산정 방법을 과제로


준비한다.

• 환경피해 저감시설인 오탁방지막, 등부표 등의 규격 결정 과정을 2개 이상의 설계자료를 수집하


여 학생들에게 설명한다.

학습 방법

• 안벽 부속시설 및 환경피해 저감시설에 대해서는 사전에 인터넷 등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다.

• 선박의 접안에너지 산정 공식을 이해하고 방충재 카달로그를 입수하여 적합한 방충재를 결정한
다. 또한 다른 조와 방충재 결정과정을 비교한다.

• 케이슨 및 콘크리트 블록 제작장 규모 결정은 설계사례를 2개 이상 수집하여 규모 결정과정을


숙지한다.

• 오탁방지막 규격 결정시 파력, 조류력, 풍압력 등 설계외력 항목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교수님께 질문한다.

92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설계기준에 따라 시설물의 사용성과 유지관리를 위한


부대시설 규모를 결정할 수 있다.

- 각종 부대시설의 특징과 장단점을 파악하여 경제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유리한 형식을 결정할 수 있다.

- 현지여건 및 시설 특성을 고려하여 부대시설의 설치


위치 및 규격을 결정할 수 있다.
부대시설계획・
상세설계 - 환경영향피해 저감시설과 원활한 공사추진을 위한 적
출장, 제작장, 공사용 도로 등 기타 부대시설을 합리
적으로 계획하고, 구조물에 대한 상세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항만 및 어항시설의 경우 부두 특성 및 대상선박 규
모와 소요규정과 설계기준에 따라 직주 및 곡주, 방충
재, 차막이 등과 같은 부속설비의 적정한 규격과 배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논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방충재, 계선주 규격 및 배치를 결정할 수 있는지 확인

부대시설계획・
- 케이슨 제작장 규모를 산정할 수 있는지 확인
상세설계

- 오탁방지막 및 등부표 규격을 결정할 수있는지 확인

93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방충재, 계선주 규격 및 배치를 결정할 수 있는지 확인

부대시설계획・
- 케이슨 제작장 규모를 산정할 수 있는지 확인
상세설계

- 오탁방지막 및 등부표 규격을 결정할 수 있는지 확인

피드백

1. 논술형시험
- 부대시설계획・상세설계에 대한 이해와 성취수준이 부족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
을 통해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방충재, 계선주 규격 및 배치에 대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계사례 분
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 케이슨 제작장 규모 산정에 대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계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 오탁방지막 및 등부표 규격 결정에 대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계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94
학습 1 구조형식 검토·공법 선정하기(LM1402010506_14v2.1)
학습 2 단면 구조해석·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2)
학습 3 부대시설 계획·상세설계하기(LM1402010506_14v2.3)

시공계획 수립하기
학습 4
(LM1402010506_14v2.4)

4-1. 시공계획 수립
• 예산배정, 장비의 특징과 성능, 시공방법에 따라 공사가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도
록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다.
• 공사현장의 지역적인 특성에 따른 계절별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공정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 세부공정에 자재의 구매, 조달, 제작, 설치, 검사 등에 소요되는 기간의 포함여부
학습 목표
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부적절한 경우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 공정관리(PERT/CPM) 특성과 적용방법 및 문제점 발생시 해결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 관련기관 협의 및 인·허가 소요일정을 고려하여 공정을 작성하였는지 여부를 판
별하고 단계별 일정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피드백(Feed back)이 가능한 시공계획
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항만시설별 항만건설공사의 구분 및 공종별 장비의 적용방법

1. 항만시설별 항만건설 공사의 구분


∙ 항만시설을 법령별로 분류하면 항만법에서는 기본시설(수역시설, 외곽시설, 임항교통시
설, 계류시설), 기능시설, 지원시설과 항만친수시설로, 어촌・어항법에서는 기본시설(외곽
시설, 계류시설, 수역시설), 기능시설과 어항 편익시설로 대별된다.
∙ 항만시설별 항만건설 공사의 구분은 다음 표를 참조한다.

