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2010. 11. 03. (수) No.

219

◇ 투자 동향
○ 롯데, 베트남 등에 글로벌 사업 확장
○ 베트남, 최고층빌딩 현대건설 시공으로 완공
○ 외국인 투자기업, 베트남 광고시장 이해해야
○ 일본, 14조 규모 베트남 원전 수주
○ 외국투자기업, 회계/재무 인재 채용 늘어나
◇ 주간 경제 뉴스
○ 베트남, 2011년 트럭 수입관세 큰 폭 인하 예정
○ 베트남, 올 수출 예측치를 크게 상회할 전망
○ 베트남, 고급승용차 밀수 성행
○ 외국계 음료/주류회사 베트남내 공장 보유 불구 제품 수입 늘려
○ 베트남 국회, 환경보호세 초안 논의

◇ 투자법규 동향
○ 베트남 주요 법규
-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한 안내 (1)
◇ 입찰정보
○ 타인호아성, 생활용수 급수시스템 건설 입찰

◇ 베트남 경제/사회/역사/문화
○ 하이퐁항, 국내용 컨테이너 부족

○ [KBC소식] 베트남 석유공사 인프라 투자 설명회 개최


○ [코참소식] 베트남 환경법규 및 주요 세법이슈 설명회
○ [주베트남대사관/주호치민총영사관] 주베트남대사관 부설 한국학교 건설 입찰
○ [투자기업소식] 베트남 화상환자 무료진료 및 수술지원 봉사활동

◇ 베트남 최대의 국영기업 Petro Vietnam 기업분석 및 투자기회 - 하노이 KBC 박동욱
◇ 베트남 경제, 업종별·지역별 불균형 심해 - 호치민 KBC 노동욱

◇ [전문가칼럼] 수출입 관세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 라인


(이정회계법인. 김종신 회계사)

◇ [전문가FAQ] 근로계약의 체결 (3)


(KOTRA. 김도훈 전문위원)

* 베트남 투자뉴스는 호치민/하노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공동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투자 동향

롯데, 베트남 등에 글로벌 사업 확장

○ 베트남 하노이 대우호텔 맞은편에 있는 '롯데센터 하노이' 건설 현장은 날이 어두워


지자 펜스 주위에 설치된 조명들에 하나둘씩 불이 켜지기 시작하더니 이내 대낮같
이 환해졌음. 현장 감독인 김명국 롯데건설 이사는 "하루 24시간 공사를 진행중"이
라며" 아직은 기초공사 단계지만 2013년 말이면 베트남에서 기념비적인 건축물이
탄생할 것"이라고 말하였으며, 시행사인 롯데코랄리스의 이종국 대표는 "지하 5층~
지상 65층 규모의 이 센터는 베트남 고유의상인 아오자이를 연상시키는 외관과 최
고급 호텔, 쇼핑시설로 하노이의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강조함.

○ 유통과 식음료를 주력으로 하는 내수 기업인 롯데가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으며,


신동빈 롯데그룹 부회장이 2008년 3월 '2018 아시아 톱10 글로벌기업' 비전을 발
표한 이후 글로벌 사업 확장 속도가 한층 빨라졌고, 롯데는 '2018년 비전' 목표인
매출 200조원 달성을 위해 해외 매출 비중을 30% 선까지 높인다는 구상으로 지난
해 2조원 정도인 해외 매출을 2018년에 30배인 60조원까지 늘린다는 계획임. 신
부회장이 꿈꾸는 '글로벌 롯데'는 해외 매출비중 확대에 그치지 않고. 롯데를 삼성
이나 월마트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로 만드는 게 목표로 이 비전을 이루기 위한 주
요 전략 중 하나가 '롯데타운' 건설임.

○ 롯데는 이미 지난 10월 최고급 럭셔리호텔과 백화점,업무동 등으로 구성된 '모스


크바 롯데타운'을 선보였으며, 해외 '롯데타운 1호'이며, 또 2013년 말 베트남 하노
이에 이어 중국 동북 3성의 중심지인 선양에서도 2015년 말 완공을 목표로 롯데타
운 공사를 진행중임. 롯데는 중국 난징과 상하이,청두,베트남 호찌민,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등에 2018년까지 10곳 이상 '롯데 타운'을 조성해 글로벌 사업의 성장 거
점으로 삼는다는 전략임

○ 해외 롯데타운은 '브릭스(VRICs:베트남, 러시아, 인도네시아, 중국)'를 중심으로 추


가 건립될 예정이며, 중국에선 난징 젠예(建郵)구와 상하이 자베이(閘北)구, 쓰촨성
청두 진장(錦江)구, 장쑤성 우시 중산(中山)로, 산둥성 웨이하이(威海) 등에선 해당
시 · 구 정부와 부지 및 건축 규모, 사업 내용 등을 놓고 협의중이고 충칭과 우한
등에서도 부지를 알아보고 있음. 롯데 고위 관계자는 "중국 난징시 정부와 최근 젠
예구에 조성중인 신도시에 복합 쇼핑단지를 건립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
결했다"며 "상하이와 청두,우시 등에서도 해당 시 · 구 정부와 복합시설 건립을 위
한 부지 계약이 임박했다"고 밝혔으며, 그는 "이들 복합프로젝트는 2014~2015년
완공 목표로 추진중"이라고 설명함

○ 베트남에선 하노이에 이어 호찌민과 다낭, 인도네시아에선 자카르타, 러시아에선 모

- 2 -
2010. 11. 03 (수) No. 219

스크바에 이어 상트페테르부르크에도 '롯데타운' 건립을 추진중이며, '2018 비전' 발


표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성과를 내고 있는 계열사는 롯데
마트로 롯데마트는 중국 79개점, 인도네시아 21개점, 베트남 2개점 등 해외에서
102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롯데마트는 공격적인 출점과 현지 유통업체 인수
등을 통해 2018년까지 해외 점포수를 35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으로 문영표 롯데
마트 인도네시아 법인장은 "하이퍼마켓만 고집하지 않고 해당 상권과 소비수준에
맞는 규모와 형태로 점포수를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함

○ 호남석유화학, 케이피케미칼 등 유화부문과 제과, 칠성 등 식품부문은 '브릭스'를 넘


어 유럽과 파키스탄, 동남아 등으로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호남석유
화학은 지난 7월 말레이시아의 대형 석유화학기업인 타이탄 인수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중국 저장성에 에틸렌옥사이드(EO)와 에탄올아민(ETA) 공장을 2012년 초 완
공 목표로 짓고 있음. 오성엽 호남석유화학 기획담당 상무는 "타이탄 매출까지 합쳐
올해 25% 선인 유화부문의 해외매출 비중을 2018년 40% 선까지 끌어올릴 계획"이
라고 말함

○ 롯데제과는 그동안 러시아와 베트남, 인도에서 건설중이던 초코파이 공장을 올해 잇


따라 완공해 중국 공장과 함께 '유라시아 초코파이 생산 벨트'를 완성했으며, 롯데
칠성도 지난 9월 필리핀펩시 지분 34.4%를 매입해 경영권을 확보했고, 칠성 관계자
는 "2018년 7조원 매출 달성을 위해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함

- 출처 : www.hankyung.com 11.01 -

베트남, 최고층 빌딩 현대건설 시공으로 완공

○ 베트남 현지 일간신문 뚜오이쩨는 지난 31일 남부 호찌민시에서 68층짜리 초고층빌


딩 `비텍스코 파이낸셜 타워` 빌딩(연면적 11만㎡)을 일반에 공개했다고 1일 보도함

○ 현대건설이 시공한 이 빌딩은 호찌민시의 중심가인 1군에 자리잡고 있으며 모두 2


억7000만달러의 사업비가 투입됐다고 이 신문은 전했으며, 높이가 262m인 이 빌딩
은 50층에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할 수 있는 베트남 최초의 건물로 각광을 받고 있음

○ 이 빌딩은 시행사인 베트남의 비텍스코그룹이 지난 2005년부터 개발한 지 5년만에


완공된 것으로, 건물 가운데 40% 정도는 분양용이라고 이 신문은 설명함

○ 경남기업도 내년 준공을 목표로 수도 하노이에 70층 높이의 초고층 주상복합건물


(하노이 랜드마크 타워)을 건설 중이며, 하노이 랜드마크 타워가 완공되면 비텍스코
파이낸셜 타워 빌딩은 초고층 빌딩 자리를 내어주게 됨

- 3 -
2010. 11. 03 (수) No. 219

- 출처 : www.mk.co.kr 11.01 -

외국인 투자기업, 베트남 광고시장 이해해야

○ 베트남 식품안전 위생국 Le Van Giang 부국장은, 식품 광고의 규정을 악용하여 과


대 광고, 올바르지 않은 광고를 하는 기업(외투기업 포함)이 증가하고 있어 불공정
한 경쟁이 생기고 있다고 지적함

○ 식품안전 위생국에 따르면, 식품 광고에 관한 규정은 충분히 제정되어 있지만 많은


기업이 그 세부내용을 파악하지 못하고, 식품 광고 내용의 승인 신청서에 잘못 기재
하는 내용이 많다고 함. 예를 들면, 「근시 치료를 돕는다」 「저항력을 강화해, 노
화 방지를 돕는다」라고 표현해야 하는데, 실제 광고에서는 「근시 예방」 「암 예
방」으로 표현해 소비자를 현혹시키고 있다고 말함

