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6

2015 개정 교육과정

대전광역시교육감 인정
15-대전-31-고교-17-002

고등학교

고급 물리학
김현주 | 김중복 | 류광수 | 박지연 | 정도일

대전광역시교육청
교과서 물려주기 기록표
교과서 사용자
연도 상태
학년 반 번호 이름

● 상태 표기 예시 :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고등학교

고급 물리학
김현주 | 김중복 | 류광수 | 박지연 | 정도일

대전광역시교육청
현대 사회에서는 과학과 기술이 직접적으로 생활의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현

대인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과학 지식과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은 필수 불가결한 일이다. 물리

학은 그 중 가장 기초적인 과학 분야의 하나로서 물리학의 내용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

다. 그러나 점점 더 빠르게 변화하는 방대한 물리 지식을 모두 학습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정규 중등

교육과정에서 모두 다루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교과목이 고급 물리학으로서 정규 교과목

인 물리 I·II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을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최신의 물리학 내용들

도 고급 물리학에서 소개하였다. 따라서 고급 물리학은 과학 영재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심화 학습

을 위한 교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과학 중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선택 교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리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교사들이 참고 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고급 물리학은 4개의 대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역학 부분과 전기와 자기

현상을 설명하는 전자기학, 빛과 파동 현상을 다루는 광학, 마지막으로 20세기 이후 물리학의 새로

운 발전을 이룬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의 기본 개념 및 양자 역학을 토대로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된 핵과 소립자 및 응집 물질에 대한 이해를 다룬 현대 물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원에서


는 물리 I·II보다 좀 더 심화된 내용들을 수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련해서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

되고 있는 분야들 중 하나인 복잡현상에 대한 물리학과 새로운 2차원 소자인 그래핀에 대해 소개를

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술 분야에 물리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소개하기 위해 의료 물리학 및 영

상 물리 단원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통해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3

차원(3D) 영상 디스플레이, 감각 기관 및 첨단 의료 기기의 원리 등을 소개하고 있다.

교재의 지면이 부족한 관계로 많은 내용을 자세히 다루기 어려운 점이 있어 중요한 심화 내용들

은 해당 부분에 심화 확인란을 만들어 학생들 스스로 내용을 찾아보고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였

다. 또한 내용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물리학에서 행하는 연구 활동을 경험하고 한 단계 높은 도약

을 이룰 수 있도록 각 단원의 마지막에는 개방형 탐구 활동 형태의 점프 프로젝트들을 수록하였다.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주도적으로 열려 있는 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점프 프로젝트는 조

별 활동 및 과학 동아리 활동 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고급 물리학 교재로 중등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좀 더 수준 높고 최신의 물리학 내용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중등 물리 교육 발전에 도움이 되고 전반적인 물리학의 관심과 이해도

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지은이 씀
I. 역학
10 1. 힘과 운동
11 1. 운동
10
16 2. 운동 법칙

24 2. 일과 에너지
25 1. 일과 에너지
27 2. 퍼텐셜 에너지
24 31 3. 보존력과 비보존력
33 4. 역학적 에너지 보존

36 3. 입자계의 운동
37 1. 질량 중심의 운동
41 2. 입자계의 운동
36
46 4. 회전 운동과 행성의 운동
47 1. 회전 운동
54 2. 행성의 운동

60 5. 열에너지
46
61 1. 이상기체
64 2. 열역학 제1법칙
69 3. 열역학 제2법칙

76 6. 복잡한 현상의 물리

60 77 1. 엔트로피
81 2. 복잡계
II. 전자기학
92 1. 전기장과 가우스 법칙
93 1. 가우스 법칙
92
96 2. 도체와 유전체의 전기장
99 3. 전위
101 4. 정전 차폐와 등전위면

104 2. 전기 회로

104 105 1. 전기 용량
108 2. 키르히호프 법칙

112 3. 자기장과 전자기 유도


113 1. 비오-사바르 법칙
115 2. 암페어 법칙
112 116 3. 자기장
118 4. 페러데이 법칙
122 5. 자체 유도

126 4. 교류 전기와 전자기파


127 1. 교류 전기
126 132 2. 공진 회로
136 3. 맥스웰 방정식과 전자기파
144 4. 안테나

148 5. 의료의 물리학


149 1. 감각 기관의 작동 원리
148 152 2. 첨단 의료 기기
III. 광학
160 1. 기하 광학
161 1. 거울에 맺힌 상
160
166 2. 렌즈에 맺힌 상
171 3. 여러 가지 광학 기구

176 2. 간섭 회절
177 1. 파동의 중첩
176 181 2. 빛의 간섭
185 3. 파동의 회절

204 3. 영상 물리
206 1. 편광
209 2.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 다이오
204 드(OLED), 3차원(3D) 영상 디스플레이
Ⅳ. 현대 물리
218 1. 상대성 이론
219 1. 좌표계와 관성력
218
222 2. 특수 상대성 이론
224 3. 특수 상대론적 시간과 공간
227 4. 특수 상대론적 질량과 에너지
230 5. 일반 상대성 이론

234 2. 양자 역학
234
235 1. 빛과 물질의 이중성
241 2. 물질파
244 3.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의 원리
248 4. 보어의 양자 가설
252 5. 에너지 준위와 스펙트럼
256 6.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의 입자
266
266 3. 핵반응
267 1. 핵분열과 핵융합의 기본 과정
270 2. 핵융합과 핵융합 기술의 전망

274 4. 기본 입자
275 1. 상호 작용과 표준 모형
279 2. 입자 검출기

282 5. 소재 물리
283 1. 띠 이론과 다이오드
288 2. 레이저
292 3. 탄소 나노 튜브와 그래핀

298 부록
324 참고 자료 및 출처
역학
I 1 힘과 운동 2 일과 에너지 3 입자계의 운동
4 회전 운동과 행성의 운동 5 열에너지 6 복잡한 현상의 물리

8
단원 열기

한 계에 있는 입자들의 초기 위치와 속도 그리고 입자들에 작용하는 모든 힘들이 주어진다면 뉴턴의 운동 법칙을 이용하
여 그 계에서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 등에서는 뉴턴
의 운동 법칙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때 일과 에너지라는 물리량을 도입하여 계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뉴턴의 운
동 법칙, 일과 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질량 중심이라는 개념을 이해하여 입자계에 대한 운동을 살펴보고 회전
운동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본다. 더 나아가 중심력에 의한 운동을 이해하고 케플러의 법칙과 인공위성의 운동 등에 대해
서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현상의 물리에서는 통계적인 엔트로피와 복잡계 네트워크에 대하여 알아보자.

9
힘과 운동
01 운동
02 운동 법칙

생각 열기
뉴턴은 갈릴레이의 관성에 대한 생각을 확장하여 가속도라는 현상을 이해하고 힘이라는 개념을 고안하였
으며 최초로 미적분학을 도입하여 힘과 가속도의 관계를 구하였다. 이를 정리한 것이 고전 역학의 바탕을
이루는 뉴턴의 운동 법칙이다. 이 운동 법칙은 행성들의 움직임뿐 아니라 지상 물체들의 운동을 설명하는
자연의 기본 법칙이다. 이 단원에서는 물체의 운동을 벡터를 이용하여 기술해 본 후, 물체에 작용하는 힘
과 운동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힘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근본
이 되는 힘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0
I 역학

운동
01 학습 목표 ■ 물리량을 벡터와 스칼라로 구분하고, 벡터의 연산(내적, 외적)을 할 수 있다.
■ 가속도의 의미를 이해하고 미분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등가속도 운동에서 위치, 속도, 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지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포물선 운동과 등속 원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1.1 벡터
자연 현상 중 특정한 현상을 수로 대표하는 양인 물리량은 숫자와 단위로 표현된다.
단위 벡터 (unit vector)
이 물리량에는 숫자 하나로만 대표되는 양인 스칼라와 n차원 공간에서 n개의 숫자
크기가 1인 벡터로 공간상의
로 대표되는 벡터가 있다. 그림 (I. 1-1)의 벡터 A 는 방향을 가리킨다. a 의

A = ]A x, A y, A zg = A x i + A y j + A z k
t t t t=
단위 벡터 a
a 이다.
(I. 1-1)
a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벡터의 크기는 y

A = ]A x2 + A y2 + A z2g 이며, 그
방향은 원점에서 좌표 ]A x, A y, A zg 를 A ytj A cos i

A
가리키는 방향이다. 벡터는 위치와 상관없 B
i
이 크기와 방향만 같으면 동일한 벡터이므 A x ti x
t
Az k A
로 벡터들 사이의 관계는 좌표계의 원점, z 그림 (I. 1-2) 벡터의 내적 A : B
그림 (I. 1-1) 직각 좌표계와 벡터 = ]A x, A y, A zg : ]B x, By, B zg
위치, 좌표축의 방향과는 무관하다. 따라
= A x B x + Ay By + A z Bz
서 좌표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벡터에 벡터를 곱하는 방법에는 곱한 결과가
스칼라인 스칼라 곱 혹은 벡터의 내적과 곱한 결과가 벡터인 벡터 곱 혹은 벡터의 외
적이 있다. 그림 (I. 1-2)와 같이 두 벡터 A , B 의 스칼라 곱은
A#B
A : B = A B cos i ( i : A , B 의 사잇각) (I. 1-2)
으로 정의되며, 두 벡터의 수직 여부, 벡터의 크기를 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림
B
(I. 1-3)과 같이 두 벡터 A , B 의 벡터 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
A#B = A t
B sin i n A

그림 (I. 1-3) 벡터의 외적 A # B


t : A , B 에 수직이면서 그림 (I. 1-3)처럼
( i : A , B 의 사잇각, n ti tj kt
= A x Ay Az =
오른손 법칙을 따르는 방향의 단위 벡터) (I. 1-3)
B x By Bz
]A B - A B g ti
y z z y

+ ]A z B x - A x B zgtj +
1.2 가속도 ]A B - A B g kt
x y y x

3차원 공간에 위치한 점 P 의 위치 벡터 r 는 기준점(또는 좌표계의 원점)에서


입자까지의 변위 벡터로서 이를 단위 벡터를 이용하여 표기하면 식 (I.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r = x ti + y tj + z kt (I. 1-4)
이때 x , y , z 는 좌표계의 해당 축을 따라서 원점을 기준으로 한 입자의 위치로
입자가 운동하면서 시간에 따라 변한다. 만약 시간 간격 Dt (t 2 - t 1) 동안에
위치 벡터가 r1 에서 r2 로 변한다면 Dt 동안 입자의 변위 벡터 Dr 는

Dr = r2 - r1 = ]x 2 - x 1g ti + ]y 2 - y 1gtj + ]z 2 - z 1g kt (I. 1-5)


y
이고, 그림 (I.1-4)와 같이 입자의 평균 속도 vavg는
P2

vavg
r2 ∆ (I. 1-6)
r1
P1
O
이다. 일반적으로 입자의 속도는 어떤 순간의 순간 속도 v 를 의미한다. 순간
x
z 속도 v 는 어떤 순간에 시간 간격 Dt 를 0으로 접근시킬 때 v avg 가 접근하는
그림 (I. 1-4) 점 P1 과 P2 사이의
극한값으로
평균 속도
d_ t
x i + y tj + z kti (I. 1-7)
Dr dr
v = Dlim vavg = Dlim = =
t"0 t"0 Dt dt dt
= v x ti + v y tj + v z kt

이다. 즉, 순간 속도는 위치의 시간에 대한 미분이다. 시간 간격 D t 동안 물체


의 속도가 Dv 만큼 변할 때, 평균 가속도 a avg 는 식 (I. 1-8)과 같이 정의한다.
Dv v -v
a avg = = t2 - t 1 (I. 1-8)
Dt 2 1

시간 간격 D t 가 0에 접근할 때의 평균 가속도를 순간 가속도 a 라고 한다.


순간 가속도 a 는
Dv dv (I. 1-9)
a = Dlim aavg = Dlim =
t"0 t"0 Dt dt
dv x t dv y t dv z t
= i+ j+ k = a x ti + a y tj + a z kt
dt dt dt

이다. 즉, 순간 가속도는 속도의 시간에 대한 미분이므로 위치의 시간에 대한


2차 미분이다. 곡선을 따라 운동하는 입자의 가속도는 각 점에서 속도의 수평
v P 에서의
접선
성분(접선 성분) a t 와 수직 성분(지름 성분) a r 로 나타낼 수 있다. 전체 가속도

a 벡터 a 는 그림 (I.1-5)와 식 (I.1-10)과 같이 벡터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at
P
P 에서의
a = at + ar (I. 1-10)
ar 수직선
접선 가속도 성분은 입자의 속력 변화를 일으키며, 이 성분은 순간 속도에 평행
그림 (I. 1-5) 가속도는 경로에 평 하다. 지름 가속도 성분은 속도 벡터 방향의 변화로 생긴다. 한 입자가 일정한 속
행한 수평 성분 at과 수직 성분 ar으
로 분해 력으로 원운동을 할 경우 가속도는 항상 각 점에서 v 에 수직하다.
입자의 가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운동을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한다(그

12
I 역학

림 (I.1-6)). 이 운동을 하는 입자에 가속도 정의식을 적용하면 dv = adt 이 가


a

다. 양변을 부정적분하면 # dv = # adt = a # dt 이므로 도 Dv = at


(속도 증가량)

o t 시간
v = v 0 + at (I. 1-11) (가) 가속도-시간 그래프

이다. 이때 v 0 는 t = 0 일 때의 속도이다. 속도의 정의식 dx = vdt 의 양 속 v


v = v 0 + at
1

2 at at
2

변을 부정적분하면 vo
vo t

# dx = # vdt = # ]v + atg dt = v 0=
o
0 # dt a # tdt (I. 1-12)
= at
v0 +
t 시간
(나) 속도-시간 그래프

이다. 이를 정리하면 식 (I.1-13)과 같다. 위


s

1
x = x 0 + v 0 t + 2 at 2 (I. 1-13)
1
x = x 0 + v 0 t + 2 at 2 t 시간
1 2
x
이때= x0 는
+ vt 0=
t +0 일
2 at
때의 위치이다. (다) 위치-시간 그래프

그림 (I. 1-6) 가속도가


(+)일 때 등가속도 운동
1.3 포물선 운동 그래프

포물체는 던져진 야구공이나 축구공과 같이 처음 속도가 주어지고 그 이후


의 경로는 중력 가속도와 공기 저항의 영향만으로 결정되는 물체이다. 이 물
체는 항상 처음 속도 방향에 의해서 결정된 수직 평면 내에서 운동한다. 공기 저 부정적분과 정적분
f ]xg = F ]xg 일 때
d
항의 영향을 무시할 때 포물선 운동은 일정한 속도를 가진 수평 운동과 일정한 dx
부정적분 :
가속도를 가진 수직 운동의 조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에
# f ]xg dx = F ]xg + C
서 어떤 물체를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i o 인 초기 속도 v o 로 발사하면, 이 (C: 임의의 상수)
물체는 그림 (I. 1-7)과 같이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운동한다. 출발 시각을 정적분 :
t = 0 , 출발점을 좌표의 원점, 수평 방향을 x 축, 연직 위쪽을 y 축으로 정하 # f ]xg dx = F ]bg - F ]ag
b

자. 임의의 시각 t 에서 공의 위치를 점 P ]x, yg 라 할 때 점 P 에서의 속도 성


a

분을 v x , v y 그리고 변위 성분을 x , y 라 하자.

y
등가속도
운동 v2 v3

v1 v4

v0
v5
o
v0 sin 0
0 x
O v0 cos 0

v6

등속도 운동

그림 (I. 1-7) 중력장 내 비스듬히 던져진 물체의 운동

13
물체는 x 축 방향으로 가속도 a x = 0 , 속도 v ox = v 0 cos i o 인 등속도 운
동을 한다.
v x = v ox + a x t = v o cos i o + 0 = v o cos i o (I. 1-14)

a t 2 = 0 + ]v o cos i og t + 0 = ]v o cos i og t (I. 1-15)


1
x = x o + v ox t +
2 x
물체는 y 축 방향으로는 가속도 a y = -g 인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v y = v oy + a y t = v o sin i o - gt (I. 1-16)

a t 2 = ]v o sin i og t - gt 2
1 1

y = y o + v oy t + (I. 1-17)
2 y 2

식 (I. 1 -15)를 t 에 관해 풀어 식 (I. 1-17)에 대입하면 포물체의 경로(궤적)


에 대한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y = ]tan i og x - c mx2
g
2v cos 2 i o
2 (I. 1-18)
o

2
식 (I. 1-18)은 y = ax + bx 인 포물선 방정식의 형태이다. 따라서 포
물체의 경로는 포물선이다. 포물체가 처음의 높이로 되돌아올 때까지 수평방
향으로 날아간 거리인 수평 도달 거리 R 는
v 2o sin 2i o
R= (I. 1-19)
g
이다.

1.4 등속 원운동
원 궤도를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등속 원운동이라고 한다.
그림 (I. 1-8)은 일정한 속력으로 원운동하는 입자의 위치 벡터와 속도 벡터를 나
v(t)
v(t)
Di
∆v
타낸 것이다. 원 궤도상 임의의 점에서 위치 벡터와 속도 벡터가 서로 수직 관계를
Di
유지하려면 동일한 각도를 회전하여야만 하므로 v ] t g 와 v ]t + Dtg 사이의 각도
∆r
v(t+∆t)

Di 는 r ] t g 와 r ]t + Dtg 사이의 각도와 같다. 두 개의 위치 벡터와 Dr 로 구성


r(t) v(t+∆t)
r(t+∆t)
Di
된 이등변 삼각형과 두 개의 속도 벡터와 Dv 로 구성된 이등변 삼각형은 닮은 꼴
그림 (I. 1-8) 일정한 속력으로 원
이기에 대응되는 길이는 비례하므로
운동하는 입자의 속도 변화

Dv Dr (I. 1-20)
v = r
이다. 시간 간격 Dt 동안 평균 가속도의 크기 a avg 는
Dv v Dr (I. 1-21)
a avg = = r
Dt Dt

Dt " 0 인 극한에서 Dv t t 는 순간 가속도의 크기 a에, |D


r /D Drr|//D
Dtt은 속력 v 에

14
I 역학

접근한다. 따라서 Dt " 0 인 극한에서 식 (I. 1-21)은

v2
a = r (I. 1-22)
이 된다. 그림 (I. 1-9)와 같이 가속도 벡터는 구심 방향이므로 가속도의 구심 방
향 성분을 a c 라고 하면, a c = a 이다. 즉, 구심 방향으로의 가속도 성분인 구심 가
속도(centripetal acceleration)는 식 (I. 1-2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2
ac = r (I. 1-23) 그림 (I. 1-9) 등속 원운동하는
입자의 속도와 가속도
시간 T 동안에 입자가 원주 2rr 을 진행한다면 그 시간을 주기라 하고 그 속
력 v는
2rr
v= (I. 1-24)
T

이다. 이것을 식 (I. 1-23)에 대입하여 구심 가속도의 크기를 주기 T 로 나타내면

4r 2 r
ac = (I. 1-25)
T2
이다.

심화확인
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가 x ] t g = 5
4 cos 3t ,
y ] t g = 45 sin 3t 로 기술된다.
(단, 거리의 단위는 m, 시간의 단위는 s이다.)

(1) 이 입자의 운동 궤도 방정식을 구하시오.

(2) 이 입자가 동일한 운동을 반복하는 주기를 구하시오.

15
운동 법칙
02 학습 목표 ■ 힘과 운동의 관계를 다루는 동역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동역학의 핵심 내용인 뉴턴의 운동 법칙들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하는 경우의 물리량을 구하는 예에서 미분이 포함된 운동 방정식을 해결
할 수 있다.

2.1 뉴턴의 제1법칙


뉴턴은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이 0일 때, 물체는 원래의 속도를 바꾸지 않고 일
F = ma
정한 속도로 움직인다.”는 운동에 관한 제1법칙을 발표하였다. 이 법칙은 뉴턴 제
2법칙의 특별한 경우에 불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럼에도 뉴턴이 프린키피아
(가) 트럭 위의 관찰자:
공이 연직선 상에서 운동하는 것으로 에서 제1법칙을 따로 떼어 지정한 데는 제1법칙에 대한 공로가 갈릴레이에게 있
보인다.
음을 밝히기 위한 것 이외에도 제1법칙이 뉴턴의 운동 방정식 F = ma가 성립하는
기준계를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F = ma
물체의 속도, 가속도와 같은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물리량은 관찰자에 따라 다르
게 측정되므로 그 물체의 운동을 기술한 기준계가 어떤 것인지를 말해 주어야만 의미
(나) 지면에 있는 관찰자:
공이 포물선 운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 있다. 뉴턴의 운동 법칙은 특별한 관찰자, 즉 특별한 기준계에서만 성립한다. 이처
(가), (나) 모두 식 F = ma로 공의 운 럼 뉴턴의 운동 법칙이 성립하는 기준계를 관성 기준계 또는 관성계라고 한다. 관성계
동을 설명할 수 있다.
에서는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는 물체는 정지해 있거나 등속도 운동을 한다. 그림
그림 (I. 1-10) 정지한 관찰자와 등 (I. 1-10)과 같이 어떤 관성계가 관성계인줄 미리 알고 있다면, 그 관성계에 대해 상
속도 운동을 하는 관찰자가 바라본
대적으로 등속도 운동하는 기준계는 모두 관성계이다. 만약 어떤 기준계가 가속도 운
공의 운동 모두 뉴턴의 제2법칙을
이용하여 기술할 수 있다. 동을 한다면, 그 기준계 안의 물체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도 가속도의 영향
을 받아 뉴턴의 제1법칙에 어긋난다. 이러한 기준계를 비관성 기준계 또는 비관성계
라고 한다. 비관성계에서 뉴턴의 운동 방정식이 성립하도록 하기 위해 추가한 항이 관
성력이다.

2.2 뉴턴의 제2법칙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면 그 물체는 힘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힘의 크기
에 비례하는 가속도로 운동한다.”는 뉴턴의 제2법칙은 힘과 운동 사이의 관계
를 명백히 나타낸 것이다. 힘의 본성을 기술한 뉴턴의 제3법칙과 관성계를 정
의한 뉴턴의 제1법칙은 뉴턴의 제2법칙을 분명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주
는 법칙이다. 합력 F 에 의하여 물체에 F 에 비례하는 가속도 a 가 생기므로
F = ka 가 성립한다. 이때 k 는 비례상수이다. k 의 값이 클수록 작용하는 힘
에 의하여 생기는 가속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k 는 물체의 관성의 척도라고 할

16
I 역학

수 있다. k 가 크면 관성이 크고 k 가 작으면 관성이 작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 외력



고 관성의 척도가 질량 m 이므로 뉴턴의 제2법칙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Fext on 1
F3 on 1 F1 on 3
1 3
Fext on 3
F = ma (I. 1-26) F2 on 1 F2 on 3

와 같은 벡터 방정식이 된다. 식 (I. 1-26)에서 유의해야 할 첫 번째는 F 가 F1 on 2


F3 on 2
2

Fext on 2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력이라는 점이다(그림 (I. 1-11)). 주어진 축 방
외력
외력
향 가속도의 성분은 같은 축 방향의 힘 성분으로 결정된다. 두 번째는 식 (I.
1-26)은 질량 m 이 상수일 때에만 맞는 식이다. 질량이 변할 때는 뉴턴의 제 그림 (I. 1-11) 외력(external
force): 한 개 이상의 물체로 구성되
2법칙을 운동량을 이용해 기술해야 한다.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의 합력은 물체 어 있는 계(system)의 외부에서 계
의 운동량의 시간적 변화율과 같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에 작용하는 힘

=c
Dp dp m dv dm
F= = m: +v: (I. 1-27)
Dt dt dt dt
이다.
dx
질량이 일정한 물체가 1차원 직선 운동을 하는 경우 v = dt 와
dv d 2 x 를 이용하여 식 (I. 1-27)을 다시 기술하면
a= =
dt dt 2
d2 x
F=m 2 (I. 1-28)
dt
과 같은 미분 방정식이 된다. 식 (I. 1-28)을 이용하여 종속 변수 x 를 독립
변수 t 의 함수인 x ] t g 를 구할 수 있다. x ] t g 의 t 에 값을 대입하면 바로 그
시각에서 물체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복원력 F = -kx 만 받고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살펴보자. 이 식을 식
(I. 1-28)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d2 x
F = m = -kx (I. 1-29)
dt 2
식 (I. 1-29)를 풀면, 식 (I. 1-30)과 같다.

x ] t g = A cos c
m ( A: 진폭,dz : 위상 상수)
k y
m t+z
(I. 1-30) 수직항력 FN
그림 (I. 1-12)의 (나)와 같이 뉴턴의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려는 계에 작용 FN
하는 힘들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을 자유물체도(free-body diagram) 물체 물체
x
라고 한다.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고려하여 물체(또는 계)에 작용하는 모든 힘
Fg
을 파악하고 문제 상황과 문제 풀이에 적합한 좌표계를 선택하여 자유물체도 중력 Fg

를 그린다. 그리고 물체의 가속도를 각 좌표축 방향 성분으로 나타낸 후, 각 (가) (나)


그림 (I. 1-12) 문제 상황 (가)에
좌표축 성분마다 뉴턴의 운동 방정식을 세워 푼다.
적합한 자유물체도 (나)

2.3 뉴턴의 제3법칙


힘은 물체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물체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이
다. 물체의 운동 상태는 그 물체의 속도를 의미하기에 힘이란 물체의 속도를 바
꾸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언급만으로는 물체가 힘을 받고 있다

17
천장 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그 힘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기에 힘을 정의하는 식이라
F2 고 말할 수 없다. 이 세상에 오직 단 하나의 물체만 존재한다면 이 물체에는 어

F3 떤 외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힘이란 두 물체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작용하게
물체
F1 되므로 물체가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호 작용할 대상 물체가 없기 때

F4
문이다. 따라서 물체 A 가 힘을 받는다는 말은 물체 A 에 힘을 작용한 원인이

지구 되는 물체 B 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두 물체 A 와 B 가 상호 작용한


결과가 A 에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작
그림 (I. 1-13) 물체와 관련된 힘
(F1: 지구가 물체에 작용하는 힘, 용이란 일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물체 A 가 물체 B 에 힘을 작용
F2: 실이 천장에 작용하는 힘,
하면 동시에 물체 B 도 물체 A 에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을 작용한다.
F3: 실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
F4: 물체가 지구에 작용하는 힘) FBA = -FAB (I. 1-31)
이것이 뉴턴의 제3법칙, 즉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다. 그림 (I. 1-13)에서
물체는 정지 상태이며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은 0 이다. 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실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이다. 이는
정적 평형 상태이다. 만약 입자가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고 있으면 동적 평형 상
태에 있다고 하며 이때도 입자에 작용하는 합력은 0 이다.

2.4 여러 가지 힘
2.4.1 기본 힘
두 물체가 접촉하지 않더라도 두 물체가 지닌 고유한 성질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 기본 힘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힘은 중력, 전자
기력, 약력, 강력의 네 가지가 있다(그림 (I. 1-14)). 중력은 질량이 있는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으로 4가지 기본 힘 중 가장 약한 힘이다. 뉴턴이 중
력을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정식화했고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현
양성자와 중성자를
원자 대화했다. 전기력과 자기력을 묶어 전자기력이라 한다. 전기력과 자기력이 하
결합시키는 힘

(강한 핵력).
전자 나의 힘이라는 사실은 패러데이가 전자기 유도 현상을 발견함으로써 확실해졌
전기력
중력
다. 전자기력은 맥스웰에 이르러 그의 유명한 방정식으로 총정리가 되었다. 수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루는
소립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
소 이외의 원자핵은 두 개 이상의 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양성자는 모두 전
(약한 핵력).
기적으로 양성이라 양성자가 여럿 모여 있으면 전기적인 반발력이 대단할 것으
그림 (I. 1-14) 자연계에 존재하는
기본 힘
로 쉽게 예상된다. 따라서 전자기력보다는 훨씬 강한 힘으로 원자핵을 구성하
는 양성자와 중성자를 묶어줄 힘이 필요하다. 이 힘이 강력(강한 핵력, 혹은 강
한 상호 작용)으로 중간자가 관여하는 힘이다. 중성자가 전자를 방출하면서 양
성자로 바뀌는 현상인 베타 붕괴에 의해 약력(약한 핵력, 혹은 약한 상호 작용)
이 발견되었다. 베타붕괴 전에 중성자가 가졌던 에너지는 붕괴 후 전자와 양성
자가 가지는 에너지와 다르다. 이는 질량이 거의 없고 전기적으로 중성인 입자

18
I 역학

가 반응에 참가한 것으로 설명된다. 전기적으로 중성이면서 매우 가벼운 이 입


자는 중성미자(neutrino)이다. 약력과 전자기력 그리고 강력에 대한 이론을 표
준 모형이라고 한다.

2.4.2 특별한 힘
기본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거시적으로 드러난 형태의 힘인 특별한 힘이
있다.

마찰력
마찰력은 어떤 물체가 표면에 접촉해 있을 때, 표면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
가운데 표면에 평행한 성분을 말한다. 실험 결과를 보면 두 물체가 서로 접촉하
고 있을 때 힘 F 를 작용하여 두 물체를 미끄러지게 하면 마찰력은 다음과 같
은 세 가지 특성을 가진다(그림 (I. 1-15)).
첫째, 물체가 움직이지 않으면 정지 마찰력 fs 와 표면에 평행인 F 의 성분이
평형을 이룬다.
둘째, 정지 마찰력 fs 의 최댓값 fs , max는 식 (I. 1-32)와 같다.

sk =
fs, fmax, maxn
=k FnNs FN
(I. 1-32)
n s 는 정지 마찰 계수(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이고, FN 은 표면이 물
체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의 크기이다. 표면에 평행한 F 성분의 크기가 fsk ,= n k FN
max를

넘어설 때 물체는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셋째, 일단 물체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마찰력의 크기는 바로 감소하여 운동마
찰력 fk 의 크기는
fk = n k FN (I. 1-33)
이다. 여기서 n k 는 운동 마찰 계수(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이다. 마

첫 번째와 두 번째 특성은 물체에 작용한 힘들의 벡터 합인 합력인 경우에도 성 력
fs, max =ns FN
fs, max
fk=nk FN
fk
립한다. fs , fk 는 항상 표면에 평행하게 운동을 방해하며 수직 항력은 항상
표면에 수직하기 때문에 식 (I. 1-32)와 (I. 1-33)은 벡터 방정식이 아니고,
O 외력
변수들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스칼라 방정식이다. 마찰 계수는 차원이 없 fs, max
정지 상태 운동 상태

으며 그 값은 물체와 표면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물체와 표면의 특 그림 (I. 1-15) 작용한 힘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
성에 의존하므로 항상 “무엇의 사이”라는 말을 사용하여야 한다.

탄성력
물체는 변형이 발생했을 때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이 있다. 이러
한 물체의 성질을 탄성이라 한다. 물체에는 변형된 정도가 클수록 원래 상태

19
로 되돌아가려 하는 힘인 복원력이 더욱 크게 발생하는데 바로 탄성체의 복원
력을 탄성력이라 한다(그림 (I. 1-16)). 탄성 한계 내에서 변형된 탄성체에 나

탄성력 = 0 타나는 탄성력은 변형된 정도에 비례함을 표현한 식 (I. 1-34)를 훅의 법칙


가속도 = 0
속력이 최대
(Hooke's law)이라고 한다.
F = -kx (I. 1-34)
탄성력이 최대
가속도가 최대
속력 = 0 장력

그림 (I. 1-16) 탄성력의 크기는 진 장력은 외부 조건으로 인해 물체가 운동에 제한을 받아서 작용하는 구속힘으
동 중심에서 0이며, 양쪽 끝점에서 로 양쪽으로 늘어난 가늘고 긴 물체가 팽팽한 상태에서 인접한 부분들을 서로
최대가 된다. 물체의 위치와 힘의
방향은 반대이다. 속력은 진동 중심 잡아당기는 힘이다. 그림 (I.1-17-(가))와 같이 물체에 연결된 줄을 팽팽히
에서 가장 크며, 양 끝에서 0이다. 잡아당기면 줄에 걸린 장력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 T와 같다. 물체에 매
달린 줄의 질량은 물체의 질량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고 하고, 늘
어나지도 않는다고 가정한다. 줄은 두 물체를 연결하는 매개 역할만 한다. 그
림 (I. 1-17-(나), (다))의 경우 도르래의 질량과 마찰이 없다고 가정하면 역
시 줄은 물체와 손을 같은 크기의 장력 T로 당긴다.

(가) (나) (다)


T T T

T
T
T

그림 (I. 1-17) 장력

심화확인
그림과 같이 마찰을 무시할 수 있는 수 M
F
평선 위에 질량이 M 인 물체가 놓여 있
L
다. 길이가 L 이고 균일하게 질량 m 이
분포한 줄을 이 물체 한쪽 끝에 연결해 수평 방향을 향하여 크기가 F 인
힘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겨 물체를 일정하게 가속시키고 있다. 장력의 크
기가 줄의 모든 점에서 같을 수 있는 조건을 구하여라.

20
I 역학

저항력
v=0 v=0
a=0 a=0
유체 속을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물체의 속력에 비례할 경우, R R
저항력은 v v
mg
mg
(I. 1-35)
R = -bv v=vt
a=0 { v=vt
a=0 {
와 같이 표현되는데, 여기서 v 는 물체의 속도이고, b 는 물체의 모양과 크기 (가) (나)
(가)
(가) (나)
그리고 유체의 성질에 의존하는 상수이다. 음의 부호는 저항력 R 의 방향이 물
v
체의 속도 v 에 대해 반대 방향임을 의미한다. vt v
그림 (I. 1-18-(가))와 같이 액체 속에서 정지해 있다가 떨어지는 질량 m vt
인 작은 구를 생각해 보자. 이 구에는 저항력과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가정하
면, 이 구에 대한 운동 방정식은 식 (I. 1-36)과 같다. t
0
(나)
dv t
mg - bv = ma = m (I. 1-36) 0 x
dt 그림 (I. 1-18) (가) 액체(나)
속에서
이때 연직 아래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하였다. 식 (I. 1-36)을 가속도에 낙하하는 작은 구 (나) 매질 속에서
낙하하는 구의 속력-시간 그래프
관하여 표현하면
dv b
= g - m v (I. 1-37)
dt
와 같은 미분 방정식이 된다. t = 0 일 때 구의 속도 v = 0 이므로 저항력의
크기는 0 이고, 가속도 dv/dt = g 가 된다. 시간 t 가 경과함에 따라 저항력
은 증가하고 가속도는 감소하는데 저항력이 구의 무게와 같아지면 가속도는 0
이 된다. 이 때 구의 속력을 종단속력(terminal speed)이라고 한다. 즉,
mg
mg - bv t = 0 혹은 v t = b (I. 1-38)
이다. 식 (I. 1-37), (I. 1-38)과 초기 조건을 적용하여 적분하면

(I. 1-39)

가 된다. 이때 식 (I. 1-39)에서 t " 3 인 경우, 구의 속력은 종단속력 v t 가


된다. 식 (I. 1-39)를 적분하면 구의 위치 함수xy] t g 는 식 (I. 1-40)과 같다.

(I. 1-40)

21
연습문제

01 서로 다른 두 개의 벡터 A , B 의 스칼라 곱 A : B 가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 동일한 값을


가짐을 증명하시오.

02 그림과 같이 질량 m 인 물체가 지표면에서 g L M


각도 i a 0 1 i 1 k , 초기 속력 v 0 로 2
r
2 v0
차원 운동을 한다. 이 물체의 위치로부터 수 v0
h

평 거리 L 2 0 , 높이 h 인 지점에서 질량 지표면
m o ·C

M 인 물체가 초기 속력 v 0 로 연직 아래 방 절벽

향으로 떨어진다. 중력 가속도는 g 이고 두


물체는 동시에 운동을 시작한다. 공기의 영향 및 두 물체의 크기는 무시하고, 질량 M 인물
체는 지표면에 부딪치지 않고 계속 떨어진다. 두 물체가 지표면 높이의 지점 C 에서 서로 충
돌한다. 이 경우 h 를 i 만으로 표현하시오.
L

03 그림과 같이 질량을 무시할 수 있는 줄로 연결된 질량이 각


m2
각 m 1 = 1.0 kg 과 m 2 = 2.0 kg 인 물체를 경사각
m1
i = 30c인 경사면에 놓았더니 미끄러지고 있다. 이때 경
사면과 m 1 사이의 운동 마찰 계수 n 1 이 0.10 이고, 경사 o
30
면과 m 2 사이의 운동 마찰 계수 n 2 가 0.20 이다. 두 물체
의 가속도 및 줄의 장력을 구하시오. (단, 경사면은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중력 가속도의 크

기 g = 10.0 m/s 2 이다. 필요할 경우 cos 30c = 0.90 을 사용하시오.)

22
I 역학

04 질량 M 의 직각삼각기둥이 직각을 낀 한 변을 밑변으로 하여 수평면 위에 m


놓여 있다. 그 빗면에 질량 m 인 목침이 정지 상태에서 미끄러져 내려가고
있다. (단, 모든 마찰은 무시하고,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g 이다.)
M
(1) 삼각기둥과 목침의 가속도의 크기를 구하시오. o
(2) 목침이 삼각기둥으로부터 받는 수직 항력의 크기를 구하시오.

05 그림과 같이 무게 W 인 물체가 가볍고 늘어나지 않은 실에 매어져 있다. 실 A

AC , 실 BC 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를 각각 구하시오. 53°

53° C
B
W

06 도르래를 이용하여 그림과 같이 설치하고 세 물체를 잡고 있다가 동시에 놓았다. 각각의


물체의 가속도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g 이고, 도르래와 실의 질
량은 무시한다.)

3m

m 2m

07 그림과 같이 질량 m B = 3.00 kg 의 목침 B 를 매끄러운 수 mB

평면에 올려놓고 양쪽에 각각 가볍고 늘어나지 않는 실로 연결


하여 가벼운 고정 도르래에 각각 걸치고 각 실 끝에 질량이 각각
m A = 1.50 kg , m C = 2.50 kg 인 목침 A , C 를 연직으 mA mC
로 달아 놓았다. 고정 도르래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처음에
연직으로 매달려 있는 목침 A , C 를 잡고 있다가 정지 상태에서
가만히 놓았다. (단, 중력 가속도의 크기 g = 10m/s 2 이다.)
⑴ 목침 A , B , C 의 가속도 크기를 각각 구하시오.
⑵ 실이 목침 A , C 를 잡아당기는 힘의 크기를 각각 구하시오.

23
2 일과 에너지
01 일과 에너지
02 퍼텐셜 에너지
03 보존력과 비보존력
04 역학적 에너지 보존

생각 열기
주어진 상황에 연관되어 있는 힘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 혹은 힘이 장소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안다고 할지라도 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 뉴턴의 운동 방정식으로 운동을 기술하
기 어렵다. 이 단원에서는 일과 에너지라는 물리량을 도입하여 물체의 운동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그
리고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보존력일 때 정의되는 퍼텐셜 에너지 개념을 도입하여 고립계 내 물체의 운
동을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기술해 보고자 한다. 뉴턴의 운동 방정식이 일-에너지 정리 그리고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자.

24
I 역학

일과 에너지
01 학습 목표 ■ 일과 운동 에너지와의 관계를 유도하고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1 일-에너지 정리
에너지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물리량으로 일은 반드시 누가
누구에게 한 일이라는 식으로 말하지만, 에너지는 누구의 에너지라고 표현한
다. W 1 0 일 경우 A 가 B 에게 W 만큼의 일을 했을 때, A 의 에너지는 FN
Fi
F1 F2 z
W 만큼 증가하고 B 의 에너지는 W 만큼 감소한다. 이처럼 에너지를 이 F3
Ds N
Ds i
동시키는 일은 물체에 힘을 작용하여 물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물 a
Ds 1 Ds 2 Ds 3
체에 힘 F 가 작용하여 ds 만큼 이동할 때, 힘 F 가 물체에 한 일 dW 는
그림 (I. 2-1) 위치에 의존하는
힘을 받는 물체의 운동
dW = F : ds = Fds cos i ( i : F , ds 의 사잇각) (I. 2-1)

이다. 그림 (I. 2-1)과 같이 a에서 z까지 주어진 경로를 따라 운동하고 있


는 임의의 물체에 방향과 크기가 위치에 따라 순간순간 바뀌는 힘 F 가 작
용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물체가 움직인 경로를 따라 각각의 위치 선적분
독립 변수가 공간의 좌표인 함
에서 물체에 힘을 적분해 준 결과가 물체가 받은 일이다. 즉,
수에 대한 적분 중 하나로 공
N 간의 주어진 경로에 따라 정
{ Fi : Dsi = #
z
W = Nlim Fs ds (I. 2-2)
"3 a 해진 값에 그 경로의 짧은 간
i=1
격을 곱해서 모두 더한 것으로
이다. 이때 Ds i 는 경로 a ~ z 상 아주 작은 구간의 변위이고, Fi 는 각 Ds i 일을 정의하는 데 이용된다.
상에서의 힘이다. 한 입자가 1차원상에서 힘 F ]xg 를 받으며 움직이고 있
는 입자의 운동 방정식은

= F ]xg
d2 x
m (I. 2-3)
dt 2
이다. 식 (I. 2-3)의 좌변을 위치에 대해 선적분을 하여

# m ddtx dx = # m dv
2
dt
vdt =
m
2
# d (v )
2
(I. 2-4)

과 같이 바꿀 수 있다. 처음 위치 A 에서의 속력 v A 에서 나중 위치 B 에서
의 속력 v B 로 변했다면 식 (I. 2-4)는 식 (I. 2-5)와 같이 쓸 수 있다.

F ]xg dx
1 1
#
B
2 2
(I. 2-5)
2 mv B - 2 mv A = A

]에너지
xg= = # F ]mv
xg dx
1 1
A = #운동
2
- 2v 인 2
B
1 1 12 2 B1
2 mv mv물체의 FW dxDK 는 2
이때 질량 , B속력 = K mv- -
이다.
K 2=mv
2
A
A 2 f B i
2 Amv f -
A 2
i

25
따라서 식 (I. 2-5)는 물체에 작용한 합력이 물체에 한 일만큼 물체의 운동 에
너지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일-에너지 정리라고 부르고
1 1
W = DK = K f - K i = 2 mv 2f - 2 mv 2i (I. 2-6)
과 같이 표현한다. 일-에너지 정리는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뉴턴의 운동 방
정식의 다른 표현임을 알 수 있다.
‛준정적’의 의미는 물체(혹은
계)가 변화 과정에서 외부와
거의 평형을 이룬다는 의미 1.2 중력이 한 일
로 여기서는 등속도로 물체
를 운동시킨다는 뜻이다. 처음에 정지해 있던 물체를 준정적으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 마지막 속도가
0이므로 물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외력이 한 일 W a 와 중력이 한 일 W g
의 합은 0이다. 이는 식 (I. 2-7)과 같이 표현된다.
W a + W g = DK = 0 (I. 2-7)

xf
xi W a = -W g = -mgd cos i ( i : 중력 Fg , 변위 d 의 사잇각) (I. 2-8)
m
O
Fspring 1.3 탄성력이 한 일
그림 (I. 2-2) 탄성력이 한 일
그림 (I. 2-2)에서와 같이 물체의 처음 위치를 x i , 물체의 나중 위치를 x f
로 놓으면 이 과정에서 탄성력이 한 일 W s 는

]-kxg dx = -k #
1 1
#
xf xf
Ws = x dx = 2 kx 2i - 2 kx 2f
xi xi
(I. 2-9)
이다. 물체의 처음 위치 x i = 0 , 나중 위치 x f = x 이면,
1
W s = - 2 kx 2 (I. 2-10)
이고, 일-에너지 정리에 의해 외력이 한 일 W a 는 식 (I. 2-11)과 같다.
1
W a = -W s = 2 kx 2 (I. 2-11)

심화확인
질량이 m 인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은 F = -mg tj 이다.
 체가 x 축을 따라 x = 0 에서 x = a 까지 이동하고 다시 x =
(1) 물
a 인 선을 따라 x = 0 에서 y = b 까지 이동하는 동안 중력이 한
일을 구하시오.

b
(2) 물체가 y = a x 인 선을 따라 (0, 0)에서 (a, b)까지 이동하
는 동안 중력이 한 일을 구하시오.

(3) (1), (2)의 결과를 견주어 중력의 특성에 대해 논하시오.

26
I 역학

퍼텐셜 에너지
02 학습 목표 ■ 퍼텐셜 에너지를 정의하고 퍼텐셜의 수학적 표현 방법을 기술할 수 있다.
■ 중력 퍼텐셜 에너지와 탄성 퍼텐셜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 안정 평형과 불안정 평형을 퍼텐셜 에너지 곡선을 통해 해석할 수 있다.

2.1 퍼텐셜 에너지


독립 변수가 공간의 좌표 r = ]x, y, zg 일 때 함수를 장이라고 한다. 이
때 함수가 스칼라인 장은 스칼라장 f ]rg , 벡터인 장은 벡터장 f ]rg 이다. f(r)
b
c2
벡터장을 선적분한 결과가 경로에 의존하지 않고 처음 위치와 나중 위치가 dr
같으면 어떤 경로를 따라 적분하더라도 그 결과가 같을 때 f ]rg 을 보존장
dr
f(r)
c1
a
이라고 한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f(r)
# f ]rg : dr = # f ]rg : dr (I. 2-12)
c1 ]a " bg c2 ]a " bg 그림 (I. 2-3) 벡터장 f(r)에 대한 선적분

이다(그림 (I. 2-3)). 이는 임의의 경로로 제자리로 돌아온 선적분 # f ]rg : dr = 0


c
∫c f(r)•dr: 동일한 경로에서 시작
점과 끝점을 바꾼 선적분 값은 크기는
이라는 의미이다. 물리에서 보존장의 성질을 만족하는 물리량이 보존력이며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는 식 (I. 2-13)과 같이 보존력이 한 일의 음의 값으로


정의된다. 즉,

DU ]rg = - # F ]rg : dr = -W 보존력


r

r 0 (I. 2-13)
r
이다. 0 는 퍼텐셜 에너지의 기준점으로 그 위치에서 퍼텐셜 에너지가 0이
라고 정한 위치를 의미하며 편리한 대로 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퍼텐셜 에
너지는 그 절대값 자체는 별다른 물리적인 의미가 없고, 퍼텐셜 에너지의
차이가 물리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힘이 물체들 간의 상호 작용이므로 퍼텐셜 에너지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 대한 에너지이다. 따라서 이 에너지
는 물체들의 배열(혹은 위치)에 따라 그 계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한다. 운동 에너지 변화 없이 계에 보존력이 물체에 대해 일을 하는 경우 보
존력이 한 일과 외력이 한 일 사이에는 W 외력 = -W 보존력 의 관계가 성립하
고 이를 식 (I. 2-13)에 대입하면 DU = W외력 이 성립한다. 외력이 계에
양의 일을 하는 경우 퍼텐셜 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은 외부에서 일을 통해
계에 에너지를 전달할 때 그 에너지가 퍼텐셜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차원 상에서 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보존력 F 는 식 (I. 2-13)에 의해
식 (I. 2-14)와 같이 구할 수 있다.

27
dU ]xg
3차원 공간에서의 Fx = -
(I. 2-14)
dx
델 연산자:
이러한 논의를 입자가 x , y , z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3차원 공간으로
d = d 2 ti + 2 tj + 2 ktn
2x 2y 2z
확장할 수 있다. 힘의 성분 Fx , Fy , Fz 는 x , y , z 의 함수이며, 퍼텐셜 에
너지도 x , y , z 의 함수로서 U ]x, y, zg 이다. 따라서 이 도함수들을 계산할
편미분(partial 때, 한 번에 한 개의 좌표 변화에 대한 미분, 즉 편미분을 하면 된다. 힘 F 를
derivative)
단위 벡터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식 (I. 2-15)와 같다.
다변수 함수의 특정 변수를 제

F ]x, y, zg = -c k = -4U ]x, y, zg (I. 2-15)


외한 나머지 변수를 상수로 생 2U t 2U t 2U t m
i+ j+
각하여 미분하는 것 2x 2y 2z

2.1.1 중력 퍼텐셜 에너지


그림 (I. 2-4)는 물체에 중력 mg 와 있을 수 있는 부가적인 힘 Fother 가 작
용하여 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력은 오직 수직으로만 작용하므로 이동거리
Fother
Fother
y1 성분 중 수평 성분과는 상관이 없기에 변위 Ds 동안 중력이 한 일은 물체가 연
y1

mg y2 직성분 Dy 만큼 이동할 때 중력이 한 일과 같다. 중력이 한 일 W g 는


O mg y2
_-mg tji : dy tj = mgy 1 - mgy 2 = U 1 - U 2
O
# #
y2 y2

(가)
Wg = Fg : ds =
y1 y1
(I. 2-16)
Dx
Dx
이다. 중력이 한 일은 오로지 처음과 마지막 위치에만 의존하며 움직이는 경로
Dy Ds
Dy Ds
mg
와는 무관하기에 중력은 보존력이다. 여기서 y 1 은 중력 퍼텐셜 에너지 U 를
0 으로 정한 위치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표면을 기준점 ]y = 0g 으로 하여
mg

수직 위치에 대한 변수를 y 라 했을 때 중력 퍼텐셜 에너지 U ]yg = mgy 로


(나)
정의된다.
그림 (I. 2-4) (가) 곡선 경로를 따
르는 변위 (나) 중력 mg가 한 일은 이번에는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이용하여 만유인력 퍼텐셜 에너지를 다루
변위의 연직 방향성분 Dy 에 따름.
어보자. 질량 M, m인 두 물체 사이의 만유인력은 식 (I. 2-17)과 같으므로 만
유인력 퍼텐셜 에너지는 식 (I. 2-18)과 같다(그림 (I. 2-5)).

Mm t (I. 2-17)
Fgg = -G r
r2

dr = GMm # r -2 dr = GMm c r - r m (I. 2-18)


GMm 1 1
#
r2 r 2

U2 - U1 =
그림 (I. 2-5) 만유인력 퍼텐셜 에 r1 r2 r 1 1 2

너지 변화를 구하려면 적분해야 한다. 이다. 여기서 만유인력 퍼텐셜 에너지가 r 에만 의존하므로 만유인력
은 보존력이다. 기준점을 r1 = 3 로 정하면 만유인력 퍼텐셜 에너지는

U ]rg = -G r 과 같이 정의된다.
Mm

2.1.2 탄성 퍼텐셜 에너지


용수철과 같이 변형 가능한 물체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탄성 퍼텐셜
에너지로 설명할 수 있다. 용수철의 왼쪽 끝은 벽에 고정되어 있고 오른쪽 끝에

28
I 역학

질량 m 인 물체가 매달려 있어서 x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물체가 x i 에서 m


x
x f 까지 움직이는 동안 탄성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식 (I. 2-19)와 같다.
-A O A

DU ]xg = - # ]-kxg dx = k
xf
xf x2 1 1 (가)
2 = 2 kx 2f - 2 kx 2i (I. 2-19)
xi x1

그림 (I. 2-6-(가))와 같이 용수철이 -A와 A까지 왕복 운동을 하는 경우 용 U


1
U = - kx 2
수철의 퍼텐셜 에너지 U는 평형점에서 최소가 되며, -A와 A에서 최대가 된다. 2
E=K+U

2.2 퍼텐셜 에너지 곡선 K

x
퍼텐셜 에너지 곡선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계를 정성적으로 고 -A O A

찰해 보자. 그림 (I.2-7-(가))는 일반적인 퍼텐셜 에너지 함수 U ]xg 의 가상적인 (나)

그림 (I. 2-6) (가) 에어트랙 위의 물


그림으로 각 점에서 U 와 E 사이의 수직 거리 E - U 는 그 점에서의 운동 에
체. 용수철은 물체에 힘 Fx = -kx
너지 K 에 해당한다. 그림 (I. 2-7-(나))의 각 점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 Fx 는 를 작용한다. (나) 퍼텐셜 에너지 함수

U 곡선의 기울기에 음 ^-h 의 부호를 붙인 것으로 Fx = -dU/dx 이다. U ]xg =


1 2
kx
2

U 불안정
평형점

E3
E2

(가)
E1
E0 안정
평형점
x
O x1 x2 x3 x4
xc xa xb x xd

dU /dx<0 dU /dx>0 dU /dx<0 dU /dx>0 dU /dx<0


F F>0 F<0 F>0 F<0 F>0

(나)

x
O x1 x2 x3 x4

(?)
그림 (I. 2-7) (가) 가상의 퍼텐셜 에너지 함수 (나) 그에 대응하는 힘 Fx = -dU/dx

고전 역학에서 역학적 에너지 E 는 퍼텐셜 에너지 U 보다 작을 수는 없으


고전 역학에서는 역학적 에너
므로 역학적 에너지의 가능한 최소치는 E 0 이며, 이 때의 운동 에너지는 0 이 지가 퍼텐셜 에너지보다 작은
영역에서 입자가 있을 수 없지
다. x 1 은 U 가 극솟값을 갖는 점으로 곡선의 기울기는 0 이므로 힘이 0 , 즉 만 양자 역학에서는 터널링 효

F ]x 1g = -c
dU m 과(tunneling effect)로 인해
= 0 이 된다. 따라서 이 점에 정지하고 있는 입자는
dx x = x 1
퍼텐셜 에너지가 더 작은 영역
정지한 채 머물러 있을 것이다. 만약 입자가 어느 쪽으로든지 약간 변위되면 힘 에서 존재할 확률이 있다.

F ]xg = -c
dU m 는 입자가 되돌아오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입자는 평형
dx
위치 ]x = x 1g 주위에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형 위치를 안정 평형점
(stable equilibrium point)이라고 한다. x 1 외에 x 3 도 안정 평형점이다.

29
이 평형점 근처의 작은 진동은 근사적으로 단순 조화 진동이다. 퍼텐셜 에너
지 U ]xg 를 평형점 x 1 를 기준으로 테일러 전개를 하면 평형점 x 1 에서 퍼텐셜
테일러 급수
미적분에서 도함수 한 점의 값

= 0, c
d2 U m
에너지 U 가 극솟값을 가지므로 c dU m
으로 계산된 항의 무한 합으로
$ 0 이다. 삼
해석 함수를 나타내는 방법 dx x = x 1 dx 2 x = x
1

f ]xg = f ]ag + f l]ag]x - ag


차항 이상을 무시하고 c 2 m
d2 U
= k , xl = x - x 1 라 놓으면
+ f m ]ag]x - ag + g dx x = x
1 2 1
2!

U ]xlg = 2 kxl2 +Uu ]x 1g


1
(I. 2-20)
과 같이 근사된다. 여기서 U ]x 1g 는 상수이고 퍼텐셜 에너지의 기준은 어떤 값
을 잡아도 상관없기에 무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퍼텐셜 에너지가 정의된 상
황에서 평형 위치를 중심으로 한 작은 진동은 근사적으로 단순 조화 진동으로
볼 수 있다.
U(x)
x 2 , x 4 와 같이 U ]xg 가 극댓값을 갖는 점에서도 곡선의 기울기는 0 이
U(x)
며 따라서 힘도 역시 0 이 된다. 이 점에 정지하고 있는 입자는 역시 정지한 채
x
머물러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입자가 이 점으로부터 약간이라도 변위되면, 힘
안정 평형점
F ]xg = -c
x
dU m
안정 평형점
는 입자를 평형 위치로부터 멀리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
dx
(가) 게 된다. 이러한 위치를 불안정 평형점(unstable equilibrium point)이라
U(x) 불안정 평형점 고 한다(그림 (I. 2-8-(나)).
U(x) 불안정 평형점

총 에너지가 E 1 이며 처음에 입자가 x 1 부근에 있다면, 물체는 E 1 과 U

x
x 가 만나는 점 x a 와 x b 사이에서만 움직인다. K 가 음 ^-h 이 될 수 없으므로
U 는 E 보다 클 수 없다. 이러한 입자의 운동을 퍼텐셜 우물 속의 운동이라 한
(나)
다. 여기서 x a 와 x b 를 입자의 운동 방향이 바뀌는 회귀점(turning points)
그림 (I. 2-8) (가) 안정 평형점 이라고 한다. 총 에너지를 E 2 까지 올리면, 입자는 더욱 넓은 영역인 x c 와
(나) 불안정 평형점
x d 사이를 움직인다. 만일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가 E 3 보다 크고 물체가 + x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물체는 무한히 멀어지고, 물체가 - x 방향으로 움직인다
면 물체는 U ]xg =E3에 의해 결정되는 x < xc인 어떤 위치까지 진행했다가 방향
을 바꾸어 + x 방향으로 무한히 멀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30
I 역학

보존력과 비보존력
03 학습 목표 ■ 보존력을 정의하고, 보존력의 특성과 예를 설명할 수 있다.
■ 어떤 계에 힘이 작용하여 계의 상태를 변화시킬 때 그 변화를 퍼텐셜 에너지의 차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가 보존력임을 설명할 수 있다.

3.1 보존력
그림 (I. 2-9)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O 점을 중심으로 한 두
중심력
동심원을 생각해 보자. 두 동심원의 크기는 미소 반지름 dr 만큼의 차이가 항상 정해진 한 점을 향하는

있다. 경로 1과 경로 2를 따라 작은 동심원에서 큰 동심원으로 이동하는 과 힘. 그 한 점을 원점으로 정


한 좌표계에서 중심력 F는
정에서의 중심력 F1 과 F2 이 한 일 F1 : dr1 과 F2 : dr2 를 계산해 보자. F ]rg = F ]rg rt 이라고 표현
우선 동심원상에서는 O 에서부터 거리가 같으므로 두 힘 F1 과 F2 의 크기 된다.

는 같다. 또한 두 경로에서 dr cos i 의 크기도 같다. F1 방향을 따라 측정


된 두 원 사이의 거리는 F2 방향을 따라 측정된 두 원 사이의 거리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의의 경로 1과 경로 2에 대해
F1 : dr1 = F2 : dr2 (I. 2-21) B

이 성립한다. A 에서 B 까지의 모든 동심원들에 대해 적용할 수 있기에 경로 1 경로 2

θ1
# #
B B
F : dr = F : dr (I. 2-22) F1
A A
dr1
(경로 1) (경로 2)
이다. 이와 같이 힘의 선적분이 경로에 무관할 때 그 힘을 보존력이라고 한 r
F2
A
다. 식 (I. 2-22)를 약간 변형해서 우변을 좌변으로 넘기면
dr2 θ2

# # #
B A A
O
F : dr -
+
(I. 2-23) F : dr = F : dr = 0 r + dr
A B A
그림 (I.2-9) 보존력이 한 일
이다. 식 (I. 2-23)으로부터 보존력에서 닫힌 경로를 따라 한 일의 양은 0
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보존력 F 인 경우 특징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텐셜 에너지 변화량은 DU = - # F : dr 로 기술된다.
r

r0

둘째, 시작점과 끝점이 같으면 경로에 상관없이 그 힘이 한 일은 같다. 즉,

#c1 ]a " bg
F : dr = #
c2 ]a " bg
F : dr 이다. 스토크스 정리
임의의 벡터장 F(r)을 임의
셋째, 폐곡선 경로에 대해 그 힘이 한 일 # F : dr = 0 이다.
c
의 폐곡선 경로를 따라 선적분

# F : dr = # ]d # F g : da = 0 이 성립한다.
한 것이 그 폐곡선 내부에서
넷째, 스토크스 정리에 따라
c s d#F를
=면0 적분한 것과 같
즉, d # F = 0 이 보존력의 조건이다. 다는 법칙이다.

보존이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어떤 물리량이 보존된다

31
는 말은 ‘변하지 않는다.’ 또는 ‘불변이다.’라는 말과 같은 뜻이다. 보존력
(Conservative force)은 물체의 퍼텐셜 에너지 변화가 물체의 이동 경로와 무
관한 힘이다. 이러한 힘의 작용 아래에서는 물체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때 퍼
텐셜 에너지가 그대로이므로, 처음 있던 운동 에너지가 그대로 보존된다. 즉,
보존력 하에서의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일정하고, 이때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
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도 된다. 이처럼 주어진 공간에서 힘을 받아서 운동하
는 계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 공간을 보존력장이라고 한다.

3.2 비보존력
1차원상에서 물체를 A 에서 B 까지 옮겼다가 다시 원래의 위치인 A 까
지 옮기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물체가 A 에서 B 까지 이동하는 동안 마찰
에 의해 운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따라서 닫힌 경로를 따라 한
일이 0이 되지 않으므로 마찰력은 보존력이 아니다.
그림 (I. 2-10)과 같이 점 a 에서 출발하여 다시 a 로 되돌아오는 임의의
폐곡선인 경로를 거치는 동안 힘 F 가 한 일이 0 이 아니면 F 를 비보존력이
a
라 한다. 일반적으로 보존력과 비보존력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 해 준 일은
그림 (I. 2-10) 비보존력 W전체 = W보존력 + W비보존력 (I. 2-24)

이 한 일은 경로에 의존한다.
이 되고 일-에너지 정리 W WW
W전체= DK 와 = -DU 를 대입하면
W= # F : dr =
Y 0
식 (I. 2-24)는 식 (I. 2-25)와 같이 정리된다.
W비보존력 = ΔK + ΔU보존력 = ΔE (I. 2-25)
즉, 비보존력이 한 일이 역학적 에너지 변화와 같다. 계에 보존력만 작용하는
경우 계의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되는 반면, 비보존력이 작용하는 경우 계의 역
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는다.

32
I 역학

역학적 에너지 보존
04 학습 목표 ■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사용하여 물체에 보존력이 작용하는 경우의 운동을 해석할
수 있다.

어떤 계의 역학적 에너지 E 는 퍼텐셜 에너지 U 와 운동 에너지 K 의


합이다. 보존력만 작용하는 공간에서 계 내부의 물체에 작용하는 보존력이
W 의 일을 하면 이 힘은 계의 운동 에너지 K 와 퍼텐셜 에너지 U 사이에
에너지 변환을 일으킨다. 일-에너지 정리에 의해 W = DK 이고, 이때
퍼텐셜 에너지의 변화는 한 일만큼 감소한다. 즉 DU = -W 이다. 따라서
DK = -DU (I. 2-26)
가 된다. 따라서 두 에너지 중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에너지는 같은 양만큼 감소
한다. 처음의 운동 에너지 K 1 , 나중의 운동 에너지 K 2 라고 놓고, 처음의 퍼텐
셜 에너지 U 1 , 나중의 퍼텐셜 에너지 U 2 이면 K 2 - K 1 = - ]U 2 - U 1g 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K1 + U1 = K2 + U2 (I. 2-27)
가 된다. 이것은 보존력만 작용하는 공간에서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
의 합이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이라고 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E = DK + DU = 0 (I. 2-28)

심화확인
질량 m 인 물체를 위로 발사하여 지구로 다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최소 속력을 탈출 속력라고 한다. 지구에서 무한히 먼 r = 3 에서
물체의 속력이 0 이라면,

(1) 이때 물체의 만유인력 퍼텐셜 에너지와 역학적 에너지를 구하시오.

(2) 지상 즉, r = R 에서 물체의 만유인력 퍼텐셜 에너지와 역학적 에너

지를 구하시오.

(3) 지상에서 역학적 에너지 값으로부터 탈출 속력을 지구 질량 M , 지

구 반지름 R 그리고 만유인력 상수 G 로 표현하시오.

33
연습문제

01 복원력이 F=-kx인 1차원 단진동 운동에 대하여 고전 역학적으로 생각해 보자. 단, x는 진동 중심으로부터
의 변위이고, k는 용수철 상수이다. 단진동하는 질량 m인 입자의 역학적 에너지 E를 운동량과 변위의 함수
로 표현하고, 이 값이 시간 t에 관계없이 보존됨을 dE =0 을 통하여 보이시오. (단, 마찰은 무시한다.)
dt

02 그림과 같이 용수철 상수가 4.00×103N/m로 같은 용수철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한 후, 물체를 연결하고 평형 위


치 O에서 0.10m 당겨서 가만히 놓았다. 물체의 질량은 10.0kg 물체와 바닥면 사이의 정지 마찰 계수는 0.50,
운동 마찰 계수는 0.20이다. (단, 용수철의 질량은 무시하며,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10.0m/s2으로 한다.)

(1) 물체가 최종적으로 정지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의 총합을 구하시오.


(2) 물체가 멈출 때까지 총 움직인 시간을 구하시오.

03 수면으로부터 높이 45.0m인 다리 위에 61.0kg인 사람이 발목에 줄을 묶고 서


있다. (단, 탄력이 있는 줄의 평형 상태의 길이 L은 25.0m이고, 탄성 계수 k는
L
1.60×102N/m이다.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9.80m/s2이며, 사람은 질점으로 간
주한다.)

d
(1) 사람이 다리에서 떨어져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할 때 수면으로부터 발목
까지의 높이 h를 구하시오. h
(2) 가장 낮은 지점에서 사람에게 가해지는 합력의 크기를 구하시오.

34
I 역학

04 그림과 같이 늘어나지 않고 가벼운, 길이가 L인 실에 질량이 m인 추가 매


2
달려 있고, 길이가 L 인 지점에 말뚝이 박혀 있다. 추를 가만히 놓았을
3 L
i0

1
때 추가 내려왔다가 말뚝에 의해 올라가 L 위치까지 오기 위한 최소한 1
3 3L
2
의 i 0 각 의 크기를 구하시오. 3L

05 그림과 같이 경사각 i , 마찰 계수 n 인 빗면상에 길이 l 인 v


용수철 상수 k 인 용수철의 한 끝은 고정하고 다른 끝에는
m
질량이 없는 받침대가 달려 있다. 질량 m 인 물체를 빗면에
접촉하여 놓고 아래로 밀어 용수철을 a 만큼 압축시켰다.
a 만큼 압축한 상태에서 급히 손을 떼면 용수철이 늘어나면
i
서 물체는 속력 v 가 되어 받침대에서 떨어져 빗면 상을 올
라간다. (단, 용수철의 질량은 무시하고, 중력 가속도의 크
기는 g 이다.)

⑴ a 만큼 압축했다가 갑자기 놓았을 때 물체가 받침대와 분리되는 위치 그리고 이때 물체의 속력을 구하시오.
⑵ 물체가 받침대와 분리되어 얼마나 올라간 후 정지하는지를 구하시오.

06 그림은 질량이 m ]kgg 인 공이 마찰이 없는 트랙을 정지 상태에서 m

내려오는 모습이다. (단, 트랙은 지면으로부터 1.25m 떨어져 있고,


공이 트랙을 떠난 후의 수평 이동 거리는 1m 이다. 또한, 중력 가속 h
1.25m
도의 크기는 10m/s 2 이다.)

1m
⑴ 공이 그림과 같이 지면에 떨어지기 위한 높이 h 를 구하시오.
⑵ 공이 지면에 닿는 순간의 속력 v 를 구하시오.

35
3 입자계의 운동
01 질량 중심의 운동
02 입자계의 운동

생각 열기
물체는 실제로 크기가 있지만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는 데 크기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거나 무시할 수 있
을 때 물체를 질점으로 다룰 수 있으며 이러한 질점의 운동은 뉴턴 운동 법칙으로 잘 설명된다. 그러나
크기를 가진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질점들로 이루어진 입자계의 운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
다. 물체는 연속적인 입자들의 모임으로 볼 수 있고 그림과 같은 불꽃놀이의 경우 한 물체가 운동 중 여
러 입자들로 나누어진 입자계의 운동이 된다. 이 때 입자계의 질량 중심과 총 운동량 개념은 계의 운동
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된다. 이 장에서 외부 힘과 이 양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입자계의 운동을 이해
하고 대표적인 입자계의 운동인 충돌 현상과 로켓의 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36
I 역학

질량 중심의 운동
01 학습 목표 ■ 질량 중심의 정의를 이해할 수 있다.
■ 질량 중심을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1.1 질량 중심
물체를 한 질점으로 간주할 수 있으면 간단히 뉴턴 운동 법칙을 적용하
여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물체는 여러 가지 크기와
형태가 있으므로 물체의 위치를 정하고자 할 때 질점의 위치와 같이 특정한
한 점으로 나타낼 수 없다. 여러 입자들로 이루어진 입자계의 경우도 마찬
가지이다. 이와 같이 질점으로 다룰 수 없는 역학계의 운동을 다룰 때는 계
의 질량 중심이라는 특별한 점을 이용하여 기술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림
(I. 3-1)은 모터바이크 대회에서 점프를 할 때 질량 중심이 움직이는 경로
를 보여 준다. 질량 중심은 모터바이크에 있으며 위에 탄 사람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질량 중심의 운동 경로는 중력 내에서 던져진 입자의 포물선 운동
과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질량 중심의 운동은 임의의 계에 속한 부분들의
운동에 상관없이 외부 힘의 관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그림 (I. 3-1) 모터바이크 점프에서 질량 중심이 움직이는 경로

먼저 두 입자로 이루어진 계를 이용하여 질량 중심 x c 을 정의하자. 그림


(I. 3-2)와 같이 x 축 위에 놓여 있는 두 입자에 대한 질량 중심은 x 축상에서
입자 사이의 어느 지점에 놓이게 되고 그 좌표 값은 다음과 같다.
m1 x1 + m2 x2
xc = m1 + m2 (I. 3-1)

37
xx 2
2

xx c c

xx 1
1

m
m11
m
m22
그림 (I. 3-2) x 축 위에 놓여 있는 질량 m1인 물체와 m2인 물체의 질량 중심

질량 중심은 두 입자의 위치를 가중 평균한 것으로 질량이 더 큰 입자의 위치에


질량이 작은 입자의 위치보다 더 큰 가중치를 주어 평균한 것이다. 질량 m 1 과
m 2 가 같다면 질량 중심이 두 입자의 중간에 위치하리라는 것을 쉽게 예측할

2 ]x 1 + x 2g
1
수 있고 식 (I. 3-1)에 의하면 x c = 로 중간점이 질량 중심이 됨

을 확인할 수 있다. 3차원상의 n 개의 입자들로 이루어진 계로 확장하면 n 개

의 입자의 질량 중심의 x 좌표는


m1 x1 + m2 x2 + g + mn xn 1 n
xc = m1 + m2 + g + mn =
M
{m x i i (I. 3-2)
i=1

으로 정의되고, M 은 입자들의 질량을 모두 합한 계의 총 질량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y , z 좌표의 질량 중심을 나타내면
1 n
1 n
yc =
M
{m y , z
i i c =
M
{m z i i (I. 3-3)
i=1 i=1

이 된다. 계를 이루는 i 번째 입자의 위치 벡터가 rc = x c ti + y c tj + z c kt 이


면 식 (I. 2-3)과 식 (I. 2-4)로부터 입자계의 질량 중심은
n
1 {m r
rc = x c ti + y c tj + z c kt = i i
(I. 3-4)
M i=1

이 된다.
물체의 질량 분포가 연속적인 경우 물체를 구성하는 작은 질량요소와 그 위치
벡터를 곱하여 합하는 과정을 적분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계의 질량 중심은
1

rc =
M
# r dm (I. 3-5)
로 나타낼 수 있다.

심화확인
질량 M 인 물체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질량 중심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물체의 질량 중심을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생각해 보자.

38
I 역학

1.2 질량 중심의 운동
물체의 개별적인 부분의 운동과 별개로 외부 힘의 영향에 의해 질량 중심
의 운동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질량 중심의 속도와 가속도에 대해
알아보고 외부 힘이 작용할 때 어떻게 뉴턴 운동 법칙이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입자계의 총 질량 M 이 변하지 않는 경우 질량 중심의 속도는
drc 1 dri 1

vc =
dt
=
M
{m i
dt
=
M
{m vi i
(I. 3-6)
i i

로 개별 입자의 속도에 질량 가중치를 주어 평균한 값이 된다. 식 (I. 3-6)


을 시간에 대해 한 번 더 미분하면 질량 중심의 가속도가 된다.

ac =
dvc
dt
=
1
{ m dvi = M1 { mi ai
M i i dt
(I. 3-7)
i

총 질량을 양변에 곱하면


Ma c = { m i a i = { Fi (I. 3-8)
i i

이 된다. Fi 는 i 번째 입자가 받는 힘으로 외부에서 받는 힘과 내부 입자들


로부터 받는 힘의 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입자들에게서 받는
힘은 작용-반작용 법칙에 의하여 상대 입자에 반대 방향의 힘을 미치므로
모든 입자들이 받는 힘들을 합하면 서로 상쇄되게 된다. 따라서 결국 입자
들이 받는 힘은 외부에서 작용한 힘만이 남게 되고 각 입자들이 받는 힘의
전체 합은 입자계가 받는 총 외부 힘 Fe = { Fi 가 된다. 식 (I. 3-8)은
Fe = Ma c (I. 3-9)
가 된다. 즉 입자계에 작용하는 총 외부 힘은 총 질량과 질량 중심의 가속
도를 곱한 값과 같다. 이것은 입자계의 운동을 마치 총 질량이 질량 중심에
있는 입자로 생각하고 외부 힘이 질량 중심에 작용하는 것과 같은 운동으로
생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자계의 운동을 이해할 때 계를 구성하
는 개별 입자들의 운동을 모두 따로 다루어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만 질량 중심
을 이용하면 마치 단일 입자와 같이 쉽게 다룰 수 있다.

1.3 운동량 보존 법칙
입자계에서도 계의 총 운동량을 이용하여 계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식 (I. 3-6) 양변에 계의 총 질량 M 을 곱하면

Mv c = { m i v i = { p i (I. 3-10)
i i

이 된다. 입자계의 총 운동량 P 는 개별 입자의 운동량 전체 합이므로 식


(I. 3-10)으로부터

39
P = Mv c (I. 3-11)

이 된다. 즉, 입자계의 총 운동량은 총 질량과 질량 중심 속도의 곱으로 표현


되고 총 질량이 질량 중심에 있는 단일 입자가 질량 중심의 속도로 움직일 때
의 운동량과 같다. 식 (I. 3-11)을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dP dv
= M c = Ma c (I. 3-12)
dt dt
가 된다. 따라서 식 (I. 3-9)와 식 (I. 3-12)로부터
dP
Fe = (I. 3-13)
dt
이 되어 입자계의 외부 힘은 총 운동량의 시간 변화율과 같다. 외부 힘이 0인
경우
dP
=0
dt (I. 3-14)
이므로
P =일정 (I. 3-15)
이 된다. 즉, 입자계에 작용하는 알짜 외부 힘이 없다면 계의 총 운동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을 입자계에 대한 운동량 보존 법칙이라고 한다. 입
자계의 총 운동량이 일정한 경우는 계의 질량 중심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
지되므로 만약 고려하는 입자계가 고립계이고 질량 중심이 정지해 있었다
면 이 계의 질량 중심은 계속해서 정지해 있게 된다. 그러나 이것이 계를 구
성하고 있는 입자들이 모두 정지해 있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
어 뗏목위에 서 있던 사람이 다이빙을 해서 물속에 뛰어들었다면 사람의 위
치와 속도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뗏목과 사람으로 이루어진 계는 수평방향
으로 외부에서 힘을 받지 않았으므로 수평방향의 운동량은 보존되고 그 방
향의 질량 중심의 위치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뗏목은 수평방향으로
사람이 움직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로켓의 발사 원리도
이와 동일하며 입자계의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물체들의 운동을 간
단히 설명할 수 있다. 다음 절에서 대표적인 입자계의 운동으로 충돌 현상
과 로켓 발사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40
I 역학

입자계의 운동
02 학습 목표 ■ 충돌 현상을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질량이 변하는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여 로켓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2.1 충돌
충돌은 두 물체 이상으로 이루어진 계의 내부 작용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계에 작용하는 외부 힘은 0이 된다. 작용하는 외부 힘이 0이면
앞서 설명한 대로 계의 총 운동량이 보존되므로 충돌 현상에서 계의 총 운
동량은 항상 보존된다. 이처럼 충돌 전과 후의 계의 총 운동량이 같다는 사
실은 충돌 운동을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3차원 공간에서의 충돌에 대해 살펴보자. 그림 (I. 3-3(가))처럼 질량
m 1 인 물체가 u 1 의 속력으로 움직여 정지해 있는, 질량 m 2 인 물체와 충
돌하는 상황을 고려하자. m 2 가 충돌 전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황일 때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면 정지해 있는 것과 같다. 정
지해 있는 좌표계나 일정하게 움직이는 좌표계는 뉴턴 법칙이 성립하므로
m 2 를 정지해 있는 것으로 간주한 것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문제를 간단히
한 것이다. 그림 (I. 3-3(나))는 충돌 후의 모습이다. m 1 의 충돌 전의 속
도 방향을 x 방향으로 취하고 충돌 전과 후의 속도 벡터로 이루어진 평면을
고려하면 충돌 전 평면에 수직한 운동량 성분은 없으므로 운동량 보존 법칙
에 의하면 충돌 후에도 평면에 수직한 운동량 성분은 없다. 따라서 m 2 의
충돌 후의 속도 벡터도 같은 평면에 있게 된다.

y y
v1
충돌 전 충돌 후 m1

u1 u2 = 0 θ
x x
dz
m1 m2
m2
v2
(가)
(가) (나)(나)

그림 (I. 3-3) 두 입자의 충돌 전(가)와 충돌 후(나)의 모습

41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충돌 전후 운동량은
m1 u1 = m1 v1 + m2 v2 (I. 3-16)
이 되고, 에너지 변화는
1 2 1 2 1 2
2 m1 u 1 = 2 m1 v 1 + 2 m2 v 2 + Q (I. 3-17)
이 된다. Q 는 충돌의 결과로 잃거나 얻게 되는 에너지이다. Q = 0 일 때
충돌 전후 운동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를 탄성 충돌이라고 한
다. Q 가 음수인 경우 충돌의 결과로 운동 에너지의 일부를 잃게 되고 이러
한 충돌을 비탄성 충돌이라고 한다. Q 가 양수인 경우는 충돌의 결과로 운
동 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폭발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탄성 충돌에서 충돌 후 두 입자 사이의 각도에 대한 일반적인 관계를 알아보
자. 식 (I. 3-16)의 양변에 각각 스칼라 곱을 취해주면
m 21 u 21 = m 21 v 21 + 2m 1 m 2 v 1 : v 2 + m 22 v 22 (I. 3-18)
이 되고 식 (I. 3-17)을 이용하면 식 (I. 3-18)은

v1 : v2 = 2 b 1 - m 2 l v 22
1 m
1
(I. 3-19)
이 된다.
충돌 후 두 입자 사이의 각도는 i + z 이고 v 1 : v 2 = v 1 v 2 cos ]i + zg
이므로

cos ]i + zg = 2 b 1 - m 2 l v 2
1 m v
1 1
(I. 3-20)

이 된다. 탄성 충돌에서 층돌 후 m 1 입자가 정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두 입자


사이의 각도는 항상 식 (I. 3-20)과 같이 주어지고 특히 두 입자의 질량 m 1 과
m 2 가 서로 같다면 각도가 i + z = r 가 된다. 즉 표적 입자가 정지해 있는
2
계에서 볼 때, 질량이 같은 두 입자는 충돌 후 90° 각도를 이루면서 멀어진다.
한편, 충돌 현상을 다루는 데 기준계를 달리하면 문제를 좀 더 간단히 해결할
수도 있다. 그림 (I-3-3)과 같이 충돌을 다루는 것은 실험실의 한 관측자를 기
준으로 충돌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기준계를 실험실 기준계라고 하고 충돌하
는 입자계의 질량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기준계를 질량 중심 기준계라고 한다.
충돌하는 두 입자는 고립계를 이루기 때문에 질량 중심의 속력은 충돌 전후 일정
하다. 그림 (I-3-3)의 상황에서 실험실 기준계에서 잰 질량 중심의 속력은
m1 u1
V= (I. 3-21)
m1 + m2
1 1 m u
이 된다. 즉 실험실 기준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V 의
= 속력으로 움직이는 좌표계
m1 + m2
인 질량 중심 좌표계를 선택하면 이 기준계에서 볼때 충돌 전후 계의 총 운동량
은 각각 0이 된다. 즉, 두 입자의 처음 운동량 P1, P2 와 나중 운동량 P1', P2'은

42
I 역학

다음 관계식을 만족한다.
P1 + P2 = 0 , P1l + P2l = 0 (I. 3-22)
즉, 충돌 전후 두 입자의 운동량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따라서 질
량 중심 기준계에서 볼 때 두 입자는 충돌 후 같은 각도로 휘어지게 된다.

2.2 질량이 변하는 계의 운동


단일 입자가 아닌 입자계의 운동을 다룰 때 계의 질량이 운동 중 변하는 상황
들을 생각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로켓이 연료를 연소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운
동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빗방울이 공기 중에서 낙하하면서 주변 물방울
을 흡수해 점점 커지는 경우나 움직이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 위로 물체를
u 떨어 v
∆M M
뜨리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이처럼 계의 질량이 변하는 경우 총 운동량 변화
를 이용하여 어떻게 계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가)

u v v1 + ∆v2
∆M M M+∆M

(가) (나)

그림 (I. 3-4) 운동 중 질량이 추가되는 물체의 운동.

v1 + ∆v2
M+∆M
그림 (I. 3-4)에서처럼 속도 v 로 움직이고 있는 질량 M 인 물체에 속도
u 로 움직이는 질량 DM 이 Dt 시간 동안 물체와 충돌하여 물체에 달라붙고
(나)
이 때 물체의 속도는 Dv 만큼 변한다고 하자. 그러면 Dt 시간 동안의 계의 총
운동량 변화량은

DP = ]M + DM g]v + Dvg - ]Mv + DMug (I. 3-23)


이다. 식 (I. 3-23)을 Dt 로 나누고 Dt " 0 인 극한을 취하면

]v - ug
식 (I. 3-23)에서 Dt " 0
dP dv dM
=M + (I. 3-24) 인 극한에서 DMDv 인 항은
dt dt dt
다른 항에 비해 작은 양이므로
이 된다. DM 의 M 에 대한 상대 속도는 V = u - v 이고 식 (I. 3-13)을 무시할 수 있다.
이용하면 식 (I. 3-24)는
dv dM (I. 3-25)
Fe = M -V
dt dt
이 된다. 질량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면 우측 두 번째 항이 0이 되어 질
량이 변하지 않는 계에 적용되는 운동 법칙으로 환원된다.

43
로켓의 운동
로켓의 운동은 로켓이 발사된 후 연료를 연소하면서 배기가스를 뒤쪽으로 분
출시킬 때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일어난다. 이때 로켓의 질량이 감소하게 된다.
임의의 시간에 질량 M 인 로켓이 기준 좌표계에 대해 v 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고 연료가 로켓에 대해 상대 속도 V 로 발사된다면 로켓의 총 운동량의 시간
변화율은 식 (I. 3-25)과 같다. 우주에서처럼 로켓에 작용하는 외부 힘이 없는
경우 식 (I. 3-25)으로부터
dv dM
=V
M (I. 3-26)
dt dt
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로켓의 운동 방정식이다.
오른쪽 항은 연료를 소진함으로써 로켓을 미는 추진력으로 질량 변화율이 음수
이므로 추진력의 방향은 연료의 상대 속도 V 에 반대 방향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I. 3-26)를 변수 분리하여 적분하면

# dv = # V dM
M (I. 3-27)

이 된다. 연료의 분출 속도가 일정하고 로켓이 직선상에서 움직인다면 식 (I.


3-27)는
dM
# dv = -V #
v M

v0 M0 M
이 되어 질량에 따른 로켓의 속력은
M0 (I. 3-28)
v = v 0 + V ln
M
이 된다. v0와 M 0 는 처음 로켓의 속도와 질량을 나타낸다. 로켓 속력은 연료
의 분출 속력이 클수록 커지며 처음 질량과 질량비의 로그 값에 비례한다.

그림 (I. 3-5) 나로호 발사

44
I 역학

연습 문제

01 그림과 같이 길이가 a 인 세 개의 막대로 이루어진 정삼각형 모양의 물체가


있다. 각 막대의 밀도는 균일하다고 할 때 파란 막대의 밀도는 검은 막대 밀도
의 두 배, 빨간 막대 밀도의 세 배일 때 물체의 질량 중심 위치는 어디인가?

02 정지해 있던 질량 M 인 물체가 폭발 후 같은 질량의 세 조각으로 나눠졌다. 첫 번째 조각의 속력이 v 1 이


2v 1 이고 세 번째 조각의 속력이 2 v1
고 두 번째 조각의 속력이 이라면 세 조각은 어느 방향으
3+1 3+1
로 날아가는가?

03 헬륨을 채운 풍선과 풍선에 매달린 이동 장치의 전체 질량이 M 인 기구가 있다. 이 기구가 지표면에서 일
정한 높이에 떠서 지구에 대해 정지해 있을 때, 기구에 타고 있던 질량 m 인 사람이 줄을 타고 기구에 대
한 상대 속력 v 로 내려온다. 기구는 지구에 대하여 어떤 방향과 속력으로 움직이겠는가?

04 그림과 같이 정지해 있는 깔대기로부터 속력 v 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컨베이어 벨트 위로 연속적으로 모래


가 떨어지고 있다. 벨트의 질량을 M 이라고 하고 벨트 위의 모래의 질량을 m 이라고 할 때,벨트의 속력을
v 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급되는 일률은 운동 에너지 증가율의 두 배가 됨을 보이시오.

