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7

충격시험

충격시험법

삶의질 표준본부/에너지인프라연구단
박종서
parkjs@kriss.re.kr

1
충격시험

내용

1. 개요
- 충격시험 분류
- 국·내외 적용규격
2. 충격이론
- 충격흡수에너지 등
3. 충격시험기 및 충격시험편
4. 충격시험법 및 주의사항
5. 충격시험의 오차요인 및 영향인자
6. 충격기준편
7. 계장화 충격시험기
8. 충격특성과 파괴
9. Charpy 충격시험 이외의 충격시험

2
충격시험

충격시험의 필요성

o 기계나 구조물의 파괴 사고는 정적(靜的) 하중에 의한 것보다


동적(충격)하중이나 반복 하중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많

o 저탄소강과 같은 재질은 고온이나 낮은 변형속도에서는


연성을 나타내지만 저온이나 높은 변형속도에서는 취성을
나타냄

o 이 때문에 기계구조용 강재나 압력용기용 강재에서는인장시


험이나 경도시험 이외에도 충격시험이 품질보증 시험으로서
중요시 되고 있음

3
충격시험

충격시험

일정 규격의 시험편에 1회의 타격을 가하여 충격파단에 필요한


에너지를 측정하여 재료의 내충격성을 결정하는 시험

하중을 가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표 1.1.)


- 인장, 압축, 비틀림, 굽힘

Charpy 충격시험
(1) 충격굽힘의 일종
(2) 1904년 프랑스의 G. Charpy가 제안

Izod 충격시험은 시험기의 구조상 저온이나 고온에서의 시험이


어려움. 따라서 최근에는 Charpy 충격시험을 많이 실시.
(금속의 경우 현재 KS, ISO에서는 규격이 폐지 됨)

4
충격시험

5
충격시험

충격시험기의 종류

■ Charpy 충격시험기

□ 해머의 형상에 따라

- U type : 해머 형상이 아랫방향으로 ㄷ자형, 내측에 충격날

- C type : 해머 모양이 원판, 중앙부에 충격날

■ Izod 충격시험기

- 시험편의 한쪽 끝을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노치가 있는 면을 타격

6
충격시험

U형 Charpy 충격시험기

지시판
hammer
회전축
중심
횡단면도 정면도

anvil hammer



supports 날

(A) 시험기 전체 (B) 충격날부

7
충격시험

C형 Charpy 충격시험기

Scale

Pendulum
Pointer

Striking edge

Anvil
Specimen
Supports
Main-body

8
충격시험

시험편 지지대 위에 놓인 충격시험편

충격시험편

anvil
(시험편 지지대)

충격 방향
충격날

9
충격시험

충격시험법 규격(ASTM)

- 금속의 Charpy, Izod 충격시험법 : ASTM E 23


1933년 임시규격
1960년 정식 규격화
1964년 기준편을 이용한 충격시험기의 검사방법 포함

- 플라스틱재료의 내충격성 측정 : ASTM D 6110

10
충격시험

충격시험법 규격(KS) - 금속

- KSB 5522(1992): 샤르피 충격시험기

- KSB 5544(2003): 금속재료의 샤르피 충격시험.


시험기 검증을 위한 샤르피 V형 기준시험편의 준비 및 특성

- KS B ISO 14556(2002) : 철강-샤르피 V홈 충격시험.


계장화 시험 방법

- KS B 0810(2003) : 금속재료 충격시험 방법

- KS B ISO148-2(2004) : 금속재료의 샤르피 충격시험.


