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ISSN 1229-2427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3호 2013년 3월 pp. 15 ~ 27 http://dx.doi.org/10.7843/kgs.2013.29.3.15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의 침하 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Soft Ground Applying the Suction Drain Method

1 2
한 상 재 Han, Sang-Jae 유 한 규 Yoo, Han-Kyu
3 4
김 병 일 Kim, Byung-Il 김 수 삼 Kim, Soo-Sam

Abstract
A vacuum pressure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solve many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surcharge method such
as embankments, and its application has increased in the country. Recently, to control target settlements in the fiel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settlements between vacuum pressure method and surcharge load
method in the same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soil subjected to vacuum pressure and
surcharge pressure are discus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f vacuum pressure i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soft
ground, there will be inward lateral displacement and the vacuum pressure will induce generally less settlement than
a surcharge load of the same magnitude. The range of settlement reduction ratio is 0.54~0.67 based on Hooke's law,
0.91 based on field cases, 0.81 based on laboratory oedometer tests, 0.75 based on the theory of elasticity and coefficient
of volumetric compressibility and 0.77~0.93 in its recent applications to the thick soft ground.

요 지
기존 성토재하 방식의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문제에 의해 진공압 재하방식의 개량공법이 개발되
었으며, 국내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현장에서의 침하관리시 동일한 하중을 재하하였을 경우의 진공압재하공법과
성토재하공법에 대한 침하량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 공법의 발생침하량에 관한 이론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진공압이 적용되면 내향의 수평변위가 발생하고 동일한 하중재하
대비 침하량이 감소하였다. Hooke의 탄성이론을 바탕으로 한 경우 0.54~0.67,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0.50~0.75, 과거
국내 시공사례를 바탕으로 한 경우 0.91, 실내시험을 바탕으로 한 경우 0.81, 탄성론과 체적압축계수법을 바탕으로
한 경우 0.75, 최근 국내 대심도 시공 사례의 경우 0.77~0.93의 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 Suction drain method, Vacuum consolidation, Settlement reduction ratio, Soft ground

1. 서 론 로 인한 공사기간 증가, 토량 확보문제, 전단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종래의 진공압밀(대기압 재하 방
일반적인 성토재하를 실시하는 연직배수(이하 PBD) 식)공법 또한 대심도 적용시 진공압 전달의 한계성, 대
공법을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였을 경우 고 성토 변형에 따른 기밀시트의 파손 등 그 적용성에 문제점이

1 정회원,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대표이사 (President, Expert Group for Earth and Environment, Tel: +82-31-478-4105, Fax: +82-31-478-4115, hansj@ege.co.kr, 교신저자)
2 정회원,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Professor, Hanyang University)
3 정회원,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Senior Reseacher, Research Institute, Expert Group for Earth and Environment)
4 정회원, 토지주택공사연구원장 (General Director, Land&Housing Institute)
* 본 논문에 대한 토의를 원하는 회원은 2013년 9월 31일까지 그 내용을 학회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저자의 검토 내용과 함께 논문집에 게재하여 드립니다.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의 침하 특성 15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수재에 직 은 진공압에 의한 2차원 이상의 등방압밀 거동을 설명
접 진공압을 가하는 개별진공압밀 공법인 석션드레인 할 수 없으며, 동일한 체적변형율 발생시 K0압밀 상태의
(Suction Drain, 이하 SD) 공법이 국내에서 개발되었으 침하량이 등방압밀 상태의 침하량 보다 크다고 주장하
며,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Kim, 2008; Kim et al., 2009; 였다.
An, 2010). Chai et al.(2005)은 진공압 재하시의 거동은 배수 경
연약지반 개량에 따른 현장관리는 침하량 분석을 통 계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보통은 진공압에 대한 등
한 목표 침하량 도달 시 개량을 종료하는 방식을 주로 가 성토고를 재하하중으로 적용하였을때 보다 침하량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진공압밀 공법이 현장에 적 이 적게 나타난다고 실험결과 등을 통해 제시하였다. 특
용되면 동일한 하중을 재하 하였을 경우 보다 침하량이 히, 진공압밀은 일반적으로 개량영역으로의 내향변위를
작게 발생되는 경우가 보고되었으며, 목표 강도 및 잔류 유발한다고 하였다.
침하 조건을 만족함에도 불구하고 목표 침하량에 도달 국내 항만 및 어항설계 기준(2005)에서는 진공압밀공
시키기 위해 추가 재하성토를 검토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법에서의 실제침하량은 등방압밀에 따른 수평압축효과
되어 침하 저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로 인해 총 침하량이 25~5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공압밀공법 적용시 침하 저감 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설계하는 것이 경제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 발생 사례, 관련 이론 및 문헌자 적임을 제안하였다.
료와 국내에서 최근의 현장사례를 분석하여 동일 조건 Table 1은 Hooke의 탄성이론에 의한 이론적 침하량
에서의 성토재하공법과 진공압재하공법의 침하저감비 을 각 차원별로 나타낸 것이다. 침하저감비는 1차원 K0
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압밀 상태를 1.0으로 보면    ,    일 때 성토하
중에 의한 침하량은 2차원 평면변형조건으로 0.96, 3차

