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2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도로설계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

공항설계 하천(댐)설계 수리 분석 하천(댐)설계 수리 분석

터널설계 하천(댐)설계 수문 분석 하천(댐)설계 수문 분석

교량설계 하천설계 치수 기본 계획 하천설계 치수 기본 계획

항만(해양)설계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상하수도설계 댐설계 기본 계획 댐설계 기본 계획

하천(댐)설계 하천설계 실시설계 하천설계 실시설계

지반설계 댐설계 실시설계 댐설계 실시설계

단지설계 하천(댐)설계 계산서 작성 하천(댐)설계 계산서 작성

철도설계 하천(댐)설계 도면 작성 하천(댐)설계 도면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하천(댐)설계 시방서 작성 하천(댐)설계 시방서 작성

하천(댐)설계 사업비 산정 하천(댐)설계 사업비 산정

하천(댐)설계 보고서 작성 하천(댐)설계 보고서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

1-1. 하천수 사용제도 검토 3

1-2. 하천수 사용 특성 분석 12

• 교수・학습 방법 25

• 평가 26

학습 2. 이수 특성 분석하기

2-1. 하천 유황 분석 28

2-2. 하천관리유량 산정 38

• 교수・학습 방법 49

• 평가 50

학습 3. 용수 수요량 산정하기

3-1. 용수 수요량 검토 52

3-2. 하천유지유량 산정 61

• 교수・학습 방법 69

• 평가 70

학습 4.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

4-1. 용수공급량 검토 73

4-2. 물수지 분석 80

• 교수・학습 방법 85

• 평가 86
학습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

5-1. 용수공급시설 검토 88

5-2. 하천수 사용량 조정 98

• 교수・학습 방법 104

• 평가 105

참고 자료 107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하천수 사용 및 이수 특성을 분석하여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 등을 산정하고 용수공급 계획을


수립하며 부족한 수량에 대하여 하천유량 확보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다.

선수학습

하천(댐)설계 사업 계획 수립(LM1402010701_14v2), 하천(댐)설계 수리 분석(LM1402010702_14v2),


하천(댐)설계 수문 분석(1402010703_14v2), 이론수리학, 응용수리학, 계산수리학, 통계수문학, 기
상수문학, 응용하천공학, 응용수자원공학, 수자원시스템공학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하천수 사용 1-1. 하천수 사용제도 검토 하천수 사용


1402010705_14v2.1
분석하기 1-2. 하천수 사용 특성 분석 분석하기

2. 이수 특성 2-1. 하천 유황 분석 이수 특성
1402010705_14v2.2
분석하기 2-2. 하천관리유량 산정 분석하기

3. 용수 수요량 3-1. 용수 수요량 검토 용수 수요량


1402010705_14v2.3
산정하기 3-2. 하천유지유량 산정 산정하기

4. 용수공급 계획 4-1. 용수공급량 검토 용수공급 계획


1402010705_14v2.4
수립하기 4-2. 물수지 분석 수립하기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5-1. 용수공급시설 검토 하천유량 확보 계획


1402010705_14v2.5
수립하기 5-2. 하천수 사용량 조정 수립하기

핵심 용어

하천수, 수리권, 하천수 사용제도, 하천 유황, 용수 수요량, 용수공급량, 하천수 사용량, 이수유
량, 하천유지유량, 하천관리유량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
학습 1
(LM1402010705_14v2.1)
학습 2 이수 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2)
학습 3 용수수요량 산정하기(LM1402010705_14v2.3)
학습 4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4)
학습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5)

1-1. 하천수 사용제도 검토

• 자원, 공물, 권리 측면에서 하천수 개념을 살펴보고, 하천수 사용의 권리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댐사용권 등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하천수 사용제도
를 파악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 및 하천수의 개념

1. 하천
사회통상적 개념의 하천은 자연적, 인공적인 물의 흐름(水流)으로 유수(流水), 부지(敷地)의 총
체를 말하나, 「하천법」제2조에서 하천은 ‘물길로서 국가 또는 지방하천으로 지정된 것을
말하며, 하천구역과 하천시설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며, 지표면을 흐르는 유수, 댐 저
수 및 복류수를 하천수로 정의하고 있다.
하천의 분류는 특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며, 시대 여건, 기능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역규모에 따라 5대강, 4대강으로, 지형 특성에 따라 산지하천,
평야지대의 충적하천, 하구의 감조하천 등으로 분류한다. <표 1-1>에서 보듯이 유역규모에 따
라 5대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순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4대강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순으로 구분한다. 섬진강이 영산강보다 유역 면적이 더 넓으나, 중요 지역인 광주
가 영산강 수계에 속해 있기 때문이란 설이 유력하다. 이와 같이 하천의 분류는 특정한 기준보
다는 시대 여건 등을 반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최근 많이 쓰는 용어인 도시하천을 법령상
기준으로 정의하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6조 제1호에 따른 도시 지역을 관통
하거나 인접하여 흐르는 하천으로서 「하천법」제2조 제1호에 따른 하천으로 정의할 수 있다.

3
<표 1-1> 5대강 수계 유역 현황
수계명 하천개소 수 유역 면적(km2) 비고

한강 699 25,953.60(*35.770.41) * 북한을 포함한 면적

낙동강 781 23.384.21

금강 468 9,912.15

섬진강 283 4,911.89

영산강 169 3,467.83


출처: 국토교통부(2014). 『한국하천일람』(2013. 12. 31. 기준). p.3

2. 하천수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부존량은 1,297억㎥/연으로 사
용량은 333억㎥/연이며, 이 중 댐 저수를 포함한 하천수 사용이 89%인 296억㎥/연을 차지
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수자원부존량은 약 4,100억㎥/연이며 총사용량은 약 805억㎥/연
으로, 이 중 지하수를 제외한 하천수 사용이 약 711억㎥/연으로 89%를 차지한다(國土交通
省, 2014).
「하천법」제4조에서 하천관리의 원칙으로 하천수는 공적 자원으로 공익 증진에 적합한
방향으로 적절히 관리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물 순환 중 이용 가능한 물을 수자원이라
부른다. 이러한 수자원은 자연적 특성으로 이동성, 강수의 불규칙성, 부정형성 및 순환성,
부증성, 사회적・경제적・행정적 요인성을 갖는다. 수자원 관련 법령으로는 수량과 관련하여
「하천법」,「댐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소유량 자료
법」,「전원개발촉진법」등이 있다.
하천수는 공용목적상 공공용물, 성립과정상 자연공물, 소유권상 국유공물, 공유공물, 소유・
관리상 자유공물 등에 해당하며, 특정인의 특정용도의 사용을 위해서는 허가를 통해 권리
를 득하여야 하는데, 이는 지속적・배타적・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특허에 해당한다.
권리부여의 방법으로 연안주의, 선점주의, 상류우선, 허가제도, 기타 혼합제도, 할당제도,
뮤추얼스톡, 풍수수리권 등 다양하며, 우리나라는 「하천법」에 따른 허가제도를 원칙으로
하천수 사용권을 부여하고, 기득하천수 사용자의 선점주의를 인정하고 있다. 민법에서는
대표적인 연안주의인 공유하천용수권을 인정하고 있다.

󰊲 하천수 사용제도
생활・공업・농업・환경개선・발전・주운 등의 용도로 하천수를 사용하려는 경우와 허가받은
사항 중 사용 목적, 사용기간, 취수 지점, 취수시설, 허가량 및 부관에 명기한 사항을 변경
하려는 경우 하천수 사용허가를 득하여야 한다. 하천수 사용허가 절차는 [그림 1-1]에 도
시하였으며, 하천수 사용허가 및 관리단계는 [그림 1-2]와 같다.

4
[그림 1-1] 하천수 사용허가 업무 흐름도

5
[그림 1-2] 하천수 사용허가 및 관리 단계

하천수 사용은 특성상 토지점용과 공작물 설치를 수반하는 복합허가 사항으로 대개의 경
우 하천수 사용을 주된 허가로 본다. 이 경우 신청인의 편의를 위해 국가하천의 경우는
홍수통제소장이 일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지방하천의 경우 해당 하천관리
청인 시・도지사와 개별 처리하고 있으나 미리 협의하여 정한 경우는 일괄하여 처리할 수
있다. <표 1-2>에 하천수 사용이 주된 허가 사항일 경우 중복 또는 관련되는 허가 사항에
대한 개별 허가권자를 정리하였다.
<표 1-2> 허가 사항별 허가권자
공작물의 토지의
구분 하천수 사용 토지 점용 하천시설 점용
신축・개축・변경 굴착・성토
국가 홍수통제소장 시・도지사 지방국토관리청장 지방국토관리청장 지방국토관리청장
지방 홍수통제소장 시・도지사 시・도지사 시・도지사 시・도지사

수행 내용 / 하천수 사용제도 이해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민법」,「지하수법」,「한국수자원공사법」,「소유량 자료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
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소하천설계기준,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하
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수 사용허가 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관리규정, 수질・녹조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기준 및 매뉴얼

6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이수 계획 수립을 위한 하천의 범위를 파악한다.

1. 사회・통상적 개념의 하천과 「하천법」상의 하천 범위 파악하기


일반적으로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물이 흐를 경우에 하천이라 부를 수 있으며, 여기서 물
의 흐름은 흐르는 물(수류)과 부지(부지)의 총체를 말한다. 호수나 저수지의 수면, 지하수,
떨어지는 빗물 및 범람수 등은 이러한 물의 흐름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하천이라 하지 않
는다. 자연적인 물의 흐름은 하상과 유수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갖으며, 인공적인
물의 흐름은 사람이 관개, 발전, 수도 등의 용수 사용을 위해 축조한 물의 흐름을 말한다.
강의 흐름 일부를 바다 등으로 분류시키기 위해 설치한 방수로와 하천의 사행부를 단락시
켜서 만든 수로인 첩수로 등도 자연적인 물의 흐름으로 구분하는데, 이는 그 발생이 자연
적이기 때문이다.
「하천법」상 하천은 이러한 일반적인 하천, 사회통념상의 개념과는 다르며, 법령상에서는
하천과 하천수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하천법」제2조 제1호에서는 하천을 ‘지표면
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로서 공공의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국가 또는
지방으로 지정된 것으로 하천구역과 하천시설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하
면, 국가 또는 지방으로 지정되어 있어야 하며 물길인 부지와 하천시설을 ‘하천’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천법」상 하천시설은 국가하천의 하천관리청인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하천의 하천관리청인 특별・광역・자치시・도지사가가 관할 하천의 기능을 보전하고 효
용을 증진하며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설치하여 고시한 시설을 말한다.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국가하천에 설치한 공원, 체육시설 등은 점용시설로 이러한 하천시설과는 구별된
다. 이러한 경우 국가하천의 하천관리청인 국토교통부장관이 하천시설로 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시설 설치자의 동의를 통해 하천시설로 관리할 수 있다. 「하천법」에서는
하천시설의 한 종류로 물의 순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시설 및 홍수 발생의 예보
를 위한 시설을 수문조사시설로 정의하고 있는데, 강우 자료 수집을 위해 설치하는 강우

7
레이더의 경우도 하천구역 밖에 설치되나 법령에 따른 하천이다.

2. 자원으로서의 하천수 범위 파악하기


일반적으로 수문순환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물을 일컫는 말인 수자원은 자연 상태에서 순
환하면서 형상을 달리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이수의 대상이 되는 부분으로
자연의 물 중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한 물인 수자원은 시대와 지역의 산업 형태, 관련 사
업에 동원할 수 있는 인력과 기술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천수의 중요성을 반영하
여 「하천법」제4조에서는 하천수를 공적 자원으로 명시하고, 하천관리의 원칙으로 공적
자원인 하천수를 공익증진에 적합한 방향으로 적절히 관리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3. 자연공물로서의 하천수 범위 파악하기


하천수는 국가 등 행정 주체가 행정 활동을 위하여 공용되는 물적 수단인 공물(公物)로
공용 목적상 공공용물(公共用物), 성립과정상 자연공물(自然公物), 소유권과 관리권에 따라
국유공물(國有公物) 또는 자유공물(自有公物)로 분류할 수 있다. 하천수는 사용관계에 따라
일반 사용과 특별 사용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 사용은 공동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
는 범위에서 누구나 자유로이 사용하는 자유 사용으로 일반적으로 여가 활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정인이 생활・공업・농업 등의 용도로 하천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일반 사
용 또는 자유 사용으로는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허가를 통해 해제하여 권리를 열어줘야
하는 특별 사용이다. 이는 특정인에게 독점적・지속적・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권리를 부여하
는 일종의 특허 사용에 해당한다. 참고로, 공물 구분에 따른 종류는 <표 1-3>과 같다.
<표 1-3> 공물의 종류
구분 종류(설명)
공용물(행정 주체), 공공용물(일반공중 공용 사용), 공적보존물(공공 목적을 위
공용 목적
해 자체 보전)

성립과정 자연공물(자연 상태 공공 목적에 제공), 인공공물(인공을 가하여 공공 목적에 제공)

국유공물(국가소유), 공유공물(공공단체 소유), 사유공물(사유이나 공공 목적에


소유권자
사용)

소유・관리 자유공물(소유・관리 일치), 타 공유물(소유・관리 불일치)

예정공물 장래에 공적 목적에 제공하기로 미리 결정한 물건


출처: 윤양수(2013). 『행정법 개론 下권』. 넷스코 미디어랩.

4. 하천수 사용권 부여 등 권리로서의 하천수 개념 파악하기


개정「하천법」(2008. 4. 7. 시행, 법률 제8338호)에서는 하천수의 사용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하천점용에서 하천수 사용을 분리하여 명시하고 있다. 하천수의 사용관계에 따라
일반 사용과 특별 사용 모두 해당하며 허가를 득한 하천수 사용권은 ‘하천수를 지속적·
배타적·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라 할 수 있다. 이는 하천법령에 따라 ‘동일
한 목적・장소・수량에 대한 우선 사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우선권을 부여하는 원칙은 연

8
안주의(沿岸主義), 선점주의(先占主義), 상류우선(上流優先), 허가제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
으며 그 원칙별 특징은 <표 1-4>와 같다. 그 밖에 분쟁해결의 일환으로 발달한 연안주의
와 선점주의의 혼합, 할당제도, 뮤추얼스톡, 풍수수리권 등이 있다. 이러한 우선권 부여는
동일한 사회 내에서도 시대 여건에 따라 변화되어 왔고, 하천수 사용이 더욱 복잡하고 다
양한 현대사회에서는 여러 원칙을 절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하천법」제50조에 따라
허가제도를 기본원칙으로 하나 「하천법」제34조 및 「하천법 시행령」제39조에서 기득하
천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하여 일부 선점주의를 인정하고 있으며, 「민법」제231조에서는
연안주의인 공유하천용수권을 명시하고 있다.
<표 1-4> 물 사용 우선권 부여 원칙
구분 부여 방법 특징
∙ 초기 농경사회, 상・하류 권리 상충
연안주의 하천연안 토지 소유자에게 우선권 부여
∙ 허가를 통한 규제된 연안주의로 발달
∙ 토지소유권과 하천수 사용권을 별도
선점주의 기왕에 사용해 온 자에게 우선권 부여 로 설정
∙ 기득하천수 사용자는 선점주의에 근거
상류 우선 사용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
상류우선 상류 사용자에게 우선권 부여
자치단체 간 분쟁 소지가 있음
취수 지점, 기간 등 물 사용에 적절한 우선순위는 연안주의, 사용권 부여는
허가제도
제한 조건을 두고 우선권을 부여 선점권과 동일
혼합제도 연안주의와 선점주의를 혼합하여 부여 캘리포니아 시스템
할당제도 물 사용자 간 계약, 협정을 체결하여 부여
풍수수리권 풍수 시 기준유량 초과 취수를 인정

󰊲 이수 계획 수립을 위한 하천수 사용제도 현황을 파악한다.

1. 「민법」의 관행수리권 숙지하기


「민법」제231조에서 하천연안에서 농・공업을 경영하는 사람에게 인정하는 공유하천용수
권은 전형적인 연안권 조항이며, 제234조에 의한 관행수리권은 사실인 관습을 우선으로 하
는 조항으로 선점권에 가깝다. 「민법」제정이 1958년이고「하천법」제정은 1961년이기 때
문에「하천법」제정 이전 하천수를 사용하던 권리를 관행수리권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하천수에 대한 허가 사용은 「하천법」제정에 따라 폐지된「조선하천령」제20조에 명시되
었던 규정으로「조선하천령」의 제정시기는「민법」보다 빠른 1927년이다. 법률 제정시기
에 따라 관행수리권과 허가수리권이 구분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관행수리권은 판례 등
에서 인정한 과거 농민조합에 형성된 권리로 현재 농업기반시설은 한국농어촌공사 및 지방
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다. [그림 1-3]에서 댐 건설일을 기준으로 댐건설 이전에 하천수
를 사용하던 기득사용물량과 댐 건설 후 댐사용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행「하천법」에
서는 상충되는 이원적 체계를 지양하기 위해 허가수리권으로 일원화하여 명시하고 있으며

9
국가하천 구간의 경우 관행 및 무허가 사용은 1981년 수리권 실태 조사 결과 조치에 따라
허가수리권으로 전환되었다. 관행수리권에 대한 근거 및 판례는 <표 1-5>에 명시하였다.

댐 건설일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농업관점 허가수리권
국가관점
댐관점 기득사용물량 댐용수사용권

하천법 제정일
[그림 1-3] 수리권의 구분 시점에 대한 견해
<표 1-5> 관행수리권 관련 근거 및 주요 판례
구분 내용
일제시대 조선고등법원이 판시한 것을 「민법(1958. 2. 22. 제정, 법률 제471호)」
제2편 물권 소유권 부분의 상린관계 규정 중 제234조(용수권에 대한 다른 관습)
관련 근거
에서 수용하여 다른 관습이 있으면 그 관습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사실인 관습을
우선하도록 명시
∙ 조고판(朝高判) 1921. 7. 12., 민집 8권 240면
“공유에 속하는 하천의 유수에 대하여 종래 적법하게 이를 관개하는 자는 관개의
필요를 충당할 정도에서 그 전용권을 취득함은 한국 고래(古來)의 관습이다.”
∙ 대판(大判) 1964. 11. 24., 64다790
“하천법 공포 시행 전에 축보 등 시설을 설치하여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관
습에 의하여 설정된 이상 위의 하천에 관한 법률로 인하여 그 기득권이 아무
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주요 판례 ∙ 대판(大判) 1977. 7. 12., 76다527
“1927년 조선하천령이 시행되기 이전에 그 지역의 경작자들이 몽리답의 관개
를 위하여 위 하천에 나무와 돌 등을 쌓아 물을 막아 설치한 것으로서 그 후
왜정 때에 현재와 같은 형태의 콘크리트보가 형성되었으며, 신청인을 포함한
경작자들은 위 보가 설치된 이래 위 보로부터 인수하여 답을 경작하여 왔다는
것이니, 그렇다면 공유하천에 설치된 이 사건 보에서 신청인 소유의 농지에 관
개하기 위하여 인수하는 관행이 있었다고 할 것이고, 그 농지의 소유자인 신청
인은 농지의 관개에 필요한 한도 내에서 용수권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 「하천법」의 허가수리권 숙지하기


허가제도는 자연공물인 하천수에 취수 지점・기간・양 등 적절한 제한 조건을 두어 권리를
부여한 것으로 허가 시 특정용도에 우선순위를 인정하지 않는 것은 연안주의와 같으며, 연
안 이외의 지역에도 허가가 가능한 점은 선점주의와 동일하다. 「하천법」제49조에 따른
하천수 사용 및 배분의 원칙은 타인의 권리와 공익을 침해하지 않고 물 관리에 지장이 없
는 범위 안에서 사용하며, 모든 국민이 혜택을 향유할 수 있도록 배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10
한다. 하천관리청에서 허가를 통해 하천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상・하류에 일관한 하천
수 사용관리를 위해 2007년「하천법」전부개정에 따라 국가 및 지방하천의 허가권한을 국
토교통부장관으로 일원화하고, 사용허가의 기준유량을 정하여 고시하도록 하는 등 적정 하
천수관리를 위한 관리・조정기능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생활・공업・농업・환경개선・발전・주운
등의 용도로 하천수를 사용하려는 자는 「하천법」제50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
를 득하는데,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권은 관할 홍수통제소장에게 위임되어 있다.

3. 「댐 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의 댐사용권 숙지하기


댐사용권은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여 일정한 용도에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 물
권으로 보며,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외에는 부동산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권리행사는 댐에 저장된 물뿐 아니라 댐에서 하천으로 방류된 물에 대해서도 가능한데,
이를 제한할 경우 댐에서 직접 취수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설비 등이 발생하고, 댐
하류 사용자의 경우 댐용수대를 받을 수 없어 비효율을 초래하므로 불합리하게 된다.
신규 하천수 사용허가 시에 가용유량이 부족할 경우는 기득하천 사용자의 권리침해가 발
생하므로 허가가 불가능하지만, 댐건설로 인해 공급 가능하게 된 물에 대해 댐사용권자와
사용자 간에 댐용수 사용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는 허가가 가능하다.

수행 tip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를 통해 관련 법령 및 조항
을 확인하고 이해한다.
• 관련 기준, 매뉴얼 및 해설 등을 수집하고 하천수
사용 제도 전반을 이해한다.
• 「하천법」등 법령의 개정 여부 등을 파악하여 현행
제도를 파악한다.

11
1-2. 하천수 사용 특성 분석

• 이수시설물, 하천수 사용량 및 지하수 이용 현황 조사 등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 하천수 사용시설별 취수가 가능한 최저수위 등 하천수 사용 제약 조건의 파악을
학습 목표
통해 물이용 취약 현황을 검토할 수 있다.
• 인위적인 필요에 의한 용수 사용과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유지를 위한 하천유지
유량을 고려하여 이수 계획의 기본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이수 특성 조사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관련 홈페이지 및 관련 기관 자료 요청을
통해 이수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수시설물 현황, 하천수 사용량
현황, 지하수 이용량 현황 및 물이용 취약 현황 등을 정리한다. 정부승인 통계간행물은 중
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통계지정기관으로 구분하여 발간되며, 주기도 월, 분기, 연, 2년
등 부정기적인 형태로 다양하다.

1. 정부승인 통계 조사
자료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정부승인 통계간행물을 활용한다. 승인통계 및 간행물은 공공
데이터 포털, 해당기관 홈페이지 또는 관련 관리・제공 포털 등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해
당 간행물로는 국토교통부의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국토교통통계연보, 환경부의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공장폐수의
발생과 처리, 가축분뇨처리통계,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연보, 농림축산
식품 주요 통계, 국민안전처의 재해연보, 기상청의 기상 ・월보, 통계청의 농업면적통계,
농작물생산통계, 주요 작물 생산동향 등이 있다. 기관별 자체 간행물은 해당 기관의 홈페
이지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관리연보, 수문 자료집, 다목적댐관리
연보,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산업단지공단의 산업입지요람, 산업단지현황지도 등이 있다.

2. 이수시설물 조사
이수시설물로는 하천수 사용시설, 지하수이용시설, 댐・저수지 등이 있다. 이수시설물의 경
우 그 소유 또는 관리자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법인・개인 등 다양하기 때문에 하천수
사용시설과 지하수이용시설의 경우 각각 허가기관인 관할 홍수통제소, 지방자치단체를 통
해 수집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관련 포털 등을 통해서도 수집할 수 있다. 지하수를 개발・이
용하려는 경우 「지하수법」제7조 시장・군수・구청장의 허가를 득하여야 하나, 같은 법 제7

12
조의2에 따라 하천구역의 경계로부터 300m 범위 내의 지역에서 지하수를 개발・이용하는 경
우에는 지하수영향조사서를 첨부하여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하도록 하고 있다. 댐・저수지
의 경우 시설관리자인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및 해당 지방자치
단체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 물이용 취약 현황 조사

1. 하천수 사용시설 취약 현황 조사
하천수 사용시설의 경우 하천의 수위 저하 시 취수구 높이 제약으로 인해 지장을 받게 된
다. 이수 계획 수립 구간의 하천수 사용시설에 대해 취수가 가능한 최저수위를 조사한다.
또 댐, 다기능보, 하굿둑 관리구역에 위치한 시설의 경우 취수 가능수위가 해당시설물 관
리수위에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는지를 검토한다. 하천수위 저하로 안정적으로 취수가 불
가능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사하며, 하천수 사용 실적 자료도 함께 검토한다.

