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토목시공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Lecture 3.
Earthwork & Volume Calcula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Part 1.

토공사
Earth Work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
토공사

• 토공사 (Earthworks)
- 자연 지형에 시설물을 설치, 공사하기 위하여 계획면보다 높은 곳은 낮추고, 낮은 곳은 높이는 일체의
흙 일에 대한 행위

깎기 싣기 운반 쌓기 다짐
(Cutting) (Loading) (Conveying) (Banking) (Compac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
토공사
• 깎기 (Cutting; 절토)
- 굴착이라고도 하고 흙을 파헤치는 것
- 터파기와 구별

• 터파기 (Excavation)
- 일정한 모양으로 지반으로 파내는 것
- 구조물 터파기, 기초 터파기

• 싣기 (Loading)
- 절토한 토사를 운반차에 싣는 작업

• 쌓기 (Banking)
- 운반한 토사를 소정의 장소에 버려 쌓아 올린 것

• 다짐 (Compaction)
- 성토한 흙을 다지는 작업으로 다짐상태는 상대밀도로 나타냄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4
토공사

• 끝맺음 (Finishing) : 고르기


- 절토나 성토의 표면을 소정의 모양으로 만드는 것

• 토취장 (Borrow-pit)
- 흙을 채취하는 장소

• 토사장 (Spoil-bank) °
- 절토한 흙을 버리는 곳

• 야적장
- 절토한 흙을 성토나 되메우기 시에 활용하기 위하여 임시로 보관하여 두는 곳

• 안식각 (Angle of slope; 자연구배)


- 안정된 사면과 수평면 사이의 각, 일반토사 경우 30°~35°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5
토공사

• 더돋기 (Extra banking)


- 다짐이 중요하기 않은 성토나 연약지반의 침하촉진을 위하여 소정의 높이보다 추가로 성토하는 것

• 벌개제근 (伐開除根)
- 절취부, 토취부, 흙쌓기부에서 풀이나 나무뿌리를 제거하는 처리
°
 유기물 부식 또는 부등침하 방지

• 표토제거
- 지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하는 행위

• 되메우기
- 터파기 흙을 작업완료 전에 다시 메우는 작업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6
토공사 준비

• 시공기면 (formation level, formation height)


• 시공기면(계획고)은 절토나 성토를 하고자 하는 계획된 높이

• 도로나 철도에서와 같이 지형 조건과는 관련이 적은 곳과 단지조성 등과 같이 지형조건에 결정

- 시공기면 결정시 고려사항


• 절성토량의 균형으로 토공량이 최소가 되게 해야 됨

• 가까운 곳에 토취장과 토사장을 설치하여 운반거리를 짧게 해야 됨

• 암석굴착은 비용 부담이 크므로 적게 해야 됨

• 연약지반, 산사태, 낙석의 위험이 있는 곳은 가능한 지양하고 어쩔 수 없을 경우 철저한 대책 수립 해야 됨

• 사면안정에 철저한 조치해야 됨

• 부대구조물이 작고 법면의 연장이 짧아야 됨

• 용지보상이나 지장물 보상이 최소가 되게해야 함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7
토공사의 준비

- 계획고 (Formation height : F.H) : 흙을 쌓거나 깎고자 하는 예정된 높이

- 지반고 (Ground level : G.L) : 토공사를 하기 전 원래 지반의 높이

- 절토고 (Cutting Height : C.H) : 절토 높이

- 성토고 (Banking Height : B.H) : 성토 높이


• F.H - G.L > 0 : 성토고

• F.H – G.L < 0 : 절토고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8
토량의 변화
• 토량환산계수 (f)
- 흙을 굴착해서 운반하고 성토할 경우, 흙이 자연상태인 원지반에 있을 때와 흐트러진 상태로 있을 때 흙의 단위중량을
변환하는 계수
• 자연상태의 토량 : 굴착할 토량, 본바닥 토량, 원지반 토량
• 운반상태 (흐트러진) 토량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느슨한 토량 (L)

운반상태의 토량 (𝑚𝑚3 ) 자연상태의 밀도 (𝑡𝑡/𝑚𝑚3 )


𝐿𝐿 = =
자연상태의 토량 (𝑚𝑚3 ) 운반상태의 밀도 (𝑡𝑡/𝑚𝑚3 )

• 완성상태의 (다진 후) 토량 : 마무리된 성토량, 다져진 상태의 토량 (C)

완성상태의 토량 (𝑚𝑚3 ) 자연상태의 밀도 (𝑡𝑡/𝑚𝑚3 )


𝐶𝐶 = =
자연상태의 토량 (𝑚𝑚3 ) 완성상태의 밀도 (𝑡𝑡/𝑚𝑚3 )
구하는 토량
자연상태의 토량 흐트러진 토양 다진 후의 토량
기준이 되는 토량

자연상태의 토량 1 L C
1 L C
흐트러진 토량 1=
L L L
1 L C
다진 후의 토량 1=
C C C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9
토량의 변화

• 예제. 다음 빈칸에 토량환산계수 값을 구하시오.