시험기의 검증

11
충격시험

충격시험법 규격(KS) - 플라스틱

- KS M 3056(2003) : 경질플라스틱의
샤르피 충격시험방법

- KS C 2128(1996) : 플라스틱 및 기타 전기 절연 재료의


충격저항 시험방법

12
충격시험

<기타규격>

ASTM D 6110-02 : Standard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harpy Impact Resistance
of Notched Specimens of Plastics
ASTM A 327 : Impact testing of cast irons
ASTM D 2444 : Standard method of test for impact resistance of thermoplastic pipe
and fittings by means of a tup (Falling weight)
ASTM D 3029 : Standard method of test for impact resistance of rigid plastic sheeting
or parts by means of tup (Falling weight)
ASTM E 208 : Standard method for conducting drop-weight test to determine
nil-ductility transition temperature of ferritic steels
ASTM E 436 : Standard method for drop-weight tear tests of ferritic steels
ASTM E 604 : Standard method for dynamic tear energy of metallic materials

13
충격시험

Charpy 충격시험에서 구하는 충격 특성 (1)


(Charpy 충격시험의 원리)

- 파단에 소요되는 에너지


K = Wh1 - Wh2 P (P 해

서 머
해 의
= WR〔(1-cosA) - (1-cosB)〕 머
무 길
게 이


까 R
= WR (cosB - cosA) 지



)

상승각도 B 낙하각도 A

- 마찰손실을 고려한 실제 소요 에너지


중량 W
K = WR (cosB - cosA) - L
흡수에너지
* L : 베어링부의 마찰, 공기저항
낙하 높이 h1
등에 의해 손실되는 에너지
상승후 높이 h2

• KS B 0810, ISO/CD 148-1에서는 흡수에너지를 K로 표기


예) Kv2 : 충격날 반지름 2 mm 이고 V-notch 의 경우 파단에 필요한 에너지. 시험편
Ku2 : 충격날 반지름 2 mm 이고 u-notch인 경우 파단에 필요한 에너지.

14
충격시험

Charpy 충격시험에서 구하는 충격 특성 (2)

- 연성파면율
(Percentage Shear)
Notch
S = P/A ×100 (%)
Shear Area
(dull)
- 취성파면율
(Percentage Cleavage) Cleavage
Area

B
(shiny)
C = E/A ×100 (%)

P : 연성파단면의 면적
A : 파단면의 전체면적
A
E : 취성파단면의 면적

연성파면율 결정법(1)

15
충격시험

Charpy 충격시험에서 구하는 충격 특성 (3)

100% 85% 70% 60% 50%

40% 30% 20% 10% 0%

(a) Fracture Appearance Charts and Percent Shear Fracture Comparator

10 20 30 40 50 60 70 80 90

(b) Guide for Estimating Fracture Appearance

연성파면율 결정법(2)

16
충격시험

17
충격시험

Charpy 충격시험에서 구하는 충격 특성 (4)


■ 횡팽창을 구하는 법
노치부

b -mil : 전선의 지름을 재는 단위, 1/1000 inch.


원주의 1/6400의 호에 대한 중심각
횡팽창(lateral expansion) : a - b (단위 : mm)

18
충격시험

- Charpy 충격시험기의 비교(KS)

시험기용량 (J) 300 500

해머의 중량 W ( N) 약 240 - 250 약 390

회전축중심-해머의 무게중심간 거리 R (m) 약 0.65 약 0.72

해머의 낙하각도 A ( ° ) - WR(1-cosA)=30 로부터 약 150 약 142

회전축중심-해머의 타격점간 거리 l (m) 약 0.75 약 0.85

충격속도 v (m/s) 5.0 - 5.5

- 충격날의 선단반경
KS,ISO,JIS : 2 mm
ASTM : 8 mm

19
충격시험

충격날(2R, 8R)에 의한 흡수에너지의 차이

- 시험온도 : 0 OC
- low, high energy : 차이 없음
super high energy : 150 J 근처에서
8R이 약 5.6 % 크게 측정됨.
180
160
140
흡수에너지 (J)

