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

10~20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정 민 조지현 김상규 최병희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
음성-제천사업단 음성-제천사업단 음성-제천사업단 음성-제천사업단
단장 팀장 차장 과장
(soilmeca@ex.co.kr)

1. 서론 an Extended Head)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성


PHC(Pretentioned Span High Strength Concrete
교량에서 기초하부 지반이 연약한 경우에는 단단 Piles)파일 선단의 확장을 통해 선단지지력을 증가시
한 지반까지 상부하중을 전달하기 위해서 파일 기초 켜 파일의 자체내력 중 50~80%만이 설계지지력으로
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기성파일로는 주로 강관파일 발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일 자체내력의 손실율
과 PHC파일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강관파일은 강재 을 최소화한 기술이다. 선단확장(EXT파일) 방법으로
라는 재질의 특성으로 수평력 및 휨에 대한 저항성이 는 복합파일(Composite pile)하부 또는 단일 PHC파
큰 반면 재료비가 높아 공사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 일 하부에 파일 외경보다 큰 선단확장 Steel Plate를
다. 반면 PHC파일은 공사비가 저렴하나, 수평력에 취 부착하는데 선단확장 Steel Plate의 부착은 현장 또는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PHC파일의 경제 공장에서 용접하는 방법과 파일 제조 공정시에 일체형
성과 강관파일의 높은 수평저항력을 활용하기 위해 으로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서 도로구조물에 복합파일(Composite Pile)을 적용 선단확장형(EXT파일)복합말뚝 거동 특성은 기존의
하고 있다. 그러나 복합파일의 성능은 상대적으로 약 복합파일 형태(상부강관파일+하부 PHC파일)를 유지
한 하부 PHC파일에 의해서 지배되고 있고, 그 재료 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은 기존 공법
강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 과 동일하나, 하부 선단확장형 Steel Plate를 적용하였
한 맥락에서 개발된 신공법 중 EXT파일 (Pile with 기 때문에 수직력에 대한 저항력은 기존 복합 파일에

10 • 地 盤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비해서 우수하다. 따라서 상부 강관 및 이음부 시공에 지표면에서 깊은 부분은 PHC 말뚝을 사용하여 효율
따른 공사비 증가부분을 수직력 증대에 따른 파일 수 성을 극대화한 제품이다.
량 절감을 통해서 공기단축 및 원가절감이 가능한 제 선단확장형(EXP파일) 복합파일은 복합파일 하부
품이다. 이에 고속국도 제40호선 충주∼제천간 건설 에 파일 외경보다 큰 선단확장 Steel Plate를 부착하여
공사 1공구 산척1교에 파일 선단부 지압응력을 증대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킨 파일이며, 기존의 복
시킨 선단확장형 파일(EXT파일)을 적용하여 파일 성 합파일 형태(상부강관파일+하부 PHC파일)를 유지하
능을 향상시키고 공기단축 및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기 고 있기 때문에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은 기존 공법과
위하여 시험시공을 실시하고 현장 적용성 등을 확인하 동일하나, 하부 선단확장형 Steel Plate를 적용하였기
였다. 때문에 수직력에 대한 저항력은 기존 복합파일에 비해
서 우수하다. 그림 1은 선단확장형(EXT파일)의 개념
을 보여주고 있다.
2. 선단확장형(EXT-Pile) 복합말뚝의 개념

복합파일(Composite pile)은 서로 다른 이질재료의 3. 현장 시험 시공


말뚝을 연결하여 복합체 형태로 현장에 시공하는 말뚝
형태로서 상부 강관말뚝 + 무용접 조인트 이음 (Non- 현장 말뚝 시공조건에서 선단확장형(EXT파일) 복
welding composite Pile) + 하부 PHC 말뚝으로 구성 합말뚝의 지지력 증진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
된다. 말뚝 기초에 작용하는 휨하중의 분포 중 지표면 기 위하여 복합파일,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부근의 휨하중이 큰 구간은 강관말뚝을 사용하고, 휨 강관파일 3종류 말뚝에 대하여 시험 시공을 실시하고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하고 축하중만 작용하는 이에 대한 동재하 및 정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1.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개념

