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풍동실험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풍속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Wind Velocity on the Downtown Areas


using Wind Tunnel Test
유 기 표* 황 지 욱*
You, Ki-Pyo Hwang, Jee-Wook
유 장 열** 김 영 문***
You, Jang-Youl Kim, Young-Moon
……………………………………………………………………………………………………………………………
Abstract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expansion of residential and industrial districts are continuously decreasing the green
coverage and the land coverage that can purify the quality of air. In addition,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in urban areas
is causing the phenomenon of urban heat island. Accordingly,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is the best indicator of urban
climate characteristics. We examined the change of wind velocity according to building layout in apartment complexes. The
development of high-rise apartments in the downtown affected the wind roads of the whole city, decreasing wind velocity by up
to 50% compared to that before the development.
……………………………………………………………………………………………………………………………
키워드 : 도심, 열섬, 고층아파트, 풍속, 배치
Keywords : Urban Areas, Heat Island, High-rise Apartments, Wind Velocity, Building Layout
……………………………………………………………………………………………………………………………
1. 서 론 고 있으며, 자동차 배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는
100℃ 수준이다. 태양열을 식혀주는 녹지가 부족한 것도
최근 들어 전주시의 여름 날씨가 과거에 비하여 30도를 한 원인이다6). 또한 도심지역의 계속적인 고층아파트의
넘는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기상청의 발표에 따르면 건설로 도심의 바람통로가 막힌 것도 열섬효과가 강해지
1971∼2000년 30년간 대구는 7, 8월중 최고기온이 각각 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재개발
30.3℃, 30.9℃로 전주의 30.2℃, 30.8℃에 비해 0.1℃ 높게 및 재건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들어서고 있는 공동주택
나타났다. 하지만 2001∼2005년에는 전주가 30.3℃, 30.4℃ 과 같은 고층아파트들이 건설됨에 따라 도시 내 바람의
로 30.2℃, 30.2℃를 보인 대구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순위 흐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새롭
가 역전되고 있다. 이러한3),4)전주시의 온도증가의 원인은 게 건축물을 건설할 경우, 그 건축물 주변에서 부는 바람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 이러한 여러 원인 중에서도 의 세기는 크거나 작게 변화하게 되는데 이 점에 착안점
도시기온의 상승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고밀화 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일반주택과 같은 비교
되거나 과밀화된 개발에 따라 도시 내에 신선한 바람이 적 저층의 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이러한 건축물 주변에
소통되지 못하는 것을 들 수가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개 서의 바람의 변화는 작고, 변화하는 범위도 좁으므로 바
발로 인하여 도심 열섬이라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현재 람의 세기변화에 따른 주변에서의 영향도 적다. 이 때문
전주시는 열섬에 대한 관심과 그 해결에 대한 대책을 에 지형인자 등의 다른 요인에 기인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열섬(Heat Island)현상
7),8),9),10),11),12,13)은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대표적인 환경
는 바람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고층,
초고층 혹은 대규모 건축물일 경우 바람의 상황변화에 따
문제이며, 이것은 하나의 원인만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 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국내에
다. 열섬현상은 1차적으로 콘크리트 빌딩의 밀집과 아스 서 연구되고 있는 부지모형을 이용한 풍동실험에서도 대
팔트 도로 포장 등 도시구조에서 비롯된다. 여기에 더하 부분이 건물배치와 위치에 따른 오염물질의 확산을 중심
여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열섬현상을 부채질하 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 본 논문에서는 전주시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대해 기하학적 축소모형을 제작
* 전북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조교수, 공업기술연구센터 하여 건설 전 그리고 건설후의 풍향과 풍속의 변화에 대
**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수료 해서 분석하였다.
*** 전북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교수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13


유기표․황지욱․유장열․김영문
2. 풍동실험 표1. 측정번호별 측정위치
측정 측정지 명칭 측정 측정지 명칭
번호 번호
2.1 풍동장치 1 삼천상류(삼천교~신평교) 9 서곡 LG
전주시 전체의 풍속변화에 대한 풍동실험은 전북대학 2
3
평화동 두산경복궁
삼천 하이츠
10
11
서신동 광진산업장미
공설운동장 사거리
교 풍동연구실에서 보유한 Eiffel 형 대형 경계층 풍동장 4 완산초교 12 아중리 노동부 청사
치를 이용하였다. 그림 1은 경계층 풍동장치를 나타내고 5 완산구청 사거리 13 제2공업단지 사거리
있다. 풍동의 측정부 단면의 크기는 폭 1.5m 높이 1.2m이 6
7
관통약국 사거리
전주 기상대
14 전주역 앞
며 측정부의 길이는 12m이다. 8 아중리 부영5차 15 송천 주공2차

