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6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터널설계 철도설계 현황조사 철도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항만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상하수도설계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

하천(댐)설계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철도설계도면 작성 철도설계도면 작성

단지설계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

1-1. 토목구조물 선정 3

1-2. 토목구조물 설계 9

1-3. 조사협의내용 및 신기술 적용 18

• 교수・학습 방법 22

• 평가 23

학습 2. 정거장설계하기

2-1. 시설계획 수립 26

2-2. 정거장 설계 31

2-3. 인터페이스 반영 40

• 교수・학습 방법 44

• 평가 45

학습 3. 차량기지 설계하기

3-1. 입지 선정 48

3-2. 시설계획 및 설계 54

3-3. 시설물 배치설계 60

• 교수・학습 방법 66

• 평가 67
학습 4. 궤도 설계하기

4-1. 궤도구조 선정 70

4-2. 궤도설계 77

4-3. 궤도 유지관리 계획 86

• 교수・학습 방법 90

• 평가 91

학습 5.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

5-1.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인터페이스 협의 94

5-2. 건축 인터페이스 협의 105

5-3. 전력,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113

5-4.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120

• 교수・학습 방법 127

• 평가 128

참고 자료 131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경제성, 시공성, 유지관리 효율성을 고려하여 토목구조물, 정거장, 차량기지, 궤도를 설계하고,
철도토목구조물·궤도·차량·건축·전력·전차선·신호·통신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분석할 수 있다.

선수학습

철도공학 및 법규, 철도일반, 철도공학, 토목 시공학, 교량공학, 터널공학, 궤도공학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1. 토목구조물 선정
1. 토목구조물
1-2. 토목구조물 설계 1402011004_14v2.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
설계하기
1-3. 조사협의내용 및 신기술 적용
2-1. 시설계획 수립
2. 정거장
2-2. 정거장 설계 1402011004_14v2.2 정거장 설계하기
설계하기
2-3 인터페이스 반영
3-1. 입지선정
3. 차량기지
3-2. 시설계획 및 설계 1402011004_14v2.3 차량기지 설계하기
설계하기
3-3. 시설물 배치 설계
4-1. 궤도구조 선정
4. 궤도
4-2. 궤도 설계 1402011004_14v2.4 궤도 설계하기
설계하기
4-3 궤도유지관리 계획
5-1. 토목구조물-궤도-차량 토목구조물-궤도-차량
1402011005_14v2.1
인터페이스 협의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하기
건축 인터페이스 협의,
5. 인터페이스 5-2. 건축 인터페이스 협의 1402011005_14v2.2
반영하기
협의 및
5-3. 전력, 전차선분야 전력, 전차선분야
반영하기 1402011005_14v2.3
인터페이스 협의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하기
5-4. 신호, 통신분야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
1402011005_14v2.4
인터페이스 협의 협의, 반영하기

핵심 용어

토공, 교량, 터널, 노반, 궤도, 레일, 분기기, 정거장, 차량기지, 궤도부설, 궤도유지관리, 건축인
터페이스, 전력・전차선인터페이스, 신호・통신인터페이스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
학습 1
(LM1402011004_14v2.1)
학습 2 정거장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2)
학습 3 차량기지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3)
학습 4 궤도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4)
학습 5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LM1402011005_14v2.1,2,3,4)

1-1. 토목구조물 선정

• 토공/교량/터널형식별 특성을 이해하고, 종단계획에 따른 현장 특성을 감안하여 토목


학습 목표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노반계획의 이해

1. 관련 계획 조사분석 결과와 현지조건을 고려하여 노선 및 정거장 입지를 대안별로 계획


해야 한다.

2.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은 선로구조물 계획과 관련 분야 간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계획해


야 한다.

3. 노선의 입지는 주변 경관 및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최적노선을 선정해


야 한다.

4. 토공, 교량, 터널, 정거장위치 등 선로구조물 계획을 반영한 지반조사를 시행하고, 특히


연약지반 등 특수한 지역의 지반조건 변화에 의한 사업비 변동이 예상되는 구간은 세
부지반조사를 시행하여 수리·수문, 지장물 등 현지조건의 조사결과와 지반조사 결과를
반영한 선로구조물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 친환경적 철도노선선정

1. 환경친화적인 철도건설을 할 수 있게 철도노선선정은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단계에서


부터 환경영향성을 검토해야 한다.

3
2. 철도노선계획수립을 위한 관련 계획 검토와 현장조사에는 철도, 구조, 토질, 교통, 환경,
문화재 등 관련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여 의견 수렴을 거쳐 노선대안을 선정한다.

3. 초기단계 설계자문에서는 철도, 구조, 토질, 교통, 수자원, 시공 및 안전, 문화재, 환경


분야 전문가 또는 관계기관이 참여하여 주요사항을 검토한다.

4. 노선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 및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환경영향 저감대책 등을 수


립한다.

4
수행 내용 / 토목구조물 선정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노반편)


하천 및 도로교 설계 관련 규정 및 기준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단가산출기준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문서 작성용 S/W

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선형 계획하기

1. 평면선형 계획하기
평면선형을 노선의 기능과 설계속도에 따라 가능한 대안노선을 선정하고, 대안노선에 대
하여 열차운행성 등 기술성과 경제성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관계기관 등의 의견을 수
렴하여 최적노선을 계획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평면선형의 곡선반경은 설계속도에 따라 철도건설규칙 등 관계규정에서 정한 최소


곡선반경 이상이어야 한다.

(2) 평면선형은 노선의 기능과 설계속도에 적합해야 하고, 노선 전 구간의 평면 및 종단


선형 상 균형성을 유지하며 장래 속도 향상을 고려해야 한다.

5
(3) 지형 상 상습 홍수범람 지역이나 대규모의 연약지반, 비탈길이가 긴 깎기 지형 등
의 취약지형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4) 급경사의 비탈지형으로 토사붕괴나 눈사태지역, 용수 등의 상시 습한 지역은 피하


고, 가급적 양지지형으로 계획한다.
주요 도로의 평면교차, 밀집시가지지역, 문화유적보전지역 및 대규모의 묘지지역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2. 종단선형 계획하기
종단선형은 해당 노선의 설계속도 수준과 차량성능을 감안하여 표정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선형으로 선정한다. 종단선형을 선정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1) 종단선형은 전 구간에 걸쳐 평면 및 종단선형의 균형성을 확보할 수 있게 긴 구간


의 최급기울기나 수평기울기를 무리하게 설정하지 않도록 한다.
선로의 시공기면은 가급적 자연지반 경사도를 감하여 지나치게 높거나, 얕지 않게
정해야 한다.

(2) 선로의 시공기면은 하천의 최대홍수위와 도로 등 입체교차시설의 다리밑 공간높이


를 확보할 수 있게 정해야 한다.

(3) 하향최급기울기에서 상향기울기 변경점설정은 가급적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양쪽 기울기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설정해야 한다.

(4) 기울기의 변경점은 평면선형의 직선 또는 원곡선 구간에 설치한다.

󰊲 토공계획하기
토공설계는 관련되어 있는 교량, 터널 등 모든 구조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계획한다. 시공기면과 비탈면의 계획은 쌓기, 깎기와 비탈면 경사도를 토질조사 결과 및
제반 자료에 의거하여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토공설계는 철도 설계기준(노반편 2013. 12), 철도공사 전문 시방서(토목편), 철도의 건


설 기준에 관한 규정(2013. 05) 및 과업지시서를 준수한다.

2. 콘크리트궤도 및 자갈궤도의 특성을 고려하여 토공노반 강도를 확보하는 방안과 침하대


책을 수립한다.

3.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등 조건에 따라 노반의 열화 및 부등침하방지 대책을 수립한다.

4. 노반강도 및 열차주행성을 확보하여 토공노반을 계획하고, 배수처리를 적정하게 한다.

5. 비탈면 기울기는 토질조사 결과 및 제반자료에 의거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계획


한다.

6
6. 농·어촌 도로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준수 및 장래 확장에 용이하도록 통로BOX를
계획한다.

7. 지장물 발생구간은 지장물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적정 구조물로 계획 및 설계한다.

8. 수로BOX 구조물은 수리계산 결과 및 유지관리를 감안한 적정규모로 하되 최소 1.0m


(폭)×1.5m(높이) 이상으로 계획한다.

9. 시공기면 폭은 건설기준에 따라 보수용 통로 및 전철주 설치를 감안하여 계획하고, 옹


벽, 수로 등 구조물 설치 시 구조물 두께는 노반 폭원에 제외되도록 계획, 전철주 등
부속시설설치 시 토공 구조물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한다.

10. 길내기 및 개천내기는 현지 여건을 감안하여 지역주민에게 불편이 없도록 우회도로의


개설, 입체교차 등으로 설계한다.

11. 기존 농업용수 시설의 이설 및 대체시설은 기존시설 규모와 동일하게 계획한다.

󰊳 교량계획하기
하천지역에 설치되는 교량은 하천설계기준에 따라 경간장 등을 정하고, 경간장에 때라 교
량 형식을 선정한다.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교량은 해당 하천의 하천정비계획 등 수리·수문 조사결과에 따라 경간장과 교량의 높


이와 길이를 정해야 하며, 하천정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하천은 수리·수문조사를 시
행해야 한다.

2. 하천정비계획은 수립되었으나, 하천정비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하천은 하천정비계획을


토대로 하여 제방의 여유고 등을 확보할 수 있게 교량을 계획해야 한다.

3. 교량은 가급적 하천의 유수방향에 직각되게 계획하여 홍수 시 등에 유수 상 지장을 최


소화하게 해야 한다.

4. 교량 전후에 작은 교량이나 구교를 연속해서 설치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경간길이나


교량길이를 정해야 한다.

5. 교대 등 하천공작물을 제방에 설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부득이한 경우 제방의 안정


이 확보될 수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

6.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교량의 경우, 교각이 하천의 전체 폭에 걸쳐서 배치되


지 않게 계획해야 한다.

7. 다리밑 공간높이는 하천의 경우 “하천설계기준”을, 도로의 경우는 “도로의 구조·시


설기준”에 따라야 하며, 해상 등 선박이 통행하는 교량은 이를 고려하여 교량을 계획
해야 한다.

7
8. 농경지의 농로와 마을 간 도로에 설치되는 교량은 농경용 차량·장비와 농산품 운반차량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게 교량의 경간과 다리밑 공간높이를 정해야 한다.

9. 주거지역에 근접한 교량은 환경영향 평가결과 등을 토대로 하여 경관성 및 환경성을 최


적화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터널 계획하기
터널이 필요한 경우 터널의 단면적과 단면형상, 공법을 다음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1. 터널은 단층, 파쇄대, 퇴적토, 편압 등 취약한 지형이나, 계곡을 피하여 가급적 능선을
따라 그 위치를 정한다.

2. 터널의 길이는 평면곡선과 종단기울기, 갱구부의 편압이나 깎기 토량, 열차운행상 안정


성과 유지보수성을 검토하여 정한다.

3. 터널구간의 선로기울기는 배수 및 자연환기를 위해 가급적 한 방향 기울기로 하며 부득


이 양방향 기울기로 할 경우 배수와 환기가 원활하게 한다.

4. 터널의 갱구는 계곡부의 수로 등을 피하고, 갱문 뒤의 비탈길이를 가급적 짧게 하며,


지형상 낙석 등이 예상되는 구간은 터널길이를 길게 하거나 낙석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열차안전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5. 터널 내의 배수시설은 배수로 수위를 시공기면보다 낮게 하여 터널 내 배수가 용이하게


한다.

6. 시가지나 집단마을 등의 하부를 통과하는 터널은 공사 중이나 열차운행 중에 생활환경


또는 터널의 안전성에 지장이 없도록 터널의 구조와 시공법 등을 정한다.

7. 1km 이상의 터널은 안전성 분석결과에 따라 방재시설에 대한 검토를 한다.

8. 터널 단면은 열차고속주행에 따른 공기압 영향과 곡선구간에서 선로중심간격 및 건축한


계의 변화를 고려하여 정한다.

8
1-2. 토목구조물 설계

• 역학개념의 이해를 통해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는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학습 목표
있다.

필요 지식 /

󰊱 철도구조물의 설계일반

1. 노반시설은 설계속도에 대하여 안정성, 기술성, 시공성, 경제성이 확보되고, 노선의 기


능과 성능이 적합해야 한다.

2. 노반시설은 차량한계 내의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건축한계를 저촉하지 않


아야 한다.

3. 노반시설은 환경친화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4. 노반시설은 사용기간 중 화학적, 물리적 작용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해야 한다.

󰊲 철도구조물 계획

1. 철도시설의 계획은 해당 노선의 기능과 성능, 안전성과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


획해야 한다.

2. 시설물 형식은 시공 시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완공 후 유지관리가 용이한 단순한 구조


형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3. 주위의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환경친화적인 계획을 하고, 특히 소음·진동 저감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4. 철도운행으로 인하여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될 경우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는 계획을 해야 한다.

5. 구조물의 변형 및 안정성과 관계되는 규정 외에 재료의 거동, 고속차량운행에 따른 공진


등 구조물과 차량의 운행조건이 만족되는 계획을 해야 한다.

6. 원활한 철도시스템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7. 도로, 하천, 기타 기존 시설물과 교차되는 경우에는 교차조건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 후


입지 여건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9
8. 고속철도 계획 시 운행에 따른 다음 사항을 특별히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 열차풍의 영향
- 공진 발생의 영향
- 터널구간의 공기압 영향

10
수행 내용 / 토목구조물 설계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노반편)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문서 작성용 S/W

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열차하중 계산하기

1. 하중의 종류 검토
철도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은 그 종류가 다양하므로, 면밀히 검토하여 작용하는 하중의
종류와 그 크기를 정확히 정리한다. 하중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영구하중
- 고정하중(자중)
- 2차 고정하중(부가되는 고정하중)
- 환경적인 작용하중
- 간접적인 작용하중

(2) 운행하중
- 표준열차하중

11
- 충격
- 수평하중: 차량횡하중, 캔트효과, 원심하중, 시동하중과 제동하중

(3) 기타 하중
- 풍하중
- 온도변화의 영향: 교량 설계 시 온도변화, 단면에서의 온도변화율, 궤도-구조물 간의
상호작용
- 장대레일 종하중
- 2차 구조부분, 장비, 설비 등에 작용하는 하중: 유지보수 통로하중, 군중하중, 승강장
에 재하되는 하중, 난간하중, 방음벽, 지주 하단에 작용하는 하중, 마찰저항하중, 화
물하중
- 기타 하중

(4) 특수하중
- 충돌하중
- 탈선하중
- 가설 시의 하중
- 지진의 영향

2. 하중의 조합
하중 종류 중 설계대상 구조물의 조건에 따라 작용하는 하중을 선별하고, 시공 중, 준공 후,
열차 통과 시의 경우에 하중을 조합한다.

󰊲 흙구조물 계획하기

1. 흙구조물의 시공기면 폭 및 횡단기울기 결정하기


철도건설에 필요한 시공기면의 폭과 횡기울기를 결정한다. 결정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흙구조물의 시공기면 폭은 열차하중의 분산범위, 노반의 차수성, 시공기면의 배수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2) 흙구조물의 시공기면 폭은 철도건설규칙에 따라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으로 구분한다.

(3) 깎기구간의 시공기면 폭은 본선수로 또는 측구에 접속하는 위치까지로 하고 옹벽이나


수로 콘크리트 등 본선부속구조물을 설치할 때에는 구축물이 접속하는 위치까지로
한다.

(4) 시공기면의 횡단기울기는 우기 시 배수를 위해 시공기면 폭 중심에서 선로횡단 측


구방향으로 3%의 기울기로 한다.

(5) 쌓기 구간의 시공기면 폭은 본선부속구조물을 설치할 때에 구조물이 접속하는 위치


까지로 한다.

12
(6) 전철일 경우 선로 중심에서 시공기면 폭은 철도건설규칙 등 관계규정에 의하여
4.0m 이상으로 한다.

󰊳 흙쌓기 설계하기
흙쌓기 구간의 설계를 한다. 흙쌓기 설계에 고려할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쌓기 두께

(1) 쌓기 시 한 층의 마무리 두께는 다짐규정을 만족하는 두께로 0.3m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소요 다짐도를 만족하기 위한 적당한 한 층 두께는 쌓기 재료, 다짐기계, 다짐횟수


등에 따라 다르므로 실제 시공 전에 시험다짐시공에 의해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3) 쌓기 높이의 적용한계는 지지지반, 지형 및 지반지질, 지반모양, 쌓기 재료, 주변


환경조건, 건설비 및 보수비 등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한다.

2. 쌓기 재료

(1) 쌓기, 되메우기 및 뒤채우기에 사용할 재료는 압축성이 작고 활성도가 작은 무기질


흙이어야 하며 다짐이 쉽고 외력에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유해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한다.

(2)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쌓기 재료는 철도설계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3) 쌓기와 구조물의 접속부 재료는 구조물 접속부에 규정된 재료의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4) 쌓기 재료로서 고로슬래그, 탄광 또는 선광 작업 후 잔류분, 석탄회 및 기타 산업부


산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쌓기 재료로서의 적합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
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5) 암석 쌓기를 위한 쌓기 시험 시 재료에 대한 일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재료원: 본선암 유용
- 암질: 연암 및 경암 사용
- 최대입경: 300mm 이하(시험시공 후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
해야 한다.)

󰊴 훍깎기 설계하기
흙깎기 구간의 설계를 한다. 흙깎기 설계에 고려할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깎기 비탈면 기울기

(1) 깎기 비탈면 기울기는 지반조사 및 시험성과, 시추조사 시 코아회수율(TCR) 및 암질


지수(RQD), 불연속면의 특성, 풍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로 안정성 해석을 실

13
시하여 결정해야 한다.

(2) 깎기 비탈면 기울기는 설계편람을 기준으로 하여 안정성 해석을 하여 변경할 수 있다.

2. 소단설치

(1) 리핑암 및 흙 비탈면의 경우 소단 폭은 1.5m로 하고 비탈면 높이가 10m 이상일 경


우에는 매 5.0m마다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비탈면 높이에 관계없이 흙과 암과의
경계나 투수층과 불투수층과의 경계에는 필요에 따라 소단을 설치한다.

(2) 발파암 비탈면의 경우에는 10m 또는 20m마다 1.5m 폭의 소단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리핑암과 발파암의 경계와 암반의 특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곳에도 1.5m 폭
의 소단을 설치한다.

(3) 소단은 외측으로 향하여 5%의 횡단 기울기로 한다.

󰊵 교량설계하기
노선의 선형, 지형, 지질, 기상, 교차물 등의 외부적인 제반 조건, 구조적 안전성과 경제성,
주행 안전성과 쾌적성, 시공성과 유지관리성, 환경성과 미관성, 지역주민의 의견 등을 종합
고려하여 가설위치와 교량형식을 선정한다.

1. 교량형식 선정

(1) 교량의 가설 목적에 부합하는 형식으로서 교량길이, 지간, 교대, 교각의 위치와 방
향 다리 및 공간 확보에 적합한 방식 등을 선정한다.

(2) 생애주기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식을 고려한다.

(3) 공사비가 유사할 경우 시공성과 조형미, 경관미가 유리한 형식으로 열차 주행의 안


정성 및 쾌적성을 좋게 하려면 상로교 형식이 좋다. 특히 도시 내에 가설되는 교량
은 구조물 자체도 심플한 느낌을 주고 주위 경관과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2. 경간 분할
교량의 형식별로 표준 적용지간, 거더 높이비(거더높이/지간)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경간을 분할한다.

(1) 철도교는 교량상에 레일이 부설되는 구조이므로 구조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장대


레일의 경간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 미관을 고려한 경관 분할

(가) 연속교는 중앙 경간을 측경간보다 크게 분할하면 안정감이 커진다.

(나) 3경간일 때는 경간의 개략적인 비율이 3 : 5 : 3, 4경간일 때는 3 : 4 : 4 : 3을 주로 채


택한다.

(다) 교장이 길고 지형이 평탄할 때는 등경간이 좋다.

14
(라) 접속교량과의 연결은 경간이 점점 변하여 조화되도록 분할한다.

(마) 미관을 고려하여 연속교로 계획할 경우 상부레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구조검


토를 하여야 한다.

(3) 하천통과구간의 경간 분할

(가) 유속이 급변하거나 하상이 급변하는 지역에는 교각을 두지 않는다.

(나) 저수로 지역에서는 경간을 크게 분할한다.

(다) 하천 단면을 줄이지 않도록 하고 교각설치로 인한 수위상승과 배수를 검토한다.

(라) 하천 협소부에서는 교각수를 줄인다.

(마) 유로가 일정하지 않은 하천에서는 가급적 장경간을 선택한다.

(바) 동일 하천에 교량이 평행할 때는 경간 분할을 같게 하거나 하나씩 건너뛰는 형


식으로 한다.

(사) 유목, 유빙이 많은 하천에서 교각수를 줄이고 이것들이 걸리지 않는 구조로 한다.

3. 상부구조 형식 선정
경제성, 안전성, 시공성, 주변경관과 조화된 구조물로 하고 구조적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
이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부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4. 하부구조 형식 선정
상부구조 형식의 특징, 상부공의 가설공법 등 상부구조계획과 서로 연관시켜 구조적 안전
성, 경제성, 교량 입지조간에 따른 시공의 안전성 및 간편성, 교량 미관 및 유지관리 측면
등을 고려하여 하부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5. 기초구조 형식 선정
기초지반의 지질조건, 수심, 유속, 상부구조 형식, 수상구간에서의 시공성, 구조적인 안전
성 확보, 지진 및 온도 변화에 의한 수평력 저항, 세굴의 영향, 측방유동에 관한 검토 등
을 고려하여 기초구조 형식을 선정한다.

󰊶 터널설계하기

1. 터널 선형 및 단면 계획
터널구간의 철도선형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터널의 단면을 결정한다.

(1) 선형 계획

(가) 터널 노선은 터널의 용도, 주변 환경, 기존 구조물에 대한 영향, 공사지역 입지


조건, 부속설비의 배치 등을 고려해야 하며 공사 중과 공사 후 유지관리에 영
향을 미치는 지반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최적노선을 결정해야 한다.

(나) 터널의 위치는 지형 및 토지 이용현황, 지반조건, 토피 등을 감안, 시공성을 우

15
선하여 결정하되 편압 및 비탈면 활동의 영향이 적은 지반에 가급적 자연비탈
면의 경사각에 직교되도록 선정해야 한다.

(다) 터널의 평면 선형은 가급적 직선으로 계획하되 종단선형과 연계하여 조화되도


록 계획해야 한다.

(라) 계획된 터널이 지상구조물, 지하구조물, 터널 등 기존 시설물에 근접하여 통과


하는 경우에는 기존 시설물의 중요도 및 구조물 특성에 따라 터널굴착공사로
인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한다.

(마) 터널의 갱구 위치는 계곡부로 세굴이나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 결빙이 상존하


는 음지, 절벽 또는 급한 비탈면과 사각을 이루는 선형 계획이 되지 않도록 한다.

(바) 터널을 2개 이상 병렬로 계획하는 경우에는 터널 단면 크기와 굴착 대상지반의


공학적 특징을 감안하여 터널굴착공사로 인한 주변 지반 거동 및 발파진동이
인접 터널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호 충분히 이격시켜야 한다.

(사) 선형 계획 시 제반 제약조건으로 인해 편압이 작용하는 곳에 갱구를 설치하거


나 갱구주변지반에서 비탈면 활동, 낙석, 토석류, 홍수, 눈사태 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갱문의 구조선정에 유의하고 방호설비 등을 검토해야 한다.

(2) 단면계획

(가) 내공단면은 터널 목적 및 기능에 따른 건축한계(시설한계)와 평면선형이 곡선


인 구간은 캔트에 의한 차량 경사량과 슬랙량을 더하여 확대하고 측량(궤도)
중심으로부터 구축 중심 이격거리를 설정하고 터널 내 신호, 통신 등 설비의
시설공간, 유지관리에 필요한 여유폭, 보도 등을 고려하여 정하며 시공 중 터
널변형 등 시공오차에 대한 여유를 예상하여 결정해야 한다.

(나) 터널의 내공단면 계획 시에는 지형, 지반조건 및 토피 정도에 따라 2개 이상의


소·중단면 병렬터널이나 1개의 대단면 터널 또는 특수단면터널의 채택 여부를
검토하여 안정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 정거장 전후구간 또는 지하터널식 정거장일 경우의 터널은 단선, 복선 또는 대


단면 터널을 조합하여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도록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성 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라) 지반조건이 열악하고 주변여건상 터널시공이 장래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


는 지역인 경우나 터널길이가 내공단면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주요 인자로 적
용되는 경우에는 가급적 중·소단면 병렬터널을 계획해야 한다.

(마) 터널의 굴착단면 계획은 내공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지보재의 총두께,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 및 허용편차를 고려하되, 구조적으로 유리한 형상으로 결정해야
한다.

16
3. 터널 공법 선정
터널의 시공방법은 현장 여건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하여 NATM(new austrian tunelling
method), 개착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 전단면터널굴착기)공법, 실드공법, 침매터
널공법 등을 검토하여 선정한다.

17
1-3. 조사협의내용 및 신기술 적용

• 관련 기관과의 협의내용을 반영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신기술, 신공법, 특허를 반영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사업시행 환경조사

1. 일반사항

(1) 사업시행 환경조사는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평가, 수리·수문조사 외 실시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철도입지주변을 조사하는 것이다.

(2) 사업시행 환경조사는 목적물의 건설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항에 대한 조사로서 지장물 조사, 지표수리시설과 지하수 부존 특성조사, 공
사용 설비조사, 보상 및 관계 법령, 지형조사, 환경조사, 사토장 및 토취장조사 등
으로 구분하여 시행한다.