○ 어느 기업은 감자를 10% 밖에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광고등록신청서에 기재했음에


도 불구하고, 광고에서는 감자를 100% 사용했다고 광고하고 있으며, 신청서류에는
「식품 M」라고 되있었지만, 실제 광고에서는「기능 식품 M」라고 되어 있는 등
광고규정을 위반하는 사실이 적발되고 있다고 함

○ 또한, 상공업성의 자료에 의하면, 2010년의 액체 밀크의 생산량은 약 47만 9,000리


터이지만, 생우유 생산량은 27만 6,357리터로 20만 리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우유제품에 「퓨어 프레시 밀크」라고 표기함으
로써 소비자를 속이고 있다고 함

○ 10월 16일에 행해진 식품 광고나 품질 기준의 공표 수속에 관한 세미나에서, 식품


안전 위생국은 식품 광고의 시정에 조기 착수할 계획임을 밝혔음. 구체적으로는 상
품에 사용하는 형용사의 사용법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정보는 계량,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 표기토록 하고「칼슘 풍부」등의 애매한 표현을 할 수 없게 하며, 또 「고급
(Cao cap)」 「완벽(Hoan hao)」 「완전(Hoan thien)」이라는 단어는 광고 신청서
류에서 인정하지 않을 방침임
- 출처 : Phu Nu 10.25 -

일본, 14조 규모 베트남 원전 수주

○ 한국과 일본, 프랑스가 3파전을 벌이던 베트남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에 일본이
파트너로 내정됨

○ 일본 언론들은 일제히 신흥국 원전건설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에 대응하기

- 4 -
2010. 11. 03 (수) No. 219

위해 일본이 구성한 민관 합동체의 첫 쾌거라고 보도하고 있음

○ 1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베트남을 방문중인 일본 간나오토(菅直人) 총리가 베트남


응우옌떤중 베트남 총리와 정상회담을 열고 1조 엔(약 14조원)규모의 원전건설을
수주했다고 전함

○ 신문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0년 초까지 4기의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이며 이


번 베트남 남부지역에 세워지는 2기 건설사업에는 한국과 프랑스, 일본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음

○ 일본은 원전건설 수주대신 베트남에 사회간접자본 건설을 위한 790억엔 차관과 원


전관련기술이전을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 이번 원전건설에는 지난달 22일 민관합동으로 출범한 '일본 국제원자력개발’이 중심


이 돼 도시바(東芝)·미쓰비시(三菱)중공업·히타치(日立)제작소가 참여할 예정임

○ 일본과 베트남은 이밖에도 베트남 북부 희토 공동채굴에도 합의했으며, BBC중문판


은 1일 "일본과 베트남기업이 합자하는 방식으로 베트남 북부의 희토를 공동채굴하
기로 합의했다"고 전함

○ 일본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사건으로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돼 희토류 수


입에 차질을 빚고 있으며, 간 총리는 "원전과 희토류에서 일본과 베트남이 협력에
합의한 것은 양국이 장기적인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상징"이라고 강조함
 
- 출처 : www.asiatoday.co.kr 11.01 -

외국투자기업, 회계/재무 인재 채용 늘어나

○ Navigos Group의 통계에 따르면, 회계, 재무 분야의 인재 수요는 가장 채용이 많은


분야 3위에 랭크되고 있음

○ 2010년 초와 3/4분기 회계, 재무 분야의 인재 수요는 특히 관리직이 급증하고 있는


데 회계, 재무의 인재 총 수요 중 25%는 부장급이며 재무 관리의 포지션이고, 4%
가 재무 감사, 38%가 회계장, 33%가 회계의 전문직원으로 나타남

○ 업종별로 보면, 은행·금융회사의 채용 수요가 회계, 재무 분야 인재 총수요의 46%


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업·서비스 회사의 32%, 생산·기계·건설회사는 22%임

- 5 -
2010. 11. 03 (수) No. 219

○ 베트남 주재 영국 공인회계사 협회(ACCA)의 Le Thi Hong Len 대표는, 재무 분야


의 인재 수요가 타 업계에서도 높아지고 있는 것은 회계, 재무의 인재가 기업에 가
져오는 부가가치의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함
 
- 출처 : Sai Gon Tiep Thi 10.29 -

- 6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주간 경제 뉴스

베트남, 2011년 트럭 수입관세 큰 폭 인하 예정

○ 베트남 재무부는 지난 주에 관련 기관과 베트남 자동차 메이커 협회(VAMA)에 2011


년 1월 1일부터 적용 예정인 트럭 완성차의 수입세에 관한 의견 청취를 위한 공문
을 발송함

○ 2011년 1.1일부터 적용 예정인 트럭완성차의 수입세율은 현행보다 큰 폭으로 인하


된 것으로 WTO와 약속한 수입세율 보다 낮은 것임. 베트남 재무부의 공문에 따르
면 2011년부터 5톤 미만 트럭의 세율은 현행 80%에서 30%로 인하되는데 이는
WTO의 이행 수입관세율 70% 보다 훨씬 낮은 세율임

○ 재무부의 공문에 의하면, 5~10톤 트럭의 신세율은 25%로서 현행 54~55%, WTO의


이행 수입세 50%보다 크게 낮으며, 10~20톤 미만은 각각 25%, 30%, 50%,
20~45톤 미만의 신세율은 15%이며, WTO 이행계획은 25%임

○ 이러한 재무부 초안에 대해 많은 국내 기업이 불만을 노골적으로 나타내고 있음.


Vinaxuki의 Bui Thanh Xuan 부사장은, 이러한 세율 변경은 너무 급격한 것으로 국
내 생산조건에 맞지 않는 것이며, 국내 제조업체들은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라고 말함
 
- 출처 : Sai Gon Giai Phong 10.25 -

베트남, 올 수출 예측치 크게 상회할 전망

○ 현지 일간신문 베트남경제시보는 1일 공업상업부(MOIT) 소식통의 말을 빌려 지난 2


개월 동안의 호조세에 힘입어 올해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22.6% 늘어난 700억달러
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보도함

○ 소식통은 올해들어 지난달까지 10개월 동안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3.3% 증가한


578억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으며, 응웬 떤 중 총리도 지난달 정기국회 대정부 질
의에 대한 답변에서 올해 수출은 최소한 19.1%의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이 경
우 무역적자도 135억달러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함

○ MOIT 소식통은 올해 수입도 지난해보다 17.9% 늘어난 825억달러로 예측된다면서,


이에 따라 무역적자는 당초보다 10억달러 줄어든 12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 7 -
2010. 11. 03 (수) No. 219

○ 수출실적이 호조세를 보인 것은 산업재와 농림수산물 등의 수출이 지난 9월과 10월


두달 동안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분석했으며, 쌀의 경우 지난 10개월 동안
수출량은 전년 동기대비 5.8% 증가한 571만t이었지만 수출액은 전년동기비 10.8%
늘어난 26억7천만달러에 이른 것으로 파악됨

- 출처 : www.yonhapnews.co.kr 11.01 -

베트남, 고급승용차 밀수 성행

○ 하노이시 공안 수사 경찰실(PC16)은 국가 간부 다수가 관여한 고급차의 밀수에 관


한 수사를 실시하였음

○ 2009년 10월, 하노이시에 사는 Ngo Doan Phuc가 시내 거주자에게 Hummer를 11


만 2,500 달러로 매각한 정황을 포착하였는데, 등록 서류에 의하면 자동차는 4인승
으로 Bac Giang성 Viet Yen 현 인민 위원회가 동년 8월 13일 노후화해 사용할 수
없다고 청산 매각한 것을, Phuc의 가족이 3,300만 동(약 1,700 달러)을 주고 구입
한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수사 결과 이 차량은 7인승이고 2007년 생산된 차종으로 재수출 형식으로


Ha Tinh성 Cau Treo 국경을 통해 수입되었지만 그 후 재수출되지 않고 베트남에서
등록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던 것이 밝혀짐

○ 그 외에도 경찰 당국은 대당 8만~13만 달러인 Lexus, Land Rover 등 다수의 고급


차가 밀수된 것을 적발했는데, 이 차량들은 대부분 Viet Yen현 인민위원회가 1대
3,100만~ 3,300만 동(약 1,600~1,700 달러)으로 청산 매각한 노후화한 차량으로
인민위원회에 등록되어 있었음

