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0

202:

II

m e g a s tu d y T f l)
B, the First V

CONTENTS
« 학 적 상 호 작 용

o 힘과운동
01 힘의합성과 분해 006
02 물체의평형 0U
03 평면에서등가속도운동 028

© 행성의 운동과상대성
01 등속원운동 044
02 행성의운동 050
03 등가원리 060
04 중력 렌즈와블랙홀 066

@ 일과에너지
01 일과운동 에너지 074
02 역학적 에너지보존 080
03 열과일 092

전 자 기 장

o 전하와전기장
01 전기장과정전기유도 102

02 직류회로와전기 에너지 1U
03 트랜지스터 126
04 축전기 134

@ 전류와자기장
01 전류에의한자기장 146
02 전자기유도 154
03 상호유도 168
H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 략 개 B A E K l B EO M — ^

밀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파동과 置질의 성질
O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01 전자기파의간섭과회절 178
02 도플러효과 190
03 전자기파의발생과 무선 통신 198
04 볼록렌즈 208

© 빛과물질의 이중성
01 광전 효과와빛의입자성 218
02 물질파와입자의파동성 226
03 불확정성원리 234

정답 및 해설 ^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 개

^팬환^^^^^^^ ^>
■ ^'心 '

기 본 부 터 성 화 까 지
. :

:-
r. 義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04SI저 A | o
— 1 예 o a e .
자 요
- '' ^ ' ᅳ , % • v iT 'c ^ '

議議

1■ 힘과 운동

01 힘의합성과분해

02 물체의평형

03 평면에서등가속도운동
01 g해
B, the First

힘의 합성과 1. 힘과운동1

D 백터량과 스칼라량

1. 물리량의 구분
p i 이동거리와변위
(1) 스칼라량 :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
위치 표현에 필요한 3요소 : 기준점, 거리, 방향
© 이동 거ᅤ! 질량,시간,속력, 일,에너지 등
이동거리 변위

위치의 변화량 ⑵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갖는 물리량


움직인 경로의 길이 (나중위치ᅳ
처음 위치) © 변위,속도,가속도, 힘,운동량, 충격량 등

⑶ 백터의 표 현 : 크기와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벡터의크기 ........................
① 벡터는 평행 이동할 수 있다.

5 의 크기는 U l. \A\.A 로 나타낸다.
② 벡터는 합성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③ 벡터의 크기를 2배, j 배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벡터의 표현] [평행 이 동 ]
© 2A :크기가고*의 2 배인 벡터,

^-~A :크기가고의 音배인 벡터

④ 벡터에 (-)를 붙여 반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A :X 와 방향이 반대인 벡터

2. 백터의 합성 : 2개 이상의 벡터를 하나의 벡터로 합치는 기술(합 또는 차)

(1) 백터의 합

정 ^ ^ f 차 T+K
^ /
* y
평행사변형법
® 두 백터의 시작점을 ② 두 벡터를 이웃한 두 변으로 ③ 평행사변형의 대각선
일치시킨다. 한 평행사변형을 그린다. (7!울 그린다.

j^=K+ K=K+ K+ K
(1st) 임의의 두 벡터의 합 벡터( ¥ 구한다.
(2nd) 임의의 두 벡터의 합 벡터( K )를 나머지 삼각형법
벡터와 합성하여 합 벡터 瓦를 구한다.
① K 의 끝점과 ^ 의 시작점을 ② 의 시작점에서 K ■의끝점으로
일치시킨다. 이은 화살표가 합 벡터 另卜 된다.

I
o 다 음 두 벡터 Z ■표의 합 벡터 ( X h 리 를 그리시 오.

° a / ^

006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AE Kl BEOM

★벡터의 성질을 알고 벡터의 합성을 할 수 있다.


★한 물체에 여러 힘이 작용할 때 힘의 벡터를 이용하여 알짜힘을 구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마지
핵심 POINT ① 벡터 ② 힘의 합성 ③ 힘의 분해

⑵ 벡터의 차

= Fi—F
F=F\— F22

평행사변형법
- f2 -Fi

①ᅳ厂2를 구한후두 벡터의 ②두 벡터를 이웃한 두 변으로 ③ 평행사변형의 대각선을


시작점을 일치시킨다. 한 평행사변형을 그린다. 긋는다.

삼각형법 Fz
® 두 벡터의 시작점을 ② $의 끝점에서 ^끝 점 으 로 이은
일치시킨다. 화살표가 차 벡터 7 하 된다.

3. 벡터의 분해 : 하나의 벡터를 2개 이상의 벡터로 쪼개는 기술

⑴ 합성 벡터가X 가 되도록 하는 여러 벡터를 구한다. (보통 두 개의 벡터를 구한다.)

(2) 분해된 벡터를 성분 벡터라고 하며,성분 벡터의 종류는 무수히 많다.

⑶ 주로 수직인 두 성분 벡터로 분해한다.


-------------------------:
— :
-------- :

백터의분해

분해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분해하는 것이 핵심!

분명한 목적 의식을 가지고 분해해야 문제 풀이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림은 정사각형의 중심 0 점을 시점으로 한 8개의 벡터를 나타낸 것이다. 두 벡터 Z 표의 차 CT- 百 )와 같은 벡터를 고


르시오.
~► ~►
F B G

A i/i
V\
/0 , C

E
\ f H
개y 잎민 며mi s 맙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07


o 1 am
B, the First

힘 의 합 성 과 SoH 1. 힘과운동

1L Q ta (2
B 알짜힘

1. 알짜힘
(D 합 력 : 한물체에 여러 힘이 작용할 때,그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합성한 것

⑵ 알짜힘 : 한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등가 힘


빠알짜힘= 합력
p i 두힘
이이루
는각과알
파힘의크

0° (같은 방향) : f = ^ + f 2
⑶ 알짜힘은 벡터의 합성으로 구한!
^
180o(반대 방향) : F = F r_ F 2
한 물체에 두 힘이 나란하지 않게 작용할 때, 두
힘이 이루는 각이 작을수록 알짜힘의 크기가
2. 벡터의 합성을 이용한알짜힘
크다.
(1) 알짜힘이 0이 아닌 경우

최고점에 있는^ [ 출발合느는육상 선수


진자에 작용하는 중력은 일정하지만, 진자가 아
래로 내려오면서 정력은 점점 커진다. 진자가 최 w연

하점을 지날 때 장력은 최대이고 이때 알짜힘은
위 방향이다.
二 ^ "

ySm m 중^ ^ 향 ^ 々
중력’'/

진자에 작용하는 중력과 장력의 합력이 알짜힘이 출발대를 미는 힘의 반작용으로 힘(A0을 받고, 이
된다. 진자가 평형점에 도달할수록 알짜힘의 크기 1 의 연직 성분과 중력이 평형을 이루어 알짜힘은
는 작아진다. ■/V수평이다.

⑵ 알짜힘이 0인 경우

줄에 매달려 정지해 있는 물체 암벽에서 줄에 매달려 서 있는 사람

두 장력의
합력

두 줄에 작용하는 장력의 합력은 물체의 무게와 크 마찰을 무시할 때. 암벽에서 줄에 매달린 채 발로


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정지해 있는 서 있는 사람에게 작용하는 중력과 장력의 합은 암
물체는 알짜힘이 0이다. 벽이 미는 힘과 평형을 이루어 알짜힘이 0이다.

© 그림과 같이 천장에 줄 A 와 B의 양 끝을 매달고, 줄 C에 무게가 100 자인 추를 매달아 놓았다. A 와 B가 천장과 이루는 각


은 각각 60°, 30°이다. 줄 A 와 B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는? (단, 줄의 질량은 무시한다.)

:地 니 '. 辭 I 100 N
© 50/3 N, 50 N

00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B, the First
01 그림은 힘의 합성에 대해 학생 A, B, C가 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힘의 합성
F \-\- F 2

mm

학생 A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힘의 합력은 0이야.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에 O표,틀린 학생에 X표 하시오. [21.6. 평가원(물][)]

학생 A
■생B
학생 C

02 그림은 재평면에서 질량 2 kg인 물체에 동시에 작용하는 4개의 힘을 나타낸 것이


다. F\, F2, Fs, F4의 크기는 각각 1N, 3 N ,3 N, 3 이이다.

2 kg Fs

F 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 (단,물체의 크 기 는 무시한다.)


[09. 9. 평가원(물I )]

1. 물체의 가속도 방향은 +X방향이다.


물체의 가속도 크기는 1 m/s2이다.

. F2와 F4는 작용과 반작용 관계이다.

이0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n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O M — n

B 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는 전통 놀이인 줄타기를 하는 모습이고,그림 (나)는 (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줄 타는 사람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줄에 걸린 힘을 각각 ^과 f 2라 한다.

줄 위의 사람이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는 동안 하과 巧의 크기 변화를 예상한 것으로 가장


알 ^은 것은? [06. 3. 교육청 (물 I )]

El
① 감소 증가 ② 감소 감소
③ 증가 증가 ④ 증가 감소
⑤ 일정 일정

02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평면에 놓인 물체 a 에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한 힘


Fu F2, F3이 작용한다.
5
N

A 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기는? (단, A 의 크기는 무시한다.) [20. 4. 교육청 (물 !


! )]

① 1N ②伽 ③ 2N ④細 ⑤ 2如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이1
[a a [a ®
03 그림은 수평면에서 짐이 실린 썰매 A 와 짐이 없는 썰매 B를 줄 p로 연결한 후, 썰매
개가 줄 q로 B를 끌어당기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B와 짐은 모두 등속 직선 운
동을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p, q는 수평을 유
지하고, 질량은 무시한다.) [11.3. 교육청(물T)]

기. A 에 작용하는 합력은 0이다.


l p가 A 를 당기는 힘과 A 가 p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같다.
c. q가 B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p가 B를 당기는 힘의 크기보다 작다.

① ② c ③ l ④ 亡 ⑤ 기 , 1- , 亡

04 그래프는 물체에 작용하는 두 힘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Fu 巧의 합력의 크기는? [06. 4. 교육청(물E)]

① 3N ② 4N ③ 5N ④ 7N ⑤ 9N

이 2 2023 물리학 표 [필수본] 개념완성


I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I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j도) Q (®)


05 그림은 영희와 철수가 무게 200 N 인 물체에 힘 凡 ^ 2를 가했을 때 물체가 정지되
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u F2의 방향은 수평면에 대해 각각 30°, 60°이다.

F\, 巧의 크기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邮 4 교육청(물!



)]

Fi(N) f 2(n )
① 100 150
② 100 100/3
③ 150 100
④ 100/3 100
⑤ 100/3 150

06 그림 (가)는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 놓인 질량 m인 물체에 수평 방향의 힘 화이 작용


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의 상태에서 연직 위 방향으로 물체의 무게보
다 작은 힘 F2가 더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2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防. a 교육청(물I)]

기. (가)에서 물체의 가속도의 크기는 & 이다.


m
l . 물체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는 (가)의 경우가 (나)보다 크다.
c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의 크기는 (가)의 경우가 (나)보다 작다.

① L ② C ③ 기 ,L ④ ᅳI , 亡 ⑤ 기 , 亡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이3
02
B, the First

B체의 理형 i. 힘과운동

IL Q G3 K
D 돌림힘
pai 병
진운동
과회전
운동 1. 돌림힘의 정 의 : 회전 운s ■변화시키는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
① 병진 운동 :
물체가 평행하게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는 운동
돌 림 힘 의 크 기 p 회 전 방 향
② 회전 운동 : 회전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만
큼 회전^!•는 운동 z = r F 시 계 방 향 시 계 반 대 방 향

F F
돌림힘은 토크라고도 부르며 돌림힘의 단위는
F
[N . m]인데. 이를 일의 단위인 [J ]로 혼동해서 . . . ---- r - --■..
기. . . - " ■■. . . 디 ^
는 안된다. c
:

pi 돌
림힘의방
향 2. 돌림힘의 극대화
① 특정 점에서 오른손을 위치 벡터에서 힘 벡
터 쪽으로 가만히 감아쥘 때 엄지손가락이 (1) 회전팔의 길이가 길수록 돌림힘이 커진다.
가리키는 방향

^ 가해준힘 ⑵ 회전팔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을 줄 때 돌림힘은 극대화된다.


위치벡테fcv-
회전방향

돌림힘의방향
©짝힘
서로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지만 두 힘
모두 같은 방향의 돌림힘을 유발한다.

• 돌림힘의 크 기 : o < © • 돌림힘의 크 기 : o > ©

⑶ 물체에 가한 힘 중,회전팔에 대해 수직인 성분의 힘만 돌림힘의 F ± = F s in 0

크기 에 영향을준다 .

r = r 'X F ±{=rFsm d)

& Q L L 0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림과 같이 막대의 고정된 축으로부터 2 m 떨어진 지점에 100 N
의 힘을 가하였다. 축을 기준으로 이 힘에 의한 돌림힘의 크기는?

^ 1 1 100 N • m

o 돌림힘은 ( ) 운동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 회전팔의 길이가 ( )수록, 회전팔의 방향과 힘의 방향이 서로 ( )에 가까울수록 돌림힘이 커진다.

이4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뢰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돌림힘의 개념을 이용하여 돌림힘을 계산할 수 있다.


역학적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임 P이NT ①돌림힘 ②물체의평형 ③구조물의안정성
[L Q G3 GS
B 돌림힘의 이용
지레의 종류
1. 지# 직접 들어올리기 힘든 물체를 들어올릴 때 이용하는 도구
(• :힘점, 緣 :받침점, « :작용점)
⑴ 지레의 구조
1종
지레

J 받침점 Sa

/H
작용점一 ~-b- 2종
/ \ 지레
^ 由1
1쇼
(2) 지레의 원리 : 6 • w =a ■F 일 때 지렛대는 균형(평형)을 이루며,G>6이면 물체의 무게보다 작
一 1 •
은 힘으로 물체를 들 수 있다.
■•단정 : 허 큰 킨 들 sfcv.
QE® 獅
2. 축바퀴 : 큰 축바퀴의 반지름이 크면 클수록 힘이 적게 든다.
⑴ 축바퀴의 구조 : 두 개의 회전체로 구성되어 있다.

(2) 축바퀴의 원리 :b-w=a- F 일 때 균형 (평형)을 이루며, 이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올릴 수 있다ᅩ 1삐 ^

& E 1 0 2 ------------------------------------------------------------------------------------------------
그림과 같이 큰 바퀴와 작은 바퀴의 반지름 비가 2 :1이며 0 점에 고정된 죽
바퀴의 작은 바퀴에 무게가 600 이인 추를 매달았다. 이때 큰 바퀴에 연결
된 실을 크기가 F 인 힘으로 당겼더니 추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였다. F 는?
(단, 실과 축바퀴의 질량은 무시한다.)

600 N

i 향1 F-300N I
____________

0 그림과 같이 중심이 연결된 두 축바퀴 중 반지름이 g 인 축바퀴에 3 kg인 물체를 매달고 반지름이 뼛빼뼈
b인 축바퀴에 연결된 줄을 20 N으로 당겼더니 축바퀴와 물체 모두 평형을 이루었다. 중력 가속
도는 10 m/s2이며, 줄과 축바퀴의 질량을 무시할 때,a :6는?
20 N
3kg

©2:3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이5
02
B, the First

置체의 理형 1. 힘과운동 1

B 평형 조건

1. 평형 상 태 : 힘의 평형과 돌림힘의 평형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상태

2. 힘의 평형
f/m 세힘의 평형 (1> 모 든 합력이 0이 되어야 한' ^

⑵ 두 힘이 서로 방향은 반대이고, 크기는 같으며, 같은 작용선상에 있어야 한다.

⑶ 두 힘이 동일한 작용선상에 있지 않은 경우,물체는 작용선이 같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F i + F 2= F3
f\
/^i _ -F2 _ Fs
sin허 sinfe sin^
라미의 정리를 만족해야 한다.
f2

회전 El f2

Fi= - F 2 F i= —F 2

3. 돌림힘의 평형
0^4U전

반시계 시계 ① 반시계 방향의 돌림힘: 냐 나


C
/ I회

)(D

① ② 시계 방향의 돌림힘 : T2= r 2F 2


\F2 ♦ 이면 돌림힘이 평형을 이루어 회전하지
F1 (막대 질량=0) 않는다.

그림과 같이 받침점 위에 놓인 막대 위에 3 kg의 물체를 왼쪽 끝에 놓고 오른쪽 끝에 연직 아래 방향으로


크기가F 인 힘을 가하였더니, 막대가 평형을 이루었다. 이때 받침점이 막대를 떠받치는 힘의 크기는 M)|었다.


-lmᅳ

A 、 3m-----—?V

F 와 N 을각각 구하면? (단, 막대의 질량은 무시한다.)

i H g j F = 1 0 N . iV = 4 0 N

쓰 關 '기
O 질량을 무시할 수 있는 지렛대가 각각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오른쪽에 매달린 물체의 질량을 각각 구하시오.

( 1) (2 ) a \ 2a (3) 2a i Za
_ 째---- 누u ------

f A ' I ▲ ,

이 6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 G3 K --------
□ 무게중심(질량 중심r
|□■무게중심과 질량 중심
1. 질량 중심 : 물체 각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의 합의 작용점 덩어리
• 무게 중 심 : 전체 중량이 어떤 한 점에 모여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가상의 점
m\gxi=m2gx2 岭 m,iXi=m2X2 • 질량중심 : 물체를 구성하는 질량을 가진 모
\m9u-— i ^ 든 입자들의 평균적인 위치
• 균일한 중력장 내에서 무게 중심= 질량 중심
-► 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질량x 회전팔의 길이’가 동일하다. (mi+m2)g

2. 질량 중심의 3가지 의미

⑴ 회전 운동을 일으키지 않는 힘의 작용점


질량 중심에 힘을 주면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⑵ 중력에 의한 돌림힘의 합을 0으로 만드는 받침점
총 질량 : vW

ᄍ에 의한 돌림힘+m;
设에 의한 돌림힘
+购以에 의한 돌림힘 =0

⑶ 총 질량 기준 중력의 작용점
MS] 질량을 가진 물체가 질량 중심에 위치한 것과 같다그紙ᅮ+挑ᄅ+所ᄅᄄ쇼/)
© 밀도가 균일한 2 m 막대의 질량 중심은 1 m 위치에 있다.

3. 질량 중심 찾기

(1) 물체의 서로 다른 점에 실을 매달았을 때,실이 늘어진 방향을 연장한


선이 만나는 점이 질량 중심이다.
⑵ 대칭이고 균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의 경우 질량 중심이 중앙에
있다.
...

U. 질량 중심 좌표 계산

⑴ 질량 중심의 좌표(mb 所2를 한 덩어리로 간주) /헬발 i

州iXr)■桃2X2+… . (질량 x 자기 위치)의 합 H— I— h


x 0 XI X X2
mi+m2+-*- 질량의 합
-^ 7나
정(工
=°)은 ■
평로 성번펴和H ^ X (은그공)) = 禮 X (xy-x)
질량 회전팔 질량 회전팔
⑵ 질량 중심에 대해 두 m ,m2는 평형 상태이다.

© 그림과 같이 수평면 위에 질량이 m으로 같고 길이가 각각 I,21, 3/인 세 직육면체 막대를 올려놓았다. 세 막대의 무게 중심
은 물체 왼쪽 끝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얼□ᅡ만큼 떨어져 있는지 구하시오. (단, 막대의 밀도는 균일하다.)

니 — <— 2 1 -
m m
m
수평면

m E m m iim m
© 흉/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17


02
B, the First 1

L 힘과운동 1
물체의 평형

1L a G3 K

^rn rL 0 4 -
그림과 같이 질량이 1 kg, 3 kg, 4 kg인 세 물체가 질량이 12 kg이고 길이가 10 m인 나무 막대 위에 놓여
있다. 받침대는 막대의 오른쪽 끝에서 z 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막대가 수평을 유지할 때, z 는? (단, 나무판의 밀도는 균일하며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x=4.5r

& 33 - 05-
그림과 같이 받침대 위에 놓인 나무판 B 위에서 철수와 영희가 공이 놓여 있는 나무판 A 의 양쪽 끝을 수직
으로 떠받치고 있다. 직육면체 나무판 A 와 B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공은 정지해 있다. B의 중심
에 놓인 받침대로부터 철수와 영희까지의 거리는 각각 2 m, 3 m이고,A 의 길이는 5 m 이다. 철수와 영희
의 질량은 각각 70 kg, 50 kg이고,
공과 A 의 질량은 각각 10 kg이다. 공과 A, B의 밀도는 균일하다.

A 의 왼쪽 끝에서 공까지의 거리를 x 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나무판의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① x 는? (무게 중심이 편하다.)
② 철수와 영희가 각각 나무판 A 를 떠받치는 힘을 Fh F2라 할 때,
Fh F2는?

E H CDx=0.5m ② F^ M O N, F2-60N

^ 확민oil제
© 그림과 같이 질량이 각각 m인 반원형 물체, 직육면체 물체, ‘ 」’자형 물체를
쌓아 1개의 받침점 위에 놓았더니 물체들이 평형을 이루었다.

o:는? (단, 모든 물체의 밀도는 균일하다.)

학민 예제 정답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L a G3 K —
5. 무게 중심 활용

(1) ‘받침대가 2개 이상’인 경우 (= 면받침 경우)


"► 받침 영역 내에 무게 중심이 존재하면 평형 유지!

① 일반적인 풀이 : 평형이 깨지는 상황을 상상하여 축을 정하고 돌림힘 평형 시용


② 무게 중심 사용 풀이 : 무게 중심의 위치가 축에 위치하는 조건 찾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림 (가)는 직육면체 나무 막대 A ~ D 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A, B,
C를 오른쪽으로 r 만큼 이동했을 때,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의 질량은 각각
4m, m, 5w이고, D는 수평면에 고정되어 있다.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
r 의 최댓값은? (단, 나무 막대의 밀도는 균일하고, 마찰은 무시한다.)

關 3.5L

(2) ‘받침대 1개 + 실’인 경우


岭 받침대는 떠받치는 방향으로만,실은 당기는 방향으로만 힘을 작용한다.

① ②
실간 쥬 %

e 그림은 두 받침대 A, B 위에 놓인 길이 6 m, 질량 40 kg인 직육면체 나무판 위에 질량 60 kg인 철수가 정지 상태로 서 있


는 모습이다. B의 위치를 왼쪽으로 ■만큼 이동시킨 후에도 나무판은 수평을 유지한다.

삐 ■ ’
나무판0 1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C의 최댓값은? (단. 나무판의 밀도는 균일하며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 0.2 m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이9
B, the First

1. 힘과운동 t
물체의 평형

^ C E l- 0 7 -
그림과 같이 질량이 각각 m,m, 2m 이고 밀도가 균일
한 물체 A , B, 나무판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그림
에서 받침대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x 만큼 이동시켰을
때 나무판이 평형을 계속 유지한다.

나무판0 1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x 의 최댓값은? (단,나무판의 두께와 폭, A , B 의 크7 1, 실의 질량,


모든 口할
은 무시한다.)

⑶ 무게 분배
무게 분배
① 내분점

Ti t2
상자
Ty t2

I막대
(nh) -------------- --서 ' 天ᅵᄅ수、、、-----------------
V\ s o 厂2
1 1 중심
''' a ''b y
F i- F 2= r2 -ri Ti-T2= r2-n
T^migx a+b Fi +F2= mig+nhg+rmg 7\+% = (막대+상자)의 무게

T2=migx a+b
^rm - 0 8 -
②외분점
그림과 같이 질량이 15 kg인 균일한 직육면체 막대
를 철수는 막대의 왼쪽 끝에서, 민수는 막대의 중 ᄊ
7\ t2
심에서 떠받치고 있다가, 두 사람이 동시에 출발하
여 각각 0.5 m/s, 1 m/s의 속력으로 막대의 오른
(m) (ni2)
쪽으로 운동하고 있다. 철수와 민수7卜움직이는 동 그^
-y:/ 철수 민수
안 막대는 수평을 유지하며 정지해 있다. (단. 중력
언쪽 가속도 10 m/s2이고, 나무판의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r'=빠 x도 중쇠준Cv!

T2=m1gX-^+m2gX~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① 1초 후 철수와 민수가 떠받치는 힘의 비는?
② 민수가 오른쪽 끝에 도달할 때,
철수가 막대를 떠받치는 힘의 크기는?

② 100N

欄 圆 ■
© 그림은 두 받침대 위의 수평인 판 위에 놓여 있는 무게 써인 물체를 나타낸 것이다. 물체는 축 방향으로 3/, 받침점은 각각
I 4/인 지점에 있으며,
받침대 A, B 가 받치는 힘의 크기는 각각Fa, Fb이다.

Fa
\A

0 I 21 3/ 4/ 5/

….……■ ! 酬 ᅵ ::顯 FA와 FB는? (단, 판의 무게와물체의 크기는무시한다.)


© Fa : 七w, Fb:

020 2023 물리학 I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H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 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QL Q G3 CS ----
Q 구조물의 안정성

1. 구조물의 안정성
(D 질량 중심과 구조물의 안정성: 물체의 질량 중심을 떠받치면 물체는 힘의 평형과 돌림힘의 평
형을 이루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⑵ 질량 중심의 위치가 낮을수록 안정성이 크다.

⑶복원력: 역학적 평형이 깨지더라도 구조물의 질량 중심이 받침면의 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복


원력이 작용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안정 평형 불안정 평형

/W \

r 广 A

느 /
역학적 평형 상태가 깨졌을 때 질량 중심이 받침면 역학적 평형 상태가 깨졌을 때 무게 중심이 받침면
위에 있다. 질량 중심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돌림 위를 벗어난다. 질량 중심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힘이 복원력으로 작용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돌림힘이 물체를 회전시켜 넘어진다.

생활 속 구조물의 안정성 배의 안정성

타워 크레인 선반의 받침대

배가 기울어지면 중력과 부력의 작용점이 이


동하여 복원력이 작용한다.
배의 아래에 무거운 짐을 실어 질량 중심을
낮게 한다.

힘의 평형 : Mg+mg- W -F'sm 6=^


힘의 평형 : 으ᅳ받침점의 수직 항력=0 도리히으! 펴혀 •
S 口 口~ I o o •
돌림힘의 평형 : r\Mg-r2mg=^
(Fc+Ksin d d )- [mga+Mgb)=0

© 그림 (가)와 (나)는 동일한 물체의 받침면과 무게 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무게 중심 무게 중심

(가)와 (나) 중안정한 상


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가), 무게중심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21


OSS!
B, the First

匿 체 SI 평 형 1. 힘과운동 I

SCREEN
01 그림과 같이 길이가 8L이고 질량이 2m인 막대가 왼쪽 끝으로부터 5L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천장에 연결된 실에 매달려 수평을 이루며 정지해 있다. 막대의 왼쪽 끝에는 질
량이 m인 물체가 실에 매달려 있고,막대의 오른쪽 끝에는 크기가 인 힘이 작용하고 있
다. 천장에 연결된 실이 막대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r 이다.

T
0L/
n '
2m

(m) F\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표 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 이고,막대


의 밀도는 균일하며,막대의 두께와 폭,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21.6.평가S (물 II)]

-----------------------------------------------

ᄀ. / 이다. ( )

ᄂ. 分이다. ( )

02 그림과 같이 한 종류의 목재를 이용해 2층 목조 주택 모형을 만들려고 한다. 6개의


기둥의 길이와 질량은 각각 L ,w이고,바닥재의 길이와 질량은 각각 2L,2m이며, 지붕
은 좌우대칭이다.

기둥 A 만을 움직여 6개의 기둥이 떠받치는 힘을 모두 같게 할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에 o,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 목재는 직선이며,밀도는 균일하고,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기둥과 수평면,기둥과 바닥재는 각각 서로 수직이다.) [17.4*( 물 I)]

기. 지붕의 질량은 4m이다.

l 거리 x 는 이 다 .

022 2023 물리학 I [ 필수본]개념완성


sH
•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가

a기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와 같이 물체를 든 사람이 받침대 위에 놓인 판의 중심에서 출발하여 판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먼 곳까지 거리 *r만큼 이동한 후 물체를 가만히 내려놓았다.
그림 (나)는 (가)에서 사람만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판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먼 곳
까지 이동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람과 판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값이다. 사람,물
체,판의 질량은 각각 2m, m,10w이다. 받침대와 판의 길이는 각각 L ,10L이다. 판의 중
심은 받침대의 오른쪽 끝에 있다.

-5L- 5L- ■
*~ 5 L ᅳ ᅳ ^k— 5L ^ h
— x
\2m "春 2m
If, t\
판 !lOm 판 I 10m
받침대 | 받침대
수평면 수평면
(^ (나)

값는? (단,판의 밀도는 균일하며,판의 두께와 폭,사람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21. 4% (물 표)]

①응L © 부 L ③ 2L
⑤ 吾L

02 그림과 같이 간격이 20L인 두 받침대 A ,B 위에 질량 w인 물체와 질량 A/민 균일


한 밀도의 막대가 수평을 이루며 정지해 있고,A 와 물체는 같은 연직선상에 있다. 시간
(=0일 때 정지해 있던 물체가 수평 방향의 일정한 힘 F 를 받아 막대 위를 움직이기 시작
한다. 표는 卜=0, &일 때, A, B가 막대를 떠받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20L 떠받치는 힘의 크기
t
받침대 A 받침대 B

1 A M
-赢
4 rj 0
옮세 7
Mk
받침대 A 수평면 받침대 B u
W Mg

/쌕 크기는? (단,중력 가속도는分이며,막대의 두께와 폭,물체의 크기와 모든 마찰은 무


시한다.) [21. 9. 평가원 (물 ]I )]

3ML 2ML 5ML 3ML


① f ② ③ ④ ⑤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23


B, the F irs t1

a기 1.힘과운§1

EH a ED ®
03 그림은 물체 A, B가 각각 저울 위에 놓여 있고,공을 올려놓은 막대가 A, B 위에
수평으로 정지해 있는 두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막대의 길이는 8/이고, 공의 무게는 4 N
이다. 두 경우 모두 저울에 측정된 무게는 10 이으로 같다.

---- 21--- - --------- 4/-------- -一 / - ᅱ 一


막대 @ 4N

I ION
수평면

ᅳ / ᅳ --------- 4/--- — +^ — 31----- -


(淨

io > n
수평면

A 의 무게는? (단, 막대의 밀도는 균일하고,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20. 6. 평가원 (물 I)]

① 5N ② 6N ③ 7N ④ 8N ⑤ 9N

04 그림은 질량이 각각 M , M2, m 인 막대를 이용하여 쌓은 구조물이 평형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수평으로 놓은 막대의 길이는 8L로 모두 같고,연직으로 세
운 막대의 길이는 모두 같다.

h 4L hA ,

고는? (단, 막대는 밀도가 균일하고,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20. (물! )]

®
o Z
③ o鲁L ④S%L ⑤ 그4j L
02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l B E O M — s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S 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_ _ ca a
05 그림은 길이가 8L인 직육면체 막대 A, B, C가 수평으로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
태에서 길이가 8L 인 직육면체 막대 끄를 A 〜 C 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놓은 모습을 나
타낸 것이다. B, C, D 의 질량은 각각 3m, M, m이다. A ~ D 가 수평으로 평형을 유지할
때,기준선에서 D까지 거리 ;c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6^이다.

A/은? (단, 막대의 두께와 폭은 같고, 밀도는 각각 균일하다.) [18.6. 평7ra (물I)]

① 2m ② 3m ③ 4m ④ 5m ⑤ 6m

06 그림과 같이 막대 A 와 B가 실에 매달려 수평을 이루며 정지해 있다. 실이 막대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모두 같고, A 의 길이는 33d이다.

J J J

A[ j j

------ IM ----- -
B[

X는? (단,막대의 밀도는 각각 균일하고,막대의 두께와 폭,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22. 6. 평가원 (물 표)]

7 Q 11
① 1 d ② ③ ④ M ⑤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25


07 그림 (가),(나)와 같이 받침대 A, B 위에 놓인 길이가 8L이고 질량이 w 인 막대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 막대의 왼쪽 끝으로부터 L, 6^ 만큼 떨어진 지점에는 질량이 각각
2m, m인 물체가 놓여 있다. (가), (나)에서 A 가 막대를 받치는 힘의 크기는 각각 Fu F2
이고,(나)에서 막대의 왼쪽 끝으로부터 3L만큼 떨어진 지점에 연결된 실이 막대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F2이다.

3L 실
(m)
m m
aA AB Air —
수평면 수평면
h*— H h—
— 니
L 5L 2L
(^ (나)

| 은? (단, 막대의 밀도는 균일하며,막대의 두께와 폭은 무시한다.) [22.9.97^(11)]

① f ③풍 ④

08 그림과 같이 실에 매달려 수평을 이루며 정지해 있는 막대 A, B 위에 물체 C, D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등속도 운동을 하고 있다. c, D가 운동하는 동안 A ,B는 수평
을 이루며 정지해 있고, 실 p,q가 A 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서로 같다. A 와 묘의 길이는
10L로 같고,A 와 C의 질량은 2w이며, B와 D 의 질량은 m이다.

실다 C 실다
기 一 2m r
2m 막대 A

D
실]
|m |~~
막대 B
10 L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중력 가속도는
分이고,막대의 밀도는 균일하며,막대의 두께와 폭,물체의 크기,실의 질량,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22. 수능 (물 I )]

기. 속력은 D 가 C 의 2배이다.
16,
l C와 D가 동일 연직선상에 있을 때,
C는 A 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f L만큼 떨어져 있다.

C가 A 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7L만큼 떨어져 있을 때,실 r가 B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分이다.
n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9 그림과 같이 질량이 8m,길이가 10L인 동일한 막대 A, B, C가 실에 연결된 채 수


평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다. A 가 B와 2L만큼 겹친 부분 위에 길이가 2L이고 질량이 인
물체가 정지된 상태로 놓여 있다.
1; ::

s :
:.. ᅵ

/물체

M
A[ 8m
8m 그B
6L L 2L L
8m

막대가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살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단,막대와 물체의 밀도는


균일하고, 막대와 물체의 두께와 폭,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21. 10. 교^ (물 I)]

①音 © |~ m ©부m ⑤ 5m

10 그림 (가)와 같이 길이가 18a인 막대가 두 축바퀴 A, B 에 실로 연결되어 평형 상태


에 있다. 그림 (나)는 (가)에서 막대의 오른쪽 끝에서 5g만큼 떨어진 지점에 무게가 W인
물체를 올려놓았을 때,막대가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나)에
서 B 의 작은 바퀴의 실이 막대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각각 T, 2 7 이다. 축바퀴의 큰 바퀴
와 작은 바퀴의 반지름은 A 가 각각 3a, a이고,B 가 각각 3a, 2a이다.

5a
(가) (나)

막대의 무게는? (단,막대의 밀도는 균일하고, 막대의 폭과 두께, 실의 질량, 물체의 크기,
축바퀴의 두께 및 마찰은 무시한다.) [18. 9. 평가원 (물 I )]

② 灰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27


厂 B the First % u -------------------------------------------------

U3 평면 (HIAI音 가 속 도 운 동 i•힘과운동

1L Q G3 GS ----
Q 속도와 가속도

1. 이동 거리와 변위
운동 경로
⑴ 이동 거리 : 물체가 이동한 경로의 길이
백터
⑵ 변위 :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까지의 위치 변화

2. 속력과속P

치벡터
와변위벡
曰 ............ 0
① 위치 벡터 : 물체의 위치를 기준점으로부터 나 ⑴ 속력 : 단위 시간 동안 물체의 이동 거리 [단위 : m/s]
타낸 벡터
© 변위 벡터 :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까지의 위 ⑵ 속도 : 단위 시간 동안 물체의 변위 [단위 : m/s]
치 변화를 나타낸 벡터
평균속도 순간 속도
pa 상
대속도 물체가 운동하는 도중의 속도 변화를 고려하지 않 물체가 운동하는 매 순간의 속력과 방향을 나타낸
• 기준 속도 :지면에 대한속도
고, 전체 변위를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 양으로, 아주 짧은 시간 동안의 변위를 그 사이에
• 상대 속도 : 지면에 대해 운동하는 관측자 A
가느끼는 B 의 속도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

- Z1AB - AAB
y制 ᅳ At V- ^ o A t'

⑶ 순간 속도 벡터와 속도 변화량
① 순간 속도 벡터의 방향은 각 위치에서 그은 접선의 방향과 같다.
② 속도 변호© :각 위치에서 순간 속도 벡터 g 의 차이

A v = v 2~ v i

3. 가속^

(D 가속도 : 물체의 속도가 얼마나 빠르게 변하는지 나타내는 물리량, 단위 시간 동안 물체의 속도


변 화 량 ᅳ t 력j!V 운두 u방 쥬 <니느 去느나•만 도 7느t « EolcK

—Vb—VA= —(Vb+VA)

가+ 도 _ 극•도 변화량
[단위 : m /s2]
pa 속도-시
간그래프에
서평균가
속도 ^ 걸린 시 간 ,
와순간가속도
평균가속도 순간 가속도

주어진 시간 동안의 평균적인 가속도 특정 시각에서의 순간적인 가속도


ᅳ Av ᅳ Av dv
a=\\m-r- = -7-
a 평균= 고7 At-oAt at

ti 시간 ⑵ 가속도의 방향 : 힘(합력)의 방향,속도 변화의 방향

: 一 ᅳ

0 운동장에서 뛰어다니는 철수의 움직임이 다음과 같을 때, 철수의 평균 속력과 평균 속도의 크기를 구하시오_

• 철수가 동쪽으로 40 m 이동한 후,이어서 북쪽으로 30 m를 이동하였다.


• 이동하는 동안 철수는 일정한 속력을 유지하였다.
• 철수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걸린 시간은 6초이다.

평균 속력 : ( ), 평균 속도의크기 : ( )

- u m 내 刚 '
O 5m/s, -y- m/s

02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 평면에서 등가속도 운동하는 물체의 그래프를 분석할 수 있다.


★ 평면에서 등가속도 운동하는 물체의 속도와 위치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험 P이NT ① 71속도 ②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③ 비스듬히 위로 던진 물체의 운동
1L Q G3 K ----
0 등가속도 직선 운동 P*
처음 속도가 %이고 속도 변화량을 zly라고 하

면 가속도 이므로 zk;


=GZl 虐 대입한다.
1. 등가속도 직선 운동의 그래프와 해석(가속도 a > 0 일 때)

가속도-시간 그래프 속도ᅳ시간 그래프 변우1ᅵ시간 그래프


v2- Vo2= 2o!s를 s = 2^-v ~ yo)(y+ y。
)으로 표현
소 기울기 = 가속도 변
가 한 뒤. y티;0+섰를 대입한다.
E.V / 우1 S

£ I Pi

속도 변화량 i Vo
으 스 / 속도ᅳ시간 그래프 아래의 면적은

•기울기 = Ax = y평균==출 = ^ 2 ^°)


변위

0 0
乂 순간 속도
이고 7趣 의 정의에서 소 = 무 이 다 .
1 시간 0 t 시간 시간
^ x^ = ^ x 에서 변위 z lx 를 s로놓
는다
⑴ 등가속도 직선 운동의 공식
연직 투하 문동
① 시간-속도 관계식 : y = y 0+ a ?

-…ᅳ ① 물체가 중력 방향으로 던져진 후, 중력만을 받
!F ! 으며낙하하는운동
② 시간- 변위 관계식 : s=z;
( / + f a근

가 속 도
E

'
③ 속도- 변위 관계식 : 2奶 = 간2—y02

CJJ
자유 ᅪ하 운동 : 정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지구의 중력만을 받으며 낙하하는 운동으로,가속
시간
도가 g 로 일정한 등가속도 직선 운동이다.
[fl—^ 그래프 ]

a ᅳf 그래프 I;
—f 그래프 s - f 그래프
낙 하 거 리
가 속 도

가속도: 일정

그래프 넓이=증가된 속도
{v—gt)

시간

v=Vo+at v=gt
운동 ^卜유 낙하

관계식
s=Vot+~^at2 tv=0 데gt o t 시간
a=+g
2as=v2~Vo2 2gs=v2 [sᅳ ^ 그래프 ]
© 운동 관계식 : 가속도가 +강로 일정한 등가속
도 운동이다.
v=v0+gt

s=vot+-^-gtz
2gs=v~v운

© 높이 20m인 곳에서 물체가자유 낙하하였다. (단,공기의 저항을무시하고,


중력 가속도는 10m/s2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이 물체가 지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⑵ 이 물체가 지면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도의 크기는?

©(1)2초 ⑵ 20m/s

PART I . 역학적상호작용 029


03
B, the First

평면에서 동가会도 문동 i. 힘과운동t

연직 투상 운동 :물체가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던져진 후,중력만을 받으며 위쪽으로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운동

그래프 그래프 s-f 그래프

가 속 도

속도

2t
변위
VQt-~2 9t2

G
yo





그래프


yo ^0

II

C
2vo 시간
y 9

v= vQ+at v=v0~gt
운동 연직^^
s=v0t+ h = V o t~ Y ^
관계식 2( a=~g
s=h
2as=v ~Vo -2gh=v2-v02

p i 수직항력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에서의 운동


물체가 면을 미는 힘에 대응하여 면이 물체를
미는 반작용이다. (1) 작 용 힘 의 크기
① 경사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
* mg sin 0
② 경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
*N - m g c o s d = 0
mgcosO

^fngsmO

⑵ 운동 관계식

v=V Q + at v=Vo^~gsin6't
나 1 ^
s=Vot-^~2at s= v ot+ Yffsm 0-t2
a=gsin0

2as=v2~Vo2 2gsin0's=v2-vo2

© 지면으로부터 공을 50 m/s의 속도로 연직 위로 던져올렸다.

다음물음에 답하시오■(단, 공기의 저항은 무시하고, 중력 가속도는 10m/s2이다.)


(1) 이 공이 지면으로부터 최고점에 도달히는 데 걸리는 시간은 몇 초인가?
(2) 최고점의 높이는?
(3) 이 공이 다시 지면에 도달할 때의 속력은?

© ⑴5초 (2) 125m ⑶50m/s

03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H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 ta k ----
□ 2차원 평면 운동
1. 평면에서 등가속도 운동

(D 빗면에서 가만히 놓은 물체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⑵ 빗면에서 옆으로 민 물체는 가속도에 나란한 방향으로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가속도에 수직
인 방향으로는 등속도 운동을 한다.

⑶ 평면에서 등교유도 운동 :가속도와 나란한 성분과 가속도와 수직 인 성분을 구분하여 각각의 운


동을 분석한다.

' 처음 속도: %
' 가속도의 크기: \a\

' 가속도의 방향 x 축
j

X 축 방향 y 축 방향

운동 등가속도 운동 등속도 운동

속도 v x = v Qx+ a t

시간
: y 의 변위를 속 도 의 y 성 분 으 로 나누어 — t= a

구한다.

위치 x —X Q + V a x t + ^ a f y = yQ + VQy t

X 축과 축 사이 위치 관계
:X 축 위치 성분에 호를 대입하여 구 한 다 .

器|
口fl

o

잠분과^성분으로구분하여 각각 ^ 것이다.
J

I
O A
I
fl

따라
M

m\

ii
s
y

1
0
)

0 4 8 시간 (s) 0 4 8 시간 (s) 개넘 » 민 Otl제 S S

© ⑴ 가속도의 방향 : -&방향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속도의 크기 : • ! m/s2
⑴ 물체에 작용하는 가속도의 방향과 크기는?
(2) 40^2 m
⑵ 0초부터 8초까지 물체의 변위의 크기는?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31


03
B, the First

평면에서 동가속도 문동 1.S 과운동 1

1L [I G3 K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 물체가 높은 곳에서 수평 방향으로 던져진 후, 중력만을 받
며 포물선 경로를 그리는 운동

수평 방향(등속) 연직 방향(등가속)
처음 속도 ^0x= ^0 v0y=0
^초일 때 속도 Vx =Vo Vy=gt
: 속도의 or성분과 以성분을 합성하여 구
v=^Jvo+{gt)2
한다.

^초일 때 변위 x = v0t
:변위의 x 성분과 성분에서 (를 소거하
여 구한다.
y 2 vo2X

지면에 도달히는 데 걸린 시간


H = ^ g t 2m 츠에대하여 정리하여 陋
' =v
구한다.
수평 도달 거리
ZP [교 -
요二다/에서 t = y y 를 대입하여 구한다
: R=VoJ v

M
1 I , .L
r r選1 s■
> !
■ .
© 400 m/s의 속도로 수평하게 날고 있는 비행기에서 떨어뜨린 폭탄이 30초 후에 땅에 떨어졌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⑴ 비행기의 고도는 몇 m인가?
⑵ 폭탄은 투하된 곳으로부터 수평으로 전방 몇 m되는 곳에 떨어지겠는가?
⑶ 폭탄이 땅에 떨어질 때의 속도의 크기는 몇 m/s인가?
w m ^E E m
© d ) 4500 m
⑵ 12000 m
(3) 500 m/s
(z?x=400 m/s, %=300 m/s)

032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으I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l a m k ----
3. 비스듬히 위로 던진 물체의 운동 : 수평면과 각 e를 이루는 방향으로 속도 v0으로 던져올린 물체
가 중$ 만 받으며 포물선 경로를 그리는 운동 pa 포
사체운
동에서
의중력
의효과
중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와 ^ 하2만큼의 연직
(1) 운동 관계식: 속도의 수평 성분은 일정하고,연직 성분은 연직 위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과 같다.
변위 차이가 발생한다.

y\

VoCOsS

yosin^

수평 방향 연직 방향
처음속도 Vox = V qCOs 6 z녹 =y()sin^
t 초일 때 속도 Vx = V qCOs 6 vy= v ^ > m O - g t

1 2
m 일 때 변위 x=vocosd •t ^=2;0sin<9 • t - — g t
: 변위의 X 성분과 分성분에서 요를소거하
여 구한다.
뼤 x 2v/ c o s ^ x

최고점 도달 시간fe)
x z;
osin^
: 최고점에서 &가 0이므로
9
^ = 0 을 이용하여 구한다.
uosin0—강
다시 지면에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 71) 2tx= T
: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간(시의 2배이다.
최고점 높이(표)
: 최고점에서 가0이므로
TT VqSITiO
- rt— Q
H = i;
0sin^* ti - ^ g t i % 이용하여 구 2으

러각도
로던진물
체의문
동경로
한다. 공기 저항이 작용하지 않을 때. 45°의 각도로
쏘아 올리는 경우에 가장 멀리 나아간다.
수평 도달 거리
p_ z;02sin2^
: 수평 방향으로 등속 운동하므로 속도의 -
g
x 성분에 r 를 곱하여 구한다.

⑵ sin20=l일 때 7?가 최대이므로 0=45ᄋ일때 i?가 최대이고,7?=4//이 다

© 수평면과 30o의 방향으로 40 m/s의 속도로 던져진 물체가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 m /s 2이고,


공기의 저항은 무시한다.)
(1) 3초 후 이 물체의 속도의 x 성분과 ^성분은 각각 몇 m/s인가?
(2) 이 물체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몇 초인가?
개님 it 민«ᅵ제정답 • . ,
⑶ 최고점에서 이 물체의 속력은 몇 m / s 인가?
©⑴ vx= 20 /3 m/s vs= - 10 m/s
(4) 이 물체가 도달하는 최고 높이는 몇 m인가?
⑵2초
(5) 이 물체의 수평 도달 거리는 몇 m 인가? ⑶20/^m/s
⑷20m
(5) 80/공"m

PART I . 역학적상호작용 033


M B the First ■----------------------------

평면에서 등가속도 문동 i.힘


과운동I

SCREEN

01 그림은재평면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속도의 고성분 ^와강성분 化를 시간에 따라 나


/ 타낸 것이다.

(m /s )
..一 .. iiiMMMMMBB

0 4 8 시간(s)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1. 수^능(물표


)]


. 0초부터 8초까지 가속도의 크기는 점점 감소한다.
4초일 때. 속력은 5 ^ m /s 이다.
0초부터 8초까지 변우I의 :c성분과 강성분의 크기는 서로 같다.

02 그림과 같이 높이 /z인 지점에서 물체 A 가 수평 방향과 45°의 각을 이루며 〜의 속


력으로 던져진 순간, 높이 4&인 지점에서 물체 B 가 연직 아래 방향으로 yB의 속력으로 던
져진다. A 는 포물선 운동하고, B는 등가속도 직선 운동하여 수평면의 같은 지점에 동시
에 도달한다. A 의 수평 이동 거리는 2/z이다.

색-
Vb \

4h

丁 \
h
I A. BV,|

' 2 ^ _____ 니수폐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0. 4. 교육정(물I )]

1. 던져진 순간부터 수평면에 도달할 때까지, A 와 B 의 속도 변화량은 동일하다.

-.t= /風 기 다 .

紙 이다.
vA ~ 2 j2

03 4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s
i~ ~ B 신로l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

ta i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과 같이 경사각이 30°인 경사면의 점 ᄋ에서 물체 A, B를 동시에 발사하였더니


A 는 B와 경사면의 한 점에서 만났다. A 는 수평 면과 30°의 각을 이루며 속력 vA로 발사
되어 포물선 운동을 하고, B는 속력 애로 발사되어 경사면을 따라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한다.

, 는? (단,물체의 크기와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22. 6. 평가원 (물 표)]


vA

① ② 은 ⑤
2 1
④ 音

02 그림과 같이 물체 A 가 수평면에 대해 45°의 방향으로 속력 y로 던져지는 순간에 물


체 B가 건물 옥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20 m/s의 속력으로 던져진다. A 와 B는 점 P 에서
충돌한다.

20 m/s

P/ 50 m □
m
Ar \45°

-100m-

w는? (단,A 와 B는 동일 연직면 상에서 운동하며,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13. 6. 평가원 (물 ]I)]

① 30m/s ② 2 0 # m/s ③ 20m/s ④ 10/^m/s ⑤ 10m/s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35


, the F ir s t 1

S»l 1. 은j과證義;I

03 그림은 두 물체 A, B 가 동시에 던져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수평면 위의 점 ᄋ로


부터 높이 h 인 지점에서 수평 방향으로 yA의 속력으로 던져진 A 가 ᄋ로부터 수평 방향으

로 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연직 위로 yB의 속력으로 던져진 B와 충돌한다.

A ◎므소ᄂ


,A

B @~~~
_
0
ᅳ 1ᅳᅳ^

Va %는? (단,중력 가속도는 일정하고. 공기 저항과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09. 9. 평가원 (물 1)3

① 1 :2 ② 1 :3 ③ 2 :1 ④3:1 © 3 :2

04 그림과 같이 입자가 고축과 6>의 각을 이루며 u의 속력으로 원점 o 에 입사한 후,일


정한 힘을 받아 재평면에서 포물선 운동을 하여 고축에 수직 인 방향으로 고축 상의 점 다에
도달한다. 입자가 점 p 를 지날 때 X 축과 입자 사이의 거리는 최대이고,0 에서 으까지 운동
하는 데 걸린 시간은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m特 (물I)]

기. 입자의 가속도의 방향은 방향이다.


ᄂ. q에서 입자의 속력은 ysinP이다.
c. p에서 q까지 입자가 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이다.

03 6 2023 물리학 표[필수본]개념완성


---------------------------------------------------------------------------------------------------------------------------g ~ a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_ _ 03 3 CD ©
05 그림과 같이 수평면과 30°의 각을 이루는 빗면과 수평면이 만나는 점에서 속력 V로
물체를 발사하였더니,물체가 마찰이 없는 빗면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한 후 포물선 운동을

하여 수평면에 도달하였다. 수평면으로부터 빗면 꼭대기의 높이는 ^ 이고,물체가 포물선

운동을 하는 동안 수평 이동 거리는 柯이다.

y는? (단,중력 가속도는 0이고,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21.6. 평가원 (물 I )]

① ② ④ ⑤ M

06 그림과 같이 점 모에서 공 A, B를 시간차 » 두고 던졌을 때, A 와 B는 각각 포물


선 운동을 하여 점 Q에서 만난다.

A, B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eu 또의 각을 이루며 속력 65 m/s로 던져졌다. tan^

= |■이고 tan02= 吾이다. 는 ?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A 와 해 크기는 무시

한 다 .) [21. 수 능 (물 I)]

① 풍& ② 풍A ③풍 & ④풍 I ⑤풍 I
PART I . 역학적상호작용 037
sa a aa 0
07 그림 (가)와 같이 시간 t o 일 때 원점에서 물체 A 를 x축과 60°의 각을 이루며 속력
애으로, z 축상의 인 점에서 물체 B를 +값방향으로 속력 / 또;0으로 발사하였다. A ,
B는 재평면에서 같은 가속도로 각각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그림 (나)는 B 의 속도의 x 성
분 war와 감성분 vBg를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B
6

o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물체의 크기는 무
시 한 다 .) [22• 수능 (물 !!
)]

기. A 의 가속도의 크기는 ^ 2이다.

A 는 :T축상의 X띠 인 점을 지난다.

ᄃ. t= 은일 때, A 와 B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된다.

① ② ③ 亡

08 그림과 같이 수평면으로부터 높이 인 점 p 에서 빗면과수직으로 던져진 물체가 포


물선 운동을 하여 최고점 Q를 지나 빗면의 끝 점 R 에 도달한다. 물체의 수평 도달 거리는
A이다.

물체가 묘에서 R까지 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단,중력 가속도는 으이고, 물체의 크기,
공기저항은무시한다■) - [대.7.교^ ( 물I)]
3-2

A

②/ f
^

03 8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 ■~ ~ B 신릐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 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_ _ 11 Q (*)
09 그림과 같이 경사각이 30°인 경사면 위의 점 P 에서 시간 는 0일 때 물체 A 가 속력
로 경사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발사되어 포물선 운동을 하고, 경사면을 따라 등가속
도 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 B 가 일 때,속력 % 로 경사면 위의 점 Q를 지났다. t=3to
일 때 A, B는 경사면 위의 점 묘에 동시에 도달한다. 모에서 Q까지 거리와 P 에서 요까지
거리는 L 로 같다.

1 는? (단, A, B는 동일 연직면에서 운동하고,물체의 크기와 마찰은 무시한다.)


Vb
[19. 6. 평가원 (물 ]I)]

① 平 ② 뿌 ③ 平 ④ 平 ⑤ 平

10 그림과 같이 물체 A 와 B를 동시에 발사하였더니 A, B가 ⑶평면상에서 같은 가속


도로 각각 등가속도 운동을 하여 점 q에 동시에 도달한다. A 는 원점 ᄋ에서 속력 U로 점
p를 향해,B는 p에서 속력 F로 ᄋ를 향해 발사되었다. A 는 x 축에 수직 인 방향으로 q에

도달한다. p의 X ’ 상좌표는 각각 4d’ M 이고 q는 x축상의 x=|~c/ 인 점이다.

F는?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22. 6. 평7 (물!!


)]

①i ②f ③音 ④y ⑤音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39


ta a ca ®
n 그림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60°의 방향으로 던져진 물체가 시간 하동안수평 이동
거리가 3^L인 포물선 운동을 하다가 빗면에 수직으로 충돌하였다. 충돌 후 빗면에서 수직
으로 튕겨 나온 물체는 시간 h 동안 수평 이동 거리가 2L인 포물선 운동을 하며 수평면에
다시 도달하였다. 빗면의 경사각은 60°이다.

夺는?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하며,물체는 동일 연직면에서 운동한다.) [21.10.교육청(물대


h

2/2
©추 ④ ⑤

12 그림과 같이 경사각이 45°인 경사면 위의 점 P 에서 물체 A ,표를 동시에 발사하였


더니 B 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순간,A 는 B와 만났다. A 는 경사면과 산의 각을 이루며 발
사되어 포물선 운동을 하고,B는 경사면을 따라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한다.

tan0는? (단,A 와 B 의 크기, 마찰은 무시한다.) [20. 6. 평가원 (물:내

③ ④
⑤音

04 0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 가 !

1 T 1 JL M hw i
A M 타 H jP *

기본부터 심화까지
_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역학적상호작용

2 .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01 등속 원운동

02 행성의운동

03 등가원리

04 중력 렌즈와블랙홀
01
B, the First

音속 원운동 ft.행성의운 상 대 성 |

[L Q G3 K
U 등속 원운동

1. 등속 원운동
⑴ 원둘레를 일정한 속력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

⑵ 물체의 운동 방향(원의 접선 방향) 丄 힘의 방향(원의 중심 방향)


⑶ 주기( r )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가 원둘레를 한 번 회전하는 데 걸린 시간 [단위 : S(초)]
⑷ 진동쉬/ ) :물체가 1초 동안 원운동을 하는 회전수 [단위 : Hz (헤르츠)]
|DI 라□안(radian) (5) 각속도(ftj) :단위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 [단위 : raSJs]
각도의 단위로써 호의 길이를 반지름드
값올 각으로 표현한다.
9
360°= = 2k rad

(6) 속력(y) :단위 시간 동안의 이동 거리 [단위 : m/s]

(7) 물체가 반지름이 r 인 원운동에서 시간 r 동안 한 바퀴(2tt)만큼 회전했을 때 운동 관계식

^ 2xr 2k
주기 T= =
V CO

진동수 f= l = 으
7 T 2k
27T o r
각속도 co= ~Y'=27rj

2kv
책 v = —j r —rco

2. 구심력
⑴ 구심 가속도Q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가속도
①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속력은 변하지 않지만 운동 방향이 계속 변한다.
② 크기는 항상 일정하다.
③ 방향은 원의 중심 방향으로 매 순간 변한다.

o 어떤 물체가 다음과 같은 등속 원운동을 하고 있다.

(가) 질량 10 kg인 물체가 반지름 2 m인 원궤도를 10 m/s의 속력으로 돌고 있다.


(나) 팔의 길이가 1 m인 원반 던지기 선수가 질량 5 kg의 원반을 일정한 각속도로 매초 3회전 시키고 있다.
(다) 질량 60kg인 人K>|클 선수가 반지름 100m 인 원형 운동장을 20초에 한 바퀴씩 돌고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r=3이다.)


⑴ (가)의 주기는?
(2) (나)의 각속도의 크기는?
(3) (다)의 속도의 크기는?

044 2023 물리학 I [필수본]개념완성


KHU IEKb,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n

* 구심력을 이용하여 등속 원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ᅪ
핵 S IP 이 NT ① 등 속 원 운 동 ② 구 심 력 기본부터 심화까지

1L Q G3 K ----
⑵ 구심 가속도의 유도
① ZU 동안 속도가 하에서 %로 변했을 때 속력은 일정하고
운동 방향만 바뀐다.
② 두 속도 벡터를 평행 이동하여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D ᅳ
Av = lh — v[
El
- 두 변 ^ 깁 «니가 7혼고 >기<난 7^ 0 I 7을CV.

③ AABC와 A D E F는 닮은꼴이므로 속도 변화량을 거리의 변화량으로 나타내어

々 = 호 로 표현할 수 있다.
- 2 선 을 지 K jo 로 판 *단-7나

④ ZU가 아주 작다면 ^ 동안 이동한 거리는 Z1/로 근사하여 이다.


⑤ 가속도는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량으로 구할 수 있다.

— Av _ _1_/ v vAt v
: rco
a ~ A t~ A tV r ; r At r

⑶ 구심력 :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 원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는 알짜힘


① 반지름이 r 인 원 궤도를 일정한 속력 z;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구심력의 크기

F = m - - m rc

② 특징
• 구심 력이 사라지 면 물체는 원의 접선 방향으로 날아간다.
• 구심력은 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일을 하지 않는다. pa 자동차의 선회 운동
3. 원운동의 분석

⑴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는 항상 구심력이 작용하므로 어떤 힘이 구심력의 역할을 하는지를 먼저


판단해야 한다.
⑵ 구심력의 역할을 하는 힘의 예
자동차 질량 m’ 회전 반지름 r’ 수직항력의 크
① 자동차의 선회 운동(마찰력? 기가 F N°d 때 자동차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속력 y는?:
② 실에 매달린 물체의 원운동(장력)
/ ^ s i n ^ = ¥ 이고 이므로 정
③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중력)
리하면 이다.
④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전자(전기력) gr
따라서 V artan 쳔이다.

© 그림과 같이 1 m인 실에 질량 0.2 kg의 물체를 매달고 수평면상에서 등속으로 매분 300번씩 회전시킬 때, 이 물체가 받는
장력의 크기는?

/0.2 kg

..........
©20^2N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45


□ 1
B, the First 활驚ᅳ•-

등속 원운동 2. 행성의 운동과상대성 |

01 그림 (가)와 (나)는 실의 한 쪽 끝에 질량이 각각 从 , 从인 추를 매달고,유리관 속


을 통과시킨 실의 다른 쪽 끝에는 질량 m 인 고무마개를 달아 각각 원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에서 유리관 끝 0 에서 고무마개까지의 실의 길이는 각각 / 이고,
실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은 각각 30°와 60°이며, 고무마개는 수평면에서 등속 원운동을 한다.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실과 유리관 사이의 마찰,


고무마개의 크기, 유리관의 굵기는 무시하고, 유리관은 고정되어 있다.) [09. 9. 평7ra (물I)]

기. 표M 2이다 .

L 고무마개에 작용하는 구심력의 크기는 (가)의 경우가 (나)의 경우의 3배이다.


c. 고무마개의 운동 에너지는 (가)의 경우가 (나)의 경우의 界 배이다.

02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 , B 가 동일 평면에서 점 ᄋ를 중심으로 각각 등속 원운동을


하고 있다. A, B 의 원운동 주기는 같다. A, B 의 질량은 각각 3m, 2m이고, 반지름은 각
각 2r, 3r이다.


0 / ;

A, B 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8. 9. 평7 (물I)]

飞 각속도는 A와 B 가 같다.
l 운동 에너지는 A 가 B의 / 포배이다.
구심력의 크기는 A 와 B가 같다.

04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sH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s

a 기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는 재평 면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를 나타낸 것이


고, (나)는 (가)에서 물체 위치의 X성분을 시간 H1 따라 나타낸 것이다.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6. 평 가 원 (물 I )]

기. 각속도의 크71는 1 rad/s이다.


l 속력은 1 m/s이다.
가속도의 크기는 1 m/s2이다.