2. 사업시행 환경조사사항

(1) 환경조사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를 조사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지형 및 개발현황조사
- 측량과 지반조사
- 생태 및 환경현황조사(수리·수문, 기상, 재해, 토지, 교통, 공공 시설물, 문화재, 지
하자원, 광산개발, 동식물의 분포상태 및 경관, 지역 개발계획 등)

(2) 자연환경현황조사는 시공에 의하여 발생되는 시설물 주변환경 변화의 예측, 환경보
전 대책의 입안, 대책의 효과확인 등을 위하여 실시하며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소음 및 진동
- 지반과 구조물의 변형
- 수질오염
- 대기오염
- 교통장애

18
수행 내용 / 조사협의내용 및 신기술 적용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노반편)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문서 작성용 S/W

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환경영향 조사계획 반영하기

1. 철도건설사업은 환경, 교통, 재해 등에 관한 「환경영향평가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환


경영향 평가 수행 대상사업이므로 환경영향조사를 시행한다. 그리고 사업실시계획 승인
절차에 따른 적합한 시기에 평가를 받는다.

2. 건설사업 시행으로 인한 노선 및 정거장 주변 자연환경과 생활환경 현황을 조사하여 환


경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고 환경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저감대책을 수립하여 사업에
반영한다.

3. 조사범위는 다음과 같다.

(1) 과업지시서 외에 「사전환경성 검토업무 편람(환경부, 2000. 8)」에 따라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조사하도록 계획한다.

(2) 환경기준 유지 및 특별대책지역 규제내용의 저촉 여부

19
(3) 한강, 낙동강 등 4대강 수계 물관리 종합대책 부합 여부

(4) 관계 법령상의 행위규제 저촉 여부

(5) 노선 및 정거장위치, 차량기지위치의 주변지역 토지이용 상황 파악

(6) 자연환경(지형, 지질 관련 현황 및 동식물 등 자연생태계 현황)

(7) 생활환경(토지이용 현황, 소음, 진동, 악취 등 대기질 현황, 토양현황, 일조장해 및


위락경관)

(8) 사회, 경제환경(교통, 문화재, 전력유도장애, 전자파 등 기타)

󰊲 관련 기관 협의내용 반영하기

1. 관련 기관 협의반영

(1) 철도건설 후 이해관계 혹은 관련이 있는 기관과의 협의를 시행하고 협의된 내용을


반영한다. 협의해야 하는 관계기관은 지자체(시도 및 군), 국토관리청, 산림청, 하천
관리기관, 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 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지식경제부(광업등록사
업소) 등이 있다.

(2) 군부대 혹은 군시설 관통 또는 인근통과하거나 공사에 영향이 있는 경우 군부대와


협의하고 반영한다.

(3) 문화재 혹은 문화재 발굴가능지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문화재관리기관과 협의한다.

(4) 하천을 횡단하거나 하천개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천관리기관과 협의한다.

2. 공청회를 통한 주민의견반영

(1) 주민의 의견을 미리 알고 이를 반영하여 민원을 없게 하기 위하여 주민 공청회를


실시하고, 그 의견을 설계에 반영한다.

(2) 주민 공청회의 전에는 미리 설계내용을 공람하여 주민이 볼 수 있도록 한다.

3. 전문가 자문의견반영

(1) 설계 초기에 설계반향을 결정하기 위한 자문회의를 시행하고 그 의견을 반영한다.

(2) 설계 종료 이전에 설계 내용에 대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시행하고 그 의견을 반영한다.

󰊳 친환경 건설기법 적용하기


건설공법은 친환경 공법을 발굴하여 적용한다. 그 원칙과 대상은 다음과 같다.

1. 친환경 건설기법 적용 원칙

(1) 관련 정책 및 제도를 분석하여 설계·시공·운영 단계별 친환경 철도건설 적용 방


안을 마련하여 주민생활 및 자연환경 보호

20
(2)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철도 건설방안 마련 및 저탄소 녹색교통 구축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방안(CDM)

2. 시공 중 친환경 건설기법 대상

(1) 하천통과 시 수리 환경훼손 최소화

(2) 생태자연보호급지 보존

(3) 대절토구간 최소화

(4) 건설장비의 소음·진동 최소화

(5) 대기질 오염 최소화

(6) 지하수 영향 검토

(7) 산림훼손 최소화

󰊴 신기술 신공법 반영하기


신기술 신공법은 친환경과 민원방지를 위한 신기술, 품질 향상을 위한 신기술, 사업비 절감을
위한 신기술 등을 조사하여 반영한다.

1. 신공법으로 건설신기술과 교통신기술이 있으며, 이를 검토 반영한다.

2. 신기술 신공법을 적용하기 위하여는 최신의 신기술 신공법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검토


하여 반영한다.

3. 설계구간을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신기술, 신공법 도입 여부를 결정한다.

4. 최신 신기술·신공법 조사를 통한 적용효과 검토

5. 설계분석을 통한 타 공법과의 적용성 비교 검토 수행

6. 자문단의 심의평가를 통하여 최적의 공법 선정

21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교재 및 참고자료를 이용한 강의로 설계원칙을 알게 한다.

• 철도 시설물의 설계도면을 수집하여 설명함으로써 철도시설물의 특성에 따른 설계 반영사항을


알게 한다.

• 철도건설현장을 방문 견학하여 시공순서와 절차를 알게 한다.

• 각종 조사 보고서를 설명하고, 설계반영할 사항을 열거해보도록 유도한다.

• 그룹별 토의를 통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설계방법을 나열토록 한다.

• 신기술의 특성과 장점, 적용환경 등을 알게 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방법

• 설계편람, 설계지침 등 설계실무자료를 이해한다.

• 각종 규정과 도면을 통하여 설계요령을 학습한다.

• 토구조물의 안정조건과 환경 요인에 따라 설계에 적용하는 요령을 학습한다.

• 설계 및 환경 관련 법규, 유지관리 법규를 숙지한다.

• 하중조건과 역학적 안전조건을 알게 하여 안전한 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한다.

22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공/교량/터널형식별 특성을 이해하고, 종단계획에 따


토목구조물 선정
른 현장특성을 감안하여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 역학개념의 이해를 통해 충분한 내하력을 확보할 수 있


토목구조물 설계
는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 관련 기관과의 협의내용을 반영하여 설계할 수 있다.


조사협의내용 및
신기술 적용
- 신기술, 신공법, 특허를 반영하여 설계할 수 있다.

23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공/교량/터널형식별 토목구조물 선정 방법 이해 여부

토목구조물 선정
- 평면선형 계획 및 종단계획에 따른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지 여부

- 기본적 역학개념의 이해 여부
토목구조물 설계
- 안전하고 경제적인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지 여부

- 사전조사 항목의 이해 여부

조사협의내용 및 - 조사항목 및 관련 기관과의 협의내용을 반영하여 설계


신기술 적용 할 수 있는지 여부

- 신기술, 신공법, 특허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

• 논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공/교량/터널형식별 토목구조물 선정 방법 이해 여부

토목구조물 선정
- 평면선형 계획 및 종단계획에 따른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지 여부

- 기본적 역학개념의 이해 여부
토목구조물 설계
- 안전하고 경제적인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는지 여부

- 사전조사 항목의 이해 여부

조사협의내용 및 - 조사항목 및 관련 기관과의 협의내용을 반영하여 설계


신기술 적용 할 수 있는지 여부

- 신기술, 신공법, 특허를 반영할 수 있는지 여부

24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사 설계도서 분석 및 이해 여부

토목구조물 선정
- 평면선형 계획 및 종단계획에 따른 토목구조물을 설계한
형식의 이해 및 선정사유 이해 여부

- 안전하고 경제적인 토목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하여 검토


토목구조물 설계
한 내용의 이해 여부

- 사전조사 항목의 이해 여부

조사협의내용 및
- 조사항목 및 관련 기관과의 협의내용 이해 및 반영 여부
신기술 적용

- 신기술, 신공법, 특허를 반영 내용의 이해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토목구조물을 계획하고, 선정하는 기술을 평가하고, 부족한 영역을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 조사내용 및 신기술의 내용을 설계에 반영 가능한지를 평가하고, 신기술 종류를 조사
하도록 한다.
2. 논술형 시험
- 토목구조물의 원칙과 기준을 알고 있는지 평가하고, 부족한 영역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터널과 교량의 기본지식을 평가하고, 철도구조물 설계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평가하고,
신기술 종류를 조사하도록 한다.
3. 사례연구
- 유사한 설계도서를 이해하고, 설계과정을 연구하여 수정할 사항과 그 사유를 알고 있
는지 평가하고 부족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5
학습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1)

정거장 설계하기
학습 2
(LM1402011004_14v2.2)
학습 3 차량기지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3)
학습 4 궤도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4)
학습 5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LM1402011005_14v2.1,2,3,4)

2-1. 시설계획 수립

학습 목표 • 정거장내 분기기,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사항을 고려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정거장 정의 및 분류

1. 정거장이란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하, 열차조성, 차량의 입환,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


를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소 및 상치신호기를 취급하는 장소를 말한다.

2. 즉 정거장이란 열차를 착발시켜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하등 철도 영업을 하기 위한 설


비를 설치한 장소와 열차의 조성, 차량의 유치, 입환, 검사, 수선 및 열차의 교행 대피
등의 작업을 하는 업무기지를 설치한 장소로 대별한다.

󰊲 정거장 위치 선정

1. 정거장의 위치 선정
여객정거장의 위치를 선정할 때는 다음의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1) 여객의 이용에 편리하고 지역 여건에 부합되는 장소일 것

(가) 여객집산의 중심에 가깝고 도로 기타의 교통기관과의 연락이 편리한 곳을 원칙


으로 한다.

(나) 정거장은 철도에 의하여 장래지역분리가 되지 않으며

(다) 정거장으로 집중 및 분산에 편리한 교통 결절점일 것. 다만, 도시개발계획, 택


지개발 계획이 확정되어 도심 외곽에 역을 설치할 경우에는 사업 착수 전 여객
수요 및 관련 계획을 충분히 검토하고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설치한다.

26
(2) 정거장 간격은 적정한 거리를 유지할 것
여객정거장의 적정간격은 보통여객정거장과 대도시 통근정거장과는 다르지만 선로용
량이나 정상적인 열차시격 확보와 아울러 2차 수송기관과의 연관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 보통여객 정거장은 4~8km,
- 통근여객 정거장은 1~2km로 하고 있다.
- 고속철도의 경우 설계속도에 따라 가감속에 소요되는 거리, 공주거리 여유거리 등을
감안하여 정하며 예로서 300km/h의 경우 정거장 간 거리는 약 40km로 하고 있다.

27
수행 내용 / 시설계획 수립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계획서


각종 조사 보고서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정거장의 종류 결정하기
정거장의 특성과 선로상의 위치를 분석하여 정거장의 종류를 결정한다. 정거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종단정거장
일반적으로 부산, 여수, 목포 등과 같이 선로의 종단에 있는 정거장을 말하지만 서울역과
같이 선로망의 중간에 있어도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되는 정거장도 포함된다.

2. 중간정거장
선로망상의 중간에 있는 정거장으로 대부분의 정거장은 이것에 속한다. 또한 이것을 운전
취급 면에서 「차량의 입환작업 등을 하지 않고 직통열차만을 취급하는 정거장」과 「차량기
지 병설정거장」으로 세분한다.

3. 분기정거장
1개 선로의 중간정거장에서 다른 선로가 분기하는 경우로서 천안역, 대전역, 김천역, 동대
구역, 익산역, 영주역, 제천역 등이 이에 해당한다.

28
4. 교차정거장
2개 선로가 입체교차한 장소에 설치하는 정거장을 말한다.

󰊲 정거장의 위치 선정하기
정거장의 특성과 입지조건을 분석하여 정거장의 위치를 선정한다.
정거장의 위치를 결정할 때는 다음의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한다.

1. 여객의 이용에 편리하고 지역 여건에 부합되는 장소일 것

(1) 여객집산의 중심에 가깝고 도로 기타의 교통기관과의 연락이 편리한 곳을 원칙으로


한다.

(2) 정거장은 철도에 의하여 장래지역분리가 되지 않으며

(3) 정거장으로 집중 및 분산에 편리한 교통 결절점일 것. 다만, 도시개발계획, 택지개


발계획이 확정되어 도심 외곽에 역을 설치할 경우에는 사업 착수 전 여객수요 및
관련 계획을 충분히 검토하고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설치한다.

2. 정거장 간격은 적정한 거리를 유지할 것


여객정거장의 적정간격은 보통여객정거장과 대도시 통근정거장과는 다르지만 선로용량이
나 정상적인 열차시격 확보와 아울러 2차 수송기관과의 연관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1) 보통여객 정거장은 4~8km,

(2) 통근여객 정거장은 1~2km로 하고 있다.

(3) 고속철도의 경우 설계속도에 따라 가감속에 소요되는 거리, 공주거리 여유거리 등을


감안하여 정하며 예로서 300km/h의 경우 정거장 간 거리는 약 40km로 하고 있다.

󰊳 정거장의 시공기면 및 시설 결정하기

1. 사공기면 결정하기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정거장의 시공기면을 결정하고, 정거장의 위치가 지상, 선상, 선하중
어느곳에 위치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2. 정거장의 시설 결정하기

(1) 선로중심 간격은 전차선주, 신호주, 표면배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지축폭은 최외측 선로중심에서 4.0m 이상 확보하되 다음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가) 울타리(생울타리, 기타고정식 울타리) 계획 시 추가 확보

(나) 운전원 통행이 빈번한 경우 자전거 등 별도 통로폭 확보

(다) 중요시설의 유지보수 필요시 차량, 자재반입 등을 고려하여 유지보수용 통로폭


확보

29
(3) 종단기울기를 다음 기준으로 결정한다.

(가) 차량을 해결하는 정거장 2‰ 이하

(나) 차량을 해결하지 않은 정거장 8‰ 이하

(다) 전동차 전용 정거장 10‰ 이하

(4) 힁단 기울기는 배수를 고려하여 2~5%를 표준으로 하여 결정한다.

(5) 배수시설은 부지 내의 강우강도를 조사한 후 유출량을 산출하여 현장조건에 부합되


는 표면수로, U형 측구, 맨홀, 집수정, 횡단배수로, 개천내기를 계획한다.

(6) 용지경계는 토공정규 및 설계기준에 의거하여 계획하며 환경영향 발생구간은 환경


영향 저감시설설치를 고려한 용지폭을 확보한다.

(7) 울타리는 정거장부지 지축 끝에 주위여건에 따라 방음벽, 철망울타리, 블록울타리,


생울타리를 설치한다.

(8) 진입도로, 광장, 지하통로 및 구름다리, 주차장을 계획한다.

(9) 선하 역사의 층고, 기둥간격은 건축분야와 협의하여 충분한 높이를 확보한다.

(10) 선하정거장은 승객과 근무하는 직원과 같이 이용하므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30
2-2. 정거장 설계

• 수송수요 및 열차운행계획 검토결과에 따라 정거장 배선계획, 여객통로 및 승강장


등 시설계획을 수립, 관련 기관 협의를 시행하여 결과를 반영하고 각종 구조물에 대
학습 목표 해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상세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철도와 도로교통수단과의 원활한 연계계획을 수립하고 이용자 측면에서 환승 편의
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종 제반 시설물에 대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정거장 시설계획 일반

1. 정거장계획 일반
정거장의 주요 시설은 선로시설, 여객취급시설, 화물취급시설 운전취급시설, 기타 시설
등이 있다.

2. 선로시설
선로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설치한다.

(1) 본선은 주본선, 부본선(출발선, 도착선, 착발선, 통과선, 대피선)을 말한다.

(2) 측선은 본선을 제외한 선로를 말한다.

3. 여객취급시설
여객취급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설치한다.

(1) 역사(건축분야 설계 및 시공): 사무실, 개, 집표구, 콘코스, 대합실, 기타

(2) 여객승강장: 승강장 지붕, 안내표지류, 스크린도어 등

(3) 여객통로: 지하도, 구름다리

(4) 역전광장: 광장진입도로

(5) 장애인시설: 장애인 블록, 엘리베이터, 장애인주차장, 장애인화장실 등

(6) 주차장

(7) 환승시설: 버스승강장, 택시승강장 등

4. 화물취급시설
화물취급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설치한다.

(1) 화물 취급장 또는 사무실

(2) 화물적하설비

31
(3) 화물통로

(4) 보관설비(건축분야 설계 및 시공 창고 컨테이너 적치장)

(5) 화물적하 장비(기계분야 설계 및 시공)

5. 운전취급시설
운전취급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설치한다.

(1) 기관차기지(전기기관차기지, 디젤기관차기지)

(2) 전동차기지 (3) 기동차기지

(4) 객차기지 (5) 화물기지

(6) 신호취급실, 신호기 등

(7) 운전취급실, 현장통신기(토크백) 폐색시설

6. 시스템 관련 시설
시스템 관련 시설은 다음과 같은 시설들을 설치한다.

(1) 전기, 통신시설

(2) 신호시설

(3) 선로, 전기, 신호 보수요원의 현업사무실 등

(4) 배수설비, 방화설비, 오물분리수거장, 방음벽 울타리 등

7. 방재설비
정거장은 여객과 화물이 집중되는 장소로 화재에 대비하여 대피통로, 소화설비, 제연설비 등을
계획한다. 특히 지하정거장의 경우 심도에 따라서 대피계획, 소화계획, 제연계획을 수립한다.

8. 진입도로 및 역광장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에서 제시한 규모에 따라 계획한다.

(1) 진입도로 폭원 및 광장 접속부 계획(지방자치단체와 협의)

(2) 역광장, 주차장 배치 계획

(3) 버스, 택시 승강장 계획

9. 건물(역사, 기지관리동, 각종 기능실)


여객, 화물 수요와 운행 차량편성수에 의거 규모 및 위치를 계획한다.

(1) 역사는 본선과 연계하여 여객동선과 환승시설을 고려하여 배치 계획

(2) 역내의 각종 기능실은 최적위치에 배치 계획

(3) 기지 내 각종 수선공장은 배선계획에 의거 타 시설 및 분야 간 동선과 경합되지 않


도록 계획

32
수행 내용 / 정거장 설계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계획서


각종 조사 보고서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문서 작성용 S/W


도면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정거장 배선계획하기

1. 정거장 규모의 산출하기


정거장 규모는 가능한 한 영향을 주는 모든 인자를 분석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
음과 같은 주요 영향인자들로부터 소요 선로 선수(본 지선별, 주부본선, 측선별), 선로 유
효장, 객화별 승강장수(형식, 폭, 길이) 등을 산출한다.

(1) 여객 및 화물의 취급수량(상하별, 승강장별, 1년, 1일, 혼잡 시 등)

(2) 열차시격 및 열차횟수(본·지선 상하별, 열차종별, 1일당 혼잡 시 등)

(3) 노선 및 정거장의 기능(교행, 환승, 분기, 대피, 해결, 시·종착, 대규모차량 차량기
지 등)

(4) 정거장의 형태(고가, 지상, 지하 등) 및 정거장 역사와의 상관관계 등

33
(5) 철도망 상 장래계획

2. 배선약도 초안 작성하기

(1) 정거장 규모가 결정되면 정거장 운영을 고려하여 개략적인 형태를 구상하여 이를
약도형식으로 표현한다.

(2) 개략적인 약도에는 선로간격, 유효장, 승강장폭, 길이 등 배선상 중요한 수치를 기


입한 후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검토·수정하여 초안을 완성한다.

(3) 최적의 배선을 위하여 초안 작성단계에서부터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한다.

(4) 초안이 완성되면 실제 적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며. 종단계획을 기준으로 용지상황


및 산지, 하천, 도로 및 대형 건조물 등이 표시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CAD로 1/2,500
축척의 초안도면을 작성한다.

(5) 정거장은 초안이 완성되면 비교안을 포함하여 바로 CAD작업을 통한 상세설계의 배


선도를 작성한다.

3. 배선 설계도 작성하기
신설 정거장의 배선 또는 단순한 배선의 기존 정거장을 개량할 경우에는 검토 작성한
1/2,500 배선 설계도를 밑그림으로 사용하여, 선로 형상을 자세히 조사하면서 1/1,000 평면
도상에 재차 작도하여 수정한다.

󰊲 선로유효장 계획하기

1. 선로 유효장 산정하기
열차운영계획을 검토하여 설계구간의 소요 선로유효장을 산정한다. 유효장 산정 시 고려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본선 및 부본선, 발착선의 유효장은 연계선구의 유효장 또는 열차운행계획에서 결


정된 유효장을 적용하여 수송 일관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2) 여객열차를 운행하는 경우의 유효장은 차량편성수와 객차길이, 기관차길이, 여유길


이를 고려하여 유효장을 산정한다.

(3) 화물열차를 운행하는 경우에는 견인정수에 따른 화물열차편성수와 화차길이, 기관


차길이, 여유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4) 관련 분야의 계획 반영이 불충분할 경우에는 다소 여유를 두어 유효장을 결정한다.

(5) 유효장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산정한다.

(가) 유효장의 단위는 차장률 산정기준(14m)에 따른다.

(나) 선로별 유효장을 계산할 때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34
(다) 인접선로를 지장하는 다음 각 호의 유효장은 괄호 ( )로서 표시한다.
- 주본선으로서 인접 부본선에 착발하는 열차를 지장하는 경우
- 측선으로서 인접 측선에 출입하는 차량을 지장하는 경우

(라) 동일 선로로서 상하행 열차용으로 공용하는 선로는 상하란에 각각 그 유효장을


표시한다.

(마) 측선을 열차 착발선으로 사용할 때 본선에서 착발하는 열차가 이에 지장을 받


게 되는 경우 그 본선의 유효장은 측선의 제한을 받는다.

󰊳 승강장 계획하기

1. 승강장의 소요면수 산정하기


승강장의 소요면수는 그 정거장에서 동시 착발하는 열차횟수로 정해진다. 동시 착발하는
열차 수는 그 정거장을 중심으로 한 그간의 다이아를 기준으로 하여 그것에 장래의 수송
수요 열차횟수, 여객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1) 지장시분을 결정한다.


지장시분은 설정열차시분 + 열차의 취급시분
열차 취급시분이란 어떤 열차를 승강장에 정차하기 위하여 장내신호기를 청색으로 하
여 진로를 구성하고부터 열차가 정차하기까지의 시간과 열차가 출발하여 다음 열차의
새로운 진로를 구성하기까지의 시간의 합이다. 그 시간은 정거장의 작업실태에 따라
다르나 자동신호구간에서는 도착 전에 대하여는 3분, 출발 후에 대하여는 2분으로 하
여 정차열차에 대하여는 합계 5분, 통과열차에 대하여는 3분 정도의 값이다.

(2) 승강장 지장률을 산정한다.

승강장 지장률 = 지장시분



× 100%

(3) 지장률을 판단하여 승강장의 면수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장률이 50~60%로 되면 열차설정이 상당히 어렵게 되며 60~70%로 되면 설정이 곤란
하게 된다.

2. 승강장의 폭 및 길이 산정하기

(1) 승강장의 폭은 해당 정거장의 승차 하차 특성과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의 내용을


분석하여 반영하며, 이를 정거장 배선계획 및 승강장 내 계단, 엘리베이터 배치계획
을 반영하여 결정한다.

(2) 승강장의 길이는 열차운행계획에서 제시된 내용을 분석하여 결정한다.

(3) 승강장의 길이는 그 승강장에서 착발하는 열차에 대하여 지장이 없는 길이로 한다.
즉, 그 정거장에 정차하는 여객열차 최대길이에 맞는 길이를 확보해야 하며 지상정
거장의 경우 승강장길이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35
승강장의 길이 = 최장여객열차 편성길이(객차 1량 길이 × 연결량수 + 기관차 및 발전
차 길이) + 과주여유거리로서 차량 1량 길이는 PP새마을의 경우 23.5m, 일반객차는
21m, 전동차의 경우는 20m로 한다. 여기서 연결량수는 기본계획 시 수송수요에 따른
열차운행계획에 따라서 결정한다. 과주여유길이에 대하여는 편성량수 4량 이하의 경우
10m, 편성량수 5량 이상의 경우는 20m로 한다. 단, 여유길이는 전동차 및 디젤동차에
대하여는 지상의 경우 10m, 지하의 경우 5m로 한다.

3. 승강장의 형식 선정하기

(1) 승강장의 형식은 중간정거장에는 섬식과 상대식으로 설치하되, 현장의 조건과 정거


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섬식승강장은 상대식 승강장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여객이 승강장을 착각하는 일이 적고
-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1개소에만 설치되므로 2개소 이상에 설치되는
상대식에 비하여 정거장 폭을 줄일 수 있다.
- 승강장 양단에 반향곡선을 삽입해야 하며, 정거장 용지가 증가한다.
- 열차가 동시에 착발할 경우 승강장이 혼잡하고
- 장래 확장이 곤란하다.

(3) 상대식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과 이해득실이 상반되나 특히 승강장이 직선으로 설치


되고 투시도 양호하고, 정거장 전후의 선형이 섬식보다 우수하며, 역구내 선형도 좋
은 이점이 있다.

(4) 종단정거장에는 두단식 또는 통과식 승강장으로 설치하며 연락정거장에는 분리식과


접속식으로 설치한다.

4. 승강장 설계하기

(1) 승강장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가) 승강장은 섬식, 상대식으로 구분하고 정거장의 특성에 맞게 적용한다.

(나) 일반여객열차는 낮은 승강장으로, 전철전용 승강장은 높은 승강장으로 설치한다.

(다) 승강장의 구조는 지반조건에 따라 콘크리트 옹벽 또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계획


한다.

(라) 승강장 설계는 「철도건설규칙 및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22조 및 제23


조」의 규정에 의거 설계한다.

(마) 지하정거장에서는 승객의 안전 및 쾌적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스크린도어 설치


를 검토한다.

36
(2) 승강장 높이를 결정한다.

(가) 일반여객 승강장으로 객차에 승강계단이 있는 경우는 레일면에서 500mm로 한다.