95
<표 4-1> 항만시설별 항만건설 공사의 구분

대 분 류 중 분 류 소 분 류

방파제(파제제) 공사 ∙ 사석 경사제, 케이슨 직립제(중력식), 부유식(비중력식) 등


호안 공사 ∙ 사석 경사제, 블록 직립제, 케이슨 직립제 등
외곽시설 갑문 공사 ∙ 문비, 갑실, 주배수장치, 유도제, 관리시설 등
매몰 대책시설 공사 ∙ 방사제, 돌제, 도류제, 비사 방지공 등
침식 대책시설 공사 ∙ 제방과 호안, 돌출제군, 이안제, 양빈공 등
∙ 중력식 : 케이슨, 블록 등
∙ 잔교식 : 연직 말뚝식 잔교, 경사 말뚝식 잔교, 원통 또는 각
통식 잔교, 교각식 잔교 등
∙ 널말뚝식 : 타이로드식, 선박식, 셀식, 자립식, 사항식 등
부두(안벽) 공사
∙ 강판셀식 : 거치식 강판셀, 근입식 강판셀 등
계류 및
∙ 부잔교식 : 푼툰, 연락교, 도교 등
상부시설
∙ 돌핀식 : 말뚝식, 강재셀식, 케이슨식 등
∙ 기타 : 디태치드 피어, 에어쿠션보트의 발착시설 등
∙ 방충재, 계선주와 계선환, 차막이, 모서리보호공, 급・배수, 조
상부시설 공사 명시설, 큰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 계단과 사다리, 난간,
울타리 등
임항 교통시설 공사 ∙ 도로, 주차장, 철도, 헬리포트, 터널, 교량, 운하 등

∙ 화물 하역장, 창고, 하역기계, 목재 하역장, 수산물 및 위험물


하역시설 공사
하역시설 등
보관시설 공사 ∙ 위험물 적치장 및 저유시설, 냉동시설, 상옥, CFS 등
기타
항만시설 여객시설 공사 ∙ 여객승강용 시설, 여객터미널
∙ 수・변전 설비, 예비전원 설비, 피뢰침 및 접지설비, 조명탑
항만전력 공사
설비, 조명 및 전력제어 설비 등
제작장 및 적출장 ∙ 공사용 구조물 제작장
공사 ∙ 공사용 자재 반출・입장 등

∙ 준설 : 개발준설(기초, 박지), 항로준설, 유지준설 등


수역시설 준설 및 매립공사
∙ 매립 : 모래매립, 산토매립, 사석매립, 준설토매립 등

마리나 시설공사 ∙ 외곽시설, 계류시설, 육상보관시설, 상・하가시설 등


초대형 석유탱커
∙ Dolphin, Jacket, 부속시설 등
시설공사
해저 파이프라인
전문시설 ∙ 도관 등의 부설, 방식피복, 전기방식, 보안설비 등
공사
해상 저유시설 공사 ∙ 외곽시설, 계류시설, 보관시설, 부대설비 등
∙ 등대 및 등주, 등표 및 입표, 등부표 및 부표, 교량 표지, 구
항로표지시설공사
조물 표지, 음파 표지, 전파 표지 등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5

96
2. 공종별 장비의 적용방법
∙ 육상공사 및 해상공사에 적용된 각종 사석, 모래 등과 각종 블록, 강재 등에 필요한 운
반, 전치, 적재, 거치 등의 장비 규격은 건설공사 표준품셈에서 정하고 있는 작업규모에
따라 적용하되, 구체적인 장비의 규격은 현장 육・해상 상태와 장비 수급, 시공성, 안전
성 등을 감안하여 현장 실정에 맞도록 조정하여 적용한다(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2014, p.6).

<표 4-2> 구조물공 공종별 적용장비

공 종 세부공종 대표적인 적용장비


∙ 그래브준설선
∙ 펌프준설선
기초굴착
∙ 호퍼준설선
∙ 쇄암선
∙ SCP 전용선(4축 3련)
∙ DCM 전용선(4축 3련)+Silo선
기초처리 ∙ GCP 전용선
∙ 고압분사 전용선
∙ 공통 : 양묘선, 예선
기 초공
∙ 기초사석 투하(해상 수중)
- Setting Brage+대선(Fall Pipe 부착)+굴삭기
- 저개식 토운선(Split Barge)
∙ 피복석 및 근고블록 투하(해상 수중)
기초사석 - 대선(Barge)+크레인
∙ 기초사석 다짐(필요시)
- 3축 진동다짐 전용선, 동다짐 조합선(대선+크레인)
∙ (기초)사석 고르기
- 수중 굴삭기, 수중 로봇, 인력(잠수부)
∙ 육상
제체사석 - 덤프트럭+불도저(굴삭기)
(뒷채움 포함) ∙ 해상
- 굴삭기+대선
각종 블록 ∙ 트레일러(육상 운반), 크레인+대선(거치)

