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ABAQUS를 이용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FT Column using ABAQUS Program

황 규 재* 이 치 형** 김 해 수*** 윤 성 기****


Hwang, Kyu-Jae Lee, Chy-Hyoung Kim, Hae-Soo Yoon, Sung-Kee
…………………………………………………………………………………………………………………………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ire resistance of concrete-filled tube columns(CFT) by finite element results
using ABAQUS package program.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parametric study using transient heat transfer analysis,
and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e existing results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parametric studies. The parametric
analysis which includes thickness of the fire protection, thickness of the steel, shape of the cross-section, strength of the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concrete, and position of measurement of the CFT column with fire protections for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hicker thickness of the fire protection the bet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showed. However, The effect of thickness of steel and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may not influence on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CFT column with fire protections.
…………………………………………………………………………………………………………………………
키워드 : 내화피복, CFT기둥, 내화성능, 과도상태 열전달해석, ABAQUS 프로그램
Keywords : Fire Protection, CFT Colum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Transient Heat Transfer Analysis, ABAQUS Program
…………………………………………………………………………………………………………………………
1. 서 론 검증된 해석방법을 바탕으로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온
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복의 두께, 강재의 두께, 단면
최근 콘크리트 충전강관(Concrete-filled Tube, CFT)구조 의 형상 등의 변수요소에 대하여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여
는 강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있어 강성내력, 변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한다. 아울러 내화
형성능, 내화, 시공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고 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내화성능이 순수 철골조에 비해서 현격히 우수하다는 장점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으로 인해 구조시스템으로써 사용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화재시에 직접화염에 노출되어 하중지지능력을www.earticle.net
잃을 우 2.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기준
려가 있는 강구조에 대하여 현행 법규상에는 내화피복을
실시하여 강재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CFT기 2.1 내화성능기준
둥은 내력 · 변형성능이 우수하여 사용하는 예가 증가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강구조로 인정되고 있어, 강구조와 같이 도,내화성능을 평가항목등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내화등급, 한계온
국내기준(국토해양부, 2008)과 유럽기준
내화피복을 행하지 않으면 내화구조로 인정되지 않는다. 을 대상으로 비교2)하면 표 1과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 F 2257-14) 표준시간-가열온도 (Eurocode)
표 1에서 보와 기둥의 경우 국내기준은 1시간 단위로 3
곡선(이하 KS 표준시간-가열온도 곡선)에 대하여 범용 유한 시간까지
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과도상태 열전달 해 로 나누어등급이 정해져 있고, Eurocode 312)은 30분 단위
120분(2시간)까지 정하고 있다. 내화구조체로 인
석을 수행하고, 실제로 수행된 기존연구 결과2, 10)와 비교 정하기 위한 내화성능 평가항목은 국내에서는 온도검증뿐
하여 해석 모델링 및 해석결과의 적절성을 검증한다. 이지만, 유럽기준에서는 온도검증과 강도검증으로 나누어
* 부산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평가한다. 국내 내화구조 성능기준 KS F 2257-75)에서 가열
(교신저자, E-mail : hkjthink@nate.com) 시험에 의한 강재의 평균온도는 538℃이하를 판정기준으로
** 부산대 생산기술연구소 특별연구원, 공학박사 정하고 있다. 반면에 유럽기준은 하중비를 고려하여 한계온
*** 동의과학대학 건축과 교수, 박사과정 수료 도를 산정하고, 일반적인 경우 하중비가 0.65일 때 한계
**** 부산대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303


황규재․이치형․김해수․윤성기
표 1. 국내 내화기준과 유럽기준의 특징 비교 표 3.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열적특성
항목 국내기준 유럽기준 특성 산정 방법 범 위(℃)
내화등급 1, 2, 3시간 30, 60, 90, 120분   ∘      ≤  ≤ 