2. 지하수이용시설 취약 현황 조사
하천변 지하수위가 낮아져 안정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할 수 없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
사한다.

3. 기타 취약 현황 조사
염분 농도, 하구 막힘 등 하천의 유수소통에 지장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취수가 불가능
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사한다.

󰊳 이수 계획 기본 방향 설정
이수 목표는 하천관리청의 이수관리 목표, 하천수의 정상적인 상태 및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하천관리유량, 향후 여건 변화에 따른 하천유지유량의 필요유량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 하천에서 취수하려는 경우 취수예정 지점에서 가용유량이 있거
나 상류댐 등 별도 수원에 의해 용수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 허가를 득하여 하천수를 사용
할 수 있다. 하천유지유량은 1999년 「하천법」전부개정을 통해 처음 법제화된 개념으로
인위적인 물 사용이 훨씬 이전부터 행해져왔고, 갈수 시 안정적인 취수를 보장하기 위해
기준갈수량이라는 적은 양에서 배분하기 때문에 하천에 남겨두어야 하는 하천유지유량을
갈수 시 모두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현행 하천법령에서는 용수배분의 우선수위를
생활, 공업, 농업, 그 밖의 용수 순으로 정하고 있으며, 하천유지유량의 고시 시에도 현재
확보된 양과 확보가 필요한 양을 구분하여 고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림 1-4]는 기준갈수
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제외한 양으로 하천수가 사용되고, 부족한 부분은 댐용수 공급을
통해 하천 유황을 개선하는 이상적인 하천의 유량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13
[그림 1-4] 이상적인 하천의 유량 상황

하천수는「하천법」제49조(하천수 사용 및 배분의 원칙)에 따라 타인의 권리와 공공의 이


익을 침해하지 아니하고 물 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사용되며 모든 국민이 그 혜
택을 공유하는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또 생활・공업・농
업・발전・주운・환경개선 등 인위적 필요에 의해 사용되는 하천수 사용과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유지를 위해 하천에 흘러가야 하는 하천유지유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
다. 정상적인 하천 상태 및 기능유지를 위한 하천유지유량 확보와 건천화 완화를 위해 하
천유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하며, 하천유지유량 외 지방자치단체 등의 요구에 따라
하천의 일부구간에 대해 친수 공간, 하천문화 등 사회・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환경개선
용수의 확보도 고려하여야 한다.

[그림 1-5] 합리적인 하천수 사용 유도

14
수행 내용 / 하천수 사용 특성 분석하기

재료·자료


하천설계기준・해설,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수 사용허가기준,
하천수 사용허가 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 관리 규정, 수질・녹조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
준 등 규정, 기준 및 매뉴얼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가축분뇨처리통계,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
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관리연보, 수문 자료집,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한국 산업
단지공단의 산업입지요람, 산업단지현황지도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 서비스, 물 환경정보
시스템, 상하수도 종합정보 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
관리, 농촌지형정보 시스템, 농촌지하수넷, 농업토양정보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15
수행 순서

󰊱 이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다.

1.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조사하기

(1) 국토교통부

(가)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수문조사연보는 4대강 홍수통제소, 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물 관련 기관에서 관측한 수문 자료를 정리한 통계연보로 1962
년부터 발간되었으며, 제공정보는 <표 1-6>과 같으며, 한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
(www.hrfco.go.kr)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표 1-6> 한국수문조사연보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강수량 편 강수량관측소 현황, 강수량 통계, 시강수량, 수계별 월 강수량

수위관측소, 수위, 홍수사상 시수위・수위수문 곡선, 댐관측소 일람표 및


수위 편
일평균방류량
유량, 유량측정 지점, 유황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 유사량, 토양수분
유량 편
량, 증발산량
출처: 국토교통부(2016). 『한국수문조사연보』. 국토교통부.

(나) 한국하천일람
국가 및 지방하천의 현황을 파악하여 하천 계획, 관리 및 행정에 필요한 기본 자료
와 통계를 제공하기 위해 1982년 최초 발간되었다. 하천 기본 계획을 기본으로 변
동 상황에 따라 비정기적으로 발간된다. 주요 내용은 <표 1-7>과 같으며, 한강홍수
통제소 홈페이지(www.hrfco.go.kr)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표 1-7> 한국하천일람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개요 일러두기, 전연도 기준과의 주요 변동 사항

하천 현황 개황, 권역・수계・시도・등급별 및 복수 하천관리청 관할 하천 현황

하천일람 권역・수계별・시도별 및 복수 하천관리청 하천일람, 국가하천 일람

하천모식도 권역・수계별 및 복수 하천관리청 관할 하천모식도

부록 하천 현황 비교, 하천지리, 소하천 현황 등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2016. 8. 26. 검색.

(다) 지하수 조사연보 및 지하수 관측연보


국가지하수정보센터 홈페이지(www.gims.go.kr)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지하수 조사

16
연보의 주요 내용은 지하수 이용 및 시설 현황, 이용 특성, 수질 현황, 국가 지하수
관측망 등이며, 지하수 관측연보의 주요 내용은 <표 1-8>과 같다.
<표 1-8> 지하수 관측연보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관측망 현황 지하수관측망 제원(위치, 시설제원 등), 관측망도

관측 자료 관측정별 지하수위·수온·전기전도도 일평균 및 연평균 자료

지하수 수질검사 관측정별 수질검사 자료


출처: 국토교통부. K-water 국가지하수정보센터(http://www.gims.go.kr). 2016. 8. 26. 검색.

(라) 국토교통통계연보
국토, 도시, 토지・주택, 건설 산업・기술, 수자원, 교통・물류, 도로, 철도, 항공 등 국
민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통계를 담고 있으며,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를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2) 환경부

(가) 환경통계연감
환경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1988년부터 발간해 왔으며, 총론, 환경 상태, 경제 활
동으로 야기되는 환경압력, 환경관리, 국제 환경통계 및 부록으로 구성된다. 국민
경제활동의 변화 추이와 환경 상태 및 관리 현황을 최근 10년간의 자료로 수록해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다.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또는 환경통계포털
(stat.me.go.kr)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환경통계연감에서 제공하는 수
자원 관련 주요 제공정보는 <표 1-9>와 같다.
<표 1-9> 환경통계연감 수자원 관련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수자원의 이용 수자원 이용 현황, 1인 1일당 물소비량 변화 추이, 지하수 이용 현황
산업별(업종별) 폐수발생량 및 방류량, 오염 부하량 현황, 수계별
수질오염물질
폐수발생량 및 방류량, 오염 부하량 현황, 공단별 폐수발생량 및
배출
방류량
수질 수질 현황, 호소수의 수질, 지하수 수질기준 초과 현황, 연안 수질
기상 및 재해 기온, 풍속, 기상, 풍수해, 기상재해, 화학물질 관련사고 현황
인구 및 국민계정 인구 추이, 시・도별 인구, 경제활동인구 현황, 총생산, 소득
농업 농지 면적 변화 추이, 전·겸업별 농가 및 농가인구, 작물생산량
환경관리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수질측정망, 폐수배출업소, 농공단지・공공 폐수종말처리시설, 분
수질관리
뇨 처리시설
상・하수도관리 상수도, 하수도, 하수 처리장 현황
상수원 보호구역 및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생태·경과보전지역
환경관리구역
현황 등
국제환경통계 주요 강별 수질 및 중금속오염, 산업별 수질오염물 방출
출처: 환경부. 환경통계포털(http://stat.me.go.kr). 2016. 8. 26. 검색.

17
(나) 상수도통계
1년간 상수도 보급 현황, 시설물 현황, 요금, 재정 등에 대한 자료를 지방자치단체
로부터 제출받아 집계한 것으로 구 건설교통부가 작성해오던 것을 1994년 이후 환
경부로 업무가 이관되어 매년 발간되고 있다.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또는
환경통계포털(stat.me.go.kr)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수도통계에서 제
공하는 주요 제공정보는 <표 1-10>과 같다.
<표 1-10> 상수도통계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급수 지역 현황 및 미급수 지역 현황, 인구, 시설용량, 급수량, 간이상
보급 현황
수도 개소 및 시설용량, 소규모 급수시설 개소, 전용 상수도 개소
취수장 현황, 정수장 현황, 1일 최대 급수량, 1일 평균 급수량, 급수구
취수장
역, 급수인구, 관련 취수장(취수원), 운영인원
연도별・지구별・월별 수돗물 공급 현황, 시설별 연 공급량 및 수익 내
광역상수도
역, 지역별 도 송수관로 현황, 정수장 현황, 수원 현황
건축물 명, 주소, 건축연면적, 처리용량, 이용수량, 설치일, 가동일, 주요
중수도시설
용도

수도관 행정구역별 수도관 현황, 기타 수도시설 현황

요금 상수도 생산성 분석 현황, 수도요금 현황


출처: 환경부. 환경통계포털(http://stat.me.go.kr). 2016. 8. 26. 검색.

(다) 하수도통계
공공하수도관리청(지방자치단체)별 「하수도법」상의 공공하수도 및 개인하수도(오
수처리시설, 정화조)를 대상으로 통계 자료를 수집하여 매년 발간되며 오수・분뇨
처리통계를 2005년부터 함께 수록하고 있다.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또는
환경통계포털(stat.me.go.kr)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수도통계에서 제
공하는 주요 제공정보는 <표 1-11>과 같다.
<표 1-11> 하수도통계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보급 현황 수계별・규모별 하수도 및 하수관거 보급 현황, 시도별 보급률
분뇨 및 연도별 분뇨처리시설, 연도별・시도별 오수처리시설 및 정화조
개인하수 처리시설 현황
하수도 재정 및
연도별・시도별 세입・세출, 연도별·시도별 하수도 요금
하수도 요금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 시도별 공공하수 처리수 재이용 현황
하수 및 분뇨슬러지
연도별 하수 및 분뇨슬러지 발생량, 처리 현황
발생・처리
주민친화시설, 기타 연도별 현황, 지방자치단체별 시설 현황, 유수지 및 유수 펌프 현황
출처: 환경부. 환경통계포털(http://stat.me.go.kr). 2016. 8. 26. 검색.

18
(라) 공장폐수의 발생과 처리
폐수배출시설 설치허가(신고)를 받은 3〜5종 사업장에서 제출한 조사표를 지방자치
단체 및 1, 2종 사업장에서 전국오염원조사 온라인 시스템(wems.nier.go.kr)에 직접
입력하고,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오류 검증・검토를 거쳐 통계 처리하여 매년 작성하
여 발간하고 있다. 개별 사업장에서 공공수역으로 배출하는 폐수방류량을 중저 조
사하고 이를 수계별 행정구역 등으로 집계하여 수록하고 있다. 환경부 홈페이지
(www.me.go.kr) 또는 환경통계포털(stat. me.go.kr)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
며, 주요 제공정보는 <표 1-12>와 같다.
<표 1-12> 공장폐수의 발생과 처리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폐수발생원 및 폐수배출업소 및 폐수량 추이, 수계별·행정구역별・업종별・사업장 규
발생량 처리 모별・허용기준 적용 지역별・폐수 처리 방법별・형태별 폐수배출 업소
현황 수, 폐수 발생 및 방류량, 유기물질(BOD) 발생 및 방류(배출)부하량
출처: 환경부. 환경통계포털(http://stat.me.go.kr). 2016. 8. 26. 검색.

(마) 가축분뇨처리통계
1994년 이전에는 오수 분뇨와 축산폐수의 처리실적과 계획으로 발간되다가 1995~2003
년까지는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처리통계로 분리하여 발간되고 있는데, 오수분뇨처리
통계는 2005년부터 하수도통계로 포함되어 발간되고, 축산폐수처리통계는 가축분뇨처
리통계로 변경되었다. 축산농가 및 사육두수 현황, 축산폐수 발생량, 처리 현황 등을
수록하고 있는데,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또는 환경통계포털(stat. me.go.kr)
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3) 농림 축산 식품부

(가)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연보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실적을 기록・보존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사업성 등 주요
농정시책 수립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한국농어촌공사에서 1955년부터 매년 발간하고
있다. 전국 시・군・구 및 한국농어촌공사 지사로부터 시설물 현황 등의 자료를 수집・분
석하여 발간된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업기반시설관리 홈페이지(rims.ekr.or.kr)를 통
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하는 주요 정보는 <표 1-13>과 같다.
<표 1-13> 농업생산기반정비 통계연보 제공정보
구분 주요 내용
농업생산기반시설 면적, 수리답면적, 수리시설 현황, 준공연도별 수리시설 현황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사업비) 농촌용수개발, 농업생산기반개량, 농지확대개발사업
농업기반정비사업 준공 및 용수개발, 준공현황, 밭기반 정비사업, 수리시설물 폐지
폐지 현황 현황
기타 수리계조직 현황, 사설수리시설 현황
출처: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기반시설관리 홈페이지(http://rims.ekr.or.kr). 2016. 8. 26. 검색.

19
(나)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농업・농촌, 임업, 식품산업, 외국 주요 통계 및 남북한 주요 통계로 구분하여 농업・농
촌은 농촌개발, 농업생산기반개선사업, 농업생산자재, 식량작물, 경제작물, 임업은 농
업 임산물 생산 및 수급, 임업 지원 등에 대한 통계를 정리하여 매년 발간하고 있다.
농림 축산 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를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4) 기타

(가) 재해연보
국민 안전처에서는 과거 재해 상황 통계를 비롯하여 자연재난 상황, 재해 상황 및
복구비 지원 내역 등을 정리하여 매년 재해연보를 발간하고 있으며, 국민 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밖에 소관 사항에 대한 재
난연감, 국민 안전처 통계연보 등 다양한 통계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 기상 연・월보
기상청에서는 전국 유・무인관측소에서 관측한 기온, 습도, 증발량, 강수량, 강우량,
강설량 등의 자료를 월보 및 연보 형태로 발간하고 있으며, 기상청 홈페이지
(www.kma.go.kr)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다) 농업면적통계, 농작물생산통계, 주요 작물 생산동향 등


통계청에서는 홈페이지(kostat.go.kr)를 통해 가축동향, 농가경제통계, 농어업법인조
사보고서, 농업면적통계, 농업조사보고서, 농작물생산통계, 양곡소비량조사보고서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통계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라) 지방자치단체 등의 통계연보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행정구역별 인구, 경지 면적 등 통계연보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산업 총 조사의 경우는 통계청 주관으로 5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2.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조사하기


하천수 사용 특성 분석을 위한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별은 <표 1-14>와 같다.
<표 1-14>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기관 간행물명 주요 내용 비고
한국수자원 수도관리연보 시설 현황, 취수원・수량・수질관리 현황 등 매년
공사 수문 자료집 강우, 수위, 유량, 수질, 댐 자료 매년
다목적댐관리연보 유역 및 시설개요, 수문기상자료, 홍수 조절, 용
수공급, 매설계기, 수질관리 및 발전 현황, 전자 매년
통신설비운영관리, 선박운항 현황 및 유지관리
댐운영 실무편람 월별수문 및 용수공급 현황, 홍수위, 월별강우
량 및 유입량, 빈도별 강우량 및 홍수량, 저수
매년
지 운영실적, 관측소 현황, 다목적댐 운영 관
련 관계식, 수질, 재해대책

20
<표 1-14>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계속)
기관 간행물명 주요 내용 비고
한국산업 산업입지요람 산업입지 관련 정책, 법령, 제도, 현황 등 격년
단지공단 산업입지 산업입지 및 클러스터 관련 논단, 입지동향, 계간
정책동향 (연 4회)
산업단지 현황지도 지역별, 유형별 산업단지 위치 매년
출처: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http://www.kwater.or.kr),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http://www.e-cluster.net).
2016. 8. 26. 검색.

3. 이수시설물 조사하기

(1) 하천수 사용시설 현황


하천수 사용시설의 경우 그 소유 또는 관리자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법인・개인 등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시설관리자 또는 소유자를 통한 자료 수집은 곤란하다. 따라서
공공 데이터 포털을 이용하거나 관할 허가청의 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하천수
를 사용하려는 경우「하천법」제50조에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득하도록 하고 있으
며,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권은 관할 홍수통제소장에게 위임되어 있다. <표 1-15>는
2015년 허가건 기준 전국 권역별, 수계별 하천수 사용시설 현황이다.
<표 1-15> 하천수 사용시설 현황(2015년 기준)
권역 수계 허가건수 허가량(m3/일) 관할 홍수통제소
계 1,941 255,886,217
한강 한강 394 106,017,700 한강홍수통제소
안성천 57 3,258,952
한강서해권 2 66
한강동해권 25 234,743
낙동강 낙동강 554 81,365,697 낙동강홍수통제소
형산강 32 514,480
태화강 7 86,870
회야・수영강 13 61,720
낙동강동해권 4 17,220
낙동강남해권 5 3,134
금강 금강 284 43,555,167 금강홍수통제소
삽교천 68 447,320
금강서해권 32 133,718
만경·동진강 94 5,463,518 섬진강홍수통제소
섬진강 섬진강 134 2,968,384
섬진강남해권 12 357,800
영산강 영산강 202 11,172,909
탐진강 18 133,341
영산강서해권 4 93,478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한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http://www.hrfco.go.kr).
2016. 8. 26. 검색.

21
(2) 지하수이용시설 현황
지하수이용시설의 경우 소유 또는 관리자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공공 데이터 포털,
지하수 조사연보 등을 활용하거나 관할청의 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표 1-16>
은 2014년 허가 형태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이다.
<표 1-16>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2014년 기준)
구분 계 허가시설 신고시설 경미 및 기타 시설
지하수시설수(공) 1,562,921 31,960 1,280,958 250,003
비율(%) 100 2.0 82.0 16.0
지하수이용량(백만m3/연) 4,085 664 3,033 387
비율(%) 100 16.3 74.2 9.5
출처: 국토교통부(2015). 『2015 지하수 조사연보』. 국토교통부. p.6.

(3) 댐・저수지 현황

수원시설 현황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농어촌공사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홈페이지, 통계 자료, 업무협조를 통해 수집한다. 각 기관은 관련 법령에 따라 관
할 댐・저수지를 관리하고 있으며, <표 1-17>은 2013년 기준 댐・저수지 현황이다.
<표 1-17> 댐・저수지 현황(2013년 기준)
구분 권역명 댐・저수지명
다목적댐 한강 소양강, 충주, 횡성
낙동강 안동, 임하, 합천, 남강, 밀양, 군위, 부항
금강 대청, 용담, 보령, 부안
섬진강 섬진강, 주암, 주암(조)
영산강 장흥
발전전용댐 한강 화천, 춘천, 의암, 청평, 괴산, 팔당, 청평양수, 도암
낙동강 삼랑진양수, 산청양수
금강 무주양수
섬진강 보성강
생공용수전용댐 한강 광동, 달방
낙동강 운문, 영천, 가창, 공산, 회야, 대곡, 사연, 대암, 안계, 감포,
연초, 구천, 선암, 회동
섬진강 동복, 수어
영산강 평림
기타 35개 지방자치단체 관할 생공용수 전용댐
하굿둑 및 담수호 한강 아산호, 남양호
낙동강 낙동강하굿둑
금강 금강하굿둑, 삽교호, 간월호, 대호호, 홍성호, 보령호
영산강 영산강하굿둑, 영암호, 금호호
농업용저수지 낙동강 성주
섬진강 동화
영산강 장성, 담양, 광주, 나주
기타 전국 1만 7,643개 농업용 저수지
출처: 국토교통부(2013). 『통계로 보는 한국의 수자원』. 국토교통부. pp.372-374.

22
󰊲 이수시설물에 대한 물이용 취약 현황 조사하기
하천수 사용시설별 취수가 가능한 최저수위를 조사한다. 댐・다기능보・하굿둑 관리구역에
위치한 하천수 사용시설은 취수 가능수위가 시설물관리수위에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를 함께 검토한다. 하천수 사용시설 중 하천수위 저하로 인해 안정적으로 취수가 불
가능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사한다. 이 경우 일일 생활 5,000㎥, 공업 1,000㎥, 농업
8,000㎥의 일정규모 이상 하천수 사용자의 경우 「하천법」제5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0
조에 따라 매월 하천수 사용 계획 및 실적 자료를 관할 홍수통제소장에게 보고하도록 하
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지하수이용시설에 대해서는 하천변 지하수위가 감소하
여 안정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할 수 없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사한다. 하천수 사용시설
및 지하수이용시설에 대해 염분 농도, 하구 막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유수소통에 지장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취수가 불가능했던 시기와 해당시설을 조사한다. <표 1-18>은 상한・
관리・하한 등의 다기능보 관리 기준수위와 어도・취수・양수장 등의 제약수위이다. 여기서,
하한수위란 보관리를 위한 최저수위이다.
<표 1-18> 다기능보 기준수위 및 제약수위
수계 다기능보 기준수위(El.m) 제약수위(El.m)
상한 관리 하한 취·양수장 어도
한강 강천보 38.50 38.00 35.2 36.5 37.5
여주보 33.50 33.00 31.7 31.8 32.7
이포보 28.50 28.00 25.3 25.6 27.8
낙동강 상주보 47.50 47.00 43.6 45.0 46.6
낙단보 40.50 40.00 37.4 39.0 39.5
구미보 33.00 32.50 22.6 31.5 31.7
칠곡보 26.00 25.50 24.5 25.0 25.1
강정고령보 20.00 19.50 14.9 18.0 19.0
달성보 14.50 14.00 6.6 11.4 13.7
합천창녕보 11.00 10.50 2.3 7.5 9.9
창녕함안보 5.50 5.00 1.5 4.4 4.4
금강 세종보 12.30 11.80 8.2 3.0 11.5
공주보 9.25 8.75 2.6 10.8 8.7
백제보 4.70 4.20 1.0 8.5 4.0
영산강 승촌보 8.00 7.50 2.5 6.0 7.2
죽산보 4.00 3.50 1.5 2.0 2.9
출처: 국토교통부(2014). 『수질・녹조 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국토교통부. p.23.

23
󰊳 이수 계획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검토하기
수자원 관련 최상위 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기조를 검토한다. 2011년 수립된 수자
원장기종합 계획의 비전은 2020 녹색국토를 위한 물강국 실현이며, 물이용 종합 계획의 추
진목표는 사람과 자연에 맑고 충분한 물 공급이다. 또 제한된 수자원과 자연환경을 다음
세대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이용하자는
데 계획의 의의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하천 기본 계획 수립 시 안정적이고 합리적으
로 하천수를 사용하고,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수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2.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검토하기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2015)에서는 물이용이 타인의 권리와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지
아니하고, 이수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모든 국민이 그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수립되며 생활・공업・농업・발전・주운・환경개선 등 인위적 필요에 의해 사용되는 하천수 사
용과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유지를 위해 하천에 흘러가야 하는 하천유지유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기본 방향을 설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3. 기본 방향 설정하기
이수 계획 기본 방향 설정은 수자원의 개발, 이용, 관리, 보전에 대하여 기본적인 계획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기조에 맞춰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
침에 따라 갈수 시에도 하천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해당 유역의 하천수 공급 계통
을 검토하여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하천수를 사용하고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또 상수도의 취수원으로 사용되는 하천의 경우 취수구 높이에 따
른 제약 사항이 있을 경우 해당 취약 현황이 개선되도록 하고, 상수도 보급률이 낮을 경
우 보급률이 상향될 수 있도록 하는 등 해당 하천의 이수 특성 조사 및 취약 현황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수행 tip

• 기초 자료의 경우 정부승인 통계 자료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물이용시설의 경우 소유 및 관리자가 다양하여 수집
이 곤란한 경우는 해당 허가기관의 협조를 받아 자
료를 수집한다.
• 해당 하천의 물이용 특성 조사 및 취약 현황을 파악
하여 기본 방향 설정 시 반영한다.

