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28

미적분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 은 이 _ 민경도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_ 이창희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新 수학의 바이블 미적분 201810 제5판 1쇄


펴낸이 김형중
펴낸곳 이투스교육㈜ 서울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47
고객센터 1599-3225
등록번호 제 2007-000035호
ISBN 979-11-6123-729-9 [53410]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잘못 만들어진 책은 구입처에서 교환해 드립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을 사랑하는 많은 학생들에게 드립니다.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면서 교육 현장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기본서 新수학의
바이블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교과서보다 더 자세한 新수학의 바이블!!


기존의 참고서가 <예제+유제>의 구조로 수학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 반면, 新수학의 바이블은 <1+3 시스템>을
도입하여 한 가지 문제 유형을 표현뿐만 아니라 개념까지 확장시킴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등을 통해 교과서보다 더 자세한 개념 설명과 보기를 제시하고 체
계적으로 학습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또한 모든 연습문제의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3단계 해설은 新수학의 바이블만의 특색입니다.

수많은 병사들이 두려워하는 구척의 장군 골리앗을 갑옷도 입지 않고 창과 칼도 없는 다


윗이 물맷돌만으로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이길 수 있다는 믿음과 자신감 때문이었습니다. 수학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슴 속에 수학을 향한 자신감을 가득 품고 힘차게 나아가길 바라며,
그 길을 가는데 新수학의 바이블이 여러분에게 큰 힘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서울대 수학교육과 졸업
現 다원교육 대표이사
2018. 10 이창희
前 강남대성학원 전임 강사
前 EBSi 수학 영역 강사
前 서울예술고등학교 교사

학생들을 가르치는 20여 년간 수학을 참 오래도록 접하고 연구하면서 수학이라는 학문이 가진 매력적인 부
분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하면 좋을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입시제도에서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는 과목이
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과목이 아니라 친근한 과목으로 인식하기를 바라면서 新수학의 바이블을 집
필하였습니다.

바이블만의 노하우는 이것이다!!


같은 문제라도 배열이 어떻게 되는가에 따라 학습효과가 달라집니다. 현재 현장에서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
는 경험을 살린 문제 배열은 다른 기본서들과 차별되는 바이블만의 노하우입니다.
新수학의 바이블은 단원 마다 중요한 예제를 담고 - - 의
1+3 시스템을 통해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新수학의 바이블로 수학을 잘하게 되었다고 외쳤으면 합니다.


新수학의 바이블이 여러분들의 꿈에 한 발짝 다가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서울대 수학교육과 졸업
現 종로학원 강남이과 2018. 10 민경도
前 EBSi 수학 영역 강사
前 숙명여자고등학교 교사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만의
1+3 단계별・수준별 수학 학습 시스템

1. 단계별 유형 공부
하나의 예제를 (모방) (변형) (응용) 3단계 유제로 학습하
여 유형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제에서 숫자만 바꾼 모방 문제로, 예제를 통해 습득한 문제 해결 원리를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제에서 표현만 바꾼 변형 문제로, 다양한 수학적 표현에 혼동하지 않고 문제 해결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제에 다른 개념을 추가한 응용 문제로, 통합적 문제 해결 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
다.

2. 수준별 문제 풀이
수준별 연습 문제를 통해 기본에서 고난도까지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3~4등급 수준의 난이도에 해당하는 내신 유형의 문제들로 구성하여 학교 시험 대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3등급 수준의 난이도에 해당하는 수능 유형의 문제들로 구성하여 수능 대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 자세한 풀이 이해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3단계의 체계적이고 자세한 풀이 방식으로 문제에 대한 접
근 및 해결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분석하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조건을 수집하는 방법을 서술하여 문제를 명확히 이해
접근 방법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논리적인 비약이 없도록 자세하고 꼼꼼한 전체 풀이 과정을 서술하여 문제 해결 과정을 쉽
상세 풀이
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접근 방법이나 상세 풀이에서 언급하지 않은 부가적인 설명을 서술하여 문제 해결에 필요한
보충 설명 개념이나 원리를 재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의 바이블의... 섬세한 개념 구성
바이블만의 체계적이고 자세한 설명 방식으로
새로운 개념에 대한 공식 및 원리의 완벽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1 2 3
Bible Focus 설명 Bible Point와 Plus
각 단원의 주요 내용과 공식을 한 새로운 개념에 대한 용어의 정의 주요 개념 설명의 핵심만을 한 눈
눈에 확인할 수 있게 정리함으로 를 명확히 제시하고 충분한 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여 암기
써 앞으로 배울 학습 방향을 명확 Example 과 Proof 를 통해 수학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 공식 및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를 통해 를 재해
다. 있도록 하였습니다. 석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보충학
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4 5 6
약점 휘어잡기 개념 확장하기 개념 콕콕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나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지 않지만 개념 설명과 와 로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선수학 개념 이해나 문제 해결에 유용한 정리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문
습 내용을 제시하여 향후 학습에 내용을 제시하여 수학적 원리의 제를 제공하여 개념에 대한 이해
결손 부분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 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
니다. 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의 바이블의... 단계별 문제 구성
하나의 예제를 (모방) (변형) (응용) 3단계 유제로 학습하여
유형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4

1 2
예제 Bible
본문을 통해 배운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유형 문제와 접근 방법-상세 예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개념
풀이-보충 설명 3단계의 자세한 풀이를 통해 개념과 문제 풀이 과정을 확실 을 다시 한 번 정리합니다.
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4 5
숫자 바꾸기 표현 바꾸기 개념 넓히기
예제에서 숫자가 바뀐 문제로 예 예제에서 문제를 제시하는 표현만 예제에 적용된 개념을 응용한 문
제를 통해 익힌 풀이 과정을 반복 변형된 문제로 동일한 해결 과정 제를 풀면서 문제 유형을 완벽하
연습하면서 스스로 문제를 풀 수 에 대한 다양한 문제 제시 방법을 게 이해하고, 풀이 과정을 응용할
있는 힘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익혀 낯선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기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의 바이블의... 수준별 문제 구성
수준별 연습 문제를 통해
기본에서 고난도까지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1
2 기본 다지기
각 단원의 필수 유형 문제를 풀면서 앞서 공부한 내용을 다질
수 있습니다. 기본 다지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그 단원의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실력 다지기
비교적 쉬운 문제부터 난이도 있는 문제까지 계단식으로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실력 다지기 문제를 풀면서 자신의 수학 실력
이 향상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학의 바이블의... 자세한 풀이 구성


접근 방법 상세 풀이 보충 설명 3단계의 체계적이고 자세한 풀이 방식으로
문제에 대한 접근 및 해결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접근 방법
문제를 접했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알려줍니다. 접근 방법을
1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포인트를 잡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2 상세 풀이
문제 풀이 과정을 상세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풀이를 따라가
3 면서 세부적인 해결 과정을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보충 설명
접근 방법이나 상세 풀이에서 다뤄주지 못했지만, 문제 풀이에 도움이
* 新수학의 바이블의 풀이집은 별매입니다.
되는 추가 설명과 내용 정리를 통해 수학적 사고를 넓힐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Contents

Ⅱ 미분법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127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4
・ 기본 다지기 150
・ 실력 다지기 152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0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57
02 삼각함수의 합성 170
・ 기본 다지기 180
Ⅰ 수열의 극한 ・ 실력 다지기 182

01. 수열의 극한 05. 삼각함수의 미분


01 수열의 수렴과 발산 013 01 삼각함수의 극한 187
02 극한값의 계산 018 02 삼각함수의 미분 204
03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036 ・ 기본 다지기 212
04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056 ・ 실력 다지기 214
・ 기본 다지기 062
・ 실력 다지기 064 06. 여러 가지 미분법
01 함수의 몫의 미분법 219
02 합성함수의 미분법 228
02. 급수 03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242
01 급수 071 04 음함수의 미분법 246
02 등비급수 090 05 역함수의 미분법 252
03 등비급수의 활용 104 06 이계도함수 260
・ 기본 다지기 118 ・ 기본 다지기 264
・ 실력 다지기 120 ・ 실력 다지기 266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Ⅲ 적분법

10. 부정적분
01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365
02 치환적분법 376
03 부분적분법 392
07. 접선의 방정식 ・ 기본 다지기 400
01 접선의 방정식 273 ・ 실력 다지기 402
02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282
접선의 방정식 11. 정적분
03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286 0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 407
접선의 방정식 0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430
・ 기본 다지기 290 ・ 기본 다지기 444
・ 실력 다지기 292 ・ 실력 다지기 446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12. 정적분의 활용


01 함수의 극대와 극소 297 01 구분구적법 453
02 곡선의 오목과 볼록 306 02 정적분과 급수 458
03 함수의 그래프 312 03 넓이 472
・ 기본 다지기 322 04 부피 490
・ 실력 다지기 324 05 속도와 거리 494
・ 기본 다지기 502
09. 도함수의 활용 ・ 실력 다지기 504
01 함수의 최대와 최소 331
02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338
03 속도와 가속도 346
・ 기본 다지기 356 ● 정답 508
・ 실력 다지기 358 ● 찾아보기 5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수열의 극한
01 수열의 수렴과 발산 013
02 극한값의 계산 018
예제
03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036
예제
04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056
예제
기본 다지기 062
실력 다지기 064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Ⅰ의 수열 단원에서는 여러 가지 수열들의 일반항과 제
n항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하였습니다. 이
번 단원에서는 항의 번호 n이 커짐에 따라 수열의 제n항의
값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정의해 보겠습니다. 또한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값을 계산하
는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 배우고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도 판별해 보겠습니다.

01 수열의 수렴과 발산
수열의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이를 판별할 수 있다.

02 극한값의 계산 01 1

¶ 꼴의 극한값의 계산 028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을 02 ¶-¶ 꼴의 극한값의 계산 030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극한값
03 수열이 수렴할 조건 032
을 구할 수 있다.
04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034

03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05 등비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040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 06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042
다.
07 등비수열이 수렴할 조건 044

08 등비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 046

09 수열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한 048


극한값의 계산

10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극한 050

11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극한의 응용 052

12 수열의 극한의 도형에의 응용 054

04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13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060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 수열의 극한

01 수열의 수렴과 발산

⑴ 수렴 : lim a«=a (단, a는 일정한 값)


n ڦ

( nlim a«=¶ (양의 무한대로 발산)


\
ڦ

⑵ 발산 { lim a«=-¶ (음의 무한대로 발산)


\ n ڦ
9 진동

02 극한값의 계산

1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⑴ lim (a«—b«)= lim a«— lim b«=a—b (복부호동순)


n ڦ n ڦ n ڦ

⑵ lim ca«=c lim a«=ca (단, c는 상수)


n ڦ n ڦ

⑶ lim a«b«= lim a« lim b«=ab


n ڦ n ڦ n ڦ

a« lim a«
n ڦ a
⑷ lim = = (단, b«+0, b+0)
n ⁄¶ b« lim b« b
n ڦ

2 극한값의 계산
⑴¶
¶ 꼴의 극한값의 계산 :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눈다.
⑵ ¶-¶ 꼴의 극한값의 계산
①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근호를 포함한 분자 또는 분모를 유리화한다.
② 근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3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수열 {c«}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c«…b«이고 a=b이면 lim c«=a이다.


n ڦ

03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등비수열 { r« }에 대하여
⁄ r>1일 때, lim r« =¶ (발산) ¤ r=1일 때, lim r« =1 (수렴)
n ڦ n ڦ

‹ -1<r<1일 때, lim r« =0 (수렴) › r…-1일 때, 수열 { r« }은 진동한다. (발산)


n ڦ

01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수열의 수렴
01
다음과 같은 두 수열
1
{a«} : ;1!;, ;2!;, ;3!;, ;4!;, y, ,y yy ㉠
n
n
{b«} : ;2!;, ;3@;, ;4#;, ;5$;, y, ,y yy ㉡
n+1
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봅시다.
두 수열 {a«}, {b«}은 각각 정의역이 자연수 전체의 집합인 함수
1 n
f(n)= ,` g(n)=
n n+1 유리함수 y=
x
=-
1
+1의
x+1 x+1
이고, 그 그래프를 그려 보면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프의 점근선 y=1을 떠올립니다.

㉠ f(n) ㉡ g(n)
g(n)=
n
1 n+1
1 f(n)=- 1
n
1 1
- -
2 2

O 1 2 3 4 5 6 n O 1 2 3 4 5 6 n

1
위의 그래프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수열 {a«}의 일반항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고,
n
n
수열 {b«}의 일반항 의 값은 1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n+1
이와 같이 수열 {a«}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
지면 수열 {a«}은 a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때 a를 수열 {a«}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고 합니다.

Example 1 1
⑴ 위의 ㉠`에서‘수열 [ ]은 0에 수렴한다.’또는‘수열 [ ]의 극한값은 0이다.’
n n
n n
⑵ 위의 ㉡`에서‘수열 [ ]은 1에 수렴한다.’또는‘수열 [ ]의 극한값은 1이다.’
n+1 n+1

일반적으로 수열 {a«}이 a에 수렴한다는 것을 기호로


lim a«=a 또는 n ⁄¶일 때 a« ⁄a ← lim는 극한을 뜻하는 영어 limit의 약자로
n ڦ
리미트라고 읽습니다.
와 같이 나타냅니다.

01 수열의 극한 0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는 수가 아니라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임을 수학Ⅱ에서 배웠습니다.
£ 무한대라고 읽습니다.

=0 또는 n ⁄¶일 때 ⁄0
Example 1 1
⑴ 앞의 ㉠에서 lim
n ڦ n n

=1 또는 n ⁄¶일 때 ⁄1
n n
⑵ 앞의 ㉡에서 lim
n ڦ n+1 n+1

특히, 수열 {a«}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c (c는 상수)일 때, 수열 {a«}은 c에 수렴한


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a«= lim c=c
n ڦ n ڦ

와 같이 나타냅니다.

Example 1 an
⑴ 수열 {a«} : 1+;1!;`, 1+;2!;`, 1+;3!;`, y`, 1+ `, y에서 n이 한
n 1
2 an=1+-
n
1
없이 커질 때,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1
n
따라서 수열 {a«}은 1에 수렴합니다. O 1 2 3 4 5 6 n
1
∴ lim a«= lim {1+ }=1
n ڦ n ڦ n
(-1)«
⑵ 수열 {b«} : -;3!;, ;4!;, -;5!;, y`, , y에서 n이 한없이 bn (-1)n
n+2 bn=
n+2
1
-
(-1)« 4
커질 때, 일반항 의 값은 양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 1 3 5
n+2 O 2 4 6 n

로 가지면서 그 절댓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1


--
3
따라서 수열 {b«}은 0에 수렴합니다.
(-1)«
∴ lim b«= lim =0
n ڦ n ڦ n+2
⑶ 수열 {c«} : 3, 3, 3, y, 3, y에서 모든 항이 3입니다. cn
cn=3
3
따라서 수열 {c«}은 3에 수렴합니다.
∴ lim c«= lim 3=3
n ڦ n ڦ
O 1 2 3 4 5 6 n

수열의 수렴

수열 {a«}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의 값이 일정한 값 a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수열 {a«}


은 a에 수렴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 a«=a 또는 n ⁄¶일 때 a« ⁄a
n ڦ

01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수열의 발산

다음과 같은 두 수열
{a«} : 1¤ , 2¤ , 3¤ , 4¤ , y, n¤ , y yy`㉢
{b«} : 1, 0, -1, -2, y, 2-n, y yy`㉣
01
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봅시다.
두 수열 {a«}, {b«}은 각각 정의역이 자연수 전체의 집합인 함수
f(n)=n¤ , g(n)=2-n
이고, 그 그래프를 그려 보면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 f(n) f(n)=n2 ㉣ g(n)


16 1
g(n)=2-n
3 4
O 1 2 n
9
-1
4
1 -2
O 1 2 3 4 n

위의 그래프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수열 {a«}의 일반항 n¤ 의 값은 한없이 커지고, 수열 {b«}


의 일반항 2-n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집니다. 따라서 두 수열 {a«}, {b«}은
모두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수열이 수렴하지 않을 때, 그 수열은 발산한다고 하고 극한값은 없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열 {a«}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의 값도 한없이 커지면 수열 {a«}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a«=¶ 또는 n ⁄¶일 때 a« ⁄¶
n ڦ

와 같이 나타냅니다. 또한 수열 {a«}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수열 {a«}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이것을 기호로
lim a«=-¶ 또는 n ⁄¶일 때 a« ⁄-¶ ← -¶는 수가 아니라 한없이 작아지는
n ڦ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와 같이 나타냅니다.

Example ⑴ ㉢에서 수열 {n¤ }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면


lim n¤ =¶ 또는 n ⁄¶일 때 n¤ ⁄¶
n ڦ

⑵ ㉣에서 수열 {2-n}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고, 이것을 기호로 나타내면


lim (2-n)=-¶ 또는 n ⁄¶일 때 2-n ⁄-¶
n ڦ

01 수열의 극한 0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한편, 발산하는 수열 중에는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는 수열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두 수열
{a«} : 1, -1, 1, -1, y, (-1)n-1, y yy`㉤
n-1
{b«} : 1, -2, 4, -8, y, (-2) ,y yy`㉥
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봅시다.
두 수열 {a«}, {b«}은 각각 정의역이 자연수 전체의 집합인 함수
f(n)=(-1)n-1, g(n)=(-2)n-1
이고, 그 그래프를 그려 보면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 f(n) ㉥ g(n)
f(n)=(-1)n-1 g(n)=(-2)n-1
1 4
1 2 4
2 4 O 1 3 n
O 1 3 n -2

-1
-8

위의 그래프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수열 {a«}의 일반항 (-1)n-1의 값은 1과 -1이 교대로


나타나고, 수열 {b«}의 일반항 (-2)n-1의 값은 양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로 가지면서 그 절
댓값이 한없이 커집니다. 따라서 두 수열 {a«}, {b«}은 모두 수렴하지도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습니다.
이와 같이 수열 {a«}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a«이 수렴하지도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
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으면 수열 {a«}은 진동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진동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수렴하지 않는 수열은 모두 발산한다고 합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열의 발산

수열 {a«}이 수렴하지 않을 때, 수열 {a«}은 발산한다고 한다.


1 양의 무한대로 발산 : nlim a«=¶ 또는 n ⁄¶일 때 a« ⁄¶
ڦ

2 음의 무한대로 발산 : nlim a«=-¶ 또는 n ⁄¶일 때 a« ⁄-¶


ڦ

3 진동

① lim a«=¶는 극한값이 ¶라는 뜻이 아니라 일반항 a«의 값이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n ڦ

② 마찬가지로 lim a«=-¶는 일반항 a«의 값이 한없이 작아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n ڦ

③ 발산하는 수열 중에서 ① 또는 ②가 아닌 경우를 진동한다고 한다.

01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극한값을 구하여라.
-2n+1
⑴ {2n+1} ⑵ [ n ] ⑶ [{;5!;}« ]

(-1)«
01
⑷ [{-;2!;}« ] ⑸ {(-2)« } ⑹ [ n ]

풀이 1 ⑴ 다음 [그림 1]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2n+1의 값도 한없이 커짐을 알 수 있다.


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 lim (2n+1)=¶
n ڦ

-2n+1
⑵ 다음 [그림 2]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n 의 값은 -2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2n+1
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2에 수렴한다. ∴ lim =-2
n ڦ n
«
⑶ 다음 [그림 3]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5!;}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
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0에 수렴한다. ∴ lim {;5!;} =0
n ڦ

⑷ 다음 [그림 4]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2!;}n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
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0에 수렴한다. ∴ lim {-;2!;} =0
n ڦ

⑸ 다음 [그림 5]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2)« 의 값은 양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로 가지면서 그 절


댓값이 한없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발산(진동)한다.
(-1)«
⑹ 다음 [그림 6]에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n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1)«
⑴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0에 수렴한다. ∴ lim n =0
n ڦ

an an=2n+1 an an
1 1 n
9 an={-{
1 2 3 4 5 5
7 O n
5 -1
3
1
-2 25
-2n+1
an=
O 1 2 3 4 n n 1 O 1 2 3 n
125
[그림 1] [그림 2] [그림 3]
an an an
16
1 n an=(-2)n
an= {--{ 1 (-1)n
1 2 an=
- 2 n
4
1 3 4
1 3 1 3 5
O 2 4 n O 2 4 n O 2 4 n
-2
-8
1
--
2
-1

[그림 4] [그림 5] [그림 6]

01 수열의 극한 01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두 수열 {a«}, {b«}이
2n-1 an bn
{a«} : 1, ;2#;, ;3%;, ;4&;, y, ,y an=
2n-1
n n 3 n+2
2 bn= n
2
n+2
{b«} : 3, ;2$;, ;3%;, ;4^;, y, ,y 1 1
n
O 1 2 3 4 n O 1 2 3 4 n
일 때, 두 수열의 극한값을 각각 구해 보면
lim a«=2, lim b«=1
n ڦ n ڦ

이고
lim a«+ lim b«=2+1=3 yy`㉠
n ڦ n ڦ

입니다. 한편, 일반항이 c«=a«+b«인 수열 {c«}을 구해 보면


3n+1 cn
{c«} : 4, ;2&;, :¡¡3º:, :¡4£:, y, ,y cn=
3n+1
n 4 n
3
이므로 수열 {c«}의 극한값은
lim c«=3 ∴ lim (a«+b«)=3 yy`㉡
n ڦ n ڦ O 1 2 3 4 n

즉, ㉠, ㉡에서
lim a«+ lim b«=3= lim (a«+b«)
n ڦ n ڦ n ڦ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두
n ڦ n ڦ

수열의 각 항의 합을 항으로 가지는 수열 {a«+b«}은 수렴하고, 그 수열의 극한값은 두 수열의


극한값의 합과 같습니다. 즉,
lim (a«+b«)= lim a«+ lim b«=a+b
n ڦ n ڦ n ڦ

입니다.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두 수열에서 각 항의 합, 차, 실수배, 곱, 몫을 항으로 가지는 수열의 극


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01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1 nlim
ڦ
(a«—b«)= lim a«— lim b«=a—b (복부호동순)
n ڦ n ڦ

2 nlim
ڦ
ca«=c lim a«=ca (단, c는 상수)
n ڦ
01
3 nlim
ڦ
a«b«= lim a« lim b«=ab
n ڦ n ڦ

a« lim a« a
4 nlim = n ⁄¶ = (단, b«+0, b+0)
⁄¶ b« lim b« b
n ڦ

실수의 연산과 비슷하게 수렴하는 두 수열에 대하여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할 수 있고, 수열의 실수배는 실수를
극한 기호 밖으로 빼내어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복잡한 수열의 극한값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의 증명은 고등학교 과정을 벗어나기 때문에 증명 없이 적용하


는 방법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Example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⑴ lim (4a«-3b«)= lim 4a«- lim 3b«=4 lim a«-3 lim b«=4a-3b
n ڦ n ڦ n ڦ n ڦ n ڦ

⑵ lim 2a«b«=2 lim a«b«=2 lim a« lim b«=2ab


n ڦ n ڦ n ڦ n ڦ

Example 1
lim =0이므로
n ڦ n
18 1 1 1 1
⑴ lim =18 lim =18_0=0 ← nlim = lim _ lim =0_0=0
n ⁄¶ n¤ n ⁄¶ n¤ ⁄¶ n¤ n ⁄¶ n n ⁄¶ n

18n+1 1 1
⑵ lim = lim {18+ }= lim 18+ lim =18+0=18
n ڦ n n ڦ n n ڦ n ڦ n

-2n-1 1 1
⑶ lim = lim {-2- }= lim (-2)- lim =-2-0=-2
n ڦ n n ڦ n n ڦ n ڦ n

lim 2-lim 23
1 1 1
2-23 lim {2-23}
n n ڦ n n ڦ n ڦ n 2-0
⑷ lim = = = =2
23
n ڦ 1 1 1 1+0
1+23 lim {1+23} lim 1+lim
n n ڦ n n ڦ n ڦ n

한편, 양수 k에 대하여 lim n˚ =¶이므로


n ڦ

c
lim =0 (c는 상수)
n ⁄¶ n˚
이 성립합니다.

01 수열의 극한 0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예를 들어, lim n=¶, lim '∂n=¶, lim n¤ =¶이므로
n ڦ n ڦ n ڦ

1 1 1
lim =0, lim =0, lim =0
n ⁄¶ n n ⁄¶ 'ßn n ⁄¶ n¤

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열 {a«}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합니다.


c
lim a«=¶ 또는 lim a«=-¶이면 lim =0 (단, c는 상수)
n ⁄¶ n ⁄¶ n ⁄¶ a«

위의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극한값을 구해 봅시다.

Example 17 17
⑴ lim =0 ← nlim (n+1)=¶이므로 lim =0
n ڦ n+1 ڦ n ڦ n+1

1 1
⑵ lim =0 ← nlim n(n+1)=¶이므로 lim =0
n ڦ n(n+1) ڦ n ڦ n(n+1)

한편,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은 두 수열이 모두 수렴하는 경우에만 성립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1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 , b«=n일 때, lim a«b«의 값을 구해
n n ڦ

봅시다.
먼저 올바른 방법으로 극한값을 구해 보면
1
lim a«b«= lim { _n}= lim 1=1 (Z)
n ڦ n ڦ n n ڦ

입니다. 하지만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해 보면


1 1
lim a«b«= lim { _n}= lim _ lim n=0_¶ (Y)
n ڦ n ڦ n ڦ n n ڦ
n £ ¶는 수가 아니므로 수의
계산 0_18=0처럼
입니다.
0_¶=0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왜 이런 결과가 생겼을까요?
앞에서 수렴하는 두 수열에 대해서만 각 항의 곱을 항으로 가지는 수열의 극한값이 두 수열의
1
극한값의 곱과 같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즉, lim a«= lim =0이므로 수열 {a«}은 수렴하지만
n ڦ n ڦ n

lim b«= lim n=¶이므로 수열 {b«}은 발산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두 수열 {a«}, {b«}에 대하여
n ڦ n ڦ

1 1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즉, lim { _n}= lim _ lim n이 성
n ڦ n n ڦ n n ڦ

립하지 않습니다.
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과정에서 이런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02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를 포함하는 극한값의 계산

¶는 수가 아니라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실수의 연산과 달리 덧셈, 뺄



셈, 곱셈, 나눗셈을 생각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뒷부분에서 배울꼴, ¶-¶ 꼴을 제

외한 —¶를 포함한 수열의 극한값을 계산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것이 편리합 01
니다.

(상수)
⑴ ¶+¶=¶ ⑵ ¶—(상수)=¶ ⑶ =0

· (양수) =¶

⑸{
(양수)_¶=¶
⑷[
ª
(음수)_¶=-¶ ¶
=-¶
(음수)

2 극한값의 계산

복잡한 수열은 간단한 수열의 합, 차, 실수배, 곱, 몫의 꼴로 변형하고,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


본 성질을 이용하여 그 극한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1. ¶ 꼴의 극한값의 계산


꼴이라는 것은 분자와 분모의 수열이 모두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를

¶ ¶ -¶ -¶
뜻합니다. 꼴이라고 했지만 , , 꼴도 모두 같은 방법으로 계산합니다. 212
¶ -¶ ¶ -¶ F
분자 또는 분모의 수열이 (-2)« 과 같이 진동하는 경우는 이 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1112

Example lim 4n=¶, lim 5n¤ =¶이므로


n ڦ n ڦ

˙k ˙k
4n ¶ 4n ¶
lim 꼴 lim 꼴
n ⁄¶ 5n¤ ¶ n ⁄¶ -5n¤ -¶

˙k ˙k
-4n -¶ -4n -¶
lim 꼴 lim 꼴
n ⁄¶ 5n¤ ¶ n ⁄¶ -5n¤ -¶

한편, ¶는 수가 아니라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 ¶ -¶ -¶
+1, +-1, +-1, +1
¶ -¶ ¶ -¶
임에 주의해야 합니다.

01 수열의 극한 0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따라서 lim a«=¶, lim b«=¶일 때, 극한값 lim 의 계산은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
n ⁄¶ n ⁄¶ n ⁄¶ b«
질을 적용할 수 있는 모양으로 식을 변형한 후
c
lim =0 (c는 상수, k는 양수)
n ⁄¶ n˚
임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계산합니다.

즉, 꼴의 극한값을 구할 때에는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눕니다!

Example 7n¤ +4n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 5n¤ +3n+2

분자와 분모의 수열에서 각각 lim (7n¤ +4n)=¶, lim (5n¤ +3n+2)=¶이므로 꼴
n ⁄¶ n ⁄¶ ¶
입니다.
따라서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 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4 4
7+1 lim {7+1 }
7n¤ +4n n n ⁄¶ n
lim = lim =
n ⁄¶ 5n¤ +3n+2 n ⁄¶ 3 2 3 2
5+1+14 lim {5+1+14}
n n¤ n ⁄¶ n n¤
7+0 7
= =
5+0+0 5

위의 Example 은
분자의 차수와 분모의 차수가 같은 경우
로 이때의 극한값은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Example n+1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 n¤ +4

분자와 분모의 수열에서 각각 lim (n+1)=¶, lim (n¤ +4)=¶이므로 꼴입니다.
n ⁄¶ n ⁄¶ ¶
따라서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 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1+14
1 1 1 1
lim {1 +14 }
n+1 n n¤ n ⁄¶ n n¤ 0+0
lim = lim = = =0
n ⁄¶ n¤ +4 n ⁄¶ 4 4 1+0
1+14 lim {1+14}
n¤ n ⁄¶ n¤

위의 Example 은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작은 경우
로 이때의 극한값은 0임을 알 수 있습니다.

02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4n¤ +1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ڦ n+1

분자와 분모의 수열에서 각각 lim (4n¤ +1)=¶, lim (n+1)=¶이므로 꼴입니다.
n ⁄¶ n ⁄¶ ¶
따라서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4n¤ +1
4n+1
1
n
01
lim = lim =¶
n ڦ n+1 n ڦ 1
1+1
n

위의 Example 은
분자의 차수가 분모의 차수보다 큰 경우
로 이때의 극한값은 없고,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거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합니다.

2. ¶-¶ 꼴의 극한값의 계산 ← ¶는 수가 아니므로 ¶-¶=0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꼴이라는 것은 두 항이 모두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러한 꼴의


극한값을 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⑴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근호를 포함한 분자 또는 분모를 유리화합니다.

Example lim ("√n¤ +3n-n)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ڦ

lim ("√n¤ +3n-n)에서 lim "√n¤ +3n=¶, lim n=¶이므로 ¶-¶ 꼴입니다.
n ڦ n ڦ n ڦ

따라서 분모를 1로 보고 분자를 유리화하여, 즉 분자, 분모에 각각 "√n¤ +3n+n을 곱하여



¶ 꼴로 만든 후,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n¤ +3n-n)("√n¤ +3n+n)
lim ("√n¤ +3n-n)= lim
n ⁄¶ n ⁄¶ "√n¤ +3n+n
n¤ +3n-n¤ 3n
("√n¤ +3n-n)= lim = lim
n ڦ
"√n¤ +3n+n n ⁄¶ "√n¤ +3n+n
3 3
("√n¤ +3n-n)= lim =
n ڦ 3 1+1
æ≠1+1+1
n

("√n¤ +3n-n)=;2#;

01 수열의 극한 0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⑵ 근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 최고차항으로 묶습니다.

Example lim (2n‹ -4n¤ -5)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ڦ

lim (2n‹ -4n¤ -5)에서 lim 2n‹ =¶, lim (-4n¤ -5)=-¶이므로 ¶-¶ 꼴입니다.
n ڦ n ڦ n ڦ

따라서 최고차항인 n‹ 으로 묶어서 계산하면


4 5
lim (2n‹ -4n¤ -5)= lim n‹ {2- - }
n ⁄¶ n ⁄¶ n n‹
4 5
(2n‹ -4n¤ -5)=¶ ← nlim
ڦ
n‹ =¶, lim {2- - }=2-0-0=2
n ⁄¶ nn‹

극한값의 계산


1 ¶ 꼴의 극한값의 계산 :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눈다.
⑴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다.
⑵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0이다.
⑶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없다. (¶ 또는 -¶로 발산)
2 ¶-¶ 꼴의 극한값의 계산
⑴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근호를 포함한 분자 또는 분모를 유리화한다.
⑵ 근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k
¶+¶, ¶_¶, k_¶ (k+0인 상수) 꼴은 발산하고, 꼴은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 ¶
하지만 +1, ¶-¶+0이므로 꼴 또는 ¶-¶ 꼴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극한값을 계산한다.
¶ ¶

3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값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소 관계가 성립합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부등식 꼴로 주어진 수열의 극한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1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이면 nlim


ڦ
a«… lim b«, 즉 a…b이다.
n ڦ

2 수열 {c«}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c«…b«이고 a=b이면 lim


n ڦ
c«=a이다.

02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의 증명은 고등학교 과정을 벗어나기 때문에 증명 없이 적용하는 방
법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Example 1 1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 , b«=1+ 이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n

a«-b«=
1 1
-{1+ }=-1…0, 즉 a«…b«
01
n n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1에 의하여 lim a«… lim b«이 성립합니다.
n ڦ n ڦ

실제로 계산해 보면 lim a«=0, lim b«=1이므로 lim a«< lim b«입니다.
n ڦ n ڦ n ڦ n ڦ

한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이지만 lim a«= lim b«인 경우가 있습니다.
n ڦ n ڦ

1 1 1 1
예를 들어, a«=1- , b«=1+ 이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 <1+ 이므로
n n n n
a«<b«이지만 lim a«=1, lim b«=1이므로 극한값은 같습니다.
n ڦ n ڦ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2는 같은 값으로 수렴하는 두 수열 사이에 있는 임의의 수열 역시


그 값으로 수렴한다는 성질로 두 수열 사이에 끼워져 있다고 해서 샌드위치 정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Example 1 (-1)« 1
세 수열 [- ], [ ], [ ]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 n n
1 (-1)« 1
- … …
n n n
1 1
이 항상 성립합니다. 이때, lim {- }= lim =0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2에 의
n ڦ n n ڦ n

하여
(-1)«
lim =0
n ڦ n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c«<b«이지만 lim a«= lim b«=a (a는 실수)이면
n ڦ n ڦ

lim c«=a인 경우가 있습니다.


n ڦ

1 3 2 1 2 3
예를 들어, a«= , b«= , c«= 이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 < 이므로
n n n n n n
a«<c«<b«이지만 lim a«= lim b«=0이고 lim c«=0입니다.
n ڦ n ڦ n ڦ

01 수열의 극한 02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전체가 수렴하면 부분도 수렴한다!

(-1)n-1
일반항이 a«= 인 수열 {a«}의 각 항을 차례대로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
(-1)n-1
{a«} : 1, -;2!;, ;3!;, -;4!;, ;5!;, -;6!;, y, ,y
n
(-1)n-1
이를 좌표평면 위에 나타내면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의 값은 0에 한없이
n
가까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열 {a«}은 0에 수렴합니다.
an
1

(-1)n-1
an= n
1
-
3
2 4 6
O 1 3 5 n
1
--
4
1
--
2

이때, 수열 {a«}의 짝수 번째 항들을 차례대로 나열하여 만든 새로운 수열 {a™«}과 수열


{a«}의 홀수 번째 항들을 차례대로 나열하여 만든 새로운 수열 {a™«–¡}, 즉
1
{a™«} : -;2!;, -;4!;, -;6!;, y, - , y,
2n
1
{a™«–¡} : 1, ;3!;, ;5!;, y, ,y
2n-1
1 1
에 대하여 lim a™«= lim {- }=0, lim a™«–¡= lim =0이므로 두 수열 {a™«},
n ڦ n ڦ 2n n ڦ n ڦ 2n-1

{a™«–¡}은 모두 0에 수렴합니다.

일반적으로 lim a«=a (a는 실수)는 n이 한없이 커질 때, a«의 값이 a가 되거나 a에 한없


n ڦ

이 가까워진다는 의미이므로 수렴하는 수열 {a«}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⑴ lim a«=a이면 lim a«≠¡=a이다. (단, a는 실수)


n ڦ n ڦ

⑵ lim a«=a이면 lim a™«= lim a™«–¡=a이다. (단, a는 실수)


n ڦ n ڦ n ڦ

이는 수렴하는 수열의 일부분으로 만든 새로운 수열 역시 같은 값으로 수렴한다는 뜻입니


다. 이와 같은 원리로 lim a£«, lim a£«–¡, y 등도 역시 같은 값 a에 수렴합니다.
n ڦ n ڦ

위의 성질은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때 자주 이용되므로 꼭 기억해 두도록 합시다.

02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두 수열 {a«}, {b«}에 대하여 nlim
ڦ
a«=3, lim b«=-2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n ڦ

b«+3
⑴ lim (a«+3) ⑵ lim (2a«-b«) ⑶ lim
n ⁄¶ n ⁄¶ n ⁄¶ a«-2
01
2 다음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극한값을 구하여라.
2n‹ +4n 2n‹ +4n n+1
⑴[ ] ⑵[ ] ⑶[ ]
5n‹ +1 n+1 2n‹ +4n

3 다음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ƒn+1-'n} ⑵ {2n‹ -4n}

4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ƒ16n+1 'ƒn-18+'ƒn+1818
⑴ lim ⑵ lim
n ⁄¶ 'ƒ4n+1 n ⁄¶ 'n

풀이 1 ⑴ nlim
ڦ
(a«+3)= lim a«+ lim 3=3+3=6
n ڦ n ڦ

⑵ lim (2a«-b«)= lim 2a«- lim b«=2 lim a«- lim b«=2_3-(-2)=8
n ڦ n ڦ n ڦ n ڦ n ڦ

lim (b«+3) lim b«+lim 3


= n ڦ = n ڦ n ڦ
b«+3 -2+3
⑶ lim = =1
n ⁄¶ a«-2 lim (a«-2) lim a«-lim 2 3-2
n ڦ n ڦ n ڦ

4
2+14
2n‹ +4n n¤ 2+0
2 ⑴ nlim
⁄¶ 5n‹ +1
= lim
n ڦ 1
=
5+0
=;5@; (수렴)
5+14
n‹
2n‹ +4n 2n¤ +4
⑵ lim = lim =¶ (발산)
n ڦn+1 n ڦ 1
1+1
n
14+14
1 1
n+1 n¤ n‹ 0+0
⑶ lim = lim = =0 (수렴)
n ⁄¶ 2n‹ +4n n ⁄¶ 4 2+0
2+14

('ƒn+1-'n)('ƒn+1+'n) 1
3 ⑴ nlim
ڦ
('ƒn+1-'n )= lim
n ⁄¶ 'ƒn+1+'n
= lim
n ⁄¶ 'ƒn+1+'n
=0 (수렴)

4
⑵ lim (2n‹ -4n)= lim n‹ {2- }=¶ (발산)
n ⁄¶ n ⁄¶ n¤
1
æ≠16+1
'ƒ16n+1 n 'ƒ16
4 ⑴ nlim
⁄¶ 'ƒ4n+1
= lim
n ڦ 1
=
'4
=2
æ≠4+1
n
18 1818
æ≠1-13+æ≠1+113
'ƒn-18+'ƒn+1818 n n 1+1
⑵ lim = lim = =2
n ⁄¶ 'ƒn n ⁄¶ '1 1

01 수열의 극한 0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꼴의 극한값의 계산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1 ⑴ lim
n ڦ
(2n+1)¤
1+3+5+y+(2n-1)
⑵ lim
n ڦ
'ƒn-1+'ƒn+2
'n

접근 방법

c ¶
양수 k에 대하여 lim =0(c는 상수)임을 이용하여 꼴의 극한값을 구합니다. 이때,
n ⁄¶ n˚ ¶
⑴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입니다.
⑵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0입니다.
⑶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면 그 극한값은 없습니다. (¶ 또는 -¶로 발산)


꼴의 극한은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눈다.

상세 풀이

n(1+2n-1)
⑴ 1+3+5+y+(2n-1)= =n¤ 이므로 ←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 이용
2
(2n+1)¤ (2n+1)¤ 4n¤ +4n+1
lim = lim = lim
n ⁄¶ 1+3+5+y+(2n-1) n ⁄¶ n¤ n ⁄¶ n¤
4 1
4+1+13
n n¤ 4+0+0
= lim = =4
n ڦ 1 1
⑵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으로 나누면

1 æ≠
æ≠1-1+ 2
'ƒn-1+'ƒn+2 1+1
n n 1+1
lim = lim = =2
n ⁄¶ 'ßßn n ⁄¶ '1 1

정답 ⑴4 ⑵2

보충 설명
1
위의 풀이에서는 계산 과정을 전부 적어서 풀었지만 익숙해지고 나면 lim
n ڦ
=0임을 이용하여 빠르게 극한값
n
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분자, 분모의 차수가 같은 경우에는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가 바로 답이 됩니다.

따라서 ⑴에서 분자, 분모 모두 이차식이므로 이차항의 계수의 비인 ;1$;=4가 답이 됩니다.

02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

0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4n¤ -3
⑴ lim
n ⁄¶ "√2n¤ +n+'n
n
01
⑵ lim
n ⁄¶ ('ƒn+1+'ƒn-1 )¤
4n¤ +n
⑶ lim
n ڦ 1 1 1 1
[{1+1}{1+1} {1+1} y {1+12}]¤
2 3 4 2n

1¤ +2¤ +3¤ +y+n¤


⑷ lim
n ⁄¶ n‹ +3n¤ +3n+1

01-2 다음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1, ;4@;, ;9$;, ;1¶6;, ;2!5!;, y

3+4 4+5+6 5+6+7+8


⑵ ;1@;, , , ,y
1+2 1+2+3 1+2+3+4

01-3 수열 {a«}은 첫째항이 1,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다. 수열 {b«}의 일반항이


a«+a«≠¡ b«
b«= 일 때, lim 의 값은?
3 n ⁄¶ a«

① ;3!; ② ;3@; ③1

④2 ⑤3

01-1 `⑴ '2 ⑵ ;4!; ⑶ 4 ⑷ ;3!; 01-2 `⑴ ;2!; ⑵ 3

01-3 `②

01 수열의 극한 02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꼴의 극한값의 계산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2 ⑴ lim ("√n¤ -n+1-n)


n ڦ
⑵ lim n('ƒn+1-'n)¤
n ڦ

접근 방법


¶-¶ 꼴의 무리식은 유리화하여 꼴로 변형한 다음 극한값을 구합니다. 이때, 01의 ⑵`와 같은


꼴의 무리식의 극한과 ¶-¶ 꼴의 무리식의 극한을 서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꼴의 무리식의 극한은 유리화한다.

상세 풀이

⑴ lim ("√n¤ -n+1-n)= lim 1111111111111123


("√n¤ -n+1-n)("√n¤ -n+1+n)
n ⁄¶ n ⁄¶ "√n¤ -n+1+n

("√n¤ -n+1-n)= lim 1111115555 = lim 111111554


n¤ -n+1-n¤ -n+1
n ⁄¶ "√n¤ -n+1+n n ⁄¶ "√n¤ -n+1+n

이때,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으로 나누면


1
-1+1
lim 11111125 = lim = 1114 =-;2!;
-n+1 n -1+0
n ⁄¶ "√n¤ -n+1+n n ⁄¶ 1 1 1+1
æ≠1-1+14+1
n n¤

⑵ lim n('ƒn+1-'n)¤ = lim 111111111111125


n('ƒn+1-'n)¤ ('ƒn+1+'n)¤
n ⁄¶ n ⁄¶ ('ƒn+1+'n)¤

n('ƒn+1-'n)¤ = lim 11111125 = lim 11111125


n(n+1-n)¤ n
n ⁄¶ ('ƒn+1+'n)¤ n ⁄¶ ('ƒn+1+'n)¤

이때,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으로 나누면

lim 11111125 = lim = 11135 =;4!;


n 1 1
n ⁄¶ ('ƒn+1+'n)¤ n ⁄¶ 1 (1+1)¤
{æ≠1+1 +1} ¤
n

정답 ⑴ -;2!; ⑵ ;4!;

보충 설명
분모의 최고차항인 n으로 분자, 분모를 나누는 경우 근호 안에 들어갈 때는 "çn¤ 으로 바뀌어 들어간다는 점을 주
의해야 합니다. 물론 n¤ 과 같은 경우는 "çn› 으로 바뀌어 들어갑니다.

03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3

02-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ƒn+1-'ƒn-1 ) ⑵ lim ("√2n¤ +4n-"√2n¤ -4n )


n ڦ n ڦ

⑶ lim
n ڦ
"√n¤ -2000-n
⑷ lim
n ڦ
1 01
n-"√n¤ -1000 'n ('ƒn+5-'ƒn-1 )

02-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2+3+4+y√+(n+1)-"√1+2+3+y+ n }
n ڦ

⑵ lim {"√2+4+6+y+2n-"√1+3+5+y√+(2n-1)}
n ڦ

02-3 lim ("√n¤ +n+"√n¤ +2n+"√n¤ +3n-3n)의 값은?


n ڦ

①1 ②2 ③3
④4 ⑤6

02-1 `⑴ 0 ⑵ 2'2 ⑶ -2 ⑷ ;3!; 02-2 `⑴ 02-3 `③


'2
⑵ ;2!;
2

01 수열의 극한 0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이 수렴할 조건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3 ⑴ lim
n ڦ
an¤ +2n+1
3n¤ +2
=2

⑵ lim ("√n¤ +an+2-"√n¤ +2n+4 )=4


n ڦ

접근 방법


꼴의 극한은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나누고, ¶-¶ 꼴의 무리식의 극한은 유리화합

니다.

=a (`a는 0이 아닌 상수) Δ ( f(n)의 차수)`=( g(n)의 차수)


f(n)
lim
n ڦ g(n)

상세 풀이

⑴ 주어진 등식의 좌변에서 분자, 분모를 각각 분모의 최고차항인 n¤ 으로 나누면


2 1
a+1+15
an¤ +2n+1 n n¤ = a+0+0 =;3A;=2
lim = lim ∴ a=6
n ⁄¶ 3n¤ +2 n ⁄¶ 2 3+0
3+15

⑵ 주어진 등식의 좌변에서 분모를 1로 놓고 분자를 유리화하면
lim ("√n¤ +an+2-"√n¤ +2n+4 )
n ڦ

("√n¤ +an+2-"√n¤ +2n+4 )("√n¤ +an+2+"√n¤ +2n+4 )


= lim
n ⁄¶ "√n¤ +an+2+"√n¤ +2n+4
2
(a-2)n-2 a-2-23
n
= lim = lim
n ⁄¶ "√n¤ +an+2+"√n¤ +2n+4 n ⁄¶ a 2 2 4
Æ…1+1+15 +Æ…1+1+15
n n¤ n n¤
a-2 a-2
= = =4
1+1 2
∴ a=10

정답 ⑴ 6 ⑵ 10

보충 설명
¶-¶ 꼴의 무리식의 극한이 수렴하는 조건은 다음 네 가지의 극한을 생각해 보면 쉽게 유추해 낼 수 있습니다.
① lim ("√n¤ +2n-n)=1 ② lim ("√n¤ +2-n)=0
n ڦ n ڦ

③ lim ("√n¤ +2n-n¤ )=-¶ ④ lim ("√n› +n-'ƒn )=¶


n ڦ n ڦ

03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

03-1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an¤ -2n+3
⑴ lim =2 ⑵ lim ("√4n¤ +an+1-"√4n¤ -n )=2
n ⁄¶ 2n¤ +3n-1 n ⁄¶

an¤ +bn+1 'ƒan+1 01


⑶ lim =4 ⑷ lim =5
n ⁄¶ 2n+3 n ⁄¶ n('ƒn+1-'ƒn-1)

"√n¤ +4n+n
03-2 lim
n ڦ na
=b (b+0)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2 ②3 ③4
④6 ⑤8

03-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lim n {"√n¤ +4n+6-(an+b)}=1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n ڦ

1 1
⑵ 극한값 lim [{n+;n!;}⁄ ‚ - ]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수 a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n ⁄¶ nå n⁄ ‚

03-1 `⑴ a=4 ⑵ a=7 ⑶ a=0, b=8 ⑷ a=25 03-2 `②


03-3 `⑴ a=1, b=2 ⑵ 10

01 수열의 극한 0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4 ⑴ lim
n ڦ
cos n h
n
의 값을 구하여라.

2n-1 2n+1
⑵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 을 만족시킬 때,
n n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접근 방법

삼각함수나 부등식으로 주어진 수열의 극한은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즉


a«…c«…b«이고 lim a«= lim b«=a`(a는 상수)이면 lim c«=a
n ڦ n ڦ n ڦ

임을 이용합니다. 즉, 두 수열 {a«}, {b«}이 같은 값 a에 수렴하면 두 수열 사이에 있는 수열 {c«}도 a에 수


렴할 수 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부등식으로 주어진 수열의 극한은 샌드위치 정리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⑴ 삼각함수의 특징을 이용해서 수열의 극한값을 구해야 합니다. 코사인함수의 함숫값은 최댓값이 1, 최
솟값이 -1이므로 다음 부등식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1 cos n h 1
-1…cos n h…1, - … …
n n n
1 1
이때, lim {- }= lim =0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n ڦ n n ڦ n

cos n h
lim =0
n ڦ n
2n-1 2n+1
⑵ 주어진 부등식 <a«< 에서
n n
2n-1 2n+1
lim = lim =2
n ڦ n n ڦ n
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a«=2입니다.
n ڦ

정답 ⑴0 ⑵2
보충 설명
수열의 극한이나 뒤에서 배울 급수 전 범위에 걸쳐서 부등식으로 주어진 수열의 극한이나 급수는 언제나 샌드위
치 정리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기 바랍니다.

03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6

04-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n
⑴ lim sin p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2

3n+1 3n+10
01
⑵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 을 만족시킬 때,
n+1 n+1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⑶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4n¤ +7n+6<a«<4n¤ +8n+18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3-4n)

04-2 두 수열 {a«}, {b«}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lim b«의 값을


n ڦ
구하여라.

㈎ 40-;n!;<a«+b«<40+;n!; ㈏ 20-;n!;<a«-b«<20+;n!;

04-3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부등식


n(n+1) (n+1)¤
<a«<
6 6
a™«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n ⁄¶ a«

① ;2!; ②1 ③2

④4 ⑤6

04-1 `⑴ 0 ⑵ 3 ⑶ -1 04-2 `10 04-3 `④

01 수열의 극한 0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앞에서는 일반적인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등비수열은 첫째항과 공비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도 첫째항과 공
비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의 일반항 ar n-1에서 a=0인 경
우에는 모든 항이 0이므로 등비수열 {a«}은 공비 r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0에 수렴합니다. 한편,
a+0인 경우에는 첫째항 a가 수열의 수렴과 발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이제 등비수열 {r« }에서 공비 r의 값에 따른 수렴과 발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r>1일 때
수학Ⅰ 03 지수함수에서 배운 밑이 1보다 큰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an
81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등비수열 {3n }은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3n의 값도 한없이 커지는 수열입니다. 즉, an=3n

lim 3« =¶ (발산)
n ڦ 27

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r>1일 때, n이 한없이 커짐에 따라 r« 의 9


3
O 1 2 3 4 n
값도 한없이 커집니다.
따라서 r>1일 때, 등비수열 {r n }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합니다.
¤ r=1일 때
r n=1n=1이므로 등비수열 {r n }은 1, 1, 1, y로 모든 항이 1입니다. 즉,
lim r« = lim 1« =1 (수렴)
n ڦ n ڦ

입니다. 따라서 r=1일 때, 등비수열 {r n }은 1에 수렴합니다.


‹ -1<r<1 (|r|<1)일 때
① r=0인 경우 r« =0« =0이므로 등비수열 {r n }은 0, 0, 0, y으로 모든 항이 0입니다. 즉,
lim r« = lim 0« =0 (수렴)
n ڦ n ڦ

입니다.

03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② 0<r<1인 경우 밑이 1보다 작은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생각해 bn

1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등비수열 [{;3!;}« ]은 n이 한없이 커질 때,
-
3

1 n
bn= {-{
일반항 {;3!;}«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수열입니다. 즉,
3
1
1 -
-9
lim {;3!;}« =0 (수렴)
27
1 01
n ڦ -
81
O 1 2 3 4 n
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n이 한없이 커짐에 따라 r«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③ -1<r<0인 경우 |{-;2!;}« —⁄ |={;2!;}« —⁄ 이므로 등비수열 cn


1 1 n-1
cn= {--{
2
[{-;2!;}« —⁄ ]은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반항 {-;2!;}« —⁄ 의 값은 양
1
-
4
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로 가지면서 그 절댓값이 0에 한없이 2 4
1 O 1 3 n
--
가까워지는 수열입니다. 즉, 8
1
--
2
lim {-;2!;}« —⁄ =0 (수렴)
n ڦ

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n이 한없이 커짐에 따라 r« 의 값은 양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


대로 가지면서 그 절댓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즉, ①~③에서 -1<r<1일 때, 등비수열 {r« }은 0에 수렴합니다.
› r=-1일 때
r« =(-1)« 이므로 등비수열 {r« }은 -1, 1, -1, 1, y, (-1)« , y으로 진동합니다.
따라서 r=-1일 때, 등비수열 {r« }은 진동, 즉 발산합니다.
fi r<-1일 때
|(-2)« |=2« 이므로 등비수열 {(-2)« }은 n이 한없이 커질 때, 일 dn
dn=(-2)
n

16
반항 (-2)« 의 값은 양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로 가지면서 그 절
댓값은 점점 커지는 수열입니다. 등비수열 {(-2)« }은 진동, 즉 발
4
산합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n이 한없이 커짐에 따라 r« 의 값은 양 1 3
O 2 4 n
-2
의 부호, 음의 부호를 교대로 가지면서 그 절댓값은 한없이 커집니 -8
다.
따라서 r<-1일 때, 등비수열 {r« }은 진동, 즉 발산합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1 수열의 극한 0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등비수열 {r« }에 대하여


⁄ r>1일 때, lim r« =¶ (발산) ¤ r=1일 때, lim r« =1 (수렴)
n ڦ n ڦ

‹ -1<r<1일 때, lim r« =0 (수렴) › r…-1일 때, 등비수열 {r« }은 진동한다. (발산)


n ڦ

따라서 등비수열 {r« }의 수렴 조건은 -1<r…1이다.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r n-1}에서


⁄ a=0일 때, 수렴한다. ¤ a+0일 때, 수열 {r« }의 수렴, 발산과 일치한다.
따라서 등비수열 {ar n-1}의 수렴 조건은 a=0 또는 -1<r…1이다.

다음 Example 을 통하여 등비수열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을 계산해 봅시다.

Example 3« ±⁄
⑴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 (-2)« +3«
분모에서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인 3« 으로 분자, 분모를 나누어 계산하면
3« ±⁄ 3_3« 3 3
lim = lim = lim = =3
n ⁄¶ (-2)« +3« n ⁄¶ (-2)« +3« n ⁄¶ 2 « 0+1
{-23} +1
3
⑵ lim (3« -4« )의 값을 구해 봅시다.
n ڦ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인 4« 으로 묶어서 계산하면


«
lim (3« -4« )= lim 4« [{;4#;} -1]=-¶ ← nlim
ڦ
4« =¶,
n ڦ n ڦ
«
lim [{;4#;} -1]=-1
n ڦ

2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

이제 등비수열 {r« }의 수렴과 발산을 이용하여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을 구해 봅시다.

Example 1
수열 [ ](r+-1)에서 r의 값에 따라 수렴과 발산이 결정되므로 r의 값의 범위를
1+r«
|r|<1, r=1, |r|>1로 나누어 주어진 수열의 극한값을 구해 봅시다.
1 1
⁄ |r|<1일 때, lim r« =0 ∴ lim = =1
n ⁄¶ n ⁄¶ 1+r« 1+0
1 1
¤ r=1일 때, lim r« =1 ∴ lim = =;2!;
n ⁄¶ n ⁄¶ 1+r« 1+1
1
‹ |r|>1일 때, lim |r« |=¶이므로 lim =0
n ⁄¶ n ⁄¶ r«

03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5
1
1 r« 0
∴ lim = lim = =0
15+1
n ⁄¶ 1+r« n ⁄¶ 1 0+1

따라서 |r|<1일 때 1, r=1일 때 ;2!;, |r|>1일 때 0에 수렴합니다.

01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은 r의 값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나 r<-1 r <1 r>1

누어 구한다.
r
|r|<1, r=1, r=-1, |r|>1 r=-1 r=1

주어진 식에 r« 대신 r¤ « 등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생각하면 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r¤ =-1과 같이


실수 r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먼저 제외해야 한다.

1 다음 등비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여라.


n-1
1 n-1
⑴ [{;2#;} ] ⑵ [2{ } ] ⑶ {(-5)« }
p

2 다음 수열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극한값을 구하여라.


(-4)n+1 2n+3n+1
⑴ [ ] ⑵ [ ]
(-4)n+3n 4n
⑶ {3« -2n-1} ⑷ {4« -5n+1}

풀이 1 ⑴ 등비수열의 공비는 ;2#;이고, ;2#;>1이므로 주어진 등비수열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1 1
⑵ 등비수열의 공비는 이고, -1< <1이므로 주어진 등비수열은 0에 수렴한다.
p p
⑶ 등비수열의 공비는 -5이고, -5<-1이므로 주어진 등비수열은 발산(진동)한다.

(-4)n+1 -4 -4
2 ⑴ lim
n ڦ (-4) +3
n n = lim
n ⁄¶ «
=
1+0
=-4 (수렴)
1+{-;4#;}
« «
{;2!;} +3 {;4#;}
2n+3n+1 0+0
⑵ lim = lim = =0 (수렴)
n ڦ 4n n ڦ 1 1
n-1
⑶ lim (3« -2n-1)= lim 3« [1-;3!; {;3@;} ]=¶ (발산)
n ڦ n ڦ

n
⑷ lim (4« -5n+1)= lim 5« [{;5$;} -5]=-¶ (발산)
n ڦ n ڦ

01 수열의 극한 0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5 ⑴ lim
2« ±⁄ +3« ±¤ +8
{;2!;}« ±⁄ +{;3!;}« ±¤ +8
+ lim 111111111
n ⁄¶ 2« +3« ±⁄ +4 n ⁄¶ n
{;2!;} +{;3!;}« ±⁄ +4

1+2+2¤ +y+2«
⑵ lim
n ⁄¶ 1+2+2¤ +y+2« —⁄

접근 방법

주어진 식의 분모에서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으로 분자, 분모를 각각 나누어 계산합니다.


c« +d«
즉, lim 꼴인 경우에는 |a|>|b|이면 a« 으로, |a|<|b|이면 b« 으로 분자, 분모를 각각 나눕
n ⁄¶ a« +b«
니다.

-1<r<1일 때, lim r« =0임을 이용한다.


n ڦ

상세 풀이

2« ±⁄ +3« ±¤ +8
⑴ 의 분모에서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인 3« 으로 분자, 분모를 각각 나누면
2« +3« ±⁄ +4
n n
2{;3@;} +9+8{;3!;}
= lim 111111114
2« ±⁄ +3« ±¤ +8 0+9+0
lim = =3
n ⁄¶ 2« +3« ±⁄ +4 n ⁄¶ n n 0+3+0
{;3@;} +3+4{;3!;}

{;2!;}« ±⁄ +{;3!;}« ±¤ +8
111111111
0+0+8
또한 lim = =2이므로 구하는 극한값은 3+2=5
n ڦ n
« ±⁄ 0+0+4
{;2!;} +{;3!;} +4

2« ±⁄ -1 2« -1
⑵ 1+2+2¤ +y+2« = =2« ±⁄ -1, 1+2+2¤ +y+2« —⁄ = =2n-1
2-1 2-1
n
2-{;2!;}
= lim 1111
1+2+2¤ +y+2«« 2« ±⁄ -1 2-0
∴ lim = lim = =2
n ⁄¶ 1+2+2¤ +y+2« —⁄ n ⁄¶ 2« -1 n ⁄¶ n 1-0
1-{;2!;}

정답 ⑴5 ⑵2

보충 설명
lim (a« +b« ) 또는 lim (a« -b« ) 꼴인 경우에는 |a|>|b|이면 a« 으로, |a|<|b|이면 b« 으로 묶어 냅니다.
n ڦ n ڦ

04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7

05-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2!;}¤ « ±⁄ +{;3!;}« —¤
+ lim 111111124
2¤ « ±⁄ +3« ±¤
⑴ lim
n ⁄¶ 2¤ « +3« ±⁄ n ⁄¶ 2n
{;2!;} +{;3!;}« —⁄ 01
6« ±⁄ +4«
⑵ lim
n ⁄¶ (2« +1)(3« +1)

1+3+3¤ +y+3«
⑶ lim
n ⁄¶ 1+5+5¤ +y+5«

2‹ « +3¤ «
⑷ lim
n ⁄¶ 1+9+9¤ +y+9«

05-2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b«=4n+1, a«-b«=3n

일 때, lim 의 값은?
n ⁄¶ a«

① -1 ② -;2!; ③0

④1 ⑤2

a n+1+b n+1
05-3 이차방정식 x¤ -2x-2=0의 두 근을 a, b라고 할 때, lim
n ڦ
의 값을 구하여
a« +b«
라.

05-1 `⑴ 5 ⑵ 6 ⑶ 0 ⑷ ;9*; 05-2 `④

05-3 `1+'3

01 수열의 극한 0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r« 을 포함한 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1-r«
수열 [ ]의 극한값을 구하여라. (단, r>0)
06 1+r«

접근 방법
«
등비수열 {r }의 수렴, 발산은 공비 r의 값에 따라 달라지므로 r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합니다.

r« 을 포함한 식의 극한은 r의 값의 범위를


|r|<1, r=1, r=-1, |r|>1
로 나누어 계산한다.

상세 풀이

r의 값의 범위를 0<r<1, r=1, r>1로 나누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0<r<1일 때, lim r« =0
n ڦ

1-r« 1-0
∴ lim = =1
n ⁄¶ 1+r« 1+0

¤ r=1일 때, lim r« =1
n ڦ

1-r« 1-1
∴ lim = =0
n ⁄¶ 1+r« 1+1
1
‹ r>1일 때, lim r« =¶이므로 lim =0
n ⁄¶ n ⁄¶ r«

14-1
1
1-r« r« 0-1
∴ lim = lim = =-1
14+1
n ⁄¶ 1+r« n ⁄¶ 1 0+1

정답 0<r<1일 때 1, r=1일 때 0, r>1일 때 -1

보충 설명
위와 같은 문제를 풀 때 문자로서 식을 정리하는 것이 어색하면 직접 해당하는 범위의 수를 하나 골라 대입해서
풀어도 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문제들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극한값을 구하는 문제들의 풀이에서 공통적으
1
로 적용되는 방법은 lim =0 ( f(n)은 lim f(n)=¶를 만족하는 식)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식을 변
f(n)n ڦ n ڦ


형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01에서 ¶ 꼴의 극한값의 계산은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자, 분모를 나누었던

것처럼 등비수열의 극한값의 계산에서도 꼴은 분모에서 밑의 절댓값이 가장 큰 거듭제곱으로 분자, 분모를

나눕니다.

04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

06-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r« ±⁄
⑴ 수열 [ ]의 극한값을 구하여라. (단, r>0)
1+r«

r¤ « ±⁄
01
⑵ 수열 [ ]의 극한값을 구하여라.
1+r¤ «

«
x +3
06-2 함수 f(x)= lim
n ⁄¶ x« +1
에 대하여 f(-3)+f {;4!;}+f(1)의 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a« ±⁄ +2a« -1
06-3 수열 [
a« ±¤ -4a« +7
]이 ;2!;에 수렴하도록 하는 모든 양수 a의 값의 합은?

①4 ② ;2(; ③5

④ ;;¡2¡;; ⑤6

06-1 ⑴ 0<r<1일 때 0, r=1일 때 ;2!;, r>1일 때 r

⑵ |r|<1일 때 0, r=1일 때 ;2!;, r=-1일 때 -;2!;, |r|>1일 때 r

06-2 6 06-3 ③

01 수열의 극한 0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수열이 수렴할 조건

다음 등비수열이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7 ⑴ [{
2x-1 «
3
}] ⑵ {(6-x)¤¤ « }

접근 방법
등비수열이 수렴하려면 (첫째항)=0이거나 -1<(공비)…1이어야 합니다. 즉,
«
⑴ 등비수열 {r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1<r…1입니다.
«–¡
⑵ 등비수열 {ar }이 수렴하기 위한 조건은 a=0 또는 -1<r…1입니다.

등비수열의 수렴 조건은 첫째항과 공비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2x-1 « 2x-1
⑴ 주어진 등비수열 [{ } ]에서 첫째항과 공비는 모두 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3 3
2x-1
-1< …1, -3<2x-1…3, -2<2x…4
3
∴ -1<x…2
⑵ 주어진 등비수열 {(6-x)¤ « }에서 첫째항과 공비는 모두 (6-x)¤ 이므로 이 수열이 수렴하려면
-1<(6-x)¤ …1
그런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6-x)¤ æ0이므로 부등식 -1<(6-x)¤ 은 항상 성립합니다.
따라서 부등식 (6-x)¤ …1에서
x¤ -12x+35…0, (x-5)(x-7)…0
∴ 5…x…7

정답 ⑴ -1<x…2 ⑵ 5…x…7

보충 설명
« «
n이 한없이 커질 때, -1<r<1인 경우는 r 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지고 r=1인 경우는 r =1`이므로 결국 이
«
두 경우의 등비수열 {r }은 모두 수렴합니다. 또한 등비수열에서 공비를 찾을 때, 아무리 복잡한 식이라도‘n제
곱으로 묶이는 부분’
을 공비로 보면 됩니다. 또는 공비는 어떤 항과 그 앞 항과의 비율이므로 (n+1)번째 항을
n번째 항으로 나누면 공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04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9

07-1 다음 등비수열이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x¤ +x)«
⑴ {x(x-1)« —⁄ } ⑵[ ]

⑶ {(log™ x-2)« —⁄ } ⑷ {(2 cos x)« } (단, 0…x…p)


01

07-2 등비수열 {r« }이 수렴할 때, <보기>에서 항상 수렴하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r+2 r«
ㄱ. [{;2R;+1}n ] ㄴ. [{ }n ] ㄷ. [ -1]
3 2

①ㄴ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p «
07-3 0<x<16일 때, 수열 [{'2 sin
8
x} ]이 수렴하도록 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①5 ②7 ③9
④ 11 ⑤ 13

07-1 `⑴ 0…x…2 ⑵ -2…x…1 ⑶ 2<x…8 ⑷ ;3“;…x<;3@;p

07-2 `④ 07-3 ②

01 수열의 극한 0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

x¤ « ±⁄ +1
함수 f(x)= lim 의 그래프를 그리고,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을 구하여
08 라. (단, n은 자연수이다.)
n ⁄¶ x¤ « +1

접근 방법

x« 또는 x¤ « 을 포함한 분수형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는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극한값, 즉 함숫값이 달라


지므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보고,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을 판단하도록 합니다.

등비수열의 극한으로 정의된 함수는 x의 값의 범위를


|x|<1, x=1, x=-1, |x|>1로 나누어서 생각한다.

상세 풀이

x¤ « ±⁄ +1 0+1
⁄ |x|<1일 때, lim x¤ « = lim x¤ « ±⁄ =0이므로 f(x)= lim = =1
n ⁄¶ n ⁄¶ n ⁄¶ x¤ « +1 0+1
x¤¤ « ±⁄ +1 1+1
¤ x=1일 때, lim x¤ « = lim x¤ « ±⁄ =1이므로 f(x)= lim = =1
n ⁄¶ n ⁄¶ n ⁄¶ x¤ « +1 1+1
x¤ « ±⁄ +1 -1+1
‹ x=-1일 때, lim x¤¤ « =1이고 lim x¤ « ±⁄ =-1이므로 f(x)= lim = =0
n ⁄¶ n ⁄¶ n ⁄¶ x¤ « +1 1+1
› |x|>1일 때, lim x¤ « =¶이므로 분자, 분모를 각각 x¤ « 으로 나누면
n ڦ

1
x+12
x¤ « ±⁄ +1 x¤ « x+0
f(x)= lim = lim = =x
n ⁄¶ x¤ « +1 n ⁄¶ 1 1+0
1+12
x¤ «
⁄~›에서 y
(1
y=f(x)
(|x|<1)
\1
1
(x=1)
f(x)= {
\
0 (x=-1) -1 O 1 x

9x (|x|>1) -1
함수 y=f(x)의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입니다.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lim f(x)=1, lim f(x)=-1, 즉 lim f(x)+ lim f(x)이므로
x ⁄-1+ x ⁄-1- x ⁄-1+ x ⁄-1-

x=-1에서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x ⁄-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불연속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04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

1-x¤ « —⁄
08-1 함수 f(x)= lim
n ⁄¶ 1+x¤ «
의 그래프를 그리고,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01

08-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x¤ « +b
⑴ 함수 f(x)= lim 가 x=1에서 연속이고 f(2)=3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n ⁄¶ x¤ « +a
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x|« ±⁄ +2x+a
⑵ 함수 f(x)= lim 가 구간 (-¶, 0)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n ⁄¶ |x|« +1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x¤ « —⁄ +3
08-3 실수 t에 대하여 열린구간 (t-1, t+1)에서 함수 f(x)= lim
n ⁄¶ x¤ « -3
이 불연속인

점의 개수를 g(t)라고 하자. 함수 y=g(t)의 그래프를 그리고, 불연속이 되는 t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08-1 `p.510 참조 08-2 `⑴ 12 ⑵ 3 08-3 p.510 참조

01 수열의 극한 0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9 ⑴ 수렴하는 수열 {a«}에 대하여 lim


n ڦ
a«–¡+6
a«≠¡-4
=2일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4n+1
⑵ 수열 {a«}이 lim (3n+1)a«=2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
n ⁄¶ n ⁄¶ (n¤ +2n)a«
하여라.

접근 방법

수렴하는 두 수열의 합, 차, 실수배, 곱, 몫의 극한은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합니다.


또한 lim a«=a (a는 상수)이면 lim a«–¡= lim a«≠¡= lim a™«=y=a입니다.
n ڦ n ڦ n ڦ n ڦ

수열 {a«}이 a에 수렴하면 lim a«–¡= lim a«≠¡= lim a™«=y=a


n ڦ n ڦ n ڦ

상세 풀이

⑴ lim a«=a (a는 상수)로 놓으면 lim a«≠¡= lim a«–¡=a이므로


n ڦ n ڦ n ڦ

a«–¡+6 a+6
lim =2에서 =2, a+6=2a-8 ∴ a=14
n ⁄¶ a«≠¡-4 a-4
∴ lim a«=14
n ڦ


⑵ (3n+1)a«=b«으로 놓으면 a«=
3n+1
이때, lim b«=2이므로
n ڦ

4n+1 (4n+1)(3n+1)
lim = lim
n ⁄¶ (n¤ +2n)a« n ⁄¶ (n¤ +2n)b«
(4n+1)(3n+1) 1
= lim _ lim
n ⁄¶ n¤ +2n n ⁄¶ b«

=12_;2!;=6

정답 ⑴ 14 ⑵ 6

보충 설명

⑵에서 lim (3n+1)a«=2이므로 lim 111113 에서 (3n+1)a«이 생기도록 식을 변형하여 풀 수도 있습


4n+1
n ⁄¶ n ⁄¶ (n¤ +2n)a«

니다. 즉,

lim 111113 = lim [ 11111 _ 11111112 ]=;2!;_12=6


4n+1 1 (3n+1)(4n+1)
n ⁄¶(n¤ +2n)a« n ⁄¶ (3n+1)a« n¤ +2n

04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

09-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6a«+8
⑴ 수렴하는 수열 {a«}에 대하여 lim =2일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 5a«-2 n ⁄¶

01
⑵ 수열 {a«}이 lim (n¤ -1)a«=1004를 만족시킬 때, lim {;2!;n¤ +1}a«의 값을 구하여
n ڦ n ڦ

라.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n(2n+3)
⑴ 수렴하는 수열 {a«}에 대하여 a¡=2, a«≠¡= -2a«( n=1, 2, 3, y)
(2n-1)(2n+1)

이 성립할 때, lim 100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⑵ 수열 {a«}에 대하여 lim (2« ±⁄ +3« )a«=40이 성립할 때, lim (2« +3« ±⁄ )a«의 값을
n ڦ n ڦ

구하여라.

09-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2n+1)a«=2, lim (n-2)b«=-1일 때,


n ڦ n ڦ

(2n+1)b«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n-2)a«

⑵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이 lim ('ƒa«+n-'n)=5를 만족시킬 때, lim 의
n ڦ n ڦ 'n
값을 구하여라.

09-1 `⑴ 3 ⑵ 502 09-2 `⑴ 50 ⑵ 120 09-3 ⑴ -2 ⑵ 10

01 수열의 극한 0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극한

수열 {a«}이

10 a¡=1, 5a«≠¡=2a«+1 (n=1, 2, 3, y)


로 정의될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접근 방법

수학Ⅰ의 12 수학적 귀납법에서 배웠듯이 a«≠¡=pa«+q (p+1) 꼴의 점화식은


a«≠¡-a=p(a«-a)
꼴로 변형하여 수열 {a«-a}가 공비가 p인 등비수열임을 이용합니다.

a«≠¡=pa«+q 꼴의 점화식은 등비수열로 만든다.

상세 풀이

5a«≠¡=2a«+1에서 a«≠¡=;5@;a«+;5!; yy ㉠

㉠을 a«≠¡-a=;5@;(a«-a)로 놓으면 a«≠¡=;5@;a«+;5#;a

;5#;a=;5!;이므로 a=;3!; ∴ a«≠¡-;3!;=;5@; {a«-;3!;}

따라서 수열 [a«-;3!;]은 첫째항이 a¡-;3!;=1-;3!;=;3@;, 공비가 ;5@;인 등비수열이므로


«–¡ «–¡
a«-;3!;=;3@; _{;5@;} ∴ a«=;3@; _{;5@;} +;3!;
«–¡
∴ lim a«= lim [;3@; _{;5@;} +;3!;]=0+;3!;=;3!;
n ڦ n ڦ

정답 ;3!;

보충 설명

5a«≠¡=2a«+1, 즉 a«≠¡=;5@;a«+;5!;에서 -1<;5@;<1이므로 수열 {a«}은 수렴합니다.

이때, lim a«=k로 놓으면 lim a«≠¡=k이므로 lim a«≠¡= lim {;5@; a«+;5!;}=;5@; lim a«+;5!;에서
n ڦ n ڦ n ڦ n ڦ n ڦ

k=;5@;k+;5!; ∴ k=;3!; ∴ lim a«=;3!;


n ڦ

04 보충설명에서 구했던 a= 1155


q
위의 과정을 유심히 보면 수학Ⅰ 12 수학적 귀납법의 가 바로 수열 {a«}
1-p
의 극한값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a«≠¡=pa«+q`(p+1) 꼴로 정의된 수열 {a«}의 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 |p|<1이면 lim a«= 1155


q
n ڦ 1-p

¤ |p|>1이면 lim a«의 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 a¡+ 1155 }


q
n ڦ 1-p

05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4

10-1 다음과 같이 정의된 수열 {a«}에 대하여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⑴ a¡=2, 3a«≠¡=2a«+1 (n=1, 2, 3, y)

⑵ a¡=1, a«≠¡=1+;3!;a« (n=1, 2, 3, y) 01

10-2 다음과 같이 정의된 수열 {a«}에 대하여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⑴ a¡=1, a™=9, 3a«≠™-2a«≠¡-a«=0 (n=1, 2, 3, y)


a«≠¡-a«
⑵ a¡=1, a™=3, =2 (n=1, 2, 3, y)
a«≠™-a«≠¡

10-3 첫째항이 2이고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에 대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 -'∂a«x+(a«≠¡-1)=0
이 중근을 가진다. lim a«의 값은?
n ڦ

①0 ② ;2!; ③ ;3@;

④1 ⑤ ;3$;

10-1 `⑴ 1 ⑵ ;2#; 10-2 ``⑴ 7 ⑵ 5 10-3 `⑤

01 수열의 극한 05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극한의 응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수직선 위에 두 점 P1 P3 P4 P2

11 P¡(0)과 P™(90)이 있다. 선분 P¡P™의 0

중점을 P£(x£), 선분 P™P£의 중점을 P¢(x¢), y, 선분 P«P«≠¡의 중점을


45 90 x

P«≠™(x«≠™)라고 할 때, lim x«의 값을 구하여라.


n ڦ

접근 방법

각 점의 좌표를 직접 구하여 규칙성을 찾는 것은 어려우므로 두 점 P«(x«), P«≠¡(x«≠¡)을 이은 선분


x«+x«≠¡ x«+x«≠¡
P« P«≠¡의 중점 P«≠™의 좌표가 , 즉 x«≠™= 임을 이용합니다.
2 2

수열의 극한에는
a«≠¡=pa«+q, pa«≠™+qa«≠¡+ra«=0
꼴의 점화식이 자주 이용된다.

상세 풀이

x¡=0, x™=90으로 놓고, 선분 P« P«≠¡의 중점이 P«≠™이므로


x«+x«≠¡
x«≠™= , 2x«≠™=x«+x«≠¡, 2(x«≠™-x«≠¡)=-(x«≠¡-x«)
2

∴ x«≠™-x«≠¡=-;2!; (x«≠¡-x«)

따라서 수열 {x«}의 계차수열은 첫째항이 x™-x¡=90, 공비가 -;2!;인 등비수열이므로 수열 {x«}의 일

반항은

n-1 ˚–¡ 90[1-{-;2!;}« —⁄ ] «–¡


x«=x¡+ ¡ 90 _{-;2!;} = 0+11111112 =60[1-{-;2!;} ]
k=1
1-{-;2!;}
«–¡
∴ lim x«= lim 60[1-{-;2!;} ]=60
n ڦ n ڦ

정답 60

보충 설명
수직선 위의 두 점 A(x¡), B(x™)에 대하여

① 선분 AB를 m : n (m>0, n>0)으로 내분하는 점 P의 좌표는 { 111125


mx™+nx¡
m+n }

② 선분 AB를 m : n (m>0, n>0)으로 외분하는 점 Q의 좌표는 { 111125


mx™-nx¡
m-n } (단, m+n)

05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5

11-1 수직선 위의 두 점 A¡(0), A™(90)에 대하여 선분 A¡A™를 3 : 1로 내분하는 점을 A£, 선


분 A™A£을 3 : 1로 내분하는 점을 A¢, y, 선분 A«A«≠¡을 3 : 1로 내분하는 점을 A«≠™
라고 하자. 점 A«의 좌표를 a«이라고 할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01

11-2 어떤 공장의 기름 탱크에 1000 L의 기름이 들어 있다. 매일 기계를 가동하여 작업하는 동안

기름 탱크에 들어 있는 기름의 양의 ;2!; 을 사용하고, 작업이 끝나면 100 L의 기름을 보충한

후 기름 탱크에 들어 있는 기름의 양을 기록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반복할


때, 기록되는 기름의 양은 몇 L에 한없이 가까워지는지 구하여라.

11-3 넓이가 20p인 원 O¡을 그리고,


+12p +12p +12p
원 O¡의 사분원의 넓이보다 12p
만큼 더 넓은 원 O™를 그린다.
또한 원 O™의 사분원의 넓이보다 O3
O2
12p만큼 더 넓은 원 O£을 그린 O1

다. 이와 같이 원 O«의 사분원의 넓이보다 12p만큼 더 넓은 원 O«≠¡을 계속하여 그려


간다. 원 O«의 넓이를 S«이라고 할 때, lim S«의 값을 구하여라.
n ڦ

11-1 `72 11-2 `200 L 11-3 16p

01 수열의 극한 0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의 도형에의 응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함수 y y=(x-n)2

12 y=(x-n)¤ 의 그래프와 직선 y=2nx가 만나는 점을 각

각 P«, Q«이라고 할 때, lim


P«Q«”
의 값을 구하여라.
y=2nx
Qn
n ⁄¶ n¤ Pn

O n x

접근 방법

이차함수 y=(x-n)¤ 의 그래프와 직선 y=2nx의 두 교점 P«, Q«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x-n)¤ =2nx의 두 근이 됨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두 점 P«, Q«의 x좌표를 각각 a, b로 놓고 이차방
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합니다.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는


x에 대한 방정식 f(x)=g(x)의 실근과 같다.

상세 풀이

두 점 P«, Q«은 직선 y=2nx 위에 있으므로 두 점 P«, Q«을 각각


P«(a, 2na), Q«(b, 2nb)
라고 하면 a, b는 이차방정식 (x-n)¤ =2nx의 두 근입니다.
(x-n)¤ =2nx에서 x¤ -4nx+n¤ =0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n, ab=n¤
한편, (b-a)¤ =(a+b)¤ -4ab=(4n)¤ -4_n¤ =12n¤ 이므로
P«Q«”=øπ(b-a)¤ +π4n¤ (b-a)¤ =øπ(1+4n¤ )(b-a)¤
P«Q«=øπ(1+4n¤ )_12n¤ =øπ48n› +12n¤
P«Q«” øπ48n› +12n¤ 12
∴ lim = lim = lim æ≠48+ ='∂48=4'3
n ⁄¶ n¤ n ⁄¶ n¤ n ⁄¶ n¤

정답 4'3

보충 설명
두 점 P«, Q«을 각각 P«(a, (a-n)¤ ), Q«(b, (b-n)¤ )으로 놓을 수도 있지만 계산이 더 복잡해집니다. 보통
직선과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하는 경우에는 직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교점을 표시하는 것이 좋은 접근 방법
입니다.

05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

12-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함수 y=x¤ 의 그래 y y=x2


프와 직선 y=2x+n이 만나는 점을 각각 A«, B«이라고 하자.
a« an
Bn
선분 A«B«의 길이를 a«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n ⁄¶ 'ƒ5n∂+ß4

구하여라.
01
An
O x
y=2x+n

12-2 이차함수 f(x)=3x¤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P«(n, f(n))과 Q«(n+1, f(n+1)) 사이의



거리를 a«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n ڦ n

①9 ②8 ③7
④6 ⑤5

12-3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함수 y=x¤ 의 그래프와 직선 y=;n!; x+4의 두 교점 사이의 거

리를 l«이라고 할 때, lim l«의 값을 구하여라.


n ڦ

12-1 `2 12-2 `④ 12-3 4

01 수열의 극한 05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앞에서 배운 것처럼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⑴ lim (a«—b«)= lim a«— lim b«=a—b (복부호동순)


n ڦ n ڦ n ڦ

⑵ lim ca«=c lim a«=ca (단, c는 상수)


n ڦ n ڦ

⑶ lim a«b«= lim a« lim b«=ab


n ڦ n ڦ n ڦ

a« lim a«
= n ⁄¶ = (단, b«+0, b+0)
a
⑷ lim
n ⁄¶ b« lim b« b
n ڦ

이때, 위의 성질 ⑴은 수렴하는 두 수열의 덧셈과 뺄셈은 수렴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 역


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다음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명제
‘수열 {a«+b«}이 수렴하면 수열 {a«}이 수렴하거나 수열 {b«}이 수렴한다.’
는 거짓입니다.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1)« , b«=(-1)« ±⁄
이라고 하면 lim (a«+b«)=0이므로 수열 {a«+b«}은 수렴하지만 두 수열 {a«}, {b«}은 모두
n ڦ

진동, 즉 발산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위의 Example 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두 수열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이 수렴한다고 해서 각


각의 수열이 수렴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위의 성질 ⑶, ⑷는 수렴하는 두 수열의 곱셈과 나눗셈은 수렴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특히, 성질 ⑷에서 0으로 나누는 것은 제외함에 주의합니다.
다음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⑴ 명제‘수열 {a«b«}이 수렴하면 두 수열 {a«}, {b«} 중 적어도 하나는 수렴한다.’


는 거짓입니다.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05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a«=(-1)« , b«=(-1)«
이라고 하면 lim a«b«=1이므로 수열 {a«b«}이 수렴하지만 두 수열 {a«}, {b«}은 모두 진동,
n ڦ

즉 발산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⑵ 명제‘수열 [

]이 수렴하면 수열 {a«}, {b«}은 모두 수렴한다.’
는 거짓입니다.
01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n, b«=n¤
a« a«
이라고 하면 lim =0이므로 수열 [ ]이 수렴하지만 두 수열 {a«}, {b«}은 모두 발산
n ⁄¶ b« b«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⑶ 명제‘두 수열 {a«}, [ ]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b«}은 수렴한다.’
는 참입니다.


a«_ =b«, 즉 수렴하는 두 수열의 곱인 수열 {b«}은 수렴합니다.

⑷ 명제‘두 수열 {a«}, {a«b«}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b«}은 수렴한다.’
는 거짓입니다.
특히, 수렴하는 수열의 덧셈, 뺄셈, 곱셈은 모두 수렴하지만, 나눗셈에서는 0으로 나누는
것은 제외함에 주의합니다.
lim a«b« a«b«
즉, n ⁄¶ = lim = lim b«이 성립하려면 lim a«+0이 아니라는 조건이 필요
lim a« n ⁄¶ a« n ⁄¶ n ⁄¶
n ڦ
합니다.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1
a«= , b«=n+1
n
이라고 하면
n+1
lim a«=0, lim a«b«= lim =1
n ڦ n ڦ n ڦ n
이므로 수열 {a«}, {a«b«}은 모두 수렴하지만 수열 {b«}은 발산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위의 Example ⑴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수열 a«=(-1)« , b«=(-1)« 은 모두 진동, 즉 발산하


지만 이 두 수열의 곱으로 이루어진 수열 {a«b«}은 1로 수렴합니다.
따라서 이 명제의 대우인‘두 수열 {a«}, {b«}이 모두 발산하면 수열 {a«b«}도 발산한다’
는 명제
역시 거짓이 됩니다. 이와 같이 발산하는 두 수열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수렴성은 알 수
없습니다.
한편, 앞에서 배운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역시 수렴하는 두 수열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점
에 주의해야 합니다.

01 수열의 극한 0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n ڦ n ڦ

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이면 lim a«… lim b«, 즉 a…b이다.


n ڦ n ڦ

⑵ 수열 {c«}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c«…b«이고 a=b이면 lim c«=a이다.


n ڦ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을 판별할 때 무조건적으로 반례를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어떠한 이


유에서 반례가 생기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1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수열 {a«+b«}이 수렴하면 수열 {a«}, {b«}은 모두 수렴한다.
⑵ lim a«b«=0이면 lim a«=0 또는 lim b«=0이다.
n ڦ n ڦ n ڦ

⑶ 수열 {a«}이 수렴하면 lim a«¤ ={ lim a«}¤ 이다.


n ڦ n ڦ

⑷ 양의 실수 a에 대하여 lim a«¤ =a이면 lim a«='a로 수렴한다.


n ڦ n ڦ

⑸ a«<b«<c«이고 lim (c«-a«)=0이면 수열 {b«}은 수렴한다.


n ڦ

⑹ 수열 {|a«|}이 수렴하면 수열 {a«}도 수렴한다.


⑺ 수열 {a«}에 대하여 lim |a«|=0이면 lim a«=0이다.
n ڦ n ڦ


⑻ 두 수열 {a«}, {b«}이 모두 수렴하고 lim =1이면 lim a«= lim b«이다.
n ⁄¶ b« n ⁄¶ n ⁄¶


⑼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0이고 lim a«= lim b«이면 lim =1이다.
n ⁄¶ n ⁄¶ n ⁄¶ b«

⑽ 수열 {a«}이 발산하고 수열 {a«+b«}이 0에 수렴하면 수열 {b«}은 발산한다.

풀이 1 ⑴ 거짓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n, b«=n+1이라고 하면 lim {a«+b«}=1이므로 수열 {a«+b«}은
n ڦ

수렴하지만 두 수열 {a«}, {b«}은 모두 발산한다. 즉, 발산하는 두 수열의 덧셈은 수렴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⑵ 거짓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1, 0, 1, 0, 1, 0, y, {b«}:0, 1, 0, 1, 0, 1, y이라고 하면
수열 {a«b«}:0, 0, 0, 0, y이므로 lim a«b«=0이다.
n ڦ

하지만 lim a«, lim b«은 모두 진동, 즉 발산한다.


n ڦ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참고로 수렴하는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b«=0이면 lim a«=0 또는 lim b«=0이다.
n ڦ n ڦ n ڦ

05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⑶참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서 수열 {a«}이 수렴하면
lim a«_ lim a«= lim (a«_a«) ∴ { lim a«}¤ = lim a«¤
n ڦ n ڦ n ڦ n ڦ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⑷ 거짓
수렴하는 두 수열의 곱셈은 수렴하므로 수열 {a«}이 수렴하면 제곱하여 만든 수열 {a«¤ }역시 수렴한다.
하지만 수열 {a«b«}이 수렴한다고 해서 두 수열 {a«}, {b«}의 수렴성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수열 {a«¤ }이 수렴하
01
지만, 수열 {a«}에 대하여 발산하는 반례가 존재하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반례] 수열 {a«}에 대하여 a«=(-1)« 이라고 하면 lim a«¤ = lim (-1)¤ « =1이므로 수렴하지만 수열 {a«}은
n ڦ n ڦ
진동, 즉 발산합니다.

⑸ 거짓
a«<b«<c«이고 두 수열 {a«}, {c«}이 모두 a로 수렴하면,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샌드위치 정리)에 의하여
수열 {b«} 역시 a로 수렴한다. 하지만 lim (c«-a«)=0이라고 해서 두 수열 {a«}, {c«}이 수렴한다는 보장이 없
n ڦ

으므로 두 수열 {a«}, {c«}은 발산하지만 수열 {c«-a«}은 수렴하는 반례가 존재하므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1 1
[반례] a«=n- , b«=n, c«=n+ 이라고 하면 a«<b«<c«이고,
n n
2
lim (c«-a«)= lim =0이지만 수열 {b«}은 발산한다.
n ڦ n ڦ n
⑹ 거짓
수열 {a«}에 대하여 lim a«=a이면 lim |a«|=|a|이다. 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n ڦ n ڦ

[반례] 수열 a«=(-1)« 에 대하여 lim |a«|=1이지만 수열 {a«}은 진동, 즉 발산한다.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⑺참

-|a«|…a«…|a«|이고, lim |a«|=0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샌드위치 정리)에 의하여 lim a«=0
n ڦ n ڦ

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⑻참
두 수열 {a«}, {b«}이 모두 수렴하므로 lim a«=a, lim b«=b라고 하자.
n ڦ n ڦ

a« a«
c«= 으로 놓으면 lim =1에서 lim c«=1이고, a«=b«_c«이므로
b« n ⁄¶ b« n ⁄¶

a= lim a«= lim (c«_b«)=1_b=b ∴ lim a«= lim b«


n ڦ n ڦ n ڦ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⑼ 거짓
1 2 a«
[반례] a«= , b«= 이라고 하면 lim a«= lim b«=0이지만 lim =;2!;이다.
n n n ⁄¶ n ⁄¶ n ⁄¶ b«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⑽ 거짓
수열 {b«}이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lim (a«+b«)=0이고 (a«+b«)-(b«)=a«이므로 수열 {a«}도 수렴한다.


n ڦ

이것은 가정에 모순이므로 수열 {b«}은 발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01 수열의 극한 0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열의 극한의 참, 거짓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13 ⑴ 두 수열 {a«+b«}, {a«}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b«}도 수렴한다.


⑵ 두 수열 {a«}, {b«}이 모두 발산하면 수열 {a«+b«}은 발산한다.
⑶ 두 수열 {a«}, {b«} 중 하나만 수렴하면 수열 {a«b«}은 발산한다.

접근 방법

수렴하는 두 수열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수렴하므로 하나의 수열만 수렴한다는 조건만 주어진 경
우에는 대부분 거짓입니다.
즉, 두 수열이 수렴한다고 할 때,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용해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면 참이
됩니다. 이때, 사칙연산 중 나눗셈에서 0으로 나누는 것은 제외함에 주의합니다.

수렴하는 두 수열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은 수렴한다.

상세 풀이

⑴ a«+b«=c«으로 놓으면
b«=c«-a«
즉, 두 수열 {c«}, {a«}이 모두 수렴하므로 수열 {b«}도 수렴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입니다.
⑵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n, b«=n이라고 하면 수열 {a«}, {b«}은 각각 발산하지만
lim (a«+b«)=0이므로 수열 {a«+b«}은 수렴합니다.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1 1
⑶ [반례] 두 수열 {a«}, {b«}에 대하여 a«=(-1)« , b«= 이라고 하면 lim =0, 즉 수열 {b«}은 수렴
n n ڦ n

하지만 lim a«b«=0이므로 수열 {a«b«}은 수렴합니다.


n ڦ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정답 ⑴ 참 ⑵ 거짓 ⑶ 거짓

보충 설명
위의 예제 ⑵, ⑶과 같이 두 수열 {a«}, {b«}이 각각 수렴한다는 조건이 없는 경우에는 수렴하는 경우도 있고 발
산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결과를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한편, 13-3과 같이 두 수열 {a«}, {b«}이 각각 수렴한다는 조건은 없지만 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결과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06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7

13-1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두 수열 {a«¤ -b«¤ }, {b«}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a«¤ }도 수렴한다.


⑵ 수열 {a«b«}이 수렴하고 수열 {a«}이 발산하면 수열 {b«}은 발산한다.
01

13-2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lim (a«-2b«)=0이고 lim b«=1이면 lim a«=2이다.


n ڦ n ڦ n ڦ

⑵ lim a«=a, lim b«=0이면 lim a«b«=0이다.


n ڦ n ڦ n ڦ

⑶ lim a«=0, lim b«=¶이면 lim a«b«=0이다.


n ڦ n ڦ n ڦ

⑷ lim a«=¶, lim b«=¶이면 lim (a«-b«)=0이다.


n ڦ n ڦ n ڦ

두 수열 {a«}, {b«}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3-3
보기
ㄱ. a«<b«이고 lim a«=¶이면 lim b«=¶이다.
n ڦ n ڦ


ㄴ. lim a«=¶이고 lim (a«-b«)=a이면 lim =1이다.
n ⁄¶ n ⁄¶ n ⁄¶ a«

ㄷ. lim a«b«=0이면 lim a«=0 또는 lim b«=0이다.


n ڦ n ڦ n ڦ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13-1 ⑴ 참 ⑵ 거짓 13-2 `⑴ 참 ⑵ 참 ⑶ 거짓 ⑷ 거짓
13-3 ④

01 수열의 극한 06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na«
⑴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2n¤ -n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S«

⑵ 자연수 n에 대하여 S«= ¡ k(k+1), T«= ¡ (n+k)(n+k+1)일 때, lim
n n

k=1 k=1 n ⁄¶ S«
값을 구하여라.

'ƒkn+1
01- 2 lim
n ⁄¶ n('ƒn+1-'ƒn-1 )
=4일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1- 3 자연수 n에 대하여 "√n¤ +3n+1의 소수 부분을 a«이라고 할 때, lim 100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01- 4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3« ±⁄ sin ;6“;+2« ±⁄ cos ;6“;


⑴ lim 11111112114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3« sin ;3“;-2« cos ;3“;

3« a«-2« ±⁄
⑵ 수렴하는 수열 {a«}이 lim =4를 만족시킬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 ⁄¶ 2« a«+3« ±⁄ n ⁄¶

01- 5 수열 {"√16« +a« -4« }이 수렴하도록 하는 자연수 a의 개수는?