2013. 2 Vol.29, No.2 • 11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10~20

종단면도 횡단면도

그림 2. 산척1교 말뚝 단면도

표 1. 시험 말뚝 수량

말뚝 재원 관입 길이 본수
위치 비고
종류 규격 당초 변경 당초 변경
복합파일 Ø555 12.4m 15.07∼18.21m - 40 공
산척1교 EXT형
Ø500 12.4m 15.30∼18.24m - 6공
(삼척방향) 복합파일
강관파일 Ø508×9T 12.4m 17.16∼18.16m 50 공 4공

3.1 시험시공 개요 를 부착시킨 선단확장형(EXT파일)복합파일과 Ø508


×9T 강관파일, Ø500mm 복합파일을 대상으로 하였
3.1.1 공사현황 고, 이와 관련된 지지력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현장 말뚝 재하 시험을 보다 수월하게 관리하기 위 현장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해 고속국도 제40호선 충주~제천간 건설공사 제1공
구 산척1교 교각(P1) 기초공사에 계획하였다. 3.2.1 터파기 및 현장 준비 작업
매립층 구간이 깊고 호박돌 및 전석으로 이루어져
3.1.2 말뚝 현황 있어 터파기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터파기 구간
산척1교 말뚝 현황은 그림2와 같으며 시험시공 말 은 모래질 실트로 구성된 매우 연약한 퇴적층으로, 장
뚝 수량은 표 1과 같다. 비의 trafficability 확보 및 시공이 어려워 터파기 하
부 1m에 대하여 잡석 치환을 실시하여 항타장비의 접
3.2 시험파일 시공 지압이 확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터파기 이후에도 지
하수의 유출이 심하여 배수로를 설치하여 3 inch 양수
본 시험시공은 직경 Ø500mm 복합파일(Composite 기로 24시간 양수하여, 지하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pile)하부에 파일 외경보다 큰 선단확장 Steel Plate 하도록 하였다.

12 • 地 盤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a) 치환 작업 (b) 배수로 설치 및 양수작업 (c) 시험 굴착


그림 3. 현장 준비 작업

(a) 파일 현장 적재 (b) 선단확장 보강판 용접 (c) 복합파일 용접


그림 4.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제작

3.2.2 파일 제작 확장 Steel Plate를 용접하여 제작하는 현장 제작형 형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3가지 복합파일 형태(용접 태로 적용하였다.
이음, 무용접이음 등)에 관계 없이 시공이 가능하나,
시공 경험이 가장 많고, 국토해양부 신기술을 획득한 3.2.3 파일 시공
HCP복합파일을 사용 하였다. 복합파일의 제작은 상 복합파일의 품질 확보를 위해 복합파일 및 선단확장
부 강관파일이 공장에서 연결이음부와 함께 용접 제작 보강판의 용접부에 대해서는 용접검사(MT)를 실시하
되어 현장에 반입 되고, 시험굴착을 통하여 천공 길이 였다. MT검사법은 전자석장비(요크형)를 사용하여 강
가 확정이 되면 하부 PHC를 발주하여 현장에 반입하 자성체의 표면에 자분을 뿌렸을 때 누설자력을 이용하
였다. 이렇게 현장에 반입된 각각의 강관파일과, PHC 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법은 피검사물
파일을 현장에서 용접하여 하나의 복합파일을 제작하 에 결함이 있으면 자력선을 통과시킬 때 그 부분에 자
였다. 선단확장(EXT파일)형 복합파일의 제작은 복합 력선의 교란이 생겨 결함부에 살포된 자분이 자분무늬
파일 제작 방법과 동일하며, 선단확장 Steel Plate와 로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결함의 위치를
하부 PHC파일과의 결합은 현장여건에 따라 현장제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도로공사의 용접부 관리 기준(5
작, 공장제작이 가능하나, 본 현장의 경우는 현장길이 이음당 1회 이상)에 따라, 복합파일 용접부에 9회, 선
변화 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선단 단확장 보강판 용접부에 3회를 실시하여 품질을 확보

