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전력전자공학

Chapter 5. AC to AC Converter

Professor: Woojin Choi


E-mail: cwj777@ssu.ac.kr

Power Electronics
Lecturer: 1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Contents
1 The Single-Phase AC Voltage Controller

2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 Resistive Load

3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n R-L Load

4 Three-Phase Voltage Controllers

5 Induction Motor Speed Control

6 Static VAR Control


Power Electronics
Lecturer: 2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The Single-Phase AC Voltage Controller 1

 두 개의 SCR은 동시 도통 불가
 하나의 SCR이라도 “On”이면 전원전압과 부하전압은 같음
 두 개의 SCR이 같은 시간에 도통된다면 부하전류의 평균치는 “0”
 각각의 SCR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치는 “0” 이 아님
 두 개의 SCR의 도통 구간이 같다면 :
𝟏 𝟏
𝑰𝑺𝑪𝑹,𝒓𝒎𝒔 = 𝑰𝒐,𝒓𝒎𝒔 ∵ 𝑰𝑺𝑪𝑹,𝒂𝒗𝒈 = 𝑰𝒐,𝒂𝒗𝒈
𝟐 𝟐
Power Electronics
Lecturer: 3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The Single-Phase AC Voltage Controller 2

Power Electronics
Lecturer: 4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
Resistive Load 1
𝑽𝒎 sin(𝝎𝒕) 𝒇𝒐𝒓 𝜶 < 𝝎𝒕 < 𝝅 𝒂𝒏𝒅 𝜶 + 𝝅 < 𝝎𝒕 < 𝟐𝝅
 𝒗𝒐 𝝎𝒕 =
𝟎 𝒐𝒕𝒉𝒆𝒓𝒘𝒊𝒔𝒆

 부하 전압의 실효치

𝝅
𝟏 𝟐 𝒅(𝝎𝒕)
𝑽𝒎 𝜶 sin(𝟐𝜶)
𝑽𝒐,𝒓𝒎𝒔 = 𝑽𝒎 sin(𝝎𝒕) = 𝟏− +
𝝅 𝜶 𝟐 𝝅 𝟐𝝅

𝑽𝒐,𝒓𝒎𝒔
 다음의 그림은 와 𝜶의
𝑽𝒎 / 𝟐

관계를 나타낸 그림

Power Electronics
Lecturer: 5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
Resistive Load 2
부하 전류는 전원 전류와 같으므로
𝑽𝒐,𝒓𝒎𝒔
𝑰𝒔,𝒓𝒎𝒔 = 𝑰𝑶,𝒓𝒎𝒔 =
𝑹
 부하의 역률
𝑷 𝑷 𝑽𝒐,𝒓𝒎𝒔 𝟐 /𝑹
𝒑𝒇 = = =
𝑺 𝑽𝒓𝒎𝒔 𝑰𝒓𝒎𝒔 𝑽𝒔,𝒓𝒎𝒔 (𝑽𝒐,𝒓𝒎𝒔 /𝑹)

𝑽𝒎 𝜶 sin(𝟐𝜶)
𝑽𝒐,𝒓𝒎𝒔 𝟏− +
𝟐 𝝅 𝟐𝝅
= =
𝑽𝒔,𝒓𝒎𝒔 𝑽𝒎 / 𝟐

𝜶 sin(𝟐𝜶)
= 𝟏− +
𝝅 𝟐𝝅

Power Electronics
Lecturer: 6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
Resistive Load 3
 SCR 전류의 평균값
𝝅
𝟏 𝑽𝒎
𝑰𝒔𝒄𝒓,𝒂𝒗𝒈 = sin(𝝎𝒕) 𝒅(𝝎𝒕)
𝟐𝝅 𝜶 𝑹
𝑽𝒎
= (𝟏 + cos 𝜶)
𝟐𝝅𝑹
 SCR 전류의 실효값
𝑰𝒐,𝒓𝒎𝒔
𝑰𝒔𝒄𝒓,𝒓𝒎𝒔 =
𝟐

