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8

수학

수학의 자신감은
많은 문제들을 반복해서 풀어 봄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펴내면서

수학 공부에도 비결이 있나요?

예. 있습니다.
무조건 암기하거나 문제를 풀기만 하는 수학 공부는 잘못된 학습방법입니다.

공부는 많이 하는 것 같은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요.

그렇다면 효과적인 수학 공부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첫째. 개념원리 기본서를 통하여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합니다.

둘째. RPM의 다양한 문제를 풀어 봄으로써 수학의 자신감을 얻습니다.

이처럼 개념원리 기본서와 RPM을 함께 공부해 나간다면 수학의 자신감을 얻고

학교 시험에서 고득점을 얻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개념원리 기본서와 RPM으로 열심히 공부하여 수학에서 만점을 받아 보세요.


구성과 특징

1 핵심 개념 정리
01 함수의 극한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Ⅰ. 함수의교과서 내용을 꼼꼼히 분석하여 핵심 개념만을 모아 알차고


01 . 1 함수의 수렴과 발산

1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


01 함수의 극한 개념 플러스

기호 lim는 극한을 뜻하는 limi 의


약자이며, ‘리미트’라 읽는다.
극한과 연속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의 값이 일정한 수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L에 수렴한다
개념 플러스
고 한다. 이때 L을 함수 f(x)의 x= 에서의 함수의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 하고
수렴과 발산 01 . 1
x`Ú 는 x 이면서 x의 값이 에
lim

=L 또는 x`Ú 일 때 f(x)`Ú L

2 함수 f(x)가 수렴하지 않을 때, 함수 f(x)는 발산한다고 한다.


1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때 f(x) 핵심 개념
기호 lim는 극한을 뜻하는 limi 의
약자이며, ‘리미트’라 읽는다.
의 값이 에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일정한
한없이수 한없이
L에 때
가까워질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L에 수렴한다
⑴ f(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고
같이 나타낸다.
한다.
함수 이때
f(x)는 양의
L을 함수발산한다고
무한대로 f(x)의 하고 에서의
x=기호로 다음과
극한값 또는 이라 하고
극한발산은
함수의 수렴과
x`Ú ¦, x`Ú -¦
각 단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만을 모아 자세한 부가설명과 함께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인 경우에도 정의할 수 있다.
lim`f(x)=¦ 또는 x`Ú 일 때 f(x)`Ú ¦
x`Ú

⑵ f(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lim =L 또는 x`Ú 일 때 f(x)`Ú L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
x`Ú 는 x 수록하였습니다.
이면서 x의 값이 에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01 참고
다고 하고 기호로 다음과2같이

함수의 극한
x`Ú
함수 f(x)가
나타낸다.
lim`f(x)=-¦ 또는 x`Ú 일 때 f(x)`Ú -¦
¦는 수가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무한대라 읽는다.
수렴하지 않을 때, 함수 f(x)는 발산한다고 한다.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⑴ f(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함수의 수렴과 발산은개념 플러스
x`Ú ¦, x`Ú -¦
인 경우에도 정의할 수 있다.

01 . 1 함수의 . 2 우극한과
01 수렴과 발산 좌극한
lim`f(x)=¦ 또는 x`Ú 일 때 f(x)`Ú ¦
x`Ú
개념 플러스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나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과 문
⑵ f(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
함수 f(x)의 x= 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그 값이 모두 L로 같으면 극한값 x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 제해결에 유용한 내용 등을 제공하였습니다.
1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다고 한없이하고가까워질
lim`f(x)가 존재한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즉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때 f(x) 기호
까워지는 것을 lim는
x`Ú 극한을
+와 같이 나타 뜻하는 limi 의
x`Ú 내고, 보다약자이며,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 읽는다.
‘리미트’라
의 값이 일정한 수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lim `f(x)=-¦
f(x)는 또는
L에 수렴한다x`Ú 일 때 f(x)`Ú -¦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lim ` lim ` L x`Ú`
lim L
`Ú `Ú - `Ú 낸다.
고 한다. 이때 L을 함수
우극한 f(x)의 x= 에서의
좌극한
참고 ¦는 수가또는
극한값 한없이
극한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무한대라 읽는다.
이라 하고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x`Ú 는 x 이면서 x의 값이 에
lim =L 또는 x`Ú 일 때 f(x)`Ú L
01 .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Ú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2 함수 f(x)가 수렴하지 않을 때, 함수 f(x)는 . 발산한다고 한다.
01에 한없이
2 우극한과 좌극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함수 f(x)에서두 x의
함수 값이 가 아니면서
f(x), g(x)에서 lim`f(x)=
x`Ú
가까워질
, `lim g(x)=
x`Ú
`( 때
, 은 실수)일 때
x`Ú +, x`Ú -,
⑴ f(x)의 값이 한없이
⑴ lim 커지면
f(x)= 함수 f(x)는
lim`f(x)= `(단, 는양의 상수)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기호로 다음과 x`Ú ¦, x`Ú
함수의
-¦ 수렴과 발산은 x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
x`Ú x`Ú 함수 f(x)의 x= 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인 경우에도그 값이 모두 L로 같으면 극한값
성립한다.
x`Ú ¦, x`Ú -¦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같이 나타낸다. ⑵ lim{`f(x)+ g(x) =lim`f(x)+lim g(x)= + `
x`Ú x`Ú
lim`f(x)가
x`Ú
존재한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즉 인 경우에도 정의할 수 있다. 내고,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
x`Ú
x`Ú
또는
⑶ lim{`f(x)-
lim`f(x)=¦ x`Ú
g(x) =lim일
x`Ú
때 f(x)`Ú
`f(x)-lim
x`Ú
¦
`g(x)= -
x`Ú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lim
⑷ lim`f(x)g(x)=lim`f(x) lim`g(x)=
` lim ` L lim ` L
`Ú `Ú - `Ú 낸다.
⑵ f(x)의 값이 x`Ú음수이면서 그x`Ú절댓값이 x`Ú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

lim`f(x) 우극한 좌극한


다고 하고 기호로 `f(x)
⑸ lim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x`Ú
`(단, )
x`Ú g(x) lim`g(x)
lim`f(x)=-¦ 또는
x`Ú
x`Ú 일 때 f(x)`Ú -¦
참고
x`Ú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극한값이 존재할 때만 성립한다.
참고 ¦는 수가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무한대라 읽는다.
01 .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두 함수 f(x), g(x)에서 lim`f(x)= , `lim g(x)= `( , 은 실수)일 때
01 . 2
x`Ú x`Ú x`Ú +, x`Ú -,
우극한과 좌극한 ⑴ lim f(x)= lim`f(x)= `(단, 는 상수) x`Ú ¦, x`Ú -¦
x`Ú x`Ú
인 경우에도 성립한다.
⑵ lim{`f(x)+ g(x) =lim`f(x)+lim g(x)= + ` x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
함수 f(x)의 x= 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x`Ú 모두 존재하고 그 값이 x`Ú 모두 L로
x`Ú 같으면 극한값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⑶ lim즉{`f(x)- g(x) =lim`f(x)-lim`g(x)= -
lim`f(x)가 존재한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x`Ú x`Ú x`Ú x`Ú 내고,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

2 교과서 문제 정복하기
⑷lim
lim``f(x)g(x)=lim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lim ` lim ` L x`Ú
L x`Ú `f(x) lim
x`Ú
`g(x)=
`Ú `Ú - `Ú 낸다.
우극한 좌극한
`f(x) 정 복 하 기 lim`f(x)
교과서 문제
⑸ lim
g(x) lim`g(x)
`(단,
x`Ú
x`Ú

x`Ú
/ / / )
정답과 풀이 2쪽

참고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극한값이 존재할 때만 성립한다.

01 . 3 함수의 . 1 함수의
01극한에 대한수렴과
성질 발산 01 . 2 우극한과 좌극한

[0001 ~ 0004] 다음 극한값을006


함수의 Ⅰ.
그래프를
함수의이용하여 구하
극한과 연속 00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학습한 정의와 공식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기본적인 문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두 함수 f(x), g(x)에서 lim`f(x)= , `lim g(x)= `( , 은 실수)일 때
01 함수의 극한

시오.

⑴ lim f(x)= 0001


lim`f(x)= `(단,-3 는 상수)
lim (2x-1)
x`Ú x`Ú
⑴ lim
|x|
x`Ú 0- x
-1 ⑵ lim
x`Ú +, x`Ú -,
|x|
x`Ú 0+ x
1
x`Ú ¦, x`Ú -¦
제를 충분히 연습하여 개념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
x`Ú x`Ú x`Ú -1
인 경우에도 성립한다.
⑵ lim{`f(x)+ g(x) =lim`f(x)+lim g(x)= +
x`Ú x`Ú
0002 lim
x`Ú 3
(xÛ`+1) 10 x`Ú
`
하였습니다.
⑶ lim{`f(x)- g(x) =lim`f(x)-lim`g(x)= -
x`Ú x`Ú x`Ú
0003 lim 'Äx-1 1
⑷ lim`f(x)g(x)=lim`f(x) lim`g(x)=
x`Ú 2
x`Ú x`Ú x`Ú

`f(x) lim
0004`f(x)
lim
1 ;2!; 0012 함수 y=f(x)의 그래프가
x`Ú x+2
⑸ lim x`Ú 0
`(단, )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극한을
x`Ú g(x) lim`g(x)
x`Ú
조사하시오.
참고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극한값이 존재할 때만 성립한다.
⑴ lim `f(x) 0
x`Ú-2+

⑵ lim `f(x) 2
x`Ú-2-

00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⑶ lim `f(x) 2
x`Ú 0+
[0005 ~ 0006]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
시오. ⑷ lim `f(x) 2
x`Ú 0-

1 ⑸ lim `f(x) 존재하지 않는다.


0005 lim ¦ x`Ú-2
x`Ú 0 xÛ`
⑹ lim`f(x) 2
x`Ú 0
-1
0006 lim
x`Ú 1 |x-1|

[0007 ~ 0010]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 01 .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시오.
[0013 ~ 0016]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lim (x-3)
0007 x`Ú¦ ¦

0013 lim (1-3x) 4


x`Ú-1

lim xÛ`
0008 x`Ú¦ ¦
0014 lim (xÛ`-4)(x+1) -6
x`Ú 1

lim ;[!;
0009 x`Ú-¦ 0 xÛ`-3
0015 lim
x`Ú 3 x-1
3

0010 lim {2+;[!;} 2 0016 lim 7 7


x`Ú-¦ x`Ú4

01. 함수의 극한 007


유형 01
유형 익 히 기

평균변화율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 /

| 개념원리 수학 Ⅱ 63쪽 |

유형
중요

02
함수 y=f(x)에 대하여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정답과 풀이 28쪽

| 개념원리 수학 Ⅱ 63쪽 |
중요

유형 03

f ( )=lim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1)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f( + )-f( )
부분이 서로 같도록
만들어 준다.
| 개념원리 수학 Ⅱ 64쪽 |

유형
중요

lim

04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f( )-f( )
-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2)

=f ( ) 는 끼리, 는 끼리 서로
같도록 만들어 준다.
| 개념원리 수학 Ⅱ 65쪽 |

3 유형 익히기 / 유형 UP
y `f( )-f( ) `f( + x)-f( ) ⑴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 = = 0257 대표문제 0261 대표문제
x - x
y `f( )-f( ) `f( + x)-f( )
= =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2)= 일 때,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2일 때,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핵심 개념과 문제의 형태 및 풀이 방법


x - x

0249 대표문제
정답과 풀이 28쪽 ⑵ x= 에서의 미분계수는 중요
lim
`f(2+ )-f(2- )
`Ú 0 3
의 값을 구하시오. 4 lim
x`Ú 1
`f(x`)-f(1)
x-1
의 값은? | 개념원리 수학 Ⅱ 64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5쪽 |
`f( + x)-f( ) `f(x)-f( )
함수 f(x)=x`-2x+ 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 f ( )= lim =lim
x`Ú x x`Ú x- ①4 ② ③
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2
(단, 1)
0253 대표문제
유형 03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1) ④7 ⑤
유형 04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2)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3쪽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x)=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함수
0258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중 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3이고


등에 따라 문제를 유형화하였습니다.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0250 하
`f(1+ )-f(1) 0262

02
중 하

유형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lim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함수 f(x)=xÛ`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1+ 까지 변할 때 `Ú 0
`f( + )-f( )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f(x)-f(3)
=1일 때, `f( )-f( ) 는 끼리, 는 끼리 서로
의 평균변화율이 3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f ( )=lim 부분이 x-3
x`Ú 3
서로 같도록 lim =f ( )
-
1
`f(3+3 )-f(3)
0254 중
`Ú lim 의 값을 구하시오. `Ú 같도록 만들어 준다.
만들어 준다.
3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Ú 0
함수 f(x)=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할 때

함수 y=f(x)에 대하여 의 평균변화율과 x='7에서의 순간변화율이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1)

핵심 개념
0259 중

⑴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0251 중

`f( +2 )-f( -3 )
함수 f(x)=xÛ`-3x+ 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를

0257 대표문제 0261 대표문제


`Ú 0

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2 -7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f ( )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0263 중

y `f( )-f( ) `f( + x)-f( ) (단, 1)


서술형 ①- f ( ) ② -f ( ) ③ f( )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 f (1)=1일 때,

= = 0255 중
xÛ`f(1)-f(xÛ`)

x - x 함수 f(x)= 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에서 2 까지 변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2)= 일 때,
④ 3f ( ) ⑤ f( ) lim
x`Ú 1 x-1
의 값을 구하시오.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2일 때,
유형 연습에 필요한 핵심 개념 및 풀이 방법을 실었습니다.
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1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⑵ x= 에서의 미분계수는 `f(2+ )-f(2- ) `f(x`)-f(1)


0252 상 중

lim 의 값을 구하시오.4 lim 의 값은?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Ú 0 3 x`Ú 1 x-1
f ( )= lim
x`Ú
`f( + x)-f( )
x
=lim
x`Ú
`f(x)-f( )
x-
그림과 같다. 직선
때, x의 값이 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함
수 f(x)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의 기울기가 2일

0256 중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이고, x의 값이 1에서 까


0260 중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 )=-3일 때,


`f( +3 )-f( + Û`)
0264 상 중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 , f (1)= 일 때,


f(x)-3 ①4
중요 유형은

중단원별로

세분화된 유형 중 시험 출제율이 70 % 이상인
(단, y=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lim 의 값을 구하시오.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f(x) )
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 일 때, x=1에서의 미분계수 `Ú 0 x`Ú 1 'x-1

유형입니다. 모든 유형의 학습이 다 중요하겠지만 중요 유형은 반드시


x=2이다.)

④7 ⑤
를 구하시오.

꼭 나오는 문제
0253 대표문제
알아두어야 합니다.
함수 f(x)=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042 Ⅱ. 미분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정답과 풀이 21쪽
043

시험에
의 값을 구하시오. 0258 중 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3이고


| 개념원리 수학 Ⅱ 47쪽 |
`f(1+ )-f(1)
| 개념원리 수학 Ⅱ 56쪽 | 개념원리 수학기본서 피드백
lim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0262 중 하

12
`Ú 0
조건 (2) 유형 여러 가지 사잇값의 정리의 활용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f(x)-f(3)
각 유형에 대한 개념과 =1일공식의
때, 적용 및 접근 방법을 좀 더 자세히 볼
유형 정답과 풀이 21쪽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22쪽
x-3 x`Ú 3

`f(3+3 )-f(3)
0254
합성함수

f(g(x))가 x= 에서11
| 개념원리 수학 Ⅱ 47쪽 |

⑴ 주어진 구간에서 함숫값의 부호를 구하고 사잇값의 정리를 이


| 개념원리 수학 Ⅱ 56쪽 |
0194 0196
lim 수 있는 의개념원리 수학기본서
값을 구하시오. 3 쪽수입니다.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유형 함수가 연속일 조건 (2) 12 유형 여러 가지 사잇값의 정리의 활용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함수 f(x)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가 x= 에서 불연속인 이유를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연결한 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
`Ú 0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합성함수 f(g(x))가 x= 에서 ⑴ 주어진 구간에서 함숫값의 부호를 구하고 사잇값의 정리를 이

함수 f(x)=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할 때 연속이다.


⇨ lim f(g(x))= lim f(g(x))=f(g( ))
용한다.
⑵ 함수의 극한이 주어지면 수렴하는 유리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것은? 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용한다.
x`Ú + x`Ú -
이용하여 함수를 찾는다.

의 평균변화율과 x='7에서의 순간변화율이


0189 같을 때, 상수 대표문제
보기

ㄱ. f(`f(2))의 값은 존재한다.
두 함수 0192 대표문제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방정식 ㄴ. 극한값 lim`f(`f(x))는 존재한다.


의 값을 구하시오. (단, 1) 3-x (x 1) x Ú2

(x))=f(g( )) f(x)=à
x+2 (x 1)
, g(x)=x`+ x
⑵ 함수의 극한이 주어지면 수렴하는 유리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f(x)= 이 닫힌구간 [-1, 2]에서 가질 수 있는 실근의 최
소 개수는? (단,
보기
ㄷ. 합성함수 f(`f(x))는 x=2에서 연속이다.
02 함수의 연속

에 대하여 합성함수 g(`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


때, 상수 의 값은?
㈎ xlim
f(x)
= ㈏ lim
f(x)
=
0259 ㄱ.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xÚ 중
ㄴ. f( )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①ㄱ
④ ㄱ, ㄴ
②ㄴ
⑤ ㄱ, ㄴ, ㄷ
③ㄷ

이용하여 함수를 찾는다.


①- ② -4 ③ -3 Ú-1 x+1 x Ú2 x-2 ㄷ. lim`f(x) f( )
④ -2 ⑤ -1 xÚ

`f( +2 )-f( -3 )
①1
④4
②2

③3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① ㈎ - ㄱ, ㈏ - ㄴ ② ㈎ - ㄱ, ㈏ - ㄷ 를
③ ㈎ - ㄴ, ㈏ - ㄱ ④ ㈎ - ㄷ, ㈏ - ㄱ `Ú 0
⑤ ㈎ - ㄷ, ㈏ - ㄴ

0190 중 f ( )를 이용하여 나타내면?0197 0263 중

두 함수 x`-

f(x)=à
x`+1 (x 1)
, g(x)=à
x+ (x 1) 함수 f(x)= x-2
(x 2)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일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 f (1)=1일 때,
0192 대표문제 ①- f ( ) ② -f ( ) ③ f( )
x-1 (x 1) x`+2 (x 1) (x=2)

0255 중 서술형 에 대하여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일 때, g( )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0193 상 중 xÛ`f(1)-f(xÛ`)
0195
lim 의 값을 구하시오.
중요

함수 f(x)= 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에서 2 까지 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


④ 3f ( )다음 중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를 모두 고르면? ⑤ f( ) x-1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방정식
시킬 때, 방정식 f(x)= 이 실수 전체의 구간에서 적어도 (정답 2개) x`Ú 1
개의 실근을 갖는다. 의 값을 구하시오.
① f(x)='Äx+1 ② f(x)=2xÛ`-4x+3
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1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4+x)=f(4-x) ③ f(x)=
x+3
x`
④ f(x)= |x|
(x )

g(x)=x`+
의 값을 구하시오.x(단,
0191 xÛ`-x-2
상 중
㈏ f( )f(3) (x= ) 0198

)
닫힌구간 [ , ]에서

f(x)=à
3x-
x`+ x+
(3
(
x
x 3)
)
f(x)= 이 닫힌구간 [-1, 2]에서 가질 수 있는 실근의 최
㈐ f(4)f( ) xÛ`-x
⑤ f(x)= |x-1|
1
(x 1)

(x=1)
함수 f(x)=
xÛ`+ x+
x+1
2
(x -1)

(x=-1)
가 x=-1에서 연속

로 정의되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를 만족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시키는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f(1 )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상수)
소 개수는? (단, )
02. 함수의 연속 033
03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260 중 0264 상 중

f(x) f(x)
0256 중
③ -3 ㈎ xlim = 다항함수 f(x)에 lim f ( )=-3일
㈏ 대하여 = 때,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 , f (1)= 일 때,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이고, x의 값이 1에서 까 Ú-1 x+1 `f( +3
x Ú2 x-2
)-f( + Û`)
lim 의 값을 구하시오. f(x)-3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f(x) )
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 일 때, x=1에서의 미분계수 `Ú 0 x`Ú 1 'x-1
를 구하시오.
①1 ②2 ③3
④4 ⑤

0090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중요

다음 보기 중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의 개수는?


시험에 나오는 문제

0093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정답과 풀이 10쪽

0111
서술형 주관식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011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실력 up

평가원 기출
정답과 풀이 12쪽

4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정답과 풀이 12쪽
043

보기 lim `f(g(x))= , ` lim g(`f(x))= 라 할 때, + 의 값 lim `f(x)=¦, lim 3 f(x)-2 g(x) =3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01 함수의 극한

x`Ú 1- x`Ú 1+ x`Ú¦ x`Ú¦


x-2 과 같다.
ㄱ. lim {2-;[!;} ㄴ. lim 을 구하시오. 1 f(x)+4 g(x)

실제 학교 시험에 나왔던 출제율이 높은 문제를 통해 유형을


x`Ú 0 x`Ú 2- |x-2|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2 f(x)+ g(x) -1 4 -1
xÛÛ`- x+ |x| lim `f { } lim `f { }
ㄷ. lim ㄹ. lim
`Ú¦ +1 `Ú-¦ +1
x`Ú 3 x-3 x`Ú 0 xÛ`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의 값은?

①3 ②4
① ②1 ✔③ 2

x+ (x 1)
③ ④ ⑤7
④3 ⑤4

g(x)=à
ㄱ. lim {2
x`Ú 0+

ㄴ. lim
x`Ú 2-

ㄷ. lim
x`Ú 3
x-2
;[!;}=-¦, lim {2

= lim
x-2
x`Ú 0-

|x-2| x`Ú 2- -(x-2)


xÛ`- x+
x-3
=lim(x-2)=1
x`Ú 3
=-1
;[!;}=¦이므로 lim{2 ;[!;}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lim `f(g(x))=f(-1)=
x`Ú 1-

f(x)= 로 놓으면
lim g( f(x))= lim g( )=1
x`Ú 1+ `Ú 1+
∴ =

∴ =1
0111 0112
0115
익혔는지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전력을 기를 수 있
평가원 기출
x`+2 (x 1)
|x| ∴ + =1 xÛ`- x+1
ㄹ. lim
xÛ`
=¦ 두 함수 f(x) , g(x)= xÛ`-x-3x에 대 0116
x`Ú 0
2xÛ`-7x+1

도록 하였습니다.
하여 lim `f(x)+lim g(x)의 값을 구하시오. 함수 f(x)가
0091
x 에서 함수 y=f(x)의 그래 0094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x`Ú¦ x`Ú¦

x f {;[!;}-1
`f(x)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lim = =2, lim

가 x=1에서 연속일 때, g( )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3, lim`g(x)=2 x`Ú + 3-x x`Ú2 xÛ`-3x+2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lim `f(x)=¦, lim 3 f(x)-2 g(x) =3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x`Ú x`Ú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을 구하시오.
중 옳지 않은 것은? 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함수의 극한

① f(1)=1 ① lim -2 f(x) =- x`Ú¦ x`Ú¦


x`Ú
② lim `f(x) 2
② lim 3 f(x)g(x)=1
f(x)+4 g(x) 과 같다.
수)
x`Ú 1-
x`Ú
③ lim`f(x)=f(2) 0113

0193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2 2 f(x)
③ lim =3
④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g(x) 상 중 lim xÛ`+x+1-( x-1)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0117
정답과 풀이 12쪽 -1 4 -1
-2 f(x)+ g(x)
x`Ú¦
x`Ú 1
✔ ④ `lim`f(g(x))=3 x`Ú¦
✔ ⑤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3
x`Ú + 의 값을 구하시오. lim
x`Ú
[x] +x
[x]
= 를 만족시키는 정수 과 실수 에 대하여
lim `f { } lim `f { }
⑤ lim`f(x)=3
⑤ lim [3 f(x) `+2g(x)]=31
x`Ú + 의 값을 구하시오. `Ú¦ +1 `Ú-¦ +1
서술형 주관식
01

x`Ú 3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


④ lim g(x)=2이므로 lim`f(g(x))= f(2)
x`Ú x`Ú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고, , 1)
그런데 f(2)의 값은 알 수 없다.

의 값은?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092
함수 f(x)=
|x-2| (x 1)
-xÛ`+3 (x 1)
에 대하여 시킬 때, 방정식 f(x)= 이 실수 전체의 구간에서 적어도
0095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중요

lim `f(x)=¦, lim 3 f(x)-2g(x) =1


0114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1
`f(x)+2
x-1
2일 때,
0118
x
창의.융합

에서 직선 y=x 위의 점
①3 ②4
비중이④ 높아진 서술형 문제의 풀이 방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
( , )에 대하여 점 를 지나고
lim `f(x)+ lim `f(x)+lim`f(x)
x`Ú 1- x`Ú 1+ x`Ú 3
x`Ú¦ x`Ú¦
(x) lim
f(x) Û`+2f(x)
의 값을 구하시오. ③ ⑤7
0111 0115 `f(x)-2g(x) xÛ`-1 x축, y축에 각각 평행한 직선이 곡선

개의 실근을 갖는다. 의
x`Ú 1

값을 구하시오. 평가원 기출
의 값을 구하시오. 4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x`Ú¦ -2 f(x)+g(x) y=xÛ``과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할
x-2 (x 2)

습니다.
-x+2 (1 x 2) 이므로 3f(x)- (x)
f(x)= g(x)=
2
이고 lim (x)=1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x`Ú ¦
-xÛ`+3 (x 1) `Ú 1
3 f(x)- (x)
(주어진 식)= lim (-xÛ`+3)+ lim (-x+2)+lim (x-2) `f(x)-2 g x f(x)-2
2
x`Ú 1- x`Ú 1+ x`Ú 3 ∴ lim = lim
=2+1+1=4
x`Ú ¦ f x g x x`Ú ¦ 3 f(x)- (x)
-2f(x)+
2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x)

lim `f(x)=¦, lim 3 f(x)-2 g(x) =3 = lim


4 f(x)-2 x
= lim
4-2
f(x)
=4
함수의 극한

x`Ú ¦ f x x x`Ú ¦ (x)


x`Ú¦ x`Ú¦
01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f(x)
01. 함수의 극한 021

f(x)+4 g(x) 0112 과 같다.


일 때, lim 의 값을㈎ 모든
구하시오. 실수 x에 대하여 f(4+x)=f(4-x)
x`Ú¦ -2 f(x)+ g(x) -1 4 -1
lim함수

xÛ`-`fx+1
`f { f(x)} lim
+1
{ }
+1, g(x)= xÛ`-x-3x에 대
실력 UP
㈏ f( )f(3)
`Ú¦ `Ú-¦
2xÛ`-7x+1 0116
01

의 값은? 함수 f(x)가
㈐ f(4)f( )
하여 lim `f(x)+lim g(x)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Ú¦ 난이도 높은 문제를 풀어 봄으로써 어려워지는 학교 시험을 더욱 완벽
①3 ②4 x f {;[!;}-1
x ) ③ ④ ⑤7 lim 하게 대비할
=2, lim수 있습니다.
`f(x)
=
x`Ú + 3-x
x`Ú2 xÛ`-3x+2

x 3)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을 구하시오.

대하여 f(x)=f(x+ )를 만족
0112
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f(1 xÛ`)- x+1
두 함수 f(x) , g(x)= xÛ`-x-3x에 대 0116
2xÛ`-7x+1 0113
상수) 함수
하여 lim `f(x)+lim g(x)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Ú¦
lim f(x)가
xÛ`+x+1-( x-1)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0117
x`Ú¦

+ 의 값을 x f 구하시오.
{;[!;}-1 [x] +x
`f(x) lim = 를 만족시키는 정수 과 실수 에 대하여
lim =2, lim = x`Ú [x]
x`Ú + 3-x x`Ú2 xÛ`-3x+2
+ 의 값을 구하시오.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을 구하시오.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고, , 1)

0113
차례

I 함수의 01 함수의 극한 006


극한과 연속 02 함수의 연속 022

II 미분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8

04 도함수의 활용 ⑴ 054

05 도함수의 활용 ⑵ 066

06 도함수의 활용 ⑶ 082

III 적분 07 부정적분 098

08 정적분 110

09 정적분의 활용 124
개념원리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01 함수의 극한
02 함수의 연속
01 함수의 극한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플러스
01 . 1 함수의 수렴과 발산

1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x) 기호 lim는 극한을 뜻하는 limi 의


약자이며, ‘리미트’라 읽는다.
의 값이 일정한 수 L에 한없이 가까워지면, 함수 f(x)는 L에 수렴한다
고 한다. 이때 L을 함수 f(x)의 x= 에서의 극한값 또는 극한이라 하고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x`Ú 는 x 이면서 x의 값이 에
lim =L 또는 x`Ú 일 때 f(x)`Ú L
`Ú 한없이 가까워짐을 뜻한다.
2 함수 f(x)가 수렴하지 않을 때, 함수 f(x)는 발산한다고 한다.
함수 f(x)에서 x의 값이 가 아니면서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⑴ f(x)의 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고 하고 기호로 다음과 함수의 수렴과 발산은
x`Ú ¦, x`Ú -¦
같이 나타낸다.
인 경우에도 정의할 수 있다.
lim`f(x)=¦ 또는 x`Ú 일 때 f(x)`Ú ¦
x`Ú

⑵ f(x)의 값이 음수이면서 그 절댓값이 한없이 커지면 함수 f(x)는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


다고 하고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lim`f(x)=-¦ 또는 x`Ú 일 때 f(x)`Ú -¦
x`Ú
참고 ¦는 수가 한없이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무한대라 읽는다.

01 . 2 우극한과 좌극한

x의 값이 보다 크면서 에 한없이 가
함수 f(x)의 x= 에서의 우극한과 좌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그 값이 모두 L로 같으면 극한값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lim`f(x)가 존재한다. 또, 그 역도 성립한다. 즉 내고, 보다 작으면서 에 한없이 가
x`Ú
까워지는 것을 x`Ú -와 같이 나타
lim ` lim ` L lim` L
`Ú `Ú - `Ú 낸다.
우극한 좌극한

01 .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두 함수 f(x), g(x)에서 lim`f(x)= , `lim g(x)= `( , 은 실수)일 때
x`Ú x`Ú x`Ú +, x`Ú -,
⑴ lim f(x)= lim`f(x)= `(단, 는 상수) x`Ú ¦, x`Ú -¦
x`Ú x`Ú
인 경우에도 성립한다.
⑵ lim{`f(x)+ g(x) =lim`f(x)+lim g(x)= + `
x`Ú x`Ú x`Ú

⑶ lim{`f(x)- g(x) =lim`f(x)-lim`g(x)= -


x`Ú x`Ú x`Ú

⑷ lim`f(x)g(x)=lim`f(x) lim`g(x)=
x`Ú x`Ú x`Ú

`f(x) lim`f(x)
x`Ú
⑸ lim `(단, )
x`Ú g(x) lim`g(x)
x`Ú

참고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은 극한값이 존재할 때만 성립한다.

00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2쪽

01 . 1 함수의 수렴과 발산 01 . 2 우극한과 좌극한

[0001 ~ 0004] 다음 극한값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구하 001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함수의 극한
시오.
|x| |x|
⑴ lim -1 ⑵ lim 1
x`Ú 0- x x`Ú 0+ x
0001 lim (2x-1) -3
x`Ú -1

01
0002 lim (xÛ`+1) 10
x`Ú 3

0003 lim 'Äx-1 1


x`Ú 2

1
0004 lim ;2!; 0012 함수 y=f(x)의 그래프가
x`Ú 0 x+2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⑴ lim `f(x) 0
x`Ú-2+

⑵ lim `f(x) 2
x`Ú-2-

⑶ lim `f(x) 2
x`Ú 0+
[0005 ~ 0006]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
시오. ⑷ lim `f(x) 2
x`Ú 0-

1 ⑸ lim `f(x) 존재하지 않는다.


0005 lim ¦ x`Ú-2
x`Ú 0 xÛ`
⑹ lim`f(x) 2
x`Ú 0
-1
0006 lim
x`Ú 1 |x-1|

[0007 ~ 0010] 다음 극한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조사하 01 . 3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시오.
[0013 ~ 0016]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lim (x-3)
0007 x`Ú¦ ¦

0013 lim (1-3x) 4


x`Ú-1

lim xÛ`
0008 x`Ú¦ ¦
0014 lim (xÛ`-4)(x+1) -6
x`Ú 1

lim ;[!;
0009 x`Ú-¦ 0 xÛ`-3
0015 lim
x`Ú 3 x-1
3

0010 lim {2+;[!;} 2 0016 lim 7 7


x`Ú-¦ x`Ú4

01. 함수의 극한 007


01 함수의 극한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플러스
01 . 4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꼴과 ¦ 꼴에서 은 숫자 이
1 꼴
아니라 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것을
⑴ 분자, 분모가 모두 다항식이면 분자, 분모를 각각 인수분해하여 약분한다. 나타낸다.
⑵ 분자, 분모 중 무리식이 있으면 근호가 있는 부분을 유리화한다.
¦
2 ¦ 꼴: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자, 분모를 각각 나눈다.
참고 ① (분자의 차수)=(분모의 차수) ⇨ 극한값은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
② (분자의 차수) (분모의 차수) ⇨ 극한값은
③ (분자의 차수) (분모의 차수) ⇨ ¦ 또는 -¦로 발산

3 ¦ ¦꼴
⑴ 다항식은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⑵ 무리식을 포함한 경우에는 근호가 있는 부분을 유리화한다.
¦
4 ¦ 꼴:통분 또는 유리화하여 ,
¦
,¦ ,
¦
`( 는 상수) 꼴로 변형한다.

01 . 5 미정계수의 결정

`f(x)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x`Ú¦ g(x)
`( 인 실수) 이면

`f(x) f(x)와 g(x)의 차수는 같고, 은


⑴ lim `( 은 실수)일 때, lim g(x) 이면 lim`f(x)
x`Ú g(x) x`Ú x`Ú f(x)와 g(x)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다.
`f(x)
⑵ lim `( 인 실수)일 때, lim`f(x) 이면 lim g(x)
x`Ú g(x) x`Ú x`Ú

`f(x)
참고 ⑴ lim = `( 은 실수)일 때, lim g(x)= 이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Ú g(x) x`Ú

`f(x) `f(x)
lim `f(x)=lim g(x) =lim lim g(x)= =
x`Ú x`Ú g(x) x`Ú g(x) x`Ú
`f(x)
⑵ lim = `( 인 실수)일 때, lim `f(x)= 이면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에 의하여
x`Ú g(x) x`Ú

`f(x) `f(x)
lim `g(x)=lim `f(x) =lim `f(x) lim = =
x`Ú x`Ú g(x) x`Ú x`Ú g(x) L

01 . 6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는


두 함수 f(x), g(x)에서 lim`f(x) , lim g(x)= `( , 은 실수)일 때, 에 가까운 모
x`Ú x`Ú x Ú +, x Ú -,
든 x에 대하여 x Ú ¦, x Ú -¦
⑴ f(x) g(x)이면 인 경우에도 성립한다.

⑵ 함수 (x)에 대하여 f(x) (x) g(x)이고 이면 lim (x)


x`Ú

참고 f(x) g(x)이지만 lim `f(x)=lim g(x)인 경우도 있다. 즉, f(x) g(x)인 경우 반드시
x`Ú x`Ú

lim f(x) lim g(x)인 것은 아니다.`


x`Ú x`Ú

00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정답과 풀이 3쪽

01 . 4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0029 ~ 0030]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1
[0017 ~ 002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0029 lim
x`Ú 0
;[!; {1-
x+1
} 1

xÛ`-1
0017 lim -2
x`Ú-1 x+1 2
0030 lim
x`Ú 3 x-3
{x-;[;} 4

함수의 극한
xÛ`- x+
0018 lim
x`Ú 2 x-2
-1

01
xÛ`+ x+4
0019 lim 3
x`Ú-1 x+1

'x-2
0020 lim
x`Ú 4 x-4
; !;

x 01 . 5 미정계수의 결정
0021 lim 4
x`Ú 0 'Äx+4-2
[0031 ~ 0032] 다음 등식이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 의 값을 구
하시오.

x+
0031 lim
x`Ú 2 x-2
3 3, -6

x-1
0032 lim -1 -3, -2
[0022 ~ 0025]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x`Ú 1 xÛ`+ x-

x-2
lim
0022 x`Ú¦ 0
3xÛ`+1

3xÛ`+ x-2
lim
0023 x`Ú¦ ;2;
2xÛ`+1

2x+1
0024 lim ; ;
x`Ú-¦ 3x-1
01 . 6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3xÛ`-2x
lim
0025 x`Ú¦ ¦
x+2 0033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2x-3 f(x) xÛ`-2x-1
을 만족시킬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1

[0026 ~ 0028] 다음 극한을 조사하시오.

lim (xÛ`-3x+2)
0026 x`Ú¦ ¦

lim ( xÛ`+1-x)
0027 x`Ú¦ 0
0034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4xÛ`-1 (xÛ`+1)f(x) 4xÛ`+
lim ( xÛ`+1 x-x)
0028 x`Ú¦ 를 만족시킬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4
x`Ú¦

01. 함수의 극한 009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4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8쪽, 19쪽 |

유형 01 우극한과 좌극한 0037 중 하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우극한과 좌극한을 각각 구하여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두 값이 같으면 ⇨ 극한값이 존재한다.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만을 있는 대
두 값이 다르거나 수렴하지 않으면 ⇨ 극한값이 존재하지
로 고르시오. ㄱ, ㄴ
않는다.

보기
0035 대표문제
ㄱ. lim `f(x) ㄴ. lim`f(x) ㄷ. lim`f(x)
x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 x`Ú-1 x`Ú 1 x`Ú 2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극
ㄱ. lim `f(x)=1
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x`Ú -1

ㄴ. lim `f(x)=-1
x`Ú 1

① lim `f(x) ② lim `f(x) ㄷ. lim `f(x)


x`Ú 2+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2- x`Ú 2
x`Ú 0+ x`Ú 4+

③ lim `f(x) ✔ ④ lim`f(x)


x`Ú - x`Ú 2
0038 중 서술형
⑤ lim`f(x)
x`Ú 3
x+ (x -2)
④ lim `f(x) lim `f(x)이므로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함수 f(x)= 에 대하여
x`Ú 2+ x`Ú 2- x`Ú 2 -xÛ`-4x+3 (x -2)
lim `f(x)의 값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x`Ú-2

lim `f(x)= lim (x+ )=-2+ ◀3


x`Ú -2+ x`Ú -2+

lim `f(x)= lim (-xÛ`-4x+3)=7 ◀3


x`Ú -2- x`Ú -2-

-2+ =7 ∴ = ◀4
0036 중 하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lim`f(x)의 | 개념원리 수학 Ⅱ 18쪽, 19쪽 |


x`Ú

값이 존재하는 것은? 유형 02 함수의 극한값 구하기

① ② ⑴ lim `f(x)= lim `f(x)= lim`f(x)=


x`Ú + x`Ú - x`Ú

⑵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극한


⇨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의 값이 이 되는 x의 값을 기준으로
구간을 나누어 함수의 식을 구한 후 극한값을 구한다.
③ ④

0039 대표문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⑤ lim `f(x)+ lim `f(x)+lim`f(x)
x`Ú-1- x`Ú 0+ x`Ú 1

의 값은?

① ✔②
③7 ④
⑤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x`Ú + x`Ú - x`Ú ⑤
lim `f(x)+ lim `f(x)+lim `f(x)=3+ +3=
x`Ú -1- x`Ú + x`Ú 1

01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040 중
유형 03 합성함수의 극한
-x+1 (x )
함수 f(x)= x(x-1) ( x 1) 에 대하여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g( f(x))의 값은
x`Ú +

3 (x 1) f(x)= 로 놓고 다음을 이용하여 구한다.


lim `f(x)+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4 ⑴ x`Ú +일 때 `Ú -이면 lim g( f(x))= lim g( )
x`Ú 0- x`Ú 1+ x`Ú + `Ú -

함수의 극한
lim `f(x)= lim (-x+1)=1 ⑵ x`Ú +일 때 `Ú +이면 lim g( f(x))= lim g( )
x`Ú - x`Ú - x`Ú + `Ú +
lim `f(x)= lim 3=3
x`Ú 1+ x`Ú 1+ ⑶ x`Ú +일 때 = 이면 lim g( f(x))=g( )
x`Ú +
∴ lim `f(x)+ lim `f(x)=1+3=4

01
x`Ú - x`Ú 1+

0043 대표문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lim g( f(x))- lim `f( g(x))의 값은?
x`Ú 1- x`Ú 0+

0041 중

2xÛ`-3x-2
함수 f(x)= 에 대하여
|x-2|
lim `f(x)= , lim `f(x)= 라 할 때, 실수 , 에 대하여
x`Ú 2+ x`Ú 2-

- 의 값은?
① -2 ② -1 ③
① -1 ②- ③
✔④ 1 ⑤2
④ ✔⑤ 1 f(x)= 로 놓으면 lim g( f(x))= lim g( )=1
x`Ú 1- `Ú +
2xÛ`-3x-2 (x-2)(2x+1) 2x+1 (x 2)
f(x)= = = lim `f( g(x))=f(1)=
|x-2| |x-2| -2x-1 (x 2) x`Ú +

lim `f(x)= lim (2x+1)= ∴ = ∴ lim g( f(x))- lim `f( g(x))=1- =1


x`Ú 2+ x`Ú 2+ x`Ú 1- x`Ú +

lim `f(x)= lim (-2x-1)=- ∴ =-


x`Ú 2- x`Ú 2-

∴ - =1

0044 중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

0042 상 중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lim `f(x)+ lim `f(1-x) 보기
x`Ú 1- x`Ú 1+

의 값은? ㄱ. lim `f( f(x))=-1


x`Ú 1-

① -2 ② -1 ㄴ. lim `f( f(x))=1


x`Ú 1+

③ ④1 ㄷ. lim `f( f(x))=-1


x`Ú-1+
✔⑤ 2
lim `f(x)=2
x`Ú 1-

1-x= 로 놓으면 x`Ú 1+일 때 `Ú -이므로


①ㄱ ②ㄴ ✔③ ㄷ
lim `f(1-x)= lim f( )=
x`Ú 1+ `Ú - ④ ㄱ, ㄴ ⑤ ㄱ, ㄴ, ㄷ
∴ lim `f(x)+ lim `f(1-x)=2+ =2
x`Ú 1- x`Ú 1+ ㄱ. f(x)= 로 놓으면 lim `f( f(x))= lim `f( )=1
x`Ú 1- `Ú -1+

ㄴ. f(x)= 로 놓으면 lim `f( f(x))=f(-1)=-1


x`Ú 1+

ㄷ. f(x)= 로 놓으면 lim `f( f(x))= lim `f( )=-1


x`Ú -1+ `Ú 1-

01. 함수의 극한 011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3쪽 |

유형 04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 0049 중

함수 f(x)에 대하여 lim `f(x- )=3일 때,


x`Ú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1+4 f(x)
⑴ lim f(x)-g(x) = `( 은 실수)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3
x`Ú x`Ú 0 2-f(x)
⇨ f(x)-g(x)= (x)로 놓고 x- = 로 놓으면 x`Ú 일 때 `Ú 이므로
g(x)=f(x)- (x) lim ` (x)= 임을 이용한다. lim`f(x- )=lim`f( )=3
x`Ú
∴ lim`f(x)=3
`Ú 0 x`Ú 0
x`Ú
1+4 f(x) 1+4 3
`f(x- ) ∴ lim = =-13
x`Ú 0 2-f(x) 2-3
⑵ lim = `( 은 실수)일 때
x`Ú x-
`f( ) 0050 중
⇨ x- = 로 놓고 lim = 임을 이용한다.
`Ú `f(x) `f(x-3)
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lim 의
x`Ú 0 x x`Ú 3 xÛ`-
값을 구하시오. ; !;
0045 대표문제
x-3= 로 놓으면 x`Ú 3일 때 `Ú 이므로
두 함수 f(x), g(x)가 f(x-3) f(x-3) f( )
lim =lim =lim
lim`f(x)=¦, lim 2 f(x)-g(x) =3 x`Ú 3 xÛ`- x`Ú 3 (x-3)(x+3) `Ú 0 (+ )
x`Ú 1 x`Ú 1 `f( ) 1
=lim lim =2
+
`f(x)-3g(x) `Ú 0 `Ú 0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x`Ú 1 `3 f(x)-g(x) 0051 중

2 f(x)-g(x)= (x)로 놓으면 g(x)=2 f(x)- (x)이고 lim (x)=3 `f(x)-


x`Ú 1
함수 f(x)에 대하여 lim =1 , lim f(x)= 일 때
∴ lim
`f(x)-3 g(x)
=lim
`f(x)-3 2 f(x)- (x) x`Ú 2 x-2 x`Ú 2
x`Ú 1 3 f(x)-g(x) x`Ú 1 3 f(x)- 2 f(x)- (x)

(x) xÛ`-4
- +3
f(x)
lim 의 값은?
=lim
- f(x)+3 (x)
=lim =-
x`Ú 2 f(x) Û`-2
x`Ú 1 f(x)+ (x) x`Ú 1 (x)
0046 중 하 1+
f(x)
①; ; ②; ; ✔③ ; ;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f(x)=2, lim `g(x)= ④; ; ⑤; ;
x`Ú 1 x`Ú 1

`f(x)+3g(x) xÛ`-4 (x-2)(x+2) x+2


일 때, lim =;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을 lim
f(x) Û`-2
=lim
f(x)- f(x)+
=lim
x`Ú 1 `f(x)g(x)-4 x`Ú 2 x`Ú 2 x`Ú 2 `f(x)-
f(x)+
x-2
구하시오. -2 lim (x+2)
x`Ú 2 4
= = =; ;
`f(x)+3 g(x) 2+3 `f(x)- 1 ( + )
lim = =; !; lim lim f(x)+
x`Ú 1 f(x)g(x)-4 2 -4 x`Ú 2 x-2 x`Ú 2

4+ =2 -4 ∴ =-2 0052 상 중

다음 보기 중에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0047 중 하

보기
`f(x) xÛ`-3 f(x)
함수 f(x)에 대하여 lim =3일 때, lim ㄱ. lim `f(x)와 lim g(x)가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x`Ú 0 x x`Ú 0 7xÛ`+f(x)
x`Ú x`Ú

의 값을 구하시오. -3 lim f(x)+g(x) 도 존재하지 않는다.


x`Ú
f(x)
xÛ`-3 f(x)
x-3
x ㄴ. lim f(x)+2 g(x) 와 lim 2 f(x)+g(x) 의 값이
-3 3 x`Ú x`Ú
lim =lim -3
x`Ú 0 7xÛ`+f(x) x`Ú 0 f(x) +3
7x+
x
각각 존재하면 lim `f(x)의 값도 존재한다.
x`Ú
ㄷ. lim`f(x)와 lim`f(x)g(x)의 값이 각각 존재하면
x`Ú x`Ú
0048 중 서술형
lim`g(x)의 값도 존재한다.
x`Ú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2, lim 2 f(x)+ g(x) =
x`Ú 2 x`Ú 2 ①ㄱ ✔② ㄴ ③ ㄱ, ㄴ
일 때, lim`g(x)의 값을 구하시오. 10
④ ㄴ, ㄷ ⑤ ㄱ, ㄴ, ㄷ
x`Ú 2
(x ) 1 (x )
2 f(x)+g(x)= (x)로 놓으면 ㄱ. [반례] f(x)= , g(x)=
◀4 1 (x ) (x )
g(x)= (x)-2 f(x)이고 lim (x)=
x`Ú 2
ㄴ. lim f(x)+2 g(x) = , lim 2 f(x)+g(x) = 라 하면
∴ lim`g(x)=lim (x)-2 f(x) = -2 (-2)=1 ◀ x`Ú x`Ú
x`Ú 2 x`Ú 2
lim`f(x)=lim ; ;! [ 2 2 f(x)+g(x) - f(x)+ 2 g(x) ]= (2 - )
x`Ú x`Ú

(x )
ㄷ. [반례] f(x)= , g(x)=
1 (x )
01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5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24쪽 |

유형 05 ; ; 꼴의 극한 - 유리식 유형 06 ; ; 꼴의 극한 - 무리식

분자, 분모가 모두 다항식인 경우 분자, 분모 중 무리식이 있는 경우


⇨ 분자, 분모를 각각 인수분해하여 약분한다. ⇨ 근호가 있는 부분을 유리화한다.

함수의 극한
0053 대표문제 0057 대표문제

x`+ xÛ`+ -3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 lim 의 값은?
x`Ú-2 2xÛ`+3x-2 x`Ú 2 x-2

01
x`+ (x+2)(xÛ`-2x+4)
lim = lim
x`Ú -2 2xÛ`+3x-2 x`Ú -2 (x+2)(2x-1) ① -; ; ② -; !; ③ ; !;
xÛ`-2x+4
= lim =-
x`Ú -2 2x-1
✔④ ; ; ⑤1
xÛ`+ -3 ( xÛ`+ -3)( xÛ`+ +3)
lim =lim
x`Ú 2 x-2 x`Ú 2
(x-2)( xÛ`+ +3)
(x-2)(x+2)
=lim
0054 중
x`Ú 2
(x-2)( xÛ`+ +3)
x+2
=lim
(x`-1) x`Ú 2
xÛ`+ +3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x`Ú 1 (xÛ`-1) f(x)
f(1)의 값은? (단, f(x) )

✔① ②1 ③2
④4 ⑤
(x`-1) (xÛ`-1)(xÛ`+1) (xÛ`+1) 1 0058 중

lim =lim =lim =


(xÛ`-1)f(x) x`Ú 1 (xÛ`-1) f(x)
x`Ú 1 x`Ú 1 f(x) f(1) 'Ä1-x -'Ä1+x`
즉,
1
=2이므로 f(1)=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f(1)
x`Ú 0 'Ä4+x -'Ä4-x`
'Ä1-x-'Ä1+x
lim
x`Ú 0 'Ä4+x-'Ä4-x
('Ä1-x-'Ä1+x )('Ä1-x+'Ä1+x )('Ä4+x+'Ä4-x )
=lim
x`Ú 0 ('Ä4+x-'Ä4-x )('Ä4+x+'Ä4-x )('Ä1-x+'Ä1+x )
'Ä4+x+'Ä4-x
0055 중
=lim {- }
x`Ú 0 'Ä1-x+'Ä1+x
`f(x)+3 =-2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x`Ú 1 x-1
f(x) Û`+3f(x)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f(x) ) 1
x`Ú 1 xÛ`f(x)-f(x)
f(x) Û`+3 f(x) `f(x) f(x)+3 f(x)+3
lim
x`Ú 1 xÛ` f(x)-f(x)
=lim
x`Ú 1 f(x)(xÛ`-1)
=lim
x`Ú 1 (x-1)(x+1)
0059 중

`f(x)+3 1
=lim
x`Ú 1 x-1
lim
x`Ú 1 x+1
=2 1 함수 f(x)에 대하여 lim
x`Ú 1
`f(x)=3일 때,
`f(x)(x-1)
lim 의 값은?
x`Ú 1 'x-1

① ✔② ③7
0056 중
④ ⑤
x xÛ`+x
lim = , lim = 라 할 때, 실수 , lim
`f(x)(x-1)
=lim
`f(x)(x-1)('x+1)
=lim`f(x)('x+1)
x`Ú 0+ x+|x| x`Ú-1+ |xÛ`-1| x`Ú 1 'x-1 x`Ú 1 ('x-1)('x+1) x`Ú 1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0 =lim`f(x) lim('x+1)


x`Ú 1 x`Ú 1

=3 2=
x x
lim = lim =; !; ∴ =; !;
x`Ú 0+ x+|x| x`Ú 0+ x+x

xÛ`+x xÛ`+x x(1+x) x


lim = lim = lim = lim =-; !;
x`Ú -1+ |xÛ`-1| x`Ú -1+ 1-xÛ` x`Ú -1+ (1+x)(1-x) x`Ú -1+ 1-x
∴ =-; !;
∴ + =

01. 함수의 극한 013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5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26쪽, 27쪽 |


¦
유형 07 ¦ 꼴의 극한
유형 08 ¦-¦, ¦ 0 꼴의 극한값

분모의 최고차항으로 분자, 분모를 각각 나눈다. ⑴ ¦-¦ 꼴


① 다항식 ⇨ 최고차항으로 묶는다.
lim 0`( 는 실수, 는 자연수)임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x`Ú ¦ x` ② 무리식 ⇨ 근호가 있는 부분을 유리화한다.
구한다. ⑵¦ 꼴
⇨ 통분 또는 유리화하여
0060 대표문제 ¦
; ;, ,¦ , `( 는 상수) 꼴로 변형한다.
¦ ¦
xÛ`-3x +x
lim 의 값은?
x`Ú-¦
xÛ`-1-'Ä3-x
0064 대표문제

①2 ②1 ③ ; !; lim ( xÛ`+2x+3+x)의 값은?


x`Ú-¦

✔④ ⑤ -; !; ①2 ②1 ✔ ③ -1
x=- 로 놓으면 ④ -2 ⑤ -3
1+; ;-1 x=- 로 놓으면
xÛ`-3x+x Û`+3 -
lim =lim =lim = ( Û`-2 +3- )( Û`-2 +3+ )
x`Ú -¦
xÛ`-1-'Ä3-x `Ú ¦
Û`-1-'Ä3+ `Ú ¦ 1 3 1 (주어진 식)=lim ( Û`-2 +3- )=lim
1- - + `Ú ¦ `Ú ¦
Û` Û` Û`-2 +3+
3
-2+
-2 +3 -2
=lim =lim = -1
`Ú ¦
Û`-2 +3+ `Ú ¦ 2 3 1+1
0061 중 하 1- + +1
Û`
`f(x+1)-f(x)
함수 f(x)=x(x+1)에 대하여 lim 의값 0065 중
x`Ú¦ x-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을 구하시오. 2

`f(x+1)- f(x) (x+1)(x+2)-x(x+1) 1


lim
x`Ú ¦ x-1
= lim
x`Ú ¦ x-1 ⑴ lim 4
x`Ú¦
4xÛ`+x-2x
2+;[;
2(x+1)
= lim = lim =2 1 1
x`Ú ¦ x-1 x`Ú ¦
1-;[!; ⑵ lim - -; !;
x`Ú 1 x-1 (x+1)Û`
` 4xÛ`+x+2x ` 4xÛ`+x+2x
⑴ (주어진 식)= lim = lim
x`Ú ¦ ( 4xÛ`+x-2x)( 4xÛ`+x+2x) x`Ú ¦ x
0062 중 하

= lim { 4+;[!;+2}=4
2xÛ`+3x+ xÛ`+1-2 x`Ú ¦

lim +lim 의 값을 구하시오. 3 `1 -xÛ`-2x+3 -(x-1)(x+3)


x`Ú¦ xÛ`-2x+1 x`Ú¦ x ⑵ (주어진 식)=lim
x`Ú 1x-1 4(x+1)Û
=lim
x`Ú 1 4(x-1)(x+1)Û`

-(x+3)
2+;[; =lim =-; !;
x`Ú 1 4(x+1)Û`
xÛ` 1
(주어진 식)= lim + lim { 1+ -;[;}=2+1=3 0066 중
x`Ú ¦ 1 x`Ú ¦ xÛ`
1-;[;
xÛ`
x
lim `xÛ` {1+ }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xÛ`+2
x=- 로 놓으면
0063 중
- Û`+2-
(주어진 식)=lim Û`{1+ }=lim Û`
`f(x) `Ú ¦
Û`+2 `Ú ¦
Û`+2
함수 f(x)에 대하여 lim =3일 때,
x`Ú¦ x =lim Û`
( Û`+2- )( Û`+2+ )
=lim
2 Û`
`Ú ¦ `Ú ¦
Û`+2 ( Û`+2+ ) Û`+2 ( `Û +2+ )
3xÛ`+4 f(x)
lim 의 값은? =lim
2
=
2
=1
x`Ú¦ 2xÛ`-f(x) 1 (1+1)
`Ú ¦ 2 2
0067 중 1+
Û`
{ 1+ +1}

①1 ✔② ; ; ③2 lim `( xÛ`+ x- xÛ`- x )=3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
x`Ú¦

④; ; ⑤3 오. 3
( xÛ`+ x- xÛ`- x )( xÛ`+ x+ xÛ`- x )
lim
lim ( xÛ`+ x- xÛ`- x )=x`Ú
f(x) x`Ú ¦ ¦
xÛ`+ x+ xÛ`- x
3+
;[;
3xÛ`+4 f(x) x 3+3 0
lim = lim = =; ; 2 x
x`Ú ¦ 2xÛ`-f(x) x`Ú ¦ f(x) 2-3 0 = lim
2- ;[!; x`Ú ¦
xÛ`+ x+ xÛ`- x
x
2 2
= lim = 3
x`Ú ¦ 1+1
1+ + 1-
x x
∴ =3

01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6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32쪽 |

유형 09 미정계수의 결정 0072 중

xÛ`+x-
lim 의 값이 이 아닌 실수일 때,
x`Ú 일 때 x`Ú 2 xÛ`-
⑴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모) `Ú 이면 ⇨ (분자) `Ú xÛ`-1
lim 의 값은? (단, 는 상수)
x`Ú 1 xÛ`- x+3
⑵ 이 아닌 극한값이 존재하고 (분자) `Ú 이면 ⇨ (분모) `Ú
✔ ① -1 ② -; !; ③ ; !;

함수의 극한
0068 대표문제 ④1 ⑤2
x`+x+ lim`
xÛ`+x-
의 값이 이 아닌 실수이고 lim (xÛ`+x- )= 이므로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01
lim x`Ú 2 xÛ`- x`Ú 2
x`Ú 1 x-1
lim (xÛ`- )=4- = ∴ =4
x`Ú 2

✔① - ②- ③ -4 xÛ`-1 xÛ`-1 (x-1)(x+1)


∴ lim =lim =lim
x`Ú 1 xÛ`- x+3 x`Ú 1 xÛ`-4x+3 x`Ú 1 (x-1)(x-3)
④ -3 ⑤ -2 x+1
=lim =-1
x`+x+
x`Ú 1 x-3
lim` =7에서 lim (x-1)= 이므로
x`Ú 1 x-1 x`Ú 1

lim ( x`+x+ )= +1+ = ∴ =- -1


0073 중

x`Ú 1

x`+x+ x`+x- -1 (x-1)( xÛ`+ x+ +1) xÛ`+ x+ -


lim`
x-1
=lim
x-1
=lim
x-1
lim =1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x`Ú 1 x`Ú 1 x`Ú 1 x`Ú 0 'Ä +x-'Ä -x`
` =lim ( xÛ`+ x+ +1)=3 +1=7
x`Ú 1
값을 구하시오. (단, , ) 20
∴ =2, =-3 ∴ =-
xÛ`+ x+ -
lim` =1에서 lim ('Ä +x-'Ä -x`)= 이므로
x`Ú 0 x`Ú 0
0069 중 하 'Ä +x-'Ä -x`
lim ( xÛ`+ x+ - )=' - = ∴ = Û`
`'Äx+ - x`Ú 0

lim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lim


xÛ`+ x+ `Û -
=lim
(xÛ`+ x)('Ä +x+'Ä -x)
=
'
=1
x`Ú 2 x-2 'Ä +x-'Ä -x
x`Ú 0 x`Ú 0
2x( xÛ`+ x+ Û`+ ) 2

구하시오. 0 ∴ =4, =1 ∴ + =2

'x+ -
lim`
x`Ú 2 x-2
= 에서 lim (x-2)= 이므로
x`Ú 2 0074 상 중

lim`('x+ - )='2+ - =
x`Ú 2
∴ ='2+ lim ( 2xÛ`+x+1- x)=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x`Ú¦
'x+ - 'Äx+ -'Ä2+ x-2
lim` =lim =lim
x`Ú 2 x-2 x`Ú 2 x-2 x`Ú 2
(x-2)('Äx+ +'Ä2+ ) 값은? (단, )
1 1
=lim = =; !;
x`Ú 2
'Äx+ +'Ä2+ 2'Ä2+ ① -; ; ② -; !; ✔ ③ ; !;
∴ =2, =2 ∴ - =

0070 중 서술형
④1 ⑤; ;
xÛ`-x-3+ x
lim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lim ( 2xÛ`+x+1- x)= lim
(2- Û`)xÛ`+x+1
`㉠
x`Ú -3 x+3 x`Ú ¦
2xÛ`+x+1+ x x`Ú ¦

㉠의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2- Û`= ∴ ='2`(∵ )


의 값을 구하시오. ; ;
1+;[!; '2 '2
xÛ`-x-3+ x x+1
lim ` = 에서 lim (x+3)= 이므로 lim = lim = ∴ =
x`Ú-3 x+3 x`Ú-3
x`Ú ¦
2xÛ`+x+1+'2x x`Ú ¦ 1 1 4 4
2+ + +'2`
∴ =1 ◀4 x xÛ`
lim `( xÛ`-x-3+ x)=3-3 =
x`Ú-3
'2
xÛ`-x-3+x -1 ∴ ='2 =; !;
lim
x`Ú -3 x+3
= lim
x`Ú -3
xÛ`-x-3-x
=-; !; ∴ =-; !; ◀ 0075 상 중 4

∴ + =1+{- }=; ; ◀1 xÛ`+ x+


함수 f(x)= 에 대하여
xÛ`+x-2
0071 중 lim `f(x)=1, `lim`f(x)=-1
x`Ú¦ x`Ú 1

xÛ`-1 일 때, - + 의 값은? (단, , , 는 상수)


lim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x`Ú -1 3xÛ`-x-
①2 ②4 ③
구하시오. (단, ) ;;
xÛ`-1
④ ✔⑤ 1
lim ` = ( )에서 lim (xÛ`-1)= 이므로 +;[;+
x`Ú-13xÛ`-x- x`Ú-1
xÛ`+ x+ xÛ`
lim `f(x)= lim = lim =1 ∴ =1
lim (3xÛ`-x- )=3+1- = ∴ =4 x`Ú ¦ x`Ú ¦ xÛ`+x-2 x`Ú ¦ 2
x`Ú-1 1+;[!;-
xÛ`
xÛ`-1 (x-1)(x+1) x-1
lim = lim = lim =; ; ∴ =; ; xÛ`+ x+
x`Ú -1 3xÛ`-x-4 x`Ú -1 (x+1)(3x-4) x`Ú -1 3x-4 lim`f(x)=lim =-1에서 lim(xÛ`+x-2)= 이므로
x`Ú 1 x`Ú 1 xÛ`+x-2 x`Ú 1

∴ =4 =; ; lim(xÛ`+ x+ )=1+ + = ∴ =- -1
x`Ú 1

xÛ`+ x- -1 x+1+ 2+
lim`f(x)=lim =lim = =-1
x`Ú 1 xÛ`+x-2
x`Ú 1 x`Ú 1 x+2 3
∴ =- , =4 ∴ - + =1-(- )+4=1
01. 함수의 극한 015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8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33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34쪽 |

유형 10 다항함수의 결정 유형 11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x) (x) g(x)이고 lim`f(x)=lim g(x)= `( 은 실수)


x`Ú x`Ú
`f(x) 이면 ⇨ lim` (x)=
⑴ lim = (`g(x) , 은 이 아닌 실수)이면
x`Ú ¦ g(x) x`Ú

⇨ (`f(x)의 차수)=(`g(x)의 차수)이고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는 이다. 0080 대표문제

