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The Steady

Magnetic Field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MAGNETIC FIELD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MAGNETIC FIELD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BIOT-SAVART LAW
비오사바르법칙(Biot-Savart Law)
 정의: 미소 전류소(current element)에 의한 한 점 P 에서의 자계
 미소 전류소: 전류가 흐르는 선소도체(filamentary conductor)의 무한히 작은 토막
 선소도체: 단면이 원형이며, 반경이 무한히 작은 원통 도체 𝑟𝑟 ≪ 𝑙𝑙

• 미소전류소에 의한 점 P 에서의 자계 크기
• 𝐼𝐼: 전류크기
𝐼𝐼𝑑𝑑𝐼𝐼 sin 𝜃𝜃 • 𝑑𝑑𝐼𝐼: 선소길이
𝑑𝑑𝑑𝑑 ∝
𝑅𝑅 2 • 𝜃𝜃: 선소와 측정점 사이의 각
• 𝑅𝑅: 선소에서 점 P 까지의 거리

𝐼𝐼𝑑𝑑𝐼𝐼 sin 𝜃𝜃 • 1⁄ :비례상수


4𝜋𝜋
𝑑𝑑𝑑𝑑 =
4𝜋𝜋𝑅𝑅 2 • 단위: [A/m]
• 𝑑𝑑𝑑𝑑의 방향
(전류) I //dL (미소선소벡터)  𝑑𝑑𝐋𝐋 과 𝐑𝐑로 이루어진 면에 수직인 방향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𝐚𝐚𝑅𝑅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𝐑𝐑  두 개의 수직 방향 중, 𝑑𝑑𝐋𝐋 에서 𝐑𝐑로 회전할 때,
𝑑𝑑𝐇𝐇 = = (1)
4𝜋𝜋𝑅𝑅 2 4𝜋𝜋𝑅𝑅 3
 오른 나사의 진행 방향과 동일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BIOT-SAVART LAW (계속)
 점 1 에 위치한 전류소(current element)에 의한 점 2에서의 자계
𝐼𝐼1 𝑑𝑑𝐋𝐋1 × 𝐚𝐚𝑅𝑅12
𝑑𝑑𝐇𝐇2 = 2 (2)
4𝜋𝜋𝑅𝑅12
• vs. 쿨롱(Coulomb)의 법칙 with 미소 전하소

𝑑𝑑𝑄𝑄1 𝐚𝐚𝑅𝑅12 • 전계: 원천과 동일


𝑑𝑑𝐄𝐄2 = 2 • 자계: 원천과 수직
4𝜋𝜋𝜀𝜀0 𝑅𝑅12
 식 (1), (2)로 표현된 Biot-Savart 법칙은 이론적 설명
 실험적으로 확인 불가
→전류는 미소 전류소만으로 존재할 수 없음
𝜕𝜕𝜌𝜌𝑣𝑣
전류의 연속방정식  𝛁𝛁 � 𝐉𝐉 = − 𝛁𝛁 � 𝐉𝐉 = 0 • I 는 직류로 가정
𝜕𝜕𝑡𝑡

� 𝛁𝛁 � 𝐉𝐉𝑑𝑑𝑑𝑑 = 0 � 𝐉𝐉 � 𝑑𝑑𝐒𝐒 = 0 • 임의의 폐곡면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0


𝑆𝑆
Biot-Savart의 적분형 :
 폐곡로를 따라 흐르는 전류만이 만족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𝐚𝐚𝑅𝑅
𝐇𝐇 = � (3)
 폐회로를 흐르는 전류로 실험적 확인 가능 4𝜋𝜋𝑅𝑅2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BIOT-SAVART LAW (계속)
Biot-Savart 법칙 적용 #1. 균일한 표면전류밀도 K 가 있는 경우

• 전류와 수직방향 폭 b의 표면의 흐르는 전류


• 표면전류밀도 K
 표면: 두께가 zero인 면
→ 표면 전류의 전류밀도 𝐽𝐽 = ∞ 𝐼𝐼�
𝑑𝑑𝑑𝑑 = 0
 정의: 단위폭 길이에 흐르는 전류
→ 𝐼𝐼 = 𝐾𝐾 ⊥ 𝑏𝑏 = 𝐾𝐾𝑏𝑏

𝑑𝑑𝑄𝑄𝑖𝑖
• 미소 전류소 (IdL)는 ???
𝐼𝐼 = − = � 𝐉𝐉 � 𝑑𝑑𝐒𝐒 = � 𝐾𝐾𝑑𝑑𝐾𝐾 (4)
𝑑𝑑𝑡𝑡 𝑆𝑆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𝐊𝐊𝑑𝑑𝑑𝑑 = 𝐉𝐉𝑑𝑑𝑑𝑑 (5)

𝐊𝐊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𝐇𝐇 = � (6)
4𝜋𝜋𝑅𝑅 2
𝑆𝑆

𝐉𝐉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𝐇𝐇 = � (7)
4𝜋𝜋𝑅𝑅 2
vol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BIOT-SAVART LAW (계속)
Biot-Savart 법칙 적용 #2. 직류 전류 I 가 흐르는 무한히 긴 선소가 있는 경우
• 무한 선소가 z 축 놓여있을 때 점 2에서의 자계
 대칭성에 따라 𝑧𝑧와 𝜙𝜙에 대한 변화는 없음  𝐫𝐫 = 𝜌𝜌𝐚𝐚𝜌𝜌
𝑟𝑟 ′ = 𝑧𝑧 ′ 𝐚𝐚𝑧𝑧 𝐑𝐑 = 𝐫𝐫 − 𝐫𝐫 ′ =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 ′ 𝐚𝐚𝑧𝑧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 ′ 𝐚𝐚𝑧𝑧
𝐚𝐚𝑅𝑅12 =
′ ′ 𝜌𝜌2 + 𝑧𝑧 ′2
𝐼𝐼𝑑𝑑𝑧𝑧 𝐚𝐚𝑧𝑧 ×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 𝐚𝐚𝑧𝑧
𝑑𝑑𝐇𝐇2 = 3⁄2 𝑑𝑑𝐋𝐋 = 𝑑𝑑𝜌𝜌𝐚𝐚𝜌𝜌 + 𝜌𝜌𝑑𝑑𝜙𝜙𝐚𝐚𝜙𝜙 + 𝑑𝑑𝑧𝑧𝐚𝐚𝑧𝑧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𝑑𝑑𝐋𝐋 = 𝑑𝑑𝑧𝑧 ′ 𝐚𝐚𝑧𝑧
∞ 𝐼𝐼𝑑𝑑𝑧𝑧 ′ 𝐚𝐚𝑧𝑧 ×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 ′ 𝐚𝐚𝑧𝑧 ∞ 𝐼𝐼𝑑𝑑𝑧𝑧 ′ 𝜌𝜌𝐚𝐚𝜙𝜙 𝐼𝐼 ∞ 𝜌𝜌𝐚𝐚𝜙𝜙
𝐇𝐇2 = � =� = � 𝑑𝑑𝑧𝑧 ′
−∞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3⁄2 −∞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3⁄2 4𝜋𝜋 −∞ 𝜌𝜌2 + 𝑧𝑧 ′2 3⁄2


𝐼𝐼𝜌𝜌𝐚𝐚𝜙𝜙 ∞ 𝑑𝑑𝑧𝑧 ′ 𝐼𝐼𝜌𝜌𝐚𝐚𝜙𝜙 𝑧𝑧 ′ 𝐼𝐼
𝐚𝐚𝜙𝜙 ≠ 𝑓𝑓 𝜌𝜌, 𝑧𝑧 𝐇𝐇2 = � = � = 𝐚𝐚
4𝜋𝜋 −∞ 𝜌𝜌2 + 𝑧𝑧 ′2 3⁄2 4𝜋𝜋 𝜌𝜌2 𝜌𝜌2 + 𝑧𝑧 ′2 2𝜋𝜋𝜌𝜌 𝜙𝜙
−∞

• 전류가 존재하면, 주위에는 자계가 생성됨.


