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024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옥재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1. 서울시 중기 지방재정 규모 및 세출입 전망

□ 의의(P4~P5)

○ 의미: 계획성 있는 재정 운용을 위하여 5회계연도 이상의 재정 여건 및 규모를 전망하고 분


야별로 재원을 배분하는 중장기 재정계획

- 위험의 잠재성으로 예산과정에서 간과하기 쉬운 미래 대비 재원 확충


- 시정 성과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 재원 확보 및 배분 관리
- 중장기 재정수요 파악, 조정, 재원조달 방안 등 예산편성 기초로 활용
○ 대상 : 일반회계 및 12개 특별회계(16개 계정), 19개 기금(28개 계정)

○ 내용

- (재정목표) 지역발전 및 재정운용의 목표・전략 등 기본방향


- 세입・세출 추계 및 투자 가용재원 판단을 위한 재정전망과 투자 계획수립

□ 재정 규모(P8)

○ ’24년 재정규모 457,230억원은 2024년도 예산 규모임

○ ’24~’28년 5개년간 총계 규모는 241조 9,484억원, 연평균 48조 3,897억원임.

- 일반회계는 176조 5,170억원으로, 연평균 35조 3,034억원 규모


- 특별회계는 65조 4,316억원으로, 연평균 13조 863억원 규모

27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단위 : 억원, %)
계획기간 연평균
구분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계 규모 비중 증가율
계 503,272 457,230 470,349 482,868 496,687 512,350 2,419,484483,897 100 2.9

일반회계 361,880 330,554 339,098 351,213 364,339 379,966 1,765,170353,034 73 3.5

특별회계 141,391 126,676 131,251 131,656 132,349 132,384 654,316130,863 27 1.1

□ 세입 전망

○ ’24~’28년 계획기간 총 세입은 241조 9,484억원, 연평균 규모는 48조 3,897억원, 연평균
2.9% 증가

- 지방세 수입은 담배소비세를 제외한 전 세목 증가가 예상되나, 연평균 지방소비세 3.6%,


재산세 1.8%, 취득세 3.9% 등 소폭 증가 예상
- 세외수입은 연평균 0.7% 증가 예상
- 이전 재원은 공채・차입금을 제외하고, 기초연금 등 국고보조금은 연평균 6.9%, 지방교
부세가 △31.9% 감소 등 연평균 4.4% 증가 예상
-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는 연평균 6조 6,877억원(세입의 13.8%, 연평균 1.8% 증가)

(단위 : 억원, %)
계획기간 연평균
구분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계 규모 비중 증가율
계 503,272 457,230 470,349 482,868 496,687 512,350 2,419,484 483,897 100 2.9
지방세 241,122 242,353 249,096 256,243 263,667 271,345 1,282,704 256,541 53 2.9
세외수입 42,784 44,668 45,833 44,944 45,791 45,965 227,201 45,440 9.4 0.7
이전재원 105,788 105,423 111,501 115,021 117,797 125,455 575,197 115,039 23.8 4.4
보전수입및내부거래 113,578 64,787 63,919 66,660 69,433 69,585 334,384 66,877 13.8 1.8

○ 위 서울시 중기 재정계획상의 세입예측은 ’23년 4분기 이후 경기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지


나치게 낙관적 예측치일 수 있음.

- 현재 IMF, WB(세계은행) 및 KDI, 한은은 모두 연초 2023년과 2024년 성장률을 4분기


축소하였고, 모두 2024년 잠재 성장률을 1%대로 예측하고 있음.
○ GDP란 기업의 법인소득(부가가치)의 총합이 대부분임. 국세인 법인세수의 지방소득세 수입
분(10%),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납부세액의 23.7%가 서울시 지방소비세에 포함되므로, 국
가와 서울시의 성장률은 평균적으로 국가 GDP와 서울시 지역총생산 성장률에 비례하게 됨.

