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

25 6:51 PM 페이지73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The design of rock anchored (Cavern-type) anchorage

1. 서론
2. 지중정착식 앵커리지
3. 결론

박 기 웅1) 임 지 섭2) 장 영 일3) 장 학 성4)

The South anchorage(AN1, Myodo side) is designed as rock Anchorage with 36m anchor length using
the resistance of rock mass in Myodo. Checking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anchorage, rock joints, bed-
ding planes, fault zones and condition of rock structure in situ by analysis results for photo-lineaments,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and drill-hole logs are considered. This anchorage consists of an access
shaft, adit, and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earing plate to introduce pre-stressing force into rock
mass.

1. 서 론 것이다. 앵커리지는 기존의 기초형식과는 달리 복


잡한 구조를 지닌다.
본 교량은 케이블을 앵커리지에 정착시키는 일반 현수교 주케이블이 앵커리지와 맞닿는 스플레이
적인 타정식 현수교이다. 타정식 현수교에서 앵커 새들, 스플레이 새들을 받치는 밴트블럭, 스플레이
리지 기능은 주케이블 장력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새들에서 분사되는 스트랜드, 스트랜드를 앵커블럭

1) 지반본부 대리(y12897@yooshin.co.kr) 2) 지반본부 과장(y13165@yooshin.co.kr)


3) 지반본부 부장(kkk@yooshin.co.kr) 4) 지반본부 전무·토질 및 기초기술사(hsjang@yooshin.co.kr)

wwwyooshincokr | 73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4

유신기술회보|광양대교(묘도-광양)에 관한 설계 기술

에 정착시키는 정착판,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마찰 한 위치 및 기타 명칭은 <표 1>과 같다.


저항으로 저항하는 앵커블럭 등이 존재하며, 자세

<표 1> 앵커리지 세부 명칭

지중정착식 앵커리지 세부명칭 중력식 앵커리지 세부명칭

앵커리지 형식은 케이블 하중에 저항하는 방식에 여 강재프레임을 지중에 매립하고 케이블을 강재프
따라 중력식, 터널식 및 지중정착식으로 구분한다. 레임에 연결하여 앵커블럭 콘크리트의 마찰저항으
첫째, 중력식 앵커리지는 구조물 자중으로 케이 로 케이블 하중에 저항하는 방식이다. 견고한 지반
블 하중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지반조건에 관계없이 을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절감할 수 있으나, 대
적용가능하며 지지매커니즘이 가장 확실하다. 그러 규모 경사터널을 시공해야 하고 터널내부의 방식에
나, 거대한 구조물 자중이 요구되어 콘크리트 중량 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과 그에 대한 넓은 가설공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는 견고한 지반
둘째, 터널식 앵커리지는 견고한 지반을 굴착하 에 직접 케이블을 정착시켜 암반의 블록쐐기 자중

<표 2> 앵커리지 형식

중력식 터널식 지중정착식

74 | 유신기술회보 제14호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5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과 마찰저항으로 케이블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으로 기반암 출현심도가 얕고 기반암이 양호한 지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케이블을 역이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암반층의 지지
지하 암반에 정착시키기 위한 터널(챔버)과 접근 터 기반을 충분히 활용하여 암굴착에 의한 환경훼손을
널이 필요하며, 정착 암반의 암질상태가 양호해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를 적용하였
한다는 제약조건이 있다. 다.
본 교량의 묘도측 앵커리지 시공위치는 배산지형

<표 3> 지중정착식 앵커리지 사례

Askoy Bridge High Coast(Hoga Kusten) Bomla Bridge

Norway(1992) Sweden(1997) Norway(2001)


중앙경간 : 850m 중앙경간 : 1,210m 중앙경간 : 577m
지중 정착길이 : 30m 지중 정착길이 : 37m 지중 정착길이 : 20m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경우 현재까지의 시공사 태이다.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시공된 사례가 없기


례로 볼때 주로 유럽에 많으며, 일본의 경우 토요시 때문에 설계기준이 확실하게 명시되지 않아 설계에
마대교(중앙경간 : 540m)에 지중정착식 앵커리지, 어려움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설계사례 연구
쿠루시마대교에는 터널식 앵커리지가 시공되었고, 를 통하여 구체적인 설계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홍콩의 Tsing lung bridge는 설계가 완료된 상 한다.