○ 2010년 7월, 하노이시 공안은 Phuc을 밀수혐의로 긴급 체포하였으며, 9월 이후 공


안은 공범 4명을 체포하였음. 하노이시 공안에 의하면, 범인들은 일시 수입하여 재
수출하는 형식으로 베트남에 고급차를 반입한 후, 노후화해 폐기한 소유자 불명의
차량을 찾아 내어 그 차대번호와 로고를 밀수차량에 붙여 소유자 부재 차량으로서
공안이나 시장관리 기관이 회수·보관토록 요청했음

○ 이러한 차량을 관리하는 기관이 청산 처리 수속에 들어가면 범인들은 다시 차량을


구입한 후에, 밀수 차량의 등록을 하고 매각하여 이익을 취하였으며, 여기에 많은
공무원들이 연루되어 있었음

○ 경찰실 PC16의 법률시행 수사대장 Nguyen Xuan Hung 중령에 의하면, 일시 수입

- 8 -
2010. 11. 03 (수) No. 219

재수출 정책을 악용한 자동차의 밀수는 하노이에서는 처음으로 적발되었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행해지고 있다고 함. 수사과정에서 세관총국과 의견교환을 한 결과, 매
년 베트남에는 수천대의 자동차가 일시 수입되고 있지만 재수출되지 않고 있다고
전하고, 이러한 고급승용차의 밀수는 비단 하노이에서만 일어나고 있는 것은 아니
라고 말함
 
- 출처 : Thanh Nien 10.29 -

외국계 음료/주류회사 베트남내 공장 보유 불구


제품 수입 늘려

○ 베트남에 대규모로 투자하여 음료 및 주류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


자들이 베트남에서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제품의 수입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음. Coca Cola사는 국내에 3개의 생산 공장을 가지고 있으며 총생산 능력은 연간
6억 800만 리터나 되지만, 연초부터 콜라의 수입량을 계속 늘리고 있음

○ 그 이유는 베트남 내 Coca Cola 제품의 소비가 당초의 예측에 비해 많고 현지 공


장에서 이를 다 충당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함. 이 외에도 약 1개월 전에, 베트남내
에서 Heineken 맥주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Heineken 약 65만 케이스(330
ml캔 24개들이)를 수입하는 것을 상공업성이 허가한 것도 이와 유사한 사례에 해당

○ 수입목적은 마케팅 및 시장조사로 되어 있지만 수량이 너무나 큰 것으로 판단되며,


호치민 시세관국의 통계에 따르면, 연초부터 9월말까지  Coca Cola의 수입량은 23
만 6,640케이스, 89만 4,000 달러로 베트남 시장에서 Coca Cola 브랜드를 관리하
는 베트남 음료회사에서도 20만 달러 이상을 수입한 것으로 나타남

○ 현지 외국인 음료, 주류사들이 수입을 늘리는 이유를 추측해 보면, 수입 Coca Cola
의 가격은 1.5리터의 패트병 12개 들이로 1케이스 당 대략 5만 5,000 동(약 2.9 달
러)의 낮은 가격으로 수입하여, 탄산음료의 수입세는 현재 34%, VAT는 10%를 납
부해도 수입 Coca Cola의 1케이스 당 가격은 약 7만 9,200 동(약 4.2 달러)으로,
시장 소매가격의 약 반값에 불과하기 때문으로 현지 생산보다 수입한 부분의 이익
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됨
 
- 출처 : Doanh Nhan Sai Gon 10.29 -

- 9 -
2010. 11. 03 (수) No. 219

베트남 국회, 환경보호세 초안 논의

○ 국회는 10월 21일, 환경보호 세법 초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이 안에 따르면 가솔


린에 부과되는 환경보호세는 리터 당 1,000~4,000 동이며, 그 외 각종 석유는 리
터(킬로) 당 300~2,000 동까지임

○ 석탄개발에 대한 환경보호세는 톤 당 1만~3만 동(약 0.5~1.6 달러)이며, 사용이 제


한되는 제초제, 살충제, 임산물 보호별로는 킬로 500~3,000 동이며, 또 비닐봉투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초안에서는 비닐봉투에 킬로 3만~5만 동(약 1.6~2.6 달러)
을 과세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회위원들은 가솔린의 각종 비용을 폐지하고  1,000~4,000 동을 과세하는 것은


가솔린 가격이 리터 당 2만 동(약 1.1 달러)에 이르게 되어 국민들의 불안의 소리가
높아진다고 전하였으며, 과도하게 사용되어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비닐 봉투에
대해서는 환경보호세를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함

  - 출처 : Tuoi Tre 10.25 -

- 10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투자법규 동향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한 안내 (1)


(2010.9.28, no. 51/2010/ND-CP 시행 안내)

통지

2006년 11월 29일에 승인된 세법 no. 78/2006/QH11에 의거


2003년 6월 17일에 승인된 회계법 no. 03/2003/QH11에 의거
2008년 6월 3일에 발표된 부가세법 no. 13/2008/QH12에 의거
2005년 11월 29일에 공표된 전자거래법 no. 51/2005/QH11에 의거
2002년 7월 2일에 발행하여 2008년 4월 2일에 수정된 행정 위범처리에 의거
2010년 5월 14일에 승인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세금계산서에 대한 결정
no.51/2010/NĐ-CP에 의거
2008년 11월 27일에 승인된 재무부의 가능, 권한, 의무, 조직에 대한 결정 no.
118/2008/NĐ-CP 에 의거
재무부는 다음 내용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 세금계산서를 발행 안내한다.

제 I 장: 총칙

1조. 조정범위
본 법은 제품 (또는 서비스) 세금계산서를 인쇄, 발행, 사용 활동하고 세금계산서와 관
련이 있는 행정위범처리; 세금계산서 인쇄, 발행, 관리, 사용 활동에 참여하는 세무청,
관련 기관의 권한, 의무; 세금계산서를 인쇄, 발행, 사용 활동에 참여하는 기관, 조직,
개인의 권한, 의무 및 책임에 관해 안내한다.

2조. 적용대상
1. 판매자는 아래 대상을 포함한다
a) 국내에서 제품, 서비스를 공급하거나 외국으로 수출하는 현지 조직, 개인;
b) 국내에서 제품, 서비스를 공급하거나 국내에서 생산하여 외국으로 수출하는 외국 조
직, 개인;
c) 경영활동하지 않고 베트남에서 제품,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는 현지와 외국 조직, 개
인 .
2. 인쇄사업자
3. 구매자
4. 세무서 및 관련이 있는 기타 기관

- 11 -
2010. 11. 03 (수) No. 219

3조. 세금 계산서의 종류 및 형태
1. 세금계산서는 실시되고 있는 법률의 규정에 따라 판매자로부터 작성하여 제품, 서비
스의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2. 세금계산서의 종류
a) Value added invoice: 공제방밥에 따라 세금 납부등록하는 조직, 개인에게 내수 판
매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셈플 양식: 부록3의 3.1 및 부록 5의 5.1)
b) Sales invoice: 직접 방법에 따라 세금 납부 등록하는 조직, 개인에게 부가세 간이
과세자가 발행하는 세금계산서 (부가세란이 없음) (셈플 양식: 부록 3의 3.2 및 부
록 5의 5.2)
부세구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직, 개인은 sales invoice 사용시 부세구역의 조직, 개인
용지로 자세히 기재해야 한다. (셈플 양식: 부록 5의 5.3)
c) Export invoice: 직수출 또는 부세구역으로의 수출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
d) Other invoice: 기타 invoice의 기재사항을 모두 갖춘 티켓, 전표, 카드 형태의 세금
계산서
đ) 항공운송비, 국제운송비, 은행수수료의 전표들은 국제통례 및 관련이 있는 기타규정
에 따라 작성된다.

3. 세금계산서의 형태
a) 자가 인쇄 세금계산서: 사업자가 정보처리장치, 현금출납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스스로 인쇄, 발행하는 세금계산서
b) 전자 세금계산서: 전가상거래법에 의해 전자정보 형태로 저장, 기입, 전달, 보관되는
세금계산서
c) 주문인쇄 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를 인쇄할 시 있는 법적 요건을 갖춘 인쇄사업자를
통해 인쇄되는 세금계산서

4. 기타 증빙은 출고전표 겸 내부 전달표, 위탁품의 출고전표 (셈플 양식: 부록 5의


5.5 및 5.6 항목)

- 12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입찰/수주정보

THANH HOA성, 생활용수 급수시스템 건설 입찰

○ 입찰 공고명: 타인화성 생활용수급수시스템 건설 입찰

○ 소속프로젝트: 타인화(Thanh Hoa)성 꽌선(Quan Son)현


꽌선(Quan Son) Township 생활용수급수시스템 프로젝트

○ 프로젝트 자금원: 국가예산

○ 소속 지역: 타인화(Thanh Hoa)성

○ 발주처: 꽌선현 기본건설관리반

○ 마감일시: 2010년 11월 15일

○ 연락처: 전화. 037-359-0918


         
- 출처 : www.dau-thau.com -

- 13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역사/문화/사회

베트남 경제, 사회 연구
(사건/이슈)

하이퐁항, 국내용 컨테이너 부족


 
 
운송 대리 업자에 의하면 현재, 하이퐁 각 항에서 하이퐁 - 호치민시 노선을 중심으로,
국내용 컨테이너가 부족하다. 남부 각 성에 옮기는 많은 화물이 항구에서 막혀있기 때
문에 파손되어 본래라면 사용할 수 없는 컨테이너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
어 있다.
 
