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기초수문학

하천유량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최현일

서론
 하천유량 또는 간단히 유량은 단위시간 동안의 강, 하천, 계곡 및 하도의 특정 단면을
통과하는 물의 양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m3/sec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 여러 가지 목적의 수자원 계획에서 유량관측은 필수적이며 유역에 대한 물의 순환과정
에서 강우를 입력으로 본다면 유량은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유역 출구
지점으로 빠져 나오는 출력이라 할 수 있다.
 따라서 수문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입력 자료인 강우뿐만 아니라 출력자료인 유량의
관측이 필수적이다.
 주요 내용
 수위측정
 유속측정
 유량산정
 수위-유량관계곡선
 유량자료의 해석

2
하천유량
 유량관측
 하천유량: 하천수로상의 어떤 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의 수량(m3/sec)

 물의 순환: 강우(입력) → 유량(출력)

 수문학 ⇒ 이수(가뭄)/치수(홍수) ⇒ 목적변수는 하천유량

 하천유량자료의 정확한 획득 ⇒ 수문분석이 시발점이며 중요한 요소

 유량산정방법의 분류

방 법
구 분
수 위 유 속 유 량
보통수위계 유속계 직접측정
부표식 희석식 위어사용
측정량 압력센서식 부자식 오리피스
전자기식 초음파식 수로
전자기식

수위측정
 수위(stage): 평균해수면(mean sea level)을 기준으로 관측한 하천 수표면의 높이
 수위수문곡선(stage hydrograph): 수위를 유량단위로 환산
 수위계: 보통수위계(manual gauge) / 자기수위계(recording gauge)

 보통수위계
 청계천의 수표교
 준척수위계(staff gauge)
 추선수위계(wire weight gauge)
 부자수위계(float gauge)
 첨두수위계(crest stage gauge)

<수표교> <수표> <최고치 수위계>

4
수위측정
 자기수위계
 자동으로 수위를 기록
 부표식 수위계(float type gauge)
 압력식 수위계(pressure sensor gauge): pressure sensor를 교각에 부착
 전기저항식 수위계(electric resistance gauge)
 초음파 수위계(ultrasonic gauge)

< 부표식 자동수위계 >

< 압력식 자동수위계 > < 초음파수위계 및 레이더 수위계 >


5

수위측정
 자기수위계의 기록지
 일평균수위(daily mean stage)
 보통수위계: 08:00와 20:00 때의 수위를 평균
 자기수위계: 매 정시 수위의 평균 (24개)
 수위관측소의 위치 선정
 하천관리, 하천정비기본계획 및 수자원개발계획, 하천구조물 시공상 중요한 지점으로
영구관측이 필요한 지점
 주요 지류의 합·분류의 전후, 보·수문 등의 상·하류 지점
 협곡부, 유수지, 호소, 저수지, 내수 및 하구 등의 수리상황을 알기 위하여 필요한 지점
 목적이나 주변지형을 고려하여 대표성이 있는 지점
 조석의 영향이 없는 지점
 유량변화에 따른 수위변화가 큰 지점
 갈수시 하상이 들어나지 않는 지점
 유지관리가 쉬운 지점 (관측소 유지와 접근도로 확보가 가능한 지점)
 홍수시 관측에 지장이 없는 안전한 지점

6
수위관측소 현황
구 분 합 계 T/M 자기
합 계 546 543 3
전 체 국토부 407 404 3
수 공 139 139 0
소 계 144 144 0
한 강 국토부 115 115 0
수 공 29 29 0
소 계 177 174 3
낙동강 국토부 108 105 3
수 공 69 69 0
소 계 133 133 0
금 강 국토부 115 115 0
수 공 18 18 0
소 계 48 48 0
섬진강 국토부 28 28 0
수 공 20 20 0
소 계 44 44 0
영산강 국토부 41 41 0
수 공 3 3 0

유속측정
 기계적 방법
 회전식 유속계(rotating meter)
 동력식 유속계(dynamometer)
 부표식 유속계(float type meter)
 전자기 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 초음파 수위계(ultrasonic gauge)