∵ 각 SCR에는 반주기 동안 전원전류가 흐르기 때문

Power Electronics
Lecturer: 7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
Resistive Load 4
 전원전류와 부하전류는 비정현파임
- 교류전압 제어기를 설계하여 사용할 시 고조파 왜곡을 고려
 전원 전류의 파형이 반파대칭이므로 홀수차 고조파만 존재함
- 고조파 전류는 푸리에 급수를 사용하여 유도

 다음 그림은 전원전류의 정규화


고조파량을 나타낸 그림
- 정규화는 전원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
- 𝜶 = 𝟎일 때의 전류를 기준전류로
사용함

Power Electronics
Lecturer: 8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n R-L Load 1

 𝝎𝒕 = 𝜶에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여 𝑺𝟏 이 도통된 후 회로의 전압방정식


𝒅𝒊𝒐 (𝒕)
𝑽𝒎 sin(𝝎𝒕) = 𝑹𝒊𝒐 𝒕 + 𝑳
𝒅𝒕
 회로의 전류 식
𝑽𝒎
𝒊𝒐 𝝎𝒕 = 𝒁 [sin 𝝎𝒕 − 𝜽 − sin( 𝜶 − 𝜽)𝒆
(𝜶−𝝎𝒕)/𝝎𝝉)
] 𝒇𝒐𝒓 𝜶 < 𝝎𝒕 < 𝜷
𝒐𝒕𝒉𝒆𝒓𝒘𝒊𝒔𝒆
𝟎
𝟐 𝟐 −𝟏
𝝎𝑳
𝒁 = 𝑹 + (𝝎𝑳) 𝜽 = tan
𝑹
Power Electronics 9
Lecturer: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ingle-Phase Controller with an R-L Load 2

 소호각 𝜷는 𝒊𝒐 𝜷 = 𝟎 을 이용하여 도출
𝑽𝒎 𝜶−𝝎𝒕/𝝎𝝉
- 𝒊𝒐 𝜷 = 𝟎 = sin 𝜷 − 𝜽 − sin( 𝜶 − 𝜽)𝒆
𝒁

 도통각(𝜸 = 𝜷 − 𝜶)

- 구간 𝛑 ≤ 𝜸 ≤ 𝜷 에서는 전압이 음이지만 전류는 양의 값을 가지므로 𝑺𝟐 를


도통시킬 수 없음

- 따라서 𝑺𝟐 에 가해지는 게이트 신호는 최소한 𝝎𝒕 = 𝜷 까지 미루어야 함

∵ 지연각의 범위 : 𝜶 ≥ 𝜷 − 𝛑

Power Electronics
Lecturer: 10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1

 정규화한 출력전압과
지연각(𝜶)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Power Electronics
Lecturer: 11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2

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은 각 SCR에서 지연각 𝜶로 제어함

 6개의 SCR은 𝟔𝟎°의 간격을 가지며, 1-2-3-4-5-6의 순서로 턴온

 부하의 각 상에 걸리는 순시전압은 어느 SCR이 도통 중 인가에 따라 결정됨

 매 순간 3개의 SCR, 2개의 SCR이 도통상태이거나 모든 SCR이 오프상태가 됨

 3개의 SCR이 온상태이면 부하의 상전압이 모두 전원에 접속되어 대칭


3상전원이 평형 3상부하에 접속된 상태가 됨

 2개의 SCR이 온상태인 경우 접속되어 있는 상 사이의 선간전압이 균등


분배되어 해당되는 두 개의 부하저항에 걸림

 특정한 순간에 어느 SCR이 도통 중인지는 지연각 𝜶와 그 순간의 전원전압으로


판별함
Power Electronics
Lecturer: 12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3

 𝟎 < 𝜶 < 𝟔𝟎° 인 경우 :