①2 ②4 ③6
④8 ⑤ 10

06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0 | 풀이집 p.19

01- 6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⑴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2n+ 일 때, lim a«의 값을 구하
2« n ⁄¶

여라. 01
1
⑵ 수열 {a«}이 a¡=;4!;, a«≠¡=a«+ (n=1, 2, 3, y)로 정의될 때, lim a«의 값을
n¤ +2n n ⁄¶

구하여라.

6« a« a«
01- 7 수열 {a«}에 대하여 lim
n ⁄¶ 2« +1
의 값이 0이 아닌 상수일 때, lim
n ⁄¶ a«≠¡
의 값을 구하여라.

01- 8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방정식


'n
x¤ +('n+1)x- -;4#;=0
2
1 1
의 두 근을 a«, b«이라고 할 때, lim { + }의 값을 구하여라.
n ⁄¶ a« b«

01- 9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곡선 y=


2
x
와 직선 y=-x+2n이 만나는 점을 각각 A«, B«이


라 하고 선분 A«B«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01-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지수함수 y=5≈ , y=3≈ y y=5 y=3
x x

의 그래프와 직선 x=n의 교점을 각각 P«, Q«이라고 할 때,


Pn
P«≠¡Q«≠¡”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P«Q«” Qn

n
O x
x=n

01 수열의 극한 06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1 수열 {a«}에 대하여
a¡+a™+a£+y+a«=2n(n+1) (n=1, 2, 3, y)
일 때, lim ('ƒa™+a¢+a§+y+∂a™«-'ƒa¡+a£+a∞+y+∂a™«–¡ )의 값은?
n ڦ

① ;4!; ② ;2!; ③1

④2 ⑤4

¡ [;8K;]
8n

01- 12 실수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를 [x]라고 할 때, lim


n ڦ
k=1

¡k
n 의 값은?
k=1

①0 ②2 ③4
④8 ⑤ 16

01- 13 극한값 lim ("√n¤ +2n+"√n¤ +4n-pn)이 존재할 때, 상수 p의 값을 a, 그때의 극한값을 b


n ڦ

라고 하자. a+b의 값을 구하여라.

01- 14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n<a«<n+1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a¡+a™+a£+y+a«

01- 15 자연수 n에 대하여 다항식 f(x)=2« x¤ +3« x+1을 x-1, x-2로 나눈 나머지를 각각

a«, b«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b«

06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0 | 풀이집 p.24

{;k^;}« ±⁄
16 자연수 n에 대하여 a˚= lim 111423 이라고 할 때, ¡ ka˚의 값을 구하여라.
10
01- n ڦ
{;k^;}« +1
k=1

01

01- 17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두 수열 {p«}, {q«}에 대하여 lim p«=¶, lim q«=¶, lim (3p«-q«)=1일 때,


n ڦ n ڦ n ڦ

6p« 3q«
lim { + }의 값을 구하여라.
n ⁄¶ q« p«

a«¤ b«¤
⑵ 두 수열 {a«}, {b«}에 대하여 lim a«=¶, lim (a«+b«)=2일 때, lim { +
n ڦ n ڦ n ڦ
}의
b« a«
값을 구하여라.

01- 18 양의 정수 n에 대하여 6« 의 양의 약수의 총합을 T(n)이라고 할 때, lim


n ڦ

T(n)
의 값을 구

하여라.

01- 19 자연수 n에 대하여 집합 {k|1…k…2n, k는 자연수}의 세 원소 a, b, c (a<b<c)가 등차수



열을 이루는 집합 {a, b, c}의 개수를 T«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 n¤

k 2 a«
01- 20 자연수 n에 대하여 이차함수 f(x)= ¡ {x-
n

k=1 n
} 의 최솟값을 a«이라고 할 때, lim
n ڦ n

값을 구하여라.

01 수열의 극한 06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21 두 수열 {a«}, {b«}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lim n¤ a«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 ¡ (a˚+b˚)=
1
(단, næ1)
k=1 n+1
㈏ lim n¤ b«=2
n ڦ

01- 22 두 함수 f(x)= lim


n ڦ
x¤ « +x
x¤ « +1
, g(x)=2x¤ +k에 대하여 함수 ( fΩg)(x)가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정수 k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01- 23 두 함수 f(x)=x¤ -4x+a, g(x)= lim


n ڦ
2|x-b|« +1
|x-b|« +1
에 대하여 함수 h(x)=f(x)g(x)

라고 하자. 함수 h(x)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01- 24 원 x¤ +y¤ =4« +1 위의 점 P«(2« , 1)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Q«이라고 할 때,



삼각형 OP«Q«의 넓이를 S«이라고 하자. lim 의 값을 구하여라. (단, O는 원점이다.)
n ⁄¶ S«≠¡

01- 25 모든 실수에 대하여 정의된 함수 `f(x)는


f(x)=x¤ (-1…x…1), f(x+2)=`f(x)
1 1
를 만족시키는 주기함수이다. 좌표평면 위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직선 y= x+ 과
2n 4n

함수 y=f(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a«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06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0 | 풀이집 p.29

01- 26 좌표평면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두 직선 y=;n!;x와 x=n이 만 y


1
y=-x
n
나는 점을 A«, 직선 x=n과 x축이 만나는 점을 B«이라고 하자. An

삼각형 A«OB«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C«이라 하고 삼각형 Sn

A«OC«의 넓이를 S«이라고 하자. lim



의 값을 구하여라.
O Cn Bn
x
01
n ڦ n
x=n
(단, O는 원점이다.)

01- 27 자연수 n에 대하여 점 (3n, 4n)을 중심으로 하고 y축에 접하는 원 O«이 있다. 원 O« 위를 움

직이는 점과 점 (0, -1) 사이의 거리의 최댓값을 a«, 최솟값을 b«이라고 할 때, lim 의
n ⁄¶ b«
값을 구하여라.

01- 28 좌표평면에서 자연수 n에 대하여 기울기가 n이고 y절편이 양수인 y


Qn
직선이 원 x¤ +y¤ =n¤ 에 접할 때, 이 직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 ™ ™
x +y =n

각각 P«, Q«이라고 하자. l«=P«Q«”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n ⁄¶ 2n¤ Pn
O x
구하여라.

01- 2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점 O(0, 0), A(2, 0)과 직선 y

P(t, 2)
y=2를 움직이는 점 P(t, 2)가 있다. 선분 AP와 직선 y=;2!;x가 2
Q 1
만나는 점을 Q라고 하자. 삼각형 QOA의 넓이가 삼각형 POA의 y=-x
2

n
넓이의 ;3!;일 때 t의 값을 t¡, ;2!;일 때 t의 값을 t™, y, 일때 O A(2, 0) x
n+2
t의 값을 t«이라고 하자. lim t«의 값을 구하여라.
n ڦ

challenge

01- 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가로의 길이가 n, 세로 A 1 B¡ B™ Bn

의 길이가 48인 직사각형 AOC«B«이 있다. 대각선 AC«과 선 Dn


48 D™
AC«”-OC”«
분 B¡C¡의 교점을 D«이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n ⁄¶ B¡D«”
O C¡(D¡) C™ Cn
구하여라. (단, AB¡”=B¡B™”=y=B«–¡B«”=1)

01 수열의 극한 06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급수
01 급수 071
예제
02 등비급수 090
예제
03 등비급수의 활용 104
예제
기본 다지기 118
실력 다지기 120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급수란 수열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
을 말하는데, 이번 단원에서는 급수의 수렴과 발산에 대하
여 공부하겠습니다. 얼핏 무한히 많은 수를 합한 것이므로
한없이 커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무한히 많은 수의 합이
일정한 값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또한
등비수열의 합인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등비급수의 활용
에 대해서도 공부하겠습니다.

01 급수 01 부분분수 꼴의 급수 082
급수의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02 로그를 포함한 급수 084
이를 판별할 수 있다.
03 일반항과 급수의 수렴과 발산 086

04 급수의 참, 거짓 판별 088

02 등비급수 05 등비급수 094


등비급수의 뜻을 알고, 그 합을 구 06 삼각함수를 포함한 등비급수 096
할 수 있다.
07 합이 주어진 등비급수 098

08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 100

09 등비급수의 참, 거짓 판별 102

03 등비급수의 활용 10 선분의 길이 108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11 좌표축에 평행한 선분의 길이 110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2 닮음비를 이용한 등비급수 112

13 원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 114


등비급수

14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를 이용한 116


등비급수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 급수

01 급수

1 급수의 수렴과 발산

급수 ¡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할 때, 급수의 수렴과 발산은


n=1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의 극한과 같다.

⑴ 수열 {S«}이 S에 수렴한다. HjK ¡ a«= lim S«= lim ¡ a˚=S


¶ n

n=1 n ڦ n ڦ k=1

⑵ 수열 {S«}이 발산한다. HjK 급수 ¡ a«이 발산한다.


n=1

2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⑴ 급수 ¡ a«이 수렴하면 lim a«=0이다.


n=1 n ڦ

⑵ lim a«+0이면 급수 ¡ a«은 발산한다.


n ڦ n=1

3 급수의 성질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하면


¶ ¶

n=1 n=1

⑴ ¡ (a«—b«)= ¡ a«— ¡ b« (복부호동순) ⑵ ¡ ca«=c ¡ a« (단, c는 상수)


¶ ¶ ¶ ¶ ¶

n=1 n=1 n=1 n=1 n=1

02 등비급수

1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등비급수 ¡ ar« —⁄ =a+ar+ar¤ +y+ar« —⁄ +y (a+0)에 대하여


n=1

a
-1<r<1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이다.
1-r

03 등비급수의 활용

1 등비급수의 도형에의 활용
등비급수를 이용하면 닮은꼴의 모양이 한없이 반복되는 도형에서 길이의 합 또는 넓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07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우리는 01 수열의 극한에서 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
하는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급수의 수렴과
02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는 급수의 합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급수와 부분합

수열 {a«}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


a¡+a™+a£+y+a«+y
을 급수라 하고, 이것을 합의 기호 ¡를 사용하여

¡ a«

n=1

과 같이 나타냅니다. 즉,

a¡+a™+a£+y+a«+y= ¡ a«

← ¡ a˚, ¡ aμ 등으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

n=1 k=1 m=1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할 때, 수열의 일반항 a«을 구하고 이것의 극한을 조사했던 것처럼

급수 ¡ a«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할 때에는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 즉


n=1

a¡+a™+a£+y+a«= ¡ a˚=S«
n

k=1

을 구하고 이것의 극한을 조사하면 됩니다. 이때, S«을 급수 ¡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n=1

부분합이라고 합니다.

급수와 부분합

1 급수 : 수열 {a«}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


a¡+a™+a£+y+a«+y= ¡ a«

n=1

¡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



2 부분합 : 급수 n=1

S«=a¡+a™+a£+y+a«= ¡ a˚
n

k=1

02 급수 07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다음 급수를 합의 기호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 봅시다.
1 1 1 1 ¶ 1
⑴ 1+ + + +y+ +y= ¡
2 3 4 n n=1 n

1 1 1 1 1 1
+y= ¡

⑵ + + + +y+
1_2 2_3 3_4 4_5 m(m+1) m=1 m(m+1)

2 급수의 수렴과 발산

무한히 많은 수를 더하는 급수는 그 값이 한없이 커질 것 같지만 어떤 일정한 값에 한없이 가


까워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음과 같이 간단한 Example 을 살펴봅시다.

일반항이 a«=5_0.1« 인 등비수열 {a«}에 대하여 급수 ¡ a«은



Example
n=1

¡ a«=0.5+0.05+0.005+0.0005+y=0.5555y<1

n=1

입니다. 따라서 등비수열 {a«}은 아무리 항을 무한히 더해도 그 합이 한없이 커지지 않고 1보


다 작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부분합을 이용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급수 ¡ a«에서 n=1, 2, 3, y일 때, S«을 차례대로 구해 보면


n=1

a¡ =S¡
a¡+a™ =S™
a¡+a™+a£ =S£
` ⋮
a¡+a™+a£+y+a«=S«
` ⋮

이때, 급수 ¡ a«은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 S«으로 이루어진 수열


n=1

S¡, S™, S£, y, S«, y ← 일반항이 S«인 수열 {S«}입니다.

의 극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급수의 부분합 S«을 구하고 이것의 극한을
조사하면 됩니다.

07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급수 ¡ {;3!;}« =;3!;+;9!;+;2¡7;+y+{;3!;}« +y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Example
n=1

고 하면 S«은 등비수열의 합의 공식에 의하여

;3!;[1-{;3!;}« ]
S«= 1111114 =;2!;-;2!;_{;3!;}« ←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1-;3!; a(1-r« )
제`n`항까지의 합은 입니다.
1-r
입니다. 이때, S«을 새로운 수열의 일반항이라고 생각하고, 이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
면 주어진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는 것이 됩니다. 02
즉,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의 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lim S«= lim [;2!;-;2!;_{;3!;}« ]=;2!;


n ڦ n ڦ

이것을 ¡ {;3!;}« =;2!;과 같이 나타냅니다.


n=1

일반적으로 급수 ¡ a«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이 일정한 값 S에 수렴할 때, 즉


n=1

lim S«=S
n ڦ

일 때, 급수 ¡ a«은 S에 수렴한다고 합니다.


n=1

이때, S를 급수의 합이라 하고 이것을


a¡+a™+a£+y+a«+y=S 또는 ¡ a«=S

n=1

와 같이 나타냅니다.

1 1 1 1 1
급수 ¡
Example ¶
= + + +y+ +y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
n=1 n(n+1) 1_2 2_3 3_4 n(n+1)
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S«은 다음과 같습니다.
n 1 n 1 1
S«= ¡ =¡{ - 1
} ← AB =
1 1 1
{ - } (단, A+B)
k=1 k(k+1) k=1 k k+1 B-A A B

1 1
S«={1-;2!;}+{;2!;-;3!;}+{;3!;-;4!;}+y+{ - }
n n+1
1
S«=1- ← 앞에서 첫 번째 항이 남으면 뒤에서 첫 번째 항이 남습니다.
n+1
1 1
∴ ¡

= lim S«= lim {1-
n(n+1) n ڦ n ڦ
}=1
n=1 n+1
즉, 주어진 급수는 1에 수렴합니다.

02 급수 07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한편, 급수 ¡ a«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이 발산할 때, 이 급수는 발산한다고 하며

n=1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lim S«=¶일 때, ¡ a«=¶


n ⁄¶ n=1 여기서 ¶는 수열의 극한에서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무한대’입니다!
lim S«=-¶일 때, ¡ a«=-¶

n ڦ n=1

또한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이 진동하면 급수 ¡ a«은 진동한다고 합니다.


n=1

수열의 극한에서와 마찬가지로 발산하는 급수에 대해서는 그 합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왜냐


하면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의 극한을 급수의 합으로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1
=0.00000001
1억
1
급수 ¡
Example ¶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n=1 10°
1 1 1 n
S«= + +y+ =
10° 10° 10° 10°
n개
입니다.
1 n
∴ ¡

= lim S«= lim =¶
n=1 10° n ⁄¶ n ⁄¶ 10°

즉, 주어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급수의 수렴과 발산

급수 ¡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할 때, 급수의 수렴과 발산은 부분합으


n=1

로 이루어진 수열 {S«}의 극한과 같다.

1 수열 {S«}이 S에 수렴한다. HjK 급수 n=1


¡ a«이 S에 수렴한다.

HjK ¡ a«=S

lim S«=S
n ڦ n=1

HjK 급수 ¡ a«이 발산한다.



2 수열 {S«}이 발산한다. n=1

n
① ¡ a«=a¡+a™+a£+y+a«+y= lim (a¡+a™+a£+y+a«)= lim ¡ a˚

n=1 n ڦ n ڦ k=1

② 급수 ¡ a«의 수렴과 발산은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을 구한 후 이 수열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한다.

n=1

③ 수열 {a«}의 수렴과 발산은 lim a«을 조사하고, 급수 ¡ a«의 수렴과 발산은 lim S«을 조사한다.

n ڦ n=1 n ڦ

07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한편, 비슷해 보이는 두 급수가 항의 순서와 결합한 모양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
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다음 두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해 봅시다.


⑴ -1+1-1+1-1+1-1+1-y
⑵ (-1+1)+(-1+1)+(-1+1)+(-1+1)+y
언뜻 보면 두 급수의 합이 같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릅니다. 02
⑴`에서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1)« 이므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 S«을 차
례대로 구해 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a¡ a™ a£ a¢ a∞ y

-1 1 -1 1 -1 y
S¡ S™ S£ S¢ S∞ y

-1 0 -1 0 -1 y

-1 (n이 홀수)
∴ S«=[
0 (n이 짝수)
따라서 수열 {S«}이 진동하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하지만 ⑵`에서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1+1=0이므로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
분합 S«은 항상 0이 되어 그 극한값은 lim S«=0입니다. 즉, 주어진 급수는 0에 수렴합니다.
n ڦ

이와 같이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할 때에는 항을 임의로 교환하거나 결합하면 안 됩니다.

3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급수의 수렴과 발산은 급수를 구성하는 수열의 극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앞의 Example 에서 배웠던 수렴하는 급수들을 살펴보면 급수의 제`n`항을 a«이라고 할 때, n
이 커짐에 따라 수열 {a«}이 점점 0에 한없이 가까워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1
즉, 급수 ¡

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 이므로
n=1 n(n+1) n(n+1)
1
lim a«= lim =0
n ڦ n ڦ n(n+1)
임을 알 수 있습니다.

02 급수 07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일반적으로 급수 ¡ a«의 수렴, 발산과 수열 {a«}의 극한, 즉 lim a«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명

n=1 n ڦ

제가 성립합니다.

⑴ 급수 ¡ a«이 수렴하면 lim a«=0이다.


n=1 n ڦ

급수 ¡ a«이 S에 수렴할 때,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Proof
n=1

lim S«=S, lim S«–¡=S ← 수열의 극한의 성질에서 nlim a«=a`(a는 실수)이면
n ڦ n ڦ ڦ

` lim a«–¡=a입니다.
이때, a«=S«-S«–¡ (næ2)이므로 n ⁄¶

lim a«= lim (S«-S«–¡)= lim S«- lim S«–¡


n ڦ n ڦ n ڦ n ڦ

a«=S-S=0

또한 명제 p ⁄q가 참이면 그 대우 ~q ⁄~p도 참이므로 명제 ⑴`의 대우도 참인 명제입니다.

⑵ lim a«+0이면 급수 ¡ a«은 수렴하지 않는다. 즉, 발산한다.


n ڦ n=1

이 명제를 이용하면 급수를 구성하는 수열의 극한만으로도 급수가 발산하는지를 쉽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n+1 n+1
⑴ 급수 ¡
Example ¶
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 이므로
n=1 n n
n+1
lim a«= lim =1+0
n ڦ n ڦ n
즉, lim a«+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n ڦ

⑵ 급수 1+2+3+y+n+y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n이므로


lim a«= lim `n=¶+0
n ڦ n ڦ

즉, 이 수열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⑶ 급수 ¡ (-1)« 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1)« 이고, 이 수열은 진동하므로 주어


n=1

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여기서 ⑴`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lim a«=0이라고 해서 급


n ڦ
명제 p ⁄q에 대하여 q ⁄p

수 ¡ a«이 반드시 수렴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n=1

07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1
급수 ¡
Example ¶
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a«= 이므로
n=1 'ƒn+1+'n 'ƒn+1+'n
1 1
lim a«= lim =0 ← ¶ 꼴
n ⁄¶ n ⁄¶ 'ƒn+1+'n
이때, 주어진 급수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n 1 n 'ƒk+1-'k
S«= ¡ =¡
k=1 'ƒk+1+'k k=1 ('ƒn+1+'k )('ƒn+1-'k )

S«= ¡
n

k=1
'ƒk+1-'k
(k+1)-k
n
= ¡ ('ƒn+1-'k )
k=1
02
S«=('2 -1)+('3 -'2)+('4-'3)+y+('ƒn+1-'n)
=-1+'ƒn+1 ← 앞에서 두 번째 항이 남으면 뒤에서 두 번째 항이 남습니다.
입니다.
1
∴ ¡

= lim S«= lim (-1+'ƒn+1)=¶
n=1 'ƒn+1+'n n ⁄¶ n ⁄¶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합니다.

이와 같이 lim a«=0이지만 급수 ¡ a«이 발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즉, lim a«=0이어도


n ڦ n=1 n ڦ

급수 ¡ a«이 수렴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n=1

따라서 lim a«=0인 경우에는 급수 ¡ a«이 수렴할 수도 있고 발산할 수도 있으므로 직접 부


n ڦ n=1

분합 S«을 구하여 수렴하는지 발산하는지를 조사해야 합니다.

이상에서 lim a«=0은 급수 ¡ a«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조건이고, lim a«+0은 급수 ¡ a«이


¶ ¶

n ڦ n=1 n ڦ n=1
p jK q일 때, q는 p이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발산하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급수 ¡ a«의 수렴과 발산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사하면 됩니다.

n=1
p jK q일 때,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입니다.

`
31⁄ 급수 ¡ a«은 발산한다.
Yes ¶

n=1

(
lim a«+0인가?
n ⁄¶ 1 부분합 S«을 구한다.

31⁄ { lim S«=S (S는 실수) Δ 급수 ¡ a«은 S에 수렴한다.



2
No n ڦ n=1

9 Δ 급수 ¡ a«은 발산한다.

lim S«이 발산한다.
n ڦ n=1

02 급수 07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

¡ a«이 수렴한다. Δ lim a«=0



1 급수 n=1 n ⁄¶
lima
n ¶
n=0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R an 이 수렴


n=1

a«+0 Δ 급수 ¡ a«은 발산한다.



2 nlim
ڦ n=1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lim a«=0의 부정은 lim a«+0인데 수열의 극한에서 배운 것처럼


n ڦ n ڦ

lim a«=a (a는 0이 아닌 실수)인 경우와 lim a«이 발산하는 경우


n ڦ n ڦ

로 나눌 수 있다.

급수 ¡ ;n!; 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n=1

1 ¶ 1
급수 ¡ 이 발산함을 보이기 위해서는 급수 ¡ 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

n=1 n n=1 n

S«을 구하고 이것의 극한을 따져 보아야 하지만 쉽지 않으므로 다음 방법을 통하여 직관


적으로 이해해 봅시다.
1
¡

=;1!;+;2!;+;3!;+;4!;+;5!;+;6!;+;7!;+;8!;+;9!;+;1¡0;+;1¡1;+y
n=1 n

=1+;2!;+{;3!;+;4!;}+{;5!;+;6!;+;7!;+;8!;}+{;9!;+y+;1¡6;}+y

¸1`각 군의 마지막 항이 ;2!;의 거듭제곱 꼴이 되도록 묶었습니다.

>1+;2!;+{;4!;+;4!;}+{;8!;+;8!;+;8!;+;8!;}+{;1¡6;+y+;1¡6;}+y

=1+;2!;+{;4!;_2}+{;8!;_4}+{;1¡6;_8}+y

=1+;2!;+;2!;+;2!;+;2!;+y=¶

1
즉, 급수 ¡

의 합은 급수 1+;2!;+;2!;+y의 합보다 크고, 급수 1+;2!;+;2!;+y이 양의
n=1 n
1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급수 ¡

도 양의 무한대로 발산합니다.
n=1 n
1
따라서 급수 ¡

은 발산합니다.
n=1 n

07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항의 부호가 교대로 변하는 급수

급수 1-;2!;+;2!;-;3!;+;3!;-;4!;+;4!;-y과 같이 각 항의 부호가 +, - 교대로 나타나는

경우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 S«은 한 개의 식으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짝수 번째 항까지의 부분합 S™«과 홀수 번째 항까지의 부분합 S2n-1로 나누어 구
한 후 다음을 이용하여 주어진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합니다.
(단, n은 자연수, S는 실수)
02
⑴ lim S2n= lim S2n-1=S Δ 주어진 급수는 S에 수렴한다.
n ڦ n ڦ

⑵ lim S2n+ lim S2n-1=a Δ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 ڦ n ڦ

Example 위 방법을 이용하여 급수 1-;2!;+;2!;-;3!;+;3!;-;4!;+;4!;-y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해

봅시다.
각 항의 부호가 +, - 교대로 나타나므로 짝수 번째 항까지의 부분합과 홀수 번째 항
까지의 부분합을 각각 구합니다.
⁄ 짝수 번째 항까지의 부분합

⁄ S™=1-;2!;, S¢=1-;2!;+;2!;-;3!;=1-;3!;,

1
S§=1-;2!;+;2!;-;3!;+;3!;-;4!;=1-;4!;, y, S2n=1-
n+1
1
∴ lim S2n= lim {1-
n ڦ n ڦ
}=1
n+1
¤ 홀수 번째 항까지의 부분합

S¡=1, S£=1-;2!;+;2!;=1, S∞=1-;2!;+;2!;-;3!;+;3!;=1, y, S2n-1=1

∴ lim S2n-1= lim 1=1


n ڦ n ڦ

⁄, ¤에서 lim S2n= lim S2n-1=1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1에 수렴합니다.


n ڦ n ڦ

4 급수의 성질

급수는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의 극한이므로 급수의 성질은 합의 기호 ¡의 성질을 떠올


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02 급수 07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⑴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하면
¶ ¶

n=1 n=1

¡ (a«+b«)= ¡ a«+ ¡ b«
¶ ¶ ¶

n=1 n=1 n=1

n
¡ (a«+b«)= lim ¡ (a˚+b˚)

Proof
n=1 n ڦ k=1

n n
(a«+b«)= lim { ¡ a˚+ ¡ b˚} ← ¡의 성질
n ڦ k=1 k=1

n n
(a«+b«)= lim ¡ a˚+ lim ¡ b˚ ← ¡ a«, ¡ b«이 수렴
¶ ¶

n ڦ k=1 n ڦ k=1 n=1 n=1

(a«+b«)= ¡ a«+ ¡ b«
¶ ¶

n=1 n=1

⑵ 급수 ¡ a«이 수렴하면

n=1

¡ ca«=c ¡ a« (단, c는 상수)


¶ ¶

n=1 n=1

n n n
¡ ca«= lim ¡ ca˚= lim {c ¡ a˚}=c lim ¡ a˚=c ¡ a«
¶ ¶
Proof
n=1 n ⁄¶ k=1 ↑ n ⁄¶ k=1 ↑ n ⁄¶ k=1 n=1

¡의 성질 ¡ a«이 수렴

n=1

수열의 극한과 마찬가지로 수렴하지 않는 급수에 대해서는 위의 성질이 성립하지 않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a«=1, b«=-1이면 두 급수 ¡ a«, ¡ b«은 모두 발산하지만


¶ ¶

n=1 n=1

¡ (a«+b«)=0으로 수렴합니다.

n=1

급수의 성질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하면


¶ ¶

n=1 n=1

¡ (a«+b«)= ¡ a«+ ¡ b«
¶ ¶ ¶
1 n=1 n=1 n=1

¡ ca«=c ¡ a« (단, c는 상수)


¶ ¶
2 n=1 n=1

① 1, 2를 이용하면 ¡ (a«-b«)= ¡ a«- ¡ b«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 ¶

n=1 n=1 n=1

¡ a«


② ¡ a«b«+ ¡ a« ¡ b«, ¡
¶ ¶ ¶ ¶ n=1
+ 임에 주의한다.
n=1 b«
¡ b«
n=1 n=1 n=1 ¶

n=1

08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 S«을 이용하여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
을 구하여라.

⑴ 1+;3@;+;9$;+;2•7;+y

⑵ ('2-'1)+('3-'2)+y+('∂n+1-'n)+y
02
2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n+2 1
⑴ ¡ ⑵ ¡
¶ ¶

n=1 n+1 n=1 n(n+2)

¡ a«¤ =2, ¡ a«b«=3, ¡ b«¤ =4일 때,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 ¶ ¶
3 n=1 n=1 n=1

⑴ ¡ a«(a«+3b«) ⑵ ¡ (a«-b«)¤
¶ ¶

n=1 n=1

«
1-{;3@;}
풀이 1 ⑴ S«= 3533331342 =3[1-{;3@;}« ]이므로 lim S«= lim 3[1-{;3@;}« ]=3
n ڦ n ڦ
1-;3@;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3에 수렴한다.


n
⑵ S«= ¡ ('∂k+1-'k )=('2-1)+('3-'2)+y+('∂n+1-'n)=-1+'∂n+1이므로
k=1

lim S«= lim (-1+'∂n+1)=¶


n ڦ n ڦ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551342 =1+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2
2 ⑴ nlim
ڦ n+1

⑵ lim 522551342 =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할 수도 있고 발산할 수도 있다.


1
n ڦ n(n+2)

∴ ¡ 522551342 = lim ¡ { -

1 n
1 1 1
n ڦ k=1 2
}
n=1 n(n+2) k k+2
1 1 1 1 1 1
∴ = lim [{1- }+{ - }+{ - }
n ڦ 2 3 2 4 3 5
1 1 1 1
+y+{ - }+{ - }]
n-1 n+1 n n+2
1 1 1 1 1 3 3
∴ = lim {1+ - - }= _ =
n ڦ 2 2 n+1 n+2 2 2 4
3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에 수렴한다.
4

¡ a«(a«+3b«)= ¡ a«¤ + ¡ 3a«b«= ¡ a«¤ +3 ¡ a«b«=2+3_3=11


¶ ¶ ¶ ¶ ¶
3 ⑴ n=1 n=1 n=1 n=1 n=1

⑵ ¡ (a«-b«)¤ = ¡ (a«¤ -2a«b«+b«¤ )= ¡ a«¤ -2 ¡ a«b«+ ¡ b«¤ =2-2_3+4=0


¶ ¶ ¶ ¶ ¶

n=1 n=1 n=1 n=1 n=1

02 급수 08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분분수 꼴의 급수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01 ⑴ 1+
1
1+2
+
1
1+2+3
+
1
1+2+3+4
+y

1 1 1 1
⑵ + + + +y
3¤ -1 5¤ -1 7¤ -1 9¤ -1

접근 방법

¡ a«= lim ¡ a˚= lim S«이므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려면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
¶ n

n=1 n ڦ k=1 n ڦ

분합 S«을 구한 후 lim S«을 조사하면 됩니다.


n ڦ

급수는 부분합의 극한이다.

상세 풀이

⑴ 주어진 급수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 111124 =
1 1 2
a«=
111233
1+2+3+y+n n(n+1) n(n+1)
2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S«= ¡ =2 ¡ { -
n2 n 1 1
} ←` 1111
1
= 11111 { 1 - 112 }
1 1 1
k=1 k(k+1) k=1 k k+1 k(k+1) (k+1)-k k k+1

1 1 1 1 1 1
S«=2[{1- }+{ - }+y+{ - }]=2 {1- }
2 2 3 n n+1 n+1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합은
1
lim S«= lim 2 {1- }=2
n ڦ n ڦ n+1
⑵ 주어진 급수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1 1 1
a«= = =
(2n+1)¤ -1 2n(2n+2) 4n(n+1)

A¤ -B¤ =(A-B)(A+B)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S«= ¡ = ¡{ -
n 1 1 n 1 1
}
k=1 4k(k+1) 4 k=1 k k+1

[{1- }+{ - }+y+{ 1 -


1 1 1 1 1 1 1 1
S«= }]= {1- }
4 2 2 3 n n+1 4 n+1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합은
1 1 1
lim S«= lim {1- }=
n ڦ n ڦ 4 n+1 4
정답 ⑴ 2 ⑵ ;4!;

08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35

01-1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1 1 1 1
⑴ + + + +y
2¤ -1 4¤ -1 6¤ -1 8¤ -1
1 1 1 1
⑵ + + + +y
1¤ +2 2¤ +4 3¤ +6 4¤ +8

⑶ ¡
¶ 1 02
n=1 n(n+1)(n+2)

⑷ ¡ {æ≠
¶ n+1 n+2
-æ≠ }
n=1 4n-2 4n+2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수열 {a«}을 a¡=2, a«≠¡-a«=1 (n=1, 2, 3, y)로 정의할 때, 급수 ¡


¶ 1

n=1 a«a«≠¡
합을 구하여라.

⑵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n¤ -2n일 때, 급수 ¡


¶ 1

n=2 a«a«≠¡
합을 구하여라.

01-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a¡=1, a«≠¡=a«+n+1 (n=1, 2, 3, y)로 정의된 수열 {a«}에 대하여 급수

¡
¶ 1
의 합을 구하여라.
n=1 a«

n+2
⑵ 수열 {a«}을 a¡=1, a«≠¡= a«(n=1, 2, 3, y)으로 정의할 때, 급수
n

¡
¶ 1
의 합을 구하여라.
n=1 a«

01-1 `⑴ ;2!; ⑵ ;4#; ⑶ ;4!; ⑷ ;2!; 01-2 `⑴ ;2!; ⑵ ;2!;

01-3 `⑴ 2 ⑵ 2

02 급수 08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로그를 포함한 급수

1 1 1 1
급수 log™ {1- }+log™ {1- }+log™ {1- }+log™ {1- }+y의 합을
02 구하여라.
2¤ 3¤ 4¤ 5¤

접근 방법

로그의 덧셈 꼴로 주어진 급수의 합은 로그의 성질


logå x+logå y=logå xy (a>0, a+1, x>0, y>0)
를 이용합니다. 이때, 진수들이 곱해지면서 서로 약분될 수 있도록 진수를 분수 꼴로 변형합니다.

로그의 덧셈 꼴로 주어진 급수의 경우 진수의 곱셈 꼴로 고친다.

상세 풀이

주어진 급수의 제`n`항을 a«이라고 하면


1 1 1 n n+2
a«=log™[1- ]=log™‡{1- } {1+ }°=log™ { _ }
(n+1)¤ n+1 n+1 n+1 n+1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하면

S«= ¡ log™ {
n k k+2
_ }
k=1 k+1 k+1
1 3 2 4 3 5 n n+2
S«=log™ { _ }+log™ { _ }+log™ { _ }+y+log™ { _ }
2 2 3 3 4 4 n+1 n+1
1 3 2 4 3 5 n n+2
S«=log™ { _ _ _ _ _ _ y _ _ }
2 2 3 3 4 4 n+1 n+1
n+2
S«=log™
2(n+1)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합은
n+2 1
lim S«= lim log™ =log™ =-1
n ڦ n ڦ 2(n+1) 2

정답 -1

보충 설명
일반적으로 함수 f(n)에 대하여
lim log f(n)=log { lim f(n)} (단, f(n)>0)
n ڦ n ڦ

1 1
① lim log n=log ( lim n)=¶ ② lim log =log { lim
n ڦ n ڦ n ڦ n ڦ n
}=-¶
n

08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37

02-1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⑴ ¡ log[1-
¶ 1
]
n=1 (n+1)¤

⑵ ¡ log[1+
¶ 1
]
n=1 n(n+2)

⑶ ¡ (log«≠¡ 4-log«≠™4)

02
n=1

02-2 수열 {a«}에 대하여


9n-3
a¡a™a£y a«= (n=1, 2, 3, y)
n+1

이 성립할 때, 급수 ¡ log£ a«의 합을 구하여라.


n=1

1
수열 {a«}의 일반항이 a«=n¤ +2n이고 S«= ¡ log™ {1+
n
02-3 k=1 a˚
}일 때, lim S«의 값은?
n ڦ

① -2 ② -1 ③0
④1 ⑤2

02-1 `⑴ log ;2!; ⑵ log 2 ⑶ 2 02-2 `2

02-3 `④

02 급수 08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일반항과 급수의 수렴과 발산

<보기>에서 발산하는 급수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03 보기

ㄱ. ¡
¶ n
ㄴ. ¡ ("√n¤ +n -n)

n=1 3n+2 n=1

ㄷ. ¡ (-1)« ±⁄ (2n-1)

n=1

접근 방법

급수 ¡ a«이 수렴하면 lim a«=0입니다. 이 명제의 대우는


n=1 n ڦ

lim a«+0이면 급수 ¡ a«은 발산합니다.


n ڦ n=1

인데, 이 사실을 이용하면 주어진 급수가 발산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lim a«+0이면 ¡ a«은 발산한다.


n ڦ n=1

상세 풀이

각 급수의 일반항에 대하여 극한값을 조사해 봅시다.

15
n
n n 1 1
ㄱ. lim = lim = = +0이므로 급수는 발산합니다.
153+15
n ڦ 3n+2 n ڦ 3n 2 3+0 3
n n

1
n
= lim 111111442
(n¤ +n)-n¤ n 1 1
ㄴ. lim ("√n¤ +n -n)= lim = = +0
n ڦ n ڦ ڦ 2
æ≠14+14+1
"√n¤ +n+n n n¤ n n 'ƒ 1 +0+1
n¤ n¤ n
이므로 급수는 발산합니다.

ㄷ. ¡ (-1)« ±⁄ (2n-1):일반항이 발산(진동)하므로 급수도 발산합니다.


n=1

따라서 발산하는 급수는 ㄱ, ㄴ, ㄷ입니다.

정답 ㄱ, ㄴ, ㄷ

보충 설명

주어진 명제가 참일 때 그 명제의 역이 참이라는 보장은 없으므로 lim a«=0이라도 ¡ a«이 수렴하지 않는 경

n ڦ n=1

우도 있습니다.
즉, lim a«=0인 경우에는 부분합 S«을 구하여 lim S«의 값을 조사해야 합니다.
n ڦ n ڦ

08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38

03-1 <보기>에서 발산하는 급수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ƒn+3 1
ㄱ. ¡ ㄴ. ¡ (-1)« ㄷ. ¡
¶ ¶ ¶

n=1 'ƒ4n+1 n=1 n=1 'ƒn+1+'n

02

03-2 일반항이 a«=2n인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보기>에


서 수렴하는 급수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n_a« 1 1
ㄱ. ¡ ㄴ. ¡ ㄷ. ¡ {
¶ 1 ¶ ¶
- }
n=1 S« n=1 S« n=1 'ƒS«≠¡ 'ƒS«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1
급수 ¡

03-3 n=1 n'ƒn+1+(n+1)'n
의 합을 구하여라.

03-1 `ㄱ, ㄴ, ㄷ 03-2 `③ 03-3 `1

02 급수 08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급수의 참, 거짓 판별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04 ⑴ 두 급수 ¡ a«, ¡ (a«+b«)이 모두 수렴하면 급수 ¡ b«도 수렴한다.


n=1 n=1
¶ ¶

n=1

⑵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하면 lim a«b«=0이다.


¶ ¶

n=1 n=1 n ڦ

접근 방법

수렴하는 두 수열에 대하여 사칙연산이 가능한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과 달리 급수에서는 수렴하
는 두 급수의 덧셈과 뺄셈, 실수배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두 급수가 모두 수렴할 때, 두 급수의 덧셈과 뺄

셈, 실수배를 통해서만 수렴하는 급수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급수 ¡ a«이 수렴하면 lim a«=0

n=1 n ڦ

임을 이용하여 급수와 수열의 극한을 연결지어 생각합니다.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한다는 조건이 있을 때에만


¶ ¶

n=1 n=1

덧셈과 뺄셈, 실수배가 가능하다.

상세 풀이

⑴ ¡ a«=a, ¡ (a«+b«)=b (a, b는 실수)라고 하면


¶ ¶

n=1 n=1

¡ b«= ¡ {(a«+b«)-a«}= ¡ (a«+b«)- ¡ a«=b-a


¶ ¶ ¶ ¶

n=1 n=1 n=1 n=1

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입니다.

⑵ 두 급수 ¡ a«, ¡ b«이 모두 수렴하면


¶ ¶

n=1 n=1

lim a«=0, lim b«=0


n ڦ n ڦ

입니다. 따라서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에 의하여


lim a«b«=0 ← nlim
ڦ
a«=a, lim b«=b (a, b는 실수)일 때, lim a«b«=ab
n ڦ n ڦ
n ڦ

이므로 주어진 명제는 참입니다.

정답 ⑴참 ⑵참

보충 설명
수렴하는 두 수열에 대하여 사칙연산이 가능한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과 달리 급수에서는 수렴하는 두
급수의 덧셈과 뺄셈, 실수배만 가능하므로 두 급수의 곱셈이나 나눗셈의 형태로 주어진 것은 일반적으로 성립하
지 않습니다. 특히, 04-3처럼 수열의 극한의 성질과 급수의 성질의 차이점을 꼭 기억해 둡시다.

08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0

04-1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두 급수 ¡ (a«-b«), ¡ (2a«+b«)이 모두 수렴하면 급수 ¡ a«도 수렴한다.


¶ ¶ ¶

n=1 n=1 n=1

⑵ 급수 ¡ a«이 수렴하면 급수 ¡ {a«+;2!;}도 수렴한다.


¶ ¶

n=1 n=1

⑶ 급수 ¡ a«b«이 수렴하고 lim a«=1이면 lim b«=0이다. (단, a«+0)


n ڦ n ڦ
02
n=1

수열 {a«}에 대하여 ¡ (a«-1)=2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4-2 n=1

보기

ㄱ. ¡ 2(a«-1)=4 ㄷ. 급수 ¡ a«은 발산한다.


¶ ¶
ㄴ. lim a«=1
n=1 n ڦ n=1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04-3 수열 {a«}에 대하여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수열 {a«}이 수렴하면 수열 {a™«}도 수렴한다.

ㄴ. 급수 ¡ a«이 수렴하면 수열 {a™«}도 수렴한다.


n=1

ㄷ. 급수 ¡ a«이 수렴하면 급수 ¡ a™«도 수렴한다.


¶ ¶

n=1 n=1

①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4-1 `⑴ 참 ⑵ 거짓 ⑶ 참 04-2 `⑤ 04-3 `②

02 급수 08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1. 등비급수의 정의
여러 가지 급수 중에서
1 1 1 1
¡ {;2!;}« = + + + +y

n=1 2 2¤ 2‹ 2›

¡ 3n-1=1+3+3¤ +3‹ +y

n=1

등과 같이 등비수열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을 등비급수라고 하는데, 이


번 단원에서는 이러한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첫째항이 a (a+0)이고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r n-1} : a, ar, ar¤ , y, ar n-1, y
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급수
¡ ar n-1=a+ar+ar¤ +y+ar n-1+y

n=1

을 첫째항이 a (a+0)이고 공비가 r인 등비급수라고 합니다.

2.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우리는 앞에서 lim a«=0인 경우와 lim a«+0인 경우로 나누어 급수 ¡ a«의 수렴과 발산을

n ڦ n ڦ n=1

조사했습니다. lim a«+0인 경우 급수 ¡ a«은 발산하고, lim a«=0인 경우 급수 ¡ a«의 첫째


¶ ¶

n ڦ n=1 n ڦ n=1

항부터 제n 항까지의 부분합 S«을 구한 후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


하면 된다고 배웠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등비급수 ¡ ar n-1의 수렴과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는 경우 그 합까지 구


n=1

해 보겠습니다.

먼저 등비급수 ¡ ar n-1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고 할 때, 등비수열의 합


n=1

의 공식을 이용하여 S«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9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a(1-r« ) a(r« -1)
r+1일 때, S«=a+ar+ar¤ +y+ar n-1= = yy ㉠
1-r r-1

r=1일 때, S«=a+a+a+y+a=na yy ㉡

따라서 등비급수 ¡ ar n-1은 첫째항 a와 공비 r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렴하거나 발산합


n=1

니다.
02
⑴ a=0인 경우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n=ar n-1=0이므로 등비급수 ¡ ar n-1은 0에 수렴합니다.


n=1

⑵ a+0인 경우
⁄ -1<r<1일 때
lim rn=0이므로 ㉠에서
n ڦ

a(1-r« ) a(1-0) a
lim Sn= lim = =
n ڦ n ڦ 1-r 1-r 1-r
a
따라서 등비급수 ¡ arn-1은 수렴하고 그 합은

입니다.
n=1 1-r
¤ r=1일 때
¶ (a>0)
㉡에서 lim Sn= lim na=[
n ⁄¶ n ⁄¶ -¶ (a<0)

따라서 등비급수 ¡ ar n-1은 발산합니다.


n=1

‹ r>1일 때
lim rn=¶, 1-r<0이므로 ㉠에서
n ڦ

a(1-r« ) ¶ (a>0)
lim Sn= lim =[
n ⁄¶ n ⁄¶ 1-r -¶ (a<0)

따라서 등비급수 ¡ arn-1은 발산합니다.


n=1

› r…-1일 때
a(1-r« )
수열 {rn}이 진동하므로 ㉠에서 수열 {Sn}, 즉 [ ]도 진동합니다.
1-r

따라서 등비급수 ¡ arn-1은 발산합니다.



← `‹, ›에서 lim ar« —⁄ +0이므로
n=1 n ڦ

등비급수 ¡ ar« —⁄ 이 발산함을 알 수 있습니다!


n=1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2 급수 09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n-1
1 등비급수:등비수열 {ar }의 각 항을 차례대로 덧셈 기호 +로 연결한 식
¡ arn-1=a+ar+ar¤ +y+arn-1+y

n=1

2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등비급수 ¡ arn-1에 대하여

n=1

⑴ a=0인 경우, 등비급수는 항상 0에 수렴한다.


⑵ a+0인 경우
a
⁄ |r|<1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이다.
1-r
¤ |r|æ1일 때, 발산한다.

첫째항 a=0인 경우에는 등비급수의 모든 항이 0이므로 공비 r의 값에 관계없이 급수의 합은 0이다. 즉, a=0도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이므로 a+0인 조건이 없을 때에는 수렴 조건에 첫째항이 0인 경우도 포함시켜야 한다. 따라
서 첫째항이 0이 아니라는 조건이 있는지 없는지를 꼭 확인해야 한다.

2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

등비수열의 수렴 조건과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첫째항이 a (a+0),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rn-1}이 수렴할 조건은
-1<r…1

입니다. 반면 첫째항이 a (a+0), 공비가 r인 등비급수 ¡ arn-1이 수렴할 조건은


n=1

-1<r<1

입니다. 즉, 공비 r=1일 때 등비수열 {arn-1}은 수렴하지만 등비급수 ¡ arn-1은 발산합니다.


n=1

왜냐하면 공비 r=1일 때 등비수열 {arn-1}은


a, a, a, y, a, y

이므로 a에 수렴하지만 등비급수 ¡ arn-1은


n=1

¡ arn-1=a+a+a+y+a+y

n=1

이므로 a를 무한히 더하게 됩니다. 즉, 수렴하지 않고 발산합니다.


따라서 r=1은 등비수열에서는 수렴 조건이지만 등비급수에서는 발산 조건임에 주의합니다.

09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
n-1
1 첫째항이 a (a+0),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r }의 수렴 조건은
-1<r…1

¡ arn-1의 수렴 조건은

2 첫째항이 a (a+0), 공비가 r인 등비급수 n=1
-1<r<1

02

1 다음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1 1 1
⑴ 1+ + + +y ⑵ 1+2+4+8+y
3 3¤ 3‹

⑶ 2-1+;2!;-;4!;+y ⑷ 1-;2#;+;4(;-:™8¶:+y

2 다음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x x¤ x‹ x+1 «
⑵ ¡{

⑴ 1+ + + +y }
2 4 8 n=1 3

풀이 1 ⑴ 공비가 ;3!;이고, |;3!;|<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1
=;2#;
1-;3!;

⑵ 공비가 2이고, |2|>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발산한다.

⑶ 공비가 -;2!;이고, |-;2!;|<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2 2
= =;3$;
1-{-;2!;} 1+;2!;

⑷ 공비가 -;2#;이고, |-;2#;|>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발산한다.

2 ⑴ 주어진 등비급수의 첫째항이 1, 공비가 ;2{;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2{;<1 ∴ -2<x<2

x+1 x+1
⑵ 주어진 등비급수의 첫째항이 , 공비가 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3 3
첫째항이 0이 되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x+1
-1< <1, -3<x+1<3 ∴ -4<x<2
3

02 급수 09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급수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05 ⑴ ¡[
n=1
¶ 2+(-1)« «
4
]

3-2 3¤ -2¤ 3‹ -2‹ 3› -2›


⑵ + + + +y
6 6¤ 6‹ 6›

접근 방법

분모가 거듭제곱 꼴이므로 등비급수일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공비가 얼마인지 바로 알기 힘든 꼴입니다.


따라서 급수의 각 항을 나열해서 규칙성을 찾으면 되는데, 분자의 규칙성이 같은 것끼리 묶어서 등비급수
의 합을 구합니다.

분자의 규칙성이 같은 것끼리 묶는다.

상세 풀이

⑴ (주어진 식)={;4!;}⁄ +{;4#;}¤ +{;4!;}‹ +{;4#;}› +y

{;4#;}¤
⑴ (주어진 식)=[;4!;+{;4!;} +y]+[{;4#;} +{;4#;} +y]= 1111 + 1111
;4!;
‹ ¤ ›
1-{;4!;}¤ 1-{;4#;}¤
¤ ¤
(공비)={;4!;} (공비)={;4#;}

⑴ (주어진 식)= 11 + 11 =;1¢5;+;7(;=


;4!; ;1ª6;
163
105
;1!6%; ;1¶6;

3 2 3¤ 2¤ 3‹ 2‹ 3› 2›
⑵ (주어진 식)={ - }+{ - }+{ - }+{ - }+y
6 6 6¤ 6¤ 6‹ 6‹ 6› 6›
3 3¤ 3‹ 3› 2 2¤ 2‹ 2›
⑵ (주어진 식)={ + + + +y}-{ + + + +y}
6 6¤ 6‹ 6› 6 6¤ 6‹ 6›

⑵ (주어진 식)=[;2!;+{;2!;}¤ +{;2!;}‹ +{;2!;}› +y]-[;3!;+{;3!;}¤ +{;3!;}‹ +{;3!;}› +y]


(공비)=;2!; (공비)=;3!;

⑵ (주어진 식)= 111 - 111 =1-;2!;=;2!;


;2!; ;3!;

1-;2!; 1-;3!;
163 1
정답 ⑴ ⑵
105 2
보충 설명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과 달리 급수에서는 수렴하는 두 급수의 덧셈과 뺄셈, 실수배만 가능하다는 점에 주의

합니다. 즉, 두 급수 ¡ a«, ¡ b«이 각각 a, b (a, b는 실수)에 수렴할 때, ¡ (a«+b«)= ¡ a«+ ¡ b«=a+b가


¶ ¶ ¶ ¶ ¶

n=1 n=1 n=1 n=1 n=1

성립함을 이용하여 문제를 푼 것입니다.

09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1

05-1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⑴ ¡[
¶ 3+(-1)« «
]
n=1 6
5+2 5¤ +2¤ 5‹ +2‹ 5› +2›
⑵ + + + +y
10 10¤ 10‹ 10›
02

05-2 수열 {a«}을
( 0 (n=3k-2)
a«= { 1 (n=3k-1) (k는 자연수)
9 2 (n=3k)

로 정의할 때, 급수 ¡

의 합을 구하여라.
n=1 4«

05-3 a¡=5인 수열 {a«}을


a«≠¡=(a«¤` 을 7로 나눈 나머지) (n=1, 2, 3, y)

로 정의할 때, 급수 ¡

의 합은?
n=1 3«

① ;4&; ② 2 ③ ;4(;

④ :¡4¡: ⑤ 3

05-1 `⑴ ;4$0&; ⑵ ;4%; 05-2 `;2™1; 05-3 `③

02 급수 09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를 포함한 등비급수

급수 ¡ {
¶ 1 « np
} sin 의 합을 구하여라.
06 n=1 2 2

접근 방법

문제의 식만 보고 등비급수의 공비가 ;2!;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np np
가 n의 값에 따라 1, 0, -1, 0이 차례로 반복되므로 ¡ {;2!;}« sin

sin 의 각 항을 차례로 나열한
2 n=1 2
후에 공비를 찾아야 합니다.

삼각함수를 포함한 등비급수는 각 항을 나열해서 공비를 구한다.

상세 풀이

식의 형태가 복잡해서 한눈에 공비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이므로 직접 n=1, 2, 3, y을 대입하면서


주어진 급수를 풀어 써 보면
np p 3p 5p
¡ {;2!;}« sin

=;2!; sin +{;2!;}¤ sin p+{;2!;}‹ sin +{;2!;}› sin 2p+{;2!;}fi sin +y
n=1 2 2 2 2

{;2!;}« sin =;2!; _1+{;2!;}¤ _0+{;2!;}‹ _(-1)+{;2!;}› _0+{;2!;}fi _1+y

{;2!;}« sin =;2!; -{;2!;}‹ +{;2!;}fi -y

즉, 첫째항이 ;2!;, 공비가 -;4!;인 등비급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합은

111412 = 12 =;5@;
;2!; ;2!;

1-{-;4!;} ;4%;

정답 ;5@;

보충 설명
삼각함수는 주기함수라 일정한 간격으로 같은 값이 반복되므로 등비급수에 삼각함수가 곱해져 있으면 항상 각
항을 나열해서 규칙성을 찾아야 합니다.
각 항을 나열하여 공비를 구한 다음 등비급수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계산합니다.

09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2

06-1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np
⑴ ¡ sin ⑵ ¡ {;2!;}« cos np
¶ ¶

n=1 2 n=1

(n-1)p 1 np np
⑶ ¡ {;4#;}« cos ⑷ ¡
¶ ¶
{sin -cos }
n=1 2 n=1 2« 2 2
02

06-2 두 수열 {a«}, {b«}에 대하여


1 (n-1)p 1+(-1)« —⁄
a«= cos , b«=
2« —⁄ 2 2«

일 때, ¡ a«=p ¡ b«을 만족시키는 상수 p의 값을 구하여라.


¶ ¶

n=1 n=1

두 함수 f(x)=x¤ , g(x)={;2!; }≈ cos px에 대하여 급수 ¡ f( g(n))의 합은?



06-3 n=1

① ;4!; ② ;3!; ③ ;2!;

④1 ⑤2

06-1 `⑴ 발산 ⑵ -;3!; ⑶ ;2!5@; ⑷ ;5#; 06-2 ;5#; 06-3 ②

02 급수 09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합이 주어진 등비급수

등비수열 {a«}에 대하여 a™=-4, ¡ a«=9가 성립할 때, 급수 ¡ a«¤`의 합을


¶ ¶

07 구하여라.
n=1 n=1

접근 방법
«–¡ a
a+0, |r|<1인 등비급수 ¡ ar 의 합은

이므로 합이 주어진 등비급수는 첫째항 a와 공비 r를
n=1 1-r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나타내면 됩니다.

합이 주어진 등비급수는 첫째항과 공비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나타낸다.

상세 풀이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고 하면


a™=ar=-4 yy`㉠
a
¡ a«=

=9에서
n=1 1-r
a=9-9r yy`㉡
㉡을 ㉠에 대입하면
(9-9r)r=-4, 9r¤ -9r-4=0
∴ (3r+1)(3r-4)=0 yy`㉢

한편, ¡ a«=9이므로 -1<r<1입니다.


n=1

즉, ㉢에서 r=-;3!;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a=9-9_{-;3!;}=12

따라서 등비수열 {a«¤ }은 첫째항이 a¤ =12¤ =144, 공비가 r¤ ={-;3!;}¤ =;9!;이므로

144
¡ a«¤ =

=162
n=1 1
1-1
9
정답 162

보충 설명
«–¡
등비급수 ¡ ar

(a+0)의 수렴 조건이 -1<r<1이므로 ㉢에서 r=;3$; 는 주어진 조건에 맞지 않는다는 점
n=1

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09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3

등비수열 {a«}에 대하여 a™=12, ¡ a«=-16이 성립할 때, 급수 ¡ a«¤` 의 합을 구하여


¶ ¶
07-1 n=1 n=1

라.

02

07-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등비급수 ¡ a«에 대하여 ¡ a«=3, ¡ a«¤ =;2(; 일 때, 수열 {a«}의 첫째항과 공비의


¶ ¶ ¶

n=1 n=1 n=1

합을 구하여라.

⑵ 공비가 같은 두 등비수열 {a«}, {b«}에 대하여 a¡-b¡=1이고 ¡ a«=8, ¡ b«=6일 때,


¶ ¶

n=1 n=1

급수 ¡ a«b«의 합을 구하여라.

n=1

07-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등비급수 a¤ +a‹ +a› +afi +y의 합이 1일 때, 등비급수 1+a¤ +a› +afl +y의 합
을 구하여라.
⑵ 두 등비급수 1+a+a¤ +a‹ +y, 1+b+b¤ +b‹ +y의 합이 각각 3, 2일 때, 등비
b b¤ b‹
급수 1+ + + +y의 합을 구하여라.
a a¤ a‹

1+'5
07-1 `768 07-2 `⑴ ;3&; ⑵ 16 07-3 ⑴ ⑵4
2

02 급수 09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

등비급수 x+x(x¤ +x+1)+x(x¤ +x+1)¤ +x(x¤ +x+1)‹ +y에 대하여 다

08 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x+0)

⑴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⑵ 이 등비급수의 합이 -6일 때, 실수 x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등비수열의 수렴 조건과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의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즉, 등비수열의 극한


«–¡ «–¡
(a+0)은 r=1일 때 수렴하지만 등비급수 ¡ ar

lim ar (a+0)은 r=1일 때 발산합니다.
n ڦ n=1

등비급수 ¡ ar« —⁄ (a+0)이 수렴한다. HjK -1<r<1


n=1

상세 풀이

⑴ 주어진 등비급수의 공비가 (x¤ +x+1)이므로 이 등비급수가 수렴하려면


-1<x¤ +x+1<1

⁄ -1<x¤ +x+1에서 x¤ +x+2>0, 즉 {x+;2!;}¤ +;4&;>0이므로 x는 0이 아닌 모든 실수입니다.

¤ x¤ +x+1<1에서 x¤ +x<0, x(x+1)<0 ∴ -1<x<0


⁄, ¤에서 -1<x<0
⑵ 첫째항이 x, 공비가 (x¤ +x+1)이고 등비급수의 합이 -6이므로
x x
=-6에서 =-6, x=6x¤ +6x
1-(x¤ +x+1) -x¤ -x
6x¤ +5x=0, x(6x+5)=0 ∴ x=-;6%; (∵ -1<x<0)

정답 ⑴ -1<x<0 ⑵ -;6%;

보충 설명

a+0 등비수열 등비급수


«–¡ «–¡
a, ar, ar¤ , y, ar ,y a+ar+ar¤ +y+ar +y
형태 «–¡ ¶ «–¡
lim ar ¡ ar
n 2∞ ¶ n=1

수렴 조건 -1<r…1 -1<r<1

10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4

08-1 다음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그때의 합을 구하여라.


«–¡
x x¤ x
⑴ 1+ + +y+{ } +y ⑵ 1-;3$;x+:¡9§:x¤ -;2^7$;x‹ +y
2 4 2
«–¡ «
⑶ ¡ (2x) ⑷ ¡{
¶ ¶ x
}
n=1 n=1 10
02

x n-1
등비급수 ¡ (x+1){1-

08-2 n=1 4
} 이 수렴하도록 하는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등비급수 ¡ r« 이 수렴할 때, 다음 중 반드시 수렴한다고 할 수 없는 것은?



08-3 n=1

™« ™« r« +(-r)«
① ¡ (r« +r ) ② ¡ (r« -2r ) ③ ¡
¶ ¶ ¶

n=1 n=1 n=1 2


« «
④ ¡{ ⑤ ¡{
¶ r-1 ¶ r
} -1}
n=1 2 n=1 2

2 3
08-1 `⑴ -2<x<2일 때, 에 수렴 ⑵ -;4#;<x<;4#;일 때, 에 수렴
2-x 3+4x
1 x
⑶ -;2!;<x<;2!;일 때, 에 수렴 ⑷ -10<x<10일 때, 에 수렴
1-2x 10-x
08-2 `27 08-3 ⑤

02 급수 10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등비급수의 참, 거짓 판별

첫째항이 0이 아닌 등비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09 ⑴ 수열 {a«}이 수렴하면 급수 ¡ a«도 수렴한다.


n=1

⑵ 급수 ¡ a«이 수렴하면 급수 ¡ a™«도 수렴한다.


¶ ¶

n=1 n=1

접근 방법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은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이나 급수의 성질보다는 공비의 범
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① 등비수열 {ar« —⁄ } (a+0)은 -1<r…1일 때 수렴하고, 그 외에는 발산합니다.

② 등비급수 ¡ ar« —⁄ (a+0)은


n=1

a
⁄ |r|<1일 때, 수렴하고 그 합은 입니다.
1-r
¤ |r|æ1일 때, 발산합니다.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은 공비를 고려한다!

상세 풀이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a+0), 공비를 r라고 하면 a«=ar« —⁄


⑴ 등비수열 {a«}이 수렴하면 -1<r…1

그런데 r=1이면 등비급수 ¡ a«은 발산합니다. 즉, 주어진 명제는 거짓입니다.


n=1

⑵ 등비급수 ¡ a«이 수렴하면 -1<r<1


n=1

이때, a™«=ar¤ « —⁄ =ar(r¤ )« —⁄ 에서 등비수열 {a™«}의 공비는 r¤ 이고 0…r¤ <1이므로 등비급수 ¡ a™«

n=1

도 수렴합니다. 즉, 주어진 명제는 참입니다.

정답 ⑴ 거짓 ⑵ 참

보충 설명
명제 ⑵가 일반적인 급수에서는 거짓`( 04-3 ㄷ 참고)이었지만 등비급수에서는 참임에 주의합니다. 즉,
일반적인 급수와는 다르게 등비급수는 공비의 범위에 의하여 수렴과 발산이 결정되므로 등비급수에서만 성립하
는 성질은 비교해서 꼭 정리해 둡시다.

참고로 명제 ⑴의 역인‘급수 ¡ a«이 수렴하면 수열 {a«}도 수렴한다.’



는 참이고, 명제 ⑵의 역인
n=1

‘급수 ¡ a™«이 수렴하면 급수 ¡ a«도 수렴한다.’


¶ ¶
도 참입니다.
n=1 n=1

10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6

09-1 첫째항이 0이 아닌 등비수열 {a«}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lim a«=0이면 급수 ¡ a«은 수렴한다.


n ڦ n=1

⑵ 급수 ¡ a«이 수렴하면 급수 ¡ a«¤ 도 수렴한다.


¶ ¶

n=1 n=1

⑶ 급수 ¡ a«이 발산하면 급수 ¡ a™«도 발산한다. 02


¶ ¶

n=1 n=1

09-2 첫째항이 0이 아닌 두 등비수열 {a«}, {b«}에 대하여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하여라.

⑴ 급수 ¡ a«b«이 발산하면 두 급수 ¡ a«, ¡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발산한다.


¶ ¶ ¶

n=1 n=1 n=1

⑵ 두 급수 ¡ a«¤ , ¡ b«¤ 이 모두 수렴하면 급수 ¡ (a«+b«)도 수렴한다.


¶ ¶ ¶

n=1 n=1 n=1

09-3 첫째항이 0이 아닌 두 등비수열 {a«}, {b«}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 (a«-b«)=0이면 두 등비수열 {a«}, {b«}의 공비가 같다.


n=1

ㄴ. 두 급수 ¡ a«¤ , ¡ b«¤ 이 모두 수렴하면 급수 ¡ a«b«도 수렴한다.


¶ ¶ ¶

n=1 n=1 n=1

ㄷ. 두 급수 ¡ a«, ¡ b«이 모두 발산하면 lim (a«+b«)+0이다.


¶ ¶

n=1 n=1 n ڦ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09-1 `⑴ 참 ⑵ 참 ⑶ 참 09-2 `⑴ 참 ⑵ 참 09-3 ②

02 급수 10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등비급수의 도형에의 활용

등비급수를 이용하면 닮은꼴의 모양이 한없이 반복되는 도형에서 길이의 합 또는 넓이의 합


을 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좌표평면에서 선분의 길이의 합을 이용하면 움직이는 점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점 P«(n=1, 2, 3, y)이 y

원점 O를 출발하여 x축 또는 y축과 평행하게 다음의 규칙으


1 P3 P2
-
로 움직입니다. 2 y
P 4 P5

O’P¡”=1, P’¡P™”=;2!; O’P¡”, P’™P£”=;2!; P’¡P™”, y P1


O 1 x
이때, 점 P«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등비급수를 이
용하여 구해 봅시다.
먼저 점 P¡, P™, P£, P¢, y의 좌표를 알아보면 오른쪽 또는 위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각각 x좌
표, y좌표가 증가하므로 선분의 길이를 더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왼쪽 또는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각각 x좌표, y좌표가 감소하므로 선분의 길이를
뺀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점 P«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x, y)라고 하면
좌표평면에서 점 P(x, y)가
x=O’P¡”-P’™P£”+P’¢P∞”-P’§P¶”+y ① a만큼

x=1-{;2!;}¤ +{;2!;}› -{;2!;}fl +y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Δ x+a


왼쪽으로 움직이면 Δ x-a
1 ② b만큼
x= =;5$;
1
1-{-23}
4 위로 움직이면 Δ y+b
아래로 움직이면 Δ y-b
y=P’¡P™”-P’£P¢”+P’∞P§”-P’¶P•”+y

y=;2!;-{;2!;}‹ +{;2!;}fi -{;2!;}‡ +y

23
1
2
y= =;5@;
1
1-{-23}
4

따라서 점 P«은 점 {;5$;, ;5@;}에 한없이 가까워집니다.

10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또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규칙적으로 줄어드는 1
1
-
도형의 넓이의 합 역시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구할 2 1
- 1
-
4 8
1
수 있습니다. 이때, 규칙을 찾는 것이 문제 해결 1 + -
4
+ + +y
1 1
-
의 핵심입니다. -
16 64

즉,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에서 한 변의 길

이가 ;2!;배씩 줄어드는 정사각형을 반복해서 만들면 각각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4!;배씩 줄어든다
02
¤
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Example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


을 이어서 만든 정사각형의 넓이를 S¡, 이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
점을 이어서 만든 정사각형의 넓이를 S™라고 합시다. 이와 같은 과 1

정을 한없이 반복할 때, 만들어지는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

¡ S«의 값을 구해 봅시다.

n=1 '2
1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의 비는 1 : 1 : '2이므로 1
'2 '2 ¤
첫 번째 얻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입니다. ∴ S¡={ } =;2!;
2 '2 2
x로 놓으면 1:'2=;2!;:x에서 x=
2
두 번째 얻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입니다. ∴ S™={;2!;}¤ =;4!;

'2 '2 ¤
세 번째 얻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입니다. ∴ S£={ } =;8!;
4 4

따라서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 ¡ S«은


n=1

23
1
2
¡ S«=;2!;+;4!;+;8!;+y=

=1
n=1 1
1-23
2

한편, 닮음인 두 도형의 닮음비가 m : n이면 그 넓이의 비는 닮음비의 제곱인 m¤ : n¤ 임을 이


용하여 공비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Example 에서 n번째 얻은 정사각형과 (n+1)번째 얻

은 정사각형은 닮음비가 '2 : 1인 닮은 도형이므로 넓이의 비는 ('2)¤ : 1¤ =2 : 1=1 : ;2!;입니다.

따라서 급수 ¡ S«은 첫째항이 S¡=;2!;이고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이므로 넓이의 합을 쉽게 구


n=1

할 수 있습니다.

02 급수 10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순환소수는 순환마디의 양 끝의 숫자
0.3737373737y=0.H3H7, 0.24373737y=0.24H3H7 위에 점을 찍어 간단하게 나타냅니다.
첫 번째 소수에서는 소수점 아래 첫 번째 자리부터 37이 반복되고 두 번째 소수에서는 소수점
아래 세 번째 자리부터 37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소수점 아래의 어떤 자리에서부터 일
정한 숫자의 배열이 한없이 반복되는 무한소수를 순환소수라 하고, 순환소수에서 일정하게 반복
되는 부분을 순환마디라고 합니다.
중학교 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다음의 몇 가지 공식을 배웠습니다.

0.HabHc= 22525 , 0.aHbHc= 22222525 , 0.abHc= 5522222525


abc abc-a abc-ab
999 990 900

그런데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과정에는 우리가 배웠던 등비급수의 원리가 들어 있습니
다. 순환소수 자체를 등비급수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순환소수 0.24373737y=0.24+0.0037+0.000037+y을 분수로 나타내어 봅시다.


⁄ 공식을 이용하는 경우
2437-24 2413
0.24H3H7= =
9900 9900
¤ 등비급수를 이용하는 경우
0.24373737y=0.24+0.0037+0.000037+0.00000037+y
24 37 37 37
0.24373737y= + + + +y
100 10000 1000000 100000000
37 37 37 37
이때, 급수 + + +y은 첫째항이 , 공비가 ;10!0;인
10000 1000000 100000000 10000
등비급수이므로

1123
37
24 10000 24 37
0.24373737y= + = +
100 1 100 9900
1-123
100
2376+37 2413
0.24373737y= =
9900 9900
따라서 ⁄, ¤의 결과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순환소수는 등비급수로 나타낼 수 있고, 그 합을 구하면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0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1 0˙.a¡a™a£yHa«= 22222555124
a¡a™a£ya«
999y9

]
n개

2 0.a¡a™yaμHb¡b™yHb«= 2122222222222222222555124
a¡a™yaμb¡b™yb«-a¡a™yaμ
99y900y0

]
n개 m개

02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서 점 A«(n=1, 2, 3, y)이 y

A4 y
O’A¡”=1, A’¡A™”=;2!; O’A¡”, A’™A£”=;2!; A’¡A™”, y A2
A3
가 되도록 움직일 때, 점 A«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
라. (단, O는 원점이다.) O 1 A1 x

2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어라.


⑴ 0.H2H4 ⑵ 2.1H3H2

풀이 1 점 A«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x, y)라고 하면


1
x=O’A¡”+A’™A£”+A’¢A∞”+y=1+;4!;+;1¡6;+y= =;3$;
1-;4!;

;2!;
y=A’¡A™”+A’£A¢”+A’∞A§”+y=;2!;+;8!;+;3¡2;+y= =;3@;
1-;4!;

따라서 점 A«은 점 {;3$;, ;3@;}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2 ⑴ 0.H2H4=0.24+0.0024+0.000024+y
125
24
+y= 255252431 =
24 24 24 100 24 8
⑴ 0.H2H4= + + =
100 10000 1000000 1 99 33
1-123
100
⑵ 2.1H3H2=2+0.1+0.032+0.00032+0.0000032+y

1225
32
+ 255252431
21 32 32 32 21 1000
⑴ 2.1H3H2= + + + +y=
10 1000 100000 10000000 10 1
1-123
100
21 32 2079+32 2111
⑴ 2.1H3H2= + = =
10 990 990 990

02 급수 10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선분의 길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 O를 지나는 4개의 직선 y y=x

10 x축, y=x, y축, y=-x가 있다. x축 위의 점


P¡(1, 0)에서 직선 y=x에 내린 수선의 발을
y=-x


P£ P™

P™, 점 P™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y이


라고 하자. 이와 같이 이웃한 직선에 차례대로 수 P∞ O P¡ x

선을 그어 나갈 때, 급수
P’¡P™”+P’™P£”+P’£P¢”+y
의 합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a+0, |r|<1인 등비급수 ¡ ar« —⁄ 의 합은


¶ a
입니다. 따라서 삼각형 OP«P«≠¡이 직각이등변삼각형
n=1 1-r
임을 이용하여 P’¡P™”, P’™P£”, P’£P¢”, y를 직접 구해서 첫째항과 공비를 구합니다.

길이가 점점 줄어드는 선분의 길이의 합은 등비급수를 생각한다.

상세 풀이

△OP¡P™, △OP™P£, △OP£P¢, y`는 모두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P1
1 1 P¡P™”
P¡P™”=OP¡”_sin 45˘=1_ = ¤111123 45˘ 에서 sin 45˘= 임을 이용합니다.
'2 '2 45˘ OP¡”
O P2
1 1
P™P£”=OP™”_sin 45˘=P¡P™”_sin 45˘= _ =;2!;
'2 '2
1 1
P£P¢”=OP£”_sin 45˘=P™P£”_sin 45˘=;2!; _ =
'2 2'2

1 1
따라서 구하는 급수의 합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급수의 합이므로
'2 '2

12
1
1 1 '2 1
P¡P™”+P™P£”+P£P¢”+y= +;2!;+ +y= = ='2+1
'2 2'2 1 '2-1
1-12
'2

정답 '2+1

보충 설명
등비급수의 합은 첫째항과 공비를 알면 되므로 주어진 조건에서 첫째항부터 제`2`항 또는 제`3`항까지만 구해 보아
도 공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학 실력을 높이려면 답을 구하는 것에 치중하기보다는 구하는 과정을 이해
하여 응용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므로 문제 해결에 쓰인 도형의 성질을 꼭 알아둡시다.

10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7

1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점 O에서 서로 수직으로 만나고 y

x축, y축과 45˘의 각을 이루는 2개의 직선이 있다. x축 A™ A¡

위의 점 A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웃하는 직선에 수 A£


선 AA¡을 긋고, 점 A¡에서 y축에 수선 A¡A™를 긋는 45˘
A¢ O A x
다.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계속할 때, 급수 A∞
A’A¡”+A’¡’A™”+A’™’A£”+y 02
의 합을 구하여라. (단, OA”=2)

1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빗변의 길이가 '2 인 직각이등변삼각형 Q

OPQ에서 두 선분 OP, OQ의 중점을 각각 P¡, Q¡이라 하고,


삼각형 OP¡Q¡에서 두 선분 OP¡, OQ¡의 중점을 각각 P™, Q™

라고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계속할 때, 급수
Q™
PQ”+P¡Q¡”+P””™Q™”+y Q£
의 합을 구하여라. O P
P£ P™ P¡

1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2, ∠B=90˘인 직각이등변삼각 A£


C
A™ B£
형 ABC에서 꼭짓점 A를 중심으로 하고 선분 AB를 반지 B™

름으로 하는 원을 그렸을 때 선분 AC와 만나는 점을 A¡,
AC”⊥A¡B¡”이고 선분 BC 위에 있는 점을 B¡이라고 하자. B¡
다시 점 B¡을 중심으로 하고 선분 A¡B¡을 반지름으로 하
는 원을 그렸을 때 선분 CB¡과 만나는 점을 B™, A B
CB¡”⊥A™B™”이고 선분 A¡C 위에 있는 점을 A™라고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계속할 때, 급수
AB”+A¡B¡”+A™B™”+y
의 합을 구하여라.

10-1 `2+2'2 10-2 `2 10-3 2+'2

02 급수 10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좌표축에 평행한 선분의 길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세 직선 y=2x, y y=2x


A£ y=x

11 y=x, y=;2!; x가 있다. 직선 y=2x 위의 점

A¡(1, 2)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A™


y=
1
2
x
B™
y=;2!; x와 만나는 점을 B¡이라 하고, 점 B¡을 지나 A¡

고 직선 y=x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y=2x와 만나
O x
는 점을 A™, 점 A™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y=;2!; x와 만나는 점을 B™라고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 A£, B£, A¢,

B¢, y, A«, B«, y을 정할 때, 급수 ¡


¶ 1
의 합을 구하여라.
n=1 A«B«”

접근 방법

좌표평면 위에 주어진 그래프에서 선분의 길이나 선분의 길이의 합을 구하는 문제에서는 선분의 길이와
점의 좌표를 연관지어 생각합니다. 즉, 선분이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경우에 선분의 길이는 x좌표의 차
또는 y좌표의 차가 됩니다.

좌표축에 평행한 선분의 길이는 좌표의 차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점 A¡(1, 2)이고, 점 B¡은 점 A¡과 y좌표가 같고 직선 y=;2!; x 위의 점이므로 B¡(4, 2)입니다.

또한 점 A™는 점 B¡(4, 2)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2, 4)이고, 점 B™는 점 A™와 y좌표가

같고 직선 y=;2!; x 위의 점이므로 B™(8, 4)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 A«, B«(n=3, 4, y)의 좌표를 구하면


A£(4, 8), B£(16, 8), A¢(8, 16), B¢(32, 16), y
1 1 1 1 1
∴ ¡

= + + + +y
n=1 A«B«” A¡B¡” A™B™” A£B£” A¢B¢”
1 1 1 1
∴ = + + + +y ← 선분 A«B«은 x축에 평행
4-1 8-2 16-4 32-8
하므로 x좌표의 차를 이
용합니다.
∴ =;3!;+;6!;+;1¡2;+;2¡4;+y

1
1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급수
3
∴ = =;3@;
1
1-1
2
정답 ;3@;

11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8

1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세 직선 y=3x, y y=3x y=x



y=x, y=;3!;x가 있다. 직선 y=3x 위의 점 A¡(1, 3)

을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y=;3!;x와 만나는 y=


1
x
A™ 3
점을 B¡이라 하고, 점 B¡을 지나고 직선 y=x에 수직인 B™

직선이 직선 y=3x와 만나는 점을 A™, 점 A™를 지나고 B¡ 02
O x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y=;3!;x와 만나는 점을 B™라

고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 A£, B£, A¢, B¢, y, A«, B«, y을 정할 때, 급수

¡ 112 의 합을 구하여라.
¶ 1
A’«B«”
n=1

1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두 직선 y=;2!; x, y


y=
1
x
A¡ 2
4
y=-x가 있다. 점 A¡(8, 4)를 지나고 x축에 평행한 A™
직선이 직선 y=-x와 만나는 점을 A™, 점 A™를 지나 A§ A∞

O 8 x
고 y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y=;2!; x와 만나는 점을
A£ A¢
A£, 점 A£을 지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직선 y=-x

y=-x와 만나는 점을 A¢, 점 A¢를 지나고 y축에 평

행한 직선이 직선 y=;2!; x와 만나는 점을 A∞라고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 A§, A¶,

A•, y을 정할 때, 급수 A’¡A™”+A’™A£”+A’£A¢”+A’¢A∞”+y의 합을 구하여라.

1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직선 x+y=2와 한 점 y

A(0, 1)이 있다. 점 A에서 직선 x+y=2에 내린 수선의 2


P¡ x+y=2
발을 P¡,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점 Q¡에서
직선 x+y=2에 내린 수선의 발을 P™, 점 P™에서 x축에 내 1 A
P™
린 수선의 발을 Q™라고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 P«, P£

Q«(n=3, 4, y)을 정할 때, 급수 O Q¡ Q™ Q£ x
P’¡Q¡”+P’™Q™”+y+P’«Q«”+y의 합을 구하여라.

11-1 `;1£6; 11-2 `36 11-3 `3

02 급수 11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닮음비를 이용한 등비급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2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C A

12 의 내부에 한 변이 변 BC 위에 있고 한 꼭짓점이 빗변
AC 위에 있는 정사각형 D¡, D™, D£, y을 한없이 만
2
들 때,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D1
D2
D3
B C

접근 방법

도형에 관련된 등비급수 문제는 첫째항과 공비를 찾으면 됩니다. 이때, 일정한 비율로 줄어드는 꼴의 등
비급수 문제는 아래의 보충 설명과 같이 닮음비를 이용해서 공비를 찾는 것이 매우 편리합니다. 즉, 두 도
형의 닮음비가 m : n이면 넓이의 비는 m¤ : n¤ 임을 이용합니다.

서로 닮음인 도형에 관련된 등비급수 문제는 닮음비를 찾는다.

상세 풀이

삼각형 ABC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삼각형 AEF도 직각이등변삼각형 A

입니다. 정사각형 D¡의 한 변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삼각형 AEF에서


AE”=EF”이므로 2E
F

2-x=x, 2x=2 ∴ x=1


x D1
즉, 정사각형 D¡의 한 변의 길이가 1이므로 넓이는 1입니다. D2
D3
B C
한편, AB” : FG”=2 : 1에서 두 정사각형 D¡, D™의 닮음비가 2 : 1이므로 G

이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비는 2¤ : 1¤ =4 : 1=1 : ;4!;입니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첫째항이 1, 공비가 ;4!;인 등비급수의 합이므로


1
=;3$;
1
1-1
4
정답 ;3$;

보충 설명
AB” : FG”=2 : 1에서 두 정사각형 D¡, D™의 닮음비가 2 : 1이므로 이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비는

2¤ : 1¤ =4 : 1=1 : ;4!;입니다. 즉, 넓이의 비를 1 : ☆꼴로 표현했을 때, 공비 r=☆이 됩니다.

11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49

12-1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12, AC”=6인 직각삼각형 ABC C

의 내부에 한 변이 변 AB 위에 있고 한 꼭짓점이 빗변 CB
6
위에 있는 정사각형 D¡, D™, D£, y을 한없이 만들 때, 모 D1
D2 D
3 D
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A
4
B
12

02

1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ABC가 있 A


다. 변 BC의 삼등분점을 차례대로 A¡, A™라 하고 세 선분
BA¡, A¡A™, A™C를 각각 한 변으로 하는 세 정삼각형 P2
B2 C2
B¡BA¡, P¡A¡A™, C¡A™C를 만들어 색칠한다. 다시 삼각형 P1
B1 C1
AB¡C¡에서 변 B¡C¡의 삼등분점을 차례대로 A£, A¢라 하고 A3 A4

같은 방법으로 세 정삼각형 B™B¡A£, P™A£A¢, C™A¢C¡을 만 B C


A1 A2
들어 색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삼각형을 한없이 만들어
색칠할 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1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6인 정삼각형에 내접원


을 그린다. 이 내접원에 접하면서 정삼각형의 한 변과 평행한
선분을 각각 그려 새로운 정삼각형 3개를 만들고, 새로 만들
어진 3개의 정삼각형에 각각 내접원을 그린다. 이와 같은 과
정을 계속하여 원을 한없이 그릴 때, 모든 원의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3'3
12-1 `;:!5$:$; 12-2 ` 20 12-3 ;2(;p

02 급수 1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원과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 등비급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BO”=2인 직각이등변삼각형 ABO에 A

13 내접하는 사분원을 그린 다음 그 사분원에 내접하는 직각이


등변삼각형을 그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직각이등변삼각형
과 사분원을 한없이 그릴 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의 합을 구
하여라. (단, 사분원은 중심각의 크기가 90˘인 부채꼴이다.)
B O
2

접근 방법

직각이등변삼각형에서 사분원을 뺀 부분( )이 닮은꼴이므로 12와 같은 원리로 닮음비를 이용합


니다. 이때, 원의 중심과 접점을 연결한 선분이 접선과 수직이 됨을 이용하여 사분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원의 중심과 접점을 연결한 선분은 접선과 수직이다.

상세 풀이

[그림 1]에서 OP¡”⊥AB”이므로 삼각형 AP¡O는 직각이등변삼각형입니다. A

2
∴ OP¡”=r¡= ='2 ← △ABO=;2!;_2_2=;2!;_2'2_r¡
'2 P1
이때, 첫 번째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S¡이라고 하면 r1

S¡=;2!;_2_2-;4!;_p_('2 )¤ =;2!;(4-p) B O
2
또한 [그림 2]에서 첫 번째 색칠한 부분과 두 번째 색칠한 부분의 닮음비가 [그림 1]
BO” : DO”=2 : '2이므로 두 번째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S™라고 하면 A

S¡ : S™=2¤ : ('2 )¤ =4 : 2=1 : ;2!; C


P1
P2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 S¡, S™, S£, y의 합은 첫째항이 ;2!;(4-p),

1(4-p)
1 B O
D
2 '2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의 합이므로 =4-p
1 [그림 2]
1-1
2
정답 4-p
보충 설명
n번째 직각이등변삼각형의 직각을 낀 한 변의 길이와 사분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a«, r«이라고 하면 a¡=2,
1 1
r¡='2이고 a«≠¡= a«, r«≠¡= r«이므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습니다.
'2 '2
;2!;_2_2 ;4!;_p_('2 )¤
(모든 삼각형의 넓이의 합)-(모든 사분원의 넓이의 합)= 11112 - 11111441 =4-p
1 ¤ 1
1-{12} 1-{12}¤
'2 '2

114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50

13-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C¡에 내접하는 정 M1 C1


사각형을 M¡, 정사각형 M¡에 내접하는 원을 C™, 원 C™에 내접 M2 C2

하는 정사각형을 M™라고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과 정사각


형을 한없이 그릴 때, 원 C«의 넓이에서 정사각형 M«의 넓이를

뺀 값을 a«이라고 하자. 급수 ¡ a«의 합을 구하여라.


n=1
02

1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O¡에 내접하는 직각


O1
이등변삼각형을 T¡이라 하고, 직각이등변삼각형 T¡에 내접하는
원을 O™, 원 O™에 내접하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을 T™라고 하자. T2
O2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원과 직각이등변삼각형을 한없이 그릴 T1 1

때, 원 O«의 넓이를 S«이라고 하자. 급수 ¡ S«의 합을 구하여


n=1

라.

13-3 다음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a인 반원 C¡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을 A¡이라고 하자.


정사각형 A¡의 한 변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반원 C™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을 A™라
하고, 정사각형 A™의 한 변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반원 C£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을
A£이라고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정사각형을 한없이 만들 때,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C1 C2 C3

A1 A2 A3

① a¤ ② 2a¤ ③ 3a¤
④ 4a¤ ⑤ 5a¤

'2+1
13-1 `2p-4 13-2 ` 2
p 13-3 ④

02 급수 1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를 이용한 등비급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2인 선분 A¡A™를 1 : 2로

14 내분하는 점을 A£, 선분 A™A£을 1 : 2로 내분하는 점을


A¢라고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얻은 점 A«에
A1 A3 A5 A4 A2
대하여 선분 A«A«≠¡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호의 길이

를 l«이라고 할 때, 급수 ¡ l«의 합을 구하여라.


n=1

접근 방법

반원의 중심각의 크기는 180˘로 일정하므로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변화를 찾으면 됩니다.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x˘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l, 넓이를 S라고 하면
O
l=2pr_;36{0;, S=pr¤ _;36{0; r

S
l

상세 풀이

180˘
A¡A™”=2이므로 선분 A¡A™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호의 길이 l¡은 l¡=2p_1_ =p
360˘
1 2
An An+2 An+1

위의 그림과 같이 선분 A«A«≠¡을 1 : 2로 내분하는 점이 A«≠™이므로

A«≠¡A«≠™”=;3@; A«A«≠¡” ∴ l«≠¡=;3@; l«

따라서 구하는 급수의 합은 첫째항이 p, 공비가 ;3@; 인 등비급수의 합이므로

¡ l«=
¶ p
=3p
n=1 2
1-1 3p
3 정답

보충 설명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 사이의 관계

반지름의 길이가 r, 호의 길이가 l인 부채꼴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2!; rl

증명 |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x˘일 때


x x
l=2pr_ yy ㉠, S=pr¤ _ yy ㉡
360 360
x l l
증명 | ㉠에서 = 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S=pr¤ _ =;2!; rl입니다.
360 2pr 2pr
이 공식은 중심각의 크기가 주어지지 않은 부채꼴의 넓이를 구할 때 활용되므로 꼭 기억해 둡시다.

116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52

14-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4인 선분 A¡A™를 1 : 3으로 내분


하는 점을 A£, 선분 A™A£을 1 : 3으로 내분하는 점을 A¢라
고 하자. 이와 같은 과정을 계속하여 얻은 점 An에 대하여 선
분 AnAn+1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호의 길이를 ln이라고 A1 A3 A5 A4 A2

할 때, 급수 ¡ ln의 합을 구하여라.

02
n=1

14-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O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위 A5 A4


A3
A2
의 한 점 A¡을 잡고
1 1 1
®A¡A™=1, ®A™A£= , ®A£A¢= , y, ®A«A«≠¡= ,y
2 2¤ 2« —⁄ A1
O 1
을 만족시키도록 원 위에 점 A™, A£, A¢, y를 시계 반대 방향
으로 잡는다. 부채꼴 OA«A«≠¡의 넓이를 S«이라고 할 때, 급수

¡ S«의 합을 구하여라.

n=1

14-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의 점 P에 대 P

하여
10 ˘
∠AºPA¡=30˘, ∠A¡PA™=10˘, ∠A™PA£={ },y
3
A0
를 만족시키도록 원 위에 점 Aº, A¡, A™, y를 시계 방향으
A1
로 잡을 때, 호 An-1An의 길이를 ln이라고 하자. 급수 A2
A3
l¡+l™+y+ln+y의 합을 구하여라.

14-1 `8p 14-2 `1 14-3 p

02 급수 11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자연수 n에 대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 (4n¤ -1)x¤ -4nx+1=0의 두 근이

a«, b« (a«>b«)일 때, 급수 ¡ (a«-b«)의 합은?


n=1

①1 ②2 ③3
④4 ⑤5

2 모든 항이 양수인 수열 {a«}에 대하여 급수 ¡ (3« a«-2)가 수렴할 때, lim 4444444444444444134


¶ 6a«+5_4—«
02- n=1 n ⁄¶ a«+3—«
의 값을 구하여라.

02- 3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하자.

a¡=;4%;, S«=a«+ 1333353


n+3
n+2 (næ2)

일 때, 급수 ¡ a«의 합은?

n=1

①1 ② ;4%; ③ ;2#;

④ ;4&; ⑤2

6n
02- 4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고 할 때, S«=
n+1
이다. 급수

¡ (a«+a«≠¡)의 합을 구하여라.

n=1

5 수열 {a«}에 대하여 a¡=1이고 ¡ a«=10일 때,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02- n=1

⑴ ¡ (a«-a«≠¡) ⑵ ¡ (a«+a«≠¡)
¶ ¶

n=1 n=1

118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0 | 풀이집 p.53

02- 6 k=1, 2, 3, y, n에 대하여 부등식

11114 … 11114 … 1114


1 1 1
"√n¤ +3n "√n¤ +3k "√n¤ +3

이 성립할 때, lim ¡ 11114 의 값을 구하여라.


n 1
n ⁄¶ k=1 "√n¤ +3k

02
02- 7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수열 a¡, 2a™, 2¤ a£, y,````2« —⁄ a«, y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이 5n일 때, 급수

¡ a«의 합을 구하여라.

n=1

⑵ 수열 {a«}이
a« x« +a«–¡x« —⁄ +y+a¡x=6« -1 (n=1, 2, 3, y)
을 만족시킬 때, 급수 a¡+a™+a£+y이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
라.

8 수열 {a«}을 a¡=1, a«a«≠¡={;5!;}« (næ1)으로 정의할 때, 급수 ¡ a™«의 합을 구하여라.



02- n=1

02- 9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점 P가 원점 O에서 x축의 양의 방향과 45˘의 각을 이루면서 y

출발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P™, P£, y으로 움직인다. P¡



OP¡”=2, P¡P™”=;2!; OP¡”, P™P£”=;2!; P¡P™”, y, 2
P™
∠AOP¡=45˘, ∠OP¡P™=90˘, ∠P¡P™P£=90˘, y 45˘
O A x
일 때, 점 P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⑵ 점 P가 원점 O에서 x축의 양의 방향과 30˘의 각을 이루면서 y
P¢ 60˘
60˘ P£
출발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 P™, P£, y으로 움직인다. P™ 60˘

OP¡”=1, P¡P™”=;2!; OP¡”, P™P£”=;2!; P¡P™”, y, 60˘ P¡

∠AOP¡=30˘, ∠OP¡P™=60˘, ∠P¡P™P£=60˘, y 30˘


O A x
일 때, 점 P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02 급수 1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0 <보기>에서 수렴하는 급수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1 n 1 1 n
ㄱ. lim ¡ ㄴ. lim ¡ (k+n)
n ⁄¶ 'n k=1 '∂k+1+'k n ⁄¶ n¤ k=1
1 n 1
ㄷ. lim ¡
n ڦ 'n k=1 k(k+1)

①ㄱ ②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02- 11 수열 {a«}에 대하여 a¡=1, a«≠¡=


2
n
(a¡+a™+a£+y+a«) (n=1, 2, 3, y)이 성립할 때,

급수 ¡
¶ 1
의 합은?
n=1 (n+1)a«

①1 ②2 ③3
④4 ⑤5

02- 12 수열 {a«}을
a¡=1, a™=2, a«≠™=a«≠¡+a« (n=1, 2, 3, y)

으로 정의할 때, 급수 ¡ 11414 의 합은?


¶ a«
n=1 a«≠¡a«≠™

① ;2!; ②1 ③ ;2#;

④2 ⑤3

02- 13 자연수 n에 대하여 곡선 y=x¤ -8x-n(n+1)과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를 각각

a«, b«이라고 할 때, 급수 ¡ { 14 + 14 }의 합을 구하여라.



1 1
n=1 a« b«

02- 14 첫째항이 1인 두 등비급수 ¡ a«, ¡ b«이 각각 a, b(a<b)에 수렴하고


n=1 n=1

¡ (a«+b«)=;3*;, ¡ a«b«=;5$;
¶ ¶

n=1 n=1

가 성립할 때, 급수 ¡ (a«-b«)¤ 의 합을 구하여라.


n=1

120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1 | 풀이집 p.57

02- 15 1<a<b<c<9인 자연수 a, b, c에 대하여 세 수


0.Ha, 0.0Hb, 0.00Hc
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룰 때, a+b+c의 값을 구하여라.

02
log™ x
02- 16 0<x<1일 때, [
[log™ x]
]=1을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02- 17 이차방정식 9x¤ -6x-1=0의 두 근을 a, b라고 하면

1144 ¡ (b« -a« )= 14


1 ¶ q
b-a n=1 p
이다. p+q의 값을 구하여라.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02- 18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 b에 대하여 a+b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하여라.

a_4« -2b«
㈎ lim =3
n ⁄¶4« +3«
«
㈏ 등비급수 ¡ {;aB;} 이 수렴한다.

n=1

02- 19 자연수 n에 대하여 곡선 y=27« x¤ -3« (3« +1)x+1이 x축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이 두 교점 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할 때, 급수 ¡ l«의 합을 구하여라.


n=1

02 급수 1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20 좌표평면에서 직선 x-3y+3=0 위의 점 중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모든 점의 좌표
를 각각
(a¡, b¡), (a™, b™), y, (a«, b«), y

이라고 할 때, 급수 ¡ 15332 의 합을 구하여라. (단, a¡<a™<y<a«<y)



1
n=1 a«b«

a a
02- 21 ¡ {[

n=1 2«
]-[
2« ±⁄
]}=3을 만족시키는 모든 양의 정수 a의 값의 합을 구하여라.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4« a«
22 ]이라고 할 때, 급수 ¡

02- 자연수 n에 대하여 a«=4« -10[ 의 합을 구하여라.
10 n=1 10«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02- 23 정수 a, b에 대하여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소수 p가 2개 존재할 때, 이 두 소수의 합을 구하


여라.
1 a b
=¡{

+ } (단, 0…a<6, 0…b<6)
p n=1 6¤ « —⁄ 6¤ «

02- 24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h에 대하여 sin h cos h의 값을 구하여라. {단, 0…h…


p
2
}

¡ (1-sin h)« + ¡ (1-cos h)« =2'2-2


¶ ¶

n=1 n=1

122 Ⅰ. 수열의 극한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1 | 풀이집 p.61

02- 25 어느 장학재단은 14억 원의 기금을 조성하였다. 매년 초에 기금을 운용하여 연말까지 20 %의


이익을 내고, 기금과 이익을 합한 금액의 40 %를 매년 말에 장학금으로 지급하려고 한다. 장
학금으로 지급하고 남은 금액을 기금으로 하여 기금의 운용과 장학금의 지급을 매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이 계획대로 끊임없이 매년 장학금을 지급할 때, 지급하는 장학금의
총액을 구하여라. (단, 단위는 억 원이다.)
02

02- 26 함수 y=cos 2x의 그래프와 x축의 양의 부분의 교점의 x좌표를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x¡, x™, x£, y, x«, y이라고 한다. 급수 p¤ ¡


¶ 1
의 합을 구하여라.
n=1 x« x«≠¡

02- 27 xº=1, x¡=;4#;, x™=;8%;, y, x«= 14444444


2« +1 , y에 대하여 좌 y y=x2
2« ±⁄ 1 P0
표평면 위에 점 Pº(1, 1)과 점 P«(x«, x«¤ ), Q«(x«–¡, x«¤ )
(n=1, 2, 3, y)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나타낼 때, 급수 P1
Q1
P2
PºQ¡”+Q¡P¡”+P¡Q™”+Q™P™”+P™Q£”+y의 합을 구하여라. P3 Q2
Q3

O x2 x1 x0=1 x

challenge

02- 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4, BC”=8, CA”=6인 삼각 A


형 ABC가 있다. 선분 BC의 중점을 M¡, 선분 AC의 M¢
4 M∞ 6
M™
중점을 M™, 선분 AM¡의 중점을 M£, 선분 AM™의 중 M£

점을 M¢, 선분 AM£의 중점을 M∞, …, 선분 AM«의 B C



중점을 M«≠™, …라고 할 때, 급수 8
AM¡”+M¡M™”+M™M£”+M£M¢”+y의 합을 구하여
라.

