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Vol. 70, No.

11, November 2021

기획시리즈 | 전기자동차 기술동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기, 대안 정책과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기자동차 정책 등
Crisis of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alternative policies and
electric vehicle policies to reduce carbon emissions, etc.

배진용 교수 | 동신대학교 전기자동차학과


Jin-Yong Bae | Department of Electric Vehicle Engineering, Dongshin University

요 약
본 원고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기 및 대안정책을 살펴보고,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강력한 정책인 전기자동차 정책
등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겠다.

Abstract
In this manuscript, I will examine the crisis of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and alternative policies, and discuss the necessity of the electric
vehicle policy, which is the most realistic and powerful policy to reduce carbon emissions.

1. 서 론 현실이다. 더불어, 분명한 것은 모든 위기는 반드시 대략 10년의


주기로 반복된다는 것이다.
본 원고에서는 기후온난화로 인한 탄소배출 및 미세먼지 저
감의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한 최대의 위기들은 다음과 같다.
2030년에는 미국, 한국, 중국, 유럽, 남미 등의 주요 대도시가 침
수될 것에 대하여 국제적인 경고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살펴 - 2019년
2019년 : 코로나 19(Covid 19) - 세계적으로 유래한 적이 없
보고[1-6], 이러한 기후온난화에 대한 위기를 바탕으로 하는 대 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수많은 사망자를 발생한 전 세
안 정책과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기자동차 정책[7-10] 등을 살 계적 위기
펴보고자 한다. - 2008년
2008년 :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인한 금융위기 – 미국 최대의
초대형 모기지 회사(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으로 인하여 전 세

2.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기 계적으로 신용경색의 위기


- 1998년
1998년 : IMF 외환위기 –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유
현재 코로나 19(Covid 19)의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동성을 바탕으로 외환보유고가 바닥나며, 단기간에 많은 기업

28
www.dbpia.co.k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전기계뉴스 기획시리즈 전기공학랩페이스북 자유기고문 학회 소식

이 파산, 부도 및 대량실직의 위기

현재 전 세계는 코로나 19의 극복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


울기고 있으며, 화이자, 모더나,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스푸트니
크 등 다양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의 개발과 각 나라에서는 코
로나 치료제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이제 점차적으로 코로나
19의 극복을 위한 해결책을 점차적으로 발견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기존의 위기들(코로나 19/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인한 금
융위기/ IMF 외환위기)을 가만히 살펴보면 분명한 점이 한 가지 있
을 것이 충분히 예견된다. 분명히 다음번 위기는 대략 2029년 내지
2030년에 우리에게 닥칠 것이 너무나 확실하다는 점이다.
그림 2 “10년 뒤 ‘부산’ 물에 잠긴다”...해상도시 건설 추진[2]

2029년 내지 2030년에 마주할 최대의 위기는 바로 무엇일까? 통해서 반드시 발생해야만 하는 탄소배출, 공해, 미세먼지는 이
필자(筆者)는 다음과 같은 위기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한다. 제 전 세계 모든 나라에게 새로운 위기를 맞이하게 하고, 아울러
2029년 내지 2030년 발생되는 위기에 신호탄이 되고 있다.
▷지
 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과 이로 인하여 전세계 수많은 대도 한국의 서울 여의도/ 부산 해운대/ 인천공항/ 인천송도/ 김포
시의 침수/ 저지대 국가의 침몰/ 식량위기/ 물 부족 및 난민발생의 위
기이다. 공항을 비롯하여 저지대 침수는 이미 언론을 통해서 충분히 예
측되고 있으며 미국의 뉴욕/ 중국의 상해 및 베이징/ 이탈리아 베
분명한 것은 수많은 언론을 통해서 다음번 위기에 대해서 충 네치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을 포함 유럽, 남미, 호주, 인도, 아
분이 그 파괴력과 위험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보도되었다. 프리카 등의 대부분의 대도시도 해수면 상승의 위기의 직격탄이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위기의 뉴스(News) 2029년 이후부터 나타나게 될 것은 이미 확실시되고 있다.
이는 그린피스와 수많은 과학자들에 의해서 충분히 예견하고
있으며, 더 큰 문제점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의 속도는 더
욱 가속 페달을 밟는다는 점이다.