① ② L ③ 기,亡 ④ K 亡 ⑤ ~l, 1•",亡

02 그림은 물체 A, B가 재평면상의 원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각각 1 m ,4 미인 궤도


를 따라 등속 원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B 가 강축상의 점 a,선에서 동시에 출
발하여,6초 후에 A 는 x축상의 점 c에 처음으로 도달하고,B는 한 바퀴를 돌아 b에 도달
한다.

如)
b
누、

/ a
! c广
\ '.0 M /:
4 dm )
A /

나 - '7
B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9.평?원(물1)]
mrJkjm

기. A 의 주기는 8초이다.

L. B 의 속력은 f m/s이다.

c. 구심 가속도의 크기는 A 가 B 보다 작다.

① 기 ② tl ③ 1 ,L ④ I ,亡 © 1 , U , 1=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47


ED 3 03 ® 선
03 그림은 재평면에서 등속 원운동하는 물체의 어느 순간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그
래프는 이 순간부터 물체의 z 방향의 속도 化,2/방향의 속도 vv를 각각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색칠된 부분의 넓이는 S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3. 4. 교 육 청 (물 I )]

기. 원운동의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다.


L 원운동의 반지름은 S 이다.

각속도는 ᅮ이다 .

04 그림은 질량이 1 kg인 물체가 천장에 줄로 연결되어 등속 원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


타낸 것이다. 줄의 길이는 2 m 이고, 줄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은 60°이다.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력 가
속도는 10m/s2이고,물체의 크기와 줄의 질량은 무시한다.) [21. 수 히 물 I)]

기. 구심력의 크기는 1 0 # N 이다.


L-. 속력은 /S5m/s 이다.
c 주기는 초이다
5

04 8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 의 물리 만점 전 략가 ! B A E K l B E O M —

n
I 、

I밀
히들에
}ᅣ하
는수능물
리학의본
질적접
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5 그림과 같이 질량이 m 인 물체가 천장에 실로 연결되어 수평면에서 등속 원운동


을 한다. 실의 길이는 Z이고, 실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각은 60°이며,원운동의 주기는

% / 중이다-

수평면이 물체를 떠받치는 힘의 크기는? (단,중력 가속도는 分이고,물체의 크기와 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22. 수능 (물표)]

① ③ ᅳ도mg ⑤ 웅胃

06 그림 (가), (나)는 고정된 관을 통해 질량이 각각 M, 2Af인 추와 실로 연결되어 있는


질량 m인 물체가 각각 등속 원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가),(나)에서 관 끝의 점 ᄋ
로부터 물체까지 실의 길이는 각각 L, 2L이고,물체는 각각 진동수 A, / 2로 회전한다.

진동수/i

추幽 M
(가)

/ l : / 2는? (단,물체의 크기와 관의 굵기 및 실과 관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2. 6. 평가원 (물 II )]

① 1 :1 ® 1: 巧 ③ 1 :2 ® 作 © 2 :1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49


02
B, the First '

행성의 문君 2. 행성의 운동과상대성

H Q KH2 ----
□ 케플러 법칙
P■케플
러법칙
의탄생
티코 브라헤가 행성 운동을 오랫동안 관측한 자 1. 행성의 운동에 대한 이해
료들을 일반화하여 케플러가 법칙을 만들었다.

천동설 지동설 행성의 타원 운동


pa 타
원 프톨레마이오스가 체계화 코페르니쿠스가 주장 티코 브라헤와 케풀러

• 우주의 중심 : 지구 • 우주의중심: 태양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 •모든 행성들이 태양주위를 •행성들이 타원운동을 한다.
으로 회전 회전

2 . 케플러 법웅T: 행성 운동을 관찰하여 정립한 행성 운동에 대한 3가지 법칙


① 가 일정한 점 모들의 집합
⑴ 케플러 제1법칙(타 ^ 궤도 법칙) : 태양계 내의 모든 행
② 점 F . F ': 초점(Focus)
짧은반지름 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③ 긴반지름 - 1 • 권
짧은반지름 ᅴ .
운동한다.
긴반지름 < 1 ' Ehd

|E1 행
성의공
전주기
구분 a
⑵ 케플러 제2 법칙(면적 속도 일정 법칙) : 태양과 행성을 연
수성 0.06 0.06
금성 0.37 0.37
결한 선이 같은 시간 동안에 그리는 면적은 항상 일정
지구 1.00 1.00 하다.
화성 3.51 3.53 ① 근일점 :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을 때 행성의 위치
목성 141.42 140.66 (v, :근일점에서의 속력)
토성 879.22 865.54
② 원일점: 태양과 가장 멀리 있을 때 행성의 위치
천왕성 7077.89 7014.06
(v2 :원일점에서의 속력)
해왕성 쯔7135.23 2680424
③ 태양에 가万1울수록 행성의 속력이 빠르다. rlA
r2v2
r2(년
2)t 고래프지울기〒일정
왕견y

성4 |_①쥬
닝천세

읍성 | ② cV | ;
래 SE3> blJL

3. 케플러 제3법칙(초호ᅡ협획) :행성의 공전 주기( 0 의 제곱은 긴반지름(장반경, g)의 세제곱에 비례



성 — :y小 1 탄 이 정 o 로 « 김 > o j| 탄 도 는 에 정기 는 니■반

① 태양에서 먼 행성 일수록 공전 주기가 길다.


10
② 뉴턴이 중력 법칙을 발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으
0 10~2l 0 l 1 10 102103104 r 2oca3
c 3(A U 3)

O 케플러 제1법칙에 따르면 모든 행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 ) 궤도를 따라 운동한다.

© 그림과 같이 행성이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로 공전한다. 행성이 점 a


에서 점 b까지, 점 c에서 점 d까지 이동하는 동안 행성과 태양을 연결한 직선이 지
나간 면적은 각각 s, 2s이다. 행성이 a에서 b까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T이
다. a와 c는 각각 근일점과 원일점이다.

음물음
에답하
시오*
0 )속력의비교 : a ( )c
⑵ c에서 d까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05 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BAE Kl BEOM — .

* 행성의 운동에 대한 케풀러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케풀러 법칙이 뉴턴의 중력 법칙을 만족함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
핵심 POINT ① 케풀러 법칙 ② 중력 법칙 ③ 인공위성의 원궤도 운동

[L Q G3 K -----
0 중력 법^
^ 1 중력 법칙의 탄생
1. 중력
행성이 항성 주위를 타원 궤도로 회전한다.
(D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 (가속도운동한다.)
4-
⑵ 중력의 크기 : 두 물체의 질량 M, m의 곱에 비례하고,두 물체 사이의 거리 r 의 제곱에 반비례 “가속도를 유발하는 힘은 무엇일까?”라는 의문
에서 중력을 생각해 냄
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발표 전까지 모
든 물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법칙으로 인정 받
아옴
(G :중력 상수)

A llH IH _____________________
그림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sfe 행성 A, B의 타원 궤도를 나타낸 것이다.
행성 A, B의 공전 궤도의 교점은 점 모이다.
P

P 에서의 A 의 속력을 Vl, B 의 속력을 巧라고 할 때 巧과 巧의 대소 관계


를 나타내시오.
»2 > V ,

⑶ 중력 상수으*|측정 :캐번디시는 중력 법칙이 발표되고 나서


졸리의 실험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중력 상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질량이 m 인 물체를 매단 저울이 수평이 되게 한
후 납으로 된 공을 물체 아래에 두면 질량이 m 인
물체가 아래쪽으로 끌린다. 이때 물체 반대편에 분
동을 올려 수평이 되게 한다. 여기에서 분동의 무
게는 질량이 m 인 물체와 납으로 된 구 사이의 중
력과 같으므로 중력 상수를 구할 수 있다,
눈금판
2. 중력 법칙과 케풀러 법칙의 관계
(1) 케폴러 제3법칙은 뉴턴의 중력 법칙을 만족한다.
(2) 질량 似인 태양 주위를 질량 m 인 행성이 궤도 반지름 R ’
속력 y로 등속 원운동을 할 때 중력 법칙으로부터 케플러 제3법칙을 유도해보자.

구심력 = 중력이므로 1
쌀 』 뿔 …①이다. 원의 둘레 2nR를 한 주기 r 동안 도는 행성의

속력은 v= 쪽 …②이므로 ①의 U에 ©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다.

따라서 f o c ^ 3이다.

© 긴반지름이 2배가 되면 행성의 공전 주기는 ( )배가 된다.

0 어떤 행성이 2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위성 1의 공전 주기는 8일이고, 위성 2의 공전 주기는 27일이다. 위성 1과 행성 사

이의 거리를 n, 위성 2와 행성 人비ᅵ의 거리를 r2라고 할 때 ^■은? (단, 위성들은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n

………» 剛 面 4췌 .
© 2V2

©T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51


02
B, the First ᅳ

행성의 문동 2.8성
의운동
과상대
성(>ᅴ

CL Q G3 GS -----
3. 중력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

(1) 지구에서 무한히 떨어진 곳의 퍼텐셜 에너지를 0으로 할 때,지구로부터 떨어진 거리 r 에 따른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y\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중 력 퍼 텐 셜에 너 지
E p= - G — (G: 중력 상수)

⑵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합은 일정하므로 태양에서 원일점과 근일점까지의 거리를 각


각 n ,r2, 행성이 원일점과 근일점을 통과하는 속력을 각각 vh %라고 할 때 다음 식이 성립한다.

ᅳG 고판쓰+ 桃꺄2^ ᅳG 년^ ■
+去 ;
m;22= 일정

즉,태양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행성의 속력은 빨라지고 거리가 멀수록 속력은 느
려진다.

B 인공위성의 운동
p i 지구곡률과원운동 1. 공전하는 달의 운동에 대한 뉴턴의 해^

지구 곡률은 표면의 접선 방향으로 8 km 진행


할 때마다 5 m씩 수직으로 구부러져 있다 수평
으로 던진 물체는 1초에 약 5 m 낙하하므로 지
표면에서 8 km/s로 던진 물체는 지구 표면 가
끼이에서 원운동할 수 있다.

• 보통 사람들의 관점 : 달이 지구 주위를 돈다. (공전한다.)


• 뉴턴의 관점 : 달이 지구로 떨어진다. (지구가 달을 잡아 당겨서)
물체를 세게 던질수록 더 멀리까지 간다. 빠 물체를 적당한 속력으로 던져주면 계속 돌지 않을까?
순간적으로 지구를 벗어나려는 효과+지구가 붙잡아 낙하하는 효과
-►영원히 돈다.

陽 刚 誦

© 두 물체 사이의 거리가 4배가 될 때, 두 물체가 서로에게 작용하는 중력은 몇 배가 되는가?

© 서로 1 m 떨어져 있는 질량이 50 kg인 사람과 질량이 2 kg인 고양이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단. 중력 상수는 C=6.6xi0"n N • mVkg2이다.)

052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I 밀히 들 어 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2. 인공위성의 원궤도 운동 •.......................................... • 속력, 구심 가속도. 주기는 인공위성의 질량과 관


계가 없다.
(1) 접선 방향의 속도(탈출 경향)+중력이 붙잡아 주는 효과 위성 궤도

위성의 원궤도 운동 :중력이 구심력 역할을 한다. 순간 속력

⑵ 관련 물리량 정리

\GM
① 속력 : y=
R
GMm
② 운동 에너지 : £뇨=
2R
CM
③^ᅡ속도

④주기 : r = ^ =2

^ C iIL 0 2 -
그림 (가)는 질량이 삼A인 행성 주위를 반지름 r로
회전질량이 인 위성이 등속 원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그림 (나)는 질량이 인 행성 주위를 반지름 r로 회전하는 질량이 mB인 위성이 등속 원운
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MAy\約보다 크다.

스-"ᅳ' ' ' X ,


그 \
( ^t :j A ( ( b ) ....... 9 mB
Mb J
\ jy v
-■_乂
(가) (나)

각 위성의 주기를 t \
,r B라고 할 때, r A와 r B의 대소 비교를 하시오.

麵 i \<tb :
-

0 그림과 같이 질량이 m, 4m인 인공위성 A ,B가 지구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각각 r, 4r인


원 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하고 있다.

a 와 b 의 주기를 각각 r A, r B라고 할 때, r A와 r B의 대소 비교를 하시오*

■ 糧 F E IE h M '
© 7b> 7a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53


행성의 운동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01 그림과 같이 위성이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a 〜 f 는 타원 궤도상의 점이다. 위성과 행성을 연결한 직선이 쓸고 지나가는 면적은 ab 구
간과 ef 구간에서 요로 같고,cd 구간에서 2 S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9. 수능 (물 I)]

기. 위성의 가속도 크기는 a에서가 f 에서보다 크다.


l . 위성의 속력은 b에서가 c에서보다 크다.
!=. 위성이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cd 구겐)]I서와 ef 구간에서가 같다.

02 그림과 같이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위성 p , q 가 각


각 점 b, c 를 vu 아의 속력으로 지나고 있다. Q 의 공전 주기는 P 의 2/1 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p 가 행성에서 가장 먼 지


점은 b 이고, Q 가 행성에서 가장 먼 지점과 가장 가까운 지점은 각각 a, c 이다.)
[15. 9. 평가원 信 I )]

n Q의 속력은 a에서가 c에서보다 크다.


ᄂ. ^<Z;2이다.

p 와 행성이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는 | 넋이다.

05 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sH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x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은 위성 A, B가 동일한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각각의 타원 궤도를 따라 한


주기 동안 운동할 때,A 와 B 의 운동량 크기를 행성 중심과 위성 중심 사이의 거리 r에 따
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B 에는 행성에
의한 중력만 작용한다.) [22. 9.

H m — —

n. A 의 운동 에너지는 최댓값이 최솟값의 9배이다.


l . 7择도 크기의 최댓값은 A 가 B 의 9배이다.
[ . 공전 주71는 B7 [A 의 2/포배0 1다.

① "1 ② c ③ ᄀ, l ④ ᄂ ,亡 ⑤ 기 , L ,r :

02 그림은 질량이 각각 mu m2인 위성 P ,Q가 동일한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각각


의 타원 궤도를 따라 한 주기 동안 운동할 때,행성이 P와 Q 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의 크기
를 행성 중심으로부터 P, Q 중심까지의 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만유인력으I
크기
L _ᄃ
4

F 0
FO
2

_ ᄂ
O

FO

ro 거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모와 Q 에는 행성
에 의한 만유인력만 작용한다.) [17. 수능(물I )]

ᄀ. m i : m2= l ■4이다.
l . 행성 중심으로부터 Q 중심까지 거리의 최댓값은 2r0이다.
c . 공전 주기는 Q가 모의 2斤배이다.

① n ② ③ 亡 ④ ᄀ, l ⑤ ᄂ , 亡

PARTI . 역학적 상호 작용 055


B가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13 3 G2 ®
03 그림은 질량이 같은 위성 A ,B 가 행성을 한 초점으로 타원 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표는 A, B 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크기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나타
낸 것이다.
A

의서
만유인력크기
■rlc>
최댓값 최솟값
9 ᄆ 9 ᄆ
A
행성 4 9 Fo
B 9F0 F0

A, B 의 공전 주기를 각각 7\,r B라 할 때 | ᅣ는? (단, A, B 에는 행성에 의한 만유인력


^A

만 작용한다.) [21.9. 평가원 (물 I )]

25
①W

27 ③옮 ④普 ⑤
27

04 그림은 같은 공전 주기로 행성 주위를 운동하는 위성 A, B 의 궤도를 나타낸 것이


다. A 는 행성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인 원운동을, B 는 행성을 한 초점으로 타원 운동을

한다. 원의 중심 ᄋ와 타원의 중심 ᄋ' 사이의 거리는 | 닝?이다. 점 P는 두 궤도가 만나는

지점이고,점 다는 B 가 ᄋ에서 가장 먼 지점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A, B 에는 행성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의한 만유인력만 작용한다.) ' [18. 유 (물I >]

■ E £ « ----------------------------------------------------
기. p에서 가속도의 크기는 A 와 B 가 같다.
L B 의 속력은 해서가 q에서보다 작다.

c. B 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의 크기는 p 에서가 q 에서의 — 배이다.

① "1 ② u ③ 기, c ④ c ⑤ "1 , c

05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G3 3 ED ©
05 그림은 행성의 표면에서 물체 A , B 가 발사될 때, A 는 행성의 중력을 벗어나 무한
히 먼 곳에 도달하고, B 는 행성의 중력에 의해 행성의 표면으로 돌아오는 것을 나타낸 것
이다. 이 때 물체가 무한히 먼 곳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발사 속력을 탈출 속력이라 한다.

질량이 Af이고 반지름이 i ?인 행성의 표면에서 탈출 속력이 %일 때,질량이 f 이고 반지

름이 2i?인 행성의 표면에서 탈출 속력은? (단, 행성의 운동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21.6. 평가원 度 權

①증 ②營 ③w。 ④2vo ⑤4y0

06 그림 (가)는 질량이 각각 m,9m 인 위성 A , B 가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


도를 따라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행성으로부터 A, B 까지의 거리를
시간 H I 따라 나타낸 것이다. t= T 일 때 A,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같다.

거리
D
/ \ -B
A# 、 \


A O 행^ )


、 y 2d
9m 그 Z X /A
d

0 T 9T t

(가) (나)

끄는? (단,A , B 에는 행성에 의한 중력만 작용한다.) [22. 6. 평가원 (물 ]


I )]

① 5d ② 6d ③ 7d ④ ⑤M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57


GD 3 EDI ® ------ _ _
07 그림과 같이 위성 A 는 행성을 중심으로 하는 원 궤도를,위성 B 는 행성을 한 초점
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운동하고 있다. 점 P는 B 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
이고, 점 다는 B 의 공전 궤도상의 점이다. B 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 r에서 A, B 의
궤도가 접한다.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p 에서가 I•에서의 9배이다. B 가 p 에서 이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T이고, B 의 공전 주기는 6 7 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위성에는 행성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의한중력만작용한다 .) [22.수능(물I)]

기. a 의 공전주기는 f r 이다.

ᄂ. B 가 q에서 I•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2 7 이다.


|=. r에서 속력은 A 가 B보다 크다.

05 8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ᅳ ᅳ B 신로ᅵ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_ _ CD 3 EU ®
08 그림과 같이 위성 P 는 행성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5 ;? 이고 공전 주기가 T인 원운동
을 , 위성 Q 는 행성을 한 초점으로 하며 긴반지름이 5 i? 인 타원 운동을 한다. 타원의 중심
0 로부터 행성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3 i? 이다. 점 A , C 는 각각 타원 궤도상에서 Q 가 행
성과 가장 가까운 점과 가장 먼 점이며, 점 B는 두 궤도가 만나는 점이다. 타원의 면적은
207Ti?2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모와 묘에는 행성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에 의한 만유인력만 작용한다.) [21수능(물I)]

기. Q 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의 크기는 A 와 C에서 같다.


l B 에서 가속도의 크71는 모와 Q 가 같다.

Q 가 A 에서 B 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ᄉ —D 『이다ᅵ

① ᅳI ② ③ ~ |, c ④ l ,亡 ⑤ ᅳI , u , 亡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59


03
B, the First

등가 원 Bl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i Q G3 GS
n 가속 좌표계와관성력
1. 관성 좌표계와가속 좌표계

<1) 관성 좌표계(관성계) :정지 또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


⑵ 가속 조표계( 7 ^ 계) :가속도 운동을 하는 관찰자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
•— aliiVjd 산 표 게 가 고 도 ^cv.

2. 가속 운동의 효과
⑴ 관성력 : 가속 운동에서 느껴지는 가상의 힘
① 관성력의 방향 : 좌표계의 가속도와 반대 방향
② 관성력의 크기 : 질량이 클수록,가속도가 클수록 관성 력이 크다.

관성력 = ᅳ 挑 ^

⑵ 엘리베이터 안에서 관성력

가속도 위쪽으로 일정할 때 가속도 0 아래쪽으로 일정할 때


N

^ 1 • p f
| 관성력 a=0 |관성력
엘리베이터 운동 a 1 a * ( ᅮB^ ᅳ
'■
rm
mnn,,'T
1x-,-iihihw
ii"

중력 중력 중력
올라가면서 속 력 증가 정지 올라가면서 4혁 감소
내려가면서 속 력 감소 등속 운동 내려가면서 갇^ 증가
관성력의 방향
pi 엘
리베이
터안에
서측정
a는무
게 아랫방향 없음 윗방향

가속도 a 로 운동하는 엘리베이터 안에서는 중 몸무게1후 중력 + 관성력 중력 ᅳ관성력


중력 ■► 변화 없음
력( W )과 관성력( ᅳW )의 합력이 무게(G )로 (중력+ 관성력) ■► 몸무게 증가 ■► 몸무게 감소
측정된다.

그림은 질량이 60 kg인 철수가 10 m/s2의 가속도로 아래 방향으로 출발하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몸무게를 측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엘리베이

터가 출발하는 순간, 체중계에 나타난 눈금은 몇 자인가? (단. 중력 가속도는

10 m /s2이다.) 10m/s1

w h km m m
0 버스나 엘리베이터가 가속 운동을 할 때, 그 안에 탄 사람은 가상의 힘을 느끼는데 이를 ( )이라 한다. 이는 질량이
)수톡, 그리고 가속도의 크기가 ( 록 크게 느껴진다.

o 관성력, 클, 클

06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가속 좌표계에서 나타나는 관성력의 크기와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등가 원리에 의해 가속 운동의 효과를 중력의 효과로 바꿀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심 p이NT ©가속좌표계 ②관성력 ③등가원리

i Q G3 K ----
⑶ 기속도 운동을 하는 버스 안에서 관성력

버스 밖에서 본 추의 운동 버스 안에서 본 추의 운동

~a ^

추가 합력에 의해 추에 작용하는 힘이 관성력에 의해


가속도 운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평형을 이루어 정지한 것으로 보인다.

F관성력
F = m a= T+mg
F 관성력 = -m

⑷ 원운동에서의 관성력
① 원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으로 구심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구심 가속도에 의한 관성력이다.

-mrco
F=言 r

② 구심력은 구 심 7백 도 가 관측되는 정지한 관측자만 느껴지는 실제 힘이고, 원심력은 원운동


하고 있는 관측자에게 느껴지는 가상의 힘이다. 즉 . 원심력과 구심력은 평형 관계는 아니다.

관성 좌표계 지면에 정지한 관찰자 가속 좌표계 회전 원판 위의 관찰자

1
pa 전
향력
자구의 자전으로 인해 생기는 관성력
_F원 처음운동 방향
( S 腳 니 전항력에의한 운동 방향
L 탄성력 1 탄성력 F】 원심력
아구^ 엔을 북극
L 수 가 Ki■신f]

각속도 0) 각속도 ( 0 북반구에서个


60 N

오른쪽으로 작용^
용수철의 탄성력이 구심력 역할을 하여 추가 원운 용수철의 탄성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 추가 - 3 0 °N

^
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지한 것으로 보인다.


30°S
③ 원심력 적용의 예 : 전향력, 우주 정거장, 인공 중력 발생 장치, 가속도 내성 강화 훈련 장 남반구에서
g 쪽으로 작용^
치등 60 °S

남극

0 그림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우주 정거장 내부에서 중력의 효고ᅡ를얻기 위해 우주 정거장을 A§


회전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중심 0 에서 A 와 B까지의 거리는 같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0

(1) 회전 속도가 ( )지면 인공 중력의 크기가 커진다.

⑵ 인공 중력의 크7 ᅵ는A 에서와 B에서가 ( ) \


v

............... I 확민 otᅵ
제정답 I
@(1>커
(2) 같다.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61


03
B, the First

君가 a 리 2. 행성의 운동과상대성 |

[i Q G3 CS
H 등가 ^리
아인슈타인은 등가 원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중력
이론인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제시하였다.

(1) 가속 좌표계에서 나타나는 관성력과 중력을 구별할 수 없다.

중력이 작용할 때 중력이 없는 우주 공간

1 1

ᅵ뇨 1
로켓이 가속 운동을 하면 로켓 안에 있는 사람은 물체가 아래
중력에 의해 물체가 자유 낙하
쪽으로 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우주선 안의 사람이 밖을 볼 수 없다면 물체의 운동이 중력 때문인지 관성력 때문인지 구별


할 수 없다.

⑵ 물체의 중력 질량과 관성 질량은 동일하다.


① 중력 질 량 : 물체가 중력장 속에 놓여 있을 때 받는 중력의 크기를 중력 가속도의 크기로 나
눈값

중력
중력 질량=
중력 속도

② 관성 질량 : 물체에 힘이 주어질 때 주어진 힘의 크기를 가속도의 크기로 나눈 값


관성 질량 =
가속도

그림 (가)는 지구 지표면 위에 멈춰있는 우주선 안에서 철수가 체중


계 위에 올라간 모습이고, 그림 (나)는 (가)의 우주선이 무중력 공간
에서 가속도의 크기가 인 등가속도 운동을 모습이다. 체중계
가 나타내는 값은 (가)와 (나)에서 동일하다.
m 지
구m
(n
a 는? (단, 지구표면에서의 중력 가속도는 10m/s2이다.)

必 關 催 ■ ᅵ
© 그림 (가)는 지표면에서 가속도 g로 연직 위로 출발하는 엘리베이터를 나
타낸 것이고,그림 (나)는 무중력 공간에서 가속도 故로 운동하는 우주선

을 나타낸 것이다. 엘리베이터와 우주선 내부에는 질량이 m 인 철수가 몸


무게를 측정하고 있다. (가)와 (나)에서 철수가 측정한 몸무게는? (단. 지
구의 중력 가속도는 으이다.) _■ ᅳ 회 향 하

(가)

»S! 0ᅵ
1제정답
© (가) : 2m갖 (14) :2mg

06 2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I필
히들어
야하는수
능물리
학의본
질적접
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 Q G3 K -----
⑶무중력 상 태 : 자유 낙하하는 엘리베이터 안의 내부 관찰자는 엘리베이터 내부 물체에 중력이
f E l 떨어지는 물병
작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상태를 무중력 상태라고 한다11
페트병 아래쪽에 구멍을 뚫고 물을 채운 뒤 페
트병을 가만히 떨어뜨릴 때 물병을 관찰한다.
중력장에서 자유 낙 하 는 엘리베이터 무중력 우주 공간에 정지해 있는 엘리베이터
내부관^ ^ 내부관^■자 ① 페트병을 잡고 있을 때
페트병에서 물이 새어 나온다.


P 풀
|

중력과 같은 크기의 관성력이 중력과 반대 방향으


무중력 공간이므로 중력을 느끼지 못한다.
로 작용하여 중력을 느끼지 못한다.
② 페트병을 가만히 떨어뜨릴 때
엘리베이터 내부 관찰자는 자신이 정지해 있는지 중력에 의해 가속도 운동을 하는지 알 수 없다.
페트병에서 물이 새어 나오지 않는다.
ᅳ 중력과 관성력이 평형을 이루어 무중력
상태가 된다.
2.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⑴ 중력이나 관성력의 영향으로 시간이 천천히 흐른다.

⑵ 회전하는 원판 위의 시계

원판 밖의 관찰자
시계 1 시계 2
① 시계 1은 정지해 있고, 시계 2는 운동하고 있다.
②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시계 2°| 시간이 시계 1보다 느리게 간다.
원판 안의 관찰자
① 시계 1과 2가 모두 정지해 있고, 시계 2에는 원심력이 작용한다.
② 원심력이 시계 2의 시간을 느리게 한다.
• 등가 원리에 의해 원심력(관성력)과 중력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중력이 시간을 천천히 흐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⑶ GPS 인공위성의 시간 보정 : GPS 인공위성의 시간이 지표면의 시간보다 빠르게 가므로 시간


차이를 보정하여 계산한다.

Q 그림과 같이 A 는 회전하는 원판 밖에 정지해 있고. 회전하는 원판의 중심과 가장자리에 B와 C가 앉아있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1) A 가 관측할 때, ( )의 시간0 ᅵ
A 의 시간보다 느리게 간다.
⑵ B가 관측할 때, C의 시간01B의 시간보다 ( ) 간다. ..........
@(1)C ⑵느리게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63


03
, the First

등가 원리 2. 행성의 문동과상대성 |

SCREEN

01 그림 (가)는 학생 A 가 탄 우주선이 지표면에 정지해 있는 모습을,(나)와 (다)는 학


생 B, C 가 탄 우주선이 텅 빈 우주 공간에서 같은 방향의 가속도 a' 2a로 운동하는 모습
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각 우주선의 광원에서 빛이 방출되고, A 가 관측한 (가)의 빛과 B

___ 가 관측한 (나)의 빛의 경로는 동일하다. A, B, C 의 질량은 같다.

(n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2. 6. 평가원 (물 I )]

기. a 의 크기는 지표면에서 중력 가속도의 크기와 같다.


ᄂ. 저울에 측정된 힘의 크기는 (나)에서가 (다)에서보다 작다.
c. B 가 관측한 (내의 빛은 C가 관측한 (다)의 빛보다 많이 휘어진다.

02 그림 (가)는 텅 빈 우주 공간에서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우주선 안의 광원에서 점 p


를 향해 발사된 빛이 휘어져 반대편 벽면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태양
근처를 지나온 별빛이 휘어져 지구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표 하시오. [22. 9. 평가원 (물표)]

K ± J 1 ------------------------------------

. (가)에서 우주선의 가속도 방향은 B 방향이다.



(가)에서 우주선의 가속도 크기가 클수록 빛이 휘어진 정도는 크다.
(나)는 태양 주변의 휘어진 시공간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06 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S 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

a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와 같이 상자에 용수철저울을 고정하고 추를 실로 매달아 놓은 실험 기구


가 실험실 바닥에 정지해 있을 때, 용수철저울로 측정한 추의 무게는 队이었다 . 그림 (나)
는 (가)와 동일한 실험실에서 (가)와 동일한 두 실험 기구 A, B 가 연직 방향으로 각각 등
가속도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는 위로,B 는 아래로 가속된다. A 와 B 의 가속
도의 크기는 중력 가속도의 크기보다 작다.


지한실
험기구 i 전
동기

A

속도

속도 방향
방향
(나
)
(나)에서 A, B 의 용수철저울로 측정한 추의 무게를 각각 % 라 할 때,w0, WA, WB
의 크기를 옳게 비교한 것은? [16. 9. 평가원(물I)]

① VF0= fVA= WB ② W이 n ③ W"0< WA= WB


④ n > r 0> r B ⑤ 队 < Wo< Wb

02 그림과 같이 텅 빈 우주 공간에서 학생 A 가 탑승한 우주선에 대해 학생 B 가 탑승한


우주선이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고 있다. A 가 탑승한 우주선에서 저울에 측정된 힘은 0
이다. B 가 탑승한 우주선 내부의 광원에서 수직으로 검출기 P 를 향해 발사된 빛 신호는
검출기 Q 에 도달한다.


동방향t

1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2. 수능 (물표)]
■ bUB
기 A 가 관찰할 때. 광원에서 발사된 빛은 직진한다.
L. B 가 관찰할 때. 광원에서 발사된 빛은 휘어진다.
B 가 탑승한 우주선의 속도의 방향과 가속도의 방향은 서로 같다.

① ② ③ ᄀ, ᄂ ⑤ ᄏ, 'ᅳ, ᄃ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65


□a
B, the First 1

중력 렌즈와 9렉臺 2. 행성의 운동과상대성 |

[L Q 03 K
□ 시공간의 휘어짐
1. 기속 운동의 근본적인 원인

⑴ 뉴턴의 주장 : 질량에 의해 중력이 생기고 이로 인해 가속 운동(회전,낙하 등)이 발생한다.

⑵ 아인슈타인의 주장 : 질량으로 인해 시공간의 왜곡이 발생하고 가속 운동(회전, 낙하 등)에 의해


중력이 발생한다.

| D 공간의 휘어짐 예 2. 공간의 휘어#


① 휘어진 궤적을 따라 앞으로 니o ᅡ간다.
② 매우 큰 질량체 쪽으로 굴러간다. ⑴ 가설 : 물체는 최단 경로를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려는
③ 큰 질량체를 중심으로 계속 원운동을 한다.
® 큰 질량체를 돌아나온다. 본성이 있다.
⑵ 평평한 고무판에서 굴린 구슬은 직진하지만, 휘어진 고 [평평한 고무판] [휘어진 고무판]

무판에서 굴린 구슬은 휘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p a 중력에의한빛의 휘어짐 3. 중력에 의한 빛의 휘어€


① 지구는 질량이 작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빛
이 휘어지는 정도를 잘 느끼지 못한다.
수평으로 던진 물체의 운동 수평하게 직진하는 빛의 궤적
30만 km
우주선이 무중력 상태의 우주 공간에人- 중력 가속도 g 로위로 가속되고 있다.
. 15 m
유리라

② 질량이 매우 큰 중성자별에서는 큰 가속도
(중력)를 가지므로 빛의 경로가 휘어지는 현 0 6
상을관측할수 있다. 우주선 안에서 볼 때, 수평으로 던진 물체가 포물 우주선 안에서 볼 때, 수평하게 직진하는 빛이 아래
부피= lcm3 선을 그리며 낙하한다. 로 휘어진다.
질량=1 억톤
물체의 낙하 운동은 가속 운동 때문이지만 중력에 질량이 없는 빛이지만 중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과
의한 효과와 구별하지 못한다. 구별하기 어렵다.
중성자별

가속 좌표계에서 빛이 휘어져 보이는 것과 같이 중력


이 작용하는 곳에서도 빛이 휘어진다.


속운동 등
가속운

O그
림 은무중력공간에서위
로일 정
한가속
도로가
속하는우
주선내
부에서수
평으로쏜빛
이진행
하는예

경로(가
),
(나
)를나
타낸것이다.


주선의내
부관측
자가관
측하는내
용으로옳
은것에o,틀
린것에x표하
시오.
rW E B M
1.우주선의가속 도방향과관성력의방향은같
다. ( ) Uᅳ
빛은(가
)와같이진행한다. ( ) <0>
=.가속도分로가속 할때,우
주선내 부
에서는중
력가 속
도가으
인지표
면에정
지해있
는상황
과우주선
의가속상 황을구 별
할수없 다
. ( )

066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등가 원리를 이용하여 중력 렌즈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블랙홀을 물체의 탈출 속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智수 S
기본부터 싶화까지
핵심 P이IMT ①중력 렌즈 ②블랙홀 ③탈출 속도

4. 시공간의 휘어짐 •............... ............................ ................. 두물


체의자
유낙하
(1) 태양 주위의 공간이 굽어져 있으므로 태양 근처를 지나는 빛이 휘 * ?

어진다.

⑵ 질량을 가지는 물체 주변의 시공간은 모두 휘어져 있다.

질량은 공간에게 어떻게 휘어져야 할지 말해주고, 공간은 질량에게 |


어떻게 운동해야 할지 말해준다 -존 휠러 W K m m m L
빼! 요 ^ 혈 볼 톨 불 j헬

사과 2개를 자유 낙하시키면 두 사과는 지구로


인해 휘어진 공간을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낙하
무거운 질량체 주변 동일한 원판에서 회전하는 경우 하는 동안 조금씩 가까워진다.


C

동시 출 빌 / /
또» ^ 동시 도착

동시 출발해서 동시 도착하기 때문에


원 중심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가속도가 커진다.

과 r 경로를 이동하는 빛의 이동 시간이 같다.
(= 큰 중력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
/ < r 이므로 두 경로의 시간의 팽창 정도는 다르다.
♦ 시간 팽창 정도가 커진다.
f 무거운 질량체에 가까울수록 가속도가 커진다.
시간도 휘어져 있다.
"► 시간 팽창 정도가 커진다.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

GM22) n
5. 일반 상대성 이I 호I 증거 : 아인슈타인은 등가 원리와 시공간의 휘어짐을 바탕으로 일반 상대성 P! 일
반상대
성이론
중력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 설명 가능
이론을 발표하였고,여러 관측 및 실험 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하였다. 하다.

⑴ 빛의 휩(에딩턴의 관측) : 3월에 관측한 별 A 는 개기 일식이 일어나면 9월에도 관측할 수 있다.


① 뉴턴 이론에 의한 해석 : 질량을 갖지 않는 빛은 진행 경로가 휘지 않는다. 岭 3월은 관측 가
능하지만 9월은 불가하다. (관측 결과와 불일치)
② 아인슈타인 이론에 의한 해석 : 거대 질량체인 태양에 의해 시공간이 왜곡되어 별빛의 진행
경로가 휘어진다. ■命3월과 9월에 관측 가능하다. (관측 결과와 일치)

별A

@ ()에 의해 공간이 휘어지고,휘어진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 )도 휘어진다.

....................M 라
©중
력,빛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67


헬 빼 렬 m m B, the First ■ᅳᅳ 8-------------------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


Q i 중 력 렌 즈 와 置 택 훌

1L Q G3 K
⑵ 수성의 세차 운동 :팽이가 돌 때 축이 흔들리는 것과 같이 수성의 공전 궤도면이 조금씩 휘어지

는것
① 뉴턴 o |론에 의한 해석 : 공전 궤도면 43"오차
이 100년에 5600"(초) 정도 휘어진다.
(실제 측정값과 43"(초) 오차 발생)
②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적용하면 오차
없이 설명이 가능하다.
태양주위를
공전하는 수성

(3) 중력파 : 질량이 큰 천체들이 상호 작용하여 시공간의 왜곡이 공간상으로 퍼져나가는 현상


① 쌍으로 된 중성자별로 이루어진 물리계가 중력 복사를 방출할 때 상호 주기가 점차 짧아진
다. ■♦중력파 형태로 에너지가 방출된다.
p i 니GO
② LIG , 중력파 연구팀이 두 개의 블랙홀이 충돌하여 발생한 중력파를 관측하였다.

⑷ 시간 팽창 (GPS의 시간 보정)
①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한 시간 보정 : 위성은 지표면에서 볼 때 운동하므로 위성의 시간은 지
표면보다 느리게 간다.
②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한 시간 보정 : 위성의 궤도에서 중력은 지표면에서 중력보다 작으므로
위성의 시간은 지표면보다 빠르게 간다.
레이저를 두 방향으로 분리시켜 보내고 반사되
③ 종합 : 두 이론의 효과를 고려하면 실제 위성에 있는 시계는 지표면에 있는 시계보다 빨라지
어 온 빛의 변화된 경로를 3000 km 떨어진 핸
포드와 리빙스턴 두 관측소에서 동시에 실행하 므로 시간을 느리게 보정해 주어야 한다.
여 관측힌다.

B 중력 렌즈와 블랙홀

1. 중력 렌 즈 : 볼록 렌즈를 지날 때 빛이 굴절하듯이 중력이 볼


실제 빛의 경로
록 렌즈 역할을 하여 빛을 휘게 하는 현상

⑴ 과정
① 별(항성)이 빛을 방출한다.
② 질량이 큰 무거운 천체 주변의 시공간이 휘어 있어서 빛
이 흰다.
③볼록 렌즈를 통과한 빛이 한 점에 모이는 것처럼 휘어진
빛이 지구에 모인다.

心 I關 ,ᅵ ᅵ 麵

© 수성의 세차 운동의 오차는 ( )을 적용하면 정확한 값이 나온다.

© 다음 중 일반 상대성 이론의 증거가 안난 것은?

①중력 렌즈 ②중력파
③ 중력에 의한 시간 팽창 ④ 수성의 세차 운동
⑤ 상대 운동에 따른 길이 수축
©일반상대성이론
©⑤

068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 B ~ ᅳ 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O M —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ni지

匕 a g] k ----
⑵ 결과 : 빛이 직진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관측자에게는 빛이 상 1 또는 상 2의 위치에 있는 것
처럼 보인다. -► 별이 천체를 중심으로 여러 개로 보인다.

⑶ 예 : 아인슈타인의 원
① 조건 : 별과 무거운 천체와 관측 지점이 일직
선상에 놓여야 한다.
② 현상 : 수많은 별의 상들이 띠를 이루는 것처
럼 보인다.

2. 블랙홀
⑴ 행성의 탈출 속도u;?: 행성 표면에서 던진 물 거리 00
0 E H 양계 천체들의 탈출속도

행성
체가 행성의 중력에서 벗어나 역학적 에너지 천체 탈줄 속도 (km/s)
'물체
가 o이 되는 무한히 먼 곳까지 도달할 수 있 태양 617.5

수성 4.3
는 속도이다 .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고 탈출 속도로 던져지면 역학적 에너지가 o 이므로
금성 10.4
^Mm\ 지구 11.2
Ek=~^mv , Ep-
- 빠 에 서 mv + -G - =0이다. 정리하면 이다.
K 2 ~ R) 달 2.4

화성 5.0
2GM 목성 59.5
R 토성 35.5

천^ ^ 21.3

해왕성 23.5

⑵ 블랙홀 : 빛마저도 탈출할 수 없는 천체


① 질량이 매우 큰 천체에서는 시공간이 극단적으로 휘어져 있다. _ 탈출 속도 > 빛의 속도
② 블랙홀의 탄생
• 초신성 폭발 후 질량이 태양의 3〜 4배 이상인 별은 중력 붕 : ^
P !■중력 붐괴
후 블랙홀이 된다.
천체의 연료가 적은 양밖에 남지 않아 자기 자
③ 블랙홀의 관측 : 블랙홀 주변을 지나던 천체 등의 질량체가 블 신의 중력을 버틸 수 없을 때 천체가 급격히 수
축하는 것
랙홀에 흡수될 때,가열되어 방출하는 X 선으로 간접적으로 관
측한다.
€ 행S)
④ 블랙홀의 구조
• 사건의 지평선 : 탈출 속도가 빛의 속도가 되는 경계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의 사건들은 파악할 수 없다.
• 특이점 : 블랙홀의 질량이 집중되어 있는 점으로 엄청난 시간 팽창에 의해 시간이 거의 흐
르지 않는다.

0 질량이 10m,반지름이 i ?인 행성 표면에서 질량이 m인 물체의 탈출 속도의 크기는? (단, 중력 상수는 G 이다.)

© 블랙홀에 가까워질수록 중력이 ( )지므로 시간이 점점 ( ) 흐른다.

II 剛 1:I M g .
'20Gm
R
© 커, 느리게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69


B, the First ᅳ *-

m S 력 련!즈와 置택毫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

01 그림 (가)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우주선 안의 관찰자 A 가 별빛을 관측하는 모습


을 ,(나)는 정지한 우주선 안의 관찰자 B 가 태양 근처를 지나온 별빛을 관측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 A 는 드에 있는 별을 P '에 있는 것으로,B 는 Q 에 있는 별을 Q'에 있는 것
으로 관측한다 .
.. M
ᅵ—iii—mbMBI

태양 Q

정지한
우주선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 [18. 9. 평가원 (물 1)]

u n
기. (가)에서 우주선의 가^도 방향과 A 가 느끼는 관성력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L. (가)에서 우주선의 가속도가 클수록 모와 P '의 犬이가 작다.
C. (나)에서 태양의 중력은 Q에서 오는 별빛을 후I어지게 한다.

0 2 그림은 에딩턴이 관측한 것과 같이 별들의 상대적 위치가 밤일 때와 일식이 일어날


때 다르게 보이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태양 • #

參. ^ r

• 밤일 때
* 일식이일어날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1. 유 (물I)]

기. 일식이 일어날 때의 별빛의 경로는 태양에 의해 달라진다.


태양 주위의 시공간이 휘어져 있다.
C.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

070 2023 물리학 E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마지

01 그림은 어떤 천체에 대해 철수와 영희가 정지해 있을 때,A 지점에 있는 별에서 나


온 빛이 천체 주변을 지나 철수에 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철수가 관측한 별의 위
치는 B 지점이다.

.-★b
—★ a

' Q

천체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철수,영희,천체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는 일직선상에 있다.) [16. 9. 교육청 (고2}]

n. 천체의 중력에 의해 천체 주변의 시공간이 휘어져 있다.


-. 철수가 A 에 있는 별을 B 에 있는 것으로 관측하는 것은 일반 상대성 01론으로 설명할수 있다

. 철수는 자신의 시간이 영희의 시간보다 빠르게 가는 것으로 관측한다.

①ᅳ
I ②c ③' l ④ >= ⑤ 기, c

02 다음은 최근 발표된 과학적 성과에 대한 설명이다.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r 지 를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설명하였다. 질량이 아주 큰 별이 진화하여 형성되는 E 1 D 주위에
서는 r ^ n 가 매우 커서 시공간이 극도로 휘어지기 때문에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과학자들은 세계 여러 곳의
전파 망원경을 이용하여 d □를 관측하고 그림과 같이 시각화하였
다. 이 관측 결과의 분석을 통해 주위에서 빛이 빠져나오지 못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와 B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21.6. 평가원 (물표)]

A B. A B_
① 중력 블랙홀 ② 중력 백색 왜성
③ 전기력 블랙홀 ④ 전기력 백색 왜성
⑤ 자기력 블랙홀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71


y 신로 I의 물 리 만점 전 략 개

기본부曰 심화까지
w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OISHH A I0
빼 ^월 ^ 게 ^ ^ 9 b m h
자 요
^ n i C S 9

3 . 일과 에너지

01 일과운동에너지

02 역학적 에너지보존

03 열과일
B, the First

미 일과 s 君 에 u지 3. 일과에너지

a, Q S3 (2
n 일 ■운동 에너지 정리
1. 일

⑴ 물체에 힘 F 를 작용하여 힘이 작용한 방향과 각 0를 이루는 방향으로 거리 s 만큼 이동했을


때, 힘이 물체에 일 W"를 했다고 한다.

FcosO

W=Fscos0 [단위 : J 또는 N . m]

⑵ 1J : 1N 의 힘을 작용하여 물체를 힘의 방향으로 1 m 이동시켰을 때 힘이 한 일

⑶ 합력이 한 일을 구하는 방법
[방법 1] 각각의 힘이 한 일을 양의 일,음의 일로 구별해서 모두 더한다.
[방법 2] 힘의 중첩 원리를 이용하여 합력을 구한 후 합력의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곱한다.

⑷ 힘의 방향과 이동 방향에 따른 일

수직 항력

" j ION 백 |

ᅵ 二 一
5m 이동 5 m 이동

중력 가속도=10m /s2

H월력 >0, W마찰력 <0


W<0 w=o
l퓨수직항력=0

① W >0 (양의 일) : 힘의 방향= 이동 방향,에너지 증가 - 일은 t 량마양으 로 O.K + 몽( - )


은 uVf0M 씨 출*J f l\a\
② ^ < 0 (음의 일) :힘의 방향 이동 방향,에너지 감소 탄아 .

③ (일을 하지 않음) :힘의 방향丄이동 방향,에너지 변화 없음

O 60o로 기울어진 빗면에 1 kg의 물체를 3 사의 힘으로 빗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당기고 있다.
물체는 빗면을 따라 20m를 이동하였다. (단, 중력 가속도는 10m/s2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중력이 한 일은?
⑵ 당기는 힘이 한 일은?

개넘 » 민 예제 정S
0 (1) 100/3 J ⑵ -60J

07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f c l M M l 쏘 _______________ 신 퇴 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

★ 도구를 사용했을 때 일을 구할 수 있다.


★ 등가속도 운동에서 일 • 운동 에너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ᅪ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IP 이NT ①일 ©운동에너지 ③경사면
[L Q G3 K -----
(5) 물체의 이동 경로와 일 : 이동 경로에 관계없이 각각 힘과 힘의 방향으로의 변^ 곱과 같다. p i 힘-변위 그래프
힘ᅳ변위 그래프에서 그래프 아래 면적은 힘이
6^51^ fSBil 포물선운동 G i® 이동경로가수직일때 Q i® 이동경로가곡선일때 한일이 된다.

연직 이동 t/ 'ᅳ
방향 /1중력°\
° 1© I
/ 중 연직 이동
m l 3 ᄁ 1 방향 錢
F >
힘의 변화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순간순간 작
• 0 과정에서 중력이 한 일 :
은 사각형들로 분할하였을 때, 분할한 사각형 넓
W i = mgh cosl80° = —mgh • 힘 p 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 힘 冗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이의 합인 (그래프 아래 면적)이 해 준 일이 된다.
•©과정에서 중력이 한일 : 수직일 때 한 일 : 0 수^ 때한 일 :0
W2 = mgh cosO°= m gh • 힘 P 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 힘 冗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0+ © 나란할 때 한 일 : 나란할 때 한일 : w = f -7
w =w l+w2=o

2. 일의 원리

⑴ 도구를 人h용할 때 일

⑵ 일의 원리 : 도구의 무게나 마찰을 무시할 때,도구를 사용할 때나 사용하지 않을 때나 한 일의

은 같다.

© 그림과 같이 □ᅡ찰이 없는 경사면에서 힘 F 를 작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물체를


끌어 올렸다. 힘 F 의 크기는?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75


m B, the First ■~ ■--------------

일과 운동 에너지
___________ 3. 일과 에너지 |

(L a ta k -----
3. 일 • 운동 에너지 정리

⑴ 운동 에너지 :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T-. _ 1 2
Ek=-^~mv

일•운동 에너지 정리 유도 과정 ⑵ 일 • 운동 에너지 정리 :물체에 작용한 알짜힘이 한 일은 물체의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등가속도 운동 공식
2 a s = v 2 — vo …①
丄 2 丄 2
• 일의 정의
H가
=Fs=mfls-. ■②
• 0 을®에대입하면

W= 桃 X - Vq ) |20N 속력 ;
=
1
~도
2 1
m v --^m vo
2 IONM-SCI2ON
2 kg -
=Ek~Eho ,
….二 , ,
=쇄
20N ---------10m-------
W=AEk

방법 1 F = m a 로가속도 a를 구한 후 2as=z;2-z;02으로 속력 구하기


방법 2 속력 一시간 그래프를 그린 후 그래프의 면적을 이용해서 속력 구하기
합력이 한 일= 운동 에너지 변화량 (간단하게 계산 가능)
방법 3
10 N x iO m = -^-m^2-0 (정지 상태)

⑶ 일직선 운동이 아닐 때의 일 . 운동 에너지 정리 : 재평면상에서 처음 속력이 깨, 질량이 m 인 물


체에 처음 운동 방향과 비스듬한 각 e로 일정한 힘 f 가 계속 작용할 때 물체의 운동

① x 축 방향 운동 :y0cos沒의 속력으로 시작하

여 가속도의 크기가 흐인 등가속도 운동을


m
하므로 s만큼 이동한 후의 속력은

2(— \=vx2—(vocos 0)2c>\


]따라
\m/

vx= l (z;0cos<9)2+ 2 (■
증 ) 5이 다 .

② y죽 방o 운동 :등속 운동을 하므로 %=y0sin 沒이다.

③ 찼2 / = 찼02+ 2 (^ )5 이므로 정리하면 F s= 音 脚 2ᅳ音 ;m;02이다.


설 ^ m v fᅵ

0 2 kg의 물체가 지면에 정지한 채 놓여있다. 이 물체는 오른쪽으로
20 N, 왼쪽으로 10 이을 받으면서 10 이를 이동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0i i | 2kg| l N : ᅳ]
; 4|
~ •— ~ ^ ~
(1) 0|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한 일은?
•'… .........
⑵ 10 m 이동 후 속력 y 는?

© 질량이 1000 kg인 자동차가 10m/s의 속력으로 달리고 있다. 자동차가 정지하기 위해서 마찰력이 해주어야 하는 일의 양은?

扉 圈 ...........
€M1)100J (2) 10 m/s .....'量 一 쌓 -------------g E E g :----------
0 50000J

076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H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U. 알짜힘이 하는 p i 일고ᅡ에LH지 관계

(1) 중력이 한 일 : 공기 저항을 무시할 때 질량이 m 인 물체를 자유 낙하시키면 W^=-AE^


높이가 인 지점에서 속력이 vu 높이가 인 지점에서 속력이 y2이다. 비
보존력=A£느

① 중력(알짜힘)이 한 일은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같으므로

mg{h\~h2) = -^mvi ~ 去 이다.


_ _ :: --- 1_ _
② 알짜힘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같으므로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③ 중력은 보존력이므로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⑵ 마찰력이 혼
ᅵ1일 :속력 Vo으로 운동하던 질량이 m 인 물체가 s만큼 운동 Uo^J: |E 1 제동 거리
口[찰력이 /로 일정할 때 애의 속력으로 달리던
이동한 후속력이 t;
가 되었다. 자동차가 멈추기 위해서 마찰력이 해주어야 한
일과 제동거리
① 마찰력(알짜힘)이 한 일은 운동 에너 지 변화량과 같으므로
하니 운두 반rH h . ^ 2 . \ W=fd=-jmvo
~mv
fs: 2 "삐 -mz날이다. & 용去»•으로 목한니 정정
2 쎄 -
② 알짜힘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반대이므로 운동 에너지는 감소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제동 거리는 자동차의 속력의
M\m\ 비례한다.
③ 마찰력은 비보존력이므로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⑶ 마찰이 없는 빗면에서 알짜힘이 한 일 : 경사각이 산인 빗


면에 질량이 m 인 물체를 가만히 놓았더니 s만큼 이동
한 후 속력이 y가 되었다.
① 중력의 빗면 방향 성분은 m^sir년이므로 물체의 알
짜힘은 m£?sin0ol 다.
② 물체의 알짜힘이 한 일은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같

으므로 mgssind = ■
ᅵ 2이다.
-?m;

③ ssin(9=/z이므로 알짜힘이 한 일은 중력 퍼텐셜 에너 지의 변화량과 같다.


④ 알짜힘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같으므로 운동 에너 지는 증가한다.
⑤ 중력은 보존력이므로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 그림과 같이 수평면에 놓인 질량이 3 kg인 물체가 질량이 1 kg인 물체와 연결되어


있다. 정지한 상태에서 3 kg인 물체를 놓아 자유롭게 운동시켰더니 1 kg인 물체
가 1 m 내려왔다. 1 kg인 물체의 속력은?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모든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넘 » 민 예제 정답
© /5m/s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77


□1
B, the First

일과 문동 에너지 3. 일과에bl지 |

01 그림 (가)는 마찰이 없는수평면에서 x = 0 에 정지해 있던 물체가 전동기로부터 수


평 방향의 힘을 받아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물체는 x = 0 에서 X=21A A 일정
한힘 을 ’ x=2L %:지나는 순간부터 일정한 힘 F 2를 전동기로부터 받는다. 그림 (나)는
(가)에서 물체의 운동 에너지를 물체의 위치 i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전동기

(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물체의 크 기 ,실의 질량,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8. 4. 교육청(물I)].

-I. x=0 에서 :c=2L까지 전동기가 물체에 한 일은 이다.


l 물체의 속력은 x = 3 L 에서가 에서의 4 배이다.
c .F i :F2= l :2이다.

0 2 그림과 같이 질량 m 인 놀이 기구가 올라갔다 내려온다. 지면에 정지해 있던 놀이


기구에 t o 부터 t= 7까지는 중력과 크기 3m 으의 일정한 힘이 작용하고,t= 7부터 t=4T
까지는 중력만 작용하다가 f= 4 7 부터 지면에 도달할 때까지는 중력과 크기 F 익 일정한 힘
이 작용한다. 놀이 기구가 지면에 도달하는 순간 속도가 0 이 된다.

=4 丁
t=Tl

3mg 十
riTMTill
지면 지면
올라갈 때 내려올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모 든 힘은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며,중력 가속도는分이고,모든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7•수능(물I)]

------------------------------------
기. ^= 3 r 일 때, 지면으로부터 놀이 기구의 높이는 私厂2이다.

L 지면에 도달할 때, 놀이 기구의 속력이 0이 되게 하는 F는 I■빠이다 .

07 8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m신로I의 물리

^ S
^ -------------------------------------------------------------------------------------------------------------------- B ~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O M -

fc ,,, m m m m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은 x=0 에서 정지해 있던 물체 A, B 가 고축과 나란한 직선 경로를 따라 운동을


한 모습을,표는 구간에 따라 A, B 에 작용한 힘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A, B 의
질량은 같고, x=0 에서 x= 4L 까지 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같다. FA와 FB는 각각 크기
가 일정하고,x 축과 나란한 방향이다.

i 八>
\ -/------ /_*----- /----- 폭P-

B/_1\
I, Fb» / / ---- ---------
7~*~
/ 凡f l l
A : " : .. ᅳ . . . . . .........;
ᅵᅵ
n „
0 L 2L 3L 4L x


O ^x^L L<x<3L 3L^x^4L
물체
A F A,오른쪽 0 0
B Fb, 오른쪽 0 Fb, 왼쪽

0S X ^ L 에서 A , B 가 받은 일을 각각 r A,r B라고 할 때, ^ 는 ? (단 , 물체의 크기 ,

마찰,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9. 9. 평가원 (물 I )]

^ 16 印 25 데 36 ^ 49 品 64
® 굶 ②굶 ④끊 ⑤ 81

02 그림은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기준선 모에 정지해 있던 질량이 각각 1 kg,2 kg인


두 물체 A, B 에 수평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일정한 힘 F 를 작용하여 기준선 Q 까지 이동
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기준선 기준선
p____________ 9
A iL J j |lkg|~~^F
[Ikg|— F |

B i……j f2k^l— F !
b___________

A ,B 를 P 에서 Q 까지 같은 거리만큼 각각 이동시켰을 때,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을〈 [ᄇ포평폐匿대

기. F 가 A 에 한 일과 B 에 한 일은 같다.
l . Q 에 도달할 때의 운동 에너지는 B 가 A 의 2배이다.
c. Q 에 도달할 때의 속력은 A 와 B 가 같다.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79


B, the First mw- a ---------------------------------------------------------------------------- ^

u 匕 역학적에너지보존 纖赚ᅱ
H Q B3 K ----
□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1. 중력 퍼텐셜 에너지 : 기준면으로부터 질량이 m 인 물체가 높이 에서 갖는 중력 퍼텐셜 에너지
는 이다.

질량=
^ ^ E p=mgh
<니 계 細 0스7크ot
E p=m gh cwj 내 tn w 느
h 냐능 h 하가 cK

I R^=0
y jᄌ며""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과 운동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중력은 음(ᅳ)의


일을 해준다. ( W중력= - m g h )
/ I 만큼 상승했을 때
-► 물체 입장에서는 만큼의 F M 빼앗긴 상태
중력 퍼텐셜 에너지
■岭중력에 의해 미래에 돌려받을 五가 m gh 늘어난 상태
•••ᅀ
E p= + m g h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과 운동 방향이 서로 같0 ᄆ무 중력은 양(+)의 일


가만큼 하강했을 때 을 해준다. (W중력= + mgh)
중력 퍼텐셜 에너지 바 중력에 의해 m gh만큼 돌려받았으므로 기대치가 m gh 감소

E p= —mgh

p a 보존력과 비보존력 2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조건 : 물체에 보존^ 이외의 힘이 일하지 않을 때


• 보존력: 작용 전후에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 L_ ®E 끄나행 ^ «니Ur베 、합

되는 힘
© 중력, 탄성력, 전기력…
• 비보존력: 일을 했을 때 역학적 에너지가 보
3. 중력이 작용할 때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존되지 않는 힘
© 장력, 마찰력. 저항력 …


^=0 • ^ᅡ유 낙하
' *
• 연직 위로 던져 올린 물체의 운동
, | 보주의 예 • 마찰이 없는 빗면에서의 운동과 같이 물
年 /^-mvi2 체가 운동하는 동안 오직 중력만이 일을
/ Z
6 h, mgh / 할때

후 / 音馳2 보존식 •腳 j2+ m ghi = 音顧 ; 22+mgh2= 일정


h2 /

운동 에너지

m m n

O 그림과 같이 5 m/s로 운동 중인 6kg의 물체가 빗면을 타고 높이 인 지점까지 올라가서 정지했다. h는


7
(단. 중력 가속도는 10m/s2이고, 물체의 크기와 모든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 4i

08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포물선 운동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단진자 운동에서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임 P이NT ①포물선 운동 ② 단진자운동

그림과 같이 2kg 의 물체가 3m 의 높이에서 정지한상태로 낙하하기 시작하였다. 각높이에서의 운동 에너


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구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지면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0

이다.)

(g) lm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운동 에너지 중력 퍼텐셜 에너지
lm
3m lm 2m
3m
lm

S I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운동 에너지 중력 퍼텐셜 에너지

1m 40J 20 J
2m 20 J 40 J
3m 0 60 J

u. 역학적 에너지 보존 그래프

낙하 거리와 에너지 낙하 시간과 에너지


에 역학적 에너지 에 역학적 에너지
니E L1 £
지^ 지^
H1텐 퍼^ X / I
^ 동
0 1너짓/ N 햇너;* 1
니 심 너 요 \i t
0 낙하 거리 0 낙하 시간

낙하 거리가 증가할 때 낙하 거리 h = 농g t2
• 퍼텐셜 에너지는 감소
• 퍼텐셜 에너지 감소량은 시간의 제곱에 비례
• 운동 에너지는 증가
• 운동 에너지 증가량은 시간의 제곱에 비례
• 역학적 에너지는 불변
• 역학적 에너지는 불변

• 口ᅡ찰력이나 공기의 저항이 작용하는 경우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 감소하는 에너지는 열에너지, 소리 에너지 등으로 전환된다.

© 그림과 같이 2 kg의 물체가 50 이의 높이에서 정지한 상태로 낙하하기 시작하였다. 운동하기 人I작한
후 각 순간의 운동 에너지와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구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지면
(g)
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0이며,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개넘 » 민 Oil제 S S
낙하시간 운동 에너지 중력 퍼텐셜 에너지 50 m
©
1초
낙하 중력 퍼텐셜
운동에너지
2초 시간 에너지

3초 1초 100 J 900 J
2초 400 J 600 J

3초 900J 100 J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2
B, the First

역학적 에너지 보존 3. 일과에너지]>

B 포물선 운동과 역학적 에너지

1. 포물선 운동에서 역학적 에너지 보 존 : 공기 저항을 무시할 때,비스듬히 던진 물체의 역학적 에


너지가 보존된다.