45
4 회전 운동과 행성의 운동
01 회전 운동
02 행성의 운동

생각 열기
사진은 2014년 소치 올림픽에서 김연아 선수의 점프 회전을 연속적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전은
병진 운동과는 다른 형태의 운동으로 자동차와 자전거의 움직이는 바퀴나 체조 선수가 돌리는 후프 등 회
전 운동하는 모습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양계의 행성의 운동이나 회전하는
은하의 운동처럼 아주 큰 규모의 회전으로부터 초전도체 내부의 자기 소용돌이처럼 미시적인 규모의 회
전에 이르기까지 회전 현상은 다양하다. 이러한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돌림힘과 각운동량 등
과 같은 새로운 물리량들이 필요하며 그 양들 사이의 관계로부터 회전 운동에 적합한 운동 법칙을 찾을
수 있다. 회전 운동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여러 물리량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행성의 회전 운
동에 대해 알아보자.

46
I 역학

회전 운동
01 학습 목표 ■ 회전 운동에서 각변위, 각속도, 각가속도 사이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병

■회
진 운동과 회전 운동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전 관성, 각운동량, 돌림힘 등의 정의를 이해하고 회전 동역학에 관한 법칙들을 유도할
수 있다.

1.1 회전 운동학
물체가 정해진 점이나 축 주위를 도는 회전 운동을 하는 경우 그 운동 형
태가 병진 운동과 달라 운동을 설명하는 데 다른 물리량들이 필요하다. 위 S
치에 대응되는 물리량으로는 각 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각위치
r
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평면에서의 각도는 각 i 에 의해 펼쳐지는 호의
길이 S 를 원의 반지름 r 로 나눈 값으로 i = S/r 로 정의한다 (그림 (I.
4-1)). 원판에서 한 점의 위치는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중심으로부터의 거
리 r 과 각 i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지름 방향의 한 선 위의 모든 점들 그림 (I. 4-1) 회전축을 중심으로
의 위치는 r 은 다른 값을 주어도 각 i 는 한 값으로 나타난다. 또한 dt 시 돌아가는 원판

간 동안 di 만큼 회전을 할 때 한 점이 이동한 거리는 ds = rdi 이고 그


점에서의 속력과의 관계는 rdi = vdt 이 그 값이 r 에 따라 달라진다. 그
러나 시간에 대한 각 변화율은 모두 같은 값으로 표현되고 회전 운동을 설
명하는 데 편리하다. 이 양을 각속도 w 라고 한다. 그 크기는
di (I. 4-1)
w=
dt
이고 방향은 회전 경로를 따라 오른손 네 손가락을 감아쥐고 엄지손가락을
강체
세웠을 때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한다. 그림 (I. 4-1)에서 원 회전 운동하는 동안 물체를 구
판의 각속도 w 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 된다. 고정된 중심축에 성하는 입자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는 물체를 말한다. 강
대한 회전은 두 방향만이 있으므로 보통 반시계 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하고
체가 아닌 경우 회전하는 동안
시계 방향을 음의 방향으로 하는 1차원 회전 운동으로 다룰 수 있다. 회전 변수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운동을 설명하기
선속력과 각속력의 관계는
어렵다. 따라서 통상 회전운
v = rw (I. 4-2) 동을 설명할 때 물체는 강체로
간주한다.
로 주어지고 같은 각속력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선속력이 커진다.
시간에 대한 각속도의 변화율은 각가속도 a 라고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w (I. 4-3)
a=
dt
접선 가속도 a t 와 각가속도 사이의 관계는

47
dv dw
at = =r = ra (I. 4-4)
dt dt
가 된다.
회전 운동을 설명하는 기본 물리량인 각위치, 각속도, 각가속도는 각각 병진
각속도 w 와 각가속도 a 의
운동에서의 위치, 속도, 가속도와 대응된다. 이것을 이용하면 각가속도가 일정
SI 단위는 각각 rad/s ,
rad/s 2 이다. 한 회전 운동은 등가속도 운동과 대응해서 생각할 수 있고 등각가속도 운동의
유용한 공식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w = w 0 + at (I. 4-5)
1 (I. 4-6)
i = i 0 + w 0 t + 2 at 2
w 2 - w 20 = 2a ]i - i 0g (I. 4-7)
여기서 첨자 0이 붙은 물리량들은 시간 t = 0 일 때의 값을 나타낸다.

1.2 회전 운동 에너지와 회전 관성
운동 에너지, 질량, 힘과 같은 물리량들도 회전 운동에서는 새롭게 정의된
양들을 도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먼저 고정된 축 주위를 도는 강체의 운동에서
운동 에너지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강체가 N 개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속력 w 로 움직인다면 강체의 운동 에너지는 각 입자들의 운
동 에너지의 합이 되고 i 번째 입자의 회전축에서부터의 거리가 ri 이면 식 (I.
4-3)에 의해 v i = ri w 가 된다. 따라서 강체의 회전 운동 에너지는

{ 12 m v { 12 m r w 2 = 2 d { m i r 2i nw

N N
1 N
KR = i
2
i = i
2
i ~ 22 (I. 4-8)
i=1 i=1 i=1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강체가 고정된 축 주위를 회전하는 동안 축으로부터


질점 m i 까지의 거리 ri 는 변하지 않으므로 괄호 안의 물리량은 회전축이 정해
지면 각속도와 무관하게 정확히 결정된다. 이 물리량을 회전축에 대한 강체의
회전 관성이라 부르고 기호 I 로 나타낸다.
N

I= {m r i
2
i (I. 4-9)
i=1

연속적인 질량 분포를 갖는 물체에 대해서는 합을 적분 형태로 바꾸어


I= #r 2
dm (I. 4-10)
가 된다. 회전 관성을 이용하면 강체의 회전 운동 에너지는

1
K R = 2 Iw 2 (I. 4-11)
1 2
로 나타낼 수 있다. 병진 운동 에너지 K =
2 mv
와 비교해 보면 회전 관성

I 는 질량 m 에 대응하는 물리량임을 알 수 있다. 같은 속력으로 움직일 때 질

48
I 역학

량이 클수록 병진 운동 에너지가 크듯이 같은 각속력으로 회전할 때 회전 관성


이 클수록 회전 운동 에너지가 크다.

(가) (나) (다) 그림 (I. 4-2) 균일한 질량 분포를 갖는 여러


가지 물체의 회전 관성
R
R1
R2 L
(가) 고리 또는 얇은 원통 껍질
R
(나) 두께가 있는 원통
M ]R 21 + R 22g
1 1
I = MR 2 I=
2
I=
2
MR 2
(다) 속이 찬 원통 또는 원판
(라) (마) (바) (라) 중심을 지나고 길이에 수직한 축에 대해
회전하는 속이 찬 원통
(마) 중심을 지나고 길이에 수직한 축에 대해
2R 회전하는 가느다란 막대
L L
(바) 속이 찬 공 (사) 공 껍질
R
(아) 지름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고리
1 1 1 2 (자) 중심을 지나고 면에 수직한 축에 대해 회
I= MR 2 + ML2 I= ML2 I= MR 2
4 12 12 5
전하는 얇은 판
(사) (아) (자)

R
2R
b
a

M ]a 2 + b 2g
2 1 1
I= MR 2 I= MR 2 I=
3 2 12

그림 (I. 4-2)에 질량 분포가 균일한 몇 가지 물체의 회전 관성이 주어져 있


다. 주어진 회전축에서 강체를 구성하는 각 질점의 거리 분포에 따라 회전 관성
은 정해진다. 회전 관성은 질점의 질량과 회전축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회
전축에서 질량이 먼 곳에 분포되어 있을수록 강체의 회전 관성은 커진다. 또한
동일한 물체라도 회전축의 위치에 따라 회전 관성의 크기는 달라진다 (그림 (I.
4-2 (다)와 (라), (가)와 (아)) 비교).
그림 (I. 4-3)과 같이 가는 막대의 한쪽 끝을 지나는 축에 대한 회전 관성을
구해 보자.

dx dm
x x
M

O L

그림 (I. 4-3) 막대의 끝은 수직으로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관성

49
질량 분포가 균일하다고 하면 x 위치의 작은 질량 요소는 dm = mdx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m 는 선밀도로 m = M/L 이다. 그러면 그림의 축에 대
한 회전 관성은
1 1
# #
L L
I= x 2 dm = x 2 mdx = 3 mL3 = 3 ML2
0 0

이 된다.
그림 (I. 4-2(마))와 같이 회전축이 막대 중심을 지나는 경우보다 회전 관성 값
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강체의 질량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에 대한 회전 관성을 아는 경우 평행
한 다른 축에 대한 회전 관성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질량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
에 대한 회전 관성이 I cm 일 때 그 축으로부터 h 만큼 떨어진 평행한 다른 축에
대한 회전 관성은

I = I cm + Mh 2 (I. 4-12)
이 된다. M 은 강체의 질량이고 이것을 평행축 정리라고 한다. 위에서 구한
가는 막대의 회전 관성을 평행축 정리를 이용하여 구하면

I = 12 ML2 + M b 2 l = 3 ML2
1 L 2 1

이 되어 같은 값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1.3 돌림힘과 운동 법칙
회전 운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과 변화 형태를 설명할 수 있는 회전 운동
돌림힘은 용어에 힘이 들어가지
에 관한 법칙에 대해 알아보자. 병진 운동에서 힘에 대응되는 양을 돌림힘이라
만 힘의 단위를 갖지 않고 SI
단위 N : m 로 에너지 단위 하고 기호 x 로 나타낸다. 돌림힘은 힘의 크기와 방향뿐만 아니라 힘을 작용하
인 J 과 동등하다. 그러나 돌림
는 위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문을 열거나 렌치로 볼트를 조이는 상황
힘은 에너지가 아니므로 에너지
와 구별하기 위해 돌림힘의 단 을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문을 열기 위해 일단 힘을 가해야 한다. 하지
위는 J 로 쓰지 않는다.
만 회전축 가까이에 힘을 가하면 문이 잘 열리지 않고 따라서 문의 손잡이는 항
상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달려 있으며 마찬가지로 렌치 손잡이의 끝부
분에 힘을 주어야 볼트를 쉽게 조일 수 있다 (그림 (I. 4-4)). 힘의 방향에 대
해 살펴보면 문에 수직인 방향의 힘만이 문을 회전시키는 데 기여함을 알 수 있
O FA 다. 문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힘을 가해도 문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림
A FB 힘을 벡터 곱을 이용하여

B
x = rx # F (I. 4-13)
그림 (I. 4-4) 같은 크기의 힘을
가해도 B 지점에 가했을 때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 는 힘을, r 는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점까지
돌림힘이 더 크다. 의 위치 벡터를 나타낸다.

50
I 역학

돌림힘을 정의하는 벡터 곱의 r 와 F 의 순서는 물체에 돌림힘이 작용하여


생기는 물체의 각가속도와 작용한 돌림힘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맞추어져 있다.
그림 (I. 4-4)를 보면 벡터 곱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박혀 있던
볼트는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돌림힘이 가해져서 같은 방향의 각가속도가
생기게 된다. 볼트는 정지해 있었으므로 각가속도와 같은 방향으로 각속도가
생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고정된 축 주위를 회전하는 강체의 회전 관성 I , 강체에 작용하는 돌림힘 x
, 강체의 각가속도 a 사이에는
x = Ia (I. 4-14)

의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것이 회전하는 강체에 대한 뉴턴의 운동 법칙이다. 이


것은 강체를 구성하는 각 질점에 대해 뉴턴의 운동 법칙 F = ma 를 적용한
결과로 나타난 것이지만 강체의 회전 운동을 설명하는 데 더 유용하다.

1.4 회전 운동의 일과 일률
물체의 병진 운동을 다룰 때와 마찬가지로 일과 에너지의 관점에서 강체의
회전 운동을 다룰 수 있다. 강체가 미소각변위 di 만큼 회전하였을 때 회전축
으로부터 거리 r 인 지점의 요소는 rdi 만큼 움직이게 된다. 위치 r 에 수직하
게 작용한 힘이 F= 이라면 일은
dW = F= ds = F= rdi = xdi
이 된다. 따라서 강체에 돌림힘이 한 일은

W= # xdi (I. 4-15)


이다. 또한 순간 일률 P 는 단위 시간 동안 한 일로서 토크가 일정할 때
dW di
P= =x = xw (I. 4-16)
dt dt
와 같이 표현되는데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의 대응 관계에서 토크는 힘과 대응
하고 각속도는 속도에 대응하므로 식 (I. 4-16)은 병진 운동에서 순간 일률이
힘과 속도의 곱 P = Fv 와 같이 표현되는 것에 대응한다.
병진 운동에서 일-운동 에너지 정리가 성립하듯이 회전 운동에서도 일-운
동 에너지 정리가 다음과 같이 성립된다.
1 1
W = DK = 2 Iw 2f - 2 Iw 2i (I. 4-17)

w i 와 w f 는 각각 처음과 나중의 각속력이고 I 는 강체의 회전 관성이다. 강체


가 어떤 고정된 축 주위로 회전 운동할 때 외부 돌림힘이 한 일이 강체의 회전
운동 에너지의 변화 DK 와 같다.

51
1.5 각운동량
회전 운동에서 회전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인 각운동량에 대해 알아보
자. 각운동량 L 은 병진 운동의 운동량 p = mv 에 대응하는 물리량으로 위치
r 와 운동량 p 의 mv 곱으로서 다음과 같다.
= 벡터
L= r # p
L (I. 4-18)

각운동량의 크기는 질점의 질량,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 접선 속력 세 가지


를 곱한 값이다. 또한 벡터 곱의 성질로부터 각운동량은 위치와 운동량이 만든
평면에 언제나 수직하다. 일반적으로 각운동량의 방향은 각속도의 방향과 나
란하지 않지만 물체의 한 대칭축이 회전축이 되면 각운동량의 방향은 각속도의
방향과 나란하게 된다.
질량 m 인 입자가 반지름 r 인 원호를 따라 v 의 속력으로 돌고 있는 경우
각운동량은

L = rmv = rm ]rwg = mr 2 w = Iw
이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축에 관하여 회전하는 강체의 경우에 각운동량 L
은 회전 관성 I 와 각속도 w 의 곱으로 간단히 표현된다.
L = Iw (I. 4-19)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율을 보면 식 (I. 4-19)로부터
dL d ]Iwg dw
= =I = Ia
dt dt dt
이 되고 식 (I. 4-14)로부터

dL
x=
dt (I. 4-20)
이 성립됨을 알 수 있다. 즉, 돌림힘은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율과 같다. 식 (I.
4-20)은 고정축에 대한 경우뿐만 아니라 모든 회전 운동에 대해 항상 성립하
는 운동 법칙이고 계를 고려하는 경우 돌림힘은 계에 작용하는 외부 알짜 돌림
힘이 된다.
회전하는 계에 작용하는 알짜 돌림힘이 없다면 식 (I. 4-20)으로부터
그림 (I. 4-5) 다이빙하는 동안의 각
dL
운동량 보존 = 0,
dt
즉,
각운동량 보존 법칙은 에너지 L = 일정 (I. 4-21)
보존 법칙이나 운동량 보존 법
이 되어 계의 총 각운동량이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 각운동량 보존 법칙이라고
칙과 마찬가지로 거시적인 역
학계뿐만 아니라 미시적인 양 한다. 각운동량 보존 법칙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자 계에서도 성립하는 물리학 도는 행성들의 면적 속도가 일정하다는 케플러의 제2법칙으로 다음 절에서 자
의 기본적인 법칙이다.
세히 알아볼 것이다. 스포츠에서도 각운동량 보존의 예를 찾을 수 있다. 그림

52
I 역학

(I. 4-5)에서처럼 다이빙 선수가 낙하하는 동안 외부 힘이 없으므로 각운동량


은 보존되므로 낙하하면서 무릎을 가슴에 붙이면 몸의 회전 관성이 줄어들어
회전이 빨라진다. 또한 팔을 벌리고 회전하던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팔을 오므
리면 회전은 더욱 빨라진다. 회전하는 동안 선수의 몸은 강체로 생각할 수 있고
팔을 오므리면 몸의 회전 관성이 줄어들므로 각운동량이 보존되기 위해 각속도
가 그만큼 커지는 것이다. 태풍의 눈이라고 하는 중심 저기압 쪽에 가까울수록
공기가 더욱 빨리 도는 것도 각운동량이 보존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축돌기 운동
z
알짜 외부 돌림힘이 있는 경우 각운동량이 변하게 되는데 각운동량의 크기가 dz
변할 수도 있지만 방향이 변할 수도 있다. 대칭축 주위로 회전하는 강체의 경우
L dL
회전 관성은 변하지 않고 각속도의 변화는 각운동량을 변화시킨다. 이 때 각속
도의 방향이 변한다는 것은 회전축이 변하는 경우에 대응되고 이처럼 회전축이 cm
고정되어 있지 않고 축 자체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세차 운동(축돌기 운동)이라 r mg

한다. 팽이를 돌리면 처음에 똑바로 선 채로 빠르게 돌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회


τ
전이 점점 느려지고 기우뚱기우뚱하면서 돌다가 결국에는 멈춰 쓰러진다. 팽이 x O y
가 기우뚱거리면서 도는 것을 자세히 보면 팽이의 자전축이 세차 운동을 하고
그림 (I. 4-6)회전하는 팽이의 세차
있음을 알게 된다. 운동

팽이의 자전축은 그림 (I. 4-6)의 점선으로 그린 원뿔 모양의 궤적을 그리


면서 세차 운동을 한다. 그림 (I. 4-6)에서 짧은 시간인 dt 동안 팽이의 각운
동량 변화 dL 을 구해 보자. 이 변화는 질량 중심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한 토
크에 의해 생기므로 dL 의 방향은 x 의 방향과 같고 각운동량 L 과 수직하여
각운동량의 궤적은 원뿔 모양이 된다. dL 은 세차 운동의 회전각 dz 에 대한
호의 길이에 해당하므로 dL = L sin i dz 가 된다. 이것을 회전 운동 방정식
(I. 4-20)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dL dz
x== L sin i (I. 4-22)
dt dt
따라서 세차 운동의 각속력 Ω은
dz x

X= = (I. 4-23)
dt L sin i
이 된다. 세차 운동의 각속력은 토크의 크기에 비례하고 팽이의 각운동량 크기
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쓰러지기 전 팽이의 회전이 느려져서 각운동량이 줄어
그림 (I. 4-7) 줄 위에서 돌고 있는
들면 점점 세차 운동은 빨라진다. 자이로스코프. 세차 운동(축돌기 운
동)으로 인해 쉽게 넘어지지 않는다.

53
행성의 운동
02 학습 목표 ■ 케플러의 세 가지 운동 법칙을 이용하여 행성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 케플러 법칙을 이용하여 인공위성의 궤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2.1 케플러의 법칙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는 그의 스승 티코 브라헤(Tycho
Brache)가 평생 동안 관측해 놓은 자료를 이용하여 행성의 궤도를 알아내
고자 20년 동안이나 온 힘을 기울여 여러 궤도 모형을 제안하였으나 브라헤
가 관측한 정도의 정밀도까지 행성의 운동을 재현해 내지 못했다. 그 후 그
는 행성의 공전 궤도면은 태양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
며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다음 행성이 타원형의 궤도를 그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케플러의 행성의 운동에 관한 세 법칙은 다음과 같다.

케플러의 제1법칙: 타원 궤도의 법칙


모든 행성들은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돌고 있다.
케플러의 제2법칙: 일정 면적의 법칙
행성과 태양을 잇는 직선은 같은 시간에 같은 면적을 휩쓸고 지나간다.
케플러의 제3법칙: 조화의 법칙
행성의 공전 주기의 제곱은 타원 궤도의 장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이 세 법칙은 과학 역사에서 중요한 경험적 발견으로 뉴턴의 중력 법칙을


발견하는 데 근간을 제공해 주었으며 뉴턴 역학 체계를 지지하는 중요한 경
험적 근거들이 되었다.
케플러의 세 법칙은 뉴턴의 운동 법칙과 중력 법칙을 이용하여 유도될 수
중심력(central force)
있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중심력이고 그 크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상호 작용하는 두 물체의 중심
을 잇는 선의 방향으로만 작용 역제곱 중심력인 경우 물체의 운동 궤도는 원뿔 곡선 경로 중 하나를 따른다.
하고 힘의 크기는 두 물체 사
중력은 이러한 역제곱 중심력이므로 중력이 작용하는 물체의 운동 궤도도 원
이의 거리에만 관계되는 힘을
중심력이라고 한다. 중력, 정 뿔 곡선인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중 하나를 따르게 된다. 중력이 인력으
전기력 등은 중심력이다.
로 작용함으로써 행성의 운동의 역학적 에너지는 0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이
러한 조건에서 행성의 궤도는 닫혀진 궤도인 타원 궤도를 따른다. 따라서 케
플러의 제1법칙은 중력 법칙의 직접적인 결과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용하는 힘이 중심력인 경우 2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태양으로

54
I 역학

부터 행성들이 받는 힘인 중력도 중심력이므로 태양계 행성들도 2법칙을 따르


게 된다. 식 (I. 4-13)과 (I. 4-20)으로부터 각운동량의 시간 변화율은 dr
dL r + dr
= r#F
dt dA
이 된다. 힘 F 가 중심력인 경우 r 와 같은 방향이므로 벡터 곱의 값이 0이 된 r
다. 즉 중심력이 작용하는 경우 계의 각운동량이 항상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
O
다. 그림 (I. 4-8)은 태양이 위치한 궤도의 중심점 O 와 그 주위를 돌고 있는
그림 (I. 4-8) 행성 궤도의 일부
행성 궤도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행성은 어느 순간 위치 벡터 r 인 곳에 위
치해 있으며 미소시간 dt 가 경과한 후에 r + dr 인 곳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세 벡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삼각형의 넓이 dA 는
1
dA = 2 r # dr

이다. 위의 식을 이 면적을 만드는 데 소요된 시간 dt 로 나누면


dA 1
= 2 r#v (I. 4-24)
dt
가 된다. 각운동량 L = r # p = r # mv 이므로
dA 1 L
= 2m r # mv = 2m (I. 4-25)
dt
이다. m 은 행성의 질량이다. 중력이 중심력므로 위에 설명한 대로 각운동량
이 일정하기 때문에 면적의 시간 변화율이 일정하게 된다. 즉, 같은 시간에 같은
면적을 휩쓸고 지나간다. 이와 같이 2법칙은 각운동량 보존의 다른 표현이다.

행성
b

c a

태양

그림 (I. 4-9) 행성의 운동

그림 (I. 4-9)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같은 시간 동안 행성이 휩쓸고 지나간


면적을 나타낸다. a면적 부분처럼 행성이 태양으로부터 멀어질 때 궤도속도는
느려져 짧은 호의 길이만큼 이동하는 반면 c부분처럼 행성이 태양 가까이 올 때
궤도속도는 빨라져 긴 호의 길이를 이동하지만 a와 c의 면적은 서로 같다.
케플러의 제3법칙은 타원 궤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즉 타원운동

55
의 주기를 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식(I. 4-25)에서
2m
dt = dA
L
로 쓸 수 있고 양변을 적분하면
2m
# #
T A
dt = dA
0 L 0

2m 2m
T=
A= rab (I. 4-26)
L L
가 된다. 여기서 a 와 b 는 각각 타원의 장반경과 단반경을 나타내고 궤도 방정
식으로부터 그 값을 구할 수 있다. 그 결과
4r 2 3
T2 = a (I. 4-27)
GM
이 된다. 여기서 M 은 태양의 질량이고 G 는 중력 상수이다. 즉, 주기의 제곱
이 장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우변의 비례 상수값은
행성의 질량에 관계없이 어느 경우나 같은 값을 가지므로 모든 행성에 대해서
주기와 장반경 사이의 비례 상수도 근사적으로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
력 상수 G 의 값을 알고 행성의 장반경과 주기를 측정하면 태양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다음 절에서 행성 운동으로부터 중력 법칙을 어떻게 유추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2.2 중력 법칙
뉴턴 시대 이전에도 행성이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는 데는 어떤 힘이 작용하
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뉴턴은 그 힘이 태양과 행성사이의 거리의 제곱
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안하였고 그러한 힘이 우주 내의 어떤 두 물체 사이에
도 존재한다고 가정함으로써 지구상에서 관측되는 물리법칙들이 천체들에까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타원 궤도를 따르는 운동을 근사적으로 원
운동으로 간주하자. 궤도 반지름이 r 인 원운동을 하는 질량 m 인 물체의 구심
력은
mv 2

r F = ma =
(I. 4-28)
로 주어진다.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주기를 T 라고 하면 물체의 속력은
2rr
v=
(I. 4-29)
T
로 주어진다. 케플러의 제3법칙에 의하면 주기 T 와 궤도 반지름 r 사이에는
다음 관계
T 2 = br 3 , ( b 는 비례상수임) (I. 4-30)
가 성립하므로 식 (I. 4-29)와 식 (I. 4-30)을 이용하면 식 (I. 4-28)은

56
I 역학

4r 2 m

F=(I. 4-31)
br 2
이 된다. 이 식은 원궤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이 반지름의 제곱에 반비례한
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편 궤도의 중심에 있는 질량 M 인 물체는 뉴턴 제3법칙에 따라 크기는 같
고 방향은 반대인 힘을 받게 된다. 그런데 이 물체에 작용하는 구심력은 질량
M 에 비례하므로,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질량의 곱에 비례하게 된
다. 비례상수를 G 라고 하면 식 (I. 4-31)은
Mm

F=G (I. 4-32)
r2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질량이 각각 M 과 m 이고 거리 r 만큼 떨어진 두 물
체 사이에는 각각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 작용한다
는 중력 법칙을 이끌어 내었다.

2.3 인공위성
케플러 법칙은 행성의 운동에도 성립하지만 지구 주위를 회전하는 위성에도
적용된다. 그림 (I. 4-10)은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의 사진으로 인공
위성이 지구로 떨어지지 않고 돌 수 있는 것은 수평발사 속력과 관련된다. 수평
발사 속력이 작은 경우 물체는 지표면으로 떨어지게 되지만 속력이 커지게 되면
떨어지는 지점이 점점 더 멀어져서 어느 속력 이상이 되면 지표면을 따라 닫힌
궤도를 돌게 된다. 더 큰 속력으로 던져지면 중력을 벗어날 수 있어 포물선 경로
를 그리며 지구를 벗어나는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림 (I. 4-10) 인공위성

57
질량 m 인 물체가 지구 중심으로부터 거리 r 인 지점에서 원 궤도를 그릴 수
있는 궤도 속력 v 를 구해 보자. 이 경우 지구 중력이 구심력의 역할을 하므로

mM mv 2
G = r
(I. 4-33)
r2
이 성립하고, 따라서

GM

r v= (I. 4-34)
이 된다. 어느 위성이든 질량에 상관없이 식 (I. 4-34)을 만족하는 속력으로
던져지면 원 궤도를 그리게 된다.
통신에 사용되는 위성들은 지상에 있는 관측자가 볼 때 움직이지 않고 그 자
리에 떠 있는 것처럼 보여 정지 궤도에 있다고 한다. 지구 표면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정지 궤도 위성은 통신 신호의 중계소로 사용된다. 정지 궤
도는 위성의 주기가 지구 자전주기와 일치하도록 해 줌으로써 지상의 한 지점에
서 늘 위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지 위성의 궤도 반지름과 속
력을 원 궤도로 가정하고 구해 보자. 식 (I. 4-33)에 v = 2rr/T 를 대입하면

M ]2rr/T g2
G 2 =
r
r
로 반지름 r 는
1

r=c
MT 2 G m3
4r 2 (I. 4-35)

이 된다. 자전주기는 하루이므로 T = 24h = 8.64 # 10 4 s 이고 지구 질량


과 중력 상수 값을 대입하면 r = 4.23 # 10 7 m 가 된다. 따라서 지상에서의
높이 h 는 h = r - R E = 3.59 # 10 7 m 된다. 정지 위성의 속력은
2rr 2r ]4.23 # 10 7 mg
v= = = 3.1 # 10 3 m/s
T 8.64 # 10 4 s
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8
I 역학

연습문제

01 그림과 같이 질량 m = 200 g 이고 반지름 r = 1 cm m, r

인 도르래의 양쪽에 질량이 각각 M 1 = 500g ,


M 2 = 300g 인 물체가 매달려 있다. 도르래의 회전축
과 물체와 빗면 사이의 마찰은 없고 줄은 도르래에서 미끄러

M2
M1
지지 않는다. M 1 과 M 2 를 손으로 잡고 있다가 가만히 놓
으면 M 1 과 M 2 중 어느 것이 아래로 내려오는가? 이때
o1=30 0
o2=60 0

두 물체의 가속도의 크기 a 를 구하시오. (단, 중력 가속도

g = 10 m/s 2 로 간주한다.)

02 그림과 같이 질량 M , 반지름 R 인 원판에 질량 m 인 총알이


속력 v 로, 원판의 지름 방향과 i 의 각도를 이루며 날아와 박 M

혔다. 원판이 지면에 수직으로 중심 O 를 지나는 회전축 주위로


o
마찰이 없이 회전할 수 있을 때, 총알이 박힌 후 원판의 각속력
v
R m
w 를 구하시오.

03 모든 중심력은 보존력이다. 질량 m 인 입자에 중심력이 작용할 때,

(1) 에너지 방정식을 극좌표를 이용하여 나타내시오.


(2) 에너지 방정식을 이용하여 지름 방향 운동 방정식을 구하시오.
m t 일 때 ( 는 양의 상수이다.), 역학적 에너지 에 따라 입자의 궤도가 닫
(3) 중심력이 F = -a r a E
r2
힌 궤도 또는 열린 궤도가 됨을 보이시오.

59
5 열에너지
01 이상기체
02 열역학 제1법칙
03 열역학 제2법칙

생각 열기
그림은 도시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붉은색은 더운 지점, 파란색은 시원한 지점, 하얀색은 아
주 더운 지점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붉은 모습은 점점 문제가 심해지고 있는 도시의 열섬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일상적으로 많은 영역에서 보이는 열과 온도와 관련된 현상 중 도시화에 의해 생긴 문
제 현상이다. 이와 같이 열과 온도와 관련된 현상을 다루는 것이 열역학으로 이상기체 계를 이용하여 열
과 에너지의 관계를 다루는 열역학 1법칙과 온도와 열 출입에 의해 결정되는 엔트로피와 관련된 2법칙을
이 이해해 보자.

60
I 역학

이상기체
01 학습 목표 ■ 이상 기체 상태 방식으로 이상 기체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기체의 내부 에너지와 온도, 압력 등을 분자 운동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1.1 이상기체 법칙
기체 분자들로 이루어진 계의 상태는 부피, 압력, 온도 등과 같은 상태
함수에 의해 특정되고, 계의 특성에 따라 이 상태 함수들 사이의 관계가 다
르게 나타난다. 밀도가 낮은 기체들의 경우 대체로 압력, 부피, 온도 사이
의 관계가 다음 식과 같이 된다.
PV = NkT (I. 5-1)
여기서 P 는 압력, V 는 부피, N 은 기체 분자수, k 는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 는 분자수로 기
T 는 온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태 함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식을 상 체계를 다룰 때 나타나고 기체

태 방정식이라고 한다. 기체 분자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무시될 수 있으며 상수 R 는 몰수로 다룰 때 보


여지므로 l 몰의 분자수인 아보
기체 분자를 점입자로 간주하는 경우 이러한 관계식이 만족되며 이상기체로
가드로 수 만큼의 차수 차이를
간주한다. 따라서 식 (I. 5-1)은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또는 이상기체 법칙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으로 부른다.
볼츠만 상수 k 의 값은
k = 1.38 # 10 -23 J/K (I. 5-2)

으로 주어진다. 기체의 몰수로 관계를 표현할 경우 볼츠만 상수 대신 기체


상수 R 가 그 역할을 대신하여 상태 방정식은

PV = nRT (I. 5-3)

으로 주어지며 Nk = nR 의 관계가 만족된다. 이 때 기체 상수 R 의 값은


R = N A k = 8.31 J/mol : K 이 된다. 여기서 N A 는 아보가드로 수를
나타내며 N A = 6.02 # 10 23 (1/몰)이다.
이상기체 법칙을 통해서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기체계의 부피가 두 배
로 늘어나면 압력이 반으로 줄어들고 반대로 부피가 반으로 줄어들면 압력
이 두 배로 증가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계의 온도가 증가하면 계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
럼 기체 계의 특성이 이상기체 법칙으로 잘 나타난다. 기체 분자들 사이의
평균 거리가 분자 크기에 비해 훨씬 큰 경우 대체로 이상기체 법칙에 부합
한다. 실온과 대기압 하에서 공기 분자들의 평균 거리는 대략 분자 크기의

61
열 배쯤 되므로 일상의 공기는 이상기체로 간주할 수 있다.

1.2 기체 운동론
온도, 압력, 부피 등은 기체 분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평균적인 거동에 따라
나타나는 거시적인 양이다. 미시적인 개별 분자들의 운동이 에너지, 온도, 압
력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간단한 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자.
그림 (I. 5-1)과 같이 N 개의 기체 분자들이 부피V 인 용기 내에서 움직이
고 있다고 하자. 오른쪽 방향이 x 방향이고, 그 길이가 L , 분자의 질량이 m ,
그 분자의 속력이 v x 일 때 오른쪽 벽면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해 보자.

그림 (I. 5-1) 사각형 용기내의 기체 분자들

분자가 벽에 충돌할 때 탄성 충돌을 한다고 가정하면 한 분자의 충돌 전후 운

동량 변화량의 크기는 Dp x = 2m v x 가 된다. 기체 분자가 길이 L 만큼 진행


L
하여 벽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이므로 평균적으로 한 번 벽면에 충
vx
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Dt = 2L 가 된다. 이 때 벽면에 가하는 힘의 크기는
vx

Dp x mv 2x
Fx = =
Dt L (I. 5-4)
이다. N 개의 분자들에 의한 평균힘 F 는

f = ]v 21 + v 22 + g + v 23 g =
F m N Nm 2
F
v (I. 5-5)
x
L x x
L x
이 되고 벽면의 단면적이 A 라면 압력은
F Nmv 2x Nmv 2x
P= = = (I. 5-6)
A AL V
이 된다. 속력의 제곱 평균은 v 2 = v 2x + v y2 + v 2z 이므로 평균적으로 방향에

62
I 역학

따라 기체 분자의 운동이 다르지 않다고 하면 v 2x =


1 2 으로 쓸 수 있다. 따
3v
라서 식 (I. 5-6)은
Nm 2 2 N

P= v = 3 K (I. 5-7)
3V V
Nm 2 여기서
2 N 는 운동에너지이다. 이 결과는 기체를 담고 있는 용기의
P = 이 된다.
v = 3 K
3V V
형태와 무관하다. 또한 기체의 압력은 입자들의 밀도가 증가하거나 분자의 평
균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면 커지게 된다. 즉 같은 밀도의 기체라면 기체 분자
들의 움직임이 활발할수록 압력이 커지는 것으로 개별 기체 분자들의 미시적인
움직임이 계 전체의 압력을 결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체가 이상기체라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식 (I. 5-6)으로부터 kT = mv
의 관계가 성립됨을 알 수 있다. 즉,
1 1
K x = 2 mv 2x = 2 kT

(I. 5-8)
이 된다. y 와 z 방향에 대해서도 같은 식이 성립되므로 분자당 평균 운동 에너
지는
3
K = 2 kT (I. 5-9)

이다.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온도에 의해 결정되며 계의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온도는 기체 분자들의 움직
임에 의해 결정되는 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식 (I. 5-9)로부터 속력의 제곱의 평균값이 v 2 = 3kT 이고 제곱근을 취
m
하여 제곱 평균 제곱근 (rms, root mean square) 속력을 구하면

3k T (I. 5-10)
v rms = v 2 = m
이 된다. vrsns는 v 보다 약간 큰 값을 가지나 주어진 온도에서 분자들의 평균 움
직임을 나타내는 양이 되며 분자의 질량이 큰 경우 더 느리게 움직인다. 보통
실온에서 작은 분자들은 일초에 수백에서 수천 미터를 움직인다.

심화확인
기체 분자들의 속력이 어떻게 분포되는지를 알려주는 맥스웰-볼
츠만 속력 분포를 확인하고 속력 분포를 이용하여 분자들의 평균
속력과 최빈 속력, 제곱 평균 제곱근 속력을 계산하시오.

63
열역학 제1법칙
02 학습 목표 ■ 등분배 정리를 이용하여 내부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 열과 일의 출입과 관련한 열역학 제1법칙을 이해하고 다양한 열역학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2.1 내부 에너지
내부 에너지는 계를 이루고 있는 요소들에 의해 내부적으로 가질 수 있는
총 에너지를 의미하지만 열역학적으로 내부 에너지를 다룰 때 온도, 부피 등
과 같은 상태 함수에 의존하는 에너지에만 관심을 두고 계를 구성하는 분자
들의 화학 결합 에너지나 입자들의 질량에 의한 정지 질량 에너지 등은 포함
하지 않는다. 앞 절의 기체 분자 모형에 의하면 이상기체의 병진 운동 에너지
3
는 K = NkT 로 주어졌다.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의 경우 분자들의 병
2
진 운동만이 계의 에너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계의 내부 에너지는
3
U = 2 NkT 이 되고 온도에만 의존한다. 한편 한 방향의 병진 운동에 대한
1
분자당 평균 운동 에너지는 kT 이고, 방향에 대한 차이가 없으므로 세 방
2
3 1
향에 대한 평균 운동 에너지는 kT 가 된다. 이렇게 세 방향으로 kT 씩
2 2
에너지가 균등하게 나누어지는 것은 등분배 정리와 관련된다. 에너지가 위
치, 속력, 각속력의 2차 함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즉, 병진 운동 에너지,
회전 운동 에너지, 탄성 퍼텐셜 에너지 등에 대해 열평형 상태에서 평균 에
너지는 1 kT 가 된다. 이것을 등분배 정리하고 한다.
2
이와 같이 2차 함수 형태로 에너지가 표현되는 수가 f 이고 N개의 분자
들로 이루어진 계의 경우 내부 에너지는 등분배 정리에 의해
U =
f
2 NkT (I. 5-11)
이 된다.

심화확인
1. 단원자 분자, 이원자 분자 이상기체의 f 값을 생각해 보고
등분배 정리에 의해 내부 에너지를 구하시오.
2. 실온에서 대부분 고체들의 몰당 내부 에너지는 3RT 이다. 이 결
과를 등분배 정리로 설명할 수 있는 고체 모형을 만들어 보시오.

64
I 역학

2.2 열과 일
열은 물체의 온도 변화와 관련된다. 물체에 열 Q 을 가하면 물체의 온도
계의 상태 변화가 진행되는 경
가 올라가게 되고 이것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면
우 계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계
Q = CDT (I. 5-12) 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한 물체의 온도를 DT 만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것이 아니고 상태를 변화시키


는 데 사용된다. 이 때는 에너
열의 양을 Q 라고 하면 물체에 따라 필요한 열의 양이 다르므로 물체의 특
지를 전달해도 계의 온도가 변
성을 반영한 양이 필요하다. 이것을 물체의 열용량 C 라 하고 물체의 온도 하지 않으며 이 과정에 열용량
을 적용할 수 없다.
를 1c C 올리는 데 필요한 열의 양으로 정의한다. 식 (I. 5-12)에 의해 열
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표준이 되는 물질로 물을 선택하여 물 1 g 을
1c C 올리는 데 필요한 열의 양을 1 cal 로 정의한다.
한편 줄(J.Joule)은 회전할 수 있는 갈퀴가 있는 용기에 물을 담고 외부
에서 일을 하여 갈퀴를 회전시키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물의 온도가 올
라가는 것을 확인하였고 갈퀴를 돌리는 데 해 준 일과 물의 온도 증가로부
터 열과 일 사이에 정량적으로
1 cal
cal = 4.18 J (I. 5-13)
의 관계가 성립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일을 통해 계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계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에너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열은 계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한 방식으로,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열 접촉시키면 자발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
로 전달되는 에너지이다.
이와 같이 열과 일은 열역학계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서로 다른 방식이다.
이 때 일은 줄의 실험과 같이 역학적인 일뿐 아니라 저항에 전류를 흘려 저항
을 뜨겁게 하는 전기적인 방식이나 화학적 방식 등 어떠한 형태의 일도 가능하
다. 일은 열과 달리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계에 에너지
를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외부 힘에 의존한다.

심화확인
전도, 대류, 복사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자발적으로 높은 온도의
물체로부터 낮은 온도의 물체로 열을 전달하는지 확인해 보시오.

65
계에 해준 일 Wl 는 계가 한
2.3 열역학 제1법칙
일 W 와 W l = -W 의
관계가 된다. 열과 일의 방식으로 계에 에너지 출입이 생기게 되면 계의 내부 에너지가 변
계가 해준 일을 이용하여 열
화한다. 계에 Q 만큼의 열을 가하면 내부 에너지는 증가하고 계가 W 의 일을
역학 제1법칙을 나타내면
DU = Q + W l 로 열 과
하면 그만큼 내부 에너지가 감소한다. 즉, 내부 에너지 변화량 DU 는
일의 형태로 계에 전달된 에너 DU = Q - W (I. 5-14)
지에 의해 계의 내부 에너지가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 된다. 이것이 열역학 제1법칙으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의미한다. Q 와 W
의 부호는 양과 음 모두 될 수 있다. 계가 열을 흡수한 경우 Q 2 0 이고 열을
방출한 경우 Q 1 0 이 된다. 마찬가지로 계가 양의 일 ]W 2 0g 을 한 경우
계의 내부 에너지는 감소하는 반면 음의 일 ]W 1 0g 을 한 경우 계의 내부 에
너지는 증가한다.
내부 에너지는 계의 열역학적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양으로 계의 상태를 나
준정적 과정
타내는 상태 함수이다. 반면 열과 일은 계에 전달됨으로써 계의 상태를 변화시
식 (I. 5-15)와 같이 기체가
한 일을 적분할 수 있는 것은 키므로 상태 함수가 아니며 열역학 과정에 따라 출입하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계가 처음 상태 i 에서 나중 상
태 f 로 변하는 동안 계의 압
력과 부피가 잘 정의되는 경로 2.4 열역학 과정
를 따를 때에 가능하다. 즉 계
의 상태 함수는 계가 열역학적 계가 처음 온도, 압력, 부피 등의 상태 함수 값을 갖는 특정한 상태에서 다른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측정 가
상태로 변하여 다른 상태 함수 값을 갖게 되는 과정을 열역학 과정이라고 한다.
능하므로 계가 천천히 변하여
해당 열역학 과정 동안 그 경 이 때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가 같더라도 어떠한 열역학 과정에 따라 변했는지
로를 잘 정의할 수 있도록 한
에 따라 출입한 열과 일이 달라지므로 기체계에 대해 몇 가지 열역학 과정들에
다. 그러나 실제로 매번 완벽
하게 평형 상태에 이른다고 볼 서 출입한 열과 일을 구하고 그 특성들을 알아보자.
수 없어 평형에 준하는 것으로 기체가 압축 팽창을 하는 경우 일은 힘과 이동 거리로 나타내기보다 압력과
간주하는 과정을 준정적 과정
(quasi-static process)이 부피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하다. 기체가 처음부피 Vi 에서 나중 부피 V f 로 변
라고 한다. 할 때 기체가 한 일 W 는

# P ]V g dV
Vf
W= (I. 5-15)
Vi

이다. P ]V g 는 압력으로 부피의 함수를 나타낸다.

심화확인
물체가 A 점에서 B 점으로 움직일 때 작용한 힘 F ]rg 이 한 일
을 정의하고 이로부터 식 (I. 5-15)를 유도하시오.(단, r 는 위
치 벡터이다.)

66
I 역학

P P P
i i
i Pi
Pi Pi
f
f f Pf
Pf (가) Pf (나) (다)
V V V
Vi Vf Vi Vf Vi Vf

그림 (I. 5-2) 처음 상태 i 에서 나중 상태 f 로 변하는 서로 다른 열역학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로, 각 경


로를 따라서 기체가 한 일은 색칠된 면적과 같다.

그림 (I. 5-2)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Pi, Vig 인 처음 상태에서 ]Pf , V fg


PV 그림
인 나중 상태로 변하는 세 가지 다른 열역학 과정을 나타낸 PV 그림이다.
( PV diagram)
(가) 의 경우 부피가 Vi 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적 과정과 압력이 Pf 로 일정 P 와 V 로 이루어진 그래프
에서 한 점은 계의 압력과 부
하게 유지되는 정압 과정을 통해서 나중 상태 f 로 이르는 열역학 과정을 나
피를 특정하므로 이는 계의 상
타낸다. 정적 과정 동안은 기체의 부피가 일정하므로 기체가 한 일은 0이 되 태를 특정하는 것과 같다. 즉

고 정압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은 W = Pf DV = Pf ]V f - Vig 이고 이것
PV 그림 위의 한 점은 계의
특정한 상태에 대응된다. 압
이 (가) 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이 된다. 이 때 기체가 팽창하는 경우 기체가 양 력과 부피 외에 다른 상태 함
수들로 이루어진 그림을 이용
의 일을 하고 압축되는 경우 음의 일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과정의 경
할 수도 있으나 통상 측정이
우 정압 과정 이후 정적 과정을 통해 나중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때 기체가 용이한 압력과 부피를 이용한

한 일은 W = Pi ]V f - Vig 로 Pi 2 Pf 이므로 (가)의 과정을 따르는 것보 PV 그림이 주로 이용한다.

다 W 가 크다. (다)는 임의의 곡선 경로를 따라 열역학 과정이 진행된 경우로


W 는 곡선 아래의 면적에 해당되며 (가)와 (나)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과 다른
값을 준다. 즉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가 같아도 다른 열역학 과정을 따르는 경
우 기체가 한 일이 달라진다. 이 때 내부 에너지는 상태 함수이므로 내부 에너
지의 변화는 세 과정에서 모두 같고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세 과정에서 출
입한 열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일정한 온도에서 계가 변하는 열역학 과정을 등
온 과정이라고 하고 열역학 과정 동안 열 출입이 없는 경우 단열 과정이라고
한다. 등온 과정과 단열 과정은 카르노 기관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열역
학 과정으로 이상기체를 이용하여 그 과정의 특성을 알아보자.
P

등온선
이상기체의 등온 과정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에 의하면 P = NkT/V 로 온도가 일정할 경우 압
력은 부피에 반비례한다. 그림 (I. 5-3)과 같이 등온선을 따라 부피가 Vi 에서
Vi Vf V
V f 로 변할 때 기체가 한 일은 그림 (I. 5-3) 이상기체의 등온선.

P ]V g dV = NkT #
1 Vf
#
Vf Vf
곡선 아래 색칠된 부분은 기체가 한

W= dV = NkT ln
(I. 5-16)
Vi Vi V Vi 일을 나타낸다.

67
이다. 등분배 정리에 의하면 등온 과정 동안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출입한 열은

Vf
Q = DU + W = W = NkT ln (I. 5-17)
Vi
이다. 즉,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 W 는 양의 값이 되고 기체가 일을 해 준 만큼
계에서 열을 방출하고 압축되는 경우 기체가 음의 일을 하고 그 만큼의 열을 계
가 흡수한다.

P 이상기체의 단열 과정
등온선
계와 주위 사이에 열 출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단열 과정
이라고 한다. 이 때 내부 에너지 변화는
DU = Q - W = -W (I. 5-18)
단열선
으로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 기체는 양의 일을 하고 내부 에너지는 감소한다.
V 따라서 등온 과정과 달리 부피가 팽창할 때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그림 (I.
그림 (I. 5-4) 이상기체의 단열 곡선 5-4)에서 보이는 것처럼 단열선은 등온선보다 가파른 곡선이 된다. 이상기체
의 준정적 단열 과정에 대한 곡선의 방정식은
PV c = 일정 (I. 5-19)
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c 는 단열 지수라고 하고 c = 1 + 2/f 의 관계로 항
상 1보다 큰 값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심화확인
1. 등분배 정리에 의한 내부 에너지 식을 이용하여 단열 과정에서
f
부피와 온도 사이에 VT 2 =일정의 관계가 성립됨을 보이시오.
2. 심화확인 1의 결과와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식 (I.
5-19)가 성립함을 보이시오.

68
I 역학

열역학 제2법칙
03 학습 목표 ■ 열기관의 효율을 정의하고 카르노 순환 과정을 이용하여 최대 열효율을 설명할 수 있다.
■ 엔트로피 개념을 알고 열역학 제2법칙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3.1 열기관
열기관(heat engine)은 열을 흡수하여 그 일부를 일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
열저장고
다. 오늘날 대부분의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기 터빈이 (heat reservoir)
나 자동차의 내연 기관 등이 열기관에 해당된다.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하면 열 일반적으로 열저장고는 열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더라도 온도
을 모두 일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실제 기관은 투입된 열의 일부만을
변화가 거의 없는 큰 계를 의
일로 바꿀 수 있을 뿐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얼마나 많은 열을 일로 바꿀 미한다. 자동차 내연 기관에서
바깥으로 열이 방출되고 이 때
수 있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며 18-19세기에 증기 기관의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바깥이 저온 열저장고가 된다.
노력이 열역학이라는 물리학의 한 분야를 탄생시켰다.

열효율

고온 열저장고 QH QC 저온 열저장고
열기관
TH TC

그림 (I. 5-5) 열기관 도식도

그림 (I. 5-5)는 열기관의 에너지 유입과 유출을 보여 준다. 기관이 온도가


TH 인 고온 열저장고에서 열 Q H 를 흡수하여 일 W 를 하고 남은 열 Q C 를 온
도 TC 인 저온 열저장고로 방출한다. 적은 열을 투입하여 많은 일을 할수록 좋
으므로 기관의 열효율 e 를 흡수한 열 대비 기관이 한 일
W
e= (I. 5-20)
QH
로 정의한다.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W = Q H - Q C 이므로 열효율 e 는
QH - QC Q
e= = 1- C (I. 5-21)
QH QH
이 된다.

69
제1종 영구 기관
식 (I. 5-21)에서 보이듯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효율이 1보다 큰 기관은
있을 수 없다. 만약 효율이 1보다 큰 기관이 있다면 가해준 열보다 더 많은 일
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가해주는 열이 없어도 일을 할 수 있
는 기관이 생긴다. 이러한 기관을 제1종 영구 기관이라 하는데 열역학 제1법칙
을 받아들인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한편 Q C = 0 인 경우, 즉 흡수한 열을 모두 일로 바꿀 수 있을 때에는 효율
이 1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역학 제1법칙인 에너지 보존 법칙만을 고려한
다면 효율이 1인 기관도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효율이 1인 기관은 존재
하지 않으며 그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엔트로피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효율
이 1보다 작을 수밖에 없다는 열역학 제2법칙이 나오게 된다. 처음으로 효율이
1보다 작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한 카르노 기관에 대해 살펴보자.

카르노 기관
카르노 기관(Carnot Engine)은 고온과 저온의 두 열저장고에 접촉하고 있
는 이상기체를 이용한 가상적인 기관으로, 그 순환 과정은 마찰이나 자유 팽
창, 외부와의 비가역적 열 교환 등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한 가역 과정으
로 각각 두 개의 등온 과정과 단열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I. 5-6)은 카
르노 순환 과정을 나타내는 PV 그림이다.

P
1

카르노
QH
(Carnot, S. ; 1796-1832)
프랑스의 물리학자. 1824년 이상적 2
인 열기관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열
TH
효율의 최대치를 이론적으로 설명함.

Tc 4
3
Qc

V
그림 (I. 5-6) 카르노 순환 과정

각 단계를 살펴보면 등온 팽창 과정(1→2) 동안 기체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TH 인 고온 열저장고로부터 열 Q H 를 흡수하고 단열 팽창 과정(2→3)에서 외
부와의 열 접촉이 차단된 상태로 기체의 온도가 TC 가 될 때까지 팽창한다. 다
음 등온 압축 과정(3→4)을 통해 온도가 TC 인 저온 열저장고로 열 Q C 를 배

70
I 역학

출하면서 압축되고 마지막으로 단열 압축 과정(4→1)을 통해 외부와의 열 접


촉이 차단된 상태로 기체의 온도가 TH 가 될 때까지 압축되어 처음 1번 상태
로 되돌아간다.
앞서 설명한 등온 과정과 단열 과정의 특성을 이용하여 카르노 기관의 열
효율 e C 를 구하면
TC

ec = 1 -
(I. 5-22)
TH
이 된다. 카르노 기관의 열효율은 저온 열저장고와 고온 열저장고의 온도에만
관계하며 저온 열저장고의 온도가 낮을수록 고온 열저장고의 온도가 높을수록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저온 열저장고의 온도가 0 K 이거나 고온 열저장
고의 온도가 무한대인 경우 열효율 값이 1이 되나 이러한 경우는 실제로 없으
므로 열효율이 1이 되는 경우는 없다. 카르노 기관은 이상적인 가역 열기관으
로 카르노 기관보다 열효율이 높은 기관은 있을 수 없으며 카르노 기관의 경우
에도 열효율은 1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I. 5-7)은 초기 열기관들의
모식도들로 해당 열기관들의 열효율은 카르노 효율보다 작은 값을 준다.

(가) Heron 기관 (나) Newcomen 기관 (다) Stirling 기관


(가) (나) (다)

그림 (I.5-7) 여러 기관들의 스케치 (가) 헤로(Hero) 기관 (나) 뉴커먼(Newcomen) 기관 (다) 스털링


(Stirling) 기관

이것은 열역학 제1법칙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으로 기관이 받은 열을


모두 일로 바꿀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된다.
그 의미는 새롭게 정의되는 엔트로피라는 양을 통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절에서 열역학과 관련된 거시적인 엔트로피를 정의하고 관련하여 열역학
제2법칙을 설명하고자 한다.

심화확인
1. 식(Ⅰ 5-22)를 유도하시오.
2. 그림 (I. 5-7)의 여러 기관들에 대해 알아 보시오.

71
3.2 엔트로피
카르노 순환에서 각 과정 동안 출입한 열은 다르지만 다음 식
엔트로피(entropy)라는 용어
는 클라우지우스(Clausius) QH Q
- C =0 (I. 5-23)
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그리스 TH TH
어로 진화, 변환의 뜻이다. 이 성립한다. 계의 열역학적 상태를 특정 짓는 상태 함수들은 계의 열역학적
과정에 상관없이 최종적으로 같은 상태에 도달하면 같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한 순환 과정을 거친 후 초기 상태로 되돌아오면 상태 함수들은 같은 값을 가지
며 순환 과정 동안 상태 함수의 변화량은 0 이 되므로 식(I. 5-23)은 카르노 순
식(I. 5-27)은 가역 과정, 준
정적 과정의 경우에만 성립되 환 과정 동안 변화가 0 인 어떤 물리량이 있음을 의미한다. 가역 과정의 경우 식
는 식이다. 그러나 엔트로피가
(I. 5-23)을 일반화하면
상태 함수이므로 처음상태와

{Q
n
나중상태가 같은 가역 과정으 i
=0 (I. 5-24)
로 대체하여 식(I. 5-27)을 이 i=1 T i
용하면 비가역 과정에서 엔트
이 성립한다. 이것은 한 순환 과정을 n 단계로 나누었을 때 각 단계에서의
로피 변화도 계산할 수 있다.
Q i /Ti 의 합이 0 이 됨을 의미한다. 단계를 더욱 미소단계로 나누면 다음과 같
이 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dQ
T

=0 #
(I. 5-25)

이것은 선적분이 경로에 무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가역 과정을 따라서


계산한 적분은 처음 상태 A 와 나중 상태 B 에만 관계하고 그 중간에 어떠한
열역학적 과정을 거쳤는지는 상관없다. 그러므로
dQ 를 미분으로 하는 새로
T
운 상태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상태 함수를 엔트로피라고 명명하면

엔트로피의 미소변화는
dQ (I. 5-26)
dS =
T
로 정의되고, 따라서 엔트로피는

S ]Bg - S ]Ag =
dQ
#
B
(I. 5-27)
A T
로 정의된다. 이것을 열역학적 엔트로피 또는 거시적인 엔트로피라고 한다. 이
정의에 의하면 엔트로피는 계에 열이 출입함에 따라 수반되는 양으로 계가 열
을 흡수하면 증가하고 열을 방출하면 감소하는 양이다. 열 출입이 차단된 경
우, 즉 단열 과정의 경우 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없다.

비가역 과정의 엔트로피


온도 TA = 500 K 인 물체와 온도 TB = 200 K 인 물체를 열접촉을 시
켜 1000 J 의 열이 전달되었고 A 와 B 가 큰 물체여서 이 정도의 열 이동
으로 물체의 온도 변화는 없다고 하자. 온도가 일정한 경우 엔트로피 변화는

72
I 역학

DS = Q/T 이므로 물체 A 의 엔트로피 변화는 DS A = -2 J/K 가 되고,


물체 B 의 엔트로피 변화는 DS B = 5 J/K 이 되어, 전체 엔트로피 변화는
DS = 3 J/K 으로 증가한다. 즉, 높은 온도 TH 인 물체에서 낮은 온도 TC 인
물체로 열 Q 가 흐를 때 엔트로피 변화는
Q Q
DS = - + (I. 5-28)
TH Tc
로, TH 2 TC 이므로, 항상 Q/TH 1 Q/TC 가 되어 계 전체의 엔트로피가
.

증가한다.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열이 전달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그 반대 과정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일은 없다. 대부분의 자연 현상
은 이와 같이 한 방향으로 열역학적 과정이 진행되고 이것을 비가역 과정이라
고 한다.
비가역 과정의 또 다른 예로 기체의 자유 팽창에 대해 알아보자. 중간에 잠
금장치가 있는 상자의 왼쪽에 기체를 두었다가 잠금 콕을 열어 기체들이 상자
에 고루 퍼지게 되었을 때의 엔트로피 변화를 알아보자.
고루 퍼진 후 자발적으로 한 쪽으로 기체들이 모두 다시 몰리는 경우는 나
타나지 않으므로 이 과정은 비가역 과정이다. 이러한 부피 팽창을 자유 팽창
이라 한다. 자유 팽창 과정 동안 단열되어 있다고 하면 계 전체의 출입한 열은
Q = 0 이고 기체가 일을 하지 않았으므로 W = 0 이어서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하면 내부 에너지 변화도 없다. 자유 팽창은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는 알 수
있으나 그 중간에 어떠한 상태들을 거치는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상태 함수는
열역학적 과정이 어떠한 경로였는지에 상관없이 같은 상태에 도달하면 같은 값
을 주므로 처음과 나중 상태가 동일한 잘 알려진 열역학적 과정을 이용하면 쉽
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자유 팽창의 경우 내부 에너지 변화가 없으므
로 처음과 나중 상태의 온도가 같다. 따라서 등온 팽창 과정과 처음과 나중 상
태가 동일하므로 준정적 등온 팽창 과정을 이용하여 같은 부피변화에 대한 엔
트로피 변화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n 몰의 이상기체가 자유 팽창을 통해 계
의 부피가 두 배가 되었다면 계의 엔트로피 증가는
DS = nR ln 2 (I. 5-29)
가 된다.

심화확인
n 몰의 이상기체가 처음 부피 Vi 에서 나중 부피 V f 로 등온 팽
창 하였다. 이 과정에서 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시오.

73
3.3 열역학 제2법칙
앞 절의 예에서 보듯이 엔트로피 변화는 열의 출입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다
양한 요인들에 의해 변할 수 있으며 비가역 과정의 경우 전체계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게 된다. 즉 뜨거운 커피를 두면 식고 구멍 난 풍선은 바람이 빠지
는 것과 같은 현상은 저절로 일어나며 그 반대 현상은 결코 저절로 일어나지 않
는다. 이와 같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들은 방향성을 가지며 이 때 그 방향
은 전체계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 전체계는 고립된 계를 의
미한다. 커피의 경우 커피만을 보면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엔트로피가 감소하
지만 주변으로 전달된 열에 의해 주변의 엔트로피는 증가하게 되고 커피와 주
변을 합한 전체계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등온 팽창의 경우 계
가 열을 흡수함으로써 증가되는 엔트로피를 열저장고가 계에 열을 줌으로써 잃
게 되는 엔트로피 감소와 같고 따라서 전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없게 된다. 이
경우는 어느 방향으로 열역학 과정이 일어나도 엔트로피 변화가 없는 가역 과
정이 된다. 즉 주변과 열접촉이 있는 계는 열역학 과정 동안 엔트로피가 감소하
거나 증가할 수 있지만 고립된 계에서 일어나는 자발적인 과정에 의해 엔트로
피가 감소할 수 없다. 우주 전체는 고립계이므로 우주의 엔트로피 변화는 결코
감소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즉,
DS $ 0 . (우주)
(I. 5-30)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이다. 실제 세상에서 온전한 가역 과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자발적인 열역학 과정은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
로만 일어날 수 있음을 말해준다.

심화확인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비가역 과정에 대한 몇가지 예를 들고 각
각의 경우 전체 엔트로피가 어떻게 증가하게 될지 정성적으로 설
명해 보자.

74
I 역학

연습문제

01 상자가 고정되어 있는 칸막이에 의해 같은 부피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한 쪽에는 1몰의 네온 기체가 4
기압 상태로 있고 다른 쪽에는 아르곤 기체가 1기압 상태로 있다. 상자 전체의 온도는 300k이다. 칸막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하였다. (단, 기체들은 이상기체로 간주할 수 있고,
상자는 칸막이를 통해 내부적으로 열전달이 가능하고 외부와는 단열되어 있다.)

(1) 최종 상태에서 상자의 온도는 얼마인가?


(2) 최종 상태에서 네온 기체와 아르곤 기체의 부피비는 얼마인가?
(3) 계의 전체 엔트로피 변화는 얼마인가?

02 열용량이 C 1 , C 2 인 두 물체가 처음 T1 , T2 인 상태에서 열적 접촉을 하게 되었다.


(1) 최종적으로 평형 상태에 이르렀을 때의 온도를 구하시오.
(2) C 1 & C 2 일 때 근사적인 최종온도를 구하시오.

03 낮은 온도에서 알루미늄 1몰의 열용량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 C = aT + bT 3 , (단 a , b 는 상수이다.)

온도 T 인 알루미늄 1몰의 엔트로피를 구하시오.

04 그림은 1몰의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의 한 순환 과정을 나태는 P


4P0
PV 그림이다. a과정은 일정한 부피에서 냉각되는 과정이고, b
Th
과정은 일정한 압력에서 가열되는 과정이며 c과정은 일정한 온도
a
c
Th 에서 압축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 한번의 순환 과정에서 행해진 일의 총 양을 구하시오. 등온선

(2) 저온의 열저장고로 방출된 열을 구하시오. P0


Tc b

V0 4V0 V

75
6 복잡한 현상의 물리
01 엔트로피
02 복잡계

생각 열기
많은 물체들로 이루어진 계의 특성을 계의 평균적인 거동을 통해 이해하고자 할 때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
한다.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음 설명된 현상들은 열역학적 현상들로서 엔트로피를 통계적인 방식으로 새
롭게 정의할 수 있었으며 열역학 법칙들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계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복잡한 집합적인 특성들을 보이는 복잡계를 새
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최근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은 전 세계
공항들을 통한 운송을 네트워크로 나타낸 것인데 이처럼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하여 복잡계의 특성을 설명
하고자 하는 복잡계 네트워크는 물리 현상뿐만 아니라 생물, 기술, 사회, 경제 분야 등의 다양한 현상들
을 설명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통계적인 엔트로피와 복잡계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76
I 역학

엔트로피
01 학습 목표 ■ 통계적인 관점에서의 엔트로피를 이해하고 열역학 제2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 방향성을 가진 현상들을 엔트로피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례들을 제시하고 분석할 수
있다.

1 상태수
앞장에서 열의 입출입과 관련된 형태로 엔트로피의 변화를 정의하였고
관련하여 열역학 제2법칙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엔트로피는 또 다른
관점인 통계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열의 입출입과 무관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고 이러한 정의는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이해를 넓혀준다.
이때 엔트로피는 계의 상태수와 관련이 된다. 계의 상태가 무엇이고 확률
적인 개념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동전 던지기
문제를 통해 두 상태계에 대해 알아보자.

동전 던지기
하나의 동전은 앞면과 뒷면 두 면만을 가진다. 동전의 각 면을 하나의 동
전이 가질 수 있는 상태라고 한다면 동전 던지기는 앞면과 뒷면, 두 상태만
을 가진 두 상태계가 된다. 동전 세 개로 이루어진 계를 고려하자. 동전 세
개를 동시에 던지면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는 표(I. 6-1)과 같이 총 8가지
경우이다. 세 동전을 구별해서 인식하면 ‘(앞, 앞, 뒤)’의 경우와 ‘(앞, 뒤,
앞)’의 경우는 다른 경우이지만, 세 동전을 구별할 수 없다면 ‘앞’의 두 경우
는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계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상태를 구별
하여 나타나는 상태를 미시상태라 하고 개별 구성요소의 모든 차이에 따라
상태를 구분 짓지 않고 그 계의 거시적인 양을 기준으로 구별되는 상태를

동전1 동전2 동전3 거시 상태


1 뒤 뒤 뒤 앞면 0
2 앞 뒤 뒤
3 뒤 앞 뒤 앞면 1
4 뒤 뒤 앞
5 앞 앞 뒤
6 앞 뒤 앞 앞면 2
7 뒤 앞 앞
8 앞 앞 앞 앞면 3

표 (I. 6-1) 세 동전의 가능한 상태들

77
거시 상태라고 한다. 그러면 위의 동전 던지기 문제에서 미시상태의 총수는 8
개가 되고 거시 상태를 앞면인 동전의 개수만을 기준으로 구분한다면 앞면이
없는 경우, 하나가 앞면인 경우, 두 개가 앞면인 경우, 모두 앞면인 경우 네 가
지가 구별되는 거시 상태가 된다. 이 중 앞면이 하나인 경우와 둘 인 거시 상태
에 해당하는 미시상태들은 각각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한 거시 상태
를 나타내는 미시상태들의 수는 많을 수 있고 이러한 한 거시 상태에 대응되는
미시상태들의 수를 그 거시 상태의 겹침수(multiplicity)라고 한다.
N 개의 동전을 던졌을 때 n 개가 앞면이 나오는 거시 상태의 겹침수
X ]N, ng 은 N 개 중 n 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가 된다. 따라서

X ]N, ng =
N!
n! : ]N - ng ! (I. 6-1)
이 된다.

이상적인 상자성체
앞서 동전을 두 상태계의 예로 들었는데 이 경우에 대응되는 실제 중요한 물
물리학에서 원자 수준의 작은
리계로 상자성체를 들 수 있다. 모든 물질들은 원자핵과 전자에 의해 원자내에
크기의 세계를 다루는 경우 보
통 크기 이상의 세계에서 성립 자기 쌍극자를 형성하게 되고 외부 자기장에 반응한다.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
하는 고전 역학 체계가 성립하
는 물질내의 자기 쌍극자들이 서로 상쇄되어 자성을 띠지 않지만 외부 자기장
지 않고 새로운 역학 체계에서
다루어지게 되는데 그것을 고 을 걸어 주면 자기 쌍극자가 자기장에 평행하게 정렬하려는 성질 때문에 자성
전 역학과 구분하여 양자 역학
을 띠게 되는 물체를 상자성체라고 한다. 상자성체를 구성하는 자기 쌍극자는
이라고 한다. 양자 역학의 가
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는 하나의 전자, 원자내의 전자군, 또는 원자핵일 수 있다. 이런 미시적인 쌍극자
특정 물리량들의 값이 연속적 의 모멘트 값이 양자 역학적으로 연속적인 값이 아닌 띄엄띄엄 떨어진(양자화
인 값을 가질 수 없고 양자화
된 값을 갖는다는 사실이다. 된) 값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 자기 쌍극자가
외부 자기장에 평행한 방향이나 반 평행인 방향 두 방향만을 가질 수 있다면 한
쌍극자가 가질 수 있는 상태가 두 상태인 문제가 되어 동전의 문제와 같이 생각
할 수 있다 (그림 (I. 6-1)).
이와 같이 한 쌍극자가 두 상태만을 갖는 N 개의 쌍극자로 이루어진

그림 (I. 6-1) 이상적인 두 상태 상자성체

그림 (1. 6-1)과 같은 이상적인 상자성체를 고려하자. 이상적인 상자성체의 경


우 쌍극자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무시하고 외부 자기장에 대한 반응만을 고려한
다. 이러한 경우 자성체의 상태는 전체 쌍극자 중 몇 개가 외부 자기장에 평행
한 방향으로 정렬하였는가로 결정된다.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의 쌍극자 개수를

78
I 역학

N - 이라 하고 반 평행한 개수를 N . 이라 하자. 균일한 외부 자기장 B 가 걸려


있을 때 자기 쌍극자 모멘트가 n 인 쌍극자의 자기 에너지는 e = -n : B 이
므로 N 개의 자기 쌍극자로 이루어진 상자성체의 내부 에너지 U 는

U = e ]N . - N -g = e ]N - 2N -g (I. 6-2)

가 된다. 계의 내부 에너지는 결국 N - 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자성체의


열역학적 상태는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인 쌍극자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고 자기
장이 일정한 경우 이 개수는 계의 온도에 의존한다. N - 에 의해 한 거시 상태가
결정되어도 그 거시 상태를 이루는 많은 미시상태들이 존재한다. 전체 N 개의
쌍극자 중 N - 개가 평행한 거시 상태의 겹침수는 동전 던지기의 경우와 마찬가
지로 N 개 중 N - 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가 되므로

X ]N, N -g =
N!
N - ! : ]N - N -g ! (I. 6-3)
이 된다.

2 겹침수 증가 법칙
겹침수는 계가 열역학적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평형 상태에 이를 때 어떠한
열 평형 상태에 있는 고립된
상태에 도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역할을 한다. 표(I. 6-1)를 보면 모두 앞 계에서 모든 허용된 미시상태
1 3 들이 나타날 확률은 동등하다.
면이 나올 확률은 8개 중 하나로 이고, 앞면이 하나 확률은 인 것을 알 수
8 8 이 가정을 증명할 수는 없지만
있다. 이것은 8개의 미시상태들이 나올 확률은 동등하다는 전제하에 특정 거시 이것이 가정되지 않는다면 통
계역학적으로 계를 설명하는
상태가 나올 확률은 전체 겹침수와 해당 거시 상태의 겹칩수의 비로 결정되는 것
을 알 수 있다. 즉, N 개의 동전을 던져 n 개가 앞면이 나올 확률 P ]N, ng 은
것이 불가능해지므로 통계역
학의 기본 가정으로 받아들이

X ]N, ng
고 있다.
P ]N, ng =
X ]전체 g

(I. 6-4)

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거시 상태가 나타날 확률은 동등하지 않으며 겹침수가


클수록 즉 해당 미시상태수가 많을수록 특정 거시 상태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
진다. N = 100 인 경우 앞면이 하나도 나오지 않는 거시 상태의 겹침수는 1
인 반면 앞면이 50개가 나오는 거시 상태의 겹침수는 1.0 # 10 29 이다. 앞면
이 50개인 거시 상태가 나타날 확률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보통의 열역학
계는 아보가드로 수 정도인 N = 10 23 이상인 계이므로 거시 상태들에 대한 겹
델타함수는 x = a인 점에서만
침수 함수가 거의 델타 함수 형태로 되어 겹침수가 최대인 거시 상태가 나타날 큰 값이 존재하고 다른 영역에
확률이 1이 된다고 볼 수 있고 이 상태가 바로 열역학적 평형 상태가 된다. 만 서 값이 0이 되어 0이 아닌 부
분을 포함하는 적분이
약 두 계가 합쳐지고 전체계는 외부와 상호 작용이 없는 고립계로 계가 새로운
# d ](xxg-dx
3
==
a)dx 1 1이 되는 특
-3
열역학 평형 상태에 이르게 된다면 그 평형 상태는 모든 가능한 미시상태가 동
성을 갖는 함수이다.
등하게 나타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열역학적 평형 상태는 결국 겹침수가 가장

79
큰 거시 상태가 된다. 즉 처음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새로운 평형 상태에 도달한
다는 것은 그 계의 겹침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종적으로 겹침수가 가
장 큰 거시 상태에 이르게 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찬물과 더운물을 섞으
면 더운물에서 찬물로 열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미지근한 물이 되는 것은 한
쪽에 에너지가 몰리는 것보다 에너지가 고르게 나누어지는 것이 전체계의 겹침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자연 현상이 방향성을 보이는 것은 단지 확률적인 문제로 고립계
의 겹침수가 최대가 되는 상태로 자발적으로 어떠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결국 자발적인 열역학 과정이라는 것은 항상 계의 겹침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그림 (I.6-2) 볼츠만(Boltzmann)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한 것이 바로 열역학 제2법칙
의 묘비. 통계물리의 기초를 세운
볼츠만을 기리기 위해 식 (I. 6-5) 이다. 겹침수와 연관하여 통계적 엔트로피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으며 열역학
이 묘비에 새겨져 있다.
적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설명한 열역학 제2법칙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심화확인
방안의 공기분자들이 전체에 고루 퍼져 있는 경우와 반쪽에 몰려
있는 경우의 겹침수 비를 구하여 방안 반쪽에 공기분자들이 모두
모일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가늠하여 보자.

3 통계적 엔트로피
23
실제계의 겹침수는 10 10 정도의 크기를 갖는 아주 큰 수이다. 이렇게 큰 수
는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로그를 취해 10 23 정도의 크기로 줄일 수 있으며
10 -23 크기의 상수값을 곱한다면 일반적인 크기의 숫자로 취급할 수 있다. 겹
침수에 로그 함수를 취하고 볼츠만 상수를 곱한 것을 엔트로피 S 로

S = k ln X (I. 6-5)
통계적인 엔트로피 정의와 열
역학적 엔트로피 정의는 표현 로 정의한다. 식(I. 6-5)은 계를 구성하는 입자 또는 원자들의 배열 상태로부
형태가 다를 뿐 동일한 양을 나
터 정의된 양이므로 엔트로피의 미시적인 정의 또는 통계적인 정의라고 한다. 엔
타낸다. 온도 개념을 이용하면
그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트로피를 이용하여 열역학 제2법칙을 다시 살펴보면, 로그 함수는 단조 증가
이때 온도는 다른 열역학 변수
함수이므로 큰 겹침수를 갖는 거시 상태는 역시 큰 엔트로피를 갖는다. 그러므
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내부
에너지 변화에 따른 엔트로피 로 평형 상태에 있는 계는 가장 큰 엔트로피를 갖는 거시 상태에서 발견되고,
변화의 척도를 나타내는 양으 평형 상태에 있지 않은 고립계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최종 평형 상태
로 새롭게 이해될 수 있다.
에 도달한다. 이것이 엔트로피 증가 법칙으로 표현되는 열역학 제2법칙이다.

80
I 역학

복잡계
02 학습 목표 ■ 네트워크 이론을 이해하고 복잡계를 네트워크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 과학, 기술 분야 뿐만 아니라 경제 현상, 뇌과학, 생태계 등을 복잡계 네트워크로 이해할
수 있다.

1 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는 점(vertex, node)과 연결선(edge, link)들로 이루어진 그 점


래프이다. 그림 (I. 6-3) (가)에서 보듯이 가장 간단한 형태가 점과 선만으
로 이루어진 그래프이고 (나)의 경우처럼 연결선들이 들어오고 나오는 방향
이 네트워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방향성을 고려한 것을 방향성 네트워크
(directed network)라고 한다. 각 점의 연결의 중요도가 다를 경우 연결선 (가)

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고 (다)처럼 가중치가 부여된 그래프를 가중치 네 0.3



트워크(weighted network)라고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특성을 이해하

0.1
0.5
기 위해 제시된 간단하고 기본적인 네트워크 모형이 무작위 네트워크(random
network)이다.
점들의 개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무작위로 두 개의 점들을 선택하여 선을 (나)

연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만든 네트워크를 무작위 네트워크라고 하다. 점 0.3 0.7



들의 개수가 N " 이고3총 연결선 수가 M 이라면 한 점당 평균 연결선 수 k
k =2 선
M N 0.1
0.5 0.2 0.8
는 k =2 이 된다. 한 점에 들어오는 (또는 나가는) 연결선의 수를 연
N
결선 수(degree) k 라고 하고 k 의 평균값은 앞에서 보인 대로 결정되지만 (다)

각 점의 k 는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k 값의 분포를 연결선 수 분포(degree 그림 (I. 6-3) 네트워크들의 예 (가)

distribution) P ]kg 라고 하고, 무작위 네트워크처럼 네트워크의 점들이 통 보통의 네트워크 (나) 방향성 네트워
크 (다)가중치 네트워크
계적으로 독립적일 때 연결선 수 분포는 네트워크의 통계적인 특성들을 완전히
결정한다. N " 3 이고 연결선 수 평균값이 유한한 값을 가질 때, 무작위 네
크워크의 연결선 수 분포는 다음과 같은 푸아송 분포(Poisson distribution)
를 따른다.

P ]kg =
e - < k > < k >k
(I. 6-6)
k!
그림 (I. 6-4) (가)는 여러 k 에 대한 푸아송 그래프를 보여 주고 (나)는
k = 2 일 때 무작위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 준다.

81
0.40
<K>=1
0.35
<K>=4
0.30
<K>=10
0.30

P(k) 0.30

0.30

0.30

0.30

0.30
0 5 10 15 20
k
(가) (나)

그림 (I. 6―4) (가) 푸아송 분포 (나) <k>=2인 무작위 네트워크

2 복잡계 네트워크
네트워크 이론은 최근 과학 분야에서 복잡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이론으로
복잡계의 정의나 특성들을 좀
이용됨으로써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복잡계(complex system)라는 용어
더 정확히 과학적으로 규정하
는 일은 현재에도 여러분야에 는 일상적인 의미로 생각하면 간단한 계(simple system)에 반대되는 복잡한
서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계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복잡성(complexity)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정
의하고 복잡계에 대해 과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진 것은 최근이고 특히 1998년
이후 복잡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면서 물리학 분야에서 큰 관심
을 받게 되었고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생명과학, 공학, 사회, 경제 분야 등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현상들을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설명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I. 6―5) (가) 현미경으로 본 뉴런의 모습 (나) 인간 두뇌

그림 (I. 6-5)는 뉴런과 인간 두뇌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두뇌는 뉴런과 다


른 많은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인간이 생각하고 인지하는 것과 같은 큰 스
케일의 중요한 두뇌 활동은 뉴런의 활동과 뉴런 집단 사이의 연결 모양에 의해

82
I 역학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뉴런의 개별적인 활동이나 촘촘한 연결망이


어떻게 두뇌 활동들을 일으키는지는 아직 잘 이해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두뇌
활동은 복잡성을 띠고 있으므로 두뇌를 복잡계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
교적 간단한 구성요소들이 많은 수를 이루어 서로 상호 작용하여 집합적인 행
동을 보이는 계를 복잡계라고 할 수 있다.
임의의 복잡계의 복잡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한 방편으로 복잡계에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것이 복잡계 네트워크이다. 복잡계 네트워크의 대표적
인 예로 좁은 세상 네트워크와 척도 없는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자.

좁은 세상 네트워크
사람들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사회도 하나의 복잡계로 생각할 수 있다.
1960년대 사회학자 밀그램(Milgram)은 편지전달 실험을 통해 여섯 단계로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다는 좁은 세상(small-world)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것의 과학적인 정의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 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림 (I.
6-6 (가))는 점들이 원형을 이루고 가장 가까운 점들과 두 번째 가까운 점들을
연결하여 k = 2 인 규칙적인 정상 네트워크(regular network)이다.

(가) p = 0 (나) 0 < p < 1 (다) p = 1

그림 (Ⅰ. 6-6) (가) 정상 네트워크 (나) 좁은 세상 네트워크 (다) 무작위 네트워크

이 네트워크의 연결선들을 p 의 확률로 끊어서 무작위로 선택한 다른 점에 연


결한 모습이 그림 (I. 6-6 (나))이다. p = 1 인 경우는 무작위 네트워크에
해당된다 그림 (I. 6-6 (다))에서는 p 값이 커질수록 네트워크의 무작위성
(randomness)는 커지고 가로지르는 연결선들이 많아져서 점들 사이의 연결
단계가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물리량이 평균
경로 길이 L (average path length)이다.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경로 길이는
두 점을 연결하는 가장 짧은 경로의 연결선 개수로 정의되고 평균 경로길이는
모든 두 점 사이의 경로 길이를 평균한 값이다. 평균 경로 길이는 네트워크의
크기 N (점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정상 네트워크의 경우 평균 경로 길이
가 네트워크 크기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반면 p > 0 인 경우
L + ln N (I. 6-7)

83
인 관계를 만족한다. 이와 같이 평균 경로 길이가 네트워크 크기에 로그 함수
적으로 비례하는 경우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경우보다 평균 길이는 짧은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좁은 세상 성질이라고 하고 그림 (I. 6-6 (나))의 경우
처럼 일부 가로 지른 연결선에 의해 좁은 세상 특성을 보이는 네트워크를 좁은
세상 네트워크라고 한다.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
복잡계 네트워크의 또 다른 특성으로 척도 없는 성질(scale-free
property)을 들 수 있다. 무작위 네트워크의 연결선 수 분포인 푸아송 분포는
평균값에서 최대가 되고 대부분의 값이 평균값 근처에 모여 있는 특징이 있어
평균값을 계를 특성 짓는 척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연결선 수 분포가 다음과
같은 멱법칙 (power-law)을 따르는 경우
P ]kg + k -c (I. 6-8)
그림 (I. 6-7)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예
계를 특성 짓는 척도 없이 연결선 수가 매우 커서 허브 역할을 하는 점들이 존
재하고 넓은 범위에 걸친 연결선 수를 갖는 다양한 점들이 존재하는 구조를 갖
는다. 이처럼 연결선 수 분포가 멱법칙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척도 없는 네트워
크라고 한다. c 는 연결선 수 지수라고 하고 분포의 모습을 결정한다. 그림 (I.
6-7)은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고 그림 (I. 6-8)
은 멱법칙을 따르는 연결선 수 분포 그래프를 보여 준다.
임의의 두 점을 잇는 경로 길이를 구할 때 허브 점들을 거쳐 가면 그 길이가
그림 (I. 6-8) 멱법칙 분포. 초록색
부분에 대부분이 포함되고 노란색 굉장히 짧아질 수 있으므로 척도 없는 네트워크는 좁은 세상 성질을 보인다. 많
부분과 같은 뚱뚱한 꼬리(fat tail)을 은 실제 복잡계들이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특징들을 보인다는 것이 최근 연구
갖는다.
들에서 밝혀졌는데 다음 절에서 자세히 알아 보자.

3 실제 다양한 분야의 복잡계 네트워크


이 절에서는 여러 분야의 실제 복잡계에 적용된 복잡계 네트워크의 예들을
살펴 보자.

통신 네트워크
20세기 후반부터 통신 분야의 발전이 비약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대표적
인 예가 인터넷의 이용이다. 인터넷은 물리적으로 서버, 라우터와 개인 컴퓨터
들이 전선으로 연결된 연결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터넷 연결망에
서 서버, 라우터 및 개인 컴퓨터들을 점으로 간주하고 직접 전선에 의해 연결된
경우 두 점 사이에 연결선을 그어주면 인터넷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인터넷

84
I 역학

그림 (I. 6―9) 인터넷 네크워크 그림 (I. 6―10) WWW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c = 2.2 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알려져 있다.물리적인 연결망이


아닌 웹 페이지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는 WWW 네트워크로 웹 페이지를 점으
로 하고 하이퍼링크가 되어있는 웹 페이지 사이를 연결한 네트워크이다. 이 경
우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된 웹 페이지로 들어가는 연결선을 고려하여 방향을
주어 방향성 네트워크가 된다. 들어오는 연결선과 나가는 연결선 각각에 대한
연결선 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들어오는 연결선 지수는 c in = 2.1 이고 나가
는 연결선 수 c out = 2.82 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인 것이 알려졌다. 이것은 대
부분의 웹 페이지이 비슷한 개수의 연결선 수를 갖는 것이 아니라 포털사이트
의 메인 페이지들은 훨씬 많은 웹 페이지과 연결되어 허브 역할을 하는 것이 반
영된 결과이다. 또한 nd.edu 도메인에 속하는 웹 페이지로 구성된 네트워크
의 평균 경로 길이가 L ]N g . 0.35 + 2.06 log 10 N 로 좁은 세상 성질을 보
인다. 더 많은 수의 웹 페이지를 포함한 경우로 2억 개의 웹 페이지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의 경우 L = 16 인 반면 8억 개의 경우 L = 19 로 네트워크 크기가
4배로 늘어나도 점들 사이의 연결 단계는 세 단
계만 증가한다.

생물 네트워크
먹이 그물 망에서 종들을 점으로 나타내고 포
식자와 피식자 사이의 방향성 연결을 하여 생태
계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그림 (I. 6-11)).
이러한 생태계 네트워크의 경우 먹이사슬의 범위
에 따라 종의 개수를 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먹이 사슬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접근
하기에 작은 크기라는 문제점들이 있다. 실제 조
사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생태계 네트워크의
경우 뒷부분이 두터운 멱함수를 따르는 연결선 그림 (I. 6-11) 먹이사슬 네트워크

85
수 분포를 나타내기보다 연결선 수가 커짐에 따라 빠르게 분포 함수가 작아지
는 특징을 보인다.
또 다른 생물 네트워크 예로 신진대사 네트워크와 단백질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신진대사 네트워크는 신진대사 반응에서 추출물 또는 생산물의 역할을
하는 분자 화합물인 기질을 점으로 나타내고 추출물과 생성물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한다.
한편 단백질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상호 작용이 있는 단백질들을 서로 연결하
여 만들 수 있다(그림 (I. 6-12)). 신진대사 네트워크는 인 c = 2.2 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단백질 네트워크는 멱함수 형태에 지수
함수 보정이 필요한 모습으로 온전한 척도 없는 성질을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
나 모두 좁은 세상 성질을 보인다.