한계온도 강도비에 따라 변하는 함수


538℃   
 
강도비가 0.65일 때 538℃ 밀도    ·    

   ≤ 

가열된 시험체의 공학적 이론식에 의한


내화 온도
  
온도가 한계온도 강재의 상승온도가
      ·     
     ≤ 

성능 검증 이내 한계온도 이내  
  ·   
  
     ≤ 

평가 강도 화재시 설계강도와


항목 검증 고려사항 없음 소요강도를 산정하여 비열


    ≤  ≤ 

안전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도를 538℃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 내화구조의 성능기준
       ≤ 

    
인 온도검증은 내화피복된 강재의 비재하 가열시험을 실시
   ≤ 
열전도율  
   

하는 경우 단면별 강재 시험체의 평균온도가 538℃이하,


           ≤  ≤ 
      

강재의 최고온도 649℃이하를 판정기준으로 하여 강재의


상승온도가 한계온도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실
험결과에 의존하고 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2.2 재료의 열적특성


국내는 아직 구조물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며, 별도로 물성치의 열적 특성을 명시하고 있지 않 a) 비열 b) 열전도율
다. 그러나 유럽, 미국 등 외국에서는 광범위한 실험 및 해
석적 연구를 통해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재료(강재, 콘크리트)의 열적특성12, 13)을 규명하여 내화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CFT구조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
하여 재료의 열적특성은 이전의 국내외 연구에서 실험 및 c) 밀도
해석연구를 통하여 국내 CFT구조의 내화성능 및 화재시 그림 2. 콘크리트의 열적특성
구조거동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된 Eurocode 413)를 적용하
였다. 온도변화에 따른 강재의 열적 특성치는 표 2, 그림 1 3. 범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전달 해석
과 같으며,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치는 표 3, 그림 2와 같다.
표 2. 온도변화에 따른 강재의 열적특성 일반적으로 열전달표면에서의 열전달계수를 측정하는 경
특성 산정 방법 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즉, 시간에 따라서 일정한 정
범www.earticle.net
위(℃)
밀도 ·
상상태(steady state)와 시간에 따라서 급격하게 변하는 과도
  
상태(transient state)를 이용하는 것이다.


그러나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공학적인 응용분야에서는


        ×       ×      ≤  ≤ 

비열   
    
정상상태의 경우보다도 과도상태의 열전달이 일반적인 현
  
   ≤ 

  상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열전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비열 b) 열전도율
그림 1. 강재의 열적특성 그림 3. 열전도에 대한 검사체적
304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ABAQUS를 이용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3.1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 식 (5)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변수  를 포함하고 있
유한요소의 기본 미분 방정식인 식 (1)로 정식화하는 것 으며, 본 연구에서는 Galerkin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변수 
은 범함수(functional)인 식 (2)를 최소화함으로써 얻을 수 를 2/3로 하여 적용한 열전도에 대한 수치 시간 적분법을
있다. 사용하였다.
열전도에 대한 검사체적은 그림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
으며, 기본 미분 방정식은 에너지 보존에 의해 다음 식으 4.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열전달 해석
로 표현된다11).
4.1 열전달 해석 개요
본 연구에 적용되는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열전달 해석
    ∆     

여기서, 는 저장 에너지의 변화량이고, 단위는


∆ 은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BAQUS7)를 이용하여 KS
   또는  ·  이다.  는  검사체적 표면을 통해  표준시간-가열온도 곡선에 대해 수행하였다.
전도되어 들어오는 열유속이고, 단위는  이다. 그리 
CFT기둥의 재료의 열적 특성을 나타내는 비열과 열전도
고  는    검사체적 표면을 통해 전도되어 나가는
   율은 온도에 따른 함수로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을 수행한
열유속이다. 는 내부적인 열원(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열) 다. 본 연구에서의 강재와 콘크리트의 열적 특성은 표 2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이고 단위는  이다.  는 열유속 에 수직인 단면의 표 3과 같은 유럽기준을 적용하였다.


면적이다.
  4.2 유한요소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열전달 해석은 기둥의 4면이 화재에 동일하게 노출되어

           


 있다는 가정 하에 해석을 수행하였고, 이 때 모델링시 DC3D8

여기서,  는  방향의 열전도율,  는 온도, 는 비열, 요소를 사용하였다. DC3D8은 8절점 3차원의 선형열전달해


 는 질량밀도,  는 열유동(유속),  는 열전달계수, 그리고


석 요소로써 강재와 콘크리트의 구성요소이다.
구성재료의 물성치는 유럽기준의 재료별 열적특성을 적

    는 대류손실이다.