^^.VocosO
vy= v o y - g t
zVox
_ z;
o2sin2^
jfo / 2g
yoi/= yoSin
Vqx = V qC0s 6

위치 역학적 에너지

0 점(화) Eo=Ek+Ep= - ^^o2+0 = - j^o 2

Ek= 音 脚 2= + Vy)= ym[t ;


ox2+(v0y~gt)2] …①

p 점(표0 Ep= mgy=mg(v0yt- \ g t2) •••②

①’ ®를 정리하면 E ^ E k + E ^ jr m h E o

Ek= Y m^oCos6)2 •••③

ᄆ ( v^s\r\ 6 \ ^
Q점0T) Ep-mgy ^ j …④

③, ©룰 정리하면 £ "= £ k+fip= 音 W = £ 0

心 !閥 ᅵ !y —

© 그림은 수평면에서 수평면과 450의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속력 yo으로 물체를 던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C l V ____________________노

공기 저항을 무시할 때, 최고점에서 물체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의 몇 배인가?

M W E E F M ............
©1배

082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 략가 ! B A E K l B E O M —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으I 본질적 접근 필수 본ᅴ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 m K ----
2.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 공기 저항을 무시할 때, 수평 방향으로 던진 물
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

Vx = Vo
v卜 2g[H-y)

위치 역학적 에너지
1 2
출발점 (Eo) E 0= E k+ E p= Y 肌
싯o +m gH

임의의 높이 상인지점 ( E f) E' = 音卿 2+m g y = 去 m { v ^ +2g(H ~ y)} +m g y = 音 卿 02+m g H = E 0

B 단진자 운동과 역학적 에너지


1. 단진자 운동 :가벼운 줄에 추를 매달아 살짝 당겼다가 놓
았을 때 주기적으로 왕복하는 운동

(1) 단진자에 작용하는 힘 각 s;


n9 =

F = ~ mgsinff = -

⑵ 단진자의 주기 : 7북도는 이고 에 대응된# pi


f L L 단진동 운동은 등속 원운동에 빛을 비추었을 때
그림자의 왕복 운동과 같은 형태로 최대 기속도
속도 0 ^ 최대 ^---- 0 의 크기는 구심 가속도와 같다.

가속도 최대 ᅦ 최소 최대

진자의 등시성
진폭이 작을 때 단진자의 주기는 진자 길이의 제
곱근에 비례하고 중력 가속도의 제곱근에 반비
례하며. 진자의 질량이나 진폭의 크기에 관계없
이 일정하다. 이것을 진자의 등시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진자의 등시성은 추시계를 제작하는 데
이용된다.

O 그림은 질량이 1 kg인 물체와 길이가 4 m인 실이 연결되어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물체를 0 점으로부터 높이 10 cm인 A 점에서 가만히 놓았더니 시간이 지
날수록 진폭이 줄어들어 50회 진동한 후 0 점에 물체가 정지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 m/s2이고, 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1. 진자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l . A 에서 0 로 가는 동안 물체의 운동 에너지는 감소한다. ...
n iE Z E E I H
■=. 진자가 1회 진동하는 동안 감소한 평균 에너지는 0.02그이다. ©c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83


02
B, the First ■ᅳ

역학적 에u 지 보존 3: 일과에너지 |

[L Q G3 (2
2. 단진자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⑴ 공기 저항이나 마찰이 없을 때,장력의 방향은 운동 방향과 수직이므로 장력은 진자에 일을 하지


p i 마찰력과역학적 에너지
않는다. 빠 중력만 받아 운동하는 물체와 같이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

진자에 마찰력이 작용하면 마찰력은 항상 음의


일을 한다. 따라서 진자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
되지 않는다.
⑵ 진동의 중심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0 이라 할 때, 최고점에서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E p= mgh= mgliX cos 6)

⑶ 내려오는 동안 중력이 하는 일

zmgh=-^mv

⑷ 진동의 중심점에서 속력

v=^l 2gh=^2gliX ~ cos 0)

p i 포물선 운동과 단진자 (5) 단진자 운동에서 에너지 전환 관계


운동의 역학적 에너지 비교
•포물선 운동 :최고점에서 운동 에너지가 o이
아니므로 최고점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역
학적 에너지보다 작다.
• 단진자 운동 :진동 중심점에서 퍼텐셜 에너
지가 o이므로 진동 중심점에서 운동 에너지
가 역학적 에너지와 같다.

별 표 볼 훌 벌 !
불짧

© 단진자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중심점으로부터 변위가 최대인 점에서 가장 < )

IB ilfflB 개넘 확민 oil제 정目 ■■■■


© 크다.

08 4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30® QSD a, Q El K
3. 단진동하는 물체의 운동
(1) 단진동 : 일정한 경로상에서 일어나는 주기적인 왕복 운동

⑵ 단진동의 물리량

각속도는 단위 시간 동안 회전한 각으로

이제이므로 0=a)t7\되어 시간의 함수로 각

도를 표현할 수 있다.

© 질량 2 kg인 물체가 변위 그
:=3sin4선(m)로 단진동을 하고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D 이 물체의 진폭, 주기, 진동수는 각각 얼마인가?
(2) 이 물체의 최대 속도의 크기는?
⑶ 이 물체의 최대 가속도의 크기는?
(4) 이 물체에 작용히는 복원력의 최댓값은?
j 및 iir a K
©⑴ 진폭 : 3m, .주기지^ s, 진동수 : 2 Hz

(2) \2nm/s
(3) 48# m/s2 (4)96;r2N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85


r 02 B, the First

역학적 에너지 보촌 3. 일과에너지ᅵ

01 그림과 같이 수평면으로부터 높이 /z인 지점에서 물체 A 를 수평 방향으로 y의 속력


으로 던진 순간, A 의 연직 아래 수평면에 정지해 있던 물체 B 가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시
작하였다. A 는 포물선 운동을 하여 수평 면상의 점 p 에 B 와 동시 에 도달하며,A 와 B 의
수평 이동 거리는 2/z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중력 가속도는 으이고, A 와


B 의 크기는 무시한다.) [21. 6. 평7^ (물I)]

ᄀ. v=<l2ghO\C[,
L. B 의 가속도의 크기는 2^기다.
c. p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력은 B가 A 보다 크다.

0 2 그림과 같이 단진자를 연직선과 이루는 각 0 만큼 당긴 후 가만히 놓았더니 단진자


가 운동하고 있다. 표는 m : 동일하게 하고, 실의 길이와 추의 질량을 변화시킨 단진자를
가만히 놓았을 때, 운동하는 단진자의 주기를 나타낸 것이다.

단진자 실의 길이 추의 질량 단진자의 주기
A 1 2m T\

B 21 m t2

C 21 2m t2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모든 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5. 4. 교육청(물I )]

기. A 의 추는 등가속도 운동한다.
ᄂ. 71< 72이다.
C. 추의 운동 에너지의 최댓값은 B와 C가 같다.

08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s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과 같이 물체가 높이 3/z인 곳에서 속력 v로 출발하여 궤도를 따라 운동한다. 물


체는 수평 구간 A ,빗면 구간 B 를 지난 후 높이 /z인 곳을 속력 3y로 지난다. 물체는 A ,
B 에서 각각 운동 방향으로 힘을 받아 A 에서 등7!속도 직선 운동을, B 에서 속력 办로 등
속도 운동을 하였다. A , B 의 길이는 각각 Lh 사이고,물체가 A , B 를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서로 같다.

^ 는? (단, 물체의 크기,마찰과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21.6.평7 (물I)]

®! ②! ③I ④ f ⑤증

02 그림과 같이 질량이 1 kg 인 물체가 경사면의 점 P를 13 m /s 의 속력으로 지나 점 q


를 통과하여 최고점 r에 도달한 후, 다시 q를 지난다. 물체가 p 에서 q 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1초이고,q 에서 r를 거쳐 다시 q 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3초이다. qr 구간에서
는 일정한 크기의 마찰력이 물체에 작용한다. qr 구간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크
기는 올라갈 때가 내려올 때의 4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qr 구간의 마찰을
제외한 모든 마찰,물체의 크기,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22. 6. 평가원 (물 I)]

기. 물체가 q 에서 r 에 도달하는 데 걸린 人I간은 1초이다.


L-. 경사면을 내려올 때 p 에서 물체의 속력은 11 m/s 이다.
c. 물체가 q 에서 r l 거쳐 다시 q 에 도달하는 동안 감소한 역학적 에너지는 24 J 이다.

p a r 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87
^~ B, the F irs 个1

SOI a 일;S 猶너지

ca a Ea (*>
03 그림 (가)와 같이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 위의 점 베 물체 a 를 시간 t = o 일 때 가
만히 놓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점 q에 물체 B 를 가만히 놓으면,A , B 가 구간 s i" 지나
^=仏 일 때 점 r 에서 만난다. A , B 는 질량이 같고,s 에서 일정한 힘을 받아 각각 V, 2y의

속력으로 등속도 운동을 한다. 그림 (나)는 A 의 속력을 H1 따라 나타낸 것이다.

A 의 속력
2v

3^o 4^o
(나)

q 에서 r 까지 B 의 운동 에너지 증가량과 중력 퍼텐셜 에너지 감소량을 각각 E u £ 2라 할

때,晏 은 ? (단 , 물체의 크기,마찰과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22.9.평:


na(물]I)]
E,:

11

13 ②n

④鲁 ⑤ 音

04 그림과 같이 경사면 위에서 물체 A 가 경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yA의 속력으로 던


져진 순간,물체 B 는 수평 방향으로 % 의 속력으로 던져진다. A 와 B 는 포물선 운동을 하
여 경사면의 끝 지점 ᄋ에 동시에 도달한다. 두 물체의 질량은 같고, 던져진 지점의 높이는
각각 /2,2/z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중력 가속도는 g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이고,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 1 7 . 6 . (물 i)]

■ 通 ----------------------------------------------------

기. A 가 던져진 순간부터 ᄋ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2


V 9이다.
1ᅳ. = 이다.
0 에 도달하는 순간의 운동 에너지는 B 가 A 의 2배이다.

08 8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을 21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ᅳ ~x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習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a a
05 그림과 같이 중심이 ᄋ이고 반지름이 i ?인 원형 트랙의 점 A 에 가만히 놓은 물체가
원형 트랙을 따라 운동한 후 점 B 에서부터 포물선 운동을 하여 빗면상의 점 C 에 수직으로
부딪쳤다. B 에서 C 까지 물체의 수평 이동 거리는 c/이다.

B 에서 C 까지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중력 가속도는 으이고 물체는 동일 연직면상에서 운동하며. 물체의 크기와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20. 수능(물I )]

m sm

기.운동하는데 걸린 시간은 g 이다.


Vg

이다.

C 최고점의 높이는 수평면으로부터 이다.

① ᅳ 1 ② ᄂ * ③ 亡 ④ ⑤ 二

06 그림과 같이 질량이 m으로 같은 물체 A, B 가 각각 점 p, q 에서 속력 아, 아로 수평


면과 30°의 각을 이루며 동시에 발사된 후 , 포물선 운동을 하여 점 r 에 동시에 도달한다.
이때 두 물체의 속력은 z;
로 같고,운동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a y\
r p

.
수평면
"1 ^ ::
::
:^
q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A , B 는 동일 연
직면에서 운동하며,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21. 9. 평가원(물I)]

기. r0i|A1 A 의 강방향 속도의 BJᅵ와B 의 x 방향 속도의 크7171-같다.


L. 표는 2+ yi이다.
VI

C 발사 순간 두 물체의 운동 에너지 합은 | m y 2이다.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89


CJ 3 Cd ®
07 그림과 같이 추 A , B 가 실로 연결되어 수평면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정지해 있다.
천장에 연결된 실이 연직 방향과 이루는 각은 6ᄂ, 知이고,^ > 知이다. A , B 사이의 실
을 끊었더 니 A, B 는 각각 단진동을 하였다.

천장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실의 질량과 A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B 의크기는 무시한다.) [21.수 능 (물 대

기. 질량은 A 가 B보다 작다.


l . 단진동의 주7 1
는 A 7[B보다 크다.
c. 단진동을 하는 동안 최대 속력은 A 가 B 보다 크다.

0 8 그림과 같이 추가 천장에 실로 연결되어 단진동을 하다가 최고점에서 실이 끊어져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한다. 실의 길이는 / 이고, 실이 끊어진 순간부터 추가 수평면에 도

달할 때까지 추의 이동 거리는 2/이며,천장의 높이는 胃 / 이다. 단진동을 하는 동안 추의

최대 속력은 아이고, 수평면에 도달하는 순간 추의 속력은 y2이다.

천장

59
~201
-- Y --

21

수평면

환는 ? (단, 추의 크기와 실의 질량은 무시한다.) [22. 수능 (물 I)]


Vi

® 2作 ② 5 ③細 ④6 ⑤ 2/교

090 2023 물리학 E [필수본] 개념완성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

I
I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9 그림과 같이 경사면 위에서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던 물체 a 가 점 p를 지나는 순


간,경사면 위의 점 q 에서 물체 B 를 수평 방향으로 속력 u로 던졌다. 경사면 위의 점 r 에
서 A 의 속력이 0이 될 때 A 가 B 와 만났다. p, q, I•의 높이는 각각 h, 5办’ 2A이다.

y는? (단,중력 가속도는으이고, 물체는 동일 연직면에서 운동하며, 물체의 크기,마찰,공


기 저항은 무시한다.) [22. 수능(물I)]

① 學 ② 퇴 ③ 極 ④ ⑤ 뿌
2

10 그림 (가)는 실에 매달려 점 A 를 중심으로 단진동하는 추가 최고점 B 에 도달한 순


간의 모습을, (나)는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E M 시간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실의 질량과 추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크기는무시한다.) [21. 9. 평가원 (물 I)]

1. 진자의 주기는 않0이다.


% 일 때, 추의 운동 에너지는 최대이다.

. 추의 역학적 에너지는 A 에서가 B에서보다 크다.

① ② ③ ᄀ, ④ 飞 1二 ⑤ ᄀ’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91


03
B, the First

열과 일 3. 일과에너지

[L Q G3 K
n 온도와 열
1. 열 : 계와 주변의 온도 차이에 따라 이동하는 에너지
여 이 ᅵ도 "ᄀ 그 '!•w인 하고 태 운 저 도( =분^ 우싸 운 ! 시 저 도를 ^ 수 있응)
⑴ s —I U|ᄋ
① 계의 온도가 주변보다 높으면 열에너지는 계에서 주변으로 이동한다.
② 계의 온도가주변과 같으면 열에너지의 출입이 없다.
③ 계의 온도가 주변보다 낮으면 주변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한다.

⑵ 비열,열량
① 비열 : 어떤 물질 1 kg의 온도를 1 °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단위 : J/kg. K, cal/g. °C]

②胃 : 열의 이동이 있을 때,두 물체 사이에 주고받은 열에너지의 양 [단위 : J ,cal, kcal]


......I kcal(킬로장로2、: f I k3진 온도를 I0 C(또는 I K) 이는 에 집요탄열2j=(l lccal=|oooca0 그]ᅳᅳ
① 어떤 물체의 온도를 1 0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Q=cmAT
H=움이가 HAT

(Q ■물체가 얻거나 잃은 열량. AT'- 물체의 (c :물체의 비열,m : 물체의 질량,z i r : 물체의 온도 변화)
변^ )
② 열용량은 C 라고도 표기하는데, 비열의 c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라고 표기하는 편이다.

⑶ 물질의 상태 변I? :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온도의 변화는 없지만 물질의 상태가 변한다.
|DI 물질의 상태 변화 © 물이 끓어 수증기가 될 때,물 1 요마다 540cal의 열이 필요하다.

O 질량이 lk g 이고. 열용량이 0.09kcal/°C인 구리 열량계에 물 270g을 넣었다. 여기에 100긴로 가열된 300g의 납덩어리
를 물속에 넣었더니 열량계의 물의 온도가 18°C에서 20°C로 상승하였다. 납의 비열은 약 몇 kcal/kg • °C인가? (단, 물의
비열은 1 kcal/kg ■°C이며, 열량계는 단열되어 있다.)

0 0.03 kcal/kg °C

09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S
신로I의 8 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열과 일 사이의 전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열역학 제1법칙이 포괄적인 에너지 보존 법칙임을 이해한다.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심 P이NT ① 열 ② 열량 ③열역학제1법칙
[L Q G3 K —
B 열의 일당량
1. 줄 의 실 험 8 실 구 례

(1) 추가 낙하하면서 열량계 속의 날개가 회전하고 날개와 물이


마찰하여 물의 온도가 올라간다.
⑵ 에너지 전환 과정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岭 운동 에너지 바
열에너지

⑶ 실험 결과 : 중력이 추에 한 일 F 는 물이 얻은 열량 Q 와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W=JQ{J- 열의 일당량)

⑷ 열의 일당량 : 에서 비례 상수^[를 열의 일당량이라고 한다.


T — o^o, c^-ojoJ [J(^)]2V 구분아도 i

/ = 4 .2 x 103 [단위 : J/kcal] 다 열량 1 c a f e 에너지 4 .2 J 과 같다.

^ L E IO I-
줄의 실험 장치에서 중력이 추에 한 일이 84000 J 일 때, 물이 얻은 열량은 몇 kcal인가?
P 명1 20 kcal

2. 열과 에너지 보존

⑴ 열역학제1법 칙 : 역학적 에너지와 열을포함하는 에너지 보존 법칙

Q(열량) (내부 에너지 변화량) w m

Q=AU + W + 흡수(흡열) t/ 증가ᅳ r 상승 했다 ᅳ 팽창


- 방출(발열) t/ 감소一 r 하강 받았다 ᅳ 압축

① 열의 출입이 없으면(Q=0), 기체가 한 일은 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② 줄의 실험에서 열의 출입이 없다면, 추가 물에 한 일은 물의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과 같다.

& H I 0 2 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어느 이상 기체가 100 J 의 열에너지를 받아 외부에 30 J 의 일을 하였다. 일을 한 후의 이상 기체의 내부 에

너지 증가량은?
國 70J

© 기체가 받은 열의 양이 Q, 내부 에너지 변화량이 AU. 외부에 해 준 일의 양이 W 라면, 열역학 제 1법칙에 따라


Q=( )이다.

© 전기 인덕션을 시용하여 물 10 kg의 온도를 10 °C에서 30 °C로 높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기 인덕션의 에너지 소비는 무시하며. 물의 비열은 1 kcal/kg ■°C이고 열의 일당량은
4.2 xiO3J/kcal 이다.)
⑴ 물이 얻은 열량은 몇 kcal인가?
©AU+W
(2) 이만큼의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수력 발전소에서 공급해주어야 하는 에너지는 몇 J 인가?
© (D 2 00kcal (2)8.4X105J

PART I . 역학적 상호 작용 093


03
B, the First

3. 일과에너지
열 과 일

(L QG3 K ---
pa 이
상기체 ⑵ 이상 기체의 일과 내부 에너지
실제^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기체 ① 이상기체가하는
• 분자 간 인력울 무시할 수 있다.
폐병 고려去ho 얕는CV. 변iv去
Hll 기체 분자에 의해
^ 는하. U £ 틀1 1관a도.ijfvsui 양는ch) 기체 분자 밀린 피스톤
• 크기 및 부피를 무시할 수 있다.
—전S■
로써다린:*•.
•탄성충돌을 한다.
— 니HrHl »-j|cK

p i p -띠
그래프
에서일 실린더
띠 그래프에서 그래프와 부피 축이 이루는
면적은 기체가 한 일을 나타낸다.
W = F ■A s = P - A - As=PAV
압력 P

기체의 부피가 팽창할 때C4F>o) -► 기체가 외부에 일을한다 .(# > o )


W=PAV 기체의 부피가 압축될 때01F<0) -►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는다.(W"<0)
0 V '''A V —"V+ AV 부피

그림과 같이 p 로일정한 외부 압력과 평형을 이루는 이상 기체의 부피가 V 2V


o oo o o o o
K 에서 2K 로 증가하였다. 기체가 한 일의 양은? oS o ° ° o o ° o
o o ᄋ o O ᄋ Oᄋ
yo o ᄋ o ᄋ
o ° o° 재^ o o ° o°
ᄋ ᄋ o c o o °
o ᄋ 0 ᄋ ᄋ °
ᄋ ᄋ
o ° ° ° o ᄋ o ᄋ 0 ᄋ

° O ° ° ° ° o °

EPl P V ᄋ ᄋ ᄋ ᄋ 0 0 0 °

②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
• 기체 알갱이들 하나하나가 가진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합은 역학적 에너지이다.
• 이상 기체의 경우에는 퍼텐셜 에너지가 정의되지 않는다.
• 이상 기체 계를 이루는 수많은 기체 알갱이들이 갖는 운동 에너지의 합이 이상 기체의 내
부에너지 07) 이다.
•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기체의 몰수와 온도에 비례한다.

U =\ nR T

(n : 몰수, i? : 기체 상수,T :온도)

? V 노 ^ 폐 圓 -------------------------------------- 一 . ■' 一

© 그림과 같이 실린더 내부에 온도가 400 K 인 단원자 분자 이상 기체 1 m이이 들어


있다. 이 기체에 1 kcal의 열을 가하였더니,기체가 팽창하여 외부에 50 J 의 일을
해 주었다.

이 기체의 내부 에너지의 증가량은 몇 J 인가?

(단, 열의 일당량은 4.2xl03J/kcal이다.)

............
©4150J

094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B, the First

l i i l

_______
I
難謹


03
B, the First ^

열과 일 3•일과에너지

SCB66N
01 다음은 물체의 비열 측정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질량 300 g의 물체 A 를 끓는 물에 넣고 충분한
... m麵iiiiiiiMll
시간이 지난 후에 물의 온도 7\을 측정한다.
(내 열량계 속에 찬물 300 gS 넣고 물의 온도 r 2
를 측정한다.
(다) 끓는 물에서 A 를 꺼내 열량계 속에 넣고 온도
변화가 없을 때 열량계 속의 물의 온도 r 3을 측정한다.

[실험 결과]

T\ t2 T,
측정 온도
100 °C 16 °C 30 °C

으로 옳은 것에 ◦ 표,틀린 것에 x 표하시오 . [17. 수능 (물 I)]

기. (다)에서 A 가 잃은 열량은 열량계 속의 물이 얻은 열량보다 작다.


l . A 의 열용량은 열량계 속의 물의 열용량보다 작다.
c. 비열은 A 가 물보다 작다.

02 다음은 열의 일당량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액체 1 kg을 단열된 열량계에 가득 채우고 질량 20 kg인 추를
낙하시킨다.
(나) 추가 일정한 속력으로 거리 s=0.5 m 만큼 낙하한 구간의 액 전추

체 온도 변화 Z1T를 측정한다.
(다) s를 1.0 m, 1.5 m로 하여 (개와 (내의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 결과]

s(m) 0.5 1.0 1.5


A 7TC) 0.1 (3) 0.3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는 10m/s2


이고,실의 질량은 무시하며,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모두 액체의 온도 변화에

만 사용된다.) [21. 9. 평가원(물I)]

1. 액체의 비열은 lOOJ/kg • °c이다.


-.0 은 0.2이다.

. 액체가 받은 열량은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감소량과 같다.

0 9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s
텔 "

a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표는 세 금속 A, B, C 에 열을 가했을 때, 금속의 질량,처음 온도,나중 온도,금속


이 받은 열량을 나타낸 것이다.

질량 처음 온도(K ) 나중 온도(K ) 받은 열량
A m 300 320 Q
B m 300 320 2Q
C 2m 300 340 2Q

A, B, C 의 비열을 각각 Cl, c2, c3이라 할 때,c i:c2 :어은? (단,금속이 받은 열량은 모두


금속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 었다.) [11. 9. 평가원 (물 I)]

® 1:2 :1 ©1:2:4
©2:4:1 ©4:2:1

02 그림 (가)는 단열된 실린더가 두 피스톤에 의해 나누어진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세


부분의 부피는 같으며 동일한 이상 기체 A, B, C 가 같은 양만큼 들어 있다. 두 피스톤의
무게는 같고, A, B, C 의 온도도 모두 같다. 그림 (나)는 (가)의 실린더를 천천히 연직으로
세운 후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나)에서 A, B, C 의 압력을 각각 PA, PB, Pc, 내부 에너지를 각각 Uh, UB, Z7C라고 할


때, 압력과 내부 에너지를 옳게 비교한 것은? (단,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8. 3. 교육청 (물 I )]

압력 내부에너지
① p a <pb<pc UA<U B=UC
② p a < p b< p c UA<U B<UC
③ P h ^P 표= Pc UC<U B<U A
④ PA<PB=PC UA< U B=Uc
⑤ P c^P — Pk UC<U B<U A

PART I . 역학적상호작용 097


, the First ■

B기 3. 일과 MU지 |

El a CD ®
03 그림 (가)는 단열된 실린더에 일정량의 이상 기체가 들어 있고,모래가 올려진 단열
된 피스톤이 정지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피스톤 위의 모래의
양을 조절하거나 기체에 열을 가하여 기체의 상태를 A ᅳ B ᅳ C를 따라 변화시킬 때,압
력과 부피를 나타낸 것이다. A ᅳ B 는 단열 과정이고, B ᅳ C는 등압 과정이다.

(가) (내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대기압은 일정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을〈
고,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7. 6. 평7® (물I )]

보기

기. A ᅳ B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l . B ᅳ C 고ᅡ정에서 모래의 양을 감소시킨다.
c. B ᅳ C 과정에서 기체는 열을 흡수한다.

① ᅳ! ② 亡 ③ 기, L ④ 亡 ⑤ ~1, \_, d

04 그림과 같이 줄의 실험 장치에서 질량이 M 인 추가 일정한 속력으로 1 m 만큼 낙하했


을 때, 액체의 온도가 0.1°C만큼 증가했다. 액체의 질량은 500 g이고,비열은 lcal/g-°C
이다.

살은? (단,중력 가속도는 10m/s2,열의 일당량은 4.2J/cal이고, 실의 질량은 무시하며,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모두 액체의 온도 변화에만 사용된다.) [22. 6. 평가원(물 I)]

① 12 kg ② 15 kg ③ 18 kg ④ 21 kg ⑤ 24 kg

09 8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
: B~ m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D a CD ©
05 그림 (가)는 일정량의 기체가들어 있는실린더에 피스톤이 정지해 있는 모습을,(나)
는 (가)의 기체에 25 cal의 열을 서서히 가하였더니 피스톤이 이동하여 평형을 이루며 정
지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가) ᅳ (나) 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은 42 그이다.

단 피
열 스
된 톤
단 실
열 린
된 더

(^ (나)

(가) ᅳ (나) 과정에서 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은? (단,열의 일당량은 4.2 J/cal이고,
피스톤의 마찰은 무시한다.) [21. 6. 평7 ( 물 I)]

① 21J ② 42J ③ 63J ④ 105 J ⑤ 147J

06 그림과 같이 줄의 실험 장치에서 실을 수평 방향으로 크기가 42 자인 일정한 힘으로


5 m 만큼 당겼다. 실을 당기기 전 액체의 온도는 70이고,회전 날개가 멈추고 충분한 시간
이 지난 후 액체의 온도는 7\이다. 액체의 질량은 0.1 kg이고, 비열은 4200 J/kg • °C이다.

K l -42 N.

天 ____

단열 용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 실의 질량,회전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날개와 축의 비열,축의 마찰,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21. 수능 (물 I)]

기. 실을 당긴 힘이 한 일은 210 J 이다.
액체가 흡수한 열량은 420 J 이다.
c. 7Vᅳ;T0=0.6°C이다.

① ② ③ ᄀ, ᄃ

PART I . 역 학 적 상 호 작 용 099
신로 I의 물리 만점 전 략 가 !

BAE m BEOM
m 人 ta
ESS If Abhh
기본부터 심화까지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전자기장

■ 전하와 전기장

01 전기장과정전기유도

02 직류회로와전기 에너지

03 트랜지스터
_

04 축전기
01
B , t h e F i r s t

전기장과 정전기 유도 1. 전하와 전기장J

[L Q G3 [S
Q 전기력

1. 전하

⑴ 전 하 : 전기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종류에는 양(+ )전하와 음(- )전하가 있다.


p n 기본전하량^ ) (2) 전하량 : 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의 양 *1 [단위 : C(쿨롬)]
전자의 전하량을 기본 전하량이라고 한다.
-►e=1.6xlO_19C 2. 전기력

(1) 전기력 : 전하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 [단위 : N (뉴턴)]


① 같은 종류의 전하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한다.
② 다른 종류의 전하 사이에는 인력 이 작용한다.

(2),쿨롱 법칙

① 쿨롱 힘 : 전하를 띤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두 전하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전하 사이


쿨롬의 비틀림 저울
1785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쿨롱은 비틀림 저울 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에서 저울 축이 비틀린 각도를 측정하여 전기력
의 크기를 구하였다. ② 전하량의 크기가 qu 必인 두 전하가 거리 r 만큼 떨어져 있을 때 전기력의 크기 F = k 뿌
cf.) 캐번디시는 비틀림 저울을 이용하여 중력
상수를 측정하였다.
이다.
비틀림

복■드+qi .,+ 1 ^
1 一

+qi 고 삶

F = k ^ (진공중 : 용=9.0X109N ■m2/C2)

L 저전 7 벼 냐수 o r i i 냐수

A q il o l

그림과 같이 전하량이 각각 +4 C, - 1C 인 두 점전하가 x 축상에서 2 m 떨어져 고정되어 있다.

+4C —1C
-0- - 0 -
x (m )
-2 0 2

임의의 점전하 를 x 축상에 위치시킬 때. ? 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가 0 이 되는 지점은?

國 . =4m

쓰 關 삐 ᅵ
o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D( )는 전기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⑵ 같은 종류의 전하 사이에는 ( )이 작용한다.

© 그림과 같이 전하량이 각각 +9 . - 9 인 전하 A, B가 d 만큼 떨어져 고정되어 있을 A B


때, B 가 A 로부터 받는 힘의 크기는 F 이다.

0(1) 전하 (2)척력 A 와 B 사이의 거리를 2d로 하였을 때. A 가 B로부터 받는 힘의 크기는?

102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B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 가 ! B A E K l B E O M -
r 정지한 전하 주위의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전기장율 전기력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정전기 유도와 유전 분극을 이해한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정전기 유도와 유전 분극이 적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핵심 P이NT ① 전하 ②전기장 ③전기력선 ④정전기유도 ⑤유전 분극 G3

B 전기장과 전기력선

1. 전기장

(D 전기장 : 전하주위와같이 전기력이 미치는공간으로,방향과크기를 갖는 벡터량이다.


⑵ 전기장의 세 기 :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 i c 의 전하가 받는 전기력
① 단위 : N/C
② 전하량이 Q 인 전하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진 곳에 놓인 전하량이 q 인 전하에 작용하는 전
기력의 크기는 F 이고, 이 지점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五이다.

+Q +9
參 ' Q-*
E=k

E=—= k ^
q rl

⑶ 전기장의 방향 : 전기장 속에서 양(+)전하가 받는 힘의 방향

+0 Q
+Q j, r.

(3©
⑷ 전기장의 합성 : 두 전하에 의한 전기장을 합성할 때,벡터합 +Q
을해주어야 한다11 pa 벡
eᅥ합
은평행
사변형
법을이
용하여

한다.

e = — = Fi+ Fi = H + H

그림과 같oI 전하왕01 각각 +4 C. -4 C인 점전하 A, B7 ᅡ


X축상에 2 m 떨어져 p
고정되어 있다. A, B로부터 각각 2 m씩 떨어진 거리에 있는 점 모에서의 전기 2mᄎ \'2m
장의 세기와 방향은? (단, 쿨롱 상수는 9.0X109N • m2/C2이다.)

E l i l 세기 :9X109N /C, 방향 : ~hr 방향

©그림 (가)와 같이 +4C인 전하a와 - 2 C 인 전하b가 2a:만큼 떨어져 있을 a b


때.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는 16 酬 다 . --ᅳ
그림(내와 같이전하 a와 + 1C인전하 c가 4 r 만큼떨어져있을때.c 가 一 ᅵ
2工ᅵ一

있는 지점에서전기장의세기는? 쉬

(나)

기I넘 확민 n ᅵ제정답
© 2 N /C

P A R T I. 전자기장 103
MmM
B, the First ^

1. 전하와전기장 f
전기장과 정전기 유도
1L Q G3 K
2. 전기력선

(D 전기력선 : 전기장을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 1C 이 받는 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이은


선이다.

⑵ 전기력선의 특징
① 전기장의 방향은 전기력선 위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 방향이다.
② 양(+ )전하에서 나와 음(_ )전하로 들어간다. 한 점의 화살표는 、 /
전기장의 세기와 고
③ 중간에 끊어지거나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방향을 나타낸다.、
--세 /ᄌ
<-• 때
O• »
④ 전기력선의 밀도는 전기장의 세기를 반영한다.
V
• 간격이 넓을수록 전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록 전기장의 세기가 세다.
전기력선의개수...............................
전하로부터 r 만큼 떨어진 위치의 같은 면적을

통과하는 전기력선의 개수는 ᄉ 에 비례한다.

전기장의 세기 : a 지점> b 지점

⑤ 전기력선은 도체 안에는존재하지 않는다•(=도체 내부에서의 전기장은 o이다.)

⑶전 기 력 선 예시

© 서로 전하량이 다를 때, 전기력선의 모양을 그리시오

-\-2Q —Q ( ^ )

................... ■ B!關 ® 택 p i ..................

© 전기력선이 밀한 곳은 전기장의 세기가 ( ) 곳이고, 소한 곳은 전기장의 세기가 ( ) 곳이다.


° \ 1

+ 2 0 ^

, 11
穩^ — y

© 센. 약한

104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둘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I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S 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L Q C] GS -----

B 정전기 유도
1. 정전기
(D 대전 : 물체가 전기를 띠게 되는 현상
G혈2D n
p i 대전열
⑵ 마찰 전 기 : 물리적 접촉으로 인해 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이동하여 발생한 전:7
T
두 물체를 마찰시켰을 때. 전자를 잃기 쉬운 순
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2. 정전기 유도 : 대전체를 도체에 가까이 가져갈 때, 대전체에 가까운 쪽에는 대전체와 반대 종류
(+) 털가죽-상아-유리-명주-나무-솜-고
의 전하가, 먼 쪽에는 대전체와 같은 종류의 전하가 유도되는 현상 무ᅳ플라스틱 (ᅳ)

(1) 도체에서의 정전기 유도

대전되지 않은 도체에 (+)대전체를 가까이 함


빠 인력을 받은 전자들이 (+)대전체 쪽으로 이동
■♦(+) 대전체와 가까운 쪽은 음 (- ) 전하를 . 먼 쪽은 양 (+) 전하를 띰
(분극 현상)

《 주의 : 정전기 유도(접근에 의한 분극) VS 접촉에 의한 대전

정전기 유도 대전
◎O n j _ ■
»— + 01토..............
’«
ᄋ ^ ^
대전체 x ! *나 ^ :
대전체 ^
① 대전체 접근 職^^^^^^
도체 접촉 도체
전자가 한 쪽으로 쏠려서 분극됨 (접촉X) 대전체 접촉 ᅳ 전자가 이동하여 대전됨

② 대전체 제거

대전체를 가까이하기 전처럼 분극이 해제됨 대전체와 같은 종류의 전하로 대전됨

⑵ 정전기 유도 (유전 분극)


① 절연체에서의 정전기 유도
유전체
절연체에 (+ )대전체를 가까이 함 ① 유전체 : 절연체와 같은 뜻이지만 전기 작용
을 더 강조한용어
-► 원자나 분자 내에서 인력을 받은 전자들이 (+ )대전체와 가까운 쪽으로
© 강유전체: 전기장이 사라져도 유전 분극된
이동 상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물질로' 초소형
절연체 컴퓨터 메모리 소지에 이용된다.
분자 내에서의 분극 현상 (유전 분극) 발생

© ( + )대전체를 어떤 물질 에 가까이 가 져 갔 을 때 파 ^: ■
> : 의 현상이 일 어 나 면 그 물 질 은 ( )이 고 _
^5000^ - +

j 의현상이나타나면 ( ) 이다. 이 중 전 기 가 더 잘 흐 르 는 물 질 은 ( )이 다 .

..........
© 도체. 절연체, 도체

PART n. 전자기장 105


□1
B, the First % ᅳ * 一

전 기 장 과 정 전 기 유 도 1. 전하와 전기장 f

② 물줄기의 정전기 유도 : 물줄기에 대전된 막대를 가까이 하면 물줄기가 막대 쪽으로 휘어진다.

— 1스 (一)대전체가 가까이 가는 경우 (+ )대전체가 가까이 가는 경우

③ 절연체 내부에서의 전기장 : 절연체에 외부 전기장을 걸어주면, 유전 분극으로 인해 절연체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Q 0 Q
*절연체 내부에 생기는 전기장은 외부 전기
절연체
장과 방향은 반대이고 세기는 약하다.
내부

표면 전하에 의한
전기력선

절연체
외부
- 외부 전하에 의한
전기력선

' 절연체 내부의 합성 전기장은 외부 전기장


과 방향은 같고 세기는 약하다.

합성
자기장

© 그림과 같이 전기적으로 중성인 두 금속구 A, B를 접촉시킨 후 양(+)전하로 대전된 막대


를 M l 가까이 가져갔을 때 A 와 B는 각각 ( )전하, ( )전하를 띤다. 이후 막대
를 B에 접촉하면 B는 ( )전하를 띠고 A 와 B 人H)|에는 ( )01 작용한다.
A B

7H넘 »S! Oil제정답

106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I 필 히 들 어 야 하는 수 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 G3 GS
3. 검전기 : 물체의 대전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
⑶접지상태를제거한후
⑴대전체를가까이했을때 ⑵접지했을Sir |E1 접지의 역할
대전체를치웠을때 지구는 무한한 전자와 양전하의 창고이므로 땅
에 도선을 연결시키면 전자를 계속 공급하거나
뺏을 수 있다. 이렇게 접지는 전하를 띤 물질을
대전체
중성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금속판

대전되지않은
검전기
금속박 금속박

금속판에 (+)대전체를 가까이 함 금속판에 (+ )대전체를 가까이 한 손가락을 떼고, (+) 대전체를
■►전자가 금속판으로 이동 상태에서 금속판에 손가락을 접촉 치움
■►금속판은 음(- ) 전하, 금속박 "► 땅에서 검전기로 전자가 이동 ■►금속판과 금속박이 음(ᅳ)
은 양(+)전하로 분극됨 ■►검전기가 음(ᅳ)전하로 대전됨 전^ᅡ로 대전
■►금속박 벌어짐 •♦금속박 오므라듦 ■►금속박 벌어짐

f r r r a o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대전되지 않은 검전기에 (一)대전체를 가까이 가져간 그림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에 0 표 하시오.

이 상황에서 금속판에 손가락을 접촉시킬 경우 전기는 (검전기에서 손가락으로, 손


가락에서 검전기로) 이동한다. 이후 손가락을 떼고 대전체를 멀리하면 금속판은 (양
(+), 음(- ))전하, 금속박은 (양(+). 원 -»전 하 를 띠게 된다.
麵 검전기에서손가락으로양(+X양(十)

0 다음을 읽고 서로 관계있는 것을 옳게 연결하시오


⑴유전분극 • • ( I) 물체 사이에서 전자가 이동하여 물체가 전기를 띠는 것

⑵마찰 전기 • • (니 도체의양 끝이서로다른전하를띠는것


⑶정전기유도 • • (•=) 절연체의 전자 위치로 인해 물체가 전기를 띠는 것

©(1)(C) ⑵(ᄀ) ⑶(니

P A R T I. 전자기장 107
01
B, the First

전기장과 정전기 유도 i 전하와전기장t

□ 생활 속의 정전기 유도
1. 일상 생활에서의 정전기 유도
(D 겨울에 스웨터를 벗을 때 나는 소리 : 마찰에 의해 전자가 이동한다.

방전 ⑵ 자동차 손잡이를 만질 때 따끔한 느 낌 : 건조한 날 자동차에 손을 대면 손에 있던 전자들이 순식


머물러 있던 정전기가 천천히 또는 한꺼번에 다 간에 차체로 몰려 방전된다.
른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

번개의원리 ..................................... ⑶ 랩 : 분리 과정에서 대전되어 그릇이나 다른 랩에 잘 달라붙는다 .


G ia )
, ⑷ 번개 대전된 구름과 지 면 사이의 방 ^ 현상이다.

(5) 복사기 : 본래 양 ( +)전하를 가진 드 f 에 빛이 닿으면 전하를 잃게 된다 . 즉 , 글자의 상이 생긴


부분만 양 ( +)전하를 유지한다 . 토너는 음( _ ) 전하를 띠므로 정전기에 의해 드럼에 양 ( +)전하
• 적란운이 형성되면 전자가 아래쪽으로 이동함 가 유지된 글자 모양으로 토너가 달라붙게 된다 .
에 따라 구름의 위쪽은 양(+)전하. 아래쪽은 음
(- )전하로 대전되며. 정전기 유도로 인해 지면
이 양(+)전하로 대전된다.
번개는. 구름의 아래쪽에 지속적으로 음(一)
전하가 축적된 후. 전자가 양(+)전하를 띠는
지면으로 이동하는 방전 현상이다.

드림 표면에는 특정한 반도체 물질(셀레늄)이 코


팅되어 있는데 이 물질은 어두운 곳에서는 전기
절연성이 있지만 빛을 비추면 전기가 통한다.

G© c ia )
(6) 정전 도장 : 도색 방법 중 하나로 도색할
물체를 접지시키고 분무 장치에 음극을 정전 도장기

걸어 페인트 입자를 음 ( 一)전하로 대전

시키면 페인트의 정전기 유도 효과로 접


지된 물체는 양(+ )전하로 대전된다. 이
분체 이온화구역
에 따라 둘 사이에 전기적 인력이 작용 도료 (음( ― )이온)
하여 도색이 된다 .

■ O a ii H M ■ 빼 ----------------------------
© 머물러 있던 정전기가 천천히 또는 한꺼번에 이동하는 현상을 ( )이라고 한다.

■ 調 1: …ᅳ…■
©방전

108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QH® IL Q d K —
(7) 전기 집진기 : 발전소나 보일러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오염된 먼지를 제거하는
설비이다.

、 o | 집진기 내 대전된 극판 설치 ᅳ 방전 극과 집진
집진극 ᄈ ᄈ ^ !집 진 극 극 사이에 고전압 걸기 ᅳ 방전 극에서 발생한 전
(+) ® 방 전 과 ^ ^ 시 자에 의해 먼지가 음(-)전하로 대전 ᅳ 양 (+)극

고압 직류 전원 ^ 인 집진 극으로 먼지가 끌려감


1||»---|'---

⑶ 강유전체를 이용한 정보 저 장 : 강유전체에 전기장을 걸어 주었을 때,유전 분극에 의해 전기를


띠게 된다. 이때,전기장을 제거하여도 유전 분극 상태가 유지되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
자로 활용된다.

2. 정전기 피해 방지

⑴ 피뢰침 : 번개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높은 건물에 금속 막대로 된 피뢰침을 설치한다.


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높고 뾰족하게 세우고 반대쪽 끝을 땅속에 묻어 접지시키면,번개가 칠
때 공기 중의 전하가 피뢰침을 따라 지면으로 이동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다.

⑵ 정전기 방지 패 드 : 주유소에서는 유증기가 많아 정전기로 인한 작은 불꽃도 화재 사고로 이어


질 수 있다. 주유소에 있는 정전기 방지 패드에 손을 대면 우리 몸에 흐르고 있는 음(- )전하가
정전기 패드로 흘러 들어가 정전기를 없애준다.

© 생활 속에서 정전기 유도로 설명 가능한 현상이나 장치를〈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피뢰침, 무선충전기, 정전기방지패드, 복사기

■ 臓 췌 .
© 피뢰침. 정전기 방지 패드«복사기

P A R T I. 전자기장 109

1
B, the First

전기장과 정전기 유도 i■
전하와전기장!
:

SCI*66N
01 그림과 같이 전하량이 - ? 인 두 점전하가 고축상의 X--24, 2d 인 점에 각각 고정
되어 있고,전하량이 +2g인 점전하는 y축성•의 y = d 0A 점에 고정되어 있다. 점 P 는 y축상
의 y=2d 인 점이다.

P* 2d

+2qi \d

~Q
m ~Q
W
-2d 0 2d x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0. 수능 (물 I)]

기. 모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一강방향이다.


L 전기장의 세기는 원점 ᄋ에서가 P 에서보다 작다.

전하량이 +2? 인 점전5KHI 작용하는 전기력의 방향은 一y 방향이다.

02 그림 (가)는 정사각형의 한 꼭짓점 p 에서 점전하 A ,B, C 에 의한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A, B, C 는 정사각형의 세 꼭짓점에 고정되어 있고,A, B, C 의 전하량은
각각 +q,~q 중 하나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B 와 C 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고정하였을
때,p 에서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전기장의 방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2. 6. 평가원 (물 I)]

기. A 는 음H 전하이다.
l p 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가)에서와 (나)에서가 서로 수직이다.
[• p 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가)에서가 (나)에서보다 크다.

110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ᄉ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은 전하량이 +8g,Q, - 9인 세 점전하가 각각 y=2d, y = d ,y= - d 인 점에 고


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ᅵ
/=0 인 점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0이다.

JU
dOQ

—d6 —q

0 는? [21.9. 평가원 (물표)]

② ᅳ 2g ③ -q ⑤ +2g

02 그림과 같이 x 축상의 x = —d ,x = d 에 두 점전하 A , B 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에서 A , B 에 의한 전기장 표의 세기는 0이며,x= 2d 에서 표의 방향은 一x 방향
이다.

A B
~|---- o— -o-
~2d ᅳd d 2d

X 축상의 - d < x < d 구간에서 E 를 I 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표의


방향은 +X 방향이 양( +)이다.) [22. 9. 평7 (물1)]

④ ⑤ 니 ^」

-d 0 dx ᅳd 0 dx

P A R T I. 전자기장 111
B , t h e F i r s t 1

a기 i. 전하와 전기장

ta a Ea ©
03 (그림 가)와 같이 재평면에서x축상의 x= - d, 와 ^/축상의 y=d, 에
점전하 A〜D 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x축상에서 A 〜D에 의한 전기장 표의 방향은 x축
과 나란하다. 그림 (나)는 x축상의 인 구간에서 £ 를 x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五의 방향은 + x방향이 양(+)이다.

_ A _ B
-O— 누
-d 0 d x

(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22. I)]
수능 (물

■삐■-------------------------
기. C 와 D 의 전하량의 크기는 같다.
l . B 는 음 (-)전하이다.
전하량의 크기는 C 가 A 보다 작다.

① ② ③ 仁 ④ ᄀ, ⑤ 기 ,仁

04 (
그림 가)는 세기가 피인 균일한 전기장에서 질량 m ' 전하량 인 물체가 길이 /인
실에 매달려 정지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전기장의 방향은 중력에 수직인 방향.
이고,최저점에서 물체까지의 수직 거리는 j 이다.그림 (나)는 (가)에서 전기장의 세기만
E 2로 바꾸었을 때,최저점에서부터 수직 거리가 인 위치에 물체가 정지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 는?(단,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12.9.평7®(물!


)]
® "l ②音 ③ II ④풍 ⑤2

112 2023 물리학 II [필수본] 개념완성


---------------------------------------------------------------------------------------------------------------------------m~ ~ B 신로I으I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선 ED 3 CD ®
05 그림 (가)는 대전되지 않은 동일한 도체구 A, B 를 붙여 놓은 후 음(-)으로 대전된
막대를 A 에 가까이 가져간 것을, (나)는 (가)에서 A 와 B 를 떼어 놓은 후 막대를 치운 것
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다)는 (나)에서 A 를 치운 후 , B 가까이에 대전되지 않은 절연체
구 C 를 놓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막대

(4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1. 6. 평가S (물 I)]

飞 (나)에서 A 는 양(이으로 대전되어 있다.


ᄂ. (나)에서 A 와 B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전기력이 작용한다.
(다)에서 B와 C 사이에는 서로 미는 전기력이 작용한다.

① ᅳ1 ② c ③ 기 , 1- ④ c ⑤ 기, u , c

06 그림과 같이 전하량이 각각 Q' +1C 인 두 점전하가 거리 2d만큼 떨어져 고정되어


있다. 전기장의 방향은 점 p, q 에서 서로 같고, 전기장의 세기는 베 서 가 q 에서의 4배이다.

Q p + 1 C q

— Q:
----
-- n --

0 는 ? [21. 수 능 (물 I)]

① —16C ②一 12C ③ +9C ④ +12C ⑤ +16C

PART 1L 전자기장 113


IJ2
B the First ^ ~ ■---------------------------------------------------

i. 전하와 전기장 ^
직 류 회 로 와 전 기 에 너 지

Q, Q G3 K
Q 전위차와전류

1. 전위차
⑴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 대전된 물체 또는 입자가 전기장 내에서 위치에 따라 갖게 되는 에너지

중력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


I; msm ~ 1
mgh u i qEd\

중력장 전기장 qE

기준
i기준
중력장 방향으로 m으의 힘을 받는 물체를 중력장 전기장 방향으로 q E 의힘을 받는 전하를 전기장
반대 방향으로 /z만큼 이동시키는 데 한 일 반대 방향으로 ^만큼 이동시키는 데 한 일
mgh 빠 qEd

⑵ 전위: 단위 전하가 갖는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


① 단위 : V(볼트), J/C
② 전하량이 g인 전하를 기준I 1으로부터 0[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옮기는 데 W의 일을 했을
P I 전위의기준점 때, 그 지점에서의 전위는 K이다.
전위의 기준점은 이론상으로 무한원점을 기준
으로 하며, 실용상으로는 지면을 기준으로 한다.
실용적으로 전위의 기준점을 지면으로 하기 때 v = W= q E d =Ed
문에 회로에서 접지한 곳의 전위를 o으로 한다. q Q

③ 전위는 양(+)전하 쪽이 음H 전하 쪽보다 높다.


④ 전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기장이 형성된다.

7M 확 민 예제

O 그림과 같이 전기장의 세기가 10N/C으로 균일한 전기장 영역에서 질량 1 kg, 전하량 10N/C
+5 C인 입자를 점 피계서 2 m 떨어져 있는 점 A 까지 도달하게 하려고 한다.
A
[-• 2m ►]
이때 A 까지 도달하게 하는 B에서의 출발 속력 z;의 최솟값은? (단, 전자기파의 발생은
무시한다.) ^ 1 +5C

O lOv^m/s

114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직류 회로에서 저항의 연결에 따른 전류와 전위차를 구할 수 있다.
★직류 회로에서 저항에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임 POINT ① 전위차 ② 옴의 법칙 ③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 ④ 전력

⑶ 전우I차(전압) :전기장 내 두 지점 사이의 전위의 차 A

① A 와 B 에서의 전위를 각각 Fa, Fb라고 할 때, E

전위차는 전하를 B 에서 A 까지 옮기는 데 한


일을 전하량으로 나눠준 값과 같다.

VA-V B= ^ = 중 =Ed

ᄂ~전양은 t 량 2V양 o 로 높은 전의 김HUH =qEd


낭은 전인킨 갑을 너 ■.

② 전기 회로에서의 전위차: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

기전력과 단자 전압
전지의 양 극에서는 전지의 내부 저향에 의해서
(4) 7\m : 도체에 계속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두 지점의 전 도
선원자 전지의 기전력보다 작은 전압이 측정된다. 이때

위차를 유지해 주는 능력 측정되는 전압을 단자 전압이라고 한다.

① 단위 : V(볼트)
(- ) 극 ( + )극
② 단위 전하당 공급되는 에너지로 전위차와 단위가
같다.
③ 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로부터 기전력을, 발전기는 역
학적 에너지로부터 기전력을 얻으며 태양 전지는
p-n 접합면에 입사한 빛의 에너지로부터 기전력을 생산한다,

그림과 같이 평행인 두 도체판에 전하를 대전시켜 호[살표 방향으로 10 V /m 의 균일한 전기장이 생기게 하

였다.

-
^ B = 1 0 V / m

'、

、— ►
\、'、

、、
+
3 0 c m X
+
/ 、

、、
、、

+

느、' ' ' ' ' 4 6 cm -— 一


i D C

A 와 (그사이의 전위차는 얼마인가?

(단, A B 丄B C 이고,A B 는 도체판에 평행하다.)


E H 4V

©그
림은도
선속전
자의운
동을나
타낸것
이다.
빈 칸 에알맞은말 을넣으시오.
j • 례 ^ -二 ^B
(1) A는( )극
,B는( )극 에연
결되어있다
.
⑵이와같 이도선에계 속전류가흐 를수있도록전
위차를유지
해주는능력
을 하
( )이라한다. 전자 원자핵

개넘 » 민 011제
©⑴ ⑵기전력

P A R T I. 전자기장 115
02
B, the First % ~ ®-----------------------------------------------------------------------------------------------------------------------------ᄃ>

직류 회로와 전기 에너지 전
CL Q G3 K ----
2. 전류

(1) 전류 : 전기를 띤 입자의 흐름


① 전류의 방향 :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 전류는 전지의 (+)극에서 (-)극으로 흐르고, 자유 전자는 H 극에서 (+)극으로 이동한다.
② 단위 : A (암페어)
• 1 A 는 1초 동안에 도선의 한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량이 1C 일 때의 전류의 세기이다.

⑵ 전기 저항 : 전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① 단위 : 옴)
• 1Q은 전압이 1V 일 때 1A 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전기 저항값이다.
② 저항의 크기 : 단면적 S가 작을수록,도선의 길이 /이 클수록 커진다.
p ! 비저항(시
① 단위 단면적과 단위 길이당 저향이며, 물질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단위: L m ]
® 전기 전도도와 역수 관계이다.

⑶ 옴의 법칙
① 동일한 전압 F를 걸었을 때, 저항 死가 클수록 전류의 세기 I는 작아진다.

② 저항값이 꼬인 저항에 /믜 전류가 흐르면 저항 양단에 況의 전압이 걸린다.


= 저항 양단의 전위차가 IR 이다. r
= 전압 강하가 /i? 만큼 발생한다.

m m
0 그림은 동일한 물질로 만든 저항 A 와 B 이다. A 의 길이와 단면적은 각각 /, 2S이고 B의 길이와 단면적은 각각 21 S이다.
A 와 B에 동일한 전압 m 걸어주면, A, B에 각각 Ih 12의 전류가 흐른다.

21-
A Q B

I\
: h 는?

116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g~ ᅳ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I 필히 들 어 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a, q ta k
B 저항의 연결

1 . 키르히호프 법칙

⑴ 폐회로의 법칙 : 임의의 닫힌 폐회로를 한 바퀴 돌 때,각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의 총 합은 기전


력의 총 합과 같다.
h

Ri

E' R2
E ~ R J ] ᅳ R 2I 2 ᅳ 取

⑵ 분기점의 규칙 :폐회로의 분기점에서 흘러 들어오는 전류의 합과 나가는 전류의 합은 같다.


I h^h h

/= /l+세

h ^h h

그림과 같이 저항 Rh R2i?3에 각각 전류 /i. 4 /3이 흐른다. /= 20 A , h =6 A . I2 =7 A 일 때,/3의 세기


는?

- Riti > |71 ;J /2 : U


t
i

i 평1 7 A :
;

0 그림과 같이 기전력이 20 V 이고 내부 저항 r=4 요, 저항 i?=6 요인 회로에 흐르는 전류 / 는?

r=4Q
E=20Y R=6Q,l

개님 »면 011제 S S
02A

P A R T I. 전자기장
B the First % — ■-----------------------------

직君 회로와 전기 에너지 1. 전하와 전기장

2. 직렬연결과 병렬연결

직렬연결 병렬연결

ᅀ Rx R2

회로

각 저항에 동일한 전류가 흐른다. 각 저항에 동일한 전압이 걸린다.


I= Ii= I2= h v = v 1= v 2= v 3
전류와
전체 전압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과 전체 전류는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과
전압
같다. 같다.
v = v 1+ v2+ v3 /= /l +/2+/3
丄 ᅳ丄ᅩ 1 ■ᅩ丄
R ~ R i R2 Rs
접^ S
•연결된 저항이 많으면 전체 저항은 커 . 연결된 저항이 많으면 전체 저항은 감소
진다.

항의연
결과전
체저항 한다.
① 직렬 연결
3. 휘트스톤 브릿지 : 미지의 저항값을 찾을 수 있다. ¥ 맨아보71

의 저항값을구해보자.

길이가 길어자는 효과에 의해 전체 저항이 커진


다. 1st.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b와 c 사이의
② 병렬 연결 전위차는 0이다.
,- jT 2nd. 기과 에서의 전압 강하가 같아야 하므로
i?l • i?3=i?2 • 포
?4이다.
Mr
3rd. i?4= f 이다.

단면적이 커자는 효과에 의해 전체 저항이 작아


진다.

l l l i l _
©그
림(가
)는저
항A와B가직
렬연결
된모습
이고,(나
)는A와B가병
렬연결
된모습
이다.A의저
항값은i?이
다.
B
-MV-
A B
at

r-VA---- WV-
R
■유

h
3Hy 확민 011제 S S (가
) (나
)
©音 i? (가
)에서A와B의소
비전력비
가1:
2일때
,(나)에서
의합성저
항값은
?

11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n a G3 K ----
B 전기 에너지

⑴ 전기 에너지 :전류가 공급하는 에너지로 소모된 전기 에너지는 전기력이 전하를 이동시킬 때 전기 에너지와 전력량
• 전7 1에너지 :t초 동안 사용한 전력 [단위 : J3
한 일과 같다.
E = Vlt (t :전력을 사용한 시간(초))

UE-
- _-qEd=qV
• 전력량 : 시간 i 동안 사용한 전력 [단위 : Wh]

⑵ 전력 : 단위 시간당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


전력량= Vltit :
전력을 人[용한시간(시간))
① 단위 : W (와트),J/s
.. 3 6 00 J= lW h
② 호의시간 동안 t/E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했을 때의 전력은 P 이다.

p = L k=sX =

전 류■가입저할 해 •去며 편
丁 t
⑶ 저항의 소비 전력
① 직렬 연결: 전류가 같으므로 저항의 크기에 비례한다.

P\' P2 • :고
?3

② 병렬 연결 : 전압이 같으므로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1 . 1
P l : P 2 : P 3 = 瓦 : 瓦 :五

& O H 03-
R2, R 3 을 18 부의 전압에 연결시킨 모습o ᅵ다.
그림은 저항 하 , ~ VvV~
~ w^- Ri
Rh R2, 及의 저항값은 각각 3 a 2 a 6 요이다.
Ri ■
ᅳ^Wv~ᅳ
Rs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회로의 합성 전기 저항은?
⑵ 及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⑶ 에서소비하는 전력은?

©그림의 회로에서 전압계의 왼쪽 단자를 P, Q, 요에 연결하며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각 점에 따른 전압0112 V, 6 V, 4 부였으며, 이때 전류계의 눈금은 1A 였다.
P J어 v v v - »~ v w -
Q R

전류계의 위쪽 단자를 P 점에서 Q, 요점으로 바꿔가며 전류를 측정할 때, 각 점에

따른 전류의 세기는?
12 V

P A R T I. 전자기장 119
02
B, the First

직류 회로와 전기 에너지 i. 전하와전기장):

01 그림은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있는재평면상에서 음 (―)전하를 띤 입자 A 가 포


물선 운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실선은 등전위선을 나타낸 것이고, A 의 운동 경로
상의 점 p,q, r에서 전위는 각각 1 V, 2 V, 3 V 이다.

IV 2V 3V 4V

r,-©:
V
.등전위선
V ᅳ
.

□ a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A 에는 균일한 전기장에


의한 전기력만 작용한다.) [20. 9. 평7ra (물 I)]

1. A 에 작용하는 전 7 1력의 방향은 一X방향이다. ( )


A 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는 q 에서와 r 에서가 서로 같다. ( )

. A 의 전기 퍼텐셜 에너지의 변화량은 p 에서 q 까지 이동했을 때와 q 에서 r 까지 이동했을
때가서로같다 . ( )

02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1 요인 저항 4개와 스위치 s를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에 연


결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으를 A 에 연결하였다.

R2

SJA 10
?B T r3
I— VW— 1
— wv~
10 m
전원 장치

S를 B로 연결하였을 때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2. 6. 평가원 (물 I )]

WEUM---------------------------------------------- -----
飞 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바뀌었다. ( )
L 及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작아졌다. ( )
[ . 쓰의 양단에 걸리는전압은 커졌다. ( )

120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 ~ ~ ᅵ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O M ~ .

필수
기目부曰 심화까지
sH
01 그림 (가)는 원점에서 같은 거리 d 만큼 떨어져 x축에 고정되어 있는 전하 A, 묘로
구성된 전기 쌍극자를 나타낸 것이고,점 P, Q는 2/축 상의 점이다. 그림 (나)는 x 축 상에
서 A , B에 의한 전위를 위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P
Ao

r-
f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마. 6. 평7ra(ti)]

ᄀ. A 는 음(-)전하이다.
L P에서의 전위는 0이다.
c. Q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c 방향이다.

02 그림 (가)는 양(+)전하를 띤 입자가 균일한 전기장 영역 I ,표, m을 +x방향으로


차례로 통과하는 모습을,(나)는 전기장 영역에서 전위를 위치 X 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입자에는 균일한 전기장에 의한 전기 력만 작용한다.

전■
; 1 4
I n ra
i 3
'—
► V 2
X
2 d 'M A d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전자기파의 발생,
입자의 크기와 모든 마찰은 무시한다.) [21.9. 평7ra(물i)]

-1. I 에서 전기장의 방향은 -X방향이다.


L. 입자의 운동 에너지는 ;
c=d에서와 z=3of에서가 같다.
C. 전기장의 세기는 I 에서가 I 에서의 4배이다.

P A R T I. 전자기장 121
B, the F ir s t 1

B기 1. 전하와 전기장 t!