02 급수 1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127
예제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4
예제
기본 다지기 150
실력 다지기 152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p, sin 1˘, cos ;5“;, 2'2, log™ 3 등과 같이 유리수를 계수로

하는 다항방정식의 근이 될 수 없는 수를 초월수라고 합니
다. 이 단원에서는 유리함수나 무리함수처럼 함수를 방정식
으로 표현할 때, xy+x-1=0, y¤ -x+1=0과 같이 다항
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없고 sin, cos, tan, 지수, 로그 등이
필요한 초월함수 중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에 대하여
배우고, 초월수인 무리수 e와 자연로그에 대하여 알아보겠
습니다. 또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에 대해서도 공부
하겠습니다.

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⑴ 134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값을 02 무리수 e의 정의 136
구할 수 있다.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⑵ 138

04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연속성 140

0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의 활용 142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6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도함수 146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미분할 수 07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가능성 148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1 지수함수 y=a≈ (`a>0, a+1)의 극한


⑴ a>1일 때, lim a≈ =¶, lim a≈ =0
x ⁄¶ x ⁄-¶

⑵ 0<a<1일 때, lim a≈ =0, lim a≈ =¶


x ⁄¶ x ⁄-¶

2 로그함수 y=logåx (`a>0, a+1)의 극한


⑴ a>1일 때, lim logå x=¶, lim logå x=-¶
x ⁄¶ x ⁄0+

⑵ 0<a<1일 때, lim logå x=-¶, lim logå x=¶


x ⁄¶ x ⁄0+

3 무리수 e와 자연로그
⑴ 무리수 e의 정의

e= lim (1+x);[!;= lim {1+;[!;}≈ (단, e=2.7182818284y)


x ⁄0 x ⁄¶

⑵ 자연로그 ln x:무리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


⑶ e의 정의를 이용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a>0, a+1일 때
ln(1+x) logå(1+x) 1
① lim =1 ② lim =
x ⁄0 x x ⁄0 x ln a
e≈ -1 a≈ -1
③ lim =1 ④ lim =ln a
x ⁄0 x x ⁄0 x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 지수함수의 도함수
⑴ y=e≈ 이면 y '=e≈
⑵ y=a≈ 이면 y '=a≈ ln a (단, a>0, a+1)

2 로그함수의 도함수
1
⑴ y=ln x이면 y'= (단, x>0)
x
1
⑵ y=logå x이면 y'= (단, x>0, a>0, a+1)
x ln a

12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지수함수의 극한

수학Ⅱ 01 함수의 극한에서 공부한 내용을 떠올리며 이번 단원을 공부해 봅시다.


지수함수 y=a≈ (a>0, a+1)의 그래프가 오른 a>1
y y=a≈ y=a≈ y
0<a<1 03
쪽 그림과 같으므로 임의의 실수 c에 대하여 aç aç
1 1
lim a≈ =aç
x ⁄c

O c x c O 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수함수 y=a≈ 은 모
든 실수에서 연속입니다.
한편, x ⁄¶ 또는 x ⁄-¶일 때 지수함수 y=a≈ 의 극한은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데, 이를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통하여 알아봅시다.
⑴ a>1일 때
함수 y=a≈ 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하고, x의 값이 감소하면 y의 값도
감소하면서 x축을 점근선으로 가집니다.
이때, x ⁄¶이면 a≈ 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a>1
y y=a≈

lim a≈ =¶
x ڦ

이고, x ⁄-¶이면 a≈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1
lim a≈ =0
x ⁄-¶
O 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⑵ 0<a<1일 때
함수 y=a≈ 의 그래프는 x의 값이 감소하면 y의 값은 증가하고,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면서 x축을 점근선으로 가집니다.
이때, x ⁄¶이면 a≈ 의 값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y=a≈ y
0<a<1

lim a≈ =0
x ڦ

이고, x ⁄-¶이면 a≈ 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1
lim a≈ =¶
x ⁄-¶
O 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 y=a≈ ``(a>0, a+1)의 극한

1 임의의 실수 c에 대하여 lim


x ⁄c
a≈ =aç

2 a>1일 때, xlim
ڦ
a≈ =¶, lim a≈ =0
x ⁄-¶

3 0<a<1일 때, xlim
ڦ
a≈ =0, lim a≈ =¶
x ⁄-¶

Example 2≈
⑴ lim = lim {;3@;}≈ =0
x ڦ 3Šx ڦ

3≈
⑵ lim 의 값을 구하기 위하여 분자, 분모를 각각 3x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x ڦ 3Š-1
3≈ 1 1
lim = lim = =1
x ڦ 3Š-1 x ڦ 1-0
1-{;3!;}≈

⑶ lim (5x-2x)의 값을 구하기 위하여 5x으로 묶어서 계산하면


x ڦ

lim (5x-2x)= lim 5x[1-{;5@;}/ ]=¶


x ڦ x ڦ

2 로그함수의 극한

로그함수 y=logå x (a>0, a+1)의 그래프가 y y


a>1 0<a<1
log c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å
1
O c x c
대하여 x
O 1
lim logå x=logå c log c
å
x ⁄c y=log x y=log x
å å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그함수 y=logå x는 모든 양의 실수에서 연속입니다.

한편, x ⁄¶ 또는 x ⁄0+일 때 로그함수 y=logå x의 극한은 a의 값의 범위에 따라 달라지


는데, 이를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통하여 알아봅시다.

⑴ a>1일 때
함수 y=logå 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하고, x의 값이 감소하면 y의
값도 감소하면서 y축을 점근선으로 가집니다.

12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때, x ⁄¶이면 logå 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y
a>1

lim logå x=¶


x ڦ

이고, x ⁄0+이면 logå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


O 1 x

지므로 y=log x
å

lim logå x=-¶


x ⁄0+

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⑵ 0<a<1일 때 03
함수 y=logå x의 그래프는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하고, x의 값이 감소하면 y의
값은 증가하면서 y축을 점근선으로 가집니다.
이때, x ⁄¶이면 logå x의 값은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y
0<a<1

커지므로
lim logå x=-¶
x ڦ

이고, x ⁄0+이면 logå x의 값은 한없이 커지므로 O 1 x

y=log x
lim logå x=¶ å
x ⁄0+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함수 `f(x)에 대하여 `f(x)>0일 때, lim f(x)가 존재하고 lim f(x)>0이면


x ڦ x ڦ

lim {logå f(x)}=logå[ lim f(x)]


x ڦ x ڦ

가 성립함이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함수 `f(x)에 대하여 f(x)>0일 때, lim f(x)가 존재하고 lim f(x)>0이면
x ⁄c x ⁄c

lim {logå f(x)}=logå[ lim f(x)]


x ⁄c x ⁄c

가 성립함이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lim {logå f(x)} 또는 lim {logå f(x)} 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x ⁄¶ x ⁄c

Example ⑴ lim {log™(x¤ +x+2)}=log™[ lim (x¤ +x+2)]=log™ 8=3


x ⁄2 x ⁄2

3x+1 1
⑵ lim {log™(3x+1)-log™ 3x}= lim {log™ }= lim [log™ {1+
x ڦ x ڦ x ڦ
}]
3x 3x
1
⑵ {log™(3x+1)-log™ 3x}=log™[ lim {1+ }]=log™ 1=0
x ڦ 3x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2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로그함수 y=loga x`(a>0, a+1)의 극한

1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하여 lim


x ⁄c
loga x=loga c

2 a>1일 때, xlim
ڦ
loga x=¶, lim loga x=-¶
x ⁄0+

3 0<a<1일 때, xlim
ڦ
loga x=-¶, lim loga x=¶
x ⁄0+

로그함수 y=loga x`(a>0, a+1)의 정의역은 {x|x>0인 실수}이므로 x=0에서 우극한, 즉 lim loga x`만을 가
x ⁄0+

진다.

3 무리수 e

극한값 lim (1+x) 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x ⁄0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1+x) 의 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

x (1+x);[!; x (1+x);[!;

0.10000 2.59374y -0.10000 2.86797y


0.01000 2.70481y -0.01000 2.73199y
0.00100 2.71692y -0.00100 2.71964y
0.00010 2.71814y -0.00010 2.71841y
0.00001 2.71826y -0.00001 2.71829y
⋮ ⋮ ⋮ ⋮

위의 표에서 x의 값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1+x) 의 값은 어떤 일정한 수에 가까워지


;[!;

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는데, 실제로 그 극한값이 존재하며


;[!;
lim (1+x) =2.7182818284y
x ⁄0

인 무리수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이 극한값을 e로 나타냅니다. 즉,


;[!;
lim (1+x) =e
x ⁄0

입니다. 또한 lim (1+x) =e에서 ;[!;=t로 놓으면 x ⁄0+일 때 t ⁄¶이므로


;[!;
x ⁄0

lim {1+;t!;}t =e, 즉 lim {1+;[!;}/ =e


t ڦ x ڦ

와 같이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13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무리수 e의 정의

1 lim 2 xlim {1+;[!;}/ =e


;[!;
(1+x) =e
x ⁄0 ⁄¶

e는 미지수를 나타내는 문자가 아니라 p(=3.1415926535y)와 같이 무리수 2.7182818284y를 나타내는 수이다.

Example ⑴ lim (1+2x) 의 값을 구해 봅시다.


;[!;

x ⁄0

2x=t로 놓으면 x ⁄0일 때 t ⁄0이므로


03
;[!; ;2¡[; ;t!;
lim (1+2x) = lim [(1+2x) ]2 = lim [(1+t) ]2 =e¤
x ⁄0 x ⁄0 t ⁄0

⑵ lim {1+;2¡[;}/ 의 값을 구해 봅시다.


x ڦ

;2¡[;=t로 놓으면 x ⁄¶일 때 t ⁄0이므로

2x
lim {1+;2¡[;}/ = lim [{1+;2¡[;} ] = lim [(1+t) ] =e;2!;='e
;2!; ;2!;
;t!;
x ⁄¶ x ⁄¶ t ⁄0

4 자연로그

앞에서 정의한 무리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 loge x를 x의 자연로그라 하고, 이를 간단히


ln x
와 같이 나타냅니다.
특히, 로그의 성질에서
ln 1=loge 1=0, ln e=loge e=1 ← loga 1=0, loga a=1

이 성립합니다.

한편, 자연로그는 e를 밑으로 하는 로그이므로 함수 y=ln x의 역함 y


y=e≈
y=x
x
수는 e를 밑으로 하는 지수함수 y=e 입니다. e

즉, 지수함수 y=ex과 로그함수 y=ln x는 서로 역함수 관계에 있 1


y=ln x

습니다.
O 1 e x
이때, e>1이므로 두 함수 y=ex과 y=ln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습니다.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제 lim (1+x) =e임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값을 구해 봅시다.
;[!;
x ⁄0

ln(1+x)
⑴ lim =1
x ⁄0 x

Proof ln(1+x) ;[!;


lim = lim ;[!; ln(1+x)= lim ln(1+x)
x ⁄0 x x ⁄0 x ⁄0

=ln e=1

loga (1+x) 1
⑵ lim = (단, a>0, a+1)
x ⁄0 x ln a

Proof logå (1+x) ;[!;


lim = lim ;[!; loga (1+x)= lim loga (1+x)
x ⁄0 x x ⁄0 x ⁄0

1 1
=loga e= log a =
e ln a

ex-1
⑶ lim =1
x ⁄0 x

Proof ex-1=t로 놓으면


ex=1+t ∴ x=ln(1+t)
x ⁄0일 때 t ⁄0이므로
ex-1 t 1
lim = lim = lim
x ⁄0 x t ⁄0 ln(1+t) t ⁄0 ln(1+t)
1111
t
1
= =1
ln e

ax-1
⑷ lim =ln a (단, a>0, a+1)
x ⁄0 x

Proof ax-1=t로 놓으면

ax=1+t ∴ x=loga (1+t)

x ⁄0일 때 t ⁄0이므로

ax-1 t 1
lim = lim = lim
x ⁄0 x t ⁄0 loga (1+t) t ⁄0 log (1+t)
111113
a

t
1
= log e =loge a=ln a
a

13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의 정의를 이용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11112 =1 111113 = 11 (단, a>0, a+1)


ln(1+x) a log (1+x) 1
1 lim
x ⁄0 x 2 lim
x ⁄0 x ln a

111 111
ex-1 ax-1
3 lim
x ⁄0 x =1 4 lim
x ⁄0 x =ln a (단, a>0, a+1)

오른쪽 그림과 같은 그래프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자연로그 ln x를 나타낸다. 또한 그 y


1
y= t
넓이가 1이 될 때의 x의 값이 e이다. 이는 뒤에서 배울 Ⅲ.적분법에서 다시 한 번 살펴볼
(넓이)=ln x
것이다.

1 x
03
O t

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3x 2x
⑴ lim ⑵ lim
x ڦ 22x x ڦ 2 -2-x
x

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ln(1+2x) log£ (1+2x)
⑴ lim ⑵ lim
x ⁄0 x x ⁄0 x

e2x-1 32x-1
⑶ lim ⑷ lim
x ⁄0 x x ⁄0 x

3x 3x /
풀이 1 ⑴ xlim
ڦ 2
2x = lim
x ڦ 4
x = lim {;4#;} =0
x ڦ

⑵ 분자, 분모를 각각 2x으로 나누면

= lim 1114 = lim 1111 =


2x 1 1 1 1
lim = lim =1
x ڦ 2x-2-x x ڦ 1-2-2x x ڦ 1-121 x ڦ 1-0
2x 1-{;4!;}/
2

11111 = lim 11111 _2=1_2=2


ln(1+2x) ln(1+2x)
2 ⑴ lim
x ⁄0 x x ⁄0 2x

⑵ lim 111111 = lim 111111 _2= 11 _2= 11


log£ (1+2x) log£ (1+2x) 1 2
x ⁄0 x x ⁄0 2x ln 3 ln 3
2x 2x
⑶ lim e -1 = lim e -1 _2=1_2=2
x ⁄0 x x ⁄0 2x
2x 2x
⑷ lim 3 -1 = lim 3 -1 _2=ln 3_2=2 ln 3
x ⁄0 x x ⁄0 2x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⑴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1 ⑴ lim
x ڦ
3≈ -2≈
3≈ +1
⑵ lim (3≈ +2≈ );[!;
x ڦ

⑶ lim {log£(3+2x)-log£ x} ⑷ lim {log™(x¤ -4)-log™(x-2)}


x ⁄¶ x ⁄2

접근 방법

⑴에서는 분자, 분모를 각각 3≈ 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⑵에서는 3≈ 으로 묶어서 정리합니다.


x ¶ 0
또한 ⑶과 ⑷에서는 logå x-logå y=logå 임을 이용하여 진수를 또는 꼴로 변형한 후 로그함
y ¶ 0
수의 극한을 이용합니다.

① a>1 일 때
lim a≈ =¶, lim a≈ =0, lim loga x=¶, lim loga x=-¶
x ⁄¶ x ⁄ -¶ x ⁄¶ x ⁄ 0+

② 0<a<1 일 때
lim a≈ =0, lim a≈ =¶, lim loga x=-¶, lim loga x=¶
x ⁄¶ x ⁄ -¶ x ⁄¶ x ⁄ 0+

상세 풀이

1-{;3@;}/
= lim 1133351 =
3≈ -2≈ 1-0
⑴ lim =1
x ڦ 3Š+1 x ڦ 1+0
1+{;3!;}/

⑵ lim (3≈ +2≈ );[!;= lim [3≈ [1+{;3@;}/ ]] = lim 3[1+{;3@;}/ ] =3_(1+0)‚ =3
;[!; ;[!;

x ڦ x ڦ x ڦ

3+2x
⑶ lim {log£(3+2x)-log£ x}= lim log£ = lim log£ {;[#;+2}=log£ 2
x ڦ x ڦ x x ڦ

x¤ -4 (x+2)(x-2)
⑷ lim {log™(x¤ -4)-log™(x-2)}= lim log™ = lim log™
x ⁄2 x ⁄2 x-2 x ⁄2 x-2
{log™(x¤ -4)-log™(x-2)}= lim log™(x+2)=log™ 4=2
x ⁄2

정답 ⑴ 1 ⑵ 3 ⑶ log£ 2 ⑷ 2

보충 설명
⑶, ⑷에서와 같이 합성함수에서의 극한값을 구할 때, 즉 lim f(g(x))의 값을 구할 때 lim g(x)=b이고 f(x)
x ⁄a x ⁄a

가 x=b에서 연속이면 lim f(g(x))=f( lim g(x))=f(b)가 성립한다는 것을 잘 알아둡시다.


x ⁄a x ⁄a

13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67

0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3≈ -3—≈
⑴` lim ⑵` lim (3≈ +2—≈ );[!;
x ⁄-¶ 3≈ +3—≈ x ⁄-¶

⑶` lim {log™(1+x)-log™x} ⑷` lim {log£(x‹ -1)-log£(x-1)}


x ⁄¶ x ⁄1

03

01-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a≈
⑴ lim (단, a>0, a+1) ⑵ lim (a≈ +b≈ );[!; (단, a>b>0)
;
x ڦ aŠ+1 x ڦ

함수 f(x)= 11323351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2+logå x
01-3 1+log∫ x

⑴ 1<a<b일 때, lim f(x)의 값을 구하여라.


x ڦ

⑵ 0<b<1<a일 때, lim f(x)의 값을 구하여라.


x ⁄0+

01-1 `⑴ -1 ⑵ ;2!; ⑶ 0 ⑷ 1

01-2 `⑴ a>1일 때 1, 0<a<1 일 때 0 ⑵ a 01-3 `⑴ logå b ⑵ logå b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무리수 e의 정의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2 ⑴ lim (1+x)≈
x ⁄0
⑵ lim (1+x);[@;
x ⁄0

⑶ lim (1-2x) ;[!;


⑷ lim {1+;[@;}/
x ⁄0 x ⁄¶

접근 방법

무리수 e의 정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어진 식을 lim (1+x);[!; 또는 lim {1+;[!;}/ 꼴로 변형하여
x ⁄0 x ⁄¶

극한값을 구합니다.

0이 아닌 상수 a에 대하여
ax
lim (1+ax) =e, lim {1+;a¡[;} =e
;a¡[;

x ⁄0 x ⁄¶

상세 풀이

⑴ lim (1+x)≈ = lim (1+x);[!;_x¤ = lim [(1+x);[!;] =e‚ =1
x ⁄0 x ⁄0 x ⁄0

⑵ lim (1+x);[@;= lim (1+x);[!;_2= lim [(1+x);[!;]2 =e¤


x ⁄0 x ⁄0 x ⁄0

1
⑶ lim (1-2x);[!;= lim (1-2x)-;2¡[;_(-2)= lim [(1-2x)-;2¡[;]—¤ =e—¤ =
x ⁄0 x ⁄0 x ⁄0 e¤
;2{;_2 ;2{;
⑷ lim {1+;[@;}/ = lim {1+;[@;} = lim [{1+;[@;} ]2 =e¤
x ڦ x ڦ x ڦ

다른 풀이

⑶ -2x=t로 놓으면 x ⁄0일 때 t ⁄0이므로


1
lim (1-2x);[!;= lim (1+t)-;t@;= lim [(1+t);t!;]- 2 =e-2=
x ⁄0 t ⁄0 t ⁄0 e¤

1
정답 ⑴ 1 ⑵ e¤ ⑶ ⑷ e¤

보충 설명
(1+0)¶ 꼴에서 lim (1+x);[!; =e 가 성립하려면 x와 ;[!; 이 역수 관계에 있어야 합니다. 즉, lim f(x)=0 일 때,
x ⁄0 x ⁄a

=e임을 반드시 알아두도록 합니다. 참고로 ⑴에서 x ⁄0일 때 (1+0)‚ 꼴이므로 직관적으로
555333552
1

lim {1+f(x)} f(x)


x ⁄a

그 극한값이 1임을 알 수도 있습니다.

13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68

02-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1+x¤ );[!; ⑵ lim (1+3x);[@;


x ⁄0 x ⁄0

⑶ lim (1-3x)-;[!; ⑷ lim {1-;[!;}2 /


x ⁄0 x ⁄-¶

03

02-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x 12423
1
1-x
x ⁄1

1+x ;[!;
⑵ lim {
x ⁄0
}
1-x
1 2≈ ±⁄
⑶ lim {1+
x ڦ
}
2x-1

n
02-3 함수 f(x)=1+;[!; 에 대하여 lim [ ;n!; f(1)f(2)y`f(n)] 의 값은?
n ڦ

①1 ② 'e ③e
④ 2e ⑤ e¤

02-1 `⑴ 1 ⑵ efl ⑶ e‹ ⑷ ;e¡™: 02-2 `⑴ ;e!; ⑵ e¤ ⑶ e›

02-3 `③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⑵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3 ⑴ lim
x ⁄0
1
x
ln (1+5x) ⑵ lim
x ⁄0
log™(1+3x)
x
e‹ ≈ -1 2≈ ±¤ -4
⑶ lim ⑷ lim
x ⁄0 2x x ⁄0 x

접근 방법

a>0, a+1일 때
ln(1+x) logå(1+x) 1 e≈ -1 a≈ -1
lim =1, lim = , lim =1, lim =ln a
x ⁄0 x x ⁄0 x ln a x ⁄0 x x ⁄0 x
가 성립하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어진 식을 변형합니다.

0이 아닌 상수 a에 대하여

lim 13333333553332 =1, lim 1eax33-1


35333 =1
ln(1+ax)
x ⁄0 ax x ⁄0 ax

상세 풀이

ln(1+5x) ln(1+5x)
⑴ lim ;[!; ln(1+5x)= lim = lim _5=1_5=5
x ⁄0 x ⁄0 x x ⁄0 5x
log™(1+3x) log™(1+3x) 1 3
⑵ lim = lim _3= _3=
x ⁄0 x x ⁄0 3x ln 2 ln 2
e‹ ≈ -1 e‹ ≈ -1
⑶ lim = lim _;2#;=1_;2#;=;2#;
x ⁄0 2x x ⁄0 3x
2≈ ±¤ -4 4_2≈ -4 2≈ -1
⑷ lim = lim = lim _4=ln 2_4=4 ln 2
x ⁄0 x x ⁄0 x x ⁄0 x

3 3
정답 ⑴5 ⑵ ⑶ ⑷ 4 ln 2
ln 2 2

보충 설명
;[!;
다음과 같이 무리수 e의 정의 lim (1+x) =e 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x ⁄0

;[!; ;5¡[;
⑴ lim ;[!; ln(1+5x)=lim ln(1+5x) =lim ln [(1+5x) ]5 =ln efi =5
x ⁄0 x ⁄0 x ⁄0

⑵ lim 1111152 =lim log™(1+3x) =lim log™[(1+3x) ]3 =log™ e‹ =3 log™ e= 1352


log™(1+3x) ;[!; ;3¡[; 3
x ⁄0 x x ⁄0 x ⁄0 ln 2

13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69

03-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ln(1+3x) log£(1+2x)
⑴ lim ⑵ lim
x ⁄0 2x x ⁄0 3x
1-e—¤ ≈ 3⁄ —≈ -3
⑶ lim ⑷ lim
x ⁄0 x x ⁄0 x

03

03-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ln x+log™ x x¤ -e≈ —⁄
⑴ lim ⑵ lim
x ⁄1 x-1 x ⁄1 x-1

03-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에 대하여 lim xf(x)=4일 때, lim f(x)ln(1+2x)의 값을 구하여라.


x ⁄0 x ⁄0

3x
⑵ 함수 f(x)에 대하여 lim f(x)(e -1)=2일 때, lim xf(x)의 값을 구하여라.
x ⁄0 x ⁄0

03-1 `⑴ ;2#; ⑵ 133335 ⑶ 2 ⑷ -3 ln 3 ``⑴ 1+ 1333


2 1
03-2 ⑵1
3 ln 3 ln 2

03-3 `⑴ 8 ⑵ ;3@;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연속성

( x-1 (x+1)
ln x+a

04 함수 f(x)= “
9 b (x=1)
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1)이 성립함을 이용합니다.


x ⁄1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f(x)=f(a)이다.


x ⁄a

상세 풀이

함수 f(x)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x=1에서 연속입니다. 즉,


lim f(x)=f(1)
x ⁄1

ln x+a
∴ lim =b yy ㉠
x ⁄1 x-1
x ⁄1일 때, (분모) ⁄0이므로 (분자) ⁄0이어야 합니다. 즉,
lim (ln x+a)=0 ∴ a=0
x ⁄1

a=0을 ㉠에 대입하고, x-1=t로 놓으면 x ⁄1일 때 t ⁄0이므로


ln x ln (t+1)
lim = lim =1
x ⁄1 x-1 t ⁄0 t
∴ b=1
∴ a=0, b=1

정답 a=0, b=1

보충 설명
g(x)(x+a)
f(x)=[ 일 때,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g(x)=a입니다.
a (x=a) x ⁄a

또한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함숫값 f(a)가 정의되고,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며 함숫값과 극한
x ⁄a

값이 같아야 합니다. 즉, lim f(x)=f(a)이어야 합니다.


x ⁄a

14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70

( e≈ -a
111 (x+1)
04-1 함수 f(x)= { x-1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9 b (x=1)
a+b의 값을 구하여라.

03

(
111112 (-;2!;<x<0)
3x
04-2 함수 f(x)= { ln(1+2x) 이 x=0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9 ae≈ (xæ0)

①0 ② ;3@; ③1

④ ;2#; ⑤2

( ln(x+a)-1
11111212 (x>1)
04-3 함수 f(x)= { x-1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9 x¤ -2x+b (x…1)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4-1 `2e 04-2 `④ 04-3 `e+;e!;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함수 f(x)=e≈ , g(x)=e—≈ 의 y=g(x) y x=t y=f(x)

05 그래프와 직선 x=t (t>0)가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고, 점 B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AB” A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t ⁄0+ BH” B
H
O t x

접근 방법

문제의 조건에 맞게 선분의 길이를 식으로 나타내고, 지수함수의 극한에서의 수렴형태로 변형하여 극한
값을 구하도록 합니다.

lim 133333 =1, lim 13335311 =1의 수렴형태로 변형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e† -1 ln(1+t)
t ⁄0 t t ⁄0 t

상세 풀이

두 함수 f(x)=e≈ , g(x)=e—≈ 의 그래프와 직선 x=t (t>0)가 만나는 점 A, B는 각각


A(t, e† ), B(t, e—† )
이고, 점 B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 H는 H(0, e—† )이므로
BH”=t, AB”=e† -e—†
AB” e† -e—† e† -1-e—† +1
∴ lim = lim = lim
t ⁄0+ BH” t ⁄0+ t t ⁄0+ t
e† -1 e—† -1
∴ = lim + lim
t ⁄0+ t t ⁄0+ -t
∴ =1+1=2
정답 2

보충 설명
a† -1
수렴형태로 변형하여 극한값을 구할 때, lim 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t ⁄0 t
a>0일 때, a† -1=s로 놓으면 a† =s+1이므로
ln (s+1)
t= (단, a+1)
ln a
t ⁄0일 때, s ⁄0이므로
a† -1 s ln a ln a
lim = lim = lim =ln a
t ⁄0 t s ⁄ 0 ln (s+1) s ⁄ 0 ln (s+1)

14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71

05-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ln (x+1), y

y=-2 ln (x+1)의 그래프와 직선 y=t (t>0)가 만나는 y=ln(x+1)


t
AB” y=t
점을 각각 A, B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B A
t ⁄0+ t
O x

y=-2 ln(x+1)

03

05-2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2≈ , y={;4!;}≈ 의 그래프와 1 x y x=t y=2x


y= {-{
4
직선 x=t (t>0)가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 하고,
S(t)
삼각형 OAB의 넓이를 S(t)라고 할 때, lim 의 값은?
t ⁄0+ t¤ A
(단, O는 원점이다.)
B

O t x
① ln 2 ② ;4%; ln 2 ③ ;2#; ln 2

④ ;4&; ln 2 ⑤ 2 ln 2

05-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함수 y=ln x, y=-2 ln x의 그래프 y


B
와 한 점 P(t, 0)을 지나는 직선 x=t (0<t<1)가 만나는 y=ln x
점을 각각 A, B라고 하자. 삼각형 AQB의 넓이가 1이 되도
록 하는 x축 위의 점을 Q라고 할 때, 선분 PQ의 길이를 O PQ 1 x
f(t)라고 하자. lim (1-t)f(t)의 값을 구하여라.
t ⁄1-
A
(단, 점 Q의 x좌표는 t보다 크다.)
y=-2 ln x

05-1 `;2#; 05-2 `③ 05-3 `;3@;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지수함수의 도함수

앞에서 배운 지수함수의 극한
ex-1 ax-1
lim =1, lim =ln a(a>0, a+1)
x ⁄0 x x ⁄0 x
를 이용하면 지수함수 y=ex과 y=ax (a>0, a+1)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지수함수 y=e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지수함수 y=ex에서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Dy=ex+Dx-ex=ex(eDx-1)
이므로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Dy ex(eDx-1)
y'= lim = lim
Dx ⁄0 Dx Dx ⁄0 Dx
eDx-1
y'=ex lim =ex_1=ex
Dx ⁄0 Dx
입니다. 따라서 y=ex의 도함수는 y'=ex입니다.

또한 지수함수 y=ax(a>0, a+1)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지수함수 y=ax에서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Dy=ax+Dx-ax=ax(aDx-1)
이므로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Dy ax(aDx-1)
y'= lim = lim
Dx ⁄0 Dx Dx ⁄0 Dx
aDx-1
y'=ax lim =ax ln a
Dx ⁄0 Dx
입니다. 따라서 y=ax의 도함수는 y'=ax ln a입니다.

지수함수의 도함수
x x
1 y=e≈ 이면 y '=e≈ 2 y=a 이면 y '=a ln a (단, a>0, a+1)

14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로그함수의 도함수

앞에서 배운 무리수 e의 정의
;[!;
lim (1+x) =e
x ⁄0

를 이용하면 로그함수 y=ln x (x>0)와 y=logå x(x>0, a>0, a+1)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로그함수 y=ln x (x>0)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03


로그함수 y=ln x에서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x+Dx Dx
Dy=ln(x+Dx)-ln x=ln =ln {1+ }
x x
이므로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ln {1+1x1}
Dx
= lim 11111 1
Dy
y '= lim
Dx ⁄0 Dx Dx ⁄0 Dx
134
x
1 x Dx 1 Dx Dx
y '= lim [ _ ln {1+ }]= lim ln {1+
Dx ⁄0 x Dx ⁄0
}
x Dx x x

=h로 놓으면 Dx ⁄`0일 때 h ⁄`0이므로


Dx
입니다. 여기서
x
1 ;h!; 1 1 1
y '= lim ln(1+h) = ln e= _1=
x h ⁄0 x x x
1
입니다. 따라서 y=ln x의 도함수는 y '= 입니다.
x

ln x
또한 x>0, a>0, a+1일 때 로그의 밑의 변환 공식에 의하여 logå x= 이므로 로그함수
ln a
y=logå x의 도함수는
ln x ' 1 1 1 1
y '={ }= (ln x)'= _ =
ln a ln a ln a x x ln a
입니다.

로그함수의 도함수

1 y=ln x이면 y '=;[!; (단, x>0)


1
2 y=logå x이면 y '= x ln a (단, x>0, a>0, a+1)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도함수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06 ⑴ y=e2x ⑵ y=ln(x+1)

접근 방법

f(x+h)-f(x)
도함수의 정의 f '(x)= lim 를 이용합니다.
h ⁄0 h

(ex)'=ex, (ln x)'=;[!:

상세 풀이

e2(x+h)-e2x e2x(e2h-1) e2h-1


⑴ y '=(e2x)'= lim = lim =e2x lim
h ⁄0 h h ⁄0 h h ⁄0 h
e2h-1
y '=e2x_2_ lim =e2x_2_1=2e2x
h ⁄0 2h
ln (x+1+h)-ln (x+1)
⑵ y '={ln(x+1)}'= lim
h ⁄0 h

h h
;h!;
y '= lim ;h!; ln {1+ }= lim ln {1+
h ⁄0 h ⁄0
}
x+1 x+1

121 121
x+1 1
h h x+1
y '= lim ln[{1+
h ⁄0
} ]
x+1
121
x+1
1 h h
y '= lim ln {1+
x+1 h ⁄0
}
x+1
1 1
y '= _ln e=
x+1 x+1

1
정답 ⑴ y '=2e2x ⑵ y '=
x+1

보충 설명
함수 y=f(x)가 정의된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면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미분계수 f '(x)를 대응시키
는 새로운 함수

f ':x ⁄ f '(x), f '(x)= lim


f(x+h)-f(x)
h ⁄0 h
가 존재합니다. 이때, 함수 f '(x)를 f(x)의 도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dy d
f '(x), y ', , f(x)
dx dx
와 같이 나타냅니다.

14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72

06-1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⑴ y=ex+1 ⑵ y=ln 2x

03

06-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x+2)ex에 대하여 f '(0)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g(x)=x log™ x에 대하여 g '(e)의 값을 구하여라.

06-3 f(e)=1, f '(e)=0을 만족시키는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g(x)=f(x)ln x일


g(e+2h)-1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h ⁄0 h

06-1 `⑴ y '=e ``⑴ 3 ⑵ 2log™ e


x+1
⑵ y '=;[!; 06-2

06-3 `;e@;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가능성

2 ln x (xæ1)
함수 f(x)=[ 이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
07 을 각각 구하여라.
ax¤ +bx+1 (x<1)

접근 방법

구간으로 나누어서 주어진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입니다.


또한 x=1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x=1에서 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가 서로 같음을 이용하여 상
수 a, b의 값을 구하도록 합니다.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x=a에서 연속이고 x=a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상세 풀이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는 x=1에서 연속입니다. 즉,


lim f(x)=f(1)= lim f(x), 0=a+b+1
x ⁄1+ x ⁄1-

∴ a+b=-1 yy ㉠
또한 f '(1)이 존재하므로
f(1+h)-f(1) 2 ln (1+h)-0
lim = lim =2 lim ln(1+h) =2 ← f(1)=2 ln 1=0
;h!;

h ⁄0+ h h ⁄0+ h h ⁄0+

f(1+h)-f(1) {a(1+h)¤ +b(1+h)+1}-0


lim = lim
h ⁄0- h h ⁄0- h
a(h¤ +2h)+bh
= lim = lim {a(h+2)+b}=2a+b
h ⁄0- h h ⁄0-

에서 2a+b=2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4
정답 a=3, b=-4
보충 설명
f(x) (xæa)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h(x)=[ 가 x=a에서 미분가능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조건을
g(x) (x<a)
만족시키면 됩니다.
⁄ x=a에서 함수 h(x)가 연속이다. 즉, f(a)=g(a)이다.
¤ x=a에서 함수 h(x)의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즉, f '(a)=g '(a)이다.
위의 문제에서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0=a+b+1이고,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
므로
(
2 (x>1)
f '(x)= “
x
9 2ax+b (x<1)
에서 2=2a+b가 성립합니다.

14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72

3x¤ +b (x<0)
07-1 함수 f(x)=[ 가 x=0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
ae≈ +x (xæ0)
여라.

03
(x+a)e≈ (x>-1)
07-2 함수 f(x)=[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bx (x…- 1)
대하여 ab의 값은?

1 1 1
①- ②- ③
e 2e 4e
1 1
④ ⑤
2e e

2 ln x+a (0<x<1)
07-3 함수 f(x)=[ 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_2≈ —⁄ (xæ1)
a의 값은?

log™ e
① ②1 ③ log™ e
2

④2 ⑤ 2 log™ e

07-1 `a=-1, b=-1 07-2 `③ 07-3 `⑤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3;[!;+a
03- 1 lim
x ⁄0
3;[!;+3x+1
의 값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3- 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e≈ -2-x ex-1-x¤
⑴ lim ⑵ lim
x ⁄0 x x ⁄1 x-1
2+5x (4≈ -1)log™(1+x)
⑶ lim ;[!; ln 2+x ⑷ lim
x ⁄0 x ⁄0 x¤
2x¤ x¤ -x-1
⑸ lim ex ln(1+e-x) ⑹ lim x+1 ln
x ⁄¶ x ⁄-¶ x¤

(a+12)≈ -a≈
03- 3 1이 아닌 양수 a에 대하여 lim
x ⁄0 x
=ln 3일 때, a의 값은?

①2 ②3 ③4
④5 ⑤6

03- 4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_3x
⑴ lim =2를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x ⁄¶ 3≈ ±⁄ -2≈
4x
⑵ lim =b를 만족시키는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x ⁄0 ln(x+a)
(단, b+0)

x x
03- 5 함수 f(x)={
x-1
} (x>1)에 대하여 lim f(x)f(x+1)의 값을 구하여라.
x ڦ

15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1 | 풀이집 p.73

03- 6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lim x f(x)=10일 때, lim f(x)(e≈ -1)의 값을 구하여라.


x ⁄0 x ⁄0

⑵ lim x f(x)=4일 때, lim x ln {1+5 f(x)}의 값을 구하여라.


x ڦ x ڦ

f(x) f(x)
03
03- 7 연속함수 f(x)가 lim
x ⁄0 ln(1+x+2x¤ )
=4를 만족시킬 때, lim
x ⁄0 x
의 값을 구하여라.

e≈
(x…b)
03- 8 함수 f(x)=[
ax¤ (x>b)
이 x=b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단, ab+0)

03- 9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k log™ x의 닫힌구간 [2, 4]에서의 평균변화율이 3일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


여라.
⑵ 함수 f(x)=a≈ (a>0)의 닫힌구간 [0, 1]에서의 평균변화율이 3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3- 10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⑴ y=ln 4x ⑵ y=log™ 8x
⑶ y=x log£ x ⑷ y=(x¤ +3x)log™ x
⑸ y=x¤ e≈ ⑹ y=e≈ ln 2x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5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 f(x)=e-2x-1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lim 13335555 의 값은?
g(x)
03- 11 x ⁄0 x

① -2 ② -;2!; ③0

④ ;2!; ⑤2

1 1 1 2n
03- 12 lim [;2!; {1+;n!;} {1+
n ڦ n+1
} {1+
n+2
}y{1+
2n
}] 의 값은?

① › 'e ② 'e ③e
④ e¤ ⑤ e›

03- 13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등식


x¤ f(x)=e≈ +e—≈ -a
를 만족시킬 때, a+f(0)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03- 14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와 함수

111215 (x+0, x>-1)


1
g(x)=[ ln (x+1)
2 (x=0)
에 대하여 함수 f(x)g(x)가 구간 (-1, ¶)에서 연속일 때, f(4)의 값을 구하여라.

03-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e≈ 위의 점 P를 중심으로 하고 y y=xex


y축에 접하는 원을 C라고 하자. 원 C의 반지름의 길이를 r(t),
원점 O를 지나고 원 C에 접하는 직선 중에서 y축이 아닌 직선 C

r(t)+m(t) P
의 기울기를 m(t)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
t ⁄0+ t
여라. (단,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다.)
O x

15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1 | 풀이집 p.78

f(x)-2
03- 16 함수 f(x)=a ln x+b가 lim
x ⁄1 x-1
=4를 만족시킬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03- 17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e에서 극값 1을 가진다. x>0에서 함수 g(x)를


g(e+4h)-1
g(x)=f(x)ln x로 정의할 때, lim
h ⁄0 h
의 값은? 03
4 2
① ② ③1
e e
④ 2e ⑤ 4e

03- 18 함수 f(x)=(x-2)e≈ —⁄ 에 대하여 함수


2 f(x)+a (x>b)
g(x)=[
4 (x…b)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challenge

1-{ log™ (1+|x|)}n


03- 19 함수 f(x)= lim
n ⁄¶ 1+{ log™ (1+|x|)}n
이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challenge

두 실수 a, b에 대하여 함수 f(x)= 113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고


1
03- 20 1+ae∫ ≈
lim f(x)=0일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x ⁄-¶

보기
ㄱ. a>0 ㄴ. b<0 ㄷ. lim f(x)=1
x ڦ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1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0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57
예제
02 삼각함수의 합성 170
예제
기본 다지기 180
실력 다지기 182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산업 현장에서 위험하거나 정밀한 작업은 사람 대신 로봇이
담당합니다. 로봇을 설계할 때, 로봇팔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하여 두 각의 합에 대한 삼각함수를 활용합니다. 이 단원
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두 각의 삼각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두 각의 합 또는 차의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
여 알아봅시다.

0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0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해한다. 02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의 활용 166

03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168

02 삼각함수의 합성 04 삼각함수의 합성 17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05 삼각함수의 합성과 최대, 최소 176
삼각함수를 합성할 수 있다.
06 삼각함수의 합성의 활용 178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01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


⑴ sin(a+b)=sin a cos b+cos a sin b
sin(a-b)=sin a cos b-cos a sin b
⑵ cos(a+b)=cos a cos b-sin a sin b
cos(a-b)=cos a cos b+sin a sin b

2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
tan a+tan b
⑴ tan(a+b)=
1-tan a tan b
tan a-tan b
⑵ tan(a-b)=
1+tan a tan b

3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두 직선 y=m¡x+n¡, y=m™x+n™가 x축의 양의 방향과
y y=m¡x+n¡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고 하면 y=m™x+n™
tan a=m¡, tan b=m™ h

이고,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b


a
tan h=|tan(a-b)|
O x
tan a-tan b m¡-m™
tan h=| |=| |
1+tan a tan b 1+m¡m™

02 삼각함수의 합성

1 삼각함수의 합성
a+0, b+0일 때
a b
⑴ a sin h+b cos h="√a¤ +≈b¤ sin(h+a) {단, cos a= , sin a= }
"√a ¤ +≈bΩ¤ "√a ¤ +≈bΩ¤
b a
⑵ a sin h+b cos h="√a¤ +≈b¤ cos(h-b) {단, cos b= , sin b= }
"√a ¤ +≈bΩ¤ "√a ¤ +≈bΩ¤

따라서 함수 y=a sin h+b cos h의 주기는 2p, 최댓값은 "√a ¤ +≈b¤ , 최솟값은 -"√a ¤ +≈b¤ 이다.

15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

지금까지는 ;6“;, ;4“;, ;3“; 와 같은 특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단원에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1…2;, ;1∞2;p, ;1¶2;p와 같이 특수각이 아닌 각에 대한 삼

각함수의 값도 구할 수 있습니다. 04

두 각 a, b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을 이용하여 a-b, a+b의 삼각함수를 a, b의 삼각함수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세 각 a, b, a-b를 나타내는 동경과 단위원의 1
R a-b
교점을 각각 P, Q, R라 하고, S(1, 0)이라고 하면 Q
P
P(cos a, sin a), Q(cos b, sin b), b S
-1 O a 1 x
R(cos(a-b), sin(a-b))
입니다. 이때, 삼각형 POQ와 삼각형 ROS는 합동이므로 -1

PQ”=RS”, 즉 PQ” ¤ =RS” ¤ z12 ∠POQ=∠ROS=a-b,
PO”=RO”=QO”=SO”=1
이고, 좌표평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에 의하여
PQ” ¤ =(cos a-cos b)¤ +(sin a-sin b)¤
PQ” ¤ =2-2(cos a cos b+sin a sin b)
RS” ¤ ={cos(a-b)-1}¤ +{sin(a-b)-0}¤
RS” ¤ =2-2 cos(a-b)
이므로
2-2(cos a cos b+sin a sin b)=2-2 cos(a-b)
입니다. 이 식을 정리하면
cos(a-b)=cos a cos b+sin a sin b yy ㉠
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등식 ㉠은 임의의 a, b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b 대신 -b를 대입하면
cos {a-(-b)}=cos a cos(-b)+sin a sin(-b)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cos(a+b)=cos a cos b-sin a sin b yy ㉡ ← cos(-b)=cos b,
sin(-b)=-sin b
가 성립합니다.
위의 ㉠, ㉡`을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라고 합니다.

한편, ㉡`에 a 대신 ;2“;+a를 대입하면

cos {;2“;+a+b}=cos {;2“;+a} cos b-sin {;2“;+a} sin b

-sin(a+b)=-sin a cos b-cos a sin b ← cos{;2“;+a}=-sin a, sin {;2“;+a}=cos a

sin(a+b)=sin a cos b+cos a sin b yy ㉢


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등식 ㉢`은 임의의 a, b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b 대신 -b를 대입하면
sin {a+(-b)}=sin a cos(-b)+cos a sin(-b)
sin(a-b)=sin a cos b-cos a sin b yy ㉣
가 성립합니다.

위의 ㉢, ㉣`을 사인함수의 덧셈정리라고 합니다.


이상에서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

1 sin(a+b)=sin a cos b+cos a sin b


sin(a-b)=sin a cos b-cos a sin b
2 cos(a+b)=cos a cos b-sin a sin b
cos(a-b)=cos a cos b+sin a sin b

Example ⑴ sin 75˘=sin(45˘+30˘)=sin 45˘ cos 30˘+cos 45˘ sin 30˘


'2 '3 '2 '6+'2
⑴ sin 75˘= _ + _;2!;=
2 2 2 4
p
⑵ cos =cos{;4“;-;6“;}=cos ;4“; cos ;6“;+sin ;4“; sin ;6“;
12
'2 '3 '2 '6+'2
⑵ cos = _ + _;2!;=
2 2 2 4
'2
⑶ sin 23˘ cos 22˘+cos 23˘sin 22˘=sin(23˘+22˘)=sin 45˘=
2
p p p
⑷ cos cos ;9$;p-sin sin ;9$;p=cos{ +;9$;p}=cos ;2“;=0
18 18 18

15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형을 이용한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의 증명

도형을 이용하여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


sin(a+b)=sin acos b+cos asin b, cos(a+b)=cos acos b-sin asin b
를 증명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ABCD에서 sin a sin b
D F C
∠BAE=a, ∠EAF=b, AF”=1
sin b a cos a sin b
이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AEF에서
E
AE”=AF” cos b=cos b 1

EF”=AF” sin b=sin b sin a cos b

입니다. 직각삼각형 ABE에서 b


cos b 04
a G
AB”=AE” cos a=cos a cos b A
cos a cos b
B

BE”=AE” sin a=sin a cos b


또한 ∠CEF=90˘-∠AEB=a이므로 직각삼각형 ECF에서
CE”=EF” cos a=cos a sin b, FC”=EF” sin a=sin a sin b
입니다. 직각삼각형 AGF에서
FG”=AF” sin(a+b)=sin(a+b), AG”=AF” cos(a+b)=cos(a+b)
입니다. 따라서
sin(a+b)=FG”=BC”=BE”+CE”=sin a cos b+cos a sin b
cos(a+b)=AG”=AB”-GB”=AB”-FC”=cos a cos b-sin a sin b
입니다.

2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하여


sin(a+b) sin a cos b+cos a sin b
tan(a+b)= =
cos(a+b) cos a cos b-sin a sin b
이므로 우변의 분자와 분모를 각각 cos a cos b (cos a cos b+0)로 나누면

11444+11444
sin a sin b
tan(a+b)= 1111111 =
cos a cos b tan a+tan b sin a sin b
← tan a= , tan b=
sin a sin b 1-tan a tan b cos a cos b
1-11111
cos a cos b
입니다. 즉,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tan a+tan b
tan(a+b)= yy ㉠
1-tan a tan b
가 성립합니다.
또한 등식 ㉠은 임의의 a, b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b 대신 -b를 대입하면
tan a+tan(-b)
tan {a+(-b)}=
1-tan a tan(-b)
tan a-tan b
tan(a-b)= yy ㉡ ← tan(-b)=-tan b
1+tan a tan b
가 성립합니다.
위의 ㉠, ㉡`을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라고 합니다.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

tan a+tan b
1 tan(a+b)= 1-tan a tan b

tan a-tan b
2 tan(a-b)= 1+tan a tan b

Example tan 60˘+tan 45˘ '3 +1


⑴ tan 105˘=tan(60˘+45˘)= = =-2-'3
1-tan 60˘ tan 45˘ 1-'3_1
1
tan ;4“;-tan ;6“; 1-144
=tan {;4“;-;6“;}= 111411113 =
p '3
⑵ tan =2-'3
12 1
1+tan ;4“; tan ;6“; 1+1_144
'3
tan 75˘-tan 30˘
⑶ =tan(75˘-30˘)=tan 45˘=1
1+tan 75˘ tan 30˘

3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직선 y=mx+n이 x축의 양의 y=mx+n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tan h는 직선의 기울기 m과


같습니다. 즉, tan h=m입니다.
h
따라서 두 직선의 기울기가 주어져 있으면 두 직선이 각각 x축의 양 O x

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탄젠트함수의 값을 알 수 있으므로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16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y=m¡x+n¡ (`m¡>0), y y=m¡x+n¡
y=m™x+n™
y=m™x+n™ (`m™>0)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각각 a, b (a>b)라고 하면
b a
tan a=m¡, tan b=m™ O x

이고,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b+h=a, 즉
h=a-b ← m¡, m™의 부호가 다르면 a, b (a>b)의 크기에 따라 h=p-(a-b)인 경우도 있습니다.

가 성립합니다. 따라서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하여


tan a-tan b m¡-m™ ← 예각 h에 대한 탄젠트함수
tan h=|tan(a-b)|=|
1+tan a tan b
|=|
1+m¡m™
| 의 값은 양수이므로 절댓값
기호를 붙입니다.
04
이므로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Example 두 직선 y=2x-1, y=-3x+3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y

h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 하고,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
y=2x-1
기를 h라고 하면 tan a=2, tan b=-3이므로
1 b
tan h=|tan(b-a)| 2 a
O 1 x
tan b-tan a -3-2
tan h=| |=| | y=-3x+3
1+tan b tan a 1+(-3)_2

tan h=1

이때, 0<h<;2“;이므로 h=;4“;입니다.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두 직선 y=m¡x+n¡, y=m™x+n™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고 하면


tan a=m¡, tan b=m™
이고,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tan a-tan b m¡-m™
tan h=|tan(a-b)|=| |=| |
1+tan a tan b 1+m¡m™

두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a>b)라고 하면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h는


a-b 또는 p-(a-b)이다. 이때, h가 어느 쪽이든 관계없이 |tan(a-b)|=|tan {p-(a-b)}|이고, 예각 h에
대하여 tan h>0이므로 tan h=|tan(a-b)|이다.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여러 가지 공식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공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외의 부분이므로 참고하는 정도로만 알아둡니다.

⑴ 배각의 공식
① sin 2a=2 sin a cos a ← sin 2a=sin(a+a)=sin a cos a+cos a sin a=2 sin a cos a

② cos 2a=cos¤ a-sin¤ a ← cos 2a=cos(a+a)=cos a cos a-sin a sin a=cos¤ a-sin¤ a

② cos 2a=2 cos¤ a-1 ← cos 2a=cos¤ a-sin¤ a=cos¤ a-(1-cos¤ a)=2 cos¤ a-1

② cos 2a=1-2 sin¤ a ← cos 2a=cos¤ a-sin¤ a=(1-sin¤ a)-sin¤ a=1-2 sin¤ a

2 tan a tan a+tan a 2 tan a


③ tan 2a= ← tan 2a=tan (a+a)=
1-tan a tan a
=
1-tan¤ a 1-tan¤ a

⑵ 반각의 공식
a 1-cos a a a 1-cos a
① sin¤ = ← ⑴의 ②에서 cos a=1-2 sin¤ 이므로 sin¤ =
2 2 2 2 2

a 1+cos a a a 1+cos a
② cos¤ = ← ⑴의 ②에서 cos a=2 cos¤ -1이므로 cos¤ =
2 2 2 2 2
sin¤ 41 4441114
a 1-cos a
a 1-cos a a
= 11123 = 1111444 =
2 2 1-cos a
③ tan¤ = ← tan¤
cos¤ 41 4441114
2 1+cos a 2 a 1+cos a 1+cos a
2 2

⑶ 곱을 합 또는 차로 고치는 공식

① sin a cos b=;2!; {sin(a+b)+sin(a-b)}

② cos a sin b=;2!; {sin(a+b)-sin(a-b)}

③ cos a cos b=;2!; {cos(a+b)+cos(a-b)}

④ sin a sin b=-;2!; {cos(a+b)-cos(a-b)}

⑷ 합 또는 차를 곱으로 고치는 공식
A+B A-B
① sin A+sin B=2 sin cos
2 2
A+B A-B
② sin A-sin B=2 cos sin
2 2
A+B A-B
③ cos A+cos B=2 cos cos
2 2
A+B A-B
④ cos A-cos B=-2 sin sin
2 2

16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여라.
⑴ sin 15˘ ⑵ cos ;1¶2;p ⑶ tan 75˘

2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⑴ sin 65˘ cos 25˘+cos 65˘ sin 25˘
⑵ cos 25˘ cos 20˘-sin 25˘ sin 20˘

tan 85˘-tan 25˘



1+tan 85˘ tan 25˘
04
3 두 직선 y=3x-2, y=;2!;x+2가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하여라.

'2 '3 '2 '6-'2


풀이 1 ⑴ sin 15˘=sin(45˘-30˘)=sin 45˘cos 30˘-cos 45˘sin 30˘= 2 _ 2 - 2 _;2!;= 4
'2 '3 '2 '2-'6
⑵ cos ;1¶2;p=cos {;3“;+;4“;}=cos ;3“; cos ;4“;-sin ;3“; sin ;4“;=;2!;_ - _ =
2 2 2 4
1
1+12
= 1111234 =
tan 45˘+tan 30˘ '3 '3+1
⑶ tan 75˘=tan(45˘+30˘)= =2+'3
1-tan 45˘ tan 30˘ 1 '3-1
1-1_12
'3

2 ⑴ sin 65˘ cos 25˘+cos 65˘ sin 25˘=sin(65˘+25˘)=sin 90˘=1


'2
⑵ cos 25˘ cos 20˘-sin 25˘ sin 20˘=cos(25˘+20˘)=cos 45˘=
2
tan 85˘-tan 25˘
⑶ =tan(85˘-25˘)=tan 60˘='3
1+tan 85˘ tan 25˘
y
3 두 직선 y=3x-2와 y=;2!;x+2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고 하면 h
2
y= 1 x+2
tan a=3, tan b=;2!; 2 a
b
-4 O 2 x
이때,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2 3
tan a-tan b y=3x-2
tan h=|tan(a-b)|=| |
1+tan a tan b

| |=1
3-;2!;
tan h=
1+3_;2!;

∴ h=;4“;`(∵ h는 예각)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p p
0<a< , 0<b< 이고 sin a=;2!;, cos b=;5$; 일 때, 다음 삼각함수의 값을 구

01 하여라.
2 2

⑴ sin(a+b) ⑵ cos(a-b) ⑶ tan(a+b)

접근 방법

sin h
sin¤ h+cos¤ h=1, tan h= 임을 이용하여 cos a, sin b, tan a, tan b의 값을 각각 구한 후 삼각함
cos h
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합니다.

⑴ sin(a+b)=sin a cos b+cos a sin b, sin(a-b)=sin a cos b-cos a sin b


⑵ cos(a+b)=cos a cos b-sin a sin b, cos(a-b)=cos a cos b+sin a sin b

⑶ tan(a+b)= 11111115 , tan(a-b)= 11111115


tan a+tan b tan a-tan b
1-tan a tan b 1+tan a tan b

상세 풀이
Πcos a>0 Πsin b>0
∑ ∑
'3
0<a<;2“;이므로 cos a="√1-sçinç¤ a = , 0<b<;2“;이므로 sin b="√1-cçosç¤ b =;5#;
2
sin a '3 sin b
∴ tan a= = , tan b= =;4#;
cos a 3 cos b
'3 4+3'3
⑴ sin(a+b)=sin a cos b+cos a sin b=;2!;_;5$;+ _;5#;=
2 10
'3 3+4'3
⑵ cos(a-b)=cos a cos b+sin a sin b= _;5$;+;2!;_;5#;=
2 10

144+14
'3 3
tan a+tan b 3 4 48+25'3
⑶ tan(a+b)= = =
1-tan a tan b '3 3 39
1-142_14
3 4

4+3'3 3+4'3 48+25'3


정답 ⑴ ⑵ ⑶
10 10 39
보충 설명

⑴ csc (a+b)= 11333333554 = 11333333333333335555555333333554


1 1
sin(a+b) sin a cos b+cos a sin b

⑵ sec(a+b)= 11333333554 = 11333333333333335555555333333554


1 1
cos(a+b) cos a cos b-sin a sin b

⑶ cot(a+b)= 1133333355554 = 113333333333335555354 = 11333333333333354


1 1 1-tan a tan b
11333333333333354
tan(a+b) tan a+tan b tan a+tan b
1-tan a tan b

16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3

p
01-1
'2
<a <p, p<b<;2#; p이고 sin a= , cos b=-;2!; 일 때, 다음 삼각함수의 값을 구하
2 2
여라.

⑴ sin(a-b) ⑵ cos(a+b) ⑶ tan(a-b)

04
01-2 sin x+sin y=1, cos x+cos y=;2!;일 때, cos(x-y)의 값은?

① -;8%; ② -;8#; ③ ;8!;

④ ;8#; ⑤ ;8%;

01-3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⑴ sin(a+b)sin(a-b)=sin¤ a-sin¤ b
⑵ cos(a+b)cos(a-b)=cos¤ a-sin¤ b

01-1 `⑴ - 11135 ⑵ 11135 ⑶ 2+'3 01-2 `②


'2+'6 '2+'6
4 4
01-3 `p.511 참조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BC”, AC”⊥CD”, DE”⊥AB” 이고 D

02 AB”=4, BC”=3, CD”=3


일 때, AE” 의 길이를 구하여라.
3

A E B
4

접근 방법

두 직각삼각형 ABC, ACD에서 AC”, AD”의 길이를 각각 구할 수 있습니다.


AE”=AD” cos(∠DAE) 또는 AE”=AD” s” in(∠ADE)입니다.
이때, ∠DAE=∠DAC+∠CAB이므로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면 cos(∠DAE)의
값을 구할 수 있으므로 AE”=AD” cos(∠DAE)임을 이용하여 AE”의 길이를 구합니다.

삼각비를 이용하여 선분의 길이를 sin 또는 cos으로 나타낸다.

상세 풀이

두 직각삼각형 ABC, ACD에서 D

AC”="√3¤ +4¤ =5, AD”="√5¤ +3¤ ='∂34 3

∠CAB=a, ∠DAC=b라고 하면 ∠DAE=a+b이고 '∂34 C


3 5
sin a=;5#;, cos a=;5$;, sin b= , cos b= 이므로 3
'∂34 '∂34 b 5
a
cos(a+b)=cos a cos b-sin a sin b A B
E
4
5 3 11
cos(a+b)=;5$;_ -;5#;_ =
'∂34 '∂34 5'∂34
11
∴ AE”=AD” cos(∠DAE)=AD” cos(a+b)='∂34 _ =:¡5¡:
5'∂34

정답 :¡5¡:

보충 설명
∠C=90˘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A

sin A=;cA;, cos A=;cB;, tan A= 1 , sin B=;cB;, cos B=;cA;, tan B=;aB;
a c
b b
위의 삼각비의 정의에서 다음과 같이 곱의 형태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 둡 B
a C
시다.
a=c cos B, a=c sin A, a=b tan A, b=c sin B, b=a tan B, b=c cos A

16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4

02-1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BC”, AC”⊥CD”, DE”⊥AB” 이고 D

AB”=12, BC”=5, CD”=9


9
일 때, DE” 의 길이를 구하여라.

A E B
12

04

0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C”⊥CE”, AB”⊥AD”, CE”⊥DE” 이고 D


AC”=4, AD”=12 , CB”=3
12
DE” n
일 때, = 이다. m+n 의 값을 구하여라.
DB” m
(단, m과 n 은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A

C 3 B E

0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C”>AB”인 삼각형 ABC에서 A


∠ABC=a, ∠BCA=b라고 하자. AB”=AD”가 되도록 변
AC 위에 점 D를 잡고 ∠DBC=h라고 하자.
'6 '3 D
cos a= , cos b= 일 때, sin 2h의 값을 구하여라.
6 3
a b
B C
h

02-1 ` 173
13
02-2 `121 02-3 ` '1å06-2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두 직선 y=-2x+4, y=3x+1 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하여라.

03
접근 방법

직선 y=mx+n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직선의 기울기 m은 tan h 의 값


과 같습니다. 즉, tan h=m 입니다. 따라서 두 직선이 x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
라고 하면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 h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탄젠트함수의 덧셈
정리를 이용하여 h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두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 하고,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tan a-tan b
tan h=|tan (a-b)|=| |
1+tan a tan b

상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선 y=-2x+4, y=3x+1이 x축의 양의 방향과 y y=3x+1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라고 하면 4

tan a=-2, tan b=3


h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 라고 하면 h+b=a, 즉 1 1
- b a
3
h=a-b x
O 2
이므로 y=-2x+4

tan a-tan b (-2)-3


tan h=tan(a-b)= = =1 ← h=a-b임을 아는 경우이므로
1+tan a tan b 1+(-2)_3 절댓값 기호를 붙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h=;4“; 입니다.

정답 ;4“;

보충 설명
두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각각 a, b (a>b)라고 할 때,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라고 하면 h=a-b 또는 h=p-(a-b)입니다. {a-b<;2“;이면 h=a-b, a-b>;2“;이면 h=p-(a-b)입

니다.} 이때, h가 어느 쪽이든 관계없이 |tan(a-b)|=|tan {p-(a-b)}|이고, 예각 h에 대하여

tan h>0이므로 tan h=|tan(a-b)|로 계산하면 됩니다.


tan a-tan b
즉, tan h=|tan(a-b)|=| |입니다.
1+tan a tan b

16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5

03-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두 직선 2x-y+3=0, x-3y+2=0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구하여라.

⑵ 두 직선 y=3x-2, y=;3!;x+1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h 라고 할 때, sin h 의 값을

구하여라.

04

p
03-2 두 직선 ax-y+1=0, x-2y+3=0 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4
가 되도록 하는 모든

상수 a 의 값의 합은?

①1 ② ;3$; ③2

④ ;3*; ⑤3

03-3 직선 y=3x+1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하여 양의 방향으로 45˘만큼 회전한 직선의 방정


식이 y=mx+5 일 때, 상수 m의 값을 구하여라.

03-1 `⑴ ;4“; ⑵ ;5$; 03-2 `④ 03-3 `-2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6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삼각함수의 합성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a sin h+b cos h (`a+0, b+0) 꼴의 식을


r sin(h+a) 또는 r cos(h-b)(r>0, 0…a<2p, 0…b<2p)
꼴로 나타내는 것을 삼각함수의 합성이라고 합니다.
이제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a sin h+b cos h (a+0, b+0)를
r sin(h+a) (r>0, 0…a<2p)
꼴로 나타내어 봅시다.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 P(a, b)에 대하여 동경 a sin h+b cos h

OP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a라고 하면 b


P(a, b)

a b
OP”=øπa¤ +b¤ , cos a= , sin a= øa¤ +b¤
øπa¤ +b¤ øπa¤ +b¤
이므로 a
O a x

a b
a sin h+b cos h=øπa¤ +b¤ { sin h+ cos h}
øπa¤ +b¤ øπa¤ +b¤

=øπa¤ +b¤ (cos a sin h+sin a cos h)


sin h cos a+cos h sin a
=sin(h+a) a b
=øπa¤ +b¤ sin (h+a) {cos a= , sin a= }
øπa¤ +b¤ øπa¤ +b¤

가 성립합니다. z12 또는 tan a=;aB;

Example sin h+'3 cos h를 r sin(h+a)(r>0, 0…a<2p) 꼴로 나타내어 봅시다.


'3
점 P(1, '3 )에 대하여 OP”=øπ1¤ +('3 )¤ =2, cos ;3“;=;2!;, sin ;3“;=
2
y
'3
∴ sin h+'3 cos h=2{;2!; sin h+ cos h} P(1, '3 )
2 '3

2
∴ sin h+'3 cos h=2{cos ;3“; sin h+sin ;3“; cos h} p
3
O 1 x

∴ sin h+'3 cos h=2 sin{h+;3“;}

17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번에는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a sin h+b cos h (a+0, b+0)를
r cos(h-b) (r>0, 0…b<2p)
꼴로 나타내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 Q(b, a)에 대하여 동경 y


a sin h+b cos h

OQ가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b라고 하면 Q(b, a)


a
b a
OQ”=øπa¤ +b¤ , cos b= , sin b= øa¤ +b¤
øπa¤ +b¤ øπa¤ +b¤
이므로 b
O b x

a sin h+b cos h="√a¤ +≈b¤ {


a
sin h +
b
cos h}
04
øπa¤ +b¤ øπa¤ +b¤
="√a¤ +≈b¤ (sin b sin h+cos b cos h)
cos h cos b+sin h sin b
=cos(h-b) b a
="√a¤ +≈b¤ cos(h-b) {cos b= , sin b= }
øπa¤ +b¤ øπa¤ +b¤

가 성립합니다. z12 또는 tan b=;bA;

Example sin h+'3 cos h를 r cos(h-b) (r>0, 0…b<2p) 꼴로 나타내어 봅시다.


'3
점 Q('3, 1)에 대하여 OQ”=ø(π'3 )¤π +1¤ =2, cos ;6“;= , sin ;6“;=;2!;
2
'3 y
∴ sin h+'3 cos h=2{;2!; sin h+ cos h}
2 Q('3, 1)
1
2
∴ sin h+'3 cos h=2{sin ;6“; sin h+cos ;6“; cos h} p
6
O '3 x
∴ sin h+'3 cos h=2cos {h-;6“;}

Example 3 sin h+4 cos h를 r sin(h+a)와 r cos(h-b) 꼴로 각각 나타내어 봅시다.


y P(3, 4)
⁄ 3 sin h+4 cos h=5 {;5#; sin h+;5$; cos h} 4

⁄ 3 sin h+4 cos h=5(cos a sin h+sin a cos h) 5

a
⁄ 3 sin h+4 cos h=5 sin(h+a) {단, cos a=;5#;, sin a=;5$;} O 3 x

y
¤ 3 sin h+4 cos h=5 {;5#; sin h+;5$; cos h} Q(4, 3)
3
¤ 3 sin h+4 cos h=5(sin b sin h+cos b cos h) 5

b
¤ 3 sin h+4 cos h=5 cos(h-b) {단, cos b=;5$;, sin b=;5#;} O 4 x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7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함수 y=a sin x+b cos x (`a+0, b+0)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
을 구해 봅시다.
a b
y=a sin x+b cos x=øπa¤ +b¤ sin(x+a) {cos a= , sin a= }
øπa¤ +b¤ øπa¤ +b¤
이므로 주기는 2p이고, -1… sin(x+a)…1에서
-øπa¤ +b¤ … øπa¤ +b¤ sin(x+a)… øπa¤ +b¤
이므로 함수 y=a sin x+b cos x의 최댓값은 øπa¤ +b¤ , 최솟값은 -øπa¤ +b¤ 입니다.
b a
이때, y=a sin x+b cos x=øπa¤ +b¤ cos (x-b) {cos b= , sin b= }
øπa¤ +b¤ øπa¤ +b¤
로 합성해도 결과는 같습니다.

Example 함수 y='3 sin x+cos x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각각 구해 봅시다.


y
y='3 sin x+cos x
P('3, 1)
'3 1
y=2 { sin x+;2!; cos x} 2
2
p
6
y=2 {cos ;6“; sin x+sin ;6“; cos x} O '3 x

y=2 sin {x+;6“;}

따라서 이 함수의 주기는 2p, 최댓값은 2, 최솟값은 -2 y


y='3 sin x+cos x
2
입니다. 2
- p-
p 5p 4p
3 6 6 3
7 O p x
y='3 sin x+cos x=2 cos {x-;3“;}로 합성해도 결과는 - p 3
6
-2
같습니다.

삼각함수의 합성

a+0, b+0일 때
a b
1 a sin h+b cos h="a√¤ +b¤ sin(h+a) {단, cos a= , sin a= }
"a√¤ +b¤ "a√¤ +b¤
b a
2 a sin h+b cos h="a√¤ +b¤ cos(h-b) {단, cos b= , sin b= }
"a√¤ +b¤ "a√¤ +b¤
따라서 함수 y=a sin h+b cos h의 주기는 2p, 최댓값은 "a√¤ +b¤ , 최솟값은 -"a√¤ +b¤ 이다.

삼각함수의 합성은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거꾸로 적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두 삼각함수의 합 또는 차의 형
태를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변형하면 함수의 주기와 최대, 최소를 판단할 수 있다.

17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을 r sin(h+a) 꼴로 나타내어라. (단, r>0, 0…a<2p)
⑴ sin h+cos h ⑵ '3 sin h-cos h

2 다음을 r cos(h-b) 꼴로 나타내어라. (단, r>0, 0…b<2p)


⑴ cos h-sin h ⑵ cos h+2 sin h

3 함수 f(x)=2 sin x-3 cos x의 주기와 최댓값,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04

1 1 y
P(1, 1)
풀이 1 ⑴ sin h+cos h='2 { '2 sin h+ '2 cos h} 1
⑴ sin h+cos h='2 {cos ;4“; sin h+sin ;4“; cos h} '2
p
4
⑴ sin h+cos h='2 sin {h+;4“;} O 1 x

'3 y
⑵ '3 sin h-cos h=2[ sin h+{-;2!;} cos h] 11 p
2 6
'3
⑵ '3 sin h-cos h=2 {cos ;;¡6¡;;p_sin h+sin ;;¡6¡;;p_cos h} O 2 x

-1
⑵ '3 sin h-cos h=2 sin {h+;;¡6¡;;p} P('3, -1)

1 1 y 7p
2 ⑴ cos h-sin h='2 [ '2 cos h+{- '2 } sin h] 4 1
O x
⑴ cos h-sin h='2 [cos ;4&;p_cos h+sin ;4&;p_sin h]
'2

-1
⑴ cos h-sin h='2 cos {h-;4&;p} Q(1, -1)

1 2 y
⑵ cos h+2 sin h='5 { cos h+ sin h}
'5 '5 2 Q(1, 2)
⑵ cos h-2 sin h='5(cos b cos h+sin b sin h) '5
1 2 b
⑵ cos h-2 sin h='5 cos (h-b) {단, cos b= , sin b= }
'5 '5 x
O 1

2 3 y
3 f(x)=2 sin x-3 cos x='1å3 [ '1å3 sin x+{- '1å3 } cos x] a
2
O x
f(x)='1å3(cos a sin x +sin a cos x)='1å3 sin(x+a) '13
2 3
{단, cos a= , sin a=- }
'1å3 '1å3 -3
P(2, -3)
따라서 함수 f(x)의 주기는 2p, 최댓값은 '1å3, 최솟값은 -'1å3이다.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7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합성

p
2'3 sin {h+ }-4 cos h를 r sin(h+a) 꼴로 나타내어라. (단, r>0, 0…a<2p)
04 3

접근 방법

sin {h+;3“;}를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전개한 후 주어진 식을 a sin h+b cos h` 꼴로 변형

하여 합성합니다.

a b
a sin h+b cos h="a√¤ +b¤ sin (h+a) {단, cos a= , sin a= }
"a√¤ +b¤ "a√¤ +b¤
b a
a sin h+b cos h="a√¤ +b¤ cos (h-b) {단, cos b= , sin b= }
"a√¤ +b¤ "a√¤ +b¤

상세 풀이

2'3 sin{h+;3“;}-4 cos h=2'3 {sin h cos ;3“;+cos h sin ;3“;}-4 cos h

'3
2'3 sin{h+;3“;}-4 cos h=2'3 {;2!; sin h+ cos h}-4 cos h
2
2'3 sin{h+;3“;}-4 cos h='3 sin h-cos h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점 P('3, -1)을 잡으면 y

11 p
OP”=øπ('3π)¤ +π(-1)¤ =2 6
'3
'3 O x
∴ '3 sin h-cos h=2[sin h_ +cos h_{-;2!; }]
2 2
-1
∴ '3 sin h-cos h=2 {sin h cos :¡6¡:p+cos h sin :¡6¡:p} P ('3 , -1)

∴ '3 sin h-cos h=2 sin{h+:¡6¡:p}

정답 2 sin {h+:¡6¡:p}

보충 설명

2'3 sin{h+;3“;}-4 cos h , 즉 '3 sin h-cos h 를 r cos(h-b) (r>0, 0…b<2p) 꼴로 나타내면

'3 sin h-cos h=2 [ 124 sin h+{-;2!; } cos h]=2 {sin ;3@; p sin h+cos ;3@; p cos h}=2 cos {h-;3@; p}
'3
2

17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6

p
04-1 2 cos {h-
6
}-2 sin h 를 r sin(h+a) 꼴로 나타내어라. (단, r>0, 0…a<2p)

04-2 임의의 실수 x 에 대하여 sin x-cos x='2 sin(x+a)가 성립할 때, tan a의 값은? 04
(단, 0…a<2p)

'3
① -'3 ② -1 ③-
3
④1 ⑤ '3

p
04-3 '3 cos h-sin h=;2!; 일 때, '3 sin h+cos h 의 값은? {단, 0<h<
2
}

'1å5 '1å5 '1å5


①- ②- ③
2 4 2
'1å5
④ ⑤ :¡2∞:
4

04-1 `2 sin {h+;3@;p} 04-2 `② 04-3 `③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7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합성과 최대, 최소

함수 y='3 sin x+cos x+1의 주기, 최댓값, 최솟값을 각각 구하고, 그래프를 그려

05 라.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를 합성하여 y= sin △+☆ 꼴로 고칩니다.

함수 y=a sin(bx+c)+d, y=a cos ( bx+c)+d의


2p
주기는 , 최댓값은 |a|+d, 최솟값은 -|a|+d
|b|

상세 풀이

'3 y
y='3 sin x+cos x+1=2{sin x_ +cos x_;2!;}+1
2 P('3, 1)
1
2
y=2 {sin x cos ;6“;+cos x sin ;6“;}+1=2 sin {x+;6“;}+1 p
6
O x
따라서 이 함수의 주기는 2p 입니다.
'3

이때, -1…sin {x+;6“;}…1 에서 -1…2 sin {x+;6“;}+1 …3이므로 주어

진 함수의 최댓값은 3, 최솟값은 -1 입니다.

y y=2 sin{x+ p }+1


또한 함수 y=2 sin {x+;6“;}+1 의 그래프는 y=2 sin x 의 그래프를 3 6
2
x축의 방향으로 -;6“; 만큼, y축의 방향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2 p
3 p
-
3
로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p O p p x
3
-1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주어진 함수를 코사인함수로 합성하면 y=2 cos{x-;3“;}+1입니다. 이때,

cos{x-;3“;}=cos {x+;6“;-;2“;}=sin {x+;6“;}

이므로 코사인으로 합성한 함수식을 사인으로, 또는 사인으로 합성한 함수식을 코사인으로 변형할 수 있습니다.
사인 또는 코사인 중 어느 쪽으로 합성하더라도 식의 형태만 다를 뿐 같은 함수이므로 그래프를 그리면 서로 일
치하고, 주기, 최댓값, 최솟값도 모두 같습니다.

17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7

05-1 주어진 범위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⑴ y=3 sin x-4 cos x (0…x…2p)

⑵ y='3 sin ;2{;+cos ;2{; {0…x…;3“;}

p 04
05-2 함수 y=cos x-cos {x+
3
}가 x=a 에서 최댓값을 가질 때, tan a 의 값은?

(단, 0…x<2p)

'3
①0 ② ;3!; ③
3
④1 ⑤ '3

05-3 함수 f(x)=a sin x-b cos 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상수 a, b 에 대하여


a+b 의 값을 구하여라.
y
2 y=f(x)

7p
-p 4
4
O p 3p x
4 4

-2

05-1 `⑴ 최댓값 : 5, 최솟값 : -5 ⑵ 최댓값 : '3, 최솟값 : 1


05-2 `⑤ 05-3 `2'2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7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합성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2인 선분 AB를 지름으로 P

06 하는 반원이 있다. 반원의 호 AB 위를 움직이는 점 P


에 대하여 ∠PAB=h라고 할 때, 2 AP”+BP”의 최댓
A
h
B
값과 이때의 sin h의 값을 구하여라. 2

접근 방법

∠APB는 항상 직각이므로 삼각형 ABP는 ∠P=;2“;인 직각삼각형입니다. AP”, BP”를 h 에 대한

삼각함수로 나타내고,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2 AP”+BP”의 값이 최대일 때를 찾습니다.

선분의 길이를 h에 대한 삼각함수로 나타낸 후 식을 세우고, 삼각함수의


합성을 이용하여 최댓값을 구한다.

상세 풀이

∠APB=;2“;이므로 직각삼각형 ABP에서 AP”=2 cos h, BP”=2 sin h

∴ 2 AP”+BP”=4 cos h+2 sin h


2 1
∴ 2 AP”+BP”=2'5 { cos h+ sin h}
'5 '5
1 2
∴ 2 AP”+BP”=2'5 sin(h+a) {단, cos a= , sin a= }
'5 '5

이때, 2 AP”+BP”는 sin(h+a)=1, 즉 h+a=;2“;일 때 최댓값 2'5를 가집니다.

따라서 h=;2“;-a일 때의 sin h의 값은

1 '5
sin h=sin {;2“;-a}=cos a= =
'5 5
'5
정답 최댓값:2'5, sin h=
5
보충 설명
⑴ 2 AP”+BP”=2'5 sin(h+a)에서 a는 일반적으로 0…a<2p인 것을 택하고, cos a>0, sin a>0에서 a는 제`1

사분면의 각이므로 0<a<;2“;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때, 0…h <;2“;이므로 0<h+a<p입니다. 따라서

2'5 sin(h+a)는 h+a=;2“;일 때 최대가 됩니다.

⑵ 다음과 같이 코사인함수로 합성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1 2 1
2 AP”+BP”=2'5 { cos h+ sin h}=2'5 cos(h-b) {단, cos b= , sin b= }
'5 '5 '5 '5
② 따라서 2 AP”+BP”는 cos(h-b)=1, 즉 h-b=0일 때 최댓값 2'5 를 가집니다.

17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89

06-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3인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는 반 P

원이 있다. 반원의 호 AB 위를 움직이는 점 P에 대하여


∠PAB=h라고 하자. AP”+2 BP”의 값이 최대가 될 때, h
A B
tan h의 값을 구하여라. 3

04
06-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5, AD”=4인 직사각형 ABCD 에 외 P D S
h
접하는 직사각형 PQRS에 대하여 ∠ADP=h 라고 하자. 직사
4
각형 PQRS 의 둘레의 길이가 최대가 될 때, h 의 값은?
A
5 C
① ;8“; ② ;6“; ③ ;5“;

Q B R
④ ;4“; ⑤ ;3“;

06-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사분원 AOB의 호 A


위의 점 P에 대하여 ∠AOP=h라고 할 때, 호 AB, 선분 P
AP, 선분 BP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1

O B

06-1 `2 06-2 `④ 06-3 ` p-2'2


4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7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1 제1 사분면의 각 h 에 대하여 tan h='2일 때, sin{h+;3“;}의 값은?

3-'6 3+'6 '2+'3


① ② ③
6 6 6
4'2-3'3 4'2+3'3
④ ⑤
12 12

04- 2 a+b=;4“; 일 때, '2 sin a+2 cos b의 최댓값은?

① '6 ② 2'2 ③ '∂10


④ 2'3 ⑤4

04- 3 sin a+cos b+sin c=0, cos a+sin b+cos c=0일 때, sin(a+b)의 값은?

① -1 ② -;2!; ③0

④ ;2!; ⑤1

sin(a+b)=;3@;, sin(a-b)=;2!; 일 때, 11525 의 값을 구하여라.


tan a
04- 4 tan b

04- 5 오른쪽 그림과 같이 BC”=5인 삼각형 ABC의 꼭짓점 B에서 A

변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꼭짓점 C에서 변 AB에 내린 E h D


수선의 발을 E라고 하면 CD”=BE”=3이다. ∠CAB=h라
3 3
고 할 때, cos h의 값을 구하여라.
B C
5

18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2 | 풀이집 p.91

04- 6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이차방정식 2x¤ -9x+3=0의 두 근이 tan a, tan b일 때, tan(a+b)의 값을 구하여라.

⑵ 이차방정식 2x¤ -px+1=0 의 두 근이 tan a, tan b 일 때, tan(a+b)=3을 만족시키


는 상수 p의 값을 구하여라.

04- 7 ('3 tan x+1)('3 tan y-1)=-4일 때, x-y의 값을 구하여라.

{단, 0…x<;2“;, 0…y<;2“; , x+y}


04

04- 8 함수 f(x)=tan x {0…x<;2“;}에 대하여 f—⁄ (2)+f—⁄ (3)의 값은?

① ;3“; ② ;2“; ③ ;3@;p

④ ;4#;p ⑤ ;6%;p

04-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C

AB”=DE”=3, BC”=AD”=4, BC”∥DE” E


인 두 직각삼각형 ABC와 ADE 가 있다.
4
∠CAE=h 라고 할 때, tan h 의 값을 구하여라. 3
h

A B D
3
4

04- 10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삼각형 ABC에서 A

AH”⊥BC”, ∠BAC=45˘, AH”=30, HC”=6


45Á
일 때, BH” 의 길이를 구하여라.
30

B C
H 6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8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11 sin{h-;3“;}, sin h, sin{h+;6“;}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룰 때, 모든 h 의 값의 합을 구하

여라. (단, 0…h<2p )

두 함수 f(x)= 1125 , g(x)='3 sin x-cos x 에 대하여 닫힌구간 [0, p] 에서 함수


1
04- 12 x+3
y=( fΩg)(x)의 최댓값은?

① ;2!; ②1 ③ ;2#;

④2 ⑤ ;2%;

04- 13 원점 O를 지나고 기울기가 tan h 인 직선 l이 있다. 두 점 A(0, 2), B(2'3, 0)에서 직선 l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고 할 때, O’A'”+O’B'” 의 값이 최대가 되는 h의 값은?

{단, 0<h<;2“; }

① ;1…2; ② ;6“; ③ ;4“;

④ ;3“; ⑤ ;1∞2;p

수능

04-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x¤ +y¤ =1 위의 점 P¡ 에서 y

의 접선이 x 축과 만나는 점을 Q¡이라고 할 때, 삼 P™


p
4 P¡
각형 P¡OQ¡의 넓이는 ;4!; 이다. 점 P¡ 이 원점 O를
O Q¡ Q™ x
중심으로 하여 양의 방향으로 ;4“; 만큼 회전한 점을

P™라 하고, 점 P™ 에서의 원의 접선이 x 축과 만나


는 점을 Q™라고 할 때, 삼각형 P™OQ™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점 P¡ 은 제1 사분면 위의 점이다.)

04-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x축 위의 두 점 A(20, 0), B(80, 0) y


P
과 y 축 위의 점 P(0, k)에 대하여 ∠APB=h 라고 할 k
h
때, tan h 의 값이 최대가 되는 k의 값을 구하여라.
(단, k>0)
A B
O 20 80 x

18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2 | 풀이집 p.95

04- 16 0…x…p 일 때, 함수 f(x)=sin x+cos x-2 sin x cos x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곱은?

① -;4%; ② -1 ③0

④1 ⑤ ;4%;

04-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3AB”=A’A£”인 직사각형 AA£B£B B B¡ B™ B£

에 두 선분 A¡B¡, A™B™를 그어 세 개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었다. ∠A˚A B˚=h˚(k=1, 2, 3)라고 할 때,
tan(h¡-h™-h£)의 값을 구하여라. A A¡ A™ A£
04

04- 1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에 대하여 원 y

점과 점 (n, 1)을 이은 선분이 x축의 양의 y=1


1 y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이라고 하자.
h¡-h™=hπ-hœ 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p,
O 1 2 y n x
q에 대하여 p+q 의 값을 구하여라. hn

(단, 1<p<q)

challenge

04- 1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O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위의 두


점 P, Q 에 대하여 현 PQ 의 중점을 M, ∠OPM=h 라고 하자.
O
PQ”+O’M의
” 값이 최대일 때, tan h 의 값을 구하여라.
2

h
P M Q

challenge

04- 20 두 도시 A, B는 60 km 떨어져 있고, 도시 O 는 두 도시의 중간


2차로
P 30 km

지점에 있다. 신도시의 위치를 도시 O 에서 30km 떨어진 지점에 4차로

정한 후, 신도시와 도시 A 사이에는 2차로 직선 도로를, 신도시와 A


h
B
O
도시 B 사이에는 4 차로 직선 도로를 건설하려고 한다. 2차로 도 60 km
로는 km 당 6 억 원, 4 차로 도로는 km당 8억 원의 공사비가 소요된다. 공사비가 최대가 되는
신도시의 위치를 P라 하고, ∠PAB=h 라고 할 때, 30 tan h의 값을 구하여라.
(단, 세 도시 A, O, B는 일직선 위에 있다.)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18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삼각함수의 미분
01 삼각함수의 극한 187
예제`
02 삼각함수의 미분 204
예제`
기본 다지기 212
실력 다지기 214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달의 인력에 의하여 바다의 밀물과 썰물이 규칙적으로 반복
되고, 이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집니다. 자연 현상과
공학에서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즉 일정한 주기로 변하
는 것은 보통 삼각함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삼각
함수는 전자 공학, 광학, 음향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주기
적인 성질을 연구하는 데 쓰입니다. 따라서 삼각함수의 극
한과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자연 현상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01 삼각함수의 극한 01 삼각함수의 극한 192


삼각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다. 02 치환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극한 194

03 미정계수의 결정 196

04 삼각함수의 연속성 198

05 도형에서의 삼각함수의 극한 ⑴ 200

06 도형에서의 삼각함수의 극한 ⑵ 202

02 삼각함수의 미분 07 삼각함수의 미분 208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를 미분할 08 삼각함수의 미분가능성 210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 삼각함수의 미분

01 삼각함수의 극한

1 삼각함수의 극한
실수 a에 대하여
⑴ lim sin x=sin a
x ⁄a

⑵ lim cos x=cos a


x ⁄a

⑶ lim tan x=tan a {단, a+np+;2“;, n은 정수}


x ⁄a

sin x
2 lim 의값
x ⁄0 x
x의 단위가 라디안일 때
sin x
⑴ lim =1
x ⁄0 x
tan x
⑵ lim =1
x ⁄0 x
1-cos x
⑶ lim =;2!;
x ⁄0 x¤

02 삼각함수의 미분

1 함수 y=sin x의 도함수
sin(x+h)-sin x
(sin x)'= lim =cos x
h ⁄0 h
d
즉, sin x=cos x
dx

2 함수 y=cos x의 도함수
cos(x+h)-cos x
(cos x)'= lim =-sin x
h ⁄0 h
d
즉, cos x=-sin x
dx

18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삼각함수의 극한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면 삼각함수의 극한을 알 수 있습니다.


세 삼각함수 y=sin x, y=cos x, y=tan x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각 함수의 정의역의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x ⁄a일 때 삼각함수의 극한값은 함숫값과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삼각함
수의 그래프에서 각 함수의 정의역의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lim sin x=sin a, lim cos x=cos a, lim tan x=tan a
x ⁄a x ⁄a x ⁄a 05
입니다. y
y=sinx y=cosx
1
예를 들어, 오른쪽 그래프에서 p 3p
- p 2
2
lim sin x=0, lim sin x=1 O p 2p 5p x
x ⁄0 x ⁄ ;2“; 2 2
-1
lim cos x=0, lim cos x=-1
x ⁄ ;2“; x ⁄p

y y=tanx
lim tan x=0, lim tan x=1
x ⁄0 x ⁄ ;4“;
1
p 2p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p O p 3p x
- p
2 2 2
lim sin x, lim cos x, lim tan x, lim tan x 4
x ⁄¶ x ⁄¶ x ⁄¶ x ⁄ ;2“;

의 값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lim tan x=¶, lim tan x=-¶
x ⁄;2“; - x ⁄;2“;+

Example 다음 극한값을 구해 봅시다.

⑴ x ⁄;2“;일 때 sin 2x ⁄0이므로


y
1 y=sin 2x

lim (sin 2x-1)= lim sin 2x- lim 1 p


p x
x ⁄ ;2“; x ⁄ ;2“; x ⁄ ;2“;
O
2
-1
(sin 2x-1)=0-1=-1
y
⑵ x ⁄;4“;일 때 cos x ⁄
'2 1
이므로
2 '2
2 p
lim ('2 cos x+2)='2 lim cos x+ lim 2 O p p x
x ⁄ ;4“; x ⁄ ;4“; x ⁄ ;4“; 4 2
-1
y=cos x
'2
('2 cos x+2)='2_ +2=3
2

05 삼각함수의 미분 18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극한

실수 a에 대하여
1 lim
x ⁄a
sin x=sin a

2 lim
x ⁄a
cos x=cos a

3 lim
x ⁄a
tan x=tan a {단, a+np+;2“;, n은 정수}

① lim sin x, lim cos x, lim tan x는 수렴하지 않고, 양의 무한대나 음의 무한대로 발산하지도 않는다.
x ڦ x ڦ x ڦ

p
② y=sin x, y=cos 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y=tan x는 x+np+ (n은 정수)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2

수학Ⅱ에서 배운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를 떠올려 봅시다.


세 함수 `f(x), `g(x), h(x)와 실수 a에 가까운 모든 x에 대하여 `f(x)…h(x)…g(x)이고
lim f(x)= lim g(x)=a (a는 실수)이면 lim h(x)=a입니다.
x ⁄a x ⁄a x ⁄a

이를 이용하여 lim x sin ;[!;의 값을 구해 봅시다.


x ⁄0

x+0인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 sin ;[!; …1이므로 ←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sin x…1

⁄ x>0일 때, -x… x sin ;[!; …x이고 lim (-x)=0, lim x=0이므로 lim x sin ;[!;=0
x ⁄0+ x ⁄0+ x ⁄0+

¤ x<0일 때, x… x sin ;[!; …-x이고 lim x=0, lim (-x)=0이므로 lim x sin ;[!;=0
x ⁄0- x ⁄0- x ⁄0-

⁄, ¤에서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으므로

lim x sin ;[!;=0


x ⁄0

입니다.

cos x
Example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x ڦ x
cos x
임의의 양수 x에 대하여 -1…cos x…1이므로 -;[!;… …;[!;이고,
x

lim {-;[!;}=0, lim ;[!;=0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ڦ x ڦ

cos x
lim =0
x ڦ x
입니다.

18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lim
sin x
의값
x ⁄0 x
sin x
lim 의 값을 알고 있으면 `;0); 꼴의 삼각함수의 극한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
x ⁄0 x
음 단원에서 배울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유도하는 데 기본이 되므로 꼭 기억하도록 합니다.
sin x
lim 는 `;0); 꼴의 극한이므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바로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
x ⁄0 x
sin x
라서 단위원과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lim 의 값을 구해 봅시다.
x ⁄0 x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단위원 O 위의 두 점 A, B에 대하여 각 AOB의 크 T

기를 x라디안, 점 A에서의 접선과 선분 OB의 연장선의 교점을 T라고 하면


B

⁄ 0<x<;2“;일 때 05
x
O A
1
(삼각형 AOB의 넓이)<(부채꼴 AOB의 넓이)<(삼각형 AOT의 넓이)
이고,

(삼각형 AOB의 넓이)=;2!;_1_1_sin x=;2!; sin x B


sinx
1
(부채꼴 AOB의 넓이)=;2!;_1¤ _x=;2!;x S¡
x
O A
1
(삼각형 AOT의 넓이)=;2!;_1_tan x=;2!; tan x B

이므로 1
S™
x
;2!; sin x<;2!;x<;2!; tan x O
1
A

T
sin x<x<tan x

입니다. 0<x<;2“;이면 sin x>0이므로 각 변을 sin x로 나누면


tanx
x 1 S£
1< < ,즉
sin x cos x
x
O A
sin x 1
1> >cos x
x S¡<S™<S£이므로
입니다. ;2!; sin x<;2!;x<;2!; tan x

이때, lim 1=1, lim cos x=1이므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x ⁄0+ x ⁄0+

sin x
lim =1
x ⁄0+ x
입니다.

