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토목시공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Lecture 7.
Underground Excavation Method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Part 1.

Underground Excavation Method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
지반굴착

• 지반굴착 (Excavation)
- 토목공사, 도심지 대형 건축공사 시 필요

- 한정된 활용가능 토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필요

- 지반개량 및 지하수 유입 차단 필수

• 공법의 종류
- 개착공법 : 자립식 개착, 흙막이식 개착, 아일랜드공법, 트랜치컷 공법

- 역타공법 (Top-down 공법)

- 케이슨공법 (Caisson 공법) : 오픈케이슨, 뉴메틱케이슨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
지반굴착공법

• 개착공법 (Open Cut)


- 토질 양호시, 여유부지가 있을 때

- 부지가 협소하거나 깊은 굴착 시 별도 흙막이 필요

- 교각기초, 암거, 관로, 지하철, 법면절토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4
지반굴착공법

• 아일랜드(Island) 공법
- 굴착저면에 섬처럼 기초부를 구축하고, 주변부로 굴착

- 건물기둥이나 교량의 교각시곡

- 시공순서: 1-2-3-4-5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5
지반굴착공법

• 트렌치컷 (Trench cut)공법


- 아일랜드 공법과 반대로 주변부를 축조한 후 중앙부로 시공하는 방법

- 건물의 기중이나 교량의 교각

- 시공순서 : 1-2-3-4-5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6
지반굴착공법

• 역타 (Top-down) 공법
- 구조물의 기초를 그대도 지보공으로 이용

- 인접건물과 가까운 도심지 공사, 깊은 지하구조물 신축시

- 토류벽의 안정성이 높고 공기단축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7
지반굴착공법

• 프런트 잭킹 (Front jacking) 공법


- 설치될 구조물을 미리 제작(precast) 한 후 유압 프런트 잭(front jack)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에 구조물을 견
인 설치하는 특수공법

- 철도나 도로 등의 지하굴착 시 기존의 교통을 차단하지 않고 시공 가능한 비개착 공법

- 도심지의 지하철 시공, 상하수도 관로의 매설 등에 유용하게 적용되는 공법

- https://youtu.be/WyimKWVoRM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8
지반굴착공법
• 파이프 루프 (Pipe Roof) 공법
- 터널이나 지중굴착 전에 일정규모의 수평강관을 압입하여 루프
를 형성시켜 내부를 굴착하는 공법
- 강관 보강층을 형성시켜 강관의 빔작용에 의하여 지반의 이완 및
하중 경감효과를 얻어 지반붕괴나 변위를 방지
- 개착이 불가능한 철도, 도로, 하천 횡단, 지하구조물 아래에 시공
하고자 하는 터널이나 구조물의 보조공법
- https://youtu.be/bIpFrmw7Ab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9
Part 2.

Earth Retaining Wall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0
토류벽
• 토류벽 (흙막이벽)
- 벽체가 토압이론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 강성이 크다고 가정한 옹벽, 석축, 슬러리월, 주
열식 말뚝벽체 등의 강성벽체
- 기초 터파기 공사 중에 일어나는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 목적
- 도심지 구간 굴착공사 주변의 지반침하나 건물보호를 목적으로 시공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1
토류벽
• 엄지말뚝+토류판
- 1~2m 간격으로 수직말뚝 (H-beam)을 설치하고 굴착면과 평행하게 토류판을 설치
- 시공이 간단하고 공사비가 저렴
- 히빙 (Heaving)의 우려가 있는 연약지반에서는 불가
- 타입깊이를 1m 이상으로 깊이관입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2
토류벽
• 강널말뚝 (Sheet pile)
- 차수벽과 토류벽의 동시역할이 가능, 연약지반이나 지하수가 많은 곳 용이하게 경제적 시공 가능
- 노후된 경우 맞물림 부위의 지수성이 나빠질 수 있으나 강도와 내구성은 문제없음
- 사력층이나 조밀한 모래지반에서는 타입이 어려움
- 타입에 의한 시공시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문제 발생 – 민원발생 여기 있음
• https://youtu.be/A47OAosNnG4
• Caution : Sheet or Shit ?? https://youtu.be/7FOoK86EQbg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3
토류벽
• 지하연속벽 (Slurry wall) 공법 (Diaphragm Wall)
- 안정액을 굴착부분에 채워넣은 후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지중에 연속된 철근콘크리트 벽을
형성
- 지하철의 개착식 공법, 대형빌딩의 지하굴착
• https://youtu.be/7a0kLnnj_vo
• https://youtu.be/wLPWgT9kgk4