28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그런데 2022년도 GDP 성장률이 2.6%이고, ’20년도 서울시 지역 총생산성장률이 0.9%로


지속적인 하락세가 예상 되므로 신규 세수를 추가로 발굴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향후
2.9% 전망은 너무 낙관적임.

<서울시 2011~2020 지역총생산 성장률 추이>


(단위: %)

- 위 2011~2020 서울시 지역총생산 성장률 추이를 보면 2018년 3.6%를 정점으로 2020


년 0.9%로 급격하게 하락함을 보여주고 10년간 서울시 지역총생산 평균은 2.3%로
2.9%보다 낮음.

<2012년~2022년도 한국 GDP 성장률 추이>


(단위: %)

- 또한 중기재정계획 P12에서 부동산 가격의 안정화로 재산세 및 취득세 등 관련 세수증대


를 예측하였으나, 다소 상승하던 부동산 가격이 자료 발간 이후인 11월을 기점으로 하락
세로 접어들고 있음.
- 미 연준 금리 동결 전망 지속, 미 국채금리 상승으로 국내 금리가 향후 기대와 달리 하락
하지 않을 경우 부동산 경기 회복으로 인한 세수의 안정적 증대 전망은 쉽지 않을수 있
음. 또한 p32~p33 채무 및 지방채 발행 부분을 보면, 서울시 지방채 발행이 늘 경우 지
방채 소화를 위해 이자율(금리)을 상승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세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음.

□ 세출 전망

○ 총계 규모에서 회계간 내부거래(전출입금)를 제외한 순계규모는 217조 6,290억원, 연평균


43조 5,258억원 규모로, 성질별 세출내역은

29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 행정운영경비는 인력운영비, 기본경비로 11조 1,139억원(순계의 5.1%), 연 2조 2,228억


원 규모로 연평균 1.5% 증가
- 타 기관 지원 및 부채상환은 76조 9,664억원(순계의 35.4%), 연평균 15조 3,933억원
- 사업비는 128조 9,194억원(순계의 59.2%), 연평균 25조 7,839억원
- 예비비는 6,293억원, 연평균 1,259억원 규모

(단위 : 억원, %)
2023 계획기간 연평균
구분
(최종) 2024 2025 2026 2027 2028 계 규모 비중 증가율
총계 규모 503,272 457,230 470,349 482,868 496,687 512,350 2,419,484 483,897 2.9
회계간전출 58,178 45,105 47,346 48,516 51,586 50,643 243,196 48,639 2.9
순계규모 445,094 412,126 423,003 434,353 445,101 461,707 2,176,290 435,258 100 2.9
행정운영경비 20,946 21,534 21,937 22,247 22,551 22,870 111,139 22,228 5.1 1.5
인력운영비 19,976 20,572 20,975 21,285 21,589 21,907 106,328 21,266 4.9 1.6
기본경비 970 962 962 962 962 963 4,811 962 0.2 0
타기관지원및부채상환등 175,795 146,879 149,811 154,541 157,448 160,985 769,664 153,933 35.4 2.3
자치구지원 73,246 64,888 65,812 67,601 69,455 71,376 339,132 67,826 15.6 2.4
교육청지원 42,999 38,433 38,881 39,741 40,675 41,645 199,375 39,875 9.2 2
출자출연금 22,571 14,400 14,747 15,280 17,401 17,688 79,516 15,903 3.7 5.3
기금공사공단전출금‧ 26,063 16,665 12,586 14,908 14,961 15,559 74,679 14,936 3.4 △1.7
부채상환 9,492 11,472 16,970 16,233 14,249 14,064 72,988 14,598 3.4 5.2
반환금등 1,424 1,021 815 778 707 653 3,974 795 0.2 △10.6
사업비 246,864 242,276 250,043 256,349 263,888 276,638 1,289,194 257,839 59.2 3.4
예비비 1,489 1,437 1,212 1,216 1,214 1,214 6,293 1,259 0.3 △4.1

2. 채무 현황 및 지방채 발행 계획

□ 채무 현황 및 상환 계획

○ ’23년 말 현재 ‘95~’23 총 채무 잔액은 11조 4,681억원(원금 기준)임.

