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흙의 전단강도

1. 전단강도의 기본개념

• 응력의 증가로 인하여 AF면에서는 수직응력(normal stress)와 전단응력(shear stress)


발생

• 흙은 모멘트에 대하여 저항할 수 없다.

‐입자에 작용되는 응력‐

2
• 전단강도: 파괴가능면에서 전단저항 할 수 있는 최대저항력

• 전단강도는 흑의 고유성질을 나타내는 정수(soil parameter)이 아니고, 흙의 종류에


따라 변하면, 같은 흙이라 하더라도 변할 수 있음.

• τn < τf 이면 안전(stable)

• τn ≥ τf 이면 불안전(unstable)

‐사면과 전단강도‐

3
마찰계수 μ=tanΦ로 가정하면

∴ τn = σnᆞtanΦ (for Sand)

∴ τn = c + σnᆞtanΦ (for Clay)

‐블록의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

4
‐사질토의 대표적인 전단저항각(내부마찰각)‐

5
2. 파괴이론

• 전단강도: 파괴가능면에서 전단저항 할 수 있는 최대저항력

• 전단강도는 흑의 고유성질을 나타내는 정수(soil parameter)이 아니고, 흙의 종류에


따라 변하면, 같은 흙이라 하더라도 변할 수 있음.

• τn < τf 이면 안전(stable)

• τn ≥ τf 이면 불안전(unstable)

‐Mohr‐Coulomb 파괴 기준‐

6
파괴면의 설정

• 파괴면(또는 파괴가능면) 설정 (파괴면은 아무렇게나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법칙에 의해 형성됨. 즉, 파괴면과 최대 주응력면과는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다)

7
p-q 다이아그램 상의 파괴기준

τf = c + σnᆞtanΦ

qf = a + pᆞtanα

‐Mohr‐Coulomb 파괴면과 Kf 선과의 관계‐

8
파괴기준 1

τf = c + σnᆞtanΦ

9
파괴기준 2

10
파괴기준 3

qf = a + pᆞtanα

11
2. 전단강도 정수를 구하기 위한 실내시험
1. 직접전단시험(Direct Shear Test)
• 파괴면을 임시로 설정.

• 파괴면을 일정한 수직응력을 가하고 있는 중에,

• 전단응력을 계속 증가시켜 전단파괴가 발생될 때의 전단응력이 전단강도이다.

‐직접전단시험 기구‐

12
• 느슨한 모래는 실선과 같이 전단응력이 계속 증가하다가 전단
강도에 이르면 파괴. 전단 시에 시료는 수축하는 현상을 보임.

• 조밀한 모래는 점선과 같이 전단응력이 증가하여 Peak에 이르


고 이후에도 계속 전단을 가하면 전단응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

• 조밀한 모래의 전단 시 체적은 전단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다가


파괴에 근접할수록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보임.

‐직접전단시험 결과(각각의 실험)‐

13
직접전단시험의 장단점
• 시험자체가 간단함.

• 파괴면을 임으로 미리 설정(완전히 균일한 흙에서는 파괴면을 미리 정해도 되나, 일반적으로 실


크랙 등의 연약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응력면과 θ=45°+Φ/2의 각도를 가지고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연약대가 파괴면이 됨. 따라서 연약대가 존재하는 흙임에도 불구하고 연약대가 아닌 다른
면을 파괴면으로 가정하고 실험했을때 실제의 흙과 상당히 다른 결과를 보여줌).

• 수침실험을 하는 경우 비배수조건을 제어 하기가 힘듬.

• 흙과 흙 사이의 강도정수를 구할 뿐만 아니라, 흙과 콘크리트, 흙과 강(steel)사이에의 강도정수를


구할 수 있음.

‐흙과 구조체 사이의 직접전단 시험기구‐

14
예제>> 건조한 모래에 대하여 불행히도 직전전단실험을 1회밖에 실시하지 못하였다. 실험결과는

σn=6.5kg/cm2에 대하여 τf=4.1kg/cm2이었다.

1) σ-τ그래프 상에 위의 점을 찍고 Mohr-coulomb 파괴포락선을 그려라(단, c=0).

2) 파괴 시 최대주응력의 크기와 방향을 표시하라.

3) 최대전단응력의 값.