∙ 운반, 거치
구체공 - 해상 기중기선 : 1,000톤, 2,000톤, 3,000톤, 3,6000톤급
케이슨
- Floating Dock : 10,000톤, 20,000톤, 40,000톤급
- 공통 : 예선, 양묘선, Setting Barge
∙ 파일 항타 전용선, 해상 크레인
잔교식 ∙ PRD(Percussion Rotary Drilling)
(Jacket 포함) - 전석층 및 풍화암, 연암층 등 천공
∙ 공통 : 예선, 양묘선, 대선

97
∙ 육상
- 콘크리트 믹서 트럭 + 콘크리트 펌프차
상치콘크리트 ∙ 해상
상부공 - 콘크리트 믹서 트럭 + 콘크리트 펌프차 + 대선
- 해상 Batcher Plant선
∙ 방충재 : 크레인 + 대선
부속시설
∙ 곡주 : 크레인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p.6~7

<표 4-3> 준설 및 매립공 공종별 적용장비

공 종 세부공종 대표적인 적용장비


박지준설 ∙ 펌프준설선
준설공 항로준설 ∙ 그래브준설선
유지준설 ∙ 호퍼준설선
∙ 펌프준설선+(배사관)+불도저(또는 굴삭기)
준설토매립 ∙ 그래브준설선+(토운선)+(덤프트럭, 불도저)
∙ 호퍼준설선+(배사관)+불도저(또는 굴삭기)
매립공
∙ 육상 : 덤프트럭+토운선+불도저
모래매립
∙ 해상 : 언로딩펌프선+토운선, 모래운반선+불도저
사석(산토)매립 ∙ 덤프트럭+불도저(또는 굴삭기)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7

<표 4-4> 연약지반 개량공 공종별 적용장비

공 종 세부공종 대표적인 적용장비


표층처리공 PET, 대나무 매트 ∙ 크레인 포설
∙ 덤프트럭+습지도저
수평배수재 모래, 쇄석포설
∙ 벨트 컨베이어(모래 포설시 적용)
∙ PBD(Plastic Board Drain) 장비
지반개량 연직배수재 ∙ PSD(Pack Sand Drain) 장비
∙ PD(Pack Drain) 장비
선행재하 사석, 모래, 산토포설 ∙ 덤프트럭+불도저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7

<표 4-5> 상부시설 공종별 적용장비

공 종 세부공종 대표적인 적용장비


∙ 콘크리트 믹서 트럭, 콘크리트 스프레더, 콘크리트 피니
콘크리트 포장
포장공 셔, 콘크리트 롤러 페이버
∙ 덤프트럭, 아스팔트 피니셔, 머캐덤 롤러(1차 다짐), 타이
모래, 쇄석포설
어 롤러(2차다짐), 텐덤 롤러(3차 다짐)
부대공 급수/배수/오수공 ∙ 굴삭기, 크레인, 진동롤러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p.7

98
수행 내용 / 시공계획 수립하기

재료·자료

Ÿ 기존 항만(해양)설계의 실시설계보고서 샘플 5개

Ÿ 건설공사 표준품셈 (건설연구원 발행)

Ÿ 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등 관련도서

기기(장비 ・ 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등 전산장비

Ÿ PERT 등 공정관리 프로그램(공정계획 수립)

안전 ・ 유의 사항

Ÿ 계류시설 설계에 있어 토공유용계획은 공사비, 공기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므


로 다양한 CASE를 고려하여 신중히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Ÿ 발주자가 요구하는 예정공기를 준수할 수 있도록 경제성, 시공성 측면과 연계하여 공종별 적용장
비 규격을 결정하여야 한다.

Ÿ공종별 선후공정 및 연계공정을 파악하여 예정공정을 수립하여야 한다.