24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이수 계획 수립을 위해 하천법령의 하천수 사용 및 배분의 원칙을 설명한다.

• 수리권 관리를 위해 하천수 사용제도 전반을 이해할 수 있도록 수자원의 개념, 공물로서의 하천
수, 「민법」에 의한 관행수리권, 「하천법」에 의한 허가수리권, 「댐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댐 사용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이수 계획 및 관리와 관련하여 법령, 규정 및 매뉴얼 등을 수집하여 이해하고,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등 법정 계획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 자료 수집 시 원칙적으로 국가승인 통계간행물을 활용하도록 하고, 관할 기관 협조를 통해 하천수


사용시설, 하천수 사용량, 지하수이용시설, 지하수이용량 및 취수제약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이수 계획 대상하천에 대한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이수 계획의 기본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하천수 사용이 타인의 권리와 공익을 침해하지 아니하고 물 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사용되
며 모든 국민이 그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수립되어야 하는 하천수 사용 및 배분의 원칙을
이해한다.

• 이수 계획의 핵심인 수리권 관리를 위해 하천수 사용제도 전반을 이해할 수 있도록 수자원의
개념, 공수로서의 하천수 및 권리 측면에서 하천수 사용 개념을 파악한다.

• 이수 계획 및 관리와 관련하여 법령, 규정 및 매뉴얼 등을 파악하고, 해당 하천과 관련된 기


수립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등 법정 계획을 파악한다.

• 국가승인 통계간행물을 수집하고, 해당 하천의 관할 기관을 파악하여 하천수 사용시설, 하천수


사용량, 지하수이용시설, 지하수이용량 및 취수제약 현황을 파악한다.

• 이수 계획 대상하천에 대한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이수 계획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25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자원, 공물, 권리 측면에서 하천수 개념을 살펴보고,
하천수 사용제도 하천수 사용의 권리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검토 -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댐사용권 등의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하천수 사용제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이수시설물, 하천수 사용량 및 지하수이용 현황 조사
등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 하천수 사용시설별 취수가 가능한 최저수위 등 하천
하천수 사용 특성 수 사용 제약 조건의 파악을 통해 물이용 취약 현황
분석 을 검토할 수 있다.
- 인위적인 필요에 의한 용수 사용과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유지를 위한 하천유지유량을 고려하여 이수 계획
의 기본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일반적인 하천과 법령에서의 하천과의 차이점을 설명
하천수 사용제도 하고 하천수의 권리관계를 설명
검토
- 우리나라 하천수 사용제도를 이해하고 설명

-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한 기초 자료의 수집 방법을 설명

- 생활용수 등 취수시설의 취수제약수위 등 구체적인 하


하천수 사용 특성
천수 사용 제약 조건을 설명
분석
- 하천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을 고려하여 이수 계획 기본
방향 설정 시 필요한 사항을 설명

26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일반적인 하천과 법령에서의 하천과의 차이점, 하천수
하천수 사용제도 의 권리관계의 이해 여부
검토
- 권리관계를 중심으로 하천수 사용제도의 숙지 여부

- 기초 자료의 구체적인 수집 방법의 숙지 여부

- 댐, 보 등 하천시설 운영에 따른 취수제약 조건 등을


하천수 사용 특성
구체적으로 설명
분석
- 하천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을 고려하여 이수 계획
기본 방향 설정 시 필요한 사항을 설명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하천수 사용 권리관계에 대하여 보충하여 설명한다.
- 하천수 사용제도에 대해 관련 법령을 제시하여 보충하여 설명한다.
- 자료 수집 및 활용, 하천 수위에 제약을 받는 취수시설의 특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준거를 제공한다.
- 지하수 사용제도에 대해 관련 법령을 제시하여 보완 설명하도록 한다.
- 하천수 사용제도를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자료 수집 방법을 보완 설명하도록 한다.

27
학습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1)

이수 특성 분석하기
학습 2
(LM1402010705_14v2.2)
학습 3 용수 수요량 산정하기(LM1402010705_14v2.3)
학습 4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4)
학습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5)

2-1. 하천 유황 분석

• 유역의 평균 강수량, 유출률 등을 이용하여 수자원 총량 및 수자원 부존량을 산


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등에서 제시한 일 자연유량을 이용하여 유황 및 빈도 분석
을 실시하여 자연 상태의 기준갈수량, 평균 갈수량 등 기준유량을 산정할 수 있
다.

필요 지식 /

󰊱 수자원 부존량의 이해

1. 평균강수량
해당 하천 유역의 평균강수량은 해당 유역의 강수량관측소의 가용한 전자 자료를 이용하
여 산정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을 1,277.4㎜로 제
시하고 있다.

2. 유출률 계산
유출률은 해당 유역의 강수량에 대한 유출량의 비율이다. 장기간의 유출량 자료를 보유하
고 있는 경우에는 실측 자료를 그대로 이용하면 되나 미계측 등으로 인하여 곤란한 경우
에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산정한다. 장기유출량 산정 방법에는 수위-
유량관계식 이용, 저수지 유입량 자료 이용, 비유량법, 가지야마 방법, KRISH 모형, 탱크
모형, NWS-PC 모형 등이 있다.

3. 수자원 부존량 산정
해당 유역에서의 평균 강수량에 유역 면적을 곱하여 수자원 총량을 산정할 수 있으며, 수
자원 총량에 유출률을 곱하여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한다. 충분한 자료를 얻기가 어려운

28
소하천의 경우 일반적으로 60%의 유출률을 사용하여 유출량을 산정한다(하천설계기준・해
설, 2009).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 따르면 연평균강수량에 국토 면적과 북한 지역 유
입량을 포함한 수자원총량은 연간 1,297억㎥으로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은 58%인 753억㎥
으로 명시하고 있다.

󰊲 갈수량 산정

1. 갈수량의 정의 및 종류
갈수 특성은 관측 지점에서 유황 곡선이나 감수 곡선, 연 또는 계절별 최소유량으로 나타
내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연중 하천유량의 크기와 기간을 초과확률별로 나타내는 유황 곡
선을 이용한다. 갈수량 산정은 1년간의 유량 계열을 크기순으로 배열하여 원하는 특정 유
지일수를 갖는 유량을 추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유황 분석으로 하천유량의 연간 분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하천유량의 특성치는 연중 유지일수에 따라 <표 2-1>과 같이 갈수
량, 저수량, 평수량 및 풍수량 등이며, 연중 각각 355일, 275일, 185일 및 95일을 흐르는
유량이다.
<표 2-1> 유황 분석에 의한 유량의 구분과 유지일수
구분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
유지일수 355일 275일 185일 95일
초과확률 97.3% 75.3% 50.7% 26.0%

(1) 기준갈수량
최근 10년간의 연도별 갈수량 중에서 최저 1위 또는 2위에 해당하는 10년 빈도 갈수
량으로서 분석기간 동안의 매년 갈수량을 빈도 분석하여 비 초과확률 10%에 해당하는
갈수량 또는 자료기간 10년의 갈수량 중에서 제일 적은 유량이다.

(2) 평균갈수량
연도별 유량지속기간 곡선 또는 유황 곡선에서 355일에 해당하는 유량이다. 1년 중
355일 흐르는 최소유량으로 자료 기간년의 갈수량을 빈도 분석하여 빈도 2.33년에 해
당하는 유량 또는 매년의 갈수량을 산술평균한 유량이다.

(3) 10년 빈도 7일 갈수량


연중 지속기간 7일간의 연속유량을 구하여 평균한 후 가장 작은 평균유량을 그 해의
최저일 갈수량으로 하고 이들 최저치를 빈도 분석하여 비 초과확률 10%에 해당하는
유량이다.

(4) 95% 10일 평균 갈수량


영국에서 사용되는 갈수지수로 10일간의 유량 평균을 이용하여 작성한 유량지속기간
곡선에서 초과확률 95%에 해당하는 유량이다.

29
(5) 미계측 유역의 갈수량
과거 유량 자료가 충분하지 않거나 관측되지 않은 미계측 유역에 대한 갈수량 산정은
대상 지점의 상류나 인근에 위치한 주요 수위관측소의 갈수량을 이용하여 관측 지점
의 비유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갈수량 산정 방법 및 절차
갈수량은 기본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하천에 흐르는 유량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일반적인
갈수량 산정 방법 및 절차는 [그림 2-1]과 같다.

[그림 2-1] 갈수량 산정 방법 및 절차

(1) 수위관측소 선정
기준 지점에 해당하는 수위관측소를 선정한다. 기준 지점이란 하천유지유량에 이수유
량을 고려한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하는 지점으로 해당 하천의 유량 상황을 대표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수문 자료가 충분하여야 하며, 평소에 유량관측을 실시하여 수위-유
량 곡선식이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물수지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상・하류의 취수・방류
등을 고려하고 감조구간이나 하굿둑 등 배수영향구간은 제외한다.

(2) 수위 자료 수집・추출
수위-유량 곡선식의 경우 갈수량 산정 시 필요한 저수부분에서의 유량 자료의 신뢰도
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우선적으로 수위의 변화 양상과 적용할 수 있
는 수위-유량 곡선식을 검토하여 유량 환산에 적용하거나 유량 측정 성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 곡선식을 작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갈수량 자료의 분석대상기간은 인위적
인 조절이 없는 자연유량을 이용하는 것이 원칙으로 댐 등에 의해 갈수기 유량에 영
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지점에 대해서는 댐 개발 전후를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다.

(3) 일수위 자료 수정・보완


기준 지점의 일수위 자료에 대한 자료의 변화 및 경향상 문제점을 확인한다. 연도별
일수위 자료의 연속성을 확인하여 일수위 자료 중 며칠간에 걸쳐 급격한 하락이나 상
승, 함몰 현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인 연수문 변화와 일시적인 수문 변화 양상을 보여
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불확실한 수위 변화가 있는 지점의 자료는 상・하
류의 동시 수위 자료 및 하천취수량 등의 자료를 검토하고 강우 발생 여부를 고려하
여 정상적인 지점의 변화 양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여야 한다.

(4) 지점별 갈수위 추출


하천유지유량 산정의 기본이 되는 기준갈수량과 평균 갈수량 분석을 목적으로 선택된
기준 지점들에 대한 갈수량 산정을 위해 매년 유황 곡선에서 97.3%에 해당하는 유량

30
으로 매년 355일이 유지되는 수위를 추출한다. 이때 전체적으로 갈수기의 수위거동을
확인하여 갈수위 수위가 갑작스러운 변화를 보이는 경우에는 해당연도의 자료의 일관
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외한다.

(5) 수위-유량 곡선 검토
갈수량 산정에 적용한 수위-유량 곡선식이 적절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상 지점에
대하여 유황 분석을 하고 하천 상・하류 전체의 물수지가 균형을 이루는지를 검토하여
야 한다. 저수유량 산정이 적절한지를 검토하고 필요시 수위-유량 곡선을 재작성하여
야 한다. 수위-유량 곡선식의 선정 방법은 우선 수위관측소가 있는 기준 지점에 대해
개발연도부터 최근까지 개발된 수위-유량 곡선식을 적용하여 유량을 환산한 다음 갈
수위에 해당하는 유량의 변화를 파악한다. 기본적으로 갈수량 산정을 목적으로 작성된
수위-유량 곡선식을 이용하되, 음의 유량 또는 유역 규모로 보아 0이나 현저하게 적은
갈수량이 나타나는 수위-유량 곡선식, 갈수량이 유역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크게 나타
나는 수위-유량 곡선식, 현재까지 측정된 일평균 수위가 지정된 수위 범위를 벗어나서
갈수량이나 홍수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식은 제외한다. 일차적으로 제외시키고 남은 수
위-유량 곡선식을 검토대상으로 하고, 상류댐 개발로 인한 해당 지점의 갈수위 변화가
예상되는 연도를 고려하여 개발연도와 적용연도를 전후로 해서 2개의 수위-유량 곡선
식을 분리 또는 일정하게 적용하는 유량 환산과정을 채택한다. 또 유량 환산 시 수위-
유량 곡선식의 적용연도를 1월을 중심으로 검토하되 그 편차가 큰 경우에는 그 해당
연도 7월부터 다음 식의 적용연도 6월까지로 한다. 이는 갈수 자료의 일관성을 유지하
기 위한 것으로 유량 산정 시 갈수기인 10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적용하는 수위-유
량 곡선식이 틀리면 전연도 10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수위 자료가 일관성이 있어도
유량의 일관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6) 갈수량 빈도 해석
최근 10년간의 연도별 갈수량 중에서 최저 1위 또는 2위에 해당하는 10년 빈도 갈수량
으로서 분석기간 동안의 매년 갈수량을 빈도 분석하여 비 초과확률 10%에 해당하는
갈수량 또는 자료기간 10년의 갈수량 중에서 제일 적은 유량인 기준갈수량을 산정한
다. 평균 갈수량은 연도별 유량지속기간 곡선 또는 유황 곡선에서 355일에 해당하는
유량, 즉 1년 중 355일 흐르는 최소유량이다. 자료 기간년의 갈수량을 빈도 분석하여
빈도 2.33년에 해당하는 유량 또는 매년의 갈수량을 산술평균하여 평균 갈수량을 산정
한다.

31
수행 내용 / 하천 유황 분석하기

재료·자료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수문 조사 업무규정,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 관리 규정, 수질・녹조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규정, 기준 및 매뉴얼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 서비스, 물 환경 정보
시스템, 상하수도 종합정보 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
관리, 농촌지형정보 시스템, 농촌지하수넷, 농업토양정보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SW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
유출 모형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한다.

1. 강수량 산정하기

(1) 강수량 자료 수집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수집된 국토교통부의 한국수문조사연보, 기상 연・월보 등 정부

32
승인 통계간행물을 기본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의 자료도 함께 수집하여 활용한다. <표
2-2>는 한국수문조사연보에 공인을 통해 수록된 2014년 기준 권역별・기관별 강수량관
측소 현황이다.
<표 2-2> 강수량관측소 현황
(단위: 개소)
권역 계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기상청 한국수력원자력
계 693 422 171 93 7

한강 233 147 57 23 6

낙동강 235 137 66 32 0

금강 127 85 28 14 0

섬진강 56 29 16 10 1

영산강 36 24 4 8 0

기타 6 0 0 6 0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한국수문조사연보 2014』. 국토교통부. p.5.

(2) 평균 강수량 산정
유역의 평균 강수량은 강수량관측소의 지점 강수량을 수집하고, 산술평균법, Thiessen법,
등우선법 등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표 2-3>은 2015년 기상청의 강수량관측소에
대해 평년(1981~2010년) 대비 2015년 평균 강수량을 Thiessen법을 활용하여 산정·비교
한 표이다. 2015년 5대강 평균강수량은 897.7㎜로 평년 대비 68%의 적은 강수량을 기록
하였다. [그림 2-2], [그림 2-3]은 각각 2015년 누가강수 및 평년 대비 누가강수 현황이
다.
<표 2-3> 수계별 평균강수량
(단위: mm)
수계 평년 2015년 비율(%)
5대강 평균 1,310.9 897.7 68

한강 1,358.7 871.3 64

낙동강 1,213.9 899.3 74

금강 1,298.0 835.0 64

섬진강 1,440.8 1,031.5 72

영산강 1,352.7 1,137.5 84

33
[그림 2-2] 2015년 누가강수 현황도(mm) [그림 2-3] 평년 대비 2015년 누가강수 현황(%)

2. 유출률 결정하기

(1) 유량 자료 수집
해당 유역 연평균유출량 산정을 위해 수위관측소의 일 수위나 일 유량 자료를 수집한
다. 이수 특성 조사를 통해 수집된 국토교통부의 한국수문조사연보, 기상 연・월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을 기본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의 자료도 함께 수집하여 활용한다.
<표 2-4>는 한국수문조사연보의 공인을 통해 수록된 2014년 기준 권역별·기관별 수
위관측소 현황이다.
<표 2-4> 수위관측소 현황
(단위: 개소)
국토
권역 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환경부 한국수력원자력
교통부
계 629 476 140 4 2 7
한강 176 142 68 0 0 6
낙동강 194 124 19 0 2 0
금강 153 130 20 4 0 0
섬진강 51 30 5 0 0 1
영산강 55 50 5 0 0 0
출처: 국토교통부(2015). 『한국수문조사연보 2014』. 국토교통부. p.225.

(2) 유출률 산정
수집된 해당 유역의 강수량에 대한 유출량의 비율을 유출률이라 하며, 유출률은 유역
면적과 강수량의 곱을 유출량으로 나누어 산정할 수 있다. 유출량 산정을 위해서 수집

34
된 수위관측소의 일 유량 자료를 활용하여 연평균유출량을 산정한다. <표 2-5>는 2015
년 수계별 대표 수위관측소의 예년(2005~2014년) 대비 2015년 지점별 유출 현황이다.
<표 2-5> 수계별・지점별 유출 현황
(단위: 억m3)
수계 예년 2015년 비율(%)
5대강 합계 363.99 154.64 42
한강[서울시(한강대교)] 177.68 50.75 29
낙동강(진동) 103.50 61.55 59
금강(공주) 42.01 21.75 52
섬진강(송정) 24.56 11.04 45
영산강(나주) 16.24 9.55 59

2015년 5대강 유출량은 약 155억㎥으로 예년 대비 42%로 매우 적은 양을 기록하였다.


자료의 신뢰도 저하 등으로 관측 자료 활용이 곤란한 경우에는 가지야마(Kajiyama) 공
식, 비 유량법 및 탱크(Tank) 모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수자원장기
종합 계획(2011)에서는 1966~2007년의 유역별, 일별 유출량 자료를 토양수분 저류구조
탱크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이를 빈도 분석하여 권역별・빈도별 유출량을 산정하였
고, 우리나라 유출률을 58%로 제시하고 있다.

3. 수자원 부존량 산정
해당 유역의 연평균강수량에 유역 면적을 곱하여 수자원 총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수자원
총량에 유출률을 곱하여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할 수 있다. <표 2-6>은 논산천 유역에 대
해 연평균강수량을 1,334.97mm, 유역 면적 665.02㎢ 및 유출률 56.82%를 적용하여 수자원
총량 및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한 예이다.
<표 2-6> 수자원 총량과 수자원 부존량
유역 면적 연평균강수량 수자원 총량 수자원 부존량
유역명 비고
(km2) (mm) (백만m3) (백만m3)
논산천 665.02 1,334.97 887.78 504.44 유출률 56.82%

󰊲 하천 유황을 분석한다.

1. 유황 곡선 작성하기
해당 지점에서의 가용할 수 있는 유량의 규모와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황 곡선을
작성해야 한다. 예로 자료기간 2005~2014년에 대한 팔당댐 상류 여주시(여주대교) 수위관
측소의 유황 곡선을 도시하였다. 여주시(여주대교) 지점의 유황 곡선 도시를 위해 먼저,
일수위는 해당기간 동안의 1시부터 24시까지 매시 수위 자료를 평균하여 산정하고, 이류
량은 1시부터 24시까지의 수위에 상응하는 유량 자료를 평균하여 산정한다. 연도별 일유
량을 순위별 초과확률에 대해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초과확률에 대해 해당 자료기간의

35
일평균유량을 도시하여 유황 곡선을 작성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자료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자료 생산기관을 통해 취득한 자료를 산정 절차별로 검토하여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일 수위, 일 유량 및 갈・저・평・풍수량 등 통계 자료는 한국수문조사연보를 통해서도
취득할 수 있다. <표 2-7>에 유황 곡선 작성을 위해 여주시(여주대교) 지점의 일 유량계열
을 작성하였으며, 유황 곡선은 [그림 2-4]와 같다.

[그림 2-4] 여주시(여주 지점) 유황 곡선(2005~2014년)

2. 기준갈수량 결정하기
실무에서 하천설계 이수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기준갈수량은 일관성 확보를 위해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산정하며, 2009년 작성・배포된 하천
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에는 하천의 가용유량 판단을 위한 물수지 분석을 위해 수자원단
위지도의 표준 유역별 기준갈수량을 산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해당 매뉴얼에서는 수자원
장기종합 계획(2006)에서 사용된 37년간(1967~2003년)의 자료를 2005년까지 확장하여 표준
유역별로 10년 빈도 갈수량을 산정하였으며, 해당 기준갈수량이 수자원 여건 변화 등으로
재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완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제시된 기준갈수량 산정 절차
를 [그림 2-5]에 도시하였다.

36
<표 2-7> 여주시(여주대교) 지점 일유량계열(2005~2014년)
순위 초과확률(%) 2005년(m3/s) … 2014년(m3/s) 일평균유량(m3/s)
1 0.273973 2187.80 … 684.84 3941.36
⋮ ⋮ ⋮ … ⋮ ⋮
95(풍수량) 26.0274 198.04 … 140.51 252.77
⋮ ⋮ ⋮ … ⋮ ⋮
185(평수량) 50.68493 157.00 … 127.76 186.32
⋮ ⋮ ⋮ … ⋮ ⋮
275(저수량) 75.34247 142.53 … 107.62 140.24
⋮ ⋮ ⋮ … ⋮ ⋮
355(갈수량) 97.26027 137.00 … 82.34 110.50
⋮ ⋮ ⋮ … ⋮ ⋮
365 100 108.96 … 82.34 110.50

[그림 2-5] 기준갈수량 산정 절차

수행 tip

• 해당 유역의 연평균강수량에 유역 면적을 곱하여 수


자원 총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수자원총량에 유출률
을 곱하여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한다.
• 일 수위, 일 유량을 산정하고 초과확률에 대한 일평
균유량을 도시한 유황 곡선을 작성하여 하천 유황을
분석한다.
• 해당 유역의 기준갈수량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
뉴얼에서 제시된 기준갈수량 산정 방법을 참조하고,
제시된 표준 유역별 기준갈수량을 활용한다.

37
2-2. 하천관리유량 산정

• 지류유입량, 하천수 사용량 및 회귀량, 댐방류량 등을 고려하여 기고시 된 하천


유지유량과 이수유량의 합으로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수위관측소별로 가용한 최근 10년간의 관측유량과 해당 하천유지유량, 하천관리
유량을 비교하여 연도별 부족일수와 부족량을 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유지유량 검토
생활・공업・농업・환경 개선・발전・주운 등의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으로, 하도 구분에서 각 필요유량을 동
시에 만족하는 유량에 대해 기준 지점에서 기득허가량을 고려하여 기준갈수량 범위 안에
서 정한 유량을 말한다. 자연 환경보전을 위해 하천별로 필요 항목을 선정하고, 항목별・구
간별 최대 필요유량을 하천유지유량으로 결정하게 되며, 현재 확보가 가능한 양과 새로이
확보가 필요한 양으로 나누어 산정하여 중앙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도록 하
고 있다.
1999년 이전에는 「하천법 시행령」제10조에 따라 하천정비 기본 계획을 통해 하천하구
등에 산정되었으며, 한강수계(하구, 한강대교, 여주, 달천하구), 낙동강수계(하구, 진동, 고
령교, 금호강), 금강수계(하구, 갑천), 만경강수계(하구) 및 섬진강수계(송정) 등이다. 1999년
「하천법」전면개정에 따라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으며, 2000년 중앙하천관리위원회 조건
부 가결 조건에 따라 2006년 5개년 동안 일 유량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검증 결과를
보고하며 한강수계 2개 하천, 9개 지점, 낙동강수계 9개 하천, 17개 지점, 금강수계 4개 하
천, 11개 지점, 섬진강수계 4개 하천, 11개 지점, 영산강수계 5개 하천, 12개 지점 등 전국
60개 지점에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되었다.
아라천이 국가하천으로 지정됨에 따라 아라천의 한강갑문 지점에 하천수질 및 염수침입방
지를 위해 10㎥/s가 고시되었다. 2008년 「하천법」전면개정에 따라 2009년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을 개정하고, 5대강 본류를 제외한 2015년 65개 하천, 76개 지점에 대해 중앙하천
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추가로 관보에 고시하여 기존 25개 하천, 61개 지점에서 2015 말
현재 71개 하천, 113개 지점으로 확대되었다. <표 2-8>은 하천유지유량 권역별 고시 현황
을 2015년 전・후로 비교한 표이다.