컨테이너 부족은 수개월 전부터 일어나고 있지만, 상황이 악화된 것은 이 10일간이다.
북부에서 남부로 들어가는 화물은 주로 원료로 20피트 컨테이너가 사용되며 남부에서
북부에는 40피트 컨테이너가 사용되고 있어 연말 상품의 준비 때문에, 남부에 들어가
는 원료와 북부에 나오는 제품의 양이 급증해, 국부적인 컨테이너 부족이 생기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이퐁 - 호치민시의 컨테이너 수송료는 1 컨테이너 당 50만~ 70만 동(
약 26 ~ 37 달러) 상승하고 있다.

 
 
- Sai Gon Tiep Thi -

- 14 -
2010. 11. 03 (수) No. 219

안내사항
KBC소식

베트남 석유공사 인프라 투자 설명회 개최

KOTRA는 G20 개최에 앞서 베트남 GDP의 17% 규모의 매출액을 자랑하는 베트남 석
유공사(PVN)를 초청하여 인프라 투자 설명회 및 상담회를 개최할 예정이오니, 아래 내
용을 참조하시어 설명회와 상담회 참가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가. 행사개요
ㅇ 일시 : 2010.11.9(화)-10(수)
ㅇ 장소 :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서대문구)
ㅇ 참석 : PVN회장, 계열사 임원, 정부부처 관계자 등 40명
ㅇ 일정
11. 9(화) 석유화학, 발전, 항만, 부동산 개발 등 프로젝트 설명회
09:00-18:00
11.10(수) 36개 PVN 발주 예정 프로젝트 일대일 상담회
10:00-18:00

나. 주요 방한인사
ㅇ 발 주 처 : ‘Dinh La Thang’ PVN 회장, 8개 계열사 사장단 등 35명
ㅇ 정부인사 : 베트남 산업무역부 차관, 베트남 상공회의소 사무총장 등 5명

다. 주요 소개 프로젝트 (총 255억불 규모, 36개 프로젝트)


구분 분야 규모
(US$억불)
다운스트림 정유, 화학플랜트 등 7 건 120.7
발전 석탄화력발전소 등 6 건 85.2
항만 SOC 항만 프로젝트 5 건 13.9
부동산/산업공단 산업공단, 신도시 등 10 건 25.2
기타 인프라/설비 도로, FSO, 조선소 등 8 건 10.7
합계 36 건 255.7
* 세부 프로젝트 내역은 별첨 3 참조

라. 세부일정
ㅇ 설명회 (11월 9일 화 / 09:00-18:00/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홀)
구분 시간 일정 비고
행사전 09:00 - 참가자 등록 및 자료배포 한정배포

- 15 -
2010. 11. 03 (수) No. 219

09:30
Session I 09:30 - 개막행사 양국
10:00 주요인사
10:00 - 베트남 투자성공사례 한국기업
10:20 2개사
10:20 - PVN 발주정책 PVN
10:30
10:30 - PVN 10대 Key 프로젝트 PVN
11:30
11:30 - 질의응답
11:50
11:50 - KOTRA-PVN MOU 체결식
12:00
오찬 12:00 - 네트워킹오찬 KOTRA
14:00 , PVN
공동초청
Session 14:00 - 세션별 심층 설명회 5개
II 18:00 분야별
별도 진행
* 오후 심층 설명회는 5개 분야별로 각각 별도 장소에서 진행 (장소 : 추후 공지)

ㅇ 상담회 (11.10 수 10:00-16:00/그랜드힐튼호텔 / 5개 상담장 동시진행)


분야 주요 상담 프로젝트 및 규모
정유,화학 롱선 정유공장(60억불), 중꾸엇 정유공장 건설/신축
(50억불) 등 7개
발전 타이빈 화력발전소(16억불), 송허우 화력발전소(16억불)
등 6개
항만 푸옥안 항구(10.6억불), 웅아이선 항구(0.8억불)
등 5개
부동산/ 혼코이 석유산업단지 공단(19.1억불), 국제관광단지(2.3억불)
산업공단 등 10개
기타 호치민 순환도로(3.3억불), FSO(3.3억불) 등 8개
* 세부 프로젝트 내역은 별첨 3 참조 / 장소는 추후공지

마. 행사별 참석가능인원
ㅇ (11월 9일 설명회) : 프로젝트 개요 설명 및 세션별 심층토론
구분 수용인원(명) 비고
오전 (09:00-12:00) 250 선착순 마감
오찬 (12:00-14:00) 250 오전 참석자에
한함
오후 1) 정유, 화학 80 선착순 마감
(14:00- 2) 발전 80 선착순 마감
18:00)

- 16 -
2010. 11. 03 (수) No. 219

3) 항만 40 선착순 마감
4) 부동산/ 40 선착순 마감
산업공단
5) 기타 40 선착순 마감
* 프로젝트 세부자료는 오전행사 참석 순서별 우선배포 (수량 한정)
* 오후 설명회는 세션별 별도 행사장에서 개최

ㅇ (11월 10일 상담회) : 발주처-기업간 1:1상담회 (선착순 마감 및 상담확정)


오전 10:00 - 12:30 30분 간격 총 5회
오후 14:00 - 16:00 30분 간격 총 8회
* 상담회 당일은 별도 중식제공 없음

바. 행사 참가방법 : 참가신청서 이메일 송부


ㅇ E-mail : project@kotra.or.kr

사. 문의 및 연락처
담당부서 KOTRA(자원건설플랜트팀)
담 당 자 권준섭 과장, 공태원대리, 최진희
전 화 02) 3460-7765
팩 스 02) 3460-7931
메 일 project@kotra.or.kr
# 별첨 : 1. 주요 방한인사
2. 상담회 참가신청서.
3. 분야별 유망 프로젝트 내역(영문).

베트남(남부, 북부 통합) 내수시장 상담회 개최 안내

ㅇ KOTRA 호치민과 하노이 KBC에서는 공동으로 베트남 투자진출 우리 기업의 베트남


내수시장 진출 및 확대를 위해 내수시장 상담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기업은 적극 참여하시어 좋은 성과를 거두시길 바랍니다.

□ 내수시장 상담회 개요

- 17 -
2010. 11. 03 (수) No. 219

□ 참가신청 방법

- 18 -
2010. 11. 03 (수) No. 219

□ 베트남 내수시장 상담회 참가신청서

- 19 -
2010. 11. 03 (수) No. 219

안내사항
코참소식

베트남 환경법규 및 주요 세법이슈 설명회

주 호치민 총영사관과 KOTRA, KOCHAM은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투자기업에게 중요


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베트남 환경법규의 이해와 실무사례, 이전가격 및 주요세법
이슈에 관한 설명회를 개최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ㅇ 주최 : 주 호치민 총영사관, KOTRA, KOCHAM


ㅇ 일시 : 2010.11.25(목) 11:00-17:00
ㅇ 장소 : Legend Hotel Saigon
ㅇ 참가자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 설명회 프로그램 -

시간 주제 비고
11:00-11:30 등록
11:30-12:20 점심 무료 제공
12:20-12:30 인사말 주 호치민 총영사관
김상윤 총영사

12:30-14:00 베트남 환경법규의 개정동향 및 베트남 자원환경국


위반사례와 대응방안

14:00:15:15 베트남 이전가격에 대한 대비 및 이정 회계법인


신고사항과 주요 세법이슈 김종신 회계사

15:15-15:30 COFFEE BREAK

15:30-17:00 한국 IFRS 도입에 따른 베트남 새빛 회계법인


한국법인의 대비사항 이성용 전무(회계사)
17:00-17:30 Q & A

ㅇ 신청기한 : 11.19(금)
ㅇ 신청밥법 : 아래 신청서를 작성하여 KOTRA 또는 KOCHAM으로 이메일 송부
ㅇ 담당자
- 총영사관 차창순 부총영사 (cscha80@mofat.go.kr) 3827-2248
- KOTRA 강준경 과장 (kotrasgn@hanmail.net ) 3822-3944

- 20 -
2010. 11. 03 (수) No. 219

- KOCHAM 김순옥 국장 (kocham@kocham.kr) 3837-9154

- 참가신청서 양식 -

회사명

참석자명/
직책
Tel/M.P.