- 𝝎𝒕 = 𝟎일 때 𝑺𝟓 와 𝑺𝟔 가 도통 중이며 𝑹𝒂 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𝒗𝒂𝒏 =
𝟎이 됨
𝝅
- 𝝎𝒕 = (𝟑𝟎°)일 때 𝑺𝟏 이 게이트 신호를 받아서 도통되기 시작하며 𝑺𝟓 와
𝟔
𝑺𝟔 가 여전히 온상태이므로 𝒗𝒂𝒏 = 𝑽𝑨𝑵 이 됨
- 6𝟎°일 때 𝑺𝟓 에 흐르던 전류가 “0”이 되면서 𝑺𝟓 가 턴오프 되며 𝑺𝟏 과 𝑺𝟔 가
여전히 온상태이므로 𝒗𝒂𝒏 = 𝒗𝑨𝑩 /𝟐가 됨
- 𝟗𝟎°일 때 𝑺𝟐 가 턴온 되면서 𝑺𝟏 , 𝑺𝟐 , 𝑺𝟔 의 세 SCR이 도통 상태이므로
𝒗𝒂𝒏 = 𝑽𝑨𝑵 가 됨
- 𝟏𝟐𝟎°일 때 𝑺𝟔 가 턴오프 되면 𝑺𝟏 과 𝑺𝟐 만 온상태이므로 𝒗𝒂𝒏 = 𝒗𝑨𝑪 /𝟐가 됨

Power Electronics
Lecturer: 13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4
 𝜶 = 𝟑𝟎°일 때

Van

5 5 6 1 1 2 2 3 4
6 6 6 1 2 2 3 3 3 4 4 5
1 1 2 3 4 4 5 5 6

Power Electronics
Lecturer: 14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5

 𝟔𝟎° < 𝜶 < 𝟗𝟎° 인 경우 :


- 𝝎𝒕 = 𝟕𝟓°직전에는 𝑺𝟓 와 𝑺𝟔 가 도통 중이어서 𝒗𝒂𝒏 = 𝟎 이 됨
- 𝟕𝟓°에서 𝑺𝟏 이 턴온되면 𝑺𝟔 은 계속 도통되지만 𝑺𝟓 은 𝒗𝑪𝑵 이 음의 값이므로
턴오프 되어 𝒗𝒂𝒏 = 𝒗𝑨𝑩 /𝟐가 됨
- 𝟏𝟑𝟓°일 때 𝑺𝟐 가 턴온되면서 𝑺𝟔 가 턴오프 되므로 𝒗𝒂𝒏 = 𝒗𝑨𝑪 /𝟐가 됨
- 𝜶가 이 범위의 값일 때에는 한 SCR이 턴온되면 이로 인하여 다른 SCR
하나가 항상 턴오프됨
- 부하전압은 선간전압의 절반이거나 “0”

Power Electronics
Lecturer: 15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6

 𝜶 = 𝟕𝟓°일 때
4
5

Van

4 1 1 1 1 1 1 4 4
5 5 5 5 2 2 2 2 2 2 3 3 3 5 5
6 6 6 6 6 6 3 3 3 4 4 4

Power Electronics
Lecturer: 16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7
 𝟗𝟎° < 𝜶 < 𝟏𝟓𝟎° 인 경우 :
- 지연각이 이 범위 내의 값이면 두 개의 SCR만이 도통 중인 구간과 세 개의
SCR이 모두 도통되지 않는 구간이 존재함
- 𝝎𝒕 = 𝟏𝟐𝟎°직전에는 a상에는 온상태인 SCR이 없으므로 𝒗𝒂𝒏 = 𝟎
- 𝜶 = 𝟏𝟐𝟎°에서 𝑺𝟏 이 게이트 신호를 받아서 턴온되느데 이때
𝑺𝟔 도 턴온되어 있으므로 𝒗𝒂𝒏 = 𝒗𝑨𝑩 /𝟐가 됨 (30도 구간 동안)
- 𝟏𝟓𝟎°에서는 𝒗𝑨𝑩 가 음의 값이 되면서 𝑺𝟏 과 𝑺𝟔 가 모두 턴오프
- 이 때 𝑺𝟐 에 게이트 신호가 가해져 𝑺𝟐 가 턴온되면 𝑺𝟏 이 다시 턴온 상태가
되어 𝒗𝒂𝒏 = 𝒗𝑨𝑪 /𝟐가 됨 (30도 구간 동안)
 𝜶 > 𝟏𝟓𝟎° 인 경우 :
- 게이트 신호는 인가되고 있지만 SCR이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가 되는
구간은 존재하지 않음
- 따라서 모든 SCR이 오프상태이며 출력전압은 “0”
Power Electronics
Lecturer: 17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Connected Resistive Load 8