- 일반회계 채무잔액은 342억원, 기금 채무잔액이 6,500억원으로 크지 않은 반면 특별회


계 채무잔액이 10조 7,839억원으로 대부분(94%)을 차지함.
- 특별회계 채무 잔액 중 지하철 건설사업이 6조 6,862억원으로 대부분(62%)를 차지하며,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보상1조 3,000억원, 재개발 임대주택 매입등 1조 1,350억원 순이
며,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등 SOC확충 9,368억원임.
- 대체로 특별회계에서 SOC 투자가 절대액을 차지함. 또한 재난관리 기금 조성에서 보듯
위험에 대비한 기능도 일부 가지고 있음.

30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단위 : 억원, %)

회계 차입연도 채무잔액 상환액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총합계 ‘95~’23 114,681 110,806 23,424 18,900 20,538 17,863 15,039 15,042

일반회계 ‘21~’22 342 374 8 8 8 350

특별회계 ‘95~’23 107,839 103,359 23,031 17,286 16,960 16,001 15,039 15,042

지하철 건설사업 ‘95~’24 66,862 70,477 15,865 10,255 10,888 13,849 9,475 10,145
‘95~’01,
공공임대주택 매입(정부 기금) 6,679 3,943 590 676 703 709 676 589
‘15~’17
재개발 임대주택 매입등 ‘19~’23 11,350 13,609 3,235 3,573 2,132 545 2,866 1,258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보상 ‘19~’23 13,000 7,192 1,728 423 3,004 186 1,686 165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등 SOC확충 ‘19~’23 9,368 8,032 1,644 2,249 225 704 328 2,882

풍납토성 복원 보상 ‘19~’22 580 378 239 109 9 9 9 3

기금 ‘20~’22 6,500 6,848 115 1,650 3,570 1,513

재난관리기금 재원조성 ‘20~’22 6,500 6,848 115 1,650 3,570 1,513

□ 지방채 발행 계획

○ 아래 표는 앞서 기 발생한 약 11조원의 채무외에 향후 재정수요 충당을 위해 약 9조원의


서울시 지방채 발행 계획임. 지방채 발행은 미래 세대에 합의없이 부담을 전가 시킨다는 점
에서 최대한 신중해야 함.

○ ’23년을 포함한 향후 ’28년까지 지방채 발행 총액은 9조 1,106억원임. ’24년부터 ’27년까


지 매년 1조 7천억원의 지방채를 신규 발행해야 함.

- 앞서 채무 현황에서 보듯 도시 및 광역 철도 관련 채무가 78.9%인 7조 1,859억원(도시


철도 건설 3조 6,381억원, 도시철도 확충 및 안전개선 1조 9,479억원, 경전철 및 차량기
지 건설 등 1조 2,449억원 등)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 또한, 앞서 채무현황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강남순환 도시고속도로 건설 등 SOC 확충
2,443억원, 국회대로 지하차도 및 상부 공원화 350억원, 정수처리시설 확충등 1,834억
원 도로를 포함한 SOC 투자가 대부분임.
또한, ’22년 여름 집중호우에따른 침수로 이슈화된 강남역 인근 침수에 따른 빗물 배수
시설 등 4,730억원 등 재난 관리와 관련하여 발행 예정임.
- 또한, 공공주택의 공급 물량확대를 통한 집값 안정을 위해 민간건설사업자로부터 재건축
소형주택 매입과 관련하여 7,190억원의 공채를 발행 하게됨.