120
100
80
60
40
20
0
2 mm 8 mm
충격날 반경

20
충격시험

55 mm

L L 10 mm

45o

10 mm
0.25 mm

8 mm
radius

(a) Specimen with V notch

55 mm

L L 10 mm

saw slot

10 mm
2 mm diameter
5 mm

(b) Specimen with keyhole notch

55 mm

L L
10 mm
2 mm

10 mm
5 mm

(c) Specimen with U notch

<금속용 Charpy 충격시험편 (표준형)>

21
충격시험

2.5 mm 5 mm 7.5 mm 10 mm 20 mm

10 mm
2 mm

5 mm
1 mm

3 mm 0.610 mm

< 금속용 Charpy 충격시험편 (소형)>

75 mm

47 mm 28 mm
10 mm
45o

10 mm
8 mm

< 금속용 Izod 충격시험편 (표준형) >

22
충격시험

6.45 mm

6.35 mm

152 mm
6.25 mm

< 다이캐스팅(die casting) 재료의 충격시편 >

L
** 충격치 = 흡수에너지/노치부 원단면적
ex) 두께 5 mm, 폭 10 mm, 노치깊이 2 mm,
흡수에너지 60 J 일 때 충격치는 ?
< 회주철 및 백주철의 충격시편 > 충격치 = 60 J / {0.5 cm X (1 cm - 0.2 cm)}
= 150 J/cm²

23
충격시험

충격시험시의 주의 사항

안 전 제 일 !!!

- 시험자 이외 접근 통제

- 특히 해머의 회전반경 내에 접근 통제

- 파단 후 튀어 나가는 시편에 주의

24
충격시험

A. 시험준비

- 시험편 칫수측정 : 특히 노치 깊이, 노치의 선단 반경

- 시험기의 간이 점검

1) 각 부위의 이상 점검
2) 시험기의 수평 점검
3) 시험편지지대의 수평점검
4) 앤빌 사이의 거리 측정
5) 시험기의 마찰 손실 측정
6) 지시장치의 점검

25
충격시험

충격시험결과

시험온도 : ( ± )℃

시편 시편 크기 충격흡수에너지 Lateral
분류 (J) Expansion (mm)

WxhxNxRxL 노치 측정값 평균값 측정값 평균값


(mm) 각도
(deg)

A-1
A-2

h
R
N

w
L

충격시험 기록지 양식(예)

26
슬라이드 26
p1 park, 2008-11-05
충격시험

B. 시험

- 저온시험시
: ①보통저온조에서냉각.
②시험편은바닥에서25 mm이상위에, 액조벽에서10 mm떨어지고,
시험편위로도 25 mm이상냉매가있도록위치시킴.
③냉매교반시킴.
④냉매가액체인경우 5분이상, 기체인경우30분이상시험온도에서
유지후시험(KS B 0810, ASTM E-23).
⑤5초이내에시험완료
6 지정온도와의오차: +1 C
-10
Acetone and dry ice
Alcohol and dry ice
-20

Note : -40 oC = -40 oF


-30
-30 oC = -22 oF
온도(℃)
-40
F = (9/5) oC + 32
o

-50
0 10 20 30
시간 (s)

< 40 oC의 저온조로부터 꺼낸 강재 시험편의 온도변화>

27
충격시험

- 고온 시험시
: 전기로나 염욕(salt bath) 사용하여 가열.
5초 이내 에 시험 완료.
전기로의 경우 : 챔버 벽에서 50 mm이상, 시험편끼리 간격 10 mm이상
떨어뜨려야 함.(KS B 0810)

* 어떤 경우에나 시편을 꺼내는 기구도 시험편의 온도와 같게 해야 한다

- 온도측정
: 사용온도 범위에 맞는 열전대 (thermocouple) 선택 사용.

- 저온 및 고온 충격시험을 위한 온도조절 방법
: 표 참조

28
충격시험

< 저온 및 고온 충격시험을 위한 온도조절 방법>

Heating Oven to + 538℃ (+1000℉)


High Temperature Oil (*) to +260℃ (+500℉)
Melting Ice & Water 0℃ (+32℉)
Alcoho1 & Powdered Dry Ice to -70℃ (-94℉)
Agited Isopentane Cooled
with Liquid Nitrogen -70℃ to -155℃ (-94℉ to -248 ℉)
Liquid Nitrogen -196℃ (-321 ℉)

* Be careful not exceed flash point tempertre of oil.