𝐼𝐼 • 자계 세기의 크기는 전류에 비례
𝐇𝐇2 = 𝐚𝐚 (8)
2𝜋𝜋𝜌𝜌 𝜙𝜙 • 자계 세기의 크기는 거리에 반리례
• 방향: 선소 주위의 동심 원주 방향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BIOT-SAVART LAW (계속)
Biot-Savart 법칙 적용 #3. 유한 전류 선소가 있는 경우
• 유한 전류 선소에 의한 점 2에서의 자계
 0,0, 𝑧𝑧 ′ 에 위치한 미소 전류소 𝐼𝐼𝑑𝑑𝑧𝑧 ′ 를 고려
𝐑𝐑 = 𝜌𝜌𝐚𝐚𝝆𝝆 − 𝑧𝑧𝐚𝐚𝑧𝑧
𝐼𝐼𝑑𝑑𝑧𝑧 ′ 𝑎𝑎𝑧𝑧 ×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𝐚𝐚𝑧𝑧
𝑑𝑑𝐇𝐇 = 3⁄2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𝐼𝐼𝜌𝜌𝑑𝑑𝑧𝑧 𝐚𝐚𝜙𝜙
= 3⁄2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𝑧𝑧2 =𝜌𝜌 tan 𝛼𝛼2 𝐚𝐚𝜙𝜙 𝑑𝑑𝑧𝑧
𝐼𝐼𝜌𝜌
𝐇𝐇 = �
𝑧𝑧1 =𝜌𝜌 tan 𝛼𝛼1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3⁄2

𝐼𝐼 tan 𝛼𝛼2 tan 𝛼𝛼1


= − 𝐚𝐚𝜙𝜙
4𝜋𝜋𝜌𝜌 1+ tan2 𝛼𝛼 2 1+ tan2 𝛼𝛼1
𝐼𝐼
𝐇𝐇 = sin 𝛼𝛼2 − sin 𝛼𝛼1 𝐚𝐚𝜙𝜙 (9)
𝐼𝐼1 𝑑𝑑𝐋𝐋1 × 𝐚𝐚𝑅𝑅12 4𝜋𝜋𝜌𝜌
𝑑𝑑𝐇𝐇2 = 2
4𝜋𝜋𝑅𝑅12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암페어의 주회법칙 (Ampere’s circuital law)
 정의: 임의의 폐곡로로 자계 H를 선적분한 값은 그 폐곡로로 구성된 단면을 관통하는 전류의 합과 동일

 가우스 법칙과 유사함.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10) vs. � 𝐃𝐃𝑆𝑆 � 𝑑𝑑𝐒𝐒 = 𝑄𝑄
𝑆𝑆  대칭성을 갖는 구조에 대한 용이한 해석

• 오른나사 법칙 (law of clockwise screw)으로 방향 정의

• 자계 H가 전류 I 와 수직 (원통좌표계 기준 𝐚𝐚𝜙𝜙 )

 폐곡로 a 에 대한 암페어 주회법칙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 폐곡로 b 에 대한 암페어 주회법칙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 폐곡로 c 에 대한 암페어 주회법칙


암페어의 주회법칙 (Ampere’s circuital law)
• 자계 H와 미소증가분(dL)에 대한 선 적분의 값 • 폐곡로에 의한 단면의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은 다를 수 있으나 전체 선적분의 값은 항상 같다. 면적이 작아짐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암페어 주회법칙 응용 #1. 직류 전류 I 가 흐르는 무한히 긴 선소가 있는 경우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 크기  𝑑𝑑 ≠ 𝑓𝑓 𝜙𝜙, 𝑧𝑧

𝑑𝑑 = 𝑓𝑓 𝜌𝜌
𝑑𝑑𝜙𝜙
• 방향  𝐚𝐚𝜙𝜙

𝐇𝐇 = 𝑑𝑑𝜙𝜙 𝐚𝐚𝜙𝜙

𝑑𝑑𝐋𝐋 𝐇𝐇 = 𝑑𝑑𝜌𝜌 𝐚𝐚𝜌𝜌 + 𝑑𝑑𝜙𝜙 𝐚𝐚𝜙𝜙 + 𝑑𝑑𝑧𝑧 𝐚𝐚𝑧𝑧 → 𝑑𝑑𝜙𝜙 𝐚𝐚𝜙𝜙


𝑑𝑑𝐋𝐋 = 𝑑𝑑𝜌𝜌𝐚𝐚𝜌𝜌 + 𝜌𝜌𝑑𝑑𝜙𝜙𝐚𝐚𝜙𝜙 + 𝑑𝑑𝑧𝑧𝐚𝐚𝑧𝑧 → 𝜌𝜌𝑑𝑑𝜙𝜙𝐚𝐚𝜙𝜙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𝑑𝑑𝜙𝜙 𝐚𝐚𝜙𝜙 � 𝜌𝜌𝑑𝑑𝜙𝜙𝐚𝐚𝜙𝜙 = � 𝑑𝑑𝜙𝜙 𝜌𝜌𝑑𝑑𝜙𝜙 = 𝐼𝐼

반지름이 𝜌𝜌인 폐곡로를 선적분 경로로 택하면,


2𝜋𝜋 2𝜋𝜋 𝐼𝐼 𝐼𝐼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𝑑𝑑𝜙𝜙 𝜌𝜌𝑑𝑑𝜙𝜙 = 𝑑𝑑𝜙𝜙 𝜌𝜌 � 𝑑𝑑𝜙𝜙 = 𝑑𝑑𝜙𝜙 2𝜋𝜋𝜌𝜌 = 𝐼𝐼 𝑑𝑑𝜙𝜙 = 𝐇𝐇 = 𝐚𝐚
0 0 2𝜋𝜋𝜌𝜌 2𝜋𝜋𝜌𝜌 𝜙𝜙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암페어 주회법칙 응용 #2. 무한히 긴 동축선로(coaxial cable)이 있는 경우

• 내도체에 전류 I, 외도체에 –I 가 각각 흐르는 무한 길이 동축 선로


• 크기: 동축선로의 대칭성에 따라 𝑑𝑑 ≠ 𝑓𝑓 𝜙𝜙, 𝑧𝑧
• 내도체는 많은 선도 도체로 구성
• 방향  𝐚𝐚𝜙𝜙
• 각 선소 도체의 자계 H의 𝜌𝜌 성분은 상쇄

무한 동축선로
• 자계 H의 크기는 𝜌𝜌의 함수
• 자계 H의 방향은 𝑑𝑑𝜙𝜙 성분만 존재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 영역 #1. 0 ≤ 𝜌𝜌 ≤ 𝑎𝑎
𝐼𝐼
𝐉𝐉 = 𝐚𝐚
𝜋𝜋𝑎𝑎2 𝑧𝑧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enc = � 𝐉𝐉 � 𝑑𝑑𝐒𝐒
𝐿𝐿1 𝑑𝑑𝐒𝐒 = 𝜌𝜌𝑑𝑑𝜌𝜌𝑑𝑑𝜙𝜙𝐚𝐚𝑧𝑧
2𝜋𝜋 𝜌𝜌
𝐼𝐼 𝐼𝐼𝜋𝜋𝜌𝜌2 𝐼𝐼𝜌𝜌2
𝐼𝐼enc = � 𝐉𝐉 � 𝑑𝑑𝐒𝐒 = 2 � � 𝜌𝜌𝑑𝑑𝜌𝜌𝑑𝑑𝜙𝜙 = = 2
𝜋𝜋𝑎𝑎 𝜙𝜙=0 𝜌𝜌=0 𝜋𝜋𝑎𝑎2 𝑎𝑎
𝐼𝐼𝜌𝜌2 𝐼𝐼𝜌𝜌
𝑑𝑑𝜙𝜙 � 𝑑𝑑𝐋𝐋 = 𝑑𝑑𝜙𝜙 2𝜋𝜋𝜌𝜌 𝑑𝑑𝜙𝜙 2𝜋𝜋𝜌𝜌 = 2 → 𝑑𝑑𝜙𝜙 =
𝑎𝑎 2𝜋𝜋𝑎𝑎2
𝐼𝐼𝜌𝜌
𝑑𝑑𝜙𝜙 = 𝜌𝜌 < 𝑎𝑎
2𝜋𝜋𝑎𝑎2