- 특징
• 소음과 진동 적음

• 임의의 치수와 형상 선택 가능

• 벽체의 강성 좋음

• 연속벽 자체를 영구벽체로 활용 가능

• 차수성 우수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4
토류벽
• 지하연속벽 (Slurry wall) 공법 시공시 문제점
- 지중매설물의 사전 철거 필요
- 시공비가 비교적 고가임
- 지반조건에 따라 굴착도랑이 붕괴할 우려가 있는 경우 별도의 보강이 필요
- 사용된 안정액 및 슬라임과 안전액 혼합토는 건설폐기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별도의 폐기물 처리 필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5
토류벽
• 그라운드 앵커 (Ground anchor)에 의한 토류벽 지지
- 보통 ~ 매우 조밀한 상태의 토층 및 암반층에 적용
- 굴착면적이 넓고 굴착깊이가 클 경우 효과적
- 양호한 앵커체 정착지반이 있고, 피압지하수가 없을 때 가능
• https://youtu.be/SnXfz9OwJwU
• https://youtu.be/IxQQ8tUHw4o
- 특징
• 작업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대형장비에 의한 굴착 가능, 시공능률 좋음
• 굴착평면이 큰 경우 버팀공법보다 유리
• 연속되는 공정시 공간의 활용이 자유로움
• 국부적인 벽면 파괴로 토류구조물이 전체 파괴 억제
• 영구형 앵커는 시공 후 제거 어려움
• 이웃대지까지 앵커가 침범하여 민원발생 여지
• 정착지반이 연약한 경우 적합하지 않음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6
토류벽
• 버팀대 (Strut)의 의한 토류벽 지지
- 주위지반이 연약한 경우, 외부 용지에 여유가 없을 때, 굴착규모가 중규모 이하로
평면형상일 때 적용
- 전 지층에 가능하며 특히 연약한 점토질 또는 느슨한 상태의 매립지나 퇴적 사질토
지반에 적합 (굴착하면서 버팀대의 보강이 가능)
- 특징
• 벽체의 변형이나 파괴를 조기에 판별 할 수 있음
•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도 보강이 용이
• 굴착면적이 좁으면 앵커공법보다 저렴
• 대부분의 자재의 재사용 가능하여 자재소모가 적음
• 유압잭을 이용해 터팀대에 선행하중을 가해 벽체의 변위 억제 및 감소
• 넓은 지역에 사용이 곤란하며 비용이 많이 듬
• 시공편의 상 제때에 버팀대 설치가 어려워 배면 변형 초래할 가능성
• 굴착 전후 콘크리트 치기 등에서 작업 공간제약
• 다른 공정과 병행작업이 곤란하여 공정지핸에 지장이 있을 수 있음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7
토류벽
• 복공판 (Road Decking Panel)
-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지 않고 지반을 굴착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토류벽 상단에 설치하
는 상자모양의 판
- 대부분 철재, 특수한 경우 콘크리트판 사용
- 개착식 지하식 지하철 공사에서 많이 사용되면 안전관리에 유의해야 함
• https://youtu.be/FOqcmkik_4Y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8
토류벽

• 소일네일링 (Soil nailing) 공법


- 비탈면이나 굴착면이 자립할 수 있는 높이까지 굴착과 동시에 숏크
리트로 표면을 보호하고 굴착배면에 천공들의 방법으로 보강재를
박아 넣어 보강토체를 형성하는 공법

- 사면보강 및 굴착면에 대한 유연한 지보 목적으로 활용


• 신속성, 단순성, 대형 건설기계 필요 없음

• 가시설비용 생략, 그라운드 앵커 (어스앵커)보다 공사비 저렴

• 공기단축 가능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19
토류벽의 붕괴의 원인
① 흙막이벽, 구조재의 설치간격, 이음 등의 연결상태 불량
② 토류판, 토류벽의 손상
③ 엄지말뚝의 설치간격 및 근입장의 부적정
④ 흙막이벽 배면 상부에 과재하중적치
⑤ 굴착방법 및 굴착순서의 부적정
⑥ 지하수 및 지표유입수의 배제불량
⑦ 부적합한 차수공법
⑧ 배수 및 탈수에 의한 점성토의 압밀침하
⑨ 히빙(heaving)과 보일링(boiling) 대책미흡
⑩ 지하 매설물 등의 매립상태가 불안전한 경우 항타 등 작업에 따른 진동으로 인한 압축침하
⑪ 파이핑(piping) 현상으로 인한 흙막이벽 배면 지반토의 이동과 공동현상에 따른 침하
⑫ 토류판 설치 시 뒷채움 시공불량으로 인한 배면 지반의 이동 및 침하
⑬ 엄지말뚝 인발시 진동 및 인발 후의 공극채움 불량에 따른 침하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0
Part 3.