05 삼각함수의 미분 18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2“;<x<0일 때

-x=t로 놓으면 x ⁄0-일 때 t ⁄0+이므로


sin x sin (-t) -sin t sin t
lim = lim = lim = lim =1
x ⁄0- x t ⁄0+ -t t ⁄0+ -t t ⁄0+ t
⁄, ¤에서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으므로
sin x
lim =1
x ⁄0 x
sin x f(x)-f(0)
입니다. f(x)=sin x라고 하면 lim = lim =f'(0)=1
x ⁄0 x x ⁄0 x-0
이 극한값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sin x의 그래프 위의 점 y
1 y=sinx
(0, 0), 즉 원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함
O p p x
수 y=sin x의 그래프와 직선 y=x는 원점에서 접합니다. 2

sin x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lim =1임을 이용하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 ⁄0 x
tan x
lim =1임을 알 수 있습니다.
x ⁄0 x

Proof tan x sin x sin x 1


lim = lim = lim { _
x ⁄0 x ⁄0 x cos x x ⁄0
}
x x cos x
sin x 1
= lim _ lim =1_1=1
x ⁄0 x x ⁄0 cos x

Example 다음 극한값을 구해 봅시다.


sin 3x
⑴ lim
x ⁄0 x
3x=t로 놓으면 x ⁄0일 때 t ⁄0이므로
sin 3x sin 3x sin t
lim = lim { _3}=3 lim
x ⁄0 x ⁄0 t ⁄0
=3_1=3
x 3x t
1-cos x (1-cos x)(1+cos x) 1-cos¤ x
⑵ lim = lim = lim
x ⁄0 x¤ x ⁄0 x¤ (1+cos x) x ⁄0 x¤ (1+cos x)

sin¤ x sin x sin x 1


⑵ = lim = lim { _ _
x ⁄0 x¤ (1+cos x) x ⁄0
}
x x 1+cos x
sin x 1
⑵ ={ lim }2 _ lim =1¤ _;2!;=;2!;
x ⁄0 x x ⁄0 1+cos x

x 2x 1
⑶ lim = lim { _;2!;}=;2!; lim =;2!;_1=;2!;
11242
x ⁄0 tan 2x x ⁄0 tan 2x x ⁄0 tan 2x

2x

19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sin x tan x
lim , lim 의값
x ⁄0 x x ⁄0 x

x의 단위가 라디안일 때
sin x tan x
1 lim
x ⁄0 x
=1 2 lim
x ⁄0 x
=1

cos x
① lim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 ⁄0 x

1-cos x
② lim =;2!;은 자주 나오는 극한값이므로 함께 기억하면 좋다.
x ⁄0 x¤

05
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sin x
⑴ lim sin x ⑵ lim tan x ⑶ lim x cos ;[!; ⑷ lim
x ⁄p x ⁄;3“; x ⁄0 x ⁄¶ x

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sin 3x 1-cos x
⑴ lim ⑵ lim
x ⁄0 sin 2x x ⁄0 x

풀이 1 ⑴ lim
x ⁄p
sin x=0 ⑵ lim tan x='3
x ⁄;3“;

⑶ x+0인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1…cos ;[!;…1이므로

⑶ ⁄ x>0일 때, -x…x cos ;[!;…x이고 lim (-x)=0, lim x=0이므로 lim x cos ;[!;=0
x ⁄0+ x ⁄0+ x ⁄0+

⑶ ¤ x<0일 때, x…x cos ;[!;…-x이고 lim x=0, lim (-x)=0이므로 lim x cos ;[!;=0
x ⁄0- x ⁄0- x ⁄0-

⑶ ⁄, ¤에서 우극한과 좌극한이 같으므로 lim x cos ;[!;=0


x ⁄0

⑷ 임의의 양수 x에 대하여 -1…sin x…1이므로 -;[!;… sin x …;[!;이고, lim {-;[!;}=0, lim ;[!;=0이므로
x x ڦ x ڦ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sin x =0


x ڦ x

111 111_3 lim111


sin 3x sin 3x sin 3x
= lim 1112 = lim 111244443 = 111244441 _;2#;=;1!;_;2#;=;2#;
sin 3x x 3x x ⁄0 3x
2 ⑴ lim
111 111_2 lim 111
x ⁄0 sin 2x x ⁄0 sin 2x x ⁄0 sin 2x sin 2x
x 2x x ⁄0 2x
(1-cos x)(1+cos x)
⑵ lim 1-cos x = lim = lim 1-cos¤ x = lim sin¤ x
x ⁄0 x x ⁄0 x(1+cos x) x ⁄0 x(1+cos x) x ⁄0 x(1+cos x)

= lim {sin x_ sin x _ 1 }


x ⁄0 x 1+cos x

= lim sin x_ lim sin x _ lim 1 =0_1_;2!;=0


x ⁄0 x ⁄0 x x ⁄0 1+cos x

05 삼각함수의 미분 19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극한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고, a+0, b+0이다.)

01 ⑴ lim
x ⁄0
sin bx
ax
⑵ lim
x ⁄0
tan bx
ax
tan 2x sin(sin 2x)
⑶ lim ⑷ lim
x ⁄0 sin 3x x ⁄0 x

접근 방법

=1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극한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x ⁄0 일 때 △ ⁄0이면


sin x
lim
x ⁄0 x
sin △ tan △
lim =1, lim =1 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주어진 식을 변형합니다.
x ⁄0 △ x ⁄0 △

sin x tan x
lim =1, lim =1
x ⁄0 x x ⁄0 x

상세 풀이

sin bx sin bx
⑴ lim = lim { _;aB;}=1_;aB;=;aB;
x ⁄0 ax x ⁄0 bx
tan bx tan bx
⑵ lim = lim { _;aB;}=1_;aB;=;aB;
x ⁄0 ax x ⁄0 bx

1122 1122_2
tan 2x tan 2x
tan 2x x 2x 1_2
⑶ lim = lim = lim = =;3@;
1123 1123_3
x ⁄0 sin 3x x ⁄0 sin 3x x ⁄0 sin 3x 1_3
x 3x

sin(sin 2x) sin(sin 2x) sin 2x


⑷ lim = lim [ _ _2]=1_1_2=2 ← x ⁄0일 때 sin 2x ⁄0
x ⁄0 x x ⁄0 sin 2x 2x

정답 ⑴ ;aB; ⑵ ;aB; ⑶ ;3@; ⑷ 2

보충 설명
① 두 상수 a, b에 대하여

lim 11323 =;aB;, lim 11323 =;aB; (단, a+0, b+0)


sin bx tan bx
x ⁄0 ax x ⁄0 ax
② ⑷`에서 sin 2x=t로 놓으면 x ⁄0일 때 t ⁄0이므로

lim 111112 = lim [ 111112 _ 111 ]= lim 111112 _ lim 111


sin(sin 2x) sin(sin 2x) sin 2x sin(sin 2x) sin 2x
x ⁄0 x x ⁄0 sin 2x x x ⁄0 sin 2x x ⁄0 x

= lim 113 _ lim { 111 _2}=1_1_2=2


sin t sin 2x
t ⁄0 t x ⁄0 2x

19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1

0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단, m, n은 상수이고, m+0, n+0이다.)

sin nh tan nh
⑴ lim ⑵ lim
h ⁄0 sin mh h ⁄0 tan mh
sin 2h sin(tan h)
⑶ lim ⑷ lim
h ⁄0 tan 4h h ⁄0 2h

05
01-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1-cos 2x 1-cos 4x 1-cos 3x


⑴ lim ⑵ lim ⑶ lim
x ⁄0 x x ⁄0 3x¤ x ⁄0 x sin 2x

01-3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cos x-cos 3x 3x¤


⑴ lim ⑵ lim
x ⁄0 x¤ x ⁄0 cos x-cos 2x

01-1 `⑴ 13 ⑵ 13 ⑶ ;2!; ⑷ ;2!;


n n
01-2 `⑴ 0 ⑵ ;3*; ⑶ ;4(;
m m
01-3 `⑴ 4 ⑵ 2

05 삼각함수의 미분 19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치환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극한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2 ⑴ lim
x ⁄p
sin x
x-p x ⁄1
cos ;2“;x
⑵ lim 1111
1-x¤
⑶ lim (x-p)tan ;2{;
x ⁄p

접근 방법

⑴ x-p=t로 치환하면 x ⁄p 일 때 t ⁄0 입니다. 이와 같이 ⑵, ⑶`에서도 식을 적당히 치환한 후 삼각


함수의 극한과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계산합니다.

f(x)=t라고 할 때, x ⁄ a일 때 t ⁄ 0이면
sin f(x) sin t
lim = lim =1
x ⁄a f(x) t ⁄0 t

상세 풀이

⑴ x-p=t로 놓으면 x ⁄p 일 때 t`⁄0이므로


sin x sin(p+t) -sin t
lim = lim = lim =-1
x ⁄p x-p t ⁄0 t t ⁄0 t
⑵ x-1=t로 놓으면 x ⁄1일 때 t`⁄0이므로

cos ;2“;x cos {;2“;+;2“; t} -sin ;2“;t


lim 1111 = lim 1111113 = lim 11112
x ⁄1 1-x¤ t ⁄0 1-(1+t)¤ t ⁄0 -t(t+2)

sin 1t
p
2 1
= lim ª _;2“;_ º =1_;2“;_;2!;=;4“;
1t
t ⁄0 p t+2
2
⑶ x-p=t로 놓으면 x ⁄p 일 때 t`⁄0이므로
t t
lim (x-p)tan ;2{;= lim [t_tan {;2“;+ }]= lim [t_{-cot }]
x ⁄p t ⁄0 2 t ⁄0 2

· ·
(x-p)tan ;2{;= lim 11353555554 = lim { 113535555 _(-2) { =1_(-2)=-2
;2T;
t
t ⁄0 t ⁄0
-tan ;2̌; ª tan ;2T; ª

정답 ⑴ -1 ⑵ ;4“; ⑶ -2

보충 설명

x ⁄a일 때 f(x) ⁄0 이면 lim 1133323 =1, lim 11333253 =1입니다.


sin f(x) tan f(x)
x ⁄a f(x) x ⁄a f(x)

19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3

02-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1155533333551
p-3x tan(x¤ -4)
⑵ lim
x ⁄;3“; sin {x-;3“;} x ⁄2 x-2

cos x
⑶ lim ⑷ lim (p-2x)tan x
x ⁄;2“;
2x-p x ⁄;2“;

05
sin px
02-2 함수` f(x)=
(x+2)(2-x)
에 대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⑴ lim f(x) ⑵ lim f(x)


x ⁄-2 x ⁄2

함수 f(x)에 대하여 lim 1333334 =2 일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f(x)
02-3 x ⁄1 x-1

sin f(x) (x-1)f(x)


⑴ lim ⑵ lim
x ⁄1 x¤ -1 x ⁄1 1-cos f(x)

02-1 `⑴ -3 ⑵ 4 ⑶ -;2!; ⑷ 2 02-2 ⑴ ;4“; ⑵ -;4“;

02-3 `⑴ 1 ⑵ 1

05 삼각함수의 미분 19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미정계수의 결정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3 ⑴ lim
x ⁄0
x¤ +ax+b
sin x
=2 ⑵ lim
x ⁄0

a cos¤ x+b
=;2!;

접근 방법

⑴`에서 주어진 함수의 극한이 존재하고, x ⁄0일 때 (분모) ⁄0이므로 (분자) ⁄0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b
를 소거한 후 주어진 극한값을 계산하여 a, b의 값을 각각 구합니다.

f(x)
lim =L (L은 실수)일 때, lim g(x)=0 이면 lim f(x)=0
x ⁄a g(x) x ⁄a x ⁄a

상세 풀이

⑴ 주어진 함수의 극한이 존재하고, x ⁄0일 때 (분모) ⁄0이므로 (분자) ⁄0입니다. 즉,


lim (x¤ +ax+b)=b=0 ∴ b=0 yy ㉠
x ⁄0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 +ax+b x¤ +ax x
lim = lim = lim [ _(x+a)]=1_a=2 ∴ a=2
x ⁄0 sin x x ⁄0 sin x x ⁄0 sin x
⑵ 주어진 함수의 극한이 0이 아닌 실수이고, x ⁄0일 때 (분자) ⁄0 이므로 (분모)` ⁄0입니다. 즉,
lim (a cos¤ x+b)=a+b=0 ∴ b=-a yy ㉠
x ⁄0

㉠`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 x¤ x¤
lim = lim = lim
x ⁄0 a cos¤ x+b x ⁄0 a cos¤ x-a x ⁄0 -a sin¤ x

= lim 135351155555534 =-;a!;=;2!;


1
x ⁄0 sin¤ x
-a_15555324

∴ a=-2
㉠에서 b=-(-2)=2

정답 ⑴ a=2, b=0 ⑵ a=-2, b=2

보충 설명

① lim 1331 =a `(a+0인 실수)이고 lim f(x)=0이면 lim g(x)=0


f(x)
x ⁄ a g(x) x ⁄a x ⁄a

② lim f(x)=¶ 이고 lim f(x)g(x)=a (a는 실수)이면 lim g(x)=0


x ⁄a x ⁄a x ⁄a

위의 ⑵`에서는 ①을 이용하였습니다.

19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4

03-1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sin 2x cos px
⑴ lim =2 ⑵ lim =;4!;
x ⁄0 ax+b
'ƒax∂+ßb -1 x ⁄;2!;

03-2 등식 lim
ax sin x+b
=1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에 대하여 2a+b의 값은?
05
x ⁄0 cos x-1

① -1 ② -;2!; ③0

④ ;2!; ⑤1

(bx+c)sin 2x
03-3 함수 f(x)=
4x+a
가 lim f(x)=2, lim f(x)=0 을 만족시킬 때, 상수
x ⁄0 x ⁄¶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을 구하여라.

03-1 `⑴ a=2, b=1 ⑵ a=-4p, b=2p 03-2 `① 03-3 `4

05 삼각함수의 미분 19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연속성

( a-4 cos x
111113 (x+0)
함수 f(x)= {
04 9

b (x=0)
가 x=0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0)이 성립함을 이용합니다.


x ⁄0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f(x)=f(a)이다.


x ⁄a

상세 풀이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f(x)=f(0)입니다. 즉,


x ⁄0

a-4 cos x
lim =b yy ㉠
x ⁄0 x¤
x ⁄0일 때, (분모) ⁄0 이므로 (분자)` ⁄0 이어야 합니다. 즉,
lim (a-4 cos x)=a-4=0
x ⁄0

∴ a=4
a=4를 ㉠에 대입하면
4(1-cos x) 4(1-cos x)(1+cos x) 4(1-cos¤ x)
lim = lim = lim
x ⁄0 x¤ x ⁄0 x¤ (1+cos x) x ⁄0 x¤ (1+cos x)

sin x ¤ 1
= lim [4_{ }_
x ⁄0
]
x 1+cos x

=4_1¤ _;2!;=2

∴ b=2

정답 a=4, b=2

보충 설명
g(x) (x+a)
함수 f(x)=[ 가 x=a에서 연속이면 lim g(x)=a입니다.
a (x=a) x ⁄a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려면 함숫값 f(a)가 정의되고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며, 함숫값과 극한값이
x ⁄a

같아야 합니다. 즉, lim f(x)=f(a)이어야 합니다.


x ⁄a

19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6

( sin 3x
1112 (x+p)
04-1 함수 f(x)= { 2x-a 가 x=p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
9 b (x=p)
라. (단, b+0)

( 1-cos 2x
1112121 (x+0) 05
04-2 함수 f(x)= { ln(1+2x¤ ) 가 x=0에서 연속일 때, 상수 a의 값은?
9 a (x=0)

① ;4!; ② ;2!; ③1

④2 ⑤4

( e¤ ≈ +sin 4x-a
11121111 (x>0)
04-3 함수 f(x)= { 3x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
9 b (x…0)
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4-1 `a=2p, b=-;2#; 04-2 `③ 04-3 `3

05 삼각함수의 미분 19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형에서의 삼각함수의 극한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 중심각의 크

05 기가 h인 부채꼴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라고 할 때,` h`lim
r
의 값을 구하여라.
1

`⁄0+ h
r
h

접근 방법

부채꼴의 중심각을 이등분하는 직선이 원의 중심을 지나므로 각 ;2Ω;와 반지름의 길이 r 사이의 관계식을

찾고, r를 h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삼각함수의 극한을 이용합니다.

보조선을 그어 각의 크기와 반지름의 길이 사이의 관계식을 찾는다.

상세 풀이

오른쪽 그림에서
r 1
sin ;2Ω;= , (1-r)sin ;2Ω;=r 1-r
r
1-r
r
{1+sin ;2Ω;} r=sin ;2Ω;
h
sin ;2Ω; 2
∴ r= 11251535
1+sin ;2Ω;

따라서 구하는 극한값은

sin ;2Ω; sin ;2Ω;


= lim 1125153513 = lim ª ;2!;_ 11233 _ 11251235 º
r 1
lim
h ⁄0+ h h ⁄0+ h ⁄0+
h {1+sin ;2Ω;} ;2Ω ; 1+sin ;2Ω;

1
=;2!;_1_ =;2!;
1+0
정답 ;2!;

보충 설명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h(라디안)인 부채꼴의 호의 길이 l과 넓이 S는 l
l=rh
S
S=;2!;r¤ h=;2!;rl
h
입니다. r

20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7

05-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 중심각의 크기가 2 h


인 부채꼴에 내접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넓이를
1
S
S라고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h ⁄0+ h¤
r
2h

05-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각의 크기가 h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 인 부채꼴 AOB가 있다. 부채꼴의 호 AB의 길이를 a, 삼각
A B
05
형 AOB에 내접하는 원의 둘레의 길이를 b라고 할 때,`
b r
lim 의 값을 구하여라.
h ⁄0+ a
h

05-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O 위의 세 점 A

A , B, C 에 대하여 원의 중심 O는 삼각형 ABC의 외부에 h


있다. AB”=AC” 이고 ∠BAC=h 일 때, 삼각형 ABC 의 r(h)
B C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h )라고 하자.
O
r(h) q
lim = 일 때, p¤ +q¤ 의 값을 구하여라.
h ⁄p- (p-h)¤ p
(단, p와 q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05-1 `p 05-2 `p 05-3 17

05 삼각함수의 미분 20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형에서의 삼각함수의 극한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C'

06 ABCD를 점 A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h만


큼 회전시킨 정사각형을 AB'C'D'이라 하고, 두 변
D'
D
E
B'
C

B'C', CD의 교점을 E라고 하자. 삼각형 B'ED의

넓이를 S(h)라고 할 때, lim 115553333 의 값을 구


S(h) h
A B
h ⁄;2“;- {;2“;- }‹
h

하여라. {단, 0<h<;2“;}

접근 방법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용하여 S(h)를 삼각함수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치환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
합니다.

도형에서의 삼각함수의 극한 Δ lim


sin x tan x
=1, lim =1
x ⁄0 x x ⁄0 x

상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EAD=a라고 하면 h+2a=;2“;이고 h ⁄;2“;-일 때 C'


tana
a ⁄0+입니다. D
E
C
tana
이때, 삼각형 AED에서 DE”=tan a, 삼각형 AB'E에서 B'E”=tan a, D'
B'
p-2a
∠DEB'=p-2a입니다. a
삼각형 B'ED의 넓이 S(h)는 h
B
A
S(h)=;2!;_DE”_B'E”_sin (p-2a)=;2!; tan¤ a sin 2a

;2!; tan¤ a sin 2a


∴ lim 115553333355 = lim 11111231
S(h)
a ⁄0+
h ⁄;2“;- {;2“;-h}‹ (2a)‹

tan a ¤ sin 2a
∴ =;1¡6; lim [{ }_ _2]
a ⁄0+ a 2a

∴ =;1¡6;_1¤ _1_2=;8!;

정답 ;8!;

보충 설명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2!;ab sin C=;2!;bc sin A=;2!;ca sin B

20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08

06-1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ABCD를 C'


점 A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h만큼 회전시킨 정사각
E
D C
형을 AB'C'D'이라 하고, 두 변 B'C', CD의 교점을 E라고
B'
D'
하자. 사각형 AB'ED에 내접하는 원의 넓이를 S(h)라고 할

때, lim 1111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h<;2“;}


S(h) h
h ⁄;2“;-
B
{;2“;-h}¤
A

06-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마름모 ABCD가 있다. D C

점 C에서 선분 AB의 연장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점 E에서 F 05


선분 AC에 내린 수선의 발을 F, 선분 EF와 선분 BC의 교점
G
을 G라고 하자. ∠BAC=h일 때, 삼각형 BEG의 넓이를
h
A E
S(h) 1 B
S(h)라고 하자. lim 의 값은? {단, 0<h<;4“;}
⁄ h 0+ h

① ;4!; ② ;2!; ③1

④ ;2#; ⑤2

06-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ABC를 꼭 C'


C
짓점 A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h만큼 회전시킨 삼각
F
형을 AB'C'이라 하고, 두 변 AB', BC의 교점을 D, 두 변 E
r(h)
B'C', BC의 교점을 E, 두 변 B'C', AC의 교점을 F라고 하 B'
자. 사각형 ADEF에 내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h)라 D
h
고 할 때, lim 111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h<;3“;}
r(h) A B

h ⁄;3“;-
;3“;-h

06-1 `p 06-2 ③ 06-3 ;2!;

05 삼각함수의 미분 20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함수 y=sin x의 도함수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는


f(x+Dx)-f(x) f(x+h)-f(x)
f'(x)= lim = lim
Dx ⁄0 Dx h ⁄0 h
입니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극한을 이용하면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함수 y=sin 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함수 y=sin x에서
sin(x+h)-sin x
lim
h ⁄0 h
sin x cos h+cos x sin h-sin x
= lim ← sin(x+h)=sin x cos h+cos x sin h
h ⁄0 h
cos x sin h-sin x(1-cos h)
= lim
h ⁄0 h
sin h 1-cos h
=cos x_ lim -sin x_ lim
h ⁄0 h h ⁄0 h
1-cos h (1-cos h)(1+cos h) 1-cos¤ h
=cos x_1-sin x_0 ← lim
h ⁄0 h
= lim
h ⁄0 h(1+cos h)
= lim
h ⁄0 h(1+cos h)

=cos x ← = lim
sin¤ h
= lim sinh_ lim
sin h
_ lim
1
h ⁄0 h(1+cos h) h ⁄0 h ⁄0 h h ⁄0 1+cos h

입니다. ← =0_1_;2!;=0
따라서 함수 y=sin x는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는
sin(x+h)-sin x d
(sin x)'= lim =cos x, 즉 sin x=cos x
h ⁄0 h dx
입니다.

함수 y=sin x의 도함수

함수 y=sin x의 도함수는
d
(sin x)'=cos x, 즉 sin x=cos x
dx

20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다음 함수를 미분해 봅시다.
⑴ y=2x+sin x
y'=(2x+sin x)'=(2x)'+(sin x)'=2+cos x
⑵ y=x sin x
y'=(x sin x)'=(x)'_sin x+x_(sin x)'=sin x+x cos x

2 함수 y=cos x의 도함수

함수 y=sin x의 도함수를 구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함수 y=cos 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함수 y=cos x에서 05
cos(x+h)-cos x
lim
h ⁄0 h
cos x cos h-sin x sin h-cos x
= lim ← cos (x+h)=cos x cos h-sin x sin h
h ⁄0 h
cos x(cos h-1)-sin x sin h
= lim
h ⁄0 h
cos h-1 sin h
=cos x_ lim -sin x_ lim
h ⁄0 h h ⁄0 h
cos h-1 sin h
=cos x_0-sin x_1 ← lim
h ⁄0 h
=0, lim
h ⁄0 h
=1

=-sin x
입니다.
따라서 함수 y=cos x는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는
cos(x+h)-cos x d
(cos x)'= lim =-sin x, 즉 cos x=-sin x
h ⁄0 h dx
입니다.

함수 y=cos x의 도함수

함수 y=cos x의 도함수는
d
(cos x)'=-sin x, 즉 cos x=-sin x
dx

함수 y=sin x, y=cos x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다.

05 삼각함수의 미분 20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다음 함수를 미분해 봅시다.
⑴ y=x¤ +cos x
y'=(x¤ +cos x)'=(x¤ )'+(cos x)'=2x-sin x
⑵ y=x cos x
y'=(x cos x)'=(x)'_cos x+x_(cos x)'=cos x-x sin x

함수 y=tan x의 도함수

함수 y=tan x의 도함수는 06 여러 가지 미분법에서 몫의 미분법을 배운 후 다룹니다. 그


러나 몫의 미분법을 배우기 전에도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극한을 이용하면 도함수의 정
의에 의하여 함수 y=tan x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 y=tan x에서
tan(x+h)-tan x
lim
h ⁄0 h

11111144-tan x
tan x+tan h
= lim 11141112114444444
1-tan x tan h tan x+tan h
← tan(x+h)=
h ⁄0 h 1-tan x tan h

(tan x+tan h)-tan x(1-tan x tan h)


= lim
h ⁄0 h(1-tan x tan h)
tan h+tan¤ x tan h
= lim
h ⁄0 h(1-tan x tan h)
(1+tan¤ x)tan h
= lim
h ⁄0 h(1-tan x tan h)
tan h 1
=(1+tan¤ x) lim { _
h ⁄0
}
h 1-tan x tan h
tan h 1
=(1+tan¤ x)_ lim _ lim
h ⁄0 h h ⁄0 1-tan x tan h

tan h 1 1
=(1+tan¤ x)_1_1 ← lim
h ⁄0 h
=1, lim tan h=0이므로 lim
h ⁄0 h ⁄0 1-tan x tan h
=
1-0
=1

=sec¤ x ← 1+tan¤ x=sec¤ x (p.221 참고)

따라서 함수 y=tan x는 x+np+;2“; (`n은 정수)인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

수는
tan (x+h)-tan x d
(tan x)'= lim =sec¤ x, 즉 tan x=sec¤ x
h ⁄0 h dx
입니다.

20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x-2 sin x ⑵ y=x¤ sin x
⑶ y=ex+sin x ⑷ y=ln x+3 sin x

2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3x-2 cos x ⑵ y=x¤ cos x
⑶ y=ex-cos x ⑷ y=2 ln x+5 cos x

3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3 sin x-cos x ⑵ y=sin x cos x
05
4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상수 c의 값을 구하여라.
⑴ `f(x)=sin x [0, 2p] ⑵ g(x)=cos x [0, 2p]

풀이 1 ⑴ y '=(x-2 sin x)'=(x)'-(2 sin x)'=1-2 cos x


⑵ y '=(x¤ sin x)'=(x¤ )'_sin x+x¤ _(sin x)'=2x sin x+x¤ cos x
⑶ y '=(ex+sin x)'=(ex)'+(sin x)'=ex+cos x

⑷ y '=(ln x+3 sin x)'=(ln x)'+(3 sin x)'=;[!;+3 cos x

2 ⑴ y '=(3x-2 cos x)'=(3x)'-(2 cos x)'=3+2 sin x


⑵ y '=(x¤ cos x)'=(x¤ )'_cos x+x¤ _(cos x)'=2x cos x-x¤ sin x
⑶ y '=(ex-cos x)'=(ex)'-(cos x)'=ex-(-sin x)=ex+sin x

⑷ y '=(2 ln x+5 cos x)'=(2 ln x)'+(5 cos x)'=;[@;-5 sin x

3 ⑴ y '=(3 sin x-cos x)'=(3 sin x)'-(cos x)'=3 cos x-(-sin x)=3 cos x+sin x
⑵ y '=(sin x cos x)'=(sin x)'cos x+sin x(cos x)'=cos x_cos x+sin x_(-sin x)=cos¤ x-sin¤ x

4 ⑴ `f(x)=sin x는 닫힌구간 `[0, 2p]에서 연속, 열린구간 (0, 2p)에서 미분가능하고, f(0)=f(2p)=0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f '(c)=0인 c가 열린구간 (`0, 2p)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f '(x)=(sin x)'=cos x이므로

`f '(c)=cos c=0에서 c=;2“; 또는 c=;2#;p (∵ 0<c<2p)

⑵ g(x)=cos x는 닫힌구간 `[0, 2p]에서 연속, 열린구간 (0, 2p)에서 미분가능하고, g(0)=g(2p)=1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g '(c)=0인 c가 열린구간 (0, 2p)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이때, g '(x)=(cos x)'=-sin x이므로
g'(c)=-sin c=0에서 c=p (∵ 0<c<2p)

05 삼각함수의 미분 20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미분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07 ⑴ y=2 sin x+3 cos x ⑵ y=cos¤ x ⑶ y=e≈ sin x

접근 방법

⑵`에서는 (cos x)¤ =cos x_cos x이므로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를 미분합니다.
⑶`에서는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를 미분합니다. 이때, (e≈ )'=e≈ 임을 이용합니다.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한다.

상세 풀이

⑴ y=2 sin x+3 cos x에서


y '=(2 sin x+3 cos x)'=(2 sin x)'+(3 cos x)'
=2 cos x+(-3 sin x)
=2 cos x-3 sin x
⑵ y=cos¤ x=cos x_cos x에서
y '=(cos x_cos x)'
=(cos x)'_cos x+cos x_(cos x)'
=(-sin x)_cos x+cos x_(-sin x)
=-2 sin x cos x
⑶ y=e≈ sin x에서
y '=(e≈ sin x)'
=(e≈ )'sin x+e≈ (sin x)'
=e≈ sin x+e≈ cos x
=e≈ (sin x+cos x)

정답 ⑴ y '=2 cos x-3 sin x ⑵ y '=-2 sin x cos x ⑶ y '=e≈ (sin x+cos x)

보충 설명
⑵`에서 곱의 미분법 대신 06 여러 가지 미분법에서 배울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
니다.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합성함수 y=f( g(x))의 도함수는 y '=f '( g(x))g '(x)이므로
y=cos¤ x=(cos x)¤ 에서
y '=2(cos x)¤ —⁄ _(cos x)'=2 cos x_(-sin x)=-2 sin x cos x
입니다.

20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10

07-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sin¤ x ⑵ y=e≈ cos x ⑶ y=sin x ln x

f {;3“;+h}-f {;3“;-h}
07-2 함수` f(x)=sin x(sin x+cos x)에 대하여 lim 1111111112 의 값은? 05
h ⁄0 h

① '3-1 ② 2'3-1 ③ '3+1


④ 2'3+1 ⑤ 2'3+2

07-3 곡선 y=e≈ sin x 위의 점 (x, e≈ sin 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f(x)라고 할 때,


f(x)-f(p)
lim 의 값을 구하여라.
x ⁄p x-p

07-1 `⑴ y '=2 sin x cos x ⑵ y '=e≈ (cos x-sin x) ⑶ y '= 113111111


x cos x ln x+sin x
x
07-2 `①
p
07-3 -2e

05 삼각함수의 미분 20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미분가능성

a cos x (xæ0)
함수 f(x)=[ 이 x=0 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08 값을 각각 구하여라.
x¤ +bx+1 (x<0)

접근 방법

함수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x=0에서 연속임을 이용하고, 미분계수 f '(0)이 존재하므
로 연속성과 미분계수에 대한 등식을 각각 세워 봅니다.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하면 x=a에서 연속이고 f '(a)가 존재한다.

상세 풀이

함수 f(x)가 x=0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f(x)는 x=0에서 연속입니다. 즉,


lim f(x)=f(0)= lim f(x), a= lim (x¤ +bx+1) ∴ a=1
x ⁄0+ x ⁄0- x ⁄0-

또한 x=0에서의 미분계수 f '(0)이 존재하므로


f(x)-f(0) f(x)-f(0)
lim = lim
x ⁄0+ x-0 x ⁄0- x-0
cos x-1 (x¤ +bx+1)-1
lim = lim yy ㉠
x ⁄0+ x x ⁄0- x
이때, ㉠의 좌변은
cos x-1 (cos x-1)(cos x+1) -sin¤ x
lim = lim = lim
x ⁄0+ x x ⁄0+ x(cos x+1) x ⁄0+ x(cos x+1)

sin x 1
= lim _ lim (-sin x)_ lim =1_0_;2!;=0
x ⁄0+ x x ⁄0+ x ⁄0+ cos x+1

한편, ㉠의 우변은
(x¤ +bx+1)-1 x¤ +bx x(x+b)
lim = lim = lim
x ⁄0- x x ⁄0- x x ⁄0- x
= lim (x+b)=b
x ⁄0-

∴ b=0

정답 a=1, b=0
보충 설명
a cos x
(xæ0)
위의 문제에서 함수 f(x)=[ 이 x=0에서 연속이므로 a=1이고, 함수 f(x)가 x=0에서
x¤ +bx+1 (x<0)
-a sin x (x>0)
미분가능하므로 f '(x)=[ 에서 0=b와 같이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지 않고
2x+b (x<0)
lim f '(x)= lim f '(x)임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쉽게 정할 수도 있습니다.
x ⁄ 0+ x ⁄ 0-

21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11

x¤ +bx+2 (x<0)
08-1 함수 f(x)=[ 이 x=0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sin x+ae≈ (xæ0)
구하여라.

x¤ +3x+a (xæ0)
08-2 함수 f(x)=[ 가 x=0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대하여
05
cos x+bx (x<0)
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 a tan x+1 {0<x<;4“;}


08-3 함수 f(x)= { 가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할 때,
9 2e
x-;4“;
+b {xæ;4“;}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08-1 `a=2, b=3 08-2 ③ 08-3 a=1, b=0

05 삼각함수의 미분 21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1
⑴ lim x sin ⑵ lim x sin ;[!;
x ⁄0 x¤ x ⁄¶

cos 2x
⑶ lim sin x cos ;[!; ⑷ lim
x ⁄0 x ⁄¶ x

05- 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2 1 sec 2h-1
⑴ lim { - ⑵ lim
h ⁄0
}
sin¤ h 1-cos h h ⁄0 sec h-1
sin 2x+4 sin x tan x-sin x
⑶ lim ⑷ lim
x ⁄0 3x x ⁄0 x‹

05- 3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sin(1-cos x) sin(3x‹ +5x¤ +4x)


⑴ lim `⑵ lim
x ⁄0 x¤ x ⁄0 2x‹ +2x¤ +x

05- 4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x¤ -a 'ƒa+c∂o∂s x-b
⑴ lim =b ⑵ lim =;8!;
x ⁄0 1-cos 5x x ⁄p (x-p)¤

· 2 sin x-a
M x-;2“;
함수 f(x)= {
{x+;2“;}
05- 5 M
가 x=;2“;에서 연속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ª
b {x=;2“;}

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21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2 | 풀이집 p.112

05-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부채꼴에서 길이가 각각 l,


a
l

2l인 두 호에 대한 현의 길이가 각각 a, b일 때, lim 1333335 의 값


2a+b
l ⁄0+ l 2l
b
을 구하여라.

05-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3, AC”=2인 삼각형 ABC가 있다. A

선분 BC 위에 ∠PAB=2h, ∠PAC=h 가 되도록 점 P를 3 2h


h 2
잡을 때,` lim AP” 의 값을 구하여라.
h ⁄0+ 05
B P C

f {;2“;+h}-f {;2“;-h}
05- 8 함수 f(x)=x sin x에 대하여 lim 11111113112 의 값을 구하여라.
h ⁄0 h

a sin x+2 cos x (xæ0)


05- 9 함수 f(x)=[
be≈ (x<0)
이 x=0에서 미분가능할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5- 10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h이고 세 변의 길이가 3인 등변사 A D

다리꼴 ABCD의 넓이를 f(h)라고 할 때, f'{;2“;}의 값을 구하여 3 3


h
라. B C
3

05 삼각함수의 미분 2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sin 4x tan 6x
⑴ lim ⑵ lim
x ⁄0 e¤ ≈ -1 x ⁄0 ln(1-2x)
1-cos x
⑶ lim {ln (x sin x)-ln (1-cos x)} ⑷ lim
x ⁄0 x ⁄0 x ln(1+x)

05- 12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124124
1
⑴ lim (1+sin x)cot x ⑵ lim (1-2x‹ ) x¤ sin x
x ⁄0 x ⁄0

05- 13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단, b+0)

sin 7x b 2≈ -1
⑴ lim = ⑵ lim =b ln 2
x ⁄0 2≈ ±⁄ -a 2 ln 2 x ⁄a 3 sin(x-a)

함수 f(x)가 lim 1133333333 =4를 만족시킬 때, 자연수 n에 대하여


f(x)
05- 14 x ⁄0 1-cos x¤

lim 1133 =a (a+0)이다. n+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f(x)
x ⁄0 x«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lim 1333335555114 =4일 때, f(1)+f'(1)의 값을 구하여


f(cos x)-2
05- 15 x ⁄0 x¤
라.

21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2 | 풀이집 p.118

05- 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2 인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 C


E
는 반원의 호 위의 점 C 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내접원
의 중심을 O, 점 O 에서 변 AB 와 변 BC 에 내린 수선의 O

발을 각각 D, E 라고 하자. ∠ABC=h 라 하고, 호 AC h


A D B
2
의 길이를 l¡, 호 DE 중에서 짧은 것의 길이를 l™라고 할

때, lim 155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h<;2“;}



h ⁄0+ l™

수능

05-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C=∠ACB=h 이고 `BC”=2 인 A

삼각형 ABC가 있다.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중심을 O, 두


변 AB, AC와 내접원이 만나는 점을 각각 D, E라고 하자.
D E 05
O
삼각형 OED의 넓이를 S(h)라고 할 때, `lim 1333555 의 값을
S(h)
h ⁄0+
h h
h‹ B C
2
구하여라.

05- 1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각의 크기가 ;2“; B

인 부채꼴 OAB가 있다. 호 AB 위의 점 P에 대하여 점 B에서


선분 OP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고 하자. ∠BOP=h라 하고,
P
호 AB와 두 선분 BQ, PQ에 모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h Q
r(h)라고 할 때, lim 1333554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h<;2“;}
r(h)
O A
h ⁄0+ h¤ 1

challenge

함수 f(x)=cos x에 대하여 `g(x)=lim 13111333355551141114 일 때, ¡ g {;4N;p}의


f(x+h)+f(x-h)-2 f(x)
05- 19 h ⁄0 h sin h
4

n=1

값을 구하여라.

challenge
x¤ sin ;[!; (x+0)
05- 20 함수 f(x)= [
0 (x=0)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의 x=0에서의 연속성을 조사하여라.


⑵ 함수 `f(x)의 x=0에서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여라.

05 삼각함수의 미분 2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01 함수의 몫의 미분법 219
예제
02 합성함수의 미분법 228
예제
03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242
예제
04 음함수의 미분법 246
예제
05 역함수의 미분법 252
예제
06 이계도함수 260
예제
기본 다지기 264
실력 다지기 266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물리학의 속도, 화학의 반응률, 생물학의 혈액의 속도, 경제
학의 한계 비용 등은 미분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되는 함수들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이 함수들의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미분법을 알아야
합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함수의 몫, 합성함수,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음함수, 역함수의 미분법에 대하여 알아보도
록 합시다. 또한 이계도함수에 대해서도 공부하겠습니다.

01 함수의 몫의 미분법 01 함수의 몫의 미분법 224


함수의 몫을 미분할 수 있다. 02 삼각함수의 도함수 226

02 합성함수의 미분법 03 합성함수의 미분법 236


합성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04 함수 y=x® (`r는 유리수)의 미분법 238

05 로그미분법 240

03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06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244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04 음함수의 미분법 07 음함수의 미분법 250


음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05 역함수의 미분법 08 역함수의 미분계수 256


역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09 역함수의 미분법 258

06 이계도함수 10 이계도함수 262


이계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 여러 가지 미분법

01 함수의 몫의 미분법

두 함수 f(x), g(x) (g(x)+0)가 미분가능할 때


f(x) ' f'(x)g(x)- f(x)g '(x)
[ ]=
g(x) { g(x)}¤

02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는


dy dy du
= _ 또는 y '=f'(g(x))g '(x)
dx du dx

03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t)+0이면

12
dy
= 11 =
dy dt g '(t)
12
dx dx f '(t)
dt

04 음함수의 미분법

⑴ x에 대한 함수 y가 f(x, y)=0 꼴로 주어질 때, y를 x의 음함수 표현이라고 한다.


⑵ 음함수의 미분법
x에 대한 함수 y가 음함수 f(x, y)=0 꼴로 주어졌을 때,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각 항을
dy
x에 대하여 미분하여 를 구한다.
dx

05 역함수의 미분법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1(x)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dy 1 1 dx
= 또는 ( f -1)'(x)= {단, +0, f '(y)+0}
dx dx f '(y) dy
dy

06 이계도함수
함수 f(x)의 도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 f(x)의 이계도함수는
f'(x+Dx)-f'(x)
f"(x)= lim
Dx ⁄0 Dx

21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수학`Ⅱ 03 미분계수와 도함수에서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에 대하여 공부했습니다.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⑴ y=c f(x)이면 y'=c f'(x) (단, c는 상수)
⑵ y=f(x)—g(x)이면 y'=f'(x)—g '(x) (복부호동순)
⑶ y=f(x)g(x)이면 y'=f'(x)g(x)+f(x)g '(x)

2x+3
이때, 위의 미분법으로는 유리함수 y= 과 같은 분수 꼴의 함수는 미분할 수 없습니
x-1
다. 지금부터 분수 꼴의 함수를 미분하는 방법인 함수의 몫의 미분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06

1 함수의 몫의 미분법
f(x)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두 함수 f(x), g(x) (g(x)+0)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 y=
g(x)
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f(x+Dx) f(x) f(x+Dx)g(x)-f(x)g(x+Dx)
Dy= - =
g(x+Dx) g(x) g(x+Dx)g(x)
f(x+Dx)g(x)-f(x)g(x)-f(x)g(x+Dx)+f(x)g(x)
Dy= ← 분자에 f(x)g(x)
g(x+Dx)g(x) 를 빼고 더합니다.
{ f(x+Dx)-f(x)} g(x)-f(x){ g(x+Dx)-g(x)}
Dy=
g(x+Dx)g(x)
Dy
∴ y'= lim
Dx ⁄0 Dx
{ f(x+Dx)-f(x)} g(x)-f(x){ g(x+Dx)-g(x)}
∴ y'= lim
Dx ⁄0 Dx_g(x+Dx)g(x)

lim 11111111_g(x)-f(x) lim 11111111


f(x+Dx)-f(x) g(x+Dx)-g(x)
Dx ⁄0 Dx ⁄0
∴ y'= 111111111111111111111111122
Dx Dx
g(x) lim g(x+Dx)
Dx ⁄0

06 여러 가지 미분법 2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때, 두 함수 f(x), g(x)는 미분가능하므로
f(x+Dx)-f(x) g(x+Dx)-g(x)
lim =f'(x), lim =g '(x)
Dx ⁄0 Dx Dx ⁄0 Dx
lim g(x+Dx)=g(x) ← 함수 g(x)가 미분가능하므로 연속입니다.
Dx ⁄0

입니다. 따라서
f(x) ' f'(x)g(x)-f(x)g '(x)
y '=[ ]= yy ㉠
g(x) { g(x)}¤
입니다.
1
특히, f(x)=1인 경우에는 f'(x)=0이므로 이를 ㉠에 대입하면 함수 y= 의 도함수는
g(x)
1 g '(x)
y '=[ ]'=-
g(x) {g(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매번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해서 미분하는 것은 복잡하고 시간
이 많이 걸리므로 마지막에 얻은 결과를 공식화하여 기억하도록 합시다.
2x+3
앞에서 언급한 유리함수 y= 의 도함수를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해 보면
x-1
다음과 같습니다.
2 1
2x+3 ' (2x+3)'(x-1)-(2x+3)(x-1)' 5
y '={ }= =-
x-1 (x-1)¤ (x-1)¤

함수의 몫의 미분법

두 함수 f(x), g(x) ( g(x)+0)가 미분가능할 때


f(x) f'(x)g(x)-f(x)g '(x) 1 g '(x)
1 y= g(x) 이면 y '= 2 y= g(x) 이면 y '=-
{ g(x)}¤ {g(x)}¤

Example 1 (e≈ +1)' e≈


함수 y= 을 미분하면 y '=- =-
e≈ +1 (e≈ +1)¤ (e≈ +1)¤

2 삼각함수의 도함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동경 OP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h라고 할 때, y

r
y x y y
sin h= , cos h= , tan h= (x+0)임을 수학Ⅰ 06 삼각함 P(x, y)
r r x h
-r x O r x
수에서 배웠습니다.
-r

22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때, 각 h에 대하여 sin h, cos h, tan h의 역수로 정의되는 함수를 차례대로 h에 대한 코시
컨트함수, 시컨트함수, 코탄젠트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1 1 1
csc h= =;]R; (`y+0), sec h= =;[R; (`x+0), cot h= =;]{; (`y+0)
sin h cos h tan h
와 같이 나타냅니다.
한편,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인 1+tan¤ h=sec¤ h, 1+cot¤ h=csc¤ h도 성립합니다.
cos¤ h+sin¤ h=1 yy★에서
★`의 양변을 cos¤ h로 나누면 1+tan¤ h=sec¤ h이고,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의 양변을 sin¤ h로 나누면 cot¤ h+1=csc¤ h

1 삼각함수의 역수관계
1 1 1
csc h= , sec h= , cot h=
sin h cos h tan h
2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cos¤ h+sin¤ h=1, 1+tan¤ h=sec¤ h, 1+cot¤ h=csc¤ h
06

삼각함수 y=sin x, y=cos x의 도함수와 앞에서 배운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⑴ y=tan x의 도함수
sin x
tan x= 이므로 함수의 몫의 미분법에 의하여
cos x
sin x ' (sin x)'cos x-sin x(cos x)' f(x) ' f'(x)g(x)-f(x)g'(x)
y '={ }= ←[ ]=
cos x cos¤ x g(x) {g(x)}¤

cos¤ x+sin¤ x 1
y '= = =sec¤ x ← (sin x)'=cos x, (cos x)'=-sin x
cos¤ x cos¤ x ← cos¤ x+sin¤ x=1
⑵ y=csc x의 도함수
1
csc x= 이므로 함수의 몫의 미분법에 의하여
sin x
1 (sin x)'
}'=- 1 ' g '(x)
y '={ ←[ ] =-
sin x sin¤ x g(x) {g(x)}¤

cos x 1 cos x
y '=- =- _ =-csc x cot x ← (sin x)'=cos x
sin¤ x sin x sin x
cos x
← =cot x
⑶ y=sec x의 도함수 sin x

1
sec x= 이므로 함수의 몫의 미분법에 의하여
cos x

06 여러 가지 미분법 2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cos x)'
}'=- 1 ' g '(x)
y '={ ←[ ] =-
cos x cos¤ x g(x) {g(x)}¤

sin x 1 sin x sin x


y '= = _ =sec x tan x ← (cos x)'=-sin x, =tan x
cos¤ x cos x cos x cos x

⑷ y=cot x의 도함수
cos x
cot x= 이므로 함수의 몫의 미분법에 의하여
sin x
cos x ' (cos x)'sin x-cos x(sin x)' f(x) ' f'(x)g(x)-f(x)g '(x)
y '={ }= ←[ ]=
sin x sin¤ x g(x) {g(x)}¤

-(sin¤ x+cos¤ x) 1
y '= =- =-csc¤ x ← (cos x)'=-sin x, (sin x)'=cos x
sin¤ x sin¤ x sin¤ x+cos¤¤ x=1

지금까지 구한 삼각함수의 도함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각함수의 도함수

1 (sin x)'=cos x, (cos x)'=-sin x, (tan x)'=sec¤ x


2 (csc x)'=-csc x cot x, (sec x)'=sec x tan x, (cot x)'=-csc¤ x

Example 함수 y=2 tan x-3 cot x를 미분하면


y '=2 sec¤ x-3(-csc¤ x)=2 sec¤ x+3 csc¤ x

3 함수 y=x« (n은 정수)의 도함수

n이 양의 정수일 때, 함수 y=x« 의 도함수가 y '=nxn-1임은 이미 배워서 알고 있습니다. 이


제 n이 0 또는 음의 정수일 때, 함수 y=x« (x+0)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1
n이 음의 정수일 때, n=-m으로 놓으면 m은 양의 정수이고 x« =x—μ = 이므로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1 ' (xμ )' mxμ —⁄
y '=(x« )'=(x—μ )'={ } =- =-
xμ (xμ )¤ x¤ μ
y '=-mx-m-1=(-m)x(-m)-1=nxn-1
입니다.

22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또한 n=0일 때, y=x‚ =1이고 y '=0=0_x‚ —⁄ 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y '=nxn-1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함수 y=x« (x+0)의 도함수는 y '=nxn-1입니다.

함수 y=x« (n은 정수)의 도함수

n이 정수일 때, y=x« 이면 y '=nxn-1 (단, x+0)

Example 1
⑴ 함수 y= 을 미분하면
x›
1 4
y '={ }'=(x—› )'=-4x-4-1=-4x-5=-
x› xfi
x¤ +1
⑵ 함수 y= 을 미분하면
x›
x¤ +1 ' 06
y '={ } =(x-2+x-4)'=-2x-2-1+(-4)x-4-1
x›
2 4 2x¤ +4
y '=-2x-3-4x-5=- - =-
x‹ xfi xfi

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1 sin x x‹ +1
⑴ y= ⑵ y= ⑶ y=
x¤ +2 x xfi

2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1
⑴ y=sec x-2 csc x ⑵ y=csc x-cot x ⑶ y=
sec x+1

(x¤ +2)' 2x
풀이 1 ⑴ y '=- (x¤ +2)¤ =- (x¤ +2)¤
(sin x)'x-sin x_(x)' x cos x-sin x
⑵ y '= =
x¤ x¤
2 5 2x‹ +5
⑶ y '={ x‹ +1 }'=(x—¤ +x—fi )'=-2x-2-1+(-5)x-5-1=-2x—‹ -5x—fl =- - =-
xfi x‹ xfl xfl

2 ⑴ y '=sec x tan x-2(-csc x cot x)=sec x tan x+2 csc x cot x


⑵ y '=-csc x cot x-(-csc¤ x)=-csc x(cot x-csc x)
(sec x+1)' sec x tan x
⑶ y '=- =-
(sec x+1)¤ (sec x+1)¤

06 여러 가지 미분법 2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의 몫의 미분법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01 ⑴ y=
2x-1
3x+2
⑵ y=
x-1
xfi
1 x
⑶ y= ⑷ y=
x¤ +3x-1 x¤ +1

접근 방법

f(x)
y= (g(x)+0) 꼴로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때에는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합니다. 또
g(x)
한 n 이 정수일 때, y=x« (x+0)의 도함수는 y '=nx« —⁄ 임을 이용하면 경우에 따라 함수의 몫의 미분법
보다 쉽게 도함수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 211 ]'= 111111111311 (단, g(x)+0)


f(x) f '(x)g (x)-f(x)g '(x)
g(x) { g(x)}¤

상세 풀이

(2x-1)'(3x+2)-(2x-1)(3x+2)' 2(3x+2)-3(2x-1) 7
⑴ y '= = =
(3x+2)¤ (3x+2)¤ (3x+2)¤
x-1 1 1
⑵ y= = - =x—› -x—fi 이므로
xfi x› xfi
4 5 4x-5
y '=-4x—› —⁄ -(-5)x—fi —⁄ =-4x—fi +5x—fl =- + =-
xfi xfl xfl
(x¤ +3x-1)' 2x+3
⑶ y '=- =-
(x¤ +3x-1)¤ (x¤ +3x-1)¤
(x)'(x¤ +1)-x(x¤ +1)' x¤ +1-x_2x 1-x¤
⑷ y '= = =
(x¤ +1)¤ (x¤ +1)¤ (x¤ +1)¤

7 4x-5 2x+3 1-x¤


정답 ⑴ y'= ⑵ y'=- ⑶ y'=- ⑷ y'=
(3x+2)¤ xfl (x¤ +3x-1)¤ (x¤ +1)¤

보충 설명
함수의 몫의 미분법은 다음과 같이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성립함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112 ]'=[ f(x)_ 112 ]'=f '(x)_ 112 +f(x)_[ 112 ]'
f(x) 1 1 1
g(x) g(x) g(x) g(x)

]'= 1123 +f(x)_ 11123 = 11111111222323


f '(x) -g '(x) f '(x)g(x)- f(x)g '(x)
[
g(x) { g(x)}¤ { g(x)}¤

22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5

01-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x+2 x‹ +3x¤ +1
⑴ y= ⑵ y=
4x-3 x‡

1 2x‹
⑶ y= ⑷ y=
x‹ +x¤ +1 x¤ +1

2x+a f(1+h)-f(1)
01-2 함수 f(x)=
x-2
에 대하여 lim
h ⁄0 h
=-7일 때, 상수 a의 값은?

① -3 ② -1 ③1
06
④3 ⑤5

g(x)-1
01-3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
g(x)+1
이고, f '(1)=2, g '(1)=4

일 때, g(1)의 값을 구하여라. (단, g(x)>-1)

11 4x‹ +15x¤ +7
01-1 `⑴ y'=- ⑵ y'=-
(4x-3)¤ x°
3x¤ +2x 2x› +6x¤
01-1 `⑶ y'=- ⑷ y'=
(x‹ +x¤ +1)¤ (x¤ +1)¤
01-2 ④ 01-3 `1

06 여러 가지 미분법 22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도함수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02 ⑴ y=
sin x
x
⑵ y=
sin x
cos x+2
1-cos x sin x+cos x
⑶ y= ⑷ y=
1+cos x sin x-cos x

접근 방법

f(x) ' f '(x)g(x)-f(x)g '(x)


함수의 몫의 미분법 [ ]= 를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를 미분합니다.
g(x) { g(x)}¤

(sin x)'=cos x, (cos x)'=-sin x, (tan x)'=sec¤ x

상세 풀이

sin x ' cos x_x-sin x x cos x-sin x


⑴ y '={ }= =
x x¤ x¤
sin x ' cos x(cos x+2)-sin x(-sin x)
⑵ y '={ }=
cos x+2 (cos x+2)¤
cos¤ x+2 cos x+sin¤ x 2 cos x+1
⑵ y '= =
(cos x+2)¤ (cos x+2)¤
1-cos x ' sin x(1+cos x)-(1-cos x)(-sin x) 2 sin x
⑶ y '={ }= =
1+cos x (1+cos x)¤ (1+cos x)¤
sin x+cos x ' (cos x-sin x)(sin x-cos x)-(sin x+cos x)(cos x+sin x)
⑷ y '={ }=
sin x-cos x (sin x-cos x)¤
-(sin x-cos x)¤ -(sin x+cos x)¤ 2
⑵ y '= =-
(sin x-cos x)¤ (sin x-cos x)¤
2 2
⑵ y '=- =-
1-2 sin x cos x 1-sin 2x

x cos x-sin x 2 cos x+1 2 sin x 2


정답 ⑴ y '= ⑵ y '= ⑶ y '= ⑷ y '=-
x¤ (cos x+2)¤ (1+cos x)¤ 1-sin 2x

보충 설명
1-cos x x
⑶ =tan¤ 이므로 뒤에서 배울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미분하면
1+cos x 2
x ' x x 1 x x
{tan¤ } =2 tan _sec¤ _ =tan sec¤
2 2 2 2 2 2
'2 sin{x+;4“;}
= 11111112 =-tan{x+ }이므로 미분하면 [-tan{x+ }]'=-sec¤ {x+ }
sin x+cos x p p p

sin x-cos x 4 4 4
-'2 cos{x+;4“;}
이와 같이 삼각함수의 변형에 의하여 도함수가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음에 유의하도록 합니다.

22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5

02-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cos x cos x
⑴ y= ⑵ y=
x sin x+2

1-sin x sin x-cos x


⑶ y= ⑷ y=
1+sin x sin x+cos x

02-2 다음 함수의 x=0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ln (x+1) e≈ cos x
06
⑴ y= ⑵ y=
sec x+1 1+tan x

cos x p
02-3 함수 f(x)=
sin x+cos x
에 대하여 0…x… 에서 f '(x)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2

x sin x+cos x 2 sin x+1


02-1 `⑴ y'=- ⑵ y'=-
x¤ (sin x+2)¤
2 cos x 2
01-1 `⑶ y'=- ⑷ y'=
(1+sin x)¤ 1+sin 2x

02-2 `⑴ ;2!; ⑵ 0 02-3 `-;2!;

06 여러 가지 미분법 2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함수 y=(2x-3)‹ 의 도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학Ⅱ에서 배운 것과 같이 식을 전개한 다
음 미분해야 합니다. 즉,
y=(2x-3)‹ =8x‹ -36x¤ +54x-27
∴ y '=24x¤ -72x+54
그런데 다항함수의 차수가 조금만 높아져도 위와 같이 식을 전개한 후 미분하는 것은 여간 복
잡한 일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식을 전개하지 않고도 미분할 수 있는 방법인 합성함수의 미분법
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1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u=g(x)에서 x의 증분 Dx에 대한 u의 증분을 Du라 하고, y=f(u)에서 u의 증분 Du에 대
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Dy Dy Du
= _ (Du+0)
Dx Du Dx
입니다. 그런데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하므로
Dy dy Du du
lim = , lim =
Du ⁄0 Du du Dx ⁄0 Dx dx
입니다. 이때, 미분가능한 함수 u=g(x)는 연속이므로 Du=g(x+Dx)-g(x)에서 Dx ⁄0
이면 Du ⁄0입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합니다.
dy Dy Dy Du Dy Du
= lim = lim { _ }= lim _ lim
dx Dx ⁄0 Dx Dx ⁄0 Du Dx Dx ⁄0 Du Dx ⁄0 Dx

Dy Du dy du
= lim _ lim = _
Du ⁄0 Du Dx ⁄0 Dx du dx
dy du
여기서 =f'(u)=f'(g(x))이고 =g '(x)이므로
du dx
y '={ f(g(x))}'=f '(g(x))g '(x)
입니다.

22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함수 y=(2x-3)‹ 의 도함수를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해 봅시다.
함수 y=(2x-3)‹ 을 두 함수 y=f(u)=u‹ 과 u=g(x)=2x-3의 합성함수라고 하면
dy du
=3u¤ , =2
du dx
이므로
dy dy du
= _ =3u¤ _2=3(2x-3)¤ _2=6(2x-3)¤
dx du dx
입니다. 이것은 앞에서 식을 전개하여 구한 도함수 y '=24x¤ -72x+54와 같습니다.

합성함수의 미분법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는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dy
dx
=
dy
du
_
du
dx
또는 y '=f'(g(x))g '(x) 06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다.
f(g(x+h))-f(g(x))
y '={ f(g(x))}'= lim
h ⁄0 h
f(g(x+h))-f(g(x)) g(x+h)-g(x)
y '= lim [ _ ]
h ⁄0 g(x+h)-g(x) h
f(g(x+h))-f(g(x)) g(x+h)-g(x)
y '= lim _ lim
h ⁄0 g(x+h)-g(x) h ⁄0 h
이때, 미분가능한 함수 u=g(x)는 연속이므로 h ⁄0일 때 g(x+h) ⁄g(x)이다. 따라서
f(g(x+h))-f(g(x)) g(x+h)-g(x)
lim =f '(g(x)), lim =g '(x)
h ⁄0 g(x+h)-g(x) h ⁄0 h
이므로 y '=f'(g(x))g '(x)가 성립한다.

Example ⑴ 함수 y=(x‹ +2x)fi 을 미분해 봅시다.


dy du
u=x‹ +2x로 놓으면 y=ufi 이므로 =5u› , =3x¤ +2
du dx
dy dy du
∴ = _ =5u› _(3x¤ +2)=5(x‹ +2x)› (3x¤ +2)
dx du dx
⑵ 함수 y=sin x¤ 을 미분해 봅시다.
dy du
u=x¤ 으로 놓으면 y=sin u이므로 =cos u, =2x
du dx
dy dy du
∴ = _ =cos u_2x=2x cos x¤
dx du dx

06 여러 가지 미분법 22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합성함수의 미분은 (겉미분)_(속미분)이다!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는 것을 기억하면 편리합니다.


1 바깥쪽 함수 f(x)를 미분하고 안의 함수 g(x)는 그냥 놔둡니다. ← 겉미분 f'(g(x))

2 안쪽의 함수 g(x)를 미분합니다. ← 속미분 g '(x)

3 곱합니다. ← f'(g(x))g '(x)

이를 이용하여 합성함수 y=f(ax+b)와 y={ f(x)}« 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⑴ 함수 y=f(ax+b)의 도함수를 구하기 위하여 겉미분과 속미분을 구해 보면
(겉미분)=f'(ax+b), (속미분)=a
이므로 함수 y=f(ax+b)의 도함수는
y '=f'(ax+b)_a=a f'(ax+b)
⑵ 함수 y={ f(x)}« (`n은 정수)의 도함수를 구하기 위하여 겉미분과 속미분을 구해 보면
(겉미분)=n { f(x)}n-1, (속미분)=f'(x)
이므로 함수 y={ f(x)}« 의 도함수는
y '=n{ f(x)}n-1 f'(x)

Example ⑴ 함수 y=e2x-1을 미분하면


y '=e2x-1_(2x-1)'=e2x-1_2=2e2x-1
⑵ 함수 y=(3x+2)› 을 미분하면
y '=4(3x+2)‹ _(3x+2)'=4(3x+2)‹ _3=12(3x+2)‹
⑶ 함수 y=sin‹ x를 미분하면
y '=3 sin¤ x_(sin x)'=3 sin¤ x_cos x=3 sin¤ x cos x

2 함수 y=x® (r는 유리수)의 도함수

n이 정수일 때, 함수 y=x« (x+0)의 도함수는 y '=nxn-1임을 배워서 알고 있습니다. 이제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r가 유리수일 때, 함수 y=x® (x>0)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n
m은 양의 정수, n은 정수일 때, r= 으로 놓으면 y=x;mN:이므로 양변을 m제곱하면
m
yμ =x«
입니다. 이때, z=yμ ``이라고 하면 z는 y에 대한 함수이고 y는 x에 대한 함수이므로 z를 x에 대
하여 미분하면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23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dz dz dy
= _ yy ㉠
dx dy dx
dz dz
입니다. 그런데 z=yμ , z=x« 이므로 =mym-1, =nxn-1이고, 이를 ㉠에 대입하면
dy dx
dy
nxn-1=mym-1_
dx
입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합니다.
dy nxn-1 n x« —⁄ n n n n
= = _ = _xn-1-n+ m = _x m -1=rx® —⁄
dx mym-1 m m-1 m m
{x ;mN;}
1-n
이를 이용하면 함수 y=« 'ßx 는 y=x;n!;이므로 그 도함수는 y '=;n!; x;n!;-1=;n!; x n 임을 알 수 있

습니다.

함수 y=x® (`r는 유리수)의 도함수 06


r가 유리수일 때, y=x® 이면 y '=rx® —⁄ (단, x>0)

Example ⑴ 함수 y='ßx 를 미분하면


1
y '=('ßx )'={x;2!;}'=;2!;x;2!;-1=;2!;x-;2!;=
2'ßx
≈ ¤ 을 미분하면
⑵ 함수 y=‹ "çx
2
y '=(‹ "≈çx¤ )'={x;3@;}'=;3@;x;3@;-1=;3@;x-;3!;=
3‹'ßx

3 함수 y=ln| f(x)|의 도함수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로그함수 y=ln|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 x>0일 때, y=ln|x|=ln x이므로

y '=(ln x)'=;[!;

¤ x<0일 때, y=ln|x|=ln(-x)이므로
1 1
y '={ln(-x)}'= _(-x)'= _(-1)=;[!;
-x -x

⁄, ¤에서 (ln|x|)'=;[!;입니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2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또한 함수 y=logå|x| (`a>0, a+1)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ln|x| ' 1 1 1
y '=(logå|x|)'={ }= _(ln|x|)'= _;[!;=
ln a ln a ln a x ln a

일반적으로 함수 f(x)가 미분가능하고 f(x)+0일 때, 로그함수의 도함수와 합성함수의 미분


법을 이용하면 함수 y=ln | f(x)|의 도함수는
f'(x)
y '={ln| f(x)|} '=
f(x)
이고, 함수 y=logå| f(x)| (a>0, a+1)의 도함수는
ln| f(x)| ' f'(x) 1 f'(x)
y '={logå| f(x)|} '={ }= _ =
ln a f(x) ln a f(x)ln a
입니다.

함수 y=ln|f(x)|의 도함수

1 (ln|x|)'=;[!;, (logå|x|)'= 111


1
x ln a

2 {ln| f(x)|} '= 111 , {logå| f(x)|} '= 1111


f'(x) f'(x)
f(x) f(x) ln a

Example (2x-3)' 2
⑴ 함수 y=ln|2x-3|을 미분하면 y '= =
2x-3 2x-3
(cos x)' sin x
⑵ 함수 y=ln|cos x|를 미분하면 y '= =- =-tan x
cos x cos x
⑶ 함수 y=log™|x¤ -x|를 미분하면
(x¤ -x)' 2x-1
y '= =
(x¤ -x)ln 2 (x¤ -x)ln 2

4 로그미분법

밑이 변수인 지수함수나 복잡한 곱 또는 몫의 꼴인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한 후 미분하여 도함수를 구하는 로그미분법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이때, 로그의 진수가 양수이어야 하므로 식의 양변에 절댓값을 먼저 취한 다음 자연로그를 취
해야 합니다. 만약 이미 양변이 양수일 때에는 절댓값을 취하지 않아도 됩니다.

23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x¤ +1
예를 들어, 복잡한 함수 y= 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2x¤ +3);3@;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는 함수의 몫의 미분법과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
지만 식이 매우 복잡해지므로 로그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해 보겠습니다.
먼저 주어진 식의 양변이 모두 양수이므로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x¤ +1
ln y=ln =;2!; ln(x¤ +1)-;3@; ln(2x¤ +3)
(2x¤ +3);3@;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x¤ +1)' (2x¤ +3)' dz dz dy
=;2!;_ -;3@;_ ← z=ln y라고 하면
dx
=
dy
_
dx
이므로
y x¤ +1 2x¤ +3
d(ln y) d(ln y) dy y'
2x 4x = _ =;]!;_y '=
dx dy dx y
=;2!;_ -;3@;_
x¤ +1 2x¤ +3
x 8x
=
x¤ +1
-
3(2x¤ +3) 06
x 8x "√x¤ +1 x 8x
∴ y '=y[ - ]= [ - ]
x¤ +1 3(2x¤ +3) (2x¤ +3) ;3@; x¤ +1 3(2x¤ +3)

이처럼 함수 y=f(x)가 일반적인 미분법을 적용하기에 복잡한 형태라면 로그미분법을 이용


하여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로그미분법

밑이 변수인 지수함수나 복잡한 곱 또는 몫의 꼴인 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y=f(x)의 양변에 절댓값을 취한다. |y|=|f(x)|
2 1 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한다. ln|y|=ln| f(x)|

144 = 141444
y' f'(x)
3 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다.
y f(x)

y '=y_ 141444
f'(x)
4 3 을 y '에 대하여 정리한다.
f(x)

Example 함수 y=x≈ (x>0)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주어진 식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 y=ln x≈ =x ln 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44 =ln x+x_;[!;=ln x+1


y'
y
∴ y '=y(ln x+1)=x≈ (ln x+1)

06 여러 가지 미분법 2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로그미분법의 활용

지수함수의 도함수를 로그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습니다.


⑴ 지수함수 y=a≈ (a>0, a+1)의 도함수
y=a≈ 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 y=ln a≈ =x ln a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ln a
y
∴ y '=y ln a=a≈ ln a
특히, a=e이면 (e≈ )'=e≈ ln e=e≈ 입니다.
이것은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구한 지수함수의 도함수와 그 결과가 일치합니다.

⑵ 지수함수 y=a f(x) (a>0, a+1)의 도함수


y=a f(x)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 y=ln a f(x)=f(x)ln a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f'(x)ln a
y
∴ y '=y f'(x)ln a=a f(x)_f '(x)_ln a
특히, a=e이면 { e f(x)}'=e f(x)f'(x)ln e=e f(x)f'(x)
이것은 지수함수를 포함한 합성함수의 도함수와 그 결과가 일치합니다.

5 함수 y=xa (`a는 실수)의 도함수

r가 유리수일 때, 함수 y=x® (x>0)의 도함수는 y '=rxr-1임을 배워서 알고 있습니다. 이제


로그함수의 도함수와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a가 실수일 때, 함수 y=xa (x>0)의 도함
수를 구해 봅시다.

y=xa의 양변의 절댓값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y|=ln|xa|=ln|x|a=a ln|x|
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a
=
y x

23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므로
a a
y '=y_ =xa_ =axa-1
x x
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함수 y=xa(`a는 실수)의 도함수

a가 실수일 때, y=xa이면 y '=axa-1 (단, x>0)

Example ⑴ 함수 y=x'3을 미분하면


y '='3 x'3-1
⑵ 함수 y=(2x+1)p을 미분하면
y '=p(2x+1)p-1_(2x+1)'=p(2x+1)p-1_2=2p(2x+1)p-1 06

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cos (x¤ +1) ⑵ y=ln |x¤ -1| ⑶ y=ex¤ +x

2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x¤ +Ω1 ⑵ y=‹ 'ƒsec x ⑶ y=(ln x)e

풀이 1 ⑴ y '=-sin(x¤ +1)_(x¤ +1)'=-sin(x¤ +1)_(2x)=-2x sin (x¤ +1)


(x¤ -1)' 2x
⑵ y '= =
x¤ -1 x¤ -1
⑶ y '=ex¤ +x_(x¤ +x)'=ex¤ +x_(2x+1)=(2x+1)ex¤ +x

x
2 ⑴ y="√x¤ +1=(x¤ +1) 이므로 y '=;2!;(x¤ +1) _(x¤ +1)'=;2!;(x¤ +1) _(2x)=
;2!; ;2!;-1 -;2!;

"√x¤ +1
⑵ y=‹ 'ƒsec x=(sec x);3!;이므로

y '=;3!;(sec x);3!;-1_(sec x)'=;3!;(sec x)-;3@;_(sec x tan x)=;3!;(sec x);3!; tan x=;3!; ‹ "s√ ec x tan x

e(ln x)e-1
⑶ y '=e(ln x)e-1_(ln x)'=e(ln x)e-1_;[!;=
x

06 여러 가지 미분법 2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합성함수의 미분법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03 ⑴ y=(2x-3)⁄ ¤ ⑵ y=
1
(3-5x)¤
⑶ y=(x¤ +x+1)‹ ⑷ y=(x+2)fi (x‹ +1)¤

접근 방법

y=f(ax+b)에서 y '=a f '(ax+b)이고, y={ f(x)}« 에서 y '=n { f(x)}« —⁄ _f '(x)가 성립함을 이용하
면 합성함수의 도함수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합성함수 y=f( g(x))의 도함수는 y'=f '( g(x))g '(x)

상세 풀이

⑴ y '=12(2x-3)⁄ ⁄ (2x-3)'=12(2x-3)⁄ ⁄ _2=24(2x-3)⁄ ⁄


1
⑵ y= =(3-5x)—¤ 이므로
(3-5x)¤
10
y '=-2(3-5x)—‹ (3-5x)'=-2(3-5x)-3_(-5)=
(3-5x)‹
⑶ y '=3(x¤ +x+1)¤ (x¤ +x+1)'=3(x¤ +x+1)¤ _(2x+1)=3(2x+1)(x¤ +x+1)¤
⑷ y '={(x+2)fi }'(x‹ +1)¤ +(x+2)fi {(x‹ +1)¤ }'
=5(x+2)› (x+2)'(x‹ +1)¤ +(x+2)fi _2(x‹ +1)(x‹ +1)'
=5(x+2)› _1_(x‹ +1)¤ +(x+2)fi _2(x‹ +1)_3x¤
=(x+2)› (x‹ +1){5(x‹ +1)+6x¤ (x+2)}
=(x+2)› (x‹ +1)(11x‹ +12x¤ +5)

10
정답 ⑴ y'=24(2x-3)⁄ ⁄ ⑵ y'=
(3-5x)‹
정답 ⑶ y'=3(2x+1)(x¤ +x+1)¤ ⑷ y'=(x+2)› (x‹ +1)(11x‹ +12x¤ +5)

보충 설명

두 함수 y=f(u), u=g(x)가 미분가능할 때, 합성함수 y=f(g(x))의 도함수는 12 = 12 _ 12 , 즉


dy dy du
dx du dx
y '=f '(g(x))g '(x)입니다. 이때, g '(x)를 곱해야 한다는 것을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⑵`에서 y=(3-5x)—¤ 의 도함수를 y '=(-2)(3-5x)—‹ 으로 계산한다면 이는 y 를 x에 대하여 미분한

것이 아니라 u=3-5x에 대하여 미분한 것이 됩니다. 이 식에 12 에 해당되는 -5 를 곱해야 우리가 원하는 y 를


du
dx
x 에 대하여 미분한 것이 된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 둡시다.

23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6

03-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1
⑴ y=(3x+1)⁄ ⁄ ⑵ y=
(x¤ +1)›
⑶ y=(2x‹ +x¤ -3)› ⑷ y=(3x-1)› (x¤ +1)‹

03-2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⑴ y=sin(x‹ +1) ⑵ y=tan(sin x)


06
⑶ y=(ln x)‹ ⑷ y=ln|log™ x|

함수 f(x)= 133333331 와 미분가능한 함수 g(x)의 합성함수 h(x)=( gΩf )(x)에 대


cos x
03-3 (2x+1)¤
하여 h'(0)=12일 때, g '(1)의 값을 구하여라.

8x
03-1 `⑴ y '=33(3x+1)⁄ ‚ ⑵ y '=- ⑶ y '=8x(2x‹ +x¤ -3)‹ (3x+1)
(x¤ +1)fi
03-1 `⑷ y '=6(3x-1)‹ (x¤ +1)¤ (5x¤ -x+2)
3(ln x)¤ 1
03-2 `⑴ y '=3x¤ cos(x‹ +1) ⑵ y '=cos x sec¤ (sin x) ⑶ y '= ⑷ y '=
x x ln x
03-3 `-3

06 여러 가지 미분법 2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 y=x® (`r는 유리수)의 미분법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04 ⑴ y='1ƒ-2x ⑵ y="5√x¤ +≈3 ⑶ y=‹ "(√3x-ç2)Ω¤

접근 방법

y="fç(≈ΩxΩ) 의 도함수는 y={ f(x)};2!; 으로 바꾼 다음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


f '(x)
다. 즉, y '=;2!; { f(x)}-;2!;f '(x)= 임을 이용합니다.
2"çf(x)

r 가 유리수일 때, y=x® 의 도함수는 y'=rx® —⁄ (단, x>0)

상세 풀이

⑴ y='ƒ1-2ßx =(1-2x);2!;이므로
1
y '=;2!;(1-2x);2!;-1_(1-2x)'=;2!;(1-2x)-;2!;_(-2)=-
'ƒ1-2x
⑵ y="5√x¤ +≈3 =(5x¤ +3);2!;이므로
5x
y '=;2!;(5x¤ +3);2!;-1_(5x¤ +3)'=;2!;(5x¤ +3)-;2!;_10x=
"√5x¤ +3
⑶ y=‹ "(√3x√-2)Ω¤ =(3x-2);3@; 이므로
2
y '=;3@;(3x-2);3@; -1_(3x-2)'=;3@;(3x-2)-;3!;_3=
‹'ƒ3x-2

1 5x 2
정답 ⑴ y'=- ⑵ y'= ⑶ y'=
'ƒ1-2x "√5x¤ +3 ‹'ƒ3x-2

보충 설명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함수 y="fç(xΩ) 의 도함수를 구해 보면

y '=lim 1111111224 =lim‡ 111111224 _ 1111111224 °


"f√(xç+≈ΩhΩ)-"fç(xΩ) f(x+h)-f(x) 1
h ⁄0 h h ⁄0 h "f√(xç+≈ΩhΩ)+"fç(xΩ)

y '=f '(x)_ 11224 = 11224


1 f '(x)
2"fç(xΩ) 2"fç(xΩ)

입니다. y="fç(xΩ) 의 도함수를 구할 때, 매번 y={ f(x)};2!;과 같이 변형하여 미분하는 것보다는 y '= 11224 임
f '(x)
2"fç(xΩ)
을 암기하여 쉽게 적용하도록 충분히 연습해 둡시다.

23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7

04-1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x› -√x¤ +Ω1 ⑵ y=‹ "2√x¤ +Ω1 ⑶ y=fi "xç‹ ç+Ω1

04-2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⑴ y=cos 'ƒ2x+å1 ⑵ y="√sin(x¤ +1) ⑶ y="√3+tan¤ x

06

04-3 미분가능한 함수 f(x), g(x)가 f(0)=1, f '(0)=2, g(0)=1, g '(0)=6 을 만족시키

고 h(x)= 1113 일 때, lim 11113 의 값을 구하여라.


‹ "g≈(çx) h(x)-1
"fç(çx) x ⁄0 x

2x‹ -x 4x 3x¤
04-1 `⑴ y '= ⑵ y '= ⑶ y '=
"√x› -x¤ +1 3 ‹ "√(2x¤ +1)¤ 5 fi "√(x‹ +1)›
sin'ƒ2x+1 x cos(x¤ +1) tan x sec¤ x
04-2 `⑴ y '=- ⑵ y '= ⑶ y '=
'ƒ2x+1 "√sin(x¤ +1) "√3+tan¤ x
04-3 `1

06 여러 가지 미분법 2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로그미분법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05 ⑴ y=xsin x (x>0) ⑵ y=
(x+3)‡
(x+1)¤ (x+2)‹

접근 방법

⑴과 같이 밑과 지수에 모두 변수가 있는 함수와 ⑵와 같이 복잡한 분수 꼴의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때에


는 양변의 절댓값에 자연로그를 취한 후 양변을 미분합니다.

복잡한 함수의 미분 Δ 양변의 절댓값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미분한다.

상세 풀이

⑴ 주어진 식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 y=ln xsinx=sin x ln 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
=(sin x)' ln x+sin x(ln x)' =cos x ln x+sin x_;[!;
y
sin x sin x
∴ y '=x {cos x ln x+ }
x
⑵ 주어진 식의 양변의 절댓값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x+3)‡
ln|y|=ln± ±=7 ln|x+3|-2 ln|x+1|-3 ln|x+2|
(x+1)¤ (x+2)‹
양변을 x 에 대하여 미분하면
y' 7 2 3 2x¤ -x-7
= - - =
y x+3 x+1 x+2 (x+3)(x+1)(x+2)
(x+3)‡ 2x¤ -x-7 (x+3)fl (2x¤ -x-7)
∴ y '= _ =
(x+1)¤ (x+2)‹ (x+3)(x+1)(x+2) (x+1)‹ (x+2)›

sin x (x+3)fl (2x¤ -x-7)


정답 ⑴ y'=xsin x {cos x ln x+ } ⑵ y'=
x (x+1)‹ (x+2)›

보충 설명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⑵`의 도함수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51
7(x+3)fl _(x+1)¤ (x+2)‹ -(x+3)‡ {2(x+1)(x+2)‹ +(x+1)¤ _3(x+2)¤ }
{(x+1)¤ (x+2)‹ }¤

y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4
(x+1)(x+2)¤ (x+3)fl {7(x+1)(x+2)-2(x+2)(x+3)-3(x+1)(x+3)}
(x+1)› (x+2)fl

y '= 1111111112
(x+3)fl (2x¤ -x-7)
(x+1)‹ (x+2)›

24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8

05-1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x(x+2)¤
⑴ y=xln x (x>0) ⑵ y=æ–
(x-1)‹

함수 f(x)=xcos x (x>0)에 대하여 lim 111223 의 값은?


f(x)-1
05-2 x ⁄ ;2“; x-;2“;

① ln ;4“; ② ln ;ç$; ③ ln ;2“;


06
④ ln ;ç@; ⑤ ln p

05-3 함수 f(x)=x¤ ≈ (x>0)일 때, y=2 f(x)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ln x ⑵ y'=- 111111112
7x+2
05-1 `⑴ y'=2x
ln x-1

2"x√(x-≈1Ω)(x-1)¤
05-2 `④ 05-3 `y'=2 x¤ ≈ (ln x+1)ln 4
x¤ ≈

06 여러 가지 미분법 2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t-1
두 변수 x, y가 [ 과 같이 각각 t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어질 y=(x+1)¤ +1 y
y=t¤ +1
2
때, x=t-1에서 t=x+1이므로 이를 y=t¤ +1에 대입하여 변수 t를
1
소거하면
y=t¤ +1=(x+1)¤ +1 -1 O x

과 같이 y를 x에 대한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함수는 좌표평면 위


에서 위와 같은 곡선을 나타냅니다. 즉, 이 식에서 y는 t에 대한 함수로 주어졌지만 x에 대한 함
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두 변수 x, y 사이의 관계가 변수 t를 매개로 하여
x=f(t), y=g(t) yy ㉠
꼴로 나타날 때, 변수 t를 매개변수라 하고, ㉠`을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라고 합니다.

Example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방정식 x¤ +y¤ =r¤ 을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내어 봅시다.
원 위의 한 점 P(x, y)에 대하여 선분 OP가 x축의 양의 방향과 y
r P(x, y)
이루는 각의 크기를 h (0…h<2p)라고 하면
y x h
sin h= , cos h= 로 나타낼 수 있고,
r r -r O r x

y¤ x¤
sin¤ h+cos¤ h=1이므로 + =1 ∴ x¤ +y ¤ =r ¤ -r
r¤ r¤
따라서 원의 방정식 x¤ +y¤ =r ¤ 은 매개변수 h를 이용하여
x=r cos h, y=r sin h (0…h<2p)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지금까지 공부했던 미분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f(t), y=g(t)의 도함수


를 구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 t를 소거하여 y=h(x)꼴의 함수로 고친 다음 미분해야 합니다.

24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t¤ 2t
그러나 함수 x= , y= 와 같이 매개변수 t를 소거하여 y=h(x) 꼴의 함수로 고치
1+t¤ 1+t¤
dy
는 것이 쉽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경우 도함수 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봅시다.
dx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t)+0이면 x=f(t)의 역함수가 존재
하므로 t는 x에 대한 함수이고 y=g(t)도 x에 대한 함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의 증분 Dt에 대하여 x의 증분을 Dx,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Dx ⁄0일 때 Dt ⁄0
이고, Dx=f(t+Dt)-f(t), Dy=g(t+Dt)-g(t)이므로

lim 12 lim 111111223


Dy Dy g(t+Dt)-g(t) dy

dx Dx ⁄0 Dx Dt ⁄0 Dx 111 1 = 111121111253 =
dy Dy Dt Dt ⁄0 Dt Dt ⁄0 Dt dt g '(t)
= lim = lim = =
lim 12 lim 111111223
Dx f(t+Dt)-f(t) dx f '(t)
Dt Dt ⁄0 Dt Dt ⁄0 Dt dt

Example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 x=t-1, y=t¤¤ +1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x=t-1=f(t), y=t¤ +1=g(t)라고 하면 두 함수 f(t), g(t)가 미분가능하고 f '(t)+0이 06
므로 각각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미분한 결과는 t로 나타내도,
12
dy x 또는 y로 나타내도 됩니다.
dx dy dy dt 2t
=1, =2t ∴ = = =2(x+1)
12
dt dt dx dx 1
dt
또한 이 결과는 함수 x=t-1, y=t¤ +1에서 t를 소거하여 나타낸 x, y 사이의 관계식
y=x¤ +2x+2를 x에 대하여 미분한 결과와 같습니다. ← y=x¤ +2x+2의 양변을 x에
← 대하여 미분하면
dy
← =2x+2=2(x+1)
dx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t)+0이면


dy
dy dt g'(t)
= =
dx dx f '(t)
dt

1 dy
1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 x=t+2, y=t+ t 에서 dx 를 구하여라.

134
dy 1
1-1
t¤ =1- 1
1 134 =1, 134 =1- 1 ∴ 134 = 1342 = 134215
dx dy 1 dy dt 1
풀이
134
dt dt t¤ dx dx 1 t¤
dt

06 여러 가지 미분법 2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다음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에서 12 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dy

06 ⑴ x=3t-1, y=4-3t¤
dx

⑵ x=t+;t!;, y=t-;t!;

접근 방법

12
dy
dy dx dy dy dt
매개변수 t 를 이용하여 나타낸 함수에서 를 구할 때에는 , 를 각각 구하여 = 임을 이
12
dx dt dt dx dx
dt
용합니다.

함수 x=f(t), y=g(t)에서 f(t), g(t)가 t 에 대하여 미분가능할 때

213
dy
213 = 114 = 2113 (단, f '(t)+0)
dy dt g'(t)
213
dx dx f '(t)
dt

상세 풀이

dx dy
⑴ x=3t-1 에서 =3 이고, y=4-3t¤ 에서 =-6t 이므로
dt dt

12
dy
dy dt -6t
= = =-2t
12
dx dx 3
dt
dx 1 dy 1
⑵ x=t+;t!;에서 =1- 이고, y=t-;t!;에서 =1+ 이므로
dt t¤ dt t¤

12
dy 1
1+1
dy dt t¤ t¤ +1
= = = (단, t+—1)
12
dx dx 1 t¤ -1
1-1
dt t¤

dy dy t¤ +1
정답 ⑴ =-2t ⑵ = `(단, t+—1)
dx dx t¤ -1

보충 설명
x+1 x+1 ¤
⑴에서 t= 이므로 y=4-3t¤ 에 대입하여 매개변수를 소거하면 y=4-3 { } 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3 3
dy 2x+2 dy
이를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이고, 다시 t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2t 임을 알 수 있습니
dx 3 dx
다. 하지만 ⑵와 같이 매개변수를 소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많으므로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을 꼭 알
아야 합니다.

24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29

dy
06-1 다음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에서
dx
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1-t¤ 2t
⑴ x=2t+1, y=t‹ -4 ⑵ x= , y=
1+t¤ 1+t¤

1 dy
06-2 실수 t에 대하여 x=t-;t!;, y=t¤ +

일 때, t=2 에서의
dx
의 값은?

①1 ②2 ③3 06
④4 ⑤5

06-3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 x=t¤ +4t, y=t‹ 에 대하여 y=f(x)로 나타낼 때,


f(5+2h)-f(5)
lim 의 값을 구하여라. (단, t>0)
h ⁄0 h

06-1 `⑴ 12 =;2#;t¤ ⑵ 12 = 112 (단, t+0)


dy dy t¤ -1
dx dx 2t

06-2 ③ 06-3 1

06 여러 가지 미분법 2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1 음함수의 뜻

지금까지 우리가 공부했던 일차함수 y=ax+b, 이차함수 y=ax¤ +bx+c, 지수함수 y=a≈ ,
로그함수 y=logå x, 삼각함수 y=sin x 등은 모두 정의역의 원소 x와 공역의 원소 y 사이의 관
계식을 y=f(x) 꼴로 나타낸 것이며, 이때의 y를 x에 대한 함수라고 하였습니다.

한편, 수학`<상>의 13 도형의 이동에서 변수 x, y를 이용하여 나타낸 도형의 방정식은 항을 모


두 한쪽 변으로 이항하면 f(x, y)=0 꼴로 나타낼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예를 들어, 직선의 방정식의 일반형 ax+by+c=0은 직선의 방정식을 f(x, y)=0 꼴로 나
타낸 것이며, 원의 방정식 x¤ +y¤ =r¤ 도 x¤ +y¤ -r¤ =0과 같이 f(x, y)=0 꼴로 나타낼 수 있습
니다.

그럼 도형의 방정식 중 원의 방정식을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생각해 봅시다.


원의 방정식 x¤ +y¤ =4는 다음과 같이 f(x, y)=0 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f(x, y)=x¤ +y¤ -4=0 `yy ㉠
y
이때, 원의 방정식 ㉠`에서 y는 x에 대한 함수가 아니지만 y의 값의
2 y='4-x¤
범위를 yæ0 또는 y…0으로 정하면
yæ0일 때, y=øπ4-x¤ yy ㉡
-2 O 2 x
y…0일 때, y=-øπ4-x¤ yy ㉢
-2 y=-'4-x¤
으로 놓을 수 있습니다. ㉡, ㉢`에서 y는 각각 닫힌구간 [-2, 2]에서 정
의되는 x에 대한 함수입니다. 여기에서 원의 방정식 ㉠`은 두 함수 ㉡, ㉢`을 함께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고, 방정식 ㉠`에서 y는 x에 대한 함수가 됩니다.
따라서 원의 방정식 x¤ +y¤ -4=0에서 y는 x에 대한 함수가 아니지만 y의 값의 범위를 정하
면 y는 x에 대한 함수가 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변수 x, y를 포함하는 관계식 f(x, y)=0에서 x와 y의 값의 범위를 적당히 정하면


y는 x에 대한 함수가 됩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x에 대한 함수 y가 f(x, y)=0 꼴로 주어질
때, y를 x의 음함수 표현이라고 합니다. 또한 ㉡, ㉢`과 같이 x에 대한 함수 y가 y=g(x) 꼴로
주어질 때, y를 x의 양함수 표현이라고 합니다. ← 음함수는 영어로 Implicit function,
양함수는 영어로 Explicit function이라고 합니다.
24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예를 들어, 일차함수 y=x+4는 y=g(x) 꼴로 표현된 것이고, f(x, y)=0 꼴, 즉 음함수 표
현으로 나타내면 x-y+4=0이 됩니다.
즉, x¤ +y¤ -4=0, 3x¤ +4y¤ -12=0, xy-6x+3y=0 등도 모두 음함수 표현입니다.

음함수의 뜻

x에 대한 함수 y가 f(x, y)=0 꼴로 주어질 때, y를 x에 대한 음함수 표현이라고 한다.

y=f(x) 꼴로 표현된 임의의 함수들은 음함수로 변형하여 생각할 수 있지만, 모든 음함수를 항상 y=f(x) 꼴로 표
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y=f(x) 꼴로 표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음함수 표현은 주로 y=f(x) 꼴로 나타내기 쉽지 않은 곡선의 방정식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된다.

06

2 음함수의 미분법
다른 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변수
y=f(x) 꼴의 함수에서는 x가 독립변수, y가 종속변수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음함수는 종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속변수가 독립변수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관계식이며, 두 변수 x, y에 대하여 x의 값과 y의
값이 서로의 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음함수는 독립변수가 하나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독립변수가 하나로 정해진 함수 y=f(x) 꼴에서의 미분법과는 다른 미분법이 필요합니다.
dy
그럼 이제 음함수 f(x, y)=0의 도함수 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dx
음함수 f(x, y)=0을 y=g(x) 꼴로 쉽게 고칠 수 있다면 y=g(x) 꼴로 고친 다음 미분하여
도함수를 구하면 됩니다.
하지만 음함수 x‹ +y¤ +2y+3=0과 같이 y=g(x) 꼴로 고치기가 어려운 함수들은 y=g(x)
꼴로 고치지 않고 바로 미분할 수 있는데, 이를 음함수의 미분법이라고 합니다.
x에 대한 함수 y에서 함수 y가 어떤 형태로 주어지든지 미분계수와 도함수는 모두 정의역의
dy
원소인 x의 변화량에 따른 함숫값 y의 변화량의 극한을 뜻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
dx
타냅니다.
따라서 f(x, y)=0 꼴로 주어진 음함수의 미분법에서는 문자 y를 포함하고 있는 항을 x에 대
하여 미분할 때,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2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음함수 x¤ +y¤ =1에서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d
(x¤ )+ (y¤ )= (1) yy ㉠
dx dx dx
이때,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d d dy dy ← f(y)=y¤ 이라고 하면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y¤ )= (y¤ )_ =2y_
dx dy dx dx
df df dy
의하여 = _
dy dx dy dx
이므로 ㉠에서 2x+2y =0
dx
dy x
∴ =- (단, y+0) yy ㉡
dx y

이번에는 f(x, y)=0을 y=g(x) 꼴로 고친 다음 미분한 결과와 Example 에서 살펴본 음함


수의 미분법을 바로 적용하여 구한 도함수가 같아지는지 확인해 봅시다.
음함수 x¤ +y¤ =1을 y=g(x) 꼴로 고치면 다음과 같이 두 무리함수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습
니다.
y=øπ1-x¤ (단, -1…x…1, 0…y…1)
y=-øπ1-x¤ (단, -1…x…1, -1…y…0)
이때, 함수 y=xr (r는 유리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두 함수를 각각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 -2x x
= (øπ1-x¤ )= (x+—1)=- (단, y+0)
dx dx 2øπ1-x¤ y

dy d 2x x
= (-øπ1-x¤ )= (x+—1)=- (단, y+0)
dx dx 2øπ1-x¤ y

dy x
∴ =- (단, y+0) yy ㉢
dx y

따라서 ㉡과 ㉢`이 같으므로 음함수의 미분법을 적용하여 미분한 결과와 음함수 f(x, y)=0을
y=g(x) 꼴로 고친 다음 미분한 결과가 같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음함수의 미분법

x에 대한 함수 y가 음함수 f(x, y)=0 꼴로 주어졌을 때,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각 항을 x에


dy
대하여 미분하여 를 구한다.
dx

24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한 y=x® `(`r는 유리수)의 미분법

함수의 몫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n이 정수인 범위에서 (xn)'=nxn-1이 성립한다는 것을


배웠고,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n이 유리수인 범위에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배웠
습니다.
이번에는 y=xr (r는 유리수)을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해 봅시다.
n
임의의 유리수 r에 대하여 r= (m, n은 정수, m+0)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m
이때, y=xr=x;mN:의 양변을 m제곱하면 ym=xn이고,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
면 음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d d d dy d dy
(ym)= (xn), (ym)_ = (xn), mym-1 =nxn-1
dx dx dy dx dx dx
dy n xn-1 n xn-1
∴ = _ m-1 = _ ;mN: m-1
dx m y m (x )

∴ =
n 1111
x m - 111
mn-m
1
mn-n
m
n
= x;mN:-1=rxr-1
06
m m

dy
1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다음 음함수에서 dx 를 구하여라.

⑴ xy=4 ⑵ x‹ +y¤ +2y+3=0

풀이 1 ⑴ xy=4에서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d d
(xy)= (4), (x)_y+x_ (y)=0
dx dx dx dx
d d dy dy
(x)_y+x_ (y)_ =0, 1_y+x_ =0
dx dy dx dx
dy y
∴ =- (단, x+0)
dx x
⑵ x‹ +y¤ +2y+3=0에서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d d d dy d dy
(x‹ )+ (y¤ )+ (2y)+ (3)=0, 3x¤ + (y¤ )_ + (2y)_ =0
dx dx dx dx dy dx dy dx
dy dy dy
3x¤ +2y +2 =0, (2y+2) =-3x¤
dx dx dx
dy 3x¤
∴ =- (단, y+-1)
dx 2y+2

06 여러 가지 미분법 2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음함수의 미분법

다음 음함수에서 12 를 구하여라.
dy

07 dx

⑴ x¤ +2y¤ =4 ⑵ 2x-y¤ =0
x‹ +y‹
⑶ x‹ y¤ -1=0 ⑷ =4
xy

접근 방법
음함수 f(x, y)=0에서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음함수의 도함수를 쉽
d d
게 구할 수 있습니다. 즉, x« =nx« —⁄ 이 성립하므로 y« 에서 y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합성함수
dx dx
d d dy dy
의 미분에서와 같이 y« = y« _ 의 방법을 적용하여 를 구하면 됩니다.
dx dy dx dx

124 y« = 124 y« _ 124 =ny« —⁄ _ 124


d d dy dy
dx dy dx dx

상세 풀이

y 를 x에 대한 함수로 보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d dy dy x
⑴ (x¤ )+ (2y¤ )= (4), 2x+4y =0 ∴ =- (단, y+0)
dx dx dx dx dx 2y
d d dy dy
⑵ (2x)- (y¤ )=0, 2-2y =0 ∴ =;]!; (단, y+0)
dx dx dx dx
d d dy dy 3y
⑶ (x‹ y¤ )- (1)=0, 3x¤ y¤ +x‹ _2y =0 ∴ =- (단, x+0)
dx dx dx dx 2x
⑷ 양변에 xy 를 곱하면 x‹ +y‹ =4xy 이고, 이 식의 양변을 x 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dy
3x¤ +3y¤ =4y+4x , (3y¤ -4x) =4y-3x¤
dx dx dx
dy 4y-3x¤
∴ = (단, 3y¤ +4x) 정답 풀이 참조
dx 3y¤ -4x

보충 설명
x에 대한 함수 y가 f(x, y)=0 꼴로 주어질 때, y를 x의 음함수 표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원의 방정식
x¤ +y¤ =1에서 닫힌구간 [-1, 1]에 속하는 임의의 x의 값에 대하여 y의 값이 하나로 정해지지 않으므로 이 원
의 방정식은 일반적으로 함수라고 하지는 않지만 y의 값의 범위를 적당히 나누면 y=g(x) 꼴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음함수를 y=g(x) 꼴로 고쳐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
용하면 음함수의 구간을 구분하여 y=g(x) 꼴로 고치지 않고도 쉽게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잘 기억해
둡니다.

25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30

dy
07-1 다음 음함수에서
dx
를 구하여라.

⑴ 3x¤ +y¤ =9 ⑵ x¤ y-x+1=0

y¤ x¤
⑶ x› y‹ =7 ⑷ + =5
x y

dy
07-2 곡선 x‹ -2xy+y‹ =5 위의 점 (2, 1)에서의
dx
의 값을 구하여라.
06

dy
07-3 곡선 ;[A;-;]B;=xy 위의 점 (1, 1)에서의
dx
의 값이 4 가 되도록 상수 a, b 의 값을 정

할 때, a¤ +b¤ 의 값을 구하여라.