2. 침하저감의 이론적 배경과 문헌검토 원 축대칭조건의 경우 0.94로 산정되며, 진공압에 의한


침하량(등방압밀조건)은 2차원 평면변형조건 0.67, 3차
Liu(1996)는 진공압밀(대기압재하) 공법에서의 “연약 원 축대칭조건의 경우 0.54로 산정된다. 여기서 등방압
지반 개량시 수압감소에 의해 발생되는 흙 골격의 구조 밀조건의 경우  연직응력   수평응력 인 조건에
적 변형은 일차원적이 아니라 등방적으로 발생한다.”라 서 가정한 것이다.
고 하였다(Fig. 1). 이에 Imai(2005)는 Fig. 2와 같이 성토 이러한 탄성이론에 의한 등방압밀 조건을 심도별로
재하공법과 진공재하공법에서의 지반변형 및 응력관계 정의하면 개량지반 상부의 경우 수평방향의 변형율의
를 통해 등방압밀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진공압 재하시 구속이 작기 때문에 진공압(  ) 재하시 발생되는 구속
실제로 일어나는 지반변형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 수립 압( )에 의해 등방압밀(   )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
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동일한 하중조건하에서 다. 그러나 일정 심도 이상(    ), 즉 지중에 전달
성토하중에 의한 1차원 침하량 산정방법(K0압밀 상태) 되는 진공압   이 구속압   보다 작을 경우 K0압밀 상

(a) Initial stress condition (b) Non-horizontal deformation case (c) Horizontal deformation case

Fig. 1. Deformation in soil element (Liu, 1996)

16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태로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Fig. 2; Imai, 2005; Chai et 다 진공압이 작은 경우 K0 압밀거동이 우세하다는 연구
al., 2005). 결과와 동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Ihm et al.(2002)은 김해 하수처리장 건설 부지에 대해
종래의 진공압밀공법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시 안전
한 진공압 제하(개량종료)를 위해 간극수압 소산량, 목
실측
   
    실측  

 (1)
표 간극비 설정 등 여러 가지 관점에서 검토하였으며,
이론 
 
    지반조사
침하저감비(식 1)를 이용한 목표침하량(식 2)을 기준으
로 진공압의 종료 시점를 결정하였다. 이때 침하저감비    ′
(  )는 압밀도 100%에 도달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여 지         (2)
   
반조사를 통해 산정된 압밀 특성치를 이용한 압축비와
계측결과(Asaoka Method)를 통해 역해석된 압밀 특성치 Imai(2005)는 진공압밀공법 적용시 발생되는 내향변
를 이용한 압축비(CR)의 비로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결 위를 고려할 수 있도록 수평유효응력과 연직유효응력
정된 진공압 종료 시점과 침하저감비는 Table 2와 같으 변화량비, 즉 등방압밀 지표와 선형탄성이론을 이용해
며, 평균 침하저감비는 0.91로 산정되었다. (식 3)과 같은 최종침하량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이로부
Table 2로부터 진공압에 해당하는 등가성토고를 제외 터 최종 침하량의 경우 K0압밀 상태에 비해 등방압밀
한 추가 성토고가 작은 경우가 높은 경우에 비하여 등방 상태에서 작게 나타나며, 침하량은 K0=0.5이면 침하저
압밀 효과가 우세하여 침하저감비가 작게 나타났음을 감비가 0.75배 정도로 실제로 현장에서 확인되고 있음
알 수 있다. 이는 일정 심도 이상에서는 수평유효응력보 을 제시하였다.