• 영역 #2.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𝐼𝐼𝜌𝜌2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𝑑𝑑𝜙𝜙 � 𝑑𝑑𝐋𝐋 = 𝑑𝑑𝜙𝜙 2𝜋𝜋𝜌𝜌 = 𝐼𝐼enc 𝐼𝐼enc = 2
𝐿𝐿2 𝑎𝑎

𝐼𝐼𝜌𝜌2 𝐼𝐼
𝑑𝑑𝜙𝜙 2𝜋𝜋𝜌𝜌 = 2 → 𝑑𝑑𝜙𝜙 =
𝜌𝜌 2𝜋𝜋𝜌𝜌
𝐼𝐼
𝑑𝑑𝜙𝜙 =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2𝜋𝜋𝜌𝜌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 영역 #3. 𝑏𝑏 ≤ 𝜌𝜌 ≤ 𝑏𝑏 + 𝑡𝑡 = 𝑐𝑐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2𝜋𝜋𝜌𝜌𝑑𝑑𝜙𝜙 = 𝐼𝐼enc


𝐿𝐿3

−𝐼𝐼
𝐼𝐼𝑒𝑒𝑒𝑒𝑒𝑒 = 𝐼𝐼 + � 𝐉𝐉 � 𝑑𝑑𝐒𝐒 𝐉𝐉 = 𝐚𝐚
𝜋𝜋 𝑐𝑐 2 − 𝑏𝑏 2 𝑧𝑧
2𝜋𝜋 𝜌𝜌
𝐼𝐼
= 𝐼𝐼 − 2 2
� � 𝜌𝜌𝑑𝑑𝜌𝜌𝑑𝑑𝜙𝜙 = 𝜋𝜋 𝜌𝜌2 − 𝑏𝑏 2
𝜋𝜋 𝑐𝑐 − 𝑏𝑏 𝜙𝜙=0 𝜌𝜌=𝑏𝑏

𝜌𝜌2 − 𝑏𝑏 2 𝑐𝑐 2 − 𝜌𝜌2
= 𝐼𝐼 1 − 2 = 𝐼𝐼 2
𝑐𝑐 − 𝑏𝑏 2 𝑐𝑐 − 𝑏𝑏 2
𝐼𝐼 𝑐𝑐 2 − 𝜌𝜌2
𝑑𝑑𝜙𝜙 = 𝑏𝑏 < 𝜌𝜌 < 𝑐𝑐
2𝜋𝜋𝜌𝜌 𝑐𝑐 2 − 𝑏𝑏 2
• 영역 #4. 𝜌𝜌 ≥ 𝑏𝑏 + 𝑡𝑡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2𝜋𝜋𝜌𝜌𝑑𝑑𝜙𝜙 = 𝐼𝐼enc = 𝐼𝐼 − 𝐼𝐼 = 0


𝐿𝐿4

𝑑𝑑𝜙𝜙 = 0 𝜌𝜌 > 𝑐𝑐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 𝑏𝑏 = 3𝑎𝑎, 𝑐𝑐 = 4𝑎𝑎인 무한히 긴 동축선로 내에서 반경 변화에 따른 자계세기

𝐼𝐼𝜌𝜌
𝜌𝜌 < 𝑎𝑎 → 𝑑𝑑𝜙𝜙 =
2𝜋𝜋𝑎𝑎2
𝐼𝐼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 𝑑𝑑𝜙𝜙 =
2𝜋𝜋𝜌𝜌
𝐼𝐼 𝑐𝑐 2 − 𝜌𝜌2
𝑏𝑏 < 𝜌𝜌 < 𝑐𝑐 → 𝑑𝑑𝜙𝜙 =
2𝜋𝜋𝜌𝜌 𝑐𝑐 2 − 𝑏𝑏 2
𝜌𝜌 > 𝑐𝑐 → 𝑑𝑑𝜙𝜙 = 0

동축선로 (coaxial cable)의 특징 – 차폐(shielding) 효과


• 선로 외부에 자계가 존재하지 않음.
• 매우 큰 전류가 흘러도 선로 외부에서의 자계는 항상 0 임.
• 동축선로는 외부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음.
• 외부 회로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음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암페어 주회법칙 응용 #3. 전류 I 가 흐르는 무한 도체판이 있는 경우
• 𝑥𝑥𝑥𝑥 평면 𝑧𝑧 = 0 상에 𝑥𝑥 방향으로 + 전류에 의한 자계
 균일 표면 전류: 𝐊𝐊 = 𝐾𝐾𝑦𝑦 𝐚𝐚𝑦𝑦

• 크기: 무한 도체판의 대칭성에 따라 𝑑𝑑 ≠ 𝑓𝑓 𝑥𝑥, 𝑥𝑥


𝑎𝑎
• 𝑥𝑥 방향은 전류 진행 방향 𝑑𝑑𝑦𝑦 = 0
• 방향  𝐚𝐚𝑥𝑥 • 무한 도체판은 많은 선도 도체로 구성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enc = 𝐾𝐾𝑦𝑦 𝑏𝑏 • 각 선소도체의 𝑑𝑑𝑧𝑧 성분은 상쇄
𝑏𝑏
1′ 2′ 2 1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𝑑𝑑𝑥𝑥 𝑏𝑏 + 0 −𝑎𝑎 + −𝑑𝑑𝑥𝑥 −𝑏𝑏 + 0 𝑎𝑎 = 2𝑑𝑑𝑥𝑥 𝑏𝑏
1 1′ 2′ 2
1
1 𝐾𝐾𝑦𝑦 𝐚𝐚𝑥𝑥 , 𝑧𝑧 > 0 1
2
2𝑑𝑑𝑥𝑥 𝑏𝑏 = 𝐼𝐼enc = 𝐾𝐾𝑦𝑦 𝑏𝑏 → 𝑑𝑑𝑥𝑥 = 𝐾𝐾𝑦𝑦
2
𝐇𝐇 =
1 𝐇𝐇 = 𝐊𝐊 × 𝐚𝐚𝑁𝑁 (11) • 𝐚𝐚𝑁𝑁 = ±𝐚𝐚𝑧𝑧
− 𝐾𝐾𝑦𝑦 𝐚𝐚𝑥𝑥 , 𝑧𝑧 < 0 2
2

