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선행기술조사 결과 비교․분석

❑ 신청인의 지식재산권 출원일 이전 특허문헌

구분 선행기술명 특허권자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선행기술은 응력을 배분하기


위한 강관 거더 내부의 설계
강관의 내부를 분할 구획하
를 콘크리트 합성 단면과 보
여 작용 응력을 효율적으로
강 부재로 구성하였으나, 신
배분하기 위한 기술로써, 압
청기술은 정착판 및 보강판
교량용 강관 거더 축력이 발생되는 부위에는
1 한우물중공업㈜ 을 설치하고 정착판 사이에
(864, 220) 콘크리트를 충전한 합성 단
강봉과 강선을 구성하여 응
면으로 구성하고, 인장력이
력을 배분한다. 따라서 신청
발생되는 부위에는 보강 부
기술은 강관 거더의 구조안
재를 일체로 부착한다.
정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최
대한 시공성을 살렸다.

강관 거더의 내부를 모두 콘
크리트로 충진하는 점이 신
청기술과의 가장 큰 차이라
긴장재로 휨 내력이 강관의 양단부 내면에 격벽
할 수 있고, 다수의 긴장재를
보강된 콘크리트 판을 설치하고, 격벽판 사이
거더 내부에 설치하였다. 선
2 충전강관 거더 및 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에 다수의 긴장재를 설치하
행기술은 강관 거더 내부 구
제조방법 여 내부를 콘크리트로 충전
조에 대한 언급만 있을 뿐,
(2010-063538) 한 강관 거더이다.
받침대(코핑부)나 브라켓의
연결 방법에 대한 언급이 없
다.
구분 선행기술명 특허권자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선행기술은 교량 상부를 구
성하는 바닥판 하면에 대한
선행기술은 강상형, 원형 강 내용으로 신청기술과는 브라
관 등의 거더(보)에 대한 제 켓과 대비된다. 선행기술에서
작 방법이 주 내용으로, 교량 는 바닥판 하면을 리브, 확대
의 바닥판 하면에 리브를 설 된 리브, 수직 보강재, 브라
리브플레이트 접합을
치하고, 상기 리브보다 높이 켓으로 구성하였고, 신청기술
이용한
가 확대된 리브로 상부구조 에서는 거더에 일체화시킬
3 프리스트레스트 김연호
를 형성한다. 또한 상면을 일 수 있는 횡방향 브라켓을 설
거더의 제작 방법
체로 연결하는 수직 보강재 치하고 바닥판을 올리는 점
(1, 550, 553)
와 바닥판지지 브라켓을 설 에서 기술의 차이가 존재한
치하고, 거더(보) 내부를 프 다.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거
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긴장 더 내부에 단일의 긴장재를
재로 보강한다. 설치하지만, 신청기술은 다수
의 장착판, 강봉, 강선으로
구조안정성을 높였다.
구분 선행기술명 특허권자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선행기술에서는 강관 거더
내부에 보강 플레이트와 보
조 플레이트로 구성된 보강
강관 거더 내부에 발생하는
부재를 설치하고, 걸기 부재
보강형 강관 거더 및 인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이에 3개의 강선을 설치하
4 이를 이용한 교량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선을 이용하여 모멘트를
여 내부 인장력을 감소시키
(1, 598, 962) 분산시키고, 시공성을 살린
고자 하였다. 한편 신청기술
선행기술이다.
은 강관 거더 내부를 강선과
강봉을 모두 이용하여 구조
안정성을 더욱 살렸다.

선행기술에서는 한쌍의 강관 신청기술과는 달리 한쌍의


거더에 강재브라켓을 설치한 강관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
후 교량상판을 구성함으로써 의 상부를 지지하는 구조이
강재브라켓으로
간편하게 교량을 시공하는 고, 강관 거더 내부를 경량의
강관을 연결한 위에
방법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충진재로 충진한다. 그러나
교량상관을 설치한
5 박경용, 최영구 강관 내부, 강재브라켓, 그리 강관 거더와 강재브라켓의
강관거더 및 이를
고 교량상판 내부에 방청처 연결 방법에 대한 언급이 없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리를 하여 부식을 방지하도 고, 강관 거더의 충진 방법이
(772, 434)
록 하였고, 강관 내에 경량의 구체적이지 않다. 또한 교량
충진재로 충진하여 안정성을 하부와의 연결 방법에 대한
높인 점이 특징이다. 언급도 포함하지 않았다.
구분 선행기술명 특허권자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주 강관 이외에 한 쌍의 보
조강관을 구성하고, 주 강관
과 보조강관의 연결구조에
3개의 직선 강관을 트러스 트러스 결합구조를 사용하여
트러스 결합구조의
결합구조에 의해 조립하고, 3개의 직선 강관으로 연결하
강관 및 T형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T형 며, T형 횡보강판을 브라켓
횡거더를 이용한 주식회사
6 횡보강판을 직선 강관에 조 의 용도로 활용하는 점에서
자전거 교량 및 그 에스티이엔씨
립 배치함으로써, 강성이 우 신청기술과 차이가 있다. 신
시공방법
수하고 장경간화가 가능한 청기술에 비해 활용하는 거
(1, 360, 883)
시공에 관한 기술이다. 더의 개수가 많아 시공성이
떨어지고, 주 강관과 교량 하
부의 연결 방법에 대한 언급
이 없다.