31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단위 : 억원)
사업명 발행액
계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계 91,106 17,331 16,908 17,252 16,020 12,335 11,260
도시철도 건설(도시철도 공채) 36,381 7,163 6,660 6,224 5,817 5,437 5,080
도시철도 확충 및 안전개선 19,479 5,512 6,310 4,117 3,540
경전철 및 차량기지 건설 등 12,449 4,609 5,140 1,700 1,000
광역철도 건설비 부담 등 3,550 850 900 1,000 800
재건축 소형주택 매입등 7,190 3,950 3,240
강남순환 도시고속도로 건설 등 SOC 확충 2,443 409 668 416 329 381 240
국회대로 지하차도 및 상부 공원화 350 50 300
풍납토성 복원사업 100 100
강남역 일대 빗물 배수시설 등 4,730 1,330 1,700 1,700
장기 미집행 도시공원 보상 2,600 200 2,400
정수처리시설 확충등 1,834 434 700 700

3. 분야별 재원 배분 및 중지재정 계획 평가

□ 분야별 재원배분

○ 먼저 아래 분야별 재원 배분을 보면 서울시 향후 5년간 중기 재정계획에 ‘글로벌 TOP5 도


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소상공인 중소기업의 혁신지원’, 최근 ‘메가시티 논의’ 등에 대한
재원이 합리적으로 배분되었는지 의구심이 듦.

(단위 : 억원, %)
2023 연차별투자계획(억원)
구분
(최종) 2024 2025 2026 2027 2028 계
445,094 412,126 423,003 434,353 445,101 461,707 2,176,290
순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88,071 361,669 370,929 380,201 392,445 408,405 1,913,649
사업비
(87.2) (87.8) (87.7) (87.5) (88.2) (88.5) (87.9)
162,022 163,531 169,765 177,639 187,776 200,759 899,470
사회복지
(36.4) (39.7) (40.1) (40.9) (42.2) (43.5) (41.3)
29,703 22,985 19,740 17,059 16,518 16,264 92,566
도로・교통
(6.7) (5.6) (4.7) (3.9) (3.7) (3.5) (4.3)
24,656 22,089 22,544 23,811 22,424 22,733 113,601
공원・환경
(5.5) (5.4) (5.3) (5.5) (5.0) (4.9) (5.2)
19,689 17,301 19,343 20,509 21,102 20,288 98,543
도시안전
(4.4) (4.2) (4.6) (4.7) (4.7) (4.4) (4.5)
8,949 8,766 9,248 8,597 9,269 10,306 46,186
문화관광
(2) (2.1) (2.2) (2) (2.1) (2.2) (2.1)
10,365 8,496 9,716 9,685 9,916 9,476 47,289
산업경제
(2.3) (2.1) (2.3) (2.2) (2.2) (2.1) (2.2)
4,677 3,558 5,335 4,731 4,438 4,506 22,568
도시 계획 및 주택 정비
(1.1) (0.9) (1.3) (1.1) (1.0) (1.0) (1.0)
10,276 10,185 9,333 9,612 9,658 9,838 48,626
일반행정
(2.3) (2.5) (2.2) (2.2) (2.2) (2.1) (2.2)

32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토론문

73,246 64,888 65,812 67,601 69,455 71,376 339,132


자치구지원
(16.5) (15.7) (15.6) (15.6) (15.6) (15.5) (15.6)
42,999 38,433 38,881 39,741 40,675 41,645 199,375
교육청지원
(9.7) (9.3) (9.2) (9.1) (9.1) (9.0) (9.2)
1,489 1,437 1,212 1,216 1,214 1,214 6,293
예비비
(0.3) (0.3) (0.3) (0.3) (0.3) (0.3) (0.3)
20,946 21,534 21,937 22,247 22,551 22,870 111,139
행정운영경비
(4.7) (5.2) (5.2) (5.1) (5.1) (5.0) (5.1)
36,078 28,921 30,138 31,904 30,106 30,434 151,503
재무활동
(8.1) (7.0) (7.1) (7.3) (6.8) (6.6) (7.0)

○ 원래 중기 재정계획은 맨 오른쪽 5년간의 총액(계)을 기준으로 판단함이 원칙이나, 모든 부


문에서 ’24년 비중이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24년을 기준으로 투자 비중을 살펴봄.

