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Vol. 13, No. 1, p. 9-15, December, 2007.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Sangji University, Wonju, Kangwondo 220-702, Korea

원주지역의 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송동웅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A Study on the Urban Heat Island in Wonju City


Dong-Woong S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요 약

도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주거·상업·공공시설 등이 늘어나 녹지 면적이 줄어들고, 각종 인공 열


과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도시 상공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주시의 도시 열섬 특성을 알아보고 대표적인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을 선정
하여 열섬현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원주시의 도시화와 열섬현상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원인을 파악
하여 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Rapid expansion of cities represented by expansion of residence area, business area, and area for
public facilities led to a reduction of green zone which culminated in a heat island phenomenon with various
artificial heat and air pollutant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 of urban heat island in Won-ju
city, comparing two regions representing urban center and suburb,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ization of Won-ju city and heat island phenomenon of Won-ju city. The cause and effect of the rela-
tionship is analyzed along with the solution to the problem.

1. 서 론 현상 정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원주시의 도시 열


섬현상 완화 정책에 활용 가능한 기본데이터를
오늘날 인류가 도시에서 이루어 가고 있는 문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명은 궁극적으로 도시에서의 인간의 삶의 질을 원주시 도심지역, 외곽지역을 대상으로 측정점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 구분하여 열섬현상을 측정 분석하였다.
다. 이러한 도시에서의 인간의 목적추구는 앞으
로도 계속 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도시에서의 2. 이론적 배경
인간이 추구해온 일련의 목적 추구에 따른 행위가
커다란 부작용을 일으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2.1 열섬현상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해할 수 있는 일도 일어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히
그 중 하나가 도시 열섬 현상이다. 인구 30여 진행되면서 생겨나기 시작한 현상으로, heat
만 명의 원주시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원주시의 island·도시열섬·열섬현상 등으로 불린다. 도시
기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더라도 원주시의 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주거·상업·공공시설 등
도시온난화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원주 이 늘어나 녹지 면적이 줄어들고, 각종 인공 열
시의 도시 계획 또는 녹지계획 등 여타 시책들 과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도시 상공의 기온이 주
을 종합하여 볼 때 도시 열섬현상 완화와 직결 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현상이 생기기 시작하였는
되는 체계적인 시책들이 펼쳐지고 있다고 보기에 데, 이러한 현상이 바로 열섬현상이다.
는 어렵다. 물론 원주시를 대상으로 한 열섬현상 일반적으로 도시 상공의 등온선(等溫線)이 바
정도에 대하여 구체적인 측정분석 또한 이루어지 다에 있는 섬의 등고선과 비슷하게 나타나기 때
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주시의 열섬 문에 이 도시의 고온부를 가리켜 '섬(island)'이라

9
10 송동웅

고 부르게 되었다. 즉, 지상의 기온분포는 도심 이 중에서도 CO2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