- 단, L=1.25, C=0.8 이다. 소숫점 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구하는 토량 (Q)
본바닥 토량 느슨한 토량 다진 후 토량
기준이 되는 토량 (q)

본바닥 토량

느슨한 토량

다진 후 토량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0
Part 2.

토공량 산출
Earthwork Volume Calcula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1
토공량 산출

• 단면법
- 양단면 평균법
• 철도, 도로, 수로 등과 같이 긴 노선의 성토량, 절토량을 계산할 경우에 이용하는 방법

• 𝐴𝐴1 , 𝐴𝐴2 : 양단면적

𝐴𝐴1 + 𝐴𝐴2
𝑉𝑉 = × 𝑙𝑙
2

𝐴𝐴2

𝐴𝐴1

𝑙𝑙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2
토공량 산출
• 양단면 평균법 예제
- 자연상태의 모래질 흙을 그림과 같이 도로의 토공계획 시에 필요한 성토량을 토취장에서 15ton 덤프트럭으로 운반하여 시공
한다. 측점별 단면적은 𝐴𝐴0 = 0𝑚𝑚2 , 𝐴𝐴1 = 10𝑚𝑚2 , 𝐴𝐴2 = 20𝑚𝑚2 , 𝐴𝐴3 = 40𝑚𝑚2 , 𝐴𝐴4 = 42𝑚𝑚2 , 𝐴𝐴5 = 10𝑚𝑚2 , 𝐴𝐴6 = 0𝑚𝑚2 일 때, 성토
에 필요한 흐트러진 토량은? (단, 자연상태의 흙의 단위무게=1.7t/𝑚𝑚3 , L =1.25, C=0.88이며 , 𝐴𝐴0 는 측점 No.0의 단면적임

지반선

No.0 No.1 No.2 No.3 No.4 No.5 No.6


계획선

성토지역

10m 20m 20m 20m 20m 10m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3
토공량 산출
• 양단면 평균법 예제 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4
토공량 산출

• 단면법
- 각주공식
• 다각형으로 된 양단면이 평행하고 측면이 전부 평면으로 된 입체를 각주라 함

• 𝐴𝐴𝑚𝑚 : 𝐴𝐴1 , 𝐴𝐴2 의 중앙의 횡단면적

𝑙𝑙
𝑉𝑉 = (𝐴𝐴 + 4𝐴𝐴𝑚𝑚 + 𝐴𝐴2 )
6 1

𝐴𝐴2

𝐴𝐴𝑚𝑚
𝐿𝐿
𝐴𝐴1 2
𝐿𝐿
2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5
토공량 산출

• 단면법 각주공식 예제
- 다음과 같은 단면을 가질 때 양단면 평균법과 각주공식을 이용하여 토공량을 각각 산정하시오.
• 𝐴𝐴1 = 28𝑚𝑚2

• 𝐴𝐴𝑚𝑚 = 35𝑚𝑚2

• 𝐴𝐴2 = 40𝑚𝑚2

• 𝐿𝐿 = 20𝑚𝑚 𝐴𝐴2

𝐴𝐴𝑚𝑚
𝐿𝐿
𝐴𝐴1 2
𝐿𝐿
2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6
토공량 산출

• 단면법 각주공식 예제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7
토공량 산출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8
토공량 산출

• 점고법 사각형분할법 예제
- 구획정리를 위한 측량결과 값이 그림과 같은 경우, 계획고 10.00m로 할 때 총토량은? (단위 : m)

h1 20m h2 h1

9.50m 10.50m 11.00m

15m

h3 h1
h2
9.80m 9.50m 10.00m

h1 h1
10.50m 9.50m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9
토공량 산출

• 점고법 사각형분할법 예제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0
토공량 산출

• 점고법 사각형분할법 예제
- 구획정리를 위한 측량결과 값이 그림과 같은 경우, 성토량과 절토량을 같게 할 때 기준면으로부터 몇
m의 높이로 하면되는가? (단위 : m)

20m

9.50m 10.50m 11.00m

15m

9.80m 9.50m 10.00m

10.50m 9.50m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1
토공량 산출

• 점고법 사각형분할법 예제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2
토공량 산출
A5
A4
A3
A2
A1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3
토공량 산출

• 등고선법 예제
- 등고선 간격이 10m 이고 각 등고선의 면적이 다음과 같을 때 체적을 구하시오.
• 120m = 4520 𝑚𝑚2

• 130m = 2030 𝑚𝑚2

• 140m = 870 𝑚𝑚2

• 150m = 550 𝑚𝑚2

• 160m = 300 𝑚𝑚2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4
토공량 산출

• 등고선법 예제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5
Part 3.