2013. 2 Vol.29, No.2 • 13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10~20

하였다. 를 주입하는데, 당 현장에서는 지하수가 높고, 피압수


파일 시공은 N치 50/10 이상의 풍화암에 안착시키 에 의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실을 방지하고 주면 마
는 것으로 하였다. 파일 설치 후 측정한 관입깊이는 찰력 확보를 위해 물시멘트비(W/C)를 시방서 기준의
15.07∼18.24m로 당초 설계인 12.4m 보다 2.87∼ 83%에서 70%의 부배합으로 변경하여 시공하였으며,
6.04m 길게 시공되었다. 여기서, 지지층 심도는 최초 시험 파일 및 반력파일로 사용되는 파일은 초기강도를
에는 E.O.I.D 시험시 설계하중의 80% 확보를 목표로 발현하기 위하여 1일 이내 목표 강도를 발현하는 조강
주상도에 근거하여 산정하였으나, 시험 시공시 계획 재(GEO-FIX 10P)를 사용하였다.
심도에서 강관말뚝의 지속적인 항타관입이 발생하였 그림 5는 시험파일의 시공현황을 정리하고 있으며,
다. 따라서, E.O.I.D 시험시 100% 설계하중을 확보하 표 2는 시험파일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에서 보
기 위하여 항타 장비 오거의 부하정도인 200 암페어를 이는 바와 같이 시험파일은 정방향 배치로 설치하여
기준으로 천공이 불가능할 정도의 단단한 지층에 정착 재하 실험 시 발생하는 상호 간섭효과를 최대한 배제
하는 것으로 변경 시공하였다. 한편, 강관파일의 경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단 단면적이 작아(Ø508×9T), 경타시 오거 천공 심
도보다 추가적인 관입이 발생하며, 당 현장에서도 천 3.3 재하시험
공심도 보다 0.5∼1.5m 추가 근입되어 시공되었다.
파일의 주면마찰력 확보를 위해서 시멘트 페이스트 동재하 시험의 경우 말뚝 시공시 초기항타(E.O.I.D)

(a) 용접 검사 (b) 굴착 및 케이싱 근입 (c) 파일 근입


그림 5. 현장 파일 시공

표 2. 시험 파일 시공 현황

파일번호 파일종류 시공방법 시공일자 관입깊이 시험

#6 강관파일 SDA공법 2011.10.31 17.16 m E.O.I.D/Restrike

#8 복합파일 SDA공법 2011.11.08 17.15 m E.O.I.D/Restrike

# 10 EXT형 복합파일 SDA공법 2011.11.15 17.21 m E.O.I.D/Restrike

# 22 강관파일 SDA공법 2011.11.14 18.16 m 정재하시험

# 25 복합파일 SDA공법 2011.11.16 18.21 m 정재하시험

# 28 EXT형 복합파일 SDA공법 2011.11.25 18.20 m 정재하시험

14 • 地 盤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그림 6. 시험 파일 배치도

동재하시험(E.O.I.D) 동재하시험(Restrike) 정재하 시험


그림 7. 현장 재하 시험

를 실시하였고, 재동재하시험(Restrike)은 말뚝 시공 여서 기초터파기고에서 상부 1m를 잡석 치환하였다.


후 최소 7일 경과 후 실시하였다. 정재하시험은 주변 그리고, 지하수 유출이 심하여 배수로 설치 및 양수를
파일의 반력을 이용하는 반력말뚝 방법을 적용하였 24시간 실시하였다.
고, 반력 파일은 8본을 이용하였다. 시험하중은 선단 파일 시공은 높은 지하수 및 피압수에 의하여 공벽
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의 설계하중(약 105tonf) 의 유지가 힘들어 당초 설계도서상 SIP공법에서, 외부
의 2배인 220tonf을 재하하였다. 정재하시험 시기는 케이싱을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하는 SDA공법으로 변
파일 시공 후 최소 22일 경과 후 실시하였다. 경 시공 하였다. 시공결과, 기초 지반의 주상도와 상이
하게 연약하고 피압수에 의해 선단부의 과도한 슬라
3.4 시공성 확인 임 등으로 케이싱의 jamming 현상이 발생하는 등 공
사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현장과 같은 지반조
본 시험시공 현장은 상부 매립층 구간은 1∼2m 크 건도 항타 장비 규격만 지반조건에 적합하게 투입되면
기의 전석이 혼재하였고, 전석층 구간 하부 기초 터파 현재 사용하는 시공법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기의 지반은 매우 연약하여, 장비의 자립이 힘든 상태 판단된다.