(a) Atmospheric pressure loaded case (b) Consolidated by hydraulic pressure case

Fig. 2. Deformation and stress path by loading and vacuum pressure (Imai, 2005)

Table 1. Theoretical settlement by elastic theory

3-dimension 2-dimension 1-dimension

Classification Axial symmetry type Plane strain type


Axial symmetric isotropic Plane strain isotropic K0
consolidation consolidation
         
Axial Stra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duction ratio of
settlement(  contrast) 0.94 0.54 0.96 0.67 1.00
(   ,  )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17


Table 2. Improvement period and reduction ratio of settlement (Ihm et al., 2002)

Classification Minimum Maximum Average

Operation period of vacuum pump 7month 9month 8.5month

Equivalence loading height + loading height 8m 17m 10m

Amout of settlement 3.55m 6.45m 4.55m

Reduction ratio of settlement,  0.861 0.999 0.915

Table 3. Load and drainage condition in laboratory test (Chai et al., 2005)

Initial effetive stress, Increment of loading Increment of vacuum


Case Drainage condition
′ (kPa)  (kPa) pressure  (kPa)

1-a 80 - one direction


0.0
1-b - 80 one direction

2-a 80 - one direction


40.0
2-b - 80 one direction

3-a 80 - one direction


80.0
3-b - 80 one direction

    ′  
         (3)         (4)
      ′ 

여기서,  ⋅  : 일차원변형을 가정한 경우의 여기서,   =간극비, =   ln ′ 에서 처녀압축지수 그리


최종 연직변형률, 고  는 “1”과 같거나 작은 값(일반적으로 0.67~1.0의
H : 개량 대상층 두께 범위).  는 지표면에서 최소값( min )을 가지며,  ≥  
′   ′      일때 “1”이다. 실내 Oedometer
Chai et al.(2005)은 시료의 초기유효응력이 각각 0kPa,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그리고 깊이에 따른  를 선형적
40kPa, 80kPa인 3가지 조건에서 동일한 하중(80kPa)의 변화로 가정했을 때,  는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다.
진공압과 성토하중을 재하하여 Oedometer 시험을 실시
하였다(Table 3).   min ′   ′ 
  min      (5)
시험결과 진공압 재하시 초기유효응력 0kPa, 40kPa ∆   
에서는 링 내측방향으로 수평변위가 관측되었으며, 초
기유효응력 80kPa에서는 수평변위가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응력비(Stress Ratio)에 따른 침하비(Settlement
Ratio)를 (Fig. 3)과 같이 도시하였으며, 시험결과를 바
탕으로 동일한 하중조건에서 연약지반 개량시 진공압
을 재하할 경우 성토재하 대비 최소 0.81배(지표면)의
침하저감비가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토압이론
을 이용하여 심도별 침하저감비(  )를 (식 4)와 같이 제
안하였으며, 침하저감비의 범위는 0.67~1.0의 범위를
나타내고, K0=0.5, 포아송비=0.3일 경우 침하저감비
0.70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Fig. 3.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ettlement ratio
(Chai et al., 2005)

18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   ′ 
여기서, ∆ ≥ 
  

 for    
′   ′′    ′′
 for       

  : 인장균열 깊이
′ : 인장균열 이하부터의 심도

Fig. 4. Condition of numerical analysis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진
공압을 재하하였을 경우 성토재하 방식에서 나타나는 Table 4. Step of numerical analysis

K0 압밀거동이 아니라 등방압밀 거동이 발생하고, 이로 Loading


Classification Starting day Finishing day
인해 성토재하 방식에 비해 진공압 재하 방식에서 침하 height (m)