(나) 전기동차 승강장으로 객차에 승강계단이 없는 경우 레일면에서 승강장 높이를


직결도상은 1,135mm, 직결도상이 아닌 경우에는 1,150mm로 한다.

(3) 승강장 이격거리를 결정한다.

(가) 궤도중심에서 승강장 연단까지 이격거리는 직선인 경우 낮은 승강장(일반열차)


은 1,675mm로 하고, 전기동차가 운행하는 경우에서 직결도상은 1,610mm(차량
끝단으로부터 승강장 연단까지의 거리는 50mm를 초과할 수 없다), 직결도상이
아닌 경우에는1,700mm로 한다.

(나) 곡선승강장인 경우 설정캔트, 곡선반경, 슬랙, 차량치수를 고려하여 확대하고,


승강장과 차량간 간격이 넓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곡선개소에서는 안전발
판설비를 설치한다.

(4) 승강장의 횡단기울기 및 종단기울기를 계획한다.

(가) 승강장에는 배수가 원활하도록 횡단기울기를 설치한다. 횡단기울기는 승강장


여건에 따라 양쪽기울기, 한쪽기울기로 계획할 수 있으며 최급기울기는 2%로
한다.

(나) 승강장 연단에는 경고블록 미끄럼 방지타일을 붙여야 하며 승강장 연단에서


60~80cm떨어진 곳에 시각장애자 경고블록을 설치해야 한다.

(다) 승강장구간의 전선관류는 공동구 등 매입식 전선관로 계획한다.

󰊴 정거장 역사 계획하기

1. 본 역사의 설계는 건축분야 소관이지만 정거장계획 시 역광장과 승강장 간의 이동거리


또는 구름다리, 지하도 승강구와 집찰구의 거리 등과 전체 레이아웃과 관계있어 건축분
야와 협의하에 검토한다.

2. 본 역사는 일반적으로 유동부분, 여객부분, 접객부분, 정거장역무부분의 4가지 요소로


대별된다. 이 4가지 요소를 시설분류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유동시설: 출입구, 콘코스, 통로, 개·집표구 등

(2) 여객시설: 대합실, 화장실, 식당, 매점 등

(3) 접객시설: 매표창구, 수소화물취급소, 안내소 등

(4) 정거장역무시설: 정거장역무실, 제반부속실 등

37
󰊵 역광장 계획하기

1. 역광장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1) 여객 및 공중의 편익과 안전을 우선으로 할 것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차량과 사람의 동선이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포장면
의 물고임, 급경사 등에 의한 불편이 없도록 한다.

(2) 역광장의 주요 시설은 여객 및 공중의 통로, 정거장과 연락하는 자동차의 승하차시


설, 주차장 설비 등이며 역사 및 주변도로와의 유기적인 연결을 도모하도록 계획한다.

(3) 역광장에는 통과교통을 주로 하는 도로 및 기타 정거장 광장의 교통질서를 유지하


는데 필요한 것 외의 시설은 하지 않도록 한다.

(4) 장래 철도시설의 개량계획에 지장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도시개발등 철도이외의 제


반 계획과의 조정을 해야 한다.

2. 역광장면적을 산출한다.
역광장의 위치, 면적 산정 등은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에서 제시된 제원을 활용한다.

3. 역사와 기존 도로와의 연결성 및 시가지 현황과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 결과를 토대로


광장의 위치와 규모를 계획한다.

4. 역 광장의 위치는 정거장의 위치와 배선, 정거장 시설의 배치 및 역사 및 각종 관련 시


설들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5. 역 광장은 보행자 통로 및 자동차, 도시철도와 같은 연계교통시설을 감안하여 계획한다.

󰊶 장애인(장애우) 시설물 계획하기


장애인(장애우)을 위하여 여객취급 정거장에는 교통약자이동편의 시설을 계획한다.

1. 승강장은 대기 및 이동편의를 위하여 통로 유효 폭 2.0m 이상 확보

2. 전동차 승강장의 경우 승강장 연단과 차량 간 거리는 50mm 이내로 유지토록 계획

3. 여객 동선 상에 고저차가 있는 곳은 엘리베이터, 휠체어용 리프트, 장애인(장애우)용 램


프 등을 계획

4. 시각장애인(장애우)을 위한 유도블록, 경고블록, 유도방송 설비 등을 계획

󰊷 정거장 각종 시설물 설계하기


정거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여객편의 시설물을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1. 평면과 입체통로 계획하기


여객통로는 여객통행 및 열차운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입체통로를 설치한다.

38
2. 평면통로(구내통로) 계획하기

(1) 평면 통로폭은 3.0m 이상으로 한다.

(2) 선로의 유지보수성 제고를 위하여 본선 및 부본선을 횡단하는 평면통로에는 조립식


보판을 사용해야 한다.

3. 구름다리(과선교) 계획하기

(1) 승강장연단에서 기둥까지(조명주, 전차선주 등 포함) 1.5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단, wheel chair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한다.

(2) 레일면에서 철도를 횡단하는 구름다리(과선교)의 유효공간 높이는 「철도건설규칙」


에서 정한 높이 이상을 확보한다.

4. 여객지하도 계획하기

(1) 지하도설계는 철근콘크리트 박스형을 일반으로 한다.

(2) 지하도는 선로 밑을 횡단하므로 방수와 배수를 고려해야 한다.

(3) 지하도에는 기준에 부합되는 환기, 조명을 설치하도록 한다.

39
2-3. 인터페이스 반영

• 궤도, 건추,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분야와의 인터페이스 협의를 토대로 정거장설


학습 목표
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정거장 시설계획일반

1. 배선계획

(1) 열차운행계획에서 제시된 열차속도, 운전시격에 따라 본선 분기기의 제원 및 분기


기로부터 승강장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2) 열차운행계획에서 제시된 최대열차길이에 따라 본선, 부본선 및 착발선, 인상선의


표준유효장을 결정한다.

(3)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화물량에 따라 적하선 연장, 유치선수, 착발선수, 조성선수,


화물적하선수 등을 결정한다.

(4)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 결과에 따라 제시된 수송수요에 따라 계획되는 운행열차의


각종 제원, 열차편성 및 정거장을 이용하는 승객수를 근간으로 승강장 폭원 및 승
강장 길이를 계획, 반영한다.

(5) 열차운행계획을 근간으로 차량기지의 기능선수를 결정한다.

2. 진입도로 및 역광장
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에서 제시한 규모에 따라 계획한다.

(1) 진입도로 폭원 및 광장 접속부 계획(지방자치단체와 협의)

(2) 역광장, 주차장 배치 계획

(3) 버스, 택시 승강장 계획

3. 건물(역사, 기지관리동, 각종 기능실)


여객, 화물 수요와 운행 차량편성수에 의거 규모 및 위치를 계획한다.

(1) 역사는 본선과 연계하여 여객동선과 환승시설을 고려하여 배치 계획

(2) 역내의 각종 기능실은 최적위치에 배치 계획

(3) 기지 내 각종 수선공장은 배선계획에 의거 타 시설 및 분야 간 동선과 경합되지 않


도록 계획

40
4. 여객 취급시설
여객 수요 및 열차길이, 열차시격 등을 고려하여 규모를 산정하고 특히 안전설비에 중점
을 두어 계획한다.

(1) 승강장은 안전선, 안전 펜스, 스크린도어 등을 계획한다.

(2) 곡선 승강장의 경우 필요에 따라 안전발판을 부착한다.

5. 화물취급시설
화물량과 화물 종류(벌크, 컨테이너 등)에 따라 시설을 계획한다.

(1) 화물 적하장은 필요에 따라 헛간, 야적장 등을 계획

(2) 컨테이너 적하장에는 적하장비(문형크레인 등)를 고려하여 계획

6. 방재설비
정거장은 여객과 화물이 집중되는 장소로 화재에 대비하여 대피통로, 소화설비, 제연설비
등을 계획한다. 특히 지하정거장의 경우 심도에 따라서 대피계획, 소화계획, 제연계획을
수립한다.

41
수행 내용 / 인터페이스 반영하기

재료·자료


철도설계편람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계획서


각종 조사 보고서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정거장 설계 업무 구분하기
정거장에는 여러 분야의 시설이 집결되어 있어 분야 간 설계의 혼돈을 없애고 긴밀한 협
의를 거쳐 완벽한 설계를 하기 위하여 분야별 업무를 각 분야와 협의하여 구분한다.
구분협의가 어려운 경우에는 철도설계편람의 분야별 업무분장을 적용한다.

󰊲 토목분야 검토하기
1. 정거장 부지조성, 배수, 도로와 같은 전반적인 기반시설 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2. 배선계획(운영, 신호, 전차선, 전력, 통신과 협의)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3. 인입선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4. 여객통로(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 반영, 도로설계기준 반영)가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5. 높은 승강장 구조물 및 마감, 낮은 승강장 구조물 및 마감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6. 지하도 구조물 및 구내 작업통로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7. 화물 적하시설(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 반영)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8. 진입도로(교통영향 분석개선대책 결과 반영)가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9. 우수, 상수도, 오·폐수 등 옥외 배수시설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42
10. 방음벽 및 울타리가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11. 역 광장 및 주차장 부지조성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12. 연계도로 및 환승통로가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13. 부대시설(옹벽, 표면배수, 수로, 비탈면보호시설)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 궤도분야 검토하기
1. 배선(절연이음매, 신축이음매 배치를 포함한 상세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2. 궤도설계내용이 경합사항이 없는지를 검토한다.
3. 단계별 배선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 건축분야 검토하기
1. 역사 및 역사 주위 울타리설계내용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2. 지하도, 여객통로, 환승통로(토목·교통분야와 협의수행) 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3. 승강장(토목·교통분야와 협의수행) 마감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4. 광장 및 주차장 포장 또는 조경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5. 화물 적하장 및 창고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6. 배수분야 설계내용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7. 각종 급수시설(옥외분, 옥내분)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8. 광장 및 지축 내 조경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9. 역구내 각종 사무소 및 현업용 건축물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10. 구름다리계획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11. 승강장 지붕이 적정한가를 검토한다.

󰊵 교통영향 분석 반영하기
1. 역 광장 및 주차장 규모가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2. 진입도로 연결방법 및 규모가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3. 도시계획 관련된 진입 도로연결 방법이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4. 지하도, 구름다리, 승강장 폭원 계획이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 환경영향 평가 반영하기
1. 방음벽, 울타리 설치위치 및 규격이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2. 구내 조경개소 및 수종이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3. 오·폐수처리 시설방안이 잘 적용되었는지 검토한다.

43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정거장을 견학하여 차량기지 운영현황을 파악하도록 한다.

• 여러 가지 규모의 정거장의 정거장평면도를 수집하여 설명함으로써 정거장의 특성에 따른 설계


반영사항을 알게 한다.

• 정거장의 배선과 열차운용의 효율성에 미치는 요소들을 알게 한다.

• 정거장 내의 배선과 궤도중심간격의 필요성을 알게 한다.

• 정거장에는 각 분야가 종합적으로 운영하게 유지적인 관계가 정립되어야 하는 바 시설물의


유기성이 있어야 함을 알게 한다.

• 정거장의 유효장과 승강장, 여객편의시설의 규모 산정방법을 알게 한다.

학습 방법

• 열차운용계획과 정거장의 역할을 학습한다.

• 역세권 현황에 따라 정거장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정거장 내 배선계획원칙과 배선 설계, 분기기를 배치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정거장 내 시설물 설치에 따른 각종 규정과 기준을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정거장 내 시설물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정거장 내의 각 분야 시설물의 설계조건을 이해하고 토목분야 및 타 분야와의 연계성 검토방법을


습득한다.

44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정거장 내 분기기,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사항을 고려
시설계획 수립
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수송수요 및 열차운행계획 검토결과에 따라 정거장 배선
계획, 여객통로 및 승강장 등 시설계획을 수립, 관련 기관
협의를 시행하여 결과를 반영하고 각종 구조물에 대해
정거장시설물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상세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설계
- 철도와 도로교통수단과의 원활한 연계계획을 수립하고
이용자 측면에서 환승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종
제반 시설물에 대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분야와의 인터페이
인터페이스 반영
스 협의를 토대로 정거장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정거장 내 분기기 설치방법을 이해하고, 배선작업 여부
시설계획 수립 - 평면종단선형과 분기기 배치의 경합사항 검토 가능 여
부 및 정거장 시설계획의 수립 가능 여부
- 수송수요 및 열차운행계획의 이해 여부
- 정거장 배선계획, 시설계획의 수립 가능 여부
정거장시설물
- 안전한 구조물에 대한 상세설계의 수행 가능 여부
설계
- 철도와 도로교통수단과의 원활한 연계계획의 이해
- 이용자 측면에서 환승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이해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의 업무 이해
인터페이스 반영
- 인터페이스 협의를 토대로 정거장설계를 수행 여부

45
• 논술형 평가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정거장 내 분기기 설치방법 및 배선작업


시설계획 수립
- 분기기 배치 기준 및 정거장 시설계획의 수립 여부

- 정거장 배선계획, 시설계획의 수립 가능 여부

- 관련 기관 협의 내용 이해 및 결과 반영 가능 여부

정거장시설물 - 안전한 구조물에 대한 상세설계 수행 가능 여부


설계 - 철도와 도로교통수단과의 원활한 연계계획의 이해

- 이용자 측면에서 환승 편의시설의 설계방법 이해

- 각종 제반 시설물에 대한 설계의 수행 여부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의 분야 업무 이해


인터페이스 반영
- 인터페이스 협의를 토대로 정거장 설계의 수행 여부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정거장 평면도를 보고 분기기위치의 적정성 판단


시설계획 수립 - 평면종단선형과 분기기 배치의 경합사항 검토 가능 여
부 및 정거장 시설계획을 수립 가능 여부

- 수송수요 및 열차운행계획의 이해 여부

- 정거장 배선계획, 시설계획의 수립 가능 여부

- 관련 기관 협의 내용 이해 및 결과의 반영 가능 여부

정거장시설물 - 구조물 설계도서의 이해 및 설계수행 가능 여부


설계
- 철도와 도로교통수단과의 원활한 연계계획의 이해

- 이용자 측면에서 환승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이해

- 각종 제반 시설물에 대한 설계의 수행 여부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분야의 업무 이해


인터페이스 반영
- 인터페이스 협의를 토대로 정거장 설계의 수행 여부

46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정거장의 종류별 특징과 설계 반영사항에 대한 기술지식을 알고 있는지 평가하고, 부
족한 경우 설계편람과 유사 설계도서를 설명한다.
- 정거장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제반 조건을 이해하는지 평가하며, 각종 시설물의 종류
및 그 설치조건의 분석능력을 평가하고, 운영하는 정거장을 견학하여 설명한다.
2. 논술형 시험
- 정거장 배선도를 작성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여 유사 정거장 평면도를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정거장 입지조건을 분석하여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평가하고, 부족한 경우 운영
중인 정거장을 견학토록 하고, 그 입지를 분석하도록 한다.
3. 사례연구
- 유사한 정거장의 평면도 및 시설물 설계도서를 이해하고, 설계과정을 연구하여 수정할
사항과 그 사유를 알고 있는지 평가하며 부족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7
학습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1)
학습 2 정거장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2)

차량기지 설계하기
학습 3
(LM1402011004_14v2.3)
학습 4 궤도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4)
학습 5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LM1402011005_14v2.1,2,3,4)

3-1. 입지 선정

학습 목표 • 차량의 운용 효율성을 감안하여 적정입지를 선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차량기지 일반

1. 차량기지는 객차기지, 화물기지, 전동차기지, 고속철도 차량기지, 기관차(디젤기관차, 전


기기관차)기지, 종합차량기지(각종 차량의 종합기지)로 구분하여 기능에 부합되도록 설
비한다.

2. 차량기지는 차량의 청소, 유치, 조성, 검사, 수선을 주요 업무로 하며, 열차를 운전, 승
무하는 거점역할임을 감안하여, 각 차량기지 기능에 맞추어 배선함은 물론 검수고(경수
선 공장), 정비고(중수선공장), 승무원숙소를 배치한다.

󰊲 차량기지 입지
차량기지의 위치는 기능에 따라 건설 및 운영 시에 편리성, 유지관리에 적합하도록 위치
선정 시 다음과 같이 고려한다.

1. 관련 법에 따라 가능위치를 선정토록 하고 차량기지 설치에 의한 교통, 환경영향이 적은


지역을 선정한다.

2. 차량기지는 가급적 시종착 열차를 취급하는 정거장 내에 설치하며, 시⋅종착역 주변이


밀집된 시가지로 지장시설이 많을 경우에는 차량기지 규모에 따라 별도의 위치를 선정
할 수 있다.

3. 차량기지는 가능한 한 역, 조차장에 가까이 설치하여 차량의 회송, 승무원의 운영손실

48
을 적게 한다. 객차기지, 기관차기지, 화물기지 등 기지의 기능에 따라 역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획한다.

4. 차량기지는 역으로부터 입⋅출고가 편리한 위치를 선정한다.

5. 입출고 및 반복 운전 중 본선열차 운행에 지장을 최소화하도록 계획한다.

6. 건설비가 경제적이고 장래시설 확장을 고려한 위치를 선정한다.

7. 차량기지에 소요되는 전력, 가스, 상수와 같은 각종 기반시설의 공급이 원만한 위치에


배치한다.

8. 자재, 장비 근무인원의 진출입이 원만한 지역에 배치한다.

󰊳 차량기지의 환경관리
차량기지의 경우 연료, 윤활유취급, 세척수, 오수 취급에 따른 환경오염을 감안하여 환경
보존시설을 계획한다. 환경보존시설로는 유수분리장치(Oil Separator), 폐수처리시설, 정화
조, 집진기, 방음대 수림 또는 방음벽, 스퀄소음 방지대책을 계획한다.

49
수행 내용 / 입지 선정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지형도 및 지역개발계획 자료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촬영장비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과업지시서 내용 분석하기

1. 과업내용 분석하기
발주처에서 제시한 과업의 내용을 분석하고, 열차운영계획에 적정한가를 분석한다.

(1) 차량기지의 목적을 파악한다.


차량기지는 차량의 검사, 유치, 정비 등 차량관리의 기능 이외에 종합사령실을 비롯한
전 노선의 시설물관리기능과 열차운영을 통제하는 기능을 갖추게 되는 바, 차량기지의
목적이 단순한 주박만 하는 주박기지인지 종합적 관리기능을 하는 기지인지 차량기지
의 목적을 파악한다.

(2) 차량기지의 설계기준과 발주자의 과업지시내용을 분석한다.


철도설계기준과 발주처의 과업지시서를 검토하여 차량기지의 설치목적과 열차운영에
문제점이 없는지를 검토한다.

50
2. 열차운영계획 분석하기
철도시설뿐 아니라 차량기지의 운영을 위하여 종합적인 열차운영계획을 검토하여 차량기
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1) 본선을 운행하는 열차운행 계획을 분석하여 다음 사항을 파악한다.


- 열차당 차량편성수
- 본선 왕복운행 시간
- 첨두시간대 운행시격
- 운행개시시간 및 운행종료시간
- 종점역의 회차방법 및 회차시분
- 종점역의 주박차량과 본선 중간역 주박차량수

(2) 열차운영계획 중 차량기지의 기능 및 주박차량수 등 차량기지 운영계획을 분석한다.

󰊲 차량기지 기능의 분석

1. 기능 판단하기
차량기지는 대부분 고정편성의 차량을 검수 및 정비할 수 있고, 운행한 차량을 편성단위
로 입고 → 세척 → 검사(정비) → 유치 → 출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일부 기능
이 추가 삭제될 수 있으므로 기지의 구체적인 기능을 판단한다.

(1) 차량의 정비기능(중수선, 경수선) 여부


차량의 정비를 당해 기지에서 수행하는지를 검토하고, 기지 내에 경수선공장(검사고)
및 중수선공장(정비고)에 소요되는 선로수 및 면적은 검사 및 정비계획, 검사 편성수
및 정비 편성수에 따라 검수분야 및 건축분야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결정한다.

(2) 시운전 기능 여부 및 열차 전향기능 여부


정비한 차량을 시운전하기 위한 시운전설비와 운행한 차량을 주기적으로 방향 전환하
기 위한 전환설비의 기능이 있어야 하는지를 검토한다.

(3) 그 외 특별한 기능 여부
차량기지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기능이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2. 유치용량 산정
해당 노선의 차량 총 소요편성수와 편성량수는 열차운행계획에 따라 정하게 되므로 열차
운영계획을 분석하여 유치용량을 산정한다.
차량기지에 유치할 편성수는 총 편성수에서 정거장에서 주박하는 등 기지 외 주박을 제외
한다. 단 검사 및 정비설비는 총 편성수에 따라 계획한다.
기지 내에서는 임시검사, 정비 시를 제외하고는 분리를 하지 않는 특성을 감안하여 모든
작업이 편성단위로 작업하도록 계획한다.

51
(1) 열차 편성당 차량 수 분석
승차정원 Tc-car ≒ 144명, T-Car 및 M-Car ≒ 160명, 승차율: 150% 기준

(2) 열차 편성 수 분석하기
영업거리 km 
총 편성 수=
 
표정속도 kmh 
×   회차시간 분 × 
×(1 + 여유율)
운전시격 분 

󰊳 입지 계획하기

1. 입지 선정 시 고려사항 검토하기
차량기지 입지선정을 위하여 특별히 고려할 사항을 정리한다. 일반적인 고려사항은 다음
과 같다. 이 중에서 특별히 고려할 사항과 반드시 배제할 사항 등을 정리한다.

(1) 운영효율 증대를 위하여 시종점역과 가급적 인접한 지역일 것

(2) 지형이 평탄하고 평활하여 차량기지시설물을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장방형의 수용면적


확보가 가능할 것

(3) 민원 발생이 적고 가옥, 묘지 등 지장물이 적을 것

(4) 장래 부지확장이 유리할 것

(5) 입고, 출고의 입환동선 처리가 용이할 것

(6) 주변 여건상 환경피해가 적을 것

(7) 차량, 기계, 유류 등의 반출입이 용이할 것

(8) 용지매수가 가능할 것

(9) 보상비 등 사업비가 저렴할 것

(10) 상하수도 및 전력, 가스 등의 유틸리티 공급이 용이할 것

2. 차량기지 위치 선정하기
차량기지로 적정한 지역을 도면과 자료를 분석하여 차량기지로 적합한 개소를 몇 개소 선
정한다. 선정하는 순서와 검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지형도 혹은 측량성과물을 이용하여 차량기지설치가 가능한 위치를 몇 개소 선정하


고 다음 사항을 분석한다.

(2) 토지이용계획을 분석하여 차량기지 건설이 가능한 토지 여부

(3) 측량자료를 분석하여 토공 균형 및 토지정리 시공성

(4) 강우 및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침수가 없고 배수 가능성 여부

(5) 문화재 및 연약지반 등 지장물 여부

(6) 민원 발생 가능성 여부

52
3. 입지 비교 분석하기
선정한 개소 중에서 다음 사항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1) 입출고선 길이 및 선형(종단기울기, 평면곡선 반경)

(2) 토공량

(3) 주요 지장물

(4) 목표기간 내 시공 가능성

4. 최적 입지 선정하기
입지 비교 내용으로 가중치를 두어 점수화하여 가장 고득점의 개소를 최종 차량기지위치로
선정한다.

53
3-2. 시설계획 및 설계

• 차량기지 내 분기기,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사항을 고려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학습 목표 있다.
• 열차운행계획, 차량기지 운영계획을 고려한 차량기지를 설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차량기지 내의 배선

1. 유치선(적하선), 검수고, 객차고, 화차고와 같은 건물 내의 선로간격, 선로수, 소요유효


장 등 열차운행계획 및 차량검수 계획에 따라 작업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배
선한다.

2. 경수선공장(검수고), 중수선공장(정비고), 객차고, 화차고, 기관차고 등 건물 내 선로 간


격, 선로와 외벽과의 거리 등은 검수분야의 운영계획에 따라 확인 후 조정해야 한다.

3. 입환 시 타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배선한다.

4. DSS, SSS, DC, SCO 등 특수분기기는 유지보수자재 수급상 어려움이 있어 부지가 제한


되는 경우와 같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능한 배제한다.

5. 기지 내 배선은 검수규정에 부합되고 부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관통식 및 두단


식을 혼용으로 계획하되 퇴행운전이 최소화하도록 계획한다.

6. 분기기는 가능한 집중하여 배치한다.

󰊲 주요 시설물 계획

1. 궤도는 건물 내,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갈궤도로 부설한다.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피트, 하수Box, 공동구, 지하도와 같이 소요지지력이 크지 않은 일
반구조물은 신축이음간격을 축소조정하여 부등침하에 따른 구조물 균열을 최소화하며,
규격을 다소 크게 하여 부분침하에도 기능 유지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2. 부지정지고는 기지의 주요성을 감안하여 주변 최고수위보다 30cm 이상 높게 하며, 지


하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은 표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계획한다.

3. 급수설비는 기지운영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탑 또는 건물옥상에 급수조


를 설치하여 모든 용수가 급수탑으로부터 공급되도록 계획함으로 일정치 이상의 압력
(단말관 기준 1bar)이 유지되도록 한다. 소요용량 확보를 위하여 필요시 하부에 지하저

54
수조를 설치한다.

4. 배수설비는 환경보전을 위하여 분류식(우수, 오수, 폐수)을 채택 배수토록 계획하며 오


수 및 폐수의 경우 수질환경보전법상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한다.

5. 구내도로는 진입로 및 차량통행이 많은 주요 건물 접근로는 2차선을 기타 도로는 1차


선 이상을 유지하며, 변전소, 경수선 공장(검수고), 중수선 공장(정비고)와 같이 대형기
기 및 자재가 반입되는 도로는 트레일러,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
여 포장 내측곡선반경을 12m 이상으로 한다.

6. 공동구는 향후 유지보수 및 관리에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지 운영에 필요한 각종


유틸리티를 설치하는 공동구를 계획한다.

