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기술기사 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6 | pp.

8~16

해성퇴적층 조건의 가체절 사면슬라이딩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

정순혁 강기돈 임형덕 송치용


대림산업(주) 기술개발원, 대리 대림산업(주) 기술개발원, 차장 대림산업(주) 토목설계팀, 차장 대림산업(주) 기술개발원, 부장
(nananahyuk@daelim.co.kr)

1. 개요 파기 공사 중 발생한 인접 가체절의 사면슬라이딩 사


례에 대해, 현장 육안조사, 구조해석을 통한 원인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의 협소한 국토를 확장하고 효 대책공법 제시, 시공 결과 등 일련의 과정을 소개하여
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서해안지역을 중심으 향후 유사사례 발생 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로 간척공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간척공사의 최종
체절부에 배수갑문이 시공될 경우 배수갑문을 기준으
로 내륙측 가체절과 해측 가체절이 선시공 되며, 가체 2. 공사개요 및 사면활동 발생 현황
절 형성 후 내측 지반의 매립 및 구조물 축조 등이 이루
어진다. 간척공사가 이루어지는 해안가는 일반적으로 2.1 공사개요
연약지반층이 분포하기 때문에, 구조물 축조를 위한
터파기 시 연약지반의 강도미달 및 유동현상에 의한 과업구간은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하며, 그림 1과
문제들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조석 간만의 차 같이 배수갑문 시공을 위한 타원형태의 가체절 (해측
가 큰 서해안 지방은 해안선의 편차가 심하고 연약지 가체절 L=420m)이 계획되어 있다. 가체절의 시공이
반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기초공사 시 예측 불가 완료된 후 체절 내측에서 배수갑문 및 감쇄공 시공이
능한 지반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루어지는데, 이때의 최대 터파기고는 G.L(-)13.5m
본고에서는 서해안 지역의 배수갑문 시공을 위한 터 로 계획되어있다.

8 • 地盤
해성퇴적층 조건의 가체절 사면슬라이딩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

사면활동은 총 2차례에 걸쳐 발생하였다. 2012년 7


월 배수갑문 시공을 위한 터파기 시 해측 가체절 내측
사면 중앙부에서 첫 번째 사면활동이 발생하였다(그
림 2 참조). 추후 압성 조치를 통해 사면 임시보강을 실
시하였으나(그림3 참조), 약 3개월 후 정수지형 감세
공 키블록(Key block) 터파기 중 (기초Level: E.L.(-
) 7.8~11.8m) 연약지반이 노출되어 터파기 저면 히빙
현상 및 연약지반 유동현상이 가체절에서부터 키블록
시공 위치까지 약 50m에 걸쳐 발생하였으며, 연약지
그림 1. 배수갑문 구간 계획도 반 유동현상의 영향으로 동일위치에서 사면활동이 재
발하였다(그림4, 그림 5 참조).
2.2 사면활동 발생 현황

① 사면활동 ② 1차 사면활동 확대
그림 2. 1차 사면활동 및 시트파일 단차 발생

① 압성조치 중 전경 ② 압성조치 후 전경
그림 3. 1차 원호활동 후 압성 조치

2013. 6 Vol.29, No.6 • 9


기술기사 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6 | pp.8~16

① 현장 전경(No.10~No.17) ② 현장전경(No.0~No.12)
그림 4. 2차 사면활동 후 전경

① 평면도

② 횡단면도 (No.11)

그림 5. 변형발생구간 대표 횡단면도 및 평면도

10 • 地 盤
해성퇴적층 조건의 가체절 사면슬라이딩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

3. 원인분석 립층의 두께가 감소하면서 풍화토, 풍화암의 출현 심


도가 얕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터파기 결과 지
가체절 내부 터파기시 발생한 가체절 내측사면 원호 반조사 결과와 달리 key블록 계획 터파기고에 도달하
활동, 그리고 Sheet pile의 단차발생 원인은 크게 (1) 기 이전에 해성퇴적층이 노출되었으며, 보강을 위해
지반조사 결과와 현장 지반조건 불일치, (2) 강제치환 터파기 사면에 계획된 양질토 치환영역 역시 존재하
깊이 부족으로 예측하였다. 지 않았다(그림 7 참조). 또한, 터파기 저면에서의 히빙
(heaving)현상 및 지반유동 현상 등에서 유추해 볼 때,
3.1 지반조사 결과와 현장 지반조건 불일치 터파기 사면부터 가체절까지 연속해서 해성퇴적층이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내측사면의 원호활동 및 전체변형의 첫 번째 원인
은 지반조사 결과와 현장지반조건의 불일치로 추측된 3.2 가체절 하부 강제치환깊이 부족
다. 지반조사 결과에서는 활동구간 대표 횡단면도(그
림 6)에서 보는바와 같이 해성퇴적층, 매립층, 풍화토, 그림 8은 지반조사 위치도이며, 그림 9는 가체절 대
풍화암, 연암 순서로 지층이 분포하며, 해측 가체절에 표단면도이다. 대표단면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가체절
서 내측(배수갑문)방향으로 갈수록 해성퇴적층 및 매 하부 강제치환 깊이는 4.0~4.5m로 계획되어 있으며,