그림 (I. 6-12) 단백질 상호 작용 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사회 속에서 보이는 특성들 또한 네트워크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러
사회관계들로부터 형성된 복잡계 네트워크들이 척도 없는 성질과 좁은 세상 성
질을 보인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영화배우 네트워크, 과학자들의 공동 연구 네
트워크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복잡계를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려는 연
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경제 부분에서는 주식회사들의 주식 가격 상관관계
를 이용한 가중치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식회사 특성들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문학 부분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 네트워크와 언어학 부분에서의 인간 언어의
단어 네트워크 등은 다양한 분야의 복잡계를 네트워크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
음을 보여주며 서로 다른 분야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성질들을 확인할 수 있음
을 의미한다.

86
I 역학

연습 문제

01 분자수 N , 부피 V , 내부 에너지 U 인 이상기체의 엔트로피는 섹쿠르-테트로드 방정식(Sackur-


Tetrode equation)으로 알려진 다음식과 같다.

S = Nk ;ln b
V l 4rmU 3/2
c m + E
5
N 3Nh 2 2
가운데에 칸막이가 되어 있는 부피 2V 인 상자의 왼쪽에 헬륨 1몰이 들어있고 오른쪽에는 아르곤 1몰이
들어있다. 상자의 칸막이를 없앤 후 열역학적 평형 상태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고 이 과정을 열역학 제2법칙으로 설명하시오.

02 양자 조화 진동자(quantum harmonic oscillator)는 불연속적인 에너지를 가진다. (예를 들어, 0, 1,


2, 3, ....로 주어지는 에너지를 갖는다고 하자.) 이 진동자 3개로 이루어진 계의 총 에너지가 0인 경우 계
의 미시상태는 각 진동자의 에너지가 0인 미시상태 하나만이 존재한다. 총 에너지가 1이라면 한 진동자의
에너지가 1이고 나머지는 0인 경우에 가능하며 그러한 배분 방법의 수는 3이므로 계의 미시상태수는 3이
된다. 계의 진동자의 수가 N 이고 총 에너지가 q 라고 할 때 다음 경우의 미시상태들을 표로 나타내시오.
(1) N = 3, q = 3
(2) N = 3 , q = 4
(3) N = 4 , q = 2
(4) N 과 q 에 관한 일반적인 겹침수 공식을 구하시오.

03 각 점들이 원형을 이루고 있고 각 점들과 가장 가까운 점들과 서로 연결된 정상 네트워크를 고려하자. 점의


개수가 4개, 8개, 16개일 때 평균 경로 길이를 계산하여 L ~ N 의 관계가 성립됨을 보이고 이러한 정상
네트워크의 특성을 좁은 세상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87
점프 프로젝트

어떤 막대가 먼저 쓰러질까?
회전하고 있는 팽이가 기울어지면 중력 때문에 곧장 쓰러질 것같지만, 팽이는 쉽게 쓰
러지지 않는다.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 회전하는 물체에 토크가 작용하는 경우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발구르기 단계

아래의 각 실험에 대해 각자 예측을 하고 조원들과 논의를 해보자. 실험 방법에 따라 실험을 한 후, 관찰 결과를 예


측과 비교해 보자. 그리고 관찰 결과를 물리이론을 토대로 설명해 보자.

(1) 다음 그림과 같이 긴 막대와 짧은 막대가 비스듬하게 세워져 있다. 둘을 동시에 놓으면 어느 것이 먼저 바닥에
도달할까? 단, 막대는 미끄러지지 않고 축이 고정된 채 회전한다.

실험 방법 예측 관찰 결과

θ θ

설명:

θ θ
(2) ‌다음 그림과 같이 길이와 무게가 같은 두 개의 막대 중 하나의 끝에 무거운 추를 매달고 비스듬하게 놓으면 어
느 것이 바닥에 먼저 떨어질까? 단, 막대기는 미끄러지지 않고 축이 고정된 채 회전한다.
θ종이컵 θ
실험 방법 예측 관찰 결과

θ θ

설명:
종이컵

88
I 역학

θ θ

(3) ‌다음 그림과 같이 막대가 쓰러질 때 막대 끝에 동전을 올려놓아 보자. 막대가 쓰러질 때 동전의 자유 낙하 속력
과 막대 끝의 속력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빠를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 동전 아래쪽에 작은 종이컵을 부착하고 막
대를 쓰러뜨려
θ 보자. 단, 막대는
θ 미끄러지지 않고 축이 고정된 채 회전한다.

실험 방법 예측 관찰 결과

종이컵

설명:

공중도약 단계

(1) 짧은 막대는 긴 막대에 비해 왜 먼저 쓰러지는지 각가속도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2) 끝이 무거운 막대가 끝이 가벼운 막대에 비해 왜 늦게 쓰러지는지 각 가속도를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3) 쓰러지는 막대 끝 선가속도의 크기가 중력 가속도의 크기보다 크게 되는 조건을 구하시오.

착지 단계

(1) ‌사진은 긴 굴뚝이 넘어질 때의 모습이다. 이 사진에서와 같이 굴뚝이 넘어질 때 굴뚝의 중


간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 그림과 같이 버섯 모양의 나무로 만든 팽이를 바닥에서 회전시키면 팽이는 거꾸로 뒤집혀
서 회전한다. 이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89
전자기학
Ⅱ 1 전기장과 가우스 법칙 2 전기 회로 3 자기장과 전자기 유도
4 교류 전기와 전자기파 5 의료의 물리학

90
Ⅱ 전자기학

단원 열기

전자기학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자기 현상은 이미 기원전 2000년 무렵 중국 문헌에 등장하며, 전기
역시 기원전 700년 무렵 고대 그리스 세계에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전기와 자기가 서로 연관이 있다는 점은 19세기에
와서야 밝혀졌고 맥스웰이 수학적인 형태로 정리하여 전자기학 이론이 확립되었다. 우리 주위에는 전자기학의 원리들이
응용된 많은 장치들이 있다. 컴퓨터, 텔레비전, 핸드폰, MP3 등등 많은 전자 기기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전자 기
기 외에도 현대 과학 기술에서는 전자기학을 응용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정도이다. 수많은 기계 장치들은 전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발전기로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고, 전기 회로에 의해 제어 된다. 또한 인간의 감각을
흉내 내는 수많은 센서 들도 결국에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단원에서는 먼저 대칭성을 이용하
여 전기장과 자기장을 쉽게 구하는 방법인 가우스 법칙과 암페어 법칙에 대하여 알아보고, 축전기, 교류 등 다양한 전기
회로를 다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학의 응용과 관련이 깊은 전자기파와 통신 및 인체나 의학과 관련된 물리학의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자.

91
전기장과 가우스 법칙
01 가우스 법칙
02 도체와 유전체의 전기장
03 전위
04 정전 차폐와 등전위면

생각 열기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은 쿨롱의 법칙으로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전하의 분포가 만드는 전기장을 쿨롱 법
칙으로 구하기에는 계산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단원에서는 대칭성을 띤 전하 분포에 의해 만들어
지는 전기장에 관한 유용한 성질을 나타내는 가우스 법칙에 대해 알아보고 가우스 법칙과 전기력선, 등전
위면 등의 개념을 이용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전기장에 대해 생각해 보자.

92
Ⅱ 전자기학

가우스 법칙
01 학습 목표 ■ 전기 선속 개념을 이용하여 가우스 법칙을 유도하고 가우스 법칙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1 전기 선속
먼저 가우스의 법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전기 선속(flux of electric
field)에 대해 알아보자. ‘선속(flux)’은 ‘흐른다(flow)’에서 유래한 용어로 그 E
A
림 (Ⅱ. 1-1)과 같이 관속을 통과하는 유체의 단위시간 당 부피를 생각하면 이
A
해하기 쉽다.
그림 (Ⅱ. 1-2) 가상면을 통과하는
V1
전기 선속
V2
면적 A1 면적 A2

A
V2 Dt E z
z
V1 Dt
A1 A
그림 (Ⅱ. 1-1) 관속을 통과하는 유체의 부피

그림 (Ⅱ. 1-3) 비스듬한 가상면을


그림 (Ⅱ. 1-1)에서 면적 A 1 인 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v 1 일 때 시 통과하는 전기 선속

간 Dt 동안 관의 단면을 통과한 유체의 부피는 A 1 V1 Dt 가 되고 단위시간 당 A

통과한 유체의 부피를 나타내는 부피 흐름률은 다음과 같다.


z = 90o
A V Dt (Ⅱ. 1-1) E
U= 1 1 = A 1 V1 = A 2 2
Dt V

즉, 관의 단면을 통과하는 부피 흐름률은 단면적과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그림 (Ⅱ. 1-4) 가상면이 전기장에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부피 흐름률은 선속의 한 예를 든 것이고, 선속의 일
나란할 때 전기 선속
반적인 정의는 면적과 그 면을 통과하는 장의 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그림 (Ⅱ. 1-2)와 같이 균일한 전기장 E 가 펼쳐진 공간에 면적 A 인 여기서 A 는 면적 벡터로서
크기는 단면의 면적 A 이고
가상면이 전기장에 수직하게 놓여 있는 경우 가상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 U = EA
방향은 단면에 수직인 벡터
는 전기장의 세기 E 와 넓이 A 의 곱으로 이다.

U = EA (Ⅱ. 1-2) 그림 (Ⅱ. 1-2)와 같이 가상


면이 전기장에 수직하게 놓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인 경우 벡터를 이용해 표현
가상면이 전기장에 수직하지 않게 놓인 경우에는 방향에 따라 가상면을 통과 하면 전기장 벡터 E 와 면적

하는 선속의 크기가 달라진다. 그림 (Ⅱ. 1-3)과 같이 가상면이 전기장의 방향 벡터 A 의 방향이 나란하다


고 표현할 수 있으므로 혼동
에 대해 z 의 각도만큼 비스듬히 놓여 있는 경우, 단면 A 를 통과하는 선속은 하지 않아야 한다.
단면 A = 를 통과하는 선속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다.

93
U = EA = = EA cos z = E : A (Ⅱ. 1-3)
식을 보면 z 가 0c 이면 전기 선속이 최대이고, 90c 이면 전기 선속이 0이
됨을 알 수 있다.
전기장 또는 가상면의 크기나 방향이 고르지 않더라도 미소 구간에서 전기
장은 균일하므로 dU i = E i : dA i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면 전체의 전기
선속은
U = { E i : dA i (Ⅱ. 1-4)
i

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이 미소 면적의 크기가 dA i " 0 이라면 이때의 전


기 선속은 적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U = dA
lim"0
{ Ei : dAi = # E : dA (Ⅱ. 1-5)
i

1.2 가우스 법칙
가우스 법칙은 폐곡면을 통과하는 선속에 관한 법칙이다. 가장 단순하게 빈
공간에 하나의 양의 점전하가 있는 경우로부터 전기장에 대한 가우스 법칙을
+q dA
유도해 보자.
E
그림 (Ⅱ. 1-5)와 같이 전하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r 인 구면을 생각한다.
이렇게 만든 가상의 폐곡면을 가우스 곡면이라고 한다.
그림 (Ⅱ. 1-5) 가우스 곡면으로 둘
러싸인 점전하 이 가우스 곡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은 U = # E : dA 이다. 그런데 구
면 위의 모든 위치에서 전기장 E 의 세기가 E = 1 q2 로 일정하고 미소
4re 0 r
면적 dA 와 방향이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q q
순환적분( # )은 폐곡선이
U= # E : dA = # E cos idA = E # dA = 2
4re 0 r 2 4rr = e 0
q
` # E : dA = e
나 폐곡면 전체에 대한 적
분을 의미한다. 폐곡선
(Ⅱ. 1-6)
0
이 반지름이 r 인 원일 때
이것이 가우스 법칙이다. 여기서는 하나의 점전하를 둘러싼 구면에 대해 생
# dl = 2rr 이 되고 보통 반
시계 방향을 정(+)방향, 시 각했지만 벡터 대수학을 이용해 논의를 확장하면 임의의 전하 분포에 대해 임
계 방향은 부(-)방향으로 한 의의 폐곡면을 적용해도 식 (Ⅱ. 1-6)이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다. 또한 폐곡면이 반지름이
식 (Ⅱ. 1-6)으로 표현되는 가우스 법칙의 의미는 가우스 곡면을 통과해 나
r 인 구일 때 # dA = 4rr 2

이 되고 면적 벡터 dA 의 방 가는 전기 선속은 가우스 곡면 내부의 전하량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뜻이다. 식


향은 폐곡면 안에서 밖으로 에 의하면 가우스 곡면 내부에 전하가 없는 경우 가우스 곡면을 통과해 나가는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으
전기 선속도 0이 된다. 균일한 전기장에 놓인 직육면체 가우스 곡면을 예로 들
로 한다.
어 확인해 보자.

94
Ⅱ 전자기학

그림 (Ⅱ. 1-6)과 같이 균일한 전기장 E 가 펼쳐진 공간에 놓인 직육면체 A5


A3
모양의 가우스 곡면을 생각하자. 그림에서 보듯이 면적 벡터 A 1 은 전기장과 E

반대 방향이고 A 2 는 전기장과 같은 방향, 나머지 A 3 , A 4 , A 5 , A 6 은 전 A4


기장과 수직한 방향이다. 이 가우스 곡면의 각 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은 다음
A1 A2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6
U A = E : A = EA cos 180c = -EA
1
(Ⅱ. 1-7)
그림 (Ⅱ. 1-6) 균일한 전기장에 놓
U A = E : A = EA cos 0c = EA
2
(Ⅱ. 1-8) 인 직육면체 모양 가우스 곡면

U A = U A = U A = U A = E : A = EA cos 90c = 0 (Ⅱ. 1-9)


3 4 5 6

따라서 가우스 곡면 전체를 통과하는 전기 선속은


6 전기력선은 흘러가는 것이
U= # E : dA = { E i : A i = -EA + EA = 0 (Ⅱ. 1-10)
아니라 전기장의 방향을 나
i=1

이다. 이는 가우스 곡면 내부에 전하가 없기 때문에 가우스 곡면을 통과하는 전 타내는 선이지만 전기력선을
흐르는 물로 비유하면 가우
기 선속이 0이라는 가우스 법칙의 결과와 일치한다. 스 법칙을 이해하는 데 도움
참고로 식 (Ⅱ. 1-7)에서 A 1 을 통과한 선속은 (-)부호를 갖게 되는데, 이 이 된다. (+)전하는 전기력
선을 방출하는 수도꼭지로,
는 선속이 면을 통과해 들어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A 1 을 통해 들어간 전
(-)전하는 전기력선을 빨아
기력선이 A 2 를 통해 빠져나온 것으로 생각하여 총 전기 선속이 0이 된다고 볼 들이는 배수구로 생각하고
수 있고, 가우스 곡면 외부의 전하는 가우스 법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 단위 시간 당 흘러가는 물의
양을 전기 선속으로 비유할
미를 확인할 수 있다.
수 있다.

면으로 들어가는
전기력선 면을 빠져 나가는
전기력선

그림 (Ⅱ. 1-7) 가우스 곡면 바깥의


전하와 전기력선

95
도체와 유전체의 전기장
02 학습 목표 ■ 대칭적 전하 분포에서 가우스 법칙을 이용하여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 도체와 유전체의 내부와 외부의 전기장을 예측할 수 있다.

2.1 균일하게 대전된 직선 주위의 전기장


E 가우스 법칙을 이용해 균일하게 대전된 무한히 긴 직선 도선으로부터 r 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전기장을 구해 보자.
r

그림 (Ⅱ. 1-8)과 같이 도선과 같은 축 상에 길이가 l 이고 반지름이 r 인


l 원통 모양의 가우스 곡면을 설정하면 가우스 면 위의 한 점에서 전하의 분포가
그림 (Ⅱ. 1-8)원통형 가우스 곡면 대칭적이므로 도선 주위의 전기장은 원통의 옆면에 수직인 반지름 방향일 수밖
에 없다. 따라서 원통의 양쪽 뚜껑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은 0이 된다. 원통 옆
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이 가우스 곡면 전체를 통과하는 전기 선속이므로 가
우스 법칙을 이용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QQ
UU==# #EE::dA
dA==# # 옆면 EE::dA
dA== e
e (Ⅱ. 1-11)
0 0

여기서 Q 는 가우스 곡면 안의 전체 전하량이다. 대칭성에 의해 원통 옆면


어느 곳에서도 전기장의 세기는 같고 방향은 면에 수직인 방향이므로 E 는 적
분 앞으로 빼낼 수 있다.

# 옆면
dA==# #EdA
EE::dA EdA==EE# #dA
dA (Ⅱ. 1-12)

원통의 옆 면적 # dA 는 2rrl 이고 이 원통에 둘러싸인 도선의 전하 Q 는


λl이므로 다음 식을 얻는다.
E ]2rrlg = e

ml
0 (Ⅱ. 1-13)
따라서 선전하 밀도 I로 균일하게 대전된 무한히 긴 직선 도선으로부터 r
선전하 밀도 I는 단위 길이
당 전하량을 나타낸다. 만큼 떨어진 곳의 전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Q
즉, I= l 이다. 1 m
E = 2re r
0 (Ⅱ. 1-14)

2.2 균일하게 대전된 부도체 평면 주위의 전기장


이번에는 무한히 넓고 얇은 부도체 평면에 양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림 (Ⅱ. 1-9)와 같이 대전된 평면과 평행한 뚜껑을 갖는
원통 모양의 가우스 곡면을 이용해 간단히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96
Ⅱ 전자기학

무한히 넓고 균일하게 대전된 부도체 평면 주위의 가우스 면 위의 한 점에서


전하의 분포가 대칭적이므로 평면과 수직인 방향일 수밖에 없다. 평면에서 동
E
일한 거리에 생기는 전기장의 크기 역시 대칭성으로 인해 같다. 또한, 전기장 E⊥= E

E 가 평면과 수직이므로 가우스 곡면의 원통의 옆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은 가우스


곡면
0이다. 따라서 가우스 곡면을 지나는 총 전기 선속은 다음과 같다.

U= # E : dA = # 왼쪽뚜껑 E : dA + # 오른쪽뚜껑 E : dA (Ⅱ. 1-15)


A A
뚜껑 면 어디에서도 전기장의 세기는 일정하므로 뚜껑 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
E E
속은 단순히 EA 가 되고, 가우스 곡면 안의 총 전하량은 Q = vA 이므로 가
우스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Q vA

U= # E : dA = 2EA = e0 = e0 (Ⅱ. 1-16) 그림 (Ⅱ. 1-9) 면전하와 가우스 곡
면의 예
v
` E = 2e (Ⅱ. 1-17)
0

무한히 넓고 균일하게 대전된 부도체 평면 주위의 전기장은 평면으로부터의


거리와 무관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실제 현실에서 무한히 넓은 평면은 존재하
면전하 밀도 v 는 단위 면적
지 않지만 유한한 크기의 평면이라도 평면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는 근사적으 당 전하량을 나타낸다.

로 이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Q


즉, v= 이다.
A

2.3 균일하게 대전된 도체 구 내외의 전기장


대전된 도체에서 과잉전하는 도체의 표면에만 존재할 수 있다. 이 사실에 대
한 논의는 다음 장으로 미루고, 우선은 이 사실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대전된 도 가우스 곡면
r>R
체 구 내외의 전기장을 구해 보자.
그림 (Ⅱ. 1-10)처럼 Q 의 전하량으로 균일하게 대전된 반지름 R 인 도체
R
구를 생각해 보자. 그러면, 가우스 면 위의 한 점에서 전하의 분포가 대칭적이
므로 전기장의 방향은 반지름 방향일 수밖에 없고, 구 중심으로부터 거리 r 인 가우스 곡면
r<R
구면을 가우스 곡면으로 설정했을 때 가우스 곡면 위의 모든 점의 전기장의 세
그림 (Ⅱ. 1-10) 구 주위의 가우스
기가 같아야 한다. 이를 이용해 먼저 r > R 인 경우 가우스 법칙을 적용하면 곡면

다음과 같다.


U= # E : dA = E ]4rr g = 2 Q
e0
(Ⅱ. 1-18)

1 Q
` E = 4re 2 (Ⅱ. 1-19)

0 r

이 결과는 대전된 구의 전하량 Q 와 같은 전하량을 갖는 점전하가 구의 중심


에 있는 경우와 같은 결과이다.
r < R 인 경우에 대해 가우스 법칙을 적용하면, 대전된 도체구의 모든 전하는
구의 표면에만 존재하므로 가우스 곡면 내부의 전하량이 0이 된다. 따라서 식

97
(Ⅱ. 1-19)에서 Q = 0 인 경우가 되므로 전기장의 세기 E 도 0이 된다.

2.4 균일하게 대전된 유전체(부도체) 구 내외의 전기장


도체 구와 유전체 구의 차이점은 유전체 구는 구 내부에 전하가 존재할 수 있
다는 점이다. 따라서 균일하게 대전된 유전체 구는 구 내부 부피 전체에 균일하
E 게 전하가 분포한다는 뜻이다.
구 외부, 즉 r > R 인 경우는 가우스 법칙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도체 구의
O R r
경우와 다른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식 (Ⅱ. 1-19)와 같은 결과를 얻는다.
그림 (Ⅱ. 1-11) 균일하게 대전된 도
체 구에서 거리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 구 내부, 즉 r < R 인 경우 가우스 법칙을 적용할 때 가우스 곡면 내부의 전
하량만 고려한다는 점이 다르다.
반지름 r 인 구면 내부의 전하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하 밀도 t 는 단위 부피당

Q r < R = t c rr 3 m = c rr 3 m = Q 3
전하량을 나타낸다. 4 Q 4 r3

Q 3 4 3 R (Ⅱ. 1-20)
즉, t = 이다. rR 3
V 3
식(Ⅱ. 1-19)의 Q 대신 Q r < R 을 대입하면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1 Qr < R 1 Q
E = 4re = 4re 3 r (Ⅱ. 1-21)
0 r2 0 R

즉, 전기장의 크기는 구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r 에 비례한다.


E

O R r

그림 (Ⅱ. 1-12) 균일하게 전하가


분포된 구에서 거리에 따른 전기장
의 세기 변화

98
Ⅱ 전자기학

전위
03 학습 목표 ■ 전위의 개념을 알고 전기 쌍극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장과 전위를 구할 수 있다.

3.1 전위
전기력은 보존력이므로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의해 DU = -W 의 관계
가 성립한다. = -W 는 전기력이 한 일이다. 전하량 q 인 입자에 정전기력
DU여기서 r

F = qE 가 작용해 아주 작은 미소 변위 dl 을 이동한 경우 퍼텐셜 에너지 변 q P

화는 다음과 같다.
dUdU
== -dW
-dW ==
-F F d:l d=
-: l=- E d:l dl
qEq: (Ⅱ. 1-22)
그림 (Ⅱ. 1-13) 점전하에 의한 전
이때 단위 전하 당 퍼텐셜 에너지 차이를 전위차 dV 라 하면 두 점의 전위 기장

차는
dU
# # #
b b b

Vb - Va = dV = q = - E : dl (Ⅱ. 1-23)
a a a

로 정의할 수 있다. 편의상 전기장의 원인이 되는 전하로부터 무한히 멀리 떨어


져 있을 때를 전위의 기준으로 잡고, 이때의 전위를 0으로 정하면, 전기장 내
의 한 점의 전위는 다음과 같다.

V = - # E : dl
r
(Ⅱ. 1-24)
3

식을 살펴보면 전위는 정전기력이 단위 전하에 해 주는 일의 음의 부호로 볼


수 있다. 이는 전기장과 반대 방향의 힘이 전기장 내의 단위 전하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림 (Ⅱ. 1-13)과 같이 전하량이 q 인 점전하로부터 r 만큼 떨어진 P점에
서 q 에 의해서 생기는 전위를 생각해 보자.
식 (Ⅱ. 1-24)에 점전하 q 에 의한 전기장 E = 1 q 를 대입하면
4re 0 r 2

1 q
# #
r r
V=
-E : dl = - 4re dr
3 0 3 r2

=< F

1 q r
4re 0 r 3
1 q
=
4re 0 r (Ⅱ. 1-25)
이 된다.

99
3.2 전기 쌍극자
크기가 같고 부호가 다른 두 전하를 전기 쌍극자라 한다. 전기 쌍극자는 물
z
P
분자와 같은 극성 분자들의 전기적 성질을 표현하는 데 유용하다. 그림 (Ⅱ.
1-14)와 같이 전하량이 q , 전하간 거리가 d 만큼 떨어져 있는 전기 쌍극자의
r+
중심으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진 임의의 점 P 에서 전기 쌍극자가 만드는 전
r r-
+q 위를 구해 보자. (단, r & d 이다.).
o
P 점에서의 전위는 (+)전하와 (-)전하가 각각 만드는 전위의 중첩으로 구할
d
O
r--r+
수 있다. 식 (Ⅱ. 1-25)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V = V+ + V- = 4re b r + r l = 4re -r r +
-q 1 q -q q r -r
(Ⅱ. 1-26)
0 + - 0 - +
그림 (Ⅱ. 1-14) 전기 쌍극자에 의
한 전기장 r & d 라 가정하고 근사식을 이용하면 r- - r+ . d cos i 이며, r- r+ . r 2
이다. 따라서 P 점에서 전기 쌍극자에 의해서 생기는 전기 퍼텐셜은 다음과 같
이 근사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q d cos i
V = 4re (Ⅱ. 1-27)
0 r2

전위는 스칼라량이기 때문에 이처럼 단순한 덧셈으로 구할 수 있지만, 전기


장은 벡터량이기 때문에 임의의 점에서 전기 쌍극자가 만드는 전기장은 단순
덧셈으로는 구할 수 없다. 그러나, 전기 쌍극자의 축 위의 한 점에서는 두 전
하에 의한 전기장의 방향이 정반대이므로 다음과 같이 전기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E = E + - E - = 4re c 2 - 2 m
1 q q
0 r+ r-
1 q q
= 4re > 2 -
H (Ⅱ. 1-28)
br - 1 dl br + 1 dl
2
0
2 2
q :b
1 - 2r l - b 1 + 2r l D
d -2
d -2
= 2
4re 0 r

대괄호 안의 항을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전개하고 r & d 라 가정하여 이항


정리의 2차식 이상을 무시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b 1 + d l - b 1 - d lD
q
E= r r
4re 0 r 2
q 2d
= 2 r
4re 0 r
qa
d
=
2re 0 r 3 (Ⅱ. 1-29)

100
Ⅱ 전자기학

정전 차폐와 등전위면
04 학습 목표 ■ 전기장, 전위, 전기력선의 관계를 알고 정전 차폐와 등전위면 등을 설명할 수 있다.

4.1 정전 차폐
이 곡면을 통과하는 선속 Φ=0
2.3절에서 언급한 정전기적 평형 상태에서 대전된 도체의 과잉전하는 도체 이 곡면을 통과하는 선속 U =
= 0EA

의 표면에만 존재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자.


먼저 도체 내부의 전기장은 0이다. 왜냐하면, 도체 내부의 자유 전자는 자유 E=0

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기장이 0이 아닌 곳의 자유 전자는 전기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재배치되어 결국에는 도체 내의 모든 곳의 전기장이 0이 되어야
그림 (Ⅱ. 1-15) 도체 내부의 전기장
이동이 멈추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하의 이동이 멈춘 상태를 정전기적 평형 상
태라 한다.
도체 내부의 모든 곳의 전기장이 0이므로 도체 내부에 임의의 가우스 곡면을
설정해도 전기 선속이 0이 된다. 특히 그림 (Ⅱ. 1-15)와 같이 도체 내부 표면
에 최대한 가까운 가우스 곡면을 잡았을 때에도 전기 선속은 0이다. 따라서 도
체 내부의 알짜 전하량은 0이다. 즉, 대전된 도체의 과잉 전하는 모두 도체 표
면에 존재한다. 전기장은 왼쪽으로 알짜 양전하는
전자를 민다. 오른쪽에 남는다.

그림 (Ⅱ. 1-16)처럼 외부 전기장이 있는 공간에 도체 판으로 일부 공간을


둘러싸면 도체 판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의 전기장은 외부 전기장에 관계없이
0이 된다. 도체 판의 자유 전자가 외부 전기장에 의해 이동, 재배치하여 외부 E E=0 E

전기장과 반대 방향의 전기장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정전 차폐라


고 한다. 엘리베이터 안에서 라디오나 휴대전화 신호가 잘 잡히지 않는 것이나
도체 표면과 평행한 전기장은 0

전자레인지의 전파가 전자레인지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것이 정전 차폐의 그림 (Ⅱ. 1-16) 전기장 속에 놓인
도체
예이다.

4.2 등전위면
같은 전위를 가지고 있는 점을 이은 궤적을 등전위면이라고 한다. 등전위면
을 따라 전하를 이동시키는 데는 아무런 일이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등전위면
상의 임의의 두 점 a, b에서의 전기 퍼텐셜이 Vb = Va 이기 때문이다.


W ab
q = Vb - Va = 0 (Ⅱ. 1-30)

101
또한 이는 등전위면과 나란한 방향의 전기장 성분이 0임을 의미하며 다시 말
하면 등전위면에서의 전기장의 방향은 등전위면과 수직한 방향이 된다는 뜻이
다. 또한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이 전기력선이므로 등전위면과 전기력선
은 직교한다.

등전위면
전기력선

(가) (나) (다)


(가) (나) (다)

그림 (Ⅱ. 1-17) 등전위면과 전기력선의 관계

그림 (Ⅱ. 1-18)은 균일한 전기장 내에 놓인 도체에 의해 형성된 전기력선


의 모습이다. 전기장에 의해 도체 내부의 자유 전자가 이동 재배치하여 도체 내
- -
---
--
+ +++
+
++
부의 전기장은 0이 된다. 또한 이로 인해 도체 주변의 전기장도 변하는데 그 결
-- E = 0
- ++
- +
-
- +
+
+
과 도체주변의 전기력선이 도체 표면에 수직하게 변하게 된다. 이는 도체 표면
이 등전위면이기 때문이다. 도체 표면은 자유롭게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면으
로서 도체 내부와 마찬가지로 전기장이 0이 되므로 등전위면이 된다.
그림 (Ⅱ. 1-18) 균일한 전기장 내
에 놓인 도체

102
Ⅱ 전자기학

연습 문제

01 서로 부호가 반대인 같은 양의 전하가 대전된 두 개의 큰 평행판 도체가 있다. 이때 한 판은 면전하 밀도가

+v 이고, 다른 판은 -v 이다. 그림과 같은 다섯 위치에서의 전기장을 구하시오.

1 2 3 4 5

02 반지름 R 인 무한원통이 그림과 같이 중심축을 따라 반지름 a 인 구멍을 갖고 있다. 원통은 균일한 부피전하
밀도 t 를 갖고 있다. 영역 a ‹ r ‹ R 에서의 전기장을 구하시오.

R a

03 무한히 멀리 떨어진 곳에 있던 3개의 양전하를 그림과 같은 위치로 모으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구하시오.

q3

r13
r23
q1
r12

q2

103
2 전기 회로
01 전기 용량
02 키르히호프 법칙

생각 열기
현대의 모든 과학, 공학 실험에서 전기 회로가 쓰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기 회로의 가장 기초적인
법칙인 옴의 법칙에서 확장하여 이 단원에서는 전기 회로의 기본 소자 중 하나인 축전기에 대해 알아보고,
복잡한 회로를 분석할 수 있는 기본 방법을 제공하는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여 회로를 분석해 보자.

104
Ⅱ 전자기학

전기 용량
01 학습 목표 ■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에 따른 전기 용량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 평행판 축전기에서 유전체의 역할을 이해하고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1.1 평행판 축전기


축전기는 전기 회로에서 전하를 저장하는 소자이다. 전하를 저장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도 저장한다. 마치 기계 장치에서 용수철이 압축됨으로써 탄성 에 축전기

너지를 저장하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그림 (Ⅱ. 2-1)처럼 두 개의 금속판을 나란히 놓고 회로에 연결하면 가장 단
순한 형태의 축전기가 된다. 즉, 전지를 이용해 두 금속판에 전위차를 만들어 전지
스위치
주면 축전기의 두 극판 중 전위가 높은 쪽은 양전하, 전위가 낮은 쪽은 음전하 축전기

로 대전되어 전하를 저장하게 된다. 이 때 같은 전압으로 얼마나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기 용량이 축전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지
+
V
-
쓰인다. 전기 용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축전기의 지름이 두 극판 사이의 거리 d 에 비해 매우 크다면 두 극판 사이 S
스위치
에는 그림 (Ⅱ. 2-2)와 같이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그림 (Ⅱ. 2-1) 평행판 축전기와 회
그러면 두 극판의 전위차는 식 (Ⅱ. 1-24)에 의해 다음과 같다. 로도

V = - # E : dl = - # E cos 180cdl = Ed
d d

(Ⅱ. 2-1)
0 0

v
식 (Ⅱ. 1-17)에 의해 무한히 큰 평면 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E = 인
2e 0
데 두 극판 사이에서는 (+)극판에 의한 전기장과 (-)극판에 의한 전기장이 중 전하 + Q -Q

첩되어 2배가 되므로 평행판 축전기 내부의 전기장의 크기는


면적 A
v
E= e (Ⅱ. 2-2)
0

가 된다. 면 전하 밀도 v =
Q 이므로 축전기의 전위차는 다음과 같다.
A 전기장 E

Qd
V= (Ⅱ. 2-3)
e0 A
거리 d
여기서 단위 전위차 당 전하량을 전기 용량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Ⅱ. 2-2)평행판 축전기의 전
Q A
C= = e0 (Ⅱ. 2-4) 기장
V d
즉, 전기 용량은 축전기 극판의 면적에 비례하고 극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
례한다.

105
1.2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 병렬 연결
V1 회로에 여러 개의 저항들이 연결되어 있을 때 하나의 동등한 저항으로 바꾸
C1
어 생각할 수 있는 것처럼 축전기도 가능하다.
그림 (Ⅱ. 2-3)과 같이 각각 전기 용량이 C 1 , C 2 인 두 개의 축전기가 전위
V2 차 V 의 전지에 병렬 연결되어 각각 Q 1 , Q 2 의 전하량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를 생각하자.
C2 각 축전기의 전위차를 V1 , V2 라 하면
V
Q 1 = C 1 V1 , Q 2 = C 2 V2 (Ⅱ. 2-5)

이 되고 병렬 연결이므로 V1 = V2 이다. 따라서 두 축전기에 저장된 총 전하


그림 (Ⅱ. 2-3) 축전기의 병렬 연결
량은 다음과 같다.
Q = Q 1 + Q 2 = C 1 V1 + C 2 V2 = ]C1 + C2g V = C eq V (Ⅱ. 2-6)

따라서 병렬 연결에서의 합성 전기 용량 C eq 는 다음과 같다.


C eq = C 1 + C 2 (Ⅱ. 2-7)

V1 V2 그림 (Ⅱ. 2-4)와 같이 두 개의 축전기가 직렬 연결되어 있는 경우 두 축전


C1 C2 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같다. 왜냐하면 왼쪽 축전기의 오른쪽 극판과 오른쪽 축
전기의 왼쪽 극판은 둘 사이에 도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 전자가 외부로 출입
할 수 있는 길이 없기 때문에 두 극판의 총 전하량은 보존되어 항상 0이어야 하

V
기 때문이다. 즉, 왼쪽 축전기의 오른쪽 극판에 +Q 의 전하가 모였다면 오른
쪽 축전기의 왼쪽 극판에는 -Q 의 전하가 모여 총 전하량이 0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두 축전기에 대전된 전하량은 같다.
그림 (Ⅱ. 2-4) 축전기의 직렬 연결
Q1 = Q2 (Ⅱ. 2-8)
또한, 전지에서 공급되어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량은 왼쪽 축전기의 왼쪽 극
판과 오른쪽 축전기의 오른쪽 극판에 저장된 전하량이 전부이므로 축전기에 저
장된 총 전하량 Q 는 다음과 같다.
Q = Q1 = Q2 (Ⅱ. 2-9)
직렬 연결된 두 축전기의 전위차의 합은 전지의 전위차와 같다.
V = V1 + V2 (Ⅱ. 2-10)
식 (Ⅱ. 2-10)에 식 (Ⅱ. 2-5)를 대입하면

+ 2 =c mQ =
Q1 Q 1 1 1
V= + Q (Ⅱ. 2-11)
C1 C2 C1 C2 C eq
가 되고 직렬 연결에서의 합성 전기 용량 C eq 는 다음과 같다.
1 1 1
= + (Ⅱ. 2-12)
C eq C1 C2
축전기의 전기 용량이 면적에 비례하고 극판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106
Ⅱ 전자기학

내용과 연관지어 생각하면 축전기의 병렬 연결은 축전기의 면적이 더해진 효


과와 같고, 직렬 연결은 극판 사이의 거리가 더해진 것과 같은 효과임을 알 수
있다.

1.3 평행판 축전기에서 유전체의 역할


유전체란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유전 분극은 일으키지만 전하의 이동은 생기
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쉽게 생각하면 공기, 유리, 종이, 나무 등 절연체가 유
전체이다. 유전체가 일으키는 유전 분극에 의해 축전기의 전기 용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 보자.

+ - 그림 (Ⅱ. 2-5)와 본문의 설


축전기에 의한 전기장 E o
+ -
명은 고립된 축전기에 대한
+ -
+ - + - + - + - + - 설명이다. 축전기가 회로에
+ -
+ - 연결되어 일정한 전위차가
+ - + - + - + - + -
+ - 유지되는 상황에서 유전체를
+ -
+ - + - + - + - + -
삽입하는 경우, 유전체에 의
+ - 해 약해진 전기장으로 인해
+ -
+ - + - + - + - + - 동일한 전압에서 더 많은 전
+ -
+ - 하의 충전이 가능하다. 이는
+ 유전 분극에 의한 전기장 E p -
유전체에 의해 축전기의 전
기 용량이 커짐을 의미한다.
그림 (Ⅱ. 2-5) 고립된 평행판 축전기 안의 유전 분극

그림 (Ⅱ. 2-5)는 대전된 채로 고립된 축전기의 극판 사이에 놓인 유전체


의 유전 분극을 나타낸다. 유전 분극의 결과로 유전체의 좌우 표면에는 축전기
의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가 유도되고 유도된 전하로 인해 축전기의 전기장 E 0
진공중 유전율 e0 에 유전
상수 k 를 곱한 값을 유전율
와 반대 방향의 전기장 E p 가 생긴다. 결과적으로 유전체 내부의 합성 전기장 e 이라고 하며, 쿨롱 법칙이
은 유전체가 없을 때에 비해 약해진다. 평행판 축전기의 전위차 V = Ed 이므 나 가우스 법칙 등 정전기에
관한 방정식에서 e0 를 e
로 전기장이 약해지면 축전기 양단의 전위차도 작아지지만 축전기에 대전된 전
로 대체하면 유전체로 채워
하량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축전기의 전기 용량은 커진다. 진 공간에 관한 방정식을 얻

축전기의 극판 사이에 아무것도 없을 때의 전기 용량 C 0 를 기준으로 유전체 을 수 있다.

를 채웠을 때의 전기 용량 C 가 몇 배 커졌느냐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유전 상


수 k 를 사용한다.
C = kC 0 (Ⅱ. 2-13)
유전 상수 k 가 클수록 유전 분극이 잘 일어나는 물질이며, 따라서 유전체
내부의 전기장이 약해지는 효과도 크다. 유전체가 없을 때 전기장을 E 0 라 하
면 유전체 내부의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E
E = k0 (Ⅱ. 2-14)

107
키르히호프 법칙
02 학습 목표 ■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회로 내 전류, 전압을 예측할 수 있다.

2.1 키르히호프 법칙
키르히호프 법칙은 키르히호프에 의해 1849년에 발표되어 정상전류에 대한
I1
옴의 법칙을 일반화하였다. 이 법칙을 이용하면 임의의 복잡한 회로에 흐르는
I3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전류에 관한 제1법칙과 전압에 관한 제2법칙이 있고, 이 두 법칙을 수식으

I2 로 나타낸 연립방정식을 풀어 전류를 구할 수 있다.


I3=I1+I2 제1법칙은 전류 법칙 또는 접점 법칙이라고 한다. 회로 내의 어느 지점에서
도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것이다. 들어오는 전류의 부호
그림 (Ⅱ. 2-6)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와 나가는 전류의 부호를 반대로 적용하면 전류의 총합이 0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전류 법칙은 전하가 저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는다는 전하량 보존 법
R1 R2 R3
칙으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다.
V1 V2 V3 제2법칙은 전압 법칙 또는 고리 법칙이라고 한다. 회로를 따라 임의의 닫힌
I
고리를 설정하면 고리 내의 모든 전위차의 합은 0이라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
+ -
V 하면 임의의 닫힌 고리를 따라 한 바퀴 돌 때 그 회로의 기전력의 총합은 각 저
V = V1 + V2 + V3 항에 의한 전압 강하의 총합과 같다고 할 수도 있다. 전기력이 보존력이기 때문
= IR 1 + IR 2 + IR 3
에 전위가 위치에만 의존하는 함수임을 생각하면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왔을
그림 (Ⅱ. 2-7)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
때 전위차가 0이어야 함은 자연스럽다. 전압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생
각할 수도 있다.

2.2 키르히호프 법칙의 적용


실제 회로에 키르히호프 법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세심한 규칙과
순서가 필요하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순서를 따르면 혼동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1) 회로에 흐르는 모든 전류의 방향을 설정한다. 이 때 전류의 방향은 임의
로 정해도 결과에는 영향이 없다. 예를 들어 그림 (Ⅱ. 2-6)과 같은 경우 I 2 는
접점을 향해 들어가는 것으로 설정했지만 계산 결과 음수가 된다면 접점에서

108
Ⅱ 전자기학

흘러나오는 전류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접점에서 나오는 전류로 설정한 I 3 가


음수인 결과가 나온다면 접점으로 들어가는 전류이다.
2) 전압 법칙을 적용할 고리를 설정한다. 고리의 진행 방향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하나의 식을 얻을 동안에는 일관되게 적용해야 하므로 고리의
방향을 명확히 정해야 한다.
3) 그림 (Ⅱ. 2-8)과 같이 설정한 고리의 진행 방향과 전류의 방향, 기전력 I
(a)
의 방향에 맞게 부호를 적용하면서 전압 법칙의 식을 얻는다. 즉, 고리의 진행 a
Vb-Va= -IR
b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전류가 지나는 저항은 전위가 낮아지고 반대 방향의 전류 I


가 지나는 저항은 전위가 높아진다. (b)
a b
Vb-Va= +IR

I1 C I2
I
f
+ -
(c)
I3 a b
Vb-Va= + f
R1 R3 R2 I
f
+ -
폐회로1 폐회로2 (d)
a b
Vb-Va= - f
E1 E2 그림 (Ⅱ. 2-8) 전압 법칙 적용 방법

그림 (Ⅱ. 2-9) 키르히호프 법칙 적용

그림 (Ⅱ. 2-9)와 같은 회로에 실제로 키르히호프 법칙을 적용해 보자.


그림 (Ⅱ. 2-9)와 같은 회로
1) 먼저 회로의 모든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설정하고 I 1 , I 2 , I 3 로 에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을
이름을 붙이고 C점에 전류 법칙을 적용한다. 적용할 때 가장 바깥쪽 사각
형 폐회로에도 적용할 수 있
I1 + I2 - I3 = 0 (Ⅱ. 2-15)
다. 이때 얻은 식은 폐회로1
2) 폐회로1에 대해 전압 법칙을 적용한다. 과 폐회로2로부터 얻은 식을
E1 - I1 R1 - I3 R3 = 0 (Ⅱ. 2-16) 연립하여 얻을 수도 있다.

3) 폐회로2에 대해 전압 법칙을 적용한다.


E2 - I2 R2 - I3 R3 = 0 (Ⅱ. 2-17)
식 (Ⅱ. 2-15, 16, 17)을 연립하여 풀면 I 1 , I 2 , I 3 의 값을 얻을 수 있다.

109
연습문제

01 그림처럼 반지름이 다르고 중심축이 같은 두 개의 도체 원통은 축전기가 된다. 이 원통형 축전기의 전기 용


량을 구하시오.
R1 R2

02 다음 회로의 합성 전기 용량을 구하시오.

60uF 60uF
60uF

60uF

60uF

03 다음 회로에서 I 1 , I 2 , I 3 를 구하시오.

R1 R3

4X I1 I3 X
I2
+ +
E1 28V 2X R2 7V E2
- -

110
Ⅱ 전자기학

04 그림처럼 정육면체의 모든 모서리에 저항이 1Ω인 회로가 있다. a-b 단자 사이의 합성 저항을 구하시오.
(대칭성과 키르히호프 법칙을 이용하라. 저항은 전압과 저항의 비로 구할 수 있다.)

05 그림처럼 한 단계마다 1Ω 저항 3개씩을 붙여 나간다. 이때 단계가 무한히 진행된 회로에서 A-B 단자 사이


의 합성 저항을 구하시오.
(n이 매우 클 경우 n단계의 합성 저항과 n+1 단계의 합성 저항은 같다고 볼 수 있다.)

1단계

B
A

2단계

B
A

3단계

B

111
3 자기장과 전자기 유도
01 비오-사바르 법칙
02 암페어 법칙
03 자기장
04 패러데이 법칙
05 자체 유도

생각 열기
자기력 효과는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진 자연 현상이지만 전기와 별개로 생각되었다. 전기와 자기의 연
관성이 밝혀진 것은 19세기에 와서이다. 외르스테드에 의해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이 발견되
었고, 패러데이에 의해 자기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는 유도 전류가 발견되었다. 이후 맥스웰에 의해 두
현상이 수식으로 완벽하게 연관되어 전자기학이 완성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먼저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에 대해 살펴 보고 자기 선속 변화가 만드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대해 알아 보자.

112
Ⅱ 전자기학

비오-사바르 법칙
01 학습 목표 ■ 비오-사바르 법칙을 이용하여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예측할 수 있다.

1.1 비오-사바르 법칙
전하가 전기장을 만드는 것처럼 전류는 자기장을 만든다.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쿨롱 법칙을 통해 구할 수 있고 선 전하, 면 전하 등 1 q
E = 4re 2 rt
0 r
다양한 전하 분포에 의한 전기장도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을 적분하여 중첩함으
로써 구할 수 있다.
자기장에서 쿨롱 법칙의 역할을 하는 법칙이 비오-사바르 법칙이다. 쿨롱
dB out P
법칙이 점전하가 임의의 위치에 만드는 전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표현하였다면,
비오-사바르 법칙은 미소 전류가 임의의 위치에 만드는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 r

I
를 표현한다. 직선 전류, 원형 전류 등 다양한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미소 전류 r^
θ
에 의한 자기장을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dl x P'
그림 (Ⅱ. 3-1)은 전류 I 가 흐르고 있는 도선의 일부분인 dl 에 의해 P dB in

와 Pl에 만들어지는 자기장 dB 를 나타낸 것이다. dl 로부터 P 를 향하는 벡 그림 (Ⅱ. 3-1) 미소 전류에 의한
터를 r = rrt 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r 는 거리를 나타내는 스칼라량이고 rt 은 자기장

길이가 1이고 dl 로부터 P 를 향하는 방향의 단위 벡터이다.


비오-사바르 법칙은 다음과 같다.

n Idl # r n Idl # rt 진공 중 투자율



dB = 4r0 3 = 4r0 (Ⅱ. 3-1)
r r2 n 0 = 4r # 10 7 T : m/A

또한, 벡터 곱을 풀어 쓰면 자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n Idl sin i (Ⅱ. 3-2)

dB = 4r0
r2
자기장의 크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부분에서 쿨롱 법칙과 유사한 형
1 axb
태를 보인다. 쿨롱 법칙과 다른 점은 우선 진공 중 유전율 e 0 가 로 대체되
n0
a
었고 전하량 q 는 미소 전류 Idl 로 대체되었다. 가장 큰 차이는 전기장의 방향
θ
은 위치 벡터 r 가 방향이지만 자기장의 방향은 미소 전류 벡터 Idl 와 r 가 벡
터 곱의 방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Idl 에 의해 P 점에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b
방향은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이되고, Pl점에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방향은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이 된다. 그림 (Ⅱ. 3-2) 벡터 곱의 방향

113
1.2 원형 전류에 의한 자기장

y 비오-사바르 법칙을 이용하여 원형 전류의 중심에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구


I dl 해보자. 그림 (Ⅱ. 3-3)은 반지름 R 인 도선에 전류 I 가 흐르고 있는 모습이
다. 이 때 미소 전류 Idl 이 원의 중심에서 만드는 자기장 dB 는 다음과 같다.
r^
Idl # rt
n Idl
x dB = 4r0
(Ⅱ. 3-3)
r2
R
dB
그런데 미소 전류 Idl 과 위치 벡터 r 가 모두 xy 평면상의 벡터이기 때문에
z
dB 의 방향은 tz 의 방향이 된다. 또한 거리 r = R 로 일정하고 Idl 과 위치
벡터 r 가 항상 수직이기 때문에 자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그림 (Ⅱ. 3-3) 원형 전류 중심의
n Idl sin i n Idl
자기장 dB = 4r0 2 = 4r0 2 (Ⅱ. 3-4)
r R
원형 전류 전체가 만드는 자기장의 크기는 적분을 통해 다음과 같다.
n 0 Idl n0 I n0 I n I
B= # dB = # 4 r R 2 = 4 rR 2
# dl = 4rR 2
2rR = 20R (Ⅱ. 3-5)

1.3 직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


이번에는 직선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구해보자.

P
dB

o 1

o
R o
2

r
z
I
x
x1 x2
x
dl
그림 (Ⅱ. 3-4) 무한히 긴 직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

그림 (Ⅱ. 3-4)와 같이 무한히 긴 직선 전류로부터 수직 거리 R 만큼 떨어


진 점 P 에 미소 전류 Idl 이 만드는 자기장 dB 의 방향은 지면을 뚫고 나오
는 방향이고 크기는 다음과 같다.
n Idl sin z
dB = 4r0
(Ⅱ. 3-6)
r2
R
그런데 r = cos i , x = R tan i 이므로 dl = dx = R sec 2 idi 가 된다.
이를 이용해 치환하면
n0 I
dB =
4r R cos idi
(Ⅱ. 3-7)

가 되고, 적분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6sin i@-2 r = 0
r
n0 I n0 I r
n I
B= #-
2
r 4r R cos i di = 4r R 2 2r R (Ⅱ. 3-8)
2

114
Ⅱ 전자기학

암페어 법칙
02 학습 목표 ■ 암페어 법칙을 이용하여 직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구할 수 있다.

2.1 암페어 법칙
가우스 법칙으로 전기장을 구한 것처럼 대칭성이 있는 경우에는 암페어 법칙 암페어
고리
을 이용해 보다 쉽게 자기장을 구할 수 있다. �i1
�i3 θ
암페어 법칙은 다음과 같다. dl B
i2

# B : dl = n I
0 (Ⅱ. 3-9) 적분 방향

임의의 닫힌 고리인 암페어 고리를 설정하고 고리를 따라 B : dl 을 적분한 그림 (Ⅱ. 3-5) 암페어 고리

값은 고리에 의해 만들어지는 면을 통과하는 알짜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는 의


+i1
미이다. 여기서 B : dl 은 자기장 벡터 B 와 미소 변위 벡터 dl 의 스칼라 곱이
적분 방향
다. 따라서 B : dl 의 크기는 Bdl = B cos idl 이 되고 이는 적분 경로를 따 -i2 

라 자기장의 접선방향 성분만을 적분한다는 의미이다.


암페어 법칙을 적용할 때 전류의 부호는 오른나사 규칙을 따른다. 그림
(Ⅱ. 3-6)과 같이 적분 방향을 오른손의 네 손가락으로 따라 돌았을 때 엄지 그림 (Ⅱ. 3-6) 오른나사 규칙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통과한 전류를 (+)로 취급한다. 그림 (Ⅱ.3-5)
B
의 경우 알짜 전류 I = i 1 - i 2 이고 고리 외부의 전류 i 3 는 적분 값에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
dl C
암페어 법칙을 이용해 긴 직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구해 보자.
I
직선 전류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r 인 원을 암페어 고리로 설정하면 고 C

리 위의 모든 위치에서 자기장 B 의 방향과 dl 의 방향이 같고, 대칭성에 의해 r

자기장의 크기가 B 로 일정하므로 암페어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S


# B : dl = # Bdl = 2rrB = n I 0
(Ⅱ. 3-10)
n I (Ⅱ. 3-11)
그림 (Ⅱ. 3-7)무한히 긴 직선 전류
` B = 2r0 r 에 대한 암페어 고리

이는 비오-사바르 법칙으로 구한 식 (Ⅱ. 3-8)과 같은 결과이다.

115
자기장
03 학습 목표 ■ 원통형 전류에 의한 자기장,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을 암페어 법칙을 이용하여 구
분할 수 있다.

3.1 원통형 전류에 의한 자기장


그림 (Ⅱ. 3-8)과 같이 반지름이 R 이고 길이가 무한한 원통에 균일하게 흐
B I
B r
르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에 대해 생각해 보자.
r I
B
원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r 인 원을 암페어 고리로 설정한다.
r

R
그러면 r > R 인 경우 자기장의 크기는 식 (Ⅱ. 3-11)과 같다. 왜냐하면 그림
(Ⅱ. 3-8)과 (Ⅱ. 3-7)의 차이점은 암페어 고리를 통과하는 전류가 중심축에 집
그림 (Ⅱ. 3-8) 긴 원통 전류에 의 중되어 있느냐 원통 전체에 균일하게 흐르느냐의 차이일 뿐 암페어 고리를 통과
한 자기장
하는 전류가 I 라는 점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r < R 인 경우는 r 에 따라서 암페
어 고리를 통과하는 전류가 달라진다. 원통의 단면에 균일하게 전류가 흐르고 있
B
으므로 고리를 통과하는 전류 I 통과는 고리의 면적에 비례하여 다음과 같다.
rr 2
R r I 통과 = I
rR 2 (Ⅱ. 3-12)
그림 (Ⅱ. 3-9 )긴 원통 전류에 의 따라서 암페어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B ]2rRg = n 0 I 통과 = n 0 I
한 자기장의 크기 rr 2
rR 2 (Ⅱ. 3-13)
n0 I

`B=
r (Ⅱ. 3-14)
2rR 2
즉, 원통 내부의 자기장의 크기는 원통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3.2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


P2
길이가 유한한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기장은 그림 (Ⅱ. 3-10)과 같다. 솔레
P2
노이드 내부에서는 거의 균일한 자기장이 만들어지고 솔레노이드 외부에서는
P1
자기장이 매우 약하다. 길이가 무한히 길고 전선의 간격이 좁은 이상적인 솔레
P1
노이드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은 완전히 균일하며 외부의 자기
장은 0이다. 실제로도 솔레노이드의 길이가 지름에 비해 매우 큰 경우 솔레노
이드의 양 끝이나 전선에 아주 가까운 위치를 제외하면 이상적인 경우로 취급
그림 (Ⅱ. 3-10) 솔레노이드에 의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에 암페어 법칙을 적용해 보자. 그림 (Ⅱ. 3-11)처럼
한 자기장
이상적인 솔레노이드의 축과 나란하게 직사각형 암페어 고리를 설정한다.

116
Ⅱ 전자기학

h
d c
i
�������������������������

B a b

⊗⊗⊗⊗⊗⊗⊗⊗⊗⊗⊗⊗⊗⊗⊗⊗⊗⊗⊗⊗⊗⊗⊗⊗⊗

그림 (Ⅱ. 3-11) 솔레노이드에서의 암페어 고리

그러면 # B : dl 은 다음과 같다.


# Bdl = # Bdl + # Bdl + # #
b c d a
Bdl + Bdl (Ⅱ. 3-15)
a b c d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은 균일하므로 그 크기를 B 라 하면

#
b

Bdl = Bh (Ⅱ. 3-16)
a

가 되고 나머지 세 적분 항은 0이 된다. 왜냐하면 선분 bc 와 선분 da 위의 자


기장 B 의 방향은 대칭성에 의해 dl 과 수직이기 때문이고, 선분 cd 는 솔레
노이드의 외부이므로 자기장이 0이기 때문이다.
단위 길이 당 감은 횟수를 n 이라 하면 암페어 고리를 통과하는 전류 I 는
nhi 가 되므로 암페어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Bh = n 0 nhi (Ⅱ. 3-17)


` B = n 0 ni (Ⅱ. 3-18)

3.2 토로이드 내부의 자기장


그림 (Ⅱ. 3-12)와 같은 원형의 솔레노이드를 토로이드라고 한다. 토로이
드는 토로이드 내의 자기장이 균일하다는 가정을 할 필요가 없어 솔레노이드
보다 암페어 법칙을 적용하기 더 좋다.
그림 (Ⅱ. 3-13)처럼 토로이드와 같은 중심을 갖는 반지름 r 인 원을 암페
어 고리로 설정하자. 그러면 r 가 토로이드의 안쪽 반지름보다 작은 경우 암페
어 고리를 통과하는 전류가 없으므로 자기장은 0이 된다. 또한 r 가 토로이드
그림 (Ⅱ. 3-12) 토로이드
의 바깥 반지름보다 큰 경우도 토로이드 안쪽 전류와 바깥쪽 전류가 상쇄되어
암페어
암페어고리
알짜 전류가 0이 되므로 자기장은 0이 된다. 따라서 토로이드에 의한 자기장은 고리

토로이드 내부에만 만들어진다. 암페어 고리가 토로이드 내부를 지나는 경우


암페어 법칙은 다음과 같다.
B ]2rrg = n 0 Ni (Ⅱ. 3-19)
r

` B =
n 0 Ni
2rr (Ⅱ. 3-20)
B
여기서 N 은 토로이드의 총 감은 횟수인데 단위 길이 당 감은 횟수
그림 (Ⅱ. 3-13) 토로이드의 자기장
N
n = 2rr 으로 보면 직선형 솔레노이드와 같은 결과로 볼 수 있다.

117
패러데이 법칙
04 학습 목표 ■ 패러데이 법칙과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규칙인 렌츠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4.1 전자기 유도
전자기 유도 현상은 전류가 자기장을 만드는 것처럼 자기장의 변화가 전류를
만드는 현상을 말한다. 정확히는 시간에 따른 자기 선속의 변화가 유도 기전력
을 만드는 것이다.
패러데이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이 현상을 발견하였다.

검류계

철제 고리
스위치

전지 X Y

그림 (Ⅱ. 3-15) 페러데이의 두 코


일에 의한 유도 실험
그림 (Ⅱ. 3-14) 패러데이의 첫 번째 실험

전자기 유도에 대한 패러데이의 첫 번째 실험은 그림 (Ⅱ. 3-14)와 같이 철


제 고리를 두 개의 전선으로 반대 방향에 감고 한쪽 전선에는 전지를, 반대쪽
전선에는 검류계를 연결한 것이다. 패러데이는 스위치를 연결할 때와 떼어낼
때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른 실험은 그림 (Ⅱ. 3-15)처럼 큰 코일과 작은 코일이 있을 때 작은 코일
그림 (Ⅱ. 3-16) 패러데이 디스크
에 전지를 연결하여 자기장을 만들어주면 작은 코일이 움직이지 않을 때는 큰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작은 코일이 위아래로 움직일 때 큰 코일에 전류
가 흐르는 것이다.
또 막대자석 주위에서 회전하는 동판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것도 발견하였
B1 B
다. 그림 (Ⅱ. 3-16)의 패러데이 디스크는 원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원판의 중심
dA

dA
B1 에서 바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최초의 단극 발전기이다.
패러데이는 이러한 현상을 통해 자기장의 변화가 유도 전류를 만든다는 결론을
내고 자기 선속의 개념을 이용해 설명하였다.
그림 (Ⅱ. 3-17) 자기 선속의 적분
전기 선속과 마찬가지로 자기 선속은 임의의 곡면을 통과하는 자기장 벡터와
면적 벡터의 스칼라 곱으로 정의된다.

118
Ⅱ 전자기학

U= # B : dA = # BdA cos z (Ⅱ. 3-21)

이는 그림 (Ⅱ. 3-17)과 같이 자기장이 곡면과 비스듬한 각을 이루고 있을 때


자기 선속은 면에 수직한 자기장 성분만을 적분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는 뜻이다. I

4.2 패러데이 법칙
Bout
패러데이 법칙은 임의의 폐회로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은 그 회로를 통과하
는 자기 선속의 시간 변화율의 음(-)의 값과 같다는 것이다. 그림 (Ⅱ. 3-18) 원형 고리 회로에
유도된 유도 전류
dU (Ⅱ. 3-22)
f=-
dt
dU
간단한 예로 그림 (Ⅱ. 3-18)과 같이 지면을 뚫고 나오는 균일한 자기장이 dt

시간에 따라 커지고 있는 경우를 생각하자.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원형 회로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은

= - ]BAg = -rr 2
dU d dB

f=- (Ⅱ. 3-23)
dt dt dt
- +
가 되고, 이 기전력에 의해 회로에 유도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부호는 뒤에
서 설명할 렌츠 법칙을 표현하는 것으로 유도 기전력은 자기 선속 변화를 방해

E=N ddtU
하는 방향으로 유도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유도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 f = -N
dt
장은 자기 선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림 (Ⅱ.
그림 (Ⅱ. 3-19) 감은 횟수가 N 인
3-18)의 경우는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자기 선속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은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만들어져야 하고,


따라서 유도 전류는 시계 방향으로 유도된다.
그림 (Ⅱ. 3-19)와 같이 감은 바퀴 수가 N 인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
자기장 속에서 운동하는 전
변화에 의한 유도 기전력은 다음과 같다. 하가 받는 힘을 로렌츠 힘이
dU 라 한다.
f = -N (Ⅱ. 3-24)
dt
FB = qv # B
코일의 한 바퀴마다 - dU 의 기전력이 유도되고 각 바퀴는 서로 직렬로 연
dt
결되어 있으므로 모든 바퀴의 유도 기전력을 더해준 값이 코일에 유도된 유도
기전력으로 생각할 수 있다.
B
패러데이 법칙은 자기장이 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회로의 면적이 변하거
나 회로가 이루는 면과 자기장이 이루는 각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그
림 (Ⅱ. 3-20)은 교류 발전기의 원리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과 회로 N S
I W
의 면적은 일정하지만 회로가 회전함으로써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변하
여 회로에 유도 기전력이 유도된다. 이처럼 일정한 자기장에서 회로가 움직여
전기 부하
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엄밀하게는 운동 기전력이라고 하며 유도 기전력과는 다
른 부분이 있다. 유도 기전력이 회로 내에 전기장을 만들어 전하를 이동하게 하 그림 (Ⅱ. 3-20) 교류 발전기의 원리

119
는 반면, 운동 기전력은 도선 내에 있는 자유 전하가 도선과 함께 운동함에 따
라 자기장에 의한 로렌츠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패러데이 법
칙의 적용을 받는다는 면에서 운동 기전력과 유도 기전력을 구별하지 않는 경
우가 많다.
기전력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원동력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의 전기 회로
에서 전위차 또는 전압과 같은 의미로 쓰이며 단위도 전압의 단위인 V 를 사용
한다. 그런데 기전력과 전위차가 완전히 같은 말은 아니다. 기전력과 전위차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생각해 보자.
전류는 전하의 흐름이고, 전하가 저항을 이기고 회로를 따라 흐르려면 전
하에 힘이 작용해야 한다. 즉, 기전력은 회로 내의 전하에 작용할 수 있는 힘을
만드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전하에 작용하는 대표적인 힘은 쿨롱 힘이다. 쿨롱 힘은 보존력이기 때문에
식 (Ⅱ. 1-23)처럼 전위차를 정의하고 전위차에 의해 전하가 힘을 받아 이동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기전력을 전위차를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건전지를 들 수 있다. 건전지의 기전력은
화학적 기전력이라고도 하는데 건전지 내의 화학 반응에 의해 건전지의 (+)극
에서는 전자를 흡수하고 (-)극에서는 전자를 방출하여 양 극에 전하를 축적함
으로써 회로에 전위차와 전기장이 만들어져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회로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은 전위차를 만
든다고 말할 수 없다.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기장이 보존력장
이 아니어서 전위차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두 위치 a, b의 전위차는 식 (Ⅱ. 1-23)에 의
해 다음과 같다.

Vb - Va = - # E : dl
b

이 정의는 전기장 E 가 보존력장일 때만 의미가 있고 a와 b를 같은 위치로


설정할 경우 다음과 같다.

# # E : dl = 0
a
E : dl =
a

적분 경로에 무관하게 제자리로 돌아오는 적분 값은 0이 되는 것이 보존력장


의 조건이다.
그런데 그림 (Ⅱ. 3-18)의 회로에는 시계 방향의 유도 전류가 흐르고 있으
므로 회로 내에는 유도 전류와 같은 방향의 전기장이 유도되었다고 볼 수 있고,

전류의 방향을 따라 한 바퀴 적분한 값 # E : dl 은 0이 아니다. 따라서 전자


기 유도 현상에 의한 전기장은 보존력장이 아니고 전위차를 정의할 수 없다. 이

120
Ⅱ 전자기학

런 경우 # E : dl 은 전위차라 부르지 않고 유도 기전력으로 부른다.

4.4 렌츠 법칙
페러데이가 유도 법칙을 발표하고 2년 후 렌츠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발표하
였다.
‘회로에 유도 되는 전류는 그것이 만드는 자기장이 유도 전류의 원인이 되는
자기 선속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패러데이 법칙 수식에 (-)부호를 포함함으로서 렌츠 법칙은 패러데이 법칙
에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별도로 생각하는 이유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면에서 렌츠 법칙은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림 (Ⅱ. 3-21)과 같이 회로에 자석의 N 극이 다가오는 경우 유도된 자기
v
장은 다가오는 자석을 밀어내고, 자석의 N 극이 멀어지는 경우는 자석을 잡아
N
당김으로써 어느 경우건 자석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된다.
그림 (Ⅱ. 3-22)처럼 자기장이 펼쳐진 영역을 향해 사각형 회로가 이동하는
Binduced
경우에도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에 변화가 있을 때, 즉 회로가 자기장 영
역에 들어갈 때와 나올 때 회로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에 의해 회로는 v

움직임을 방해 받는다. 회로에 전류가 어떤 방향으로 흐르고 그 전류가 자기장 N

과 어떻게 작용해서 어떤 방향으로 힘을 받을지는 몇 단계를 거쳐 생각해 보아


Binduced
야 하지만 렌츠 법칙을 이용하면 회로가 자기장 영역에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모
그림 (Ⅱ. 3-21) 고리에 다가가거
두 움직임을 방해 받는 방향, 즉 왼쪽으로 힘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나 멀어지는 자석
알 수 있다.
그림 (Ⅱ. 3-20)과 같은 교류 발전기는 자기장 내에서 회로가 회전함으로 x x x x xBx
x x x x x x
x x x x x x
써 전류가 유도된다. 렌츠 법칙을 적용하면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받을 것이라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연하다. 만약 회전하는 회로가 아무런 힘을 받지 x x x x x x
x x x x x x
않거나 회전을 돕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면 한번 돌기 시작한 회로는 계속 돌거 그림 (Ⅱ. 3-22) 자기장 영역에 들
나 점점 더 빨리 돌 것이고 계속해서 유도 전류는 흐르게 될 것이다. 이는 에너 어가는 회로

지 보존 법칙에 위배되는 일이다.

121
자체 유도
05 학습 목표 ■ 자체 유도 기전력을 설명하고, 이와 관련된 회로도를 분석할 수 있다.

5.1 자체 유도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생긴다. 전류가 변하면
B

자기 선속도 변하게 되고 변화하는 자기 선속은 회로에 유도 기전력을 유도한


다. 이것을 자체 유도라고 한다.
+
i
렌츠 법칙에 따라 자체 유도에 의한 유도 기전력은 회로의 전류 변화를 방해
하는 방향으로 유도될 것이다.
그림 (Ⅱ. 3-23) 회로를 흐르는 전 전류 변화에 대한 자체 유도 효과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자체 유도
류에 의한 자기장
계수 또는 자체 인덕턴스(inductance)라 불리는 물리량을 사용한다.
dI

f = -L
(Ⅱ. 3-25)
dt
I
식 (Ⅱ. 3-25)은 자체 유도 효과에 의한 유도 기전력은 전류 변화에 비례한
A 다는 의미이며 자체 인덕턴스 L 은 비례 상수이다.
l
자체 유도 계수가 큰 회로는 전류 변화가 느릴 것이다. 이는 마치 역학 시스
I 템에서 관성이 큰 물체는 속도 변화가 느린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자체 유도 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전기 소자를 유도기 또는 인덕터
그림 (Ⅱ. 3-24) 솔레노이드형 인
덕터와 기호표기 (inductor)라 하며 코일이라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인덕터인 솔레노이드의
자체 인덕턴스에 대해 알아보자.
식 (Ⅱ. 3-25)과 패러데이 법칙을 결합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dI dU
f = -L = -N (Ⅱ. 3-26)
dt dt
여기서 N 은 솔레노이드의 총 감은 횟수이며 U 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만들
어져 솔레노이드의 단면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다. 이 식을 적분하면
NU
L=
(Ⅱ. 3-27)
I
되고, 이 식은 자체 인덕턴스의 정의가 되며 단위는 H (헨리)를 사용한다.
솔레노이드의 단면적을 A , 길이를 l 이라 하면 내부의 자기장은
N
B = n 0 nI = n 0 I 이므로 자체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다.
l
NU NBA N2 A
L= = = n0 (Ⅱ. 3-28)
I I l

122
Ⅱ 전자기학

솔레노이드의 자체 인덕턴스는 감은 횟수의 제곱과 단면적에 비례하고 길이


에 반비례한다. 유의할 점은 자체 인덕턴스가 솔레노이드의 형태에만 의존한다
는 점이다.

5.2 LR 회로
S
그림 (Ⅱ. 3-25)와 같이 전지, 스위치, 저항,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된 회로
에 대해 생각해 보자. 이러한 회로를 LR 직렬 회로라 한다.
+
스위치를 닫으면 전지의 기전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f L
-

다.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인덕터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의 증가를 방 R

해한다. 인턱터 없이 전지와 저항만 연결된 경우 스위치를 닫으면 순간적으로


그림 (Ⅱ. 3-25) LR 회로
전류가 증가하여 f/R 의 일정한 전류가 회로에 흐르게 되지만 인덕터가 있는
경우 그림 (Ⅱ. 3-26)과 같이 전류가 천천히 증가한다. 이 회로에 키르히호프
의 전압 법칙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살펴보자. 회로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한
i]t g
바퀴 돌면 키르히호프 법칙에 의해 다음 식을 얻는다. f/R
R
dI
f - IR - L =0 (Ⅱ. 3-29)
이 식은 I 와
dI
가 함께 포함된 식으로 미분 방정식이다.
dt i]t g =
f
R (
1 - e -Rt/L
)
dt
f
이 미분 방정식을 풀기 위해 x = R - I 로 치환하면 dx = -dI 가 되
t
고 식 (Ⅱ. 3-29)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Ⅱ. 3-26 ) LR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았을 때 전류 증가
L dx
x+ R =0 (Ⅱ. 3-30)
dt
x 와 t 의 함수로 분리하면
dx R
x = - L dt
(Ⅱ. 3-31)

가 되고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dx R t
# # dt
x

x = - (Ⅱ. 3-32)
x 0 L 0
x R (Ⅱ. 3-33)
ln x = - t
0 L
` x = x 0 e -Rt/L (Ⅱ. 3-34)

f f -Rt/L
t = 0 일 때 I = 0 이므로 x0 =
R -I = Re
이다.

원래 변수로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f f -Rt/L (Ⅱ. 3-35)
R -I = Re
` I = R ]1 - e -Rt/Lg
f
(Ⅱ. 3-36)
식을 살펴보면 그림 (Ⅱ. 3-26)과 같이 처음에는 전류가 증가하다가 오랜 시

123
간이 지나면 f/R 의 일정한 전류가 흐른다. 이는 전류의 변화가 없으면 인덕터
는 기전력을 만들지 않고, 회로에 전지와 저항만 연결된 것과 같기 때문이다.

5.3 상호 유도
패러데이의 첫 번째 실험처럼 두 코일이 가까이 있어서 한 코일의 전류 변화
에 의해 다른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유도되는 것을 상호 유도라 한다.
그림 (Ⅱ. 3-27)에서 코일1의 전류가 변하면 코일1이 만드는 자기장 B 1 이
코일 2 N2Φ21
변하고 따라서 코일2를 통과하는 자기 선속 U 21 도 변하여 코일2에 유도 기전
력이 유도되는 것이다.
코일 1 N1
여기서 코일1에 의한 코일2의 상호 유도 계수 M 21 은 자체 유도 계수의 정
I1
의인 식 (Ⅱ. 3-27)과 비슷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1 N 2 U 21

M 21 = (Ⅱ. 3-37)
그림 (Ⅱ. 3-27) 두 코일의 상호 유도 I1
I 1 을 좌변으로 이항하고 양변을 시간 t 로 미분하면

dI 1 dU 2
M 21 = N2 (Ⅱ. 3-38)
dt dt
가 된다. 여기서 우변은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코일2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
dI 1
` f 2 = -M 21 (Ⅱ. 3-39)
dt
반대로 코일1과 코일2의 역할을 바꾸어 코일2의 전류 변화에 의한 코일1의 유
도 기전력을 구하는 식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다.


dI 2
f 1 = -M 12 (Ⅱ. 3-40)
dt
우리가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으로는 M 21 과 M 12 가 같아야 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여기서 자세히 논의하지는 않겠지만 두 상호 유도 계수가 같음을 보일
수 있고, 따라서 상호 유도 계수는 첨자 없이 M 으로 사용한다.
M 21 = M 12 = M (Ⅱ. 3-41)

124
Ⅱ 전자기학

연습 문제

01 그림은 두 개의 평행한 도체 막대의 왼쪽 끝이 도선과 저항으로 x x x x x

연결되어 있고 두 막대에 수직한 또 다른 도체 막대가 외부 힘 x x x x x


B
Fext 에 의해 오른쪽으로 속도 v 로 등속 운동하고 있는 상황을 x x x x x V

w R x x x x x
나타낸 것이다. 자기장은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균일하 Fext
x x x x x
게 펼쳐져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라.
x x x x x

(1) 사각형 회로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와 유도 전류의


x
방향은?
(2)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3) 자기장속에서 전류가 받는 힘은 F = IwB 임을 이용하여 외부 힘이 하는 일률을 구하고 소비 전력
과 비교하시오.

R
0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1만 닫고 시간이 오래 지난 후, 스
V
위치 2를 닫음과 동시에 스위치1을 열었다. 이때부터 저항에 흐
SW2 L
르는 전류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구하시오.

SW1

03 그림은 같은 중심축을 갖는 솔레노이드 2개가 겹쳐 있는 모습이


다. 두 솔레노이드의 단면적은 A로 같고, 단위 길이 당 감은 수
단면적 A
도 같다. 상호 유도 계수를 구하시오.

N1 바퀴 N2 바퀴

125
4 교류 전기와 전자기파
01 교류 전기
02 공진 회로
03 맥스웰 방정식과 전자기파
04 안테나

생각 열기
현대는 전기문명의 시대이다. 형광등, 냉장고, 텔레비전, 컴퓨터 등 모든 기기가 전기에 의해서 작동되고
있다. 이는 직류 전기의 사용을 주장한 에디슨과 교류 전기의 유용함을 주장한 테슬라의 전류전쟁에서
테슬라가 성공을 거둠으로써 교류 전기가 우리의 현대 문명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한 결과이다. 이 단원에
서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 수송에 유용한 교류 전류의 특징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그리고
교류 회로에 연결된 전기 저항과 축전기 그리고 인덕터 등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공진 회로란 무엇
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마지막으로 맥스웰 방정식과 전자기파에 대해 학습해보자.

126
Ⅱ 전자기학

교류 전기
01 학습 목표 ■ 교류 전기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교류 기전력의 주기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 용량 리액턴스와 유도 리액턴스의 뜻을 알고 계산할 수 있다.

1.1 교류 발생의 원리
영구 자석에 의한 자기장 내부에 폐회로를 설치하고 그 폐회로를 회전시키면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유도 기전력이 만들어지고 회로에는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유도 전류는 방향과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교류 전류이다. 패
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그림 (Ⅱ. 4-1-(가))와 같은 코일에 발생되는 유도 기
전력 f 를 구해 보자.
+
U
- 시간
i
+
~ DU
N S
Dt 시간
-
+
V f
- 1
T
1
T
3
T T 시간
4 2 4
(가) (나)
(가) (나)
그림 (Ⅱ. 4-1) 교류 발생의 원리

그림 (Ⅱ. 4-1-(가))에서 균일한 자기장을 B , 코일의 단면적을 A 라 하


고, 시각 t 에서 자기장에 수직한 면과 코일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를 i 라고 하
자. 이때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 U B 는 식 (Ⅱ. 4-1)과 같다.
U B = BA cos i (Ⅱ. 4-1)
코일의 각진동수 ~ , 시각 t = 0에 회로의 단면과 자기장이 이루는 각도가 수
직이면 시각 t에서 θ = ~ t이며, 자기 선속 UB = BA cos i~ t 가 된다. 자기장
내에서 회전하는 코일에 만들어지는 유도 기전력 f ] t g 는

f]t g = - = - ]BA cos ig = BA~ sin ~t = f m sin ~t (Ⅱ. 4-2)


dU B d
dt dt
이다. 식 (Ⅱ. 4-2)에서 볼 수 있듯 그림 (Ⅱ. 4-1-(가))의 코일에 만들어지
는 유도 기전력은 시간에 대해 사인 함수로 변화한다. 이처럼 교류 기전력이 시
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은 용수철에 연결된 물체의 변위가 단순 조화 진동을
하면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과 같다. 따라서 교류 기전력에서도 단순 조
화 진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주기, 진동수, 각진동수라는 물리량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림 (Ⅱ. 4-2)는 시간에 대해 식 (Ⅱ. 4-2)와 같이 변하는

127
교류 기전력 f ] t g 를 그래프로 그린 것이다. 여기서 기전력의 크기 f 와 시간
f (t)
+f m

0
T/2 3T/2 2T 5T/2 3T
t
에 대한 변화율 df/dt 가 모두 똑같은 값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주기 T
-f m 라고 한다. 주기 T , 교류 회로의 진동수 f , 교류 기전력의 각진동수 ~ 사이
그림 (Ⅱ. 4-2) 시간에 대해 사인 에
함수로 변하는 교류 기전력 1 ~
f= = 2r (Ⅱ. 4-3)
T
의 관계가 있다. 진동수의 단위는 Hz (헤르츠)를 사용하며, 우리나라의 발전
소에서 공급하는 교류의 진동수는 60 Hz 이다.

1.2 저항만 연결된 교류 회로


V(t) 그림 (Ⅱ. 4-3)은 교류 기전력 f ] t g 에 전기 저항 R 은 연결한 회로이다.

R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I ] t g 라고 하고 이 폐회로에 키르히호프의 고리 법칙


I(t) 을 적용하면 f ] t g = I ] t g R 이므로 전류 I ] t g 는 식 (Ⅱ. 4-4)와 같다.

f]t g
I]t g =

fm
] t(t)
ff g == ffmmsin
sinwt
~t R = R sin ~t = I m sin ~t (Ⅱ. 4-4)

그림 (Ⅱ. 4-3) 저항만 연결된 교류 전기 저항 R 양끝 사이의 전위차 V ] t g 는

V ] t g = I ] t g R = RI m sin ~t = Vm sin ~t
회로
(Ⅱ. 4-5)

이다. 그림 (Ⅱ. 4-4)에서 볼 수 있듯 저항만 연결한 교류 회로에 흐르는 교류

전류 I ] t g 와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 V ] t g 는 같은 주기와 같은 진동수 그리


V(t)
Vm
고 같은 각진동수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전압이 증가하고 감소하는 모습과
Im I(t)
전류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모습이 같다. 이처럼 전압과 전류가 시간에 대해 똑
같이 변화하는 것을 저항형 회로에서는 전류 I ] t g 와 전압 V ] t g 의 위상이 같다
O
T T t
-
2
고 말한다.
교류는 시간에 따라 전류와 전압이 변하므로 이들의 순간값을 측정하기 어렵
그림 (Ⅱ. 4-4) 저항 양단에 걸리는 고, 반주기 c T m 마다 방향이 반대가 되어 평균값은 0이 된다. 이에 한 주기(T )
순간 전압과 순간 전류 2
에 대한 교류의 전압, 전류의 제곱의 평균값의 제곱근을 취하여 이들의 세기를
나타내며 이것을 교류의 실횻값이라 한다. 저항 R 에서 순간 소비 전력 또한
위상자가 각진동수
~로 회전
식 (Ⅱ. 4-6)과 같이 시간에 따라 항상 변한다.

V(t) Vm P = V ] t g I ] t g = Vm I m sin 2 ~t = Pm sin 2 ~t (Ⅱ. 4-6)


Im
I(t)

한 주기(T )에 걸친 평균 전력값 ]P g 은 sin 2 ~t 의 평균값이


~t 1
이므로
2
2
P I R
그림 (Ⅱ. 4-5) 저항형 회로에서의 P = 2m = m2 이다. 여기서 평균 전력을 실횻값으로 나타내면
위상자 도표(phaser diagram)
와 원점에 대해 회전하는 벡터인 위 Pm Vm I m I 2m R V 2m
P= = = = = I e Ve
상자(phaser) 2 2 2 2R

128
Ⅱ 전자기학

e Ie =
Im Vm

, Ve = o 교류 전류의 실횻값 = 저항
2 2 (Ⅱ. 4-7)
에 동일하게 평균 전력을 공
이다. 이처럼 교류 회로에서의 전류와 전압의 실횻값으로 교류 회로의 평균 전 급하는 직류 전류의 값

력값을 표현할 수 있다.

1.3 축전기만 연결된 교류 회로


그림 (Ⅱ. 4-6)은 전기 용량 C 인 축전기에 교류 기전력 f ] t g = f m sin ~t V(t)
인 전원이 연결된 회로이다. 이 교류 회로에 키르히호프의 고리 법칙을 적용하면
C
f ] t g = f m sin ~t =
q
가 성립한다. 이 식의 양변을 시간 t 에 대해 미분하면 I(t)
C
f]t g = ]f sin ~
fttg = f m ~ cos ~t = = I ] t g (Ⅱ. 4-8)
d d 1 dq 1
dt dt mm C dt C f(t)=fmsin ~t
를 얻는다. 교류 기전력 f ] t g 를 연결한 축전기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 t g 는 그림 (Ⅱ. 4-6) 교류 전원에 연결된

I ] t g = f m ~C cos ~t = I m sin a ~t + 2 k
r 축전기
(Ⅱ. 4-9)

이다. 축전기 양끝 사이의 전위차 V ] t g 는 축전기에 대전된 전하


q ] t g = f m C sin ~t 를 축전기의 전기 용량 C 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즉,
V(t)
Vm
Im

q]t g
I(t)

V]t g = = f m sin ~t = f ] t g = Vm sin ~t



(Ⅱ. 4-10) O
T t
C T
-
2

이다. 식 (Ⅱ. 4-9)와 식 (Ⅱ. 4-10)의 전압과 전류를 비교하면, 그림 (Ⅱ.


r
4-7)과 그림 (Ⅱ. 4-8)에서 볼 수 있듯 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보다 만
2
그림 (Ⅱ. 4-7) 축전기 양단에 걸리
큼 앞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Ⅱ. 4-10)에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저항 R
는 순간 전압과 순간 전류
1
에 해당하는 것이 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류 회로에서 축전기의 전류
~C
에 대한 방해 효과로 용량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라고 하며, X C V(t) Vm

로 나타낸다. 각진동수 ~ 와 진동수 f 사이에는 ~ = 2rf 의 관계가 있으므 Im I(t)

로, X C 는 ~t
O
1 1

XC = = (Ⅱ. 4-11)
~C 2rfC
로 나타낼 수 있다. C 가 F (패럿), f 가 Hz (헤르츠)의 단위로 주어질 때, 그림 (Ⅱ. 4-8) 축전기만 연결된 교
류 회로의 전류, 전압 위상차
X C 의 단위는 저항의 단위와 같은 X (옴)이 된다. 축전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실횻값 Ve 와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실횻값 I e , 용량 리액턴스 X C 사이에는

Ve = I e X C
(Ⅱ. 4-12)
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축전기의 용량 리액턴스 X C 는 전기 용량 C 와 각
진동수 ~ 에 반비례한다. 이 특성으로 축전기는 고주파 전류를 통과시키고 저
주파 전류나 직류를 막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고주파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
는 소자를 고주파 투과 필터라고 한다.