Ground Excava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1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지반굴착시 지반개량공법의 종류
- 지반보강 및 차수
• J.S.P (Jumbo Special Pile) 공법
• R.J.P (Rodin Jet Pile) 공법
• S.G.R (Space Grouting Rocket) 공법

- 보류벽 보강 및 차수
• S.C.W (Soil Cement Wall) 공법
• L.W (Labiless Wasser Glass) 공법
• C.I.P (Cast In Concrete Pile) 공법
• S.C.M (Special Chemical Grouting) 공법

- 기초용
• S.I.P (Soil-cement Injected Pile) 공법
• R.C.D (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
• M.J.M (Mortar Jet Method) 공법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2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S.C.W. (Soil Cement Wall) 공법


- 지중의 토사를 원래의 상태에서 골재로 간주하고, 여기에 경화재(cement paste)를 주입하여 교만 및 혼합함
으로써 고결시키는 지반개량공법
• https://youtu.be/nE_gM0P3kII

- 공법의 활용
• 흙막이벽, 차수벽, 관로공사 지반이완 방지, 케이슨 침하시 지반이완 방지, 저수지 저부 누수방지, 널말뚝 저소음 저진동 건입공사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3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J.S.P. (Jumbo Special Pile) 공법


- 초고압 (200~400kgf/cm2)의 제트류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고압분사 주입공법
- 고압분사방식을 이용하여 지반을 절삭파쇄시키고 동시에 경화재를 충진하는 유도주입
- 공법의 활용
• 구조물의 기초지반 개량, 확실한 앵커블록용 지반 형성, 사력 및 전략층 말뚝기초, 지하차수벽의 차수, 차수효과 증진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4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S.G.R. (Space Grouting Rocket) 공법


- 특수 선단장치 (rocket)와 3조식 교반장치를 이용, 지반에 형성시킨 유도공간을 통해 급결성과 완결
성의 주입재를 저압으로 복합주입함으로써 차수 및 개량효과를 최대화시킨 공법

- 공법의 활용 : 차수벽이 필요한 경우, 기존 구조물의 기초보강 필요할 경우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5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L.W. (Labiles wasser glass, water-glass grouting) 공법
- 천공 및 케이싱을 설치하고 맨젯 (manjet) 튜브를 삽입
- 물유리계 현탁액 (규산소다+물, cement+bentonite+물)을 주입하여 지반고결
- 이중패커를 사용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
- 활용 : 부분적인 연약지반 개량이 필요한 경우, 지하수위 저하 및 차수효과를 위한 보조공법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6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C.I.P (Cast In Concrete Place) 공법
- 천공구멍에 안정액이나 케이싱으로 처리하고 구멍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주열벽체를 형성
• https://youtu.be/jrMNrhEPWdQ
- 활용 : 차수벽, 도류벽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7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S.I.P (Soil-cement Injected Pile) 공법
- 지중에 천공을 하고 천공내에 시멘트 밀크를 주입한 후 말뚝을 삽입시켜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공법
- 무소음, 무진동 공법
- 공종 복합하여 시공속도 느림
- 심도에 영향이 없음
- 도심지 구조물이나 건축물 기초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8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R.C.D. (Reverse circulation drill, 현장타설말뚝)공법
- 로터리 비트를 이용, 굴착도사와 물을 배출시키고 정수압 0.2kg/cm2 으로 공벽을 안정
- 이후 철근콘크리트를 타설, 이후의 깊이에서는 케이싱 없이 굴착이 가능한 공법
- 시가지 규모가 큰 도시고속도로, 지하철 등의 토목공사에 많이 활용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29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M.J.M (Mortar jet method) 공법
- 3중관 롯드로 개량하고자 하는 깊이까지 천공하여 고압수와 압축공기로 지반을 절삭 이완시키 지중에
인위적인 공간을 형성한뒤 롯드를 상향으로 인발하면서 내구성 약액을 혼합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고압
분사로 주입하는 공법
- 활용 : CIP 대체, 토류벽, 차수벽, 건물이나 교량의 기초보강, 하천제방의 기초보강, 터널 지반보강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0
지반굴착시 지반개량
• S.C.M (Special chemical grouting method)공법
- 2중관 롯드에 의한 분사방식과 특수선단장치에 의한 스크류 타입 노즐로 주입회전하면서 상향식으
로 인발하는 공법
- 대상지반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반영구적 차수벽을 형성하여 연약지반 보강하는 공법
- 활용 : 굴착공사시 지하수 유입 및 보일링, 히빙 방지, 지하수 유입방지 및 지반 고결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1
Q&A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Yeungnam University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Sungmin Yun, Ph.D. 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