용하였으며, 해석시간과 실제 물리적 시간을 대응시키기
식 (2)는 식 (1)의 정상상태 범함수의 항을    

 위해 과도상태(Transient) 열전달 해석을 이용하였다. 이러
으로 대치하여 나타낸 것이다. 한 방법을 적용하여 내화피복된 CFT기둥에 관한 모델링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강재의 내화성능평가는 요구되는
   
시간동안 기준에 의해 정해진 시간별 온도상승 곡선에 부
과도상태의 요소 전도행렬은 식 (3)과 같은 정상상태의 재를 노출 시켜 평가기준을 적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요소 전도행렬에 시간 의존성 항들이 추가된다. 따라서 식 온도하중은 그림 5와 같은 KS 표준 시간-가열온도 곡선
(3)의 강성행렬에 질량행렬    을 적용하면 식 (4)www.earticle.net
 와 같은 을 적용하여 강관표면에 직접 가하였다.
요소 방정식을 구한다. 그림 5의 시간경과에 따른 가열온도에 관한 식은 식 (6)

   
 
   
 
 
과 같으며 초기온도는 20℃이다.
여기서, 질량행렬   
  
이다.   log      
여기서, 는 시간(분)이고,  는 초기온도(℃)이다.
  

3.2 수치 시간 적분
과도상태 열전도에 대한 수치 시간 적분법은 일반화된
사다리꼴 공식(generalized trapezoid rule)이라 불리며, 구조
동역학의 2차 방정식에 대한 수치 시간 적분식을 사용하는
Newmark법과 매우 유사하다.
시간  에서의 온도상태  와 시간  에서의 온도상태
 를 식 (5)와 같이 가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4. 해석모델의 형상과 요소분할도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305
황규재․이치형․김해수․윤성기

그림 5. KS 표준시간-가열온도 곡선 그림 6. 뿜칠피복의 온도결과 비교


이러한 표준 시간-가열온도 곡선은 미국의 경우 그림 6의 기존 뿜칠피복 연구결과와 해석결과 그래프를
살펴보면, 실험결과는 12mm피복의 경우 1시간에 281℃,
KS
ASTM E119(NFPA 251, UL 263), 영국의 경우 BS 476 :
Part 20 to 23, 일본의 경우 JIS A 1304 등이 있으며, 나라 27mm의 경우 2시간에 263℃에 도달했다. 그에 반해 해석
마다 큰 차이는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내화구조 성 결과는 12mm는 1시간에 289.94℃, 27mm는 2시간에 244.6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능기준11)에 규정되어 있다. 가열조건은 건축물의 통상의 화 9℃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결과와 해석간의 오차
재에서 발생되는 가열조건을 모델화한 것으로, 이 기준은 가 각각 3.09%, 7.47% 차이를 보였다.
ISO 834의 내화시험방법을 모델로 한 것이다.
2) CFT기둥모델
4.3 열전달 해석의 검증 CFT 모델에 관한 연구10)의 실험체 일람표와 해석결과는
열전달 해석방법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내화피복 표 6 및 그림 7과 같다. 그림 7에서 기존 연구결과와 해석
된 모델과 CFT기둥의 모델로 구분하여 실제 수행된 내화 결과들을 비교분석하면 가열 1시간을 기준으로 2, 3지점에
연구 결과2, 10)와 비교하였다. 서의 기존 연구결과는 각각 478℃, 370℃로 나타났으며, 해
석결과는 488.5℃, 375.5℃로 나타나 오차가 각각 2.15%,
1.46%로 미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 내화피복모델 적용한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방법의 적절성이 검증되었다
내화피복모델에 대한 열전달 해석을 위한 시험체2)는 고 판단된다.
H-300×300×10×15이며, 내화뿜칠 피복재의 물성치는 표 4
와 같다. KS 표준시간-가열곡선을 적용한 12mm, 27mm 두 표 6. 실험체 일람표
께의 뿜칠피복에 대한 온도분포는 각각 강재의 중앙점에서 길이(h) 지름(d) 강관두께(t)
는 498.2℃, 244.7℃로 나타나 50.8%의 차이가 나며, 뿜칠피 3,810mm 141.3mm 6.5mm
복의 중앙점에서는 767.3℃, 583.7℃로 23.9%의 차이가 난
www.earticle.net
다. 이러한 모델의 온도분포에 관한 스펙트럼 결과는 표 5
와 같으며, 해석결과를 기존연구결과와 비교한 결과는 그
림 6과 같다.
표 4. 뿜칠피복(Semi Coat)의 물성치
열전도율 밀도 비열
           