29
충격시험

충격시험의 오차요인 및 영향인자

** 오차요인

A. 시험기
a. frame : 강성
b. 해머 : 회전축, 회전축 중심과 타격점간 거리, 충격날의 형상 과 강성
c. 앤빌 : 형상, frame에 부착, 간격, 좌우 평면도, 수평 수직도
d. 눈금판과 지침 : 눈금, 지침의 원활한 작동 - digital화로 해결

B. 시험기 설치
a. 기초대 : 높이,중량,강도
b. 설치 : frame의 움직임, bolt

30
충격시험

C. 시험편
a. 재질 :조직, 내부결함, 각종처리조건
b. 열처리 :균일성, 형태의 변화
c. 가공 :칫수와 형상, 노치 형상, 면의 마무리

d. 균일성 :로트 내, 로트 사이

D. 종합성능
a. 에너지 손실
: 동적 강성문제 - 기초대, 시험기 설치상태 포함
- 직접적인 방법은 미확립 상태
- 충격기준편을 사용하는 종합오차검사 장려

E. 시험자의 시험기술 문제 - 자동화 시험기 사용

31
충격시험

** 영향인자

A. 충격속도의 영향
- 상용 충격시험기 (v : 3 m/s ∼ 5 m/s) : 영향 없음
- 특수 시험기 (v : 300 m/s 까지 변속) : 어떤 임계속도 이상에서는 내충격성
급격히 감소.
동일한 강이라도 경화된 상태보다 풀림(annealing)상태가 훨씬 낮음

B. 시험편의 영향
- 시험편의 폭이나 두께 감소시
a. 금속이 변형되는 부피 감소 : 흡수에너지 감소
b. 소성영역 주위의 구속 불충분 : 취성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경향 감소.
흡수에너지의 양 증가
ex) 표준시험편 폭의 1/4, 2/3인 소형 시험편 시험시 흡수에너지
- 상온 : 시험편 폭에 비례
- 저온 : 표준시험편의 3배

32
충격시험

- 노치 각도의 영향 (표 참조)
: 60° 까지 영향 없음

- 노치 선단반경의 영향 (표 참조)
: 뾰족할수록 - 응력집중이 커져 흡수에너지 감소
고인성 재료와 저인성 재료의 결과차이가 커짐
( 고인성 재료일수록 선단반경의 영향 줄어듬)
: V 노치의 경우에 0.25 mm를 표준으로 함

- 노치 깊이의 영향
: 얕은 것이 인성 차이, 재질의 조성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값의 변화가
큼.
5 mm 깊이 key hole 노치보다 2 mm 깊이의 V 노치를 많이 사용

33
충격시험

34
충격시험

35
충격시험

C. 온도의 영향
-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Transition temp. range
강도나 연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큼

- 천이온도영역
(transition temperature region)
: 연성, 취성이 혼합된 파괴양상. Ductile failures

Energy to rupture
노치에 대한 민감도가 큰 재질,
노치의 선단이 보다 뾰족할 경우
높게 나타남. Mixed failures

Brittle failures
- 실제 예 : 그림 5.2
Temperature

그림 5.1 온도와 충격흡수에너지 관계의 개략도

36
충격시험

180
SAE Quenched Tempered Series 3
Series
steel in oC
160
3 3140 Oil 700
4 3140 Air 565
140 5 2340 Oil 650
6 2340 Air None
7 2340 Oil 600 Series 5
120 Series 4
8 2340 Lead None

Charpy impact value, J


100 Series 7

80
Series 6
60

40 Series 8

20

0
-120 -80 -40 0 +40

Temperature, oC
Note : 100 J = 74 ft-lbf

그림 5.2 온도와 충격흡수에너지 관계의 실제 예

37
충격시험

충격기준편

□ 사용 목적
- 정량화하기 어려운 변수들을 고려한 정밀정확도 평가
• 충격력에 의한 시험기의 진동
• 시험기 및 기초대 자체에 의한 에너지 흡수 등

∗ 충격기준편을 사용하여 시험기를 교정하도록 규정


KS B ISO 148-2, JIS B7722 : 검증주기가 12개월 넘지 않도록 규정
ΑSTM E23 : Charpy impact machines must be verified annually.