수행 순서

 조를 편성한다.

1. 토론 수업 및 협업·발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조를 편성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2. 학급 학생 수에 따라 5~10명 내외로 토공사 및 구조물 공사, 매립 및 연약지반 공사로


크게 구분하여 조를 편성한다.

3. 각 조는 조장 및 발표자를 선정한다.

 주요 공종별 시공계획을 수립한다.

1. 토공사 주요공종 공기를 산정한다.


단위 공사별 주공종에 따른 시공방법을 계획함으로써 각 공사의 예정공기를 추정하여 전
체공사의 건설계획에 반영한다.

99
(1) 준설공

(가) 전제조건
∙ 안벽 및 호안기초 및 수역준설시 발생되는 준설토는 영종도준설토 투기장에 투
기하도록 계획

(나) 준설조건
∙ 토 질 : 연약 점성토
∙ 준설량 : 기초준설 346,311m³, 수역준설 241,359m³
- Pump준설 : 기초준설 251,465m³, 수역준설 241,359m³
- Grab준설 : 기초준설 94,846m³
∙ 준설수심 : DL.(+) 4.0m ~ DL.(-) 20.6m
∙ 약최고만조위 : 9.27m
∙ 투기장 거리 : 8km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다) 준설방법
∙ 준설 및 투기여건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12,000HP급 Pump준설선을 사용하여 준
설하고, N≥10 이상의 토질은 그래브준설선으로 추가 굴착하는 것으로 계획함.

(라) 기초준설 공기
∙ Pump준설 작업공기
장비 1조를 운영하면 조성공기는
T = 251,465m³ ÷ 1,191m³/hr ÷ 15hr/일 ÷ 20일/월 ÷ 1조 ≒ 0.7 개월
∙ Grab준설 작업공기
장비 1조를 운영하면 조성공기는
T = 94,846m³ ÷ 127m³/hr ÷ 10hr/일 ÷ 20일/월 ÷ 2조 ≒ 1.9 개월

(마) 수역준설 공기
∙ Pump준설 작업공기
장비 1조를 운영하면 조성공기는
T = 241,359m³ ÷ 1,191m³/hr ÷ 15hr/일 ÷ 20일/월 ÷ 1조 ≒ 0.7 개월

(2) 사석 투하공

(가) 공사조건
∙ 사석투하량
- 기초사석 : 77,572m³ - 필터사석 : 32,435m³
- 뒷채움사석 : 156,078m³ - 피복석 : 2,568m³

100
(나) 운반 및 투하방법
∙ 기초사석
- 준설이 완료되어 계획고가 확인된 지반은 채석장에서 대선으로 해상 운반된
사석을 계획 위치에 투하함.
- 해상운반은 1,500tonf 대선을 사용하며 해상투하시의 투하장비는 유압식 백호
(2.0m³)를 사용함.
∙ 뒷채움사석
- 채석장에서 대선으로 해상 운반하여 안벽의 배후로 진입하여 계획위치에 투
하함.

(다) 투하기간
∙ 장비 1조당 사석 투하량
- 기초 및 뒷채움사석 투하시
1일 10시간 작업으로 계획하면 1일 작업량은
Q = 32.54m³/hr × 10hr/일 ≒ 325m³/일
- 필터사석 투하시
1일 10시간 작업으로 계획하면 1일 작업량은
Q = 65.88m³/hr × 10hr/일 ≒ 659m³/일
- 피복석 투하시
1일 10시간 작업으로 계획하면 1일 작업량은
Q = 18.65m³/hr × 10hr/일 ≒ 187m³/일
∙ 사석 투하 공기
- 기초사석 투하 : 장비를 2개조로 운영
77,572m³ ÷ 325m³/일 ÷ 20일/월 ÷ 2조 ≒ 6.0 개월
- 뒷채움사석 투하 : 장비를 5개조로 운영
156,078m³ ÷ 325m³/일 ÷ 20일/월 ÷ 3조 ≒ 8.0 개월
- 필터사석 투하 : 장비를 1개조로 운영
32,435m³ ÷ 659m³/일 ÷ 20일/월 ÷ 1조 ≒ 2.5 개월
- 피복석 투하 : 장비를 1개조로 운영
2,568m³ ÷ 187m³/일 ÷ 20일/월 ÷ 1조 ≒ 1.0 개월

2. 케이슨공 공기를 산정한다.