0.040 330 1,200


표 5. 온도 스펙트럼 결과
뿜칠 두께 12mm 27mm

온도
스펙트럼
그림 7. CFT기둥의 온도결과 비교
306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ABAQUS를 이용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5.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이에 반해 1시간 내화성능인 10mm, 20mm의 경우는 무
피복에 비해 각각 강재의 평균온도는 77.75%, 88%의 온도
화재 발생시 부재의 구조적 성능은 상승된 온도에 의해 저감효과를 보였으며, 최대온도는 80.6%, 89.5%의 저감효
서 저감되기 때문에, 온도상승에 따른 부재의 내화성능 평 과를 나타냈다.
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내화피복 두께, 강재 두께, 단면형상,
콘크리트의 강도, 각형단면의 온도측정위치를 변수요소로
한 열전달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
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열전달 해석은 앞에서 서술한
ABAQUS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방법을 이용하였다.

5.1 해석적용모델 (a) 무피복 (b) 10mm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
적용모델에 관한 변수들은 표 7과 같이 강재두께, 콘크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트의 강도, 내화피복의 두께, 단면형상 등을 각각 변화시켜


해석모델에 적용하였다. 해석 기준 모델은 길이 3m, 내화
피복두께 300mm, 각형강관 □-300×300×9 (SPSR400) 단면
을 갖는 CFT기둥이며 가열곡선은 그림 5의 KS 표준시간- (c) 20mm (d) 30mm
가열곡선을 적용하였다.
5.2 내화피복의 두께에 따른 내화성능
내화피복의 두께를 변수로 한 해석결과는 표 8, 표 9 및
그림 8에 나타내었다. 단면위치별 온도분포에 대한 내화기
준에서 콘크리트 중앙점 온도를 살펴보면, 무피복인 경우
에 비해 1시간 내화성능인 피복두께 20mm는 80.78%, 2시
간 내화성능인 30mm는 88.21%, 3시간 내화성능인 50mm는 (e) 40mm (f) 50mm
91.81%의 온도저감효과가 발생하였다. 국내 내화구조의 성 그림 8. 피복두께에 따른 온도 스펙트럼비교
능기준인 강재 시험체의 평균온도 538℃이하와 최대온도
649℃이하의 판정기준으로 봤을 때, 무피복인 경우에 비해
평균온도는 106.13%, 최대온도는 70.87%로 강재의www.earticle.net
상승온
도가 한계온도를 넘게 나타나 내화피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표 7. 해석적용모델 개요
변수 치수 및 종류 비고
9mm 기준모델
강재 두께 16mm
22mm 그림 9. 피복두께에 따른 온도결과 비교
콘크리트 강도 보통강도(24MPa) 밀도 2,300  

고강도(60MPa) 밀도 2,380  


 표 8. 피복두께에 따른 중앙점의 온도 (단위: ℃)
무피복 두께 무피복 10mm 20mm 30mm 40mm 50mm
10mm 시간(분)
내화피복두께 20mm 30 41.29 20.12 20.16 20.05 20.02 20.01
30mm 기준모델 60 120.88 28.31 23.24 21.24 20.55 20.29
40mm 90 208.56 45.7 30.96 25.64 22.98 21.58
50mm 120 283.15 68.64 43.13 33.11 27.38 24.65
단면 형상 각형단면 기준모델 150 361.42 94.84 57.55 41.63 33.91 29.04
원형단면 ∅-300×9 180 424.22 120.27 73.51 53.24 41.62 34.34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307