38
충격시험

□ Charpy 충격기준편 개발 및 보급 현황
- 미국 : AMMRC(미 육군재료역학연구센터)에서 개발
현재 생산 및 보급 업무가 NIST로 이관됨
- 일본 : 통산성 산하의 계량연구소 주축으로 1985년 개발 완료
JIC(일본검사주식회사)에서 보급 중
* YAMAMOTO, ASAHI 등에서 제작
- 유럽 : EC의 IRMM(Institute for Reference Materials and
Measurements) 산하
BCR(Community Bureau of Reference)의 주관하에
2000년부터 개발 및 보급 중

39
충격시험

** 필요성에 비해 개발이 늦어지는 이유


- 소재문제 : 청정도, 편석의 제거
- 공칭값의 낮은 신뢰성 : 추출방식으로 시험하여 로트 단위의 평균치를 취함
(로트내의 균질성을 미리 보증 하는 것이 중요 : 경도시험 등)

** 미국(NIST)의 충격기준편
- 재질 : AISI 4340 (KS SNCM 8, 구조용합금강 C 0.36-0.43 %)
- 공칭값 : low (13∼ 20) J, high (88~ 136) J, super high (176~244) J
- 구성 : 4-5 ea/set (2001년부터 판매되는 것은 거의 4ea/set )
- 시험온도 : low 및 high energy : (-39 ~ -41) ℃
super high energy : (20 ~ 22) ℃
- 허용오차 :low energy ± 1.4 J 이내
high energy 공칭값의 ± 5 % 이내
- 최종 열처리후 경도의 균일성 : HRC로 1 이내

40
충격시험

계장화 충격시험

* 필요성 : 재료의 충격특성 및 동적 파괴인성 특성연구

*구 성

- 계장화 충격날
: tup이나 anvil에 하중 측정용 센서 설치
- 신호조절장치
: 시간 또는 변위에 따라 변하는 하중 측정
- 기록장치
: 하중-시간곡선, 하중-변위곡선 구함

41
THE SAME IMPACT ENERGY AT AMBIENT TEMPERATURE

SAME FRACTURE PROPERTIES ?

m m
N N N m
m
0 8 8
1 2
4 2 2
B 6 6 6
6
.
5
.
3 4 4 3 4
= = = = =
x x
Y a a
G m I m I
P P P d d
<계장화 충격시험의 필요성>
J

42
6
.
5
0
1
m m
N N N m
m
5 0 2
6 7
A 3
0
9
5
4
4
9 5
.
.
6 6 6 1 2
= = = = =
x x
Y a a
G m m
P P
I
P d
I
d
충격시험
충격시험

Bridge Correction
balance & Integrator
Shunt resistant for Circuits
Calibration amplifier
Signal
Energy Digital
Printer
Output Plotter

Load
Output
Transient
Recorder PC

Power Disk
supply drive

Anvil Trigger
Input
Photomultiplier Time base Encoder Fractomat
Light path Specimen

Instrumented
Tup

Light
Instrumented
Source
Impact Tester

43
충격시험

* 계장화장치로 얻은 시험결과 예
항복하중(Fy) 취성파괴하중(Ft)
최대하중(Fm) 균열정지하중(Fa)
Fm

Fy
연성균열
Ft
하중

vCi vCp
소성 Shear lip
Fa

벽개균열 소성 hinge

변위(시간)

총 흡수 에너지 = 균열발생 에너지 + 균열전파 에너지

44
충격시험

Charpy 충격특성과 파괴

** Charpy 충격시험의 특징
- 시험편이 소형이며 노치가 있다
- 충격력에 의해 시험편 파괴
- 시험온도를 변화 시켜 시험
- 시험편 파단시의 흡수에너지 양으로 시험결과 평가

** 시험온도(T)와 흡수에너지(vC)의 관계
- 취성영역
- 천이영역 : 온도의 변화에 따른 흡수에너지의 변화가 급격한 부분
(평균 에너지 천이온도 : vCmax 혹은 vCus의 1/2에 상응하는 시험온도.
vTrc 천이특성을 표시하는 대표값으로 사용)
- 연성영역 : 흡수에너지가 거의 일정, upper shelf energy(vCus)
어떤 경우에는 특정온도에서 최대치(vCmax)를 나타냄

