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특집기사

강구조 내화설계기준
Fire Resistant Design Code for Steel Structures

최 인 락 (In-Rak Choi), 호서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조교수, irchoi@hoseo.edu

최 성 모 (Sung-Mo Choi),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1. 머리말 도: 649℃)를 적용하여 구조부재의 내화성능 확보 여부를 판


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정내화구조의 경우 내화시험을
강구조를 포함한 건축구조부재의 내화성능은 하중지지력․ 수행하는 가열로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시험이 제한적으로 수
차염성․차열성으로 판단하며(KS F 2257-1), 부재의 설계 행될 수 밖에 없으며, 내화구조 인정의 유효기간이 최대 5년으
위치 및 목적기능에 따라 각각의 요구내화 성능기준을 적용한 로 이후 재시험이 필요하다는 점과 내화시험에 많은 시간과 비
다. 이러한 구조부재의 요구내화 성능기준은 방화구획의 내화 용이 수반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효과적인 방법은 아니다.
성능기준과 하중지지성능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현재의 내화설계 방법 이외에 화재의 종류와 구조물
내화구조 설계에 있어서 내화설계기준의 성능 목표는 인명안 의 하중조건, 고온에서의 재료물성 변화를 반영한 합리적 내화
전(life safety)으로 구조물의 구조설계 과정에서 화재로 인한 설계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내화구조 설계기준을
구조물의 붕괴 방지 및 지정된 방화구역 외의 화재 확산 방지 마련하고 있으며, 강구조, 콘크리트구조, 목구조에 대한 내화
성능을 확보하는 데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러한 목적을 설계기준과 해설을 집필하고 기준에 대한 자문회의와 공청회
달성하기 위해 건물의 용도나 규모에 따라 「건축물의 피난·방 를 개최하였다. 여기서는 강구조 내화설계기준의 주요 구성내
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피난규칙)」의 별표 1에 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서 규정하고 있는 부재의 종류에 대한 내화시간에 기초하여 내
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따라 내화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강구 2. 강구조 내화설계기준
조물에 있어서 이러한 사양적인 설계방법의 전형적인 사례로
화재에 노출된 강재에 대한 소요 내화피복 두께를 규정하는 것 강구조 내화설계 기준은 강구조물의 실내외에서 발생하는 화
으로 적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실제 구조물에 재의 성상, 고온에 따른 재료의 열적 및 역학적 특성, 구조해
작용하는 하중 및 화재 조건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건축물 석 방법 등을 제시하며, 이를 적용한 구조 부재 및 시스템의
의 전 층에 동일한 내화시간을 요구하는 등 비합리적 설계가 해석 및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강구조 내화설계 기준의 구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최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강합성 성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조에 대한 적절한 설계방법을 제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 피난규칙에서는 성능시험에 의한 내화설계방법으로 2.1 강구조 내화설계 기본원칙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에 의한 인정내화구조를 적용하 강구조물의 내화설계에는 다음 기본원칙을 고려하여야 한다.
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
이 구조물의 용도 및 규모에 따라 규정된 내화시간에 대해 KS ∙ 강구조물은 화재 노출 시간 동안 필요한 구조성능을 유지
F 2257: 건축부재 내화시험방법에 따라 실대형의 내화시험을 하도록 설계·시공하여야 한다.
수행하여 내화성능을 검증하는 것으로, 시험시 설계 부재의 하 ∙ 방호목적 또는 구획부재의 설계기준에 따라 하중을 지지
중조건 및 지점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내화피복된 구조 하는 구조부의 변형을 고려해야 할 경우에는 요구하는 변
부재의 경우 부재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하중에 대한 시험결과 형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
를 근거로 설정된 강재의 한계온도(평균온도: 538℃, 최고온 ∙ 표준화재를 적용하는 경우 부재는 하중지지력만을 평가하