Fax

e-mail

150명 선착순 접수 예정

- 21 -
2010. 11. 03 (수) No. 219

안내사항
대사관/총영사관소식

주베트남대사관 부설 한국학교 건설 입찰

주베트남대사관 부설 하노이한국학교 신축 건설사업관리용역 업무를 수행할 한국업체


와 관련하여 입찰 공고중이니, 관심있는 기업은 하노이한국학교 홈페이지
(http://hanoischool.net)를 방문하여 자세한 입찰공고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재외동포 한사랑 캠페인 공지

재외동포재단에서는 글로벌코리안네트워크구축사업 일환으로 시행된 코리안넷


(Korean.net) 개편을 마무리하여 재외동포를 위한 포털사이트를 10월 1일 오픈 하였습
니다. 이와 관련하여 코리안넷에서는 아래와 같이 캠페인을 시행하오니 재외동포 및 단
체들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ㅇ 캠페인 명 : 우리동포 한(韓)사랑 캠페인
ㅇ 캠페인 기간 
  -캠페인 기간(개인) : 2010.10.4~11.3(30일간)
  -캠페인 기간(단체):  2010.10.4~12.3(60일간)
ㅇ 참여대상 : 재외동포 및 단체 인터넷 이용자(내국민 포함)
ㅇ 캠페인 사이트주소: http://www.korean.net/portal/PortalView.do

- 주베트남대사관, 주호치민총영사관 -

- 22 -
2010. 11. 03 (수) No. 219

  안내사항
투자기업소식

베트남 화상환자 무료진료 및 수술지원 봉사활동


(한강성심병원, 대웅제약)

대 상 : 베트남내 거주하는 모든 화상환자


주 최 : 한강성심병원 화상센터
내 용 : 한강성심병원 한림화상재단에서는 호치민에서 어려운 베트남의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봉사활동을 11월 2주 2일간 진행합니다. 특히, 활동 기간중에
2명의 상태가 심한 어린이 환자는 한국으로 초청(비용 전체부담)하여 치료할
계획입니다.
장 소 : 쯩븡병원(Trung Vuong Emergency hospital) 화상파트
일 자 : 2010년 11월 11일(목) ~ 12일(금) 2일간
시 간 : 오전8:00 to 12:00, 오후 : 13:30 to 17:30.
주 소 : 266 Lý Thường Kiệt St., Ward 14, Dist.10, HCMC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주소로 연락 및 주위외 홍보 바랍니다.


- 증븡응급병원 화상파트(Burn Dep. – Trung Vuong Emergency hospital)
전 화 : 08.38642750 (Ext: 147)
or 0918.394362 (PhD.MD. Phạm Trịnh Quốc Khanh
주 소 : 266 Lý Thường Kiệt St., Ward 14, Dist.10, HCMC
- 대웅제약 베트남 오피스08.39102116 or 0989.047308(Ms. Đoan).

- 23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FOCUS

베트남 최대의 국영기업 Petro Vietnam 기업분석 및 투자기회


- Petro Vietnam 연매출 160억 달러 규모의 최대 공기업, 한국 파트너 발굴 나서 -
- 향후 10년내 225억 달러 규모의 각종 산업인프라 투자 발주처로 기대 -

 
하노이 KBC 박동욱 차장
kotraone@gmail.com

□ KOTRA-Petro Vietnam의 공동 사업 추진

○ KOTRA 하노이KBC는 Petro Vietnam사와 2010년 11월 9일-10일 양일간 공동으로


한국에서 총 225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투자 및 수주 상담회를 개최할 예정임.
금번 행사는 Petro Vietnam사에서 KOTRA의 프로젝트 수주지원에 대한 독보적 지
위를 활용하여 현재 보유한 36개의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유치 및 EPC 수주기업
발굴을 위한 행사로 기획되어 한국의 관련기업의 높은 관심과 수주열기가 기대됨.

○ PVN 프로젝트 투자 및 수주 상담회


- 일시: : 2010.11.9(화) - 10(수)
- 장소 :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서대문구)
- 참석자: PVN 회장, 계열사 사장단 등 총 40명
- 행사개요

11. 9(화)
석유화학, 발전, 항만, 부동산 개발 등 프로젝트 설명회
09:00-18:00
11.10(수)
36개 PVN 발주 예정 프로젝트 일대일 상담회
10:00-18:00

○ 행사문의처
- KOTRA 자원건설플랜트팀: 권준섭 과장 (Tel: 02-3460-7765)

□ Petor Vietnam 기업정보

○ 기업명: 베트남 석유가스 공사(Petro Vietnam 그룹 PVN)


○ 설립년도: 1975년 9월 3일(창립 35주년)
○ 대표: Dinh La Thang 회장
○ 연매출: U$160억 달러(2009년 회계기준)
○ 주소: 18 Lang Ha St, Ba Dinh Dist Hanoi, Vietnam
○ 홈페이지: www.pvn.com.vn www.pvn.vn

- 24 -
2010. 11. 03 (수) No. 219

○ 주요업종 및 특징
- PVN은 베트남 최고의 매출과 순익을 기록하는 석유, 가스, 화학 분야의 전공정,
후공정을 총괄하며 3만 5천명의 직원을 보유한 기업집단 그룹으로 2009년 매출이
160억 달러에 달하며 베트남 GDP의 17%를 차지하고 매년 50억 달러 규모의 정
부 수입지원을 통해 정부 세수의 25%를 차지하는 최고의 기업임.
- 베트남은 남아시아에서 3번째 산유국으로 연간 15-17백만톤의 원유와 80-100억
㎥에 달하는 가스를 생산함.

□ 주요업종 및 투자동향

○ 주요 진출업종
- PVN은 베트남 정부의 승인하여 석유 및 가스 분야의 탐사, 생산, 가공, 수출입이
주요 업종이나 최근에는 발전소 건설에 적극 투자하여 베트남 전력공사(EVN) 다음
으로 2위의 발전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석유, 가스 복합발전소의 경우 PVN에
서 전적으로 투자를 추진할 예정임.
- 또한 PVN은 주력업종 뿐만 아니라 건설, 부동산, 은행업, 광산업 등 다양한 분야
에 진출 성공적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상황임.

○ 기업구조 및 자회사 현황
- PVN은 100% 정부소유의 공기업으로 PVN 탐사(PVEP), PVN 가스(PV Gas), PVN
석유(PV Oil), PVN 발전소(PV Power), 빈선 정유회사(BSR)의 6개 주력기업을 지
주회사 성격으로 100%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자회사가 보유한 14개의 자회
사, 5개의 제휴회사는 물론 VPI, PVMTC 등 과학 연구소와 대학, 호텔 등 4-50여
개 기업에 대한 지배구조를 보유함.
- 최근에는 해외진출도 활발한 편이며 총 22개국 49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통
해 석유관련 자원확보에도 적극적임.

□ 석유가스 분야 프로젝트 정보

1) 석유가스 분야 탐사 및 생산

○ 베트남의 동남 해안지역은 대륙붕 근처의 분지로 석유 매장량이 풍부하며 향후


Huong Sa, Truong Sa 군도 등 영토분쟁 지역을 중심으로 더 많은 석유가스 부존
량이 발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임.

○ PVN은 국제적인 메이저 석유기업 76개사와의 석유탐사 및 채굴 계약을 맺고 공동


생산을 하고 있으며 PVN은 2009년 말까지 총 생산량을 살펴보면, 원유를 2.5억
톤 생산, 가스 500억㎥를 생산함.

- 25 -
2010. 11. 03 (수) No. 219

○ PVN은 대규모 가스 프로젝트 복합 단지를 건설해서 전력 공급뿐만 아니라 화학,


비료, 건설 자재를 공급하고 있음. 2009년 PVN은 내수요 건성가스 79억㎥를 공급
했으며, 부산물인 Condensate 6.7만톤, LPG는 거의 26만 톤을 생산함.

베트남 석유 및 가스 생산지역

석유생산 가스생산
지역 생산년도 지역 생산년도
Bach Ho 1986 Tien Hai C 1981
Rong 1994 Bach Ho 1995
Dai Hung 1994 West Bunga Kekwa 1997
East Bunga Kekwa-Cai nuoc 1997 Rang Dang 2001
West Bunga Kekwa 1997 Lan Tay 2002
Rang Dong 1998 East Bunga Ketkwa-Kai Nuoc 2003
Hong Ngoc 1998 Bunga Raya 2003
Su Tu Den 2003 Bunga Seroga 2003
Bunga Raya 2003 D14&Tra Ly River 2004
Bunga Tulip 2006 Rong Doi, West Rong Doi 2006
Cendor 2006 Bunga Tulip 2006
Ca Ngu Vang 2008 Phuong Dong 2008
Phuong Dong 2008 Ca Ngu Vang 2008
Song Doc 2008 Bunga Orkid 2008
자료원: PVN

2) 발전분야

○ 베트남 정부는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베트남 전력공사(EVN)의 자금


부족으로 신규 발전소 건설에 애로를 겪고 있어 최근 자금력이 풍부한 PVN을 적
극적으로 발전소 건설에 지원토록 정부방침을 수립함.

○ PVN은 베트남 전력공급 확대를 위해 총 만 10,000MW 규모의 10개 발전소를 건


설하고 있으며 2009년 PVN은 84.7억 kwh의 전기를 공급함.