7. 운전취급실은 가능한 한 차량기지로 입출고하는 열차 및 기지 내 차량 움직임을 육안으


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8. 차량기지 설치에 따른 주민들의 민원사항을 사전에 파악하여 시설물 배치에 적극 반영


한다.

9. 차량기지 설치에 따른 환경영향 평가를 반영하여 방음벽, 대기질, 수질 보존시설을 계


획한다.

10. 세척기는 객차기지 및 전동차기지 전방 인입선구간에 설치 시 세척기 전방에는 가능한


하향기울기로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향기울기로 계획 시에는 3‰ 이내 기울기
로 계획하며, 세척기 시종점으로부터 전·후구간은 각각 차량길이 1량 이상의 직선거
리를 확보한다.

11. 궤도시설은 시운전선 및 기지시점부에 설치되는 입출고선의 침목배치는 본선에 준하여


계획하며 레일의 장척화 또는 장대레일화를 통하여 유지보수성을 제고토록 한다.

12. 공장(차고) 내 선로 종점부에는 검수 중인 차량의 일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막이를 설


치한다. 공장 내 설치되는 차막이는 속도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차륜막이를 사용한다.

13. 차량기지의 상시운영을 위하여 본선과 연결하는 구간인 차량기지 전방에 전차선 사구
간을 설치한다.

55
수행 내용 / 시설계획 및 설계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표준도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노반분야 설계도서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
교량제원, 궤도제원, 온도제원, 차량제원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컴퓨터 프로그램(캐드, 구조해석프로그램, 선형프로그램)

안전·유의 사항


없음

수행 순서

󰊱 배선계획하기

1. 차량기지 기능 분석하기
차량기지의 목적과 기능을 분석하여 유치소요량, 정비소요량 및 관리실 등의 시설물 규모
를 결정하고, 필요한 선로 수를 결정한다.

2. 배선계획하기
선로의 배치와 분기기를 배치하는 배선계획을 한다. 배선계획에 검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입고 → 청소(세척대선) → 유치(검사대기) → 검사 → 유치 → 출고로 운행되는 전동차


기지의 기능 효율성을 제고하도록 배선한다.

56
(2) 입고 → 청소(세척대선) → 유치(검사대기) → 검사로 이어지는 기본 동선은 가능한 한
직통식(관통식)이 되도록 배선한다.

(3) 유치선의 최소유효장은 열차장 + 20m(여유길이) 이상으로 한다.

(4) 경수선공장, 중수선공장, 전삭고, 세척대와 같은 검수시설은 작업의 효율화를 위하


여 집중배치되도록 배선한다.

(5) 검수업무에 경합요인을 완전 배제토록 하며, 타 분야와의 연계성을 유지하도록 계


획한다.

(6) 세척기 전방 및 후방은 1차량길이 이상의 직선구간을 확보토록 한다. 예로서 세척


기의 길이가 12m라고 하면 20m+12m+20m 등 52m 이상의 직선거리를 확보한다.

(7) 유치선은 1개선에 1편성으로 계획한다. 단 1개선에 2편성 유치 시는 열차 간 거리


30m 이상을 유지토록 계획한다.

(8) 선로중심간격의 경우 인입선은 4.3m 이상(본선 중심간격)으로 하며, 유치선, 검수선


은 4.3m이상으로 하고 5개 선로마다 선로의 중심간격을 6.0m 이상 확보한다.

(9) 시험선은 신규반입, 정비, 수선한 열차의 기본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연장을 확보토
록 계획하며, 시험선은 직접 연관되는 경수선 공장 및 중수선공장과 인접하게 배치
동선거리의 최소화로 입환 효율성을 제고하고 타 작업에 지장이 최소화되도록 배치
한다.

(10) 차륜 전삭고선은 전삭고 전후에 1개 편성 이상을 유치토록 계획한다.

(11) 부지여건이 가능할 경우 차륜 및 팬터그라프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루프


(Loop)선 또는 삼각선을 계획한다.

(12) 입출고선

(가) 전동차기지와 관련된 본선 및 정거장 계획을 검토하여 입출고선을 반영한다.

(나) 효율적인 부지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부지의 최소화와 종단선형을 고려하여


최적의 인입선을 계획해야 한다.

(다) 본선교차는 입체교차를 원칙으로 하고, 부득이 평면 교차 시는 확실한 운전보


완시설을 반영해야 한다.

(13) 장래에 신축성 있게 대처하기 위해 검수선 및 청소선은 유치선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14) 장래 주변 노선의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전동차기지 여유부지에 충분한 용량의 장


래유치선을 확보한다.

(15) 장비유치선은 보선장비유치 및 궤도재료하화, 장대레일용접 등 시설의 설치를 고


려하여 반영하되 필요유효장이 확보되어야 한다.

57
(16) 분기기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가급적 특수분기기(SCO, DSS, SSS 등) 설치를 피하고
일반 분기기로 설치한다.

(17) 선로기능별 전차선 가선 유무를 명시해야 한다.

(18) 레일/차륜 간 마찰 소음으로 인한 민원 발생과 마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


행이 빈번한 선로에 대하여 철도소음 저감을 위한 방안을 반영한다.

󰊲 부지고 결정하기

1. 입출고선의 편리성과 토공량 등을 고려하여 차량기지 부지고를 결정한다.

2. 차량기지 부지고의 높이를 결정할 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차량기지의 부지고는 주변 최고 수위보다 30cm 이상 높게 한다.

(2) 차량기지의 부지고 결정은 하천정비 기본계획을 분석하여 빈도별 홍수위를 고려한다.

(3) 차량기지의 높이는 입출고선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본선기울기 기준을 초과하지 않


도록 결정한다.

󰊳 부지 토공설계하기

1. 차량기지 시공기면 확보를 위한 토공설계를 한다. 토공은 주로 성토가 일반적이며 성토


용 재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선의 토공량을 고려한다.

2. 토공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성토부는 하부노반 쌓기기준에 적합하도록 입경 300mm 이하의 재료로 암쌓기를 계


획한다.

(2) 침투수에 의한 노반 침식을 차단하기 위하여 암쌓기 상부에는 필터층과 부직포를


부설한다.

(3) 사업구간의 발생토와 부족토를 계산하여 흙의 유용계획을 수립한다.

󰊴 기지 내 도로 설계하기

1. 기지의 사용계획을 판단하여 각 시설물의 운용 및 기지의 운용에 필요한 차량과 종사원


의 이동동선 및 주민의 이동동선을 검토한다.

2. 기지 내 도로를 계획한다. 도로설계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변 도로망에 대한 교통영향평가를 분석하여 진입하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2) 도로의 폭원, 구조 및 기하구조는 도로의 구조,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3) 주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마을 통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58
(4) 도로의 설계 기준은 다음과 같이 한다.

(가) 설계하중 활하중 DB-24, DL-24

(나) 설계속도 주진입도로 40km/h, 구내도로 20km/h

(다) 최소회전반경 승용차전용도로 6.0m, 대형차 운행도로 13.5m

(라) 도로 기울기 횡단 2%, 종단 2~7%

(마) 차로 폭: 2.75m 이상

(5) 포장은 가요성포장과 강성포장을 검토하여 주어진 여건에 적합하도록 설계한다.

(6) 건널목은 적정한 보판을 설치한다.

(7) 도로부대시설로 도로표지판, 가드레일, 신호등, 차선도색 및 노면표시등을 설계한다.

󰊵 우배수 시설 계획하기
우수와 배수를 위한 시설물을 설계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기존 배수 체계에 대한 상세한 현황조사와 분석결과에 따라 부지 내의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설계한다.

2. 외부의 유입량이 있을 경우 이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3. 강우강도를 고려하여 배수계통 및 유출 분석을 시행하고, 집수유역면적, 배수맨홀 개수,


배수 연장, 유출량을 검토한다.

4. 배수관은 동결심도 및 차량하중을 고려하여 깊이와 관 종을 결정한다.

󰊶 오폐수 시설 계획하기
오폐수의 처리방법과 오폐수처리를 위한 시설물을 설계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방류수질기준은 하수도법과 환경정책기본법 등을 고려한다.

2. 오수처리계획은 환경영향평가 및 관련 기관의 협의 결과를 반영한다.

3. 검사고와 종합관리동 등에서 1일 발생하는 오수량을 계산한다.

4. 검수고 및 정비고에서 발생하는 1일 발생하는 폐수량을 계산하여 반영한다.

5. 오수관로는 폐수처리장 집수조에 집수한 후 인근의 오수관로망과 연결하여 종합 종말처


리장으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방류 시 방류수질이 기준에 적합하도록 고도처리 후 방류계획한다.

59
3-3. 시설물 배치설계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 분야와 인터페이스 협의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학습 목표
따라 각종 시설물 설치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차량기지 내의 시설물 배치

1. 차량기지 주요 시설은 배선계획 및 검수·정비·청소·유치의 기능 및 동선에 부합되도


록 배치한다.

2. 종합사무실 및 복리 후생동은 이용자의 편리성, 안정성, 접근성을 감안하여 배치한다.

3. 승무원이 이용하는 시설은 동선이 짧고 승무원들의 일반업무, 승무대기를 위한 휴식,


수면과 같이 승무원을 위한 기능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배치한다.

4. 변전소는 전력부하, 전력공급원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5. 창고는 사용부서와 이동거리가 짧고 반입성과 운반성이 우수한 곳에 배치한다.

6. 유류저장시설은 사람의 접근이 적고, 열차로부터 하화가 가능하며 자동차 통행이 가능


한 곳에 배치한다.

7. 폐수처리장은 발생원과 인접하고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8. 경수선 공장(검사고), 중수선 공장(정비고), 전삭고, 청소선, 자동세척고는 검수원들의 이


동동선, 일부업무의 외주시행 가능성, 기능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배치한다.

60
수행 내용 / 시설물배치 설계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노반분야 설계도서


교량제원, 궤도제원, 온도제원, 차량제원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안전·유의 사항


없음

수행 순서

󰊱 기지 내의 시설물 배치계획하기

1. 차량기지 내의 각종 시설물에 대하여, 종류별 수량(면적)을 산정한다.

2.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설물의 배치계획을 한다.

(1) 차량 유치와 검수를 위한 공간 확보 시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배치해


야 한다.

(2) 기지 내 주요 시설은 검수 및 궤도배선계획을 고려하여 배치해야 한다.

(3) 변전소는 부하의 위치와 전력공급원, 전동차기지 검수, 운영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


인 장소에 위치토록 배치해야 한다.

(4) 기계실 및 전기실은 전동차기지 내 열원 및 전기공급이 최적화되도록 배치하여 전


동차기지 운영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5) 창고 및 유류저장시설은 사용처로부터 이동거리가 적고 운반이 용이한 곳으로 자동


차(트럭)의 접근이 용이한 곳에 배치해야 한다.

61
(6) 폐수처리장은 주 발생원의 위치가 근접한 곳에 배치하여 효과적인 환경 및 유지관
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7) 경수선 공장, 중수선 공장, 차륜 전삭고는 전동차의 검사 및 청소, 정비 등 기능의 효


율성과 차량입환의 용이성, 검수계획, 검수원의 이동 동선에 최적화되도록 배치한다.

(8) 자동 차체세척설비는 운용상 효율과 입출고 및 주변환경에 지장이 없도록 배치해야


한다.

(9) 종업원들의 후생복기를 도모하기 위한 시설(주차장, 체육시설 및 조경시설 등)을 반


영한다.

(10) 신호취급소 및 인수인계실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승무원의 동선과 신호분


야의 연계를 검토하여 적정위치에 배치해야 한다.

(11) 후생시설(매점, 휴게실, 식당, 주방, 체력 단련실, 목욕탕, 탈의실, 세탁실, 기타 관


련 기능실)은 검수원을 비롯하여 승무원 및 기타 분야 종사자들의 동선관계를 고
려하여 계획해야 한다.

󰊲 궤도시설 배치하기

1. 궤도분야와 협의하여 궤도시설물의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2. 궤도분야의 설계내용을 도면에 반영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유치선은 열차운영계획에 따라 소요편성 중 주박기지와 본선유치량을 제외한 편성


수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

(2) 유효장은 최장 열차를 고려하며, 고정편성 차량이 고장 시를 대비하여 견인기관차


를 운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어 설계한다.

(3) 장비유치선은 보선장비 유치 및 궤도재료하화, 장대레일용접 등 시설의 설치를 고


려한다. 장비유치선은 자재적치장 설치를 고려하여 부지 외곽의 도로와 인접하게
계획한다.

(4) 모타카선은 보선작업용 모타카와 전기, 신호작업용 모타카를 별도로 설치한다.

(5) 모타카선은 장비유치선, 자재적치장과 인접하고 유치선에 차량이 유치된 후에도 본


선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6) 전삭선은 전후 타 선로운행 차량에 간섭이 없도록 1편성 유효장 확보 및 전삭 인상


선을 배치하고, 전삭고 전후 2량길이 이상의 직선을 확보한다.

(7) 임시검수대기선은 경수선 공장 전방에 설치하며 차량분리, 임시검수 시 타 검수차


량과 지장이 없도록 한다.

62
(8) 인상선은 고정편성차량의 최대길이와 견인기관차길이(20m)를 고려하여 설치한다.

(9) 검수선은 차량기지의 목적에 따라 설치한다.

(10) 급유선, 기중기선, 기회선, 전차대선, 조성선 등을 검토하여 배치한다.

󰊳 검수설비 설계하기

1. 차량기지에 설치되는 각종 검수 관련 토목, 선로시설은 검수분야와 협의 조정한다.

2. 검수에 필요한 시설물의 배치계획을 도면에 반영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일상검사설비

(가) 검사는 편성단위로 한다.

(나) 선간은 포장한다.

(다) 세척선 오물발취선이 있을 때는 공용한다.

(라) 전동차 기지에는 옥상 점검대 가선단로기 ATC시험장치 등을 설치한다.

(2) 교번검사설비

(가) 전동차와 같이 고정편성열차는 편성단위 기타는 1량 단위시설로 설치한다.

(나) 검사피트는 상판 및 기기검사, 수선을 위하여 설치한다.

(다) 그 외 공기압축기 축상, 제륜자 등의 검사를 위하여 내피트와 서로 통행할 수


있는 측 피트를 설치한다. 단, 객차만의 경우는 필요 없다.

(라) 전동차기지에는 옥상 점검대 가선단로기 ATC 시험장치를 설치한다.

(3) 대차검사 교번검사(B) 설비

(가) 대차검사 교환을 하기 위한 천장 크레인 리프팅 자키 직장 등을 설치한다.

(나) 바닥면은 콘크리트포장, 부품 해체 장소는 나무(목)블록 포장한다.

(다) 검사피트는 수선피트와 공용하고 전동차기지는 얕은 피트를 설치한다.

(4) 차륜전삭설비
편성한 대로 차륜을 전삭할 차륜선반을 설치하고 검사피트, 배수, 압력 공기관을 설치
한다.

(5) 정비설비

(가) 급유설비: 엔진유, 윤활유 탱크는 지하에 매설한다. 급유전은 일상검사선이나


세척선에 20m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하탱크 용량 40m3(탱크차수송 5~7일 저장)
10m3(탱크로리수송 3~5일 저장)

(나) 급수설비: 열차운전에 필요한 엔진냉각수, 난방용수 음료수, 변소용수 그 외 검


수용수 등의 설비를 한다.

63
(다) 세척설비: 여객차의 세척작업을 위한 세척선, 세척대, 세척바닥, 수조, 급수관,
온수관, 배수설비 등을 필요로 한다.
그 외 기계식 자동 차량세척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열차화장실에서 오물발취 설
비로서 발취전과 그 부속설비 오물탱크급수전 오물 도입관 및 트라후 등의 설비를
설치한다.

󰊴 신호설비설계하기

1. 신호분야와 협의하여 신호설비 및 시설물의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2. 계획된 신호설비를 도면에 반영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신호기계실은 운전취급실 및 신호주재사무실 등의 신호 관련실과 동일한 건물 내에


설치하며 각종 신호기기들이 설치되도록 한다.

(2) 운전취급실은 차량기지 전체의 관제가 양호한 장소에 설치하며 신호취급을 위한 대


형표시판과 조작반을 설치한다.

(3) 신호기는 출발신호기, 장내신호기, 엄호신호기는 색등식 다등형이 바람직하고, 입환


신호기는 색등식 단등형이 바람직하다.

(4) 입환용 진로표시기를설치한다.

(5) 제어 및 전원케이블은 트로프 또는 전선관을 설치하고, 선로횡단개소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전선로를 횡단한다.

(6) 전선로 구성 시 노반 배수로와 저촉되지 않아야 한다.

󰊵 전력설비 설계하기

1. 전력분야와 협의하여 전차선 및 기타 전력시설물의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2. 협의된 전력설비를 도면에 반영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기지 내의 변전설비는 차량의 입출고에 지장이 없는 급전계통을 구성하여 본선전원


을 상시전원으로 공급하고, 본선 전차선로가 정전 중일 때에도 기지 내는 전원공급
이 가능하도록 한다.

(2) 전차선로는 입출고선, 유치선군, 검수고 등 차량기지 내 제반설비에 적합한 그룹별로


급전계통을 구성한다.

(3) 변전기기의 배치는 타 분야와 협조하여 설비의 보수 및 운전조작 등 유지관리가 용


이하도록 하며, 기기의 반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4) 전차선로는 본선과 동일하거나 연계성이 있는 전기방식을 사용한다.

(5) 전차선의 전주는 그 기초를 콘크리트구조로 하되 토목분야 구조물에 적정하게 선정


한다.

64
(6) 전차선 전주는 궤도분야의 궤도시설물과 건축한계 저촉이 되지 않도록 하고, 궤도의
변위에 따라 상하 좌우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7) 배전선로 케이블은 공동구 및 elp관내 포설이 원칙이며, 궤도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보호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 통신설비 설계하기
통신분야와 협의하여 통신용 시설물의 배치계획을 도면에 반영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통신시설은 통신관로, 통신케이블, 연선전화설비의 통신선로와 전송설비가 있다.

2. 노반구조물에 적합한 통신관로를 사용하도록 한다.

3. 통신케이블 및 통신기기 설치위치는 타 분야시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 각 분야 인터페이스

1. 차량기지의 설계는 합동으로 설계하거나 수시로 업무협의를 통하여 분야별 간섭이 되지


않도록 협의하지만, 설계과정 중에 수시로 인터페이스 회의를 한다.

2. 차량기지의 도면은 세계측지계 좌표를 사용하여 각 분야가 공동된 좌표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차량기지의 평면설계도는 종합도면을 사용하여 각 분야의 시설물 계획이 포함되어서 한


분야가 설계변경되더라도 모든 다른 분야에서 알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65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차량기지를 견학하여 차량기지 운영현황을 파악하도록 한다.

• 차량기지 설계도면을 수집하여 설명함으로써 기지의 특성에 따른 설계 반영사항을 알게 한다.

• 차량기지의 배선과 입출고시점역의 배선이 기지운용에 효율성에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게


한다.

• 기지 내의 배선과 궤도중심간격의 필요성을 알게 한다.

• 기지에는 각 분야가 종합적으로 운영하게 유지적인 관계가 정립되어야 하는 바 시설물의 유기성


이 있어야 함을 알게 한다.

학습 방법

• 열차운용계획과 차량기지의 역할을 학습한다.

• 차량기지 규모를 결정하고 그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기지 내 배선계획원칙과 배선 설계, 분기기 배치방법을 학습한다.

• 기지 내의 배수설비, 도로설비, 검수설비 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기지 내 시설물의 위치 선정방법을 습득한다.

• 기지 내 각 분야 시설물의 설계조건을 이해하고 토목분야 및 타 분야와의 연계성 검토방법을


습득한다.

66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입지선정 - 차량의 운영 효율성을 감안하여 적정입지를 선정할 수 있다.

- 차량기지 내 분기기,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사항을


고려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시설계획 및 설계
- 열차운행계획, 차량기지 운영계획을 고려한 차량기지를
설계할 수 있다.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분야와 인터페이스


시설물 배치설계 협의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종 시설물 설치에 지
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차량의 운영계획을 검토할 수 있는지 여부
입지 선정
- 차량기지의 목적을 이해하고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차량기지의 기능을 알고 기지 내 선로 및 분기기 배치 가능 여부

-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조건을 이해하고,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
시설계획 및 설계
- 열차운행계획, 차량기지 운영계획의 이해
- 차량기지를 설계하고 차량기지시설물을 적정하게 배치
할 수 있는지 여부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 분야의 업무 이해 여부
시설물 배치설계 - 각종 시설물 설치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
설계획의 수립 여부

67
• 논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차량기지의 목적과 임무를 이해하고 기지에 필요한 시


설물의 종류에 대한 지식 여부
입지 선정
- 차량기지의 입지조건을 이해하고 위치를 선정할 수 있
는지 여부

- 차량기지의 선로시설물의 기능을 알고 기지 내 선로 및


분기기배치 가능 여부

- 평면·종단선형 각종 경합조건을 이해하고, 시설물을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
시설계획 및 설계

- 열차운행계획, 차량기지 운영계획의 이해

- 차량기지를 설계하고 차량기지시설물을 적정하게 배치


할 수 있는지 여부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 분야의 업무 이해 여부

시설물 배치설계
- 각종 시설물 설치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
설계획의 수립 여부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기존 차량기지별 특성의 이해 여부
입지 선정
- 기존 차량기지 운영상태 분석 가능 여부

- 차량기지 기능 분석 및 기지 내 배선 분석 가능 여부

- 차량기지의 시설물 종류와 필요성을 분석하고, 시설물


시설계획 및 설계
을 배치할 수 있는지 여부

- 차량기지 운영실태 분석 여부

- 궤도, 건축, 신호, 통신, 전력 등 연관 분야와의 인터페이


스 분석 가능 여부
시설물 배치설계
- 각종 시설물 설치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시
설계획 수립 여부

68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차량기지의 입지선정, 기지조성설계와 시설물 설계 절차 수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
하여준다.
2. 논술형 시험
- 차량기지 설계 시 고려할 사항과 기지 시설물의 목적에 대한 지식 정도를 평가하고,
차량기지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파악하게 하며 부족한 경우 차량기지별 특성
을 설명한다.
3. 사례연구
- 기존의 차량기지에 대하여 설계 당시의 운영계획과 현재의 운영실적을 분석토록 하고,
향후 기지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평가하고, 의견을 교환하며, 시설물 계획에
반영할 사항들과 그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69
학습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1)
학습 2 정거장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2)
학습 3 차량기지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3)

궤도 설계하기
학습 4
(LM1402011004_14v2.4)
학습 5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LM1402011005_14v2.1,2,3,4)

4-1. 궤도구조 선정

• 도상 형식별 유지보수, 승차감, 구조적 안전성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하여 최적 도상


형식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특정 선구의 운행차량 형식에 따라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
에서 초기 건설비용, 궤도재료 유지보수비용,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궤도의 구조

1.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궤도는 레일과 침목을 조립한 궤광을 토노반상에 포설된 자갈 속에


묻어 부설한 것으로 반복적인 열차 하중에 의하여 변형이 되는 특징이 있다.

2. 자갈도상 궤도는 구성되는 재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하여
변형 및 파손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보수작업이 필요하다.

󰊲 궤도의 종류

1. 궤도 일반

(1) 도상은 열차로부터 레일, 침목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
며, 차량의 좌우거동, 온도변화 및 차량의 가감속에 의해 발생되는 레일의 축력 발
생 시 침목의 이동을 막아주고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흡수하
고 배수가 용이하게 하며 잡초 발생을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한다.

(2) 궤도는 전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갈이 있는 궤도를 유도상 궤도 혹은 자갈궤도


라 하고, 자갈도상을 사용하지 아니한 무도상 궤도라 있으며, 무도상 궤도는 콘크리
트 궤도와 강형직결궤도 등이 있다. 무도상 궤도 중 대부분은 콘크리트궤도이다.

70
[그림 4-1] 유도상(자갈) 궤도 [그림 4-11 ] 무도상(콘크리트) 궤도

2. 자갈 궤도
도상자갈은 열차로부터 레일, 침목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며,
차량의 좌우거동, 온도변화 및 차량의 가감속에 의해 발생되는 레일의 축력 발생 시 침목
의 이동을 막아주고 차량의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를 흡수하고 배수가 용이하
게 하며 잡초 발생을 억제해 준다. 자갈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자갈도상 궤도는 탄성이 풍부하고, 궤도의 정정이 용이하며, 열차의 탈선 등으로 궤
도의 파손 시 복구 유리

(2)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보수 및 정정작업을 해야 되는 궤도 관리가 필요

(3) 궤도 보수의 과학화, 정보화 및 보수장비의 개발로 대량, 균질의 보수 관리 가능

3. 콘크리트 궤도
콘크리트 궤도는 자갈궤도의 수시보수가 필요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갈도상을 콘
크리트로 대체한 궤도로서, 콘크리트 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궤도의 선형유지가 좋아 보수작업 주기가 길어진다.

(2) 궤도의 횡방향 안전성이 개선되어 레일좌굴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3) 지하철도에서 자갈도상에 비해 시공높이가 낮으므로 구조물의 규모를 줄일 수 있다.

(4) 고가철도에서 자갈도상에 비해 중량이 작아 설계 시 하중을 줄일 수 있다.

(5) 자갈도상에 비해 분진이 없고, 청소가 용이하다.

(6) 차내 진동이 적어 승차감이 양호하다.

(7) 주변에 미치는 진동이 작아 민원을 줄일 수 있다.

(8) 선로보수작업이 필요 없어 보선 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공해를 줄일 수 있다.

(9) 초기 투자비는 자갈도상에 비하여 약간 많으나 유지보수비가 적어 장기적 안목에서


볼 때는 경제적이다.