(1) 공사조건

(가) 케이슨 제원 및 제작함수


∙ 케이슨 규격별 제원 및 1함당 콘크리트 수량을 다음표와 같이 정리한다.

101
<표 4-6> 케이슨 1함당 콘크리트 수량 사례표

케이슨 규격 제작 함수 1함당 콘크리트 (㎥)

A-Type
40함 569.47
(12.1B×9.9L×17.5H)

A1-Type
1함 566.22
(12.1B×9.9L×17.5H)

B-Type
1함 913.02
(12.1B×9.9L×17.5H)

B1-Type
1함 913.02
(12.1B×9.9L×17.5H)

계 43함

(나) 케이슨 제작장


∙ 1차 제작장 : 본 부두 배후부지 이용 (28함)
∙ 2차 제작장 : 정부 제작장 이용 (15함)

(다) 케이슨 제작시 허용오차


∙ 케이슨 제작시 허용오차는 설계기준서상의 지침을 따르며 공사시방서에도 관
련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표 4-7> 케이슨 제작시 허용오차

구 분 허 용 오 차 비 고

길이, 높이, 폭 (+) 3 cm, (-) 1 cm

벽 두 께 (±) 1 cm

저 판 두 께 (+) 3 cm, (-) 1 cm

푸 팅 높 이 (+) 3 cm, (-) 1 cm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p.364

(2) Cycle당 케이슨 제작 소요기간


∙ 케이슨 제작조 운영방식, 1회전당 제작함수, 월간 제작일수, 총 제작함수 등을 고려
하여 케이슨 제작 공기를 다음표와 같이 산정한다.
∙ 1Cycle당 케이슨 제작함수 : 15함(최대치)
∙ 작업조 운영 방식 : 5개조 운영

102
<표 4-8> 케이슨 1함당 제작공정계획 사례표

제작일수
구 분 높 이 제작 단계 구분
철근조립 거푸집조립 콘크리트타설

1단 0.6m 2일 2일 1일

2단~6단 3.0mx5단 2일 x 5단 2일 x 5단 2일 x 5단

7단 1.9m 2일 2일 1일

계 17.5m 14일 14일 7일

(3) 케이슨 제작공기


∙ 총 제작함수 : 43함
∙ 케이슨 제작회전율 : 14함 x 2Cycle + 15함 x 1Cycle = 43함
∙ 실 제작 기간 : 55일 x 2Cycle + 55일 x 1Cycle = 165일
- 1Cycle 제작일수는 5개조씩 철근조립, 거푸집고립, 콘크리트타설 등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제작기간 및 양생기간을 포함하여 55일로 산정
∙ 총 소요 기간 : 165일 ÷ 20일/월 (월간 실 작업일수) = 8.3개월 ≒ 9개월
(4) 케이슨 거치

(가) 거치 방법
∙ 인접부두와 연결되는 부분을 우선 시공하고 북에서 남측으로 거치
∙ 해상기중기선(2,000tonf급)으로 케이슨을 진수하고, 기 시공된 기초사석층 위에
가치한 후 윈치 등을 이용하여 1함씩 정거치
∙ 호안 접속부 이형케이슨(B & B1-TYPE)의 경우 해상기중기선으로 직접 정거치
∙ 거치가 확인된 후 즉시 속채움재를 투입하고 뒷채움사석을 계속 시공하여 케
이슨 이동 방지

(나) 거치 기간
∙ 1함당 거치일수 : 1.5 일/함 (14함/1항차)
∙ 실거치기간 : 43함 × 1.5일/함 ÷ 20일/월 ≒ 3.2 개월
∙ 케이슨 거치시의 허용오차는 설계기준서상의 지침을 따르며 다음표와 같이 작성
한다.

103
<표 4-9> 케이슨 거치의 허용오차

구 분 허 용 오 차

법 선 (±) 10 cm
중량 5,000ton 미만
거치 간 격 10 cm 이하

법 선 (±) 15 cm
중량 5,000ton 이상
거치 간 격 15 cm 이하
주 : 본 부두의 거치 케이슨은 중량이 2,000ton 미만으로서 케이슨 거치간격은 10cm로 설계 적용
출처 : 해양수산부(2014). 『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p.364

3. 매립공 공기를 산정한다.