PVN 발전소 건설현황

프로젝트명 투자자 용량 완공일 총 투자액

까마우 화력발전소(가스) No.1 PVN(100%) 750MW 2008.3.20 U$ 4억

까마우 화력발전소(가스) No.2 PVN(100%) 750MW 2008.12 U$ 4억

년 짜익 화력발전소(가스) No.1 PVN(100%) 450MW 2009.8 U$ 4억

PVN 발전소 건설계획

프로젝트명 용량 공사추진

- 26 -
2010. 11. 03 (수) No. 219

년짜익 화력발전소(가스) No.2 750MW


후아나 수력 발전소 (응에안 지방) 180MW 2008.3.28
붕앙 화력발전소(석탄) No.1 1200MW 2009.8
타이빈 화력발전소(석탄) No.2 1200MW 2010.12
롱푸 화력발전소(석탄) No.1 (속짱 지방) 1200MW 2010.12
Dakdrig 수력 발전소 (꽝응아이 지방) 125MW 2010.12
푸뀌 풍력 발전소 8.4MW 2010
꽝짜익 화력발전소(석탄) 1200MW 2011
루앙프라방 수력 발전소(라오스) 1100MW 2011
Song Hau Coal fired 발전소 No.1 (하우장 지방) 1200MW 2011
자료원: PVN

3) 정유화학 분야

○ PVN은 단순 원유수출에서 벗어나 정유화학 분야를 베트남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고


자 정유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9년 2월 베트남 최초의 DungQuat 정유
공장을 상업생산을 개시하였으며 향후 Nghi Son, Long Son 등 2개의 추가 정유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와 EPC 계약을 추진 중임.

○ PVN은 국내 연료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발전소를 확장하거나 기존 시설을 향상


시킬뿐만 아니라 석유 화학 공자으 정제공장, 생물 연료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하
고 있음.

PVN 가동중인 정유화학 공장

프로젝트명 위치 용량 비고

Dung Quat 정유 꽝응아이 매년 원유 650만톤 2009년 2월

매년 응축물 2003년
응축물 공정 시설 바리아-붕따우
13만톤 2012년 25만톤 증산

PVN 투자예정 정유공장

프로젝트명 위치 용량 완공예정
응이선 정유공장, 석유
타잉화 지방 연간 원유 10천만톤 2014-2015
화학 공단
정유공장 No.3(롱선
바지아-붕따우 연간 원유 10천만톤 2016-2020
정유공장)

PVN 가동중인 화학공장

- 27 -
2010. 11. 03 (수) No. 219

프로젝트명 위치 수용량 가동 연도

DOP 공장 동나이 지방 연간 DOP 3만 톤 1997

푸미 정유공장 바지아-붕따우 연간 Urea 74만 톤 2004

PVN 추진 화학공장 플랜트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위치 용량 완공예정

중꾸앗 폴리프로필렌 공장 꽝응아이 연간 폴리프로필렌 15만톤 2010

까마우 정유 공장 까마우 연간 Urea 80만톤 2012

남부 석유화학 공단 바리아-붕따우 매년 공급 원료 300만톤 2014

진부 폴리에스테르 섬유공장 하이퐁 시 연간 섬유 제품 17만톤 2011

PVN 계획 Bio Fuel 플랜트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위치 용량 완공예정
푸토 생물 연료 공장 푸토 연간 에탄올 1억 톤 2011-2012
꽝응아이 생물 연료 공장 꽝응아이 연간 에탄올 1억 톤 2011-2012
빈푸욱 생물 연료 공장 빈푸옥 연간 에탄올 1억 톤 2012

□ PVN 투자유치 및 수주협력 희망 프로젝트

투자액 지분이전
No. 프로젝트명 소유주 위치
(백만불) 비율(%)
비율(%)
Ⅰ. 정유분야 프로젝트
1 중꾸엇 정유 공장 PVN 꽝응아이 3,053 논의중
2 확장 중꾸앗 정유 공장 PVN 꽝응아이 1,159 49%
3 롱선 정유 공장 PVN 바지아 6,000 71%
4 까마우 비료 공장 PVN 까마우 900 49%

5 진푸 폴리에스테르 공장 PVN/ 하이퐁 325 논의중


PVTEX
6 중꾸엇 지하 석유 저장고 PVN/PVOil/PV 꽝응아이 340 31%
OS
7 응이선 지하 석유 저장고 PVN/PVOil/PV 타잉화 300 31%
OS
Ⅲ 전력 8,529 6개 사업
PVN/PVpowe
1 타이빈 2 화력발전소(석탄) r 타이빈 1,699 71%

2 붕앙 1 화력발전소(석탄) PVN 하띤 1,595 49%


3 꽝 짜익 1 화력 발전소(석탄) PVN 꽝빈 1,778 71%

- 28 -
2010. 11. 03 (수) No. 219

4 Long Phu 1 화력발전소(석탄) PVN 속짱 1,595 71%


5 송허우 화력발전소(석탄) PVN 허우장 1,708 71%
PVN/Dakdrin
6 Dakdrinh 수력발전소 h 수력발전 콘텀 153 논의중
Ⅲ 항구 1,395 5개 사업
PVN/Phuoc
1 푸옥안 항구 동나이 1,000 49%
An JSC
2 응아이선 항구 - 타잉화 PVN/PTSC 타잉화 260 49%

3 화라 항구-꽝빈 PVN/PVTans 꽝빈 20 논의중

4 PVTans 국제 항구 PVN/PVTans 꽝응아이 37 49%

5 PVN 운송회사 PVN 호치민 시 78 18%


10개
Ⅳ 산업 공단 2,521 사업
1 다낭 리버사이드 호텔 PVN/PVC 다낭 지방 28 논의중

2 떤비엔 국제 호화 관광 지구 PVN/PVC/PV 하노이, 235 논의중


R 바비
PVN/PVC/PV 하노이,
3 하동, 번 푸 신도시 CT10-11 72 논의중
R 하동
PVN/PVC/PV 하롱,
4 하노이 플라자 프로젝트 44 논의중
R 꽝닌
5 푸옥 칸 거주지 PVN/PVC 동나이 30 논의중
PVN/PVC.석
6 붕따우 석유 공단 붕따우 75 논의중

PVF-Inconess투자 JSC (로얄
7 골프 코스) PVN/PVFC 하노이 15 49%

8 혼코이 석유 산업공단 PVN/PTSC 칸화 1,919 49%


PVN/PV
9 잔띠엔 산업 공단 흥이엔 70 논의중
Power Land
10 라이부 산업 공단 PVN/PTSC 하이즈엉 34 논의중
Ⅴ 인프라 시설 1,071 8개 사업
PVN/PVC/Pet
1 The ring road 2 호치민 시 roland 호치민 331 49%

2 탱크 제조 공장 PVN/PVC-PT 띠엔장 20 49%

철제 파이프 세로 용접 제조 PVN/PVC/PV
3 띠엔장 85 49%
공장 -PIPE
4 FSO 비엔돔 1 PVN/PTSC 붕따우 120 논의중
5 바익호 FSO 시스템 PVN/PTSC 붕따우 210 49%
PVN/중꾸앗
6 중꾸앗 조선소 조선소 꽝응아이 190 논의중

7 소아이잡 산업 공단 PVN/PVC 띠엔장 40 논의중

8 뇬짜익 조선소 PVN/PTSC 동나이 75 논의중


총 36개 프로젝트 22,592

- 29 -
2010. 11. 03 (수) No. 219

자료원: Petro Vietnam 및 하노이KBC 자체종합

 
 
자세한 내용은 보내드린 안내 메일의 제목을 클릭하시거나,
클릭하시거나, www.Globalwindow.org의
www.Globalwindow.org의
해외시장정보(베트남)에서 확인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30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뉴스
FOCUS

베트남 경제, 업종별·지역별 불균형 심해


- 납세 상위 1000대 기업 중 서비스업비중 많아 -
- 지역도 호찌민, 하노이에 집중 –
 
 
  
□ 1000대 기업 업종별 분포
 
 ○ 2010년 10월 22일 My Dinh 센터에서 다수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2007~2009년
동안 베트남 납세 상위 1000대 기업이 발표되고 관련 포럼이 개최됨
  - Vietnam Report 에 따르면 은행업과 무선통신업 종사업체가 특히 높은 이윤을 내
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은행업이 2007~09년 동안 베트남 납세 상위 1000대 기업(V1000) 중에서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이에 비해 농·임·수산업 업체가 가장 작은 비중을 차지
 
2007~09년 베트남 상위 1000대 기업 종사 분야별 비중
 (단위 : VND 조, %)
순위 업종 금액 비중
1 은행업 18.244 21.62
2 무선통신업 11.819 14.01
3 채광업 8.793 10.42
4 부동산업 4.336 5.14
5 식품, 음료, 소비업 4.193 4.97
6 건설-건설자재업 3.929 4.66
7 운선-물류업 3.787 4.49
8 재정-보험 3.662 4.34
9 자동차, 오토바이, 운송차량업 2.867 3.40
10 농,임,수산업 2.671 3.17
기타분야 20.074 23.79
 
총 합계 84.375 100.00
자료원 : Vietnam Report
 
자세한 내용은 보내드린 안내 메일의 제목을 클릭하시거나,
클릭하시거나, www.Globalwindow.org의
www.Globalwindow.org의
해외시장정보(베트남)에서 확인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31 -
2010. 11. 03 (수) No. 219

 전문가 칼럼
전문가 칼럼

수출입 관세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


Decree No.87/2010/ND-CP(2010년 8월 13일자)

이정회계법인
김종신 회계사

베트남 정부는 수출입 관세를 납부해야 하는 항목들에 대한 일부 사항을 수정하는


Decree No.87-2010-ND-CP를 2010년 8월에 공표하였습니다. 동 사항에 따르면, 수
출입관세의 면제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확대하였으며 그 항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최소 수입관세를 납부해야하는 특급배송서비스


2. 석유와 관련된 재화의 수입
3. 소프트웨어
4. 베트남에서 생산되지 않는 건설자재 등입니다.