4) 전단파괴면은 3)의 최대전단응력이 작용되는 면이 아니라 그보다 적은 전단응력에서 파괴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라.

15
1) 3)

2)
4) 최대전단응력이 작용하는 면은 그림에서 점 T로 표시됨. 점

T에서는 τ=4.84kg/cm2, σn=9.08kg/cm2일때는 전단강도

τf=9.80xtan32.24°=5.73kg/cm2이 되어야 파괴됨. 최대전단응

력이 작용하는 면(점T)에서는 전단응력이 최대이긴 하지만 σn

도 크기 때문에 전단강도가 커져 파괴되지 않고 그보다 전단

강도가 작은 실제 파괴면(점B)에서 파괴가 됨.

16
2. 삼축시험(Triaxial Shear Test)
• 현장조건을 가장 잘 재현할 수 있는 시험.

• 직접전단시험과 달리 파괴면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흙입자 외부에서 최대주응력과 최소


주응력을 가하여 두 응력차로 인하여 흙입자 내부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전단파괴면이 형성되고
이 파괴면을 따라 전단파괴가 발생되도록 하는 시험.

‐삼축압축시험 기구‐

17
1) 구속압력(confining pressure)단계
• 시료를 셀(cell)에 넣고 셀을 물로 채우고 물에 압력을 주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흙입자에 구속
압력 σ3를 가한다.

18
2) 축차응력(deviatoric stress), Δσd
• σ3를 계속 지속시키면서 연직축 방향으로 하중을 추가로 계속 증가시킴.

• 결국 흙입자는 전단파괴가 일어남.

19
• 첫 번째 단계는 등방압력을 흙입자에 가하므로 흙입자에는 전단응력이 전혀 발생되지 않을 것이
며, 둘째 단계인 축차응력을 가할 때에 전단응력의 증가로 저단파괴가 일어남. 실제 현장에서 전
단파괴는 보통 지하수위 하에서 발생되므로 실험 시 먼저 시료를 완전히 포화시킨 후에 삼축실
험을 실시.

• 구속압력 또는 축차응력을 가할때 외부응력의 증가분은 흙이 받아주든지, 물이 받아주든지 해야


함. 시험 시 배수조건에 따라 물이 받아주는 부분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흙이 받아주는 부분인
유효응력이 달라짐.

• 따라서, 삼축압축은 구속압력 작용 시와 축차응력 작용시 물을 배출시키느냐, 배수시키지 않느냐


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음.

① 압밀 배수시험(Consolidation Drain Test; CD Test) 구속압력 시에도 축차응력 시에도 배수시


키며 하는 실험.

② 압밀 비배수시험(Consolidation Undrained Test; CU Test) 구속압력 시에는 배수조건, 축차응


력 시에는 비배수 조건에서 하는 실험.

③ 비압밀 비배수시험(Unconsolidated Undrained Test; UU Test) 구속압력 시에도 또한 축차응


력 시에도 배수를 시키지 않고 하는 실험.

20
(1) 압밀 배수시험(CD Test)
• 압밀 배수시험은 구속압력 시에도, 축차응력 시에도 완전배수를 허용하는 시험.

21
‐CD 삼축압축실험 결과‐

22
‐CD 실험결과(모래, 정규압밀 점토)‐ ‐CD 실험결과(과압밀점토)‐

23
1) 구속압력 단계: 구속압력 단계는 σ= σ3를 가하
여 등방압밀을 시키는 단계이므로 응력경로는
그림에서 O->A에 해당함.

2) 축차응력단계: σ3는 고정이고 파괴될때까지 축


차응력을 증가시키므로 σ1은 계속 증가하여 σ1f
에서 파괴되며, p-q 다이아그램을 나타내는 꼭
짓점은 A점에서 시작하여 A->B까지 응력경로
가 발생하며, B점은 파괴점이므로 Kf선과 만나
게 된다.

3) CD시험에서는 과잉간극수압이 발생되지 않으


므로 유효응력과 전응력이 같다. 따라서 A->B
의 응력경로는 전응력 응력경로이자 동시에 유
효응력경로임.

‐CD 삼축압축시험의 응력경로‐

24
(2) 압밀 배수시험(CU Test)
• 구속압력 시에는 배수를 시켜 압밀을 시키고, 축차응력을 가할 시에는 배수를 시키지 않고 전단
파괴시킴.