ED a CD ®
03 그림과 같이 원통형 저항체 A , B, C 와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를 이용하여 회로
를 구성하였다.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스위치를 a 에 연결했을 때와 b 에 연결했
을 때 각각 /a,/b이다. 표는 A, B, C 의 비저항,단면적,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저항체 비저항 단면적 길이


A 2p S L
B P 2S L
C 2p 2S L

/a :/b는? (단,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는 무시한다.) [13. 수능 (물 I)]

① 1 :2 ② 1 :/ 포 ③ 1 :1 ④ 1 © 2 :1

04 그림과 같은 전원 장치의 전압이 일정한 회로에서 저항값이 i ?인 저항과 저항값이


4i?인 저항의 소비 전력은 제으로 같고, 저항값이 ᄎ:
인 저항의 소비 전력은 2P0이다.

AR
~ VA~
R X 3X
~ W\/WV- 그NA/V
Y
전원 장치

저항값이 r 인 저항의 소비 전력은? [13. 수능 (물 I )]

n
① P0 ② ③A ④ ⑤ Bl

122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O M — s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5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꼬인 저항 4개와 전압이 K인 전원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


였다. 전류계에 측정되는 전류의 세기는 ^이다.

R
-AW -

R
ᅳ~ Wr-
전류계 ( R<

/ 는? [21. 수능 (물 ]!
)]

④I f

06 그림과 같이 전류계,저항,스위치,전원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전류계에


흐르는 전류는 스위치를 열었을 때 I u 스위치를 닫았을 때 / 2이다.

m 5요
r^/W-A^Vn 2Q
3Q — WV——
-^vw——

스위 치

3V

h
는? [22. 6. 평가원 (물 I )]
h

①1 ②2 ③3 ④4 ⑤5

P A R T I. 전자기장 123
B, the F ir s t 1

l.S 하와 전기장 t:
M U

Ga a [a ©
07 그림은 전압이 11V 인 전원과 저항값이 각각 1 요, 2 요 3 요인 저항으로 구성한 회
로를 나타낸 것이다.

IQ
AW

3a
쪄M r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수능 (물 I )]

飞 저항값◦ I 1^인 제 1에 흐르는 전류의 세? I는 3 A 01다.


l . 저항값이 2 S 인 저항 양단에 걸린 전압은 6 V 이다.
c. 저항값이 3J2인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3 W이다.

① ② ③ ᅳI, 1一 ④ n, c ⑤ ᅳ!, 1一, c

08 그림은 저항값이 같은 6개의 저항과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로 구성된 회로를 나


타낸 것이다.

~ VW--- ttVSA/— v w —
a

전원 장치
P

점 a, b, C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각각 /a, Ib, /c라 할 때, /a : /b : /c는? no. 9. 평개a (물I»

①2:1:3 ② 3:1:4 ③4:1:6 ④5:1:7 ⑤6:1:8

124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03
B, the First

트련!지스日 i. 전하와 전기장

[L Q C3 K
□ 트랜지스터의 원리
1. n 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1 3

(O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n 형 반도체 p 형 반도체
P ■도핑 순수 반도체( 1 4 족)에 1 5 족 원소를 도^ 순수 반도체( 1 4 족)에 1 3 족 원소를 도핑
① 순수 반도체 : 14족 원소 (규소(Si), 저마늄
II II II II II II
(Ge))
② 도핑 : 순수 반도체에 불순물을 섞어 전기 전 = © = © = 그© = = ® = t= ® 고 © =

도성을 높이는 과정 H 时자 H H 양공하 H

= ® = t: © =5= @ = = @ = t: © =그 © =

H 사 H H H H

= ⑩ = j= @ 흐 © = = # ® = t :@ =

II ii ii II II II

-► 주요 전하 운반자: 자유 전자 타 주요 전하 운반자 : 양공

⑵ p —n 접합 다이오드
① p 형 반도체와 n 형 반도체를 붙여서 만든 다이오드

② 정류 작용 : 특정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한다.

순방향 연결 역방향 연결
p 형 반도체와 ( + ) 극. n 형 반도체와 (-)극을 연결 p 형 반도체와 ( 一) 극, n 형 반도체와 (+)극을 연결
한 경우 : 전류가 흐른다. 한 경우 :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p형 반도제와 n형 반도제의 접합

^ 공핍충
- a Q
-
ᄋ Q
Q a
O ^ N Q ᄋ 9

다형 n형

1st 접합면 근처의 일부 양공과 전자의 농도차


에 의한 확산(자리이동)
2nd 전기적 중성 영역(공핍층) 형성
3rd 더 이상의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원래의 전류] [다이오드를 통과한 후의 전류]
출력

f U l
시간

' 한쪽으로 흐르는 전류만 남는다!

m m
O 그림 (가)와 (나)는 p - n 접합 다이오드가 연결된 회로를 나타낸
A B B A
것이다. (가)에서만 전류가 흘렀을 때,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
으시오. (단, A 와 B는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중 하나이다.)

............ 1 ....................
⑴ A는 ( ) 반도체이다.
⑵ 이와 같이 p - n 접합 다이오드는 회로에서 특정한 방향으
(4 (나)

로만 전류가 흐르게하는 ( )을 한다.

...........
O ⑴ P형 ⑵정류작용

126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트랜지스터의 증폭 원리를 이해한다.
저항을 이용하여 필요한 바이어스 전압을 정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 이NT ① 트랜지스터 ② 바이어스전압
i Q B] K —
2. 트랜지스터
⑴ 트랜지스터의구€ pa 트랜지스曰의 구조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인 구조가 대칭적이어서
①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세 개의 층으로 접합하여 만든 부품 회로에 연결할 때 컬렉터와 이미터는 서로 자리
를 바꾸어도 상관이 없을 것 같지만. 각각 특성
② 종류 : p —n ᅳp 트랜지스터,n ᅳp ᅳn 트랜지스터 이 다르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

굵다 얇다 굵다
(빵) (햄) (빵)

3---- ■
J I I
p u p
L
■ ---- c
P ! 트랜지스曰의 기호
이 ^터 I (n) M (n) I 컬S 터 화살표 표시는 이미터ᅳ베이스 사이에만 있으
B 이 ■SI

며 베이스-컬렉터 사이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이때 화살표 표시 방향은 전류 방향으로 생각하


면 되는데, 이미터一베이스 사이에서 전류는 p 형
에서 n 형으로만 흐르므로 이를 통해 트랜지스
(2) 트랜지스터의 특징 터의 종류까지 표시할 수 있다.

① 베이스의 두께는 매우 얇다. 하 베이스가 너무 두꺼우면 컬렉터에 흐르는 전류는 0이 되어


트랜지스터의 목적성을 잃게 된다.
② 매우 작게 만들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작다.
③ 증폭 작용 :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의 전압을 조절하여 베이스의 작은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컬렉터 에서 큰 신호를 출력한다.
④ 스위칭 작용 :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의 전압을 조절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FEB> TZ敦빠'O N (컬렉터에 전류가흐름)
L Feb< V ^ "K )F F (컬렉터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

⑶ 트랜지스터의 증폭 작용
① 전압 연결: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베이 E *琴 f S n - p - n 형 트랜지스터 회로

스와 컬렉터 사이에는 역방향 전압을 걸어주어야 한다. _______ c

Ie Ic 오l¥ 요
컬렉터 저항甲
Veb VcB 베이스: 丄
糊 卜 이미터
② 트랜지스터 종류별 원리
]h_______
p —n ᅳp 형 트랜지스터 1\
ᅳ1>ᅳ11형 트랜지스터 E

• 이미터에서 베이스 쪽으로 양공이 이동 • 베이스에서 이미터 쪽으로 양공이 이동


• 컬렉터로 확산된 양공과 FCB의 (이단자에서 공 • 컬렉터로 확산된 전자와 FCB의 (+)단자에서 공
급되는 전자가 결합 岭 /B《/c 급되는 양공이 결합
• IE=/b+/c • IE=/b+,c

0 트랜지스터 베이스의 두께는 매우 ( ). 그렇기 때문에 이미터 쪽의 양공 또는 전자가 베이스를 지나 컬렉터로 확산될
수 있다.

© 그림은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표기한 것이다. 이 트랜지스터의 종류는?

e J Pi Lc

Ie Ic

Veb VcB
시朴

P A R T I. 전자기장 127
B, the First ^ ᅳ • —

03 트램지스曰 ]. 전하와 전기장 t

③ 전류 증폭률 : 베이스 전류 4 에 따른 컬렉터 전류 /c의 비율

-k
Ib

전류 증폭률이 1 0 0 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1 m A 의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컬렉터에 흐르는 전류의 세


기는?
1 ^ 1 100 m A

B 저항을 이용한 바이어스 전압 조절


^ 바미어스 1. 바이어P 전압: 트랜지스터가 원활히 동작하도록 가해주는 직류 전압
전자기기가 전압이나 전류를 일정한 값 또는 일
정한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하거나 전자기 (D 바이어스 전압이 없을 때 : 교류 신호 중 순방향 연결일 때만 전류가 증폭되고 역방향 연결은 신
기에 어떤 전류나 전압을 가해 그 특성율 조절
하는 것 호가 증폭되지 않는다.

V\ V

r\
0 증폭작용 0
사세ᅵ
간 시간
획 ^ ^

입력 신호 출력 신호

⑵ 바이어스 전압이 있을 때 : 교류 신호에 직류 전압을 추가하여 항상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도


록 한다.

입력신호 출력 신호

①충분한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주지 않았을 때 : 전자는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전위 장벽을
넘지 못해 /B=o 이 된다.
② 과도한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줄 때 : 베이스 전압을 증가시켜도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지 않게
된다.

© 그림은 트랜지스터와 스위치 S를 연결한 회로를, 표는 스위치에 따른 컬렉터 전류 / c를 측정한 것이다. (기)은 얼마인가?

스위치 Ic
모에 연결 10 A
Q에 연결 (기)

12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S 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S 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1 Qd K ----
2. 저항을 이용한 바이어스 전압 조절
한 개의 전원을 사용하고 저항의 연결을 이용
하여 KBE와 FCE로 분할되어 걸리도록 하여
시용 목적에 적합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
Kc
한다.

Vb = R ^ R 2Vc

모과 표의 크기를 조절하면 원하는 %를 얻을 수 있다.


Vo_
전체 전류
Rl +R2

R2 V,
부분 전압 V2-
-
R\+Ri

B 트랜지스터의 활용

ᄈ ® 광 트랜지스터 삐 > 이중증폭 회로


이미터 C

筹 베 룰
! ^ P시'.,1:그
fl
― I™
컬렉터

* 센서처럼 빛을 감지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 - 너무 약한 신호는 스위칭 작용이 어려우므로 증


* 세 개의 단자 중 베이스면을 빛이 도달하는 넓은 폭 효고ᅡ를높이기 위한 회로
면으로 만들어 빛을 받아 광전류가 흐를 수 있도 •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배치하여 두 번 증폭시킴

록 구성 ' 두 개의 증폭률을 곱한 증폭 효고隱 나타나게 한다.


» 베이스에 도달하는 빛의 양에 따라 스위칭 작용 • 반응 속도가 느리다.
이 일어남
* 반응 시간이 매우 빠르다.

0 그림과 같이 저항과 축전기,


그리고 전원으로 연결된 회로가 있다.

PARTH. 전자기장 129


03
B, the First 1

트떤지스曰 i. 전하와 전기장 j:

o SCREEN
01 그림과 같이 p —n - p 형 트랜지스터,발광 다이오드(LED), 전원 장치를 연결했더
니 L E D 에서 빛이 방출되었다. A, B는 각각 p형 반도체,n형 반도체 중 하나이다.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

I BEm--- 1
r A <

빛■ L E D L E D

도V v 니 전원 장치 ᅳ
VW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8. 수능 (물 I )]

기.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이 걸려 있다.


L . A 는 P 형 반도체이다.
컬렉터에 있는 양공의 대부분이 베이스를 통과하여 이미테게 도달한다.

02 그림은 트랜지스터 A 가 연결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미터,컬렉터와 연결된 도


선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세기가 JE’ / c인 전류가 각각 흐르고 베이스와 연결된 도선에는

세기가 / B인 전류가 흐르고 있다. 전류의 증폭률 ᅭ는 1보다 크다.

트랜지스터 A

이미터 /) 컬렉터

/ b <서 이 스

—o ᄋ一
- • l l h
전원 장치

이에 대한 설명으로옳은것에 0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 [보 9. 평7 원 (물 ]!)]

기. A 는 n ᅳp - n 형 트랜지스터이다.
ᄂ. / b = / e - i c 이다•
ᄃ.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역방향 전압이 걸려 있다.

130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n
l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ᅳ ~ ^

a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과 같이 불순물을 첨가한 반도체 A ,B, C를 접합하여 만든 트랜지스터가 전


류를 증폭하고 있다. A, B, 드에 연결된 도선에는 세기가 각각 /A, IB, 소인 전류가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이미터、 ᄉ 컬렉터
A 3| C
L 베이스7
| /b I c |<

4 ᅵ
, - J.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6. 평가원 (물 I)]

ᄀ. / 八= 4 + 쇼: 이다.
L .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이 걸려 있다.
c . C 는 n 형 반도체이다.

02 그림과 같이 트랜지스터,저항,가변 저항,전압이 일정한 전원을 연결하여 전류 증


폭 회로를 구성하였다. 컬렉터 전류 i c,베이스 전류 j b,이미터 전류 / E가 화살표 방향으

로흐른다. ^■는 일정하다.

가변 저항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6. 평가^ (물표)]

기. 베이스는 p 형 반도체이다.

L 베이스 단자의 전위는 이미터 단자의 전위보다 높다.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증가시키면 / C는 증가한다.

P A R T I. 전자기장 131
GD 3 G3 ® ----- ᄊ하
03 그림과 같이 트랜지스터,저항,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를 연결하여 전류 증폭 회
로를 구성하였다. p 는 전원 장치의 전극 중 하나이다. 베이스 전류는 컬렉터 전류보다 매
우 작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转 (물I)]

기.P 는 양(+)극이다.
L. 트랜지스터에서 다수의 전자는 컬렉터에서 이미터로 이동한다.
C. 컬렉터 단자의 전위는 베이스 단자의 전위보다 높다.

① n ② u ③ 기,
■ 亡 ④ c ⑤ 1 ,u , 亡

04 그림과 같이 트랜지스터가 연결된 회로에서 안테나에 수신된 입력 신호가 증폭되어


스피커로 출력되었다. C, B, E 는 각각 컬렉터,베이스, 이미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Co.7.교육청(물I)]

기. 트랜지스터는 n- p- n 형이다.
l B 와 E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증가시켜도 저항 R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일정하다.
가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더 크게 증폭된다.

13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MEMO
M B, the F irst . ^ ᅳ1

축전기 1.전히#전기장 t

[L Q G3 K
n 축전기와 전기용량
1. 축전기의 원리

⑴ 축전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

평행판 축전기 원통형 축전기 G M )


축전기
기름종이 금속 박판

스위치

전지

얇은 두 금속판을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뜨려 평행 금속 박판 入ᅡ이에 얇은 종이를 끼워 넣은 후 부피를

하게 배열시킨 축전기 줄0171 위해 원통형으로 감0 !■


제작한 축전^ I

JfEM 층전과방전 ⑵ 평행판 축전기 충전 과정


① 충전 •• 금속판에 전하가 저장되는 과정


ᅳ 전기에너지의 저장

+
② 방 전 : 금속판에 저장된 전하가 빠져나가는

I+

H
+
과정

-
ᅳ 전기에너지의 사용

t
① 중전 전 ② 중전 중 ③ 충전 후

① 축전기를 전지가 있는 회로에 연결한다.


② 두 금속판의 전위차가 전지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전하가 이동하여 전지의 (ᅳ)극에 연결
된 금속판은 음(- )전하로,(+)극에 연결된 금속판은 양(+)전하로 대전된다.
-► 각 금속판에는 같은 전하량의 크기만큼 전하가 분포된다.
③ 전지를 분리시켜도 두 금속판의 전하 사이의 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대전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o 다음은 축전기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I. 축전기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L. 축전기를 전지가 있는 회로에 연결하면 두 금속판의 전위차가 전지의 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전하가 이동
한다.
■=. 평행판 축전기의 내부 전기장은 축전기 중앙에서 가장 세다.

13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평행판 축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원리를 전위차와 전하량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핵®I POINT ① 축전기 ②전기 용량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⑶ 평행판 축전기의 방전 고정

전원 제거
① 충전 상태 유지 ② 방전 중 ③방전후

① 전원을 제거한다.
② 스위치를 닫으면 축전기에 모여 있던 전하가 빠져나가면서 저항에 전류가 흐른다.
③ 전위차가 0이 될 때까지 축전기의 전하가 빠져나간다.

(4) 평행판 축전기의 특징


© 축전기 바깥쪽은 두 판이 만드는 전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약해진다. B ~H.+ + -K 繼+ + 4- + S |

② 축전기 내부의 전기장은 균일하다. m


m
mmm
mm ■■■■

③ 축전기 내부의 전기력선 간격은 일정하고 평행하다.

2. 전기 용량

⑴ 전기 용량 : 축전기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 물리량 P i 패럿은 큰 단위이므로 전기 용량의 단위


는 이 나 p F (l(r 12F) 를 人1용
① 단위 : F (패#
한다.
②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하량 Q는 전기 용량 C와 전위차 K에 비례한다.
P ! 유전율
Q =C V 유전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유전율이 클수록
~r~
분극 현상이 잘 일어난다.
L 전71& ① 진공일 때 유전율 £ 0=8.85X10-12 F /m
이다.
③ 평행판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판의 넓이 S가 넓을수록,금속판사이 간격 d 가작을수록 크다.
② 유전 상수Oc) :진공의 유전율U 에 대한 유전

체으1유 전 뾰 =효)
S
C=£
d p 전기장은 전기력선수 0 를 면적 S로 나눈 값과
"헤 7
*' 같다.


£ = ᄒ이므로 # £ . S 이 고 세 로 표현

할 수 있다.

n —Q . —-Q— —_ _ Q—
° V E d 0 년로
s f &
유도할 수 있다,

© 평행판 축전기의 판의 면적은 20 cm2이고. 판 人이의 간격이 0.4 cm이며 판 人예에 유전율이 9x 10_12F/m 인 물질로 채워
져 있다. 이 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PART 표.전자기장 135


□a [L 0 m GS
B, the First '

축전기
------- Q ^5D 설H i
1. 전하와전기장

⑵축전기의 연결

직렬연결 병렬연결

회로 rflH G
1or

각 축전기에 동일한 전하량이 저장된다. 각 축전기에 동일한 전압이 걸린다.


Q = Q i= Q 2 v = v 1= v2
전하량과 전체 전압은 각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의 합
전체 전하량은 각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
전압 과 같다. 의 합과 같다.
v = v 1+v2- Q = Qi | Q2 Q= G + f t ᅳ CV= Q Vi + C2F2
c~ c, c2
합성 1 =- 1 +
ᅩ--
1
c = q +c 2
C Q C2
전기 용량
바 축전7 1판시0 1가 멀어지는효과가 나티난다 >축전기 판이 넓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3. 죽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전지는 대전되지 않은 축전기의 한 극판에서 다른 극판으
로 전자를 옮기는 일을 한다 . 전지가 축전기에 해준 일은
전기력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로 저장된다.

(1) 축전기의 두 금속판에 걸리는 전위차 Q 전하량

전위차는 이므로 전하량이 증가할수록 전위차는 비례하여 증가하며 , 전하가 저장되는

동안 두 극판 사이의 평균 전위차는 f 이다.

⑵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는,전하량 0 가 전기 용량 C 인 축전기에 저장되는 동안 전원
장치가 한 일 W와 같 다 .

© 그림은 전기 용량이 각각 G=3/iF 인 2개의 축전기를 100누의 전원 장치에 연결한


모습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HHHI
G = 2 //F C F
⑴ 회로의 합성 전기 용량은?
⑵ C\
에 걸린 전압은?
100 V

© 그림은 전기 용량이 C로동일하고 판 사이가 진공인 축전기 A, B, C를 직류 전원 장치에 연결


한 모습이다. 유전율이 么0인 유전체를 C에 삽입한 후 충분한 시간이 흘렀다. 진공의 유전율은
타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7H넘 » 민 예제 a s
©(D1.2//F ⑵ 60V ⑴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은 A 가 C의 몇 배인가?
0 ( 1 )1 배 ⑵ C
⑵ 회로의 합성 전기 용량은?

136 2023 물리학 H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B 생활 속에서의 축전기의 사용

컴퓨터 키보드 심장충격기


글자판

^|0|b ^ ||
IL ■saa,.그

1불!^
웹 ᅳ유전처1

글자판을 누르면 축전기의 두 금속판 사이의 간격이 축전기에 충전되어 있던 전기 에너지를 짧은 순간동
좁아지고 전기 용량이 커지면서 전하들이 이동하여 안 심장에 흘려보내 X R 을 준다.
글자가 입력된다.

터치 스크린 가변 축전기(주파수 선택 장치}

센서 층 ^^^ᅥ 리 에 따른 용량 대
^^^^
— ᅳᅳ™ ■저도션
쓰 ■
ᅳ ■


.그^유리
,jfet 자기장의변화 溫 翁 ^
鐵 甚 흗 象
유리 전극에 전압을 걸어 전기장을 만들어 주면 손 다이얼을 돌려 축전기 극판의 넓이를 조절하면 축전
가락이 닿았을 때 표면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 기의 전기 용량이 변하는 점을 이용한다.
려온다. 이에 따라 전하량이 변하게 되고, 전기 용량
이 변하게 된다.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신호가 입력
된다.

콘덴서 마이크 Q0® 카메라 플래시 QB® ®


소리
진동판^ ^

금 기
전지서 박 신호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두 금속판의 간격이 변하면서 건전지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있다가 폴래


전기 용량이 변하는 점을 이용한다. 시 스위치를 누르는 순간 전기 에너지를 방전시켜
빛을 낸다.

스피커 텔 29 전기자동차 @2)


축전기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잘 흐르게 하여 낮 한 번의 충전으로 강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일반
은 주파수의 소리는 거르고, 높은 주파수의 소리만 적인 축전기보다 전기 용량이 훨씬 크고 에너지 밀
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가 높은 축전기를 개발, 연구 중이다.

연료 잔량 센서 축전기 압력계
두 극판 사이에 연료를 채우고 연료의 양에 따라 유 기준이 되는 압력과 측정하려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전율이 변하여 전기 용량이 변함을 이용하여 연료의 축전기의 두 극판 사이의 간격이 변함을 이용하여
잔량을 측정한다. 원하는 곳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 그림은 축전기, 스위치, 전원 장치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S를 닫고난 후 축전기가 완전 ^

히 충전된 후에 S를 다시 열고 극판 A 와 B의 간격을 + 배로 하였다. A 와 B 사이의 전위차


v-m
는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 〈 에서 축전기가 人I용되는 예만을 고르시오.


보기〉
m .- ^u -------- ■
» 민 예제 s s

터치 스크린, 자동 제세동기,
초음파 검사, 태양 전지
© I배
©터 치 스크린, 자동제세동기

PARTE. 전자기장
04
B, the First

축전기 i 전하와 전기장]:

01 그림은 전기 용량이 각각 C 2C인 축전기 A, B를 전압이 일정한 전원에 연결하여


완전히 충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양단에 걸린 전압은 从이다.

A B
Hl-
2C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표,틀린 것에 X표 하시오. [20.9.평7®(물I)]


■-*通 ----------------------------------------------------

기.축전기에충전된전하량은 A와 B가 같다. ( )
l B 양단에 걸린 전압은 2 VA0 1다. ( )
c. 축전71에 저장된 전71에너지는 A와 B가 같다. ( )

0 2 그림 (가)는 극판 사이의 간격이 d 인 평행판 축전기를 전압이 F로 일정한 전원에


연결한 후, 스위치를 닫아 축전기를 완전히 충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
에서 스위치를 연 후,극판 사이의 간격을 2d로 증가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H보 !

스위치 v 스위치 y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축전기 내부는 진공이다.)
[21.6. I)] 평가원 (물

飞 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나)가 (가)보다 작다.


L. 축전기에 충전된 전S광은 (가)가 (나)의 2배이다.
ᄃ.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나)가 (가)의 4배이다.

138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ᅳ ~ s
텔 "

B기 필
>= 수
nn 보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는 전압이 V로 일정한 전원, 평행판 사이의 거리가 2d인 축전기,스위치


크로 구성된 회로에서 S를 닫은 후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S를 연 후 평행판 사이의 거리를 d 로 감소시킨 상태를,(다)는 (나)에서 S
를 닫은 후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v v v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e0은 진공의 유전
율이다.) [21.9. 평가원 (물 I)]

ᄀ. 축전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가)에서와 (나)에서가 같다.


L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내에서가 (다)에서보다 작다.
ᄃ.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가)에서가 (대에서보다 직다.

02 그림은 평행판 축전기 A , B를 전압이 F 로 일정한 전원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


이고, 표는 A , B 의 극판의 면적,극판의 간격, 극판 사이에 채워진 유전체의 유전율을 나
타낸 것이다. A , B 에 충전된 전하량은 각각 2Q,0 이다.
A
11------- 축전기 A B
B 극판의 면적 2S S
圈 -----
극판의 간격 d 2d

유전체의 유전율 드A 드B
1,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수 능 (물 I)]

기. 전기 용량은 A 가 B의 2배이다.
Sa=2eb이다.
C.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A 가 B의 4배이다.

① ②l ③ ᄀ, c ④ ᄂ,亡 ⑤ ᄀ, ᄂ,亡

PARTI[.전 자 기 장 139
ED a ED ®
03 그림은 축전기 A, B, C, D를 직류 전원 장치에 연결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A,
B, C, D 에 저장된 에너지는 각각 2f/0,U0, 4U0,2t/0이다.

2 a u0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5.수 히 물 I)]

기. A 와 B에 충전된 전하량은 서로 같다.


l B와 C의 전기 용량은 서로 같다.
c. C에 걸린 전압은 D에 걸린 전압과 같다.

①n ②n ③ 기, l ④ l ,c ⑤ ᄀ, ᄂ,tr

04 그림 (가)와 같이 전압이 K로 일정한 전원과 전기 용량이 같은 축전기 A, B를 연


결한 후 스위치를 닫아 A, B를 완전히 충전시킨다. 그림 (나)는 (가)에서 스위치를 열고
유전 상수가 /c인 유전체로 A , B를 채운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나)에서 A, B 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각각 UA' t/B이다.

(4 (내

Ub
는? (단,(가)에서 A, B 내부는 진공이다.) [20. (S. 평가원 (물I)]
UA

① ②스 ③1 CD;

14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a H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필히들어야하는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ED 3 E] ®
05 그림은 극판의 면적, 극판 사이의 간격이 같은 평행판 축전기 a , B를 전압이 F 로
일정한 전원에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와 B 내부에는 유전율이 각각 sA, 대인 유
전체가 채워져 있고, A 와 B 에 충전된 전하량은 각각Q,2Q이다.
A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6. 평가원 (물 I )]

기. A 의 전기 용량은 "^■이다.

l. £:A=2eB이다.
c.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2QV이다.

06 그림 (가), (나)와 같이 전기 용량이 각각 CK' CB, Cc인 축전기 A , B, C를 전압이


F 로 일정한 전원에 연결하여 완전히 충전시켰다. B 양단의 전위차는 (가)에서가 (나)에서
보다 크다.

A C
1
B C
II
II II
II
1
V V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9. 평가원 (물 I)]

ᄀ. A 양단의 전위차는 (가)에서가 (나)에서보다 크다.


ᄂ. 충전된 전하량은 (가)의 C가 (나)의 A보다 작다.

CA > Cc이다.

P A R T I. 전자기장 141
L 전하와전기장
m

CH 3 CD ® "" _

07 그림 (가)는 전압이 일정한 전원, 유전율이 e인 유전체로 채워진 평행판 축전기,스


위치로 구성된 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은 후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스위치를 연 후 축전기의 유전체를 유전율이 2e인 유전체로 바 꾼 것
을,(다)는 (나)에서 스위치를 닫은 후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UN-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 4% (물 I)]

n 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나)에서가 (가)에서의 2배이다.


L 축전기에 저장된 전§ 팀은 (다)에서와 (나)에서가 서로 같다.
ᄃ.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다)에서가 (나)에서의 2배이다.

08 그림은 저항값이 인 저항 3개,가변 저항,전기 용량이 C 인 축전기를 전압이 F로


일정한 전원장치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9. 9. 평가원 (물 I )]

기.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i ?보다 작을 때 점 a의 전위는 점 b의 전위보다 낮다.


l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i?일 때 축전기의 전하량은 C F이다.

c.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0일 때축전기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ᅩCK2이다.


O

① ② ③飞亡

14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B, the First
ᅯ 신 로 I의 물 리 만점 전 략 가 !

g
B B S

제 ^
SI
B hhh

기본부터 심a w 지
ᄀ— ᅵ

밀히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전자기장

2 . 전류와 자기장

01 전류에의한자기장

02 전자기유도

03 상호유도
B, the First 1

미 전辱에의한자기장 2. 전류와자기장 ᅩ

il a ta k
D 자기장과 자기력선

1. 자기장
(1) 자기력 :자석과 같이 자성을 가진 물체가 서로 밀거나 당기는 힘

⑵ 자기장 : 자기 력이 작용하는 공간 [단위 : T (테슬라)]

2. 자기력*?
전기력선은 전기력의 방향을 나타내지만 자기


⑴ 자기력선 : 자기장 속에서 나침반자침의 자극이 가리키는 방향을 연결한 선

@
력선은 자기장의 방 나 타 낸 다 .

\
1
⑵자기력선의 특징


©
① 자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간다.

/
/
자기력선 반
② 자기장의 방향은 자기력선의 접선 방향이다.
♦ 나침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
③ 서로 교차하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④ 자기 력선의 밀도가 크면 자기장의 세기가 크고 밀도가
작으면 자기장의 세기도 작다.
©
0
B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의 자기장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의 자:71장 점리 1. 직선 전류에 의한자기장

직선 원형 솔레 ⑴ 자기장의 방향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의 방향을 전류의 방향과 일치시
전류 전류 노이드
키면 나머지 네 손가락의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다.
엄지
내부
손가락 방 전류 전류

자기장 言
전류
네 손가락
자기장
자기장 자기장 전류
방향

^ 卜기장의
세기 다 k"nl

⑵ 자기장의 세기 : 자기장의 세기 5 는 전류의 세기 ^에 비례하고, 직선 도선으로부터의 거리 r 에


반비례한다.

B =k

O 다음은 자기력선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1) 자기장의 방향은자기력선의 ( ) 방향이다.
(2) 자기력선의 밀도가크면 자기장의 세기가( ).

© 세기가 I 인전류가 흐르는 무한히 긴 도선으로부터 선만큼 떨어진 곳의 자기장의 세기가5 라면, 세기가 21인전류가흐르

는 무한히 긴도선으로부터 f 만큼 떨어진곳의 자기장의 세기는?

146 2023 물리학 H [필수본] 개념완성


mmmis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 BAE Kl BEOM ■

★자기장을 자기력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구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심 POINT ① 전류에 의한 자기장 ② 자기력선

!L Q G3 K ----
(3) 평행한 두 직선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 -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 ①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
오른손을 펴고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을 전류의
방향과 일치시키고, 네 손가락을 자기장의 방향
과 일치시키면 손바닥 위로 올라오는 방향이 전
류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이 된다.

a r

두 직선 전류의 사이에서 각 직선 전류에 의한 자 두 직선 전류의 사이에서 각 직선 전류에 의한 자


기장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자기장이 상쇄되 기장의 방향이 서로 같으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어 세기가 약해지고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자기력 세지고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 ② 평행한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
전류 /2에 의한 자기장이 전류 ᅀ이 흐르는 도선
이 작용한다. 한다. 주위에 형성된다. 자기장 방향을 오른손의 네 손
가락. ^의 방향을 엄지 손가락과 일치시키면 손
바닥이 가리키는 방향이 전류 ᄉ이 흐르는 도선
이 받는 힘의 방향이 된다.

그림과 같이 세 개의 긴 평행 도선이 나란히 놓여 있다. 세 도선에 같은 A


방향으로 20 A 의 전류가 흐른다고 할 때, 도선 B 에 미치는 자기장의 세
기와 방향은? (단,々=2X1(T7N/A2이며, [N/A . m]=[T]이다.)
0.5m

關 세기 :4 X 1 0 T, 방향 :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무한히 가늘고 긴 직선 도선 A, B 가 서로 수직하게 /个 A


고정되어 있다. A 와 B 에는 각각 I,
2/의 전류가 흐르고,P 점은 A 와 B 에서
r --- .P
각각 2r, r 만큼 떨어진 지점이며,Q점은 A 와 B 에서 각각 r ,
3r만큼 떨어진 r B
지점이다. ᅳT F
2T

P 점과 Q 점에서의 자기장의 세기의 비 BP:5 q는? (단,지구 자기장은 무시 Q ; — - 3r

한다.)

E l i 9 :2

© 그림과 같이 평행하게 놓여 고정된 도선 A, B가 있다. A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강방향이고,


B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방향은 一x 방향이다.

ᄂ x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A
⑵ A 가 B에 형성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PART 표.전자기장 147



1
B, the First

전辱에의한자기장 2. 전류와 자기장

1L Q G3 K
2. 원형 전류에 의한 자기장

⑴ 자기장ᅦ 방향 : 오른손 엄지 손가락의 방향을 전류


원형 도선 주위의 자기장....................
ᅳ 병 1¥ 과 일치시키면 나머지 네 손가락이 감아쥐는
원형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원형 도선은
자극을 가진다.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다.

⑵ 자기장의 세기: 자기장의 세기 B 는 전류의 세기 ^에


자기장의
비례하고,원형 도선의 반지름 r 에 반비례한다. 방향

B=k

lo~7 T • m/A

그림은 원형 도선 A 와 B 를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놓고 전류를 흘렸을 때, 각각의 원형 도선의 중심에


놓인 나침반을 나타낸 것이다. A 와 B 는 각각 반지
름의 길이가 r, 2r 이고, 전류의 세기는 h , /2이며,
원형 도선이 수평면과 만나는 두 점을 잇는 선분과
나침반의 N 극이 이루는 각도는 30°, 60°이다.

I, : / 2는? (단. 지구 자기장은 균일하며, 각각의 도선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i^ rW L O A .
그림과 같이 무한히 긴 직선 도선 옆에 세기가 ^ 인 전류가 흐르고 반지름이
C?인 원형 도선이 놓여 있다. 원형 도선의 중심 ᄋ에서 직선 도선까지의 거
리는 2d이며 두 도선에 의한 ᄋ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는 0이다.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세기는?

rnaaa 에제
O 그림 (가)는 점 0 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이 r 인 원형 도선 A 에 전류 I 가
흐르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 (나)는 (가)에 점 ᄋ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이
3r인 원형 도선 B를 추가로 놓은 모습이다.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
향은 같으며 0 에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나)에서가 (가)에서의 3
배이다.

B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

148 2023 물리학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n q m ts ----
3.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 (내부) •................................................................. ! 레노01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71장
• 내부: 중심축에 평행한 균일한 자기장 형성
⑴ 자기장의 방향 : 오른손의 네 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으로 감아쥘 때 엄지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
. 외 부 : 막대자석이 만드는 자기장과 유사한
향이다. 자기장 형성

⑵ 자기장의 세기 • 내부 자기장의 세기 B 는 전류의 세기 /와 단위 길이당 감은 수 지에 비례한다.

B=k" n l


■•음
"=47Txl°"T •m/A

(3) 솔레노이드의 이용
① 솔레노이드의 이용 예 : 초인종,기중기,자동 문열림 장치,자동차 시동 모터,자기 부상 열
차,MRI

② 전자석 : 솔레노이드에 철심을 넣은 것으로 전류가 흐르면 전류 전류

철심이 자기화되어 더 강한 자기장이 형성된다. W


r
115
IZ

솔레노이드 전자석

^ C l KL05-
그림은 10 A의 전류가흐르는 길이가 2 m인 솔레노이드이다. 이때 내부자기
장의 세기는5 이다. 솔레노이드의 감은 수는 그대로 유지하고 길이를 4m로
증가시킨 뒤 5 A의 전류를 흘려보냈을 때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자기장의 세
기는? 嘗전류 전류|

©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기. 내부 자기장의 세기는 단위 길이당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한다.


L. 내부 자기장의 세기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i=. MRI에 이용된다.
s 내부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손으로 전류가 흐르는 방향대로 감았을 때 엄지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다.

p a r t n. 전자기장 149
m B, the First -------------------

전류에 의한 자기장 2. 전류와 자기장J

01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무한히 긴 직선 도선 A, B, C가 재평면에 고정되어 있


고, C 에는 세기가 /인 전류가 +X방향으로 흐른다. 점 p,q, r는:행평면에 있고,p, q에서
A, B, C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0이다.

|A B i

Pj
~
1 ! ' r JJ 、
Ci x
qT
r;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0. 9. 평가원 (물 I )]

-1. 전류의 방향은 A 에서와 B에서가 같다. ( )


l . A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보다 작다. ( )
C. r에서 A, B, C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방향은 ;£2/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
이다. ( )

02 그림과 같이 재평면에 고정된 무한히 긴 두 직선 도선 A, B에 세기가 각각 / A, I B


로 일정한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축상의 x = 0 ,3d, M 인 점에서 A, B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각각 2凡 2B0, 3fi0이다.

y
/a /b
厂 , r
0 d 2d 3d 4d 5d x

A B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2. 6. 평7則 물 1»

i . B 에 흐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의 세기는야해에서와x = M 에서가 같다. ( )


l A 와 B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같다. ( )

ᄃ .会 = 音이다. ( )

150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n
I 신로I 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v

B기 習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다음은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고f정]
(가) 그림과 같이 직선 도선이 수평면에 놓인 나침반의 자침과 나란하도록 실험 장치를 구성한다.

(나) 스위치를 닫고 나침반 자침의 방향을 관찰한다.


(다) (가)의 상태에서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화시킨 후, (나雇 반복한다.
(라) (가)의 상태에서 ! Q ~ I, (나雇 반복한다.

[실험 결과]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9. 유 (물대

기. (나)에서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a—b 방향이다.


L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나)에서가 (다)에서보다 작다.
c. ‘전원 장치의 (+), (-) 단X때I 연결된 집게를 서로 바꿔 연결한 후’는 @으로 적절하다.

PART 1L 전자기장 151


CD 3 E3 © ----- _ _

02 그림 (가)는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르는 무한히 긴 직선 도선 A , B가 재평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A, B는 각각 x 축상의 x= ᅳd, 에있
고, 점 p는 값축상의 y=d 인 점이다. 그림 (나)는 (가)의 x축상에서 A 와 B 에 흐르는 전류
에 의한 자기장을 x 에 따라 나타낸 것이고, 자기장의 방향은 +#방향이 양(+)이다.

도선 A
~ a
d o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9. 평께(물1)]

--------------------------------------------------
기. 전류의 세기는 A 에서가 B에서보다 작다.
l A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이다.
c. A와 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P에서가 원점에서보다 작다.

① ② ③ ᄀ, ᄃ ④ ᄂ ,亡

03 그림 (가),(나)와 같이 무한히 긴 직선 도선 A , B 가 재평면에 수직으로 값축상의


y=d, 강= _ d 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점 p는 :축상의 x = 2 d 인 점이고,(가)와 (나)에서
A , B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 0이다. A, B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가)에서 서로 같
고,(나)에서 서로 반대이다. (가), (나)의 p에서 A, B 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각각 (가),

나)이다.

) 도선 A d ® 도선 A

2d 2d

도선 B

(^
(나)

PiZR 는? [22. 수능 (물 1>]


크 (나)

①2 ⑤ 3

15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S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智수


기본부曰 심화까지

ED a ED
04 그림과 같이 무한히 긴 직선 도선 p ,Q를 각각 재평면의 고축과 ^축에 나란하게 고
정하고, 같은 평면에 원형 도선 요를 놓았다. P . Q , 요에는 각각 방향과 세기가 일정한 전
류가 흐른다. 표는 요의 중심을 점 a, b, c, 선로 했을 때 요의 중심에서 P , Q , 요에 의한 자
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중심의 위치 자기장의 방향 자기장의 세기


a B

b 없음 0
c 3B

d ® Q

®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

© 은? [17. 10. 교육청 (물 I )]

①크 ④ 4S ⑤ 55

05 그림과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무한히 긴 직선 도선 A, B 가 세기는 5 0이고 방향


은 tv 평면에 수직인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놓여 있다. x 축상의 x = -d, x=rf를 지나며
•지/평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A 와 B 에 각각 세기는 같고 방향은 서로 반대인 전류가 흐를
때,자기장의 세기는 원점 ᄋ에서 細 0이고,^축상의 y=d9l 점 P 에서 이다.

는 ? [22. 9. 평가원 (물 I )]

①譽 60 ②뉴 ③푼 B
0 ④^ B 0 ⑤音 6
P A R T I. 전자기장 153
02
B, the First

전자기 SS 2. 전류와 자기장

[L Q G3 K
□ 자기력선속과 전자기유도
1. 자기력선속(자기 선속)

⑴ 자기력선속: 자기장에 수직인 단면적을 지나는 자기력선의 총 수


⑵자기력선속의 크기

① 자기력선속 0 은 자기장의 세기 5 와자기장에 수직인 면적 ^4에 비례한다. [단위 : W b (웨버)]

0= B A
법선
② 자기장과 단면의 법선이 이루는 각이 0 일 때 자기력선속은
^SAcos 핏이다. BCOS0-

B
p a 전자기유도의 탄생
2. 전자기 유f
세상은 대칭적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는 믿음
으로부터 전류가 자기장을 만들어 낸다면 자기 ⑴ 전자기 유도 현상 : 자석과 코일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코일을 지나는 자기력선속이 변
장으로도 전류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
을 하게 된다. 이 생각으로 인해 값싸게 대량으 할 때 발생
로 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⑵ 유도 기전력: 전자기 유도에 의해 코일 양 끝에 생기는 전압
① 렌츠 법칙 : 유도 전류는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력선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N극을 가까이 할 때 N극을 멀리 할 때


운 동 방향

우 동

자석에 의한자기력선
」바 0하

—^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력선
— 유도 전류의 방향
0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 증가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 감소


코일 위쪽01N 극o |되도록 코일에 유도 전류 흐|
7ᅡ 코일 위쪽01S극o |되도록 코일에 유도 전류7 ᅡ
흐I
전류 방향 : B ᅳ ◎ ᅳ A 전류 방향 : A ᅳ ◎ ᅳ B

■ Q e

® 전자기 유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
i. 자석의 세기가 셀수록 유도 전류의 세기가 커진다.

자석이 코일 내부에 정지해 있을 때 코일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 유도 전류의 세기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 그림과 같이 막대 자석의 N극이 코일 쪽에서 멀어지도록 움직였을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o
©c *저항ᅳp « - vw-«--
AAA .__
저항 q

15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_________________ 전략가 ! ______

♦ 유도 기전력을 이해할 수 있다.


★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한 유도 기전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심 P이NT © 자기력선속 © 유도 기전력

② 패러데이 전자기 유도 법칙 : 유도 기전력의 세기는 자기력선속을 빠르게 변화시킬수록 커지


며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한다.

AO
v =Qn
^a T

B 유도 기전력의 크기
(1) 면적이 일정한 도선 고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변할 때
① 유도기전력
자석이 회전할 때
자석을 빠르게 회전시킬수록 유도 기전력은 커
A0 A{BA) 지고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의 방향이 계속
£= 一 N- -■-N1
~a T At -NAf 변하므로 유도되는 기전력의 방향도 자석의 회
전에 따라 변한다.

①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최대일 때


N A AB
② 유도 전류의 세기
R At
k자석 회전
B - r

그림 (가)와 같이 저항 요가 연결된 직사각형 도선이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균일한 자기장 영역 I 과

I 에 반씩 걸쳐져종이면에 고정되어 있다.그림 (나)는 (가)의 I , 표에서 자기장의세기를시간에 따라나타

낸 것이다.

영역 I ③
② 코일을 통과히는 자71선속0 1최소일 때

k자석 회전

영역 n 용

(가) (나)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1초일 때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⑵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2.5초일 때가 1초일 때의 몇 배인가?

j g g j (1) 반시계 방향 ⑵ 2배
자 기 장
균일한 자 기 장

X X X

© 그림 (가)는 저항 묘가 연결된 도선의 일부가


X
X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고정되어 있는 모습


X

X
X

o
X

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자기장의 세


XP^

기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V R

\
V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나)


(4
⑴ 0~17초 중 저항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전체 시간은?
⑵ d 구간에서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P A R T I. 전자기장 155
02
B, the First

전자기 유도 2. 전류와 자기장

QL Q G3 K
⑵ 균일한 자기장에서 도선 고리의 면적이 변할 때
등^。
>는 도성!니내> 밝V는 유도 7며력
① 유도기전력
코일미회전할때 .............................
코일을 빨리 회전시킬수록 유도 기전력이 커지
고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계속 변하므로
코일의 회전에 따라 기전력의 방향도 변한다.

①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최대일 때

s = - N 辱 = - N 鄭 A) - N B ^~ = - N B {^ l = -NBlv
At At
각芒수 TV은 i f J

Blv
② 유도 전류의 세기
R

& Q IL 0 2 -
그림 (가)는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세기가 5 로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서 저항 R 가 연결된 평행한 두

도선을 종이면에 고정시키고, 도선 우I에 도체 막대를 놓은 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

림 (나)는 도체 막대의 속력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p와 q 사이의 거리는 d 이다.


I如

G12S)
자기력 ...........................................
도체 막대가 등속도 운동하기 위한 알짜힘은 0
이어야 하므로 도체 막대를 끄는 일정한 외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자기력이 작용한다. 도체 막대 At 8t 시간

(가) (나)
f =bh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도체 막대는 균일한 자기장 내에서만 운동한다.)

(1) 호일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⑵ 않 동안 저항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 변호!


를 쓰시오.

⑶ 많일 때,저항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세기는?

B 편1 (1) p R ••>q ⑵ 일정하다. ⑶ 뿌


K

■Q l 剛 ': « ■ —
0 그림과 같이 0.5 T로 일정한 세기의 자기장 영역에 놓인 폭 /이 1 m인 i=자형 도선
위에서 도체 막대를 2 m/s의 일정한 속력으로 당기고 있다. 도선에 연결된 저항
i ?의 저항값은 10요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고리 ABCD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2) 저항 서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세기와 방향은?
..........■ . 關 謂 ■ ...........
Od)lV
(2)0.1 人 1 > - 1 ^ — (:방향

156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EO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에너지 보존
G ia )
1. 전자기 유도의 의미
벼:S3*
⑴ 에너지는 보존된다. (역학적 E ᅳ ^ 전기 ET)

⑵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⑶ 자석과 코일의 상대 운동(역학적 바 자기력선속 변화 ■►유도 기전력 발생 (전기 E )

GUS)
2. 유도 기전력과 에너지 보존

(D 일정한 자기장 내에서 도체 막대를 움직일 때의 소비 전력


①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岭 유도 전류가 흐른다. -► 전기 에너지가 소모된다.
② 유도 전류 /가 흐르는 저항 i?에서의 소비 전력은 다음과 같다.

p = i 2r = ( ^ - J r

(2) 오|력이 해 준 일의 일률 ------- -..............-........ .......... -------.......................................


①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르면 외력(막대를 움직이는 힘)이 한 일의 일률은 저항 에서 소모되
외력이 한 일의 일를
는 전력과 같다.
② 도체 막대를 F 의 힘으로 일정한속력 2;
로 당기면 일률은 於이다.

lv=BRv

③ 도체 막대가 등속 운동을 하므로 알짜힘이 0이다. 즉,자기력과 외력 F 는 크기는 같고 방향


은 반대이므로 자기력은 이다.

^rm - 0 3 .
그림과 같이 크기가 5 TO ᅵ고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균일한자기장 영역에 저항값이 10요인 저항이 연결된 c 자형 도선

을 고정시키고, 도선 위 도체 막대를 2 m /s의 일정한 속도로 당7 1고 ion

있다.
도체 막대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E H 5N

© 그림과 같이 솔레노이드 안으로 막대자석을 자유 낙하시켰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역학적 에너지가 가장 클 때는?


(2) 유도 71전력의 크기가 가장 클 때는?

©(1) (가) ⑵ (다)

P A R T I. 전자기장 157
02
B, the First ~~• ᅳ

전자기 2. 전류와 자기장 t

□ 전자기 유도의 활용
1. 발전기
⑴ 발전기 :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⑵•발전기의 원리와 발전 과정
① 원리 : 균일한 자기장 내에서 코일을 돌리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이 변하면서 유도
전동기
기전력이 발생한다.
발전기는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동
기는 전기 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지 ② 발전 과정
만 둘의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전동기에서 전
지 대신에 전구와 같은 저항을 연결하고 코일을 0° ᅳ 90° 90° - 180° 270° 270 서 360°
회전시키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연구 ᄌkd
니 j

■자기 력 선 속 : 감소 • 자기력선속 : 증가 • 자 기력선속: 감소 • 자기력선속 : 증가


' 유도 전류의 방향 ■유도 전류의 방향 •유도전류의 방 향 : . 유도 전류의 방향
:b —a :b —a :a ᅳb :a 一b

@ 향D
►⑶ 발전기에서의 유도 기전력
① 자기력선속: 코일이 각속도 이로 회전할 때, 코일면을 통과하는 자속 선는 다음과 같다.
자속과 유도 기전력의 관계

<t>=BAcoscot

② 유도 기전력 :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시간당 자기선속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시간에 따른 유


도 기전력은 다음과 같다.

coBAsincot
A

© 균일한 자71장 속에서 코일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
보기>에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7 1를 증
가시키는 방법만을 고르시오.

ᄀ. 세기가 더 큰 자기장 속에서 회전시킨다.


L. 코일을 더 빠르게 회전시킨다.
자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바꾼다.

im stei on제 s s
©

158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tL Q 03 K ---
2. 전기 기타
(1) 전기 기타 :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유도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고 기타 소리를 원하는 크기로
재생할 수 있다.

(2) 전기 기타의 구조와 원리


① 구조 : 전기 기타의 픽업 램프는 작은 원통형 자석 주변에 코일이 기타 줄

감겨 있는 고리 구조이다.
② 원리 : 기타 줄을 튕기면 기타 줄 아래쪽에 있는 자석에 의해 자
기화된 기타 줄이 진동하면서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력선속이 변
하고,이때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류가 흐른다.

© 다음은 전기 기타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전기 기타의 픽업 램프는 작은 원통형 자석 주변에 ( © )이 감겨 있는 구조로. 기타 줄을 튕기면 기타 줄 아래쪽에


있는 자석에 의해 자기화된 기타 줄이 진동하면서 ( Q )을 통과하는 ( © )이 변한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PART I . 전자기장
□2
B, the First

전자기 S 도 2. 전류와 자기장

8CR601
01 그림 (가)와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균일한자기장5 가 있는 영역에 금속 고리가
고정되어 있다. 그림 (나)는 (가)의 고리면을 통과하는 5 에 의한 자기 선속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5 의 방향은 종이면에 수직이다.

별 성 벨 ////헬
//뿔
/롤율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표 하시오. [22. 6. 평가원 (물 I )]

----

기. 1초일 때,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최대이다.


l . 유도 전류의 방향은 2초일 때와 4초일 때가 같다.
c. B 의 방향은 1초일 때와 3초일 때가 서로 반대이다.

02 그림 (가)와 같이 고정된 직사각형 도선의 일부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균일한 자기


장 영역에 놓여 있다. 저항의 저항값은 0.01D이고, 자기장의 방향은 도선이 이루는 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그림 (나)는 자기장의 세기 Bu B2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
이다.

자기장
X 세기
X X X 0.010
(mT)
VVv
X T
X X X r
20 cm
X X X X
r ᄀ |X
^20cm-*- 20 cm ― ᅳ 20 cm ᅳ
X X X X X
0 1 2 3 4 5 6 시간
(초 )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5. 6. 평가원 (물 I )]

기. 1초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ᄂ. 3초일 때 세기는 0이다.
c. 5초일 때 세기는 16m A 이다.

16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B A E K l B E O M ᅳ ᅳ

習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과 같이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놓인 금속선의 양 끝을 일정한 속력으로 당겨 원


형 부분 p 의 반지름을 일정하게 감소시키고 있다. 자기장의 방향은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
어가는 방향이다.

p 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크기와 전류의 방향은? (단, 금속선을 당기는 동안 금속선은 종이


면에 놓여 있다.) [15.6. 평가원 (물 I )]

기전력의 크기 전류방향 기전력의 크기 전류 방향


① 감소한다 @ ② 감소한다 ⑥
③ 일정하다 @ ④ 일정하다 ®
⑤ 증가한다 @

02 그림은 세기가 각각 B, 25로 균일한 자기장 영역 I , I 에 저항값이 꼬인 저항이


연결된 평행한 두 도선을 종이면에 고정시키고,도선 위에 놓인 도체 막대를 일정한 속도
y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영역 I 영역 n ᅳᄉ도체
B ® 2e 막대
X ! !X X x
Li'V
® ® ® ®
i| v
X \;~ ►- X © ®

® ®
X i_| X X
® ®

x 종이면에 수직으로 ® 종이면에서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 나오는 방향

도체 막대를 I ,n 에서 이동시킬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것은? [13ᅴ % (물 I)]

1.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I 에서와 I 에서가 반대이다.


L.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I 에서가 I 에서보다 크다.
C. 유도 전류에 의해 도체 막대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방향은 I 에서와 I 에서가 같다.

PARTH. 전자기장 161


[a a ca ®
03 그림 (가)는 :
대 평면에 수직인 균일한 자기장 영역 I , I , E ,IV에서 반원형 금속
고리가 원점 0 를 중심으로 재평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할 때,
시간 ^=0인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I ,1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서로 같다. 그림
(나)는 주기 r 동안 (가)의 고리에 유도되는 전류를 때ᅵ따라 나타낸 것이다. 전류의 방향은
시계 방향이 양(+) 이다.

전류
영역 n
X X . 1역 J Io
X X 參 •

V!
r

r T ST :r ^

-r 2 4
영역 m 영역 VI

::대평면에 들어가는 방향
:재평면에서 나오는 방향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9. 평가원 (물 H)]

기. I[과 F 에서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같다.


ᄂ. n 과 ff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서로 같다.
ᄃ. (가)에서 고리의 회전 방향만 시계 방향으로 바꾸면 고리에 유도되는 전류의 최대 세기는
2/0이다.

① ② ③ © ᄀ, ᄂ ⑤ u, n

16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 i ᅳᅳ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O M -

밀히 들에)ᅣ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_ G3 3 G3 ®
04 그림은 재평면에서 동일한 정사각형 금속 고리 P ,Q ,R 가 각각 - 값방향,+X방향,
+ X 방향의 속력 V 로 등속도 운동하고 있는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 이때 묘에 흐르
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이다 . 영역 I 과 ]!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각각 B 0,

2 5 0으로 균일하다 .

X :채평 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


® :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단 , P , Q , R 사이의
상호 작용은 무시한다 . ) [19. 6. 평가원(물I )]

기. 모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L 요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시계 방향이다.
C . 유도 전류의 세기는 Q 에서가 R 에서보다 작다.

① ᅳI ② 1_ ③ -1, C ④ 亡 (D n , 亡

05 그림 ( 가)와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금속 고리가재평면에서 + x 방향으


로 자기장 영역 I ,I ,m 을 통과한다 . I ,I , m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각 각 b ,2 B , 5 로
균일하고,방향은 모두 재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 P 는 금속 고리의 한 점이
다 . 그림 ( 나)는 P 의 속력을 위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속력
영역니영역 피영역I I I
B \ 2 B ;B 2 v

0 jP,>
/ i d id 4 d x

0 d 2 d 3 d A d 5 d 위치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0. 9 . 평7 던 (물1 )]

기. P 가x = 1 .5 d 를 지날 때, 모에서의 유도 전류의 방향은 — y 방향이다.


l . 유도 전류의 세기는 P 가 x = l . M 를 지날 때가 z = 4 .5 r f 를 지날 때보다 크다.
c . 유도 전류의 방향은 P 가 x = 2 . M 를 지날 때와; c = 3 .5 r f 를 지날 때가 서로 반대 방향이다.

① ② ③ ᅳI, l ④ ᄂ, 亡 ⑤ ᄀ, ᄂ, ᄃ

P A R T I. 전자기장 163
06 그림 (가)는 재평면에 고정된 원형 금속 고리와 균일한 자기장 영역 I ,I 를 나타
낸 것이다. 고리의 중심은 원점 o 이고,I 에서 자기장 하의 방향은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이며,n 에서 자기장 5 ,의 방향은 재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그
림 (나)는 Bu 5 !의 세기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고리의 두께와 폭
은무시한다.) [22.4농(물]!
)]

-1. 고리면을 통과하는 표과 ^ 에 의한 자기 선속의 크기는 1 초일 때가 4 초일 때보다 작다.


L . 고리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1 초일 때가 4 초일 때보다 크다.
口. 1 초일 때 유도 전류는 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① ᅳI ② U ③ 기, U ④ U ,■드 ⑤ ~ 1 , U , IZ

164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j — T I 신릐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j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G3 3 C2 ©
07 그림 (가)는 균일한 자기장 영역 I ,I 를 포함한 재평면상에서 저항이 이고 반지
룸이 a 인 반원형 도선이 원점 ᄋ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할 때,시
간손
=0인 순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의 도선이 회전하는 동안 도선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f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I ,I 에서 자기장의 방향은재평면에 수직이
고,도선의 회전 주기는 r 이다. 시계 방향으로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양(+)이다.

유도

_ /0 : ;----- 1 J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도선의 두께와 외
부 자기장은 무시한다.) [21. 9•평가^ (물표
)]

ᄀ. I 과 I 에서 자기장의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ᄂ. I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 ? 이다.


2m

C. 도선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도선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货 7이다.

①n ②n ③ ④ L ,n ⑤ ~i,u ,n

P A R T I. 전자기장 165
2. 전류와 자기장
M U

ta a ca ©
08 그림 (가)와 같이 한 변의 길이가 0;
인 정사각형 금속 고리가 xy평면에서 시간 ^=0
일 때 균일한 자기장 영역으로 들어가 +Z방향으로 속력 v로 등속 운동을 한다. 그림 (나)
는 균일한 자기장의 세기를 H1 따라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의 방향은 재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p는 금속 고리의 한 점이다.

자기장의 1

IN
세기표

-1 I_ _
d 2d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금속 고리의 두께
와폭은무시한다.) [21. 4% (물1)]

^=|;일 때, p에서 유도 전류의 방향은 +Z방향이다.

는 _ 일 때. 유도 기전력은 0이다.
2v

t= 일 때, 유도 기전력의 크7 ᅵ
는B0vdO ᅵ
다.

① ② ③ᅳ
I, 仁

09 그림은 균일한 자기장 속에 놓인 직사각형 도선이 자기장의 방향에 수직인 회전축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의 방향과 도선이 이루는 면 사이의
각은 0 이고, 점 a, b. c는 도선에 고정된 점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6.4능(물I )]

기. 도선이 이루는 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0=0°일 때 초I대이다.


l 0=45° 일 때, 도선에는유도 전류가 a ᅳ b ᅳc 방향으로흐른다.
c. 0 가 180°를 지나면서 b와 c 사이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이 바뀐다.

166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03
B, the F irst 1

상호 SE 2. 전류와 자기장 t

[l [i [a k
D ^ ■호유도

1. 상호유도

(1) 상호유도 : 전원이 연결된 1차 코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할 때 2차 코
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전원에 연결된 코일은 1차 코일.
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코일은 2차 코일이라고
힌다.

⑵ 상호유도 발생 고느정
①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1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속이 증가한다.
② 1차 코일에 인접한 2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력선속이 증가한다.
③ 2차 코일에 자기력 선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3©
⑶ 상호유도 전류의 방향

/ \
전류
① 스위치를 닫을 때 : 1차 코일과 반대 방향
② 스위치를 열 때 : 1차 코일과 같은 방향 시간
2차코일의 I
유도전류
f V

U 시i
상호유도기전력
(P
상호유도 계수는 코일의 모양. 감은 수. 두 코일
A02 A02 A h
의 상대적 위치 및 철심과 같은 물질의 유무에 v2= -n 2 -n 2
따라 결정된다.
At ' ~Ah ^At
P r,

그림과 같이 철심에 1차 코일과 2 차 코일이 감겨 있다 . 1차 코일에는 전원 장 1차 코일 2차 코일

치 가 ,2 차 코 일 에 는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 전원 장치의 전압 을 점점 증 I in


가시킬 때, 2 차 코일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 i.
p R q

p^ R - q

O 상호유도 계수가 5 H 인 1차 코일에서 0.1초 사이에 4 A 의 전류 변화가 있었다. 1차 코일 2차 코일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몇 꾸인가?
⑵ 2차 코일에 연결된 저항이 200 요이라면 유도되는 전류는 몇 A 인가?

16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 상호유도를 이해한다.
* 상호유도가 활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임 POINT ① 상호유도 ②상호유도 기전력 ③변압기

1L Q G3 K ----
B 상호유도의 이용

1. 변압기: 상호유도를 이용하여 전압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장치

(D변압기의 구조: 철심에 두 개의 코일을 감은 구조


감은 수


v2

(2) 변압기의 원리
^ ^ 번 감은 1차 코일에 공급되는 전압 %과 ZU 동안 발생하는 자기력선속 변화 zl 하의 관계
A0!
Vi = ~Ni
At
A 02
② 7V2번 감은 2차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7 1전력 : F2= ᅳN 2
At

③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서 시간당 변하는 자기력선속이 같으므로 ^ ■ 띠 이 다 . ᅵ

④ 변압기에서 전력 손실이 없다면 % / != % /2이다. 1차코일의 감은 수(M)와 2차 코일의 감은 수M

① 승압 변압기
• 송전 과정에서 손실 전력을 줄일 때 人居
i i = M =A • 공업용 변압기, 발전소 변압기 등
V2^ N 2~ h
② 况 > 祝 : 강압변압기
• 소비지에서 사용하기 알맞게 전압을 낮출

^TTTL02- 때 시용
• 주상 변압가 가정용 가전제품용 변압기 등
그림과 같이 1 차 코일과 2 차 코일을 각각 1 0 0 번, 1 0 0 0 번 감은
변압기에 교류 전원과 저항값이 1 1 Q 인 저항을 연결하였다.
% = 2 2 V 라고 할 때, V 2, h , h 순서대로 각각의 값을 구하 im

시오. ( 단, 변압기의 전력 손실은 무시한다.)