2013. 2 Vol.29, No.2 • 15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10~20

4. 재하시험을 통한 현장 시험 말뚝 평가 일의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표 3은 현장에서


수행했던 동재하시험의 자료를 보여주고 있다.
현장에서 동재하시험 및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시 동재하시험에는 E.O.I.D(End of Initial Driving)와
험 말뚝에 대한 지지 특성을 파악하였다. 재하시험 결 Restrike 두가지 시험 방법이 있다. E.O.I.D(End of
과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이 임의 재하하중 Initial Driving)는 시공종료 직후 또는 파일시공 중 실
에서 강관파일이나 복합파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시하는 시험으로 항타응력, 타격에너지, 파일의 건전
변위를 보여 주고 있어 하중 지지 특성이 향상된 것으 도, 파일의 선단지지력 등을 측정하여 항타시공 관입
로 나타났다. 성 분석(Driveability Analysis)을 함으로써 파일의 시
공관리 목적으로 시행하는 시험이며, Restrike는 파일
4.1 동재하시험 시공 후 얼마간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실시하는 시
험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지반의 변화효과(Set-up,
4.1.1 동재하시험 현황 Relaxation 등)의 확인과 함께 파일의 허용지지력 산
시험파일에 대한 동재하시험을 수행하여 EXT형 복 정을 목적으로 하는 시험방법이다.
합파일 시공성 및 지지력을 확인하여 설계 및 시공에 본 현장에서는 시공관리 및 파일의 허용지지력 산정
적용할 지반 공학적 자료를 확보하고 EXT형 복합파 을 위하여 두가지 시험 모두 실시하였다.

표 3. 동재하시험 내용 및 현황

시험파일 시험파일 E.O.I.D Restrike 관입깊이 시험구분


비고
위치 번호 시험일자 시험일자 (m) E.O.I.D Restrike
산척 1교 P1 #6 강관파일 '11. 10. 31. '11. 11. 15. 17.16 ○ ○ 15일 경과
산척 1교 P1 #8 복합파일 '11. 11. 08 '11. 11. 15 17.15 ○ ○ 7일경과
산척 1교 P1 #10 EXT 복합파일 '11. 11. 15 '11. 11. 22 17.21 ○ ○ 7일경과

표 4. 동재하(E.O.I.D)시험 결과(해머효율 비교 분석결과)

관입깊이 최종 관입량 CAPWAP분석결과 (tonf) 허용지지력 설계하중


시험위치
(m) (mm/타) 주면 마찰력 선단 지지력 전체 지지력 (tonf) (tonf/ea)
산척 1교 P1 #6 강관파일 17.16 3.0 28.5 235.9 264.3 105.7 75.03
산척 1교 P1 #8 복합파일 17.15 2.0 16.2 204.7 221.0 88.4 75.03
산척 1교 P1 #10 EXT 복합파일 17.21 2.0 16.3 279.6 295.9 118.4 75.03

표 5. 햄머효율 비교 분석결과

낙하고 최종 관입량 말뚝 건전도 항타에너지 최대압축응력 최대인장응력


시험위치
(m) (mm) BTA(%) (EMX)/효율(%) (tonf/cm2) (tonf/cm2)
산척 1교 P1 #6 강관파일 2.0 3.0 100 3.23/52.4 1.755 0.393
산척 1교 P1 #8 복합파일 2.0 2.0 100 3.19/51.8 1.751 0.147
산척 1교 P1 #10 EXT 복합파일 2.0 2.0 100 3.63/58.9 1.883 0.168