(1) 매립계획

(가) 공사조건
∙ 매립량
- 본 공사의 부지 매립량 산출 후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4-10> 단계별 매립량 산정 사례표

구 분 규 격 투입 수량 (m³) 비 고

1단계 선매립 해 사 31,300 후면 매립분

2단계 본매립 해 사 364,820 후면 매립분

∙ 시공조건
- 본 공사의 매립공사는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연약층 위에 해사로 매립하고
P.B.D공법과 재하성토공법을 병행하여 연약층을 개량하는 것으로 계획한다.

(나) 매립기간
∙ 해사매립작업공기 (덤프, 20ton)
덤프 20대를 운영하면 조성공기는
1단계 : T = 31,300m³ ÷ 13.0m³/hr ÷ 10hr/일 ÷ 20일 ÷ 20대 = 0.6개월
2단계 : T = 364,820m³ ÷ 13.0m³/hr ÷ 10hr/일 ÷ 20일 ÷ 20대 = 7.0 개월

104
4. 연약지반처리공(Plastic Board Drain) 공기를 산정한다.

(1) 공사조건

(가) P.B.D 수량
∙ 본 공사에 사용되는 P.B.D공의 제원 및 수량은 다음 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4-11> P.B.D의 제원 및 수량 산정 사례표

구 분 내 용 비 고

P.B.D 규격 B = 10cm, t = 0.3cm

P.B.D 총길이 279,204 m 구매수량 : 292,880m

P.B.D 본수 17,153 본

P.B.D 평균길이 16.27 m

(나) 시공조건
∙ 본 공사에 사용되는 P.B.D공은 연약지반 위에 해사로 매립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연직배수공법으로 사용됨.

(2) 시공방법

(가) 투입장비
∙ 유압식 P.B.D 압입기(250PS) + 리더(Leader)
∙ 케이싱 (Drain Board용)
∙ 자동기록장치

(나) 공법원리
∙ 연약지반 중에 플라스틱보드+필터로 구성된 배수재를 타설하여 수평배수거리
를 짧게 하여 압밀소요시간을 단축

(다) 시공 순서
∙ Sand Mat 포설 → 맨드렐 이용 P.B.D 타설 → 단계별 성토

(3) 시공기간

(가) 장비 1조당 P.B.D 시공량


∙ 1일 10시간 작업으로 계획하면 1일 작업량은 Q = 245m/hr × 10hr ≒ 2,450.0 m/일

(나) P.B.D 시공기간


∙ 장비 1조를 운영하면 P.B.D 시공기간은
T = 292,880m ÷ 2,450m/일 ÷ 20일/월 ÷ 2조 ≒ 3.0 개월

105
 공정계획을 수립한다.

1. 공정계획 기준을 설정한다.

(1) 공정계획의 개요

(가) 공사조건을 고려하여 주어진 공기 내에 설계에 따라 제반 구조물이 건설되도


록 일정계획 수립

(나) 지장물의 이설과 보강 등 행정절차 이행 및 협의에 소요되는 기간 제외

(다) 공사기간은 공사착수 후 36개월간

(2) 공정계획의 기준

(가) 공정계획의 기준은 건설계획 기간 내에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지와 공사비에


중점을 두고 각 공종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일정계획을 수립함.

(나) 작업제한 기준
∙ 케이슨 제작 후 28일 경과 후 거치
∙ 케이슨 거치는 기초사석 진동다짐 및 기초고르기 후 시행
∙ 상부공은 매립토 침하 안정 후 시행

(다) 공정 산정기준
∙ 단위공정(Activity)별 공기는 내역서의 물량을 단위작업조별 일일 작업량으로
분배하여 산출
∙ 작업일수는 인천지역의 기상조건 및 해상조건을 고려한 천기일수와 공휴일 등
을 감안하여 해상작업 가능일수(256일/년) 및 육상가능일수(242일/년)를 산정하
여 적용함.
∙ 단위공정(Activity)은 내역서 상의 공종과 일치하게 작성

106
2. 예정공정표를 작성한다.
∙ 예정공정표는 설계내역서 공종과 연계하여 다음표와 같이 작성한다.