38
<표 2-8> 하천유지유량 권역별 고시 현황
권역 2015년 이전 2015년
총 25개 하천, 61개 지점 총 65개 하천, 76개 지점
총계 (본류외) 20개 하천, 25개 지점 (재산정) 19개 하천, 22개 지점
(본류) 5개 하천, 36개 지점 (신규) 47개 하천, 54개 지점
한강권역 3(2)개 하천, 10(4)개 지점 21개 하천, 26개 지점
낙동강권역 9(8)개 하천, 17(9)개 지점 24개 하천, 27개 지점
금강권역 4(3)개 하천, 11(3)개 지점 9개 하천, 10개 지점
섬진·영산강권역 9(7)개 하천, 23(9)개 지점 11개 하천, 13개 지점
주) 기 고시의 ( )는 본류를 제외한 하천수 및 지점수

󰊲 이수유량 검토

1. 기본 방향
해당 하천의 하천수 사용량의 구간별 시기별 상황을 조사·검토한다. 하천수 사용량은 하
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하천유지유량 등 하천의 기준이 되는 유량을 적정하게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또 수리권 조사 자료 등을 검토하여 추가적인 수리권량도 함께 파악하는 것
이 필요하다. 실무적으로는 표준 유역별 기준갈수량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에
서 제시하고 있는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일 자연유량에 대해 연 갈수량 계열을 정리하고
빈도 분석하여 산정한 10년 빈도 갈수량을 활용하고, 하천수 사용시설별 허가량 및 실적
량 등 이수유량은 공공 데이터 포털을 이용하거나 관할 허가청인 홍수통제소의 협조를 통
해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한다.

2. 산정 방법

(1) 하천수 사용량 기간별 산정


농업용수와 같이 관개기(4~9월)와 비관개기(10~3월)에 따라 하천수 사용량이 다를 경우
하도구간별 취수량을 기간별로 정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는 하도구간별 취수량을 기
간별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무에서 하천수 사용 실적량 자료가 충분하지 않
은 경우에는 하천관리유량 산정 시 허가량을 기준으로 정리하여 활용할 수 있다.

(2) 기간별・지점별 하천수 사용량 결정


각종 용수의 취수 위치 및 취수량을 하천의 기점에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정리하고, 각
각의 지점에 있어서 하천수 사용량을 시기별로 결정한다. [그림 2-6]은 하천횡단에 따
라 하도구간별로 취수량을 정리하고 지점을 선정하여 하천수 사용량을 산정한 예이며,
자료 정도에 따라 취수율을 고려한 취수량을 수직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지점별
순별 사용 현황은 하천관리를 위한 기준유량 산정 및 평가 시에 검토 자료로 용이하
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하천관리 특성을 감안할 때 댐용수와 자연 하천수는 구분하여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무에서는 해당 하천의 시・종점, 지천의 유입・방류 및 하천

39
수의 취수・분류를 표준 유역과 기준 지점이 되는 수위관측소 등을 고려하여 하도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2-6] 하도구간별 하천수 사용량 산정

(3)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 설정


원칙적으로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제외한 양을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으
로 설정한다. 이때 하천유지유량이 기준갈수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하천유지유량
에 대해 현재 확보된 양과 장래 확보가 필요한 양의 구분이 필요하다. 실무에서는 고
시된 하천유지유량을 활용하며, 상류에 하천유지유량이 미 고시 된 하도구간에 대해서
는 기준갈수량을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으로 설정한다.

(가) 기준갈수량 산정
관측유량으로부터 갈수량을 산정한 후 하천수 허가량에 대한 순물소모량을 더해
자연유량으로 환산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하천수 사용허가량이 하천수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량으로 실제 사용과는 다르다는 점에서 비합리적이다. 자연갈수량은
일 자연유량으로부터 산정되어야 하므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및 기존 하천수 사
용허가관리 시 사용된 방법을 기본으로 검토하여 산정하되 필요시 보완한다. 자연
하천의 기준갈수량을 중권역 별로 설정하고 표준 유역별 기준갈수량 관계를 유도
하여 관측소별로 확장하여 사용한다. 실무에서는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 유역별 기준갈수량을 필요시 보완하여 활용한다. 모형을
통해 산정되는 계획상의 하천관리 기준유량은 합리적인 하천관리를 고려할 때 관
측유량 기반으로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천의 해당 지점에서 산정된
가용유량은 상류에서 댐 등의 수원에 관계없이 모든 물 사용이 이루어진 후 산정
지점에서 가용할 수 있는 유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설관리자 등의 합리적인 관계
설정과 현실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40
(나)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 설정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제외한 양을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으로 설정한
다. 이는 수자원 계획 시 갈수 시도 인위적인 물 사용에 대해 하천유지유량을 확보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계획 측면을 고려한 것이고, 하천관리 측면에서는 갈수 시
하천유지유량은 용수배분의 우선순위에서 후순위 수리권이므로 이의 해소를 위해
서는 향후 하천의 저유량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면서 관측유량 기반으로 하천관
리 기준유량이 개선되어야 한다.

󰊳 하천관리유량 산정
산정된 하천유지유량, 취수・방류량, 지천유입량, 댐의 하천유지용수, 기준갈수량을 고려하
여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하고, 하천관리의 기준 지점을 설정한다.

1. 기간 구분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기간 구분된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량 등을 고려
하여 기간별로 하천관리유량과 기준 지점을 설정한다.

2. 기준 지점 설정
하천관리 기준유량을 산정하는 기준 지점은 하천수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 기준이 되
는 지점으로 본류 및 주요 지천에 선정한다. 기준 지점은 해당 하천의 유황을 대표할 수
있고, 갈수 및 저수관리를 적정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지점으로 가능한 한 기존
의 수문 자료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고, 평상시 다른 유량관측 지점과의 유량상관 및 상・
하류의 물수지가 명확하게 파악되어 있는 지점을 고려한다.

3. 하천관리유량 설정
기준갈수량 범위 안에서 하천유지유량과 댐용수 사용량을 제외한 하천수 사용량의 합으로
산정한다. 산정된 하천관리유량이 기준갈수량을 초과할 경우 현재 확보가 가능한 양과 새
로이 확보가 필요한 양을 검토한다.

4. 기준 지점별 하도구간 구분
하나의 하도에 여러 개의 기준이 필요한 경우 기준 지점별 하도구간을 구분한다. 상류에
댐 등 수원시설이 있는 경우는 하류구간뿐 아니라 상류 수원시설에서 유량이 공급되는 지
점까지를 하도구간으로 설정한다.

41
수행 내용 / 하천관리유량 산정하기

재료·자료


「하천법」,「댐 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민법」,「지하수법」,「한국수자원
공사법」,「소유량 자료법」,「자연재해대책법」,「건설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법」,
「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수문 조사 업무규정,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등 기준 및 매뉴얼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 종합 계획, 농어촌정비 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가축분뇨처리통계,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
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관리,
농촌지형정보 시스템, 농촌지하수넷, 농업토양정보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42
수행 순서

󰊱 고시된 하천유지유량 및 이수유량을 검토한다.

1. 해당 유역의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 조사하기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2009)에 따라 하천수질 보전, 하천생태계 보
호, 하천경관 보전, 염수침입 방지, 하구 막힘 방지,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 보호, 지하수위
유지 등을 위해 산정된 필요유량을 감안하여 결정되며, 「하천법」제51조에 따라 중앙하
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다. 따라서 해당 유역의 하천유지유
량은 원칙적으로 기준 지점을 대상으로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을 조사하여 활용한다. 고시
현황이 전무하거나 고시 당시와 비교하여 하천 현황 등 여건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재
산정하여 용수 수요량에 반영한다.
금강수계의 경우 2006년,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고시되었으며, 이는 <표 2-9>와 같다. 이
중 논산천의 논산 지점에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2006년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0.2㎥/s였
고, 2015년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1.71㎥/s이다. 2006년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2000년
중앙하천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정된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의해 산정된 하천
유지유량을 중앙하천관리위원회가 수년에 걸쳐 검증 후 고시하라는 조건부 심의 결과에
따라 2006년 결과 보고 후 고시된 유량으로 수질보전 등에 따른 필요유량이 과대함에 따
라 상류댐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양으로 평균 갈수량 정도로 정하여 고시되었다. 2015년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2009년 개정된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의해 산정된 하천유지유
량으로 적정 수질보전유량을 산정하고 중앙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되었다. 이
러한 경우 논산천 논산 지점의 하천유지유량은 최근 고시된 1.71㎥/s를 하천유지유량으로
채택한다. <표 2-10>은 논산천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으로 논산 지점에 고시된 하천유지
유량 1.71㎥/s로 고시 당시 해당 하천의 하천수 사용 등을 고려할 때 하천유지유량으로 현
재 확보 가능한 양은 없는 실정이다.

43
<표 2-9> 금강수계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
고시연도 하천명(등급) 지점 하천유지유량(m3/s) 기준
2006 금강(국가) 수통 3.0 평균 갈수량
(4개 하천, 호탄 3.7 평균 갈수량
11개 지점) 옥천(이원) 5.9 평균 갈수량
현도 8.5 평균 갈수량
부강 10.5 평균 갈수량
공주 15.1 평균 갈수량
규암 17.5 평균 갈수량
강경 19.9 평균 갈수량
갑천(국가) 회덕 2.5 평균 갈수량
미호천(국가) 석화 2.5 평균 갈수량
논산천(국가) 논산 0.2 평균 갈수량
2015 초강(지방) 심천 2.50 수질보전
(7개 하천, 보청천(지방) 청성 2.45 수질보전
8개 지점) 갑천(국가) 유성 0.61 수질보전
회덕 2.40 수질보전
미호천(국가) 석화 6.81 수질보전
무심천(지방) 청주 0.30 생태계 보호
논산천(국가) 논산 1.71 수질보전
삽교천(국가) 수촌 0.32 생태계 보호
출처: 행정자치부(2006). 『관보 제16369호』. 행정자치부. p.66; 행정자치부(2015). 『관보 제18612호』.
행정자치부. pp.30~31.

<표 2-10> 논산천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


지점 하천유지유량(m3/s) 기준
하천명 (등급)
관측소명 위치 계 A1)
B2) (수질 측정 지점)

논산천(국가하천) 논산 충남 논산 논산대교 1.71 0.00 1.71 수질(논산천 2)


주: 1) 2015년 관보 고시 당시 현재 확보 가능량
2) 2015년 관보 고시 당시 향후 확보 필요량
출처: 행정자치부(2015). 『관보 제18612호』. 행정자치부. p.31

논산천 유역의 항목별 필요유량은 하천수질보전, 하천생태계, 하천경관, 염수침입방지, 하


구 막힘 방지, 하천시설물 보호 및 지하수위 유지 등 7개 항목 중 하천수질보전 및 하천
생태계 2개 항목에 대해 검토・산정되었다. 염수침입방지 및 하구 막힘 방지 등 기타 필요
유량은 해당 사항이 없어 검토되지 않았다. 필요유량 산정 결과는 각각 <표 2-11>과 <표
2- 12>와 같다.

44
<표 2-11> 논산천 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 결과
지점 목표수질 수질보전
수질
하천명(하천등급) BOD농도 필요유량
관측소명 위치 (mg/L)
(mg/L) (m3/s)
논산천(국가) 논산 충남 논산시 대교동 논산대교 2.0 1.71 5.2
출처: 국토해양부(2008). 『자연・사회환경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 국토해양
부. p.271, 행정자치부(2015). 『관보 제18612호』. 행정자치부. pp.30~31

<표 2-12> 논산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산정 결과


지점 하천생태계보전
하천명(하천등급) 대표어종
관측소명 위치 필요유량(m3/s)

논산천(국가) 논산 충남 논산시 대교동 논산대교 피라미 1.12


출처: 국토해양부(2008). 『자연・사회환경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 국토해양
부. p.105

2. 해당 유역의 이수유량 검토하기


해당 유역의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수유량을 검토한다. 이수유량
은 하천에서 실제로 취수되는 유량으로 댐건설 이전 기득사용물량과 허가에 의한 하천수
사용량에 해당되는 유량이다. 이수유량은 하천수 사용 허가량과 허가량에 회귀율을 고려한
사용량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일정 규모 이상 사용자가 매월 홍수통
제소장에게 보고하고 있는 실적량과의 차이가 클 경우 실적량을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다.
실적량의 경우 피허가자의 자발적인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해당 하천수 사용자가 그 허가량을 계속 유지할 경우 기득하천수 사용자의 권리 침해 방
지를 위해 타인이 활용할 수 없는 수량이므로 원칙적으로는 허가량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논산천 유역은 [그림 2-7]과 같이 논산천상류, 탑정댐, 노성천, 강경천, 논산천 하류의 5개
의 표준 유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갈수량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2009)에서 제
시된 값을 참조하였으며, 논산천 하류 표준 유역 출구에서의 기준갈수량은 2.340㎥/s이며,
하천유지유량은 논산천 하류 표준 유역 논산수위관측소에 1.71㎥/s가 고시되어 있다.
논산천 유역의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표 2-13>과 같으며, 한국농어촌공사 논
산지사 7건, 개인 1건 총 8건으로 모두 농업용수이다. <표 2-13>의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
과 [그림 2-7]에 제시된 기준갈수량을 활용하여 하도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면 하천수의
가용유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45
<표 2-13> 논산천 유역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
표준 유역명 하천명 시설명 용도 수원 허가량 비고
논산천 상류 논산천 - - - - -
탑정댐 논산천 탑정양수장 농업 댐용수 657,000m3/일(7.604m3/s) 농공
덕지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3,456m3/일(0.040m3/s) 농공
논산천 하류 논산천
하신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7,776m3/일(0.090m3/s) 농공
거교보 농업 자연하천수 20,736m3/일(0.240m3/s) 농공
노성천 노성천 항월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20,367m3/일(0.236m3/s) 농공
숙진보 농업 자연하천수 8,930m3/일(0.103m3/s) 농공
강경천 강경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1,382m3/일(0.016m3/s) 개인
강경천
마산천 칠등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4,200m3/일(0.049m3/s) 농공

[그림 2-7] 논산천 유역 표준 유역 모식도

󰊲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한다.
하천관리유량은 하천의 제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흘러야 할 유량으로 하천유지유
량에 이수유량을 더하여 산정하고 지류유입량, 댐 방류량, 기타 시설 방류량 등을 고려한
다. [그림 2-8]은 이상적인 하천의 유량 상황에서의 하천관리유량과 이수유량인 하천수 사
용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46
[그림 2-8] 하천관리유량과 하천수 사용량의 관계

하천관리유량은 하도 구분에 따라 산정된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량, 지천유입량, 취수


량, 방류량을 하천 하류에서부터 정리한 후 각 지점의 상・하류 물수지를 검토하여 상・하
류 유량을 계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 상류 하도경계가 댐일 경우는 마지막에 산정된 직상
류유량은 댐에서 방류해야 할 최소유량이 되며, 기준갈수량보다 작게 산정되어야 한다. 이
최소유량이 기준갈수량보다 많을 경우는 새로이 확보해야 할 양으로 다양한 대책을 수립
하여야 한다. <표 2-14>에 논산천으로 유입되는 강경천과 노성천의 지천유입량을 산정하
였다. 해당 표준 유역의 기준갈수량을 기준으로 하천수 허가량에 회귀율을 고려한 양을
유역내 소모량으로 보고 잔여유량인 가용유량이 논산천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회귀율은 농업용수 35%를 적용하였다.
<표 2-14> 논산천 지천유입량 계산
(단위: m3/s)
기준갈수량 하천수허가량 회귀량 가용유량
표준 유역명
① ② ③=②*0.35 ④=①-②+③
강경천 0.434 0.065 0.023 0.392
노성천 0.711 0.579 0.203 0.058

<표 2-15>는 하천관리유량 분석표이다. 논산천의 기준 지점으로는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된


논산 수위관측소를 활용하고, 하천유지유량으로 고시된 논산 수위관측소 지점의 1.71㎥/s과
이수유량으로는 <표 2-13>의 논산천 유역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 자료를 이용하여 논산천
종점부터 기점 방향으로 하천관리유량을 계산하였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추가적인 용수
수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추가적인 용수수요가 있는 경우는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추가적인 용수수요를 고려한 경우로 구분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취수량으로는 하천수 사
용허가량을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취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유입량으로는 취수 후 회
귀량과 강경천과 노성천의 가용유량을 고려하였다. 하천수 사용 후 회귀되는 유량은 해당
하도구간 해당 지점으로 유입되고 농업용수 회귀율은 35%로 가정하였다. <표 2-15>에서
직상류에 해당하는 유량이 하천관리유량이며, 논산 지점의 경우 1.768㎥/s이다. 해당 하천
관리유량을 만족하는 경우 논산 지점 하류의 이수유량과 하천유지유량을 모두 만족하게

47
되며, 안정적인 취수를 위해서는 탑정댐에서 6.679㎥/s의 방류가 필요하고, 댐 용수를 제외
할 경우는 1.736㎥/s가 필요하다.
<표 2-15> 하천관리유량 분석표
(단위: m3/s)
하천유지유량 직상류 유량
직하류 취수 유입
하도구분 지점 직하류 직상류 (하천관리유량)
① ② ③
④ ⑤ ⑥=Max(①,⑤)+②-③

논산천 종점 논산천 종점 1.710 - - - 1.710 1.710


~강경천 합류 강경천 유입 1.710 - 0.392 1.710 1.710 1.318

강경천 합류 하신양수장 1.318 0.090 0.032 1.710 1.710 1.768


~논산 지점 논산 지점 1.768 - - 1.710 - 1.768
논산 지점
노성천 유입 1.768 - 0.058 - - 1.710
~노성천 합류
덕지양수장 1.710 0.040 0.014 - - 1.736
노성천 합류
탑정양수장 1.736 7.604 2.661 - - 6.679
~탑정댐
탑정댐 6.679 - - - 6.679

󰊳 관측유량 대비 불만족일수를 산정한다.


수위관측소별로 가용한 최근 10년간 관측유량과 연도별 부족일수, 부족량 등을 산정한다.
<표 2-16>은 논산천 논산 지점의 하천유지유량과 2002∼2012년 관측유량을 비교한 결과
해당기간의 일유량 자료 수 대비 하천유지유량을 만족하는 만족일수의 비율이 약 90% 이
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산정된 하천관리유량에 대해서도 불만족일수를 산정할 수 있다.
<표 2-16> 논산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산정 결과
(단위: m3/s)
하천명(하천등급) 지점 하천유지유량 일유량 자료수 불만족일수 만족도1)(%)
논산천(국가) 논산 1.71 3,639 353 90.30
주: 1) 만족도 = 만족일수 / 일유량 자료 수 × 100

수행 tip

• 하천관리유량은 이수유량과 하천유지유량의 합으로


산정한다.
• 이수유량은 하천수 사용허가량을 이용하되 회귀율을
고려한다.
• 하천유지유량은 고시된 유량을 활용하고, 고시되지
않은 경우 이수유량만을 고려하여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한다.
• 확정 고시된 추가적인 용수수요가 있는 경우는 함께
반영하여 추가적으로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한다.

48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해당 하천 유역의 평균 강수량과 유출률 계산 방법을 설명하고, 수자원 총량과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갈수량의 정의, 종류 및 산정 방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일수위, 일유량 자료를


통해 유황 곡선을 작성하여 가용할 수 있는 유량의 규모와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수자원단위지도의 표준소유역별 기준갈수량의 산정 절차를 설명하고,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


뉴얼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해당 하천의 소유역별 기준갈수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유지유량의 정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하천에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을 조사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관리유량을 이해하고,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허가량, 지천 유입량, 회귀량 등을 검토하


여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해당 하천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평균 강수량을 산정하고, 유역 면적과 강수량의 곱을 유출량


으로 나누어 유출률을 산정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연평균강수량에 유역 면적을 곱하여 수자원 총량을 산정하고, 산정된 수자원


총량에 유출률을 곱하여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한다.

• 일 수위, 일 유량을 산정하고 초과확률에 대한 일평균유량을 도시한 유황 곡선을 작성하여 하천


유황을 분석한다.

• 해당 유역의 기준갈수량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에서 제시된 표준 소유역별 기준갈수량을


활용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하천유지유량 고시 및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을 조사한다.

• 해당 하천의 종점에서 기점으로 하천관리유량 분석표를 작성하여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한다.

49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유역의 평균강수량, 유출률 등을 이용하여 수자원 총
량 및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할 수 있다.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등에서 제시한 일자연유량을 이
하천 유황 분석 용한 기준갈수량, 평균갈수량 등 기준유량의 산정 방법
을 설명할 수 있다.
- 일수위, 일유량을 산정하고 초과확률에 대한 일평균
유량을 도시한 유황 곡선을 작성할 수 있다.
- 지류유입량, 하천수 사용량, 회귀량 및 댐방류량 등을
고려하여 기 고시된 하천유입량과 이수유량의 합으로
하천관리유량 하천관리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산정 - 수위관측소별로 가용한 최근 관측유량과 해당 하천유
지유량, 하천관리유량을 비교하여 부족일수와 부족량
을 산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평균강수량, 유출률, 수자원 총량 및 수자원 부존량의
산정 방법을 설명
- 자연하천기준의 일자연유량을 이용한 기준갈수량 등
하천 유황 분석
기준유량 산정 방법을 설명
- 가용한 전 기간의 수위 자료로부터 초과확률에 대한
일평균 유량을 도시한 유황 곡선 작성 방법을 설명
- 해당 하천의 하천유지유량과 하천수 사용허가 현황
하천관리유량 자료의 구체적인 수집 방법을 설명
산정 - 해당 하천의 종점에서 기점 방향으로 하천관리유량
분석표를 작성하여 하천관리유량 산정 여부

50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평균강수량, 유출률, 수자원 총량 및 수자원 부존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
- 자연하천기준의 일자연유량을 이용한 기준갈수량 등
하천 유황 분석
기준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
- 가용한 전 기간의 수위 자료로부터 초과확률에 대한
일평균 유량을 도시한 유황 곡선 작성 여부
- 관보를 활용한 고시된 하천유지유량과 하천수 사용허
하천관리유량 가 현황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지 여부
산정 - 해당 하천의 종점에서 기점 방향으로 하천관리유량
분석표를 작성하여 하천관리유량 산정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하천 유황 분석 및 갈수량 산정 방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하천관리유량 산정 시 가정 사항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수자원단위지도의 대권역, 중권역, 표준 유역에 대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준거를 제공한다.
- 하천 유황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하천 유황 분석 방법과 하천관리유량 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51
학습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1)
학습 2 이수 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2)

용수 수요량 산정하기
학습 3
(LM1402010705_14v2.3)
학습 4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4)
학습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5)

3-1. 용수 수요량 검토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기타 관련 계획(댐 개발 및 상・하수도 정비 계획, 시・도 종


합개발 계획 등)을 이용하여 생・공・농업용수 수요량을 검토・산정할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 등의 요구에 따른 하천의 일부구간에 대한 친수 공간, 레크리에이
학습 목표 션, 하천문화 등 사회・환경 개선을 확보하고자 하는 환경개선용수의 수요량을 조
사・검토할 수 있다.
• 발전, 주운 등의 기타 용수 수요량에 대한 관련 계획을 조사하여 시설물의 규모
에 따른 수요량을 검토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생활・공업・농업용수 수요량 검토

1. 생활용수 수요량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장래인구 및 1인 1일 사용량을 가용한 과거 1984~2007
년까지의 24년 동안의 상수도 통계상 시・군별 인구와 공업용 및 분수량을 제외한 요금수
량을 상수도 수요량 예측업무편람(2008)에서 제시한 수학적 시계열 모델로 장래 추이를 분
석한 후 상관성 검증을 통하여 선정하고 있다. 단변량 시계열 추세 모형은 등차급수법, 등
비급수법, 지수함수식, 배기함수식, 로지스틱식 및 수정지수식 등 6개 모델이다. 이 중 등
차급수법은 단위시간 동안 일정한 증가 또는 감소 경향을 나타내 발전 속도가 느린 도시
지역, 등비급수법은 연평균 증가율을 일정하게 보고 예측하는 방법으로 급성장하는 도시,
지수함수식은 단기간에 급속히 커질 것이 예상되는 도시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공업용수 수요량
공업용수는 원료, 제품 처리, 세정, 냉각 등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
수를 말한다. 공업용수 수요량은 과거 업종별 원단위를 조사, 분석하여 추정하는 것을 원

52
칙으로 한다. 계획 공단의 경우에는 유사한 기존공단의 원단위나 상위 계획 또는 관련 연
구의 원단위를 적용한다. 원칙적으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된 추정 방법과 원단
위를 적용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2008)에서
제시된 부지 면적당 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다.