황규재․이치형․김해수․윤성기
표 9. 피복두께에 따른 강재의 표면온도 (단위: ℃) 22mm의 경우에는 성능기준에 비해 평균온도는 82.1%,
온도 시간 무 10mm 20mm 30mm 40mm 50mm 최대온도는 85.1%의 온도저감효과를 보였다.
평균 12 944.9 119.7 64.6 45.0 33.7 28.8
온도 3 1046
1109
203.1
269.7
110.3 78.1
154.3 107.7
57.7
80.6
46.0
65.1
5.4 단면 형상에 따른 내화성능
최대 12 946.4
1047
125.8
210.6
68.2 47.1
114.7 81.1
35.1
60.0
35.1
57.0
단면 형상을 변수로 한 해석결과는 표 12, 13과 그림 11
온도 3 1109 279.7 159.2 111.1 84.0 78.5 에 나타내었다. 단면 형상은 원형단면(∅-300×9)과 각형단
면을 변수로 하여 해석하였다. 화재시간 180분을 기준으로
5.3 강재의 두께에 따른 내화성능 원형단면과 각형단면의 중앙점 온도는 각각 61.07℃, 53.2
4℃로 각형단면의 온도가 14.71%정도 적게 나타났다. 표
강재의 두께를 변수로 한 해석결과는 표 10, 표 11 및 14에서 단면형상에 따른 강재의 상승온도를 성능기준으로
그림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및 그림 10은 강재 두께 봤을 때, 원형단면과 각형단면의 강재 온도는 평균온도에
9mm, 16mm, 22mm의 세 가지 종류를 변수로 하여 해석한 비해 각각 79.67%, 79.98%의 저감효과가 있었으며, 최대온
결과를 보여준다. 강재 두께별 각각의 콘크리트 중앙점의 도는 83.13%, 82.88%의 온도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온도는 최소 0.51%에서 최대 1.9%의 온도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강재의 두께는 콘크리트 중앙점의 온도변화에 큰 영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1에서 강재두께


에 따른 강재의 상승온도를 성능기준으로 봤을 때, 9mm의
경우 평균온도는 79.6%, 최대온도는 83.1%의 온도저감효과
가 나타났으며, 16mm의 경우 평균온도는 81.04%, 최대온도
는 84.3%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표 10. 강재두께에 따른 중앙점의 온도 (단위: ℃)
두께
시간(분) 9mm 16mm 22mm
30 20.12 20.13 20.13 그림 11. 단면형상에 따른 온도결과 비교
60 22.23 22.07 22.22 표 12. 단면형상에 따른 온도 스펙트럼비교
90 28.04 27.29 27.68
120 35.98 36.26 35.63 단면형상 원형단면 각형단면
150 46.40 46.58 45.81
180 57.84 56.99 56.70

표 11. 강재두께에 따른 강재의 표면온도 (단위: ℃) 온도


스펙트럼
온도 시간 9mm 16mm 22mm
평균 1 49.44 44.99 43.86
www.earticle.net
온도 2 79.85 74.67 71.14
3
1
109.63
49.54
102.00
45.15
96.56
44.07
표 13. 단면형상에 따른 중앙점의 온도 (단위: ℃)
최대 2 79.97 74.87 71.39 단면 원형단면 각형단면 오차 (%)
온도 3 109.75 102.21 96.84 시간(분)
30 20.09 20.05 0.19
60 22.16 21.24 4.33
90 27.99 25.64 9.17
120 37.97 33.11 14.68
150 48.74 41.63 17.08
180 61.07 53.24 14.71
표 14. 단면형상에 따른 강재 표면온도 (단위: ℃)
온도 시간 원형단면 각형단면
평균 1 46.96 45.0
온도 2 79.63 78.1
3 109.39 107.7
최대 1 47.05 47.1
온도 2 79.73 81.1
그림 10. 강재두께에 따른 온도결과 비교 3 109.51 111.1