wwwyooshincokr | 75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6

유신기술회보|광양대교(묘도-광양)에 관한 설계 기술

2. 지중정착식 앵커리지 교의 주경간장을 당초 1,100m에서 최소 1,300m


이상으로 늘리면서 앵커리지 위치도 변하게 되었
2.1 앵커리지 시공위치 선정 다. 앵커리지 위치가 당초 해상에서 해안측으로 접
근함에 따라 육상 시공이 가능해졌고 주변지반 조
광양대교의 시점측 앵커리지는 기본계획 당시 해 건 및 IP점의 계획성을 고려하여 인근 산악지형에
상에 위치하여 원형 Cell식 가물막이에 의한 중력 앵커리지를 정착시키는 앵커리지 형식을 고려하게
식 앵커리지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광양항을 지나 되었다.
는 초대형 컨테이너선박(18,000 TEU급)의 안전 이로 인한 가물막이 최소화로 시공성, 경제성 증
성을 위한 필요 항로 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현수 가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였다.

<그림 1> 현수교 주경간장에 따른 앵커리지 위치 및 형식

앵커리지가 위치하는 해안지역의 노두암을 관찰 선정하였다.


한 결과 퇴적암의 층리(Bedding)는 남쪽 또는 남 앵커리지 계획부지에 대해 지표지질조사, 공내영
서쪽으로 낮은 각으로 내려가는 양상을 보이기도 상촬영, 초음파 주사검층, 경사시추 및 각종 실내시
하지만 퇴적층인 사암에 화성반암이 관입되어 일반 험을 통해 기반암의 물리·화학적 및 공학적 특성
퇴적암 암반에 비해 암강도(UCS 50MPa~ 을 분석한 후 관용적 방법으로 활동쐐기에 대한 안
200MPa)가 높고, 불연속면 방향성이 케이블 하중 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층 및 암반특성을 반영한
에 대해 저항이 유리한 방향으로 발달하여 암반에 연속체 및 불연속체 수치해석을 통하여 안정성을
직접 케이블을 정착시키는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를 검증하였다.

76 | 유신기술회보 제14호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7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그림 2> 묘도측 노두암 조사

2.2 전체계 안정성 검토 지의 안정성 검토는 기본적으로 터널식 앵커리지의


지지 매커니즘을 따르는 것으로 하였다. 이 방법은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는 케이블하중에 대하여 암 암반쐐기의 상부면과 측면에 대한 마찰저항은 무시
반쐐기의 자중과 전단력에 의해 저항하는 지지 매 하고, 저면의 전단저항과 마찰저항만을 고려하여
커니즘을 지닌 것으로 고려하였다. 그라운드 앵커 케이블하중에 저항하는 지지방법이다. 또한, 파괴
방법과 터널식 앵커리지 검토방법 등을 비교 검토 쐐기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기준 안전율을
하였으며, 본 교량에 적용하는 지중정착식 앵커리 2.0에서 3.0으로 강화하였다.

wwwyooshincokr | 77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8

유신기술회보|광양대교(묘도-광양)에 관한 설계 기술

각종 실내시험을 통해 안정성 검토에 영향을 미 토 결과 안전율은 3.28로 앵커리지의 전체 안정성


치는 주요 설계인자(암반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을 확보하였다.
및 단위중량)에 대한 정확한 값을 도출하였으며, 검

<표 4>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안정성 검토법 비교

구 분 선정안 : 터널식 앵커리지 비교 1안 : 그라운드앵커 비교 2안

개요도

터널내부의 콘크리트 자중, 앵커자중, 앵커주면의 마찰저 명확한 검토방법이 확립되지


암반쐐기의 자중 및 저면 활동 항 및 앵커체 확대부의 지압저 않은 이유로 점착저항을 무시
특 징 면의 전단강도(점착력, 마찰 항으로 지지 하고 일반적인 활동안전율
력)에 의해 지지 2.0을 적용하여 검토

파괴각 Ф/2 (Ф : 암반의 내부마찰각) 30°


(가정) 30°
(가정)
점착저항(C·A) 고려 고려 미고려
허용 안전율 3.0 3.5 2.0
Fs 3.28(효율 109%) 4.47(효율 128%) 3.46(효율 173%)

<표 5>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안정성 검토법(쐐기 파괴법)

개요도 검토식

(Wcosβ
-Tsin(Ø/2))μ+ Wsinβ+ cA
F8 = 3.0
Tcos(Ø/2)

T, θ: 케이블 장력(kN)과 굴절각(°)


β : 수평면과 쐐기면이 이루는 각 ( = θ- / 2)
W : 암반 쐐기의 유효중량(kN)
c, A : 저면(활동면)의 점착력(kPa)과 단면적(㎡)
ø, μ: 암반의 내부마찰각(°)과 저면의 마찰계수(tanø)