 𝜶 = 𝟏𝟐𝟎°일 때

Van

4 4 1 1 1 1 4 4
5 5 5 5 2 2 2 2
6 6 6 6 3 3 3 3

Power Electronics
Lecturer: 18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Delta-Connected Resistive Load 1

 각 상의 전류
𝒊𝒂 = 𝒊𝒂𝒃 − 𝒊𝒄𝒂
𝒊𝒃 = 𝒊𝒃𝒄 − 𝒊𝒂𝒃
𝒊𝒄 = 𝒊𝒄𝒂 − 𝒊𝒃𝒄
Power Electronics
Lecturer: 19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Delta-Connected Resistive Load 2

 실효 선전류와 상전류의 관계는 SCR의 도통각(𝜶)에 따라 달라짐

 𝜶가 큰 경우(도통각이 작은 경우) 선전류는 중첩되지 않음

- 𝑰𝑳,𝒂𝒗𝒈 = 𝟐𝑰∆,𝒂𝒗𝒈 𝒂𝒏𝒅 𝑰𝑳,𝒓𝒎𝒔 = 𝟐𝑰∆,𝒓𝒎𝒔

 반대로 𝜶 = 𝟎 (경계값 𝜸 = 𝝅)일 때 상전류와 선전류가 정현파 이며, 회로가


제어하지 않는 일반적인 3상 회로로 표현됨

- 이 때의 실효 선전류 : 𝑰𝑳,𝒓𝒎𝒔 = 𝟑𝑰∆,𝒓𝒎𝒔

 따라서 실효 선전류의 범위는 𝜶에 따라 달라짐

- 𝟐𝑰∆,𝒓𝒎𝒔 ≤ 𝑰𝑳,𝒓𝒎𝒔 ≤ 𝟑𝑰∆,𝒓𝒎𝒔

Power Electronics
Lecturer: 20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Induction Motor Speed Control 1

 농형 유도전동기의 속도는 전압 또는 주파수를 변화시켜 제어


 유도전동기에서 발생되는 토크는 인가전압의 제곱에 비례
𝑷
- 𝑻 = 𝟎. 𝟗𝟕𝟓 𝒌𝒈 ⋅ 𝒎 / 𝑻 ∝ 𝑽𝟐
𝑵𝒔

 동기속도 :
𝟏𝟐𝟎𝒇
- 𝑵𝒔 =
𝑷

유도 전동기의 등가회로 V/F 일정 제어


Power Electronics
Lecturer: 21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Induction Motor Speed Control 2

 위 그림은 유도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속도-토크 특성곡선을 나타냄


∴ 3상 컨버터의 위상 제어로 전압을 제어

Power Electronics
Lecturer: 22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Static VAR Control

 통상적으로 부하가 유도성인 경우 역률 개선을


위해 부하양단에 병렬로 커패시터를 설치

 그러나 공급해야 할 무효 전력량이 가변적 클


경우 불편함을 초래

 따라서 무효전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충분히 큰 커패시터를 설치

 그 후 인덕터에 연결된 스위칭을 제어하면


연속적으로 무효전력을 조절함

 그에 따라 부하의 변화에도 신속히 회로의


역률을 1에 가깝게 제어할 수 있음
𝟏
- 𝒀 = 𝑮 + 𝒋 𝝎𝑪 −
𝝎𝑳
Power Electronics
Lecturer: 23
Electrical Engineering Dr. Woojin Choi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