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1

11

5.2 2차원 비압축성 유동의 유동함수


• 유선과 유동함수
–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로 구하는 유선
dx dy  
• 2차원 유동에서 유선의 방정식   udy  vdx  0  dy  dx  d  0
u v y x

• 유선 상에서는 유동함수의 변화율이 0  유동함수가 일정한 값


• 유선 : 유동함수의 등고선

–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와 유량


• 유선  2 와 1 사이를 흐르는 유량

• 선분 AB 기준 ( dx  0, d  dy )
y


y2 y2 2

Q   u dy   dy   d   2  1
y1 y1
y 1


• 선분 BC 기준 ( dy  0, d  dx )
x


x2 x2 1

Q   v dx    dx    d   2  1
x1 x1
x 2

• 유선 사이의 체적유량 = 두 유선 사이의 유동함수 값의 차이


12
5.2 2차원 비압축성 유동의 유동함수
• 유동함수
– 극좌표계에서의 유동함수 (Stream function)
 rVr   V 
• 극좌표계 r,  에서의 비압축성 유동의 연속방정식  0
r 
1  
• 유동함수의 정의 Vr  , V  
r  r
13
5.2 2차원 비압축성 유동의 유동함수
• 교과서 예제 5.4 코너(corner) 유동의 유동함수
– 코너에서의 정상, 비압축성 유동
 

• 속도장 V  Axî  Ayˆj A  0.3 s 1
– 코너 유동장에 대한 유동함수 ?

• 주어진 속도장 u  Ax 
y
 
• y 에 대한 적분 (적분상수 주의)    y dy  f  x   Axy  f  x , v     Ay 
df
x dx

 0  f x   const.    Axy  C
df
• 주어진 속도장 v  Ay 와 비교하면
dx
• 적분상수 C  0 : 원점을
지나는 유선의 유동함수
값을   0 로 하기 위하여
14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역학에서의 운동학
– 운동학 (Kinematics) ?
• 변위, 속도, 가속도 사이의 관
계, 동역학에서는 단순히

 dV  dx
a , V
dt dt

• 유체입자 운동 : 매우 복잡
 병진 (translation)
 회전 (rotation)
 선형변형 (linear
deformation)
 각 변형 (angular
deformation)

Particle Motion over a Cylinder


15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병진운동 : 속도장 내에서 유체입자의 가속도
– 유체입자를 추적하면서 계산하는 시간변화율
 
• 뉴턴의 제2법칙 Fparticle  m particle a particle : 관심 대상을 ‘추적‘ 하면서 가속도를 정의 (Lagrangian

description)  d V
a particle 
particle

dt
• ‘특정한’ 입자의 속도 : 시간에 따라 입자의 위치가 결정됨
 
Vparticle  V x particle t , y particle t , z particle t , t 

• 주의 : ‘유동장’ (Eulerian description) 은 공간 변수가 독립변수임


 
V  V x , y, z, t 

• 가속도 : 입자를 따라가면서 속도를 시간 미분 (수학적으로는 chain rule)


    
 V V dx V dy V dz
dVparticle
a particle     
dt t x dt y dt z dt
    
dx dy dz  dVparticle V V V V
• 그런데,  u,  v,  w 이므로 a particle   u v w
dt dt dt dt t x y z

 
 V       
• 벡터 표기법 a particle   V   V    î  ĵ  k̂ 
t  x y z 
16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물질도함수 (Material Derivative)

V 
 
 
– 유체의 가속도 a particle   V  V
t
• 첫번째 항 : 국부 가속도 (local acceleration), 유동의 시간적인 변화
• 두번째 항 : 대류 가속도 (convective acceleration),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영역 내를 유체 입자
가 이동할 때 경험하는 가속도
 오른쪽 그림 노즐유동 (예제 4.9) : 정상유동이므로 국부 가속도 = 0
 하지만 유체 입자는 유속이 느린 입구에서 유속이 빠른 출구 쪽으로 이동하
면서 당연히 가속됨  유속이 x 방향으로 증가 ( u x  0 )하는데 입자가
x 방향으로 이동 ( u  0 ) 하므로 (+) 의 가속도 발생

Du u u u u
ax   u v w
Dt t x y z

 
D      
– 물질도함수   V    u v w
Dt t t x y z

• 가속도 뿐 아니라 모든 물리량을 ‘입자를 따라’ 시간 변화율을 구할 때 정의


D
• Lagrangian Description 이라는 것을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기호 사용
Dt
• 물질도함수의 우변은 Eulerian Description  두 기술법 사이의 번역임 !!!
17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좌표계에 따른 가속도 성분
Du u u u u
– 직교좌표계 a xp   u v w
Dt t x y z
Dv v v v v
a yp   u v w
Dt t x y z
Dw w w w w
a zp   u v w
Dt t x y z

DVr Vr Vr V Vr V2 V


– 원통좌표계 a rp    Vr    Vz r
Dt t r r  r z
DV V V V V Vr V V
a p    Vr      Vz 
Dt t r r  r z
DVz Vz V V Vz V
a zp    Vr z    Vz z
Dt t r r  z

– Recall, convective acceleration is nonlinear !!