<표 4-12> 예정공정표 작성 사례표

공 종 수량 제1년차 제2년차 제3년차

Ⅰ. 토목공사

1. 안 벽 공 420m

1.1 기초 및 사석공

1.2 구 체 공

1.3 상 부 공

2. 호 안 공 149m

2.1 기초 및 사석공

2.2 구 체 공

2.3 상 부 공

2.4 지반개량공

3. 부지매립공 1식

4. 부지지반개량공 1식

4.1 재하토공

4.2 PBD공

5. 포 장 공 1식

6. 급 ․ 배수공 1식

7. 수역준설공 1식

8. 부 대 공 1식

Ⅱ. 건축공사 1식

Ⅲ. 전기공사 1식

107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구조물공, 준설 및 매립공, 연약지반 개량공, 상부시설공 등에 대한 공종별 적용 장비에 대한


설명을 사진 등 시청각 자료로 준비한다.

• 공종별로 공사물량에 따른 장비규격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설계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설명한다.


또한 선정된 장비는 건설공사 표준품셈 자료를 활용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작업효율을 선택하고
시간당 작업량을 산정하는 공식을 설명한다.

• 계류시설, 외곽시설에 대하여 현장여건을 고려하고 공종별 선・후 관계에 의한 시공 흐름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 PERT 기법에 의한 예정공정표 작성은 전문지식이 필요하므로 막대그래프에 의한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설계사례를 준비한다.

학습 방법

• 구조물공, 준설 및 매립공 등에 대한 조별 분담회의를 통해 공종별 적용장비를 인터넷 등 관련자


료를 수집하여 발표한다.

• 동일한 공종에 대하여 적용장비 규격은 설계적용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해가 부족한 점은
질문한다.

• 계류시설, 외곽시설 등 구조형식별 시공 흐름도에 대한 조별 발표를 통해 상호 연관성 등을


이해한다.

• 막대 그래프에 의한 예정공정표 작성 사례를 분석하고 공사물량에 따른 공종별 공기산정이


적합한지 파악한다.

108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예산배정, 장비의 특징과 성능, 시공방법에 따라 공사


가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다.

- 공사현장의 지역적인 특성에 따른 계절별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공정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 세부공정에 자재의 구매, 조달, 제작, 설치, 검사 등에


소요되는 기간의 포함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시공계획 수립
부적절한 경우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 공정관리(PERT/CPM) 특성과 적용방법 및 문제점 발생


시 해결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 관련기관 협의 및 인·허가 소요일정을 고려하여 공


정을 작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단계별 일정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피드백(Feed back)이 가능한 시
공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논술형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주요 공종별 투입장비에 따른 공사기간을 산정 할 수


있는지 확인
시공계획 수립
- 예정공정표를 작성 할 수 있는지 확인

109
• 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주요 공종별 투입장비에 따른 공사기간을 산정 할수


있는지 확인
시공계획 수립
- 예정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는지 확인

피드백

1. 논술형시험
- 시공계획 수립에 대한 이해와 성취수준이 부족한 경우 재시험 및 과제물 제출을 통해
학습 도달 여부를 재평가한다.

2. 평가자 체크리스트
- 주요공종별 장비조합 설정 및 작업공기 산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간단한 타 설계
사례 분석을 통해 학습시킨다.
- 주요 공종별 시공흐름도 이해 및 예정공정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 이해가 되
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110
∙ 해양수산부(1999).『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 표준서』.

∙ 해양수산부(2005).『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 해양수산부(2014).『항만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해양수산부(2014).『항만 및 어항공사 전문시방서』.

∙ 해양수산부(2014).『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111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박현주(신구대학교)* 곽문수(명지전문대학)* 윤현덕(명지대학교)
권혁주(㈜유신)* 이동수(㈜씨테크알엔디)
김세용(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이한배(㈜건화)
김호상(㈜건일엔지니어링) 이호근(영광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유재흥(경승 D.C.I)* 조재희(㈜이산)
이두성(㈜대영엔지니어링)*
이 원(일진인터내셔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곽문수(명지전문대학)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나현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최영인(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윤재(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