129
그림 (Ⅱ. 4-6)의 회로에 교류 전류가 흐를 때 전력 P ] t g 는

P ] t g = I ] t g V ] t g = I m cos ~t # Vm sin ~t = 2m sin ]2~tg (Ⅱ. 4-13)


P

이다. 한 주기 ]T g 동안 전력을 평균한 값 P 는

] g
1 Pm
#
T

P= 2 sin 2~t dt = 0 (Ⅱ. 4-14)
T 0

이므로 축전기에서는 평균적으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4 인덕터만 연결된 교류 회로


그림 (Ⅱ. 4-9)는 인덕턴스 L 인 인덕터에 교류 기전력 f ] t g = f m sin ~t
인 전원이 연결된 회로이다. 이 교류 회로에 키르히호프의 고리 법칙을 적용하
dI ] t g
면 f ] t g = f m sin ~t = L
V(t)
가 성립한다. 그러면 인덕터 양끝 사이의 전
dt
위차 V ] t g 는
L
I(t)
dI ] t g
V]t g = L

= f m sin ~t = Vm sin ~t (Ⅱ. 4-15)
dt
이다. 식 (Ⅱ. 4-15)를 정리하여 적분하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 I ] t g 는
f(t)=fm sin ~t

그림 (Ⅱ. 4-9) 인덕터만 연결된 교류

I]t g = # dI = -d ~L n cos ~t = -I cos ~t = I m sin b ~t - l


회로 Vm r
m
2
(Ⅱ. 4-16)
이다. 식 (Ⅱ. 4-15)와 식 (Ⅱ. 4-16)의 전압과 전류를 비교하면, 그림 (Ⅱ.
Vm V(t) r
Im
I(t) 4-10)과 그림 (Ⅱ. 4-11)에서 볼 수 있듯 전류의 위상이 전압의 위상보다 2 만
큼 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Ⅱ. 4-16)에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저항 R
에 해당하는 것이 ~L 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교류 회로에서 유도 코일의 전
O T T t
2
류에 대한 방해 효과로 유도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라고 하며, X L
로 나타낸다. 각속도 ~ 와 각진동수 f 사이에는 ~ = 2rf 의 관계가 있으므
그림 (Ⅱ. 4-10) 인덕터만 연결된
회로의 순간 전압과 순간 전류의 그래프 로, 유도 리액턴스 X L 은
= ~L = 2rfL
X L = ~L = 2rfL (Ⅱ. 4-17)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 이 H (헨리), f 가 Hz (헤르츠)의 단위로 주어


질 때, X L 의 단위는 저항의 단위와 같은 X (옴)이 된다.
Vm V(t) 진동수와 인덕턴스가 증가함에 따라 유도 리액턴스도 증가한다. 이것은 교
dI
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자체 유도 역기전력이 과 L 에 비례하므로 전류가
I(t) Im dt
빨리 변화할수록, 인덕턴스가 클수록 역기전력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t
O 유도 리액턴스와 저항의 유사성으로부터 유도 코일을 포함한 교류 회로에
대하여 옴의 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코일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실횻값
그림 (Ⅱ. 4-11) 인덕터만 연결된
회로의 전류, 전압 위상차 Ve 와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실횻값 I e , 유도 리액턴스 X L 사이에는 식 (Ⅱ.

130
Ⅱ 전자기학

4-18)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Ve = I e X L (Ⅱ.4-18)
XL
인덕터는 전력 공급 장치나 라디오의 간섭 필터에서와 같은 몇 가지 응용 회 R, X
R
로에서 높은 진동수의 파를 막아주고 직류나 낮은 진동수의 파를 통과하게 하
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덕터를 사용하는 회로 소자를 저주파 투과
XC
필터라고 부른다.
그림 (Ⅱ. 4-9)의 회로에 전류 I ] t g 가 흐를 때 전력 P ] t g 는
O ~

그림 (Ⅱ. 4-12) 각진동수에 따른

P ] t g = I ] t g V ] t g = -I m cos ~t # Vm sin ~t = - sin ]2~tg


Pm 리액턴스
2
(Ⅱ. 4-19) C

이다. 인덕터의 경우에도 축전기에서와 마찬가지로 한 주기 ]T g 동안 전력을 V


R 트위터
A
평균한 P 는 0이 되어서 평균적으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폭기(앰프)에 B
L
우퍼
R
연결
알 수 있다.
그림 (Ⅱ. 4-12)는 저항기의 저항값과 축전기와 인덕터의 리액턴스 값이 각 (가)

진동수 w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여준다. 직류 회로에 해당되는 ~ = 0 I

교차점
인 경우, 축전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인덕터의 효과도 전혀 없다. ~ " 3 트위터

인 극한에서는 X L " 3 이므로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극히 작아지게 된


다. 이는 자체 유도되는 기전력이 전류가 급격하게 변할수록 크다는 사실과 일 우퍼
f
O
치한다. 또한 ~ " 3 에서 X C 와 축전기에 걸리는 전압은 모두 0에 접근한다.
이는 전류의 방향이 너무 빨리 바뀌어 축전기 판에 전하가 저장될 수 없음을 의 그림 (Ⅱ. 4-13) (나)
(가) 두 개의 스피
커가 증폭기에 병렬로 연결된 확성기
미한다. 그림 (Ⅱ. 4-13)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낮은 진동수의 소
시스템 (나) 주어진 증폭기의 전압 진
리만을 통과시키는 저음용 스피커인 우퍼(woofer)와 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폭에 대하여 트위터와 우퍼의 전류
진폭을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낸 그
있어서 높은 진동수의 소리만을 통과시키는 고음용 스피커인 트위터(tweeter)
래프. 두 곡선이 만나는 점을 교차점
로 구성된 확성기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라 한다.

심화확인
f ] t g = f 0 sin ~t 로 주어지는 교류 기전력에 인덕턴스가 L 인 인덕터가 연결된 교류 회로가 있다.
~ ~
각각 f = 60 Hz
2r = 60fHz
교류 기전력의 진동수와 진폭은f = 과 0 = 36.0V 이고, 연결된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2r
L = 300 kHz이다.
(1) 이 회로에 흐르는 최대 전류와 전류의 실횻값을 구하시오. (2) 이 회로에 연결된 인덕터의 유도 리액
턴스를 구하시오. (3) 이 회로의 인덕터 양끝 사이의 최대 전위차와 교류 전압의 실횻값을 구하시오. (4)
한 주기 동안에 이 회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구하시오. 이 회로의 스위치를 닫은 순간을 t = 0 이라고
한다. t $ 0 인 구간에서 (5) 교류 기전력의 값이 최초로 증가하면서 0이 되는 시간을 구하고 (6) 이 회
로를 흐르는 전류값이 최초로 증가하면서 0이 되는 시간을 구하시오. (5)와 (6)의 결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131
공진 회로
02 학습 목표  류 회로인 LC 회로와 RLC회로에서 전기 진동과 공진을 이해하고, 이것이 활용된 예
■교
를 들 수 있다.
■ 교류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용량 리액턴스와 유도 리액턴스를 정의하고, 교류 회로에서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다.

2.1 LC 회로
도선의 저항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직류 전원으로 충전시킨 축전기를
S
코일에 연결하면, 그림 (Ⅱ. 4-14)와 같이 축전기에 저장된 전하와 코일에 흐
+Q 르는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전기와 인덕터가 연결된 회
L
-Q
C
로를 LC 회로라고 한다.

Vm -Vm Vm
그림 (Ⅱ. 4-14) LC 회로 +Q + - -Q -Q - + +Q +Q + - -Q
+ - - + + -
+ - - + + -
+
+ Em -
-
-
-
+
+
+
+
+
-
-
+ - - + -
+ - - + + -

C Im Im Im Im Em
L L Bm
T T 4
t=0 t= t= t= T t=T
4 2 3

E UB UE E UB UE E UB UE E UB UE E UB UE
(가) (나) (다) (라) (마)
(가) (나) (다) (라) (마)

그림 (Ⅱ. 4-15) 진동하는 LC 회로

그림 (Ⅱ. 4-15)의 (가)와 같이 시각 t = 0 에서 스위치를 닫으면 코일의


역기전력에 의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서서히 증가한다. 그림 (나)와 같이 전
류의 세기가 최댓값 I m 일 때 축전기 극판 사이의 전위차는 0이지만 코일의 자
체 유도에 의해 전류가 계속 흐르므로 그림 (다)와 같이 축전기는 처음과 반대
로 왼쪽 판의 전하량이 -q , 전위차는 -Vm 이 된다. 축전기는 다시 방전되고
인덕터에는 반대 방향의 전류가 흐르다가 축전기가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그
림 (Ⅱ. 4-15)의 (라)와 같이 전류가 최댓값에 이른다. 그 다음에는 그림 (Ⅱ.
4-15)의 (마)와 같이 초기 상태가 되며, 이러한 충전과 방전의 전체 과정이 계
속 반복된다. 에너지 손실이 없다면, 축전기의 전하는 계속 진동할 것이다. 이

1 q
2 E 것을 전기 진동(electrical oscillation)이라고 한다.
--
2 c UB
에너지 관점에서 보면 전기 진동은 에너지가 축전기의 전기장으로부터 인덕

에너지 터의 자기장으로 왔다 갔다 이동하는 것과 같다. 그림 (Ⅱ. 4-16)과 같이 진동


UE

회로에서 축전기의 전기장 에너지 UE 와 코일의 자기장 에너지 UB 의 합 E 는


0

0 T/ 2 T 보존되므로
시간
1 q2 1
그림 (Ⅱ. 4-16) 진동 회로의 에너지 E = UE + UB = 2 + 2 LI 2 (Ⅱ. 4-20)
C

132
Ⅱ 전자기학

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Ⅱ. 4-17)에서 볼 수 있듯 용수철에 매달려 진동


하는 역학계에서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만 물체의 퍼텐셜 에너지에
서 운동 에너지로 그리고 반대로 에너지가 변환되는 것과 유사하다.
+ E -
+ -
속력 0 + - 물체 - 용수철 계 인덕터 - 축전기 회로
+ -
충전된 전하량 최대
길이 변화 최대 1
전류의 세기 0 운동 에너지 E k = 2 mv 2 자기 에너지 UB = 1 LI 2
2
충전된
v 전하량0 1
속력 최대 전류 위치 에너지 E p = 2 kx 2 전기 에너지 UE = q 2 /2C
최대 B
길이 변화 0
1 1 1 1 2
- E + mv 2 + kx 2 = kA 2 LI + q 2 /2c = Q 2 /2C
- + 2 2 2 2
- +
속력 0 - +
충전된 전하량 최대
v = dx/dt i = dq/dt
길이 변화 최대
전류의 세기 0

충전된 k 1
~= ~=
v 전하량0
전류 m LC
속력 최대 B 최대
길이 변화 0
x = A cos ]~t + zg q = Q cos ]~t + zg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운동 진동 회로에서의 전기 진동

(가) (나)

그림 (Ⅱ. 4-17) (가) 용수철 진자와 진동 회로


(나) 물체-용수철 계의 진동과 LC회로의 전기 진동과의 비교

그림 (Ⅱ. 4-14)의 LC 회로에 키르히호프의 고리 법칙을 적용하면

di q
-L - =0 (Ⅱ. 4-21)
dt C
d2 q 1
이므로 이를 정리하면 + q = 0 이다. 이 식은 단순 조화 운동과 형
dt 2 LC
태이므로 축전기의 전하 q 는

q = Q cos ]~t + zg , ~ = LC
1
(Ⅱ. 4-22)

이 되고, 전류는 식 (Ⅱ. 4-23)과 같은 진동수로 진동한다.


1

f= (Ⅱ. 4-23)
2r LC

2.2 RLC 직렬 회로
그림 (Ⅱ. 4-18)은 저항 R , 코일 L , 축전기 C 가 교류 전원에 직렬로 연 R L C
a b

결된 모습이다. R , L , C 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의 모든 점에


서 같은 전류값을 갖는다. 세 소자에 걸리는 순간 전압은 각각 순간 전류와 다
음과 같은 위상 관계를 갖는다(그림 (Ⅱ. 4-19)).
(1) 저항 R 의 양단에 걸리는 순간 전압 v R 은 전류의 위상과 동일하다. 그림 (Ⅱ. 4-18) RLC 직렬 회로
r
(2) 축전기 C 의 양단에 걸리는 순간 전압 v C 의 위상은 전류보다 2 만큼 늦다.

133
r
i (3) 코일 L 의 양단에 걸리는 순간 전압 v L 의 위상은 전류보다 만큼 빠르다.
2
t
회로 전체에 걸린 알짜 순간 전압 v 는 서로 다른 위상차 때문에 위상차를 고
vR 려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그림 (Ⅱ. 4-20-(가))의 위상
t
자 도표는 RLC 직렬 회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RLC 직렬 회로의 시각
vL
t 에서 전류를 나타내는 위상자를 +x 축과 나란하게 표시했을 때 전류와 동일
t
한 위상의 전압은 +x 축과 나란한 벡터로 표시되고, 전류와 위상이 다른 전압
vC 들은 다른 축을 따라 놓인다. 즉, V R 은 전류와 동일한 위상을 갖기 때문에 +x
t
축을 따라 표시되고, VL 은 전류보다 위상이 r 만큼 앞서가기 때문에 +y 축을
v 2
따라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VC 는 전류보다 위상이 r 만큼 뒤쳐져 가기 때문에
t 2
-y 축을 따라 표시된다. V R , VL , VC 의 수평축으로의 투영은 각 순간의 전위
그림 (Ⅱ. 4-19) RLC 직렬 회로 차 v R , v L , v C 이며 이들의 대수적인 합은 단자 a와 b 사이의 순간 전위차 v
에서 위상관계
와 같다. 그리하여 벡터 합 V 는 전원 전압 v 를 나타내는 위상자이며 직렬 연
결된 회로 요소들 양단에 걸린 순간 총 전압 v ab 이어야 한다. 이러한 벡터 합
을 구하기 위해, 먼저 위상자 VL 에서 위상자 VC 를 빼주어야 한다(이 두 개의
위상자들은 언제나 동일선을 따라 있으며 항상 반대 방향을 가진다). 이것이 위
y
y
상자 VL - VC 를 주며, 언제나 V R 과 직각을 이루므로 위상자 V 의 크기는
VL
VL V = V 2R + ]VL - VCg2 = I R 2 + ]X L - X Cg2 = IZ (Ⅱ. 4-24)
이다. Z 가 RLC 회로에서 합성 저항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것을 교류 회로
VR
VR
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회로에 걸린 전압의 비율인 임피던스(impedance)라고
x
x
VC 정의한다. 단위로는 X (옴)을 사용한다.
VC

(가) 그림 (Ⅱ. 4-20-(나))로부터 RLC 직렬 회로의 위상각 z 는 식 (Ⅱ.


4-25)와 같다.

z = tan -1 e o = tan -1 c L m
V L - VC X - XC
V
V

(Ⅱ. 4-25)
VL- V VR R
VL-VC C
zz 여기서 XL 과 XC 는 진동수에 의존하므로 위상각 z는 역시 진동수에 의존한다.
VR
VR
2 곱하기
사인 함수적으로 변하는 어떠한 양에 대하여도 실횻값은 항상 1
(나)
최대 진폭이므로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에 대한 관계식에서 진폭 대신 실
그림 (Ⅱ. 4-20) (가) 직렬 회로의
위상자 도표 (나) 위상자들의 벡터 합 횻값을 사용하여도 타당하다. 즉, 교류 전압과 전류의 실횻값인 Ve 와 I e 를 임
피던스 Z 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XL
Ve Ve
R + ]X L - X Cg2
Ie = = (Ⅱ. 4-26)
XL-XC Z 2
Z
z
O
R 가 된다. 여기서 X L = X C 일 때, 회로의 임피던스는 최소가 되고 전류의 실
XC
횻값은
그림 (Ⅱ. 4-21) RLC 직렬 회로 V
의 임피던스
I e = Re (Ⅱ. 4-27)

134
Ⅱ 전자기학

전류진폭
로 최대가 된다. 이처럼 어떤 측정한 진동수에서 전류 진폭이 최고점을 만드
R=10Ω
는 현상을 공진(resonance)이라고 하며, 외부의 교류 기전력의 강제 각진동
I XL > XC XL > XC
수와 RLC 직렬 회로의 자연 각진동수 1 LC 와 같을 때 발생한다. 이 때 R=30Ω

의 진동수를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라고 하며, X L = 2rfL , R=100Ω

1 로부터 0.90 0.95 1.00 1.05 1.10


XC =
2rfC 강제 진동수 ~ d / 자연 진동수 ~
f =
1
2r LC (Ⅱ. 4-28) 그림 (Ⅱ. 4-22) 직렬 회로의 공진
곡선
이다. 그림 (Ⅱ. 4-22)는 RLC 직렬 회로에서 저항 R 이 달라질 때 강제 진
동에 대한 공진 곡선이다. 각 곡선에 수평으로 그려진 양 끝 화살표는 곡선의
폭을 말하는데 이는 최댓값의 반이 되는 위치에서의 폭이며 공진이 얼마나 날
카로운지를 나타낸다.
RLC 직렬 회로와 같은 공진 회로는 실제 전자제품에 널리 응용된다. 가장 공명(resonance)
잘 알려진 예로 라디오에서 내가 들으려는 방송을 골라내는 동조 회로에 이용된 특정 진동수에서 큰 진폭으
로 진동하는 현상. 진동은 역
다. 어떠한 주어진 진동수의 라디오 신호는 수신 회로에 같은 진동수를 가진 전류
학계, 음향계, 광학계 등 많
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전류의 진폭은 신호 진동수가 수신 회로의 ‘동조되어 있는 은 종류의 진동계에서 나타
(tuned)’ 특정한 진동수와 같을 경우에 최대 즉, 공명이 발생한다. 동조 회로는 날 수 있으며, 이 중 전기·
공학적 진동계에서의 공명을
동조된 진동수가 아닌 다른 신호에 대해서 생기는 전류가 너무 작아서 라디오의
공진이라고도 함.
스피커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거의 만들 수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심화확인

1. 인덕턴스가 5.0mH이며 도선의 저항을 무시할 수 있는 코일을


20V , 200 Hz 의 교류 전원을 연결하였다.

(1) 코일의 유도 리액턴스 X L 은 얼마인가?


(2) 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 I 는 얼마인가?

2. 25n F 의 축전기와 1.0 H 의 코일 및 50X 의 저항이

100 V , 60 Hz 의 교류 전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1) 회로의 임피던스 Z 는 얼마인가?

(2) 전류 I 는 얼마인가?

(3) 이 회로에 최대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f 는


얼마인가?

135
맥스웰 방정식과 전자기파
03 학습 목표 ■ 전자기파의 파동 방정식을 유도하고, 맥스웰 방정식의 과학사적 의미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 전자기파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전자기파의 성질과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3.1 맥스웰·암페어 법칙
맥스웰은 전기 현상과 자기 현상에 대한 법칙을 하나로 통합하려고 노력하
였다. 그 당시 잘 알려진 패러데이 법칙은 자기장이 변하면 전기장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맥스웰은 패러데이 법칙의 역, 즉 전기장이 변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앙페르 법칙은 임의의 폐곡선에 대한 자기장의 선적분과 그 폐곡선으로 둘러
싸여진 임의의 면을 통과하는 전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B : dl = n I
0 (Ⅱ. 4-29)

식 (Ⅱ. 4-29)의 앙페르 법칙에서는 전류가 흐를 때만 주변에 자기장이 만


들어진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하지만 맥스웰은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전기장의 세
기만 변해도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그는 전기
장의 변화도 전류로 간주할 수 있기에 전기장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에 비례하
Id
는 변위 전류(displacement current) 개념을 고안하였다.
I I
- v
그림 (Ⅱ. 4-23)은 교류 전원에 연결된 평행판 축전기의 모습이다. 축전기
+ -
의 두 도체판 사이에 실제로 전자가 이동하지 않지만 교류 전압에 의해 도체판
B B B 에 전자가 충전되었다가 방전되었다가 하면서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이 보인
그림 (Ⅱ. 4-23) 평행판 축전기가 다. 이 현상은 회로의 관점에서 보면 전류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 전류가 변위
충전되는 동안 실제 전류와 변위 전
전류 I d 이다. 두 도체판 사이에서는 변위 전류가 흐르는, 즉 전기장이 증가하
류 모두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
는 동안에 그림 (Ⅱ. 4-23)과 같이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그림 (Ⅱ. 4-24)에
서 축전기의 왼쪽 판을 생각해 보면, 들어가는 전류는 있지만 나가는 것은 없
다. 그러나 변위 전류를 포함시키면, 한쪽으로 들어오는 전류만큼 다른 쪽으로
C 변위 전류가 나간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로써 키르히호프의 접합점에 관한 법

R
칙을 일반화 할 수 있다.
면적이 A 인 평행판 축전기 사이에서 한 쪽 판에 전하량이 Q 만큼 저장되
S 어 있는 순간 전기장의 세기 E = Q/e 0 A 이고 평행판 축전기에서 전기 선속
그림 (Ⅱ. 4-24) 축전기가 연결된
교류 회로 U E = EA 이므로 식 (Ⅱ. 4-3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36
Ⅱ 전자기학

Q
UE = e

(Ⅱ. 4-30)
0

축전기에 전하가 충전되고 있는 동안 전하의 양이 변하고 있으므로 전기장도


변하게 된다. 식 (Ⅱ. 4-30) 양변의 도함수를 구하고 정리하면

dU E dQ
e0 = (Ⅱ. 4-31)
dt dt
dQ
이다. 오른쪽 항 는 축전기로 들어가고 밖으로 흘러나오는 전류이다. 이
dt
전류는 도선에서 흐르는 전류 I 와 같아야 한다. 맥스웰은 이 전류를 변위 전류
라고 정의하였다.
dU E
Id = e0 (Ⅱ. 4-32)
dt
맥스웰은 앙페르 법칙인 식 (Ⅱ. 4-29)에 변위 전류 관련 항을 포함하여
dU E
# B : dl = n I + n 0 0 e0
dt (Ⅱ. 4-33)

의 방정식을 얻었다. 식 (Ⅱ. 4-33)으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전자기파의 특징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도 전류가 전혀 없는 빈 공간에서도 암페어의 법칙은
전도 전류
성립하고 E 와 B 가 시간에 따라 변화할 때 이것들이 상호 관련되어 있음을 (conduction current )
뜻한다. 이는 공간의 어떤 영역 내에서 전기장이 변화하면 전도 전류가 없고 매 도체의 내에서 전위의 차이
가 생겨서 자유 전자가 이동
질이 존재하지 않아도 이웃 영역에 자기장이 유도됨을 의미한다. 둘째, n 0 를
하게 되어 흐름이 발생되는
n (자성 물질의 투자율)로 대치하면, 식 (Ⅱ. 4-33)은 자성 물질의 내부에서 전류

도 성립한다.

심화확인

반지름이 R 의 원형 극판으로 이루어진 평행판 축전기가 있다.


전하가 축전기의 양극판으로 흘러들어오고 음극판으로 빠져 나간다.

(1) ㄱr ≤ R 인 경우 반지름 r 에서의 자기장을 구하여라.

(2) r ≥ R 인 경우 반지름 r 에서의 자기장을 구하여라.

3.2 맥스웰 방정식


쿨롱, 가우스, 앙페르 그리고 패러데이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전기
현상과 자기 현상이 관계된 법칙들을 수학적으로 체계화하여 전자기 현상에 대
한 통일된 체계를 만든 사람은 맥스웰이다. 그는 전자기학의 기초가 되는 맥스
웰 방정식으로부터 수학적으로 전자기파의 파동 방정식을 유도하고 빛의 속도
로 전파되고 있는 전자기파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137
진공 중에서 맥스웰의 방정식을 적분 형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Q

# E : dA = e0 (Ⅱ. 4-34)
# B : dA = 0 (Ⅱ. 4-35)
U
# E : dl = - ddt B
(Ⅱ. 4-36)
dU E
# B : dl = n I + n 0 0 e0
dt (Ⅱ. 4-37)

식 (Ⅱ. 4-34)는 전기장에 대한 가우스 법칙으로 전기력선들은 양전하에서


시작되어 음전하에서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느 한 위치에 미치는 점
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그 위치에 시험 전하를 놓고 쿨롱의 법칙을 적용함으로
t
써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미분형은 d : E = 이다. 이는 전하
e0
밀도 t 가 만드는 전기장 E 에 대한 법칙이다. 식 (Ⅱ. 4-35)는 자기장에 대
한 가우스 법칙으로 자기장 B 를 폐곡면에 대해 면 적분한 값이 항상 0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자기력선이 항상 폐곡선을 이룬다는 점과 자기 홀극이 존
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미분형은 d : B = 0 이다. 식 (Ⅱ. 4-36)은 패러
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전기장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2B
보여준다. 미분형은 d # E = - 이다. 식 (Ⅱ. 4-37)은 맥스웰·앙페
2t
르 법칙으로 기존에 있던 앙페르의 법칙에 맥스웰이 변위 전류 관련 항을 더 추
가해서 완성된 법칙으로 자기장의 변화가 전기장을 만들어낸다는 패러데이의
2E
전자기 유도 법칙과 대칭을 이룬다. 미분형은 d # B = n 0 J + n 0 e 0 2t 이다.
정지한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이나 정상 전류에 의한 자기장에서처럼 장이 시
간에 따라 변하지 않을 때에는 그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장
과 자기장을 독립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장이 시간에 따라 변할 때에는
그들은 더이상 독립적이지 않다.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은 시간에 따라
정상 전류 변하는 자기장이 전기장의 원천으로 작용함을, 맥스웰·앙페르 법칙은 시간에
(stationary electric
current) 따라 변하는 전기장이 자기장의 원천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두 장 사
전하가 이동함에도 불구하 이의 상호 작용은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간결하게 요약된다. 이처럼 전기장이
고, 일정한 공간의 전하의 밀
나 자기장 중 어느 하나가 시간에 따라 변할 때 다른 종류의 장이 이웃 공간 영
도 분포는 일정할 때가 있다.
이때의 전류의 변화율은 0인 역에 유도된다. 중간 영역에 물질이 없을 때에도 공간을 통해 한 영역에서 다른
데, 이러한 성질을 가진 전 영역으로 전파될 수 있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구성되는
류. 정상 전류가 흐른 공간
전자기적 교란이 발생된다. 이것이 바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에서는 전하의 이동 때문에
생기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 이다.
라 변하지 않으므로 정 자기
장이라고 함.

138
Ⅱ 전자기학

3.3 맥스웰의 파동 방정식


맥스웰은 진공에서 전자기파의 속력을 계산하여 빛의 속력과 같음을 발견하
고, 빛과 전자기파는 본질적으로 같음을 증명하였다.
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파동 방정식을 유도해 보자. 그림 (Ⅱ. 4-25-(가))
는 위상이 같고 서로 수직이며 각각은 전자기파 진행방향과 수직인 전기장과
자기장 벡터 E , B 를 순간 사진처럼 나타낸 것이다. 그림 (Ⅱ. 4-25-(나))
와 같이 그림 (Ⅱ. 4-25-(가))의 점 P 에서 xy 평면 위에 점선으로 그린 너비
dx , 높이 h 의 직사각형 네 변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을 적용하자. 이때 전기장 E 는 y 축 방향이고 직사각형 윗변과 아
랫변에서는 E 와 dl 이 수직이기 때문에 이들 변에서의 적분값은 0이 되므로
식 (Ⅱ. 4-38)과 같이 정리된다.

# E : dl = h : ]E + dE g - h : E = h : dE = - ddt
U B
(Ⅱ. 4-38)

사각형을 지나는 자속은 U B = B : hdx 이므로 이를 시간 t 로 미분하면

dU B dB
= hdx (Ⅱ. 4-39)
dt dt
가 되고, 식 (Ⅱ. 4-38), (Ⅱ. 4-39)로부터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에
dE dB
=- (Ⅱ. 4-40)
dx dt
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y y y
dx E
dx

E B E h E
c h x
x h x
P
B E B B B+dB

z z B z dx

(가) (나) (다)

그림 (Ⅱ. 4-25)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

dE
식 (Ⅱ. 4-40)은 E 와 B 가 x 와 t 의 함수임에도 어떤 시점에서

dx
점 P 주변의 전기장의 변화율로써 시각 t 가 일정하다고 보았으며, dB 는 점
dt
P 에서 B 에 대한 그 시점에서의 변화율로써 위치 x 를 일정하게 보았다. 따
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 변수 중에서 하나의 변수를 일정하게 놓고 다른 변
수에 대한 변화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편미분 형태로 표현되어야 한다. 즉,
2E 2B (Ⅱ. 4-41)
=-
2x 2t
로 나타내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139
그림 (Ⅱ. 4-25-(다))와 같이 그림 (Ⅱ. 4-25-(가))의 점 P 에서 xz 평면
위에 점선으로 그린 너비 dx , 높이 h 의 직사각형 네 변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
으로 맥스웰 ·앙페르의 법칙을 적용하자. 이때 자기장 B 의 방향이 z 축 방향
이고 전도 전류가 없으므로

# B : dl = h : B - h : ]B + dBg = -h : dB = n 0 e0
dU E
dt
(Ⅱ. 4-42)

가 된다. 사각형을 지나는 전기력 선속 U E = E : hdx 이므로, 시간 t 로 미


분하면,

dU E dE
= hdx (Ⅱ. 4-43)
dt dt
시간과 위치 모두에 의존하
는 파동의 변위 y 를 표현하 가 되고, 식 (Ⅱ. 4-42)와 식 (Ⅱ. 4-43)으로부터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에
는식
y ]x, tg = A sin ]kx - ~tg dB dE
= A sin b
2r 2r l = -n 0 e 0 (Ⅱ. 4-44)
m
x-
T
t dx dt
은 파동 방정식
222 y2 y 1 22 y
22xx2
2=- 2
v 2t 2
= 0을 만 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앞에서 같이 편미분으로 표현하면
족한다.
2B 2E
= -n 0 e 0 (Ⅱ. 4-45)
2x 2t

이다. 이제 식 (Ⅱ. 4-41)과 식 (Ⅱ. 4-45)을 각각 x 와 t 로 편미분하면,


파동의 속력
m ~
v=
T
= k 22 E 22 B (Ⅱ. 4-46)
=-
2x 2
2t2x
22 B 22 E
= -n 0 e 0 (Ⅱ. 4-47)
2x2t 2t 2

가 된다. 식 (Ⅱ. 4-46)과 식 (Ⅱ. 4-47)를 정리하면 식 (Ⅱ. 4-48)과 같은


전기장의 전파에 대한 파동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d n

22 E 1 2
22 E
2t 2
n 0 e 0 2x
2
(Ⅱ. 4-48)

1
이 식으로부터 전자기파의 속도는 임을 알 수 있는데, 이 값은 n 0 와
n0 e0
e 0 의 값을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 빛의 속도와 같다. 즉, 식 (Ⅱ. 4-48)은 전

자기파가 빛의 속도로 진행하는 파동임을 나타낸다.

140
Ⅱ 전자기학

맥스웰 방정식의 미분형을 이용한 전자기파 이론적 예언

전하 분포와 전류 분포가 없는 곳, 즉 t = 0 이고 J = 0 인 경우의 맥스웰 방정식


2E
① d : E = 0 ② d : B = 0 ③ d # B = n 0 e 0
2t
2B
④d#E = -
2t
식 ③ 과 ④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을 소거하여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미분 방정식을 구해 보자.
식 ④ 양변에 curl을 취하고 식 ③을 이용하여 정리하면

4# ]4#E g = -4# ]4#dg2 =


2B 2 2222
2 2
E EE
=- Bd 2
E -nn0:
E-
- e0 e0f0 : 2 2 =
=00
2t 2t 2t2
2t t2

이다. 위 식 좌변의 벡터 삼중곱 A # ]B # C g = B ]A : C g - ]A : Bg C 을 이용해 전개하고 식 ①


을 이용해 정리하면
d # ]d # E g = d ]d : E g - d : dE = -d 2 E
22 E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d 2 E - n 0 e 0 =0
2t 2
이 식이 전기장 E 에 대한 파동 방정식이다.
22 B
식 ③ 양변에 curl을 취하여 자기장 B 에 대한 파동 방정식 d 2 B - n 0 e 0 = 0 을 얻는다.
2t 2
맥스웰은 이 결과로부터 전기장과 자기장이 파동을 만들 것이라고 예언했다.

3.4 전자기파의 발생
맥스웰은 수학적으로 전자기파의 파동 방정식을 유도하고 빛의 속도로 전파
되고 있는 전자기파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 전자기파
를 발생시키고 그것을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데 성공한 사람은 헤르츠였다.
헤르츠는 그림 (Ⅱ. 4-26)과 같은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전자기파를 발생시키
그림 (Ⅱ. 4-26) 헤르츠의 전자기파
고 검출하였다.
좁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쇠구슬이 유도 코일에 연결되어 있다.
유도 코일에 고전압을 걸어주어 두 쇠구슬에서 방전이 일어날 때 검출기의 쇠
구슬 사이에서도 방전이 일어난다. 이것은 유도 코일과 쇠구슬로 이루어진 진
동 회로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공간으로 전파되어 검출기의 쇠구슬에서 검
출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같은 실험을 통하여 헤르츠는 맥스웰이 예언
한 전자기파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그는 전자기적인 정상파(standing
waves)를 발생시켜 이웃해 있는 마디 사이의 거리(반파장)를 측정하여 파장을
결정하고,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알아내어 파장–진동수의 관계식 v = λf로부

141
터 파동 속력을 구하였다. 이 속력은 빛의 속력과 같았으며 이로써 맥스웰이 이
론적으로 예측한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 업적을 기려 1초 당 사이클
즉, 진동수의 국제 단위계( SI ) 단위가 헤르츠( Hz )라고 명명되었다. 1 Hz 는
1초 당 사이클(cycle per second)과 같다.
안테나
유도
교류 오늘날에는 주로 LC 회로를 사용하여 전자기파를 만든다. 그림 (II. 4-27)과
전류
2차 1차
같이 LC 회로에 특정한 진동수의 교류가 흐르면 안테나가 연결된 2차 코일에도
축전기
코일 코일
LC 회로와 같은 진동수의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안테나에는 LC 회로
전지
의 교류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로 전하기 진동한다. 이 진동하는 전하는 진동하는
그림 (Ⅱ. 4-27) 회로와 안테나에
전기장을 만들고, 진동하는 전기장은 진동하는 자기장을 만든다. 또한 진동하는
서 전자기파의 발생
자기장은 다시 진동하는 전기장을 만든다. 이렇게 안테나에서는 전기장과 자기
장이 서로 번갈아가며 유도하면서 공간을 퍼져 나가는 전자기파가 만들어진다.

3.5 전자기파의 성질과 종류


E
v = c 진행 방향 맥스웰의 파동 방정식은 전자기파의 여러 중요한 특징을 설명해 준다.
E
첫째, 전자기파는 횡파(transverse wave)이다. 그림 (Ⅱ. 4-28)에서 볼 수
x
B
B 있듯 E 와 B 는 모두 전파 방향에 수직이고 서로에 대해서도 수직이다. 전파 방
그림 (Ⅱ. 4-28) 전자기파의 전기 향은 벡터 곱 E # B 의 방향이다.
장과 자기장
둘째, 빛의 속력 c 는 진공 속의 전기장 E 와 자기장 B 의 사이에
c = E/B 의 관계를 만족한다.
셋째, 전자기파는 진공 속에서 일정한 속력 c 로 진행한다. 전자기파가 진
공이 아닌 물질 내부를 통과할 때는 c 보다 더 작은 속력으로 진행한다. 매
질에서 전자기파의 속력 v 도 그 매질의 유전율 e 과 투자율 n 을 이용하여

1 en 라고 표현할 수 있다.
넷째, 전자기파에서 진동하는 것이 전기장과 자기장이기에 전자기파 전파
시 매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섯째, 전기장과 자기장은 같은 진동수로 진동한다. 따라서 하나의 진동수 f
와 하나의 파장 m = c/f 는 그 파의 전기장과 자기장 모두에 관계한다.
여섯째, 전기장과 자기장은 같은 위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전기장과 자기
장은 동일한 위치의 점들에서 최대의 세기를 가지며 세기가 0이 되는 곳도 동일하다.
전기장과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며 전파된다는 똑같은 본성의 전자기파라고 할
지라도 그 전자기파의 진동수가 몇 번이냐에 따라 그 전자기파의 성질이 매우 달
라진다. 그래서 전자기파는 그림 (Ⅱ. 4-29)에서 볼 수 있듯 진동수에 따라 또는
파장에 따라 분류되고 그 진동수 대의 전자기파에 독특한 이름이 붙어 있다.
전자기파는 진동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이 나타나지만 진공에서 모두 빛의

142
Ⅱ 전자기학

속력으로 전파된다. 이들의 진동수 f 와 파장 m 는 진공에서 c = fm 의 관계


가 성립한다.

10 1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0-10 10-11 10-12 10-13

파장(cm)
적외선 X선
마이크로파 자외선 γ선

10
8
10
9
10
10
10 11
10
12
10
13
10
14
10
15
10
16
10
17
10
18
10
19
1020 1021 1022
적외선 진동수(Hz)
가시광선

700 nm 650 600 550 500 450 400 nm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그림 (Ⅱ. 4-29) 진동수에 따른 전자기파 구분

진동수가 마이크로파보다 더 작은 전자기파를 라디오파라고 부른다. 이 파


는 라디오 방송과 텔레비전 방송 등에 이용된다. 마이크로파는 휴대전화 통신,
레이더, 전자레인지 등에 이용된다.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는 물 분자에 잘
흡수되어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음식을 가열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파는 우주의
기원과 우주의 진화를 밝혀주는 우주론에 대한 이론이 수립되는 데도 기여하였
다. 1964년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이 대형 마이크로파 혼 안테나를 사
용하여 우주 배경 복사를 처음 발견하였다. 적외선은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
의 무선 리모컨 장치에 이용된다. 그리고 물체가 자신의 온도에 따라 하는 열복
그림 (Ⅱ. 4-30) 우주 배경 복사
사의 대부분이 적외선에 속한다. 그래서 야간전투에서는 적외선 안경을 가지
고 적군의 동태를 감시하기도 한다. 가시광선은 파장의 범위가 보통 400 nm
~ 700 nm 이며 사람이 감지할 수 있는 전자기파이다. 눈에 있는 원뿔 세포와
막대 세포는 이 영역의 전자기파에 민감하다. 자외선은 피부를 검게 그을리게
하거나 피부에 비타민 D 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대략 290 nm 이하의 파장
을 가지는 자외선은 살균작용을 한다. X -선은 의료 분야에서 진단용 도구로
사용되며, 파장이 원자 간의 간격 정도이기 때문에 결정 구조의 연구에서 쓰인
다. c 선은 파장이 매우 짧아 에너지가 크며,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143
안테나
04 학습 목표 ■ 전자기파를 안테나로 수신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 안테나를 설계할 때 갖추어야 할 조건을 설명하고, 변조와 복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4.1 안테나
전기장 전기장 전자기파를 실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림 (Ⅱ. 4-31, Ⅱ. 4-32)와
안테나

같이 진동 전류로부터 얻어진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수신할


파동의
자기장 진행 방향
방법이 요구된다. 이때 이용하는 것이 안테나(antenna)이다. 안테나는 특정
안테나 내에
전자가 받는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송신 혹은 수신하기 위한 변환장치이다.
전기력

안테나의 기본 원리는 그림 (Ⅱ. 4-33)과 같이 진동 회로( LC 회로)에서 축


그림 (Ⅱ. 4-31) 전자기파 속에 놓
인 직선 안테나 전기의 극판 사이를 넓힌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전형적인 안테나가 쌍극자 안
테나(반파장 다이폴 안테나, Half wave dipole antenna)이다. 쌍극자 안
테나의 경우, 진동 전류가 흐르는 부분의 길이가 진동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
+
_
자기파의 반 파장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때 안테나의 양 극판에서 반사되는
+
_
진동 전류가 중첩되어 정상파를 이루므로, 특히 강한 진동 전류가 흘러 강한 전
자기파가 방출된다. 마찬가지로 쌍극자 안테나의 길이가 반 파장의 자연수 배
+

에 해당하는 전자기파에 대하여 공진을 일으키므로, 이 공진 주파수의 전자기


_

+
_ 파를 가장 효율적으로 수신한다.

그림 (Ⅱ. 4-32) 안테나에서 전자


기파가 퍼져나가는 모습
L C

지연

그림 (Ⅱ. 4-33) 안테나의 기본 원리

안테나는 형태에 따라 도체선에서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쌍극자 안테나와 사


분파장 홀극 안테나 등과 같은 선상 안테나, 접시처럼 열려있는 면에서 전자
기파를 발생하는 파라볼라 안테나와 혼 안테나 등의 개구면 안테나(aperture
antenna), 안테나를 여러 개 조합하여 만든 평면 안테나, 야기 안테나 등과
같은 배열 안테나 등으로 구분된다.

144
Ⅱ 전자기학

λ 복사 방향
4
지지대
도파기
절연체
모노폴 안테나 혼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

λ 반사기
2
λ 동축 케이블
투사기 (
2)

다이폴 안테나 평면 안테나 야기 안테나

그림 (Ⅱ. 4-34) 안테나의 종류

4.2 변조와 복조
음성 신호를 라디오 등을 통해서 무선으로 전달하고자 할때, 음성 신호를 안테나
입력
<무선기 송신기> 장치
방송국 채널의 특정 주파수에 실어서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음성 신호를 특
증폭기 변환기 변조기

정 송신 주파수의 전자기파에 실어서 전송하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고


발전기
하며, 이때 신호를 실어 나르는 전자기파를 반송파라고 한다. 그리고 다시 이
그림 (Ⅱ. 4-35) 무선 통신의 기본
반송파를 받은 라디오 수신기에서 필요한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복조 구성
(demodulation)라고 한다.
무선 통신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그림 (Ⅱ. 4-35)와 같이 송신측의 무선
기에는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 등에서 정보를 받아 그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
환하는 입력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무선기 안에는 발진기가 있으며 여기서 반
송파로 불리는 고주파 전류가 만들어진다.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
와 발진기에서 만들어진 반송파는 변조기로 동시에 보내진다. 변조기에서는 전
기 신호와 반송파가 합성되면서 정보를 실은 고주파 전류를 만들어 낸다. 여기
서 만들어진 고주파 전류는 주파수 변환기에서 희망하는 주파수로 변환시킨 다
음, 증폭기에서 전류를 증폭시키어 송신 안테나로 보내지고 안테나에서 전자기
파가 되어 공간에 방출되는 것이다. 한편, 수신측의 무선기는 기본적으로 이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한다. 정보가 실린 전자기파를 안테나가 받으면, 변조기와
반대로 동작하는 복조기에서 정보를 가려내어 원래의 전기 신호로 되돌린 다
음, 스피커나 텔레비전 등의 출력 장치에 전류를 흘려 보내어 음성과 영상으로
재생한다.
음성이나 영상 등의 입력 신호는 진폭, 주파수, 위상으로 결정된다. 변조는
이 세 가지 양을 전송하고자 하는 전자기파에 대응되는 양으로 변환시키는 것
이다. 예를 들면, 라디오 방송과 같이 음성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특정 주파수에 실어서 진폭이나 주파수 또는 위상을 변
화시켜 전송하게 된다.

145
반송파(신호를 실어나르는 전자기파)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모
양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잡음이 비교적 많아 음질이
좋지 않으나, 전파 도달 거리가 멀고 회로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 신호
일반적으로 중파를 사용하는 라디오 방송에서 주로 이용된다.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진폭 변조

모양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파장이 짧은 주파수일수


록 공간을 전파해감에 따라 감쇠가 심하므로 FM 신호가 AM 신호보다 도달
주파수 변조 거리가 짧다는 특징이 있으나, 잡음이 적기 때문에 고음질의 전송이 필요한 음
악 방송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PM )는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의 모양에
위상 변조
따라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위상은 시간에 대한 신호의 상대적
인 위치를 의미한다. 입력 신호의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위상이 변하게 되고
그림 (Ⅱ. 4-36) 세 가지 방식에 의 이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가 변하게 되므로, 위상 변조는 주파수 변조의 결과와
해 변조된 파형
비슷하게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위상 변조를 간접 FM 방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변조 방식 중에서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것인가는, 음성, 영상, 데이
터 등 어떤 신호를 전송할 것인가, 그리고 어느 정도 충실하고 효율적으로 전송
할 것인가 등의 목적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그림 (Ⅱ. 4-36)은 세 가지 방식
에 의해 변조된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무선 인식 RFID
(Radio Frequency
심화확인
IDentification) 1. 텔레비전에 사용하는 실내 안테나의 모양은 두 종류로 구분할
주파수를 이용해 ID 를 식
수 있는데, VHF 용은 막대 모양이고 UHF 용은 둥근 원형
별하는 시스탬으로 RFID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모양이다. 이들 안테나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이며, 전자기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파를 수신하는 방법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시오.
기술. RFID 시스템은 태그
(tag), 리더(reader), 호스 2. 반파 안테나는 안테나의 최적 길이는 수신되는 복사의 파장의 반
트(host)로 구성된다.
이라는 원리를 따라 작동한다. 자동차 안테나가 99.7 MHz 의
진동수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할 때 그 최적 길이를 구하시오.

3. RFID (무선 인식)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자기파 정보를 주


고 받는다.

(1) 이때 안테나 구조와 원리를 RFID 작동원리와 관련하여 기술하

시오.

(2) RFID를 활용한 기술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

정적 효과를 기술하시오.

146
Ⅱ 전자기학

연습 문제

01 전기 저항이 R = 20.0X 인 저항과 전기 용량이 C = 2.00 # 10 n F 인 축전기, 그리고 인덕턴스가


2

L = 40.0 mH 인 인덕터를 직렬로 교류 기전력에 연결하였다. 교류 기전력의 최댓값은 2.40 # 10 2 V


이고 각진동수는 3.00 # 10 2 Hz 이다.

(1) 이 회로의 위상자 도표를 그리시오.


(2) (1)에서 구한 위상자 도표로부터 이 회로의 임피던스와 위상 상수를 구하시오.
(3) 이 회로에 흐르는 최대 전류와 전류의 실횻값을 구하시오.
(4) 이 회로에서 10.0 s 동안 소비하는 전기 에너지를 구하시오.

02 교류 기전력에 연결된 인덕터스가 L = 45.0 mH 인 인덕터의 유도 리액턴스가 X L = 3.00 k X 이다.


(1) 이 회로에 연결된 교류 기전력의 진동수를 구하시오.
(2) 이 인덕터의 유도 리액턴스와 같은 값의 용량 리액턴스를 갖기 위한 축전기의 전기 용량을 구하시오.
(3) 만일 (1)에서 구한 진동수의 두 배의 진동수로 교류 기전력이 작동할 때 인덕터와 축전기의 새로운 리액
턴스를 구하시오.

03 원형 극판의 지름이 R 인 평행판 축전기가 대전되면 극판 사이에서 변위 전류의 전류 밀도 크기는 J 로


균일하다.

1 인 곳에 생기는 자기장의 크기를 구하시오.


4R
(1) 극판 사이에서 대칭축으로부터

(2) 극판 사이에서 dE 를 구하시오.


dt

04 AM 라디오 방송의 진동수 영역은 대략 5.00 # 10 2 kHz 에서 1.60 # 10 3 kHz 에 걸쳐 있다. 가


변 축전기와 4.00n H 의 코일을 직렬로 연결한 회로를 동조 회로로 사용할 때, AM 라디오 진동수 영역
전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가변 축전기의 최소 및 최대 전기 용량을 구하시오.

147
5 의료의 물리학
01 감각 기관의 작동 원리
02 첨단 의료 기기

생각 열기
1895년에 독일의 물리학자인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하였다. 이후 X-선은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되었을 뿐
만 아니라 인간 생체를 투시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의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방사선을 이
용한 진단법이 발전하여 1979년에는 컴퓨터 단층촬영( CT ) 장치 개발로, 2003년에는 자기공명촬영장
치( MRI )를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 공로로 물리학자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이처럼 의학의 진
보와 직결된 의료 기기의 발전에 물리학이 기여한 바는 매우 크다. 이 단원에서는 귀와 눈의 감각 기관 작
동을 물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알아보고, 첨단 의료 기기에서의 물리적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148
Ⅱ 전자기학

감각 기관의 작동 원리
01 학습 목표 ■ 청각과 시각 기관의 작동 원리를 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1 귀와 청각
외이 중이 내이
인간의 청각기관계의 한 부분인 귀는 공기의 진동인 소리가 우리 몸에서 생
뼈 반고리관
체화학 전기 에너지 형태로 바뀌는 에너지 변환기관이다. 그리고 귀에서는 이 청신경
달팽이관
외이도
러한 변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리 에너지 손실이 기계적 증폭과 공명 등을 통 유스타키오관

해 증폭되는 기능도 함께 이루어진다. 그림 (Ⅱ. 5-1)에서와 같이 귀는 크게 청소골


추골(망치뼈) 침골(모루뼈)
외이, 중이, 내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난원창
고막
등골(등자뼈)
외이는 음파를 모으는 역할을 하는 귓바퀴, 일종의 공명강 역할을 하는 외이
그림 (Ⅱ. 5-1) 귀의 구조
도와 고막까지를 말한다. 외이에서는 두개골로부터 돌출된 깔대기 형태로 인한
증폭, 귓바퀴와 외이도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공명증폭이 발생한다.
음압의 특성상 공기로 가득찬 외이에서 림프액으로 꽉 찬 내이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중이의 임피던스 변환 기능으로 인해 이러한 손실을 극복하
고 소리가 효과적으로 증폭된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고막과 난원창의 면적비
( 55 mm 2: 3.2 mm 2 = 17: 1 )로 인한 음압의 증가이다. 넓은 고막에서 상대적
고실
으로 좁은 난원창으로 소리가 전달될 때 음압은 17배(약 25dB )가 증가된다.
외이와 내이 사이에 있는 공
둘째, 망치뼈과 모루뼈의 길이의 비(1.3:1)로 인한 음압의 증가이다. 길이가 간으로 소리 에너지 (소리진

긴 망치뼈에서 길이가 짧은 모루뼈로 소리가 전달되면 지렛대 효과에 의해 음 동)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꿔
내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압이 1.3배(약 2 dB ) 증가한다. 셋째, 고막의 원뿔형 모양으로 인해 발생하는
버클링 효과(buckling effect)로 인해 음압이 증가된다. 음파가 고막에 전달
되면 원뿔형의 꼭짓점으로 음압이 집중된다. 이때 얇은 3겹의 막으로 이루어진
고막이 고실 쪽으로 움직였다가 다시 회복되는데 고막의 꼭짓점에 연결된 망치 망치뼈 모루뼈

뼈로 전달되면 음압이 2~3배( 4+ 9dB ) 증가한다. 이러한 세 가지 방법으로


총 31.5+ 36.5dB의 증강 효가 있다. 이와 같이 증폭된 음파가 난원창을 통해 1.0 등자뼈

1.3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1
17 난원창
달팽이관은 림프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세 부분으로 나뉜 파이프 모양이 달
팽이 껍질처럼 둥글게 말려 있다. 전정계는 귓속뼈부터 소리의 진동을 받아들
여 림프의 진동으로 전환시키는 부분이고, 고실계는 림프의 진동을 달팽이관
그림 (Ⅱ. 5-2) 고막과 이소골계의
외부로 전하는 부분이다. 달팽이세관의 바닥을 이루는 막은 기저막이라 하는 연결

149
전정계 난원창 데, 이는 달팽이관과 고실계의 경계가 된다. 기저막은 다양한 넓이와 길이를
달팽이세관
덮개막 가진 수 천 개의 단단한 탄력섬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난원창 근처에 있는 저막
코르티
기관 청각 세포 의 짧고 굵은 섬유는 낮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높은 주파수에 민감한 섬유로 이
기저막
고실계 첨신경
둥근창 루어져 있다. 그리고 와우첨 쪽의 길고 가는 섬유는 높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낮
그림 (Ⅱ. 5-3) 달팽이관 은 주파수에 민감하다. 이러한 달팽이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람의 가청
주파수 영역인 20 Hz ~ 20000 Hz 에 해당하는 음파에 대해 달팽이관 기저부
달팽이세관 청각 세포
달팽이관 전정계 덮개막 는 고유 주파수에 해당하는 공진 영역에서 주로 진동한다. 즉, 달팽이관 내 유
모 세포는 달팽이관 기저막과 더불어 고유한 주파수 감지 특성을 보이며 각기
기저막
고실계 코르티 기관 신경섬유 다른 음향 주파수에 다르게 반응을 한다. 이외에도 달팽이관은 큰 소리에는 수
그림 (Ⅱ. 5-4) 코르티 기관
동적으로 감쇠 반응하고 작고 미세한 소리에는 능동적으로 증폭 반응하는 비선
형적 증폭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저막에는 코르티 기관이라고 하는 약간 돌출
4000Hz 3000Hz 된 구조가 있으며, 여기에 청세포가 있다. 청세포의 표면에는 많은 섬모가 나

5000Hz
800Hz 600Hz 와우첨 있으며, 이 섬모가 달팽이관 속의 내림프로 뻗어 있다. 난원창의 진동으로 달
400Hz 2000Hz
200Hz
1000Hz
팽이관 속의 림프가 움직이면 이 액체의 압력으로 정원창은 난원창의 반대 방
1500Hz
7000Hz 향으로 진동한다. 이때 림프액의 움직임으로 섬모를 흔들게 되며, 이 섬모의
움직임이 청세포를 자극하여 흥분을 일으키고, 이 흥분이 청신경에 의해 대뇌
20000Hz
피질에 전달되어 소리를 감각하게 된다.
그림 (Ⅱ. 5-5) 달팽이관 기저막과
지각주파수 대역

1.2 눈과 시각

공막 맥락막 시각을 통하여 외부 물체의 크기, 형태, 빛, 밝기 등과 공간에 있어서의 위


모양체 망막
현수인대 치와 운동을 알 수 있다. 시각 기관은 눈이지만 시세포가 있어서 빛을 인식하는
황반
각막 중심와
홍채
시신경
곳은 망막뿐이며, 그 밖의 구조는 빛을 바르게 망막으로 도달시키기 위한 역할
동공
전방 을 한다. 빛이 망막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각막, 안방수, 수정체, 유리체 등에
수정체
결막
후방 유리체 망막혈관 서 굴절이 일어나지만 수정체의 굴절률이 가장 크므로, 눈에서의 빛의 굴절은
시신경판
주로 수정체에서 이루어진다. 가깝거나 먼 곳에서 오는 빛을 망막으로 정확히
그림 (Ⅱ. 5-6) 눈의 구조
보내기 위해서는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때 수정체의 두께는
모양체 근육의 수축이나 이완으로 조절된다. 가까운 물체를 볼 때는 모양체 근
육이 수축하여 수정체가 두꺼워져서 망막에 정확한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수정
체가 가장 두꺼워졌을 때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가장 가가운 거리를 근점이라
하며 정상적인 눈은 근점이 25 cm 이다.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는 모양체 근
육이 이완하여 수정체가 얇아져서 망막에 정확한 상이 맺힌다. 조절되지 않은
눈으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를 원점이라 하며 정상적인 눈에 대해
서 원점은 무한히 먼 곳이다. 원시의 경우 상이 망막의 뒷쪽에 맺히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볼록 렌즈를, 근시의 경우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므로 오목

150
Ⅱ 전자기학

렌즈를 이용하여 안경을 제작한다.


원뿔
수정체에서 굴절된 빛은 유리체를 통하여 망막에 도달하고, 전기 신호로 전환 막대 세포
세포
되어 시신경을 따라 뇌로 전달된다. 망막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시세포에는 전자
기파인 빛의 파장에 따라 달리 반응하는 원뿔 세포와 전자기파의 세기 즉 밝기에
따라 반응 정도가 다른 막대세포가 있다. 원뿔 세포는 빛이 강할 때 작용하며, 색
깔을 구분하는 시세포로 3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440 nm , 545 nm 수평
양극 세포

, 580 nm 근처에서 최대 감도를 나타내며 각각 B ]Blueg , G ]Greeng ,


무축삭
세포 세포

R ]Redg 원뿔 세포라 한다. 그림 (Ⅱ. 5-8)에서 볼 수 있듯 파랑( B ) 원뿔 세포는 신경절


세포
440 nm 파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400 ~ 500 nm 파장의 빛에도 반응한
다. 초록( G ), 빨강( R ) 원뿔 세포는 각각 450 ~ 630 nm , 500 ~ 700 nm 영역
의 파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RGB 원뿔 세포의 반응을 종합하면 원뿔 세포의 반
응 영역이 가시광선 영역인 400 ~ 700 nm 임을 알 수 있다. 특정 파장의 빛이 들 그림 (Ⅱ. 5-7) 시세포

어 오는 경우라도 두 개 이상의 원뿔 세포가 동시에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0 nm 파장의 빛이 들어오면 R , G , B 세 종류의 원뿔 세포가 모두 반응하
고, 550 nm 파장의 빛에는 R , G 원뿔 세포만 반응을 한다. 따라서 세 종류의
원뿔 세포의 반응을 종합하면 50 nm 차이의 빛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실제
로 원뿔 세포들의 반응 정도에 따라 사람의 뇌는 다양한 색깔을 구분할 수 있다. 영
상 장치도 R , G , B 세 가지 색을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색을 나타낸다. R ,
G , B 의 색을 합칠 때 각각의 색의 밝기를 다르게 하여 합치면 같은 조합이라도
다른 색을 얻을 수 있다.

표준화 된 420 nm 498 nm 534 nm 564 nm 18


빛 흡수량
초록 원뿔 세포
nm1 당 막대/원추 세포 수x104

100 막대 세포
(Rods) 빨강 원뿔 세포
12 막대 세포 막대 세포
파랑 원뿔 세포
(Blue cones)
맹점

50 6
원뿔 세포 원뿔 세포
Short Medium Long
0
0 70° 50° 30° 10° 0° 10° 30° 50° 70° 90°
400 500 600 700
측두부 망막 비측
Violet Blue Cyan Green Yellow Red
파장(nm) 주변부 각도

그림 (Ⅱ. 5-8) 파장에 따른 원뿔 세포의 반응곡 그림 (Ⅱ. 5-9) 망막에서의 원뿔 세포와 막대세포
선. R , G , B 원뿔 세포의 분해능, 각 신경 세포 의 분포
의 빛 흡수량이 같은 비율로 표준화되어 있다.

밝기나 색의 감각 이외에 공간 감각이 있다. 똑바로 전방을 보고 눈에 보이


는 범위를 시야라고 하며, 물체의 모양을 분간하는 능력을 시력이라 한다. 한
쪽 눈으로도 물체의 모양을 분간할 수는 있으나, 두 눈으로 보면 양쪽 시야가
겹쳐서 넓은 범위가 보인다. 그리고 두 눈으로 함께 보이는 부분에서는 시력이
증가되며, 깊이에 대한 감각도 생긴다.

151
첨단 의료 기기
02 학습 목표 ■ 인체의 구조를 역학, 전자기학 등으로 해석하고, 체지방 측정기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영상 의학 장치( X - ray , CT , MRI , PET 등)에 적용되는 물리학의 원리를 설명
할 수 있다.

2.1 체지방 측정기


체지방 측정은 신체 계측법,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BIA ), 이중 에너지 X-
생체전기 저항 분석법
선 흡수 계측법 등의 방법이 있다. 이중 BIA 는 장치가 간단하고 신뢰성 및 타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당성이 높아 체지방 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method; BIA)
BIA 는 생체의 전기 저항으로 체수분을 측정하여 제지방과 체지방을 정량
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즉, 인체가 전도성이 높은 조직인 제지방과 낮은
임피던스(impedance, Z)
조직인 체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전기적 특성과 임피던스 측정값에 두 조직
는 저항(resistance, R)과
유도 저항(reactance, Xc) 의 비율이 반영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체지방을 측정한다. BIA 를 이용한 측정
를 제곱하여 더한 값의 제곱 기가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인자는 인체에 미세한 교류 전류 신호를 보낼 때 인
근이다. 저항이란 조직을 통
체에서 형성되는 2개의 생체 전기적 변인은 전기 저항과 유도 저항이며, 이 두
과하면서 전류의 흐름이 감소
되는 정도이며, 유도 저항이 변인의 벡터 합이 임피던스이다.
란 세포막 등의 축전기에 의 < InBody > < Impedance > 측정 임피던스에 영향
그림 (Ⅱ. 5-10)과 을 미치는 조직 특성,
해 전류의 흐름이 느려지는 성질, 굴곡, 량: 체중,
같이 인체를 하나의 균 연령, 성별
정도를 의미한다. Height
HeightE
질한 튜브형 전도체로 신장
원통의 길이
TBW = A x
IMP
+ B x Weight
가정하고, 용적은 신장 + C x Age + D
사람 몸을 5개의 원통으로 나 x Gender + E
Weight - 체중
누어 따로 인체 저항을 측정
의 제곱을 임피던스로 원통의 크기

하는 ‘5원통 모델’ 방식을 이 나눈값에 비례한다는 그림 (Ⅱ. 5-10) BIA 를 이용한 근육량과 체지방 측정

용하여 부위별 체지방 측정이


공식을 이용하여 체수분 및 체지방을 계산한다. 실제로 인체는 임피던스가 신
가능하다.
장에 정확하게 비례하는 균질한 튜브형 전도체가 아니기 때문에 임피던스와 신
장, 체중 외에 나이, 성별을 적용하면 더욱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다.

2.2 X-ray
X-선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radiation)의 일종으로 진단용 X-
선은 그림 (Ⅱ. 5-11)과 같이 진공유리관과 그 내부의 음극(cathode)과 양극
(anode)으로 구성된 X-선 관에서 발생한다. 음극인 텅스텐 필라멘트에 열을
가하면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 현상을 열전자 방출이라고
한다. 이렇게 방출된 전자들이 전자선속을 이루며 양극쪽으로 빠르게 이동하

152
Ⅱ 전자기학

텅스텐 집속컵
다가 양극의 텅스텐 표적에 부
표적물질

전자빔
딪히면 갑자기 감속하여 에너
양극(+) 음극(-)
Anode Cathode
지가 변환되어 X-선이 발생한
다. X-선은 물질을 통과하면
필라멘트
서 점차 흡수되어 방사선량이
감쇄하며 그 물질의 밀도, 원자
X-선
번호, 그램당 전자수의 세 가
그림 (Ⅱ. 5-11) X-선의 발생
지 요소와 비례하여 감쇄가 증
가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인자는 밀도이며, 이는 X-선 영상에서 희거나 검
게 보이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이다. X-선이 필름에 도달하면 브롬화 은과 요
오드화 은에서 은 원자를 형성하여 X-선이 많이 도달한 곳은 검고 X-선이 덜
도달한 곳은 희게 보인다. 1990년대부터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이 보급된 이후로 필름 프린트(film print)를 하
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 컴퓨터의 모니터로 영상을 보고 판독한다.

2.3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


그림 (Ⅱ. 5-12)에서 볼 수 있듯 종래의 엑스선 촬영 기법으로 얻은 인체의
X-선관 투영 데이터를 컴퓨터로 재구
Tomography란 말은 단면
X-선관 성하여 단층영상을 만들어 내
촬영 촬영 이나 조각을 뜻하는 그리스

는 기술이다. CT 는 인체의 어 tomos와 기록을 뜻하는

투사데이터 투사데이터 graphein가 결합된 말이


한 단면 주위를 돌면서 가느
투사데이터 다. 즉, CT 는 일반 촬영으
재구성 알고리즘 다란 X-선을 투사하고 X-선 로 나타낼 수 없는 신체의 단
검출기
영상 층영상을 기록하여 나타내는
이 인체를 통과하면서 감소되
(가) (나) 장치이다.
는 양을 측정한다. 인체 내부
그림 (Ⅱ. 5-12) CT 스캐너의 기본적
에 있는 간이나 신장 같은 장
모식도(가)와 영상획득 도식도(나) 조직블럭(Voxel)
조직블럭(Voxel)
X선관
X-선관
기들의 밀도는 약간씩 차이가 회전
회전

나기 때문에 X-선이 투사된 방향에 따라 흡수하는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 절편두께


절편두께

다. 그림 (Ⅱ. 5-13)에서처럼 X-선이 투과된 정도를 컴퓨터로 분석하여 내


부 장기의 밀도를 결정하고, 이를 통하여 내부의 자세한 단면을 재구성해서 영
검출기
검출기

상으로 나타나게 한다. CT 는 선택한 단면의 모든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일


그림 (Ⅱ. 5-13) 매트릭스와 조직
반 X-선 사진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뇌경색, 뇌출혈, 동맥류 등의 혈
블록. CT 영상은 인체의 한 단면을
관 질환, 두부외상, 폐암, 간암, 신장암, 림프종 등의 전신장기 종양을 진단하 잘라 아래서 본 영상이다. 3차원의
조직블록(voxel)을 2차원의 평면
는데 사용되고 있다.
영상 매트릭스의 화소(pixel)의 회
색조로 재구성하여 화면에 나타낸다.

153
2.4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MRI 는 그림 (Ⅱ. 5-14)와 같이 자기장을 발생하는 커다란 자석통 속에 인


체를 들어가게 한 후 고주파를 발생시켜 신체부위에 있는 수소 원자핵을 공명시
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측정하여 컴퓨터를 통해 재구성하여, 영
그림 Ⅱ. 5-14 MRI 상화하는 기술이다. 자석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인체에 고주파를 쏘아 인체에서
메아리와 같은 신호가 발산되면 이를 되받아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영상화
하는 것을 말한다. MRI 는 X-선을 이용한 검사인 단순 X-선 촬영이나 CT
와는 달리 비전리 방사선인 고주파를 이용하는 검사이므로 인체에는 사실상 해
가 없다는 것이 중요한 장점 중의 하나이다. 인체에 해가 없는 자기장과 비전리
방사선인 라디오 고주파를 이용해 조영제 없이도 CT 에 비해 체내 연부조직에
대한 대조도가 뛰어나며 수소 원자핵을 함유한 조직의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정
보를 얻을 수 있다. 인체를 단면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CT 와 유사하지만
CT 에서는 인체를 가로로 자른 모양인 횡단면 영상이 위주가 되지만 MRI 는
환자의 자세 변화 없이 원하는 방향에 따라 인체에 대해 횡축 방향, 세로축 방
향, 사선 방향 등의 영상을 자유롭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정밀진단에
탁월한 MRI 는 신체의 거의 모든 부위를 촬영할 수 있으며 근육, 인대, 연골,
디스크, 골수, 뇌 및 척수 실질 등 이상 소견을 발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2.5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전자 단층촬영)

PET 는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생리,


화학적, 기능적 영상을 3차원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핵의학 검사 방법 중 하나이
다. 음(-) 전하를 가지고 있는 전자와 물리적 특성이 유사하지만 정반대로 양
(가)
PET Imaging Coincidence β+-Decay
(+) 전하를 가지고 있는 것을 양전자라고 한다. 이러한 양전자는 방사선의 한
Processing Unit
t1/2=110min
Sinogram/
Listmode Date β+-Decay
Radioisotope 18F O
18
종류로서, C - 11 , N - 13 , O - 15 , F - 18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에
β+ γ-ray
Annihilation

서 방출되며, 이러한 원소들은 생체 물질의 주요 구성 성분이기 때문에 이들을


e+
γ-ray

Image
Reconstruction

이용하여 특정 생리, 화학적, 기능적 변화를 반영하는 추적자(tracer)인 방사


(나)

그림 (Ⅱ. 5-15) (가) PET (나)


성 의약품을 만들 수 있다.
PET 의 원리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방출된 양전자는 방출 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자체
운동 에너지를 모두 소모하고 이웃하는 전자와 결합하여 소멸하게 되는데, 이
때 180c 의 각도로 2개의 소멸 방사선(감마선)을 방출하게 된다.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양전자 단층촬영( PET ) 스캐너는 동시에 방출되는 2개의 소멸 방사
선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렇게 검출된 방사선을 이용해 영상을 재구성
하면, 신체의 어떤 부위에 방사성 의약품이 얼마나 모여 있는지를 3차원 단층

154
Ⅱ 전자기학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문제 위치를 정확히 드러내지 않아 최근에는 PET-CT CT

양전자 단층촬영( PET ) 스캐너와 컴퓨터 단층촬영( CT ) 스캐너를 하나로 결


합시킨 양전자/컴퓨터 단층촬영( PET/CT ) 스캐너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양전자/컴퓨터 단층촬영( PET/CT )은 컴퓨터 단층촬영( CT ) 스캐너의 첨
가로 해부학적 정보 제공과 함께 좀더 정확한 영상 보정이 가능하여 기존 양전
PET
자 단층촬영( PET )에 비해 영상 화질이 한층 우수하다.
PET 는 암의 진단에 이용된다. 암을 진단하기 위해 암에 축적되어 모이는
PET-MRI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하며, 양전자 단층촬영( PET ) 영상에서 방사성 의약품
이 집적되어 비정상적으로 강한 신호를 보이는 부분을 암으로 진단한다. 이러
MRI
한 영상 진단을 위해서는 방사성 의약품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정상적인 섭취
증가 부위와 비정상적인 축적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대표적인 암 진단 양전
자 단층촬영(PET) 방사성 의약품인 F-18-FDG는 포도당 유사 물질로써 에
너지 대사가 항진된 암 부위에 축적되며, 정상적으로 섭취 증가를 보일 수 있는
부위는 뇌, 심장, 근육, 위장관, 요로계 등이 있다. 최근에는 개별 암별로 특성 그림 (Ⅱ. 5-16) CT , MRI ,
PET 영상 비교
이 다른 것이 많이 밝혀져 있어, 여러 종류의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한 양전자
단층촬영( PET )을 통해 암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 치
료를 시도하고 있다. 이밖에도 PET 는 여러 질환에서 다양한 방사성 의약품
을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진단, 심장 질환, 뇌 질환 및 뇌 기능 평가를 위한 수
용체 영상이나 대사 영상도 얻을 수 있다.

2.6 감마나이프(Gamma-Knife)
1968년 스웨덴의 신경외과 의사인 렉셀이 처음으로 개발한 시술법이다. ‘감
마나이프’란 감마 광선과 나이프의 합성어로서, 주로 외과적 수술이 어려운 선
천성 뇌동정맥 기형, 뇌하수체 종양, 수막종, 신경초종, 전이성 뇌종양, 파킨
슨병 등 뇌질환 환자의 시술에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빛의 일종으로 한 곳에 감마선을 집중시키면 그 부위의 종
양세포가 죽어서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정상세포 역시 비슷한 정도 그림 (Ⅱ. 5-17) 감마나이프

로 감마선에 반응하기 때문에 종양세포는 공격하면서 정상세포는 보호하는 방


법이 필요하다. 돋보기로 햇빛을 한 곳(초점)에 모으면 초점에 모인 햇빛은 그
에너지가 한 곳에 집중되어 종이를 태우듯이 감마나이프는 서로 다른 방향에
있는 201개 방사선 시준기를 통해 나오는 감마선을 쏘아 한 초점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병소를 제거한다.

155
점프 프로젝트

터치스크린과 펜은 어떤 원리일까?
우리는 휴대전화, 태블릿뿐만 아니라 생활 다양한 곳에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
고 있다. 또 터치스크린에 사용할 수 있는 터치펜도 다양하게 나와 있다. 터치스
크린과 터치펜의 원리를 알아보고 실제로 터치 패널과 터치펜을 만들어 보자.

발구르기 단계

다양한 휴대전화, 태블릿 등 터치스크린이 있는 기기를 준비하고, 가능하면 터치로 작동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를 준비하여 터치의 조건을 찾아 보자.

(1) 터치하는 재질을 달리하여 터치해 보자.

실험방법 관찰결과 설명

1) 손으로 터치
2) 장갑을 끼고 터치
3) 쇠못을 손으로 잡고 터치
4) 쇠못을 장갑으로 잡고 터치
5) 소시지를 손으로 잡고 터치
6) 소시지를 나무젓가락으로 잡
고 터치...등

설명:

감압식 터치 원리

(2) ‌터치의 방법을 달리하여 터치해 보자.

실험방법 관찰결과 설명

1) 손가락으로 아주 천천히 접근
하여 살짝 터치
2) 이쑤시개로 터치
3) 못의 머리 부분으로 터치
4) 못의 뾰족한 부분으로 터치
초음파 방식 터치스크린 구조
설명:

156
Ⅱ 전자기학

전자 펜
압력 감지
태블릿 센서

코일

공중 도약 단계
전자 펜
(1) 터치가 되는 재질은 어떤 재질인가?
압력 감지
태블릿 센서
(2) 터치가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면적, 힘, 압력 등) 코일

(3) 정전식 터치 스크린의 원리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태블릿 펜의 원리

착지 단계

정전식 터치 패드를 만들어 보자

(1) A4 용지 크기 정도의 금속판 2장 사이에 종이를 넣어 축전기를 만들어보자.


철판 대신 스티로폼 판에 알루미늄 박을 감싸도 가능하다. 축전기의 면적과 종
이의 두께나 장수를 달리하며 축전기의 전기 용량 변화를 살펴보자. 전기 용량
측정기가 없으면 어떻게 전기 용량을 측정할 수 있을지 방법을 찾아 보자.
알루미늄박

(2) 축전기의 한쪽 금속판 대신 손바닥을 댔을 때 축전기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극판


유도체
보자. 축전기 역할을 한다면, 손바닥이 닿았을 때 불이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 극판 (절연체)
간격
는 회로를 설계해 만들어 보자.
극판
유도체
극판 평행판 (절연체)
축전기
간격

(3) 정전식 터치 외에 다른 터치 방법에 대해 조사해 보고 새로운 터치 인식 방법


에 대해 토의해 보자.

157
광학

1 기하 광학 2 파동 광학 3 영상 물리

158
단원 열기

빛을 이용한 산업은 실로 광범위하다. 광학은 빛의 성질을 연구하고 이용하는 학문 분야이다. 빛은 전자기파라는


파동성과 광자라는 입자성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어 때로는 파동성의 특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때로는 입자성을 이
용하기도 한다. 기하 광학은 빛이 선을 따라 직진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반사, 굴절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거울이나
렌즈에서의 상의 형성에 대해 연구하고 이용하는 분야이다. 특히, 스마트폰용 카메라, 일반 카메라, 현미경, 망원
경 등의 광학 기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렌즈를 잘 설계·제작하는 기술은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이다. 이 단원에서는
빛을 광선으로 취급하는 기하 광학, 파동으로 취급하는 파동 광학, 입자적인 측면과 때로 파동적인 측면을 동시에
이용하는 영상 물리에 대하여 알아보자.

159
기하 광학
01 거울에 의한 상
02 렌즈에 의한 상
03 여러 가지 광학 기구

생각 열기
17-18세기의 많은 서양의 화가들은 어두운 방의 벽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을 통해 외부의 빛이 직진하
여 들어와 맞은편 벽면에 바깥 풍경이 거꾸로 맺히게 하여 그림을 그렸다. 빛이 진행하는 직선 경로를 광
선이라 하며, 이와 같이 빛의 경로를 광선으로 취급하는 경우를 기하 광학이라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잘
알려진 광학 기구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빛을 광선으로 취급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평면과 곡면 거울에서 상의 위치와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에 맺힌 상의 위치를 반사와 굴절
법칙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고, 현미경, 망원경, 쌍안경, 사진기 등 광학 기구들의 특성
을 알아 보자.

160
Ⅲ 광학

거울에 의한 상
01 학습 목표 ■ 평면 거울에서 작도를 통한 상의 종류와 위치를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다.
■ 구면 거울에서 작도를 통한 상의 종류와 위치를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다.

1 평면 거울
그림 (Ⅲ. 1-1)은 물체가 평면 거울 앞에 놓여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반사 법칙
물체의 한 점 O 에서 출발한 무수히 많은 광선들 중에 거울을 향하여 가는 몇
입사각: 입사 광선과
개의 광선을 선택하여 경로를 추적하여 보자. 직진하여 가던 빛이 거울 면을 만 법선이 이루는 각

나면 반사 법칙 즉 입사각과 같은 각도로 반사하는 광선들을 그릴 수 있다. 사 반사각: 반사 광선과


람이 거울을 들여다보면 마치 물체가 거울 속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을 법선이 이루는 각

거울에 맺힌 상이라고 한다. 거울을 치우고 상의 위치에 물체를 놓으면 물체점


수직선 법선
에서 사방으로 빛이 나갈 것이며 눈에 도달한 빛들로 그곳에 물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울에 맺힌 상 역시 반사된 빛들을 보면 물체가 있는 것과 동일하게 입사각 반사각
입사 광선 반사 광선

사방으로 상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사람은 그곳에 물체가 있


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거울에 맺힌 상은 사람 눈 입장에서는 물체 그림 (Ⅲ. 1-2) 반사법칙(입사각 =

와 같은 역할을 한다. 반사각)

<위에서 본 모습>

거울 뒤
P
O I
a b
물체 M 상

그림 (Ⅲ. 1-1) 평면 거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

그림 (Ⅲ.1-1) D OMP 와 D IMP 는 합동이기 때문에 OM = IM 이다.


즉, 거울에서 물체까지 수직 거리 a 와 거울에서 상까지의 수직 거리인 b 는
같다. 평면 거울에 맺힌 상은 좌우가 바뀌었다는 말을 자주하는데 이것은 바른
표현이 아니다. 좌우가 바뀐 것이 아니라 앞뒤가 바뀐 것이다. 그림은 거울 앞에
3개의 손가락을 서로 직각이 되게 한 후에 거울에 비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그림 (Ⅲ.1-3) 거울에 맺힌 상
하나의 좌표계에서 보면 왼쪽을 향하는 가운데 손가락의 상 역시 왼쪽을 가리키
고 있다. 위쪽을 가리키는 엄지손가락도 위쪽을 가리키고 있다. 반면에 거울 쪽

161
을 앞쪽이라고 하였을 때 앞쪽을 가리키는 집게손가락의 상은 뒤쪽을 향하고 있음
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칭을 거울 대칭이라고 한다. 물질 중에는 거울 대칭인
이성질체가 있으며, 오른손 좌표계와 왼손 좌표계를 고려하여야 할 때도 있다.
물 속에서 물 밖의 세상을 볼 수 있는 잠망경은 잠수함에서 필수적인 도구이
다. 다음은 잠망경의 구조와 광선 추적도이다.

첫번째 거울에 의한 상
두번째 거울에 의한 물체

물체

두번째 거울에 의한 상
사람 눈에 대한 물체

그림 (Ⅲ.1-4) 잠망경에서 광선 추적도

잠망경은 두 개의 거울로 되어 있으며, 물체에서 출발한 빛이 위쪽 거울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반사되고 아래쪽 거울에 의해 관측자에게 빛이 도달한다.
위쪽 거울에 맺힌 상은 위쪽 거울 뒤쪽에 생기고 이 상은 두 번째 거울에 대해
물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두 번째 거울에 의한 최종적인 상의 위치는
그림과 같이 될 것이다. 이제 사람은 두 번째 거울에 맺힌 상을 보게 될 것이기
때문에 사람 눈 입장에서는 두 번째 상은 물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거울로부터
물체와 상까지의 수직 거리가 같기 때문에 물체로 부터 사람 눈까지 빛이 지나
간 거리는 최종 상에서 사람 눈까지의 거리와 같다.

심화확인
1. 그림과 같이 두 개의 거울을 수직하 위에서 본 모습

게 설치한 후에 화살표 물체를 놓았


다. 관찰자는 몇 개의 상을 보게 될
물체
것인가? 상은 어떤 모양인가? 광선
추적을 하여 살펴 보자.
2.두 개의 거울이 임의의 각도를 가지 관찰자

게 되면 상들은 어떻게 될 것인가?

162
Ⅲ 광학

2 구면 거울에 맺힌 상
반사면이 구의 한 부분으로 이루어진 구면 거울에서는 상의 크기가 물체의 구면 거울의 종류
크기가 다름은 물론 상이 거꾸로 나타나기도 한다. 중심축에 가까이 있고 중심
축에 대하여 아주 작은 각을 이루는 광선을 근축광선(paraxial ray)이라고 한
다. 여기서는 근축광선만을 고려하여 구면 거울에서 상의 위치를 찾아보기로
한다.
오목 거울에 대하여 거울과 물체까지의 거리를 a , 거울과 상까지의 거리
를 b , 곡률 반지름 R 라고 할 때 이들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해 보자. 그림
그림 (Ⅲ. 1-6) 볼록 거울
(Ⅲ.1-5)에서
z = a+i, b = z+i
이다. 이들 방정식에서 i 를 소거하면
a + b = 2z (Ⅲ.1-1)
가 된다. 각 a , b , z 의 tan 표현은
h h h
tan a = tan b = tan z =
a-d , b-d , R-d
가 된다. 각 a 가 매우 작으면 각 b 와 각 z 도 역시 작다. 또한 거리 d 는 a ,
b , R 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다.
h h
그러므로 a . a , b . b ,
i
i h
R h
a z b
z . R 이다. 이들을 식 (Ⅲ.1-1)에
P P’ d 대입하고 정리하면 그림 (Ⅲ. 1-7) 오목 거울
1 1 2
a+b = R (Ⅲ.1-2)
을 얻을 수 있다. 이 식을 거울방정식
b
a 이라고 한다.
그림 (Ⅲ.1-5) 오목구면 거울의 광축 상에 있는
점 물체 P 의 상 Pl 의 위치를 구하는 작도

심화확인
그림과 같이 곡률 반지름 R 인 오
목 거울 축에 나란하게 입사되는
빛의 입사각이 i 일 때 중심으로
부터 F 까지 거리, 즉 CF 를 구 C F
하시오.

163
축 가까운 곳에서 오목 거울에 입사된 평행광은 그림 (Ⅲ.1-8(가))에서 보
거울공식의 부호 규칙
는 것처럼 점 F 를 통과한다. 점 F 를 실초점이라 부르고 거울에서 초점까지
a , b , f 는 실제 빛이 진행
하는 공간에서는 양수이고, 의 거리를 초점 거리 f 라고 한다. 볼록 거울에서 반사된 평행한 광선은 그림
맞은편에 있으면 음수이다. (Ⅲ.1-8(나))에서 보는 것처럼 점 F 에서 나가는 것처럼 반사된다. 실제로 광
볼록 거울의 경우 초점 거리
선이 초점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이것은 허초점이라고 한다.
와 상거리 부호가 음이다.

실초점 허초점
C F F C
중심축

f f
R R

(가) 오목 거울 (나) 볼록 거울

그림 (Ⅲ. 1-8) (가) 중심축에 평행한 광선은 오목 거울에 실초점을 향하여 반사 (나) 중심축에
평행한 광선은 허초점에서 나가는 방향으로 볼록 거울에 반사

만일 점물체가 거울로부터 무한히 멀리 떨어져 있다면 거울에 입사하는 광선


들은 축에 평행하기 때문에 초점에 상이 맺히게 된다. 식 (Ⅲ.1-2)로부터 상의
거리는 초점 거리와 같으므로
1 1 2

3+ f = R
에서
R
f= 2

(Ⅲ.1-3)
가 되며, 거울에 대한 물체 거리와 상 거리 사이의 관계식 (Ⅲ.1-2)를 초점 거
리 f 로 표현하면
1 1 1
a+b = f

(Ⅲ.1-4)
이 된다. 점광원이 오목 거울의 초점에 위치하면 식 (Ⅲ. 1-4)로부터 상 거리
b 가 무한대가 된다. 이것은 평행광선이 만들어진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
빛은 모아지거나 퍼지지 않고 멀리까지 전파하여 갈 수 있기 때문에 탐조등에
서 이 원리가 활용된다. 배율 m 은 물체의 높이 y O 에 대한 상의 높이 y I 의 비
로 정의한다.
그림 (Ⅲ. 1-9)에서
y b

m = yI = - a (Ⅲ. 1-5)
O

이다. m 이 양수이면 상은 정립상이고, 음수이면 도립상을 뜻한다. m > 1


이면 상은 커지고, m < 1 이면 상은 작아진다.
반사 법칙에 따라 거울에 입사하는 광선의 경로를 추적하여 구면 거울에 맺

164
Ⅲ 광학

힌 상의 위치와 크기를 알 수 있다. 이들 광선들 중에 4개의 광선은 추적이 용


이하며 이들 광선의 경로를 그림 (Ⅲ. 1-9)에 나타내었다.

(1) 축과 평행하게 입사한 광선은 반사 후 초점 F 을 지난다.(또는, 허초점


에서 나온 것처럼 나온다.)

(2) 거울 중심(V )에 입사한 광선은 거울 축에 대하여 입사각과 같은 반사각


으로 반사한다.

(3) 초점 F 를 지나는(향하는) 광선은 축에 나란하게 반사한다.

(4) 구면 거울의 구심( C )을 지나는(향하여 입사한) 광선은 반사 후 오던 길


로 되돌아간다.

yO
yO
yI
V
C yI F V F C

b
a a b

(가) 오목 거울 (나) 볼록 거울

그림 (Ⅲ. 1-9) 구면 거울에 맺힌 상을 정하는 데 사용하는 주요 광선들

심화확인
그림처럼 두 개의 오목 거울을 마주보
게 한 후에 물체를 거울 안쪽 바닥에
놓으면 마치 물체가 허공에 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이와 같이 보이는 이유에
대하여 광선을 그려서 설명하여 보자.

165
렌즈에 의한 상
02 학습 목표 ■ 구면에서의 굴절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렌즈에 맺힌 상의 위치를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다 .