18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교과서 예제 5.5 입자의 가속도에 대한 Euler 및 Lagrange 기술법
– 수축로를 통과하는 2차원 정상, 비압축성 유동

• 중심축 (x축) 상의 속도장 V  V1 1  x L î
– 중심선을 따라 운동하는 입자의 가속도 : Euler 기술법 계산
    
 DV V V V V
• 유체입자의 가속도 a p x , y, z, t    u v w
Dt t x y z
Du u u u u
• 가속도의 x 성분 a xp   u v w
Dt t x y z
 x u  x  V1 V1  x 
2

• x 축 상에서 v  w  0 이고 u  V1 1   를 대입, 정리 a x p  u  V1 1    1  
 L  x  L  L L  L
V12
• x = 0 일 때의 가속도 a x p x  0  
L
2V12
• x = L 일 때의 가속도 a x p x  L  
L
19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교과서 예제 5.5 입자의 가속도에 대한 Euler 및 Lagrange 기술법
– 수축로를 통과하는 2차원 정상, 비압축성 유동
• 중심축 (x축) 상의 속도장
– 중심선을 따라 운동하는 입자의 가속도 : Lagrange 기술법 계산
dx p  xp 
• 입자 속도 u p   V1 1    V1e V1t L (아래 참조)
dt  L
xp

 
  V1dt  L ln 1  x p L   V1t  x p t   L e V1t L  1
t
dx p dx p
• 입자 변위
1  x p L
 V1dt   1  x
0 p L 0

du pV12 V1t L
• 입자 가속도 a x p   e
dt L
V12
• x = 0 일 때 가속도 (t = 0) a x p t  0  
L

• x = L 일 때 가속도 x p t   L e  V1t L

1  L  e V1t L
 2  a xp 
V12 V1t L 2V12
L
e 
L

– 결론 : Lagrange 기술법이든 Euler 기술법이든 동일한 결과


20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u
• 유체의 회전 u y
y
– 유속으로부터 회전율을 추출
• 병진운동을 제거 : 왼쪽 아래 꼭지점을 일치
y
• 주의) 오른손법칙에 따라 시계 반대 방향 회전이 양(+)
v
• 양변의 회전각  ,  로부터 입자의 회전율 계산 : 평균값 v x
v x
u x
• 강체 입자의 시계 반대방향 회전각
1
   u
2  y t
 v  y
 v  x t  vt
  x  v
• 회전각     t
x x x

 u   
 u  y t  ut
  y  u
    t v
y y y x t
 x
21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회전
– 각속도 벡터 (회전율) 및 와도 (vorticity)
• z 축에 대한 입자의 각속도

1     1  v u 
    t  t 
2 x y  2 x y  1  v u 
z  lim   lim     
t 0 t t 0 t 2  x y 

1  w v 
• x 축에 대한 입자의 각속도 (yz 평면) x    
2  y z 
1  u w 
• y 축에 대한 입자의 각속도 (xz 평면) y    
2  z x 
• 각속도 벡터

 1   w v  ˆ  w v   v u  1  1 
  x î  y ĵ  z k̂  î     j     k̂       V  curl V
2   y z   y z   x y  2 2
  
• 와도 (vorticity) 벡터   2    V

   1 Vz V   V V   1  rV  1 Vr 


• 원통좌표계에서의 와도 벡터   V  ê r     ê   r  z   ê z   
  r  z   z r   r r r  
22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회전
– 순환 (circulation)
• 유동장 내에 고정된 폐곡선에 대한 접선 속도성분의 선적분
 
   V  ds
C

 d s : 곡선에 접선 방향인 곡선요소벡터 (길이는 ds)
 양의 방향 : 곡선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
• 순환과 와도와의 관계 : 위 그림의 사각형 경로 상 적분  Stokes 정리

 v   u   v u 
  ux   v  x y   u  y x  vy    xy  2z xy
 x   y   x y 
 
  
   V  d s   2z dA     V z dA
C A A

– 회전유동 (rotational flow) vs. 비회전유동 (irrotational flow)