78 | 유신기술회보 제14호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79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2.3 수치해석을 통한 전체계 안정성 검증 케이블하중 작용시 발생변위는 약 1mm정도로 앵


커리지의 전체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되었
쐐기 파괴법에서 가정된 조건의 불확실성과 불연 다. 하중-변위 곡선에 따르면, 완공 후 케이블 하중
속면의 3차원 절리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재하시 설계하중 대비 안전율은 4이상인 것으로 나
같은 수치해석을 통해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전체 타났다. 3DEC을 통한 3차원 불연속체 해석결과,
계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케이블 하중으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는 챔버내 하
- 2차원 연속체 해석 : FLAC 부 정착판 주변 암반 블록의 변위는 최대 6.5mm
- 2차원 불연속체 해석 : UDEC 발생하였고, 절리면 전단변위는 최대 17mm로 나
- 2차원 불연속면을 고려한 연속체 해석 타났다. 절리면의 전단변위는 챔버에서 발생한 블
: PHASE2 록 변위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으나, 가상 쐐기영역
- 3차원 불연속체 해석 : 3DEC 경계선과 무관하게 개별적으로 분포하여 일정한 방
연속체(FLAC) 해석결과 긴장재에 프리스트레 향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스력이 도입될 때 지표부 암반의 변위가 최대 또한,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절리면 전단변위는
10mm 발생하지만, 케이블하중 작용시 최대변위 서로 연결되지 않는 닫힌 상태로 나타나서 지중정
는 2.5mm 발생하고, 2차원 불연속체(UDEC) 해 착 암반은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검토
석결과 지표부 암반에 발생되는 변위는 1.9mm, 되었다.

<표 6> 연속체(FLAC) 해석 결과

스트랜드 긴장단계시(수평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수평변위) 하중 - 변위 곡선

Max = 10.0mm Max = 2.5mm

<표 7> 불연속체(UDEC) 해석 결과

스트랜드 긴장단계시(수평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수평변위) 하중 - 변위 곡선

Max = 1.91mm Max = 1.12mm

wwwyooshincokr | 79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80

유신기술회보|광양대교(묘도-광양)에 관한 설계 기술

<표 8> 3차원 불연속체(3DEC) 해석 결과


챔버 완성 후(블록변위) 스트랜드 긴장단계시(블록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블록변위)

Max = 5.45mm Max = 5.51mm Max = 6.47mm


챔버 완성후(절리면 전단변위) 스트랜드 긴장단계시(절리면 전단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절리면 전단변위)

Max = 5.45mm Max = 5.51mm Max = 6.47mm


챔버 완성후(절리면 전단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절리면 전단변위)

지중정착식 앵커리지가 계획된 묘도측 지역은 노 과, 스트랜드 긴장단계시 챔버에 0.8mm 변위와
두암관찰와 시추코아 조사결과, 퇴적암인 사암에 하부 정착판에서 최대변위 8.4mm가 발생하였고,
화강반암이 불규칙적으로 관입된 상태로 챔버 주변 케이블 하중 작용시 챔버에 2.1mm 변위와 하부 정
은 암질이 좋은 반암이 존재한다. PHASE2를 통 착판에서 2.8mm의 최대변위가 발생하였으며, 터
한 안정성 해석을 위해 RQD와 RMR에 의한 암층 널 챔버의 하부 정착판에서 예상파괴가 발생하기
을 구분하여 반영하였고, 절리(joint)와 사암의 층 전 load factor는 2.5 ~ 3.5 이므로 예상 안전율
리(bedding)가 지표면까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은 3.0정도의 안전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검토되었
것으로 가정한 연속체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 다.

80 | 유신기술회보 제14호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81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표 9> PHASE2 해석

위치도 암반지도 모델링

해석결과
스트랜드 긴장단계시(수평변위)

케이블하중 작용시(수평변위)

2.4 암반 Creep 거동에 따른 앵커리지 반에 작용하는 최대응력이 2.2MPa이고, 암반의


장기 안정성 검토 평균 일축압축강도가 112MPa임을 고려할 때 설계
응력비는 2%이므로, 케이블 하중에 대한 Creep
지속적인 케이블 하중을 받는 지지암반의 장기적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인 거동분석을 살펴보기 위해 FLAC을 통한 암반 Creep 시험 결과로 산정된 Kelvin계수와
Creep 해석을 실시하였다. 실내에서 암반의 일축 Maxwell계수를 이용하여 2차원 Creep 수치해석
압축강도 대비 30%, 50%, 70%의 시험응력으로 을 수행한 결과, 챔버내 하부정착판은 최대 7.4mm
암반 Creep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응력비가 50%이 의 변위가 발생하였으며 그 이후는 수렴하는 것으
하가 되면 Creep에 대한 영향은 매우 작아졌다. 본 로 나타나 암반의 장기거동에 대해 앵커리지는 안
설계시 케이블 하중으로 인해 상부정착판 주변 암 전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wwwyooshincokr | 81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82