`f(x)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⑵ lim` = ( 은 실수)일 때, lim`g(x)= 이면
x`Ú g(x) x`Ú
x+2 xÛ`+ x+3
⇨ lim` f(x)= f(x)
x`Ú 3x+1 3xÛ`+2x+1
을 만족시킬 때, lim `f(x)의 값은?
x`Ú¦

0076 대표문제
✔ ① ; !; ② ; !; ③1
`f(x)
다항함수 f(x)가 lim =2, lim `f(x)=-3을 만족
x`Ú ¦ 2x-1 x`Ú -1
④4 ⑤
시킬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13
x+2 xÛ`+ x+3
lim =; !;, lim =; !;이므로
f(x) x`Ú ¦ 3x+1 x`Ú ¦ 3xÛ`+2x+1
lim 2에서 f(x)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인 일차함수임을 알 수 있다.
x`Ú ¦ 2x-1
lim `f(x)=; !;
즉, f(x)=4x+ `( 는 상수)로 놓으면 x`Ú ¦

lim `f(x)= lim (4x+ )=-4+ =-3 ∴ =1


x`Ú -1 x`Ú -1

따라서 f(x)=4x+1이므로 f(3)=13


0081 중 하

0077 중

`f(x) `f(x)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삼차함수 f(x)가 lim =4, lim =-2를 만족 3xÛ`+1 (xÛ`+2) f(x) 3xÛ`+
x`Ú 0 x x`Ú 1 x-1

f( )= f(1)=
`f(x) 를 만족시킬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3
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x`Ú¦
x`Ú 2 x-2
f(x)=x(x-1)( x+ )( , 는 상수)로 놓으면 3xÛ`+1 3xÛ`+
f(x) 이고
`f(x) xÛ`+2 xÛ`+2
lim =lim (x-1)( x+ )=- =4 ∴ =-4
x`Ú 0 x x`Ú 0 3xÛ`+1 3xÛ`+
lim =3, lim =3이므로
x`Ú ¦ xÛ`+2 x`Ú ¦ xÛ`+2
`f(x)
lim =lim x( x+ )= + = -4=-2 ∴ =2
x`Ú 1 x-1 x`Ú 1 lim `f(x)=3
x`Ú ¦
`f(x)
∴ lim =lim 2x(x-1)=4
0078 중 x`Ú 2 x-2 x`Ú 2 0082 중 하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f(-1)의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값을 구하시오. 3 xÛ`-x-1 f(x) xÛ`-x+1
`f(x)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은?
`f(x)-2x` `f(x)
x`Ú¦ xÛ`
㈎ lim =2 ㈏ lim =-3
x`Ú¦ xÛ` x`Ú 0 x ① -1 ② ✔③ 1
④2 ⑤3
㈎에서 f(x)-2x`=2xÛ`+ x+ `( , 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xÛ`-x-1 `f(x) xÛ`-x+1
f(x)=2x`+2xÛ`+ x+ 이고
xÛ` xÛ` xÛ`
㈏에서 lim x= 이므로 lim`f(x)= ∴ =
x`Ú 0 x`Ú 0 xÛ`-x-1 xÛ`-x+1
lim =1, lim =1이므로
`f(x) x`Ú ¦ xÛ` x`Ú ¦ xÛ`
∴ lim =lim(2xÛ`+2x+ )= =-3
x`Ú 0 x x`Ú 0 `f(x)
lim =1
0079 상 중 따라서 f(x)=2x`+2xÛ`-3x이므로 f(-1)=3 x`Ú ¦ xÛ`
`f(x) `f(x) 0083 중
lim =1, lim =1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 f(x)
x`Ú 1 x-1 x`Ú 2 x-2
함수 f(x)가 모든 양의 실수 x에 대하여
중 차수가 가장 낮은 것을 g(x)라 할 때, g(3)의 값은? 3x+2 f(x) 3x+4
f(1)= f(2)=
① -2 ② ③2 `f(x) `Û
를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Û`+1
④4 ✔⑤
f(x)=(x-1)(x-2) (x) ( (x)는 다항함수)로 놓으면 (3x+2)` f(x) Û` (3x+4)`
이고
f(x)

xÛ`+1 xÛ`+1 xÛ`+1


lim =lim (x-2) (x)=1 ∴ (1)=-1 (3x+2)` (3x+4)`
x`Ú 1 x-1 x`Ú 1
lim = , lim = 이므로
f(x)
x`Ú ¦ xÛ`+1 x`Ú ¦ xÛ`+1
aC
lim =lim (x-1) (x)=1 ∴ (2)=1 f(x) Û`
x`Ú 2 x-2 x`Ú 2
lim =
(x)= x+ `( , 는 상수)로 놓으면 (1)= + =-1, (2)=2 + =1
x`Ú ¦ xÛ`+1
∴ =2, =-3
01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따라서 (x)=2x-3이므로 g(x)=(x-1)(x-2)(2x-3) ∴ g(3)=
유형 정답과 풀이 9쪽

| 개념원리 수학 Ⅱ 35쪽 |

유형
12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극한 유형
13 함수의 극한의 활용

[x]가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일 때, 정수 에 대하여 구하는 선분의 길이 또는 점의 좌표 등을 식으로 나타내고 극한

함수의 극한
⑴ x`Ú +일 때, x +1이므로 lim [x]= 의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x`Ú +

⑵ x`Ú -일 때, -1 x 이므로 lim [x]= -1


x`Ú -

01
0087 대표문제

곡선 y=xÛ` 위를 움직이는 점
0084 대표문제
(x, y)에 대하여 (x)는 세 점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 , ), (x, y), (1, )을 꼭짓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넓이이고,
[x] x+1
① lim =1 ② lim =1 (x)는 세 점 ( , ), (x, y),
x`Ú 1+ x x`Ú 0+ [x+1]
( , 4)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x-1]
③ lim =2 ✔ ④ lim [-x`+ x- ]= (x)
x`Ú 0- x-1 x`Ú 3
의 넓이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x ) ; !;
x`Ú¦ x x
x-1
✔ ⑤ lim =1
x`Ú 0 [x-1] (x)=; !; 1 y= y= xÛ` (x)=; !; 4 x=2x

④ lim [-xÛ`+ x- ]=-1 xÛ`


(x) xÛ`
x`Ú 3
∴ lim = lim = lim =; !;
`x-1 `x-1 `x-1
x`Ú ¦ x (x) x`Ú ¦ 2xÛ` x`Ú ¦ 4xÛ`
⑤ lim lim 이므로 lim 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x-1] x`Ú 0- [x-1] x`Ú 0 [x-1]

0088 상 중

원점 를 지나고 중심이 y축 위에
있는 원의 중심을 , 곡선 y=2xÛ`과
0085 중
원 의 제1사분면에서의 교점을 라
[x] [x] [x] [x] 하자. 점 가 곡선 y=2xÛ`을 따라 원
lim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x`Ú 3+ xÛ`-x x`Ú 3- [x]
점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원의 중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심 는 어떤 점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lim [x]=3, lim [x]=2이므로
x`Ú 3+ x`Ú 3- 가?
3Û`+3 2Û`+2
(주어진 식)= + =
3Û`-3 2
✔ ① { , ; !;} ② { , ; !;} ③{ ,; !}

④ { , ; ;} ⑤ { , ; ;}

0086 상 중
( , 2 Û`)`( ), ( , y)로 놓으면 =y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Û`+(2 Û`-y)Û`=y, Û`+4 `-4y Û`+yÛ`=yÛ` ∴ y= Û`+; !;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그 값이 나 lim`y=lim{ Û`+; !;}=; !;이므로 원의 중심 는 점 { , ; !;}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Ú 0 `Ú 0

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0089 상 중 서술형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곡선 y=xÛ` 위를 움직이는 점 ( , Û` )


정수이다.) 과 를 만족시키는 x축 위의

✔ ① lim [ f(x)] ② lim [ f(x)] ③ lim [ f(x)] 점 에 대하여 직선 와 y축의 교점


x`Ú2+ x`Ú2- x`Ú-2-
의 y좌표를 f( )라 하자. 점 가 원점
④ lim [ f(x)] ⑤ lim [ f(x)]
x`Ú-2+ x`Ú-2 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f( )는 어떤
① -1 ②, ③, ④, ⑤ 값에 한없이 가까워지는지 구하시오. 2
( Û`+ `,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 Û` (단, 두 점 , 의 x좌표는 양수이다.)
y- Û`= (x- ) ◀3
Û`+ `-
- Û` Û`
위의 식에 x= 을 대입하면 y- Û`= (- )=
Û`+ `- 1+ Û`-1
Û`
∴ f( )= + Û`` ◀3
1+ Û`-1
∴ lim `f( )= lim {
Û`
+ Û`} 01. 함수의 극한 017
`Ú 0+ `Ú 0+
1+ `Û -1
= lim
`Ú 0+
( 1+ Û`+1+ Û`)=2 ◀4
시험에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10쪽

0090 중요 0093
다음 보기 중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보기 lim `f(g(x))= , ` lim g(`f(x))= 라 할 때, + 의 값
x`Ú 1- x`Ú 1+
x-2
ㄱ. lim {2-;[!;} ㄴ. lim 을 구하시오. 1
x`Ú 0 x`Ú 2- |x-2|

xÛÛ`- x+ |x|
ㄷ. lim ㄹ. lim
x`Ú 3 x-3 x`Ú 0 xÛ`

① ②1 ✔③ 2
④3 ⑤4
ㄱ. lim {2 ;[!;}=-¦, lim {2 ;[!;}=¦이므로 lim{2 ;[!;}은 존재하지 않는다.
x`Ú 0+ x`Ú 0- x`Ú 0

x-2 x-2 lim `f(g(x))=f(-1)= ∴ =


ㄴ. lim = lim =-1 x`Ú 1-
x`Ú 2- |x-2| x`Ú 2- -(x-2)
f(x)= 로 놓으면
xÛ`- x+
ㄷ. lim =lim(x-2)=1 lim g( f(x))= lim g( )=1 ∴ =1
x`Ú 3 x-3 x`Ú 3 x`Ú 1+ `Ú 1+

|x| ∴ + =1
ㄹ. lim =¦
x`Ú 0 xÛ`

0091
x 에서 함수 y=f(x)의 그래 0094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lim`f(x)=3, lim`g(x)=2
x`Ú x`Ú

중 옳지 않은 것은? 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f(1)=1 ① lim -2 f(x) =-


x`Ú
② lim `f(x) 2
x`Ú 1- ② lim 3 f(x)g(x)=1
x`Ú
③ lim`f(x)=f(2) 2 f(x)
x`Ú 2
③ lim =3
④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g(x)
x`Ú 1
✔ ④ `lim`f(g(x))=3
✔ ⑤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x`Ú
x`Ú 3
⑤ lim [3 f(x) `+2g(x)]=31
⑤ lim`f(x)=3 x`Ú
x`Ú 3
④ lim g(x)=2이므로 lim`f(g(x))= f(2)
x`Ú x`Ú

그런데 f(2)의 값은 알 수 없다.

0092
|x-2| (x 1)
0095 중요

함수 f(x)= 에 대하여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xÛ`+3 (x 1)
lim `f(x)=¦, lim 3 f(x)-2g(x) =1
lim `f(x)+ lim `f(x)+lim`f(x) x`Ú¦ x`Ú¦
x`Ú 1- x`Ú 1+ x`Ú 3 (x)
`f(x)-2g(x)
의 값을 구하시오. 4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x`Ú¦ -2 f(x)+g(x)
x-2 (x 2)
-x+2 (1 x 2) 이므로 3f(x)- (x)
f(x)= g(x)= 이고 lim (x)=1
2 x`Ú ¦
-xÛ`+3 (x 1)
3 f(x)- (x)
(주어진 식)= lim (-xÛ`+3)+ lim (-x+2)+lim (x-2) `f(x)-2 g x f(x)-2
2
x`Ú 1- x`Ú 1+ x`Ú 3 ∴ lim = lim
=2+1+1=4
x`Ú ¦ f x g x x`Ú ¦ 3 f(x)- (x)
-2f(x)+
2
(x)
4-2
4 f(x)-2 x f(x)
= lim = lim =4
x`Ú ¦ f x x x`Ú ¦ (x)
1+
f(x)
01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096 0099
`f(x) 'Ä1+x-'Ä1-x`
함수 f(x)에 대하여 lim 4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0 x x`Ú 0 x
`f(x-2) 'Ä1+x-'Ä1-x ('Ä1+x-'Ä1-x )('Ä1+x+'Ä1-x )
lim 의 값은? lim
x
=lim
x`Ú 2 xÛ`-4 x`Ú x`Ú
x('Ä1+x+'Ä1-x )
2 2
=lim = =1
1+1

함수의 극한
x`Ú
'Ä1+x+'Ä1-x
① ② ✔③ 1

④ ⑤

01
x-2= 로 놓으면

lim
`f(x-2)
=lim
`f(x-2)
=lim
`f( ) 0100
x`Ú 2 xÛ`-4 x`Ú 2 (x-2)(x+2) `Ú ( +4)
`f( ) 1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lim lim =4 =1
`Ú `Ú +4
보기
3x+1
ㄱ. lim =3
x`Ú¦ xÛ`+2x-3
2xÛ`
0097 ㄴ. lim =; ;
x`Ú¦ 3xÛ`-1
다음 보기 중에서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xÛ`+1+x
ㄷ. lim =1
있는 대로 고른 것은? x`Ú¦ 2x
보기
f(x) ①ㄱ ②ㄴ ③ ㄱ, ㄷ
ㄱ. lim`g(x)와 lim 의 값이 각각 존재하면
x`Ú x`Ú g x ✔ ④ ㄴ, ㄷ ⑤ ㄱ, ㄴ, ㄷ
lim`f(x)의 값도 존재한다.
x`Ú

f(x)
ㄴ. lim`f(x)와 lim 의 값이 각각 존재하면
x`Ú x`Ú g x
lim`g(x)의 값도 존재한다.
x`Ú

ㄷ. lim {`f(x)+ g(x) 와 lim {`f(x)- g(x) 의 값이


x`Ú x`Ú

각각 존재하면 lim
x`Ú
`f(x)의 값도 존재한다.
0101
lim ( xÛ`+3x+4-x)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①ㄱ ② ㄱ, ㄴ ✔ ③ ㄱ, ㄷ
( xÛ`+3x+4-x)( xÛ`+3x+4+x)
(주어진 식)= lim
④ ㄴ, ㄷ ⑤ ㄱ, ㄴ, ㄷ x`Ú ¦
xÛ`+3x+4+x
f(x) f(x) 3+;[;
ㄱ. lim g(x)= , lim = ( , 는 실수)라 하고 = (x)로 놓으면 3x+4
x`Ú x`Ú g(x) g(x) = lim = lim
x`Ú ¦
xÛ`+3x+4+x x`Ú ¦ 4
1+;[;+ +1
lim`f(x)=lim`g(x) (x)=lim
x`Ú
`g(x) lim
x`Ú
` (x)= xÛ`
x`Ú x`Ú
3
1 (x ) = =; ;
ㄴ. [반례] f(x)= , g(x)= 1+1
2 (x )
ㄷ. lim
x`Ú
f(x)+ g(x) = , lim
x`Ú
f(x)- g(x) = ( , 는 실수)라 하고
f(x)+ g(x)= (x), f(x)- g(x)= (x)로 놓으면 0102
(x)+ (x) +
lim`f(x)=lim = 1 2
x`Ú x`Ú lim ;[!; { - }의 값은?
x`Ú 0 'Ä1-x` 'Ä4-x`
0098
4(x`-1)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f(1) ① ; !; ② ; !; ✔③ ; ;
(xÛ`-1)f(x)` x`Ú 1

의 값을 구하시오. (단, f(x) ) 3 ④ ; !; ⑤; ;


4(x`-1) 4(x-1)(xÛ`+x+1) 4(xÛ`+x+1)
lim =lim =lim '4-x-2'1-x
x`Ú 1 (xÛ`-1) f(x) x`Ú 1 (x+1)(x-1) f(x) x`Ú 1 (x+1) f(x)
(주어진 식)=lim{;[!; }
x`Ú
'1-x'4-x
12
= =2 ('4-x-2'1-x )('4-x+2'1-x )
2 f(1) lim ;[!;
∴ f(1)=3
x`Ú
'1-x'4-x`('4-x+2'1-x )
3 3
lim = =; ;
x`Ú
'1-x'4-x`('4-x+2'1-x ) 2(2+2)

01. 함수의 극한 019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103 교육청 기출 0107


두 상수 , 에 대하여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4x+ xÛ`-1 f(x) 3xÛ`-4x+1
lim
'Äx+1-2
x`Ú 3 `f(x)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1 x-1
일 때, + 의 값은? x 1일 때,
xÛ`-1 `f(x) 3xÛ`-4x+1 `f(x)
∴ x+1 3x-1
①3 ② ③7 x-1 x-1 x-1 x-1
`f(x)
④ ✔ ⑤ 11 이때 lim (x+1)=2, lim (3x-1)=2이므로 lim =2
x`Ú 1+ x`Ú 1+ x`Ú 1+ x-1
xÛ`-4x+
lim = 에서 lim ('x+1-2)= 이므로 x 1일 때,
x`Ú 3'x+1-2 x`Ú 3
3xÛ`-4x+1 `f(x) `f(x)
xÛ`-1
lim (xÛ`-4x+ )= -12+ = ∴ =3 x+1 ∴ 3x-1
x`Ú 3 x-1 x-1 x-1
x-1
xÛ`-4x+3 (x-1)(x-3)('x+1+2) `f(x)
lim =lim 이때 lim (3x-1)=2, lim (x+1)=2이므로 lim =2
x-3 x`Ú 1- x`Ú 1- x`Ú 1- x-1
x`Ú 3
'x+1-2 x`Ú 3
=lim (x-1)('x+1+2)=
x`Ú 3
∴ = 0108 , 에서 lim
`f(x)
=2
x`Ú 1 x-1
∴ + =11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0104 중요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x-1 ; ; =; ;- `( 1)로 놓으면


lim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x`Ú 1 xÛ`+ x+ lim ;[; ; ; =lim ;[;{; ;- }=lim {2-
4
}=2
x`Ú ¦ x`Ú ¦ x`Ú ¦ x
① -3 ✔ ② -2 ③1
④2 ⑤3
x-1
lim =; !;에서 lim (x-1)= 이므로
x`Ú 1xÛ`+ x+ x`Ú 1

lim (xÛ`+ x+ )=1+ + = ∴ =-( +1)


x`Ú 1

x-1 x-1 1 1
0109
lim = lim =lim = =; !;
xÛ`+ x-( +1)
x`Ú 1 x`Ú 1 (x-1)(x+ +1) x`Ú 1 x+ +1 +2 다음 중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따라서 =1, =-2이므로 =-2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x [x] [x-1]
① lim ② lim ✔ ③ lim
x`Ú 0- [x] x`Ú 0+ x x`Ú 0- x-1
0105
x+1 x 1
'Äx+1- ④ lim ⑤ lim { }
lim '2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Û`+ Û`의 값 x`Ú 0+ [x+1] x`Ú 0- [x] [x]
x`Ú 1 x-1
① ② ③2 ④1 ⑤
을 구하시오. 4

'x+1-
lim ='2에서 lim (x-1)= 이므로
x`Ú 1 x-1 x`Ú 1

lim ( 'x+1- )= '2- = ∴ = '2


x`Ú 1

'x+1- '2 ('x+1-'2)('x+1+'2)


lim =lim
x`Ú 1 x-1 x`Ú 1
(x-1)('x+1+'2)
=lim = ='2
x`Ú 1
'x+1+'2 2'2
따라서 =4, =4'2이므로 `Û + Û`=4
0110
함수 y='2x 의 그래프 위의 점
0106 평가원 기출
(x, '2x)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발 에 대하여 `f(x)= - 라
`f(x)-x` `f(x)
lim 2, lim - 할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Û`` x`Ú-1 x+1 x`Ú¦
㉠ ㉡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66 1 (단, 는 원점)
㉠에서 f(x)-x`=1 xÛ`+ x+ `( , 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 xÛ`+2x, =x이므로 f(x)= xÛ`+2x-x
f(x)=x`+1 xÛ`+ x+ ( xÛ`+2x-x)( xÛ`+2x+x)
㉡에서 lim (x+1)= 이므로 lim `f(x)=f(-1)=-1+1 - + = ∴ ` lim `f(x)= lim ( xÛ`+2x-x)= lim
x`Ú -1 x`Ú -1
x`Ú ¦ x`Ú ¦
xÛ`+2x+x
x`Ú ¦

∴ = - 2x 2
= lim = lim =1
`f(x) x`+1 xÛ`+ x+ - x`Ú ¦
xÛ`+2x+x x`Ú ¦ 1+;[; 1
lim = lim = lim (xÛ`+ x+ - )
x`Ú -1 x+1 x`Ú -1 x+1 x`Ú -1

=1- + - =-
∴ = , =
따라서 f(x)=x`+1 xÛ`+ x이므로 f(2)=

02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12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111 0115 평가원 기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lim `f(x)=¦, lim 3 f(x)-2 g(x) =3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함수의 극한
x`Ú¦ x`Ú¦

f(x)+4 g(x) 과 같다.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2 f(x)+ g(x) -1 4 -1
lim `f { } lim `f { }
`Ú¦ +1 `Ú-¦ +1

01
3f(x)-2 g(x)= (x)로 놓으면
2 g(x)=3f(x)- (x)이고 lim (x)=3 ◀4 의 값은?
x`Ú ¦

`f(x)+2 3 f(x)- (x)


∴ (주어진 식)= lim
x`Ú ¦ -2 f(x)+3 3 f(x)- (x)
①3 ②4
7-2
(x) ✔③ ④ ⑤7
7f(x)-2 (x) f(x)
= lim = lim =1 ◀ -1
= 으로 놓으면 lim `f {
-1
} lim `f( )=2
x`Ú ¦ 7f(x)-3 (x) x`Ú ¦ (x) +1 `Ú ¦ +1 `Ú 1-
7-3
f(x)
4 -1 4 -1
= 으로 놓으면 lim `f { } lim `f ( )=3
+1 `Ú -¦ +1 `Ú 4+

-1 4 -1
0112 ∴ lim `f {
`Ú ¦ +1
} lim `f {
`Ú -¦ +1
}=2+3=

xÛ`- x+1
두 함수 f(x) , g(x)= xÛ`-x-3x에 대 0116
2xÛ`-7x+1
하여 lim `f(x)+lim g(x)의 값을 구하시오. ; !; 다항함수 f(x)가
x`Ú¦ x`Ú¦
1
1-;[;
xÛ`- x+1 xÛ` x f {;[!;}-1
lim `f(x)= lim = lim =; !; ◀4 `f(x)
x`Ú ¦ x`Ú ¦ 2xÛ`-7x+1 x`Ú ¦
2-;[;
1 lim = =2, lim
xÛ` x`Ú + xÛ`-3x+23-x x`Ú2

lim g(x)= lim ( xÛ`-x-3x)= lim
( xÛ`-x-3x)( xÛ`-x+3x)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을 구하시오. 3
x`Ú ¦ x`Ú ¦ x`Ú ¦
xÛ`-x+3x xf {;[!;}-1 ; !; f( )-1
-x -1 `f( )-
= lim = lim =-; !; ◀ ;[!;= 로 놓으면 lim =lim =lim =2
x`Ú ¦
xÛ`-x+3x x`Ú ¦ x`Ú 0+ 3-x `Ú ¦
3-; !;
`Ú ¦ 3 -1
-;[!; 3
f( )- = + `( 는 상수)로 놓으면 f( )=7 + ∴ f(x)=7x+
∴ lim `f(x)+ lim g(x)=; !;+{ } ◀1 ㉠에서 lim `f(x)=lim (7x+ )=14+ = ∴ =-14 ∴ f(x)=7x-14
x`Ú ¦ x`Ú ¦ x`Ú 2 x`Ú 2

0113 ∴ =lim
`7x-14
=lim
7
=7 ∴ f( )=f(7)=3
x`Ú 2 xÛ`-3x+2 x`Ú 2 x-1
lim xÛ`+x+1-( x-1)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0117
x`Ú¦

+ 의 값을 구하시오. [x] +x
;2; lim = 를 만족시키는 정수 과 실수 에 대하여
이어야 한다.
x`Ú [x]
0이면 lim xÛ`+x+1-( x-1) =¦이므로
x`Ú ¦

(1- Û`)xÛ`+(1+2 )x + 의 값을 구하시오.


lim xÛ`+x+1-( x-1) = lim ㉠
x`Ú ¦ x`Ú ¦
xÛ`+x+1+( x-1)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고, , 1)
㉠의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1- Û`= ∴ =1 (∵ ) ◀
[x] x Û`+ [x] x ( -1)Û`+ `Û - +1
3x 3 lim = = +1, lim = =
lim = lim =; ;= ◀4 x`Ú + [x] x`Ú - [x] -1 -1
x`Ú ¦
xÛ`+x+1+x-1 x`Ú ¦ 1 1 1
1+ + +1- Û`- +1
x xÛ` x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1= , Û`-1= Û`- +1 ∴ =2
-1
∴ + =1+; ;=; ; ◀1 = +1=3 ∴ + =

0114 0118 창의 . 융합
`f(x)+2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x 에서 직선 y=x 위의 점
x`Ú 1 x-1
( , )에 대하여 점 를 지나고
f(x) Û`+2f(x)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x축, y축에 각각 평행한 직선이 곡선
x`Ú 1 xÛ`-1
f(x)+2 y=xÛ``과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할
lim =2에서 lim (x-1)= 이므로
x`Ú 1 x-1 x`Ú 1

lim `f(x)+2 =
x`Ú 1
∴ lim`f(x)=-2
x`Ú 1
◀3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Ú 1
f(x) Û`+2 f(x) f(x)+2 f(x)
∴ lim =lim
x`Ú 1 xÛ`-1 x`Ú 1 (x-1)(x+1) ( , )이므로 (' , ), ( , Û`)
`f(x)+2 `f(x) - Û`
=lim lim ◀4 1일 때, lim = lim = lim (' + )=2
x`Ú 1 x-1 x`Ú 1 x+1 `Ú 1- `Ú 1-
' - `Ú 1-

-2
=2 =-2 ◀3 Û`-
1+1 1일 때, lim = lim = lim ( +' )=2
`Ú 1+ `Ú 1+
-' `Ú 1+

, 에서 lim =2
`Ú 1
01. 함수의 극한 02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103 교육청 기출 0107


두 상수 , 에 대하여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Û`-4x+ xÛ`-1 f(x) 3xÛ`-4x+1
lim
'Äx+1-2
x`Ú 3 `f(x)
을 만족시킬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1 x-1
일 때, + 의 값은? x 1일 때,
xÛ`-1 `f(x) 3xÛ`-4x+1 `f(x)
∴ x+1 3x-1
①3 ② ③7 x-1 x-1 x-1 x-1
`f(x)
④ ✔ ⑤ 11 이때 lim (x+1)=2, lim (3x-1)=2이므로 lim =2
x`Ú 1+ x`Ú 1+ x`Ú 1+ x-1
xÛ`-4x+
lim = 에서 lim ('x+1-2)= 이므로 x 1일 때,
x`Ú 3'x+1-2 x`Ú 3
3xÛ`-4x+1 `f(x) `f(x)
xÛ`-1
lim (xÛ`-4x+ )= -12+ = ∴ =3 x+1 ∴ 3x-1
x`Ú 3 x-1 x-1 x-1
x-1
xÛ`-4x+3 (x-1)(x-3)('x+1+2) `f(x)
lim =lim 이때 lim (3x-1)=2, lim (x+1)=2이므로 lim =2
x-3 x`Ú 1- x`Ú 1- x`Ú 1- x-1
x`Ú 3
'x+1-2 x`Ú 3
=lim (x-1)('x+1+2)=
x`Ú 3
∴ = 0108 , 에서 lim
`f(x)
=2
x`Ú 1 x-1
∴ + =11
lim ;[; ; ; 의 값을 구하시오. 2
x`Ú¦

0104 중요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x-1 ; ; =; ;- `( 1)로 놓으면


lim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x`Ú 1 xÛ`+ x+ lim ;[; ; ; =lim ;[;{; ;- }=lim {2-
4
}=2
x`Ú ¦ x`Ú ¦ x`Ú ¦ x
① -3 ✔ ② -2 ③1
④2 ⑤3
x-1
lim =; !;에서 lim (x-1)= 이므로
x`Ú 1xÛ`+ x+ x`Ú 1

lim (xÛ`+ x+ )=1+ + = ∴ =-( +1)


x`Ú 1

x-1 x-1 1 1
0109
lim = lim =lim = =; !;
xÛ`+ x-( +1)
x`Ú 1 x`Ú 1 (x-1)(x+ +1) x`Ú 1 x+ +1 +2 다음 중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따라서 =1, =-2이므로 =-2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x [x] [x-1]
① lim ② lim ✔ ③ lim
x`Ú 0- [x] x`Ú 0+ x x`Ú 0- x-1
0105
x+1 x 1
'Äx+1- ④ lim ⑤ lim { }
lim '2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Û`+ Û`의 값 x`Ú 0+ [x+1] x`Ú 0- [x] [x]
x`Ú 1 x-1
① ② ③2 ④1 ⑤
을 구하시오. 4

'x+1-
lim ='2에서 lim (x-1)= 이므로
x`Ú 1 x-1 x`Ú 1

lim ( 'x+1- )= '2- = ∴ = '2


x`Ú 1

'x+1- '2 ('x+1-'2)('x+1+'2)


lim =lim
x`Ú 1 x-1 x`Ú 1
(x-1)('x+1+'2)
=lim = ='2
x`Ú 1
'x+1+'2 2'2
따라서 =4, =4'2이므로 `Û + Û`=4
0110
함수 y='2x 의 그래프 위의 점
0106 평가원 기출
(x, '2x)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발 에 대하여 `f(x)= - 라
`f(x)-x` `f(x)
lim 2, lim - 할 때, `lim `f(x)의 값을 구하시오.
x`Ú¦ xÛ`` x`Ú-1 x+1 x`Ú¦
㉠ ㉡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66 1 (단, 는 원점)
㉠에서 f(x)-x`=1 xÛ`+ x+ `( , 는 상수)로 놓을 수 있으므로 = xÛ`+2x, =x이므로 f(x)= xÛ`+2x-x
f(x)=x`+1 xÛ`+ x+ ( xÛ`+2x-x)( xÛ`+2x+x)
㉡에서 lim (x+1)= 이므로 lim `f(x)=f(-1)=-1+1 - + = ∴ ` lim `f(x)= lim ( xÛ`+2x-x)= lim
x`Ú -1 x`Ú -1
x`Ú ¦ x`Ú ¦
xÛ`+2x+x
x`Ú ¦

∴ = - 2x 2
= lim = lim =1
`f(x) x`+1 xÛ`+ x+ - x`Ú ¦
xÛ`+2x+x x`Ú ¦ 1+;[; 1
lim = lim = lim (xÛ`+ x+ - )
x`Ú -1 x+1 x`Ú -1 x+1 x`Ú -1

=1- + - =-
∴ = , =
따라서 f(x)=x`+1 xÛ`+ x이므로 f(2)=

02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12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111 0115 평가원 기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lim `f(x)=¦, lim 3 f(x)-2 g(x) =3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함수의 극한
x`Ú¦ x`Ú¦

f(x)+4 g(x) 과 같다.


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
x`Ú¦ -2 f(x)+ g(x) -1 4 -1
lim `f { } lim `f { }
`Ú¦ +1 `Ú-¦ +1

01
3f(x)-2 g(x)= (x)로 놓으면
2 g(x)=3f(x)- (x)이고 lim (x)=3 ◀4 의 값은?
x`Ú ¦

`f(x)+2 3 f(x)- (x)


∴ (주어진 식)= lim
x`Ú ¦ -2 f(x)+3 3 f(x)- (x)
①3 ②4
7-2
(x) ✔③ ④ ⑤7
7f(x)-2 (x) f(x)
= lim = lim =1 ◀ -1
= 으로 놓으면 lim `f {
-1
} lim `f( )=2
x`Ú ¦ 7f(x)-3 (x) x`Ú ¦ (x) +1 `Ú ¦ +1 `Ú 1-
7-3
f(x)
4 -1 4 -1
= 으로 놓으면 lim `f { } lim `f ( )=3
+1 `Ú -¦ +1 `Ú 4+

-1 4 -1
0112 ∴ lim `f {
`Ú ¦ +1
} lim `f {
`Ú -¦ +1
}=2+3=

xÛ`- x+1
두 함수 f(x) , g(x)= xÛ`-x-3x에 대 0116
2xÛ`-7x+1
하여 lim `f(x)+lim g(x)의 값을 구하시오. ; !; 다항함수 f(x)가
x`Ú¦ x`Ú¦
1
1-;[;
xÛ`- x+1 xÛ` x f {;[!;}-1
lim `f(x)= lim = lim =; !; ◀4 `f(x)
x`Ú ¦ x`Ú ¦ 2xÛ`-7x+1 x`Ú ¦
2-;[;
1 lim = =2, lim
xÛ` x`Ú + xÛ`-3x+23-x x`Ú2

lim g(x)= lim ( xÛ`-x-3x)= lim
( xÛ`-x-3x)( xÛ`-x+3x)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을 구하시오. 3
x`Ú ¦ x`Ú ¦ x`Ú ¦
xÛ`-x+3x xf {;[!;}-1 ; !; f( )-1
-x -1 `f( )-
= lim = lim =-; !; ◀ ;[!;= 로 놓으면 lim =lim =lim =2
x`Ú ¦
xÛ`-x+3x x`Ú ¦ x`Ú 0+ 3-x `Ú ¦
3-; !;
`Ú ¦ 3 -1
-;[!; 3
f( )- = + `( 는 상수)로 놓으면 f( )=7 + ∴ f(x)=7x+
∴ lim `f(x)+ lim g(x)=; !;+{ } ◀1 ㉠에서 lim `f(x)=lim (7x+ )=14+ = ∴ =-14 ∴ f(x)=7x-14
x`Ú ¦ x`Ú ¦ x`Ú 2 x`Ú 2

0113 ∴ =lim
`7x-14
=lim
7
=7 ∴ f( )=f(7)=3
x`Ú 2 xÛ`-3x+2 x`Ú 2 x-1
lim xÛ`+x+1-( x-1) =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0117
x`Ú¦

+ 의 값을 구하시오. [x] +x
;2; lim = 를 만족시키는 정수 과 실수 에 대하여
이어야 한다.
x`Ú [x]
0이면 lim xÛ`+x+1-( x-1) =¦이므로
x`Ú ¦

(1- Û`)xÛ`+(1+2 )x + 의 값을 구하시오.


lim xÛ`+x+1-( x-1) = lim ㉠
x`Ú ¦ x`Ú ¦
xÛ`+x+1+( x-1)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고, , 1)
㉠의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1- Û`= ∴ =1 (∵ ) ◀
[x] x Û`+ [x] x ( -1)Û`+ `Û - +1
3x 3 lim = = +1, lim = =
lim = lim =; ;= ◀4 x`Ú + [x] x`Ú - [x] -1 -1
x`Ú ¦
xÛ`+x+1+x-1 x`Ú ¦ 1 1 1
1+ + +1- Û`- +1
x xÛ` x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1= , Û`-1= Û`- +1 ∴ =2
-1
∴ + =1+; ;=; ; ◀1 = +1=3 ∴ + =

0114 0118 창의 . 융합
`f(x)+2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일 때, x 에서 직선 y=x 위의 점
x`Ú 1 x-1
( , )에 대하여 점 를 지나고
f(x) Û`+2f(x)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x축, y축에 각각 평행한 직선이 곡선
x`Ú 1 xÛ`-1
f(x)+2 y=xÛ``과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할
lim =2에서 lim (x-1)= 이므로
x`Ú 1 x-1 x`Ú 1

lim `f(x)+2 =
x`Ú 1
∴ lim`f(x)=-2
x`Ú 1
◀3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Ú 1
f(x) Û`+2 f(x) f(x)+2 f(x)
∴ lim =lim
x`Ú 1 xÛ`-1 x`Ú 1 (x-1)(x+1) ( , )이므로 (' , ), ( , Û`)
`f(x)+2 `f(x) - Û`
=lim lim ◀4 1일 때, lim = lim = lim (' + )=2
x`Ú 1 x-1 x`Ú 1 x+1 `Ú 1- `Ú 1-
' - `Ú 1-

-2
=2 =-2 ◀3 Û`-
1+1 1일 때, lim = lim = lim ( +' )=2
`Ú 1+ `Ú 1+
-' `Ú 1+

, 에서 lim =2
`Ú 1
01. 함수의 극한 021
02 함수의 연속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플러스
02 . 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1 함수의 연속:함수 f(x)가 실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함수 f(x)는


x= 에서 연속이라 한다.
함수 f(x)가 x= 에서 정의되어 있다.
극한값 `lim`f(x)가 존재한다.
x`Ú

lim`f(x)=f( )
x`Ú

2 함수의 불연속:함수 f(x)가 x= 에서 연속이 아닐 때, 즉 위의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


도 만족시키지 않으면 함수 f(x)는 x= 에서 불연속이라 한다. 그래프에서 연속・불연속의 의미

참고 함수 f(x)가 x= 에서 불연속인 경우 그래프가 x= 에서


① 이어져 있다. ⇨ x= 에서 연속
f( )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lim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lim `f(x) f( ) ② 끊어져 있다. ⇨ x= 에서 불연속
x`Ú x`Ú

02 . 2 구간

두 실수 , ( )에 대하여 집합
x| x , x| x , x| x , x| x
를 구간이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 [ ]
이때 [ , ]를 닫힌구간, ( , )를 열린구간이라 하고 [ , ), ( , ]를 반닫힌 구간 또는 반열린
구간이라 한다.
참고 •실수 에 대하여 집합 x|x , x|x , x|x , x|x 도 각각 구간이고, 이것을 기
호로 각각 (-¦, ], (-¦, ), [ , ¦), ( , ¦)와 같이 나타낸다.
•실수 전체의 집합도 하나의 구간이며, 기호로 (-¦, ¦)와 같이 나타낸다.

02 . 3 연속함수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일 때, f(x)는 그 구간에서 연속이


라 한다. 또, 어떤 구간에서 연속인 함수를 그 구간에서 연속함수라 한다.
참고 함수 f(x)가
열린구간 ( , )에서 연속이고
lim `f(x)=f( ), lim `f(x)=f( )
x`Ú + x`Ú -

일 때, 함수 f(x)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라 한다.

02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15쪽

02 . 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02 . 2 구간

[0119 ~ 0122] 함수 y= 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0127 ~ 0132] 다음 집합을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시오.
함수 f(x)가 x= 에서 불연속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0127 x|-2 x 3 [-2, 3]

0119
0128 x|1 x 1,

0129 x|-3 x 4 [-3, 4

함수 f(x)가 x= 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0130 x|-7 x 2 -7, 2]
0120

함수의 연속
0131 x|x 4 -¦, 4

02
0132 x|x 3 [ 3, ¦

극한값 lim `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속이다.


x`Ú 0

0121

[0133 ~ 0135] 다음 함수의 정의역을 구간의 기호로 나타내시오.

lim`f(x) f( )이므로 불연속이다. 0133 f(x)=xÛ`+2x -¦, ¦


x`Ú 0

0122
0134 f(x)='Ä3-x -¦, 3]

1
0135 f(x)= -¦, -1 , -1, ¦
x+1
함수 f(x)가 x= 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고, 극한값 lim`f(x)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불연
x`Ú 0

속이다.

[0123 ~ 0126] 다음 함수가 x=1에서 연속인지 불연속인지 조사


하시오. 02 . 3 연속함수

0123 f(x)=x+1 연속
[0136 ~ 0139]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f(x)=|x-1| 0136 `f(x)=x+3 -¦, ¦


0124 연속

1 0137 `f(x)='Äx-1 [1, ¦


0125 f(x)= 불연속
x-1

0138 f(x)=2 -¦, ¦


xÛ`-x
(x 1)
0126 f(x)= x-1 연속
1 (x=1) 0139 f(x)=;[!; -¦, 0 , 0, ¦

02. 함수의 연속 023


02 함수의 연속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플러스
02 . 4 연속함수의 성질

두 함수 f(x), g(x)가 x= 에서 연속이면 다음 함수도 모두 x= 에서 연속이다.


⑴ f(x) (단, 는 상수) ⑵ f(x)+g(x), f(x)-g(x)
f(x)
⑶ f(x)g(x) ⑷ (단, g(x) )
g(x)
참고 •상수함수와 함수 y=x는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성질 ⑴, ⑵, ⑶에 의하여 다항함수는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라는 뜻이
열린구간 (-¦, ¦)에서 연속이다.
다.
f(x)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유리함수 는 연속함수의 성질 ⑷에 의하여 g(x) 인모
g(x)
든 실수에서 연속이다.

02 . 5 최대・최소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 함수 f(x)가 연속이 아니면 닫힌구간


에서도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지 않을
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최댓값
수 있으므로 최대・최소 정리는 연속
참고 열린구간이나 반닫힌 구간에서는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없을 수도 함수에 대하여 성립함에 주의한다.
최솟값
있다.

02 . 6 사잇값의 정리

1 사잇값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f( ) f( )이면
f( )와 f( ) 사이의 임의의 값 에 대하여
f( )=
인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2 사잇값의 정리의 활용 f( )와 f( )의 부호가 다르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f( )f( ) 이면 사잇값의 정리는 함수 f(x)가 연속함


수일 때, 방정식 f(x)= 의 실근의 존
방정식 f(x)= 은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재를 확인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갖는다.

02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정답과 풀이 15쪽

02 . 4 연속함수의 성질 02 . 6 사잇값의 정리

[0140 ~ 0143]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0148 다음은 함수 f(x)=xÛ`-4에 대하여 f( )=-1인
가 열린구간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보이는 과정
0140 y=xÛ`-2x -¦, ¦
이다. ㈎, ㈏에 알맞은 것을 구하시오. ㈎ 연속 ㈏ 사잇값

증명
0141 y=(x+1)(xÛ`+x-2) -¦, ¦
함수 f(x)=xÛ`-4는 열린구간 (-¦, ¦)에서 ㈎
이므로 닫힌구간 [-1, 2]에서도 ㈎ 이다.
x-2
0142 y= -¦, 3 , 3, ¦
또, f(-1) f(2)이고 f(-1) -1 f(2)이므로
x-3
㈏ 의 정리에 의하여 f( )=-1인 가 열린구간
x+1 (-1, 2)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143 y= -¦, 1 , 1, 2 , 2, ¦
xÛ`-3x+2

함수의 연속
02
0144 두 함수 f(x)=x-2, g(x)=xÛ`+4x- 에 대하
여 다음 함수가 연속인 구간을 구하시오.
0149 다음은 방정식 x`-3x+1= 이 열린구간 ( , 1)에
⑴ f(x)+g(x) -¦, ¦ 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는 과정이다. ㈎, ㈏, ㈐
에 알맞은 것을 구하시오. ㈎ 연속 ㈏ 0 ㈐ 0, 1
⑵ f(x)g(x) -¦, ¦
증명
f(x)
⑶ -¦, - , - , 1 , 1, ¦ f(x)=x`-3x+1이라 하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 , 1]
g(x)
에서 ㈎ 이고 f( ) , f(1) 이므로 사잇값의 정
g(x) 리에 의하여 f( )= ㈏ 인 가 열린구간 ㈐ 에
⑷ -¦, 2 , 2, ¦
f(x)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방정식 x`-3x+1= 은 열린구간 ( , 1)에서 적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02 . 5 최대・최소 정리

[0145 ~ 0147]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 f(x)의 최댓값과 최솟


값을 각각 구하시오.

0145 `f(x)=xÛ`+2x-1 [-2, ] 최댓값: -1, 최솟값: -2 [0150 ~ 0151] 다음 방정식이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짐을 보이시오.
2
0146 `f(x)= [2, 4] 최댓값: 2, 최솟값: ; ;
x-1 0150 x`-xÛ`-2= 풀이 참조

0147 f(x)=1-'Äx+1 [3, ] 최댓값: -1, 최솟값: -2 0151 x`+x`- x+1= 풀이 참조

02. 함수의 연속 025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16쪽

| 개념원리 수학 Ⅱ 44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45쪽, 46쪽 |

유형 01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 유형 02 함수의 그래프와 연속

함숫값 f( )가 존재하고 함숫값 존재 ⑴ 함수 y=f(x)의 그래프가 x= 에서 끊어져 있으면


극한값 lim`f(x)가 존재하며 극한값 존재 ⇨ f(x)는 x= 에서 불연속이다.
x`Ú

lim`f(x)=f( ) (극한값)=(함숫값)
⑵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우극한) (좌극한)일 때이다.
x`Ú

일 때, 함수 f(x)는 x= 에서 연속이다.
0155 대표문제

x 4에서 함수 y=f(x)의 그래
0152 대표문제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
다음 보기의 함수 중에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것만을 있는
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
대로 고르시오. ㄱ, ㄹ "

르시오. ㄴ, ㄷ
보기
보기
xÛ`-1
(x 1)
ㄱ. f(x)= x-1 ㄱ. lim`f(x)=1
x`Ú 3
2 (x=1)
ㄴ. x=1에서 함수 f(x)의 극한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x
(x )
ㄴ. f(x)= |x| ㄷ.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x= )
ㄴ. lim `f(x)=2, lim `f(x)=1 ∴ lim `f(x) lim `f(x)
xÛ` x`Ú 1+ x`Ú 1- x`Ú 1+ x`Ú 1-
ㄷ. f(x)= ㄷ.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2, x=3에서 끊어져 있으므로 함수 f(x)가 불
xÛ`-1
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x (x )
ㄹ. f(x)=à
-x (x )

ㄴ.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 에서 불연속이다.


x`Ú 0

ㄷ. f(1), f(-1)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함수 f(x)는 x=1, x=-1에서 불연속이다.

0156 중 하

0153 중 ` x 4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다음 중 x= 에서 연속인 함수는? 함수 `f(x)의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x의 값의 개수를 , 함
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를 라 할 때, + 의 값
① f(x)=;[;+1 ② f(x)='Äx-1 은?
1 xÛ`+2 (x )
③ f(x)= ✔ ④ f(x)=à
xÛ` -x+2 (x )
| x|
(x )
⑤ f(x)= x
(x= )
①, ②, ③ f( )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x= 에서 불연속이다.
④ lim `f(x)=f( )이므로 x= 에서 연속이다.
x`Ú 0

⑤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x= 에서 불연속이다.


x`Ú 0
①2 ✔② 3 ③4
0154 서술형

④ ⑤
4x (x ) 극한값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 =1
x`Ú 1
함수 f(x)=à 가 x= 에서 연속이 되도록 하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2에서 끊어져 있으므로 x=1, x=2에서 불연속이다.
x`- (x ) ∴ =2
는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4 ∴ + =1+2=3

f( )=4 이고
lim `f(x)= lim 4x=4 , lim `f(x)= lim (xÛ`- )= Û`-
x`Ú + x`Ú + x`Ú - x`Ú -

lim`f(x)=f( )이어야 하므로 ◀4


x`Ú

4 = Û`- , Û`-4 - = ∴ =-1 또는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합은 -1+ =4 ◀1
026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0157 중 0159 중

열린구간 (-2, 2)에서 함수 -3 x 3에서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가 아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래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의 함수 중 x= 에서 연속인 것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 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ㄷ

보기

ㄱ. 함수 f(x)는 x= 에서 연속이다.
ㄴ. x=-1에서 함수 f(x)의 극한값은 존재한다.
보기
ㄷ.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ㄱ. f(x)g(x) ㄴ. f( g(x))

ㄱ. lim`f(x) f( )이므로 함수 f(x)는 x= 에서 불연속이다.


ㄷ. g(`f(x))
x`Ú

ㄴ. lim `f(x) lim `f(x)이므로 극한값 lim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함수의 연속
x`Ú -1+ x`Ú -1- x`Ú -1

ㄷ. 함수 y=f(x)의 그래프가 x=-1, x= , x=1에서 끊어져 있으므로 함수 f(x)가 ㄱ. lim `f(x)g(x)= , lim `f(x)g(x)= ∴ lim`f(x)g(x)=
x`Ú 0+ x`Ú 0- x`Ú 0
불연속인 x의 값의 개수는 3이다. 이때 f( )g( )= 이므로 lim`f(x)g(x)=f( )g( )
x`Ú 0

ㄴ. lim `f( g(x))=1, lim `f( g(x))=1 ∴ lim`f( g(x))=1


x`Ú 0+ x`Ú 0- x`Ú 0

02
이때 f( g( ))=1이므로 lim`f( g(x))=f( g( ))
x`Ú 0

ㄷ. lim `g(`f(x))= , lim `g(`f(x))= ∴ lim`g(`f(x))=


x`Ú 0+ x`Ú 0- x`Ú 0

이때 g(`f( ))= 이므로 lim`g(`f(x))=g(`f( ))


x`Ú 0

0158 중
유형 03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의 값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찾을 때는 함수에 따라 다음과


과 같고 함수 y=g(x)의 그래프가 보 같은 x의 값에서의 연속성을 조사한다.
기와 같이 주어질 때, 합성함수 ⑴ 유리함수 ⇨ 분모가 이 되게 하는 x의 값
g(`f(x))가 닫힌구간 [-2, 2]에서 연 ⑵ 구간별로 정의된 함수 ⇨ 구간이 나누어진 경계가 되는 x의 값
속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0160 대표문제

ㄱ. ㄴ. 1
함수 f(x)= 이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x의 값의
1
x+
x-2
개수를 구하시오. 2

1 1 x-2 x-2
f(x)= = = =
1 xÛ`-2x+1 xÛ`-2x+1 (x-1)Û`
ㄷ. x+
x-2 x-2
따라서 함수 f(x)는 x-2= , (x-1)Û`= 인 x의 값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불연
속이 되도록 하는 x의 값은 1, 2의 2개이다.

0161 중

①ㄱ ✔② ㄴ ③ㄷ x-1
(x 1)
두 함수 f(x)= |x-1| , g(x)=3x`에 대하여
④ ㄱ, ㄷ ⑤ ㄴ, ㄷ
(x=1)
ㄱ. lim `g(`f(x))=1, lim `g(`f(x))=1 ∴ lim`g(`f(x))=1
x`Ú 0+ x`Ú 0- x`Ú 0
합성함수 f(`g(x))가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모든 x의 값의
이때 g(`f( ))=g( )= 이므로 lim`g(`f(x)) g(`f( ))
x`Ú 0

ㄴ. lim `g(`f(x))=-1, lim `g(`f(x))=-1 ∴ lim`g(`f(x))=-1 곱을 구하시오. -; !;


x`Ú 0+ x`Ú 0- x`Ú 0

이때 g(`f( ))=g( )=-1이므로 lim`g(`f(x))=g(`f( )) 3xÛ`-1 (3xÛ`-1 ) 1


x`Ú 0 (3xÛ` 1)
ㄷ. lim `g(`f(x))= , lim `g(`f(x))= ∴ lim`g(`f(x))= f( g(x))=à |3xÛ`-1| (3xÛ`-1= )
=
x`Ú 0+ x`Ú 0- x`Ú 0 (3xÛ`=1)
-1 (3xÛ`-1 )
이때 g(`f( ))=g( )=1이므로 lim`g(`f(x)) g(`f( ))
x`Ú 0 즉, 함수 f( g(x))는 3xÛ`-1= 인 x의 값에서 불연속이므로
'3
3xÛ`=1 ∴ x=
3
'3 '3
∴ {- }=-; !;
3 3
02. 함수의 연속 027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47쪽 |

유형 04 함수가 연속일 조건 (1) 0166 중

x+1 (x -1 또는 x 4)
x 인 모든 실수에서 연속인 함수 g(x)에 대하여 함수 f(x)=à 가 모든 실
x`-2x+ (-1 x 4)
g(x) (x )
함수 f(x)=à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수 x에서 연속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x= )
⇨ lim`g(x)= ①1 ②2 ③3
x`Ú
✔④ 4 ⑤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x`Ú -1+ x`Ú -1-

0162 대표문제 1+2+ =- +1 ∴ + =-2 `㉠


xÛ`+ x-3 함수 f(x)가 x=4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4)
(x 1) x`Ú 4+ x`Ú 4-

함수 f(x)= x-1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 4 +1=1 - + ∴ 4 - =7 `㉡


㉠, ㉡을 연립하여 풀면 =1, =-3
(x=1)
∴ - =4
속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6

xÛ`+ x-3
x=1에서 연속이므로 lim`f(x)=f(1) ∴ lim = `㉠
x`Ú 1 x`Ú 1 x-1 0167 중

lim(xÛ`+ x-3)= 이므로 1+ -3= ∴ =2


x`Ú 1 x+2 (|x| 3)
=2를 ㉠에 대입하면 lim
xÛ`+2x-3
=lim
(x-1)(x+3)
=lim(x+3)=4=
함수 f(x)=à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
x`Ú 1 x-1 x`Ú 1 x-1 x`Ú 1 x`+x- (|x| 3)
∴ + =2+4=
속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0163 중 하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3)
x`Ú -3+ x`Ú -3-
x+1
함수 f(x)= 이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 되도 - =-3 +2 ∴ 3 - =-4 `㉠
xÛ`-2 x+3 함수 f(x)가 x=3에서 연속이므로
록 하는 정수 의 값의 개수를 구하시오. 3 lim `f(x)= lim `f(x)=f(3)
x`Ú 3+ x`Ú 3-

3 +2=12- ∴ 3 + =1 `㉡
xÛ`-2 x+3= 이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하므로
㉠, ㉡을 연립하여 풀면 =1, =7
Û`-3 ∴ -'3 '3
∴ + =
따라서 정수 는 -1, , 1의 3개이다.

0168 중 서술형

'Äx+1-
(x 1)
0164 중 함수 f(x)= x-1 이 x=1에서 연속일 때,
x- (x 1) 2x-1 (x 1)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2
함수 f(x)= x`- (-2 x 1)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
'Äx+1-
3x+ (x -2) lim `f(x)= lim `f(x)=f(1)
x`Ú 1+ x`Ú 1-
∴ lim
x`Ú 1+ x-1
=1 ◀2

속이고 f( )=-4일 때, 상수 , , 에 대하여 의 값을 lim ( 'Äx+1- )= 이므로 '2- =


x`Ú 1+
∴ = '2 ◀3

구하시오. 4 lim
'Äx+1- '2
= lim
('Äx+1-'2 )('Äx+1+'2 )
x`Ú 1+ x-1 x`Ú 1+ (x-1)('Äx+1+'2 )
f( )=-4이므로 - =-4 ∴ =4
= lim = =1
lim `f(x)= lim `f(x)=f(1)에서 - =1- ∴ =2 x`Ú 1+ 'Äx+1+'2 2'2
x`Ú 1+ x`Ú 1-

lim `f(x)= lim `f(x)=f(-2)에서 4- =- + ∴ = 따라서 =2'2, =4이므로 = '2 ◀


x`Ú -2+ x`Ú -2-

∴ =2 4 =4 0169 중

(x 2)
0165 중 함수 f(x)= xÛ`+4+ x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
xÛ`+ x-4 (x 2)
(x 2) x-2
함수 f(x)= x-2 가 x=2에서 연속일 때, 속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x=2)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① -'2 ② -1 ✔③ 1
④ '2 ⑤2
① -2 ② ③2 xÛ`+4+ x
lim `f(x)= lim `f(x)=f(2) ∴ lim =
✔④ 4 ⑤ x`Ú 2+ x`Ú 2- x`Ú 2- x-2
lim ( xÛ`+4+ x)= 이므로 2'2+2 = ∴ =-'2
xÛ`+ x-4 x`Ú 2-
x=2에서 연속이므로 lim`f(x)=f(2) ∴ lim = `㉠
x`Ú 2 x`Ú 2 x-2 xÛ`+4-'2x -(x-2)(x+2) 1
lim(xÛ`+ x-4)= 이므로 4+2 -4= ∴ = lim = lim =- =
x`Ú 2
x`Ú 2- x-2 x`Ú 2- (x-2)( xÛ`+4+'2x) '2
xÛ`-4 1
= 을 ㉠에 대입하면 lim =lim(x+2)=4= ∴ ={- } (-'2)=1
x`Ú 2 x-2 x`Ú 2 '2
∴ + = +4=4

028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18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48쪽 |

유형 05 가우스 기호를 포함한 함수의 연속 유형 06 - 꼴의 함수의 연속

정수 에 대하여 x Ú` 일 때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두 함수 f(x), g(x)가


⑴ f(x) Ú` +이면 ⇨ lim [ f(x)]= (x- )f(x)=g(x)를 만족시킬 때
x`Ú
`g(x)
⑵ f(x) Ú` -이면 ⇨ lim [ f(x)]= -1 ⇨ f( )=lim
x`Ú x`Ú x-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0173 대표문제
0170 대표문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함수 f(x)=[x]Û`-3[x]+4가 x= 에서 연속일 때, 자연 (x-1)f(x)=x`-4x+
수 의 값은?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를 만족시킬 때, f(1)의 값은? (단, 는 상수)
①1 ✔② 2 ③3 ✔ ① -2 ② -1 ③
④4 ⑤ ④1 ⑤2

함수의 연속
lim `f(x)= lim ([x]Û`-3[x]+4)= Û`-3 +4 xÛ`-4x+
x`Ú + x`Ú +
x 1일 때, f(x)=
lim `f(x)= lim ([x]Û`-3[x]+4)=( -1)Û`-3( -1)+4= Û`- + x-1
x`Ú - x`Ú -
xÛ`-4x+
f( )= `Û -3 +4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1)=lim`f(x)=lim
x`Ú 1 x`Ú 1 x-1
이므로 Û`-3 +4= Û`- + lim(xÛ`-4x+ )= 이므로 -3+ = ∴ =3

02
x`Ú 1
2 =4 ∴ =2 xÛ`-4x+3 (x-1)(x-3)
∴ f(1)=lim =lim =lim(x-3)=-2
x`Ú 1 x-1 x`Ú 1 x-1 x`Ú 1

0174 중 하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x-2)f(x)=x`+2x-
0171 중

함수 f(x)=[x]Û`+( x+2)[x]가 x=-1에서 연속일 때,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6

xÛ`+2x-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 x 2일 때, f(x)= =x+4
x-2
함수 f(x)가 x=2에서 연속이므로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f(2)=lim(x+4)=
x`Ú 2
lim `f(x)=1+(- +2) (-1)= -1
x`Ú -1+

lim `f(x)=4+(- +2) (-2)=2


x`Ú -1-

f(-1)=1+(- +2) (-1)= -1


이므로 -1=2 ∴ =-1 0175 중

x 인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x-2)f(x)=x'x-
을 만족시킬 때, f(4)의 값은?

①4 ② ✔ ③ 12
0172 상 중
④1 ⑤2
열린구간 ( , )에서 함수 f(x)=[x`-4x+1]이 불연속이
x'x-
x 4일 때, f(x)=
되는 x의 값의 개수는? 'x-2
함수 f(x)가 x=4에서 연속이므로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x'x- ('x-2)(x+2'x+4)
f(4)=lim =lim
x`Ú 4 'x-2 x`Ú 4 'x-2
① ②7 ③ =lim(x+2'x+4)=4+4+4=12
x`Ú 4

✔ ④ 11 ⑤ 13
0176 중 서술형
g(x)=xÛ`-4x+1로 놓으면 g(x)=(x-2)Û`-3이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g(x)=-2, -1, , , 를 만족시키는 x에서 f(x)가
불연속이다.
(x-1)f(x)= x`+ x, f(1)=2
이때 g(x)=-2, -1, 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각각 를 만족시킬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4
2개씩 존재하고 g(x)=1, 2, 3, 4, 를 만족시키는 x의
xÛ`+ x
값은 1개씩 존재하므로 열린구간 ( , )에서 불연속이 되 x 1일 때, f(x)=
x-1
는 x의 값의 개수는 11이다.
xÛ`+ x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므로 f(1)=lim`f(x) ∴ lim =2 ◀3
x`Ú 1 x`Ú 1 x-1
lim( xÛ`+ x)= 이므로 + = ∴ =- ◀3
x`Ú 1

xÛ`- x x(x-1)
lim =lim =lim x= ∴ =2, =-2 ◀3
x`Ú 1 x-1 x`Ú 1 x-1 x`Ú 1

∴ =-4 ◀1
02. 함수의 연속 029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5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55쪽 |

유형 07 연속함수의 성질 유형 08 최대・최소 정리

두 함수 f(x), g(x)가 x= 에서 연속이면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면 f(x)는 이 구간에


⇨ f(x)( 는 상수), f(x) g(x), f(x)g(x), 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f(x)
( g(x) )도 x= 에서 연속이다.
g(x)
0180 대표문제

열린구간 (-2, 3)에서 함수


0177 대표문제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두 함수 f(x)=x- , g(x)=x`+3x+ 에 대하여 다음 중 과 같을 때, 함수 f(x)에 대한 다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은? 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f(x)
① f(x)-3g(x) ② g(`f(x)) ③ ①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은 2개이다.
g(x)
✔ ② 닫힌구간 [-1, 2]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g(x)
✔④ ⑤ f(x)g(x) ③ lim `f(x)=1
f(x) x`Ú -1


g(x) xÛ`+3x+
= 는 x= 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x= 에서 불연속이다. ④ 극한값 lim`f(x)는 존재하지 않는다.
f(x) x- x`Ú 1

⑤ 열린구간 ( , 3)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②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최솟값을 갖지 않는다.

0178 중

두 함수 f(x), g(x)가 x= 에서 연속일 때, 다음 중 x=


에서 항상 연속인 함수가 아닌 것을 모두 고르면? (정답 2개)
(단, f(x)의 치역은 g(x)의 정의역에 포함된다.)
0181 하

f(x)
① 2f(x)-g(x) ② f(x)g(x) ✔③ 2x+1
f(x)-g(x) 닫힌구간 [2, 4]에서 함수 f(x)= 의 최댓값과 최솟
x-1
④ {`f(x) Û` ✔ ⑤ g(`f(x)) 값을 각각 구하시오. 최댓값: , 최솟값: 3
f( )
③ [반례] f( )=g( )이면 는 x= 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x= 에 2x+1 3
f( )-g( ) f(x)= = +2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
x-1 x-1
서 불연속이다.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⑤ 함수 g( f(x))가 x= 에서 연속이려면 lim`g( f(x))=g( f( ))이어야 하므로 함수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 x=4에서 최솟값
x`Ú

g(x)가 x=f( )에서 연속이라는 조건이 더 필요하다. 3을 갖는다.


0179 중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0182 중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인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보기
다음 보기의 함수 중에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 것만
ㄱ. 두 함수 f(x), 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면 함수 g(x)도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보기
ㄴ. 함수 g( `f(x))가 x=1에서 연속이면 함수 f(x)도 f(x)
ㄱ. f(x)g(x) ㄴ.
x=1에서 연속이다. g(x)
ㄷ. 두 함수 f(x), g(x)가 x=1에서 연속이면 함수 ㄷ. f( g(x))

f( g(x))도 x=1에서 연속이다.