2.2 실험모형 및 장치
풍환경 실험에 사용한 대지모형은 1/25,000 축척모형에
해당하며, 전주시 근교에 있는 모악산과 대둔산 모두를
상사법칙에 의하여 만들었다. 대지모형의 크기는 폭
1.3m, 높이 0.4m로 폐쇄율은 2.8%이다. 실험대지모형의
스케일이 너무 커서 20층 고층아파트가 2.4mm정도 나타
나게 되어 풍속측정센서를 2mm이하로 설치하였기 때문 그림1. 경계층 풍동
에 실험에 대한 오차는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전체적
인 전주시의 바람길을 측정하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판단
된다. 그림 2는 실험대지모형을 나타내고 있다. 풍속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한 풍향실험은 깃발을 이용하였다. 측
정점의 풍속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다점풍속계(Model
No. 6243 system, KANOMAX)를 사용하였다. 풍향은 깃
발을 사용하였다.
2.3. 실험방법 그림2. 풍동실험용 대지 모형
실험풍속은 5m/s로 균등류 상태의 풍속을 사용하였다. N
측정범위는 현재 전주시에서 큰 대로변을 중심으로 고층
아파트가 없을 때(건설전)와 고층아파트가 있을 때(건설 E
후)를 구분하여 총 15지점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측정지 W
점에서 고층 아파트군과 저층건물이 있는 곳도 선정을
하였다. 풍환경 실험14)에서 실시한 풍향각은 22.5도 간격 S
으로 총 16개 방향에 대하여 부지모형을 회전시키면서
풍동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 3은 실험에 사용된 풍향을 그림3. 실험풍향
나타내고 있다. 측정된 풍속은 지상에서 12m의 상공풍이
다. 그림 4는 풍속변화를 측정할 측정 지점을 나타내고
있다. 표 1은 풍속을 측정한 측정번호와 측정지 명칭을
나타내고 있다. 전주천을 중심으로 최근에 많이 건설되고
있는 고층아파트 주변(2, 3, 5, 9, 10)과 구도심지 주변
(4,6,7)을 중심으로 측정을 하였다. 풍향을 알아보기 위한
깃발실험에서 화살표 방향은 측정지점의 깃발 실험으로
부터 구한 값을 이용하였다. 화살표 1개의 의미는 측정지
점에서 풍향이 일정하게 한쪽방향으로 불어가는 것을 의 그림4. 측정지점
미한다. 화살표가 2개인 경우는 측정지점에서 좌우로 바
람이 불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본 풍동실험에 사용된 고 3. 실험결과 분석
층아파트모형은 10층 이상의 경우만 제작하였으며 모형
의 배치는 실제 건물배치와 거의 동일하게 일치시켰다. 실험분석은 깃발을 사용하여 측정한 풍향과 다점풍속계
그리고 풍동실험의 축척율에 따른 축소모형의 오차는 존 를 이용하여 측정한 풍속을 종합하였다. 각 지점별 풍속
재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대지모형에 대한 풍속의 흐름 의 변화는 부지모형의 각 측정지점에서 측정되는 풍속을
변화만을 보기 위한 실험이다. 풍동 내 균등류 상태의 기본풍속(5m/s)으로 나누어 구한
풍속비를 이용하였다.

1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풍동실험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풍속변화에 대한 연구
측정지점에서의 풍속
(1) (a) 건설 전
풍속비  
풍동내 기본풍속 측정지점별 풍향각 변화에서의 측정지점 5, 8, 14는 모
그림 5는 전주시의 최근 10년간(1996-2005년) 바람의 속 든 풍향각에서 풍속비가 1.0부근에서 나타나고, 측정지점
도에 따른 등급별 바람장미도를 나타내고 있다. Y축의 9, 15는 풍속비가 1이상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주시
숫자는 풍향각별 발생빈도수를 의미한다. 전주시는 바람 주변에서의 10km 이내의 측정지점(1, 2, 3, 4, 6, 7, 10,
의 세기가 큰 1등급(10.8m/s이상)과 2등급(8.75-10.8m/s) 11, 12, 13)에서는 풍속비가 1이하로 나타나고 있었다. 주
에서 남․서풍이 주된 풍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변 산(모악산)의 영향과 지형의 영향으로 기준 실험풍속
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다.
N

(b) 건설 후
1800
NNW NNE
1500

건설후에는 건설전보다 풍속비가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NW NE
1200

건설전 풍속비가 1이상 나오던 지역(측정지점 5, 9, 14,


900
WNW ENE
600

300
15)이 거의 1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측정지점 5-ESE 풍향
W 0 E