1 구면에서의 굴절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고 있는 두 가지 광학 물질 사이의 경계면이 구형일
굴절법칙(스넬의 법칙)
때의 굴절에 대하여 알아보자. 이러한 굴절은 사람 눈의 각막과 같은 곳에 직접
n a sin i a = n b sin i b
적용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구면으로 이루어진 렌즈에서 굴절을 해석하는 발판
이 된다.
그림 (Ⅲ. 1-10)에서 반지름 R 인 구면이 굴절률이 n a 와 n b 인 두 물질 사
이의 경계를 이룬다. 이 구면은 물체점 P 와 상 Pl을 형성한다. 이제 물체거
리 a 와 상 거리 b 의 관계를 알아보자. 곡률 중심 C 는 굴절된 쪽에 있으므로
R 는 (+)이다. 광선 PV 는 꼭지점 V 에서 구면과 만나고 그 표면과 수직 즉
입사각이 0이다. 이 광선의 굴절각은 0이므로 방향이 변하지 않고 직진한다.
축과 a 의 각을 이루는 광선 PB 는 법선에 대해 각 i a 로 입사하고 각 i b 로
굴절한다. 이들 광선은 꼭지점에서 오른쪽으로 거리 b 에 있는 점 Pl에서 교
차한다.
na < nb

B
ia

h R
ib
P a V z b P’
d C

a b

그림 (Ⅲ. 1-10) 구면에서 굴절에 의하여 만드는 점물체 P 의 상점 Pl의 위치를 구하기 위한 작도
( na < nb )

이제 i a 가 작을 경우, 그림 (Ⅲ.1-10)으로부터
ia = a + z , z = b + ib (Ⅲ.1-6)
를 얻는다. 굴절 법칙으로부터
n a sin i a = n b sin i b
이고, 또한 각 a , b , z 의 tan 표현은 다음과 같다.

166
Ⅲ 광학

h h h
tan a =
a + d , tan b = b - d , tan z = R - d (Ⅲ. 1-7)

근축광선에 대해 sin i . tan i . i 이므로 굴절의 법칙은

na ia = nb ib
(Ⅲ. 1-8)
가 된다. 식 (Ⅲ. 1-8)과 식 (Ⅲ. 1-6)을 결합하여 정리하면
n a a + n b b = ]n b - n ag z (Ⅲ. 1-9)
를 얻는다. 식 (Ⅲ. 1-7)에 근사식을 사용하고, 작은 거리 d 를 무시하여 식
(Ⅲ. 1-9)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na nb nb - na
a + b =

R (Ⅲ. 1-10)
를 얻는다.
F

(가)
2 렌즈에서 광선 작도
렌즈는 여러 가지 광학 기기의 기본 부품으로 두 개의 굴절면으로 된 광학계
이다. 가장 간단한 렌즈는 두께를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근접되어 있는 F
두 개의 구면으로 되어 있다. 이런 렌즈를 얇은 렌즈라 부른다.
그림 (Ⅲ. 1-11(가))에서 볼록 렌즈는 평행한 광선이 통과할 때 그 광선들
(나)
은 한 점 F 로 수렴하며 그 점에 실상을 맺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렌즈 중심에 그림 (Ⅲ. 1-11) (가) 볼록 렌즈는 중

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초점 거리라 한다. 그림 (Ⅲ. 1-11(나))과 같이 오목 렌 심축에 평행한 광선이 실초점을 만든
다. (나) 오목 렌즈는 허초점을 만든다.
즈는 평행한 광선이 허초점에서 발산하는 것으로 나타나게 한다.
렌즈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은 다음의 광선을 이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이 세 개의 광선이 그림 (Ⅲ. 1-12)에 나타나 있다. yo
b
a
F aF b yI
(1) 축에 평행한 광선은 초점을 지난다(또는 초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나
온다.). a b
f
(2) 렌즈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선은 직진한다.
(3) 초점을 통과하는(또는 초점을 향하여 진행하는) 광선은 축에 평행하게
그림 (Ⅲ. 1-12) (가) 볼록 렌즈에 의
진행한다. 해 만들어지는 상을 결정하는 데 사용
하는 주요 광선들
그림 (Ⅲ. 1-12(가))로부터 볼록 렌즈에 대해서 렌즈 중심으로부터 물체까지
의 거리 a , 상까지의 거리 b , 초점까지의 거리 f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해 보
자. 모든 광선은 근축광선으로 가정하므로 tan i . i 라는 근사를 쓸 수 있다.
yo
y y yO yI F a b F
a = aO = - I b = f = - b - f a
yI
b , b
f
y b b-f
이고, I = - = - 이다. 이것을 정리하면
yO a f
그림 (Ⅲ. 1-12) (나) 오목 렌즈에 의
1 1 1 해 만들어지는 상을 결정하는데 사용
a+b = f

(Ⅲ. 1-11) 하는 주요 광선들

167
렌즈의 부호 약속 을 얻을 수 있다. 이를 렌즈 방정식이라 한다. 또한 그림 (Ⅲ. 2-3(나))의 오목
렌즈에 대해서
+ -
a 실물체 허물체 1 1 1
b 실상 허상 a-b =-f (Ⅲ. 1-12)
f 볼록 렌즈 오목 렌즈
을 얻을 수 있다. 식 (Ⅲ. 2-12)에서 b < 0 은 허상을, f < 0 은 허초점을 의
y0 정립물체 도립물체
yI 정립상 도립상 미한다. 또한 렌즈에서 배율은
y b

m = yI = - a (Ⅲ. 1-13)
O

이다. 이것은 구면 거울에서의 배율과 같다.

3 렌즈의 초점 거리
렌즈의 초점 거리 f , 렌즈의 굴절률 n 및 면들의 곡률 반지름 R 1 과 R 2 사
이의 관계식을 알아보자. 여기서 하나의 반사면이나 굴절면에 의하여 맺혀지는
상은 두 번째 반사면이나 굴절면에 대하여 물체로서 작용한다는 원리를 사용한
다. 그림 (Ⅲ. 1-13)과 같이 굴절률이 n a , n b 그리고 n c 인 세 물질을 갈라
놓고 있는 두 구면에 대한 일반적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제1면에 대한 물체 거
리와 상 거리는 a 1 와 b 1 이고, 제2면에 대한 물체 거리와 상 거리는 a 2 와 b 2
이다. 두 면간의 거리 t 는 물체 거리와 상 거리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충
분히 작다고 가정한다. 이때 a 2 와 b 1 은 같은 크기이지만 부호가 서로 반대이
다. 왜냐하면 제1면에 의한 상은 출사광선 쪽에 있으므로 b 1 은 양(+)의 값인
데 비해, 이 상을 제2면에 대한 물체로 간주할 때는 제2면 입사 광선 쪽에 있지
않으므로 a 2 는 음(-)의 값이다. 따라서 a 2 = -b 1 이다.

심화확인
태양을 물체로 초점 거리 f 인 볼록 렌즈를 사용할 때 광선 작도
를 하여 상의 위치를 결정하시오.

168
Ⅲ 광학

Q na nb nc

P’ P’’
P R1 C1 C2
R2
Q’
Q’’

t
a1 b1
a2
b2

그림(Ⅲ. 1-13) 렌즈 두 면에서의 굴절에 의한 상

단일면에 대한 식 (Ⅲ. 1-10)을 각 구면에 대해 사용하면


na nb nb - na nb nc nc - nb
a1 + b1 = R1 a2 + b2 = R2
,
이다. 보통은 첫 번째 물질과 세 번째 물질은 공기이므로 n a = n c = 1 이다.
두 번째 물질의 굴절률을 n 이라 하자. 이 굴절률 값과 a 2 = -b 1 의 관계를
위 식들에 대입하면
1 n n-1 n 1 1-n
a1 + b1 = R1 , - b1 + b2 = R2

이 된다. 처음 물체의 위치 a 1 과 최종 상의 위치 b 2 사의 관계식을 얻기 위해


두 식을 합하면

] gc m
1 1 1 1
a1 + b2 = n - 1 R1 - R2 (Ⅲ. 1-14)
을 얻는다. 끝으로 렌즈를 한 개의 표면으로 생각하여 물체 거리를 a 1 대신에
a 를, 최종 상 거리를 b 2 대신에 b 를 식 (Ⅲ. 1-14)에 대입하면

] gc m
1 1 1 1
a + b = n - 1 R1 - R2 (Ⅲ. 1-15)

을 얻는다. 이 식을 렌즈 방정식 (Ⅲ. 1-11)과 비교하여

= ]n - 1gc R - R m
1 1 1
(Ⅲ. 1-16)
f 1 2

을 얻는다. 이 관계식을 렌즈제작자 공식이라고 한다.

심화확인
굴절률이 1.5 인 유리로 곡률 반경이 10 cm 가 되도록 볼록 렌즈
를 제작하였다. 이 렌즈의 초점 거리는 얼마인가?

169
L1 L2

2
S1

1 4
4 복합 렌즈계 3
O1 O2

그림과 같이 두 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계를 생각하여


f 보자.
d
2

f1

L1 L2 L1 L2

2
S1 4
S1
1 4 Fi Fi
1 2
Fo 2 F1 F2
Fo Fo O1 O2
1 2
Fo O1 O2
3 1
3
PP1l1

f2 P1l
d So Fi 2

f1 2

So 1
Si 1

L1 L2
(가) (나)

S1 4
그림 (Ⅲ. 1-14) 두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복합 렌즈 계
F1 F2
O1 O2
3
P1 물체점 S 1 에서 출발한 광선들이 첫 번째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상점 P1 을
향하여 굴절하지만 두 번째 렌즈를 만나게 되어 다시 굴절이 이루어지는 상황
이다. 이 경우에 첫 번째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상이 두 번째 렌즈의 물체 역할
을 하는데 물체가 렌즈의 오른쪽에 놓이게 되어 일반적이지 않다. 이와 같이 물
체가 렌즈보다 뒤에 있을 때를 허물체라고 한다. 이때 물체까지의 거리 a 2 는
음수 값을 넣어야 한다. 두 번의 렌즈 공식을 이용하면 최종 상 P1l까지 거리
b 2 를 쉽게 구할 수 있다. 하지만 광선 작도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그림 (Ⅲ.
1-14(나))에서 두 개의 광선을 이용하여 최종 상의 위치를 찾을 수 있음을 보
여준다. 첫 번째 광선은 첫 번째 렌즈의 앞 초점을 지나는 광선으로 굴절하여
축에 나란하게 가다가 두 번째 렌즈를 만나게 되는 광선이다. 광축에 나란하게
입사되므로 두 번째 렌즈의 뒤 초점을 향하여 굴절하게 그린다. 이제 두 번째
광선이다. 이 광선은 두 번째 렌즈의 중앙을 통과하는 광이다. 이 광선을 그리
는 방법은 거꾸로 광선을 추적하는 것이다. P1l점에서 두 번째 렌즈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그리고 첫 번째 렌즈에서 꺾여 물체점에 연결하면 된다. 따라서 두
개의 광선이 만나는 지점이 최종 상점 P1l이 되는 것이다.
두 번째 렌즈가 P1l보다 더 오른 쪽에 있으면 이 상은 두 번째 렌즈에 대하
여 실물체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와 동일하다. 현미경이 대표
적인 예이다.

심화확인
두 번째 렌즈가 첫 번째 렌즈에 맺힌 상보다 뒤에 있는 경우 최종
상의 위치를 광선 작도를 통하여 구하시오.

170
Ⅲ 광학

여러 가지 광학 기구
03 학습 목표 ■ 거울과 렌즈를 이용한 현미경과 망원경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 현미경
그림(Ⅲ. 1-15)은 광학 현미경의 구조이다. 현미경은 두 개의 렌즈로 구성
되어 있는데, 물체 쪽의 렌즈를 대물렌즈, 관찰자 쪽의 렌즈를 접안렌즈 또는
대안렌즈라고 한다. 관찰할 물체 O 는 확대실상 I 를 맺는 볼록 렌즈인 대물
렌즈의 초점 F1 바로 바깥쪽에 위치시킨다. 바르게 설계된 현미경에서는 대안 F’2
렌즈의 제1초점 F2 바로 안쪽이나 초점이 포함된 면에 상이 만들어진다. 대안 f2

렌즈는 I 의 최종 허상인 Il 을 형성하며 사람 눈은 최종 허상 Il 를 관찰하게 대안렌즈

f2
된다. I
F2
현미경의 총 배율은 실상 I 의 크기를 결정하는 대물렌즈의 가로배율 m 1 과
대안렌즈를 통해 보이는 허상의 각 크기와 대안렌즈 없이 보이는 실상 I 의 각 b F’1

크기의 비인 각배율 m 2 의 곱으로 나타낸다. f1

m = m1 m2 (Ⅲ. 1-17) 대물렌즈


f1
a
F1
식 (Ⅲ. 1-13)에서 a . f1 이라면, 이 렌즈에 의한 배율의 크기 m 1 은
b b O I’
m1 = a = -
f1
이다. 그림 (Ⅲ. 1-15) 광학 현미경의 원리

실상 I 는 대안렌즈의 제1초점 F2 에 매우 가까우므로 대안렌즈의 각배율


m 2 는 확대경의 배율 25 cm 와 같게 된다.
f2 명시 거리
대안렌즈의 경우에 각배율을 사용하는데 이는 현미경의 상 I 가 대안렌즈 초
일반적으로 사람 눈은 물체
점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상은 무한대에 있게 되지만 사람 눈의 가 25cm 정도 떨어져 있을

수정체를 거치면 망막에 다시 상이 생겨 잘 볼 수 있다. 물체가 명시 거리에 있 때 가장 크고 선명하게 보이


기 때문에 이를 명시 거리라
을 때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를 기준으로 상을 바라보는 각도의 비율을 각배율
고 한다.
이라고 한다.
따라서 복합 현미경의 총 배율 m 은 다음과 같다.
b 25 cm

m = m1 m2 = # (Ⅲ. 1-18)
f1 f2
여기서 b 는 현미경 경통의 길이, 즉 대안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와 거
의 같다.

171
2 망원경
망원경은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 망원경과 굴절 망원
경이 있다. 그림 (Ⅲ. 1-16)은 가장 간단한 굴절 망원경의 구조이다.

f1 f1 f2 f2

F1 F1’, F2 F 2’
i
i i y’ I i’

대물렌즈 대안렌즈
무한대에 있는 상 I’

그림 (Ⅲ. 1-16) 굴절망원경의 원리

대물렌즈는 물체의 축소된 실상 I 를 만들고, 대안렌즈는 I 에 대한 확대된


허상을 만든다. 망원경으로 관찰하는 물체는 보통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첫 번
째 상 I 는 대물렌즈의 제2초점면에 생긴다. 대안렌즈에 의한 최종 상 Il 이 무
한대에 생기려면, I 가 대안렌즈의 제1초점에 있어야 한다. 망원경의 길이는
두 렌즈의 초점 거리의 합 f1 + f2 와 같다.
망원경의 각배율 m 은 최종 상 Il 의 눈에 대한 각도와 물체를 맨눈으로 보
았을 때의 대하는 각도의 비로 정의된다. 이 비는 대물렌즈와 대안렌즈의 초점
거리로 표시할 수 있다. 물체가 멀리 있으므로 육안으로 대하는 각도는 대물렌
즈에 대한 각 i 와 같다. 또한 관측자의 눈이 초점 F2l 바로 오른쪽에 위치하므
로 최종 상이 눈에 대하는 각은 il 과 거의 같다. i 와 il 은 작은 각이므로
yl yl
i=- il =
f1 , f2
이고, 각배율 m 은
il yl/f2 f
m= =- =- 1 (Ⅲ. 1-19)
i yl/f1 f2
이다. 음(-)의 부호는 최종상이 도립상임을 뜻한다.
반사 망원경에서는 대물렌즈가 오목 거울로 대치된다. 대형 망원경에서 이
런 방식을 채택하면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거
울은 본질적으로 파장에 따라 초점 거리가 달라지는 색수차가 없으며, 근축 근
사식의 한계와 관련되는 구면 수차는 렌즈의 경우보다 교정하기가 용이하다.
반사면은 구면보다는 집광성이 좋은 포물면을 이용하며, 거울의 재료는 투명해
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장자리만을 이용하여 지탱해야 하는 렌즈보다는 훨
씬 견고하게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반사 망원경에서는 입사하는 빛이 지나가는 영역에 상이 생기기 때문에, 입

172
Ⅲ 광학

사광의 일부를 가려야만 접안렌즈로 바로 관찰할 수 있는데, 이는 초대형 망원


경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그림 (Ⅲ. 1-17)에서와 같이, 거울
을 사용하여 경통의 옆이나 반사경의 구멍을 통해 상을 반사시켜서 관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사진기용의 긴 초점 거리 망원 렌즈에 사용되기도 한다.

가 주초점 반사 망원경 나 그레고리오력 망원경

다 뉴턴식 망원경 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

그림 (Ⅲ. 1-17) 반사 망원경

심화확인
리소그래피(Lithography)는 미세하고 복잡한 전자회로를 반
도체 기판에 그려 집적회로를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리소그래피
에 숨겨져 있는 광학적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자

173
연습문제

01 크기가 3.00 cm 인 물체가 구면 거울에서 20.0 cm 떨어진 곳에 놓여 있다. 거울을 통해 이 물체의 상


을 보니 크기가 4.20 cm 인 허상이 보였다. (1) 이 구면 거울은 어떤 종류인지 쓰고, (2) 상의 위치와 (3)
구면 거울의 곡률 반지름을 구하시오.

02 어떤 학생이 볼록 거울로부터 4.0 m 떨어진 곳에 똑바로 서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상을 보았더니 키가


꼭 절반으로 보였다. 이 거울의 초점 거리와 곡률 반지름 각각을 구하시오.

03 두께가 2.60 cm 인 벤젠( n = 1.50 )층이 깊이가 6.5 cm 인 물 ( n = 1.33 ) 위에 떠 있다. 수직


으로 내려다 볼 때 벤젠의 상층면에서부터 물의 바닥까지의 겉보기 깊이를 구하시오.

04 초점 거리가 60 cm 인 볼록 렌즈에 의해 크기가 3배인 실상이 맺혔다면, 물체와 상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174
Ⅲ 광학

물체는 방향으로의 가속도는속도는인 등속도 운동을 한다.


물체는 방향으로의 가속도는속도는인 등속도 운동을 한다.

05 초점 거리 1.0 m 인 볼록 렌즈를 사용하는 항공 사진기로, 지상에 정지하고 있는 열차를 지상으로부터


5.0 km 상공에서 촬영하였다. 열차의 실제 길이가 50.0 m 일 때 필름에 나타난 열차의 상은 길이를
구하시오.

06 초승달 모양의 볼록 렌즈에서 곡률 반지름이 각각 10 cm 와 20 cm 이고, 이 렌즈의 재질은 굴절률이


1.50 인 유리이다. 이 렌즈의 초점 거리를 구하시오.

07 명시 거리가 30 cm 인 사람이 확대경을 이용하여 물체를 5.0 배 크게 보려면 초점 거리가 얼마인 볼록


렌즈를 이용해야 하는지를 구하시오.

08 대물렌즈의 초점 거리가 80 cm 인 굴절 망원경이 있다.

(1) 각배율을 20배가 되게 하려면 접안렌즈의 초점 거리는 얼마이어야 하는가?


(2) 이 망원경으로1.0 km 떨어져 있는 어떤 물체를 관찰하였더니 상의 크기가 2.0 cm 이었으며 접안
렌즈 앞 25 cm 의 위치에 상이 맺혔다. 이 물체의 실제 크기를 구하시오.

175
2 파동 광학
01 파동의 중첩
02 빛의 간섭
03 파동의 회절

생각 열기
잔잔한 호수에 조금 떨어진 지점에 두 개의 돌을 던지면 수면파가 발생되어 퍼져 나간다. 얼마의 거리를
퍼져 나간 파동은 서로 만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파동들이 만나면 입자 관점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중첩되어 간섭하는 특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파동은 장애물을 만나면 장애물 뒤쪽으로 파
동이 돌아가는 회절 현상이 발생한다. 간섭이나 회절이 우리 주변에 활용되는 예를 찾아보고 파동의 간섭
과 회절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해 보자.

176
Ⅲ 광학

파동의 중첩
01 학습 목표 ■ 파동의 중첩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1 파동의 중첩
수면파를 비롯한 소리, 줄파동과 같은 역학적 파동과 전자기파가 만족하는
파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2 } 1 22 }
2 = (Ⅲ. 2-1)
2x v 2 2t 2
함수 값 } 는 수면파와 줄파동의 경우에 진동자의 변위를 나타내며, 음파
는 공기의 밀도 혹은 공기 입자의 변위이며, 전자기파의 경우에는 전기장 혹은
자기장 값이다. v 는 파동의 전파 속도이다. 식 (Ⅲ. 2-1)은 파동이 x축을 따
라 존재하는 1차원 파동에 적용된다. 두 개 이상의 파동들이 같은 시간에 같은
지점에 존재하게 되면 그들의 합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x, tg = } 1 ]x, tg + } 2 ]x, tg + } 3 ]x, tg g (Ⅲ. 2-2)

이것을 파동의 중첩의 원리라고 한다.


진동수는 같지만 위상차가 d 인 두 파동들이 x 축을 따라 전파하는 경우에
각각을 } 1 = A 1 sin ]kx - ~tg 과 } 2 = A 2 sin ]kx - ~t + dg 로 쓸 수 있
다. 두 개의 파동이 중첩할 때 한 지점에서 중첩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자.
예를 들어 x = 0 인 점에서 시간에 따른 파동함수의 변화는 그림 (Ⅲ. 2-1)
과 같다. 점선은 중첩되기 전의 파동 함수를 그린 것이고 실선은 중첩된 결과
즉 합성파를 그린 것이다. 각 시간마다 두 진동의 함수 값을 대수적으로 더하여
결과를 합성파로 그리면 된다. 두 진동 사이에 d 만큼의 위상차가 난다고 했기
때문에 같은 함수 값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 차이는 d/~ 이다.
따라서 x = 0 에서 합성파는 중첩의 원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t g = } 1 ] t g + } 2 ]t + ddg/~ ) (Ⅲ. 2-3)

흥미로운 사실은 합성파 역시 같은 진동수로 진동한다는 점이다. 가시광의 d /~


t

경우에는 진동수가 보통 10 14 Hz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우리 눈은 시간에 합성파

따른 전기장의 변화를 보지 못하고 빛의 세기를 인식하게 된다. 빛의 세기는


그림 (Ⅲ. 2-1) 진동수는 같고 위상
진폭(전기장 진폭)의 제곱의 시간 평균에 비례한다. 두 전자기 파동의 합성파 이 다른 두 파동의 중첩

177
세기 I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1 + } 2g >
2
I3 (Ⅲ. 2-4)
여기서, <>는 한주기 동안의 시간에 대한 평균을 의미한다.
실제로 파동 } 1 = A 1 sin ]~tg 과 파동 } 2 = A 2 sin ]~t + dg 를 식(Ⅲ.
2-4)에 대입하면

∝ < 6A 1 sin ]~tg + A 2 sin ]~t + dg@ >


2
I3
=< 6A 1 sin ]~tg@2 + 6A 2 sin ]~t + dg@2 + 2A 1 A 2 sin ]~tg sin ]~t + dg >
= I 1 + I 2 + I 12 (Ⅲ.2-5)
이다. I 1 과 I 2 는 각각의 빛의 세기이고 I 12 는 간섭항이라고 한다. 두 빛을 중
첩시키면 단순히 두 파동의 세기 합 I 1 + I 2 에 비해 I 12 의 부호에 따라 더 어
두워질 수도 있고, 더 밝아질 수도 있다.
간섭항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I 12 =< 2A 1 A 2 sin ]~tg6sin ]~tg cos d + cos ]~tg sin d@ >
= 2 I 1 I 2 cos d (Ⅲ. 2-6)
여기서 < sin 2 ]~tg >= 2 와 < sin ]~tg cos ]~tg >= 0 을
1

I
4I I (다) 이용하였다. 따라서 간섭 결과 우리 눈에 감지되는 빛의 세기는
2I I
I = I 1 + I 2 + 2 I 1 I 2 cos d (Ⅲ. 2-7)
(나)

이다. 위상차 ]dg 가 0 , 2r , 4r , g 가 되면 빛의 세기가 최대가 되어


II
(가)

0 r 2r 3r d

I max = I 1 + I 2 + 2 I 1 I 2 (Ⅲ. 2-8)


그림 (Ⅲ. 2-2) (가) 빛 한 개의 세
기 (나) 두 빛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 가 되는데, 이를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이라 한다. 특
을 때의 세기 (다) 두 빛이 간섭을
일으킬 때의 세기 히 간섭하는 두 광의 세기가 같은 I 1 = I 2 일 때, 그림 (Ⅲ. 2-2)와 같이
I max = 4I 1 이 된다. 반면에 두 빛의 위상차가 r , 3r , 5r , f 가 되면 소
멸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이 일어나 빛의 세기는 최소가 되어

I min = I 1 + I 2 - 2 I 1 I 2 (Ⅲ. 2-9)

와 같이 되고, I 1 = I 2 일 때, I min = 0 이 된다.

심화확인
빛의 세기가 같은 두 빛이 보강 간섭하면 하나의 빛의 세기에 비해
4배가 되는데 에너지 보존 법칙이 위배되지 않는다. 그 이유에 대
해 생각해 보자.

178
Ⅲ 광학

결국 I 1 = I 2 = I 0 라면, 위상차에 따라 빛의 세기는

I = I 0 + I 0 + 2I 0 cos d = 2I 0 ]1 + cos dg = 4I 0 cos 2 c m (Ⅲ. 2-10)


d
2
가 된다.

2 결맞음(coherence)
두 개의 파동이 중첩할 때 위상차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경우 ] t g >=
즉 d가
< cos 0
상수인 경우에 한하여 살펴보았다. 만약에 위상차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면 어
떤 시간 동안에는 보강 간섭이, 어떤 시간 동안에는 소멸 간섭이 일어날 것이
다. 시간에 따라 위상차가 매우 빨리 변하면 식(Ⅲ. 2-7)에서

< cos d ] t g >= 0 (Ⅲ. 2-11)

이 되어 간섭항이 사라진다. 형광등 두 개를 켜면 밝기가 위치에 무관하게 2배


가 되는 이유이다.
그림 (Ⅲ. 2-3)과 그림 (Ⅲ. 2-4)는 결맞음 정도가 다른 두 개의 파동을 나
타낸 것이다. 그림 (Ⅲ. 2-3)은 결맞음 시간이 매우 긴 경우로 일반적으로 유
그림 (Ⅲ. 2-3) 결맞음광
도 방출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 빛이 이에 해당한다.
그림 (Ⅲ. 2-4)는 결맞음 시간이 매우 짧은 빛을 나타낸다. 백열전구, 촛 x
초기위상이
바뀌는 것
불, 태양광, 형광등 등과 같은 보통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을 단색광 필터를 통
과시켜 얻을 수 있다. 광원은 빛을 방출하는 원자나 분자들로 이루어졌다고
그림 (Ⅲ. 2-4) 결맞음 정도가 매우
보면 각각의 입자들은 10 nsec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만 사인파를 방출한다.
작은 광의 위상 변화
다시 들뜬 상태로 올라가 10 nsec 동안의 펄스를 방출할 때에는 초기 위상이
바뀐 빛을 방출한다. 원자들마다 위상들이 무작위적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파동이 초기 위상이 일정한 사인파가 되지 못하고 그림 (Ⅲ. 2-4)와 같은 형
태가 된다.
광원의 초기 위상이 유지되는 평균 시간을 결맞음 또는 가간섭 시간
(coherence time) x c 이라 하고 이 시간에 광속도를 곱한 값을 결맞음 거리
(coherence length) l c 라고 한다.
l = cx c
c (Ⅲ. 2-12)
결맞음 거리보다 경로 차이가 작을 때 간섭 무늬가 관측되고 경로차가 결맞
음 거리보다 커지게 되면 간섭 무늬는 사라진다.

3 경로차와 위상차
두 개의 진동수가 같은 단색광이 초기 동일 위상으로 전파하다가 임의의 공
간에서 만났을 때, 경로차 D 와 위상차 d 사이에는

179
2r

d=nI
λ
D (Ⅲ. 2-13)
00
의 관계가 있다. 여기서 λ0는 진공 중에서 빛의 파장을 나타내고, n 은 굴절률
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간섭 무늬는 같은 매질에서 경로차에 따른 위상차에 의
하여 결정되지만 때로 굴절률 차이에 의한 위상차로 인하여 결정될 때도 있다.

심화확인
비누 방울에서는 간섭에 의해 무지개 색이 보이는데 유리창에서는
간섭에 의한 색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180
Ⅲ 광학

빛의 간섭
02 학습 목표 ■ 빛의 중첩 현상을 이용하여 초정밀 ‘정량적’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1 뉴턴 링에 의한 간섭
뉴턴 링은 곡률 반경을 알 수 없는 렌즈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간섭
무늬를 이용한 실험이다. 단색광의 빛을 그림 (Ⅲ. 2-5)와 같이 비추게 되면 렌
즈의 아래 면과 광학적으로 평평한 면 즉 기준면에서 반사된 빛들이 중첩하여
간섭을 일으킨다.
렌즈면의 곡률 반경을 R 이라 하고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간섭 무늬가 관찰되
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x , x 지점에서 렌즈의 아래 면과 기준면 사이의 간격을
d 라고 할 때 직각 삼각형을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 ]R - dg2
x2 = R2 =
이고, R & d 라고 볼 수 있으므로
x 2 . 2Rd (Ⅲ. 2-14)
반사에 따른 위상차
이다. 얇은 막 간섭에서 m 번째 어두운 무늬는 반사에 따른 위상차를 고려하면
고정단 반사에서는 입사파와
2d m = mI
λ00 반사파가 위상이 180도 바

이다. 이 식을 (Ⅲ. 2-14)식에 대입하면 뀌고, 자유단에서는 위상이


바뀌지 않는 것처럼 빛도 경
x 2m . mI 0R
λ0R (Ⅲ. 2-15) 우에 따라 위상이 변할 수 있
이다. 실험적으로 m 번째 어두운 무늬의 x m 을 측정하고, 빛의 파장을 식(Ⅲ. 다. 일반적으로 빛이 경계면
에 거의 수직 입사할 때, 굴
2-15)에 대입하면 렌즈의 곡률 반경 R 를 구할 수 있다.
절률이 작은 쪽에서 큰 쪽으
로 입사하면 위상이 180도
바뀐 반사파가 생기고 굴절률
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입
사하면 반사파의 위상은 변하
지 않는다.

]R - dg
R

nf x d

그림 (Ⅲ. 2-5) 뉴턴 링 간섭 무늬

181
2 마이컬슨 간섭계
마이컬슨 간섭계의 구조는 그림 (Ⅲ. 2-6)과 같다. 단색광 광원에서 나온
빛이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빔 분할기 O 의 뒤쪽 면에서 두 빔으로 갈라지고,
그 중 하나는 오른쪽으로, 다른 하나는 위쪽으로 진행한다. 이들은 거울 M 1 ,
M 2 에 의해 반사되어 빔 분할기 O 로 되돌아온다. M 2 에 의해 반사된 빛의 일
부는 빔 분할기를 통과하여 아래에 있는 검출기 쪽으로 가고, M 1 에 의해서 반
사된 빛의 일부도 빔 분할기에 의해서 검출기 쪽으로 반사된다. 이들 두 빛이
중첩되어 간섭이 일어난다.
M 2 방향으로 진행한 빛은 빔 분할기를 세 번 통과하는 반면 M 1 방향으로
진행한 빛은 오직 한 번만 통과하게 된다. 두 광파의 광경로를 같게 하기 위해
빔 분할기와 같은 두께의 유리판 C 를 OM 1 사이에 삽입해야 하는데, 이 유리
판을 보상판이라고 한다. 이 보상판은 45c 의 각도로 놓여 있으므로 O 와 C 는
서로 평행하다. 보상판이 사용될 경우 두 광파 사이의 경로차는 실질적인 빛의
진행 경로차에 의해서만 발생된다. 광원의 크기가 크고 퍼져 나가는 빛을 사용
한 경우에는 스크린과 빔 분할기 사이에 볼록 렌즈를 사용하고 초점 거리에 스
크린을 설치하여야 한다. 빔 직경이 큰 평행광 레이저를 사용한 경우에는 렌즈
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간섭 무늬를 관찰할 수 있다. 두 경로 사이의 경로차
는 빔 분할기에서 거울들까지의 거리인 두 팔 길이 차이의 2배이다. 두 팔의 거
리 차이를 d 라고 하면, d = 0 일 때 중앙의 무늬는 어둡게 된다. 이유는 빔
분할기에서 반사에 따른 위상 변화 때문이다.

M2

광원 M1
O
C
D

검출기

그림 (Ⅲ. 2-6) 마이컬슨 간섭계

I
λ
만큼 움직이면 광경로는 I 만큼 변
λ
d = 0 인 상태에서 거울 M 1 을
4 2
하여 두 광파 사이의 위상이 r 만큼 차이 나게 된다. 반사에 따른 위상 차이를

182
Ⅲ 광학

상쇄시켜서 결국은 보강간섭이 일어나게 되고, 스크린 중앙부분은 밝은 무늬


I
λ
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d 를 씩 이동시킬 때마다 스크린의 중심에 새로운
2
고리가 나타난다. d 가 증가함에 따라 중앙에 새로운 원형 고리들이 나타나게
되고, d 가 감소하게 되면 반대로 고리들이 수축되어 중앙에서 사라지게 된
다. 마이크로미터가 부착된 거울 M 1 을 움직인 거리를 l 라 하고 무늬의 소멸
(발생) 개수를 N 이라 하자. 그러면 광경로차는 거울의 이동거리의 2배가 되
어서 2l 이다. 2l = N I
λ가 되고 이로부터 레이저의 파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한쪽 팔에 기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설치하고 기체를 넣어가면서
간섭 무늬의 개수를 측정하면 사용한 광원의 파장에서 기체의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다. 용기의 길이가 D 라 하면, 기체가 채워질수록 굴절률이 커짐에 따라
위상차가 다음과 같이 발생할 것이다.

]n - 1g D
2r
d= I

λ0 (Ⅲ. 2-16)
마이컬슨 모올리 간섭계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실험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로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하는 실험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절대 정지한 좌표
계에 에테르라는 물질이 가득 채워져 있고 지구 또한 그 에테르 속을 운동한다
고 믿었다. 빛은 에테르라는 물질을 매질로 하여 전파하는 종파라고 해석되던
시대이다. 마이컬슨과 모올리는 간섭계를 개발하여 간섭계가 에테르 속을 운
동한다면 간섭계를 한 방향으로 하여 간섭 무늬를 측정하고 간섭계 전체를 90
도 회전시켜 측정한다면 간섭 무늬가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실험 결과
간섭 무늬의 변화는 전혀 없었고 따라서 에테르가 없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론은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운동은 상
대적이라는 이론이다.

심화확인
LIGO는 중력파를 검지하는 데 활용되는 장치인데 기본적으로 마이
컬슨 간섭계 구조를 가지고 있다. LIGO의 구조를 알아보고 어떠한
원리로 중력파를 검출하였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183
3 파브리 페로 간섭계
패브리 페로 간섭계는 그림(Ⅲ. 2-8)과 같이 반사율이 매우 큰 두 개의 거울을
마주 보게 설치하여 놓은 매우 간단한 간섭계이다. 반사율이 매우 높은 거울을 마
주 보게 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두 거울 내부에 들어온 광은 수 없이 많은 횟수를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거울을 통과하는 빛은 매우 많은 파들이 중첩하게 된다.
두 거울을 통과하는 빛은 매우 특별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통과가 가능하
다. 위 그림에서 원형 고리는 통과한 많은 파들이 보강 간섭하는 것이다.
간섭계는 두 거울 사이의 거리를 고정하고(이 장치를 에탈론이라고 함) 그림
(Ⅲ. 2-8)처럼 원형 고리를 분석하는 경우, 두 거울 사이의 거리를 변화(간섭
계라고 함)시키면서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
고 있다. 아래 그림 (Ⅲ. 2-7)은 거울의 반사율이 다를 때, 위상 즉 인접한 두
A’
반사광들 사이의 위상차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놀라운 것
A
은 반사율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보강간섭 조건에서 투과율이 거의 1이라
그림 (Ⅲ. 2-8) 패브리 페로 간섭계 는 점이다(거의 100% 투과함).

1
F =0.2
r2 =0.046

2
F =1 r =0.018

0.5
I1 / I1

2
r =0.87
F =200
0
-2π -π 0 π 2π 3π 4π δ

그림 (Ⅲ. 2-7) 패브리 페로 간섭계의 투과곡선

거울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정상파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전자기파는 통과하


지를 못한다. 반사율이 높을수록 간섭계의 색분해능이 우수해진다. 패브리 패
로 간섭계는 색분해능이 매우 높아 고분해능 분광 연구에 활발하게 응용되었고
지금도 많은 연구실에서 사용하고 있다.

심화확인
중첩하는 파동들이 많아질수록 간섭 무늬 폭이 좁아지는 이유에
대하여 연구하여보자.

184
Ⅲ 광학

파동의 회절
03 학습 목표 ■ 회절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1 파동의 회절
회절은 파원에서 발생된 파동이 진행하다가 장애물을 만나면 파동의 전파 방
향이 바뀌는 현상이다. 회절이 일어나면 직진했을 때는 갈 수 없는 장애물 뒤쪽
으로 파동이 전파된다. 회절은 직진 운동하는 입자 운동에서는 관측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파도가 전파하다가 좁은 틈을 만나면서 회절이 일어나 방파제 뒤
쪽으로 파도가 전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자빔의 회절을 해석할 때는 유의할
점이 있다. 전자빔의 회절은 전자가 입자가 아니라 파동으로 그림 (Ⅲ. 2-9)
의 가운데 그림은 전자빔을 보내 얻은 회절 무늬로 전자빔을 파동으로 보아야
해석이 된다. 그림자 부분에는 빛이 도달하지 않지만 회절에 의해 빛이 도달할
수 있다. 소리 파동 역시 회절되어 장애물 뒤에 전파될 수 있다.

그림 (Ⅲ. 2-9) 파동의 회절

파동의 이동에서 방해를 받는 부분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파면상의 각


부분이 새로운 파원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절이 발생한다. 방해 받지 않은 새
로운 파원들에서 발생된 구면 파동들이 진행하게 되면, 파동이 도달할 수 없을
것같은 영역으로 전파되기도 하고 서로 중첩하여 위치에 따라 세기가 달라지는
회절 무늬를 형성하기도 한다. 중첩이라는 관점에서 간섭무늬와 회절 무늬는
물리학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관례적으로 몇 개의 파가 중첩하는 경우에는
간섭으로, 유한한 크기의 연속 파원에서 대단히 많은 수의 파가 중첩되어 나타
나는 현상을 회절로 구분한다.

185
m
A 파면

P 관측점
r?
i
C
ds

B 차단벽 C 스크린

그림 (Ⅲ. 2-10) 회절 이론을 위한 모형

그림 (Ⅲ. 2-12)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그림 (Ⅲ. 2-10)은 회절의 일반적인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동일한 위상으
네덜란드 물리학자, 수학자, 또한 로 이루어진 면 즉 파면 A 가 진행하다가 장애물 B 를 만나게 되면 파동이 회
천문학자 '하위헌스의 원리'로 알려진
빛에 대한 해석을 이용하여 여러 가 절된다. B 는 임의의 형태를 가진 구멍이 있는 차단벽이다. 하위헌스 원리에
지 현상을 설명하고, 빛이 파동으로 의하면 구멍에 도달한 파면의 모든 지점이 새로운 점파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성되어 있다는 하위헌스-프레넬
정리를 발표하였다.
구멍 전체를 작은 면적 요소로 세분하여 C 에 기여하는 빛의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작은 면적 요소로 나누어 생각하는 이유는 파원으로부터 즉 면적 요소로
평면파 84 구면파 84
부터 C 까지 거리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거리차가
나면 중첩되는 파동들의 위상들이 다른 값을 가지며 중첩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원
관측점 P 에서 빛의 세기는 구멍 내의 모든 면적 요소들에 의한 파동의 기여를
고려해서 구할 수 있다. 철사나 동전과 같은 장애물에서도 회절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막힌 부분이 매우 좁으나 열린 부분 즉 제2의 점파원 역할을
파면

그림 (Ⅲ. 2-13) 하위헌스 원리 하는 부분이 매우 넓다. 매우 넓은 부분들을 점파원들의 집합으로 고려하여 스


파동이 전파할 때 한 순간의 파면 위
크린에서 빛의 세기를 구하는 것은 같은 원리이다.
의 모든 점들은 제2의 파원 역할을
하여 구면파들을 만들고 시간이 경 그림 (Ⅲ. 2-10)의 P 점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는 (1) 면적 요소로부터 P
과한 후에 새로운 파면은 작은 구면 점까지의 거리와 (2) 파면의 법선에 대한 각도와 (3) 면적 요소에서 발생되는
파들의 접하는 면에 의해 결정된다.
빛의 진폭 및 초기 위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스크린 상의 관측지점에서 최종적
인 세기는 제 2 점파원 면적 요소들 모두의 기여를 고려하여야 한다. 회절 무늬
를 구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모든 지점에 대하여 이와 같은 계산을 반복하여
야 한다. 따라서 회절에 대한 세기 분포의 계산은 복잡하다.

(가) s
B
C
원거리에 있는 스크린까지
원거리에 있는 i
(나) 광원으로부터

B P

(다) i i
s x
f B f
C

그림 (Ⅲ. 2-11) 회절의 종류 (가) 프레넬 회절, (나) 프라운호퍼 회절,


(다) 실제적인 프라운호퍼 회절 실험 장치

186
Ⅲ 광학

그림 (Ⅲ. 2-11)(가)는 회절의 일반적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광원 S 와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가까워 구멍에 입사하는 파면이 구면파이고, 구멍으로부
터 스크린까지 도달한 파의 파면 또한 평면파가 아닌 경우이다. 이와 같이 파원
과 장애물, 그리고 장애물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구면파의 형태로 파
면을 취급하여야 하는 경우를 프레넬 회절이라 한다. 그림 (Ⅲ. 2-11)(나)와
같이 파원과 구멍 사이의 거리 그리고 구멍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
는 파면을 평면파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 경우를 프라운호퍼 회절이라 한다. 그
림 (Ⅲ. 2-11)(다)와 같이 두 개의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실험실에서 쉽게 프
라운호퍼 회절 조건을 얻을 수 있다. 첫 번째 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발산하는 파
를 평면파로 변환하고 두 번째 렌즈는 구멍으로부터 나가는 평면파를 관측점
P 에 모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넬 회절과 프라운호퍼 회절에서 회절
무늬가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회절 무늬 분석을 위해 빛의 세기 분포
적분이 필요하다. 평면파로 근사할 수 있는 프라운호퍼 회절의 경우에 적분이
비교적 쉽고, 다른 방식으로 적분을 수행하는 프레넬 회절의 경우는 적분이 쉽
지 않다. 이 책에서는 프라운호퍼 회절에 한하여 기술할 것이고 직접 적분을 하
지 않고 위상자 덧셈 방법으로 회절 무늬를 구할 것이다.

2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가장 간단한 형태의 회절로 평면파가 틈이 좁은 장애물 즉 단일 슬릿에 입사
한 경우이다. 그림 (Ⅲ. 2-15)는 폭이 a 인 슬릿을 크기가 Dx 인 N 개의 평
행한 선광원으로 분할한 것이다. 선광원으로 한 이유는 슬릿의 길이 방향의 점
광원들은 같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즉 회절 무늬는 선형 형태들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각각의 선광원은 하위헌스 원리에 따라 제2의 파원
이 되어 구면파를 발생시킨다. 엄밀하게 말하면 구면파가 아니라 원통파이다.
즉 점파원들이 선을 따라 있는 상태에서 같은 초기 위상을 갖는 파동들을 발생
그림 (Ⅲ. 2-14) 슬릿을 통과하는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파면이 원통형이 될 것이다. 슬릿의 좁은 폭 방향을 따라 원통파
각 점광원이 관찰점 P 에 기여한 것은 광원과 P 점을 잇는 각도 i 에 의해 기
술할 수 있다. 스크린 상의 각지점은 i 값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의 세
기를 i 의 함수로 나타내면 될 것이다.

187
B

i
Dx
Dx sini
Dx sini P

a
i
Po

입사파 회절파

그림 (Ⅲ. 2-15)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프라운호퍼 회절의 경우에, P 점에 평면파가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


위상자(Phasor)
문에 광원들의 진폭의 기여는 DE 0 로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한 광원
파동을 벡터를 이용하여 표
시하는 방법으로 진폭을 벡 들 사이의 경로차가 Dx sin i 이므로 위상자는 Dz = 2r ]Dx sin ig 가 된
터의 길이, 위상을 x 축과 이
m
다. 이제 N 개의 광원의 기여를 모두 고려하려면, 인접한 광원 사이에는 위상
루는 각도로 하여 표시할 때
벡터를 위상자라 한다. 같은 이 Dz 만큼씩 차이가 나며 같은 진폭을 갖는 N 개의 성분을 더해야 한다. 합
진동수의 두 파동이 중첩하 성파는 광원의 진폭, 방향은 위상에 해당하는 벡터인 위상자를 이용하여 이웃
는 경우에 두 위상자는 같은
한 벡터와 각도 Dz 를 이루는 길이가 DE 0 로 모두 같은 N 개의 벡터를 더하
각진동수를 가지고 계속해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두 벡 면 된다.
터 사이에는 각도차 즉 위상 만약 P 점이 슬릿의 가운데를 수직으로 잇는 P0 에 있으면 i 가 0인 경우이
차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다. 슬릿의 끝지점에서 스크린을 보면 각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축
합성파를 벡터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에 나란하게 가는 빛이 렌즈에 의해 P0 점으로 진행하도록 굴절시키기 때문에
i 가 0이며 중첩하는 모든 파동들은 위상 차이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N 개의
광원에서 온 빛들에 해당하는 위상자를 그리면 그림 (Ⅲ. 2-16) (가)와 같이
길이가 같은 벡터들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최종적인 중첩의 결과는 첫 벡
터의 시작점부터 마지막 벡터의 끝나는 지점까지의 길이이다. 이 길이를 E m
이라 하면 스크린 상에서는 이보다 강한 빛은 관측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최
대 진폭 E m 이 된다. 따라서 스크린 중앙점 P0 에서 가장 밝다.

αα
ø
R

(나)

Ei

DB sini
Em i Em

(가)

그림 (Ⅲ. 2-16) 회절에 의한 세기를 구하기 위한 위상자 덧셈법

188
Ⅲ 광학

이제 스크린 중앙선으로부터 각도 i 를 이루는 P 점에서 빛의 세기를


구하여 보자. 이웃한 광원들이 Dz 의 위상차를 갖도록 위상자 벡터들을
연이어 그리면 그림 (Ⅲ. 2-16) (나)와 같이 될 것이다. 이웃한 위상자
들 사이의 각도는 위상차가 Dz 로 동일하기 때문에 모두 같다. 그림 (Ⅲ.
2-16 (나))에서 첫 벡터의 시작점에서 끝 벡터의 머리까지의 직선 길이
z
는 E 0 = 2R sin 2 이다. 여기서 z 는 첫 위상자(슬릿 제일 아래쪽 선광원
에서 P 점에 온 빛)의 위상과 마지막 위상자(슬릿 제일 위쪽 선광원에서
P 점에 온 빛)의 위상 차이임을 그림으로부터 알 수 있으며, z 를 라디안
E
으로 표시하면 z = Rm 이다. 위 두 식을 결합하면,
sin a
E0 = Em a (Ⅲ. 2-17)
가 된다. 여기서
z ra
a = 2 = I sin i (Ⅲ. 2-18)

이다. 식 (Ⅲ. 2-18)로부터 α는 z 의 반에 해당하므로 α는 슬릿의 중


앙 선광원과 슬릿 끝지점 선광원에서 출발한 빛이 P 점까지 왔을 때 위상
차이다. 따라서 각도에 따른 빛의 세기 분포는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Ii = Im b a l
sin a 2
(Ⅲ. 2-19)
이 된다. 스크린에 나타난 빛의 밝고 어두운 무늬를 회절 무늬라고 하
며 이 식으로 잘 해석이 된다.

a=m a=5m a=10m

(가) (나) (다)


i i i
그림 (Ⅲ. 2-17) 폭에 따른 회절 무늬 세기

그림 (Ⅲ. 2-17)은 빛의 파장이 일정할 때 슬릿의 폭이 달라짐에 따라


즉 a/ λI의 비가 다른 몇 가지 경우의 I i 그래프이다. 그림 (Ⅲ. 2-17(가))
의 경우는 스크린 전체가 밝게 보이는 경우로 슬릿의 폭이 λ로 빛의 파장
과 같은 경우인데 어두운 곳이 없이 빛이 스크린 전체에 도달함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파장과 같은 폭을 갖는 슬릿을 점광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점광원이 있는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α를 증가시키면(즉 슬릿의 폭
이 증가할수록) 중앙의 밝은 띠의 폭이 좁아진다.
세기 분포에서 빛이 도달하지 않는 극소의 위치는 식 (Ⅲ. 2-19)
에서 분자가 0이 되는 a = mr ]m = 1, 2, 3, gg 일 때이며 이 식을
ra
a = I sin i 과

189
결합시켜 정리하면

a sin i = mm (Ⅲ. 2-20)


이 된다.
특히, 그림 (Ⅲ. 2-17) (가)와 같이 a = I
λ 이면 첫 번째 0이 되는 조건,
즉 m = 1 일 때 i = 90c 가 된다. 90c 의 의미는 스크린 위에서 무한대로 높
은 지점과 낮은 지점까지 빛이 도달함을 의미한다(즉, 빛이 스크린 전체에 도
달함). a 가 λ에 비해 충분히 크면 최초 0이 되는 m = 1 인 지점에 대한 i 가
작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sin i ~ i 로 근사할 수 있어
m
i. a
가 된다.
그림 (Ⅲ. 2-18)은 슬릿의 폭이 파장보다 큰 단일 슬릿에 헬륨 네온 레이저
를 비춰 스크린에 나타난 회절 무늬이다.

그림 (Ⅲ. 2-18)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무늬

3 원형 슬릿에 의한 회절
대부분의 광학 기기에서 원형의 렌즈가 사용되므로 원형 구멍에서의 회절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림 (Ⅲ. 2-19)는 원거리에 점광원을 놓고 볼록 렌즈
의 초점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필름을 놓고 촬영한 것이다. 이 모양은 기하
광학에서 예상되는 ‘점’이 아니다. 중앙에 원형 디스크를 중심으로 바깥으로 밝
고 어두운 원형 고리들이 나타난다. 지름을 가로질러 가면서 빛의 세기를 그려
보면 단일 슬릿의 그림 (Ⅲ. 2-17) (다)와 거의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
은 무늬가 생긴 이유는 렌즈에서 일어난 회절 효과 때문이다. 유한한 크기의 렌
즈를 사용하는 한 회절 효과를 피할 수 없다. 점파원이 멀리 있기 때문에 평면
파가 렌즈에 온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렌즈는 슬릿과 집광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렌즈를 통과하지 않는 빛은 필름 상의 빛의 세기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190
Ⅲ 광학

그림 (Ⅲ. 2-19) 렌즈에 의한 회절 무늬

관측점 P 에서의 진폭의 계산은 렌즈의 크기에 해당하는 원형 구멍을 고려


베셀(Bessel) 함수
하고 구멍을 면적 요소로 나눈 광원들의 기여를 고려해야 한다. 계산 원리는 단
직사각형 형태의 슬릿의 경
일 슬릿의 경우와 같으나 적분이 복잡하여 여기서는 결과만을 논의하고자 한 우와 원형 구멍을 비교하여

다. 렌즈의 직경을 D 라고 할 때 단일 슬릿에서와 같이 d/I


λ 의 비가 회절 무 보면 앞의 상수를 제외하고
모든 식이 동일하다.
늬를 결정할 것이다. 프라운호퍼 회절 상황에서 회절 무늬의 1차 극소가 일어
회절 무늬를 정확하게 얻기
나는 조건은 위해서는 원형 구멍을 잘게

I
λ 나누어 각 부분이 기여하는
sin i = 1.22 (Ⅲ. 2-21)
D 것을 모두 적분하여 구할 수
있으며 결과는 Bessel 함수
이다. 식 (Ⅲ. 2-20)에서 m = 1 인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1이 아니라 1.22
에 의해 주어진다.
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초점 거리가 f 인 렌즈인 경우에
에어리 원반(Airy disk)이라고 하는 중앙원의 반지름 ]rg 은
I
λ
r = 1.22 f (Ⅲ. 2-22)
D
이다. 이 반지름이 작을수록 중앙원의 크기가 작을 것이기 때문에 기하 광학에
서 점 물체에 대해 상이 점이 되기 위해서는 렌즈의 직경 D 가 무한대로 커야
함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하 광학은 회절 효과를 무시한 근사에서 성립한다.

심화확인

식(Ⅲ. 2-21)에서 sin i . i 를 이용하여 식 (Ⅲ. 2-22)을 유도


하시오.

191
4 이중 슬릿에 의한 회절
이중 슬릿에 의한 회절은 각각의 단일 슬릿에서 회절된 두 개의 파동이 중첩
하여 간섭 무늬와 함께 나타나게 된다. 슬릿 폭이 파장과 같은 이중 슬릿인 경
우에는 회절된 빛이 스크린 전체에 도달하기 때문에 회절에 의한 어두운 무늬
는 관찰되지 않고 간섭 무늬만 관찰되며 간섭 무늬는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시
키면서 나타난다.
I i , 간섭 = I m cos 2 b (Ⅲ. 2-23)
2rd
여기서 b =sin i 이며, d 는 두 개의 슬릿 중심 사이의 거리이다. i
m
는 단일 슬릿의 경우와 같이 이중 슬릿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축과 이중 슬릿 중
앙에서 스크린 상의 점을 잇는 선 사이의 각도이다. 슬릿의 폭이 파장보다 크면
간섭 무늬와 함께 회절 무늬도 나타난다. 즉,

I i , 회절 = I m b a l
sin a 2
(Ⅲ. 2-24)

의 형태로 주어진다. 따라서 회절과 간섭이 동시에 고려된 세기 분포는

I = I ]cos bg2 b sin a l


2

i m
a (Ⅲ. 2-25)

가 되는데, 그림 (Ⅲ. 2-20)에 나타나 있다. 그림 (Ⅲ. 2-20) (가)는 식 (Ⅲ.


2-23)을 나타낸 것으로 폭이 매우 좁은 이중 슬릿에 의한 간섭 무늬이고, 그
림 (Ⅲ. 2-20) (나)는 식 (Ⅲ. 2-24)에 해당하는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무
늬의 모습이며, 그림 (Ⅲ. 2-20) (다)는 이들 결과를 곱하여 얻은 식 (Ⅲ.
2-25)로 간섭과 회절이 동시에 고려된 것이다.
상대적 세기

(가)

θ(도)

상대적 세기
a

(나)
d

θ(도)

상대적 세기

(다)

이중 슬릿
θ(도)

그림 (Ⅲ. 2-20) 이중 슬릿에 의한 회절과 간섭 무늬

192
Ⅲ 광학

그림 (Ⅲ. 2-21)은 파장보다 폭이 넓은 슬릿을 이용한 경우에 단일 슬릿과


이중 슬릿의 회절 무늬를 비교한 결과이다.

단일 슬릿

이중 슬릿

그림 (Ⅲ. 2-21) 단일 슬릿과 이중 슬릿의 회절 무늬 비교

5 다중 슬릿 ( 회절격자 )에 의한 회절
슬릿의 개수가 N 개로 증가된 경우를 다중 슬릿 또는 회절격자라 한다. 그림
(Ⅲ. 2-22)는 슬릿의 개수가 5인 다중 슬릿이다. 평행광이 입사하여 회절격자를
통과한 후에 볼록 렌즈에 의해 회절된 광들이 초점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설치된
스크린에서 중첩된다. 따라서 이상적인 프라운호퍼 회절 무늬가 예상된다.
파장 λ의 색광을 회절격자에 비추면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 무늬들 사이의 간
격은 I
λ 에 의해 결정되며, 여기서 는 슬릿 사이의 간격이다.
d
d

f
회절격자

i i

d
i

C
m

그림 (Ⅲ. 2-22) 다중 슬릿에 의한 회절

무늬들이 가지는 상대적인 세기 분포는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무늬에 의해


결정된다. 그림 (Ⅲ. 2-23)은 슬릿의 개수에 따른 회절 무늬를 나타낸 것이
다. 폭이 50nm 이고 슬릿 사이의 간격이 150nm 이 되도록 슬릿들의 숫자를
증가시키면서 실험한 결과이다. 중앙의 밝은 무늬를 보면 슬릿이 한 개일 때 중
앙의 밝은 무늬는 넓은 영역에 걸쳐 밝다. 슬릿이 2개가 되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회절 무늬와 간섭 무늬가 함께 나타나며 슬릿의 숫자가 늘어갈수록 이중

193
슬릿에서 보강 간섭 밝은 띠의 폭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1차 극대
사이에 2차 극대들이 나타난다. N 을 증가시킬수록 이중 슬릿에서 볼 때 보강
간섭 지점인 주요 극대가 예리해지며 2차 극대는 그 수가 ( N -2)개로 증가하
지만 세기가 매우 줄어들어 거의 무시할 만하다. 이는 슬릿 수가 많아질수록 여
러 개의 슬릿에서 온 파동들이 보강 간섭 조건을 만족시키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이중 슬릿에서 상쇄 간섭하는 곳에서도 슬릿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
라 빛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단일 슬릿 회절 무늬에서 어둡게 보
였던 부분에서는 슬릿의 수에 무관하게 계속 어둡게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림 (Ⅲ. 2-23) 슬릿의 개수에 따른 회절 무늬 비교

주요 극대 위치는 이웃한 슬릿으로부터 광경로차가


d sin i = m I, m = 0, 1, 2, 3, g (Ⅲ. 2-26)
인 곳이다. 여기서 m 을 차수라고 한다. 식 (Ⅲ. 2-26)은 이중 슬릿에서 보강
간섭하는 지점을 찾기 위한 식과 일치하며 슬릿의 개수 N 에 무관하다.
N 이 증가해 갈 때 주요 극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위상자 덧셈법을 이용
하여 알아보자. 그림 (Ⅲ. 2-24)의 (가)와 (나)는 이중 슬릿, (다)와 (라)는 9중
슬릿의 회절격자에 대한 주요 극대 ]E 2m, E 9mg 와 극소 조건 ]E i = 0g 을 나타
낸다.

180c 40c
(라) 40c
(가) (나) 40c
Ei = 0
E 2m 40c
40c
Ei = 0
40c
40c
(다) 40c
E 9m

그림 (Ⅲ. 2-24) 슬릿의 개수에 따른 회절 무늬 비교

194
Ⅲ 광학

각각의 슬릿에서 기여하는 정도는 작은 화살표로 나타낸 위상자의 벡터 길이


와 같다. i = 0 인 중앙의 주요 극대 양쪽에 있는 세기가 0인 곳(이중 슬릿의
경우 소멸간섭 지점)의 각 위치 Da 를 생각해 보자. 이들 점에서 벡터 합에 대
한 것은 그림 (Ⅲ. 2-24)의 (나)와 (라)이다. N = 2 에서는 두 슬릿에서 나온
광파의 위상차가 180c 이며, N = 9 에 대해서는 이웃한 두 슬릿에서 나온 광
파의 위상차가 Da = 2r ]= 40cg 가 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9
2r
Da = (Ⅲ. 2-27)
N
로 주어진다. 슬릿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 각도가 줄어든다는 의미는 주요 극
대의 폭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장이 약간 다른 2개의 파장을 갖는 빛
이 이중 슬릿에 들어가면 색분해가 안 되는데 다중 슬릿에 의해서는 그림 (Ⅲ.
2-25)와 같이 분해가 된다. 그림 (Ⅲ. 2-26)과 같이 CD 표면은 다중 슬릿
의 좋은 예이다. 다중 슬릿은 빛이 도달할 수 있는 각도가 파장에 따라 예리하
게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사광

입사광
회절광

법선
패턴 크기

그림 (Ⅲ. 2-25) 회절격자에 의한 색분해 그림 (Ⅲ. 2-26) CD 표면에서 회절

6 분해능
렌즈를 사용하면 회절에 의해 상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이와 관계된 렌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공간 분해능을 정의한다. 회절격자를 사용하여 분광할
때 파장에 따른 색 분해가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색분해능이라 한다. 이것
으로 회절격자의 성능을 평가한다. 이에 대해 알아보자.

1. 렌즈의 분해능 - 공간 분해능


렌즈에 맺힌 상의 회절은 원거리에 아주 근접해 있는 두 개의 물체를 분별하
려고 할 때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두 개의 점광원이 공간적으로 멀리 떨
어져 있으면 스크린에는 뚜렷하게 2개의 상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두 개의 점
광원이 가까워지면 상황은 달라진다. 그림 (Ⅲ. 2-27(다))는 두 개의 점광원

195
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그림 (Ⅲ. 2-27(가))은 하나인지 두 개인지 구별하기
힘들다. 이때 분해능이 매우 큰 렌즈를 사용하면 2개의 상을 볼 수 있을 것이
다. 렌즈의 분해능은 그림 (Ⅲ. 2-27(나))처럼 가까스로 분해가 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는데, 이 기준을 레일리(Rayleigh) 기준이라 하며 한 점광원에 대
한 회절 무늬의 중앙 극대점이 다른 점광원에 대한 회절 무늬의 1차 극소점과
일치하는 경우이다. 그림 (Ⅲ. 2-27(나))의 점선이 레일리 기준이다.
식 (Ⅲ. 2-21)로부터 가까스로 분해할 수 있는 두 물체를 렌즈에서 바라보
는 각도는

i R = sin -1 b l
1.22 I
λ
(Ⅲ. 2-28)

D
이고, 원거리의 점물체에 대해서는 i 가 매우 작으므로
1.22 I
λ
iR = (Ⅲ. 2-29)
D

Rayleigh
기준

0 i 0 i 0 i
iR
(가) (나) (다)
그림 (Ⅲ. 2-27) 공간 분해능

이다. 위 식들에서 D는 렌즈의 직경이다. 물체 사이의 각도가 i R 보다 크면 두


물체는 분해가 되고, i R 보다 작으면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무한히 큰 렌즈
를 쓰면 점광원에 대한 상은 식(Ⅲ. 2-22)에서 에어리 원반(Airy disk)의 반
경이 0이 되기 때문에 상이 크기가 없는 점이 된다. 아무리 가까이에 있는 물체
들도 공간적으로 구별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매우 작은 각도차를 가진 두 물체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i R 이 작아야 하므로
렌즈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짧은 파장의 광원을 사용한다. 이것이 거대한 망
원경을 만드는 이유가 되며, 전자 현미경처럼 파장이 가시광선이 비하여 매우
짧은 파동을 사용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 초점 거리가 f 인 렌즈를 사용하는 경
우에 분리되는 최소 거리는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진다.

]D xgmin = 1.22

fI
λ
D (Ⅲ. 2-30)

196
Ⅲ 광학

심화확인
1. 위 식 (Ⅲ. 2-30)을 증명하사오.
2. 현미경에서 대물렌즈와 커버글라스 사이에 오일을 추가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3. 그림은 아드로메다 은하를 망원경으로 촬영한 것이다. 어느 경
우가 더 선명하며 망원경에서 무엇이 다를지 논의하여 보자.

그림 (Ⅲ. 2-28) 망원경으로 촬영한 아드로메다 은하 사진

2. 회절격자의 분해능 - 색 분해능


회절격자는 파장 차이가 작은 빛들의 스펙트럼을 구하는 데 활용된다. 슬릿
의 폭을 파장과 거의 같게 하여
슬릿들이 점광원 역할을 하면 빛이 전 공간으로 회절한다. 또한 매우 많은
수의 슬릿을 사용하면 색 분해능이 커진다. 따라서 회절격자는 단색 분광기로 m=1

사용한다. 회절격자는 투과형과 반사형이 있다. m=0

m = -1

ii
D A
im
C B
d
d B C
D
ii im
A
(가)투과형

(가) 투과형에서 경로차 (나) 반사형에서 경로차


(가) 투과형에서 경로차 (나) 반사형에서 경로차
그림 (Ⅲ. 2-29) 경로차

각각의 경우에 두 광선 사이의 경로차는 m = -1

AB - CD = d ]sin i m - sin i ig (Ⅲ. 2-31) m=0


m=1
로 같은 형태로 주어진다. 따라서 반사형 투과형에 무관하게 회절격자 방정식
d ]sin i m - sin i ig = mm (Ⅲ. 2-32)
(나) 반사형
를 만족시키는 각도로 해당 파장의 빛들이 회절되어 나간다. 그림 (Ⅲ. 2-30) 회절격자의 종류

197
식 (Ⅲ. 2-27)에 의하면 주요최대의 0이 되는 각들 사이의 각도는
kd
Da = 2r/N 이다. a = sin i 이므로 이를 미분하면,
2
kd 2r
cos iDi = 이 된다.
2 N
따라서,
Di = 2m/ ]Nd cos i mg (Ⅲ. 2-33)

각분산(angular dispersion)을
D = di/dm (Ⅲ. 2-34)
로 정의하면, 격자 방정식 d sin i = mm 을 미분하여서
D = m/ ]d cos i mg 를 얻을 수 있다. 회절격자의 분산은 슬릿/줄들 사이의
간격 d 가 작아질수록 또는 차수 m 이 클수록 커진다. 분산이 회절격자 줄의
수 N 에는 무관하다는 사실을 유의해라.
색 분해능은 두 개의 파장이 다른 빛이 회절격자에 입사될 때 분해할 수 있는
최소 파장차이로 두 파장의 평균값 m avg 을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m avg
]gDm min
R= (Ⅲ. 2-35)

즉, 분해 가능한 파장 차이가 작을수록 고분해능이 된다. 렌즈의 경우에는


공간 분해능이라면 회절격자의 경우는 색 분해능을 말한다. Rayleigh 기준을
적용하면 식 (Ⅲ. 2-33)의 1/2인
di m
D= =
dm a cos i m
이고,
]Digmin
= m/ ]d cos i mg
]Dmgmin

이므로
R = mN (Ⅲ. 2-36)

이 된다. 회절격자를 고분해능으로 사용하려면 가능한 많은 격자수 N을 갖는


크기가 크게 만들어야 하며, 이들 격자를 모두 사용하기 위하여 빛의 직경을 키
워야 한다. 또한, 차수 m 도 높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일반적인 분광기의
경우에는 첫 번째 차수를 사용한다.

심화확인
파장이 약간 차이가 나는 빛을 이중 슬릿으로 색 분해를 하지 못하
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또한, 다중 슬릿의 경우 색 분해가 가능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자.

198
Ⅲ 광학

3.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빛으로 원자 잡기

코일들

원자들

레이저 빔

그림 (Ⅲ. 2-31) 광자기 포획

그림 (Ⅲ. 2-31)과 같이 레이저 빛을 여섯 방향에서 비추어 주고 반대 방향


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코일을 설치하면 자기장이 0이 되는 근처에서 원자들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광자기 포획(Magneto-optical trap)이라고 한다.
그림 (Ⅲ. 2-32)는 일차원에서 어떻게 원자의 운동량이 줄어들어 끝내는 거
의 정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원리를 보여 준다. 서로 반
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빛의 진동수를 원자의 공 에너지 준위들

명 진동수보다 조금 작게 하여 보내면, 오른쪽으로 움


직이는 원자에서 보면 오른쪽에서 오는 빛의 진동수를
조금 더 크게 보기 때문에 공명에 더 가까워진다. 이유
저항력
는 도플러 효과 때문이다. 원자는 오른쪽에서 오는 빛
그림 (Ⅲ. 2-32) 도플러 효과에 의한 공명
을 더 많이 산란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빛이 가지고
있는 운동량이 원자에 전달되어 원자가 들뜨게 됨에 따라 원자의 속도가 줄어
들게 된다. 점점 속도가 줄어들어 거의 정지하게 되면 원자는 서로 반대 방향에
서 오는 빛으로부터 같은 크기이나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알짜 힘
이 0이 되어 원자는 정지 상태로 머물게 된다. 원자가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
으로부터 오는 빛과 더 많은 상호 작용을 하여 이들 역시 정지하게 된다. 원자
하나도 작은 자석과 같이 취급할 수 있으므로 자기장이 0인 지점으로 정지한
원자들이 힘을 받아 이동하게 된다. 원자들은 1차원 선 위에서만 운동하는 것
이 아니기 때문에 세 개의 속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섯 방향에서 레이저
빛을 넣는다. 원자들의 평균 속력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레이저 쿨링이라
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하여 처음 개발한 세 명의 과학자 Steven Chu,
Claude Cohen-Tannoudji, William D. Phillips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으며, 그 후 Eric A. Cornell, Wolfgang Ketterle, Carl E.
Wieman은 온도를 더욱 낮춰 원자들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
로 모여드는 현상을 구현하여 또 한 번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199
연습 문제

< sin 2 ]~tg >= 2 와 < sin ]~tg cos ]~tg >= 0 임을 보이시오
1
01

A B C
02 스크린 중앙에서 왼쪽 첫 번째 최대 지점인 점 B 를 생각해 보
x x x
자. 두 슬릿의 간격은 0.2 mm 이고, 스크린은 슬릿으로부터
1.2 m 거리에 있고, 무늬의 중앙(점 C )으로부터 점 B 까지
의 거리는 3.6 mm 라고 가정하자. 스크린의 중앙

위의 정보를 사용하여 빛의 파장을 구하고, 사용한 근사를 기술


A B C
하시오.
x x x

스크린의 중앙

03 작은 빨간색 전구가 이중 슬릿이 설치된 마스크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놓여 있다. 두 슬릿 사이의 간격은


d 이다. 오른쪽 사진은 멀리 있는 스크린에 나타난 무늬를 보여준다.이제 이중 슬릿을 슬릿 사이의 거리와
폭이 같은 3중 슬릿으로 바꾸자.

(1) 3중 슬릿으로 바꾸었을 때, 점 A는 여전히 빛의 세기가 0이라면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2) 3중 슬릿으로 바꾸었을 때, 점 B는 여전히 최대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지점이라면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04 뉴턴 링에서 중앙 부분은 항상 상쇄 간섭한다. 이유를 설명하시오.

200
Ⅲ 광학

05 마이컬슨 간섭계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쪽 팔이 너무 긴 경우에는 경로차가 결맞음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마흐-젠더 간섭계가 개발되었다. 마흐-젠더 간섭계의 구조를 조사하여
보고 장점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마흐-젠더 간섭계가 응용되는 예를 찾아보시오.

06 마이컬슨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체의 굴절률을 측정하고자 한다. 두 팔의 경로차가 없는 상태에서, 용기에
기체를 넣기 전과 후의 간섭 무늬의 변화가 N 개 이었다. 굴절률 n 을 구하시오.

07 슬릿의 폭이 3m 이고 초점 거리가 20 cm 인 렌즈를 사용하였을 때 중앙의 밝은 무늬의 폭을 구하시오.

08 풍뎅이나 전복의 구조를 촬영한 자료를 찾아 보면 껍질 안쪽에서 아름다운 색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보는 각


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그 이유를 설명해 보시오.

201
STEAM

분해능 한계를 이용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


스마트 폰이나 여러 디스플레이에서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가장 작은 요소를 화소(Pixel)들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고화질의 화면을 위하여 가능한 많은 수의 화소를 주어진 면적 안에 넣기 위하여 많은 회사들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소 크기가 작을수록 좋은 것일까? 화소의 크기가 차이는 있지만 텔레비전
를 보는데 불편하지 않다. 화소 크기를 작게 하여 제작하려면 그 만큼 경제적인 부담이 따른다. 10 m 떨
어진 지점에서 가장 부드럽게 원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계하여 보아라. 또한, 본인이 텔레비전를
설치할 공간의 크기를 정하고 시청하는 거리를 정한 후에 화소의 크기를 설계하여 보아라.

Pixel 사이즈가 작을수록 좋은 걸까? 아래 사진처럼 화소의 모양이 차이는 나지만


우리가 텔레비전을 보는 데는 불편함이 없음

480x320 960x640
http://www.apple.com/kr/iphone/
features/retina-display.html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픽셀의 크기가 클수록 높은 점수
② 픽셀이 정교할수록
③ 원의 모양이 크면 클수록 높은 점수
④ 창의적인 픽셀모양 창안
⑤ 완성도가 높을수록

분류 분해능(상대비교) 최대비율(상대비교) 렌즈

사람의 눈 ≒ 0.2㎜ X1≻ 수정체

돋보기 ≒ 0.02㎜ X 10 ≻ 광학(유리)렌즈

현미경 ≒ 0.2㎛ X 1,000 ≻ 광학(유리)렌즈

전자현미경 ≒ 0.2㎚ X 1,000,000 ≺ 전자렌즈

202
Ⅲ 광학

과학자들은 회절에 의한 분해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이라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은 광학현미경보다 1000배 정도 분해능이 높


다. Binnig, Quate과 Gerber는 1986년에 처음으로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개발하였고, 1989년에 제품화되어 시장에 나오기 시작하였다.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은 나노스케일에서 물질을 조작하거나 측정하거나 표현하는 데 가장 뛰어난 기술 중에
하나이다. 표면의 거칠기 정보는 역학적 탐침과 표면 사이의 상호 작용인 "feeling" 정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다.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탐침 역할을 하는 것을 캔틸레버라고 한다.
캔틸레버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실리콘이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만들어진다. 캔틸레버의
끝이 샘플의 표면 가까이 오게 되면 끝과 표면 사이에 힘이 작용하고 이 힘은 훅의 법칙에 따라 캔틸레버를
휘게 만든다.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되는 힘은 역학적 접촉력, 반
데르발스 힘, 모세관 힘, 화학적 결합력, 정전기력, 자기력, Casimir 힘 등 다양하다. 전형적으로 휨 정도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캔틸레버의 위쪽 표면 끝 쪽에 레이저를 비추면 캔틸레버가 휨에 따라 반사
되는 빛의 경로가 바뀌게 되는데 이를 광다이오드 배열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광학 간섭계나 충전 용량 변화
측정과 같은 것과 연결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캔틸레버의 끝이 표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면서 표면
위를 이동하면, 끝이 표면과 충돌하여 망가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되먹임 기술을 이용
하여 끝과 표면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통적으로 샘플은 피에조일렉트릭 튜브 위에 놓아
z축 방향 즉 일정한 힘을 유지하도록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x 축과 y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샘플 표면 전체를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분해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생각하여보자.

203
3 영상 물리
01 편광
02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3차원(3D) 영상 디스플레이

생각 열기
입체 영상을 앉아서만 보던 시대에서 누워서도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달은 빛의 편광 특성을 이용한 결과이다. 이 단원에서는 편광의 종류와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여러 가지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204
Ⅲ 광학

편광
01 학습 목표 ■ 편광의 원리와 응용 범위를 설명할 수 있다.

1 편광된 빛
3차원(3D) 텔레비전를 볼 때 쓰는 안경이 편광 안경이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보는 화면을 다르게 하여 우리 뇌에서 3차원으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횡파인 빛의 전기장 진동 방향 즉 편광을 이용하기 때문
이다. 전기장이 진동하는 방향(편광 방향)은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두 가지
성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z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전기장은 x , y
성분으로 나누어 쓸 수 있다.
E x = E 0x sin ]kz - ~t + z 1g
y
(Ⅲ. 3-1)
E y = E 0y sin ]kz - ~t + z 2g (Ⅲ. 3-2) x
z
식(Ⅲ. 3-1)은 진폭이 E 0x , 초기 위상이 z 1 인 x 방향의 진동을 나타내고,
식(Ⅲ. 3-2)는 방향의 진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진폭 E 0y , 초기 위상이 z 2 이다. Ey
Ex
초기 위상 z 1 과 z 2 가 같은 경우에 중첩된 파는 그림 (Ⅲ. 3-1)과 같이 진
동 방향이 y 축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진동한다. 이와 같이 진동 방향
그림 (Ⅲ. 3-1) 2사분면과 4사분면
이 변하지 않고 한 방향을 유지하는 빛을 선편광되었다고 한다.
에서 진동하는 선편광된 빛

심화확인
1. E 0y = 0 일 때 편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초기 위상이 180도 차이가 날 때 어느 방향으로 진동하는지
설명하시오.

또한 x 축 성분의 진폭 E 0x 와 y 축 성분의 진폭 E 0y 가 서로 같고 초기 위
상차가 90c라면 전기장은 나선형을 그리면서 그림 (Ⅲ. 3-2) (가)와 같이 전파
하게 된다. 이러한 편광을 원편광이라 한다. 빛이 오는 쪽에서 바라볼 때 반시
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좌원 편광과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우원 편광이 있다.
한편 보통의 광원에서 나오는 빛들은 그림 (Ⅲ. 3-2) (나)와 같이 전기장의 진
동 방향이 무질서하게 변하기 때문에 비편광이라 한다.

205
y

kz

E
z
B

(가) 우원 편광된 빛 (나) 비편광된 자연광

그림 (Ⅲ. 3-2) 원편광 빛과 자연광

비편광된 빛을 선편광된 빛으로 만드는 부품을 편광기(linear polarizer)


라고 한다. 비편광된 빛을 편광판에 통과시키면 편광축(또는 투과축) 방향의
진동 성분만 통과한다. 이와 같이 통과된 빛은 수학적으로 식(Ⅲ. 3-1)로 기술
된다. 그림 (Ⅲ. 3-3)과 같이 어떤 방향으로 선편광된 진폭 E 0 인 빛을 그것과
편광축이 i 기울어진 또 다른 편광기를 통과시키면 진폭이 E 0 cos i 인 빛이
투과될 것이다. 이때 입사하는 빛의 세기를 I 0 라 하면 투과광의 세기는
I = I 0 cos 2 i (Ⅲ. 3-3)
이 된다. 이 식을 말뤼스(Malus) 법칙이라 한다.

I0
I( )

si
co
0
E
′=
E0

자연광
편광기 E0

검광기
(또 다른 선형편광기가
검출기
역할을 함)

그림 (Ⅲ. 3-3) 말뤼스(Malus) 법칙

심화확인
투과축이 서로 수직이 되게 설치한 선편광판 안에 투과축이 45c
방향이 되도록 선형 편광기를 내부에 설치하고 빛을 입사시키게
되면 통과하는 빛의 세기는 어떻게 되겠는가?

206
Ⅲ 광학

원편광된 빛의 경우에 선편광기를 통과시키면 투과축의 각도에 무관하게 통


빛이 반사면에 부딪히면 부
과하는 빛의 세기가 일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편광된 빛과 비편광된 빛은 분적으로 편광이 되거나 특
선편광기 투과축의 각도에 무관하게 같은 세기의 빛이 나오지만 두 빛은 크게 별한 각도(이를 편광각이라
한다.)에서는 완전히 선편광
다르다. 즉, x 축 성분과 y 축 성분이 90°의 일정한 위상차가 유지되는 경우가
된 빛만이 반사하는 경우가
원편광이고, 두 성분 사이에 위상차가 무작위적일 때 비편광이다. 있다.

2 편광을 만드는 방법
비편광 반사광
편광된 빛을 만들기 위해서 이색성과 복굴절 현상을 이용한다. 이색성
iB
(dichroism)은 두 개의 수직한 선 편광 성분에 대해 흡수 정도가 차이가 나 iB
공기
는 것을 말한다. 이색성을 이용하면 투과 축과 나란한 성분은 흡수가 작아 통 유리

과되고 수직한 성분은 흡수되어 열에너지로 바뀌기 때문에 편광이 안 된 빛 굴절광


ir
을 보내면 투과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을 얻을 수 있다. 복굴절(
c 그림 (Ⅲ. 3-5) 반사에 의한 편광
birefringence)은 빛의 진행 속도
n 가 물질의 비등방성으로 인해 편광에
따라 차이가 나는 현상이다. 방해석, 운모 등 복굴절 매질을 통과한 후에 분리
된 빛은 서로 수직하게 선편광되어 있다.
그림 (Ⅲ. 3-4)와 같이 비편광된 빛을 대칭축에 대하여 45c기울어진 편광판
을 통과시킨 후, 두께가 d 인 복굴절 물질을 통과시키면 두께가 d 인 물체를 통
과한 후에는 두 편광 성분의 진행 속도가 달라 위상차를 두고 다시 중첩이 된다.
i B 를 편광각 또는 브루스터
원형 편광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위상차가 90c가 되도록 d 가 결정되어야 하 (Brewster) 각이라 한다.

λ /4 판이라 한다. 이는I


는데 이와 같은 판을I λ/4 판을 통과한 빛이 원형 편광되 편광각을 측정하여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다.
었음을 의미한다. 선형 편광기(이를 흔히 검광자라 한다)를 놓고 회전시키면서
투과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면 방향에 무관하게 일정하다는것을 알 수 있다.

λ

4 선편광기

선편광기

그림 (Ⅲ. 3-4) 위상 지연판을 이용하여 원형 편광을 만드는 방법

3 광활성
설탕물에 선형 편광된 빛이 입사하면 빛이 진행함에 따라 편광 방향이 연속

207
적으로 회전하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이 돌아가는 현상을 광활성이
라 한다. 설탕물은 대표적인 광활성을 보이는 물질이다. 선편광된 빛을 설탕
물에 통과시키고 검광기를 이용하여 편광이 돌아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어떤 등방성인 물체라도 압력을 받아 변형이 일어나면 복굴절 성질을
가지게 되어 편광된 빛이 통과하면 편광 방향이 바뀌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와 같이 변형에 의한 편광 변화를 광탄성이라 한다. 선편광된 백색광이 광탄
성이 있는 매질을 통과하면 편광이 돌아간 정도가 파장별로 위치마다 다르기
때문에 검광기를 통해 보면 그림 (Ⅲ. 3-6)과 같이 아름다운 색을 관찰할 수
있다. 비닐 같은 것을 구겨서 두 편광판 사이에 넣거나, 투명한 판에 셀로판
테이프를 여러 가지 모양 및 위치에 따라 층수를 달리 하여 겹쳐 붙이고, 백
색광을 통해 보면 이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그림 (Ⅲ. 3-6) 광탄성에 의한 복굴절

208
Ⅲ 광학

02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3차원(3D) 영상 디스플레이

학습 목표 ■ 편광이 영상 기술에 응용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람의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문


자, 숫자, 및 영상으로 나타내는 장치이다. 무선 기술과 함께 눈부시게 발전하
는 산업 분야 중 하나이다. 디스플레이는 정보통신 기기와 인간의 대화창으로
차세대 정보 통신 및 디지털 가전의 핵심이며 급속도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 상품 중 하나이다. 이 단원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피디피(PDP) 및 첨단 3차원(3D) 영상 디스플레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
며 그 기반에 되는 엘이디(LED)와 아몰레드(AMOLED)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 액정 디스플레이(LCD)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인
액정의 전기적 성질을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것이다. 액정은 외부 전기장이 걸
리면 전기장 방향으로 분자들이 정렬하려는 특징이 있다. 액정 소자에는 외부
에서 전기장을 가해줄 수 있도록 투명한 전극 사이에 액정들이 들어 있는 구조
를 가지고 있다. 액정 소자에는 선형편광된 빛이 들어오도록 되어 있다. 그림
(Ⅲ. 3-7)은 엘이디(LED) 전등과 같은 전등에서 방출된 비편광된 빛이 편광
판을 통과한 후에 전기장이 걸렸느나의 여부에 따라 두 번째 편광판 통과 여부 편광판
유리

가 결정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색필터

그림 (Ⅲ. 3-7)에서는 두 번째 편광판의 투과축이 첫 번째 편광판의 투과축 액정

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장이 걸리면 액정을 통과할 때 편광이 유리


편광판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액정이 되어 있어 전압이 걸린 부분은 통과하지 후방 조명

않는 것이다. 액정의 구조에 따라 어떤 것은 전압이 걸리면 편광이 돌아가도록 그림 (Ⅲ. 3-7)


되는 구조도 있다. 그림 (Ⅲ. 3-9)는 다양한 구조의 액정 소자의 모습들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209
R 평광판
(특정방향의 빛만 투여)

배향막
(액정을 Twist 시킴)
G B
액정
(전압이 off - 전압배행각 따라 빛 Twist시킴-빛투과)

(전압이 On - 전압 방향에 액정배열-빛차단)


그림 (Ⅲ. 3-10) 빛의 삼원색
(전압이 On - 빛차단)
(전압이 Off - 빛투과)

그림 (Ⅲ. 3-8) LCD의 원리

Nematic 액정 Smectlc 액정 Cholesterlc 액정

<일정한 방향성만 존재, 층구조 없음> <일정한 방향성과, 층구조를 가짐> <각 분자가 조금씩 틀어져
연속되어 있는 구조>

그림 (Ⅲ. 3-9) 액정의 종류

액정 디스플레이(LCD) 텔레비전의 경우에 빛의 삼원색인 RGB가 픽셀마


다 골고루 나오도록 한 상황에서 각 픽셀마다 액정 소자를 통과하도록 하여 빛

Y 의 통과 여부 및 통과되는 빛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K
M C 심화확인
텔레비전에서 노란색으로 보이는 곳에는 어떤 색깔의 빛들이 발생

그림 (Ⅲ. 3-11) 색의 삼원색 되어 나오는가?