• 𝑧𝑧 = ℎ 에 𝐊𝐊 = −𝐾𝐾𝑦𝑦 𝐚𝐚𝑦𝑦 인 두 번째 무한 도체판이 놓여 있는 경우


1 1
𝐇𝐇 = 𝐊𝐊 × 𝐚𝐚𝑁𝑁 , 0 < 𝑧𝑧 < ℎ (12) 0 < 𝑧𝑧 < ℎ → � 𝑑𝑑𝑥𝑥 = 𝐾𝐾𝑦𝑦 + 𝐾𝐾𝑦𝑦 = 𝐾𝐾𝑦𝑦
2 2
1 1
𝐇𝐇 = 0, 𝑧𝑧 < 0, 𝑧𝑧 > ℎ (13) 𝑧𝑧 < 0, 𝑧𝑧 > ℎ → � 𝑑𝑑𝑥𝑥 = − 𝐾𝐾𝑦𝑦 + 𝐾𝐾𝑦𝑦 = 0
2 2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AMPERE’S CIRCUITAL LAW (계속)
암페어 주회법칙 응용 #4. 전류 I가 흐르는 솔레노이드(solenoid)가 있는 경우
• 반경 𝜌𝜌 = 𝑎𝑎, 균일 전류밀도 𝐊𝐊 = 𝐾𝐾𝑎𝑎 𝐚𝐚𝜙𝜙 에 의한 자계
 원통중심 기준 좌우상하의 전류방향은 상호 반대
 판 전하가 두 개인 경우와 유사함
𝐇𝐇 = 𝐾𝐾𝑎𝑎 𝐚𝐚𝑧𝑧 , 𝜌𝜌 < 𝑎𝑎 (14a)
𝐇𝐇 = 0, 𝜌𝜌 > 𝑎𝑎 (14b)
• 권선수가 N, 유한 길이 d를 갖는 솔레노이드
𝐾𝐾𝐼𝐼
𝐇𝐇 = 𝐚𝐚 (well within the solenoid) (15)
𝑑𝑑 𝑧𝑧
암페어 주회법칙 응용 #5. 전류 I 가 흐르는 토로이드(toroid)가 있는 경우
• 𝜌𝜌 = 𝜌𝜌0 − 𝑎𝑎, 균일 전류밀도 𝐊𝐊 = 𝐾𝐾𝑎𝑎 𝐚𝐚𝑧𝑧 에 의한 자계
𝜌𝜌0−𝑎𝑎
𝐇𝐇 = 𝐾𝐾𝑎𝑎 𝐚𝐚 (inside toroid) (16a)
𝜌𝜌 𝜙𝜙
𝐇𝐇 = 0 (outside) (16b)
• 권선수 N 인 토로이드
𝐾𝐾𝐼𝐼
𝐇𝐇 = 𝐚𝐚 (inside toroid) (17a)
2𝜋𝜋𝜌𝜌 𝜙𝜙
𝐇𝐇 = 0 (outside) (17b)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CURL
벡터의 회전 (Curl)
 대칭성을 갖지 않는 경우, 임의의 위치에 대한 암페어 주회법칙 적용

• 직각좌표계 내의 미소 폐곡로 중심의 자계 H


𝐇𝐇 = 𝑑𝑑𝑥𝑥0 𝐚𝐚𝑥𝑥 + 𝑑𝑑𝑦𝑦0 𝐚𝐚𝑦𝑦 +𝑑𝑑𝑧𝑧0 𝐚𝐚𝒛𝒛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2 3 4 1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1 2 3 4

 미소 폐곡로의 1-2 구간에 대한 선적분

𝐇𝐇 � 𝑑𝑑𝐋𝐋 1−2 = 𝑑𝑑𝑦𝑦,1−2 ∆𝑥𝑥

미소 폐곡로 중심으로부터 ∆𝑥𝑥⁄2 인 거리에 있으므로 (Taylor’s series 이용)

𝜕𝜕𝑑𝑑𝑦𝑦 1 1 𝜕𝜕𝑑𝑑𝑦𝑦
𝑑𝑑𝑦𝑦,1−2 ≐ 𝑑𝑑𝑦𝑦0 + ∆𝑥𝑥 𝐇𝐇 � 𝑑𝑑𝐋𝐋 1−2 ≐ 𝑑𝑑𝑦𝑦0 + ∆𝑥𝑥 ∆𝑥𝑥
𝜕𝜕𝑥𝑥 2 2 𝜕𝜕𝑥𝑥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CURL (계속)
 미소 폐곡로 2-3 구간에 대한 선적분
𝐇𝐇 � 𝑑𝑑𝐋𝐋 2−3 = 𝑑𝑑𝑥𝑥,2−3 −∆𝑥𝑥
𝜕𝜕𝑑𝑑𝑥𝑥 1 1 𝜕𝜕𝑑𝑑𝑥𝑥
𝑑𝑑𝑥𝑥,2−3 ≐ 𝑑𝑑𝑥𝑥0 + ∆𝑥𝑥 𝐇𝐇 � 𝑑𝑑𝐋𝐋 2−3 ≐ − 𝑑𝑑𝑥𝑥0 + ∆𝑥𝑥 ∆𝑥𝑥
𝜕𝜕𝑥𝑥 2 2 𝜕𝜕𝑥𝑥

 미소 폐곡로 3-4 구간에 대한 선적분


𝐇𝐇 � 𝑑𝑑𝐋𝐋 3−4 = 𝑑𝑑𝑦𝑦,3−4 −∆𝑥𝑥
𝜕𝜕𝑑𝑑𝑦𝑦 1 1 𝜕𝜕𝑑𝑑𝑦𝑦
𝑑𝑑𝑦𝑦,3−4 ≐ 𝑑𝑑𝑦𝑦0 + − ∆𝑥𝑥 𝐇𝐇 � 𝑑𝑑𝐋𝐋 3−4 ≐ −𝑑𝑑𝑦𝑦0 + ∆𝑥𝑥 ∆𝑥𝑥
𝜕𝜕𝑥𝑥 2 2 𝜕𝜕𝑥𝑥
 미소 폐곡로 4-1 구간에 대한 선적분
𝐇𝐇 � 𝑑𝑑𝐋𝐋 4−1 = 𝑑𝑑𝑥𝑥,4−1 ∆𝑥𝑥
𝜕𝜕𝑑𝑑𝑥𝑥 1 1 𝜕𝜕𝑑𝑑𝑥𝑥
𝑑𝑑𝑥𝑥,4−1 ≐ 𝑑𝑑𝑥𝑥0 + − ∆𝑥𝑥 𝐇𝐇 � 𝑑𝑑𝐋𝐋 4−1 ≐ 𝑑𝑑𝑥𝑥0 − ∆𝑥𝑥 ∆𝑥𝑥
𝜕𝜕𝑥𝑥 2 2 𝜕𝜕𝑥𝑥
미소 폐곡로 전체에 대한 적분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𝑥𝑥∆𝑥𝑥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𝑥𝑥∆𝑥𝑥 ≐ 𝐽𝐽𝑧𝑧 ∆𝑥𝑥∆𝑥𝑥
𝜕𝜕𝑥𝑥 𝜕𝜕𝑥𝑥 𝜕𝜕𝑥𝑥 𝜕𝜕𝑥𝑥
∮ 𝐇𝐇 � 𝑑𝑑𝐋𝐋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 − ≐ 𝐽𝐽𝑧𝑧
∆𝑥𝑥∆𝑥𝑥 𝜕𝜕𝑥𝑥 𝜕𝜕𝑥𝑥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CURL (계속)
미소 폐곡로 ∆𝑥𝑥 → 0, ∆𝑥𝑥 → 0 의 극한값을 취하면