각에서 최대 70%의 풍속감소율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풍


WSW 향각에서도 50% 이상의 풍속감소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건설전 최대풍속증가율을 보이던 측정지점 15의 경우는
ESE

1등급

건설 후 최대 72%의 풍속감소율을 보이고 있으며, 측정


2등급
SW SE
3등급

지점 9에서는 건설 후에 최대 80% 이상의 풍속이 감소하


4등급
SSW SSE
5등급
S

고 있었다. 그 이외의 측정지점들도 거의 대부분 풍속이


6등급
10년간 등급별 바람장미도(10년간)

그림 5. 전주시의 바람장미도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층아파트의 건설이


전주시 내부의 기류흐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이
3.1. 측정 지점별 특징 해할 수 있다.
그림 6은 각 측정지점별 고층아파트의 건설전과 건설후
의 풍속의 변화를 나타나고 있다.

(a) Point 1 (b) Point 2 (c) Point 3 (d) Point 4 (e) Point 5

(f) Point 6 (g) Point 7 (h) Point 8 (i) Point 9 (j) Point 10

(k) Point 11 (l) Point 12 (m) Point 13 (n) Point 14 (o) Point 15
그림 6. 측정지점별 건설 전/후의 풍속비 변화율(○건설전 ●건설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15


유기표․황지욱․유장열․김영문
3.3. 풍향각별 특징 그림 8-그림 9는 전주시 전체의 풍속비 변화에 따른 등
그림 7은 고층아파트 건설 전후의 풍향각 변화에 따른 고선을 나타내고 있다. 고층아파트가 건설되기 전에는 전
각 측정지점별 풍속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전주시의 남 주천 부근에서 가장 큰 풍속비가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
쪽과 동쪽에 있는 산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측정지 나 전주천을 중심으로 하여 고층아파트가 건설된 이후에
점별 풍속비의 변화가 산이 없는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 는 최대풍속비의 분포가 저층건물이 분포하고 있는 동쪽
람에 의한 풍속비의 변화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 방향으로 치우쳐서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러나 도심안쪽에 위치한 측정지점 5, 9의 경우는 다른 측 고층아파트가 바람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
정지점보다 고층아파트로 인한 풍속감소의 영향을 많이 히 전주시의 주풍향인 남풍의 경우 전주천 부근에서 최
받고 있었다. 건설전에 풍속비가 1이상이던 이곳이 고층 대 57%의 풍속감소율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풍속감
아파트의 영향으로 0.5이하의 풍속비로 감소하고 있어 실 소효과는 다른 풍향에서도 확인되고 있었다. 그러나 저층
제의 도심내의 풍속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 건물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은 풍속비가 0.8-09(측정지점
었다. : 4,6,7)로 나타나고 있어 풍속에 큰 영향을 미치고 않고
있었다.

그림 7. 풍향각 변화에 따른 측정지점별 풍속변화율

1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풍동실험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풍속변화에 대한 연구

(a) 풍향각 E (b) 풍향각 W

(c) 풍향각 S (d) 풍향각 N


그림 8. 풍향각별 풍속의 변화율(고층아파트 건설전)

(a) 풍향각 E (b) 풍향각 W

(c) 풍향각 S (d) 풍향각 N


그림 9. 풍향각별 풍속의 변화율(고층아파트 건설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17


유기표․황지욱․유장열․김영문
그림 10은 고층아파트 건설 전후의 16개의 풍향각 변화
에 따른 최대 풍속비 분포를 나타나고 있다. 고층아파트
가 건설되기 전에는 도심내 풍속비의 최대 분포가 전주
천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층아파트가 건설된 이후에는 도심내 풍속비의 최대 분
포가 전주천 중심에서 동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대 풍속비의 크기도 50%이상 감
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고층아파트의 건설전과 후 풍속비