량이 작게 발생한다. Loading 1st step 0 1 1.05

Loading 2nd step 6 7 1.05

Loading 3rd step 12 13 1.05


3. 수치해석 및 사례분석
Loading 4th step 18 19 1.05

Maintenance U = 100% -
3.1 해석조건

일반적인 재하성토에 의한 PBD 공법 설계에서는 개량층 두께)로 변경하면서 진공압을 재하하였을 경우


Hansbo(1981)식을 이용하여 K0압밀 상태의 1차원 계산 에 대해 2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3차원
을 통해 침하량을 산정하지만 진공압을 재하하는 경우 축대칭 조건을 2차원 평면변형 조건으로 해석하고자
등방압밀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치해석 접근이 Hansbo(1981)식을 사용한 Hird et al.(1992)법을 이용하
필요하다(An, 2010). 본 연구에서는 침하저감비를 산정 여 등가 물성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연약지반의 경우
하기 위해 Fig. 4와 같은 연직배수재가 타설된 단순한 수정 Cam-Clay 모델을 적용하였다.
지반 조건을 가정하고, Excel을 활용한 1차원 압밀침하 해석단계는 Table 4와 같으며, 성토고(4.2m)는 설계
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개량영역 폭을 0.5H~5.0H(H= 진공압 80kPa 적용시 성토재 단위중량    

Table 5. Input parameter

Unit weight Cohesive strength Internal friction angle


Classification 2 2
(kN/m ) (kN/m ) (°)

Soil material 19.0 0 35.0

Parameter
Soil Model      Condition
  ecs M  3 3
(kN/m ) (kN/m ) (m/sec) (m/sec)
-9 -10
Improved MCC 0.0521 0.356 2.801 0.772 0.33 15.290 9.81 2.44×10 9.37×10 Consolidation

Table 6. Soil characteristic and drainage data

Well resistance / Space of placing


Type of PBD Calculation method Shape of placing Drainage condition
Smear zone (m)

PCD Hansbo all Rectangular Both sides 1.0

Permeability Diameter of smear S/Z Permeability


Diameter of PCD kh
coefficient of PCD Cv/Ch zone coefficient
(cm) (cm/sec)
(cm/sec) (cm) (cm/sec)
-7 -7
3.2 0.622 0.5 2.441×10 6.4 1.40×10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19


에 대한 동일 응력 발생을 위한 환산 성토고를 적용하였 산정결과 국부재하조건(1.5H 이하)을 제외한 침하저감
다. 배수재 및 지반물성은 Table 5, 6과 같다. 비(  )는 0.73으로 산정되었다(Table 7). 이는 Imai(2005)
가 제시한 0.75와 매우 유사한 결과이다.
3.2 해석결과
3.3 실측 사례
Fig. 5는 1차원 계산과 2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산정된
침하량을 개량폭 별로 도시한 것이다. 하중재하시 국부 3.3.1 현장조건과 설계 지반정수
재하 조건에 따른 전단변형 등으로 인하여 재하폭 1.5H 본 연구대상 지역은 해상에 호안을 설치하고 준설매
미만에서는 침하량이 크게 예측되었으며, 1.5H 이상에 립하여 조성된 지반이다. 준설매립 후 약 1~2년의 시
서는 침하량이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공압재하 간이 경과된 후 지반개량을 실시하였다.
시에는 국부 진공재하에 따른 침하량의 감소는 발생하 Fig. 6는 지반개량전 대상 지반의 표면상태와 SD 공
였으나, 하중재하시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이 적용된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SD 공법은 호안 안
침하저감비는 재하성토 조건에서의 1차원 계산을 통 정성 확보를 위해 성토고를 감소시켜 수평변위 최소화
해 산정된 침하량과 진공압 재하조건에서의 수치해석 를 위해 시공되었으며, 적용된 면적 외의 구역에 대해서
에서 산정된 침하량의 비로 산정하였으며, 침하저감비 는 성토재하를 실시하는 PBD 공법이 적용되었다. 본 연

Fig. 5. Settlement amount in loading type and improvement area

Table 7. Reduction ratio of settlement

Classification 0.5H 1.0H 1.5H 2.0H 3.0H 4.0H 5.0H

Reduction ratio,  (     ) 0.70 0.74 0.74 0.73 0.73 0.73 0.73

Fig. 6. Status of applied SD method (Busan OO district)

20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Table 8. Result of investigation and design parameter

Initial void ratio (e0) Compression index (Cc) Preconsolidation pressure (pc)