3. 해수면 상승의 진짜 위기는 이산화탄소(CO2)


가 아닌 메탄(CH4)

이미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인 KBS, MBC를 통해서 지구온난


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2030년 경에 부산 해운대, 인천공항,

그림 1 기후변화 계속되면 10년뒤에 인천공항, 국회의사당 물에 잠긴다[1] 인천송도, 김포공항, 여의도 등의 침수에 대해서 다각적인 경종을
울리고 있다[1-2].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이에 대해서 반
1780년 산업혁명 이후로 인류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 신반의(半信半疑)하고 있으며, “진짜 그럴일이 있을까?“, “설마~
석연료를 바탕으로 수많은 경제성장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이를 아닐거야... 물론 더 오랜 시간이라면 그렇겠지....”라는 생각이 있

29
www.dbpia.co.kr
Vol. 70, No. 11, November 2021

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6차 보고서에


2021년 9월 2일 KBS가 4부작으로 특집을 방송한 “기후변화 서는 세계 표면온도는 최소한 이번 세기 중반까지 계속상승하며,
특별기획 4부작 붉게 타오르는 지구의 마지막 경고| 붉은 지구 1 지구 기온은 21세기 안으로 1.5℃뿐 아니라 2℃넘게 상승하며,
부 엔드 게임 1.5℃”에는 아주 분명하게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상 2040년 이전에 세계 표면온도는 1.5℃에 도달하는 것에 대하여
승의 결정적인 문제는 방아쇠(Tipping Point)는 바로 이산화탄소 분명하게 경고하였다[3].
(CO2)의 배출로 인해 1.5℃가 상승하면 러시아 및 북극 지역 동토
층에 넓게 분포된 메탄(CH4)의 분출로 인해서 지구온난화가 더
욱 가속되는 것에 대해서 분명한 경고를 하였다[3].
KBS 4부작 붉은지구 제1부에서는 이산화탄소(CO2)보다 30배
더 강력한 온실가스가 바로 메탄(CH4)이며, 현재 지구온난화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로 인하여 발생하지만, 앞으로 지구온도
가 1.5℃ 이상 올라가면, 러시아 및 북극 지역 동토층에 넓게 분포
된 메탄(CH4)이 분출되며, 이로 인하여 지구온난화는 절대 인간
이 통제할 수 없음에 대하여 설명하였다[3].
특히 스탠포드대학교 크리스필드 교수는 지구온도가 1.5℃ 이
상 상승하면, 더는 인간이 지구온난화를 통제할 수 없음을 분명
하게 말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를 저지하기 위한 전 지구적인 노
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3].

그림 5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6차 보고서 주요내용[3]

4.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위기의


적극적 대안 정책 수립이 필요

KBS 뉴스는 그린피스와 수많은 과학자들의 지적을 반영하여


그림 3 북극 지역에서 메탄가스에 불이 붙는 영상[3] 2030년 해수면 상승으로 대한민국 인구의 6~7%의 인구인 332
만이 침수지역의 수재민이 되며, 서울시 10배의 면적에 해당하는
5,905[km2]의 면적이 물에 잠기게 됨을 방송하였다[1].
더불어 해수면 상승은 2030년에 부산 해운대에 바닷물이 차
오르고, 낙동강 하구가 잠기는 동영상은 이미 KBS 뉴스 등을 통
해서 충분히 소개되었다[1-2].

즉, 현재 대한민국의 수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과학자의 지적을


그림 3 지구온도 1.5℃ 이상 상승시 메탄가스의 자연분출은
별로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으며, 아울러 해수면 상승을 기반으로
인간이 지구온난화를 통제할 수 없음을 말하는 크리스필드 교수[3]

30
www.dbpia.co.k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전기계뉴스 기획시리즈 전기공학랩페이스북 자유기고문 학회 소식