BLU POL TFT Cell Color Filter POL

플라스마란
양전하(이온)와 음전하가 거
의 같은 양을 가지고 혼재하 2 피디피(PDP)
여 자유 입자처럼 행동하면
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 피디피(PDP)(Plasma Display Panel)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첫
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 글자로 만든 약어로 전면 유리와 배면 유리 및 그 사이의 칸막이에 의해 밀폐된
마디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유리 사이에 가스를 넣어 양극과 음극의 전극에 의해 전압을 가하여 방전시켜
혼합물질이다.
가스로부터 방출된 빛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컫는다.

210
Ⅲ 광학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는 기체 방전시에 생기는 플라스마로부터 나오는 빛


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래픽을 표시하기 때문에 기체 방전 디스플레이(Gas
discharge display) 소자라고도 한다. 진공 상태에서 양전극과 음전극에
강한 전압을 가하면 플라스마들이 가속되며 전자기파를 방출하는데 이 현상
을 이용하는 것이 피디피(PDP)이다. 방전을 시키는 전압의 형태에 따라 직류
형과 교류형이 있다. 직류형은 전극이 플라스마에 노출되어 이온들이 전극을
때려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거의 교류형만 활용되고 있다. 그림
(Ⅲ. 3-12)는 피디피(PDP) 기본 구조이다.

표시전극 유전체층
(투명전극)
Bus전극

보호층

격벽
Address전극 형광체

그림 (Ⅲ. 3-12) 피디피(PDP)의 종류와 구조

방전 가스로부터 나오는 가시광을 직접 이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단색 표시


피디피(PDP) 소자이고 대표적인 경우는 Ne 가스에서 나오는 붉은색 피디피
(PDP)가 있다. 컬러로 디스플레이를 하려면 Kr이나 Xe과 같은 원소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RGB를 방출하는 형광물질을 들뜨게 한 후에 이로
부터 나오는 광들을 이용한다.
그림은 교류형 피디피(PDP)에서 하나의 픽셀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그림
이다.
가시광

유지 전극(ITO) Bus 전극
보호층(MgO)

유전체층

격벽 방전(자외선)
형광체층
유전체층 형광체 발광

어드레스 전극

그림 (Ⅲ. 3-13) 피디피(PDP) 픽셀 구조

211
피디피(PDP)는 화질이 우수할 뿐 아니라 대형화가 용이하고 얇게 제작이 가
능하며 넓은 시야각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대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페
널이다. 또한, TFT-액정 디스플레이(LCD)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전체 공정
수가 작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디피(PDP) 텔레비전은 반응 속도가 빨라 3차원(3D) 텔
레비전에서 문제가 되어온 어지러움증을 획기적으로 줄여주어 다시 부각되고 있
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텔레비전는 반응 속도가 느려 영상 겹침 현상이 발생
하여 어지러움증과 피로감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텔레
비전의 반응 속도는 일반적으로 240Hz이고 빠르게 동작시키는 경우에 480Hz
까지 올릴 수 있지만 피디피(PDP) 텔레비전는 대부분 600Hz가 넘는다.

편광판
3 아몰레드(AMOLED)
유리

유기층 아몰레드(AMOLED) (Active-Matrix Mrganic Light-Emitting


유리 Diode)는 그림 (Ⅲ. 3-14)와 같이 모바일이나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디스플
그림 (Ⅲ. 3-15) 아몰레드 레이 기술들 중에 하나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전기 발광하도록 얇
(AMOLED)에서 빛의 투과
은 박막 형태의 유기 합성물질(OLED)을 만들고 각 픽셀들의 주소를 능동 행
렬(active matrix) 방식으로 부여하는 기술이다.

음극층

유기 활성층

TFT 어레이

기판

그림 (Ⅲ. 3-14) 아몰레드(AMOLED)로 만든 스크린

아몰레드(AMOLED) 픽셀들을 얇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층 위에 설치함


으로써 각 픽셀의 전류를 제어하거나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각 픽셀에는
그림과 같이 최소한 두 개의 TFT가 연결되도록 하였는데 첫 번째 TFT는 축전
기에 전하가 충전을 시작하고 멈추는 기능을 하고 두 번째 TFT는 해당 픽셀에
일정한 전류를 흐르도록 전원 역할을 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이 시간 동안
빛을 방출한다. 아몰레드(AMOLED)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비하여
빠른 응답 시간으로 반응하고 소비 전력 또한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우
얇은 형태로 만들 수 있어 휘어지게도 만들 수 있고 심지어 투명한 형태로 만들
수도 있어 앞으로 많은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212
Ⅲ 광학

4 3차원(3D) 디스플레이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인간이 마치 영상이 제작되고 있는 장소에 있는 것
같은 생동감 및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시각적 기술이다. 또한, 정보통
신, 방송, 의료, 교육, 군사 및 산업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여 차
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기
반기술이며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급부상하였다. 그림과 같이 3차원(3D) 입체
영상의 기본 원리는 인간이 사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
으로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시각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오고 뇌가
그것을 입체로 인식하여 거리감을 갖게 되는 원리를 그대로 이용한다. 인간의
눈은 약 65 mm 정도 떨어져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을 보는데 이를 양안시차라
고 한다.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3차원으로 인식하
여 입체적으로 느끼게 된다.

20 표시 20 표시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눈 오른쪽 오른쪽 눈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왼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왼쪽 눈
왼쪽 눈

그림 (Ⅲ. 3-16) 무안경식 3차원(3D) 디스플레이의 원리

SG(Shutter Glasses) 방식
SG방식은 좌안/우안용 영상을 사람의 눈이 인식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교대
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왼쪽 눈이 보는 동안에는 오른쪽 눈이 아무것도 보이지
않도록 오른쪽 눈에 쓴 안경을 전자적으로 차단한다. SG 방식은 두 눈이 볼 화
면이 한 개씩 교대로 나타난다. 사람의 눈이 인식하는 속도보다 빠르게 번갈아
열고 닫히게 하여 3차원(3D)로 인식하게 되는 원리이다. 한쪽 눈을 완전히 가
리기 때문에 착시(ghosting) 현상이 거의 제거된다. 그러나, 셔터 작동을 위
하여 액정으로 만든 안경을 쓰고 이를 전자적으로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
한 점이 있다.

213
120 Hz LCD
화면표시기 지지대

IR 수신기 재충전 USB


(6m 범위)

그림 (Ⅲ. 3-17) 셔터용 안경

FPR (Flim-type Patterned Retarder) 방식


FPR 방식은 3차원(3D) 디스플레이를 위해 원편광을 이용해 LG에서 개발
한 기술이다. 일반 액정 디스플레이(LCD) 화면에 PR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텔레비전화면에서는 좌원 편광과 우원 편광으로 된 두 화면이 동시에 함께 나
타난다. 위상 지연(Retarder)은 빛을 원편광이 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한다.
좌원 편광된 화면은 왼쪽 눈에만 보이도록 좌원 편광 안경을 우원 편광된 화면
은 오른쪽 눈에만 보이도록 우원 편광 안경을 착용하면 뇌에서 두 화면을 합성
하여 3차원으로 보이게 하는 기술이다. 이 방식은 SG 방식에 비하여 화면이
더 밝고 혼선(crosstalk)이 적어 더 선명하게 시청이 가능하며 앉거나 누워서
보는 데 불편함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3D 안경
(원형 편광기)
왼쪽 오른쪽
R (두 눈의 편광은 반대 방향이다.)
R R R L
L L L R
R R R L
L L L
R R R
...

L L L
t3 t2 t1
일반 LCD PR

그림 (Ⅲ. 3-18) 원편광 FPR 방식 3차원(3D)

심화확인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하여 사람들이 노력한 역사를 조사하여 보고
발표하여 보자.

214
Ⅲ 광학

연습 문제

01 위상차가 180도가 되도록 하는 λ/2판을 이용하면 선형 편광된 빛의 편광각도를 임의로 바꿀 수 있음을 보


이시오.

02 공기에서 유리에 입사될 때 편광각을 구하시오. (가시광에 대해 공기는 굴절률을 1로 하고 유리의 굴절률을
1.5로 생각하시오)

03 공기 입자와 같은 작은 알갱이들에 의해 산란된 빛도 방향에 따라 편광이 될 수 있다. 방향에 따라 편광이


어떻게 될지에 대해 논의하여 보자.

04 다음은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안경들이다. 어떻게 동작할지 추론하여 보자.

05 보통의 LCD 화면에서는 선편광된 빛이 나온다. FPR 방식의 3차원(3D) 텔레비전는 LCD 화면 앞에
위상 지연판을 놓아 좌원 편광과 우원 편광을 만들어 좌우 편광안경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상
지연판을 어떻게 설치하여야 좌원 편광과 우원 편광 빛을 만들 수 있겠는가?

06 액정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구현이 가능할지에 대하여 논의하여 보자.

07 입체 영상의 기술적 현황을 조사하여 보고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문제에 대해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제시하여 보고 서로 토론하여 보자.

215
현대물리
Ⅳ 1 상대성 이론 2 양자 역학 3 핵반응 4 기본 입자 5 소재 물리

216
단원 열기

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은 흔히 고전 물리학이라 부른다. 이들은 19세기에 이르러 완성된 학문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정교한 실험 도구들이 개발되고 몇몇 우연적인 실험들이 이루어지면서 현대
물리학이 탄생하게 된다.
현대물리학은 시공간의 고정개념을 바꿔놓은 상대성 이론과 미시 세계에서의 전혀 다른 물리학을 설명할 수
있는 양자 역학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양자 역학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수많은 전자
기기들은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이 단원에서는 상대성 이론, 양자 역학과 함께 이를 토대로 발전한 핵반응과 물질의 기본 입자에 대해 알아
보고, 현대 과학에 쓰이는 반도체, 레이저, 나노 튜브,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에 대해 알아보자.
217
1 상대성 이론
01 좌표계와 관성력
02 특수 상대성 이론
03 특수 상대론적 시간과 공간
04 특수 상대론적 질량과 에너지
05 일반 상대성 이론

생각 열기
상대성 이론은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간격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놀라운 이론이다. 뉴턴이 역학을 체계화
한 이후, 아니 그 이전부터 인간이 가지고 있던 고정 관념을 깨고 이론으로서 과학 체계를 완전히 바꿔
놓은 이론이다.
이 단원에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의 탄생 배경부터 결과까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세히 알아보고, 일
반 상대성 이론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의미를 알아보자.

218
Ⅳ 현대물리

좌표계와 관성력
01 학습 목표 ■ 가속 좌표계 안에서 관성력을 도입하여 가속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1.1 관성 기준계
물체가 운동한다는 것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달라진다는 말이
다. 따라서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위치에 대한 기준계가
필요하다.
주변에 아무 것도 없는 우주 공간을 엔진을 끈 채 항해하고 있는 우주선처럼
외부와 전혀 상호 작용하지 않는 물체의 운동을 관성 운동이라고 한다. 관성
운동하는 관찰자를 관성 관찰자라 하고 관성 관찰자가 위치와 시간을 측정하는
기준을 관성 기준계 또는 관성 좌표계라 한다.
뉴턴 제1법칙은 외부로부터 아무런 힘을 받지 않는 물체는 멈춰 있거나 등속
직선 운동한다는 것이고 이는 등속 직선 운동을 관성 운동으로 보겠다는 의미
이다. 즉 등속 운동하는 기준계가 관성 기준계이다.
그런데 어떤 운동이 등속인지 등속이 아닌지는 그 운동을 관찰하는 기준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어떤 물체가 등속 운동하고 있을 때 가속 운동하고
있는 관찰자가 그 물체를 관찰하면 그 물체는 가속 운동하는 것으로 관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힘을 받지 않는 물체는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는 뉴턴 제1법
칙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관찰자가 가속 운동을 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 뉴턴
제1법칙은 등속 운동하는 관찰자의 기준계, 즉 관성 기준계에서만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고, 역으로 뉴턴 제1법칙이 성립하는 기준계를 관성 기준계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관성 기준계에 대해 등속 직선 운동하는 모든 기준계는 관성 기
준계이며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물리 법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성질을 갈릴
레이의 상대성 원리라 한다.
여기서 물리 법칙은 역학 법칙을 의미하는데, 후에 아인슈타인에 의해 전자
기 법칙을 포함한 모든 물리 법칙으로 확장된다.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를 만족하도록 두 기준계에서의 측정 결과를 관련시
키는 것을 갈릴레이 변환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자.

219
S S’
Event
y y’
O O’
v

xl = x - vt

x x’

z z’

그림 (Ⅳ. 1-1) 상대 운동하는 두 관성계

그림 (Ⅳ. 1-1)과 같이 S 계에 대해 x 축 방향으로 등속 v 로 움직이는 기


준계를 Sl 이라 하자. 움직이고 있는 물체를 S 계에서 관찰한 위치와 시간을
]x, y, z, tg 로 표현하고 같은 물체를 Sl 계에서 관찰한 결과를 ]xl, yl, zl, tlg
라 하면 두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xl = x - vt (Ⅳ. 1-1)
yl = y zl = z tl = t (Ⅳ. 1-2)
식 (Ⅳ. 1-1)을 시간에 관해 미분하면 식 (Ⅳ. 1-2)에 의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고
dxl dx

= -v (Ⅳ. 1-3)
dtl dt
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상대 속도이다.
식 (Ⅳ. 1-3)을 한 번 더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d 2 xl d2 x
=
(Ⅳ. 1-4)
dtl2 dt 2
이는 두 관성 기준계에서 측정된 가속도는 같다는 것이고, 양변에 물체의 질
량 m 을 곱하면 두 관성 기준계에서 측정된 알짜 힘이 같다는 것이다. 이는 두
관성 기준계에서 뉴턴 법칙이 동일하게 적용됨을 의미한다.

1.2 관성력
다시 그림 (Ⅳ. 1-1)과 같은 두 기준계를 생각하는데 이번에는 Sl 계가 S
계에 대해 등속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속도 a 로 등가속 운동을 하고 있다
고 생각해 보자. Sl 계처럼 가속 운동하는 기준계를 비관성 기준계라 한다. 그
러면 식 (Ⅳ. 1-1)은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xl = x - b v 0 t + 2 at 2 l
1
(Ⅳ. 1-5)

220
Ⅳ 현대물리

이 식을 시간에 관해 두 번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d 2 xl d2 x
2 = -a

dtl dt 2 (Ⅳ. 1-6)
즉 관성 기준계와 비관성 기준계에서 측정한 물체의 가속도는 비관성 기준계
의 가속도만큼 다르다. 양변에 물체의 질량을 곱하고 두 기준계에서 모두 뉴턴
제2법칙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l = F - ma (Ⅳ. 1-7)
즉, 가속도 a 로 가속 운동하는 Sl 계에서 관찰한 알짜 힘은 S 계에서 관찰
한 알짜 힘과 -ma 만큼 다르다.
F = 0 인 경우를 예를 들어 생각하면, 관성 기준계인 S 계에서 관찰했을
때 아무런 힘을 받지 않는 물체를 비관성 기준계인 Sl 계에서 관찰하면 -a 의
가속도로 가속 운동하는 것으로 관찰된다는 뜻이고, 따라서 -ma 의 힘을 받
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실제 물체가 받는 힘은 아무 것도 없는데 관찰자가 다르다고 해서 뉴턴 제2 T i
F
법칙에 의해 물체가 알짜 힘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은 무언가 이상 mg
합력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가상의 힘이 관성력이다. 가속도 a 로 가속


운동하는 비관성계에서 뉴턴 법칙을 적용할 때는 -ma 의 관성력이 추가적으
그림 (Ⅳ. 1-2) 버스 밖에서 본 추
로 물체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의 운동

그림 (Ⅳ. 1-2)와 (Ⅳ. 1-3)을 보면 좀 더 명확하다. 가속도 a 로 가속 운


동하고 있는 버스 밖에서 관찰한 관찰자는 버스 천정에 매달린 공이 줄의 장력
T 와 중력 mg 를 받아 그 합력으로 인해 가속도 a 로 가속 운동하는 것으로 관
관성력 T
i
찰할 것이고, 버스 안의 관찰자는 장력 T 와 중력 mg 에 추가로 관성력 F 가 F a
mg
작용하여 합력이 0이 되어 정지해 있는 것으로 관찰할 것이다.
일상에서 관성력을 느낄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많다. 위 경우처럼 출발하거나 그림 (Ⅳ. 1-3) 버스 안에서 본 추
의 운동
멈추는 자동차 안에서 느낄 수 있으며, 회전하는 자동차 안에서 느끼는 원심력
도 관성력이다.

221
특수 상대성 이론
02 학습 목표 ■ 특수 상대성 이론의 탄생 배경과 기본 가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1 특수 상대성 이론의 탄생 배경


F=ma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는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물리 법칙이 동일하게 적용
B 50km/s

된다는 것이다. 이 말은 물리 법칙의 적용을 통해 두 관성 기준계 중 어느 것이


A A시점
움직이고 어느 것이 정지한 것인지 구별할 수 없다는 말이다. 예를 들면 등속
F=ma
B 운동하는 버스와 멈춰있는 버스에 적용되는 물리 법칙이 동일하기 때문에 버스
50km/s
A
B시점
에 탄 사람은 버스 안에서 어떤 실험을 하더라도 버스가 움직이고 있는지 멈춰
있는지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림 (Ⅳ. 1-4) 움직이는 버스와 멈
춰 있는 버스 이 원리는 많은 경험을 통해 오래전부터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졌고, 1900년
무렵까지는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뉴턴 역학이 동일하게 성립하는 것이 깨지는
것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맥스웰에 의해 20세기 후반부에 완성된 전자기 현상
과 빛에 대해서는 상대성 원리가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
도체고리 자석
예를 들어 그림 (Ⅳ. 1-5)처럼 도체 고리가 정지해 있는 자석을 향해 다가가
B
v 는 경우 도체 고리에는 유도 전류가 생긴다. 이 유도 전류는 도체 고리 내부의
N S

전자들이 자기력을 받아 움직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현상을 도체 고리와 같이


움직이는 관찰자가 관찰하면 정지해 있는 도체 고리로 자석이 다가오는 것이
그림 (Ⅳ. 1-5) 가까워지는 도체 고 고, 그러면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해 도체 고리 내에 전기장이 유도되어 전자들
리와 자석
이 움직이는 것이 된다. 하나의 현상에 대해 기준계에 따라 다른 설명이 가능한
것이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준계의 속력에 따라 전기장과 자기장
이 달라진다는 것인데 갈릴레이 변환과 고전적인 전자기 이론으로는 이 관계를
설명할 수 없었다. 로렌츠는 이 관계를 만족하는 새로운 좌표 변환 방법을 제안
하였고 이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이론이 만들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한편 맥스웰 방정식의 풀이에 의해 나온 전자기파의 속도가 빛의 속도와 같
았기 때문에 빛이 전자기파라는 사실은 거의 확실하게 받아들여졌다. 당시의
사람들은 전자기파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매질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에테르라 하였다. 지구는 주위에 있는 이 에테르 속을 운동하
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마이컬슨과 몰리(Michelson-Morley)는 지구가 에테르를 헤치고 공전하

222
Ⅳ 현대물리

고 있기 때문에 에테르를 매질로 하는 빛의 속도를 지구에서 측정하면 방향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그 차이를 검출해 낼 수 있는 실험을 하
였다. 그러나 반복된 실험에서도 방향에 따른 빛의 속도 차이는 검출되지 않
았다. 지구에서 측정한 빛의 속도가 지구 공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말은
빛의 속도가 광원의 움직임이나 관찰자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말이
고 이는 갈릴레이 변환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2.2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가정


특수 상대성 이론은 맥스웰의 전자기학이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를 만족
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인슈타인은 두 가지 가설을 세우고 이를 기반으로 시간과 공간
의 개념을 수정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상대성 원리이다.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물리 법칙은 동일
하게 적용된다는 말이다. 여기서 물리 법칙은 전자기 법칙을 포함하는 것으로
갈릴레이의 상대성 원리를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가설에 의하면 모든
관성 기준계는 동등하므로 하나의 절대적인 정지 기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운동은 상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광속
두 번째 가설은 광속 불변이다. 마이컬슨-몰리 실험의 결과를 설명할 수 있 c = 2.998 # 10 8 m/s

는 가설로 빛의 속도는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같게 측정된다는 것이다. 여기


서 빛의 속도는 진공 중의 속도를 말한다. 이 가설은 쉽게 받아들이기 어렵다.
광속 c 로 진행하는 빛을 속도 v 로 쫓아가는 관찰자가 측정하더라도 광속은
c - v 가 아닌 c 로 측정된다는 것으로, 기존의 상식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과감하게 받아들였고 이를 이용해 시간과 공
간이 절대적이라는 기존의 관념을 수정하였다.

223
특수 상대론적 시간과 공간
03 학습 목표 ■ 특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시간 지연,길이 수축, 동시성의 상대성에 대해 사고 실험
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3.1 시간 지연
아인슈타인의 두 가설로부터 서로 다른 관성 기준계에서 시간이 다르게 흐르
는 것을 유도해 보자.
v 그림 (Ⅳ. 1-6)은 광원과 거울로 이루어진 계가 속도 v 로 운동하는 중에 광
거울

원에서 출발한 빛이 거울에 반사되어 광원으로 돌아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계


L
광원 와 함께 운동하는 관찰자에게는 광원과 거울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 관찰자가
빛이 광원과 거울 사이를 한번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면 빛의 이동 경
vDt
로 2L 을 광속 c 로 나눈 값으로 측정된다.
그림 (Ⅳ. 1-6) 시간 지연
2L (Ⅳ. 1-8)

Dt 0 = c

지상에 정지한 관찰자가 등


이처럼 하나의 기준계 내에서 동일한 장소에서 일어난 두 사건에 의해 결정
속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된 시간을 고유시간이라 한다.
관찰할 때 우주선의 시계는
한편 같은 사건을 지상에 정지해 있는 관찰자가 관찰하는 경우 빛의 출발과
지상의 시계보다 더 느리게
간다. 시계뿐만 아니라 우주 도착은 같은 장소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지상에 있는 관찰자가 측정한 시간은
인의 맥박을 비롯한 우주선 그림 (Ⅳ. 1-6)에 나타낸 빛의 경로를 광속으로 나눈 값이다.

L2 + ]vDt/2g2
안의 모든 현상이 느리게 진
행 되는 것으로 관찰 된다.
(Ⅳ. 1-9)
Dt = 2 c
반면 우주선의 관찰자에게는
지상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것으로 관찰된다. 1 2L 1
1 - ]v/cg c 1 - ]v/cg2

Dt = 2
= Dt 0 (Ⅳ. 1-10)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물체의 속도 v 는 광속 c 보다 작기 때문에

1 - ]v/cg2 값은 항상 1보다 작다. 즉, 지상에 정지한 관찰자가 측정한 시간


Dt 는 고유시간 Dt 0 보다 길다. 이를 시간 지연이라 한다.

3.2 길이 수축
우주선 입자들이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서 대기의 원자핵과 충돌하여 뮤
온이라는 불안정한 입자가 만들어지는데, 이 뮤온은 고도 6000 m 이상에
서 만들어져 0.998 c 의 속력으로 지표면을 향해 이동하다가 평균 수명

224
Ⅳ 현대물리

2.2 # 10 -6 초가 지나면 하나의 전자 혹은 양전자로 붕괴된다. 뮤온이 이동 뮤온

하는 거리는 속력과 수명을 곱하면 약 600 m 일 것이고, 따라서 지표면에 도


달하는 뮤온 입자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지면에
도달하는 뮤온 입자는 면적 1 cm 2 당 1분에 1개 이상으로 상당히 많다. 예상
이 틀린 이유는 무엇일까?
예상이 틀린 이유는 평균 수명에 있다. 위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뮤온의
지표면의 정지 좌표계에서 볼 때
평균 수명은 뮤온이 이동하지 않을 때의 평균 수명, 즉 고유 시간을 의미한다.
그런데 뮤온은 지표면을 향해 매우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므로 지표면에 정지한 뮤온

관찰자가 측정한 뮤온의 수명은 다음과 같이 길어진다.


Dt 0 2.2 # 10 -6
1 - ]v/cg 1 - ]0.998g
Dt = 2
= 2
= 34.8 # 10 -6 s (Ⅳ. 1-11) 뮤온과 함께 움직이는 좌표계에서 볼 때
그림 (Ⅳ. 1-7) 길이 수축
즉, 뮤온의 이동 거리는 늘어난 수명에 의해 다음과 같다.
L 0 = vDt = ]0.998 # 2.994 # 10 8 m/sg]34.8 # 10 -6 sg
= 1.04 # 10 4 m
따라서 뮤온 입자는 충분히 지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거리 L 0 그림 (Ⅳ. 1-7)의 뮤온과 함
는 지표면에 정지한 관찰자가 측정한 이동 거리인데 산의 정상에서 뮤온이 생 께 움직이는 좌표계에서 본
경우 산을 포함한 배경 전체
성되어 지표면까지 이동했다고 생각하면 L 0 는 산의 높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가 움직이는 것으로 볼 수 있
처럼 측정 대상(산의 높이)이 정지해 있는 좌표계에서 측정한 길이를 고유 길이 다. 따라서 산의 높이만 줄어
라 한다. 든 것이 아니라 공간 전체가
수축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뮤온과 함께 이동하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뮤온의 수
명은 늘어나지 않는데 뮤온이 산 정상에서 지표면까지 이동하였다. 이를 설명
할 수 있는 논리는 산의 높이가 줄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그림 (Ⅳ. 1-7)과 같이 지표면의 정지 관찰자가 관찰한 결과는 움직이
는 뮤온의 수명이 늘어난 것이고, 뮤온과 함께 움직이는 관찰자의 관찰 결과는
움직이는 산의 높이가 줄어든 것이다.
두 관찰자의 관찰이 하나의 현상을 관찰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수명이 늘어난
만큼 산의 높이가 줄어들어야 할 것이다.
즉, 속력 v 로 움직이는 물체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줄어든다.

L = L 0 1 - ]v/cg2 (Ⅳ. 1-12)

이것을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길이 수축이라 한다. 길이 수축은 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만 나타난다.

3.3 동시성의 상대성


특수 상대성 이론은 움직이는 계의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길이가 줄어들 뿐

225
만 아니라 사건이 일어난 순서를 바꾸기도 한다. 단 같은 장소에서 일어난 두
사건의 순서는 바뀌지 않는다. 다른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은 관찰자에 따라 순
서가 바뀔 수 있다. 어떤 관찰자에게는 동시에 일어난 사건이 다른 관찰자에게
는 다른 시간에 일어난 사건일 수 있다. 이를 동시성의 상대성이라 한다.

나는
동수

번개가 침
나는 1초 후 오른쪽
정수 번개를 보았다

1초 후
나는 퍼져나가는
번개의 빛

2초 후
2초 후 동시에
번개를 보았다

그림 (Ⅳ. 1-8) 동시성의 상대성

그림 (Ⅳ. 1-8)은 달리는 기차의 양 끝에 번개가 친 것을 기차에 타고 있는


동수와, 지상에 정지해 있는 정수가 관측한 결과를 나타낸다. 번개가 치면 기
차와 선로에 자국을 남기고 빛이 퍼져 나간다. 동수는 기차의 중앙에 서 있으
며, 정수는 선로에 남은 번개 자국의 중간에 서 있다. 그러면 그림처럼 번개로
부터 퍼져 나가는 빛은 정수에게는 동시에 도착할 것이고 선로에 남은 양쪽 번
개 자국까지의 거리가 같음을 확인하면 번개가 동시에 쳤다고 생각할 것이다.
동수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동수에게는 오른쪽 빛이 먼저 도착하고
왼쪽 빛이 나중에 도착할 것이다. 그런데 동수는 상대성 원리에 따라 자신과 기
차가 오른쪽으로 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없다. 동수는 기차 중앙에 서
있는 자신에게 오른쪽 빛이 먼저 도착했으므로 오른쪽 번개가 먼저 쳤다고 생
각할 것이다.
즉, 정수에게는 동시에 일어난 두 사건(번개)이 동수에게는 동시에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서 정수와 동수 중 어느 한 사람의 측정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두
사람 모두 옳은 측정을 한 것이고, 다시 말해 ‘동시’를 비롯한 사건의 순서가 절
대적인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226
Ⅳ 현대물리

특수 상대론적 질량과 에너지


04 학습 목표 ■ 특수 상대성 이론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질량과 에너지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4.1 상대론적 운동량


충돌 전
뉴턴 역학에서는 서로 다른 관성 기준계에서 두 입자 사이의 충돌을 측정하 u
더라도 운동량 보존 법칙이 잘 성립한다. 그런데 상대성 이론에서는 기존의 운 S m u m

동량 정의 p = mv 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관성 기준계의 관찰자에게 운동량 충돌 후


Mo
이 보존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대성 이론에서 질량이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 S
으로 수정하면 뉴턴 역학의 큰 골격은 유지한 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질량
그림 (Ⅳ. 1-9) 두 물체의 완전비탄
이 같은 두 물체가 완전 비탄성 충돌하는 경우를 통해 상대성 이론에서도 모든 성 충돌(질량 중심 기준계)

관성 기준계에서 운동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도록 운동량의 정의를 수정해 보자.


그림 (Ⅳ. 1-9)의 S 계는 충돌하는 두 물체의 질량 중심 기준계이다. S 계
에서 관찰하면 같은 질량의 두 물체가 같은 속력으로 다가와 충돌 후 멈추는 것
충돌 전
으로 관찰된다. 그림 (Ⅳ. 1-10)의 Sl 계는 충돌하는 두 물체 중 오른쪽 물체
u mo
와 같이 움직이는 기준계이다. Sl 계에서 관찰하면 오른쪽 물체는 멈춰 있고 S’ m’ u’

왼쪽 물체는 상대론적 속도 합성 공식에 따라 ul 의 속력으로 다가와서 충돌하 M


u 충돌 후
고, 합쳐진 물체는 u 의 속력으로 운동한다. 여기서 m 0 와 M 0 는 정지한 물체 u
S’
의 질량, 즉 고유 질량이고 m , ml , M 은 속도에 의존해 달라지는 상대론적
그림 (Ⅳ. 1-10) 두 물체의 완전비
질량이다. 탄성 충돌(오른쪽 물체와 같이 움직

S 계는 질량 중심 기준계이므로 충돌 전후의 운동량 합이 0이어서 상대론적 이는 기준계)

질량 m 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운동량 보존 법칙이 잘 성립한다. 이제 Sl 계에


서도 운동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도록 하는 ml 을 찾아 보자.
여기서 증명하지는 않겠지만 이 상황에서도 충돌 전후의 질량은 보존된다.
ml + m 0 = M (Ⅳ. 1-13) 상대론적 속도 합성
충돌 전후의 운동량이 보존되려면 다음 식을 만족해야 한다. S 계에 대해 v 의 속도로 움
직이는 Sl 계가 있을 때, S

mlul = Mu (Ⅳ. 1-14)
에서 측정한 물체의 속도를
식 (Ⅳ. 1-13)과 상대론적 속도 합성 공식을 식 (Ⅳ. 1-14)에 대입하여 정 u 라 하고 Sl 계에서 측정한
리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물체의 속도를 ul 이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1 ul + v
1 - ]ul/cg2
ml = m 0 u=
(Ⅳ. 1-15) 1 + ulv/c 2

227
이는 운동하는 물체의 질량, 즉 상대론적 질량과 고유 질량의 관계이다. 물
체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상대론적 질량도 커져서 속도가 광속에 가까워지면 상
대론적 질량이 무한대에 가까워진다. 이를 이용해 운동량의 정의를 수정하면
상대성 이론에서도 운동량 보존 법칙은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성립할 수 있다.
고유 질량 m 0 인 물체가 속도 v 로 운동하는 경우 상대론적 운동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0 v
1 - ]v/cg
p= 2
(Ⅳ. 1-16)

4.2 상대론적 에너지


상대론적 운동량과 일-에너지 정리를 이용해 상대론적 운동 에너지의 형태
를 유도해 보자.일-에너지 정리는 다음과 같다.
dp
# #
x x

W = DK = Fdx = dx (Ⅳ. 1-17)
0 0 dt
dp
여기서 는 식 (Ⅳ. 1-16)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dt
dp
d n=
d mv m dv
]1 - v /c g dt
= (Ⅳ. 1-18)
dt dt 1 - v 2 /c 2 2 2 3/2

식 (Ⅳ. 1-18)을 (Ⅳ. 1-17)에 대입하면 dx = vdt 이므로 다음과 같다.


m dv
#
x

]1 - v 2 /c 2g3/2 dt
0
K= dx
0

m 0 vdv
#
x

]1 - v 2 /c 2g3/2
=
0

m0 c 2
=
2 2
- m0 c 2 (Ⅳ. 1-19)
1 - v /c
여기서 m 0 c 2 을 정지 에너지 E 0 라 하면 물체의 전체 에너지 E 는 운동 에
너지와 정지 에너지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m00cc22
m
E=
E E00 =
=E =K
+ K=
= (Ⅳ. 1-20)
- vv22//cc22
11 -
식 (Ⅳ. 1-15)의 상대론적 질량으로 바꿔 쓰면 아인슈타인의 가장 유명한
질량-에너지 동등성에 관한 식을 얻는다.
E = mc 2 (Ⅳ. 1-21)
2 2
식 (Ⅳ. 1-16)과 식 (Ⅳ. 1-20)으로부터 각각 p c 과 E 2 을 구하여 빼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E 2 - p 2 c 2 = m 20 c 4 (Ⅳ. 1-22)
` E = E 20 + p 2 c 2 (Ⅳ. 1-23)
이 식은 상대론적 에너지와 운동량의 관계식이다.

228
Ⅳ 현대물리

식 (Ⅳ. 1-16)과 (Ⅳ. 1-20)에서 v = c 인 경우 분모가 0이 되므로 운동량


과 에너지가 무한대가 된다. 즉 질량이 있는 물체의 속력은 광속이 될 수 없다.
식 (Ⅳ. 1-16)을 (Ⅳ. 1-20)으로 나누면 v/c 2 = p/E 가 된다. 따라서
광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경우는
E = pc (Ⅳ. 1-24)
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Ⅳ. 1-22)와 (Ⅳ. 1-24)를 비교하면 광속으로 움직
이는 광자의 정지 질량 m 0 가 0임을 알 수 있다.

229
일반 상대성 이론
05 학습 목표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원리를 바탕으로 중력 렌즈와 블랙홀, 중력에 의한 시간 변화 등을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5.1 일반 상대성 이론의 등가 원리


특수 상대성 이론은 모든 관성 기준계에서 물리 법칙이 동일하게 적용되도
록 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관성 기준계가 아닌 가속하는 기준계까지 상대성
원리가 적용되도록 확장한 것이다. 또, 특수 상대성 이론이 시간과 공간의 개
념을 절대적인 것에서 상대적인 것으로 바꾸었다면 일반 상대성 이론은 중력을
힘이 아닌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간주하도록 바꾸었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시작은 중력과 관성력이 같은 것이라는 등가 원리이다.
앞에서 살펴본 관성력은 가속 기준계에서 뉴턴 법칙을 적용하기 위해 도입한
가상의 힘이었다. 가속 기준계에서 모든 물체는 관성력을 받는데 관성력의 방
향은 가속 기준계의 가속도 반대 방향이고 크기는 물체의 질량에 비례한다. 관
성력이 가상의 힘이기는 하지만 가속 기준계의 관찰자에게는 실제로 측정 가능
한 힘이며 이를 이용해 가속 기준계의 관찰자는 자신이 가속하고 있다는 사실
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관성력의 특징은 지구상에 작용하는 중력과 너무나도 비슷하다. 지
구상의 중력도 모든 물체에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며 크기가 질량에 비례한다.
심지어 중력도 관성력처럼 기준계의 가속도에 따라 없어지기도 한다.
그림 (Ⅳ. 1-11)의 엘리베이터 안의 관찰자는 아래 방향의 중력과 위 방향
의 관성력을 받는다. 이때 엘리베이터가 자유 낙하, 즉 가속도 g 로 가속 운동
하면 엘리베이터 안의 관찰자는 중력과 관성력의 크기가 같아져 엘리베이터 안
의 모든 물체가 알짜 힘을 받지 않는 것으로 관찰한다. 중력이 사라진 것이다.

a 그렇다면 관찰자는 중력과 관성력의 효과를 구별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우주


ma
공간에 등속 운동하고 있던 우주선의 관찰자가 오른쪽으로 쏠리는 힘을 받았다
면 우주선이 왼쪽으로 가속한 것인지 오른쪽에 행성이 나타나 중력을 받는 것

mg 인지 구별할 수 있을까?
그림 (Ⅳ. 1-11) 엘리베이터 안의 아인슈타인은 과감하게 중력과 관성력을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보고 구별
관성력
할 수 없다고 가정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유도하였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주
요 결과는 중력에 의한 빛의 휘어짐,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중력파 등이 있다.

230
Ⅳ 현대물리

5.2 중력 렌즈
그림 (Ⅳ. 1-12)와 같이 가속 운동하고 있는 우주선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빛이 진행하는 경우 우주선 내부의 관찰자는 그림 (Ⅳ. 1-13)처럼 빛이 휘어
지는 것으로 관찰한다. 등가 원리에 의해 관성력과 중력이 같은 것이라면 그림
(Ⅳ. 1-14)처럼 중력에 의해서도 빛이 휘어져야 한다. 그런데 뉴턴의 만유인
력 법칙에 따른 중력은 질량이 없는 빛을 휘게 하지 못한다. 그래서 아인슈타인
그림 (Ⅳ. 1-12) 가속운동하는 우주선
은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중력을 설명하였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의 방향으로 빛이 휘게 되므로 질량이 매우
큰 천체 근처를 지나는 빛은 천체 쪽으로 모인다. 이때 천체는 볼록 렌즈와 같
은 역할을 하며 이를 중력 렌즈라 한다. 실제로 에딩턴에 의해 개기 일식 때 태
양의 뒤편에 있는 별의 위치가 태양이 없을 때와 다르게 관측되는 것이 확인됨
으로써 일반 상대성 이론의 증거가 되었다.
중력에 따라 빛이 휘는 것은, 빛은 최단 시간 경로를 따라 진행한다는 페르
그림 (Ⅳ. 1-13) 가속 운동하는 우
마의 원리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페르마 원리에 따르면 빛이 주선 내부의 관찰자
직진하는 것은 두 지점 사이에 최단 시간 경로가 직선이기 때문이며 굴절률이
다른 두 매질 사이의 굴절도 그 경로가 최단 시간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시간축을 포함한 4차원 시공간으
로 설명하는데, 이 시공간에서 최단 시간 경로는 3차원 공간상 직선이 아니라
4차원 시공간상의 직선이고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3차원 공간에서는 휘어진
경로로 나타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림 (Ⅳ. 1-14) 중력이 있는 공간
에 정지해 있는 우주선 내부의 관찰

5.3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 퍼텐셜이 낮은 곳, 즉 질량에 가까운 곳에
서는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 지구의 중력은 매우 작아서 지구상의 고도 차이
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는 몇 나노초에 불과하다. 그러나 현대의 GPS 시스템
에서는 중력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와 상대 운동에 따른 시간 지연 효과를 고
려하여 시간과 위치를 계산한다. 엄밀한 증명은 아니지만 중력에 의해 빛이
질량 쪽으로 휘는 현상과 광속 불변 가정을 적용하면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을 짐작할 수 있다. 질량 옆을 지나가는 빛의 경로를 생각해 보면, 빛이 질량
쪽으로 휘려면 질량으로부터 가까운 빛의 경로가 먼 빛의 경로보다 짧아야 한
다. 빛의 속도는 같아야 하므로 질량으로부터 가까운 빛의 시간이 느리게 흘 그림 (Ⅳ. 1-15) 중력에 의한 시간
러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지연

231
5.4 블랙홀
상대성 이론의 정확한 해를 구한 슈바르츠실트는 어떤 질량을 가진 천체라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보다 작게 압축되면 중력이 무한대가 되는 특이점이 있다
2GM
rs = 는 것이 예측되었다.
c2

이러한 천체는 탈출 속도가 광속보다 커서 빛조차도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


에 블랙홀이라고 이름 붙였다. 블랙홀은 빛이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직접
관측할 수는 없다. 그러나 중력이 매우 큰 천체이므로 중력 렌즈 현상을 일으킨
다. 블랙홀은 이러한 중력 렌즈 효과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물질이 방출하
는 X 선을 통해 관측된다. 블랙홀로 다가가면 갈수록 중력이 강해지므로 시간
이 느리게 흐른다. 시간이 느려지다가 결국에는 시간이 멈추는 지점이 존재하
는데 이를 사건의 지평선이라 한다.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에 대해서는 슈바르
츠실트 반지름이 사건의 지평선이다. 사건의 지평선 외부에서 블랙홀로 끌려가
는 물체를 상상해 보면, 블랙홀 외부에서 물체를 관찰하는 관찰자는 중력에 의
해 느려지는 시간으로 인해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향해 무한히 다가가는 것
만 볼 수 있고 사건의 지평선에 도착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 반면 물체와 함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 관찰자는 시간 지연을 느끼지 못하고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가속되면서 블랙홀 중심을 향해 운동하게 된다. 블랙홀 중심에 다가갈수
록 조석력에 의해 물체의 형태가 파괴되고 길게 늘어나게 되는데 강한 조석력
에도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면 물체나 관찰자는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하여 중
심을 향해 운동할 수도 있다.

5.5 중력파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 운동을 하면 시공간의 곡률 변동이 파동의 형태로
전파하는데 이를 중력파라고 한다. 중력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다. 중력파
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측되었지만 1세기가 지나도록 관측하지 못하다
가 2016년 2월 12일,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에서는 지구로부
터 13억 광년 떨어져 있는 2개의 블랙홀이 결합하면서 발생하는 중력파를 직
접 검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중력파가 검출됨으로써 일반 상대성 이론은 강력
한 증거를 갖게 되었다.

232
Ⅳ 현대물리

연습 문제

01 그림처럼 차의 길이와 꼭 맞는 차고가 있다. 자동차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0.9 c 의 속력으로 운동한다.
이때 차고의 양쪽 문을 동시에 닫을 수 있는 차고 관리자가 있어서 자동차가 차고 안에 완전히 들어왔을 때
양쪽 차고 문을 잠깐 닫았다가 열었다. 즉, 자동차가 차고 안에 완전히 들어온 순간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
런데 자동차 운전자 입장에서는 차고의 길이가 차의 길이보다 작아서 차가 차고 속에 완전히 들어간 순간은
없다고 말한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 혹은 둘 다 맞는지 상대성 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정지한 차와 차고 차고 관리자 입장 운전자 입장


정지한 차와 차고 차고 관리자 입장 운전자 입장

02 그림처럼 왼쪽으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 근처에 있는 양전하가 도선 내의 전자의 유동 속도와 같은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경우를 생각하자. 움직이는 양전하는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에 의해 로렌츠 힘을 받아 밀려난
다. 그런데 양전하와 함께 움직이는 관찰자가 관찰하면 양전하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로렌츠 힘을 받지 않는
다. 이 현상을 설명하시오. 단, 서로 다른 관성 기준계에서도 전하량은 보존된다.

v
정지한 양전하 q q + 움직이는 양전하는
+
로렌츠 힘을 받는다.

?
전류

03 그림과 같이 오른쪽으로 속도 v 로 운동하는 자동차의 왼쪽에는 전등이 있고 오른쪽에는 거울이 있다. 전등


에서 나온 빛이 거울에 반사해 다시 전등까지 돌아오는 과정을 통해 길이 수축 공식을 유도하시오.

거울 v

233
2 양자 역학
01 빛과 물질의 이중성
02 물질파
03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
04 보어의 양자 가설
05 에너지 준위와 스펙트럼
06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의 입자

생각 열기
양자 역학은 앞에서 살펴본 상대성 이론과 함께 20세기에 들어 이룩된 현대물리학의 큰 토대이다. 빛이
파동임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와 동시에 입자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양자 역학의
성립에 큰 실마리로 이어지게 된다. 이로부터 자연스럽게 물질도 또한 입자 성질 외에 파동의 성질이 있
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미시 세계의 운동에 해당하는 원자 내의 전자들의 성질들을 성
공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양자 역학이 수립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견된 빛과
물질의 이중성, 불확정성의 원리, 보어의 양자 가설을 시작으로 한 수소 원자 모형과 스펙트럼, 마지
막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 입자 운동의 해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

234
Ⅳ 현대물리

빛과 물질의 이중성
01 학습 목표 ■ 고전 역학의 한계를 나타내는 흑체 복사와 자외선 파탄을 설명할 수 있다.
■ 빛의 입자성을 나타내는 광전 효과와 콤프턴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1.1 흑체 복사
일반적으로 뜨거운 물체는 전자기파를 복사한다. 또한 물체의 복사로부터
나오는 전자기파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물체
의 온도에 따라 주로 나오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금속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오는 빛의 색깔이 점차 붉은색에서 노란
색, 나중에는 푸른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복사의 원인을 이해하는 과정에
서 고전 물리학으로 이해하기 힘든 사실들을 알게 되었고, 그 과정으로부터 양
그림 (Ⅳ. 2-1) 흑체(Black body).
자물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작은 구멍으로 속이 빈 물체로 입사해
물체의 복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인 물체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즉 서 들어간 빛은 벽에 흡수될 때까지 반

파장의 길이에 상관없이 들어오는 모든 빛을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를 흑체 사를 반복하게 된다.

(black body)라고 정의한다(그림 (Ⅳ. 2-1)). 실제 실험실에서는 외부와 아


주 작은 구멍으로 연결된 속이 빈 공동을 좋은 흑체로 가정할 수 있다. 즉 아
주 작은 구멍으로 통과하여 들어오는 모든 빛은 공동 내부로 들어와 갇히게 되
어 벽에 흡수될 때까지 반사를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들어온 모든 빛을 흡수한 T=5500K

800

공동의 벽은 다시 외부로 빛을 복사하게 되고, 이것을 흑체 복사(black body


600
T=5000K
radiation)라고 한다.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 흑체는 외부로부터 흡수하는
u(λ) [kJ/nm)

400

빛 에너지와 방출하는 빛 에너지 비율이 같게 되어 주위와 열적 평형 상태에 있


T=4500K

200 T=4000K

게 된다. 즉 특정한 온도 T에 있는 흑체는 열적 평형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빛 에 T=3500K

0
0 500 1000 1500 2000
너지의 흡수와 방출이 같은 비율로 일어나게 되고, 그 현상은 모든 파장 영역에 λ(nm)

서 일어나게 된다. 그림 (Ⅳ. 2-2) 흑체 복사 스펙트럼.

특정한 온도 T에서 공동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에 따른 세기를 복사 에너지 스펙트럼은 물체의 온도
에만 의존한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측정함으로써 흑체 복사의 성질을 조사할 수 있다(그림 (Ⅳ. 2-2)). 흑체 복사 더 많은 양의 복사를 내고, 최대 방출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흑체 복사가 다음과 같은 보편적인 성질이 있음을 발 이 일어나는 파장도 짧아진다.

견하였다. 이 성질들은 흑체의 재질, 모양, 크기와 관계없이 항상 성립한다.


첫째, 흑체 복사는 연속되는 파장 분포를 하며, 모든 파장에 대해 복사되는 빛
의 단위 면적과 단위 시간에 방출되는 에너지 E 는 절대 온도 T 의 네제곱에 비례
한다. 이는 슈테판과 볼츠만에 의해 밝혀졌기 때문에 슈테판-볼츠만 법칙이라

235
고 한다. 에너지 E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u ]I
λ g dI
3

E= λ = evT 4 (Ⅳ. 2-1)
0

여기서 u ]I
λ g 는 특정 파장에 대한 단위 면적 및 단위 시간에 방출되는 에너
지 밀도를 나타내고, e 는 방출률이라고 부르고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흑
체에 대해서는 e = 1 을 가진다. 그리고 v 는 슈테판-볼츠만 상수라고 하는
값으로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진다.
그림 Ⅳ. 2-3 우주에 존재하는 별.
별은 표면온도에 따라 다른 색깔을 v = 5.67 # 10 -8 W/m 2 : K 4
보인다.
둘째, 흑체 복사 스펙트럼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에너지 밀도
u ]I
λ g 을 나타내는 파장 λ max이 감소하며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짐을 실험
적으로 발견하였다. 이를 빈의 변위 법칙이라고 한다.
I
λ max T = 2.898 # 10 m : K

-3

흑체 복사의 이해는 파장과 온도에 따른 에너지 밀도 함수 u ]I


λ , T g 의 정확
한 형태를 찾는 데 그 초점이 맞추어졌다. 빈은 흑체 복사 에너지 곡선을 설명
하기 위해 변위 법칙과 함께 다음과 같은 실험식을 발표하였다. 이 식은 기체
운동론으로부터 도출하였고 빈의 복사식이라고 한다.

u ]I
λ , T g = λ 5 e - b / IλT

a
(Ⅳ. 2-2)
I
여기서 상수 a , b 는 복사 에너지 곡선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다. 이 식은 슈
테판-볼츠만 법칙과 빈의 변위 법칙을 잘 설명할 수 있으나, 파장이 짧은 영역
에서만 맞기에 고전 물리학의 한계를 보여준다.
한편, 레일리 경과 제임스 진스는 에너지 밀도를 구하기 위해 공동 내부의
전자기파를 완전 반사로 인한 정상파로 가정하고 계산을 시작하였다. 정상파는
단순 조화 운동을 하는 선형 진동자로 다룰 수 있고, 여기에 에너지 등분배 법
칙을 적용하여 정상파당 평균 에너지를 e = kT 로 놓음으로써 다음과 같은
에너지 밀도식을 제안하였다.

u ]I
λ , Tg =
8 rk T
(Ⅳ. 2-3)
I
λ4
여기서 k = 1.381 # 10 -23 J/K 으로 볼츠만 상수라고 한다. 이 식은 파장
이 긴 영역에서는 잘 맞지만 파장이 짧은 영역에서는 잘 맞지 않는다. 특히, 이
식에서 λ를 0으로 접근시키면 에너지 밀도 값이 수렴하지 않고 무한대 증가하
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실제 실험 결과와 크게 모순되는 것으로써 이를
자외선 파탄(ultraviolet catastrophy)이라고 부르고, 고전 물리학의 한계
를 극명하게 보여 준다.
그 후, 플랑크는 레일리-진스 에너지 밀도식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이 식
을 실험 결과와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레일리-진스가 가정한 에너지 등분배 법

236
Ⅳ 현대물리

칙이 수정되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공동 내부에서 정상파 조건을 만족하는 복


사 진동자의 가능한 에너지가 연속적인 에너지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불연속적
인 특정한 에너지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진동자의 에너지가 불연속적인 값
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때 파장 λ의 진동자들에 대한 열적 평형 상태에
서의 평균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hc/I λ (Ⅳ. 2-4)


e=
e hc/ Iλ kT - 1
여기서 h = 6.626 # 10 -34 J : s 이고 플랑크 상수라고 부른다. 레일리-
진스의 에너지 식 (Ⅳ. 2-3)에서 사용한 진동자의 평균 에너지 kT 대신에 위 식 플랑크
(Planck, M.: 1858~1947)
을 넣어주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게 되고, 이것을 플랑크 복사 법칙이라고 한다.
독일의 이론 물리학자. 흑체 복사의

u ]I
λ ,Tg =
8rhc 1 스펙트럼 분포를 설명하기 위하여 복
(Ⅳ. 2-5)
Iλ 5 e hc/ Iλ kT - 1 사 에너지의 양자화 개념을 도입한 공
로로 1918년 노벨상을 받았다.
이 식에서 자세히 살펴볼 점은 파장이 짧은 영역에서 즉 m " 0 일 때 에너
지 밀도 값이 발산하지 않고 수렴함을 알 수 있어 자외선 파탄이 해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흑체 복사의 에너지 스펙트럼에 대한 실험 결과와 정확히 일
치함을 알 수 있다.
플랑크의 해석에 의하면 정상파(진동자)가 한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에너지
상태로 이동할 때 진동수에 비례하는 어떤 일정한 에너지 덩어리만큼 흡수 또
는 방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한 에너지 덩어리를 양자(quantum)
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는 고전 물리학 관점에서는 전혀 이해가 불가능한 것으
로 양자물리학 탄생의 시초가 되었다.

1.2 광전 효과
헤르츠(Hertz)는 실험 도중 전자기파 발생 장치에 자외선을 쪼여 주면 방전
이 훨씬 잘 일어난다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그 후 여러 학자들이 이 현상
을 연구한 결과, 빛의 주파수가 충분히 큰 경우에만 전자가 방출되는 것을 알아
냈고, 이 현상을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라고 하고 이 때 방출되는
전자를 광전자(photoelectron)라고 부른다.
진공관 안에는 금속판으로 된 양극이 있고 여기에 빛을 쪼여주게 되면 튀어
나온 광전자 중 일부는 충분한 에너지를 가져 양 전극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의
방해에도 음극판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도달된 광전자들로 인해 전류가 흐
르게 되고 이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전극에 걸리
는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어떤 특정한 전압 Vs 을 넘어서게 되면 광전자는 더
이상 음극판에 도달할 수 없게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래서

237

전자
양극
음극

전압계

V
가변저항 전압 전류계
A
R

그림 (Ⅳ. 2-4) 광전 효과의 실험 장치 개략도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K max 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1
K max = 2 m e v 2max = eVs (Ⅳ. 2-6)

여기서 m e 는 전자의 질량 v max 은 전자의 최대 속력 e 는 전자의 전하량


Vs 는 정지 전압을 나타낸다.
금속이 빛 에너지를 흡수해서 전자의 운동 에너지로 다시 나타낸다고 생각하
면 광전 효과는 어떤 의미에서는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실험적 사실들로부터 빛을 파동으로 인식하는 고전 물리학의 대
전제에 큰 모순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광전류의 세기는 빛의 세기에 비례하긴 하나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
지는 입사하는 빛의 세기와는 무관하고 오직 빛의 진동수에만 관계가 있다. 이
는 빛의 전자기파 이론에서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더 큰 광전자 에너지를 가지
게 한다는 것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세슘
칼륨
둘째, 광전 효과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임계 진동수 o 0 를 문턱 진동수라고
칼슘
하는데, 문턱 진동수보다 작은 진동수에서는 아무리 센 빛을 입사해도 광전 효
최대 운동 에너지

마그네슘
수은
과가 일어나지 않는다. 반대로, 문턱 진동수보다 큰 진동수에서는 아무리 약한
빛이 입사되더라도 광전 효과가 바로 일어나게 된다. 이것 또한 고전 전자기파
진동수 이론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그림 (Ⅳ. 2-5) 광전 효과 실험 결
한편, 아인슈타인은 플랑크 흑체 복사 법칙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빛 에
과: 진동수-최대 운동 에너지 그래프
너지는 파동처럼 전 공간에 연속적으로 퍼져 있지 않고 빛의 진동수 o 에 비례
하는 일정한 에너지 덩어리 e = ho 로 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광전 효과에 대
전류 세기가 센 빛 한 실험적 결과들을 성공적으로 설명하였다. 나중에 이 에너지 덩어리는 광양
자 혹은 광자(photon)라는 용어로 쓰이게 된다. 즉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세기가 약한 빛
운동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듯이 빛도 광자와 같은 입자가 되어 전자와 서로 상
-DVS 전위차 호 작용을 하여 에너지를 주고받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어떤 임계 진동수 o 0 보다 큰 주파수에서만 광전자가 방출되는데 그
그림 (Ⅳ. 2-6) 광전 효과 실험 결
과: 빛의 세기-광전류 그래프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금속 표면에 있는 자유 전자가 튀어나오기

238
Ⅳ 현대물리

위해서는 넘어야 할 최소한의 에너지 장벽이 존재하는데 이를 금속의 일함수


(work function)라고 정의하였다. 일함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일함수 W 는 임계 진동수 o 0 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지
게 된다.
W = ho 0
(Ⅳ. 2-7)
또한, 광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K max = ho - W = ho - ho 0 = h ]o - o 0g (Ⅳ. 2-8)

여기서 K max 은 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이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


지 전압 Vs 로 측정할 수 있다. ho 는 광자의 에너지이며, W 는 금속으로부
터 자유 전자가 벗어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로 볼 수 있으며 ho 0 로
도 표현될 수 있다. 전자의 최대 운동 에너지 K max 와 빛의 진동수 o 와의 관
계를 그림 (Ⅳ. 2-5)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식(Ⅳ. 2-8)에서처럼 이 직선의
기울기는 플랑크 상수 h 와 정확히 일치하였다. 추가적으로 빛의 세기 증가에
따른 광전류의 증가는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광자의 개수로 설명
할 수 있다. 이렇듯 아인슈타인은 빛의 입자성에 대해 말하고 있는 광양자 이
론을 이용하여 광전 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양자물리학의 발전에 대
한 공로가 인정되어 노벨상을 받았다.

1.3 콤프턴 효과
아인슈타인의 빛의 광양자설에 따르면 빛은 입자처럼 움직인다고 한다. 그렇
다면 광자와 입자의 충돌도 당구공들 사이의 충돌처럼 에너지와 운동량을 서로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콤프턴은 입자와의 충돌로 인해 광자는 에너지뿐
만이 아니라 운동량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실험적 증명을 제시하였다.
콤프턴 실험 장치에 의하면 파장이 아주 짧은 전자기파에 해당하는 X-선을 흑
연에 입사시키고, 이 흑연으로부터 산란되는 X-선들은 입사 방향과 이루는 각
이 여러 가지인 방향에서, 즉 여러 산란각에서 측정된다. 검출기를 이용하여 산
란각에 따라 산란되어 나오는 X-선의 세기와 파장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하여 산란되어 나오는 X-선은 더 긴 파장을 가짐을 알 수 있었
고, 산란 전후의 파장 변화는 파장이나 산란 물체와는 관계없이 오직 산란각에
만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콤프턴 효과라고 한다 (그림 (Ⅳ.
2-7)).
고전 물리학에 따르면 산란된 X-선은 같은 파장을 가져야 하나 실험 결과
는 이와 완전히 다르다. 이는 광자와 전자들 사이의 에너지와 운동량의 전달로

239
I 것을 고려한다면 산
설명되어야 한다. 즉 광자의 에너지가 ho = hc/ λ라는
란 전후의 X-선 파장의 길이가 길어졌다는 것은 광자가 그만큼의 에너지를 잃
었다는 것이고, 이 잃어버린 광자의 에너지만큼을 전자가 운동 에너지로 얻게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 실제로 에너지 보존 법칙과 운
동량 보존 법칙을 알아보자. 먼저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르면 광자의 에너지
E c 와 운동량 Pc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 = ho = hc/I
λ, Pc = E c /c = h/I
λ (Ⅳ. 2-9)
c

먼저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서 충돌 전후의 운동량은 보존되어야 한다.


콤프턴 P c + 0 = P cl + P el (Ⅳ. 2-10)
(Compton, A. H.; 1892~1962)
여기서 충돌 전의 X-선 광자의 운동량은 P c 이고 충돌 후의 X-선 광자와
미국의 물리학자. X-선 연구 도중에
콤프턴 효과를 발간하고 이를 양자 전자의 운동량은 P cl , P el 이다. 그리고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면 다음
론적으로 설명하여 1927년 노벨물 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전자의 에너지는 상대론적 운동 에너지이다.
리학상을 받았다.
E c + m e c 2 = E cl + Pel c 2 + m e2 c 4
2
(Ⅳ. 2-11)

식 (Ⅳ. 2-10)과 식 (Ⅳ. 2-11)을 전자의 운동량 P el 에 대해서 각각 정리


X선 분광계
산란된 X선
Ø
하면 다음과 같다.
Pel2 = P c - P cl = Pc2 + Pcl2 - 2Pc Pclcos i
비산란된 X선 2
분광기

X선

Pel c 2 = 2m e c 2 _E c - E cli + _E c - E cli


분광계 경로 2 2
(Ⅳ. 2-12)
Ø= 0˚
세기 이 두 식에서 Pel2 c 2 를 소거해 주면 다음과 같은 식을 구할 수 있다.

Dm = ml - m = m c ]1 - cos ig
파장 λ(nm) h (Ⅳ. 2-13)
Δλ e
Ø= 45˚
세기
이 식은 전자 질량 m e 에 의해 입사선에 대하여 i 방향으로 산란되는 광자
파장 λ(nm)
의 파장 변화를 나타내며, 콤프턴 효과라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광자의 파장
Δλ
세기
Ø= 90˚ 변화는 입사한 광자의 파장과 무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수 h/m e c 는 전

파장 λ(nm)
자의 콤프턴 파장(Compton wavelength)이라고 부르고 전자의 질량을 고려
산란광 하면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지게 된다.
h
I
λ = m c = 2.43 # 10 m
c
-12

e
입사광 전자
이 실험 결과로부터 전자기파는 광자라는 입자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 광자는
입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에너지뿐 아니라 운동량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그림 (Ⅳ. 2-7) 콤프턴 효과. X-
선을 표적에 입사시키고, 산란되어
나오는 X-선의 파장을 산란각 i 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한다. 그 결과 산
란각이 증가함에 따라 새롭게 생성
된 X-선 파장의 길이가 점점 길어
짐을 알 수 있었다.

240
Ⅳ 현대물리

물질파
02 학습 목표 ■ 물질파의 개념을 이해하고 물질의 운동량으로부터 드브로이파를 계산할 수 있다.
■ 전자의 파동성의 증거인 전자 회절을 설명할 수 있다.

1.1 드브로이 파장
빛의 입자성이 발견되고 프랑스의 물리학자 드브로이는 전자와 같은 입자도
파동성을 띨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파동이라고만 생각하였던 빛이 입
자성을 보였다면, 반대로 입자라고만 생각되었던 물질 입자들도 파동성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이는 물질도 입자성과 함께 적절한 파동성을 보일 것이
라는 이른바 물질의 이중성에 대한 생각을 말한 것이다. 이때 자연스럽게 제기
되는 의문은 과연 이 파동의 파장은 얼마일까 하는 것이다. 앞에서 특수 상대성
이론을 논의하면서 입자의 운동량과 에너지는 다음과 같다는 것을 보았다.
E = m2 c4 + p2 c2 (Ⅳ. 2-14)

이고 정지에너지를 묶으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드브로이

E = mc 2 1 - ]v/cg2
(de Broglie, L.; 1892~1987)

(Ⅳ. 2-15) 프랑스의 물리학자. 박사학위 논문
을 통해 전자의 파동성을 제안하여
한편,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 = mv 1 - ]v/cg2
1929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Ⅳ. 2-16)
p 2
여기서 입자의 속도는 v = E c 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입자가 빛을 이루
는 광자라면 속도라 광속 c 이므로, E = pc 의 관계가 있다. 이를 식 (Ⅳ.
2-14)와 비교하면, 광자의 정지 질량 m = 0 이라는 잘 알려진 성질을 얻는
다. 광자의 경우 p = E/c 이고, 에너지는 E = ho 이므로 운동량은
h

(Ⅳ. 2-17)
p= I
λ
의 관계를 갖는다. 드브로이는 파동이라고 생각했던 빛이 입자성을 지닌다면
물질이라고 생각했던 입자도 파동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 때의 물질
파의 파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h h
I=
λ
p = mv (Ⅳ. 2-18)

이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물질 입자의 파장은 그 입자의 질량에 반비례한다.


플랑크 상수 h 의 값이 매우 작아 일상생활에서의 야구공 같은 물체의 파장
은 무시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물질파의 파동성은 무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전
자와 같이 미시적인 입자는 질량이 작으므로 물질파의 파장은 조금 더 길다.

241
이러한 물질파의 존재에 대한 확인은 데이비슨과 거머가 하였다. 그들은 알
루미늄 조각에 입사한 전자선이 산란되어 회절 무늬를 만들 뿐만 아니라 회절
무늬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는 파장과 드브로이 관계식에 의한 전자
의 물질파 파장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1.2 전자 회절
전자와 같은 입자가 회절 현상을 나타낸다는 실험적인 증거가 나타나지 않는
한, 물질이 파동의 성질이 있다는 드브로이의 제안은 하나의 창의적인 추측일
뿐이었다. 드브로이가 물질파를 제안한 지 몇 년 후에 미국의 데이비슨(C. J.
Davisson)과 거머(L.H. Germer), 영국의 톰슨(G. P. Thomson)은 그림
(Ⅳ. 2-8)과 같이 각자 독자적으로 결정의 규칙적인 원자 배열에 의해 산란된
전자선속이 회절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드브로이의 가설을 확인하였다.

전자총

Ø
검출기

그림 (Ⅳ. 2-8) X-선 회절과 전자 그림 (Ⅳ. 2-9) 데이비슨·거머 실험 개략도


회절의 무늬 비교

데이비슨과 거머는 그림 (Ⅳ. 2-9)와 같은 실험 장치로 고체에 따른 전자의 산


란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우연한 사고로 획기적인 발견을 하였다. 그들은 실험 장
치 개략도에서와 같이 가속된 전자들을 Ni 단결정의 한 면에 입사시켰을 때 튀
어나오는 전자들의 각 분포를 관측하였다. 전자가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면 그림 (Ⅳ. 2-10)에서와 같이 브래그(Bragg) 반사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실제 실험에서 전자가 54V로 가속되어 Ni 결정에서 입사되었을 때
z = 50c 에서 강한 회절 무늬를 나타내는 브래그 반사가 일어났다.
이 경우 브래그 관계식
nm = 2d sin i ]n = 1, 2, gg (Ⅳ. 2-19)
c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를 만족하며, d 는 X-선을 이용한 분석에서 0.91 A
z = 50c 인 경우 브래그 산란에서 z = 50c 이 된다.
따라서 n = 1 인 경우

242
Ⅳ 현대물리

c
m = 2d sin i = 1.65 A
가 된다. 한편 전자의 가속 전압이 54V이므로 입사하는 전자는 54eV의 에너
지를 가지고 드브로이파장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h h c
m= p = = 1.67 A
2m e E
따라서 드브로이가 제안한 전자의 파장은 실험적으로 측정한 결과와 일치하
여 결국 물질파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물질파는 가시광선보다 훨씬 짧은 파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현미
경의 분해능을 크게 향상하여 가시광선을 이용한 현미경보다 훨씬 더 미세한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을 개발하는 데 그 토대가 되었다.

II A 경로차
= 2d sin

B
d sin

그림 (Ⅳ. 2-10) 고체 결정의 브래그 산란에 대한 개략도

243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
03 학습 목표 ■ 상보성 원리와 불확정성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1 상보성 원리
파동성과 입자성이라는 빛의 속성에 대한 논란의 진행 과정에 대하여 앞에서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파동성과 입자성은 모두 실험적인 근거가 있다. 빛의 회
절과 간섭으로 대표되는 파동성에 관한 실험은 오로지 빛의 파동성에 의해서만
설명된다. 마찬가지로 광전 효과와 콤프턴 효과는 빛의 입자성에 의해서만 설
명할 수 있다. 즉, 한 실험에서는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 중에서 오로지 한 가지
성질만 나타난다는 것이다. 간섭 실험을 입자적인 관점에서 또는 광전 효과를
파동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주어진 실험
적 배열에 따라서 빛이나 물질의 행동은 어떤 경우에는 입자적이며 또 다른 경
우에는 파동적이어서 두 성질이 모두 나타나는 현상은 있을 수 없고 두 성질이
배타적인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빛이나 물질의 행동을 충분히 이해하려
면 이들이 이중성을 띠고 있으므로 입자성과 파동성 중 하나만이 아니고 모두
를 필요로 한다. 양자 역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는 덴마크의 물리학자 보어는 파
동성과 입자성의 이러한 서로 배타적이지만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상보성의 원
리라 하였다.
상보성 원리는 원자와 같은 미시 세계를 이해함에 서로 모순적으로 보이는
입자성과 파동성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보성
원리는 미시 세계의 물리학인 양자론의 중요한 특징으로 다음에서 살펴보게 되
는 불확정성 원리도 이의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1.2 불확정성 원리
고전 물리학에서는 우리가 그 행동을 기술하려는 관측의 대상과 이를 관측하
는 실험 기구 같은 관측의 주체가 구별되며, 모든 관측은 원리적으로는 얼마든
지 정밀할 수 있다는 것이 기본적인 전제이다. 이는 또 관측의 과정에 필연적으
로 있을 수밖에 없는 관측의 주체와 대상 사이의 상호 작용이 작다는 입장에 바
탕을 둔다. 또 관측의 결과를 일상생활 범위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통해 표현하

244
Ⅳ 현대물리

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대성 이론의 시간의 상대성에서 보듯이 이러한 개념은 일반적인 경
우에는 수정되거나 바뀌어야 함을 경험하였다. 비슷한 이유로 원자와 같은 미
시적인 물리계에서는 고전물리적인 개념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며, 더욱이
이러한 물리계에서는 물리량이 띄엄띄엄한 값을 가져서 관측의 결과로 생기는
이 양의 변화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관측의 대상과 주체의 상호 작용이 큰
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유로 관찰되는 대상과 관찰하는 주체 사
이에 명확한 구분이 어려우며, 관찰에 참여하는 실험 기구도 관찰 대상의 한 부
분으로 간주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양자론에서는 이와 같이 객관적 실재로
서 관측의 대상이 존재하여 현상이 나타난다고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대상과
여기에 사용하는 특정한 방식의 관측이 함께 현상을 결정한다고 생각한다. 즉,
양자론은 관측 주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객관적인 대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고
전 물리학과는 다른 입장이다.
특히 고전적인 입자성의 입장에서 원자 내의 전자의 운동에 접근하는 것은
파동성도 성립해야 한다는 상보성 원리에 따라 온전히 성립할 수는 없으며 어
떤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하나의 구체
적 성질이 불확정성 원리이다.
간단한 형태의 불확정성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양자론적 세계
에서는 물체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어서, 이 물체의 위
치가 Dx 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하고 이 물체의 운동량이 Dp 의 범위에 있다고
하면
h
DxDp $ 4r (Ⅳ. 2-20)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h 는 플랑크 상수이다. 따라서 Dx " 0 이어서


위치가 정확히 결정되는 상황이면, 운동량의 범위 Dp 는 한없이 커져서 운동
량의 값은 매우 불확정적이 되어 그 값을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
로 운동량이 정확하게 결정되는 상황이면 위치가 매우 불확정적이어서 위치를
알 수 없다.
엄밀한 불확정성 원리는 양자론의 구체적 내용을 사용해야 하지만 그 정성적
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그림 (Ⅳ. 2-11)과 같이 폭 Dx 범위 밖에서는 파동의 값이 0인 물질 파동을
생각해 보자. 이 파동의 값이 0인 부분에서는 물체를 발견할 수 없다고 생각하
자. 임의의 형태의 신호는 파장이 잘 정해진 단색 파동들을 더해서 얻을 수 있다
는 사실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오고 있다. 그림의 파동이 파장 값이 m 0 와 비슷한
단색 파동의 합이라 하고, Dx 에 이러한 파장이 n 개 정도 포함된다고 하자.

245
n

Dx
그림 (Ⅳ. 2-11) Δx에 파장이 n개 정도 있는 파동

즉, 그림 (Ⅳ. 2-11)에 파장이 n 개 정도 있는 파동


그림 (Ⅳ. 2-11)과 같은 파 Dx
I .n (Ⅳ. 2-21)
동 형태를 바탕으로 수행한 λ0
식 (Ⅳ. 2-21)에서부터 식 이다. 이렇게 파장이 비슷한 단색 파동들이 더해져 범위 Dx 밖에서는 상쇄되
(Ⅳ. 2-23)으로의 수학적인
어 0이 되려면, 이 단색 파동들 중에는 파장이 짧은 것이 있어서 이 단색 파동
계산 과정을 푸리에 변환이
라고 한다. 이 Dx 범위에 다른 파동보다 한 파장 정도 또는 그 이상이 들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Dx
λ $ n+1
λ0 - DI
I (Ⅳ. 2-22)
즉,
x ID ! 1 c In + 1
λ xD
c1 I
1 + nDλ$ DI
!

I0 0 I0 $
λ 0

이어야 한다. 식 (Ⅳ. 2-21)을 사용하면, 이는


Dx λ
λ 02 D I$ 1

I (Ⅳ. 2-23)

을 의미한다. 한편 드브로이의 관계식을 사용하면 위 식은 결국


DxDp $ h (Ⅳ. 2-24)
임을 말해서, 위의 식 (Ⅳ. 2-20)의 성질을 정성적으로 보여 준다.
불확정성 원리를 다른 예를 통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빛을 쪼여 전자의 위치
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다음의 실험을 생각해 보자. 전자의 위치는 전자에 의
해서 산란되는 광자, 즉 전자와 충돌하여 번쩍이는 빛을 현미경을 통해서 보아
결정한다.
광학기구의 잘 알려진 분해능에 관한 결과에 따르면 현미경은I
λ / sin i 정도
이내의 거리를 구별하지 못한다. 즉 전자에 의해 산란된 파장 λ 인 빛을 현미경
을 통해서 보게 되는 전자의 위치는
m
Dx .
(Ⅳ. 2-25)
sin i
정도의 범위에서 결정된다. 정밀한 위치를 결정하려면 짧은 파장의 빛을 이용

246
Ⅳ 현대물리

하는 넓은 광학 기구를 써야 한다. 한편 광자의 운동량은 h/m 이므로 수평 방


향 성분은
h
sin i (Ⅳ. 2-26)
Dp .
m
범위에서 결정된다. 정밀한 운동량의 결정을 위해서는 산란에 의해 운동량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는 긴 파장의 빛을 이용해야 한다. 두 양의 곱으로부터
DxDp . h (Ⅳ. 2-27)
이라는 불확정성 원리를 볼 수 있다.
불확정성 원리는 위치와 운동량의 짝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물리량의 짝에 대
해서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에너지와 시간의 짝에 대해서도 성립하여
h
DEDt $ 4r (Ⅳ. 2-28)
의 불확정성 원리가 적용된다. 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DE " 0 이어서 에
너지 값이 정밀하게 결정되는 상태에서는 Dt 가 커서 이 값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이 무한히 길어야 한다. 또 Dt " 0 이어서 측정된 물리량이 어떤 시간에
결정되면 에너지는 정밀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불확정 원리를 표현하는 부등식의 오른쪽은 플랑크 상수 h 정도이다. 이 양
은 일상생활의 현상과 같이 거시적인 세계의 입장에서 보면 매우 작은 양이어
서 실질적으로 0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거시적인 세계에서는 불확정성 원리가
말하는 두 양의 측정에 관한 한계를 무시할 수 있어서 일상생활의 현상에는 불
확정성 원리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Dx
그림 (Ⅳ. 2-12) 전자에 의해서 산란된 빛으로 전자의 위치를 관찰하는 현미경

247
보어의 양자 가설
04 학습 목표 ■ 원자의 구조에 대한 모형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설명할 수 있다.
■ 보어의 양자 가설에 의한 원자 모형을 설명할 수 있다.

4.1 원자 모형
우리 주변의 세계를 만드는 물질의 성질은 원자 구조에 기인하므로 원자의
구조에 대한 이해는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 기본이 된다. 원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궁극적인 입자로 알려져 있었으나 19세기 말 톰슨이 음극선 실험을 하
여 모든 물질의 원자 안에 전자가 있다는 것을 알리게 된 뒤 푸딩 모형으로 알
려진 톰슨의 원자 모형이 제안되었다.

(i) 톰슨의 원자 모형
톰슨
(Thomson, J. J.; 1856~1940) 톰슨은 음극선 실험 장치에서 진공관 속에 음극과 양극을 설치하고 높은 전
영국의 물리학자. 전자의 발견에 대한 압을 걸어주면 음극선이 나오는데 이 음극선은 빛과 같은 전자기파가 아니
업적으로 190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라 (-)전하를 가지고 있는 입자의 흐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그림 (Ⅳ.
2-13)). 이 입자를 전자라고 하였으며 더 나아가 전자의 비전하 e/m 를 측정
하였다. 음극선 실험에서 금속의 종류에 관계없이 음극선이 방출된다는 사실로
부터 모든 물질은 전자를 포함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또한, 원
자는 중성이므로 전자의 전하량과 같은 양전하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사실도 자
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었다.

N
전기장 형성판
양극 형광막

전자
직진한 빔

음극 휘어진 빔
S
자기장 코일

그림 (Ⅳ. 2-13) 톰슨이 사용한 음극선 실험 장치


-10
10 m

그림 (Ⅳ. 2-14) 톰슨의 원자 모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1904년 톰슨은 지름이 약 10 -10 m인 구 내부
형. 양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
에 구름과 같은 양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고, 그 속에 전자 입자가 박혀
고 그 속에 전자 입자들이 띄엄띄엄
박혀 있다. 있는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그림 (Ⅳ. 2-14)).

248
Ⅳ 현대물리

이 원자 모형을 수박에 비유하면 양전하는 수박의 붉은살에 그리고 전자는


수박씨에 빗댈 수 있다. 톰슨의 원자 모형은 원자가 전자를 포함하면서도 전기
적으로 중성이라는 실험 사실을 설명할 수 있어서 주목을 받았지만, 곧 러더퍼
드의 입자 산란 실험을 통해 원자핵이 발견되면서 그 가치를 잃게 되었다.

(ii)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의 제안에 따라 그의 제자 가이거(Geiger, H)와 마스덴
(Marsden, E)은 a 입자 산란 실험으로 알려진 실험을 통해 톰슨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

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 실험은 양전하를 띤 a 입자 빔을 얇은 (Rutherford, E.;1871~1937)


뉴질랜드 태생의 영국의 핵 물리학
금박에 입사하여 산란되어 나오는 입자를 관측하는 실험 장치이다(그림 (Ⅳ. 자. 알파 입자 산란 실험으로 원자의
2-15)). 톰슨의 원자 모형에 근거하여 a 입자가 박막에 거의 굴절하지 않고 구조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세웠으
며, 1908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통과할 것이라는 예상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a 입자들은 마치 빈 공간을 지
나가듯 금박을 그대로 통과하였다. 그러나 몇 개의 a 입자들은 아주 큰 각도로
산란될 뿐 아니라 심지어 어떤 것은 뒤쪽으로 산란되기도 하였다.

금박 a입자

a입자
i

망원경

방사선원 납
형광 스크린

그림 (Ⅳ. 2-15) 러더퍼드의 a 입자 산란 실험 장치도

이 실험에서 a 입자는 속력이 2 # 10 7 m/s 로 매우 빠르고 전자 질량의 약


8,000배 정도로 무겁기 때문에 a 입자가 큰 각도로 굴절하기 위해서는 강력
한 힘이 작용하여야 한다. 러더퍼드는 원자의 질량과 양전하가 원자 내의 작은
부피에 집중되어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 후 계속된 연구 결과에 의해 원자 질
원자핵
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양전하를 가진 입자가 지름이 약 10 -15 m 정도의 작은 전자

부피 내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밝혀 내고 이를 원자핵(nucleus)이라고 하였


다. 그래서 러더퍼드는 a 입자 산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 (Ⅳ. 2-16)과
같은 새로운 원자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원자 모형은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도 -15
10 m
-15 -15
는 것처럼 중심에 지름이 10
약- 10 - m 인
m원자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자가 공전
-10
10 m
하고 있는 것이다.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은 a 입자 산란 실험을 잘 설명하였으
나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림 (Ⅳ. 2-16)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원자의 질량과 양전하가 원자
첫 번째로 러더퍼드 원자 모형에 의하면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회전해야 하는
내의 아주 작은 부피에 집중되어 있
데 이는 전자의 가속 운동을 의미한다. 고전 전자기학 이론에 의하면 가속 운동 다고 설명하였다.

249
전자기파 을 하는 전하는 회전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따라서
전자기파
전자기파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전자는 회전 속력이 줄어들어 회전 반지름
이 작아져서 아주 짧은 순간에 원자핵에 포획되어 어떤 크기를 유지하는 수소

원자핵
원자의 상태가 될 수는 없다. 즉 원자의 안정성 문제를 러더퍼드 원자 모형으로
전자
는 설명할 수가 없다.
전자기파
두 번째로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원운동하면서 빛을 방출한다면 전자의 회
그림 (Ⅳ. 2-17) 러더퍼드 원자 모
형의 문제점 전 반지름이 연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므로 빛의 스펙트럼도 연속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실험에 의하면 원자의 종류에 따라 고유
한 불연속적인 형태의 선 스펙트럼이 관찰된다.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은 이러
한 두 가지 문제점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원자 모형을 필요로 하게 되
었다.

4.2 보어의 원자 모형
러더퍼드 원자 모형에서의 원자 안정성과 선 스펙트럼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
하려는 노력은 양자 물리학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보어는 고
전 물리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혁신적인 가정을 함으로써 러더퍼드 원자 모형
의 문제점을 피하였을 뿐만 아니라 플랑크와 아인슈타인에 의해 시작된 양자물
리학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도약의 발판을 제공하였다.
드브로이의 물질파 개념보다 10여 년 앞선 1913년 보어는 수소원자의 안정
성과 선 스펙트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랑크의 최초 양자 이론, 아인슈타
인의 광자에 대한 개념을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에 적용하여 새로운 원자 모형
보어 을 발표하였다. 수소 원자에 대한 보어 이론의 기본적인 가정은 다음과 같다.
(Bhor, N. H. D.;1885~1962)
(i) 그림 (Ⅳ. 2-17)에서와 같이 전자와 원자핵과의 전기적인 인력이 구심력
덴마크의 물리학자. 원자의 안정성
문제와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는 역할을 하여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원운동한다. 전자의 전하량과 질량이 각각
보어의 원자 모형으로 1922년 노벨
e , m 이고, 핵을 중심으로 r 만큼 떨어져 v 의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다면 다
물리학상을 받았다. 협동 연구를 통
해 불확정성의 원리, 상보성의 원리 음의 식을 만족한다.
등 양자 역학의 주요 원리들을 제창
v2 e2
하였다.
m r = k0 2 (Ⅳ. 2-29)
r

(ii) 보어는 플랑크가 도입한 플랑크 상수가 원자의 구조에 있게 되는 띄엄띄


엄한 성질을 결정하는 실마리라고 생각하였다. 플랑크 상수는 각운동량과 같은
물리적 차원을 갖는 양이다. 보어는 수소 원자 내 전자의 각운동량이 플랑크 상
수의 특별한 배수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수소 원자의 구조를 설명하려 하였다.
또한 수소 원자와 같은 미시적인 세계에서는 고전 물리학에 따른 고전전자기학
의 법칙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250
Ⅳ 현대물리

즉, 수소 원자핵 주위를 도는 전자가 만들어 내는 파동이 정상파라면 전자


h /2r 를 &로 쓰고 h bar
기파의 방출 없이 안정적인 상태인 정상 궤도 또는 정상 상태에 있을 수 있다고 라고 읽는다.
가정하였다. 이 조건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n =
양 1, 2, 3, gg
λ ]n = 1, 2, 3, gg
L = mvr = n&
양자물리학에서 은 계의
2rr = nI (Ⅳ. 2-30)
자 상태를 나타내는 양자 수
여기서 n은 정수이며, m 는 전자의 물질파 파장을 나타낸다. 그리고 드브로 를 나타낸 값이다.

이의 파장에 대한 식 (Ⅳ. 2-18)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L = mvr = n& ]n = 1, 2, 3, gg (Ⅳ. 2-31)
이는 수소 원자 내 전자의 각운동량 L이 플랑크 상수의 특별한 배수를 갖는
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 가설은 원자가 왜 안정한가를 설명하지 않고 단
지 특정한 조건에서는 안정하다고 가정했을 뿐이다. 보어는 전자기학에 대한
맥스웰의 이론이 흑체 복사나 광전 효과를 설명할 수 없음을 알고 원운동에 의
해 가속하는 전자는 원운동의 진동수로 복사를 해야 한다는 고전 전자기학적
사고를 포기했다.
(iii) 진동수 조건이라 알려져 있는 세 번째 가정은 다음과 같다. 수소 원자에
서 방출되는 선 스펙트럼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즉 전자
는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옮겨갈 수 있으며 이 때 두 궤도에서의 총 에너지
차이만큼의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를 한 개 방출하거나 흡수한다.

에너지 상태Ei 에너지 상태 Ef L = mvr = n& ]n = 1, 2, 3, gg


E=ho 전자
E=ho
흡수
방출
전자

그림 (Ⅳ. 2-18) 원자 내 전자의 궤도 전이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E =
DEE =
f -EEf i-
-EEi -
= Eho= ho (Ⅳ. 2-32)
보어의 정상 상태 조건은 10여 년 후에 발표된 드브로이의 물질파의 개념으
로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그 둘의 결과가 똑같다는 사실은 보어의 업
적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러한 보어의 이론은 수소 원자에 대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지만 완전한 것은 아니다. 그 후 발전된 분광학에 의하면 한 개의 선
으로 보이는 선 스펙트럼이 한 개의 선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고 매우 가까운 선
들이 그룹을 이루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원자가 강한 자기장 속에 있을 때
한 개의 스펙트럼이 세 개의 아주 근접한 선으로 나누어진다. 그래서 오늘날에
는 원자 현상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 양자 역학 이론을 적용한 양자 역학적
원자 모형을 채택하고 있다.