Horizontal
Thickness (GL-m) Horizontal
Unit weight Compression Initial void consolidation
 coefficient permeability
Classification index ratio
 coefficient
(kN/m3) Cc e0
PBD zone SD zone  (cm/s)
(cm2/s)

Dredged reclaimed
0.0~12.1 0.0~12.3 15.29 0.82 2.55 5.434×10-4 3.310×10-8
strata

Upper 12.1~19.8 12.3~19.7 15.84 0.71 1.93 6.942×10-4 3.310×10-8


Original clay
Middle 19.8~30.8 19.7~30.7 15.47 0.93 1.87 4.730×10-4 3.310×10-8
stratum
Lower 30.8~42.3 30.7~42.7 16.62 0.71 1.37 7.430×10-4 3.310×10-8

구에서는 개량층의 심도가 가장 두꺼운(약 43m) 구역에 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침하량을 분석하고 설계정수의
대해 분석하였다.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SD 구
Table 8은 설계 당시 지반조사 결과 및 산정된 설계정 역에서의 개량층 두께 및 하중조건을 이용하여 PBD 적
수를 나타낸 것이다(대우건설, 2009). 심도별 분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학적 특성은 준설매립층(GL 0~
(-)12m)의 경우 심도에 따라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원지
반의 경우 공학적 특성이 GL(-)20~30m를 기준으로 분
리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3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것을
알 수 있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초기간극비는 작은
값에 의해, 그리고 압축지수의 경우 큰 값에 의해 평균
값이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평균적인 거동에서는 초기간극비는 증가하고 압축지수
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3.4 역해석

PBD 구역과 SD 구역의 개량지반 두께가 약간의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able 8), 공법 특성으로 인해
재하하중 또한 서로 상이하므로 동일한 개량층 두께 및
하중조건에서의 침하저감비를 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Fig. 7. Location of settlement measuring device
본 연구에서는 PBD 구역의 현장 실측 침하량과 설계정 (Busan OO district 3rd zone)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21


Fig. 8. Surface settlement in PBD zone

용시 침하량을 예측하고 SD 실측 침하량과 비교하여 침 서의 시료 채취가 용이하며, 실내시험시 원지반 상태를


하저감비를 산정하였다. Fig. 7은 본 연구 분석구역에 구현한 공학적 시험이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설치된 지표침하판과 진공압계 설치 위치도를 도시한 해상에서 균질한 조건으로 퇴적되었으므로 전체 면적
것이다. 의 공학적 특성에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Fig. 8은 PBD 구역의 실측 침하량을 모두 제시한 것 원지반 점토는 설계정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다(대우건설, 2011). 그림에 제시된 바와 같이 SD 구 준설매립토의 경우 불교란 상태에서의 시료 채취가 어
역과 인접한 SP(PBD)-09~12의 경우 SD 구역의 침하 려웠으며, 준설 투기시 배사관의 위치 등 외부적 요인에
량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되어 분석에서 제외하였 의해 동일한 공학적 특성을 가지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
다. Table 9는 PBD 구역의 실측 침하량과 설계정수를 다. 따라서 준설매립토의 정확한 공학적 특성을 현장 및
이용한 침하량 예측결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검토결과 실내시험을 통해 산정된 설계정수로 정의하기는 어려
일부구역을 제외하고는 실측 침하량과 예측 침하량이 울 것으로 판단하여 실측 침하량에 대한 역해석을 통해
차이를 보였으며, Table 8의 설명에서도 제시한 바와 같 공학적 특성을 추정하였고, 일관성 있는 분석을 위해 대
이 설계정수가 현장의 전체적인 압밀특성을 반영하기 표 정수를 산정하였다. 이때, 역해석 파라미터는 침하량
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해석을 실시하여 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간극비(e0)와 압축지수(Cc)로 제
분석구역의 압밀 특성치를 재산정하였다. 한하였으며, 개량층 두께는 시추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
본 연구 분석구역 원지반 점토의 경우 불교란 상태에 과 구간내에서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는 바