에서 시가지 주변을 향해서 저온(低溫)이 되기 때 그 이유는 지구에서 대량 소비되고 있는 화석에
문에, 등온선의 모양이 섬 지형도(地形圖)의 등고 너지의 소비에 기인하며, 열대림의 개간에 의한
선과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되는 것이다. 영향도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열섬의 발생 원인은 첫째 공장의 굴뚝에서 뿜 또한 도시규모로 축소하여 보았을 때는 도시의
어 나오는 연기, 자동차 배기가스, 에어컨디셔너 화석에너지의 대량소비와 함께 도시 구조물에 의
(공기조화기)·난방기의 배출열 등 각종 인공 열 한 축열현상이 도시의 열섬현상을 한층 고조 시
과 그로 인한 대기오염을 들 수 있다. 둘째 빛을 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시의 각종 인공구조
흡수하는 효율이 높아 흡수한 빛을 적외선 방사 물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보면, 주로 콘크리트
의 형태로 외부로 다시 내보내 대기의 온도를 높 와 아스팔트와 강재 등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이
이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 각종 인공시설물을 축열을 촉진시키거나 조장하는 근본 원인 중에
들 수 있다. 셋째 수분을 증발시켜 태양열을 흡 하나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열섬현상을
수해 대기의 기온을 하강시킴은 물론, 그늘까지 완화 시킬 수 있는 자연 상태에서는 열용량 큰
만들어 태양에너지가 지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막 하천수나, 저수지 등이 많은 경우 복개되거나 매
아 주는 각종 식물과 나무, 즉 녹지 면적의 감소 립되고 있으며, 목초지와 흙으로 된 도시 표면은
를 들 수 있다. 현대도시에서 찾아보기가 매우 어려워져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현대의 도시들은 대부 이와 같이 도시에서의 기온 상승은 여름철에는
분 열섬이라는 특유한 기후 현상을 보이는데, 보 저녁이 되어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 현
통 도심지로 갈수록 기온이 상승하고, 외곽으로 상이 일고, 겨울에는 각종 해충이 도시에서 월동
갈수록 낮게 나타난다. 또 도심지라 하더라도 숲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등 근본적으로 인간
이나 녹지가 발달한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기온 의 삶의 질을 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낮으며, 바람이 약하고 구름이 없을 때 기온
의 편차가 심하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에 비해 겨 2.3 열섬 현상이 미치는 영향
울철에 비교적 강하고, 여름의 경우에는 열섬현 (1) 대기질 악화
상이 반복되면서 해가 진후에도 대기의 기온이 공장에서 배출하는 분진(먼지+수분)이 대기로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熱帶夜) 현상을 초래하기 방출되면서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를
도 한다. 감소시켜 공기의 수직 운동을 방해하여 도시 공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자연지대와 기의 오염도가 더욱 심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시지대 사이에 기온 강화와 상승 현상이 다르 도시나 공장지대에서는 안개가 자주 생기게 된다.
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해 도시에 숲이나 공 열섬 현상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뚜렷하다. 따
원 조성 등 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까 뜻한 공기는 상승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렇게 더
지 근본적인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워진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먼지와 공장, 차량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함께 상승하게
2.2 열섬현상의 개요 된다. 그 때문에 대기가 이 물질들로 가득 차게
지구에는 직경 0.1~0.4%의 매우 엷은 대기(이 되어 태양광선과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학 스모그
것을 대기 경계층이라 한다.)가 존재하여 그 중 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염된 공
에는 N2, O2 ,H2O, CH4, N2O 등의 가스가 있다. 기가 며칠 동안 정체되어 있을 경우 사람의 건
한편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는 파장이 0.2~3 강에 큰 해를 끼치게 된다.
μm로 짧아 이 대기층을 통과하나, 반대로 지구
에서의 방사는 5~100 μm의 장파장이어서 이 대 (2) 에너지 추가 소비
기층에 있는 CO2, H2O, CH4 등의 미량성분 가 도시열섬은 기상상태와 사회경제적인 측면에
스에 흡수되어 다시 지구 표면으로 되돌아오는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데, 그 중에는 유익한
성질이 있다. 이것을 마치 지구 표면을 온실 같 것도 있고 해로운 것도 있다. 한랭한 지역과 온
이 따뜻하게 한다고 하여 온실효과라고도 한다. 대의 겨울철에 나타나는 열섬은 난방수요를 감소
원주지역의 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11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시열섬현상에 의한 기온 열섬 현상에 풍속, 구름의 양, 도시의 크기도 영


