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01.

액성한계시험
1. 서론

1.1 개요

▶ 세립토는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고체 상태로부터 반고체 상태, 소


성 상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때 소성 상태와 액체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liquid limit), wL라고 정의한다.

▶ 액성한계는 입자의 치수는 물론 흙의 화학성분과 광물성분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이온 등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액성한계의 값과
동일한 함수비를 가지고 있는 흙은 어떤 흙이든 최소값의 전단강
도를 가진다. 따라서 자연함수비가 액성한계를 넘어서면 그 흙의
전단강도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1.2 목적

▶ 액성한계는 흙을 공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널리 이용되며, 때로는 세립토의 종류를 판별하는 데


쓰여진다. 이 값들이 설계에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설계에 쓰여지는 중요한 계수를
이 값들과 관련시켜 만들어낸 경험공식이 있다.
▶ 경험이 많은 기술자는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값만 알아도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을 대략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값들을 실험실에서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01. 액성한계시험
2. 이론적 배경

2.1 정의

▶ 액성한계를 토질시험으로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흙을 액성한계 측정용 접시에 넣고 주어진 홈파기 기구로 흠을 판 다음, 그 접시를 1cm높이로
부터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 홈 양쪽에 있는 흙이 1.5cm 합쳐졌을때의 함수
비를 액성한계(wL)라고 한다.

2.2 액성한계 경험식

▶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압축지수를 구하려면 압밀시험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간편한


방법으로 이것을 추정할 수 있는 경험식이 제안되었다. 액성한계를 기준하여 Terzaghi & Peck
(1967)이 발표한 식은 다음과 같다.
▶ 교란시료 Cc = 0.007(wL-10)

▶ 불교란시료 Cc = 0.009(wL-10)

여기서, Cc: 압축지수


wL: 액성한계
01. 액성한계시험
3. 시험용 기구

액성한계측정기, 유리판, 홈파기 날, 금속제 주걱, 분무기, 함수량 측정 기구

4. 시험 방법

1) 황동접시와 고무대 사이를 정확히 1cm로 조절한다.


2) No.40 체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말린 시료를 약 100g
정도 준비한다.
3) 시료를 유리판 위에 놓고 증류수를 가하여 잘 반죽한
다.
4) 반죽한 흙을 황동 접시에 담아 최대 두께가 약 1cm
되도록 잘 고른다.
5) 접시의 대칭축을 따라 홈파기 날을 수직으로 세워 홈
을 파서 접시 속의 흙을 양쪽으로 가른다.
6) 액성한계측정기의 손잡이를 1초 동안에 2회의 속도로
회전시켜 흙을 담은 접시를 판에 떨어뜨린다.
7) 홈의 밑부분에 있는 흙이 약 1.5cm정도 합류할 때의
낙하회수를 구한다.
8) 양쪽 흙이 함쳐진 부분에서 흙을 따내서 함수비를 구
한다.
9) 낙하회수 10~25회의 것 2개, 25~35회의 것 2개가
얻어지도록 시료에 증류수를 가하여 1)~8)의 조작을
반복한다.
01. 액성한계시험
5. 결과처리

5.1 유동곡선

▶ 반대수용지의 대수눈금에 낙하회수를, 산술눈금에 함수비를 기록하여 위에서 구한 결과를 작성한


다. 이 들의 점에 가까운 적합한 직선을 구하여, 이를 유동곡선으로 한다.
이 선의 경도를 유동지수라고 한다.

5.2 액성한계

▶ 유동곡선에서 낙하회수 25회에 상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한다.


단, 액성한계가 앞의 시험방법으로 구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NP 의 기호로 보고한다.
01. 액성한계시험
5. 결과처리

※ Fall cone
01. 액성한계시험
5. 결과처리
02. 소성한계시험
1. 서론

1.1 개요

▶ 이 시험은 흙의 콘시스텐스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므로 동시에 액성한계가 구하


여 졌다면 소성지수도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다.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와 소성 상태의 경계가 되
는 함수비를 말한다.흙덩어리를 굴려서 지름 3mm 가 되어 토막 토막 부서지기 시작할 때의 함수
비를 재면 이것이 곧 소성한계이다.

1.2 목적

▶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사용한 세립토의 판별분류와 흙의 공학적성질의 추정에 이용된다.

2. 이론

2.1 소성한계

▶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말한다. (wp)

2.1 소성지수

흙의 소성지수 Ip는 흙의 액성한계 wL와 소성한계 wp와의 차를 말하며 다음 식으로 구한다.


Ip = wL – wp
다만, 다음의 경우는 비소성(NP)의 기호로 표시한다.
① 소성한계를 구할 수 없는 경우
② 소성한계가 액성 한계와 같던가 또는 소성한계가 액성한계 보다 큰 경우
02. 소성한계시험
2. 이론

2.3 활성도

▶ 2이하의 점토의 중량백분율에 대한 소성지수 Ip의 비를 활성도라한다.


Ip
활성도(A) =
2이하의 점토의 중량백분율
A < 0.75 (비활성)
0.75 < A < 1.25 (보통)
A > 1.25 (활성)

3. 시험용 기구

▶ 유리판, 주걱, 분무기, 함수량 측정용 기구


02. 소성한계시험
4. 시험방법

1) No.40체를 통과한 시료 약 15g을 취하여 증류수를 타서 잘 반죽한다.


2) 반죽한 흙을 유리판에 놓고 손바닥으로 굴려 지름이 3mm정도 되게한다.
3) 이 흙이 토막토막 부스러져서 이보다 더 가늘게 굴릴 수 없다면 부스러진 흙을 모아서 함수비를
측 정한다
4) (1)~(3)의 단계을 2~3회 반복하여 함수비를 구하고 그 평균값을 구한다.
02. 소성한계시험
5. 결과처리

▶ 액소성시험을 통해 흙의 소성도를 측정하여 흙분류를 실시한다.

G: 자갈
S: 모래 L: 소성성이 낮은 세림토

M: 실트 H: 소성성이 높은 세립토

C: 점토
O: 유기질토
P: 이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