16 • 地 盤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4.1.2 E.O.I.D 결과 재동재하시험(Restrike)은 주면마찰력의 발현여부


본 현장의 기초말뚝으로 시공된 Pile (Steel Ø500 를 확인하는 시험으로, 시험시 과도한 항타로 인해 주
+ PHC Ø500, Steel Ø508, Ø555선단확장형) 3개소 면마찰력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항타수
에 대하여 E.O.I.D 시험 결과, 에너지 효율이 22.9 ∼ (약 2∼3회)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18.4% 차이가 있어, 햄머효율(EMX)을 비슷한 값으로 분석결과 파일의 압축이나 인장응력은 허용값 이내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 로 나타났으며, 허용지지력은 88.4∼108.32tonf 수준
시험값의 허용지지력을 비교하면, EXT형 복합파 으로 모두 설계하중(75.03tonf)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
일이 강관 파일 대비 12%수준, 기존 복합파일 대피 석되었다. 지지력 경향을 살펴보면, EXT복합파일 및
33.9% 수준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단확장 기본 복합파일의 경우 주면마찰력 발현이 크게 나타
보강판에 의한 선단부 지압응력의 증가로 인해 지지력 나서 항타에너지 효율도 작고, 선단부에 에너지 전달
증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충분하지 않아서 E.O.I.D 시험보다 유사하거나 작
은 지지력을 보였으며, 강관파일의 경우는 상대적으
4.1.3 Restrike 시험 결과 로 주면마찰력이 발현이 작으나, 항타에너지도 크고
본 시험은 Pile (Steel Ø500 + PHC Ø500, Steel 에너지전달도 우수하여 E.O.I.D시험보다 크게 산출된
Ø508, Ø555선단확장형)에 대하여 동재하(Restrike)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파일에서 실시된 시험상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CAPWAP 분석을 통한 시험파 의 한계로 인해서 동일 조건의 비교 분석에는 한계가
일의 허용지지력 및 발생응력은 표 6, 표 7과 같다. 있으며, 단지 설계하중의 만족여부를 판단하는 근거

표 6. 동재하(Restrike)시험 결과

관입깊이 최종 관입량 CAPWAP분석결과 (tonf) 허용지지력 설계하중


시험위치
(m) (mm/타) 주면 마찰력 선단 지지력 전체 지지력 (tonf) (tonf/ea)

산척 1교 P1 #6
17.16 3.0 49.0 215.8 264.9 105.96 75.03
강관파일

산척 1교 P1 #8
17.15 2.0 189.0 33.1 222.1 88.84 75.03
복합파일

산척 1교 P1 #10 EXT
17.21 2.0 256.9 13.9 270.8 108.32 75.03
복합파일

표 7. 동재하(Restrike)시 말뚝 최대 압축·인장 응력

낙하고 최종 관입량 말뚝 건전도 항타에너지 최대압축응력 최대인장응력


시험위치
(m) (mm) BTA(%) (EMX)/효율(%) (tonf/cm2) (tonf/cm2)

산척 1교 P1 #6
2.0 3.0 100 3.84/62.3 1.786 0.212
강관파일

산척 1교 P1 #8
2.0 2.0 100 2.20/35.7 2.068 0.071
복합파일

산척 1교 P1 #10
1.0 2.0 100 1.11/36.0 1.731 0.084
EXT 복합파일

2013. 2 Vol.29, No.2 • 17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10~20

표 8. 정재하시험 현황

파일 관입깊이 최대시험하중
항종 위치 시공일 시험일 시험종류
번호 (m) (설계하중)
강관파일 산척 P1-22 2011.11.14 2011.12.15 18.16 반력파일
220tonf
복합파일 1교 P1-25 2011.11.25 2011.12.17 18.21 이용
(75.03tonf)
EXT 복합파일 (삼척방향) P1-28 2011.11.25 2011.12.18 18.20 (정재하시험)

표 9. 강관파일 정재하시험 결과

항복하중 안전율 허용하중


시험말뚝 분석방법 비고
(tonf/본) Fs (tonf/본)
P-S 220.0 이상 2 110.0 이상

항복하중 log P - log S 220.0 이상 2 110.0 이상


기준 S - 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P1 #22
P - ds/d(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관입깊이
전침하량 기준 50.8 mm 전침하량 6.49 mm 기준이내
18.16 m
순침하량 기준 12.7 mm 순침하량 1.82 mm 기준이내
Davisson 분석 PL/AE+3.81+D/120 220.0 이상 2 110.0 이상
최종 분석결과 허용하중 110.0 이상

1) 항복하중에 의한 분석법의 적용 안전율은 2.0임.