- 중기재정계획의 사회복지는 보건을 포함하는데, 16조 3,531억원으로 39.7%를 차지하며


문제는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28년 43.5%까지 지속 증가함.
’24년 자치구 지원이 6조 4,888억원으로 15.7%를 차지 하는데, ’21년 이후 서울시의
자치구 복지 지원에 대한 합리화가 있었으나, 자치구 지원의 상당 부분이 복지예산으로
대체로 전체 재정의 절반이 광의의 사회복지예산으로 볼 수 있음.
- ’24년 교육청 지원도 3조 8,433억원으로 9.3%의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학령 인
구 감소에 발맞추어 국가의 교육보조금이 감소되고, 공교육 효과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 직업전환, 중장년층 재교육 등에 대한 대비가 적절
히 안배되었는지도 의문임.
○ 이에 따라 자연히 서울시 글로벌 경쟁력과 관련된 산업경제는 2.1% 비중인 8,496억원에
불과함. 서울시가 스마트시티로서의 위상은 높으나, 도시경쟁력은 실리콘 밸리에서 보듯 도
시의 산업과 기업 경쟁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임.

○ 국토균형개발도 중요한 가치이기는 하나, 그레이트 도쿄, 그레이트 파리, 그레이트 런던에
서 보듯 이미 선진국은 1990년 이후 메가시티화로 정책 주안점을 선회하였음. 서울시 메가
시티와 관련하여 확장된 거대도시권역의 주거 및 교통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도로・교통
2조 2,985억원(5.6%), 공원 ・ 환경 2조 2,089억원(5.4%), 도시안전 1조 7,301억원
(4.2%)에 대한 재정수요가 급격하게 팽창하게 되고, 이에 대한 지방채 발행이 2024년에 수
립된 규모보다 크게 증가할 소지가 큼.

○ 최근 한류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출증대 효과가 큼. 이를 지속적


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한계 상황의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에서부터 다양한 고품질 컨
텐츠의 개발을 위한 체계적 지원이 모두 필요해질 것이며 8,766억원(2.1%)의 효과적 지출이
필요할 것임.

○ 국내외 고물가 및 장기불황 전망으로 현 정부에서도 ‘지속가능한 복지’ 일자리와 연계한


‘생산적 복지’ 추세가 강화되고 있음. 한국생산성본부의 부분별 생산성 발표자료를 보면 사
회복지 부문의 생산성이 가장 낮고, 지속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남.

33
2024 회계연도 서울시 및 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 이는 복지서비스 대비 예산투입이 지나치게 크다는 의미임. 이보다는 취약계층은 물론 고


령자에 적절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식이 예산절감과 자존감을 높이는 방식이 될 수 있
음. 인구 절벽과 초고령화를 먼저 겪은 일본의 경우 신구세대 간 갈등 없이 ’21년 부터
70세 정년을 정착시켰는데 일본사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
-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은 무임승차 노인 연령을 기존 만 65세에서 70세로
올리면 연간 손실이 최대 1천 524억원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함.
- 서울시 중소기업은 만성적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데, 생산적 복지를 통해 취약계층, 여성,
고령자의 일자리 공급 확대 방안을 적극 모색하는 등 재정절감 노력이 필요함.

○ ‘2022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디지털 혁신 인프라를 갖춘 기업


비중을 미국 51%, 한국 21%로 평가함. 세계적 불황속 미국의 나홀로 호황과 고용률 상승
의 주요 원인이며, 서울시도 이에 대한 벤치마킹과 산업경제 부문에 대한 재정적 투자 강화
가 시급해 보임.

○ 세수의 기반이 되는 잠재 성장률은 고용의 증가, 기업의 투자 증가, 생산성 증가의 3요소의
합으로 결정됨. 인구 절벽과 고금리에 따른 기업 투자감소상황에서 한국(서울시)이 기대할수
있는 것은 고품질 교육에 따른 인적자원의 생산성 증가 밖에 없음. 서울시가 ’24년 교육청
지원으로 3조 8,433억원(9.3%)의 큰 예산을 지출하는바, 이 예산이 서울시 인적자원의 품
질향상으로 이어 지도록 세심한 정책과 집행 모니터링이 필요함.

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