251
에너지 준위와 스펙트럼
05 학습 목표 ■ 전자 궤도에 다른 에너지 양자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수소 원자의 선 스펙트럼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5.1 전자 궤도와 에너지 양자화


러더퍼드 원자 모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보어의 원자 모형에
대한 가설은 원자 내 전자의 궤도 반지름과 에너지가 양자화된다는 결론에 도
달하였다. 또한 이를 수소 원자에 적용하여 선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었을 뿐
만 아니라 다른 원자의 선 스펙트럼을 예측할 수도 있게 되는 등 물리학사에 새
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수소 원자에 대한 보어의 가설로 유추할 수
있는 전자 궤도 반지름과 에너지의 양자화에 대하여 알아보자.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은 양성자 1개로 구성된 원자핵과 그 주위를 원운동하
는 전자 1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어의 첫 번째 가설에 의해 전자와 원자
핵 간의 전기적인 인력이 구심력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
한다.
v2 e2
m rn = k0 2

(Ⅳ. 2-33)
n rn
여기서 m , v n rn 은 전자의 질량, 전자의 속력, 전자의 궤도 반지름에 해
당한다.
그리고 보어는 궤도 전자가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고 핵 주위를 회전할 수
있기 위한 정상 상태에 관한 다음과 같은 양자 조건을 사용하였다.

mv n rn = n 2r ]n = 1, 2, 3, gg
h
(Ⅳ. 2-34)

식 (Ⅳ. 2-33)과 식 (Ⅳ. 2-34)로부터 양자 수 n 에 대응하는 궤도 반지름


rn 을 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n 2 ]n = 1, 2, 3, gg
h2
rn = (Ⅳ. 2-35)
2
4r k 0 me 2
위 식에 상수에 해당하는 h = 6.63 # 10 -34 J : s ,
1
k 0 = 4re = 9 # 10 9 N : m 2 /C 2 , m = 9.1 # 10 -31 kg ,
0

e = 1.6 # 10 -19 C 을 각각 대입하면

rn = 0.53n 2 7A
c A ]n = 1, 2, 3, gg (Ⅳ. 2-36)

252
Ⅳ 현대물리

이 된다. 여기서 가장 안쪽 궤도의 반지름을 수소 원자의 보어 반지름(Bohr


radius)이라 하여, a 0 로 나타낸다.
c
a 0 = r1 = 0.53 # 10 -10 m = 0.53 A

이와 같이 수소 원자 내의 전자는 모든 궤도 반지름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아
2
니라 rn = a 0 n 이라는 특정한 궤도 반지름에서만 허용된다.
이를 전자의 궤도 반지름이 양자화되어 있다고 한다.
이번에는 궤도 전자의 에너지 준위를 구해 보자. 먼저, 원자핵과 전자 간에
작용하는 전기력이 원 궤도 운동의 구심력 역할을 한다는 사실로부터 전자의
운동 에너지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1 e2
E n, k = 2 mv n2 = 2 k 0 r (Ⅳ. 2-37)
n

한편 퍼텐셜 에너지의 기준점을 원자핵으로부터 무한히 멀리 있는 지점으로


택하면 퍼텐셜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e2
E n , p = -k 0 r (Ⅳ. 2-38)
n

따라서 궤도 전자의 전체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와 전기력에 의한 퍼텐셜 에


너지의 합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e2
E n = E n, k + E n, p = - 2 k 0 r (Ⅳ. 2-39)
n

위 식에 식 (Ⅳ. 2-35)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En = -d n 2 . -13.6 2 6eV@
2r 2 k 2 me 4 1 1
2
h n n
]n = 1, 2, 3, gg (Ⅳ. 2-40)
여기에서, 원자핵과 전자가 3 떨어져 있을 때를 퍼텐셜 에너지의 기준점
으로 하였으므로 궤도 전자의 총 에너지가 (-) 값이라는 것은 전자가 원자핵에
속박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바닥 상태의 전자를 원자핵으로
부터 떼어낸다는 것은 전자의 양자수가 n = 1 로부터 n = 3 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닥 상태의 수소 원자가 이온화하기 위해서는 그 차이
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 값이 13.6 6eV @ 이며, 이를 수소 원자의 이온
화에너지(Ionization energy)라 한다.

5.2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


보어의 세 번째 가정은 궤도 전자가 다른 궤도로 전이할 때 에너지의 차이만
큼의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높은 n i 궤도에 있던
전자가 낮은 n f 궤도로 내려온다면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다음과 같다.

253
mk 20 e 4 1
d - 2n
c 1 (Ⅳ. 2-41)
ho = h
= Ei - E f = -
m 2h 2 n 2i nf
따라서 파장의 역수 값은

mk 20 e 4 1
d - 2 n = Rd 2 - 2 n
1 1 1 1
= (Ⅳ. 2-42)
m 4r& 3 c n 2f ni nf nf
mk 02 e 4
R= = 1.097m -1
4r& 3 c
여기서 R 는 뤼드베리(J.R. Rydberg) 상수이다. 수소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을 모두 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은 보어의 원자 모형에 신뢰성을 갖게
하는 매우 중요한 결과이다.

E=0
n=4 E 4 = - E R /16 =-0.9 eV
n=3 E 3 = - E R /9 =-1.5 eV

n=2 E 2 = - E R /4 =-3.4 eV
Energy. E

1875mm
n=1 E 1 = - E R =-13.6 eV

그림 (Ⅳ. 2-19) 수소 원자의 에너지 스펙트럼

이 결과는 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이 고전적 이론에서 예측되는 연속 스펙트


럼의 형태가 아닌 선 스펙트럼으로 방출되는지에 대한 명료한 해답을 제시한다.
파센 계열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가 연속적이지 않고 양자화되어 있어서 전자의 전이
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기파의 파장 또한 특정한 값만을 가질 수밖에 없다. 즉 수
소 원자는 연속 스펙트럼이 아닌 선 스펙트럼을 방출하는 것이다.
전자가 높은 에너지 상태 ]E ig 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 ]E fg 로 내려오면서 여
파장

820mm
러 파장의 스펙트럼이 나오는데 특히 n i = 2, 3, 4, g 인 상태에서 n f = 1
656mm 인 상태로 전이되면서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라이먼 계열, n i = 3, 4, 5, g
인 상태에서 n f = 2 인 상태로 전이되면서 방출되는 스펙트럼을 발머 계열,
발머 계열

n i = 4, 5, 6, g 인 상태에서 n f = 3 인 상태로 전이되면서 방출되는 스펙트


365mm

럼을 파센 계열이라 하고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R c 2 - 2 m , n = 2, 3, 4, g
그림 (Ⅳ. 2-20) 1 1 1
수소122mm
원자 스펙트럼의 파장 라이만
범위 계열 라이먼 계열 n f = 1 ,
91mm m 1 n

254 ▲수소원자 스펙트럼의 파장 범위


Ⅳ 현대물리

= R c 2 - 2 m , n = 3, 4, 5, g
1 1 1
발머 계열 nf = 2 , Iλ 2 n
파센 계열 n f = 3 , 1 = R c 12 - 12 m , n = 4, 5, 6, g
I
λ 3 n
= R c 2 - 2 m , n = 5, 6, 7, g
1 1 1
브래킷 계열 n f = 4 ,
I
λ 4 n

= R c 2 - 2 m , n = 6, 7, 8, g
1 1 1
푼트 계열 nf = 5 ,
I
λ 5 n
보어 모델에 의한 이러한 스펙트럼의 값은 보어가 원자 모델을 발표하기 전
에 알고 있던 실험값과 잘 일치한다.

255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의 입자
06 학습 목표 ■ 슈뢰딩거 방정식과 그 해인 파동 함수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에서의 입자의 양자 역학적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 유한 퍼텐셜 장벽의 입자의 터널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6.1 슈뢰딩거 방정식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거시적인 세계에서의 물체의 운동은 뉴턴 방정식
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원자, 분자 및 고체 내의 전자들과 같은 미시 세계에서
입자의 운동은 입자의 파동성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입자가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면 그 입자의 운동은 파동으로 기술되어야 하고 그 파동 함
수를 만족하는 파동 방정식이 필요하다. 이 파동 방정식이 슈뢰딩거 방정식이
다. 슈뢰딩거 방정식은 현의 진동 혹은 음파, 전자기파가 만족하는 파동 방정
식과 마찬가지로 입자의 파동 함수를 결정하게 된다.
일반적인 파동 역학에 근거하여 1차원으로 운동을 제한한다면 자유 입자의
파동 함수 W ]x, tg 와 운동 에너지 K 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W ]x, tg = Ae i]kx - wtg (Ⅳ. 2-43)
p2 &2 k2
K = &w = 2m = 2m (Ⅳ. 2-44)

여기서 k 는 파동의 파수, w 는 파동의 진동수에 해당한다. 이는 오른쪽 방


향으로 진행하는 파동 함수에 해당한다. 이 입자의 파동 함수로부터 알 수 있듯
이 가장 기본적인 슈뢰딩거 방정식은 공간과 시간에 대한 함수의 형태로 기술
되어야 한다. 그래서 시간에 대한 의존성을 기준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시간-의존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시간-독
립형 슈뢰딩거 방정식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간-의존형 슈뢰딩거 방정식
은 뉴턴의 운동 법칙과 마찬가지로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
정식이다. 그러나 상당히 많은 경우에 입자의 위치에너지가 시간에 의존하지
않아 시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제거한, 즉 정상 상태로 간주된 시간-독립형 슈
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게 된다.
먼저 위의 파동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의존형 슈뢰딩거 방정식을 유도해 보
도록 하자. 위치에너지 U 에 있는 입자의 총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E = K+U (Ⅳ. 2-45)
그런데 위의 파동 함수를 시간과 위치에 따라 각각 미분하게 되면 다음과 같
은 관계식을 얻게 된다.

256
Ⅳ 현대물리

2 i]kx - wtg E i]kx - wtg


= -iwe i]kx - wtg = -i

e e (Ⅳ. 2-46)
2t &
2
2 i]kx - wtg 2mK i]kx - wtg
2 e = -k 2 e i]kx - wtg = - e (Ⅳ. 2-47)
2x &2
이 두 식을 에너지 식 (Ⅳ. 2-45)에 대입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2 i]kx - wtg &2 22 i]kx - wtg
+ Ue i]kx - wtg (Ⅳ. 2-48)

i& e = - 2m e
2t 2x 2
이 식의 파동 함수를 일반적인 파동 함수 W 로 바꾸게 되면 다음과 같은 가
장 일반적인 시간-의존형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들 수 있다.

W ]x, tg = - W ]x, tg + UW ]x, tg


2 &2 22
i& (Ⅳ. 2-49)
2t 2m 2 x 2
여기서 파동 함수 W ]x, tg 는 위치와 시간에 의존하는 함수이다.
한편, 파동 함수의 시간 의존성을 분리하여 정상 상태의 파동 함수만을 논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상자 속에 있는 입자의 파동 함수를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이 파동 함수는 위의 파동 함수에서 시간에 대한 항이 사라진 것과
마찬가지이다.

W ]xg = Ae ikx (Ⅳ. 2-50)

위와 같이 시간에 대한 항이 분리된다면 위 식의 왼쪽 항은 총 에너지 E 로


바뀌게 되어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EW ]xg = - 2m W ]xg + UW ]xg


&2 22
(Ⅳ. 2-51)
2x 2
여기서 파동 함수 W ]xg 는 위치에만 의존하게 된다. 이 미분 방정식이 시
간-독립형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수소 원자 내의 전자뿐 아니라 여러 미시적
인 상황에서 입자의 운동이 이 방정식으로 풀리게 되었다.

6.2 파동 함수의 규격화


슈뢰딩거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물리학에서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기
본 물리량은 입자의 파동 함수(wave function)이고 이 파동 함수는 슈뢰딩거
방정식으로부터 수학적으로 직접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두 함수 W 1 과
W 2 가 각각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한다면 다음과 같이 두 해의 선형 결합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파동 함수 W 도 반드시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하게 된다.

W = aW 1 + b W 2 (Ⅳ. 2-52)
여기서 a 와 b 는 임의의 상수이다. 즉 슈뢰딩거 방정식이 선형 미분 방정식이
기 때문에 그 해에 해당하는 파동 함수도 중첩의 원리를 만족하게 된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파동의 기본 성질인 간섭과 회절이 입자의 파동 함수에서도

257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동 함수는 우리가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물리량이 아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쉽
지 않다.
그렇다면 이 파동 함수를 가지고 우리가 측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물리량들
은 어떤 방식으로 구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양자 역학이 적용되는 미시
적인 세계에서의 물리량은 특정한 숫자를 가지지 않고 어떤 값들의 확률 분포
를 가지고 있게 된다. 즉 우리가 구한 파동 함수 W 는 직접적인 물리량과는 거
리가 멀고 입자의 상태에 대한 어떤 확률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위치 x 와 시간 t 에서 파동 함수의 제곱 W ]x, tg 2 은 그 위치와 시간에
서 그 입자를 발견할 확률과 비례하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관심 있는 물리량
인 위치, 운동량, 에너지 등도 이러한 확률 분포를 고려하여 구해야 한다. 즉,
어떤 위치 x 와 시간 t 에서 W 2 값은 미분 방정식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슈뢰딩거 방정식으로부터 파동 함수 W 를 구하게 되면, 어떤 임의
의 위치 x 에서 구간 dx 안에 이 입자가 발견될 확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dx = W ]xg 2 dx (Ⅳ. 2-53)

이렇게 W 2 값이 W 로 기술되는 입자를 발견할 확률에 직접적으로 비


례하므로 확률 분포를 다루는 데 모든 위치의 W 2 값을 적분하여 1로 만드
는 것은 아주 편리하다. 즉 1차원 공간에서 입자는 어느 위치에서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게 하는 과정을 규격화
(normalized)한다고 하고, 이를 만족시키는 파동 함수를 규격화된 파동 함수
(normalized wavefunction)라고 한다.

#
-3
3
Pdx = #
-3
3
W 2 dx = 1 (Ⅳ. 2-54)

결론적으로 일반 파동 함수에 적당한 상수를 곱함으로써 규격화된 파동 함


수를 만들 수 있고, 규격화된 파동 함수를 이용하여 쉽게 물리량들의 기대치
(expectation value)를 구할 수 있다. 한 예로 다음 식은 입자의 위치 x 에
대한 기대치 < x > 를 나타낸 것이다.
x = # -3
3
x W 2 dx (Ⅳ. 2-55)
이러한 방법으로 입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6.3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의 입자


실제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여 입자의 파동 함수를 구하고 그 파동 함
수로부터 물리량들을 계산해 보자. 특히 슈뢰딩거 방정식 문제들 중에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실제로 자주 관측되는 물리적 상황인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258
Ⅳ 현대물리

속에서의 입자의 운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문제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


한 양자물리학을 쉽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여기서는 두 가지 접근 방
법으로 문제를 풀어볼 것이다. 먼저 고전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구하는 방법과 ∞ ∞
U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i) 고전 양자 역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파동의 특성을 이용하여 쉽게 파
동 함수와 그에 따른 물리량들을 구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무한히 높은 에너
지를 가진 장벽으로 x 축을 따라 x = 0 에서 x = L 사이에서만 입자의 운동 0 L

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무한히 높은 에너지 장벽으로 인해 입자 그림 (Ⅳ. 2-21) 1차원 상자 안에
갇힌 입자가 느끼는 퍼텐셜 에너지
는 상자 밖으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때 입자의 파동 함수를 생각한다면 경
계선인 x = 0 과 x = L 으로부터 바깥 위치에서의 파동 함수는 무조건 0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자 내의 입자는 물질파를 형성하여 정상파를 이루고
∞ ∞
있어야 한다. {3
n=3
일반적으로 상자 안의 입자의 파동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 U n=2

W ]xg = A sin kx = A sin c m


2r
Iλn x (Ⅳ. 2-56)
{1
n=1
x
0 L
여기서 A 는 파동의 진폭이고, k 는 파동의 파수로서 파장과 관계가 있다.
∞ ∞
그리고 m n 은 입자의 파동으로 정상파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반파장
2
|{3|
의 정수배가 상자의 길이 L 과 같아야 한다. n=3

I |{2|2

n 2 n = L , ]n = 1, 2, λ3, gg

λ n=2
(Ⅳ. 2-57)
|{1|2 n=1
이 식을 입자의 파동 함수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x
0 L

W n ]xg = A sin a x , ]n = 1, 2, 3, gg

nr k
(Ⅳ. 2-58) 그림 (Ⅳ. 2-22) 1차원 상자 안에
L
갇힌 입자에 허용된 세 개의 파동 함
드브로이 관계식으로부터 운동량과 에너지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수 } 와 미분 방정식 } 함수
h nh
2L , ]n = 1, 2, 3, gg
p = =
n
I
λn (Ⅳ. 2-59)

E n = 2m = c m n 2 , ]n = 1, 2, 3, gg
2
p h
0
2

8mL2 (Ⅳ. 2-60)

결론적으로, 입자는 정상파를 만족하는 특정한 파동 함수의 형태를 가지게


되고 그 결과 입자의 운동량과 에너지는 불연속적인 값을 가지고 양자화됨을
알 수 있다.
(ii) 다음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여 1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안의
입자의 운동을 구해 보도록 하자. 시간-독립형 슈뢰딩거 방정식을 이용하면
0 < x < L 인 영역에서의 위치에너지 U = 0 이므로 입자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EW ]xg = - 2m W ]xg
&2 d2
(Ⅳ. 2-61)
dx 2

259
이 식은 다음과 같은 파동 방정식으로 바꿀 수 있다.

] g ] g W ]xg + k 2 W ]xg = 0 (Ⅳ. 2-62)


d2 2mE d2
W x + W x =
dx 2 &2 dx 2
여기서 k 2 = 2mE/&2 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미분 방정식을 만족하는
파동 함수 W ]xg 의 일반 해는 다음과 같다.
W ]xg = A sin kx + B cos kx (Ⅳ. 2-63)

실제로 이 해를 위의 방정식에 대입해 보면 방정식을 잘 만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 해는 x = 0 과 x = L 에서 파동 함수 W ]xg = 0 이 되어야
하는 경계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x = 0 일 때 두 번째 항이 cos 0 = 1 되므
로 이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B = 0 이 되어야한다. 그래서 해는
다음과 같게 된다.
W ]xg = A sin kx (Ⅳ. 2-64)
그리고 x = L 일 때 sin kL = 0 이어야 하므로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조
건은 다음과 같다.
kL = nr , ]n = 1, 2, 3, gg (Ⅳ. 2-65)
그래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하는 입자의 파동 함수 형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W n ]xg = A sin a
x , ]n = 1, 2, 3, gg
nr k

L (Ⅳ. 2-66)
이 결과식은 고전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구한 파동 함수와 일치한다. 그리고
이 파동 함수에 규격화 조건을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이 만족되어야 한다.

W n ]xg dx = A 2
nr
# #
3 2 L
sin 2 xdx
-3 0 L
1b 2nr l
#
L
2
=A 2 1 - cos L x dx
0

= A
L 2
2 =1
이 조건으로부터 A =
2 임을 얻을 수 있고 이 값을 파동 함수에 적용하
L
면 다음과 같은 규격화된 파동 함수 W n ]xg 를 얻을 수 있다.

W n ]xg = sin a x , ]n = 1, 2, 3, gg
2 nr k
L L (Ⅳ. 2-67)

마찬가지로, 에너지 관계식으로부터 에너지 E n 의 값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 n , ]n = 1, 2, 3, gg
r 2&2 n 2 h2 m 2

En = 2 (Ⅳ. 2-68)
2mL 8mL2
2
양자 역학에서의 미분 방정식는 파동 함수의 제곱 W n 에 비례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동 함수가 달라지게 되면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의 분포도 달
라진다. 예를 들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W 1 2 의 경우 입자가 존재할 확률

260
Ⅳ 현대물리

이 상자의 중앙 위치 x = L/2 에서 최대치를 보이는 반면, W 2 2 의 경우에


는 그 중앙 위치에서 확률이 0이 된다. 즉 양자수 n 이 변함에 따라 특정 위치
에서 입자가 존재할 확률도 달라지게 된다. 물론 같은 양자수에서도 위치에 따
라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이 다르다. 반대로, 고전 물리학적 관점에서는
상자 안의 입자는 x = 0 과 x = L 사이를 자유롭게 운동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위치에서든지 입자가 존재할 확률은 일정하다. 그럼에도, 만약 양자수 n
이 아주 큰 경우에는 근사적으로 상자 내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입자가 존재할
확률이 일정하기에 고전 물리학에서의 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양
자수가 아주 큰 경우 양자 역학적인 결과와 고전 물리학적 결과가 동일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데 이를 대응 원리라고 한다.

6.4 터널 효과(tunneling effect)


터널 효과(tunneling effect)라고 하는 입자의 장벽 투과(barrier
penetration)현상은 고전 역학과 양자 역학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
적인 물리 현상이다. 고전 역학적인 관점에서 입자의 총 에너지보다 큰 위치
에너지를 가지는 영역에서는 입자가 절대로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입자의
운동 에너지가 음이 되어야 하므로 물리적으로 절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
다.그러나 양자 역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러한 일이 충분히 가능하고 그러한
현상들이 관측되고 있다.
터널 효과가 일어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그림 (Ⅳ. 2-23)과
같이 유한한 높이와 유한한 너비를 가지는 퍼텐셜 장벽이 있다고 가정하자. 먼
저 고전적인 관점에서 보면 왼쪽에서 입사하는 입자의 경우 총 에너지가 퍼텐
셜 장벽보다 높지 않는 한 그 입자는 반드시 반사해야만 한다. 그러나 양자 역
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물질파를 이루는 입자 중 일부가 반사하고 나머지는 투
과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입자는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확률로 투과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마치 장벽을 뚫
고 지나가는 것과 같아 터널 효과라고 부른다. 이러한 터널 효과는 장벽의 높이
가 낮고 너비가 좁을수록 크게 일어난다.
정량적으로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게 되면, 터널 효과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슈뢰딩거 방정식의 형태에 따라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I 영역과 III 영역은 앞에서 살펴본 U - E 값이 음수가 되어 1차원 상
자 속의 입자와 같이 파동 함수가 삼각함수의 형태로 나오게 된다. 이것은 일
반적인 삼각함수 형태의 파동 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II 영역에서는

261
U - E 값이 양수가 되어 파동 방정식의 해가 삼각함수 형태가 아닌 지수 함수

U
WⅠ

W WⅡ
WⅢ
U

Ⅰ Ⅱ Ⅲ

그림 (Ⅳ. 2-23) 유한 퍼텔셜 장벽에서의 입자의 터널 효과

형태의 해를 가지게 된다. II 영역에서의 정확한 파동 방정식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2m ]U - Eg
W ]xg - W ]xg =
d2
2
dx &2

W ]xg - a 2 W ]xg = 0
d2
dx 2 (Ⅳ. 2-69)
여기서 U 는 퍼텐셜 장벽의 높이를 말한다. 그리고 이 파동 방정식의 해에
해당하는 파동 함수는 다음과 같다.
W ]xg = Ce -ax (Ⅳ. 2-70)

먼저 장벽 내에 입자가 존재할 확률은 W 2 에 비례하기 때문에 II 영역에서


의 입자가 존재할 확률은 0이 아니게 된다. 즉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다. 또한, 여기서 a 는 지수 함수에서 감쇠 계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퍼텐셜
장벽이 높을수록 a 값은 증가하기 때문에 II 영역에서의 입자가 존재할 확률이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입자가 투과될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더 정량적인 해석을 하려면 완전한 파동 함수의 형태를 구해야 한다. 그러
기 위해서는 각 영역에서 고려한 파동 함수들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는 경계
조건을 만족시켜서 해결할 수 있다. 그렇게 얻은 입자의 완전한 파동 함수로
부터 우리는 입자가 얼마의 확률로 투과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투과 계수
(transmission coefficient) T 를 구할 수 있다. 그 결과 투과 계수 T 는 근
사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2m]U - Eg /& (Ⅳ. 2-71)
T . e -2aL . e -2L
이 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장벽의 너비 L , 입자의 질량 m , 장벽의 높이
U 가 클수록 투과할 확률이 낮고, 반대로 입자의 에너지 E 는 작을수록 투과
확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입자의 질량이 크고 장벽의 너비가 넓은 거시 세계에
서는 터널링 현상을 관측할 수 없다. 이러한 터널링 현상은 미시 세계에서만 관

262
Ⅳ 현대물리

측되는데 그 예로 방사성 붕괴와 같은 자연현상에서 볼 수 있으며, 주사 터널링


현미경(Scaning Tunneling Microscope: STM)의 작동 기본 원리로도 사
용되고 있다.

6.5 주사 터널링 현미경


퍼텐셜 장벽을 투과할 수 있는 터널링 현상의 대표적인 응용 사례는 전자의
터널링 현상을 이용하여 원자 크기의 표면을 관찰하는 데 쓰이는 주사 터널링
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이다(그림 (Ⅳ. 2-24)).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광학 현미경의 경우 파장의 길이 한계를 벗어
날 수 없어 약 500 nm의 분해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터널링 현상을 이용
한 STM의 분해능은 약 0.2 nm 정도로 원자 단위의 구별도 충분히 가능하다.
일반 광학 현미경과 전자의 물질파를 이용하는 전자 현미경은 시료에 산란되는
파동을 이용하여 관측하는 것과는 달리, STM은 시료로부터 터널링되는 전자
들을 측정하여 시료를 관측한다.
STM에서 전자가 터널링되어 영상을 얻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z 압전


y

x 압전 I

그림 (Ⅳ. 2-24) STM의 구조 개략도

끝이 매우 날카로워 그 끝이 거의 단일 원자로 구성된 금속 탐침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 표면에 가까이 가져간다. 그렇게 되면 금속 탐침의 전자들과 시료 내
의 전자들 사이에는 큰 퍼텐셜 장벽이 있는 것과 같게 된다. 이 장벽은 표면에 있
는 원자들로부터 전자를 떼어내는 광전 효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일함수만큼의 높
이 즉 수 eV의 크기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시료 내의 전자가 탈출하여 금속 탐침
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수 eV의 에너지가 필요하나, 금속 탐침과 시료 표면 사
이의 간격을 1 ~ 2 nm 정도로 가까이 놓게 되면 수십 meV의 낮은 전압만 걸어
주어도 터널링 현상으로 인해 전자가 투과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263
투과 계수 T 는 틈새 간격 L 에 e -L 의 형태로 비례하기 때문에, L 의 아
주 작은 변화에도 투과 전류가 크게 변하게 된다. 여기서 일정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탐침의 높낮이를 계속해서 조정해 주고 조정한 정도를 기록하여 표
면의 위치에 따른 높낮이 지도를 그리게 된다. 이렇게 세밀한 높낮이 조절을 위
해서 가해준 전압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띤 소자
를 이용한다. 이러한 압전성을 이용하여 금속 탐침의 x , y 방향의 수평 운동
과 z 방향의 수직 운동을 조절한다. 즉 STM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진정한 의
미에서의 높낮이 지도는 아니고, 표면에서의 일정한 전자 밀도를 나타내는 등
고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그림 (Ⅳ. 2-25)).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자 단
위의 표면 연구에 아주 중요하게 쓰이는 장비이다. 이렇게 터널 전류를 일정하
게 유지하면서 높낮이는 측정하는 방식과 다른 측정 방식이 있다. 탐침의 높이
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탐침과 시료 사이의 투과 전류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전자의 터널링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 탐침 전자와 시료의 원자 및 전
자가 밀어내는 힘의 정도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 표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원
자힘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
해능 면에서는 STM보다 떨어지나, 모든 시료 표면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측
정도 STM보다 아주 쉽다.

그림 (Ⅳ. 2-25) GaAs의 STM 이미지

MEMO

264
Ⅳ 현대물리

연습문제

01 폭이 L 인 일차원 무한 퍼텐셜 상자 속에 갇힌 질량 m 인 입자가 있다.

(1) 이 입자의 파동 함수를 구하시오.


(2) 0.5 L 과 0.7 L 사이에서 바닥 상태에 있는 입자가 발견될 확률을 구하시오.
(3) 0.5 L 과 0.7 L 사이에서 첫 번째 들뜬 상태에 있는 입자가 발견될 확률을 구하시오.

02 파동 함수가
2
} = Ae -cx 인 입자에 대해 규격화 과정을 통해 A 의 값을 결정하시오.

03 30 eV 의 에너지를 가진 입자가 퍼텐셜 에너지가 40 eV 인 장벽 안에 있다.


(1) 장벽의 폭( L )이 1.0 nm 일 때, 전자가 장벽을 투과할 확률을 구하시오.
(2) 장벽의 폭( L )이 0.1 nm 일 때, 전자가 장벽을 투과할 확률을 구하시오.
(3) 장벽의 폭이 0.1 nm 인 경우는 1.0 nm 에 비해 투과할 확률이 몇 배인가?

0 # x # L 에서 } ]xg = sin a
04 2 rx k
무한한 사각 우물에 있는 입자는 을 가지고 나머지 영역
L L
에서는 0을 가진다.
L
(1) 0 # x # 3 에서 입자를 찾을 확률을 구하시오.
(2) (1)의 결과를 고전적인 확률과 비교하시오.
L 2L 사이에서 입자를 찾을 확률을 구하시오.
3 #x# 3
(3) (1)의 계산 결과와 대칭 조건을 이용해서

05 파동 함수가 } ]xg 로 주어지는 입자에서 어떤 물리량 f ]xg 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f ]xg >/ # } ) f ]xg }dx
3

-3

1차원 상자 0 # x # L 안에 입자가 있을 때 다음을 증명하시오.


L2 L2

< x 2 >$ 3 -
2n 2 r 2

265
3 핵반응
01 핵분열과 핵융합의 기본 과정
02 핵융합과 핵융합 기술의 전망

생각 열기
세계 인구의 급증과 문화 수준의 향상에 비례하여 요구되는 에너지 수요의 증대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
의 개발과 꾸준한 기술 혁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현재 가장 기대하고 있는 에너지원 중의 하
나가 바로 핵융합이다. 핵융합에 대한 연구는 1949년 구소련이 원폭 제조에 성공을 거두자 미국이 이에
대항하여 핵융합을 이용한 수소 폭탄의 개발에 나서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일반인들에게 핵융합이 전쟁
에 쓰일 핵폭탄 제조를 위한 것으로만 널리 알려진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미래 에너지원
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현재는 전 세계에서 핵융합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5년 한국형 인공 태양이라 하는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KSTAR)의 착공으로 핵융합 연
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66
Ⅳ 현대물리

핵분열과 핵융합의 기본 과정
01 학습 목표 ■ 핵분열의 기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핵융합의 기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1.1 핵분열의 기본 과정

원자 에너지

큰원자
원자
그림 (Ⅳ. 3-1) 핵분열. 무거운 원자핵이 둘 이상의 가벼운 원자핵으로 바뀌는 핵반응

핵분열은 무거운 원자핵이 두 개나 그 이상의 가벼운 원자핵으로 바뀌는 핵


반응을 말한다(그림 (Ⅳ. 3-1)). Fe보다 무거운 원자핵에서는 원자핵이 커질
수록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작아진다. 그래서 핵분열이 일어나면 분열이 일어
나기 전의 어미핵의 질량이 분열 후 두 딸핵의 질량을 합한 것보다 더 크게 된
다. 이 질량의 차이가 핵분열이 일어나면서 에너지로 방출되는 것으로써 질량
이 순수한 에너지로 바뀌어 방출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핵분열에서 방출되는 대량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핵분열이
전체 핵연료로 퍼져 나가게 해야 한다. 핵분열에서 소모되는 중성자보다 생성
되는 중성자가 많게 되면 생성된 중성자들이 각각 또 다른 핵분열을 유도하여
연쇄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연쇄 반응을 제어하는 것은 핵분열을 통해 얻은 에
너지를 우리가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핵자당 결합 에너지

Fe

질량수

그림 (Ⅳ. 3-4) 원자의 질량에 따른 결합 에너지

267
235
U 원자핵 한 개가 분열할 때마다 평균적으로 약 2.5개의 자유 중성자가
방출된다. 이때 연쇄 반응을 유지하려면 방출된 중성자의 40% 가 필요하다.
235
U 원자핵은 높은 에너지(1MeV 정도)의 중성자보다는 낮은 에너지(1eV 이
하)의 중성자를 훨씬 잘 흡수한다. 따라서 높은 에너지의 중성자를 감속재로 사
용되는 물질에 통과시켜서 중성자가 감속재의 원자핵과 충돌해서 느려지게 만
들어 핵분열이 더 많이 일어나게 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감속재로는 흔히 물
을 사용하며 가끔 흑연을 사용하기도 한다.
연쇄 반응에서 중요한 변수는 연쇄 반응의 한 세대와 이전 세대에서의 중성
자 수의 비이다. 반응이 일어나는 비율은 다른 반응이 없이 중성자만 흡수하는
원소(주로 카드뮴(Cd))로 만들어진 제어봉을 넣었다 뺐다 하는 것으로 조절된
다. 동위 원소 238
U 도 중성자를 흡수하여
U 가 될 수 있지만, 스스로 연쇄 239

반응을 유지할 만큼 충분히 높은 확률로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원자로에서 사용하는 우라늄은 대개 동위 원소 분리 과정을 통하여 235
U 의비
율을 자연에 존재하는 비율 0.7% 보다 높게 만들어 사용한다. 우라늄 연료의
235
U 의 비율은 보통 3% 정도이다.
그림 (Ⅳ. 3-2)는 원자력 발전소의 개략도이다. 높은 에너지의 핵분열 조각
들은 원자로 중심부를 둘러싸고 있는 물을 뜨겁게 한다. 증기 발생 장치는 방
사능이 강한 물에서 열을 취해서 터빈을 돌리는 데 필요한 방사능이 없는 증기
를 만드는 열 교환기이다. 원자로의 작동은 많은 안전 장치를 필요로 한다. 예
를 들어 원자로 용기와 증기 발생기는 강철로 만들고 그 위를 콘크리트 재료를
보강하여 덮어씌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스리마일섬의 원자력 발전소
사고(1979년), 구소련(현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1986
년), 일본의 대지진과 쓰나미에 의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2011년)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더욱 강화된 안전성 장치와 적절한 조치를 요구한다.

가압기

제어봉
증기

차계 터빈
원자로 압력용기 발전기

방수로
연료
냉각수
증기발생기 해수
냉각재 펌프
점화장치
차계 급수펌프

그림 (Ⅳ. 3-2) 원자력 발전소의 개략도

268
Ⅳ 현대물리

1.2 핵융합의 기본 과정

핵융합은 핵분열과는 반대로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을 서로 결합하여 보다 무


거운 원자핵을 만드는 것이다(그림 (Ⅳ. 3-3)). 질량수가 Fe보다 가벼운 원자핵
은 기본적으로 더 큰 덩어리로 결합하였을 때 더 안정한 상태로 된다. 특히, 질
량수가 10 이하인 원자핵은 두 개의 아주 가벼운 원자핵이 하나의 원자핵으로
결합될 때, 핵융합이 일어나기 전 원자핵의 질량의 합보다 핵융합 뒤에 만들어
진 원자핵의 질량의 합이 더 작다. 즉, 핵융합도 질량 차이에 의해 방출되는 에
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원자 에너지

큰원자
원자
그림 (Ⅳ. 3-3) 핵융합. 가벼운 원소의 원자핵을 서로 결합하여 보다 무거운 원자핵을 만드는 것.

핵융합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나 핵융합은 두 원자핵이 충분히


가까이 접근할 때에만 핵력이 작용하기 시작하여 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원
자핵이 가까워지면 원자핵의 양(+) 전하 사이의 척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핵융
합이 일어날 정도로 가까워지기가 어렵다. 따라서 두 원자핵 사이의 전기적 척
력(쿨롱(Coulomb)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열을 이용하여 원자핵의 속도를 높
여 핵융합을 일으키는 방법이 있다. 즉, 입자들이 전기적 반발을 이기도록 충
분히 가깝게 밀착시키는 데 10 8 K 보다 더 높은 고온이 필요하다. 이런 고온의
상태에서 충돌률을 높임으로써 반응률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높은
입자의 밀도(단위 부피당 중양성자의 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입자들을 고온
상태로 올린 후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입자를 가두어야
한다.

269
핵융합과 핵융합 기술의 전망
02 학습 목표 ■ 별의 핵융합과 플라스마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 핵융합로의 원리를 설명하고 핵융합 기술의 전망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2.1 별에서의 핵융합


별의 근본적인 에너지 생산 과정은 수소 헬륨의 핵융합이다. 이렇게 수소
핵융합 과정을 거치면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별들을 주계열성이라고 하고, 태
양도 이 주계열성의 한 예이다. 수소 핵융합에서 가장 일반적인 반응 순서 과
정은 양성자-양성자 순환 과정이다. 자세한 과정은 그림(Ⅳ. 2-5)에 나와 있
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헬륨핵 하나가 만들어질 때 방출되는 총 에너지는
무려 24.7 eV에 해당한다.
수소 핵융합 과정으로 인해 별에 헬륨핵이 형성되면 핵은 점점 수축하면서
좀 더 고온이 된다. 결국 헬륨도 핵융합을 시작하며 탄소와 산소가 만들어지게
된다. 헬륨이 별의 중심부에서 핵융합하는 동안에도 헬륨 핵 주변의 얇은 껍질
에는 수소핵 융합이 계속해서 일어난다. 따라서 에너지 생성률은 중심부에서
수소가 탈 때보다 한층 증가하여 결국 별은 그만큼 더 밝아지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별의 내부에서 바깥으로 에너지를 계속해서 내보냄에 따라 핵융합이 일
어나지 않는 별의 외곽은 거대한 크기로 팽창하여 별의 표면은 다시 온도가 내
려가게 된다. 그러면 이 별은 더 이상 주계열성이 되지 못하고 보통의 질량을
갖는 경우 적색 거성이 되고, 좀 더 질량이 큰 경우에는 황색이나 적색의 초거
성이 된다.
핵융합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야 하지만, 태양과 같
은 출력 에너지가 큰 별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태양과
같은 별의 경우는 자체 질량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만유인력으로 수소 기체를 밖으
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지속적인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H + 1H
1
H + e+ + ν
2
H + 1H
1
H + e+ + ν
2

e+ + e- γ+ γ e+ + e- γ+ γ

H + 1H
2
He + γ
3 2
H + 1H He + γ
3

He + 3He
3
He + 1H + 1H
4

그림 (Ⅳ. 3-5) 태양의 핵융합 반응 과정

270
Ⅳ 현대물리

2.2 플라스마
중수소나 삼중 수소 등의 가스를 계속해서 가열하게 되면 그림과 같이 이 가
스는 더 이상 기체 상태로 남아 있지 못하고 이온핵과 전자로 분리된 상태로 있
게 된다. 이러한 이온핵과 전자들로 이루어진 입자들의 집합체를 플라스마라고
한다. 그래서 물질의 세 가지 대표적인 형태인 고체, 액체, 기체와 더불어 제4의
물질 상태라고도 한다. 핵융합이 계속해서 일어나게 하려면 초고온의 플라스마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다.

+
- - +
+
- -
+
-
+
-
+
+ -
+
- - +

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

가열

그림 (Ⅳ. 3-6) 태양의 핵융합 반응 과정

2.3 핵융합로
핵융합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를 유지해야 하므로,
핵융합로는 그 방법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중력 가둠 핵융합, 자기
가둠 핵융합, 관성 가둠 핵융합이다.먼저 중력 가둠 핵융합이란 별에서의 핵융
합과 같이 거대한 질량에 의한 만유인력으로 플라스마 입자가 달아나지 못하게
되어 핵융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지상에서는 이렇게
거대한 질량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실제로 핵융합로로 많이 쓰이는 방식은 자 그림 (Ⅳ. 3-7) 중력 가둠 핵융합의 예
기 가둠과 관성 가둠이다.
자기 가둠 핵융합은 말 그대로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기를 띤 플라스마
입자들의 운동을 제한하여 자기력선으로 이루어진 그릇에 가두는 방식을 말한다.
자극방향 자기장 코일
자극방향 자기량 코일
(?)

플라스마 입자들은 기본적으로 전하를 가지고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강한 자기장 도넛형 자기장 코일
도넛형 자기장 코일

을 걸어 주면 자기력선 방향으로 나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마 입자


의 운동 특성을 이용하여 플라스마를 가둘 수 있는 전기력선으로 이루어진 자기
그릇을 토카막(Tokamak) 장치라고 한다(그림 (Ⅳ. 3-8)). 이는 토로이드 모양
의 자기장 구멍이라는 러시아어로 구소련에서 처음 개발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플라스마
플라즈마

또한 토카막 장치 내에서 플라스마에 흐르는 전류는 자기장을 만들어 플라스마를


중심 자기장 코일
중심 자기장 코일
가두어 안정화할 뿐 아니라 플라스마 자체의 전기 저항으로 인해 플라스마 입자
그림 (Ⅳ. 3-8) 자기 가둠 핵융합을
들을 가열시킨다. 하는 토카막 장치의 개략도

271
이러한 방법으로 플라스마를 초고온으로 만들어 핵융합을 일으키게 된다.
토카막 장치는 핵융합로 장치로 가장 성능이 우수하기에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의 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고, 현재도 플라스마 안정화를 위해 열심히 연구
하고 있다.
관성 가둠 핵융합은 작은 구슬 모양의 핵연료 표적에 강력한 출력의 레이저
나 X-선과 같은 강력한 빛을 가해 주면 구슬 내부는 고체 밀도의 수백 배가 넘
는 초밀도 상태가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면서 충격파가 발생한다. 즉 순간적
인 충격파로 고밀도 플라스마를 얻게 되고 동시에 핵융합 연료가 가열되어 핵
융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수소 폭탄의 경우는 핵분열을 먼저 일으키고 여
기서 얻은 고온, 고압을 이용한 관성 가둠에 의한 핵융합이지만, 이 장치에서
원하는 것은 핵폭탄처럼 일시에 나오는 에너지가 아니라 필요한 일정량의 에너
지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제어된 형태의 에너지이다. 관성 가둠 핵융합로
는 작은 구슬 모양의 핵연료 표적의 제작상의 어려움과 효율성 및 안정성이 떨
어져서 그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레이저 에너지 분출 내부로 작용하는 열에너지

레이저 충돌 연료를 압축 표면 증발이 점화 이때 연료의 내부 폭발 압축된 연료가


레이저로 충돌시킨다. 일어나고 반작용에 밀도는 납의 20배이며 폭발하면서 입사된
의해 연료의 내부는 온도는 1억 ℃이다. 에너지보다 많은 에
압축된다. 너지를 내놓는다.

그림 (Ⅳ. 3-9) 관성 가둠 핵융합의 과정

2.4 핵융합 기술의 전망


핵융합 연구는 초기 예상과는 달리 자기장 속에 가둔 초고온 플라스마의 불
안정성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기술 수준
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연구에 비해 발전 속도가 느렸다. 그러나 1968년 구소
련의 과학자들이 토카막 장치를 이용하여 초고온에서 안정된 플라스마 밀폐 결
과를 발표하여 핵융합 연구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토카막 장치에 의한 핵융합 연구는 비약적인 발전을
시작하였고, 1970년대 중반에 있었던 아랍권 국가들의 석유 수출 금지 조치로
전 세계의 석유 가격이 인상되면서 이에 대응하는 세계적 노력의 한 방법으로
선진국들에 의해 본격적인 핵융합 에너지 개발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상에서

272
Ⅳ 현대물리

수소끼리의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중수소나 삼중 수소


를 이용하여 핵융합을 일으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중수소는 바닷물 1 m 3 속에
약 34g 포함되어 있고, 삼중 수소도 바닷물 속에 풍부하게 있는 라듐으로부터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연구가 학술 연구의 영역을 벗어
나지 못하고 있다.
1980년대 초반에 세계 3대 장치로 일컬어지는 미국의 ‘TFTR’, 유럽 연합
의 ‘유럽 공동 연구 토러스(JET)’, 일본의 ‘JT-60U’ 등과 같은 중대형 토카막
형 핵융합 실험 시설이 건설 운영되어, 핵융합 기술의 과학적·기술적 타당성
을 입증해 왔다. 1988년에 핵융합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해 실용화 단계의 발
전을 이루려고 미국, 유럽 연합, 일본, 러시아가 주도하여 ‘국제 핵융합 실험로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ITER)’ 공동
개발 사업 계획이 추진되어 현재 공학 설계가 완료되었다. 2001년 공학설계
종료 후 참여국들은 ITER 공동개발사업 추진을 위하여 건설부지 결정 및 공동
이행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2003년에 정부 차
원에서 참여를 결정하고 기존 참가국에 참여 의사를 전달하였으며, KSTAR
건설 상황과 국내 산업체의 기술 역량을 높이 평가받아 기존 참여국의 만장일
치로 그해 6월부터 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21세기 중반이 되면 세계 인구는 두 배, 에너지 소
모량은 세 배로 증가하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산업화된 모든 나라에서는 경제
성장과 산업 발전을 위해서 지금보다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그림 (Ⅳ.3-10) KSTAR 주장치
모습
핵융합 상용화의 성공은 곧 인류가 에너지 문제에서 영원히 해방된다는 뜻이
기도 하다. 따라서 핵융합이 인류의 궁극적인 에너지원으로 핵분열보다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핵분열이 일찍이 상용화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화력 발전에 대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핵융합의 실용화는 매우 느리
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추세로 볼 때 핵융합로 기술 개발이 계획대로 진행된
다 하더라도 상업용 핵융합로는 2050년 이후에나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된다. 그러나 핵융합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이 나온다면 이 시간도 단축될 수 있
그림 (Ⅳ. 3-11) KSTAR에서 만
을 것이다. 든 플라스마

273
4 기본 입자
01 상호 작용과 표준 모형
02 입자 검출기

생각 열기
아주 친숙한 개념인 원자가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이다.
그 후 여러 연구를 거듭하여 더 이상 나누어질 수 없다는 의미인 원자도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원자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라는 핵자로 구성되었으며, 양성자와 중성자들은 쿼크라는
입자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원자핵 수준의 상호 작용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 물리학에
서의 상호 작용과는 아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단원에서는 자연을 이루는 기본적인 상호 작
용과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들에 대해서 살펴보며, 표준 모형에 따라 우주를 이루는 기본 입자가 무
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274
Ⅳ 현대물리

상호 작용과 표준 모형
01 학습 목표 ■ 네 가지 기본 상호 작용을 알고 그 크기와 적용 범위를 비교할 수 있다.
■ 표준 모형에 있는 쿼크, 렙톤, 매개 입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1.1 기본 상호 작용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적 현상은 매우 다양하며 복잡하지만 기본적
으로 네 가지의 상호 작용에 따른다. 네 가지 상호 작용은 중력 상호 작용, 전
자기적 상호 작용, 약한 상호 작용, 강한 상호 작용이다. 처음 두 상호 작용은
아주 친숙한 중력과 전자기력에 해당하고 일상생활에서 보게 되는 대부분의 물
리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다음의 두 상호 작용은 원자핵 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보기 힘든 물리적 현상을 담당한다. 즉 핵자들 사이에 작
용하는 강한 상호 작용과 b 붕괴 때 작용하는 약한 상호 작용을 말한다. 여기
서 우리가 생각하는 힘의 의미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고전물리에서의 힘은 입
자의 운동 상태를 변화시켰다면 현대물리에서의 힘은 보다 확장하여 입자의 반
응, 생성, 소멸, 붕괴와 같은 입자에 일어나는 모든 변화를 일으키는 힘이라고
봐야한다. 한편 힘의 세기 즉 상호 작용이 강한 것부터 나열해 보면 강한 상호
작용, 전자기적 상호 작용, 약한 상호 작용, 중력 상호 작용의 순서가 된다. 이
네 가지 근원적인 상호 작용에 대해서 힘의 크기 순서대로 살펴보자.
(i) 강한 상호 작용: 아주 강한 상호 작용으로 원자핵 내의 중성자와 양성자
를 강하게 묶어 놓는 힘을 말한다.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시간은 10 -23 s 정도
이며 이 작용에 참여하는 입자를 강입자(hadron)이라고 한다. 강입자는 입자
의 특성에 따라 중간자(meson)와 중입자(baryon)로 분류된다.
(ii) 전자기 상호 작용: 중력 다음으로 친숙한 힘으로 전하나 자기를 띠고
있는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다. 보다 근원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전하나
자기를 띤 입자들이 광자를 매개로 하여 작용하는 상호 작용이다. 그 상호 작용
의 크기는 강한 상호 작용에 비해 10 -2 배 정도 작고, 상호 작용 시간은 10 -16
~ 10 -21 s 정도이다. 모든 강입자들은 이 작용에 참여하고 있으며, 전자와 n 입
자도 포함된다.
(iii) 약한 상호 작용: 약한 상호 작용은 원자핵의 붕괴에 의하여 작용하는
특수한 힘을 말한다. 강한 상호 작용에 비해서 10 -5 배 정도의 힘의 크기를 가
지고 있고, 전자기 상호 작용보다는 10 -3 만큼 힘이 작다. 약한 상호 작용의 존

275
재는 원자핵으로부터 b 입자인 전자가 어떻게 방출되는지 이해하는 과정에서
알려졌다. 상호 작용에는 모든 강입자와 경입자가 관여한다. 그리고 약한 상호
작용은 W + , W - , Zc 등에 의해 매개된다. 다른 상호 작용과는 달리 약력을 매
개하는 입자는 질량이 매우 크다. 상호 작용의 시간은 10 -10 ~10 -16 s 정도이다.
(iv) 중력 상호 작용: 네 가지 힘 중에서 가장 작은 힘으로 강한 상호 작용에
비해 10 -39 배 정도 작은 힘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력은 강한 상호
작용과 약한 상호 작용과는 달리 그 작용 범위가 무한대이다. 또한 인력과 척력
이 작용하는 전자기력과는 달리 항상 인력이 작용한다. 이 상호 작용의 매개 역
할을 하는 입자를 중력자(graviton)라 한다. 이 힘은 주로 전기적으로 중성인
거시적인 물체 사이의 물리적 현상을 다룬다. 즉 태양계 내의 행성들의 운동,
별 및 은하계와 같은 거시 세계의 힘과 관련이 깊다.

매개 입자
상호 작용 세기 작용 범위 정지 질량
이름 전하량 스핀
(GeV/C2)
강한
1 ~10-15 m 글루온 0 0 1
상호 작용
전자기
상호 작용
~10-2 ∞ 광자 0 0 1

약한
~10-5 ~10-18 m W±, Z° 81, 91 ±e, 0 1
상호 작용
중력
상호 작용
~10-39 ∞ 중력자 0 0 2

그림 (Ⅳ. 4-1) 자연의 네 가지 기본 상호 작용

1.2 입자들의 종류
물리학적으로 기본 입자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이 되는 입자를 말하며, 한
입자 내부에 더 간단한 다른 입자가 없는 입자로 정의된다. 얼마 전까지만 해
도 우리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요소는 원자로 알고 있었으나 다시 원자는 원자
핵과 전자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다시 작은 원자핵도 양성자와 중성자
로 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더 이상 쪼개질 수 없을 거라 생각했지만 양성자
와 중성자들도 그 내부는 쿼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기본 입자라고 알려진 것들은 광자(photon), 경입자(lepton), 강
입자(hadron) 등이 있다. 강입자들은 다시 쿼크들로 구성되지만 앞서 논의한
것처럼 우선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보자. 이러한 기본 입자들은 질량, 스핀
(spin), 전하량, 기묘도(strangeness), 수명 등의 특성으로 구별될 수 있다.
경입자는 초기에는 단순히 핵자보다 가볍다는 의미에서 출발했으며, 내부
구조와 공간상의 크기가 거의 없는 기본입자이다. 그리고 이 입자들은 강한 상

276
Ⅳ 현대물리

호 작용을 하지 않고 전자기 상호 작용, 중력 상호 작용, 약한 상호 작용에만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모든 스핀이 1/2인 페르미 입자(fermion)의 특성을
가진다. 경입자들로는 전자 e , 뮤온 n , 타우 입자 x 그리고 각각 이들에 대
응하는 세 개의 중성미자 o e , o n , o x 와 이들의 반입자가 있다. 입자들의 반
응 전후에 바뀌지 않는 양이 존재하는데, 이를 경입자 수라고 하고 그 보존 법
칙을 경입자수 보존 법칙이라고 한다. 경입자수로는 L e , L n , L x 등이 있다.

정지 질량
입자 기호 반입자 Le Ln Lx 수명(초) 주요 붕괴 방식
(MeV/c2)

전자 e- e+ 0.511 +1 0 0 안정

전자 중성미자 oe oe 0(?) +1 0 0 안정

뮤온 μ- μ+ 105.7 0 +1 0 2.20 X 10-6 e- o e o eμ

뮤온 중성미자 o eμ o eμ 0(?) 0 +1 0 안정

타우 입자 τ- τ+ 1.784 0 0 +1 < 4 X 10-13 μ - o eμ o x , e- o e o x

타우 중성미자 vτ vτ 0(?) 0 0 +1 안정

그림 (Ⅳ. 4-2) 경입자의 종류와 특징

강입자는 경입자와는 달리 강한 상호 작용을 하는 기본 입자를 말한다. 크기


가 유한하다는 점에서 경입자와는 다르다. 그리고 스핀의 특성에 따라 중입자
(baryon)와 중간자(meson)로 나뉜다. 중입자는 스핀이 1/2, 3/2과 같이 반
정수인 페르미 입자(fermion)의 특성을 가진 입자를 말하며, 반대로 중간자는
스핀이 0, 1과 같이 정수인 보즈 입자(boson)의 특성을 가진 입자를 말한다.
한편 강입자들은 더 작은 단위인 쿼크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통해 강입자
내에 또 다른 하부 구조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강입자의 구성 요소인 쿼크들은 6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물리학자들은 이들
을 up/down, strange/charm, bottom/top의 세 쌍으로 분류하고, 이들
의 첫 글자만을 따서 u, d, s, c, b, t로 표현하여 사용한다(그림 (Ⅳ. 4-3)).
그리고 쿼크들은 색전하라는 새로운 개념의 특징을 가지게 되는데, 즉 각각의
쿼크들은 색전하 R, G, B 중 하나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강한 상호 작용의 양
자 색역학에 따르면 쿼크들은 전체가 무색이 되어야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다
시 말해서 중입자의 경우 퀴크는 하나씩 R, G, B의 색을 가져야 하며, 중간자
의 경우는 R , R 또는 G , G 또는 B , B 형태의 색 결합만 가능하다. 또한
강한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글루온(gluon)도 색을 띠며, 이에 따라 글루온과
상호 작용한 쿼크들의 색도 달라져야 한다. 몇 가지 강입자의 주요 성질을 나타

277
낸 것이다.

기호 Q/e 스핀 중입자 수 Strageness Charm Bottomness Topness

2 1 1
u ―
3

2

3
0 0 0 0
1 1 1
d -―
3

2

3
0 0 0 0
1 1 1
s -―
3

2

3
-1 0 0 0
2 1 1
c ―
3

2

3
0 +1 0 0
1 1 1
b -―
3

2

3
0 0 -1 0
2 1 1
t ―
3

2

3
0 0 0 +1

그림 (Ⅳ. 4-3) 쿼크의 종류와 특징

1.3 표준 모형
표준 모형(standard model) 이론은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와 이들 사이의 상
호 작용을 다루는 현대 입자물리학의 이론이다. 표준 모형에 따르면 모든 물질은
세 쌍의 쿼크들(u/d, s/ c, b/t)과 6개의 렙톤( e , n , x 와 이들의 중성미자 o e
, o n , o x )과 이들의 반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의 힘을 매개
하는 입자로 보손(boson)인 광자, 글루온, W !, Zc , 중력자 등이 있다. 두 입
자 간의 힘은 그들 사이에 다른 입자를 교환함으로써 전달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전달되는 입자를 매개 입자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신의 입
자로 알려진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힉스 입자가 있다.

쿼크

u c t
up charm top

d s b 힘을 매개하는 입자(boson)

down strange bottom


c
Z
H Z boson photon
Higgs
랩톤(경입자)
boson W g
e n τ W boson gluon
electron muon tau

ve vμ vτ
e μ τ
neutrino neutrino neutrino

그림 (Ⅳ. 4-4) 물질의 표준 모형

278
Ⅳ 현대물리

입자 검출기
02 학습 목표 ■ 입자 검출기의 기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1 입자 검출기
입자의 통과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입자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입
자와 검출기의 재료 사이에 상호 작용이 있어야 한다. 검출기의 원리는 기본적
으로 상호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검출기 속에 있는 물질의 이온화 과정을 측정
하는 것이다. 그 분류로는 상 변화 또는 화학 변화를 이용하는 안개상자와 같은
검출기가 있고, 직접 이온화를 이용한 가이거 계수기(Geiger counter) 같은
검출기가 있다. 마지막으로, 입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입자를 직접 가속시켜 출
력을 증가시킨 입자 가속기 검출기가 있다.

(i) 안개상자
1897년 영국의 윌슨(Wilson)이 고안하여, 윌슨의 안개상자라고도 한다.
이온화 입자의 경로를 관측하기 위한 장치로 초기 원자핵 실험과 우주선 실험
등에서 사용되었다. 과포화 상태에 있는 수증기 안에서 이온이 존재한다면 이
이온을 중심으로 수증기가 응축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을 이용하여 수증기로 포화된 증기를 급팽창시키면 수증기는 응결하지 않고 과
포화 상태가 된다. 이렇게 과포화된 수증기 안에 방사선 입자가 통과하면 그 경
로를 따라 일부 공기 분자들이 이온화된다. 그리고 생성된 이온들 중심으로 수
중기가 응결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외부에서 강한 조명용 광선을
쪼여 주어 방사선 입자가 지나간 자리를 직접 관찰하는 것이다.

그림 (Ⅳ.4-5) 윌슨의 안개상자

279
(ii) 가이거 검출기
1908년 독일의 요하네스 한스 빌헬름 가이거(Johannes Hans Wilhelm
Geiger)가 처음으로 고안한 것으로 가이거 검출기 혹은 가이거 계수기라고 한
다. 가이거 계수기는 크게 불활성 기체를 담은 계수관과 이를 출력할 수 있는
그림 (Ⅳ. 4-7) 1932년 가이거가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그림 (Ⅳ. 4-6)). 입력창으로
실험실에서 사용한 초기 가이거-뮐
들어온 방사선 입자들은 계수관 내에 있는 불활성 기체를 이온화하게 된다. 그
러 계수관
렇게 이온화된 기체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극미량의 전류에 해당하기에
증폭의 과정을 거쳐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최초의 가이거 계수기는 a 입자와
b 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c 선 및 X-선, 중성자의 검출에
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이거 계수기는 작은 크기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오늘날에도 이동식 입자 검출기로 흔히 사용된다.
음극

입력창

감마선
방출
Counter
저항기
건전지 R

그림 (Ⅳ.4-6) 가이거 계수기의 원리

(iii) CERN의 입자가속기


CERN은 유럽 협동원자핵연구소(Conseil Europeen pour la Recherche
Nucleaire)의 약자이다. 그림 (Ⅳ. 4-8)이 연구소는 스위스 제네바와 프랑스
사이의 국경 지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입자 물리학 연구소이다. 입자들이 고
에너지를 갖도록 가속시키고 이들을 직접 충돌시킴으로써 입자를 연구하는 것
으로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가속기의 성
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초창기부터 건설된 CERN의 가속기들을 살펴
보면 1957년 건설된 싱크로사이클로트론(Synchrocyclotron, SC), 1964
년에는 양성자 싱크로트론(Proton Synchrotron, PS), 1970년대에는 새로
운 가속기인 초 양성자 싱크로트론(Super Proton Synchrotron, SPS) 등
이 있다. 1971년에는 둘레 6.9km인 CERN 최초의 충돌기인 교차 저장 링
(Intersecting Storage Ring, ISR)이 건설되었고, 1989년 7월 14일에는
대형 전자 양전자 충돌기(Large Electron Positron collider, LEP)가 처
음 가동되었다. 2008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높은 에너지 입자 충
돌기인 강입자 충돌기(Large Hadron Collider, LHC)가 건설되었다(그림
(Ⅳ. 4-9)).

280
그림 (Ⅳ. 4-8) 스위스 쪽에서 본 그림 (Ⅳ. 4-9)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높은
CERN 연구소 건물 에너지 입자 충돌기인 LHC의 모습

281
5 소재 물리
01 띠 이론과 다이오드
02 레이저
03 탄소 나노튜브와 그래핀

생각 열기
오늘날 인터넷을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휴대전화로 통화하는 모습은 어느 날부터인가 매우 자연스러
운 일이 되어 버렸다. 현재는 휴대전화과 컴퓨터가 합쳐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걸어 다니면서 인터넷을
하는 정보 혁명 시대가 되었다. 21세기는 컴퓨터와 통신이 결합된 정보화 사회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사
실로 증명된 셈이다. 이러한 정보 통신의 혁명을 가져오는 큰 변화를 가능하게 한 것은 다름 아닌 반도체
이다. 이 단원에서는 반도체의 특성과 반도체의 성질을 설명하여 주는 원리 및 반도체 소자 등에 대하여 알
아 본다. 특히,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탄소 나노튜브와 그래핀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282
Ⅳ 현대물리

띠 이론과 다이오드
01 학습 목표 ■ 에너지 띠 이론을 이용하여 반도체를 설명할 수 있다.
■ pn 접합과 다이오드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1.1 에너지 준위와 띠 이론


일반적으로 고체는 전기 전도도의 성질에 따라 크게 도체, 부도체, 반도체

에너지
로 나누어진다.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의 전기 전도도를 갖는 고
체를 말한다. 고체는 보통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원자들의 집합체를 말하는
데, 앞에서 살펴본 하나의 원자와는 전혀 다른 전자의 성질을 가지게 된다. 예
를 들어 멀리 떨어져 있는 원자들 내의 전자의 에너지 준위들은 서로 같게 된
원자 사이의 간격
다. 그러나, 원자들 사이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원자 간의 상호 작용 (가)

으로 인하여 새로운 에너지 준위가 생성되어 마치 하나의 준위가 여러 개로 갈

에너지
허용된 띠
라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그림 (Ⅳ. 5-1)). 고체와 같은 무수히 많은 원자들
의 집합체를 생각한다면, 연속적으로 보이는 무수히 많은 에너지 준위들의 다 금지된 띠

발을 생각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럽다. 이러한 에너지 준위들의 다발을 에너지


허용된 띠
띠(energy band)라고 부른다.
원자 사이의 간격
하나의 원자 내의 전자와 마찬가지로, 고체 내의 전자들은 에너지 띠 내에 (나)

있는 에너지 준위에 해당하는 에너지만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띠를 허용된 띠 그림 (Ⅳ. 5-1) 에너지 준위 분리


(allowed energy band)라고 부른다. 반대로, 어떤 전자들도 허용하지 않 (가) 두 개의 원자가 서로 가까워 질
때 두 개의 새로운 준위가 생성된다.
는 에너지 띠 영역들이 존재하는데, 이 띠를 금지된 띠(forbidden energy (나) 고체와 같이 무수히 많은 원자
band) 혹은 띠 간격(band gap)이라고 부른다. 또한 전자들은 가장 낮은 에 들이 모이게 되면 새로운 준위들이
무수히 많이 생성되어 띠 모양을 형
너지 준위부터 채워지게 되는데, 채워진 에너지 띠 중에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 성하게 된다.
진 띠를 가전자 띠(valence band)라 부른다. 이 띠 바로 위에 대부분이 비어
있는 준위들의 띠가 존재하는데 이 띠를 전도 띠(conduction band)라고 부
른다. 여기서 가전자 띠에 있는 전자는 열 혹은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도띠로 에너지

이동하여 전기 전도도에 활발하게 관여할 수 있다. 전도 띠

띠 간격
고체는 구성하는 원자 혹은 결정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띠 구
가전자 띠
조를 가질 수 있다(그림 (Ⅳ. 5-3)). 띠 구조를 분석하여 도체, 부도체 및 반도
그림 (Ⅳ. 5-2) 가전자 띠와 전도 띠
체를 구분할 수 있다. 도체는 먼저 에너지 띠들의 중첩으로 인해 띠 간격이 존
재하지 않아 전자들이 채워지지 않은 에너지 준위로 활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다. 부도체와 반도체의 경우, T = 0K 에서 가전자 띠

283
의 모든 준위에 전자들이 채워져 있고 전도 띠에는 전자가 채워져 있지 않다.
전도띠
그래서 가전자 띠에서는 이동할 전자는 있으나 빈 준위가 없고, 전도 띠에는 빈

가전자 띠 준위는 많으나 띠 간격을 넘어서 이동할 수 있는 전자가 없기 때문에 전류가 흐

(가) 르지 않게 된다. 그러나 띠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도체의 경우, 상온에 해


당하는 작은 열에너지에 의해서 적은 수의 전자들이 가전자 띠에서 전도 띠로

전도띠 이동하게 되어 전기 전도도를 높이게 된다.

1.2 전도 전자와 정공
가전자 띠
반도체는 불순물의 유무에 따라 크게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나뉘고,
(나) 진성 반도체는 불순물이 없기 때문에 고유 반도체라고도 부른다. 또한 진성 반
그림 (Ⅳ. 5-3) 고체의 띠 구조 도체는 IV 족에 해당하는 Si, Ge와 같은 단일 원자들로 이루어진 원소 반도체와
(가) 가전자 띠와 전도띠가 중첩이 되
어 있는 경우: 도체 (나) 가전자 띠 와 GaAs, ZnS와 같은 III 족과 V족 혹은 II 족과 VI 족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화합
전도 띠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 부 물 반도체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진성 반도체의 특징으로는 T = 0K에서 부도체
도체와 반도체. 반도체의 경우 띠 간
격이 작아 실온의 열에너지에 의해 쉽
와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가 일어나지 않으나, 가전자 띠에 있는 전자가 약간의 열
게 전도 전자들을 생성하게 된다. 에너지에 의해 쉽게 전도 띠로 이동하게 되어 전기 전도가 일어나게 된다. 열에너
지로 전도 띠로 이동한 전자들은 띠 내의 많은 빈 준위들로 자유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이는 공유 결합이 깨진 전자가 자유전자가 됨을 말한다.
열에너지로 인해 가전자 띠의 전자가 전도 띠로 이동한 후, 가전자 띠에는
전자가 비어 있는 준위가 만들어지는데, 이 빈 준위로 인해 가전자 띠 내의 전
자들이 자유스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자가 이 빈 준위를 채우게 되면 전
자가 있는 원래 자리는 다시 비어 있게 되어 마치 빈 준위가 이동하는 것과 같
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 빈 준위를 양공(hole)이라 한다. 양공은 전자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양전하의 성질을 갖는다. 진성 반도체는 열에너지에
의해 가전자 띠에서 전도 띠로 이동된 전자 때문에 전도 전자와 양공이 생성되
므로 같은 수의 전도 전자와 양공을 갖게 된다.

1.3 p형 및 n형 반도체
같은 수의 전도 전자와 양공을 가진 진성 반도체와는 달리, 미량의 불순물
원자를 첨가하여 전도 전자와 정공의 숫자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를 불순물
반도체라고 한다. 이런 불순물을 첨가하는 과정을 도핑(doping)이라고 하고
도핑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전하 운반자의 부호와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불순
물 반도체는 전하 운반자의 종류에 따라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분류된다.
n형 반도체는 다수의 전하 운반자가 전도 전자에 해당한다. Ge, Si와 같은
IV 족 진성 반도체에 P, As, Sb와 같은 V족 원소를 불순물로 첨가한다고 가

284
Ⅳ 현대물리

정하자.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Ge 결정에서 하나의 Ge 대신에 As로 치


여분의 여분의
환이 일어나게 되면 인접한 원자들 사이에 공유하는 전자들이 여분의 전자를 전자 전자

남기게 된다. 그래서 이 불순물을 주개 불순물(donor impurity)이라고 하고,


기존의 공유 결합에 불순물이 추가하게 되면 원래의 전도 띠가 아닌 바로 아
래 새로운 불순물 에너지 준위가 생성되게 되는데 이 준위를 주개 준위(donor 비어있는 전도 띠

주개 준위
level)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주개 준위와 전도 띠의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 사
: Ge
이의 차이는 대략 0.5 eV 정도로 매우 작다. 이러한 주개 준위에 있는 전자들 : As
채워진 가전자 띠

이 바로 위에 있는 전도 띠로의 이동이 아주 쉽기 때문에 불순물의 도핑 정도를


그림 (Ⅳ. 5-4) n형 반도체
높이게 된다면 대부분의 전하 운반 역할을 하는 것은 전자가 된다. 이렇게 불순
물 첨가로 인해 전자가 주된 전하 운반자가 되는 것을 n형 반도체라고 한다.
이번에는 Ge, Si와 같은 IV 족 진성 반도체에 B, Al, Ga, In 와 같은 III 양공

양공
족 원소를 불순물로 첨가한다고 가정하자. 공유 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Ge 결
정에서 하나의 Ge 대신에 Ga로 치환이 일어나게 되면 인접한 원자들 사이에
공유하는 전자들이 여분의 양공을 남기게 된다. 그리고 가전자 띠 바로 위에 받
개 준위(acceptor level)가 생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에서는 양전하를 띤 양공 비어 있는 전도 띠

이 주된 전하 운반자가 되므로 p형 반도체라고 한다. 받개 준위

: Ge
채워진 가전자 띠
: Ga

1.3 pn 접합과 다이오드


그림 (Ⅳ. 5-5) p형 반도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결합된 형태를 pn 접합(pn junction)이라고


한다. 단위 부피당 N a 개의 받개 불순물을 가지고 있는 p형 반도체와 N d 개의
주개 불순물을 가지고 있는 n형 반도체의 접합을 생각해 보자. 실제로 많은 pn
접합에서 불순물의 농도는 비대칭적이므로 N a > N d 라고 하자. 전자와 양공
은 접합을 넘어 확산하여 재결합한다. 이 결과 전자와 양공의 농도가 크게 감
소하여 접합 주변에 공핍층(depletion region)이 형성된다(그림 (Ⅳ. 5-6)).
즉 이동 전하에 의하여 더 이상 중립화되지 않은 이온화된 불순물 때문에 공핍
층 내에는 두 개의 전하층이 생긴다. 이것은 접합 부근의 전기적 퍼텐셜을 변
이온화된 받개 불순물

이온화된 주개 불순물

양공 전자

p형 접합 n형

공핍층

그림 (Ⅳ. 5-6) pn 접합과 공핍층

285
화시켜 n형에서 나온 전자의 흐름과 p형에서 나온 양공의 흐름을 방해하는 전
기장이 형성된다.
즉, n영역에서 p영역으로의 전자 확산은 두 개의 전하층에 의한 전위 V0 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반면, p영역에서 n영역으로의 전자 확산은 p형 반도체에
서 자유 전자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제약을 받는다.
같은 방법으로 p영역에서 n영역으로의 양공 확산이 방해를 받는데, 이를 퍼
p형 접합 n형
텐셜 장벽(potential barrier)라고 한다. 그림 (Ⅳ. 5-7)은 pn 접합의 에너
지 띠를 나타낸 것이다. 접합 영역에서 전위차 V0 가 생기므로 접합을 통하여
V0
e

흐르는 알짜 전류는 없다. p형 물질과 n형 물질에 전극을 붙인 pn 접합을 pn


접합 다이오드(diode)라고 한다.

그림 (Ⅳ. 5-7) pn 접합의 에너지 띠 그림 (Ⅳ. 5-8)은 다이오드에 저항과 전지를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외부 전압을 다이오드에 가하면, 한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반대 방
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p형 전극이 양극이 되고, n형 전극이 음극이
되도록 외부 전압을 걸어준 경우를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라 하고,
이것과 반대로 p형 전극이 음극이 되고, n형 전극이 양극이 되도록 외부 전압
을 걸어준 경우를 역방향 바이어스(reverse bias)라고 한다.
순방향으로 외부 전압이 걸린 경우, 그림 (Ⅳ. 5-9)의 (나)와 같이 p와 n에
서 모두 에너지 간격이 감소된다. n영역에 있는 전자들은 퍼텐셜 장벽을 넘어

p영역 접합 n영역
p영역으로 확산되기가 더 쉽고, p영역에 있는 양공들은 n영역으로 확산되기가
더 쉬워진다. 반대로 역방향으로 전압이 걸리면, 그림 (Ⅳ. 5-9)의 (다)와 같
eV0
이 p와 n에서 모두 에너지 간격이 증가된다.
전류 전류가 흐르지 않음.
- + - - +
-- + +
(가) 전압이 0인 경우 - + -- +
- +
+ - + -- ++
-
e ]V0 - V g - p형 n형 p형 n형
+

(가) 순방향 (나) 역방향


그림 (Ⅳ. 5-8) pn 접합 다이오드
(나) 순방향 전압
발광 다이오드는 이름 그대로 빛을 방출하는 pn 접합이다. 순방향으로 전압
이 걸리면 많은 양공들이 n영역으로, 또 많은 전자들이 p영역으로 이동하여 전
e ]V0 + V g
자와 양공이 다시 결합할 때, 그 쌍이 띠 간격과 거의 같은 에너지를 가진 광자
를 방출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시계, 전자 장치, 자동차 계기판 외에 많은 장치
의 디지털 화면에 사용된다. 한편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는 일반 다이오
(다) 역방향 전압
드와 달리 특정한 전압에 도달하면 역방향 전류가 급격히 증가한다(그림 (Ⅳ.
그림 (Ⅳ. 5-9) 다이오드에 외부 전
5-10)). 이러한 제너 다이오드는 전압 급증을 막는 보호 장치나 전압 조절 회
압을 가한 경우

286
Ⅳ 현대물리

로에 사용된다. I

1.4 트랜지스터 V

트랜지스터는 두 개의 pn 접합이 샌드위치 모양으로 배열되어 pnp나 npn 역방향 순방향


바이어스 바이어스

의 순으로 결합되어 있는 장치이며, 이를 각각 pnp형 트랜지스터와 npn형 트


그림 (Ⅳ. 5-10) 제너 다이오드의
랜지스터라고 한다. 전류-전압 특성 곡선
트랜지스터의 세 영역은 각각 이미터(Emitter), 베이스(Base), 콜렉터
(Collecter)라고 한다(그림 (Ⅳ. 5-11)). 회로의 왼쪽 고리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베이스-콜렉터 접합에 역방향의 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저항 R 에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그림과 같이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전압
이 순방향으로 걸리면 이미터에서 베이스로 이동하는 양공들이 베이스를 지나
두 번째 접합까지 이동하여 콜렉터와 베이스 사이의 퍼텐셜 차이의 영향을 받
아서 저항 R 는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콜렉터의 전류가 이미터의 전
류에 의해 제어된다. 뿐만 아니라 Vc 는 Ve 보다 상당히 커서, R 에 의한 전력
은 건전지 Ve 에 의해 이미터 회로에 공급된 전력보다 훨씬 크다. 그래서 이 장
치는 전력 증폭기의 기능을 한다. 만일, R 에 의한 전압 강하가 Ve 보다 크면,
이 장치는 전압 증폭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베이스는 회로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서 공동의 전극이 된다.

이미터 베이스 콜렉터

n
P P
양공의 이동

Ie Ic R

Ve Vc
그림 (Ⅳ. 5-11) pnp 트랜지스터와 회로의 개요도

콜렉터
P
Ib R
n 베이스 Ic

P
이미터

Vb Vc
그림 (Ⅳ. 5-12) 공통 이미터 회로. 이 회로에서는 콜렉터 쪽의 전류가 베이스 쪽의 전류보다 훨씬 더 커
서 그 결과로 전류가 증폭된다.

287
레이저
02 학습 목표 ■ 레이저의 원리, 종류 및 특성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레이저의 여러 응용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2.1 레이저의 원리
레이저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는 이득 매질, 펌프, 그리고 공진기 등이 있
다. 즉, 빛 에너지를 발생하는 레이저 매질(이득 매질), 빛 에너지를 공급하는
나선형 모양의 램프(펌프) 및 방출된 빛을 증폭시키기 위한 거울(공진기)로 구
성되어 있다(그림 (Ⅳ. 5-13)).

펌프
M1 M2

레이저

레이저 빔

거울 거울

그림 (Ⅳ. 5-13) 레이저의 기본 구조

레이저 매질의 원자가 빛을 내는 과정을 살펴보자(그림 (Ⅳ. 5-14)). 그림과


같이 레이저를 발생시키려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E3

N2 E2

공명 광자

ho=E 2 -E1

N1 E1

E0

그림 (Ⅳ. 5-14) 레이저의 네 가지 기본 과정

288
Ⅳ 현대물리

과정 ①: 적절한 펌프 방법에 의하여 원자는 높은 에너지 상태로 가게 된

다. 이때 충분히 많은 원자들이 E 3 준위로 갈 수 있도록 펌프 과정은 강하여


야 한다.

과정 ②: E 3 준위에 있는 원자들이 아주 빠른 시간 안에 레이저 여기 준위인


E 2 로 오는 과정이다. 이때 레이저가 동작하기 위해서 E 2 준위는 수명이 긴 준
안정 준위(meta-stable state)이어야 한다. 즉 E 2 준위에 머물게 되는 원자
들이 많아져 유도 방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과정 ③: 유도 방출이 일어나 광자들의 수가 증가하는, 즉 빛의 세기가 증폭
되는 과정이다. 먼저 광자가 유도 방출되기 위해서는 씨앗 역할을 하는 광자가

필요한데 이는 E 2 - E 1 의 에너지를 갖는 빛으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


게 생성된 광자는 그림과 같이 E 2 준위에 있는 원자가 광자를 방출하도록 유
도하여 E 1 준위로 떨어지게 만든다. 좌우에 공진기를 설치하면 광자들이 왕복
하면서 유도 방출이 급격하게 늘어나 공진기 안에는 충분한 개수의 광자들이
있게 될 것이다. 두 거울 중에 하나의 반사율이 100% 보다 작으면 일부의 빛이
공진기를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 빛이 레이저이다.

과정 ④: 유도 방출에 의해 E 1 준위로 떨어진 원자는 매우 빨리 원자의 바닥


(가)

에너지 상태인 E 0 준위로 전이하게 하여 E 1 준위에 있는 원자들의 숫자를 줄


(나)
여 주어야 한다. 그 이유는 레이저가 연속적으로 방출되기 위해서 N 2 > N 1 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다)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위에서 말한 4개의 과정들이 동시


그림 (Ⅳ. 5-15) 레이저의 공진기
에 지속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이렇게 되면 연속적으로 레이저 빛을 발생시킬 수 종류 (가) 평행 평판 공진기 (나) 공

있게 된다. 펌핑을 일시적으로 하여 펄스 형태의 레이저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초점 공진기 (다) 평면-구명 공진기

유도 방출에 의하여 형성된 레이저 빛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c/2L

(i) 단색성: 단일 파장 또는 주파수를 갖는 광자들의 모임이다. He-Ne 레


이저의 경우에 보통의 램프 빛보다 파장 대역의 선폭 Dm 이 충분히 작아서 약
(가) fm
10 7 배 정도 단색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i) 간섭성: 위상과 파장이 매우 잘 일치하여 간섭계나 홀로그램과 같은 분
야에 이용된다. Df
(나) f
(iii) 방향성: 빛이 퍼지지 않고 매우 멀리까지 진행한다. 정렬이나 달까지의
거리 측정에 이용된다.
(iv) 고강도: l mW 의 He-Ne 레이저는 태양보다 수백 배 더 밝다. 레이저 공
(다) f
진기는 두 개의 거울을 이용하여 구성하지만 자세히 생각해 보면 매우 복잡한 이론
그림 (Ⅳ. 5-16) 레이저 종모드
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그림 (Ⅳ. 5-15)는 3가지 형태의 공진기의 모습이다. 가장
(가) 종모드 간격 (나) 매질의 파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모습이 평면경 2개를 마주 보게 설치하는 것이다. 범위 (다) 레이저 발생 모드

289
하지만 이 공진기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조금만 방향이 바뀌어도 빛
이 다른 곳으로 반사되어 효과적인 유도 방출을 일으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
서 그림 (Ⅳ. 5-15)에서처럼 (나), (다)와 같이 적어도 한 개는 오목 거울을 이
용하는 경우가 많다.
레이저 발생 파장은 매질의 원자나 분자의 에너지 준위도에 의해 결정되지
만 미세하게는 공진기의 길이와 거울의 크기 등에 의해 파장이 결정된다. 매
질은 대략적으로 어느 영역에서 레이저가 발생되는 것을 결정하는 반면에, 공
진기 안에는 전자기파가 무수히 반사되면서 중첩하기 때문에 정상파 조건을
만족시키는 파장을 갖는 파동만이 레이저로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을 종모드
(longitudinal mode)라고 한다.

2.2 레이저의 종류
레이저의 이름은 주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이득 매질의 이름을 따라서 부른다.
레이저 매질은 고체, 액체, 기체, 또는 반도체가 될 수 있으며 매질을 구성하는
원자나 분자의 에너지 준위에 따라서 발생하는 파장이 결정된다. 현재까지 개발
된 레이저들은 자외선 영역에서 적외선까지 거의 고루 개발되었다. 특히, 최근에
는 X-선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출력의 형태에 따라서 연속
해서 레이저가 발생되는 연속 발진 레이저와 일정 시간 동안만 레이저가 발생되
는 펄스 형태가 있다. 출력의 파장 영역에 따라서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레이저로 나누기도 한다. 표 Ⅳ. 5-1은 몇 개의 레이저들의 특성들을 요약하여
놓은 것이다. 약 30~40 종류의 레이저가 현재 상품화되어 있다.

표 Ⅳ. 5-1 레이저의 종류

파장 출력/에너지 출력 유형 빔지름 빔 발산 효율
종류
(wavelength) (Power/energy) Type of output B eam diameter Beam divergence Efficiency
Helium-neon(gas) 632.8 nm 0.1-50mW cw 0.5-2 mm 0.5-1.7 mrad ‹0.1%
0.03-100 J
Ruby(solid) 694.3 nm pulsed 1.5 mm-2.5 cm 0.2-10 mrad ‹0.5%
(per pulse)
Carbon dioxide(gas) 10.6 nm 3-100 W cw 3-4 mm 1-2mrad 5-15%
1-300 mW 2×3-6×30 nm
Nitrogen(gas) 337 nm pulsed 1-3×7mrad ‹0.1%
(average per pulse) (rectangular)
Nd:YAG(solid) 1.064 μm 0.04-600 J cw 0.75-6 nm 2-18mrad 0.1-2%
0.15-100 J
Nd-glass(solid) 1.06 μm pulsed 3MM-2.5 cm 3-10mrad 1-5%
(per pulse)

Argon ion(gas) 488 nm or 5514.5 nm 5 mW-20 W cw 0.7-2 mm 0.4-1.5mrad ‹0.1%

cw/pulsed
400-900 nm
Dye(liquid) 20-800 mW (pumped by argon 0.4-0.6 mm 1-2mrad 10-20%
(tunable)
ion laser)
Argon fluolide Up to 10 W 6×23-20×23 m
193 nm pulsed 2-6mrad ‹0.5%
(excimer) (average per pulse) (rectangular)
Hydrogen fluolide 0.01-150 W cw
2.6-3 μm cw/pulsed 2 mm-4 cm 1-15mrad 0.1-1%
(chemical) or 2-600 mJ per pluse
1-40 mW cw or N/A (diverges too 200×600mrad
Gallium arsenide 780-900 nm cw/pulsed 1-20%
average per pulse rapidly) (oval in shape)

290
Ⅳ 현대물리

2.3 레이저의 응용
레이저는 단색성, 지향성, 간섭성 및 고강도 등의 특성을 이용하여 산업,
의료, 농업, 건설, 극장, 통신 및 무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어
느 특정한 특성 하나만 이용되는 경우도 있고 두 개 이상의 특성들이 이용되는
응용 분야들도 있다. 레이저의 응용을 크게 나누어 보면 표 Ⅳ. 5-2와 같이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레이저와 상호 작용 영역으로 레이저를 어
느 물질에 비추어 주어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어떤 변화를 갖게 하는 것이다.
레이저를 이용한 재료 가공 또는 무기용 등이 이 분야에 속한다. 둘째로는 레이
저와 정보 영역으로 정보 송신, 측정, 저장, 및 정보 처리 등이 이에 속한다.

표 Ⅳ. 5-2 레이저의 응용 예

레이저와 상호 작용 레이저와 정보

재료 가공 통신

자름 (cutting) 정보 처리

용접 (welding) 광 감지

청공 (drilling) 공해 측정 (LIDAR)

열 처리 (heat treat) 광 정보 저장

의료용 프린터 및 복사기

마킹 측량학

미세 가공 홀로그래피

레이저 분광학 정렬

레이저 에너지 극장 및 전시

레이저 무기 바코드 리더

291
탄소 나노튜브와 그래핀
03 학습 목표 ■ 탄소 나노튜브의 원리와 응용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다
■ 그래핀의 원리와 응용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다.

3.1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는 1991년 미국 NEC연구소에 근무하는 이지마 박사가 처음 발
견하였고 그 후 나노튜브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탄소 나노튜
브는 실린더형의 탄소 분자들이며 매우 작은 스케일의 전자 장비와 기계 장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튜브는 강도가 매우 높고 독특
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열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전도체이기도 하다.
그림 (Ⅳ.5-17) 플러렌. 탄소원자 나노튜브는 흑연과 비슷하게 sp 2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아몬드에서
60개가 축구공 모양으로 결합하여
볼 수 있는 sp 3 결합보다 강하며 이러한 결합 구조는 특이하게 구조적으로 강
생긴 분자
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노튜브들은 자연적으로 반 데르 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로프와 같은 배열을 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플러렌 족으로 분류되는 분자 형태로 기존의 다이아몬드나 흑
연과는 아주 다른 형태이다.
탄소 나노튜브에서 하나의 탄소원자는 3개의 다른 탄소원자와 결합되어 있
고 육각형 벌집 무늬를 이룬다. 만약 평평한 종이 위에 이러한 벌집 무늬를 그
린 후 종이를 둥글게 말면 나노튜브 구조가 된다. 즉, 나노튜브 하나는 속이 빈
튜브(혹은 실린더)와 같은 모양이다. 이것을 나노튜브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
튜브의 직경이 보통 1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정도로 극히 작기 때문이다.
탄소 나노튜브는 세부적인 모양에 따라 금속과 같은 전기적 도체가 되기도 하
고 또 전기가 잘 안 통하는 반도체가 되기도 한다.