유신기술회보|광양대교(묘도-광양)에 관한 설계 기술

<표 10> 암반 Creep시험 및 해석

Creep 시험 결과 해석 결과 하중 - 변위 곡선

하부정착판에서 변위 7.4mm Creep으로 인한 손실은 미비함

2.5 터널 시공 및 경사 암천공 후 NATM공법으로 약 30m 깊이의 수직구 굴착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 63m의 챔버를 시공하는 계
신선한 암반에 케이블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챔 획을 수립하였다.
버를 지표면에서 30~40m 하부에 위치시켜야 한 수직구와 챔버는 전단면 굴착방법으로 숏크리트
다. 챔버에 이르는 접근 터널을 시공하기 위해 묘도 와 락볼트를 이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측의 산악지형을 고려해본 결과 경사가 우안에서 챔버에서 정착판이 설치되는 위치는 큰 하중이 작
좌안으로 형성되어 있고 횡갱으로 계획시 터널길이 용하므로 지지력을 유지하고 큰 변형에도 안정성
가 길어져 공기와 시공비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앵 확보에 탁월한 swellex 볼트를 적용하였다.
커리지 좌측에 직경 6m의 수직구를 굴착하는 것으 지표면에서 지하에 있는 챔버에 케이블을 정착시
로 계획하였다. 키기 위해 36m길이의 경사천공을 계획하였으며
수직구 주변 사면의 녹지훼손을 최소화하고 적절 하부 정착판의 천공위치를 지그재그식으로 배치하
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구 진입부에 H- 여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였으며 천공시 발생할 수
pile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벽체구조물을 시공한 있는 시공오차에 대해서도 충분히 확보하였다.

<표 11> 수직구와 챔버

수직구 표준단면 챔버 단면 수직구와 챔버 완공상태

82 | 유신기술회보 제14호
광양대교6-지중정착식앵커리.ps 2008.1.25 6:51 PM 페이지83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설계

하부정착판 배치도 천공 단면도

또한 주변암반의 절리를 통한 지하수와 해수의 장기적으로 지하수 및 해수의 유입에 의한 케이블


유입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 부식문제 해결을 위해 HDPE관을 설치하고 그 내
는 케이블의 부식에 대한 장기적인 품질확보를 위 외부에 시멘트 그라우팅을 시공하도록 계획하였다.
해 금속 쉬스관 대신에 HDPE(High Density 정리하면 주 케이블의 하중조건, 현지 지형 및 지
Poly Ethylen)관을 설치하고, 암반과 HDPE관 층 특성을 고려할 때, 묘도측에 적용된 지중정착식
사이에 시멘트 그라우팅 및 HDPE관 내부의 추가 앵커리지는 현장에 가장 적합한 앵커리지 형식으로
그라우팅을 계획하였다. 판단되며, 여러 수치해석을 통하여 앵커리지의 안
정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공시 및 공용시에 있어 앵커리지 구조물
3. 결 론 및 인접 암반에 대한 계측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계측결과와 해석결과의 비교·분석을 하여야 할 것
국내 현수교에서 처음으로 시공예정인 지중정착 이며, 이를 토대로 국내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에 대
식 앵커리지에 대해서 설계보고를 하였다. 묘도측 한 설계기준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지중정착식 앵커리지는 케이블 하중에 저항하기 위
한 암반 구조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양질의 암반
상태임을 확인하였고, 시추조사와 노두암조사를 통 참고문헌
하여 불연속면의 방향성이 케이블 하중에 대해 저
항하기에 유리한 방향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1. 이승우(2000),“현수교의 계획과 해석”
, 한기
이를 바탕으로 앵커리지의 안정성은 터널식 앵커리 술, P137-178
지 설계 기준을 적용하여 관용법으로 활동 쐐기에 2.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제3공구) 개설공사 기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층 및 암반특성을 본 및 실시설계보고서, 토질조사보고서
반영한 연속체 및 불연속체 수치해석을 통하여 안 3. 도로교설계기준 해설(하부구조편, 2001)
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암반의 장기거동에 대한
앵커리지의 Creep거동시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wwwyooshincokr | 83
*기술정보1-장대현수교최종 2008.1.25 11:9 PM 페이지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