308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ABAQUS를 이용한 CFT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위치를 콘크리트 중앙점을 기준으로 수평방향과 사선방향
을 변수로 하여 해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표 17. 해석적용모델 일람표
적용모델 피복두께 강재두께 콘크리트 강도
30mm 9mm 보통강도

온도
측정위치
그림 12. 콘크리트 강도변화에 따른 온도결과 비교
표 15. 콘크리트 강도에 중앙점의 온도 (단위: ℃)
강도
시간(분) 보통강도 고강도 오차 (%) 표 18. 지점별 위치에 따른 수평방향의 온도 (단위: ℃)
30 20.04 20.04 0 위치
시간(분) A B C D E
60 21.24 21.14 0.47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90 25.64 24.80 3.39 30 20.04 20.36 26.63 27.25 263.68


120 33.11 32.35 2.35 60 21.24 23.68 41.60 42.72 392.26
150 41.63 41.49 0.34 90 25.17 30.19 56.44 57.82 447.58
180 53.24 51.65 3.08 120 33.11 40.51 73.07 74.64 486.59
150 42.63 51.53 87.87 89.55 513.12
표 16. 콘크리트 강도변화에 따른 강재 표면온도 (단위: ℃) 180 53.24 63.14 102.08 103.85 534.84
온도 시간 보통강도 고강도 표 19. 지점별 위치에 따른 사선방향의 온도 (단위: ℃)
평균 1 42.08 42.29 위치
온도 2 73.75 73.67 시간(분) 1 2 3 4 5
3 102.85 102.23 30 20.04 20.66 28.59 80.22 431.96
최대 1 42.55 42.39 60 21.24 25.79 46.03 128.12 639.74
온도 2 74.42 73.78 90 25.17 34.38 62.28 155.61 720.95
3 103.61 102.35 120 33.11 46.55 79.87 179.33 779.20
150 42.63 58.71 95.22 197.79 811.13
이는 강재의 상승온도에 따른 내화성능기준으로 봤을 180 53.24 71.09 109.79 214.34 838.15
때, 원형단면과 각형단면의 온도저감효과의 차이가 최소
0.25%에서 최대 0.31%로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5.5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른 내화성능


콘크리트 강도를 변수로 한 해석결과는 표 15, 16과 그
림 12에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의 보통강도와www.earticle.net
고강도
를 변수로 하여 해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콘크리트의 강도
는 골재의 밀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밀도 2,300 의 보 

통강도 콘크리트와 밀도 2,380 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화재시간 180분을 기준으로, 보통강 그림 13. 지점별 위치에 따른 수평방향의 온도결과
도 콘크리트의 중앙점 온도는 33.11℃이며, 고강도 콘크리
트는 32.35℃로 2.35%의 차이가 났다. 콘크리트 강도변화에
따른 내화성능기준의 강재상승온도를 기준으로, 보통강도
의 경우 평균온도는 86.3%, 최대온도는 88.5%의 온도저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평균온도는
86.3%, 최대온도는 84.2%의 온도저감효과가 나타났다.
5.6 온도측정위치에 따른 내화성능
표 17은 2시간 내화성능 기준인 피복두께 30mm를 가진
적용모델을 보여주며, 표 18, 19와 그림 13, 14는 온도측정 그림 14. 지점별 위치에 따른 사선방향의 온도결과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309
황규재․이치형․김해수․윤성기
화재시간 180분을 기준으로 강재의 내부표면은 각각 면의 경우는 수평방향의 위치별 온도분포가 사선방향에 비
℃ ℃로 7.02%의 차이가 났으며, 외부표면 또
102.08 , 109.79 해 최소 11.2%에서 최대 63.81%로 온도저감효과가 더 크게
한 각각 103.85℃, 214.34℃로 51.55%의 차이가 났다. 그리 나타났다.
고 내화피복 중간점의 온도는 각각 534.84℃, 838.15℃로
63.81%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각형단면의 온도분포를 봤 본 연구에서는 내화피복된 CFT기둥을 과도상태 열전달
을 때, 수평방향의 온도분포가 사선방향에 비해 최소 해석을 통해 온도분포로서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나, 향후
11.2%에서 최대 63.81%의 차이가 났다. 비선형 열응력 해석을 통해 일정 축력을 받는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6. 결 론
참고문헌
본 연구에서는 ABAQUS를 이용한 내화피복된 CFT기둥
의 열전달 해석을 통해 실제로 수행된 실험 결과와 비교하 1. 박수희, 류재용, 정경수, 최성모, 일정 축력을 받는 콘
여 해석 모델링 및 해석결과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크리트충전 각형 강관기둥의 내화성능 평가, 한국강구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내화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피복 조학회 논문집, 제19권 제6호, pp.703~714, 2007.
의 두께, 강재의 두께, 단면형상 등을 변수로 하여 유한요 2. 신태송, 국내 피복 철골기둥의 내화 성능 분석 및 평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210.125.183.211 at Thursday, August 11, 2022 9:19 AM

