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제 8 0 6 호 '22.4.

25
VIETNAM
INVESTMENT
NEWS
2 베트남 경제동향 및 투자관련 주요이슈
국가임금위원회,2022년7월1일부터최저임금최소6%인상제안
아시아플러스증권,베트남을유망투자지로분석
하노이,2022년1분기신규아파트공급가격,5년만에최고치상승
껀터시-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한국투자유치포럼개최
베트남상업은행예금금리인상
전자세금계산서(E-Invoice)포털정식출범
4 베트남 FOCUS - KOTRA 해외시장뉴스
우크라이나 사태가 베트남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5 베트남 통관법률 및 FTA관련 Q&A


중고자동차의 베트남 수입

6 [한안내 ] 한-베트남 미래산업 경제협력 파트너십


-베트남 경제협력포럼 4.26일 2~4시 (베트남기준, 온/오프)
한-베트남 1:1 화상상담회 4.25~26일, 9~16시 (베트남기준)
상단의 PDF 첨부파일을 클릭 후 다운로드 7 [안내] 제2차 MEET KOREA 2022 개최 안내
하시면 본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12(목)~14(토) 빈딩성 뀌년시 FLC 리조트
KOTRA 하노이무역관 참가신청링크 https://forms.gle/vmVr5kjMrgLoeCEm6
연락처 | +84 24 3946 0511 (621) 11베트남 주요 경제 지표
담당자 | 한아름 대리
이메일 | rachel@kotra.or.kr 2022년 3월 28일 업데이트
2

베트남 경제동향 및 투자관련 주요 이슈


국가임금위원회, 2022년 7월 1일부터 최저 임금 최소 6% 인상 제안
4월 12일 국가임금위원회는 2022년 2차 회의를 열어 기업 근로자의 최저임금 인
상 문제를 논의함.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 는 지역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여러
방안을 제안하였으나, 국가임금위원회는 지역에 따라 2022년 7월 1일부터 6%
인상하는 통일안을 선택하고 정부에 제안하기로 결정함. 이에 따르면 7월부터 지
역별 월 최저임금은 현행 대비 최소18만 동~26만 동(7.8~11.4달러)이 인상 되며,
지역별 월 최저임금은▲하노이·호찌민 등 1급지 486만 동(203달러) ▲하노이, 호
찌민시 외곽 및 껀터(Can Tho), 다낭(Da Nang), 하이퐁(Hai Phong)등 2급지
416만 동(182달러) ▲박닌(Bac Ninh), 박장(Bac Giang), 하이즈엉(Hai Duong)
등 3급지 364만 동(159달러) ▲기타 농촌 및 도서지역으로 분류되는 4급지 325
만 동(141달러) 등임. 베트남 노동총연맹에 따르면 정부는 2019년 11월 15일자
‘근로자에 대한 최저임금에 관한 규정’ (Decision No. 90/2019/ND-CP)에 따라 최
저 임금을 동결해왔으나 2022년 1분기부터 베트남의 경제상황이 회복세를 보이
며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높이고 직원의 근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2년만에 정
부에 최저 임금 인상을 제안한다고 밝힘.
[베트남 정부포털, ’22.04.12.]

아시아플러스 증권, 베트남을 유망 투자지로 분석


태국의 아시아플러스(ASIAPLUS) 증권사는 풍부한 현지 노동력, 낮은
최저 임금, 꾸준히 증가하는 1인 소득을 기반으로 베트남의 성장 잠재력
이 높으며,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을 주장함.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과 러시아 원유 공급에 대한 제재가 세계 채권 시장과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이며 점차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함.
아시아플러스 증권사는 코로나 19 유행에도 불구하고 2022년 1분기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으며,
2028년까지 매년 5~7%씩 증가하여 태국과 싱가포르를 능가할 것이라
고 밝힘.또한 베트남의 주식시장지수(VN-Index)는 2022년 초 이후
2%만 하락했으며, 미국의 S&P 500이 10% 하락한 것과 비교할 때 상
대적으로 완만한 수준이라고 언급함.
[Nhan Dan,’22.04.16.]