상승은 난방보다는 냉방에 필요한 에너지양이 많 향을 미치는데, 가옥의 밀도가 10%씩 높아지면
o
기 때문에, 도시열섬은 실제로 도시민들에게 부 도심의 온도는 0.16 C씩 높아진다. 기온이 올라
정적인 요인이다. 더욱이 냉방설비는 건물내부의 가면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
열을 옥외로 방출하여 이미 따뜻해진 공기와 방 이며, 에너지의 대부분은 에어컨에 의한 것이다.
출된 열이 섞여 도시열섬의 강도를 더욱 가중시 미국의 에너지 관리청에 의하면 100,000 이상의
o
키게 된다. 인구가 있는 도시에서 0.6 C의 온도가 올라갈 때
마다 냉방 소비 전력이 15%~20% 오른다. 미국
o
(3) 도시 내 생물기후학적 분포에 영향 의 도시들의 온도는 지난 40년 동안 평균 1.1 C
o
도시열섬현상은 일사량감소와 시정약화, 상대 에서 2.2 C가 올랐고 이것은 여름에 냉방을 유지
습도의 감소, 운량 및 안개일수 증가 등 다양한 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
기상여건을 변화시킨다. 또한 도시열섬은 봄에 마 한다.
지막 빙점온도가 나타나는 일자와 가을에 첫 빙
점온도를 나타내는 일자의 평균치에 현저한 영향 (2) 스모그 현상 가중
을 미친다. 도심에서는 교외 또는 농촌에 비해 스모그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공기 중에 만들
빙점온도가 나타나는 마지막 날이 앞당겨지고 첫 어 진다. 이 반응은 높은 온도에서 더 많이 발생
빙점온도를 나타내는 날은 수주일 늦게 나타난다. 하고 활동이 더 강렬해진다. 도시 열섬의 높은
온도는 에어컨 사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화석 연
2.4 열섬현상의 피해 료의 사용을 증가 시키고 이는 공기 오염 수준
(1) 전력 소비 증가 을 증가 시킨다. 이 오염의 증가는 스모그 현상
도시의 기후는 에너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으로 나타난다. 스모그의 형성은 온도에 매우 민

그림 1. 측정점 위치
12 송동웅

감하다. 즉 더 높은 온도는 더 많은 스모그를 형 3.4 측정 결과


o
성한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기온이 21 C이하일 때 (1) 원주시 열섬지도
는 스모그의 형성을 일반 평균보다 낮다. 그러나
o o
21 C이상의 온도에서는 0.6 C오를 때 마다 스모
그는 3%로 증가한다.

(3) 건강 문제
도시 열섬으로 인한 기온 상승은 에너지 사용
증가 뿐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
친다. 여름밤의 더운 날씨는 낮 동안에 사람들이
받은 열 스트레스를 가라 앉혀 줄 수 없다. 그
결과 도시에서 사망률은 열파동의 최고점에서 가
장 높다. 또한 오존은 눈을 자극하고 폐에 염증
과 천식을 일으키고 세균에 대한 면역력을 저하
시킨다. 대기 오염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는 매 그림 2. 원주시 열섬지도
년 건강 비용으로 30억불로 지출한다.
(2) 타시와의 비교
3. 측 정

3.1 구역 설정
원주시 전도에서 시청중심으로 5km, 10km, 15
km, 20km지점의 동심원을 생성시켜 그 선상에
측정점을 선정하였다.
① 도심으로부터 5km지역 : 원주 시청, 상지대,
사랑의 집, 라이프APT, 개운2차 APT
② 도심으로부터 10km지역 : 원주 IC, 차면소
류지, 육민관 중 고, 영서고교, 근린공원, 봉대초교
③ 도심으로부터 15km지점 : 간현역, 원주자동
차학원, 매지 초교, 금대 계곡
④ 도심으로부터 20km지점 : 둔둔 초교 그림 3. 서울시 열섬지도 (2005)

3.2 측정 시간
기준 시간은 오전10시로 하였으며, 시간 오차
는 ±10분으로 하였다.

3.3 측정 방법
① 측정 15분전에 측정점에 도착한다.
② 햇빛이나 온도에 영향을 주는 지점을 고려
하여 그늘에 자리를 잡는다.
③ 땅위에 거리를 두고 온도계에 실을 묶어서
고정시킨다.
④ 10분정도 기다렸다가 온도를 측정한다.
그림 4. 대구시 열섬지도 (2005)
원주지역의 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13