∮ 𝐇𝐇 � 𝑑𝑑𝐋𝐋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 자계의 선적분 (암페어 주회법칙)과 면적의 비는


lim = − = 𝐽𝐽𝑧𝑧 (18)
∆𝑥𝑥,∆𝑦𝑦→0 ∆𝑥𝑥∆𝑥𝑥 𝜕𝜕𝑥𝑥 𝜕𝜕𝑥𝑥 면을 통과하는 전류밀도와 동일

 x축 혹은 y축에 수직인 사각형을 갖는 미소 폐곡로의 경우


∮ 𝐇𝐇 � 𝑑𝑑𝐋𝐋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lim = − = 𝐽𝐽𝑥𝑥 (19)
∆𝑦𝑦,∆𝑧𝑧→0 ∆𝑥𝑥∆𝑧𝑧 𝜕𝜕𝑥𝑥 𝜕𝜕𝑧𝑧
∮ 𝐇𝐇 � 𝑑𝑑𝐋𝐋 𝜕𝜕𝑑𝑑𝑥𝑥 𝜕𝜕𝑑𝑑𝑧𝑧
lim = − = 𝐽𝐽𝑦𝑦 (20)
∆𝑧𝑧,∆𝑥𝑥→0 ∆𝑧𝑧∆𝑥𝑥 𝜕𝜕𝑧𝑧 𝜕𝜕𝑥𝑥
벡터 H의 회전 (Curl)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𝑑𝑑𝑁𝑁 : 폐곡로로 둘러싸인 면적
curl 𝐇𝐇 𝑁𝑁 = lim (21)
∆𝑆𝑆𝑁𝑁 →0 ∆𝑑𝑑𝑁𝑁 • 𝐾𝐾: 폐곡로를 구성하는 면에 수직 방향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𝑑𝑑𝑧𝑧 𝐚𝐚𝑥𝑥 𝐚𝐚𝑦𝑦 𝐚𝐚𝑧𝑧
curl 𝐇𝐇 = − 𝐚𝐚𝑥𝑥 + − 𝐚𝐚𝑦𝑦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 𝜕𝜕 𝜕𝜕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curl 𝐇𝐇 = curl 𝐇𝐇 = 𝛁𝛁 × 𝐇𝐇 (24)
+ − 𝐚𝐚𝑧𝑧 (22) 𝜕𝜕𝑥𝑥 𝜕𝜕𝑥𝑥 𝜕𝜕𝑧𝑧
𝜕𝜕𝑥𝑥 𝜕𝜕𝑥𝑥 𝑑𝑑𝑥𝑥 𝑑𝑑𝑦𝑦 𝑑𝑑𝑧𝑧
(23)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CURL (계속)
벡터 H의 회전(Curl) 의미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폐곡로의 길이는 0 (←∆𝑑𝑑𝑁𝑁 이 0으로 수렴)
curl 𝐇𝐇 𝑁𝑁 = lim
∆𝑆𝑆𝑁𝑁 →0 ∆𝑑𝑑𝑁𝑁 → curl은 한 점에 대해 정의
• Curl은 0의 값을 가지지 않음.
• 폐곡로의 H의 curl은 한 점에서의 전류밀도 J 와 같음

각 좌표계에 대한 벡터 H의 curl 관계식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 × 𝐇𝐇 = − 𝐚𝐚𝑥𝑥 + − 𝐚𝐚𝑦𝑦 + − 𝐚𝐚𝑧𝑧 (rectangular) (22)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𝑥𝑥 𝜕𝜕𝑥𝑥
1 𝜕𝜕𝑑𝑑𝑧𝑧 𝜕𝜕𝑑𝑑𝜙𝜙 𝜕𝜕𝑑𝑑𝜌𝜌 𝜕𝜕𝑑𝑑𝑧𝑧 1 𝜕𝜕 𝜌𝜌𝑑𝑑𝜙𝜙 1 𝜕𝜕𝑑𝑑𝜌𝜌
𝛁𝛁 × 𝐇𝐇 = − 𝐚𝐚𝜌𝜌 + − 𝐚𝐚𝜙𝜙 + − 𝐚𝐚𝑧𝑧 (cylindrical) (25)
𝜌𝜌 𝜕𝜕𝜙𝜙 𝜕𝜕𝑧𝑧 𝜕𝜕𝑧𝑧 𝜕𝜕𝜌𝜌 𝜌𝜌 𝜕𝜕𝜌𝜌 𝜌𝜌 𝜕𝜕𝜙𝜙
1 𝜕𝜕 𝑑𝑑𝜙𝜙 sin 𝜃𝜃 𝜕𝜕𝑑𝑑𝜃𝜃 1 1 𝜕𝜕𝑑𝑑𝑟𝑟 𝜕𝜕 𝑟𝑟𝑑𝑑𝜙𝜙
𝛁𝛁 × 𝐇𝐇 = − 𝐚𝐚𝑟𝑟 + − 𝐚𝐚𝜃𝜃
𝑟𝑟 sin 𝜃𝜃 𝜕𝜕𝜃𝜃 𝜕𝜕𝜙𝜙 𝑟𝑟 sin 𝜃𝜃 𝜕𝜕𝜙𝜙 𝜕𝜕𝑟𝑟 (26)
1 𝜕𝜕 𝑟𝑟𝑑𝑑𝜃𝜃 𝜕𝜕𝑑𝑑𝑟𝑟
+ − 𝐚𝐚𝜙𝜙 (spherical)
𝑟𝑟 𝜕𝜕𝑟𝑟 𝜕𝜕𝜃𝜃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CURL (계속)
∮ 𝐇𝐇 � 𝑑𝑑𝐋𝐋
The Second of Maxwell’s four equations (암페어 주회법칙으로 부터) curl 𝐇𝐇 𝑁𝑁 = lim
∆𝑆𝑆𝑁𝑁 →0 ∆𝑑𝑑𝑁𝑁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curl 𝐇𝐇 = 𝛁𝛁 × 𝐇𝐇 = − 𝐚𝐚𝑥𝑥 + − 𝐚𝐚𝑦𝑦 + − 𝐚𝐚𝑧𝑧 = 𝐉𝐉 (27)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𝑥𝑥 𝜕𝜕𝑥𝑥

𝛁𝛁 × 𝐇𝐇 = 𝐉𝐉 (28)
• Maxwell의 제 2 방정식 – 정전계(electrostatics) 제한
• 암페어 주회법칙의 미분형 혹은 점형식(point form) 이라 함.

The Third of Maxwell’s four equations

∮ 𝐄𝐄 � 𝑑𝑑𝐋𝐋
� 𝐄𝐄 � 𝑑𝑑𝐋𝐋 = 0 lim =0
∆𝑆𝑆→0 ∆𝑑𝑑
• Maxwell의 제 3 방정식
𝛁𝛁 × 𝐄𝐄 = 0 (29)
• 정전계(electrostatics) 제한

Maxwell 제 2 방정식의 의미
• 폐곡로의 H의 curl은 한 점에서의 전류밀도 J 와 같다 !!!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STOKES’S THEOREM
스토크스의 정리 (Stokes’ theorem)
∮ 𝐇𝐇 � 𝑑𝑑𝐋𝐋∆𝑆𝑆 • ∆𝑑𝑑: 폐곡로로 둘러싸인 미소면적소
 암페어 주회법칙 ≐ 𝛁𝛁 × 𝐇𝐇 𝑁𝑁 • ∆𝐋𝐋 : 미소면적소의 둘레
∆𝑑𝑑 ∆𝑆𝑆

∮ 𝐇𝐇 � 𝑑𝑑𝐋𝐋∆𝑆𝑆
≐ 𝛁𝛁 × 𝐇𝐇 � 𝐚𝐚𝑁𝑁 • 𝐚𝐚𝑁𝑁 : 미소면적소의 단위벡터
∆𝑑𝑑

� 𝐇𝐇 � 𝑑𝑑𝐋𝐋∆𝑆𝑆 ≐ 𝛁𝛁 × 𝐇𝐇 � 𝐚𝐚𝑁𝑁 ∆𝑑𝑑 = 𝛁𝛁 × 𝐇𝐇 � ∆𝐒𝐒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 × 𝐇𝐇 � 𝑑𝑑𝑑𝑑 (30): 스토크스의 정리


𝑆𝑆

 스토크스의 정리 (Stokes’ theorem)

• 표면적 S 를 구성하는 각각의 ∆S 에 대한

• 벡터 회전의 미소 면적소의 접촉 부분은

• 상쇄 되어 바깥 경계만의 적분과 같아짐 !!!