3. 농업용수 수요량
농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전국적인 사용량을 측정하여 누계
하는 방법과 대표 지역의 실측 사용량을 구역 전체에 확대하여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
며,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증발산량 산정이론 논필지 내의 물수지 및 토양수분추적법을 통
하여 이론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이 있다. 농업용수 사용수량을 계측하여 누계하는 방법은
논・밭 등에서 사용되는 농업용수를 직접 계측하여 전국적인 농업용수 수요량을 추정함으
로써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나 현재 농업용수에 대한 전국적인 계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
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표본지구 및 대표작물의 단위수량으로 추정하
는 방법의 경우는 대규모 관개구역과 소규모 관개규역 사이에서 관리용수량 차이가 상당
량 발생하기 때문에 구역 면적에 따라 실측 자료와의 오차 발생 가능성이 크고, 작물별
필요수량의 편차가 크고 같은 작물이라 해도 기상 상황에 따라 지역별 유효우량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적절한 대표작물 및 표본지구의 선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증발산량 공식
으로 추정하는 방법의 경우는 실측 자료 없이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이 가능하며 기상 자
료와 지역별 특성 자료를 반영하므로 지역별·시기별 편차가 매우 큰 농업용수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증발산량 추정이론이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수
리시설물의 설계에 적용되고 있어 일관된 수요량을 추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분석 기법에 따라 정확성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수리관행에 의한 실제 이용량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직접적인 방법을 통하여 수
요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간접적인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환경개선용수 수요량 검토

1. 환경개선용수의 정의
환경개선용수는 청계천과 같이 자연 상태에서의 하천환경유지보다는 추가적인 요구에 의
한 인위적인 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수량으로 2008년 하천법령 개정을 통해 신설된 용수
이다. 친수 공간 확보, 물놀이, 관광, 하천문화행사 등 사회 환경개선을 위해 하천의 일부
구간 또는 일부 지역에 필요한 수량으로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혜 대상인 지방자치단
체, 특정기관 등의 요구에 의해 발생하는 수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환경개선용수의 특징
하천유지유량과 환경개선용수는 수질보호 및 생태계 보전 등 기능적 측면에서는 하천유지
유량과 유사한 측면을 갖는다. 그러나 환경개선용수는 자체 하천 유역의 물 순환 체계와

53
상관없이 사회 환경 개선을 위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유량으로
하천유지유량이 하천 상・하류 연속된 구간에 적용되는 반면 환경개선용수는 개선을 원하
는 하천의 일부구간 또는 지역에 적용되며, 하천유지유량은 불특정 다수의 일반국민과 자
연환경이 주요 수혜대상이 되는 반면에 환경개선용수는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주요 수혜자가 되는 차이가 있다. 하천유지유량은 「하천법」제51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
관이 산정하고 중앙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하며 해당 하천의 관리청이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하는 유량으로 하천관리청이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환경개선용수는 「하
천법」제50조에 따라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등과 같이 국토교통부장관의 하천
수 사용허가를 득하여 공급하게 되며 그 수혜자가 하천수 사용료를 부담하게 된다.

󰊳 기타 용수 수요량 검토
발전, 주운 등의 기타 용수 수요량에 대한 관련 계획을 조사하여 시설물 규모, 수요량 등
을 검토한다. 관련 계획을 검토하되 필요한 경우 지방자치단체 등 해당기관과 사전에 협
의하여 반영한다.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2008)에 따른 기타 용수는 관광용수, 군부
대용수, 항만용수, 공항용수 등으로 생활용수 수요량 산정 시 해당 도시의 특성을 고려하
여 원단위를 개별 추정하였을 경우에는 생활용수와 중복되므로 별도로 반영하지 않아야
하고 표준 원단위를 적용한 경우는 기타 용수 수요량에 별도 반영한다.

수행 내용 / 용수 수요량 검토하기

재료·자료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한국 산업규
격,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관리 규정 등 규정, 기준 및 매뉴얼


도시 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
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 기본 계획, 농어촌정비 기본 계획, 농업생
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54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 관리 연보, 수문 자료집,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한국
산업 단지 공단의 산업입지요람, 산업단지현황지도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상하수도 종합정보 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관리, 농촌지형정보 시스템, 농촌 지하수넷, 농업토양정보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수요량을 검토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댐 개발 및 상・하수도 정비 계획, 시・도 종합개발 계획 등 관련 계획
을 이용하여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등을 검토하며, 관련 계획 검토 시 연차별 계
획이 있는 경우는 이를 고려하도록 하고 필요시에는 해당기관과 사전 협의하여 반영한다.
실무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필
요시 보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논산천의 경우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자료를 이용한
생활용수, 공업용수 및 농업용수 수요량은 <표 3-1>과 같다.
<표 3-1> 논산천 생활・공업・농업용수 수요량
(단위: 백만m3/연)
구분 2003년 2006년 2011년 2016년 2020년
생활용수 32.96 33.92 33.63 32.56 31.54
공업용수 4.72 5.20 5.97 6.78 6.55
농업용수 212.58 217.09 193.68 225.76 227.77

55
1. 생활용수 수요량 검토하기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자료를 활용하되 필요시 보완하여 사용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2011)에서는 상수도 급수 지역 수요량과 미 급수 지역 수요량, 기타 지하수이용량으로 구
분하여 산정하고 있으며, 장래인구 및 1인 1일 사용량은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2008)에서 제시한 모델로 장래 추이를 분석한 후 상관성 검증을 통해 선정하고 있다. [그
림 3-1]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활용수 수요 추정 흐름도이다.

상수도 급수지역 수요량 미급수지역 수요량 기타 지하수 이용량

시군별 인구
1인1일사용량 미급수인구 산정 생활용 이용량
추정 후
추정 (장래인구- (상수도, 간이수도
통계청인구
(요금수량 기준) 계획급수인구) 제외)
보정

계획급수인구 1인 1일 급수량
결정 결정 기타용 이용량
미급수인구×215ℓ
(계획보급률 (목표유수율 (먹는샘물, 온천수)
적용) 적용)

계획연도별 수요량 산정 시나리오


(수요관리)

시나리오별 수요량 산정

출처: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국토해양부. Ⅲ-43.


[그림 3-1] 생활용수 수요 추정 흐름도

(1) 상수도 급수 지역 수요량


장래인구는 통계청 추계인구를 활용하며, 원단위로 1인 1일 사용량은 공업용 및 전용
공업용을 제외한 요금수량 장래 추이를 분석하고, 1인 1일 급수량은 1인 1일 사용량에
목표 유수율을 적용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통계청 실거주기준 추계인구 적용에 따른
인구기준 차이에 따라 수요량을 보정한다. 계획 급수인구는 장래인구에 계획 급수보급
률을 적용하고, 수요량은 1인 1일 급수량과 계획 급수인구의 곱으로 산정한다. 또 상
수도통계 등에서 집계되지 않는 한국수자원공사 등의 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를 통
한 직접 공급량도 함께 반영한다.

(2) 상수도 미 급수 지역 수요량


상수도 미 급수 지역 수요량은 아래 식과 같이 장래인구에서 급수인구를 제외한 목표
연도별 미 급수 인구에 1인 1일 급수량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2011)에서는 1인 1일 급수량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서 2001년에 조사한 543개소 마을
상수도 실이용량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215L를 적용하고 있다.
수요량 = 장래인구×(1-계획 급수보급률)×1인 1일 급수량 (3-1)

56
2. 공업용수 수요량 검토하기
공업용수 수요량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자료를 활용하되 필요시 보완하여 활용한다. 수
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2008)에 따라 개별 입지업체
를 포함하여 기존 및 계획공단과 지하수 및 하천수 수요량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다. 또
하천수의 경우 저수지를 포함한 댐과 자연하천수를 구분하고 있다. [그림 3-2]는 공업용수
수요 추정 흐름도이다.

(1) 기존공단 수요량


기준수요량인 이용량을 기준으로 분양률 및 업체가동률을 고려한 실제가동률의 증가 추
세를 반영하여 계획연도에 따른 실가동률을 예측하여 산정한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2011)은 2004~2007년 이용량을 토대로 지방상수도를 통한 공업용 및 전용공업용 공급량,
광역 및 공업 용수도를 통한 공업용수공급량, 하천수취수량, 공업용 지하수이용량, 농업
용 저수지, 공업용 목적 외 공급량에 대해 중복을 제외하여 기준수요량을 산정하고 있다.

(2) 계획공단 수요량


조성 중 또는 고시 등으로 계획이 확정된 계획공단을 조사하고 장래 수요량으로 부지
면적당 원단위를 적용한다. 또 기존 공단에 대한 조성 후 실가동률 추이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계획공단 및 개별 업체 수요량을 산정한다.

기존 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량 계획공단 및 개별입지업체 수요량

상수도공급량 지하수 및 하천수 등 개발 계획 및 업종별 부지면적 조사


(상수도통계 등) 이용량(각종연보 등)
부지면적당 원단위 적용
장기 실가동율 장기 실가동율
(가동율 추이 감안)
분석·전망 분석·전망

계획연도별 수요량 산정
시나리오
(경제전망)
시나리오별 수요량 산정
수요관리 계획
(재이용률)
시나리오별 수요량 산정

출처: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국토해양부. Ⅲ-77.


[그림 3-2] 공업용수 수요 추정 흐름도

3. 농업용수 수요량 검토하기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자료를 활용하되 필요시 보완하여 활용한다. 농업용수는 논 용수, 밭

57
용수 및 축산용수로 구분하여 산정한다(하천설계기준 해설・해설, 2009).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농작물의 영농방식 변화에 따른 직파재배의 변화수량, 밭작물의 재배방
식에 따른 수요량 변화를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다. [그림 3-3]은 농업용수 수요 추정 흐름
도이다.

(1) 논 용수 수요량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다. 논의 증발산량, 침투
량, 기타 관리용수량 및 작물이 강우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유효우량을 고려하여 당
일의 필요수량을 산정하며, 일필요수량을 누적시켜 산정한 연필요수량의 빈도 분석을
통하여 10년 빈도 한발년에 대한 수요량을 산정하게 된다. 논 용수 수요량 중 수리답
의 경우 수리시설물에 의하여 용수를 공급받게 되므로 송수 관리용수와 배분관리용수
가 고려되며 수리불안전답인 경우 당일의 필요수량을 수요량으로 산정한다. 수리답 중
이앙재배와 직파재배(건답, 담수)는 영농방식에 따른 재배관리용수량이 달라지므로 이
를 고려한다.

(2) 밭 용수 수요량
밭 용수 수요량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산정한다. 수
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증발산량 산정법으로 Penman-Monteith식을 채택하고,
토양의 특성에 따른 총신속유효수분량을 포장용수량으로 하여 토양의 유효 수분량을
고려한 일별 토양수분추적법을 통해 유효우량을 산정하여 10년 빈도 한발년에 해당하
는 밭작물 필요수량을 결정하였다.

(3) 축산용수 수요량


하천설계기준・해설(2011)에서는 축산용수를 소, 돼지, 닭 등 가축의 사육두수와 각각의
축산용수 원단위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여 얻도록 하고 있다. 양축용수의 축종별 원단
위 자료가 거의 부재한 실정으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
2-1>의 일본 초지개발사업 계획 설계기준(1994)을 적용한 양축용수의 축종별 원단위를
활용한다.

58
논용수 밭용수 축산용수
수요량 수요량 수요량
시나리오 시나리
설정 오 설정

논면적 밭면적
조용 사육두수 물사용
추정 추정 조용수
수량 추정 원단위
(영농 (재배 량 산정
산정 (축종별) 적용
방식별) 방식별)

계획연도 및 시나
리오별 수요량
산정
수요관리
계획
(관개 효율)
수요관리 반영
수요량 산정
출처: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국토해양부. Ⅲ-103.
[그림 3-3] 농업용수 수요 추정 흐름도

<표 3-2> 양축용수의 축종별 원단위(단위: L)


젖소 젖소 한우
구분 돼지 닭 비고
착우유 건우유 (비육우)
가축두당 일수요량 120~150 50~60 50~60 20~30 0.3~1 일본기준
적용 150 - 60 30 1
출처: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국토해양부. p.Ⅲ-113.

󰊲 환경개선용수 수요량을 검토한다.


환경개선용수란 관광, 하천문화행사, 물놀이 및 친수 공간 확보 등 사회적 환경개선을 위
해 하천의 일부 구간 또는 일부 지역에 필요한 수량이다. 필요시 해당 유역의 지방자치단
체 등의 협조를 받아 환경개선용수의 수요량을 조사・검토한다.
예를 들어 논산천은 유역 면적 약 666㎢으로 주요 도시로는 논산시, 계룡시, 공주시, 금산
군, 완주군, 익산시 등이 있다. 이 중 논산시가 해당 유역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당 하천 유역에 주요 지방자치단체를 조사하고, 해당 하천에 환경개선용수 허가수
량의 수요 조사를 통해 확정된 계획 수요를 반영하여 최종으로 환경개선용수 수요량을 산
정한다.

󰊳 기타 용수 수요량을 검토한다.
발전, 주운 등의 기타 용수 수요량에 대한 관련 계획을 조사하여 시설물 규모, 수요량 등
을 검토한다. 관련 계획을 검토하되 필요한 경우 지방자치단체 등 해당기관과 사전에 협
의하여 반영한다.

59
수행 tip

• 해당 유역의 용수 수요량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용수 수요량을 활용한다.
• 환경개선용수 수요량은 지방자치단체 등의 수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활용한다.
• 발전, 주운 등 기타 용수 수요량도 함께 조사하여
활용한다.

60
3-2. 하천유지유량 산정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필요한 항목별 필요유량을 산정하고 하천유지유량


학습 목표
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 유역 특성 파악
1. 유역 개황
해당 유역의 지형, 지질, 인문사회, 경제, 토지이용, 용수수급, 유역개발 현황 및 계획, 기타 특성
등을 조사한다.
2. 하천 유황
해당 유역의 수문관측소 및 유량 측정 현황을 검토하고, 지점별 유황을 조사한다.

3. 하도 상황
해당 하천의 주변 지형, 하상재료, 여울, 웅덩이의 분포, 하천횡단 주요 구조물과 하구 막힘
가능성, 수중보, 하굿둑 등도 함께 조사한다.

4. 하천 유입량 및 하천수 사용량


지류 유입량, 취수 지점, 사용량, 방류수 또는 회귀수 등 해당 하천의 하천수 사용 현황을 조사한다.

5. 자연 및 사회 환경
하천 수질 현황과 수질보전 대책 및 사업, 동·식물, 관광지, 명승지, 지하수이용 등 해당 하천의
자연 및 사회 환경 특성을 조사한다.

󰊲 하도 구분 및 기준 지점 선정

1. 하도 구분
하천 구간 전체에 대해 하천 환경의 종단적 특성, 하도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구간을 구분하고
수위관측소를 기본으로 각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기준 지점을 선정한다. 하천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지역별 자연 또는 사회적 환경이 다르지만 하천유량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여 구분되어야 한다.

2. 기준 지점
하도구간을 대표하는 기준 지점은 충분한 자료기간을 보유한 수문관측소를 선정한다. 하천 유황,
취수 지점, 하천유지유량 고시, 예보 지점, 하천관리유량 산정 지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61
󰊳 필요유량 산정

1. 하천수질보전
해당 하천의 목표 수질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유량으로 환경기초시설 증설에 따른 오염물
질의 처리 능력과 비점오염원을 감안하여 수질 특성 파악 및 평가대상 항목의 선정, 목표
연도 및 목표수질 기준 설정, 오염 부하량 조사 및 목표연도별 오염 부하량 산정, 수질 예
측 모형의 선정 및 수질 예측, 목표수질과의 비교 및 필요유량의 설정 순으로 산정한다.

2. 하천생태계 보호
생물분포 및 서식 환경 조사, 생태학적, 사회적 중요도와 보호종 등을 고려한 대표종과 대
리종 선정, 서식처 수리 및 수질 등과 같은 서식 환경 조사, 한계구간 설정 및 수리 특성
조사, 필요유량 설정 순으로 산정한다. 필요유량은 가용할 수 있는 자료와 필요성에 따라
수리학적 방법, 서식처 모의 방법 또는 등류공식 등의 간략화 방법 등을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3. 기타 항목을 고려한 필요유량


하천유지유량 결정을 위한 필요유량은 7개 항목으로 하천수질보전, 하천생태계보호의 두
항목은 기본적으로 산정하게 되며, 하천경관보전, 지하수위 유지, 염수침입 방지, 하구 막
힘 방지,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 보호 등 5개 항목은 해당 하천 또는 하천구간에 필요할
경우에만 산정한다.

󰊴 하천유지유량 결정
하천유지유량은 각 구간별로 산정된 항목별 필요유량을 모두 만족시키는 유량으로 지역의
자연・사회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 결정된 하천유지유량은 기존 하천수 사
용자의 권리 등을 고려한 공급 가능성을 평가하여 현재 확보가 가능한 유량과 새로 확보
가 필요한 유량으로 구분한다.

62
수행 내용 / 하천유지유량 산정하기

재료·자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하천법」,「댐 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민법」,「지하수법」,「한국수자원공사법」,「소유량 자료법」,「자연재해대책법」,
「건설 기술진흥법」, 「산업안전보건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하수도법」등 법률


소하천설계기준,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수문조사 업무규정, 상수도시설기준,
하수도시설기준, 홍수량 산정요령,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한국 산업 규격,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공사설계 실무요령, 하천수 사용허가기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관리규정, 수질·녹조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 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댐건설기본 계획, 댐건설 실시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 기본 계획, 농어촌정비 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
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하수도통계, 가축분뇨처리통계,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
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 관리연보, 수문 자료집,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한국 산업
단지공단의 산업입지요람, 산업단지현황지도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기상청 홈페이지,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 서비스, 물 환경 정보
시스템, 상하수도 종합정보 시스템,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
관리, 농촌지형정보 시스템, 농촌 지하수넷, 농업토양정보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건설 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SW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63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
유출 모형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하천 유역 특성을 파악한다.
하천유지유량의 산정 방향과 기준 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해당 하천에 대한 필요 항목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파악한다.

󰊲 하도 구분 및 기준 지점을 선정한다.

1. 하도 구분 및 기준 숙지하기
하천 유황, 하도 특성 및 이수 특성을 고려하고 갈수기 유량관리를 위한 주요 구간 및 수
위관측소를 활용하여 구분한다. 주요 고려 사항은 주요 지류의 합류 전・후, 수자원 계획의
물수지 분석의 유역 구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수립 및 물 환경 관리 기본 계획의 하도
구분, 기존 하천유지유량 산정 시 하도 구분, 댐・보 등 주요 시설물, 자료가 풍부한 수위
관측소, 해수위 영향 여부 등이다.

2. 기준 지점기준 선정하기
기준 지점은 하천법 시행령 제59조 제2항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 수량 및 수질관리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지점
- 과거부터 관측된 수문 자료가 충분하고, 유량관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지점
- 하천유수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점
- 해수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지점
- 댐・하굿둑 등 유수를 가두어 두는 구역이 아닌 지점
- 하천유지유량이 하천시설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지점
- 하천시설의 설치로 하천수의 새로운 확보 계획이 있는 지점
- 하천 환경의 보전 및 개선의 기준이 되는 구간의 대표 지점
구체적으로는 하도구간 내의 수위관측소, 하천시설물, 대도시, 기존 하천유지유량 고시 지
점 또는 기준 지점, 홍수예보, 수질관리 등 주요 관리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64
󰊳 항목별 필요유량을 산정한다.

1. 하천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 파악하기

(1) 목표수질 달성유량 산정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을 우선 고려하여 목표 BOD
농동에 하천의 수질이 도달할 때까지 유량을 증가시키면서 모의한다. 목표수질 및 연
도는 물 환경 관리기본 계획, 수질오염총량관리 및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등을 고려하
여 설정한다. 연중 목표수질 달성 지점은 평균년 해당 지점의 최소유량으로 산정한다.

(2) 적정수질 관리유량을 위한 필요유량 산정


목표수질을 만족하는 희석용수의 개념만을 적용하여 산정할 경우 과도한 유량이 필요
하여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상
류에서 수량을 공급할 경우도 일정량 이상에서는 개선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므로 목
표수질을 달성하는 유량과 희석용수로서 수질개선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연평균유량이 중앙값에 해당하는 연도 등을 고려하여 기준연도를 결정하고 365일 일
별 물수지 분석을 통한 유량 상황 예측과 수질 분석을 수행한 후 수질개선에 효과가
가장 큰 유량으로 결정한다. [그림 3-4]는 공주관측소에서 유량과 수질의 상관성을 분
석하여 도시한 예이다. 수질을 BOD 농도 5.4㎎/L에서 4.0㎎/L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1.37㎥/s, BOD 농도 4.0㎎/L에서 3.0㎎/L는 48.32㎥/s, BOD 농도 3.0㎎/L에서 2.0㎎/L는
147.80㎥/s의 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하천수질 개선을 위한 희석
용수로서 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은 수질이 나쁜 상황에서는 적은 양으로 큰 효과
를 볼 수 있지만 수질이 비교적 좋은 상황에서는 많은 양의 희석용수가 필요한 반면
에 효과가 적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희석용수로서 수질보전 유량을 공급하기에는 현
실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질개선 효과가 큰 유량 및 수질값을 설정하여 제시한
다. 공주 지점의 경우 기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15.10㎥/s이며 자연・사회 환경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2008)에서는 금강 공주 지점의 경
우 적정 수질관리유량인 37.32㎥/s을 수질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65
36 4000

공주지점수질
ΔC : 1.0mg/L(2.0mg/L⇒1.0mg/L)
목표수질
ΔQ : 311.33cms
공주지점유량
Ⅵ등급
27 3000

ΔC : 1.0mg/L(3.0mg/L⇒2.0mg/L)
ΔQ : 147.80cms
BOD(mg/L)

Q(cms)
18 2000
ΔC : 2.4mg/L(5.4mg/L⇒3.0mg/L)
ΔQ : 49.69cms

9 Ⅴ등급 1000
Ⅳ등급

Ⅲ등급

Ⅱ등급
Ⅰb등급
Ⅰa등급
0 0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Time(day)

출처: 국토해양부(2009).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


(금강권역)』. 국토해양부. p.265
[그림 3-4] 수량-수질연계모의를 통한 유량과 수질의 상관성 분석(공주 지점)

2. 하천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하기

(1) 필요유량 산정을 위한 수종 선정


원칙적으로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을 대상으로 사회적 중요도와 생태 자료의 획득 가
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되며 대개 고등생물인 어류를 대상으로 하천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한다.