8 강구조 내화설계기준

www.dbpia.co.kr
특집기사

(a) 항복강도 저감계수 (2% 변형률) (b) 항복강도 저감계수 (0.2% offset 방법) (c) 탄성계수 저감계수

(d) 열팽창율 (e) 비열 (f) 열전도율

그림 1. 구조용 강재의 고온 물성 비교

며, 화재노출 요구시간 동안 하중지지력을 유지하는 경우 는 것을 허용하지만, 실제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일관성 있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게 시험하여 적용하는 것은 실제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
∙ 변수화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화재의 쇠퇴기를 포함한 기준에서는 Eurocode 3에서 제시한 고온에서의 강재의 재료
전구간 또는 화재노출 요구시간 동안 구조물이 붕괴되지 특성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국내의 건축구조용 강재에 대한
않을 경우 하중지지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고온에서의 재료시험 결과는 권인규(2003), Choi et al.
∙ 구조용 강재의 표면 방사율은 0.7을 적용한다. (2014, 2017), 김소영 등(2018), 김선희 등(2019)이 있으
며, 그림 1에 제시된 것과 같이 강재의 고온시험 결과는
2.2 고온에서의 재료특성 Eurocode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료 물성을 적용하여 강구조물
구조용 강재는 고온에 노출되면 재료적 특성 및 결정구조가 의 고온 특성을 근사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16
변화하게 되며, 이는 구조물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년 개정된 구조용 강재의 KS 규격에 따른 강재의 고온물성 시
이 기준에서는 구조용 강재와 콘크리트, 고장력볼트에 대한 기 험은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고온시 강재의 재료특성에 대한 설
계적 성질에 대해 상온시의 재료 특성에 대한 저감비율로 제시 계식을 검증할 계획이다.
하였으며, 구조용 강재의 고온에서의 열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2.2.2 콘크리트
2.2.1 구조용 강재 콘크리트의 고온시 재료특성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내화설계
고온에서 구조물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재료특성은 기준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이 기준에서는 강
응력-변형률, 열팽창 및 시간 의존적 크리프 효과의 비선형성 합성구조의 설계를 위해 필요한 보통강도 콘크리트 및 경량콘
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효과는 매우 다양하므로 재료 특 크리트에 대한 재료특성을 Eurocode 4를 기반으로 작성하였
성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변화된 물성을 사용하여 구조 요소 다. 다만, 국내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및 플라
및 시스템이 변형 및 강도 한계상태에 대해 평가하여야 한다. 이애쉬 등의 혼화재 사용으로 인해 열적․기계적 재료특성이
이 기준에서는 시험결과로부터 구조용 강재의 물성을 결정하 Eurocode와는 다를 수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의 고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9

www.dbpia.co.kr
특집기사

하는 경우 상세계산법을 적용해야 한다. 상세계산법에서는 온


도상승, 열팽창의 영향, 대변형, 크리프와 같은 시간 의존적
특성과 고온에서의 재료강도의 저감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 기
준의 약산법은 Eurocode 3의 화재시 강재의 온도예측식과
AISC 360-16, Appendix 4의 화재시 부재설계 방법을 바탕
으로 화재시 구조부재의 내부 온도를 파악하여 구조부재를 설
계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2.4.1 약산법 - 화재시 강재의 온도 예측


그림 2. 구조해석 및 내화설계 절차 화재시 강재의 온도는 1차원 열해석을 통하여 내화시간에
따른 반복계산 방법으로 간략히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온물성에 대한 김흥열(2003)의 연구와 합성보 및 합성기둥에
은 강재의 온도가 균일하다고 가정하며, 부재가 내화피복되지
대한 Ahn et al.(2013, 2017)과 정경수 등(2013)의 연구
않거나 모든 외주 면에서 균일하게 내화피복 되는 경우에 적용
결과에 따르면 Eurocode 4에서 제시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재
이 가능하다. 약산법을 바닥 및 지붕 슬래브를 지지하는 강재
료물성을 사용하여 강합성구조의 내화성능을 보수적으로 예측
보에 적용할 경우에는 강재보의 온도를 높게 평가하므로 주의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해야 하며, 강재의 온도분포가 균일한 것으로 가정하므로 온도
구배로 인해 발생하는 모멘트는 고려되지 않는다.
2.3 구조해석
구조해석 모델은 열적 및 역학적 작용을 반영할 수 있어야 2.4.2 약산법 - 부재 설계
한다. 구조해석 방법은 화재의 크기나 화재 손상의 범위 등을 약산법에 의한 부재설계 방법으로 인장재, 압축재, 휨부재
고려하여 부재 해석, 부분구조 해석, 전체구조 해석 등 3가지 에 대한 고온에서의 설계식을 제시하고 설계전단강도, 조합력
적합한 해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림 2 참조). 과 비틀림을 받는 부재에 대한 설계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
구조해석을 통한 내화설계 시, 화재 노출 시간에 따른 구조 한 설계식은 상온에서 강구조 설계와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상
부재 및 구조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는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온에서의 설계식을 고온에서의 설계식으로 확장하는 방법으
로 적용하였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AISC 360-16:
 ≤  (1) Appendix 4의 설계식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이때, 강구조
여기서,  = 화재 시 소요강도 에서 강재 부재의 온도는 균일한 것으로 가정하며, 불균일 가
 = 화재 시 열적 특성을 고려한 강도 열조건이나 그에 따른 온도구배의 영향을 받는 경우 설계시 강
 = 화재노출시간 도감소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노출형 합성보와 합성기둥에 대해서도 화재시 설계방법을 추
2.4 내화설계 가로 제시하였다. 합성보의 경우 강재보 하부 플랜지의 온도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화재 상태에서의 열적 특성을 웨브의 중앙까지는 일정하고 상부 플랜지까지는 온도가 25%
고려한 부재의 공칭강도와 화재 상태에서의 하중에 의해 부재 내로 선형적으로 감소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는 것으로 제시
에 발생하는 응력을 산정하여 식(1)을 만족하도록 설계하여야 하였다. 대안으로, 하부플랜지 온도를 기준으로 휨강도 감소계
한다. 이 기준에서는 내화설계 방법으로 약산법과 상세계산법 수를 적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합성기둥의
의 2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약산법은 단일 부재 또는 구성 화재시 설계강도는 콘크리트구조와 마찬가지로 500℃ 등온선
요소가 화재시 모든 외주면에서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는 것으 법이나 구획법을 적용하여 계산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때,
로 가정하며, 불균일 온도분포를 가정하는 경우 설계시 온도구 기둥의 유효좌굴길이는 상하부 층의 화재에 노출되지 않은 기
배의 영향을 별도로 반영하여야 한다. 반면, 화재에 대한 전반 둥의 회전 구속력으로 인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상온시와 비교
적인 구조시스템의 거동과 화재시 구조 부재와 구획 요소 간의 하여 이를 저감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호 작용 또는 화재 후 구조시스템의 잔류 강도를 고려해야