• 2중 적분을 선적분으로 변환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STOKES’S THEOREM (계속)
발산(divergence)과 회전(curl)을 포함한 벡터 관계식 𝛁𝛁 � 𝛁𝛁 × A

𝛁𝛁 � 𝛁𝛁 × 𝐀𝐀 = 𝑇𝑇 𝛁𝛁 � 𝛁𝛁 × 𝐀𝐀 𝑑𝑑𝑑𝑑 = 𝑇𝑇𝑑𝑑𝑑𝑑 � 𝛁𝛁 � 𝛁𝛁 × 𝐀𝐀 𝑑𝑑𝑑𝑑 = � 𝑇𝑇𝑑𝑑𝑑𝑑


vol vol
 좌변에 발산의 정리를 적용

� 𝛁𝛁 × 𝐀𝐀 � 𝑑𝑑𝐒𝐒 = � 𝑇𝑇𝑑𝑑𝑑𝑑 � 𝛁𝛁 � 𝐃𝐃𝑑𝑑𝑑𝑑 = � 𝐃𝐃 � 𝑑𝑑𝐒𝐒


vol 𝑆𝑆
𝑆𝑆 vol

• 체적 𝑑𝑑 를 둘러싸는 폐곡면 S 에서 벡터 A의 회전을 표면 적분한 결과 값은 0

• 스토크스의 정리: 폐곡로로 둘러싸인 개방면에서 벡터 A의 회전을 표면적분

→ 개방면의 경우 𝛁𝛁 × 𝐀𝐀 ≠ 0

→ 폐곡면의 경우 𝛁𝛁 × 𝐀𝐀 = 0

� 𝑇𝑇𝑑𝑑𝑑𝑑 = 0 𝑇𝑇𝑑𝑑𝑑𝑑 = 0 𝑑𝑑𝑑𝑑 ≠ 0 𝑇𝑇 = 0


vol

𝛁𝛁 � 𝛁𝛁 × 𝐀𝐀 = 𝑇𝑇 𝛁𝛁 � 𝛁𝛁 × 𝐀𝐀 ≡ 0 (31)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MAGNETIC FLUX AND MAGNETIC FLUX DENSITY
자속밀도 (magnetic flux density)
 비오사바르(Biot-Savart) 법칙과 쿨롱(Coulomb) 법칙과 같이 전계와 자계 사이의 유사 관계식처럼
 전속밀도와 유사 관계를 갖는 벡터계의 선속밀도를 표시하는 벡터
• 단위: Wb⁄m2
𝐁𝐁 = 𝜇𝜇0 𝐇𝐇 (32) vs. 𝐃𝐃 = 𝜀𝜀0 𝐄𝐄
• 𝜇𝜇0 : 자유공간의 투자율 (permeability)

𝜇𝜇0 = 4𝜋𝜋 × 10−7 H⁄m (33)

자속 (magnetic flux)
• 어떤 면 S를 통과하는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의 합 전계/자계에 대한 가우스 법칙
• 자속선의 원천은 없음
Φ = � 𝐁𝐁 � 𝑑𝑑𝐒𝐒 (34) � 𝐁𝐁 � 𝑑𝑑𝐒𝐒 = 𝟎𝟎 (35)
•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동심원 형성 𝑆𝑆
𝑆𝑆

vs. • 전속선의 원천은 전하 Q


Ψ = � 𝐃𝐃 � 𝑑𝑑𝐒𝐒 = 𝑄𝑄 � 𝐃𝐃 � 𝑑𝑑𝐒𝐒 = 𝑄𝑄
𝑆𝑆 • 양전하에서 음전하 방향으로 진행 𝑆𝑆

식 (35)에 발산정리(divergence theorem)를 적용  The forth of Maxwell’s four equations

� 𝐁𝐁 � 𝑑𝑑𝐒𝐒 = � 𝛁𝛁 � 𝐁𝐁 𝑑𝑑𝑑𝑑 = 𝟎𝟎 𝛁𝛁 � 𝐁𝐁 = 0 (36)


𝑆𝑆 𝑺𝑺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MAGNETIC FLUX AND MAGNETIC FLUX DENSITY (계속)
자계 (magnetic field)와 자속밀도 (magnetic flux density)
• 동축선로(coaxial cable) 두 도체 사이의 자속(magnetic flux)
𝐼𝐼
𝑑𝑑𝜙𝜙 =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2𝜋𝜋𝜌𝜌
𝜇𝜇0 𝐼𝐼
𝐁𝐁 = 𝜇𝜇0 𝐇𝐇 = 𝐚𝐚
2𝜋𝜋𝜌𝜌 𝜙𝜙
𝑑𝑑𝐒𝐒 = 𝑑𝑑𝜌𝜌𝑑𝑑𝑧𝑧𝐚𝐚𝜙𝜙
 선로의 길이 d, 두 도체 사이의 간격은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이므로,
𝑑𝑑 𝑏𝑏
𝜇𝜇0 𝐼𝐼 𝜇𝜇0 𝐼𝐼𝑑𝑑 𝑏𝑏
Φ = � 𝐁𝐁 � 𝑑𝑑𝐒𝐒 = � � 𝐚𝐚𝜙𝜙 � 𝑑𝑑𝜌𝜌𝑑𝑑𝑧𝑧𝐚𝐚𝜙𝜙 = ln Wb (42)
𝑆𝑆 0 𝑎𝑎 2𝜋𝜋𝜌𝜌 2𝜋𝜋 𝑎𝑎
Maxwell’s four equations for static electric fields and steady magnetic fields Constitutive Relations

𝛁𝛁 � 𝐃𝐃 = 𝜌𝜌𝑣𝑣 � 𝛁𝛁 � 𝐃𝐃𝑑𝑑𝑑𝑑 = � 𝐃𝐃 � 𝑑𝑑𝐒𝐒 = 𝑄𝑄 = � 𝜌𝜌𝑣𝑣 𝑑𝑑𝑑𝑑 𝐃𝐃 = 𝜀𝜀0 𝐄𝐄 (38)


𝑆𝑆 vol

𝐁𝐁 = 𝜇𝜇0 𝐇𝐇 (39)
𝛁𝛁 × 𝐄𝐄 = 0 � 𝛁𝛁 × 𝐄𝐄 � 𝑑𝑑𝐒𝐒 = � 0 � 𝑑𝑑𝐒𝐒 = � 𝐄𝐄 � 𝑑𝑑𝐋𝐋 = 0
(37) (41) 𝐉𝐉 = 𝜎𝜎𝐄𝐄
𝛁𝛁 × 𝐇𝐇 = 𝐉𝐉 � 𝛁𝛁 × 𝐇𝐇 � 𝑑𝑑𝐒𝐒 =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 � 𝐉𝐉 � 𝑑𝑑𝐒𝐒 𝐄𝐄 = −𝛁𝛁𝑉𝑉 (40)
𝑆𝑆

𝛁𝛁 � 𝐁𝐁 = 0 � 𝛁𝛁 � 𝐁𝐁𝑑𝑑𝑑𝑑 = � 𝐁𝐁 � 𝑑𝑑𝐒𝐒 = 0 𝐇𝐇 = −𝛁𝛁𝑉𝑉𝑚𝑚


𝑆𝑆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MAGNETIC FLUX AND MAGNETIC FLUX DENSITY (계속)

Maxwell’ Equations (static electric fields / steady magnetic fields)