(2) 문헌 및 현장 조사
어류를 대상으로 하천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해 문헌 및 현장 조사
를 통해 어류 분포, 서식처의 수리 및 수질 등과 같은 서식 환경, 한계구간 설정 및
수리특성을 파악한다.

(3) 기준 지점별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선정


생태학적, 사회적 중요도와 보호종 등을 고려하여 기준 지점별 대표어종 및 대리어종
을 선정한다. 이 경우 우점종, 아우점종, 특별어종 등도 함께 고려한다.

(4) 필요유량 결정
자세한 어류생태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물리적 서식 모형을 이용하여 필요유량을 산
정하거나, 가용한 자료가 제한적인 경우 대표어종의 최소 서식조건인 수심과 유속에

66
대해 기준 지점에서 수심-유속-유량 곡선을 이용하는 간단법으로 산정한다.
[그림 3-5]는 간단법을 이용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필요유량 산정 절차이다. 먼저
기준 지점의 수심-유속-유량 곡선을 작성하고(①), 대표어종의 최소 서식수심에 대한
한계유량을 도출한다(②). 한계유량에 대응하는 유속을 계산(③)하여 대표어종의 서식
조건과 비교하여 적정성을 판단하여 필요유량을 결정한다.

[그림 3-5] 간단법을 이용한 필요유량 산정 절차

3. 기타 항목을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하기


수질보전 및 하천생태계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항목 이외에 하천경관보전, 염수침입방
지, 하구막힘방지,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 보호, 지하수위 유지와 같은 항목은 하천과 구간
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만 고려한다.

(1) 하천경관 보전을 고려한 필요유량


하천의 수면 폭과 유속, 수심 등을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으나 주로 수면 폭 확보를
위한 유량으로 결정한다. 겉보기 수면 폭과 하천 폭의 비를 기준으로 하고, 적정 비율
에 대해 설문 조사 등을 통해 결정할 수 있으나 과다하게 산정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내려다보는 각도가 5°이내에서 수면 폭/하천 폭 ≥ 0.2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2) 염수침입방지를 고려한 필요유량


하류부의 염수침입방지시설 유무, 취수 현황 및 계산 자료 등을 조사한다. 염수침입
방지시설이 없는 하천의 경우 염수침입방지를 위한 필요유량을 산정한다. 염분 실측
자료가 부족한 경우 수온, 전기전도도 및 기압 자료를 이용하여 염분도를 추정하며,
필요유량 산정기준으로는 농업용수의 허용한계 염분 농도로 벼의 염분 농도 허용기준
인 500ppm을 사용한다.

67
(3) 하구막힘 방지를 고려한 필요유량
인위적으로 하천유량을 늘려 하구막힘을 방지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항구적인 인공시설물을 설치하여 유사 이동을 조절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여
야 한다. 필요 시 하구의 자연적 유사 이동 상황을 고려하여 하구막힘 방지를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한다.

(4) 하천시설물 및 취수원 보호를 고려한 필요유량


인위적인 하천유량을 증가보다는 시설물의 재질 및 구조 변경, 재설치 등 구조적 측면
에서 해결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시설물의 유지관리상 일정한 수심유지가
필요한 시설이 있는 경우 이러한 수리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량을 산정한다.

(5) 지하수위 유지를 위한 필요유량


지하수위 변화는 수문기상 조건, 지하수 양수량, 대수층의 두께, 저류계수 및 인근 하
천과의 거리, 조석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므로 지하수위와 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천변의 지하수 이용실태, 하천
수위와 지하수 상관관계, 지하수 영향 조사 결과 등을 활용하여 결정하되 자료 부족
등으로 정량적인 해석이 곤란할 경우에는 과거 지하수 고갈 상황 등에 대한 기록이나
인근 주민들의 탐문 조사를 통하여 정성적으로 판단하여 산정한다.

󰊴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한다.
각 구간별로 산정된 항목별 필요유량을 모두 만족시키는 유량으로 하되, 지역의 자연・사
회 환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 결정된 하천유지유량은 기존 하천수 사용자의
권리 등을 고려한 공급 가능성을 평가하여 현재 확보가 가능한 유량과 새로 확보가 필요
한 유량으로 구분한다.

수행 tip

• 해당 하천에 대한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을 검토한다.


• 하천유지유량을 재산정할 경우는 하천유지유량 산정
요령(2009)에 따라 항목별 필요유량을 산정하고 하
천유지유량을 제시한다.
• 수질보호, 생태계 보전을 위한 필요유량은 필요한
하천구간에 대해서만 산정한다.

68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에 따라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수요량 산정의 기본 방향과 산정


방법을 설명한다.

• 용수 수요량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된 방법과 수요량을 해당 유역에 적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확정 고시된 추가 계획 등이 있는 경우 함께 반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환경개선용수의 정의를 설명하고, 해당 하천 유역 주요 도시 등의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을


검토하여 확정 계획된 수요가 있는지 조사하여 반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유지유량의 정의와 산정 방법을 설명하고, 하천수 취수에 따른 용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해당 하천에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을 관보 검색 등을 통해 조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 시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항목별 필요유량을 산정하여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상수도 수요량 예측업무편람과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수 수요량 산정


기본 방향 및 방법을 이해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용수 수요량은 기본적으로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요량을


활용하고, 환경개선용수와 기타 용수 수요가 있는 경우 함께 반영하여 산정한다.

• 하천유지유량의 정의를 파악하고, 용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의 차이점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하천유지유량은 전자관보 검색 등을 통해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을 조사하여 활용한다.

•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할 경우는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수질보전, 생태계 보호 등을 고려


한 항목별 필요유량을 산정하고 하천유지유량을 제시한다.

69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기타 관련 계획을 이용하여 생
활, 공업, 농업용수 수요량을 검토・산정할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 등의 요구에 따른 하천의 일부구간에


대한 친수공간, 레크리에이션, 하천문화 등 사회・환경
용수 수요량 검토 개선을 위해 확보하고자 하는 환경개선용수의 수요량
을 조사・검토할 수 있다.
- 발전, 주운 등 기타 용수 수요량에 대한 관련 계획을
조사하여 시설물의 규모에 따른 수요량을 조사・검토
할 수 있다.
- 하천유지유량의 정의를 파악하고, 생활, 공업, 농업용
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과의 차이점을 구분하여 설명
할 수 있다.
하천유지유량
- 전자관보 등의 검색을 통해 해당 하천에 고시된 하천
산정
유지유량을 조사하여 활용할 수 있다.
-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필요한 항목별 필요유
량과 하천유지유량의 결정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70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이수 특성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생활, 공업, 농업 및
하천유지유량 등 용수 수요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

용수 수요량 검토 - 환경개선용수의 정의와 수요량을 조사・검토하는 방법


을 설명

- 해당 하천의 기타 수요량을 조사하는 방법을 설명

- 생활, 공업, 농업용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과의 차이


점을 구분하여 설명
하천유지유량 - 전자관보 등의 검색을 통해 해당 하천에 고시된 하천
산정 유지유량을 조사하여 활용성을 설명
-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구체적인 하천유지유
량 산정 방법을 설명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이수 특성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생활, 공업, 농업 및
하천유지유량 등 용수수요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

용수 수요량 검토 - 환경개선용수의 정의와 수요량을 조사・검토할 수 있


는지 여부

- 해당 하천의 기타 수요량을 조사할 수 있는지 여부

- 생활, 공업, 농업용수 사용과 하천유지유량과의 차이점


을 구분하고 재산정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여부
하천유지유량 - 전자관보 등의 검색을 통해 해당 하천에 고시된 하천
산정 유지유량을 조사하여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
-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에 따라 구체적인 하천유지유
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

71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용수 수요량 산정 방법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하천유지유량과 환경개선용수의 차이점에 대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 하천유지유량의 항목별 필요유량 산정 방법에 대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준거를 제공한다.
- 하천유지유량 고시 현황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하천유지유량의 항목별 필요유량 산정 방법을 보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72
학습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1)
학습 2 이수 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2)
학습 3 용수 수요량 산정하기(LM1402010705_14v2.3)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
학습 4
(LM1402010705_14v2.4)
학습 5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5)

4-1. 용수공급량 검토

•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지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을 비교・검토할 수


있다.
•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을 통해 공급하지 못한 부족량이 있는 경우와 추
학습 목표
가공급 계획을 조사・검토할 수 있다.
• 자연 상태 기준갈수량 범위 내에서 용수 수요량을 하천에서 직접 취수하는 양과
하천변 지하수 이용량으로 배분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용수공급 현황 및 계획 검토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 공
급 부족량 및 추가공급 계획은 해당시설의 기본 계획 보고서, 시설관리자의 업무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한다. 추가적으로 댐건설장기종합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등을 통해 댐 건설 후보지 등을 수집하여 검토한다.

󰊲 지하수이용량 배분 검토
지하수 개발 가능량과 실제 사용량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여유량을 하천유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지하수 함양량 중 개발 가능량과 지하수 관정의 양수를 통해 실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이용량과의 차이에서 여유량을 산정하고 그 여유량 중 전부 또는 일
부를 양수하여 생・공용수 또는 농업용수로 직접 사용하거나, 하천에 방류하여 하천유지유
량으로 배분한다.

1. 지하수의 개념과 정의
대부분의 지하수는 강우 기원으로서, 강수에 의하여 지표에 떨어진 물의 일부가 토양층을
침투하여 중력에 의해 지하로 이동하면서 지질 매체 내의 공극을 채워 형성된다. 이렇게

73
생성된 지하수는 중력에 의해 위치에너지가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암석의 공극이
나 균열을 따라 이동한다. 지질매체를 통하여 이동하는 지하수는 주변 지질 환경의 특성
에 따라 지표로 분출되어 샘을 이루기도 한다. 지하수는 지역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
의되고 있으나, 엄격한 의미에서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지질매체의 공극이 완전히 물로
충진된 부분인 포화대에 포함된 물’로 정의되는데,「지하수법」제2조에서는 지하수는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로서 토양과 암석 속의
포화, 불포화 상태에 있는 물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2. 지하수 개발 가능량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지하수 고갈, 하천 건천화 등으로 물 순환체계가 파괴되지 않고 지
하수 장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대수층으로부터 양수할 수 있는 지하
수량이다. 즉, 지하수의 함양과 유출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개발・이용 가
능한 지하수 함양량을 의미한다. 유역 또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지하수를 관리하거나 지
하수의 개발·이용 계획을 수립할 때 필수적인 기본지표로 활용된다. 수자원총량개념에서
지역지하수관리 계획 수립 등 수자원정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중권역 단위의 유역별, 시・
군·구 단위의 행정구역별로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 가능량을 산정한다. 국가 지하수 관
측망 자료를 활용하여 지하수위 강하 곡선 분석법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지하수 함양량은
188.4억㎥/년으로 함양률은 14.44%이며,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128.9억㎥/년으로 이수안전
측면을 고려하여 10년 빈도 가뭄 시 강수량 905.69㎜를 적용하여 산정한 결과이다(국토해
양부, 2012).

3. 지하수이용 현황
2010년 말 현재, 전국적으로 138만 1,000개소에서 38.1억㎥/연을 사용하고 있으며, 시설 수
는 생활용, 농업용, 공업용, 기타 순이며, 이용량은 농업용, 생활용, 공업용, 기타 순이다.
연간이용량은 38억 700만㎥/연으로 생활용 1,752.6㎥/연, 농업용 1,860.6㎥/연, 공업용 168.0
㎥/년, 기타 25.8㎥/년이다(국토해양부, 2011). 지하수 개발・이용시설은 1994~2010년까지 연
평균 5.1% 증가하였으며, 2010년 말 기준 총 시설 수는 1994년 63만여 공에 비해 2배가
넘는 138만여 공이며 지하수 이용량은 1994~2010년까지 연평균 2.6% 증가하였으며, 2010
년 지하수이용량은 1994년 25.7㎥에 비해 약 48% 증가한 38.1억㎥이다.

4. 지하수시설 관리 현황
지하수관리 기본 계획에 따르면 지하수법에 의해 관리되는 지하수시설은 전체 시설의 80%
에 해당하는 110만 4,000개소이며, 연간 이용량은 전체 이용량의 87%인 33.0억㎥/년이다.

74
수행 내용 / 용수공급량 검토하기

재료·자료


「하천법」, 「댐 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한국수자원공사
법」,「농어촌정비법」,「수도법」 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관리규정, 수질·녹조 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 기본 계획, 도시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댐건설 기본 계획, 댐건설 실시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 기본 계획, 농어촌정비 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
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상수도통계,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통계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댐 운영 실무편람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75
수행 순서

󰊱 수원 및 저류시설의 용수공급량을 조사 및 검토한다.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수원 및 저류시설의 경우 해당시설의 기본 계획 보고서, 관리자의 자
체 통계 자료 또는 업무협조를 통해 시설 제원,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 자료 등을 수
집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원시설 관리자인 한국수자원공사의 경우 조정지댐을 포함하여
20개 다목적댐과 하굿둑을 포함하여 15개 용수 댐을 운영하고 있으며, <표 4-1>과 같다.
<표 4-1> 한국수자원공사의 기존 다목적댐 및 용수댐 현황
구분 수계 기존 댐
다목적댐 한강(3개) 소양강, 충주, 횡성
(20개) 낙동강(9개) 안동, 임하, 합천, 남강, 밀양, 군위, 김천부항, 성덕, 보현산
금강(2개) 대청, 용담
섬진강(3개) 섬진강, 주암(본), 주암(조)
기타(3개) 부안, 보령, 장흥
용수전용댐 태백권(2개) 광동댐, 달방댐
(15개) 포항권(3개) 영천댐, 안계댐, 감포댐
운문권(1개) 운문댐
울산권(4개) 대곡댐, 사연댐, 대암댐, 선암댐
거제권(2개) 연초댐, 구천댐
여수권(1개) 수어댐
평림수도(1개) 평림댐
낙동강하굿둑 낙동강하굿둑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p.I-5-I-13.

금강권역의 경우 수자원단위지도상 금강(30), 삽교천(31), 금강서해(32) 그리고 만경・동진강


(33) 등 4개의 대권역과 21개의 중권역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수원시설로는 금강 대권역
내에는 용담 다목적댐, 대청 다목적댐이 위치하고 있으며, 금강서해 대권역에는 보형 다목
적댐, 만경・동진강 대권역에 부안 다목적댐이 위치하고 있다. 대청 다목적댐의 경우 한국
수자원공사 발행 댐 운영 실무편람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대청 다목적댐은
좌안은 충청남도 대덕군, 우안은 충청북도 문의면에 위치한다. 평균 강우량은 1,230.0㎜이
고, 유역 면적은 금강권역 전체 면적 9,810㎢의 약 42.1%인 4,134㎢이며 시설개요는 <표
4-2>와 같다.

76
<표 4-2> 대청 다목적댐 시설개요
구분 내용 구분 내용
사업기간 1975. 3∼1981. 6 홍수기 제한수위 EL.76.50m
형식 콘크리트 중력식, 석괴식 혼합댐 저수위 EL.60.00m
정상표고 EL.83.00m 용수공급가능수위 EL.49.00m
길이 495.00m 총저수용량 14억 9,000만m3
높이 72.00m 유효저수용량 7억 9,000만m3
계획홍수위 EL.80.00m 홍수조절용량 2억 5,000만m3
상시만수위 EL.76.50m 발전시설용량 90,000kW(45,000kW×2대)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p.I-5-13.

대청 다목적댐은 설계 당시 용수공급 계획량은 생활 및 공업용수 13억㎥/년(41.22㎥/s), 농


업용수 3억 4,900만㎥/년(11.07㎥/s)을 공급하도록 계획되었다. <표 4-3>은 대청 다목적댐의
월별 용수공급 계획이다.
<표 4-3> 대청 다목적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구분 생공용수 농업용수 유지용수 계
저수지 내 20.9 0.0 0.0 20.9
1월
댐하류 20.3 0.0 0.0 20.3
⋮ ⋮ ⋮ ⋮ ⋮ ⋮
저수지 내 20.9 0.0 0.0 20.9
12월
댐하류 20.3 0.0 0.0 20.3
저수지 내(m3/s), (백만m3) 20.9, 660.0 2.2, 70.0 0.0, 0.0 23.1, 730.0
계 댐하류(m3/s), (백만m3) 20.3, 640.0 8.8, 279.0 0.0, 0.0 29.1, 919.0
총계(m3/s), (백만m3) 41.2, 1,300.0 11.0, 349.0 0.0, 0.0 52.2, 1,649.0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I-39.

󰊲 수원 및 저류시설의 공급 부족량 및 추가공급 계획을 조사 및 검토한다.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공급 부족량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수원 및 저류시설의 공급 부족량은 해당시설의 기본 계획 보고서, 관
리자의 업무협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한다. 추가적으로 댐건설장기종합 계획, 수
도정비 기본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등을 통해 댐 건설 후보지 등을 수집하여 검토한다.
<표 4-4>는 한국수자원공사의 건설 중인 댐 현황이다.

77
<표 4-4> 한국수자원공사가 건설 중인 댐 현황
(단위: 백만m3)
구분 하천 총저수용량 유효저수용량 홍수조절용량 사업기간
성덕 보현천 27.9 24.8 4.2 2002∼2015
한탄강 홍수조절댐 한탄강 270.0 - 270.0 2006∼2016
영주 내성청 181.1 181.1 75.0 2009∼2015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I-15.

󰊳 용수 수요량의 지하수이용량 배분을 검토한다.

지하수에 의한 하천유량 확보 및 배분은 지하수 개발 가능량과 실제 사용량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여유량을 하천유량으로 사용하는 방안이다. 추정된 지하수 함양량 중 개발 가능
량과 지하수 관정의 양수를 통해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량과의 차이에 의한 여유량을
산정하고 그 여유량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양수하여 생・공용수 또는 농업용수로 직접 사용
하거나, 하천에 방류하여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자연 기준갈수량을 초과하는 용
수 수요량에 대한 지하수이용량 배분을 검토한다. 하천유지유량의 관점에서 보면 일정량
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하천에 공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추정된 개발 가능량을
생・공용수나 농업용수 외에 하천유지유량으로 배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지하수 고갈의 위
험이 있을 수 있다. 지하수를 하천유지유량 부족분으로 배분하기 위해서는 부족 지점의
유황을 파악하고, 유량이 풍부한 시기, 농업용수 사용기간인 4월에서 9월을 제외하고 유량
이 부족한 시기를 고려하여 배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활
용할 경우는 지하수로 인한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하기 위해 천변에 저류조를 설치하는 등
수온을 높인 후 하천에 방류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연 하천수 범위를 초과하는
용수 수요량에 대해 지하수관리 기본 계획(2012∼2021)을 참고하여 해당 지역의 연평균강
수량에 지하수 함양률을 적용하여 구한 지하수 함양량을 지하수 개발 가능량으로 추정하
고 있다. 해당 하천 유역에서의 개발 가능량 자료를 수집하여 초과 용수 수요량을 지하수
로 배분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표 4-5>는 유역・대권역별 지하수 개발 가능량 대비 이용
량 비율이다.

78
<표 4-5> 유역・대권역별 지하수 개발 가능량 대비 이용량의 비율
유역 대권역 개발가능량(백만m3/년) 이용량(백만m3/년) 개발 가능량/이용률(%)
전국 18,842.3 12,891.4 68.4
한강 계 4,467.00 1,024.00 22.9
한강 3,257.70 777 23.9
안성천 219.9 129.3 58.8
한강서해 402.3 80.3 20
한강동해 587.1 37.4 6.4
낙동강 계 3,614.10 912.2 25.2
낙동강 2,564.40 685.6 26.7
형산강 131.2 30.1 22.9
태화강 91.8 28.4 30.9
회야수영 135.1 44.6 33
낙동강동해 365.8 35.7 9.8
낙동강남해 325.8 87.8 26.9
금강 계 2,270.80 1,042.80 45.9
금강 1,227.90 542.7 44.2
삽교천 202.2 98 48.5
금강서해 405.6 217.1 53.5
만경동진 435.1 185 42.5
섬진강 계 814.5 333.3 40.9
섬진강 310 191.2 61.7
섬진강남해 504.5 142.1 28.2
영산강 계 994.6 371.8 37.4
영산강 471.5 216 45.8
탐진강 71.6 18 25.1
영산강남해 173.4 29.8 17.2
영산강서해 278.1 108 38.8
제주도 730.4 124.6 17.1
출처: 국토해양부(2012). 『지하수관리기본 계획(2012∼2021)』. 국토해양부. p.21.

수행 tip

• 수원 및 저류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을
시설관리자 협조를 통해 조사하여 검토한다.
• 수원 및 저류시설의 공급 부족량 및 추가공급 계획
을 시설관리자 협조를 통해 조사하여 검토한다.
• 지하수 개발 가능량과 실제 사용량의 차이에서 발생
하는 여유량을 하천유량으로 배분한다.

79
4-2. 물수지 분석

• 하천에서 직접 취수하는 양에 대한 용수 수요와 자연유량을 비교하여 물부족 여


부를 판단하는 물수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의 용수공
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물수지 분석

1. 정의
하천설계기준・해설(2009)에 따르면 물수지 분석은 한 유역의 장래 안정된 용수 수급을 계
획하기 위하여 유역 내 장래의 용수 수요와 기준 갈수연도의 자연유량을 비교함으로써 유
역 내의 하천에서의 물 수지를 예측하고 용수가 부족할 경우 용수를 공급할 댐의 위치나
규모 등을 결정하는 작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 물수지 분석은 유
역의 장래 안정된 용수 수급을 계획하기 위하여 유역 내 과거의 자연유량과 장래 용수 수
요를 비교함으로써 목표연도별 과부족을 전망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분석 방법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물수지 분석 목적은 장래 물 수급 전망을 위한 것으로 하천의 가용
유량을 판단하는 하천수 사용허가의 하도 물수지 분석과는 차이가 있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에서는 공간적 분석단위를 전국을 한강 등 6개 권역, 117개 중권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수자원공급조건으로 1967~2007년(41개년)의 수문사상이 장래에도 재현된다고
가정하여 매년 반순(5일) 단위의 공급량과 수요량에 대한 물수지 분석 수행 후 가뭄 빈도
별 물 부족량을 산정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에서의 물수지 분석 절차는 [그림 4-1]
과 같다. 하천 기본 계획 이수 계획 수립에 있어서는 가용유량 판단을 위해서 하천수 허가
량과 장래 수요를 고려하여 자연하천수의 공급 가능성을 검토하는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
고 물 부족이 발생할 경우 하천유량 분담 계획을 수립한다. 기준갈수량에 하천유지유량을
고려한 하천수 사용허가기준유량을 기준으로 공간단위는 수자원단위지도상의 표준 소유역
을 기본으로 하고, 생・공용수 65%, 농업용수 35%의 회귀율을 적용하며 취수 후 표준소유
역의 말단부로 회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가용유량을 분석한다. 수요량으로는 현재 하천수
허가량과 장래 수요량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표 4-6>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하천수 사용허가 및 하천 기본 계획 이수 계획 수립 시 물수지 분석을 비교한 표이다.