하는 전 국가적인 정책수립도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미국 마이애미 아파트 붕괴사고의 원인에 대해서 플로리다 국
제대학(FIU)의 지구․환경학과 Shimon Wdowinski 교수는 마이
애미 해변은 간척지에 건설된 건물로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1990년대부터 연간 2mm의 지반침하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이
루어졌으며, 해수면 상승이 결론적으로 아파트 붕괴사고의 주된
원인임을 그의 논문에서 강조하였다[4-5].
필자(筆者)는 전공이 전기자동차 및 전력제어 분야이기에 바
닷물로 인한 부식과 건물붕괴의 전문가는 아니지만, 지구온난화
그림 6 2030년 해운대가 침수되는 시뮬레이션 영상[1] 로 인하여 대도시가 침수된다면, 건물의 하부를 지탱하는 철근
이 염분으로 인하여 상당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지극히 상식적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고 있듯이 2021년 6월 24일은 미국 마이 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애미에 아파트가 붕괴되어서 15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최악의 앞으로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위기는 어쩌면 반드시 우리가 살
사건이 일어났다[4-5]. 아있는 기간에 만나야 할 운명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바닷물이 우리나라 대도시를 침수시키는 경우, 단순하게 물
이 잠기는 수준으로만 생각한다면 너무나 안이한 생각일 것이다.
지반이 약하거나, 노후 건물의 경우에는 마치 마이애미 아파트처
럼 붕괴사고에 충분히 직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해수면 상승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적극적인 대책이
이제 논의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어쩌면 위기라는 것
을 인식하지 못하고 맞이하게 된다면, 바로 그것이 대재앙의 시작
이 될 것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제 학계의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정부 및 지
자체가 주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코로나 19
의 위기 다음으로 우리가 맞이할 최대의 위기로 공표(公表)하고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안은 반드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림 7 2021년 6월 발생한 미국 마이애미 아파트 붕괴사고[4-5]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정책적 대안

첫째 : 지
 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가장 큰 위기이고 2030
년/ 2040년/ 2050년 등에 반드시 우리에게 나타날 위기임
을 대국민에게 지속적으로 홍보 및 교육
둘째 : 해
 수면 상승이 10m/ 20m/ 30m/ 40m 등으로 상승 시 침
수지역의 설정과 대피지역의 확보 및 공지

그림 8 해수면 상승으로 마이애미 아파트 붕괴사고 예견 논문과


셋째 : 해
 수면 상승으로 인하 저지대 주민의 이주지역의 확보, 이
이 논문의 저자인 Shimon Wdowinski 교수[4-5] 주시기 및 이주대책 수립

31
www.dbpia.co.kr
Vol. 70, No. 11, November 2021

넷째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식량부족을 대비한 농경지 확보와 먼저 해수면이 약 10m 정도면 상승해도 중국의 산둥 반도에 섬
식량 자급자족을 위한 안보 시스템의 확립 이 생긴다는 것이고, 해수면이 약 40m까지 상승하면 중국인구의
다섯째 : 저지대 침수로 물 부족을 고려한 수자원 확보대책 수립 90%가 거주하는 지역이 물에 잠기며, 중국의 베이징, 상해, 남경
여섯째 : 해수면 상승과 염분으로 인한 건물붕괴 방지대책 수립 등 대도시가 대부분 수몰되며, 중국 영토는 2개의 섬나라가 생기
및 침수가 확실한 노후건물의 경우, 안전한 이주대책 수립 게 된다는 것이다[6].
일곱째 : 해수면 상승을 기반으로 하는 국토 종합개발 대책의 재 분명한 것은 2030년에 이러한 일이 모두 생기지 않겠지만,
수립 2040년/ 2050년/ 2060년 등 시간에 지나면 우리와 후손이 살
여덟째 :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기자동차 및 전기오토바이 정 아있는 기간에 반드시 맞이하게 되는 운명이라는 점은 부정하기
책의 강력한 추진 등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도 괜찮을까??

5. 이미 충분히 예견된 해수면 상승과 ▷ 절대 그렇지 않다.