1차 코알 2차 코일
(100번) (1000번)

P H F 2=220 V, / 2-20 A , / ! -200 A

0 그림과 같이 1/ 의 일정한 전압을 생산하는 교류 전원에 변압기와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각각 감은 수가 N h iV2이며,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 이다. 이때, 2차 코일의 감은 수를 2爲 로 바꾸었다면,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단, 변압기의 전력 손실은 무시한다•)

1차 코일 2차 코일

■;關 내 卜¥匿
©21

P A R T I. 전자기장 169
B, the First

03 상 호 유 도 2 ■전류와자기장

[L Q G3 (2
2. 상호유도의 이용 예

인덕션 레인지 무선 충전기

조리 기구에서
유도 전류 발생
상판

교류가 흐르는 코일

인덕션 레인지 유리 아래의 넓은 코일(1차 코일)에 충전 패드의 1차 코일에 교류가 연결되면 기기에
전류를 흘려주면 인덕션 냄비가 2차 코일의 역할 있는 2차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p i 맴돌이 전류 을 하여 바닥에 멤돌이 전류^ 가 흐른다. 빠 기기에 유도 전류가 흐르고 배터리가 충전됨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코일 주변에 자기장
"► 전류에 의한 열 발생
이 생긴다. 이때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자기
장도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코일 아래 금속판
교통카드 단말기(RFID) QE® 금속 탐지기
에 맴돌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단말기 즈M 장

전송 코일
메모리칩

변하는
태그, 리더, 호스트로 구성이 되며 리더의 안테나
가 1차 코일이 되고 태그가 2차 코일이 된다. 즉,
f
轉:
fS H
검출 코일

금속

금속 탐지기 안의 전송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려보


내면 자기장이 발생하고 금속 근처에 가면 이로 인
자기장
교통 카드(태그雇 전류가 흐르는 단말기에 접촉시 해 금속에 멤돌이 전류가 흐른다. 멤돌이 전류에 의
키면 상호유도 현상에 의해 교통 카드에 유도 전류 해 자기장이 발생하고 검출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맴돌이
전류 가 흐르게 되고 정보를 읽는다. ■►금속을 찾을 수 있음.

고압방전장치 32®
금속

축전기

1차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다가 갑자기 끊게 되


면 상호유도에 의해 2차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
생한다.
바 유도 기전력이 충분히 크면 2차 코일에 연결된 두
금속 人K) |에서 불꽃01튀는 방전 현상01나타남.

鬧 丽
1 ■

인덕션 레인지는 상호유도를 활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인덕션 레인지 내부에 있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조리 기구가 | ) 코일의 역할을 하여 조리 기구에
)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조리 기구가 가열된다.

170 2023 물리학I [필수본] 개념완성


B the First mr

03 상 호 유 도 2. 전류와 자기장 f

01 그림 (가)와 같이 전류 ^이 흐르는 1차 코일과 검류계가 연결된 2차 코일이 있다.


^에 의한 자기장 화이 2차 코일을 통과하고,하에 의한 2차 코일의 자기 선속은 0 이다.
그림 (나)는 J\
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1차코
일 2차코

(가 )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2.6.평


가원(물11)]

ᅳI. (P는 3f0일 [4 일때보다 크다. ( )


L. &일 때, 상호유도에 의해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b ᅳ ◎ ᅳ a이다. ( )
「 상호유도에의해2차 코일에흐르는전류의세기는 ^)일때가 않0일때보다 크다. ( )

02 그림은 하나의 코일이 동시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변압기가 연결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1차 회로와 2차 회로는 각각 코일의 M ,況번 감은 부분에 연결되
어 있다. 교류 전원의 전압은 일정하고, 저항의 저항값은 꼬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 변압기에서의 에너지 손


실은 무시한다.) [18. 9. S7ffl(tl)]

기. M 을 증가시키면 철심의 단면 S를 통과하는 자기력선속의 시간에 따른 변호® (ᅥ 은

감소한다. ( )
L. 曝 증가시키면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한다. ( )
가 2배가 되면교류전원에흐르는전류의세기는 2배가 된다. ( )

17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n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x

a기 習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와 같이 전원 장치와 전류계가 연결된 1차 코일,저항이 연결된 2차 코일


이 고정되어 있다. 그림 (나)는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 / !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 i 에 의한 상호유도로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 2이다.

전원 장치 저항
o Q" ■

.■
그=1ᄀ ~ Wv~
전류계
j
■아■
:—
卜『
■■

■■
*■


i l i l l l 11 1 i I 1I \I

1차코
일 2차코

(가)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21.10. 교육청]

n. 에 의한 2차 코일의 자기 선속은 5초일 때? [ 2초일 때보다 크다.


/ 2의 방향은 7초일 때와 9초일 때 서로 반대이다.
c. / 2에 의한 저항에서의 소비 전력은 8초일 때가 2초일 때의 4배이다.

① ② ③ᅳI’ 1一 ④ 기 ’ 1= ⑤ n, u, ᄃ

02 그림과 같이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 교류 전원과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저항값이 r ,2r 인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각각 2凡 제이다 .
류 <원2 >
교 전

변압기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감은 수의 비 M :N2는 ? (단,변압기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무시


한 다 .) [15. 9. 평가원 (물 I )]

① 1 :1 ② 1 :2 ③ 1 :4 ④ 1 :8 ⑤ 1:16

P A R T I. 전자기장 173
CD 3 CD ® ------------ .•상 ^

03 그림과 같이 변압기에 전압이 F 로 일정한 교류 전원,스위치 S ,저항값이 n 2i?인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감은 수는 각각 37V iV 이다.


압기 s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변압기에서의 에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을〈
너지 손실은 무시한다.) [17. 수능(물I)]

기. S를 a에 연결하였을 때,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의 3배이다.
l 저항의 소비 전력은 으를 선에 연결하였을 때가 S를 a에 연결하였을 때의 2배이다.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은 S를 b에 연결하였을 때와 S를 a에 연결하였을 때가 같다.

① ② U ③ ᄀ, C ④ ᄂ, C ⑤ ᄀ, ᄂ,C

04 그림은 주상 변압기를 통해 공급된 전기 에너지가 집 안의 전등과 헤어드라이어


에서 소비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주상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F2이다. .


상변압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헤어드라이어를 켰을 때가 꼈을 때보다 큰 물리량만을〈
(단,주상 변압기 에서 에너 지 손실은 무시한다.) [19. 9. 평가원 (물 I )]

기.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L 집으로 공급되는 전력

ᄃ쓰
■K

① ②亡 ③ᄀ,
L ④ᄂ,
C ⑤ᄀ,ᄂ,
C

174 2023 물리학 I [ 필수본]개념완성


B, the First
H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기 본 부 터 심 화 까 지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으I 본질적 접근

파吾과S질의성질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01 전자기파의 간섭과 회절

02 도플러 효과

03 전자기파의발생과무선 통신

04 볼록렌즈
01
B , the First * -

전자기파의 간섭과 회절 1. 전자기辽ᅡ의성질과 이용 |

□ 파동의 간섭
1. 물결파의 간섭

(1)_파동의 간섭
ᅵD 중첩의 원리 : 두 개의 파동이 만났을 때 합성파의 변위는 각 파동의 변위의 합과 같다.
H居의간
섭 ② 파동의 간섭 : 중첩된 파동의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
위상이 같을 때 진폭은 如이고 위상이 반
대일 때 진폭은끄-如이다 • 보강 간섭 : 중첩되기 전보다 진폭이 커지는 것
① 보강 간섭 © 상쇄 간섭 • 상쇄 간섭 : 중첩되기 전보다 진폭이 작아지는 것

@ S)
⑵ 물결파의 간섭
① 간섭 조건

두점파원의위상이동일할때 두점파원의위상이반대일때
보강 간섭지점 상쇄 간섭 지점 보강 간섭 지점 상쇄 간섭 지점

…… ■이짝수배 ■의홀수배 의 홀수배 •의 짝수배


로차U) ② 스크린에 나타난 물결파의 간섭 현상
두 파원의로부터의 거리의 차 P Q

A=\S^-S^\ & 에서발생한파동 ' '

S2에서 발생한파동

합성파® ^ 에
czo

무늬

① p : 두 파동의 마루가 만나 진폭이 ~(D R : 두 파동의 마루와 골이 만나 상쇄,


커지는 지점 ^ 밝은 무늬 진폭이 0이 되는 지점 다 밝기 일정
• SiP=/l, S2P=2/1
• 경로차=|2]-기
•SiR=2A. 頭 = |니

=A= ^Ax2 . 경로차=ᅵ


2;1ᅳ |시 =古;I

② Q : 두 파동의 골이 만나 진폭이 ② 0 : 두 파동의 마루와 골이 만나 상쇄,


경로차가 f ;
1의 홀수 진폭이 0이 되는 지점 ^ 밝기 일정
커지는 지점 어두운 무늬
배일 때 상쇄 간섭이 일 1
• 頭 = |나 = 音;I • SiO=2/^, S20=-^-/l
어난다.
*경로차= ^ 일정한 밝기의 무늬 •경 로 차 기 2 ] - y 시 = --- A
音ᅳ音^

조1
關 丽
O 그림은 두 점파원 Si, S2에서 진폭이 같고 파장이 2 cm인 물결파가 같은 위상으로 발생하고 있을
때, 어느 순간 각 점파원에서 발생한 파동의 모습을 파면으로 나타낸 것이며 실선은 마루. 점선은
골을 나타낸다. 두 점파원을 잇는 선분 에 생기는 마디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1. 마디점은 두 점파원에서 발생한 파동이 서로 반대의 위상으로 만나는 지점이다.


l . 두 점파원으로부터 경로차가 1 cm의 홀수배인 곳에는 마디점이 생긴다.

개념 » 민 에제 정답
S & 에는 4개의 口ᅡ디점이 생긴다.

178 2023 물리학 E [필수본] 개념완성


니그 I Li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전자기파의 간섭과 회절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예를 조사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이중 슬릿의 간섭 실험을 이용하여 빛의 파장을 구할 수 있다.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핵힘 p o i n t ① 전자기파 ② 중첩 ③ 간섭 ④ 회절

CL Q G3 K ----
전자기파의 간섭


⑴ 영의 간섭실험 -
① 빛이 파동임을증명한 최초의 실험이다.

자기파
의간섭
② 단일 슬릿과 이중 슬릿을 통과한 빛이 간섭을 일으켜 스크린에 밝고 어두운 무늬가 생긴다. 두 개 이상의 동일한 전자기파가 중첩되면 간섭
이 일어남= 빛의 파동성을 보여주는 현상
岭 단일 슬릿을 문한 이 유 : 점파원으로 만들기 위함이므로 단일 슬릿 대신 레이저를 사용
① 보강 간섭 : 위상이 같은 두 전자기파가 중첩
해도 된다. 도ᅵ어진폭이 커지는 것 •命 합성파의 진폭 1
② 상쇄 간 섭: 위상이 반대인 두 전자기파가 중
첩되어 진폭이 작아지거나 상쇄되는 것
S m m
■►합성파의 진폭 i
S i
X M l [Ax ᅧ
I영의간
섭실험
H H ⑴ 배경
① 뉴턴의 입자설 발표 VS하위헌스 등의 파
0
동설 증거제시
② 영국의 영이 빛의 표f동설 확증 제시
B K 룹1
단일 슬릿 텔 빼
(2) 영의 실험 이후
① 비누 거품의 얇은 막 간섭 설명 : 빛의 색
이중 슬릿 에 따라 알맞은 파장 계산
스크린 ② 에테르 이론에 바탕을 둔 빛의 파동 이론
연구의 계기
③ 물질 파동성 실험에 이중 슬릿 실험이 응
용됨 = 물질 이중성 증명에 영향
⑵ 영의 간섭 실험의 해석 ④ 양자론 탄생에 영향

① 단일 슬릿에 의해 초기 위상은 동일하다.


② 슬릿을 통과한 두 빛이 보강 간섭을 하면 밝은 무늬가 나타나고 상쇄 간섭을 하면 어두운 무
늬가 나타난다.

보강 간섭 (밝은 무늬)
Iy\~JL2 I
A= \
J7r{2m+l)(m=0 . 1, 2, ...) 상쇄 간섭 (어두운 무늬)

③ 1/>ᅵ 보다 매우 크면 Z4 과 ! 2 는 거의 평행하므로 경로차를 dsin 沒로 근사할 수 있다.


^ A=dsm6
④ L 이 충분히 크면 9는 아주 작으므로 sin6나tari0로 근사할 수 있다.
x
' tan^1 경로차 계산
L
ZLA
LA
⑤ d 手 =;시 이 므 로 이웃한 보강 간섭무늬 사이의 간격은 ■
이다.
L d « +1번째 밝은 무늬 : :r„+i = ᅭ («+1)
d
이므로 一
이다.

© 파장이 6Xl(T4mm 인 레이저 빛을 두 슬릿 사이의 간격이 0.1 mm 인 이중 슬릿에 비추어 2 m 떨어진 화면에 간섭무늬를
만들었다. 화면 중앙의 밝은 무늬로부터 2번째 밝은 무늬까지 거리는 몇 cm인가?

개님» 민예제정답

© 2.4cm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179


B, the First % ~ * ----------------

i 전자기파의 성질과 미용
전 자 기 파 의 간 섭 과 회 절

1L Q m GS
B 파동의 호I절

1. 파동의 회절

(1) 하위헌스 원리
① 파동이 진행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② 파동이 진행할 때 파면 위의 모든 점은 점파원 역할을 하여 구면파를 만들고 이 구면파에 접
하는 면이 다음 순간의 새로운 파면이 된다.
③ 파동의 진행 방향은 파면에 수직하다.

진행 방향 진행 방향

[평면파] [구면파]

⑵ 파동의 회 절 : 파동이 진행하다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파동이


장애물 뒤로도 전달되는 현상
① 회절의 원 리 : 하위헌스 원리대로 일어난다.
② 굴절의 경우 매질이 달라지므로 파장이 변하지만 회절은 매
질의 변화가 없으므로 파장이 변하지 않는다.

⑶ 회절의 특 징 : 회절은 파장의 길이, 틈의 간격에 따라 다르게 일어난다.


① 틈의 간격과 회절의 관 계 : 좁을수록(파장에 비해) 회절이 잘 일어난다.
② 파장과 회절의 관 계 : 길수록(틈에 비해) 회절이 잘 일어난다.

교 m i細 ;誦

© 그림은 간격이 d 인 틈으로 파장이 ;1,진동수가/인 파동이 지나가면서 회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회절이 더 잘 일어나게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기. 간격이 f 인 틈을 人[용한다.

L. 파장이 2/1인 파동을 人!용한다.


>=• 진동수가 2/ 인 파동을 人[용한다.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 a 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H필
히들어
야하는수
능물리
학의본
질적접
근 51 人 보
s n r sir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G3 CS --
2.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⑴단일슬릿에 의한회절 • ................


하위헌스 원리에 의해 슬릿면 위의 모든 점은 제2의 점파원이 되므로 여기에서 발생한 구면파 슬
릿종류
별회절무y
들이 스크린에 중첩하여 무늬를 만든다.

원형 슬릿

(2)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의 해석


① 두 빛의 경로차에 의해 밝기가 결정된다.
② P 0에서는 거의 모든 파동이 같은 거리를 진행하므로 같은 위상을 갖게 되어 가장 밝다. 사각 슬릿
③ 하(첫번째 어두운 지점)에서 거리 ^ 을 진행하는 파동 1과 거리 二를 진행하는 파동 2가 중

첩된다고 할 때 경로차는 |~sin仏이고, 어두운 무늬가 형성되므로 상쇄 간섭을 하여

ᅳ ᅡ 이 다 . as\nd\=A

④ 슬릿 꼭대기 보다 아래쪽에서 슬릿을 통과하는 빛은 슬릿 중앙에서보다 그만큼 아래쪽에서


슬릿을 통과하는 빛과 짝을 이루어 전체 슬릿을 통과한 빛은 P !에서 상쇄 간섭을 한다.

⑤ 스크린이 아주 멀리 있다고 할 때 로 a f = ^ ( n = l , 2,3, …) 이고,이웃 회절 격자

한 어두운 무늬 사이의 간격은 이다.


a

y사이
의간격
자번째 어두운무늬 :
a

n + 1번째 어두운 무늬 : 々 +i ^ (w+ 1)

이므로 ^ ' 이다.

o 그림은 파란색 빛을 작은 구멍에 비추었을 때,


스크린에 생긴 회절 무늬를 빛의
세기로 나타낸 것이다.

빛의 세기가 0인 곳 P와 Q 사이의 간격 X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


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스크린
re a m
기■빛을 빨간색으로 바꾼다.
ᄂ. 빛의 밝기를 강하게 한다. 개13 辑민 0ᅵ
1제 정B
구멍을 직경이 작은 것으로 바꾼다. ©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181


1
o
B, the First B— —

전 자 기 파 의 간 섭 과 회 절 1•전자기EEI 성질과 이§

□ 여러가지 간섭과회절

1. 간섭현상
얇은 막 간섭에서의 위상 변화...............
공기에서 막으로 진행한 빛이 공기와 막의 경계 (D 얇은 ^ 의 간섭
면에서 반사할 때는 위상이 180° 바뀐다.
막의 바깥쪽에서 반사한 빛과 막의 안쪽에서 반사한 빛이 서로 간섭하여 막의 두께에 따라 보
이는 색이 다르다.

전체 경로차가 ! 인 경우
전체 경로차가 고인 경우
두 빛이 보강 간섭을 한다. 두 빛이 상쇄 간섭을 한다.

전파망원경 -................. 전.잔긴파의 간섭 현상


전파 망원경의 회절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 ① 전+ 망원경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분석하는 장비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작은 전파 망
경0 ᅵ
큰 망원경으로 분해능을 높인다.
원경을 여러 대를 떨어뜨려 설치한 후 각 전파 망원경에서 측정한 전파의 간섭을 이용하여
큰 전파 망원경과 같은 효괴를 얻는다.

구경이 작은 망원경 ② 통신 전파의 간섭 : 휴대 전화에 여러 경로로 온 전파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면 신호가 약해져
통화 상태가 나빠진다.

구경이 큰 망원경
□ ⑶ 소리의 간섭현상
① 콘서트 홀 : 소리를 난반사시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방청석에서 고루 들을 수 있
도록 벽면을 제작해야 한다.
② 자동차 배기구 :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소리를 상쇄 간섭시킨다.

⑷ 여러 가지 간섭 현상
① 모르포 나비 날개에는 푸른 색소
가 없는데도 날개에 층층이 쌓인
나노미터 단위의 단백질 구조가
간섭 현상을 일으켜 푸른 색으로
보임
모르포 나비 모르포 나비의 날개를 확대한 모습
② 유사한 예 : 공작 깃털, CD 표면,
전복 껍데기, 위조 지폐 방지용 색 변환 잉크 등


© 그림은 코팅된 유리에 파장이 /I인 빛을 수직으로 입사시킨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소한 B, 고정단
것이다. 매질
U 반사
유리로부터 나오는 반시광이 보이지 않았을 때,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밀한 A. 고정단
매질 W
ᄋ ^ 사
더밀한
매질 («2)

18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Uj 밀
히s어
야하는수
능물리
학의본
질적접
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L Q G3 K ----
2. 회절 현상
(1) 여러 가지 회절 현상

①회절 $ 자 : 파장의 크기 간격으로 일정하게 많은 수의 슬릿을 만든 것으로 각각의 슬릿이 회


절격1咖
서II장
011따
른보감간
섭각도
점파원 역할을 하여 회절을 일으킨다.
②담장 너머로 소리가 전달된다.
③공작새의 깃털,곤충의 날개,CD 나 DVD 표면 등은 회절 격자와 동일한 역할을 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⑵ 라디오 방송 : 장애물이 있는 먼 지역으로 전파를 보낼 때는 전파가 장애물에 막히지 않고 회절


이 잘 될 수 있도록 긴 파장을 이용한다.
dsin0=fnA(m=O. ±1. ±2 •••)
岭 산속에서는 긴 파장을 이용하는 A M 방송이 F M 방송보다 더 잘 들린다.
岭 전파가 회절하지 않는다면 모든 산과 건물에서 모든 방향으로 전파 중계 시설이 필요하다.

월 2D t3關 )
⑶ X 선 회절 분석법
① X 선이 물질 결정에 부딪힐 때 생기는 회절 무늬의 회절각과 강도가 물질마다 고유한 값이
되는 것을 이용하는 비파괴 검사이다.
② 파장을 알고 있는 X 선을 이용하면 물질의 결정 구조 파악이 가능하다.

회절된

결정화된
물체

X 선 회절 분석법 X 선에 의한 D N A 회절 사진

© 회절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W khM
-i. 산속에서는 A M 방송이 FM 방송보다 더 잘 들린다.
l■. 담장 너머로 소리가 전달된다.
r < - r ; . . ' I
<=. 자동차 배기구에서 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 ; I";! •;
:' I

폐 내 !;■........
©■

PARTI. 파동과물질의성질 183


01
B, the First

전 자 기 파 의 간 섭 과 회 절 i. 전자기파의 성질과이용 |

01 다음은 레이저의 파장을 구하는 실험 이다.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스크린이 빨간색 레이저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 후, 슬릿 간격
이 d인 2중 슬릿을 스크린으로부터 거리 L 인 위치에 스크린과 나란하게 고정한다.

(나) 레이저를 2중 슬릿에 비추고 스크린에 생긴 가장 밝은 무늬의 중심 0 와 이웃한 밝은 무늬


의 중심 P 사이 거리 x l 측정한다.

스크린

(다) (가)의 레이저를 초록색 레이저로 바꾸어 (나雇 반복한다.

[실험 결과]

과정 d L X 레이저의 파장
(나) 0.10 mm 2.0 m 13 mm 650 nm
(다) 0.10 mm 2.0 m 11 mm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 틀린 것에 X표 하시오. [21. 4*(물!



)]
-----

^. 모의 밝은 무늬는 보강 간섭에 의해 생긴다. ( )


L (나)에서 2중 슬릿의 두 슬릿으로부터 미가지의 경로차는 650 nmO |다. ( )
ᄃ. @은 550 nm 이다. ( )

02 그림 (가)와 같이 단색광 레이저 빛이 원형 슬릿을 통과하면, (나)와 같이 스크린에


동심원 무늬가 나타난다. 슬릿의 지름은 a 이고, 첫 번째 어두운 무늬의 지름은 D 이다.

레이저 원형 슬릿

(가)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에 O표, 롤린 것에 X표하시오 . [18.9. 평7削물I)]


— ᅳ 一 ------

기. 레이저빛은슬릿에서회절한다. ( )
a 가 작을수록 끄는 작다. ( )
c . 레이저 빛의 파장이 길수록 D 는 크다. ( )

1 8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

n
I

a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다음은 빛의 간섭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스크린을 레이저의 진행 방
레이저
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 후, 슬릿 간격
이 d인 이중 슬릿을 스크린으로부터 거리
L 인 위치에 스크린과 나란하게 고정한다.
(나) 레이저를 이중 슬릿에 비추고 스크린상의 지점 ᄋ, P 에 나타난 간섭무늬를 관찰한다.
(다) (가)의 이중 슬릿을 슬릿 간격이 2d인 이중 슬릿으로 바꾸어 (나層 반복한다.

[실험 결과]

( 나)의 간섭무늬 : ■ ■ ᄋ * f l I S
1 c m

( 다)의 간섭무늬 ᄋ* P

1 c m

• (나), (다)의 간섭무늬에서 0 에는 가장 밝은 무늬가 생겼다.


• (나)의 간섭무늬에서 모에는 0 로부터 두 번째 어두운 무늬가 생겼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2. 수(물 I)]

기. (나)의 간섭무늬에서 드에 나타난 어두운 무늬는 빛의 상쇄 간섭의 결고ᅡ이다.


L. 이웃한 밝은 무늬의 간격은 (나)의 간섭무늬에서가 (다)의 간섭무늬에서보다 크다.
C. (다)의 간섭무늬에서 P 에는 어두운 무늬가 나타난다.

① n ② t; ③ ᄀ, L ④ ᄂ, C ⑤ ᄀ, ᄂ,C

PART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185


^0Pmi
/~ B, the F ir s t 1

i. 전자기파의'성질과 o i§ H

[a a [a ®
0 2 그림과 같이 파장이 고인 단색광이 이중 슬릿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간섭무늬가 생겼
다 . 스크린상의 점 ᄋ는슬릿 & 과 s 2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고 가장밝은무늬의 중심이며,
점 P 에는 o 로부터 두 번째 어두운 무늬가 생겼다.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는 L 이며,
이웃한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 A r 는 일정하다.

MH
P 'M

단색광
■I
이중 슬릿
■I
스크린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2. 9. 평가원 (물 표)]

. Slt S2로부터 P 까지의 경로차는 f 이다.

단색광의 파장만 I 싯로 바꾸면 모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난다.

,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만 2L로 바꾸면 A r 는 2배가 된다.

① ② ③ ④ 기 , 1一 ⑤ ᄂ, ᄃ

03 그림과 같이 슬릿에 단색광을 비추었더 니 스크린에 간섭무늬가 생겼다. 이웃한 밝


은 무늬의 간격은 At :
이다. 표는 이중 슬릿의 간격 ^를 일정하게 하고, 단색광의 파장 ^와
이중 슬릿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 L 을 바꿀 때의 A r 를 나타낸 것이다.
- - - - --
■1

파장/1 거리 L 간격 Ar
{ ■ ■ 편

CT - -

K Lq x0
단색광
-- 키

4 2Zo 3x0
L
이 슬
중 릿

시 3Lq 4r0

Aa, Ab, /lc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8. 6. )]


평7!원(물표

① 넜a〉/^b〉 /^c ② /lb〉고a〉 ]c ③ /lb〉고c〉 /ta


④ 고c〉/^a>/lb ⑤ ./lc〉/ᅵ
!b〉/la

186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밀히 들어야 하는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a a t
04 다음은빛의회절실험이다 .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초록색 레이저, 원형 슬릿, 스 초
록색원
형슬릿 스
크린/ 사각형
크린을 설치하고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 y|01ᄌ
1ᅩ ᄉ 슬릿
리를 고정시킨다.
(나) 스크린에 생긴 회절 무늬를 관찰한다.
(다) (가)에서 원형 슬릿을 사각형 슬릿으로 바꾸어 스크린에 생긴 회절 무늬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회절 무늬 회절무늬 I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8 . 수능(물I ) ]

기. 회절무늬 I 는 (다)의 결과이다.

L. (가)에서 원형 슬릿을 지름이 ^배 인 원형 슬릿으로 바꾸면 이웃한 밝은 무늬의 간격은 바

꾸기 전보다 커진다.
C. (가)에서 초록색 레이저를 붉은색 레이저로 바꾸면 이웃한 밝은 무늬의 간격은 바꾸기 전보
다 커진다.

① ᅳ1 ② U ③ ᅳI,C ④ L ,C ⑤ 기 , U , T=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187


ED 3 EH ® -----
05 다음은빛의회절실험이다 .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레이저, 단일 슬릿. 스크린을 설치하고 단일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고
정시킨다.

단일 슬릿 B

(나) 슬릿 폭01다른 단일 슬릿 A, B와 파장01각각 사, 고2인 레01저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생긴


회절 무늬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실험 조건
회절 무늬
파장 단일 슬릿

A ■ ■ h i \mmlcm
m
자 B
lcm

^2 A ^ n i i 醒■ ■ ■
lcm
©j :
^2 B
lcm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0.6. 평7ra (물I)]

m um
기. 슬릿 폭은 A 가 B보다 크다.
L ^ < /12이다.
c. o |웃한밝은 무늬 간격은 ©01©보다 작다.

18 8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M EM O

신뢰의 물리 만점 전략가!

BAE Kl BEOM

^34*
기본부터 심화마지ᅴ
02
B, the First

Esa s 과 i.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i

D 도플러 효과


속보[ᅡ음
원의속
도가빠
른경우 1. 소리의 도플러 효과
① 충격파: 음원의 속도가 음속보다 클 때 파면
들이 모여 형성하는 원뿔 모양의 파
⑴ 도플러 효 과 : 소리를 내는 음원이나 소리를 듣는 관찰자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들리는 소리의
(충격파는 물체 자체의 운동에 의해서 생성 진동수가 상대 운동이 없을 때의 진동수와 다른 현상
되는 것으로 물체에 있는 어떤 다른 음원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② 소닉 붐 : 초음속 발사체에서 만들어지는 충
격파로 공기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했다가 급
격히 감소하여 다시 원래의 압력으로 돌아오
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폭발음

•음원과음파속력이 같을 때

⑵ 정지 상태의 음원 s 에서 퍼져 나가는 구면파의 파 장 ;I,음원의 진동수/ 일 때 음속 K

V = f A ,f= ^

⑶ 관찰자가 r 의 속력으로 정지 상태의 음원 쪽으로 움직일 때 : 진동수 증가 ᅳ 높은 소리 관측

广 =JV =Z ± 으 — r (V+v\r
V y

⑷ 관찰자가 정지한 음원에서 멀어질 때 : 진동수 감소 ᅳ 낮은 소리 관측

(5) 음원이 정지한 관찰자를 향히여 상의 속력으로 가까이 다가갈 때 관찰자 A 가 듣는 소리의 진동=
한다.
U

v= V V V
K 7

② 관찰자가 듣는 소리의 진동수


S
고 I

7
I

V
(6) 음원이 정지한관찰자로부터 대의 속력으로 멀어질 때 관찰자가 듣는소리의 진동수/ ' :
V+u,
TTTF

(7) 도플러 효과의 일반적인 관계식 :f


oH길니1 c H ^ %!

O 그림과 같이 직선 도로에서 人卜이렌 자동차가 사이렌을 울리면서 정지한 자동차 A 를 향해 간의 일정한 속력으로 운동하며,
자동차에 설치된 스피커에서는 진동수가/0인 소리가 발생하고 있다.

사이렌 자동차

a 에서 측정한 소리의 진동수는? (단, 음속은 m o n )

190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파동의 속도에 따라 파장이 달라짐을 이해하고. 활용되는 예를 찾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핵임 P이NT ①도플러 효과 ②빛의도플러 효과 ③도플러 효과의활용 기본부E1 심화까지

t Q G3 GS ----

그림과 같이 경찰차가 일정한 진동수^의 사이렌 소리를 내며 의 속력으로 철수를 향해. 철수는

의 속력으로 경찰차를 향해 서로 다가가고 있다. ^ 공기 중에서의 음속이다.

^ ■ ...

철수가 듣는 人K)ᅵ
렌소리의 파장과 진동수는? (단, 경찰차와 철수는 동일 직선상에서 운동한다.)

텔 1 파장: I , 진 동 수 :-

2. 빛의 도플러 효과
(1) 소리와 빛의 차이점

소리 빛(전자기파)
P 9 빛의 속도는 모든 관측자에게 동일하다.
매질에 따른 속도 매질에 무관하게 진행1111
차이점
ᅳ 운동 중인 음원과 관측자 구분 7 fe ᅳ 관측자와 광원에 대한 운동 구분 불가능
빛의 도플러 효과에서 음파의 도플러 효과 관계식을 사용할 수 없다. 빛의 도플러 효과는 관
결과
찰자와 파원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존하여 하나의 방정식으로 71술된다. |

대론적도
플러효

f'= f C+U

(광원과 관측자의 상대속도


⑵ 별빛의 도플러 효과
접근할 때 멀어질 때
적색 편이 : 별,은하 등이 멀어질 때 빛 수소:선스펙트럼



진동수 증가 진 동 수 ^소
의 파장이 길게, 진동수가 작게 측정되는 파장 ^ ^ 파장 증가
그^ ^ 청색 편이 적색 편이
현상 1656.2 nm | 486.1 nm| |434.0 nm |410. l n m

② 청색 편이 : 별,은하 등이 가까워질 때 빛 七색 편이

의 파장이 짧게,진동수가 크게 측정되는


현상
ᄊ색 편이
③ 허블 법칙의 근거
• 은하에서 오는 빛이 대부분 적색 편이되
었다. -►은하!•은 서로 멀어지고 있다.
•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은하에서 오는 빛에서 적색 편이가 더 크게 발생한다.

© 다음은 도플러 효과를 활용하여 천체의 운동을 관측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별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하면 별의 운동을 알 수 있다. 별이 지구와 가까워질 때는 지구에서 관측한 별빛의 파장이
( © )지므로 스펙트럼의 흡수선은 ( © ) 편이가 나타나고, 별이 지구와 멀어질 때는 지구에서 관측한 별빛의 파장이
( © ) 지므로 ( © ) 편이가나타난다.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191


02
B, the First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도 营 려 효 과

1L a G3 K
B 도플러 효과 활용의 예
pa 전자기피•의 종류 1. 전자기? 를 이용한 도플러 효과의 활용
파장 투과력 t \
⑴ 속도 측정기 : 운동하는 물체에 전자기파(마이크로파, 적외선)를 발사하고 물체로부터 다시 반
(m) 직진성丁|
사되 어 돌아온 전자기파를 도플러 효과에 의해 변한 파장과 진동수를 감지하여 속도를 계산
10이
한다.
X선
(2) 도플러 레이더 : 발사한 전파와 되돌아온 전파의 진동수 차이를 분석하여 구름과 강수 입자의
t 10_i
움직 임을 파악하고 태풍이나 강수량 등을 예측한다.
자외선

(3) 인공위성, 실종 항공기 등의 추적


가시광선
ir ① 지상 관제소의 인공위성 추적 : 인공위성에서 내보내는 라디오파 진동수의 변화를 도플러 효
적외선 과로 분석하여 인공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② 실종 항공기 추적 : 항공기 추락 시의 엔진음을 정지 위성에서 포착하여 추락 지점을 추정
마이크 10'
로파 한다.
a
2. 초음파를 이용한 도플러 효과의 활용

전파
번 (D 박쥐 : 초음파를 발생시켜 움직이는 먹이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의 진동수 변화 정도를
이용해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여 먹이를 잡는다.
TV 파,
라디오파
io3 ⑵ 초음파 검사 : 검사 장치에서 발생시킨 초음파와 혈액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진동수 차이를 활용
회절성 T 하여 속력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0 전자기파의 도플러 효고[를 활용한 것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rW E B M ----------

i. 속도측정기 -.박쥐
=. 도플러 레이더 ^ 태아 심음 측정기

'■ z m n z E H * '

192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IB, the First
02
B, the First ■-~ ■--------------------------------------------------------------------------------- n

£E 晉 려 右 헤 5-전자기21■
의성질과이용 t

Ov 01 그림과 같이 정지해 있는 음파 측정기 A 와 B 사이에서 음원 S 가 B 를 향해 일정한


속력 y로 움직인다. S는 진동수가/0인 음파를 발생시킨다. A 와 B 에서 측정한 음파의 진

동수는 각각 / a ,«/뇨이고,
/b - /a ^ U /o 이다.

음파 음파
측정기 A 음원 s 측정기 B

i [酬 1 )
S l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 음속은 1/이고, S는 A


와 B 를 잇는 직선상에서 운동한다.) [21. 수능(물I)]

V
• /a= /o이다.
V+v
V
■/b~ /o이다.
V-v

y= 하 이 다 .

02 그림 (가)와 같이 진동수가/0인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원 A 와 음파 측정기 B 가 동


일 직선상에서 운동한다. 그림 (나)는 A, B 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관가 측

정한 음파의 진동수는 1초일 때가 3초일 때의 ᄒ배이다.




d-
5 ^4 3
«
«
o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음속은 K이다.)


[20. 수능 (물 I )]

기. 3초일 때, B 가 측정한 음파의 진동수는/ 0이다.

L. B의 속력은 |^ 이다.

194 2023 물리학n [필수본] 개념완성


H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

보가 習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는 자동차 A, B 가 각각 일정한 속력 vh, % 로 동일 직선상에서 같은 방향


으로 운동하는 모습을,(나)는 (가)에서 B 가 음파 측정기를 향하여 속력 % 로 운동하는 모
습을 나타낸 것이다. A, B 는 각각 진동수/ 0,2/0인 음파를 발생시키며,동일 직선상에 있
는 음파 측정기에서 측정한 A ,떼 음파의 진동수는 각각 A , / B이다. 표는 (가)와 (나)에
서 / a :/ b 를 나타낸 것이다.
V증
음파 측정기
(가) A ; ■ B
정지 A :/b

Va
음파 측정기
VB (가) 1 :
1

(나) B ( 나) 3 :4
정지

Vh :애는? (단,음속은 일정하다.) [21.9. 평가원 (물 표)]

① 3:2 ② 2:1 ③ 5:2 ④ 3: 1 ⑤ 7:2

02 다음은 도플러 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파장이 고이고 진동수가 인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원이 Ws의 속력으로 정지해 있는 음파 측정기를
향해 등속도 운동을 한다. 이때 음파 측정기에서 음왕\
\\ 음파측정기
/oLs. 반 히 :
측정한 음파의 파장 /은 고보다 r x i 만큼 짧다. iZTo OO

따라서 음파 측정기에서 측정한 음파의 진동수 / '


은 ^ □ 이다.

A, B 로 옳은 것은? (단, 음속은 y이고,vs < v이다.) [22. 9. 평가원 (물 ]I)]

A B. A JB
① j누 斤 y © , ( V \

\v~vsj
(y—y^
③ 1 ' ' ④
U바 J \v )
( V \

\v~vsj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195


^줴크I B3I
B, the First ■

i.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f

ED 3 EDI ® ᄊ서
03 그림 (가)와 같이 음원 A, B, C 가 진 동 수 /0의 음파를 발생하며 각각 등속도 운동
을 하고 있다. 그림 (나)는 A, B 사이의 거리와 B ,C 사이의 거리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정지해 있는 음파 측정기가 측정한 A, B, C 의 음파의 진동수는 각 각 / i ,사 /0,

& 이다.


JI
B, C 사이의
/거리

8
^36^34"Q
음파
음원 A 음원 B 측정기 음원 C
iA , B 人卜이의
시 '^ 거리

o
2 시간( i )
(가) (나)

/ i 은? (단, 음원과 음파 측정기는 동일 직선상에 있고, 음속은 일정하다.) [22. 수능 (물 I)]

® f/o © 菩 /o ③ li/o ⑤ 普 /o

04 그림 (가)는 지구에서 태양계 밖의 별 s 에서 오는 빛을 관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


다. 그림 (나)의 Q 은 (가)의 A, B 에서 발생한 빛을 관측한 흡수 스펙트럼 중 하나이고
이를 수소의 흡수 스펙트럼과 비교한 것이다.

파장(nm)
380 750
거 1I 0

B
■ b m i : s ■■수소

| ©

(가) (나)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FEM---------------------------------------------

A 에서 발생한 빛을 관측한 파장은 원래 별빛의 파장보다 짧다.


B에서 발생한 빛을 관측한 흡수 스펙트럼은 @이다.
별 은의 공전 속도가 빨라지면 @과 ©의 흡수선 위치의 차이가 커진다.

① ② ③ 기, 亡 ④ ᄂ ,亡 ⑤ ᄀ, ᄂ, ᄃ

19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B, th e F ir s t ~ ® --------------------------------------------------------------------------
^

전자기파의 발생과 무선 통신 1. 전자기!


]}의 성질과 이용 t


---- [L Q G3 GS ----
fa 전자기파의 발견 Q 전자기파의 발생
① 패러데이 실험 결 과 : 변화하는 자기장이 전

류를 유도한다는 사실 발견= 변화하는 자기 1. 직선 도선에서 전자기파의 발생


장이 전기장 역할
⑴ 전하에 의한 전기장과 자기장 형성
② 맥스웰의 예언과 업 적 : 변화하는 전기장의
자기장 유도 가능성 제안 / 맥스웰 방정식으 ① 정지해 있는 전하 주위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로 전자기파 속력을 정의
© 전하가 일정한 속력으로 계속움직이면 자기장이 형성된다.
③ 맥스웰 이후의 연 구 : 헤르츠의 실 험 : 전자
기파의 존재를 증명 / 빛의 매질 확인 연 구 :
⑵ 직선 도선에서 전자기파의 발생 원리
매질과 무관하게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유
도에 의해 전달되며 간섭. 회절 가능 ① 전자기파 발생 과정
전하가 가속 운동을 하거나 전류의 세기가 변함 전하 주위의 전기장이 변함 岭 전하의 흐
름에 의해 생긴 자기장이 변함 바 전기장과 자기장이 함께 변하면서 공간으로 확산

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이다. ② 전류가 위로 흐를 때와 아래로 흐를 때 직선 도선 주위의 자기장

(- ) 극 (+) 극

전기장의 방향 전자의 이동

자기장의 방향

[직선 도선 주위 자기장 (전류 방향: 위)] [직선 도선 주위 자기장 (전류 방향 :아래)]

2. 축전기에서의 전자기파의 발생

(1) 축전기에서 전자기파의 발생 고청


1st. 축전기에 교류가 흐름
2nd. 축전기의 양극판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함
자기장
3rd. 진동하는 전기장이 생김
|코일 축전기
4th. 진동하는 자기장 유도
전기장
바 진동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를 유도하면
/
서 공간을 퍼져 나가는 전자기파 발생
교류 전원

0 그림은 축전기 극판 사이에서 진동하는 A 와 B로 인해 전자기파가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와 B는?

B 전자기파

198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특^ 11m A N U A U
I 신릐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교류 회로에서 전자기파의 발생 및 안테나를 통한 수신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핵^ I P 이MT ① 교류회로 ②축전기 ③코일 ④ RLC 회로 ⑤전자기파송수신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L a d GS ----
(2) 전자기파의 진행
① 전자기파의 진행 방 향 :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직으로 진동하며 이
에 수직 인 방향으로 진행한다.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

② 전자기파의 진행 속 력 : 빛의 속력과 같다.

□ 교류 회로와 공명 진동수
1. 교류 호I로에서의 축‘전기와 코일 코일과 축전기는 교류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
하려 하므로 사실상 저항 역할을 하지만 저항처
(1) 축전기 럼 열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전력을 소모하는
것은 아니다.
① 작동 원리 : 회로에 전류가 흐름 岭 평행한 금속판 한쪽에 전자가 쌓이며 (-)전극이 되고, 반
대편 금속판은 전자가 밀려나면서 (+)전극을 띠게 됨 "► 더 이상 전자가 들어올 수 없게 되
면 충전

② 교류와 축전기 : 축전기를 교류 회로에 연결하면 교류에 의해 축전기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


하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함 바 교류에서 저항 역할

③ 용량리액턴스 : [단위 : £2(옴)] ( / :교류 전원의 진동수)


coC 2nfC
④ K0= /0X C 또 는 와 동 일 한 형 태 임 )
축 T

전 니 니i

© 그림은 전압의 최댓값이 일정한 교류 전원에 축전기와 전구가 직렬연결된 것을 나 전구


타낸 것이다. |- o

전구의 밝기가 밝아지는 경우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H m --------------------------------
교류 전원
-i. 축전기의 극판의 거리를 가까이 한다.
L 축전기의 극판의 넓이를 넓힌다.
■=. 교류 전원의 진동수를 크게 한다.

PARTM• 파동과 물질의성질 199


03
B, the First

1. 전자기El•의성질과 이용 |
전 자 기 파 의 발 생 과 무 선 통 신

IL a HI S5 ----
pi 코
일의자
체유도계
수 ⑵ 코일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생기는 정도를 자체 유도
① 작동 원리 :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이 변할 때 유도 기전력이 생긴다.
계수라고 하며. 코일의 강은 수. 길이. 단면적 둥
에 의하여 결정된다. ② 교류와 코 일 : 교류 회로에서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 렌츠 법칙에 따라 코일에는 원래 전
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유도 기전력이 형성된다. 유도 기전력 때문에 코일에 흐
르는 전류의 세기는 약해진다.

L R
— n w ' ~ v\a^-
코일 저항

교류

③ 유도 리액턴스 : X L=aiL=2TtfL [단위 : 요(옴)] i f :교류 전원의 진동수)


④ % = / 0자 또 는 와 동일한 형태임)

2. 교류 회로와 고유(공명) 진동수

⑴ 원리 : 진동수가 작으면 전류가 흐르기 힘든 축전기와 진동수가 크면 전류가 흐르기 힘든 코일


의 영향으로 특정한 진 동 수 /0에서 전류가 가장 잘 흐르게 된다. (전원 진동수가 특정한 진동수
/o 와 차이가 많이 날수록 전류가 적게 흐른다.)

R L C
— w\/— — 11—

TL, 유진

⑵ 회로의 고유 진동수
2k 사LC

© 그림 (가)와 같이 전기 소자 A 와 B, 직류 전원, 교류 전원, 저항, 스위치를 이용해 회로를 구성하였다. 스위치를 aOll 연결하
였을 때, 시간에 따른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나)와 같았으며, 스위치를 b에 연결하고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점점 증
가시켰을 때,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의 최댓값은 (다)와 같았다. A. B는 각각 코일 또는 축전기이다. A 와 B는 각각 무
엇인가?
b

전류의 t
a

-
o o- 최댓값

개넘 앙S! 011X11S S
시간 주파수
© A : 코일, B : 축전기
(나) (다)

200 2023 물리학 n [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 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L Q G3 K

1. 헤르츠의 실험
(1) 헤르츠 실험의 의의
① 맥스웰이 예언한 전자기파의 존재와 성질을 확인하였다.
② 무선 통신 기술의 시초이다.

⑵ 헤르츠의 실험 및 결과
① 실험 과정 : 유도 코일에 연결된 두 금속판을 발전기로 사용
하여 불꽃을 일으키고,간극이 있는 고리 모양의 철사를 검
출기로 Af용하였다.
② 결과 : 검출기 양끝에서 전기 불꽃이 발생하였다.
전자기파가 회절 혹은 굴절을 하고 빛과 같은 속도로 직
진^ ^ 입증

2. 전자기파 송수신
(D 안테나에서의 전자기파의 수신 고HS
① 안테나 : 전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장치
• 쌍극자 안테나 : 극이 다른 2개의 도선을 축전기의 극판처럼 이용
• 고리 안테나 : 고리(코일의 역할)를 통과하는 자기장 변화 ■岭유도 전류 발생 岭 전류 수신
• 포물선 안테나 : 아주 먼 곳에 전파를 보낼 때 사용하며,전파를 일정 방향으로만 송신 가능
② 전자기파 공명 : 안테나에 연결된 회로가 특정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하면 이 주파수와 같
은 주파수의 전자기파가 수신되었을 때, 회로에 전류가 크게 흐른다.
③ 안테나에서의 전자기파의 수신 과정
1st. 전자기파 속에 안테나가 놓이면 전자는 전기장으로부터 전기력을 받음
2nd. 안테나 내부의 전자가 위아래로 진동
3rd. 전자의 진동에 따라 1차 코일에 교류가 발생
4th. 2차 코일에 공명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의 교류 전류가 흐름

[전자기파 속에 놓인 직선 안테나] [전파의 수신]

© 그림은 진동수가/0인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수신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1. 안테나의 코일에는 교류가 흐른다.



지 수
신회로
L. 코일의 자체 유도 계수가 커지면 진동수가 보다 작은 전파를 수신할 수있다.
축전기의 양 극판의 넓이를 크게하면 진동수가 /„보다 작은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01


03
B, the First

1. 전자기辽1으t 성질과이용 f
전 자 기 파 의 智 생 과 9 선 통 신

(L Q Q3M2 ----
|E1 NFC(근거리 무선 통신) ⑵ 전자기파와 정보 통^
Near Field Communication
① 방송 송 . 수신 과정 : 마이크(소리 신호 ᅳ 전기 신호) 岭 증폭기(전기 신호 증폭) ^ 발진기
교통카드 , 스마트폰 결제 등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를 송 • 수신 하는 통신 기술이다. (전기 신호를 교류 신호에 실어줌 : 변조) -►전자기파의 형태로 송신 바 안테나로 수신 복조
(교류 신호에서 전기 신호를 분리) 빠 스피 커(전기 신호 ᅳ 음성 신호)

F M (주파수변조)
F M 신호는교류
신호의 주파수를
음성신호 바꿔 발생시킨다.
전기신호 안테나
증폭기 |
전기신호를 교류
교곡
赢 趣 m 첨가한다.(변조)
_ 십호에
게 "니떼 첨가한다.o

AA M 전기신호를
교류 신호 Ry 쌓
W 음성신호로 /
전파에서
A M (진폭변조) 전환한다. /
전기 신호를
A M 신호는교류 분리한다.
시 ᄒ 이 지 포 윤
(복조)
m i 생ai?] 다.

② 변조 방식 —벤고내s 수7” 知탄 교a 인f 4 배 Kjif °^CY.

• 진동수 변조(FM) :교류 신호에 진동수를 변화시켜 입혀준다.


마 107.7 MHz 의 방송일 경우 107700000 Hz 중 천의 자리 정도까지만 변화를 준다.
• 진폭 변조(AM) :교류 신호에 진폭을 변화시켜 입혀준다.
③ 복조 : 수신된 전자기파에서 음성과 영상이 담긴 전기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 그림은 소리에 의한 전기 신호를 (가) 변조 방식 또는 (나) 변조 방식


을 이용하여 교류 신호에 입힌 것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 각각
에 해당하는 변조 방식은?
소리에 의한 전기 신호 (가
)

my 辑민 on제 정답 교류 신호 (나
)
© ( 가): 주파수변조(FM)
(나) :진폭 변조(AM)

20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B, the First

参 !
03
B the First

전 자 기 파 의 발 생 과 무 선 통 신 l 전자기파의 성질과이용 I

01 다음은 저항과 축전기를 이용한 교류 회로의 특성에 대한 실험이다 .


[실험 과정]
(가)그림과 같이 전압이 %으로 일정한 교류 전원,©
,©으로 회로를 구성한다.@과 ©은 저
항과 축전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

(나)교류 전원의 진동수를 변화시키면서.(3)과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전압계로 각각 측정


한다.

[실험 결고K일부)]
•0양단에 걸리는 전압
전압 ■
v„

진동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표,틀린 것에 X표 하시오. [19.9.평7떤(물!)】


— —- —■ ---------------

기.@은저항이다. ( )
L.©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진동수7ᅡ커질수록 증7ᅡ한다. ( )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진동수가 커질수록 감소한다. ( )

02 그림 (가)는 교류 전원에 안테니를 연결하여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수신하는


회로를,(나)는 (가)에서 교류 전원의 진동수를 변화시키며 전류계로 측정한 전류를 나타
낸 것이다.

전류

교 류 전원
■ ᅳ- © - ᅳ '
송신 회로

(가)
L
수신 회로
i y
0
JL
/o

(나)

진동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표,틀린 것에 X표하시오. [14.6•평7원(물1)]


기.코일은 진동수가 큰 교류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
L.수신 회로의 공명 진동쉬고유 진동수)는/0이다.
R의 저항값을 증가시키면 공명 진동쉬고유 진동수)가 증가한다.
204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n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s

B기 智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은 학생 A, B, C 가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직선형 안테나와 수신 회로에 대해


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 전기장에 의해 안테나의 수신 회로의 공명 진동수를


전기장. 자기장은 서로 전자가 전기력을 받아. 전자기파의 진동수와 같게 하면
수직이야. 수신 회로의 전류가 최대가 돼.

제시한 내용이 옳은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1. 수능 (물 I )]

①A ②C ③ A, B ④ B, C ⑤ A, B, C

02 다음은 전자기파의 발생과 송수신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압전 소자와 구리선을 연결하고 알루미늄 포일에 붙인
압전 소자
뒤, 평평한 책상 위에 수직으로 세워 놓는다.
(나) 원형 안테나 A 에 네온램프를 연결하여, 그림과 같이 구
리선 옆에 놓는다.
(다) 압전 소자를 누르면서 구리선과 네온램프를 관찰한다.
(라) (나)에서 책상 면을 따라 구리선과 A 사이의 거리를 바
꾼 뒤. (다層 반복한다.

[실험 결과]
. (다)에서 압전 소자를 누를 때 구리선 사이에서 불꽃 방전이 일어나며 네온램프에 불이 켜졌다.
. 구리선과 A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네온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의 최대 밝기는 I Q ]한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2. ?■평7변(물표)]
----------------------------------------------------
n. 구리선 사이에서 불꽃 방전이 일어날 때 전자기파가 발생한다.
l. (다)에서 A 에는 일정한 세기의 전류가 흐른다.
C. ‘감소’는 ©으로 적절하다.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05


B, the First ■

보기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t

03 그림은 전압이 일정한 교류 전원에 전기 소자 x , 저항, 전류계, 전압계 I 과 I 를


연결하여 구성한 회로를,표는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0에서 2/ 0으로 변할 때 I ,I 에서의
전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x 는 코일과 축전기 중 하나이다.

전압계I 전압계 n
전류계 I 표
r k Z h ^ ^ w v 1- ᅳ
fo에서 2/o으로 전압이
©
© — 변할 때 ^•소함
교류 전원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0. 9. 평가원 (물 I )]

기. X 는 축전기이다.
L ‘전압이 증가함’은 @에 해당한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2/ 0일 때가/0일 때보다 크다.

04 다음은 저항과 축전기를 이용한 교류 회로에 대한 실험이다.

[실험 고명]
(가) 전압이 일정한 교류 전원, 제 }; 축전기가 연결된 회로를 구성한다.
(나) 회로 I , I, m과 같이 전압계를 연결하는 위치를 바꾸어가며 교류 전원의 진동수에 따른
전^■을 측정한다.

I n m

[실험 결과]
• A B, C는 I , I . II 의 전압 측정 결고(을 순서 없01나타낸 것0 ᅵ다.

전압 전압 전압


0 진동수 0 진동수 0
A B

I ,I ,DI 의 전압 측정 결과로 옳은 것은? [18. 수능(물내

_L X i i
① A c B ② B A C
③ B c A ④ C A B
⑤ C B A

20 6 2023 물리학 n [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필히 들어야 하는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ED d ED ©
05 그림 (가)는 전압의 최댓값이 일정한 교류 전원에 코일,저항, 축전기를 직렬로 연결
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최댓값을 교류 전원
의 진동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코일 저항 축전기 전류의1
ᅳ " Wv--- II— 최댓값

— 0 K
교류 전원 0
Q L / i/ 2 /s 진동수

( 가) ( 나)

보기>에서 있는대로고른 것은?


이에 대한설명으로옳은 것만을〈 [21.9•평^^( 물표)]

기. 회로의 공명 진동수는/ 2이다.


L. 진동수가/2에서 / 3으로 변할 때 코일의 저항 역할이 작아진다.
1=.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최댓값은 진동수가/ i일 때가/3일 때보다 작다.

① ᅳ) ② u ③ "1 , 亡 ④ L ,m ⑤ 1 , l _ , 仁

06 그림은 방송국에서 소리가 마이크에 입력되어 전기 신호 a 로 전환된 후 교류 신호


B 에 실려 송신되는 과정과 라디오에서 방송이 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교류 신호 B 송& 안테나 라디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옳은 것만을〈 [15. 6.평7ra(물I)]

기. 마이크는 공기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킨다.


L. 송신 안테나에서는 변조된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전자에 의해서 전자기파가 발생한다.
C. 라디오에서는 LC 회로의 공명 진동수(고유 진동수雇 A 의 진동수에 맞추어 방송을 수신
한다.

p a r t n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07


□a
B, th e First

불록 렌즈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H Q G3 (2
Q 볼록 렌즈에 의한 상
우 볼록 렌즈 1. 볼록 렌 ^에 의 한 상
볼록 렌즈 ⑴ 볼록렌즈 광선 추적법
①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한 광선은 초점을 향해 수렴하거나 초점에서 온 것처럼 발산한다.
우초•점:\초•점c2 ② 초점을 지나온 광선은 광축에 평행하게 나아간다.
광축
③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광선은 경로가 변하지 않고 직진한다.

렌즈의 가장자리보다 가운데 부분이 두꺼운 렌


즈이다. 곡면이 회전 대칭성을 갖는 볼록 렌즈는

광축이 곡률 중심을 지난다.

[물체 위치 :초점 밖, 도립 실상] [물체 위 치 : 초점 안, 확대된 정립 허상]

⑵ 볼록렌즈에 의한 상
수차 물체의 위치 U )에 따라 상의 종류가 달라진다.
렌즈를 지난 빛이 한 점에 모이지 않아 상이 일그 같은 크기 A
러지는 현상
f ® a > 2 f . 축소된 도립 실상
_축소 확대 축소
① 구면 수 차 : 렌즈 가장자리를 지나는 빛과 렌즈 ② a = 2 f :같은 크기의 도립 실상
중심을 지난 빛의 초점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발생 ③ f < a < 2 f :확대된 도립 실상
2/
, 초점거리 , ④ a = / : 상이 생기지 않음
도립 실상 정립 허상
⑤ a < ^ : 확대된 정립 허상
상이 안 생김
바 /에 서 양쪽으로 멀어질수록 상의 크기는 작아진다.

(2) 색 수 차 : 파징에 따른 굴절률 차이 때문에 발생

a = °° a=2f 2f > a > f a=f f> a


① ② ③ ④ 상이 ⑤
축소 ^■은 크기 확대 생기지 않음 확대
도립 실상 도립 실상 도립 실상 정립 허상
書 렌
록 즈


00
lit -t f V < 2/
2/ / V
경 고 .
년),

쓰 關 내 'i
o 볼록 렌즈를 지나는 광선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1.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한 광선은 굴절 후 초점을 지난다.


초점을 향해 입사한 광선은 광축에 평행하게 나아간다.
=.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광선은 경로가 변하지 않는다.

20 8 2023 물리학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볼록 렌즈에서 상이 맺히는 과정을 도식으로 설명하고, 초점과 상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다.

^ POINT ① 볼록 렌즈 © 광선 추적 ③ 렌즈 방정식 ④ 배율 ⑤ 수차 ⑥ 렌즈의 활용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마지

1L Q 03 K ----
2. 렌즈 방정식과 배율

g g 0 ^ _ b
스A O B 와 ᅀA 'O B '는 닮은꼴이므로 상의 배율은 m~- 이다.
A B _ OB

ᅀPOF'와 스A'B'F'도 닮은꼴이므로 = = =^ 호이다.

렌즈 방정식에서 사용도I는 부호
두식에서 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초점 거리( / ) :볼록 렌즈는 항상 (+) 값이다.
② 물체 거리어 ) :물체 쪽 (실물체)일 때 ( + ). 물체
1+
-1 _
1 —1— 반대쪽(허물체)일 때 (- ) 값이다.
③ 상 거리( 6 ) : 실상 (+), 허상 (- )

, „ . , , ᅵ„ ᅵ

그림과 같이 초점 거리가 8 cm 인 볼록 렌즈에서 40 cm 떨 卜


어진 지점에 크기가 4cm 인 물체를 놓았다. 4cm|
물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J ① 볼록 렌즈에의해생기는 상과 볼록 렌즈 사이의거리는?
: ② 볼록 렌즈에 의해 생^ ᅵ는상의 크71는?
① 10 cm ② 1 cm

© 그림은 초점 거리가 F, F '인 볼록 렌즈에 의해서 생기는 상의 모양을 나타낸


n
것이다. p.
p
f\ fi
다음 설명 중 옳지 찰g 것은?
① 광원 P 가 F로 가까워질수록 실상 P '는 0 에서 멀어진다.
② 광원 P 가 F에 있을 때는 상이 생기지 않는다.
③ 광원 P가 F를 지나 ᄋ 쪽으로 향하는 순간 실상 P '는 허상으로 바뀐다.
④ 광원 P가 0 쪽으로 가까워질 때 나타나는 허상은 -x 쪽에 생긴다.
⑤ 광원 P가 F를 지나 0 에 가까워질수록 허상의 크기는 점점 커진다.

P A R T I. 파동과물질의성질 209
m (L a G3 K
B, the First ■— J

m m s!즈

B 볼록 렌즈의 이용
i.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E9 갈릴레이식 망원경과 뉴턴식 망원경 1. 굴절 망원#(케플러식 망원경)


① 갈릴레이식 망 원 경 : 대물렌즈로 볼록 렌즈
를 사용하고 접안렌즈로 오목 렌즈를 사용 ⑴ 구성 : 두 개의 볼록 렌즈인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한다.
⑵ 접안렌즈와 대물렌즈
대물렌즈 ① 대물렌즈: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며 초점 거리가 길수록 물체가 커 보인다.
② 접안렌즈: 대물렌즈에 의한 상을 확대하는 역할로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물체가 커 보인다.

⑶ 상 : 확대된 도립 허상을 볼 수 있다.


대물렌즈
② 뉴턴식 망 원 경 : 빛을 모으는 데 오목 거울을
이용하고. 접안렌즈로 볼록 렌즈를 人I용한다.

빼^^™^^^^ 뼈™"™^^^
■/ 으^반사경

벌 길 ^ ^ ^ ^ ^ ^ ^ ^ „

오목거울 ^ 접안렌즈

[케폴러식 망원경]

2. 광학 현미경

(1) 구성 : 두 개의 볼록 렌즈인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⑵ 접안렌즈와 대물렌즈
① 대물렌즈 : 상을 1차 확대한다.
② 접안렌즈 : 대물렌즈로 인해 확대된 상을 2차 확대한다.

⑶ 상 : 확대된 도립 허상을 볼 수 있다.

m m n
© 케플러식 망원경과 광학 현미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勝 *腿
-1. 케풀러식 망원경은 대물렌즈의 초점 거리가 접안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짧다.
U 광학 현미경은 확대된 정립 허상을 관찰할 수 있다.
1=. 케플러식 망원경과 광학 현미경 모두 대물렌즈가 도립 실상을 만든다.

