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안녕하세요 저는 이탈리아어 통번역학과 21 학번 김세은입니다.

저는 기후변화에 대해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차별적인 개발에 의한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왜 이러한 기후변화가 일어나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분해야 할 점은 기후변화의 원인이 크게 2 가지로 나뉜다는 것입니다.
바로 자연적인 요소와 인위적인 요소입니다. 자연적인 요소는 대규모의 화산활동, 긴 주기의
태양활동의 변화, 태양복사에너지 변화, 지구공전궤도 변화 등의 경우처럼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에 의해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요소의 경우에는 산업혁명 이후 온실가스
배출이 많아지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와 에어로졸 농도 변화가
일어나면서 삼림훼손, 토지이용도의 변화와 같은 환경변화가 일어났고 이로 인해 기후변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문제점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 에어로졸 농도 변화와
같은 문제점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한 개발은 계속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IPCC 에서 발표한 5 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인간은 기후 시스템에 명백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배출된 온실가스의 양은 관측 이래 최고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18 세기 산업혁명 이후 인류에 의해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 에어로졸 등이 배출되었고, 경작을 위해
산림이 훼손되는 등 토지이용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 그래프는 1901 년~ 2000 년 대비 전지구의 기온 편차를 나타낸 그래프와 1985 년부터 2015
년까지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에 대해 알아본 그래프입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 지구 평균기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의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이 온난화의 주원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특히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는
전세계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에 의한 것이나, 최근에는 대부분 경제 성장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생태중심주의와 같이 자연을 이용의 대상으로 여기는 기술중심주의의


자연관을 거부하고, 자연의 한 구성원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긴밀성 및 의존성을 강조하는
사상을 널리 알리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펼쳐나가는 것을 해결방안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환경적인 정책 또한 자연과 인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개발과 정복보다는 조화와 공존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표적인 정책으로 환경친화적 건축제도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나야가야 한다고 할 수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