✔① ㄱ ②ㄴ ③ ㄱ, ㄴ
✔① ㄱ ②ㄴ ③ ㄱ, ㄷ ④ ㄱ, ㄷ ⑤ ㄴ,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ㄱ. 함수 f(x)g(x)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므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
다.
1 (x 1)
ㄴ. [반례] f(x)=à , g(x)=|x| f(x) x
-1 (x 1) ㄴ. [반례] 닫힌구간 [-1, 1]에서 f(x)=x, g(x)=xÛ`이면 =
g(x) xÛ`
1 x 1
ㄷ. [반례] f(x)= , g(x)=-;[;이면 f(g(x))= ㄷ. [반례] 닫힌구간 [1, 3]에서 f(x)=;[!;, g(x)=x-2이면 f(g(x))=
x+2 2(x-1) x-2

030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정답과 풀이 20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56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56쪽 |

유형
09 사잇값의 정리 유형
10 사잇값의 정리의 실생활에의 활용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f( )f( ) 이면 적당한 함수를 세워 연속인 구간을 찾고,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한다.
⇨ f( )= 인 가 열린구간 (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방정식 f(x)= 은 열린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
0187 대표문제
을 갖는다.
명진이네 가족이 자동차를 타고 할머니 댁에 가는 동안의 속
력이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 1 시부터 12시 3 분까지 2시간
0183 대표문제
3 분 동안 이 자동차의 속력이 ` m 인 순간이 번 있었
방정식 2x`-x`-x-1= 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질 때, 다고 할 때, 의 최솟값은?
다음 중 이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시각 1 1 3 11 11 3 12 12 3
① (-1, ) ② ( , 1) ✔ ③ (1, 2)
속력
④ (2, 3) ⑤ (3, 4) 7 7 3
( m/ )
f(x)=2x`-xÛ`-x-1로 놓으면

함수의 연속
f(-1)=-3 , f( )=-1 , f(1)=-1 , ①1 ✔② 2 ③3
f(2)= , f(3)=41 , f(4)=1 7
④4 ⑤
따라서 f(1)f(2)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1, 2)이다. 11` `3 과 12` ` 사이와 12` ` 와 12` `3 사이에 속력이 ` m 인 순간이 각각 적

02
어도 한 번씩 존재한다. 따라서 의 최솟값은 2이다.
0184 중 하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f(-2)=-2, f(-1)=2, f( )=1,
f(1)= , f(2)=3, f(3)=-3
일 때, 방정식 f(x)= 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몇
개의 실근을 갖는지 구하시오. 3개

f(-2)f(-1) , f(2)f(3) 이므로 방정식 f(x)= 은 열린구간 (-2, -1),


(2, 3)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또, f(1)= 이므로 방정식 f(x)= 은 열린구간 (-2, 3)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
는다.

0188 중

0185 중 하 2년 전 민국이의 몸무게가 ` 이었고 1년 전에는 73` 이


다음 보기의 방정식 중에서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 었다. 현재 민국이의 몸무게가 ` 이라 할 때, 지난 2년 동
의 실근을 갖는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안 민국이의 몸무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보기
① 몸무게가 ` 인 때가 적어도 한 번 있었다.
ㄱ. x`+x- = ㄴ. x`-2x=3 ✔ ② 몸무게가 7` 인 때가 적어도 두 번 있었다.
ㄷ. x`+x`- x+1= 한번
③ 몸무게가 ` 인 때가 적어도 두 번 있었다.

ㄱ. f(x)=x`+x- 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④ 몸무게가 71` 인 때가 적어도 두 번 있었다.
f(1)=-3 , f(2)= ⑤ 몸무게가 72` 인 때가 적어도 두 번 있었다.
ㄴ. f(x)=x`-2x-3으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f(1)=-4 , f(2)=1
ㄷ. f(x)=x`+x`- x+1로 놓으면 함수 f(x)는 닫힌구간 [1, 2]에서 연속이고
f(1)=- , f(2)=7
0186 중 서술형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f(1)= , f(3)= - 일 때, 방정


식 f(x)=1이 열린구간 (1, 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4

g(x)=f(x)-1로 놓으면 함수 f(x)가 연속함수이므로 함수 g(x)도 연속함수이다.


◀2
g(1)=f(1)-1= -1, g(3)=f(3)-1=( - )-1= -
이므로 ( -1)( - ) ∴1 ◀
따라서 정수 는 2, 3, 4, 의 4개이다. ◀2

02. 함수의 연속 031


유형 정답과 풀이 21쪽

| 개념원리 수학 Ⅱ 47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56쪽 |

유형 11 함수가 연속일 조건 (2) 유형 12 여러 가지 사잇값의 정리의 활용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합성함수 f(g(x))가 x= 에서 ⑴ 주어진 구간에서 함숫값의 부호를 구하고 사잇값의 정리를 이
연속이다. 용한다.
⇨ lim f(g(x))= lim f(g(x))=f(g( )) ⑵ 함수의 극한이 주어지면 수렴하는 유리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x`Ú + x`Ú -
이용하여 함수를 찾는다.

0189 대표문제

두 함수 0192 대표문제

3-x (x 1)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방정식


f(x)=à , g(x)=x`+ x f(x)= 이 닫힌구간 [-1, 2]에서 가질 수 있는 실근의 최
x+2 (x 1)
에 대하여 합성함수 g(`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소 개수는? (단, )
때, 상수 의 값은?
f(x) f(x)
✔① - ② -4 ③ -3 ㈎ xlim = ㈏ lim =
Ú-1 x+1 x Ú2 x-2
④ -2 ⑤ -1 f(-1)= f(2)=

g(3-x) (x 1)
g(`f(x))=à
g(x+2) (x 1)
이므로 ①1 ②2 ✔③ 3
lim `g(`f(x))= lim `g(3-x)=g(2)=4+2
x`Ú 1+ x`Ú 1+
④4 ⑤
lim `g(`f(x))= lim `g(x+2)=g(3)= +3 f(x)=(x+1)(x-2)g(x) ( g(x)는 다항함수)로 놓으면
x`Ú 1- x`Ú 1-

즉, 4+2 = +3 ∴ =- f(x) (x+1)(x-2)g(x)


lim = lim = lim (x-2)g(x) =-3g(-1)=
x`Ú -1 x+1 x`Ú -1 x+1 x`Ú -1

f(x) (x+1)(x-2)g(x)
lim =lim =lim (x+1)g(x) =3g(2)=
0190 중 x`Ú 2 x-2 x`Ú 2 x-2 x`Ú 2

두 함수 ∴ g(-1)g(2)={-; ;} ; ;=- (∵ )

x`+1 (x 1) x+ (x 1) 이때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 은 열린구간 (-1, 2)에서 적어도 하나의
f(x)=à , g(x)=à 실근을 갖는다.
x-1 (x 1) x`+2 (x 1) 따라서 방정식 f(x)= 은 닫힌구간 [-1, 2]에서 최소 3개의 실근을 갖는다.
에 대하여 함수 f(x)+g(x)가 x=1에서 연속일 때, g(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0193 상 중

lim `f(x)+g(x) = lim (xÛ`+1)+(x+ ) =3+


x`Ú 1+ x`Ú 1+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
lim `f(x)+g(x) = lim (x-1)+(xÛ`+2) =3
x`Ú 1- x`Ú 1-
시킬 때, 방정식 f(x)= 이 실수 전체의 구간에서 적어도
이므로 3+ =3 ∴ =
∴ g( )= + = 개의 실근을 갖는다. 의 값을 구하시오. 4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4+x)=f(4-x)
0191 상 중
㈏ f( )f(3)
닫힌구간 [ , ]에서
㈐ f(4)f( )
3x- (3 x )
f(x)=à
x`+ x+ ( x 3) ㈎에서 x=1일 때 f(3)=f( )이고, x=4일 때 f( )=f( )
로 정의되고,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f(x+ )를 만족 이때 ㈏에서 f( )과 f(3)의 부호가 서로 다르고 ㈐에서 f(4)와 f( )의 부호가 서로 다
르므로 f( ), f(4), f( )의 부호는 서로 같고 이는 f(3), f( )의 부호와 다르다.
시키는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일 때, f(1 ) 따라서 방정식 f(x)= 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열린구간 ( , 3), (3, 4), (4,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상수) ( , )이므로 적어도 4개의 실근을 갖는다. ∴ =4

lim (3x- )= lim (xÛ`+ x+ )이므로


x`Ú 3+ x`Ú 3-

3= +3 + ∴ 3 + =- `㉠
이때 f(x)=f(x+ )이므로 f( )=f( ) ∴ =1 - =
= 를 ㉠에 대입하면 3 + =- ∴ =-
3x- (3 x )
따라서 f(x)=à 이므로
xÛ`- x+ ( x 3)
f(1 )=f(11)=f( )=f(1)=1- + =

032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22쪽

0194 0196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함수 f(x)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가 x= 에서 불연속인 이유를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연결한 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
것은? 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

보기

ㄱ. f(`f(2))의 값은 존재한다.
ㄴ. 극한값 lim`f(`f(x))는 존재한다.
x Ú2

ㄷ. 합성함수 f(`f(x))는 x=2에서 연속이다.


보기

함수의 연속
ㄱ. lim`f(x)가 존재하지 않는다.

✔① ㄱ ②ㄴ ③ㄷ
ㄴ. f( )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④ ㄱ, ㄴ ⑤ ㄱ, ㄴ, ㄷ

02
ㄷ. lim`f(x) f( ) ㄱ. f(`f(2))=f(3)=

따라서 f(`f(2))의 값은 존재한다.
ㄴ. lim `f(`f(x)) lim `f(`f(x))
x`Ú 2+ x`Ú 2-
① ㈎ - ㄱ, ㈏ - ㄴ ② ㈎ - ㄱ, ㈏ - ㄷ ㄷ. ㄴ에 의하여 f(`f(x))는 x=2에서 불연속이다.

③ ㈎ - ㄴ, ㈏ - ㄱ ✔ ④ ㈎ - ㄷ, ㈏ - ㄱ
⑤ ㈎ - ㄷ, ㈏ - ㄴ

0197
x`-
(x 2)
함수 f(x)= x-2 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일
(x=2)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2
x`-
f(2)=lim`f(x)=lim
0195 중요 x`Ú 2 x`Ú 2 x-2
(x-2)(xÛ`+2x+4)
다음 중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를 모두 고르면? =lim
x`Ú 2 x-2
(정답 2개) =lim (xÛ`+2x+4)=12
x`Ú 2

∴ =12
① f(x)='Äx+1 ✔ ② f(x)=2xÛ`-4x+3
x`
x+3 (x )
③ f(x)= ✔ ④ f(x)= |x|
xÛ`-x-2
(x= ) 0198
xÛ`-x xÛ`+ x+
(x 1) (x -1)
⑤ f(x)= |x-1| 함수 f(x)= x+1 가 x=-1에서 연속
1 (x=1) 2 (x=-1)
① 정의역 [-1, ¦)에서 연속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7
② 다항함수이므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
xÛ`+ x+
③ xÛ`-x-2= 인 x, 즉 x=-1, x=2에서 불연속 lim `f(x)=f(-1) ∴ lim
=2
x`Ú -1 x+1 x`Ú -1
④ f( )= 이고, lim `f(x)= , lim `f(x)= 이므로 lim`f(x)= lim (xÛ`+ x+ )= 이므로 1- + = ∴ = -1
x`Ú 0+ x`Ú 0- x`Ú 0
x`Ú -1
∴ lim`f(x)=f( ) xÛ`+ x+ -1 (x+1)(x+ -1)
x`Ú 0
lim = lim = lim (x+ -1)=-2+ =2
⑤ lim `f(x) lim `f(x) x`Ú -1 x+1 x`Ú -1 x+1 x`Ú -1
x`Ú 1+ x`Ú 1-
따라서 =4, =3이므로 + =7

02. 함수의 연속 033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199 0202 중요

열린구간 {-; ;, 1}에서 함수 f(x)=; ;[3x]가 불연속이 방정식 x`+x`-1= 이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질 때, 다음

되는 x의 값의 개수는? 중 이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단,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다.)


① {-1, -; !;} ② {-; !;, } ③ { , ; !;}
① ②2 ③4
✔④ ⑤ ✔ ④ {; !;, 1} ⑤ (1, 2)

x=-1, -; ;, -; !;, , ; !;, ; ;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이 되는 x의 값의 개수는 이다. f(x)=x`+xÛ`-1로 놓으면
f(-1)=-1 , f {-; !;}=-; ; , f( )=-1 , f {; !;}=-; ; ,
f(1)=1 , f(2)=11
따라서 f {; !;} f(1)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 !;, 1}이다.

0203
어느 버스가 정류장에서 출발하여 정류장을 거쳐 정류
장에 도착하였다. 이 버스가 정류장에서 정류장까지 갈

0200 중요 때와 정류장에서 정류장까지 갈 때의 최고 속력이 각각


열린구간 (-1, 1)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 m ` m 였다고 할 때, 정류장에서 정류장
('Ä1+x-'Ä1-x)f(x)=x`-x 으로 갈 때까지 속력이 3 ` m 인 순간이 적어도 번이다.
를 만족시킬 때, f( )의 값은? 이때 의 값은? (단, 버스는 각 정류장에서 반드시 정차한다.)

① -2 ✔ ② -1 ③ ①1 ②2 ③3
④1 ⑤2 ✔④ 4 ⑤
xÛ`-x 버스가 정류장을 출발한 지 x시간 후의 버스의 속력을 f(x)` m 라 하고 정류장
x 일 때, f(x)= 을 출발한 지 각각 시간, 시간 후에 정류장, 정류장에 도착하였다고 하면
'Ä1+x-'Ä1-x
함수 f(x)가 x= 에서 연속이므로 f( )= , f( )= , f( )=
이때 , 이고 f( )= , f( )= 인 , 가 존재하므로 f( )=3 인
xÛ`-x
f( )=lim`f(x)=lim 가 구간 ( , ), ( , ), ( , ), ( , )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존재한다.
x`Ú 0 x`Ú 0 'Ä1+x-'Ä1-x
따라서 버스의 속력이 3 ` m 인 순간은 적어도 4번 존재한다.
(x-1)('Ä1+x+'Ä1-x`)
=lim ∴ =4
x`Ú 0 2
=-1
0204 평가원 기출

x`-4x+
2) (x
함수 f(x)=à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x-2 (x 2)
g(x)
0201 이차함수 g(x)에 대하여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
함수 f(x)= 에 대하여 다음 중 최솟값이 존재하지 않 연속일 때, g( )의 값은?
x+2
는 구간은?

✔ ① [- , -2) ② [-4, -3] ③ (-2, 3]


④ [1, ] ⑤ [2, ]
함수 f(x)= 는 x -2일 때, 연속이다.
x+2
②, ④, ⑤ f(x)는 주어진 닫힌구간에서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이 구간에
서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①7 ② ✔③
③ -2 x 3일 때, 최솟값은 f(3)= =1
3+2 ④1 ⑤ 11
g(x)
함수 가 x=2에서도 연속이므로
f(x)
g(2) g(x) g(x)
= lim = lim
f(2) x`Ú 2+ x-2 x`Ú 2- xÛ`-4x+
이차함수 g(x)를 g(x)=(x-2)(x+ )( 는 상수)로 놓으면
g(x) g(2) g(x)
lim = = 에서 lim = 이므로
x`Ú 2- xÛ`-4x+ 1 x`Ú 2+ x-2

(x-2)(x+ )
034 Ⅰ. 함수의 극한과 연속 lim
x`Ú 2+ x-2
= lim (x+ )=2+ =
x`Ú 2+
∴ =-2

따라서 g(x)=(x-2)Û`이므로 g( )=3Û`=


정답과 풀이 23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직선 y=x+ 가 곡선 y='Äx-2와 접할 때의 실수 의 값은
'Äx-2=x+ 에서 xÛ`+(2 -1)x+ Û`+2=
0205 0208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2x+ (x -1) 직선 y=x+ 와 곡선 y='Äx-2가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함수 f(x)= x`- (-1 x 1) 가 모든 실수 x에서 개수를 f( )라 할 때, 함수 f( )가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실
3x+ (x 1) 수 의 값의 개수를 구하시오. 2
=(2 -1)Û`-4( Û`+2)=-4 -7= ∴ =-; ;
연속이고 f( )=-1일 때, 상수 , , 에 대하여 의값 또, 직선 y=x+ 가 곡선 y='Äx-2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실수 의 최
을 구하시오. 6 솟값은 =-2
{ -; ;}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f(x)= lim `f(x)=f(-1), 1- =2+ ∴ + =-1 ㉠ 1 { =-; ;}
x`Ú -1+ x`Ú -1- ∴ f( )=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2 {-2 -; ;}
lim `f(x)= lim `f(x)=f(1), 3+ =1- ∴ + =-2 ㉡
x`Ú 1+ x`Ú 1- 1 ( -2)
◀ 따라서 함수 f( )가 불연속이 되도록 하는 의 값은 -2, -; ;의 2개이다.
또, f( )=-1이므로 - =-1 ∴ =1
0209 평가원 기출

함수의 연속
=1을 ㉠, ㉡에 각각 대입하면 =-2, =-3 ◀3
∴ =(-2) 1 (-3)= ◀2 양수 에 대하여 함수 y=|x|의 그래프와 원
(x-1)`+(y-2)`= `이 만나는 점의 개수를 f( )라 하자.
함수 f( )가 불연속이 되는 의 값의 개수는?

02
0206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가
(x-2)f(x)= x`+ x, f(2)=4
를 만족시킬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2
xÛ`+ x
x 2일 때, f(x)=
x-2 ①1 ②2 ✔③ 3
xÛ`+ x
lim`f(x)=f(2)이므로 lim
x`Ú 2 x`Ú 2 x-2
=4 ◀3 ④4 ⑤ '2 3'2
원의 중심 (1, 2)와 직선 x-y= , x+y= 사이의 거리는 각각 , 이고
lim( xÛ`+ x)= 이므로 4 +2 = ∴ =-2 ◀3 2 2
x`Ú 2
점(1, 2)와 원점 사이의 거리는 '
xÛ`-2 x x(x-2)
lim =lim =lim x=2 =4 '2 '2
x`Ú 2 x-2 x`Ú 2 x-2 x`Ú 2 일 때, f( )= = 일 때, f( )=1
2 2
∴ =2, =-4 ◀3 '2 3'2 3'2
∴ + =-2 ◀1 일 때, f( )=2 = 일 때, f( )=3
2 2 2
3'2
' 일 때, f( )=4 =' 일 때, f( )=3
2
' 일 때, f( )=2
'2 3'2
따라서 함수 f( )는 = , , ' 에서 불연속이므로
창의 . 융합 2 2
0207 0210 그 개수는 3이다.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좌표평면 위에 오른쪽 그림과 같이 네
f(1)=- , f(2)=-2, f(3)=3, f(4)=-14 점 ( , ), (1, ), ( , ),
일 때, 방정식 f(x)+3x= 은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 , )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다리꼴
몇 개의 실근을 갖는지 구하시오. 2개 가 있다. 사잇값의 정리를 이
g(x)=f(x)+3x로 놓으면 용하여 사다리꼴 의 넓이를 이
g(1)=f(1)+3=-2, g(2)=f(2)+ =4,
등분하고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존재
g(3)=f(3)+ =12, g(4)=f(4)+12=-2 ◀
따라서 g(1)g(2) , g(3)g(4)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g(x)= 은 함을 보이시오. 풀이 참조
열린구간 (1, 2), (3, 4)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3
=; !; ( +7) =4
즉, 열린구간 (1, 4)에서 적어도 2개의 실근을 갖는다. ◀1
의 넓이를 f( )라 하면 함수 f( )는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f( )= ,

f( )=4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f( )= 인 가 열린구간 ( , )에 존재한다.

따라서 의 넓이를 이등분하고 x축에 평행한 직선 y= 가 존재한다.

02. 함수의 연속 035


쉬어가기

정의로운 사람이 되어라.

올바른 자는 언제나 정의 편에 서며 자신의 신념을 대쪽처럼 지킨다. 대중의


열정도 독재자의 권력도 그로 하여금 결코 정의의 경계를 넘게 하지는 못한
다. 그러나 과연 누가 이러한 정의의 불사조인가? 진정으로 정의를 신봉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정의를 찬양하는 사람은 많지만 어떤 이들은 일신의 안녕
을 위해 정의를 저버린다. 어떤 이들은 위험에 처할 때까지 정의를 추종한다.
그러나 의롭지 못한 자들은 정의를 부인하고 위정자들은 정의를 숨긴다. 정의
란 우정이나 권력, 또는 자신의 이익에 어긋나는 문제에서도 결코 뒤를 돌아보
지 않는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정의는 배신당할 위험에 놓인다. 교활한 자들
은 그럴듯한 형이상학으로 정의를 추상하고, 그렇게 하여 위정자나 국시(國是)
와의 충돌을 교묘히 피한다. 그러나 올곧은 사람은 어떠한 종류의 속임수도
배신으로 간주한다. 그는 자신의 현명함보다는 자신의 동요할 줄 모르는 확고
한 태도에 더 큰 가치를 둔다. 진리가 발견되는 곳에는 언제나 그러한 사람이
있다. 정의로운 사람이 어떤 무리에서 떨어져 나온다면 그것은 그의 변덕 때
문이 아니라 그 무리의 변절 때문이다. 그 무리가 진리를 배신한 것이다.
개념원리

II
미분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 도함수의 활용 ⑴
05 도함수의 활용 ⑵
06 도함수의 활용 ⑶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Ⅱ. 미분

개념 플러스
03 . 1 평균변화율

1 증분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 함숫값은 f( )에서 f( )까지 변한다. 이
때 x의 값의 변화량 - 를 x의 증분, y의 값의 변화량 f( )-f( )를 y의 증분이라 하고,
이것을 각각 기호 , 로 나타낸다. 는 차이를 뜻하는 i 의
첫 글자 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로
2 평균변화율 ‘델타( l )’라 읽는다.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 - -
-

3 평균변화율의 기하적 의미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y=f(x)의 그래프 위의 두 점 ( , f( )), ( , f( ))를 지나는
직선 의 기울기와 같다.

03 . 2 미분계수

1 미분계수
미분계수 f ( )는
함수 y=f(x)의 x= 에서의 순간변화율 또는 미분계수는
‘f 프라임( im ) ’라 읽는다.
- -
lim lim
`Ú 0 `Ú -

2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 f ( )는 곡선
y=f(x) 위의 점 ( , f(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03 . 3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1 함수 f(x)의 f ( )에서의 미분계수 f ( )가 존재할 때, x=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함수 f(x)가 x= 에서 미분가능하


지 않은 경우
2 함수 y=f(x)가 x= 에서 미분가능하면 f(x)는 x= 에서 연속 함수 ① x= 에서 불연속인 경우
연속인 함수 ② x= 에서 그래프가 꺾인 경우
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함수 f(x)가 x=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참고 함수 f(x)=|x|는 x=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038 Ⅱ. 미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26쪽

03 . 1 평균변화율 [0221 ~ 0222] 다음 함수의 x= 에서의 미분계수가 일 때, 양수


의 값을 구하시오.
[0211 ~ 0214] 다음 함수에서 x의 값이 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평
0221 f(x)=xÛ`-2x 4
균변화율을 구하시오.

0211 f(x)=3x+1 3 0222 f(x)=2x`+3 1

0212 f(x)=xÛ` 2

0213 f(x)=3x`-4 12

0214 f(x)=(x-3)Û``` -4 [0223 ~ 0225] 다음 함수 f(x)에 대하여 곡선 y= f(x) 위의 주


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시오.

0223 f(x)=3xÛ`+1 (-1, 4) -6

0215 함수 f(x)=-xÛ`+2에서 x의 값이 다음과 같이 변 ( ,- )


0224 f(x)=xÛ`-2x- -2
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⑴ 1에서 4까지 - 0225 f(x)=-x`-x+7 (-1, ) -4

미분계수와 도함수
⑵ 3에서 3+ x까지 -6-

03
0216 다음 함수에서 x의 값이 에서 + x까지 변할 때
03 . 3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0226 ~ 0227] 함수 f(x)=|x-2|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
⑴ f(x)=2x+3 2
시오.
⑵ f(x)=xÛ`-x 2 -1
0226 함수 f(x)의 x=2에서의 연속성을 조사하시오.
연속이다.

0227 함수 f(x)의 x=2에서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미분가능하지 않다.

03 . 2 미분계수

[0217 ~ 0220] 다음 함수의 x=2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오.

0217 f(x)=3x 3
2x` (x 1)
[0228 ~ 0229] 함수 f(x)= 에 대하여 다음
x-4 (x 1)
0218 `f(x)=-2x+ -2 물음에 답하시오.

0219 f(x)=xÛ`-2 4 0228 함수 f(x)의 x=1에서의 연속성을 조사하시오.


연속이다.

0220 `f(x)=(x+3)Û`` 10 0229 함수 f(x)의 x=1에서의 미분가능성을 조사하시오.


미분가능하다.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9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Ⅱ. 미분

개념 플러스
03 . 4 도함수

1 도함수
함수 y=f(x)의 미분가능한 모든 x에 미분계수 f (x)를 대응시키면 새로운 함수
-
lim
`Ú 0

를 얻는다. 이때 이 함수 f (x)를 함수 f(x)의 도함수라 하고, 이것을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y
y 는 y를 x에 대하여 미분한다는 것
x
f (x), y , , `f(x)
x x 을 뜻하며 ‘디와이( y) 디엑스( x)’
f(x+ )-f(x) 라 읽는다.
참고 도함수의 정의는 x= 라 하면 f (x)=lim 로 나타낼 수 있다.

2 미분법
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 f ( )
함수 f(x)에서 도함수 f (x)를 구하는 것을 ‘ f(x)를 x에 대하여 미분한다’고 하며 그 계산
는 도함수 f (x)의 식에 x= 를 대
법을 미분법이라 한다. 입한 값이다.

03 . 5 함수 과 상수함수의 도함수

1 y=x` ( 은 양의 정수) ⇨
-1 -1
(x ) = x

2 y= ( 는 상수) ⇨ y =

03 . 6 함수의 미분법

1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미분법


두 함수 f(x), g(x)가 미분가능할 때
⑴ y= f(x) ( 는 상수) ⇨ y = f (x)
⑵ y=f(x)+g(x) ⇨ y =f (x)+g (x) 함수의 합, 차의 미분법은 세 개 이상
의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⑶ y=f(x)-g(x) ⇨ y =f (x)-g (x)
즉, 세 함수 f(x), g(x), (x)가 미
분가능할 때,
2 함수의 곱의 미분법 y=f(x) g(x) (x)이면
세 함수 f(x), g(x), (x)가 미분가능할 때 y =f (x) g (x) (x)
⑴ y=f(x)g(x) ⇨ y =f (x)g(x)+f(x)g (x) (복부호동순)

⑵ y=f(x)g(x) (x) ⇨ y =f (x)g(x) (x)+f(x)g (x) (x)+f(x)g(x) (x) 곱의 꼴로 나타내어진 함수는 전개하
참고 함수 f(x)가 미분가능할 때, 지 않고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
y= f(x) ` ( 은 양의 정수) ⇨ y = f(x) -1
`f (x) 할 수 있다.

040 Ⅱ. 미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정답과 풀이 27쪽

03 . 4 도함수 0239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 (1)=3,


g (1)=-2일 때, 다음 함수의 x=1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
[0230 ~ 0232]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시오.
구하시오.
⑴ f(x)+g(x) 1

0230 f(x)=2 0
⑵ 2 f(x)-g(x)

0231 f(x)=2x+1 2

0232 f(x)=xÛ`-1 2

[0240 ~ 0243]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0233 미분가능한 함수 y=f(x)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에 0240 y=x(3x+2) 6 2


서 서로 같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ㄷ

보기 0241 y=(x-4)(3x-1) 6 -13


`f(x+ )-f(x) `f(1+ x)-f(1)
ㄱ. lim ㄴ. lim
`Ú 0 x`Ú 0 x
0242 y=-xÛ`(2x-3) -6 6
`f( )-f(x) `f(x)-f( x)
ㄷ. lim ㄹ. lim
`Ú x -x x`Ú 0 x
0243 y=(xÛ`-3)(x+4) 3 -3

미분계수와 도함수
03 . 5

03
함수 과 상수함수의 도함수

[0234 ~ 0236] 다음 함수의 도함수를 구하시오. [0244 ~ 0245]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0234 y=x`` 3
0244 `y=x(x-1)(x-2) 3 -6 2

0235 y=-x` -
0245 y=(x- )(2x+4)(-x+1) -6 16 14

0236 y=- 0

03 . 6 함수의 미분법 [0246 ~ 0248]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0237 ~ 0238] 다음 함수를 미분하시오. 0246 y=(3x+2)Û` 6 3 2

0237 y= x`+xÛ`` 2 2
0247 y=(2x-1)` 6 2 -1

0238 y=-3xÛ`+ x+1 -6 0248 y=(xÛ`+1)(2x+1)Û` 2 2 1 4 2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1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28쪽

| 개념원리 수학 Ⅱ 63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3쪽 |

유형 01 평균변화율 유형 02 평균변화율과 미분계수

함수 y=f(x)에서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 함수 y=f(x)에 대하여


y `f( )-f( ) `f( + x)-f( ) ⑴ x의 값이 에서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 = =
x - x
y `f( )-f( ) `f( + x)-f( )
= =
x - x
⑵ x= 에서의 미분계수는
0249 대표문제
`f( + x)-f( ) `f(x)-f( )
함수 f(x)=x`-2x+ 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 f ( )= lim =lim
x`Ú x x`Ú x-
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단, 1)
`f( )-f(1) `-2 + -(1-2+ ) 0253 대표문제
=
-1 -1 함수 f(x)=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4까지 변할
( -1)( Û`+ -1)
= = Û`+ -1=
-1 때의 평균변화율과 x=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Û`+ - = , ( +3)( -2)=
∴ =2 (∵ 1)
의 값을 구하시오. ;2;
`f(4)-f(-1) -3
= =1
4-(-1)
0250 하
`f( + )-f( ) ( + )Û`-2( + ) -( Û`-2 )
f` ( )=lim =lim
함수 f(x)=xÛ`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1+ 까지 변할 때 `Ú `Ú

=lim(2 + -2)=2 -2
의 평균변화율이 3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Ú 0

1 즉, 2 -2=1이므로 =; ;
`f(1+ )-f(1) (1+ )Û`-1Û`
(1+ )-1
= = +2=3 0254 중

∴ =1 함수 f(x)=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할 때


의 평균변화율과 x='7에서의 순간변화율이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1) 4
`f( )-f(1) ( `-1)- ( -1)( Û`+ +1)
0251 중
-1
=
-1
=
-1
= Û`+ +1

함수 f(x)=xÛ`-3x+ 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까지 변 f ('7)=lim


`f('7+ )-f('7)
=lim
('7+ )`-1 - ('7 )`-1
`Ú `Ú

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2 -7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lim(21+3'7 + Û`)=21


`Ú 0

(단, 1) 즉, Û`+ +1=21이므로 Û`+ -2 = , ( + )( -4)= ∴ =4 (∵ 1)


`f( )-f(1) `Û -3 + -(1-3+ ) 0255 중 서술형
=
-1 -1
( -1)( -2) 함수 f(x)= xÛ`+2x에 대하여 x의 값이 에서 2 까지 변
= = -2=2 -7 ∴ =
-1
할 때의 평균변화율과 x=1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
`f(2 )-f( ) `(4 `+4 )-( `+2 )
= =3 Û`+2 ◀3
2 -
0252 상 중
`f(1+ )-f(1) (1+ )Û`+2(1+ ) -( +2)
f (1)=lim =lim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Ú `Ú

=lim (2 + +2)=2 +2 ◀4

그림과 같다. 직선 의 기울기가 2일 즉, 3 Û`+2=2 +2이므로 3 Û`-2 = , (3 -2)=
때, x의 값이 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함 ∴ = (∵ ) ◀3
0256 중

수 f(x)의 평균변화율을 구하시오.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이고, x의 값이 1에서 까
(단, y=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이 - 일 때, x=1에서의 미분계수
x=2이다.) -2
를 구하시오. -1
`f(4)-f(2)
=2 `f( )-f(1)
4-2 =- , f(1)=3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f( )=f(4) -1
f( )=- Û`+ +3
따라서 x의 값이 에서 2까지 변할 때의 함수 f(x)의 평균변화율은
`f(1+ )-f(1) -(1+ )Û`+(1+ )+3 -3
`f(2)-f( ) `f(2)-f(4) `f(4)-f(2) ∴ f (1)=lim =lim
= =- =-2 `Ú `Ú
2- 2 2
=lim(-1- )=-1

042 Ⅱ. 미분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4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5쪽 |

유형 03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1) 유형 04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2)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는


`f( + )-f( ) `f( )-f( ) 는 끼리, 는 끼리 서로
f ( )=lim 부분이 서로 같도록 lim =f ( )

만들어 준다. `Ú - 같도록 만들어 준다.

0257 대표문제 0261 대표문제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2)= 일 때,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2일 때,


`f(2+ )-f(2- ) `f(x`)-f(1)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lim 의 값은?
`Ú 0 3 x`Ú 1 x-1
`f(2+ )-f(2) - `f(2- )-f(2)
(주어진 식)=lim
`Ú 3
①4 ② ✔③
`f(2+ )-f(2) `f(2- )-f(2) ④7 ⑤
=lim lim { }
`Ú `Ú -
`f(x`)-f(1) `f(x`)-f(1)
= f (2)+ f (2)= f (2)= =4 lim =lim (xÛ`+x+1)
x`Ú1 x-1 x`Ú1 x`-1
=3 f (1)=3 2=

0258 중 하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1)=3이고


`f(1+ )-f(1) 0262 중 하
lim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Ú 0
`f(x)-f(3)
`f(1+ )-f(1) `f(1+ )-f(1)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1일 때,
lim

=lim

x`Ú 3 x-3
= f (1)=3 `f(3+3 )-f(3)
즉, 3 = 이므로 =2 lim 의 값을 구하시오. 3

미분계수와 도함수
`Ú 0

f (3)=1이므로
`f(3+3 )-f(3) `f(3+3 )-f(3)
lim =lim 3
`Ú `Ú 3
=3 f (3)=3 1=3
0259 중

03
`f( +2 )-f( -3 )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를
`Ú 0

f ( )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0263 중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3, f (1)=1일 때,


①- f ( ) ② -f ( ) ③ f( )
xÛ`f(1)-f(xÛ`)
④ 3f ( ) ✔⑤ f(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x`Ú 1 x-1
`f( +2 )-f( ) - `f( -3 )-f( )
(주어진 식)=lim xÛ` f(1)-f(xÛ`) xÛ` f(1)-f(1) - `f(xÛ`)-f(1)
`Ú lim =lim
x`Ú1 x-1 x`Ú1 x-1
`f( +2 )-f( ) `f( -3 )-f( )
=lim 2-lim (-3) `f(xÛ`)-f(1)
`Ú 2 `Ú -3 =lim (x+1) f(1)-lim (x+1)
=2f ( )+3f ( )= f ( )
x`Ú1 x`Ú1 xÛ`-1
=2 f(1)-2 f (1)
=2 3-2 1=4

0260 중 0264 상 중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 ( )=-3일 때,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1)= , f (1)= 일 때,


`f( +3 )-f( + Û`) f(x)-3
lim 의 값을 구하시오. - li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f(x) ) 2
`Ú 0 x`Ú 1 'x-1
`f( +3 )-f( ) - `f( + Û`)-f( )
(주어진 식)=lim f(x)-3 f(x)- f(1)
`Ú lim =lim
`f( +3 )-f( ) `f( + Û`)-f( )
x`Ú1 'x-1 x`Ú1 'x-1
=lim 3- lim
`Ú 3 `Ú `Û f(x)- f(1) f(x)+ f(1) 'x+1
=lim
=3 f ( )+ f ( )=3 f ( ) x`Ú1 ('x-1)('x+1) f(x)+ f(1)
=3 (-3)=- `f(x)-f(1) 'x+1
=lim lim
x`Ú1 x-1 x`Ú1
f(x)+ f(1)
2
=f (1) =2
2 f(1)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3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66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67쪽 |

유형 05 관계식이 주어진 경우 미분계수 구하기 유형 06 미분계수의 기하적 의미

주어진 식의 x, y에 적당한 수를 대입하여 f( )의 값을 구한 후 함수 y=f(x)의 x= 에서의 미분계수 f ( )는 곡선 y=f(x)


`f( + )-f( ) 위의 점 ( , f(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f ( )=lim 에서 f( + )에 주어진 관계식

을 대입한다.
0269 대표문제

오른쪽 그림은 x 에서 미분가능


0265 대표문제
한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y=x를 나타낸 것이다. 일
f(x+y)=f(x)+f(y)-1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
을 만족시키고 f (2)=1일 때, f (1)의 값은? 는 대로 고르시오. ㄴ

✔① 1 ②2 ③3 보기

④4 ⑤ ㄱ. f ( ) f( ) ㄴ. f( )-f( ) -
f( )=1이므로 `f( ) `f( )
`f(2+ )-f(2) `f( )-1 `f( )-`f( )
ㄷ.
f (2)=lim =lim =lim =f ( )=1
`Ú `Ú `Ú

`f(1+ )-f(1) `f( )-1


∴ f (1)=lim =lim =f ( )=1 ㄱ. f ( )는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고, f ( )는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Ú `Ú
f( ) f( )
`f( ) `f( )
ㄷ. 는 원점과 점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고, 는 원점과 점 를 지나
0266 중
`f( ) `f( )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는 직선의 기울기이므로

f(x+y)=f(x)+f(y) 0270 중 하

를 만족시키고 f ( )=3일 때, f (1)의 값을 구하시오. 3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


f( )= 이므로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①
`f(1+ )-f(1) `f(1)+f( )-f(1) ②
f` (1)=lim

=lim

중에서 가장 큰 값은? ⑤
`f( ) `f( )-f( ) ③ ④
=lim =lim =f` ( )=3
`Ú `Ú ① f (-2) ② f( )
③ f (2) ④ f (4)
0267 중
✔⑤ f ( )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x+y)=f(x)+f(y)-xy
를 만족시키고 f ( )=3, f (2 )=7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f( )= 이므로
0271 중

f (2 )=lim
`f(2 + )-f(2 )
=lim
`f(2 )+f( )-2 -f(2 )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
`Ú `Ú

=lim
`f( )-2
=lim
`f( )-`f( )
-2 =f ( )-2 =3-2
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일
`Ú `Ú

즉, 3-2 =7이므로 =-2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


0268 상 중 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f(x)


이고, f(x+y)=2 f(x)f(y)를 만족시킨다. f ( )=3일 보기
`f (2) `f( )-f( )
때, 의 값은? ㄱ. f ( ) f( ) ㄴ. f( )
`f(2) -
①3 ②4 ③ + `f( )+f( )
ㄷ. f { }
✔④ ⑤7 2 2

f( )=; !;이므로
ㄴ. 직선 의 기울기가 점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보다 작으므로
`f(2+ )-f(2) 2 f(2) f( )-f(2)
f` (2)=lim =lim `f( )-f( )
`Ú `Ú
f( )
`f( )-f( ) -
=2 f(2) lim = 2 f(2) f` ( )=2 f(2) 3= f(2)
`Ú ㄷ. x 에서 함수 f(x)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므로
`f (2) ` f(2) `f( )+f( )
∴ = = +
f(2) f(2) f{ }
2 2
04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30쪽

| 개념원리 수학 Ⅱ 69쪽, 70쪽 |

유형 07 미분가능성과 연속성 0275 중

다음 보기의 함수 중 x=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


함수 y=f(x)가 실수 에 대하여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⑴ lim `f(x)=f( ) ⇨ x= 에서 연속
x`Ú 보기
`f(x)-f( ) x (x )
⑵ lim 가 존재 ⇨ x= 에서 미분가능 ㄱ. f(x)=
x`Ú x-
-x (x )
ㄴ. f(x)=xÛ`-3|x|+2
0272 대표문제
(x+1)Û` (x )
다음 보기의 함수 중 x=1에서 미분가능한 것만을 있는 대로 ㄷ. f(x)=
2x+1 (x )
고르시오. ㄱ, ㄷ
ㄱ. lim`f(x)=f( )= 이므로 f(x)는 x= 에서 연속이다.
보기 x`Ú 0
`f(x)-f( ) `f(x)-f( )
lim =1, lim =-1
ㄱ. f(x)=xÛ` ㄴ. f(x)=|xÛ`-x| x`Ú + x x`Ú - x
이므로 f(x)는 x=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ㄷ. f(x)=;[!; ㄴ. lim`f(x)=f( )=2이므로 f(x)는 x= 에서 연속이다.
x`Ú 0

`f(x)-f( ) `f(x)-f( )
lim =-3, lim =3
x`Ú + x x`Ú - x
ㄱ. lim f(x)=f(1)=1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이므로 f(x)는 x=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Ú1

`f(x)-f(1) 0276 중
lim =lim(x+1)=2
x`Ú1 x-1 x`Ú 1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열린구간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ㄷ. lim f(x)=f(1)=1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x`Ú1
(-3, 3)에서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은 개, 미분가능
1
`f(x)-f(1) x
-1 하지 않은 x의 값은 개이다. 이때 + 의 값을 구하시오.
lim lim
= x`Ú1 =lim { [! }=-1
x`Ú1 x-1 x-1 x`Ú1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미분계수와 도함수
0273 중 서술형

함수 f(x)=(x+2)|x-1|의 x=1에서의 연속성과 미분


가능성을 조사하시오.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함수 y=f(x)는 x=-2, x=1에서 불연속이므로 =2

03
lim`f(x)=f(1)= 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다. ◀4
x`Ú 1 또, x=-2, x=1,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3
`f(x)-f(1) `f(x)-f(1) ∴ + =
lim =3, lim =-3
x`Ú1+ x-1 x`Ú1- x-1
이므로 f(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따라서 f(x)는 x=1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1

0277 중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열린구간 ( , )
0274 중
에서 함수 f(x)에 대한 설명 중
다음 함수 중 x=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은 함수
옳은 것은?
는?
① f (3) 이다.
① f(x)= ② f(x)=x|x| ✔ ③ f(x)= xÛ``
② lim`f(x)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x| x`Ú 2
④ f(x)= ⑤ f(x)=|x|Û`
x ③ f (x)= 인 x의 값이 존재한다.
③ lim`f(x)=f( )= 이므로 f(x)는 x= 에서 연속이다.
x`Ú 0
④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은 3개이다.
`f(x)-f( ) `f(x)-f( ) ✔ ⑤ 함수 f(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lim =1, lim =-1
x`Ú + x x`Ú - x
이므로 f(x)는 x=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① 점 (3, f(3)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음수이므로 f` (3)
② ` lim `f(x)= lim `f(x)이므로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x`Ú 2+ x`Ú 2- x`Ú 2

③ f` (x)= 인 x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④ 함수 f(x)는 x=2, x=4에서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x의 값은 2개이다.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5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78쪽 |

유형 08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도함수 구하기 유형 09 미분법 (1)

-1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수 ⑴ y=x` ( 은 자연수) ⇨ y = x
`f(x+ x)-f(x) `f(x+ )-f(x) ⑵ y= `( 는 상수) ⇨ y =
⇨ f (x)= lim =lim
x`Ú x `Ú
⑶ y= f(x)`( 는 상수) ⇨ y = f (x)
⑷ y=f(x) g(x) ⇨ y =f (x) g (x) (복부호동순)
0278 대표문제

다음은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도함수의 정의를 이 0280 대표문제

용하여 y={`f(x) Û`의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이다.


함수 f(x)=-; ;! x`+; ;! xÛ`+x-1에 대하여 f (2)의 값은?

{`f(x) Û`=g(x)로 놓으면 y=g(x)에서 ✔ ① -1 ② ③1


`g(x+ )-g(x) ④2 ⑤3
y =lim
`Ú 0
f (x)=-xÛ`+x+1이므로
`f(x+ ) Û`- `f(x) Û` f (2)=-4+2+1=-1
=lim
`Ú 0


=lim ㈎ lim
`Ú 0 `Ú 0

= ㈐
0281 중 하

위의 과정에서 ㈎, ㈏, ㈐에 알맞은 것을 차례대로 써넣으시오. 함수 f(x)=x`-3xÛ`+ x+ 에 대하여 f (1)=2일 때, 상


㈎ ㈏ - ㈐2 수 의 값은?

①1 ②2 ③3
④4 ✔⑤
f (x)=3xÛ`- x+ 이므로
f (1)=2에서 3- + =2
0279 중
∴ =
다음은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도함수의 정의를 이
용하여 y=xÛ` f(x)의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이다.

xÛ` f(x)=g(x)로 놓으면 y=g(x)에서 0282 중 하

`g(x+ )-g(x)
y =lim
`Ú 0
함수 f(x)=x+; !;xÛ`+; !;x`+ +; ! ;x```에 대하여

(x+ )Û` f(x+ )-xÛ` f(x) f (1)의 값을 구하시오. 100


=lim
`Ú 0
f (x)=1+x+xÛ`+ +x``이므로
(x+ )Û` ㈎ +f(x) (x+ )Û`-xÛ` f (1)=1+1+1+ +1=1 1 =1
=lim 1 개
`Ú 0


=lim (x+ )Û` lim
`Ú 0 `Ú 0

+f(x) lim
`Ú 0
( ㈏ + )
= ㈐ 0283 중

함수 f(x)= x`+ x+3에 대하여 f(1)=1, f (1)=4일


위의 과정에서 ㈎, ㈏, ㈐에 알맞은 것을 차례대로 써넣으시오. 때,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상수) -1

㈎ - ㈏2 ㈐ 2 f(1)=1에서 + +3=1
∴ + =-2 ㉠
f (x)=3 xÛ`+ 이므로
f (1)=4에서 3 + =4 ㉡
㉠, ㉡을 연립하여 풀면 =3, =-
∴ =-1

046 Ⅱ. 미분
정답과 풀이 32쪽

| 개념원리 수학 Ⅱ 78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79쪽 |

미분계수를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유형 10 미분법 (2) 유형 11 -함수식이 주어졌을 때
⑴ y=f(x)g(x) ⇨ y =f (x)g(x)+f(x)g (x)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f ( )가 포함된 식
⑵ y=f(x)g(x) (x)
으로 변형한다.
⇨ y =f (x)g(x) (x)+f(x)g (x) (x)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 후 f (x)에 x= 를 대입하
+f(x)g(x) (x)
여 f ( )의 값을 구한다.
의 식에 f ( )의 값을 대입한다.
0284 대표문제

함수 f(x)=(x+1)(x+2)(x+3)에 대하여 `f ( )의 값
0288 대표문제 f (x)=3xÛ`-4x이므로 f (1)=-1
은?
함수 `f(x)=x`-2xÛ`+1에 대하여
✔ ① 11 ② 12 ③ 13 `f(1+ )-f(1- )
lim 의 값은?
④ 14 ⑤1 `Ú 0

f(x)=(x+1)(x+2)(x+3)에서 ✔ ① -2 ② -1 ③1
f (x)=(x+1) (x+2)(x+3)+(x+1)(x+2) (x+3)+(x+1)(x+2)(x+3)
=(x+2)(x+3)+(x+1)(x+3)+(x+1)(x+2) ④2 ⑤3
∴ f ( )= +3+2=11 `f(1+ )-f(1) - `f(1- )-f(1)
(주어진 식)=lim

`f(1+ )-f(1) `f(1- )-f(1)


=lim +lim
`Ú `Ú -
=f (1)+f (1)=2f (1)=-2

0285 중 하

0289 중 f (x)=3xÛ`-1 x이므로 f (1)=-7


함수 f(x)=(3xÛ`-1)`에 대하여 f (1)의 값을 구하시오. 72
`f(x) `Û - `f(1) `Û
함수 f(x)=x`- xÛ`에 대하여 lim 의

미분계수와 도함수
f(x)=(3xÛ`-1)(3xÛ`-1)(3xÛ`-1)이므로
x`Ú 1 x-1
f (x)=(3xÛ`-1) (3xÛ`-1)(3xÛ`-1)+(3xÛ`-1)(3xÛ`-1) (3xÛ`-1)
+(3xÛ`-1)(3xÛ`-1)(3xÛ`-1) 값을 구하시오. 6
=3(3xÛ`-1)Û`(3xÛ`-1) =1 x(3xÛ`-1)Û` `f(x)+f(1) `f(x)-f(1)
∴ f (1)=1 4=72 (주어진 식)=lim
x`Ú1 x-1
`f(x)-f(1)
=lim `f(x)+f(1) lim
x`Ú1 x`Ú1 x-1

03
=2 f(1) f (1)=2 (-4) (-7)=

0286 중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0290 중 f (x)= (3x-2)Û`이므로 f (2)=144

2 f(x)-x f(2)
g(x)=(xÛ`+3x) f(x)이고 f(1)=3, f (1)=2일 때, 함수 f(x)=(3x-2)`에 대하여 lim 의값
x`Ú 2 x-2
g (1)의 값을 구하시오. 23 을 구하시오. 224

g (x)=(xÛ`+3x) f(x)+(xÛ`+3x)f (x) 2 f(x)-2 f(2) - x f(2)-2 f(2)


(주어진 식)=lim
=(2x+3) f(x)+(xÛ`+3x)f (x) x`Ú2 x-2
`f(x)-f(2) (x-2) f(2)
∴ g (1)= f(1)+4 f (1)= 3+4 2=23 =lim 2-lim
x`Ú2 x-2 x`Ú2 x-2
=2 f (2)-f(2)=2 144- 4=224

f (x)=1+3xÛ`+ x`이므로 f (1)=


0291 중

두 함수 f(x)=x+x`+x`, g(x)=xÛ`+x`+x`에 대하여


0287 중 서술형
g (x)=2x+4x`+ x`이므로 g (1)=12
`f(1+2 )-g(1- )
함수 f(x)=(x- )(x`+2xÛ`+ )에 대하여 f ( )=11일 lim 의 값은?
`Ú 0 3
때, f (-1)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실수) 11
① ②7 ③
f (x)=(x`+2xÛ`+ )+(x- )(3xÛ`+4x)
=4x`+( -3 )xÛ`-4 x+ ◀4 ④ ✔⑤ 1
f ( )=11에서 `+2 Û`+ =11 `f(1+2 )-3+3-g(1- )
(주어진 식)=lim
`+2 Û`-3= , ( -1)( Û`+3 +3)= `Ú 3
∴ =1 (∵ 는 실수) ◀3 `f(1+2 )-f(1) - g(1- )-g(1)
=lim
따라서 f (x)=4x`+3xÛ`-4x+ 이므로 `Ú 3
◀3 `f(1+2 )-f(1) `g(1- )-g(1)
f (-1)=-4+3+4+ =11 =lim lim
`Ú 2 `Ú -
= f (1)+ g (1)= + 12=1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7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80쪽 |

유형 12 미분계수를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유형 13 접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f(x)-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 `( 는 상수)이면
x`Ú x-
이면
⇨ f( )= , f ( )=
⇨ f( )= , f ( )=

0292 대표문제

`f(x)
0296 대표문제

함수 f(x)=x`+2 xÛ`+ x-2 에 대하여 lim =2일 곡선 y=x`+ 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x`Ú 1 x-1

때, + 의 값은? (단, , 는 상수) -3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은?


① -2 ② -1 ✔③ ✔ ① -3 ② -3 ③ -34
④1 ⑤2 ④ -33 ⑤ -32
f(1)= , f (1)=2
f(x)=x`+ x+ 로 놓으면 f (x)=3xÛ`+
`f(1)=1+2 + -2 = ∴ 2 - =-1 ㉠
`f (1)=-3이므로 3+ =-3 ∴ =-
`f (x)=3xÛ`+4 x+ 이므로
`f(1)=1이므로 1+ + =1 ∴ =
`f (1)=3+4 + =2 ∴ 4 + =-1 ㉡
∴ =-3
㉠, ㉡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0293 중 0297 중 하

함수 f(x)=x`+ xÛ`+ 에 대하여 f(-1)=3, 함수 f(x)=xÛ`-3x+2의 그래프 위의 점 ( , )에서의 접


`f(x)-f(1) 선의 기울기가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6, 20
lim =; ;일 때, 의 값은? (단, , 는 상수)
x`Ú 1 xÛ`-1 `f (x)=2x-3
`f ( )= 이므로 2 -3= ∴ =
① -1 ② ③1 `f( )= 이므로 =f( )=f( )=2
④2 ✔⑤ 3
`f(x)-`f(1) `f(x)-`f(1) 1
lim =lim = f (1)
x`Ú1 xÛ`-1 x`Ú1 x-1 x+1
즉, f (1)= 이므로 f (1)=
한편, f(x)=x`+ xÛ`+ , f (x)=3xÛ`+2 x이므로 0298 중 하

`f(-1)=-1+ + =3 ……`㉠
함수 f(x)=xÛ`+ x+1의 그래프 위의 점 (1, 3)에서의 접
`f (1)=3+2 = ∴ =1
=1을 ㉠에 대입하면 =3 ∴ =3 선의 기울기가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0294 중 서술형
✔① 4 ② ③
`f(x) `f(x)
삼차함수 f(x)에 대하여 lim =-1, lim =4 ④7 ⑤
x`Ú 0 x x`Ú 1 x-1

일 때, 방정식 f(x)= 의 모든 근의 합을 구하시오. ; ; `f(1)=3이므로 1+ +1=3 ∴ =1


`f(x)=xÛ`+x+1에서 f (x)=2x+1
f( )= , f(1)= 이므로 f(x)=x(x-1)( x+ )로 놓으면 ◀4
=f (1)=3
`f(x)
lim =lim(x-1)( x+ )=- =-1에서 =1 ◀2 `∴ + =4
x`Ú x x`Ú

`f(x)
lim =lim x( x+1)= +1=4에서 =3 ◀2
x`Ú1 x-1 x`Ú

따라서 f(x)=x(x-1)(3x+1)이므로 방정식 f(x)= 의 세 근의 합은

+1+{- }= ◀2 0299 중

0295 상 중
곡선 y=(2x-1)`(xÛ`+ ) 위의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
함수 f(x)=x`+ xÛ`+ x+1에 대하여 의 기울기가 -1 일 때, 상수 의 값은?
`f(x)-f(2) `f(1-2 )-f(1+2 )
lim =-2, lim = ① -1 ② -2 ③ -3
x`Ú 2 x-2 `Ú 0

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상수) 10 ✔ ④ -4 ⑤-


`f(x)=(2x-1)`(xÛ`+ )로 놓으면
f (2)=-2
`f(1-2 )-f(1+2 ) `f(1-2 )-f(1) - `f(1+2 )-f(1) `f (x)=2(2x-1)Û`( xÛ`-x+3 )
lim =lim `f (1)=-1 이므로 2(4+3 )=-1
`Ú `Ú

=-2 f (1)-2 f (1)=-4 f` (1)= 4+3 =- `∴ =-4


∴ f (1)=-2
한편, f(x)=x`+ xÛ`+ x+1에서 f (x)=4x`+2 x+ 이므로
f (2)=-2에서 4 + =-34, f (1)=-2에서 2 + =-
∴ =-14, =22

048 Ⅱ. 미분 따라서 f(x)=x`-14xÛ`+22x+1이므로 f(1)=1


정답과 풀이 33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82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83쪽 |

유형 14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유형 15 다항식의 나눗셈에서 미분법의 활용

g(x) (x ) 다항식 f(x)가 (x- )Û`으로


다항함수 g(x), (x)에 대하여 함수 f(x)=
(x) (x )
⑴ 나누어떨어지면 ⇨ f( )= , f ( )=
가 x= 에서 미분가능할 조건은
⑵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x)= x+ 이라 하면
⑴ 함수 f(x)가 x= 에서 연속이다. 즉
⇨ f( )= ( )= + , f ( )= ( )=
⑴ lim (x)=g( )
x`Ú -

⑵ x= 에서 함수 f(x)의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즉


0304 대표문제
`g(x)-g( ) ` (x)- ( )
⑴ lim = lim 다항식 x`+ xÛ`+ x- 가 (x+1)Û`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x`Ú + x- x`Ú - x-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12

x`+ xÛ`+ x- =(x+1)Û` (x) ㉠


0300 대표문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Û`+3 (x -1)
함수 f(x)= 가 x=-1에서 미분 3xÛ`+2 x+ =2(x+1) (x)+(x+1)Û` (x)
x`+xÛ`+ x (x -1)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 - =3 ㉢
㉡, ㉢을 연립하여 풀면 =-3, =-
가능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7
∴ + =-12
lim `f(x)=f(-1)이므로 + =-3 ㉠
x`Ú-1
`f(x)-f(-1) `f(x)-f(-1)
lim = lim 에서
x`Ú-1+ x-(-1) x`Ú-1- x-(-1) 0305 중

-2 =1+ ∴ 2 + =-1 ㉡
다항식 x`-3xÛ`+ 가 (x- )Û`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상수
㉠, ㉡을 연립하여 풀면 =2, =- ∴ - =7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1
0301 중
x`-3xÛ`+ =(x- )Û` (x) ㉠
xÛ` (x 1) ㉠의 양변에 x= 를 대입하면 `-3 Û`+ = ㉡
함수 f(x)= 가 x=1에서 미분가능할 때,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미분계수와 도함수
x+ (x 1)
x`- x=2(x- ) (x)+(x- )Û` (x)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2 위 식의 양변에 x= 를 대입하면 `- =
( Û`+1)( +1)( -1)= ∴ =1 (∵ )
lim`f(x)=f(1)이므로 + =1 ㉠ =1을 ㉡에 대입하면 =2
x`Ú1
`f(x)-f(1) `f(x)-f(1) ∴ - =1
lim = lim 에서 =2
x`Ú1+ x-1 x`Ú1- x-1

03
=2를 ㉠에 대입하면 =-1 ∴ =-2 0306 중

다항식 x``-2x`+1을 (x+1)Û`으로 나눌 때의 나머지를


0302 중
(x)라 할 때, (1)의 값은?
xÛ`+ x-2 (x 1)
함수 f(x)= 이 모든 실수 x에서 ① -32 ✔ ② -2 ③ -2
- xÛ`+3x+1 (x 1)
④ -24 ⑤ -2
미분가능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13 (x)= x+ ( , 는 상수)
lim `f(x)=f(1)이므로 + = ㉠ x``-2x`+1=(x+1)Û` (x)+ x+ ㉠
x`Ú 1
`f(x)-f(1) `f(x)-f(1)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 =4 ㉡
lim = lim 에서
x`Ú1+ x-1 x`Ú1- x-1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 =-2 +3 ∴ +2 =1 ㉡ 1 x`- xÛ`=2(x+1) (x)+(x+1)Û` (x)+
㉠, ㉡을 연립하여 풀면 = , =-4 ∴ - =13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1 을 ㉡에 대입하면 =-12
0303 중
따라서 (x)=-1 x-12이므로 (1)=-2
xÛ`+x+ (x )
함수 f(x)= 이 x= 에서 미분가능할 0307 중
x` (x )
다항식 x``+ x`+ 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단, )
4x-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① -1 ✔② ③1 x``+ x`+ =(x-1)Û` (x)+4x- ㉠
④2 ⑤3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lim`f(x)=f( )이므로 `= Û`+ + 1 x`+3 xÛ`=2(x-1) (x)+(x-1)Û` (x)+4
x`Ú

`f(x)-f( ) `f(x)-f( )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2


lim = lim 에서
x`Ú + x- x`Ú - x- =-2를 ㉡에 대입하면 =-4
∴ =
2 +1=3 Û`, (3 +1)( -1)= ` ∴ =1, =-1 (∵ )
∴ + =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49


유형 정답과 풀이 36쪽

| 개념원리 수학 Ⅱ 81쪽 |

유형 16 치환을 이용한 극한값의 계산 유형 17 미분의 항등식에의 활용

주어진 식의 일부를 f(x)로 치환한다. 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 ⇨ x에 대한 항등식


미분계수의 정의를 이용한다. ⑵ 조건에 맞게 f(x)에 대한 식을 세우고, f(x), f (x)를 주어
진 관계식에 대입한다.
참고 f(x)가 차식이면 ⇨ f (x)는 ( -1)차식
0308 대표문제

x`- x+2
lim =1 일 때, + 의 값은?
x`Ú 1 x-1 0312 대표문제

(단, 은 자연수, 는 상수) 이차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①1 ② 17 ③1 (x+2)f (x)-f(x)=3xÛ`+12x
✔ ④ 21 ⑤ 23 를 만족시키고 f (-1)=1일 때, f (-2)의 값은?
lim(x`- x+2)= 이므로 1- +2=
x`Ú 1
∴ =3 ① -12 ✔② - ③
f(x)=x`-3x로 놓으면 f(1)=-2이므로
④ 12 ⑤1
x`-3x+2 `f(x)-f(1)
lim = lim =f (1)=1
x`Ú1 x-1 x`Ú1 x-1 f(x)= xÛ`+ x+ `( , , 는 상수, )로 놓으면 f (x)=2 x+
-1
이때 f (x)= x -3이므로 f (1)= -3 f(x), f (x)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Û`+4 x+2 - =3xÛ`+12x
즉, -3=1 에서 =1 위 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 =21 =3, 2 - = ㉠
또, f (-1)=1이므로 -2 + =1 ㉡
0309 중
㉠, ㉡에서 =3, =7, =14
x`-2xÛ`-3x+4 따라서 f (x)= x+7이므로
lim =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을 구 f (-2)=-
x`Ú 1 x-1
하시오. 12
0313 중

f(x)=x`-2xÛ`-3x로 놓으면 f(1)=-4이므로


`f(x)-f(1)
이차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2xÛ`-3x+4
lim = lim =f (1)=
x`Ú1 x-1 x`Ú1 x-1 xf (x)-f(x)=xÛ`+3
이때 f (x)= x -1-4x-3이므로 f (1)= -7
즉, -7= 에서 =12 을 만족시키고 f (1)=3일 때, f(2)의 값은?