©'

21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B B 신로I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3. 돋보기

⑴ 초점 안쪽에 물체를 두면 확대된 정립 허상을 관


측할 수 있다.

⑵ 너무 가까이 오면 망막에 상을 맺지 못한다.

볼록 렌즈

U. 카메라와 빔 프로젝터

(D 카메라 : 렌즈에 의해 물체보다 작은 실상이 필름에 생긴다.

필름

⑵ 빔 프로젝터 : 렌즈에 의해 물체보다 큰 실상이 스크린에 생긴다.

N: 상 P : 볼록 렌즈 D : 조리개 S : 스크린

O카메라와 빔 프로젝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① 상의 크기가 물체보다 크다.

② 렌즈를 지난 후 실상이 생긴다.


③ 빛의 반人I를 이용한 장치들이다.

④ 렌즈를 지난 후 정립상이 생긴다.

⑤ 물체와 렌즈 人卜이의 거리가 상과 렌즈 人I이의 거리보다 길다.

PARTM. 파 동 과 물 질 의 성 질 211
m B , th e

불록 벤즈
F ir s t % ~ m ---------------------------------------------------------------------------------------------------------------------------------------------- -

i.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I

0 1 다음은 볼록 렌즈에 의해 스크린에 생기는 상을 관찰하는 실험이다.

[실험 과정]
(가) 그림과 같이 광학대 위에 광원, 물체, 볼록 렌즈. 스크린을 설치한다.
(나) 물체와 스크린을 거리가 L 이 되도록 광학대에 고정하고 볼록 렌즈를 광축에 따라 이동시
킨다.
(다) 스크린에 상의 모습이 또렷하게 나타날 때마다 물체와 볼록 렌즈 사이의 거리 x와 상의
모습을 측정한다.


광원 물체 볼록 렌즈 스크린

[실험 결과]

X 상의 종류 상의 배율
20 cm Q) -

80 cm 도립상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 ,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 유 (물I ) ]

기. 볼록 렌즈의 초점 거리는 16 cm 이다.


L 0 은도립상이 다.

[ .© 은 音이다.

0 2 그림과 같이 초점 거 리 가 /인 볼록 렌즈와 물체를 두고,광축 위에서 렌즈와물체


사이의 거리를 바꾸어 가며 생기는 상을 관찰하였다.

볼록렌즈
물체
초점
광축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2 1. 수능 (물 ]I )]

기. 물체와 상의 크기가 같은 경우,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는 2/이다.


L. 실상이 생기는 경우, 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는/보다 작다.
허상이 생기는 경우, 상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보다 작다.

21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n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

a기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과 같이 볼록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에 물체를 놓는다.


표는 X 에 따른 물체의 상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x(cm) 상의 종류 상의 크기(cm)
물체
10 정립 허상 6
-광축
20 도립 실상 6
30 도립 실상 0

0 은? [21.9. 평가원 (물 ]0]

①2 ②3 ③4 ④5 ⑤6

0 2 그림 (가)와 같이 볼록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20 cm 떨어진 지점에 물체를 놓았더


니, 배율이 5인 실상이 생겼다. 그림 (나)는 (가)에서 물체를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10 cm
떨어진 지점으로 이동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20cm---- 니 卜 10cm 시

(n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9.평7r a ( S I ) ]

1. 렌즈의 초점 거리는 " Y cm이다.

L. (나)에서 물체의 상은 정립 허상이다.


ᄃ. (나)에서 상의 배율은 2이다.

① 1 ② C ③ -I, ④ L ,C ⑤ ᅳI, 1_,n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13


[a a [a ®
03 ()(
그림 가 ,나)와 같이 초점 거리가^인 볼록 렌즈 앞에 크기가 h 인 물체를 놓았더
/z2인 실상이 생겼다. (가),(나)에서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는 각각 a ’
니 크기가 각각 h u

6이고,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는 각각 6,a이다. 사-/z2=y/z이다.

♦ T A

pii TP" 물체 \ r
광축 광축
M l 상
상 i
\ / !
i
h — b — H ~ a ~ H

(^
(나)

/ 는? [22. 수능 (물 ]I)]

⑤유a
③ IP

04 그림과 같이 볼록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만큼 떨어진 지점에 물체를 놓았더니,렌

즈의 중심으로부터 |닌만큼 떨어진 지점에 상이 생겼다 .

r d n \

朝 \

3 ,
^----- 7 r d —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n.转 (물I)]

기. 상은 허상이다.

L. 상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의 |•배이다.

C. 렌즈의 초점 거리는 |닙이다.


5

① ② l ③ t二 ④ '기,仁 ⑤ 1- ,1二

21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B the First
신로ᅵ 의 물 리 만점 전 략 가 !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9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a 동과量질의성질

2 . 빛과 물질의 이중성

01 광전 효과와빛의입자성

02 물질파와입자의파동성

03 불확정성원리
01
B, the First

광전 효과와 빛의 입자성 2. 빛과들질의 이i

[L Q G3 K
□ 광전 효과
1 . 광전 효 과 : 금속 표면에 특정 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의 빛을
쪼였을 때 광전자가 방출되는 현상

⑴ 광 전 자 : 빛에 의해 금속 표면에서 튀어나온 전자

⑵ 문턱( 한계) 진동수( / o ) :광전자가 방출되기 시작하는 진동수

2. 광전 효과 실험 t 쁘헌 1진료.
pi광
전관 (1 ) 실험 방법 : 음극판에 빛을 비추어 광전 효과가 일어날 때 전압을 바꿔가며 광전류를 측정한다 .
금속판과 금속 막대로 만들어진 극을 유리로 된
진공 용기 안에 넣은 것
순방향 전압(양극 전위> 음극 전위) 역방향 전압(양극 전위< 음극 전위)
광전관^ 빛 광전자 광전관 빛 광전자

광전관의 구조
금속판에 전원의 음<_)극을 연결하면 광전자는 양 금속판에 전원의 양(+)극을 연결하면 광전자는 금
(+)극 쪽으로 전기력을 받는다. 속판 쪽으로 전기력을 받는다.

⑵ 실험 과정

역방향 전압 (양극 전위< 음극 전우ᅵ) 순방향 전압 (양극 전위> 음극 전위)

• 방출된 광전자가 금속판 쪽으로 전기력을 받으 ■순방향 전압이 커질수록 음(시극에서 방출된 광
므로 속도가 느린 광전자는 금속판 쪽으로 되돌 전자가 양(+)극에 더 많이 도달한다.
아간다. *방출된 광전자가 모두 양(+)극으로 끌려오면 전
■역방향 전압을 크게 하면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압을 크게 하여도 더 이상 광전류가 커지지 않
않는 전압이 나타난다. 는다.

HEM ?
o 그림 (가)는 진동수와 세기가 일정한 단색광을 금속핀에 비추는
것을, (나)는 금속판을 a와 b로 바꾸었을 때 전원 장치의 전압
K 에 따른 광전류 I 를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음물음
에답하
시오.
⑴ a와 b 의 문턱 진동수를 비교하면?

개님 화민 예제 정담 (2) a와 b에 비추는 단색광의 진동수만을 증가시켰을 때. a와


© ⑴ b가 a보다 크다. b의 정지 전압은?
(2) 증가한다.
⑶ a와 b에 비추는 단색광의 세기만을 감소시켰을 때,a와 b의 광전류는?
(3) 감소한다.

21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ᅵ신뢰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광전 효과 실험을 근거로 빛의 입자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필수본
핵®I P 이NT ①광전효과 ② 정지전압 ③아인슈타인의광양자설 ④일함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IL Q G3 K ---
① 광전류 : 광전자에 의한 전류로 광전류의 세기 I 는 금속판에서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광전

자의 수 I 에 비례한다.

I = A t=J^

② 정지 전압 (F0) :광전관에 흐르는 광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소의 역전압으로,금속의 종류


와 쪼여준 빛의 진동수에 따라 다르며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에 비례한다.

E„ ;
mv =eV0

⑶ 광전 효과 실험 결과
① 금속판에 쪼여주는 빛의 진동수가 문턱 진동수보다 작으면 광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② 빛의 세기가 셀수록 광전류가 많이 흐른다.
③ 금속판에 쪼여주는 빛의 진동수가 클수록 정지 전압이 크다.

비춰주는 빛의 진동수가 동일하고, 세기가 다를 때 비춰주는 빛의 세기가 동일하고, 진동수가 다를 때


광전류
광전류

V 역전압

• 밝은 빛이 어두운 빛보다 더 많은 광전자를 방출 진동수가 클수록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커


한다. 진다.
빛의 세기가 클수록 광전류도 커진다. -►비춰주는 빛의 진동수가 클수록 정지 전압의 크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기가 커진다.
-►같은 진동수의 모든 빛의 세기에 대하여 정지
전압이 동일하다.

© 광전 효과 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ᅵ

1■빛의 파동성을 증명한 실험이다.


문턱 진동수 이상의 빛을 비추었을 때에만 광전자를 방출한다.
=.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쪼여 주는 빛의 세기에 비례한다.

P A R T I. 파동과 물 질 의 성 질 219
m B, the First ■ᅳᅳL

광전효과와 빛의 입자성 2.빛


과물질
의이중
성|

n a G3 [2
B 아인슈타인의 광양자설

1 . 광양자설

⑴ 광양자설 :아인슈타인이 광전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가설


① 빛에너지가 퍼져있지 않고광자에 집중되어 있다.
pi광
양자 ② 빛은 진동수에 비례하는 에너지를 갖는 광 자 ( 광 양 의 흐름이다.
빛의 에너지가 라는 가본적인 양의 정수배만
가능하다는 것을 에너지의 양자화라고 한다. 광 ③ 독립된 양자 형태로 에너지가 전자기파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전자기파 자신도 독립된 양
양자는 양자화된 에너지를 갖는 빛 입자를 의미
자로 에너지를 실어 나른다.
한다.
④ 광자 한 개의 에너지 E 는 진동수 _/에 비례한다.

_ he
E=hf~-

⑵ 광양자설에 의한 광전 효과의 해석

■ ^ m v 2= h f — W

전자

금속 내부 금속 외부

①일함수O r) :금속으로부터 전자를 떼어내기 위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


르다.

FF=/?/o(/z=6.63xlO-34J -s)

②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 J :금속판에 비춘 빛의 진동수 y•에 따라 광전자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운동 에너지가 일정하게 증가한다.

E max= h f- W = If - W

③ 특정 진동수(문턱 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의 빛에 의해서만 광전자가 방출된다.


④ 문턱 진동수보다 큰 빛을 비춰주면 광전자는 그 즉시 방출된다.
⑤ 진동수가동일한 빛이면 밝기(세기)가 밝아져도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변하지 않는다.

0 그림 (가)는 파장이 고인 빛 A 를 금속판에 비출 때 금속판에서 3E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3표인 것을, (나)는


(가)와 같은 금속판에 파장이 2고인 빛 B를 비출 때 금속판에
서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E 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 금속판의 문턱 진동수는? (단, 플랑크 상수는 이다.)

......... 1

©1

220 2023 물리학 II [필수본] 개념완성


S
I 신로ᅵ의 물리 만정 전략가 ! B A E K l B EO M


히들어
야하는수
능물리
학의본
질적접
근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L Q G3 K ---
⑶ 광전효과 그래]
광 전 자 의
최대 운동 에너지

광 전 자 의
최대 운동 에 너 지
금속1 금속2 금속3

o
m
I
^
I
_
① 빛의 진동수 y ■를 바꾸어 가면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를 측정하면 기울기가 ^ h (플랑크
상수)로 일정한 직선을 얻게 된다 .

빠 금속의 종류에 관계 없이 기울기는 h (플랑크 상수)로 일정하다.


② 일함수가 클 수 록 /0(문턱 진동수)가 커진다.

0 그림은 광전관의 금속판에 진동수가 A 인 빛 A 를 비추었을 때, 회로에 흐르는


광전류와 금속판 양단의 전압차 zl K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금속의 일함
수가 2 eV일 때,빛 A 의 광자 1개가 갖는 에너지는 몇 eV인가?

-4 0 A V (V )

개넘 » 민 ni제 정답

©6eV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21


선! m
B, the First ■ᅳ ■-


il 광전 효과와 빛의 입X우성 2. 빛과屋질의131중성 |

01 표는 서로 다른 금속판 A, B 에 진동수가 각각/ X ,


/ Y인 단색광 X, Y 중 하나를 비
추었을 때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금속판
표를 비춘 경우 노를 비춘 경우
A E0 광전자가 방출되지 않음
B SEo Eo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 는 플랑크 상수이다.)


[20. 수능 (물I)]

re sze ᅳ. …
기./x > /y 이다. ( )
L 화 = 紙이다. ( )
C.Y 의 세기를 증가시켜 A 에 비추면 광전자가 방출된다. ( )

02 그림 (가)는 광전 효과 실험 장치에서 다른 조건은 동일하게 하고,진동수나 세기가


다른 단색광 A , B, C 각각을 금속판에 비추며 전압에 따른 광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모식
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하시오. [13.9.평해(물1)]

T 금속판에서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A 를 비출 때가 B를 비출 때보다 크다.


( )
L-. 단색광의 진동수는 A 가 C보다 작다. ( )
c. 단색광의 세7 ᅵ는B 가 C보다 크다. ( )

222 2023 물리학 I [ 필수본]개념완성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O M ~ x

필수본
보기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 가)는 광전 효과 실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나)는 진동수가 2 / 0인 단색광을


금속판 A 와 B 에,진동수가 3 / 0인 단색광을 A 와 B 중 하나에 비추었을 때,측정한 정지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금속판의 일함수는 A 가 B 보다 크다 .

정지 전압
5F0
4 V 0

3 F 0

2F0
r i
F0

0 2/0 3/0 진동수


(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단 , 기본 전하량은
g 이 다 .) [19. 9. 평가원 (물 I )]

점 p 와 다는 같은 금속판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q 는 A 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 B 의 일함수는 3 g n 이다.

① ② ④ ᄂ’ ⑤ ᄀ’

02 그림은 금속판 A , B 에 각각 단색광을 비추었을 때,방출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


너지를 단색광의 진동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2. 6 . 평7 « ( 물1 )]

기. A 의 일함수는 화과 같다.

L . , 은 플랑크 상수와 같다.

c . 진동수가 4 / 0인 단색광을 비추면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A 가 B 의 3 배이다.

① u ② n ③ 1 ,u ④ 기 , 1= © n, n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23


ca a ca ®
03 그림 (가)는 아연으로 만든 금속판에 단색광을 비추며 광전류를 측정하는 장치를 모
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색광 a,b 에 대해 전압 F 에 따른 광전류 I를 측정하였더니 그
림 (나)와 같았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防. 9. 평7 (물내

기. a의 진동수는 아연의 한계 진동수보다 크다.


l b의 진동수는 a의 2배이다.
c.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광전자의 개수는 a가 b보다 많다.

04 표는 금속판 A, B 에 진동수가 / 2인 단색광을 비추었을 때 방출된 광전자의 최


대 운동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표의 실험 I ,n , f 의 단색광의 진동수와 방출
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최대 운동
단색광의 최대운동 에너지
실험 금속판
진동수 에너지 3£0 >IV
I A /i Eo
2£„
표 A /2 2E0
I B /i (가)
IV B /2 SE0 0 J\ f 2 단색광의
진동수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람만을〈 [10.9. 평가원(물I )]

처人 • 은 플랑크 상수와 같아.


^ '/ 2 - / iL
영희 : 표의 (가)에 들어갈 값은 2화이야.
민수 : 실험 I 에서 단색광의 세기를 2배로 증가시키면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2酬 돼.

① 철수 ② 민수 ③ 철수, 영희
④ 영희,민수 ⑤ 철수, 영희, 민수

2 2 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 의 물리 만점 전략가 ! B A E K l B E O M — s
프! 入 보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B n r 1d
기본부터 심화까지

m a [
05 그림은 금속판에 단색광을 비추어 광전자를 방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표는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단색광의 파장과 세기를 변화시킬 때 금속판에서 방출되는 광
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 지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 파장 세기 최대운동에너지
광전자
단색광. I A 21 2E
I A I (가)
금속판 I 1.5/1 I E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광속은 C이고,플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랑크 상수는 /z이다.) [10. 수능 (물 I )]

飞 (가)는 £ 미다.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광전자의 개수는 실험 I 에서가 실험 I 에서보다 크다.
he,
금속의 일함수는 ^ 이다.

① ② ③ c ④ ᄂ, 亡 ⑤ ᄀ, ᄂ, ᄃ

06 그림은 두금속판 A, B 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Ek


를 빛의 파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시3는 의 3배이며,빛의 파장이 일 때,A 와 B 에
서 방출되는 광전자의 는 각각 £ A와 £ B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11. 6. 평가« (물내

기. A 의 일함수는 B 의 일함수의 3배이다.


l 파장이 보다 큰 빛을 비추었을 때. A 에서는 광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
c. £ B- £ A는 B 의 일함수와 같다.

p a r 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2 5
B, the First -------------------------------------------------

U Z 量질파와입자의 a 동성 2. 빛과을질의이중성

n 물질파
1. 물질파(드브로이파) :파동의 성질이 나타나는 물질 입자의 파동
⑴물질파의 도입
① 빛의 이중성 : 영의 이중 슬릿 실험으로 빛의 파동성을, 광전 효과 실험으로 빛의 입자성을
확인하였다.

② 물질파 이론 : 드브로이는 빛이 입자성과 파동성을 가지는 것처럼 전자와 같은 입자도 입자성


뿐만 아니라 파동성을 가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전자와 같은 입자가 나타내는 피동을 물질
파 또 는 드브로이파라고 한다.

⑵ 물질파의 파장(드브로이 파장) :질량이 M 인 입자가 속력 로 운동할 때, 입자의 운동과 관련되


는 파동의 파장으로, 물체의 운동량에 반비례한다.

p a * ( 플랑크상수)

/z=6.63xlO_34J s p mv

⑶ 물질의 이중성
① 입자도 빛과 같이 입자의 성질과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② 일상 생활에서의 물질파 : 드브로이 파장의 식에서 플랑크 상수의 값이 매우 작고,물체의 질
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물질파의 파장이 너무 짧아 파동성을 관찰할 수 없다.

ftiT FI----------------------------------------------------------

전자 A 의 운동 에너지가 전자 B 의 운동 에너지의 4 배일 때. 두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의 비 ^ 는?

画 ^

축 關 ᅵ !I圖

O 질량이 0.221 kg인 공을 5 m/s의 속력으로 던졌다. 이 공의 드브로이 파장은? (단, 플랑크 상수는 6.63X10"34 J • s 이다.)

님 앞민 예제 S S

0 6xiG^m

2 2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I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입자의 파동성을 물질파 이론과 전자 회절 실험을 근거로 설명할 수 있다.

핵힘 P이NT ① 물질파(드브로이파) ② 데이비슨■거머 실험 ③ 통슨의 전자 회절 실험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1L Q G3 12 ---
B 물질파 확인 실험
1. 데이비슨-거머 실험

⑴ 실험 방 법 : 전자의 속도를 조절하여


니켈 표면에 전자선을 쏘고 검출기의
전원 공급 장치
각도를 변화시키 면서 니켈 표면에서
튀어나온 전자의 수를 측정하였다.
니켈 결정

⑵ 실험 결과

전자총
그림과 같이 전자선이 니켈 결정으로 입사할 때,
가속 전압+ 54vP 보강 간성올 하는 파장 차이는 rfsin9=;l이다.
(단, 니켈 격자간격

① 54 V 의 전압으로 가속시킨 전자선을 니켈 결정에 쪼여주었을 때,니켈 결정에 의해 회절된


전자가 입사 전자선과 50°의 각을 이루는 곳에서 최대로 관측되었다.
② 니켈 결정 사이의 간격이 d ,물질파 파장이 ᅩ 결정면에 수직으로 입사한 전자선의 반사각이
9, 인접한 두 전자선의 경로차가 Zl=dSin0 이고 물질파 파장의 정수 배일 때 보강 간섭이
일어난다.

dsind=mA{m=l, 2, 3…)

③ 전자가 나타내는 파동의 파장과 드브로이가 제안한 물질파의 파장 계산값이 일치하였다.

G텔S) 데이비슨- 거머가 측정한 파장값 :1.65 A


⑶ 브래그 법칙 : 결정면 사이의 간격이 인 규칙적 드브로이 물질파 파장 계산값 : 1.67 A
(lA=10'10m)
인 결정 구조에 파장이 ^ 인 X 선이 결정면에
산의 각도로 입사하였을 때 보강 간섭이 일어나
는 조건

2dsin6=mA{m=l, 2, 3---) ᄋ ᄋ ᄋ ᄋ

© 원자 사이의 간격이 2.0Xl(T10m 인 니켈 결정에 수직하게 전자선을 쏜 결과, 니켈 결정에서 산란된 전자선의 각이 50•일
때 전자선의 세기가 최대가 되었다. 이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은? (단, sin50°=0.77이다.)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2 7
B, th e First

02 营질파와 입자의 파동성 2. 빛과 g 질의 이중성 >■)

t Q 03 CS ----
2. 통•슨의 전자 회절 실험 # 실험■
탐구.자*.f

(1) 실험 방법 : 아주 얇은 금속박에 고속으로 가속된 전자선을 통과시켜 전자의 회절 무늬를 관측

X 선 회절 무늬 전자선 회절 무늬

⑵ 실험 결과
① 전자선에 전압을 가해 X 선과 비슷한 파장으로 만들었을 때 X 선의 회절 무늬와 전자선의 회
절 무늬가 거의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岭 회절 무늬를 얻음으로써 전자의 파동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② 더 높은 전압을 걸어서 전자의 운동량을 증가시키면 회절 무늬의 간격은 더 좁아진다.

p =<j2meV=^j-

(m :전자의 질량, e :전자의 전하량,V :전압)

^ 실험S 구•자료

3. 전자의 이중 슬릿 실험 삐 )Gm

⑴ 실험 방법 : 전자총을 이중 슬릿을 향해 쏜다.

© 그림 (가)는 전자선을 얇은 금속박에 쪼였을 때 나타나는 무늬이고, (나)는 x 선을


고체 결정에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무늬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가) 전자선 (나) X선


1. 전자의 파동성을 증명한 실험이다.

ᄂ. (가)의 전자선의 가속 전압을 높이면 무늬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1=. (나)는 X 선이 회절하여 생긴 무늬이다.

..........
© I, l_, C

2 2 8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신 퇴 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n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 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a, q ta k ----
(2) 실험 결과
① 빛의 이중 슬릿 실험에서 회절과 간섭에 의해 나타나는 무늬와 비숫한 밝고 어두운 간섭무
늬가 나타난다.

② 전자가 이중 슬릿을 지나 스크린에 형광 작용을 일으킬 때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개수가


충분히 많을수록 의미 있는 간섭무늬가 나타난다.
밝은 빛을 내는 곳은 전자가 나타날 확률이 높
은 곳이며. 어두운 무늬는 전자가 발견될 확률이
낮은 곳이다.
峰 어두운 부분은 파동성0 ᅵ나타나지 않은 곳0 1
아니라 스크린에 도착한 전자의 개수가 너무
적어 보이지 않을 뿐이다.

전자 100개 통과 전자 3000개 통과 전자 70,000개 통과


[전자의 이중 슬릿 간섭무늬]

U. 가속된 전자와 드브로이 파장

⑴ 물체 또는 전자의 운동량과 파장의 관계식 : p = j

⑵ 에너지와 운동량의 관계식 : E k= ^ m tiz= ■


읍하= *p=니 2m E
필라멘트

⑶ 전압 F 로 가속된 전자의 운동 에너지 ^ = 이/민 경우 ^ 於 te'


— mv = e V
① 전자의 운동량p=^2meV

② 전자의 드브로01파장 A= - l ^ = y F

⑷ 가속 전압을 높일수록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이 짧아진다.

Q 그림은 이중 슬릿에 속력이 같은 전지를 통과시켰을 때 무늬가 생기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이중 슬릿을 통과한 전자가 ( )하기 때문에 스크린에 밝고 어두운 무늬가 생긴다.
⑵ 실험 결과 전자가 ( )의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⑴ 간섭 ⑵파동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성질 2 2 9
B, th e First ■% ᅳ ® -

02 署질파와 입자의 파吾성 2. 빛과물질의 이중성

01 그림은 각각 질량이 mA, mB인 입자 A, B 의 드브로이 파장을 운동 에너지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 i—MiiiBil

에너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9. 9. 평가원 (물 I )]

■EOI
기. 입자의 운동량의 크기가 클수록 드브로이 파장이 짧아진다.
ᄂ. mA : mB-2 : 9이다.
C. B 의 운동 에너지가 ^일 때 드브로이 파장은 / 향 0이다.

02 그림은 입자의 종류를 바꿔가며 이중 슬릿에 의한 물질파의 간섭 무늬를 관찰하는


실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zlx 는 이웃한 밝은 무늬 사이의 간격이다. 표는 입자
A, B 의 운동량과 운동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입자 운동량 운동 에너지
A P 2E
입자 B 2P E
가속 장치 이중슬릿 간섭무늬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0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3. 수능 (물 I)]

V 물질파 파장은 A 가 B 보다 길다.


Ar 는 A 일 때가 B 일 때보다 작다.

. 질량은 A 가 B보다 크다.

2 3 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v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은 철수, 민수, 영희가 물질파에 대해 대화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① 철수 ② 민수 ③ 철수,영희
④ 민수,영희 ⑤ 철수,민수, 영희

02 그림은 입자 A ,B 의 물질파 파장을 속력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21. 9. 평7 (물I)]

기. 질량은 A 가 B보다 크다.

l 속력이 如일 때 A 의 물질파 파장은 이다.

c. 물질파 파장이 고일 때 운동 에너지는 A 가 B보다 작다.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3 1
B, th e First ■

画 a?i 2. 빛과물질의 이중성

ca a ca ©
03 그림은 입자 가속 장치에 의해 방출된 전자선이 얇은 금속박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원형의 회절 무늬를 만드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크 린
금소박

^^^^^^^^^^^

입자 애 圖

가속 장치

이에 대한 옳은 설 명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2. 3. 교육청 (물 1)]

이 실험으로 전자의 파동성을 알 수 있다.


전자의 속력이 빠를수록 회절 무늬의 폭이 커진다.
전자보다 질량이 큰 입자를 같은 속력으로 방출시키면 회절 무늬의 폭이 커진다.

① ② ③ ④ 기, l ⑤ 1ᅭ’ r:

04 그림 (가)는 x 선을 금속박에 입사시켰을 때 얻은 회절 무늬를,(나)는 전자선을 금


속박에 입사시 켰을 때 얻은 무늬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이에 대해 옳게 말한 사 람 을 〈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09. 6. 평가S (물I)]

철수 : (나)의 무늬는 전자의 회절 무늬야.


영희 : (나)의 무늬는 전자가 파동성을 갖기 때문에 나타나는 거야.
민수 : 전자의 속력이 커지면 전자의 물질파 파장이 커져.

① 철수 ② 영희 ③ 민수
④ 철수,영희 ⑤ 철수, 영희,민수

2 3 2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I 의 물 2 1 만점 전 략가 ! B A E Kl B E O M — s

I 필히 S 어야하는 수늠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5 그림 (가)는 데이비슨 • 거머 실험에서 전자가 니켈 결정의 표면에 입사하여 산란되 ᅭ "


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가)에서 검출된 전자의 개수를 산란각 산에 따라 나
타낸 것이다.

전자총

ᆻ전자 검출기

니켈 결정 20 50 70 g(°)

(가) (나)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을 〈 [22.4능(물I)]

기. (나}는 전자의 입자성을 보여 주는 실험 결과이다.


L 0=50°로 산란된 전자의 물질파는 보강 간섭 조건을 만족한다.
c. 니켈 결정에 입사된 전자의 속력이 커질수록 전자의 물질파 파장은 길어진다.

① ② ③ ④ ⑤

06 표는 금속 A 의 표면에 진동수가 2 / ,5 / ,7/ 인 단색광을 각각 비추었을 때 방출되


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와 드브로이 파장의 최솟값을 나타낸 것이다.

단색광의진동수 최대운동에너지 드브로이파장의최솟값


2/ E, 2A
5/ e2 A
7/ E,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h는 플랑크 상수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이다.) [22. 9. 평가원 (물 H)]

기. ^ 2 = ! ^ 이다.

L A 의 일함수는 /z/이다.

c. 니이다.

P A R T I. 파동과물질의 성질 2 3 3
03
B, th e First

置확정성 원려 2. 빛과물질의 이중성

n 고전 수소원자 모f

⑴ 대입자 산란 실험 ᅳ 원자핵의 존재 발견
⑵ 원자 중심에는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자핵이 있고, 전자가 전기력에 의해 그 주위를
공전한다.(원자 대부분의 공간은 비어 있음)
러더퍼드
(행성모형) ⑶ 문제점
① 원자의 안정성 문제
전자 공전(가속 운동) ᅳ 전자기파 방출 ᅳ
공전 궤도 축소 ᅳ 핵과 충돌!
② 원자가 방출하는 스펙트럼이 선 스펙트럼으로
관측되는 것을 설명하지 못함

□ 보어의 원자 모형

1. 첫 번째 가설(양자조건)

⑴ 양자 조건 : 원자 속의 전자가 특정한 조건(양자 조건)을 만족하는 원 궤도를 회전할 때는 전자


기파를 방출하지 않는다.

2 7 t r m v = n h ( n = l , 2 ,•••)

p i 정상파 ⑵ 원 궤도의 둘레가 드브로이 파장의 정수배가 되어 전자의 물질파가 정 상 !?를 이룬다.
정ᆻ파' 배

jc스 ^建 : ᅳ
진행파와 반사파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 둘레 = 1파장 ᅮ、 둘레= 2 파장 둘레 = 3파장
면서 중첩되어 파동이 진행하지 않고 제자리에 ᅳ 가 쒀 « = 1. 27rri=/li
서 잔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파동
수 그 n= 2/lKn: =2Ao

그 그 고 스 시 ᅳ y| w=3, 27rr3=3/l3

2. 두 번째 가설(진동수 조건) : 원자 내의 전자가 안정된 한 궤도에서 다른 안정된 궤도로 이동할


때 두 궤도의 에너지 차이만큼의 에너지를 갖는 광자를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P M 'ilL if
o 보어의 원자 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양자 조건: 원자 속의 전자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원 궤도를 회전할 때는 ( 雇 방출하지 않는다.
⑵ 진동수 조 건 : 전자가 양자 조건을 만족하는 원 궤도 사이를 전이할 때, 두 궤도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에너지
( 雇갖는전자기파를방출한다.

2 3 4 2023 물리학 표[ 필수본] 개념완성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v

^
수소 원자 내에서 전자의 궤도에서의 불확정성 원리를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POINT ① 고전 수소 원자 모형 ② 보어의 원자 모형 ③ 기체 에너지 준위 ④ 불확정성 원리


필수본ᅴ
기본부터 심화까지

DL, Q □ CS ----
3. 수소 원자의 에너지준위
(1) 수소원자의 에너지준위유도고떤
ke2 mv2 . 1 2 ke
—T~= -- 1命 -wmv =~^—
广
1 r 乙 스r
_ nh
® 2 n r n= 入n= i J ᅮ
yn rnun Tn 2nmvn
nh nh V n lir n
rn
\ 27rmvn , '^ ^7L2m k^
2k m
mrn
2j2
n h p i 보어 반지름 W
rn- :r\n‘ (n= l, 2’ 3, •••) [r„ :전자의 궤도 반지름严
^7근mk 군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양자수 w= i 일 때
전자가 도는 원 궤도의 반지름
27T2mfeV
jr n v 2+ ( - ^ r ) = - ^ r E n-- =-13.6 含 (eV)
n2Pf

flBiEa
⑵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

에너지(eV)
5 4 3

yn

-0.54
I- -I II

브래킷계열 그?!f
파셴 계열
-3.40
발머 계열

-13.60
라이먼 계열

① 전자가 W= 1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전자기파의 에너지가 가장 크다.


② 전자가 m 번째 궤도에서 w번째 궤도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 [m>n)

I he hc\ he
Em- E = R ^ - - 2^

③ 전자가 m 번째 궤도에서 w번째 궤도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빛의 파장 (m >n)

© 그림은 수소 원자의 양자수와 에너지 준위를 나타낸 것이다. 양자수


■W=oo
L-
-1.5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ᄌ
-3.4
⑴ w=3에서 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의 크기는? 5
(eV)
⑵ 에서 «= 2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전자기파가 해당되는
스펙트럼 계열은?
-13.6

개님 약민 oil제 정담
© (D12.1eV ⑵ 발머계열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3 5
03
B, the First

营확정성 원리 2. 빛과둘질의 이중성 |

Q, a 03 GS
□ 불확정성 원리
1. 불확정성 원리 : 어떤 물체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A x A p > ^ { f i^ = ^ , /z=6.63xl0—
34J • s)

(A x :위치의 불확정량, ᅀp :운동량의 불확정량)


부정확한 정도를 나타내는 B 리량
^ 실획^?•잔료
용어 교과서
(1) 하이젠베르크의 사고 실험
불확정량 비상

불확정도 지^■사. 천재 ① 실험 방법 : 전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빛을 쏜다.


부정확성 교학사

부정^ £ 미래엔 및
! 긴파장의광자를사용할때 짧은파장의광자를사용할때
스크린 스크린

현미경 현미경
\氣....ᅳᅳ
전자의위치측정모습

전자
광자 -6 운전자
ᅀP
Ax
회절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감소
Ax 회절이 잘 일어나므로 증가한다■
한다.
ᅀP 광자의 에너지가 작으므로 감소한다. 광자의 에너지가 크므무증가한다.

② 실험 결 과 : 파장이 긴 빛을 이용하면 전자의 위치의 불확정량은 증가하지만 운동량의 불확


정량은 감소하고,파장이 짧은 빛을 이용하면 전자의 위치의 불확정량은 감소하지만 운동량
의 불확정량은 증가한다.

0 그림은 현미경으로 전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르시오*

i. 광자의 파장을 짧게 하면 전자의 위치 불확정량이 증가한다.

광자의 파장을 길게 하면 운동량의 불확정량이 증가한다.


=. 전자의 위치 불확정량이 클수록 운동량 불확정량이 작아진다.

■ m E E E M 1
©C

2 3 6 2023 물리학 I [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

필히들어야하는수능물리학의본질적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마지

a, Q ta K
⑵ 전자의 회절 실험
① 실험 방 법 : 단일 슬릿을 향해 전자선을 쏜다.

구분 슬릿의 폭이 좁을 때 슬릿의 폭이 넓을 때

Ax 厂办 Ax
전자의 |
lli\ II
회절 Jt }
모습 \
1 1 II

Ax 슬릿의 폭이 좁o □무 감小한다. 슬릿의 폭이 넓o □ 무 증가한다.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회절 무늬의 폭이 넓 슬릿의 폭이 넓을수록 회절 무늬와 폭이 좁
어지므로 증가한다. 아지므로 감소한다.

② 실험 결 과 :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전자의 위치의 불확정량은 감소하지만 운동량의 불확정


량은 증가하고, 슬릿의 폭이 넓을수록 전자의 위치의 불확정량은 증가하지만 운동량의 불확
정량은 감소한다.

QH$)
⑶ 에너지와 시간의 불확정성 원리 : 입자의 진동수를 측정할 때,측정하는 데 걸린 시간이 짧을수
록 에너지의 불확정성은 커진다.

A E A t > j ( h = ^ , ^=6.63xiO~34J • s)

0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어떤 입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수록 그 입자의 ( )의 불확정성o I 커지며. 어떤 입자의
진동수를 측정하는 데 걸린 시간이 ( )수록 ( )의 불확정성o ᅵ
커진다.

@ 운동량, 짧을. 에너지

p a r t n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3 7
03
B, th e First 핵 ! ᅳ

2. 빛과울질의이중성 |
謹확정성 원리
[L Q G3 K
□ 현대의 원자모형

1. 불확정성 원리와 보어 원자 모형의 한계

⑴ 보어 원자 모 형 : 원자의 중심에 있는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특정한 궤도에서 원운동


빠 전자가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한다.

⑵ 보어 원자 모형의 한 계 : 고전 역학과 양자 가설을 이용하여 양자수« 인 상태에서 전자의 궤도


반지름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으나 이는 불확정성 원리에 위배된다.

①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다고 판단岭 위치 불확정성에 위배


② 원자핵과 전자 사이의 반지름 방향 운동량이 o이라고 가정 운동량 불확정성에 위배

2. 현대적 원자 모형
<3BP@
p i 양자수 (1) 파동 함수 : 양자 역학에서 전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함수로 3개의 양자^에 의해 결정된다.

양자수 허용된 값 ⑵ 파동 함수를 결정하는 3개의 양자수를 n, I, m으로 나타내며, 각각 주 양자수, 궤도 양자수, 자
M(주 양자쉬 1. 2, 3, …. 0°
기 양자수이다.
/(궤도 양자수) 0.1.2, -.«-1

W(자기 양자수) 0. ±1. ±2, ±1 ⑶ 3개의 양자수는 짝을 이루어 하나의 상태를 결정 (成 /, m)


® w= 1일 때 전자의 상태 빠 (1,0, 0) >4 1가지 상태만 가능
« = 2 일 때 전자의 상태 "► (2, 0, 0),
(2,1,1),(2,1’ 0)’(2’ 1’ -1) -► 4가지 상태

w t § w m m
@ 보어의 원자 모형과 현대 수소 원자 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⑴ 보어의 원자 모형은 양자수 ^에서 전자의 궤도를 알 수 있지만 ( )에 위배된다.
⑵ 현대 수소 원자 모형은 전자의 상태를 나타내기 우ᅵ하여< 雇 3개의 양자수로 나타낸다.

© ⑴ 불확정성원리 ⑵파동함수

2 3 8 2023 물리학 표[필수본] 개념완성


^7.-----------------------------------------------------------------------------------------------------------------------------------------------a ~ 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 략가! B A E K l B E O M ~ 、
U) 밀히 들어야하는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cl q ta cs ----
3. 확률 밀도 함수 : 전자가 어떤 시간에 특정 구간에서 발견될 확률 정보는 파동 함수의 절댓값을
제곱하여 구하며, 이를 확률 밀도 함수라고 한다.

(1) 양자수 n ’ I m 에 따라 파동 함수의 모양이 달라진다.


■► 이 파동 함수로부터 전자가 발견될 확률을 파악할 수 있다.

(2) 양자 역학에서는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이입 발견할•활 ! 뿐 이 다 .

그래프는 전자의 확를 밀도를 나타내므로 그래


확 률밀 도

확 률밀 도
프 아래의 넓이는 확률을 뜻하며. 전체 넓이는 1
이다.

구 2야 n 모。
/ )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
원 ^으 로 부 터 의 거리
[(1, 0,0)인 상태의 전자가 발견될 확률 밀도 함수] [(2, 0,0)인 상태의 전자가 발견될 확률 밀도 함수]

U. 고전적 원자 모형과 현대적 원자 모형


보어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특정한 궤도를 따라 원운동을 하는 것으로 기술하
지만,현대적 원자 모형에서는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전자가 발견
될 확률을 3차원상에 전자 구름의 형태로 나타냄

고전적원자모형 현대적원자모형
러더퍼드 모형 보어 모형 전자 구름 모형

y 수 :::::::: 스 、 ^一.^ 전았를 _ 할


/" 二--- -、
、、
、、

''、
'、


/ / / / , : : 二: : \\\ 如 .
/ // // / 广 ^ ' 、、、
、、、 '\
'、 \ \

• !
;: :;/ / \
(© j
\\\\\\
p
\\\ \
» o ; :::::;
/ // / ! ! :
V\、
、V 、
、\、 :二■
S__ 々
1
、'、'、 '、 一-, V// // 7
\\、 、'、
、、'— ^ y / /
'세 ::::::夕 '

전자가 원자핵을 중심으 전자가 원자핵을 중심으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
로 임의의 원 궤도에서 로 불연속적인 원 궤도를 수 없으며 전자가 존재할 확률만 알 수 있다.
운동한다. 그리면서 운동한다.

© 현대의 원자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 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

(2) 전자가 원자핵을 중심으로 원 궤도를 그리면서 운동한다. (


⑶ 원자 내에서전자가존재할위치는확률적으로만 알수있다. (

?Hy » o i 에제 정»

©⑴ X ⑵X (3) ᄋ

P A R T I. 파동과 물질의 성질 2 3 9
B, the First

03 f확정성 원려 2. 빛과을질의 이중성 |

01 그림 (가)〜 (다)는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서 양 자 수 « 이 서로 다른 전자의 원운동


궤도와 드브로이 물질파가 만든 정상파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선과 점선은 각각

원운동 궤도와 정상파를 나타낸다.

(가) (나) (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17. 特(물 1)1

-----

기. (가)에서 원운동 궤도의 둘레는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의 4배이다. ' ( )


ᄂ.( 나)에人"U = 3이다. ( )
c. 전자가 (가)에서 (다)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는 (나)에서 (다)로 전이할 때 방출되
는 빛의 진동수보다 작다. ( )

0 2 그림은 질량 m, 전하량 e인 전자가 전압 F 에 의해 정지 상태로부터 가속되어 단일


슬릿과 이중 슬릿을 통과한 후 형광판에 간섭무늬를 만드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 t 는
이웃한 밝은 무늬 간격이다.

ᅳ 1 1 1
1. 1느 *뼈해

정지 ᅵ전자 1 디 그 ^
양극판 1 mmmm

단일슬릿 이중슬릿 간섭무늬

이에 대한 옳은 것에 o 표,틀린 것에 x 표 하시오. (단,h는 플랑크 상수이다.)


[17.10. 교육청 (물 I)]

1. 양극판을 통과하는 전자의 드브로01파장은 남 ^ 이다. ( )

l F 를증가시키면 Ar 가감소한다. ( )
c. 단일 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단일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운동량 불확정성이 감소한다.

2 4 0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I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l B E O M ~

a?i 필수본ᅴ
기본부터 심화까지

01 그림 (가),(나)는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점선은 전자


의 원운동 궤도이고 실선은 전자의 물질파가 정상파를 이룬 모습이다.

(가)와 (나)에서 전자의 원운동 궤도 반지름의 비 q 와 전자의 운동 에너지의 비


£*가 • 五나로 옳은 것은? [12.10. 교육정 (물 II )]

r 가: m Ei\ :五나
① ,1 :2 2 :1
② 1 :2 4 :1
③ 1 :4 2 :1
④ 1 :4 4 :1
⑤ 4 :1 1 :2

0 2 그림은 운동량의 크기가 인 전자가 폭이 / 1강인 단일 슬릿에 입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ᅀPv는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y축 방향 운동량 불확정 도를 나타낸 것이다.

— L
P______ _4학 스 1 쓴ᅳ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만 을 〈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22.9. 평7r a (물 I)]

----------------------------------------------------
기. Ay^ 슬릿에서 전자의 위치 불확정도를 나타낸다.
l 办 가 감소하면 ᅀp든 감소한다.
c.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회절은 전자의 파동성 때문에 나타난다.

PART I . 파동과 물질의 성질 241


B th e F ir s t t

ᅯ 신 퇴 의 물리 만점 전 략 가 !
m c i ai
역 학 SI 상 호 S ts

— 1■힘과 운동 —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01 힘의합성과 분해 01 등속 원운동

SCREEN 01 ᄋ. ᄋ, x 02 ᄋ. X, ᄋ
S C REEN 01 ᄋ. ᄋ. ᄋ 02 ᄋ, ᄋ. X

01 ② 02 ⑤ 03 ⑤ 0A ③ 05 ④
01 ④ 02 ② 03 ③ 0A ③ 05 ②
06 ①
06 ③

0 2 居체의 평형 0 2 행성의 운동

SC REEN 01 ᄋ. ᄋ, x 02 X, ᄋ, X
JL ^ S C R E E N 01 ᄋ, 0 02 ᄋ, X

^늘 现 刚
01 ⑤ 02 ② 03 ③ 04 ③ 05 ②
01 ④ 02 ③ 03 ⑤ 0스 ② 05 ①

09 ② 10 ④ 06 ⑤ 07 ⑤ 08 ④
06 ④ 07 ④ 08 ③

03 평면에서 등가속도 운동 03 등가원리

01 X, ᄋ, o 02 ᄋ, ᄋ, 0 01 ᄋ, ᄋ, X 02 X, ᄋ, o
'WHt3 SC REEN

趙 函 刚
01 ① 03 ① 0A ⑤ 05 ④ 01 ④ 02 ⑤
02 ②

06 ② 07 ⑤ 08 ③ 09 ② 10 ①
04 중력 렌즈와 碧택S
11 ④ 12 ⑤
SC REEN 01 ᄋ,X ,ᄋ 02 ᄋ, ᄋ, o

이⑤ 02 ①

2 4 4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 g 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l B E O M _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 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I
전자기S
3. 일과 에너지 1. 전하와 전기장
01 일과운동에너지 01 전기장과 정전기 유도

SCREEN 01 ᄋ. x, o 02 ᄋ, o
SCREEN 01 x, X ,ᄋ 02 ᄋ,X ,o


이② 02 ① 이① 02 ④ 03 ① 04 ④ 05 ③

06 ③
0 2 역학적 에너지 보존

SCREEN 01 ᄋ, ᄋ,ᄋ 02 X , ᄋ, x 0 2 직류 회로와 전기 에너지

02 o , ᄋ, x
I函

01 ② 02 ⑤ 03 ② 0在⑤ 05 ② 刚
06 ⑤ 07 ⑤ 08 ⑤ 09 ② 10 ① 01 ⑤ 02 ② 03 ① 04 ③ 05 ③

06② 07④ 08④


03 일과일

V S fs C R E E N Ot X, ᄋ, 0 02 X. ᄋ, o 03 트렌지스터

SCREEN 01 ᄋ, ᄋ, x 02 ᄋ,ᄋ, x
^ 0 1 S B

01 ④ 02 ① 03 ② U ④ 05 ③ IS D
06 ① 01 ③ 02 ⑤ 03 ③ 04 ①

04 축전기

screen^ ^ E B X, X 02 o , X , x

^ 총Q 刚
이④ 02 ①
ᅳ 03 ③ 04 ① 05 ①

06 ① 07 ① 08 ③

빠른 정답 245
n
msm量질의 성질
2. 전류와 전기장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01 전류에의한자기장 이 전자기파의간섭과회a
S C REEN 01 ᄋ, x , X 02 ᄋ, ᄋ, x SCREEN 01 ᄋ,ᄋ, o 02 ᄋ, X , o

이④ 02 ④ 03 ① 0스④ 05 ① 이③ 02 ⑤ 03 ③ 0스⑤ 05 ⑤

02 전자기 유도 02 도营러 효과
圖 {3 SC REEN 01 X, X, 0 02 ᄋ, 。, X
SC REEN 01 ᄋ. ᄋ, ᄋ 02 ᄋ,X

箱 S 胆 ]]
箱 函 刚
01 ② 02 ⑤ 03 ② 04 ③ 05 ④
01 ④ 02 ② 03 ② 04 ⑤
06 ⑤ 07 ⑤ 08 ④ 09 ②

03 전자기파의 발생과 무선 통신
03 상호유도
SCREEN 01 x , o , x 02 ᄋ, ᄋ,x
S C R E EN 01 ᄋ, x . ᄋ 02 ᄋ, X , x

SO
01 ⑤ 02 ③ 03 ⑤ 04 ④ 05 ①
01 ④ 02 ② 03 ③ 04 ③
06 ③

04 볼록 렌즈

SCREEN 01 ᄋ, ᄋ, X 02 ᄋ,x , x

01 ① 02 ③ 03 ④ 0스⑤

2 4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s ᅳᅳ 표 신로I의 물리 만점 력략가! B A E K l B E O M _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 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2. 빛과 물질의 이중성
01 광전효과와및의 입자성

표 그 £ £ ^ 럽 표 빼 표 ᅵ jᅵ룰| 02 X, ᄋ, 0

箱 a i刚
01 ② 02 ⑤ 03 ④ 齡③ (OS④
(縣 ③ ;

0 2 물질파와 입자의 파동성

SCREEN ii &z

励 S3
劃 ⑤ Q)2 ⑤ (33 ① 齡④ DH5©

獅 ④

0 3 圏확정성 원리

SCREEN iii

趣 瞧 刚
(mi ④ 032 ③

빠른 정답 247
0 4 . ③

지을 x, y 축 방향으로 벡터 분해하면 각각 2 N, 5 N 이고 6 를 x,
값축 방향으로 벡터 분해하면 각각 1 N, - 1 자이다. 이를 x 축’ y축
방향으로 각각 합성하면 Fz=3 N, F = 4 사이다. 이를 다시 합성하
역 학 적 상 至 작 s
여 합력의 크기를 구하면 7(3N)2+(4N)2= 5 이이다.
1. 힘과 운동
05■②
01 힘의합성과분해 물체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물체의 가속도, 알짜힘은 0
SCREEN 이며, 하, 巧를 수평, 수직 방향으로 벡터 분해하여 합한 값도 각각

01. 02. 0이다. (수평 방향의 알짜힘) = - 하cos30°+F2cos60°=0이고, (수


직 방향의 알짜힘) =^sin30°+巧sin60°-200N=0이다. 이 두식
을 연립하여 정리하면 ^ = 100 N, ^ = 1 0 0 /표N 이다.
힘은 벡터량으로, 크기와 방향을 가진다.
힘의 크기를 F 라고 하면, 크기가 같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힘의 합력은 F + (- F )= 0이다. 물체가 받는 알짜힘
가속도= 이므로 (가)에서 물체의 가속도의
질량

02. 크기는 & 이다.

y 축 방향으로 두 힘의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y 축 방 u 같은 크기의 중력을 받고 있지만 (나)에서는 F2만큼의 위쪽 방


향 알짜힘은 0이다. x 축 방향 알짜힘은 2 이으로 +x방향이므 향 힘을 받으므로 물체가 수평면을 누르는 힘의 크기는 (가)의
로 가속도의 방향도 +x방향이다. 경우가 (나)보다 크다.
2N (가)와 (나)에서 연직 방향으로는 운동하지 않으므로 연직 방향
F = m a 이므로 가속도의 크기는 =1 m/s2이다.
2 kg
알짜힘은 모두 0이다. 반면 수평 방향으로는 동일한 힘 F\
을받
F2와 F4는 힘의 평형 관계이다.
으며 운동하고 있으므로 (가)와 (나)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
의 크기는 A 으로 같다.
01. ④ 02• ② 03• ③ 04 ③ 05. ②
06. ③
02 물체의 평형
01. ④ SCREEN

과 巧의 힘 중 중력의 반대 방향(연직 위 방향)에 가까운 힘이 사 01. 02.


람의 무게를 더 많이 버티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앞으로 전진하면
의 방향이 중력의 반대 방향에 점점 가까워지므로 퍄은 커지고,
F2의 방향은 점점 수평 방향에 가까워지므로 F2는 작아지게 된다. 실과 막대가 연결된 지점을 기준점으로 돌림힘 평형식을 세우

02. ②
Fu F2, 와을 각각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분해하여 수평 방향 막대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식을 세우면,T= mg+2/mg+~$mg
으로 작용하는 힘은 수평 방향끼리,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16
卿이 다.
수직 방향끼리 합성하면,A 에 작용하는 알짜힘의 수평 성분은 왼
쪽 방향으로 1 이이고, 알짜힘의 수직 성분은 아래쪽 방향으로 1 N
이다. 따라서 이를 벡터 합성하면 알짜힘의 크기는 / ^ N 이다. 02.
지붕의 질량을 M 이라고 하면 바닥재 위의 두 기둥이 지붕을 떠
03. ③ 받치는 힘 f 는 각각 f 이고 바닥재 아래의 네 기둥이 바닥재
1 . A 는 등속도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가속도가 0이고,
질량x 가속도 = 알짜힘 = 0이 된다. 를 떠받치는 힘은 각각 讀 +2了 十2卿 이다. 6개 기둥이 떠
p가 A 를 당기는 힘과 A 가 p를 당기는 힘은 작용 반작용 관계
받치는 힘이 같으므로 Af=4m이고, 6개의 기둥이 떠받치는 힘
라서 서로 힘의 크기가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은 2뼤이다.
亡. (q가 B를 당기는 힘) = (p가 B를 당기는 힘) + (B가 받는 마찰
바닥재 위의 두 기둥과 지붕을 질량이 6m인 한 물체로 볼 때 이
력)의 관계가 성립하며 B 가 받는 마찰력은 0이 아니므로 q가 B
를 당기는 힘이 p가 B를 당기는 힘보다 크다. 에 의한 돌림힘은 작용점이 바닥재의 왼쪽으로부터 | l 위치에

2 4 8 2023 물리학 1 [필수본] 개념완성


-----------------------------------------------------------------------------------------------------------------------------------------------B ᅳᅳ B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있고, 바닥재의 질량 2m에 의한 돌림힘의 작용점은 바닥재의 므로 A 에 걸리는 막대의 무게가 | | 物이다. 즉. 막대의 무게 중심이 A 와 B 사이
왼쪽으로부터 ^위치에 있다. 바닥재 아래 네 기둥이 떠받치는
를 9 : 11로 나누는 지점임을 알 수 있다. 일 때. A 가 막대를 떠받치는 힘의 크
힘과 함께 바닥재 왼쪽 끝을 회전축으로 하여 돌림힘의 평형을 Q Q 11 1
기가 중物이므로 물체의 무게는 중 姆 - 昔 餘 = 音鄭가다. 터ᅵ일 때 물체가
- 5 3
계산하면 6m"x —L+2mᄍ><_乙二2mᄍ><x+2mgx ~^L+2mg
B에 가해주는 힘의 크기가 ᅳ 二^ A에 가해주는 힘의 크기가

X2L이다. 따라서 x = | l 이다.


\Mg- = 옮 鄭 31므로, 물체는 &동안 A 로부터 20Lx = 弘만큼

綱 이동했음을알수있다. 따라서 务 ><호 사 02= 5 ^ 이 므 로 이 다 .


z m tn
01. ④ 02. ③ 03. ⑤ 04. ② 05•①
06. ④ 07. ④ 08•③ 09. ② 10. ④
03. ⑤
첫 번째 그림에서 공이 왼쪽으로 / 만큼, 막대가 오른쪽으로 ;

01. ④
큼 이동하여도 저울에 측정된 무게가 동일하므로 두 경우에서 (막
(가)에서 물체를 든 사람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먼 곳까지
대. 공,A, B) 전체 계의 무게 중심의 좌표가 동일하다. 공과 막대
이동하였으므로 (물체, 사람, 판)의 무게 중심은 받침대의 왼쪽 끝
가 이동한 거리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므로 (막대의 무게) = (공의 무
에 위치한다. 물체와 사람의 질량 합과 판의 질량의 비가 3 :10이
게)= 4 N 이다. 두 번째 그림에서 막대의 무게 중심은 A. B 사이를
고 받침대의 왼쪽 끝으로부터 (물체, 사람)까지와 판의 무게 중심까
1Q
1
3 :1로 내분하는 지점이므로 막대는 A 에 : 4 N = 1 N 만큼
지의 거리 비가 (X-L) :L 이므로 10 :3=(x-L) :
L 에서 x = y L 3+1
힘을 가한다. 따라서 왼쪽 저울에서 측정된 10 N 은 (A 의 무게) +
이다. (나)에서 사람만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판이 수평을 유지하
1 자이므로 A 의 무게는 9 N 이다.
므로 (물체, 사람, 판)의 무게 중심은 받침대의 오른쪽 끝에 위치한
다. 이때 판의 무게 중심이 받침대 오른쪽 끝에 있으므로 물체와 사
04. ②
람의 질량에 의한 돌림힘만 고려한다. 물체와 사람의 질량 비가 1 :
위에서부터 가로로 배열된 막대를 막대 1. 2, 3,4로 지칭하자.
2이고 받침대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물체와 사람까지의 거리 비가
4L 부 ]
x : 상이므로 2 : l= x : 값이다. 정리하면 값= & 이다. M d 막느

* *I
02 • ③
M2C ]M2
막대2 막대3
받침대 A, B가 물체를 떠받치는 수직항력을 각각 7Va, iVB라 하면 6L
]M2
Na+Nb=Mg+»1炉 \항상 성립하고 (= 0일 때 7Va + A ^ = | 均 + A 막^ 4
4L 수평면
옮 이 ■ 므 로 ■w = 를M 이다. t=0 일 때와 ^ )일 때 A 가
막대 i 의 무게 중심은 이를 받치고 있는 질량이 w 인 두 막대에서
떠받치는 힘의 크기의 차와 B 가 떠받치는 힘의 크기의 차는 -^Mg 각각 L , 3 L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두 막대에는 각각 j
로 동일하다. f= 0일 때 물체가 A 와 B 에 가해주는 힘의 크기는 각 만큼의 무게가 분배되어 작용한다.
각 m g=^M g, 0이다. t= t 0일 때 물체가 B 에 가해주는 힘의 크기 막대 2, 3에 대해 각각 아래쪽 막대가 받치는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

여 돌림힘 평형식을 세워보면 + 勸 ><


가 이므로, 이때 물체가 A 에 가해주는 힘의
스=(m+■
ᅡ屬)分XL 이다. 두 식을 정리하면 A/i=4m이고 M2= 2m
크기는 이다. 물체가 받침대에 가해주는 힘
이다. 즉,막대 4를 누르는 두 힘은 각각 7卿 와 5m으이다. 평형을
의 크기 비가 3 :1이므로. ^ 다0일 때 물체로부터 A 까지의 거리와
유지하기 위해서 무게 중심은 막대 4를 누르는 두 막대로부터 5 :7
B까지의 거리의 비는 1 :3이다. 즉, t=t0H 때까지 물체가 이동한
인 위치에 있으면 되므로x = 4 L ᅳ6 L x ^ = |~ L 이다.
거리는 20Z시 = 5L이다. 따라서 = 이
1 2xy
05. ①
므로 厂= ^ 이다. x가 최소인 경우는 (B. C, D)가 하나의 계가 되어 시계 반대 방향
으로 무너지는 상황이고 x가 최대인 경우는 B가 면 접촉 상황이므
[ 별해]
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갈 수 없으므로, (C,D)가 하나의 계가 되어
f=0일 때 물체의 무게는 A 에 전부 걸리고. b 가 막대를 떠받치는 힘이 이
시계 방향으로 무너지는 상황이다. 문제의 조건에 따라 x의 최솟값

정답 및 해설 2 4 9
을 d’ 최댓값을 rf+6L 로 둘 수 있으므로 기준선을 원점으로 하여 이므로 c 와 D 의 운동량 합이 0이 된다. C의 질량이 D 의 질량
질량 중심의 좌표를 구하면 고가 최소일 때는 (B, C, 대의 질량 중 의 2배이므로 속력은 D 가 C의 2배이다.
심이 A 의 왼쪽 끝에 위치한다. 막대의 길이가 이고 밀도가 균일 p, q가 A 를 당기는 힘의 크기가 같으므로 전체 질량 중심은 A
하므로 막대의 질량 중심은 각각 막대의 중심에 위치한다. B 의 질 의 중점이다. A 의 질량 중심은 A 의 중점이므로 B와 C, D 의
량 중심은 4L, C 의 질량 중심은 3L +4L=7L, D 의 질량 중심은 질량 중심만 A 의 중점과 일치하면 되는데 B 의 질량 중심은 A
rf+4^ 에 위치한다. A 의 왼쪽 끝은 5L인 지점이므로 전체 계의 질 중점에서 오른쪽으로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B 질량의 3배인
3m x 4L+Mx 7L+m(d +4L)
량 중심을 구하면 = ••①이다. C와 D는 A 의 중점에서 왼쪽으로 + 만큼 떨어져 있으면 된다.
2>m+M+m
x 가 최대일 때는 (C,D )의 질량 중심이 B 의 오른쪽 끝에 위치하 따라서 C와 D 가 동일 연직선상에 있을 때,C는 A 의 오른쪽 끝
므로, D 의 질량 중심은 (났+6^) +4乙= ^+ 10乙이 되고, B 의 오
으로부터 만큼 떨어져 있다.
른쪽 끝이 8L 이므로 마찬가지로 (C, D)계의 질량 중심을 구하면
Mx7L+m(d+10L ) . c. C가 A 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7L만큼 떨어져 있을 때는 C와 D
--8L - ②이 된다. 식 ①, (D를 연립하면 财
M+m
가 동일 연직선상에 있을 때로부터 만큼 이동하였을 때이
=2w 이다.
다. D 의 속력은 C 의 속력의 2배이므로 D는 C와 동일 연직선

06•④ 상에 있을 때로부터 f ^만큼 이동하여 B 의 중점으로부터 오


실이 막대를 당기는 힘을 r 라고 하고, a 의 무게를 2 灰라고 하면
른쪽으로 2스만큼 떨어져 있다. 이때 B와 D 의 질량 중심은 B
A 막대 위, 아래의 힘이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AT-2T=2T=
의 중점에서 오른쪽으로 L 만큼 떨어진 지점이고, B를 당기는
2 W이다. A 에 작용하는 위, 아래 힘들을 1 :1 내분점이 되는 점들
두 실은 이 점을 기준으로 떨어진 거리 비가 3 :1이다. 따라서
로 합치면 위로 4 取 아래로 4W로 합쳐지는 지점이 같아야 하므로
x=5rf 이다. r가 B를 당기는 힘의 크기는 2mgx ᅳᅡ= ᅳ
|ᅳ_ 이다.