07-1 `⑴ 12 =- 12
y (단, y+0) ⑵ 12 = 1112 (단, x+0)
dy 3x dy 1-2xy
dx dx x¤

07-1 `⑶ 12 =- 12 (단, x+0) ⑷ 12 = 11132 (단, 3y¤ +5x)


dy 4y dy 5y-3x¤
dx 3x dx 3y¤ -5x
07-2 10 07-3 13

06 여러 가지 미분법 25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1 역함수의 미분법

이번 단원에서는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 f —⁄ (x)가 존재하고 이 역함수가 미분가능


할 때, 함수 y=f(x)의 도함수와 그 역함수의 도함수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먼저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에서 역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f(a)=b이


면 f —⁄ (b)=a이므로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와 함수 y=f —⁄ (x)의 x=b에서의
미분계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하고 이 역함수가 미분가능할 때, 미분


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함수 y=f —⁄ (x)의 x=b에서의 미분계수는
y
f —⁄ (b+h)-f —⁄ (b) y=f —⁄ (x)
( f —⁄ )'(b)= lim
h ⁄0 (b+h)-b a+h'
h'=f —⁄ (b+h)-f —⁄ (b)
입니다. 이때, f —⁄ (b)=a이고, a
h
f —⁄ (b+h)=a+h'
이라고 하면 h ⁄0일 때 h' ⁄0이므로
O b b+h x

f —⁄ (b+h)-f —⁄ (b) (a+h')-a


lim = lim
h ⁄0 (b+h)-b h' ⁄0 f(a+h')-f(a)

h'
= lim
h' ⁄0 f(a+h')-f(a)
1
= lim
h' ⁄0
111111144
f(a+h')-f(a)
h'
1
=
f'(a)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f —⁄ )'(b)= (단, f'(a)+0, f(a)=b)
f'(a)

따라서 함수 y=f —⁄ (x)의 x=b에서의 미분계수는 함수 y=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와


역수 관계임을 알 수 있습니다.

25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즉,
1
f(a)=b이고 f'(a)=m이면 f -1(b)=a이고 ( f —⁄ )'(b)=
m
입니다.

Example 함수 f(x)=x¤ (xæ0)의 역함수 f —⁄ (x)에 대하여 (f —⁄ )'(4)의 값을 구해 봅시다.


f —⁄ (4)=a라고 하면 f(a)=4이므로
a¤ =4 ∴ a=2 (∵ aæ0)
따라서 f —⁄ (4)=2이고, f'(x)=2x (x>0)이므로
1 1
( f —⁄ )'(4)= = =;4!;
f'(2) 2_2
입니다.

이제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하고 이 역함수가 미분가능할 때, 06


함수 y=f —⁄ (x)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함수 y=f —⁄ (x)에서 x=f(y)입니다. 이때, x=f(y)에서 x는 y에 대한 함수이므로 양변을 y


에 대하여 미분하면
dx
=f'(y)
dy
입니다.
함수 y=f —⁄ (x)에서 x의 증분 Dx에 대한 y의 증분을 Dy라고 하면
Dy=f —⁄ (x+Dx)-f —⁄ (x)
이고, 미분가능한 함수 f —⁄ (x)는 연속이므로 Dx ⁄0이면 Dy ⁄0입니다.
따라서 f '(y)+0이면
dy Dy 1 1 1 dy dx
= lim = lim = = ← 와 는 서로 역수 관계입니다.
11 lim 11 1444
dx Dx ⁄0 Dx Dx ⁄0 Dx Dx dx dx dy
Dy Dy⁄0 Dy dy
입니다. 즉,
1
(f —⁄ )'(x)=
f'(y)
입니다.

이와 같이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역함수를 직접 구하지 않고도 역함수의 도함수를 쉽


게 구할 수 있습니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2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dy dx dx
즉, x=g(y) 꼴로 주어져서 를 구하기 어려울 때에는 { +0}를 구한 후 역함수
dx dy dy
의 미분법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Example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 x=yfi 의 도함수를 구해 봅시다.


dx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5y› 이므로
dy
dy 1 1 1 1 1
= dx = = = = (단, x+0)
dx 12 5y› 5{x;5!; ›
} 5x ;5$; 5fi " çx›
dy

참고로 주어진 함수를 x에 대한 식으로 고치면 y=x;5!;이고, 이 함수를 x에 대하여 미분하여도


dy 1
=;5!;_x-;5$;= (x+0)입니다.
dx 5fi"çx›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고 이 역함수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 f(x)의 역함수


를 g(x)라고 하면 역함수의 정의에 대하여
f(g(x))=x ← fΩg=I`(`단, I는 항등함수)

가 성립합니다.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f'(g(x))g '(x)=1
입니다. 즉,
1
g '(x)= (f '(g(x))+0)
f'(g(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Example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를 g(x)라 하고, f(1)=2, f'(1)=;3@;일 때, g '(2)의 값을 구

해 봅시다.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므로
f(g(x))=x
입니다.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g(x))g '(x)=1
이므로 x=2를 대입하면
f'(g(2))g '(2)=1
이때, f(1)=2에서 g(2)=1이므로

25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1 1
g '(2)= = = 2 =;2#;
f'(g(2)) f'(1) 1
3

역함수의 미분법

1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1
( f —⁄ )'(b)= (단, f'(a)+0, f(a)=b)
f'(a)
2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y=f —⁄ (x)의 도함
수는 다음과 같다.
dy 1 1 dx
= 또는 ( f —⁄ )'(x)= +0, f'(y)+0}
144
{단,
dx dx f '(y) dy
dy

06

1 함수 f(x)=x‹ +1의 역함수를 f —⁄ (x)라고 할 때, 다음을 구하여라.


⑴ ( f —⁄ )'(0) ⑵ ( f —⁄ )'(2)

dy
2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 x=y'ƒ1-y 에서 dx 를 구하여라.

풀이 1 ⑴ f —⁄ (0)=a라고 하면 f(a)=0이므로 a‹ +1=0, (a+1)(a¤ -a+1)=0


그런데 a¤ -a+1>0이므로 a=-1
따라서 f —⁄ (0)=-1이고, f '(x)=3x¤ 에서 f '(-1)=3이므로

( f —⁄ )'(0)= 1 =;3!;
f '(-1)
⑵ f —⁄ (2)=a라고 하면 f(a)=2이므로 a‹ +1=2, a‹ -1=0, (a-1)(a¤ +a+1)=0
그런데 a¤ +a+1>0이므로 a=1
따라서 f —⁄ (2)=1이고, f '(x)=3x¤ 에서 f '(1)=3이므로

( f —⁄ )'(2)= 1 =;3!;
f '(1)

2 x=y'ƒ1-y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dx ='ƒ1-y+y_ -1 = 2-3y
dy 2'ƒ1-y 2'ƒ1-y
따라서 역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dy 2'ƒ1-y
= 1 = {단, y+;3@;}
14
dx dx 2-3y
dy

06 여러 가지 미분법 25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역함수의 미분계수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8 ⑴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고 f(2)=3, f '(2)=4일 때,


g '(3)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f(x)=x‹ +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 '(2)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1(x)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1
( f -1)'(b)= ( f '(a)+0, f(a)=b)
f '(a)
임을 이용합니다.

1
f(a)=b이고 f '(a)=m이면 f —⁄ (b)=a이고 ( f —⁄ )'(b)= 이다.
m

상세 풀이

⑴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므로 f(2)=3에서 g(3)=2


1
∴ g '(3)= =;4!;
f '(2)
⑵ g(2)=a라고 하면 f(a)=2이므로
a‹ +a=2, a‹ +a-2=0
(a-1)(a¤ +a+2)=0
이때, a¤ +a+2>0이므로 a=1
따라서 g(2)=1이고 f '(x)=3x¤ +1이므로
1 1
g '(2)= = =;4!;
f '(1) 3_1¤ +1

정답 ⑴ ;4!; ⑵ ;4!;

보충 설명
⑴`에서 g=f —⁄ 이므로 g( f(x))=x이고,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
g '( f(x)) f '(x)=1 ∴ g '( f(x))=
f '(x)
이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1
g '( f(2))= ∴ g '(3)=;4!;
f '(2)

25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31

08-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고 f(3)=2, f '(3)=;3!;일 때, g '(2)의 값

을 구하여라.

⑵ 함수 f(x)=x'ƒ1+x (xæ0)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 '(6)의 값을 구하여라.

08-2 함수 f(x)=sec x+1 {0<x<;2“;}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3 g '(3)의 값은?


06
'3 '3
① ② ③1
3 2
④ 2'3 ⑤ 3'3

08-3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 g(x)가 미분가능하고


g(x)-2
lim =3
x ⁄1 x-1
을 만족시킬 때, f '(2)의 값을 구하여라.

08-1 `⑴ 3 ⑵ ;1¢1; 08-2 `② 08-3 ;3!;

06 여러 가지 미분법 2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역함수의 미분법

dy
다음에서 를 구하여라.
09 ⑴ x=y‹ +1
dx

⑵ x=
1
y¤ +1

접근 방법

dy dx dy 1
x=g(y) 꼴로 주어져서 를 구하기 어려울 때에는 를 구하여 = dx 임을 이용합니다.
dx dy dx 12
dy

를 구할 때 Δ 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한다.


dy
함수 x=g(y)에서
dx

상세 풀이

⑴ x=y‹ +1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dx dy 1 1
=3y¤ ∴ = dx = (단, y+0)
12
dy dx 3y¤
dy
1
⑵ x=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y¤ +1
dx -2y dy 1 1
= =-2x¤ y ∴ = dx =- (단, xy+0)
dy (y¤ +1)¤ dx 12 2x¤ y
dy

dy 1 dy 1
정답 ⑴ = (단, y+0) ⑵ =- (단, xy+0)
dx 3y¤ dx 2x¤ y

보충 설명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역함수 y=f —⁄ (x)가 존재하고 미분가능할 때, y=f —⁄ (x)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습
니다.

12 = 122 또는 ( f -1)'(x)= 1125 {단, 12 +0, f '(y)+0}


dy 1 1 dx
12
dx dx f '(y) dy
dy

25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32

dy
09-1 다음에서
dx
를 구하여라.

⑴ x=y¤ -3y+3 ⑵ x=y¤ 'ƒy+1

3 1
09-2 곡선 x={4y‹ +;2!; } 위의 점 (1, 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b일 때,
ab
의 값을 구하여라.

06

09-3 함수 f(x)=sin x {-;2“;<x<;2“;}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 '(x)는?

1 x 1
① g '(x)=- ② g '(x)=- ③ g '(x)=
"√1-x¤ "√1-x¤ "√1+x¤
1 x
④ g '(x)= ⑤ g '(x)=
"√1-x¤ "√1-x¤

dy 1 dy 2'ƒy+1
09-1 `⑴ = {단, y+;2#;} ⑵ = {단, y+0, y+-;5$;}
dx 2y-3 dx 5y¤ +4y
09-2 `18 09-3 ④

06 여러 가지 미분법 2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1 이계도함수

함수 f(x)의 도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함수 f '(x)의 도함수


f'(x+Dx)-f '(x)
lim
Dx ⁄0 Dx
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함수 f'(x)의 도함수를 함수 f(x)의 이계도함수라 하고, 기호로
d¤ y d¤
f "(x), y", , f(x)
dx¤ dx¤
와 같이 나타냅니다.
즉, 이계도함수는 어떤 함수를 두 번 미분한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함수 y=x¤ +3x+2의 도함수는 y '=2x+3이고, 이계도함수는 y "=2입니다.

Example ⑴ 함수 y=cos 2x의 이계도함수를 구해 보면


y '=(-sin 2x)_2=-2 sin 2x이므로 y "=-2(cos 2x)_2=-4 cos 2x
⑵ 함수 y=ln 3x의 이계도함수를 구해 보면
1 1
y '= _3=;[!;이므로 y "=-
3x x¤

이계도함수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미분가능할 때, f'(x)의 도함수


f '(x+Dx)-f '(x)
lim
Dx ⁄0 Dx
d¤ y d¤
를 함수 f(x)의 이계도함수라 하고, 기호로 f"(x), y ", , f(x)와 같이 나타낸다.
dx¤ dx¤

일반적으로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y=f(x)가 n번 미분가능한 함수일 때, y=f(x)를 n번 미분하여 얻은 함수를


d« y d«
y=f(x)의 n계도함수라 하고, 기호로 f (n)(x), y(n), , f(x)와 같이 나타낸다.
dx« dx«

26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함수의 기호의 역사

dy d¤ y
기호 , 는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Leibniz, G. W. ; 1646~1716)가 처음
dx dx¤
사용하였으며, 그는 인간의 사고를 합리적으로 표현하는 원리인‘보편 수학’
, 즉 보편적
인 기호법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학을 연구하였습니다.
dy Dy
도함수의 기호 는 dy를 dx로 나눈 분수가 아니라 극한값 lim 를 간단히 나타내
dx Dx ⁄0 Dx

dy
는 기호입니다. 하지만 합성함수의 미분법이나 역함수의 미분법에서는 를 형식적으
dx
dy
로 분수와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기호 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x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이계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y g '(t)
x=f(t), y=g(t) ( f '(t)+0)일 때, = 이므로
dx f '(t)
06
14 {112}
d g '(t)
14 {12}
d dy
}= 11113 = 111114 =
d¤ y d dy dt dx dt f '(t) d g '(t) 1
=
12
{ { }_
dx¤ dx dx dx f '(t) dt f '(t) f '(t)
dt
입니다. 참고로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나타내는 기호 f '(x), f"(x)는 프랑스의 수학자
인 라그랑주(Lagrange, J. L. ; 1736~1813)가 처음 사용하였고, 또 다른 기호 y ', y "
역시 라그랑주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 다음 함수의 이계도함수를 구하여라.


⑴ y=4x‹ +3x¤ +2x+1 ⑵ y=e¤ ≈

2 함수 f(x)=(2x+1)fi 에 대하여 f "(0)의 값을 구하여라.

풀이 1 ⑴ y '=12x¤ +6x+2이므로 y "=24x+6


⑵ y '=e¤ ≈ _2=2e¤ ≈ 이므로 y "=2e¤ ≈ _2=4e¤ ≈

2 f '(x)=5(2x+1)› _2=10(2x+1)› 이므로


f"(x)=10_4(2x+1)‹ _2=80(2x+1)‹
∴ f "(0)=80

06 여러 가지 미분법 26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계도함수

다음 함수의 이계도함수를 구하여라.

10 ⑴ y=sinx+cos x
⑶ y=ln (x¤ +1)
⑵ y=tan x
⑷ y=xe≈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를 한 번 미분하여 그 도함수를 구하고, 도함수를 다시 미분하여 이계도함수를 구합니다.

y=f(x) 1⁄ y '=f '(x) 1⁄ y "=f "(x)


미분 미분

상세 풀이

⑴ y=sin x+cos x에서 y '=cos x-sin x 이므로


y "=-sin x-cos x
⑵ y=tan x 에서 y '=sec¤ x 이므로
y "=2 sec x_sec x tan x=2 sec¤ x tan x
2x
⑶ y=ln (x¤ +1)에서 y '= 이므로
x¤ +1
2(x¤ +1)-2x_2x -2x¤ +2 2(x¤ -1)
y "= = =-
(x¤ +1)¤ (x¤ +1)¤ (x¤ +1)¤
⑷ y=xe≈ 에서 y '=e≈ +xe≈ =(x+1)e≈ 이므로
y "=e≈ +(x+1)e≈ =(x+2)e≈

2(x¤ -1)
정답 ⑴ y"=-sin x-cos x ⑵ y"=2 sec¤ x tan x ⑶ y"=- ⑷ y"=(x+2)e≈
(x¤ +1)¤

보충 설명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미분가능할 때, f '(x)의 도함수

lim 111111111
f '(x+Dx)-f '(x)
Dx ⁄0 Dx

를 함수 f(x)의 이계도함수라 하고, 기호로 f "(x), y ", 11 , 123 f(x)와 같이 나타냅니다.


d¤ y d¤
dx¤ dx¤

이때, 이계도함수 f "(x)를 124 또는 { 12 }2 과 같이 나타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d¤ y dy
d¤ x dx

26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33

10-1 다음 함수의 이계도함수를 구하여라.

1
⑴ y= ⑵ y=esin x
x¤ +1
⑶ y=ln ("xç¤ ç+Ω1-x) ⑷ y=e≈ sin x

10-2 함수 f(x)=x¤ (ln x)¤ 에 대하여 f "(x)=a(ln x)¤ +b ln x+c일 때, 상수 a, b, c에 대


하여 100a+10b+c의 값을 구하여라. 06

10-3 함수 f(x)=xeå ≈ 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 "(x)+ f '(x)+b f(x)=0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b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6x¤ -2
10-1 `⑴ y"= ⑵ y"=(cos¤ x-sin x)esin x
(x¤ +1)‹
x
10-1 `⑶ y"= ⑷ y"=2ex cos x
øπ(x¤ +1)‹

10-2 `262 10-3 a=-;2!;, b=;4!;

06 여러 가지 미분법 26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1 함수 f(x)=
ax+b
x¤ -1
가 f(2)=2, f '(0)=1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

을 구하여라.

06- 2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lim


x ⁄1
f(x)-2
x-1
=5일 때, 곡선 y=
1
f(x)
위의 점

1
{1,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여라.
f(1)

06- 3 함수 f(x)=(ax-1)fi 이 lim


x ⁄0
f(x)-b
x
=20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6- 4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csc (2x-1) ⑵ y=5 sec (1-2x)


⑶ y=cot (sin x) ⑷ y=csc (tan x)

06- 5 다음 함수를 미분하여라.

⑴ y=e≈ ln (sin x) ⑵ y=ln (e≈ -e—≈ )


2≈
⑶ y=(e≈ +ex¤ )‹ ⑷ y=
2≈ +1

26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3 | 풀이집 p.134

06- 6 다음 함수의 x=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x-2)'ƒx+3
⑴ f(x)= ⑵ f(x)=(x¤ +1)≈
(x¤ +1)‹

06- 7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g(x))=3x¤ +1이고, g(1)=2, g'(1)=2 일


때, f '(2)의 값을 구하여라.

06
06- 8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1)=4, f '(1)=2일 때, 함수 g(x)=x¤ "fç(xΩ) 에 대하여
g'(1)의 값을 구하여라.

06- 9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1113523 =2, lim 11112 =4


f(x)-4 g(x)-3
x ⁄3 x-3 x ⁄2 x-2
가 성립할 때, 함수 y=( fΩg)(x)의 x=2 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06- 10 매개변수 t 로 나타낸 함수 x=2t+1, y=t‹ +2t-1 에 대하여 y=f(x)로 나타낼 때, 함수


f(x)의 역함수를 g(x)라고 하자. g '(2)의 값을 구하여라. (단, t는 실수이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26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11 y가 x에 대한 함수인 곡선 ex ln y=1 위의 점 (0, e)에서의
dy
dx
의 값을 구하여라.

06- 1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역함수 g(x)가 미분가능하고


x-1
lim =4를 만족시킬 때, f(3)+f '(3)의 값을 구하여라.
x ⁄1 g(x)-3

06- 13 함수 f(x)=ln(e≈ -1)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양수 a에 대하여


1
f '(a)
+
1
g '(a)

값을 구하여라.

g(2+2h)-g(2-h)
06- 14 함수 f(x)=x‹ -x¤ +3x-1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lim
h ⁄0 h
의값

은?

① ;4#; ②1 ③ ;2#;

④2 ⑤3

06- 15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 "√xfi +x+1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1)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f(x)=x+cos 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1)의 값을 구하여라.

26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3 | 풀이집 p.138

f(x)-1
06- 16 f(x)=x2 sin x`(x>0)에 대하여 lim
x ⁄p x-p
의 값을 구하여라.

06- 17 함수 f(x)=tan ;2{; (-p<x<p)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x)는?

1 2 4
① g '(x)= ② g '(x)= ③ g '(x)=
1+x 1+x 1+x
1 2
④ g '(x)= ⑤ g '(x)=
1+x¤ 1+x¤

06

06- 18 실수 t에 대하여 x=e† —⁄ , y=t‹ +t+1로 주어진 함수 y=f(x)가 있다. f(x)의 역함수를 g(x)
라고 할 때, g '(3)의 값을 구하여라.

06- 19 함수 f(x)=xeax+b에 대하여 f '(0)=4, f "(0)=16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ln k이


다. 자연수 k의 값을 구하여라.

06- 20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 x=et-e-t, y=et+e-t에 대하여 t=ln 2일 때,


d¤ y
dx¤
의 값을 구하

여라.

06 여러 가지 미분법 26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6- 21 세 함수 f(x)=sin x, g(x)=cos x, h(x)=tan x에 대하여 함수 F(x)를
F(x)=f(g(h(x)))라고 할 때, F'(0)의 값을 구하여라.

f {;4“;+2h}
06- 22 0<x<p에서 정의된 함수 f(x)=ln('2sinx)에 대하여 lim 111124 의 값을 구하여라.
h ⁄0 h

06- 2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dy
⑴ 음함수 x cos y+y sin x=1에서 를 구하여라.
dx

d¤ y
⑵ 음함수 x¤ -2xy-y¤ =1에서 를 구하여라. (단, x+y+0)
dx¤

06- 24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고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있다. 곡선 y=f(x) 위의 점 (2, 1)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3이다. 함수 f(2x)의 역함수 g(x)에 대하여 곡선 y=g(x) 위의 점

(1, 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b일 때, ;bA;의 값을 구하여라.

06- 25 두 함수 f(x)=e≈ sin x, g(x)=ln (cos x+x)에 대하여 함수 ( fΩg—⁄ )(x)의 x=0 에서
의 미분계수를 구하여라.

26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3 | 풀이집 p.142

2n-1
x=t+;2#; t¤ +;3%; t‹ +y+111 tn dy
06- 26 x, y가 실수 t에 대하여 [
n
n 이고, S(n)= lim
t ⁄1 dx
라고 할
y=t+t¤ +t‹ +y+t
때, S(20)의 값을 구하여라.

06- 27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y=e≈ cos 2x 가 등식 y "+ay '+5y=0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y=e¤ ≈ sin x 가 등식 y "+ay '+5y=0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의 값을 구하여라.

06

06- 28 이계도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f(x)는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x+y)=e¥ f(x)+e≈ f(y)
를 만족시키고 f '(0)=e이다. f "(0)의 값을 구하여라.

challenge

06- 29 x>1에서 정의된 함수 f(x)=xln 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 '(e)의 값을 구하여라.


(단, e는 자연로그의 밑이다.)

challenge

06- 30 매개변수 h로 나타낸 함수 x=a(h-sin h), y=a(1-cos h)에 대하여


d¤ y
dx¤
를 a, x, y로

나타내어라. (단, a는 0이 아닌 상수이고, cos h+1이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 26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7
접선의 방정식
01 접선의 방정식 273
예제`
02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282
접선의 방정식
예제`
03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286
접선의 방정식
예제`
기본 다지기 290
실력 다지기 292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Ⅱ에서 다항함수의 그래프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다항함수가 아닌 다양한 함수, 즉 지수함
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등의 그래프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
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특히, 앞 단원에서 배운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과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
해 보겠습니다.

01 접선의 방정식 01 접점의 좌표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 276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02 기울기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 278

03 곡선 밖의 한 점에서 곡선에 그은 280


접선의 방정식

02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04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284
방정식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03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05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288
방정식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7 | 접선의 방정식

01 접선의 방정식

곡선 y=f(x)의 접선의 방정식은


y y=f(x)
⑴ 접점의 좌표 (a, f(a))가 주어진 경우
접선의 기울기가 f '(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f(a) (a, f(a))
y-f(a)=f '(a)(x-a) yy ㉠
O a x

⑵ 기울기 m이 주어진 경우 y y=f(x)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고 f '(a)=m임을 이용하여 a의 값과


이때의 접점의 좌표 (a, f(a))를 구한 다음 ㉠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 O x
`기울기 m
정식을 구한다.

⑶ 곡선 밖의 점의 좌표 (x¡, y¡)이 주어진 경우 y y=f(x)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고 ㉠에 점 (x¡, y¡)의 좌표를 대입하


여 a의 값을 구한 다음 ㉠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O x
(x¡, y¡)

02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f(t), y=g(t)에서 t=a일 때 접선의 방정식은


g '(a)
y-g(a)= {x-f(a)} (단, t=a에서 미분가능하고 f '(a)+0)
f '(a)

03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곡선 f(x, y)=0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dy
1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를 구한다.
dx
dy
2 1 에서 구한 에 x=a, y=b를 대입하여 접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dx
3 점 P의 좌표와 2 에서 구한 기울기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27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접선의 방정식

우리는 수학Ⅱ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a, f(a))에서 y=f(x)의 그래프에 접


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접선의 기울기만 알면 구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곡선 y=f(x) 위의 점 y y=f(x)

(a, f(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x=a에서의 미분계수 f'(a)와


f(a) (a, f(a))
같습니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O a x

y-f(a)=f'(a)(x-a)
입니다. 07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진 경우, 곡선 밖의 한 점
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접점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


곡선 y=f(x)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은 점 P를 지나고 기울기가 f'(a)인 직선이
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f(a)=f'(a)(x-a)
입니다.

Example 곡선 y=e≈ 위의 점 (1, e)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f(x)=e≈ 으로 놓으면 f'(x)=e≈ 이므로 곡선 y=f(x) 위의 점 y y=e≈ y=ex

(1, e)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e e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1


y-e=e(x-1)
O 1 x
∴ y=ex

07 접선의 방정식 27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진 경우
접선의 기울기가 주어진 경우에는 접점의 좌표만 알면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곡선 y=f(x)에 접하고 기울기가 m인 접선의 방정식은 m=f'(a)를 만족시키는 a의 값을
구하여 접점의 좌표 (a, f(a))를 구하고
y-f(a)=m(x-a)
임을 이용합니다.

Example 곡선 y=ln x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y y=x-1
f(x)=ln x로 놓으면 f'(x)=;[!;입니다.

접점의 좌표를 (a, ln a)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 y=ln x


기가 1이므로 O 1 x
-1
f'(a)=;a!;=1 ∴ a=1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0)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0=1_(x-1) ∴ y=x-1

3. 곡선 밖의 한 점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
곡선 y=f(x) 밖의 한 점 A(x¡, y¡)이 주어진 경우에는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고 이
점에서의 접선
y-f(a)=f'(a)(x-a) yy ㉠
가 점 A를 지남을 이용합니다. 즉, x=x¡, y=y¡을 ㉠에 대입하여 a의 값을 구한 다음 a의 값을
다시 ㉠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Example 1
원점에서 곡선 y=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x-1
1 1
f(x)= 로 놓으면 f'(x)=- 입니다.
x-1 (x-1)¤
1
접점의 좌표를 {a, }이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a-1
1 1
y- =- (x-a) yy ㉠
a-1 (a-1)¤

27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x=0, y=0을 대입하면 y=-4x y
y=
1
x-1
1 1
0- =- (0-a)
a-1 (a-1)¤
2a¤ -3a+1=0, (2a-1)(a-1)=0 1
2
O 1 x
이때, a+1이므로 a=;2!;
-1
-2
a=;2!;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4 {x-;2!;}
∴ y=-4x

접선의 방정식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a)=f'(a)(x-a)

07

1 곡선 y=xe≈ 위의 점 (1, e)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2 곡선 y=x'ßx 에 접하고 기울기가 3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3 원점에서 곡선 y=e≈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풀이 1 f(x)=xe≈ 으로 놓으면 f'(x)=e≈ +xe≈ =(1+x)e≈ 이므로 점 (1, e)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1)=2e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e=2e(x-1) ∴ y=2ex-e

2 f(x)=x'ßx=x 으로 놓으면 f '(x)=;2#; x =;2#;'ßx


;2#; ;2!;

접점의 좌표를 (t, t't )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이므로 ;2#;'t =3, 't =2 ∴ t=4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4, 8)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8=3(x-4) ∴ y=3x-4

3 f(x)=e≈ 으로 놓으면 f '(x)=e≈


접점의 좌표를 (a, eå )이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eå =eå (x-a) yy ㉠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0-eå =eå (0-a), eå -aeå =0, eå (1-a)=0 ∴ a=1 (∵ eå >0)
a=1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e=e(x-1) ∴ y=ex

07 접선의 방정식 27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접점의 좌표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1 ⑴ 곡선 y=tan x 위의 점 {;4“;,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x
⑵ 곡선 y=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x

접근 방법

주어진 접점에서의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접선의 기울기를 구합니다.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Δ y-f(a)=f '(a)(x-a)

상세 풀이

⑴ f(x)=tan x로 놓으면 f'(x)=sec¤ x이므로 점 {;4“;,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4“;}=sec¤ ;4“;= 1135355 = 1353514 =2


1 1
cos¤ ;4“; '2
{15555}2
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2{x-;4“;} ∴ y=2x-;2“;+1

x (1-x)+x 1
⑵ f(x)= 로 놓으면 f'(x)= = 이므로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x (1-x)¤ (1-x)¤

f'{;2!;}= 11353555554 =4
1
{1-;2!;}2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4{x-;2!;} ∴ y=4x-1

정답 ⑴ y=2x-;2“;+1 ⑵ y=4x-1

보충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P(a, f(a))에서의 접선 y y=f(x)
의 기울기는 f '(a)(=tan h)이므로 도함수에서의 함숫값으로 구합니다.
또한 점 P를 지나고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m 이라고 하면
P(a, f(a))
f '(a)_m=-1 이 성립하므로 m=- 1124 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
f '(a) h
O x

27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47

01-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곡선 y=sec x 위의 점 {;3“;,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⑵ 곡선 y=(ln x)¤ 위의 점 (e,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01-2 곡선 y=e≈ 위의 점 P(1, e)에서의 접선에 수직이고 점 P를 지나는 직선을 l이라고 하자.
직선 l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07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lim 113233514 =;4!; 을 만족시킬 때, 곡선 y=f(x) 위의


"√f(x)-2
01-3 x ⁄-1 x¤ -1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2'3
01-1 ⑴ y=2'3x- p+2 ⑵ y=;e@;x-1
3
(e¤ +1)¤
01-2 ` 2e 01-3 `y=-2x+2

07 접선의 방정식 27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기울기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2 ⑴ 곡선 y=sin x (0<x<p)에 접하고 직선 y=;2!;x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을 구하여라.
⑵ 곡선 y=ln x에 접하고 직선 y=-ex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⑴에서는 접선의 기울기가 ;2!;임을 이용하고, ⑵에서는 접선의 기울기가 ;e!;임을 이용합니다.

접점의 좌표를 (a, f(a))라고 하면 (접선의 기울기)=f '(a)

상세 풀이

⑴ f(x)=sin x로 놓으면 f'(x)=cos x

접점의 좌표를 (a, sin a)라고 하면 직선 y=;2!;x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f'(a)=cos a=;2!; ∴ a=;3“; (∵ 0<a<p)

'3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 ;3“;,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2
'3 '3
y- = ;2!; {x-;3“;} ∴ y=;2!;x-;6“;+
2 2

⑵ f(x)=ln x로 놓으면 f'(x)=;[!;

접점의 좌표를 (a, ln a)라고 하면 직선 y=-ex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e!;이므로

f'(a)=;a!;=;e!; ∴ a=e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e, 1)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1=;e!;(x-e) ∴ y=;e!;x

'3
정답 ⑴ y=;2!;x-;6“;+ ⑵ y=;e!;x
2

보충 설명
미분법을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때에는 접점을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⑴ 접점 (a, f(a))가 주어진 경우 Δ 미분계수 f '(a)가 접선의 기울기임을 이용합니다.
⑵ 기울기 m 이 주어진 경우 Δ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고 f '(a)=m을 만족시키는 a 의 값을 찾습니다.

27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47

02-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곡선 y=cos x {-;2“;<x<;2“;}에 접하고 직선 '3 x+2y=1에 평행한 직선의 방

정식을 구하여라.
⑵ 곡선 y=x ln x+x에 접하고 직선 3y+x+2=0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라.

02-2 두 점 A(0, -3), B(2, 0)을 지나는 직선과 평행한 직선이 곡선 y=e≈ +e—≈ 에 접할 때,
접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07

02-3 곡선 y=ke≈ —⁄ 과 직선 y=4x가 서로 접하도록 상수 k의 값을 정할 때, 그 접점의 x좌


표를 a라고 하자. 이때, a¤ +k¤ 의 값을 구하여라.

02-1 `⑴ y=-
'3 '3
x+ p+;2!; ⑵ y=3x-e
2 6

02-2 `{ln 2, ;2%;} 02-3 `17

07 접선의 방정식 27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 밖의 한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3 ⑴ 원점에서 곡선 y=ln 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⑵ 점 (1, 0)에서 곡선 y=e≈ —⁄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⑴에서는 곡선 y=ln x 위의 점 (a, ln a)에서의 접선이 원점을 지남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⑵에서는 곡선 y=e≈ —⁄ 위의 점 (a, eå —⁄ )에서의 접선이 점 (1, 0)
을 지남을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합니다.

곡선 밖의 한 점의 좌표가 주어진 경우 Δ 접점의 좌표를 (a, f(a))로 놓는다.

상세 풀이

⑴ f(x)=ln x로 놓으면 f'(x)=;[!;

접점의 좌표를 (a, ln a)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a)=;a!;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ln a=;a!;(x-a) yy ㉠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0-ln a=;a!;(0-a) ∴ a=e

a=e를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e!;(x-e) ∴ y=;e!;x

⑵ f(x)=e≈ —⁄ 으로 놓으면 f'(x)=e≈ —⁄


접점의 좌표를 (a, eå —⁄ )이라고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a)=eå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eå —⁄ =eå —⁄ (x-a) yy ㉠
이 접선이 점 (1, 0)을 지나므로 0-eå —⁄ =eå —⁄ (1-a), eå —⁄ (2-a)=0
이때, eå —⁄ >0이므로 2-a=0 ∴ a=2
a=2를 ㉠에 대입하면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e=e(x-2) ∴ y=ex-e

정답 ⑴ y=;e!;x ⑵ y=ex-e

보충 설명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때에는 주어진 점의 좌표를 곡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그 점이 곡선 위의 점인지 아닌지
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8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48

03-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e≈
⑴ 원점에서 곡선 y= 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x
⑵ 점 (0, -1)에서 곡선 y=ln x+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점 (2, 2)를 지나고 곡선 y= 11444 에 접하는 직선은 두 개이다. 두 직선의 기울기를 각각


x
03-2 x+1
m¡, m™라고 할 때, m¡+m™의 값을 구하여라.
07

03-3 x 축 위에 있는 점 (a, 0)에서 곡선 y=xe-;2!;x 에 단 한 개의 접선을 그을 수 있을 때, 양


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3-1 `⑴ y= x ⑵ y=2x-1 03-2 `;;¡9º;; 03-3 `8
4

07 접선의 방정식 28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t)+0이면


dy
dy dt g '(t)
= = 임을 배웠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dx dx f '(t)
dt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
습니다. 즉,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a)+0
일 때, 곡선 위의 점 ( f(a), g(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m이라고 하면
dy
dy dt g '(a)
m= = =
dx dx f '(a)
dt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g(a)=m{ x-f(a)}
입니다.
따라서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f(t), y=g(t)의 t=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g '(a)
y-g(a)= {x-f(a)} ( f '(a)+0)
f '(a)
입니다.

Example 매개변수 t로 나타낸 곡선 x=2t, y=t¤ -3 위의 한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


해 봅시다.
dx dy
=2, =2t
dt dt

123
dy
dy dt 2t
∴ = = =t
123
dx dx 2
dt
이때, 2t=2, t¤ -3=-2에서 t=1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1입니다.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1_(x-2)
∴ y=x-4

28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f(t), y=g(t)에서 t=a에 대응하는 곡선 위의 점 ( f(a), g(a))에


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g '(a)
y-g(a)= {x-f(a)} (단, t=a에서 미분가능하고 f '(a)+0)
f '(a)

1
1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t+2, y=t+ t 의 t=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2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2 cos t, y=sin t의 t=;6“;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07
풀이 1 t=1일 때, x=3, y=2
dx dy 1
=1, =1- 이므로
dt dt t¤

134
dy 1
1-1
= 1342 = 134215
dy dt t¤ =1- 1 (단, t+0)
134
dx dx 1 t¤
dt
따라서 t=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0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0_(x-3)
∴ y=2

2 t=;6“;일 때, x=2 cos ;6“;='3, y=sin ;6“;=;2!;


dx dy
=-2 sin t, =cos t이므로
dt dt

134
dy
= 1342 =
dy dt cos t
(단, sin t+0)
134
dx dx -2 sin t
dt

134
'3
따라서 t=;6“;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342123 =-
2 '3
이므로
1 2
-2_1
2
'3
접선의 방정식은 y-;2!;=- (x-'3)
2
'3
∴ y=- x+2
2

07 접선의 방정식 28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1+t 2
매개변수 t로 나타낸 곡선 x= , y= 에 대하여 곡선 위의

04 1-t
점 (-3,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1-t

접근 방법

123
dy
dy dt g '(t)
함수 x=f(t), y=g(t)가 t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f '(t)+0이면 = = 임을 이용하여
123
dx dx f '(t)
dt
t=a에 대응하는 곡선 위의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 x=f(t), y=g(t)에서 t=a에 대응하는 곡선 위의 점 ( f(a), g(a))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g'(a)
y-g(a)= {x-f(a)} (단, t=a에서 미분가능하고 f '(a)+0)
f '(a)

상세 풀이

1+t dx 1_(1-t)-(1+t)_(-1) 2
x= 에서 = =
1-t dt (1-t)¤ (1-t)¤
2 dy 2
y= 에서 =
1-t dt (1-t)¤

123 11124
dy 2
dy dt (1-t)¤
∴ = = =1
123 11124
dx dx 2
dt (1-t)¤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2)=1_{x-(-3)} ∴ y=x+1

정답 y=x+1

보충 설명
2 2 1+t
y= 에서 t=1- y 이므로 이 식을 x=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1-t 1-t
2
2-1
x= 111 =y-1
y
∴ y=x+1
12
y
dy
이런 방법으로도 =1임을 쉽게 구할 수 있지만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에서 항상 매개변수를 소거할 수 있
dx
dx dy dy
는 것이 아니므로 위의 상세 풀이 와 같이 , 를 구하여 를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dt dt dx

28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49

04-1 다음 매개변수로 나타낸 곡선에서 주어진 매개변수의 값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


식을 구하여라.

⑴ x=t› -t¤ +1, y=t› +t¤ +1 (t=1)

⑵ x=sin› h, y=cos› h {h=;3“;}

t¤ +1 2
04-2 매개변수 t로 나타낸 곡선 x=
t
, y= (t>0)에 대하여 t=2에 대응하는 점 P에
t
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Q라고 할 때, 삼각형 OPQ의 넓이는? (단, O는 원점이다.)

① ;6!; ② ;3!; ③ ;2!;


07
④1 ⑤2

04-3 매개변수 h로 나타낸 곡선 x=2 cos‹ h, y=2 sin‹ h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이 x축, y축

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고 할 때, 선분 AB의 길이를 구하여라. {단, 0<h<;2“;}

04-1 ⑴ y=3x ⑵ y=-;3!; x+;4!; 04-2 `⑤ 04-3 `2

07 접선의 방정식 28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06 여러 가지 미분법에서 x에 대한 함수 y가 음함수 f(x, y)=0 꼴로 주어졌을 때, y를 x에


dy
대한 함수로 보고 각 항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를 구하는 것이 음함수의 미분법임을 배웠
dx
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 봅시다.
곡선 y=g(x) 위의 점 P(a, g(a))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x=a에서의 미분계수 g '(a)와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음함수 f(x, y)=0이 나타내는 곡선 위의 점 y f(x, y)=0

Q(a, b)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한


dy
에 x=a, y=b를 대입하여 구한 값과 같습니다. Q(a, b)
dx
dy O x
따라서 에 x=a, y=b를 대입하여 구한 접선의 기울기를 m이
dx
라고 하면 곡선 f(x, y)=0 위의 점 Q(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y-b=m(x-a)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곡선 f(x, y)=0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dy
1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를 구한다.
dx
dy
2 1 `에서 구한 에 x=a, y=b를 대입하여 접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dx
3 점 P의 좌표와 2 `에서 구한 기울기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이제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원 x¤ +y¤ =r¤ (r는 양수) 위의 한 점 P(x¡, y¡)에서의 접


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을 다음의 Example 을 통하여 살펴봅시다.

28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원 x¤ +y¤ =r¤ (r는 양수) 위의 한 점 P(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 y¡+0일 때
x¤ +y¤ -r¤ =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r
P(x¡, y¡)
d d d
(x¤ )+ (y¤ )- (r¤ )=0
dx dx dx -r O r x

d dy dy -r x¤ +y¤ =r¤
2x+ (y¤ )_ =0, 2x+2y =0
dy dx dx
dy x
∴ =- (단, y+0)
dx y
이때, 점 P(x¡, y¡)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y¡=- (x-x¡)

이 식의 양변에 y¡을 곱하면
y¡ y-y¡¤ =-x¡(x-x¡), y¡ y-y¡¤ =-x¡x+x¡¤
∴ x¡ x+y¡ y=x¡¤ +y¡¤ yy ㉠
그런데 점 P(x¡, y¡)은 원 x¤ +y¤ =r¤ 위의 점이므로
x¡¤ +y¡¤ =r¤ yy ㉡
07
㉡을 ㉠`에 대입하면 x¡x+y¡ y=r¤
¤ y¡=0일 때 x=-r y x=r

원 x¤ +y¤ =r¤ 위의 점 P는 x축 위의 점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r x¤ +y¤ =r¤

x=-r 또는 x=r
-r O r x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접선의 방정식은 x¡x+y¡ y=r¤ 으로 나타낼 -r

수 있습니다.
⁄, ¤에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x¡x+y¡ y=r¤ 입니다.

1 곡선 x¤ +y¤ =e≈ 위의 점 (0,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풀이 1 x¤ +y¤ =e≈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e≈ -2x
2x+2y =e≈ ∴ = (단, y+0)
dx dx 2y
e‚ -0
점 (0,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기울기가 ;2!;이고 점 (0, 1)을 지나는 접선의 방정식은
2

y=;2!;x+1

07 접선의 방정식 28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음함수로 나타낸 곡선의 접선의 방정식

곡선 x¤ -2xy+2y¤ =20 위의 점 (6, 2)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

05 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곡선 f(x, y)=0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y
1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를 구한다.
dx
dy
2 1 에서 구한 에 x=a, y=b를 대입하여 접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dx
3 점 P의 좌표와 2 에서 구한 기울기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상세 풀이

x¤ -2xy+2y¤ =2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 dy dy
2x-{2y+2x }+4y =0, (2x-4y) =2x-2y
dx dx dx
dy x-y
∴ = (단, x+2y)
dx x-2y
점 (6,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6-2
=2
6-2_2

따라서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2!;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2!;(x-6) ∴ y=-;2!;x+5

정답 y=-;2!;x+5

보충 설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음함수 f(x, y)=0의 그래프 위의 점 P(a, b)에서의 접선의 y f(x, y)=0

기울기는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구한 12 에 x=a, y=b를 대입하여 구할


dy
dx
P(a, b)
수 있습니다.
또한 기울기가 m¡인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를 m™라고 하면 m¡_m™=-1
O x
이 성립하므로 m™=- 12 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

28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51

05-1 곡선 x¤ +y‹ +4yex=5 위의 점 (0, 1)을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
식을 구하여라.

05-2 곡선 x‹ -x¤ y=4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P, Q라고
할 때, 삼각형 OPQ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O는 원점이다.)

07

05-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곡선 x‹ +axy+y‹ =b 위의 점 (2,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⑵ 곡선 ax¤ -by¤ =6 위의 점 (2, 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5-1 `y=;4&; x+1 05-2 ``;4(; 05-3 `⑴ 26 ⑵ 12

07 접선의 방정식 28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7- 1 함수 f(x)=ln x¤ 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1, 0), B(e, 2)를 이은 선분과 평행한 직선이 이
그래프에 접할 때, 접점의 x좌표 a의 값을 구하여라.

07- 2 곡선 y=x ln(2x-1)+2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가 (0, a)일
때, a의 값은?

①0 ②1 ③2
④3 ⑤4

07- 3 직선 y=m(x-1)이 곡선 y=e≈ ±⁄ 의 접선일 때, 상수 m의 값은?

①1 ②e ③ e¤
④ e‹ ⑤ e›

07- 4 직선 y=mx를 원점을 중심으로 45˘ 회전시켜 얻은 직선이 곡선 y=e≈ 에 접할 때, 상수 m의


값은?

e e+1 e+1
① ② ③
e-1 e-1 e
e-1 e
④ ⑤
e+1 e+1

07- 5 원점에서 곡선 y=e≈ —˚ 에 그은 접선이 점 (2, 2)를 지날 때, 상수 k의 값은?

① -2 ② -1 ③0
④1 ⑤2

29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4 | 풀이집 p.152

07- 6 점 P(1, 0)에서 곡선 y=xe≈ 에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를 각각 m¡, m™라고 할 때, m¡m™의


값을 구하여라.

07- 7 두 곡선 y=ln(2x+3)과 y=a-ln x가 한 점 P에서 만나고 점 P에서의 각각의 접선이 서


로 수직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7- 8 곡선 y=e≈ 위의 점 (1, e)에서의 접선이 곡선 y='ƒ2x-ßk에 접할 때, 실수 k의 값은?

1 2 1
① ② ③
e e e¤
1 1
07
④ ⑤
e‹ e›

07- 9 x=cos‹ h, y=sin‹ h로 나타내어지는 곡선 위의 h=;6“;에 대응하는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이

고 h=;6“;에 대응하는 점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① y='3x-1 ② y='3x-;8!; ③ y='3x+1

'3 '3
④ y= x-;8!; ⑤ y= x+;8!;
3 3

07- 10 점 {0, ;2!;}에서 곡선 'x+'y=1에 그은 접선의 x절편을 구하여라.

07 접선의 방정식 29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7- 11 매개변수 h로 나타낸 곡선 x=h-sin h, y=1-cos h 위의 점 {;2“;-1, 1}에서의 접선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0<h<2p)

07- 12 곡선 y=ex¤ 위의 점 (1, e)에서의 접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A, B라고 할 때, 삼


각형 OAB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O는 원점이다.)

07-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e≈ +2 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는 점 y y=e≈ +2

P와 함수 y=ln(x-2)의 그래프 위를 움직이는 점 Q에 대하여


P
PQ” 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Q
O x

y=ln(x-2)

07- 14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두 곡선 y=4 cos¤ x+a, y=-4 sin x가 0<x<;2“; 에서 접할 때, 상수 a 의 값을 구하

여라.
⑵ 두 곡선 y=2 cos x, y=a-sin 2x가 서로 접하도록 하는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7- 15 원점에서 곡선 y=(x+a)e—≈ 에 오직 하나의 접선을 그을 수 있을 때, 양수 a 의 값을 구하여


라.

29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4 | 풀이집 p.156

07- 16 x축 위의 점 (a, 0)에서 곡선 y=(x-1)e≈ 에 두 개의 접선을 그을 수 있을 때, 실수 a 의 값


의 범위를 구하여라.

07- 17 곡선 3px=y+sin x y 위의 점 (3, 9p)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y절편
을 구하여라.

07- 18 곡선 y=3 ln x 위의 두 점 P, Q의 x 좌표가 각각 a, b (1<a<b)이고, 두 점 P, Q에서 각

각 이 곡선에 접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4“; 일 때, 정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여라. 07

challenge

07- 19 곡선 y=sin¤ x 위의 두 점 (a, sin¤ a), (b, sin¤ b)에서의 두 접선이 서로 직교할 때,
p
sin a sin b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a< <b<p}
2

challenge

07- 20 양수 a에 대하여 점 P(a, -2a)에서 곡선 y=


2
x
에 두 개의 접 y
B

2
선을 그을 수 있을 때, 두 접점을 각각 A, B라 하자. y=-
x
PA” ¤ +PB” ¤ 의 최솟값이 m'2+n일 때, 두 자연수 m, n에 대하
O x
여 m+n의 값을 구하여라. A
P

07 접선의 방정식 29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01 함수의 극대와 극소 297
예제
02 곡선의 오목과 볼록 306
예제
03 함수의 그래프 312
예제
기본 다지기 322
실력 다지기 324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미분법은 물리학, 화학, 전자기학, 건축학을 비롯한 대부분
의 공학 분야와 경제학, 경영학 등 사회 현상을 다루는 다양
한 분야의 연구를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특히, 미분법은 변
화를 연구하고 예측하는데 필요한 첨단 과학에 많이 활용되
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거나 이러한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때에도 사용됩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미분법을 이용하여 값의 변화를 어떻게 분
석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보겠습
니다.

01 함수의 극대와 극소 01 실수 전체에서의 함수의 증가와 감소 302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고 02 여러 가지 함수의 극값 304


설명할 수 있다.

02 곡선의 오목과 볼록 03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310


곡선의 오목과 볼록을 판정하고
설명할 수 있다.

03 함수의 그래프 04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⑴ 316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05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⑵ 318
있다.
06 함수의 그래프와 참, 거짓의 판단 320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8 |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01 함수의 극대와 극소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⑴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⑵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 '(a)=0일 때, x=a의 좌우에서
⑴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다.
⑵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다.

3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이계도함수를 가지는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일 때
⑴ f "(a)<0이면 f(x)는 x=a에서 극대이다.
⑵ f "(a)>0이면 f(x)는 x=a에서 극소이다.

02 곡선의 오목과 볼록

1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y=f(x)가 어떤 구간에서 항상
⑴ f "(x)>0이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하다.
⑵ f "(x)<0이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또는 아래로 오목)하다.

2 곡선의 변곡점
함수 y=f(x)에서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면 점 (a, f(a))는
곡선 y=f(x)의 변곡점이다.

03 함수의 그래프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순서대로 조사하면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다.
1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2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3 좌표축과의 교점 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6 lim f(x), lim f(x), 점근선


x ⁄¶ x ⁄-¶

29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수학`Ⅱ에서 배운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수학적 정의를 떠올려 봅시다.
⑴ 함수 f(x)가 어떤 구간의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y y=f(x)

x¡<x™일 때, f(x¡)< f(x™) f(x2)


증가
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합니다.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 f(x1)

이 함수 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위(`↗`)로 향하게 됩니다. O x1 x2 x

⑵ 함수 f(x)가 어떤 구간의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y


y=f(x)
x¡<x™일 때, f(x¡)> f(x™) f(x1) 감소
f(x2)
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합니다. 이때, 오른쪽 그림과 같
08
이 함수 f(x)의 그래프는 오른쪽 아래(`↘`)로 향하게 됩니다. x1 x2 x
O

Example 함수 `f(x)=e≈ 에서 구간 [0, ¶)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 y f(x)=ex

하여 x¡<x™일 때 ex¡<ex™, 즉 f(x¡)< f(x™)이므로 함수 f(x)=e≈ 은 f(x™)


구간 [0, ¶)에서 증가합니다. f(x¡)
1

O x¡ x™ x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f(x)가 어떤 구간의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1 x¡<x™일 때 f(x¡)<f(x™)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2 x¡<x™일 때 f(x¡)>f(x™)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2. 미분가능한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판정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는 그 구간에서 도함수 f'(x)의 부호에
따라 판정할 수 있음을 수학`Ⅱ에서 배웠습니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29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
⑴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 f '(x)>0

하여 f'(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합니다. y=f(x)


증가
즉, f '(x)>0인 구간에서 함수 f(x)는 증가합니다.
O x

y
⑵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 f '(x)<0

하여 f'(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합니다. 감소


y=f(x)
즉, f '(x)<0인 구간에서 함수 f(x)는 감소합니다.
O x

이때, 위의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함수 f(x)=x‹ 은 구간 (-¶, ¶)에서 증가


하지만 f'(x)=3x¤ 에서 f'(0)=0입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æ0
입니다. 마찬가지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면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0입니다.

Example 함수 f(x)=x-ln x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해 봅시다.

f '(x)=1-;[!;이므로 f'(x)=0에서 x=1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0) y 1 y
f '(x) - 0 +
f(x) ↘ 1 ↗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1, ¶)에서 증가하고, 구간 (0, 1]`에서 감소합니다.

도함수의 부호에 따른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판정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1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2 `f '(x)<0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f '(x)=0이 되는 x의 값은 증가하는 구간과 감소하는 구간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1. 함수의 극대와 극소
수학Ⅱ에서 배운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수학적 정의를 떠올려 봅시다.

29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
⑴ 함수 `f(x)에서 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을 적절히 택할 때, 그 y=f(x)
극대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x)… f(a)이면 `f(x)는 x=a에서 극대 f(a)
극소
가 된다고 하고, f(a)를 극댓값이라고 합니다. f(b)

⑵ 함수 `f(x)에서 b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을 적절히 택할 때, 그 O a b x

구간의 모든 x에 대하여 f(x)æ f(b)이면 `f(x)는 x=b에서 극소


가 된다고 하고, f(b)를 극솟값이라고 합니다.

2.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a)=0입니다.
또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는 도함수 f'(x)의 부호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할 수 있음을 수학Ⅱ에서 배웠습니다.
⑴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a)=0일 때, x=a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입니다.
⑵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a)=0일 때, x=a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입니다.
극대
f '(a)=0
y=f(x)
08
극소
f '(x)>0 f '(x)<0 f '(x)<0 f '(a)=0 f '(x)>0

a x
y=f(x) a x

따라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극값을 판정할 때에는 먼저 f'(x)=0이 되는 x의 값을 구한


다음, 그 값의 좌우에서 도함수 f'(x)의 부호의 변화를 조사하여 f(x)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합
니다.

Example 함수 f(x)=x+;[$;의 극값을 구해 봅시다.

4 x¤ -4 (x+2)(x-2)
x+0이고 `f '(x)=1- = = 이므로
x¤ x¤ x¤
f'(x)=0에서 x=-2 또는 x=2
f'(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 x y -2 y (0) y 2 y
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습 f '(x) + 0 - - 0 +
니다. f(x) ↗ -4 ↘ ↘ 4 ↗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
고 극댓값 f(-2)=-4를 가지고, x=2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f(2)=4를 가집니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29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미분가능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 '(a)=0일 때, x=a의 좌우에서


1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대이다.
2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다.

3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함수 f(x)의 이계도함수 f "(x)가 존재하고 f '(a)=0일 때,
⑴ f "(a)<0이면 x=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서 f '(x)는 감소 극대
f '(a)=0
하고 f '(a)=0이므로 f '(x)의 부호는 x=a의 좌우에서 양(+)에
y=f(x)
서 음(-)으로 바뀝니다.
f "(a)<0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극대입니다. +
a - x
y=f '(x)

⑵ f "(a)>0이면 x=a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서 f '(x)는 증가 y=f(x)


극소
f '(a)=0
하고 f '(a)=0이므로 f '(x)의 부호는 x=a의 좌우에서 음(-)
에서 양(+)으로 바뀝니다. y=f '(x)
+ x
따라서 함수 f(x)는 x=a에서 극소입니다. - a
f "(a)>0

Example 함수 f(x)=x-2 sin x (0…x…p)의 극값을 구해 봅시다.

f '(x)=1-2 cos x이므로 f '(x)=0에서 cos x=;2!; ∴ x=;3“;

'3
f "(x)=2 sin x이므로 f "{;3“;}=2 sin ;3“;=2_ ='3 >0
2

f'{;3“;}=0, f "{;3“;}>0이므로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f {;3“;}=;3“;-'3 을

가집니다.

이계도함수를 이용한 함수의 극대와 극소의 판정

이계도함수를 가지는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일 때


1 f "(a)<0이면 f(x)는 x=a에서 극대이다.
2 f "(a)>0이면 f(x)는 x=a에서 극소이다.

30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함수 f(x)=x-e≈ 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여라.

2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라.


3x-4
⑴ f(x)= ⑵ f(x)=;2!;x+cos x (`0<x<p)
x¤ +1

3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 f(x)=e≈ +e—≈ 의 극값을 구하여라.

풀이 1 f(x)=x-e≈ 에서
f'(x)=1-e≈
f '(x)=0에서 x=0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 x y 0 y
과 같다. f '(x) + 0 -
따라서 함수 f(x)는 구간 (-¶, 0]에서 증가하고, 구간 `[0, ¶)에서 감소한다. f(x) ↗ -1 ↘
3x-4
2 ⑴ f(x)= x¤ +1 에서
3(x¤ +1)-2x(3x-4) -(3x+1)(x-3)
f'(x)= =
(x¤ +1)¤ (x¤ +1)¤
08
⑴` f '(x)=0에서 x=-;3!; 또는 x=3

⑴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x y -;3!; y 3 y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f '(x) - 0 + 0 -
⑴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 f(3)=;2!;을 가지고,
f(x) ↘ -;2(; ↗ ;2!; ↘
⑴ x=-;3!;에서 극솟값 f {-;3!;}=-;2(;를 가진다.

⑵ f(x)=;2!;x+cos x (0<x<p)에서 f '(x)=;2!;-sin x (0<x<p)

⑵ f '(x)=0에서 sin x=;2!; ∴ x=;6“; 또는 x=;6%;p

⑵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함수


x (0) y ;6“; y ;6%;p y (p)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
내면 오른쪽과 같다. f '(x) + 0 - 0 +
⑵ 따라서 함수 f(x)는 p '3 '3
f(x) ↗ + ↘ ;1∞2;p- ↗
12 2 2
⑵ x=;6“;에서 극댓값

p '3 '3
f {;6“;}= + 을 가지고, x=;6%;p에서 극솟값 f {;6%;p}=;1∞2;p- 을 가진다.
12 2 2
3 f(x)=e≈ +e—≈ 에서
f'(x)=e≈ -e—≈
f '(x)=0에서 x=0
f "(x)=e≈ +e—≈ 이므로 f "(0)=2>0
f '(0)=0, f"(0)>0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f(0)=2를 가진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0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실수 전체에서의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 f(x)={x¤ -ax+;4%; a}e≈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a

01 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도함수 f'(x)를 구하여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æ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합


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æ0이다.

상세 풀이

함수 f(x)={x¤ -ax+;4%;a}e≈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기 위해서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2x-a)e≈ +{x¤ -ax+;4%;a}e≈

f'(x)=[x¤ +(2-a)x+;4A;]e≈ æ0

이 성립해야 합니다. 이때, e≈ >0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2-a)x+;4A;æ0

이 성립해야 합니다.

이차방정식 x¤ +(2-a)x+;4A;=0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2-a)¤ -4_;4A;…0

a¤ -5a+4…0, (a-1)(a-4)…0
∴ 1…a…4

정답 1…a…4

보충 설명
수학 <상> 09 여러 가지 부등식에서 배운 이차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ax¤ +bx+cæ0이면 a>0, D…0입니다.
⑵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ax¤ +bx+c…0이면 a<0, D…0입니다.

30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2

01-1 함수 f(x)=(x¤ +a)e—≈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1-2 함수 f(x)=ax-sin 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정수 a의 최솟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08

01-3 함수 f(x)=x+2 ln(x¤ +a)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할 때, 양수 a의 최솟값을 구


하여라.

01-1 `aæ1 01-2 `③ 01-3 `4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0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여러 가지 함수의 극값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라.

02 ⑴ `f(x)=
x+1
x¤ +3
⑵ `f(x)=x+1-ln x

접근 방법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 다음 f '(x)=0이 되는 값을 기준으로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


타내어 극대와 극소를 판정합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f(x)에서 f '(a)=0일 때,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⑴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a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f(a)이다.
⑵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a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f(a)이다.

상세 풀이

(x¤ +3)-(x+1)_2x -(x+3)(x-1)


⑴ f '(x)= =
(x¤ +3)¤ (x¤ +3)¤
f '(x)=0 에서 x=-3 또는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 x y -3 y 1 y
과 같습니다.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f(1)=;2!;, f(x) ↘ 극소 ↗ 극대 ↘

x=-3에서 극솟값 f(-3)=-;6!;을 가집니다.

⑵ 진수 조건에 의하여 x>0이고


x-1
f '(x)=1-;[!;=
x
f '(x)=0 에서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습 x (0) y 1 y
니다. f '(x) - 0 +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 f(1)=2를 가집 f(x) ↘ 극소 ↗
니다.

정답 ⑴ 극댓값:;2!;, 극솟값:-;6!; ⑵ 극솟값:2

보충 설명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a에서 극값을 가지면 f '(a)=0입니다.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f(x)=x‹ 에서 f '(x)=3x¤ 이므로 f '(0)=0이지만 f(x)는 x=0에서 극값을 가지지 않습니다.

30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2

02-1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라.

x¤ +x+1
⑴ `f(x)= ⑵ `f(x)=(x¤ -x-1)e≈
x+1

02-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4x¤ +ax+b
⑴ 함수 `f(x)= 가 x=1 에서 극댓값 5 를 가질 때, 상수 a, b의 값과 극
x¤ +1
솟값을 각각 구하여라.

⑵ 함수 `f(x)=x+a sin x가 x=;3“; 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상수 a의 값과 극댓값을 각

각 구하여라. (단, 0…x…2p)

08

02-3 함수 f(x)=(x¤ +ax+2)e≈ 이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실수 a 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5
02-1 `⑴ 극댓값:-3, 극솟값:1 ⑵ 극댓값: , 극솟값:-e

02-2 `⑴ a=2, b=4, 극솟값:3 ⑵ a=-2, 극댓값:;3%;p+'3

02-3 `a<-2 또는 a>2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0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곡선의 오목과 볼록

어떤 구간에서 곡선 y=f(x) 위의 임의의 두 점 P, Q에 대하여


⑴ 두 점 P, Q 사이에 있는 곡선 부분이 선분 PQ보다 항상 아래쪽에 있으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하다고 합니다.
⑵ 두 점 P, Q 사이에 있는 곡선 부분이 선분 PQ보다 항상 위쪽에 있으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또는 아래로 오목)하다고 합니다.
y=f(x)
Q P
y=f(x)

P Q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

이제 함수 y=f(x)의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에 대하여 알아보


겠습니다.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f "(x)>0이면 이 구간에서 f'(x)는 증 y
y=f(x)
가하므로 곡선 y=f(x)의 접선의 기울기는 증가합니다.
f "(x)>0
따라서 곡선 y=f(x)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
(또는 위로 오목)합니다.
O x

또한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f"(x)<0이면 이 구간에서 f'(x) y

는 감소하므로 곡선 y=f(x)의 접선의 기울기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곡선 y=f(x)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 f "(x)<0
y=f(x)
(또는 아래로 오목)합니다.
O x

Example ⑴ 곡선 y=x‹ -3x¤ 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해 봅시다.


f(x)=x‹ -3x¤ 이라고 하면
f'(x)=3x¤ -6x, f"(x)=6x-6=6(x-1)

30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즉, x<1일 때 f"(x)<0, x>1일 때 f"(x)>0입니다. y y=x‹ -3x¤

따라서 곡선 y=f(x)는 구간 (-¶, 1)에서 위로 볼록하고, O 1


3 x
구간 (1, ¶)에서 아래로 볼록합니다.

-2

y
⑵ 곡선 y=cos x {0<x<;2“;}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해 봅시다. y=cos x
1
f(x)=cos x라고 하면
f'(x)=-sin x, f"(x)=-cos x
O p x
즉, 0<x<;2“;일 때 f"(x)<0입니다. 2

따라서 곡선 y=f(x)는 열린구간 {0, ;2“;}에서 위로 볼록합니다.

곡선의 오목과 볼록

함수 y=f(x)가 어떤 구간에서 항상
1 f"(x)>0이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아래로 볼록(또는 위로 오목)하다.
2 f"(x)<0이면 곡선 y=f(x)는 이 구간에서 위로 볼록(또는 아래로 오목)하다.
08

2 곡선의 변곡점

곡선 y=f(x) 위의 점 P(a, f(a))에 대하여 x=a의 좌우에서 곡선의 모양이 아래로 볼록에
서 위로 볼록으로 바뀌거나 위로 볼록에서 아래로 볼록으로 바뀔 때, 이 점 P(a, f(a))를 곡선
y=f(x)의 변곡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는 점 P(a, f(a))가 이 곡선의 변곡점이고, 이
때 f"(a)가 존재하면 f"(a)=0입니다.
또한 변곡점에서 곡선에 접하는 접선은 일반적인 접선과 달리 곡선을 뚫고 지나갑니다.
y y

y=f(x)
변곡점 변곡점
f(a) P(a, f(a)) f(a)
P(a, f(a))
y=f(x)

f "(x)>0 f "(x)<0 f "(x)<0 f "(x)>0


O a x O a x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0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즉, f"(x)=0이 되는 a의 값을 구하고 x=a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는지 확인하여
곡선 y=f(x)의 변곡점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계도함수를 가지는 함수 y=f(x)에 대하여 점 (a, f(a))가 곡선 y=f(x)의 변곡점


이면 f"(a)=0입니다. 그러나 곡선 y=f(x)에 대하여 f"(a)=0이 성립한다고 해서
점 (a, f(a))가 항상 변곡점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함수 f(x)=x› 에서 f'(x)=4x‹ , f"(x)=12x¤ 이므로 y y=x›

f"(0)=0입니다. 하지만 오른쪽 그래프와 같이 점 (0, 0)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점 (0, 0)은 곡선 y=f(x)의 변곡점
이 아닙니다.
O x

이와 같이 곡선 y=f(x)에 대하여 f "(a)=0이라고 해서 점 (a, f(a))가 항상 변곡점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점 (a, f(a))가 변곡점인지 판정하기 위해서는 x=a의 좌우에서 f"(x)의 부호
가 바뀌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Example 곡선 y=x› -4x‹ +3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고, 변곡점을 구해 봅시다.


f(x)=x› -4x‹ +3이라고 하면
f'(x)=4x‹ -12x¤ =4x¤ (x-3)
f"(x)=12x¤ -24x=12x(x-2)
f '(x)=0에서 x=0 또는 x=3
f "(x)=0에서 x=0 또는 x=2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y 0 y 2 y 3 y
f '(x) - 0 - - - 0 +
f "(x) + 0 - 0 + + +
3 -13
f(x) -24
(변곡점) (변곡점)

, 는 위로 볼록이면서 각각 증가, 감소를 나타내고, , 는 아래로 볼록이면서 각각 증가, 감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곡선 y=f(x)는 구간 (-¶, 0), (2, ¶)에서 아래로 볼록하고, 열린구간 (0, 2)에
서 위로 볼록합니다. 이때, 변곡점의 좌표는 (0, 3), (2, -13)입니다.

30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변곡점의 판정

함수 y=f(x)에서 f"(a)=0이고 x=a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면 점 (a, f(a))는 곡선


y=f(x)의 변곡점이다.

1 곡선 y=xe¤ ≈ 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고, 변곡점을 구하여라.

2 곡선 y=ln(x¤ +1)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고, 변곡점을 구하여라.

풀이 1 f(x)=xe¤ ≈ 이라고 하면
f'(x)=e¤ ≈ +2xe¤ ≈ =(2x+1)e¤ ≈ , f "(x)=2e¤ ≈ +(2e¤ ≈ +4xe¤ ≈ )=4(x+1)e¤ ≈

f '(x)=0에서 x=-;2!;, f "(x)=0에서 x=-1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8
x y -1 y -;2!; y

f '(x) - - - 0 +
f "(x) - 0 + + +
1 1
f(x) - -
e¤ 2e

따라서 곡선 y=f(x)는 구간 (-¶, -1)에서 위로 볼록하고, 구간 (-1, ¶)에서 아래로 볼록하다.


1
이때, 변곡점의 좌표는 {-1, - }이다.

2 f(x)=ln(x¤ +1)이라고 하면
2x 2(x¤ +1)-2x_2x 2(1-x¤ )
f'(x)= , f "(x)= =
x¤ +1 (x¤ +1)¤ (x¤ +1)¤
f '(x)=0에서 x=0, f "(x)=0에서 x=-1 또는 x=1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y -1 y 0 y 1 y
f '(x) - - - 0 + + +
f "(x) - 0 + + + 0 -
f(x) ln 2 0 ln 2

따라서 곡선 y=f(x)는 구간 (-¶, -1), (1, ¶)에서 위로 볼록하고, 열린구간 (-1, 1)에서 아래로 볼록하
다.
이때, 변곡점의 좌표는 (-1, ln 2), (1, ln 2)이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0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1
곡선 y=- 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고, 변곡점을 구하여라.

03 x¤ +1

접근 방법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은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즉, f "(x)>0 인 구간에서


곡선은 아래로 볼록하고, f "(x)<0인 구간에서 곡선은 위로 볼록합니다.

곡선 y=f(x)에서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면


점 (a, f(a))는 곡선 y=f(x)의 변곡점이다.

상세 풀이

1
f(x)=- 로 놓으면
x¤ +1
2x 2(x¤ +1)¤ -2x_2(x¤ +1)_2x 2(3x¤ -1)
f '(x)= , f "(x)= =-
(x¤ +1)¤ (x¤ +1)› (x¤ +1)‹
'3 '3
f '(x)=0에서 x=0, f "(x)=0 에서 x=- 또는 x=
3 3
곡선 y=f(x)의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3 '3
x y - y 0 y y
3 3
f '(x) - - - 0 + + +
f "(x) - 0 + + + 0 -

f(x) -;4#; -1 -;4#;

'3 '3 '3 '3


따라서 곡선 y=f(x)는 구간 {-¶, - }, { , ¶}에서 위로 볼록하고, 열린구간 {- , }에
3 3 3 3
'3 '3
서 아래로 볼록합니다. 이때, 변곡점의 좌표는 {- , -;4#;}, { , -;4#;}입니다.
3 3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f "(a)=0일 때, 곡선 y=f(x) 위의 x=a인 점에서 그은 접선이 곡선의 위쪽에 있으면 곡선은 위로 볼록하고,
접선이 곡선의 아래쪽에 있으면 곡선은 아래로 볼록합니다.

31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4

x
03-1 곡선 y=
x¤ +1
의 오목과 볼록을 조사하고, 변곡점을 구하여라.

03-2 곡선 y=x› -4x‹ +1에서 두 변곡점을 각각 P, Q라고 할 때, PQ”의 길이를 구하여라.

08

a
03-3 곡선 y=
'2
x¤ +sin x+cos x가 변곡점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03-1 `열린구간 (-'3, 0), 구간 ('3, ¶)에서 아래로 볼록, 구간 (-¶, -'3),
'3 '3
03-1 `열린구간 (0, '3)에서 위로 볼록, 변곡점의 좌표는 {-'3, - }, (0, 0), {'3, }
4 4
03-2 `2'å65 03-3 `-1<a<1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1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함수의 그래프

수학`Ⅱ에서 배웠던 다항함수의 그래프가 아닌 일반적인 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보겠습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순서대로 조사하면 그래프의 개형
을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1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2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3 좌표축과의 교점
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6 lim f(x), lim f(x), 점근선
x ⁄¶ x ⁄-¶

1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함수의 정의역이 주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다음 함수의 정의역에 주의합니다.
① 유리함수의 정의역 : 분모를 0이 되지 않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
② 무리함수의 정의역 : (근호 안의 식의 값)æ0이 되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
③ 로그함수의 정의역 : 로그의 진수가 양이 되도록 하는 실수 전체의 집합
e≈
예를 들어, 함수 y=x ln x의 정의역은 x>0인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함수 y= 의 정의
x
역은 x+0인 실수 전체의 집합입니다.

2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함수가 대칭성을 가지는 함수인지를 파악하면 보다 수월하게 그래프의 개형을 생각할 수 있
습니다.
함수 y=f(x)가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f(x)가 성립하는 우함
수이면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f(-x)=-f(x)가 성립하는 기함수이면 그래프
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31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 y=x ln |x|에서 `f(x)=x ln |x|라고 하면 f(-x)=-x ln |x|=-f(x)
에서 함수 y=x ln |x|는 기함수이므로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따라서 x>0
에서의 그래프를 완성하고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하여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습니다.

3 좌표축과의 교점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한 번 만나는지 여러 번 만나는지를 방정식 `f(x)=0의 실
근을 구하여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x축과 한 번 만나는 경우와 두 번 만나는 경우에 따라
그래프의 개형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분가능한 함수가 x축과 두 점에서 만나게
되면 롤의 정리에 의하여 그 사이에서 반드시 극값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y축과의 교점은 그 점의 y좌표가 음인지 양인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실제적으로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관찰하기 위하여 도함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y=f(x)에서 `f '(x)=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f '(x)>0인 구간에서 함수는 증가
하고, `f '(x)<0인 구간에서 함수는 감소합니다. `f '(x)=0이 되는 x에서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지를 판단하여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습니다.
08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어떤 구간에서 상수함수가 아닌 미분가능한 함수는 극대일 때 위로 볼록한 그래프가 그려지고,
극소일 때 아래로 볼록한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곡선 y=f(x)는 이계도함수 `f "(x)=0이 되
는 x의 값을 기준으로 `f "(x)>0인 구간에서는 아래로 볼록하고, f "(x)<0인 구간에서는
위로 볼록한 모양입니다. 또한 변곡점은 `f "(x)=0이 되는 x의 값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6 lim f(x), lim f(x), 점근선


x ⁄¶ x ⁄-¶

곡선 위의 점이 특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한 직선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이 직선을


그 곡선의 점근선이라고 합니다.
a, b가 실수일 때, 곡선 y=f(x)의 점근선은 다음과 같이 함수의 극한값을 이용하여 구합
니다.
① lim f(x)=b 또는 lim f(x)=b이면 점근선은 직선 y=b입니다.
x ⁄¶ x ⁄-¶

② lim f(x)=—¶ 또는 lim f(x)=—¶이면 점근선은 직선 x=a입니다.


x ⁄a+ x ⁄a-

③ lim { f(x)-(mx+n)}=0 또는 lim { f(x)-(mx+n)}=0이면 점근선은 직선


x ⁄¶ x ⁄-¶

y=mx+n입니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그럼, 다음의 Example 에서 주어진 함수에 따라 앞의 내용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함수의 그래
프를 그려가며 연습해 봅시다.

Example 함수 y=e-x¤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봅시다.


f(x)=e-x¤ 으로 놓고,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순서대로 조사하여 봅시다.
1 함수 `f(x)의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치역은 {y|y>0}입니다.
2 f(-x)=f(x)이므로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3 f(0)=1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y축과 점 (0, 1)에서 만납니다.
한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e-x¤ >0이므로 x축과는 만나지 않습니다.
4 , 5 f '(x)=-2xe-x¤ 이므로 f '(x)=0에서 x=0
1 1
, f "(x)=2(2x¤ -1)e-x¤ 이므로 f "(x)=0에서 x=- 또는 x=
'2 '2
,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1
x y - y 0 y y
'2 '2
f '(x) + + + 0 - - -
f "(x) + 0 - - - 0 +
1 1
f(x) 'e 1 'e
(극대)
(변곡점) (변곡점)

,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1을 가지고, 극솟값은 가지지 않습니다.


1 1 1 1
, 또한 변곡점의 좌표는 {- , }, { , }입니다.
'2 'e '2 'e
1
6 lim e-x¤ = lim =0,
x ⁄¶ x ⁄¶ ex¤ y

-x¤ 1 1
lim e = lim x¤ =0이므로 x축이 점근선 1
x ⁄-¶ x ⁄-¶ e
'e
입니다. y=e—≈ ¤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 1 O 1 x


-
림과 같습니다.
'2 '2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

일반적으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순서대로 조사하여 그린다.


1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2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3 좌표축과의 교점 4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5 곡선의 오목과 볼록, 변곡점 6 lim f(x), lim f(x), 점근선
x ⁄¶ x ⁄-¶

31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x
1 함수 y= x¤ +1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2 함수 `y=x+2 cos x (-p…x…p)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x
풀이 1 f(x)= x¤ +1 라고 하면 `f(-x)=-f(x)이므로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x¤ +1
f '(x)= 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1
(x¤ +1)¤
2x(x¤ -3)
f "(x)= 이므로 `f "(x)=0에서 x=-'3 또는 x=0 또는 x='3
(x¤ +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오목과 볼록을 xæ0인 경우만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y 1 y '3 y
f '(x) + + 0 - - -
f "(x) 0 - - - 0 +
y
'3
0 ;2!; 1 x
f(x) 4 y=
(변곡점) (극대)
'3 2 x¤ +1
(변곡점) 4
-'3 -1
x
O 1 '3 x
이때, lim =0이므로 x축이 점근선이다. 1
x ⁄¶ x¤ +1 - -
08
'3
2 4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2 f(x)=x+2 cos x (-p…x…p)라고 하면 정의역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주기와 점근선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f(0)=2이므로 y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0, 2)이다.
p 5
f '(x)=1-2 sin x이므로 `f '(x)=0에서 x= 또는 x= p
6 6
p p
f "(x)=-2 cos x이므로 `f "(x)=0에서 x=- 또는 x=
2 2
-p…x…p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 오목과 볼록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p y -;2“; y ;6“; y ;2“; y ;6%;p y p

f '(x) + + + + 0 - - - 0 + +
f "(x) + + 0 - - - 0 + + + +

-;2“; ;6“;+'3 ;2“; ;6%;p-'3


f(x) -p-2 p-2
(변곡점) (극대) (변곡점) (극소)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y


p y=x+2cosx
2 2
p-2
p
-p - 2 O p
p p 5p x
6 2 6
p
-2

-p-2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⑴


함수 y=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04 x-1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에서 도함수 y'=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구분하여 증가와 감소를 판단하고, 이
계도함수 y"=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구분하여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을 판단하여 그래프
의 개형을 그리도록 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극한을 이용하여 점근선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도함수 y'에 의하여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를 판단하고, 이계도함수 y"에
의하여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 변곡점을 판단하여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상세 풀이


f(x)= 이라고 하면 x+1이고 그래프는 원점 (0, 0)을 지납니다.
x-1
x(x-2)
f '(x)= 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2
(x-1)¤
2
f "(x)= 이므로 f "(x)=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곡점은 없습니다.
(x-1)‹

x y 0 y (1) y 2 y
f '(x) + 0 - - 0 +
f "(x) - - - + + +
0 4
f(x)
(극대) (극소)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점근선은 직선 x=1입니다. y


x ⁄1- x ⁄1+
4
1 y=x+1
또한 f(x)=x+1+ 에서` lim { f(x)-(x+1)}=0,
x-1 x ⁄-¶
1
1
lim { f(x)-(x+1)}=0이므로 직선 y=x+1도 점근선입니다. 2
x ڦ O x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x¤


y=
x-1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곡선 위의 점이 원점에서 한없이 멀어짐에 따라 어떤 직선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이 직선을 그 곡선의 점근선이
라고 합니다.

31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4

04-1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16x x‹
⑴ y= ⑵ y=
x¤ +4 x¤ -4

04-2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ln x
⑴ y=x ln x ⑵ y= ⑶ y=x¤ -ln x
x

08

| f(x)| (x>0)
04-3 함수 `f(x)=(ln x)‹ 에 대하여 함수 g(x)=[ 라고 할 때, 함수
f(-x) (x<0)
y=`g '(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04-1 `p.514 참조 04-2 `p.514 참조 04-3 `p.515 참조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1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⑵

x
함수 y=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05 e≈

접근 방법

주어진 함수에서 도함수 y'=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구분하여 증가와 감소를 판단하고, 이
계도함수 y"=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구분하여 아래로 볼록, 위로 볼록을 판단하여 그래프
의 개형을 그리도록 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극한을 이용하여 점근선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도함수와 이계도함수의 값의 부호에 의하여 그래프의 변화를 살피도록 합니다.

상세 풀이

x
f(x)= 라고 하면
e≈
e≈ -xe≈ 1-x
f '(x)= = 이므로 `f '(x)=0에서 x=1
e¤ ≈ e≈
-e≈ -(1-x)e≈ x-2
f "(x)= = 이므로 `f "(x)=0에서 x=2
e¤ ≈ e≈

x y 1 y 2 y
f '(x) + 0 - - -
f "(x) - - - 0 +
1 2 y
f(x) e e¤ 1 x
e y=
(극대) (변곡점) ex
2

이때, lim f(x)=0, lim f(x)=-¶이므로 점근선은 x축입니다.
x ⁄¶ x ⁄-¶
O 1 2 x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정답 풀이 참조

보충 설명
x
f(x)= =xe—≈ 에서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f '(x)와 f "(x)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
f '(x)=e—≈ -xe—≈ =(1-x)e—≈
f "(x)=-e—≈ +(x-1)e—≈ =(x-2)e—≈
g(x)
위와 같이 f(x)= 의 형태의 함수는 `f(x)=g(x)e—≈ 꼴로 변형하여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쉽게 미분하도
e≈
록 합니다.
f '(x)={ g '(x)-g(x)}e—≈ 이고, f "(x)={ g "(x)-2g '(x)+g(x)}e—≈ 과 같이 쉽게 적용하도록 합니다.

31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7

05-1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⑴ y=xe≈ ⑵ y=x¤ e≈ ⑶ y=
e≈

05-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x¤ e—≈ -1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æ-1이다.
f(x¡) f(x™)
ㄴ. x¡<x™<0일 때, < 이다.
x¡ x™
ㄷ. 충분히 작은 양수 h에 대하여 f(2-h)<f(2)이고, f(2+h)<f(2)이다.
08

05-3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⑴ y=x‹ e—≈ ⑵ y=x≈ (x>0)

05-1 `p.515 참조 05-2 `ㄱ, ㄴ, ㄷ 05-3 `p.515 참조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의 그래프와 참, 거짓의 판단

다항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 y y=f '(x)

06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


서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e
ㄱ. 닫힌구간 [b, e]에서 함수 `f(x)는 2개의 a b O cd f x

극값을 가진다.
ㄴ. 닫힌구간 [a, f ]에서 곡선 y=`f(x)의 변
곡점은 4개이다.
ㄷ. 닫힌구간 [a, f ]에서 함수 `f(x)의 최댓
값은 `f(d)이다.

접근 방법

도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f '(x)=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f '(x)의 부호를 살피고 `f '(x)가
극값을 가지는 점에서 곡선의 볼록이 바뀌게 됨을 이용하여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도록
합니다.

도함수 f '(x)가 x=t에서 극값을 가지면 점 (t, f(t))는 곡선 y=f(x)의 변곡점이다.

상세 풀이

주어진 y=f '(x)의 변화에 의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y a y b y 0 y c y d y e y f y
f '(x) - 0 + + + 0 + + + 0 - - - 0 +
f "(x) + + + 0 - 0 + 0 - - - 0 + + +
f(x) 극소 변곡점 변곡점 변곡점 극대 변곡점 극소

ㄱ. 닫힌구간 `[b, e]에서 함수 `f(x)는 x=d일 때 극대이므로 1개의 극값 y y=f '(x)

을 가집니다. (거짓)
ㄴ. 닫힌구간 `[a, f ]에서 곡선 `y=f(x)의 변곡점은 `f "(x)=0이면서 e
a b O c d f x
`f "(x)의 부호가 바뀌는 점이므로 y=f '(x)의 그래프에서 극값을 가
y=f(x)
지는 점입니다. 따라서 변곡점은 x=b, 0, c, e일 때로 모두 4개입니
다. (참) x=d
x=f
ㄷ. 닫힌구간 `[a, f ]에서 함수 `f(x)는 x=d일 때 유일한 극대이므로 최
대가 됨을 오른쪽 그림을 통하여 알 수 있습니다. (참)
x=a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입니다. 정답 ㄴ, ㄷ

32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69

06-1 다항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 y y=f '(x)


른쪽 그림과 같을 때,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골라라. e
a O b c d f x
보기
ㄱ. 열린구간 (a, f )에서 함수 `f(x)는 2개의
극값을 가진다.
ㄴ. 열린구간 (a, f )에서 곡선 y=`f(x)의 변
곡점은 3개이다.
ㄷ. 닫힌구간 `[b, e]에서 함수 `f(x)의 최댓값
은 `f(c)이다.

08
06-2 -3<x<3에서 원점을 지나는 연속함수 y=f(x) y

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 1 y=f '(x)

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3 -2


-1 O 1 2 3 x
보기
-1
ㄱ. `f(1)>0
ㄴ. 열린구간 (-3, 3)에서 함수 `f(x)는 3개
의 극값을 가진다.
ㄷ. 열린구간 (-1, 1)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다.

06-1 `ㄱ, ㄴ 06-2 `ㄱ, ㄴ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8- 1 다음을 증명하여라.

ln x
⑴ 함수 `f(x)= 는 x>e에서 감소한다.
x
⑵ 함수 `f(x)=x-cos 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08- 2 함수 `f(x)=(ax¤ +1)e≈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기 위한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08- 3 함수 `f(x)=ax+ln(x¤ +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할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08- 4 함수 `f(x)=(x¤ +x+1)eå ≈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할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08- 5 함수 `f(x)=
ax+b
x¤ +1
가 x=-1에서 극댓값 1을 가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① -4 ② -2 ③2
④4 ⑤6

32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5 | 풀이집 p.171

08- 6 함수 `f(x)=ln x+ax+;[B;가 x=1에서 극솟값 1을 가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10a+b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8- 7 함수 `f(x)=
x-a
x¤ -x-2
가 극값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8- 8 함수 `f(x)=x+k cos x가 극값을 가지기 위한 상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8

08- 9 함수 `f(x)=
ax¤ +2x+b
x¤ +1
가 x=1에서 극댓값 2를 가질 때, 상수 a, b의 값과 `f(x)의 극솟

값을 구하여라.

08- 10 함수 `f(x)=x+a sin x+b cos x가 x=;3“;와 x=p에서 극값을 가질 때, 이 극값 중 극솟값

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8- 11 다음 곡선에서 변곡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⑴ y=e≈ -e—≈ +2 ⑵ y=sin¤ x+1 {0<x<;2“;}

08- 12 곡선 y=x¤ +a sin x가 변곡점을 가지도록 하는 자연수 a의 최솟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8- 13 함수 `f(x)=ax¤ +x+b ln x의 변곡점의 x좌표가 1이고 x=2에서 극대일 때, 함수 `f(x)는


x=c에서 극소이다. 상수 a, b, c에 대하여 a+b+c의 값은?

① -;5!; ② -;1¡0; ③ ;1¡0;

④ ;5!; ⑤ ;1£0;

08- 14 함수 `f(x)=(1+cos x)sin x (0<x<p)에 대하여 곡선 y=f(x)의 극점의 개수는 m, 변


곡점의 개수는 n이다. 10m+n의 값을 구하여라.

08- 15 <보기>에서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하여


a+b f(a)+f(b)
f{ }…
2 2
를 만족시키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e≈ +e—≈ 1
ㄱ. `f(x)=ex¤ ㄴ. `f(x)= ㄷ. `f(x)=
2 1+x¤

32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6 | 풀이집 p.175

08- 16 이계도함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라. (단, 0…x…2p)

⑴ `f(x)=e≈ sin x ⑵ `f(x)=e sin x

08- 17 함수 `f(x)=e≈ -ax¤ -bx (`a, b는 상수)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a=0이고 b>0일 때, f(x)는 극솟값을 갖는다.
ㄴ. a<0이고 b<0일 때, f(x)는 극댓값을 갖는다.
ㄷ. a<0이고 b>0일 때, f(x)는 극솟값을 갖는다.

08- 18 닫힌구간 [0, 2p]에서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⑴ y=x+2 sin x ⑵ y=2 sin x-sin¤ x


08

08- 19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⑴ y=ln x-;2!;x¤ ⑵ y=x;3@;(2-x)

수능

08- 20 함수 `f(x)=x+sin x에 대하여 함수 g(x)를


g(x)=( fΩf )(x)
로 정의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함수 y=f(x)의 그래프는 열린구간 (0, p)에서 위로 볼록하다.
ㄴ. 함수 g(x)는 열린구간 (0, p)에서 증가한다.
ㄷ. g'(x)=1인 실수 x가 열린구간 (0, p)에 존재한다.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2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8- 21 함수 `f(x)=(x¤ +ax+a)e≈ 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8- 22 구간 (-¶, ¶)에서 함수 `f(x)=a sin x-(a+1) cos x-5x가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a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구하여라.

08- 23 함수 `f(x)=2 ln x+;[A;-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08- 24 함수 `f(x)=cos‹ x-a sin¤ x+a cos x-a가 0<x<p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질
때, 상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8- 25 함수 `f(x)=e—≈ sin x에 대하여 x>0에서 극댓값을 큰 것부터 순서대로 a¡, a™, a£, y이라고

하면 ¡ '2a«=

이다. 상수 p의 값이 ;aB;p일 때, a+b의 값을 구하여라.
n=1 e¤ » -1
(단, a, b는 서로소인 자연수이다.)

32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6 | 풀이집 p.181

08- 26 함수 `f(x)=e—≈ (sin x+cos x)에 대하여 x>0에서 `f(x)가 극대가 되는 x의 값을 차례로
a¡, a™, a£, y (a¡<a™<a£<y)

이라고 할 때, 급수 ¡ f(a«)의 합을 구하여라.


n=1

08- 27 함수 `f(x)=e-x¤ (xæ0)의 역함수를 `f —⁄ (x)라고 할 때, 함수 y=f —⁄ (x)의 그래프의 개형


을 그려라.

challenge

f(x)
08- 28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x
는 x=a에서 극솟값 b를 가진다

고 한다.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단, a>0)


보기 08
ㄱ. `f '(a)=b
ㄴ.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은 원점을 지난다.
f(a-h)
ㄷ. 충분히 작은 양수 h에 대하여 `f '(a-h)< 이다.
a-h

challenge

08- 29 함수 `f(x)=sin (ln x)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ㄱ. `f '(e;2“;)=0

ㄴ. 함수 `f(x)는 x=e;2“;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ㄷ. 함수 `f(x)는 x=e 124 에서 변곡점을 가진다.


3p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3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9
도함수의 활용
01 함수의 최대와 최소 331
예제
02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338
예제
03 속도와 가속도 346
예제
기본 다지기 356
실력 다지기 358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도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
값을 구해 보겠습니다. 또한 도함수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해의 존재 범위를 알아보고, 부등식을 증명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도함수를 이용하여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를 구하는 방법과 시각에 대한 어떤 물체의
변화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01 함수의 최대와 최소 01 닫힌구간에서의 함수의 최대, 최소 334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02 도형에서의 최대, 최소의 활용 336
수 있다.

02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03 방정식에의 활용 342


방정식과 부등식에 활용할 수 있다. 04 부등식에의 활용 344

03 속도와 가속도 05 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350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 06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352


결할 수 있다.
07 시각에 대한 변화율 354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9 | 도함수의 활용

01 함수의 최대와 최소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주어진 구간에서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구한다.
2 주어진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한다.
3 1 , 2 `에서 구한 극댓값, 극솟값, f(a), f(b)의 크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02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1 방정식에의 활용
⑴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
와 같다.
⑵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
점의 개수 또는 함수 y= f(x)-g(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2 부등식에의 활용
⑴ 어떤 구간에서 f(x)>0임을 보일 때, 그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양수임을 보인다.
⑵ 어떤 구간에서 f(x)>g(x)임을 보일 때, 그 구간에서 함수 f(x)-g(x)의 최솟값이 양수
임을 보인다.

03 속도와 가속도

1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 y=g(t)일 때,
dx dy
⑴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vx, vy)={ , }=( f '(t), g '(t))
dt dt
⑵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력은 øπvx¤ +vy¤ =øπ{ f '(t)}¤ +{ g '(t)}¤
d¤ x d¤ y
⑶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는 (ax, ay)={ , }=( f "(t), g"(t))
dt¤ dt¤
⑷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는 øπax¤ +ay¤ =øπ{ f "(t)}¤ +{ g "(t)}¤

33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함수의 최대와 최소

함수의 최대와 최소는 시험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단원입니다. 지금까지 배워 온 최


대・최소 정리, 함수의 극대와 극소,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내용을 이용하면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먼저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수학Ⅱ 02 함수의 연속에
서 배운 최대・최소 정리에 대하여 복습해 봅시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
을 가집니다.

위의 최대・최소 정리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인 모든 함수는 그 구간 y


최댓값
에서 `함수가 최대인 점과 최소인 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y=f(x) 09
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관적으로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최솟값
함수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그 구간에서 연속인지 아
O a b x
닌지를 따져 보는 것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함수의 최댓
값, 최솟값은 정의역의 범위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어느 범위에서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는
것인지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한편, 구간이 반열린 구간 또는 반닫힌 구간 (a, b]일 때, `f(a)가 존재하지 않고 반열린 구간
또는 반닫힌 구간 [a, b)일 때, `f(b)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특히, 열린구간 (a, b)일 때, `f(a), f(b)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의하여 최댓값, 최솟값
을 구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여러 가지 모양의 그래프에 대하여 최댓값, 최솟값을 구해 봅시다.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집니다.

09 도함수의 활용 3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때, [그림 1]과 같이 극댓값과 극솟값이 각각 최댓값과 최솟값이 되는 경우도 있고 [그림 2],
[그림 3]과 같이 극댓값과 극솟값이 최댓값과 최솟값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y y y
극대 y=f(x) y=f(x)
최댓값 최댓값
최댓값
f(b) 극대 f(b) 극대
y=f(x)
f(b)
f(a) 최솟값
f(a) 극소
f(a)
최솟값 최솟값
O a 극소 b x O a 극소 b x O a b x

[그림 1] [그림 2] [그림 3]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f(x)의 극값과 닫힌구간 [a, b]의 양 끝에서의 함숫
값 f(a), f(b)의 크기를 비교하여 구합니다. 즉, 극댓값, 극솟값, f(a), f(b)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입니다.

Example 닫힌구간 `[-1, 1] 에서 함수 f(x)=x+"√1-x¤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구해 봅시다.


x
`f '(x)=1+;2!;(1-x¤ )-;2!;_(-2x)=1- 이므로
"√1-x¤
'2
`f '(x)=0에서 x=
2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2
x -1 y y 1
2
f '(x) + 0 -
f(x) -1 ↗ '2 ↘ 1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1입니다.

함수의 최대와 최소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주어진 구간에서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구한다.
2 주어진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한다.
3 1 , 2 `에서 구한 극댓값, 극솟값, f(a), f(b)의 크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가
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33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함수의 최대, 최소의 활용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는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를 한 문


자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
합니다.
미분
변수를 정하여 미지수로 놓기 ΔΔΔ 관계식 찾기 ΔΔΔ 최댓값 또는 최솟값 구하기

변수를 정하여 미지수로 놓을 때에는 길이에 대한 변수 x로 둘 것인지, 각에 대한 변수 h로 둘


것인지를 정하여 구하려는 주제(넓이 또는 부피 등)에 대한 관계식을 찾고, 미분을 이용하여 극
대 또는 극소가 되는 값을 찾습니다. 그 후 조건에 맞는 범위 내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합니
다. 다음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에 내접하는 꼭지각의 크기가 h인 이등변삼각형의 넓이를 S(h)라고


할 때, S(h)의 최댓값을 구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 O에 내접하는 이등변삼 A

각형 ABC에서 ∠BAC=h (0<h<p)라 하고, 점 A에서 BC”에 내 2


h

린 수선의 발을 D라고 하면 ∠BOD=h이므로 O


2
OD”=2 cos h, BD”=2 sin h h
B D C
∴ S(h)=;2!;_4 sin h_(2+2 cos h)=4 sin h(1+cos h) 09
∴ S '(h)=4(cos h+cos¤ h-sin¤ h)=4(2 cos¤ h+cos h-1)
=4(cos h+1)(2 cos h-1)

S '(h)=0에서 cos h+1>0이므로 cos h=;2!; ∴ h=;3“; (∵ 0<h<p)

함수 S(h)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


h (0) y ;3“; y (p)
면 오른쪽과 같습니다.
S'(h) + 0 -
따라서 함수 S(h)는 h=;3“;에서 극대이
3'3
면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3'3 입니다. S(h) ↗ ↘
(극대)

함수의 최대, 최소의 활용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조건에 적합한 변수를 정하여 미지수로 놓고 미지수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2 미지수를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에 대한 관계식을 찾는다.
3 미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한다.