하노이, 2022년 1분기 신규 아파트 공급 가격, 5년만에 최고치 상승


미국의 부동산 컨설팅 기업인 CBRE는 2022년 1분기 하노이의 중급 아파트
평균 가격은 전년 1분기 대비 9% 상승해 제곱 미터당 1,278달러로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함. CBRE는 향후 2년 동안 하노이시 박뜨리엠, 동안, 롱비엔,
홍마이 및 탄찌 등의 지역에 5만 4천호의 신규 아파트가 공급 될 것으로 전망
함. 호찌민시 부동산 협회 회장은 시장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장기적인 위
험과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힘. 한편, 주택의 공급 부족과 법적인 문
제, 복잡한 행정절차 등으로 많은 사업이 동결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을 막
으려는 노력이 미비한 상태라고 분석함. 영국의 부동산 컨설팅 기업인
Savills Vietnam에 따르면 부동산은 투자자들이 위험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에 저소득층은 앞으로 주택을 구매하기가 더 어려워졌다고
밝힘. 사회 주택과 저예산 상업용 아파트를 위한 토지 기금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 및 관련 부처가 행정과정에서 병목현상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가 관건이라고 분석함.
[Hanoi Times, ’22.04.18.]
3

베트남 경제동향 및 투자관련 주요 이슈


껀터시-한국산업기술진흥원 (KIAT) 한국 투자 유치 포럼 개최
4월 19일 껀터시 인민위원회 대표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함께 한국기업
의 껀터시투자 유치 및 촉진 포럼을 개최함. 이 포럼을 통하여 2016년 조성된 한-베
트남 인큐베이터 센터(KVIP)의 한-베 산업기술운영 및 농업기계화 사업의 성과를
검토했으며, 껀터시는한국 투자 기업을 위한 행정절차를 간소화 하여 한국 기업 투
자에 유리한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베트남
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과 베트남 남부지방에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올해 껀터시에서 투자유치 및 정부-기업간담회를포함하는 ‘Meet Korea’ 개최
를 논의 중임. 한-베 산업기술 인큐베이터는 껀터시 지원금 약 343만 달러를 포함,
총 예산 약 1,770만 달러로 2015년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11개 기업의 한-베트남
인큐베이션 센터(KVIP) 프로그램 참여 및 껀터시 내외 10개 입주기업과 생산 시설
의 연구 및 신제품 개발을 지원함.

베트남 상업 은행 예금 금리 인상
[Nhandan, ’22.4.19.]

최근 베트남의 일부 상업은행은 온라인 예금에 대한 금리를 잇따라


인상함. VP Bank는 36개월간 500억 동 이상을 예금하는 고객에게
최고 금리 연 6.9%로 기존 대비 0.2% 인상함. 또한 100억 동 이상
500억 동 미만의 예금에 대한 이자율은 연간 6.1%에서 6.7%로
0.6%p 인상 됨.이에 앞서, MB은행은 1개월과 2개월 만기 예금 금
리를 연 0.2%씩 인상하여 각각 2.9%와 3%로 높인 바 있으며, 36개
월 만기 예금 금리는 연 6.4% 에서 6.6%로 0.2%p 인상 함. Ban
Viet, Vietnam Thuong Tin, Phuong Dong과 같은 일부 다른 상
업 은행 역시 정기 예금 고객을 위해 연 이자율을 0.1-0.2% 인상 함.
[Hanoimoi, ’22.04.21.]