71
수행 내용 / 궤도구조 선정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표준도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노반분야 설계도서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촬영장비


문서 작성용 S/W


설계용 S/W

안전·유의 사항


해당 사항 없음

수행 순서

󰊱 과업지시서 내용 분석하기
1. 지시서 내용 분석
지시서의 내용은 설계과정에서 수행하여야 할 사항을 규정하며 주로 설계기준, 제출 및
보고사항, 협의사항, 사업비에 관한 사항, 인터페이스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여 정리한다.
각종 법규, 기준을 분석하여 적용할 항목과 내용을 정리한다.

2. 공사금액의 산정 기준
공사금액을 산정하는 기준은 노임단가, 환율, 중기사용료, 자재단가를 조사하여 정리한다.
공사원가계산은 예정가격 작성기준(회계예규 2200-04-160-4‘07.10.12)에 의거하여 산출하

72
고 이에 의할 수 없는 특수사항에 대하여는 현실에 맞는 적정단가를 산출한다.

󰊲 열차운전 조건 분석하기
열차운영계획에 따라 다음 사항을 분석하여 정리한다.

1. 열차의 종류를 여객전용, 여객과 화물의 혼용, 전동차전용, 전동차와 일반열차 혼용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2. 열차의 운전방식을 열차속도, 열차길이, 동력집중방식, 동력분산방식으로 구분하여 정리


한다.

󰊳 현장 및 기존선 조사하기
설계하고자 하는 현장에 대하여 다음 순서에 따라 조사·분석하여 정리한다. 조사하는 순
서는 중복되거나 바꿀 수 있다.

1. 예비조사
노반설계에서 수행된 성과품을 검토·분석하여 다음 사항을 조사한다.
- 계획구간 노선현황 및 계획, 선형, 배선, 구조물, 지장물 및 선로경합사항 등
- 측량성과물에 대한 활용 가능 여부
-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소음·진동 저감계획
- 기타 궤도설계에 필요한 사항

2. 현지조사
현장을 방문하여 다음 사항을 조사한다.
- 노선연장, 기울기, 정거장 등의 기존 철도 제원조사와 지장물 등 조사
- 열차운용현황(차단가능시간 포함), 타 공정 추진현황 등 조사
- 궤도 설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구조물 또는 장애물을 조사하고, 향후 공정(전차선 등)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에 대해서도 사전 검토

3. 기존선조사
기존선이 있는 경우 기존선의 위치 및 현황을 조사·검토한다.
- 노선 현황(노선의 개요, 기존선 곡선 현황, 기울기 현황 등)
- 궤도시설 현황(레일, 침목, 분기기, 레일체결장치, 건널목 등)
- 기존선 철거계획
- 기존선을 철거하는 경우 철거발생품의 수량 및 현황을 조사하고, 도상자갈 등의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며, 이에 근거하여 철거발생품 처리 및 재활용 계획 수립

4. 궤도재료 및 재료원조사

(1) 주요 궤도재료에 대하여 조달 및 적용방안 등을 검토하여 정리한다.

(2) 공사 시행 시 활용이 가능한 재료원(석산 등)에 대하여 위치, 종류, 생산 가능량, 지

73
역현황, 환경영향성 등을 조사하고, 기존 재료원이 없는 경우 개발 가능한 지역에
대하여 조사한다.

󰊴 노반 설계내용 분석하기
노반분야의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노반설계내용 중 궤도설계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여 정
리한다.

1. 설계기준 분석하기
노반분야의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노반설계기준 중 다음 사항을 분석하여 궤도설계에 반영
할 사항을 도출하여 정리한다. 분석할 사항은 설계속도, 선로부담력, 곡선반경, 완화곡선
길이, 선로의 기울기, 종곡선삽입현황, 선로중심간 거리 등이다.

2. 설계내용 분석하기
노반분야의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노반설계내용 중 다음 사항을 분석하여 궤도설계에 반영
할 사항을 도출하여 정리한다. 분석할 사항은 설계속도, 궤간, 선로부담력, 곡선반경, 완화
곡선길이, 선로의 기울기, 종곡선삽입현황, 선로중심간 거리, 도상두께, 시공기면 폭, 켄트
량, 슬랙량, 건축한계, 정거장 유효장 등이다.

󰊵 설계속도 결정하기
과업지시서의 설계속도와 노반설계내용을 분석하여 열차 최고 운행속도를 검토하고, 궤도
설계에 적용할 열차 속도를 검토하여 정리한다.

󰊶 궤도설계조건 수립하기
각종 규정과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궤도설계기준을 수립한다.
궤도설계조건을 수립하는 내용에는 캔트량, 슬랙량, 도상두께, FL-RL 등이 있다.

󰊷 궤도재료 선정하기

1. 레일
사용할 레일의 종류, 길이를 결정한다. 주로 사용하는 레일의 규격은 주본선 및 부본선은
60kgKR, 측선은 50kgN이다.

2. 분기기
본선과 측선에 사용할 분기기의 규격을 결정한다.
주로 사용하는 분기기의 규격은 본선은 60kgK 탄성분기기(고정크로싱), 측선은 50kgNS
I형 분기기이며, 열차속도가 160km/h 이상인 경우에는 노스가동분기기를 적용한다.

󰊸 궤도구조별 안정성, 시공성 분석하기 및 경제성 분석하기

1. 자갈궤도의 설계
궤도의 종류를 자갈궤도로 선정한 경우에는 자갈도상의 단면을 설계한다. 설계하는 과정

74
은 다음과 같다.

(1) 도상의 형상 및 규격(철도설계지침 및 편람 KR C-14030 자갈궤도 구조)에 따라 자


갈궤도 표준 단면을 적용한다.

(2) 최소 도상 어깨폭은 450mm 이상으로 하고, 도상 어깨폭의 기울기는 1:1.6으로 한다.

(3) 레일 및 레일면고는 본선 및 부본선은 장대레일 구간에서 R.L~F.L 680mm를 적용하


고, 측선의 경우는 610mm 적용한다.

2. 콘크리트궤도의 선정
궤도의 종류를 콘크리트궤도로 선정한 경우에는 콘크리트궤도의 형식을 선정하고 단면을
설계한다. 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검토대상 궤도구조는 현재 국내에 기술이 도입되어 설계반영 및 기 부설되어 운행


경험이 입증된 궤도구조를 대상으로 적용한다.

(2) 대상 콘크리트 궤도에 대하여 현장조건과 안전성, 경제성을 분석하여 적용할 궤도를
선정한다.

3. 건설비 비교하기
건설비용은 다음 방법으로 비교한다.

(1) 토노반, 교량, 터널 등의 노반 구조물에 따라 예상단가를 사정한다.

(2) 예상단가는 적산방법 혹은 실적단가를 적용한다.

(3) 현장의 조건에 따라 재료의 운반, 반입 등 비용을 가감한다.

(4) 궤도 종류별 km당 단가를 비교한다.

4. 유지관리비 비교하기
유지관리비용은 다음 방법으로 비교한다.

(1) 토노반, 교량, 터널 등의 노반 구조물에 따라 예상 보수비 단가를 사정한다.

(2) 열차운행횟수 및 통과톤수를 고려하여 보수비용을 산출한다.

(3) 예상단가는 적산방법 혹은 운영기관의 자료를 활용한다.

(4) 현장의 조건에 따라 인건비, 장비비, 궤도검사비, 재료갱환비를 계산한다.

(5) 궤도종류별 연간 km당 유지관리비 단가를 비교한다.

5. 경제성 비교하기
경제성은 다음 방법으로 비교한다.

(1) 건설비용과 연차별 유지관리비를 합하여 비교한다.

(2) 경제성을 비교한다.

75
󰊹 분기기구조 선정하기
설계구간에 필요한 분기기의 수량을 계산하고, 분기기의 규격과 설치위치를 선정한다.
분기기 종류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분기기는 해당 선로의 열차운전시격 및 설계속도에 따라 8#, 10#, 12#, 15#, 18.5#,


26#, 46# 등 7종 중에서 선정한다.

2. 정거장 구내본선에 설치하는 분기기는 본선 부설레일 중량 이상으로 결정하고, 통과속도


160km/h를 초과하는 정거장은 가동 노스크로싱을 적용한다.

76
4-2. 궤도설계

• 레일과 교량 간의 비선형적 거동의 상호작용에 따른 교량 상 장대레일 축력에 대한


학습 목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 적정 시공방안을 검토하고 상세 궤도 부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궤도와 교량 간의 거동 분석
궤도/교량 종방향 상호작용에 따라 평가된 상호작용력에 대하여 지지구조가 안전한지를
검토해야 하며, 교량 상부구조 단부의 회전 또는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상향력에 의해 슬
래브의 부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슬래브와 궤광의 자중이 상향력의 적어도 1.3배 이상임을
입증하여야 하며, 만약 이 값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슬래브와 교면 보호층을 앵커 등
으로 연결시키는 등 슬래브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1. 해석모델
UIC774-3 기준에 따른 구조해석모델, 즉 도상의 변화(loaded/unloaded 상태에 대한
Bi-Linear 스프링 적용으로 하중단계에 따라 4가지로 변화)를 포함하는 모델을 작성하여
해석을 위한 모델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때 rail과 slab를 각각 3차원 보 요소를 사용하여 모델링하며, 도상 또는 레일체결장치는
비선형 조인트요소(nonlinear joint element 또는 spring element)를 사용하여 하중의 크기
에 따라 수평방향의 스프링 상수값이 UIC774-3에서 정하는 바와 같이 loaded/unloaded 상
태에 따라 평상시/항복시에 해당하는 4단계에 걸쳐서 변화가 적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2. 하중의 적용
하중의 적용은 온도하중, 활하중(수직, 시제동) 각각에 대해 해석 후 선형조합하는 방법과
온도하중과 활하중(수직, 시제동)이 순차적으로 재하되어 온도하중의 영향으로 인한 변형
과 내력이 있는 상태에서 활하중이 추가 재하한다.

󰊲 장대레일 축력 계산

1. 일반 토공구간의 경우 교량구간과 같이 상판의 신축으로 인한 추가 발생 축력을 감안할


필요가 없으므로 순수하게 장대레일에 작용하는 대기 온도변화에 의한 레일축력만을
검토하면 된다.

77
2. 곡선 구간의 좌굴안정성에 관한 검토는 동일한 궤도 표준단면을 갖는 경우 해당 선구의
최소곡선반경에 대해서만 검토 시행한다.
교량상 장대레일의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의 거동과 레일의 거동을 고려하여 검토한다.

3. 레일의 온도변화는 부설 시의 온도 또는 재설정온도를 기준으로 +40℃, -50℃를 기준으


로 한다.

󰊳 궤도선형 계산

1. 선형일반
본선 곡선 반경은 구간 운행 열차가 속도제한을 받지 않도록 반경이 큰 것이 유리하며,
기울기 한도는 비상 정차 발차능력 고려, 운전 열차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선형설계 고려사항

(1) 선로 곡선반경은 설계속도로 곡선구간에 속도제한 없이 주행할 수 있는 곡선반경으


로 설계하되 가급적 크게 한다.

(2) 완화곡선은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계한다.

(3) 두 곡선 사이 직선은 연장이 길수록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


이상으로 설계한다.

(4) 정거장 구간은 직선으로 설계하며 장래 개량을 고려하여 정거장 전후로 여유 있는


직선선형으로 설계한다.

(5) 복선일 경우 곡선구간은 가급적 상하선 동심원으로 계획하여 선로 중심간격을 동일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선로 종단선형은 열차운영계획과 정거장개량, 기술적 연계성 등을 고려한다.

(7) 선로 종단선형은 건설비 및 운전비를 고려하되, 가급적 완구배로 함이 바람직하다.

(8) 본선구간의 선로 기울기는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일관된 취지하에 설계한다.

(9) 선로종단선형은 토공, 교량, 터널, 정거장 등 구축물의 시설조건, 주변환경, 기존철
도와 도로, 하천횡단조건, 시가지와 마을 등 지장물의 횡단조건, 건널목 및 도로 횡
단조건을 고려하여 시공기면을 설정한다.

(10) 선로기울기 변경점은 직선구간에 두며 부득이한 경우는 원곡선 구간에 설치할 수


있으나 완화곡선 구간에 경합해서는 안 된다.

(11) 선로기울기 변경점에는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종곡선을 설치하여야 한다.

(12) 교량상에는 급구배를 피하고 구배 변화점을 두지 않는 것이 좋다(교량구간에 선로


기울기 변경점은 종곡선 설치 가능성을 검토하여 적용한다.).

(13) 선로기울기 변경점의 종곡선은 정거장 전후 분기부에 저촉되지 않도록 한다.

78
(14) 터널 내는 공기저항, 습기로 Rail 점착력이 감소하므로 제한구배보다 완화시킨다.

󰊴 궤도 단면 및 상세 설계

1. 도상 어깨폭의 기울기는 직선 및 곡선을 포함하여 장대화와 관계없이 1:1.6 – 1:1.8을 표


준으로 한다.

2. 최소 도상 어깨폭은 장대 및 장척레일 구간에서 450mm 이상, 정척레일 구간: 350mm


이상으로 하며, 장대 및 장척레일 구간의 도상어깨는 도상횡저항력 강화를 목적으로 침
목끝단에서 300mm까지 100mm 더돋기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고속철도에서는 본선의 자갈도상은 도상자갈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궤도 중심으로부


터 침목양단 끝부분까지는 침목상면보다 50mm 낮게 부설한다.

79
수행 내용 / 궤도 설계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표준도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노반분야 설계도서


지반조사 및 측량 현황


교량제원, 궤도제원, 온도제원, 차량제원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컴퓨터 프로그램(캐드, 구조해석프로그램, 선형프로그램)

안전·유의 사항


없음

수행 순서

󰊱 궤도와 교량 간 거동 분석하기

1. 거동 분석하기 및 모델링하기
교량과 궤도 간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컴퓨터의 전용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프
로그램에 모델링을 한다. 모델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모델 구성을 위한 주요 파라미터는 여러 가지 단위들이 혼재하여 사용되고 있으므


로 읽어 들인 값들은 SI 단위(N, m, kg, C, s)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2) 교량상판과 레일을 연결하는 부분에 사용될 Bilinear Spring은 활하중의 재하 여부에
따라 Loaded/Unloaded 상태의 2가지 형태의 Bilinear Spring 상수가 적용되어야 하므
로 Interface Meshing을 사용하는 대신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길이의 요소로 분할하

80
여 개별적으로 모델링한다. 즉, 레일 전체를 하나의 Line으로 정의하고 요소 분할
수를 지정하는 대신, 사용자가 지정하는 길이(UIC774-3이 제시하는 2.0m 이하 범위
내)의 Line을 개별적으로 정의하고, 각 연결점에 교량상판과 연결되는 Line을 정의하
고, 1개의 Joint 요소를 부여한다.

(3) 모델링하고자 하는 Track-Deck-Bearing System을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4) 단선교량일 경우에는‘레일’로 표현되며, 복선교량인 경우에는 2개의 레일에 대한


제원을 사용함으로써‘트랙’으로 이해하면 되므로, 단선/복선교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된다.

(5) 일반적으로 레일 부분 모델에서 레일과 교량상판의 중립축 차이는 Eccentricity 값으로


해석에 반영한다.

(6) 전체 모델구성은 Global X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모델링하였으며, 교량의 시점부의 X


좌표가 0이 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교량 이전의 Embankment 부분의 X좌표는(-)값
을 가지게 된다.

(7) 교량 상판의 경우 레일과 동일한 3차원 beam 요소(element)를 적용한다.

2. 제원입력하기

(1) 교좌장치 제원 입력하기


모델링한 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에 제원을 입력한다. 우선 교좌장치의 제원을 입력한다.
교량상판 하부의 교좌받침과 교각의 모델링은 토공구간 연결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
용한다. 레일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만 교량상판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며, 각 교량
상판은 별개의 Rigid Offset으로 연결한다. Rigid Offset은 각각 교좌받침을 표현하는
Joint 요소와 연결되며, Joint 요소는 한 점에서 만나 구속되는데, 이 구속점이 두 개의
앞경간과 뒷경간의 교좌받침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교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스프링구
속을 함으로써 교각의 방향별 강성을 표현하거나 일반구속을 통해 교각의 강성을 무
시하고 고정지점 혹은 힌지/롤러 역할을 부여한다.

(2) 궤도제원 입력하기


궤도제원, 온도제원, 교량제원 등 필요한 제원을 입력한다.

(3) 결과물 출력하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결과물을 출력한다.

3. 결과물 분석하기

(1) 윤중변동률 검토하기


프로그램의 출력결과를 검토하여 윤중변동률이 허용한도 내에 있는지를 검토한다.

81
(2) 궤도 요소 응력 검토하기
프로그램의 출력결과를 검토하여 윤궤도재료의 응력이 허용한도 내에 있는지를 검토
한다.

(3) 레일 상향력 검토하기


프로그램의 출력결과를 검토하여 윤레일 상향력이 허용한도 내에 있는지를 검토한다.

󰊲 축력 계산하기

1. 모델링 및 제원 입력하기

(1) 장대레일 해석 모델링하기

(가) 교량상에서 장대레일의 축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컴퓨터의 전용 해석 프로그램


을 사용하며, 프로그램에 모델링을 한다.

(나) 모델링을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1) 교량받침 배열, 상부구조 및 교각의 제원 및 물성치, 상부구조의 휨강성 및
높이, 상부구조의 중립축 위치, 기초의 수평 및 휨강성 등의 구조물 파라메타
를 고려해야 한다.
2) 레일 단면적, 궤도의 종저항력 등 궤도의 파라메타를 고려하여야 한다.
3) 레일 및 교량 상부구조의 온도하중, 시·제동하중, 열차의 수직하중에 대해서
개별적 해석을 수행하여 이들을 조합한다.

(2) 제원 입력하기

(가) 궤도재료 물성제원 입력하기


레일단면적, 레일 열팽창계수, 탄성계수, 도상 및 체결장치의 종방향 저항력을 입력
한다.

(나) 하중제원 입력하기


열차하중(축중), 온도하중, 시동하중, 제동하중 등 레일과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제
원을 입력한다.

(다) 궤도에 작용하는 부가 축하중 검토하기

2. 결과물 분석하기

(1) 축력 및 개구량 분석하기


프로그램의 출력결과를 검토하여 최대, 최소 축력과, 파단 시 개구량을 분석한다.

(2) 안전 여부 검토하기
최대최소축력과 개구량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검토한다.

82
󰊳 궤도선형 계산하기
궤도선형 계산 전용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다음 순서에 따라 선형을 계산한다.

1. 선형조건 입력하기
평면과 종단선형의 제한조건 및 설계 기준, 시종점 좌표, 완화곡선 형상 및 완화곡선 길이
등의 조건을 입력한다.

2. 출력 결과물 분석하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여 도면 좌표, 지장물 저촉 여부, 경합사항 여부
등을 검토한다.

󰊴 궤도 단면 설계하기

1. 궤도 단면 설계하기
열차속도에 따른 궤도설계편람에서 정한 궤도재료를 분석하여 선정하고, 시공기면과 레일
면과의 간격, 도상 높이, 시공기면 폭과 도상 어깨폭을 검토하여 결정한다.

2. 궤도 단면 추가 검토하기
결정된 궤도 단면에 현장여건에 따라 도상더돋기 필요 여부, 도상어깨 기울기, 궤도 주변
시설물을 검토하여 단면의 세부사항을 결정한다.

3. 궤도 상세 설계하기
결정된 궤도구조에 따라 궤도 구성품의 도면, 궤도 단면도 등의 상세 도면을 작도한다.

󰊵 궤도공사 시공방안 검토하기

1. 적정 궤도 공구 분할하기
궤도공사 성격(신설공사, 운행선공사)을 분석하여, 궤도연장 시공공기 등을 고려하여 공구
를 분할한다.

2. 궤도공사 전진기지 계획
분할된 공구별로 작업기지의 위치를 선정한다. 작업기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기지의 면적
및 레일 용접 방법 등을 검토하고 기지의 설비 및 진입도로를 계획한다.

3. 궤도재료 수량 파악하기
공구별로 사용할 궤도재료 종류별 수량을 계산하고, 궤도재료 생산지 현황과 운반방법을
검토한다.

4. 궤도공사 재료 반입 및 관리 계획하기
궤도공사용 재료와 장비를 기지 또는 현장으로 반입하기 위한 진입도로 상황을 파악한다.
공사장이 지하인 경우 투입구 현황을 분석한다. 반입된 재료의 소운반 및 적치 관리방법
을 계획하고, 반입된 재료의 덮개 설치 및 표지부착 등 관리 계획을 한다.

83
5. 궤도공사 공정계획
궤도시공 공정계획은 노반 등 관련 분야와 협의 후 아래 사항을 감안하여 작성한다.

(1) 궤도공사공정계획 시 검토할 사항

(가) 노반 인수·인계 가능 시기

(나) 공사 완료 목표 시기 및 개통예정일자(공사의 시급성)

(다) 공사기간의 최소화

(라) 궤도전진기지

(마) 시설사무소 담당구역

(바) 궤도공구 분할 및 궤도부설 연장

(사) 궤도시공 방향 및 시공의 중첩도

(2) 철도 궤도 공정 산출 기준
궤도공사 작업전체 궤도공정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단위 작업량이 아닌 여러 궤도
공사 사례를 참고하여 궤도부설 연장 대 궤도시공 착공에서부터 준공에까지 소요된
일자를 감안하여 산정하는 일반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가) 1개팀 작업인원은 약 20명

(나) 궤도부설 60m/일(1개 작업팀 기준)

(다) 콘크리트도상부설 30m/일(1개 작업팀 기준)

(라) 궤도철거 150m/일(1개 작업팀 기준)

(마) 분기기 부설 2일/1틀(1개 작업팀 기준)

(바) 분기기 철거 1일/1틀(1개 작업팀 기준)

(사) 분기기 개량 4일/1틀(1개 작업팀 기준)

(3) 세부 궤도 공정 산출 기준
공기단축 또는 조기개통 등의 사유로 세부적으로 궤도공정을 검토할 경우에는 아래의
산정기준에 따라 시행한다.

(가) 전 구간 노반이 궤도부설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된 상태이어야 한다.

(나) 모든 궤도재료를 적기에 지장없이 투입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다) 1종 장비 및 스위치장비 1조를 필요시 적기에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라) 자재구매 및 준비작업은 3개월, 마무리작업은 2개월을 기준한다.

(마) 월간 작업일은 25일 가정하고, 예기치 못한 공정지연을 감안하여 20% 할증한다.

84
󰊶 궤도 부설 계획 수립하기

1. 본선 궤도 부설 계획하기
본선 궤도 부설을 위하여 레일 용접, 궤광조립, 도상자갈 살포 작업, 도상다지기 및 궤도
정정작업의 방법 및 공정계획을 수립한다.

2. 분기기 부설 계획하기
본선 및 측선에 있는 분기기의 분기기 조립, 운반, 부설 방법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방법을
선정하고, 도상자갈 살포 및 다짐작업과 부대작업의 방법 및 공정 계획을 수립한다.

3. 장대레일 재설정작업 계획하기

(1) 장대레일 재설정작업의 소요 장비 및 공구 목록을 작성하고, 체결장치 해체 등 준


비작업계획을 수립한다.

(2) 재설정 작업 계획을 대기온도에 따른 레일 절단, 레일 축응력 해방, 레일 긴장량 및


긴장, 레일 체결의 순으로 방법 및 공정계획을 수립한다.

4. 레일연마작업 계획하기

(1) 레일 연마작업을 위하여 소요 장비 및 공구 목록을 작성하고, 연마량, 연마방법, 품


질관리 및 안전관리 등을 계획한다.

(2) 연마범위는 레일 내측 두부 모서리 접선각 –70°에서 외측의 두부 모서리 접선각


+5°, 레일두부의 곡선반경(R)은 레일 종별에 따라 계획하며, 연마깊이는 매회 최소
0.05㎜ 깊이로 계획한다.

(3) 연마 후에는 열차운행 시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궤도 청소의 계획을 세운다.

󰊷 궤도 장비 운영 계획 수립하기

1. 준비작업 계획하기
궤도부설을 위하여 필요한 장비를 분석하고, 보유장비의 현황 및 성능을 분석하여, 보선장
비의 조편성 및 보선장비 투입 일정을 계획한다.

2. 궤도장비의 확보계획하기
궤도공사의 도상다지기 작업은 1종 보선장비에 의하여 시행하며 궤도다짐장비(MTT), 궤도
안정기(DTS), 자갈정리기(RE), 분기기 다짐장비(STT) 등의 장비를 확보하는 계획을 수립한다.

85
4-3. 궤도 유지관리 계획

∙ 궤도재료의 기술적 특성에 따라 검사방법, 보수방법, 응급보수방법, 보수기준을 수


학습 목표
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궤도 재료 검사방법

1. 레일점검
레일점검의 종류에는 외관점검, 해체점검, 초음파 탐상 점검, 레일탐상차 점검, 레일탐상
기 점검이 있다.

2. 분기기점검
분기기점검 종류에는 일반점검, 정밀점검이 있다.

󰊲 궤도보수 검사방법

1. 궤도보수 점검 종류
궤도보수 점검의 종류에는 궤도틀림점검(궤도검측차 점검, 인력점검), 선로점검차 점검, 차
상진동가속도 측정점검, 하절기점검이 있다.

2. 궤도검측차 점검
궤도검측차 점검은 본선 및 착발선을 대상으로 고속철도 월 1회, 일반철도 분기 1회 시행
한다.

3. 인력점검
일반철도의 선로에 대한 궤간, 수평, 면맞춤, 줄맞춤, 유간적정 여부 및 분기기 틀림점검
을 다음에 의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1) 본선 및 측선 분기기: 반기 1회 이상

(2) 궤도검측차 점검결과 불량개소에 대하여는 보수 전 및 보수 후에 본 점검을 시행하


여야 한다.