Table 9. Comparison with measured and predicted settlement in PBD zone

SP(PBD)-01 SP(PBD)-02

22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설계시 제시된 두께를 적용하였다. 또한 역해석 결과로 다. Table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거동은 설계정
부터 도출된 지반정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Fig. 9, 10 수로 산정했던 초기간극비보다 증가하였고, 압축지수는
과 같이 본 연구 분석구역의 시험결과를 범위로 제한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역해석은 준설매립토의 대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3.5 침하저감비 산정
침하량의 차이가 가장 작거나 크게 발생하는 SP(PBD)-05,
07을 제외한 실측데이터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실측 침 SD 구역에 대한 실측 침하량은 Fig. 12와 같다. 지표
하량과의 오차 10% 이내로 산정되는 결과를 도출하였 침하판 설치 위치는 Fig. 7에 제시하였다. SD 구역에서
다. 역해석 결과 압축지수 0.75, 초기간극비 2.60로 산정 발생된 실측 침하량을 분석한 결과 SP(SD)-01~07의
되었으며, 침하량 산정 결과 및 오차율은 Fig. 11과 같 경우 SP(SD)-08~14에 비해 침하량이 큰 것으로 나타

Table 10. Comparison with measured and predicted settlement in PBD zone (continued)

SP(PBD)-03 SP(PBD)-04

SP(PBD)-05 SP(PBD)-06

SP(PBD)-07 SP(PBD)-08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23


Fig. 9. Initial void ratio in this zone and nearby zone

Fig. 10. Compression index in this zone and nearby zone

Fig. 11. Result of back analysis

났다. 이는 SP(SD)-01~07의 경우 SD 구역에 비해 조기 이 재하되었으나 침하량이 다른 침하판에 비해 과도하


에 재하성토가 시행된 PBD 구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 게 나타났으므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으므로 PBD 구역과의 연동침하에 의한 영향 때문이다 Table 11은 역해석으로부터 도출된 지반정수를 이용
(Fig. 12). 따라서 침하저감비 산정을 위한 실측 침하량 하여 동일 구역에 대하여 PBD 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비교시 SP(SD)-01~07의 결과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를 가정하고 계산한 침하량과 SD 공법 실측 침하량을
또한 SP(SD)-11의 경우 유사한 하중(진공압+추가성토) 비교한 것이다. SD 공법 실측 침하량은 PBD 공법의 예

24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Fig. 12. Surface settlement in SD zone

Table 11. Comparison with measured and predicted settlement about PBD condition in SD zone

SP(SD)-08 SP(SD)-09

SP(SD)-10 SP(SD)-12

SP(SD)-13 SP(SD)-14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25


Table 12. Applied vacuum pressure
2 2
Vacuum Pressure(t/m ) (SD-08~SD-10) Vacuum Pressure(t/m ) (SD-12~SD-14)

측 침하량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토재하 평균 침하저감비가 기존 Imai(2005), Chai et al.(2005)


방식의 PBD 공법과 비교하여 진공압 재하방식에서 침 의 이론치 보다 높은 것은 두 방법에서는 진공압 단독
하저감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이다. 재하 조건에 대한 것으로 본 사례의 경우 설계하중에
Table 12에는 적용 진공압의 지속적인 작용을 검증하 대한 잔류침하기준을 만족시키고자 성토가 병행되었기
고 진공압 크기에 따른 최종 침하량의 영향을 검토하고 때문이다. Ihm et al.(2002)보다 작은 것은 추가 성토고
자 측정 진공압을 제시하였다.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가 작았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공압만을 적
2
최종 진공압이 설계 진공압(-8t/m ) 근처에서 유지되었 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침하저감비가 본 사례에서 도출
다. 최종 침하량에서의 진공압 변동에 의한 차이는 미미 된 평균 0.82보다는 작게 산정될 것이며, 본 논문의 수
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해석이나 관련 이론에서 제시하였던 약 0.75 정도 까
Fig. 13은 SD 공법이 적용된 구역에 대하여 K0 압밀 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거동을 대표하는 성토재하방식의 PBD공법과 등방압밀
거동을 대표하는 진공압재하방식의 석션드레인공법의 4. 결 론
침하량을 비교하여 산정된 침하저감비와 문헌자료를
비교한 것이다. 실측 침하량을 바탕으로 산정된 침하저 석션드레인공법 적용 지반에서 발생되는 침하량은
감비(SSD/SPBD)는 0.77~0.93(평균 0.82)의 범위를 보였 성토재하 등의 하중재하에 의한 침하량보다 작은 것으
고, Chai et al.(2005)의 실내시험 결과(0.81)와 유사한 결 로 제안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탄성이론 및 문
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헌자료를 바탕으로 침하 저감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