• 폐곡면(closed surface)을 통과하는 전속은 그 면내의 전체 전하량과 동일 !!!
• 폐곡면(closed surface)을 통과하는 자속은 0 !!! (시점과 종점이 존재하지 않음)
• 전계는 폐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일의 양의 0 !!!
• 폐곡로(closed line)에 대한 자계의 합은 폐곡로로 구성된 단면을 통과하는 전류와 동일 !!!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THE SCALAR AND VECTOR MAGNETIC POTENTIALS
스칼라 자위 (scalar magnetic potential)
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정전계 문제 해결하기 위해 스칼라 정전위 (electrostatic potential) V 를 이용함.
 스칼라 정전위와 유사한 형태의 자계에서의 스칼라 자위를 정의
 스칼라 자위 관계식이 존재한다고 가정함으로 논의를 시작 !!!
• 𝑉𝑉𝑚𝑚 : 스칼라 자위
𝐄𝐄 = −𝛁𝛁𝑉𝑉 𝐇𝐇 = −𝛁𝛁𝑉𝑉𝑚𝑚 • 단위: A
• 부호: 전계와 유사 관계를 갖기 위해 가정
타당성 검토 #1. 미분형 암페어 주회법칙 (정상자계에서의 Maxwell 제 2 방정식) 만족 여부
𝛁𝛁 × 𝐇𝐇 = −𝛁𝛁 × 𝛁𝛁𝑉𝑉𝑚𝑚 = 𝐉𝐉
𝐚𝐚𝑥𝑥 𝐚𝐚𝑦𝑦 𝐚𝐚𝑧𝑧
𝜕𝜕 𝜕𝜕 𝜕𝜕
𝜕𝜕𝑓𝑓 𝜕𝜕𝑓𝑓 𝜕𝜕𝑓𝑓 𝜕𝜕 𝜕𝜕𝑓𝑓 𝜕𝜕 𝜕𝜕𝑓𝑓 𝜕𝜕 𝜕𝜕𝑓𝑓 𝜕𝜕 𝜕𝜕𝑓𝑓
𝛁𝛁𝑓𝑓 = 𝐚𝐚𝑥𝑥 + 𝐚𝐚𝑦𝑦 + 𝐚𝐚 𝛁𝛁 × 𝛁𝛁𝑓𝑓 = 𝜕𝜕𝑥𝑥 𝜕𝜕𝑥𝑥 𝜕𝜕𝑧𝑧 = − 𝐚𝐚𝑥𝑥 − − 𝐚𝐚𝑦𝑦
𝜕𝜕𝑥𝑥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𝑓𝑓 𝜕𝜕𝑓𝑓 𝜕𝜕𝑓𝑓
𝜕𝜕𝑥𝑥 𝜕𝜕𝑥𝑥 𝜕𝜕𝑧𝑧
𝜕𝜕 𝜕𝜕𝑓𝑓 𝜕𝜕 𝜕𝜕
+ − 𝐚𝐚 = 0 𝛁𝛁 × 𝛁𝛁𝑓𝑓 = 0
𝜕𝜕𝑥𝑥 𝜕𝜕𝑥𝑥 𝜕𝜕𝑥𝑥 𝜕𝜕𝑥𝑥 𝑧𝑧

경도(gradient)의 벡터 회전(curl)은 항상 0 이므로

𝐇𝐇 = −𝛁𝛁𝑉𝑉𝑚𝑚 𝐉𝐉 = 0 (43)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THE SCALAR AND VECTOR MAGNETIC POTENTIALS (계속)
타당성 검토 #2. Laplace 방정식 만족 여부 𝐇𝐇 = −𝛁𝛁𝑉𝑉𝑚𝑚
𝛁𝛁 � 𝐁𝐁 = 𝜇𝜇0 𝛁𝛁 � 𝐇𝐇 = 0 𝛁𝛁 2 𝑉𝑉 = 0

𝜇𝜇0 𝛁𝛁 � −𝛁𝛁𝑉𝑉𝑚𝑚 = 0 𝛁𝛁 𝟐𝟐 𝑉𝑉𝑚𝑚 = 0 𝛁𝛁 𝟐𝟐 𝑉𝑉𝑚𝑚 = 0 𝐉𝐉 = 0 (44)

스칼라 전위(electric potential) 𝑉𝑉 vs. 스칼라 자위(magnetic potential) 𝑉𝑉𝑚𝑚


• 스칼라 전위 𝑉𝑉는 단가 함수 (위치에 대하여 단 하나의 값만 갖음)
• 스칼라 자위 𝑉𝑉𝑚𝑚 은 다가 함수 (위치에 대하여 여러 개의 값을 갖음)

Laplace 방정식을 만족하는 스칼라 자위 𝑉𝑉𝑚𝑚 의 특징 (𝐉𝐉 = 0, 다가 함수)


