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우리나라 2001~2020 년 온실가스 배출량

총 배출량

분석
=>2001 년(5 억 1600 만 톤)부터 2020 년(6 억 5620 만 톤)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7%증가
=>한국은 2017 년 기준으로 세계 11 위이자
OECD 회원국 중 5 위의 온실가스 배출 국가다. 2001 년~2018 년까지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최근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는 점은 의미 있는 변화라고
볼 수 있음 BUT 복합적이겠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이 직‧간접적 요인이 된 것으로 추정됨.

=>증가율이 가장 높은 년도는 2009~2010 년도로 2009 년에는 5 억 9800 만



2010 년에는 6 억 5610 만톤으로 대략 5810 만톤이 증가함
그러한 이유로는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등등 전체적으로 증가했기
때문

=>감소율이 가장 높은 년도는 2019~2020 년도로 2019 년에는 7 억 1020 만톤,


2020 년에는 6 억 5620 만톤으로 4500 만톤이 감소함

그러한 이유로는 에너지, 산업공정, 산업이 대체로 감소 but 농업, 폐기물은


미세하게 증가함
=>이러한 배출량은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환산한 6 개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 질소, 수소불화 탄소, 과불화 탄소, 육불화황)의 배출총량으로 이산화탄소 환산
톤으로 나타냄.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 질소(N2O), 수소불화
탄소(HFCs), 과불화 탄소(PFCs), 육불화황(SF6), 삼불화질소(NF3)의 7 개 물질을 대표적
온실가스로 정하고 있음.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추이


분석
=>총배출량이 높으면 순배출량도 높아지고 총배출량이 낮으면 순배출량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음
=>총배출량에 에너지가 가장 많이 관여되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에너지 총배출량

총배출량(=순배출량,에너지)
최고 2018 년 최저 2001 년

산업공정
최고 2004 년 최저 2001 년

농업
최고 2004 년 최저 2020 년

폐기물
최고 2001 년 최저 2010 년

2010 년/2020 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1.
에너지
2020 년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5 억 6,992
만 톤으로,2010 년보다 4,200 만 톤이 증가함

2.산업공정
산업공정 분야 2020 년 배출량은 국가 총 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4,853 만
톤으로, 2010 년보다 4500 만톤이 감소

3.농업
농업 분야의 2020 년 배출량은 국가 총 배출량의 3.2%에 해당하는 2,105 만
톤으로,2010 년보다 1000 만톤이 감소

4.폐기물
폐기물 분야의 2020 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5%에 해당하는 1,673 만
톤으로, 2010 년보다 1 억 3000 만 톤이 증가
(세부적으로)
제조업 및 건설업 부문 비교
2010 년 1 억 6200 만톤 2020 년 1 억 8160 만톤으로
1870 만톤 증가

수송 부문 비교
2010 년 8500 만톤 2020 년 9620 만톤으로 1120 만톤 증가

에너지 산업
2010 년 2 억 5480 만톤 2020 년 2 억 3700 만톤으로 1780 만톤
감소

광물산업
2010 년 3170 만톤 2020 년 3230 만톤으로 60 만톤 증가

화학산업
2010 년 70 만톤 2020 년 90 만톤으로 20 만톤 증가

금속산업
2010 년 30 만톤으로 2020 년 10 만톤 20 만톤 감소

장내발효
2010 년 4300 만톤 2020 년 4700 만톤으로 400 만톤 증가

가축분뇨처리
2010 년 4800 만톤 2020 년 5000 만톤으로 200 만톤 증가
벼 재배
2010 년 7800 만톤 2020 년 5700 만톤으로 2100 만톤 감소

농경지 토양
2010 년 5200 만톤 2020 년 5600 만톤으로 400 만톤 증가

폐기물소각
2010 년 5600 만톤 2020 년 6600 만톤으로 1000 톤 증가

2020 년 /2010 년 온실가스 배출량 관련 자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