베트남, 전자 세금계산서(E-INVOICE)포털 정식 출범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총리 임석하 4월 21일 전자 세금계산서
(E-Invoice)발행 서비스를 정식 출범함. 정부는 지난 2021년 11
월 21일부터 하노이, 호찌민, 하이퐁, 꽝닌. 빙딘, 푸토 등 6개의
성·시에서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여 그 외
57개 성시로 확장한 바 있으며 기존 정식 서비스 출시 예정일인
2022년 7월 7일을 1분기 가량 앞당겨 정식 서비스를 출시함. 지
난 3월, 당국은 해외에 본사를 둔 웹 서비스 공급업체에 납세 의
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전자 세금계산서 발행 포털
(etaxvn.gdt.gov.vn)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인구,
기업, 사회보험, 토지 등의 국가 데이터가 통합되고 디지털 정부,
경제 및 사회의 발전 가속화에 기여 할 것이라고 밝힘.
[NhanDan,’22.04.22.]
4

베트남 FOCUS - KOTRA 해외시장뉴스


우크라이나 사태가 베트남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년 베-러 교역규모 10억 달러, 베-우크라 교역규모 1억 달러
2021
수출입 위축 및 물류 일부 차질... 환율과 거시경제 영향은 미미할 것

교역관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베트남 유가 인상 및 비료 가격 상승


베트남 관세총국은 2022년 들어 2월 중순까지 베트남의 대러 러-우 사태로 인하여 세계 원유가격은 브렌트유 가격 기준 2
시아및대우크라이나의교역규모가전년동기대비증가하는 월 22일을 기점으로 1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했다. 유가 상승
추세였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작된 2월 말부터 부 압력 상황 하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재무부에 베트남의 휘발
정적인영향을끼쳤다고밝혔다.경제전문가들역시베트남과 유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휘발유에 부과되는 환경세를
러시아·우크라이나의 교역규모가 베트남 전체 교역규모에서 50% 감면할 것을 제안했다. 재무부는 오는 4월 1일부터 12
차지하는비중이매우작기때문에수출입에미치는영향이크 월 31일까지 휘발유에 부과되는 환경보호세 50% 감면 결의
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부터 베트 안을 국회 상임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또한 베트남 농
남의 수입규모 역시 올 2월 말 전까지 증가했다. 베트남이 올 2 업농촌개발부(MARD)에 따르면 베트남의 올 3월 초 비료 가
월 러시아에서 수입한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93.1% 증가한 2 격은 수급문제로 5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베트남
억5720만 달러였으며, 우크라이나로부터의 2월 수입 규모는 은 3월 초부터 3월 말까지 수확하고 4월 초에 신규 작황을 시
전년 동기 대비 568% 폭증한 4892만 달러에 이르렀다. 흥미 작한다. 따라서 예년과 마찬가지로 4월 이후 비료의 수요가
로운 사실은 베트남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하는 상 증가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올 2분기 인산이암모늄(DAP)
위 품목은 1월과 2월 모두 확연한 감소세를 보였으나 10위권 비료는 수요 대비 64% 부족할 전망이며 이로 인해 DAP 가격
밖에있는품목의베트남수입규모가폭증했다는점이다. 은 톤당 약 1098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인플레이션, 아직 4% 미만으로 통제 가능 베트남 향후 경제 전망 및 기회 모색 방향