이를 기반으로 하는 국토개발 정책

2029년부터 본격적으로 맞이할 위기인 해수면 상승과 관련하


여 매우 재미있는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하나 소개한다[6].
유튜브(Youtube) 동영상 제목 :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면 대한민국은 어떻게 될까?? 해수면 상승 시뮬
레이터”

이 유튜브 동영상을 보자면 매우 충격적인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림 10 유튜브(Youtube) 해수면 상승 상승 시뮬레이터[7]

(a) 현재 해수면 0m (b) 해수면 상승 10m (c) 해수면 상승 20m

(d) 해수면 상승 30m (d) 해수면 상승 40m

그림 9 유튜브(Youtube) 해수면 상승 상승 시뮬레이터[6]

32
www.dbpia.co.k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전기계뉴스 기획시리즈 전기공학랩페이스북 자유기고문 학회 소식

우리는 이제 새로운 위기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해수면 상승으로 충분한 위기가 예견되는 가운데 가덕도
을 모든 정책에 반드시 반영해야만 한다. 대표적인 예로서 부산 신공항의 입지는 타당한가?
가덕도 신공항 건설의 경우, 다시금 진지하게 생각해 볼 국가적 수십 년이 지나도 해수면 상승에도 공항의 기능을 안정
인 정책이다. 적으로 수행할 지역으로 공항의 위치변경이 필요하지 않
을까?

5.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전기자동차 정책 등

이제까지 우리가 만나야만 하는 2029년 이후의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의 위기에 대해서 KBS, MBC 등의 수많은 언론
을 통해 알려진 이야기를 정리하였다. 어쩌면 해수면 상승으로
(a) 부산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인한 위기는 너무나 인정하기도 쉽지 않는 문제이지만, 이제는
학계의 수많은 전문가의 지적을 반영해서 정부 주도적으로 이
위기를 널리 홍보하고, 그 적극적인 대안 정책을 마련하지 않으
면 안 된다.

“위기는 곧 최고의 기회이다.”

(b) 부산 가덕도 신공항 위치


앞으로의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기는 어쩌면 우
그림 11 부산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및 위치 리가 살아가는 도시와 지역의 침수를 암시하고 있지만, 매우 분명
한 것은 대한민국의 도약과 성장의 최고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2030년 국회의사당이 침수가 된다는 KBS 뉴스[1]가 사실이 최고의 발판이라는 것이다.
라면, 아마도 서울과 인천에 대부분의 지역은 침수지역이 된다
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설령 2030년이 아니더라도 2040년/2050 - 현재 세계 최고의 자동차 회사는 어디인가?
년/2060년 등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반드시 일어날 수밖에 - 바로 테슬라(TESLA) 모터스이다.
없는 일이라는 것을 우리는 인정해야만 하고, 이제 그 위기를 받
아들이고 대응 정책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의 총 생산량에 있어서는 1년에 약 1050만대 생산하는 1
아울러 그림 11과 같은 부산에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당연히 지 위 도요타(Toyota)/ 1년에 1000만대 생산하는 2위 폭스바겐(Volk-
역의 원활한 물류이동 및 항공노선 확보를 위해서 매우 필요하다. swagen)과 비교하면 1년에 고작 50만대 생산하는 테슬라(TESLA)
하지만, 다음의 질문을 이제 우리 스스로 반드시 해야할 것이다. 모터스는 도요타社와 폭스바겐社의 약 1/20에 불과하다.
하지만, 2019년 발생된 코로나 19의 위기 가운데 순수 전기
질문 :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면, 가덕도 신공한은 안전한가? 자동차를 생산하는 테슬라(TESLA) 모터스社는 포드社, 폭스바
해수면 상승/ 태풍/ 해일 등은 공항의 설계 시 충분히 고 겐社 그리고 도요타社를 제치고 드디어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인정
려되었는가? 하는 시가총액 세계 1위의 자동차 회사로 등극하였다.