 
• 비회전유동 : 입자의 회전 (자전)이 일어나지 않는 유동     V  0
 
• 회전유동 : 입자의 회전 (자전)이 일어나는 유동     V 0
23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회전
– 회전유동 (rotational flow) vs. 비회전유동 (irrotational flow)
24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회전
– 회전유동 (rotational flow) vs. 비회전유동 (irrotational flow)
• Flow A : 강체 회전 (자전)
• Flow B : 자유 와동 (공전)

ur  0, u   r ur  0, u 
K

  1    r 
r
 1    ru  ur
2

         
  1    ru  ur   1  K   
 z
e 0 e 2 e        e z  0 ez
r  r  r  r  z  z
e  0
z
   r  r   r  r 
25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회전
– 회전유동 (rotational flow) vs. 비회전유동 (irrotational flow)
26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각 변형 u
u
y
y
– 유속으로부터 각 변형률을 추출
• 각 변의 회전각에서 입자의 회전각을 뺀다.
y
• 수평 측면 :          
1 1
2 2 v
v x
v x
 1
• 수직 측면 :        1    u x
 2  2 u
y t
 v u  y
• 입자의 전체 변형각 = 측면 변형의 합 :       t
 x y 

 xy  lim
     v  u 
• xy 평면에서의 각 변형률  x
t 0 t  y  
 w v   w u 
• yz 평면  yz     , zx 평면  zx     v
 y z   x z   x t
x
27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교과서 예제 5.7 점도계 유동의 회전
– 평행 평판 사이 틈새 유동

• 속도장 V  Uy h  î U  4 mm s , h  4mm 
• t = 0 일 때의 십자선 ac, bd

– t=1.5s 일 때의 십자선 위치?


• v  0 : 수직 방향의 운동 없음
• 각 점의 x 방향 변위 x  ut
• 점 b 의 변위 x b  3 mm s   1.5 s   4.5mm
• 점 a, c x a  x c  3mm
• 점 d x d  1.5mm

– 각 변형률 및 회전율
v u U 4 mm s 
• 각 변형률   0   1s 1
x y h 4 mm

1  v u  1  U 1 4 mm s 
• 회전율 z       0      0.5 s 1
2  x y  2  h 2 4 mm
28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선형 변형
– 유속으로부터 선형 변형률을 추출
• 선형변형 : 요소의 형상 (모서리의 각도)는 변하지 않는다.
• 2차원 요소의 길이 변화량

 u  u d u  v  v d yy v
 xx   x t  x  t  xx  ,  yy   y t  y  t  
 x  x dt x  y  y dt y

u v w
• 3차원인 경우 :  xx  ,  yy  ,  zz 
x y z
1 DV u v w 
• Divergence = 입자 체적팽창률   xx   yy   zz 
      V
V Dt x y z
v v
v y v y
y y

u u v
u x y t
x y
y

v v
u x u
u x
x u
x t Linear Deformation
x
29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교과서 예제 5.8 코너(corner) 유동의 변형률 (excel file 참조)
– 코너에서의 정상, 비압축성 유동
 

• 속도장 V  Axî  Ayˆj A  0.3 s 1
– a 점이 x = 1.5m 까지 이동했을 때 (t=), 코너점의 위치
• Lagrange 기술법에 따른 유체입자 위치 추적,  를 찾는다
x 
dx p dx dx x
u  Ax p   Adt     A dt  ln  A
dt x x0
x 0
x 0

ln x x 0  ln 1.5 1
   1.35 s
A 0.3 s 1
•  에 따른 y 방향 위치
y 
dy p dy y y
v  Ay p     A dt  ln   A   e  A
dt y0
y 0 y0 y0
• t =  일 때 점들의 좌표
점 t=0 t=
a (1,1) (3/2,2/3)
b (1,2) (3/2,4/3)
c (2,2) (3,4/3)
d (2,1) (3.2/3)
30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교과서 예제 5.8 코너(corner) 유동의 변형률 (excel file 참조)
– 코너에서의 정상, 비압축성 유동
 

• 속도장 V  Axî  Ayˆj A  0.3 s 1
– 선형 변형률 및 체적 팽창률 ?
• 선형변형률
u  v 
 Ax   A  0.3 s 1 ,   Ay   A  0.3 s 1
x x y y
• 체적 팽창률

u v
  AA 0
x y
31
5.3 유체입자의 운동(운동학)
• 유체의 변형률 텐서 (strain rate tensor)
– 선형변형률과 각 변형률을 조합

 u u v u w 
 2   
  xx  xy  xz   x y x z x 
   v u v v w 
 ij    yx  yy  yz     
z y 
2
  x y y
 zx  zy  zz   w u w v w 

 x  z 
y z
2
z 

– 중요성
• 유체의 구성방정식 (constitutive relation; stress-strain 관계식) 에 사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