특기사항 2) 허용지지력은 항복하중 및 침하량 판정법 기준에 의한 분석법 산정결과 중 작은 값을 적용함.
3) Davisson offset = 13.29+8.04 = 21.33mm (220tonf 재하시)

로 활용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보여진다. 하중인 75.03 tonf 보다는 293% 의 하중으로 계획하
였다.
4.2 정재하시험 재하는 최대시험하중으로 14단계로 구분하여 4
cycle로 재하 하였으며, 하중재하방법은 반력파일을
4.2.1 정재하시험 현황 이용하여 재하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본 정재하시험은 “고속국도 제 40호선 충주∼제천
간 건설공사 중 산척1교 교각(P1)삼척방향”에 시공된 4.2.2 정재하시험 결과
각 기초파일의 허용지지력을 측정하여 설계지지력에 본 시험은 Pile (Steel Ø500 + PHC Ø500, Steel
대한 만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표 8은 현장에서 수행 Ø508, Ø555선단확장형)에 대하여 정재하 시험을 실
했던 정재하시험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 시험에서는 EXT형 복합파일의 지지력 비교를 (1) 강
 관파일(Ø508 x 9t) 산척1교 교각 P1 #22 : 삼
위하여 EXT형 복합파일의 이론적인 설계지지력인 척방향
104.7tonf의 2배 정도의 하중인 220.0 tonf를 최대시 표 9와 같다.
험 하중 하였으며, 삼척1교 교각(P1) 삼척방향의 설계 (2) 복합파일 Ø500 산척1교 P1 #25 : 삼척방향

18 • 地 盤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시험시공 사례

표 10. 복합파일 정재하시험 결과

항복하중 안전율 허용하중


시험말뚝 분석방법 비고
(tonf/본) Fs (tonf/본)
P-S 220.0 이상 2 110.0 이상
항복하중 log P - log S 220.0 이상 2 110.0 이상
기준 S - 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P1 #25
P - ds/d(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관입깊이
전침하량 기준 50.0 mm 전침하량 8.54 mm 기준이내
18.21 m
순침하량 기준 12.5 mm 순침하량 3.18 mm 기준이내
Davisson 분석 PL/AE+3.81+D/120 220.0 이상 2 110.0 이상
최종 분석결과 허용하중 110.0 이상

1) 항복하중에 의한 분석법의 적용 안전율은 2.0임.


특기사항 2) 허용지지력은 항복하중 및 침하량 판정법 기준에 의한 분석법 산정결과 중 작은 값을 적용함.
3) Davisson offset = 3.47(강관)+6.77(PHC)+7.98 = 18.22mm (220tonf 재하시)

표 11. EXT형 복합파일 정재하시험 결과

항복하중 안전율 허용하중


시험말뚝 분석방법 비고
(tonf/본) Fs (tonf/본)
P-S 220.0 이상 2 110.0 이상
항복하중 log P - log S 220.0 이상 2 110.0 이상
기준 S - 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P1 #28 P - ds/d(logT) 220.0 이상 2 110.0 이상
관입깊이 전침하량 기준 50.0 mm 전침하량 3.53 mm 기준이내
18.20 m
순침하량 기준 12.5 mm 순침하량 0.34 mm 기준이내
PL/AE
Davisson 분석 220.0 이상 2 110.0 이상
+3.81+D/120
최종 분석결과 허용하중 110.0 이상

1) 항복하중에 의한 분석법의 적용 안전율은 2.0임.