3.2 그래핀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의 안드레 가임 교수와 연구원 콘스탄틴 노보
셀로프박사가 흑연에 셀로판테이프를 떼었다 붙이는 방법으로 세계 최초로 그
래핀을 분리해 내어,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2차원상에서 벌집 모양의 배열을 가진 원자 한 층

그림 (Ⅳ. 5-18) 다양한 형태의 탄


을 말한다. 그래핀을 여러 장 쌓으면 층과 층 사이 약한 결합을 이루면서 흑연
소 나노튜브 이 형성되고, 그래핀을 말면 그래핀 끝부분이 결합을 하여 튜브 모양이 되거나

292
Ⅳ 현대물리

공 모양이 되는데 이러한 탄소 나노튜브나 풀러렌 등은 저차원 물성을 이해하


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그래핀은 흑연으로부터 한 층의 평면을 만들
어 2차원의 물리학을 연구할 수 있게 해 준다(그림 (Ⅳ. 5-19)).

가임
(Geim, A; 1958~)
러시아 태생의 영국과 네델란드를
오가며 활동하는 물리학자. 2010년
그래핀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노보셀로프
(Novoselov, K.; 1974 ~)
영국에 거주하는 러시아 태생의 물
그림 (Ⅳ. 5-19) 그래핀과 구조가 다른 탄소 나노튜브와의 차이점 리학자. 2010년 그래핀에 관한 업
적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그래핀은 이상적인 나노 전자 소재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첫 번째로 그래핀은 단원자층으로 가장 얇은 물질이다. 가장 가벼운 전자 유효
질량이 있고, 실리콘에 비해 100배 이상 전자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도 전하가 가장 크다. 기존의 실리콘으로 만드는 반도체는 트랜지스터의 수 증
가와 단위 트랜지스터의 크기 감소로 발열 문제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그래핀은 열 전도도가 가장 커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래핀은 상온에서 구리의 100만 배나 되는 최대의 전류밀도를 가지고 있다. 강
철의 100배나 되는 가장 강한 물질이고, 98%의 광투과도를 가지는 등 여러
가지 장점들이 있다. 그래핀은 전기가 잘 통하고, 원자 단일막이라 잘 휘어지
는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현재 디스플레이나 터치스크린에서 사용되는 투명 전구
재료를 대체할 수 있다.
그래핀은 반도체를 대체할 재료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반도체와는 성질이 전
혀 달라 물리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재료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소립자 물리
학에서 검증해 오던 양자 전기 역학을 그래핀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그림 (Ⅳ.
5-20)). 그래핀 내에서 자유전자는 유효 질량이 0에 가까워 상대론적인 효과
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고, 실험적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293
1 고전 물리학 전자

에너지가 장벽을
낮은 입자 장벽 관통할
가능성 없음

a b
터널링 없음
2 양자역학 전자

느리게 장벽을
운동하는 관통할
파동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음

a b
부분적 터널링
3 양자 전기역학 전자

고속파동 장벽을
관통할
가능성100
퍼센트

a b
완전 터널링

그림 (Ⅳ. 5-20) 그래핀에서 나타나는 양자전기역학적 전자의 터널링

294
Ⅳ 현대물리

점프 프로젝트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고체는 과연 열 전도도도 우수할까?

도체에 해당하는 금속의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는 대부분 자유 전자가 관여한다고 알고 있다. 그렇


다면 과연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고체가 열 전도도도 우수할지 알아보도록 하자.

발구르기 단계

아래의 각 실험에 대해 각자 예측을 하고 조원들과 논의를 해 보자. 실험 방법에 따라 실험을 한 후, 관찰 결과


를 물리이론을 토대로 설명해 보자.

(1) 다음과 같이 우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금속 도체를 준비하여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 후 비교하여 보자. 단, 금


속의 모양은 선 모양 혹은 판 모양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자.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원자의 주기율표를 보고
전자의 구조를 파악하여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 토의해 보고 실험 계획 및 방법은 직접 설계하도록 한다.

실험 방법 관찰 결과 설명

은, 철, 텅스텐, 아연,
니켈, 청동

설명:

(2) ‌위와 똑같은 모양의 금속 도체들에 대해서 열 전도도를 측정 및 비교하여 보자. 마찬가지로 실험 전에 예상
되는 결과에 대해 토의해 보고, 실험 계획 및 방법은 직접 설계하도록 한다.

실험 방법 관찰 결과 설명

은, 철, 텅스텐, 아연,
니켈, 청동

설명:

295
점프 프로젝트

(3) 실제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도체가 열 전도도도 우수한지 비교해 보자. 그렇지 않다면, 가능한 다른 원
인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설명:

공중 도약 단계

(1) 도체, 반도체, 부도체의 성질로부터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에 대해 물리적으로 생각해 보자.

(2)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전기 전도도와 열 전도도에 대해 생각해 보자.

착지 단계

(1) ‌금속 도체의 열 흡수 과정 및 원리에 대해서 물리학적으로 설명해 보자. 힌트: 금속 도체는 크게 원자핵들의
주기적인 배열과 자유 전자들로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296
부 록
SI단위
중요 물리 상수 1
수학 관계식
중요 물리 상수 2
연습 문제 풀이
이미지 자료 출처

297
부록

SI 단위
기본 단위
길이(Length) 1미터(m)는 빛이 진공 중에서 299, 792, 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이다.

1초(s)는 세슘-133원자의 바닥 상태에 있는 두 개의 초미세 준위 사이의 전이에 해당


시간(Time)
하는 복사선의 주기의 9, 192, 631, 770배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1킬로그램(kg)은 질량의 단위이며, 국제 킬로그램 원기(프랑스 소재의 ‘무게와 측정에


질량(Mass) 관한 국제 사무국’에 보관되어 있는 백금과 이리듐의 합금으로 특수 제작된 표준체)의
질량이다.

1암페어(A)는 진공에서 1m 떨어져 있는 단면적을 무시할 수 있는 무한히 긴 평행 도체


전류(Current)
사이에 1미터당 2 # 10 -7 N 의 자기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전류이다.

1
온도(Temperature) 1켈빈(K)은 물의 삼중점의 열역학적 온도의 에 해당하는 온도이다.
273.16

물질의 양 1몰 ]molg 은 질량수 12인 탄소 0.012kg에 있는 탄소 원자의 수와 같은 실체들을 포함


(Amount of substance) 한 계에 있는 물질의 양이다.

광도 1칸델라(cd)는 1기압에서 백금의 어는점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흑체의 1/600, 000 m 2


(luminous intensity) 만큼의 표면적에서 방출되는 광도이다.

유도 단위
힘(Force) 뉴턴(N) 1N=1kg • m/s2

일(Work), 에너지(Energy) 줄(J) 1J = 1N : m

전력(Power) 와트(W) 1W = 1J/s

진동수(Frequency) 헤르츠(Hz) 1Hz = cy/s

전하량(Charge) 쿨롱(C) 1C = 1A : s

전압(Potential) 볼트(V) 1V = 1J/C

저항(Resistance) 옴(Ω) 1 X = 1V/A

전기 용량(Capacitance) 패러데이(F) 1F = 1C/V

자기장(Magnetic field) 테슬라(T) 1T = 1N/ ]A : mg

자속(Magnetic flux) 웨버(Wb) 1Wb = 1T : m 2

인덕턴스(Inductance) 헨리(H) 1H = 1J/A 2

298
부록

수학 관계식
n ]n - 1g a n - 2 b 2 n ]n - 1g]n - 1g a n - 3 b 3
이항정리 ]a + bgn = a n + na n - 1 b + + + g + nab n - 1 + b n
21 21
sin 2 a + cos 2 a = 1
sin a
sin 2a = 2 sin a cos a tan a = cos a
1 1 - cos a
삼 sin 2 a = 2 cos 2a = cos 2 a - sin 2 a = 2 cos 2 a - 1
sin ]a ! bg = sin a cos b ! cos a sin b

1 1 + cos a
함 cos 2 a =
cos ]a ! bg = cos a cos b " sin a sin b
2
sin ]-ag = -sin a


cos ]-ag = cos a
sin a + sin b = 2 sin b
a+bl
cos b 2 l
등 a+b
sin a a ! 2 k = !cos a
식 r 2
cos a + cos b = 2 cos b 2 l cos b 2 l
a+b a+b
cos a a ! 2 k = "sin a
r

d n
x = nx n - 1
dx d a
ln ax = x
d dx
미분 sin ax = a cos ax
dx d ax
d e = ae ax
dx
cos ax = -a sin ax
dx

xn+1
#x n
dx = n + 1 , ]n =Y -1g # 1
x dx = ln x
1
# sin ax dx = - a cos ax # cos ax dx = 1
a sin ax
1 dx x
적분
# e ax dx = a e ax # 2 2
= sinh -1 a
a +x
= ln ]x + x 2 + a 2g
dx
# # dx 1
= a arctan a
x
x2 + a2 x2 + a2
dx 1 x x dx -1
# = #
]x 2 + a 2g2
3 =
]x + a g
3
a2 x1 + a2 2 2 2 x 2
+ a2

x3 x5 x7
sin x = x - + - + g (모든 x)
3! 5! 7!
x3 2x 5 17x 7 x3 x4 x6
tan x = x + 3 + 15 - 315 + cos x = x - + - +g (모든 x)
(주어진 2! 4! 6!
ga x < 2 k
x의 범위에서 r
수렴하다.) x2 x3
ex = 1 + x + + +g (모든 x)
ln ]1 + xg = x - 2 + 3 - 4 +
x2 x3 x4 2! 3!

g ]-1 < x # 1g

299
부록

중요 물리 상수 1

물리량 기호 기호 상수 값

중력 상수
(Newtonian constant of gravitation) G 6.67408 # 10 -11 N : m 2 : kg - 2

중력 가속도(acceleration of gravity) g 9.80665m·s-2

열의 일당량(mechanical equivalence of heat) J 4.1855 × 103J·kcal-1

아보가드로수(Avogadro's number) NA 6.02214129 # 10 23 mol - 1

기체 상수(gas constant) R 8.3144621 J : K - 1 : mol - 1

볼츠만 상수(Boltzmann constant) k 1.3806488 # 10 -23 J : K - 1

스테판볼츠만 상수
v 5.670400 # 10 -8 W : m - 2 : K - 4
(Stefan–Boltzmann constant)

기본 전하량(Fundamental charge) e 1.602176565 ]35g : 10 -19 C

전자의 정지 질량(mass of electron) me 9.1093897 × 10-31kg

전자의 비전하
(charge-to-mass ratio of electron)
e/m e 1.75881962 × 10-11 C·kg-1

쿨롱 상수(Coulomb's constant) k 8.987551788f # 10 9 N : m 2 : C - 2

패러데이 상수(Faraday constant) F 9.648530. × 104 C·mol-1

300
부록

중요 물리 상수 2

물리량 기호 기호 상수 값

진공 유전율 e0
(vacuum permittivity) 8.854187817f # 10 -12 F : m - 1

진공 투자율 n0
(vacuum permeability) 4r # 10 -7 N : A - 2 = 1.256637 # 10 -6 N : A - 2

광속(speed of light in vacuum) c 299792458 m : s - 1

원자 질량(Atomic mass constant) mu 1.66053873 : 10 -27 kg = 1u

양성자의 정지 질량(mass of proton) mp 1.6726231 # 10 -27 kg

중성자의 정지 질량(mass of neutron) mn 1.6749286 # 10 -27 kg

플랑크 상수(Planck constant) h 6.6260755 # 10 -34 J : s

콤프턴 파장(Compton wavelength) I


λc 2.426310215 # 10 -12 m

뤼드베리 상수(Rydberg constant) R 1.0973731534 # 10 -7 m - 1

보어 반지름(Bohr radius) a0 5.29077249 # 10 -11 m

보어 마그네톤(Bohr magneton) mB 9.274000899 # 10 -24 J : T - 1

핵 마그네톤(Nuclear magneton) mn 5.05078317 # 10 -27 J : T - 1

301
연습문제 풀이

I-1 힘과 운동

1 A : A 와 B : B 가 두 개의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 같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A + B = C 라고 했을 때


C : C 도 불변임을 이용하면 된다. 즉, C : C = ]A x + B xg2 + ]A y + B yg2 + ]A z + B zg2 가 불변량
이므로 ]A x + B xg2 + ]A y + B yg2 + ]A z + B zg2 = ]A xl + B xlg2 + ]A yl + B ylg2 + ]A zl + B zlg2
이 성립하게 되는데, 이를 전개하여 양변을 비교해 보면 제곱된 항들은 A : A 와 B : B 가 불변이므로 모두
상쇄되기에 A x B x + A y B y + A z B z = A xl B xl + A yl B yl + A zl B zl 이 되므로 A : B 가 서로 다른 좌
표계에서 값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2 질량이 m 인 물체는 연직 방향으로 가속도가 -g 인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처음 속도가 각각 v x = v0 cos i , 0

v y = v 0 sin i 이므로 v x = v 0 cos i , v y = v 0 sin i - gt 이다. 물체가 가장 높은 지점에서 v y = 0


0

2v 0 sin i
이므로 올라가는 데 걸린 시간은 v0 sin i 이고 C 지점까지 떨어지는 데 걸린 시간은 t =
g g
L
이다. 또한 시간 t 동안 질량이 m 인 물체의 이동거리는 L = v 0 cos i : t 이므로 t = 이
v 0 cos i
다. 한편 질량이 M 인 물체의 이동거리는 등가속도 운동식으로부터 h = v 0 t + 1 gt 2 이다. 따라서
2
1 2
h v 0 t + 2 g t 1 + sin i 이다.
= =
L v 0 cos i t cos i

3 줄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m1 의 가속도의 크기가 m2 의 가속도보다 크다. 따라서 줄로 연결되어 m1 , m2


이 함께 연결된 경우, 줄이 팽팽해지고 두 물체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두 물체 m 1 , m 2 의
가속도가 같아진다. m 1 에 대한 뉴턴의 운동 방정식을 적용하면 -T - f1 + m 1 g sin i = m 1 a …①,

FN - m 1 g cos i = 0 …② m 2 에 대한 뉴턴의 운동방정식을 써 보면 m 2 g sin i + T - f2 = m 2 a


1

…③, F N 2 - m gcosi = 0 …④ ①과 ③을 더하면 ]m 1 + m 2g g sin i - f1 - f2 = ]m 1 + m 2g a


2

…⑤ 이다. 여기에 f1 = n 1 FN = n 1 m 1 g cos i , f2 = n 2 FN = n 2 m 2 g cos i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n m + n2 m2g
1 2

]m1 + m2g
a = g sin i - 1 1 g cos i = 3.5 m/s 2 이고, T = 0.60 N 이다.

4. K f - Ki = Ui - U f ,

2 mv - 0 = mgL ]1 - cos i 0g - mg 3 L = mgL 3 - cos i 0


1 2
b2 l b1 l,

v 2 = 2gL b 2 - cos i 0 l 따라서 추가 경로의 최고점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각 i 0 에서의 속력 v 가 0 이다.


1

v 2 = 2gL b 2 - cos i 0 l = 0 , cos = 3


1 1

302
부록

4 - (1) 빗
 면에 대한 물체의 상대 가속도 al , M 의 가속도를 A 라 하자.
수평 방향: -MA = -N sin i , mal cos i = N sin i + mA

mal cos i , N = Mmal cos i


A=
M+m ]M + mg sin i
 직 방향: mal sin i = mg - N cos i

mg sin i cos i mg sin i cos i ,
A= ,
M + m sin 2 i a x = -A + al cos i = M + m sin 2 i
]M + mg g sin 2 i
a y = -al sin i = -
M + m sin 2 i

4 - (2) N = Mmg cos i2


M + m sin i

5. TBC sin i = TAC cos i , 4TBC = 3TAC , TAC sin i = TBC cos i + W , 4TAC = 3TBC + 5W ,
20 15
TAC = 7 W , TBC = 7 W

5 - (1) 물
 체가 받침대와 함께 올라가는 동안 작용 반작용의 힘 F가 작용한다.
받침대: Ma = -Mg sin i - nMg cos i + k ]a - xg - F … ①
물체: ma = -mg sin i - nmg cos i + F … ②
여기서 M = 0 이고 물체가 받침대에서 분리되는 순간 F = 0 이므로 ① 식에서 x = a 가 된다. 이때

1 2 1
의 속력을 v 라면 ka = mv 2 + nmg cos i : a + mga sin i
2 2
ka 2 - 2mga ]n cos i + sin ig
v= m

1
5 - (2) 최초의 위치에서 s 만큼 빗면 위를 올라간다면 2 ka 2 = nmg cos i : s + mgs sin i
ka 2
2mg ]n cos i + sin ig
s=

ka 2
2mg ]n cos i + sin ig
받침대에서 떨어져 올라간 거리 = s - a = -a

6. T - mg = ma1 , 2mg - T = 2ma2 , 3mg - 2T = 3ma3


a 2 = al - a 3 , a 1 - a 2 = 2a 3

b T - g l - b g - T l = 2 b g - 2T l , 6T + 3T + 8T = 4g
m 2m 3m 6m

303
연습문제 풀이

24 24 17 7
T = 17 mg , a 1 = 17 g - 17 g = 17 g (위 방향),
17 12 5 17 16 1
a 2 = 17 g - 17 g = 17 g (아래 방향), a 3 = 17 g - 17 g = 17 g (아래 방향)

6 - (1) 포물선 운동에서의 수평 도달 거리는 트랙을 벗어난 속력과 책상에서의 낙하 시간의 곱으로 주어지므로 책
상의 높이를 d 라 할 때

R = vt = 2g ]h - dg ] g , 1 = 2 1.25 ]h - 1.25g , h = 1.45m


2d
g = 2 d h-d

6 - (2) 공이 1m 이동하여 지면에 도달할 때의 속력은 x 방향으로 등속도 운동을 하므로

v x = 2g ]h - dg = 2m/s , y 방향으로 자유 낙하 운동을 하므로

2d
vy = g g = 2gd = 5m/s

7 - (1) 세
 목침의 가속도의 크기는 a 로 같고, 목침이 달린 실의 장력을 각각 TA , TC 라 하면,
A | m A a = TA - m A g , B | m B a = TC - TA , C | m C a = m C g - TC
m -m
a = m +C m +A m g = 1.43m/s 2
A B C

7 - (2) TA = m A ]g + ag = 17.1N , TC = mC ]g - ag = 21.4N

I-2 일과 에너지

dx c dp
+ kx m
p2 1 dE p dp dx
1 역학적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합이므로 E = 2m + 2 kx 2 이다.
dt
= m
dt
+ kx
dt
=
dt dt
dx c dp
+ kx m c ` m =
dE p dp dx p dx m 그런데 dp 2
d x
= m + kx = = m 2 = -kx 를 고려하면 우변이 0이 되
dt dt dt dt dt dt dt dt
dE
므로, = 0 임을 알 수 있다. 즉,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된다.
dt

k1 k2
2 - (1) 두 용수철이 직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된 용수철 상수 k= k +
1
,f
k 2 = 2000 N/m 최대정지
= nmg

1
= 50N 이다.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 f S 이고, 정지 상태의 총 에너지 2 kx 2 이며, 매번 정지할 때마다 평
형 위치에 Dx 만큼씩 가까워진다. 에너지 보존에서 kx 2 - k ]x - Dxg2 = fs = f ]2x - Dxg ,
1 1
2 2

304
부록

]1000Dx - 20g]Dx - 2xg = 0 , Dx = 0.02m 순차적 정지 위치는 +0.1 m , -0.08 m ,


+0.06 m , … x = 0.02 m 위치에서 최대 정지 마찰력 ]50 Ng 이 탄성력 ]40 Ng 보다 커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 때까지 총 이동한 거리는

]0.1 + 0.08 + 0.08 + 0.06 + 0.06 + 0.04 + 0.04 + 0.02g m = 0.48 m

2 - (2) 단진동하는 물체에 가해지는 일정한 크기의 마찰력에 의해서는 물체의 단진자 운동 주기가 바뀌지 않으므
로 주기를 T 라고 하면 물체는 두 번 왕복 운동을 했으므로 총 움직이는 시간은 주기의 2배이다. 단진동

] g
k 2r 2
에서 각속도 ~ 는 k = m~ 2 에서 ~ = m = 200 , T =
~ t = 2T = 5 r s
,

3 - (1) 수면 가장 낮은 점으로부터의 높이는 다리의 높이에서 줄의 길이와 최대로 늘어난 길이의 합을 빼주면
되므로 45 - (L + d) = h 가 된다. 한편, 최대로 늘어난 길이는 탄성 퍼텐셜 에너지와 중력이 한 일이

] g
1 2
2 kd - m g L + d = 0
같아지는 길이이므로 ,

# ]1.60 # 10 2g # d 2 - 61.0 # 9.80 # ]25.0 + dg = 0 , d = 17.9 m 가 된다.


1
2
따라서 가장 낮은 점의 높이 h = 45.0 - ]25.0 + 17.9g = 2.10m 이다.

3 - (2) 가장 낮은 지점에서 사람에게 가해지는 알짜 힘은 탄성력과 중력의 벡터 합이 되는데 중력은 아래 방향으
로 탄성력은 위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 F = kx - mg = ]1.60 # 10 g # 17.9 - 61.0 # 9.80 = 2.27 # 10


2 3
N이다.

I-3 입자계의 운동

1 각 막대의 질량 중심은 각 막대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곳에 있으므로 이 문제는 질량이 각각 M1 = m


a cos 60c a sin 60c
, M 2 = 2m , M 3 = 3m 인 세 개의 질점이 각각 x 1 = , y1 = ,
2 2
x 2 = a cos 60c , y 2 = 0 이다 x3 = a - a sin 60c 이다 y3 = a sin 60c 에 위치한 계의 질량 중
2 2
심을 찾는 문제로 환원된다. 따라서,

]mg]a cos 60c/2g + ]2mg]a cos 60cg + ]3mg]a - a cos 60c/2g


xc = m + 2m + 3m
a ]3 + cos 60cg 7
= 6 = 12 a
]mg]a sin 60c/2g + ]3mg]a sin 60c/2g a sin 60c 3
yc = m + 2m + 3m = 3 = 6a

305
연습문제 풀이

2 폭발 전후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0 = 3 ]v1 + v 2 + v 3g
M

이 된다. v1 의 방향을 x 방향으로 두고 v2 와 x 축과의 각도를 i 2 , v3 와 x 축과의 각도를 i 3 라고 하면

x 방향: v 1 e 1 + 2
cos i 2 +
2
cos i 2 o = 0
3+1 3+1

y 방향 : v 1 e sin i 3 o = 0
2 2
sin i 2 +
3+1 3+1
이 된다. 두 식으로부터 i 2 = 150 0 와 i 3 = 225 0 각도 방향으로 날아간다.

3 기구와 사람으로 이루어진 계에서 사람이 움직이는 동안 알짜 외부 힘이 없으므로 계의 총 운동량은 보존된다.


따라서 질량 중심의 속력이 변하지 않고 처음에 기구가 정지해 있었으므로 질량 중심의 위치는 사람이 움직이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질량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질량 중심 |c 는
mX + MX 기구
사람
|c = =0
m+M
X 를 기구에 대한 사람의 상대 위치라고 하면, X = X 사람 - X 기구 이므로 XX 사람 = X + X기구
가 된다.
mX + ]m + M g X m
즉, Xc = = 0 X 기구 = - m + M v 양변을 시간에 대하 미분하
m+M
m
면 v 기구 = - v 가 된다.질량 중심이 지구에 대해 정지해 있으므로 지구에서 본 기구의 속도는 질
m+M
m
량 중심에서 본 기구의 속도와 같다. 따라서 기구는 v 기구 = - m + M v 의 속력으로 사람이 움직이는 방
향과 반대 반향인 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4 깔때기와 벨트, 모래로 이루어진 계의 총 운동량은 깔때기가 정지해 있으므로 P = ]m + M g v 이다. 식


]m + M g v = v
(3-13)으로부터 d dm 이다. 일률은 일률 dm 이고
F= = Fv = v 2 M과
dt dt dt
v 가 상수이므로 일률 = = d 6]m + M g v 2@ = 2 dK 가 된다.
dt dt

I-4 회전 운동과 행성의 운동

1
1 도르래의 관성모멘트는 I = 2 mr 2 이고 도르래의 각가속도 a 와 물체의 가속도 a 사이에는 a = ra 의
관계가 성립한다. 힘 그림을 참조하여 도르래와 두 물체의 운동 방정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06
부록

T1
T2 a

N1 N2
T2
T1

m2g
m1g
01=30˚ 02=60˚

m1 에 대해: T1 - m1 g sin i1 = m1 a m2 에 대해: m2 g sin i2 - T2 = m2 a

도르래에 대해: T2 r - T1 r = Ia = b 1 mr 2 la a k = 1 mra 즉, T2 - T1 = ma 이 된다.


1
2 r 2 2
이 세 식으로부터 가속도 a 는 다음과 같다.

]0.3g]10gc - ]0.5g]10gb 2 l
3m 1
m 2 g sin i 2 - m 1 g sin i 1 2
a= = 0.5 + 0.3 + 0.1 = 0.11 m/s 2
m 1 + m 2 + m/2

구한 가속도 a 의 값이 양수이므로 가속도의 방향은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고 m 2 가 아래로 내려간다.

2 충
 돌 전 회전축에 대한 각운동량의 크기는 L1 = Rmv sin i 이다. 충돌 후 회전축에 대한 계의 관성 모멘
1
트는 I = 2 MR 2 + mR 2 이다. 충돌 전후 원판-총알 계의 각 운동량이 보존된다. 즉, 충돌 후 각운동량
L f = I~ 라고 하면 L i = L f 이므로 I~ = Rmv sin i 이다.
mv sin i
]M/2 + mg R
따라서 충돌 후 각속력은 ~ = 이다.

3 - (1) 중심력 F ]rg = F ]rg rt 이 보존력이므로 F ]rg = - dr


dU 를 만족하는 퍼텐셜 에너지가 존재하고

역학적 에너지가 보존된다. 즉, K + U = E 운동 에너지를 극좌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 = 2 m ;c
1 dr m2 c di m2E
+ r
dt dt
따라서 에너지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g
1 ;c dr m2 c di m2E
2 m dt + r dt + U r = E
… (1)

307
연습 문제 풀이

3 - (2) 지름 방향 운동 방정식은 식(1)에서 i 에 관한 힘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중심력이 작용할 때, 각운동


di 가 된다. 따라서 di L
량이 보존되므로 L = mr 2 = 를 (1)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
dr dt mr 2
과 같다.

]rg +
1 c dr m2 L2
2 m + U = E … (2)
dt 2mr 2

3 - (3) 주어진 중심력이 작용하는 경우, 퍼텐셜 에너지는 U ]rg = -a r


m 이 된다. 식(2)에 대입하면 퍼텐셜

에너지가 V ]rg = -a V ]rg 의 그래프는


m L2 인 만의 에너지 방정식으로 볼 수 있다.
+ r
r 2mr 2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이다.

V(r)

E>0

E<0

따라서, E < 0 인 경우 닫힌 궤도 운동을 하게 되는 반면, E $ 0 이면 r " 3 까지 갈 수 있어


열린 궤도를 갖는다.

I-5 열에너지

1 - (1) 처음 상태와 최종 상태의 내부 에너지 변화가 없으므로 이 과정에 의한 온도 변화는 없다. 따라서 최종 상
태의 온도는 300K이다.

1 - (2) 처음 상태에서 부피와 온도가 같은 상황에서 네온과 아르곤의 압력비가 4이므로 아르곤 기체의 몰수는
1/4몰인 것을 알 수 있다. 칸막이가 움직여 최종 상태에서는 네온과 아르곤의 압력이 같아지므로 부피비
V
는 몰비와 같아져 Ne = 4 이다.
V Ar

308
부록

1 - (3) 처음 상태와 최종 상태의 온도가 같으므로 등온 과정에 따른 엔트로피 변화를 이용하여 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할 수
있다. 네온과 아르곤의 처음 부피를 V0라고 하면 이상기체 상태방식을 이용하여
8 2
VNe = 5 V0 이고 V Ar = 5 V0 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엔트로피 변화는
8 R 2
DS = DS Ne + DS Ar = R ln 5 + 4 ln 5 이다.

2 - (1) 두 물체가 평형 상태에 이르렀을 때 온도를 T f 라고 하자. 식 (5-12)로부터


C 1 T f - T1 = C 2 T f - T2
이므로 최종 온도는

C 1 T1 + C 2 T2
Tf = 가 된다.
C1 + C2

2 - (2) 위의 T f 식의 분모 분자를 C1 으로 나누어 주면


C2
T1 + T
= d T1 + 2 T2 nd 1 - 2 + g n
C1 2 C C
Tf =
C C1 C1
1+ 2
C1
첫째 항만을 취하면

C2
T f . T1 + T
C1 2
가 된다.

3 식 (5-12)와 식 (5-27)을 이용하면


C ]T g
DS = S ]T g - S ]0g = ]a + bT 2g dT +
b 3
# #
T T
dT = 3T
0 T 0

이 된다.

4 - (1) 각 과정 동안에 기체가 한 일을 구하여 모두 합해준다.


a 과정은 등적 과정이므로 기체가 한 일 W a = 0 이다.
b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 W b = P0 ]4V0 - V0g = 3P0 V0 이다.
c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

P ]V g dV = dV = RTh ln b 4 l = -P0 V0 ln 4 이다. 따라서 한 순환


RTh 1
# #
Vf V0
We =
Vi 4VO V

309
연습 문제 풀이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은 W = P0 V0 ]3 - ln 4g 이다.
4 - (2) 온도 Tc 인 열저장고로 열이 방출되는 과정은 a 과정이다. 식 (5-14)에서 등적 과정이므로 DU = Q
이다.
a과정에서의 내부 에너지 변화는

DU = 2 RDT = 2 R ]P0 V0 - 4P0 V0g = - 2 P0 V0 이다. 따라서 방출된 열은


3 3 9

9
2 P0 V0
이다.

I-6 복잡한 현상의 물리

1 헬
 륨과 아르곤은 서로 구별되는 입자들로 칸막이 제거 전후의 열역학 과정 동안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
과정 동안 각각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 합해 주면 전 체계의 엔트로피 변화가 된다. 헬륨의 엔트로피 변화는
부피가 처음 V 에서 칸막이 제거 후 2V 로 변한 요인에 의해서만 생기므로 섹쿠르-테트로드 방정식으로부터

2V
DS H = Nk ln = Nk ln 2 = nR ln 2
e
V
가 된다. 헬륨 1몰이므로 DS He = R ln 2 이다. 아르곤도 마찬가지이므로 전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는

DS = DS H + DS A = 2R ln 2
e r

가 된다. 칸막이 제거 후 엔트로피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칸막이 제거 후 분자들이 자발적으로 전체


부피로 퍼지는 것이 전체계의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열역학 제2법칙을 따르는 과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
로 원래대로 나뉘어지는 것은 엔트로피를 감소시키기 과정으로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안다. 이와 같
이 두 종류의 분자들이 섞여 엔트로피가 증가되는 경우를 혼합 엔트로피라고 한다.

2 - (1) 진동자 1 2 3
3 0 0
0 3 0
0 0 3
2 1 0
2 0 1
에너지
1 2 0
0 2 1
1 0 2
0 1 2
1 1 1

310
부록

2 - (2) 진동자 1 2 3
4 0 0
0 4 0
0 0 4
3 1 0
3 0 1
1 3 0
0 3 1
에너지 0 1 3
1 0 3
2 2 0
2 0 2
0 2 2
2 1 1
1 2 1
1 1 2

2 - (3) 진동자 1 2 3 4
2 0 0 0
0 2 0 0
0 0 2 0
0 0 0 2
1 1 0 0
에너지
1 0 1 0
1 0 0 1
0 1 1 0
0 1 0 0
0 0 1 1

2 - (4) N 개의 진동자와 q 에너지를 갖는 겹침수는 N 개 중 q 개를 중복해서 뽑는 방법의 수와 같다. 따라


]q + N - 1g !
X 는 X ]N, qg =
q! ]N - 1g !
서, 겹침수 가 된다.

2+1+1 4
3 점
 이 4개일 때 평균 경로 길이는 = 3 . 1.3
3
점이 8개일 때 평균 경로 길이는 4 + 3 + 2 + 1 + 3 + 2 + 1 = 16 . 2.3
7 7
점이 16개일 때 평균 경로 길이는
8+7+6+5+4+3+2+1+7+6+5+4+3+2+1 64
15 = 15 . 4.3
이다.

N 개 일 때, 평균 경로 길이는 2 2 b 2 l /N - 1 이므로 N 이 매우 클 때, L + N
점의 개수가
1 N N-1

311
연습 문제 풀이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정상 네트워크의 경우 평균 경로 길이는 네트워크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비례해서 커지

는 반면 좁은 세상의 경우 L + log N 으로 평균 경로 길이는 로그 함수로 천천히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Ⅱ-1 전기장과 가우스 법칙

v
1 무한히 큰 면 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가우스 법칙에 의해 E = 2e 로 면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또,
0
(+)전하에 의해 판에서 나가는 방향, (-)전하에 의해 판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두 판의
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중첩된다. 따라서 두 판의 바깥 부분 즉, 1, 4, 5 위치에서는 전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상
v
쇄되어 0이 된다. 2, 3 위치에서는 같은 방향의 전기장이 더해져 E e 가 된다.
0
2 반지름이 r 이고 길이 l 인 원통을 가우스 곡면으로 잡는다. 그러면 원통 뚜껑을 통과하는 선속은 0이고 옆면을
통과하는 선속에 의해 가우스 법칙은 다음과 같다. # EdA = E ]2rrlg = r ]r 2 - a 2g lp/e 0 따라서
전기장은 E = ]r 2 - a 2g t/2re 0 가 된다.

3 q1 이 있을 때 W3 = q3 ]V1 + V2g = q3 4re0 b r 1 + r 2 l q2 을 먼저 가져오는 일 W2 와 그 다음에


q q
13 23

q 3 를 가져오는 일 W 3 를 생각하면 W2 = q2 V1 = q2 4re0 q1 이고, 이다. 따라서 계의 에너지는 다음과


r12
같다.

U = U 2 + U 3 = 4re b r1 2 + r2 3 + r3 1 l
1 q q q q q q
0 12 23 31

Ⅱ-2 전기 회로

1 안쪽 원통에 대전된 전하량을 +Q 라 하면 바깥쪽 원통에 대전된 전하량은 -Q 가 된


다. 가우스 법칙에 의해 안쪽 원통의 전하는 중심에 모여 있는 선전하와 같은 전기장을 만들

므로 반지름 r 이 R 1 < r < R 2 인 곳에서 전기장은 E ]rg = 1 Q 가 되고 전위


2re 0 rL
c 2 m 이다. 따라서 전기 용량은
1 Q Q R
# #
R2 R2
차는 V = Edr =
R1 R1 2re 0 rL dr = 2re 0 L ln R 1
Q 2re 0 L
ln ]R 2 /R 1g
C= =
V

312
부록

2 제일 위쪽 직렬 연결된 두 축전기부터 하나씩 공식을 적용해 계산하면 Ceq = 96n F

3 전류 법칙에 의해 I2 = I1 + I3 , 왼쪽 사각형 고리에서 전압 법칙에 의해 28 = -4I1 - 2I2 , 오른쪽


고리 전압 법칙에 의해 7 = -I 3 - 2I 2 이다. 연립하면 I 1 = -5 A , I 2 = -4 A , I 3 = 1 A

4 a 단자에서 I 의 전류가 흘러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형태의 대칭성으로 인해 첫 번째 분기점에서 각 모서리로


1 씩 나뉘어 흐르고 다음 분기점에서 다시 반으로 1 씩 흐르게 된다.
I I
3 6
1I
6
1I
1I 3
6
1I
I 6
a
1I
6 I
1I
3
1I
6
1I
1I 3
6

적당한 경로를 따라 단자 a에서 단자 b까지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을 적용하면 a-b 단자 사이의 전위치는
5
IR
1 1 1 5 이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V 6 5
V = IR + IR + IR = IR R eq = = = R 이다.
3 6 3 6 I I 6

5 그
 림의 1단계에서 3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형태이므로 합성저항은 3Ω이 되고 R1 = 3으로 나타낼 수 있
다. 2단계는 1단계 저항과 1Ω 저항을 병렬 연결한 후 앞뒤에 각각 1Ω 저항을 직렬 연결한 것과 같다. 마찬
1
f1+ 1 p
가지로 n단계 저항을 Rn이라 하면 R n + 1 = 2 + 이 된다. n이 매우 크면 Rn = Rn + 1 임을 이용
Rn
1
f1+ 1 p
하면 R n = R n + 1 = 2 + 이므로 R n = 1 ! 3 이 된다. 저항은 음의 값이 될 수 없으므로
Rn
R n = 1 + 3 이 된다.

Ⅱ-3 자기장과 전자기 유도

dU dBA dB~x
1 - (1) f = dt = dt = dt
= B~v 방향은 지면을 뚫고 나오는 자기장을 만들도록 시계 방향
의 유도 기전력이 유도됨.

V B~v , 전력 B2 w2 v2
1 - (2) 전류 I = R = R P = VI = R

313
연습 문제 풀이

2 2 2
1 - (3) F = IwB , 일률 P = Fv = B w v , 외부 힘이 하는 일률과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같다.
R

dI dI R
2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에 의해 IR + L = 0 이고, 변수 분리하면 = - dt 가 된다. 적분하면
dt I L
R R V 이다.
ln I = - t + C 가 되고 따라서 I = I 0 e - L t 이다. 여기서 I 0 는 처음 전류이므로 I 0 =
L R
따라서 I =
V R
- t
Re
L

N1
N 2 An 0 I
3 M = M21 = N2 U21 = l 1 = n 0 AN 1 N 2
I1 I1 l

Ⅱ-4 교류 전기와 전자기파

1 - (1) 위상자 도표란 +x 축 방향으로 전기 저항 R = 20.0X 를 +y 축 방향으로 유도 리액턴스


1
X L = ~L = 12.0X , -y 축 방향으로 용량 리액턴스 X C = = 16.7X 를 그린 그래프
~C
를 말한다.
+y

XL
R
+x
o
Z

Xo

1 - (2) 이 회로의 임피던스 z = R 2 + ]X L - Xcg2 = 20 2 + ]12 - 16.7g = 20.5X 이다. 위의


2

위상자 도표에서 세 위상자를 더한 합 벡터와 같다. 그리고 위상각 z 는 그림으로부터

314
부록

X L XC -1 12 - 16.7
z = tan -1 R = tan 20 = -13.2c 이다.

e 2.40 # 10 2
1 - (3) 이
 회로에 흐르는 최대 전류는 Im = m = A = 11.7 A 이고, 전류의 실횻값
Z 20.5
Im
I RMS = = 8.28 A 이다.
2

1 - (4) 교
 류 회로의 평균 전력 P = I 2RMS R 이므로, 이 회로에서 t = 10 s 동안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는
P t = I 2RMS Rt = ]8.28g # 20.0 # 10.0 J = 1.37 # 10 4 J 이다.
2

X 3.00 # 10 3
2 - (1) 교류 기전력의 각진동수 ~ = LL = 45.0 # 10 -3 Hz = 6.67 # 10 4 Hz 이므로 진동수
~ 6.67 # 10 4
f = 2r = 2 # 3.14 Hz = 1.06 # 10 4 Hz

1
2 - (2) XC = ~C = X L 이기 위한 전기 용량
1 L 45.0 # 10 -3
]3.00 # 10 3g2
C= = 2 = F = 5.00 # 10 -9 F 이다.
~X L XL

1
2 - (3) X L = ~L = 3.00 # 10 3 X 이고 XC = ~C = 3.00 # 10 3 X 인데, ~l = 2~ 로 바꾸
면 새로운 유도 리액턴스는 X Ll = ~lL = 2~L = 6.00 # 10 3 X 이고, 새로운 용량 리액턴스
1 1
X Cl = = = 1.50 # 10 3 X 이다.
~lC 2~C

3 - (1)  # B : dl = n0 Id " B ]2rrg = n0 ] Jrr 2g B = 2 n0 Jr 에서 r = 1 R


1
4
1
을 대입하면 B = 8 n 0 JR

dE dE I JA J
3 - (2) 변위 전류 Id = e0 A dt " dt = e dA = e A = e
0 0 0

1
4 f1 = 5.00 # 10 5 Hz , f2 = 1.60 # 10 6 Hz , L = 4.00 # 10 -6 H , f = 이
2r LC
므로

315
연습 문제 풀이

1 1
4r 2 ]4 # 10 -6 Hg]5 # 10 5 Hzg2
C1 = = = 25.4 n F
4r 2 Lf 21
1 1
4r ]4 # 10 Hg]16 # 10 5 Hzg2
C2 = 2 2 = = 2.48 n F
4r Lf 2 2 -6

Ⅲ-1 기하 광학

1 l = 3.0 cm , a = 20.0 cm , ll = -4.20 cm (의미: 허상)


(1) 물체보다 큰 허상이므로 오목 거울이다.

b ll
(2) 배율 m = a = 이므로
l
ll -4.20 cm
b = # a = 3.00 cm # 20.0 cm = -28 cm 즉, 상의 위치는 거울 뒤쪽으로 28cm인
l
지점이다.

1 1 1 1 1 1
(3) = a + = 20cm - 28 cm = 70 cm
f b
따라서 f = 70 cm 이고 R = 2f = 140 cm 이다.

1 b
2 a = 4.0m 허상이므로 m = - 2 이고 m = a 이므로

1
b = ma = - 2 # 4.0m = -2.0m 이다.
1 1 1 1 1 1
= a + = 4.0m - 2.0m = - 4.0m ,
f b
즉 볼록 거울이므로 f = -4.0m 이다. 곡률 반지름 R = 2f = -8m 이다.

n n nb - na n n
3 aa + bb = R
에서 R = 3 이므로 a + b = 0 을 이용할 수 있다.
a b
벤젠 속에서 수면층의 겉보기 깊이는
na nb 1.33 1.5
a + b = 6.5 + b = 0 " b = -7.33cm 이다.
따라서 공기층에서 벤젠의 표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겉보기 깊이는
1.5 a 1
]2.6 + 7.33g
+ = 0 " b = 6.62cm
b

316
부록

b
4 f = 60cm , m = a = 3 이므로 b = 3a 이다.
1 1 1 1 1 4 4
= a + = a + 3a = 3a , 즉 a = f = 80cm
f b 3
물체로부터 상까지의 거리 a + b = 4a = 4 # 80cm = 320cm 이다.

5 f = 1.0m , a = 5, 000m , l = 50m


1 1 1 af 5, 000m # 1m b 1
]5, 000 - 1g
f
= a + 에서 b =
b = ] 1m , m = a = 5, 000
a-f
m = 에서 ll = ml = c ] g
ll 1 m
l 5, 000 50m = 0.01m

6 R1 = 10cm , R2 = 20cm , n = 1.50


= ]n - 1gc R - R m = ]1.50 - 1gb 10 - 20 l = 40 , 따라서 f = 40cm
1 1 1 1 1 1
f 1 2

30cm
7m= f
= 5 , f = 6cm
8 대
 물렌즈의 초점 거리 f1 = 80cm , 각배율 m = 20 접안렌즈의 초점 거리 f2 물체의 크기 l , 대물렌즈
에 의한 상의 크기(또는 접안렌즈에 대한 물체의 크기) ll , 접안렌즈에 대한 물체의 크기 ll 이라고 하면

f1 80cm
(1) 각배율 m= = 20 이므로 f2 = 20 = 4cm
f2
(2) a = 1.0km = 1, 000m , l m = 2.0cm
접안렌즈의 배율

에서 ll = l m # 2 = ]2.0cmgb
lm 25 f 4.0cm l 8
m= =
ll f2 25 25cm = 25 cm
대물렌즈의 배율

lm b
m= = a 에서 이므로 b = f1
ll
= b 25 cm lb 0.8cm l = 400cm
a 8 1, 000m
l = ll # 7
f1

Ⅲ-2 간섭 회절

sin 2 ]~tg > = 2 의 증명


1
1 <

317
연습 문제 풀이

< sin 2 ]~tg > =


1 1 - cos 2~t 1
#
2r

2r 2 dt = 2
0

< sin ]~tg cos ]~tg > = ] g ] g sin ]~tg d cos ]~tg =
1 2r 1
# #
2r

2r 0 sin ~t cos ~t dt = 2r 0

- 2r ]cos ]2rg - cos ]0gg = 0


1

y
2간
 섭무늬 조건은 nI
d sin i = nλ에서 d = 0.2mm, sin i . L 에서 y = 3.6mm, L = 1.2m 이므로 λ

= 600nm 이다.
3 이므로 위상차가
3 - (1) A
 지점은 두 슬릿일 때에는 경로차가
2I
λ 180도 나는데, 세 번째 슬릿을 통과한 빛이 상
쇄 간섭할 수 있는 파가 없어서 이 빛의 세기에 해당하는 만큼의 빛이 도달하여 완전히 상쇄 간섭하지는 않

는다. 따라서 어느 정도 세기의 빛이 도달한다.

3 - (2) B
 지점은 2개의 슬릿일 때 위상차가 0이고, 3개의 슬릿을 사용했을 때 3번째 슬릿을 통과한 빛도 위상차

가 없기 때문에 3광 모두 보강 간섭하여 매우 강하게 될 것이다.

4뉴
 톤 링의 중앙 부분은 표준면과 측정하고자 하는 볼록 렌즈의 경우에 렌즈가 접촉한다. 접촉하였기 때문에 두
면에서 반사된 빛들은 경로차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렌즈면에서 반사된 빛은 자유단 반사에 해당하고 표준면에

서 반사된 빛은 고정단 반사에 해당하기 때문에 두 반사파 사이에는 180도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중

앙 부분이 어둡게 보인다.

5마
 흐-젠더 간섭계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레이저 나간 빛이 처음으로 빔 분할기를

만나고 각각의 빔은 거울을 만나 다시 두

번째 빔 분할기에서 만나는 것은 마흐젠더 간섭계와 동일한 모습이다. 하지만 빔 분할기와 거울 사이의 거리를

아무리 멀리 하더라도 두 경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 경로차가 가간섭 거리를 벗어날 염려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

서 핵융합 장치와 같은 거대한 실험 장치를 두 경로 중에 하나에 설치하여 핵융합이 일어날 때 플라스마의 초고

온 초고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 g 에서 간섭무늬가 N개라는 의미는 2r = N 이라는 의미이므로 n = 1 + N # I00


4r d λ
6식
 d= Iλ00 n - 1 D 2D
임을 알 수 있다.

318
부록

λ 에서 i 1 이 작으므로 i 1 . I 이고 중앙의 밝은 무늬 폭은 2 fi 1 이므로


λ
7 a sin i
=I 1
a

2 # 20 # 3I . 13.3cm 이다.

8파
 장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인 배열을 하기 때문에 회절격자와 같은 역할을 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

Ⅲ-3 영상 물리

1선
 편광된 빛이 판의 서로 수직한 성분에 대해 수직축과 i 만큼 기울어져 입사되는
경우에 수평 성분과 수직 성분은 같은 위상으로 입사되지만 I λ 을 통과하면 두
2
성분 사이에는 180도의 위상차가 난다고 하였으므로, 수직 성분은 입사된 빛과
같은 위상이라면 수평 성분은 반대 방향을 향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과된 두 성분
을 더하면 그림과 같이 선편광의 방향이 2만큼 돌아가 나오게 된다.

2 편광각은 n sin i p = n2 sin _90 0 - i pi = n 2 cos i p 일 때이므로


1

n 1.5
tan i p = n 2 = 1 = 1.5 이므로 결과적으로 i p . 56 0 이다.
1

3편
 광이 안 된 빛이 공기 입자에 입사되면 분자 내의 전자가 전자기파의 진
동 방향으로 진동을 할 것이다. 전자가 진동을 하면 전자기파를 방출하게
되는데 가속도 방향으로는 전자기파를 방출하지 않고 수직한 방향으로 전
자기파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그림에서 위쪽으로 가는 빛은 위아래로,
진동하는 빛은 나오지 않게 된다. 사실 그 방향은 빛의 진행 방향이다. 이
는 빛이 횡파인 것에 위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수평 앞 방향으로 나오는
빛은 위아래로 진동하는 성분 즉 편광된 빛만 나오게 된다. 따라서 산란된
빛은 방향에 따라 편광이 달라진다.

4오
 른쪽 적색 필터와 왼쪽 청색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오른쪽 눈은 적색 그림을 보고 왼쪽 눈은 청색 그림을 보
아 뇌에서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편광 안경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서로 수직인 선편광된 영상만
을 보아 입체 영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I
λ
5선
 편광된 빛이 4
파장만큼의 위상 지연이 발생하는 판을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위상 지연판의 결정축 방향은
선편광된 방향과 오른쪽 혹은 왼쪽으로 45도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선편광된 전기장 성분을 결정축을 기준으

319
연습문제 풀이

로 나란한 성분과 수직인 성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이들이 위상 지연판을 통과하게 되면 두 성분 사이에는 90


도의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어 원편광이 된다. 오른쪽으로 45도일 때 좌원 편광이면 왼쪽으로 45도일 때는 우원
편광이 되고 결정에 따라 반대가 되기도 한다.

Ⅳ-1 상대성 이론

1 두
 사람의 말이 다 맞다. 차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양쪽 문을 동시에 닫았다 열었고 닫혀 있는 동안 자동차가 차고
안에서 운동하였다. 차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자동차의 길이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설명에 문제가 없다. 운전자 입장에서는 차고 관리자가 문을 닫았다가 여는 일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았다. 자동차
가 차고의 왼쪽 문에 다다를 무렵 왼쪽 문이 먼저 닫혔다가 열리고 차가 진행해서 차의 뒷부분이 오른쪽 문을 지나
간 다음 오른쪽 문이 닫혔다. 따라서 자동차보다 짧은 길이의 차고를 지나가는 데 문제가 없다.

2 도선에는 원자핵의 양전하량과 전자의 음전하량이 같다. 그런데 전류가 오른쪽으로 흐르면 전자가 왼쪽으로 유
도선에는 원자핵의 양전하량과 전자의 음전하량이 같다. 양전하를 따라가는 관찰자 입장에서는 도선의 양전하
는 유동 속도로 왼쪽으로 이동하고 도선 내의 전자는 정지해 있다. 따라서 양전하에 길이 수축이 일어나서 양전
하의 밀도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척력을 받는다. 즉, 도선과 같이 있는 관찰자에게는 자기력이 양전하와 함
께 이동하는 관찰자에게는 전기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3 자동차 밖에서 바라본 관찰자 입장에서 등을 출발한 광자가 거울에 도착하는 시간 t c 의 속도


은, 빛이
앞 Ll
로 움직이는 동안 거울도 속도 v 로 움직이므로 ct = Ll + vt 을 만족하므로 t = 이
c-v
다. 거울에서 반사된 광자가 등으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앞 시간 t 는앞 같은 방법으로 ct앞 = Ll - vt
Ll 2L 0 가뒤되고 이를 밖 뒤
이므로 t = 이다. 한편, 자동차에 탄 관찰자가 측정한뒤 왕복 시간은
c+v c
뒤 2L 0 1 이 된다. 이 시간은 t + t 와 같아야 하므로
1 - ]v/cg
에서 바라보면 시간 지연에 의해
c 2

1 - ]v/cg2 L 0 를 얻는다.
앞 뒤
Ll Ll 2L 0 1
c-v + c+v = c 1 - ]v/cg
2 이 되고 이로부터 Ll =

320
부록

Ⅳ-2 양자 역학

1- (1) 0 < x < L 에서 U ]xg = 0 이므로


d2 } 8r 2 m
2 + E} = 0
dx h2
 x = 0 , L 에서 U " 3 이므로 물질파는 정상파를 이룬다. 따라서 L = n
I 를 만족시킨다. 물질
2
h nh
파가 I= 이므로 p = 2L 이다.
p
p2 n2 h2
운동 에너지 E = 2m =
8mL


 라서
d2 } n2 r2
2 + } = 0
dx L2
nr
위 방정식은 단순조화운동의 형태와 같으므로 w =
L
} ]xg = A sin a
nr k
x
L
파동함수를 규격화하면 # } 2 ]xg dx = 1 이므로 L A 2 = 1 , A = 2
L

0 2 L
` } ]xg = sin a
2 nr k
x
L L

} 2 ]xg dx = sin 2 a x k dx - 0.351


2 r
# #
0.7L 0.7L
1- (2) P = L L
0.5L 0.5L

} 2 ]xg dx = sin 2 b
2 2r l
# #
0.7L 0.7L
1- (3) P = L L
x dx - 0.247
0.5L 0.5L

2 } = Ae -cx
2
을 규격화하자. # 3

-3
} 2 dx = 1 이고
2I = #
-3
3
A 2 e -2cx dx
2

I= #
0
3
A 2 e -2cx dx
2

] + y 2g
2
I = # # 0
3

0
3
A 4 e -2c x
2
dxdy
극좌표계로 치환하면

A 4 :- 4c e -tD di = 4c 2 A 4
r
r
1 3
1 r
I2 = # # 0
2

0
3
A 4 re -2cr drdi =
2
#
0
2

321
연습문제 풀이

r
1 = 2I = 2A 2 8c
1

A=b r l
2c 4

3 T - e -2bL
8r 2 m ]U b = Eg 이다
b=
h2
8r 2 m # 10eV
이 문제에서 b = = 1.62 # 10 10
h2
(1) T - e -2b # 1nm = 8.47 # 10 -15

(2) T - e -2b # 0.1nm = 0.039


(3) e 0.1 배

4 } ]xg = sin a x k
2 r
L L
sin 2 a x k dx = 2 L : 1 r x = 1 sin b 2r x lD 3 = 1 - 3
r
(1) # 3
2 r L

0 L L L r 2 L 4 L 0 3 4r
(2) 고전적으로는 0부터 L 까지 입자를 발견할 확률은 모두 같다. 따라서 0 # x #
L 까지 확률은 1 이다.
3 3
(3) 전체 확률은 1이고 } 함수는 대칭이므로

P = 1 - 2 c 3 - 4r m = 3 + 2r
1 3 1 3

5 } ]xg = sin a x k
2 r
L L
x 2 = # x 2 sin 2 a
L 2 nr k
x dx
0 L L

= :x 2 nr & 2 a
2 L 1 nr k nr k0DL
+ 4 sin a 2 & 2 x 2 + sin a 2 nr x k0 dx
1
#
L
x -
L L L 0 0 L L

= L2 - 3 L2 - # nr x sin a 2 x dx = 3 L2 - : nr x 2nr D0
2 L L nr k 1 1 L L
0 L
2
1 L
= 3 L2 -
2n 2 r

322
10p 뉴턴의 프린키피아 표지 http://h21.hani.co.kr/arti/PRINT/40192.html
11p 그림(I.1-2)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24
11p 그림(I.1-2)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24
11p 그림(I.1-3)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26
12p 그림(I.1-4)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56
12p 그림(I.1-5)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61
13p 그림(I.1-6) 등가속도운동 김종권, 김성진. HIGH TOP 물리II(7차 교육과정 기본서). 두산동아. p. 31
13p 그림(I.1-7) 중력장 내 비스듬히 던져진 김종권, 김성진. HIGH TOP 물리II(7차 교육과정 기본서). 두산동아. p. 75
물체의 운동
15p 그림(I.1-9) 등속 원운동하는 입자의 속도와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가속도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71
17p 그림(I.1-11) Knight, R. D., Jones, B., Field, S. (2015). colledge physics (THIRD EDITION).
PEARSON. p.263
17p 그림(I.1-12) 경기과학고등학교. 기초물리학I. p. 125
18p 그림(I.1-13) 물체와 관련된 힘들 http://www.sciencegood.com/zboard/zboard.php?id=our_util&page=2&sn1=&d
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
19p 그림(I.1-14) 기본 힘과 힘을 전달하는 입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93513&cid=47338&category
그리고 기본 힘을 설명하는 이론 Id=47338
19p 그림(I.1-15) 작용한 힘에 따른 마찰력의 한국과학창의재단(2011). 심화물리. p. 29
변화
20p 그림(I.1-17) 장력 Walker, J., Halliday, D., & Robert, R (2016). 일반물리학 개정 10판 1권.
범한서적주식회사. p.121
21p 그림(I.1-18) 액체 속에서 낙하하는 작은 구 경기과학고등학교. 기초물리학I. p. 154
23p 문제 5번 새로이 포함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8
23p 문제 6번 새로이 포함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8
23p 문제 7번 새로이 포함 고재걸 외 2인(2009). 역학 연습. 북스힐. p. 92
25p 그림(I.2-1) 위치에 의존하는 힘을 받는 파인만, 고틀리브, 레이턴(2006). 파인만의 물리학 길라잡이. p. 80
물체의 운동
26p 그림(I.2-2) 탄성력이 한 일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182
28p 그림(I.2-4) (가) 곡선 경로를 따르는 변위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나) 중력 mg가 한 일은 변위의 ~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179
28p 그림(I.2-5) Wolfson, R(2016). 핵심물리학 제3판. 자유아카데미. p. 147
29p 그림(I.2-5) (가)에어트랙 위의 물체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나)퍼텐셜 에너지 함수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193
29p 그림(I.2-6) 가상의 퍼텐셜 에너지 함수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I.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193
30p 그림(I.2-7) (가) 안정 평형점 (나) 불안정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24
평형점
32p 그림(I.2-10) 비보존력이 한 일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28
35p 문제 4번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27
35p 문제 5번 김종권, 김성진. HIGH TOP(7차 교육과정 기본서). 두산동아. p. 200
35p 문제 6번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43-44.

323
36p 불꽃놀이 http://www.trcanada.com/trinsider/578543
37p 모터바이크 점프 http://wordpress.mrreid.org/2011/08/22/centre-of-mass-in-extreme-
sports-2/
44p 나로호 발사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39581
46p 김연아 선수 피겨 스케이팅 장면 http://yunaforum.com/
52p 다이빙 http://www.saburchill.com/physics/chapters/0025a.html
53p 줄 위에서 돌고 있는 자이로스코프 http://www.scienceclarified.com/Ga-He/Gyroscope.html
60p 도시 온도 분포 https://en.wikipedia.org/wiki/Urban_heat_island
70p 카르노 사진 https://en.wikipedia.org/wiki/Nicolas_L%C3%A9onard_Sadi_Carnot#/media/
File:Sadi_Carnot.jpeg
71p 여러 기관들의 스케치 Concept in Thermal Physics, Blundell and Blundell p128
76p 공항 네트워크 http://phys.org/news/2012-06-method-diverse-complex-networks-
similar.html
82p 푸아송 분포 http://law.gsu.edu/gjones/research.html
82p 현미경으로 본 뉴런의 모습, 인간 두뇌 http://brainmap.org/
83p 네트워크 Nature 393, 440-442 (4 June 1998) | doi:10.1038/30918
85p 그림(I.6-9) 인터넷 네트워크, http://nd.edu/~networks/
그림(I.6-10) www네트워크 http://nd.edu/~networks/
86p 그림(I.6-12) 단백질 상호 작용 네트워크 Nature 411, 41-42 (3 May 2001) | doi:10.1038/35075138
88p~89p 점프 프로젝트 홍경희 선생님 개발 자료 참고
93p 관속을 통과하는 유체의 부피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
ey=20070305.010380752130001
93p 가상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0~101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3p 비스듬한 가상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0~101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3p 가상면이 전기장에 나란할 때 전기 선속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0~101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4p 가우스 곡면으로 둘러싸인 점전하 http://www.ibiblio.org/links/devmodules/Gauss/html/1chrg_concept.html
95p 균일한 전기장에 놓인 직육면체 모양 가우스 http://www.physics.upenn.edu/~mele/archives/webpage151/phys151.s04/
곡면 phys151/phys151.1/graphics/fields/gausscube2.jpg
95p 가우스 곡면 바깥의 전하와 전기력선 https://encrypted-tbn1.gstatic.com/images?q=tbn:ANd9GcQIvdt-
Q0_z87rjShQBn_9B-sQ8oqLsX0BxBNoCK3PmGHNVwEmN
96p 원통형 가우스 곡면 https://encrypted-tbn3.gstatic.com/images?q=tbn:ANd9GcTlYoidXCd1fpXKCW
VYxuMDoKhIm14anOMz15XHJi0KoDSbBI5R
97p 면전하와 가우스 곡면의 예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7p 구 주위의 가우스 곡면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8p 도체 구의 거리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 2007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82 (서울특별시교육청,현대아트컴 2011.3.1.)
98p 유전체 구의 거리에 따른 전기장의 세기 변화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99p 점전하에 의한 전기장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9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100p 전기 쌍극자에 의한 전기장 2007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82 (서울특별시교육청,현대아트컴 2011.3.1.)
101p 도체 내부의 전기장 http://images.slideplayer.com/14/4427857/slides/slide_28.jpg
101p 전기장 속에 놓인 도체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07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102p 동전위면과 전기력선의 관계 http://phylab.yonsei.ac.kr/img/exp/2-101.jpg
102p 균일한 전기장 내에 놓인 도체 http://physlab.snu.ac.kr/newphyslab/http-2/lab/exp2-4.jpg
103p 평행판 도체 https://encrypted-tbn3.gstatic.com/images?q=tbn:ANd9GcQTO39DltN9WZIJFAj
BTVj1BDk083ueZucNLMINZrTJ85KwqtUd9w
103p 무한원통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급물리 p.112 (서울특별시교육청 2013.12.1.)

324
부록

103p 3개의 양전하 https://lh3.googleusercontent.com/gkPN5RKCniGQ5AmSumjt30ZoV46Qy3Sz-


WVVU40EUcElM5iJIdcO3ihpf0X2LZhMNoG3ErMjd1LaCs9I2gww9XT_hMfc5D377M
tx4OkNEPOVrrOpcPVWrEPx904ZlTFcydI
105p 평행판 축전기와 회로도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4206E3755AF2BD20165C2
105p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장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5/5a/%ED%8F%89%ED%96%89%ED
%8C%90%EC%B6%95%EC%A0%84%EA%B8%B0.PNG
106p 축전기의 병렬 연결 http://www.splung.com/fields/images/capacitors/capacitor%20networks.png
106p 축전기의 직렬 연결 http://www.splung.com/fields/images/capacitors/capacitor%20networks.png
107p 고립된 평행판 축전기 안의 유전 분극 http://www.physics.louisville.edu/cldavis/phys299/notes/elec_dielec_fig1.jpg
108p 키르히호프 전류 법칙 http://genlab.uos.ac.kr/exp_doc/basic_circuit/images/kir1.jpg
108p 키르히호프 전압 법칙 http://www.daenotes.com/electronics/basic-electronics/kirchhoff-voltage-law
109p 전압 법칙 적용 방법 http://file.megamd.co.kr/DEXTDATA/69112A42-8341-4B28-9A53-
DF6AC33D9900.jpg
109p 키르히호프 법칙 적용 http://www.science.go.kr/upload/board/INVENTION/31/b03120090473.pdf
110p 원통형 축전기 http://www.mimedu.co.kr/MIM/ImgDir/5D/0E/5D0E352996F0466FAEACF410CC
D056DB.bmp
110p 회로도 http://cfile224.uf.daum.net/R400x0/235909405517FB032C1044
110p 회로도 https://www.ibiblio.org/kuphaldt/electricCircuits/DC/00211.png
111p 정육면체 모서리 저항 http://postfiles6.naver.net/20151119_101/jsrhim516_1447887898554mwOiv_PNG
/111815_2304_1.png?type=w2
111p 무한 급수 저항 http://science.dongascience.com/Contents/201009/33.jpg
113p 미소 전류에 의한 자기장 http://www.physics.byu.edu/faculty/christensen/Physics%20220/FTI/30%20
Sources%20of%20the%20Magnetic%20Field/30.1%20T8.gif
113p 벡터 곱의 방향 http://people.revoledu.com/kardi/tutorial/LinearAlgebra/
VectorCrossProduct.html
114p 원형 전류 중심의 자기장 http://physics.ssu.ac.kr/course/general_physics/tipler6-yslee/chapter27-
2010-abeek.pdf
114p 무한히 긴 직선 전류에 의한 자기장 http://physics.ssu.ac.kr/course/general_physics/tipler6-yslee/chapter27-
2010-abeek.pdf
115p 암페어 고리 http://image.slidesharecdn.com/lecture24-ampereslaw-140114101534-
phpapp01/95/lecture-24-amperes-law-6-638.jpg?cb=1389694943
115p 오른나사 규칙 http://image.slidesharecdn.com/lecture24-ampereslaw-140114101534-
phpapp01/95/lecture-24-amperes-law-6-638.jpg?cb=1389694943
115p 무한히 긴 직선전류에 대한 암페어 고리 http://physics.ssu.ac.kr/course/general_physics/tipler6-yslee/chapter27-
2010-abeek.pdf
116p 긴 원통 전류에 의한 자기장 http://images.slideplayer.com/19/5756272/slides/slide_75.jpg
116p 긴 원통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 http://images.slideplayer.com/19/5756272/slides/slide_75.jpg
116p 솔레노이드에 의한 자기장 http://images.slideplayer.com/28/9403176/slides/slide_6.jpg
117p 솔레노이드에서의 암페어 고리 http://images.slideplayer.com/28/9403176/slides/slide_6.jpg
117p 토로이드 https://phy214uhart.wikispaces.com/file/view/toroid1.bmp/82803873/
toroid1.bmp
117p 토로이드의 자기장 http://www.rakeshkapoor.us/ClassNotes/HTMLFiles/MagneticField_due_to_Curr
ent_152.gif
118p 패러데이의 첫 번재 실험 http://alpcentauri.info/img499.jpg
118p 패러데이의 두 코일에 의한 유도 실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c/
Induction_experiment.png
118p 패러데이 디스크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9/
Faraday_disk_generator.jpg/220px-Faraday_disk_generator.jpg

325
118p 자기 선속의 적분 http://ctaps.yu.edu.jo/physics/Courses/Phys102/Phys102_Web_Resources/
images/Mag_Field/28_11_Magnetic_Flux.jpg
119p 원형 고리 회로에 유도된 유도전류 http://www.webassign.net/sercp9/20-p-054.gif
119p 감은 횟수가 N 인 코일에 유도되는 http://macao.communications.museum/images/exhibits/2_2_3_3.png
유도기전력
119p 교류발전기의 원리 https://encrypted-tbn2.gstatic.com/images?q=tbn:ANd9GcS_9ZFe8tVc3jZu4Sw
yRT0kVdMjmdkPktNV8q4FG9WbWjeJt5EJ0w
120p 고리에 다가가거나 멀어지는 자석 http://images.slideplayer.com/27/8936996/slides/slide_6.jpg
121p 자기장 영역에 들어가는 회로 http://www.quantemporary.com/electromagnetic-induction-faradays-law-
lenzs-law/
122p 회로를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 https://shannew.files.wordpress.com/2011/04/self1.jpg
122p 솔레노이드형 인덕터와 기호 표기 http://www.chegg.com/homework-help/questions-and-answers/learning-
goal-better-understand-self-inductance-using-example-long-solenoid-
understand-sel-q5314564
123p LR 회로 http://www4.uwsp.edu/physastr/kmenning/images/POP5.23.p.39.png
123p LR 회로에서 스위치를 닫았을 때 전류 증가 http://dev.physicslab.org/img/f841e26e-02f8-4601-aeb6-df5fb3008241.gif
124p 두 코일의 상호 유도 http://web.mit.edu/viz/EM/visualizations/coursenotes/modules/guide11.pdf
125p 두 개의 평행한 도체 막대 http://web.mit.edu/8.02t/www/materials/StudyGuide/guide10.pdf
125p 회로도 http://www.southalabama.edu/physics/lectures/boleman/images/rlCircuit.jpg
125p 솔레노이드 http://images.slideplayer.com/1/229197/slides/slide_16.jpg
126p 4. 교류 전기와 전자기파 https://ko.wikipedia.org/wiki/%ED%85%8C%EC%8A%AC%EB%9D%BC_%
EC%BD%94%EC%9D%BC (퀘스타콘에서의 테슬라 코일. -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의
국립과학기술센터)
127p 그림(Ⅱ.4-1) 교류 발생의 원리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39
131p 그림(Ⅱ.4-11) 각진동수에 따른 리액턴스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46
131p 그림(Ⅱ.4-12) (가)스피커 (나)증폭기와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 대학 물리학Ⅱ. ㈜ 북스힐 (Universsity Physics with modern
우퍼의 전류 진폭을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낸 physics 10판, Young & Freedman) P. 914
그래프
132p 그림(Ⅱ.4-14) 진동하는 LC 회로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59
132p 그림(Ⅱ.4-15) 진동 회로의 에너지 http://phya.snu.ac.kr/php/subject_list/Notice/data/1414553121.pdf
133p 그림(Ⅱ.4-16) (가)용수철 지자와 진동회로 http://yjh-phys.tistory.com/61
(나)물체-용수철 계의 진동과 LC 회로의
전기 전동과의 비교
133p 그림(Ⅱ.4-17) RLC 직렬 회로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48
134p 그림(Ⅱ.4-18) RLC 직렬 회로에서 위상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48
관계
134p 그림(Ⅱ.4-19) (가)직렬 회로의 위상자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48
도표 (나)위상자들의 벡터 합
134p 그림(Ⅱ.4-20) RLC 직렬 회로의 임피던스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48
135p 그림(Ⅱ.4-21) 직렬 회로의 공진곡선 http://phylab.yonsei.ac.kr/board.php?board=experiment&command=body&
no=23
136p 그림(Ⅱ.4-22) 평행판 축전기 충전 Walker, J., Halliday, D., & Robert, R (2016). 일반물리학 개정 9판 2권.
범한서적주식회사. p.1079
139p 그림(Ⅱ.4-24) 가상의 사각틀을 지나는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56
전자기파
139p 그림(Ⅱ.4-25)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 Fundamentals of Physics Extended 9th p. 893, 894, 895
141p 그림(Ⅱ.4-26) 헤르츠의 전자기파 실험 http://www.eham.net/articles/7398
장치

326
부록

142p 그림(Ⅱ.4-27) 회로와 안테나에서 김영민 외 7인(2011). 물리I. 교학사. p. 237


전자기파의 발생
142p 그림(Ⅱ.4-27) 안테나에 들어온 전자기파와 김영민 외 7인(2011). 물리I. 교학사. p. 238
LC 회로
143p 그림(Ⅱ.4-29) 전자기파의 전기장과 자기장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62
143p 그림(Ⅱ.4-30) 우주 배경 복사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2217
144p 그림(Ⅱ.4-31) 전자기파 속에 놓인 직선 김영민 외 7인(2011). 물리I. 교학사. p. 229
안테나
144p 그림(Ⅱ.4-32) 안테나에서 전자기파가 퍼져 김영민 외 7인(2011). 물리I. 교학사. p. 228
나가는 모습
144p 그림(Ⅱ.4-33) 안테나의 기본 원리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63
145p 그림(Ⅱ.4-34) 안테나의 종류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64
145p 그림(Ⅱ.4-35) 무선 통신의 기본 구성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65
146p 그림(Ⅱ.4-36) 세 가지 방식에 의해 변조된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66
파형
149p 그림(Ⅱ.5-1) 귀의 구조 http://lifelog.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tscafe&logNo=1100940567
80&viewDate=&currentPage=1&listtype=0&from=postList
149p 그림(Ⅱ.5-2) 고막과 이소골계의 연결 http://ssjarng.chosun.ac.kr/biomed/p247-311.pdf
149p <1.1 귀와 청각> 중 중이의 임피던스 변환 http://www.koonja.co.kr/upload/goods/pdf/784D8DF7FBC431D6BF4C7918256
기능 관련 내용 4110120120822234159.pdf
150p 그림(Ⅱ.5-3) 달팽이관 http://ssjarng.chosun.ac.kr/biomed/p247-311.pdf
150p 그림(Ⅱ.5-4) 코르티 기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4223&mobile&cid=47341&categor
yId=47341
150p 그림(Ⅱ.5-5) 달팽이관 기저막과 지각 http://keywest4.tistory.com/4
주파수 대역
150p 그림(Ⅱ.5-6) 눈의 구조 https://www.google.co.kr/search?q=%EB%88%88%EC%9D%9
8+%EA%B5%AC%EC%A1%B0&espv=2&biw=1152&bih=647&tb
m=isch&tbo=u&source=univ&sa=X&ved=0ahUKEwjm7o23y7jOA-
hVIrJQKHWNXCokQsAQIHw#imgrc=CQZ04M4wVejnPM%3A
151p 그림(Ⅱ.5-7) 시세포 김영민 외 7인(2011). 물리I. 교학사. p. 215
151p 그림(Ⅱ.5-8) 파장에 따른 반응곡선, http://m.blog.naver.com/noble8888/220669009599
분해능, 흡수량
151p 그림(Ⅱ.5-9) 망막에서의 원뿔 세포와 막대 김중복 외 5인(2013). 고급 물리. 서울특별시교육청. p.172
152p 그림(Ⅱ.5-10) BIA를 이용한 근육량 측정 임수(2010).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대한비만학회지, 19(4), 155-158.
153p 그림(Ⅱ.5-11) X선의 발생 http://www.koonja.co.kr/upload/goods/pdf/42DFE0CD939219FD06C433E29005
832120120824042547.pdf
153p 그림(Ⅱ.5-12) CT 스캐너의 기본적 http://www.koonja.co.kr/upload/goods/pdf/42DFE0CD939219FD06C433E29005
모식도와 영상 획득 도식도 832120120824042547.pdf
153p 그림(Ⅱ.5-13) CT http://www.koonja.co.kr/upload/goods/pdf/42DFE0CD939219FD06C433E29005
832120120824042547.pdf
154p 그림(Ⅱ.5-14) MRI http://www.orthowilmington.com/specialties/mri
154p 그림(Ⅱ.5-15) PET, PET의 원리 file:///C:/Users/user/Downloads/%EB%A7%88%EC%A7%80%
EB%A7%89+%EB%8B%A8%EA%B3%84%EC%9D%98+%EB%B6%88
%EC%86%8C%ED%99%94+%EB%B0%98%EC%9D%91%EA%B3%
BC+%EC%96%91%EC%84%B1%EC%9E%90%EB%B0%A9%EC%B6
%9C+%EB%8B%A8%EC%B8%B5%EC%B4%AC%EC%98%81+%EC%
A7%84%EB%8B%A8%EC%8B%9C%EC%95%BD+%ED%95%A9%EC
%84%B1%EC%9C%BC%EB%A1%9C%EC%9D%98+%EC%9D%91%
EC%9A%A9.pdf

327
155p 그림(Ⅱ.5-16) CT, MRI, PET 영상 비교 http://merazoa.tistory.com/3
155p 그림(Ⅱ.5-17) 감마나이프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S2&MENU_
ID=004006
156p 터치스크린 http://cdn.slashgear.com/wp-content/uploads/2013/02/wacom_dtu_1031_pen_
display_news.jpg
156p 스마트폰 https://encrypted-tbn3.gstatic.com/images?q=tbn:ANd9GcRYcJEGfe_OHqd5X
PrR4ZIlg4Hy7rJQVOVfMzQKGv5SmVvp_6tw
156p 감압식 터치 원리 http://cfile9.uf.tistory.com/image/2025921A4C19D9A0793812
156p 초음파 방식 터치스크린의 구조 http://inirch.cafe24.com/prop/data/editor/1407/1935314035_1406632111.2326.
PNG
157p 태블릿 펜의 원리 http://study.zumst.com/upload/00-K33-00-21-06/K33-00-21-06-%ED%83%9
C%EB%B8%94%EB%A6%BF%EC%BB%B4%ED%93%A8%ED%84%B0.png
157p 알루미늄박 http://cfile29.uf.tistory.com/image/1308683E4FCCEC56031270
157p 평행판 축전기 https://encrypted-tbn3.gstatic.com/images?q=tbn:ANd9GcTcrmxRIVgG5Z2996
eWMuO_AeCYpn7OnDy9q2ZJxlUTY9dx3XJx
220p 상대운동하는 두 관성계 http://pressian.wcms.newscloud.or.kr/data/photos/IMAGE_ROOT/images/2008
/04/01/40080328125725[4].jpg
221p 버스 밖에서 본 추의 운동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568364852468732221B5C
221p 버스 안에서 본 추의 운동 http://cfile22.uf.tistory.com/image/2568364852468732221B5C
222p 움직이는 버스와 멈춰 있는 버스 https://ncache.ilbe.com/files/attach/new/20150202/377678/711285224/5203433
910/9d34fb7ac1403c7c7c60fa061a6aaa30.png
222p 가까워지는 도체고리와 자석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d/060618_conduct
or_magnet.svg/300px-060618_conductor_magnet.svg.png
224p 시간 팽창 http://ncc.phinf.naver.net/20141230_87/1419898578570j7xcd_JPEG/03.jpg?typ
e=w646
225p 길이 수축 http://koc.chunjae.co.kr/upload/421/C-E-K3O-F0-_0140.jpg
226p 동시성의 상대성 http://hkpark.netholdings.co.kr/files/45/manual/107589/2727/
einstein_train1.png
227p 두 물체의 완전 비탄성 충돌 http://physica.gsnu.ac.kr/phtml/modern/relativity/kinetics/kinetics.html
227p 두 물체의 완전 비탄성 충돌 http://physica.gsnu.ac.kr/phtml/modern/relativity/kinetics/kinetics.html
230p 엘리베이터 안의 관성력 tp://cfile7.uf.tistory.com/image/2640F85052301124060D48
231p 가속 운동하는 우주선 ttp://u2.lege.net/cetinbal/PU/RV_lightbendingelevator1.gif
231p 가속 운동하는 우주선 내부의 관찰자 ttp://u2.lege.net/cetinbal/PU/RV_lightbendingelevator1.gif
231p 중력이 있는 공간에 정지해 있는 우주선 ttp://u2.lege.net/cetinbal/PU/RV_lightbendingelevator1.gif
내부의 관찰자
231p 중력에 의한 시간 지연 http://www.conspiracyoflight.com/Gravitational.html
233p 차와 차고 정지한차와차고(http://www.pitt.edu/~jdnorton/teaching/HPS_0410/chapters/
Reciprocity/garage_1.gif)
차고관리자입장(http://www.pitt.edu/~jdnorton/teaching/HPS_0410/chapters/
Reciprocity/garage_2a.gif)
운전자입장(http://www.pitt.edu/~jdnorton/teaching/HPS_0410/chapters/
Reciprocity/garage_3a.gif)
233p 전선 근처의 양전하 ttp://web.hep.uiuc.edu/home/g-gollin/relativity/Image80.gif
233p 자동차와 전등, 거울 http://pds11.egloos.com/pmf/200904/19/80/c0093580_49ea678e539ab_m.jpg
235p 흑체 그림IV.2-1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2(다시)
235p 흑체 복사 스펙트럼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5089
236p 우주에 존재하는 별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0&contents_id=5089
237p 프랑크 인물사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4

328
부록

238p 광전 효과의 실험 장치 개략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5


238p 광전효과 실험 결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5
238p 광전효과 실험 결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5
240p 콤프턴 효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7
241p 드브로이 인물사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8
242p X선 회절과 전자 회절의 무늬 비교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9
242p 데이비슨·거머 실험 개략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89
243p 고체결정에서의 브래그 산란에 대한 개략도 현대물리학제6판개정판,장준성외(2014),교보문고,p.97
246p 파장이 있는 파동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2
247p 전자에 의해서 산란된 빛으로 전자의 위치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3
관찰하는 현미경
248p 톰슨이 사용한 음극선 실험 장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4984&cid=47338&category
Id=47338
248p 톰슨의 원자모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4984&cid=47338&category
Id=47338
249p 러더퍼드 사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8
249p 러더퍼드의 입자 산란 실험 장치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8

249p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8


250p 러더퍼드 원자모형의 문제점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98
251p 원자 내 전자의 궤도 전이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00
254p 스펙트럼의 파장 범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03
254p 수소 원자의 에너지 스펙트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03
259p 1차원 상자 안에 갇힌 입자가 느끼는 퍼텐셜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09
에너지
259p 1차원 상자 안에 갇힌 입자가 허용된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09
상태에서의 파동함수와 미분 방정식함수
263p 유한 퍼텐셜 장벽에서 입자의 터널 효과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2
263p STM의 구조 개략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4
264p GaAs의 STM이미지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4
267p 핵분열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7
268p 원자력 발전소의 개략도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9
268p 핵융합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19
269p 원자의 질량에 따른 결합 에너지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0
270p 태양의 핵융합 반응 과정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1
271p 태양의 핵융합 반응 과정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2
271p 중력 가둠 핵융합의 예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2
272p 자기 가둠 핵융합의 과정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4
273p KSTAR 주장치 모습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6
273p KSTAR에서 만든 플라스마 고급물리,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6
276p 자연의 네 가지 기본 상호 작용 고급물리,권재술외(2003),교육인적자원부,p261
277p 경입자의 종류와 특징 고급물리,권재술외(2003),교육인적자원부,p262
278p 쿼크의 종류와 특징 고급물리,권재술외(2003),교육인적자원부,p262
278p 물질의 표준 모형 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933772&imageUrl=http%3A%2F
%2Fdbscthumb.phinf.naver.net%2F1967_000_1%2F20120316104803438_9LMGC
OJSC.jpg%2Fba2_12-2-162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
cid=43667&categoryId=43667

329
279p 윌슨의 안개상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76420&cid=40942&category
Id=32227
280p 가이거 계수기의 원리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9D%B4%EA%B1%B0_%EA%B
3%84%EC%88%98%EA%B8%B0#/media/File:Geiger_Mueller_Counter_with_Circu
it-en.svg
280p 1932년 가이거가 실험실에 사용한 초기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9D%B4%EA%B1%B0_%EA%B3
가이거-뮐러 계수관 %84%EC%88%98%EA%B8%B0#/media/File:Early_Geiger_counter,_made_by_Han
s_Geiger,_1932._(9663806938).jpg
281p 스위스 쪽에서 본 CERN연구소 건물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9F%BD_%EC%9E%85%EC%9E
%90_%EB%AC%BC%EB%A6%AC_%EC%97%B0%EA%B5%AC%EC%86%8C
281p LHC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9F%BD_%EC%9E%85%EC%9E
%90_%EB%AC%BC%EB%A6%AC_%EC%97%B0%EA%B5%AC%EC%86%8C
283p 에너지 준위 분리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8
283p 가전자 띠와 전도띠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29
284p 고체의 띠 구조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0
285p n형 반도체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1
285p p형 반도체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1
286p pn 접합 다이오드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3
287p 제너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3
287p pnp 트랜지스터와 회로의 개요도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3
287p 공통 이미터 회로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0
288p 레이저의 기본 구조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0
288p 레이저의 네 가지 기본 과정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3
289p 레이저의 공진기 종류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3
290p 레이저의 종류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4
291p 레이저의 응용 예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247
292p 풀러렌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5
292p 다양한 형태의 탄소 나노튜브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5
293p 그래핀과 다른 탄소 나노튜브와의 차이점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5
294p 그래핀에서 나타나는 클라인 터널링 효과 김중복외(2013),서울시교육청,p.337

330
집필진

김현주(한국교원대학교)* 김중복(한국교원대학교) 류광수(한국교원대학교)


박지연(대전과학고등학교) 정도일(청주고등학교)
* 표시는 집필 책임자임

인정도서심의회

김종헌(대전과학고등학교)* 곽혜정(대전과학고등학교) 권진영(대전과학고등학교)


김인식(대전과학고등학교) 박동규(대전과학고등학교) 박빛하(한밭고등학교)
양명수(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윤석민(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한건우(대전과학고등학교)
정길순(대전전민고등학교) 이정숙(대전전민고등학교)
* 표시는 심의회 위원장임

심의 기관 대전광역시교육청

감수 기관 한국교원대학교

편찬 기관 (재)한국교과서연구재단

편집 디자인 기관 (주)지엔피링크

고등학교 고급 물리학 | 교육부의 위임을 받아 대전광역시교육청에서 인정 승인 하였음.

지은이 김현주 외 4인 2018. 3. 1. 초판 발행

발행인 대전광역시교육감 2019. 3. 1. 2판 발행

인쇄인 정가 원

이 교과서의 본문 용지는 우수 재활용 제품 인증을 받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했습니다.

교과서에 대한 문의사항이나 의견이 있는 분은 교육부와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이 운영하는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전화: 1566-8572, 웹사이트: http://www.textbook114.com 또는 http://www.교과서114.com)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에 대한 보상금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사단법인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02-2608-2800, www.korra.kr)에서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합니다.

•내용관련문의 대전광역시교육청 주소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89 / 전화 042)865-6350 / 전송 042)865-6430


•공 급 업 무 사단법인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10881)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439-1(신촌동 734-1)
•개별구입문의 홈페이지 주소 www.ktbook.com / 전화 031)956-8581~4 사단법인 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ISBN 979-11-85320-23-6 53420
고등학교

고급 물리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