45
충격시험

- 파면천이온도(vTrs) : 저온의 취성영역에서 연성영역으로 시험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시편의 파면에 대한 취성파면의 비율은
감소함. 이 때 취성파면율이 50 % 되는 온도

** 시험결과의 정리
- 취성파면율로 정리시 흡수에너지로 하는 것보다 흐트러짐이 작고
천이온도도 쉽게 구할 수 있음
- 파면율을 결정하는 측정방법이 어려움
- 공업적 측정방법으로 채용 하기에는 어려움

46
충격시험

취성파면율
vTrs
시험온도 파면천이온도

흡수에너지

vTrc
시험온도

평균에너지천이온도

<Charpy 충격시험의 결과 예>

47
충격시험

** 천이특성에미치는여러인자들의영향(그림8.3)

-시험편의크기
- 변형속도
- 노치의형상(그림8.2)
: 2 mmUnotch
5 mmUnotch - 파괴발생특성이강함
2 mm Vnotch - 파괴전파특성이강함
(5 mmUnotch보다천이온도가높고천이영역에서교차함)

48
충격시험

2 mm U

V
흡수에너지 5 mm U

시험온도

그림 8.2 천이곡선의 모식적 비교

49
충격시험

(가) 시험편 두께 (나) 2회 타격 (다) 노치 형상


표준 V 노치

표준 V 노치 표준 V 노치

균열전파천이 프레스 노치

최초에너지-소
프레스 노치

흡수에너지

흡수에너지
균열발생천이
흡수에너지

연성균열
최초에너지-대 표준 V 노치
침탄층
(침탄시험편)

시험온도 시험온도 시험온도

그림 8.3 천이특성에 미치는 제 인자의 영향

50
충격시험

** Charpy 충격시험결과의 이용

- 제 2차 세계대전 전, 전시중
: 구조물의 취성파괴 발생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강재의 재질평가 목적.
천이온도와 upper shelf energy의 물리적 의미 불분명.
선박의 취성파괴- 20.3 J (15 ftㆍlb) 보다 낮을 때라고 결론.(미국)

- 제 2차 세계대전 후
: 개선된 재질의 선박취성파괴 방지- 47.4 J (35 ftㆍlb) 이상 (영국 선급협회)

- 현재
: 물리적 해석 불명확
시험의 간편성
많은 데이타의 축적
파괴역학 개념 도입- 하중, 결함 크기, 파괴인성간의 상관관계 (표 8.1)

51
충격시험

52
충격시험

** 충격인장시험(Impact tension test)

- 일정규격의 인장시험편에 충격인장 하중을 가해 파단될 때 소비되는


에너지, 연신율, 단면수축률 등을 구하는 시험

-펜듈럼 해머 방식 : (그림 10.8) Charpy 충격시험방법 응용.시편 파단후


상승된 해머의 각도측정하여 흡수에너지 계산.

- 낙하 하중방식 : (그림 10.9)


잔여 에너지 측정방법 : ① 낙하 추 아래에 연한 금속이나 스프링을
놓고 이들의 변형량으로부터 구하는 방법.
② strain gage 또는 oscillograph를 사용.

- 시험편 : 그림. 10.10

53
충격시험

scale

해머
pointer

시편정지판

충격인장시편
지지대

시편정지판
main-body

그림 10.8 Charpy 충격시험기를 이용한 충격인장시험

54
충격시험

횡주(cross head)

시험편

프레임

정지대

그림 10.9 낙하하중방식 충격시험기

55
충격시험

9/16" dia. 12thd.


R2 U.S. Std.

6
21 58 21

100

그림 10.10 충격인장시편 (ASTM)

5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