특기사항 2) 허용지지력은 항복하중 및 침하량 판정법 기준에 의한 분석법 산정결과 중 작은 값을 적용함.
3) Davisson offset = 3.47(강관)+6.77(PHC)+7.98 = 18.22mm (220tonf 재하시)

표10과 같다. 으로 모든 파일에서 설계하중을 만족하였다.


(3) EXT형 복합파일 선단Ø555 산척1교 교각 P1
#28 : 삼척방향
표11과 같다. 5. 결언

말뚝정재하시험 결과에 대한 항복하중에 의한 허용 본 시험시공에서는 선단확장형(EXT파일) 복합파일


지지력 산정법과 허용침하량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 을 “산척1교(고속국도 제40호선 충주∼제천간 건설공
의하면, 시험시공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110tonf 이상 사)”에 강관파일, 복합파일과 함께 시공하여, 현장재하

2013. 2 Vol.29, No.2 • 19


기술기사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2 | pp.10~20

시험을 통하여 현장 적용성, 지지력 등을 비교 검증하 시험파일 모두 (Steel Ø500 + PHC Ø500복합말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뚝, Steel Ø508 강관말뚝, Ø555선단확장형 복합말
초기 동재하(E.O.I.D) 및 재동재하시험(Restrike)에 뚝)에서 설계반력의 147% 이상의 지지력(허용지지력
서 시험 시공된 3개의 파일 모두 설계하중을 만족하였 110ton)을 확보된 것으로 정재하시험으로 확인되었
으며, E.O.I.D 동재하시험 결과 중 동일한 조건의 결 다.
과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말뚝에 작용하는 항타에 동일 허용지지력 110ton 이라도 하중-침하 곡선에
너지(약 3.2~3.6EMX)가 유사한 파형에 대한 분석을 서 선단확장형 복합말뚝의 전 침하량이 3.53mm로 강
실시한 결과 허용지지력은 88.4∼118.4tonf으로 설 관파일 6.49mm, 복합파일 8.54mm에 비해 적은 침
계하중(75.03tonf)을 만족하고, 경타시 발생하는 최대 하량을 보여 확장된 선단면적이 지반 선단 지지층에
압축응력 및 최대 인장응력은 허용범위 이내로 나타나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강관
시험말뚝은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파일이나 복합파일에 비해 다소 지반조건이 안좋은 지
재동재하시험(Restrike)에서는 Restrike 시 경타로 층에서도 유효하게 지지층으로 활용하여 파일 길이를
인해 주면고정액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경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약 2∼3회)로 시험을 시행하여 경타 횟수가 작아 향후 선단 확장파일을 적용함에 있어 시공성, 경제
유사한 항타에너지 분석은 분석하지 못하였다. 시험 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각 현장상황에 맞게 적용성
결과에 의한 허용지지력은 88.8∼108.3tonf으로 모 을 검토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두 설계하중(75.03tonf)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강관말뚝의 경우는 복합말뚝 및 EXT 복합말뚝과 상
이하게 주면마찰력이 선단지지력 보다 상당히 적게 발
현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말뚝시공시 주면고정액의
주입량과 경화상태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 1. 선단확장형 EXT파일 한국도로공사 시공시공 심의자료(2011.
다. 또한 경타시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 및 최대 인장 06)
응력은 허용범위 이내로 나타나 시험말뚝은 안정하다 2. 산척1교 말뚝 정·동재하시험 보고서(2011. 12)
고 판단된다. 3. 구조물 기초 설계 기준 해설(한국지반공학회 2009. 03)
본 시험시공 현장은 연구용이 아니라 본 구조물 파 4. 이명환 외 5인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강관말뚝공법”(한국지반
일에 시험을 실시하고 구조물이 시공되므로 파일의 공학회 1995 논문집)
설계하중을 만족하도록 관리하는게 우선이므로 말 5. 송기용 외2인 “선단확장형 PHC 말뚝”(한국지반공학회 2006
뚝의 최종 극한 상태까지 확인하지 못하고 설계 반력 학회지)
의 293%인 220ton까지 하중을 재하하여 허용지지력
110ton 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험이 종료되었다.

20 • 地 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