베트남의 국내 유가와 가스 가격이 세계 유가와 항상 비례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인 베트남의 관점에서 보면, 전 세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세계 유가가 베트남 인플레이션에 계 밀 관련 식량 및 농산물 가격 상승은 베트남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수 있다. 현재 베트남의 연료 부분적으로 혜택을 줄 것이다. EU 국가들은 연간 최대
1600억 달러의 식량을 수입하며 이들의 수요는 여전히
에는 많은 세금(수입세, 환경세, 소비세 등)이 붙으며 안정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은 유럽 시장에 쌀을 수출
주도한다. 한편, 전기와 수도(3.9%), 의료(5.4%), 교육 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에 좋은 시기이다. 세계가 러
(5.5%) 등 인플레이션 지표는 여전히 잘 통제되고 있다. 따 시아에 가하는 경제제재와 수출 금지를 고려할 때 EU는
라서, 드래곤캐피탈은 베트남 인플레이션에 어떤 요인이 존 곡물과 농산물의 대체 공급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
재하는지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앞으로 몇 달 동안 연 다. 또한, 러시아를 대체할 베트남의 요소비료 대체 공급
료 가격과 몇 가지 필수 상품의 가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선을 찾기 위하여 베트남이 생산하는 요소 비료에 대한
필요 있다고 분석했다. 외부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해외의 연락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비료 시장을 놓
은 연간 물가상승률을 4% 미만으로 유지하려는 국회의 목 고 보면 베트남은 비료시장에서 큰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할 수 있으나 요소 생산자의 경우는 해외 수출 시장점
표와 함께 물가를 여전히 잘 통제하고 있다. 유율을 높이고 새로운 수출 파트너를 찾을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된다.
자세히 보기
5

베트남 통관 법률 및 FTA 관련 Q&A


* * 중고자동차의 베트남 수입 * *
Q: 중고자동차를 베트남으로 수입할 때 세금이 얼마나 부과되나요?
베트남은 자동차의 수입에 세금을 중과하여 수입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결정서
제 호의 제 부록 등 각종 세무규정에 따라서 아래의 세목이 부과됩니다
A : .

Đ
관세
125/2017/N -CP 3 .

특별소비세
-

부가가치세 등입니다
-

- .

먼저 베트남의 중고차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기량 1,000CC 미만, HS 코드 8703의 차량
- 결정서 제125/2017/NĐ-CP호의 제 3부록에 따르면 9인승 미만, 배기량1000CC 미만의 자동차
종량세 관세 부과액 : 10,000 USD
(2) 배기량 1,000CC 이상, HS 코드 8703의 차량
- 9인승 미만, 배기량 1,000CC 이상의 8703 코드에 속한 자동차(일반 승용차, SUV, 스포츠카 등,
승합차는 제외) 종량세 관세 부과액 : 대당 200% 또는, 150% + 10.000USD 중 적은 금액
- 기타 차량 (1,000CC 이상, 2,500CC 이하) 종량세 관세 부과액 : X + 10,000USD
- 기타 차량 (2,500CC 이상) 종량세 관세 부과액 : X + 15,000USD

(3) 10인승 이상, 15인승 미만, HS코드 8702의 차량


- 배기량 2,500CC 미만 종량세 관세 부과액 : X + 10,000USD
- 배기량 2,500CC 이상 종량세 관세 부과액 : X + 15,000USD

** X = 중고자동차 관세 과세가격(CIF기준 매매가격) * 신차 관세율 **

상기와 같이 종량세를 기본적으로 부과하고, 추가로 종가세(상기 공식 상의 X)를 추가 부과합니다.


이 때, 종가세 과세표준이 과세가격으로 규정되어있으므로, 일반 수입신고되는 정상적인 거래가격
을 기준으로 가격이 산정되어야 합니다.
관세에 추가로 특별소비세가 아래와 같이 부과됩니다.
1500㏄ 이하 : 35 %
1500~2000㏄ 이하 : 40 %
2000~2500㏄ 이하 : 50 %
2500~3000㏄ 이하 : 60 %
3000~4000㏄ 이하 : 90 %
4000~5000㏄ 이하 : 110 %
5000~6000㏄ 이하 : 130 %
6000㏄ 초과 : 150 %

마지막으로, 부가가치세 10%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따라서, 세금의 중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중고자동차의 수입은 외교관 면세 등의 특수상황을 제외
하고는 어렵습니다.

하노이 무역관 김태윤 관세사


6

https://www.youtube.com/c/kotrabiz

https://forms.gle/ygEC82eTNKGvR9sC6
7
8
9
10
11
주요경제지표
2022 년 3월 28일 기준
12
주요경제지표
13
주요경제지표
14
주요경제지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