그림 6. 정수지형 감세공 대표횡단면도 상세 (지반조사 결과 기준)

① 미치환시 (0.85<1.3, NG) ② 굴착치환 공법 적용시 (1.82>1.3, OK)


그림 7. 키(key)시공을 위한 터파기 경사 구조검토 결과(당초설계)

2013. 6 Vol.29, No.6 • 11


기술기사 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6 | pp.8~16

실제 치환두께 역시 4.0m전후 정도로 일정한 것으로 인근에서 최대 G.L.(-)12.0m의 두꺼운 퇴적층이 분


나타났다. 하지만, 지층단면도 분석 결과 BH-6번공 포하는 구간(No.9~No.12)이 존재하였으며(그림 10

그림 8. 지반조사 위치도 그림 9. 해측가체절 표준단면도

① A-A′구간

② B-B′구간
그림 10. 가체절 지층단면도

12 • 地 盤
해성퇴적층 조건의 가체절 사면슬라이딩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

참조), 이 구간에서 퇴적층 두께 대비 강제치환 깊이가 4.1 한계평형 해석


부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치환깊이 부족
은 정수지형감세공 터파기에 의한 연약지반 밀림현상 4.1.1 활동상태 모사
때 가체절 하부의 퇴적층변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 원 설계에서는 정수지형 감세공 키블록의 터파기
로 추정된다. 저면에서 단단한 풍화토 또는 풍화암이 출현할 것으
로 예상되었으나, 터파기 결과 지반유동이 발생한
No.9~No.12구간에서는 원설계 조건과 상이하게 해
4. 대책검토 성퇴적층이 출현하였다. 현재 정확한 지반조건 확인
이 불가능하므로, 상기된 현장상황(터파기 구배 1:1.5)
연약지반의 측방유동과 가체절의 원호활동에 대한 을 고려하여 기존 매립토층을 해적퇴적층(연약지반)
보강공법을 표 1과 같이 검토하였다. 검토된 보강공법 으로 가정하고 한계평형해석을 실시하였으며, 해석결
은 시트파일 추가 시공, H-pile(억지말뚝)시공, 압성
토, 치환, 고결공법 등이며, 상기된 공법 중 현장여건
과 경제성,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압성토 공법을 적용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연약지반의 유동이 50m에
걸쳐 발생하였고, 추 후 터파기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3단계에 걸쳐 압성범위를 구분하고 단
계적으로 실시하여 강제치환 효과를 유도하였다. 압
성 범위 및 터파기 구배는 한계평형해석을 이용하여 그림 11. 키블록 터파기 구배(1:1.5) 한계평형해석 결과
결정하였다. (0.871<1.0, NG)

표 1. 연약지반 대책 공법
공법 개요 특징 적용여부

•연약지반에서 추가 시공 어려움
sheet-pile •활동발생 구역에 1~2열 추가 설치 •sheet-pile의 강성 확보를 위해서는 고가의 재료비 x
필요함

•연약지반 상에 균일간격으로 근입하여 아칭효과를


H-pile •시공성 확보 어려움 x
유도

•시공성 유리
•성토하중을 재하하여 침하를 유도하고, 연약지반 •단계성토로 거동확인 가능
압성토 ㅇ
강제치환의 효과 발현 •교란된 해성퇴적지반의 공사중 외력변화에 따른
유동등의 거동에 대한 대응 용이함

•시공 확실
치환 •양질토로 치환 x
•고가의 공사비

그라우트 •물유리 등의 약액을 지반에 주입하여 고화시킴 •유기물이 많거나 고결 부피가 큰 지역에서 효율 저하 x
고결 •시공 효과 확인 난해
혼합처리 •시멘트 또는 석회 등의 안정재와 혼합하여 처리 •부분 개량에 적합 x

2013. 6 Vol.29, No.6 • 13


기술기사 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6 | pp.8~16

그림 12. 키블록 터파기구배(1:2.5)조건 한계평형해석 결과 그림 13. 요철감세공 터파기구배(1:1.2)조건 한계평형해석 결과


(1.219>1.0, OK) (1.140>1.0, OK)