① -3 ② -1 ③
④1 ✔⑤ 3
0310 중
f(x)= xÛ`+ x+ `( , , 는 상수, )로 놓으면 f (x)=2 x+
x`+x-34 f(x), f (x)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xÛ`- =xÛ`+3
lim = 일 때, 자연수 과 상수 에 대하여
x`Ú 2 x-2 위 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1, =-3
+ 의 값을 구하시오. 6
또, f (1)=3이므로 =1
lim`(x`+x-34)= 이므로 2`+2-34= , 2`=2` ∴ = 따라서 f(x)=xÛ`+x-3이므로
x`Ú 2
f(2)=3
f(x)=x`+x로 놓으면 f(2)=34이므로
x`+x-34 `f(x)-f(2)
lim = lim =f (2)=
x`Ú2 x-2 x`Ú2 x-2
이때 f (x)= x`+1이므로 =f (2)= 1
∴ + =
0314 상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f (x)= x+12
0311 상 중

x`-x`+x`-x`+x`-1 를 만족시킬 때, f(1) f(2)의 값을 구하시오. 70


lim 의 값을 구하시오. 7
x`Ú 1 x-1 f(x)를 차식이라 하면 f (x)는 ( -1)차식이므로
+( -1)=1 ∴ =1
f(x)=x`-x`+x`-x`+x`으로 놓으면 f(1)=1이므로
따라서 f(x)는 일차식이므로 f(x)= x+ `( , 는 상수, )로 놓으면
`f(x)-f(1)
lim x`-x`+x`-x`+x`-1 = lim =f (1) f (x)=
x`Ú1 x-1 x`Ú1 x-1
f(x), f (x)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Û`x+ = x+12
이때 f (x)= x`- x`+7x`- x`+ x`이므로
위 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주어진 식)=f (1)=7
=3, =4 또는 =-3, =-4
=3, =4일 때, f(x)=3x+4이므로 f(1) f(2)=7
=-3, =-4일 때, f(x)=-3x-4이므로 f(1) f(2)=7
, 에서 f(1) f(2)=7

050 Ⅱ. 미분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37쪽

0315 중요 0319 평가원 기출

함수 f(x)=xÛ`-x+1에 대하여 x의 값이 1에서 3까지 변할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때의 평균변화율과 x= 에서의 미분계수가 같을 때, 상수 `f(xÛ`)-f(4)
f (2)=-3, f (4)= 일 때, lim 의 값은?
의 값은? x`Ú -2 `f(x)-f(-2)

✔① - ② -4 ③4
① ; !; ②1 ③; ;
④ ⑤ 12
✔④ 2 ⑤; ; f(-x)=f(x)이므로 f (- )=-f ( )
즉, f (2)=-3에서 f (-2)=-f (2)=3
`f(3)-f(1) 7-1 `f(xÛ`)-f(4) `f(xÛ`)-f(4) x-(-2)
= =3 ∴ lim = lim (x-2)
3-1 2 x`Ú -2 `f(x)-f(-2) x`Ú -2 xÛ`-4 `f(x)-f(-2)
`f( + )-f( ) ( + )Û`-( + )+1 -( Û`- +1) 1
f ( )=lim =lim =f (4) (-4)=-
`Ú 0 `Ú 0
`f (-2)
=lim( +2 -1)=2 -1
`Ú 0

즉, 2 -1=3이므로 =2

0320
031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미분가능한 함수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f( )=g( )이고
y=f(x)에 대하여 g(x)=xf(x)라
`f( + )-g( + )
f ( )=1이다. lim =3일 때, g ( ) 할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Ú 0

의 값을 구하시오. -2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f (2)= )


ㄴ, ㄷ
`f( + )-g( + ) `f( + )-f( ) - `g( + )-g( )
lim =lim

미분계수와 도함수
`Ú 0 `Ú 0

`f( + )-f( ) `g( + )-g( ) 보기


=lim -lim
`Ú 0 `Ú 0
ㄱ. f(1)+g (1) ㄴ. g(2)g (2)
=f ( )-g ( )=1-g ( )
즉, 1-g ( )=3이므로 g ( )=-2 ㄷ. f(3)+g (3)

03
y=f(x)의 그래프에서
0317 중요
f(1)= , f (1) , f(2) , f (2)= , f(3)= , f (3)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곡선 y=f(x) 위의 점 g (x)=f(x)+x f (x)이므로
g (1) , g (2) , g (3)
(1, f(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 일 때, ㄱ. f(1)+g (1)=g (1)
ㄴ. g(2)g (2)=2 f(2)g (2)
`f(x)-f(1)
lim 의 값을 구하시오. -2 ㄷ. f(3)+g (3)=g (3)
x`Ú 1 x`-1
`f(x)-f(1) `f(x)-f(1) 1
lim =lim
x`Ú 1 x`-1 x`Ú 1 x-1 xÛ`+x+1
0321
= f (1)= (- )=-2
다음 보기의 함수 중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것만을 있
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ㄷ

보기

ㄱ. f(x)= (x-2)Û`` ㄴ. f(x)=(x-2)|x-2|


0318
xÛ`-4
`f(x+2)- ㄷ. f(x)=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3일 때, |x-2|
x`Ú 2 xÛ`-4
f(4)+f (4)의 값을 구하시오. 1 ㄱ. f(x)= (x-2)Û`=|x-2|
lim` f(x+2)- = 이므로 f(4)= lim`f(x)=f(2)= 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x`Ú 2 x`Ú 2

x+2= 로 놓으면 x`Ú 2일 때 `Ú 4이므로 `f(x)-f(2) `f(x)-f(2)


lim =1, lim =-1
x`Ú 2+ x-2 x`Ú 2- x-2
`f(x+2)- `f(x+2)- `f( )-f(4)
lim =lim =lim ; !; = f (4) 이므로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x`Ú 2 xÛ`-4 x`Ú 2 (x+2)(x-2) `Ú 4 -4
xÛ`-4
즉, f (4)=3이므로 f (4)=12 ㄷ. f(x)= 는 x=2에서 불연속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x-2|
∴ f(4)+f (4)=1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5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322 0326 중요

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f (-1)의


그림과 같을 때, 열린구간 값을 구하시오. 4

(-1, )에서 함수 `f(x)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f(x) `f(x)-
㈎ lim =-3 ㈏ lim =-
x`Ú¦ xÛ`-3x+2 x`Ú1 x-1
① lim`f(x)의 값이 존재한다.
x`Ú3

② f (4) 이다. 조건 ㈎에서 f(x)=-3xÛ`+ x+ ( , 는 상수)라 하면 f (x)=- x+


조건 ㈏에서 lim `f(x)- = 이므로 f(1)=
x`Ú 1
③ 함수 f(x)가 불연속인 x의 값은 2개이다. `f(x)- `f(x)-f(1)
∴ lim =lim =f (1)=- +
④ 함수 f(x)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x의 값은 3개이다. x`Ú 1 x-1 x`Ú 1 x-1
즉, - + =- 이므로 =-2
✔ ⑤ f (x)= 인 x의 값은 2개이다. 따라서 f (x)=- x-2이므로
f (-1)= -2=4
⑤ f (x)= 인 x의 값은 열린구간 (-1, 1), (4, )에서 각각 한 개씩 존재하고, 열린구
간 (1, 2)의 모든 점에서 f (x)= 이다.

0327
다항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 (3, 1)에서의 접선의 기
울기가 -1일 때, 함수 g(x)=xÛ`+xf(x)에 대하여 g (3)
의 값을 구하시오. 4
0323
f(3)=1, f (3)=-1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g (x)=2x+f(x)+x f (x)이므로
f(x+y)=f(x)+f(y)-3xy g (3)=2 3+f(3)+3 f (3)
= +1+3 (-1)=4
를 만족시키고 f ( )=-2일 때, f (x)를 구하시오.
-3 -2
f( )= 이므로
`f(x+ )-f(x) `f(x)+f( )-3x -f(x)
f (x)= lim

= lim

`f( )-3x `f( )-f( )


= lim = lim -3x
`Ú `Ú
0328
=f ( )-3x=-3x-2
다항식 x`+ x`+ 가 (x+1)Û`으로 나누어떨어질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은?
0324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① ; !; ② ; !; ③; ;
`f(x)-2 `g(x)-1
lim =2, lim =1 ④; ; ✔⑤ ; ;
xÛ`-4
x`Ú 2 x`Ú 2 x`-
일 때, 함수 y=f(x)g(x)의 x=2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하시 x`+ x`+ =(x+1)Û` (x) ㉠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 =1 ㉡
오. 3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lim `f(x)-2 = 이므로 f(2)=2 x`+4 x`=2(x+1) (x)+(x+1)Û` (x)
x`Ú 2

`f(x)- `f(x)-f 1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4 = ∴ =


lim =lim = f (2)=2 ∴ f (2)=
x`Ú 2 xÛ`-4 x`Ú 2 x-2 x+2
lim g(x)-1 = 이므로 g(2)=1 = 를 ㉡에 대입하면 =-
x`Ú 2

`g(x)- `g(x)-g(2) 1
lim =lim = g (2)=1 ∴ - =
x`Ú 2 x`- x`Ú 2 x-2 xÛ`+2x+4
∴ g (2)=12 0329
따라서 함수 y=f(x)g(x)의 x=2에서의 미분계수는 y =f (2)g(2)+f(2)g (2)=32
0325 평가원 기출
함수 f(x)가 x에 대한 다항식이고 f(1)=7, f (1)=2 이
함수 f(x)=2x`-3x+1에 대하여 다. f(x)를 (x-1)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x)라

3 2 할 때, (2)의 값을 구하시오. 27
lim f {1+ } f {1- } 의 값을 구하시오. 2
`Ú¦ (x)= x+ ( , 는 상수)
1 f(x)=(x-1)Û` (x)+ x+ ㉠
= 로 놓으면 `Ú ¦일 때 `Ú 이므로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 + =7 ㉡
`f(1+3 )-f(1-2 )
(주어진 식)=lim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Ú 0
f (x)=2(x-1) (x)+(x-1)Û` (x)+
`f(1+3 )-f(1) - `f(1-2 )-f(1)
=lim 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 (1)= =2
`Ú 0

`f(1+3 )-f `f(1-2 )-f =2 을 ㉡에 대입하면 =-13


=lim 3-lim (-2) 따라서 (x)=2 x-13이므로 (2)=27
`Ú 0 3 `Ú 0 -2
=3 f (1)+2 f (1)= f (1)= =2

052 Ⅱ. 미분
정답과 풀이 38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330 중요 0333 평가원 기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하여 다음 조건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 아닌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을 모두 만족시킬 때, f ( )의 값을 구하시오. -1 모두 만족시킬 때, f (1)의 값을 구하시오. 1

㈎ f(x+y)=f(x)+f(y)+2xy-1 `f(x) Û`-f(xÛ`)


㈎ lim =4
x`Ú¦ x` f(x)
㈏ f (1)=1
`f (x)
㈏ lim =4
x`Ú x
f( )=1 ◀3
`f(1+ )-f(1) `f(1)+f( )+2 -1-f(1)
f (1)=lim =lim f(x)의 최고차항을 x``( 1인 상수)으로 놓으면 조건 ㈎에서
`Ú 0 `Ú 0

`f( )+2 -1 `f( )-f( ) 2 = +3 ∴ =3


=lim =lim +2
`Ú 0 `Ú 0 `f(x) Û`-f(xÛ`)
lim = -1이므로 -1=4 ∴ =
=f ( )+2 ◀4 x`Ú ¦ x` f(x)
이때 f (1)=1이므로 f ( )+2=1 ∴ f ( )=-1 ◀3 f(x)= x`+ xÛ`+ x+ ( , , 는 상수)로 놓으면 f (x)=1 xÛ`+2 x+
조건 ㈏에서 lim`f (x)= 이므로 f ( )= ∴ =
x`Ú 0
`f (x) 1 xÛ`+2 x
lim =lim =2 =4이므로 =2
x`Ú 0 x x`Ú 0 x
0334 따라서 f (x)=1 xÛ`+4x이므로 f (1)=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f(x)= x`+ xÛ`+x+1 (-1 x 1)
0331 중요
이고 f(x+2)=f(x)를 만족시킬 때, f(1 1)+f (1 1)의
xÛ`+ (x 1)
함수 f(x)= 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미 값을 구하시오. -1
x+3 (x 1)

미분계수와 도함수
lim `f(x)= lim ``f(x)이므로 - + -1+1= + +1+1 ∴ =-1
x`Ú -1+ x`Ú 1-

분 가능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6


lim
`f(x)-f(-1)
=-2( +1)
x`Ú -1+ x-(-1)
lim`f(x)=f(1)이므로 - =2 ㉠ ◀4 `f(x)-f(-1) `f( -2)-f(-1)
x`Ú 1 x+2= 로 놓으면 lim = lim =2( -1)
x`Ú -1- x-(-1) `Ú 1- -1
또, f (1)이 존재하므로
즉, -2( +1)=2( -1)이므로 =
`f(x)-f(1) (xÛ`+ )-(1+ )
lim = lim = lim (x+1)=2 따라서 f(x)=-x`+x+1이므로 f (x)=-3xÛ`+1
x-1 x-1

03
x`Ú 1+ x`Ú 1+ x`Ú 1+
∴ f(1 1)+f (1 1)=f(-1)+f (-1)=-1
`f(x)-f(1) ( x+3)-( +3) (x-1)
lim = lim = lim = ∴ =2
x-1 x-1 x-1 창의 . 융합
x`Ú 1-

=2를 ㉠에 대입하면 =4
x`Ú 1- x`Ú 1+


0335
∴ + = ◀1 닫힌구간 [-2, 2]에서 정의된 두 함수 f(x), g(x)의 그래
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
는 대로 고르시오. ㄴ, ㄷ

0332
`f(x)-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4이고, f(x)를
x`Ú 2 x-2
(x-2)Û`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가 x+3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1 보기

lim `f(x)-
x`Ú 2
= 이므로 f(2)= ㄱ. 함수 f(x)+g(x)는 x= 에서 미분가능하다.
`f(x)- `f(x)-f(2)
∴ lim
x`Ú 2 x-2
=lim
x`Ú 2 x-2
=f (2)=4 ◀3 ㄴ. 함수 f(x)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f(x)=(x-2)Û` (x)+ x+3 ㉠ ◀2 ㄷ. 함수 (`f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f(2)=2 +3=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1 (-1 x )
f (x)=2(x-2) (x)+(x-2)Û` (x)+ ㄱ. f(x)+g(x)= 에서
2x-1 ( x 1)
위 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4
lim ` f(x)+g(x) =-1, lim ` f(x)+g(x) =1
=4를 ㉡에 대입하면 =11 ◀4 x`Ú 0+ x`Ú 0-

∴ + =1 ◀1 이므로 f(x)+g(x)는 x= 에서 불연속이고 미분가능하지 않다.


x-1 ( x 1)
ㄷ. (`f g)(x)=f(g(x))= 에서
(1 x 2)
(`f
g)(x)-(`f g)(1) (`f g)(x)-(`f g)(1)
lim = , lim =1
x`Ú 1+ x-1 x`Ú 1- x-1
이므로 (`f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053
04 도함수의 활용 ( 1 ) Ⅱ. 미분

개념 플러스
04 . 1 접선의 방정식

1 접선의 기울기와 미분계수의 관계


곡선 y= f(x) 위의 점 ( , f(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x= 에서의 미분계수 f ( )와 같다. 접선

2 접선의 방정식 곡선 y=f(x) 위의 점 ( f( ))에

곡선 y= f(x) 위의 점 ( , f(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1
- - ⇨ y- f( )=- (x- )
f ( )
(단, f ( ) )

04 . 2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

1 곡선 위의 한 점 , 가 주어진 경우 두 곡선의 공통인 접선


두 곡선 y= f(x), y=g(x)가 점
접선의 기울기 f ( )를 구한다.
( )에서 접하면
y- f( )= f ( )(x- )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 f( )=g( )= ,

2 곡선 에 접하고 기울기 이 주어진 경우 f ( )=g ( )

접점의 좌표를 ( , f( ))로 놓는다.


f ( )= 임을 이용하여 의 값을 구한다.
y- f( )= (x- )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3 곡선 밖의 한 점 , 이 주어진 경우
접점의 좌표를 ( , f( ))로 놓는다.
접선의 기울기가 f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을 세운다. 두 곡선 y= f(x), y=g(x)가
점 ( , )에서 만나고 이 점에서 두 곡
y- f( )= f ( )(x- )
선에 그은 접선이 서로 수직이면
의 식에 점 (x , y )의 좌표를 대입하여 의 값을 구한다. ⇨ f( )=g( )= ,
에서 구한 의 값을 의 식에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f ( )g ( )=-1

04 . 3 롤의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롤의 정리는 곡선 y= f(x)에서


f( )= f( )이면 x축과 평행한 접선
미분가능할 때, f( )= f( )이면
을 갖는 점이 열린구간 ( )에 적어
f` ( )= ( ) 도 하나 존재함을 의미한다.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4 . 4 평균값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평균값 정리는 곡선 y= f(x) 위의 두


점( f( )), ( f( ))를 잇는 직
미분가능하면
선과 평행한 접선을 갖는 점이 열린구
f( )- f( ) 간(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함을 의
=f ( ) ( )
- 미한다.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54 Ⅱ. 미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41쪽

04 . 1 접선의 방정식 [0345 ~ 0346] 다음 곡선에 대하여 주어진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도함수의 활용 ( 1 )
[0336 ~ 0339] 다음 곡선 위의 주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0345 y=xÛ`-x (1, -1) - , 3 -4

0336 y=xÛ`-1 (2, 3) 4 - 0346 y=x`-xÛ`-2 (-1, 2) 16 1

04
0337 y=2xÛ`-3x+7 (1, )

0338 y= x`+2xÛ`-4 (-3, ) -3 -4

04 . 3 롤의 정리
0339 y=-x`+ x+ (-1, 3) 3 6
[0347 ~ 0348]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0347 f(x)=xÛ`-4x [-1, ] 2

0348 f(x)=3x-xÛ` [1, 2] ;2;

04 . 2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방법

[0340 ~ 0342] 다음 곡선에 접하고 기울기가 1인 접선의 방정식


0349 함수 f(x)=x`-xÛ`- x-4에 대하여 닫힌구간
을 구하시오. [-1, 3]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개수를 구하

0340 y=-xÛ`+3x+ 6 시오. 1

0341 y= xÛ`- x+3 -1

0342 y=x`-2x -2, 2


04 . 4 평균값 정리

[0350 ~ 0351 ] 다음 함수에 대하여 주어진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


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0350 f(x)=xÛ` [1, 3] 2

0351 f(x)=xÛ`-2x [1, ] 3

[0343 ~ 0344] 다음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0343 곡선 y=-x`+4x 위의 점 (2, )을 지나고, 이 점


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 ; !; -; !;

0344 곡선 y=x`+ 에 접하고 직선 y=3x+1에 평행한 0352 함수 f(x)= x`-xÛ`에 대하여 닫힌구간 [-3 3]
직선 3 3, 3 7 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1

04. 도함수의 활용 ( 1 ) 055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43쪽

| 개념원리 수학 Ⅱ 91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92쪽 |

유형 01 접선의 기울기 유형 02 곡선 위의 점이 주어진 경우의 접선의 방정식

곡선 y= f(x)에 대하여 곡선 y= f(x) 위의 한 점 ( f( ))가 주어질 때


⑴ x= 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 f ( ) 접선의 기울기 f ( )를 구한다.
⑵ x= , x= 인 두 점에서의 접선이 평행 y- f( )= f ( )(x- )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 접선의 기울기가 같다. 즉, f ( )= f ( ) 다.
⑶ 접선의 기울기의 최대, 최소
⇨ f (x)의 최대, 최소와 같다.
0357 대표문제

곡선 y=x`-xÛ`+ x+2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의 방정


0353 대표문제 식이 y= x+ 일 때, 상수 , , 에 대하여 의 값은?
곡선 y=x`+ xÛ`+ 위의 점 (2,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①1 ✔② 2 ③3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1
④4 ⑤
f(x)=x`+ x`+ 로 놓으면 f (x)=3xÛ`+2 x
점 (2, )이 곡선 y=f(x) 위의 점이므로 f(2)= +4 + = f(x)=x`-xÛ`+ x+2로 놓으면 f (x)=3xÛ`-2x+
점 (2,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f (2)=12+4 = f(1)=1-1+ +2=3 ∴ =1
∴ =-1, =2 f (1)=3-2+1=2
∴ + =1 점 (1, 3)을 지나고 기울기가 2인 접선의 방정식은 y-3=2(x-1) ∴ y=2x+1
∴ =2, =1
∴ =2

0354 중 하 0358 중

곡선 y= f(x) 위의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곡선 y=-3x`+7x-4 위의 두 점 ( , -4), (2, -2)에서


f(2+ )- f(2) 의 접선을 각각 , 이라 할 때, 두 직선 , 의 교점의 좌표
-3일 때, lim 의 값을 구하시오. -1
Ú 를 구하시오. 1, 3
f (2)=-3이므로 f(x)=-3xÛ`+7x-4로 놓으면 f (x)=- x+7
f(2+ )-f(2) f(2+ )-f(2)
lim =lim f ( )=7이므로 점 ( , -4)를 지나는 직선 의 방정식은 y=7x-4
`Ú 0 `Ú 0

= f (2)=-1 f (2)=- 이므로 점 (2, -2)를 지나는 직선 의 방정식은 y=- x+


따라서 두 직선 , 의 교점의 좌표는 (1, 3)이다.

0359 상 중
0355 중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다항식 f(x)가


곡선 y=x`+3 x`+ x+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의
f( )= f(3)= f(4)를 만족시킬 때, 곡선 y= f(x) 위의 점
기울기가 1 , x좌표가 2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일 때,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4 7
-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상수) 4
f( )=f(3)=f(4)= ( 는 상수)라 하면 f(x)=x(x-3)(x-4)+ 로 놓을 수 있다.
f(x)=x`+3 xÛ`+ x+ 로 놓으면 f (x)=3xÛ`+ x+ f(2)=2 (-1) (-2)+ =-1 ∴ =-
f(-1)=-1+3 - + =1 ∴ 3 - + =2 따라서 f(x)=x(x-3)(x-4)- =x`-7xÛ`+12x- 이므로
f (-1)=3- + =1 ∴ - + =12 f (x)=3xÛ`-14x+12에서 f (2)=-4
f (2)=12+12 + = ∴ 12 +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1=-4(x-2)
∴ =-1, = , =11 ∴ - + =4 ∴ y=-4x+7
0360 상 중 서술형

0356 상 중 f(x)-3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lim =-2가 성립한다.
x+1 x Ú-1
곡선 y=-x`+ xÛ`-2 x+1 위의 점에서의 접선 중 기울기
곡선 y= f(x) 위의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가 최대인 직선을 이라 하자. 직선 의 기울기를 , 이때의
을 y= x+ 라 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
접점의 좌표를 ( , )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시오. -1
f(x)=-x`+ xÛ`-2 x+1로 놓으면
f (x)=-3xÛ`+1 x-2 =-3(x-3)Û`+7이므로 f(x)-3
lim =-2에서 lim `f(x)-3 = 이므로 f(-1)=3 ◀3
f (x)는 x=3일 때 최댓값 7을 갖는다.
x`Ú -1 x+1 x`Ú -1

∴ =7 f(x)-3 f(x)-f(-1)
∴ lim = lim =f (-1)=-2 ◀3
x`Ú -1 x+1 x`Ú -1 x-(-1)
이때 f(3)=-27+ 1- +1=- 이므로 접점의 좌표는 (3, - )이다.
따라서 점 (-1, f(-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3, =-
y-3=-2(x+1) ∴ y=-2x+1 ◀3
∴ + + =
따라서 =-2, =1이므로 + =-1 ◀1

056 Ⅱ. 미분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92쪽 |

유형 03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 유형 04 곡선과 접선의 교점

곡선 y= f(x) 위의 점 ( f( ))를 지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과 곡선 y= f(x) 위의 점 ( f( ))에서의 접선 y=g(x)가 이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곡선과 다시 만나는 점의 x좌표는 방정식 f(x)=g(x)의 x
1 인 실근이다.

도함수의 활용 ( 1 )
y- f( )=- (x- ) (단, f ( ) )
f( )

0365 대표문제
0361 대표문제
곡선 y=x`-4xÛ`+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이 이 곡선
곡선 y=x(x+1)(2-x) 위의 점 (2 )을 지나고 이 점에

04
과 다시 만나는 점의 좌표가 ( )일 때 - 의 값을 구하
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이 y= x+ 일 때 상수
시오.
에 대하여 + 의 값은?
f(x)=x`-4xÛ`+ 로 놓으면 f (x)=3xÛ`- x
f (1)=- 이므로 점 (1,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①- ②- ✔③ - y=- x+7
이 직선이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 x+7=x`-4xÛ`+ 에서
④ ⑤ (x-1)Û`(x-2)= ∴ x=1 또는 x=2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2, -3)이므로
f(x)=x(x+1)(2-x)로 놓으면 f (x)=-3xÛ`+2x+2 =2, =-3 ∴ - =
점 (2,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2)=- 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과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 !;이다.

따라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 !;x-; !;이므로 =; !;, =-; !;


0366 중

∴ + =-; !;
0362 중 하 곡선 y=-x`+3x`+x-7 위
의점 (2, -1)에서의 접선이
곡선 y=2x- x` 에 접하고 직선 x-2y+1 = 과 수직인
x축과 만나는 점을 , 이 곡선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시오. -2 -;; ;; -2 ;; ;;;
과 다시 만나는 점을 라 할 때,
f(x)=2x-; !;x`으로 놓으면 f (x)=2-xÛ` : 는?
접점의 좌표를 { , 2 -; !; `}이라 하면 f ( )=2- Û`=-2 ∴ = 2
① 1:2 ✔② 1:3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 ;}, {2, ;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1
③ 1:4 ④ 2:3
y+; ;=-2(x+2), y-; ;=-2(x-2) ∴ y=-2x- , y=-2x+;;Á3¤;;
3
⑤ 3:4
0363 중

f(x)=-x`+3xÛ`+x-7로 놓으면 f (x)=-3xÛ`+ x+1


두 곡선 y=x`- x, y=xÛ`+ x+ 가 점 (1, -1)에서 만 f (2)=1이므로 점 (2,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3
나고 이 점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상수 , , 에 대하 이때 점 의 좌표는 (3, )이다.
직선 y=x-3이 주어진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여 의 값을 구하시오. -6 x-3=-x`+3xÛ`+x-7에서 (x-2)Û`(x+1)=
∴ x=-1 또는 x=2
f(x)=x`- x, g(x)=xÛ`+ x+ 로 놓으면 f (x)=3xÛ`- , g (x)=2x+
따라서 점 의 좌표는 (-1, -4)이므로
f(1)=1- =-1 ∴ =2
= (3-2)Û`+( +1)Û`='2
g(1)=1+ + =-1 ∴ + =-2
= (-1-2)Û`+(-4+1)Û`=3'2
두 접선이 서로 수직이므로 f (1)g (1)=-1에서 2+ =-1
∴ ='2` 3'2`=1 3
∴ =-3, =1 ∴ =-
0367 중

0364 중

곡선 y= x`-2x`+ x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이 이


곡선 y=x`+ x`-3 위의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과
x좌표가 1인 점에서의 접선이 서로 수직일 때, 양수 의 값은? 곡선과 다시 만나는 점을 라 하고, 선분 의 중점을 이
라 할 때, 선분 의 길이를 구하시오.
'1 `
① ②1 ③ '2 f(x)=; !;x`-2xÛ`+; ;x로 놓으면 f (x)=xÛ`-4x+; ;

'1 ` '2` f ( )=; ;이므로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x


✔④ ⑤
2 2 이 직선이 주어진 곡선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f(x)=x`+ xÛ`-3으로 놓으면 f (x)=3xÛ`+2 x ; ;x=; !;x`-2xÛ`+; ;x에서 xÛ`(x- )= ∴ x= 또는 x=
f (-1)=3-2 , f (1)=3+2 따라서 점 의 좌표는 ( , )이고, 점 은 의 중점이므로
f (-1)f (1)=-1에서 (3-2 )(3+2 )=-1
`+ `
'1 =; !; = =
∴ = (∵ 는 양수) 2
2

04. 도함수의 활용 ( 1 ) 057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93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93쪽 |

유형 05 기울기가 주어진 경우의 접선의 방정식 유형 06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미정계수의 결정

곡선 y= f(x)의 접선의 기울기 이 주어질 때 접점의 좌표를 ( f( ))로 놓는다.


접점의 좌표를 ( f( ))로 놓는다. 접선 y- f( )= f ( )(x- )가 주어진 직선과 일치함을 이
f ( )= 임을 이용하여 의 값을 구한다. 용하여 미정계수를 구한다.
y- f( )= (x- )를 이용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0372 대표문제

0368 대표문제 곡선 y=x`-3xÛ`- x+ 와 직선 y=-12x+11이 접할


곡선 y=3xÛ`-4x+1에 접하고 직선 x+y-3= 에 평행한 때, 상수 의 값은?
직선의 방정식은? ①7 ② ③

① y=-x+1 ✔ ② y=-x+ ✔④ 1 ⑤ 11
f(x)=x`-3xÛ`- x+ 로 놓으면 f (x)=3xÛ`- x-
접점의 좌표를 ( , `-3 Û`- +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③ y=x+1 ④ y=x+
y-( `-3 Û`- + )=(3 Û`- - )(x- )
∴ y=(3 Û`- - )x-2 `+3 Û`+
⑤ y=2x+1
∴ 3 Û`- - =-12 ㉠, -2 `+3 Û`+ =11 ㉡
f(x)=3xÛ`-4x+1로 놓으면 f (x)= x-4
㉠에서 =1, 이것을 ㉡에 대입하면 -2+3+ =11 ∴ =1
접점의 좌표를 ( , 3 Û`-4 +1)이라 하면 직선 x+y-3= 에 평행한 직선의 기울기는
-1이므로
f ( )= -4=-1 ∴ =; !;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 ;! , -; ;! }이므로 구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0373 중 하

곡선 y=xÛ`-4x+ 와 직선 y=-2x+1의 접점의 x좌표를


y+; !;=-{x-; !;} ∴ y=-x+; !;
라 할 때,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2
0369 중 하

x= 일 때 접선의 기울기는 -2
곡선 y=x`-4x+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f(x)=xÛ`-4x+ 로 놓으면 f (x)=2x-4이므로
y=-x+ 일 때, 상수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하시오. f ( )=2 -4=-2 ∴ =1
따라서 접점의 좌표가 (1, -1)이므로 y=xÛ`-4x+ 에 대입하면 =2
2 (단, 점 는 제 1사분면 위의 점이다.) ∴ =2

f(x)=x`-4x+ 로 놓으면 f (x)=3xÛ`-4


점 의 좌표를 ( , `-4 + )라 하면 f ( )=3 Û`-4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 `-4 + )=(3 Û`-4)(x- ) ∴ y=(3 Û`-4)x-2 `+
이 직선이 직선 y=-x+ 와 일치해야 하므로 0374 중

3 Û`-4=-1 ∴ =1 또는 =-1 ㉠, -2 `+ = ㉡
이때 점 는 제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에서 =1
곡선 y=x`+ x+3과 직선 y=4x+ 가 점 (-1, )에서
=1을 ㉡에 대입하면 -2+ = ∴ - =2 접할 때, 의 값은? (단, , 는 상수)
0370 중 하
①- ② -3 ③3
곡선 y=x`+ xÛ`+7x-1에 접하는 직선 중 기울기가 - 인
✔④ ⑤1
접선의 y절편을 구하시오. -
f(x)=x`+ x+3으로 놓으면 f (x)=3xÛ`+
f(x)=x`+ xÛ`+7x-1로 놓으면 f (x)=3xÛ`+12x+7 점 (-1, )에서 직선 y=4x+ 와 접하므로
접점의 좌표를 ( , `+ `+7 -1)이라 하면 f(-1)=-1- +3= , f (-1)=3+ =4
f ( )=3 Û`+12 +7=- , ( +2)Û`= ∴ =-2 ∴ =1, =1
즉, 접점의 좌표는 (-2, 1)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점 (-1,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1=- (x+2) ∴ y=- x- y-1=4(x+1) ∴ y=4x+
따라서 구하는 y절편은 - 이다. ∴ = ∴ =

0371 중
0375 상 중

곡선 y=x`+ x`+2 x+1과 직선 y=3x+1이 접할 때, 모


곡선 y=-x`+3x+2에 접하는 직선 중 x축의 양의 방향과
든 상수 의 값의 곱을 구하시오. 1
이루는 각의 크기가 4 인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구하시오. 1, 4
f(x)=x`+ xÛ`+2 x+1로 놓으면 f (x)=3xÛ`+2 x+2
f(x)=-xÛ`+3x+2로 놓으면 f (x)=-2x+3 접점의 좌표를 ( , `+ Û`+2 +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를 ( , - Û`+3 +2)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4 =1이므로 y=(3 Û`+2 +2 )x-2 `- Û`+1
f ( )=-2 +3=1 ∴ =1 ∴ 3 Û`+2 +2 =3 ㉠, -2 `- Û`+1=1 ㉡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4)이다.
㉡에서 Û`(2 + )= ∴ = 또는 =-; ;

= 일 때, ㉠에 대입하면 =; ;

=-; ;일 때, ㉠에 대입하면 =2 또는 =

, 에서 모든 상수 의 값의 곱은 ; ; 2 =1
058 Ⅱ. 미분
정답과 풀이 45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9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96쪽 |

유형 07 곡선 밖의 한 점이 주어진 경우의 접선의 방정식 유형 08 두 곡선의 공통인 접선

곡선 y= f(x) 밖의 한 점 (x y )이 주어질 때 두 곡선 y= f(x), y=g(x)가 점 ( )에서 접하면


접점의 좌표를 ( f( ))로 놓는다. ⇨ f( )=g( )= , f ( )=g ( )
y- f( )= f ( )(x- )에 점 (x y )의 좌표를 대입하여

도함수의 활용 ( 1 )
의 값을 구한다.
0380 대표문제
의 식에 의 값을 대입하여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두 곡선 y=x`+2xÛ`, y=-xÛ`+4가 한 점에서 공통인 접선
을 가질 때, 공통인 접선의 방정식은?
0376

04
대표문제
① y=-2x-4 ② y=-2x+
점 ( , 1)에서 곡선 y=x`-x+3에 그은 접선의 y절편을 구
③ y=4x+4 ✔ ④ y=4x+
하시오. 1
⑤ y=7x-4
f(x)=x`-x+3으로 놓으면 f (x)=3xÛ`-1
접점의 좌표를 ( , `- +3)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x`+2xÛ`, g(x)=-xÛ`+4로 놓으면
y-( `- +3)=(3 Û`-1)(x- ) f (x)=3xÛ`+4x, g (x)=-2x
∴ y=(3 Û`-1)x-2 `+3 두 곡선이 x좌표가 인 점에서 공통인 접선을 갖는다고 하면
이 직선이 점 ( , 1)을 지나므로 1=-2 `+3 ∴ =1 `f( )=g( )에서 `+2 Û`=- Û`+4, ( -1)( +2)Û`= ∴ =1 또는 =-2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2x+1이므로 구하는 y절편은 1이다. `f ( )=g ( )에서 3 Û`+4 =-2 , 3 ( +2)= ∴ = 또는 =-2
따라서 =-2일 때 공통인 접선을 갖고 `f (-2)=g (-2)=4이므로
공통인 접선의 방정식은 y- =4(x+2) ∴ y=4x+
0377 중 하

점 (-1, -1)에서 곡선 y=xÛ`+x에 그은 두 접선의 기울기


의 곱을 구하시오. -3

f(x)=xÛ`+x로 놓으면 f (x)=2x+1


접점의 좌표를 ( , Û`+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0381 중 하

y-( Û`+ )=(2 +1)(x- ) ∴ y=(2 +1)x- Û`


두 곡선 y=xÛ`+ x+ , y=-xÛ`+ 가 점 (1, 3)에서 접할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1=-(2 +1)- Û`
( +2)= ∴ = 또는 =-2 때, 상수 , , 에 대하여 - - 의 값은?
따라서 두 접선의 기울기의 곱은 f ( )f (-2)=1 (-3)=-3
✔ ① -14 ② -1 ③ -2

0378 중 ④2 ⑤
f(x)=xÛ`+ x+ , g(x)=-xÛ`+ 로 놓으면
점 (-1, 4)에서 곡선 y=x`- xÛ`+ x에 그은 접선 중 기울
f (x)=2x+ , g (x)=-2x
기가 유리수인 접선의 방정식을 y= x+ 라 할 때, 상수 , f(1)=1+ + =3 ∴ + =2
g(1)=-1+ =3 ∴ =4
에 대하여 의 값은? `f (1)=g (1)에서 2+ =-2 ∴ =-4, =
∴ - - =-14
①- ②- ✔ ③ -3
④4 ⑤
f(x)=x`- xÛ`+ x로 놓으면 f (x)=3xÛ`-1 x+
접점의 좌표를 ( , `- Û`+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 Û`+ )=(3 Û`-1 + )(x- )
∴ y=(3 Û`-1 + )x-2 `+ Û`
이 직선이 점 (-1, 4)를 지나므로 4=-(3 `Û -1 + )-2 `+ `Û , ( -1)( `Û - )= 0382 중 서술형
접선의 기울기가 유리수이므로 =1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3이므로 =-1, =3 ∴ =-3 두 곡선 y=x`+ x+1, y=xÛ`이 한 점에서 접할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
0379 상 중
f(x)=x`+ x+1, g(x)=xÛ`으로 놓으면
점 ( , )에서 곡선 y= xÛ`+1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직 f (x)=3xÛ`+ , g (x)=2x
두 곡선이 x좌표가 인 점에서 접한다고 하면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0 f( )=g( )에서 `+ +1= Û` ㉠ ◀3
f ( )=g ( )에서 3 Û`+ =2 ∴ =2 -3 Û` ㉡ ◀3
f(x)=; !;xÛ`+1로 놓으면 f (x)=; !;x ㉡을 ㉠에 대입하면
`+(2 -3 Û` ) +1= Û`, 2 `- Û`-1=
접점의 좌표를 { , ; ;! `Û +1}이라 하면 이 점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y=; !; x-; !; Û`+1
( -1)(2 Û`+ +1)=
이 직선이 점 ( , )를 지나므로 =-; !; Û`+1 ∴ Û`+4( -1)= ㉠ ∴ =1 (∵ 2 Û`+ +1 )
∴ =-1 ◀4
㉠의 두 근을 , 라 하면 두 접선의 기울기는 ; !; , ; !; 이고

두 접선이 서로 수직으로 만나므로 ; !; ; !; =-1 ∴ =-4 ㉡


또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1) ㉢
㉡, ㉢에서 4( -1)=-4 ∴ = 04. 도함수의 활용 ( 1 ) 059
유형 익 히 기 / /

중요

유형 09 접선과 좌표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0386 중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y=-xÛ`-3x+4가 x축의
접선의 x절편과 y절편을 찾는다.
음의 부분에서 만나는 점을
접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 y축과 만나는 점을 라
하자. 직선 와 평행하고
0383 대표문제
이 곡선에 접하는 직선이 x
곡선 y=- xÛ` 위의 점 (2, -2)에서의 접선과 x축, y축으 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라 할 때, 사각형 의 넓이를 구하시오. 24

f(x)=-xÛ`-3x+4로 놓으면 f (x)=-2x-3


✔① 1 ②2 ③4 -4
(-4, ), ( , 4)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1
-4-
④ ⑤ 한편, 직선 가 곡선과 만나는 접점의 좌표를 ( , - `Û -3 +4)라 하면
f(x)=-; !;xÛ`으로 놓으면 f (x)=-x f ( )=-2 -3=1에서 =-2
접점의 좌표는 (-2,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y- =x+2 ∴ y=x+
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x+2
따라서 (- , ), ( , )이므로
직선 y=-2x+2가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1, ), ( , 2)이므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 -△ =; !; -; !; 4 4=24

; !; 1 2=1

0387 중 서술형
0384 중 하

이차함수 y=(x+ )(x- )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을 각각


곡선 y=x`+ 위의 x좌표가 2인 점에서의 접선과 x축, y축
, 라 하자. 두 점 , 에서의 두 접선과 x축으로 둘러싸
2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
3 인 도형의 넓이가 1 일 때, 양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오. (단, 1 ) 12 f(x)=(x+ )(x- )=xÛ`- Û`으로 놓으면 f (x)=2x


y=f(x)가 x축과 만나는 점을 (- , ), ( , )이라 하면
f(x)=x`+ 로 놓으면 f (x)=3xÛ`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2)= + , f (2)=12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12x+ -1
y=-2 (x+ )=-2 x-2 Û`
이 접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각각 {; ;- , }, ( , -1 )이므로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12
y=2 (x- )=2 x-2 Û` ◀4
구하는 삼각형의 넓이는 ; !; {; ;- } (1 - )=; ;에서 두 접선의 교점을 라 하면
12
( -12)( -2 )= -2 x-2 Û`=2 x-2 Û`에서 x= (∵ )
∴ =12 (∵ 1 ) ∴ ( , -2 Û` ) ◀3
이때 △ 의 넓이가 1 이므로
; !; =; !; 2 2 Û`=1
∴ =2 ◀3
0385 중 하

좌표평면 위의 원점 에서 곡선 y=xÛ`+1에 그은 두 접선의 0388 상 중

접점과 원점 가 이루는 삼각형의 넓이는? 일 때, 곡선 y= (x-1)`-2의 그래프 위의 한 점


( , -2)에서 그은 접선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①1 ② ✔③ 2 , 라 하자. 삼각형 의 넓이를 라 할 때, lim 의
Ú +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원점) 1
④ ⑤3
f(x)= (x-1)Û`-2= xÛ`-2 x+ -2로 놓으면
f(x)=xÛ`+1로 놓으면 f (x)=2x f (x)=2 x-2
접점의 좌표를 ( , Û`+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점 ( ,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2)=-2 x ∴ y=-2 x+ -2
방정식은 -2
이 직선의 x절편과 y절편은 x= , y= -2
y-( Û`+1)=2 (x- ) ∴ y=2 x- Û`+1 2
이 직선이 점 ( , )을 지나므로 `-1= -2
따라서 { , }, ( , -2)이므로 △ 의 넓이 는
2
∴ =1 또는 =-1 ( -2)`
-2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1, 2), (-1, 2)이므로 구하는 삼 =; !; | -2|=
2 4
각형의 넓이는 ( -2)`
∴ lim = lim =1
`Ú 0+ `Ú 0+ 4
; !; 2 2=2

060 Ⅱ. 미분
정답과 풀이 47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00쪽 |

유형 10 곡선과 원의 접선 유형 11 롤의 정리

곡선 y= f(x)와 원 가 접할 때 함수 f(x)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


⑴원 의 중심과 접점을 지나는 직선은 그 접점에서의 접선과 서 미분가능할 때, f( )= f( )이면
수직이다. f ( )= ( )

도함수의 활용 ( 1 )
⑵ (원 의 중심과 접점 사이의 거리)=(원 의 반지름의 길이)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0389 대표문제 0392 대표문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y축 위에 함수 f(x)=(x+2)(x-3)Û` 에 대하여 닫힌구간 [-2, 3]에

04
있는 원이 점 (1, 1)에서 곡선 y=x` 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과 접할 때, 원의 넓이를 구하시오. ; ! ;
✔① - ②- ③ -1
원의 중심을 ( , ), 접점을 (1, 1)이라 하면
와 접선 은 수직이다.
f(x)=x`으로 놓으면 f (x)=4x` ④- ⑤-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4이므로
1- f (x)=(x-3)(3x+1)에서 f ( )=( -3)(3 +1)=
(직선 의 기울기)= =-; !; ∴ =; ;
1- ∴ =-; !; (∵ -2 3)
∴ { , ; ;}
'17`
원의 반지름의 길이 는 = = 1Û`+{1-; ;} =
4
따라서 원의 넓이는 Û`=; ! ;

0390 상 중 0393 하

곡선 y=x`과 점 (1, 1)에서 접하고 중심이 x축 위에 있는 원 함수 f(x)=-2xÛ`+4x 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시오. 10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f(x)=x`으로 놓으면 f (x)=3xÛ`
점 (1, 1)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1)=3 ①- ② ③
원의 중심의 좌표를 ( , )이라 하면 두 점 (1, 1), ( , )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과 수직
이므로 ✔④ 1 ⑤
1-
=-; !; ∴ =4
1-
f (x)=-4x+4에서 f ( )=-4 +4=
이때 반지름의 길이 는 두 점 (1, 1), (4,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 =1
= (4-1)`+1`='Ä1

0391 상 서술형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원점인 원


이 곡선 y=-x`+4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할 때, 원의 둘레의 길이를 0394 중

구하시오. 1 함수 f(x)=-2x`-4x`+ x+3에 대하여 닫힌구간


f(x)=-xÛ`+4로 놓으면 f (x)=-2x [- , ]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할 때,
접점의 좌표를 ( , - Û`+4)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 )=-2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자연수) 3
두 점 ( , - Û`+4), ( , )을 지나는 직선은 접선과 수직이므로
- Û`+4 1 '14` '14` 닫힌구간 [- , ]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므로 f(- )=f( )
= , Û`=; ; ∴ =- 또는 =
2 2 2 2 `-4 Û`- +3=-2 `-4 Û`+ +3
'14` '14` ( -2)( +2)= ∴ =2 (∵ 는 자연수)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 , ; !;}, { , ; !;} ◀4
2 2 이때 f (x)=- xÛ`- x+ 이므로
'14` '1 ` f ( )=- Û`- + =-2(3 -2)( +2)=
원의 반지름의 길이 는 = { } +{; !;} = ◀4
2 2 ∴ =; ; (∵ -2 2)
'1 `
따라서 원의 둘레의 길이는 2 =2 ='1 ` ◀2 2
2 ∴ = =3

04. 도함수의 활용 ( 1 ) 061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49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01쪽 |

유형 12 평균값 정리 0398 중 하

함수 f(x)=-xÛ`+ x에 대하여 닫힌구간 [ , 1]에서 평균


함수 f(x)가 닫힌구간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에
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이 일 때, 의 값은?
서 미분가능하면
(단, )
f( )-f( )
= f` ( ) ( )
- ①- ② -4 ③ -3
인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④ -2 ✔ ⑤ -1
f(1)-f( )
f (x)=-2x+ 이므로 =f ( )에서
1-
0395 대표문제 4-(- Û`+ )
=
1-
함수 f(x)=2xÛ`-4x+1에 대하여 닫힌구간 [1, 3]에서 평 ∴ =-1 (∵ )
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f(3)-f(1)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 ( )
3-1
7-(-1)
f (x)=4x-4이므로 =4 -4 ∴ =2
3-1

0396 하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0399 중
림과 같을 때, 닫힌구간 [ , ]에서 평
함수 f(x)=2x` 에 대하여
균값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개수
f(x+ )- f(x)= f (x+ )( 1)
를 구하시오. 3
를 만족시키는 의 값은? (단, )
평행한 접선을 3개 그을 수 있으므로
상수 의 개수는 3이다.
✔① ② ③

④ ⑤

0397 중 하 f(x)=2xÛ`에서 f (x)=4x


f(x+ )-f(x)= f (x+ )에서 2(x+ )Û`-2xÛ`=4 (x+ )
다음은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2x+ =2x+2 ∴ =; !; (∵ )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 , )에서 미분가능하다. 열린구간 ( , )에 속하는 모
든 x에 대하여 f (x)=g (x)이면, 닫힌구간 [ , ]에서
f(x)=g(x)+ ( 는 상수)이다.”
임을 증명한 것이다.

(x)= f(x)-g(x)라 하면 함수 (x)는 닫힌구간 0400 중

[ , ]에서 ㈎ 이고, 열린구간 ( , )에서 ㈏ 하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다. lim f (x)=-2를 만족시킬 때,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x Ú¦
x 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lim ` f(x+1)- f(x- ) 의 값을 구하시오. -12
(x)= f (x)-g (x)= ㈐ x Ú¦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따라서 (x)는 닫힌구간 [ , ]에서 상수함수이므로 f(x+1)-f(x- )
=f ( ) (x- x+1)
(x)= f(x)-g(x)= ( 는 상수) (x+1)-(x- )
이때 x Ú¦이면 Ú¦이므로
즉, f(x)=g(x)+ 이다. lim `f(x+1)-f(x- ) = lim
f(x+1)-f(x- )
x`Ú ¦ x`Ú ¦ (x+1)-(x- )
= lim
`Ú ¦
f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 연속 ㈏ 미분가능 ㈐ 0 = (-2)=-12

062 Ⅱ. 미분
유형 정답과 풀이 49쪽

유형 13 기울기가 주어진 접선의 방정식의 활용 유형 14 곡선 밖의 점에서 곡선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의 활용

도함수의 활용 ( 1 )
곡선 y= f(x)의 접선의 기울기 이 주어질 때 곡선 y= f(x) 밖의 한 점 (x y )이 주어질 때
접점의 좌표를 ( f( ))로 놓는다. 접점의 좌표를 ( , f( ))로 놓는다.
f ( )= 임을 이용하여 의 값을 구한 후 접점의 좌표를 구 y- f( )= f ( )(x- )에 점 (x y )의 좌표를 대입하여
한다. 에 대한 방정식을 세운다.

04
근을 가질 조건 또는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0401 대표문제

곡선 y=xÛ` 위의 점과 직선 y=2x-11 사이의 거리의 최솟 0405 대표문제

값을 구하시오. 2 점 ( , 1)에서 곡선 y=x`-4x`+1에 그은 접선이 오직 한


f(x)=xÛ`으로 놓으면 f (x)=2x 개 존재할 때, 실수 의 값의 범위는?
직선 y=2x-11과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 , Û` )이라 하면
f ( )=2 =2 ∴ =1
따라서 점 (1, 1)과 직선 y=2x-11 사이의 거리가 구하는 최솟값이므로 ✔① 4 ② 또는 4
|2-1-11|
=2'
2Û`+(-1)Û`
③ ④ 또는
0402 중

곡선 y=x`-2x에 접하고 기울기가 1 인 두 직선과 곡선의 ⑤4 f(x)=x`-4xÛ`+1로 놓으면 f (x)=3xÛ`- x


접점의 좌표를 ( , `-4 Û`+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을 각각 , 라 할 때, 두 점 , 사이의 거리를 구하 y-( `-4 Û`+1)=(3 Û`- )(x- ) ∴ y=(3 Û`- )x-2 `+4 Û`+1
시오. 4 이 직선이 점 ( , 1)을 지나므로 1=(3 Û`- ) -2 `+4 Û`+1
2 Û`-(4+3 ) + = ∴ = 또는 2 Û`-(4+3 ) + =
f(x)=x`-2x로 놓으면 f (x)=3xÛ`-2 = 을 중근으로 갖는 경우 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2 Û`-(4+3 ) + = 이
접점의 좌표를 ( , `-2 )라 하면 f ( )=3 `-2=1 ∴ =-2 또는 =2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2, -4), (2, 4)이므로 두 점 , 사이의 거리는
=(4+3 )Û`- 4 ,( -4)( -4) ∴; ; 4
(2+2)`+(4+4)`=4'

0406 상 중

0403 상 중
점 ( , -2)에서 곡선 y=x`-3x-1에 그은 두 접선의 접
곡선 y=x`-3xÛ`+2에 접하고 기울기가 인 두 직선 사이의
점을 각각 , 라 하자.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좌표가
거리는?
2
{3, -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3
13' 2` 1 ' 2` 1 ' 2` 3
① ✔② ③
41 41 41 f(x)=xÛ`-3x-1로 놓으면 f (x)=2x-3
접점의 좌표를 ( , Û`-3 -1)이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23' 2` 2 ' 2`
④ ⑤ y-( Û`-3 -1)=(2 -3)(x- ) ∴ y=(2 -3)x- Û`-1
41 41 이 직선이 점 ( , -2)를 지나므로 -2=(2 -3) - Û`-1 ∴ Û`-2 +3 -1=
f(x)=x`-3xÛ`+2로 놓고, 접점의 좌표를 ( , `-3 Û`+2)라 하면
위의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2
f ( )=3 Û`- = ∴ =-1 또는 =3 + + +2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1, -2), (3, 2)이므로 두 접선의 방정식은 삼각형 의 무게중심의 x좌표는 = =3 ∴ =3
3 3
x-y+7= , x-y-2 =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점 ( , 7)과 직선 x-y-2 =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0407 상
| -7-2 | 32 1 ' 2
= =
0404 상 Û`+(-1)Û` ' 2 4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1, )에
곡선 y=x`+ x+ 위의 임의 서 곡선 y=-x`+3에 그은 두 접
의점 와두점 (1, - ), 선의 접점을 각각 , 라 할 때, 삼
(- , 1)에 대하여 삼각형 각형 의 넓이를 구하시오. 16

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 f(x)=-xÛ`+3으로 놓으면 f (x)=-2x


접점의 좌표를 ( , - Û`+3)이라 하면
시오.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xÛ`+ x+ 로 놓으면 f (x)=2x+ y-(- Û`+3)=-2 (x- ) ∴ y=-2 x+ Û`+3
1-(- ) 이 직선이 점 (1, )을 지나므로 =-2 + Û`+3, ( +1)( -3)= ∴ =-1 또는 =3
직선 의 기울기는 =-1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x+y+4=
- -1 따라서 두 접점의 좌표는 (-1, 2), (3, - )
직선 와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 , Û`+ + )이라 하면 = (-1-3)Û`+(2+ )Û`=4'
f ( )=2 + =-1 ∴ =-3 직선 의 방정식은 2x+y= 이므로 직선 와 점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3, 2)일 때 삼각형 의 넓이가 최소이다. |2 1+ | '
= =
|-3+2+4| 3'2 2Û`+1Û` '
직선 와 점 사이의 거리는 = , = '2 이므로 삼각형
1Û`+1Û` 2 '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 !; 4' =1
3'2
의 넓이의 최솟값은 ; !; '2 =
2
04. 도함수의 활용 ( 1 ) 063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51쪽

0408 중요 0412
곡선 y=x`+ x`+1 x-4 위의 점에서의 접선 중 기울기가 점 (1, -1)에서 곡선 y=x`-x에 그은 접선 중 기울기가 음
최소인 직선의 방정식을 y= x+ 라 할 때, 상수 , 에 대 수인 직선이 점 ( , - )를 지날 때, 의 값은?
하여 의 값을 구하시오. 24
①2 ②3 ③4
f(x)=x`+ xÛ`+1 x-4로 놓으면
✔④ ⑤
f (x)=3xÛ`+12x+1 =3(x+2)Û`-2
따라서 접선의 기울기는 x=-2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f(x)=xÛ`-x로 놓으면 f (x)=2x-1
f(-2)=- 이므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의 방정식은 접점의 좌표를 ( , Û`-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2(x+2) ∴ y=-2x-12 y-( Û`- )=(2 -1)(x- ) ∴ y=(2 -1)x- Û`
즉, =-2, =-12 이므로 =24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1=2 -1- Û`, Û`-2 = ∴ = 또는 =2
이때 접선의 기울기가 음수이어야 하므로 =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y=-x이고 이 직선이 점 ( , - )를 지나므로
=
0409
곡선 y=xÛ`-3x+1 위의 임의의 점 ( , `-3 +1)에서의 0413 중요

접선이 y축과 만나는 점의 y좌표를 g( )라 할 때, 두 곡선 y=x`-x+3, y=xÛ`+ 가 제 1사분면 위의 한 점에


g( +2)-g( ) 서 공통인 접선을 가질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
lim 의 값은?
Ú¦ f(x)=x`-x+3, g(x)=xÛ`+ 로 놓으면
f (x)=3xÛ`-1, g (x)=2x
① -1 ✔ ② -4 ③1 두 곡선이 x좌표가 `( )인 점에서 접한다고 하면
`f( )=g( )에서 `- +3= Û`+ ㉠
④2 ⑤
`f ( )=g ( )에서 3 Û`-1=2 , (3 +1)( -1)= ∴ =1`(∵ )
f(x)=x`-3x+1로 놓으면 f (x)=2x-3이므로 f ( )=2 -3 ㉠에 대입하면 =2
점 ( , Û`-3 +1)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Û`-3 +1)=(2 -3)(x- ) ∴ y=(2 -3)x- Û`+1
∴ g( )=- Û`+1
g( +2)-g( ) -( +2)Û`+1 -(- Û`+1) 0414
∴ lim = lim
`Ú ¦ `Ú ¦
점 (1, -1)에서 곡선 y=x`+2에 그은 두 접선의 접점을
-4 -4
= lim =-4
`Ú ¦
각각 , 라 할 때, 삼각형 의 넓이는?

0410 ① ② 12 ✔③ 1

곡선 y= x`-2x`+1 위의 점 (1, )에서의 접선과 직선 ④ 32 ⑤ 42


f(x)=xÛ`+2로 놓으면 f (x)=2x
y=- x+4가 서로 수직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3 접점의 좌표를 ( , Û`+2)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Û`+2)=2 (x- ) ∴ y=2 x- Û`+2
(단, 는 상수) 이 직선이 점 (1, -1)을 지나므로
-1=2 - Û`+2 ∴ =-1 또는 =3
f(x)= x`-2xÛ`+1로 놓으면 f (x)=3 xÛ`-4x
두 접점을 (-1, 3), (3, 11)이라 하면 삼각형 의 넓이는
점 (1, )에서의 접선이 직선 y=-; !;x+4와 수직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12 4-{; !; 2 4+; !; 2 12+; !; 4}=1
f (1)=3 -4=2 ∴ =2
= f(1)=2-2+1=1
∴ + =3
0415
함수 f(x)=x`-( + )x+ 에 대하여 닫힌구간 [ , ]
에서 롤의 정리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은?
0411 +3 3 + 2 +
① ② ③
직선 y= x-4가 곡선 y=x`-4x+ 에 접할 때, 모든 상수 4 4 3
의 값의 곱을 구하시오. -11 + 2 -
✔④ ⑤
2 2
f(x)=x`-4x+ 로 놓으면 f (x)=3xÛ`-4
접점의 좌표를 ( , `-4 +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 (x)=2x-( + )이므로 롤의 정리에 의하여
+
y-( `-4 + )=(3 Û`-4)(x- ) ∴ y=(3 Û`-4)x-2 `+ f ( )=2 -( + )= ∴ =
2
이 직선이 직선 y= x-4와 일치하므로
=3 Û`-4 ㉠, -2 `+ =-4 ㉡
㉠을 ㉡에 대입하면 -2 `+3 Û`-4=-4, Û`(2 -3)=
= 일 때, =-4 =; ;일 때, =

따라서 모든 상수 의 값의 곱은 -4 =-11

064 Ⅱ. 미분
0416 평가원 기출
실력 up
닫힌구간 [ , 2]에서 정의된 함수
1 }에
f(x)= x(x-2)` {
2
0419
곡선 y=x`+( +3)x`- x+7에 접하는 직선 중 직선
대하여 곡선 y= f(x)와 직선

도함수의 활용 ( 1 )
x+3y+1= 에 평행한 직선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정수
y=x의 교점 중 원점 가 아닌
의 개수를 구하시오. 6
점을 라 하자. 점 가 원점으로
f(x)=x`+( +3)xÛ`- x+7로 놓으면 f (x)=3xÛ`+2( +3)x-
부터 점 까지 곡선 y= f(x) 위를 움직일 때, 삼각형 의 접점의 좌표를 ( , f(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1 f ( )=3 Û`+2( +3) -

04
넓이가 최대가 되는 점 의 x좌표가 이다. 상수 의 값은?
2 이때 3 Û`+2( +3)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값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라 하면 =( +3)Û`-3 {- +; !;}


4
① ✔② ③ ( +1)( + ) ∴- -1
따라서 정수 는 -7, - , - , -4, -3, -2의 개이다.
④ ⑤
곡선의 접점 중에서 직선 와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 , ( -2)Û`)이라 하면
0420
이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f ( )=3 Û`- +4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삼각형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점 에서의 접선은 직선 와 평행하므로
만족시킬 때, 다음 중 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f {; !;}=3 {; !;} - ; !;+4 =1

; ; =1 ∴ =; ;
㈎ f(1)=2 ㈏ f(7)= ㈐ | f (x)|

①1 ②2 ③3
④4 ✔⑤
서술형 주관식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f(7)-f(1)
|f ( )|= ; !;
7-1
-2
0417 ; !;, | -2| 2

4 -2 -2 2
함수 f(x)=x`-4x+ {x }의 역함수를 f -1(x)라 할
3 ∴ 4

때, 곡선 y= f -1(x) 위의 한 점 ( ,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


을 구하시오. ; !; ;; ;;
0421 창의 . 융합
점 (2, )는 곡선 y=f(x) 위의 한 점이므로
=f(2)=2`-4 2+ = ◀3 곡선 y=x`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
f (x)=3xÛ`-4에서 f (2)=
즉, 점 (2, )에서 곡선 y=f(x)에 그은 접선의 방정식은
이 x축과 만나는 점을 ( , ), 점
y- = (x-2) ∴ y= x-11 ㉠ ◀3 ( , ` )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따라서 구하는 접선은 직선 ㉠과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을 ( , ), 이라 하자. 이와 같은
x= y-11 ∴ y=; !;x+;;Á8Á;; ◀4
과정을 반복하여 곡선 y=x`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0418 중요 점을 ( +1 , )이라 할 때, 11 의 값은? (단, 은 자연수)

점 (-4, )에서 곡선 y= x`+ 에 그은 두 접선이 서로 수 ①{ } ` ② { }` ③ { }`


직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 1 11
✔④ { } ⑤{ }
f(x)=; !;xÛ`+ 로 놓으면 f (x)=; !;x
f(x)=xÛ`으로 놓으면 f (x)=2x
접점의 좌표를 { , ; !; Û`+ }라 하면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 x-; !; Û`+
점 (2,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4x-4
이 직선이 점 (-4, )을 지나므로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1, )이므로 =1
=; !; (-4)-; !; Û`+ ∴ Û`+ -4 = ㉠ ◀4 점 ( , Û`)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 Û`=2 (x- ) ∴ y=2 x- Û`
㉠의 두 근을 , 라 하면 두 접선의 기울기는 ; !; , ; !; 이므로
이 접선과 x축과의 교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1=; !;
; !; ; !; =-1 ∴ =-4 ㉡ ◀3 1
즉, =; !;, ={; !;}`, ={; !;}`, ∴ ={; !;}
또한, ㉠에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 ㉢
㉡, ㉢에서 -4=-4 ∴ =1 ◀3

04. 도함수의 활용 ( 1 ) 065


05 도함수의 활용 (2) Ⅱ. 미분

개념 플러스
05 .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 속하는 임의의 두 실수 x , x 에 대하여
함수 f(x)가 어떤 구간에서 미분가능
⑴x x 일 때, f(x ) f(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고 한다. 하고 이 구간에서
⑵x x 일 때, f(x ) f(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고 한다. ① f(x)가 증가하면 ⇨ f (x)
② f(x)가 감소하면 ⇨ f (x)
2 함수의 증가와 감소의 판정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⑴ f (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⑵ f (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05 .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1 함수의 극대와 극소
함수 f(x)에서 x= 를 포함하는 어떤 열린구간에 속하는 모든 x에 대하여
⑴ f(x) f( )일 때, 함수 f(x)는 x= 에서 극대라 하며, f( )를 극댓값이라 한다. 함수 f(x)가 x= 에서 연속이고
x= 의 좌우에서
⑵ f(x) f( )일 때, 함수 f(x)는 x= 에서 극소라 하며, f( )를 극솟값이라 한다.
① f(x)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면
⇨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이라 한다. ⇨ f(x)는 x= 에서 극대

2 극값과 미분계수 ② f(x)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면


⇨ f(x)는 x= 에서 극소
함수 f(x)가 x= 에서 미분가능하고 x= 에서 극값을 가지면 f ( )= 이다.
3 극대와 극소의 판정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 )= 이고, x= 의 좌우에서 f ( )= 이어도 x= 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면 f( )
⑴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f(x)는 x=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f( )이다.
는 극값이 아니다.
⑵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f(x)는 x=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f( )이다.

05 . 3 함수의 그래프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그린다.


도함수 f (x)를 구한 후 f (x)= 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구한다.
f (x)의 부호를 조사하여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낸다.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축과의 교점 등을 이용하여 그래프의 개형을 그린다.

05 . 4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최대・최소 정리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속일 때, 최댓값과 최솟값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한다. 함수 f(x)가 닫힌구간 [ , ]에서 연
주어진 구간에서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구한다. 속이면 f(x)는 이 구간에서 반드시 최
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주어진 구간의 양 끝에서의 함숫값 f( ), f( )를 구한다.
닫힌구간 [ , ]에서 연속함수 f(x)의
, 에서 구한 극댓값, 극솟값, f( ), f( )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댓값이고, 가장 작은
극값이 오직 하나 존재할 때, 극값이
값이 최솟값이다. ① 극댓값이면 ⇨ (극댓값)=(최댓값)
참고 극댓값과 극솟값이 반드시 최댓값과 최솟값이 되는 것은 아니다. ② 극솟값이면 ⇨ (극솟값)=(최솟값)

066 Ⅱ. 미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53쪽

05 . 1 함수의 증가와 감소 0430 함수 f(x)는 모든 실수 x에서 미분가능하고 x=


에서 극댓값 3, x=2에서 극솟값 -1을 갖는다. 이때
[0422 ~ 0424]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 f( )+f (2)의 값을 구하시오. 3
하시오.