80
[그림 4-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물수지 분석 절차

<표 4-6> 물수지 분석 방법 비교


구분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 하천수 사용허가 하천 기본 계획 이수 계획
장래 물수급 전망 자연하천수 사용허가 검토 가용유량 검토
목적
전국 수자원 계획 수립 댐 등 용수사용계약 검토 하천유량 분담 계획
공간단위 중권역 표준 유역 표준 유역
법적구속력 없음 있음 있음
과거 41개년 자연유량 기준갈수량 기준갈수량
기준유량
(Tank모형)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반영) (하천수 사용허가 반영)
현재 하천수 허가량과 현재 하천수 허가량과
수요량 장래 수요
사용허가 신청량 장래 수요

󰊲 하천유량 분담 계획 수립
물수지 분석 결과,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기존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
시설의 용수공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가용유량
이 0.124㎥/s로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나, 향후 계획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
황이며, 전체 수계 측면에서의 전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81
수행 내용 / 물수지 분석하기

재료·자료

「하천법」,「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농어촌정비법」 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수문 조사 업무규정,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규정,
보관리 규정, 수질・녹조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기준 및 매뉴얼

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댐건설기본 계획,
댐건설 실시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
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 기본 계획, 농어촌정비 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수도 관리연보, 수문 자료집,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관리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물수지 분석을 수행한다.


하천수 수요량과 기준갈수량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을 통해 가용유량을 산정한다. 물수지

82
분석 시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회귀율을 고려한다. 가용유량은 표준 소유역 출
구점에 대한 유역 전체를 하나의 물수지 단위로 가정하여 산정한다.

1. 유역 목록, 분할 지점 작성하기
대상 하천에 대한 표준 소유역을 조사하여 <표 4–7> 물수지 분석표 ①에 표준 소유역명을
작성한다. 예를 들어 논산천 유역의 경우 표준 소유역은 [그림 2-7] 논산천 유역 표준 유
역 모식도와 같이 논산천 상류, 탑정댐, 노성천, 강경천, 논산천 하류 총 5개로 구성되어
있다. 물수지 분석표에서는 생략하였으나, 하도구간 파악을 위해서 분할 지점도 함께 작성
하는 것이 편리하다.

2. 기준갈수량, 하천유지유량 작성하기


대상 하천의 표준 소유역별 기준갈수량을 <표 4-7> 물수지 분석표 ②, ③에 각각 기준갈
수량 및 하천유지유량을 조사・검토하여 기입한다. 예를 든 <표 4-7> 논산천 유역의 경우
기준갈수량은 [그림 2-7] 논산천 유역 표준 유역 모식도에 도시한 값과 같으며, 해당 값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2009)에서 제시된 값이다.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은 논산 지점
으로 1.71㎥/s이다. 재산정한 경우는 추가수량에 대해 추가적으로 물 수지를 분석할 수 있
도록 함께 제시한다.

3.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산정하기


하천수 사용허가의 기준유량은 해당 표준 소유역의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량을 제외
한 양으로 <표 4-7> 물수지 분석표 ④에 산정하여 기입한다. 하천유지유량은 논산 지점에
만 고시되어 있으므로 논산 지점 하류 표준 소유역은 논산 지점과 동일한 하천유지유량이
흐르는 것으로 가정된다. 논산 지점 상류의 표준 소유역의 경우는 기준갈수량과 같으며,
논산 지점을 포함한 하류 표준 소유역은 해당 표준 소유역의 기준갈수량에서 하천유지유
량을 제외하여 산정한다. 따라서 논산천 하류 표준 소유역의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은
2.340㎥/s에서 논산 지점 하천유지유량 1.710㎥/s을 제외한 0.130㎥/s가 된다.

4. 허가량 및 회귀량 작성하기


표준 소유역별로 해당 표준 소유역 내와 상류 누계를 구분하여 <표 4-7>의 ⑤ 및 ⑥에 각
각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하천수 사용허가량에 대한 회귀량을 조사하여 기입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표 2-13>과 같이 총 8건의 하천수 사용허가 중 댐 용수 계약 분 1건은 자연
하천수에 대한 물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외하고 검토하였다. 물 부족이 발생하
여 상류 수원을 통한 용수 확보를 검토할 경우는 수원별로 계약 분을 포함하여 수량을 검
토하여야 한다. 회귀율은 농업용수로 35%를 적용하였다.

5. 가용유량 산정하기
표준 유역별로 허가기준유량에서 상류누계 허가량을 제하고 회귀량을 더하여 가용유량을 산정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표 4-7>과 같이 하류 출구점에서 가용유량이 0.124㎥/s임을 알 수 있다.

83
<표 4-7> 물수지 분석표(논산천) (단위: m3/s)
기준 하천유 사용허가 허가량⑤ 회귀량⑥ 가용
소유역명①
갈수량② 지유량③ 기준유량④ 유역내 누계 유역내 누계 유량⑦
논산천 0.522 - 0.522 0 0 0 0 0.522
탑정댐 0.771 - 0.771 0 0 0 0 0.771
노성천 0.711 - 0.711 0.580 0.580 0.203 0.203 0.334
강경천 0.434 - 0.434 0.070 0.070 0.025 0.025 0.389
논산천하류 2.340 1.710 0.630 0.130 0.780 0.046 0.274 0.124

6. 물수지 모식도 작성하기


물수지 분석표를 활용하여 물수지 모식도를 작성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표 4-7>을 활
용한 물수지 모식도는 [그림 4-2]과 같다.

󰊲 하천유량 분담 계획을 수립한다.


물수지 분석 결과,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기존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
의 용수공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가용유량이 0.124
㎥/s로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나, 향후 계획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황으로 전체
수계 측면에서의 물수지 분석을 통해 수계일관 한 하천유량 분담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하
천에서 직접 취수하는 경우 부족분에 대해서 상류 댐, 저수지 등의 상류 수원을 통해 분담시키
고, 지하수 개발 계획 등을 파악하여 분담이 가능한지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그림 4-2] 물수지 모식도(논산천)

수행 tip

• 표준 소유역별 기준갈수량과 고시된 하천유지유량을


활용하여 물수지 분석표를 작성한다.
• 작성된 물수지 분석표를 활용하여 물수지 모식도를
작성한다.

84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과 용수공급


부족량을 조사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가용유량 검토를 위한 물수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수 수요량, 기준갈수량 및 회귀율을 고려하고 표준소유역 출구점에 대한 유역 전체를 하나의


물수지 단위로 가정한 물수지 분석을 통해 가용유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물수지 분석 결과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 기존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의


용수공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의 기본 계획 대비 용수공급량과 용수공급


부족량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가용유량 검토를 위한 물수지 분석을 위해 수요량, 기준갈수량, 회귀율 및


공간적인 물수지 분석단위 등 가정 사항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유역 목록, 분할 지점, 기준갈수량, 하천유지유량, 하천수 사용허가 기준유량, 허가량 및 회귀량


등에 대한 물수지 분석표를 작성한다.

• 해당 하천 유역에 대해 작성된 물수지 분석표를 활용하여 허가량, 회귀량, 허가기준유량 및


가용유량 등을 도시화하여 물수지 모식도를 작성한다.

• 물수지 분석 결과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 기존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의


용수공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검토한다.

85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용수공급량 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여 검토할 수 있다.
검토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용
수공급량과 용수공급 부족량을 조사하여 검토할 수 있다.
- 해당 하천 유역의 가용유량 검토를 위한 물수지 분석단
위 등 가정 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 물수지 분석표를 작성하고 가용유량을 산정한 후 물수지
물수지 분석 모식도를 작성할 수 있다.
- 추가적인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댐, 저수지 등 수원
및 저류시설의 용수공급량을 검토하여 확보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현황 및 계획의 조
사 방법을 설명
용수공급량 - 해당 하천 유역의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검토 용수공급량과 용수공급 부족량의 조사 방법을 설명
- 해당 하천에서의 가용유량을 파악하기 위한 물수지 분석
방법을 설명

- 물수지 분석표, 물수지 모식도 작성 방법을 설명


물수지 분석 - 추가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 해당 확보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86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현황 및 계획을 조사
할 수 있는지 여부
용수공급량
- 저수지, 댐 및 저류시설 등 수원시설 용수공급량과 용수공
검토
급 부족량을 조사할 수 있는지 여부

- 물수지 분석을 통해 가용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지 여부

- 물수지 분석표 및 물수지 모식도를 작성할 수 있는지 여부


물수지 분석 - 추가 용수 확보가 필요한 경우 해당 확보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을 파악하고 있는지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저수지, 댐 등의 수원에 대해 관리기관, 현황 등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물수지 방법상의 가정 사항에 대해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준거를 제공한다.
- 해당 하천 유역의 수원시설에 대한 용수공급 부족량 자료의 수집방안을 설명하도록 한다.
- 물수지 분석과 관련하여 관련 자료수집 방법을 보완 설명하도록 한다.

87
학습 1 하천수 사용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1)
학습 2 이수 특성 분석하기(LM1402010705_14v2.2)
학습 3 용수 수요량 산정하기(LM1402010705_14v2.3)
학습 4 용수공급 계획 수립하기(LM1402010705_14v2.4)

하천유량 확보 계획 수립하기
학습 5
(LM1402010705_14v2.5)

5-1. 용수공급시설 검토

• 기존 댐의 연계 운영, 타 유역 도수 등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유량 확보 계획


을 수립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갈수 대책 댐, 저수지 재개발, 천변저류지 등 시설물 설치를 통하여 유량 확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하천유량 확보방안별 분류
하천유량 확보방안은 수원, 구조적 및 비구조적 대책, 단기 및 중장기 방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수원에 따라 하천유량의 직접 확보방안과 간접 확보방안으로 나눈다. 직접 확보
방안은 하천수의 저장, 취수 및 조절, 하수 처리 방류수 활용, 타 유역에서의 공급, 기타
지하수 용출수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간접 확보방안은 수질관리, 지하수관리, 유역관리,
물 절약, 대체수자원 개발 등을 통해 하천유량의 수요를 저감시키거나 하천유량을 간접적
으로 증대하는 방안이 있다. 직접 확보방안을 구조적 및 비구조적 방안으로 분류할 경우
구조적 방안에는 신규 댐 개발,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상류 지역 방류, 하수처리장으로 현
지 처리 확대, 타 유역 도수 공급, 지하수 용출수 이용 등이며, 비구조적 방안으로 기존
저수지 운영률 개선 및 용수 재배분, 하천 유수점용허가 정비 및 관리 모니터링 등이 있
다. 간접 확보방안은 대체로 비구조적 방안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확보방안을 단기와
중장기방안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단기방안은 기존 저수지 운영률 개선 및 용수 재배분,
하천 유수점용허가 정비 및 관리 모니터링, 하수 처리장 방류수의 상류 지역 방류, 타 지
역에서 도수시설로 공급, 지하철 지하수 용출수 이용 등을 들 수 있으며 중장기방안으로
는 신규댐 설계기준 수정 및 수원개발, 소규모 하수처리장으로 현지 처리 확대 등이며 간
접 확보방안은 대부분 중장기대책에 해당된다.

88
󰊲 댐 등의 운영 개선 및 건설에 의한 확보방안

1. 댐 발전방식 개선
수력발전을 포함하는 대용량 저수지는 물수요가 높은 평・갈수기에 방류할 수 있도록 홍수
유출기간 동안 물을 저류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하천 흐름 영역을 바꾸게 된다. 수력발전에
서 상시발전이 아닌 첨두 발전은 전력 수요가 최고조에 달하는 기간 동안 요구되는 전력
을 공급하기 위해 터빈을 작동함으로써 자연유량 영역을 강제 개폐하는 패턴으로 변화시
키게 된다. 하류에 조정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천유량이 조절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천유량 조절이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발전방식의 전환을 고려할 만하다. 이러
한 경우 발전방류로 파생되는 댐운영 규칙의 조정 및 수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댐 관
리자의 비용부담을 상쇄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2. 기존 댐 용수 재 배분
장기간 운영되어 온 댐의 경우 기후 변화, 수계 내 댐 간 연계 운영, 댐 하류 하천환경생
태를 고려한 저수지의 운영 요구 등 댐건설 당시에는 고려할 수 없었던 수자원·환경관리
여건을 감안한 유역 저수지 시스템의 운영방식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다목적댐 사
용권으로 확보하고 있는 생・공용수 배분량의 이용률은 계획 및 건설 당시의 배분량에 비
해 지방상수도 이용, 용수수요 증가 추세의 감소 등으로 인해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사회・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하천유량에 대한 수요는 급속히 증가하
는 추세이나 대부분의 기존 댐은 하천유량을 위한 용량 확보가 과거 설계 당시의 용량을
확보하는데 그쳐 현재 수요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하천 유역별 기존 댐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달라진 수문, 용수 수요를 고려한 저수지 운영개선과 용수 재 배분을 통
하여 댐 운영자가 비구조적인 방안으로 용수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들 간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댐 및 하천관리자가
집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

3. 소수력 발전소 설치
소수력 발전은 국내 부존자원을 활용하고 전력생산 외에 농업용수 공급, 하천유량 공급,
홍수 조절에 기여할 수 있다. 초기 건설비 소요는 크지만 일단 건설 후에는 운영비가 저
렴하여 최근 기존 댐에 설치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대규모 다목적댐 이외의 생・공용
수 전용댐, 농업용 저수지 등은 소수력발전소를 설치하여 하천유량을 보장하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4. 농업용 저수지 활용
농업용수의 잉여분을 하천유지유량으로 전용하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수계별 농업 수리 현
황의 파악이 필요하다. 농업용수의 잉여분을 전용하는 방안은 경지 면적 감소, 농업 계획
변경 등에 의해 불용된 부분을 확보하는 방안과 농업용수로 구조물화 및 자동 물 관리 시

89
스템 도입 등 농지시설을 합리화함에 따라 발생한 잉여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5. 댐 건설 시 하천유량 확보
신규로 댐을 건설할 경우 초기 투자비가 크고, 수몰민 발생 등의 민원이 발생할 수 있어
이해당사자의 합의가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용수공급, 홍수 조절, 발전 등을 주목적으
로 댐을 건설할 때 하천유지유량 공급도 함께 설정하게 된다. 건설되는 신규 댐의 경우
다목적댐, 용수 전용 댐, 홍수 조절 전용 댐을 막론하고 유역 내 하천유지유량이나 환경개
선용수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일정량을 하천유량 확보용으로 배분하여 의무적으
로 방류할 필요가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소규모 갈수댐 건설을 통한 적극적인 공급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수행 내용 / 용수공급시설 검토하기

재료·자료


「하천법」, 「댐 건설 및 주변 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농어촌정비법」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상수도시설기준,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댐 관리 규정, 보 관리 규정, 수질・녹조 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등 기준 및 매뉴얼


도시 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댐건설기본 계획, 댐건설 실시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 관리 종합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수문조사연보,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지적통계연보, 국토교통통
계연보, 환경통계연감, 상수도통계,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 농림축산식품 주요 통계,
재해연보, 기상 연・월보,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90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관리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
HEC-5 등 저수지 모의 운영 모형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기존 댐 운영실적 평가에 의한 하천유량 확보방안을 검토한다.

1. 기존 댐 제원 파악하기
해당 하천 유역의 댐, 저수지 등 기존 댐의 제원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표 5-1>은 용담
다목적댐의 시설개요이다. 용담 다목적댐은 좌안으로는 전북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우안
으로는 전북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로 금강 유역 최상류에 위치한다. 평균 강우량은
1,252.7mm이고, 유역 면적은 금강권역 전체 면적 9,810km2의 약 9.4%인 930㎢이다.
<표 5-1> 용담 다목적댐 시설개요
구분 내용 구분 내용
사업기간 1990. 12∼2005. 12 계획홍수위 EL.265.50m

콘크리트 상시만수위 EL.263.50m


형식 표면차수벽형 저수위 EL.228.50m
석괴댐 용수공급가능수위 EL.225.00m
정상표고 EL.268.50m 8억 1,500만m3, 홍수위 기준
총저수용량
길이 498.00m 7억 4,200만m3, 만수위 기준
6억 7,200만m3, 홍수 조절 공용용량
높이 70.00m 유효저수용량
포함
정상폭 10.00m 22,100kW(11,050kW×2대), 제1발전소
발전용량
최대가능홍수위 EL.266.56m 4,100kW, 제2발전소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실무 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I-39.

91
용담 다목적댐은 전주권 생활 및 공업용수 공급으로 4억 9,275만㎥/년(15.6㎥/s), 금강본류
하천유지용수 공급으로 1억 5,768만㎥/년(5.0㎥/s), 총 6억 5,043만㎥/년(20.6㎥/s)의 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표 5-2>는 용담 다목적댐의 월별 용수공급 계획이다.

92
<표 5-2> 용담 다목적댐 월별 용수공급 계획
구분 생공용수 농업용수 유지용수 계
저수지 내 15.6 0.0 0.0 15.6
1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2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3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4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5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6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7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8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9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10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11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 15.6 0.0 0.0 15.6
12월 댐하류 0.0 0.0 5.0 5.0
계 15.6 0.0 5.0 20.6
저수지 내(m3/s), (백만m3) 15.6, 492.7 0.0, 0.0 0.0, 0.0 15.6, 492.7
계 댐하류(m3/s), (백만m3) 0.0, 0.0 0.0, 0.0 5.0, 157.7 5.0, 157.7
총계(m3/s), (백만m3) 15.6, 492.7 0.0, 0.0 5.0, 157.7 20.6, 650.4
출처: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p.I-39.

93
2. 확보 가능량 산정하기

(1)운영 실적에 의한 평가
해당 하천의 용수공급시설로 기존 댐이 건설되어 있는 경우 계획 당시 용수공급 계획
과 실 운영기준 댐 용수 공급량과 유효방류량 등 운영실적 평가를 통해 [그림 5-1]과
같이 가용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산정된 가용수량은 기존 댐을 통한 연간 확보 가능
량으로 적정 배분을 통해 하천유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림 5-1] 기존 댐 가용수량 평가 방법

(가) 공급량기준 확보 가능량 평가


기존 댐의 계획 당시 용수공급 계획과 하천유지용수를 포함한 연도별 월별 용수공
급량을 파악하여 비교한다. 용담 다목적댐의 경우 <표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
획 당시 용수공급으로 생활 및 공업용수(4억 9,275만m3/년, 15.6m3/s)와 하천유지용
수(1억 5,768만m3/년, 5.0 m3/s)를 공급하도록 계획되었다. 공급량기준 확보 가능량은
댐 계획공급량에서 실 운영기준 댐 공급량을 비교하여 산정한다. 연간 댐 계획공급
량과 실 운영 가용 자료에 대해 연평균 댐 용수 공급량 및 연최대 댐 용수 공급량
의 차이를 각각 산정하여 확보 가능량을 평가한다. 용담 다목적댐의 경우 공급량
기준 확보 가능량은 댐 계획공급량은 <표 5-2>의 6억 5,040만㎥과 연평균 댐공급량
의 차이, 연 최대 댐 공급량과의 차이가 각각 확보 가능량이 된다. 자연・사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2009)에서 제시한 2002
∼2007년까지 연평균용수공급량은 6억 4,370만㎥이고, 연 최대 용수공급량은 7억
2,900만㎥으로 공급량 기준 확보 가능량은 각각 670만㎥, -7,860만㎥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때 기존 댐 계획목표연도 도래, 운영기간에 따른 가용자료 연한을 검토하여
야 한다.

(나) 방류량기준 확보 가능량 평가


댐 운영 자료가 충분한 경우 실제 댐으로부터 방류된 용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댐
공급량을 제외하고 남은 양은 재 배분을 위한 확보 가능량이 된다. 이수방류량 평
가는 총 방류량에서 홍수 조절용량을 제외하고 산정한다. 홍수 조절용량은 저수위

94
가 홍수제한수위 이상일 때 방류된 유량과 발전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방류된 유량
을 포함하고 있다. 월별 연차별 이수방류량을 산정하고 가뭄 시 댐의 이수방류량에
서 연평균용수공급량과 연 최대 용수공급량을 비교하여 방류량 기준 확보 가능량
을 산정할 수 있다. 용담 다목적댐의 경우 자연・사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2009)에서는 2002∼2007년까지 연평균용수공
급량은 6억 4,370만㎥이고, 연 최대 용수공급량은 7억 2,900만㎥로, 가뭄 시 댐 방
류량으로 2006년 이수방류량인 5억 4,815만㎥를 활용하여 방류량기준 확보 가능량
을 각각 –9,550만㎥, -1억 8,080만㎥으로 평가하였다.

(2) 모의 운영에 의한 확보 가능량 평가


저수지 모의 운영 모형을 활용하여 기존 댐을 모의 운영하여 확보 가능량을 평가할
수 있다. 용수공급 능력 평가 최악의 갈수기 동안에도 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최대공
급량인 보장공급량 기준, 장기간의 계획기간에 걸친 저수지 운영을 통하여 전체기간
중 일정비율의 기간 동안만 물 부족이 발생하는 공급량을 평가하는 신뢰도 기준에 의
해 평가하게 된다. 신뢰도 평가기준은 전체 분석년 중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연(충
족년)의 비율로 산정하여 신뢰도를 산정하는 연간단위 신뢰도와 전체 분석기간 중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충족기간) 비율로 신뢰도를 산정하며 일반적으로 월별 및
순별로 평가하는 기간단위 신뢰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사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2009)에서는 용담 다목적댐에 대해 미 공
병대의 저수지 모의 운영 모형인 HEC-5를 이용하여 용수공급 능력을 평가하여 연간
단위기준 신뢰도 96.30%, 용수공급량은 5억 7,474만㎥/년으로 용담 다목적댐 설계 당시
6억 5,043만㎥/년에 비해 7,569만㎥/년이 감소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신규 댐 건설에 의한 하천유량 확보방안을 검토한다.

1. 계획 중인 신규 댐 현황 파악하기
신규 댐에 의한 하천유량 확보방안은 건설 예정인 신규 댐의 계획된 용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하천유지용수 및 부족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신규 댐에 의한 확보방안은 많은
양의 유량 확보가 가능하다. 2012년 댐건설장기 계획(2012∼2021)에서는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물 부족량 4억 6,000㎥에 대해 6개 신규 댐 반영을 통해 1억 1,000㎥/연의 용수공
급량을 확보하고 지역에서 제시한 8개 소규모 댐을 통해 지역 물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댐 건설 후보지(안)는 <표 5-3>과 같으며 금강의 경우는 지천에 총 저수용
량 2,100만㎥인 신규 댐을 통해 용수공급량 2,700만㎥/년, 홍수 조절용량 400만㎥를 확보
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95
<표 5-3> 신규 댐 건설 후보지(안)
(단위: 백만m3)
총저수 연간
수계별 홍수 조절 계
용량 용수공급
소계(6개소) 404 109 237
낙동강-장파천 57 22 6 광역수도정비 기본 계획(2009)
광역수도정비 기본 계획(2009)
낙동강-대서천 45 30 12
댐건설장기 계획(2001)
다목적 댐
광역수도정비 기본 계획(2009)
금강-지천 21 27 4
댐건설장기 계획(2001)
섬진강-내서천 21 30 4 광역수도정비 기본 계획(2009)
한강-오대천 90 - 90 한강 유역종합치수 계획(2009)
홍수조절 댐 낙동강유역종합치수 계획(2009)
낙동강-임천 170 - 121
댐건설장기 계획(2001)
출처: 국토해양부(2012). 『댐건설장기 계획』. 국토해양부. p.38.