과 안전율은 0.871로 임시사면 터파기 안전율 1.0을 No.9~No.12구역의 가체절에서 키블록 터파기 저면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그림 11). 까지 이어지도록 약 50m에 구간에 걸쳐 적용하도록
하였다(그림 14 ①참조). 압성토 공법 적용의 면적이
4.1.2 치환영역 산정 넓으므로 내측사면부터 정수지형감세공 방향으로 3
N0.9~No.12구간의 압성토·치환 범위 및 터파 차례 정도로 나누어 실시하여 치환 효과 발현을 유도
기 경사는 그림12의 해석조건과 동일한 지반조건에 하되(그림 14 ②참조), 치환을 위한 압성토의 높이가
서 요철감세공 시공을 위한 터파기까지 고려하여 다 E.L(+)0.0m보다 높을 경우 요철감세공 터파기(2단
양한 CASE 검토를 통해 결정하였다. 검토 시 압성 계)시 배면하중으로 작용하여 사면활동의 위험을 증가
토공법 적용범위는 가체절 끝단에서부터 약 50m(E. 시키므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수지형
L(+)0.00m까지)이며, 터파기 경사는 key블록 시공시 감세공 터파기경사는 압성(치환)이 완료된 조건에서
1:2.5이상일 때, 요철감세공 시공시 1:1.5이상 확보해 1:2.5 이상 확보해야하며, 3m높이 마다 폭 1m이상의
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토결과, 사면안전율 key 소단을 시공해야한다. 또한 요철감세공 터파기경사는
블록 시공시 1.219, 요철감세공 시공시 1.140으로 임 1:1.5이상을 만족해야 단기해석조건 사면안전율 1.0
시 터파기사면 안전율 1:1.0을 만족하였다(그림 12, 그 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4참조).
림13 참고). 압성토 적용범위, key블록 및 요철감세공
터파기 경사에 대한 상세는 4.2절에 기술하였다.
5. 현장적용 결과
4.2 보강영역 및 터파기경사 결정
4절에서 제안한 보강방안을 참고하여 해측 가체절
한계평형해석을 통해 결정한 압성토(치환) 공법은 에서 배수갑문 방향으로 단계별 압성(치환)을 실시하

표 2. 해석결과 및 대책공법 요약

위치 적용 공법 비고
정수저형감세공 키블록 경사구배 1:2.5 이상 적용(1:3.0추천)
사면완화 공법
요철감세공 경사구배 1:5 이상 적용
가체절 내측사면 압성토 공법 그림 15 압성토적용 범위 참고

14 • 地 盤
해성퇴적층 조건의 가체절 사면슬라이딩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

① 횡단면도

② 평면도
그림 14. 압성(치환) 영역 및 터파기 경사 상세

① 1단계 ② 2단계 ③ 3단계 ④ 시공 후 전경


그림 15. 사면활동 및 유동구간 단계적 압성(치환)

고, 정수지형 감쇄공 시공을 완료하였다(그림 15). 그 년 12월부터 정수지형감쇄공 완료 시점은 현재(2013


림 15는 단계별 압성(치환) 시공 현황과 키블럭 시공 년 4월)까지 약 120일 동안 발생한 최대 수평변위는
후의 현장 전경을 나타낸다. 33.29mm, 최대 침하량은 42.76mm로 나타났으며,
가체절의 안정성 확인을 위하여 계측결과를 검토 가체절 일일변화량 관리범위 2cm/day(지중경사계),
하였다(그림 16참조). 압성(치환) 완료 시점인 2012 5cm/day(지중침하계)이내에서 안정하게 시공되었음

2013. 6 Vol.29, No.6 • 15


기술기사  | 한국지반공학회지 | Vol.29, No.6 | pp.8~16

(a) 깊이별 지중경사계 (b) 깊이별 지중침하계

그림 16. 계측결과

을 확인하였다. 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해상공사에서의 사면활동은 하부 연약지반 유
동현상과 동반되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
6. 결 론 단 활동이 발생하면 제2, 제3의 추가활동이 발생할 가
능성에 대비하고, 국부적인 지반보강을 통해 문제 해
해측 가체절의 내측사면 슬라이딩의 원인분석 결과, 결이 어려움을 유의해야 하며, 공사 전에 수행되는 사
가체절에서부터 약 50m이상 떨어진 위치에서의 터파 전 지반조사 및 터파기 계획 시 하부 지층조건과 지지
기시 연약지반 유동 및 터파기 저면 히빙(Heaving)현 층을 더욱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본 고에서 소개된 해
상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교 상공사에서의 가체절 사면활동 및 연약지반 유동현상
란되기 쉬운 해성퇴적층 연약지반이 연속적으로 분포 에 대한 대책검토 및 시공사례는 추 후 유사상황 발생
하는 해안가 공사에서의 사면활동이 상재하중의 증가 을 예방하고, 문제발생 시 원인분석 및 문제해결 시간
혹은 전단강도 부족과 같은 인접지반의 영향에서만 기 을 최소화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하는 것이 아니라, 50m이상 이격된 원거리 공사에

16 • 地 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