0422 f(x)=xÛ` ( , ¦) 증가

0423 f(x)=-x` (-¦, ¦) 감소

0424 f(x)=-xÛ`+ x (-¦, 3) 증가


05 . 3 함수의 그래프

[0431 ~ 0434] 다음 함수의 극값을 구하시오.

도함수의 활용 (2)
0431 f(x)=x`-12x 극댓값: 16, 극솟값: -16
[0425 ~ 0427] 다음 함수의 증가와 감소를 조사하시오.
0432 f(x)=-x`+3x+1 극댓값: 3, 극솟값: -1
0425 f(x)=3x-xÛ` 풀이 참조

05
0433 f(x)=x`-2xÛ` 극댓값: 0, 극솟값: -1
0426 f(x)=xÛ`-x-2 풀이 참조

0434 f(x)=-3x`+4x`-1 극댓값: 0, 극솟값: 없다.


0427 f(x)= x`+xÛ`-4 풀이 참조

05 . 2 함수의 극대와 극소
[0435 ~ 0437]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0428 오른쪽 그림은 함수 y=f(x) 0435 f(x)=-x`+3x+2 풀이 참조


의 그래프이다. 함수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을 각각 구하시오. 0436 f(x)= x`-xÛ` 풀이 참조

극댓값: 6, 극솟값: -26


0437 f(x)=x`-4x`+4xÛ`+2 풀이 참조

0429 함수 y=f(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열 05 . 4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린구간 ( , )에서 다음을 구하시오. [0438 ~ 0441] 주어진 구간에서 다음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0438 `f(x)=-x`+3xÛ` [-2, 3] 최댓값: 20, 최솟값: 0

0439 `f(x)=x`- xÛ`+ x-2 [ , 4] 최댓값: 2, 최솟값: -2

0440 f(x)= x`-x` [-2, 3] 최댓값: 12, 최솟값: -


⑴ 함수 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값 ,

⑵ 함수 f(x)가 극솟값을 갖는 x의 값 , , 0441 f(x)=3x`-4x`+1 [-1, 2] 최댓값: 17, 최솟값: 0

05. 도함수의 활용 (2) 067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55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08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08쪽 |

유형 01 함수의 증가와 감소 유형 02 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함수 f(x)가 어떤 열린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이 구간에 속하는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모든 x에 대하여 ⑴ 증가하면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⑴ f (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증가한다. ⑵ 감소하면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⑵ f (x) 이면 함수 f(x)는 이 구간에서 감소한다.

0446 대표문제

0442 대표문제 함수 f(x)=x`- x`+( + )x+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


함수 f(x)=-x`-3x`+24x-2가 증가하는 구간이 닫힌구 서 증가하도록 하는 정수 의 최댓값은?
간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2
①4 ② ✔③
f (x)=-3xÛ`- x+24=-3(x+4)(x-2)
④7 ⑤
x -4 2
f (x) - + - f (x)=3xÛ`-2 x+ +
f(x) ↘ - 2 ↗ 2 ↘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이어야
따라서 함수 f(x)는 닫힌구간 [-4, 2]에서 증가하므로 =-4, =2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 + =-2
= Û`-3( + ) , Û`-3 -1
4
( +3)( - ) ∴ -3
따라서 정수 의 최댓값은 이다.
0443 중

함수 f(x)=x`+ x`+ x+ 가 감소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2]일 때, 2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 는 상수) -3

f (x)=3xÛ`+2 x+ 서술형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이 닫힌구간 [1, 2]이므로 이차방정식 f (x)= 의 두 근은
0447 중 하

1, 2이다. 함수 f(x)=-x`+ x`-12x-1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
3
, 1 2=; ;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6 6

따라서 =-; ;, = 이므로 2 + =-3 f (x)=-3xÛ`+2 x-12 ◀3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0444 중
4
= Û`-3 , ( + )( - )

함수 f(x)=2x`+ x`+3 x+ 가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 ∴- ◀7

가 x 3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상수) 17

f (x)= xÛ`+2 x+3


이차방정식 f (x)= 의 두 근은 , 3이다.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3=-; ;, 3 =

따라서 =2, =-1 이므로 - =17 0448 중

함수 f(x)= x`+x`-x가 열린구간 (-¦, ¦)에서 감소


하도록 하는 정수 의 최댓값은?

0445 중
①1 ② ✔ ③ -1
함수 f(x)=-x`+ x`+ x+3이 -1 x 2에서 증가하 ④ -2 ⑤ -3
고, x -1 또는 x 2에서 감소할 때, 상수 , 에 대하여 f (x)=3 xÛ`+2x-1
함수 f(x)가 열린구간 (-¦, ¦)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이
의 값을 구하시오.
어야 하므로 ㉠
f (x)=-3xÛ`+2 x+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이차방정식 f (x)= 의 두 근은 -1, 2이다.
=1+3 ∴ -; !; ㉡
2 4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 , (-1) 2=-; ;
3
㉠, ㉡에서 -; !;
따라서 =; ;, = 이므로 =
따라서 정수 의 최댓값은 -1이다.

068 Ⅱ. 미분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09쪽 |

0449 중
유형 03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조건
함수 f(x)=-x`+ x`+ x+7이 x x 인 임의의 두 실
함수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다.
수 x , x 에 대하여 f(x ) f(x )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실수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 y=f (x)의 그래프를 그리고 주어진 구간에서 f (x) 0 또
의 값의 범위는?
는 f (x) 0일 조건을 찾는다.
① 3 ② 3 ✔ ③ -3
④ 3 ⑤ -3 3
0452 대표문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3xÛ`+2 x+ 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함수 f(x)=x`-3x`+ x+2가 닫힌구간 [1, 3]에서 감소
= Û`+3 , ( +3) 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는?
4
∴ -3
✔① - ②- -
③- ④ 3
⑤ 3

도함수의 활용 (2)
f (x)=3xÛ`- x+
함수 f(x)가 닫힌구간 [1, 3]에서 감소하려면 1 x 3에서 f (x) 이어야 하므로
f (1)= -3 에서 3, f (3)= + 에서 -
∴ -

0450 상 중

05
함수 f(x)=x`+2 x`+4x가 임의의 두 실수 x , x 에 대하
0453 중

여x x 이면 f(x ) f(x )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실수


함수 f(x)=-x`+x`+ x-4가 닫힌구간 [1, 2]에서 증
의 값의 범위는?
가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① -3 3 ② -2 2 f (x)=-3xÛ`+2x+
함수 f(x)가 닫힌구간 [1, 2]에서 증가하려면 1 x 2에서 f (x) 이어야 하므로
✔ ③ -'3 '3 ④ -'3 또는 '3
f (1)=-1+ 에서 1, f (2)=- + 에서
⑤ -2 또는 2 ∴

f (x)=3xÛ`+4 x+4
함수 f(x)는 일대일함수이어야 하고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함수 f(x)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 할 때 0454 중

=4 Û`-12 , Û`-3 함수 f(x)=x`+ x`- x+4가 -2 x 1에서 감소하도


4
∴ -'3 '3 록 하는 실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① ; !; ②; ; ③; ;

✔④ ; ; ⑤; ;

f (x)=3xÛ`+2 x-
함수 f(x)가 -2 x 1에서 감소하려면 이 구간에서 f (x) 이어야 하므로
0451 상 중
f (-2)=12-4 - 에서 1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 !;x`- x`+3 x f (1)=3+2 - 에서 ; ; ∴1 ; ;

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실수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3 따라서 실수 의 최댓값은 ; ;, 최솟값은 1이므로 그 합은 1+; ;=; ;

f (x)=xÛ`-2 x+3
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f(x)가 실수
0455 상 중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해야 한다. 함수 f(x)=x`+ x`+3이 닫힌구간 [1, 2]에서 감소하고,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 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 의 판별식을
라할때 반닫힌 구간 [3, ¦)에서 증가하도록 하는 실수 의 값의 범
위를 구하시오. -;2; -3
= Û`-3 , ( -3) ∴ 3
4
따라서 실수 의 최댓값은 3이다. f (x)=3xÛ`+2 x
1 x 2일 때 f (x) 이고
x 3일 때 f (x)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f (1)=3+2 에서 -; ;
f (2)=12+4 에서 -3
f (3)=27+ 에서 -; ;

∴ -; ; -3 05. 도함수의 활용 (2) 069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14쪽, 115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16쪽 |

유형 04 함수의 극대와 극소 유형 05 함수의 극값과 미정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x= 에서 극값 를 가지면


f(x)의 도함수 f (x)를 구한다. ⇨ f ( )= , f( )=
f (x)= 을 만족시키는 x의 값 를 구한다.
x= 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를 조사한다.
0460 대표문제
양 → 음 ⇨ f(x)는 x= 에서 극대
⇨ f (x)의 부호가 함수 f(x)=x`+ x`+ x+3이 x=2에서 극댓값 23을 가
음 → 양 ⇨ f(x)는 x= 에서 극소
질 때, 함수 f(x)의 극솟값은? (단, , 는 상수)

①1 ②1 ③ 17
0456 대표문제
④1 ✔⑤1
함수 f(x)=-2x`+ x+1의 극댓값을 , 극솟값을 이
f (x)=3xÛ`+2 x+
라 할 때, + 의 값은? f (2)= 에서 12+4 + = ㉠
f(2)=23에서 11+4 +2 =23 ㉡
✔① 2 ②3 ③4 ㉠, ㉡을 연립하여 풀면 =- , =24
즉, f(x)=x`- xÛ`+24x+3이므로 f (x)=3xÛ`-1 x+24=3(x-2)(x-4)
④ ⑤
따라서 함수 f(x)는 x=4에서 극솟값 1 를 갖는다.
f (x)=- x`+ =- (x+1)(x-1)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 , =-3
∴ + =2
0461 중

함수 f(x)=-x`+27x+ 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이 1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0457 중 하
f (x)=-3xÛ`+27=-3(x+3)(x-3)
함수 f(x)=x`-4x`+1 가 x= 에서 극솟값 를 가질 때,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 4, x=3에서 극댓값 + 4를 갖는다.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이 1 이므로
+ 의 값은? ( + 4)+( - 4)=1
∴ =
① -12 ✔② - ③ -3
④ ⑤1
f (x)=4x`-12xÛ`=4xÛ`(x-3) 0462 중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12를 가지므로
=3, =-12 함수 f(x)=-2x`- x`+ 가 x= 에서 극솟값 1을 가질
∴ + =-
때, - 의 값은? (단, 는 상수)

① ②1 ✔ ③ 11
0458 중 하
④ 12 ⑤ 13
함수 f(x)=-x`+4x`+2x`-12x-7이 극값을 갖는 모든 f (x)=- xÛ`-12x=- x(x+2)
x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3 x=-2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2, `f(-2)=1 -24+ =1 ∴ =
f (x)=-4x`+12xÛ`+4x-12=-4(x+1)(x-1)(x-3) ∴ - =11
f (x)= 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함수 f(x)는 x=-1, x=1,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모든 x의 값의 합은
(-1)+1+3=3

0463 중

0459 중 함수 f(x)=x`+(2 +4)x`- x의 그래프에서 극대인 점


함수 f(x)=x`-3x`- x+ 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 과 극소인 점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
에서 극대인 점을 , 극소인 점을 라 할 때, 의 중점의 시오. -2

좌표를 구하시오. 1, -3 f (x)=3xÛ`+2(2 +4)x-


극대인 점과 극소인 점의 x좌표를 각각 , 라 하면 , 는 이차방정식
f (x)=3xÛ`- x- =3(x+1)(x-3)
3xÛ`+2(2 +4)x- = 의 두 근이다.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 13, x=3에서 극솟값 -1 를 가지므로
두 점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1, 13), (3, -1 )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의 중점의 좌표는 (1, -3)이다.
2(2 +4)
+ =- = ∴ =-2
3

070 Ⅱ. 미분
정답과 풀이 57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17쪽 |

0464 서술형

유형 06 도함수 y=f '(x)의 그래프와 함수의 극값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고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는 삼차함수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x)가 x=-1과 x=3에서 극값을 가질 때, 함수 f(x)의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극댓값을 구하시오. 5
f '(x)의 부호가
f(x)=xÜ`+axÛ`+bx (a, b는 상수)로 놓으면 f '(x)=3xÛ`+2ax+b 극대 극소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은 -1과 3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⑴ 양 → 음 ⇨ f(x)는 x=a에서 극대
2a ⑵ 음 → 양 ⇨ f(x)는 x=a에서 극소
-1+3=- , (-1)´3=;3B;
3
∴ a=-3, b=-9
∴ f(x)=xÜ`-3xÛ`-9x ◀60 %
f '(x)=3xÛ`-6x-9=3(x+1)(x-3) 0468 대표문제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극댓값은
f(-1)=5 ◀40 %
삼차함수 f(x)=axÜ`+bxÛ`+10의 도
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0465 중

과 같다. 함수 f(x)의 극솟값이 -6일


함수 f(x)=2xÜ`-;2#;axÛ`+1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할 때, 실
때, 함수 f(x)의 극댓값은?

도함수의 활용 (2)
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단, a, b는 상수)
f '(x)=6xÛ`-3ax=3x(2x-a)
함수 f(x)는 x=0, x=;2A;에서 극댓값 또는 극솟값을 갖는다. ①0 ②5 ✔ ③ 10
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므로 f(0)=0 또는 f {;2A;}=0 ④ 15 ⑤ 20

05
이때 f(0)=1+0이므로 f {;2A;}=0 x=0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f(0)=10

Ü Û
f {;2A;}=2{;2A;}`-;2#;a{;2A;}`+1=0, -;8!;aÜ`+1=0 ∴ a=2

0466 상 중

x=3에서 극값 1을 갖는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함수 g(x)를 g(x)=(-2x+1)f(x)라 할 때, 곡선 0469 중

y=g(x) 위의 x=3인 점에서의 접선과 원점 사이의 거리를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5
구하시오. 5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f(3)=1, f '(3)=0 f(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를 구하시
g(3)=-5f(3)=(-5)´1=-5 32
g'(x)=-2f(x)+(-2x+1)f '(x)에서 g'(3)=-2f(3)-5f '(3)=-2 오. 3
따라서 곡선 y=g(x) 위의 x=3인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f(x)=axÜ`+bxÛ`+cx+d (a+0, a, b, c, d는 상수)로 놓으면
y-(-5)=-2(x-3) ∴ 2x+y-1=0
f '(x)=3axÛ`+2bx+c, f '(0)=c=3
|-1| '5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은 -3과 1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따라서 원점과 직선 2x+y-1=0 사이의 거리는 =
"Ã2Û`+1Û` 5
2b c
-3+1=- , (-3)´1= =;a!; ∴ a=-;3!;, b=-1
3a 3a
f '(x)=-xÛ`-2x+3=-(x+3)(x-1)
0467 상 함수 f(x)는 x=-3에서 극솟값,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f(1)-f(-3)={-;3!;-1+3+d}-(9-9-9+d)=:£3ª: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차수가 가
장 낮은 함수 f(x)를 구하시오. f(x)=4xÜ`-5xÛ`-2x
0470 중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f(x)
㈎ lim =-2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의
x`Ú0 x
극솟값이 -2이고 극댓값이 6일 때,
㈏ 함수 f(x)는 x=1에서 극값 -3을 갖는다.
f(1)의 값을 구하시오. 6

조건 ㈎에서 f(0)=0이므로 f(x)=xg(x) (g(x)는 다항함수)라 하면


f(x)=axÜ`+bxÛ`+cx+d (a+0, a, b, c, d는 상수)로 놓으면 f '(x)=3axÛ`+2bx+c
f(x) xg(x)
lim =lim =g(0)=-2 yy ㉠ f '(0)=c=0
x`Ú 0 x x`Ú 0 x
조건 ㈏에서 f '(1)=0, f(1)=-3 f '(-2)=12a-4b=0 ∴ b=3a yy ㉠
한편 f(x)=xg(x)에서 f '(x)=g(x)+xg'(x)이므로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 -2, x=-2에서 극댓값 6을 가지므로
f '(1)=g(1)+g'(1)=0 yy ㉡, f(1)=g(1)=-3 yy ㉢ f(0)=d=-2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함수 g(x)는 이차함수이므로 f(-2)=-8a+4b-2=6 ∴ 2a-b=-2 yy ㉡
g(x)=axÛ`+bx+c`(a+0,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g(0)=c=-2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6
g(1)=a+b+c=-3 ∴ a+b=-1 따라서 f(x)=2xÜ`+6xÛ`-2이므로 f(1)=6
g'(x)=2ax+b에서 g'(1)=2a+b=3`
따라서 a=4, b=-5이므로 g(x)=4xÛ`-5x-2 ∴ f(x)=4xÜ`-5xÛ`-2x
05. 도함수의 활용 (2) 071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17쪽 |

유형 07 y=f '(x)의 그래프를 이용한 f(x)의 해석 (1) 0473 중 하

열린구간 (-5, 13)에서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에서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함수 f(x)가 극댓값을 갖는
⑴ f '(x)>0인 구간에서 f(x)는 증가한다.
모든 x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3
⑵ f '(x)<0인 구간에서 f(x)는 감소한다.
⑶ f '(a)=0이고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바뀌면
f(x)는 x=a에서 극값을 갖는다.

0471 대표문제

열린구간 (-2, 4)에서 함수 f(x)


함수 f(x)는 x=-4, x=7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 따라서 구하는 합은 -4+7=3
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f(x)는 열린구간 (-2, 4)에서 감소한다. 0474 중

② f(x)는 x=-1에서 극대이다. 함수 f(x)의 도함수 y=f '(x)


극소
✔ ③ f(x)는 x=2에서 미분가능하다.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
④ f(x)가 극값을 갖는 점은 2개이다. 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1개
⑤ f(x)는 열린구간 (2, 4)에서 감소한다.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증가
① x>-1일 때, f '(x)æ¾0이므로 f(x)는 증가한다.
보기

ㄱ. 함수 f(x)는 x=a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ㄴ. 함수 f(x)는 x=e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ㄷ. 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점은 3개이다.

①ㄱ ②ㄴ ③ ㄱ, ㄷ
④ ㄴ, ㄷ ✔ ⑤ ㄱ, ㄴ, ㄷ
ㄱ. x=a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므로 극솟값을 갖는다.
0472 중 하
ㄴ. x=e의 좌우에서 f '(x)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극댓값을 갖는다.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ㄷ. x=a, x=e, x=g 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극값을 갖는 점은 3개이다.

열린구간 (a, b)에서 함수 f(x)가 극댓값을 갖는 x의 값의


개수를 m, 극솟값을 갖는 x의 값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0475 중

m-n의 값을 구하시오. -1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ㄷ

보기
함수 f(x)는 x=xª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m=1
x=xÁ, x=x£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n=2
ㄱ. 함수 f(x)는 열린구간 (a, b)에서 감소한다.
증가
∴ m-n=-1 ㄴ. 함수 f(x)가 극값을 갖는 점은 3개이다.
2개
ㄷ. 함수 f(x)는 x=b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072 Ⅱ. 미분
정답과 풀이 59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2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24쪽 |

유형 08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유형 09 삼차함수가 극값을 갖지 않을 조건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는다.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갖지 않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다.
⇨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 D>0 ⇨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 DÉ0

0476 대표문제 0480 대표문제

함수 f(x)=xÜ`+axÛ`+12x+2가 극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함수 f(x)=xÜ`+axÛ`+3x+4가 극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a의 값의 범위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 ① a<-6 또는 a>6 ② aÉ-6 또는 a¾6 ① -7ÉaÉ7 ② -4ÉaÉ3 ③ -4ÉaÉ4


③ -6<a<6 ④ -6ÉaÉ6 ✔ ④ -3ÉaÉ3 ⑤ -3ÉaÉ4
⑤ 0Éa<6 f '(x)=3xÛ`+2ax+3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도함수의 활용 (2)
f '(x)=3xÛ`+2ax+12
D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Û`-9É0, (a+3)(a-3)É0
4
D ∴ -3ÉaÉ3
=aÛ`-36>0, (a+6)(a-6)>0
4
∴ a<-6 또는 a>6

05
0477 중 하

함수 f(x)=xÜ`+3xÛ`+ax-1이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갖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3 0481 중 하

f '(x)=3xÛ`+6x+a
함수 f(x)=xÜ`-;2#;(a-1)xÛ`-3ax+2가 극값을 갖지 않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9-3a>0 ∴ a<3
4
✔ ① -1 ②0 ③1
④2 ⑤3
0478 중
f '(x)=3xÛ`-3(a-1)x-3a
함수 f(x)=3xÜ`+(k+2)xÛ`+kx+1이 극값을 갖도록 하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9(a-1)Û`+36aÉ0, 9(a+1)Û`É0
는 실수 k의 값의 범위가 k<a 또는 k>b일 때, a+b의 값 ∴ a=-1

은?

①3 ②4 ✔③ 5
④6 ⑤7
`f '(x)=9xÛ`+2(k+2)x+k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k+2)Û`-9k>0, kÛ`-5k+4>0 서술형
4 0482 상 중

(k-1)(k-4)>0 ∴ k<1 또는 k>4


따라서 a=1, b=4이므로 a+b=5 삼차함수 f(x)=xÜ`-3(a-1)xÛ`-3(bÛ`-9)x+a가 극값
을 갖지 않도록 하는 자연수 a, b에 대하여 순서쌍 (a, b)의
0479 중

개수를 구하시오. 7
함수 f(x)=xÜ`+3axÛ`+ax-2가 극값을 갖도록 하는 자연
f '(x)=3xÛ`-6(a-1)x-3(bÛ`-9)
수 a의 최솟값은?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3(a-1)}Û`+3{3(bÛ`-9)}É0에서 (a-1)Û`+bÛ`É9 ◀30 %
✔① 1 ②2 ③3 4
Ú a=1일 때, -3ÉbÉ3이므로 b=1, 2, 3
④4 ⑤5 따라서 순서쌍 (a, b)는 (1, 1), (1, 2), (1, 3)
f '(x)=3xÛ`+6ax+a Û a=2일 때, -2'2ÉbÉ2'2 이므로 b=1, 2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따라서 순서쌍 (a, b)는 (2, 1), (2, 2)
D Ü a=3일 때, -'5ÉbÉ'5 이므로 b=1, 2
=9aÛ`-3a>0, a(3a-1)>0
4 따라서 순서쌍 (a, b)는 (3, 1), (3, 2)
∴ a<0 또는 a>;3!; Ý a=4일 때, bÛ`É0이므로 순서쌍 (a, b)는 없다. ◀60 %
Ú ~ Ý에서 순서쌍 (a, b)의 개수는 7이다. ◀10 %
따라서 자연수 a의 최솟값은 1이다.

05. 도함수의 활용 (2) 073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25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26쪽 |

유형
10 주어진 구간에서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조건 유형
11 사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때와 갖지 않을 때

삼차함수 f(x)가 열린구간 (a, b)에서 극값을 가지려면 다음을 ⑴ 사차함수 f(x)가 극댓값, 극솟값을 모두 갖는다.
조사한다. ⇨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⑴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 D>0 ⑵ 사차함수 f(x)가 극댓값 또는 극솟값을 갖지 않는다.
⑵ f '(a), f '(b)의 값의 부호 ⇨ 삼차방정식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 또는 한 실근
⑶ 이차함수 y=f '(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 x=k에서 과 중근 또는 삼중근을 갖는다.
a<k<b

0486 대표문제

0483 대표문제 함수 f(x)=-xÝ`+4xÜ`+4axÛ`이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실


함수 f(x)=xÜ`+pxÛ`+(p-1)x가 -1<x<1에서 극댓값 수 a의 값의 범위가 a<a<0 또는 a>b이다. 이때 a+b의
과 극솟값을 모두 갖도록 하는 정수 p의 개수를 구하시오. 2 값을 구하시오. -;8(;
f '(x)=3xÛ`+2px+p-1
f '(x)=-4xÜ`+12xÛ`+8ax=-4x(xÛ`-3x-2a)
D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pÛ`-3(p-1)>0에서 함수 f(x)가 극솟값을 가지려면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
4
므로 이차방정식 xÛ`-3x-2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p-;2#;}Û`+;4#;>0이므로 모든 실수 p에 대하여 성립한다.
이차방정식 xÛ`-3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0, D=9+8a>0에서
Û f '(-1)=2-p>0에서 p<2 Ü f '(1)=3p+2>0에서 p>-;3@;
-;8(;<a<0 또는 a>0
Ý y=f '(x)의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이 x=-;3P;이므로 -1<-;3P;<1 ∴ -3<p<3
따라서 a=-;8(;, b=0이므로 a+b=-;8(;
Ú ~ Ý에서 실수 p의 값의 범위는 -;3@;<p<2이므로 정수 p는 0, 1의 2개이다.
0484 중
0487 중

함수 f(x)=2xÜ`+3xÛ`+kx-5가 -2<x<0에서 극댓값 함수 f(x)=3xÝ`-8xÜ`+6axÛ`+7이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을 갖고, x>0에서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0 또는 0<a<1
는 a<k<b이다. 이때 aÛ`+bÛ`의 값을 구하시오. 144
f '(x)=12xÜ`-24xÛ`+12ax=12x(xÛ`-2x+a)
f '(x)=6xÛ`+6x+k 이차방정식 xÛ`-2x+a=0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Ú f '(-2)=24-12+k>0 ∴ k>-12 D
xÛ`-2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0, =1-a>0에서
Û f '(0)=k<0 4
Ú, Û에서 -12<k<0이므로 a=-12, b=0 a<0 또는 0<a<1
∴ aÛ`+bÛ`=(-12)Û`+0Û`=144

0488 상 중

0485 상 중
함수 f(x)=-3xÝ`-8xÜ`+6(k+3)xÛ`-12kx가 극솟값을

함수 f(x)=xÜ`-3axÛ`+3ax-1이 열린구간 (1, 2)에서 극 갖지 않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f '(x)=-12(x-1)(xÛ`+3x-k) k=4 또는 kÉ-;4(;
댓값은 갖지 않고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이차방정식 xÛ`+3x-k=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12(x-1)(xÛ`+3x-k)=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 경우
① aÉ-1 또는 a¾;3$; D=9+4k<0 ∴ k<-;4(;
Û -12(x-1)(xÛ`+3x-k)=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② -1Éa<1 또는 a¾;3$; xÛ`+3x-k=0이 x=1을 근으로 가지면 1+3-k=0 ∴ k=4
xÛ`+3x-k=0이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지면 D=9+4k=0 ∴ k=-;4(;
③ a<-1 또는 0ÉaÉ;3$;
Ú, Û에서 k=4 또는 kÉ-;4(;
0489 상 중

✔ ④ 1<a<;3$; 사차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 '(x)=(x+1)(xÛ`+ax+2a)일 때, f(x)가 극댓값을 갖
⑤ a<1 또는 a>;3$;
지 않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를 구하시오. 10
f '(x)=3xÛ`-6ax+3a
이차방정식 xÛ`+ax+2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Ú f '(x)=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는 경우
D ∴ 0<a<8
=9aÛ`-9a>0, 9a(a-1)>0 ∴ a<0 또는 a>1 D=aÛ`-8a<0, a(a-8)<0
4
Û f '(x)=0이 한 실근과 중근을 갖는 경우
Û f '(1)=3-6a+3a<0 ∴ a>1
이차방정식 xÛ`+ax+2a=0이 x=-1을 근으로 가지면
Ü f '(2)=12-12a+3a>0 ∴ a<;3$; 1-a+2a=0 ∴ a=-1
Ú, Û, Ü에서 1<a<;3$; 이차방정식 xÛ`+ax+2a=0이 -1이 아닌 실수를 중근으로 가지면
D=a(a-8)=0 ∴ a=0 또는 a=8
Ú, Û에서 a의 값의 범위는 a=-1 또는 0ÉaÉ8이므로 정수 a의 개수는 10이다.

07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60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29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30쪽 |

유형 12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유형 13 함수의 최대・최소를 이용한 미정계수의 결정

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미정계수를 포함한 함수 f(x)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이 주어지면
Ú 닫힌구간 [a, b]에서 f(x)의 극값을 구한다. ⇨ 함수 f(x)의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여 주어진 값과 비교
Û f(a), f(b)의 값을 구한다. 한다.
Ü Ú, Û에서 구한 극값, f(a), f(b)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최
댓값, 가장 작은 값이 최솟값이다.
0494 대표문제

함수 f(x)=3xÝ`-4xÜ`+6xÛ`-12x+a의 최솟값이 1일 때,
0490 대표문제 상수 a의 값은?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2xÜ`+3xÛ`-12x+3의
①0 ②2 ③4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은?
④6 ✔⑤ 8
① 18 ✔ ② 19 ③ 20 f '(x)=12xÜ`-12xÛ`+12x-12=12(x-1)(xÛ`+1) x y 1 y
함수 f(x)는 x=1에서 최솟값 -7+a를 가지므로

도함수의 활용 (2)
④ 21 ⑤ 22 f '(x) - 0 +
-7+a=1 ∴ a=8 f(x) ↘ -7+a ↗
f '(x)=6xÛ`+6x-12=6(x+2)(x-1)
x -2 y 1 y 2
f '(x) 0 - 0 +
f(x) 23 ↘ -4 ↗ 7
0495 중

05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23, x=1에서 최솟값 -4를 가지므로
M=23, m=-4 함수 f(x)=axÜ`-6axÛ`+b가 -1ÉxÉ2에서 최댓값 3, 최
∴ M+m=19
솟값 -13을 가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0491 중
(단, a>0)
함수 f(x)=xÝ`-2xÛ`-2는 x=a 또는 x=b에서 최솟값 c
를 갖는다고 한다. 이때 aÛ`+bÛ`+cÛ`의 값을 구하시오. 11 ①1 ②2 ③3
(단, a<b) ✔④ 4 ⑤6
`f '(x)=4xÜ`-4x=4x(x+1)(x-1) f '(x)=3axÛ`-12ax=3ax(x-4)
함수 f(x)는 x=0에서 최댓값 b, x=2에서 최솟값 -16a+b를 가지므로
x y -1 y 0 y 1 y
b=3, -16a+b=-13
f '(x) - 0 + 0 - 0 +
따라서 a=1, b=3이므로 a+b=4
f(x) ↘ -3 ↗ -2 ↘ -3 ↗
따라서 함수 f(x)는 x=-1과 x=1에서 최솟값 -3을 가지므로
a=-1, b=1, c=-3 ∴ aÛ`+bÛ`+cÛ`=(-1)Û`+1Û`+(-3)Û`=11
0496 상 중

0492 중
닫힌구간 [0, 3]에서 함수 f(x)=xÜ`+axÛ`+bx+5는 x=2
닫힌구간 [-1, 2]에서 함수 f(x)=3xÝ`-8xÜ`+6xÛ`+1의 에서 최솟값 3을 갖는다. f(1)의 값을 구하시오. ; (;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18 f '(x)=3xÛ`+2ax+b
f '(x)=12xÜ`-24xÛ`+12x=12x(x-1)Û`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 3을 가져야 하므로
x -1 y 0 y 1 y 2 f '(2)=12+4a+b=0, 4a+b=-12 yy ㉠
f '(x) - 0 + 0 +
f(2)=8+4a+2b+5=3, 2a+b=-5 yy ㉡
f(x) 18 ↘ 1 ↗ 2 ↗ 9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2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18, x=0에서 최솟값 1을 가지므로
M=18, m=1 ∴ Mm=18 따라서 f(x)=xÜ`-;2&;xÛ`+2x+5이므로 f(1)=1-;2&;+2+5=;2(;

0497 상 중 서술형
0493 상 중

오른쪽 그림은 함수
닫힌구간 [0, 4]에서 함수
`f(x)=xÜ`+axÛ`+bx+c의 도함수
f(x)=(xÛ`-4x+2)Ü`-12(xÛ`-4x+2)+1
y=f '(x)의 그래프이다. 닫힌구간
의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
[0, 2]에서 f(x)의 최댓값이 6일 때, 최
하시오. 2
솟값을 구하시오. (단, a, b, c는 상수) 2
xÛ`-4x+2=t로 놓으면 t=xÛ`-4x+2=(x-2)Û`-2
0ÉxÉ4에서 t의 값의 범위는 -2ÉtÉ2 f '(x)=3xÛ`+2ax+b
g(t)=tÜ`-12t+1로 놓으면 g'(t)=3tÛ`-12=3(t+2)(t-2) f '(1)=f '(3)=0에서 3+2a+b=0 yy ㉠, 27+6a+b=0 yy ㉡
따라서 함수 g(t)는 t=-2에서 최댓값 17, t=2에서 t -2 y 2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30 %
최솟값 -15를 가지므로 M=17, m=-15 g'(t) 0 - 0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1)=6
∴ M+m=2 g(t) 17 ↘ -15 a+b+c+1=6 ∴ c=2
∴ f(x)=xÜ`-6xÛ`+9x+2 ◀40 %
따라서 f(0)=2, f(2)=4이므로 함수 f(x)의 최솟값은 2이다. ◀30 %
05. 도함수의 활용 (2) 075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63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31~133쪽 |

0502 서술형
유형 14 최대・최소의 활용 중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두 점 사이의 거리, 평면도형의 넓이, 입체도형의 부피, 피타고라
y=-2xÛ`+8과 x축과의 두 교점이
스 정리 등을 이용하여 도형의 길이, 넓이, 부피를 하나의 문자에
각각 A, B이고, x축과 이 곡선으로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한다.
둘러싸인 부분에 내접하는 사다리꼴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을 M이라
0498 대표문제
할 때, 27M의 값을 구하시오. 512
곡선 y=xÛ`-4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에 내접하고 한 변이 A(-2, 0), B(2, 0), C(a, -2aÛ`+8), D(-a, -2aÛ`+8) (0<a<2)에서 ◀30 %
32'3
x축 위에 있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9
사다리꼴 ABCD의 넓이를 S(a)라 하면

S(a)=;2!;(2a+4)(-2aÛ`+8)=-2aÜ`-4aÛ`+8a+16 ◀30 %
직사각형 ABCD의 넓이를 S(a)라 하면
S(a)=2a(-aÛ`+4)=-2aÜ`+8a ∴ S'(a)=-6aÛ`-8a+8=-2(3a-2)(a+2)
S'(a)=-6aÛ`+8=-2(3aÛ`-4)=0에서 따라서 함수 S(a)는 a=;3@;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넓이의 최댓값은
2'3
a= `(∵ 0<a<2) M=S{;3@;}=:°2Á7ª: ◀30 %
3
2'3 ∴ 27M=512 ◀10 %
따라서 함수 S(a)는 a= 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3
2'3 3 2'3 32'3
구하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2´{ } +8´ =
3 3 9
0499 중
0503 상 중

곡선 y=-xÛ`+3 위의 점과 점 (5, 4)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


을 구하시오. 2'5
가 3, 높이가 15인 원뿔에 내접하는 원기둥
곡선 y=-xÛ`+3 위의 한 점을 (t, -tÛ`+3)으로 놓으면 이 점과 점 (5, 4) 사이의 거리는
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20
"Ã(t-5)Û`+(-tÛ`+3-4)Û`="ÃtÝ`+3tÛ`-10t+26
f(t)=tÝ`+3tÛ`-10t+26으로 놓으면 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높이를 h라 하면
f '(t)=4tÜ`+6t-10=2(t-1)(2tÛ`+2t+5) 15`:`3=(15-h)`:`r ∴ h=15-5r
함수 f(t)는 t=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1)=20 원기둥의 부피를 V(r)라 할 때
따라서 구하는 거리의 최솟값은 "f(1)='2Œ0=2'5 V(r)=prÛ`h=prÛ`(15-5r)=p(15rÛ`-5rÜ`)
V'(r)=p(30r-15rÛ`)=15pr(2-r)
따라서 함수 V(r)는 r=2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원기둥의 부피의 최댓값은
0500 중
V(2)=20p

A제품 x개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f(x)=xÜ`-180xÛ`+1000x+4000(원)이고 생산된 제품은
개당 1000원에 그날 모두 판매된다고 할 때, 이익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제품의 개수를 구하시오. 120

A제품 x개를 판매하여 얻는 이익을 g(x)원이라 하면


g(x)=1000x-f(x)=-xÜ`+180xÛ`-4000(단, x>0)
g '(x)=-3xÛ`+360x=-3x(x-120)
0504 상

함수 g(x)는 x=120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이익을 최대로 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밑면이 정사각형인
해야 할 제품의 개수는 120이다.
사각기둥이 있다. 사각형 ABFE의 대각
선 AF의 길이가 12일 때, 이 사각기둥의
0501 중 부피가 최대가 되게 하는 밑면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2인 ① 48 ② 60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있다. 이 종이의 ③ 72 ④ 84
네 귀퉁이에서 합동인 정사각형을 잘라 ✔ ⑤ 96
내고 남은 부분을 접어서 뚜껑이 없는 상 사각기둥의 밑면의 한 변의 길이를 a, 높이를 x라 하면
자를 만들려고 할 때, 만들 수 있는 상자 a="Ã144-xÛ` (단, 0<x<12)
사각기둥의 부피를 V(x)라 할 때
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128 V(x)=x(144-xÛ`)
V'(x)=(144-xÛ`)+x´(-2x)=144-3xÛ`=-3(x+4'3)(x-4'3)
상자의 부피를 V(x)라 하면 V(x)=x(12-2x)Û``(단, 0<x<6)
따라서 함수 V(x)는 x=4'3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사각기둥의 부피가 최대가 되
V`'(x)=12xÛ`-96x+144=12(x-2)(x-6)
게 하는 밑면의 넓이는 aÛ`=144-(4'3)Û`=96
V(x)는 x=2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구하는 부피의 최댓값은
V(2)=128

076 Ⅱ. 미분
유형 정답과 풀이 64쪽

유형 15 함수의 극대・극소를 이용한 삼차함수의 계수의 부호 결정 유형 16 y=f '(x)의 그래프를 이용한 f(x)의 해석 (2)

삼차함수 f(x)=axÜ`+bxÛ`+cx+d(a, b, c, d는 상수)에 대하여 Ú y=f '(x)의 그래프를 보고 함수 f(x)의 증감표를 만든다.
x → ¦일 때, f(x) → ¦이면 a>0 Û 함수 f(x)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구간, 극값을 갖는 x의 값
⑴[
x → ¦일 때, f(x) → -¦이면 a<0 등을 찾아 y=f(x)의 그래프의 개형을 유추한다.
f(0)>0이면 d>0
⑵[
f(0)<0이면 d<0
0507 대표문제
⑶ 함수 f(x)가 x=a, x=b에서 극값을 가지면 f '(x)=0의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
두 실근이 a, 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한다.
중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도함수의 활용 (2)
될 수 있는 것은?
0505 대표문제 f '(x)=3axÛ`+2bx+c

함수 f(x)=axÜ ` +bxÛ ` +cx+d에 ① ②

대하여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05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b|>|a|, a, b, c, d는 상수)
③ ✔④
① ab>0, cd>0
② ab>0, cd<0
③ ab<0, cd>0
✔ ④ ab<0, cd<0

⑤ ac>0, bd<0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f(0)>0이므로 d>0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b c
a+b=- >0, ab= <0 ∴ b<0, c<0
3a 3a 함수 f(x)는 증가하다가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부터 계속 감소하므로
∴ ab<0, ac<0, bd<0, cd<0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것은 ④이다.

0508 상 중

0506 중
f '(x)=3axÛ`+2bx+c
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
함수 f(x)=axÜ`+bxÛ`+cx+d에 대 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하여 y=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 중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과 같을 때, 다음 중 그 값이 항상 양수 될 수 있는 것은?
인 것은? (단, a, b, c, d는 상수) ① ② ✔③

①a ② ad
③ b+c ✔ ④ bc+d
⑤ c-ab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④ ⑤
f(0)>0이므로 d>0
이차방정식 f '(x)=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2b c
a+b=- <0, ab= >0 ∴ b<0, c<0
3a 3a
따라서 그 값이 항상 양수인 것은 ④이다.
함수 f(x)는 x=a에서 극댓값을 갖고, x=c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이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05. 도함수의 활용 (2) 077


시험에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64쪽

0509 0513
함수 f(x)=xÜ`+axÛ`+9x-1이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가 함수 f(x)=2xÜ`-9xÛ`+12x+2의 극댓값을 M, 극솟값을
1ÉxÉb일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3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오. 42

f '(x)=3xÛ`+2ax+9 f '(x)=6xÛ`-18x+12=6(x-1)(x-2)
이차방정식 f '(x)=0의 두 근은 1,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f(x)는 x=1일 때 극댓값 7, x=2일 때 극솟값 6을 가지므로
2a M=7, m=6
b+1=- , b=3
3 ∴ Mm=42
따라서 a=-6, b=3이므로 a+b=-3

0510
다음 보기의 함수 중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는 것만 0514
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함수 f(x)=xÝ`-4xÜ`+4xÛ`+2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
보기 에서 극대 또는 극소인 세 점을 각각 A, B, C라 할 때, 삼각
ㄱ. f(x)=xÜ`+3xÛ`+3x 형 ABC의 넓이는?

ㄴ. g(x)=;3!;xÜ`-2xÛ`+5x+4 ① ;2!; ✔② 1 ③ ;2#;


ㄷ. h(x)=2xÜ`+6xÛ`-18x+1
④2 ⑤ ;2%;
f '(x)=4xÜ`-12xÛ`+8x=4x(x-1)(x-2)
①ㄱ ②ㄴ ✔ ③ ㄱ, ㄴ
함수 f(x)는 x=0 또는 x=2일 때 극솟값 2,
④ ㄱ, ㄷ ⑤ ㄱ, ㄴ, ㄷ x=1일 때 극댓값 3을 갖는다.
따라서 △ABC의 넓이는 ;2!;´2´1=1
ㄱ. f '(x)=3xÛ`+6x+3=3(x+1)Û`¾æ0
ㄴ. g'(x)=xÛ`-4x+5=(x-2)Û`+1>0
ㄷ. h'(x)=6xÛ`+12x-18=6(x+3)(x-1)
xÉ-3 또는 xæ¾1일 때만 h'(x)¾0이므로 열린구간 (-¦, ¦)에서 증가하는 것
은 아니다. 0515
함수 f(x)=-xÜ`-xÛ`+x+;3!;에 대하여 함수 g(x)를
0511
함수 f(x)=-xÜ`-axÛ`+2ax+15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g(x)=|f(x)|라 할 때, g(x)의 모든 극댓값의 합을 구하시
감소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오. ;2#7@;

f '(x)=-3xÛ`-2x+1=-(3x-1)(x+1)
① -6<a<6 ② 0<a<6
함수 f(x)는 x=-1일 때 극솟값 -;3@;, x=;3!;일 때 극댓값 ;2!7$; 를 갖는다.
✔ ③ -6ÉaÉ0 ④ a<-6 또는 a>0
g(x)=|f(x)|에서 g(x)는 x=-1일 때 극댓값 ;3@;, x=;3!;일 때 극댓값 ;2!7$; 를 가지므
⑤ aÉ0 또는 a¾6
로 모든 극댓값의 합은 ;3@;+;2!7$;=;2#7@;
f '(x)=-3xÛ`-2ax+2a
함수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하려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É0이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D
0516 중요
=aÛ`+6aÉ0, a(a+6)É0 ∴ -6ÉaÉ0
4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
킬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9
0512 중요

함수 f(x)=2xÜ`+axÛ` 이 닫힌구간 [1, 3]에서 증가하도록


㈎ x=1에서 극댓값 3을 갖는다.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은?
㈏ 점 (2, f(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7이다.
① -4 ✔ ② -3 ③ -2
④ -1 ⑤0 f(x)=xÜ`+axÛ`+bx+c (a, b, c는 상수)로 놓으면
f '(x)=3xÛ`+2ax+b
f '(x)=6xÛ`+2ax
조건 ㈎에서 f(1)=1+a+b+c=3 ∴ a+b+c=2
1ÉxÉ3에서 f '(x)¾0이어야 하므로
f '(1)=3+2a+b=0 ∴ 2a+b=-3
f '(1)=6+2a¾0 ∴ a¾-3
조건 ㈏에서 f '(2)=12+4a+b=-7 ∴ 4a+b=-19
f '(3)=54+6a¾0 ∴ a¾-9
∴ a=-8, b=13, c=-3
∴ a¾-3
따라서 f(x)=xÜ`-8xÛ`+13x-3이므로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3이다.
f(3)=27-72+39-3=-9

078 Ⅱ. 미분
0517 0520
함수 f(x)=xÜ`-3kxÛ`-9kÛ`x+1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가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32일 때, 양수 k의 값을 구하시오. 1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f '(x)=3xÛ`-6kx-9kÛ`=3(x+k)(x-3k)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
k>0이므로 함수 f(x)는 x=-k일 때 극댓값을 갖고, x=3k일 때 극솟값을 갖는다.
f(-k)-f(3k)=32에서
르시오. (단, f(3)=0) ㄱ, ㄷ

(-kÜ`-3kÜ`+9kÜ`+1)-(27kÜ`-27kÜ`-27kÜ`+1)=32, 32kÜ`=32 보기
∴ k=1
ㄱ. f(1)>0
ㄴ. f(1)<f(5)
ㄷ. f(1)f(5)<0

0518 교육청 기출
f(3)=0이고
다항함수 f(x)는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x=1에서 극댓값 f(1)을 가지므로 f(1)>0
x=5에서 극솟값 f(5)을 가지므로 f(5)<0
∴ f(1)>f(5), f(1)f(5)<0

도함수의 활용 (2)
f(x)
lim
㈎ x`Ú =1
xÜ`
¦

㈏ x=-1과 x=2에서 극값을 갖는다. 0521


함수 f(x)=xÜ`-axÛ`+(a+6)x+1이 극값을 갖지 않도록

05
f(3+h)-f(3-h) 하는 정수 a의 개수는?
lim 의 값은?
h`Ú0 h
①7 ②8 ③9
①8 ② 12 ③ 16
✔ ④ 10 ⑤ 11
④ 20 ✔ ⑤ 24
f '(x)=3xÛ`-2ax+a+6
조건 ㈎에서 f(x)는 삼차함수이고 삼차항의 계수는 1이므로 f '(x)는 이차함수이고 이 이차방정식 f '(x)=0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하므로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차항의 계수는 3이다. D
=aÛ`-3(a+6)É0
조건 ㈏에서 f '(x)는 x+1과 x-2를 인수로 갖는다. 4
∴ f '(x)=3(x+1)(x-2) (a+3)(a-6)É0 ∴ -3ÉaÉ6
f(3+h)-f(3-h)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a는 10개이다.
∴ lim =2f '(3)=2・12=24
h`Ú 0 h
0522
함수 f(x)=xÜ`-(a+2)xÛ`+ax가 -1<x<0에서 극댓값
을 갖고, x>0에서 극솟값을 갖도록 하는 모든 정수 a의 값의
0519 중요
곱은?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① 2 ②4 ③5
중 옳은 것은? ④7 ⑤9
f '(x)=3xÛ`-2(a+2)x+a
① f(x)는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f '(-1)=3+2(a+2)+a>0 ∴ a>-;3&;
②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 '(0)=a<0
③ f(x)는 -1<x<1에서 증가한다. ∴ -;3&;<a<0
✔ ④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극솟값을 따라서 모든 정수 a의 값의 곱은 -2´(-1)=2

갖는다. 0523
⑤ f(x)는 x=-1에서 극솟값을 갖고, x=1에서 극댓값을 함수 f(x)=xÝ`-4xÜ`+2axÛ`+1이 극댓값을 갖도록 하는 정

갖는다. 수 a의 최댓값은?

③ f(x)는 -1<x<1에서 감소한다. ① -1 ②1 ✔③ 2


①, ②, ④, ⑤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④3 ⑤4
f '(x)=4xÜ`-12xÛ`+4ax=4x(xÛ`-3x+a)
삼차방정식 f '(x)=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xÛ`-3x+a=0
이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xÛ`-3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0, D=9-4a>0에서
a<0 또는 0<a<;4(;
따라서 정수 a의 최댓값은 2이다.

05. 도함수의 활용 (2) 079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524 0528
닫힌구간 [-2, 3]에서 함수 f(x)=2xÜ`-3xÛ`-12x+k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최댓값을 M, 최솟값을 m이라 할 때, M-m의 값을 구하시 10인 정삼각형 모양의 종이의 세
오. (단, k는 상수) 27 꼭짓점에서 합동인 사각형을 잘라
f(x)=2xÜ`-3xÛ`-12x+k에서 내고 남은 부분을 접어서 뚜껑이 없
f '(x)=6xÛ`-6x-12=6(x+1)(x-2)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 7+k, x=2에서 최솟값 -20+k를 가지므로
는 삼각기둥 모양의 상자를 만들려
M=7+k, m=-20+k 고 한다. 상자의 부피가 최대가 되는
∴ M-m=7+k-(-20+k)=27
x의 값을 a라 할 때, 3a의 값을 구하시오. 5

'3
삼각기둥의 밑면의 넓이는 (10-2x)Û`='3(x-5)Û`
4
1
이때 상자의 높이는 x`tan`30ù= x이므로 상자의 부피를 V(x)라 하면
'3
0525 1
V(x)='3(x-5)Û`´ x=x(x-5)Û`
함수 f(x)=-xÝ`+4aÜ`x-20의 최댓값이 aÝ`+12일 때, 양 '3
V'(x)=3xÛ`-20x+25=(3x-5)(x-5)
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따라서 함수 V(x)는 x=;3%;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a=;3%; ∴ 3a=5

f '(x)=-4xÜ`+4aÜ`=-4(x-a)(xÛ`+ax+aÛ`)
함수 f(x)는 x=a에서 최댓값 3aÝ`-20을 가지므로 0529
3aÝ`-20=aÝ`+12
aÝ`=16 ∴ a=2 (∵ a는 양수) 함수 f(x)=axÜ ` +bxÛ ` +cx+d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b+c|-|b|+|c|를 간단히 하면?
(단, |b|>|a|, a, b, c, d는 상수)
0526 중요 ① -2b ✔ ② -2c
닫힌구간 [0, 5]에서 함수 f(x)=ax(x-3)Û`+b의 최댓값 ③0 ④ -b-c
이 15, 최솟값이 -5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Û`+bÛ`의 값을 ⑤ -2b-2c
구하시오. (단, a>0) 26 x Ú ¦일 때, f(x) Ú ¦이므로 a>0
f '(x)=3a(x-3)(x-1) f '(x)=3axÛ`-2bx+c이고 |b|>|a|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f(x)는 x=5에서 최댓값 20a+b, x=0과 x=3에서 최솟값 b를 가지므로 2b c
a+b=- >0, ab= <0 ∴ b<0, c<0
3a 3a
20a+b=15, b=-5
∴ |b+c|-|b|+|c|=-(b+c)-(-b)+(-c)=-2c
따라서 a=1, b=-5이므로
aÛ`+bÛ`=26

0530
0527 삼차함수 y=f(x)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f(x)=xÛ`-4x+4 위의 점 (a, b)에 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
서의 접선과 x축, y축으로 둘러싸인 삼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각형의 넓이가 최대일 때, b-a의 값 (단, `f '(0)=0)


은? (단, 0<a<2) 보기

ㄱ. 함수 f(x)는 x>0에서 증가한다.


① ;9*; ②1 ✔ ③ ;;Á9¼;;
ㄴ. 함수 f(x)는 x=-1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④ :Á9Á: ⑤ ;3$; ㄷ.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 '(x)=2x-4
f '(a)=2a-4이므로 점 (a, b)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2a-4)x-2aÛ`+4a+b Ú x<-1일 때, x`f '(x)<0이므로 f '(x)>0
이때 점 (a, b)는 곡선 위의 점이므로 y=(2a-4)x-aÛ`+4 Û -1<x<0일 때, x`f '(x)>0이므로 f '(x)<0
a+2 Ü x>0일 때, x`f '(x)>0이므로 f '(x)>0
따라서 접선의 x절편은 이고, 접선의 y절편은 -aÛ`+4이다.
2 ㄴ.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삼각형의 넓이를 S(a)라 하면 S(a)=;2!;´
a+2 ㄷ. 함수 f(x)는 x=0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aÛ`+4)=;4!;(-aÜ`-2aÛ`+4a+8)
2

S'(a)=;4!;(-3aÛ`-4a+4)=-;4!;(a+2)(3a-2)

따라서 함수 S(a)는 a=;3@;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b-a=:Á9¤:-;3@;=:Á9¼:

080 Ⅱ. 미분
정답과 풀이 66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531 0535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f(x)=xÜ`-2axÛ`+ax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구에 반지름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길이가 r이고 높이가 h인 원기둥이
0ÉaÉ;4;
내접하고 있다. 이 원기둥의 부피가
함수 f(x)가 일대일 대응이어야 하고, f(x)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f(x)는
증가해야 한다. ◀30 % h "2`
최대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즉,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 '(x)¾0이어야 하므로 f '(x)=3xÛ`-4ax+a¾0 ◀30 % r 2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할 때
h="ÃRÛ`-rÛ` 이므로 원기둥의 부피는
D
=4aÛ`-3aÉ0, a(4a-3)É0 ∴ 0ÉaÉ;4#; ◀40 % prÛ`"ÃRÛ`-rÛ`=p"ÃrÝ`RÛ`-rß`
4
f(r)=rÝ`RÛ`-rß`으로 놓으면`
0<r<R이므로 r=®;3@; R일 때 원기둥의 부피가 최대이다. f '(r)=4rÜ`RÛ`-6rÞ`=2rÜ`(2R+3r)(2R-3r)

®ÉRÛ`-;3@;RÛ` 1
R
0536 수능 기출
h "ÃRÛ`-rÛ`` '3 1` "2`
∴ =
r r
= = = =
'2 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

도함수의 활용 (2)
®;3@;R ®;3@;R
0532 킨다.
함수 f(x)=xÜ`-6xÛ`+k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절댓값이 같
고 그 부호가 서로 다를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16 ㈎ f '(0)=0, f '(2)=16
◀20 % ㈏ 어떤 양수 k에 대하여 두 열린구간 (-¦, 0),

05
f '(x)=3xÛ`-12x=3x(x-4)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 k, x=4에서 극솟값 k-32를 갖는다. ◀40 %
(0, k)에서 f '(x)<0이다.
k=-(k-32)
∴ k=16 ◀40 %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방정식 f '(x)=0은 열린구간 (0, 2)에서 한 개의 실


근을 갖는다.
ㄴ. 함수 f(x)는 극댓값을 갖는다.
0533 중요

삼차함수 f(x)=xÜ`-3kxÛ`+kx가 x>0에서 극댓값과 극솟 ㄷ. f(0)=0이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¾-;3!;이다.

값을 모두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3!;

f '(x)=3xÛ`-6kx+k ①ㄱ ②ㄴ ✔ ③ ㄱ, ㄷ
이차방정식 f '(x)=0이 x>0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④ ㄴ, ㄷ ⑤ ㄱ, ㄴ, ㄷ
Ú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 ㄴ. 함수 f(x)는 x=k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9kÛ`-3k>0, 3k(3k-1)>0 ∴ k<0 또는 k>;3!; ◀30 %
4
Û f '(0)=k>0 ◀30 %
Ü 축의 방정식은 x=k이므로 k>0 ◀30 %
0537 창의 . 융합
따라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3!; ◀10 %
삼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오른
쪽 그림과 같다. 연립부등식
0534 f(x)-f '(x)<0
함수 f(x)=-xÜ`+3x, g(x)=xÛ`+2x에 대하여 합성함수 [
f(x) f '(x)<0
(` f ç g)(x)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2
를 만족시키는 해의 집합을 S라 할 때,
g(x)=t로 놓으면 tæ¾-1이고
다음 중 옳은 것은?
( f½g)(x)=f(g(x))=f(t)=-tÜ`+3t ◀30 %
f '(t)=-3tÛ`+3=-3(t+1)(t-1)
① {x|xÉ0},S ② {x|0Éx<1},S
f '(t)=0에서 t=-1 또는 t=1 ◀30 %
함수 f(t)는 t=1에서 최댓값 2를 가지므로 ( f½g)(x)의 최댓값은 2이다. ◀40 % ③ {x|0<xÉ1},S ✔ ④ {x|1Éx<2},S
⑤ {x|1<xÉ2},S
f(x)=a(x+4)(x+1)(x-2) (a>0)로 놓으면
f '(x)=3a(x+1+'3 )(x+1-'3 )
Ú f(x)-f '(x)<0에서 f(x)<f '(x)
Û f(x) f '(x)<0에서
f(x)>0, f '(x)<0 또는 f(x)<0, f '(x)>0
Ú, Û에서 x<-4 또는 -1+'3<x<2 05. 도함수의 활용 (2) 081
따라서 집합 S에 대하여 옳은 것은 ④이다.
06 도함수의 활용 (3) Ⅱ. 미분

개념 플러스
06 . 1 방정식에의 활용

1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
⑴ 방정식 f(x)=0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개 방정식 f(x)=0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수와 같다.
x좌표와 같다.
⑵ 방정식 f(x)=g(x)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방정식 f(x)=g(x)의 실근은 두 함
교점의 개수와 같다.
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
점의 x좌표와 같다.
2 삼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삼차함수 f(x)가 극값을 가질 때, 삼차방정식 f(x)=0의 근은 극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삼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판별할 수 있다.
⑴ (극댓값) (극솟값)<0 서로 다른 세 실근

⑵ (극댓값) (극솟값)=0 한 실근과 중근`(서로 다른 두 실근)
⑶ (극댓값) (극솟값)>0 한 실근과 두 허근

06 . 2 부등식에의 활용

1 어떤 구간에서 부등식 f(x)>0의 증명 어떤 구간에서 f(x)의 최솟값이 a이


면 그 구간에서 f(x)¾a이다.
⇨ 그 구간에서 (`f(x)의 최솟값)>0임을 보인다.

2 어떤 구간에서 부등식 f(x)>g(x)의 증명


⇨ h(x)=f(x)-g(x)로 놓고, 그 구간에서 (h(x)의 최솟값)>0임을 보인다.

06 . 3 속도와 가속도

1 속도와 가속도 위치 속도 가속도


미분 미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f(t)일 때,
시각 t에서의 점 의 속도 와 가속도 a는 속도 의 부호에 따른 운동 방향
① >0
dx d
⑴ = =f '(t) ⑵ a= = '(t) ⇨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dt dt
② =0
2 시각에 대한 변화율 ⇨ 운동 방향이 바뀌거나 정지한다.
③ <0
어떤 물체의 시각 t에서의 길이를 , 넓이를 S, 부피를 V라 할 때, 시간이 t만큼 경과한 후
⇨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길이, 넓이, 부피가 각각 , S, V만큼 변했다고 하면 시각 t에서의 각각의 변화율은
d
⑴ 길이의 변화율: lim =
t`Ú0 t dt
S dS
⑵ 넓이의 변화율: lim =
t`Ú0 t dt
V dV
⑶ 부피의 변화율: lim =
t`Ú0 t dt

082 Ⅱ. 미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69쪽

06 . 1 방정식에의 활용 0544 x>0일 때, 부등식 2xÜ`-3xÛ`+3>0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풀이 참조

[0538 ~ 0541] 다음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

0538 xÜ`-6xÛ`+2=0 3

0539 xÜ`-3xÛ`-4=0 1

0540 -xÝ`+2xÛ`+2=0 2
0545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4!;xÝ`-xÜ`+xÛ`+k¾0
0541 3xÝ`+6xÛ`=8xÜ`+1 2 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 0

0542 방정식 xÜ`-6xÛ`-15x+k=0의 근이 다음 조건을 06 . 3 속도와 가속도

만족시키도록 하는 상수 k의 값 또는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


[0546 ~ 0548]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시각 t에서의 위치
오. x가 다음과 같을 때, [ ] 안의 시각 t에서의 점 의 속도 와 가
속도 a를 각각 구하시오.

도함수의 활용 (3)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8<k<100

⑵ 한 실근과 중근 k=-8 또는 k=100


0546 x=tÜ`-4tÛ`+3 [ t=2] =-4, a=4
⑶ 한 실근과 두 허근 k<-8 또는 k>100

0547 x=tÜ`-3tÛ`+2t [ t=1] =-1, a=0

06
0548 x=tÝ`-4t+5 [ t=2] =28, a=48

06 . 2 부등식에의 활용

0543 다음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0549 어떤 물체의 시각 t에서의 길이 이


3xÝ`-8xÜ`+18>0이 성립함을 보이는 과정이다. =tÛ`+4t+10일 때, 시각 t=2에서의 이 물체의 길이의 변
화율을 구하시오. 8

f(x)=3xÝ`-8xÜ`+18로 놓으면
f '(x)=12xÜ`-24xÛ`=12xÛ`(x-2)
f '(x)=0에서 x=0 또는 x=2
함수 f(x)는 x= ㈎ 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모
든 실수 x에 대하여 f(x)의 최솟값은 ㈏ 이다.
즉, f(x) ㈐ 0이므로
0550 시각 t에서의 반지름의 길이가 0 2t인 구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3xÝ`-8xÜ`+18>0
⑴ 시각 t=15에서의 구의 겉넓이의 변화율 48

위의 ㈎, ㈏, ㈐에 알맞은 것을 써넣으시오. ㈎2㈏2㈐> ⑵ 시각 t=20에서의 구의 부피의 변화율 12 8

06. 도함수의 활용 (3) 083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71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41쪽, 142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43쪽 |

유형 01 방정식 f(x)=k의 실근의 개수 유형 02 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⑴ 방정식 f(x)=k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 함수 y=f(x)의 그래프와 직선 y=k의 교점의 개수와 같다. y=k의 교점의 x좌표와 같다.
⑵ 방정식의 실근의 부호
① 양근 ⇨ 교점의 x좌표가 양수
0551 대표문제
② 음근 ⇨ 교점의 x좌표가 음수
방정식 xÜ`-3xÛ`+2-k=0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
는 정수 k의 개수를 구하시오. 3

f(x)=xÜ`-3xÛ`+2로 놓으면 0555 대표문제


f '(x)=3x(x-2)=0에서 x=0 또는 x=2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2<k<2 방정식 xÜ`-;2#;xÛ`-a=0이 한 개의 음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따라서 정수 k는 -1, 0, 1이므로 3개이다.
양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 ;<a<0

f(x)=xÜ`-;2#;xÛ`으로 놓으면

f '(x)=3x(x-1)=0에서 x=0 또는 x=1


0552 중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2!;<a<0
방정식 xÝ`-4xÜ`-2xÛ`+12x-a=0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9<a<7 0556 중

f(x)=xÝ`-4xÜ`-2xÛ`+12x로 놓으면
방정식 2xÜ`-3xÛ`-12x+1-k=0이 한 개의 양근과 서로
f '(x)=4(x+1)(x-1)(x-3)=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다른 두 개의 음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가지려면 -9<a<7
① -19<k<-1 ② -19<k<8 ③ -1<k<8
✔ ④ 1<k<8 ⑤ 1<k<19
f(x)=2xÜ`-3xÛ`-12x+1로 놓으면
0553 중
f '(x)=6(x+1)(x-2)=0에서 x=-1 또는 x=2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1<k<8
방정식 xÝ`+4xÜ`+28=8xÛ`+k가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을 구하시오. -100

f(x)=xÝ`+4xÜ`-8xÛ`+28로 놓으면
f '(x)=4x(x+4)(x-1)=0에서
x=-4 또는 x=0 또는 x=1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려면 k=-100 0557 중

방정식 xÜ`-5xÛ`+7x=xÛ`-2x+a가 서로 다른 세 개의 양
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a의 개수를 구하시오. 3

f(x)=xÜ`-6xÛ`+9x로 놓으면
0554 중
f '(x)=3(x-1)(x-3)=0에서 x=1 또는 x=3
삼차함수 y=f(x)의 도함수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0<a<4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따라서 정수 a는 1, 2, 3으로 3개이다.