09 도함수의 활용 3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닫힌구간에서의 함수의 최대, 최소

다음 함수의 주어진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01 ⑴ `f(x)=
x+1
x¤ +3
(0…x…2) ⑵ `f(x)=
sin x
sin x+2
(0…x…2p)

접근 방법

도함수 `f '(x)를 구한 다음 `f '(x)=0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증가와 감소를 나타낸 표 또는 이계도함


수를 이용하여 극대 또는 극소를 판단합니다. 이 값과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을 비교하면 최댓값 또
는 최솟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극값과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을 비교하여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상세 풀이

x+1 x¤ +3-(x+1)_2x -(x+3)(x-1)


⑴ f(x)= 에서 f '(x)= =
x¤ +3 (x¤ +3)¤ (x¤ +3)¤
f '(x)=0에서 x=1 (∵ 0…x…2)이므로 함수 f(x)의 x 0 y 1 y 2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습니다. f '(x) + 0 -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2!;, 최솟값은 ;3!;입니다. f(x) ;3!; ↗ ;2!; ↘ ;7#;
sin x 2 cos x
⑵ f(x)= 에서 f '(x)=
sin x+2 (sin x+2)¤

f '(x)=0에서 cos x=0 ∴ x=;2“; 또는 x=;2#;p (∵ 0…x…2p)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x 0 y ;2“; y ;2#;p y 2p
오른쪽과 같습니다.
f '(x) + 0 - 0 +
따라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3!;, 최솟값은
f(x) 0 ↗ ;3!; ↘ -1 ↗ 0
-1입니다.

정답 ⑴ 최댓값:;2!;, 최솟값:;3!; ⑵ 최댓값:;3!;, 최솟값:-1

보충 설명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합니다.
1 닫힌구간 `[a, b]에서의 모든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합니다.
2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 `f(a), f(b)를 구합니다.
3 `f(a), f(b)와 극댓값 중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f(a), f(b)와 극솟값 중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입니다.

33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86

01-1 다음 함수의 주어진 구간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⑴ `f(x)=x"√9-x¤ (-3…x…3) ⑵ `f(x)=x ln x-2x+1 (1…x…e¤ )

01-2 함수 f(x)=kx¤ e—≈ (0…x…4)의 최댓값이 4일 때, 양수 k의 값은?

①2 ②e ③ 2e
④ e¤ ⑤ 2e¤

09

01-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sin x cos¤ x+sin¤ x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⑵ x¤ +2y¤ =4일 때, x¤ y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01-1 `⑴ 최댓값:;2(;, 최솟값:-;2(; ⑵ 최댓값:1, 최솟값:1-e 01-2 `④

8'6 8'6
01-3 `⑴ 최댓값:1, 최솟값:-;2∞7; ⑵ 최댓값: , 최솟값:-
9 9

09 도함수의 활용 3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형에서의 최대, 최소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반원에 내


D C

02 접하고 AB”가 반원의 지름인 사다리꼴 ABCD가 있


다. 이 사다리꼴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A B
2

접근 방법

주어진 반원의 중심을 O라 하고 ∠DOA=h로 놓으면 사다리꼴의 넓이를 h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


습니다. 이 식을 미분하여 극댓값을 찾아 최댓값을 구합니다.

각의 크기를 변수 h로 놓고 넓이를 h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미분한다.

상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D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E,


D C

∠DOE=h {0<h<;2“;}라고 하면 OE”=2 cos h, DE”=2 sin h


h
A B
따라서 사다리꼴 ABCD의 넓이를 S(h)라고 하면 E O 2

S(h)=;2!; (AB”+D’C’)_D’E’=;2!; (2 OA”+2 OE”)_D’E”

S(h)=(2+2 cos h)_2 sin h=4(1+cos h)sin h


∴ S '(h)=4{(-sin h)_sin h+(1+cos h)_cos h}=4(cos¤ h-sin¤ h+cos h)
∴ S '(h)=4(2 cos¤ h+cos h-1)=4(cos h+1)(2 cos h-1)
S '(h)=0에서 cos h+1>0이므로
h (0) y ;3“; y {;2“;}
cos h=;2!; ∴ h=;3“;
S'(h) + 0 -
함수 S(h)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3'3
S(h) ↗ ↘
같습니다. (극대)

따라서 함수 S(h)는 h=;3“;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

므로 사다리꼴의 넓이의 최댓값은 3'3입니다.

정답 3'3
보충 설명
도형에서의 최대, 최소의 응용 문제는 다음 순서로 구합니다.
1 각에 대한 변수 h를 지정할 것인지, 길이에 대한 변수 x 또는 y를 지정할 것인지를 생각합니다.
2 변수를 이용하여 구하는 주제`(넓이 또는 부피 등)에 대한 식을 세우고 조건에 맞는 변수의 범위를 구합니다.
3 미분을 이용하여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변수의 값을 정합니다.
4 변수의 범위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합니다.

33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87

02-1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각기둥 모양의 물통에서 사다 E H


리꼴 ABCD에 대하여 A’B’=B’C’=C’D’=1이고 8 F G
A’E’=8이다. 꼭짓점 B, C에서 선분 AD에 내린 수
A M N
선의 발을 각각 M, N이라고 할 때, D
1 h h 1
∠ABM=∠DCN=h이다. 물통의 부피의 최댓값이
B 1 C
V일 때, V¤ 의 값을 구하여라.

0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A의 중심 y


B
P는 원 x¤ +y¤ =1 위에 있고 각 변은 좌표축과 평행하게 움 (1, 2)
직인다. 또한 정사각형 A와 합동인 정사각형 B는 그 중심이
1 f(h)
점 (1, 2)이고 한 변이 y축에 겹쳐져 있다. OP”가 x축의 양
P A
의 방향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라고 할 때, 두 정사각형 A와 h
-1 O 1 x
B의 내부의 공통 부분의 넓이를 f(h)라고 하자. f(h)의 최댓
값을 구하여라. (단, O는 원점, 점 P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 -1

고 정사각형의 중심은 두 대각선의 교점이다.)

09

02-3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2, AD”=2'3인 직사각형 2'3


A R D
ABCD가 있다. 선분 BC 위의 점 P에 대하여 선분 AP
의 수직이등분선이 두 직선 AB, AD와 만나는 점을 각
2
각 Q, R라고 하자. 선분 QR의 길이의 최솟값을 k라고 Q

할 때, 4k¤ 의 값을 구하여라. B P C
(단, 점 P는 점 B가 아니다.)

3'3
02-1 `108 02-2 ` 02-3 `27
4

09 도함수의 활용 3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방정식에의 활용

방정식 f(x)=0의 실근은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 즉 직 y=f(x)

선 y=0의 교점의 x좌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정식 f(x)=0의


x¡ x™ x£ x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방정식 f(x)=0의 실근

개수를 조사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정식 f(x)=g(x)의 실근은 두 함수 y=f(x), y=g(x)의 y=f(x)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정식 f(x)=g(x) y=g(x)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와 y=g(x)의 그래프


x¡ x™ x£ x
의 교점의 개수를 조사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방정식 f(x)=g(x)의 실근

이때, f(x)=g(x)에서 f(x)-g(x)=0이므로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


수는 함수 y=f(x)-g(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습니다.

Example 방정식 ln x-3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해 봅시다.

f(x)=ln x-3x라고 하면 `f '(x)=;[!;-3이므로

`f '(x)=0에서 x=;3!;

x>0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0) y ;3!; y

f '(x) + 0 -
f(x) ↗ -1-ln 3 ↘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y


1
x ⁄0+ x ⁄¶
3
O x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1-ln3 y=lnx-3x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x축과 만나지 않으므로 주어
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0입니다.

33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제,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조사하여 만든 새로운 함수의 그래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
시다.
예를 들어, x에 대한 방정식 e≈ =tx (t는 실수)의 실근의 개수를 g(t)라고 할 때, 함수 y=g(t)
를 구하고 그 그래프를 그려 보도록 합시다.
첫 번째 방법으로 방정식 e≈ =tx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e≈ 의 그래프와 직선 y=tx의 교점
의 개수임을 이용하여 함수 g(t)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y t>e
이때, f(x)=e≈ 이라고 하면 f '(x)=e≈ 이므로 함수 y=f(x)의 그 t<0 t=e

래프 위의 점 (a, eå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a)=eå 이고 접선의


0…t<e
e
방정식은 y-eå =eå (x-a)입니다.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날 때의 a의 x
y=e
값을 구해 보면 a=1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 교점의 O 1 x

개수는 t>e일 때 2개, t<0 또는 t=e일 때 1개, 0…t<e일 때 0개


입니다. 따라서 함수 g(t)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t<0)
| 0 (0…t<e)
g(t)={
| 1 (t=e)
9 2 (t>e)
e≈
두 번째 방법으로 방정식 e≈ =tx는 x+0일 때 =t이므로 이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x 09
e≈
y= 의 그래프와 직선 y=t의 교점의 개수임을 이용하여 함수 g(t)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x
e≈ (x-1)e≈
x+0일 때, f(x)= 이라고 하면 f '(x)= 이므로 f '(x)=0에서 x=1입니다.
x x¤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y (0) y 1 y
f '(x) - - 0 +
f(x) ↘ ↘ e ↗

이때, lim f(x)=0, lim f(x)=¶, lim f(x)=-¶, y e≈


x ⁄-¶ x ⁄¶ x ⁄0- y=-
x
y=t
lim 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습 e
x ⁄0+

니다.
O 1 x
직선 y=t의 실수 t의 값을 변화시키면서 서로 다른 교점의 개수를
구하면 t>e일 때 2개, t<0 또는 t=e일 때 1개, 0…t<e일 때 0개이
므로 함수 g(t)는 다음과 같습니다.

09 도함수의 활용 3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1 (t<0)
| 0 (0…t<e) y
g(t)={
| 1 (t=e)
y=g(t)
2

9 2 (t>e) 1

따라서 위의 두 가지 방법으로 구한 함수 y=g(t)는 같고, 그 그래프 O e t

는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방정식에의 활용

1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 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2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 f(x), y=g(x)의 그래프의 교점
의 개수 또는 함수 y= f(x)-g(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2 부등식에의 활용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부등식을 증명해 보겠습니다.


어떤 구간에서 부등식 `f(x)æ0이 성립함을 보이려면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여
그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음을 보이면 됩니다. 또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부등식 `f(x)æg(x)가 성립함을 보이려면
F(x)=f(x)-g(x)
라 하고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음을 보이면 됩니다.

Example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e≈ æx+1임을 증명해 봅시다.


f(x)=e≈ -x-1이라고 하면 f '(x)=e≈ -1이므로
`f '(x)=0에서 x=0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y
x y 0 y
f '(x) - 0 + y=e≈ -x-1

f(x) ↘ 0 ↗

이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O x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f(0)=0이므로
e≈ -x-1æ0 ∴ e≈ æx+1

34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등식에의 활용

1 어떤 구간에서 f(x)>0임을 보일 때, 그 구간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양수임을 보인다.


2 어떤 구간에서 f(x)>g(x)임을 보일 때, 그 구간에서 함수 f(x)-g(x)의 최솟값이 양수임을
보인다.

1 방정식 x-ln x-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2 x에 대한 방정식 e≈ =x+a (a는 실수)의 실근의 개수를 f(a)라고 할 때, 함수 y=f(a)의 그래프


를 그려라.

3 x>0일 때, 부등식 x¤ >1-cos x가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풀이 1 방정식 x-ln x-k=0에서 x-ln x=k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x-ln 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1 x-1
f(x)=x-ln x라고 하면 `f '(x)=1- = 이므로 f '(x)=0에서 x=1
x x
x>0일 때,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x (0) y 1 y
f '(x) - 0 + y
f(x) ↘ 1 ↗ y=x-ln x 09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x ⁄0+ x ⁄¶ y=k
1
과 같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
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1이다. O 1 x

2 방정식 e≈ =x+a의 실근의 개수는 함수 y=e≈ 의 그래프와 직선 y=x+a의 교점 y a>1


a=1
의 개수와 같다. a<1
(e≈ )'=e≈ 이므로 함수 y=e≈ 의 그래프 위의 점 (k, e˚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ex 1 y=x+a
y-e˚ =e˚ (x-k)이다. 이 접선의 기울기가 1일 때의 k의 값을 구해 보면 e˚ =1에
서 k=0이므로 오른쪽 그래프와 같이 직선의 기울기가 1일 때, 접점의 좌표는 O x

(0, 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x+1이다.


( 0 (a<1) y
∴ f(a)={ 1 (a=1) y=f(a)
9 2 (a>1)
2
1
따라서 함수 y=f(a)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O 1 a

3 f(x)=x¤ +cos x-1이라고 하면


f '(x)=2x-sin x, `f "(x)=2-cos x
x>0일 때, f "(x)>0이므로 함수 f '(x)는 증가하고, `f '(0)=0이므로 f '(x)>0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0일 때 함수 f(x)도 증가하고 `f(0)=0이므로 x>0일 때 f(x)>0이다.
즉, x>0일 때, x¤ +cos x-1>0 ∴ x¤ >1-cos x

09 도함수의 활용 3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방정식에의 활용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3 ⑴ 방정식 e≈ -x=a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⑵ 방정식 ln x=kx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방정식 f(x)=g(x)의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와 같습니다.

방정식 f(x)=a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이다.

상세 풀이

⑴ f(x)=e≈ -x라고 하면 `f '(x)=e≈ -1


f '(x)=0에서 x=0이므로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y y=ex-x
x y 0 y
f '(x) - 0 +
f(x) ↘ 1 ↗
y=a
이때, lim f(x)=¶, lim 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x ⁄¶ x ⁄-¶ 1

오른쪽 그림과 같습니다. 따라서 곡선 y=f(x)와 직선 y=a가 서로 다른 O x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1입니다.

⑵ 원점에서 곡선 y=ln x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ln t)라고 하면 (ln x)'=;[!;이므로 접선의 방

정식은 y-ln t=;t!; (x-t)입니다. 이때, 접선이 원점을 지나야 하므로 y


1
y= e x
y=kx
0-ln t=;t!; (0-t), ln t=1 ∴ t=e
y=ln x
따라서 기울기가 ;e!;일 때 접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ln x
O 1 x
와 직선 y=kx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기 위한 실수 k의 값의 범

위는 0<k<;e!;입니다.
정답 ⑴ a>1 ⑵ 0<k<;e!;
보충 설명
ln x ln x
⑵`에서 진수 조건에 의하여 x가 양수이므로 양변을 x로 나눈 다음 =k에서 함수 y= 의 그래프와 직선
x x
y=k가 서로 다른 두 교점을 가지는 경우를 생각해도 됩니다. 하지만 위의 풀이에서와 같이 함수 y=ln x의 그
래프와 직선 y=kx는 모두 쉽게 그릴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수월합니다.

34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89

03-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방정식 'ƒ2x+3-x=a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⑵ 방정식 ln x=2x-k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
하여라.

03-2 x에 대한 방정식 ln x-x+20-n=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자연수 n의


개수를 구하여라.

09

03-3 방정식 x¤ -ke≈ =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


여라.

4
03-1 `⑴ ;2#;…a<2 ⑵ k>ln 2+1 03-2 `18 03-3 `0<k<

09 도함수의 활용 3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등식에의 활용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부등식

04 x-ln kx>0
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주어진 부등식에서 `f(x)=x-ln kx로 놓고 진수 조건과 미분을 이용하여 최솟값이 양수가 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도록 합니다.

부등식 `f(x)>0에서 미분을 이용하여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나타낸 표 또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상세 풀이

⁄ 진수 조건에 의하여 kx>0


∴ k>0 (∵ x>0)
¤ f(x)=x-ln kx라고 하면
k 1
f '(x)=1- =1-
kx x
f '(x)=0에서 x=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x (0) y 1 y
f '(x) - 0 +
f(x) ↘ 1-ln k ↗

따라서 함수 f(x)의 최솟값이 `f(1)=1-ln k이므로 부등식 f(x)>0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1-ln k>0 ∴ k<e
⁄, ¤에서
0<k<e

정답 0<k<e

보충 설명
① 부등식 `f(x)>0이 성립함을 보이려면 함수 f(x)의 최솟값 `f(a)를 구하여 `f(a)>0임을 보입니다.
② 부등식 `f(x)æg(x)가 성립함을 보이려면 h(x)=f(x)-g(x)로 놓고 함수 h(x)의 최솟값 h(a)를 구하여
② h(a)æ0임을 보입니다.

34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90

04-1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ke—≈ æ0
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4-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부등식 e≈ +a>e ln x가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


를 구하여라.
⑵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sin 2x+2 sin x…a가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
값을 구하여라.

09

04-3 0…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e≈ -kx|…e
가 성립하도록 하는 양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1 3'3
04-1 `kæ 04-2 `⑴ a>-e ⑵ 04-3 `0<k…2e
e 2

09 도함수의 활용 3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1 속도와 가속도

수직선 위의 점의 운동은 수학`Ⅱ의 06 도함수의 활용에서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평면 위를 움


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위치를 좌표 (x, y)라고 하면 x, y는 시각 t를 매개변수로 하


는 함수 x=f(t), y=g(t)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 점 P에서 x축과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R라고 y

하면 점 P가 움직일 때 점 Q는 x축 위에서 x=f(t)로 나타내어


지는 직선 운동을 하고, 점 R는 y축 위에서 y=g(t)로 나타내어 R
P
지는 직선 운동을 합니다.
O Q x
따라서 시각 t에서의 두 점 Q, R의 속도를 각각 vÆ, vÚ라고 하면
dx dy
vÆ= =f '(t), vÚ= =g '(t)
dt dt
입니다. 이때, y

dx dy
(vÆ, vÚ)={ , }=( f '(t), g '(t)) vÚ
dt dt
R P
를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라 하고,
dx dy O Q vÆ x
æ≠{ }2 +{ }2 =øπ{ f '(t)}¤ +{ g '(t)}¤
dt dt
을 점 P의 속력이라고 합니다.

Example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t¤ , y=2t
일 때, 점 P의 시각 t=2에서의 속도와 속력을 각각 구해 봅시다.
dx dy
위치 x, y를 각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2t, =2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dt dt
(2t, 2)입니다.
따라서 t=2에서의 속도는 (4, 2), 속력은 øπ4¤ +2¤ =2'5입니다.

34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제 점 P의 가속도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속도는 위치의 순간변화율을 뜻하며, 가속도는 속도의 순간변 y

화율을 뜻하므로 점 P의 위치 (x, y)=( f(t), g(t))에 대하여



속도가 R P
dx dy
(vÆ, vÚ)={ , }=( f '(t), g '(t))
dt dt O Q vÆ x

일 때, 시각 t에서의 두 점 Q, R의 가속도를 각각 aÆ, aÚ라고 하면


dvÆ d¤ x dvÚ d¤ y
aÆ= = =f "(t), aÚ= = =g "(t)
dt dt¤ dt dt¤
입니다. 이때,
d¤ x d¤ y
(aÆ, aÚ)={ , }=( f "(t), g"(t))
dt¤ dt¤
를 시각 t에서의 점 P의 가속도라 하고,
øπaƤ +aÚ¤ =øπ{ f "(t)}¤ +{ g"(t)}¤
을 점 P의 가속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Example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t¤ , y=2t 09
일 때, 점 P의 시각 t=2에서의 가속도와 가속도의 크기를 각각 구해 봅시다.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2t, 2)이고, 이를 각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d¤ x d¤ y
=2, =0 ∴ (2, 0)
dt¤ dt¤
따라서 t=2에서의 가속도는 (2, 0), 가속도의 크기는 øπ2¤ +0¤ =2입니다.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 y=g(t)일 때


dx dy
1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vÆ, vÚ)={ dt , dt }=( f '(t), g '(t))

2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력은 øπvƤ +vÚ¤ =øπ{ f '(t)}¤ +{ g '(t)}¤


d¤ x d¤ y
3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는 (aÆ, aÚ)={ , }=( f "(t), g"(t))
dt¤ dt¤
4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의 크기는 øπaƤ +aÚ¤ =øπ{ f "(t)}¤ +{ g"(t)}¤

09 도함수의 활용 3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시각에 대한 변화율

시각에 대한 위치의 변화율을 속도라 하고, 시각에 대한 속도의 변화율을 가속도라고 합니다.
시각에 대한 각, 길이, 넓이, 부피 등의 변화율을 관계식에서 어떻게 구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합
시다.

dx
어떤 문제 상황에서 시각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 x가 주어지고, 그 변수에 대한 변화율 가
dt
주어지는 경우에 변수 x와 관련된 관계식이 y=f(x)로 주어지는 경우, 음함수 미분법을 이용하
여 변수 y에 대한 변화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즉,
dy df(x) dx
= _
dt dx dt
예를 들어, 시각에 따라 변화하는 어떤 물체의 길이 x, 각의 크기 h, 넓이 S, 부피 V라고 할 때
x=f(h), S=g(x), V=x_S
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면
dx df(h) dh dS dg(x) dx dV dx dS
= _ , = _ , = _S+x_
dt dh dt dt dx dt dt dt dt
와 같이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여
dx dh dS dV
, , ,
dt dt dt dt
와 같이 시각에 대한 어떤 물체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Example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0인 구에 내접하면서 높이가


10
매초 1씩 줄어드는 원기둥이 있습니다. 원기둥의 높이 h가 10일 때,
밑면의 반지름 r의 순간변화율과 원기둥의 부피 V의 변화율을 구해
봅시다.
dh
시각 t에 대하여 원기둥의 높이가 매초 1씩 줄어들므로 =-1
dt r

h ¤ h
오른쪽 그림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r¤ +{ } =10¤ 이므로 -
2 10
2

r¤ =100- 이고, h=10일 때 r=5'3 입니다.
4
음함수 미분법을 이용하여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dr dh
2r_ =-;2!;h_
dt dt

34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dr h dh 10 '3
∴ =- _ =- _(-1)=
dt 4r dt 4_5'3 6

V=pr¤ h=p{100- }h에서
4
dV dV dh dh
= _ =p{100-;4#;h¤ }_ =p{100-;4#;_100}_(-1)=-25p
dt dh dt dt

시각에 대한 변화율

시각에 따라 변화하는 어떤 물체의 길이 x, 각의 크기 h, 넓이 S, 부피 V라고 할 때


x=f(h), S=g(x), V=x_S
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면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여
dx dh dS dV
, , ,
dt dt dt dt
와 같이 시각에 대한 어떤 물체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09
1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t-sin t, y=1-cos t일 때, 점 P
의 시각 t에서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2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3 mm의 비율로 증가하는 공이 있다. 공의 반지름의 길이가 5 cm일 때, 겉넓


이의 변화율을 구하여라. (단, 처음 공의 반지름의 길이는 3 cm이다.)

dx dy
풀이 1 dt =1-cos t, dt =sin t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1-cos t, sin t)
d¤ x d¤ y
또한 =sin t, =cos t이므로 점 P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는 (sin t, cos t)
dt¤ dt¤
2 반지름의 길이가 r인 공의 겉넓이 S는
S=4pr¤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dS dS dr dr
= _ =8pr_
dt dr dt dt
dr
r=5 cm, =0.3(`cm/s)이므로 구하는 겉넓이의 변화율은
dt
dS
=8p_5_0.3=12p(`cm¤ /s)
dt

09 도함수의 활용 3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4 sin ;2“; t+3 cos ;2“; t일

05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t=3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⑵ 점 P가 출발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을 t¡이라고 할 때,

tan ;2“; t¡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dx dv
⑴에서는 점 P 의 시각 t 에서의 위치 x 에 대하여 속도 v는 v= 이고, 가속도 a는 a= 임을 이용합
dt dt
니다. ⑵에서는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가 0임을 이용합니다.

11⁄ 11⁄ 가속도(a)


미분 미분
위치(x) 속도(v)

상세 풀이

⑴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4 sin ;2“; t+3 cos ;2“; t이므로 속도를 v, 가속도를 a라고 하면

dx dv
v= =p{2 cos ;2“; t-;2#; sin ;2“; t}, a= =-p¤ {sin ;2“; t+;4#; cos ;2“; t}
dt dt
따라서 t=3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는

v=p{2 cos ;2#; p-;2#; sin ;2#; p}=;2#;p, a=-p¤ {sin ;2#; p+;4#; cos ;2#; p}=p¤

⑵ 점 P가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는 0이므로

v=p{2 cos ;2“; t-;2#; sin ;2“; t}=0에서 2 cos ;2“; t=;2#; sin ;2“; t ∴ tan ;2“; t=;3$;

따라서 출발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 t¡에 대하여 tan ;2“; t¡=;3$;

정답 ⑴ 속도:;2#;p, 가속도:p¤ ⑵ ;3$;

보충 설명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f(t)일 때, 속도 v는 v= 12=f '(t)이고, 가속도 a는


dx
dt

a= 12=f "(t)임을 기억하고 다음의 성질들을 잘 알아두도록 합니다.


dv
dt
① 속력은 |v|이고, 운동 방향은 v의 부호에 따라 결정됩니다.
② 점 P의 운동 방향이 바뀐다는 것은 v의 값의 부호가 바뀌는 것이므로 v=0일 때입니다.
③ 가속도의 크기는 |a|입니다.

35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91

05-1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3 sin 2t+4 cos 2t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t=;2“; 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⑵ 점 P가 출발 후 처음으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을 t¡이라고 할 때, tan t¡의 값을 구


하여라.

05-2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pt-2 cos pt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0…t<2)

⑴ t=1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⑵ 점 P가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는 시각을 구하여라.

09
05-3 그림과 같이 평평한 바닥에 60˘로 기울어진 경사면과 반지
름의 길이가 0.5 m인 공이 있다. 이 공의 중심은 경사면과
바닥이 만나는 점에서 바닥에 수직으로 높이가 21 m인 위
치에 있다. 공을 자유 낙하시켰을 때, t초 후 공의 중심의
높이 h(t)는 h(t)=21-5t¤ (m)라고 한다. 공이 경사면과 21 m
처음으로 충돌하는 순간의 공의 속도를 구하여라.
(단, 경사면의 두께와 공기의 저항은 무시한다.)

60˘

05-1 `⑴ 속도:-6, 가속도:16 ⑵ ;3!; 05-2 `⑴ 속도:p, 가속도:-2p¤ ⑵ :¡6¡:

05-3 `-20 m/s

09 도함수의 활용 35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06 x=2 cos 3t, y=2 sin 3t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시각 t 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⑵ 시각 t 에서의 점 P의 속력과 가속도의 크기를 각각 구하여라.

접근 방법

점 P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2 cos 3t, y=2 sin 3t 일 때,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
dx dy d¤ x d¤ y
는 각각 (vÆ, vÚ)={ , }, (aÆ, aÚ)={ , }임을 이용합니다. 또한 이때의 속력은 "√vƤ +çvÚ¤ ,
dt dt dt¤ dt¤
가속도의 크기는 "√aƤ +aÚ¤ 입니다.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t 에서의 위치 (x, y)가 x=f(t), y=g(t)일 때,

속도 (vÆ, vÚ)={ 153 , 153 }, 가속도 (aÆ, aÚ)={ 15553 , 15553 }


dx dy d¤ x d¤ y
dt dt dt¤ dt¤

상세 풀이

⑴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2 cos 3t, y=2 sin 3t 이므로
dx dy
=-6 sin 3t, =6 cos 3t ∴ (vÆ, vÚ)=(-6 sin 3t, 6 cos 3t)
dt dt
d¤ x d¤ y
=-18 cos 3t, =-18 sin 3t ∴ (aÆ, aÚ)=(-18 cos 3t, -18 sin 3t)
dt¤ dt¤
⑵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력과 가속도의 크기는 각각

dx dy
"√vƤ +vÚ¤ =æ{≠ }2 +{ }2 ="√(-6 sin 3t)¤ +√(6 cos 3t)¤ =6
dt dt

d¤ x d¤ y
"√aƤ +aÚ¤ =æ{≠ }2 +{ }2 ="√(-18 cos 3t)√¤ +(-18 sin 3t)¤ =18
dt¤ dt¤

정답 ⑴ 속도:(-6 sin 3t, 6 cos 3t), 가속도:(-18 cos 3t, -18 sin 3t)
⑵ 속력:6, 가속도의 크기:18

보충 설명
좌표평면 위의 곡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t 에 대한 함수 x=f(t), y=g(t)
로 주어질 때, 다음을 잘 알아두도록 합니다.
① 속도 (vÆ, vÚ)=( f '(t), g '(t)), 속력 "√vƤ +vÚ¤ ="√{ f '(t)}¤ +√{ g '(t)}¤
② 가속도 (aÆ, aÚ)=( f "(t), g "(t)), 가속도의 크기 "√aƤ +aÚ¤ ="√{ f "(t)}¤ +√{ g "(t)}¤

352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92

06-1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a(t-sin t), y=a(1-cos t)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a>0)

⑴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⑵ 시각 t에서의 점 P의 속력과 가속도의 크기를 각각 구하여라.

06-2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cos t+sin t, y=-cos 2t
일 때, 점 P의 속력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09
06-3 좌표평면 위에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각의 크기가 90˘이 y

고, 반지름의 길이가 10 인 부채꼴 OAB 가 있다. 점 P 가 A


P
점 A 에서 출발하여 호 AB 를 따라 매초 10라디안의 속력

으로 점 B를 향하여 움직일 때, 출발한 지 ;6“;초 후에 점 P

의 속도와 가속도를 각각 구하여라.


O 10 B x

06-1 ⑴ 속도:(a(1-cos t), a sin t), 가속도:(a sin t, a cos t)

⑵ 속력:2a|sin ;2T;|, 가속도의 크기:a

'1å5
06-2 ` 4 06-3 `속도:(5'3, -5), 가속도:(-5, -5'3 )

09 도함수의 활용 3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시각에 대한 변화율

길이가 20 m인 사다리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똑바로

07 벽에 기대어 있다가 위쪽 끝이 벽면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고 있다. 사다리가 미끄러지기 시작한 지 t초 20 m
h

후에 이 사다리가 벽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를 h(`rad)

라고 할 때, dh =;5!;로 일정하다고 한다. h=;3“;일 때, P


dt
지면
사다리의 아래쪽 끝점 P가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속
력을 구하여라. (단, 사다리의 두께는 무시하고, 단위는 m/s이다.)

접근 방법

시각에 따라 변하는 밑변의 길이를 변수 x라 하고, 변수 x와 h는 모두 시각에 따른 변수이므로 x와 h 사


dx
이의 관계식을 찾아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여 를 구합니다.
dt

시각 t에 따라 변하는 변수를 지정하여 변수 사이의 관계식을 찾아 t에 대하여 미분한다.

상세 풀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사다리가 미끄러져 내려올 때, 시각에 따라 변하는 밑변의


h
x
길이를 x m라고 하면 sin h= ∴ x=20 sin h yy ㉠ 20
20
변수 x와 h는 모두 시각에 따른 변수이므로 ㉠의 양변을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면
dx dh
=20 cos h_ x
dt dt
dh
=;5!;이고, h=;3“;일 때 cos h=;2!;이므로
dt
dx
=20_;2!;_;5!;=2
dt

따라서 h=;3“;일 때, 점 P가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속력은 2(`m/s)입니다.

정답 2

보충 설명
dh
주어진 문제는 =;5!;에서 h=;5!;t라고 할 수 있으므로 x=20 sin ;5!;t와 같이 시각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dt
풀 수도 있지만, 보통 시각에 대한 변수로 쉽게 나타낼 수 있는 문제만 있는 것은 아니므로 위의 풀이와 같이 시
각에 따른 변수 x와 h 사이의 관계식을 찾아서 시각 t에 대하여 미분하는 방식에 의하여 풀도록 연습해 둡시다.

354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193

07-1 길이가 10 m인 사다리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똑바로 벽에


기대어 있다가 아래쪽 끝점 P를 1 m/s의 속력으로 잡아 당
겨서 벽면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이 사다리가 지면과 이루 10 m 벽
는 각의 크기를 h(`rad)라고 할 때, 6초 후에 각 h가 줄어드
는 속력을 구하여라. P h
(단, 사다리의 두께는 무시하고, 단위는 rad/s이다.) 지면

07-2 길이가 9 m인 사다리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높이가 3 m인 Q


사다리
벽에 기대어 있다가 지면에 닿아 있는 사다리의 한쪽 끝점 P
9m
가 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벽면으로부터 ;3@; m/s의 속력으로
멀어지고 있다. 사다리와 지면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h(`rad) 3m 벽
h
P 지면
라고 할 때, h=;3“;인 순간 사다리의 다른 한쪽 끝점 Q가 지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내려오는 속력을 구하여라. (단, 사다리와 벽면의 두께는 무시
하고, 사다리의 한쪽 끝점 P는 항상 지면에 붙어서 이동하며, 단위는 m/s이다.)

09

07-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x¤ +y¤ =4 위의 점 P는 점 y

A(2, 0)에서 출발하여 원의 둘레를 따라 시계 반대 방 2 P

향으로 매초 ;4!;의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다. 제


Q
`1`사분면 위의 점 P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점을 -2 O 2 A x

Q라고 할 때, 삼각형 POQ의 넓이를 S라고 하자. 점


-2
P가 점 (1, '3)을 지나는 순간에 넓이 S의 순간변화
율을 구하여라. (단, O는 원점이다.)

07-1 `;8!; 07-2 `;4#; 07-3 `1

09 도함수의 활용 35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9- 1 함수 `f(x)=a(x-sin 2x) {-;2“;…x…;2“;}의 최댓값이 p일 때, 양수 a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5

09- 2 함수 `f(x)=
e≈
sin x
(0<x<p)의 최솟값은?

'3 ;3“; '2 ;4“;


① ;2!; e;6“; ② e ③ e
2 2
④ '2e;4“; ⑤ 2e;4“;

09- 3 곡선 y=e—≈ 위의 점 P(a, e—å )에서의 접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9- 4 방정식
ln x
x =kx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9- 5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부등식 cos x>k-;2!;x¤ 이 항상 성립하기 위한 정수 k의 최댓값은?

① -1 ②0 ③1
④2 ⑤3

356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6 | 풀이집 p.195

09- 6 0…x…;2“;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ax…sin x…bx가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a, b에

대하여 b-a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09- 7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는 x=p sin ;3“; t+q cos ;3“; t이다. t=3에

서의 점 P의 속도가 -p, 가속도가 ;3@; p¤ 일 때, 실수 p, q에 대하여 p+q의 값을 구하여라.

09- 8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t¤ +at, y=at¤ +4t
이다. t=1에서의 점 P의 속력이 4'5일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09- 9 곡선 y=2 cos x (0…x…p) 위를 점 A(0, 2)에서 출발하여 점 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

로 움직이는 점 P의 속력이 3이다. 점 P 가 점 Q{;3“;, 1}을 지날 때, 점 P의 x 축의 방향으로

의 속력은?

① ;2!; ②
'3
③1
09
2

④ ;2#; ⑤ '3

09- 10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 v


v=f(t)
서의 속도를 나타낸 함수 v=f(t)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림과 같을 때, 점 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b c
에서 있는 대로 골라라.
O 1 a t
(단, v=f(t)는 t=1에서 극대이고, t=c에서 극소이다.)

보기
ㄱ. t=a에서 가속도는 0보다 작다.
ㄴ. t=b에서 점 P는 운동 방향이 바뀐다.
ㄷ. t=c에서 속도와 가속도가 모두 0이다.

09 도함수의 활용 3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9- 11 함수 `f(x)=
x‹
x-2
(x>2)은 x=a에서 최솟값 m을 가질 때, a+m의 값을 구하여라.

수능

09- 12 양수 a에 대하여 닫힌구간 `[-a, a]에서 함수 f(x)=


x-5
(x-5)¤ +36
의 최댓값을 M, 최솟값

을 m이라고 할 때, M+m=0이 되도록 하는 a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09- 13 곡선 y=sin x 위의 점 P(h, sin h)에서의 접선과 x축, y축 및 직선 x=p로 둘러싸인 도형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단, 0<h<p)

09-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B=90˘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점 D A

는 선분 AB의 중점이고 AB”=4, ∠ACD=h일 때, tan h가


4D
최대가 되는 선분 BC의 길이를 구하여라.
h
B C

09- 1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8, 12인 직사각형 모양 A


8
D
의 종이 ABCD를 변 AB, BC 위에 있는 점 P, Q를 지나는 선분으 P
로 접어서 점 B가 변 CD 위의 점 R에 놓이도록 할 때, 접힌 선분
12
PQ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R

B C
Q

358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7 | 풀이집 p.199

09- 16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 O가 있다. 지름 AB의 한 끝점 A를 중


C
심으로 하고 원 O 위에 있는 점 C를 지나는 원을 그릴 때, 원 A
가 선분 AB와 만나는 점을 D라고 한다. 점 C가 원 O 위를 움 A B
D O
직일 때, 원 A의 현 CD의 길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09-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폭이 각각 8 m, 1 m인 통로가 직각으로 만나 1m

고 있다. 막대를 바닥면에 수평으로 들고 모서리를 돌아갈 수 있는


막대의 최대 길이를 구하여라. (단, 막대의 두께는 무시한다.)
8m

09- 18 x에 대한 방정식 e≈ (2-x)=xe—≈ +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09

09- 19 x에 대한 방정식 x¤ =kex¤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h(k)라고 하자. 함수 y=h(k)가 불연


속이 되는 k의 값을 모두 구하여라.

09- 20 함수 f(x)=x¤ eå ≈ `(a<0)에 대하여 부등식 f(x)æt`(t>0)를 만족시키는 x의 최댓값을 g(t)


1
라고 하자. 함수 g(t)가 t= 에서 불연속일 때, a¤ 의 값을 구하여라. (단, lim f(x)=0)
2e¤ x ⁄¶

09 도함수의 활용 3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9- 21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부등식 ;[@;+1æk ln {;[@;+1}이 항상 성립하기 위한 실수 k의 값의 범

위를 구하여라.

09-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길이가 12 cm인 선분 AB를 지름으로 하 P

는 반원 위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어떤 동점이 점 A부터 점


P까지는 선분 AP 위를 1 cm/s의 속력으로, 점 P부터 점 B
A B
까지는 원의 둘레 위를 2 cm/s의 속력으로 움직인다. 이 동점 12 cm

이 점 A를 출발하여 점 B에 도착할 때까지 걸린 시간의 최댓


값은 (a'3+bp)초이다. a+b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자연수이다.)

09- 23 점 (1, 4)를 출발하여 곡선 y=;[$; (x>0, y>0) 위를 움직이는 점 P가 있다. 점 P에서 x축

에 내린 수선의 발을 Q라고 할 때, 점 Q는 매초 1의 속도로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점 P가 점 (2, 2)를 지날 때, 점 P의 가속도의 크기를 구하여라.

09- 24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2 cos t-cos 2t, y=2 sin t+sin 2t
이다. t=a (0<a<p)에서 점 P의 속력이 최댓값 b를 가질 때, 실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
을 구하여라.

09- 25 곡선 y=x;2#; 위의 점 P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점 O로부터 y


3
-
멀어지고 있다. x=3이 되는 순간에 선분 OP의 길이의 시각 y=x 2

에 대한 순간변화율이 11일 때, 점 P의 x좌표의 시각에 대한 3


-
P(x, x 2 )
순간변화율을 구하여라.
O x

360 Ⅱ. 미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7 | 풀이집 p.205

수능

09- 26 반지름의 길이가 1 m인 원판에 기대어 있는 막대 P

OP”의 한 끝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평한 지면 위


v=1.5 m/s
의 한 점 O에 고정되어 있다. 원판이 지면과 접하
h
는 점을 Q라고 하자. 원판의 중심이 오른쪽으로 지 O Q

면과 평행하게 등속도 1.5 m/s로 움직인다.


OQ”=2(m)가 되는 순간에 막대 OP”가 지면과 이루는 각의 크기 h의 시간에 대한 순간변화
율을 구하여라. (단, 단위는 rad/s이다.)

09- 2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 y


3
가 3인 원이 있다. 점 P가 점 (0, 3)을 출발하여 원 위를 시계
P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출발한 지 15초가 되는 순간에 점 P의
가속도의 크기를 구하여라. -3 O 3 x

(단, 점 P는 6초 동안 원 위를 1회전하는 속도로 움직인다.)


-3
challenge

09- 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원 x¤ +y¤ =1 위의 점 P는 점 y


1
P
A(1, 0)에서 출발하여 원의 둘레를 따라 시계 반대 방향
으로 매초 ;2“;의 일정한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다. 점 Q는 점 B A
-1 O Q 1 x
A에서 출발하여 점 B(-1, 0)을 향하여 매초 1의 일정한 속력 09
으로 x축 위를 움직이고 있다. 점 P와 점 Q가 동시에 점 A에서
-1
출발하여 t초가 되는 순간에 선분 PQ, 선분 QA, 호 AP로 둘러
싸인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S라고 하자. 출발한 지 1초가 되는 순간에 넓이 S의 시간`(`s)에 대
한 변화율을 구하여라.
challenge

09- 29 다음은 어느 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커넥팅로드
B
6m
2m
피스톤
a 중심축
A C
플라이휠

커넥팅로드(연결봉) AB의 길이는 6 m이고, 커넥팅로드의 한쪽 부분 A는 직선 운동을 하고


또 다른 쪽 부분 B는 회전 운동을 한다. 플라이휠의 반지름 BC의 길이는 2 m이고 매분 5회
전씩 일정한 속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림에서 반지름 BC가 플라이휠의 중심

축과 이루는 각 a의 크기가 ;2“;인 순간에 피스톤이 움직이는 속력은 np m/m이다. 자연수 n

의 값을 구하여라.

09 도함수의 활용 36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0
부정적분
01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365
예제
02 치환적분법 376
예제`
03 부분적분법 392
예제`
기본 다지기 400
실력 다지기 402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정적분은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을 반대로 되짚어 구하는
것이므로 부정적분을 구하기 위해서는 도함수를 구할 줄 알
아야 합니다. 우리는 수학Ⅱ에서 다항함수의 부정적분에 대
하여 공부하였고 앞 단원에서 지수함수, 삼각함수의 미분법
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함
수 y=x« (n은 실수), 지수함수, 삼각함수의 부정적분을 공
부해 봅시다.

01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01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370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 02 지수함수의 부정적분 372
할 수 있다.
03 삼각함수의 부정적분 374

02 치환적분법 04 유리함수의 치환적분 384


치환적분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 05 무리함수의 치환적분 386
용할 수 있다.
06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치환적분 388

07 삼각함수의 치환적분 390

03 부분적분법 08 부분적분법`⑴ 396

부분적분법을 이해하고, 이를 활 09 부분적분법`⑵ 398


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0 | 부정적분

01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1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1
⑴ n+-1일 때, : x« dx= x« ±⁄ +C
n+1

⑵ n=-1일 때, : ;[!; dx=ln |x|+C

2 지수함수의 부정적분
a≈
⑴ : e≈ dx=e≈ +C ⑵ : a≈ dx= +C (단, a>0, a+1)
ln a

3 삼각함수의 부정적분

⑴ : sin x dx=-cos x+C ⑵ : cos x dx=sin x+C

⑶ : sec¤ x dx=tan x+C ⑷ : csc¤ x dx=-cot x+C

⑸ : sec x tan x dx=sec x+C ⑹ : csc x cot x dx=-csc x+C

02 치환적분법

1 치환적분법
미분가능한 함수 g(t)에 대하여 x=g(t)로 놓으면

: f(x)dx=: f(g(t))g '(t)dt

f '(x)
2 : dx 꼴의 부정적분
f(x)
f'(x)
: dx=ln|f(x)|+C
f(x)

03 부분적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 f(x)g '(x)dx=f(x)g(x)-: f'(x)g(x)dx

36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부정적분의 뜻과 성질

함수 F(x)의 도함수가 f(x)일 때, 즉 F'(x)=f(x)일 때, 함 미분한다.

수 F(x)를 f(x)의 부정적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함수 f(x)의 : f(x)dx = F(x)+C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f(x)의 임의의 부정적분은 적분한다.

: f(x)dx=F(x)+C (`C는 적분상수)

와 같이 나타냅니다. 부정적분은 미분의 역연산이므로 함수의 미분법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


정적분의 성질을 얻을 수 있음을 수학Ⅱ에서 배웠습니다. 이러한 부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부정적분의 성질

1 : c f(x)dx=c: f(x)dx (단, c는 상수)

2 : { f(x)+g(x)} dx=: f(x)dx+: g(x)dx


10
3 : { f(x)-g(x)} dx=: f(x)dx-: g(x)dx

수학Ⅱ에서 배운 것처럼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부정적분에 대해서는 위의 성질이 성립하지만, 곱셈과 나눗셈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음에 주의한다. 즉,

: f(x)dx
f(x)
: f(x)g(x)dx+: f(x)dx_: g(x)dx, : dx+
g(x)
: g(x)dx

한편, 미분과 적분의 계산 순서에 따라 적분상수 C만큼의 차이가 생긴다.


d d d
[ : f(x)dx]= {F(x)+C}=F'(x)=f(x), : [ f(x)]dx=: f '(x)dx=f(x)+C
dx dx dx

Example
등식 : f(x)dx=sin¤ x+x‹ +C (C는 적분상수)를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하기 위하여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sin¤ x+x‹ +C)'=2 sin x (sin x)'+3x¤ =2 sin x cos x+3x¤

10 부정적분 36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수학Ⅱ에서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함수 y=x« 의 부정적분은


1
: x« dx= x« ±⁄ +C (`C는 적분상수)
n+1
임을 배웠습니다. 이제 n을 실수까지 확장하여 함수 y=x« 의 부정적분을 구해 봅시다.

1. n+-1인 경우
부정적분은 미분의 역과정이므로 함수 y=x« 의 부정적분은 미분하여 x« 이 나오는 함수를 구
하면 됩니다. 06 여러 가지 미분법에서 모든 실수 n에 대하여
(x« ±⁄ )'=(n+1)x«
이 성립한다는 사실을 떠올리며 다음 과정을 살펴보면
(x« ±⁄ )'=(n+1)x«
1
양변에 을 곱합니다.
1 n+1
(x« ±⁄ )'=x«
n+1
미분법의 기본 공식에서 c f '(x)={c f(x)}' (단, c는 상수)
1
{ x« ±⁄ }'=x«
n+1
1
입니다. 즉, n+-1일 때 x« ±⁄ 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이므로
n+1
1
: x« dx= x« ±⁄ +C ← 일반적으로 적분상수는 C로 나타냅니다.
n+1
입니다.

2. n=-1인 경우

함수 y=x—⁄ =;[!;의 부정적분은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에서 (ln |x|)'=;[!;이므로

: ;[!; dx=ln |x|+C

입니다.

1
⑴ : 'x dx=: x;2!; dx=
Example
x;2!;+1+C=;3@; x'x+C
1+1
1
2

⑵ : ;[@; dx=2: ;[!; dx=2 ln|x|+C

36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은


1
1 n+-1일 때, : x« dx= n+1 x« ±⁄ +C

2 n=-1일 때, : ;[!; dx=ln |x|+C

1
=x— « , « 'x=x;n!;임을 이용하여 함수를 적절히 변형한 다음 적분한다.

3 지수함수의 부정적분

지수함수의 미분을 역으로 생각하면 지수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 y=e≈ , y=a≈ 의 부정적분은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에서

(e≈ )'=e≈ 이므로 : e≈ dx=e≈ +C

a≈
(a≈ )'=a≈ ln a (`a>0, a+1)이므로 : a≈ dx= +C
ln a
입니다.
10
Example
⑴ : 3e≈ dx=3: e≈ dx=3e≈ +C

2≈
⑵ : 2≈ dx= +C
ln 2

지수함수의 부정적분

지수함수의 부정적분은

1 : e≈ dx=e≈ +C

a≈
2 : a≈ dx= ln a +C (단, a>0, a+1)

지수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때에는 먼저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지수함수를 e≈ 또는 a≈ 의 형태와 같이 적분하


기 쉬운 꼴로 변형한 다음 적분한다.

10 부정적분 36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4 삼각함수의 부정적분

삼각함수의 미분을 역으로 생각하면 삼각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 y=cos x, y=sin x, y=tan x, y=cot x, y=sec x, y=csc x의 부정적분은 05 삼각함
수의 미분에서

(cos x)'=-sin x이므로 : sin x dx=-cos x+C

(sin x)'=cos x이므로 : cos x dx=sin x+C

(tan x)'=sec¤ x이므로 : sec¤ x dx=tan x+C

(cot x)'=-csc¤ x이므로 : csc¤ x dx=-cot x+C

(sec x)'=sec x tan x이므로 : sec x tan x dx=sec x+C

(csc x)'=-csc x cotx이므로 : csc x cot x dx=-csc x+C

입니다.

Example
⑴ : (2 sin x-3 cos x)dx=2: sin x dx-3: cos x dx=-2 cos x-3 sin x+C

⑵ tan¤ x+1=sec¤ x이므로

: (tan¤ x+1)dx=: sec¤ x dx=tan x+C

삼각함수의 부정적분

삼각함수의 부정적분은

1 : sin x dx=-cos x+C 2 : cos x dx=sin x+C

3 : sec¤ x dx=tan x+C 4 : csc¤ x dx=-cot x+C

5 : sec x tan x dx=sec x+C 6 : csc x cot x dx=-csc x+C

삼각함수의 부정적분에서 함수가 sin x, cos x, sec¤ x, csc¤ x, sec x tan x, csc x cot x가 아닌 경우에는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나 삼각함수의 여러 가지 공식을 이용하여 함수를 변형한 후 위의 부정적분 공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36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하여라. (단, C는 적분상수이다.)

: f(x)dx=ex¤ +3≈ -ln x+C

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x¤ +2
⑴ : › "√x‹ dx ⑵: dx
x‹

3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3e≈ ±¤ dx ⑵ : 2‹ ≈ —⁄ dx

⑶ : (e≈ +1)¤ dx ⑷ : (2≈ -1)¤ dx

4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cot¤ x+1)dx ⑵ : (2 csc x-tan x)cot x dx

x¤ x¤
풀이 1 f(x)=(e +3≈ -ln x+C)'=2xe +3≈ ln 3-;[!;

2 ⑴ : › "xΩ‹ dx=: x dx=


;4#; 1
x ;4#;+1+C=;7$;x ;4&;+C 10
;4#;+1

x¤ +2 2
⑵: dx=: {;[!;+ } dx=: ;[!; dx+: 2x—‹ dx
x‹ x‹
2 1
⑵: dx=ln |x|+ x—‹ ±⁄ +C=ln |x|-x—¤ +C=ln |x|- +C
-3+1 x¤

3 ⑴ : 3e≈ ±¤ dx=: 3e≈ e¤ dx=3e¤ : e≈ dx=3e¤ e≈ +C=3e≈ ±¤ +C


8≈ 2‹ ≈ —⁄
⑵ : 2‹ ≈ —⁄ dx=: 8≈ 2—⁄ dx=;2!;: 8≈ dx=;2!;_ +C= +C
ln 8 ln 8

⑶ : (e≈ +1)¤ dx=: (e¤ ≈ +2e≈ +1)dx=;2!; e¤ ≈ +2e≈ +x+C ←(e¤ ≈ )'=2e¤ ≈

4≈ 2≈ 4≈ 2≈ ±⁄
⑷ : (2≈ -1)¤ dx=: (4≈ -2_2≈ +1)dx= -2_ +x+C= - +x+C
ln 4 ln 2 ln 4 ln 2

4 ⑴ `cot¤ x+1=csc¤ x이므로 : (cot¤ x+1)dx=: csc¤ x dx=-cot x+C

⑵ : (2 csc x-tan x)cot x dx=: (2 csc x cot x-1)dx=-2 csc x-x+C

10 부정적분 36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1 ⑴ :
4
x‹
dx ⑵ : x ‹ 'ßx dx

'ßx +1
⑶ : {‹ 'ßx +;[!;}2 dx ⑷ : dx
x

접근 방법

⑴, ⑵에서는 함수의 형태를 지수 꼴로 변형하여 부정적분을 구하고, ⑶에서는 함수를 전개하여 함수의
형태를 지수 꼴로 변형하여 부정적분을 구합니다.

함수 y=x®« `(`n은 실수)의 부정적분


1
⑴ n+-1일 때, : x®« dx= x« ±⁄ +C
n+1
1
⑵ n=-1일 때, : dx=ln|x|+C
x

상세 풀이

4 4 2
⑴: dx=: 4x—‹ dx= x—¤ +C=- +C
x‹ -2 x¤
3 ;3&; 3
⑵ : x ‹ 'x
ß dx=: x;3$; dx= x +C= x¤ _‹ 'ßx+C
7 7
1
⑶ : {‹ 'ßx + }2 dx=: {x;3@;+2x— ;3@;+x—¤ } dx
x
3 ;3%; 3 1
⑶ : {‹ 'ßx + }2 dx= x +2_3 x;3!;-x—⁄ +C= x ‹ "≈x¤ +6 ‹ 'x- +C
5 5 x
1 1 1
⑷:
'x+1
dx=: { + } dx=: {x-;2!;+ } dx
x 'ßx x x

⑷: dx=2x;2!;+ln|x|+C=2'ßx+ln x+C (∵ x>0)

2
정답 ⑴- +C ⑵ ;7#; x¤ _‹ 'ßx +C ⑶ ;5#; x ‹ "≈xΩ¤ +6 ‹ 'ßx-;[!;+C ⑷ 2'ßx+ln x+C

보충 설명
1
=x—« , « 'x=x;n!;임을 이용하여 함수를 변형한 다음 적분합니다.

37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1

01-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3 1
⑴: dx ⑵: dx
x› x¤ _‹ 'ßx
x+1 2x+'ßx
⑶: dx ⑷: dx
'ßx x¤

01-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x-'ßx x+1
⑴: dx ⑵: dx
‹ 'ßx ‹ 'ßx+1

10

1 2
01-3 함수 f(x)에 대하여 f '(x)={x+

}2 이고 f(-1)=1일 때, f(1)의 값을 구하여라.

1 3 2
01-1 `⑴ - +C ⑵ - +C ⑶ ;3@;x'ßx+2'x+C ⑷ 2 ln x- +C
x‹ 4x ‹ "≈≈x 'x

01-2 `⑴ ;5#;x ‹ "≈x¤Ω -;7^;x fl 'x+C ⑵ ;5#;x ‹ "≈x¤Ω -;4#;x ‹ 'ßx


ß +x+C 01-3 `1

10 부정적분 37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의 부정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2 ⑴ : (e¤ ≈ -1)dx ⑵ : (2≈ -x¤ )dx

e‹ ≈ -1 9≈ -1
⑶: dx ⑷: dx
e≈ -1 3≈ -1

접근 방법

⑴에서는 e¤ ≈ 을 미분하면 2e¤ ≈ 임을 이용하여 부정적분을 구합니다. ⑶, ⑷에서는 각각


e‹ ≈ -1=(e≈ -1)(e¤ ≈ +e≈ +1), 9≈ -1=(3≈ +1)(3≈ -1)을 이용하여 함수의 분자와 분모를 약분하여 간
단히 한 후 적분합니다.

a≈
: eå ≈ dx=;a!; eå ≈ +C, : a≈ dx= +C (단, a>0, a+1)
ln a

상세 풀이

⑴ : (e¤ ≈ -1)dx=;2!; e¤ ≈ -x+C

2≈ 1
⑵ : (2≈ -x¤ )dx= - x‹ +C
ln 2 3
e‹ ≈ -1 (e≈ -1)(e¤ ≈ +e≈ +1)
⑶: dx=: dx
e≈ -1 e≈ -1

⑶: dx=: (e¤ ≈ +e≈ +1)dx=;2!; e¤ ≈ +e≈ +x+C

9≈ -1 (3≈ +1)(3≈ -1)


⑷: dx=: dx
3≈ -1 3≈ -1
3≈
⑷: dx=: (3≈ +1)dx= +x+C
ln 3

2≈ 3≈
정답 ⑴ ;2!;e¤ ≈ -x+C ⑵ -;3!;x‹ +C ⑶ ;2!;e¤ ≈ +e≈ +x+C ⑷ +x+C
ln 2 ln 3

보충 설명
지수함수를 미분하면 지수함수의 형태로 나타남을 이용하여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eå ≈ )'=aeå ≈ ˙k : eå ≈ dx=;a!; eå ≈ +C

(a≈ )'=a≈ ln a ˙k : a≈ dx=


a≈
+C (단, a>0, a+1)
ln a

37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2

02-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e‹ ≈ +1)dx ⑵ : (3≈ -x‹ )dx

e¤ ≈ -1 8≈ +1
⑶: dx ⑷: dx
e≈ +1 2≈ +1

02-2 x>0에서 정의된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e≈

이고, 이 곡선이 점 (1, e)를 지날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10
02-3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d d
{ f(x)+g(x)}=e≈ , { f(x)-g(x)}=e—≈
dx dx
이 성립한다. f(0)=0, g(0)=1일 때, f(ln 2)와 g (ln 2) 의 값을 각각 구하여라.

3≈ 4≈ 2≈
02-1 ⑴ ;3!;e‹ ≈ +x+C ⑵ -;4!;x› +C ⑶ e≈ -x+C ⑷ - +x+C
ln 3 ln 4 ln 2

02-2 `1-2e“ +3e 02-3 f(ln 2)=;4#;, g(ln 2)=;4%;

10 부정적분 37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부정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3 ⑴ : sin 3x dx ⑵:
sin¤ x
1-cos x
dx

⑶ : cos¤ x dx ⑷ : {sin ;2{;-cos ;2{;}2 dx

접근 방법

⑴에서는 cos 3x를 미분하면 -3 sin 3x임을 이용하여 부정적분을 구하고, ⑵, ⑶, ⑷에서는 삼각함수의
여러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함수를 적분하기 쉬운 모양으로 변형한 다음 부정적분을 구합니다.

: sin ax dx=-;a!; cos ax+C, : cos ax dx=;a!; sin ax+C

상세 풀이

⑴ : sin 3x dx=-;3!; cos 3x+C

sin¤ x 1-cos¤ x (1+cos x)(1-cos x)


⑵: dx=: dx=: dx
1-cos x 1-cos x 1-cos x

⑵: dx=: (1+cos x)dx=x+sin x+C

⑶ cos 2x=cos (x+x)=cos x cos x-sin x sin x


⑶ cos 2x=cos¤ x-(1-cos¤ x)=2 cos¤ x-1

이므로 : cos¤ x dx=: ;2!;(1+cos 2x)dx=;2!;x+;4!; sin 2x+C

⑷ {sin ;2{;-cos ;2{;}2 =sin¤ ;2{;-2 sin ;2{; cos ;2{;+cos¤ ;2{;

⑷ {sin ;2{;-cos ;2{;}2 =1-2 sin ;2{; cos ;2{; =1-sin x ← sin x=sin {;2{;+;2{;}=sin ;2{; cos ;2{;+cos ;2{; sin ;2{;

← sin x=sin {;2{;+;2{;}=2 sin ;2{; cos ;2{;


⑷ 이므로 : {sin ;2{;-cos ;2{;}2 dx=: (1-sin x)dx=x+cos x+C

정답 ⑴ -;3!; cos 3x+C ⑵ x+sin x+C ⑶ ;;2!;x+;4!; sin 2x+C ⑷ x+cos x+C

보충 설명
1-cos x 1+cos x
sin¤ ;2{;= , cos¤ ;2{;= , sin 2x=2 sin x cos x를 기억해 두면 편리합니다.
2 2

37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2

03-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cos¤ x
⑴ : cos 4x dx ⑵: dx
1-sin x

⑶ : sin¤ ;2{; dx ⑷ : (sin x+cos x)¤ dx

p p
03-2 -
2
<x< 에서 정의된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2
p
tan¤ x이고, 이 곡선이 점 (0, 1)을 지날 때, f { }의 값을 구하여라.
4

10
p p
03-3 -
2
<x< 에서 정의된 함수 f(x)=1+sin x+sin¤ x+sin‹ x+y 의 한 부정적분
2
을 F(x)라고 하자.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1)을 지날 때, 함수 F(x)를 구
하여라.

03-1 `⑴ ;4!; sin 4x+C ⑵ x-cos x+C ⑶ ;2!;x-;2!; sin x+C ⑷ x-;2!; cos 2x+C

p
03-2 `2- 03-3 `F(x)=tan x+sec x
4

10 부정적분 37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합성함수의 미분법으로부터 합성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단원
에서는 이와 관련된 치환적분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1 치환적분법

부정적분 : (x-2)› dx는 함수 (x-2)› 을 전개한 다음 각 항을 적분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즉,

: (x-2)› dx=: (x› -8x‹ +24x¤ -32x+16)dx

: (x-2)› dx=;5!;xfi -2x› +8x‹ -16x¤ +16x+C

입니다. 이와 같이 계산하는 방법은 어렵지는 않지만 계산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변수를 다른 변수로 바꾸어 놓으면 편리할 때가 있습니다. 위의 부정적분

: (x-2)› dx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습니다.

dx
x-2=t로 놓으면 x=t+2이고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1이므로
dt

: (x-2)› dx=: t› dt=;5!; tfi +C=;5!; (x-2)fi +C


≈ ≈
f f
입니다. dx=dt로 생각하여 대입합니다.z12 처음의 변수인 x로 바꾸어 나타냅니다.

이와 같이 함수 f(x)의 부정적분을 직접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미분가능한 함수 g(t)를 잘


선택한 다음 변수 x에 대하여 x=g(t)가 되도록 새로운 변수로 치환하면 부정적분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함수 f(x)의 부정적분

F(x)=: f(x)dx yy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g(t)에 대하여 x=g(t)로 놓으면 F(x)=F(g(t))이고, 이 식의 양변


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37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d d dx dy dy du
F(x)= F(x)_ ← = _
dt dx dt dx du dx

=f(x)g '(t)=f(g(t))g '(t) ← F'(x)=f(x), x=g(t)

입니다. 따라서 이 식의 양변을 t에 대하여 적분하면

F(x)=: f(g(t))g '(t)dt yy ㉡

이므로 ㉠, ㉡으로부터

: f(x)dx=: f(g(t))g '(t)dt

입니다.
이와 같이 한 변수를 다른 변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을 치환적분법이라고 합니다.
이때, 치환적분법으로 구한 부정적분의 결과는 처음의 변수로 다시 바꾸어 나타내야 한다는
것에 주의합니다.

Example
부정적분 : (2x+6)¤ dx를 구해 봅시다.

t-6 dx
2x+6=t로 놓으면 x= 이고 =;2!;이므로
2 dt

: (2x+6)¤ dx=: t¤ _;2!; dt=;2!;: t¤ dt

: (2x+6)¤ dx=;2!;_;3!; t‹ +C=;6!;(2x+6)‹ +C


10
치환적분법

미분가능한 함수 g(t)에 대하여 x=g(t)로 놓으면

: f(x)dx=: f(g(t))g '(t)dt

dx
x=g(t)로 치환할 때, 관계식 =g '(t)를 dx=g '(t)dt로 생각할 수 있다.
dt

2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부정적분 구하기

지금부터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유용한 몇 가


지의 방법을 공부해 보겠습니다.

10 부정적분 37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 f(ax+b)dx (`a, b는 상수, a+0) 꼴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고, ax+b=t로 놓습니다.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


dt
여 미분하면 a= 이므로
dx Œ12 dx=;a!;dt로 생각하여 대입합니다.
f

: f(ax+b)dx=: f(t)_;a!; dt=;a!;: f(t)dt=;a!; F(t)+C

: f(ax+b)dx=;a!; F(ax+b)+C

∴ : f(ax+b)dx=;a!; F(ax+b)+C

치환하는 식이 일차식인 경우의 여러 가지 부정적분 공식

1 1
1 다항함수:: (ax+b)« dx= a _ n+1 (ax+b)« ±⁄ +C

1 1
2 분수함수:: ax+b dx= a ln |ax+b|+C

1 ax+b 1
3 지수함수:: e dx= a e +C, : m dx= a ln m m +C (단, m>0, m+-1)
ax+b ax+b ax+b

1 1
4 삼각함수:: sin (ax+b)dx=- a cos (ax+b)+C, : cos (ax+b)dx= a sin (ax+b)+C

1 1 1
① : (ax+b)« dx= : (ax+b)« _a dx= : (ax+b)« (ax+b)' dx= : t« dt
a a a

1 1 1 1
① : (ax+b)« dx= _ t« ±⁄ +C= _ (ax+b)« ±⁄ +C
a n+1 a n+1

1 1 a 1 (ax+b)' 1
②: dx= : dx= : dx= ln |ax+b|+C
ax+b a ax+b a ax+b a

1 1 1 1 1
③ : eax+b dx= : eax+b_a dx= : eax+b(ax+b)' dx= : e† dt= e† +C= eax+b+C
a a a a a

1 1 1 1 1
① : max+b dx= : max+b_a dx= : max+b(ax+b)' dx= : m† dt= m† +C= max+b+C
a a a a ln m a ln m

1 1
④ : sin (ax+b) dx= : sin (ax+b)_a dx= : sin (ax+b)(ax+b)'dx
a a

1 1 1
① : sin (ax+b)dx= : sin t dt=- cos t+C=- cos (ax+b)+C
a a a

1 1
: cos (ax+b) dx= : cos (ax+b)_a dx= : cos (ax+b)(ax+b)'dx
a a

1 1 1
① : cos (ax+b)dx= : cos t dt= sin t+C= sin (ax+b)+C
a a a

37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부정적분 : cos (2x+3)dx를 구해 봅시다.

dt
2x+3=t로 놓으면 2= 이고 dx=;2!; dt이므로
dx

: cos (2x+3)dx=: ;2!; cos t dt=;2!; sin t+C=;2!; sin (2x+3)+C

2. : f(g(x))g '(x)dx 꼴
dt
g(x)=t로 놓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 '(x)= 이므로
dx

: f(g(x))g '(x)dx=: f(t)dt ← g '(x)dx=dt로 생각하여 대입합니다.

입니다.

Example
⑴ 부정적분 : 2x(x¤ +1)‹ dx를 구해 봅시다.

dt
x¤ +1=t로 놓으면 2x= 이고 2x dx=dt이므로
dx

: 2x(x¤ +1)‹ dx=: t‹ dt=;4!; t› +C=;4!;(x¤ +1)› +C

ln x
⑵ 부정적분 : dx를 구해 봅시다.
x

ln x=t로 놓으면
1
=
dt 1
이고 dx=dt이므로 10
x dx x
ln x
: dx=: t dt=;2!; t¤ +C=;2!; (ln x)¤ +C
x

f '(x)
3. : dx 꼴
f(x)
1
로그함수의 미분법에서 배운 (ln |x|)'= 을 이용합니다.
x
dt
f(x)=t로 놓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 이므로
dx
f'(x) 1
: dx=: _f '(x)dx=: ;t!; dt=ln |t|+C=ln |f(x)|+C
f(x) f(x) ≈
f
z12 f '(x)dx=dt로 생각하여 대입합니다.
f'(x)
∴: dx=ln |f(x)|+C
f(x)

10 부정적분 37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x
⑴ 부정적분 :
Example
dx를 구해 봅시다.
x¤ +3
(x¤ +3)'=2x이므로
2x (x¤ +3)'
: dx=: dx=ln (x¤ +3)+C (∵ x¤ +3>0)
x¤ +3 x¤ +3
e≈
⑵ 부정적분 : dx를 구해 봅시다.
e≈ -1
dt
e≈ -1=t로 놓으면 e≈ = 이므로
dx
e≈ 1
: dx=: dt=ln |t|+C=ln |e≈ -1»+C
e≈ -1 t

치환적분법을 이용한 부정적분 공식

1 g(x)=t라고 할 때, : f(g(x))g '(x)dx=: f(t)dt


f'(x)
2 : f(x) dx=ln |f(x)|+C

3 유리함수의 부정적분

2x-1
이번에는 : dx와 같은 유리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해 봅시다.
x¤ -3x-4
앞에서 배운 치환적분의 세 가지 유형을 생각해 보면 유리함수의 부정적분과 관련하여 이용
할 수 있는 적분 공식으로
f'(x)
: dx=ln |f(x)|+C yy ★
f(x)
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분모에 있는 다항식을 f(x)=x¤ -3x-4라고 하면 f'(x)=2x-3이므로 ★을 이용하면
2x-1 (2x-3)+2 2x-3 2
: dx=: dx=: dx+: dx
x¤ -3x-4 x¤ -3x-4 x¤ -3x-4 x¤ -3x-4
2
: dx=ln|x¤ -3x-4|+: dx+C
x¤ -3x-4
2
입니다. 그러나 부정적분 : dx를 구할 때에는 분자가 분모의 도함수가 아니므로
x¤ -3x-4
더 이상 ★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38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f'(x)
이처럼 피적분함수가 꼴이 아닌 유리함수인 경우 그 자체로 부정적분을 구하는 것
f(x)
이 불가능해 보일 때가 많지만, 부분분수로 변형하거나 다항식의 나눗셈을 이용하여 주어진 피
적분함수의 유리함수를 간단한 유리함수의 합 또는 차의 꼴로 고치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
니다.

1. 분모가 인수분해되고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인 경우


이 경우에는 형태에 따라 부분분수로 변형하여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유리함수의 부
정적분을 할 때, 자주 이용되는 부분분수로 변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 a, b, c,
p, q, r, A, B, C는 상수)
2x-1
부정적분 : dx를 구해 봅시다.
x¤ -3x-4
2x-1 a b
x¤ -3x-4=(x+1)(x-4)이므로 = + 로 놓고 우변을 통분
(x+1)(x-4) x+1 x-4
하면
2x-1 (a+b)x-4a+b
=
(x+1)(x-4) (x+1)(x-4)

2=a+b, -1=-4a+b에서 a=;5#;, b=;5&;

2x-1 1 1 1 1
∴: dx=: {;5#;_ +;5&;_ }dx=;5#;: dx+;5&;: dx
x¤ -3x-4 x+1 x-4 x+1 x-4

∴: dx=;5#; ln |x+1|+;5&; ln |x-4|+C 10

꼴 Δ
1 1 1 1 1
⑴ = { - }로 변형
(x+p)(x+q) (x+p)(x+q) q-p x+p x+q

꼴 Δ
ax+b ax+b A B
⑵ = + 로 변형
(x+p)(x+q) (x+p)(x+q) x+p x+q

꼴 Δ
ax¤ +bx+c ax¤ +bx+c A Bx+C
⑶ = + 로 변형
(x+p)(x¤ +qx+r) (x+p)(x¤ +qx+r) x+p x¤ +qx+r

꼴 Δ
ax¤ +bx+c ax¤ +bx+c A B C
⑷ = + + 로 변형
(x+p)(x+q)¤ (x+p)(x+q)¤ x+p x+q (x+q)¤
x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통분한 후 미정계수법을 이용하여 A, B, C의 값을 구합니다.

2. (분자의 차수)æ(분모의 차수)인 경우


이 경우에는 다항식의 나눗셈, 즉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분리하여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습니다.

10 부정적분 38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x¤ +1 x +2
부정적분 : dx를 구해 봅시다. x-2<‘ x¤ -2x+1
x-2
111112
x¤ -2x
x¤ -2x+1
x¤ +1 5
: dx=: {x+2+ } dx 111112
x¤ -2x-4
x-2 x-2 x¤ -2x-5

: dx=;2!;x¤ +2x+5 ln |x-2|+C

입니다.
f '(x)
이와 같이 피적분함수가 f(g(x))g '(x), 꼴이 아닌 유리함수의 부정적분은 분자의
f(x)
차수와 분모의 차수를 비교하여 방법을 알아두면 편리합니다.

1
⑴ 부정적분 :
Example
dx를 구해 봅시다.
x¤ -1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이고, 분모가 x¤ -1=(x-1)(x+1)로 인수분해되므로 주
어진 분수함수를 부분분수로 변형한 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적분합니다.
1 1
: dx=: dx
x¤ -1 (x-1)(x+1)
1 1 1 1
: dx= :{ - } dx= (ln |x-1|-ln |x+1|)+C
≈ 2 x-1 x+1 2
f
z1211111112
1 1 1 1
= { -
2x-1
⑵ 부정적분 :
}
(x-1)(x+1) 2 x-1 x+1
dx를 구해 봅시다.
x+1
(분자의 차수)æ(분모의 차수)이므로 주어진 분수함수의 분자를 분모로 나눈 후, 치환적분
법을 이용하여 적분합니다.
2x-1 2(x+1)-3 3
: dx=: dx=: {2- } dx
x+1 x+1 x+1
: dx=2x-3 ln |x+1|+C
유리함수의 부정적분

1 분모가 인수분해되고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인 경우


˙k 주어진 분수식을 부분분수로 변형하여 부정적분을 구한다.
2 (분자의 차수)æ(분모의 차수)인 경우
˙k 주어진 분수식의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분리하여 부정적분을 구한다.

유리함수의 부정적분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1 인수분해 또는 직접 나눗셈을 통하여 분자의 차수를 분모의 차수보다 낮게 만든다.

이때, 다항식으로 분해된 부분은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공식을 이용하여 적분한다.


2 분수식으로 된 부분은 부분분수로 변형한다.

3 변형된 각 식을 앞에서 배운 여러 가지 부정적분 공식을 이용하여 적분한다.

38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2x+1)(x¤ +x-1)¤ dx ⑵ : (4x+1)fi dx

⑶ : e2x+4dx ⑷ : cos (3x+1)dx

2x+1
⑸: dx ⑹ : tan x dx
x¤ +x-3

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x+2)¤ 1
⑴: dx ⑵: dx
x¤ +4 (x+1)(x+2)

dt
풀이 1 ⑴ x¤ +x-1=t로 놓으면 dx =2x+1이므로

: (2x+1)(x¤ +x-1)¤ dx=: t¤ dt=;3!;t‹ +C=;3!;(x¤ +x-1)‹ +C

dt
⑵ 4x+1=t로 놓으면 =4이므로
dx

: (4x+1)fi dx=: tfi _;4!;dt=;4!;: tfi dt=;4!;_;6!;tfl +C=;2¡4;(4x+1)fl +C

dt
⑶ 2x+4=t로 놓으면 =2이므로
dx

: e2x+4dx=: e† _;2!;dt=;2!;e† +C=;2!;e2x+4+C

dt
10
⑷ 3x+1=t로 놓으면 =3이므로
dx

: cos (3x+1)dx=: cos t_;3!; dt=;3!; sin t+C=;3!; sin (3x+1)+C

⑸ (x¤ +x-3)'=2x+1이므로
2x+1 (x¤ +x-3)'
: dx=: dx=ln |x¤ +x-3|+C
x¤ +x-3 x¤ +x-3
sin x dt
⑹ tan x= 이고 cos x=t로 놓으면 =-sin x이므로
cos x dx
sin x
: tan x dx=: dx=: ;t!;_(-1)dt=-ln |t|+C=-ln |cos x|+C
cos x
(x+2)¤ x¤ +4x+4 4x
2 ⑴ x¤ +4 = x¤ +4
=1+
x¤ +4
이므로

(x+2)¤ 4x
: dx=: {1+ } dx=x+2 ln (x¤ +4)+C ← (x¤ +4)'=2x
x¤ +4 x¤ +4
1 1 1
⑵ = - 이므로
(x+1)(x+2) x+1 x+2
1 1 1 x+1
: dx=: { - } dx=ln |x+1|-ln |x+2|+C=ln | |+C
(x+1)(x+2) x+1 x+2 x+2

10 부정적분 38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유리함수의 치환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4 ⑴ : x(x¤ -1)‹ dx ⑵:
1
(3x-1)¤
dx

x-1 x¤ +1
⑶: dx ⑷: dx
x¤ -2x+3 x+1

접근 방법

⑴, ⑵에서는 함수의 일부를 다른 변수 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하고 ⑶에서는


f '(x)
: dx=ln|f(x)|+C임을 이용하여 구합니다. ⑷에서는 분자를 분모로 나누어 함수를 변형하여
f(x)
부정적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g(t)에 대하여 x=g(t)로 놓으면

: f(x)dx=:
: f( g(t))g '(t)dt

상세 풀이

dt
⑴ x¤ -1=t로 놓으면 =2x이므로
dx

: x(x¤ -1)‹ dx=: t‹ _;2!; dt=;2!;: t‹ dt=;8!; t› +C=;8!;(x¤ -1)› +C

dt
⑵ 3x-1=t로 놓으면 =3이므로
dx
1 1 1
: dx=: t—¤ _;3!; dt=;3!;: t—¤ dt=- +C=- +C
(3x-1)¤ 3t 3(3x-1)
⑶ (x¤ -2x+3)'=2x-2이므로

dx= : 11112314 dx= ln(x¤ -2x+3)+C (∵ x¤ -2x+3>0)


x-1 1 (x¤ -2x+3)' 1
:
x¤ -2x+3 2 x¤ -2x+3 2
x¤ +1 2
⑷: dx=: {x-1+ } dx=;2!;x¤ -x+2 ln|x+1|+C
x+1 x+1

1
정답 ⑴ ;8!;(x¤ -1)› +C ⑵ - +C ⑶ ;2!; ln (x¤ -2x+3)+C ⑷ ;2!;x¤ -x+2 ln|x+1|+C
3(3x-1)

보충 설명
부분분수로 분해하는 방법:다음과 같이 식을 세운 후 항등식임을 이용하여 미지수 A, B, C의 값을 구합니다.

① 1111112 = 112 + 112 ② 111111111 = 112 + 11111


ax+b A B ax¤ +bx+c A Bx+C
(x+a)(x+b) x+a x+b (x+a)(x¤ +bx+c) x+a x¤ +bx+c

38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3

04-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1
⑴ : (x‹ +x)‹ (3x¤ +1)dx ⑵: dx
(1-4x)›

x¤ +1 2x¤ -3x-1
⑶: dx ⑷: dx
x‹ +3x+6 x-2

04-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1 x-3 2x+6
⑴: dx ⑵: dx ⑶: dx
x¤ +x-2 x¤ -3x+2 (x-1)(x+1)¤

04-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에 대하여


10
f '(x)= 111 , f(0)=;2#;
x
x¤ +1
일 때, f('∂e∂-å1)의 값을 구하여라.

04-1 ⑴ ;4!;(x‹ +x)› +C ⑵ 111113 +C ⑶ ;3!; ln|x‹ +3x+6|+C


1
12(1-4x)‹
⑷ x¤ +x+ln|x-2|+C

04-2 ⑴ ;3!;ln| 112 |+C ⑵ 2 ln|x-1|-ln|x-2|+C


x-1
x+2

⑶ 2 ln| 112 |+ 112 +C


x-1 2
04-3 `2
x+1 x+1

10 부정적분 38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무리함수의 치환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5 ⑴ : x"√x¤ +Ω1Ω dx ⑵ :
4x
"√x¤ +Ω1
dx ⑶ : x'∂x∂+å2å dx

접근 방법

⑴, ⑵`에서는 x¤ +1=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하고 ⑶에서는 x+2=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하


도록 합니다.

무리함수가 포함된 함수의 부정적분은 "√f(x)=t 또는 f(x)=t로 치환한다.

상세 풀이

dt
⑴ x¤ +1=t로 놓으면 =2x이므로
dx

: x"√x¤ +Ω1 dx=: 't_;2!; dt=;2!;: t ;2!; dt=;2!;_;3@;t ;2#;+C

: x"√x¤ +Ω1 dx=;3!; t't +C=;3!;(x¤ +1)"≈xçΩ¤ ç+Ω1+C

dt
⑵ x¤ +1=t로 놓으면 =2x이므로
dx
4x 2
: dx=: dt=2: t-;2!; dt=2_2 t;2!;+C
"√x¤ +Ω1 't
: dx=4't +C=4"√x¤ +Ω1+C
dt
⑶ x+2=t로 놓으면 =1이므로
dx

: x'∂x∂+å2 dx=: (t-2)'t dt=: (t ;2#;-2t ;2!; )dt=;5@;t ;2%;-2_;3@;t ;2#;+C

: x'∂x∂+å2 dx=;5@;(x+2)¤ '∂x∂+åß2 -;3$;(x+2)'∂x∂+ßå2 +C

: x'∂x∂+å2 dx=[;5@;(x+2)-;3$;](x+2)'∂x∂+ßå2 +C

: x'∂x∂+å2 dx=;1™5;(3x-4)(x+2)'∂x∂+ßå2 +C

정답 ⑴ ;3!;(x¤ +1)"≈xçΩ¤ ç+Ω1+C ⑵ 4"√x¤ +Ω1+C ⑶ ;1™5;(3x-4)(x+2)'∂x∂+ßå2 +C


보충 설명
dt
: f '(x)"√f(x)dx 꼴의 부정적분에서 f(x)=t로 놓으면 =f '(x)이므로
dx

: f '(x)"√f(x)dx=: 't dt=;3@; t't +C=;3@; f(x)"√f(x)+C

38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5

05-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x
⑴ : x"√16-≈xΩ¤ dx ⑵ : dx ⑶ : x'∂2∂x∂-å1å dx
"√x¤ +Ω2

05-2 ≈ 이고 f(2)=3일 때, f(0)의 값을 구하여라.


0…x…2에서 f '(x)=|x-1|"√-x√¤ +2x

05-3 xæ-1에서 정의된 함수 f(x)에 대하여

f '(x)= 111123 , f(-1)=0


'ƒx+1-1 10
'ƒx+1+1
일 때, f(3)의 값을 구하여라.

05-1 ⑴ -;3!;(16-x¤ )"√16-≈xΩ¤ +C ⑵ "√x¤ +Ω≈2 +C

⑶ ;1¡5;(2x-1)(3x+1)'2∂x∂-å1+C

05-2 ;3&; 05-3 `4 ln 3-4

10 부정적분 38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지수함수, 로그함수의 치환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6 ⑴ : xex¤ dx ⑵:
e≈
e≈ +1
dx

(ln x)¤ 1
⑶: dx ⑷: dx
x x ln x

접근 방법

⑴에서는 x¤ =t로 치환하고 ⑵에서는 e≈ +1=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합니다. ⑶과 ⑷에서는


ln x=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하도록 합니다.

: f(e≈ )_e≈ dx=:


: f(t)dt, : f(ln x)_;[!; dx=:
: f(t)dt

상세 풀이

dt
⑴ x¤ =t로 놓으면 =2x이므로
dx

: xex¤ dx=: e† _;2!; dt=;2!;: e† dt=;2!; e† +C=;2!; ex¤ +C

dt
⑵ e≈ +1=t로 놓으면 =e≈ 이므로
dx
e≈
: dx=: ;t!; dt=ln|t|+C=ln|e≈ +1|+C=ln(e≈ +1)+C (∵ e≈ +1>0)
e≈ +1
dt
⑶ ln x=t로 놓으면 =;[!;이므로
dx
(ln x)¤
: dx=: t¤ dt=;3!; t‹ +C=;3!;(ln x)‹ +C
x
dt
⑷ ln x=t로 놓으면 =;[!;이므로
dx
1
: dx=: ;t!; dt=ln|t|+C=ln|ln x|+C
x ln x

정답 ⑴ ;2!; ex¤ +C ⑵ ln(e≈ +1)+C ⑶ ;3!;(ln x)‹ +C ⑷ ln|ln x|+C

보충 설명
⑵`에서는 (e≈ +1)'=e≈ 이므로

: 1124 dx=ln| f(x)|+C


f '(x)
f(x)

임을 이용하여 : 112 dx=ln|e≈ +1|+C=ln (e≈ +1)+C와 같이 구할 수도 있습니다.


e≈
e≈ +1

38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6

06-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e¤ ≈
⑴ : xex¤ +1dx ⑵ : dx
e≈ +1
ln x¤ e¤ ≈ -e—¤ ≈
⑶ : dx ⑷ : dx
2x e¤ ≈ +e—¤ ≈

06-2 x>0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xf '(x)=2 ln x이고 f(1)=-5일 때,


방정식 f(x)=4 ln x를 만족시키는 모든 x의 값의 곱은?

① e ② e¤ ③ e‹
④ e› ⑤ efi

10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11 일 때,


1
06-3 1-e≈
f(2)-f(1)의 값을 구하여라.

x¤ +1
06-1 ⑴ ;2!;e +C ⑵ e≈ -ln(e≈ +1)+C ⑶ ;2!;(ln|x|)¤ +C ⑷ ;2!; ln(e¤ ≈ +e—¤ ≈ )+C

06-3 `ln 115


e
06-2 ④
e+1

10 부정적분 38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삼각함수의 치환적분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7 ⑴ : sin¤ x cos x dx ⑵ : sin‹ x dx ⑶:


sin‹ x
1+cos x
dx

접근 방법

⑴에서는 sin x=t로 치환하고 ⑵, ⑶에서는 sin‹ x=sin¤ x sin x=(1-cos¤ x)sin x와 같이 변형하여
cos x=t로 치환하여 부정적분을 구하도록 합니다.

: f(sin x)cos x dx=:


: f(t)dt, : f(cos x)sin x dx=-:
: f(t)dt

상세 풀이

dt
⑴ sin x=t로 놓으면 =cos x이므로
dx
: sin¤ x cos x dx=: t¤ dt=;3!; t‹ +C=;3!; sin‹ x+C

dt
⑵ sin‹ x=sin¤ x sin x=(1-cos¤ x)sin x이고, cos x=t로 놓으면 =-sin x이므로
dx

: sin‹ x dx=: (1-cos¤ x)sin x dx=: (1-t¤ )_(-1)dt

: sin‹ x dx=: (t¤ -1)dt=;3!; t‹ -t+C=;3!; cos‹ x-cos x+C

sin‹ x (1-cos¤ x)sin x dt


⑶ = =(1-cos x)sin x이고, cos x=t로 놓으면 =-sin x이므로
1+cos x 1+cos x dx
sin‹ x
: dx=: (1-cos x)sin x dx=: (1-t)_(-1)dt
1+cos x

: dx=: (t-1)dt=;2!; t¤ -t+C=;2!; cos¤ x-cos x+C

정답 ⑴ ;3!; sin‹ x+C ⑵ ;3!; cos‹ x-cos x+C ⑶ ;2!; cos¤ x-cos x+C
보충 설명
sin¤ x, cos¤ x와 같이 삼각함수가 이차식인 경우에는 차수를 일차식으로 낮추어서 적분합니다.

⑴ : sin¤ x dx=: ;2!;(1-cos 2x)dx=: ;2!;dx-: ;2!; cos 2x dx=;2!;x-;4!; sin 2x+C

⑵ : cos¤ x dx=: ;2!;(1+cos 2x)dx=: ;2!;dx+: ;2!; cos 2x dx=;2!;x+;4!; sin 2x+C

⑶ (sin x+cos x)¤ =sin¤ x+cos¤ x+2 sin x cos x=1+sin 2x에서

: (sin x+cos x)¤ dx=: (1+sin 2x)dx=x-;2!; cos 2x+C

39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7

07-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cos‹ x sin x dx ⑵ : cos‹ x dx

cos x cos x-1


⑶ : dx ⑷ : dx
1+2 sin x x-sin x

07-2 : sinfi x dx에 대하여 f {;2“;}=;5!; 일 때, f(0)의 값은?


함수 f(x)=:

① -;3@; ② -;5#; ③ -;3!;

④ ;5#; ⑤ ;3@;

10

07-3 : (1+sin x)‹ sin 2x dx에 대하여 f(0)=;1¡0;일 때, f {;2“;}의 값을 구하여


함수 f(x)=:

라.

07-1 ⑴ -;4!; cos› x+C ⑵ sin x-;3!; sin‹ x+C ⑶ ;2!; ln|1+2 sin x|+C

⑷ -ln|x-sin x|+C
07-2 ③ 07-3 `5

10 부정적분 39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두 함수의 곱으로 주어진 함수의 부정적분은 자주 볼 수 있는 유형이지만 앞에서 배운 치환적
분법만으로는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곱의 꼴로 된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부분적분법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1 부분적분법

두 함수의 곱으로 주어진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없다면 두 함수의 곱으로 표현된 함수의
미분을 생각하여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부분적분법의 기본적
인 아이디어입니다.

지금부터 함수의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곱의 꼴로 된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방법을 알


아봅시다.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의 곱 f(x)g(x)를 미분하면
{ f(x)g(x)}'=f '(x)g(x)+ f(x)g '(x)
이고,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f(x)g(x)=: f '(x)g(x)dx+: f(x)g '(x)dx

입니다. 우변의 두 부정적분 중에서 하나의 결과를 알고 있다면 다른 하나의 결과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즉,

: f(x)g '(x)dx=f(x)g(x)-: f '(x)g(x)dx

입니다.
이와 같이 적분하는 방법을 부분적분법이라고 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곱해져 있는 두 함수에서 어떤 함수를 f(x)로 놓고, 어떤 함수를 g(x)에
대한 도함수로 놓을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그대로 미분

: f(x)g '(x)dx=f(x)g(x)-: f '(x)g(x)dx

적분 그대로

39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분적분법을 이용할 때, 미분하여 결과가 간단해지는 것을 f(x)로, 적분하기 쉬운 것을
g '(x)로 택하면 편리합니다.

Example
부정적분 : x sin x dx를 구해 봅시다.

f(x)=x, g '(x)=sin x로 놓으면 f'(x)=1, g(x)=-cos x이므로

: x sin x dx=x_(-cos x)-: 1_(-cos x)dx

: x sin x dx=-x cos x+sin x+C ← 부분적분법의 과정에서 g '(x)로부터 g(x)를


구할 때, 적분상수 C는 생략하고 부정적분을
그러나 만약 f(x)=sin x, g '(x)=x로 놓으면 구하는 마지막 단계에서만 적분상수 C를 쓰면
됩니다.
: x sin x dx=;2!;x¤ sin x-: ;2!;x¤ cos x dx=y

와 같이 오히려 복잡해지므로 부분적분법에서는 f(x)와 g '(x)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분적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 f(x)g '(x)dx=f(x)g(x)-: f '(x)g(x)dx

부분적분법에서 f(x)는 미분하면 간단해지는 것으로, g '(x)는 적분하기 쉬운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순서로 f(x)를 택한다.

로그함수 ln x, log x Δ 다항함수 x, x¤ , y Δ 삼각함수 sin x, cos x Δ 지수함수 e≈, a≈


10
미분하기 쉽다. ¤111111 머리글자만 따서 순서대로 외우면‘로다삼지’111111⁄ 적분하기 쉽다.

2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부정적분 구하기

이제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자주 나오는 여러 가지 함수들의 부정적분을 구해 봅시다.

1. 미분하기 쉬운 함수끼리 곱해진 경우


다항함수와 로그함수의 곱으로 표현된 꼴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10 부정적분 39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 경우에는 두 함수가 모두 미분하면 간단해지는 함수이므로 두 함수 중에서 적분하기 쉬운
함수를 찾습니다.

Example
부정적분 : x ln x dx를 구해 봅시다.

f(x)=ln x, g '(x)=x로 놓으면 f '(x)=;[!;, g(x)=;2!;x¤ 이므로

: x ln x dx=(ln x)_;2!;x¤ -: ;[!;_;2!; x¤ dx

: x ln x dx=;2!; x¤ ln x-;2!;: x dx

: x ln x dx=;2!; x¤ ln x-;4!;x¤ +C

2. 미분하기 쉬운 함수와 적분하기 쉬운 함수끼리 곱해진 경우


다항함수와 지수함수의 곱, 다항함수와 삼각함수의 곱으로 표현된 꼴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Example
부정적분 : xe≈ dx를 구해 봅시다.

f(x)=x, g '(x)=e≈ 으로 놓으면 f '(x)=1, g(x)=e≈ 이므로

: xe≈ dx=xe≈ -: 1_e≈ dx=xe≈ -e≈ +C

3. 적분하기 쉬운 함수끼리 곱해진 경우


삼각함수와 지수함수의 곱으로 표현된 꼴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의 부정적분은 부분
적분법을 두 번 이상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Example
부정적분 : e≈ sin x dx를 구해 봅시다.

f(x)=sin x, g '(x)=e≈ 으로 놓으면 f'(x)=cos x, g(x)=e≈ 이므로

: e≈ sin x dx=e≈ sin x-: e≈ cos x dx yy ㉠

이때, 마찬가지 방법으로 : e≈ cos x dx에서

u(x)=cos x, v'(x)=e≈ 으로 놓으면 u'(x)=-sin x, v(x)=e≈ 이므로

: e≈ cos x dx=e≈ cos x+: e≈ sin x dx yy ㉡

39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을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e≈ sin x dx=e≈ sin x-{e≈ cos x+: e≈ sin x dx}

2: e≈ sin x dx=e≈ (sin x-cos x)

∴ : e≈ sin x dx=;2!; e≈ (sin x-cos x)+C

위의 Example 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런 형태의 부정적분에서 sin x, cos x는 두 번 미분했을


경우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온다는 사실과 지수함수는 미분과 적분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
가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입니다.

한편, 3. 적분하기 쉬운 함수끼리 곱해진 경우 이외의 형태에서도 부분적분법을 여러 번 사용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Œ f(x)=x¤ , g '(x)=e≈ 으로 놓으면 f '(x)=2x, g(x)=e≈
f

: x¤ e≈ dx=x¤ e≈ -: 2xe≈ dx
u(x)=x, v'(x)=e≈ 으로 놓으면 u'(x)=1, v(x)=e≈

: x¤ e≈ dx=x¤ e≈ -2 {xe≈ -: 1_e≈ dx}

: x¤ e≈ dx=x¤ e≈ -2xe≈ +2e≈ +C


입니다.

10

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ln x dx ⑵ : x cos 2x dx

풀이 1 ⑴ f(x)=ln x, g '(x)=1로 놓으면 f'(x)=;[!;, g(x)=x이므로

: ln x dx=x ln x-: ;[!;_x dx=x ln x-x+C

⑵ f(x)=x, g'(x)=cos 2x로 놓으면 f'(x)=1, g(x)=;2!; sin 2x이므로

: x cos 2x dx=;2!; x sin 2x-: 1_;2!; sin 2x dx=;2!; x sin 2x+;4!; cos 2x+C

10 부정적분 39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분적분법⑴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08 ⑴ : xe¤ ≈ dx ⑵ : x¤ e¤ ≈ dx ⑶ : 3 ln x dx

접근 방법

⑴, ⑶에서는 미분하여 결과가 간단해지는 것을 f(x)로, 적분하기 쉬운 것을 g '(x)로 놓고 부분적분법


을 이용합니다. ⑵에서는 부분적분법을 두 번 사용하여 주어진 부정적분을 구하도록 합니다.