(3) 특별히 궤도보수 상태 파악이 필요한 경우

86
수행 내용 / 궤도 유지관리 계획하기

재료·자료


과업지시서


철도설계기준


열차운영 계획


노반분야 설계도서


교량제원, 궤도제원, 온도제원, 차량제원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안전·유의 사항


없음

수행 순서

󰊱 궤도 재료 검사 계획하기

1. 레일점검 계획하기
궤도 유지관리를 위하여 레일의 점검계획을 수립한다. 레일 점검에 대한 일반사항은 다음
과 같다. 설계구간의 특성에 따라 가감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1) 외관점검은 연 1회 이상 손상, 마모 및 부식 등의 상태와 제작 연도별로 점검한다.

(2) 해체점검은 일반철도 본선부설레일 이음매는 연 1회 이상 해체하여 훼손 유무 및


그 상태를 세밀히 점검한다.

(3) 레일탐상차 점검은 본선에 대하여 고속철도는 분기별 1회, 일반철도는 연 1회 시행


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개소에 대하여는 레일탐상기로 정밀점검을 시행한다.

(4) 레일탐상기 점검은 일반철도는 주요본선의 경우 연 1회 이상 시행하고, 고속철도는


레일탐상차 불량개소 및 역구내 부본선, 분기기 부근, 장대레일의 신축이음매부근,
접착식 절연레일, 용접지역 등 필요개소에 대하여 시행한다.

87
2. 분기기점검 계획하기
궤도 유지관리를 위하여 분기기의 점검계획을 수립한다. 점검에 대한 일반사항은 다음과
같다. 설계구간의 특성에 따라 가감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1) 일반점검 시 일반철도는 분기기 손상, 마모, 부식 등의 상태를 점검하고 고속철도는


외형 및 안전치수를 측정한다.

(2) 정밀점검 시 일반철도 분기기는 연결간과 접속간의 접속부 텅레일, 이음매부(힐)를


해체하여 훼손 유무 및 그 상태 등을 점검하고 고속철도 분기기는 안전치수 및 부
품 점검, 궤간 특별 확인을 실시한다.

(3) 기능점검 시 일반철도에 부설된 분기기는 수시로 텅레일의 밀착, 접착(웨이뎃트 포


인트 및 표지핸들 부착 등) “백게이지” 및 기타 부속품의 기능상태를 점검한다.

3. 신축이음장치 점검 계획하기
궤도 유지관리를 위하여 신축이음매의 점검계획을 수립한다. 신축이음매 점검에 대한 일
반사항은 다음과 같다. 설계구간의 특성에 따라 가감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1) 일반점검은 선형, 텅레일 상태, 체결상태 및 각종 안전수치 등을 점검한다.

(2) 정밀점검은 안전치수 및 부품 점검, 궤도간 특별 확인한다.

4. 침목 점검 계획하기

(1) PC침목의 점검은 침목구체의 손상 여부, 체결장치의 손상, 마모 정도, 침목구체의


균열 여부, 기능의 상태 등을 검사하는 것으로 주기 등의 계획을 수립한다.

(2) 목침목의 점검은 침목의 부패, 절손 여부, 레일 박힘, 할열 등의 상태와 정도, 교량


침목 고정장치의 이완상태 등을 연 1회 이상 점검하는 것으로 계획한다.

󰊲 궤도 보수 검사 계획하기
궤도유지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궤도틀림검사를 시행하여야 하며, 검사계획을 수립하
여 정리한다. 검사계획을 수립하는 종류와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궤간: 확대 틀림량을 (+), 축소틀림량을 (-)로 한다.

(2) 수평: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기준하며 상대편 레일이 높은 것은


(+), 낮은 것은 (-)로 한다.

(3) 면마춤: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내측레일을 측정하며, 높이 솟은 틀림량을


(+), 낮게 처진 틀림량을 (-)로 한다.(실길이는 직선부 10미터, 곡선부 2미터)

(4) 줄마춤: 직선부는 좌측레일, 곡선부는 외측레일을 측정하며, 궤간 외방으로 틀림량


을 (+), 궤간 내방으로 틀림량을 (-)로 한다.(실길이는 10미터)

88
󰊳 궤도 보수 기준 설정하기
철도의 선형관리는 경제성과 내구연한 연장도모 및 열차운전의 안전을 위한 최적의 관리
를 위하여 다음 조건별로 관리단계별 기준치를 정한다.

(1) 준공기준(CV): 신선 건설 시 준공기준으로 유지보수 시는 적용하지 않는 기준

(2) 목표기준(TV): 궤도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허용기준

(3) 주의기준(WV): 선로의 보수가 필요하지 않으나 관찰이 필요한 기준

(4) 보수기준(AV): 일정한 기간 이내에 보수작업이 시행되어야 하는 기준

(5) 속도제한기준(SV): 이 단계에서는 열차의 주행속도를 제한하여야 하는 기준

89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철도차량의 차륜형상을 보여주고 레일과의 접촉접에 대해 설명하여 레일의 역할을 알려준다.

• 궤도는 열차하중에 따라 변형되며 수시로 보수하여야 함을 알게 한다.

• 콘크리트궤도는 수시보수가 필요 없지만, 노반변형하는 경우 궤도도 손상되고, 이 경우 보수가


어려움을 알게 한다.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의 구성 요소와 표준단면을 알게 한다.

•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의 설계기준과 규정을 알게 한다.

• 궤도부설공사의 순서를 설명하고, 공사할 때 주의사항, 유의사항을 알게 한다.

• 궤도 시공의 단가 구성요소와 적산방법을 알게 한다.

• 열차운행에 따라 궤도 관리 요령과 관리비용 산정방법을 설명한다.

• 궤도구조별 비교 분석을 통해 적정한 궤도구조 선정방법을 지도한다.

학습 방법

• 궤도의 특성과 역할을 학습한다.

• 궤도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학습한다.

• 궤도구성요소 및 구조에 대한 규정을 학습한다.

• 궤도공사 진행방법과 순서를 이해한다.

• 궤도공사 단가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산정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 궤도의 종류별 특성을 비교하여, 적정한 궤도구조를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90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도상 형식별 유지보수, 승차감, 구조적 안전성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하여 최적 도상형식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궤도구조 선정
- 특정 선구의 운행차량 형식에 따라 경제성, 시공성, 안
전성,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에서 초기 건설비용, 궤도재
료 유지보수비용,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 레일과 교량 간의 비선형적 거동의 상호작용에 따른 교


량 상 장대레일 축력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궤도설계

- 적정 시공방안을 검토하고 상세 궤도 부설계획을 수립


할 수 있다.

- 궤도재료의 기술적 특성에 따라 검사방법, 보수방법, 응


궤도 유지관리 계획
급보수방법, 보수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91
평가 방법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도상형식별 유지보수, 승차감, 안전성 분석 여부
- 최적 도상 도상형식 선정 가능 여부
궤도구조 선정 - 운행차량의 특성과 궤도형식의 이해 여부
- 도상형식별로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에서 비용 분석 가능 여부
- 레일과 교량 간의 상호작용 이해 여부
- 교량 상 장대레일 축력의 계산 가능 여부 및 안전성
검토 가능 여부
궤도설계
- 궤도시공방법의 이해 여부
- 궤도 시공공법의 적용 가능 여부 및 상세 궤도 부설계획
을 수립 가능 여부
- 궤도 재료의 검사방법, 보수방법, 응급보수방법 이해 여부
궤도 유지관리 계획
- 궤도 유지보수 기준 수립 가능 여부

• 논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도상 형식별 특성의 이해 여부
- 도상형식별 비교분석표 작성 가능 여부
- 최적 도상 도상형식 선정 가능 여부
궤도구조 선정
- 운행조건, 현장조건을 고려한 궤도형식 결정 가능 여부
- 도상형식별로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에서 비용 분석 가능 여부
- 레일과 교량 간의 상호작용 이해 여부
- 교량 상 장대레일 축력의 계산 가능 여부 및 안전성
검토 가능 여부
궤도설계
- 궤도시공방법의 이해 여부
- 궤도 시공공법의 적용 가능 여부 및 상세 궤도 부설계획
의 수립 가능 여부
- 궤도재료의 기술적 특성 이해
궤도 유지관리 계획 - 궤도 재료의 검사방법, 보수방법, 응급보수방법 이해 여부
- 궤도 유지보수 기준 수립 가능 여부

92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도상 형식별 특성의 이해 여부

- 설계도서를 보고 유지보수, 승차감, 안전성 분석 여부

- 최적 도상 도상형식 선정을 위한 검토 조건분석 여부


궤도구조선정
- 운행차량의 특성과 궤도형식의 이해 여부

- 도상형식별로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유지관리 편의성


측면에서 비용 분석 가능 여부

- 레일과 교량 간의 상호작용 이해 여부

- 교량 상 장대레일 축력의 계산 가능 여부 및 안전성


검토 가능 여부
궤도설계

- 궤도 시공공법의 적용 가능 여부

- 상세 궤도 부설계획을 수립 가능 여부

- 궤도재료의 기술적 특성 이해

궤도 유지관리 계획 - 궤도 재료의 검사방법, 보수방법, 응급보수 가능 여부

- 궤도 유지보수 기준 수립 가능 여부

피드백

1. 서술형 시험
- 도상 종류별 궤도구조의 특성과 비교분석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부족한 경우 선정
과 궤도설계 절차 수행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준다.
2. 논술형 시험
- 도상 종류별 비교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궤도구조 및 궤도재료 선정 가능 여부를 평가
하고, 부족한 경우 선정 방법을 설명한다.
- 레일축력 및 교량상호작용을 검토하고 궤도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부족한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설명한다.
3. 사례연구
- 유사 궤도설계도서를 보고 궤도구조 결정과정의 이해 여부를 평가하며, 필요한 경우
상세히 설명한다.
- 궤도 검사 및 유지관리 기관의 궤도유지관리 방법을 분석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부족
한 경우 궤도 관리상의 문제점과 대안을 토론 형식으로 논의한다.

93
학습 1 토목구조물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1)
학습 2 정거장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2)
학습 3 차량기지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3)
학습 4 궤도 설계하기(LM1402011004_14v2.4)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
학습 5
(LM1402011005_14v2.1, 2, 3, 4)

5-1.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인터페이스 협의

• 궤도와 차량의 정·동적 상호 거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 교량상의 레일축력에 대한 안전성과 분기기 설치위치, 레일신축이음매 부설위치, 선
로경합사항을 파악하고 설계 반영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궤도구조의 종류와 궤도구조가 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차량에 의한 소음진동, 공력특성을 분석하여 구조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상호 간의 영향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분야별 인터페이스 협의 목적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 협의란 철도를 구성하는 각 분야; 토목구조물, 궤도, 차량, 건
축, 전력, 전차선, 신호, 통신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 노반, 궤도,
전력, 신호, 통신 등 시스템 분야와 연계성 확보를 위한 시설기준 및 반영사항을 분석하고
중복작업 방지 및 공기 단축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토목분야 시공 시 선 시공을 필요로
하는 토목 관련 전기설비, 신호설비 및 통신설비의 기초, 배관 맨홀, 횡단 전선관 및 접지
설비 등 시스템 분야의 사전검토를 통하여 설계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체계적 인터페이스
계획은 공사 중 발생하기 쉬운 잠재적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하고 효율적인 연계시공이 이
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 궤도설계 기본사항
철도설계에서 궤도란 레일과 그 부속품인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되며, 도상은 토목구조물
인 노반 위 시공기면에 위치한다. 궤도는 열차의 충격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
어야 하며, 열차하중을 시공기면 이하의 노반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고 원활한 주행안전성

94
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틀림이나 손상을 최
소화할 수 있는 내구성과 경제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차량설계 기본사항
철도설계에 차량설계에서 결정되는 차량의 중량, 운행속도, 운행특성(윤축하중의 분포, 출
발 및 정차 시 발생하는 충격량, 곡선구간 통과 시 발생하는 원심력 등)은 궤도의 종류와
노반의 특성을 결정하고, 교량과 터널구간에서 발생하는 동적하중 특성을 결정한다. 특히
폐쇄구간인 정거장과 터널구간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공력특성을 반영하는 방음벽과 충돌
방지공의 설계를 요구한다.

95
수행 내용 /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인터페이스 협의하기

재료·자료


철도건설법

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


착수보고 자료


국토교통부 설계기준


시스템 인터페이스 협의 회의록


관련 기관 협의자료


인터페이스 협의도면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로젝트, 프린터, 스캐너 등)


문서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컴퓨터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정전에 대비하여 반드시 자동저장기능을 사용한다.

수행 순서

󰊱 설계인터페이스 관리를 알아본다.


1. 설계인터페이스 관리의 목적 알아보기
관리자는 각종 설계정보와 자료에 대한 의사교환을 원활히 하고, 최적의 설계품질을 확보
하기 위하여 설계자를 포함한 계약상대자간의 간섭사항 및 공종 간 연계성을 사전에 조정
하는 설계인터페이스 관리업무를 규정한다.

2. 설계인터페이스 관리의 적용범위 및 업무절차 따라하기


관리자가 설계단계에서 설계인터페이스 협의여부 결정, 협의, 협의결과 반영, 설계인터페
이스의 재협의 업무 등을 수행한다. 관리자는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단계에 여러 설계 공

96
종 간 상호연계성을 갖는 설계도서에 대한 설계인터페이스 사항이 사전에 협의·조정될
수 있도록 [그림 5-1]의 절차 및 방법에 따라 설계인터페이스 관리를 시행한다.

(1) 설계인터페이스 협의 여부를 결정한다.

(가) 관리자는 해당 설계문서에 대한 설계 인터페이스 협의의 필요성 여부를 설계자


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나) 관리자는 계약상대자와 함께 설계인터페이스 검토업무를 수행토록 하며, 필요


한 경우 설계인터페이스 협의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설계인터페이스 협의요청서 작성 및 배포한다.


설계인터페이스 협의가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설계자로 하여금 검토기한 지정 및
필요한 설계문서를 첨부하여 설계인터페이스 협의요청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관련
설계 협력업체 및 계약상대자에게 배부하여 협의 의뢰토록 한다.

업무내용
설계인터페이스협의절차

협의 여부 결정

관리자 협의팀 구성 설계자


토목구조물-궤도-차량
토목구조물, 궤도,
토목구조물-건축
사업운영관리자 차량, 건축, 전력,
토목구조물-전력-전차선
전차선, 신호, 통신
토목구조물-신호-통신

협의요청서 작성 및 배부
◦협의팀 구성
◦협의팀별 요구사항

협의
◦협의결정사항 도출

협의결과 반영
◦업무한계 명확히 구분
◦시공/운영 중 상황 고려

협의반영결과 확인
◦반영 여부 확인
◦재협의 여부 결정

[그림 5-1] 설계인터페이스 업무절차

97
(3) 설계인터페이스 협의한다.
관리자는 설계자, 설계 협력업체 및 기타 계약상대자가 설계인터페이스 협의를 다
음과 같이 수행하도록 관리한다.

(가) 검토 의뢰를 받은 계약상대자는 담당 책임범위 내에서 설계문서의 인터페이스


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하여 협의확인서에 협의의견 여부를 표시하고, 해당란에
서명 및 날짜를 기입하여 설계자에게 협의 결과를 제출하도록 한다.

(나) 협의의견은 수정 및 변경 요구사항, 유효한 자료 등을 명확히 서술해야 한다.


단, 편집상 오류나 질문사항은 제외한다.

(다) 관련 설계 협력업체 계약상대자는 제시된 협의 의견의 근거가 변경 또는 개정


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설계자에게 통보토록 한다.

(4) 설계인터페이스 협의결과를 반영한다.

(가) 설계자는 제시된 협의결과를 해결하도록 하고, 사업참여자 간 합의 또는 해결


되지 않는 문제는 관리자에게 보고하여 해결하도록 한다.

(나) 관리자는 설계자가 협의결과를 설계문서에 반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협의결과를 반영한 후에는 관련 설계협력업체 및 계약상대자로부터 동의
서명을 받도록 한다.

(다) 설계자는 모든 협의결과가 해결되어 설계문서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한 후 설계


인터페이스 협의확인서에 최종 서명하도록 한다.

(5) 설계인터페이스 협의결과를 확인한다.

(가) 설계도서를 개정하는 경우, 관리자는 설계자 및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전체


설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설계인터페이스 재협의 여부를 결정토록 한다.

(나) 재협의 절차는 협의절차와 동일한 절차에 따른다.

󰊲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궤도분야 협의사항
토목구조물과 궤도분야 간의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은 구조안전성, 시공성, 사용
성별로 파악한다.

(1) 구조안전성 설계 관련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가) 콘크리트 궤도가 연약지반 구간인 경우 허용잔류침하량을 결정하고 노반/궤도


의 설계기준 협의 및 궤도 설치 전 대책공법 적용 유무 확인이 필요하다.

(나) 궤도 접속부 검토사항으로 노반 지지력은 해석방법을 통하여 확보하고 암거/토


공 접속부, 토공/터널 접속부, 토공/교량 접속부 등을 위한 노반/궤도의 설계기

98
준을 협의하여야 한다.

(다) 교량 상 궤도의 경우 장대레일을 부설할 경우 차량속력 변화에 의한 축력을 감


안한 교량설계가 필요하고 콘크리트/자갈 궤도의 1차 및 2차 고정하중을 경우
에 따라 반영하여야 한다. 궤도분기기의 취약성 때문에 교대배면상에 설치하지
않으나 부득이 설치하는 경우 이에 대한 노반/궤도 설계기준을 협의하여야 한다.

(라) 터널 내 콘크리트 궤도 부설 여부 및 지반지지력 확보 또는 보강설계의 필요성


이 있으며 콘크리트/자갈 궤도구조 경우 각각의 1차 및 2차 고정하중을 감안한
지반지지력 산정이 필요하다.

(2) 시공성 및 가설 설계 관련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가) 터널 내 콘크리트/자갈 궤도 접속부의 경우 노반 보강 시공방안 및 가설 대책


의 검토가 필요하다.

(나) 정거장 배선 협의 시 궤도분야 시공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고 특히 기존선의


경우 열차운영과 동시에 배수계통을 포함한 시공여부 등 시공성에 대한 상호
협의가 필요하다.

(3) 사용성 및 유지관리 설계 관련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가) 정거장 배선협의 시 궤도분야 시설물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 특히, 기존 역사


개량의 경우에는 기존 시설물과의 재배치 등 상호 연관성을 협의한다.

(나) 열차운영계획의 열차 종류, 운행횟수, 운행시각, 열차다이얼 등을 검토하여 궤


도구조 적용성을 검토한다.

(다) 터널 진·출입에 따른 이명현상과 객실 내 소음을 검토하여 최적의 경제적 시


설물 규모를 결정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터널환경영향평가 결과 보완사항 등이
있을 경우 특히 진동분야인 경우 궤도분야에서 조치 가능한 방법 제시가 필요
하다. 터널 내 분기기를 설치할 경우 개소에 대한 침목부설 공간 및 향후 침목
교환을 위한 필요 공간 확보 여부 설계반영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콘크리트 궤
도구간의 터널 내 배수계통도 적정성 검토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단/복선 철도
터널의 RL~전차선 높이, 가고(전차선~조가선높이), 절연 이격거리, 급전선 등에
대한 기준 검토

(라) 교량의 폭원을 결정할 경우 궤도분야에서 설치하는 시설물에 의한 간섭 및 설


계반영 필요성을 검토한다. 교량에서 탈선 시 차륜이 방호벽에서 직접 접촉 시
전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대차 또는 차축박스가 방호벽에 접촉할 수 있도록
탈선방호벽을 검토한다.

(마) 노반/궤도의 상호시설물 시공 주체를 명확히 하여 향후 시공주체의 분쟁 특히 유


지관리 등 시공 이후에 발생할 소지의 혼선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99
2. 차량분야 협의사항
토목구조물과 차량분야 간의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차량운영계획의 차량종류, 운행횟수, 운행시격, 열차다이어 등을 검토하여 차량에


의한 정적/동적 사용하중을 결정하고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중량 양중장비의 작업
하중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2) 터널 및 교량 통과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검토하고 객실 내 소음과 주변 시


설물을 위한 방음벽 등 최적 경제적 시설물 규모를 결정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3) 비기밀 차량에 대하여 UIC 779-11을 적용하고 기밀차량에 대하여는 철도차량 안전
기준에 관한 지침을 적용하여 이명감 검토를 수행한다.

(4) 차량과 궤도 간의 간섭의 의한 손상을 보정하기 위한 궤도 연마 및 선형보정작업


유지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장비와 작업공간 설계반영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 토목구조물-궤도-차량분야 협의 반영한 사례를 살펴본다.


설계가 일시적으로 완성되면 각 관련 기관에 설계 보고서와 설계 도서를 협의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협의내용에 대한 조치계획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본 작성내용은 궤도처-4374
에서 2013년 12월 26일 보고된 사례이다.

<표 5-1> 궤도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하기 사례


구분 검토의견 조치계획
∙ 토이0962-579(2005.06.16.)호에 의거하여 터 ∙ 반영하겠음
널연장이 300미터 이상인 터널에 콘크리
궤도구조
트궤도를 적용하고, 터널~터널 사이(협곡)
적용성
짧은 구간(연장 1000미터 이하)도 콘크리
트도상 적용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의 KR C-14020(궤도 ∙ 한국철도공사와 협의 중이며 협의결과 설
기본배선협의
선형 및 배선) 참조하여 설계반영 계 반영하겠음
∙ 구조물 접속부 구간은 철도설계지침 및 ∙ 반영하겠음
편람의 KR C-04020(쌓기) 참조하여 설계반
구조물 영; 저토피 사구조물 및 분기기와 저토피
접속부 횡단구조물에 대한 보강반안 및 배수불량
에 의한 노반연약화 방지를 위해 유공관
반영 추가 검토 요망
궤도구조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의 KR C-08020(하중) ∙ 원안과 동일하게 반영하겠음
하중검토 참조하여 설계반영

100
<표 5-1> 궤도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하기 사례 (계속)
구분 검토의견 조치계획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의 KR C-14030(자갈 ∙ 원안적용; 콘크리트 도상과 자갈도상 혼용
궤도 구조) 참조하여 설계속도에 따른 도 에 따른 각 구조물별 시공기준점 혼란을
상두께 설계반영; 120 km/h ≤ V ≤ 200 방지하기 위한 KR C-14030 자갈궤도 구조
시공기면 km/h의 경우 680 mm로 적용, 콘크리트도 의 취지에 맞게 검토하였으며 레일 직하
검토 상은 토이 0962-579(2005.06.16.)호에 의거 부 순도상 두께 300mm 이상을 확보하였
하여 설계 반영 음; R.L.~F.L 높이 120 km/h ≤ V ≤ 200
km/h: 660 mm일 경우 상세 검토 시 도상
두께는 301 mm로 설계기준을 만족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과 철도설계 ∙ 곡선부 외측 공동구 상부에 자갈 흘러내
지침 및 편람의 KR C-14030(자갈궤도 구 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하였
조) 참조하여 설계반영; 곡선교량 캔트량 음
교량폭원
적용 시 곡선외측(교량 공동관로 상면)으
로 자갈 흘러내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
동관로 높이조정 추가검토 요망
∙ 토이0962-579(2005.06.16.)호에 의거하여 터 ∙ 반영하겠음
널연장이 300미터 이상인 터널에 콘크리
트궤도를 적용
궤도구조
∙ 터널외 토공부에 자갈/콘크리트궤도 접속 ∙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의 KR C-14080(궤도,
접속부 검토
부 설치는 가능하며 철도설계지침 및 편 차량, 구조물, 전기, 신호 등의 상호작용)
람의 KR C-14080(궤도, 차량, 구조물, 전 참조하여 반영하겠음
기, 신호 등의 상호작용) 참조
∙ 하부배수관이 중앙에 위치 시 집수정 설 ∙ 반영하겠음
치구간의 콘크리트도상 균열 발생 우려로
측면 설치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 집수정 및 뚜껑은 궤도안정성 및 궤도시 ∙ 반영하겠음
콘크리트궤도
공성 등을 고려하여 도상콘크리트에서 이
구간의
격하여 설치되도록 설계 반영
터널 내
∙ 터널 시·종점부 자갈-콘크리트도상 접속 ∙ 접속부 단차에 따른 체수방지 대책을 반
배수계통도
부 노반 단차에 따른 체수 방지대책(집수 영하겠음
검토
정 등)설계 반영
∙ 터널 내 횡단전선관이 노반분야(터널 보조 ∙ 횡단전선관에 대하여 관련분야의 설계내
도상 콘크리트 내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용을 반영하겠음
관련 분야와 사전 협의 요망
출처: 김성곤(2015). 『토목설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주)평산에스아이. p.200~201.

󰊴 토목구조물-궤도-차량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한 사례를 조사하고 연구한다.


기본/실시 설계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인터페이스 간의 협의를 사례조사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협의 항목과 협의 진행 및 반영단계를 팀별로 운영
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101
1. 궤도와 차량의 정/동적 상호 거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의 철도설계에서 차량의 경우 윤축간격을 고려한 수직하중으로 주행속도별로
이동하여 최대 응답을 정적해석결과에 대한 충격계수로 적용하고 있으며 궤도의 불규칙성
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실제상황에서 차량/대차/윤축으로 구분되는 차량하중간의
관성 작용과 궤도의 불규칙성이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영향을 미치고 차량 간의
반복하중에 의한 공진현상도 발생하여 토목구조물의 구조안정성과 차량의 주행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사례조사를 통하여 거동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1) 경부고속철 도상 40미터 단경간 PSC박스교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경부고속철 도상 교량 중 PSC박스교 중 최대 경간으로 단순지지로 최대변위가 기대된
다. 조사항목으로 시설물명, 시공사, 준공연도, 감리사, 위치, 노선종류, 종단선형, 폭과
연장, 상하부 구조형식과 기초형식, 받침창치와 신축이음장치 종류, 도상종류와 교차시
설물, 통과높이, 관리주체 등을 조사한다.