같다. f(-2)=-1, f(1)=2일 때,


방정식 f(x)-k=0이 서로 다른 세 0558 중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 방정식 xÝ`-4xÜ`-2xÛ`+12x-k=0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양


위를 구하시오. -1<k<2 근과 서로 다른 두 개의 음근을 갖도록 하는 정수 k의 개수를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2, 1이므로 구하시오. 8
f '(x)=0에서 x=-2 또는 x=1
f(x)=xÝ`-4xÜ`-2xÛ`+12x로 놓으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려면 -1<k<2
f '(x)=4(x+1)(x-1)(x-3)=0에서
x=-1 또는 x=1 또는 x=3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9<k<0
따라서 정수 k는 -8, -7, y, -1로 8개이다.

084 Ⅱ. 미분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4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42쪽 |

유형 03 삼차방정식의 근의 판별 유형 04 두 곡선의 교점의 개수

⑴ 서로 다른 세 실근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


⇨ (극댓값) (극솟값)<0 ⇨ 방정식 f(x)=g(x)의 실근의 개수와 같다.
⑵ 중근과 한 실근 (서로 다른 두 실근)
⇨ (극댓값) (극솟값)=0
0563 대표문제
⑶ 오직 하나의 실근 (한 실근과 두 허근)
곡선 y=xÜ`-11x와 직선 y=x+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 (극댓값) (극솟값)>0
만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16<k<16

방정식 xÜ`-11x=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0559 대표문제 f(x)=xÜ`-12x-k로 놓으면
f '(x)=3(x+2)(x-2)=0에서 x=-2 또는 x=2
방정식 xÜ`-3xÛ`+1=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즉, f(-2)f(2)<0이므로 (k-16)(k+16)<0
∴ -16<k<16
정수 k의 개수를 구하시오. 3

f(x)=xÜ`-3xÛ`+1-k로 놓으면
f '(x)=3x(x-2)=0에서 x=0 또는 x=2
즉, f(0)f(2)<0이므로 (k-1)(k+3)<0
∴ -3<k<1
따라서 정수 k는 -2, -1, 0이므로 3개이다. 0564 중 하

두 곡선 y=xÜ`-5xÛ`+3x+k, y=-2xÛ`+3x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양수 k의 값을 구하시오. 4
0560 중 하

방정식 xÜ`-5xÛ`+3x+k=-2xÛ`+3x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방정식 2xÜ`-3xÛ`+a=0이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갖도록 하는 f(x)=xÜ`-3xÛ`+k로 놓으면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0 또는 a>1 f '(x)=3x(x-2)=0에서 x=0 또는 x=2
즉, f(0)f(2)=0이므로 k(k-4)=0

도함수의 활용 (3)
f(x)=2xÜ`-3xÛ`+a로 놓으면 ∴ k=4 (∵ k>0)
f '(x)=6x(x-1)=0에서 x=0 또는 x=1
즉, f(0)f(1)>0이므로 a(a-1)>0
∴ a<0 또는 a>1

06
0565 중 서술형

0561 중 하 두 곡선 y=xÜ`+2xÛ`-5x+k, y=-xÛ`+4x+2가 오직 한


방정식 2xÜ`-6xÛ`+k=0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하는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8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을 구하시오. 8 방정식 xÜ`+2xÛ`-5x+k=-xÛ`+4x+2가 한 실근과 두 허근을 가져야 한다. ◀20 %


f(x)=xÜ`+3xÛ`-9x+k-2로 놓으면
f(x)=2xÜ`-6xÛ`+k로 놓으면 f '(x)=3(x+3)(x-1)=0에서 x=-3 또는 x=1 ◀30 %
f '(x)=6x(x-2)=0에서 x=0 또는 x=2 즉, f(-3)f(1)>0이므로 (25+k)(k-7)>0
즉, f(0)f(2)=0이므로 k(k-8)=0 ∴ k<-25 또는 k>7 ◀40 %
∴ k=0 또는 k=8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8이다. ◀10 %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0+8=8

0562 중 하
0566 중

방정식 xÜ`-2=12x+k가 한 개의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두 곡선 y=-2xÜ`-xÛ`+6x+3, y=2xÛ`-6x+k가 한 점에


k의 값의 범위는 k<a 또는 k>b이다. 이때 b-a의 값은? 서 만나고 다른 한 점에서는 접하도록 하는 모든 실수 k의 값

①4 ② 12 ③ 20 의 합을 구하시오. -7

방정식 -2xÜ`-xÛ`+6x+3=2xÛ`-6x+k가 중근과 한 실근을 가져야 한다.


④ 28 ✔ ⑤ 32
f(x)=2xÜ`+3xÛ`-12x-3+k로 놓으면
f(x)=xÜ`-12x-2-k로 놓으면 f '(x)=6(x+2)(x-1)=0에서 x=-2 또는 x=1
f '(x)=3(x+2)(x-2)=0에서 x=-2 또는 x=2 즉, f(-2)f(1)=0이므로 (k+17)(k-10)=0
즉, f(-2)f(2)>0이므로 (-18-k)(14-k)>0 ∴ k=-17 또는 k=10
∴ k<-18 또는 k>14 따라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합은 -17+10=-7
∴ b-a=14-(-18)=32

06. 도함수의 활용 (3) 085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45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46쪽 |

주어진 구간에서 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유형 05 모든 실수에서 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유형 06 - 증가・감소의 활용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0이 성립하려면
⑴ 열린구간 (a, b)에서 증가하는 함수 f(x)가
⇨ (`f(x)의 최솟값)¾0
f(x)<k인 경우 ⇨ `f(b)Ék
⑵ 열린구간 (a, b)에서 감소하는 함수 f(x)가
0567 대표문제 f(x)>k인 경우 ⇨ `f(b)¾k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4aÜ`x+48>0이 성립하도
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0571 대표문제

① a<-2 ② a<-1 ✔ ③ -2<a<2 x>2일 때, 부등식 xÜ`+k>3xÛ`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


④ -1<a<3 ⑤ a>3 수 k의 최솟값은?
Ú a=0일 때, 주어진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Û a+0일 때,
①3 ✔② 4 ③5
f(x)=xÝ`-4aÜ`x+48로 놓으면 f '(x)=4(x-a)(xÛ`+ax+aÛ`) ④6 ⑤7
Û`
f '(x)=0에서 x=a``{∵ {x+;2A;} +;4#;aÛ`æ¾0}
f(x)=xÜ`-3xÛ`+k로 놓으면 f '(x)=3x(x-2)
함수 f(x)의 최솟값이 f(a)=-3aÝ`+48>0이려면 x>2일 때 함수 f(x)는 열린구간 (2, ¦)에서 증가하므로 f(x)>0이려면 f(2)¾0
(a+2)(a-2)(aÛ`+4)<0 ∴ -2<a<0 또는 0<a<2 즉, -4+kæ¾0에서 kæ¾4
Ú, Û에서 -2<a<2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4이다.

0568 중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4x+aÛ`>2ax(2-x)이


성립하도록 하는 양의 정수 a의 최솟값은?

①1 ②2 ③3
✔④ 4 ⑤5
0572 중
f(x)=xÝ`+2axÛ`-4(a+1)x+aÛ`으로 놓으면
f '(x)=4(x-1)(xÛ`+x+a+1) 열린구간 (0, 2)에서 부등식 xÜ`-;2#;xÛ`-6x+k>0이 항상
f '(x)=0에서 x=1`{∵ {x+;2!;}Û`+a+;4#;>0 }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 1
함수 f(x)의 최솟값이 f(1)=aÛ`-2a-3>0이려면
f(x)=xÜ`-;2#;xÛ`-6x+k로 놓으면
(a-3)(a+1)>0 ∴ a>3 (∵ a>0)
따라서 양의 정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f '(x)=3(x+1)(x-2)
열린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감소하므로 f(x)>0이려면 f(2)¾0
즉, k-10æ¾0에서 æk¾10
0569 중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4!;xÝ`-xÜ`+;2%;xÛ`-3x+k¾0이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 ;4;

f(x)=;4!;xÝ`-xÜ`+;2%;xÛ`-3x+k로 놓으면

f '(x)=(x-1)(xÛ`-2x+3)
f '(x)=0에서 x=1`(∵ (x-1)Û`+2>0)
0573 중
함수 f(x)의 최솟값이 f(1)=k-;4%;¾0이려면
두 함수 f(x)=4xÜ`-xÛ`-2x, g(x)=2xÛ`+4x-k에 대하
k-;4%;¾æ0 ∴ k¾;4%;
여 x¾2에서 부등식 f(x)¾g(x)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
0570 상 중
h(x)=f(x)-g(x)=4xÜ`-3xÛ`-6x+k로 놓으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3xÝ`+4aÜ`¾4xÜ`+3aÝ`이 성립하
h'(x)=6(2x+1)(x-1)=0에서 x=-;2!; 또는 x=1
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x¾2일 때 함수 h(x)는 반닫힌 구간 [2, ¦)에서 증가하므로 h(x)¾0이려면 h(2)¾0
f(x)=3xÝ`-4xÜ`-3aÝ`+4aÜ`으로 놓으면 즉, k+8¾æ0에서 kæ¾-8
f '(x)=12xÛ`(x-1)=0에서 x=0 또는 x=1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8이다.
함수 f(x)의 최솟값이 f(1)=-3aÝ`+4aÜ`-1¾0이어야 하므로
g(a)=-3aÝ`+4aÜ`-1로 놓으면
g'(a)=-12aÛ`(a-1)=0에서 a=0 또는 a=1
g(a)æ는 a=1일 때 최댓값 0을 가지므로 g(a)æ¾0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은 1이다.

086 Ⅱ. 미분
정답과 풀이 73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46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51쪽 |

주어진 구간에서 부등식이 항상 성립할 조건


유형 07 - 최대・최소의 활용
유형 08 속도와 가속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x가 x=f(t)


⑴ 열린구간 (a, b)에서 부등식 f(x)Ék의 증명
로 주어질 때
⇨`열린구간 (a, b)에서 (`f(x)의 최댓값)Ék
dx d
⑵ 열린구간 (a, b)에서 부등식 f(x)¾k의 증명 ⇨ 속도: = =f '(t), 가속도: a= = '(t)
dt dt
⇨`열린구간 (a, b)에서 (`f(x)의 최솟값)¾k

0577 대표문제

0574 대표문제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닫힌구간 [0, 2]에서 부등식 xÜ`-xÛ`-2x+1¾-xÛ`+x-k 위치 x가 x=tÜ`-5tÛ`+6t일 때, 점 가 마지막으로 원점을
가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수 k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 통과하는 순간의 속도를 구하시오. 3

f(x)=xÜ`-3x+1+k로 놓으면 점 가 원점을 지날 때는 x=0일 때이므로 t(t-2)(t-3)=0


f '(x)=3(x+1)(x-1)=0에서 x=-1 또는 x=1 ∴ t=0 또는 t=2 또는 t=3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는 x=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따라서 점 가 출발 후 마지막으로 원점을 통과할 때는 시각 t=3에서이므로 이때의 속도
f(1)=k-1¾æ0 ∴ kæ¾1 는
따라서 실수 k의 최솟값은 1이다. =3tÛ`-10t+6=3´3Û`-10´3+6=3

0578 중 하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3tÛ`-14t일 때, 속도가 10인 순간의 점 의
위치는?
0575 중

① -44 ✔ ② -40 ③ -12


부등식 xÜ`-3x+2>6x+k가 0<x<2에서 항상 성립하도
④ 14 ⑤ 48

도함수의 활용 (3)
록 하는 정수 k의 최댓값은?
dx
점 의 속도를 라 하면 = =3tÛ`-6t-14
① -10 ✔ ② -9 ③ -8 dt
3tÛ`-6t-14=10에서 3(t+2)(t-4)=0 ∴ t=4 (∵ t>0)
④3 ⑤6 따라서 시각 t=4에서의 점 의 위치는 4Ü`-3´4Û`-14´4=-40

f(x)=xÜ`-9x+2-k로 놓으면

06
f '(x)=3(x+'3`)(x-'3`)=0에서 x=-'3 또는 x='3
0<x<2일 때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f('3)=-6'3+2-k>0 ∴ k<-6'3+2<-8 0579 중 하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9이다.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tÜ`+3tÛ`+t일 때, 속도가 25인 순간의 점 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1

점 의 속도를 , 가속도를 a라 하면
dx d
= =3tÛ`+6t+1, a= =6t+6
dt dt
3tÛ`+6t+1=25에서 3(t+4)(t-2)=0 ∴ t=2 (∵ t>0)
0576 중
따라서 시각 t=2에서의 점 의 가속도는 6´2+6=18

두 함수 f(x)=5xÜ`-10xÛ`+k, g(x)=5xÛ`+2에 대하여


0<x<3에서 y=f(x)의 그래프가 y=g(x)의 그래프보다 0580 중 서술형

항상 위에 있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22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각각


h(x)=f(x)-g(x)=5xÜ`-15xÛ`+k-2로 놓으면
h'(x)=15x(x-2)=0에서 x=0 또는 x=2
x (t)=;3@;tÜ`+2tÛ`-;3!;, x (t)=4tÛ`+30t
0<x<3일 때 함수 h(x)는 x=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h(2)=k-22>æ0 ∴ k>æ22 일 때, 두 점 , 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의 두 점 사이의 거
리를 구하시오. 11

두 점 , 의 속도를 각각 , 라 하면 =2tÛ`+4t, =8t+30 ◀40 %


이때 두 점 , 의 속도가 같아지려면 = 이므로 2tÛ`+4t=8t+30
(t+3)(t-5)=0 ∴ t=5 (∵ t>0) ◀30 %

x (5)=;3@;´5Ü`+2´5Û`-;3!;=133, x (5)=4´5Û`+30´5=250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50-133=117 ◀30 %

06. 도함수의 활용 (3) 087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51쪽 |

0581 중
유형 09 속도・가속도와 운동 방향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⑴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이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속도
x=-tÝ`+:Á3:tÜ`-4tÛ`-t일 때, 점 의 속도가 증가하는 t의
는 0이다.
값의 범위는? ⑵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 (두 점의 속도의 곱)<0
① ;3!;<t<1 ✔ ② ;3!;<t<2

③ ;2!;<t<1 ④ 1<t<;2#; 0585 대표문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⑤ ;2#;<t<2
x=-tÜ`+5tÛ`-3t+2일 때, 점 가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점 의 속도를 , 가속도를 a라 하면
바꾸는 순간의 가속도를 구하시오. -8
dx d
= =-4tÜ`+14tÛ`-8t-1, a= =-12tÛ`+28t-8
dt dt 점 의 속도를 , 가속도를 a라 하면
점 의 속도가 증가하면 a>0이므로 dx
= =-(3t-1)(t-3) ∴ t=;3!; 또는 t=3
-12tÛ`+28t-8>0, (3t-1)(t-2)<0 dt
d
∴ ;3!;<t<2 a= =-6t+10
dt
시각 t=3에서 점 가 두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0582 중 a=-6´3+10=-8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x=-;3!;tÜ`+3tÛ`+16t일 때, 0ÉtÉ5에서 점 의 속력의 최


0586 중 하

댓값을 M, 그때의 시각을 a라 하자. M-a의 값을 구하시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각각
22
점 의 속도를 라 하면 x (t)=4tÛ`-3t+1, x (t)=2tÛ`-8t일 때, 두 점 , 가
dx
=
dt
=-tÛ`+6t+16=-(t-3)Û`+25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시각 t의 값의 범위는?
따라서 M=25, a=3이므로 M-a=22
① ;4!;<t<1 ✔ ② ;8#;<t<2

③ ;2!;<t<;4#; ④ ;3$;<t<4
0583 중

⑤ 2<t<;3*;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가
두 점 , 의 속도를 각각 (t), (t)라 하면
x=;4!;tÜ`-;2#;tÛ`-t+10일 때, 0ÉtÉ6에서 점 의 속력의 (t)=8t-3, (t)=4t-8
(t) (t)<0이므로 (8t-3)(4t-8)<0
최댓값을 구하시오. 8
∴ ;8#;<t<2
점 의 속도를 라 하면
dx
= =;4#;tÛ`-3t-1=;4#;(t-2)Û`-4
dt
즉, 0ÉtÉ6에서 -4É É8이므로 0É| |É8
따라서 점 의 속력의 최댓값은 8이다.

0587 중 서술형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0584 중

원점을 동시에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위치 x가 x=tÜ`-9tÛ`+24t이고, 점 는 출발 후 운동 방향을

시각 t에서의 위치가 각각 x (t)=2tÜ`+tÛ`, x (t)=tÜ`+2t이 두 번 바꾼다. 운동 방향을 바꾸는 순간의 위치를 각각 A, B

다. 두 점 , 가 다시 만나는 시각에서의 두 점의 속도를 각 라 할 때,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를 구하시오. 4


dx
각 a, b라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40 = =3tÛ`-18t+24=3(t-2)(t-4) ◀30 %
dt
시각 t=2에서 점 는 첫 번째로 운동 방향을 바꾸고 시각 t=4에서 점 는 두 번째로 운
x (t)=x (t)일 때이므로 2tÜ`+tÛ`=tÜ`+2t, t(t+2)(t-1)=0 ∴ t=1(∵ t>0)
동 방향을 바꾼다. ◀20 %
두 점 , 는 시각 t=1에서 다시 만나므로
시각 t=2에서의 점 의 위치 A는 2Ü`-9´2Û`+24´2=20
두 점 , 의 속도를 각각 (t), (t)라 하면
시각 t=4에서의 점 의 위치 B는 4Ü`-9´4Û`+24´4=16
(t)=6tÛ`+2t, (t)=3tÛ`+2에서
따라서 두 점 A, B 사이의 거리는 20-16=4 ◀50 %
(1)=6+2=8, (1)=3+2=5
∴ ab=8´5=40

088 Ⅱ. 미분
정답과 풀이 75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51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52쪽 |

유형 10 정지하는 물체의 속도와 움직인 거리 유형 11 위로 던진 물체의 위치와 속도

움직이는 물체가 제동을 건 후 t초 동안 움직인 거리가 x`m일 때 지면에서 똑바로 위로 던진 물체의 t초 후의 높이가 h`m일 때
dx dh
⑴ 제동을 건 후 t초 후의 속도 ⇨ ⑴ t초 후의 물체의 속도 ⇨
dt dt
⑵ 물체가 정지할 때의 속도 ⇨ 0 ⑵ 최고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물체의 속도 ⇨ 0

0588 대표문제 0591 대표문제

직선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동안 움직인 지면으로부터 40`m의 높이에서 20`m 의 속도로 똑바로 위
거리가 x`m일 때, x=18t-0 4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 자 로 던진 물체의 t초 후의 높이가 h`m일 때,
동차가 제동을 건 후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h=40+20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 물체가 최고 지점
180`
dx 에 도달했을 때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 =18-0 9t=0에서 t=20
dt
t=20일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x=18´20-0 45´20Û`=180(m)
① 55`m ✔ ② 60`m ③ 65`m
④ 70`m ⑤ 75`m
dh
= =20-10t=0에서 t=2일 때 물체의 높이가 최대이므로
dt
40+20´2-5´2Û`=60(m)

0589 중 하

직선 선로를 달리는 열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동안 움직인 거리 0592 중

가 x`m일 때, x=at-3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 열차가 제 지면에서 a`m/ 의 속도로 똑바로 위로 던진 물체의 t초 후의

도함수의 활용 (3)
동을 건 후 정지하는 데 2초가 걸렸다고 할 때, 상수 a의 값을 높이가 h`m일 때, h=a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물체가 지
구하시오. 12 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최소 45`m인 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한
=
dx
=a-6t 상수 a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3
dt
a-6´2=0에서 a=12 dh
= =a-10t=0에서 t=; ;일 때 물체의 높이가 최대이므로
dt

06
Û`
a´; ;-5´{; ;} ¾45 ∴ a¾30 (∵ a>0)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30이다.

0593 중

지면으로부터 45`m의 높이에서 40`m/ 의 속도로 돌을 똑바


0590 중 하

로 위로 던진 돌의 t초 후의 높이가 h`m일 때,
직선 레일을 달리는 기차가 제동을 건 후 t초 동안 움직인 거리
h=45+40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가 x`m일 때, x=9t-tÜ`인 관계가 성립한다. 이 기차가 목적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ㄷ
지에 정확히 정지하려면 목적지로부터 몇 m 지점에서 제동을
보기
걸어야 하는가?
ㄱ. 돌을 던진 지 2초 후에 돌은 20`m/ 의 속도로 위로 올
'3
① `m ② 2`m ③ 3'2`m 라간다.
3
ㄴ. 돌이 최고 높이에 도달한 시각은 돌을 던진 지 4초 후
✔ ④ 6'3`m ⑤ 9`m
dx 이다.
= =9-3tÛ`=0에서 t='3 (∵ t>0)
dt
ㄷ. 돌이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속도는 -50`m/ 이다.
이때까지 기차가 움직인 거리는
9'3-('3 )Ü`=6'3(m)이므로 목적지로부터 6'3`m의 지점에서 제동을 걸어야 한다.
dh
= =40-10t
dt
ㄱ. t=2일 때, 속도 는 =40-10´2=20(m/ )
ㄴ. 최고 높이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는 0이므로 40-10t=0 ∴ t=4
ㄷ. 지면에 떨어지면 45+40t-5tÛ`=0, (t+1)(t-9)=0 ∴ t=9 (∵ t>0)
t=9일 때, 순간의 속도는 =40-10´9=-50(m/ )

06. 도함수의 활용 (3) 089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76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54쪽, 155쪽 |

유형 12 시각에 대한 길이・넓이・부피의 변화율 0597 상 중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동심원의 파문이 인다. 맨 바깥 쪽


어떤 물체의 시각 t에서의 길이가 , 넓이가 S, 부피가 V일 때,
의 파문의 반지름의 길이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할 때, 2초 후
d dS
⑴ 길이의 변화율 ⇨ ⑵ 넓이의 변화율 ⇨ 의 파문의 넓이의 증가율은 p`mÛ`/ 라 한다. 이때 3초 후의 파
dt dt
dV 문의 넓이의 증가율은?
⑶ 부피의 변화율 ⇨
dt
① ;4%;p`mÛ`/ ✔ ② ;2#;p`mÛ`/ ③ 2p`mÛ`/

0594 대표문제
④ ;2%;p`mÛ`/ ⑤ 3p`mÛ`/
키가 1 6`m인 사람이 지상
t초 후의 맨 바깥쪽 파문의 반지름의 길이를 r`m, 반지름의 길이의 일정한 증가율을 k라 하면
4`m 높이의 가로등의 바로 밑
r=kt ∴ S=p(kt)Û`=pkÛ`tÛ` ∴ dS =2pkÛ`t
dt
에서 매분 100`m의 속도로 일
t=2일 때 4pkÛ`=p이므로 kÛ`=;4!;
직선으로 걸어갈 때, 이 사람의
따라서 t=3일 때 2p´;4!;´3=;2#;p(mÛ`/ )
그림자의 앞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0598 상 중

200 500 좌표평면 위에서 점 는 원점 를 출발하여 x축의 양의 방향


① `m/min ② 100`m/min ✔ ③ `m/min
3 3 으로 매초 3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점 는 점 가 출발한 지
800 2초 후에 원점 를 출발하여 y축의 양의 방향으로 매초 4의
④ 200`m/min ⑤ `m/min
3
속력으로 움직인다. 점 가 출발한 지 5초 후의 삼각형
4`:`1 6=y`:`(y-x) ∴ y=;3%;x
의 넓이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48
x=100t이므로 y= 500 t ∴ dy = 500
3 dt 3 점 가 출발한 지 t초 후 (3t, 0), (0, 4(t-2))이므로 △ 의 넓이를 S라 하면
따라서 그림자의 앞 끝이 움직이는 속도는 500 `m/min이다. S=;2!;´3t´4(t-2)=6tÛ`-12t (t>2) ∴ dS =12t-12
3 dt
t=5일 때 12´5-12=48

0595 중 서술형 0599 상

좌표평면 위에서 점 는 원점 를 출발하여 x축의 양의 방향


반지름의 길이가 4` m인 공 모양의 고무 풍선에 공기를 넣어
으로 매초 1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점 는 동시에 원점 를
반지름의 길이가 매초 1` m씩 증가할 때, 6초 후의 고무 풍선
출발하여 y축의 양의 방향으로 매초 2의 속력으로 움직인다.
의 부피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400 ` `/
선분 와 직선 y=2x가 만나는 점을 라 할 때, 선분
t초 후의 고무 풍선의 반지름의 길이가 (4+t)` m이므로 ◀20 %
'5
고무 풍선의 부피를 V mÜ`라 하면 V=;3$;p(4+t)Ü` ◀20 %
의 길이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2
y
t초 후 (t, 0), (0, 2t)이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x + =1 yy`㉠
∴ dV =p(4+t)Û` ◀30 % t 2t
dt
따라서 t=6일 때 4p(4+6)Û`=400p( mÜ`/ ) ◀30 % 직선 ㉠과 직선 y=2x의 교점 의 좌표는 { t , t}
2
t Û` '5 d '5
= 이라 하면 = æ{ } +tÛ`= t ∴ =
2 2 dt 2

0596 중
0600 상

내리는 빗물의 양에 맞게 자동으로 크기가 변하면서 강수량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윗면의 반지름의 길이
측정하는 정육면체 모양의 측정기를 설치하였다. 낮 12시부터
가 6` m, 깊이가 18` m인 원뿔 모양의 그
비가 내리기 시작하자 측정기의 각 모서리의 길이가 매시간
릇이 있다. 이 그릇에 수면의 높이가 매초
5`mm씩 증가하여 오후 1시에 10`mm가 되었다고 할 때, 측
1` m씩 올라가도록 물을 넣을 때, 수면의
정기의 부피의 변화율이 13500`mmÜ`/ 가 되는 순간은 몇 시
높이가 5` m가 되는 순간의 물의 부피의
인가?
변화율을 구하시오. :ª : ` `/

높이가 5` m가 되는 시각은 t=5 ① 오후 4시 ✔ ② 오후 5시 ③ 오후 6시


물의 부피를 V mÜ`라 하면
Û`
④ 오후 7시 ⑤ 오후 8시
V=;3!;prÛ`h=;3!;p´{;3!;h} ´h=;2Á7;ptÜ`
낮 12시부터 t시간이 지난 후의 측정기의 부피는 V=(5+5t)Ü``
∴ dV =;9!;ptÛ` 이때 측정기의 부피의 변화율이 13500`mmÜ`/ 가 되는 순간은
dt
dV =375(t+1)Û`=13500에서 t=5 (∵ t>0)
따라서 t=5일 때 ;9!;p´5Û`=:9:p( mÜ`/ ) dt
따라서 구하는 시각은 낮 12시에서 5시간 후인 오후 5시이다.

090 Ⅱ. 미분
유형 정답과 풀이 77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53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53쪽 |

유형 13 속도의 그래프의 해석 유형 14 위치의 그래프의 해석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속도 (t)의 그래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위치 x(t)의 그래프
에서 에서
⑴ t=a일 때 점 의 가속도 ⑴ x'(t)>0인 구간 ⇨ 점 는 양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 t=a일 때의 접선의 기울기 '(a) ⑵ x'(t)=0인 구간 ⇨ 점 는 정지하거나 운동 방향을 바꾼다.
⑵ y= (t)의 그래프가 t축과 t=a에서 만나고 t=a의 좌우에 ⑶ x'(t)<0인 구간 ⇨ 점 는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서 (t)의 부호가 바뀌면
⇨ 점 는 t=a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0603 대표문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
0601 대표문제 각 t에서의 위치 x(t)의 그래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시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점
각 t에서의 속도 (t)의 그래프가 에 대해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음 중 점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의 가속도가 가장 큰 시각은? 보기

① tÁ ②t ㄱ. 시각 t=a에서 속도가 최대이다.


✔ ③ t£ ④t ㄴ. 시각 0<t<f에서 운동 방향은 3번 바뀐다.
⑤t ㄷ. 시각 t=c에서 속도는 0이다.

도함수의 활용 (3)
점 의 시각 t에서의 가속도 a(t)= d 는 y= (t)의 그래프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ㄹ. 시각 t=e일 때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dt
a(tÁ)<0, a(tª)=0, a(t£)>0, a(t )=0, a(t )<0

① ㄱ, ㄴ ✔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06
0602 상 중 ㄱ. 시각 t=a에서 점 의 속도는 0이다.
ㄹ. 시각 t=a일 때 원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속도 (t)의 그래
프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점 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에서 0604 상 중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ㄷ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각각의 위


치 x (t), x (t)의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ㄴ, ㄷ

보기

ㄱ. 시각 t=5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보기
ㄴ. 시각 0<t<6에서 운동 방향을 3번 바꾼다.
ㄷ. 시각 2<t<4에서 수직선 위를 음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ㄱ. 시각 t=a에서 점 의 속도는 점 의 속도보다 크다.

ㄹ. 시각 4<t<6에서 속도는 증가한다. ㄴ. 점 와 점 는 시각 t=b일 때 만난다.


ㄷ. 시각 t=c에서 점 와 점 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
ㄱ. 시각 t=5의 좌우에서 (t)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운동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 직인다.
ㄴ. 시각 t=2, t=4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ㄹ. 시각 4<t<5에서 y= (t)는 증가하는 함수가 아니다.
ㄱ. 시각 t=a에서 점 의 속도는 0이므로 점 의 속도가 더 크다.

06. 도함수의 활용 (3) 091


시험에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78쪽

0605 0608 중요

방정식 ;4#;xÝ`-xÜ`-3xÛ`+k=0이 서로 다른 네 개의 실근을 갖 방정식 2xÜ`+3xÛ`-12x+a=0이 한 개의 음근과 서로 다른

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 두 개의 양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0<a<7
f(x)=-2xÜ`-3xÛ`+12x로 놓으면
①0 ✔② 1 ③2 f '(x)=-6(x+2)(x-1)=0에서 x=-2 또는 x=1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④3 ⑤4
0<a<7
f(x)=;4#;xÝ`-xÜ`-3xÛ`으로 놓으면

f '(x)=3x(x+1)(x-2)=0에서
x=-1 또는 x=0 또는 x=2
서로 다른 네 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0609
-;4%;<-k<0 ∴ 0<k<;4%; 방정식 2xÜ`-3axÛ`+a=0이 중근과 다른 한 실근을 갖도록
따라서 실수 k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 ②이다.
하는 양수 a의 값은?
0606
✔① 1 ②2 ③3
미분가능한 함수 y=f(x)의 도함
④4 ⑤5
수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f(x)=2xÜ`-3axÛ`+a로 놓으면
그림과 같을 때, 방정식 `f(x)=k f '(x)=6x(x-a)=0에서 x=0 또는 x=a
즉, f(0)f(a)=0이므로 aÛ`(a+1)(a-1)=0 ∴ a=1 (∵ a>0)
의 서로 다른 실근의 최대 개수는?
(단, k는 실수)

①1 ②2 ✔③ 3 0610
④4 ⑤5 사차함수 y=f(x)의 도함수
y=f '(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가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0, a, b, c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a 또는 x=b 또는 x=c
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
따라서 방정식 f(x)=k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의 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ㄴ
최댓값은 3이다.

보기

ㄱ. f(a)=0이면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0607
사차함수 y=f(x)의 도함수 ㄴ. f(a)f(c)<0이면 f(x)=0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y=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갖는다.

림과 같고, f(-1)=-2, ` ㄷ. f(a)f(c)>0이면 f(x)=0은 실근을 갖지 않는다.

f(5)=1, f(0)<-1이다. 방정
x=a에서는 극값을 갖지 않고 x=c에서는 극값을 갖는다.
식 f(x)+x+1=0에 대한 다음 ㄱ. ㄴ. ㄷ. f(a)>0, f(c)>0 또는 f(a)<0, f(c)<0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1개의 양근과 1개의 음근을 갖는다.


② 서로 다른 2개의 음근을 갖는다. 0611
③ 1개의 음근과 서로 다른 2개의 양근을 갖는다. 곡선 y=xÜ`-x와 직선 y=2x+k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
④ 서로 다른 2개의 양근을 갖는다. 나도록 하는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⑤ 1개의 음근과 서로 다른 3개의 양근을 갖는다. ① -4<k<0 ② -3<k<1 ✔ ③ -2<k<2
f '(-1)=f '(3)=f '(5)=0
④ -1<k<3 ⑤ 0<k<4
방정식 f(x)+x+1=0의 실근은 함수 y=f(x)의 그
래프와 직선 y=-x-1의 교점 A, B의 x좌표와 같으 방정식 xÜ`-x=2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져야 한다.
므로 1개의 양근과 1개의 음근을 갖는다. f(x)=xÜ`-3x-k로 놓으면
f '(x)=3(x+1)(x-1)=0에서 x=-1 또는 x=1
즉, f(-1)f(1)<0이므로 (k+2)(k-2)<0
∴ -2<k<2

092 Ⅱ. 미분
0612 0616
곡선 y=xÜ`-3xÛ`-2 밖의 한 점(0, a)에서 주어진 곡선에 x>0일 때, 부등식 4xÛ`-3x<xÜ`+kx를 만족시키는 실수
오직 한 개의 접선만을 그을 수 있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 k의 값의 범위는?
위는? ① k<1 ✔ ② k>1 ③ k¾1
✔ ① a<-2 또는 a>-1 ② -2<a<-1 ④ -1<k<1 ⑤ 0Ék<1
③ a<-1 또는 a>0 ④ -1<a<0 f(x)=-xÜ`+4xÛ`-3x=-x(x-1)(x-3)으로 놓으면
곡선 y=f(x)와 x=t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정식
⑤ -1ÉaÉ0 y=(-3tÛ`+8t-3)(x-t)+(-tÜ`+4tÛ`-3t)가 원점을
점 (0, a)에서 곡선 y=xÜ`-3xÛ`-2에 그은 접선의 접점의 좌표를 (t, tÜ`-3tÛ`-2)라 하 지나므로 2tÜ`-4tÛ`=0 ∴ t=2 (∵ t>0)
면 접선의 방정식은 y-(tÜ`-3tÛ`-2)=(3tÛ`-6t)(x-t) 즉, 접점 (2, 2)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
이 직선이 점 (0, a)를 지나므로 2tÜ`-3tÛ`+2+a=0 따라서 k>1이어야 한다.
f(t)=2tÜ`-3tÛ`+2+a로 놓으면 f '(t)=6t(t-1)=0에서 t=0 또는 t=1
즉, f(0)f(1)>0이므로 (a+2)(a+1)>0 ∴ a<-2 또는 a>-1
0617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각각

x (t)=;3!;tÜ`+4t-;3@;, x (t)=2tÛ`-10
0613
일 때, 두 점 , 의 속도가 같아지는 순간의 두 점 사이의 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xÝ`-8x+a¾4xÜ`-6xÛ`이 성립
리를 구하시오. 12
하도록 하는 실수 a의 최솟값은?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속도는 (t)=tÛ`+4, (t)=4t
①4 ②5 ③6 (t)= (t)에서 tÛ`+4=4t ∴ t=2

④7 x (2)=;3!;´2Ü`+4´2-;3@;=10, x (2)=2´2Û`-10=-2이므로
✔⑤ 8
두점 , 사이의 거리는 10-(-2)=12
f(x)=xÝ`-4xÜ`+6xÛ`-8x+a로 놓으면
f '(x)=4(x-2)(xÛ`-x+1)=0에서 x=2 (∵ xÛ`-x+1>0)

도함수의 활용 (3)
함수 f(x)의 최솟값이 f(2)=a-8¾æ0이려면 aæ¾8
따라서 실수 a의 최솟값은 8이다.
0618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시각 t에서의 위치가 각
각 x (t)=2tÜ`-2tÛ`+3t, x (t)=-4tÛ`-t일 때, t=3에서

06
의 선분 의 중점 의 속도는?
0614 중요
✔ ① 10 ② 11 ③ 12
두 함수 f(x)=xÝ`-4x, g(x)=-xÛ`+2x-a가 있다. 모
④ 13 ⑤ 14
든 실수 x에 대하여 부등식 f(x)¾g(x)가 성립하도록 하는
중점 의 위치를 x라 하면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a 4
x=;2!;{(2tÜ`-2tÛ`+3t)+(-4tÛ`-t)}=tÜ`-3tÛ`+t
h(x)=xÝ`+xÛ`-6x+a로 놓으면
Û`
h'(x)=2(x-1)(2xÛ`+2x+3)=0에서 x=1`{∵ 2{x+;2!;} +;2%;>0} = dx =3tÛ`-6t+1
dt
함수 h(x)의 최솟값이 h(1)=a-4æ¾0이려면 aæ¾4 시각 t=3에서의 속도는 3´3Û`-6´3+1=10

0619 평가원 기출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 (t>0)에서의 위치 x가


x=tÜ`-12t+k (k는 상수)
0615
이다. 점 의 운동 방향이 원점에서 바뀔 때, k의 값은?
x¾0일 때, 부등식 2xÜ`+k¾3xÛ`이 항상 성립하도록 하는 실
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k 1 ① 10 ② 12 ③ 14
f(x)=2xÜ`-3xÛ`+k로 놓으면 ✔ ④ 16 ⑤ 18
f '(x)=6x(x-1)=0에서 x=0 또는 x=1
점 의 속도를 라 하면
함수 f(x)의 최솟값이 f(1)=k-1¾æ0이려면 kæ¾1
= dx =3tÛ`-12
dt
3tÛ`-12=0에서 t=2 (∵ t>0)
이때 점 가 원점에 위치하므로
2Ü`-12´2+k=0 ∴ k=16

06. 도함수의 활용 (3) 093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620 중요 0623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t에서의 한 변의 길이가 2` m인 정삼각형이 있다. 각 변의 길이가 매초

위치 x가 x(t)=;3!;tÜ`-4tÛ`+7t일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2` m씩 증가할 때, 5초 후의 정삼각형의 넓이의 변화율을 구


하시오. 12'3` `/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t초 후의 정삼각형의 넓이를 S` mÛ`라 하면
보기 '3
S= (2t+2)Û` ∴ dS =2'3(t+1)
4 dt
ㄱ. 시각 t=1, t=3에서 점 의 위치는 같다.
따라서 t=5일 때, 2'3(5+1)=12'3( mÛ`/ )
ㄴ. 점 가 출발할 때의 속도는 0이다.
ㄷ. 시각 t=3에서 가속도는 -2이다. 0624
ㄹ. 점 는 움직이는 동안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꾼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윗면의 반지름의 길
이가 4` m, 깊이가 8` m인 원뿔 모양
①ㄷ ② ㄱ, ㄴ ✔ ③ ㄷ, ㄹ 의 빈 그릇이 있다. 이 그릇에 수면의 높
④ ㄴ, ㄷ, ㄹ ⑤ ㄱ, ㄷ, ㄹ 이가 매초 0 5` m씩 상승하도록 물을
ㄱ. x(1)=:Á3¼:, x(3)=-6이므로 점 의 위치는 같지 않다.
넣을 때, 수면의 높이가 4` m가 되는 순
ㄴ. = dx =tÛ`-8t+7이므로 시각 t=0에서의 속도는 7이다. 간의 부피의 변화율은?
dt
ㄷ. a= d =2t-8이므로 시각 t=3에서의 가속도는 2´3-8=-2
dt ✔ ① 2p` mÜ`/ ② ;2%;p` mÜ`/ ③ 3p` mÜ`/
ㄹ. =0에서 t=1, t=7일 때 운동 방향을 두 번 바꾼다.
0621
④ ;2&;p` mÜ`/ ⑤ 4p` mÜ`/
지면으로부터 35`m의 높이에서 30`m/ 의 속도로 똑바로 위
로 던진 물체의 t초 후의 높이가 h`m일 때, h=0 5t이므로 높이가 4` m가 되는 시각은 4=0 5t ∴ t=8(초)
t초 후의 물의 부피를 V` mÜ`라 하면
h=35+30t-5tÛ`인 관계가 성립한다.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
V=;3!;prÛ`h=;3!;p{; !;h}Û ´h= p t Ü` ∴ dV = p tÛ`
96 dt 32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ㄱ, ㄹ
따라서 t=8일 때 p ´8Û`=2p( mÜ`/ )
32
보기
0625
ㄱ. 물체가 최고 높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초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t(0ÉtÉ6)
이다.
초 후의 속도 (t)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서
ㄴ. 물체의 최고 높이는 65`m이다.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ㄷ. 물체가 지면에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6초이다.
ㄹ. 물체의 가속도는 일정하다.

ㄱ. t초 후의 속도를 라 하면 = dh =30-10t=0에서 t=3


dt
ㄴ. 물체의 최고 높이는 t=3일 때이므로 35+30´3-5´3Û`=80(m)
ㄷ. 물체가 지면에 떨어질 때의 높이는 0이므로 35+30t-5tÛ`=0에서 t=7

ㄹ. a= d =-10으로 일정하다.
dt

0622 보기
키가 180` m인 해성이와 150` m인 유빈이가 높이 3`m인 ㄱ. 출발 후 2초일 때 점 의 위치는 원점이다.
가로등 바로 밑에서 출발하여 각각 매분 60`m의 속도로 일직 ㄴ. 출발 후 1초와 3초 사이에서 움직이는 방향이 바뀐다.
선으로 걸어가고 있다. 해성이와 유빈이의 그림자의 앞 끝이 움 ㄷ. 점 는 출발한 후 6초 동안 운동 방향을 2번 바꾼다.
직이는 속도를 각각 Á`m/min, ª`m/min이라 할 때,
Á`:` ª는? ①ㄱ ②ㄴ ③ㄷ
① 3`:`2 ② 4`:`3 ✔ ③ 5`:`4 ④ ㄱ, ㄷ ✔ ⑤ ㄴ, ㄷ

④ 7`:`6 ⑤ 9`:`8 ㄱ. 출발 후 2초까지 점 는 양의 방향으로 이동했으므로 위치는 원점이 아니다.


ㄴ. t=2에서 움직이는 방향이 바뀐다.
x=60t ㄷ. t=2, t=5에서 =0이고, 속도의 부호가 바뀌므로 운동 방향이 2번 바뀐다.
y`:`(y-x)=3`:`h에서
dy
y= 3x ∴ y= 180 t ∴ = 180
3-h 3-h dt 3-h
Á= 180 =150(m/min), ª= 180 =120(m/min) ∴ Á`:` ª=5`:`4
3-1 8 3-1 5

094 Ⅱ. 미분
정답과 풀이 80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Ú x¾a일 때, g(x)=x-a
h(x)=6xÜ`-x-(x-a)라 하면
0626 0630 평가원 기출
h'(x)=2(3x+1)(3x-1)=0에서 x=-;3!; 또는 x=;3!;
-4<k<0일 때, 방정식 xÜ`-3xÛ`-k=0의 서로 다른 실근 좌표평면에서 두 함수
의 개수를 구하시오. 3 f(x)=6xÜ`-x, g(x)=|x-a|
f(x)=xÜ`-3xÛ`으로 놓으면 f '(x)=3x(x-2)=0에서 x=0 또는 x=2 ◀20 %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도록 하는 모든 실수 a
◀40 %
의 값의 합은?

① -; !8!; ② -;9%; ③ -;2!;

✔ ④ -;9$; ⑤ -; 8;
h{-;3!;}h{;3!;}=0이어야 하므로 {a+;9$;}{a-;9$;}=0 ∴ a=-;9$;(∵ x¾a)
0627
` -4<k<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이다.◀40 %
Û x<a일 때, g(x)=-x+a
1<x<3에서 두 함수 f(x)=2xÜ`-3xÛ`, g(x)=xÜ`-a에
h(x)=6xÜ`-x-(-x+a)라 하면 h'(x)=0에서 x=0
대하여 f(x)¾g(x)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상수 a의 최솟값 h(x)=0은 오직 한 개의 근만 갖는다.

을 구하시오. Ú, Û에서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은 -;9$;이다.


0631
h(x)=f(x)-g(x)=xÜ`-3xÛ`+a로 놓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평한 바닥에 60ù
h'(x)=3x(x-2)=0에서 x=2 (∵ 1<x<3) ◀30 %
h(x)는 x=2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h(2)=a-4 ◀40 % 로 기울어진 경사면과 반지름의 길이
h(x)¾0이려면 h(2)=a-4¾0 ∴ a¾4
가 1`m인 공이 있다. 이 공의 중심은
따라서 상수 a의 최솟값은 4이다. ◀30 %
경사면과 바닥이 만나는 점에서 바닥
에 수직으로 높이가 74`m인 위치에 있
다. 이 공을 자유 낙하시킬 때, t초 후

도함수의 활용 (3)
0628
공의 중심의 높이 h(t)는
원점을 동시에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의
h(t)=74-8tÛ` (m)이라 한다. 공이 경사면과 처음으로 충돌
시각 t에서의 위치는 각각 x (t)=tÛ`-6t, x (t)=;2!;tÛ`+4t
하는 순간의 공의 속도를 구하시오. -48` /

이다. 두 점 , 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시각 t의 값

06
(단, 경사면의 두께와 공기의 저항은 무시한다.)
의 범위를 구하시오. 3 AÓ=1, ∠ BA=30ù이므로 BÓ=2
h(t)=74-8tÛ`=2, 8tÛ`=72 ∴ t=3 (∵ t>0)
시각 t에서 두 점 , 의 속도는
이때 (t)=h'(t)=-16t이므로 (3)=-48(m/ )
(t)=2t-6, (t)=t+4 ◀40 %
(t) (t)>0 ◀40 %
(2t-6)(t+4)>0에서 t>3 (∵ t>0) ◀20 %
0632 창의 . 융합

다음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f(x)=-xÛ`-4x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 위의 점 (t, f(t))(-4<tÉ-2)와 점
0629 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인 점 가 있다. 선분 를밑
오른쪽 그림과 같이 키가 면의 반지름으로 하고 선분 를 높이로 하여 만들 수 있는
1 5`m인 사람이 높이 3`m의 원뿔의 부피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9

가로등의 바로 밑에서 매분
90`m의 속도로 일직선으로
걸어가고 있다. 이때 이 사람
의 그림자의 길이의 변화율을 구하시오. 90` /

(x+90t)`:`x=3`:`1 5 ◀40 %
∴ x=90t ◀40 %

∴ dx =90(m min) ◀20 %


dt
원뿔의 부피를 V(t)라 하면 V(t)=;3!;ptÛ`´(-tÛ`-4t)=-;3!;ptÜ`(t+4)

V'(t)=-;3$;ptÛ`(t+3)=0에서 t=-3 또는 t=0

따라서 t=-3일 때 원뿔의 부피가 최대가 되므로

V(-3)=-;3!;p´(-3)Ü`´(-3+4)=9p
06. 도함수의 활용 (3) 095
쉬어가기

어리석음을 범하는 자가 되지 마라.

어리석음을 범하는 자가 어리석은 것이 아니라, 범한 후에 감추지 못하는 자


가 어리석은 것이다.
자신의 성향조차도 감추어야 할 때가 있으니 결정은 말할 필요도 없다.
모든 인간은 오류를 범하지만 그것에도 차이는 있다. 현명한 자는 제가 저지
른 잘못을 숨기지만 어리석은 자는 저지르기도 전에 미리 거짓말을 한다. 우
리의 명성은 행동보다는 비밀을 지키는 데에 근거한다. 오점이 있으면 행동을
조심하라.
우정에서조차도 예외는 있다. 친구에게도 자신의 잘못은 털어놓지 마라. 할
수만 있다면 자신에게도 감춰야 한다. 이와 함께 또 다른 삶의 규칙이 도움이
될 것이다. 즉, 잊을 수 있다면 잊어라.
개념원리

III
적분

07 부정적분
08 정적분
09 정적분의 활용
07 부정적분 Ⅲ. 적분

개념 플러스
07 . 1 부정적분의 뜻

1 부정적분:함수 (x)의 도함수가 f(x)일 때 즉 '(x)= f(x)일 때 (x)를 f(x)의 부정적분의 ‘부정(不定)’은 어느 하나
로 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부정적분이라 하고, 기호 :` f(x)dx로 나타낸다.
:` f(x)dx는 ‘f(x)의 부정적분’ 또는
2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x)라 하면 ‘인티그럴(int al) f(x)dx’라 읽
는다.
:` f(x)dx= (x) (단, 는 적분상수)
부정적분

:` f(x)dx= (x)+

도함수
07 . 2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d
1 dx [ :` f(x)dx = f(x) d
dx
[ :` f(x)dx

d
d +:`[ ` f(x) dx
2 :`[ dx ` f(x) dx= f(x)+ (단, 는 적분상수) dx

07 . 3 함수 y=x``의 부정적분

n이 음이 아닌 정수일 때
1 1
:`x` dx= x (단, 는 적분상수)
1

참고 k가 상수일 때, :`k dx=kx+ (단, 는 적분상수) :`1 dx는 보통 :`dx로 나타낸다.

07 . 4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부정적분

두 함수 f(x), g(x)가 부정적분을 가질 때

⑴ :`k f(x)dx=k:` f(x)dx (단, k는 실수)

⑵ :`{ f(x)+g(x)}dx=:` f(x)dx+:`g(x)dx 함수의 합, 차의 부정적분은 세 개 이


상의 함수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⑶ :`{ f(x)-g(x)}dx=:` f(x)dx-:`g(x)dx

:`(4xÜ`+3xÛ`-6x)dx=:`4xÜ`dx+:`3xÛ`dx-:`6x dx=4:`xÜ`dx+3:`xÛ`dx-6:`x dx

=4{;4!;xÝ`+ 1}+3{;3!;xÜ`+ 2 }-6{;2!;xÛ`+ }


3

=xÝ`+xÜ`-3xÛ`+4 1+3 2 -6 3

이므로 4 1+3 2-6 3= 로 놓으면


적분상수가 여러 개 있을 때는 이들을
묶어서 하나의 적분상수로 나타낸다.
:`(4xÜ`+3xÛ`-6x)dx=xÝ`+xÜ`-3xÛ`+

098 Ⅲ. 적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82쪽

07 . 1 부정적분의 뜻 0642 :`xÛ``dx ; ;x22

[0633 ~ 0635 ] 다음 등식을 만족시키는 함수 f(x)를 구하시오. n-1 1


0643 :`x dx (단, n은 자연수) x

부정적분
(단, 는 적분상수)

0633 :` f(x)dx=3xÛ`+4x+ f(x)=6x 4

07
0634 :` f(x)dx=xÜ`-xÛ`+ f(x)=3x`-2x

0635 :` f(x)dx=;4!;xÝ`+;3!;xÜ`+;2!;xÛ`+ f(x)=x3 xÛ` x


07 . 4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부정적분

[0644 ~ 0650]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0644 :`(3x-4)dx ; ;x2-4x

0645 :`(5xÛ`-2x+1)dx
07 . 2
; ;x3-x2 x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0636 ~ 0639] 다음을 계산하시오.


0646 :`(x-1)(x+2)dx ; ;xÜ` ; ;xÛ`-2x

d x2
0636 dx `{ :`xÛ`dx}
0647 :`(2x-3)Û`dx ; ;xÜ`-6xÛ` 9x

d
0637 :`{ dx `xÛ`}dx x2

0648 :`(x-3)(xÛ`+3x+9)dx ;4;x`-27x

d
0638 [ :`(xÜ`+2x)dx xÜ` 2x
dx xÛ`-4
0649 :` x+2 dx ; ;xÛ`-2x

d
0639 :`[ dx `(xÜ`+2x) dx xÜ` 2x

xÜ`+1
0650 :` x+1 dx ; ;xÜ`-; ;xÛ` x

07 . 3 함수 y=x 의 부정적분

[0640 ~ 0643]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0651 ~ 065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시오.

0640 :`dx x 0651 :`(x+1)Û`dx-:`(x-1)Û`dx 2xÛ`

xÜ` 8
0641 :`xÜ`dx ;4;x4 0652 : ` x-2 dx-:` x-2 dx ; ;xÜ` xÛ` 4x

07. 부정적분 099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83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63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64쪽 |

유형 01 부정적분의 뜻 유형 02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부정적분 d
⑴ [`:` f(x)dx = f(x)
dx
:` f(x)dx= (x)+ `(단, 는 적분상수) ⇨ '(x)= f(x)
그대로
도함수 d
⑵ `: [ f(x) dx= f(x)+ `(단, 는 적분상수)
dx
(그대로)+(적분상수)
0653 대표문제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0657 대표문제

:`(x-3) f(x)dx=xÜ`-27x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가 성립할 때,` f(-1)의 값은? d
[ :`(axÜ`+2xÛ`+bx-7)dx =xÜ`+cxÛ`+3x+d
dx
① 6 ② 3 ③3 가 성립할 때, a+b+c+d의 값은? (단, a, b, c, d는 상수)
✔④ 6 ⑤
① -7 ② -4 ✔ ③ -1
(x-3)f(x)=(xÜ`-27x)'=3xÛ`-27=3(x+3)(x-3)
따라서 f(x)=3(x+3)이므로
④2 ⑤5
f(-1)=3´2=6 axÜ`+2xÛ`+bx-7=xÜ`+cxÛ`+3x+d
위의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a=1, b=3, c=2, d=-7
0654 하 ∴ a+b+c+d=-1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나가 xÜ`+xÛ`+1일 때, 함수


f(x)는?

① f(x)=xÜ`+xÛ` ✔ ② f(x)=3xÛ`+2x
③ f(x)=xÛ`+x ④ f(x)=6x+2 0658 중 하

⑤ f(x)=2x+1 함수 f(x)가
(x)=xÜ`+xÛ`+1로 놓으면 d
[ :`x f(x)dx =xÝ`+xÜ`+xÛ`+x
f(x)= '(x)=3xÛ`+2x dx
를 만족시킬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40
xf(x)=xÝ`+xÜ`+xÛ`+x=x(xÜ`+xÛ`+x+1)
따라서 f(x)=xÜ`+xÛ`+x+1이므로
0655 중 하
f(3)=27+9+3+1=40
두 함수 f(x)=2xÛ`-1, g(x)=4x+3에 대하여

:` (x)dx= f(x)g(x)

가 성립할 때, (0)의 값을 구하시오. -4

(x)={`f(x)g(x)}'=f`'(x)g(x)+f(x)g '(x)
=4x(4x+3)+(2xÛ`-1)´4=24xÛ`+12x-4
∴ (0)=-4
0659 중

d
함수 (x)=:`[ (xÜ`-2x) dx에 대하여 (0)=2일
dx
0656 서술형

때, (2)의 값을 구하시오. 6
함수 (x)=xÜ`+axÛ`+2x가 함수 f(x)의 부정적분 중 하 (x)=xÜ`-2x+
(0)=2이므로 =2
나이고 f(0)=b, f`'(0)=3일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따라서 (x)=xÜ`-2x+2이므로
값을 구하시오. 3 (2)=8-4+2=6

f(x)= '(x)=3xÛ`+2ax+2이므로 f(0)=2=b ◀40 %


f '(x)=6x+2a이므로 f '(0)=2a=3 ∴ a=;2#; ◀40 %

∴ ab=;2#;´2=3 ◀20 %

100 Ⅲ. 적분
| 개념원리 수학 Ⅱ 165쪽 |

0660 중
유형 03 부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의 결정
함수 f(x)에 대하여
d
d f(x)=g(x) 꼴이 주어지면
:`[ f(x)]dx=xÜ`-6x+C dx
dx
d
이고 f(3)=10일 때, f(-1)의 값은? (단, C는 적분상수) ⇨ 양변을 적분하여 :`[ f(x)]dx= f(x)+C임을 이용한
dx
다. (단, C는 적분상수)

부정적분
①2 ②3 ③4
④5 ✔⑤6

07
:`[
d
`f(x)]dx=f(x)+CÁ이므로 0664 대표문제
dx
f(x)+CÁ=xÜ`-6x+C ∴ f(x)=xÜ`-6x+C-CÁ 상수함수가 아닌 두 다항함수 f(x), g(x)가
f(3)=10이므로 27-18+C-CÁ=10 ∴ C-CÁ=1
d
따라서 f(x)=xÜ`-6x+1이므로 { f(x)g(x)}=3xÛ`
f(-1)=-1+6+1=6
dx
을 만족시키고 f(2)=0, g(2)=12일 때, f(0)+g(1)의 값
0661 중 을 구하시오. (단, f(x), g(x)의 계수는 실수) 5

함수 f(x)=2x+1에 대하여 두 함수 F(x), G(x)를 f(x)g(x)=:`3xÛ`dx=xÜ`+C


f(2)=0, g(2)=12이므로 f(2)g(2)=8+C=0 ∴ C=-8
d
F(x)= [ :`x f(x)dx], 즉, f(x)g(x)=xÜ`-8=(x-2)(xÛ`+2x+4)이므로
dx f(x)=x-2, g(x)=xÛ`+2x+4 (∵ f(2)=0, g(2)=12)
d ∴ f(0)+g(1)=-2+7=5
G(x)=:`[ x f(x)]dx
dx
로 정의하자. G(1)=5일 때, F(-1)+G(-1)의 값을 구
하시오. 4 0665 중

F(x)=xf(x)=2xÛ`+x 두 다항함수 f(x), g(x)가


G(x)=xf(x)+C=2xÛ`+x+C
G(1)=5이므로 2+1+C=5 ∴ C=2 d d
{ f(x)+g(x)}=4, { f(x)-g(x)}=4x
따라서 F(x)=2xÛ`+x, G(x)=2xÛ`+x+2이므로 dx dx
F(-1)+G(-1)=1+3=4 를 만족시키고 f(0)=3, g(0)=-4일 때, f(1)+g(-1)
의 값을 구하시오. -1

0662 중
f(x)+g(x)=:`4 dx=4x+C1, f(x)-g(x)=:`4x dx=2xÛ`+C2

d f(0)=3, g(0)=-4이므로
함수 f(x)=:`[ (xÛ`-4x)]dx의 최솟값이 -8일 때,
dx f(0)+g(0)=CÁ=-1, f(0)-g(0)=Cª=7
즉, f(x)+g(x)=4x-1, f(x)-g(x)=2xÛ`+7이므로
f(5)의 값을 구하시오. 1 f(x)=xÛ`+2x+3, g(x)=-xÛ`+2x-4
f(x)=xÛ`-4x+C=(x-2)Û`+C-4 ∴ f(1)+g(-1)=6+(-7)=-1
함수 f(x)의 최솟값이 -8이므로 C-4=-8 ∴ C=-4
따라서 f(x)=xÛ`-4x-4이므로
f(5)=25-20-4=1 0666 중

두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f(1)-g(2)의 값을 구하시오. -1

0663 상 중

함수 f(x)=10xÚ`â`+9xá`+ y +2xÛ`+x에 대하여 ㈎ f(0)=2, g(0)=1


d d d
F(x)=:` [:`[ f(x)]dx] dx ㈏ { f(x)+g(x)}=4x+2
dx dx dx
라 하자. F(0)=-5일 때, F(1)의 값은? d
㈐ { f(x)g(x)}=12xÛ`+4x+4
dx
① 30 ② 40 ✔ ③ 50
④ 60 ⑤ 70
f(x)+g(x)=:`(4x+2)dx=2xÛ`+2x+C1
d
F(x)=:` [ { f(x)+C1}] dx=f(x)+C2
dx f(x)g(x)=:`(12xÛ`+4x+4)dx=4xÜ`+2xÛ`+4x+C2
=10x +9x9+ y +2xÛ`+x+C2
10
즉, f(0)=2, g(0)=1이므로
F(0)=-5이므로 C2=-5 f(0)+g(0)=C1=3, f(0)g(0)=C2=2
따라서 F(x)=10x10+9x9+ y +2xÛ`+x-5이므로 f(x)+g(x)=2xÛ`+2x+3=(2xÛ`+2)+(2x+1),
F(1)=10+9+ y +2+1-5=50 f(x)g(x)=4xÜ`+2xÛ`+4x+2=(2xÛ`+2)(2x+1)이므로
f(x)=2xÛ`+2, g(x)=2x+1 (∵ f(0)=2, g(0)=1)
∴ f(1)-g(2)=4-5=-1

07. 부정적분 101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69쪽, 170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71쪽 |

유형 04 부정적분의 계산 유형 05 f '(x)로부터 f(x) 구하기

1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주어지면


⑴ :`xn dx= xn+1+C
n+1
⇨ f(x)=:` f '(x)dx임을 이용한다.
(단, n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C는 적분상수)

⑵ :`k f(x)dx=k:` f(x)dx (단, k는 상수)


0671 대표문제
⑶ :`{ f(x)Ñg(x)}dx=:` f(x)dxÑ:`g(x)dx`(복부호동순)
함수 f(x)에 대하여 f '(x)=3xÛ`+2ax+1이고 f(0)=1,`
f(1)=2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7

0667 대표문제 f(x)=:`(3xÛ`+2ax+1)dx=xÜ`+axÛ`+x+C


xÛ` 1 f(0)=1, f(1)=2이므로
함수 f(x)=:` dx-:` dx에 대하여 f(0)=1
x-1 x-1 f(0)=C=1
f(1)=1+a+1+1=2 ∴ a=-1
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5
따라서 f(x)=xÜ`-xÛ`+x+1이므로 f(2)=7
xÛ`-1
f(x)=: ` dx=:`(x+1)dx=;2!;xÛ`+x+C
x-1
`f(0)=1이므로 C=1

따라서 f(x)=;2!;xÛ`+x+1이므로 `f(2)=5 0672 중

함수 f(x)를 적분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미분하였더니


3xÛ`-1이었다. f(0)=2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2
0668 중 하

f '(x)=3xÛ`-1이므로
함수 f(x)=:`(1-x)Ü`dx-:`(1+x)Ü`dx에 대하여 f(x)=:`(3xÛ`-1)dx=xÜ`-x+C
f(0)=2이므로 C=2
f(0)=;2!;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3 따라서 f(x)=xÜ`-x+2이므로 f(1)=2

f(x)=:`(1-3x+3xÛ`-xÜ` )dx-:`(1+3x+3xÛ`+xÜ` )dx=-;2!;xÝ`-3xÛ`+C

f(0)=;2!;이므로 C=;2!;

따라서 f(x)=-;2!;xÝ`-3xÛ`+;2!;이므로 f(1)=-3 0673 중

xÜ`-27
함수 f(x)에 대하여 f '(x)= 이고 f(0)=1일
0669 중 하 xÛ`+3x+9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Ü`-27
9 (2x+3)(2x-3) f(x)=:`` dx=:`(x-3)dx=;2!;xÛ`-3x+C
:` `dx+:` `dx=axÛ`+bx+C일 때, xÛ`+3x+9
x x f(0)=1이므로 C=1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단, C는 적분상수) 따라서 f(x)=;2!;xÛ`-3x+1이므로 f(-2)=9

①1 ✔②2 ③3
④4 ⑤5
(2x+3)(2x-3) 4xÛ`-9
:`;[(;` dx+:`` dx=:`;[(;` dx+:`` dx 0674 상 중
x x
=:`4x dx=2xÛ`+C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a+ f(2)의 값
따라서 a=2, b=0이므로 a+b=2
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9

0670 중 f(x)
㈎ f '(x)=2x+a ㈏ lim =2a-1
x`Ú1 x-1
함수 f(x)=:`(1+2x+3xÛ`+ y +9x¡` )dx에 대하여
f(1)=10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0 조건 ㈏에서 x 4Ú`1일 때 (분모) 4Ú`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4Ú`0이어야 한다.
즉, f(1)=0이므로
f(x)=x+xÛ`+xÜ`+ y +xá`+C
`f(x) f(x)-f(1)
f(1)=10이므로 9+C=10 ∴ C=1 lim =lim =lim `f '(1)=2+a
x`Ú 1 x-1 x`Ú 1 x-1 x`Ú 1

따라서 f(x)=1+x+xÛ`+xÜ`+ y +x9이므로


즉, a+2=2a-1이므로 a=3
f(-1)=1-1+1-1+ y -1=0
∴ f(x)=:`(2x+3)dx=xÛ`+3x+C
f(1)=0이므로 C=-4
∴ a+f(2)=3+(4+6-4)=9

102 Ⅲ. 적분
정답과 풀이 85쪽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71쪽 |

유형 06 f(x)와 그 부정적분 F(x)의 관계 0678 중

다항함수 f(x)와 F'(x)= f(x)의 관계에 있는 함수 F(x)


함수 f(x)와 그 부정적분 F(x) 사이의 관계식이 주어지면
에 대하여
⇨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한 후 F'(x)= f(x)임을 이용한다.
:`(x-2) f(x)dx+2F(x)=-;2!;xÝ`+;3*;xÜ`+xÛ`+C
가 성립한다. 함수 f(x)가 x=a에서 최댓값 M을 가질 때,

부정적분
0675 대표문제

다항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aM의 값을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2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07
F(x)=x f(x)+2xÜ`-xÛ`+1
(x-2)f(x)+2f(x)=-2xÜ`+8xÛ`+2x
이 성립하고 f(1)=2일 때, 함수 f(x)는? xf(x)=-2xÜ`+8xÛ`+2x
∴ f(x)=-2xÛ`+8x+2=-2(x-2)Û`+10
① f(x)=-3xÛ`-2x+3 ✔ ② f(x)=-3xÛ`+2x+3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최댓값 10을 가지므로
a=2, M=10 ∴ aM=20
③ f(x)=-3xÛ`+3x-2 ④ f(x)=3xÛ`+2x+3
⑤ f(x)=3xÛ`+3x+2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xf '(x)+6xÛ`-2x
xf '(x)=-6xÛ`+2x ∴ f '(x)=-6x+2
∴ f(x)=:`(-6x+2)dx=-3xÛ`+2x+C
0679 상 중

f(1)=2이므로 -3+2+C=2 ∴ C=3


∴ f(x)=-3xÛ`+2x+3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x)+:`x f(x)dx=;4!;xÝ`+;3@;xÜ`-;2%;xÛ`+2x
가 성립할 때, f(3)의 값은?