W 2W W AW W 2W W

09. ②
,4 、 、-、、 3制 ’
C 에 연결된 두 실에 각각 C 의 질량의 절반씩이 걸리므로, A 의 왼
1

、、
'發 ᄉ — &.5으 ^ 쪽 끝에서부터 i 만큼 떨어진 곳에 질량이 4m인 물체가 매달려 있
5d
고’ B 의 왼쪽 끝에서부터 3L만큼 떨어진 곳에 질량이 4m인 물체
W 21^4^2^ W 가 매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물체의 질량의 최댓값을 M , 이때 접촉점에서 A 에 작용하는 수직
07. ④ 항력을 况이라 하자. A 와 B 의 접촉점은 A 의 오른쪽 끝점이므로,
(나)는 (가)의 상황에서 실로 막대를 당기는 힘만 추가되었으므로 천장과 A, B 사이의 실을 기준으로 돌림힘 평형식을 세우면
F2는 에서 실이 당기는 힘이 A 에 작용하는 힘만큼만 빼주면 된 A : 2AmgL+ \^mgL+'iN\L=2M\gL
B :AmgL+2N\L=8mgL
다. (나)에서 실이 당기는 힘 는 위쪽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음
이며, 두 식을 풀어 정리하면 N fZ m g , 이다.

의 질량이 작용한다고 보고 A 에 분배하면 이 물체의 질량의 최솟값을 AT2, 이때 접촉점에서 A 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况라 하자. A 와 B 의 접촉점은 B 의 왼쪽 끝점이므로, 천장
다. 이를 정리하면 6 = 종巧이::
! 貴 = 증이 된다. 과 A, B 사이의 실을 기준으로 돌림힘 평형식을 세우면
A : 2AmgL +lQmgL+N2L = 2M2gL
[참고].
B : AmgL+AN2L=8mgL
(가)에서 A 에 분배되는 무거匿 무게 분배로 각 물체에 대하여 적용하면 질량 m인
이며, 두 식을 풀어 정리하면 N2= mg, = 이다. 따라서
막대의 무게는 쭉 ' 질량 2m인 공의 무게는 ᅳ
| X2mg. 질량 m인 공의 무게는
41 c;
만큼 분배된다. 이를 합치면 지 = | ^ 이다. M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는 23m—^ 1m = | ᅳ
m이다.

08. ③ 10, ④
C, D 가 운동하는 동안 A, B는 수평을 이루며 정지해 있고,p, 막대의 길이가 18a로 주어졌으므로 막대의 중심으로부터 두 축바

다가 A 를 당기는 힘의 크기가 같으므로 A, B, C, D와 실이 이 퀴의 가까운 실까지의 거리는 각각 5a, g이다. 상황을 축바퀴의 양

루는 전체 계는 C, D 가 운동하더라도 질량 중심의 변화가 없 쪽에 걸린 장력의 합만큼을 장력으로 갖는 실 하나를 축바퀴의 중

_ miVi+m2V2+' ■에서 좌변이 0 심에서 내렸다고 단순화하자. (그 실은 막대를 힘의 평형의 관점에


다. 질량 중심의 속도 식 v„
1 桃l + -- 서 막대를 위로 당기는 효과와 돌림힘 평형의 관점에서 임의의 축에

2 5 0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B ᅳ ᅳ B 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EI 심화까지

가하는 돌림힘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주어진 상황과 동일하도록 장 = 2故 이 고 , ①과 (D를 통해 |■하2= 해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
력을 갖는다.) 이렇게 실을 2개로 줄이고 무게 분배를 이용한다. 막
대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6a’ 4a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두 실에 걸 를 ③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z;Bf=/z이다. 따라서 이

리는 힘의 크기 비는 2 :3이다. 막대의 무게를 라고 하면 | r =


다. 또한 ③식을 통해 t = J ^ 임을 알 수 있다.
Vg
r 0X"| 이:31 r = 옮 机이다.
최 PM 폐 1
01•① 02•② 03. ① 04. ⑤ 05•④
06•② 07. ⑤ 08. ③ 09. ② m ①
11. ④ 12. ⑤

01. ①

A 가 빗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받는 가속도의 크기는 으sin30°= ᅥ정


6a 4a 5a
이고 B 가 받는 가#도의 크기도 빗면 방향으로 gsin30°=ᅥᅮ이므
(나) 상황으로 넘어가면. 막대에 가 추가되 었다. 이때 오른쪽 축
로 두 물체가 빗면으로 이동하는 가속도가 같다. 가속도가 같을 때
바퀴의 오른쪽 실에 2 r ,즉 !! 써)가 걸린다. 따라서 왼쪽 실에는
같은 시간 동안 같은 거리 이동하려면 출발할 때부터 만날 때까지
속력 이 모두 같아야 하므로 두 물체의 발사 속도의 빗면 방향 성분
|| 取가 걸리고 오른쪽 축바퀴의 실을 (가)에서처럼 하나로 보면
이 같다고 두면 z;Acos60°=z;B이다. 따라서 쁘 = -ᅩ이다.
|■쎄 X"|+W 이므로 网 = ~| 研이다. Va ^

02. ②

03 평먼에서 등가속도 운동 A 의 수평 , 연직 방향의 출발 속력은 f z;로 같다. 즉, A, B 의 연

직 방향 상대 속도는 y v로 일정하므로 t 동안 운동하여 충돌했다


01. X, ᄋ, o 02. ᄋ. ᄋ, o

고 할 때 f ^ = 5 0 이다. 또한 수평 방향 변위가 20f+^ ^ = 100이


01. x , ᄋ’ o

기. X축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가속도가 0이고 2/축 방향 속도는 일 므로 정리하면 f= | ■


이다. 따라서 y = 20/^m /s이다.
정하게 감소하므로 가속도가 일정하다. 따라서 물체의 가속도
는 일정하다.
03. ①
L-. 4초일 때 X축 속력은 5 m/s이고 y 축 속력도 5 m/s이다. 따라
h
서 4초일 때의 속력은 5 0 m/s이다.
A 의 수평 방향 변위로부터 A 와 B 의 이동 시간은 ^ =ᅩ 로
c. 속도-시간 그래프에서 변위는 그래프의 밑넓이와 같다. 0초부
터 8초까지 x 축 변위는 40 m 이고 y 축 변위도 40 m 이므로 서 같음을 알 수 있다. A 와 M l 작용하는 71속도는 중력으로 동일하므
로 같다. 로, 중력이 작용할 때 A 의 연직 방향 변위는 중력이 작용하지 않았
을 때 B가 추가로 올라갔을 높이와 같고, 중력이 작용하지 않았을 때

B는 시간 ᅩ 동 안 /z만큼 올라갔을 것이다. 따라서 Vb 에 ^ = h


02. ᄋ, 9, ° ^Va 如a
-1. A 와 B가 같은 시간 동안 중력이라는 같은 크기의 힘을 받으므 이므로 Z;A : 애 = 1 : 2 이다.
로 A 와 B 가 받는 충격량이 같다. 따라서 운동하는 동안 A 와
B의 운동량 변화량이 같으므로 속도 변화량도 같다. 04 ⑤
미 亡. A 와 B가 수평면의 같은 지점에 동시 도달할 때까지 걸린 기. 포물선 운동하는 동안 입자의 수평 속도와 수직 속도가 모두
시간을 호라고 하면, A 의 수평 이동 거리는 2/z이므로 변하고 있으므로 가속도 방향은 방향과 -;r방향의 사이에

2/z=t;Aco s 4 5 °f= ^f … ①이고, A 의 수직 변위는 —/z이므로 있다.


K 입자는 일정한 힘을 받는다고 하였으므로 입자의 가속도의 수
—/z=^Asin45°卜 如근 = 衰 卜 去5성2…②이다. 또한 B의 변 평 방향, 수직 방향 성분은 일정하다. 따라서 수직 방향 속도
에 대한 변화는 등가속도 직선 운동처럼 분석하여 왕복하는 경
위는 一4办이므로 -4h= ᅳv s t- jg i2 … ③이다. ©을 통해 vpj: 우로 따질 수 있으므로, 수직 좌표가 같은 고축 위의 지점에서는

정답 및 해설 251
동일한 수직 속도를 가지게 된다. q지점에서는 수평 방향 속도 동안 운동하여 Q에서 충돌한다. A 와 B의 연직 변위가 동일하므로
가 없어지고 수직 방향 속도만 남아있으므로 초기의 수직 속도
5 2 x f , - I x l 0 x ( f ^ 25x f , - i x l 0 x ( f f l 4 . 4
성분인 ysin0가 (꼭지점에서의 속도가 된다.
1二. p는 입자가 x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이므로 수직 방 라서 卜 勞 = -52><20; 25><13 이고’ 정리하면 는풍초이다.
향 속도 성분이 0이 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입자의 가속도 중 수

직 방향 성분은 & 가 된다. 입자는 이에서 수평 방향


to

속도가 0이 되고 수직 방향 속도가 - Z;
sin0가 되므로 입자가 p 07. ⑤

에서 q 로 이동하는 동안 2/축 방향 속도 변화량의 크기는 기. A. B는 재평면에서 같은 가속도로 각각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usin(9이고 p에서 다까지 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이기다. 고 하였으므로 A 가 본 B의 상대 가속도는 0이고, A 가 본 B의

상대 속도는 일정하다. (나)에서 B 의 가속도의 x 성분은 手이


h
05■④
빗면의 꼭대기 지점에서 물체의 속력을 %라고 하고 빗면의 시작과 고. 강성분은 이다. 따라서 B의 가속도의 크기는 ^ 이

0 to
끝 지점에 대해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면,
며, A 의 가속도 크기도 ^ 이다.
to
mg-^=^m(v2-v02) …①이다. 빗면의 꼭대기 지점에서 물체의 수
l. A 가 x 축상의 인 점을 지나려면 &일 때까지 x축 방
평 방향 속도는 WocosSO^^z;!), 연직 방향 속도는
향의 평균 속도의 크기가 | 기0이며, A 의 y축 좌표가 0이면 된
이다. 빗면을 벗어나 수평면까지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을 ^라고 하
고, 빗면을 벗어난 후 물체에 중력이 작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다. A 의 처음 속도의 r 성분이 ■이고 t0후 속도의 x성분이
빗면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는 아래 그림과 같이 z냔=2/이다.
|이 므 로 평균 속도의 고성분은 이며, 이때 A 의 위치의 상성

분은 0이므로 A 는 x축상의 x=v0t0인 점을 지난다.


A 가 본 B의 상대 속도는 B의 속도 벡터에서 A 의 속도 벡터를
빼서 구할 수 있다. 이는 A 의 속도 벡터를 강축을 기준으로 대
칭 이동시킨 벡터와 같다. A 가 본 B의 상대 속도는 일정하므로
A 가 볼 때 B는 아래 그림의 실선을 따라 이동하고, A 와 B 사
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는 A 의 위치에서 B의 이동 경로에 수
선의 발을 내린 지점을 B가 지나갈 때이다.

변위가 音이:므로 1 = 1 ^ 이고. 수평면에 도달하는 순간의 연

직 방향 속도를 V이라 하면 연직 평균 속도는 -^= 2 2 이므로

이다. 수평 방향 속도는 ᅧ기0로 일정하므로 v= I 에 )2

이고, 뼤 y이다. 이를 식 ①에 대입하면 V=J 부이다-


은 ~^_ = _^ ~ 이다.
Vo ^Vo

06. ②
수평 방향 속력이 A 가 B보다 작으므로 A 가 먼저 발사된 후 «초
후 B가 발사된다. B 가 운동한 시간을 &라고 하면 A 가 운동한 시 08. ③
빗면의 각도는 45°이다. 즉, 물체는 P 에서 45°로 던져진 물체로 생
간은 fc+Pl다. tanft = |, tan(92= ^ •이므로 A 의 수평 방향 속력
각할 수 있다. P 에서의 물체의 연직 방향 속력을 z;라고 하면 Q 에
은 39 m/s, 연직 방향 속력은 52 m/s 이고 B 의 수평 방향 속력은
도달할 때까지 이동 시간은 통이고 모에서 Q까지 연직 방향 이동
60 m/s, 연직 방향 속력은 25 m/s 이다. A 와 B 의 수평 이동 거리

가 같으므로 39fe+d=6(te0에서 목 이다 . A 는 | 삭,故 목 거리는 |■이다. P 에서 요까지 이동 시간을 f 이라고 하면 vt' = h

2 5 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n
신로I의 S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s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A 의 처음 속도 방향과 x 축이 이루는 각도를 I?라고 하면 A 의 처


이므로 f = 스이다. P 에서 묘까지 연직 방향 이동 거리는 /Z이므로
V
음 속도의 j 성분은 vcosd, 2/성분은 2;
sin(9이다. A 와 B 에 가속도

ᅳᅀ= 께'-"I■汉/2이다. 대입하여 정리하면 ᅵ ■


이다. 즉,Q 에서 가 작용하지 않으면 만나는 점은 A 와 B 의 처음 속도를 이은 선
분 위에 있다. 그 점을 r라고 하자. q와 r를 이은 선이 가속도가 작
요까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은 ^ 그 = 뿐 … ①이다. Q 에서 R 용하는 방향이며 가속도를 모성분 상성분 as로 나눌 수 있다. A
v g 4: v
가 다에 수직으로 도착하였으므로 나중 속도의 x 성분이 0이고,이
까지 이동한 거리는 쇼+_ = | ■ 시 ) 2이므로 정리하면 이
동 시간을 f 라고 하면 1 = 이다. A 의 나중 속도의 값성분은
다. 이를 식 ①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J = | / ᅵ이다.
—z;sin신이므로 % = 왼목멘이다. ax :a,= y :|- = 2 :3이므로

r에서 x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드라고 하면 급i :ri= 2 : 3이다.


09. ©
q s= 2x 라고 두면 鲁cf+2:r=3:cx 鲁이고, 식을 풀면 2a:= 鲁c H 므
St0 동안 A 에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A 는 경사면 연
직 위 방향으로 uA(3^))만큼 움직이고 그 후에 수평면 연직 아래 방 로 s가 원점과 4a;를 4 :1로 내분한다. 원점에서 p까지도 r 가 4 : 1

향으로 "I넣(3<0)2만큼 떨어진다. 수평면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이 로 내분하기 때문에 y와 F 의 크기 비도 4 : 1이 되어 ]/=■!이다.

30°이므로 yA(3f0) = 乃 L 이고,| ^ ( 3f0)2= 2Z/>l다. 따라서


11. ④
x 축을 빗면으로 두고 축을 돌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잡으면 중력
k = ^ ~ … ①, g t o = ^ L … ②이다. 院 % 동안 2L만큼 이동하
가속도는 - x 방향으로 ^ g , -상방향으로 |요가 된다. 물체가 출
였으므로 식으로 나타내면 % (않。
)+ | 넣sin30°(&0)2= 2L ... ③이
발할 때, x 축으로부터의 높이가 이므로 /3L= \ x |■成 2이다.
다. 식 ③에 ①, ②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1 = ^ 이다.
Vb 7
[별해]
빗면의 방향을 o:축으로 잡으면 A 의 X축 방향 운동과 X축에 수직한 방향 운동은

각각 중력을 벡터 분해한 힘 요sin30o= |강 gcos30°=^-^\\ 의해 등가속도 운

동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 의 모에서 R까지의 운동에서 x 축에 수직한 방향


으로의 변위가 0이므로• M l 도달할 때 A 의 속력은 x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yA이

다. $ x ^ 0=2yA이므로, A 가 M l 도달할 때 고축 방향의 속력은 | 시

■ ^ x _ =^ ;
A이다. 따라서 x 축 방향 평균 속도는 音 ><그
| ^ 이다. 즉, 去

x-^-VAx3t0=L - ①이다. M l 도달할 때 표의 속력은 yB+f7sin30o(2^) = z;B+

이므로. Q에서 요까지 평균 속도를 이용하면 "^요如 "1" =

2L • ②이다. 따라서 식 ①과 0 를 연립하여 정리하면 vAt0= 늘 vBto=jLO\°


므로 이다. 따라서 含 = f 이다-
로 ^ •= ¥ 이다.
Vb 7
12. ⑤

B는 - #으의 가속도로 t 동안 운동하여 정지한다. 즉, 출발 속력


10 • ①

은 이다. A 의 이동 시간도 if이므로 A 가 출발한 순간의 경

사면에 수직인 방향의 속력을 y라고 하면 A 가 빗면에 수직인 방

향으로 받는 가속도의 크기는 f 요이므로 -w=t;- 譬하이다. 즉,

v = ^ f g t ° n . A 와 B는 경사면 방향으로는 동일한 가속도로 운동

하여 동일한 거리를 동일한 시간 동안 운동하므로 A 가 출발한 순

간의 경사면 방향의 속력은 B 와 같은 속력 인 ^ 야이다. 따라서

정답 및 해설 253
이므로 A 와 B 의 속도비는 2 : 3이다. 운동 에너지는 속
务 1
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질량에 비례하므로 A 와 B 의 운동 에너
ta^ = 7 r ~= 표이다•
지 비는 2 : 3이다.
T gt
c. 구심력의 크기는 mnu2이므로 A 와 B 가 같다.
[별해]

A, B의 빗면과 나란한 방향의 발사 속도는 동일하다. A 의 빗면에 수직한 방향의


발사 속도를 yA, A. B 두 물체의 빗면과 나란한 방향의 발사 속도를 % 라 하자. A .跑 C T iP ^ H

가 다시 빗면에 도달할 때 B의 속도가 0이므로 A도 빗면에 도달할 때 빗면과 나 01■② 02•⑤ 03■⑤ 04. ③ 05. ④
란한 방향의 속도가 0이다. 따라서 A는 빗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속력 로 도달 06. ①
한다.

01. ②

기. (나)에서 원운동의 주기는 47r(S)이고 각속도는 £0= ^ 이므로

각속도의 크기는 J | y = j rad/s이다.

1. 원궤도 반지름이 2 m 이고 속력은 이므로 속력은

2 m x — rad/s=1 m/s 이다.

ᄃ. 가속도의 크기는 a = ra)2이므로 2 m x (吾rad/s) =■!• m/s2

이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 동안 A 의 빗면에 수직한 방향의 속도 변화는 2yA이고 B의 빗
면과 나란한 방향의 속도 변화는 애이다. 각각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의 크기
02. ⑤
가 동일하므로 2yAᄏ;B에서 쓰 너 꽤 =4■이다.

기. A 가 6초 동안 를 회전하였으므로 2tt를 회전하는 데 걸리

는 시간(= 주기)는 8초이다.


1 2. 행성의 운동과 상대성 1 u B 의 속력을 반지름을 rB. 주기를 r B라고 하면, vB= ^

01 등속원운동 인데, 반지름은 4 m 이고 7V=6초이므로 속력은 | m/s이다.

仁. 원운동의 반지름 r, 주기 了에 대해 구심 가속도는 a=rco2=


01. ᄋ, o , x 02. o , X , o
■이므로 r에 비례하고 r 2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r가 작고
01. o , ᄋ, x
7가 큰 A 가 B보다 구심 가속도가 작다.
기. 추는 정지해 있으므로 장력은 추의 중력과 같다. 고무마개
는 수직 방향으로 정지 상태이므로 w으= M 으sin30°, mg =
03. ⑤
抵잤sin60°이다. 따라서 A/i=/표M2이다.
기. tv는 0에서 (ᅳ)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속도의 방향은 —X 방향이
u. 고무마개의 구심력 역할을 하는 것은 고무마개에 작용하는
고, vv는 (+)방향으로 크기가 작아지므로 방향으로 운동한
중력과 장력 의 합이 다. 이는 장력 의 수평 방향 성분과 같다.
다. 따라서 물체의 이동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구심력의 크기는 각각 l/^cos30°,
1ᅳ. 주기가 이므로 0부터 f까지 x 축의 변위는 지름이며, 이는 그
勘 cos60°이므로 (가)에서가 (나)에서의 3배이다.
래프에서 색칠된 부분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반지름은 | 이다.
亡. 구심력은 m 쇼로 표현할 수 있다. (가)와 (나)에서 원궤도의 반
r
지름은 각각 Zcos30°, Zcos60°로 (가)에서가 (나)에서의 /표배 c. 각속도는 ^■이므로 ᅮ이다.
이고 구심력의 크기는 (가)에서가 (나)에서의 3배이므로 y2은
(가)에서가 (나)에서의 3/ᄒ배이다. 운동 에너지는 ^에 비례하
04 ③
므로 고무마개의 운동 에너지는 (가)에서가 (나)에서의 3# 배
-I.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10N과 장력을 합성하면 구심력이다. 구
이다.
심력 / 구=10tan60°=10#N 이다.
1-. 원운동의 반지름은 / 이 고 물체의 질량이 1 kg이므로/ 구=
02. ᄋ , X, ᄋ
l x ^ = 10# N 이다. 정리하면 w=yMm/s이다.
-I. 원운동의 주기는 A 와 B 가 같으므로 각속도도 같다.

25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sH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s

밀히 들어야하는수능둘리학의본질적 접근 필수
기본부터 심화까지

[.주기는 r = ^ = 誓 = 총 r초이다.

05. ④
실이 물체를 당기는 힘을 了라고 하면,등속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구심력은 rcos30°=wrw2=mta)s3()°ᄉ ᅳ 이 를 계산하면 T

W 7 /
= -ᅡw分이고,수평면이 물체를 떠받치는 힘의 크기는 m g - ^ T =

7 그림에서 반지름 r=rf인 원 귀ᅵ도를따라 등속 원운동하는 위성의 속력은


ᄒ mg이다.
맞지만. 미과 %는 J 투 아니다.

亡. Q의 공전 주기가 P 의 2^ ■배라는 것을 통해 긴반지름은 모가 Q


06. ①
의 |■배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Q 의 긴지름이 3rf라는 것을
(가), (나)에서 관과 실이 이루는 각도를 각각 ft, e2i (가)와 (나)에
서의 각속도를 Wl, 때라고 하면 (가)와 (나)에서 물체의 운동 궤도 통해 p 의 긴지름이 1.5d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 와 행

의 반지름이 각각 L sinft,2Lsin(92이므로, 구심력은 다음과 같이 성이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는 P 의 긴지름 1.5d를 P 와 행성이


나타낼 수 있다. 가장 멀 때의 거리 cM■뺀 0.5^ 라는 것을 알수 있다.
(가)의 구심력 : A&sinftsw^Lsin^Owi2
(나)의 구심력 : 2錄 sin02=m(2Lsin02)a!22
01. ⑤ 02. ② 03. ③ 04. ③ 05. ②
따라서 on2=w22이고 w =2;r/이므로/j :
/2=1 :1이다.
06. ⑤ 07. ⑤ 08. ④

02 행성의 운동 01. ⑤
기. 운동 에너지는 운동량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A 의 운동 에너지
최댓값 : 최솟값=(3/>0)2 :(fio)2=9 :1이어서 A 의 운동 에너지
01. ᄋ, 0, x 02. x, o, x
는 최댓값이 최솟값의 9배이다.
위성의 타원 궤도 공전의 가속도는 각 위치별 중력 가속도와 같
01. ᄋ, ᄋ, x
으므로 중력 법칙에 의해 중심 천체와의 거리 제곱에 반비례한
중력 법칙에 의해 위성의 가속도 크기 이다. 따라서 중
다. 중심 천체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A 는 r0이고 B 는
심 천체가 같다면 가속도의 크기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진다. 3다이므로 최대 가속도 크기는 9 : 1, 즉 A 가 B 의 9배이다.
a에서가 f에서보다 행성에 가까이 있으므로 위성의 가속도 크 c . 공전 주기는 케풀러 제3법칙에 의해 긴지름 세제곱의 제곱근으
기는 a에서가 f 에서보다 크다. 로 비교할 수 있으며 A 는 긴지름이 4r0, B는 긴지름이 8r0이
1. 위성의 속력은 행성에 가까울수록 크다. 따라서 b에서가 c에서 므로 주기는 8 :16/2=1 :2/ 표의 비율이 되어 B 가 A 의 2/ 표배
보다 속력이 크다. 이다.
c .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에 따라 쓸고 지나간 면적은 시간에 비
례한다. cd 구간의 면적이 ef 구간의 2배이므로 위성이 이동하
02. ②
는 데 걸리는 시간은 cd 구간에서가 ef 구간에서의 2배이다.
중력의 크기는 중심 천체와 위성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떨어
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P, Q가 각각 행성 중심으로부터

02. X, ᄋ, x r0, /^r0만큼 떨어져 있을 때 받는 중력의 크기가 같으므로 ^


기. 위성 Q의 궤도에서 행성으로부터 c까지가 가장 가깝고 a까지
가 가장 멀다. 따라서 속력은 a에서가 c에서보다 작다. =■
1^ 에서 nh :m2= l : 2이다.
L. 아래 그림처 럼 반지름이 ^인 원 궤도를 따라 등속 원운동하는
> 행성 중심으로부터 Q 중심까지 거리의 최댓값을 i ?이라 할 때,
위성이 있다면, 위성 모는 b점에서 이 원 궤도보다 안쪽으로 운
에서 m : m2= l :2이므로i? = 2r0이다.
동하므로 등속 원운동하는 위성보다 이때의 속력 마이 느린 것
이며,위성 Q는 c점에서 이 원 궤도보다 바깥쪽으로 운동하므 e. 조화 법칙에 따라 위성의 공전 주기의 제곱은 공전 궤도의 긴반
로 등속 원운동하는 위성보다 이때의 속력 %가 빠른 것이다. 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주기의 비가 1 : 2/표가 되기 위해
따라서 이다. 서는 장반경의 비가 1 : 2가 되어야 한다. n 에서와 같은 방법으

정답 및 해설 255
로 행성 중심으로부터 모와 Q 중심까지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 서 p에서의 속력이 q에서의 속력보다 크다.

면 각각 警 .|이므로 P 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과 두 궤도의 공전 주기 가 같아서 A 의 궤도 지름과 B 의 궤도 장축

길이가 서로 같으므로 행성과 q 사이의 거리는 |모 행성과 p


먼 지점 사이의 거리는 이며 Q 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가
사이의 거리는 꼬이다. 중력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
까운 지점과 먼 지점 사이의 거리는 ᅧ 이 다 . P 와 Q 의 장 므로 q 에서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p에서가 q 에서의 f
반경의 비가 1 : 2가 아니므로 공전 주기는 Q 가 P 의 2 # 배가
배가 된다.
아니다.

03. ③ 05. ②

A 와 B 의 질량이 같으므로 위성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행성 질량이 이고 반지름이 꼬인 행성의 표면에서의 탈출 속력은

에서 위성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또한 위성의 공전 궤 ^GM,


^0= 1 R 이다. 질량이 f 이고, 반지름이 27?인 행성의 표면에서
도 긴반지름은 위성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최대일 때 행성
으로부터 위성까지의 거리와 위성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최 2Gx M
소일 때 행성으로부터 위성까지의 거리의 합의 절반이다. 따라 의 탈출 속력을 z;
라고 할 때, v~
- 2R 層 = 吾하이다.
서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F0일 때 B로부터 행성까지의 거
2 ,, 7 ,
~od+-^d Q 06. ⑤
리를 c?라고 하면, A 의 공전 궤도 긴반지름은 d 2 ^
위성 A. B 의 공전 주기 비가 1 : 8인데 공전 주기의 제곱은 장반경
의 세제곱과 비례하므로 장반경의 비는 1: 4이고 장축 길이의 비도
-od+d .
이고, B 의 공전 궤도 긴반지름은 으 ^ = |성이다. 케폴러 제3법 1 :4이다. A 의 장축 길이는 근일점에서 행성까지의 거리와 원일
Z 0
점에서 행성까지의 거리의 합 이므로 B 의 장축 길이는
칙에 의해 행성의 공전 주기의 제곱은 긴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하
i2 d m .
口로 그k = _^이다
Ta 27 1아. A,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같은데 질량의 비가 1 : 9이므로
근일점까지 거리 비는 1 : 3이다. 따라서 B 의 행성에서 근일점까지
[별해]
의 거리는 이고,원일점까지의 거리 끄=120;
-3^=9 쇼이다.
위성의 질량이 같으므로 위성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행성에서 위성까지의 거
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A 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과 먼 지점

사이의 거리 비는 !_ : | ᅵ 2 :7이고표가 행성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과 먼 07. ⑤

지점 사이의 거리 비는 1 : 3이다.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주어진 길이 비를 1 : 기. B 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p에서가 r■에서의 9배이고, 중력의
1 :3 : 4 로 생각할수있다. 크기는 반지름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p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A
r라고 하면 행성에서 r까지의 거리는 3r이다. A 의 장반경은 3r
가 되고, B 의 장반경은 2r가 되므로 A 와 B 의 장반경의 세제
,/- ᅳ 서 音
곱 비는 27 :8이며 공전 주기의 비는 3/3 :2及이다. B 의 공전
3/3 _ 9/6
주기가 67 이므로 A 의 공전 주기는 67、 r 이다.
2/2 '
\ \ 행성 ) / ᄂ. B 가 p 에서 q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r 인데,B 가 p에서 r
\
\ 、

- /
I
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반주기인 3 7 이므로 B 가 q에서 r
_ .一 . . . 기 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27 이다.
r는 A 와 B 가 모두 지나는 점인데 A 가 B 보다 장반경이 길어
A 의 궤도와 B의 궤도의 긴반지름의 비가 9 : 4이S로 는 ᅥ|ᅡ = J r 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하므로 r를 지날 때 속력은 A 가 B 보다 커야
한다.
04 ③
기.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의 가속도는 공전하는 위성의 질량 08. ④
과 관계없이 중심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중심 천체까지의 거
기. (중력) = (? ^ 이 고 A 가 C 보다 행성에 가까이 있으므로 Q 에
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행성과의 거리가 같은 점 p에서는 A,
B 의 가속도 크기가 서로 같다.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A 에서가 C 에서보다 크다.
B 가 공전할 때, q는 행성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이므로 속력이 느 B 에서는 행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로 동일하고 행성의
가장 작은 곳이고 p는 q보다 행성에 가까워 속력이 크다. 따라 질량도 동일하므로 B 에서 P, Q 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가속

2 5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도 방향과 가속도 방향이 같다.


도는 a = f 에 의해 그 크기가 P와 Q에서 서로 같다.

亡. 타원의 전체 면적은 이므로 면적 속도 일정 법칙에 의


04 중력 렌즈와 블맥藝
해 A 에서 B까지 Q가 운동하는 동안 행성과 묘가 이루는 선분
SCREEN
이 지나간 면적은 20?r^2x 읍-臺 x 狀 乂 새 = 5; ^ - 67?2이
01. O, x, o 02. O, o , o

다. A 에서 B까지 Q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을 fAB라고 하면


01. ᄋ, x , o
한| ^ = 부이 다 . 정리하면 옮 )r 이다.
등가 원리에 의해 가속 운동에 의한 관성력은 중력과 구별할 수 없으
므로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관찰자는 P 에 있는 별을 P ' 에 있다고
관찰하게 된다.
03 등가원리
1 . 가속도의 방향과 관성력의 방향은 항상 서로 반대이다.
L. 우주선의 가속도가 클수록 빛이 더 많이 휘므로 P와 P 사이의 차
01. O, o, X 02. X, o, o
이는 커진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태양의 중력은 주변의 시공간을 휘
01. ᄋ, ᄋ, x
게 만들어 별빛을 휘게 한다.
. A 가 관측한 (가)의 빛과 B가 관측한 (나)의 빛의 경로가 같으므
로 등가 원리에 의해 a의 크기는 중력 가속도 값와같다.
02. ᄋ, ᄋ, o
u. a의 크기가^이므로 C가 탄 우주선의 가속도 2a의 크기는 % 이
n, L-. 밤일 때와 일식이 일어날 때 관측되는 별빛의 경로는 태양
다. A, B, C의 질량은 모두 같은데 C 의 가속도가 B 의 가속도
(거대 질량체) 주위의 휘어진 시공간에 의해 달라진다.
와 방향이 같으며 크기가 2배이므로 저울에 측정된 힘의 크기는
c . 주어진 자료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
(다)에서가 (나)에서의 2배이다.
된다.
亡. C 가 탄 우주선의 가속도의 크기가 B 가 탄 우주선의 가속도의
크기보다 크므로 C가 관측한 (다)의 빛이 B가 관측한 (나)의 빛 麵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⑤ 02. ①
보다 많이 휘어진다.

02. x, ᄋ, o 01. ⑤
1. 빛이 아래로 휘는 것으로 보아 관성력이 아래로 작용하고 있고, 飞 천체의 중력에 의해 천체 주변의 시공간이 휘어져 있다.
관성력과 계의 가속도는 반대 방향이므로 가속도 방향은 A 방 K A 에 있는 별을 B 에 있는 것으로 관측하는 것은 천체에 의해 시
향이다. 공간이 휘어져 있기 때문이므로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할
l . 계의 가속도가 커지면 계의 관성력이 커지고 빛의 경로가 휘어 수 있다.
진 정도가 증가한다. 영희가 철수보다 천체에 더 가까이 있으므로 시공간이 더 많이
c. (나)는 태양의 질량 때문에 태양 주변의 시공간이 왜곡되어 발 휘어져 있다. 따라서 철수는 영희의 시간이 자신보다 더 느리게
생하는 중력 렌즈 현상이다. 가는 것으로 관측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2. ①
01 . ④ 02 . ⑤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을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01. ④ 설명하였다. 질량이 매우 큰 블랙홀 주위에서는 중력이 매우 커서
가속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한다. 즉, (나)의 A 에 시공간은 극도로 휘어지기 때문에 빛이 빠져나오지 못한다.

는 관성력이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고 B 에는 관성력이 중력


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용수철로 측정한 추의 무게는
Wa>Wo>Wb°M. 厂 3. 일과 에너지

02. ⑤ 이 일과운동에너지
기,K A 가 관찰할 때는 B 의 우주선이 위로 운동하며 빛은 직진하 SCREEN

고, B 가 관찰할 때는 자신이 탄 우주선은 가만히 있고, 빛이 휘 01. ᄋ, X ,o 02.

어진다.
c. B가 보았을 때 빛이 아래로 휘었기 때문에 아래로 관성력이 작 01. ᄋ,x,o
용한다. 따라서 B 가 탄 우주선은 위로 가속되므로 우주선의 속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전동기에 의한 힘뿐이므로 전동기가 한

정답 및 해설 257
일은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고 이는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02 억학적 에너지 보존
같다. 따라서 x =0에서 ;c=2L 까지 전동기가 물체에 한 일은
떼 12
2L 에서의 운동 에너지인 2£와 같다. 01. O, o, o 02. X, o, X
1. :c=3L에서 운동 에너지는 4£이고 x = L 에서 운동 에너지는 E
이다. 운동 에너지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물체의 속력은 01 . ᄋ, ᄋ,ᄋ
x=3L 에서가;c= 헤 서 의 2배이다.
기. A 의 연직 방향 변위가 /z이므로 A 의 연직 방향 평균 속력이 •!
C. 일정한 힘 F!을 받을 때는 만큼 이동할 때 운동 에너지가 £ 만
큼 증가하고 일정한 힘 巧를 받을 때는 L 만큼 이동하는 동안 운 z;
이고, 수평면에서 A 의 연직 방향 속력은 z;이다. A 는 연직 방
동 에너지가 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Fj :F2= l '■2이다. 향으로 으의 가속도로 운동하였으므로 為7/r=«2의 식이 성립하
며, 정리하면 이다.
L ,n. p에서 A 의 속력은/ ^ 이다. B의 평균속력은 ?
;이므로 p에
02 . ᄋ, ᄋ
서 B 의 속력은 2v이다. 따라서 p에 도달하는 순간의 속력은 B
기. 시간대별로 운동을 분석하면, f=0부터 는 7까지 놀이기구는
가 A 보다 크다. A 가 던져진 순간부터 수평면에 도달할 때까지
알짜힘 2mg를 위쪽으로 받아, 위쪽으로 가속도 知로 운동하
걸린 시간을 f라고 하면 t 동안 A 의 연직 방향 속도 변화량이 v
므로 t= T 일 때 속도는 위쪽으로 2요7 이다. 이때까지 상승한
높이는 ^ T2이다. 는 ;T부터 f=47'까지는 중력 가속도 요로 운 이므로 으=|■이다. 따라서 B 의 평균 속도가 z;이므로 B 의 가속

동하므로 t= T부터 IT 후인 ^=37'가 되면 놀이기구는 가장


도 크기는 ^ = 2 요이다.
높은 지점에서 정지한다. 이때의 높이는 y r 2+ 2 ^ r2= 3 ^ r 2
이다.
L. t= 3 T 이후 r 의 시간이 지나 f=47가• 될 때까지 중력에 의해 02. x , ᄋ’ x

낙하한 거리는 이므로 지면으로부터 2.5^r2인 지점이다. 기. 단진자 운동은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이 계속 변하는 운동이다.

이때부터 힘 尸를 받아 바닥에서 정지한다. 이 놀이기구의 운동 단진자의 주기는 27r/ ^ 로 실의 길이가 길수록 크다. 따라서
Vg
은 처음 3m으의 비보존력이 일을 해 준 양과 尸의 비보존력이
r 2> 7 i 이다.
일을 해준 양이 서로 같아야 바닥에서의 역학적 에너지가 0으로
c. B와 C는 실의 길이와 산가 같으므로 속력의 최댓값이 같다. 따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3卿 X^T2=F X 2.5^T 2이므로 정리
라서 운동 에너지는 질량이 작은 B가 C보다 작다.
하면 이다.

跑 现 聊
01. ② 02. ⑤ 03• ② 04. ⑤ 05. ②
01 . ② 02 . ① 06. ⑤ 07. ⑤ 08■⑤ 09. ② 10. ①

01. ② 01. ②
x = L 에서 A 의 속력을 B 의 속력을 t/ 이라 하고 구간별 평균 속 A, B를 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으므로 길이 비는 평균 속력의
비와 같다. A 에 들어가는 순간 물체의 속력을 A 에서 나오는 순
력을 이용하여 시간을 나타내면 1 +르 에 나 ■
목이다. A 와 B
v_ v v_ V
간 물체의 속력을 v2. A, B를 지나는 데 걸린 시간을 f 라고 하면
2 ~2
가 받은 일의 비는 A 와 B 의 운동 에너지 변화량의 비로 나타낼 수 L2=2vt, 느 = ^ 아이다. A 의 오른쪽 끝지점부터 높이가 5办인

있 으 므 로 스 1 = || 이다. 지점까지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면 mg(5h) = j m


WB 1 ,2 /6 r 36
2 mv ("5"j (%2-4力이고, 높이가 6/z인 지점부터 물체의 속력이 % 가 되는 지

점까지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면 mg(5k) = j m

02 . ①

(9y2—4y2) = |mz;2이다. 정리하면 z;2=3t;이다. 물체가 운동을 시
같은 힘으로 같은 거리만큼 이동시키므로 F 가 A 와 B 에 한 일
은 같다. 작하는 지점에서부터 A 의 시작 지점까지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알짜힘이 한 일은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Q까지 A, B가 을 적용하면 이고 m£?/z= 이므로 V\=2v


받은 일이 같으므로 Q에서의 운동 에너지도 A, B가 같다.
c . B 의 질량이 A 의 2배이므로 Q 에서의 속력의 제곱은 A 가 B의 이다. 따라서 는 ^ ^ = 鲁이다.

2배이다. 따라서 Q 에서의 속력은 A 가 B 의 / 표배이다. 2

2 5 8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B ~ m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울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별해] 율이다. 동일한 가속도일 때 정지 상태에서 속도가 2배가 되려면 변


6P,4K 위가 4배가 되어야 한다(2as=z;2이용). s 진입 직전 B 의 속도가 A
5P,
4K
의 속도의 2배인 것에 동일한 빗면 가속도가 적용되는 것을 이용하
면 q~s 이전 변위는 p〜 s 이전 변위의 4배가 되어 p〜 q 사이 변위

는 이다(앞에서 구한 변위의 비율에서는 3에 해당한다.). 해당


I—Li—1 문제에서 s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에서는 운동 에너지와 중력 퍼텐
수평 구간 A
셜 에너지 변화가 같은 양만큼 반대 부호로 일어나고 s 구간에서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그림에서 차례대로 높이가 3/z, 5h, 6k 인 곳에서 운동 에너지의 변화가 없이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만 일어나므로
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각각 3P, 5서 6서 / 로>운동 에너지를 각각 K, 4K, 4K
운동 에너지 변화량은 (q~r 전체 변위) - (s 구간 변위)에 비례하고
9표로 둘 수 있다. 구간 B의 오른쪽 끝에서부터 물체의 속력이 3y가 될 때까지 역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q~r 전체 변위에 비례한다. 이를 비율로
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므로 4K+6P=9K+P0\\M K^PO\c\, 따라서 물체가 출발
하는 곳에서의 역학적 에너지는 K+SP=4K 구간 단의 왼쪽 끝에서 역학적 에너 나타내면 얻1 =■ 4+3 = 그■이다
E 2 4+4+3 11
지는 4K+5P=9요이므로 A 의 왼쪽 끝과 오른쪽끝 지점에서의 역학적 에너지가
각각 4K’ 9尺이고 운동 에너지는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속력이 각각 2z;. % 임
을 알 수 있다. A, B를 지나는 데 걸린 시간은 동일하므로 평균 속도를 이용하면
우 = ᅳ? 쯔 _:
데 이다 04■ ⑤
L\ 2^+3^ 5
기. A 와 B 가 운동한 시간은 동일하다. 연직 방향으로 B 의 운동
2
은 2/z를 자유 낙하한 것과 같으므로 이동 시간을 하 고 할 때,

02■⑤ 2办=|~^2이고, 정리하면 f= 2씨 이 다 . 따라서 A 가 던져진 순


-1. 중력에 의한 빗면 힘을y 라고 하고 마찰력을/'이라고 하면 pq
구간에서는/ qr 구간은^ t r , rq 구 간 은 ^-/'의 힘을 받는 간부터 O 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도 2 이다.
Vg
다. qr 구간에서 알짜힘의 크기는 올라갈 때가 내려올 때의 4배
A 의 수평 방향 속력은 „ASin45° = ^ | 이다. A 와 B 는 동일한
이므로/ + / 느 4(/-/')이 고 정리하면/ = | / 이다. pq 구간,
시간 동안 수평 방향으로 각각 h ,2/z만큼 이동하므로 A 의 수평
qr 구간, rq 구간의 가속도 비는 5 : 8 : 2가 된다. p에서 r까
방향 속력은 폐 |■배이다. 즉, 후| = 警이므로 % = / 표;八이다.
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을 t라고 하고 올라갈 때 q에서 속력
을 vu 내려갈 때 q에서 속력을 %라고 하자. qr 구간, rq 구간 던져진 순간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B 가 A 의 2배이고 운동
에너지도 B 가 A 의 2배이므로 역학적 에너지 또한 B 가 A 의 2
에서 이동 거리가 같고, 가속도의 비가 4 : 1이므로 | K t i ) =
배이다.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ᄋ에 도달하는 순간 운동
= 이다. 두 식을 연립하면 f = 2이다. 에너지는 B 가 A 의 2배이다.

따라서 물체가 q에서 r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1초이다.


pq 구간의 가속도를 5a, qr 구간의 가속도를 8a라고 하면 13 05. ②
- 5 a- 8 a = 0이므로 올라갈 때 q 에서의 속력은 13-5fl = 기.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A 에서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8 m/s, 내려올 때 q에서의 속력은 2ax2 s= 4 m /s이다. 올라
w섰?이고 B까지의 높이는 f 이므로 B 에서의 속력은 v = 硕
갈 때와 내려올 때. pq 구간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이
0이므로 운동 에너지 변화량도 0이 되어야 한다. 내려올 때 p에 이다. B 에서 물체는 수평 방향과 60°의 각을 이루므로 B 에서 속

서 속력을 v라고 하면 이므로 v= 도의 수평,수직 성분은 각각 / ^ c o s 6 0 ° = | y ^ . v^sin60°

11 m/s 이다.
=f 이다. C 에서 물체가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은 30°이고,
물체가 q에서 r를 거쳐 다시 q에 도달하는 동안 감소한 역학적
에너지는 올라갈 때와 내려올 때 이에서 운동 에너지 변화량과 속도의 수평 성분은 항상 이므로 C 에서 속도의 수평 성

같으므로 y • (1 kg) • {(8m/s)M4m/s)2}=24J이다.


분의 크기도 이고,연직 성분은 一胃 이 다 . 따라서 B

03. ② 에서 C 까지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을 ^라고 할 때, 一_ =


A 가 등가속도 운동과 등속도 운동을 하였으며 각 순간의 속도를
(나)에서 알려주었으므로 각 구간별 변위를 계산하면 p~s 이전 변 하에서 는 / ^ 이다.

위 = | ^0, s 변위 =2빠 , s 이후〜 r 변위 = |■빠으로 1 : 4 : 3의 비 거리 d 만큼을 의 속력으로 愿 동안 등속도 운동을 하

정답 및 해설 259
0 7 . ⑤

므로 서 ? x/ f = l 이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1 량이 m인 단진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亡.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항상 보존되고 최고점에서의 운동 에
일반화하면 tan<9=~^~이다.
mg
너지는 ᅮ= ^전 이 므 로 최고점에서 중력 퍼텐셜 에

너지는 끄 ^ 이 고 높이는 이다.

06 . ⑤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역학적 에너지가 항상 보존되고,r에서 taM = 그^에서 7 가 같고 이므로 mA<m B이다.
mg
두 물체의 높이와 속력이 같으므로 두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같 A, B 가 같은 높이에 정지해 있으므로 A 에 연결되어있는 실이
다. A 를 발사하는 지점의 높이가 B보다 높기 때문에 아< 1;
2임을
b 에 연결되어있는 실보다 길다. 단진동의 주기 r 주 기 세 두
알 수 있다. 두 물체의 가속도가 일정하므로 상대 속도가 일정하다.
따라서 아+y2=/^z; 이다. 이므로 단진동의 주기는 A 가 B보다 크다.
기. 물체를 발사한 후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을 때, 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일반화하면 w分/( l- c o s S ^ m v K 2에서
적을 그려보면 A, B는 일직선상에서 운동한다. 이를 r로 평행
vmax=7 2gl(l - cos0)이다.
이동하여 속도 벡터를 그려주면 다음 그림과 같이 된다.

I cosO

단진동을 하는 동안 물체의 최대 속력은 vmax=^2g 1(1-cose)


이고 ^가 커지면 Wmax도 커지므로, 단진동을 하는 동안 최대 속
력은 A 가 B보다 크다.

[별해]

|
그. 0A>(9B이고 천장과 연결된 실이 A 가 B보다 길다. 따라서 단진동을 하는 동안
추의 최저점은 A 가 B보다 낮고^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최대 속력은
A 가 B보다 크다.

08. ⑤
추가 단진동을 하고,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동안 추의 역학적 에너
지가 보존되므로 단진동 시 최저점과 최고점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
위 그림에서 직각삼각형 X 와 Y 의 내각의 크기가 같고 빗변의
지 文 최 저 점 에 서 운동 에너지로 모두 전환되고,실이 끊어진 순
길이가 같으므로 서로 합동이다. 따라서 r에서 A 의 2/방향 속도
간의 높이에서 중력 퍼텐셜 에너지가 수평면에서 운동 에너지로 모
의 크기와 B 의 x 방향 속도의 크기가 같다.
u . 위 그림의 r에서 삼각형 표의 한 변fc의 x방향 속도 벡터)과 %의 두 전환된다. 중력 가속도를 以라고 할 때, rngh=능 mv2 식을 변형
속도 벡터가 이루는 각이 30°이므로 vcos 6 = v2cos30° - ①,
한 식을 이용하면 1 = =2/15이다.
rsir^-yiCOsSCT … ②이다. 식 ①, (D를 각각 제곱하여 더하면
" 爾 )
V=^{V\+V2) …③이다. 아+%= /知이고 이를 식 ③에 대입하

여 정리하면 하2- 4하?


;2+마2=0이므로 & = 4니 16》 2그i 선 09. ②
r에서 A 의 속력이 0이 되므로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의해 베 서
이다. 마<% 이므로, % = 마(2+/용)에서 ■
민 = 2十/효■
이다. A 의 속력은 ■
이다. B의 변위의 #성분만 보면 q에서 r까지
V\
B는 3A만큼 낙하하였으므로 r에서 B 의 속도의 상성분은 _ 가된
I그. u 에서 식 ③으로부터 告mfoi2+z;
22)= 鲁则 2이다.
다. B 가 y축 방향으로 g를 받아서 속력 이 _ 만큼 증가하였으므

2 6 0 2023 물리학 D [필수본] 개념완성


-----------------------------------------------------------------------------------------------------------------------------------------------1 ~ ~ B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日 심화마지

로 빗면에서 속력이 _ 만큼 증가한 A 의 71속도 크기는 이 黑 이 므 로 다:예 3= 2 : 4 : 1이다.

다. 빗면의 경사각을 (9라고 하면, 으 방 이 므 로 sin0= i


02 ■ ①
이다. 이를 이용하면 q에서 r까지 B 의 변위의 r 성분 길이는 y성분 실린더가 세워지면서 피스톤이 기체를 누르기 때문에 압력은 C >
길이의 万배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 의 평균 속도도 I 성분이 B > A 순이다. B와 C 사이에는 단열되지 않은 피스톤이 있으므로

값성분의 ^■배이므로 v = l ^ 이다. B와 C 의 온도는 같다. 따라서 B와 C 의 내부 에너지는 항상 같고


B와 C를 하나의 계로 볼 수 있다. 이때 A 는 단열 팽창, B + C는
단열 압축 상황이 되므로 A 의 온도는 감소, B+ C의 온도는 증가

10. ① 한다. 내부 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A 의 내부 에너지가 가장

기. 추가 1회 왕복하는 동안 £ p= 0인 지점 A 를 두 번 지나므로 단 작고 B와 C의 내부 에너지는 같다.

진자의 주기는 4t0이다.


03■②
l . 추의 운동 에너지는 £ p=0인 지점인 A 에서 최대이다. 추가 A
기. A ᅳ B 과정은 단열 압축 과정으로 기체의 온도가 증가하며,
를 지나는 시점은 t=t0, 는 일 때이다. 따라서 일 때,추의
B ᅳ C 과정은 등압 팽창 과정으로 열을 흡수하고 기체의 온도
운동 에너지는 최대이다.
가 증가한다. 따라서 A ᅳ B ᅳ C 과정에서 온도는 계속 증가
ᄃ. 추가 단진동하는 동안 추의 퍼텐셜 에너지의 최댓값은 일정하
한다.
므로 추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1ᅳ. 부피가 증가하는 B ᅳ C 과정에서 압력이 일정하므로 모래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03 일과일 B ᅳ C 과정(등압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가 증가하므로 기체는
SCREEN 열을 흡수한다.
01. x , o, o 02.

04. ④
질량이 Af인 추의 퍼텐셜 에너지 감소량은 액체의 증가한 열량
(다)는 열평형 상태이므로 물체 A 가 잃은 열량만큼 물이 열량 cmA 7를 일로 바꾸어 준 값과 같으므로 M . (10 m /s2) . (1 m) =
을 얻었다. (4.2 J/cal) ■(1 cal/g • °C). (500 g) ■(0.1 °C)이고, 이를 풀면 M =
亡. A 와 물의 질량은 같고 온도의 변화는 A 가 물보다 크므로 21 kg이다.
열용량과 비열은 A 가 물보다 작다.
05. ③
(공급받은 열량)= (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 +(기체가 한 일)이므
02. X ’ ᄋ, ᄋ 로 (기체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25cal-42 J = (25calx4.2 J/cal)
飞 s=0.5m 일 때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 4 2 J= 1 0 5 J- 4 2 J= 6 3 J 이다.
20 kgx 10 m/s2x 0.5 m = 100 J 이므로 액체가 흡수한 열량은
100 J 이다. 이므로 100J = ^ x l k g x 0.1 °(> M 06. ①
c물=1000 J/kg • °C이다. ᄀ. 실을 당긴 힘이 한 일은4 2 N x 5 m = 2 1 0 J이다.
느 s = 1.0 m 일 때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1-. 실을 당긴 힘이 한 일은 액체가 흡수한 열량과 같으므로 액체가
20 kgxlO m/s2x l m = 200 그이므로 액체가 흡수한 열량은 흡수한 열량은 210 J 이다.
200그이다. 이므로 200 J = 1000 J/kg . °C x lk g x [ . 실을 당긴 힘이 한 일과 액체가 흡수한 열량이 같으므로 210 J
@에서 @=0.2이다. =4200 J/kg . °C X 0 .1 kg X (L - r 0) 이고, 7느- r 0= 0.5 °c
亡. 문제 조건에 의해 추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모두 액체 이다.
의 온도 변화에만 사용되므로 액체가 받은 열량은 추의 중력 퍼
텐셜 에너지 감소량과 같다.

01. ④ 02•① 03•② 04.® 05■③


06. ①

01. ④

비열은 c= 옳 이 므 로 A ’ B’ C 각각의 비열은 옮 ’ 黑 ’

정답 및 해설 261
C. A 가 p점에 만드는 전기장을표라고 하면, (가)에서 합성 전기장

I 의 x 축 성분은 -X방향으로 £ 보다 크고 합성 전기장의 y 축 성


분은 +^/방향으로 £ 보다 작다. (나)에서 합성 전기장의 x 축 성
분은 - x 방향으로 £ 보다 작고 합성 전기장의 y 축 성분은 ~y
s x m s
방향으로 £ 보다 작다. 따라서 P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가)에서
1 . 전하와 전기장 가 (나)에서 보다 크다.

01 전기장과정전기유도
01. ① 02•④ 03. ① 0 4 .® 05. ③
ᄋ: ^ 06•③
01. x, x, o 02. ᄋ, X, o

01. ①
01. x, x, ᄋ 2/=0인 점에서 전하량이 +&?, 인 점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의 방
-1. 아래 그림과 같이 전하량이 ᅳ9인 두 점전하가 모에 만드는 전 향이 모두 ᅳ값방향이므로 2/= 0인 점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0이기 위
기장의 세기를 £ 라고 하면 전하량이 +29인 점전하가 으에 만 해서는 Q 가 음(_ )전하여야 한다. 치/방향을 (+)라고 하면 2/=0인
드는 전기장의 세기는 16£이다. 전하량이 ᅳ?인 두 점전하가 점에서 전하량이 +8?,Q, ᅳ9인 세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각각
모에 만드는 전기장을 합성하면 ᅳ2/방향으로 / ! £ 이므로 P 에
서 전기장의 방향은 +2/방향이다.
-為 ’ +돌' ᅳ》 기다. 강=0인 점에서 전:자장색 세7]:가 0이므
로 ᅳ^ = 이다. 정리하면 ᅳ如이다.

02. ④
두 점전하의 합성 전기장이 0인 지점이 두 점전하 사이에 없는 경
우, 두 점전하는 서로 반대 부호이며 전기장이 0인 지점에 가까운
쪽의 전하량이 더 작다. 따라서 A, B는 서로 반대 전하를 띠고 A
의 전하량이 더 작다. 전하량이 더 큰 B 근처인 2d 지점의 전기장
l . 전하량이 ᅳ우인 두 점전하는 ᄋ에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이 -;r방향인 것으로 보아 B는 음(-)전하이고 A 는 양(+)전하이다.
전기장을 형성하므로 두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0이다. 즉, 0 A, B 의 전하의 종류가 반대 이므로 이 두 점전하들로 인한 합성 전
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는 전하량이 +29인 점전하에 의해 형성 기장이 0인 구간이 없으며(① ② ③ 탈락), 전하량의 크기가 더 작
된 16£이다.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는 ᄋ에서가 P 에서보다 크다. 은 A 쪽에 전기장이 최소인 지점이 형성된다. (⑤ 탈락으로 답 ④
C. 전하량이 ᅳ?인 두 점전하가 전하량이 +29인 점전하에 작용하 확정)
는 전기 력의 방향은 전기장의 방향과 같다. 따라서 두 전기력을
합성하면 전하량이 +2?인 점전하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방향은
-y 방향이다. 03. ①

기. x 축상에서 A ~ D 에 의한 y축 방향 전기장은 0이기 때문에 C와


D 에 의한 y축 방향 전기장은 x축상에서 모두 상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C, D 의 전하량의 부호와 크기는 모두 같다.
02. ᄋ, x, o
l. (나)에서 +x방향으로 x = d 지점을 향해 가면 갈수록 - x 방향
-1. 오른쪽을 +x방향, 위쪽을 방향이라고 하자. (가)와 (나)의
전기장이 세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는 x<cM l서 ᅳx 방향
P에서 전기장의 x 축 성분은 모두 -X방향이므로 A 는 음(ᅳ)전
전기장을 만드는 양(+)전하이다. 또한 x = 0에서 전기장의 세
하이다. (가)에서 전기장의 y축 성분은 +값방향이므로 C는 양
기가 0이므로 A, B는 모두 양(+)전하이며, 전하량의 크기도
(+)전하이고, 모든 점전하의 전하량이 같으므로 A 와 C가 만드
같다.
는 전기장은 x 축과 45°를 이루어야 하지만 B 가 만드는 전기장
A. B 의 전하량을 十9i, C, D 의 전하량의 크기를 ?2라 하자.
에 의해 x 축과 45°보다 작은 각을 이루므로 B는 음(- )전하를
띤다. x = j 지점에서 A, 묘에 의한 전기장은 -x 방향인데 A 〜 D 에
K (나)에서는 A 와 B 가 —x 방향,ᅳ상방향으로 같은 세기의 전기 의한 전기장의 방향은 +:c방향이다. 따라서 C, D 에 의한 전기
장을 만들므로 A, B, C 에 의한 전기장은 x 축과 45°를 이루지
장의 세기가 더 셈을 알 수 있다. - 0
만 (가)에서의 전기장은 45°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p에서 전
|~= 1로놓고 A, B 에 의한전기장의 세기를구하면 f - f =
기장의 방향은 (가)에서와 (나)에서 수직이 아니다.

26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g ~ m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AE K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 게이고,C, D 에 의한 전기장의 세기를구하면 2 x - | x i = 02 직류회로와전기 에너지


SCREEN
_ 이다. (3에 의해 !■&< _ 이므로 92> 아이다. 01. 02.
즉, C의 전하량의 크기가 A 의 전하량의 크기보다 크다.

전기장의 방향은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하는 방향


04. ④ 이므로 - x 방향이고, 음(ᅳ)전하가 받는 전기력은 전기장과 반
물체는 (가)와 (나)에서 모두 정지해 있으므로 알짜힘은 0이다. 장 대 방향이므로 A 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방향은 +;r방향이다.
력, 중력, 전기력의 합이 0이므로 장력의 수직 성분은 중력과 같고 전기장이 균일하므로 A 에 작용하는 전기 력의 크기는 q와 r에
장력의 수평 성분은 전기력과 같다. 연직 방향과 실이 이루는 각을 서가 서로 같다.
(가)와 (나)에서 각각 01,02라고 하고 (가)와 (나)에서 각각 식을 세 ᄃ• 전기 퍼텐셜 에너지의 변화량은 전하량과 전위차의 곱과 같다.
워 보면 다음과 같다. A 의 전하량은 변하지 않고 p와 q, q와 r까지의 전위차도 동일
(가) 수직 성분 : 7;가)cosft=m으… ① 하므로 A 의 전기 퍼텐셜 에너지의 변화량은 p에서 q까지 이동
(가) 수평 성분 • 7;
가)sin故= 從 ! … ② 했을 때와 q에서 r까지 이동했을 때가 서로 같다.
(나) 수직 성분 : T(나)cos쉈2= 呵 … ③
(나) 수평 성분 • r(나)sin沒
2= 우及... ④ 02.
zqEi [스위치를 A 에 연결했을 때] [스위치를 B에 연결했을 때]
①,② 식을 정리하면 tanft = ③,④ 식을 정리하면 tan02=
mg ’ Ri Ri
~Wv~니
Wv~
^ 이다. 아래 그림처럼 tan아= |■이고 tan또=|이므로 昏
mg 4 3 Ei — ~N\N~
16 Ri H Rs
9
이다. Wv--- VA~ ---- wv-----
스위치를 A 에 연결했을 때에는 A 점을 거쳐 흐르는 전류가 표
과 於 쪽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위
에서 아래쪽이다. 반면, 스위치를 B 에 연결하면 B 점을 거쳐 흐
르는 전류가 피과 i ?3에 나누어지기 때문에 전류가 아래에서 위
로 흐른다. 따라서 전류의 방향은 바뀐다.
스위치를 A 에 연결했을 때에는 /?2에 전원 장치의 전압이 모두
걸리지만 B 에 연결했을 때에는 1 Q의 저항과 及에 전압이 나누
어 걸린다. 저항의 크기는 같으므로 전압이 더 작게 걸리고 전
류의 세기는 작아진다.
05. ③ 전원 장치의 전압을 K 라고 하면, 스위치를 A 에 연결했을 때
느 (가)에서 음(- )으로 대전된 막대에 의해 막대와 가까운 A 모에 걸리는 전압은 ^ 이다. 스위치를 B 에 연결했을 때에는 병
는 양(+)전하를,막대와 먼 B는 음 (-)전하를 띤다. 따라서
(나)에서 A 는 양(+)으로 대전되어 있으며 A 와 B 사이에는 서 렬 연결된 회로의 합성 저항이 | £2이다. 1 요의 저항과 직렬 연
로 당기는 전기력이 작용한다. 결된 회로의 저항 비는 3 :2이고 전압 비도 3 :2이다. 즉, B 에
(다)에서 정전기 유도에 의해 C에서 B와 가까운 쪽은 양(+)전
하로, B와 먼 쪽은 음 (-)전하로 분극된다. 따라서 (다)에서 B 연결했을 때 쓰에 걸리는 전압은 !■ K이다. 따라서 전압은 더

와 C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전기력이 작용한다. 작아진다.

跑 UEhFPJI
01. ⑤ 02. ② 03. ① 04. ③ 05. ③
06. ③
06. ② 07■④ 08. ④
오른쪽 방향을 (+),p, 다에서 각각 + i c 인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 i
을 —E ,+표라고 하면,P,이에서 각각 전하량이 0 인 점전하에 의 i
1 : 01. ⑤
한 전기장의 세기는 QE, f 이다. 전기장의 방향이 점 p, q에서 A 근처의 전위가 높고 B 근처의 전위가 낮^ !로 A 는 양(+)

서로 같고 전기장의 세기는 p에서가 다에서의 4배이므로 (Q—l ) £ 전하이다.


x = 0에서 전위가 0이므로 A, B 의 전하량의 크기가 같다. 드에
=4(1 +备4?)표이다. 정리하면 0=+ 9C이다.
서 A 와 B 까지의 거리도 같으므로 P 에서의 전위는 0이다.