(A) 평면도

(B) 종 단면도

(C) 횡 단면도

출처: 오순택, 이동준, 정신효(2016). 「고속철PSC교량받침의 누적이동거리 수치해석」.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


[그림 5-2] 조사대상 교량의 평면도와 종/횡 단면도 예시

102
(2) 고속철 PSC박스교의 충격계수와 고유진동수를 해석하고 실측값과 비교 평가한다.
교량구조물의 구조안정성은 주행속도별 최대 처짐과 처짐가속도를 해석하고 현장에서
실측한 값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A) 처짐/가속도 시간이력곡선 (B) FFT 분석결과

(C) 주행속도 100 km/h 정/동적 처짐비 (D) 주행속도 300 km/h 정/동적 처짐비

출처: 오순택, 이동준(2014). 「PSC 교량 위를 고속주행 중인 KTX 전동차의 중심회전각 동적해석」. 한국구조물진단유
지관리공학회 논문집. 18(1). pp.59~67.
[그림 5-3] 조사대상 교량의 구조적 응답 예시

(3) 고속철 PSC박스교의 궤도와 차량의 상호작용력을 고려하여 구조적 거동을 해석


궤도의 불규칙성과 차량/대차/윤축 간의 관성력이 주행속도별로 상호작용하여 교량구
조물의 동적 구조적거동이 확대되는 현상을 해석하여 증명한다. 궤도의 불규칙성 모형
은 궤간(gauge), 수평(cross level), 연직면(vertical profile), 줄(alignment)을 미국 FRA에
규정된 지수스펙트럼 밀도 함수식을 적용하여 6 class로 궤도등급을 규정하고, 차량은
차체와 대차 그리고 윤축을 1, 2차 현가장치로 연결된 형상을 스프링과 뎀퍼로 연결된
38자유도 수치해석 모델로 개발하여 각각의 질량 간의 관성력을 상호작용하여 수치해
석한다.

103
(A) 궤도 프로파일 (B) KTX 동력차의 모식도

출처: 오순택, 이동준(2014). 「PSC 교량 위를 고속주행 중인 KTX 전동차의 중심회전각 동적해석」. 한국구조물진단유
지관리공학회 논문집. 18(1). pp.59~67.
[그림 5-4] 궤도와 차량의 수치해석 모형 예시

2. 교량상의 레일축력에 대한 안전성과 분기기 설치위치, 레일신축이음매 부설위치, 선로


경합사항을 파악하고 설계 반영할 수 있다.
교량상의 장대레일을 설치할 경우 궤도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에 대한 좌굴안정성을 해석하
고, 분기기 설치위치와 신축이음매 부설위치 그리고 선로경합사항을 파악하여 응력집중현
상과 좌굴변형에 대한 구조적 거동이 토목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설계에 반영한다.

3. 궤도구조의 종류와 궤도구조가 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자갈/콘크리트 궤도와 궤도형식별 특징과 교량의 구조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고 유지관리를 위한 보수작업과 교체작업을 위한 작업하중과 공간확보를 설계에
반영할 여부를 검토한다.

4. 차량에 의한 소음진동, 공력특성을 분석하여 구조물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교량 및 터널과 같은 토목구조물의 형상에 따른 소음진동과 차량에 의한 소음진동 등 공
력특성을 분석하여 방음/차음벽 설치 및 소음저감장치의 설계 여부를 검토한다.

5.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상호 간의 영향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차량의 사행동 주기 거동은 롤링과 요일 거동을 확대시키며 요댐퍼와 대차의 사이드베어
링에 의한 마찰력과 궤도의 답면구배와 최소화된 불규칙성과 증강된 레일강성으로 지배진
동을 최대한 감쇠하고 있으나, 교량의 고유진동수와 차량 연속 하중의 공진현상과 다양한
상호작용력은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크게 영향을 미쳐 이에 대한 고려가 주행속도가 증가
하고 차량의 중량화에 따라 확대된다.

104
5-2. 건축 인터페이스 협의

• 역광장, 주차장, 타 교통과의 환승계획, 여객통로, 여객이용시설을 협의하여 시설계획


을 수립할 수 있다.
• 승강장 연단거리, 폭원, 높이 그리고 운영에 필요한 기능실 배치를 고려하여 시설계
학습 목표
획을 수립할 수 있다.
• 홈지붕 기초설계, 지하역사 방재설비 설치를 위한 방재설비 기초 등을 협의하여 반
영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관련법령, 지침
철도설계를 위한 건설기준은 철도건설법과 시행령, 철도건설법 시행규칙과 건설규칙을 적
용하고 철도설계기준과 지침 및 편람 그리고 전문시방서가 있다.

1. 철도건설법, 철도건설규칙(2009)과 건설기준(2014)을 적용한다.

2. 설계기준은 노반편(2015), 건축편(2015), 시스템편(2015), 연계교통시설편(2014)으로 구성된


다.

3.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은 토목/궤도편, 건축편, 전철전력편, 신호제어편, 정보통신편, 연


계교통시설편으로 구성된다.

4. 전문시방서는 노반편(2015), 궤도편(2013), 건축편(2007), 전철전력편(2014), 통신편(2010),


신호편(2010)으로 구성된다.

󰊲 역별 수송수요에 따른 건축규모, 형식 결정절차


철도설계에서 수송수요를 고려할 경우 해당 도시 인구와 교통수요 그리고 재정여건을 고
려하여 건축규모, 형식을 결정한다.

1. 도시인구는 100만 이상인 대도시, 70만 이상인 중도시로 구분하며 교통수요가 있을 경우


예외로 한다.

2. 교통수요는 시간과 방향당 첨두 시 최대 혼잡구간 수송수요가 개통 후 10년 이내에


1만 명 수준으로 예측되는 노선을 기준으로 2만 명의 경우 중형 그리고 4만 명 이상인
경우 대규모 수요로 평가한다.

3. 재정여건은 지방비와 국비를 포함한 자기자금을 90% 이상의 총사업비를 확보한 경우


중형 이상의 규모로 결정한다.

105
󰊳 역무시설 배치기준

1. 승강장의 폭은 고상승강장의 경우 섬식은 8.7m 상대식인 경우 5.7m이고 저상승강장의


경우 섬식은 7.7m 상대식인 경우 5.2m이다.

2. 역사 및 부속건물의 배치계획에 따른 용지확보와 부지조성을 기준한다.

3. 역광장은 교통영향분석과 개선대책을 반영하고 주차장 부지조성을 기준한다.

4. 연계 및 진입도로는 교통영향분석과 개선대책을 반영한다.

5. 방음벽 및 울타리는 환경영향 평가자료를 반영한다.

6. 공동구 및 오·폐수 등 옥외배수 관로시설을 고려한다.

7. 개구부 및 각종 슬리브 설치는 각 분야의 인터페이스 항목을 기준한다.

8. 부대시설(옹벽, 표면배수, 수로, 비탈면보호시설 등)을 고려한다.

106
수행 내용 / 건축 인터페이스 협의 및 반영하기

재료·자료


철도건설법

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


착수보고 자료


국토교통부 설계기준


인터페이스 협의 회의록


관련 기관 협의자료


인터페이스 협의도면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로젝트, 프린터, 스캐너 등)


문서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컴퓨터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정전에 대비하여 반드시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한다.


불필요한 아이콘은 활성화하지 않는 것이 작업하기 쉽다.

수행 순서

󰊱 건축분야 인터페이스의 기본지식을 파악한다.


철도설계는 철도시스템과 설계속도에 따라 적용할 표준하중체계를 선정하고, 열차운행계
획에 따라 터널 및 교량의 길이와 형식, 정거장 및 차량기지의 시설규모를 결정하고 평면
선형과 종단선형 그리고 현지답사자료를 기준으로 각 구조물의 구간을 선정한다.

1. 설계기준

(1) 철도시스템과 설계속도에 따라 적용할 표준하중체계 선정한다.

107
(2) 철도시스템과 열차운행계획에 따라 터널 및 교량의 길이와 형식, 정거장 및 차량기
지의 시설규모 등을 검토하여 산정한다.

(3) 건설규칙 기준에 따라 노반의 폭, 터널 및 교량의 표준단면을 산정한다.

2. 노선설계(노선대안)

(1) 최적 노선대에 대하여 1/5,000~1/25,000 지형도에 건설기준에 따라 노선도와 정거장


및 차량기지의 위치도를 작성한다.

(2) 노선도는 평면선형도와 종단선형도를 작성한다.

(3) 평면선형도는 1/5,000~1/25,000 지형도에 직선구간, 곡선구간, 곡선반경을 표시한다.

(4) 종단선형도는 가로 1/5,000, 세로 1/1,000 종단선형도에 최급경사와 수평구간 등 시


공기면을 표시한다.

3. 구조물 개략설계

(1) 평면선형과 종단선형, 현지답사자료를 기준으로 토공, 교량, 터널, 정거장 및 차량


기지 구간을 설정한다.

(2) 토공, 교량, 터널 등 표준단면도를 작성하고, 정거장 및 차량기지 배선도를 작성한다.

(3) 토공, 교량, 터널, 정거장 및 차량기지의 기략적인 수량을 산출한다.

4. 설계도

(1) 1/25,000 또는 1/50,000 지형도에 노선도, 노선제원, 정거장 예정지, 토공, 교량, 터
널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축적 1/25,000 지형도를 사용할 경우 선로 표준종단면도: 가로 1/25,000, 세로


1/1,000를 적용하고, 도면에 표시할 내용은 철도, 도로, 하천 등 횡단시설의 명칭,
개략적인 구조형식, 길이 등이다. 지반고 및 계획고는 100m마다 표시한다.

(3) 교량, 터널 등 주요 구조물과 정거장, 차량기지의 개략 설계도의 표준축적은 1/5,000을


사용한다.

󰊲 토목구조물과 건축분야 간의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파악한다.


토목구조물과 건축분야 간의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은 구조안전성, 시공성, 사용성
별로 파악한다.

1. 구조안정성 설계와 관련하여 협의 및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1) 건축 구조부재 하중검토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건축 트러스 지붕 등 노반구조물에


지지될 경우 관련 하중값을 반영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2) 기능실의 하중을 검토한다. 변전실, 전기실, 신호실, 통신실과 같은 기능실의 장비


를 포함한 사용하중을 노반구조물과 연계되는 경우 이에 대한 반영 여부를 확인해

108
야 한다.

2. 시공성 및 가설 설계와 관련한 협의 및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1) 건축분야의 설계 및 시공기간을 감안하여 전체 작업공정 계획에 반영 여부를 검토한다.

(2) 건축분야와의 업무 혼선 방지를 위하여 상호 설계/시공 범위를 확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건축 홈지붕 설치 시 기초 설계분야와 연결통로 등 시공우선순위와 접속부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

3. 사용성 및 유지관리 관련 설계에 대한 협의 및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1)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대책 결과의 반영 유무를 검토한다. 역광장 및 주차장 부지면


적, 연계도로와 진입도로, 화물적하시설, 여객통로 등 건축분야에서 계획/시공하기
전 노반분야와의 협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2) 기본 배선협의를 위하여 선로시설, 여객취급시설, 화물취급시설, 운전취급시설, 기


타 시설물 설치에 따른 건축분야 요구사항 반영에 대한 필요성을 검토한다.

(3) 승강장 규모와 형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저상/고상홈의 연단거리, 높이 및 길이 그리


고 지하/지상역에 따른 홈 연장 확보 등 협의가 필요하고, 수송수요, 열차운행횟수,
열차종별 등을 고려한 승강장 폭 산정(교통 운영분야의 관련 규정을 만족하는 최소
제원)과 지붕배수홈통의 노반구조물 연결 시 간섭사항 협의가 필요하다.

(4) 정거장과 터널 등 밀폐구간의 방재설비 설치를 위한 기초 설계사항을 협의한다.

(5) 철도분야 토목설계도면은 토공, 용배수공, 교량공, 터널공, 부대공 등 다양한 공종


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종별 도면작성의 일반원칙과 배치를 파악해야 한다.

󰊳 건축분야와 타 분야와의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파악한다.


건축분야와 전력 및 전차선 분야 간의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보자.

1. 전력분야와 인터페이스 설계와 관련하여 협의 및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1) 송전선 가선계획도와 건물 내 지중선로 구성 계획도

(2) 건물 내 반입용 장비 제원

(3) 변전기기실 소요면적과 소음·진동 한계

(4) 배전기기 설치계획

(5) 선로 트랜치 설치 및 기기실 간 관통계획

(6) 가공지선 시공계획

(7) 변전소 내 접지설비 시공계획

2. 전차선 분야와 인터페이스 설계와 관련하여 협의 및 검토사항을 알아본다.

(1) 전차선로 평면도

109
(2) 겸용 전철주 시공도

(3) 전자선로 하중

󰊴 설계단계별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파악한다.


토목구조물분야와 건축분야 간의 기본/실시설계 단계에서의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
보자.

1. 기본 설계단계에서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착수시점에서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를 작성한다. 분야별 설계 인터페이스 항목 선


정/검토 및 승인을 수행한다.

(2) 노선답사 및 현안사항 분석에서 기본계획 시설규모에 대한 분야별 사전 검토의견을


요청한다.

(3) 노선 선정단계에서 설계기준 결정 및 궤도구조, 차량, 신호방식 등 관련 설비 적용


기준을 협의하고 각 분야에 설계속도 및 열차운영계획을 수립하여 최종자료를 제공
한다.

(4) 기본 설계단계에서 수송수요에 근거한 승강장 등 구조물 시설규모를 검토하고, 정


거장의 시설규모, 동선계획, 기능식 배치계획을 결정한다. 승장장, 내부계단, 편의시
설 계획, 외부출입구 계획 등 내부동선계획과 특별피난계단과 환승통로 등 주요 동
선계획을 결정하여 제공한다.

(5) 터널 및 교량 등 토목구조물의 건축한계와 공동구 등 기재갱 설치 여부와 방재시설


및 접속부 보강방식을 협의한다.

2. 실시 설계단계에서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착수시점에서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를 작성한다. 분야별 설계 인터페이스 항목 선


정/검토 및 승인을 수행한다.

(2) 노선답사 및 현안사항 분석에서 기본계획 시설규모에 대한 분야별 사전 검토의견을


요청한다.

(3) 노선 선정단계에서 관련 설비 적용기준의 변경사항을 필요시 협의한다.

(4) 실시 설계단계에서 구조물 일반도 및 주요 구간 공법을 선정하고, 정거장 배선계획


과 관련하여 유지관리를 담당하는 공단 수송계획처와 운영을 담당하는 철도공사와
배선협의를 수행하고 터널과 교량을 포함한 토목구조물의 본선 방재계획 및 관련
기관 구조물 또는 지장물의 협의를 수행한다.

(5) 노반/건축분야 간 업무 수행범위에 대한 협의가 선명하게 규정되어야 하며 정거장


관련 수송수요에 근거한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시간 검토와 피난통로 확보 및
방재설비의 배치를 협의한다.

110
(6) 정거장 층고, 내부 동선계획, 기능실 배치계획 및 각종 장비하중, 공조기계실 용량,
환기덕트 규모 등과 편의시설 및 외부출입구, 개구부 및 지상돌출부, 건축마감과 화
장실과 정화조배치 등 승객과 운영자의 동선과 활동에 관한 최종계획을 결정한다.

3. 설계 준공단계에서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확인하는 절차를 알아본다.

(1) 설계의 준공은 설계적정성 심사와 성과물 확인 그리고 사업실시계획 승인 및 인허


가 신청과 총사업비 결정단계로 이루어진다.

(2) 준공단계에서 설계분야별 인터페이스의 반영 여부는 담당처와 관련처 간에 상호 확


인을 통하여 수행되며 사업 인허가 신청을 통하여 승인된다.

󰊵 건축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반영한 사례를 조사하고 연구한다.


기본/실시 설계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할 건축분야 인터페이스 간의 협의를 사례조사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하여 인터페이스 협의 항목과 협의 진행 및 반영단계를 팀별
로 운영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배양한다.

1. 역 광장, 주차장, 타 교통과의 환승계획, 여객통로, 여객이용시설을 협의하여 시설계획


을 수립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과 건축분야 내부동선계획의 간섭현상과 관련 시설을 위한 기초 형식과 배치를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2. 승강장 연단거리, 폭원, 높이 그리고 운영에 필요한 기능실 배치를 고려하여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로 구성된 승강장의 형식과 규격 설계 시 승강장 운영을 위한 기능 확보를 위
한 기능실 배치 및 규모에 대한 고려와 환승통로 및 특별피난계단 등 피난통로에 대한 고
려를 반영한다.

3. 홈지붕 기초설계, 지하역사 방재설비 설치를 위한 방재설비 기초 등을 협의하여 반영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과 간섭되는 우수처리와 배수설비 배치와 장비배치 그리고 방재설비를 위한 장
치와 배치를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111
(A)지상/지하역사와 측면/중앙 홈 예시 (B)지상/지하역사와 측면/중앙 홈 단면규격

(C) 측면/중앙 홈의 열차와 승강장 간섭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


출처: R. Shimokura, Y. Soeta (2011). 「Characteristics of train noise in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tations with
side and island platforms」Elsevier.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220. pp1621~1633.
[그림 5-5] 열차와 승강장 간섭관계 예시

112
5-3. 전력,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 전기공급에 따른 접지시설물 계획을 사전반영할 수 있다.


• 전기분야와의 상호 설계/시공 범위를 협의하여 확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전기시설물(변전소, 구분소, 전철주, 방호벽, 공동관로, 분기기, 전철기)을 반영하여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 터널 내 전차선 시공을 감안한 매립전, 선시공 구조물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전력/전차선시스템과 철도토목구조물의 상관관계

1. 전력/전차선 시스템의 일반사항


철도전력설비는 배전선, 배전주, 변압기, 조명등, 배전반, 분전함, 전차선로, 구분장치,
지지물, 애자, 장력조정장치로 구분된다.

(1) 배전선은 한전변전소에서 철도변전실까지 전력을 받아 여객용 조명, 시설물 유지보


수 등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별로 전원 공급하기 위한 가공전선 및 지중
케이블과 철도변전실 간에 연결된 모든 전선

(2) 배전주는 배전선을 지지하고 연결하기 위한 지지물(목주, 콘크리트주, 철주 및 철탑)

(3) 배전반은 개폐기·과전류차단기·계기·보호계전기 등을 설비한 독립된 반으로서


구내 배전설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설비

(4) 분전함은 전로를 2 이상으로 분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를 설비한 독립된 반

(5) 전차선로는 여객 및 화물수송을 위하여 규정된 노반에 궤도를 부설, 운행하는 전기


차량의 집전장치에 습동하여 이에 전기(DC 1,500[V]/ AC 25,000[V])를 공급하는 가공
전선로

(6) 구분장치는 전차선의 급전계통을 기준에 의해 분리하여 설비 유지보수 및 사고 발


생 시에 한정, 다른 구간의 정상급전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
(판타그래프 습동에 지장을 주지 않음)

(7) 지지물은 가공전선 설비(구조물) 일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지지물(콘크리트


주, 철주, 강관주 등)

(8) 애자는 가공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 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


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기로 만든 것(현수애자, 장간애자, 지지애자 등)

113
(9) 장력조정장치는 전차선, 조간선을 일괄 또는 개별로 일정 장력을 유지하게 하는 설
비(장치에 의한 자동식과 단순 자재에 의한 수동식)

2. 궤도와 전력시스템의 상호작용


직류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구간의 궤도시설물에는 팬터그래프(pantagraph)를 통하여
차량에 공급되는 전류는 레일을 통하여 변전소로 되돌아가지만 레일은 대지와 완전히 절
연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전류의 일부가 대지로 누설된다. 이 누설전류로 인하여 출구 쪽
(변전소로 귀향하는 곳)의 금속이 부식을 일으키게 되는 현상인 전식이 발생되므로 충분한
전식방지시설을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1) 전력시스템의 설계 시 계획된 각종 급전설비, 절연 접지 등을 위한 소요 공간의 확


보 등 관련 요구사항을 선로시스템의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력시스템
의 설계는 선로시스템의 설계 전에 완료되어야 한다.

(2) 전차선의 누설전류에 의해 철근이나 케이블 지중매설관로 및 선로구조물 등에서 전


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전차선에 의한 전식 발생경
로는 배관 또는 철 구조물의 부식은 전류가 흘러나가는 변전소 부근에서 집중된다.
이와 같은 누설전류에 의한 전식방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레일과 지면의 절연
성이다. 즉, 기본적으로 궤도시스템의 전기절연이 보장되어야 한다. 여기에 대해서
는 궤도 구성품인 체결장치와 침목에서 궤도의 절연성을 검증하도록 되어 있다. 궤
도의 절연저항을 확보하는 것 외에 추가적인 전식방지대책이 필요하며, 설계 단계
에서 취할 수 있는 대책으로 국내의 경우 유입된 전류를 선택적 또는 강제로 레일
로 귀환시키는 배류법을 적용시켜 오고 있다. 배류법에는 배류방식에 따라 직접 배
류법, 선택 배류법, 강제 배류법 등이 있다.

(3) 차량의 속도는 팬터그래프와의 접속과 가공선로 전차선의 진동과 관계가 긴밀하기
때문에 차량속도의 증가에 따라 전차선의 장력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에 대한 가공
선로의 강성과 기초방식의 보강이 요구되어 주변 토목구조물과의 간섭이 예상된다.

114
수행 내용 / 전력,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하기

재료·자료


철도건설법

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


착수보고 자료


국토교통부 설계기준


인터페이스 협의 회의록


관련 기관 협의자료


인터페이스 협의도면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로젝트, 프린터, 스캐너 등)


문서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컴퓨터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정전에 대비하여 반드시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한다.


불필요한 아이콘은 활성화하지 않는 것이 작업하기 쉽다.

수행 순서

󰊱 철도설계 전력, 전차선 인터페이스의 일반사항을 파악한다.


철도설계 전력, 전차선 인터페이스는 전력분야에 일반전력부문과 전차전력부분으로 세분
화되고 전차선 분야 세 분야와의 상호 제공할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이 발생한다.

󰊲 전력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조사한다.


철도전력분야는 배전선, 배전주, 변압기, 조명등, 배전반, 분전함 등으로 구분되며 토목구조
물분야와의 협의사항을 <표 5-2>에서 상세하게 알아본다.

115
<표 5-2> 전력분야 인터페이스 협의사항
협의항목 협의내용
토공과 전기설비 설치검토 ∙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 검토

∙ 토공구간에서 전력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한 상호 설계/시공범


위 검토
∙ 노반분야: 사업노선계획 및 종·평면도, 노반공사계획일정, 터널평
토공노반과 전기분야 설계
면도와 단면도, 수배전실 예정지 노반부지사용계획, 전기 관련 토
및 시공범위 검토
목시공계획, 정거장 및 화물홈 평면도, 터널 내 방재설비 계획, 터
널구간 종·평면도
∙ 전력분야 제공사항-지중관로 시공도, 터널 내 전력설비 계획

교량 전기설비 설치검토 ∙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 검토


교량폭원검토 ∙ 강상형 합성교(STB)구간 전기·조명시설 반영요청
교량 노반/전기분야 설계
∙ 교량구간 설계 시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 검토
및 시공범위검토
∙ 교량구간에서 전력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하여 상호 설계/시공
터널 전기설비 설치검토
범위 검토
터널 핸드홀 설치 여부 협의 ∙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 검토
출처: 김성곤(2015). 『토목설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주)평산에스아이. p.197.
국토교통부(2013). 『철도설계기준(시스템편)』. p.71.

󰊳 전철전력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조사한다.


철도 전철전력설비는 철도변전실에서 전차선로까지의 동력공급설비로 구분되며, 토목구조
물분야와의 협의사항을 <표 5-3>에서 상세하게 알아본다.
<표 5-3> 전철전력분야 인터페이스 협의사항
협의항목 협의내용

∙ 토공구간에서 전력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한 상호 설계/시공범위 검토


토공노반과
∙ 노반분야는 노반 종·평면도, 단계별 공사추진계획, 노반용지도 및 인허가
전기분야 설계 및
추진일정, 차량편성길이와 출발 및 제동거리, 구조물 종·평면도 제공
시공범위 검토
∙ 전철전원분야는 인허가 병행 추진용 자료 제공

출처: 김성곤(2015). 『토목설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주)평산에스아이. p.197.


국토교통부(2013). 『철도설계기준(시스템편)』. p.71.

116
󰊴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조사한다.
철도 전차선설비는 전차선로와 구분장치, 지지물, 애자, 장력조정장치로 구분되며, 토목구
조물분야와의 협의사항을 <표 5-4>에서 상세하게 알아본다.
<표 5-4>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사항
협의항목 협의내용
정거장배선 시공성
∙ 정거장 배선상 지장물(전철주 등) 위치 확보 여부에 대한 설계 필요성
검토

∙ 토공구간에서 전차선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한 상호 설계/시공 범


위 확정 필요성(향후 전기분야 인터페이스 시공주체 명확화로 분쟁방
지)
토공노반과 ∙ 전차선분야 제공: 전차선로설계기준, 전차선로 평면도, 전주별 장주도,
전차선분야 설계 및 케이블 포설도, 매설접지선 시공도, 전차선로 평면도
시공범위 검토 ∙ 노반분야 제공: 노반설계기준과 사업기본계획, 노반단계별시공도와 운
행선 변경계획, 선로평면도, 터널, 교량, 옹벽, U램프 단면도 및 상세시
공도, 토목지장물 배치도, 특수선 시공도와 과선교 구조도, 매설접지
계통도와 지하매설물 위치도, 터널단면도와 터널구간 C찬넬 설치도

토공노반 접지설치 ∙ 노반 토공구간 설계 시 전기공급에 따른 접지시설물 사전반영으로 향


검토 후 설계변경 방지 목적
교량 전차선설비 설치
∙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 검토
검토
∙ 노반 교량구간 설계 시 전기공급에 따른 접지시설물 사전반영으로 향
교량 접지설치 검토
후 설계변경 방지 목적
교량폭원 검토 ∙ 강상형 합성교(STB)구간 전기·조명시설 반영 요청
∙ 교량구간에서 전차선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한 상호 설계/시공 범
교량 노반/전차선분야
위 확정 필요성(향후 전기분야 인터페이스 시공주체 명확화로 분쟁방
설계 및 시공범위검토
지)
터널 전기설비 설치 ∙ 노반 터널구간에서 전기공급에 따른 전기시설물 사전반영으로 향후 설
검토 계변경 방지목적
∙ 노반 터널구간에서 전기공급에 따른 접지시설물 사전반영으로 향후 설
터널 접지설치 검토
계변경 방지목적
∙ 건축한계 및 차량한계에 준하는 전차선 높이에 따른 전차선로 높이검
터널 전차선로 높이
토 필요성(일반철도 복선터널 내 에어조인트구간 터널최소높이 기준
검토
검토)
∙ 터널구간에서 전차선분야와 업무혼선 방지를 위한 상호 설계/시공 범
터널 노반/전차선분야
위 확정 필요성(향후 전차선분야 인터페이스 시공주체 명확화로 분쟁
설계 및 시공범위 검토
방지)
출처: 김성곤(2015). 『토목설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주)평산에스아이. p.197.
국토교통부(2013). 『철도설계기준(시스템편)』. p.71~75.