(a) 건설전

(b) 저층건물지역의 풍속비


그림 11. 고층아파트군과 저층건물군의 지역별 풍향각 변화에
따른 풍속비 분포

3.4. 풍향실험
깃발을 이용한 풍향실험은 고층건물에 의한 각 지점별
풍속감소가 풍향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는
(b) 건설후 실험이다. 아파트 단지별 배치와 단지의 형태에 따라 풍
향에 여러 가지로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의 실험은 모
형 축소율이 1/25000이다. 실제의 고층건물을 상사하기에
그림 10. 최대 풍속비 분포도 는 너무 큰 모형 축소율이므로 단지내 풍향변화와 단지
별 풍향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에는 문제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주시 전체의 풍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
그림 11은 고층아파트지역과 저층건물지역의 풍향각 다. 그림 12는 전주시의 주풍향인 남풍과 서풍이 전주시
변화에 따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해석대상은 고층아파 에 작용할 때 고층건물의 건설전과 건설후의 풍향과 풍
트가 군을 이루고 있는 지역 4곳과 일부아파트들이 있지 속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의 크기는 풍속비
만 건설된지 오래되었으며 대부분이 저층건물로 구성된 실험에서 구한 값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각
지역 3곳의 각 풍향별 풍속비에 대해서 평균을 구하였다. 지점에서 측정된 풍향이 고층건물의 건설전후에 영향을
15층 이상의 고층아파트군 지역에서의 풍속비는 최대 받지 않고 실험풍향각과 일치하고 있었다. 10층 이상의
60%이상 감소하고 있어 바람이 많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고층건물이 전주시 전체의 풍향에는 큰 영향을 주고 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독주택지역의 경우는 풍속감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고층건물의 단지 내
소율이 저층건물 전후에 큰 변화가 없이 모든 풍향각에 배치에 따른 풍향과 풍속비에 대한 평가는 추후 논문에
서 일정하게 나타나고 있다. 서 평가를 하고자 한다.

1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풍동실험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풍속변화에 대한 연구
4. 결 론
전주시의 도심 내에 고층아파트의 건설전과 건설후의
풍속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풍동실험은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을 수 있었다.
고층아파트의 건설은 도심주변의 풍속변화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주시의 경우
10층 이상의 고층아파트가 건설되기 전에서는 전주천을
중심으로 하여 최대 풍속비가 나타나고 있었지만 고층아
(a) 풍향각 S (건설전) 파트의 건설후에는 최대 50%까지 풍속이 감소하는 부분
이 발생하고 있었다.
고층아파트와 같은 인공구조물의 건축과 입지가 주변
의 기류변화에 급격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
다고 판단된다.

감사의글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 지역기술혁신사업의 연구비 지원
(과제번호#‘08지역기술혁신 B01-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
다.
(b) 풍향각 S(건설후)
참고문헌
1. 김신도, 박은영, 박진수, 황의현, 풍동실험을 통한 서울 지역의
바람장과 오염농도 수평분포,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58-59. 2000
2. 윤재옥, 한국 29개 주요 도시의 풍향 풍속 및 바람특성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pp. 229-236. 2003
3. 오병철, 김상진, 전주시의 열섬현상에 대한 조사, 한국풍공학
회 학술대회, 9, pp. 180-187, 2005
4. 황지욱, 김소정, 도시열섬현상의 주거 형태별 비교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30,7, pp. 235-244, 2003
5. 송영배, 바람통로 예측모델을 통한 바람통로 계획전략, 한국
(c) 풍향각 W (건설전) 조경학회지, 31(5), 43-57,2003
6. Nyuk Hien Wong, Chen Yu, Study of Green Areas
and Urban Heat Island in a Tropical City, Habitat Internat
ional 29, pp. 547-558, 2005
7. Sangjin Kim, Shuzo Murakami, Ryozo Ooka, Akashi Mochi
da, Shinji Yoshida,, CFD Analysis of Wind Climate from H
uman Scale to Urban Scale,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
d industrial aerodynamics, Vol.81, 57-81,1999
8. Chia, Lin Sien, Temperature and humidity observations on
two overcast days in Singapore, Journal Singapor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3), 85-90,1970
9. Crutzen, P. J. The growing urban heat and pollution ‘‘islan
d’’ effect impact on chemistry and climate, Atmospheric En
vironment, 38, 3539–3540,2004
(d) 풍향각 W (건설후) 10. Takahashi, K., Yoshida, H., Tanaka, Y., Aotake, N., &
Wang, F., Measurement of thermal environment in Kyoto
그림 12. 고층건물 건설전후의 풍향실험 City and its prediction by CFD simulation, Energy and Bu
ildings, 16, 771–779. 200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19


유기표․황지욱․유장열․김영문
11. Jauregui, E. Influence of a large urban park on temperatur
e and convective precipitation in a tropical city, Energy
and Buildings, 15, 447-455. 1990-1991
12. Kawashima, S. Effect of vegetation on surface temperature
in urban and suburban areas in winter, Energy and Buil
dings, 15, 465–469. 1990-1991
13. Baumueller, J., Stadtklima Stuttgart, Stuttgart, 1997
14. 김영문 역, 실무자를 위한 건축물 풍동실험 가이드북,
한국풍공학회, 1998
(接受: 2008. 1. 31)

2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제24권 제9호(통권239호) 2008년 9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