4. 결과분석 ② 원주시 인구의 증가

4.1 도심지역 온도 분포
열섬지도에서 원주시 도심지역을 살펴보면 외
각 지역보다 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산동, 중
앙동, 단계동 등 그 주변지역에서 온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접근성이 양호하여 인구
이동과 교통 혼잡, 건물의 고층화, 상가밀집지역
으로 인해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6. 최근 10 년간 원주시 인구변화
4.2 외곽지역 온도 분포
도심지역에 비해 외각 지역의 온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흥업, 문막, 신림동 등지에서 다 ③ 원주시 지형 변화 및 녹지 면적 감소
른 외각 지역에 비해서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흥업과 문막의 경우 타 외각 지역에 비해서 대
규모 주택단지가 조성되었고, 원주대, 한라대 등
학교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림의 경우
에는. 신림 인터체인지를 끼고 있어서 차량의 통
행이 잦아 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4.3 타시와의 비교
원주가 서울, 대구에 비해서 온도가 낮게 나타
났다. 이는 도시의 규모와 인구, 교통량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주목
할 것은 도시의 규모와는 관계없이 원주의 온도
증가율이 서울보다는 높고 대구 보다는 낮게 나
타났다는 점이다. 그러나 원주시 온도의 증가율
은 전국 주요도시들과 비교해서 온도의 상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4 원인분석
(1) 도시화 - 원주시의 발전
① 원주시 차량의 증가

그림 7. 단구동 , 우산동 , 원인동의 도시 변화 모습

(2) 온난화
o
① 원주시의 1976 vs 2006 : 평균기온(0.1 C)
변화추이
그림 5. 최근 10 년간 원주시 차량 등록대수 변화
14 송동웅

육지 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물의 증발과정은


태양에너지를 잠재열로 변화시켜 기온을 낮추게
해 자연적 ‘에어컨’ 기능을 담당한다. 식생은 도
시지역에 직접적인 구성요소로 지표면에 직접 내
리쬐는 일사와 지표면으로부터의 복사열을 조절
한다. 만약 도시 전 지역에 바람길을 연계하고,
최근 유럽국가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태양,
지열, 바이오 등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건축, 생
태순환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생태주거단지 등이
함께 추진된다면, 도시 열섬현상 해결뿐만 아니
그림 8. 1976 vs 2006 원주시 월별 평균기온 변화추이
라 생태도시, 지속가능한 도시가 될 것이다.
② 타시와의 비교
(2) 도시 내 녹지 공간 확충
찬바람 이용을 위해선 파악한 바람길을 도시
및 녹지 계획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 도시, 녹지
계획에 반영돼야 바람길을 막는 무분별한 건축을
억제할 수 있고 바람길을 따라 공원, 가로수 등
녹지공간을 조성, 찬바람이 가열되지 않고 도시
깊숙이 들어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공원과 수변지역을 적절히 활용하는 한편 파악된
바람길 곳곳에 가로수를 이중 식재하는 등 충분
한 녹지축을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선 건물 옥상
그림 9. 전국 10 개 도시 최근 30 년간 온도 변화 폭
및 벽면, 아파트 단지 내 녹화 등의 사업과도 연
4.5 해결방안 계해야 한다. 작은 지역 단위까지 찬바람이 효과
(1) 바람길 조성 적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동네별 녹지 조성도 필
도시기후와 공기순환을 위해 도시 또는 단지 요하다.
외곽의 지형, 식생 및 수변 공간 등을 중심으로
주중심축을 설정하고, 이들 지역에서 생성된 신 (3) 제도적 장치 마련
선하고 차가운 바람이 진입할 수 있도록 유입 및 도시 및 녹지 계획을 수립할 경우 바람길을 우
유출구를 계획함과 동시에 도시 내부의 녹지, 수 선 고려할 수 있는 법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사
변 공간 등과 같은 찬바람 생성지역과의 연계를 전조사를 통해 바람길을 막는 고층, 고밀도 건물
목표로 구축한 공간적 네트워크를 말한다. 도시 등 건물 신축을 억제하고 건축물 배치, 높이 등
바람길은 바람 비 온도와 습도 일사 등과 같은 을 조절할 수 있는 친환경적 도시 관리 지침이
기후요소를 지형, 물, 식생 등을 이용해 형성된 마련돼야 한다. 건물 건축과 주택단지 조성 시에
다. 산, 언덕, 계곡, 골짜기 등과 같은 지형은 기 도 공원, 도로 등 주요시설에 대한 입지 기준을
류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특히 계곡의 골짜기 강화해야 한다. 도시장기발전 계획에도 바람길이
에는 차가운 공기층을 형성해 온도가 낮에는 상 반영돼야 한다. 산이나 하천 주변에 지그재그 식
승하고 밤에는 하강하는 계곡형 하강기류를 형성 으로 들어서 바람길을 막고 있는 아파트 등 고
한다. 산, 언덕 등의 남사면은 태양에너지가 집 층고밀도 건물에 대해선 당장의 조치가 어렵다
중돼 그늘진 사면과 다른 미기후 환경을 만들어 하더라도 장애 구조물을 없애거나 낮추고 건물
식생의 성장과 형태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넓은 간 간격을 유지하는 등 바람길을 확보할 수 있
수면은 태양에너지의 상당량을 흡수 및 저장하고 는 장기 대책은 도시장기발전 계획에 반드시 마
바다는 육지보다 온도변화가 적어 해풍을 통해 련돼야 한다.
원주지역의 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15