Fig. 13. Reduction ratio of settlement through case study

26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으며, 그 결과 진공압만을 이용하는 조건에서 Hooke의 2. Chai, J. C. Carter, J. P., and Hayashi, S. (2005) “Ground deformation
induced by vacuum consolidation.” Journal of Geotechnical and
탄성이론을 바탕으로 한 경우 0.54~0.67, 관련 국내 설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131, 1552-1561.
계기준에서는 0.50~0.75, 과거 국내 시공사례를 바탕 3. Daewoo E&C. (2009), “Busan Newport Ungdong 1st phase porthinterland
으로 한 경우 0.91, 실내시험을 바탕으로 한 경우 0.81, (3rd zone) - Structure and hydraulic calculating report”, pp. 7-77-103
4. Daewoo E&C. (2011), “Busan Newport Ungdong 1st phase porthinterland
토압이론을 바탕으로 한 경우 0.75의 침하저감비가 나 (3rd zone) - Ground improvement finishing report”, pp.8-35.
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 현장에 적용된 성토재 5. Hansbo, S. (1981) “Consolidation of fine-grained soils by prefabricated

하구역(PBD)과 진공압 재하구역(SD)의 실측 침하량을 drains”, Proc. 10th Int. Conf. Soil Mech. Found. Eng., Stockholm,
Sweden Vol.3, paper.12/22, pp.677-682.
각각 분석하여 침하저감비를 산정하였다. 먼저 지반정
6. Hird, C. C., Pyrah, I. C., and Russell, D. (1992), “Finite element
수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PBD 구역의 실측 침하량에 modelling of vertical drain beneath embankments on soft ground”,
대한 역해석을 실시하여 압축지수, 초기간극비를 재산 Geotechnique Vol.42, No.3, pp.499-511.

정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성토가 병행된 SD 공법 7. Imai Goro (2005),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Vacuum-Induced
Consolidation Method”, 日本土木學會論文集 No.798/Ⅵ-68, pp.1-16.
적용구역에서의 실측 침하량과 PBD 공법 적용시의 예 8. Kim, B. I., Kim, D. H., Kim, S. S., and Han, S. J. (2009), “Consolidation
측 침하량을 분석하여 침하저감비를 산정하였다. 성토 characteristics of soft ground in suction drain method”, J. of KSCE,
Vol.29, No.6, pp.287-294.
재하공법에 비해 작은 침하량을 보였던 성토병행 진공
9. Kim, K. N. (2008), “Analysis of consolidation settlement considering
압 재하구역의 침하저감비는 0.77~0.93(평균 0.82)의 hardening zone in suction board drain method”, Ph.D thesis. Hanyang
범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공압만을 단독으로 university, pp.11-30.
10. Liu, X. (1996), “Application and Experience of Vacuum Preloading
적용할 경우 더 작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ethod”, Proc. of Int. Workshop on Technology Transfer for Vacuum-
진공압 단독 재하 또는 추가 성토 병행 등의 개량조건에 Induced Consolidation, pp.47-69.
따라 변동된 침하 저감비를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향후 11. Kang, M. S., Song, Y. J., Kim, S. S., and Lee, S. I. (2007), “The
Analysis of efficiency of suction drain method by step vacuum
이를 고려한 관련 설계기준의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 pressure”, Proceedings of the Seventeenth International Offshore and
단된다.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pp.1287-1292.
12. Ihm, C. W. and Masse, F. (2002), “Successful application of Menard
vacuum consolidationTM method to Nakdong river soft clay in
참 고 문 헌 Kimhae, South Korea”, Proc.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ound
Improvement Techniques, pp.26-28.
13.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2005), “Harbor and fishing port
1. An dong uk (2010), “Numerical evaluation of soft ground response
design criteria”, Vol.1, Chap.4-7, pp.596.
under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 vacuum pressure”,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pp.15-62, 152-218.

(접수일자 2012. 3. 28, 심사완료일 2013. 2. 18)

석션드레인공법을 적용한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특성 2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