또한, 다음의 항목들은 생산개시일로부터 5년간 수입관세가 면제되는 항목들입니다.


1. 원재료
2. 베트남에서 생산되지 않고, 투자계획을 촉진시키거나 사회경제 여건상 어려움에 처
해 있는 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입되는 재료(소재) 및 부속품 등 5년간 수입
관세가 면제되는 조항은 자동차, 오토바이, 에어컨, 냉장고 및 정부 수상령에 의해 지
정된 기타 제품들의 생산 및 조립활동에는 적용되지 아니합니다.

새로운 조항은 또한 수출입 관세환급에 대한 항목도 확대한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


니다.
① 만약 수입관세를 기 납부한 경우, 자유관세 지역으로 수입 및 운반되어 생산활동에
사용된 수입재화에 대해서 수출된 재화와 동일한 비율로 환급될 것이며
② 만약 수입된 재화가 수입된 원재료만으로 만들어진 재화여야 한다는 모든 조건들을
충족한다면, 수출관세는 적용되지 않을 것임. 동 규정은 2010년 10월 1일부터 유효
하며 동 규정은 2005년 12월 8일자 Decree No. 149/2005/ND-CP를 대체합니다.

이정회계법인
김종신 회계사

- 32 -
2010. 11. 03 (수) No. 219

FAQ
투자기업 자문/상담 사례

근로계약의 체결 (3)

KOTRA
김도훈 전문위원

근로계약의 체결시 명시해야 하는 항목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싶습니다....

근로계약시 휴가 및 휴식에 대하여 유급휴가일수는 12 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12일(18


세 미만 근로자는 14일)이며, 5년 근속 년마다 1일씩 증가하고, 12 개월 미만의 경우
근무기간에 비례하여 휴가일수를 계산합니다. 휴가일수 산정의 기준이 되는 근무일수에
는 수습기산과 훈련기간이 포함되며, 개인 유급휴가에는 자신의 결혼: 3일/ 자녀의 결
혼: 1일/ 부모(배우자의 부모포함), 배우자, 자녀의 사망: 3일이고, 매주 1일 이상의 주
휴일-국경일이 주휴일과 겹치는 경우 다음날이 휴일에 해당되며, 12개월 미만의 영아
를 양육하는 여성 근로자는 매일 60분의 휴식을 취해야 하고, 근무시간 중 최소 30분
의 유급휴식 (야간 근로의 경우-45분)을 가지며, 미사용 휴가는 금전으로 보상하여야
합니다

KOTRA
김도훈 전문위원

- 33 -
2010. 11. 03 (수) No. 219

주요경제지표

대 베트남 국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구분 2010. 9. 20 기준 누계 2010. 1 ~ 9월
국가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신규건수 신규투자금액 증자금액
한국 2,616 23,214 7,890 201 1,840.1 229.1
대만 2,141 22,767 9,182 72 1,029.6 70.1
일본 1,260 20,553 5,635 70 1,457.6 98.2
말레이시아 366 18,444 3,982 15 404.9 50.0
싱가포르 851 17,883 5,679 65 328.0 29.9
미 국 550 16,441 3,317 38 1,792.2 77.6
버진아일랜드(영) 476 13,844 4,487 18 672.5 0.9
홍 콩 602 7,768 2,757 34 147.0 13.7
케이만 아일랜드 48 7,178 1,390 2 363.0 -
태국 235 5,715 2,406 11 17.5 -
네덜란드 136 5,234 2,273 7 2,220.2 3.7
전체 합계 11,959 191,821 61,637 720 11,406.5 783.2
* 실행금액은 정관자본금(Legal capital)액수임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 (MPI :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

대 베트남 산업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구분 2010. 9.20 기준 누계 2010. 1 ~ 9월
연번 산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신규건수 신규투자금액 증자금액
1 제조, 가공 7,164 94,342 31,433 275 3,022.0 653.6
2 부동산경영 340 43,161 10,805 19 2,722.0 32.1
3 호텔, 외식서비스 294 15,989 3,076 27 205.7 26.0
4 건설 643 10,411 3,546 102 1,081.5 15.6
6 전력,가스, 용수제조 공급 65 4,863 1,115 6 2,942.9 -
5 정보통신 627 4,728 2,932 45 39.3 0.9
7 예술 오락 121 3,460 1,014 4 35.0 -
10 물류운수 298 3,135 976 11 815.5 2.7
8 농,임,수산 485 3,081 1,496 10 8.5 6.0
9 채광 68 2,938 2,347
11 도소매,유지보수 432 1,532 764 91 346.4 -10.0
12 금융, 은행, 보험 73 1,321 1,172 1 15.8 43.3
13 의료와 사회복지 72 910 230 4 1.3 2.6
14 기술과학전문 919 687 335 92 50.6 1.5
15 기타서비스 105 641 148 20 12.0
16 교육, 양성 132 370 116 4 96.5 6.5
17 행정, 지원 서비스 97 183 95 4 2.4 2.5
18 용수공급, 폐기물처리 24 69 39 5 9.1
합계 11,959 191,821 61,637 720 11,405.5 783.2
자료원 : Vietnam Investment Review, MPI (May, 2010)

- 34 -
2010. 11. 03 (수) No. 219

베트남 대외교역 동향
(단위 : US$억)
구 분 2007 2008 2009 2010.1~9월
수 출 485.6 629.1 565,8 445.2
수 입 626.8 804.2 688,3 526.7
무역수지 -141.2 -175.1 -122.5 -81.5
자료원 :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General Department of Customs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US$백만)
품 목 명 2007 2008 2009 2010.1~9월
섬유/직물제품 7,750 9,108 9,004 8,038
원유 8,488 10,450 6,210 3,675
신발류 3,994 4,697 4,015 3,617
수산물 3,763 4,562 4,207 3,428
쌀 1,490 2,902 2,662 2,588
전기제품 2,154 2,703 2,774 2,493
목제품 2,404 2,779 2,550 2,412
기계/플랜트 및 부품 - 1,858 2,028 2,147
금속,보석제품 201 767 2,723 2,781
커피 1,911 2.022 1,710 1,312
기 타 16,406 24,936 18,701 19,009
합 계 48,561 62,906 56,584 51,500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US$백만)
품 목 명 2007 2008 2009 2010.1~9월
기계/플랜트 및 부품 11,123 13,712 12,369 9,690
유류제품 7,710 10,888 6,159 4,868
철강제품 5,112 6,566 5,327 4,223
의류(원단) 3,957 4,434 4,224 3,840
전자제품 및 컴퓨터 2,958 3,722 3,931 3,509
플라스틱 원료 2,507 2,924 2,823 2,728
자동차, 부품 파트 1,302 2,442 2,943 2,081
직물 및 의류 원부자재 2,152 2,376 1,935 1,898
사료, 원료 1,124 1,738 1,723 1,666
화학 원료 1,466 1,768 1,598 1,468
기 타 23,271 29,846 25,798 24,109
합 계 62,682 80,416 68,830 60,080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35 -
2010. 11. 03 (수) No. 219

베트남 주요국별 수출현황


(단위 : US$백만)
순번 국가명 2007 2008 2009 2010.1~8월
1 미 국 10,090 11,869 11,356 9,057
2 일 본 6,070 8,538 6,292 4,846
3 중 국 3,357 4,536 4,909 4,055
4 스위스 236 517 2,486 2,186
5 호 주 3,557 4,225 2,277 1,750
6 한 국 1,253 1,784 2,064 1,699
7 싱가포르 2,202 2,660 2,076 1,545
8 필리핀 965 1,825 1,462 1,439
9 독 일 1,855 2,073 1,885 1,434
10 말레이시아 1,390 1,955 1,682 1,177
기 타 17,586 22,703 20,607 16,212
합 계 48,561 62,685 57,096 45,400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베트남 주요국별 수입현황