유토곡선
Mass Curv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6
유토곡선

• 유토곡선 (토적곡선, Mass curve)


- 종단도를 따라 토량을 누계하면서 그린 곡선으로 흙의 운반계획과 토공사를 위한 적정 장비 선정을 위해
작성
- 토공에 있어 절성토 계획상 토량의 운반거리, 운반장비, 토량배분 등에 토적곡선을 이용함으로써 능률적
인 공사 수행을 도모
- 유토곡선의 (+) 부분은 흙이 남고, (-) 부분은 흙이 모자란다는 의미
- 유토곡선에서 0은 절토와 성토가 균형을 이루는 점

• 배분원칙
- 운반거리를 짧게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 토량을 모아서 한가지 방법으로 운반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7
유토곡선

• 유토곡선 작성방법
- 측량에 의한 종단도상의 시공기면

- 횡단도상의 각 구간의 토량산출

- 토량계산서를 이용하여 누가토량산출

- 종축에 누가토량 횡축에 거리를 취한 그래프


에 누가토량을 기입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8
유토곡선

• 유토곡선의 성질
- 상승구간은 절토, 하강구간은 성토
- 곡선의 최대값은 절토에서 성토로 옮기는 점
- 곡선의 최소값은 성토에서 절토로 옮기는 점
- 산모양은 흙을 좌에서 우로, 골모양은 흙을 우에서 좌로 운반
- 기선 위에서 끝나면 과잉, 아래에서 끝나면 부족
- 임의의 평행선과 최대(최소)값까지의 연직거리는 절토에서 성토로 (성토에서 절토로) 운반할 전토량, 또는
절토량 (성토량)
- 평균운반거리는 전토량 2등분 선상의 점을 통과하는 평행선과 나란한 수평거리
- 토공균형점: 수평선이 곡선과 교차한 점 (땅깎기와 흙쌓기가 균형이 되는 점)
- 종점부분이 평행선보다 토량과잉 경우 사토량 – 외부로 반출
- 종점부분의 평행선보다 토량 부족 경우는 순성토량 – 외부에서 반입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9
유토곡선

• 유토곡선(토적곡선) 예제
1,500

- 𝐴𝐴𝐴𝐴구간에서 총절토량은 몇 𝑚𝑚3 인가?


1,000

- 𝐴𝐴𝐴𝐴구간에서 평균운반거리는 몇 m인가? 유토곡선 종점


500

토공량 (𝑚𝑚3 )
- 𝐵𝐵𝐵𝐵구간에서 절성토량의 차이는 몇 𝑚𝑚3 인가? A
B C D
거리 (𝑚𝑚)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
1,000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0
유토곡선

• 유토곡선 예제 풀이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1
절토 시공

• 고려사항
- 작업면적을 되도록 넓게 해서 동시에 많은 장비들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함

- 될 수 있는 대로 중력을 이용

- 지형과 토질을 고려하여 굴착방법 선택

- 배수를 고려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2
성토 시공

• 성토 시 고려사항
- 성토부의 기초지반, 성토재료의 특성을 파악

- 지하수 및 표면수에 대한 조사 실시

- 흙쌓기의 안정 검토 (재해사고나 붕괴사고)

• 성토시공 방법
- 수평층 쌓기: 축제를 수평층으로 쌓아올려서 다지는 공법

- 전방층 쌓기: 전방에 흙을 투하, 다짐에 주의,

- 비계층 쌓기: 가교식 비계이용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3
토공 용어

• 흙의 트래피카빌리티 (Trafficability)
- 토공계획을 세울 때 사용하는 시공장비(기계)가 이동하기가 좋으냐, 나쁘냐를 판가름할 때 사용

- 장비의 성능에 영향을 주어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효율 및 공사비 변화의 주된 요인이 될 수 있음

- 흙의 입도분포나 함수비 등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간단히 콘지수(cone index) 이용

• 리퍼빌리티(Rippability)
- 토공 굴착 시 장비가 암을 얼마나 깎을 수 있는가의 능력

- 불조저에 부착된 리퍼(ripper)의 크기와 능력으로 불도저의 착암능력에 따라 좌우됨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4
Q&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