: f(x)g'(x)dx=f(x)g(x)-:
: f '(x)g(x)dx

상세 풀이

⑴ f(x)=x, g '(x)=e¤ ≈ 으로 놓으면 f '(x)=1, g(x)=;2!; e¤ ≈ 이므로

: xe¤ ≈ dx=x_;2!; e¤ ≈ -: 1_;2!; e¤ ≈ dx=;2!; xe¤ ≈ -;4!; e¤ ≈ +C

⑵ f(x)=x¤ , g '(x)=e¤ ≈ 으로 놓으면 f '(x)=2x, g(x)=;2!; e¤ ≈ 이므로

: x¤ e¤ ≈ dx=x¤ _;2!; e¤ ≈ -: 2x_;2!; e¤ ≈ dx=;2!; x¤ e¤ ≈ -: xe¤ ≈ dx yy ㉠

: xe¤ ≈ dx에서 u(x)=x, v'(x)=e¤ ≈ 으로 놓으면 u'(x)=1, v(x)=;2!; e¤ ≈ 이므로

: xe¤ ≈ dx=x_;2!; e¤ ≈ -: 1_;2!; e¤ ≈ dx=;2!; xe¤ ≈ -;4!; e¤ ≈ +C¡ yy ㉡

㉡을 ㉠에 대입하면

: x¤ e¤ ≈ dx=;2!; x¤ e¤ ≈ -{;2!; xe¤ ≈ -;4!; e¤ ≈ +C¡}=;2!; x¤ e¤ ≈ -;2!; xe¤ ≈ +;4!; e¤ ≈ +C ← C=-C¡

⑶ f(x)=ln x, g '(x)=3으로 놓으면 f '(x)=;[!;, g(x)=3x이므로

: 3 ln x dx=(ln x)_3x-: ;[!;_3x dx=3x ln x-3x+C

정답 ⑴ ;2!; xe¤ ≈ -;4!; e¤ ≈ +C ⑵ ;2!; x¤ e¤ ≈ -;2!; xe¤ ≈ +;4!; e¤ ≈ +C ⑶ 3x ln x-3x+C

보충 설명

⑶에서는 (3x ln x)'=3 ln x+3이므로 : 3 ln x dx=3x ln x-3x+C로 구할 수도 있습니다.

39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8

08-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xe‹ ≈ dx ⑵ : x¤ e—≈ dx

⑶ : x¤ ln x dx ⑷ : (ln x)¤ dx

08-2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xe› ≈ 이고, 이 곡선이 점

{;4!;, 1}을 지날 때, f(0)의 값을 구하여라.

10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에 대하여 f '(x)= 113 이고 f(x)의 극
ln x
08-3

솟값이 -1일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08-1 ⑴ ;3!;xe‹ ≈ -;9!;e‹ ≈ +C ⑵ -x¤ e—≈ -2xe—≈ -2e—≈ +C ⑶ ;3!;x‹ ln x-;9!;x‹ +C

⑷ x(ln x)¤ -2x ln x+2x+C

08-2 ;1!6%; 08-3 `-;e@;

10 부정적분 39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분적분법⑵

부정적분 : e¤ ≈ sin x dx를 구하여라.


09
접근 방법

부분적분법을 한 번 사용하여 부정적분을 구할 수 없을 때에는 다시 부분적분법을 적용합니다.

(지수함수)_(삼각함수) 꼴의 함수의 부정적분은 같은 형태가 나올 때까


지 부분적분법을 반복한다.

상세 풀이

f(x)=sin x, g '(x)=e¤ ≈ 으로 놓으면 f '(x)=cos x, g(x)=;2!; e¤ ≈ 이므로

: e¤ ≈ sin x dx=;2!; e¤ ≈ sin x-;2!;: e¤ ≈ cos x dx yy ㉠

: e¤ ≈ cos x dx에서 u(x)=cos x, v'(x)=e¤ ≈ 으로 놓으면 u'(x)=-sin x, v(x)=;2!; e¤ ≈ 이므로

: e¤ ≈ cos x dx=;2!; e¤ ≈ cos x+;2!;: e¤ ≈ sin x dx yy ㉡

㉡을 ㉠에 대입하면 : e¤ ≈ sin x dx=;2!; e¤ ≈ sin x-;4!; e¤ ≈ cos x-;4!;: e¤ ≈ sin x dx

;4%;: e¤ ≈ sin x dx=;4!; e¤ ≈ (2 sin x-cos x)

∴ : e¤ ≈ sin x dx=;5!; e¤ ≈ (2 sin x-cos x)+C

정답 ;5!; e¤ ≈ (2 sin x-cos x)+C

보충 설명
⑴ f(x)=e¤ ≈ , g '(x)=sin x로 놓고 부분적분법을 사용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⑵ 다음은 간단한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의 미분과 적분을 나타낸 것입니다.

ln x x sin x e≈
1
미분 1 cos x e≈
x

적분 x ln x-x+C ;2!;x¤ +C -cos x+C e≈ +C

이때,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의 미분은 대체로 모두 간단한 반면, 적분은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의 순으로 적분하기가 점점 쉬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부분적분법에서 f(x)는 미분하면 간단해지는 것으로, g '(x)는 적분하기 쉬운 것으로 선택합니다.

39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19

09-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 e¤ ≈ cos x dx ⑵ : x¤ sin x dx ⑶ : x¤ cos x dx

09-2 : x sin 2x dx에 대하여 f(0)=1일 때, f {;4“;}의 값은?


함수 f(x)=:

① ;4!; ② ;2!; ③ ;4#;

④ 1 ⑤ ;4%;

10
09-3 : e≈ sin 2x dx에 대하여 f(0)=-;5@; 일 때, 0…x<;2#;p에서 f(x)의 극댓
함수 f(x)=:

값을 구하여라.

09-1 ⑴ ;5!;e¤ ≈ (2 cos x+sin x)+C ⑵ -x¤ cos x+2x sin x+2 cos x+C

⑶ x¤ sin x+2x cos x-2 sin x+C

09-2 `⑤ 09-3 ;5@; e


;2“;

10 부정적분 39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0- 1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y‹ +8 t› +t¤ +1
⑴: dy ⑵: dt
y+2 t¤ +t+1

⑶ : (sin h+cos h)¤ dh+: (sin h-cos h)¤ dh

1 1
⑷:{ + } dx
1+tan¤ x 1+cot¤ x
4x-'x+1 x_5≈ +3
⑸: dx ⑹: dx
x x
e¤ ≈ cos¤ x-1
⑺: dx ⑻ : sec x(sec x+tan x)dx
cos¤ x

⑼ : sin 5x cos 3x dx ⑽ : cos 3x cos 2x dx

⑾ : sec x dx ⑿ : csc x dx

cos (ln x) 1
⒀: dx ⒁: dx
x x'lƒn x∂+å1

⒂ : (x-1)cos 2x dx ⒃ : e—≈ cos 2x dx

f(2x)-f(2p)
10- 2 함수 f(x)=: (e≈ +'x+2 cos x)dx에 대하여 lim
x ⁄p
x-p
의 값을 구하여라.

x<1에서 정의된 곡선 y=f(x) 위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1114 이고 이 곡


2x-3
10- 3 '∂1∂-ßx
선이 점 (-8, 42)를 지날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함수 f(x)=: 111111113 dx에 대하여 f(0)=0일 때, e f(2)의 값을 구하여라.


3x¤
10- 4 (x-1)(x¤ +x+1)

40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7 | 풀이집 p.221

10- 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치역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f '(x)=2 f(x), f '(0)=2
가 성립할 때, f(1)의 값은?

①1 ②2 ③e
④ 2e ⑤ e¤

10- 6 x>0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p)의 값을 구하여라.

㈎ f {;2“;}=1 ㈏ f(x)+x f '(x)=x cos x

10- 7 함수 f(x)=e› ≈ —⁄ 의 역함수를 g(x)라고 하면 : g(x)dx=ax ln x+C일 때, 상수 a의 값

은? (단, C는 적분상수)

① ;6!; ② ;4!; ③ ;3!;

④ ;2!; ⑤1
10

10- 8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xex¤ (x>0)
f '(x)= [
sin¤ x cos x (x<0)

이고 f(-p)=;2!; 일 때, f(1)의 값을 구하여라.

sin¤ x (x>0)
10- 9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 [
k cos x (x<0)
이고 f {;2“;}=f {-;2“;}=1일 때, f(x)가

x=0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10 부정적분 40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0- 10 x>0에서 정의된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할 때,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F(3)의 값은?

㈎ 모든 양수 x에 대하여 F(x)+xf(x)=(2x+2)e≈
㈏ F(1)=2e

① ;4!;e‹ ② ;2!;e‹ ③ e‹

④ 2e‹ ⑤ 4e‹

10- 11 x>0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이 F(x)이고

F(x)=x f(x)-x¤ sin x일 때, F{;2“;}=;2“; 를 만족시킨다. f(p)의 값을 구하여라.

10- 12 0<x<p에서 정의된 함수


f(x)=1-cos x+cos¤ x-cos‹ x+y

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자. F{;2“; } =2일 때, F{;3“; } 의 값을 구하여라.

10- 1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d f(x) ln x f(x)
⑴ x>0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e = e 이고
dx x
⑵ f(1)=0일 때, f(e¤ )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f(x)=: sin(ln x) dx가 f(1)=-;2!; 을 만족시킬 때, f(e;4“;)의 값을 구하여라.

10- 14 함수 f(x)=ln x+1의 역함수 g(x)에 대하여

G(x)=: g(x)dx, G(1)=0

일 때, 함수 G(x)를 구하여라.

40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8 | 풀이집 p.228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f(x)+x f '(x)=sin 'ßxå , f {13}= 13 을 만족시킬 때, f(p¤ )의


p¤ 8
10- 15 4 p¤
값을 구하여라. (단, x>0)

10- 16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임의의 함수 f(x)에 대하여

12 { f(x)g(x)}=g(x)[ f(x)+ 12 f(x)]


d d
dx dx
가 성립한다. 미분가능한 함수 g(x)에 대하여 g(x)>0, g(0)=e일 때, g(1)의 값을 구하
여라.

10- 17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e≈ { f(x)+f '(x)}=(x¤ -3)e≈ , f(0)=-1
이 성립할 때, 방정식 f(x)=3의 두 실근의 곱을 구하여라.

challenge

10- 18 구간 (0, ¶)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양의 실수 x, y에 대하여


10
f(xy)=f(x)+f(y), f '(1)=e
를 만족시킬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challenge

1
10- 19 열린구간 {-;2“;, p}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
1+sin x
일 때,

함수 g(x)=2 sin x cos x에 대하여 함수 h(x)를 h(x)=: f(x)g'(x)dx라고 하자.

h(0)=0일 때, h{;2“;}의 값을 구하여라.

10 부정적분 40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1
정적분
0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 407
예제
0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430
예제
기본 다지기 444
실력 다지기 446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Ⅱ에서 배운 다항함수의 정적분을 분수함수, 무리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로 확대하여 적용해 보겠습니
다. 부정적분에서 배운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정적분
에 적용해 보고, 수학Ⅱ에서 배운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역시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로 확대하여 적용해 보
겠습니다.

0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 01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 418


치환적분법, 부분적분법을 이해하 02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정적분 420
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03 치환적분법에 의한 정적분 422

04 정적분의 삼각치환법 424

05 부분적분법에 의한 정적분 426

06 우함수, 기함수에서의 정적분 428

0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07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436


①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 08 정적분을 값으로 가지는 함수 438
분과 극한을 구할 수 있다.
09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⑴ 440
②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에서 함
수를 구할 수 있다. 10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⑵ 442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1 | 정적분

0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

1 정적분의 치환적분법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x=g(t)의 도함수 g '(t)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a=g(a), b=g(b)이면

:Ab f(x)dx=:Ú’ f(g(t))g '(t)dt

2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하고 f '(x), g '(x)가 연속일 때,

:Ab f(x)g '(x)dx=[ f(x)g(x)]bA-:Ab f '(x)g(x)dx

0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1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d
⑴ :A/ f(t)dt=f(x)
dx
d
:?
x+a
⑵ f(t)dt=f(x+a)-f(x)
dx

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1
⑴ lim :A/ f(t)dt=f(a)
x ⁄a x-a

⑵ lim ;h!;:A
a+h
f(t)dt=f(a)
h ⁄0

40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1 정적분의 계산

수학Ⅱ에서 배운 정적분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a=b일 때, :Ab f(x)dx=0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함수 f(x)
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함수 f(x)의 a에서 b a>b일 때,:Ab f(x)dx=-:Ba f(x)dx

까지의 정적분은 로 정의하면

:Ab f(x)dx=[F(x)]bA
:Ab f(x)dx=[F(x)]bA=F(b)-F(a)
:Ab f(x)dx=F(b)-F(a)
입니다. 는 a, b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합
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유리함수, 무리함수, 지수함수, 삼각함수 등과 같


은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먼저 정적분의 성질들에
대하여 복습해 봅시다.

함수 f(x)가 임의의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일 때

⑴ :Ab f(x)dx=-:Ba f(x)dx

⑵ :Ab k f(x)dx=k:Ab f(x)dx (단, k는 상수)


11

⑶ :Ab { f(x)—g(x)} dx=:Ab f(x)dx—:Ab g(x)dx (복부호동순)

⑷ :Ab f(x)dx=:Ac f(x)dx+:Cb f(x)dx ← a, b, c의 대소에 관계없이 성립합니다.

먼저 정적분의 정의와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의 값을 계산해 봅


시다.

1
⑴ :!2 dx=:!2 x-2dx=[-;[!;]2!=-;2!;-(-1)=;2!;
Example

⑵ :)1 ('ßx-1)¤ dx=:)1 (x-2'ßx+1)dx=[;2!;x¤ -;3$;x;2#;+x]1)=;2!;-;3$;+1=;6!;

11 정적분 40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⑶ :)1 (e≈ +e—≈ )dx=[e≈ -e—≈ ]1)=e-;e!;-(1-1)=e-;e!;

1
⑷ :@4 dx=[ln |x|]4@=ln 4-ln 2=ln 2
x
2≈ 2 1 1
⑸ :)1 2≈ dx=[ ]1)= - = =log™ e
ln 2 ln 2 ln 2 ln 2

⑹ :) (sin x+cos x)dx=[-cos x+sin x]º =sin ;2“;-(-cos 0)=1+1=2


;2“; ;2“;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차이점

수학Ⅱ에서 배웠던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차이점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부정적분은 적분변수가 같을 때 하나의 부정적분으로 합치는 연산이 가능합니다.


부정적분을 구할 때에는 적분변수에 주의합니다. 즉, 적분되는 미지수가 무엇인지 판
단하여 적분이 되는 식에서 상수와 변수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Example
⑴ : (2x+2y+1)dx=x¤ +2yx+x+C (단, C는 적분상수)
2y, 1을 상수 취급해서 적분한 결과입니다.
⑵ : (2x+2y+1)dy=2xy+y¤ +y+C (단, C는 적분상수)
2x, 1을 상수 취급해서 적분한 결과입니다.

위의 Example 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식 2x+2y+1을 적분하였지만, ⑴의 경우에는


적분변수가 x, ⑵의 경우에는 적분변수가 y이므로 적분한 결과는 전혀 다른 식이 됩니다.

또한 : f(x)dx+: g(x)dx=: { f(x)+g(x)} dx와 같은 부정적분은 적분변수가 같

을 때 연산이 가능합니다.

Example ⑴ : (x+y)¤ dx+: (x-y)¤ dy

=: (x¤ +2xy+y¤ )dx+: (x¤ -2xy+y¤ )dy

={;3!;x‹ +x¤ y+xy¤ +C¡}+(x¤ y-xy¤ +;3!;y‹ +C™) (단, C¡, C™는 적분상수)

=;3!;x‹ +2x¤ y+;3!;y‹ +C (단, C는 C=C¡+C™인 적분상수)

⑵ : (x+y)‹ dy-: (x-y)‹ dy

=: {(x+y)‹ -(x-y)‹ } dy

=: (6x¤ y+2y‹ )dy=3x¤ y¤ +;2!;y› +C (단, C는 적분상수)

40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정적분은 적분구간이 같을 때 하나의 정적분으로 합치는 연산이 가능합니다.

: f(x)dx+: g(x)dx=: { f(x)+g(x)} dx와 같이 부정적분은 적분변수가 같은

경우에 하나의 부정적분으로 합칠 수가 있지만 : f(x)dx+: g(t)dt와 같이 적분변

수가 다른 경우에는 하나의 부정적분으로 합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정적분은 적분변수가 바뀌어도 그 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적분 구간이 같은 두
정적분은 하나의 정적분으로 합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Ab f(x)dx+ :Ab g(t)dt= :Ab f(x)dx+ :Ab g(x)dx

f(x)dx+ g(t)dt= :Ab { f(x)+g(x)} dx

2 정적분의 치환적분법

부정적분의 치환적분법과 마찬가지로 정적분에서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면 복잡한 함수의 정


적분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
여 알아봅시다.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11
:Ab f(x)dx=[F(x)]bA=F(b)-F(a) yy ㉠

이고, 미분가능한 함수 g(t)에 대하여 x=g(t)로 놓으면 치환적분법에 의하여

: f(x)dx=: f(g(t))g '(t)dt=F(g(t))

입니다.
이때, 도함수 g '(t)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t가 a에서 b까지 x
x=g(t)

변할 때 x=g(t)가 a에서 b까지 변한다고 하면, 즉 a=g(a), b=g(b) b

라고 하면
a
:Ú’ f(g(t))g '(t)dt=[F(g(t))]
b

a O a b t

11 정적분 40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Ú’ f(g(t))g '(t)dt=F(g(b))-F(g(a))
=F(b)-F(a) yy ㉡
입니다. ㉠, ㉡으로부터

:Ab f(x)dx=:Ú’ f(g(t))g '(t)dt

가 성립합니다.

정적분의 치환적분법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x=g(t)의 도함수 g '(t)가 닫
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a=g(a), b=g(b)이면

:Ab f(x)dx=:Ú’ f(g(t))g '(t)dt

함수 x=g(t)는 닫힌구간 [a, b]에서 항상 증가 또는 감소하는 함수로서 일대일대응이어야 한다.

Example
⑴ 정적분 :@3 (x-2)¤ 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dt
x-2=t로 놓으면 =1이고
dx
x=2일 때 t=0, x=3일 때 t=1이므로

:@3 (x-2)¤ dx=:)1 t¤ dt=[;3!; t‹ ]1)=;3!;

⑵ 정적분 :)1 2xe1-x¤ 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dt
1-x¤ =t로 놓으면 =-2x이고
dx
x=0일 때 t=1, x=1일 때 t=0이므로

:)1 2xe1-x¤ dx=-:!0 e† dt=:)1 e† dt=[e† ]1)=e-1

3 정적분의 삼각치환법

1
정적분 :)2 "√4-x¤ dx 또는 :)
'3
dx는 지금까지 배운 치환적분법으로는 쉽게 적분이
1+x¤
되지 않는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41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무리함수 또는 유리함수를 적분할 때, 적분변수를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을 삼
각치환법이라고 하는데, 위의 정적분처럼 일반적인 치환으로 구할 수 없는 것은 삼각치환법으
로 구할 수 있습니다.

1. :) "√a¤ -x¤ dx (a>0) 꼴


a

dx
x=a sin h {-;2“;…h…;2“;}로 놓고 양변을 h에 대하여 미분하면 =a cos h이고
dh

x=0일 때 h=0, x=a일 때 h=;2“;이므로

:)a "a¤Ω ç-Ωçx¤ dx=:) "a¤Ω ç(1≈ç-çsiçn¤ ≈ hΩ) a cos h dh


;2“;

1-sin¤ h=cos¤ h

:)a "a¤Ω ç-Ωçx¤ dx=:) "a¤Ω ç coçs¤ ≈ h a cos h dh


;2“;

주어진 구간에서 cos hæ0

:)a "a¤Ω ç-Ωçx¤ dx=a¤ :) cos¤ h dh


;2“;

cos 2h=2cos¤ h-1에서


1+cos 2h
:)a "a¤Ω ç-Ωçx¤ dx=a¤ :) 112122 dh
;2“; 1+cos 2h cos¤ h=
2
2

:)a "a¤Ω ç-Ωçx¤ dx= 14 [h+;2!; sin 2h]) =;4“; a¤


a¤ ;2“;

2
입니다.

또한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면 정적분 :)a "√a¤ -x¤ dx (a>0)의 y


a y="a¤ -x¤

값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의 넓이의 ;4!;임을


11
-a O a x
알 수 있습니다. 즉,

:)a "√a¤ -x¤ dx=pa¤ _;4!;=;4“; a¤ -a

과 같이 구할 수도 있습니다.

2. :) 11
1 232 dx (a>0) 꼴
a

a¤ +x¤
dx
x=a tan h {-;2“;<h<;2“;}로 놓고 양변을 h에 대하여 미분하면 =a sec¤ h이고
dh

x=0일 때 h=0, x=a일 때 h=;4“;이므로

11 정적분 41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1
:)a
;4“;
dx=:) a sec¤ h dh
a¤ +x¤ a¤ (1+tan¤ h)
1+tan¤ h=sec¤ h
1
:)a
;4“;
dx=:) a sec¤ h dh
a¤ sec¤ h

:)a
;4“;
dx=:) ;a!; dh

:)a dx=;a!;:) dh=;a!; [h]


;4“; ;4“;

º
p p
:)a dx=;a!; { -0}=
4 4a
입니다.

삼각치환법

1 :)a "√a¤ -x¤ dx (a>0) 꼴 x=a sin h {-;2“;…h…;2“;}로 치환

1
2 :)a a¤ +x¤ dx (a>0) 꼴 x=a tan h {-;2“;<h<;2“;}로 치환

부정적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적분에서도 함수를 잘 변형하여 적분을 할 수 있는 꼴로 바꾼 후 적분해야 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삼각함수의 여러 변형 공식들이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잘 기억해 둔다.
sin¤ x+cos¤ x=1, 1+tan¤ x=sec¤ x, 1+cot¤ x=csc¤ x

Example
⑴ 정적분 :)2 "√4-x¤ 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dx
x=2 sin h {-;2“;…h…;2“;}로 놓으면 dh =2 cos h이고

x=0일 때 h=0, x=2일 때 h=;2“;이므로

:)2 "√4-x¤ dx=:) øπ4(1-sin¤ h)_2 cos h dh


;2“;

1+cos 2h
:)2 "√4-x¤ dx=4:) cos¤ h dh=4:)
;2“; ;2“;

2 dh

:)2 "√4-x¤ dx=2 [h+;2!; sin 2h] ) =2_;2“;=p ← 원 x¤ +y¤ =4의 사분원의 넓이인
;2“;

← p_2¤ _;4!;=p와 같습니다.


1
⑵ 정적분 :)
'3
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1+x¤
dx
x=tan h {-;2“;<h<;2“;}로 놓으면
dh =sec¤ h이고

x=0일 때 h=0, x='3일 때 h=;3“;이므로

41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sec¤ h ;3“; sec¤ h
:) dh=[ h ] º =;3“;
'3 ;3“; ;3“;
dx=:) dh=:)
1+x¤ 1+tan¤ h sec¤ h

삼각치환법에서 범위를 제한하는 이유

정적분의 치환적분법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g(t)로 치환할 때, x=g(t)가 일대일대응이


어야 합니다. 삼각치환법에서도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유도한 것이므로 치환하
는 함수식은 반드시 역함수가 존재해야 합니다.
먼저 피적분함수가 "√a¤ -x¤ (a>0) 꼴일 때, x=a sin h로 치환하 x x=a sinh
a
는 경우에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그림 1]과 -
p
2
O p h
같이 정의역을 [h|-;2“;…h…;2“;]로 정하면 됩니다. 2
-a
1
또한 피적분함수가 (a>0) 꼴일 때, x=a tan h로 치환하 [그림 1]
a¤ +x¤
x x=a tanh
면 [그림 2]와 같이 정의역을 [h|-;2“;<h<;2“;]로 정하면 됩니다.

p O p h
-
2 2

[그림 2]

4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11
이제 부분적분법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닫힌구간 [a, b]에서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하고 f '(x), g '(x)가 연속일 때, 함수의
곱의 미분법에서 { f(x)g(x)}'=f '(x)g(x)+f(x)g '(x)입니다.
이 식의 양변을 적분하여 정리하면

:Ab { f(x)g(x)}'dx=:Ab { f '(x)g(x)+f(x)g '(x)} dx

:Ab { f(x)g(x)}'dx=:Ab f '(x)g(x)dx+:Ab f(x)g '(x)dx

입니다. 이때,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Ab { f(x)g(x)}'dx=[ f(x)g(x)]bA

이므로

11 정적분 4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Ab f(x)g '(x)dx=[ f(x)g(x)]bA-:Ab f '(x)g(x)dx

가 성립합니다.

정적분의 부분적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하고 f '(x), g '(x)가 연속일 때

:Ab f(x)g '(x)dx=[ f(x)g(x)]bA-:Ab f '(x)g(x)dx

정적분의 부분적분법은 치환적분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두 함수의 곱으로 표현되어 있을 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적분을 계산하는 데 있어 피적분함수가 삼각함수와 다항함수의 곱, 지수함수와 다항함수 또는 로그함수와 다항함
수의 곱, 삼각함수와 지수함수 또는 삼각함수와 로그함수의 곱으로 주어지는 경우 부분적분법으로 계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Example ⑴ 정적분 :)1 xexdx에서 f(x)=x, g '(x)=ex으로 놓으면 f '(x)=1, g(x)=ex이므로

:)1 xexdx=[xex]1)-:)1 exdx=e-[ex]1)=e-(e-1)=1

⑵ 정적분 :) x sin x dx에서 f(x)=x, g '(x)=sin x로 놓으면 f '(x)=1,


;2“;

g(x)=-cos x이므로

:) x sin x dx=[x(-cos x)]) -:) 1_(-cos x)dx


;2“; ;2“; ;2“;

:) x sin x dx=0+[sin x]) =1-0=1


;2“; ;2“;

5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한 정적분

1. 함수 f(x)가 우함수일 때
함수 y=f(x)가 우함수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를 y y=f(x)

만족시키고, 함수 y=f(x)의 그래프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즉,

:_0A f(x)dx=:)a f(x)dx, 즉 :_aA f(x)dx=2:)a f(x)dx


-a O a x
가 성립합니다.
함수 cos x, sin¤ x, x¤ , x› +1, x¤ +x› 등이 대표적인 우함수입니다. 다음을 증명해 봅시다.

41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Proof :_aA f(x)dx=:_0A f(x)dx+:)a f(x)dx x=-t로 놓으면
dx
=-1
dt
x=0일 때 t=0, x=-a일 때 t=a
:_aA f(x)dx=:A0 f(-t)_(-dt)+:)a f(x)dx
f(-t)=f(t), -:A0 f(t)dt=:)a f(t)dt

:_aA f(x)dx=:)a f(t)dt+:)a f(x)dx=2:)a f(x)dx

2. 함수 f(x)가 기함수일 때
함수 y=f(x)가 기함수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y y=f(x)

를 만족시키고, 함수 y=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_0A f(x)dx=-:)a f(x)dx, 즉 :_aA f(x)dx=0 -a O a x

이 성립합니다.
함수 sin x, tan x, sin‹ x, x, x‹ , x+x‹ 등이 대표적인 기함수입니다. 다음을 증명해 봅시다.

Proof :_aA f(x)dx=:_0A f(x)dx+:)a f(x)dx dx


x=-t로 놓으면 =-1
dt
x=0일 때 t=0, x=-a일 때 t=a
:_aA f(x)dx=:A0 f(-t)_(-dt)+:)a f(x)dx
f(-t)=-f(t), -:A0 f(t)dt=:)a f(t)dt

:_aA f(x)dx=-:)a f(t)dt+:)a f(x)dx=0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함수 y=f(x)가 닫힌구간 [-a, a]에서 연속일 때

1 함수 f(x)가 우함수이면 :_aA f(x)dx=2:)a f(x)dx


11
2 함수 f(x)가 기함수이면 :_aA f(x)dx=0

위끝과 아래끝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를 때, 우함수와 기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하면 편리하다.

Example ⑴ 정적분 :_2@ (x+x¤ sin x)dx에서 f(x)=x¤ sin x라고 하면

f(-x)=(-x)¤ _sin(-x)=x¤ _(-sin x)=-x¤ sin x=-f(x)


이므로 함수 f(x)는 기함수입니다. 즉, x, x¤ sin x가 기함수이므로

:_2@ (x+x¤ sin x)dx=0


2는 상수함수
⑵ 정적분 :_1! (2+x¤ -cos px)dx에서 2, x¤ , cos px는 우함수이므로

11 정적분 4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_1! (2+x¤ -cos px)dx=2:)1 (2+x¤ -cos px)dx

:_1! (2+x¤ -cos px)dx=2 [2x+;3!; x‹ -;ç!; sin px]1)=2 {2+;3!;-0}=:¡3¢: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한 함수의 정적분

수학Ⅱ에서 배운 평행이동 또는 대칭이동한 함수의 정적분을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다


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⑴ 평행이동한 함수의 정적분


함수 y=f(x-m)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 y
y=f(x) y=f(x-m)
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f(x-m)dx= :Ab f(x)dx


b+m
:
a+m
O a b m b+m x
가 성립합니다. a+m
b+m dt
이때, : f(x-m)dx에서 x-m=t로 놓으면 =1이고
a+m dx

x=a+m일 때 t=a, x=b+m일 때 t=b이므로

f(x-m)dx= :Ab f(t)dt= :Ab f(x)dx


b+m
:
a+m

입니다.

⑵ 대칭이동한 함수의 정적분


함수 y=f(a-x)의 그래프와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y
y=f(a-x) y=f(x)
x=;2A;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a f(a-x)dx= :)a f(x)dx a a x


O -
2
가 성립합니다.
dt
이때, :)a f(a-x)dx에서 a-x=t로 놓으면 =-1이고
dx

x=0일 때 t=a, x=a일 때 t=0이므로

:)a f(a-x)dx= :A0 f(t)_(-dt)= :)a f(t)dt= :)a f(x)dx

입니다.

41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x+2 cos¤ x
⑴ :_1! ⑵ :)
;2“;
dx dx
x¤ -x-6 1+sin x

2 정적분 :!2 ('ßx+1)dx+:@4 ('y+1)dy의 값을 구하여라.

3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2x¤ 4x-6 e¤ ≈ 1
⑴ :@3 dx+:@3 dx ⑵ :!2 dx-:!2 dx
x-1 x-1 e≈ -1 e≈ -1

4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3x
⑴ :!6 dx ⑵ :!e ln x dx
'ƒx+3

1 ⑴ :_1! dx=:_1! dx=:_1! dx=[ln|x-3|]1_!=ln 2-ln 4=-ln 2


풀이 x+2 x+2 1
x¤ -x-6 (x+2)(x-3) x-3

⑵ :)
;2“;
cos¤ x ;2“;
1-sin¤ x ;2“; ;2“;
dx=:) dx=:) (1-sin x)dx=[x+cos x]) =;2“;-1
1+sin x 1+sin x

2 :!2 ('x+1)dx+:@4 ('y+1)dy=:!2 ('x+1)dx+:@4 ('x+1)dx=:!4 ('x+1)dx

:!2 ('x+1)dx+:@4 ('y+1)dy=[;3@;x;2#;+x]4!=;3@;_4;2#;+4-{;3@;+1}=:™3£:

3 ⑴ :@3 x-1 dx+:@3 x-1 dx=:@3 { x-1 + x-1 } dx=:@3 { x-1 } dx


2x¤ 4x-6 2x¤ 4x-6 2x¤ +4x-6

⑴ :@3 dx+:@3 dx=:@3


2(x+3)(x-1)
dx=:@3 (2x+6)dx
11
x-1

⑴ :@3 dx+:@3 dx=[x¤ +6x]3@=(9+18)-(4+12)=11

⑵ :!2
e¤ ≈ 1 e¤ ≈ 1 e¤ ≈ -1
dx-:!2 dx=:!2 { - } dx=:!2 dx
e≈ -1 e≈ -1 e≈ -1 e≈ -1 e≈ -1

⑵ :!2 dx-:!2 dx=:!2 (e≈ +1)dx=[e≈ +x]2!=(e¤ +2)-(e+1)=e¤ -e+1

4 ⑴ 'ƒx+3=t로 놓으면 x+3=t¤ , 즉 x=t¤ -3에서 12


dx
=2t이고
dt
x=1일 때 t=2, x=6일 때 t=3이므로
3x 3t¤ -9
:!6 dx=:@3 _2tdt=:@3 (6t¤ -18)dt=[2t‹ -18t]3@=20
'ƒx+3 t

⑵ f(x)=ln x, g'(x)=1로 놓으면 f'(x)=;[!;, g(x)=x이므로

:!e ln x dx=[x ln x]e!-:!e 1 dx=e-[x]e!=1

11 정적분 41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1 ⑴ :)1
1
'ƒx+1+'ßx
dx ⑵ :) (sin x+cos x)¤ dx
;2“;

⑶ :!2 {2≈ -;[!;}dx ⑷ :) (2e¤ ≈ -p sin px)dx


;2!;

접근 방법

⑴에서는 함수의 분모를 유리화하여 식을 간단히 한 후 적분하고, ⑵에서는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한 후 적분합니다.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 ∫
:å f(x)dx=[[F(x)]]å=F(b)-F(a)

상세 풀이

1 1 1 'ƒx+1-'ßx 1
⑴ :) dx=:) dx=:) ('ƒx+1-'ßx )dx
'ƒx+1+'ßx ('ƒx+1+'ßx )('ƒx+1-'ßx )
1
⑴ :) dx=[;3@;(x+1) -;3@;x ]1)=;3@;(2 'ß2 -1-1)=;3$;('ß2 -1)
;2#; ;2#;

⑵ :) (sin x+cos x)¤ dx=:) (sin¤ x+2 sin x cos x+cos¤ x)dx
;2“; ;2“;

p
⑵ :) (sin x+cos x)¤ dx=:) (1+sin 2x)dx=[x-;2!; cos 2x]) =
;2“; ;2“; ;2“;
+1
2
2 1 2≈ 4 2 2
⑶ :! {2≈ - } dx=[ -ln|x|]2!= -ln 2- = -ln 2
x ln 2 ln 2 ln 2 ln 2

⑷ :) (2e¤ ≈ -p sin px)dx=[e2x+cos px]) =e-(1+1)=e-2


;2!; ;2!;

p 2
정답 ⑴ ;3$;('ß2 -1) ⑵ +1 ⑶ -ln 2 ⑷ e-2
2 ln 2

보충 설명
무리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을 잘 익혀두어야 합니다. 또한 미적분의 기본 정리 및 정적분의 성질을 활용하여 주어진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는 연습을 충분히 하도록 합니다.

41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35

01-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 sin¤ x
⑴ :!3 ⑵ :)
;2“;
dx dx
'ƒx+1-'ƒx-1 1+cos x

⑶ :!2 {e≈ —⁄ -;2¡[;} dx ⑷ :)1 (2≈ ln 2+p cos px)dx

01-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⑴ :)1 dx=ln a일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x¤ +3x+2

b
⑵ :)1 (2≈ -1)(4≈ +2≈ +1)dx= -1일 때, 자연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
ln a
하여라.

11
01-3 곡선 y=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cos¤ x+e≈ 이고 이 곡선

이 점 (0, 1)을 지날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여라.


p

8 p 1 4
01-1 `⑴ ⑵ -1 ⑶ e-1- ln 2 ⑷ 1 01-2 `⑴ ⑵ 15
3 2 2 3

01-3 ` p¤4 +ep-1

11 정적분 4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정적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2 ⑴ :)» |cos x|dx ⑵ :_1! |ex-1|dx

접근 방법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을 0으로 하는 값을 경계로 주어진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적분합니다.


p
⑴`에서는 cos x=0에서 x= 이고, ⑵에서는 ex-1=0에서 x=0입니다.
2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정적분 Δ 구간을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상세 풀이

p y
⑴ 0…x… 일 때, |cos x|=cos x
2 1 y=»cos x»
p
⑴ <x…p일 때, |cos x|=-cos x
2
O p p 3p x

∴ :)» |cos x|dx


2 2

∴ =:) cos x dx+:;2“» ; (-cos x)dx


;2“;

∴ =[sin x] ) +[-sin x]»;2“;=1+1=2


;2“;

y y=»e≈ -1»
⑵ xæ0일 때, |ex-1|=ex-1
⑵ x<0일 때, |ex-1|=-ex+1

∴ :_1! |ex-1|dx=:_0! (1-ex)dx+:)1 (ex-1)dx


-1 O 1 x
∴ :_1! |ex-1|dx=[x-ex]0_!+[ex-x]1) -1

∴ :_1! |ex-1|dx=e+;e!;-2

정답 ⑴ 2 ⑵ e+;e!;-2

보충 설명
함수에 절댓값 기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절댓값 기호를 없애야 합니다. 이때,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부호가 적분 구간 안에서 어떻게 변하는지는 상세 풀이 와 같이 그래프를 그려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42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36

02-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4 |'x-1|dx ⑵ :)» |sin 2x|dx

02-2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e!; "√(ln x)¤ dx ⑵ :)» |'3 sin x-cos x|dx


e

정적분 : `|sin 3x+sin 2x+sin x|dx의 값은?


p
02-3 0

11
① :¡6£: ② ;3&; ③ ;2%;

④ ;3*; ⑤ :¡6¶:

02-1 `⑴ 2 ⑵ 2 02-2 `⑴ 2-;e@; ⑵ 4 02-3 `⑤

11 정적분 4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치환적분법에 의한 정적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3 ⑴ :)1 x'ƒ1-x dx ⑵ :) sin‹ x cos x dx


;2“;

접근 방법

f '(x)
부정적분을 구할 때처럼 적분하려는 함수가 (ax+b)« , f(g(x))g '(x), 꼴일 때에는 치환적분법
f(x)
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이때, 적분 구간이 변하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미분가능한 함수 x=g(t)가 닫힌구간 [a, b]에서 증가`(또는 감소)하고,


a=g(a) , b=g(b) 이면

:Ú’ f( g(t))g'(t)dt
:Ab f(x)dx=:

상세 풀이

dt
⑴ 1-x=t로 놓으면 =-1이고
dx
x=0일 때 t=1, x=1 일 때 t=0 이므로

:)1 x'1∂-ßx dx=:!0 (t-1)'t dt=:)1 (t ;2!;-t ;2#; )dt

:)1 x'1∂-ßx dx=[;3@; t ;2#;-;5@; t ;2%;]1)=;1¢5;

dt
⑵ sin x=t 로 놓으면 =cos x이고
dx

x=0 일 때 t=0, x=;2“; 일 때 t=1 이므로

:) sin‹ x cos x dx=:)1 t‹ dt=[;4!; t› ]1)=;4!;


;2“;

정답 ⑴ ;1¢5; ⑵ ;4!;

보충 설명
치환적분법에서 함수 x=g(t)는 일대일대응이어야 하므로 적분 구간에서는 t
t=sin x
항상 증가 또는 감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⑵에서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적 1

분 구간 [0, ;2“;]에서 함수 t=sin x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 p x
2

42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37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3-1
2x+3
⑴ :_0! ⑵ :) sin 3x cos 3x dx
;6“;
dx
x¤ +3x+4
e≈ 1
⑶ :_2@ dx ⑷ :!e dx
e≈ +1 x(1+ln x)¤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 f(x)dx=12 일 때, 정적분 :¡ f(3x-2)dx 의 값은?


10 4
03-2

①2 ②3 ③4
④6 ⑤8

:¡a 111 dx일 때, f(a› )과 같은 값을 가지는 것


'∂l∂n ßx
03-3 1 보다 큰 실수 a 에 대하여 f(a)=:
x
11
은?

① 4f(a) ② 8f(a) ③ 12f(a)


④ 16f(a) ⑤ 20f(a)

03-1 `⑴ ln 2 ⑵ ;6!; ⑶ 2 ⑷ ;2!; 03-2 ` ③ 03-3 `②

11 정적분 42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의 삼각치환법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4 ⑴ :)1 "1ç-≈xΩ¤ dx ⑵ :)
'3 1
x¤ +9
dx

접근 방법

일반적인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도 적분이 안 되는 경우에는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합니다.

함수가 "√a¤ -çx¤ (a>0) 꼴 Δ x=a sin h {-;2“;…h…;2“;}로 치환

함수가 1115 (a>0) 꼴 Δ x=a tan h {-;2“;<h<;2“;}로 치환


1
a¤ +x¤

상세 풀이

dx
⑴ x=sin h {-;2“;…h…;2“;}로 놓으면 =cos h이고
dh

x=0 일 때 h=0, x=1 일 때 h=;2“;이므로

:)1 "1ç-çx¤ dx=:) "1ç-çsçinçç¤ h`_cos h dh=:) cos ¤ h dh


;2“; ;2“;

1+cos 2h
:)1 "1ç-çx¤ dx=:) dh=[;2!; h+;4!; sin 2h]) =;4“;
;2“; ;2“;

2
dx
⑵ x=3 tan h {-;2“;<h<;2“;}로 놓으면 =3 sec¤ h이고
dh

x=0 일 때 h=0, x="3 일 때 h=;6“;이므로

1 1 3 sec¤ h
:) _3 sec¤ h dh=:)
'3 ;6“; ;6“;
dx=:) dh
x¤ +9 9 tan¤ h+9 9(tan¤ h+1)
sec¤ h
:) dh=;3!;:) 1 dh=;3!; [h]) =;1…8;
'3 ;6“; ;6“; ;6“;
dx=:)
3 sec¤ h

정답 ⑴ ;4“; ⑵ ;1…8;

보충 설명
일반적으로 함수 y="√a¤ -x¤ (a>0)의 그래프는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y
a y="a¤ -x¤
a인 원의 위쪽 반원이므로 정적분 :)a "√a¤ -x¤ dx 의 값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사분

원의 넓이를 나타냅니다. 즉, ⑴에서 :)1 "ç1-x¤ dx=;4!;_p_1¤ =;4“; 입니다. -a O a x

42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38

04-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 1
⑴ :) ⑵ :)2
'3
dx dx
"√4-x¤¤ (x¤ +4)¤

04-2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양수 a 의 값을 구하여라.

1
⑴ :)a "√a¤ -x¤ dx=9p ⑵ :)a dx=;2…0;
a¤ +x¤

정적분 : "6√x-x¤ dx 의 값은?


3
04-3 0
11
① ;4#;p ② ;2#;p ③ ;4(;p

④3 ⑤4

p p+2
04-1 `⑴ ⑵ 04-2 `⑴ 6 ⑵ 5 04-3 `③
3 64

11 정적분 42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부분적분법에 의한 정적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5 ⑴ :) x cos x dx
;2“;
⑵ :!e x ln x dx

접근 방법

앞에서 배운 부정적분을 구할 때처럼 치환이 어려운 두 함수의 곱의 꼴의 정적분의 값을 구할 때에는 두


함수 중에서 적분하기 어렵거나 미분하면 간단해지는 것을 f(x)로, 나머지를 g'(x)로 놓고 부분적분법
을 이용합니다. 이때, 함수 f(x)는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의 순으로 택합니다.

: f(x)g '(x) dx=[[ f(x)g(x)]] -:


: f '(x)g(x)dx
b b b

a a a

상세 풀이

⑴ f(x)=x, g'(x)=cos x로 놓으면 f '(x)=1, g(x)=sin x 이므로

:) x cos x dx=[x_sin x]) -:) 1_sin x dx


;2“; ;2“; ;2“;

:) x cos x dx=;2“;+[cos x]) =;2“;-1


;2“; ;2“;

⑵ f(x)=ln x, g'(x)=x 로 놓으면 f '(x)=;[!;, g(x)=;2!;x¤ 이므로

:!e x ln x dx=[ln x_;2!;x¤ ]e!-:!e ;[!;_;2!;x¤ dx

e¤ e¤
:!e x ln x dx= -;2!; [;2!;x¤ ]e!= +;4!;
2 4


정답 ⑴ ;2“;-1 ⑵ +;4!;
4

보충 설명
부분적분법에서는 곱해진 두 함수 중 어느 것을 미분한 함수 g'(x)로 보느냐에 따라 풀이가 훨씬 쉬워지기도 하
고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즉, 적분하기 쉬운 함수를 미분한 함수 g'(x)로 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Δ Δ Δ
로그함수 다항함수 삼각함수 지수함수
ln x, logå x x, x¤ sin x, cos x e≈ , a≈

미분하기 쉬움 Ó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Δ 적분하기 쉬움

또한 05-2처럼 치환적분법과 부분적분법을 동시에 이용해야만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는 문제가 있


으므로 치환을 한 다음 함수가 치환적분법을 이용하기 힘든 두 함수의 곱의 꼴일 때에는 부분적분법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 주의합니다.

42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39

05-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1 (x-1)e≈ dx ⑵ :) (x+1)sin 2x dx


;4“;

⑶ :)1 x¤ e≈ dx ⑷ :)2 » e≈ cos x dx

05-2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2 x‹ ex¤ dx ⑵ :) x‹ cos x¤ dx


'p

⑶ :)1 ln(x+"1ç+≈xΩ¤ )dx ⑷ :) e—≈ (sin x +cos x)dx


;2“;

정적분 :
2p
05-3 0
|(x-sin x)cos x|dx 의 값은?
11
①p ② 2p ③ 4p
④2 ⑤4

05-1 `⑴ 2-e ⑵ ;4#; ⑶ e-2 ⑷ 1122


e2p-1
2

05-2 `⑴ ;2!;(3e› +1) ⑵ -1 ⑶ ln(1+'2 )-'2 +1 ⑷ 1 05-3 `③

11 정적분 42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우함수, 기함수에서의 정적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06 ⑴ :_1! (ex+e-x)dx ⑵:
;6“;

-;6“;
(cos x+x cos x+x¤ sin x)dx

접근 방법

적분 구간이 좌우 대칭, 즉 적분 구간의 위끝과 아래끝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를 때에는 적분하려는


함수가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함수의 일부분이라도 우함수나 기함수라는 것을
알아내면 정적분의 계산이 훨씬 간단해지기 때문입니다.

적분 구간이 [-a, a] Δ 함수가 우함수인지 기함수인지 확인한다.

상세 풀이

⑴ f(x)=ex+e-x으로 놓으면 f(-x)=e-x+ex=f(x)


즉, f(x)=ex+e-x은 우함수이므로

:_1! (ex+e-x)dx=2:)1 (ex+e-x)dx=2[ex-e-x]1)

:_1! (ex+e-x)dx=2{(e-e-1)-(1-1)}=2e-;e@;

⑵ cos x는 우함수, x cos x, x¤ sin x는 기함수이므로

:
;6“; ;6“; ;6“;
(cos x+x cos x+x¤ sin x)dx=: cos x dx+: (x cos x+x¤ sin x)dx
-;6“; -;6“; -;6“;

:
;6“; ;6“; ;6“;
(cos x+x cos x+x¤ sin x)dx=2:) cos x dx+0=2[sin x]) =1
-;6“;

정답 ⑴ 2e-;e@; ⑵ 1

보충 설명
⑴ 우함수(even function)
①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f(x)입니다.
② 우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③ y=k (k는 상수), y=x¤ , y=x› , y=|x|, y=cos x, y는 우함수입니다.
⑵ 기함수(odd function)
①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f(x)입니다.
② 기함수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입니다.
③ y=x, y=x‹ , y=sin x, y=tan x, y는 기함수입니다.

42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42

06-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_1! (2x+3x+2-x-3-x)dx ⑵ :
;4“;
(x‹ +sin 2x+4)cos x dx
-;4“;

06-2 함수 f(x)=x cos x일 때, <보기>에서 정적분의 값이 항상 0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


은? (단, a는 임의의 실수이다.)
보기

ㄱ. :_aA f(x)dx ㄴ. :_aA x f(x)dx ㄷ. :_aA x f '(x)dx

①ㄱ ②ㄴ ③ㄷ
④ ㄱ, ㄴ ⑤ ㄱ, ㄷ

함수 f(x)=cos(tan x)에 대하여 다음 중 : :


1 2
06-3 f(x)dx+: f(x)dx의 값과 같은 것
은?
-1 -2 11

① 2:_1! f(x)dx ② 2:_2! f(x)dx ③ 2:_2@ f(x)dx

④ :_3# f(x)dx ⑤0

3
06-1 `⑴ ln 2 ⑵ 4'2 06-2 `⑤ 06-3 `②

11 정적분 42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f(t)에 대하여 x의 값이 변함에 따라 색 f(t)

칠한 부분이 변하므로 x의 값이 변하면 정적분 :A/ f(t)dt의 값도

변합니다. 따라서 함수 y=:A/ f(t)dt는 x의 값에 의하여 함숫값이


a x t

결정되므로 x에 대한 함수라는 것을 수학Ⅱ에서 배웠습니다.

또한 닫힌구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의 정적분은 항상 존재하고 적분과 미분이 역연산의 관계


이므로 함수 f(x)가 연속일 때, 정적분으로 정의된 새로운 함수는 미분가능하고 도함수는 바로
함수 f(x)가 된다는 것도 배웠습니다.
즉,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에서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a<x<b일 때 함
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d d
:A/ f(t)dt= {F(x)-F(a)}=F'(x)=f(x)
dx dx
d x+a d
:? f(t)dt= {F(x+a)-F(x)}=f(x+a)-f(x)
dx dx
가 성립합니다.

Example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f(x)=:)/ (et-t)dt의 도함수 f '(x)는

d d
f '(x)= f(x)= :)/ (et-t)dt=ex-x
dx dx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d
1 dx :A/ f(t)dt=f(x)

d
2 dx :?
x+a
f(t)dt=f(x+a)-f(x)

43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에서 배운 내용을 좀 더 확장해 보겠습니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a<x<b일 때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
라고 하면
d d
:A2 / f(t)dt= {F(2x)-F(a)}=2F'(2x)=2f(2x) yy ㉠
dx dx
d x¤ d
:A f(t)dt= {F(x¤ )-F(a)}=2xF'(x¤ )=2xf(x¤ )
dx dx
이 사실을 일반화하면, 미분가능한 함수 g(x)에 대하여
d g(x) d
:A f(t)dt= {F(g(x))-F(a)}
dx dx
g(x)
:A f(t)dt=F'(g(x))_g '(x)=f(g(x))_g '(x)
가 성립합니다.
d
한편, :A/ f(2t)dt는 f(2t)=g(t)로 놓고, 함수 g(x)의 한 부정적분을 G(x)라고 하면
dx
d d d
:A/ f(2t)dt= :A/ g(t)dt= {G(x)-G(a)}=G'(x)=g(x)=f(2x)
dx dx dx
d
∴ :A/ f(2t)dt=f(2x)
dx
이 사실은 ㉠과 비교해서 꼭 정리해 두도록 합시다.
마찬가지 원리로
d
:A/ { f(t)}¤ dt={ f(x)}¤ ← g(t)={ f(t)}¤ 으로 놓으면 됩니다.
dx
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11

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수학Ⅱ에서 배운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봅시다. 즉, 함수 f(x)


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1 F(x)-F(a)
lim :A/ f(t)dt= lim =F'(a)=f(a)
x ⁄a x-a x ⁄a x-a
F(a+h)-F(a)
lim ;h!;:A
a+h
f(t)dt= lim =F'(a)=f(a)
h ⁄0 h ⁄0 h
가 성립합니다.

11 정적분 43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Example
lim x-p :˘/ t¤ cos t dt의 값을 구해 봅시다.
x ⁄p

f(t)=t¤ cos t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x
1 1 1
lim x-p :˘/ t¤ cos t dt= lim x-p :˘/ f(t)dt= lim x-p [F(t)]p
x ⁄p x ⁄p x ⁄p

F(x)-F(p)
:˘/ t¤ cos t dt= lim =F'(p)
x ⁄p x-p
:˘/ t¤ cos t dt=f(p)=p¤ cos p=-p¤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1
1 lim :A/ f(t)dt=f(a)
x ⁄a x-a

;h!; :A
a+h
2 lim
h ⁄0
f(t)dt=f(a)

3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에서 함수 구하기

1. 적분 구간이 상수인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


함수 f(x)가

f(x)=g(x)+:Ab f(t)dt (a, b는 상수)

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Ab f(t)dt는 적분 구간이 상수이므로 이 정적분의 값은 상수입니다. 따

라서 :Ab f(t)dt=k (k는 상수)로 놓고 함수 f(x)를 구합니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2“;
등식 f(x)=cos x+:) f(t)dt를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해 봅시다.

:Ab f(t)dt=k (`k는 상수)로 놓으면 f(x)=g(x)+k입니다.

:) f(t)dt=k (k는 상수)로 놓으면 f(x)=cos x+k


;2“;

f(x)=g(x)+k를 :Ab f(t)dt=k에 대입하여 상수 k의 값을 구한 후 함수 f(x)를

구합니다.

43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k=:) f(t)dt=:) (cos t+k)dt=[sin t+kt] ) =;2“;k+1
;2“; ;2“; ;2“;

2 2
즉, k= 이므로 f(x)=cos x+ 입니다.
2-p 2-p

2.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는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


함수 f(x)가

:A/ f(t)dt=g(x) (a는 상수)

를 만족시킬 때, :Aa f(t)dt=0임을 이용하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함수 f(x)를 구합니

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시다.

Example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f(t)dt=ex+2x-k를 만족시킬 때,

상수 k의 값과 함수 f(x)를 구해 봅시다.

등식 :A/ f(t)dt=g(x)의 양변에 x 대신 a를 대입하면 :Aa f(t)dt=0이므로

g(a)=0입니다.

주어진 식의 양변에 x=0을 대입하면 :)0 f(t)dt=0이므로

:)0 f(t)dt=e0+2_0-k, 0=1-k ∴ k=1

등식 :A/ f(t)dt=g(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x
:A/ f(t)dt=
d
dx
g(x)이 11
므로 f(x)=g '(x)입니다.

:)/ f(t)dt=ex+2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 d x
:)/ f(t)dt= (e +2x-1) ∴ f(x)=ex+2
dx dx

3. 적분 구간과 피적분함수에 변수가 있는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


함수 f(x)가

:A/ (x-t)f(t)dt=g(x) (a는 상수)

를 만족시킬 때, 등식의 좌변을

11 정적분 43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A/ (x-t)f(t)dt=x:A/ f(t)dt-:A/ t f(t)dt

로 정리한 후,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함수 f(x)를 구합니다. 다음의 Example 을 살펴봅


시다.

Example
등식 :)/ (x-t)f(t)dt=e2x-2x-1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해 봅시다.

등식 :A/ (x-t)f(t)dt=g(x)의 좌변을 정리합니다.

적분변수가 t일 때, 피적분함수가 t 이외의 문자를 포함하면 이 문자는 적분에 영향을 미


치지 않으므로 적분변수 t에 대하여 상수가 됩니다. 즉,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 (x-t)f(t)dt=x:)/ f(t)dt-:)/ tf(t)dt

∴ x:)/ f(t)dt-:)/ t f(t)dt=e2x-2x-1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등식 x:A/ f(t)dt-:A/ tf(t)dt=g(x)의 양변을 x에 대하

여 미분합니다.

등식 x:)/ f(t)dt-:)/ t f(t)dt=e¤ ≈ -2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_:)/ f(t)dt+x f(x)-x f(x)=2e2x-2 ← { x :)/ f(t)dt}'

'
∴ :)/ f(t)dt =2e2x-2 ← =(x'):)/ f(t)dt+x { :)/ f(t)dt}

`에서 구한 등식 :A/ f(t)dt=g '(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합니다.

등식 :)/ f(t)dt=2e¤ ≈ -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4e¤ ≈

4. 피적분함수에 변수가 있는 정적분을 포함한 등식

정적분 :)1 (x-t)¤ dx의 값은 t=0일 때는 ;3!;, t=2일 때는 ;3&;입니다.

즉, 정적분 :)1 (x-t)¤ dx는 t의 값에 따라 값이 변하므로 t에 대한 함수입니다.

한편, 정적분 :)1 (x-t)¤ dt는 적분변수가 t이므로 x의 값에 따라 값이 변하는 x에 대한

함수입니다.

43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4가지 유형을 변형한 형태들도 꾸준하게 출제되고 있으므로 단순하게 암기
하기보다는 왜 이렇게 풀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알아 두도록 합니다!^^

1 다음 함수를 x에 대하여 미분하여라.


x+2
⑴ y=:)/ t¤ etdt ⑵ y=:? 2etdt

2 다음 식의 값을 구하여라.
1 x+2
⑴ lim ;h!;:! :@ (t¤ -3t)dt
1+h
(t¤ -3t+1)dt ⑵ lim
h ⁄0 x ⁄0 x

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가 :)/ f(t)dt=x(sin x+cos x)를 만족시킬 때, f {;4“;}의 값을


구하여라.

;6“;
4 함수 f(x)가 f(x)=sin x+:) f(t)cos t dt를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여라.

dy d dy d x+2
1 ⑴ dx = dx :)/ t¤ e dt=x¤ e :?
t
풀이 x
⑵ = 2etdt=2ex+2-2ex=2ex(e¤ -1)
dx dx
2 ⑴ f(t)=t¤ -3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
1+h
f(t)dt=F(1+h)-F(1)

F(1+h)-F(1)
∴ (주어진 식)= lim =F'(1)=f(1)=1¤ -3_1+1=-1
h ⁄0 h 11
⑵ f(t)=t¤ -3t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x+2
:? f(t)dt=F(x+2)-F(2)

F(x+2)-F(2)
∴ (주어진 식)= lim =F'(2)=f(2)=2¤ -3_2=-2
x ⁄0 x
3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sin x+cos x)+x(cos x-sin x)
'2 '2 '2 '2
∴ f {;4“;}={ + }+;4“; { - }='2
2 2 2 2

4 :) f(t)cos t dt=a (a는 상수)


;6“;
yy㉠

로 놓으면 f(x)=sin x+a이고, f(t)=sin t+a를 ㉠에 대입하면

:) (sin t cos t+a cos t)dt=a, :) {;2!; sin 2t+a cos t} dt=a
;6“; ;6“;

[-;4!; cos 2t+a sin t]) =a, -;8!;+;2!;a+;4!;=a


;6“;

즉, ;2!;a+;8!;=a에서 a=;4!;이므로 f(x)=sin x+;4!; ∴ f(1)=sin 1+;4!;

11 정적분 43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7 ⑴ lim ;h!;:E
h ⁄0
e+2h
x ln x dx의 값을 구하여라.

1
⑵ lim :˘/ (sin¤ t+cos t)dt의 값을 구하여라.
x ⁄p x-p

접근 방법

⑴`에서는 f(x)=x ln x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주어진 식은


F(e+2h)-F(e)
lim 이고, ⑵`에서는 f(t)=sin¤ t+cos t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h ⁄0 h
F(x)-F(p)
하면 주어진 식은 lim 이므로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합니다.
x ⁄p x-p

1
: f(t)dt=f(a), lim ;h!;:
x a+h
lim f(t)dt=f(a)
x ⁄a x-a a h ⁄0 a

상세 풀이

⑴ f(x)=x ln x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고 하면


e+2h
lim ;h!;:E x ln x dx= lim ;h!;:E f(x)dx= lim ;h!; [F(x)]E
e+2h e+2h

h ⁄0 h ⁄0 h ⁄0

F(e+2h)-F(e) F(e+2h)-F(e)
;h!;:E
e+2h
x ln x dx= lim =2 lim
h ⁄0 h h ⁄0 2h
;h!;:E
e+2h
x ln x dx=2F'(e)=2 f(e)=2(e ln e)=2e
⑵ f(t)=sin¤ t+cos t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고 하면
1 1
lim :˘/ (sin¤ t+cos t)dt= lim :˘/ f(t)dt
x ⁄p x-p x ⁄p x-p

1 F(x)-F(p)
:˘/ (sin¤ t+cos t)dt= lim [F(t)]/˘= lim
x ⁄p x-p x ⁄p x-p
:˘/ (sin¤ t+cos t)dt=F'(p)=f(p)=sin¤ p+cos p=-1

정답 ⑴ 2e ⑵ -1

보충 설명
위와 같은 문제를 풀 때, 주어진 정적분을 계산하여 극한값으로 구하지 않도록 합니다. 그렇게 하여도 답은 얻을
수 있지만 부정적분은 미분을 거꾸로 적용한 함수를 다루는 것이고, 미적분의 기본 정리에 의하여 정적분을 부정
적분의 함숫값의 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정적분이 함수의 극한과 관련된 표현으로 제시되면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43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43

07-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lim ;h!;:!
1+h
t¤ etdt의 값을 구하여라.
h ⁄0

1
⑵ lim :!/ et(sin pt+cos pt) dt의 값을 구하여라.
x ⁄1 x¤ -1

f(x)=2 sin x+3 cos x일 때, lim ;[!;:


p+x
07-2 x ⁄0 p-x
f(t)dt의 값은?

① -6 ② -4 ③2
④4 ⑤6

07-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n!;
11
x
⑴ 함수 f(x)=cos x+e +4에 대하여 lim n: f(t)dt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1
:@ {tf(t)+2} dt의 값을

⑵ 함수 f(x)=cos px+ex-2+1에 대하여 lim
x ⁄'2 x› -4
구하여라.

07-1 `⑴ e ⑵ -;2E; 07-2 `① 07-3 `⑴ 12 ⑵ 2

11 정적분 43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을 값으로 가지는 함수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08 : f(t)dt
f(x)=sin x+:
0
p

를 만족시킬 때, f {;2#;p}의 값을 구하여라.

접근 방법

정적분의 계산 결과는 실수이므로 f(x)=g(x)+:Ab f(t)dt와 같이 적분 구간이 상수로 주어진 경우에

는 정적분 :Ab f(t)dt=k (k는 상수)로 놓고 이 식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하면 됩니다.

: f(t)dt=k`(k는 상수)로 놓고 정적분에 f(t)=g(t)+k를 대입한다.


b

상세 풀이

:)» f(t)dt=k (k는 상수)로 놓으면 f(x)=sin x+k

f(x)=sin x+k를 :)» f(t)dt=k에 대입하면

:)» (sin t+k)dt=[-cos t+kt]»)=kp+2=k

2 2
즉, k= 이므로 f(x)=sin x+
1-p 1-p
2 2 1+p
∴ f {;2#;p}=sin ;2#;p+ =-1+ =
1-p 1-p 1-p

1+p
정답
1-p

보충 설명

a, b가 상수일 때 정적분 :Ab f(x)dx, :Ab f(t)dt의 값은 상수가 됩니다.

따라서 g(x)가 연속함수일 때, f(x)=g(x)+:Ab f(t)dt (a, b는 상수)의 형태에서 정적분 :Ab f(t)dt의 값은 상

수이므로 그 값을 k로 놓으면 k=:Ab f(t)dt=:Ab { g(t)+k} dt에서 우변의 정적분을 계산하여 k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43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44

08-1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e-t f(t)dt
1
f(x)=ex+:
0

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08-2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
;2“;
f(x)=cos x+2: f(t)sin t dt
0

를 만족시킬 때, f(p)의 값을 구하여라.

f(t)
:
e
08-3 등식 f(x)=x-: dt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f(e)의 값은?
1 t 11
e-3 e-1 e+1
① ② ③
2 2 2
e+3
④ ⑤ e+1
2

08-1 `e¤ +e 08-2 `-2 08-3 `③

11 정적분 43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⑴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09 ⑴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


d
dx
:!/ t ln t dt에 대하여 f(e)

의 값을 구하여라.

⑵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가 :˘/ f(t)dt=x cos x+2x-a를 만족시

킬 때, f(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접근 방법

d
적분 구간에 변수 x가 있으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합니다. 즉, ⑴에서는 :A/ f(t)dt=f(x)임을
dx
이용합니다. ⑵에서는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함수 f(x)를 구한 후 f(a)의 값을 구
하도록 합니다. 특히,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 대신 적분 구간의 길이가 0이 되는 값, 즉 x=p를 대입하
여 상수 a의 값을 구합니다.

d
: f(t)dt=f(x), : f(t)dt=0
x a

dx a a

상세 풀이

⑴ g(t)=t ln t로 놓고, g(t)의 한 부정적분을 G(t)라고 하면

:!/ t ln t dt=:!/ g(t)dt=[G(t)]/!=G(x)-G(1)

d
∴ f(x)= {G(x)-G(1)}=G'(x)=g(x)=x ln x
dx
따라서 f(x)=x ln x이므로 f(e)=e ln e=e

⑵ 등식 :˘/ f(t)dt=x cos x+2x-a에 x=p를 대입하면

:˘» f(t)dt=p cos p+2p-a=p-a, p-a=0 ∴ a=p

또한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cos x-x sin x+2 ∴ f(p)=1

정답 ⑴e ⑵1

보충 설명

피적분함수 f(x)에 관계없이 :Ab f(x)dx에서 a=b이면 정적분의 값은 0입니다. 즉, :Aa f(x)dx=0입니다.

44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44

09-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d
⑴ 함수 f(x)= :?1 (cos pt+et+1)dt에 대하여 f(-1)의 값을 구하여라.
dx

⑵ 임의의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가 :!/ f(t)dt=8 ln x+4x-a를 만족시킬

때, f(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09-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임의의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 tf(t)dt=x¤ ex-x¤ 을 만족시키는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f(1)의 값을 구하여라.

⑵ 임의의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연속함수 f(x)가 :) f(t)dt=x sin px를 만족시킬 때,


f(4)의 값을 구하여라.

11
09-3 집합 {x|x>0인 실수}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f(x)는 정의역에서 연속이고, 정의역의

원소 x에 대하여 : f(2t)dt=2x¤ -2 ln x-1-ln 2를 만족시킨다. 정적분


x

: f(t)dt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e

09-1 `⑴ 0 ⑵ 6 09-2 `⑴ 3e-2 ⑵ ;2“; 09-3 e¤ -5

11 정적분 44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⑵

등식 : (x-t)f(t)dt=sin x+ax+b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x

10 0

f(b)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접근 방법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전개한 후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합니다. 즉, 주어진 등식은 x에 대한 항등식이고
정적분으로 나타내어진 식은 변수 t에 대한 정적분이므로

:)/ (x-t)f(t)dt=:)/ {x f(t)-t f(t)}dt=x:)/ f(t)dt-:)/ t f(t)dt

와 같이 나타낸 후, 양변에 x=0을 대입하여 a, b 사이의 관계식을 찾습니다.


또한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a, b 사이의 두 번째 관계식을 찾으면 됩니다.

: (x-t)f(t)dt=x : f(t)dt- : t f(t)dt로 전개한 후, x에 대하여 미분한다.


x x x

a a a

상세 풀이

:)/ (x-t)f(t)dt=sin x+ax+b에 x=0을 대입하면 b=0

주어진 식의 좌변을 전개하면

:)/ (x-t)f(t)dt=x:)/ f(t)dt-:)/ t f(t)dt

∴ x:)/ f(t)dt-:)/ t f(t)dt=sin x+ax

이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 f(x)-x f(x)=cos x+a

∴ :)/ f(t)dt=cos x+a

x=0을 대입하면 0=1+a ∴ a=-1

따라서 :)/ f(t)dt=cos x-1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sin x ∴ f(0)=0

정답 0

보충 설명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x:)/ f(t)dt]'=:)/ f(t)dt+x f(x)

44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45

10-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등식 :)/ (x-t)f(t)dt=4e2x+ax+b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f(b)의 값

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⑵ x>0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x)가 :!/ (x-t)f(t)dt=x‹ ln x+ax‹ +2x-1을 만

족시킬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상수이다.)

: (x-t)cos t dt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x
10-2 0…x…2p에서 정의된 함수 f(x)=:
0

있는 대로 골라라.

보기
2p
ㄱ. f '(x)=sin x ㄴ. f(p)=1 ㄷ. :) f(x)dx=0

11

10-3 x>0에서 정의된 함수 f(x)는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미분가능하다. 함수 f(x)의 도함수

: {;[!;-;t!;} f '(t) dt+;[!;일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x
가 x>0에서 연속이고 f(x)=:
1

16
10-1 `⑴ 10-2 `ㄱ
-;2!;
⑵ 5e 10-3 e

11 정적분 44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1- 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x x‹ +x¤ +1
⑴ :)1 dx ⑵ :!3 dx
x¤ +3x+2 x¤ (x¤ +1)
x
⑶ :@5 dx ⑷ :)» cos¤ x dx
'∂x-1
1
⑸ :) cos‹ x dx ⑹ :)
;2“; ;4“;
dx
1+sin x

11- 2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f(4)=4, y


12
y=f(x)

f(8)=12이고 :$8 f(x)dx=35일 때, 정적분 :$8 xf '(x)dx의

값은?
4
① 20 ② 25 ③ 30
O 4 8 x
④ 40 ⑤ 45

11- 3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정적분 :)2 e≈ f(x)dx의 값을 구하여라.

㈎ f(x+2)=f(x)
㈏ -1…x…1일 때, f(x)=|x|

x>0에서 정의된 함수 f(x)=:)/ 112 dt는 x=a 일 때, 최댓값 b 를 가진다. a+b의 값


2-t
11- 4 1+t
은?

① ln 3 ② 2 ln 3 ③ 3 ln 3
④ 1+3 ln 3 ⑤ -1+3 ln 3

11- 5 정적분 :)» (a sin x-p)¤ dx의 값을 최소가 되도록 하는 상수 a의 값은?

① ;2“; ②2 ③3

④p ⑤4

44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8 | 풀이집 p.247

수능

함수 f(x)가 f(x)=:)/ 1121 dt일 때, ( fΩf )(a)=ln 5를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1
11- 6 1+e—†
① ln 11 ② ln 13 ③ ln 15
④ ln 17 ⑤ ln 19

11- 7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f(-x)=0을 만족시킨다. f(a)=3일 때,

정적분 :_aA f '(x)(2-sin x)dx의 값을 구하여라. (단, a는 0이 아닌 상수이다.)

11- 8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⑴ 함수 f(x)=|x'x-4|에 대하여 lim :!/ t f(t)dt의 값을 구하여라.
x ⁄1 x¤ -1

1
⑵ 등식 lim :?/_—Hh f(t)dt=ln x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 f(x)dx의 값을
h ⁄0 h
구하여라.

11- 9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여라.

⑴ f(x)=:)/ (et-1)(et+1)dt

⑵ f(x)=:)/ (sin 2t+cos t)dt (단, 0<x<p) 11

11- 10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x>0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x f(x)=x¤ +x+:!/ f(t)dt가 성립

할 때, f(e)의 값을 구하여라.
⑵ 두 함수 f(x)=ax+b와 g(x)=ex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등식

f(g(x))=:)/ f(t)g(t)dt-xex+3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단, a, b는 상수이다.)

11 정적분 44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1- 11 연속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이 곡선과 x y
y=f(x)
축으로 둘러싸인 두 부분 A, B의 넓이가 각각 a, b일 때, 정적분

:)p xf(2x¤ )dx의 값은? {단, p>;2!;} A


O p B 2p¤ x

① ;2!; (a+b) ② ;2!; (a-b) ③ a+b

④ ;4!; (a+b) ⑤ ;4!; (a-b)

f(5)
11- 12 자연수 n에 대하여 함수 f(n)=:!n x‹ ex¤ dx라고 할 때,
f(3)
의 값은?

① e⁄ › ② 2e⁄ fl ③ 3e⁄ fl
④ 4e⁄ ° ⑤ 5e⁄ °

11- 13 함수 f(x)=:)/ (1+cos t)sin t dt`(0…x…2p)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①0 ②1 ③2
④3 ⑤4

1 1
11- 14 함수 f(x)=: /
;6“; sin h
dh+:?
;3“;

cos h
dh가 x=a에서 극댓값을 가질 때, a의 값은?

{단, ;6“;<x<;3“;}

p p p
① ② ③
12 6 4
p 5
④ ⑤ p
3 12
수능

11- 15 함수 f(x)를 f(x)=:A/ {2+sin(t¤ )} dt라고 하자. f "(a)='3 a일 때, ( f -1)'(0)의 값

은? {단, a는 0<a<Æ;2“; 인 상수이다.}

① ;1¡0; ② ;5!; ③ ;1£0;

④ ;5@; ⑤ ;2!;

44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8 | 풀이집 p.253

수능

11- 16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있다.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2x)=2f(x)f '(x)이고
f(x)
f(a)=0, :
4a
dx=k (a>0, 0<k<1)
2a x
{ f(x)}¤
일 때, :
2a
dx의 값을 k로 나타낸 것은?
a x¤

k¤ k¤
① ② ③ k¤
4 2
④k ⑤ 2k

11- 17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f(x)+f(-x)=cos ;2{;-1일 때, 정적분 :_»˘ f(x)dx의 값을 구하여라.

⑵ f(x)+f(-x)=x¤ (e≈ +e—≈ )일 때, :_1! f(x)dx 의 값을 구하여라.

11- 18 함수 f(x)=:
sin x

cos x
t¤ dt에 대하여 닫힌구간 [0, p]에서 f(x)가 극댓값을 가지는 x의 값을 a,

극솟값을 가지는 x의 값을 b라고 할 때, a+b의 값을 구하여라.

11- 19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1
⑴ 모든 실수 x에서 f(-x)=f(x)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1 f(x)dx=6일 때,

정적분 :_1! 111 dx의 값을 구하여라.


f(x)
e≈ +1

⑵ 연속함수 f(x)와 임의의 실수 a에 대하여 :)a f(x)dx=:)a f(a-x)dx가 성립함을 이

sin x
용하여 정적분 :)
;2“;
dx의 값을 구하여라.
sin x+cos x

1
11- 20 정의역이 {x|x>-1}인 함수 f(x)에 대하여 f '(x)=
(1+x‹ )¤
이고, 함수 g(x)=x¤ 일

때, :)1 f(x)g '(x)dx=:¡6¡:이다. f(1)의 값을 구하여라.

11 정적분 44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1- 21 f '(0)=2를 만족시키는 모든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_»˘ f(x)sin x dx는 일정한 값 k를

가진다. k의 값을 구하여라.

1
22 함수 y=x+cos x의 역함수를 f(x)라고 할 때, 정적분 :
;2“;
11- dx의 값을 구하여라.
-;2“; f '(x)

11- 23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가 f(x)=cos px+:)1 (x-t)f(t)dt를 만족시킬 때, f {;2!;}의 값을 구하여라.

⑵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는 연속함수이고

f(x)-2:)/ et f(t)dt=1
이 성립할 때, f "(0)의 값을 구하여라. (단, f "(x)는 f(x)의 이계도함수이다.)

11- 24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모든 실수 t에 대하여 :)2 x f(tx)dx=4t¤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1
⑵ 함수 f(x)= 에 대하여 F(x)=:)/ tf(x-t)dt (xæ0)일 때, F'(a)=ln 10을
1+x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11- 25 닫힌구간 [0, ;2“;]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f{;4“;}의 값을 구하여라.

㈎ :) f(t)dt=1
;2“;

㈏ :)/ cos x f(t)dt=:? sin x f(t)dt {단, 0…x…;2“;}


;2“;

44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8 | 풀이집 p.259

11- 26 미분가능한 함수 f(x)와 그 역함수 g(x)에 대하여 :)


g(x)
f(t)dt=x¤ ex이 성립할 때, g(1)

의 값을 구하여라.

수능

11- 27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고,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함수 f(x)에 대하여

:)2 f(x)dx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 f(0)=1, f '(0)=1
㈏ 0<a<b<2이면 f '(a)…f '(b)이다.
㈐ 열린구간 (0, 1)에서 f ''(x)=e≈ 이다.

수능

11- 28 닫힌구간 [0, 1]에서 증가하는 연속함수 f(x)가 :)1 f(x)dx=2, :)1 |f(x)|dx=2'2를 만족
시킨다. 함수 F(x)는

F(x)=:)/ |f(t)|dt (0…x…1)

일 때, :)1 f(x)F(x)dx의 값을 구하여라.

· |sin x|-sin x {-;2&;p…x<0}


challenge
M 11
11- 29 함수 f(x)= { 에 대하여 닫힌구간 [-;2&;p, ;2&;p]에 속하
M
ª sin x-|sin x| {0…x…;2&;p}

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A/ f(t)dtæ0이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challenge

11- 30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⑴ 1+;2!;+;3!;+y+;n!;>ln(n+1)

1 1 1
⑵ 1+ + +y+ <2-;n!; (단, næ2)
2¤ 3¤ n¤

11 정적분 44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2
정적분의 활용
01 구분구적법 453
02 정적분과 급수 458
예제
03 넓이 472
예제
04 부피 490
예제
05 속도와 거리 494
예제
기본 다지기 502
실력 다지기 504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수학Ⅱ에서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직선 또는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도형의
부피도 구할 수 있습니다. 평면도형의 넓이가 선(선의 길이)
을 적분하여 구하는 것이라면 입체도형의 부피는 면(단면의
넓이)을 적분하여 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
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구분구
적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01 구분구적법
구분구적법을 이해할 수 있다.

02 정적분과 급수 01 정적분을 이용한 급수의 합 구하기⑴ 466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02 정적분을 이용한 급수의 합 구하기⑵ 468


를 이해할 수 있다.
03 정적분과 급수의 활용 470

03 넓이 04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480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05 두 곡선 사이의 넓이 482
구할 수 있다.
06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484

07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486

08 역함수와 정적분 488

04 부피 09 입체도형의 부피 492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05 속도와 거리 10 평면 위의 운동 498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 11 곡선의 길이 500


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2 | 정적분의 활용

01 구분구적법

평면도형의 넓이나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때, 주어진 도형을 몇 개의 작은 기본 도형으로 잘


게 나누어 어림한 값을 구한 후, 이 어림한 값의 극한값으로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
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한다.

02 정적분과 급수

Δ x=
k 1 k
⑴ lim ¡ f { }_ = :)1 f(x)dx
n
로 놓는 경우
n ڦ k=1 n n n

Δ x=
p p p
⑵ lim ¡ f {a+ k}_ = :)p f(x+a)dx
n
k로 놓는 경우
n ڦ k=1 n n n

= :Ab f(x)dx Δ x=a+


b-a b-a b-a
⑶ lim ¡ f {a+
n
k}_ k로 놓는 경우
n ڦ k=1 n n n

03 넓이

함수 f(x)가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Ab | f(x)|dx이다.

04 부피

닫힌구간 [ a, b ]의 임의의 점 x에서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S(x)인 입체

도형의 부피 V는 V=:Ab S(x)dx (S(x)는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이다.

05 속도와 거리

1 평면 위의 점이 움직인 거리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 y=g(t)로 주어졌을 때,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Ab æ≠{ 5555554 ≠}2 +≠{ 5555554 ±}2 dt=:Ab "√{ f '(√t)}¤ √+{ √g '(tç)}¤ dt
dx dy
dt dt

2 곡선의 길이
매개변수 t로 나타내어진 곡선 x=f(t), y=g(t)(a…t…b)의 길이 l은

l=:Ab æ≠{ 5555554 ≠}2 +≠{ 5555554 –}2 dt=:Ab "√{ f '(√t)}¤ √+{ g√'(t)}Ω¤ dt
dx dy
dt dt

45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1
수학사에서 보면 부정적분과 정적분은 전혀 별개의 것으로 부정적분은 단순히 미분의 역이고,
정적분은 처음에 넓이나 부피 등을 구하기 위하여 도입된 급수를 간단히 나타낸 기호였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의 출발점인 구분구적법에 대하여 알아보겠
습니다.

1 구분구적법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또는 정삼각형 등의 넓이는 공식을 이


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같은 다각형은 오
른쪽 그림과 같이 여러 개의 삼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분할하여
그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규칙이 없는 일반적
인 도형, 즉 직선과 곡선 또는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없
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도형의 넓이는 어떻게 구해야 할까요?

다음 그림과 같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하여 주어진 도형 위에 정사각


형 모양의 모눈을 그린 후, 정사각형의 크기를 점점 더 작게 해 봅니다.

12
Δ
m m
Δ

[그림 1]
S
Δ

M Δ M

[그림 2]

12 정적분의 활용 45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의 [그림 1], [그림 2]에서 왼쪽 그림에 색칠된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보다는 오른쪽 그림에
색칠된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원래 도형의 넓이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정사각
형을 더 작은 정사각형으로 나누면 나눌수록 원래 도형의 넓이에 점점 가까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 하고, 곡선의 내부에 있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m, 곡선의 내부와 곡선의 경계선을 포함하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M이라고 하면
m…S…M
이 성립합니다. 이때, 정사각형의 크기를 무한히 작게 하면 m과 M은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
의 넓이 S에 한없이 가까워지므로 m 또는 M의 극한을 구하면 S를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넓이를 구하기 힘든 도형은 넓이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으


로 아주 잘게 나누어 그 도형들의 넓이의 합으로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각뿔, 원뿔, 구와 같은 입체도형도 원기둥 또는 직육면체로 나누어 그 부피
의 합의 어림값을 구한 후 극한을 이용하면 그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평면도형의 넓이나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때, 주어진 도형을 몇 개의 작은 기본


도형으로 나누어 어림한 값을 구한 후, 이 어림한 값의 극한값으로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합니다.

Example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 O의 넓이 S를 구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O에 내접하는 정n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l«,
넓이를 S«이라 하고 정n각형의 이웃한 두 꼭짓점을 각각 A, B, 삼각
O
형 OAB에서 밑변 AB에 대한 높이를 h«이라고 하면
r
S«=n_△OAB=n_;2!; AB”_h« hn

A B
S«=;2!;h«_(n_AB” )=;2!;h«_l«

그런데 원에 내접하는 정n각형에서 n의 값이 커질수록 오른쪽 그림


과 같이 정n각형은 원에 가까워지고, n ⁄¶일 때 h« ⁄r, l« ⁄2pr
O
이므로

S= lim S«= lim ;2!;h«_l«=;2!; r_2pr=pr¤


n ڦ n ڦ

위의 Example 에서 반지름의 길이가 r인 원의 넓이는 pr¤ 이고, 이것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원의 넓이에 대한 공식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5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구분구적법

평면도형의 넓이 S나 입체도형의 부피 V를 구하기 위하여


1 주어진 도형을 충분히 작은 n개의 기본 도형으로 잘게 나눈다.
2 그 기본 도형의 넓이의 합 S«이나 부피의 합 V«을 구한다.
3 2 에서 구한 합의 n ⁄¶일 때의 극한값을 구한다. 즉,
S= lim S«, V= lim V«
n ڦ n ڦ

이와 같이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한다.

이번에는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y=f(x)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S
선분 AB를 n등분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들을 만들고, 그
A B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을 각각 S«, S«'이라고 하면 a b x

y=f(x) y=f(x)

Sn Sn'

A B A B
a b x a b x

S«<S<S«'
입니다. 이때, n의 값을 크게 할수록 직사각형의 밑변의 길이는 짧아지고, S«과 S, S와 S«' 사
이의 차이는 점점 줄어듭니다. 따라서 n의 값을 한없이 크게 할 때, S«과 S«'의 값은 S의 값에
가까워집니다. 즉,
lim S«= lim S«'=S
n ڦ n ڦ
12
입니다.

Example 곡선 y=x¤ 과 x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0, 1]을 n등분하면 양 끝점을 y
y=x2
1
포함한 각 분점의 x좌표는 각각 2
{ n-1 }
1 2 n-1 n n
0, , , y, , (=1)
n n n n
S
이고, 이에 대응하는 y의 값은 각각
O 1 2 1 x
1 ¤ 2 n-1 ¤ n ¤ --
0¤ , { } , { }¤ , y, { } ,{ } n n n-1
n n n n n

입니다.

12 정적분의 활용 45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그림 1]에서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S«이라고 하면 y
y=x2
1
1 1 1 1 2 1 3
S«= _0+ { }¤ + { }¤ + { }¤
n n n n n n n
1 n-1 ¤
+y+ { }
n n
1 O 1 2 3 1 x
S«= {1¤ +2¤ +3¤ +y+(n-1)¤ } -- -
n n n n-1
n‹
n
1 n(n-1)(2n-1)
S«= _ [그림 1]
n‹ 6
1 1 1
S«= {1- }{2- }
6 n n
또한 [그림 2]에서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S«'이라고 y
y=x2
1
하면
1 1 ¤ 1 2 1 3 1 n
S«'= { } + { }¤ + { }¤ +y+ { }¤
n n n n n n n n
1 1
S«'= (1¤ +2¤ +3¤ +y+n¤ )
n‹ O 1 2 3 n x
- -- -
n n n n
1 n(n+1)(2n+1)
S«'= _ [그림 2]
n‹ 6
1 1 1
S«'= {1+ }{2+ }
6 n n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에 대하여 S«<S<S«'이므로 lim S«…S… lim S«'입니다.
n ڦ n ڦ

이때,
1 1 1 1
lim S«= lim 6 {1- n }{2- n }= 3
n ڦ n ڦ

1 1 1 1
lim S«'= lim 6 {1+ n }{2+ n }= 3
n ڦ n ڦ

1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입니다.
3
한편,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 과 x축 및 직선 x=1로 y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해 보면 y=x2

S'=:)1 x¤ dx
S'
S'=[;3!;x‹ ]1)
O x
x=1
S'=;3!;

입니다.
즉,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구한 S의 값과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한 S'의 값이 서로 같음을 확
인할 수 있습니다.

45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참고로 함수 y=x¤ 과 같이 연속함수인 경우에는 lim S«과 lim S«' 중에서 어느 한쪽의 극한
n ڦ n ڦ

이 존재하면 나머지 한쪽의 극한이 반드시 존재하고, 그 값이 서로 같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lim S«과 lim S«' 중에서 하나만 구하면 됩니다.
n ڦ n ڦ

y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 과 x축 및 직선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구하여라. y=x3

O x
x=2

풀이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0, 2]를 n등분하면 양 끝점을 포함한 각 분점의 x y y=x3
좌표는 각각 8

2 4 2(n-1) 2n
0, , , y, , (=2)
n n n n
이고, 이에 대응하는 y의 값은 각각
2 ‹ 4 ‹ 2(n-1) ‹ 2n ‹
0‹ , { } , { } , y, [ ],{ }
n n n n
2
이므로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S«이라고 하면 2 4
O - 2n x
-
2 2 2 ‹ 2 4 ‹ 2 2(n-1) ‹ n n n
S«= _0+ _{ } + _{ } +y+ _[ ] 2(n-1)
n n n n n n n n
2 2 ‹ 4 ‹ 2(n-1) ‹
S«= ∞{ } +{ } +y+[ ]§
n n n n
16 16 n¤ (n-1)¤
S«=
{1‹ +2‹ +y+(n-1)‹ }= _
n› n› 4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12
16n¤ (n-1)¤
S= lim S«= lim =4
n ⁄¶ n ⁄¶ 4n›
다른 풀이 |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0, 2]를 n등분하여 색칠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 y y=x3
을 S«'이라고 하면 8

2 2 ‹ 2 4 ‹ 2 6 ‹ 2 2n ‹
S«'= _{ } + _{ } + _{ } +y+ _{ }
n n n n n n n n
16
S«'= (1‹ +2‹ +y+n‹ )
n›
16 n¤ (n+1)¤
S«'= _
n› 4 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2 4 6
O - 2n x
--
n n n n
16n¤ (n+1)¤
S= lim S«'= lim =4
n ⁄¶ n ⁄¶ 4n›

12 정적분의 활용 45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2
1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y=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x)æ0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


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해 봅시다.

y y
y=f(x)

y=f(x)

S … …

O a b x O x0 x¡ x™ Dx xn-1 xn x
=

=
a b

닫힌구간 [a, b]를 n등분하여 양 끝점을 포함한 각 분점의 x좌표를 차례대로


xº(=a), x¡, x™, y, x«–¡, x«(=b)
이라 하고, 각 닫힌구간 [x˚–¡, x˚] (k=1, 2, 3, y, n)의 길이를 Dx라고 하면
b-a
Dx= , x˚=a+kDx (k=0, 1, y, n)
n
입니다.
위의 오른쪽 그림에서 n개의 직사각형의 합을 S«이라고 하면
S«=f(x¡)Dx+f(x™)Dx+f(x£)Dx+y+f(x«)Dx

S«= ¡ f(x˚)Dx
n
← 각 직사각형의 오른쪽 끝점에서의 함숫값이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입니다.
k=1

입니다.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이 n이 커지면 구하는 넓이 S와 직사각형 n개의 넓이의 합 S«의


차이는 점점 줄어듭니다. 즉, n ⁄¶일 때, S«은 S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S= lim S«= lim ¡ f(x˚)Dx
n
← S«= ¡ f(x˚)Dx로 정의해도 극한값은 같습니다.
n-1

n ڦ n ڦ k=1 k=0

차이 차이 차이

x0 x1 x2 x x0 x1 x2 x3 x4 x x 0 x1 x8 x

45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때, 정적분과 넓이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S= :Ab f(x)dx이므로

:Ab f(x)dx= lim ¡ f(x˚)Dx


n

n ڦ k=1

입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y=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면 극한값이 항상 존재합니다.
b-a
lim ¡ f(x˚)Dx {단, Dx=
n
, x˚=a+kDx}
n ڦ k=1 n
또한, 이 급수의 합은

:Ab f(x)dx

와 같이 나타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b-a
:Ab f(x)dx= lim ¡ f(x˚)Dx {단, Dx=
n
, x˚=a+kDx}
n ڦ k=1 n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2 x¤ 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Example

정적분의 정의에서 a=0, b=2이므로 닫힌구간 [0, 2]를 n등


2-0
:)2 에서 Dx=
분하면 n 12
Dx Dx Dx
b-a 2 2k
Dx= = , x˚=a+kDx= 0 x1 x2 xk xn-1 2
n n n
=

x0 xn
2k ¤ 4k¤
f(x˚)=x˚¤ ={ }=
n n¤ 0에서 시작하였으므로
x¡=0+Dx,
∴ :)2 x¤ dx= lim ¡ f(x˚)Dx
n

n ⁄¶ k=1 x™=0+Dx+Dx
n 4k¤ 2 8 n =0+2Dx,
x¤ dx= lim ¡ _ = lim ¡ k¤
n ⁄¶ k=1 n¤ n n ⁄¶ n‹ k=1 ⋮

8 n(n+1)(2n+1) x˚=0+kDx
x¤ dx= lim _
n ⁄¶ n‹ 6 2k
∴ x˚=
n
8
x¤ dx=
3

12 정적분의 활용 45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에서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를 알아볼 때에는 다음의 [그림 1]
과 같은 직사각형을 생각하여

lim ¡ f(x˚)Dx= :Ab f(x)dx


n

n ڦ k=1

를 얻었습니다.
y y=f(x) y y=f(x)

… …

O a b x O a b x
=

=
xº xn xº xn

b-a b-a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Dx= n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Dx= n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 f(x¡), f(x™), …, `f(xn)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 f(xº), f(x¡), …, `f(xn-1)

[그림 1] [그림 2]

이때, 위의 [그림 2]처럼 곡선 y=f(x)의 아래에 포함되는 직사각형을 그려서 생각하여도 결


과는 같습니다. 즉,

lim ¡ f(x˚)Dx= :Ab f(x)dx


n-1

n ڦ k=0

입니다.

2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 구하기

1
급수 lim (1› +2› +3› +y+n› )의 합을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n ڦ nfi

이 경우에는 ¡ k› 의 값을 알고 있지 않으면 수열의 합으로는 풀 수가 없으므로 앞서 배운 정


n

k=1

적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구하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닫힌
구간 [a, b]를 n등분한 분점을 이용하면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b-a
lim ¡ f(x˚)Dx= :Ab f(x)dx {단, Dx=
n
, x˚=a+kDx}
n ڦ k=1 n

46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
오른쪽 그림에서 닫힌구간 [a, b]의 길이는 b-a이므로 각 직사 y=f(x)
f(xk)
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가로의 길이 Δ
b-a O
n x0 x1 x2 Dx xn x
xn-1

=
세로의 길이 Δ f {a+
b-a a xk=a+kDx b
k}
n
입니다.
b-a
따라서 정적분 :Ab f(x)dx는 k번째 직사각형의 가로의 오른쪽 끝점의 x좌표인 a+ k
n
b-a
를 적분변수 x로 놓고, 를 dx로 놓았을 때의 급수의 합을 다음과 같이 닫힌구간 [a, b]에
n
서의 정적분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
b-a b-a
lim ¡ f {a+ = :Ab f(x)dx
n
k}_
n ڦ k=1 n n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

b-a
이때, a+ k에서 k=1일 때 n`⁄¶인 경우를 정적분의 아래끝으로 생각하고, k=n일
n
때 n`⁄¶인 경우를 정적분의 위끝으로 생각합니다.