33
www.dbpia.co.kr
Vol. 70, No. 11, November 2021

- 왜? 고작 도요타(Toyota)社 및 폭스바겐(Volkswagen)社의 (Smart Farm) 정책 / 염분에 강인한 농작물 생산 정책


1/20분에 차량을 만들지 않는 테슬라(TESLA) 모터스社가 미 넷째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물 부족에 대미한 수자원 확보 및
래가치가 최고인 시가총액 세계 1위의 자동차 회사로 등극했 해수담수화 정책
을까?? 다섯째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건물 붕괴 방지를 위한 정책
- 결론 : 2030년의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위기에 가장 여섯째 : 탄
 소회수를 위한 적극적 기술개발 및 신(新)산업 추진
최적화된 회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정책

2030년 이후에 우리에게 닥칠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의 위기를 무시하는 경우, 어쩌면 상당한 대가를 치르게 될지 모
른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해수면 상승의 위기를 우리 모두가 인정
하고 국가적으로 새로운 지구온난화 기반의 신(新)산업 정책을
추진하고,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국가적으로도 해수면 상승
의 위기를 기반으로 새로운 국가적인 성장 동력을 얻는 것이 가

그림 12 테슬라/ 도요타/ 폭스바겐/ 포드의 시가총액 그래프 장 중요할 것이다.


위기는 반드시 온다. 그리고 그 위기에 대해서 느리게 대처하기
대한민국은 이제 강력한 전기자동차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 보다는 한 박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코로나 19
한다. 탄소배출의 최대 요인이 바로 내연기관이니 경유 및 휘발유 의 위기 속에서도 한 박자 빠르게 코로나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
자동차이고, 내연기관 오토바이의 경우 상당한 탄소 및 미세먼지 모더나 등 세계적인 기업의 눈부신 성장을 보면서 우리는 이제 지
배출에 주범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가 없다. 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코로나 19의 위기로 인하여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경유 트럭과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시점이며, 우리에게 다가오는 이 위기에 어
내연기관 오토바이의 사용으로 인하여 친환경 전기자동차 정책 떻게 반응해야 할지 결정해야 할 시간이다.
에서 다소 주저하는 면이 있지만,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서 한 박 아울러 절대 피할 수도 없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자 빠른 내연기관 퇴출과 강력한 전기자동차 및 전기충전기 정책 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의 전기분야 및 모빌리티 분
의 도입은 대한민국에서 친환경 전기에너지 기반의 모빌리티 기 야 최고 전문가 집단인 (사)대한전기학회의 모든 교수님, 산업체
업의 성장에 촉매제가 될 것이다. 및 전문가의 적극적 역할과 수많은 노력이 더욱 절실하게 필요할
것을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 끝.
2030년 이후 본격적으로 발생할 해수면 상승 위기극복 및 대
한민국 미래성장을 위한 산업정책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첫째 : 탄
 소배출의 적극적 저감을 위한 강력한 전기자동차 및 전 [1] KBS News, “기후변화 계속되면 10년 뒤엔 인천공항·국회의사

기 모빌리티 정책 당 물에 잠긴다,”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

둘째 : 전
 기자동차 및 전기 모빌리티 대중화를 위한 과감한 충전 watch?v=vWRuPT_0mhU (12 August 2020).

시설 확충정책 [2] MBC News, “"10년 뒤 '부산' 물에 잠긴다"…해상도시 건설 추진,”

셋째 : 해
 수면 상승으로 인한 농경지 부족에 대비한 스마트팜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WC-

34
www.dbpia.co.k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전기계뉴스 기획시리즈 전기공학랩페이스북 자유기고문 학회 소식

ZauxtJiY (16 August 2021). (06 July 2021).

[3] KBS 특별기획, “기후변화 특별기획 4부작 붉게 타오르는 지구의 마지막 [6] Youtube,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면 대한민국은 어

경고| 붉은 지구 1부 엔드 게임 1.5℃,” 떻게 될까?? |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터”

Availableonline:https://www.youtube.com/watch?v=0a7y1DEuASM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MCgJjFVIP-8

(02 September 2021). (03 March 2021).

[4] Youtube, “FIU professor: Collapsed Surfside building showed [7] Youtube,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하면 대한민국은 어

signs of subsidence in ‘90s,” 떻게 될까?? |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터”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j2S3muPXpoM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GT_

(29 June 2021). u7MANQVU&t=84s

[5] Youtube, “연간 약 2mm 내려앉고 있다" 마이애미 아파트 붕괴를 예견했 (22 October 2019).

다는 논문??? ,”

Available online: https://www.youtube.com/watch?v=-SqPUuK9X-Q

35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