①2 ②4 ③6
0676 중
✔④ 8 ⑤ 10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f(x)=xÜ`+2xÛ`-5x+2 yy ㉠
:` f(x)dx=x f(x)-2xÜ`+3xÛ`
f(x)를 n차함수라 하면 xf(x)는 (n+1)차함수이므로 n+1=3 ∴ n=2
즉, f(x)가 이차함수이므로 f(x)=axÛ`+bx+c (a, b, c는 상수, a+0)로 놓으면 ㉠에서
이 성립하고 f(1)=3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15
2ax+b+x(axÛ`+bx+c)=xÜ`+2xÛ`-5x+2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axÜ`+bxÛ`+(2a+c)x+b=xÜ`+2xÛ`-5x+2
f(x)=f(x)+xf '(x)-6xÛ`+6x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xf '(x)=6xÛ`-6x ∴ f '(x)=6x-6 a=1, b=2, 2a+c=-5 ∴ a=1, b=2, c=-7
∴ f(x)=:`(6x-6)dx=3xÛ`-6x+C 따라서 f(x)=xÛ`+2x-7이므로 f(3)=8

f(1)=3이므로 3-6+C=3 ∴ C=6


따라서 f(x)=3xÛ`-6x+6이므로 f(-1)=15

0680 상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3:` f(x)dx=x f(x)-2 f(x)


0677 중 서술형
가 성립하고 f(0)=2일 때, f(4)의 값은?
다항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x-1) f(x)-F(x)=4xÜ`-6xÛ` ①1 ✔②2 ③3
이 성립하고 f(1)=2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20 ④4 ⑤5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1)f '(x)-f(x)=12xÛ`-12x 3f(x)=f(x)+xf '(x)-2f '(x) ∴ 2f(x)=(x-2)f '(x) yy ㉠
(x-1)f '(x)=12x(x-1) ∴ f '(x)=12x ◀40 % f(x)의 최고차항을 axn(a+0인 상수, n은 자연수)이라 하면
2f(x)의 최고차항은 2axn, (x-2)f '(x)의 최고차항은 anxn이므로
∴ f(x)=:`12x dx=6xÛ`+C
2a=an, a(n-2)=0 ∴ n=2 (∵ a+0)
f(1)=2이므로 6+C=2 ∴ C=-4 즉, f(x)가 이차함수이고 f(0)=2이므로 f(x)=axÛ`+bx+2`(a, b는 상수, a+0)로
따라서 f(x)=6xÛ`-4이므로 ◀40 % 놓으면 ㉠에서
f(-2)=20 ◀20 % 2(axÛ`+bx+2)=(x-2)(2ax+b) ∴ 2axÛ`+2bx+4=2axÛ`+(b-4a)x-2b
이 등식이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2b=b-4a, 4=-2b ∴ a=;2!;, b=-2

따라서 f(x)=;2!;xÛ`-2x+2이므로 f(4)=2

07. 부정적분 103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72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72쪽 |

유형 07 함수의 연속과 부정적분 유형 08 접선의 기울기와 부정적분

g(x)`(x>a)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f '(x)=[ 이고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이면
h(x)`(x<a) 는 f '(x)이다.
:`g(x)dx (x¾a)
⇨ ① f(x)= [ :`h(x)dx (x<a) 0685 대표문제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


② f(a)= lim :`g(x)dx= lim :`h(x)dx
x`Úa+ x`Úa-
울기가 3xÛ`+5이다. 이 곡선이 점 (0, 3)을 지날 때, f(1)의
값은?

0681 대표문제 ①1 ②3 ③5
연속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④7 ✔⑤9
2x+4 (x¾0) xÛ`+4x+C1` (x¾0) f '(x)=3xÛ`+5이므로
f '(x)=[
f(x)= [ -;3!;xÜ`+4x+C ` (x<0)
2 f(x)=:`(3xÛ`+5)dx=xÜ`+5x+C
-xÛ`+4 (x<0)
곡선 y=f(x)가 점 (0, 3)을 지나므로 f(0)=C=3
이고 f(2)=6일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9 따라서 f(x)=xÜ`+5x+3이므로 f(1)=9
f(2)=6이므로 4+8+CÁ=6 ∴ CÁ=-6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x`Ú
lim {-;3!;xÜ`+4x+Cª}=f(0)
0-
∴ Cª=CÁ=-6
∴ f(-3)=-9
0686 중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


0682 중
울기가 -4x+2이다. 이 곡선이 두 점 (1, 2), (2, k)를 지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날 때, k의 값을 구하시오. -2

2x+2 (x¾1) xÛ`+2x+C1 (x¾1) f '(x)=-4x+2이므로


f '(x)=[ f(x)=[
xÜ`+x+C2 (x<1)
3xÛ`+1 (x<1) f(x)=:`(-4x+2)dx=-2xÛ`+2x+C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f(1)=C=2
일 때, f(0)- f(2)의 값을 구하시오. -7
따라서 f(x)=-2xÛ`+2x+2이므로 k=f(2)=-2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x`Ú
lim (xÜ`+x+C2)=f(1)
1-

2+C2=3+C1 ∴ C2-C1=1
∴ f(0)-f(2)=C2-(8+C1)=1-8=-7
0687 중

;3!;xÜ`-;2!;xÛ`+CÁ (x¾0)
f(x)= [ ;3!;xÜ`+;2!;xÛ`+Cª (x<0) 점 (1, 3)을 지나는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
0683 중
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4x+6이다. 이때 방정식 f(x)=0의
연속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 '(x)=xÛ`-|x|이고 모든 근의 곱을 구하시오. -;2%;
f(1)=0일 때, f(-2)+ f(2)의 값을 구하시오. ;3!;
f '(x)=4x+6이므로

f(1)=0이므로 ;3!;-;2!;+C1=0 ∴ C1=;6!; f(x)=:`(4x+6)dx=2xÛ`+6x+C


곡선 y=f(x)가 점 (1, 3)을 지나므로 f(1)=8+C=3 ∴ C=-5
f(x)는 x=0에서 연속이므로 x`Ú
lim {;3!;xÜ`+;2!;xÛ`+C2}=f(0) ∴ C2=;6!;
0- ∴ f(x)=2xÛ`+6x-5
∴ f(-2)+f(2)=;3!; 따라서 방정식 f(x)=0, 즉 2xÛ`+6x-5=0의 모든 근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
여 -;2%;이다.

0684 중
서술형
0688 상 중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함수 f(x)=:`(kxÛ`-4x+4)dx에 대하여 곡선 y= f(x)
2x+k (x>1) xÛ`+kx+CÁ`(x¾1)
f '(x)=[ f(x)=[
6 (x<1) 6x+Cª` (x<1) 위의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일 때, f(2)의 값을
이고 f(0)=-2, f(2)=6일 때, k+ f(1)의 값을 구하시오. 3 구하시오. (단, k는 상수) 14

(단, k는 상수) f '(x)=kxÛ`-4x+4 ◀20 %


점 (1, 2)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6이므로 f '(1)=k=6 ◀30 %
f(0)=-2이므로 Cª=-2
f(2)=6이므로 4+2k+CÁ=6 ∴ 2k+CÁ=2 yy ㉠ ∴ f(x)=:`(6xÛ`-4x+4)dx=2xÜ`-2xÛ`+4x+C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xÛ`+kx+C1)= lim (6x-2)
x`Ú 1+ x`Ú 1-
곡선 y=f(x)가 점 (1, 2)를 지나므로 f(1)=4+C=2 ∴ C=-2
1+k+C1=4 ∴ k+C1=3 yy ㉡ 따라서 f(x)=2xÜ`-2xÛ`+4x-2이므로 ◀40 %
㉠, ㉡을 연립하여 풀면 k=-1, C1=4 f(2)=14 ◀10 %
∴ k+f(1)=-1+4=3

104 Ⅲ. 적분
정답과 풀이 86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73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75쪽 |

유형 09 미분계수와 부정적분 유형 10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한 부정적분

함수 f(x)의 x=a에서의 미분계수는 f(x+y)= f(x)+ f(y)를 포함하는 식이 주어지면


f(a+h)-f(a) f(x)-f(a) Ú x=0, y=0을 대입하여 f(0)의 값을 구한다.
⇨ f '(a)=lim =lim
h`Ú0 h x`Úa x-a f(x+h)-f(x)
Û f '(x)=lim 를 이용하여 f '(x)를 구한다.
h`Ú0 h

부정적분
0689 대표문제 Ü f(x)=:` f '(x)dx와 f(0)의 값을 이용하여 f(x)를 구한다.

함수 f(x)=:`(xÜ`-2x+2)dx에 대하여

07
f(-2+h)-f(-2-h) 0692 대표문제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h`Ú0 h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f(-2+h)-f(-2) f(-2-h)-f(-2)
(주어진 식)=lim +lim f(x+y)= f(x)+ f(y)-2xy
h`Ú 0 h h`Ú 0 -h
=f '(-2)+f '(-2)=2f '(-2)
를 만족시키고 f '(0)=4일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3
f(x)=:`(xÜ`-2x+2)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0)=f(0)+f(0)-0 ∴ f(0)=0
f '(x)=xÜ`-2x+2 ∴ f '(-2)=-2
f(0+h)-f(0) f(h)
따라서 구하는 값은 2f '(-2)=-4 f '(0)=lim =lim =4
h`Ú 0 h h`Ú 0 h
f(x+h)-f(x) f(h)
f '(x)=lim =lim -2x=-2x+4
h`Ú 0 h h`Ú 0 h

∴ f(x)=:`(-2x+4)dx=-xÛ`+4x+C

0690 중 이때 f(0)=0이므로 C=0


따라서 f(x)=-xÛ`+4x이므로 f(3)=3
함수 f(x)=:`(xÛ`-2x+k)dx에 대하여 f(0)=3이고
f(x)-f(-2) 0693 중
lim =4일 때, f(3)의 값은? (단, k는 상수)
x`Ú-2 x+2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f(1)의 값
✔ ① -9 ② -7 ③ -5 을 구하시오. ;2#;

④ -3 ⑤ -1
f(x)-f(-2)
lim =f '(-2)=4 f(h)+1
x`Ú -2 x+2 ㈎ lim =2
h`Ú0 h
f(x)=:`(xÛ`-2x+k)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Û`-2x+k ㈏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f '(-2)=4이므로 8+k=4 ∴ k=-4 f(x+y)= f(x)+ f(y)+xy+1
f(x)=:`(xÛ`-2x-4)dx=;3!;xÜ`-xÛ`-4x+C
f(0)=3이므로 C=3
f(0)=f(0)+f(0)+1 ∴ f(0)=-1
따라서 f(x)=;3!;xÜ`-xÛ`-4x+3이므로 f(3)=-9 f(x+h)-f(x) f(h)+1
f '(x)=lim =lim +x=x+2
h`Ú 0 h h`Ú 0 h
0691 상 중 ∴ f(x)=:`(x+2)dx=;2!;xÛ`+2x+C

다항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방정식 이때 f(0)=-1이므로 C=-1


따라서 f(x)=;2!;xÛ`+2x-1이므로 f(1)=;2#;
f(x)=0의 모든 근의 곱을 구하시오. -2

㈎ f(0)=4
㈏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0694 중

f(x)-f(a)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lim =6aÛ`-4a-5
x`Úa x-a f(x+y)= f(x)+ f(y)+xÛ`y+xyÛ`-3
을 만족시키고 f '(0)=3일 때, f(x)를 구하시오.
조건 ㈏에서 f '(a)=6aÛ`-4a-5, 즉 f '(x)=6xÛ`-4x-5이므로 f(x)=;3!;xÜ`+3x+3
f(x)=:`(6xÛ`-4x-5)dx=2xÜ`-2xÛ`-5x+C
f(0)=f(0)+f(0)-3 ∴ f(0)=3
조건 ㈎에서 f(0)=4이므로 C=4
`f(0+h)-f(0) f(h)-3
∴ f(x)=2xÜ`-2xÛ`-5x+4 f '(0)=lim =lim =3
h`Ú 0 h h`Ú 0 h
따라서 방정식 f(x)=0, 즉 2xÜ`-2xÛ`-5x+4=0의 모든 근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 f(x+h)-f(x) f(h)-3
f '(x)=lim =lim +xÛ`=xÛ`+3
에 의하여 -;2$;=-2이다. h`Ú 0 h h`Ú 0 h

∴ f(x)=:`(xÛ`+3)dx=;3!;xÜ`+3x+C

이때 f(0)=3이므로 C=3 ∴ f(x)=;3!;xÜ`+3x+3

07. 부정적분 105


유형 정답과 풀이 88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74쪽 |

유형 11 극대・극소와 부정적분 0698 중

최고차항의 계수가 2인 삼차함수 f(x)가 f '(-1)=0,


미분가능한 함수 f(x)에 대하여 f '(a)=0이고 x=a의 좌우에 f '(3)=0을 만족시킨다. 함수 f(x)의 극댓값이 24일 때, 극
서 f '(x)의 부호가
솟값을 구하시오. -40
⑴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 x=a에서 극댓값 f(a)를 갖는다.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이 2xÜ`이므로 f '(x)의 최고차항은 6xÛ`
⑵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 x=a에서 극솟값 f(a)를 갖는다. ∴ f '(x)=6(x+1)(x-3)
f '(x)=0에서 x=-1 또는 x=3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0695 대표문제 이때 f(x)=:`6(x+1)(x-3)dx=2xÜ`-6xÛ`-18x+C이고 f(-1)=24이므로

함수 f(x)=axÜ`+bxÛ`+cx+d의 도 f(-1)=-2-6+18+C=24 ∴ C=14


따라서 f(x)=2xÜ`-6xÛ`-18x+14이므로 극솟값은 f(3)=-40
함수 y= f '(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수 f(x)의 극솟값이
-1, 극댓값이 3일 때, a+d의 값은?
(단, a, b, c, d는 상수)

① -2 ② -1 ③0 0699 상 중

④1 ✔⑤ 2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x+1)(3x-1)이고


f '(x)=kx(x+2) (k<0)로 놓으면 f '(x)=0에서 x=-2 또는 x=0
y= 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할 때, 함수 f(x)를 구하시오.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고, x=0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x)=xÜ`+xÛ`-x-1 또는 f(x)=xÜ`+xÛ`-x+;2°7;
이때 f(x)=:`kx(x+2)dx=;3K;xÜ`+kxÛ`+C이고 f(-2)=-1, f(0)=3이므로
f '(x)=(x+1)(3x-1)이므로 f '(x)=0에서 x=-1 또는 x=;3!;
f(-2)=;3$;k+C=-1, f(0)=C=3 ∴ k=-3, C=3
함수 f(x)는 x=-1에서 극댓값을 갖고, x=;3!;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f(x)=-xÜ`-3xÛ`+3이므로
a=-1, b=-3, c=0, d=3 ∴ a+d=2 이때 f(x)=:`(x+1)(3x-1)dx=xÜ`+xÛ`-x+C이므로

f(-1)=C+1, f {;3!;}=C-;2°7;
0696 중
y=f(x)의 그래프가 x축에 접하면 (극댓값)=0 또는 (극솟값)=0이므로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 C=-1 또는 C=;2°7;
울기가 xÛ`+2x-8이다. 함수 f(x)의 극솟값이 -8일 때, ∴ f(x)=xÜ`+xÛ`-x-1 또는 f(x)=xÜ`+xÛ`-x+;2°7;
f(x)의 극댓값을 구하시오. 28

f '(x)=xÛ`+2x-8=(x+4)(x-2)이므로 f '(x)=0에서 x=-4 또는 x=2


함수 f(x)는 x=-4에서 극댓값을 갖고,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0700 상
이때 f(x)=:`(xÛ`+2x-8)dx=;3!;xÜ`+xÛ`-8x+C이고 f(2)=-8이므로
함수 f(x)의 도함수 f '(x)는 이차함
f(2)=;3*;+4-16+C=-8 ∴ C=;3$;
수이고 y= f '(x)의 그래프는 오른쪽
따라서 f(x)=;3!;xÜ`+xÛ`-8x+;3$;이므로 극댓값은 f(-4)=28
그림과 같다. f(0)=0일 때,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0697 중
위한 실수 k의 값의 범위를 구하시오.
함수 f(x)의 도함수가 f '(x)=x(x-4)이고 f(x)의 극댓 -;3$;<k<;3$;

값이 극솟값의 3배일 때, f(3)의 값은? f '(x)=k(x+1)(x-1) (k>0)로 놓으면 f '(0)=-2에서 -k=-2 ∴ k=2
이때 f(x)=:`(2xÛ`-2)dx=;3@;xÜ`-2x+C이고 f(0)=0이므로 C=0
①1 ②3 ③5
∴ f(x)=;3@;xÜ`-2x
✔④ 7 ⑤9 한편, f '(x)=0에서 x=-1 또는 x=1
f '(x)=x(x-4)이므로 f '(x)=0에서 x=0 또는 x=4 함수 f(x)의 극댓값은 f(-1)=;3$;, 극솟값은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고, x=4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f(1)=-;3$;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이때 f(x)=:`x(x-4)dx=;3!;xÜ`-2xÛ`+C이므로
같다.
f(0)=C, f(4)=C-:£3ª: 따라서 방정식 f(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기 위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극댓값이 극솟값의 3배이므로 C=3{C-:£3ª:} ∴ C=16 -;3$;<k<;3$;

따라서 f(x)=;3!;xÜ`-2xÛ`+16이므로 f(3)=7

106 Ⅲ. 적분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90쪽

0701 중요 0705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그 도함수 f '(x)가

:`x f(x)dx=;6%;xÜ`-;4!;xÛ``+C f '(x)=12xÛ`+4x-2이고 다항식 f(x)가 x-1로 나누어

부정적분
떨어질 때, f(-1)의 값은?
가 성립할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단, C는 적분상수) ;2(;
✔ ① -4 ② -2 ③0
xf(x)={;6%;xÜ`-;4!;xÛ`+C}'=;2%;xÛ`-;2!;x

07
④2 ⑤4
따라서 f(x)=;2%;x-;2!;이므로 f(2)=;2(;
f(x)=:`(12xÛ`+4x-2)dx=4xÜ`+2xÛ`-2x+C

f(x)가 x-1로 나누어떨어지므로 f(1)=4+2-2+C=0 ∴ C=-4


따라서 f(x)=4xÜ`+2xÛ`-2x-4이므로 f(-1)=-4

0702
d
함수 f(x)=:`[ (3xÜ`-axÛ` )]dx에 대하여 f(1)=6이고 0706
dx
f(x)-f(1) 두 다항함수 f(x), g(x)에 대하여
lim =-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12
x`Ú1 x-1
:`g(x)dx=xÜ` f(x)+x+C
f(x)=3xÜ`-axÛ`+C yy ㉠ (단, a는 상수)
f(1)=6이므로 3-a+C=6 ∴ a-C=-3 가 성립하고 f(2)=1, f '(2)=-1일 때, g(2)의 값은?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9xÛ`-2ax

lim
f(x)-f(1)
=f '(1)=-1이므로 9-2a=-1에서 a=5 ∴ C=8
①1 ②2 ③3
x`Ú 1 x-1
따라서 f(x)=3xÜ`-5xÛ`+8이므로 f(2)=12 ④4 ✔⑤ 5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g(x)=3xÛ`f(x)+xÜ`f '(x)+1
∴ g(2)=12f(2)+8f '(2)+1=12-8+1=5
0703 평가원 기출

함수 f(x)가

f(x)=:`{;2!;xÜ`+2x+1}dx-:`{;2!;xÜ`+x}dx 0707 중요

이고 f(0)=1일 때, f(4)의 값은? 그래프의 y절편이 1인 다항함수 f(x)의 도함수 f '(x)에 대


하여
① ;;ª2£;; ② 12 ③ ;;ª2°;;
:`(3x+2) f '(x)dx=xÜ`-2xÛ`-4x+C
✔ ④ 13 ⑤ ;;ª2¦;;
가 성립할 때, f(x)의 모든 계수의 합을 구하시오. -;2!;

f(x)=:`(x+1)dx=;2!;xÛ`+x+C (단, C는 적분상수)


f(0)=1이므로 C=1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f(x)=;2!;xÛ`+x+1이므로 f(4)=13 (3x+2)f '(x)=3xÛ`-4x-4=(3x+2)(x-2)
f '(x)=x-2 ∴ f(x)=:`(x-2)dx=;2!;xÛ`-2x+C1
이때 함수 f(x)의 그래프의 y절편이 1이므로 C1=1
따라서 f(x)=;2!;xÛ`-2x+1이므로 f(x)의 모든 계수의 합은 ;2!;-2+1=-;2!;
0704
함수 f(x)가 0708
미분가능한 함수 f(x)의 도함수 f '(x)가
f(x)=:`x20dx+2:`(xß`-x)dx 2x-1 (x¾1)
f '(x)=[
이고 f(0)=;3@;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0
-3xÛ`+4x (x<1)
이고 f(0)=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4
f(x)=:`(xÛ`â`+2xß`-2x)dx=;2Á1;xÛ`Ú`+;7@;xà`-xÛ`+C
xÛ`-x+CÁ (x¾1)
f(x)=[
f(0)=;3@;이므로 C=;3@; -xÜ`+2xÛ`+Cª (x<1)
f(0)=1이므로 C2=1
따라서 f(x)=;2Á1;xÛ`Ú`+;7@;xà`-xÛ`+;3@;이므로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xÜ`+2xÛ`+1)=f(1)
x`Ú 1-

f(1)=;2Á1;+;7@;-1+;3@;=0 -1+2+1=1-1+C1 ∴ C1=2


∴ f(2)=4

07. 부정적분 107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709 중요 0713 중요

연속함수 f(x)의 도함수 y= f '(x)의 함수 f(x)=:`(5xÜ`-xÛ`+4x+7)dx에 대하여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f(x)-f(1)
y= 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날 때, lim 의 값은?
x`Ú1 xÜ`-1
f(4)의 값을 구하시오. 7
①1 ②2 ③3
④4 ✔⑤ 5
2 (x¾1) 2x+CÁ (x¾1)
f '(x)=[ ∴ f(x)=[ f(x)-f(1) `f(x)-f(1) 1
2x (x<1) xÛ`+Cª (x<1) lim =lim ´ =;3!;f '(1)
x`Ú 1 xÜ`-1 x`Ú 1 x-1 xÛ`+x+1
y=f(x)의 그래프가 원점을 지나므로 f(0)=C2=0
f(x)는 x=1에서 연속이므로 x`Ú
lim xÛ`=f(1)
1-
f(x)=:`(5xÜ`-xÛ`+4x+7)d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1=2+C1 ∴ C1=-1 f '(x)=5xÜ`-xÛ`+4x+7 ∴ f '(1)=15
2x-1`(x¾1)
따라서 f(x)=[ ` xÛ` (x<1) 이므로 f(4)=7 따라서 구하는 값은 ;3!;`f '(1)=;3!;´15=5

0710
점 (0, 4)를 지나는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y)에
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xÛ`-12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12 0714 중요
f '(x)=3xÛ`-12이므로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y= f '(x)
f(x)=:`(3xÛ`-12)dx=xÜ`-12x+C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점 (0, 4)를 지나므로 f(0)=C=4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함수
따라서 f(x)=xÜ`-12x+4이므로 f(2)=-12 f(x)의 극솟값이 -4, 극댓값이 4일
때, f(1)의 값은?

✔① 0 ②2
③4 ④6
0711 ⑤8
곡선 y= f(x) 위의 임의의 점 (x, f(x))에서의 접선의 기 f '(x)=ax(x-2)`(a>0)로 놓으면 f '(x)=0에서 x=0 또는 x=2
울기가 xÛ`에 정비례하고, 이 곡선이 두 점 (1, 3), (-1, 1) 함수 f(x)는 x=0에서 극댓값을 갖고, x=2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이때 f(x)=:`ax(x-2)dx=;3A;xÜ`-axÛ`+C이고 f(0)=4, f(2)=-4이므로
을 지날 때, f(3)의 값을 구하시오. 29
f(0)=C=4, f(2)=-;3$;a+4=-4 ∴ a=6, C=4
f`'(x)=axÛ` (a+0)으로 놓으면
따라서 f(x)=2xÜ`-6xÛ`+4이므로 f(1)=0
f(x)=:`axÛ`dx=;3A;xÜ`+C
곡선 y=f(x)가 두 점 (1, 3), (-1, 1)을 지나므로
f(1)=;3A;+C=3, f(-1)=-;3A;+C=1 ∴ a=3, C=2
따라서 f(x)=xÜ`+2이므로 f(3)=29

0715
0712 함수 f(x)=:`(6xÛ`+ax-12)dx가 x=1에서 극솟값 3을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x+3h)-f(x-h) 가질 때, f(x)의 극댓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30
lim =12xÛ`+8x-8
h`Ú0 h f '(x)=6xÛ`+ax-12
f(x)가 x=1에서 극솟값 3을 가지므로 f '(1)=0, f(1)=3
이고 f(1)=3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5
f '(1)=0에서 6+a-12=0 ∴ a=6
f(x+3h)-f(x-h) f(x+3h)-f(x) f(x-h)-f(x) ∴ f '(x)=6xÛ`+6x-12=6(x+2)(x-1)
lim =lim ´3+lim
h`Ú 0 h h`Ú 0 3h h`Ú 0 -h f '(x)=0에서 x=-2 또는 x=1
=3f '(x)+f '(x)=4f '(x)
f(x)=:`(6xÛ`+6x-12)dx=2xÜ`+3xÛ`-12x+C이고 f(1)=3이므로
즉, 4f '(x)=12xÛ`+8x-8에서 f '(x)=3xÛ`+2x-2
2+3-12+C=3 ∴ C=10
∴ f(x)=:`(3xÛ`+2x-2)dx=xÜ`+xÛ`-2x+C
따라서 f(x)=2xÜ`+3xÛ`-12x+10이므로 극댓값은 f(-2)=30
f(1)=3이므로 C=3
따라서 f(x)=xÜ`+xÛ`-2x+3이므로 f(-1)=5

108 Ⅲ. 적분
정답과 풀이 90쪽
84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716 0719
두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다항함수 f(x)와 그 도함수 f '(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
f(1)+g(2)의 값을 구하시오. 4 시킬 때, 방정식 f(x)=0의 해를 구하시오. x=1 또는 x=3

부정적분
㈎ f(0)=-3, g(0)=2 f '(x) f(x)
㈎ lim =2 ㈏ lim =2
x x-3

07
x`Ú¦ x`Ú3
d
㈏ {` f(x)+g(x)}=2x+1
dx
d 조건 ㈎에서 f '(x)=2x+k (k는 상수), 조건 ㈏에서 f(3)=0이므로
㈐ {` f(x)g(x)}=3xÛ`-6x+2 f(x) f(x)-f(3)
dx lim =lim =f '(3)=6+k
x`Ú 1 x-3 x`Ú 3 x-3
즉, 6+k=2이므로 k=-4 ∴ f(x)=:`(2x-4)dx=xÛ`-4x+C
조건 ㈏에서 f(x)+g(x)=xÛ`+x+CÁ ◀20 %
조건 ㈐에서 f(x)g(x)=xÜ`-3xÛ`+2x+Cª ◀20 % f(3)=0이므로 C=3 ∴ f(x)=xÛ`-4x+3=(x-1)(x-3)
f(0)+g(0)=-3+2=CÁ ∴ CÁ=-1 따라서 방정식 f(x)=0의 해는 x=1 또는 x=3
f(0)g(0)=(-3)´2=Cª ∴ Cª=-6 ◀20 %
f(x)+g(x)=xÛ`+x-1=(x-3)+(xÛ`+2), 0720 교육청 기출
f(x)g(x)=xÜ`-3xÛ`+2x-6=(x-3)(xÛ`+2)이므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f(x)=x-3, g(x)=xÛ`+2 (∵ 조건 ㈎) ◀20 %
∴ f(1)+g(2)=-2+6=4 ◀20 % f(x)가 f(0)=0, f(a)=0,
f '(a)=0이고 함수 g(x)가 다
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0717 g { a }의 값은? (단, a는 양수)


3
다항함수 f(x)의 한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x f(x)-F(x)=;3!;xÜ`+3xÛ`` ㈎ g '(x)= f(x)+x f '(x)={x f(x)}'


㈏ g(x)의 극댓값이 81이고 극솟값이 0이다.
이 성립하고 f(1)=;2!;일 때,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곱을 구하시오. -12
① 56 ② 58 ③ 6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f(x)=xÛ`+6x
xf '(x)=x(x+6) ∴ f '(x)=x+6 ◀40 %
④ 62 ✔ ⑤ 64
∴ f(x)=:`(x+6)dx=;2!;xÛ`+6x+C f(x)=x(x-a)Û`이므로
g (x)=xf(x)+C=xÛ`(x-a)Û`+C ∴ g '(x)=2x(x-a)(2x-a)
`f(1)=;2!;이므로 ;2!;+6+C=;2!; ∴ C=-6
함수 g(x)는 x=0, x=a에서 극솟값을 갖고, x=;2Ä;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 f(x)=;2!;xÛ`+6x-6 ◀40 % a4
g(0)=g(a)=C=0, g {;2Ä;}= =81 ∴ a=6 (∵ a>0)
16
따라서 방정식 f(x)=0의 모든 근의 곱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2이다. ◀20 %
따라서 g(x)=xÛ`(x-6)Û` 이므로 g {;3Ä;}=g(2)=64

0721 창의 . 융합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 g(x)에 대하여 다음 보기 중에서


0718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르시오. (단, C는 적분상수) ㄷ
다항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 y에 대하여
보기
f(x+y)= f(x)+ f(y)+3xy
ㄱ. f '(x)=g '(x)이면 f(x)=g(x)
를 만족시키고 f '(0)=3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12
ㄴ. :` f '(x) f(x)dx={ f(x)}Û`+C
f(0)=f(0)+f(0)+0 ∴ f(0)=0 ◀30 %
f(0+h)-f(0) f(h)
f '(0)=lim =lim =3
h`Ú 0 h h`Ú 0 h ㄷ. :`g(x)dx+:`xg '(x)dx=xg(x)+C
f(x+h)-f(x) f(h)
f '(x)=lim =lim +3x=3x+3 ◀30 %
h`Ú 0 h h`Ú 0 h
ㄱ. [반례] f(x)=x+1, g(x)=x-1
∴ f(x)=:`(3x+3)dx=;2#;xÛ`+3x+C
d
이때 f(0)=0이므로 C=0 ㄴ. [{`f(x)}Û`+C]=2f(x)f '(x)
dx
따라서 f(x)=;2#;xÛ`+3x이므로 ◀30 %
∴ :`f '(x)f(x)dx+{ f(x)}Û`+C
f(2)=12 ◀10 %

07. 부정적분 109


08 정적분 Ⅲ. 적분

개념 플러스
08 . 1 정적분의 정의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할 때 F(b)-F(a)를 f(x)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는 것

의 a에서 b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 기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 을 함수 f(x)를 a에서 b까지 적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학Ⅱ에서 다고 한다. 이때 a를 아래끝, b를 위끝
: f(x)dx=[F(x)] =F( )-F( ) 구분구적법을 다루지 않아 정적분의 정 이라 한다.
의를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설명하지 않
한편, 정적분 : f(x)dx에서 a¾b일 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습니다.
[F(x)+C]

={F(b)+C}+{F(a)+C}
⑴ a=b일 때, : f(x)dx=0
=F(b)-F(a)=[F(x)]
⑵ a>b일 때, : f(x)dx=-: f(x)dx 이므로 정적분의 계산에서 적분상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08 . 2 정적분의 성질 정적분에서 변수는 x 대신 다른 문자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도 그 값은 변하
지 않는다. 즉,
두 함수 f(x), g(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일 때
: f(x)dx

⑴ : k f(x)dx=k: f(x)dx (단, k는 실수)


=: f(y)dy=: f( )d

⑵ : {` f(x)+g(x)}dx=: f(x)dx+: g(x)dx

⑶ : {` f(x)-g(x)}dx=: f(x)dx-: g(x)dx

⑷ : f(x)dx+: f(x)dx=: f(x)dx ⑷ 는 a, b, c의 대소에 관계없이 성립


한다.

08 . 3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함수 f(x)가 닫힌구간 [-a, a]에서 연속일 때


⑴ f(-x)= f(x)이면 함수 f(x)를 우함수라 하고 우함수
⇨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
: ` f(x)dx=2: f(x)dx 짝수차항으로만 이루어진 다항함수

⑵ f(-x)=- f(x)이면 함수 f(x)를 기함수라 하고 기함수


⇨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 ` f(x)dx=0 홀수차항으로만 이루어진 다항함수

08 . 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1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d
⑴ : f( )d = f(x) (단, a는 실수 정적분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상수이지
dx 만,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으면 정적분
d x+a
의 결과는 그 변수에 대한 함수이다.
⑵ : ` f( )d = f(x+a)- f(x) (단, a는 실수
dx
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x+a
1 1
⑴ lim : f( )d = f(a) ⑵ lim : ` f( )d = f(a)
x`Úa x-a x`Ú0 x

110 Ⅲ. 적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93쪽

08 . 1 정적분의 정의 [0732 ~ 073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0722 ~ 072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0732 : (xÛ`+1)dx+: (xÛ`+1)dx 6

-1
0722 : 2x`dx 1
0733 : (2xÛ`-x+1)dx+: (2xÛ`-x+1)dx 0

-1
0723 : (2y-1)dy 6
0734 :-2 (xÛ`-4x+5)dx+: (yÛ`-4y+5)dy 24

0724 : (xÛ`-2x+6)dx ;;Á ;;


0735 : (xÜ`-3xÛ` ) dx+: (3xÛ`-xÜ` ) dx -4

0725 : (x-1)(x-2)dx

정적분
-; ;

08
08 . 3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0736 ~ 0737]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0736 : (x`-xÜ`+3xÛ`+5x+1)dx 4

[0726 ~ 0728]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0726 : (xÜ`-xÛ`+4)dx 0 0737 : (xà`-4xÜ`+3xÛ`-1)dx 12

-2
0727 : (xÜ`+3xÛ` ) dx ;; Á;;

08 . 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
0728 : (3xÛ`-x+1)dx -24

[0738 ~ 0739]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할 때,


f(x)를 구하시오.

0738 : f( )d =xÛ`-2x f(x)=2x-2

08 . 2 정적분의 성질 0739 : f( )d =xÜ`+xÛ`-x-1 f(x)=3xÛ`+2x-1

[0729 ~ 073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시오.

0729 : (xÛ`-1)dx+: (xÛ`+1)dx ;;Á ;;


[0740~ 0741] 다음 극한값을 구하시오.

1
0730 : (3xÛ`+x-2)dx-: (x+3)dx 8 0740 lim
h`Ú0 h
: (xÛ`-2x-1)dx -1

lim 1
0731 : (x+1)Ü`dx-: (x-1)Ü`dx 24 0741 : (2 Û`+3)d 5
x`Ú1 x-1

08. 정적분 111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94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8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185쪽 |

유형 01 정적분의 정의 유형 02 정적분의 정의의 활용

⑴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인 함수 f(x)의 한 부정적분을 정적분의 식이 주어지면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F(x)라 할 때, 포함하는 식으로 나타낸 후, 조건에 맞게 등식이나 부등식을 세워

: f(x)dx=[F(x)] =F(b)-F(a) 푼다.

⑵ 정적분 : f(x)dx에서
0745 대표문제

① a=b일 때, : f(x)dx=0 정적분 : (-6xÛ`+6kx-5)dx의 값이 10보다 작을 때, 정


② a>b일 때, : f(x)dx=-: f(x)dx 수 k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2

: (-6xÛ`+6kx-5)dx=[-2xÜ`+3kxÛ`-5x] =12k-26

즉, 12k-26<10이므로 k<3
0742 대표문제
따라서 정수 k의 최댓값은 2이다.

정적분 : (6 +5)(1-2 )d +: (6 -5)(1+2 )d 의

값은?
0746 중

✔ ① -2 ② -15 ③ -9 : (3xÛ`+2x-2)dx=0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④ 15 ⑤2
(단, a>0)
(주어진 식)=: (6 +5)(1-2 )d =: (-12 Û`-4 +5)d
: (3xÛ`+2x-2)dx=[xÜ`+xÛ`-2x] =aÜ`+aÛ`-2a
=[-4 Ü`-2 Û`+5 ] =-27
즉, aÜ`+aÛ`-2a=0이므로
a(a+2)(a-1)=0 ∴ a=1 (∵ a>0)

0747 중 서술형
0743 중 하

정적분 : (6aÛ`xÛ`-8ax-3)dx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함수 f(x)=5xÛ`-8x+3에 대하여 정적분 : xÛ` f(x)dx의
실수 a의 값을 , 그때의 정적분의 값을 n이라 할 때, +n
값을 구하시오. 8
의 값을 구하시오. -4

: xÛ`f(x)dx=: (5xÝ`-8xÜ`+3xÛ` ) dx
: (6aÛ`xÛ`-8ax-3)dx=[2aÛ`xÜ`-4axÛ`-3x]

=[x`-2xÝ`+xÜ`] =8 =2aÛ`-4a-3=2(a-1)Û`-5 ◀40 %


따라서 주어진 정적분은 a=1일 때 최솟값 -5를 가지므로 =1, n=-5 ◀40 %
∴ +n=-4 ◀20 %

0748 상 중

0744 중 이차함수 f(x)=axÛ`+bx+c의 그래프가 두 점 (-1, 1),


다항함수 f(x)의 도함수 f '(x)에 대하여 (1, 1)을 지나고 : f(x)dx=-1일 때, a의 값은?
: { f '(x)+3xÛ` }dx=2 (단, a, b, c는 상수)
가 성립하고 f(-2)=5일 때, f(1)의 값을 구하시오. -2
① -3 ② -1 ③1
: { f '(x)+3xÛ` } dx=[f(x)+xÜ`] ✔④ 3 ⑤5
={ f(1)+1}-{ f(-2)-8}
f(-1)=a-b+c=1, f(1)=a+b+c=1
=f(1)+4 (∵ f(-2)=5)
∴ b=0, c=1-a
즉, f(1)+4=2이므로 f(1)=-2
따라서 f(x)=axÛ`+1-a이므로
: f(x)dx=: (axÛ`+1-a)dx=[;3A;xÜ`+(1-a)x] =-;3;a+1

즉, -;3;a+1=-1이므로 a=3

112 Ⅲ. 적분
| 개념원리 수학 Ⅱ 186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86쪽 |

유형 03 정적분의 계산 (1) 유형 04 정적분의 계산 (2)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적분 구 함수 f(x)가 세 실수 a, b, c를 포함하는 닫힌구간에서 연속일 때
간이 같으면 ⇨ : f(x)dx+: f(x)dx=: f(x)dx를 이용하여 주어진
⇨ : f(x)dxÑ: g(x)dx=: { f(x)Ñg(x)}dx 식을 하나의 정적분으로 나타낸다.
(복부호동순)
를 이용하여 하나의 정적분으로 나타낸다.
0753 대표문제

xÛ` xÛ` 1
정적분 : dx-: dx+: dx의 값
0749 대표문제 xÛ`+1 xÛ`+1 xÛ`+1
을 구하시오. 2
1 yÜ`
정적분 : ` dx-: ` dy의 값을 구하시오. ; ; xÛ` xÛ` 1
x+1 y+1 (주어진 식)=: `
xÛ`+1
dx+: `
xÛ`+1
dx+: `
xÛ`+1
dx

1 xÜ` xÜ`+1 xÛ` 1


(주어진 식)=: ` dx+: ` dx=: ` dx =: ` dx+: ` dx
x+1 x+1 x+1
xÛ`+1 xÛ`+1
=: (xÛ`-x+1)dx=[;3!;xÜ`-;2!;xÛ`+x] =; ; xÛ`+1
=: ` dx=: dx=[x] =2

정적분
xÛ`+1

08
0750 중 하

0754 중 하
: (3x+1)Û`dx= , : (3y-1)Û`dy= 일 때, + 의
정적분 : `(2xÜ`+6xÛ`-2)dx+: (2yÜ`+6yÛ`-2)dy의 값
값을 구하시오. 6
을 구하시오. ;;2;;
+ =: (3x+1)Û`dx-: (3x-1)Û`dx
(주어진 식)=: `(2xÜ`+6xÛ`-2)dx+: (2xÜ`+6xÛ`-2)dx
=: 12x dx=[6xÛ`] =6
=: `(2xÜ`+6xÛ`-2)dx=[;2!;xÝ`+2xÜ`-2x] =;;£2;;

0751 중 하

: (x+k)Û`dx-: (x-k)Û`dx=16을 만족시키는 상수 k 0755 중

의 값은? 함수 f(x)=xÛ`-2x에 대하여 정적분

① ;2!; ②1 ③ ;2#; : f(x)dx-: f(x)dx+: f(x)dx

의 값을 구하시오. ; ;
✔④ 2 ⑤ ;2;
(주어진 식)=: f(x)dx+: f(x)dx+: f(x)dx
: (x+k)Û`dx-: (x-k)Û`dx=: 4kx dx=[2kxÛ`] =8k
=: f(x)dx+: f(x)dx=: f(x)dx
즉, 8k=16이므로 k=2
=: (xÛ`-2x)dx=[;3!;xÜ`-xÛ`] =;3;

0752 중
0756 중

연속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연속함수 f(x)에 대하여
: { f(x)-2}Û`dx의 값을 구하시오. 6
: f(x)dx=2, : f(x)dx=4, : f(x)dx=8

㈎ : f(x)dx=-2 ㈏ : { f(x)}Û`dx=6 일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2

: f(x)dx=: f(x)dx+: f(x)dx

: f(x)dx=-2에서 : f(x)dx=2 =: f(x)dx+: f(x)dx+: f(x)dx

∴ : { f(x)-2}Û`dx=: { f(x)}Û`dx-4 : f(x)dx+: 4 dx =: f(x)dx-: f(x)dx+: f(x)dx


=6-4´2+8=6 =2-8+4=-2

08. 정적분 113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191쪽 |

유형 05 구간에 따라 함수가 다를 때의 정적분 0761 중

g(x) (x¾c) : `(|x|-2k)dx=-;2;일 때, 상수 k의 값은?


함수 f(x)=[ 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h(x) (x c)
a<c<b일 때 ✔① 1 ②2 ③3
④4 ⑤5
⇨ : f(x)dx=: h(x)dx+: g(x)dx
x `(x¾0)
|x|=[
-x (x 0)

∴ : (|x|-2k)dx=: (-x-2k)dx+: (x-2k)dx


0757 대표문제
xÛ` xÛ`
=[- -2kx] +[ -2kx]
(x-2)Û` (x¾1) 2 2
함수 f(x)=[ 에 대하여 정적분 =(2-4k)+{;2;-6k}=-10k+;;Á2;;
x (x 1)
즉, -10k+;;Á2;; ;2;이므로 k=1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 ;

: f(x)dx=: f(x)dx+: f(x)dx=: x`dx+: (x-2)Û`dx


0762 중

=: x`dx+: (xÛ`-4x+4)dx=[;2!;xÛ`] +[;3!;xÜ`-2xÛ`+4x]


: x|x-2|dx=8일 때, 실수 a의 값은? (단, a>2)
=;2!;+;3!;=; ;
①3 ✔② 4 ③5
0758 중

④6 ⑤7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
x-2 (x¾2)
|x-2|=[
림과 같을 때, 정적분 : `x f(x)dx -x+2 (x 2)

∴ : x|x-2|dx=: (-xÛ`+2x)dx+: `(xÛ`-2x)dx


의 값을 구하시오. 64
aÜ`
=[-;3!;xÜ`+xÛ`] +[;3!;xÜ`-xÛ`] = -aÛ`+;3;
12 (x¾0) 3
f(x)=[ aÜ`
3x+12 (x 0) 즉, -aÛ`+;3;=8이므로 aÜ`-3aÛ`-16=0, (a-4)(aÛ`+a+4)=0
3
∴ : xf(x)dx=: (3xÛ`+12x)dx+: 12x dx
∴ a=4 (∵ a는 실수)

=[xÜ`+6xÛ`] +[6xÛ`] =-32+96=64

0763 상 중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92쪽 | 두 함수 f(x)=|x-3|, g(x)=xÛ`+2에 대하여 정적분


유형 06 절댓값 기호가 포함된 함수의 정적분 : ( f` `g)(x)dx의 값을 구하시오. ; ;

Ú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을 0으로 하는 x의 값을 경계로 적분 구 (f g)(x)=f(g(x))=f(xÛ`+2)=|xÛ`-1|


간을 나눈다. xÛ`-1 (x 1 또는 x¾1)
=[
-xÛ`+1 (-1 x 1)
Û : f(x)dx=: f(x)dx+: f(x)dx임을 이용한다.
∴ : (f g)(x)dx=: `(xÛ`-1)dx+: (-xÛ`+1)dx

=[;3!;xÜ`-x] +[-;3!;xÜ`+x] =;3;+;3;=;3;


: |xÛ`-1|dx+2: |xÛ`-1|dx=3: |xÛ`-1|dx
0759 대표문제

정적분 : |xÛ`-1|dx-2: |1-xÛ`|dx의 값을 구하시오. 6


0764 상 서술형
xÛ`-1 (x 1 또는 x¾1)
|xÛ`-1|=[ 이므로 함수 f(x)=|x+2|+|x|+|x-2|의 최솟값 a에 대하여
-xÛ`+1 (-1 x 1)

: |xÛ`-1|dx=: (-xÛ`+1)dx+: (xÛ`-1)dx=[-;3!;xÜ`+x] +[;3!;xÜ`-x] =2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8

∴ (주어진 식)=3: |xÛ`-1|dx=3´2=6


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40 %
0760 중 하
x=0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a=f(0)=4 ◀20 %
정적분 : |xÛ`+x-2|dx의 값을 구하시오. 3
∴ : f(x)dx=: (x+2+x+x-2)dx
xÛ`+x-2 (x -2 또는 x¾1)
|xÛ`+x-2|=[ =: 3x`dx=[;2#;xÛ`] =18 ◀40 %
-xÛ`-x+2 (-2 x 1)

∴ : |xÛ`+x-2|dx=: (-xÛ`-x+2)dx+: (xÛ`+x-2)dx

=[-;3!;xÜ`-;2!;xÛ`+2x] +[;3!;xÜ`+;2!;xÛ`-2x] =; ;+;;Á Á;;=3

114 Ⅲ. 적분
정답과 풀이 95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93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193쪽 |

유형 07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1) 유형 08 우함수와 기함수의 정적분 (2)

⑴ f(x)가 짝수차항으로만 이루어진 다항함수이면 ⑴ f(-x)= f(x)이면 f(x)는 우함수

⇨ f(x)는 우함수 ⇨ : ` f(x)dx=2: f(x)dx


⇨: f(x)dx=2: f(x)dx ⑵ f(-x)=- f(x)이면 f(x)는 기함수

⑵ f(x)가 홀수차항으로만 이루어진 다항함수이면 ⇨ : ` f(x)dx=0


⇨ f(x)는 기함수

⇨: f(x)dx=0
0769 대표문제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765 대표문제
f(-x)=- f(x), : x f(x)dx=2
정적분

: (5xÝ`-xÜ`+3x+1)dx+: (5xÝ`-xÜ`+3x+1)dx 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 `(5xÛ`+2x+1) f(x)dx의 값을

구하시오. 8
의 값은?

정적분
f(x)는 기함수이므로 xÛ`f(x)는 기함수, xf(x)는 우함수이다.
✔ ① 68 ② 69 ③ 70

08
∴ : (5xÛ`+2x+1)f(x)dx=5: xÛ`f(x)dx+2: xf(x)dx+: f(x)dx
④ 71 ⑤ 72
=4: xf(x)dx=4´2=8
(주어진 식)=: (5xÝ`-xÜ`+3x+1)dx=2: (5xÝ`+1)dx

=2[x`+x] =2´34=68

0770 중

0766 중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2xÜ`-3x+4)dx=16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2
f(-x)= f(x), : ` f(x)dx=5, : ` f(x)dx=14
: (2xÜ`-3x+4)dx=2: 4 dx=2[4x] =8a

즉, 8a=16이므로 a=2 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2

f(x)는 우함수이므로

: f(x)dx=2: f(x)dx=14 ∴ : f(x)dx=7

0767 상 중
∴ : f(x)dx=: f(x)dx+: f(x)dx=-: f(x)dx+: f(x)dx
일차함수 f(x)=ax+b가 =-5+7=2

: x f(x)dx=1, : xÛ` f(x)dx=-1

을 만족시킬 때, a+2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2;


0771 상 중

: xf(x)dx=: (axÛ`+bx)dx=2: axÛ`dx=2[;3A;xÜ`] =;3;a=1


연속인 두 함수 f(x), g(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xÛ`f(x)dx=: (axÜ`+bxÛ` ) dx=2: bxÛ`dx=2[;3;xÜ`] =;3;b=-1
f(-x)=- f(x), g(-x)=g(x)
따라서 a=;2#;, b=-;2#; 이므로 a+2b=-;2#;
를 만족시키고 : f(x)dx=3, : g(x)dx=5일 때, 정적분

0768 상 중
: {` f(x)+g(x)}dx+: f(x)g(x)dx의 값을 구하시오.
10
2n-1
: (1+2x+3xÛ`+ y +2nx )dx=100일 때, 자연수 f(x)는 기함수, g(x)는 우함수이므로 f(-x)g(-x)=-f(x)g(x)
즉, f(x)g(x)는 기함수이다.
n의 값을 구하시오. 50
∴ (주어진 식)=: ` f(x) dx+: `g(x)dx+: `f(x)g(x)dx
2n-1 2n-2
: (1+2x+3xÛ`+ y +2nx )dx=2: {1+3xÛ`+5xÝ`+ y +(2n-1)x }dx
=2: g(x)dx=2´5=10
2n-1
=2[x+xÜ`+x`+ y +x ] =2n

즉, 2n=100이므로 n=50

08. 정적분 115


유형 익 히 기 /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01쪽 |

유형 09 적분 구간이 상수인 등식 0775 중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g(x)+: f( )d `( a, b는 상수) 꼴이 주어지면
f(x)=3xÛ`+: (2x-1) f( )d
⇨ : f( )d =k`( k는 상수)로 놓고 f(x)=g(x)+k임을 이
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

용한다.
f(x)=3xÛ`+2x: f( )d -: f( )d

이때 : f( )d =k ( k는 상수)로 놓으면 f(x)=3xÛ`+2kx-k


0772 대표문제
: (3 Û`+2k -k)d =k, [ Ü`+k Û`-k ] =k
함수 f(x)에 대하여 f(x)=3xÛ`+2x+: f( )d 가 성립할
1+k-k=k ∴ k=1

때, f(2)의 값은? ∴ : f(x)dx=k=1

①0 ②1 ③2
④3 ✔⑤ 4 0776 상 중

: f( )d =k ( k는 상수) 로 놓으면 f(x)=3xÛ`+2x+k 함수 f(x)=xÛ`+ax+b가

: (3 Û`+2 +k)d =k, [ Ü`+ Û`+k ] =k f(x)=xÛ`-x: f( )d +2: f( )d


12+2k=k ∴ k=-12
를 만족시킬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2
따라서 f(x)=3xÛ`+2x-12이므로 f(2)=4
a=-: f( )d =-: ( Û`+a +b)d =-[;3!; Ü`+;2A; Û`+b ] =-;3;-2a-2b

∴ 3a+2b=-;3; yy ㉠

b=2: f( )d =2: ( Û`+a +b)d =2[;3!; Ü`+;2A; Û`+b ] =;3;+a+2b

0773 중
∴ a+b=-;3; yy ㉡

함수 f(x)에 대하여 f(x)=4x+: f '( )d 가 성립할 때,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3; ∴ a-b=-2

f(-3)의 값은?
| 개념원리 수학 Ⅱ 202쪽 |
①5 ✔② 6 ③7
④8 ⑤9
유형 10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는 등식 (1)

: f '( )d =k ( k는 상수)로 놓으면 f(x)=4x+k ∴ f '(x)=4 : f( )d =g(x) ( a는 상수) 꼴이 주어지면


: 4 d =k, [2 Û`] =k ∴ k=18
Ú 양변에 x=a를 대입 ⇨ : f( )d =0
따라서 f(x)=4x+18이므로 f(-3)=6
Û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 ⇨ f(x)=g '(x)

0777 대표문제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0774 중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 f( )d =xÛ`-ax-3 yy ㉠

12 을 만족시킬 때, f(4)의 값은? (단, a는 상수)


f(x)= xÛ`-2x: f( )d +[ : f( )d ]`
7
✔① 6 ②8 ③ 10
가 성립할 때, 정적분 10: f(x)dx의 값을 구하시오. 20
④ 12 ⑤ 14
: f( )d =k ( k는 상수)로 놓으면 f(x)=;;Á ;;xÛ`-2kx+kÛ`
㉠의 양변에 x=3을 대입하면
9-3a-3=0 ∴ a=2
: {;;Á ;; Û`-2k +kÛ`} d =k [; ; Ü`-k Û`+kÛ` ] =k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x-2
4-3k+kÛ`=k, kÛ`-4k+4=0 ∴ f(4)=6
(k-2)Û`=0 ∴ k=2

∴ 10: f(x)dx=10k=20

116 Ⅲ. 적분
정답과 풀이 97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03쪽 |

0778 중
유형 11 적분 구간에 변수가 있는 등식 (2)
함수 f(x)=: (2 -3)( Û`+1)d 일 때,
㉠ : (x- ) f( )d =g(x) ( a는 상수) 꼴이 주어지면
f(1+2h)-f(1)
lim 의 값을 구하시오. -4
h`Ú0 h Ú x: f( )d -: f( )d =g(x)로 식을 변형한다.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2x-3)(xÛ`+1)

∴ lim
f(1+2h)-f(1)
=lim
f(1+2h)-f(1)
´2 Û Ú에서 얻은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두 번 미분하여 f(x)
h`Ú 0 h h`Ú 0 2h
=2f '(1)=2´(-2)=-4 를 구한다.

0782 대표문제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0779 중 서술형 : (x- ) f( )d =xÜ`-2xÛ`-3x-4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은? (단, a는 상수)
: f( )d =xÛ`-2x-8 yy ㉠
①5 ②6 ③7

정적분
을 만족시킬 때, a+ f(a)의 값을 구하시오. (단, a>0) 10 ✔④ 8 ⑤9

08
㉠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x: f( )d -: f( )d =xÜ`-2xÛ`-3x-4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Û`-2a-8=0, (a-4)(a+2)=0 ∴ a=4 (∵ a>0) ◀50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x-2 : f( )d =3xÛ`-4x-3
∴ f(a)=f(4)=6 ◀40 %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4
∴ a+f(a)=10 ◀10 %
∴ f(2)=8

0783 상 중
0780 중

x+2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다항함수 f(x)에 대하여 f(x)=: ( Ü`- )d 가 성립하
: (x- ) f( )d =-2xÜ`+4ax+b

고 f(-1)=0일 때, f(1)의 값은?
를 만족시킬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상수) 38
① 10 ② 12 ③ 14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 ④ 16 ⑤ 18 -16+8a+b=0 ∴ 8a+b=16 yy ㉠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 f( )d -: f( )d =-2xÜ`+4ax+b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2)Ü`-(x+2)}-(xÜ`-x)=6xÛ`+12x+6
: f( )d =-6xÛ`+4a
이때 f(x)=: (6xÛ`+12x+6)dx=2xÜ`+6xÛ`+6x+C이므로
위의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4+4a=0 ∴ a=6
f(-1)=-2+6-6+C=0 ∴ C=2 ㉠에 a=6을 대입하면 48+b=16 ∴ b=-32
따라서 f(x)=2xÜ`+6xÛ`+6x+2이므로 f(1)=16 ∴ a-b=38
0784 상 중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0781 상 중 f(1)의 값을 구하시오. 4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0)=2
x f(x)=6xÝ`-4xÜ`+12xÛ`+: f( )d yy ㉠
㈏ : (x- ) f '( )d =;3;xÜ`
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76

㉠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f(1)=6-4+12=14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24xÜ`-12xÛ`+24x+f(x) x: f '( )d -: f '( )d =;3;xÜ`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 '(x)=24xÛ`-12x+24
: f '( )d =2xÛ`
이때 f(x)=: (24xÛ`-12x+24)dx=8xÜ`-6xÛ`+24x+C이므로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4x
f(1)=8-6+24+C=14 ∴ C=-12
따라서 f(x)=8xÜ`-6xÛ`+24x-12이므로 f(2)=76 이때 f(x)=: 4x dx=2xÛ`+C이므로 f(0)=C=2

따라서 f(x)=2xÛ`+2이므로 f(1)=4

08. 정적분 117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99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06쪽 |

유형 12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한 0788 중

함수 f(x)=xÜ`-2xÛ`+6x에 대하여
1
⑴ lim : f( )d = f(a) 1
x`Úa x-a lim : f( )d 의 값을 구하시오. 3
x`Ú2 xÛ`-4
1 x+a
⑵ lim : f( )d = f(a) F'(x)=f(x)로 놓으면
x`Ú0 x
1 F(x)-F(2)
lim : f( )d =lim
x`Ú 2 xÛ`-4 x`Ú 2 xÛ`-4
F(x)-F(2) 1
=lim ´
0785 대표문제 x`Ú 2 x-2 x+2

함수 f(x)=xÜ`-2xÛ`+3에 대하여 =; !;F'(2)=; !;f(2)=; !;´12=3

1
lim : f( )d 의 값은?
x`Ú2 x-2

①1 ②2 ✔③ 3 0789 중

④4 ⑤5 함수 f(x)=xÜ`+2xÛ`-3x+1에 대하여
F'(x)=f(x)로 놓으면 1 xÜ`
lim : f( )d 의 값을 구하시오. 3
1 F(x)-F(2) x`Ú1 x-1
lim : f( )d =lim =F'(2)=f(2)=3
x`Ú 2 x-2 x`Ú 2 x-2
F'(x)=f(x)로 놓으면
1 xÜ` F(xÜ` )-F(1)
lim : f( )d =lim
x`Ú 1 x-1 1 x`Ú 1 x-1
F(xÜ` )-F(1)
=lim ´(xÛ`+x+1)
x`Ú 1
xÜ`-1
=3F'(1)=3f(1)=3´1=3

0786 중 0790 상 중

1 1+2h 함수 f(x)=xÜ`-kx+2에 대하여


lim : (xÜ`-xÛ`+2)dx의 값은?
h`Ú0 h 1 2+h
lim : f(x)dx=24일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
h`Ú0 h 2-3h
①1 ②2 ③3
F'(x)=f(x)로 놓으면
✔④ 4 ⑤5 1 2+h F(2+h)-F(2-3h)
lim : f(x)dx=lim
h`Ú 0 h 2-3h h`Ú 0 h
f(x)=xÜ`-xÛ`+2, F'(x)=f(x)로 놓으면
{F(2+h)-F(2)}-{F(2-3h)-F(2)}
1 1+2h =lim
lim : (xÜ`-xÛ`+2)dx h`Ú 0 h
h`Ú 0 h 1
F(2+h)-F(2) F(2-3h)-F(2)
1 1+2h F(1+2h)-F(1) =lim -lim ´(-3)
=lim : f(x)dx=lim h`Ú 0 h h`Ú 0 -3h
h`Ú 0 h 1 h`Ú 0 h
=F'(2)+3F'(2)=4F'(2)=4f(2)=40-8k
F(1+2h)-F(1)
=lim ´2=2F'(1)=2f(1)=2´2=4 즉, 40-8k=24이므로 k=2
h`Ú 0 2h

0791 상 서술형

두 다항함수 f(x)=3xÛ`-2x+1과 g(x)가 임의의 실수 h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g '(2)+g(2)의 값을

0787 중 구하시오. 17

함수 f(x)=xÜ`+5x+a에 대하여
1 ㈎ g(0)=2
lim : f( )d =2일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x`Ú1 x-1 x+h
㈏ g(x+h)-g(x)=: f( )d
F'(x)=f(x)로 놓으면
1 F(x)-F(1)
lim : f( )d =lim =F'(1)=f(1)=6+a
x`Ú 1 x-1 x`Ú 1 x-1
조건 ㈏에서 F'(x)=f(x)로 놓으면
즉, 6+a=2이므로 a=-4 g(x+h)-g(x) 1 x+h F(x+h)-F(x)
lim =lim : f( )d =lim
h`Ú 0 h h`Ú 0 h x h`Ú 0 h
∴ g '(x)=F'(x)=f(x)=3xÛ`-2x+1 ◀40 %

이때 g(x)=: (3xÛ`-2x+1)dx=xÜ`-xÛ`+x+C이므로
g(0)=C=2
∴ g(x)=xÜ`-xÛ`+x+2 ◀40 %
∴ g '(2)+g(2)=9+8=17 ◀20 %

118 Ⅲ. 적분
유형 정답과 풀이 99쪽

| 개념원리 수학 Ⅱ 19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204쪽 |

유형 13 주기함수의 정적분 유형 1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극대・극소

함수 f(x)의 정의역에 속하는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g( )d 와 같이 정의된 함수 f(x)의 극값


f(x+ )= f(x)를 만족시키는 0이 아닌 상수 가 존재할 때
b+
⇨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f '(x)=g(x)임을 이용한다.
⇨ : f(x)dx=: f(x)dx
a+

0795 대표문제

0792 대표문제
함수 f(x)=: (3 Û`+a +b)d 가 x=5에서 극솟값 -32
연속인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를 가질 때,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은?
f(x+3)= f(x), : f(x)dx=3
① 110 ② 120 ✔ ③ 130
을 만족시킬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2 ④ 140 ⑤ 150

정적분
f(x+3)=f(x)이므로 f '(x)=3xÛ`+ax+b
f '(5)=0에서 75+5a+b=0

08
:` f(x)dx=: f(x)dx=: f(x)dx=: ` f(x)dx=3 ∴ 5a+b=-75 yy ㉠
f(5)=-32에서
∴ : ` f(x)dx=:` f(x)dx+: f(x)dx+: f(x)dx+: ` f(x)dx
: (3 Û`+a +b)d =[ Ü`+;2A; Û`+b ] =152+8a+8b=-32
=4: f(x)dx=4´3=12
∴ a+b=-23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a=-13, b=-10 ∴ ab=130

0793 중 0796 중

x+a
연속인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 ( -2)d 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질
f(x+2)= f(x), ` f(-x)= f(x), : f(x)dx=10 때, 상수 a의 값은? (단, a>0)
10
을 만족시킬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00 ①1 ②2 ③3
-10

f(x+2)=f(x)이므로
✔④ 4 ⑤5
: f(x)dx=: f(x)dx= y =: `` f(x)dx=10 f '(x)=(x+a)(x+a-2)-x(x-2)=2ax+aÛ`-2a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또, f(-x)=f(x)에서 f(x)는 우함수이므로 f '(-1)=0에서 aÛ`-4a=0, a(a-4)=0
10
: f(x)dx=2: ` f(x)dx=2[: f(x)dx+`: f(x)dx+ y +: ` f(x)dx] ∴ a=4 (∵ a>0)
-10

=2´5: f(x)dx=2´5´10=100

0794 중

0797 중
연속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함수 f(x)=: ( -1)d 의 극댓값을 M, 극솟값을 이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 ;

라 할 때, M+ 의 값은?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1)= f(x) ①2 ✔ ② ;2#; ③1


㈏0 x 1일 때, f(x)=-xÛ`+x
④ ;2!; ⑤ ; !;
f(x+1)=f(x)이므로 f '(x)=x(x-1)
: f(x)dx=: f(x)dx=: f(x)dx=: f(x)dx f '(x)=0에서 x=0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0에서 극대, x=1에서 극소이므로
∴ : f(x)dx=: f(x)dx+: f(x)dx+: f(x)dx+: f(x)dx M=f(0)=: ( -1)d =[;3!; Ü`-;2!; Û`] =; ;

=4: f(x)dx=4: (-xÛ`+x)dx =f(1)=: ( -1)d =[;3!; Ü`-;2!; Û`] =-; !;-{-; ;}=;3;

=4 [-;3!;xÜ`+;2!;xÛ`] =4´; !;=;3;


∴ M+ =;2#;

08. 정적분 119


유형 정답과 풀이 100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05쪽 |

0798 중
유형 15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최대・최소
함수 y= f(x)의 그래프가 점 (2, 4)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를 지나고 F(x)=: f( )d 에 대하
d
⇨ `: f( )d = f(x)
여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오 dx
d x+a
른쪽 그림과 같을 때, f(3)의 값은? `: f( )d = f(x+a)- f(x)
dx
①2 ②4 ③6 임을 이용한다.