• 축차응력을 가할 시, 흙입자가 수축하는 경향이 있으면 수축대신 정(+)의 과잉간극수압이, 만일


팽창할 경향이 있으면 오히려 부(-)의 간극수압이 발생함.

25
‐CU 삼축압축실험 결과‐

26
• 구속압력 시에는 CU시험과 동일.

• 2단계인 축차응력시에는 축차응력-축병형율 그래


프의 모양 역시 CU결과와 유사.

• 다만, CU실험에서는 배수가 허용되지 않으므로 느


슨한 모래(NC clay)의 경우는 체적수축 경향을 띠
므로 과잉간극수압이 정으로 증가하며, 조밀한 모
래(OC clay)는 초기에는 수축 경향으로 인하여 간
극수압이 증가하다가 전단파괴에 가까워질수록 팽
창하려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부의 간극수압이 생
성됨.
‐CU 삼축압축실험 결과(모래, 정규압밀 점토)‐
• 전응력: 실선, 유효응력: 점선

27
• 구속압력 단계: O->A

• 축차응력 단계: σ1이 점점 증가하여 1->2(전응력), 1’->2’(유


효응력)

• TSP: A->B->C, ESP: A’->B’->C’

• 정규압밀점토의 경우는 정의 과잉간극수압이 생성될 때의


응력 경로이며, 과압밀점토의 경우는 부의 과잉간극수압이
발생되므로 ESP가 계속 왼쪽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오른쪽으로 가는 경향을 보임.

‐CU시험의 응력경로‐ ‐삼축압축시험의 응력경로 요약‐


28
(3) 비압밀 비배수시험(UU Test)
• 구속압력 단계에도, 축차응력 단계에도 배수시키지 않은 채로 실시하는 삼축압축시험.

• 구속압력 단계: 흙입자가 등방압력 σ3를 받으면 수축하고 싶어 하나 배수를 시키지 않으므로 수
축할 수 없게 되고, 대신 과잉간극수압이 다음과 같이 발생됨. Δuc = Bσ3 (B=1) = σ3

29
• UU실험의 제1단계인 구속압력 단계에서 물을 배수시키지 않으므로 가해준 구속압력 σ3는 그대
로 물이 받게 되어 과잉간극수압을 유발한다. 다시 말하여 외부에서 어떤 구속압력을 주든지 흙
입자는 본래부터 갖고 있던 σr’의 유효응력을 받게 됨. 이는 흙입자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을 말함. 흙의 상태가 어는 구속압력이든지 동일한 상태에서 축차응력을 가하므로 파괴 시의 축
차응력 Δσdf 는 구속압력에 관계없이 동일함.

‐UU 삼축압축실험 결과‐

30
4. 일축압축강도시험(UC Test)
• 일축압축강도시험은 점성토에서 주로 하는 실험이며, 원리상 비압밀 비배수 삼축압축시험의 일
종으로 볼 수 있음.

• 삼축압축실험에서 제1단계인 구속 압력 단계를 생략하고, 제2단계인 일축 하중만 가하는 실험.

• 이론상으로는 UU실험결과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와 일축압축강도시험으로 부터 구한 비


배수 전단강도가 같아야 함. 점토에 실크랙이 있는 경우 아무래도 구속응력을 가해주는 것이 시
료가 더 안정적인 성격을 띠므로, 일축압축강도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가 약간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UC 일축압축실험 결과‐
31
‐점토의 일축압축강도에 따른 점토의 분류‐

32
5. 베인전단시험(Vane Shear Test)

‐베인전단시험기‐

33
‐현장베인시험에 대한 수정계수‐

34
6. 강도정수의 적용
• 전단강도이론은 파괴이론이다. 압밀 및 침하편에서 다루었던 것은 비록 변형이 크나, 작으냐의
문제는 있었어도 파괴는 되지 않는 경우, 즉 탄성변형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었으나, 전단강도는
파괴이론이므로 ‘임의의 파괴가능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이 전단강도 보다 크게 되면 그 지반은
파괴되고 만다.’는 소위 소성론의 문제이다.

‐단계성토에서의 전단강도 사용‐


‐유효전단강도 사용 예‐

3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