2. 신규 댐 개발 가능 후보지 검토하기
필요 시 추가로 신규 댐 개발 가능 지점을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도상 검토와 현지답
사를 통해 수몰지 개발 현황을 고려하여 적정 규모가 되도록 검토하여 제시한다. 자연・사
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2009)에서는 댐건설
장기 계획의 일부 신규 댐의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로 개발 가능 지점을 검토하여 10개 댐
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댐은 금강본류에 수통댐 1개소, 1차 지류에 박달댐, 괴곡댐, 지천
댐 등 3개소, 2차 지류에 석천댐, 두평댐, 선골댐, 한밭댐, 소호댐, 고당댐 등 6개소이다.
분석 방법은 하천유량, 댐 유입량을 모의하고, 저수량 변화를 모의하여 신규 댐에 의한 확
보량을 모두 하천유지유량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월단위의 기간단위 신뢰도 95%
수준의 공급량을 결정하였다. 하천유지유량 공급량을 부족 용수와 적정하게 배분할 수 있
으므로 금강 유역의 신규 댐에 의한 확보 가능량으로 볼 수 있다. 선정된 댐에 대해 댐
유입량과 하천유량모의에 용수수요를 고려한 DAWAST 모형(노재경, 2003)을 사용하였다.
DAWAST 모형은 우리 고유의 기상 및 수문, 지형 및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한
개념적 집중형 일 유출 모형으로서 토양층을 불포화층과 포화층으로 구분하고 물수지에
의해 토양 수분저류능을 일별로 나타내며, 일 강우 및 증발 자료를 입력하여 불포화층의
높이, 포화층의 높이, 포장용수량 높이, 심층투수계수, 유역증발산계수 등 6개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일 유출을 모의할 수 있다(노재경, 1991). 분석된 10개 신규 댐 저수량 및 확보
가능량은 <표 5-4>와 같다. 전체 저수량은 3억 7,700만㎥이며, 이를 통해 하천유지유량을
연평균 8억 2,000만㎥ 공급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통댐은 수통수위관측소를 기준으
로 두 지점을 제시하였다. 수통댐 1은 수통수위관측소 상류로 저수량이 적고 상류의 수몰
구역이 넓게 나타나는 계획안이며, 수통댐 2는 수통수위관측소 하류로 저수량이 많고 하

96
류 수몰구역이 증가하고 상류의 수몰구역을 감소시키는 계획안이다.
<표 5-4> 신규 댐 저수량 및 하천유지유량 분석 결과
유역 면적 사업 효과 만수위 연평균하천유지유량 신뢰도
댐명
(km2) (백만m3) (EL.m) (백만m3) (%)
1 1552.28 71.461 176.4 389.738 95.4
수통댐
2 1561.26 126.330 175.0 441.728 96.8
석천댐 217.90 18.671 190.0 46.645 96.0
박달댐 642.40 39.645 130.0 140.483 95.0
두평댐 3.74 2.782 225.0 1.847 95.2
괴곡댐 201.17 12.817 72.0 41.898 95.0
한밭댐 15.75 5.802 150.0 8.368 95.0
소호댐 7.48 4.141 145.0 4.399 95.2
선골댐 123.60 11.786 95.0 30.092 95.2
고당댐 64.30 46.385 90.0 35.792 95.2
지천댐 193.09 163.746 70.0 121.324 95.0
계 3,021.71 377.236 820.586 95.2
출처: 국토해양부(2009). 『자연・사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금
강권역)』. 국토해양부. p.38.

수행 tip

• 해당 하천의 기존 댐 제원과 신규 댐 건설 계획을


파악한다.
• 기존 댐 공급량기준 확보 가능량은 댐 계획량과 실
운영 기준 댐 공급량을 비교하여 산정한다.
• 기존 댐 방류량기준 확보 가능량은 이수방류량과 실
운영기준 댐 공급량을 비교하여 산정한다.

97
5-2. 하천수 사용량 조정
• 수요 측의 물 관리로서 수요를 줄이는 수요관리 등을 통한 유량 확보 계획을 수
립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도시 유역 내의 빗물, 하수 처리수 이용 등 절수형 시스템 구축을 통한 유량 확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수요관리를 통한 유량 확보 계획

1. 하천수 사용의 조정
하천수 사용자의 수요관리를 통해 신규 수원 등 추가적인 시설 계획 없이 하천유량을 확
보할 수 있다. 하천유량 확보에 있어서 현행 「하천법」제53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은
하천수 사용허가의 유효기간 안에 이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근 평균사용률이 1년간
40%, 3년간 60%, 5년간 80% 이하로 사용한 경우 하천수 사용허가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허가수량을 조정하려는 경우 중앙하천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며, 허가수량을
조정하기 전에 지역주민 등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하여 하천수 조정협의회를 구성・운영할
수 있다. 허가수량을 조정한 경우 하천수 사용자와 댐 등의 설치자에게 이를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2. 하천수 사용량의 기록・관리


조정 가능 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하천수 사용자의 일사용량 자료가 필요하다. 현행
「하천법」제52조에서는 일일 생활 5,000㎥, 공업 1,000㎥, 농업 8,000㎥의 하천수 사용자
는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계측시설을 설치하고 하천수의 사용일, 사용량 및 계측 방법
에 대한 기록・보관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매월 다음 달의 사용 계획과 전달의 사용실적
을 관할 하천수 사용 허가 및 관리청인 홍수통제소에 통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관할 홍
수통제소를 통해 하천수 사용실적 자료를 제공받아 하천수 사용 조정가능수량 산정 시 활
용할 수 있다. 다만, 앞에서 제시한 일정규모 미만 사용자의 경우 자료의 기록・보관의무가
없어 사용량 자료의 취득이 어려우며, 수문 조작 등의 간접적인 방법을 이용한 하천수 사
용량의 측정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자료 활용 시 유의하여야 한다.

98
󰊲 절수형 시스템 구축을 통한 유량 확보 계획

1. 하천유량 확보
하천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단기방안으로는 하천수 사용량 조정, 댐 용수 재 배분, 하수 처
리수 재이용 등을 통한 확보방안이 있으며, 중장기 방안으로는 유역의 물 순환 복원, 수원
재개발 등이 있다. 하천수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인센티브 제공 등 수요자
중심의 확보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는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수반한다. 하수 처리수는
도시 물 순환체계에서 중요한 수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청소, 세척, 냉각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유량 등 다양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공사 시 지하수위보다 깊게 굴착하
여 공사하는 경우 발생된 유출은 공사 완료 후에도 유출이 발생하게 된다.

2. 생활용수 수요관리
생활용수의 경우 수요관리 수단으로 물 값, 절수기기, 중수도 및 노후관 교체 등이 있다
(국토연구원, 2006). 2001년 「수도법」개정을 통해 객실이 10실 이하인 경우를 제외한 숙
박업, 목욕장업 및 골프장업에 대하여 절수기기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기존 주택에 대해서
는 공공투자를 통해 절수기기 설치를 확대해 왔으며, 1999년부터 절수기기 무상 설치운동
을 실시하였다. 중수도의 경우 주로 청소, 화장실, 세척, 공업용수, 소방수 등으로 사용되
고 있다.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물 수요관리를 위해 종합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으로 지하누수탐지, 노후배관망 정비, 불
용관 정비, 중블록 유수율 관리, 가압급수지역 관리, 재개발・재건축 지역관리 등에 대한
추진 방향을 설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수행 내용 / 하천수 사용량 조정하기

재료·자료

「하천법」,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농어촌정비법」, 「수도법」, 「하


수도법」 등 법률


하천설계기준・해설, 댐 설계 기준・해설,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하천 기본 계획 수립지침, 농업
생산기반정비사업 설계기준,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등 기준 및 매뉴얼

99

도시 기본 계획, 도시 관리 계획, 광역도시 계획, 수도권정비 계획,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유역종합
치수 계획, 하천 기본 계획, 댐건설장기 계획, 댐건설 기본 계획, 댐건설 실시 계획, 수도정비
기본 계획, 전국수도종합 계획, 물 수요관리 종합 계획, 국가하수도종합 계획, 유역하수도정비
계획, 하수도정비기본 계획, 농어촌정비기본 계획, 농업생산기반정비 계획, 농업생산기반 정비사
업 기본 계획,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 계획 등 법정 계획


한국하천일람, 지하수 조사연보, 지하수 관측연보,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 지방자치단
체의 통계연보 등 정부승인 통계간행물


한국수자원공사의 다목적댐관리연보, 댐 운영 실무편람 등 기관별 자체 통계간행물


국토교통부의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국가지하수정보 시스템, 하천관리지리정보 시스
템, 4개 홍수통제소 홈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용수종합정보 시스템, 농업기반시설관리,
농촌 지하수넷 등 수자원 관련 정보 시스템 검색 결과

기기(장비 ・ 공구)

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플로터, 스캐너 및 프로젝터 등 전산장비


수치지형도, 위성사진, 연속지적도 및 지질도 등 주제도


캐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및 GIS SW

안전 ・ 유의 사항

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 바이러스에 유의한다.


관련 법령 확인·검토 시 연혁, 현행, 시행 예정 등 법령의 유효 시기 구분에 유의한다.

수행 순서

󰊱 수요관리를 통한 유량 확보 계획을 수립한다.

1. 하천수 사용량 조정가능대상 검토하기


「하천법」제53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0조에 따라 피허가자가 일정 비율 이하로 하천
수를 사용하는 경우 허가수량의 조정이 가능하다. 「하천법」제5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0조에 따라 매월 일 사용실적을 보고하고 있는 1일 생활용수 5,000㎥, 공업용수 1,000
㎥, 농업용수 8,000㎥ 이상 하천수 사용자 중 최근 1년간 평균사용률이 100분의 40, 3년간
평균사용률이 100분의 60, 5년간 평균사용률이 100분의 80인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논산천 유역의 하천수 사용 8건은 모두 농업용수로 이 중 1일 8,000㎥ 사용자로 하
천수 사용량 조정 검토대상은 <표 5-1>과 같이 3건이다.

100
<표 5-5> 논산천 유역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대상 검토
표준 유역명 하천명 시설명 용도 수원 허가량 대상 여부
논산천 상류 논산천 - - - - -
탑정댐 논산천 탑정양수장 농업 댐용수 657,000m3/일(7.604m3/s) ○
덕지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3,456m3/일(0.040m3/s) ×
논산천 하류 논산천
하신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7,776m3/일(0.090m3/s) ×
거교보 농업 자연하천수 20,736m3/일(0.240m3/s) ○
노성천 노성천 항월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20,367m3/일(0.236m3/s) ○
숙진보 농업 자연하천수 8,930m3/일(0.103m3/s) ○
강경천 강경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1,382m3/일(0.016m3/s) ×
강경천
마산천 칠등양수장 농업 자연하천수 4,200m3/일(0.049m3/s) ×

2. 평균 사용량 및 평균 사용률 검토하기


1일 생활용수 5,000㎥, 공업용수 1,000㎥, 농업용수 8,000㎥ 이상 하천수 사용자의 경우를
제외하면 하천수 사용실적을 허가청인 관할 홍수통제소에 보고할 의무가 없어 실제 사용
량을 파악하기 어렵다. 하천수 사용실적 자료 보유 여부를 파악하여 평균 사용량을 검토
한다. 예를 들어 논산천 유역의 경우 <표 5-6>에서 보고대상인 일일 8,000㎥ 이상 농업용
수 하천수 사용자로 조정 가능량을 검토할 수 있는 대상은 탑정양수장, 거교보, 항월양수
장 및 숙진보 4건이다. 하천수 사용량 실적 자료가 있는 경우에 따라 각각 자료기간 1년,
3년, 5년 평균사용량 및 평균사용률을 검토하였으며, <표 5-7>과 같다. 탑정양수장은 가용
자료기간이 1, 3년으로 검토 결과 평균 사용률이 각각 6.48, 6.74%로 조정대상에 해당하며,
거교보, 항월양수장 및 숙진보의 경우는 가용 자료기간이 모두 1, 3, 5년으로 평균 사용률
이 최소 11.93∼29.95%로 조정대상에 해당된다.
<표 5-6> 논산천 유역 하천수 평균 사용량
평균
시설명 허가량(m3/일) 자료기간(연) 조정대상 여부
사용량(m3/일) 사용률(%)
탑정양수장 657,000 1 42,584 6.48 ○
3 44,286 6.74 ○
거교보 20,736 1 5,283 25.48 ○
3 5,151 24.84 ○
5 5,496 26.51 ○
항월양수장 20,367 1 2,430 11.93 ○
3 3,148 15.46 ○
5 4,386 21.54 ○
숙진보 8,930 1 2,025 22.68 ○
3 2,122 23.76 ○
5 2,674 29.95 ○

101
3. 조정 가능량 검토하기

연평균일 사용량 및 연평균일 사용률을 검토하여 허가수량 조정 여부를 판단한 후 조정


가능량을 검토하여 제시한다. 조정 가능량을 연평균 사용량으로 조정할 경우 과소 산정의
우려가 있으므로 자료기간 중 최대일 사용량을 검토하여 하천수 사용자가 하천수를 사용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의 경우 하천수 사용량은
연간 큰 변동이 없으나, 농업용수의 경우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이 큰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논산천 유역의 경우 조정대상 하천수 사용시설 모두 농업용수로 평균 사용량과 최
대 사용량의 차이가 크다. 갈수 시 안정적인 취수를 감안하여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최대
일 사용량 등을 검토하여 조정 가능 수량을 산정한다. 논산천 유역의 경우 하천수 사용량
과 최대 사용량의 차를 조정 가능 수량으로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는 <표 5-7>과 같다. 탑
정양수장의 경우 평균사용률은 약 7%로 매우 낮은 수준이나, 최대 사용량을 고려하여 조
정 가능량은 일일 65,122㎥/일이다. 탑정양수장을 제외한 하천수 사용시설의 경우 최대 사
용량이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 가능수량은 없는 실정이다.
<표 5-7> 논산천 유역 하천수 사용 조정 가능량
시설명 허가량(m3/일) 자료기간(연) 최대 사용량(m3/일) 조정 가능량(m3/일)
탑정양수장 657,000 1 591,878 65,122
3 591,878 65,122
거교보 20,736 1 20,736 0
3 20,736 0
5 20,736 0
항월양수장 20,367 1 20,367 0
3 20,367 0
5 20,367 0
숙진보 8,930 1 8,930 0
3 8,930 0
5 8,930 0

󰊲 절수형 시스템 구축을 통한 유량 확보 계획을 수립한다.

1. 하수 처리수 재이용 검토하기

(1) 하수 처리장 방류수의 상류 도수 검토


하수 처리수를 중계 펌프장을 이용하여 하천 상류로 도수하여 하천유량을 확보하는
방법을 검토한다. 지방자치단체의 하수 처리수 재이용 계획을 조사하여 해당 계획을
반영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활용은 손쉽게 하천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류 도수를 위해 펌프시설 등의 활용을 위한 유지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하
수 처리수는 도시 물 순환체계에서 중요 수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수 처리수 재이

102
용 실적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청소, 세척, 냉각수 등으로 재이용하고 있으며, 대부
분 자연유하방식으로 하천 하류 말단부에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어 상류구간의 건천화
의 원인이 된다. 환경부는 물의 재이용을 촉진하고 관련 기술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
여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년마다 물 재이용 기본 계획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기본 계획에 따라 관할 지역
에서의 물 재이용 관리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또 빗물이용시설, 중수도, 하·
폐수 처리수, 재 처리수 등을 용수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2) 소규모 하수 처리장 검토


하수 처리장의 경우 대부분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하천 상류의 건천화 등이 발
생할 수 있으므로 하수 처리장 설치 계획이 있는 경우 하수가 발생하는 지역에 소규
모 하수 처리장 설치를 검토한다. 다만, 시설규모 대비 건설비용이 크고, 운영인력을
고려하여 소규모 하수 처리장은 원격제어를 통한 무인화관리가 필요하다.

2. 타 유역으로부터 도수 검토하기
자체 유역에서 하천유량의 확보가 어렵다면 타 유역으로부터 도수를 함께 고려한다. 하천
이수 계획 수립은 해당 하천관리청별로 수립되는 특징으로 검토 시 어려움이 있을 수 있
으나, 생활용수의 경우 광역상수도 등 대규모 도수시설 등의 활용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3. 기타 방법 검토하기
기타 방법으로 지하수 용출수 이용, 우수침투시설 설치 등을 검토할 수 있다. 지하철 구내
에 유입된 지하수 용출수의 경우는 도심의 일부 지역에서만 활용이 가능하고 계절적 변화
가 있어 보조적인 확보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기적으로 하천 건천화 방지
차원에서 우수침투시설 설치를 검토할 수 있다. 참고로, 농업용수의 경우 「농어촌정비
법」에 따른 특례로 농업기반시설인 경우 무상으로 수요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공업용
수의 경우는 개별 사업을 고려하여 절수가 이루어지는 경우로 이수 계획에 반영하기 어렵
다. 생활용수의 경우 「수도법」제15조에 따라 건축주는 수돗물의 절약과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절수설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숙박업, 목욕장업, 체육시설, 공중화장실에는
절수설비와 절수기기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수행 tip

• 평균 사용량을 분석하여 하천수 사용량 조정대상을


먼저 검토한다.
• 검토된 하천수 사용량 조정대상에 대해 최대 사용량
을 검토하고 하천수 사용허가량과 비교하여 조정 가
능수량을 산정한다.
• 절수형 물 관리체계를 고려한 직접적인 하천유량 확
보와 간접적인 하천유량 확보방안을 함께 검토한다.

103
학습5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하천유량 확보방안을 수원, 구조적 및 비구조적 대책, 단기 및 중장기 방안에 따라 분류하여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 대표적인 하천유량 확보방안으로 기존 댐 운영실적 평가, 하천수 사용량 평가, 신규 댐 건설,


하수 처리장 방류수 재이용 및 농업용 저수지 재개발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해당 하천의 기존 저수지 등을 포함한 댐 제원, 용수공급 계획의 기본 계획 대비 현황을 파악하고,


댐건설장기 계획을 수집・검토하여 신규 댐 건설 계획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기존 댐 확보 가능량 산정 방법으로 운영실적에 의한 평가와 저수지 모의 운영에 의한 확보


가능량 평가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하천수 사용자의 평균 사용량과 평균 사용률을 검토하여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대상을 선정하고 공급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최대 사용량을 검토하여 하천수 조정
가능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방법

• 하천유량 확보방안별 장・단점을 파악하고, 기존 댐 운영실적 평가, 신규 댐 건설 계획, 하천수


사용량 평가 등 대표적인 하천유량 확보방안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용수공급시설을 통한 확보 가능량 검토를 위해 기존 댐 제원, 용수공급 계획 및 신규 댐건설장기


계획 등을 수집하여 검토한다.

• 기존 댐 확보 가능량 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운영실적에 의한 평가와 저수지 모의 운영에


의한 평가 방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기존 댐 확보 가능량을 운영실적에 의한 평가 방법으로 실 운영기준 댐용수공급량과 이수방류량


을 산정하여 공급량기준 확보 가능량과 방류량기준 확보 가능량을 산정한다.

• 하천수 사용자의 평균 사용량과 평균 사용률을 검토하여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대상을 선정하고 공급안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최대 사용량을 검토하여 하천수 조정
가능량을 산정한다.

104
학습5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해야 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해야 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해당 하천의 기존 댐 제원, 용수공급 계획 및 신규 댐
건설 계획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할 수 있다.
용수공급시설 - 기존 댐 실 운영 용수공급량 기준 확보 가능량을 평
검토 가하여 제시할 수 있다.
- 기존 댐 실운영 이수방류량 기준 확보 가능량을 평가
하여 제시할 수 있다.
- 평균 사용량 및 평균 사용률을 검토하여 하천수 사용량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대상을 검토할 수 있다.
조정 -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량은 안정적 하천수 사용을
고려하여 최대사용량을 비교하여 산정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문제해결 시나리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기존 댐, 건설 중인 댐, 신규 댐 계획 등을 통해 용수
공급시설을 조사하여 검토하는 방법을 설명
용수공급시설
- 실 운영 용수공급량 기준 확보 가능량의 평가 방법 설명
검토
- 기존 댐 실 운영 이수방류량 기준 확보 가능량의 평
가방법을 설명
- 평균 사용량 및 평균 사용률을 검토하여 하천수 사용
하천수 사용량 량 조정가능대상 선정 방법 설명
조정 - 최대 사용량을 비교하여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량
산정 방법 설명

105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기존 댐, 건설 중인 댐, 신규 댐 계획 등을 통해 용수
공급시설을 조사하여 검토할 수 있는지 여부
용수공급시설 - 실 운영 용수공급량 기준 확보 가능량을 산정할 수
검토 있는지 여부
- 기존 댐 실 운영 이수방류량 기준 확보 가능량의 산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평균 사용량 및 평균 사용률을 검토하여 하천수 사용량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대상 선정 여부
조정 - 최대 사용량을 비교하여 하천수 사용량 조정 가능량
산정 여부

피드백

1. 문제해결 시나리오
- 유량 확보 계획에 따른 방법론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 기존 댐 연계 운영 사례 등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 사용량 조정 기능을 보충하여 설명한다.

2.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피평가자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준거를 제공한다.
- 하천유량 확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 사용량 조정 기능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106
∙ 건설교통부(2006).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06~2020)』. 건설교통부.

∙ 건설교통부(2006). 『하천유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건설교통부.

∙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 조사 온라인 시스템(2016). http://wems.nier.go.kr에서 2016. 7. 28.


검색.

∙ 국민안전처. 홈페이지(2016). http://www.mpss.go.kr에서 2016. 7. 28. 검색.

∙ 국토교통부(2015). 『2015 지하수 조사연보』. 국토교통부. 6.

∙ 국토교통부(2014). 『수질・녹조 대비 댐-보-저수지 운영기준』. 국토교통부. 23.

∙ 국토교통부(2013). 『통계로 보는 한국의 수자원』. 국토교통부. 372-374.

∙ 국토교통부(2015). 『한국수문조사연보 2014』. 국토교통부. 5., 225.

∙ 국토교통부(2014). 『한국하천일람』.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 K-water 국가지하수정보센터(2016). http://www.gims.go.kr에서 2016. 8. 26. 검색.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 통계누리(2016). http://stat.molit.go.kr에서 2016. 8. 26. 검색.

∙ 국토연구원(2006). 『물 수요관리 평가모형의 구축방안 연구』.

∙ 국토해양부(2012). 『댐건설장기 계획(2012~2021)』. 국토해양부. 38.

∙ 국토해양부(2011). 『수자원장기종합 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09). 『자연·사회 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


(금강권역)』. 38., 105., 265., 271.

∙ 국토해양부(2012). 『지하수관리기본 계획(2012~2021)』. 국토해양부. 21.

∙ 국토해양부(2009). 『하천수 사용허가업무 매뉴얼』.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09). 『하천설계기준・해설』.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2009). 『하천유지유량 산정요령』.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 환경부(2008). 『상수도 수요량 예측 업무편람』. 국토해양부.

∙ 기상청 홈페이지(2016). http://kma.go.kr에서 2016. 8. 26. 검색.

∙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2016). http://mafra.go.rk에서 2016. 8. 26. 검색.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2016). http://www.law.go.kr에서 2016. 8. 26. 검색.

107
∙ 윤양수(2013). 『행정법개론』. 넷스코 미디어랩.

∙ 통계청 홈페이지(2016). http://kostat.go.kr에서 2016. 8. 26. 검색.

∙ 한국농어촌공사. 농업기반시설관리 홈페이지(2016). http://rims.ekr.or.kr에서 2016. 8. 26. 검색.

∙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2016). http://www.e-cluster.net에서 2016. 8. 26. 검색.

∙ 한국수자원공사(2015). 『댐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2016). http://www.kwater.or.kr에서 2016. 8. 26. 검색.

∙ 한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2016). http://www.hrfco.go.kr에서 2016. 8. 26. 검색.

∙ 환경부 홈페이지(2016). http://www.me.go.kr에서 2016. 8. 26. 검색.

∙ 환경부, 환경통계포털(2016). http://stat.me.go.kr에서 2016. 8. 26. 검색.

∙ 행정자치부(2006). 『관보 제16369호』. 행정자치부. 66.

∙ 행정자치부(2006). 『관보 제18612호』. 행정자치부. 30-31.

∙ 國土交通省(2014). 『日本の水資源の現況』.

108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이종형(공주대학교) 김영호((주)이산) 김만식(신성대학교)
김창환(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김영기(삼안엔지니어링)
송용진(도화엔지니어링) 박환철(도화엔지니어링)
신용노(한국수자원공사) 서상원((주)유신)
신희범((주)삼안) 윤여진(건양대학교)
원희영(前(주)이산)
전환돈(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차준호(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최익배((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습모듈은 자격기본법 시행령(제8조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에 의거하여 개발하였으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11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