(단위 : US$백만)
순번 국가명 2007 2008 2009 2010.1~8월
1 중 국 12,502 15,652 16,441 12,504
2 한 국 5,334 7,066 6,976 5,858
3 일 본 6,178 8,241 7,468 5,577
4 대 만 6,917 8,363 6,253 4,463
5 태 국 3,737 4,906 4,514 3,475
6 싱가포르 7,609 9,393 4,248 2,884
7 미 국 1,700 2,635 3,009 2,347
8 말레이시아 2,290 2,596 2,508 2,034
9 인 도 1,357 2,094 1,635 1,112
10 인도네시아 1,354 1,729 1,546 1,094
기 타 13,704 18,039 15,351 11,582
합 계 62,682 80,714 69,949 52,930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36 -
2010. 11. 03 (수) No. 219

한-베트남 교역동향
(단위 : US$백만, 증감율%)
구 분 2007 2008 2009 2010.1~8월
수 출 5,760(46.7) 7,804(35.5) 7,149(-8.4) 5,907(36.0)
수 입 1,392(50.5) 2,037(46.4) 2,369(16.1) 1,846(27.2)
무역수지 4,368 5,767 4,780 4,061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통계(KOTIS)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US$천, 증감율%)
품 목 명 2007 2008 2009 2010.1~8월
철강제품 359,095(2.5) 730,429(103.4) 793,824(8.7) 828,861(70.8)
직물 814,975(27.4) 989,165(21.4) 966,304(-2.3) 723,466(17.7)
석유화학제품 447,547(37.9) 629,953(40.8) 677,076(7.5) 626,566(50.6)
수송기계 495,027(191.5) 696,304(40.7) 1,117,817(60.5) 622,141(-1.7)
광물성연료 1,293,378(146.4) 2,040,826(57.8) 733,559(-64.1) 616,469(34.7)
산업용전자제품 246,985(-21.6) 185,521(-24.9) 373,833(101.5) 416,233(115.0)
산업기계 285,066(33.0) 405,638(42.3) 308,965(-23.8) 271,655(34.7)
비철금속제품 325,249(53.1) 259,739(-20.1) 229,652(-11.6) 253,600(88.3)
정밀화학제품 208,932(25.0) 254,739(22.0) 293,408(15.1) 233,712(30.4)
섬유제품 144,065(16.7) 189,622(31.6) 197,615(4.2) 144,555(12.4)
기 타 1,139,735 1,422,881 1,457,424 1,169,362
합 계 5,760,054(46.7) 7,804,817(35.5) 7,149,477(-8.4) 5,906,620(36.0)
자료원 : 무역협회 KOTIS(MTI 2단위 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US$천, 증감율%)
품 목 명 2007 2008 2009 2010.1~8월
광물성연료 197,576(324.8) 331,793(67.9) 575,933(73.6) 336,280(-10.3)
섬유제품 113,210(28.4) 200,962(77.5) 299,201(48.9) 239,897(53.1)
수산물 267,769(29.7) 305,826(14.2) 305,130(-0.2) 218,448(15.8)
섬유사 113,100(33.6) 151,471(33.9) 187,602(23.9) 166,451(41.2)
임산물 99,628(39.4) 126,800(27.3) 92,441(-27.1) 117,226(141.9)
신변잡화 112,131(34.4) 137,600(22.7) 124,671(-9.4) 109,312(29.7)
철강제품 26,058(198.2) 70,481(170.5) 27,808(-60.5) 80,640(436.5)
농산물 104,479(19.4) 177,848(70.2) 140,220(21.2) 77,298(-22.9)
산업용전자제품 23,833(63.0) 34,116(43.2) 88,894(160.6) 66,255(71.2)
가구 64,398(17.9) 74.053(15.0) 70,143(-5.3) 59,860(45.1)
기 타 269,406 500,104 457,927 374,574
합 계 1,391,588(50.5) 2,037,075(46.4) 2,369,970(16.3) 1,846,241(27.2)
자료원 : 무역협회 KOTIS(MTI 2단위 기준)

- 37 -
2010. 11. 03 (수) No. 219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호치민 KBC>

호치민 KBC 고문변호사/컨설턴트 명단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직위 Tel Email 특기사항

법무법인로고스/ mybaek@
고문변호사 백무열 84-8-3822-7161 변호사
변호사 lawlogos.com
호치민KBC/ KOTRA
고문컨설턴트 김도훈 84-8-3822-3944 kdh6563@kotra.or.kr
전문위원 전문위원

◎ 고문변호사 무료 상담
- 주 1회(매주 금요일) 사전 예약업체에 한해 센터내 고문변호사와 대면 상담
. 담당자 : 강준경 과장
. email : junkyung@kotra.or.kr
. Tel : 84-8-3822-3944
. Fax : 84-8-3822-3941
. 질의 내용 사전 통보 후 대면 상담
- 상시 Email 상담 : mybaek@lawlogos.com (백무열 변호사)

◎ 베트남 투자뉴스 (Email Push Service, 매주)


- 베트남 주요 경제기사 번역 등
- 신청 방법 : Email 명기 후 아래 주소로 신청
. email : investhcm@kotra.or.kr
- 기존 “베트남 투자뉴스”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www.kotra.or.kr/hochiminh -> 초기화면 왼편 “베트남투자뉴스(Weekly)” 클릭)

- 38 -
2010. 11. 03 (수) No. 219

<하노이 KBC>

하노이 KBC 고문변호사/컨설턴트 명단

구분 성명 현지법인명 Tel Email 특기사항

고문변호사 김유호 로고스법무법인 84-4-3771-0334 yhkimlogos@gmail.com 법률

고문회계사 김종신 이정회계법인 84-8-3930-8114 ejaudit@gmail.com 회계

◎ 고문변호사 무료 상담
- 주 1회(매주 목요일) 사전 예약업체에 한해 센터내 고문변호사와 대면 상담(영어)
. 담당자 : 박동욱 차장
. email : kotraone@gmail.com
. Tel : 84-4-3946-0511
. Fax : 84-4-3946-0519
. 질의 내용 사전 통보 후 대면 상담

◎ 베트남 투자뉴스 (Email Push Service, 매주)


- 베트남 주요 경제기사 번역 등
- 신청 방법 : Email 주소 명기 후 아래로 신청
. email : kotraone@gmail.com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전용 구인구직 웹사이트 운영(무료)


- 도메인 주소 : www.workwithkorea.com (www.workwithkorea.com.vn)
- 주요 기능
. 구인기능 : 한국투자기업들이 ‘구인’ 오퍼 등재
. 구직기능 : 베트남인들이 ‘구직’ 오퍼 등재
- 언어 : 영어/베트남어
- 단순 노동자보다는 고급 인력 위주의 구인구직 알선 사이트

www.kotra-hcmc.org.vn))
◎ 호치민 KBC 현지어 홈페이지 안내 (www.kotra-hcmc.org.vn

- 39 -
2010. 11. 03 (수) No. 219

OIS(해외진출 통합정보시스템) 안내

31개 해외투자진출지원기관 제공정보를 One-Stop 서비스합니다.


지식경제부, 외교통상부, KBC, 수출입은행, KIET, KIEP 등 31개 해외
투자진출지원기관이 제공하는 해외진출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
습니다.

국가 기본정보에서 지역별 Q&A까지


국가 기본정보에서 심층보고서까지 해외진출에 필요한 단계별, 국가별
정보를 한꺼번에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드립니다..
해외투자진출관련 궁금한 사항을 상담해 드립니다
해외투자에 필요한 국내절차는 물론 국가별 투자환경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해외투자 Q&A에 올려 주세요.

---------------------------------------------------

OIS(www.ois.go.kr)는 국내기업의 해외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여러 기


관에 흩어진 투자진출 관련정보를 한 곳에 모아 One-Stop 서비스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으로 구축한 대한민국 정부의 통합 포털사이트입니
다.

- 40 -
2010. 11. 03 (수) No. 219

베트남 투자전문 온라인 커뮤니티


“베트남 진출기업 협의회”를 소개합니다.

호치민 KBC(Korea Business Center)에서는 베트남 진출기업의 애


로사항을 해소하고 잠재투자기업들의 정보수요에 응하기 위하여 “베
트남 진출기업 협의회”라는 이름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
니다. 우리 기업들은 이 커뮤니티로부터 베트남투자와 관련된 많은 정
보를 접할 수 있으며, 경험이 풍부한 컨설턴트로부터 보다 전문적인
자문을 신속하게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커뮤니티 가입은 지식경제부와 KOTRA가 공동운영하고 있는


www.ois.go.kr에 회원가입을 한 후, 커뮤니티 > OIS 카페 > 베트남진
출기업협의회 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읍니다.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기업들이 이 커뮤니티를 통하여 투자진출 및


기업운영단계에서 조금이라도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소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시기를 기대해 봅니다.

호치민KBC 한국투자기업지원센터
센터장 신남식 배상

- 4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