Example 1
lim (1› +2› +3› +y+n› )의 값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해 보면
n ڦ nfi
1 n
(주어진 식)= lim ¡ k›
n ڦ nfi k=1
k 1
(주어진 식)= lim ¡ { }› _
n
b-a b-a
n ⁄¶ k=1 n lim ¡ f {a+
n
n k}_ =:Ab f(x)dx에서
n ڦ k=1 n n
1
(주어진 식)= :)1 x› dx=[ xfi ]1) f(x)=x› 일 때, a=0이고 b=1인 경우를 생각합니다.
5 12
1
(주어진 식)=
5

또한 b-a=p라고 하면 다음 등식이 성립합니다.


p p
lim ¡ f{a+ k}_ = :
n a+p
f(x)dx yy ㉠
n ڦ k=1 n n a

한편, 평행이동한 함수의 정적분을 이용하면 함수 y=f(x+a)의 그래프는 함수 y=f(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평행이동한 것입니다.
: f(x)dx= : f(x+a)dx
a+p p
yy ㉡
a 0

가 성립하는데, 이것은 다음 그림과 같은 그래프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정적분의 활용 46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 y=f(x) y y=f(x+a)
y=f(x)
a
a
a
a
a

O a a+p x O p a a+p x

따라서 앞의 두 식 ㉠, ㉡에서
p p
lim ¡ f {a+ k}_ = : f(x)dx= : f(x+a)dx
n a+p p

n ڦ k=1 n n a 0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주어진 급수에서 각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적분변수가 결정


이 되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정적분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다음 세 가지 경우를 살펴봅시다.

k 1
¡ f { }_ =:)1 f(x)dx
n
1. nlim
ڦ n n
k=1

k 1-0 y
= k가 k번째 직사각형의 가로의 오른쪽 끝점의 x좌 1-0 y=f(x)
n n f{
n
k}

표이므로 이를 적분변수 x로 놓으면, 오른쪽 그림에서 닫힌구간


[0, 1]의 길이가 1이므로 각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 O
x0 x1x2 x3 1 xn x
이는 xn-1
=

n =
0 1-0 k 1

가로의 길이 Δ
1-0 1 n
=
n n

세로의 길이 Δ f {
1-0 k
k}= f { }
n n
입니다.
k 1 k 1
따라서 lim ¡ f { }_ 을 정적분으로 고치면 lim ¡ f { }_ = :)1 f(x)dx가 됩니다.
n n

n ڦ k=1 n n n ڦ k=1 n n
k 1
간단히 생각하면 를 x로 놓을 때 k가 1씩 커지고, 그 간격은 이 되므로 이것을 dx로 놓
n n

에서 정적분의 아래끝은 k=1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로 x=0이


k
을 수 있습니다. 또한
n
고, 정적분의 위끝은 k=n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로 x=1입니다.

n 3k ¤ 3 k
lim ¡ {1+
Example
} _ 에서 x= 로 놓으면
n ڦ k=1 n n n

46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① dx=
n
k 1
② 정적분의 아래끝은 에서 k=1일 때의 극한값 lim =0입니다.
n n ڦ n

k n
③ 정적분의 위끝은 에서 k=n일 때의 극한값 lim =1입니다.
n n ڦ n

3k ¤ 1
} _ _3=3 :)1 (1+3x)¤ dx=21
n
∴ lim ¡ {1+
n ڦ k=1 n n

p p
¡ f { k}_ =:)p f(x)dx
n
2. nlim
ڦ n n
k=1

p p-0 y
k= k가 k번째 직사각형의 가로의 오른쪽 끝점의 x좌 f{
p-0
k} y=f(x)
n n n

표이므로 이를 적분변수 x로 놓으면, 오른쪽 그림에서 닫힌구간 [0, p]


의 길이가 p이므로 각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O
x0 x1 x2 x3 p xn x
xn-1
가로의 길이 Δ
p-0 p

=
n
= 0 p-0
k p
n n n

세로의 길이 Δ f {
p-0 p
k}=f { k}
n n
입니다.
p p p p
따라서 lim ¡ f { k}_ 를 정적분으로 고치면 lim ¡ f { k}_ = :)p f(x)dx가 됩
n n

n ڦ k=1 n n n ڦ k=1 n n
니다.
p p
간단히 생각하면 k를 x로 놓을 때 k가 1씩 커지고, 그 간격은 가 되므로 이것을 dx로 놓
n n

을 수 있습니다. 또한 k에서 정적분의 아래끝은 k=1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로 x=0이


p
n
고, 정적분의 위끝은 k=n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로 x=p입니다.
12

n 3k ¤ 3 3k
lim ¡ {1+
Example
} _ 에서 x= 로 놓으면
n ڦ k=1 n n n
3
① dx=
n
3k 3_1
② 정적분의 아래끝은 에서 k=1일 때의 극한값 lim =0입니다.
n n ڦ n
3k 3_n
③ 정적분의 위끝은 에서 k=n일 때의 극한값 lim =3입니다.
n n ڦ n
3k ¤ 3
} _ = :)3 (1+x)¤ dx=21
n
∴ lim ¡ {1+
n ڦ k=1 n n

12 정적분의 활용 46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p p
¡ f {a+ k}_ = :
n a+p
3. nlim f(x)dx
ڦ k=1 n n a

p a+p-a y
a+ k=a+ k가 k번째 직사각형의 가로의 오른쪽 f {a+
a+p-a
k} y=f(x)
n n n

끝점의 x좌표이므로 이를 적분변수 x로 놓으면, 오른쪽 그림에


서 닫힌구간 [a, a+p]의 길이가 p이므로 각 직사각형의 가로의 O
x0 x1 x2 p xn x
xn-1
길이와 세로의 길이는

=
n
a a+p-a a+p
a+ k
n
가로의 길이 Δ
a+p-a
n

세로의 길이 Δ f {a+
a+p-a
k}
n
입니다.
p p
따라서 lim ¡ f {a+
n
k}_ 를 정적분으로 고치면
n ڦ k=1 n n
p p
lim ¡ f {a+ k}_ = :
n a+p
f(x)dx가 됩니다.
n ڦ k=1 n n a

p p
간단히 생각하면 a+ k를 x로 놓을 때 k가 1씩 커지고, 그 간격은 가 되므로 이것을 dx
n n

로 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a+ k에서 정적분의 아래끝은 k=1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


p
n
로 x=a이고, 정적분의 위끝은 k=n일 때 n ⁄¶일 경우와 같으므로 x=a+p입니다.

n 3k ¤ 3 3k
lim ¡ {1+
Example
} _ 에서 x=1+ 로 놓으면
n ڦ k=1 n n n
3
① dx=
n
3k 3_1
② 정적분의 아래끝은 1+ 에서 k=1일 때의 극한값 lim {1+
n ڦ
}=1입니다.
n n
3k 3_n
③ 정적분의 위끝은 1+ 에서 k=n일 때의 극한값 lim {1+
n ڦ
}=4입니다.
n n
3k ¤ 3
} _ = :!4 x¤ dx=21
n
∴ lim ¡ {1+
n ڦ k=1 n n

앞의 세 가지 Example 에서 알 수 있듯이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때에는 경우에


따라 다른 방법을 적용해도 결과는 같습니다. 따라서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때에는
식의 형태에 따라 정적분으로 고치기 쉬운 방법을 골라 사용하면 되는데, 보통은 다음 의
3 꼴로 정리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46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과 급수

k 1 k
¡ f { }_ = :)1 f(x)dx
n
1 nlim
ڦ k=1 n n
x=
n
로 놓는 경우

p p p
¡ f {a+ k}_ = :)p f(x+a)dx
n
2 nlim
ڦ k=1 n n
x=
n
k로 놓는 경우

b-a b-a b-a


¡ f {a+ = :Ab f(x)dx
n
3 nlim
ڦ k=1 n
k}_
n
x=a+
n
k로 놓는 경우

급수로 나타내어진 식을 정적분으로 바꿀 때에는 f( )에서 괄호 안의 무엇을 x로 놓느냐에 따라 정적분에서의 dx


와 아래끝, 위끝도 함께 바뀐다는 것에 주의한다.

2k 1 n
1 다음은 극한값 nlim ¡ {1+ }‹ _ 을 구하는 과정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세 가지 방법으로 나타
ڦ k=1 n n
낸 것이다.

k
[방법 1] x= 로 놓는 경우
n
2k 1 k 1
lim ¡ {1+ }‹ _ = lim ¡ {1+2_ }‹ _ = :)1 ㈎ dx=10
n n

n ڦ k=1 n n n ڦ k=1 n n
2k
[방법 2] x= 로 놓는 경우
n
2k 1 2k 2
lim ¡ {1+ }‹ _ = lim ¡ {1+ }‹ _ _;2!;=;2!; :)2 ㈏ dx=10
n n

n ڦ k=1 n n n ڦ k=1 n n
2k
[방법 3] x=1+ 로 놓는 경우
n
2k 1 2k 2
lim ¡ {1+ }‹ _ = lim ¡ {1+ }‹ _ _;2!;=;2!; :!3 ㈐ dx=10
n n

n ڦ k=1 n n n ڦ k=1 n n 12
위의 과정에서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어라.

n 6k 2
2 극한값 nlim ¡ {1+ }_ 를 구하여라.
ڦ k=1 n n

풀이 1 ㈎ (1+2x)‹ ㈏ (1+x)‹ ㈐ x‹
6k 6
2 x=1+ n 로 놓으면 dx= n 이고
6_1 6_n
정적분의 아래끝은 lim {1+ }=1, 정적분의 위끝은 lim {1+
n ڦ n ڦ
}=7
n n
n
6k 2 n
6k 6 1 1 1 1
∴ lim ¡ {1+ }_ = lim ¡ {1+ }_ _ = :!7 x dx= [ x¤ ]7!=8
n ڦ k=1 n n n ڦ k=1 n n 3 3 3 2

12 정적분의 활용 46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을 이용한 급수의 합 구하기⑴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1 ⑴ lim
n ڦ
1 n
n k=1
3k
¡ {1+ }‹
n
1
⑵ lim {(2n+1)‹ +(2n+2)‹ +(2n+3)‹ +y+(3n)‹ }
n ⁄¶ n›

접근 방법

급수로 표현된 극한값 문제는 정적분을 이용해야 합니다. 즉,


① 적분변수 정하기 ② 정적분의 아래끝 구하기 ③ 정적분의 위끝 구하기
n b-a b-a
와 같은 순서로 급수 lim ¡ f {a+ k}_ 를 정적분 :Ab f(x)dx로 나타냅니다.
n ڦ k=1 n n

lim ¡ f {a+ = : f(x)dx


n
b-a b-a b
k}_
n ⁄ ¶ k=1 n n a

상세 풀이

3k 3
⑴ 주어진 식에서 x=1+ 로 놓으면 dx= 이고
n n
3_1 3_n
정적분의 아래끝은 lim {1+ }=1, 위끝은 lim {1+
n ڦ n ڦ
}=4
n n

_ ¡ {1+ }‹ ]= :!4 x‹ dx= [ x› ]4!=;;•4∞;;


1 3 n 3k 1 1 1
∴ (주어진 식)= lim [
n ڦ 3 n k=1 n 3 3 4
1 ‹ 2 3 n 1 n k 1
⑵ (주어진 식)= lim [{2+ } +{2+ }‹ +{2+ }‹ +y+{2+ }‹ ]_ = lim ¡ {2+ }‹ _
n ڦ n n n n n n ڦ k=1 n n
k 1
이때, 위의 식에서 x=2+ 로 놓으면 dx= 이고
n n
1 n
정적분의 아래끝은 lim {2+ }=2, 위끝은 lim {2+ }=3
n ڦ n n ڦ n
n k ‹ 1 1 65
∴ lim ¡ {2+ } _ =:@3 x‹ dx=[ x› ]3@=
n ڦ k=1 n n 4 4

정답 ⑴ ;;•4∞;; ⑵ :§4∞:
보충 설명
b-a b-a b-a
lim ¡ f {a+
n
k}_ 에서 x=a+ k로 놓으면
n ڦ k=1 n n n
b-a b-a b-a
① dx= ② 정적분의 아래끝은 lim {a+ _1}=a ③ 정적분의 위끝은 lim {a+ _n}=b
n n ڦ n n ڦ n
b-a b-a
∴ lim ¡ f {a+ = :Ab f(x)dx
n
k}_
n ڦ k=1 n n

46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68

01-1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n 2k ¤ 3
⑴ lim ¡ {3+ }_
n ڦ k=1 n n
1
⑵ lim {(3n-1)‹ +(3n-2)‹ +(3n-3)‹ +y+(2n)‹ }
n ⁄¶ n›

(1¤ +2¤ +3¤ +y+n¤ )(1‹ +2‹ +3‹ +y+n‹ )


01-2 정적분을 이용하여 극한값 lim
n ⁄¶ (1+2+3+y+n)(1› +2› +3› +y+n› )
을 구하여라.

<보기>의 극한값 중 정적분 ;2!; : x¤ dx의 값과 같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골라라.


3
01-3 1

보기
1 n 2k 1 2n k
ㄱ. lim ¡ {1+ }¤ ㄴ. lim ¡ {1+ }¤
n ڦ n k=1 n n ڦ 2n k=1 n
1 2« k ¤ 12
ㄷ. lim ¡ {1+
n ڦ
}
2« k=1 2« —⁄

01-1 `⑴ 49 ⑵ :§4∞: 01-2 `;6%; 01-3 ㄱ, ㄴ, ㄷ

12 정적분의 활용 46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을 이용한 급수의 합 구하기⑵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02 ⑴ lim ¡
n

n ڦ k=1
2k
n¤ +k¤
2
⑵ lim (« "çe¤ +« "çe› +« "çefl +y+« "çe¤ « )
n ڦ n

접근 방법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급수를 정적분으로 나타내면


n b-a
lim ¡ f(x˚)Dx=:Ab f(x)dx {Dx= , x˚=a+kDx}
n ڦ k=1 n
이므로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⑵는 먼저 주어진 식을 ¡를 이용하여
n k 1
lim ¡ f { }_ 꼴로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n ڦ k=1 n n

lim ¡ f {a+ = : f(x)dx


n
b-a b-a b
k}_
n ⁄ ¶ k=1 n n a

상세 풀이

13
2k
n 2k n n
⑴ lim ¡ = lim ¡ _;n!;
n ⁄¶ k=1 n¤ +k¤ n ⁄¶ k=1 k
1+{1}¤
n
1-0
이때, Dx= , x˚=0+k_;n!;이라고 하면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n

13
2k
n 2x
lim ¡ dx=[ln(1+x¤ )]1)=ln 2
n
_;n!;=:)1
n ⁄¶ k=1 k ¤ 1+x¤
1+{1}
n
2 n 2
¡ « "çe = lim ¡ e _
2k n
⑵ (주어진 식)= lim :™n:
n ڦ n k=1 n ڦ k=1 n
2-0 2
이때, Dx= , x˚=0+k_ 라고 하면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n n
2
lim ¡ e _ =:)2 e≈ dx=[e≈ ]2)=e¤ -1
n:™n:
n ڦ k=1 n
정답 ⑴ ln 2 ⑵ e¤ -1
보충 설명
정적분은 적분변수가 바뀌어도 그 값은 변하지 않으므로 다음이 성립합니다.

14 1
2k 2i
n n 2x
lim ¡ _;n!;= lim ¡
n n
_;n!;=:)1 dx
n ⁄ ¶ k=1 k ¤ n ⁄ ¶ i=1 i ¤ 1+x¤
1+{1}
n 1+{1}
n

46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69

02-1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1 n
⑴ lim ¡ k"√n¤ +k¤
n ⁄¶ n‹ k=1
n 1
⑵ lim ¡
n ڦ k=1 n+k
1
⑶ lim (e;n@;+2e;n$;+3e;n^;+y+ne:™n˜: )
n ⁄¶ n¤
p¤ p 2p 3p np
⑷ lim {cos +2 cos +3 cos +y+n cos
n ڦ
}
n¤ n n n n

02-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2 n 2k
⑴ 함수 f(x)= 에 대하여 lim ¡ f {1+ }의 값을 구하여라.
x¤ +x n ⁄¶ n k=1 n
n k 1 2n k 1
⑵ 함수 f(x)=e≈ +2에 대하여 lim ¡ f { } + lim ¡ f {1+ } 의 값을 구하
n ڦ k=1 n n n ڦ k=1 n n
여라.

2k 2k-2 k
연속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lim ¡ [ f {
n
02-3 n ڦ k=1 n
}-f {
n
}] 의 값을
n
구하여라. 12
㈎ f(2)=1 ㈏ :)2 f(x)dx=;4!;

02-1 `⑴ ;3!;(2'2-1) ⑵ ln 2 ⑶ ;4!;e¤ +;4!; ⑷ -2

02-2 `⑴ ln ;2#; ⑵ e‹ +5 02-3 `;8&;

12 정적분의 활용 46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적분과 급수의 활용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이고, 중심 P¡ P™

03

A
각의 크기가 ;3@;p인 부채꼴 OAB의 호 AB를 n등

y
분한 점을 차례대로 P¡, P™, P£, y, P«–¡이라

y
P«–¡
하고, 호 AP˚의 길이를 l˚라고 할 때,
B
¡ l˚의 값을 구하여라.
1 n-1 O
lim 2
n ڦ n k=1

접근 방법

2k 2k
점 P˚ (k=1, 2, 3, y, n-1)에 대하여 ∠AOP˚의 크기는 p이므로 호 AP˚의 길이 l˚=2_ p
3n 3n
1 n-1 4k 4 n-1 k 1 k 1
입니다. 따라서 급수 lim ¡ p= p lim ¡ _ 에서 x= 로 놓으면 dx= 이고 정적
n ڦ n k=1 3n 3 n ڦ k=1 n n n n
1 n-1 4
분의 아래끝과 위끝은 각각 lim =0, lim =1이므로 정적분 p:)1 x dx의 값으로 급수의 합
x ⁄0 n x ⁄0 n 3
을 구하도록 합니다.

k
n등분한 부분을 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n

상세 풀이

부채꼴 OAB의 호 AB를 n등분하므로 중심각의 크기도 n등분됩니다.


2 k 2k
즉, ∠AOP˚의 크기는 p_ = p이고, 이때 호 AP˚의 길이 l˚는
3 n 3n
2k 4k
l˚=2_ p= p
3n 3n
1 n-1 4k 4 n-1 k 1
∴ (주어진 식)= lim ¡ p= p lim ¡ _
n ڦ n k=1 3n 3 n ڦ k=1 n n
4 4 1 2
∴ (주어진 식)= p:)1 xdx= p[ x¤ ]1)= p
3 3 2 3

정답 ;3@;p

보충 설명
1 n-1 4k 4k
lim ¡ p에서 x= p라 하면
n ڦ n k=1 3n 3n
4 4_1 4(n-1) 4
① dx= p ② 정적분의 아래끝은 lim p=0 ③ 정적분의 위끝은 lim p= p
3n n ڦ 3n n ڦ 3n 3
1 n-1 4k 3 4p n-1 4k 3
¡ ¡ :) x dx
;3$;p
∴ lim p= lim { _ p}=
n ڦ n k=1 3n n ڦ 4p 3n k=1 3n 4p

47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1

03-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이고, 중심각의 크 P¡ P™



2 A
기가 p인 부채꼴 OAB의 호 AB를 n등분한 점을 차

y
3
례대로 P¡, P™, P£, y, P«–¡이라 하고, 부채꼴 OAP˚의

y
P«–¡
1 n-1
넓이를 S˚라고 할 때, lim ¡ S˚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k=1 B
O
2

03-2 오른쪽 그림과 같이 AB”=2, BC”=1인 직각삼각형 ABC가 있다. A

변 AB를 n등분한 점을 차례로 B¡, B™, B£, y, B«–¡이라 하고, B¡ C¡


B™ C™
각 점에서 변 BC에 평행한 직선을 그어 변 AC와 만나는 점을 차
B£ C£
1 n-1
¡ B˚C˚” ¤ 의 값

y
례대로 C¡, C™, C£, y, C«–¡이라고 할 때, lim

y
n ڦ n k=1
Bn-2 Cn-2
을 구하여라. Bn-1 Cn-1
B C

03-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각의 크기 B Pn-1


y
p
가 인 부채꼴 OAB가 있다. 호 AB를 n등분한 점을 차례 P£
2
대로 P¡, P™, P£, y, Pn-1이라 하고, 이들 각 점에서 선분 P™ 12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Q¡, Q™, y, Qn-1이라고 할 … P¡

때, lim ;n!;(P¡”Q
” ¡”+
” P™”Q
” ™”+ ” n-1” )의 값을 구하
” y+Pn-1Q
n ڦ O
Qn-1 … Q£ Q™ Q¡
A

여라.

03-1 `;3@;p 03-2 `;3!; 03-3 ;ç@;

12 정적분의 활용 47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3
우리는 수학Ⅱ에서 정적분을 이용하여 주어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웠습니
다. 이번 단원에서는 앞에서 배운 초월함수의 정적분을 이용하여 평면도형의 넓이를 구해 봅시다.

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함수 f(x)가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y


y=f(x)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
b
S=:Ab | f(x)|dx O a c x

입니다. 이때, 함수 f(x)에 절댓값이 붙은 이유는 넓이는 음의 값을 가


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프가 음수인 영역에 위치하더라도 도형의 넓이는 항상 양수입니다.
이것이 단순한 정적분의 계산과 정적분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하는 것의 차이입니다.

Example 곡선 y=cos x와 x축 및 두 직선 x=0, x=p로 둘러싸인 도형 y


1
의 넓이 S를 구해 봅시다. y=cos x
p
닫힌구간 [0, ;2“;]에서 yæ0, 닫힌구간 [;2“;, p]에서 y…0이므로 O p x
2
-1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S=:)» |cos x|dx=:) cos x dx+: » (-cos x)dx


;2“;

;2“;

S=[sin x]) -[sin x] »;2“;=1+1=2


;2“;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함수 f(x)가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


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Ab | f(x)|dx

47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2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를 구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를 구하는 것과 같


은 원리입니다. 단지 여기서는 x와 y가 서로 바뀌었을 뿐입니다.
함수 g(y)가 닫힌구간 [ c, d ]에서 연속일 때, 곡선 x=g(y)와 y축 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해 봅시다.

⁄ 닫힌구간 [ c, d ]에서 g(y)æ0인 경우


y x=g(y)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d

S=:Cd g(y)dy S

c
입니다.
O x

¤ 닫힌구간 [ c, d ]에서 g(y)…0인 경우


곡선 x=g(y)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곡선 x=-g(y) x=g(y) y
d
x=-g(y)

가 됩니다. 이때, -g(y)æ0이므로 ⁄을 이용하면 구하는 도


S S
형의 넓이 S는
c
S=:Cd {-g(y)}dy=-:Cd g(y)dy O x

S=:Cd |g(y)|dy

입니다.

y
‹ 닫힌구간 [ c, e ]에서 g(y)æ0이고, 닫힌구간 [ e, d ]에서 g(y)…0인
경우 S™
d 12
g(y)의 값이 양수인 닫힌구간 [ c, e ]에서는 ⁄을 적용하고, g(y)의 e
x=g(y)

c
값이 음수인 닫힌구간 [ e, d ]에서는 ¤를 적용하면 구하는 도형의 넓
O x
이 S는

S=S¡+S™=:Ce g(y)dy+:Ed {-g(y)}dy

S=:Ce |g(y)|dy+:Ed |g(y)|dy

S=:Cd |g(y)|dy

입니다.

12 정적분의 활용 47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에서 주어진 닫힌구간 [ c, d ]에서 g(y)æ0이든 g(y)…0이든 곡선 x=g(y)와 y축 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Cd |g(y)|dy입니다.

Example 곡선 y=ln x와 y축 및 두 직선 y=1, y=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해 봅시다.


y=ln x에서 x=e¥ 이고, 닫힌구간 [ 1, 2 ]에서 e¥ æ0입니다.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y
y=ln x
2
S
S=:!2 e¥ dy 1

S=[e¥ ]2!=e¤ -e O 1 x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함수 g(y)가 닫힌구간 [ c, d ]에서 연속일 때, 곡선 x=g(y)와 y축 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


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Cd |g(y)|dy

3 두 곡선 사이의 넓이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y


y=g(x)
y=f(x),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S

이 S는
y=f(x)

S=:Ab |f(x)-g(x)|dx O a c b x

입니다.
이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절댓값 기호 안의 부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위와 같
은 적분값을 구할 때에는 우선 적분 구간 내에서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고 그 점을 기
준으로 구간에서의 절댓값 기호 안의 부호의 변화를 확인한 후, 적분 구간을 나누어 각각 적분
값을 계산합니다.

47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a…x…c일 때 f(x)æg(x)이고, c…x…b일 때 f(x)…g(x)이므
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S=:Ab | f(x)-g(x)|dx

S=:Ac { f(x)-g(x)} dx+:Cb { g(x)-f(x)} dx

S=:Ac { f(x)-g(x)} dx-:Cb { f(x)-g(x)}dx

입니다.

y x=g (y)
마찬가지 원리로 두 함수 f(y), g(y)가 닫힌구간 [ c, d ]에서 연속일 때,
d x=f (y)
두 곡선 x=f(y), x=g(y)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S
이 S는 c
O x
S=:Cd | f(y)-g(y)|dy

입니다.

Example 곡선 y=e≈ 과 세 직선 y=x, y=1, y=e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해 봅시다.


y=e≈ 에서 x=ln y이고, 닫힌구간 [ 1, e ]에서 ln y…y입니다. y y=e≈ y=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e


S
1
S=:!e (y-ln y)dy
O x
S=:!e y dy-:!e ln y dy

S=[;2!; y¤ ]e!-[y ln y-y]e! ← : ln x dx=x ln x-x+C 12


S=;2!; e¤ -;2!;-1=;2!; e¤ -;2#;

한편, 곡선과 x축 또는 곡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를 생각해 봅시다.

y=f(x) y=f(x)
y=g(x)

S¡ S™
a b c x
S™
a b c x

[그림 1] [그림 2]

12 정적분의 활용 47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의 [그림 1]에서 S¡=S™이면
c
: f(x)dx=S¡-S™=S¡-S¡=0
a

이 성립하고, [그림 2]에서 S¡=S™이면


c
: { f(x)-g(x)} dx=S¡-S™=S¡-S¡=0
a

입니다.

두 곡선 사이의 넓이

1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y=f(x), y=g(x)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Ab | f(x)-g(x)|dx

2 두 함수 f(y), g(y)가 닫힌구간 [ c, d ]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x=f(y), x=g(y) 및 두 직선


y=c, y=d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S=:Cd | f(y)-g(y)|dy

곡선 y=ax¤ +bx+c (a+0)와 x축이 x=a, x=b (a<b)에서 만날 때, 곡선과 x축으 ™


y=ax +bx+c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b
|a|(b-a)‹ a b x
S=: |ax¤ +bx+c|dx= S
a 6

Example 오른쪽 그림과 같이 0…x…;2“;에서 곡선 y=sin 2x와 두 직선 y

y=sin 2x
y=ax, x=;2“;로 둘러싸인 두 도형 A, B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A B
상수 a(0<a<1)의 값을 구해 봅시다. p
-
y=ax 2
두 도형 A, B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O p
x
x=-
2
:) (sin 2x-ax)=0
;2“;

[-;2!; cos 2x-;2!; ax¤ ]) =0, -;2!;_(-1)-;2!;a_{;2“;}¤ -{-;2!;}=0


;2“;

;2!;-;8!;ap¤ +;2!;=0, ;8!;ap¤ =1

8
∴ a=

47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4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두 곡선 사이의 넓이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와 그 함수의 역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에는
함수의 역함수를 직접 구하기 어려울 때가 있으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라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일반적으로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f—⁄ (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두 곡
선 y=f(x), y=f—⁄ (x)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임을 이용하여 구합니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x)의 그래프는 직선 y
y=f(x) y=x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곡선 y=f(x)와 직선 S2


–¡
y=f (x)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과 곡선 y=f—⁄ (x)와 직선 y=x로


S1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서로 같습니다.
O
따라서 두 곡선 y=f(x), y=f—⁄ (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는 a b x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의 2배와 같


습니다. 즉,
S=S¡+S™=2S¡=2S™

∴ :Ab | f(x)-f—⁄ (x)|dx=2 :Ab |f(x)-x|dx

위의 내용을 좀 더 확장해 봅시다.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f—⁄ (x)의 그래프에 대하여 닫힌구간 [a, b]에서 곡선 y=f(x)
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 닫힌구간 [ f(a), f(b)]에서 곡선 y=f—⁄ (x)와 x축으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T라고 해 봅시다.
이때, 곡선 y=f(x) 위의 두 점 (a, f(a)), (b, f(b))에 대하여 직선 y=x에 대칭인 두 점의
좌표는 각각 ( f(a), a), ( f(b), b)이므로 넓이 T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다음 12
그림과 같습니다.
y y=f(x) y=x y y y=f(x)
y=f(x) y=x y=x
f(b) f(b) f(b)
T T –¡
–¡ b b y=f (x)
y=f (x) –¡
f(a) + f(a) y=f (x) = f(a)

S T S
a a
O b x O f(a) b f(b) x
a O
a f(a) b f(b) x a

따라서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f(b)
:Ab f(x)dx+: f—⁄ (x)dx=S+T=bf(b)-af(a) yy ♥
f(a)

12 정적분의 활용 47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Example
함수 f(x)=x‹ +2x+1의 역함수를 f—⁄ (x)라고 할 때, :)1 f(x)dx+:!4 f—⁄ (x)dx의 값을

구해 봅시다.
f(0)=1, f(1)=4이고, 역함수 관계에 있는 두 함수 f(x), y y=f(x)
4
f —⁄ (x)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y=x

f—⁄ (1)=0, f—⁄ (4)=1


–¡
따라서 두 함수 y=f(x), y=f —⁄ (x)의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 y=f (x)
1

그림과 같습니다.
O 1 4 x
f(1)
한편, :)1 f(x)dx=S, : f —⁄ (x)dx=:!4 f —⁄ (x)dx=T라고
f(0)

할 때, T에 해당하는 부분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하면 [그림 1]과 같습니다.


y y
y=f(x) y=f(x)
4 y=x 4
T
T

–¡
S y=f (x)
1 1
S
T
O 1 4 x O 1 x

[그림 1] [그림 2]
이때, 구하는 값은 [그림 2]의 색칠한 도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1 f(x)dx+:!4 f—⁄ (x)dx=S+T=1_4=4

역함수를 이용하여 함수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해 보자!

다음 [그림 1]과 같이 함수 y=f(x)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해 봅


시다.
y y=f(x) y
–¡
작은 직사각형의 가로 y=f (x)
의 길이는 x좌표, 즉 S
f(b) b
x이고 세로의 길이는 x
dy
dy입니다.
f(a) a S

O a b x O f(a) f(b) x

[그림 1] [그림 2]
먼저 앞의 ♥에서 배운 것처럼 [그림 1]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 S는

S=bf(b)-af(a)- :Ab f(x)dx

47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입니다. 이때, [그림 2]와 같이 색칠한 부분의 넓이 S를 역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f(b)
S=: f —⁄ (x)dx
f(a)
작은 직사각형의 가로의
입니다. 길이는 dx, 세로의 길이
는 y좌표, 즉 y입니다.
한편, 정적분의 정의에서 :Ab y dx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색칠한 y=f(x)

부분의 넓이를 의미하는데,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의 극한값이 y


정적분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정적분으로 나타내면
a dx b x
:Ab y dx= :Ab f(x)dx ← y=f(x)에서 y를 f(x)로 바꾼 것입니다.

따라서 [그림 1]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 S는


f(b)
S=: x dy
f(a)

입니다. 이때, y=f(x)에서 x=f —⁄ (y)이므로


f(b) f(b) f(b)
S=: x dy=: f —⁄ (y)dy=: f —⁄ (x)dx ← 정적분의 값은 적분변수에
f(a) f(a) f(a)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그림 1]에서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f(b) f(b)
S=bf(b)-af(a)- :Ab f(x)dx=: f —⁄ (x)dx=: x dy
f(a) f(a)

1 곡선 x=-y¤ +1과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하여라.

2 곡선 x=y¤ 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S를 구하여라.


12

y
풀이 1 곡선 x=-y¤ +1과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y¤ +1=0에서 1 x=-y¤ +1
y¤ -1=0, (y+1)(y-1)=0 ∴ y=-1 또는 y=1
닫힌구간 [ -1, 1 ]에서 -y¤ +1æ0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O 1 x
S=:_1! (-y¤ +1)dy=2:)1 (-y¤ +1)dy=2 [-;3!; y‹ +y]1)=2 {-;3!;+1}=;3$; -1

y y=x
2 곡선 x=y¤ 과 직선 y=x의 교점의 y좌표는 y=y¤ 에서
1 x=y¤
y¤ -y=0, y(y-1)=0 ∴ y=0 또는 y=1
닫힌구간 [ 0, 1 ]에서 yæy¤ 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 S는 O
x
S=:)1 (y-y¤ )dy=[;2!; y¤ -;3!; y‹ ]1)=;2!;-;3!;=;6!;

12 정적분의 활용 47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04 ⑴ 곡선 y=sin x (0…x…2p)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ln(x+e)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접근 방법

주어진 곡선과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에는 먼저 좌표평면 위에 곡선을 그려 보는 것


이 중요합니다. 특히 함숫값의 부호가 음수인 부분은‘-’부호를 붙여서 적분하면 됩니다. 정적분의 값
의 부호는 +, - 모두 가능하지만 넓이는 음수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곡선과 좌표축 사이의 넓이 Δ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 후에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적분한다.

상세 풀이

⑴ 닫힌구간 [0, p]에서 yæ0, 닫힌구간 [p, 2p]에서 y…0이므로 구하는 y


y=sin x
도형의 넓이를 S 라고 하면 1

S=:)» sin x dx+:˘2 » (-sin x)dx O p 2p x

-1
S=[-cos x]»)+[cos x]2˘» =2+2=4

⑵ 곡선 y=ln(x+e)와 x축의 교점의 x 좌표는 y


1
ln(x+e)=0, x+e=1 ∴ x=-e+1 y=ln(x+e)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 라고 하면

S=:_0E–! ln(x+e)dx -e+1 O x

dt
x+e=t로 놓으면 =1이고 x=-e+1일 때 t=1, x=0일 때 t=e이므로
dx
: ln x dx=x ln x-x+C
S=:!e ln t dt=[t ln t-t]e!=1

다른 풀이

⑵에서 y=ln(x+e)에서 x+e=e¥ ∴ x=e¥ -e


곡선 x=e¥ -e 와 y축의 교점의 y 좌표는
e¥ -e=0 ∴ y=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 라고 하면

S=:)1 {-(e¥ -e)} dy=[-e¥ +ey]1)=1

이처럼 때에 따라서는 y축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간단할 수도 있습니다.


정답 ⑴4 ⑵1

48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2

04-1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⑴ 곡선 y=e≈ -1과 x축 및 두 직선 x=-1, x=1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sin x| (0…x…2p)와 y축 및 두 직선 x=2p, y=1로 둘러싸인 도형
1-x
⑶ 곡선 y= 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x+1
⑷ 곡선 y=e2x-6e≈ +5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04-2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⑴ 곡선 'x+'y=1과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3-ç'≈x 와 x축 및 직선 x=4 로 둘러싸인 도형

04-3 곡선 y=ln(x+1)¤ 과 직선 y=2 ln 2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①1 ②2 ③e 12
④4 ⑤ 2e

04-1 ⑴ e+;e!;-2 ⑵ 2p-4 ⑶ -1+2 ln 2 ⑷ 12-5 ln 5

04-2 `⑴ ;6!; ⑵ :¡5§: 04-3 `④

12 정적분의 활용 48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두 곡선 사이의 넓이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05 ⑴ 두 곡선 y=e≈ , y=e—≈ 과 두 직선 x=-1, x=1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 =x와 직선 x+y-2=0으로 둘러싸인 도형

접근 방법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를 구한 후 주어진 구간에서 두 곡선의 위치
관계를 파악하여 적분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두 곡선 사이의 넓이를 구할 때,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또는 y좌표)를 구한다.

상세 풀이

⑴ 두 곡선 y=e≈ , y=e—≈ 의 교점의 좌표는 (0, 1)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 y=e—≈ y y=e≈

이를 S라고 하면
e
S=:_1!|e≈ -e—≈ |dx
1
S=:_0!(e—≈ -e≈ )dx+:)1 (e≈ -e—≈ )dx -1 O 1 x

2
S=[-e—≈ -e≈ ]0_!+[e≈ +e—≈ ]1)=2e+ -4
e
⑵ 곡선 x=y¤ 과 직선 x=-y+2의 교점의 y좌표는 y
y¤ =x
y¤ +y-2=0, (y+2)(y-1)=0
2
∴ y=-2 또는 y=1 1
O 2 x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2
S=:_1@{(-y+2)-y¤ } dy x+y-2=0

S=[-;2!;y¤ +2y-;3!;y‹ ]1_@=;2(; 2


정답 ⑴ 2e+ -4 ⑵ ;2(;
e
보충 설명
정적분과 달리 도형의 넓이는 양수이어야 하므로 두 곡선 사이의 넓이를 구할 때에도 어느 곡선이 위쪽에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어느 구간에서 정적분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두 곡선의 교점의 좌표
를 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좌표평면 위에 두 곡선을 그려서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적분하도록 합
니다.
한편, ⑴`의 색칠한 부분은 y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습니다.
2
S=2:)1 (e≈ -e—≈ )dx=2[e≈ +e—≈ ]1)=2e+ -4
e

48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4

05-1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⑴ 두 곡선 y¤ =x+1, y¤ =-x+1로 둘러싸인 도형


⑵ 0…x…p에서 두 곡선 y=sin 2x, y=sin x로 둘러싸인 도형

05-2 곡선 ln x+ln y=1과 두 직선 y=ex, y=;e!;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① ;2!; e ②e ③ ;2#; e

④ 2e ⑤ ;2%; e

05-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cos x(0…x…2p)와 y축 및 y


y=cos x
1
직선 y=k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자. S가 최
소가 되도록 하는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O 2p x 12
(단, -1<k<1) y=k
-1

05-1 `⑴ ;3*; ⑵ ;2%; 05-2 `② 05-3 `-;2!;

12 정적분의 활용 48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원점에서 곡선 y=ln x에 그은 접선을 l이라고 할 때, 곡선 y=ln x와 접선 l 및

06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이 문제는 접선의 방정식만 구하면 05에서 배운 두 곡선 사이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와 동일한 형태
가 됩니다.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후 그래프를 그려서 곡선과 접선의 위치 관계를 파악합니다.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Δ 위치 관계를 먼저 파악한다.

상세 풀이

1
y=ln x에서 y'= 이므로 접점을 (a, ln a)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x
1
y-ln a= (x-a)
a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1
-ln a= _(-a)=-1 ∴ a=e
a
즉, 접선 l의 방정식은
1 1
y-ln e= (x-e) ∴ y= x
e e
y
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y= e x

1 y=ln x
1
S=:)e x dx-:!e ln x dx
e
O 1 e x
1
S=[ x¤ ]e)-[x ln x-x]e!=;2!; e-1 yy`㉠
2e
정답 ;2!;e-1
보충 설명
①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f(a)=f '(a)(x-a)
1
② ㉠`에서 정적분 :)e x dx 대신 삼각형의 넓이 공식을 이용하여 ;2!;_e_1=;2!;e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e
③ ㉠`에서 y에 대하여 적분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즉, y=ln x에서 x=e ¥ , y= x에서 x=ey이므로
e
e
S=:)1 (e¥ -ey)dy=[e¥ - y¤ ]1)=;2!; e-1
2

48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5

06-1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⑴ 곡선 y=3'ƒx-9와 이 곡선 위의 점 (18, 9)에서의 접선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e—≈ 과 이 곡선 위의 점 (-1, e)에서의 접선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06-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f(x)=e« ≈ 의 그래프 위의 점 (t, f(t)) y y=f(x)


에서의 접선이 원점을 지날 때, 곡선 y=f(x)와 접선 및 y축으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이라고 하자. lim (2n+1)S«의
n ڦ f(t)
값은? (단, n은 자연수이다.) 1

①e ② e-1 ③ e-2 O t x

④ ;2E; ⑤ ;4E;

12
06-3 함수 `f(x)=eå ≈ 과 그 역함수 y=g(x)의 그래프가 x=e에서 서로 접할 때, 두 곡선
y=f(x), y=g(x)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06-1 ⑴ 27 ⑵ ;2!;e-1 06-2 `③ 06-3 `e¤ -2e

12 정적분의 활용 48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과 y축 사이의 넓이

곡선 y=ln(x+1)과 x 축 및 두 직선 x=-1, y=2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07 구하여라.

접근 방법

주어진 도형을 좌표평면 위에 그림으로 나타낸 후에 x축 또는 y축을 기준으로 넓이를 구하면 됩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a, b]에서 곡선 x=g(y)와 y축으로 y


x=g(y)
b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S¡+S™ S™

c
S= :Ac g(y)dy- :Cb g(y)dy S¡
a

상세 풀이

y=ln(x+1)에서 y

x+1=e¥ ∴ x=e¥ -1 y=ln(x+1)


2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S=:)2 {(e¥ -1)-(-1)} dy=:)2 e¥ dy=[e¥ ]2)=e¤ -1


-1 O x

다른 풀이

곡선 y=ln (x+1)과 직선 y=2의 교점의 x좌표는 ln (x+1)=2에서


x=e¤ -1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를 S라고 하면
e¤ -1
S=2_{(e¤ -1)-(-1)}-:) ln (x+1)dx

e¤ -1 e¤ -1
x
S=2e¤ -[x ln (x+1)]) +:) dx
x+1
e¤ -1
1
S=2e¤ -2(e¤ -1)+:) {1- } dx
x+1
e¤ -1
S=2+[x-ln (x+1)])

S=2+(e¤ -1-2)=e¤ -1

정답 e¤ -1

48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6

07-1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⑴ 곡선 x=-y¤ +4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


⑵ 곡선 y='ƒ1-x-1과 y축 및 두 직선 y=-1, y=1로 둘러싸인 도형
1
⑶ 곡선 y=- 과 y축 및 두 직선 y=1, y=e로 둘러싸인 도형
x

07-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오른쪽 그림은 곡선 x=(y-1)(y-a)를 나타낸 것이 y


x=(y-1)(y-a)
다.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3$;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
a
라. (단, a>1)
⑵ 곡선 y=ln (a-x)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1 x
O
넓이가 1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1)

12
07-3 곡선 x=y¤ -4와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곡선 x=y¤ -4와 직선 y=a 및 y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a>2)

07-1 `⑴ ;;£3™;; ⑵ 2 ⑶ 1 07-2 `⑴ 3 ⑵ e 07-3 `4

12 정적분의 활용 48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역함수와 정적분

함수 f(x)=x‹ -3x¤ +3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두 곡선 y=f(x),

08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두 함수 y=f(x), y=g(x)가 서로 역함수 관계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입니


다. 즉,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
형의 넓이의 2배임을 이용합니다.

역함수 관계에 있는 두 함수 y=f(x), y=f —⁄ (x)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y=x를 기준으로 생각하자!

상세 풀이

두 곡선 y=f(x),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두 곡선의 교점은 y y=f(x)


y=x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습니다.
곡선 y=f(x)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y=g(x)

x‹ -3x¤ +3x=x, x‹ -3x¤ +2x=0


x(x-1)(x-2)=0 O 1 2 x

∴ x=0 또는 x=1 또는 x=2


이때, 두 곡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닫힌구간 `[0, 2]에서 곡선 y=f(x)와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2:)1 {(x‹ -3x¤ +3x)-x} dx+2:!2 {x-(x‹ -3x¤ +3x)} dx

=2:)1 (x‹ -3x¤ +2x)dx+2:!2 (-x‹ +3x¤ -2x)dx

=2 [;4!;x› -x‹ +x¤ ]1)+2 [-;4!;x› +x‹ -x¤ ]2!=1

정답 1
보충 설명
함수 `f(x)의 역함수가 g(x)이면 y=f(x)에서 x=g(y) y y=g(x) y=x
f(b) c
① A=: g(y)dy ② :)c g(x)dx=:)c g(y)dy y=f(x)
f(a) f(b)
A
f(a)
③ :)c |f(x)-g(x)|dx=2:)c |f(x)-x|dx
O
a b c x
f(x)=x‹ -3x¤ +3x의 역함수를 직접 구해서 정적분을 구하려고 하면 아주 어려
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수학Ⅱ에서 배운 것처럼 역함수에 관한 정적분 문제는
가급적 역함수를 구하지 않고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풀도록 합니다.

48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78

08-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ƒ3x-2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두 곡선 y=f(x), y=g(x)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⑵ 함수 f(x)=xe≈ (0…x…1)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곡선 y=g(x)와 두 직선
y=0, x=e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08-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함수 f(x)=e≈ +e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1 f(x)dx+:E2–e! g(x)dx의 값을

구하여라.

⑵ 함수 f(x)=tan x {0…x…;3“;}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g('3)

:
'3
g(x)dx+: f(x)dx의 값을 구하여라.
124 g { 124
'3 '3
3 3 }

4
08-3 xæ0에서 정의된 함수 f(x)=
1+x¤
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1 n 3k
lim ¡ g {1+ }의 값은? 12
n ڦ n k=1 n

p-'3 p+2'3 4p-3'3


① ② ③
9 9 9
4p+3'3 2p-3'3
④ ⑤
9 9

5'3
08-1 ⑴ ;9!; ⑵ e-1 08-2 `⑴ 2e ⑵ p 08-3 `③
18

12 정적분의 활용 48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4
1 입체도형의 부피

앞에서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평면도형의 넓이를 구해 보았습니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임의의 입체도형의 부피도 구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그림과 같은 입체도형이 주어졌을 때, 임의로 적당 S(x)

한 직선을 그어 x축을 정하고 x좌표가 a와 b인 두 점을 각각


지나 x축에 수직인 두 평면 사이에 있는 부분의 부피 V를
구해 봅시다.
a x b x
x좌표가 x인 점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주어진
입체도형을 잘랐을 때 생기는 단면의 넓이를 S(x)라고 하면, x좌표의 위치에 따라 단면의 넓이
S(x)가 다르게 결정되므로 S(x)는 x에 대한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닫힌구간 [ a, b ]를 n등분하고 양 끝점과 각 분점을 차례대로


a=xº, x¡, x™, y, x«–¡, x«=b
라고 하면 각 소구간의 길이 Dx는
b-a
Dx=
n
입니다. x좌표가 x˚ (k=0, 1, 2, 3, y, n)인 점을 지나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입체도형을 잘랐을 때 생기는 단면의 넓이는 S(x˚)이고, 이 S(x˚)

단면을 밑면으로 하고 높이가 Dx인 k번째 기둥의 부피는 S(x˚)Dx입


니다. 따라서 이들 n개의 기둥의 부피의 합 V«은 x˚ x˚+Dx x

V«=S(x¡)Dx+S(x™)Dx+S(x£)Dx+y+S(x«)Dx

V«= ¡ S(x˚)Dx
n

k=1

이므로 주어진 입체도형의 부피 V는 구분구적법과 정적분과 급수의 합 사이의 관계에서

V= lim V«= lim ¡ S(x˚)Dx


n

n ڦ n ڦ k=1

V=:Ab S(x)dx

49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입니다.
즉, 닫힌구간 [ a, b ]의 임의의 점 x에서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 S(x)를 적
분하는 것이 입체도형의 부피가 됩니다.

Example 정적분을 이용하여 밑넓이가 A, 높이가 h인 삼각뿔의 부피 V를 구해 봅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뿔의 꼭짓점을 O라 하고, 점 O에서 밑면에 O
x
내린 수선을 x축으로 정합니다. x축 위의 좌표가 x(0…x…h)인 S(x)
점에서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삼각뿔을 자른 단면의 넓이를 S(x)
h
라고 하면
S(x) : A=x¤ : h¤ A

A
∴ S(x)= x¤

따라서 구하는 삼각뿔의 부피 V는
A A
V=:)h S(x)dx=:)h x¤ dx= [;3!; x‹ ]h)=;3!; Ah
h¤ h¤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각뿔, 원뿔 등의 부피도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좌


표평면 위에 주어진 도형을 나타내야 하는데 계산하기 쉽도록 x축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위의 Example 의 삼각뿔의 경우에는 꼭짓점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을 x축으로 정한 것입
니다.

입체도형의 부피 12
닫힌구간 [ a, b ]의 임의의 점 x에서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가 S(x)인 입체도형
의 부피 V는

V=:Ab S(x)dx (단, S(x)는 닫힌구간 [ a, b ]에서 연속)

일반적으로 입체도형의 부피 V를 구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좌표축 설정하기

2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입체도형 자르기

3 자른 단면의 넓이 S(x)구하기

4 닫힌구간 [ a, b ]에서 V=:Ab S(x)dx의 값 구하기

12 정적분의 활용 49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입체도형의 부피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의 한 지름

09 인 선분 AB에 수직인 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이


선분 AB와 수직인 상태로 점 A에서 점 B까지 움직일 A a B
때 생기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을 좌표평면에 대응하여 x축 위의 한 점 P(x, 0)(0<x<a)을 잡고 선분 OP


에 수직인 직선이 이 원과 만나는 점을 Q로 놓습니다. 이때, 2PQ”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넓이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 정적분에 의하여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도록 합니다.

닫힌구간 [a, b]에서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잘라서 생긴 단면의 넓이를


S(x)라고 하면 입체도형의 부피 V는

:Ab S(x)dx
V=:

상세 풀이
y
입체도형의 밑면이 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x축 위의 a Q
점 P(x, 0)(0<x<a)을 지나고 선분 OP에 수직인 직선이 이 원과 만나는 점
을 Q라고 하면 OQ”=a, OP”=x에서 PQ”="√a¤ -çx¤ 이고, 구하는 정삼각형의 A B
-a O P a x
한 변의 길이는 2PQ”이므로 2PQ”=2"√a¤ -çx¤
단면의 넓이를 S(x)라고 하면 -a

'3
S(x)= _4(a¤ -x¤ )='3 (a¤ -x¤ )
4
따라서 구하는 부피를 V라고 하면

V=:_aA S(x)dx=:_aA '3 (a¤ -x¤ )dx=2'3 :)a (a¤ -x¤ )dx

4'3
V=2'3 [a¤ x-;3!;x‹ ]a)= a‹
3
4'å3
정답 a‹
3
보충 설명
점 A를 원점으로 하여 단면의 넓이를 식으로 나타내려면 원의 방정식 (x-a)¤ +y¤ =a¤ 에서 x축 위의 한 점을
P(x, 0)(0<x<2a)이라 하고 PQ”=y라고 하면
'3
S(x)= _4y¤ ='3 {a¤ -(x-a)¤ }='3(2ax-x¤ )
4
이므로 구하는 부피 V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도 있습니다.
4'3
V=:)2 a S(x)dx='3:)2 a (2ax-x¤ )dx='3 [ax¤ -;3!;x‹ ]2)a = a‹
3

49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80

09-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의 한 지름인 선분


AB에 수직인 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이 선분 AB와 수
직인 상태로 점 A에서 점 B까지 움직일 때 생기는 입체도형
A 2 B
의 부피를 구하여라.

09-2 높이가 20 cm인 용기를 높이가 x cm인 지점에서 밑면에 평행하게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은
한 변의 길이가 'ƒ27-x cm인 정사각형이다. 이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여라.

09-3 두 점 P(x, 0), Q(x, 2 sin x)를 이은 선분 P Q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xy 평면


과 수직인 평면 위에 그린다. 점 P 가 원점 O에서 점 (p, 0)까지 x 축 위를 움직일 때, 이
정삼각형이 만드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3
① ;2“; ②
2
p ③p 12
④ '3p ⑤ 2p

09-1 ` 128 09-2 `340 cm‹ 09-3 `②


3

12 정적분의 활용 49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05
1 평면 위의 점이 움직인 거리

수학Ⅱ 10 정적분의 활용에서는 수직선 위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를 적분함으로써 물체의
위치, 거리 등 여러 가지 물리량을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적분을 이용하여 평
면 위에서 물체의 속도와 거리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좌표 (x, y)가 시각 t의 함수 x=f(t), y=g(t)로 나타내어


질 때,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실제로 움직인 거리를 구해 봅시다.
dx dy
이때, 점 P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 , }=( f '(t), g'(t))입니다. 이제 속도를 이용
dt dt
하여 점 P가 시각 t=a에서 t=b까지 움직인 거리를 s라고 하면 s는 t에 대한 함수이므로
s=s(t) (a…t…b)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각 t에서의 증분 Dt에 대응하는 x, y의 증분 Dx, Dy 는 각각
Dx=f(t+D t)-f(t), Dy=g(t+D t)-g(t)
y
이고 점 P가 움직인 거리 s의 증분 Ds는 오른쪽의 그림과 같이
g(b)
g(t+Dt) Q
곡선 PQ의 길이와 같습니다. Dy
P
또한 선분 PQ의 길이는 g(t)
Dx

PQ”="√(Dx√)¤ +√(Dy≈)Ω¤ g(a)


O f(a) f(t) f(b) x
이고, t의 증분 Dt를 충분히 작게 하면 곡선 PQ의 길이와 선분 f(t+Dt)
PQ의 길이는 거의 같아지므로
Ds? PQ”="√(Dx√)¤ +√(Dy≈)Ω¤
입니다. 위의 식의 양변을 Dt로 나누면

1554 ? 13333333333333333355 =æ≠{≠ 1554 ≠}2 ≠+{≠≠ 1554 ±}2—


Ds "√(Dx√)¤ +√(Dy≈)¤Ω Dx Dy
Dt Dt Dt Dt
f(t+Dt)-f(t) ¤ g(t+Dt)-g(t) ¤
=æ≠[ ]≠ +[≠ ]
Dt Dt
여기서 Dt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s'(t)=;dDtS;=lim 1554 =æ≠{ 555554 ≠}2 +≠{ 555554 –}2 ="√{ f '(√t)}¤ √+{√ g'(tç)≈}¤
Ds dx dy
Dt ⁄0 Dt dt dt

49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입니다. 따라서 s(t)는 속력 æ≠{ 5555554 ≠}2 +≠{ 5555554 —}2— 의 한 부정적분이므로 점 P가 시각 t=a에서
dx dy
dt dt
t=b까지 움직인 거리 s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s=:Ab ds ← 전체 움직인 거리는 아주 작은 거리 ds를 모두 합한 것이므로 움직인 거리 s는 s=:Ab ds입니다.


dx dy
=f '(t), =g'(t)
s=:Ab æ≠{ 5555554 ≠}2 +≠{ 5555554 —}2— dt=:Ab "√{ f '(√t)}¤ √+{√ g'(tç)≈}¤ dt
dx dy dt dt
dt dt

평면 위의 점이 움직인 거리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 y=g(t)로 주어졌을 때, 시


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s=:Ab æ≠{ 5555554 ≠}2 +≠{ 5555554 ±}2 dt=:Ab "√{ f '(√t)}¤ √+{ √g '(tç)}¤ dt
dx dy
dt dt

2 곡선의 길이

이번에는 평면에서 곡선의 길이를 구해 봅시다. 즉, 매개변수 t로 나타내어진 곡선 x=f(t),


y=g(t)(a…t…b)의 길이 l 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y
(f(b), g(b))
(f(a), g(a))
x=f(t), y=g(t)(a…t…b) P(f(t), g(t))

로 나타내질 때, 이 식은 t의 값이 변함에 따라 점 P 가 그리는


곡선의 방정식입니다. O x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경로가 겹치지 않으면 점 P가 그리는 a t b t


12
곡선의 길이 l은 좌표평면 위에서 시각 t=a에서 t=b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즉 곡선
x=f(t), y=g(t)의 길이 l 은 시각 t에서의 위치의 x좌표가 x=f(t)이고 y좌표가 y=g(t)인
점 P가 좌표평면 위에서 시각 t=a에서 t=b까지 움직인 거리와 같습니다.
또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매개변수가 t에서 t+Dt까지 변 y

Q
할 때, 점 P(x, y)는 점 Q(x+Dx, y+Dy)까지 움직인다 y+Dy
Dl
Dy
고 하면 t의 증분 Dt가 충분히 작을 때 l의 증분 Dl은 선분
y P
Dx "(Dx)2+(Dy)2
PQ의 길이와 거의 같아 집니다. 즉,
O x x+Dx x
Dl? PQ”="√(Dx√)¤ +√(Dy≈)Ω¤
입니다.

12 정적분의 활용 49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앞의 식의 양변을 Dt로 나누고, Dt가 0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1554 =lim 1554 =lim æ≠{ 5555554 }¤ +{ 5555554 }¤ =æ≠{ 5555554 }2 +{ 5555554 }¤
dl Dl Dx Dy dx dy
dt Dt ⁄0 Dt Dt ⁄0 Dt Dt dt dt
입니다. 따라서 곡선 x=f(t), y=g(t)(a…t…b)의 길이 l은 다음과 같습니다.

l=:Ab æ≠{ 5555554 }¤ +{ 5555554 }¤ dt=:Ab "√{ f '(√t)}¤ √+{ √g '(t)≈}¤ dt


dx dy
dt dt
한편, 곡선 y=f(x)(a…x…b)는 매개변수 t를 이용하여 x=t, y=f(t)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곡선 y=f(x)의 길이 l은

l=:Ab æ≠{ 5555554 }¤ +{ 5555554 }¤ dt=:Ab "√1+√{ f '(tç)}¤ dt


dx dy
dt dt
입니다. 여기서 t=x이고 dt=dx이므로

l=:Ab "√1+{ √f '(xç)}¤ dx

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곡선의 길이

1 곡선 x=f(t), y=g(t)(a…t…b)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l=:Ab æ≠{ 5555554 ≠}2 +≠{ 5555554 –}2 dt=:Ab "√{ f '(√t)}¤ √+{ g√'(t)}Ω¤ dt
dx dy
dt dt
2 곡선 y=f(x)(a…x…b)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l=:Ab æ≠1≠+≠{ 5555554 –}2 dx=:Ab "√1+√{ f '(çx)≈}¤ dx
dy
dx

곡선 x=f(t), y=g(t)(a…t…b)의 길이는 이 곡선 위를 움직이는 점 P(x, y)가 시각 t=a에서 t=b까지 움직인


거리와 같다.

평균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곡선의 길이를 구해 보자!

함수 f(x)가 열린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할 때, 닫힌구간 [a, b]에서 곡선 y=f(x)의


길이 l을 구해 봅시다.
닫힌구간 [a, b]를 n등분하여 양 끝점과 각 분점을 각각
xº(=a), x¡, x™, …, x«(=b)
b-a
이라 하고, 각 소구간의 길이를 Dx라고 하면 Dx= 입니다. 또한 각 분점 xº, x¡,
n
x™, …, x«에 대응되는 곡선 위의 점을 Pº, P¡, P™, …, P«이라 하고, l˚=P˚–¡P˚”라고 하면

49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P˚–¡(x˚–¡, f(x˚–¡)), P˚(x˚, f(x˚)) ™ ™
(Dx) +(Dy)
Pk
에 대하여 f(xk)
Dy
Dx=x˚-x˚–¡, Dy=f(x˚)-f(x˚–¡) Pk-1
f(xk-1)
Dx
이므로

l˚="√(Dx√)¤ +√(Dy≈)Ω¤ =æ≠1+{ 1554 }2 _Dx


Dy O xk-1 xk x
Dx
입니다. 평균값 정리로부터

1554 =
Dy f(x˚)-f(x˚–¡)
=f '(c˚)
Dx x˚-x˚–¡
인 c˚가 x˚–¡과 x˚ 사이에 존재합니다. 즉, l˚="√1+{ f '(c˚)}¤ _Dx이므로

l= lim (l¡+l™+y+l«)= lim ¡ "√1+{ f '(c˚)}¤ _Dx


n

n ڦ n ڦ k=1

입니다. 한편, n ⁄¶이면 Dx ⁄0이므로 c˚ ⁄x˚입니다.


따라서 정적분과 급수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곡선의 길이 l은

l= lim ¡ "√1+{ f '(c˚)}¤ _Dx= :Ab "√1+{ f '(x)}¤ dx


n

n ڦ k=1

입니다.

1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sin t-t, y=2+cos t일 때,


시각 t=0에서 t=2p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 s를 구하여라.

2 0…t…1에서 곡선 x=2t¤ , y=;3!; t‹ -4t의 길이 l을 구하여라.


12
1 12 =cos t-1, 12 =-sin t이므로 시각 t=0에서 t=2p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 s는
dx dy
풀이
dt dt

s=:) æ≠{ 12 }≠ 2 +≠{ 12 –}2 dt=:) "√(co√s t-√1)¤ √+(√-si√n t)¤ dt=:) 'ƒ2-ƒ2 co∂s t dt
2p dx dy 2p 2p

dt dt

이때, 1-cos t=2 sin¤ ;2T; 이고 0…t…2p 에서 sin ;2T;æ0이므로

s=:) æ≠4 sin–¤ –;2T; dt=:) 2 sin ;2T; dt=[-4 cos ;2T;]2)» =8
2p 2p

2 12 =4t, 12 =t¤ -4이므로 곡선의 길이 l 은


dx dy
dt dt

l=:)1 æ≠{ 12 }≠ 2 +≠{ 12}± 2 dt=:)1 "√(4t)√¤ +(√t¤ -ç4)Ω¤ dt=:)1 "√t› +√8t¤ √+16 dt
dx dy
dt dt

l=:)1 (t¤ +4)dt=[;3!; t‹ +4t]1)=:¡3£:

12 정적분의 활용 49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평면 위의 운동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x, y)의 시각 t 에서의 위치가

10 x='3 sin t+cos t, y='3 cos t-sin t


로 나타내어질 때, 시각 t=0 에서 t=2p 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여라.

접근 방법

위치의 변화량은 운동 방향을 고려한 것이고, 움직인 거리는 운동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므로 위치의
변화량과 달리 움직인 거리는 속도의 절댓값을 적분해야 합니다.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x, y)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f(t), y=g(t)로


나타내어질 때, 점 P 가 시각 t=a에서 t=b까지 움직인 거리 s는

:Ab æ≠{ 1353 }22 +{ 1353 }22 dt=:


dx dy
s=: :Ab "√{ f '(t)}¤ +{g'(t)}¤ dt
dt dt

상세 풀이

x='3 sin t+cos t, y='3 cos t-sin t에서


dx
='3 cos t-sin t
dt
dy
=-'3 sin t-cos t
dt
따라서 시각 t=0에서 t=2p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s 라고 하면
2p ` dx dy
s=:) æ {≠ }2 +{ }2— dt
dt dt
2p
s=:) "√('3 √cos √t-s√in t)√¤ +(√-√'3 si√n t√-coçs t≈)¤Ω dt
2p
s=:) "√4(si√n¤ t√+coçs¤ ≈tΩ)dt
2p
s=:) 2 dt

s=[2t]2)» =4p

정답 4p

보충 설명
움직인 거리는 속도의 절댓값을 적분한 값이므로 피적분함수의 부호가 적분 구간 안에서 바뀌는 점이 존재한다
면 그 점을 기준으로 적분 구간을 나누어 각각 적분하면 됩니다. 또한 피적분함수의 부호가 바뀌는 점에서 점 P
의 움직이는 방향이 바뀐다는 점도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498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81

10-1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다음과 같을 때, 주어진 시간


동안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여라.

⑴ x=e† cos t, y=e† sin t (0…t…2)


x=4(cos t+sin t)
⑵[ (0…t…2p)
y=cos 2t

10-2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x, y)의 시각 t 에서의 위치가


x=2p cos t(1+cos t), y=2p sin t(1+cos t)
로 나타내어질 때, 시각 t=0 에서 t=a 까지 점 P 가 움직인 거리가 8p 이다. 이때, 상수 a
의 값을 구하여라. (단, 0<a…p)

10-3 실수 a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 y)가


x=3at¤ , y=t‹ -3a¤ t 12
이다. 시각 t=0에서 t=1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가 13일 때, 시각 t=0에서 t=a까지
점 P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여라. (단, a>0)

10-1 ⑴ '2(e¤ -1) ⑵ 8p 10-2 `p 10-3 `32

12 정적분의 활용 49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곡선의 길이

다음 곡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11 ⑴ 곡선 y=
e≈ +e—≈
2
(0…x…1)

⑵ 곡선 x=ln t, y=;2!; {t+;t!;} (1…t…e)

접근 방법

어떤 구간에서의 곡선의 길이는 그 곡선 위를 움직이는 어떤 점이 주어진 구간 위에서 움직인 거리와 같


으므로 좌표평면 위를 운동하는 점의 움직인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됩니다.

곡선 y=f(x)(a…x…b)의 길이 Δ l=:
:Ab "√1+√{ f '(√x)}¤ dx

곡선 x=f(t), y=g(t)(a…t…b)의 길이 Δ l=:


:Ab "√{ f '(√t)}¤ √+{ çg '√(t)}¤Ω dt

상세 풀이

e≈ +e—≈ dy e≈ -e—≈
⑴ y= 에서 = 이므로
2 dx 2

곡선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e≈ -e—≈ e≈ +e—≈
l=:)1 æ≠1+{ }2 dx=:)1 æ≠{ }2 dx
2 2
e≈ +e—≈
l=:)1 dx=;2!; [e≈ -e—≈ ]1)=;2!; {e-;e!;}
2
1 dx 1 dy 1
⑵ x=ln t, y=;2!; {t+ } 에서 = , =;2!; {1- } 이므로
t dt t dt t¤
곡선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1 1 1
l=:!e æ≠{ }2 +;4!; {1- }2 dt=:!e æ≠;4!; {1+ }2 dt
t t¤ t¤
1
l=;2!; :!e {1+ } dt = ;2!; [t-;t!;]e! =;2!; {e-;e!;}

정답 ⑴ ;2!; {e-;e!;} ⑵ ;2!; {e-;e!;}

보충 설명
⑵와 같이 매개변수 t로 나타내어진 곡선 x=f(t), y=g(t)에서 매개변수 t를 소거하여 y=f(x) 꼴로 바꾸어
구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매개변수를 소거하여 y=f(x) 꼴로 바꾸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곡선의 길이를 구할 때에는 곡선이 주어진 형태에 따라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500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풀이집 p.282

11-1 다음 곡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⑴ 곡선 y=;2!; x¤ -;4!; ln x (1…x…e)

⑵ 곡선 y=;3@;"çx‹ (0…x…3)

⑶ 곡선 y=;3!;x'ßx (0…x…12)

⑷ 곡선 x=t-sin t, y=1-cos t (0…t…p)

⑸ 곡선 x=cos t+sin t, y=;2!; sin¤ t {0…t…;2“;}

⑹ 곡선 x=2 cos‹ t, y=2 sin‹ t {0…t…;2“;}

11-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이계도함수를 갖고 f(0)=0, f(1)='3을 만족시키는 함수 f(x)에

대하여 정적분 :)1 "√1+{ f '(x)}¤ dx의 최솟값은?

① '2 ②2 ③ 1+'2
④ '5 ⑤ 1+'3

11-3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P 에 대하여 시각 t 에서의 위치 y


1
(x, y)가 t=

x=e-pt cos pt, y=e-pt sin pt


2
12
1
로 주어질 때, 점 P 가 시각 t=0 에서 t=a (a>0)까지 움 t=1 O t=0 x
3
직인 거리를 s(a)라고 하자. lim s(a)의 값을 구하여라. t=
a ڦ` 2

e¤ 56 p-1
11-1 `⑴ -;4!; ⑵ :¡3¢: ⑶ ⑷4 ⑸ ⑹3
2 3 2
11-2 `② 11-3 `'2

12 정적분의 활용 50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2- 1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n+1)(n+2)(n+√3)y(n+n)
⑴ lim ln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n
n k k¤ +2nk
⑵ 이차함수 f(x)=x¤ +1에 대하여 lim ¡ f {1+ 의 값을 구하여라.
n ڦ k=1
}
n n‹

12- 2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n 2k
⑴ 함수 f(x)=x‹ +ax¤ +2x+1이 lim ¡ f {-1+ }=2를 만족시킬 때, 상수 a의
n ڦ n k=1 n
값을 구하여라.
1 n 3k
⑵ 함수 f(x)=3x¤ -ax가 lim ¡ f{ }= f(1)을 만족시킬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
n ڦ n k=1 n
여라.

12- 3 자연수 n에 대하여 닫힌구간 [ (n-1)p, np ]에서 곡선 y={;2!;}n sin 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S«이라고 하자. ¡ S«의 값을 구하여라.


n=1

12- 4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곡선 y=(x-a)sin x (0…x…p)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단, 0<a<p)
⑵ 곡선 x=y¤ -2y와 직선 x=ay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y축에 의하여 이등분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12- 5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⑴ 곡선 y='x와 x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곡선 y='∂kx 가 이등분할


때, 양수 k의 값을 구하여라.
⑵ 곡선 y=e≈ 과 x축 및 두 직선 x=0, x=ln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곡선 y=ae¤ ≈ 이
이등분할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502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9 | 풀이집 p.284

12-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sin x`(0…x…p)와 x축으로 둘러싸 y


y=a cos x
a
인 도형의 넓이와 곡선 y=a cos x`{0…x… p }와 x축 및 y축으로
2
y=sin x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도록 하는 양수 a의 값을 구하여라.

O p p x
2

12- 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함수 y=f(x)는 증가함수이고, 그 그래프는 원 y


y=f(x)

점과 점 (4, 4)를 지난다. :)4 { f(x)-x} dx=3일 때, 정적분


4

:)4 { x+ f —⁄ (x)} dx의 값을 구하여라. O


4 x

(단, f —⁄ (x)는 함수 f(x)의 역함수이다.)`

12- 8 오른쪽 그림은 미분가능한 함수 y=f(x) (0…x…1)의 그래프이 y


y=f(x)
1
다. 색칠한 두 도형 A, B의 넓이는 각각 ;8#;, ;4!;이고 f(0)=0,

f(1)=1이다. 정적분 :)1 f '('x )dx의 값을 구하여라.


B
O A 1 x

12- 9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한 점 P(x, 0) (0…x…1)을 지 y


y=-x¤ +x
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과 곡선 y=-x¤ +x가 만나는 점을 Q라 하 Q
12
고 P’Q를
’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을 평면에 수직이 되도록 만든다. O
P 1 x
이때, 점 P를 x=0에서 x=1까지 움직여서 만든 입체도형의 부피
V를 구하여라.

12- 10 반지름의 길이가 k인 반원을 밑면으로 하는 입체도형이 있다. 반원의 지름 AB에 수직인 평면

으로 입체도형을 자른 단면은 반원이고, 이 입체도형의 부피는 ;2(; p이다. 양수 k의 값을 구하

여라.

12 정적분의 활용 50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2- 11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가 두 점 (0, 3), (6, 11)을 지날 때,
n 6k ¤ 3
lim ¡ æ≠1+[ f '{ }] _ 의 최솟값은?
n ڦ k=1 n n
①3 ②5 ③7
④9 ⑤ 11

xe x¤
12-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 x¤
e +1
과 직선 y=;3@; x로 둘러싸 y
y=
xe≈ ¤
e≈ ¤ +1
인 두 도형의 넓이의 합은?

① ;3%; ln 2-ln 3 ② 2 ln 3-;3%; ln 2 O x

2
y= x
③ ;3%; ln 2+ln 3 ④ 2 ln 3+;3%; ln 2 3

⑤ ;3&; ln 2-ln 3

12-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logå x와 x축 및 두 직선 x=p, y


y=logax
x=q로 둘러싸인 도형을 곡선 y=log∫ x가 두 도형 A와 B로
y=logbx
a
나눈다. A와 B의 넓이를 각각 a, b라고 할 때, 의 값은? A
b
(단, 1<a<b, 1<p<q) B
O 1 p q x

① {;aB;-1}(q-p) ② ;aB;-1 ③ logå b-1

④ log∫ a-1 ⑤ (q-p)log∫ a


수능

12- 14 오른쪽 그림은 연속함수 y=f(x)의 그래프이다. 닫힌구간 [0, 1]에 y


y=f(x)
서 함수 f(x)의 역함수 g(x)가 존재하고 연속일 때, 다음 중
1
k k-1 k
lim ¡ [g {
n
}-g { }]_ 와 같은 값을 가지는 것은?
n ڦ k=1 n n n
O 1 x
① :)1 g(x)dx ② :)1 x g(x)dx

③ :)1 f(x)dx ④ :)1 xf(x)dx ⑤ :)1 { f(x)-g(x)}dx

12- 15 함수 f(x)=sin x+;ç$;x의 역함수를 g(x)라고 할 때, :$8 g(x)dx=m+np이다. 정수 m,

n에 대하여 m¤ +n¤ 의 값을 구하여라.

504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19 | 풀이집 p.290

12- 16 함수 f(x)=
'ßx
3
(x-3)에 대하여 f '(a)=;4#;이다. x=0에서 x=a까지 곡선 y=f(x)의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30l의 값을 구하여라. (단, a>0)

12- 17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n은 자연수이다.)

⑴ 닫힌구간 [0, 1]에서 정의된 함수


1
f(x)= lim (|nx-1|+|nx-2|+|nx-3|+y+|nx-n|)의 최솟값을 구하
n ⁄¶ n¤
여라.
n-1
|a|+|a-;n!;|+|a-;n@;|+y+|a-112|
n
⑵ 0<a<1일 때, 함수 f(a)= lim 의최
n ڦ n
솟값을 구하여라.

12- 18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ln (x+1)과 두 직선 x=0, y


y=ln (x+1)
y=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곡선 y=ln(x+1)과 두 직
a y=a
선 x=e-1, y=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실수 a의 값을 구하여라. O e-1 x
x=e-1

12- 19 곡선 y=sin 2x {0…x…;2“;}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곡선 y=k cos x가 이등분

할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12
12- 20 함수 f(x)=x¤ 의 그래프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 y f(x)=x¤

k-1 k
간 [0, 1]을 2n등분한 후 닫힌구간 [ , ]를 밑변으로 S2n
2n 2n
S2n-1
k
하고 높이가 f { }인 직사각형의 넓이를 S˚라고 할 때,
2n
y



S¡ S™ y
lim ¡ S˚+ lim ¡ S™˚의 값을 구하여라.
n n

n ڦ k=1 n ڦ k=1 O 1 2 3 4 1 x
2n 2n 2n 2n
y
2n-2 2n-1
2n 2n

12 정적분의 활용 50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2- 21 연속함수 f(x)와 그 역함수 g(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12:#7 |f(x)-x|dx의 값을
구하여라.

㈎ f(1)=1, f(3)=3, f(7)=7


㈏ x+3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0이다.

㈐ :!7 f(x)dx=27, :!3 g(x)dx=3

12- 22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 과 x축 및 두 직선 x=-a, x=b y y=x‹

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각각 S¡, S™라고 할 때, S¡+S™=32


이다. ab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단, a>0, b>0)
-a O S™
S¡ b x

12- 23 두 곡선 y=sin x, y=sin (x+k)(0<k<p)가 있다. 오른 y S(k)


y=sin x
쪽 그림과 같이 제1사분면에서 두 곡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y=sin(x+k)

도형의 넓이를 S(k)라고 할 때, S(k)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k O p x

12- 2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e≈ -1에 대하여 이 곡선과 x축 및 두 y y=e≈ -1

직선 x=1, y=k로 둘러싸인 도형을 A, 이 곡선과 y축 및 두 직 e-1 y=e-1


B
선 y=k, y=e-1로 둘러싸인 도형을 B라고 하자. A의 넓이와
k y=k
B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여라.
(단, 0<k<e-1) A

O 1 x

12- 25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æ≠x+;4“; sin {;2“;x} y

p p
와 x축 및 두 직선 x=1, x=4로 둘러싸인 도형 y= x+- sin -x
4 2 ( )
을 밑면으로 하는 입체도형이 있다. 이 입체도형
을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모두 정사 O 1 4 x

각형일 때, 이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여라.

506 Ⅲ. 적분법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p.520 | 풀이집 p.295

12- 2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2, 높이가 6인 원기둥이 있다. 2

이 원기둥을 밑면의 중심을 지나고 밑면과 60˘의 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자를


때, 이 평면의 아래쪽에 있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하여라. 6
60˘

12- 27 점 A(1, 0)을 출발하여 원점 O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원 위를 시계 y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점 P(cos h, sin h)가 있다. 점 P에서의


접선 위에
1
PQ”=h (0…h…2p) P
h Q
가 되도록 점 Q를 잡을 때, 점 Q가 나타내는 곡선은 오른쪽 그림과 -1 O A1 x

같다. 이 곡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1

12- 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1인 반원의 호 AB를 n y

등분한 점을 차례대로 Pº(=A), P¡, P™, …, P«(=B)이 … P™

라고 할 때,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Pn-1 P¡



2 2 2 2 Pn Pº
lim ;n!; (P’º’P¡” +P’º’P™” +P’º’P£” +y+P’º’P«” ) B(-1, 0) O A(1, 0) x
n ڦ

challenge

12- 29 함수 f(x)=e—≈ 과 자연수 n에 대하여 점 P«, Q«을 각각 f(x)=e—≈


P«(n, f(n)), Q«(n+1, f(n))
Pn Qn
이라고 하자. 삼각형 P«P«≠¡Q«의 넓이를 A«, 선분 P«P«≠¡과 An
Bn
함수 y=f(x)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B«이라고 Pn+1

할 때, 다음 값을 구하여라. x
12
n n+1

⑴ ¡ A« ⑵ ¡ B«
¶ ¶

n=1 n=1

challenge

양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f(t)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를 움직이는 점


12- 30 P(x, y)의 시각 t(tæ1)에서의 위치가 x=2 ln t, y=f(t)이다. 점 P가 점 (0, f(1))로부
s+"√s¤ +4
터 움직인 거리가 s가 될 때 시각 t는 t= 이고, t=2일 때 점 P의 속도는 {1, ;4#;},
2

가속도는 {-;2!;, a}이다. a의 값을 구하여라.

12 정적분의 활용 50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 일부 예제 문항의 풀이를 수록하였습니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01 수열의 극한 16 33

- - - - - - - - - - - - - - - - - - - - p.47
17 ⑴ 11 ⑵ -6
18 ;3!;
08-1 x=1
y 19 1
1 y=f(x)
1
20 1¡2;
-1 O x
-1 21 -3
22 0

- - - - - - - - - - - - - - - - - - - - p.47
23 5
24 ;2!;
08-3 t=0, t=2
y 25 2
y=g(t) 26 ;4!;
1

O t
27 4
2

28 ;2!;
- - - - - - - - - - - - - - - - - - - - - p.62
29 4
01-1 ⑴ 2 ⑵ 7 30 24
2 16
3 50
4 ⑴ '3 ⑵ 12
5 ② 02 급수
6 ⑴2 ⑵1
- - - - - - - - - - - - - - - - - - - - p.118
7 3
8 2 02-1 ①
9 2'2 2 4
10 5 3 ①
4 9
- - - - - - - - - - - - - - - - - - - - - p.64
5 ⑴ 1 ⑵ 19
01-11 ③ 6 1
12 ④ 7 ⑴ 10 ⑵ x<-6 또는 x>6
13 5
8 ;4!;
14 2
2'2 '3
15 ;2!; 9 ⑴ {2'2, 3 } ⑵ { 3 , 1}

510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p.120 4 ⑴6 ⑵5
5 e¤
02-10 ⑤
6 ⑴ 10 ⑵ 20
11 ①
7 4
12 ①

13 -9 8 a= 4 , b=2

14 ;1!5^; 9 ⑴6 ⑵4
1
15 14 10 ⑴ y '=;[!; ⑵ y '= x ln 2
16 1 1
⑶ y '=log£ x+
ln 3
17 11
x+3
18 10 ⑷ y '=(2x+3)log™ x+
ln 2
19 ;8#; ⑸ y '=(x¤ +2x)e≈

20 ;3!; ⑹ y '=e≈ {ln 2x+;[!;}

21 13 - - - - - - - - - - - - - - - - - - - - p.152

22 ;9$9^; 03-11 ②
12 ③
23 12
13 3
24 ;2!; 14 16
25 24억 원 15 2
26 8 16 6

27 ;4%; 17 ①
18 7
28 8+'∂10
19 -1, 1
20 ㄱ, ㄴ, ㄷ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 - - - - - - - - - - - - - - - - - - - p.150
04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03-1 ③
- - - - - - - - - - - - - - - - - - - - p.165
2 ⑴ ln 2e ⑵ -1 ⑶ 2 ⑷ 2
⑸ 1 ⑹ -2 01-3
3 ⑤ ⑴ sin(a+b)=sin a cos b+cos a sin b

정답 51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sin(a-b)=sin a cos b-cos a sin b - - - - - - - - - - - - - - - - - - - - p.182

∴ sin(a+b) sin(a-b)
∴ =(sin a cos b+cos a sin b)_ 04-11 ;3*;p

(sin a cos b-cos a sin b) 12 ①


∴ =sin¤ a cos¤ b-cos¤ a sin¤ b 13 ②
∴ =sin¤ a(1-sin¤ b)-(1-sin¤ a)sin¤ b
14 ;2#;
∴ =sin¤ a-sin¤ a sin¤ b-sin¤ b
15 40
+sin¤ a sin¤ b
16 ①
∴ =sin¤ a-sin¤ b
17 0
⑵ cos(a+b)=cos a cos b-sin a sin b
18 9
cos(a-b)=cos a cos b+sin a sin b
∴ cos(a+b) cos(a-b) 19 ;2!;
∴ =(cos a cos b-sin a sin b)_ 20 40
(cos a cos b+sin a sin b)
∴ =cos¤ a cos¤ b-sin¤ a sin¤ b
∴ =cos¤ a(1-sin¤ b)-(1-cos¤ a)sin¤ b
05 삼각함수의 미분
∴ =cos¤ a-cos¤ asin¤ b-sin¤ b
- - - - - - - - - - - - - - - - - - - - p.212
+cos¤ asin¤ b
∴ =cos¤ a-sin¤ b 05-1 ⑴ 0 ⑵ 1 ⑶ 0 ⑷ 0
2 ⑴ ;2!; ⑵ 4 ⑶ 2 ⑷ ;2!;
- - - - - - - - - - - - - - - - - - - - p.180
3 ⑴ ;2!; ⑵ 4
04- 1 ②
4 ⑴ ;2™5; ⑵ 7
2 ③
3 ② 5 ②
4 7 6 4

5 ;2¶5; 7 ;4(;

6 ⑴ -9 ⑵ 3 8 2
9 4
7 ;3“;
10 9
8 ④
- - - - - - - - - - - - - - - - - - - - p.214
9 ;2¶4;

10 20 05-11 ⑴ 2 ⑵ -3 ⑶ ln 2 ⑷ ;2!;

512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1 6 ⑴ ;3#2!;
12 ⑴ e ⑵

⑵ 2 ln 2+2
13 ⑴ a=2, b=7
7 3
⑵ a=0, b=;3!;
14 6 8 ;2(;
15 -6 9 8
16 ;ç@; 10 ;5@;

- - - - - - - - - - - - - - - - - - - - p.266
17 ;4!;
06-11 -e
18 ;4!;
12 5
19 1 13 2
20 ⑴ x=0에서 연속이다. 14 ①
⑵ x=0에서 미분가능하다.
15 ⑴ 3 ⑵ 1
16 -2 ln p
17 ⑤

18 ;4!;

06 여러 가지 미분법 19 16

- - - - - - - - - - - - - - - - - - - - p.264
20 ;1£2™5;

06-1 7 21 0
22 2
2 -;4%;
dy y cos x+cos y
23 ⑴ =-
sin x-x sin y
3 ③ dx¤

4 ⑴ y '=-2 csc (2x-1) cot (2x-1) (단, sin x-x sin y+0)

⑵ y '=-10 sec (1-2x) tan (1-2x) d¤ y 2


⑵ =-
dx¤ (x+y)‹
⑶ y '=-cos x csc¤ (sin x)
24 6
⑷ y '=-sec¤ x csc (tan x) cot (tan x)
25 1
5 ⑴ y '=e≈ {ln (sin x)+cot x}
e≈ +e—≈
26 ;4@0!;
⑵ y '=
e≈ -e—≈
27 ⑴ -2 ⑵ -4
⑶ y '=3(e≈ +ex¤ )¤ (e≈ +2xex¤ )
28 2e
2≈ ln 2
⑷ y '= 29 ;2!;
(2≈ +1)¤

정답 513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30 -
a

08 함수의 극대, 극소와 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p.317

04-1
⑴ y
07 접선의 방정식 4 16x
2'3 y= ™
x +4
-2'3 -2
- - - - - - - - - - - - - - - - - - - - p.290
O 2 2'3 x
-2'3
07-1 e-1 -4

2 ①
3 ④ ⑵ y

3'3 y=x
4 ④
5 ④ -2'3
-2 O 2 2'3 x
6 e
7 ln 2 -3'3 y= 2x‹
x -4
8 ③
9 ①

10 ;2!; - - - - - - - - - - - - - - - - - - - - p.317

04-2
- - - - - - - - - - - - - - - - - - - - p.292
⑴ y
y=x ln x
07-11 ;8!; (4-p)¤
1
O e
12 ;4E; 1 x
1
-e

13 3'2
14 ⑴ -5 ⑵ y
1 lnx
e y=
3'3 x
⑵ 3e-
3
2 2
2

15 4 O 1 e 3 x
e2
16 a<-3 또는 a>1
1 ⑶ y
17 9p- 2p y=x ¤ -lnx

18 17
1
(1+ln 2)
2
19 ;2!; 1 x
O
'2
20 50

514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p.317 ⑵ y
y=x≈ (x>0)

04-3
y 1
12 y=g'(x) 1
™ 1 e
e {e}
™ -1 O O 1 x
-e
1 ™ x e
e

-12™
e - - - - - - - - - - - - - - - - - - - - p.322

08-1
ln x
- - - - - - - - - - - - - - - - - - - - p.319 ⑴ f(x)= 의 도함수를 구하면
x

23_x-ln x_1
1
05-1
f '(x)= 1111111
x
⑴ y y=xe
x

1-ln x
f '(x)=

-2 -1
O x 그런데 x>e일 때 ln x>1,
1 2
-- -- ™
e e 즉 1-ln x<0이므로 `f '(x)<0
따라서 `f(x)는 x>e에서 감소합니다.
⑵ y ™
y=x e
⑵ f(x)=x-cos x의 도함수를 구하면
4™
- f '(x)=1+sin x
e
-2 O x 이때, -1…sin x…1이므로 모든 실수 x
-2-'2-2+'2
에 대하여
⑶ ™ -x y 0…1+sin x…2 ∴ f '(x)æ0
y=x e
4 그런데 f '(x)=0이 되는 점의 좌우에서
- ™
e
f '(x)>0이므로 f '(x)=0인 점에서도
O 2 x
2-'2 2+'2 f(x)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
- - - - - - - - - - - - - - - - - - - - p.319 서 증가합니다.
2 0…a…1
05-3
⑴ y 3 aæ1
£ -x 2'3
27
- £
y=x e 4 a…- 3
e
O 3 x
5 ②
3-'3 3+'3
6 ①
7-1…a…2

정답 515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8 k<-1 또는 k>1 ⑵ y
12 2 -3
2

9 a=1, b=1, 극솟값:0 5 ( )


- --
5
2
-
6 4
-(-)
3
10 p-'3 5 5
y=f(x)
- - - - - - - - - - - - - - - - - - - - p.324 x
2 O4 2
-- -
5 5
08-11 ⑴ y=2x+2 ⑵ y=x-;4“;+;2#;
12 ③ 20 ㄱ, ㄴ, ㄷ
13 ② 21 2
14 11 22 7
15 ㄱ, ㄴ 23 0<a<1
'2 24 -1<a<0
16 ⑴ 극댓값: 2 e;4#;p
25 11
'2 ;4&;p
극솟값:- e 1
2 26
e2p-1
⑵ 극댓값:e, 극솟값:;e!;
27 y y=f—⁄ (x)
17 ㄱ, ㄷ
1
18 '2
⑴ y
O 1 1 x
2p
2 y=f(x) 'e
-p+'3
3 p
4
-p-'3 28 ㄱ, ㄴ, ㄷ
3
O 2 pp-
4 p 2p x
29 ㄱ, ㄷ
-
3 3

⑵ y 11
-p
6
1 7 3
-p-p
6 2 2p
p x
O - p
5 2
--
4 09 도함수의 활용
-3 y=f(x) - - - - - - - - - - - - - - - - - - - - p.356

19 09-1 ②
⑴ y 2 ④
O 1
x 3 1
1
--
2 y=f(x)
1
4 0<k< 2e

5 ③

516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6 1-;ç@; 10 부정적분
7 9 - - - - - - - - - - - - - - - - - - - - p.400

8 2
9 ④ 10- 1 ⑴ ;3!;y‹ -y¤ +4y+C
10 ㄱ, ㄴ ⑵ ;3!;t‹ -;2!;t¤ +t+C

- - - - - - - - - - - - - - - - - - - - p.358 ⑶ 2h+C

09-11 30 ⑷ x+C

12 11 ⑸ 4x-2'ßx+ln x+C

13 p 5≈
⑹ +3 ln |x|+C
ln 5
14 2'2
15 6'3 ⑺ ;2!; e¤ ≈ -tan x+C

4'6
16 ⑻ tan x+sec x+C
9
17 5'5 m ⑼ -;1¡6; cos 8x-;4!; cos 2x+C

18 2<k<e-;e!; ⑽ ;1¡0; sin 5x+;2!; sin x+C

19 0, ;e!; sin x-1


⑾ -;2!; ln | |+C
sin x+1
20 8
cos x-1
21 k…e ⑿ ;2!; ln | |+C
cos x+1
22 7 ⒀ sin (ln x)+C
23 1 ⒁ 2'ƒln x∂+å1+C

24 ;3*;p ⒂ ;2!;(x-1)sin 2x+;4!; cos 2x+C

25 4
⒃ ;5!;e-x(2 sin 2x-cos 2x)+C
26 -;5#;
2 2e2p+2'∂2p +4
p¤ 3 6'3
27 3
4 7
28 ;4“;+;2!;
5 ⑤
29 20 1
6 -p

7 ②

8 ;2!;e

정답 517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p - - - - - - - - - - - - - - - - - - - - p.446
9 -4
11-11 ⑤
- - - - - - - - - - - - - - - - - - - - p.402
12 ③
10-10 ④ 13 ③
11 2 14 ③
'3 15 ④
12 1+ 3
16 ④
13 ⑴ 2 ⑵ 0
17 ⑴ 2-p ⑵ e-;e%;
14 G(x)=e≈ —⁄ -1
2 18 ;4%;p
15 p

16 e¤ 19 ⑴ 6 ⑵ ;4“;
17 -4 20 2
18 e 21 4p
19 -2+2 ln 2
22 ;2#;p

24
23 ⑴ ⑵6
13p¤
24 ⑴ 4 ⑵ 9
11 정적분
25 ;2!;
- - - - - - - - - - - - - - - - - - - - p.444
26 2e-1
11-1 ⑴ ln ;8(; ⑵ ;2!; ln 5+;3@; ⑶ :™3º: ⑷ ;2“;
27 ;2%;e-1
⑸ ;3@; ⑹ 2-'2 28 1+2'2
2 ⑤ 29 -;2&;p…a…-3p
3 (e-1)¤
30
4 ③
⑴ 함수 y=;[!;은 x>0일 때 감소하므로
5 ⑤
6 ④ y
1
y= x
7 12
1
8 ⑴ ;2#; ⑵ ;2!;(e¤ +1)
y
9 ⑴ 극솟값:0 ⑵ 극댓값:2 O 1 2 3 y n x
n+1
10 ⑴ 2e+1 ⑵ 4

518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k<x<k+1 (k=1, 2, 3, …, n) 이므로 næ2일 때

1 1
¡ :K dx> ¡
n-1 k+1 n-1
일 때, ;[!;<;k!;이 성립합니다. 따라서
k=1 x¤ k=1 (k+1)¤
k+1 k+1
:K ;[!; dx<:K ;k!; dx 1 1 1 1
∴ :!n dx> + +y+
x¤ 2¤ 3¤ n¤
k+1 k+1
이고, :K ;k!; dx=[;k!; x]K =;k!;이므로 이 식의 양변에 1을 더하면
1 1 1
¡ :K
n k+1
;[!; dx< ¡ ;k!;
n
1+[-;[!;]n!>1+ + +y+
k=1 k=1 2¤ 3¤ n¤

:K
k+1
;[!; dx=1+;2!;+;3!;+y+;n!; 1 1 1
∴ 1+ + +y+ <2-;n!;
2¤ 3¤ n¤
이때,

¡ :K
n k+1
;[!; dx
k=1

n+1 n+1
=:! ;[!; dx=[ln |x|]!

=ln (n+1) 12 정적분의 활용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p.502

1+;2!;+;3!;+y+;n!;>ln (n+1)
12- 1 ⑴ 2 ln 2-1 ⑵ ;;™5§;;
1
⑵ 함수 y= 은 x>0일 때 감소하므로 2 ⑴ 3 ⑵ 12

y 3 2
1
y=
x¤ 4 ⑴ ;2“; ⑵ 2(‹'2-1)
1

5 ⑴ ;4!; ⑵ ;3!;
y
O 1 2 3 y n x 6 2
k<x<k+1 (k=1, 2, 3, …, n-1) 7 13
1 1 8 ;4(;
일 때, > 이 성립합니다.
x¤ (k+1)¤
따라서 9 ;3¡0;
k+1 1 k+1 1
:K dx>:K dx 10 3
x¤ (k+1)¤
이고, - - - - - - - - - - - - - - - - - - - - p.504

k+1 1 x k+1
:K dx=[ ]K 12-11 ②
(k+1)¤ (k+1)¤
12 ①
k+1 1
:K dx= 13 ③
(k+1)¤

정답 519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정답 기본 다지기, 실력 다지기

14 ③
15 40
16 140

17 ⑴ ;4!; ⑵ ;4!;

1
18 e-1

19 2-'2

20 ;2∞4;

21 24
22 8

23 ;2!;

24 1
25 7
16'3
26 3
27 2p¤
28 2
1 3-e
29 ⑴ 2e ⑵ 2e(e-1)

30 ;4!;

520 정답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찾아보기

ㄱ ㅂ
곡선의 길이 495 발산 015
극대 299 * 수열의 발산 015
극댓값 299 변곡점 307
극소 299 * 아래로 블록 306
극솟값 299 * 위로 블록 306
극한(값) 013 * 아래로 오목 306
* 수열의 극한 013 * 위로 오목 306
급수 071 부분적분법 392
* 급수의 성질 079 부분합 071
* 급수의 수렴과 발산 072 부정적분 365
급수의 합 073 * 부정적분의 성질 365

ㄷ ㅅ
덧셈정리 158 사인함수의 도함수 204
*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158 삼각치환법 410
* 코사인함수의 덧셈정리 158 삼각함수의 극한 187
* 탄젠트함수의 덧셈정리 159 수렴 013
도형의 넓이 472 * 수열의 수렴 013
등비급수 090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 018
*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 090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 024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 092
등비수열과 수렴과 발산 036

역함수의 미분법 252
ㄹ 음함수 246
로그미분법 232 * 음함수의 미분법 247
로그함수의 극한 128 이계도함수 260
로그함수의 도함수 145 입체도형의 부피 490

ㅁ ㅈ
매개변수 242 자연로그 131
*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242 접선의 방정식 273

찾아보기 521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찾아보기

11
정적분 407 d¤ y
260
dx¤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431
11 f(x)

*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430 260
dx¤
정적분과 급수 458 lim a« 013
n ڦ

¡ a«

지수함수의 극한 127 071
n=1

지수함수의 도함수 144


최대・최소 정리 331
치환적분법 376


코사인함수의 도함수 205


탄젠트함수의 도함수 221


함수의 몫의 미분법 219
합성함수의 미분법 228

기호
e 130
ln x 131
e≈ 131
sec x 221
csc x 221
cot x 221
f ''(x) 260
y '' 260

522 찾아보기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빠른 선행부터 완벽한 유형 정복까지,
수학의 시작과 완성 !
엄선된 개념과 유형으로 성공적인 고등 수학 학습이 가능합니다.

고등 수학 추천 도서

빠른 개념 선행을 완벽하게 개념을 유형 정복으로


원한다면! 완성하고 싶다면! 내신 만점 쟁취!

개념픽 수학의 바이블 유형+내신 고쟁이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처음 만나는 기출, 평가원부터
수능 유형별 핵심만 담았다!
가장 기출다운 기출문제집

너희들의 기출문제

수능 공부는 기출은 평가원은


기출부터 평가원부터 최신 트렌드 중심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신개념 단기 특강서
쉽게, 빠르게, 우월하게!
영역을 가장 세분화한 수준별 · 영역별 단기 특강서입니다.

531 국 · 수 · 영 프로젝트

EASY SPEEDY HYPER


3등급을 목표로 1등급을 목표로 최상위권을 목표로
핵심 개념과 최신 수능 함정 유형과
이론학습 유형 정복 오류 체크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절대평가 1등급을 원한다면
수능 빈출 어휘 학습은 기본!
반드시 알아야 할 수능 빈출 어휘만 수록하였습니다.

Word Master
1
빈출
어휘집
분야 위

마스터 시리즈
판매 기록

600 만

빈출 어휘 수능 만점자의 선택 압도적 점유율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600만의 수험생이
단어들만 수록하여 자신 있게 추천하는 고민 없이 선택한
효율적으로 학습 인생 영단어장 빈출 어휘집 분야 1위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참신한 지문으로 마스터하는
빠르고 정확한 독해!
단계별 수준에 맞춰 절대평가에 꼭 맞는 지문을 엄선했습니다.

Reading Master

본 성
Basic 구문독해기 구문독해완 유형독해 실전독해

식상한 독해 변화된 수능에 빠르고


수업 탈피 최적화 정확하게 읽기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기본과 유형을 탄탄하게
내신 1등급 완벽 대비!
제대로 된 문제집의 선택이 내신 등급을 결정합니다.

탐구영역의 No.1 BON

BON BON 내신N제


통합과학 통합사회• 통합과학 통합사회

기본부터 내신까지 유형으로 훈련하는


완벽한 기본서 내신 1등급 문제집

• 이투스북 도서는 전국 서점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이투스북 온라인 서점 | www.etoosbook.com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