소 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제21권 제1호, pp.27~35, 2009.
3. 이태규, 김영선, 강선종, 김규용, 김무한, 화재시 고강도
1) 내화피복된 CFT기둥의 적용모델에 대한 과도상태 열 콘크리트를 충전한 CFT column의 온도변화에 관한 실
전달 해석의 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해석 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모델의 오차범위가 최소 1.46%에서 최대 7.47%정도 이내로 제1호, pp.603~606, 2007.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과도상태 열전달 해석의 모델링의 신 4. 한국표준협회, KS F 2257-1: 건축 부재의 내화시험 방
뢰성을 검증하였다. 법-일반요구사항, 2005. 7.
2) 내화피복의 두께 변화에 따른 내화성능은 무피복의 5. 한국표준협회, KS F 2257-7: 건축 부재의 내화시험 방
경우 상승온도가 내화성능기준에 비해 최대 106.13% 크게 법-기둥의 성능 조건, 2005. 7.
나타나 내화구조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며, 피복의 두께 6. 한국콘크리트학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특성,
가 클수록 온도저감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기문당, 2005.
3) 강재의 두께에 따른 내화성능은 강재의 상승온도를 7. ABAQUS/CAE User's Manual Version 6.5, Hibit, Karlsson
기준으로 봤을 때는 온도저감효과의 차이가 최대 5.5%로 & Sorensen, Inc, 2005.
미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콘크리트 중앙점의 온도를 기준 8. ABAQUS Analysis User's Manual Version 6.5, Hibit,
으로 봤을 때도 최대 1.9%로 온도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Karlsson & Sorensen, Inc, 2005.
이는 강재의 두께는 내부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www.earticle.net
큰 영향 9. ABAQUS Theory Manual Version 6.5, Hibit, Karlsson &
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orensen, Inc, 2005.
4) 단면 형상에 따른 내화성능으로 원형단면과 각형단면 10. Ana Espinos, Manuel L. Romeo, Antonio Hospitaler,
은 강재의 상승온도를 기준으로 봤을 때는 최대 3.46%의 Advanced model for predicting the fire response of
미소한 차이를 보였지만, 콘크리트의 중앙점 온도는 각형 concrete filled,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단면의 내화성능이 14.71%로 온도저감효과가 더 크게 나타 66, pp.1030∼1046, 2010.
났다. 11. Daryl L. Logan, 유한요소법 첫걸음, 시그마프레스, 2006.
5)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른 내화성능은 강재의 상승온도 12.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s - Part 1.2
를 기준으로 봤을 때는 온도저감효과의 차이가 최대 4.3% General actions - Actions on structures exposed to fire,
로 미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콘크리트 중앙점의 온도를 기 2002.
준으로 봤을 때도 최대 2.35%로 온도저감효과를 나타내었 13.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내부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 Part 1.2 General rules - Structural fire design, 2005.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온도측정위치에 따른 내화성능은 원형단면인 경우 모 ■(접수:2010.11.02, 확정:2010.12.10, 게재:2010.12.20)
든 방향으로 일정한 온도분포를 보여주는 반면에, 각형단

310 大韓建築學會聯合論文集 12권4호(통권44호) 2010년 12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