10 강구조 내화설계기준

www.dbpia.co.kr
특집기사

2.4.3 상세계산법 참고문헌


상세계산법은 화재 상태에서 구조물의 예상되는 물리적인 거
동을 파악하기 위해 화재에 노출된 구조물의 열적․역학적 특 1. 국가기술표준원, KS F 2257-1, 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방법 —
일반 요구사항, 2014
성 변화를 고려하여 고급 해석방법으로 평가한다. 구조물 화재
2. 국가기술표준원, KS F 2257-6, 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방법 —
의 경우 열응답과 역학적 거동 간의 상호의존성은 미미하기 때
보의 성능 조건, 2014
문에 열응답은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해석 이전에 비연
3. 국가기술표준원, KS F 2257-7, 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방법 —
속적(uncoupled)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한 경 기둥의 성능 조건, 2014
우 열 및 역학적 거동에 대한 연속(coupled) 해석을 적용할 4. 권인규 (2003), 구조용 강재의 내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수 있다.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상세계산을 위한 열응답 해석의 경우, 화재로부터 구조부재 5. 김흥렬 (2002), 고온 영역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표면으로의 복사 및 대류에 의한 열전달 효과와 부재 내부에 에 관한 실험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 열전도에 의한 온도 상승 변화를 화재노출시간에 따라 순 6. 정경수, 최인락, 김도환, 김진호 (2013) 일정축력하에 고온을
받는 고강도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의 구조적 거동에 관한 연
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열전달 경계 조
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25, No.1, pp. 71-80.
건 및 구조재료의 열적 특성이 정교하게 반영되어야 하며, 대
7. Ahn, J.K., Lee, C.H., Park, H.N. (2013) Prediction of fire
부분 고급유한요소해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resistance of steel beams with considering structural and thermal
일반적이다. parameters, Fire Safety Journal, Vol. 56, pp. 65–73.
화재시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은 ① 역학적 작용, 기하학적 8. Ahn, J.K., Lee, C.H. (2017) Fire behavior and resistance of
불안정, 열적 작용이 결합된 효과, ② 고온에서 재료의 역학적 partially encased and slim-floor composite beams, Journal of
특성, ③ 기하학적 비선형 효과, ④ 구조물의 강성에 대한 재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 129, pp. 276–285.
하 및 비재하의 불리한 영향을 포함한 재료 비선형 효과를 모 9. AISC 360-16 (2016),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Chicago, IL.
두 고려하여 검토해야 하며, 부재의 초기변형 등을 역학적 거
10. CEN (2005),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s - Part 1-2:
동에 반영하기 위한 모델링기법 및 해석 수렴성 등과 관련한
General rules - Structural fire design, EC3 1993-1-2, Comite
세부 사항은 상세설계를 위한 고급유한요소해석용 소프트웨어
Européen de Normalisation, Brussels, Belgium.
를 활용하더라도 설계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11. CEN (2005), Eurocode 4: Design of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structures - Part 1-2: General rules - Structural fire design, EC4
5. 맺음말 1994-1-2, Comite Européen de Normalisation, Brussels, Belgium.
12. Choi, I. R., Chung, K. S., and Kim, D. H. (2014) Thermal and
본 고에서는 현재 국내의 내화설계 방법과 내화구조설계 기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ructural steel HSA800 at
준에 의한 내화설계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앞으로 내화구조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Materials and Design (Elsevier).
설계 기준의 법제화를 위해서 기준의 보완과 수정 및 관련 규 Vol. 63, pp. 544-551.
정의 개정작업이 필요하며, 내화구조설계에 대한 공감대를 형 13. Choi, I. R., Chung, K. S., and Lee, H. R. (2017) Thermal and
성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Steel SN400 at Elevated
Temper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KSSC).
국내의 내화구조 설계가 합리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기 위해서
17(3), pp. 999-1007.
는 내화구조 설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관련 분야 전문가 양
14. Kim S.H, Yom K.S and Choi S.M (2015), Fire Resistance
성 및 교육이 중요하며, 내화구조에 대한 설계자의 지속적인
Performance of Welded Built-up Square CFT Columns with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Reduced Intumescent Paint, Journal of Structural Fire Engineering
Vol. 112, No. 3, pp. 103-112.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11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