✔④ 8 ⑤ 10
F(x)=ax(x-2)=axÛ`-2ax (a>0) 0801 대표문제

F(x)=: f( )d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x+1


-1 x 1에서 함수 f(x)=: ( Ü`- )d 의 최댓값을
F'(x)=f(x) ∴ f(x)=2ax-2a
y=f(x)의 그래프가 점 (2, 4)를 지나므로 M, 최솟값을 이라 할 때, M+ 의 값을 구하시오. 2
f(2)=4a-2a=4 ∴ a=2
따라서 f(x)=4x-4이므로 f '(x)={(x+1)Ü`-(x+1)}-(xÜ`-x)=3x(x+1)
f(3)=12-4=8 f '(x)=0에서 x=-1 또는 x=0

f(-1)=: ( Ü`- )d =[; !; Ý`-;2!; Û`] =; !;

f(0)=: ( Ü`- )d =[; !; Ý`-;2!; Û`] =-; !;

f(1)=: ( Ü`- )d =[; !; Ý`-;2!; Û`] =; ;

0799 상 중 따라서 최댓값 M=; ;, 최솟값 =-; !;이므로 M+ =2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오른


0802 상 중

쪽 그림과 같고 함수 F(x)가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F(x)=: ` f( )d : (x- ) f( )d =; #; xÝ`-xÛ`
를 만족시킬 때, F(x)의 극댓값을 구 을 만족시킬 때, f(x)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
하시오. ;; ;;
x: f( )d -: f( )d =; #;xÝ`-xÛ`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a(x+1)(x-3) (a<0)
f(0)=3이므로 -3a=3 ∴ a=-1 : f( )d =3xÜ`-2x
∴ f(x)=-(x+1)(x-3)=-xÛ`+2x+3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9xÛ`-2
F(x)=: f( )d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솟값 -2를 갖는다.
F'(x)=f(x)=-(x+1)(x-3)
F'(x)=0에서 x=-1 또는 x=3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x)=: (- Û`+2 +3)d =[-;3!; Ü`+ Û`+3 ] =-;3!;xÜ`+xÛ`+3x+;3;
0803 상 중

이므로 F(x)의 극댓값은 F(3)=;;3;;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오른
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0800 상 중 서술형 x+1
g(x)=: f( )d 의 최솟값은?
함수 f(x)=: ( -a)( -2)d 가 x=2에서 극솟값 ;3;를

가질 때, f(x)의 극댓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 ;


①g 1 ✔② g 2 ③ g {;2;}
f '(x)=(x-a)(x-2)
f '(x)=0에서 x=a 또는 x=2 ④ g {;2;} ⑤g 4
즉, 함수 f(x)는 x=a에서 극대, x=2에서 극소이다. ◀30 %
a+2 f(x)=a(x-1)(x-4)`(a>0)
f(2)=: ( -a)( -2)d =[;3!; Ü`- Û`+2a ] =2a-;3;=;3;
2 x+1
g(x)=: f( )d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a=1 ◀40 % x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g '(x)=f(x+1)-f(x)


=ax(x-3)-a(x-1)(x-4)=2a(x-2)
f(1)=: ( -1)( -2)d =: ( Û`-3 +2)d
g '(x)=0에서 x=2
=[;3!; Ü`-;2#; Û`+2 ] =; ; ◀30 % 따라서 함수 g(x)는 x=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g(x)의 최솟값은 g(2)이다.

120 Ⅲ. 적분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101쪽

0804 교육청 기출 0808


: (axÛ`+1)dx=4일 때, 상수 a의 값은? 0<a<1일 때, 함수 f(a)=: (x+a)|x-a|dx의 최솟값

은?
①7 ✔② 9 ③ 11
④ 13 ⑤ 15 ① ;3!; ✔ ② ; !; ③ ; !;
: (axÛ`+1)dx=[;3A;xÜ`+x] =;3A;+1
④ ; !; ⑤ ; !;
즉, ;3A;+1=4이므로 a=9
f(a)=: (aÛ`-xÛ`)dx+: (xÛ`-aÛ`)dx

=[aÛ`x-;3!;xÜ`] +[;3!;xÜ`-aÛ`x] =;3;aÜ`-aÛ`+;3!;

f '(a)=4aÛ`-2a=2a(2a-1)

f '(a)=0에서 a=;2!; (∵ 0<a<1)

정적분
0805 따라서 함수 f(a)는 a=;2!;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f {;2!;}=; !;

: (4x+2)dx-: (4 +2)d =84를 만족시키는 상수 k

08
의 값을 구하시오. (단, k>0) 6
0809
: (4x+2)dx-: (4 +2)d =: (4x+2)dx+: (4x+2)dx
연속인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4x+2)dx=[2xÛ`+2x] =2kÛ`+2k
f(3+x)= f(3-x)를 만족시키고
즉, 2kÛ`+2k=84이므로
kÛ`+k-42=0, (k+7)(k-6)=0 ∴ k=6 (∵ k>0) : f(x)dx=8, : f(x)dx=2

일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2

f(3+x)=f(3-x)에서 함수 f(x)의 그래프는 직선 x=3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0806 중요
: f(x)dx=2: f(x)dx=2[ : f(x)dx-: f(x)dx]
이차함수 f(x)가
=2(8-2)=12

: ` f(x)dx=: ` f(x)dx=: f(x)dx

를 만족시키고 f(0)=1일 때, f(2)의 값을 구하시오. -2

: f(x)dx=: f(x)dx=: f(x)dx=0

f(x)=axÛ`+bx+1 ( a, b는 상수, a+0)이라 하면

: f(x)dx=: (axÛ`+bx+1)dx=[;3A;xÜ`+;2;xÛ`+x] =;3;a+2b+2=0


0810 중요

: f(x)dx=: (axÛ`+bx+1)dx=[;3A;xÜ`+;2;xÛ`+x] =;3;a-2b+2=0


함수 f(x)에 대하여 f(x)=xÛ`+: (2x+1) f( )d 가 성립
∴ a=-; #;, b=0
할 때, 정적분 : f(x)dx의 값은?
따라서 f(x)=-; #;xÛ`+1이므로 f(2)=-2

0807
① -3 ✔ ② -;3!; ③0
2x-xÛ` (x¾1)
함수` f(x)=[ 에 대하여 정적분 : `f(x)dx
xÛ` (x 1) ④ ;3!; ⑤3
의 값을 구하시오. ;;Á Á;;
f(x)=xÛ`+2x: f( )d +: f( )d
: f(x)dx=: xÛ`dx+: (2x-xÛ` ) dx
이때 : f( )d =k (k는 상수)로 놓으면 f(x)=xÛ`+2kx+k
=[;3!;xÜ`] +[xÛ`-;3!;xÜ`] =3+;3;=;;;Á3Á;;
: ( Û`+2k +k)d =k, [;3!; Ü`+k Û`+k ] =k

;3!;+2k=k ∴ k=-;3!;

∴ : f(x)dx=k=-;3!;

08. 정적분 12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0811 평가원 기출 0815


함수 f(x)가 f(x)=: (2a +1)d 이고 f '(2)=17일 때, 함수 f(x)=: (3 Û`-6 )d 가 x=a에서 극솟값 를 가질

상수 a의 값을 구하시오. 4 때, a+ 의 값은?
f '(x)=2ax+1
✔ ① -2 ② -1 ③0
이때 f '(2)=17이므로
4a+1=17 ∴ a=4 ④1 ⑤2
f '(x)=3xÛ`-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2)=: (3 Û`-6 )d =[ Ü`-3 Û`] =-4
0812 중요
즉, a=2, =-4이므로 a+ =-2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다항함수 f(x)가

: (x- ) f( )d =2xÝ`-3xÛ`

을 만족시킬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52


0816
x: f( )d -: f( )d =2xÝ`-3xÛ`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4,
: f( )d =8xÜ`-6x x=1에서 극솟값 1을 갖고,
따라서 : f( )d =64-12=52이므로 : f(x)dx=52 y= 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정적분 : | f '(x)|dx의

0813 값은?
함수 f(x)=xÛ`+4ax-b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①5 ✔② 6 ③7
상수 a, b에 대하여 a-b의 값을 구하시오. ;;Á ;;
④8 ⑤9
-2<x<-1에서 f(x)는 증가하므로 f '(x)>0
1 -1<x<1에서 f(x)는 감소하므로 f '(x)<0
㈎ lim : f( )d =2
x`Ú2 x-2 ∴ : |f '(x)|dx=: `f '(x)dx-: `f '(x)dx=[f(x)] - [f(x)] `
={`f(-1)-f(-2)}-{`f(1)-f(-1)}=6
㈏ : f(x)dx=1

1
F'(x)=f(x)로 놓으면 lim : f( )d =F'(2)=f(2)=8a-b+4
x-2
x`Ú 2

즉, 8a-b+4=2이므로 8a-b=-2 yy ㉠
: f(x)dx=: (xÛ`+4ax-b)dx=[;3!;xÜ`+2axÛ`-bx] =2a-b+;3!;

즉, 2a-b+;3!;=1이므로 2a-b=;3; yy ㉡
0817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 ∴ a-b=;; ;; 함수 f(x)가 : f(x)dx=1, : x f(x)dx=3을 만족시킬

0814 중요
때, 정적분 : (x-k)Û`` f(x)dx의 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연속함수 f(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실수 k의 값은?
: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8
①1 ②2 ✔③ 3
④4 ⑤5
㈎ -1 x 1일 때, f(x)=-xÛ`+1
: (x-k)Û`f(x)dx=: xÛ`f(x)dx-2k: xf(x)dx+kÛ`: f(x)dx
㈏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f(x)= f(x+2)
=kÛ`-6k+: xÛ`f(x)dx

f(x)=f(x+2)이므로
=(k-3)Û`-9+: xÛ`f(x)dx
: f(x)dx=: f(x)dx= y =: f(x)dx
이때 정적분 : xÛ` f(x)dx는 상수이므로 k=3일 때 주어진 정적분의 값이 최소가 된다.
∴ : ` f(x)dx=: f(x)dx+: f(x)dx+ y +: f(x)dx

=6: `f(x)dx=6: (-xÛ`+1)dx=6[-;3!;xÜ`+x] =8

122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02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818 중요 0821
다항함수 f(x), g(x)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정적분 1 (|x|¾1)
함수 f(x)=[ 에 대하여 : xÛ` f(2-x)dx=
: {2 f(x)-3g(x)}dx의 값을 구하시오. 16 |x| (|x| 1)
일 때, + 의 값을 구하시오. (단, , 는 서로소인 자연수) 9

1 (x 1 또는 x¾3)
f(2-x)=[ 이므로
㈎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 (1 x 3)
: xÛ`f(2-x)dx=: xÛ`dx+: xÛ`(2-x)dx
f(-x)= f(x), g(-x)=-g(x)
=[;3!;xÜ`] +[;3;xÜ`-; !;xÝ`] =; ;
㈏ : f(x)dx=4, : g(x)dx=7
따라서 =5, =4이므로 + =9

f(x)는 우함수, g(x)는 기함수이므로 ◀40 %


: {2f(x)-3g(x)}dx=2: `f(x)dx-3: `g(x)dx

정적분
=4: f(x)dx ◀40 % 0822
=4´4=16 ◀20 % 다항함수 f(x)가

08
f( f(x))=-xÛ`+4x+: f( )d

를 만족시킬 때, 정적분 : f(x)dx의 값을 구하시오. 12

0819 f(x)의 차수를 2 이상의 자연수 n이라 하면 nÛ`=n+1 ∴ nÛ`-n-1=0


다항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그런데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2 이상의 자연수 n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f(x)는 일차 이하
의 다항식이다.
: (x- ) f '( )d =xÝ`-xÜ`+axÛ`+5x-2 f(x)=ax+b (a, b는 상수)로 놓으면 aÛ`x+ab+b=-xÛ`+4x+: f( )d

를 만족시킨다. 함수 f(x)의 극댓값을 M, 극솟값을 이라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aÛ`=-2x+4+f(x) ∴ f(x)=2x+aÛ`-4
할 때, M- 의 값을 구하시오. (단, a는 상수) ;; ;; 즉, ax+b=2x+aÛ`-4이므로 a=2, b=0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0=1-1+a+5-2 ∴ a=-3 ◀20 % 따라서 f(x)=2x이므로 : f(x)dx=[xÛ`] =12

x: f '( )d -: f '( )d =xÝ`-xÜ`-3xÛ`+5x-2 0823 창의 . 융합 평가원 기출

: f '( )d =4xÜ`-3xÛ`-6x+5 ∴ f '(x)=12xÛ`-6x-6 ◀30 %


-1 (x<1)
함수 f(x)=[ 에 대하여 함수 g(x)를
∴ f(x)=4xÜ`-3xÛ`-6x+C -x+2 (x¾1)
이때 f '(x)=6(2x+1)(x-1)=0에서 x=-;2!; 또는 x=1
g(x)=: ( -1) f( )d
M=f {-;2!;}=; ;+C, =f(1)=-5+C ◀40 %
라 하자.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M- =;; ;; ◀10 %
보기
0820
ㄱ. g(x)는 열린구간 (1, 2)에서 증가한다.
이차함수 y= f(x)의 그래프가 오른
ㄴ. g(x)는 x=1에서 미분가능하다.
쪽 그림과 같을 때, 함수
x+1
ㄷ. 방정식 g(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g(x)=: f( )d 는 x=k에서 최 실수 k가 존재한다.
댓값을 갖는다. 이때 k의 값을 구하시
오. 4 ①ㄴ ②ㄷ ✔ ③ ㄱ, ㄴ
f(x)=a(x-2)(x-7)`(a<0) ◀20 % ④ ㄱ, ㄷ ⑤ ㄱ, ㄴ, ㄷ
g '(x)=f(x+1)-f(x)=2a(x-4) ◀40 %
g '(x)=0에서 x=4 -;2!;xÛ`+x+;2#; (x<1)
-(x-1) (x<1)
따라서 함수 g(x)는 x=4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g(x)=[ -;3!;xÜ`+;2#;xÛ`-2x+;;Á ;; (x¾1) , g '(x)=[ (x-1)(-x+2) (x>1)
k=4 ◀40 %
ㄷ. y=g(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방정
식 g(x)=k가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도록 하는 실
수 k는 존재하지 않는다.

08. 정적분 123


09 정적분의 활용 Ⅲ. 적분

개념 플러스
09 . 1 정적분과 넓이의 관계

1 정적분과 넓이: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이고 f(x)¾0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는

=: `f(x)dx

2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함수 f(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f(x)|dx ⇨ =: ``| f(x)|dx

참고 닫힌구간 [a, b]에서 함수 f(x)가 양의 값과 음의 값을 모두 가질 때는 f(x)의 값이 양수인 구간과 =: ``{-f(x)}dx

음수인 구간으로 나누어 넓이를 구한다.

09 .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두 함수 f(x), g(x)가 닫힌구간 [a, b]에서 연속일 때, 두 곡선 두 곡선 사이의 넓이

y=f(x)와 y=g(x) 및 두 직선 x=a, x=b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 ``{(위의 그래프의 식)

는 -(아래의 그래프의 식)} dx

=: |`f(x)-g(x)|dx

참고 닫힌구간 [a, b]에서 두 함수 f(x)와 g(x)의 대소 관계가 바뀔 때에는 f(x)-g(x)의 값이 양수인


구간과 음수인 구간으로 나누어 넓이를 구한다.

09 . 3 속도와 거리

미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속도가 ( )이고 시각 에서의 점 의 위치를 위치 속도
적분
x 이라 할 때

⑴ 시각 에서의 점 의 위치 x는 x=x +: ( )d

⑵ 시각 =a에서 =b까지 점 의 위치의 변화량은 : ( )d

⑶ 시각 =a에서 =b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 는 =: | ( )|d

124 Ⅲ. 적분
교과서 문제 정 복 하 기 / / /
정답과 풀이 105쪽

09 . 1 정적분과 넓이의 관계 09 . 2 두 곡선 사이의 넓이

0824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0831 ~ 0833] 다음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
y=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 하시오.
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0831 y=-xÛ`, y=x-2 ;2;

0832 y=xÛ`-3x, y=x-3 ; ;

0833 y=xÜ`, y=x ;2;

[0825 ~ 0827] 다음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


하시오.

0825 y=1-xÛ` ; ;

0826 y=xÜ`-x ;2;

[0834 ~ 0835] 다음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

정적분의 활용
0827 y=xÜ`-xÛ`-2x ; 2; 오.

0834 y=xÛ`-5x+6, y=-xÛ`+3x ; ;

09
0835 y=xÜ`-xÛ`, y=xÛ` ; ;

0828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Ü`-3xÛ`과 x축 및 두 직선 x=-1,
x=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
오. ;; Á;;

09 . 3 속도와 거리

[0836 ~ 0838]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


각 에서의 속도가 ( )=- Û`+4 -3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0829 ~ 0830] 다음 곡선과 직선 및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이를 구하시오. 0836 시각 =2에서의 점 의 위치 -; ;

0829 y=xÛ`+2x-3, x=0, x=1 ; ;


0837 시각 =1에서 =4까지 점 의 위치의 변화량 0

0830 y=;2!;xÛ`-4, x=-1, x=2 ;;2Á;;


0838 시각 =1에서 =4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 ; ;

09. 정적분의 활용 125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106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17쪽, 218쪽 |

유형 01 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 0842 중 하

곡선 y=-xÛ`+ax`(a>0)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는
이가 3 일 때, 상수 a의 값은?
⇨ = Á+ ª

=: f(x)dx-: f(x)dx ① ;2; ✔② 4 ③ ;2(;

④5 ⑤ Á2Á
0839 대표문제
: (-xÛ`+ax)dx
곡선 y=xÛ`-6x와 x축 및 두 직선 x=-1, x=1로 둘러싸 aÜ`
=[-;3!;xÜ`+;2A;xÛ`] =
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6 6
aÜ`
따라서 =;;3;;이므로
6
: `(xÛ`-6x)dx-: (xÛ`-6x)dx
aÜ`=64 ∴ a=4
=[;3!;xÜ`-3xÛ`] -[;3!;xÜ`-3xÛ`]

= Á3 +;3*;=6

0843 중 하

곡선 y=kxÜ`과 x축 및 두 직선 x=-1, x=2로 둘러싸인 도


0840 하
형의 넓이가 17일 때, 양수 k의 값은?
곡선 y=-xÛ`+4x-3과 x축 및 두 직선 x=1, x=2로 둘
① ;2!; ② ;3%; ③ Á
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④ 4 ⑤ Á
① ;3!; ✔ ② ;3@; ③1
-: `kxÜ`dx+: kxÜ`dx=-[;4K;xÝ`] +[;4K;xÝ`]
④ ;3$; ⑤ ;3;
=;4K;+4k= Á k
: (-xÛ`+4x-3)dx=[-;3!;xÜ`+2xÛ`-3x] 따라서 Á k=17이므로 k=4
=;3@;

0844 중

0841 하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곡선 y=xÜ`+xÛ`-2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f( )d =;3@;xÜ`-;2!;xÛ`-;6!;

① ;2#; ②2 ✔ ③ ;1#2; 을 만족시킬 때,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Á ;
④ Á3 ⑤4
: f( )d =;3@;xÜ`-;2!;xÛ`-;6!;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xÜ`+xÛ`-2x)dx-: (xÜ`+xÛ`-2x)dx f(x)=2xÛ`-x
;2!; ;2!;
=[;4!;xÝ`+;3!;xÜ`-xÛ`] -[;4!;xÝ`+;3!;xÜ`-xÛ`] -: (2xÛ`-x)dx=-[;3@;xÜ`-;2!;xÛ`] `

=;3*;+;1°2;=;1#2; =;24;

126 Ⅲ. 적분
| 개념원리 수학 Ⅱ 219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20쪽 |

유형 02 곡선과 직선 사이의 넓이 유형 03 두 곡선 사이의 넓이

곡선 y=f(x)와 직선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는 두 곡선 y=f(x)와 y=g(x)로 둘


러싸인 도형의 넓이 는
⇨ =: ``| f(x)-g(x)|dx
⇨ =: ``| f(x)-g(x)|dx
=: ``` (위의 그래프의 식)

-(아래의 그래프의 식) dx

0849 대표문제

0845 대표문제 두 곡선 y=xÛ`-4x+5와 y=-xÛ`+6x-3으로 둘러싸인


곡선 y=x(x-3)Û`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도형의 넓이는?
①5 ②6 ③7 ✔① 9 ②8 ③7
✔④ 8 ⑤9 ④6 ⑤5
: ` {x(x-3)Û`-x}dx+: ` {x-x(x-3)Û`}dx : ` {(-xÛ`+6x-3)-(xÛ`-4x+5)}dx

=: (xÜ`-6xÛ`+8x)dx+: (-xÜ`+6xÛ`-8x)dx =: (-2xÛ`+10x-8)dx

=[;4!;xÝ`-2xÜ`+4xÛ`] +[-;4!;xÝ`+2xÜ`-4xÛ`] =[-;3@;xÜ`+5xÛ`-8x] =9


=4+4=8

0846 중
0850 중

곡선 y=-xÛ`+6x와 직선 y=2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두 곡선 y=xÜ`-4x와 y=3xÛ`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구하시오. ;;Á; ;Á;;

정적분의 활용
: ` {(-xÛ`+6x)-2x}dx=: (-xÛ`+4x)dx
: {(xÜ`-4x)-3xÛ`}dx+: ` {3xÛ`-(xÜ`-4x)}dx
=[-;3!;xÜ`+2xÛ`] = 3
=[;4!;xÝ`-xÜ`-2xÛ`] +[-;4!;xÝ`+xÜ`+2xÛ`]
131

09
=
4

0847 중
0851 중

곡선 y=3x-xÛ`과 직선 x+y=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곡선 y=xÛ`-1을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
는?
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을 y=f(x)
①1 ✔ ② ;3$; ③ ;3%; 라 하자. 두 곡선 y=xÛ`-1, y=f(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이를 구하시오. 9 y=-(x-1)Û`+4
④2 ⑤3
: {(-xÛ`+2x+3)-(xÛ`-1)}dx
: ` {(3x-xÛ`)-(3-x)}dx=: (-xÛ`+4x-3)dx
=: (-2xÛ`+2x+4)dx
=[-;3!;xÜ`+2xÛ`-3x] =;3$;
=[-;3@;xÜ`+xÛ`+4x]
=9

0852 중 서술형
0848 상 중

두 곡선 y=xÜ`-3xÛ`, y=xÛ`-3x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


곡선 y=xÛ`-3x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를 각각 Á, ` ª라 할 때, Á ª의 값을 구하시오. (단, Á ª) ;;Á ;;
36일 때, 양수 a의 값을 구하시오. 3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xÜ`-3xÛ`=xÛ`-3x에서 x(x-1)(x-3)=0
: ` ```{ax-(xÛ`-3x)}dx=: ` ```{-xÛ`+(a+3)x}dx ∴ x=0 또는 x=1 또는 x=3 ◀30 %
a+3
=[-;3!;xÜ`+ xÛ`] ``` Á=: ``{xÜ`-3xÛ`-(xÛ`-3x)}dx=[;4!;xÝ`-;3$;xÜ`+;2#;xÛ`] =;1°2;
2
=;6!;(a+3)Ü` ª=: ``{xÛ`-3x-(xÜ`-3xÛ`)}dx=[-;4!;xÝ`+;3$;xÜ`-;2#;xÛ`] =;3*; ◀50 %

(a+3)Ü` ∴ Á ª=;;Á ;; ◀20 %


즉, =36이므로 (a+3)Ü`=6Ü`
6
a+3=6 ∴ a=3

09. 정적분의 활용 127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224쪽 | | 개념원리 수학 Ⅱ 223쪽 |

유형 04 절댓값 기호를 포함한 그래프의 넓이 유형 05 곡선과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y=|`f(x)| 꼴의 그래프 Ú 곡선 y=f(x) 위의 점 (a, f(a))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


⇨ x축의 아랫부분을 x축 위쪽으로 꺾어 올린다. 한다. ⇨ y-f(a)=f '(a)(x-a)
Û 그래프를 그리고 정적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0853 대표문제

곡선 y=x|x-1|과 x축 및 두 직선 x=0, x=2로 둘러싸 0856 대표문제

인 도형의 넓이는? 곡선 y=xÛ`+2와 이 곡선 위의 점 (1, 3)에서의 접선 및 y축


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① ;6%; ✔② 1 ③ ;6;
접선의 방정식은 y=2x+1
∴ : ` {(xÛ`+2)-(2x+1)}dx
④ ;3$; ⑤ ;2#;
=: (xÛ`-2x+1)dx
x(x-1) (x¾1)
y=x|x-1|=[
-x(x-1) (x 1) =[;3!;xÜ`-xÛ`+x] =;3!;

∴ : `{-x(x-1)}dx+: x(x-1)dx

=: (-xÛ`+x)dx+: (xÛ`-x)dx
0857 중

=[-;3!;xÜ`+;2!;xÛ`] +[;3!;xÜ`-;2!;xÛ`]
곡선 y=-xÜ` 과 이 곡선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으로
=1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라 할 때, 4 의 값은?

0854 중 ① 25 ② 26 ✔ ③ 27
곡선 y=|x(x-1)|과 직선 y=2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④ 28 ⑤ 29
는? =: {-xÜ`-(-3x-2)}dx

=[-;4!;xÝ`+;2#;xÛ`+2x] =
① ;6%; ②1 ③ ;6;
∴ 4 =4´ =27
✔④ ° ⑤ 3°
x(x-1) (x 0 또는 x¾1)
y=|x(x-1)|=[
-x(x-1) (0 x 1)
0858 중 서술형
∴ : `{2-(xÛ`-x)}dx+: ` {2-(-xÛ`+x)}dx
곡선 y=x(x-1)(x-4)와 이 곡선 위의 점 (1, 0)에서의
+: ` {2-(xÛ`-x)}dx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3!;xÜ`+;2!;xÛ`+2x] +[;3!;xÜ`-;2!;xÛ`+2x] +[-;3!;xÜ`+;2!;xÛ`+2x] 접선의 방정식은 y=-3x+3 ◀30 %
곡선 y=xÜ`-5xÛ`+4x와 직선 y=-3x+3의 교점의
= °
x좌표는 xÜ`-5xÛ`+4x=-3x+3에서
(x-1)Û`(x-3)=0 ∴ x=1 또는 x=3 ◀30 %
0855 상 중
∴ : ` {(-3x+3)-(xÜ`-5xÛ`+4x)}dx
곡선 y=|xÛ`-ax|와 직선 y=a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 (-xÜ`+5xÛ`-7x+3)dx

일 때, 실수 a의 값은? (단, a>0) =[-;4!;xÝ`+;3%;xÜ`-;2;xÛ`+3x] =;3$; ◀40 %

0859 중

① ;4#; ②1 ✔ ③ ;2#; 곡선 y=xÛ` 위의 점 (1, 1)에서의 접선과 곡선

④2 ⑤ ;4(; y=axÛ`-1`(a>0)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3$;일 때, 실수

xÛ`-ax (x 0 또는 x¾a) a의 값을 구하시오. 1


y=|xÛ`-ax|=[
-xÛ`+ax (0 x a)
접선의 방정식은 y=2x-1
: ` {ax-(-xÛ`+ax)}dx+: `` {ax-(xÛ`-ax)}dx 주어진 접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

=[;3!;xÜ`] +[-;3!;xÜ`+axÛ`] ` : {(2x-1)-(axÛ`-1)}dx=: (2x-axÛ`)dx


; @;
=aÜ` 4
=[xÛ`-;3A;xÜ`] =
3aÛ`
즉, aÜ`= 이므로 a=;2#; 즉,
4
=;3$;이므로 aÛ`=1
3aÛ`
∴ a=1 (∵ a>0)

128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08쪽

0860 상 중 0863 중

점 (1, -3)에서 곡선 y=xÛ`에 그은 두 접선과 이 곡선으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구간 [0, 1]에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서 곡선 y=xÜ` 과 직선 y=a`(0<a<1)
및 두 직선 x=0, x=1로 둘러싸인 두
①4 ② Á3 ③ Á3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상수 a의
④5 ✔ ⑤ Á3 값을 구하시오. ; ;

접점의 좌표를 ( , Û`)이라 하면 이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2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색칠한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으므로
y- Û`=2 (x- ) yy`㉠
직선 ㉠이 점 (1, -3)을 지나므로 -3- Û`=2 (1- ) ∴ =-1 또는 =3 : (xÜ`-a)dx=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4!;xÝ`-ax] =0, ;4!;-a=0
: {xÛ`-(-2x-1)}dx+: {xÛ`-(6x-9)}dx
∴ a=;4!;
=2: (xÛ`+1)dx+: (xÛ`-6x+9)dx

=2[;3!;xÜ`+x] +[;3!;xÜ`-3xÛ`+9x] = Á3

0861 상 중
0864 중

곡선 y=-xÛ`+2x+3과 이 곡선 위의 점 (2, 3)에서 그은


곡선 y=x(x-1)(x-k)와 x축으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
접선 및 x축, y축의 양의 부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이가 서로 같을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단, k>1) 2
구하시오. Á
오른쪽 그림에서 Á= ª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2x+7
: ` x(x-1)(x-k)dx=0
;2!;´;2;´7-: (-xÛ`+2x+3)dx
: ` {xÜ`-(k+1)xÛ`+kx}dx=0
= -[-;3!;xÜ`+xÛ`+3x]
k+1
[;4!;xÝ`- xÜ`+;2K;xÛ`] =0
3
= Á
kÝ` kÜ`
- + =0, kÜ`(k-2)=0
12 6

정적분의 활용
∴ k=2 (∵ k>1)

| 개념원리 수학 Ⅱ 225쪽 | 0865 중

곡선 y=-xÛ`+3x와 x축 및 직선 x=k`(k>3)로 둘러싸인


유형 06 두 도형의 넓이가 같을 때

09
두 도형의 넓이가 서로 같을 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2;
⑴ Á= ª이면
오른쪽 그림에서 Á= ª이므로

⇨ : f(x)dx=0 : (-xÛ`+3x)dx=0

[-;3!;xÜ`+;2#;xÛ`] =0

⑵ Á= ª이면 -;3!;kÜ`+;2#;kÛ`=0, kÛ`(2k-9)=0

⇨ : {`f(x)-g(x)}dx=0 ∴ k=;2(; (∵ k>3)

0866 상 중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0862 대표문제 y=xÛ`-2x+ 와 x축 및 y축으로 둘
곡선 y=-xÛ`+(k+2)x-2k와 x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이 곡선과
도형의 넓이를 , 이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를 ª라 할 때, = ª이다. 이때 상수 k의 값을 구하시오. ; ; 라 할 때, ` ` =1` `2이다. 이때
(단, 0<k<2)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 ;

오른쪽 그림에서 Á= ª이므로 위의 그림에서 빗금친 도형의 넓이는 와 같다.

: ` {-xÛ`+(k+2)x-2k}dx=0 ∴ : (xÛ`-2x+ )dx=0

k+2 [;3!;xÜ`-xÛ`+ x] =0
[-;3!;xÜ`+ xÛ`-2kx] =0
2
-;3*;+2(k+2)-4k=0 ;3!;-1+ =0 ∴ =;3@;

-2k+;3$;=0 ∴ k=;3@;

09. 정적분의 활용 129


유형 익 히 기 / /

| 개념원리 수학 Ⅱ 226쪽 | 중요 | 개념원리 수학 Ⅱ 234쪽, 235쪽 |

유형 07 넓이의 활용 - 넓이를 이등분할 때 유형 08 위치의 변화량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속도가 ( )이고 시


형의 넓이 를 곡선 y=g(x)가 이등 각 에서의 점 의 위치를 x 이라 할 때
분할 때 ⑴ 시각 에서의 점 의 위치 x ⇨ x=x +: ( )d
⇨ = Á+ ª=2 Á
⑵ 시각 =a에서 =b까지 점 의 위치의 변화량
=2: {`f(x)-g(x)}dx
⇨: ( )d

0867 대표문제
0870 대표문제
곡선 y=xÛ`-2x와 직선 y= 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x축에 의하여 이등분될 때, 상수 에 대하여 ( +2)Ü`의 값
속도가 ( )= Û`-7 +10일 때, 점 의 운동 방향이 두 번째
을 구하시오. 16
로 바뀔 때의 점 의 위치는?
Á=-: (xÛ`-2x)dx=-[;3!;xÜ`-xÛ`] =;3$;
`` Û`
Á+ ª=: { x-(xÛ`-2x)}dx ①2 ✔② ° ③ Á3
`` Û`
=: {-xÛ`+( +2)x}dx
④5 ⑤6
+2 `` `Û
=[-;3!;xÜ`+ xÛ`] =;6!;( +2)Ü` ∴ =2 또는 =5
2 Û`-7 +10=0, ( -2)( -5)=0
즉, ;6!;( +2)Ü`=2´;3$;이므로 ( +2)Ü`=16 따라서 =5에서 점 의 운동 방향이 두 번째로 바뀌므로 이때의 점 의 위치는

: ( Û`-7 +10)d =[;3!; Ü`-;2; Û`+10 ] = °

0868 중

곡선 y=-xÛ`+3x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직선


0871 중

y= x에 의하여 이등분될 때 상수 에 대하여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Ü`-9 Û`+27 의 값을 구하시오. 2
속도가
Á=: ` ` ``{(-xÛ`+3x)- x}dx
Û`-3 +2 ( ¾2)
=: ` ` ``{-xÛ`+(3- )x}dx
( )=[
- Û`+2 (0 <2)
3-
=[-;3!;xÜ`+
2
xÛ`] ` ` 일 때, =4에서의 점 의 위치를 구하시오. 6

=;6!;(3- )Ü` 0+: ( )d =: (- Û`+2 )d +: ( Û`-3 +2)d

Á+ ª=: ``(-xÛ`+3x)dx=[-;3!;xÜ`+;2#;xÛ`] =;2(; =[-;3!; Ü`+ Û`] +[;3!; Ü`-;2#; Û`+2 ]

즉, ;6!;(3- )Ü`=;2!;´;2(;이므로 (3- )Ü`=;;2;;


=;3$;+;;Á3;;=6
∴ Ü`-9 Û`+27 =;;2;;

0869 중

곡선 y=4x-xÛ`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곡선 0872 중 서술형


y=axÛ`에 의하여 이등분될 때, 양수 a의 값은? 지면으로부터 30`m의 높이에서 처음 속도 20`m 로 똑바로
✔ ① 2-1 ② 2 ③2 위로 쏘아 올린 물체의 초 후의 속도가 ( )=20-10 (m )
④ 2+1 ⑤3 라 한다. 3초 후 이 물체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를 h `m, 물
Á+ ª=: (4x-xÛ`)dx 체가 최고 지점에 도달했을 때의 지상으로부터의 높이를
=[2xÛ`-;3!;xÜ`] = 3 hª`m라 할 때, h -hª|의 값을 구하시오. 5

∴ Á= ª=;2!;´ 3 = Á3 hÁ=30+: (20-10 )d =30+[20 -5 Û`] =45 ◀40 %


4
a+1 hª=30+: (20-10 )d =30+[20 -5 Û`] =50 ◀40 %
Á=: {(4x-xÛ`)-axÛ`}dx
4 4 ∴ |hÁ-hª|=5 ◀20 %
a+1 a+1 a+1 32
=: {4x-(a+1)xÛ`}dx=[2xÛ`- xÜ`] =
3 3(a+1)Û`
32
즉, = Á3 이므로
3(a+1)Û`
(a+1)Û`=2 ∴ a= 2 -1 (∵ a>0)

130 Ⅲ. 적분
정답과 풀이 111쪽

0873 중 0876 중

단면의 넓이가 ` mÛ`인 원기둥 모양의 수도관이 있다. 수도 지상 60`m의 높이에서 처음 속도 20`m/ 로 똑바로 위로 쏘
관에서 물이 흘러나오기 시작한 지 초 후의 물의 속도가 아 올린 물체의 초 후의 속도가 ( )=20-10 (m/ 일 때,
( )=4 - Û`( m/ 일 때, 물이 흐르기 시작하여 멈출 때까 물체가 던져지고 5초 동안 실제로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65`m

지 흘러나온 물의 양을 구하시오. ;; ;;p` ` : ` | ( )|d =: ` |20-10 |d =: (20-10 )d +: (-20+10 )d

4 - Û`=0, (4- )=0 ∴ =0 또는 =4 =[20 -5 Û`] +[-20 +5 Û`]


따라서 구하는 물의 양은`
=20+45=65 (m)
: (4 - Û`)d = [2 Û`-;3!; Ü`] = 3 ( mÜ )

0874 중

두 자동차 , 가 직선 도로 위에 있다. 자동차 는 자동차


보다 24`m 앞에 있다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달릴 때, 초 0877 중

후의 두 자동차 , 의 속도는 각각 ( )=2 (m/ , 직선 궤도를 30`m/ 의 속도로 달리는 열차가 있다. 이 열차
( )= +1 (m/ 이다. 자동차 와 자동차 의 위치가 같 에 제동을 건 후 초 후의 속도가 ( )=30-3 (m/ 일 때,
아지는 것은 출발한 지 몇 초 후인가? 제동을 건 후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달린 거리는?

① 6초 ② 7초 ✔ ③ 8초 ① 140`m ✔ ② 150`m ③ 160`m


④ 9초 ⑤ 10초 ④ 170`m ⑤ 180`m
출발한 지 초 후의 두 자동차 , 의 위치를 각각 x ( ), x ( )라 하면 30-3 =0에서 =10

정적분의 활용
x ( )=0+: 2 d =[ Û`] = Û` ∴ : `` |30-3 |d =: ` (30-3 )d =[30 -;2#; Û`] `=150 (m)

x ( )=24+: ( +1)d =24+[;2!; Û`+ ] =;2!; Û`+ +24

x ( )=x ( )일 때 자동차 와 자동차 의 위치가 같아지므로

09
Û`=;2!; Û`+ +24, Û`-2 -48=0

( -8)( +6)=0 ∴ =8 (∵ >0)

| 개념원리 수학 Ⅱ 234쪽, 235쪽 |

유형 09 속도와 움직인 거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속도가 ( )일 때,


0878 중

시각 =a에서 =b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


고속열차가 출발하여 4` m를 달리는 동안은 시각 분에서의
⇨ : | ( )|d
속도가 ( )=;4#; Û`+;2!; +;2!; ( m/min)이고, 그 이후로는

속도가 일정하다고 한다. 이 열차가 출발한 후 10분 동안 달린


0875 대표문제
거리는 몇 m인지 구하시오. 40`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초 후의 속도 4=: {;4#; Û`+;2!; +;2!;}d =[;4!; Ü`+;4!; Û`+;2!; ] =;4!;xÜ`+;4!;xÛ`+;2!;x
가 ( )= Û`-2 (m/ 일 때, 점 가 출발한 후 다시 원점으 즉, xÜ`+xÛ`+2x-16=0에서
(x-2)(xÛ`+3x+8)=0 ∴ x=2 (∵ xÛ`+3x+8+0)
로 되돌아올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 ;`m
이때 (2)=;4#;´4+;2!;´2+;2!;=;2(;이므로 2분 후부터는 속력이 ;2(;` m/min으로 일정
점 가 원점을 출발하여 원점으로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a초라 하면
하다.
: ( Û`-2 )d =0, [;3!; Ü`- Û`] =0
따라서 열차가 출발한 후 10분 동안 달린 거리는

;3!;aÜ`-aÛ`=0, ;3!;aÛ`(a-3)=0 ∴ a=3 (∵ a>0) 4+(10-2)´;2(;=40 ( m)

∴ : ` | Û`-2 |d =: (- Û`+2 )d +: ( Û`-2 )d

=[-;3!; Ü`+ Û`] +[;3!; Ü`- Û`] =;3$;+;3$;=;3*; (m)

09. 정적분의 활용 131


유형 익 히 기 / / 정답과 풀이 112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36쪽 |

유형 10 그래프에서 위치와 움직인 거리 0882 상 중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8초 동안 움직이는 점 의
에서의 속도 ( )의 그래프가 오른쪽
초 후의 속도 ( )의 그래프
그림과 같을 때 =0에서 =a까지
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다
⑴ 점 의 위치의 변화량
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 ( )d = Á- ª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⑵ 점 가 움직인 거리 ⇨ : | ( )|d = Á+ ª 보기

ㄱ. 출발한 지 4초 후의 점 의 위치는 원점이다.


ㄴ. 점 는 움직이는 동안 운동 방향을 3번 바꾼다.
0879 대표문제
ㄷ. 출발한 지 1초 후와 7초 후의 점 의 위치는 같다.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에서의 속도 ( )의 그래
✔① ㄱ ②ㄴ ③ㄷ
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다. 시각 =0에
④ ㄱ, ㄴ ⑤ ㄱ, ㄷ
서 =3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를 구
ㄱ. 0+: ( )d =;2!;´2´2-;2!;´2´2 0
하시오. 4
ㄴ. 속도 ( )의 부호가 바뀌는 점에서 점 가 운동 방향을 바꾸므로 점 는 시각 =2와
;2!;´1´2+1´2+2{;2!;´;2!;´2}=1+2+1=4 =6에서 운동 방향을 2번 바꾼다.

ㄷ. 출발한 지 1초 후의 점 의 위치는 : ( ) d =;2!;´1´2=1

출발한 지 7초 후의 점 의 위치는

서술형 : `` ( )d =;2!;´2´2-;2!;´2´2-;2!;´2´2+;2!;´1´2 -1
0880 중

즉, 출발한 지 1초 후와 7초 후의 점 의 위치는 다르다.


오른쪽 그림은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시 0883 상 중

각 (0 4)에서의 속도 ( )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의 그래프이다. 시각 =2에서 점 에서의 속도 ( )의 그래프가 오른쪽
의 위치를 a, 시각 =4에서 점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일
의 위치를 b라 할 때, a+b의 값을 구하시오. 1 부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시각 =2에서 점 의 위치는 0+: ( )d =;2!;´2´1=1 ∴ a=1 ◀40 %
① 시각 =a에서 =b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는
시각 =4에서 점 의 위치는 : ( )d =;2!;´2´1-;2!;´2´1=0 ∴ b=0 ◀40 %
: ` ( )d 이다.
∴ a+b=1 ◀20 %
0881 중
② : ` ( )d =0이면 시각 =c일 때, 점 는 출발점과 같은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의 시각
위치에 있다.
(0 7)에서의 속도 ( )의 그래프가 다음 그림과 같다.
✔ ③ 시각 =a에서 '( )=0이므로 점 는 순간적으로 정지
시각 =7에서 점 의 위치가 10일 때, 양수 k의 값은?
상태이다.
④ 시각 =b의 좌우에서 ( )의 부호의 변화가 있으므로 점
는 =b일 때, 운동 방향을 바꾸었다.
⑤ | (c)|> (a)이면 시각 =c에서 점 의 속력은 최대이
다. (단, 0 c)
①a b에서 ( )¾0이므로 점 가 움직인 거리는 : `` d 이다.

② : `` ( )d =0이면 시각 =0에서 =c까지의 위치의 변화량이 0이다. 따라서 시각


①1 ②2 ③3 =c일 때 점 는 출발점과 같은 위치에 있다.
✔④ 4 ⑤5 ③ 시각 =a일 때 '( )=0이므로 ( )는 =a에서 극대이다. 따라서 점 는 =a일
때 최고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 `` ( )d =;2!;´(1+3)´k-;2!;´2´2+;2!;´2´k ④ ( )의 부호는 운동 방향을 나타낸다.
즉, 2k-2+k=10이므로 3k=12 ∴ k=4 ⑤ (속력)=| ( )|이므로 =c일 때, 점 의 속력은 최대이다.

132 Ⅲ. 적분
유형 정답과 풀이 113쪽

| 개념원리 수학 Ⅱ 227쪽 |

유형 11 넓이의 활용 - 넓이가 최소일 때 0887 중

함수 f(x)= x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Ú 정적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를 식으로 나타낸다.
: f(x)dx+: g(x)dx의 값을 구하시오. 26
Û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증감표 등을 이용하여 넓이
의 최솟값을 구한다. 오른쪽 그림에서 =C이므로

: `f(x)dx+: g(x)dx= + = +C

=9´3-1´1=26
0884 대표문제

곡선 y=x(x-2)(x-a)와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a)
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실수 a의 값을 구하시오. 1

(단, 0<a<2)
(a)=: x(x-2)(x-a)dx-: x(x-2)(x-a)dx=-;6!;aÝ`+;3@;aÜ`-;3$;a+;3$;

'(a)=-;3@;aÜ`+2aÛ`-;3$;=-;3@;(a-1)(aÛ`-2a-2)

'(a)=0에서 a=1 (∵ 0<a<2)


따라서 (a)는 a=1일 때 극소이면서 최소이다.
0885 상 중

양수 k에 대하여 두 곡선 y=; !;xÜ`, y=-9kxÜ` 과 직선 x=1 0888 상 중

함수 f(x)=3xÛ`+1`(x¾0)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곡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2;
선 y=g(x)와 x축 및 직선 x=13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 ` [; !;xÜ`-(-9kxÜ`)]dx=;4!;{9k+; !;}¾;4!;´2 9k´; !;=;2#; (∵ k>0)
이를 구하시오. 16
{단, 등호는 k=;3!;일 때 성립한다.}

정적분의 활용
오른쪽 그림에서 = 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2#;이다. 2´13-: (3xÛ`+1)dx=26-[xÜ`+x]
| 개념원리 수학 Ⅱ 228쪽 |
=26-(8+2)=16
유형 12 역함수의 그래프와 넓이

09
함수 y=f(x)와 그 역함수 y=g(x)
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가
a, `(a< )일 때
⑴ 두 함수 y=f(x), y=g(x)의 그
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
이다.

⑵ =: ` |f(x)-g(x)|dx=2: ` |x-f(x)|dx 0889 상 중

함수 f(x)=xÜ`-3xÛ`+3x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두 곡


선 y=f(x)와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0886 대표문제
1
오른쪽 그림은 함수 y=f(x)와 그
=2[: ` {(xÜ`-3xÛ`+3x)-x}dx+: ` {x-(xÜ`-3xÛ`+3x)}dx]
역함수 y=g(x)의 그래프이다. 두
=2{[;4!;xÝ`-xÜ`+xÛ`] +[-;4!;xÝ`+xÜ`-xÛ`] }
그래프가 두 점 (1, 1), (3, 3)에서
=2{;4!;+;4!;}=1
만나고 : f(x)dx=3일 때, 두 곡

선 y=f(x),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2

위의 그림과 같이 구하는 넓이는 직선 y=x에 의하여 이등분되고, 빗금친 도형의 넓이는

;2!;(1+3)´2-: f(x)dx=4-3=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2´1=2

09. 정적분의 활용 133


시험에 나오는 문제 정답과 풀이 114쪽

0890 0894
곡선 y=x(x-2)Û`과 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x축에 평행한
직선이 함수
① ;3@; ✔ ② ;3$; ③2
f(x)=xÜ ` +axÛ ` +bx+c의 그래
④ ;3*; ⑤ Á3 프와 x=0에서 접하고 x=1에서
만날 때, 이 직선과 곡선으로 둘러
: x(x-2)Û`dx=: (xÜ`-4xÛ`+4x)dx
싸인 도형의 넓이는? (단, a, b, c는 상수)
=[;4!;xÝ`-;3$;xÜ`+2xÛ`]

=;3$; ✔ ① ;12; ② ;6!; ③ ;4!;

④ ;1°2; ⑤ ;2!;

f(0)=c이므로 곡선 y=f(x)와 x=0에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은 y=c이다.


0891
곡선 y=f(x)와 직선 y=c가 x=0에서 접하고 x=1에서 만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f(x)-c=xÛ`(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xÛ`-2x와 x축 및 직선 x=a로
: ` {c-f(x)}dx=: ` {-xÛ`(x-1)}dx=-[;4!;xÝ`-;3!;xÜ`] =;12;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3*;일 때, a

의 값을 구하시오. (단, a>2) 3

색칠한 도형의 넓이는

-: (xÛ`-2x)dx+: (xÛ`-2x)dx=-[;3!;xÜ`-xÛ`] +[;3!;xÜ`-xÛ`]


0895
=;3!;aÜ`-aÛ`+;3*; 곡선 y=;2!;xÛ`+2와 이 곡선 위의 점 (2, 4)에서의 접선 및 y
따라서 ;3!;aÜ`-aÛ`+;3*;=;3*;이므로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3!;aÜ`-aÛ`=0, aÛ`(a-3)=0 ∴ a=3 (∵ a>2) 접선의 방정식은


y-4=2(x-2) ∴ y=2x

∴ : ` [{;2!;xÛ`+2}-2x]dx=[;6!;xÜ`+2x-xÛ`] `
0892
=;3$;
두 곡선 y=xÜ`-2x와 y=xÛ`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① ;1#2!; ② Á Á ③ ;1#2%;

✔ ④ ;1#2; ⑤ Á
0896
: {(xÜ`-2x)-xÛ`}dx+: ` {xÛ`-(xÜ`-2x)}dx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곡선
=: `(xÜ`-xÛ`-2x)dx+: (-xÜ`+xÛ`+2x)dx
y=xÛ`(x-4)와
=[;4!;xÝ`-;3!;xÜ`-xÛ`] +[-;4!;xÝ`+;3!;xÜ`+xÛ`] y=ax(x-4)로 둘러싸인 두
=;1#2; 도형의 넓이를 각각 , 라
하자. = 일 때, 상수 a의
0893 값을 구하시오. (단, a>0) 2
곡선 y=|x(x-2)|의 그래프와 직선 y=3으로 둘러싸인 도 : ` {xÛ`(x-4)-ax(x-4)}dx=0
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8
4+a
[;4!;xÝ`- xÜ`+2axÛ`] =0
3
y=|x(x-2)|
x(x-2) (x 0 또는 x¾2) - 3 + 3 a=0
=
-x(x-2) (0 x 2) ∴ a=2

: ` 3- xÛ`-2x dx+: ``{3-(-xÛ`+2x)}dx

+: ``{3-(xÛ`-2x)}dx

[-;3!;xÜ`+xÛ`+3x] +[;3!;xÜ`-xÛ`+3x] +[-;3!;xÜ`+xÛ`+3x] 8

134 Ⅲ. 적분
0897 교육청 기출 09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2!;xÛ`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가 원점을 통과한 후 초가 경과하

과 직선 y=kx로 둘러싸인 부분의 였을 때의 속도가 ( )= Û`-5 +4일 때,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넓이를 , 곡선 y=;2!;xÛ`과 두 직
보기
선 x=2, y=kx로 둘러싸인 부분 ㄱ. 점 가 시각 =0에서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의 넓이를 라 하자. = 일 때, 움직이는 것은 2초 동안이다.
30k의 값을 구하시오. (단, k는 0<k<1인 상수이다.) 20
ㄴ. 시각 =2에서 점 의 위치는 ;3@;이다.
= 이므로 : {kx-;2!;xÛ`}dx=0
ㄷ. 시각 =0에서 =3까지 점 가 움직인 거리는 3이다.
[;2K;xÛ`-;6!;xÜ`] =2k-;3$;=0

따라서 k=;3@;이므로 30k=20


①ㄱ ✔② ㄴ ③ㄷ
0898 ④ ㄱ, ㄴ ⑤ ㄴ, ㄷ
점 가 진행 방향을 바꾸는 시각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 )= Û`-5 +4=0에서 ( -1)( -4)=0 ∴ =1 또는 =4
ㄱ. 0 1에서 ( )¾0, 1 4에서 ( ) 0, ¾4에서 ( )¾0이므로 시각 =0에서의
y=xÛ`-6x+a와 x축, y축으로 둘러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때는 시각 =1부터 =4까지의 3초 동안이다.

싸인 두 도형의 넓이를 각각 , 라 ㄴ. : ( )d =: ( Û`-5 +4)d =[;3!; Ü`-;2%; Û`+4 ] =;3@;

하자. ` ` =1` `2일 때, 상수 a의 값 ㄷ. : ` | Û`-5 +4|d =: ( Û`-5 +4)d -: ( Û`-5 +4)d = Á

을 구하시오. 6
0902
위의 그림에서 빗금친 도형의 넓이는 와 같으므로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 (xÛ`-6x+a)dx=0
움직이는 물체의 시각 에서의
[;3!;xÜ`-3xÛ`+ax] =0 속도 ( )의 그래프가 오른쪽

정적분의 활용
3a-18=0 ∴ a=6
그림과 같을 때, 다음 보기 중에
0899 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보기

09
y=-xÛ`+3x와 직선 y=-2x로 둘
ㄱ. 시각 =4에서 물체는 처음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직선 x=a가
움직인다.
이등분할 때, 상수 a의 값을 구하시
ㄴ. 시각 =3에서 물체는 원점에 있다.
오. ;2;
ㄷ. 시각 =1에서와 =5에서의 물체의 위치는 같다.
곡선 y=-xÛ`+3x와 직선 y=-2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ㄹ. 시각 =1에서 =4까지 움직인 거리는 2이다.
: ` {(-xÛ`+3x)-(-2x)}dx=: (-xÛ`+5x)dx

이때 이 넓이를 이등분하는 직선 x=a는 포물선 y=-xÛ`+5x의 대칭축이어야 하므로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ㄴ, ㄹ


y=-xÛ`+5x=-{x-;2%;}Û`+ ° 에서 x=;2%;이다. ∴ a=;2%;
✔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ㄴ. 물체가 원점을 출발하였으므로 =0일 때 물체의 위치는 0이고,
0900 =3에서 물체의 위치는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두 점 , 가 원점을 동시에 출발하여 0+: ( )d =;2!;´1´1+1´1+;2!;´1´1=2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한다. 초 후의 두 점 , 의 속도 즉, 시각 =3에서 물체는 원점에 있지 않다.

가 각각 ( -1) (m/ , 2 +3 (m/ 일 때, 두 점 , 가


출발 후 다시 만나는 시각은 몇 초 후인가? 0903
x초
함수 f(x)=xÜ`+xÛ`+x의 역함수를 g(x)라 할 때, 두 곡선
① 4초 ② 5초 ✔ ③ 6초
y=f(x)와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④ 7초 ⑤ 8초
x초 후의 두 점 , 의 위치는 각각 : ( -1)d , : (2 +3)d 이므로 f`'(x)=3xÛ`+2x+1=3{x+;3!;}Û`+;3@;>0이므로 함수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증가한다.


: ( -1)d =: (2 +3)d 에서 [;3!; Ü`-;2!; Û`] =[ Û`+3 ]

∴ x=6 (∵ x>0) ∴ =2: {`f(x)-x}dx=2: `(xÜ`+xÛ`)dx


x(x-6)(2x+3)=0

=2[;4!;xÝ`+;3!;xÜ`] =;6!;

09. 정적분의 활용 135


정답과 풀이 116쪽

서술형 주관식 실력 up

0904 0908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곡선 y=2x|x-1|과 직선 y=x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
오른쪽 그림과 같을 때, 곡선 의 합을 구하시오. ;2 ;

y=axÛ`+bx+c와 x축 및 y축으로 둘 ;2!;


: (-2xÛ`+2x-x)dx+:` {x-(-2xÛ`+2x)}dx+: {x-(2xÛ`-2x)}dx
;2!;
;2#;

러싸인 색칠한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 ;2!;


=[-;3@;xÜ`+;2!;xÛ`] +[;3@;xÜ`-;2!;xÛ`]` +[-;3@;xÜ`+;2#;xÛ`]
;2#;

;2!;

오. ; ;
=;24;+;2°4;+;2¦4;=;2!4#;
곡선 y=axÛ`+bx+c의 y절편이 3이므로 c=3 ◀20 %
a(x-1)(x-3)=0, axÛ`-4ax+3a=0 0909
3a=c=3이므로 a=1, -4a=b이므로 b=-4 ◀30 %
곡선 y=xÛ`-1과 이 곡선 위의 한 점 ( , Û`-1)에서의 접선
∴ : (xÛ`-4x+3)dx-: (xÛ`-4x+3)dx
및 y축, 직선 x=1로 둘러싸인 두 도형의 넓이의 합의 최솟값
=[;3!;xÜ`-2xÛ`+3x] -[;3!;xÜ`-2xÛ`+3x] =;3*; ◀50 %
을 구하시오. (단, 0< <1) ; Á2;
접선의 방정식은 y=2 x- Û`-1
0905
∴ : {(xÛ`-1)-(2 x- Û`-1)}dx
원점에서 곡선 y=xÜ`+2에 그은 접선과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 ;; =: (xÛ`-2 x+ Û`)dx=[;3!;xÜ`- xÛ`+ Û`x]

접점의 좌표를 ( , Ü`+2)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 Ü`+2)=3 `Û (x- ) yy`㉠ =;3!;- + Û`={ -;2!;}Û`+;12;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0-( Ü`+2)=3 Û`(0- ), Ü`=1 ∴ =1
=1을 ㉠에 대입하면 y-3=3(x-1) ∴ y=3x ◀40 % 0910 교육청 기출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12;이다.
접선과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xÜ`+2=3x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심이
xÜ`-3x+2=0, (x+2)(x-1)Û`=0 ∴ x=-2 또는 x=1 ◀20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xÜ`+2-3x)dx=[;4!;xÝ`+2x-;2#;xÛ`] = ◀40 % {0, ;2#;}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0906
{ <;2#;}인 원 C가 있다. 원 C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물체의 시
각 에서의 속도 ( )의 그래프 가 함수 y=;2!;xÛ`의 그래프와 서
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0에
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원 C와 함수 y=;2!;xÛ`의 그래프로
서의 물체의 위치는 x(0)=-2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둘러싸인 모양의 넓이는 a+b 이다. 120(a+b)의
값을 구하시오. (단, a, b는 유리수이다.) 140
⑴ 시각 =1, =3, =5에서의 물체의 위치 x(1), x(3),
{1, ;2!;}, {-1, ;2!;}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y=-x+;2#;
x(5)를 차례로 구하시오. -;2;, 2, 5
∠ =45 ,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2 이므로
⑵ 시각 =0에서 =6까지 물체가 움직인 거리를 구하시오. a+b =2[ : {-x+;2#;-;2!;xÛ`}dx- ]=;3%;-
8 4 2
⑴ x(1)=-2+: ( )d =-2+;2!;=-;2#; ◀20 %
따라서 a=;3%;, b=-;2!;이므로 120(a+b)=140
x(3)=-2+: ( )d =-2+4=2 ◀20 % 창의 . 융합
0911
x(5)=-2+: ( )d =-2+7=5 ◀20 % 함수 f(x)=-xÛ ` +4x-3에 대하여
⑵ : ` | ( )|d =;2!;(2+5)´2+;2!;´1´2 ◀40 %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f(x)와 x
0907 축 및 y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선 y=-xÛ`+3 , 곡선 y=f(x)와 x축으로 둘러싸인
과 x축 사이에 직사각형이 내접할 때, 도형의 넓이를 , 곡선 y=f(x)와 x축
색칠한 도형의 넓이의 최솟값을 구하 및 직선 x=a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시오. 4 3-4
를 라 하자. + =2 일 때, : f(x)dx의 값을 구하시
직사각형의 꼭짓점의 x좌표를 a라 하면
직사각형의 넓이 g(a)는 오. (단, a>3) -; ;
g(a)=2a(-aÛ`+3)=-2aÜ`+6a ◀30 %
g '(a)=-6aÛ`+6=0에서 aÛ`=1 ∴ a=1 (∵ a>0) : f(x)dx=- + - =-2 + =- =-: f(x)dx
g(a)는 a=1일 때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g(1)=4 ◀30 %
3`` 3` 3
=-: (-xÛ`+4x-3)dx=-[-;3!;xÜ`+2xÛ`-3x] =-;3$;
: (-xÛ`+3)dx=2: (-xÛ`+3)dx=2[-;3!;xÜ`+3x] =4 3 ◀30 %
-`3

따라서 색칠한 도형의 넓이의 최솟값은 4 3-4 ◀10 %

136 Ⅲ. 적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