117
󰊵 전력·전차선분야와 타 분야 간 인터페이스 협의 및 검토사항을 조사한다.
철도 전력과 전차선분야와 차량 및 건축 등 타 분야별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상세하게
알아본다.

1. 전력·전차선분야와 차량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철전원분야에 차량제원 및 열차운행 계획서(장래계획 포함), 차량의 회생제동에


대한 제원, 차량의 정차 또는 운행 시 EMI/EMC 발생기준, 차량 운행 시 속도별 역
률 데이터 및 고주파 발생량을 제공한다.

(2) 전차선분야에 차량제원(최고속도, 최대부하전류), 전기차 운행계획 및 전차선로 급


전계통도, 역구내 선로배선 사용계획서, 전차선로 배선결정서, 차량검수계획과 검수
고 운영계획, 차량제원 및 차량집전가능범위, 팬터그래프 제원, 팬터 집전가능범위,
전기차 팬터 운용방식을 제공한다.

(3) 전력분야에 열차운행계획을 제공한다.

2. 전력·전차선분야와 건축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철전원분야에 옥상층과 지하층 및 케이블 트랜치 평면도, 진입로 개설계획도, 변


전실 기기평면도, 출입문 및 울타리 시공상세도, 기기하중 반영결과 내역, 내진설계
검토결과서, 기계소방설비 시공계획, 기기실 내장재 검토서, 건축물 피뢰침 설치 검
토서 및 접지상세도를 제공한다.

(2) 전차선분야에 역사건물 구조도, 건물배치도, 건축물(승강장지붕) 구조평면도, 선상역


사 시공도, 역사 주단면도와 지장 전철주 현황도, 변전건물 입면도와 평면도를 제공
한다.

(3) 전력분야에 건축물 시공계획, 수배전실 냉난방설치 계획과 평면도, 배치도와 종·단
면도, 정거장 및 승강장 평면도, 승강기 설치 평면도, 각종 설비 배관설치계획 및
부하용량과 자재사양을 제공한다.

3. 전력·전차선분야와 신호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철전력분야에 신호설비 부하소요량, 예비전원의 필요성, 신호설비 신설계획 등을 제


공한다.

(2) 전차선분야에 신호선로도, 신호전선관로, 신호횡단관로, 신호맨홀 시공도, 신호전선


로도 임피던스본드 배치도, 신호전선로도, 신호기기 배치도를 제공한다.

4. 전력·전차선분야와 통신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철전력분야에 관제전화 회선 및 원격제어회선 계획, 전기시계 시각정보 및 동기


클럭정보, 통신설비 소요전원용량, 공용접지 사용계획, 방송설비 시공계획을 제공한
다.

118
(2) 전철전원분야에 통신회선구성방안, 무인화설비 시공계획, 각종 전화설치계획(관제,
유선, 직통전화), 통신유도대책 대상설비 현황을 제공한다.

(3) 전차선분야에 통신전선로도와 통신기기 배치도를 제공한다.

5. 전력·전차선분야와 궤도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궤도분야는 전기 관련 토목시공계획을 제공하고, 궤도설계기준과 궤도평면도 및 궤


도단계별 시공도, 선로종단면도와 선로평면도, 교각위치와 분기기 위치, 운행선 변
경계획을 전차선분야에 제공한다.

(2) 전력분야는 전기 관련 토목시공계획을 제공한다.

(3) 전차선분야는 전차선로 설계기준과 단계별 시공도, 표준장주도와 전차선로평면도를


제공한다.

6. 전력·전차선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차선분야는 전차선로 계통도, 절연구간설치조건 및 급전선 인출 방안, 구분장치


설치조건 및 급전선 인출 방안, 인출모선 배치도, 전차선로 각종 선종, 규격, 수량,
인출선로 시공방식(가공 또는 지중), 지중인출로 상세도, 매설접지 시공상세도를 제
공한다.

(2) 전력분야는 급전계통도, 기기배치도, 위치현황도, 전압강하 검토서, 급전시뮬레이션


결과물, 말단개소 변전설비도, 인출설비 상세도를 제공한다.

7. 전철전원분야와 전력분야 간 발생하는 주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전력분야는 조명기기배치도, 비상조명등 설치계획, 외등설치 계획, 소방설비 설치


및 운용계획, 유도등 설치계획, 구내배전선로 시공상세도, 변전건물 내 간선배선계
획, 전기실 평면도, 전기실 배전반 배치 및 트랜치 평면도, 피뢰침 설치계획, 매설
접지 시공평면도, 피뢰침 접지상세도를 제공한다.

(2) 전철전원분야는 변전소 내 전력소요량, 변전기기 설치계획, 건물배치계획, 기기배치


도 매쉬 접지 평면도를 제공한다.

119
5-4.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

• 공동구, 기재갱을 사전협의하여 반영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 구간의 통신설비 사전반영, 무선중계실의 위치 및 설계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 케이블트로프, 횡단전선관, 무선중계실, 신호기계실의 위치를 상호 협의하여 선정할
학습 목표
수 있다.
• 각종 전력/신호/통신 케이블의 상호 영향특성을 이해하고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장
애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 설계 시 분야 간 협의 통해 신호기와 절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신호/통신시스템과 철도토목구조물의 상관관계

1. 선로구조물의 일반사항

(1) 선로구조물은 철도의 토목구조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교량, 터널, 토공설비(노


반, 성토, 절토, 법면방호공, 토류벽, 토류옹벽 등), 배수설비(측구, 배수구, 종하수,
복통, 하수거, 가통 등), 방오설비(낙석방지망, 낙석지책, 낙석덮개, 낙석막이옹벽,
사방댐, 토사지책, 설붕감세공, 설붕유도공, 설부할, 설붕도, 설붕지옹벽, 설붕방지
책, 설붕부, 유설구 등), 철도림(방설림(취설방지림, 설붕방지림), 비사방지림, 토사붕
괴방비림, 토사유출방비림, 낙석방지림, 방풍림, 수원함양림, 수해방비림, 방화림 등)
으로 구분된다.

(2) 신호시스템의 신호설비 설계계획과 선로구조물의 상관관계는 신호방식과 기기배치,


기존시설 연계 운영계획 및 운영간섭 여부, RAMS 활동계획, 주요장비 유지관리 및
안전통로 확보, 유지관리계획 및 보수대책 등을 검토한다.

(3) 통신시스템의 통신설비와 선로구조물의 상관관계는 통신설비의 방식, 용량, 기능 및


기기배치, 기존시설 연계 운영계획 및 운영간섭, 주요 장비 유지관리 및 안전통로
확보, 유지관리계획 및 보수대책 등을 검토한다.

2. 철도의 신호시스템의 일반사항


철도의 신호시스템은 열차의 운행조건을 기관사에게 지시하여 열차의 진행 가부 및 위험
의 유무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보유하며 열차 또는 차량운행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확성과
신속성으로 수송 능률의 향상을 도모한다. 신호시스템은 신호장치, 안전설비, 열차운행관
리시스템, 열차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20
(1) 신호장치는 신호기, 분기기 및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폐색장치, 연동장치 등이다.

(2) 안전설비는 건널목 보안장치와 열차 자동정지장치 등이다.

(3) 열차운행관리시스템은 열차집중제어장치 CTC로 약 3 km마다의 궤도회로 단위에서


열차위치 정보를 취합하여 각 역의 ATC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
정보를 통합하는 시스템이다.

(4) 열차제어시스템은 열차의 현재 위치한 궤도회로로부터 속도정보를 수신받아 최대지


정속도 또는 허용속도로 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철도의 통신시스템의 일반사항


철도의 통신시스템은 방송 시스템과 이동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전송계층 시스템의
구축을 의미한다.

(1) 통신시스템의 방송시스템은 단방향 배포 비대칭 통신시스템으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음성과 영상통신과 무선호출기와 SMS를 포함한 정보서비스를 포함한다.

(2) 방송과 이동통신의 융합을 위한 상호작용 채널을 구축한다.

(3) 통신설비는 동케이블과 광케이블, 전송설비, 관제전화와 전화교환설비, 원격방송장


치, 열차방호장치와 무선설비(기지국, 이동국, 휴대용), 안내설비, 영상감시설비, 음
성유도기, 화재탐지설비, 역무자동화설비 등이다.

󰊲 궤도회로를 이용한 신호・통신시스템

1. 궤도회로의 일반사항
철도의 궤도를 일종의 전기회로의 일부분으로 사용하여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고 정보의
전송로로 열차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1) 선로의 사용전원, 회로구성방법 및 궤도절연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사용전원에 의한 분류로 직류, 교류, 교류를 정류한 맥류, 코드화된 신호부호, 가청
주파수를 이용한 AF 궤도회로가 있다.

(3) 회로구성방법으로 개전로식과 폐전로식으로 구분되며 안전도의 이유로 폐전로식이


사용된다.

(4) 유・무 절연방식은 한쪽 궤도만 절연한 단궤조식과 양쪽 궤도를 절연한 복궤조식 그


리고 궤조절연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레일에 주파수를 흘려 궤도 임계점에서 상호
주파수에 대한 공조회로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5) 궤도회로의 구간 내 열차의 유무만 조사하는 방식과 전방 궤도회로를 포함한 열차


의 유무를 조사하는 제어계전기 조사 방식이 있다.

121
2. 궤도와 신호시스템의 상호작용
체결장치는 신호시스템이 상시 정상 작동될 수 있는 소요 전기저항 및 적절한 궤도회로
위치 등에 대한 상호관계에서는 아래 사항을 유의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1) 궤도시스템의 전기저항은 제어/명령시스템에서 규정된 값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하


고, 신호시스템에 따라 전기저항에 대한 요구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각 신호시스템
에서 규정된 전기 저항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해야 한다.

(2) 선로에는 신호설비의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신


호설비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궤도설계 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3) 관련 국내 성능시방규정 및 CEN 13481-2, CEN13146-5 등의 규정에 따르면 궤도시


스템의 전기저항 최솟값은 3Ωkm로서 이는 침목 간격 0.6m 기준으로 5kΩ에 해당
한다. 이 값은 가장 기본적인 요구 값으로서 침목간격이 0.65m를 적용할 경우에는
4.61kΩ으로 규정한다.

(4) 안전한 신호체계구축에 따른 궤도시스템의 전기절연성 확보는 특정 신호체계별로


그 요구 값이 상이하므로 신호분야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검토, 적용하
여야 한다.

122
수행 내용 /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하기

재료·자료


철도건설법


인터페이스 관리계획서


착수보고 자료


국토교통부 설계기준


인터페이스 협의 회의록


관련 기관 협의자료


인터페이스 협의도면

기기(장비·공구)


공학용 계산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로젝트, 프린터, 스캐너 등)


문서 작성용 S/W

안전·유의 사항


컴퓨터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정전에 대비하여 반드시 자동 저장 기능을 사용한다.


불필요한 아이콘은 활성화하지 않는 것이 작업하기 쉽다.

수행 순서

󰊱 철도설계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의 일반사항을 파악한다.


철도설계에서 토목구조물분야와 신호제어분야와 정보통신분야와 상호 협의할 부분과 타 분
야와 공유해야 할 항목을 파악해야 한다.

󰊲 신호분야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알아본다.

1. 토목구조물 분야와 협의사항

(1) 노반분야는 공동관로 용적률, 신호설비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터널 단면도, 신호설

123
비 설치를 위한 교량폭원, 정거장 구내 배수로 계획, 정거장 구내 배선 계획, 노반
종, 평면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장대터널 내 신호제어설비 설치위치 및 공간 계획, 공동관로 필요 용적


율, 교량부 신호제어설비 설치 계획 등을 제공한다.

2. 차량분야와 협의사항

(1) 차량분야는 신호제어설비 선정을 위한 선로 및 차량의 최고속도, 차량제동성능, 차


량제원, 차상설비 정보 전송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지상설비 정보 전송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3. 궤도분야와 협의사항

(1) 궤도분야는 궤도부설도, 본선 및 측선의 유효장과 부대설비 설치계획, 차량접촉한계


표지 위치, 분기기 형식 및 번호, 건축한계 지장 유무 확인을 위한 구내배선도, 단
계별 시공계획, 차막이 표지 설치 위치, 접착식 절연레일 설치 계획, 신축 이음매장
치 설치 계획, 시설물 설치공간 확보를 위한 도상 어깨폭, 역간 선로 평면도 제공한
다.

(2) 신호분야는 절연체이음매판 설치위치도, 전기 선로전환기 설치계획 등을 제공 한다.

4. 건축분야와 협의사항

(1) 건축분야는 신호기계실 위치 및 면적, 전원실 위치 및 면적, 운전취급실 위치 및 면


적, 피트 설치 계획, 공조설비 설치 계획, 각 기능실 평면도 및 단면도, 분전함 위
치 등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신호기계실 소요면적, 전원실 소요면적, 운전취급실 위치 및 소요면적,


신호기계실 및 전원실 발열량 등을 제공한다.

5. 전차선분야와 협의사항

(1) 전차선분야는 절연 구분장치 위치, 매설접지선계통도(접지단자함위치도), 전철주 건


식 위치 등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궤도회로도, 공동접지 계획도 등을 제공한다.

6. 전력분야와 협의사항

(1) 전력분야는 전원구성방안 위치, 공동관로 사용계획위치, 분전함 위치, 공용접지 구


성도 등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신호설비 부하소요량, 예비전원의 필요성, 신호설비 신설계획 공동접지


구성도 등을 제공한다.

7. 통신분야와 협의사항

(1) 통신분야는 CTC 제어회선 및 관제전화회선, 통신단자함 위치, 공동관로 사용계획

124
등을 제공한다.

(2) 신호분야는 DTS 전송망 사용계획, 콘솔데스크 제작사양 및 사용계획, 열차운행정보,


열차스케줄 정보, CTC 구성 통신회선 및 제어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 정보통신분야 인터페이스 협의사항을 조사한다.

1. 토목구조물분야와 협의사항

(1) 토목구조물분야는 토목 선로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 지반보고서, 지장물 현황


서 및 토목시공일정, 교량 및 터널 접지 계획, 직선, 곡선 구간의 건축한계, 공동관
로 설치 계획, 터널 기재갱 설치 위치 및 넓이, 정거장 구내 배선 계획 및 건물 배
치계획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통신관로도(허용관로 곡률반경, 관로경간, 핸드홀과 횡단전선관 위치 및


규격), 광케이블 및 동케이블 포설 계획, 선로변 통신설비 설치 위치 계획, 장대터
널 내 통신설비 설치 위치 계획, 기지국 위치 및 면적확보 계획 등을 제공한다.

2. 차량분야와 협의사항

(1) 차량분야는 운전석 및 큐비클 상세도, 동력차 케이블 배관 계통도, 차상안테나 설치


가능 위치를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열차무선설비의 제원(장비 및 ANT의 크기, 계통도, 배선도), 열차무선설


비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3. 건축분야와 협의사항

(1) 건축분야는 건물 부지 평면 계획, 각 기능실 평면도 및 단면도, 상세도, 승객 인출


입 동선 계획, 주 통신기기실 위치 및 면적, 보조통신기기실, 전원실 및 통신전용
수직피트실 위치 및 면적, 냉난방기 설치 및 용량 계획, 통신기기실내 소화설비 구
성 및 속보설비, 전기동차가 운행되는 지하구간 승강장(스크린도어)의 경우 영상감
시장치 모니터 수용에 관한 설치위치, 면적 등 인터페이스 사항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통신기기실 및 부속실 필요 면적, 통신기기실 내부건축 요구사항(바닥,


창, 천장 등), 통신설비 배치 계획, 건물 내 통신설비 기기기초 위치 및 규격 제공
한다.

4. 전철전원과 협의사항

(1) 전철전원분야는 급전 계통도 및 급전구간평면도: 유도대책용, 전철구간의 전기방식,


송전선로 경과도, 변전소(구분소)설치 계획, 변전설비 시공 및 무인화 계획, 변전소
평면계획, 변전설비 및 외곽감시용 시스템 설치 계획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원격제어 통신회선 계획: SCADA 설비 및 변전감시용 영상감시회선, 관

125
제전화 설치 계획, 전기시계 시각정보 및 동기클럭 정보 등을 제공한다.

5. 전차선분야와 협의사항

(1) 전차선분야는 전차선로 평면도 및 장주도, 절연구분장치 위치, 전차선설비 감시센서


등을 위한 통신회선 수요, 교량 및 터널, 토공 접지단자함 설치 계획 및 위치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터널 내 누설동축케이블 설치 위치 및 높이 등을 제공한다.

6. 전력분야와 협의사항

(1) 전력분야는 전원구성방안, 분전함 위치, 전원계통도 및 배전전원 용량표(전원공급계


획), 공용접지 구성도(공통접지 단자위치도), SCADA 원격제어회선 구성계획 및 제어
프로토콜, 통신기기실내 자동화재 탐지설비 및 원격제어 구성계획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관제전화 회선 및 원격제어회선 계획, 전기시계 시각정보 및 동기클럭


정보, 통신설비 소요 전원 용량, 공용접지 사용 계획 등을 제공한다.

7. 신호분야와 협의사항

(1) 신호분야는 DTS 전송망 사용계획, 콘솔데스크 제작사양 및 사용 계획, 열차운행정


보, 열차스케줄 정보, CTC 구성 통신회선 및 제어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2) 통신분야는 CTC 제어회선 및 관제전화회선, 통신단자함 위치, 공동관로 사용계획,


전기시계 시각정보 및 동기클럭 정보철도설계 신호, 통신분야 인터페이스의 일반사
항을 파악한다.

126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관련 분야와 상호 협력하는 태도를 유지하도록


상기시킨다.

• 협의단계에서 전문가적인 태도를 확보하기 위한 정확한 지식습득을 설명한다.

• 원만한 협의가 이루어지도록 관련 자료와 사례 등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궤도구조와 관련 분야의 특성이 토목구조물과 간섭되는 다양한 조건을 질문한다.

• 협의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보고서 작성 및 협의내용 반영결과를 점검할 수 있는 확인절차를


도출하도록 유도한다.

학습 방법

• 궤도구조와 특성 및 토목구조물과의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한다.

• 협의내용과 사례를 소개하고 학생 상호 간의 토론을 통하여 심화 분석한다.

• 조별 과제를 부여하여 모의 역할 분담을 통하여 협의진행과정을 숙지한다.

• 조별 과제의 협의결과를 문서작성 S/W를 활용하여 보고서 작성과 발표를 토론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내용의 응용능력을 연습한다.

127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궤도와 차량의 정·동적 상호 거동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 교량상의 레일축력에 대한 안전성과 분기기 설치위치,
레일신축이음매 부설위치, 선로경합사항을 파악하고
설계 반영할 수 있다.
토목구조물-궤도- - 궤도구조의 종류와 궤도구조가 교량에 미치는 영향을
차량 인터페이스 파악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차량에 의한 소음진동, 공력특성을 분석하여 구조물 설
계에 반영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궤도/차량 상호 간의 영향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 역 광장, 주차장, 타 교통과의 환승계획, 여객통로, 여객
이용시설을 협의하여 시설계획 수립할 수 있다.
- 승강장 연단거리, 폭원, 높이 그리고 운영에 필요한 기
건축 인터페이스
능실 배치를 고려하여 시설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홈지붕 기초설계, 지하역사 방재설비 설치를 위한 방재
설비 기초 등을 협의하여 반영할 수 있다.
- 전기공급에 따른 접지시설물 계획을 사전반영할 수 있다.
- 전기분야와의 상호 설계/시공 범위를 협의하여 확정할
수 있다.
전력, 전차선분야
- 전기시설물(변전소, 구분소, 전철주, 방호벽, 공동관로, 분
인터페이스
기기, 전철기)을 반영하여 토목구조물을 설계할 수 있다.
- 터널 내 전차선 시공을 감안한 매립전, 선시공 구조물
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 공동구, 기재갱을 사전협의하여 반영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 구간의 통신설비 사전반영, 무선중계실의
위치 및 설계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 케이블 트로프, 횡단전선관, 무선중계실, 신호기계실의
신호, 통신분야 인
위치를 상호 협의하여 선정할 수 있다.
터페이스
- 각종 전력/신호/통신 케이블의 상호 영향특성을 이해하고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장애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토목구조물 설계 시 분야 간 협의 통해 신호기와 절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128
평가 방법

• 사례연구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궤도 및 차량분야와 발생되는 인터페이스 협의사항 도


출 및 상호 거동특성 반영 여부

- 궤도형식에 따른 교량 및 터널의 반영해야 할 협의 우선


순위와 중요도 결정 적정성
토목구조물-궤도-
차량 인터페이스
- 차량운영방식별 인터페이스 적용과 반영 여부 확인방법
제안

- 기존선로와 연결 시 접속구간의 전환 및 유지관리 방안


적용 여부

- 건축 주요동선과 타 교통 간 환승계획 반영 여부

건축 인터페이스 - 승강장과 기능실 배치 등 시설계획 반영 여부

- 역사의 방재설비의 호환 및 피난통로 확보 반영 여부

- 전력공급과 접지시설물 배치계획 반영 여부

전력, 전차선
- 전기시설물과 운영선로 간섭 여부 반영
분야 인터페이스

- 전차선 시공을 감안한 교량 및 터널 구조물 공정 반영 여부

- 공동구, 기재갱 배치계획 및 공정순서 협의 여부

신호, 통신 분야
- 무선, 신호 중계실 위치 및 설계기준 협의 여부
인터페이스

- 신호 및 통신케이블의 절연위치와 간섭방지 대책 수립

129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궤도 및 차량형식별 상호간섭 내용의 이해 정도

토목구조물-궤도- - 합의사항의 원만한 도출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


차량 인터페이스
- 내용파악과 적절한 주장펴기 및 원활한 협의진행을 위
한 공손한 태도

- 건축 주요동선과 승강장 피난동선 간의 간섭현상 이해


및 주장펴기

건축 인터페이스 - 합의사항의 원만한 도출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

- 내용파악과 적절한 주장펴기 및 원활한 협의진행을 위


한 공손한 태도

- 일반 전력공급과 전차선 전력공급을 위한 시설과 배치


계획의 이해와 인터페이스 주장펴기
전력, 전차선
- 합의사항의 원만한 도출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
분야 인터페이스
- 내용파악과 적절한 주장펴기 및 원활한 협의진행을 위
한 공손한 태도시선집중과 주요항목 강조

- 차량신호와 유무선 통신 시설과 인터페이스의 이해와


주장펴기
신호, 통신 분야
- 합의사항의 원만한 도출과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
인터페이스
- 내용파악과 적절한 주장펴기 및 원활한 협의진행을 위
한 공손한 태도

피드백

1. 사례연구
- 인터페이스 협의의 기본사항과 구성에 대하여 주요사항을 쉽게 설명한다.
- 사례연구과정에서 꼭 주목해야 할 부분을 강조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한다.
- 사례 내용을 자세하게 숙지시키고 학습목표에 대다수의 학생이 도달할 수 있도록 강조
하고 보충하여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독려한다.
2. 구두발표
- 발표 중 역할연기를 통하여 발표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 상대방을 배려하고 원만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공손한 태도를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 발표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이해를 보충하고 자신감 있고 전문성을 포함된 표현방법을
숙지하도록 유도한다.

130
∙ (주)평산에스아이(2015). 『토목설계』.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국토교통부(2011), 『철도건설공사전문시방서(노반편)』. 한국철도시설공단.

∙ 국토교통부(2013.12). 『철도설계기준(시스템편)』.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 국토교통부(2014.2). 『철도설계기준(연계교통시설편)』.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 국토교통부(2015.12). 『철도설계기준(건축편)』.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 국토교통부(2015.12). 『철도설계기준(노반편)』.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 오순택, 이동준(2014). 「PSC 교량 위를 고속주행 중인 KTX 전동차의 중심회전각 동적해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18(1). pp.59~67.

∙ 오순택, 이동준, 정신효(2016). 「고속철PSC교량받침의 누적이동거리 수치해석」.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

∙ 이기승(2004). 『도시철도기술자료집(궤도)』. 서울특별시지하철건설본부.

∙ 한국철도시설공단(2011). 『철도설계편람(궤도편)』. 한국철도시설공단.

∙ 한국철도시설공단(2012.12.5.).『궤도/차량/구조물/전기/신호 등의 상호작용』. 한국철도시설


공단.

∙ 한국철도시설공단(2015). 『철도표준도(노반편/궤도편)』. 한국철도시설공단.

131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오순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록(송원대학교)* 권오규((주)동성엔지니어링)
김종석((주)이산)* 김재철(철도기술연구원)
박근태(극동엔지니어링) 성덕룡(대원대학교)
배을호(케이블텍(주)) 이용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한철(서현기술단) 장원섭((주)건화)
이기승((주)케이알티씨)
이동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영민((주)유신)
이종태(도화엔지니어링)
이현주((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1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