정답 및 해설 263
亡. Q에서 A, B까지의 거리는 같으므로 A, B 가 Q에 만드는 전기 저항이 0인 도선은 묶어 생각할 수 있으므로,주어진 회로는 다음과
장의 세기는 같으며, 그림과 같이 표현되므로 묘에서의 전기장 같이 다시 나타낼 수 있다.
의 방향은 +x방향이다.

© :l +i = i
02. ②
1 . 전기장의 방향은 전위가 낮아지는 방향이고,I 에서 +x방향으 ② : 飞R 육R = i돈R
로 이동하는 동안 전위가 감소하므로 전기장의 방향은 +X방향
③ . _?_ +丄 = _^__ >—R
이다. ° ' 3R R 3R 5ᄍ
x = 0 에서 입자의 운동 에너지를 Eo, 입자의 전하량을 4리•고 하
위와 같이 회로의 합성 저항을 계산하면 이다. 따라서 전류계에
면, 전기장에 의한 전기력이 입자에 해준 일은 이
므로 입자의 운동 에너지는 에서 화 +2? K J), 야해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세기는 女 f 이다.
섟 +2(?y - ? F=^6 )+?F (J)이므로 운동 에너지는 에서가
x=3cf에서보다 크다.

亡. 이므로 I , m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각각 ^ 이다.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는 M에서가 I 에서의 4배이다.


06. ②

03. ① 1
스위치를 열었을 때의 합성 저항값은 -+2=4則
r+—
옳 , |이 이 다 . 즉, B
A, B, C의 저항값을 구해보면 각각 2pJᅣ, p■ V1+5 3

의 저항값을 꼬이라고 하면 A, (그의 저항값은 각각 4R,2i?이다. 스 고,스위치를 닫았을 때의 합성 저항값은 -2 Q 이다.


위치를 a에 연결하면 합성 저항값은 67?이고 b에 연결하면 합성 저 4 4
항값은 3i?이다. 따라서 /a :/b= l :2이다. 전압이 일정할 때 전류의 세기는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2=27;이다. 따라서 ^ = 2이다.


04. ③
저항값이 꼬인 저항과 4 /?인 저항의 소비 전력이 같으므로 저항값
이 7?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2/ 일 때 저항값이 47?인 저항에 흐르
는 전류는 ^이다. 저항값이 ^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도 2/ 이
고 소비 전력은 2P0이므로 X = 2 J ^ M . 걸리는 전압을 구해보면 저 07. ④
항값이 R, X ,4/?인 저항에 순서대로 2IR, 4/i?, 45?이다. 즉,병렬 회로를 요약하여 다시 그리면 다음과 같다.

연결된 회로의 합성 저항값은 2i?이다. 식을 세워보면 & +$ + 30


r-M/Vᄀ
20
ᅳ^ VvV-i
ᄉ = ^이 므 로 F = 12i?이다. (2/)% = P 0이므로 저항값이 7 인 저 10
ᄂ ~

항의 소비 전력은 ^ ^ = | 이다.

11V
05. ③
과 1 Q 의 합성 저항은 ■ᅵQ 이므로,합성 저항과 2 요에 걸리는
주어진 회로에서 동일한 전위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압은 각각 3V. 8V 이다.
ᅳ ᅳ
1. 저항값이 1 Q 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 ^ = 3 A 이다.
-^-WVᅳ rᅳ WV^~
저항값이 2 요인 저항 양단에 걸린 전압은 8 꾸이다.
전류계
L Ih ^ o------ 저항값이 3 Q 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1 A, 양단에 걸
v 린 전압은 3 V 이므로, 소비되는 전력은 3 W 이다.

2 6 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Bᅳ ᅳ B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ᅵH B A E K l B E O M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08 ■ ④ 02. ⑤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표기하면 아래와 같다. -1. 그림의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컬렉터 ᅳ 베이스

/l~/3 — 이미터이므로 이는 n - p _ n 형이다. 따라서 베이스는 p형


~ VVV- rAMr1스W \
ᄃᄀ 반도체이다.
1-. 전류가 베이스에서 이미터로 흐르므로 베이스 단자의 전위가
이미터 단자의 전위보다 높다.
h+h c. 전원 전압을 Vo, 가변 저항을 i?2, 가변 저항의 좌측 저항을
전원 장치
Ru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VBE라고 하면
저항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Kbe= 이다. 가변 저항 私값이 증가하면 yBE는 증
hR-l2R+IiR=0-®
-2{IX-h)R+ (/2+I3)R+1 ^ = 0 … ② 가하고, 베이스 전류 /B도 증가한다. 전류 증폭률 ᅵ•가 일정하
식 ①, ②를 정리하면 ^ = 5/3이고 J 2= 6/ 3이다. 따라서 / a= 5 /3.
므로 /B가 증가하면 Jc도 증가한다.
I h= h , /c=7/3이므로 7a :/b :/c=5 :1 :7이다.
03. ③
기. 그림은 n ᅳp - n 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것이다. 트랜지스터의
03 트랜지스터
이미터 一베이스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이,베이스—컬렉터 사이
SCREEN
에는 역방향 전압이 걸려야 하므로 모는 양(+)극이다.
01. 02.
l . n - p - n 형 트랜지스터에서는 이미터 쪽의 전자들이 베이스,
컬렉터로 확산된다. 따라서 다수의 전자가 컬렉터에서 이미터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미터와 베이스 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C. 전류가 컬렉터에서 베이스로 흐르므로 전위는 컬렉터 단자에서
사이에는 순방향,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에는 역방향 전압이 걸
가 베이스 단자에서보다 높다.
려야 한다.
발광 다이오드(L E D )는 순방향으로 전압이 걸려야 빛이 방출
Oil. ①
되므로 A 는 p형 반도체이다.
1. E 와 B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이 걸린다. E 와 전원장치의 음
p _ n - p 형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를 때는 이미터의 양공이
(_ )극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E 는 n형 반도체이다. 따라서 트랜
대부분 베이스를 통과하고 컬렉터로 넘어가면서 작동하게 된다.
지스터는 n —p - n 형이다.
B와 E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조절하여 C 에 흐르는 전류를 조
절할 수 있으므로 B와 E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증가시키면 저
02. ᄋ, ᄋ’ x
항 묘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증가한다.
기. 트랜지스터 기호에 베이스에서 이미터 방향으로 화살표가 있으
C . 가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면 B와 E 사이에 걸리는 전
므로 n ᅳp - n 형 트랜지스터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베이스에
압이 작아지므로 B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서 이미터 방향의 전류가 쇼에서 아래로 표시가 되어 있는 것,
가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작아지면 스피커에 출력되는 신호
또는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의 역방향 전압을 이용해서 파악할
는 감소한다.
수 있다.)
l ./b +/c=/e°1^, 이를 변형하면 /B= /E-7c이다.
C. 해당 회로의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순방향 전압이 걸려 04 축전기
있다.
01. o , X, x 02. ᄋ, X, x

01. ᄋ,X ,x
01. ③ 02. ⑤ 03. ③ 0 4 .( 3 )
n , 축전기가 직렬 연결된 경우 각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동일하므로 A 와 B 에 걸리는 전압의 비는 2 :1이다. 따라서 B
01• ③

/e = /b+/c이므로 /a=/b+/c이다. 양단에 걸린 전압은 ᄉ KA이다.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증폭시키고 있 0 이미터와 베이스 사 c. A, B 에 충전된 전하량은 같고 전기 용량은 B 가 A 의 2배이므
이에는 순방향 전압이 걸려 있다.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에는 역방향 전압이 걸리므로 C는 P형 반 로 ^에 따라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A 가 B 의 2배

도체이다. 이다.

정답 및 해설 265
02. ᄋ, x , x 라 A 와 C 에 충전된 전하량 비는 1: 2이며, 마찬가지로 B와 D
양단의 전위차는 서로 같으므로 B 와 D 에 충전된 전하량 비도
전기 용량 O e | 인데 극판 사이의 간격0/)이 2배가 되었으므
1 :2이다. 따라서 네 축전기의 합성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을
로 전기 용량은 (가)가 (나)의 2배이다.
Q 라고 하면 A 와 B 모두 로 충전된 전하량이 같다.
느 (가)에서 축전기를 완전히 충전하고 스위치를 열면 극판이 고립
되므로 전하량은 유지된다. 따라서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은
u.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基 로 구할 수 있다. B와 C 에
(가)’ (나)에서 같다.
亡. 전기 용량은 (가)가 (나)의 2배이고 충전된 전하량은 같으므 저장된 전기 에너지 비는 1: 4인데 충전된 전하량의 제곱비도
1 :4이므로 전기 용량의 비는 1 : 1, 즉 B와 C의 전기 용량은 서
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는 (나)가 (가)의 2배
로 같다.
이다. ᄃ. C 와 D 에 저장된 전하량은 같은데 저장된 전기 에너지 비가
2 :1이므로 걸린 전압의 비도 2 :1이다.

01. ④ 02. ① 03•③ 04. ① 05. ①


06. ① 07. ① 08. ③ 0A. ①
(가)에서 A 와 B 에는 동일한 전압이 걸려 축전기가 충전된다. 한편,
01. ④ (나)에서 스위치를 열었으므로 A 는 전압이 일정하고 B 는 충전된
(가)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을 Q,전기 용량을 C 라고 했을 때
이다. (나)에서 두 평행판 사이의 거리를 d
전하량이 일정하다.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혹은
로감소시켰으므
로 전기 용량은 2C가 되고,스위치 S를 열었으므로 전하량이 보존 로 구할 수 있다. A 는 첫 번째 식에 의해 이전의 /c배가 되고 B

되어 축전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f 이다. (다)에서 스위치 S를 다


는 두 번째 식에 의해 이전의 1 배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k UA
시 닫았으므로 축전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F 이고,전기 용량은
2C이므로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2Q이다. = 읍 이다.
' 축전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가)에서가 (나)에서의 2배이다.
u.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나)에서 Q,
(다)에서 2Q로 (나)에서
가 (다)에서보다 작다. 05. ①
L. A 와 B 가 전압이 y 인 전원에 병렬연결 되어있으므로 A,
(가)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라고 하 B 에 걸리는 전압이 V로 같고, 충전된 전하량은 Q,2Q이므로
(다)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K 이므로 2t/ 이
면,
A 의 전기 용량은 ^ 이다. 또한 B 의 전기 용량은 ^ 인 데 극
다. 따라서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는 (가)에서가 (다)에서보다
판의 면적, 극판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A, B 의 경우 전기 용량
작다.
이 유전율과 비례하므로 2eA=eB이다.
02. ① c. B 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2Q)K=QV■
이다.
-I. A. B 가 병렬연결 되어있으므로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서로 동

일하다. A, B 에 충전된 전하량의 비가 2 : 1이므로 이 에


06. ①
의해 전기 용량의 비는 2 :1이다. 기. (가)에서는 A 의 양단에 전체 전압 7 가 모두 걸리지만, (나)에

ᄂ 전기 용량 C=e | 이므로 A ,B 의 전기 용량의 비는 sj중: 서는 A, B 가 직렬연결 되어있으므로 V•의 전압이 A, B 에 분


배된다. 따라서 A 양단의 전위차는 (가)에서가 (나)에서보다
sb-^=2:1이다. 따라서 2eA=eB이다. 크다.
1-. c . 문제에서 B 양단의 전위차가 (가)에서 더 크다고 하였으며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는 전하량의 크기와 전압의 곱
직렬 연결된 축전기는 전기 용량에 반비례하여 전위차를 분배
에 비례한다. A, B 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동일하고 전하량의
받는다. 따라서 B 가 더 많은 부분의 전위차를 적용받는 (가)일
크기 비가 2 :1이므로,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A 가 B
때 직렬연결된 C 의 전기 용량 Cc가 CA보다 크다. 또, 합성 전
의 2배이다.
기 용량은 C 가 있는 (가)의 B-C 직렬연결이 A 가 있는 (나)의

03. ③ B ᅳA 직렬 연결보다 크 고 , 같은 전압 F 일 때 합성 용량이 큰


-1. A 와 C 에 충전된 전하량의 합과 B 와 D 에 충전된 전하량의 합 (가)의 총 전하량이 더 크다. 그리고 직렬연결된 각각의 축전기
는 총 전하량을 그대로 적용받으므로 (가)의 C가 (나)의 A 보다
은 같다. A 와 C 양단의 전위차는 서로 같으므로 에따
더 크다.

2 6 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신 릐 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ᅵ

밀히들어야하는수능물리학의본질적접근 필수븐
기본부터 심화까지

07. ① 향은 재 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1. (가)에서 축전기의 전기 용량을 C, 전원 장치의 전압을 K 축
전기에 충전된 전하량을 0 라고 하자. (나)는 (가)에서 스위치를 02. ᄋ, ᄋ, x
연 후 조작했기 때문에 충전된 전하량 Q값이 고정되고, 유전율 기.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도선에 흐르
이 2배가 되었으므로 (나)에서 축전기 의 전기 용량은 2C로 (가) 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고, 도선과 떨어진 수직 거리에 반비례
에서의 2배가 된다. 한다. x = 紀 와 x = M 인 지점은 B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
(다)에서는 (나)의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를 닫아 V의 전압이 공 져 있기 때문에 B 에 흐르는 전류가 두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의
급되었기 때문에 이때 축전기에 충전된 전하량은 2C x y = 2Q 세기는 같다.
이다. 따라서 (다)에서가 (나)에서의 2배이다. u. B 에 흐르는 전류가x =3d와 인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의

ᄃ. (가)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 Q F = C 7 라 하면, 세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또한 A 가 두 지점에 만드는 자
기장의 방향은 같다. 만약 A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B와 반대
(나)와 (다)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각각 + x O x 방향이라면, :r=3c(인 지점에서는 B 에 의한 자기장이 A 에 의
해 보강되고, x = 5 d 인 지점에서는 상쇄되어,합성된 자기장의
\ V = \ U , y x 2Qx F = 2t/이다. 따라서 (다}에서가 (나} 세기는 x = 3 d 에서가 더 크다. 하지만 이는 문제 조건과 어긋나

에서의 4배이다. 기에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같다.


n. x =0인 점은 A ,B 로부터 떨어진 거리 비가 1 : 4이고 A , B 는

08. ③ x = 0 에 같은 방향의 자기장을 만든다. _r=M 인 점은 A , B 로


부터 떨어진 거리 비가 4 :1이며 A, B 가 같은 방향의 자기장
-I.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及보다 작을 때 전압 강하는 저항값이 R
인 저항보다 작게 나타나므로 전위는 a에서가 b에서보다 낮다. 을 만든다. 따라서 x=0, 인 점은 대칭인 지점인데,x = 5 d 에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일 때 a와 b의 전위차가 0이므로 축전 서 자기장의 세기가 더 크므로 /A< /B이다. /A가 rf만큼 떨어진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를 5 A라고 하고, 쇼가 rf만큼 떨어
기에 저장되는 전하량은 0이다.
진 지점에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를 5 B라고 하면 x = 0에서 자기
c.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0이면 a와 b의 전위차는 f 이다. 따라서
장 세기 2B0= B A+ 충 ’ :c=3c/ 에서 자기장 세기 2jB0= B b-
축전기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이다.
충 이 다 . 두 식을 연립하면 S A= 충 이 므 로 食 = 2이다.

1 2. 전류와 자기장 1 ^ 례 jMII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④ 02.® 03. ① 04. ④ 05. ①
01 전류에의한자기장
01. ④
01. o , x, x 02. o . ᄋ. x -I. (나)에서 직선 도선 아래에 놓인 나침반 자침의 N 극이 직선 도
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였으므로
01. ᄋ, x , x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b ᅳ a 이다.
ᄀ. p와 q에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0이다. C에 의해서 p에는 x갔 1. (다)의 결과는 (나)의 결과보다 나침반 자침의 N 극이 시계 반대
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의 자기장 5 가 형성된다면 q에 방향으로 더 많이■
회전하였으므로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는 재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자기장 5 가 형성된다. 세기는 (나)에서가 (다)에서보다 작다.
p에서 A, q에서 B까지의 거리는 같고 p에서 B, 다에서 A 까지 c . (라)에서 나침반 자침의 N 극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으므로
의 거리도 같다. 즉, p에서는 C와 B 에 의한 자기장의 방향이 같 직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나)에서와 반대이다. 따라
고 q에서는 C와 A 에 의한 자기장의 방향이 같다. 따라서 A 와 서 ‘전원 장치의 (+), (-) 단자에 연결된 집게를 서로 바꿔 연
B의 전류의 방향은 위쪽 방향으로 같다. 결한 후’는 ©으로 적절하다.
p에서 A 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가 C에 의한자기장의 세기보다
커야 하므로 A 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i■보다크다. 02. ④
c . A, B가 r에 만드는 자기장은 A. B 가 p에 만드는 자기장과 같 기. 자기장의 세기가 0인 지점이 B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전류의 세
다. p에서 C 가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으로 자기장 기는 A 에서가 B 에서보다 크다.
을 형성하므로 A, B 가 I•에 만드는 자기장의 방향은 재평면으 자기장의 세기가 0인 지점에서 A 와 B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C가 I•에 만드는 자기장의 방향도 재평 자기장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ᅳd<x<(PA 지점에서 A 와
면에 들어가는 방향이므로 A, B, C에 의한 r에서의 자기장 방 B 의 자기장의 방향은 같다. 자기장의 방향은 +상방향이 양(+)

정답 및 해설 267
이므로 A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 0 5 . ①

는 방향이다. •T2/평면에 수직 인 방향을 2축으로 설정하면 균일한 자기장은 ±2


c. A, B 로부터 p까지의 거리가 원점까지의 거리보다 더 크고, p 방향으로 5 0만큼 형성되어 있고, 도선 A, B 의 합성 자기장이 ±y
-에서 A, B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각 도선에 흐르는 방향으로 £ 0만큼 형성되어 있어야 원점에서의 합성 자기장 세기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방향을 벡터 합성 해야 하므로 A 와 B 가 斤5 0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점에서는 두 도선이 각각 거리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는 p에서가 원점에서보다
d 인 지점에 같은 방향으로 •만 큼 씩 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황
작다.
이라 볼 수 있다. 2/축 위의 점 P 까지 A, B 로부터의 거리는 각각

가 되어 각각의 전류가 형성하는 자기장 세기는 | 씩 이 되


03. ①
도선 A, B 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각각 Bk. S B라 하면, 고, 이를 x 축과 y축 성분으로 분해했을 때,x 축 성분끼리는 반대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p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으므로 방향이어서 상쇄되고 y축 성분끼리는 같은 방향이어서 보강된다.

ISAl = lSBl이다. (가), (나)에서 5 a,f t 는 다음과 같다. 점 P 에서 A, B 가 각각 상축 방향으로 만드는 자기장 세기는 붙

B(가) 를 벡터 분해한 | 이고,이를 더하여 A + B 가 P 에 만드는 y축 방


d(^)
)B a 향 자기장은 ᅧ1이 된다. 이를 원래 있던 z축 방향 자기장과 합성하

2d 면 이 된다.

-d'的ᅳ도선 B

02 전자기 유도
(가)

01. x , x , o 02. O, o, X
도선 A
d^>
Ba . 01. x , x , o
(내. 1 .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자기 선속의 시간당 변화울■의 크기에 비
례한다. 1초일 때 자기 선속-시간 그래프의 기울기가 0이므로
Bb
-d'|도 선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0이다.
B
렌츠의 법칙에 의하면 유도 전류는 자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

(나) 으로 흐른다. 자기 선속 그래프의 기울기가 2초일 때와 4초일 때


반대이므로 유도 전류의 방향도 2초일 때와4초일 때 반대이다.
두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합성된 자기장은 (가)에서는 y축 방
c. 1초일 때와 3초일 때 자기 선속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자기장의
향만 남고, (나)에서는 축 방향만 남는다.
방향도 1초일 때와 3초일 때 반대이다.
LBAl = leBl = £ 라 하면, (가)에서 합성된 자기장의 세기는 25COS0,
(나)에서 합성된 자기장의 세기는 aSsinfi1이다.
02. ᄋ, ᄋ, x
cos0 :sm6=2 :1이므로 결0 1 = 2 이다.
나) 기. 1초일 때 도선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증가한다. 즉, 들어가는
방향의 자기장이 증가하므로 도선에는 나오는 방향의 자기장을
만드는 반시계 방향의 전류가 흐른다.
0A■ ④ u. 3초일 때 하이 증가하는 비율과 가 감소하는 비율이 같으므
모가 a와 c에 만드는 자기장은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 이다. Q 가 로 도선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의 변화는 없다. 따라서 유도 전
a와 c에 만드는 자기장도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즉, 모와 Q 류는 흐르지 않는다.
가 a에 만드는 합성 자기장이 ᅳ5 '일 때 c에 만드는 합성 자기장은 c. 5초일 때 표은 1초당 1 m T 의 자기장이 감소하므로
요이 된다. (합성 자기장의 세기가 c에서가 a에서보다 크므로 a의
에 의해 유도 기전력은 0.04 mV
합성 자기장을 - 로 표기하였다.) R 가 만드는 자기장을 5 K이라고
할 때, 이고 故 + 5 '= 3 £이다. 즉, fiR= 2S 이고 £ ' = 5 이다. 마찬가지로 B 2도 1초당 1 m T 의 자기장이 감소하므로
이다. b에서 P, Q, R 의 합성 자기장은 0이므로 P 와 Q 의 합성 자 0.04 m V 의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0.08 m V 의 유
기장은 - 2 5 이고, d에서의 P와 Q 의 합성 자기장은 2S 가 된다. 따 도기전력이 발생하고 이를 0.01 으로 나눠주면 유도 전류는
라서 d에서 P, Q, RS1 합성 자기장은 4S이다. 8 m A 이다.

2 6 8 2023 물리학 n [필수본] 개념완성


-------------------------------------------------------------------------------------------------------------------------------------------------------------------a~ m신로I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讲지

이 자속 변화가 양수 값을 가질 때 반원 도선에는 종이 면을 뚫
01. ② 02. ⑤ 03. ② ③ 05. ④ 고 들어가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기 유도가 적용되어 (나)그
06. ⑤ 07•⑤ 08. ④ 09. ② 래프에서 양수가 된다. 이를 만족하는 5 4의 범위는 - b - b 4>
0이어야 하므로 fi4< - 5 로, 영역 IV의 자기장은 종이면을 뚫
01. ② 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5 보다 큰 자기장이 형성되어야 한다.
당기 기 전의 P 의 반지름을 i ?라고 하면 일정한 속력 2;
로 양쪽에서 따라서 영역 m과 영역 W의 자기장은 서로 방향이 반대여야
잡아당길 때 <초 후 원둘레는 2^ - 2까이고,이것을 2k로 나누어
한다.
f초 후 원의 반지름 r를 구하면 r = 7 ? - ^ 이다. 따라서 모의 반지름
71 1ᅳ. O 씨 일 때와 ᅦ 〜 ^ 일 때의 자기장 변화량의 크기가 같아야
은 감소하는데,p 의 넓이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유도 전류의 세기가 같을 수 있으므로 + 5 - 5 3과 _ 5 _ 5 4의
시간이 지날수록 넓이가 줄어드는 비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같아야 하고, 기.에서 구한 각 영역 자기장 방향까지 고
원을 통과하는 자속의 감소량도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어 기전력의 려하면 £ 3와 5 4의 세기가 같아야 한다.
크기는 감소한다. 이때 감소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종이면에 수직으 c . 고리의 회전 방향만 바꾸면 각 영역별 자기장 변화의 부호만 반
로 들어가는 방향이므로 이를 방해하기 위해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 전되므로 (나) 그래프의 위 아래가 뒤집힌 형태로만 바뀐다. 따
어가는 방향의 자기장을 만드는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 라서 전류의 최대 세기는 /0이다.
도 전류의 방향은 © 이다.

04. ③
02. ⑤
기. P 내부의 자기 선속이 변하지 않으므로 P 에는 유도 전류가 흐
기. 도체 막대가 영역 I 에서 운동하면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
르지 않는다.
는 방향의 자속이 감소하므로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
K R 내부에서 재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의 자기 선속이 감
향의 자기장이 만들어지도록 시계 방향으로 유도 전류가 흐른
소하므로 R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이다.
다. 도체 막대가 영역 표에서 운동하면 종이면에서 수직으로 나
= . 단위 시간당 자기 선속 변화량이 요가 Q보다 크므로 유도되는
오는 방향의 자속이 감소하므로 종이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전류의 세기는 Q 에서가 R 에서보다 작다.
방향의 자기장이 만들어지도록 반시 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
다. 따라서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I 에서와 I 에서가 반
05. ©
대이다.
기. P 가 x=1.5籍 지날 때. 금속 고리에 재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
L. 도체 막대의 길이와 속력이 일정하고 자기장 영역의 세기는 영
는 방향의 자속이 증가하므로 유도 전류의 방향은 +ᅧ
/방향이다.
역 I 에서가 I 에서보다 크므로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P가;
r=1.5d를 지날 때, x=4.5rf를 지날 때의 속력의 2배이며
I 에서가 I 에서의 2배이다.
자속의 변화량은 같으므로 P 가 Z = 1.M 를 지날 때가 x=4.5d
도체 막대는 도선의 자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
를 지날 때보다 크다.
때문에 유도 전류에 의해 도체 막대에 작용하는 자기 력의 방향
亡. 모가 x=2.5rf를 지날 때 :대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은 I 에서와 I 에서가 같다.
JS만큼의 자기장이 증가하며 x=3.5d를 지날 때 砂평면에 수직
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B 만큼의 자기장이 감소한다. 따라서
03. ②
P 가 x=2.5rf를 지날 때와 x=3.M 를 지날 때 서로 반대 방향으
영역 I 의 자기장을 + 5라 하면 영역 I 의 자기장은 - 5 가 된다.
로 유도 전류가 흐른다.
영역 ]I의 자기장을 ^ 3, 영역 ]y의 자기장을 표라 하고, (나)의 그
래프에 맞춰 각 시간대별 자속 변화를 분석한다.
06. ⑤
1 . 0~ ^ 일 때 영역 I의 자기장이 반원 내에 추가되는 동시에 영 기. 재평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을 (+), 원형 고리가 영역 I 에 걸쳐
역 m의 자기장이 반원 내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단위 시간당 자 있는 면적을 S 라 두고 자기 선속 0 =(자기장) x (면적)을 계산
속 변화는 + 5 _ 5 3에 비례하고, 이 자속 변화가 음수 값을 가 하면 다음과 같다.
질 때 반원 도선에는 종이면을 뚫고 나오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시간 영역 I 영역 표 자기선속( 0 )
전자기 유도가 적용되어 (나) 그래프에서 음수가 된다. 이를 만
족 하 는 ^의 범위는 + 5 - B3< 0이어야 하므로 fi3> + 5 로, 영 1초 +J50x S ~ 응A ) x 2S - T BoS
역 ![의 자기장은 종이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B보다 큰 자

기장이 형성되어야한다. 일 때 영역 I 의 자기장이 반


4초 + 2Bqx S ᅳ 응A )x 2S - |_ i? 0S

원 내에 추가되는 동시에 영역 W의 자기장이 반원 내에서 벗어 따라서, 고리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의 크기는 1초일 때가 4
나게 되므로 단위 시간당 자속 변화는 (― 5 )- 5 4에 비례하고, 초일 때보다 더 작다.

정답 및 해설 269
L. 고리 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자기 선속 변화율에 비례한다. 1초 c . 그림에서 도선이 이루는 위쪽을 향하는 면을 기준으로 보면

일 때와 4초일 때 자기 선속 변화율의 비는 (+5X1-1X2) : 0 =90°~180°에서는 뚫고 들어가는 자기 력선속이 감소하고


( _ lx 2 ) = 3 :(ᅳ2)이므로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1초일 때가 6»= 180°~270°에서는 뚫고 나오는 방향의 자기력선속이 증가한
더 크다.
다. - 이 므 로 6•가 180°를 지나면서는 유도 전류의
c. 1초일 때, 원형 고리를 통과하는 나오는 (+)방향 자기 선속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도 전류는 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07. ⑤
03 상空유도
-1. f = 0〜 f 일 때 도선 내에는 영역 I 에 해당하는 자속이 증가하 °K ^ m i

는데 유도 전류의 방향이 양(+)이므로 영역 I 에서 자기장의 방 01. O, X, o 02. ᄋ, X, x

향은:대평면에서 수직으로 나오는 방향이다. 일때 01. ᄋ, x , ᄋ

도선 내에는 영역 I 에 해당하는 자속이 감소하는데 유도 전류 기. 2차 코일의 자기 선속 0 는 표에 비례하고 표은 _/!에 비례하므


의 방향이 양(+)이므로 영역 I 에서 자기장의 방향은 :r^/평면에 로, ^는 % 일 때가 하)일 때보다 크다.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이다. 따라서 I 과 I 에서 자기장의 방 t0일 때, 쑈은 증가하고 2차 코일에서는 이를 방해하는 방향
향은 서로 반대이다. 으로 전류가 흐르므로 a ᅳ © ᅳ b로 전류가 흐른다.
c. 2차 코일의 유도 기전력은 Ti의 시간당 변화율에 비례하고, 유
K유도= = 5 n^ ■
인 데 , F = / i? 에서 K 유도
도 전류도 이에 비례한다. (나) 그래프에서 &일 때가 3&일 때보
다 기울기가 크므로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도 &일 때가
이다. 따라서 5]! = ! ^ 이다. 않0일 때보다 크다.
T
n. 도선이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각각의 구간에서 전류의 세기와 02. ᄋ. X . x
1차 코일에 걸어주는 전압을 R 이라고 하자. 이때,저항에 걸리는
저항값은 일정하므로 도선에서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

x (시간}이다. 따라서 (빠 증 새 +(和 x증 전압을 % 라고 하면, K2= V:


x ^ 이다. 이때,2차 회로에 흐르는

전류 /2는 옴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y = 吾/ ^ ? r 이다.
기 을 증가시키면, 에서 V2가 감소한다. 따라서

08• ④
%를 발생시키는 요인인 씀 역시 감소한다.
d

기. 호
= ^ = ᅳ소이다. 고리가 |■만큼 이동했을 때 금속 고리에 재 L.A^를증가시키면, ■에서 14가증가한다.
2/U V 乙
평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자속이 증가하므로 이를 방해하기 n. 이므로 i ?가 2배가 되면, A과 / 2는 모두 |■배가 된다.
위한 유도 전류의 방향은 -X방향이다.
(문제에서 공급 전력이 일정하다는 언급이 없으므로 그렇게 풀
3d
L. 효
= | 쓰= 이다. 고리가 |년만큼 이동했을 때 금속 고리에 면 안 된다!)
Zv v 스
자속 변화가 없으므로 유도 기전력은 o이다. 향 령 때 國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④ 02. ② 03. ③ 04. ③
c 너 | ^ = 이다. 고리가 |년만큼 이동했을 때 & = ᅧ|
스"V 1) 乙 z\t
01. ④
^4¥ = Sow/이다. 기. /i이 클수록 1차 코일 주변의 자기장이 세지기 때문에, 7i에 의
한 2차 코일의 자기 선속은 5초일 때가 2초일 때보다 더 크다.

09. ②
유도 전류인 /2의 방향은 이 감소하는 경우나 반대로 흐르는 A
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나 같으므로 7초일 때와 9초일 때 /2의
기. 도선이 이루는 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산= 90°, 0=270°일
때 최대이고, 0=0°, 0 = 180°일 때 최소이다. 방향은 같다.

신=45°일 때 그림에서 도선이 이루는 위쪽을 향하는 면을 기준 [별해]

으로 보면 뚫고 들어가는 방향의 자기 선속이 증가한다. 패러데 (나) 그래프의 기울기가 6초에서 10초까지 변하지 않으므로 유도 전류의 방향도 변
이 법칙에 의해 유도 전류가 a ᅳ b ᅳ c 방향으로 흐른다. 하지 ^ 는다.

2 7 0 2 0 2 3 물리학 I [ 필수본]개념완성
-----------------------------------------------------------------------------------------------------------------------------------------------■ᅳ ᅳ H 신퇴의 물리 만점 전략가! B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n
c . 소비 전력은 f 이므로 저항이 같을 때 유도 기전력의 제곱에

비례한다.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 에 비례하므로 2초일 때


at
와 8초일 때 유도 기전력의 크기 비는 1 : 2이며, 소비 전력비는 파S 과 疆질의 성SI
1 :4이다. 따라서 /2에 의한 저항에서의 소비 전력은 8초일 때
1 1. 전자기파의 성질과 이용 1
가 2초일 때의 4배이다.

01 전자기파의간섭과회절
02• ②

1차 코일의 전류를 / 라고 하면 저항값이 r인 저항에서의 소비 전력


01. ᄋ, ᄋ, o 02. ᄋ, X, o
은 /V(=2P0)이다. 저항값이 2r인 저항에서의 소비 전력은 ^ 이

01. ᄋ, ᄋ, ᄋ
므로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 이다. 따라서 1차 코일과 2차 코
모에서의 밝은 무늬는 보강 간섭에 의해 생긴다.
일의 전류의 비는 2 :1이고 변압기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무시하므

이고, (나)에서 모는 O 로부터 첫 번째 밝은 무늬의
로 감은 수의 비는 1 : 2이다.
중심이므로 두 슬릿으로부터 P 까지의 경로차는 한 파장인
03. ③ 650 nm 이다.
-I. 변압기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무시할 때, 변압기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전류비는 코일의 감은 수의 비에 반비례한다. 감은 에 에 의해 则 값은 (나)와 (다)에서 같으므로 소 는
수의 비가 3 :1이므로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 세기는 1차 코 /)에 비례한다. 따라서 ©은 550 nm이다.

일 전류 세기의 3배이다.
02. ᄋ, x, ᄋ
c . 교류 전원의 전압이 V■로일정하고, 코일 감은 수가 변하지
-I. (나)의 결과는 빛이 슬릿에서 회절하여 나타난 현상이다.
않으므로 저항에는 항상 f 의 전압이 걸린다. 따라서 각 경우
L, 슬릿의 구멍이 작을수록, 파장이 길수록 회절이 잘 일어나
므로 G가 작을수록, 파장이 길수록 D 는 크다.
소비 전력은 ^ : 이므로, 소비 전력은 a에 연결했을

때가 b에 연결했을 때의 2배이다. g S M 鬧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③ 02. ⑤ 03. ③ 04. ⑤ 05. ⑤

0수 ③
n, u . 헤어드라이기를 켜면 2차 코일에서 사용하는 전력이 증가 01 • ③

하여 집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증가하지만 전압은 변함이 없으 1 . 어두운 무늬가 나타나는 지점에서는 이중 슬릿을 통과한 빛이
므로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증가한다. 서로 반대 위상으로 만나 상쇄 간섭이 일어난다. (나)에서 드에

c. 코일의 감은 수가 변하지 않으므로 1, 2차 코일에 걸리는 전압 나타난 어두운 무늬는 빛의 상쇄 간섭의 결과이다.
의 비도 변하지 않는다. 1. A r = ^ ■이므로 슬릿 간격이 좁을수록 이웃한 밝은 무늬 사이
a
의 간격이 크다. (나)에서가 (다)에서보다 슬릿 사이의 간격이
좁으므로 이웃한 밝은 무늬의 간격은 (나)의 간섭무늬에서가
(다)의 간섭무늬에서보다 크다.

ᄃ. 에 의해 이웃한 간섭무늬 사이의 간격은 (나)에서가

(다)에서의 2배이다. 따라서 (다)의 간섭무늬에서 모에는 밝은


무늬가나타난다.

02. ⑤
기. 이중 슬릿 간섭에서 스크린의 중심 0 에서와 같은 밝은 무늬가
반복될 때마다 경로차는 한 파장씩 추가되고 어두운 무늬는 반
파장만큼 추가된다. 0 에서 모까지 밝은 무늬가 1회, 어두운 무
뇌가 1회 나타났으므로 Sh S2로부터 P 까지 의 경로차는 ^1+

(떼 /i 이 다 .

정답 및 해설 271
u 단색광의 파장을 로 바꾸어 / = ! 니라 하면,ᄋ에서 p 까지 U 1초일 때 B 가 측정한 음파의 진동수가 | /o 이고, 1초일 때 B

의 경로차 변화량 | ᅯ= | ᅳ| 니'가 되어 고,의 2배가 되므로 보 의 속력을 라고 하면 A 의 속력은 2z;이므로 | / o = ^ J / o 이

강 간섭이 일어난다.
다. 따라서 B 의 속력은 ^ 이다.
亡. 간섭무늬 간격 A r = ^ ■에서 슬릿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 ^을
a ■箱태 棚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배로 늘리면 무늬 간격은 2배가 된다.
01. ④ 02. ② 03. ② 04 ⑤

03■③ 01. ④

A r= ^■
이다. x0= 방 ’ 3 x 0 = ^ ^ , 4r0= ^ ^ 이다. 정리하 (가)에서 /a : / B= l : 1이므로 음속을 W라고 하면, / o ( ^ ^ ) =

면m = i :| | 쎄 8이므로 七 >오 이 다 . 2/o( 규^ ᅳ) 이고, 정리하면 2t?A+z;


B=z; ••• ①이다.

(나)에서 / a :
/b = 3 :4이므로 4 x /0( 士 ) 二크乂요/ 나긍그느^
O/i. ⑤ \v—X)eJ \v—v표/
기. 회절 무늬 I 은 원형 슬릿으로 인해 생긴 무늬이고 I 는 사각형 고, 정리하면 3z;a -2?;b=z; … ②이다. 따라서 식 ①, ②를 정리하면
슬릿으로 인해 생긴 무늬이다. vA : % = 3 :1이다.

1ᅳ. 슬릿의 구멍이 작을수록 회절이 잘 일어나므로 지름이 |•배인 02. ②


슬릿을 사용하면 무늬의 간격은 커진다. 음원이 정지 상태일 때 만들 수 있는 파장 고를음원이 매 주기 t마다
n. 파장이 길수록 회절이 잘 일어나므로 초록색 레이저를 붉은색 z; / 만큼 따라가며 그 다음 파면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음파 측정 기
레이저로 바꾸면 파장이 길어져 무늬 간격은 커진다.
가 측정하는 파장/r = 고- 방 = 고 이 다 . 따라서 원래 파장/!보다

05. ⑤ t나= , 만큼 짧다. 파동의 속도는 여전히 이며, 음파 측정기가 측


기. 동일한 파장 ^로 실험했을 때 무늬 간격이 B가 A 보다 넓다.
정하는 파장;1'= 고- ᄎ = ᄎ - > 이고, ᅮ= ᄎr 이므로 음파 측정기
단일 슬릿에 의한 무늬 간격은 Ar = # 이므로 슬릿의 폭은 A
a
가 B보다 크다. 가 측정한음파의 진동수/ = ( ^ ) / 이다.
K 동일한 슬릿 A 로 실험했을 때 무늬 간격은 파장이 七인 레이저
를 사용했을 때가 파장이 ᅩ인 레이저를 사용했을 때보다 넓다. 03. ②

단일 슬릿에 의한 무늬 간격은 이므로 파장은 A 가 ᅩ B의 속력을 z;라 하면, A 의 속력은 y+ |성, C의 속력은 이다.

보다 크다. 음속을 F 라 하면’ f A ^ -NV o … ①,


c. 동일한 슬릿 B로 실험했을 때 파장이 길수록 무늬 간격이 더 넓 \V^ +\ d)>
으므로 파장이 짧은 ᅩ을 사용한 ©의 무늬 간격이 ©보다 작다.
f /o=( v ^ ) / o ②, 1 / i = ( f + W ) ) /o ③이다. 식②를

02 도플러 효과 정리하면 이고, 식 ①과 ③에 대입하여 ® 을 ①로 나누면

01. ᄋ, ᄋ, 0 02. ᄋ,X 3 _ 1씨 音 옮 ᅳ音 ^ lrl


4 _ 1 ~ 11 ᅵ나 *.
^ +1 0 ^ 10^
01. ᄋ,ᄋ, o
정리하면 K=3(W이다.
U , C - / a = / o ( V+v)< / b = /o ( ^ ; ) 이므로 / o( yZ~)~ rrl 기 ;J r 30flf r 60 r 20 씨 T 시
따라서 / i = ------- o— /o= ^r/o = y / o 이다.
U
이다. 정리하면” = 뉴이다.

04. ⑤
02. ᄋ, x 기. A 에서 S는 지구에 가까이 접근하고 있으므로 A 에서 발생한
기. 3초일 때,A, B의 속도가 같으므로 B가 측정한 음파의 진동수 빛을 관측한 파장은 빛의 도플러 효과에 의해 원래 별빛의 파장
는 / o이다. 보다 짧다.

272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Hᅳ ᅳ ■ 신로ᅵ의 물리 만점 전략가!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曰 심화마지

L. B 에서 크는 지구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관측되므로 빛의 도플러 02. ③


효과에 의해 적색 편이가 관측된다. 따라서 B 에서 관측한 별빛 구리선 사이에 불꽃 방전이 일어나면서 강한 전기장이 생겼다
의 흡수 스펙트럼은 © 이다. 없어지면서 전기장 진동이 일어나고 전기장 진동이 자기장 진
c . S의 공전 속도가 빨라지면 A 에서 관측한 별빛의 파장이 더 짧 동을 유도하며 전자기파가 발생한다.
아져 청색 편이의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고,B 에서 관측한 별빛 u . 구리선 사이에서 방출된 전자기파에 의해 원형 안테나에 유도

의 파장이 길어져 적색 편이의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 전류가 흐르는데 이 세기는 전자기파의 전기장 진동에 의해 변
서 S의 공전 속도가 빨라지면 @과 ©의 흡수선 위치의 차이가 화한다. 따라서 일정하지 않다.
커진다. C. 거리가 멀어지면 원형 안테나가 수신하는 전자기파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은 ‘감소’가 적절하다.

03 전자기따의 발생과 무선 통신
03. ⑤

飞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증가할 때 표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하므


01. x , o, x 02. ᄋ, o, x
로 X 는 축전기이다.

01. x , ᄋ’ x
느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이 감
소하고,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증가한다. 따라서 ‘전압이 증가
n.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커질수록 @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감
소하므로 @은 축전기 이다. 함’은 ©에 해당한다.
C.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증가할 때 X 의 리액턴스는 작아지 므로
느 ©은 저항이고 @과 ©은 직렬연결 되어 있으므로 @과 ©의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증가한다.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합은 교류 전원의 전압과 같다. 교류 전
원의 진동수가 커질수록 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하므로
©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커질수록 증가 04. ④
한다. I 에서 저항과 축전기 전체에 걸리는 전압은 교류 전원의 전압과 같
n.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커질수록 축전기의 리액턴스가 감소하므 으므로 이 다 . 축전기는 진동수가 클수록 리액턴스가 작아지므로
로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커질수록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은 작아지고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증가한다.
는 증가한다. 따라서 I 에서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A , II 에서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은 B 이다.

02. o , ᄋ, x
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하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변 05. ①

하므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게 된다. 飞 (나)에서 교류 전원의 진동수가 / 2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따라서 코일은 진동수가 큰 교류 전류를 잘 흐르지 못하게 하는 세기가 최대이므로 회로의 공명 진동수는/ 2이다.
성질이 있다. K 코일의 저항 역할은 교류 전원의 진동수에 비례하므로 진동수
u 수신 회로는 공명 현상으로 인해 회로의 고유 진동수와 같은 전 가 / 2에서 / 3으로 변할 때 코일의 저항 역할은 커진다.
자기파를 수신할 때,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진동수가/0일 I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
때 수신 회로의 전류 세기가 최대이므로 수신 회로의 고유 진동 한다. (나)에서 진동수가 / i 일 때가 / 3일 때보다 회로에 흐르는
수는/ 0이다. 전류의 최댓값이 크므로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최댓값은
亡. 수신 회로의 고 유 진동수는 코일의 자체 유도 계수와 축전기의 진동수가 / i 일 때가 / 3일 때보다 크다.
전기 용량에 의해 결정되며 저항의 저항값과는 관계가 없다. 따
라서 요의 저항값을 변화시켜도 공명 진동수가 변하지 않는다. 06. ③
-1. 마이크는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전기 에너지로 전

01. ⑤ 02. ③ 03•⑤ 04 ④ 05•① 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06. ③ 변조된 신호가 송신 안테나에 전달되면,이 신호에 따라 송신
안테나의 전자가 진동하여 전자기파가 발생한다.
01. ⑤ c . 송신 안테나가 보내는 전자기파의 진동수는 교류 신호 B 의 진

A :전자기파의 진행 방향과 전기장, 자기장은 서로 수직이다. 동수이므로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B 의 진동수에 맞추어야
B :전기장에 의해 안테나의 전자가 전기력을 받는다. 한다. A 의 진동수는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진동수와 같은 것
C :공명 진동수는 회로의 전류가 최대가 되도록 해주는 진동수이 이다.
다. 따라서 수신 회로의 공명 진동수를 전자기파의 진동수와 같 * 라디오 방송을 들을 때 주파수를 사람 목소리의 진동수에 맞추지 않는다는 점을
게 하면 수신 회로의 전류가 최대가 된다. 생각하자.

정답 및 해설 273
04 볼록 렌즈 지의 거리 6= —f cm이다. 상의 위치 6가 음수이므로 정립
J스
KVafclTH신
허상이다.
01. o, ᄋ , x 02. ᄋ. x, x
c. (나)에서 상의 배율은 ᅀ =2.5이다.
a
01. ᄋ, ᄋ,x
기. 렌즈의 초점 거리를/라 하고,x=20 cm, x=80cm 일 때 볼록
03■④

공식을 각각 적용하■면 ^ + 1 ^2 0 = 7 ' M +1 ^ 8 0 = (가)에서 렌즈 공식을 적용하면 丄+士= ᅭ이고, (나)에서 렌즈 공


a b j

7 이다' 20(L -20) = 80(L-80) 이므로 ᅀ 미 00 cm 이고, 볼


식을 적용하면 1b +丄=
a
4 이다. (가)에서의 배율은 스=
f a n
与이고,
록 렌즈의 초점 거리는/ = 16 cm이다.
L. 물체가 초점 거리보다 더 멀리 있으므로 볼록 렌즈에 의해 스크 (나)에서의 배율은 f = 추이다.
b h
린에 나타나는 상 @은 도립상이다.
办 广 씨 뭇 ) = |옭이므로 쇼一T = |■ 이다.
\a b! 6 a b o
亡. 상의 배율 ©은 | = 요두|만 = | 이다.
6는 모두 양수이므로^ = | 진이다. 丄+은= 후에 대입하여 정리
2 a b f

02. ᄋ, x, x 하면/ = | fl이다.


n. 물체가 렌즈로부터 초점 거리의 2배 만큼 떨어져 있을 때, 물체
와 상의 크기가 같으므로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는 2/ 이다.
(K ⑤
l . 실상은 초점 거리의 밖에 생긴다. 따라서 실상이 생기는 경우
기. 상은 도립 실상이다.
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는/보다 크다.
L.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와 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의 비는 물체
c . 단일 볼록 렌즈에서 허상은 정립 확대 허상만 나타날 수 있으므
와 상의 크기 비와 같다. 따라서 상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의 |
로 허상이 생기는 경우, 상의 크기는 물체의 크기보다 크다.
배이다.

01. ① 02. ③ 03. ④ 04. ⑤ c . 응 + 흉 = y 이 고 a = d ’ 6= 이 므 로 초점 거리 / = 鲁 d 이 다 .

01 . ①
렌즈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 a, 렌즈로부터 상까지의 거리 6에 대
해서 a가 2배가 되었을 때 배율이 같으므로 6도 2배가 된다. 이 1 2. 빛과 물질의 이중성 1
로부터 렌즈 방정식을 사용하여 식을 세워보면 x = 1 0 c m 일 때
01 팡전 S 과와 빛의 입자성
= x=20cm 일 때 + = ᅵ7이다• 이를 연립하면 o^E S SU l
01. ᄋ, X, x 02. X, ᄋ,o

옮-■옳식ᄋ이므로 6 = 3 0 (c m ) 이고, / = 1 5 (c m ) 이다. x = 1 0 cm

01. ᄋ,X ,x
일 때, 배율은 쇼 = 3 이므로 물체의 크기는 2 c m 이다. x = 3 0 c m 일
a
기. A 에 표를 비춘 경우 광전자가 방출되고 모를 비추었을 때 광전
때, 옮 +4 = 옳이므로 6'=30(cm)이고, 배율이 1이므로 © =2 자가 방출되지 않았으므로/ Y는 A 의 문턱 (한계)진동수보다 작
다. 따라서 / X>/Y이다.
이다.
L. A 의 일함수를 라 하면, R ,= h h - r A이다.
빛의 진동수가 금속판의 문턱 (한계) 진동수보다 작으면 광전 효
02 • ③ 과가 일어나지 않으며 이때 빛의 세기를 증가시켜도 광전 효과
ᄀ. (가)에서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가 20 c m 인데 배율이 5 이므 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모의 세기를 증가시켜 A 에 비추면
로 렌즈와 실상 사이의 거리는 100 c m 이다. 이를 렌즈 공식에 광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

반영하면 " ^ +] ^ = ᅵᅡ이 되어 초점 거리 / = 사 c m 이다.


02. x , ᄋ, o
L. (나)에서 물체의 위치를 10cm로 바꾸었으므로 렌즈 공식에 초
-I, ᄂ. 정지 전압이 클수록 최대 운동 에너지가크다. 따라서 금속판
점 거리/와 함께 반영하면 ++ = 이고, 렌즈에서 상까 에서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B, C를 비출 때가
A를 비출 때 보다 크고,단색광의 진동수는 A 가 C보다 작다.

274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B 신로ᅵ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필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터 심화讲지

亡. 단색광의 세기가 셀수록 흐르는 광전류의 세기가 크다. (나)에 (K• ③


따라 광전류의 세기는 B 가 C보다 크므로 단색광의 세기도 B 가 철수 : 최대 운동 에너지ᅳ진동수 그래프의 기울기는플랑크 상수 h
C 보다 크다.
와 같으므로 ^ ᄄ*;
^ 이다.
f ir fi
영희 : 최대 운동 에너지_ 진동수 그래프의 기울기는 플랑크 상수 h
01. ② 02. ⑤ 03. ④ 04. ③ 05. ④
로 일정하므로 표의 (가)에 들어갈 값은 2及이다.
06•③
민수 :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빛의 세기와 무관하므로 빛의
세기를 2배로 증가시켜도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01 . ②
이다.
기. 동일한 금속판은 일함수가 같으므로 진동수가 다른 빛을 비추
었을 때 방출되는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다르고, 정지
전압도 다르다. (나)에서 p, q는 비추어주는 단색광의 진동수가 05. ④
다르지만 정지 전압이 같다. 따라서 점 p와 q는 다른 금속판에 飞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며 빛의

서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세기와는 무관하다. 실험 I 과 I 에서는 같은 파장의 빛을 사용


K 같은 진동수의 단색광을 금속에 비출 때, 광전자의 최대 운동 하므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서로 같다. 따라서 (가)는

에너 지는 금속판의 일함수가 작을수록 크다. 정지 전압이 클수 2£ 이다.


록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크므로 점 p, r는 각각 B, A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광전자의 개수는 빛의 세기에 비례한다.
에 단색광을 비추었을 때의 결과이다. p와 q는 다른 금속판에 빛의 세기는 I 에서가 I 에서보다 크므로 단위 시간당 방출되
서 측정한 실험 결과이므로 q는 A 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는 광전자의 개수는 I 에서가 I 에서보다 크다.
c. 플랑크 상수를 h, 금속판에 비추는 단색광의 진동수를 f ’ 금 금속의 일함수를 W라고 하면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I
속판의 일함수를 狀 정지 전압을 F 라고 하면 이
에서 2 E = ~ - W … ①이고, 1[에서 £ = 구등 - W . " ②이므
A 1.5/1
다. A, B 의 일함수를 각각 % 라고 하면,p로부터 %
= h(2f0)-3eV0, I•로부터 WA= M2/ 0)-eK 0, q로부터 WA= 로 ①, @를 연립하여 정리하면 이다.
/z(3/o)-3eFo이다. 이를 정리하면/z/0=2eVo이고, 明 일함수
WB=eVom .
06■③

기. A 와 B 의 일함수가각각 WA=hfA= 투 , r B=/?/B= ^ 이므


02. ⑤ /U 서A
-1. 방출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Ek=hf- W이다. 금속판 로 A 의 일함수는 B 의 일함수의 3배이다.
A 에 진동수가/0인 빛을 비출 때 0=hf0—W이고, 3/ 0인 빛을 T-. 파장이 /iA인 빛을 비추었을 때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가 0
비출 때 2£i)=3/z/0- W이다. 따라서 2£^=2W 이므로 A 의 일 이므로 파장이 ^보 다 큰 빛을 비추었을 때, A 에서는 광전자가
^■수는 와과 같다. 방출되지 않는다.
l . £ k= / z / - r 이므로 그래프의 기울기는 A와 같다. 그래프의 기
亡. Ea = ^ - ~ , £:b= 투 - 분 이 므 로 두 식을 빼면 Eb—Ea =
Ao Aa Ao oAa
울기는 이므로 플랑크 상수와 같다.
一; ^ + ^ = 이다. A 의 일함수는 WA= | 으이므로
亡. 그래프를 보면 진동수가 4/ 0인 빛을 비추었을 때 광전자의 최 넜A /lA
대 운동 에너지는 A 에서 3Eo’ B 에서 이므로 A 가 B 의 3배 = | 队이다. 따라서 £ B- £ A는 B 의 일함수의 2배이다.
이다.

02 물질파와 입자의 파동성


03. ④

기. a를 비출 때 광전 효과가 일어났으므로 a의 진동수는 아연의 한
01. ᄋ, O, o 02. ᄋ,x , x
계 진동수보다 크다.
>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정지 전압에 비례하므로 방출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b가 a의 2배이다. 광전자의 최대
01 . ᄋ,。
,。
운동 에너지는 £= /z /_ W 이므로 b의 에너지는 a의 2배보다는 -1. 드브로이 파장은 고 ■ 이 므 로 입자의 운동량에 반비례한다.
mv
작다. 또한 단색광의 에너지는 진동수에 비례하므로 b의 진동
수는 a의 진동수의 2배보다 작다. L-. 입자의 운동 에너지는 £=갸ᅳ이므로 드브로이 파장은 A=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광전자의 개수는 광전류의 최댓값에 비


옮 이 다 . 뼤 4 장은 A 가 3누 소 ...①’ B 가
례한다. 따라서 a가 b보다 많다.

정답 및 해설 275
이 감소한다.
A0= …②이다. 식 ①과 ②를 정리하면 : mB=
ᄃ. 물질파의 파장은 / i = i 이므로 전자보다 질량이 큰 입자를 같
2 :9이다. mv
은 속력으로 방출시키면 물질파 파장이 작아진다. 회절 무늬 간
c .^ o c ^ 이고, B의 운동 에너지가2화일 때 드브로이 파장은^
격은 파장과 비례하므로 무늬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이므로 B 의 운동 에너지가 爲일 때 드브로이 파장은 /툐10이다.

04. ④
02 . ᄋ, x , x 철수 : (나)는 전자선을 금속박에 입사시켰을 때 X 선의 회절 무늬와
동일하게 얻은 무늬이므로 전자의 회절 무늬이다.
기. 물질파의 파장은 /1= 4 이고 운동량의 비가 1 : 2이므로 파장의
P
영희 : (나)의 무늬는 전자선이 회절하여 나타난 무늬이다. 회절은
비는 2 :1이다. 물질파의 파장은 A 가 B보다 길다.
파동의 특성이고 전자가 파동성을 갖기 때문에 나타나는 무
K 이웃한 밝은 무늬 간격 A r = ^ 이고,입자의 운동량이 작을수 늬이다.

록 파장이 커진다. 따라서 운동량이 더 작은 A 가 B보다 파장이 민수 : 물질파의 파장은 이므로 전자의 속력이 커지면 전자
mv
크고, A r도 A 일 때가 B 일 때보다 크다.
의 물질파 파장이 작아진다.
ᄃ. 운동 에너지 ■이므로 질량 이다. 따라서 wA=
05. ②
mB= | ᅣ이므로 B 의 질량이 A 의 8배이다. 따라서 질량
-1. (나)는 전자의 파동성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은 B 가 A 보다 크다. 1ᅳ. 0=50°에서 검출된 전자의 개수가 가장 많으므로 산란된 전자
의 물질파는 0=50°에서 보강 간섭 조건을 만족한다.
표FH 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c. 전자의 물질파 파장은 전자의 운동량에 반비례한다. 전자의 속
01•⑤ 02•⑤ 03■① 04. ④ 05. ②
06. ④
력이 커질수록 전자의 운동량이 증가하므로 전자의 물질파 파
장은 짧아진다.

01. ⑤
06. ④
철수 : 드브로이 파장은 3 = 그■이므로 속력이 같은 경우 질량이 작
mv 기. 드브로이 파장이 최솟값을 가질 때, 방출된 전자는 최대 운동
은 전자가 야구공보다 드브로이 파장이 길다.
량, 최대 운동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전자의 운동량 이
민수: 드브로이 파장은 /1= 4 이므로 전자의 운동량이 증가할수록
p
고,운동 에너지는 |ᅡ이므로 최대 운동 에너지는 파장의 제곱
파장은 감소한다.
영희: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전자의 물질파 파장이 짧은 것을 이용 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산표产쑈이다.
한 전자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보다 분해능이 높은 현미경으 U 단색광의 진동수가 2/ 5/ 일 때에 대하여 각각 (광자의 에너지)

로, 전자의 파동적 성질을 이용한다. =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일함수 W0의 형태로 식을세


우면 2/2/ = ^ + ^ , 이고 이를 연립하여 정리하

02. ⑤ 면 일함수 ff=/z/이다.

ᄀ. A, B 의 질량을 각각 wA, mB라고 할 때, /! = ᅳ스ᅳ= 구 ^ 이 ᄃ. 단색광의 진동수가 7/ 일 때, 7/z/=E3+/z/이고,£ 3= 6办


/= | _
mAv ZmBv
므로 mA= 2mB이다. 따라서 질량은 A 가 B보다 크다. 이며, 운동 에너지는 물질파 파장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은

= ^ ᅳ이므로 A 의 속력이 일 때 A 의 물질파 파장은 厚 이 다 .


mAv

= 요이다
2mAv 2 *
03 불확정성 원리
물질파 파장이 ] 일 때 ᅀ와 B 의 운동량은 동일하고,운동 에너
° iS H 2
지는 及 =^■이 므 로 운동 에너지는 질량에 반비례한다. 따라 01. ᄋ, o , x 02. o , o , x

서 물질파 파장이 ] 일 때,운동 에너지는 A 가 B보다 작다.


01. ᄋ. ᄋ, x
03■① (가), (나), (다)는 각각 «=4, 3, 2일 때의 모습이다.
기 회절 현상은 파동의 특성이므로 전자의 파동성을 나타낸다. 기.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은 양자수에 비례하고 원운동 궤도 반지
U. 전자의 속력 이 빠르면 물질파 파장이 감소하여 회절 무늬의 폭 름은 양자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가)의 양자수는 4이므로 원운

276 2023 물리학 I [필수본] 개념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 - ᅳ B 신 로 I의 물 리 만 점 전 략 가 ! B A E K l B E O M ~ ^

밀히 들어야 하는 수능 물리학의 본질적 접근 필수본


기본부日 심화까지

동 궤도의 둘레는 전자의 드브로이 파장의 4배이다.


1ᅳ. (나)의 양자수는 3이다.

c .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 ᄉ에 비례하므로 (가)에서 (다)로


n
전이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가 (나)에서 (다)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보다 크다. 진동수는 에너지에 비례하므로 (가)
에서 (다)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가 (나)에서 (다)로
전이할 때 방출되는 빛의 진동수보다 크다.

02. ᄋ. ᄋ, x

기. 가속된 전자의 운동량은 이므로 물질파 파장은 入= 른=


P

이다.
^ 키 쇼 / 게서 f 를 증가시키면 물질파 파장이 감소하므로

ZLr가 감소한다.
c .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위치의 불확정성이 작아지면 운동량의
불확정성이 커진다. 따라서 단ᅵ일슬릿의 폭이 좁을수록 단일 슬
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위치 불확정성이 감소하므로 운동량 불
확정성이 증가한다.

낳 ^ 례 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01 . ④ 02 . ③

01 . ④
궤도 반지름은 양자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자 :n+=22 :42= 1 :
4이다. 운동 에너지는 양자수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 가: E ^=

읍 : 을 = 4 : 1 이다.

02. ③
. Z낳는 슬릿을 통과하는 순간 전자가 존재 가능한 범위이므로 전
자의 위치가 불확실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전자의
위치 불확정도를 나타낸다.
L. At/4 감소하면 위치 불확정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반대로 y축
방향의 운동량에 대한 불확정도인 가 증가한다.
c . 슬릿을 통과하는 전자의 회절은 전자의 파동성 때문에 나타나
는 현상이다.

정답 및 해설 277
신로의 a 리만점전략개 B A E Kl BEO M

留 수 본
기본부터 심화까지

ᅯ ^히들어야하는 능풀리학의 질적접근

발행일 2023년 1월 (1판 3쇄)

발행인 배기범
발행처 파란북스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길 15-6 3층 (대치동. 동원빌딩)
이메일 yjc「
_official@nave「
.com

이 책에 실린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파란북스에 있으므로 함부로 복사. 복제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 © Pa ran Books Co., Ltd.
잘못 만들어진 책은 구입처에서 교환해 드립니다.
BE THE FIRST
B, THE FIRST

정가 30,0 0 0 원
(필수본 개념완성 교재 SE

Mill
발행일 2023년 1월 (1판 3쇄) 발행인 배기범 발행처 파란북스

이 책에 실린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파란북스에 있으므로 함부로 복사,


복제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 ? Paran Books Co., Ltd.

megastudy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