흐름

Acoustic flow measurement

V  A  BN

<전자유속계>
8
유속측정
 유속분포

유량산정
 소단면 유량 산정
: 소단면으로 분할 후 유속 측정 → 단면측량 → 유량산정

Qi  AiVi

 평수시 및 저수시의 수심 및 유속 관측선의 간격

10
유량산정
 소단면에서의 유량을 합산하여 총 단면 유량 산정

Q   Qi   AiVi

 단면적을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 중간단면적법

B2  B3
Q3  A3V3  D3V3
2
Bi 1  Bi
Qi  AiVi  DiVi
2

 평균단면적법
D5  D6 V5  V6
Q5  A5V5  B5
2 2
Di  Di 1 Vi  Vi 1
Qi  AiVi  Bi
2 2

11

유량산정
 물에 뜨는 부자가 일정한 구간을 떠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유속 및 유량을 산정

 부자에 의한 유량 측정
 하천의 단면 측량: 하천 수위와 횡단면도 획득
 부자가 이동한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유속 산정
 평균유속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보정 평균유속 산정
 소단면 유량 산정 후 총 단면 유량 산정

12
유량산정
 Dilution method (희석법)
 하천의 수심이 작거나, 유속이 너무 큰 경우 등 유속계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 상류에 추적물질(tracer)를 주입 후 하류에서 농도를 측정하여 유량 산정
 염화나트륨(NaCl), 중크롬산나트륨(sodium dichromate), 산소18(18O), 중수소(2H),
로다민 B 및 W (Rhodamine B or W) 등
 순간주입법(sudden injection method) / 일정량 주입법(constant rate injection)
 혼합거리(mixing length): 추적물질이 하천 횡단면에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는 거리
에서 하류 시료수 채취

• L: 주입된 지점으로부터의 거리(m)


 0.7C z  b  b 2 
L  0.13C z    • Cz: Chezy의 조도계수
 g  d 
• b: 하천의 평균 폭(m)
• g: 중력가속도(9.81m/s2)
• d: 흐름의 평균수심(m)

13

유량산정
 순간주입법
 추적물질을 상류에 순간적으로 주입 후 하류의 시료수 농도를 측정
 질량보존법칙
유입질량 = 유출질량 • Q: 유량(L/sec)
t2 • V: 주입용액의 체적(L)
C1V  Q  C2 t
0
• C’1: 주입용액의 농도(mg/L)
C1V • C’2: 시료수의 농도(mg/L)
Q
• t: 시간(sec)
t2

 C  t
0
2

 일정량주입법
 상류에 농도가 일정하도록 추적물
질을 주입 후 하류의 시료수 체취
 질량보존법칙

14
유량산정
 수면경사-단면적법
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할 경우 점유속 측정을 통한 유
량산정은 불가능 ⇒ 간접적인 방법 이용
 Based on Bernoulli equation (energy balance)
and Manning’s equation

 Energy balance equation (Bernoulli equation)

• y=수면표고(m)
V12 V2
y1    y2   2  hL • V=단면에서의 평균유속(m/sec)
2g 2g • α=에너지 보정계수
• hL=두 단면간의 마찰손실수두(m)
 에너지 경사
hL
S
L
 Manning’s Equation
1
Q AR 2 / 3 S 1/ 2  KS 1/ 2
n
1
K  AR 2 / 3
n

15

수위-유량 관계곡선
 매번 유량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수위를 관측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으로부터 유량 산정
 자연하천의 불규칙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저수유량(low flow), 중간규모 유량
(intermediate flow), 및 고수유량(high flow)에 대해 rating curve를 작성

16
수위-유량 관계곡선
 수위 및 유량자료를 전대수지에 도시한 후,
 수위-유량관계: 직선 ⇒ Q=aHb
 수위-유량관계: 곡선 ⇒ Q=a(H±H0)b

 수위-유량관계곡선의 형태 및 관계식

17

수위-유량 관계곡선

18
하천유량자료의 해석
 하천유량: 하천수로상의 어떤 단면을 통과하는 단위시간당의 물의 체적(m3/sec, ft3/sec)
 비유량(specific discharge): 유량을 그 유역의 배수면적으로 나눈 값(m3/sec/km2)
⇒ 유역의 유출률을 비교
 유출심(고)(runoff depth): 비유량 → mm, cm
 수문곡선(hydrograph): 수위 혹은 유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시하는 곡선
 수위수문곡선(stage hydrograph)
 유량수문곡선(discharge hydrograph) → 홍수수문곡선(flood hydrograph)

19

하천계측시스템

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