말뚝과 합성 강관 상부에 콘
재단법인 강관 거더를 사용하였으나
크리트로 충전한 또다른 강
철도종합기술연구소 전체적인 교량의 구조가 신
입체 라멘 형식의 관을 설치하고 대들보를 가
, 주식회사 홍지조, 청기술과는 상이하고, 구체적
7 고가교량 구조 설한 라멘식 교량의 구조에
스미모토 금속공업 으로는 강관 거더에 부착되
(2000-265416) 대한 기술로써, 교량 상부 구
주식회사 는 브라켓, 코핑부 등의 구조
조의 중량을 경량화하기 위
(일본) 적 상이함이 크다.
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신청인의 지식재산권 출원일 이후 특허문헌

구분 선행기술명 특허권자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강관 거더, 지지격판(브라켓),
지지강선을 이용하여 교각
기둥에 복수 개의 삽입단을
상부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구비한 연결관을 설치하고,
신청기술과 유사한 점이 있
그 상단부에 복수 개의 장공
으나, 강관 거더 하부의 코핑
이 배치된 수용관을 조립하
자연조망시설물의 ㈜신흥이앤지, 부와 교각 하부(기둥)의 연결
는 형태의 보행로 구조에 관
1 보행로 지지구조 주식회사 지에스웹, 방식이 완전히 상이하다. 신
한 기술이다. 그리고 교각 상
(1, 693, 660) 주식회사 신흥 청기술은 원형의 교각 하부
부는 강관 거더로 뼈대를 이
에 가로 방향의 코핑부를 다
루고, 강관 거더에 지지격판
수개 설치하지만, 선행기술에
을 배치하며 교각 상부에 지
서는 세로 방향의 코핑부가
지강선이 포함된다.
설치되고 조립방식으로 구성
된다.
선행기술은 거더의 비틀림이
나 좌굴이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고안
재하용 고정틀의 상부에 구
된 것으로써, 강관 거더의 재
비된 재하 보정부를 가압하
하지점에 하중을 재하하고,
프리플렉스 여 재하가 이루어지고, 하중
강관 거더가 기울어진 방향
강관거더의 제작장치 재하 시 강관 거더의 굽힘에
과 반대방향측으로 정착강재
및 이를 이용한 의한 재하 지점의 보정됨으
2 ㈜대현이엔씨 가 경사지도록 설치한다. 강
프리플렉스 로써, 정확한 재하지점에 기
관 거더의 구조안정성을 높
강관거더의 제작방법 설된 재하하중을 가할 수 있
이기 위한 목적만을 위해 설
(1, 750, 724) 는 프리플렉스 강관거더의
계된 기술이므로 강관 거더
제작장치와 제작 방법에 관
내부의 구조방식만을 다루고
한 기술이다.
있고, 브라켓, 코핑부, 교각
상부 등과의 연결 방법 등의
내용은 고려하지 않는다.
❑ 신기술, 논문 등의 비특허문헌

구분 선행기술명 신청인 기술내용 선행기술 도면 신청기술 도면 신청기술과의 차별성

강관 거더를 이용한다는 점
에서 신청기술과 유사하지만,
그 외에 강관 거더와 교각
상부의 연결 방법, 교각 하부
의 시공 방법, 주로 적용되는
공사의 규모 등에서는 많은
신청기술은 도면에서와 같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선행기
두 가지의 ㄱ형 perfobond리 술은 강관 거더의 내‧외부에
브 전단연결재(원형 홀, U자 전단연결재를 용접으로 접합
형 홀)를 강관 내‧외부 또는 시켜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ㄱ형 perfobond리브 내부에 적용한 후, 콘크리트 일체화하지만 신청기술에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단연결재를 적용한 로 충전한 강관 거더를 활용 는 콘크리트 충진은 하지 않
1 비비엠코리아㈜
콘크리트 충전강관 한 교량의 시공기술에 대한 는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교
㈜유신코퍼레이션
거더 교량 시공기술 내용이다. 이를 통하여 완전 각 상부를 철근 콘크리트 바
합성에 가까운 거동을 유도 닥판으로 구성하지만, 신청기
하여 강관과 충전콘크리트, 술은 링플레이트와 브라켓을
강관과 슬래브 바닥판과의 강관 거더에 연결한 후 장선
합성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과 바닥판으로 상부를 구성
한다. 마지막으로 선행기술은
장경간의 대형 교량에 주로
활용하고, 신청기술은 자전거
도로 혹은 보도교에 적용되
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시공
이 간편하다.

※ 선행기술조사 결과서에 수록된 선행건설기술과의 차별성을 설명


※ 필요시 별지에 추가로 상세내용이나 자료를 첨부하시기 바람
※ 신청기술과 검색된 선행기술에 대해 관련 도면을 첨부하여 신규성을 입증하기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차별성을 구체적으로 기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