(4) 협력체계 구축 야 할 것이다.


전문가들 간의 협력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 지
금까지의 도시계획의 문제점 중 하나는 각 분야 참고문헌
별 연계가 부족했던 것이다. 특히 바람길과 관련
된 기후 연구는 지금까지 도시계획 과정에서 제 1. 윤일회 등, “대구 지역의 기상 특성 연구 및 대기 확
외되어 왔고 대기상태에 대한 가장 초보적인 지 산 모델의 개발”
2. 박석봉 등, “광주지역의 여름철 열섬현상 측정 및 분
식으로만 도시계획에 반영돼 왔다. 석”
바람길 조성을 위해선 기상, 조경, 건축, 토목, 3. “기상데이터를 이용한 광주광역시 도시온도 상승에 관
도시계획, 행정 등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모여 한 연구”
적극적으로 토론, 연구하고 계획을 세울 수 있는 4. 한영호 등, “부산지역 도심지의 열섬현상과 기온변화
에 관한 연구”
위원회 구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5. 임상훈 등, “자연과 친환경 건축”(도서출판 고원)
6. 조경두 등, “도시열섬현상의 실태와 부작용”
5. 결 론 7. 김수봉 “친환경적인 도시건설을 위한 바람길 연구”
(계명 출판사)
o
(1) 도심지역이 외곽지역보다 1~3 C 가량 높게 8. 임성달 “원주의 대기오염변화와 기상인자의 관련성 분
석”
나타난 이유는 공장, 가정, 자동차등 연료의 사 9. 신정희 “부산지역 일중 기온분포특성과 열섬현상에 관
용으로 인한 배출열의 증가와 건물, 도로 등의 하여”
재질에 의한 열 흡수율이 크고 점차적인 녹지면 10. 김운수 “서울시 도심열섬 완화방안” 2007서울정책포
적의 감소로 인해 온도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커스(23호)
11. 환경일보 “도시 열섬현상과 바람길의 필요성”(2007)
(2) 원주는 자체적으로 선정한 타 9개의 도시
12. 환경일보 “바람길 조성, 열섬의 결정적 해결 수단”
를 포함하여 10개 도시 가운데 최근 30년간 온 (2007)
도 증가율 부분에서 두 번째를 차지했는데 그동 13. 국토지리정보원 “국토공간영상정보, 항공사진”
안 인구 증가와 도시규모의 급격한 팽창에 기인 14. 기상청(2006) “기상정보, 기사월보, 기상일보”(2006)
15. 한국기상학회, 대기과학개론
한 것으로 판단된다.
16. Yamashita, Heat Island, and Amenity(1995), Study for
(3) 2007년 11월 원주시는 인구가 30만 명을 climate impact and application Newsletter(11).
넘어 강원도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기록하였다. 17. Landsberg. H. E.(이헌영 역), The Urban Climate(도시
또한 기업도시, 혁신도시 유치에 성공으로 앞으 기후학), 한국한술진흥재단번역총 63, 서울:대광문화사
(1989).
로 많은 기업이 원주에 들어서고 이에 따라 계
18. Daegu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
속적인 인구의 증가가 예상된다. 때문에 원주시 A study on Trend Analysis of recent Air Temperature
의 열섬현상에 대한 문제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 for Environmental Urban Planning in Daegu(1) (2001).
로 전망되는데 이에 대한 시책으로 바람길에 대 1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ir Quality Cri-
한 연구와 정책적인 시행이 하루 빨리 추진되어 teria for ozone and Related Photochemical Oxidants
(19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