• 스칼라 자위 존재 조건  𝐉𝐉 = 0 (동축선로 𝑎𝑎 < 𝜌𝜌 < 𝑏𝑏  𝐉𝐉 = 0 )
𝐼𝐼 𝜕𝜕𝑉𝑉𝑚𝑚 1 𝜕𝜕𝑉𝑉𝑚𝑚 𝜕𝜕𝑉𝑉𝑚𝑚
𝐇𝐇 = 𝐚𝐚 𝛁𝛁𝑉𝑉𝑚𝑚 = 𝐚𝐚𝜌𝜌 + 𝐚𝐚𝜙𝜙 + 𝐚𝐚
2𝜋𝜋𝜌𝜌 𝜙𝜙 𝜕𝜕𝜌𝜌 𝜌𝜌 𝜕𝜕𝜙𝜙 𝜕𝜕𝑧𝑧 𝑧𝑧
𝐼𝐼 1 𝜕𝜕𝑉𝑉𝑚𝑚
𝐇𝐇 = −𝛁𝛁𝑉𝑉𝑚𝑚 = −𝛁𝛁 𝑉𝑉𝑚𝑚 � = −
2𝜋𝜋𝜌𝜌 𝜙𝜙 𝜌𝜌 𝜕𝜕𝜙𝜙
𝜕𝜕𝑉𝑉𝑚𝑚 𝐼𝐼 𝐼𝐼
=− 𝑉𝑉𝑚𝑚 = − 𝜙𝜙 • 적분상수 0 으로 가정
𝜕𝜕𝜙𝜙 2𝜋𝜋 2𝜋𝜋
𝐼𝐼 1 1
𝑉𝑉𝑚𝑚𝑃𝑃 = 2𝑛𝑛 − 𝜋𝜋 = 𝐼𝐼 𝑛𝑛 − 𝑛𝑛 = 0, ±1, ±1, …
2𝜋𝜋 4 8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THE SCALAR AND VECTOR MAGNETIC POTENTIALS (계속)
벡터 자위 (vector magnetic potential) A
• Maxwell 제 4 방정식과 벡터 항등식으로부터
𝛁𝛁 � 𝐁𝐁 = 0
𝐁𝐁 = 𝛁𝛁 × 𝐀𝐀 (46) 𝐁𝐁 = 𝜇𝜇0 𝐇𝐇
𝛁𝛁 � 𝛁𝛁 × 𝐀𝐀 ≡ 0
1
𝐇𝐇 = 𝛁𝛁 × 𝐀𝐀 (47)
𝜇𝜇0
1
𝛁𝛁 × 𝛁𝛁 × 𝐀𝐀 ≡ 𝛁𝛁 𝛁𝛁 � 𝐀𝐀 − 𝛁𝛁 2 𝐀𝐀 𝛁𝛁 × 𝐇𝐇 = 𝐉𝐉 = 𝛁𝛁 × 𝛁𝛁 × 𝐀𝐀
𝜇𝜇0
• 𝐀𝐀: 벡터 자위 (vector magnetic potential)
• 단위: Wb⁄m
미소전류소에 대한 벡터 자위(vector magnetic potential) A는 ???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𝐚𝐚𝑅𝑅 𝜇𝜇0 𝐼𝐼𝑑𝑑𝐋𝐋
𝐇𝐇 = � 𝐀𝐀 = � (47) • for line current
4𝜋𝜋𝑅𝑅 2 4𝜋𝜋𝑅𝑅
𝐊𝐊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𝜇𝜇0 𝐊𝐊𝑑𝑑𝑑𝑑
𝐇𝐇 = � 𝐀𝐀 = � (50) • for surface current
𝑆𝑆 4𝜋𝜋𝑅𝑅 2 𝑆𝑆 4𝜋𝜋𝑅𝑅
𝐉𝐉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𝜇𝜇0 𝐉𝐉𝑑𝑑𝑑𝑑 𝐁𝐁 = 𝛁𝛁 × 𝐀𝐀
𝐇𝐇 = � 2
𝐀𝐀 = � (51) • for volume current 𝐃𝐃 = −𝛁𝛁 × 𝐅𝐅
vol 4𝜋𝜋𝑅𝑅 vol 4𝜋𝜋𝑅𝑅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THE SCALAR AND VECTOR MAGNETIC POTENTIALS (계속)
벡터 자위 (vector magnetic potential)의 타당성 검토
• 미소전류소에 대한 벡터 자위 (vector magnetic potential)
𝜇𝜇0 𝐼𝐼𝑑𝑑𝐋𝐋 𝜇𝜇0 𝐼𝐼𝑑𝑑𝐋𝐋
𝐀𝐀 = � 𝑑𝑑𝐀𝐀 =  𝑑𝑑𝐀𝐀의 방향 = 𝐼𝐼𝑑𝑑𝐋𝐋 방향
4𝜋𝜋𝑅𝑅 4𝜋𝜋𝑅𝑅
 𝑃𝑃 𝜌𝜌, 𝜙𝜙, 𝑧𝑧 에서의 𝑑𝑑𝐀𝐀
𝑑𝑑𝐴𝐴𝜌𝜌 = 0 𝑑𝑑𝐋𝐋 = 𝑑𝑑𝑧𝑧𝐚𝐚𝑧𝑧
𝑑𝑑𝐴𝐴𝜙𝜙 = 0 (49) 𝐑𝐑 = 𝜌𝜌𝐚𝐚𝜌𝜌 + 𝑧𝑧𝐚𝐚𝑧𝑧
𝜇𝜇0 𝐼𝐼𝑑𝑑𝑧𝑧 𝐑𝐑 = 𝜌𝜌2 + 𝑧𝑧 2
𝐼𝐼𝜌𝜌𝑑𝑑𝑧𝑧 𝐚𝐚𝜙𝜙
𝑑𝑑𝐴𝐴𝑧𝑧 =
𝑑𝑑𝐇𝐇 =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3⁄2

 벡터 자위(vector magnetic potential)에 의한 자계


1 𝜕𝜕𝐴𝐴𝑧𝑧 𝜕𝜕𝐴𝐴𝜙𝜙 𝜕𝜕𝐴𝐴𝜌𝜌 𝜕𝜕𝐴𝐴𝑧𝑧
𝛁𝛁 × 𝐀𝐀 = − 𝐚𝐚𝜌𝜌 + − 𝐚𝐚𝜙𝜙
𝐁𝐁 = 𝛁𝛁 × 𝐀𝐀 𝑑𝑑𝐁𝐁 = 𝛁𝛁 × 𝑑𝑑𝐀𝐀 𝜌𝜌 𝜕𝜕𝜙𝜙 𝜕𝜕𝑧𝑧 𝜕𝜕𝑧𝑧 𝜕𝜕𝜌𝜌

1 1 𝜕𝜕𝑑𝑑𝐴𝐴𝑧𝑧 1 𝜕𝜕 𝜌𝜌𝐴𝐴𝜙𝜙 1 𝜕𝜕𝐴𝐴𝜌𝜌 𝜕𝜕𝐴𝐴𝑧𝑧


𝑑𝑑𝐇𝐇 = 𝛁𝛁 × 𝑑𝑑𝐀𝐀 = − 𝐚𝐚𝜙𝜙 + − 𝐚𝐚𝑧𝑧 = − 𝐚𝐚
𝜌𝜌 𝜕𝜕𝜌𝜌 𝜌𝜌 𝜕𝜕𝜙𝜙 𝜕𝜕𝜌𝜌 𝜙𝜙
𝜇𝜇0 𝜇𝜇0 𝜕𝜕𝜌𝜌
𝐼𝐼𝑑𝑑𝑧𝑧 𝜌𝜌
= 3⁄2
𝐚𝐚𝜙𝜙 • Biot-Savart 법칙으로부터 유도한 결과와 동일 !!!
4𝜋𝜋 𝜌𝜌2 + 𝑧𝑧 2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SUMMARY
 Biot-Savart Law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𝐚𝐚𝑅𝑅 𝐼𝐼𝑑𝑑𝐋𝐋 × 𝐚𝐚𝑅𝑅 𝐊𝐊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𝐉𝐉 × 𝐚𝐚𝑅𝑅 𝑑𝑑𝑑𝑑
𝑑𝑑𝐇𝐇 = 𝐇𝐇 = � 𝐇𝐇 = � 𝐇𝐇 = �
4𝜋𝜋𝑅𝑅2 4𝜋𝜋𝑅𝑅2 𝑆𝑆 4𝜋𝜋𝑅𝑅 2 vol 4𝜋𝜋𝑅𝑅
2

 Coulomb’s Law
𝑑𝑑𝑄𝑄𝐚𝐚𝑅𝑅
𝑑𝑑𝐄𝐄 =
4𝜋𝜋𝜀𝜀0 𝑅𝑅2
 Ampere’s circuital law  Gauss’s law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𝐼𝐼 � 𝐃𝐃𝑆𝑆 � 𝑑𝑑𝐒𝐒 = 𝑄𝑄


𝑆𝑆

 Curl
∮ 𝐇𝐇 � 𝑑𝑑𝐋𝐋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𝑑𝑑𝑧𝑧 𝜕𝜕𝑑𝑑𝑦𝑦 𝜕𝜕𝑑𝑑𝑥𝑥
curl 𝐇𝐇 𝑁𝑁 = lim = − 𝐚𝐚𝑥𝑥 + − 𝐚𝐚𝑦𝑦 + − 𝐚𝐚𝑧𝑧 vector
∆𝑆𝑆𝑁𝑁 →0 ∆𝑑𝑑𝑁𝑁 𝜕𝜕𝑥𝑥 𝜕𝜕𝑧𝑧 𝜕𝜕𝑧𝑧 𝜕𝜕𝑥𝑥 𝜕𝜕𝑥𝑥 𝜕𝜕𝑥𝑥

 Stokes’ theorem  Maxwell’s equations (electrostatics)  Magnetic potential

𝛁𝛁 � 𝐃𝐃 = 𝜌𝜌𝑣𝑣 𝛁𝛁 × 𝐇𝐇 = 𝐉𝐉 𝐇𝐇 = −𝛁𝛁𝑉𝑉𝑚𝑚
� 𝐇𝐇 � 𝑑𝑑𝐋𝐋 = � 𝛁𝛁 × 𝐇𝐇 � 𝑑𝑑𝐒𝐒
𝑆𝑆
𝛁𝛁 � 𝐁𝐁 = 0 𝛁𝛁 × 𝐄𝐄 = 0 𝐁𝐁 = 𝛁𝛁 × 𝐀𝐀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J. Cho – 조 제 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